제4회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
The 4th OFF&FREE International Film & Art Festival
프로그램북
Program Book
파트너쉽
목차 Contents
인사말
5
Greeting
초대의 글
6
Invitation
영화제 소개
8
Introduction
영화제 개요
10
Overview
상영관/전시관 안내
11
Screening/ Exhibition Information
개막작
12
Opening Film Selection/
폐막작
14
Closing Film Selection
OAF, 오프 더 랜드
16
OAF, Off the Land
OAF, 스페셜 아티스트
36
OAF, Special Artist
OAF, 시네 어필
40
OAF, Cine-Appeal
OAF, 시네 스페셜
70
OAF, Cine Special
프로츄어 어택
76
Proteur ’s Attack
현대 중국 실험 영상 예술
82
Contemporary Chinese
OAF, 뉴 포커스
96
Experimental Film&Arts OAF, New Focus
OAF, 퓨처
106
OAF, Future
OAF, 아카이브 섹션
107
OAF, Archive
OAF, 토크
108
OAF, Talk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
110
OFF&FREE International
조직구성
Film & Art Festival Organization
인사말 Greeting
오프앤프리(Off and Free) 운동을 시작하며 조직위원장 정재형
Starting a movement for ‘Off and Free’ Director of the organizing committee Jae Hyung Jung
4년전 2009년 겨울, 확장이란 이름으로 시작하고 여전히 확장하는 영화운동 혹은 예술운동. 50년전 독일 베를린에서 플럭서스 Fluxus(흐름)란 이름으로 시작된 백남준, 요셉 보이스 등의 운동은 음악, 미술, 무용, 연극, 영화 모든 예술의 운동이었다. 그것은 퍼포먼스였고 매체운동이었다. 몸과 기계 , 정신과 물질 , 개인과 자연, 인간과 환경의 운동이었다. 2012년 다시 오프앤 프리 운동을 시작한다. 오프와 프리. 오프(Off) 는 변방을 말하고 프리(Free) 는 무소유를 말한다. 중심에서 이탈하고 소유에서 해탈한다. 세상 모든 변방과 무소유를 찬양한다. 확장과 흐름의 정신을 이어받은 변방과 무소유 운동은 2000년대 한국예술 에서 다시 지켜져야 할 약속이라 생각한다. 그동안 예술은 변방에서 시작하여 중심으로 이동해왔다. 무에서 시작하여 소유로 이동해왔다. 다시 변방으로 물러가고 무소유를 노래하자. 1920년대 아방가르드 예술이 주장했듯이 갤러리의 권력을 시민에게 돌려주자. 영화산업은 자본의 힘이지만 비상업의 힘은 공공정신에 있다.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비상업영화만세! 비상업예술만세!
Four years ago, during the winter in 2009, started under the meaning of ‘ the extension’ and is still an ‘extending’ film movement or maybe an art movement. Fifty years ago, had started under the meaning of ‘ Fluxus’ in Berlin, Germany, The movement, by Baek, Nam Jun, Joseph Beuys, and more, was the movement for the music, the dance, the theatre, and the films: all art area. It was a performance and a media movement. It was a movement for ‘ the body and the machine’, ‘ the spirit and the material’, ‘ the individual and the nature’, and ‘ the human and the environment ’. In 2012, we start ‘Off and Free Movement ’ again. Off and Free. ‘Off ’ means the frontier and ‘ Free’ means nonpossession. Depart from ‘ the center ’ and empty our minds from ‘ the possession’.Praising for all the frontiers and nonpossession in the world. This ‘ frontier and nonpossession movement ’, inspired by ‘ the extension’ and ‘ Fluxus’, is a promise to be kept in the 2000 ’s Korean art. The art has been started from ‘ the frontier ’ and moved into the center. Began from ‘nothing’ and grown to the possession. Let us leave from ‘ the center ’ and sing for the nonpossession! As ‘ the Avant Garde’ in 1990 ’s insisted, Let us give the authority of the galleries back to the people! The film industry lives on the power of capital, However, the public spirit is within the power of the noncommercial. To benefit widely for the whole world. Hurray for the noncommercial films! Hurray for the noncommercial art!
제4회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 초대의 글 집행위원장 한옥희, 문원립
기존의 상업 영화, 예술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구하는 “오프”와 기존의 한정되고 속박된 모든 틀로부터 자유로워지는 “프리”를 내세운 < 오프& 프리 국제영화예술제>가 올해로써 벌써 4회째를 맞이하였습니다. 올해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의 시대적 사명인 확장과 융합을 통하여, 실험 중심적 다중적 커뮤니케이션과 새로운 미디어와의 융합을 시도하며 영화와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그 지평선을 무한대로 확장시키려는 실험들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그럼으로써 현대 예술은 그 동안의 경쟁적이고 비인간적인 가치들에서 벗어나 사회적 예술의 장으로 나아갈 것이며, 개방과 공개성, 참여의 이상적 기준을 통하여 실험예술은 가장 사회적이면서도 가장 반사회적이며 대중과 가장 멀고도 가장 가까운 예술인 공공예술의 가치를 실현시키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상암동 한국영상자료원, 아르코 미술관 등 서울 시내의 중요한 문화 공간을 종횡무진으로 누비게 될 이번 프로그램은 최초의 무성영화와 최후의 영화융합 세대의 공연을 주제로 한 개막식 프로그램의 노인들과 영화계인사, 관객들을 초대하는 세대잔치를 필두로 하여, 국내외 대표적
초대의 글
실험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일 < 오프 더 랜드 >와 유럽의 대표적 안무가이며 영상아티스트인 제롬 벨의 < 오프 더 랜드 특별기획>, <현대 중국의 실험영상예술 섹션>, 새로운 오프 영역의 신인들에 대한 후원과 교육양성 프로젝트인 < 오프 퓨처>, 그리고 젊은 세대와 예술가들의 소통을 도모하는 <작가 인터뷰 아카이브 섹션>, 공공예술을 둘러싸고 각 분야 전문가와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를 마련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실험과 시도들이 관객들에게 아직은 낯설고 익숙하지 않더라도 , 미래의 영화와 예술의 나아가야 할 방향이고 새로운 영역이라고 확신하며, 이 즐겁고 특별한 축제의 잔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6
Invitation
The invitation for 4th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 ART FESTIVAL Commissioner of the film festival We are having the 4th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is year, motivated from two words: be “OFF” from the dominant arts and the commercial films and seek for a new paradigm and do “FREE” creation and non-boundary arts. Through our combination of experimental multiple communications and new media and experiments on making the boundary between the arts and the films indefinite, we expand the area in the spirit of “the expand” and “the convergence” which are the commitments of the present arts. Thus, the contemporary art will be freed from the competitiveness and the inhumanity and led to the social arts. By idealistic standards of the openness and the participation, the experimental films will practice the public arts which is the most social and the most antisocial arts at the same time. The programs will be held in important cultural marks in Seoul, Korean Film Archive in Sangamdong, Arko Art Center. Starting with the opening in the theme of “Community party: the
first silent film generation and the last film convergence generation” inviting senior citizens, film personnel, audiences, and we present <OFF the land> showing experimental films from around the world, <OFF the land – Special Artist> with Jerome Bell who is the major choreographer and a video artist in Europe, <Contemporary Chinese Experimental film & Art>, <OFF future>, a project for supporting and educating the new figures in the new off area, <Artist Interview Archive> encouraging communications between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artists, and lastly, a forum about the public arts between experts and artists. Yet the experiments and attempts are not experienced for the audiences, we firmly believe that it is still the right direction heading to the new area for the future films and arts. We happily invite you to this special and wonderful festival.
7
8
영화제 소개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 근래 한국 영화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이륙했습니다. 거대 자본의 유입과 멀티플렉스의 활성화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외형적 성장의 이면에서는 우리는 다양성의 목소리가 차츰 힘을 잃어가고 있음을 목도하게 됩니다. 상업적 이윤에 속박되어 양산되는 대작영화의 흐름에 밀려 저예산 비상업영화들의 설자리가 자꾸만 좁아지고 있습니다.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 Art Festival) 는 바로 이 같은 현실인식 속에서 출범을 하게 되었습니다. 오프앤프리 영화예술제란 기존 충무로로 상징되는 상업시스템으로부터 벗어나고(off)또한 흥행수익에서 자유로운 (Free) 영화예술제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시대적 변화에 부흥하는 총체예술적 개념으로서 영화 영역의 확장 이미 영화는 영화전공자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초창기 연극공연을 했을 때 영상을 이용했듯이 공연과 영상을 접목한 사례를 쉽게 발견할 수 있고 , 미술전공자들 역시 단순히 비디오아트 개념을 넘어서서 새로운 시각의 영상작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는 기존의 영화제라는 개념에서 탈피하여 총체적 예술로서 영화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합니다., 독창적이고 작품성 있는 비상업영화 발굴 매 년 우리나라의 대학 영상관련 학과 및, 크고 작은 단체에서 제작되는 단편영화들은 1,000편에 이릅니다. 그 중 극장에서 관객들과 만나는 작품들은 고작 100 편에 지나지 않습니다. 비상업영화기구에서는 그저 사라져 버릴 나머지 900여편의 주옥 같은 작품들을 발굴하여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새롭고 우수한 시도들을 한 작품들을 만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영화제 운영의 투명성 확보 여러 단편, 독립영화제들이 정착하고 규모를 키우는 과정에서 예산을 둘러싼 많은 문제들이 발생합니다.,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는 초심으로 돌아가 전혀 영이를 추구하지 않고 , 오로지 이 나라의 작가들과 관객을 위한 사업에 헌신하고자 합니다. 공모를 통해 상영되는 작품의 작가들에 -게는 소정의 상영료를 지급하여 새로운 작품을 지원하고 , 관객들에게는 무료 상영으로 양질의 작품을 만날 기회를 제공합니다.
Introduction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â&#x20AC;&#x2122;s film industry has achieved dramatic growth in these days, Such rapid growth in powered by the inflow of investment capital and the development of multiplexes. However, what lies below the surface is the Korean film industry losing a variety of voices that describe the society from their own perspectives. Flooded with blockbuster movies churned our for the return on investment, theatres in Korea allow no place for low budget, non-profit films.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s been launch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As the title represent, the festival aims to come OFF the commercialism of Chungmuro, a metonym of contemporary Korean cinema, and be FREE from the intake at box office. Commenced by the Non-profit Film Organization, a society of film experts Organized early this year to support noncommercial film in Korea, the festival will educate itself to expand the domain of cinema as well as exchange and fuse with other mediums. In addition,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committed to becoming a site for education where the significance of variety in films is emphasizedExpanding the
9
domain of cinema to a concept of comprehensive arts that meet the required changes of our time Filmmaking is not an exclusive activity of movie experts any more. As motion pictures were used in plays at the beginning, motion pictures are now a popular tool in performance, motion pictures are now a popular tool in performance to combine. Even artists. are creating a new visual artwork beyond the existing genre of video art.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committed to expanding the domain of cinema to concept of comprehensive arts by breaking the definition of a film festival. Discovering non- commercial films featuring originality and quality Every year, about 1,000 short films are created by film schools and organizations in all sizes in Korea. Among them, only a hundred are available in theatres. The Non-Profit Film Organization is committed to providing a venue for the remaining 900 films where their originality and quality can be introduced to art lovers. Building transparency in managing a film festival Wile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emselves, film festivals for short and indie films usually face challenges in dealing with budgets. This film festival is committed to dedicating itself to artists and general moviegoers in Korea without any profit-oriented activity by renewing the original objective for which other film festival had been organized. We will provide artists with support to create new films by offering them chances to create educational DVD titles from which they can get royalty. Also, by presenting films free of charge, we will offer audiences to meet quality films without financial burden.
영화제 개요 Overview
명칭 제4회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
아르코 미술관 주관 오프앤프리국제영화예술제집행위원회
기간
2012년 11월 22일(목)부터 11월 28일(수)까지 장소 아르코미술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공연예술센터 슬로건 공공성 Publicness
후원 서울특별시 영화진흥위원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억속의 매미 서울영상미디어센터 비주얼스튜디오 초콜릿 흰고래 미디어 한국공연예술센터
규모 총 8개국, 국내 작가 28인, 해외 작가 22인, 79편 주최 (사)비상업영화기구 오프앤프리국제영화예술제조직위원회
10
상영관/전시관 안내
Screening/Exhibition Information
1. 아르코미술관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3 아르코미술관 지하철 4호선 혜화역하차 2번출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마로니에공원 쪽)
2. 한국영상자료원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DMC단지 1602 한국영상자료원 버스 누리꿈스퀘어 버스 정류장 (파란버스) 171,271,470,710,771번 (녹색버스) 6715, 7013, 7019, 7711, 7715, 7730번 (빨간버스) 9711번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구 수색역) 2번출구에서 771,7711,7730번 버스타고 누리꿈스퀘어 하차
11
12
개막작 Opening Film Selection
13
Single Channel Video / HD / 20min / 2012
옥인 콜렉티브 작전명 – 까맣고 뜨거운 것을 위하여
Okin Collective Operation – For Something Black and Hot
옥인 콜렉티브의 ‘작전명-까맣고 뜨거운 것을 위하여’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에서 언론 봉쇄가 지시되고 그로인해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한 시민들의 피해가 극대화된 사건을 호명한다. 국가가 시민을 보호하지 못할 때 무기력하게 노출된 위험으로부터 자가방어력을 키우기 위한 기체조의 고안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시민들에게 각종 재난대피시 유용한 팁을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관련기관의 문헌 조사가 뒤따랐다. 그러나 다양한 재난대피훈련의 목록을 뒤지며 우리는 그 단순함과 허술함에 다시 한번 좌절한다.고작 침착하거나 균형을 잃지 말고 견디고 기다려야 하며 예방이 최선의 대책이고 입을 가릴 수건은 16번 접어야 한다는 등 - 그러므로 우리가 만들어낸 동작은 결국 생면부지의 타인과 눈을 맞추고 손을 잡으며 서로에게 의지하는 연습에 다름 아니었다.
This is the video manual version of Okin Collective performance entitled “Operation-For Something Black and Hot ”. This operation recalls the nuclear disaster in Fukushima during which the press was controlled and there was a media blackout leading to maximum damage for their citizens. The production of quasiChi Gymnastics, based on the motion studies of public drills, was a guide as to what to do during a disaster. The idea was to increase self-defense ability at a time when the government couldn’t protect their people. Okin researched many related official guides. But we were disappointed again by their carelessness and inadequacy most of them just said repeatedly to calm down; endure; wait; prevention is the best measure; we have to fold a cloth to cover the mouth like a mask sixteen times to prevent hazardous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so on. After all, what Okin choreographed was nothing but a kind of practice on how to make eye contact, to hold your hands with complete strangers, and to depend on each other.
Film / HD / 94min / 2011
폐막식 Closing Film Selection
케빈 맥도날드 라이프 인 어 데이
Kevin Macdonald Life in a Day
리들리 스콧은 BBC 시리즈물 세트 디자이너 및 연출과 CF 감독 등으로 시작해 데뷔작 <결투자들>로 칸느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리들리 스콧의 작품은 <에일리언>과 <블레이드 러너>와 같은 SF 영화는 물론 <델마와 루이스 > 등 장르를 넘나든다. 리들리 스콧이 제작하고 케빈 맥도날드가 연출한 <라이프 인 어 데이> 는 2010년 7월 24일 전세계에서 촬영되어 유튜브 사이트에 업로드된 영상을 모은 글로벌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를 위해 제작진은 카메라를 구하기 어려운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에게 카메라를 보내기도 했다. 197개국에서 총 4 천 5백 시간에 달하는 8만여 개의 영상 클립이 제출되었으며, 이 중 선별된 331명의 제작자가 제출한 1,125 편의 영상이 한 편의 장편 다큐멘터리로 탄생하였다. 영화에 영상이 채택된 331명의 제작자 중 최종 선정된 26명의 제작자들은 공동 제작자가 되어 2011년 선댄스 영화제의 시사회에 참석하여 영화를 보는 기회를 누렸다. 영화는 같은 시간에 유튜브 사이트에서도 생중계되어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라이프 인 어 데이> 는 세계 곳곳의 사람들이 찍은 자신의 하루를 통해 개인의 삶의 조각이 모자이크처럼 엮여 인류 전체를 보여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사람들 간의 다름과 같음을 보여주면서 ‘오늘날 지구에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영화 한 편으로 완성해낸 셈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지금 주머니에 가지고 있는 물건은 무엇입니까?”, “당신이 사랑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당신이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세 가지 질문을 던짐으로써 영화는 삶에 대해 더욱 깊은 이야기를 건넨다. 제작진이 “미래의 후손들에게 건네는 일종의 타임캡슐”이라고 표현한, 이 영상 다큐멘터리는 세상 모든 사람을 향한 애정 어린 헌사다.
Ridley Scott started his job as a set designer and a director of series in BBC and CF director, and his work, <The duelists> was awarded ‘Grand Prix Spécial du Jury ’ in Cann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is works jump over various genre: For example, <The alien> and <Blade Runner> are SF and <Thelma and Louise> is a road movie. <Life in a day>, produced by Ridley Scott and directed by Kevin Macdonald, was a global project that is a collection of videos from Youtube which were recorded on July, 24th in 2012 around the world. For this project, the production team has sent cameras where hard to get one. From 197 countries, about 80 thousands videos, long as about 4,500 hours in total, were submitted and 1,125 clips from 331 producers was actually selected for this long documentary film. Final 26 people from 311 producers became co-producers and had a chance to participate in previews at 2011 Sundance Film Festival. At the same time, the film was on the air in Youtube and had a huge success. <Life in a day> has a big meaning for putting everyday life of people from all around the world together, like a mosaic. By showing different lives, they defined the meaning of ‘how it is like to live on the planet Earth’ into one film. People are asked to tell deeply about their lives by answering these three questions: “what is in your pocket now?”, “what do you love?”, and “what do you fear?”. As the production team expresses this film as “a time capsule for the future generations”, it is a loving dedication for every people in the world.
오프, 더 랜드
OAF, Off the Land
오프 더 랜드 프로그램 이아람, 박현주, 이경민
오프 더 랜드 섹션에서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경계를 넘나드는 미디어 아트 작품들을 소개한다. 본 섹션의 작품들은 퍼포먼스를 촬영한 영상이나 인터넷 사이트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 등의 새로운 형식적 시도를 선보인다. 매체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작품의 주제를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작품에 대한 영감과 작품 매체의 자유로운 연계는 일반 영화가 가지는 틀을 벗어남으로써 , 장르와 형식의 경계를 지우며 더 넓은 지평을 보여준다.
GÆG-Wolfgang Aichner&Thomas Huber – Project <Passage 2011 – an actionist transalpine drama> Llyn Foulkes(Tamar Harpern) – The Lost Frontier 옥인 콜렉티브 – Okin Operation-
김 황 – 모두를 위한 피자 보통 미술 잇다 – 아파트 사람들 보통 미술 잇다 – 오디션 보통 미술 잇다 – 서비스 매니아 김주영 – 위대한 침묵 김주영 – 유창한 연설
For Something Black and Hot 김동환, 박상은 – Domino Play 김곡 김선 – 정당정치의 역습 김곡 김선 – 자살변주 김곡 김선 – Digression 김곡 김선 – Comedy
Ridley Scott(Kevin Macdonald) – Life in a Day Thomson&Craighead – Belief Thomson&Craighead – A Short Film about War
시노다타로 Taro Shinoda –
LRTT (Lunar Reflection Transmission Technique)
Project <Passage2011 an actionistic, transalpine drama>
Documentary / HD / 27min / 2011
영화는 두 예술가의 54번째 비엔날레 프로젝트로서 ,
The film shows the “actionistic alpine drama”, where two artists dragging bare handed a selfmade red boat (Sisy) across the Alps to get it launched in Venice, Italy as a project of the 54th Biennale. The project is a metapher of senslessness and human hybris. The main focus is on the artists ’ richly illustrated diary entries, providing an authentic insight into their feelings and impressions, their daily travails and the moments of success they experienced during the expedition. Their insights are enhanced by inspiring texts that describe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es of this staged drama.
베니스 , 이탈리아에서 보트를 물에 띄우기 위해 알프스를 건너는 수제 빨간색 보트를 맨손으로 끌고 다니는 “행동적인 알프스의 드라마”를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는 무의식상태와 인간의 자만심의 비유이다. 두 예술가의 초점은 예술가들의 생각과 영향에 대한 진실된 통찰력, 그들의 매일의 고생과 그들이 여정 도중에 경험했던 성공의 순간들을 제공하면서 예술가들의 풍요로운 일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볼프강 아히너& 토마스 후버 | Wolfgang Aichner&Thomas Huber
18
더 로스트 프론티어
Film / HD / 20min 36sec / 2012
19
The Lost Frontier
영화감독 타마르 할페른과 크리스 퀼티는 파울크스의 스튜디오에 가서 그가 8년 동안 작업한 그림과 사투하는 것을 촬영한다. 린은 아티스트로서의 그의 경험들에 대해 보여주며 과거를 공유한다.
Filmmaker Tamar Halpern and Chris Quilty were allowed access inside the artist ’s studio as Foulkes struggled to finish a painting eight years in the making. Llyn shares glimpses of his past by demonstrating his experience and obsession as a painter.
린 폭스 | LynnFoulkes
린 파울크스(1934)는 현대예술가로서 아메리칸 드림에 관한 아상블라주로 시작하여 다양한 회화 작업 및 ‘더 루버 밴드’ 연주를 해나가다가, 그가 만든 악기 ‘더 머신’과 함께 원 맨 밴드로 정기 공연을 시작했다. 현재 그는 밴드 활동과 회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 The Lost Frontier” is one of the
biggest projects of Llyn Foulkes along with “The Machine” which he made. Lynn Foulkes is a unique contemporary Artist. Emotionally charged expressionism combined with assemblage quickly migrated to a pop response to the vanishing dreams of American opportunity. Foulkes continues to play with The Machine and paint the artworks.
작전명 – 까맣고 뜨거운 것을 위하여
Operation – For Something Black and Hot
옥인 콜렉티브의 ‘작전명 -까맣고 뜨거운 것을 위하여’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에서 언론 봉쇄가 지시되고 그로인해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한 시민들의 피해가 극대화된 사건을 호명한다. 국가가 시민을 보호하지 못할 때 무기력하게 노출된 위험으로부터 자가방어력을 키우기 위한 기체조의 고안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시민들에게 각종 재난대피시 유용한 팁을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관련기관의 문헌 조사가 뒤따랐다. 그러나 다양한 재난대피훈련의 목록을 뒤지며 우리는 그 단순함과 허술함에 다시 한번 좌절한다.고작 침착하거나 균형을 잃지 말고 견디고 기다려야 하며 예방이 최선의 대책이고 입을 가릴 수건은 16 번 접어야 한다는 등 - 그러므로 우리가 만들어낸 동작은 결국 생면부지의 타인과 눈을 맞추고 손을 잡으며 서로에게 의지하는 연습에 다름 아니었다.
Single Channel Video / HD / 20min / 2012
20
This is the video manual version of Okin Collective performance entitled “Operation-For Something Black and Hot ”. This operation recalls the nuclear disaster in Fukushima during which the press was controlled and there was a media blackout leading to maximum damage for their citizens. The production of quasiChi Gymnastics, based on the motion studies of public drills, was a guide as to what to do during a disaster. The idea was to increase self-defense ability at a time when the government couldn’ t protect their people. Okin researched many related official guides. But we were disappointed again by their carelessness and inadequacy most of them just said repeatedly to calm down; endure; wait; prevention is the best measure; we have to fold a cloth to cover the mouth like a mask sixteen times to prevent hazardous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so on. After all, what Okin choreographed was nothing but a kind of practice on how to make eye contact, to hold your hands with complete strangers, and to depend on each other.
옥인 콜렉티브 | Okin Collective
정당정치의 역습
16mm / 26min / 2006
21
Party Politics Strikes Back
세계를 흔드는 절대절명의 위기 , 지구에 위장취업했던 미녀 삼총사가 세상을 구하러 도시로 뛰어 나간다. 전경들과 짭새들은 이미 시청 앞을 점령했고 , 욕조 안에서 축배를 들려던 지배자는 그녀들에게 포격을 퍼붓는다. 위기가 낸 빵꾸를 중심축으로 빙빙도는 세계의 속도 , 그리고 그를 따라잡으려는 미녀삼총사의 속도 . 이 전투에 필요한 것은 필요한 것은, 정치의 속도화에 대항하는, 속도의 정치화.
2006년 여름, 투쟁 중에 목숨을 잃은 열사들을 위한 대규모 시위가 있었고 , 이에 불려나간 수천의 전경들이 시청에 운집했다. 우리는 16mm 카메라와 장난감 총을 들고나갔다. 무대 밖을 나간 미녀삼총사는 그 즉시 세상을 무대화했다.
As a world threatening crisis arrives, a woman trio runs out of the door to save the world. Already combat polices and cops captured the city hall and the ruler, drinking a toast in a bath tub, bombs on them. There are two different speeds, the central axis as the hole made by the crisis: the speed of spinning world and the speed of the trio trying to catch up. All we need for the battle is the politic speed against speeding politics. During the summer in 2006, there was a large demonstration for those who died during that protest and there were thousands of combat polices. We went there with a camera with 16mm and toy guns. The trio went out of the stage and the world became the stage.
김곡, 김선 | Kim, Gok / Kim, Sun
자살변주
16mm / DV6mm / 15min / 2007
22
Suicidal Variations
밀폐된 방. 여자는 자살을 꿈꾼다. 전화벨이 울리고 , 자살의 순간, 문이 열린다. 죽음은 단지 검지 않다. 그것은 반짝거리며, 자살일 경우 더욱 그렇다.
16mm 촬영 후, 포지티브와 네거티브의 빠른 교차로 얻어낸 플릭커, 그리고 플릭커로 직조한 무의식. 빛과 어둠이 교차되면서 서로를 파열시키는 행렬에 대한 연구이며, 이 행렬은 3개의 계열 , 때로는 네 개의 계열까지도 증식할 수 있었다. 흰 프레임과 검은 프레임의 교차 한복판에서 얻어지는 것은 더 이상 명도로는 설명할 수 없는, 섬광과 투명함. 기관총처럼 난사되는 비트 위에 , 홍철기의 턴테이블로 일그러뜨린 쇤베르크 .
In a closed room, a woman dreams of suicide. A phone rings, and the moment for the suicide, the door opens. The death is not just dark. It shines, especially when it is a suicide. After shooting with 16mm, flickers obtained by fast intersect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nd the unconsciousness weaved by the flickers. It is a study about a matrix that the light and the dark violate each other as they intersect and this matrix could be increased to three levels or four levels. What we obtain at the intersection of the white frame and the black frame is the flash and the transparentnes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just brightness. On the beat like fire machine gun madly, contorted Schönberg plays by turntable of Hong, Chul Gi.
김곡, 김선 | Kim, Gok / Kim, Sun
디그레션
16mm / 20min / 2007~2009
23
Digression
소멸하는 육신 , 부패하려는 살. 질산염을 먹거나 토해내며 경련 발작하는 필름의 신경계 , 혹은 스펀지처럼 난 구멍에서 빛을 뿜으며 폭발하려는 뇌인가? 육신의 광화학적 소멸기... 한국 노이즈 밴드인 < 아스트로노이즈 > (홍철기 /최준용)의 명반 <Digression/ Degression> 을 위한 뮤직비디오 . 포르노 풋티지들을 수집해서 필름으로 옮긴 후, 네거티브를 나트륨이나 마그네슘으로 산화시킨 뒤 , 이멀젼이 완전히 녹아내리기 직전에 확대기로 프린팅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작업.
Dying body and rotting flesh. Is it a nervous system of film on acute attacks, drinking and vomiting a nitrate, or an exploding brain lighting from the holes in the shape of sponges? The photochemical extinction of the body... This is a music video for the great album <Digression/Degression> of Korean noise band <Astronoise>(Hong, Chul Gi and Choi, Jun Yong). Collected porno footage and put into a film, oxidized the negative by sodium or magnesium, and printed by an enlarger just before the emulsion melts completely. A work from 2007 to 2009.
코메디
HDcam / 38min / 2012
Comedy
이제는 더 이상 웃기지도 않은 코메디언의 무대 뒤. 그는 극장주에게 핀잔을 듣고 , 아기를 돌보고 , 집나간 마누라를 욕하고 , 아기방 선생님까지 웃기려고 노력한다. 그는 기어이 집나간 아내의 행방을 찾는다. 그녀는 퇴장한 것이다. 왜냐하면 세상이 이미 무대이기 때문이다.
개그맨 조영빈과의 공동작업. 무대화 staging에 대한 일고찰.
Cooperation with Cho, Young Bing, a comedian. Thoughts on ‘staging’.
At the back stage, there is a comedian who is not funny anymore. He got scolded by the theatre owner, take care of his baby, curses on his wife who ran away, and tries to the baby ’s teacher laugh. He tries to find his wife. She is already at the back stage. The world is already a stage. 김곡, 김선 | Kim, Gok / Kim, Sun
라이프 인 어 데이
Film / HD / 95min / 2011
24
Life in a Day
리들리 스콧이 제작하고 케빈 맥도날드가 연출한
<라이프 인 어 데이> 는 2010년 7월 24일 전세계에서 촬영되어 유튜브 사이트에 업로드된 영상을 모아 장편 다큐멘터리로 만든 글로벌 프로젝트이다. 영화는 선댄스 영화제와 동시에 유튜브 사이트에서 상영되었다. 영화는 전세계인이 촬영한 하루의 편린들이 모여 세상은 이어져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한다.
Life in a Day is a crowdsourced documentary film comprising an arranged series of video clips selected from 80,000 clips on YouTube, the clips showing respective occurrences from around the world on July 24, 2010. Director Macdonald said that the film focused on a single day “because a day is the basic temporal building block of human life — wherever you are.”
케빈 맥도날드 | Kevin Macdonald
리들리 스콧(1937)은 BBC 시리즈물 세트 디자이너 및 연출과 CF 감독으로 시작해, 데뷔작 <결투자들>로 칸느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그는 <에일리언>과 <블레이드 러너>부터 <델마와 루이스> 등 장르를 넘나드는 웰메이드 영화를 선보인다.
Sir Ridley Scott(1937) is an English film director and producer. Following his commercial breakthrough with Alien, his bestknown works are sci-fi classic Blade Runner, Thelma & Louise. Scott is known for his atmospheric, highly concentrated visual style, which has influenced many directors.
Short film / HD / 13min / 2012
믿음
25
Belief
유튜브 사이트에서 찾은 믿음에 관한 개인방송 시리즈를 모아서 독백 형식으로 바꿔 편집한 다큐멘터리입니다. 또한 이 작품은 <플랫 어스 > 삼부작 중 마지막 작품이기도 합니다. 화면은 영화적인 데이터 시각화의 중심점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영화는 두 개의 화면으로 상영되면서 나침반 모양의 지면 프로젝터가 클립들 사이에 짧게 삽입되어 각각의 클립이 만들어진 지리학적인 위치를 보여주는 영상과 함께 상호작용합니다.
Belief is a documentary made from information found on the worldwide web, where a series of self-broadcasts about belief have been sourced from YouTube. It is the final work in Flat Earth Trilogy. When shown in a gallery as a two-screen installation, a compass floor projection interacts with the montage showing where each clip originated in relation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는 존 톰슨 (1969)과 앨리슨 크레이그헤드(1971) 의 팀명이다. 이들은 기술 발달로 인해 인간의 세계 인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웹캠과 채팅 등 온라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상으로 담는다. 테이트모던이나 SFMOMA 등에서 전시를 한 바 있다.
Jon Thomson(1969) and Alison Craighead(1971) are London-based visual artists. Much of their work to date explores how technology changes the way we perceive the world around us. They use live data to make artworks where networked movies are created in real time from online material.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 | Thomson & Craighead
전쟁에 관한 단편 영화
Short film / HD / 9min 45sec / 2009
A Short Film about War
‘전쟁에 대한 단편 영화’는 Thomson &
Craighead 의 “데스크탑 다큐멘터리” 시리즈 중 두 번째 작품이다. 전세계 웹사이트에서 찾은 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모놀로그 형식의 다큐멘터리이다. 2개의 분할화면에는 온라인 사진 공유 커뮤니티 플리커에 올라온 다양한 사진과 군인과 민간인 블로거들의 증언을 통한 전세계 여러 전쟁 지역이 나타난다. 영화는 정보가 모아지면서 어떻게 변화하고 편집되고 재해석되며, 어떻게 원래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왜곡시키는지 밝혀내려고 시도한다.
This film is a narrative documentary made entirely from information found on the worldwide web. The two-screen gallery installation takes viewers around the world to war zones as seen through the online photo community Flickr, and as witnessed by bloggers. The artists reveal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changes through networke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 | Thomson & Craighead
26
이프 유 드림 잇:○□★△×
Performance / 120min / 2012
27
If You Dream It:○□★△×
<If You Dream It:○□★△×> 는 미래 도시에 관한
ETC 는 이샘, 전보경, 진나래 세 작가로
이미지 서사 창작집 <○□★△×>(Circle, Square,
구성되어 자유롭게 도시를 여행하며 일시적으로 점유하는 방식으로 그곳에서 벌어지는 문제와 사건에 대해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이들 모두 걷기를 좋아하며 사람들과 가시적/비가시적, 직접적/간접적 소통으로 관계 맺기를 시도하며, 도시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귀를 기울인다.
Star, Triangle, Cross) 을 바탕으로 개발된 도시 투어 중 두 번째 투어이다. <If You Dream It:○□★△×> 는 지역재개발, 지하도시 , 자생 공동체 , 정부가 꿈꾸는 미래 생활형태들에 대해 다각적인 고찰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무조건적인 기술발달에만 의존한 모던화가 아니라,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전통보존적 , 친환경적 , 지역
ETC has members as Lee, Saem, Jeon, Boh Kyeong and Jin, Na Rae and is to travel freely around and occupy temporarily the cities and look from different views on the arisen problems. They all like to walk, attempt to have relationships through visible/invisible, direct/ indirect communications and observe on what is happening in the region.
커뮤니티와의 연대를 통한 현대화라는 대안의 유토피아를 그려본다.
<If You Dream It:○□★△×> is the second tour of the tour series based on an image narrative creation <○□★△×>(Circle, Square, Star, Triangle, Cross) which is about a future city. <If You Dream It:○□★△×> has multilateral considerations on urban redevelopment, underground city, self-motivated urban community, imagination on new lifestyle by the government. This will help building an alternative utopia of modernization with preserved conventions, environment friendliness, meeting local community, instead of modernization with unconditional dependency only on technology development.
ETC
코토 랩 – 코토부키 프로모션
Documentary / HD / 8min 36sec / 2006
Kotolab – Kotobuki Promotion
코토부키쵸는 많은 사람들이 예전의 일용직 노동자 마을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이와 같은 고정관념이 거리의 변화를 방해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주민들은 고령화하였고 복지의 거리로 탈바꿈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다. 나아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해 나가며 거리는 나날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널리 알리기 위해 홍보 수단으로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거리의 현재 모습과 문제점 , 그리고 그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활동을 알기 쉽게 표현하여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
Okabe has implemented a neighborhood revitalization project called YOKOHAMA KOTOBUKI STYLE, in the Kotobuki-cho area of Yokohama, 20 minutes south of Tokyo by train. This district is known for their high number of unskilled day laborers who live in cheap lodging houses. Okabe is interested in transforming the area by adding artistic elements to the neighborhood and finding ways to make good use of the area’s resources to create new industries. Essentially, he wants to create new “phenomena” instead of only making “things.”
오카베 도모히코 | OKABE tomohiko
28
오카베 도모히코 1977년 6월 가나가와 현 출생. 예술을 전공하고 싶었으나 밥벌이가 안된다는 주변의 반대를 무릅쓰지 못하고, 건축을 전공했다. 2004년부터 낙후된 항구 도시의 한 마을을 재생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이 프로젝트를 지속하면서 먹고살 수는 없는지 끊임없이 고민한 끝에, 간이 숙박소인 쪽방을 개조한 요코하마 호스텔 빌리지라는 이름의 게스트 하우스 사업을 시작하다. 현재 “물건(hard)”이 아닌, “일(soft)” 만들기를 통해 ‘마을을 만든다’(지역활성화)는 콘셉트의 회사 KOTO-LAB에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Okabe Tomohiko Okab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Tokyo’s school of architecture and currently runs as a CEO for Kotolab,LLC in Yokohama city. Since 2004, he has implemented a neighborhood revitalization project called “YOKOHAMA KOTOBUKI STYLE,” in the Kotobuki cho area of Yokohama, 20 minutes south of Tokyo by train. This district is known for their high number of unskilled day laborers who live in cheap lodging houses. Okabe is interested in transforming the area by adding artistic elements to the neighborhood and finding ways to make good use of the area’s resources to create new industries.
모두를 위한 피자
Mixed Media / 20min, 9min / 2009
29
Pizzas for The People
모두를 위한 피자는 어떻게 디자인이 정치적 현상에 도전하여 사회 또는 문화적으로 기여 또는 충격을 가할 수 있는지 표류하는 일종의 디자인 / 다원예술 실험이다.
The Pizzas for the People is the series of designed insertions that explores how design can playfully contribute and impact on a social and cultural level, subtly challenging an ideological status quo.
김황 | Kim, Hwang
김황 1980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홍익대학교에서 공부한 뒤 Ahn Graphics에서 일했다. 끊임없이 미학적 즐거움을 주는 디자인을 찾고 있으며, 런던으로 건너가 인터렉션, 사회참여적 디자인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영국왕립미술대학에서 수학중이다.
Kim Hwang Born in Seoul in 1980, studied at Hongik University, worked at Ahn Graphics Ltd. Constantly seeking out for aesthetically pleasing designs, he moved to London and started focusing on interaction and social engagement design. Kim is currently studying under Platform 13 at Design Products, Royal College of Art.
HD / 62min / 2010
아파트 사람들
30
Apartment People
7편의 단편의 옴니버스 영화인 <아파트사람들> 은 임대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소시민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는 공공예술 영상프로젝트다. 작가들은 각각 개성을 살려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소통의 단절과 고독감을 영상으로 표현한다. 돈과 능력이 없는 백수에 관한 이야기인 <비상구>(임명호 ),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을 그리고 있는 < 꿈이 아니다 >(임흥순), 임대 아파트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에 관한 짧은 자화상인 < 오늘은 무슨 노래를 연주할까요 >(김진영), 이웃과의 소통의 단절에 관한 < 옆집 >(김윤태), 아파트 노인복지회관의 로맨스 <71번 종점>(김지곤), 사랑에 관한 상처로 보통미술잇다
세상과 단절한 여성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나의
‘보통미술잇다’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예술과 생활, 이웃과 이웃을 잇고 새로운 마을 공동체 문제를 제안하고자 기획된 공공예술 프로젝트 팀이다.
멋진 세상 >(박남희), 청인 여성을 통해 소통의 단절을 말하고 있는 <나에게 전화를 주세요 >(조윤주, 김동민) 등 가난한 아파트에 사는 소시민들의 삶들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그리고 있다.
임흥순 대표 프로젝트의 목표는 복지를 무언가를 ‘주는 것’에서 ‘참여’의 개념으로 바꾸는 것. 조선시대 ‘민화’가 그런 역할을 했듯이 생활 속에서 우리가 표현하는 것 자체가 예술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주민들에게 알려주고 싶다.
오디션
HD / 22min / 2009
서비스매니아
HD / 4min 40sec / 2010
Audition
Service Mania
임대 아파트에 사는 창욱. 그는 현실에서는 심야
주민뮤직비디오인 < 서비스 매니아 > 는 등촌동 9단지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며 아파트 임대차 보증금을
임대아파트 노인봉사대의 이야기를 지역주민들이
구하기 위해 홀로 고분 분투하지만 판타지 속에서는
영상워크샵을 통해 가사를 쓰고 곡을 만들어 함께
사람들과 춤과 노래를 부르며 어울려 지낸다. 영화는
뮤직비디오로 제작한 공공예술 프로젝트이다.
마술적 리얼리즘을 가미한 영화이자 동시에 실제 ‘등촌동 임대아파트 주민들이 배우와 스태프로 참여해 만든 ‘주민영화’이다.
보통 미술 잇다
OAF 사전제작지원 선정작품 위대한 침묵
Single Channel Video / 3min 3sec / HD / 2011
31
Into Great Silence 비디오 작품 <위대한 침묵, Into Great Silence> 에 등장하는 인물은, 같은 모양의 ‘멀티플인물’로 시각화해 ‘주체성의 상실’에 대립되는 희망적인 행위를 위해서 , 상이한 모양의 덩어리를 부딪히고 밟는다. 그러면, 덩어리 안의 내용물에 따라 갇힌 소리들이 요란하게 난다.
A character who appears in the work <Into Great Silence>, visualized as the ‘multiple figure’ in a same shape, collides and treads different shapes of mass for a hopeful action opposed to ‘loss of independence’. Then, the sounds inside the mass sound loudly depending on the contents in the mass.
OAF 사전제작지원 선정작품 유창한 연설
Single Channel Video / 1min 12sec/ 2011
Eloquent Speech <유창한 연설, Eloquent Speech> 은 ‘멀티플인물’의 반복적인 껌 씹기 행위가 강박적인 형태로 보여진다. 영상 속에서는 구체적인 언어가 아닌, “특징이 있는 몸짓(껌을 씹고 뱉는 행위)”을 통한 언어행위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구체적인 언어적 내용에 집중하기 전에 , 행위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 작품은 ‘옥상’이라는 특수성을 지닌 공간에 설치 상영 되어, “사회적 권력에 대한 비판“적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도록 진행했다.
In<Eloquent Speech>, the repeated gumchewing of ‘multiple figure’ is shown in a compulsive way. In the video, language actions take place through “a distinctive action (chewing gum and spitting)” not through the concrete words. This is an element to emphasize the meaning of action, before focusing on the concrete linguistic contents. This work is installed and screened where it has a specialty of a rooftop. And it is worked out to be “strongly critical of social power”.
김주영 | Kim, Zu Young
OAF 사전제작지원 선정작품 도미노플레이
2-Channel Video Projection / Performance / 11min 10sec / 2012
32
Domino Play 관객은 영화 밖에 있는 구경꾼인가, 스크린은 관객과 영화의 사이에 장벽으로서 존재하는가, 영화배우는 언제까지 관객앞에 실체를 드러내지 않을 것인가, 연극은 영화와 혼합될 수 없는가. 내 뇌리속에 들려오는 ‘본디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었던 세상’에 대한 외침은 다시금 ‘원초( 原初)’에 대한 궁금증으로 다가왔다. 이것은 ‘비상식’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졌다. 또한 ‘상식’은 무엇인가.. 이 내가 살아가기 위해 따라가야 할 대전제인가. 이 작품에서는 ‘경계’의 붕괴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먼저 영화와 연극과 관객의 경계를 깨뜨리려는 시도로서 스크린 안에 있던 배우는 스크린 밖으로 나와 실체적 존재가 되어 스크린 속 상대 배우와 호흡을 맞춰 연기한다. 또한 영화와 배우는 관객에게 대화를 시도하고 관객들은 화답한다. 관객들은 이 광경을 측면에 영사되는 또 다른 스크린을 통해 볼 수 있고 , 자신들의 모습을 확인함으로서 마치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김동환 Kim Dong Whan 동국대학교 영화과 재학
Awards 2009 서울특별시<Click Your Dream 전국 대학생 동영상 콘텐츠전>서울시장장려상 수상 2009 경기신문 <수원 화성 愛 동영상 공모전> 은상 수상 박상은 Park Sang Eun 2012 동국대학교영상대학원 영화영상학과 영화학전공 재학(석사) 2011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과 졸업(석사) 2009 성신여자대학교 서양화과 졸업(학사)
Solo Exhibition 2011 maze : 생각의 울타리로 이루어진 미로, Gallery S101, 서울
경계를 넘어선 ‘순환’을 경험하게 된다. 현장에서 “PLAY”되는 영화와 연극, 꿈같은 허상과 실재 , 스크린과 배우와 관객 , 그리고 비상식과 상식의 경계는 연쇄적으로 무너질 것이고 관객은 이 모든 것을 ‘몸으로 체험’하게 될 것이다. 최첨단의 미디어와 기술의 발달로 영화와 연극이 빛바랜 것으로 다루어질 때 우리는 이러한 확장된 방식의 영화연극 상연해 보임으로서 그 가능성을 실험하고 실현시키려 노력할 것이다. 당신들은 언제부터, 왜 , 비상식과 경계선을 느끼는가.
김동환, 박상은 | Kim, Dong Whan / Park, Sang Eun
작전명 두더지
Operation Mole
8-channel animation Installation / HD / 2012
Operation Mole(작전명 두더지) 는 8개의 애니메이션 장면으로 구성된 멀티채널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작업으로 서로 연결된 여러 개의 장면으로 하나의 이야기를 얘기하며 이 이야기는 작가 본인의 기억과 연결된 정치 ,역사적 사건들에 바탕을 두어 만들어졌다. 간단한 줄거리는 두더지 탱크 조종사의 임무와 사랑을 다룬 지하여행 이야기로 그 조종사의 시간 초월 지하여행을 통해 바라보는 역사적 사건들, 풍경들이 8개의 장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8개의 장면은 한개의 파노라마 풍경, 조종사와 탱크의 지하여행 모습을 4개의 구조적 해석으로 풀어낸 장면 그리고 이 이야기의 배경이야기를 전해주는 3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33
Operation Mole is a multi-channel animation project with series of 8 scenes which tell a story with several scenes. These scenes are interrelated to each other. The story is based on political, historical events that are linked with the memories of the author. This is a story of a tank driver mole who learns about his mission and love as he travels the underground world. Historical events and scenes that are seen by the mole from the time travel in the underground world are illustrated in 8 scenes. The 8 scenes are composed of 4 scenes that describe scenes of underground travel and panoramic scenery with structural interpretation; and 3 scenes that portray the background of previous 4 scenes.
최성록 | Choi, Seong-Rok
LRTT (Lunar Reflection Transmission Technique)
Single Channel Installation / DV / 45min. / 2007
달 반사 송신 기술 LRTT(Lunar Reflection
Transmission Technique) 은 보스턴, 이스탄불, 도쿄의 각기 다른 세 장소에서 촬영된 달의 모습으로 이뤄져 있다. 달은 지구의 전 지역에서 관찰 될 수 있는 유일한 위성이며 또한 지구위의 사람들은 달을 통해 느끼는 막연한 감정들을 공유하곤 하는데 시노다 타로는 이에 주목하였다. 우리가 달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달이 우리를 내려다 본다라는, 역발상을 갖고 작가는 스스로를 작업과정에 참여시킨다. 우리가 바라보는 달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갖고있는데 , 이것을 드러내기 위해 시노다는 다양한 위치에서 실제로 천체망원경을 통해 관찰되는 달을 그림으로 그렸다. 하얀색 알루미늄 판을 수단삼아 그의 작업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으며 달의 관념적인 부피를 보여주면서 달이 얼마나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34
“LRTT (Lunar Reflection Transmission Technique),” is comprised of film footage
of the moon shot from respective locations in Istanbul, Boston and Tokyo. Shinoda appropriates the subject matter of the moon; the single observable satellite from various areas of the earth, in order to realize the sensation that mankind collectively shares this planet. He involves himself in the production of works with an inverted concept at their origin; that we do not look at the moon, but it is in fact the moon that looks upon us. The moon which we look at reveals itself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location in which we gaze upon it – in order to raise this issue, Shinoda creates paintings through observing the moon in various locations through an astronomical telescope. Selecting a pure white aluminium plate as the base medium, the works are subject to multiple superscriptions and though portraying an abstract dimension, express the diversity of the appearances of the moon.
시노다 타로는 도쿄를 기반으로 작업을 전개하는 아티스트다. 그는 조경, 원예를 전공하였고 그 후에 아티스트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인간의 삶이 함께 공존하고 있는 자연의 진화과정으로서의 우주를 탐구하는 것이 그의 주제인데, 시노다는 여기서 직접 손으로 고도화된 기술을 조합해내어 만드는 설치나 조각작업을 하고있다.
Taro Shinoda (Tokyo, 1964) is an artist based in Tokyo. He started his career as an artist after educated in landscape gardening school. In considering the theme of “understanding the universe (including cosmic space) as a nature in process of evolution, in which nature coexists with human activities”, Shinoda has been creating sculptures, installations made or assembled by artist’s highly technique hand-built. 시노다 타로 | Taro Shinoda
OAF, 스페셜 아티스트 OAF, Special Artist
Jerome Bel – The Last Performance Jerome Bel – The Show Must Go On Jerome Bel – Veronique Doisneau Jerome Bel – Pichet Klunchun and Myself
The Last Performance The Show must go on Veronique Doisneau Picket Kunchun and myself
Jerome Bel
현대 예술에 있어서 영상과 시각 미디어의 차용은 두드러진 현상 중 하나이다. 예술 작품의 형식적 차용을 넘어서서 영상 매체가 내적으로 요구되는 현대 예술가들을 꼽는다면? 여러 예술가들 중 제 4회 오프 앤 프리는 프랑스 안무가이자 퍼포먼스 아티스트 , 그리고 다큐멘테이션의 새로운 논란을 불러일으킨 제롬 벨 특집을 마련하였다. 전 유럽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그의 작품 세계를 조망하고 그를 둘러싼 현대 예술의 미학적 쟁점을 생각하는 기회이다. ‘포스트드라마틱 씨어터(Post-dramatisches Theater)’ 공연으로 잘 알려진 그에게 있어서 영상과 퍼포먼스는 근대의 창작성(creativity) 를 뒤따르고 재해석하며, 뛰어넘는 매체 이상의 표현(representation)의 총체이다. 그는 태연히 “춤을 사랑합니다. 하지만, 우수해지기엔 너무 나이 들어 시작했어요 . 나는 그보단 춤의 철학자죠 .” 라고 말한다. 2001년 파리에서 초연한 < 쇼는 계속돼야 한다 (The Show Must Go On)>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그 극 (theatre) 아닌 극에서 관객들은 수많은 ‘훈련받지 않은 (untrained)’ 배우들, 춤꾼들과 조우한다. 열여덟 명의 공연자 (performer) 들이 어색함 (clumsiness)과 막춤 (!) 을 통해 관객들의 환호성 아닌 야유, 중간 퇴장, 환불 요구를 선물받는 현장이었다. 보통과 다른 무용 작품이라는 것이 무엇인가? 파리 초연이 보여주는 그의 작품 세계는 근대 무용에 대한 (about) 그의 기록이고 감상이고 더 나아가 한 예술가의 반응이라는 점에서 때로 메타 - 무용이라든가 ‘포스트’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의 작품에 대한 그 ‘야유’가 그의 작품의 핵심적 요소인 아마추어리즘과 이해하기 아주 쉬운 기묘한 상징들을 잘 설명해준다. 때로 이 직접적인 지시는 서사구조 안에서 타장르와의 융합을 구현하기도 하고 , 현대 무용에 대한 에스노그래피(Ethnography)로 위치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그의 씨어터에서 이 직접적 지시는 관객을 야유할 수 있는 주체로서 , 근대 권력의 상징인 근대 미학의 대변자로서 자신을 자각하게 하고 , 곧 뒤이어 강하게 그 미학에 도전하는 아마추어리즘, 즉 그들 자신에 대한 재평가의 무대로 걸어가게 하는 강력한 힘을 갖는다. 제롬 벨(Jerome Bel) 은 창작자로서 어떤 자리를 자신에게 줄 것인가 에 대한 가장 근원적 문제의 해답을 그 지점에서 찾아내고 있다. 이번에 소개되는 작품들 중 ‘ The Show Must Go On’ 은 2001년도 파리에서 초연된 후 2005년까지 도이체스 샤우슈필하우스(Deutsches Schauspielhaus)에서 , 그리고 2007년엔 리옹오페라극장의 고정 프로그램으로 2014년까지 상연된다. 현재 프랑스 퐁피두 센터에서 그의 개인전이 진행 중이며, 이 작품은 오는 2012년 10 월에는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공연되었다. 이번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and Arts Festival 에서는 그의 씨어터를 기록한 영상물 들 중 ‘ The Show Must Go On’, ‘ The Last Performance ’, ‘ Veronique Doisneau ’ ‘ Pichet Klunchun and Myself ’의 네 작품을 소개한다.
38
Adoption of visual media and image is a distinct phenomenon in the modern art. If one has to choose a modern artist who does more than formal adoption of arts and gives internal satisfaction of visual media, it will be Jerome Bel. The Fourth Off and Free Festival prepared a special edition of Jerome Bell, a performance artist and a choreographer who raises new issues in the area of documentation. This is an opportunity to look at his worldview and ponder upon the debates around him in the modern art. He is well known for ‘post-dramatisches theater ’ performances, whose images and performance are substances that go beyond media representation, as they follows/reinterprets modern creativity. He simply says “I love dance. But, I started it too late to be excellent. I am more like a philosopher of dance”. He got attention from the world with “ The Show Must Go On,” which was first performed in Paris, 2001. In the theatre, audiences meet a number of untrained actors and dancers. This was a scene with mockeries and refund request from audiences who were angered by clumsiness and gawky dances of 19 performers. What is an unusual dance? He got the name of ‘post ’ or meta-dance as his first art in Paris was not only a report, but also a self-reflection of an artist about the modern dance. Moreover, mockeries on his art explain the core of his art indeed: amateurism and literal symbolism. Sometimes, this direct indication embodies fusion with other genres in narration structure, and works as an ethnography on modern dance. Furthermore, this direct indication is a subject which can be laugh at audience in his theater. This enables audiences to self-realize their roles as spokesperson of modern art who indeed is a symbol of modern power. Also, this has an amateurism that defies to esthetics, a strong power that enables one to walk on a reevaluation stage for oneself. At this point, Jerome Bel finds the most fundamental answer to the question of ‘ which position should be granted to himself as a creator ’. Among many pieces of performance, ‘ The Show Must Go On’ was performed at Deutsches Schauspielhaus until 2005 after its first performance in Paris, 2001. This will be performed from 2007 to 2014 at Opera National de Lyon. His personal exhibition is currently on at the Pompidou Center, France. This performance was performed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on October, 2012. ‘ The Show Must Go On’, Among his arts, ‘ The Last Performance’, ‘ Veronique Doisneau ’ ‘ Pichet Klunchun and Myself ’ will be held at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and Arts Festival.
제롬 벨 | Jerome Bel
39
The Show must go on
Veronique Doisneau
제롬 벨 | Jerome Bel
OAF, 시네 어필 OAF, Cine-Appeal
씨네 어필 프로그램 박현주, 이재용, 이아람
Alfredo Jarr – The Ashes of Pasolini
손영모 – 가라오케 나이트
Bertland Mandico – Living Still Life
늘샘 – 32.5 공수건설 노동자의 날품
Llyn Foulkes(Tamar Harpern) – The Lost Frontier
김현옥 – 장독의 노래
Sean Vicary – Re-Tolled
김태은 –
James Lee – Beautiful Washing Machine
김태은 – 비지팅 판문점
Boonsong Nakphoo – Poor People the Great
김태은 – 여의도 공원 _ 스피드011 포카리스웨트 _ 2011
Chris Marker – The Case of the Grinning Cat Thomson&Craighead – Belief Thomson&Craighead – A Short Film about War Shimamori Chikako – The Meaning of Life GÆG-Wolfgang Aichner& Thomas Huber – Project <Passage 2011 – an actionist transalpine drama> 구동희 –
What ’s Not There 차미혜 – 결(Condensation)
Left Cinema-Right Cinema
조은– 별동네의 꿈 사당동 +22 디렉터스 컷 임창재 –
Summer Rain 임창재 – 도화 임창재 – 고궁산책 양경모 – 하얀 돼지 허상범 – 연변 신지승 – 선비가 사는 마을 신지승 – 금광 속의 - 송아지 신지승 – 살아가는 기적 신지승 – 서촌일기
테크놀로지의 놀라운 발전에도 불구하고 , 전통적인
‘A Short Film about War ’와 ’Belief ’를 선보이는
영화 극장에는 고유한 매력이 존재한다. 묘한 어둠과
Thomson & Craighead 는 웹 테크놀로지를
빛의 특유의 콘트라스트 , 어둠 속의 낮은 부스럭거리는
사용한 1990 년대 인터넷 필름(internet film)의
소리, 새로운 세계를 맛보게 하는 몰입... 아니 어쩌면
선구자 중 하나로 , ‘데스크탑 다큐멘터리(Desktop
거꾸로 물어야할른지 모르겠다. 극장은 영화가 상영되는
Documentary)’를 선보인다. 가장 평범해보이면서
한 방식일 뿐 아닌가, 하고 말이다. 영상 문화에 있어서
특이한 조 은 감독의 다큐멘터리 한 편이 여기 덧붙여진다.
이제 영화는 어떤 새로운 정치적 사회적 , 미학적 자리를
융합적 시도인 이 독특한 영화는 책의 ’부록‘으로
차지하게 되었는가. 이제 ‘씨네마’ 환경은 그 고유한 냄새와
출판되어있다. 사회학자로서 문화기술지 연구가 어떻게
빛과 집단의 기억과 더불어 새로운 매체적인 ‘선택’이 된
공동체성을 담은 다큐멘터리 실험 영화가 되었는지
것인지도 모른다.
잘 보여주는 25년 사당동 철거지역 인터뷰 기록
Cine-Appeal 섹션은 이제 ‘why ’를 질문하게
영상의 감독판을 볼 수 있는 드문 기회이다. 짧고도 긴
된 선택적인 씨네마 환경에 대한 질문에 접근해보려
내러티브를 형성하며 에스노그래피(Ethnography)와
하였다. 그 환경은 당연히 ‘장소’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픽션(Fiction)의 새로운 조합을 시도해 온 김태은
것이다.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할 것인가 하는 미학적
작가의 이분법적 화면도 페스티발 기간 동안에 미술관과
선택은 필연적으로 정치적 사회적 선택이기 마련이다.
영화관에서 동시에 볼 수 있다. 임창재 감독의 작품들
한 작업에 있어서 매체라는 형식을 결정하는 수사학적
설치와 Bertland Mandico 의 작품에서 영화적
요소들을 읽어내는 것은 그 작업의 내적 동인과 정신
시간성과 이미지성에 대한 섬세한 실험들을 만날 수
세계를 읽어내는 것과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갖는 것이며,
있으며, 태국 감독 Boonsong Nakphoo의 ‘ The Poor
거기 그치지 않고 그 내적인 요소들이 정치적 ·사회적 맥락
People Great ’도 놓칠 수 없는 작품이다.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어 왔고 , 역으로 능동적으로 무엇을
이번 Cine-Special 의 작가는 감독도 아니고
선택하였는가 질문하는
유명 배우도 아닌 무성 영화 시대의 퍼포머이자 묘한
것일게다. 영화라는 실험 매체가 현대 한국 사회 속에서 ,
그림자 배우인 변사 신 출씨와 실험 영화계에서 이미 여러
그리고 2012년이라는 현재 속에서 어떤 형태 변화를
작업을 발표해온 김곡 김선 감독으로 정하였다. 영화의
거쳐가고 있는지 고찰해보는 자리가 되기를 희망한다.
매체성(media-cy)는 이제 영화의 상업주의와 문법의
Cine-Appeal 섹션에서는 올해 2012년 베니스
클리셰(cliché)함을 이야기 할 때 만이 아니라 실험 융합
비엔날레에서 ‘저항의 미학 (The Aesthetics of
예술과 영화의 처음을 빙돌아 만나게 하는 이름을 설명할
Resistance)’ 이라는 부제로 특별 작가로 주목받은
때에 필요하다. 말라 사라져가고있는 전통이 생경한
칠레의 작가 Alfredo Jarr의 작품 ’ The Ashes
실험이 되어가고 있는 그런 지점에 우리는 서 있다. 실험
of Pasolini ’를 만날 수 있다. 그 옆에 작년에 작고한
1인 미디어극 으로서 조금도 손색이 없는 변사 신 출 씨는
사회적인 필름의 거장의 Chris Marker 를 추억하며
영화가 깜짝 놀랄 이벤트였던 무성 영화 시대의 마지막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전쟁이 민간인에게 미치는
변사이다. 그의 ‘검사와 여선생’은 그 개인의 마지막
영향에 대한 우려를 담아온 ‘ The Case of the
레퍼토리일 뿐 아니라 씨네마의 매체성이 새롭게 읽혀지는
Grinning Cat ’이 소개된다. 영화 매체의 사회성이
이시대에 대한 상징적 레퍼토리이기도 하다.
작품의 내용에만 있지는 않다. 영화 극장이라는 환경에
김곡 김선 감독의 작품들은 이번 오프앤프리에서
대한 진지한 질문에 ‘마을 영화’ 로 답하는 신지승 감독의
영화관을 뛰쳐나와 설치되고 변형된 형태들로 선보인다.
작품들 4 편이 , 역시 전통적인 극장을 벗어나 인터넷
오래된 기억처럼 낡은 브라운관 속에서 서울을 구하기
필름들을 만들어내는 Thomson & Craighead 의
위해 전경들 속을 헤메는 괴짜 군단들이 만들어내던
작품들 2편과 나란히 ‘낯선’ 극장 안에 들어선다. 신지승
슬프고도 유쾌한 로망을 대표 설치로 꼽았다. ‘뮤직
감독은 5 톤 트럭을 몰고 전국의 마을들을 다니며
비디오’라고 거침없이 말하는 ‘디그레션(Digression)’은
그들의 이야기를 픽션과 논픽션을 오가며 담아낸다.
홍철기씨의 퍼포먼스와 함께 본격 퍼포먼스 필름으로 선보이며, ’자살 변주‘는 사운드가 제거되어 극장 안이 아닌 벽에 프로젝션된다. 변사 신 출 씨의 공연과, 일상과 비일상성의 불안감과 해방이 유쾌하게 어우러진 옥인 콜렉티브의 영상 작품을 2012년도 제 4회 오프앤 프리 영화 예술제의 개막작으로 선정하였다. 폐막작으로는 인터넷에서 프리미어를 가진 전세계 사람들의 하루의 이야기 모음 ‘ Life in a Day ’가 상영될 예정이다.
Although technology has been making hug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and its rhetorics, traditional setting of ‘movie theater ’ still has a charm and power. Darkness contrasts with lights, little voices and noises... all are following your little journey to the new world there. Where does film re-position itself nowadays? ‘Cinema’ setting, along with the unique smells and old memories of the society of our own, may be becoming an ‘option’ for presenting the work even in film area. If we can change the question, now we are heading to the new stage where we may ask ‘why ’ for the reason of screening a film in the theater. In Cine-Appeal section, we introduce some of the works which were created by the artists who used to use various medias and methodologies, but ‘chosen’ to be presented in ‘Cine’ setting, or vice versa, to approach to the question of ‘why ’. The answer must not only be limited about the ‘place’. ‘ What we choose’ is a meaningful question not only in aesthetical context, but also in societal, political ones, and the rhetorics in the form of media are deeply related to the inner motivation and the spirits of the works. In this context, we hope The 4th OAF could be a place where we could share and rethink the current address of the unique, experimental media, film, in 2012 contemporary society. At Cine-Appeal section, you can meet ’ The Ashes of Pasolini ’ by a Chilean writer, Alfred Jarr who got spotlights as a special writer with a subtitle of ‘ The Aesthetics of Resistance’ at Venice Biennale 2012. Next, ‘ The Case of the Grinning Cat ’, which entails the concern on influence of the continued war on civilians since 1960s, is introduced. This work was made in memoir of a guru in social film, Chris Marker, who passed away last year. Social aspect of film does not only lie on the contents of works. To a serious question about environment of movie theater, Shin Ji Seung gives answers with ‘local movies ’ in his 4 works. Along with these works, 2 works by Tomson & Craighead, which also create internet films beyond the boundary of traditional theater, enter into ‘unfamiliar ’ theater. Shin Ji Seung shows these stories in both fiction and nonfinction forms as he drives around all the villages with his 5-ton truck.Thomson & Craighead show ‘A Short Film about War ’ and ’Belief ’. They are one of the pioneers who used web technology in internet film in 1990s. They introduce ‘ Desktop Documentary ’. A documentary by Jo Eun seems most plain, yet unique work. This unique film, as a result of attempts to fusion, was published as an appendix to a book. This is a rare opportunity to see the director ’s edition of a documentary based on interviews of evictees in Sadang dong. As a sociologist, Jo Eun shows how a cultural ethnography became an experimental
documentary with communal characteristics. Dualistic screen by Kim Tae Eun can be found both in gallery and theater during the festival. He has tried new combination of ethnography and fiction with the formation of short and long narratives. Also, the installation of works by Im Chang Jae and Bertland Mandico’s sophisticated experiments on time and image in films are introduced. ‘ The Poor People Great ’, by a Thai director, Boonsong Nakphoo, is also an essential work. One of the Special artists for CineSpecial is neither a director nor famous actor. It was taken by a film interpreter, Shin Chul, who is a performer and shadow actor in the era of silent movie. Media-cy of film is necessary not only when you talk about commercialism of movies and cliche of grammars, but also when you explain names for experimental fusion arts and films. We are at a point of fading tradition becoming a crude experiment. Shin Chul, who did a great work in an experimental media theater by one person, is the last film interpreter in the era of silent movie. ‘A Prosecutor and a Woman Teacher ’ was not only the last repertoire of Shin Chul himself, but also a symbolic repertoire towards this era which reads media-cy with new perspectives. Works by Kim Gok and Kim Sun were introduced in modified forms and installed as they came out of ‘off ’ the Theater. First chosen one was sad but hilarious roman of the old memory of korean society where voices of peculiar fellows are made as these gangs were running to save Seoul amidst the group of police men, in old screen like an old memory. It will be presented in the installation form in old TV setting. ‘ Digression’ which is called as ‘music video, I meant ’ by the director himself will make its debut as performance film with the improvisational noise music performance of Hong, Chul-ki. Also, ‘Suicidal Variations ’ will be projected outside of the theater(not inside) without sounds. The performance of Shin Chul and media art work by Okin Collective which is cheerfully mixed with anxieties and liberation in everyday-ness, are designated as the opening works of the 4th Off and Free Film Festival in 2012. The closing one will be ‘Life in a Day ’ premiered through the internet in 2011, whose footages are from all over the world, telling the stories of their one day lives.
파졸리니의 유해
Film / HD / 38min / 2009
44
The Ashes of Pasolini
영화는 파졸리니가 살해된 후 발견된 부분에서 시작해 그의 삶을 스냅사진처럼 조명함으로써 유럽의 공상적 이상주의의 희망과 모순을 묘사하며 자유에 대한 찬송가를 구성한다. 박람회에서 충돌하는 자동차, 그로 인한 색 파열 등, 이 흑백영화는 과거와 현재의 정치적이자 문화적인 억압의 격정적인 지표로 기능한다.
Jaar ’s video about Pasolini is mostly based on footage found after the filmmaker and writer was murdered. Portraying the hopes and contradictions of utopianism in Europe through snapshots of Pasolini ’s radical life, this work constitutes a hymn to freedom.
알프레도 자르 | Alfredo Jaar
알프레도 자르(1956)는 칠레 태생 예술가로, 예술성과 사회성을 결합한 독특한 작품세계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1994년 르완다 대학살에 관한 6년간의 ‘르완다 프로젝트’를 비롯해 분쟁 지역을 대상으로 활동 중이다. 그는 현실과 재현 간의 거대한 괴리가 완전히 없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재현을 위해 다른 방식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Alfredo Jaar is a Chilean-born artist. often incorporating photography and covering sociopolitical issues and war as the 6-year long The Rwanda Project about the 1994 Rwandan genocide. The art of Alfredo Jaar is usually politically motivated, strategies of representation of real events, the faces of war or the globalized.
리빙 스틸 라이프
Short film / DCP / 16min / 2012
45
Living Still Life
<리빙 스틸 라이프 >의 주인공은 미스터리한 여인으로 , 광야를 돌아다니며 동물의 사체를 모아 그 시체로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애니메이션 속에서 시체들은 되살아 움직인다. 어느 날, 한 남자가 아내가 죽었다며 그녀를 찾아온다. 이 영화에서 감독은 자신의 주특기인 , 다소 오싹한 상징들을 통한 풍자적인 미학을 유감없이 나타낸다. <Living Still Life> Living on the protagonists in the blood drive to collect dead animals wander the wilderness them through the film to life back. One day, a man and his wife died in the blood drive, and urination. Somewhat eerie symbol of his shtick, only in this movie Decoys satirical aesthetics sticks. 베르트랑 만디코 | Bertrand Mandico
베르트랑 만디코(1971)는 <그는 에디의 개였지>가 칸느 영화제 단편 부문에 초청받기도 한 실력파 신예 감독이다. 고블린 애니메이션 학교 출신답게 다양한 영상 작업에 관심을 보인다. 현재 그는 첫 번째 장편 영화 <숲에 숨은 남자>를 촬영하고 있다.
French newcomer director Bertrand Mandico ten thousand decoys, but Eddie’s was (He was Eddy’s Dog)> invited to the Cannes Film Festival Short Films talented. Goblin from animation school, each active and showed an interest in a variety of visual tasks. Currently only decoded the first feature-length film <The Man Who Hides The Forest)>.
더 로스트 프론티어
Film / HD / 20min 36sec / 2012
46
The Lost Frontier
영화감독 타마르 할페른과 크리스 퀼티는 파울크스의 스튜디오에 가서 그가 8년 동안 작업한 그림과 사투하는 것을 촬영한다. 린은 아티스트로서의 그의 경험들에 대해 보여주며 과거를 공유한다.
Filmmaker Tamar Halpern and Chris Quilty were allowed access inside the artist ’s studio as Foulkes struggled to finish a painting eight years in the making. Llyn shares glimpses of his past by demonstrating his experience and obsession as a painter.
린 폭스 | LynnFoulkes
린 파울크스(1934)는 현대예술가로서 아메리칸 드림에 관한 아상블라주로 시작하여 다양한 회화 작업 및 ‘더 루버 밴드’ 연주를 해나가다가, 그가 만든 악기 ‘더 머신’과 함께 원 맨 밴드로 정기 공연을 시작했다. 현재 그는 밴드 활동과 회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 The Lost Frontier” is one of the
biggest projects of Llyn Foulkes along with “The Machine” which he made. Lynn Foulkes is a unique contemporary Artist. Emotionally charged expressionism combined with assemblage quickly migrated to a pop response to the vanishing dreams of American opportunity. Foulkes continues to play with The Machine and paint the artworks.
리 - 톨드
Short film / HD / 2min 47sec / 2010
47
Re- Tolled
Re-tolled는 작가 스튜디오 맞은편에 있는 넓은 그린필드 부지의 슈퍼마켓 개발에 대한 응답으로 , 마리 루이드(웨일즈 지방에서 겨울 중순에 말로 분장 하여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먹을 것을 얻는 전통 위키피디아)에 대한 상상과 대지가 ‘영혼’을 드러 내려는 움직임을 담은 다른 웨일즈의 민속 의식을 그리고 있다.
Re-Tolled is a moving image piece produced in response to a large supermarket development in Cardigan, developing themes touched upon in earlier work it draws upon the imagery of the Mari Llwyd and other Welsh folk ritual in an attempt to manifest the ‘spirit ’ of the land.
션 비커리 | Sean Vicary
션 비커리는 영국 웨일즈를 기반으로 둔 예술가로, 원래 회화를 공부했지만 시간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의 가능성에 매혹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영국에서 방영되어왔고 다른 나라에서도 전시되었다. 그는 최근 비디오 설치물과 위치특이성에 기반한 애니메이션을 보여주는 스마트폰 증강 현실 브라우저를 통해 의식의 경계 공간과 정체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Sean Vicary is an artist filmmaker currently based in West Wales, UK. He embraced all things digital, acquiring the skills necessary for in his painting practice. Recent work has explored ideas of liminal space and identity, combining video installation with site-specific animation presented through a smartphone augmented reality browser.
아름다운 세탁기
Film / HD / 113min / 2005
48
Beautiful Washing Machine
테오의 중고 세탁기는 살아있다. 그녀는 자신이 원할 때는 세탁하고 멈추고 싶을 때는 멈춥니다. 그런데 이 비밀을 테오가 알게 된 후에는 그녀에게 그의 모든 집안일을 맡겨버리다 팔아버립니다. 중년의 홀아비인 웡 씨가 그녀를 들여오자, 난봉꾼인 아들은 바로 그녀를 유혹한다. 이 괴상한 블랙 코미디에서 관객이 슬로우 모션으로 나오는 탈수 회전을 즐기기 시작하기도 전에 , 콸라룸푸르에서는 상품화로 인한 소외와 절망으로 소용돌이 칠 것이다.
Teoh’s second hand washing machine has a life of her own. When Teoh discovers the secret, he exploits her and pimps her out to strangers. In this off-kilter dark comedy, the effects of alienation and desperation in the increasingly commodified city of Kuala Lumpur will spiral before you like a dry spin in slow motion.
제임스 리 | James Lee
제임스 리(1973)는 말레이시아 디지털 영화 운동의 개척자 중 한 명이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인 세탁기로 나오는 여성은 그녀의 기계에서 해방되었지만 사랑을 받기도 하고 고통을 받기도 하며 여전히 다양한 연령층의 남성에게 묶여 산다. 이 작품에서는 세탁기로 성적 억압에 대한 은유를 나타내어, 주인공이 어떻게 전통적인 가정과 혼란에서 해방되는지, 특히 현대 사랑의 족쇄들 그리고 중산층의 가부장제에서 어떻게 완전히 해방되는지 보여준다.
James Lee(1973) is one of the pioneers of the Malaysian Digital Film movement. Using the washing machine as a metaphor for gender prison, this film attempts to show how the protagonist is liberated from this domestic convention and chaos, and ultimately from the shackles of modern love and the patriarchy of the middle class.
가난하지만 위대한 사람들
Doucumentary / SD / 76min / 2011
49
Poor People the Great
이 영화는 태국 농부들의 현실을 조망한다.
Boonsong Nakphoo 태국에서는
주인공은 트랙터도 물소도 없는, 돌이 섞인 토양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작품들이 상업적인 섹션에서 지원 받지 못하고, 자극적인 할리우드 영화에 익숙해진 관객들에게도 환영 받지 못한다. 감독은 이러한 작품들을 만들기 위해서 독립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가난하지만 위대한 사람들> 은 감독의 독립 스튜디오 ‘살아있는 물고기는 물길을 거슬러 올라간다’의 첫 작품이다.
일한다. 태국에서는 대부분의 농부들이 엄청난 빚을 지고 있다. 소비지상주의는 사람들이 신용을 가지고 있으면 더 좋은 삶을 살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지만, 사실 그들은 대출을 받고도 절대 갚을 만한 만큼의 돈을 벌지 못한다.
In Thailand, almost all farmers have a lot of debts. Consumerism makes people believe that having credit is having better life. In fact, when they got a loan, they never earn enough money to pay back. This is the fact of Thai farmers.
붐송 낙푸 | Boonsong Nakphoo
In Thailand, the films about poor people are not supported in commercial section and are not welcome by the audience who is familiar with entertainment movies. He have to set up an independent studio to make these films. ‘POOR PEOPLE THE GREAT’ is the 1st film of his independent studio named PLA PEN WAI THUAN NAM (means live fish swim upstream).
앉아 있는 고양이
Doucumentary / HD / 58 min / 2004
50
The Case of the Grinning Cat
2001년 즈음 파리의 거리 곳곳에는 이빨을 다 드러낸 채 활짝 웃고 있는 고양이 그라피티가 그려지기 시작했다. 이 고양이는 프랑스 사회의 최근 경향을 어렴풋하게 반영하는 심볼이 되었다. 크리스 마르케는 고양이 -고양이 선생이라고 불리는 그라피티를 찾아다닌다. 대규모 반전시위를 화면의 중심에 놓은 채 , 그는 시니컬하지 않은 농담과 독기 서리지 않은 지적 사유를 여유롭게 드러낸다.
Around 2001, graffiti of a cat, smiling and showing his teeth, appeared all around the streets in Paris. No one knew who drew it, but this cat became a symbol that reflects the current trend of the french society. He roamed everywhere around the city, looking for the graffiti, which was called the Mousieur Chat. He puts the anti-war protest to the center of the scene.
크리스 마르케 | Chris Marker
크리스 마르케(1921)는 프랑스 출신 영상 예술가로 1950년대부터 ‘레프트 뱅크’ 감독들과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는 SLON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실험적으로 집단적 영화제작을 시도했다.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사변적인 픽션영화인 <활주로>, 전지구적 문화에 대한 성찰을 담은 <태양 없이> 등이 있다.
Chris Marker(1921) is a representative of french intellectual, who made various works of different ranges, from photography and film. He worked with the “Left Bank” directors and a member of the SLON. His most well known works are speculate fiction movie, <La Jetee>, a movie with introspection on the global culture, <Sans Soleil>.
Short film / HD / 13min / 2012
어떤 믿음
51
Belief
유튜브 사이트에서 찾은 믿음에 관한 개인방송 시리즈를 모아서 독백 형식으로 바꿔 편집한 다큐멘터리입니다. 또한 이 작품은 <플랫 어스 > 삼부작 중 마지막 작품이기도 합니다. 화면은 영화적인 데이터 시각화의 중심점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영화는 두 개의 화면으로 상영되면서 나침반 모양의 지면 프로젝터가 클립들 사이에 짧게 삽입되어 각각의 클립이 만들어진 지리학적인 위치를 보여주는 영상과 함께 상호작용합니다.
Belief is a documentary made from information found on the worldwide web, where a series of self-broadcasts about belief have been sourced from YouTube. It is the final work in Flat Earth Trilogy. When shown in a gallery as a two-screen installation, a compass floor projection interacts with the montage showing where each clip originated in relation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는 존 톰슨 (1969)과 앨리슨 크레이그헤드(1971) 의 팀명이다. 이들은 기술 발달로 인해 인간의 세계 인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웹캠과 채팅 등 온라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상으로 담는다. 테이트모던이나 SFMOMA 등에서 전시를 한 바 있다.
Jon Thomson(1969) and Alison Craighead(1971) are London-based visual artists. Much of their work to date explores how technology changes the way we perceive the world around us. They use live data to make artworks where networked movies are created in real time from online material.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 | Thomson & Craighead
Short film / HD / 9min 45sec / 2009
전쟁에 관한 단편 영화
A Short Film about War
전세계 웹사이트에서 찾은 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모놀로그 형식의 다큐멘터리이다. 2 개의 분할화면에는 온라인 사진 공유 커뮤니티 플리커에 올라온 다양한 사진과 군인과 민간인 블로거들의 증언을 통한 전세계 여러 전쟁 지역이 나타난다. 영화는 정보가 모아지면서 어떻게 변화하고 편집되고 재해석되며, 어떻게 원래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왜곡시키는지 밝혀내려고 시도한다.
This film is a narrative documentary made entirely from information found on the worldwide web. The two-screen gallery installation takes viewers around the world to war zones as seen through the online photo community Flickr, and as witnessed by bloggers. The artists reveal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changes through networke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 | Thomson & Craighead
52
지진 그 너머
Documentary / HD / 41min / 2012
53
The Meaning of Life
2011년 3월 11일. 시마모리 감독의 고향을 덮친 쓰나미는 할아버지 때부터 경영해오던 아버지의 공장을 삼켜버렸다. 당연히 존재한다고 믿었던 모든 것이 한 순간에 사라진 것이다. 이후 감독은 매일 아침 회사로 출근하는 아버지를 카메라에 담기 시작한다. 동일본대지진은 많은 생명을 앗아갔다. 살아있는 우리들은 무엇을 생각하며 ‘그 너머’를 마주하고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March 11th, 2011, the tsunami that hit the hometown of filmmaker Chikako SHIMMAMORI also swallowed the factory of her father ’s which was passed down from her grandfather. What used to be taken for granted had disappeared all at once. The filmmaker follows her father who wakes up the same time every day to leave for work.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lso took so many lives. How should the survivors face life and what should they hope for?
시마모리 치카코 아오모리 지방, 하치노헤시 출신. 2012년 3월 교토조형예술대학 영화학과를 졸업했다. 졸업 작품으로 제작한 <지진 그 너머>가 첫 다큐멘터리 작품이며, 현재 일본에서 <지진 그너머>의 상영 활동 중이다.
Chikako Shimamori Born in Hachinohe, Aomori Prefecture. <The Meaning of Life> is her debut film. She graduated from Kyoto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on March, 2012. Now, she put her energy to introduce <The Meaning of Life> in Japan.
톰슨 앤 크레이그헤드 | Thomson & Craighead
Project <Passage2011 an actionistic, transalpine drama>
Documentary / HD / 27min / 2011
영화는 두 예술가의 54번째 비엔날레 프로젝트로서 ,
The film shows the “actionistic alpine drama”, where two artists dragging bare handed a selfmade red boat (Sisy) across the Alps to get it launched in Venice, Italy as a project of the 54th Biennale. The project is a metapher of senslessness and human hybris. The main focus is on the artists ’ richly illustrated diary entries, providing an authentic insight into their feelings and impressions, their daily travails and the moments of success they experienced during the expedition. Their insights are enhanced by inspiring texts that describe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es of this staged drama.
베니스 , 이탈리아에서 보트를 물에 띄우기 위해 알프스를 건너는 수제 빨간색 보트를 맨손으로 끌고 다니는 “행동적인 알프스의 드라마”를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는 무의식상태와 인간의 자만심의 비유이다. 두 예술가의 초점은 예술가들의 생각과 영향에 대한 진실된 통찰력, 그들의 매일의 고생과 그들이 여정 도중에 경험했던 성공의 순간들을 제공하면서 예술가들의 풍요로운 일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볼프강 아히너& 토마스 후버 | Wolfgang Aichner&Thomas Huber
54
What ’s Not There
Short Film / HD / 21min / 2012
55
21분 동안의 영상물에서 두 개의 장소가 번갈아 등장한다. 두산 갤러리의 2012년도 개인전을 통해 제작되고 선보인 What ’s Not There 는 심리적
구동희 (Donghee Koo)
내적 동인이 장르적 혼합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
Education 2000 Sculpture/ Yale University, School of Art connecticut, USA
독특한 퍼포먼스 필름이다. 텅빈 갤러리에 등장하는 비와 여자, 남자의 이미지 , 제스쳐들은 조각 맞추기 게임처럼 다른 서사 속에 암시되고 변형되어 제시된다. 우리의 의식 구조 속에서 일상성을 뚫고 각인되는 상징적 요소들 은유들은 의미를 선취하는 방식이면서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형(transformation) 은 삶의 이름과 이미지들을 재결정하는 또다른 구성 에너지가 된다. 교차하는 이중 서사 속의 이미지들은 작가의 미소띈 설명에 의하면 태풍의 이름들이라한다. 나비, 매미, 핀셋 , 비, 우편물의 도착 육교 , 사다리, 빙빙 돈다 - 단어들과 이미지들은 서로를 암시하고 단어들은 때로 이미지나 제스쳐를 연결한다. 그리고 그 이름을 가진 대상물들은 다시 태풍이라는 낯선 현실의 경험 - 전설같은 거대한 자연 현상 -과 표본된 나비 간의 이질적 관계를 연결한다. 어떻게 세계와 자신을 연결짓는가. 그 연결을 설명하는 힘은 세계를 구성하는 인식의 힘에 다름 아니다. 이 기묘한 태풍의 알레고리 속에서.
구동희 | Koo, Donghee
Born in 1974/ Lives and Works in Seoul
1998 Sculpture/ Hong-Ik University,college of Fine Arts Seoul Award 2012 에르메스 재단 미술상 (Hermes Foundation Art Award)
결
Condensation
Single-channel video / HD/ 12min 47sec / 2012
응결하는 순간들이 있다. 목소리와 목소리가 만나는 순간, 안개속에서 그림자가 일어서는 순간, .. 그 순간들을 경험하기 이전과 이후, 삶의 온도차를 느낀다. 그 온도차가 그려낸 결들을 천천히 만져본다. 시차를 달래본다. 현재 진행형의 기억들, 비선형적인 시간의 출현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기억의 재현 가능성에 대한 고민과 갈증을 바탕으로 여섯 토막의 시간여행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나레이션(the voice-overs), 이미지 , 사운드의 어울림과 충돌, 겹침과 비껴감은 영상 안에서 정서적 , 감각적인 틈, 시차를 만들어 낸다. 그 시차가 만드는 울림(열림) 을 통해 꿈과 현실 , 환영과 실재 , 과거와 현재 사이의 유연한 부유가 가능한 영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56
There is a moment things begin to congeal. The moment voices encounter, the moment a shadow stands up in the fog,..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those moments, could sense the temperature differences in life. By gently touching the textures cre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s, the time intervals are being narrowed. The memories ongoing in the present, how can the ceaseless appearance of nonlinear time be possibly represented? Based on a thirst for and a concern over the possibility of representing past memories, my intention was to create the time-travel like six short stories. In this video, the voiceovers, the images and the sound are mingling and colliding with each other, likewise, overlapping and missing each other. By doing so, they create a certain resonance which makes possible the fluid floating in between the dreaming, illusion and the reality, further the past and present.
차미혜 | Cha, Mihye
가라오케 나이트
Karaoke Night
Short film / Standard 16mm film / 25min / 2008
Karaoke Night은 영화가 시각적인 예술이라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대사를 최대한 배제시킨 내러티브 영화이다. 이 작품은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한국인 매춘부와 미국인 손님이 한 공간에 놓인 상황과 서로를 향한 시선을 통해 시각적인 정보만으로 각자를 인식하고 파악하게 되는 미묘한 순간을 담았다.
Koraoke Night is a narrative film with less dialogues as possible,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films are a visual art. This films tries to capture the moment when the two people using different languages, a Korean prostitute and an American guest, recognize each other just by the situation and the visual informatio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손영모 | Sohn, Young Mo
57
손영모 (1977)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식의 미디어에 관심을 두고 내러티브 영화문법을 기반으로 작업하는 작가이다. 현재 프로덕션 Selvin Rice making live action에서 원-맨 프로덕션을 통한 저예산 영화제작과 멀티채널 비디오 아트 작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2012년 3월부터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영상 디자인학과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Sohn, Young Mo(1997) He focuses on the media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videos, based on the film grammar. Recently, he is working on making low-budget films and multi-channel video arts by one-man production in Selvin Rice making live action production. Since March in 2012, he is a adjunc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ntertainment design, college of design in Kookmin University.
32.5 공수, 건설노동자의 날품 32.5 Airborne, a Day Work of a Construction Worker
Documentary / color / Digi-Beta / 29min / 2012
편의점의 밤을 지키던 비정규직 노동자 -학생 그는,
A student who looked after the convenient store as a non-regular worker, still is a nonregular worker as a director of independent films even several years passed. Through an employment agency of blue collar jobs, he works on assisting building the electric and plumbing system of Sejong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the formboard for the construction of Hyundai Steel in Dangjinsi 23rd working diary: A young man’s wandering life as a non-regular worker – labouring at a construction site
몇 년 후 비정규직 노동자 - 독립영화 감독으로 살고 있다. 생산직과 현장직으로 인력을 파견하는 소개소를 통해 그는 연기군 세종행정중심복합도시를 짓는 전기배관 보조공으로 일하고 , 당진시 현대제철소를 짓는 형틀 보조공으로 일한다. 연출의도 :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청년의 스물세 번째 노동일기. 건설현장 막노동 편( 篇)
늘샘 | Neul, Saem
58
장독의 노래
Short film / 11min / 2011
59
Ode on a Korean Urn
한국의 장독은 일상 생활 속에 가까우면서도 한국의 문화를 대변하며 오랜 기다림의 상징이다. 이 영화에서는 장독을 시각적 , 청각적으로 , 은유적인 소재로 활용하였다. 또한 고대의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소리를 내어 멀리서 듣고 서로 소통 하는 것에서 영감을 받아 한국의 장독을 세계 여러 곳에서 두드려 세계와 소통하고 영혼을 일깨우는 의미로 연출하였다. 장독의 노래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희망에 관하여 환기시킨다.
The Korean Urn represents Korean culture. As an object close to daily life, used to preserve basic foods such as Kimchi, bean past, it is symbol of the long time spent waiting for life to be ready. In the film the Korean Urn is used as a metaphoric object, visually and audibly in a poetic way. In ancient times people communicated through drumming. In the dance, the urn becomes an instrument of percussion and the symbol of global communication. It is representation of awakening souls. <ODE ON A KOREAN URN> conveys longing for home and hope.
김현옥 | Kim, Hyonok
레프트 시네마 - 라이트 시네마
Short film/ DV 16mm/ 7min/ 2009
60
Left Cinema-Right Cinema
<Left Cinema-Right Cinema> 는 작가가 찍은 7분 분량의 16mm 필름으로 경첩같이 꺾인 두 모니터에서 영화와 실제상황이 동시에 상영된다. 두 ‘영화’의 배경은 같지만, 카메라를 인식하고 있는 배우와 카메라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이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CCTV처럼 구성되지 않은 화면을 봐야 하는 순간은 감시나 범죄의 재구성 같은 상황을 떠오르게 한다. 그 때문에 구성되지 않은 비영화적 장면 역시 만들어진 장면 못지않은 긴장감이 내재한다.
<Left Cinema-Right Cinema> is a work 7 minutes long and size in 16mm film in installation of two monitors, connected with a hinge, showing the film and the real situation. Two ‘films’ have same background but there is a difference that one has actors aware of the camera but the other is just people not aware of. However, not-planned screens like CCTV reminds of observation or reconstruction of crime, which make us to feel the tension while watching.
김태은 | Kim, Tae-eun
Short film / HD Video / 5min 54sec / 2011
비지팅 판문점
Visiting Joint Survillance Area
이 작품은 영화 <공동경계구역 JSA>(박찬욱 감독) 에서 촬영된 장면들을 모아서 그대로 따라 촬영한 방식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JSA 세트장에서 촬영이 진행된 것으로 영화배우들은 다 빠져있고 영화와 동일한 빈 공간만 있기 때문에 두 장면을 똑같이 편집 해서 보면 영화 속 공간이 실제 공간으로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걸 경험할 수 있다. 영화 속에서는 긴장과 감시의 장소였다면 실제 현장은 관광지가 되어 관광객들의 대조된 모습이 실제 공간의 장소성을 더욱 부각시켜 주고 있다.
여의도공원 _ 스피드011_ 포카리스웨트 _2011
Yeouido Park_Speed 011_Pocari Sweat_2011
작가는 특정한 영화적 장소가 등장하는 영화의 몇몇 장면과 함께 여기서 나오는 장소들에 대하여 영화적 공간이 아닌 배우가 등장하지 않는 일상의 공간으로 다시 한번 촬영하여 두 가지 영상을 동시에 비교하며 볼 수 있도록 한다. 영화를 볼 때 실제와 허구를 구분하지 못하게 되는 착시현상처럼 시각적 관성에 의해 망각하게 되는 일상의 습관적 요소를 제거하거나 선입견적 시각의 개입에 의해 왜곡되기 쉬운 인식구조를 일시적으로 붕괴시키고자 한다.
61
This work is and imitation of the scenes in <Joint Security Area(2000)>by re-shooting at JSA sets without the actors. As there are no people in the scenes, you will feel the sites gaining more realities compare to the original films. Also, it was sites for the tension and observation in the original film, however it becomes tourist attractions in this film so that tourists emphasize the placeness of the sites. This ‘imitating the original films’ is one of ways to change the sites into the real world with humors from the tension and the observation for studying the placeness.
Short film / HD Video / 8min 39sec / 2011
With some movie scenes which are already on screened, the artist re-shoots the places without actors but as ordinary places and play at the same time with the original film so that letting us to compare. This is a formative plan for temporal breakdown on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the cognition: When you watch a film, you will have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the reality and the fiction, caused by the visual inertia that you eliminate daily habitual elements and easy distortions by intervention of preconceived perspectives.
김태은 | Kim, Tae-eun
별동네의 꿈 사당동 +22 디렉터스 컷
Documentary / 132min / 2010
62
Adding 22 on Sadangdong
서울의 대표적 달동네의 철거 직전 , 철거과정, 철거 후의 슬라이드 사진들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하는 영화는 그곳에서 만난 한 가족을 소개한다. 공공근로를 하는 할머니, 일용건설 노동자 아들, 을지로에서 세공일을 하지만 전도사가 꿈인 큰 손자, 꿈이 있어야 하는데 꿈이 없다고 말하는 중국집 웨이터인 둘재 손자와 유산할 돈이 없어 또 아이를 낳았다는 손녀 은주는 철거 후 상계동 임대아파트로 옮겨야 산다.
The film starting with showing the picture of just before, during and after the slum clearance of a representative slum in Seoul and introduces a family encountered at there: A grandmother working for public services and a son, a worker in constructions, a grandson working for craftsmanship but wanting to be a missionary, a younger grandson, a waiter at a Chinese restaurant who thinks to have a dream but have no dream, and lastly, a granddaughter who has no money to get an abortion so that got a baby. They have to clear up and move to a rented apartment at Sanggyedong.
조은 | Jo, Eun
조은 (1946) 현재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로 사회학자로서 주로 현장연구를 해왔으며 여성주의 글쓰기, 여성운동에 참여해왔다. 영상과 관련해서는 영상 사회학을 강의하는 외에 <한 가족의 이야기가 아니다> (2001) <사진에는 가난이 없다> (2002)라는 수업용 다큐멘터리를 제작, 연출해 본 경험이 전부이다.
Currently now a professor of sociology at Dongguk University and participated in feminism writings and feminism campaigns. Besides teaching sociology of visual image, I only have an experience on producing and directing on a documentary filmsfor lectures, <It is not only about one family(2001)> and <The poor does not appear don the pictures(2002)>.
썸머 레인
HD / 6min 26sec / 2012
63
Summer Rain
여름 어느 날 억수같은 비가 쏟아졌다. 마침 빌려온 카메라가 있어서 복도 창문을 열고 무심하게 촬영하였다. 어린 시절 이런 비를 보면 정신없이 뛰어나가고 싶었다. 지금은 남들의 눈을 의식해서 그럴 수 없지만. 어쩌면 인생은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배워나가는 나날의 연속이다. 밖으로 뛰쳐나가고픈 마음을 나는 화장하는 어느 여자에게 대신 투사했다. 여자는 곱게 자신을 치장한다. 비는 계속 내린다. 그녀는 외출 준비를 한다. 비는 더 세차게 내린다. 덧칠해지는 피부 . 빗물에 씻겨지는 밖의 풍경. 내부와 외부가 충돌한다. 충돌이 심화되면 어느 것이 외부이고 어느 것이 내부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다. 인생은 섞이면서 사라지는 한 여름의 비와 같은 축축한 꿈이다. 두 개의 장면을 수 천 개의 프레임으로 자르고 붙였다. 필름으로 편집하던 시절에는 시도조차 하기 힘든 작업이었을 것이다. 빗소리 사운드 또한 편집에 따라서 수 천 개로 분절되었다. 분절되어 들리는 빗소리는 원래의 원형을 잃고서 노이즈로 들린다. 그러나 노이즈로 들리는 까닭은 사운드가 비어있기 때문에 그렇게 들리는 것이다. 들리지 않는 것에서 들리는 것을 찾아가는 것. 보이지 않는 것에서 보이는 것을 찾아가는 것. 정작 중요한 것은 이런 것인데. 아, 인생이여!
임창재 | Lim, Chang Jae
임창재 1964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에서 신학, 중앙대 대학원에서 영화 전공. 실험영화연구소에서 활동. 중앙대, 한예종, 동아방송대학 등에서 영화 강의. 현재 한국독립영화협회 대표. <ORG>, <Over Me>, <눈물>,<미미> 등 다수의 실험영화 및 장편 극영화 <하얀방 >, <바람의 노래>,<현수 이야기> 연출. 아트선재센터, 씨네큐브, 한이문화교류제, 한일단편영화제 등에서 특별 초청 및 개인전.
Lim Chang Jae Born in Seoul, 1964. Received Bachelor’s degree for Theology in Yonsei University. Received Master’s degree for Film in Joong Ang University. Current acting member in Experimental Film Lab. Teaching Film at Joong Ang University,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Current representative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Independent Film&Video. Director of various experimental film - <ORG>, <Over Me>, <Tears>,<Mimi> - and feature films <White room>, <Song of the wind>, <Story of Hyunsoo> I Was invited by Cinecube, Art Sonje Center, 한이문화교류제, Korea-Japan Short Film Festival and opened several private exhibition.
HD / 3min / 2012
도화
64
Dowha
마포에 도화동이 있다. 도화는 복숭아꽃이다. 하지만
장소는 공간의 구체적 명명이다. 영상으로
이곳에서 복숭아꽃은 커녕 복숭아 나무 하나 본 적
기록한다는 것은 그 장소에 있었다는 구체적 증거다.
없다. 아마 오래전 사라졌나보다, 추측할 뿐이다.
포커스아웃focus out 으로부터 포커스인 focus
아파트 단지 뒤편에 인적 드문 길이 있다. 도로와
시간과 바깥의 진행하는 시간 차이를 느껴보고 싶은
in까지의 느린 변화를 서서히 드러냄으로써 나는 그 장소에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었다. 그것은 내가 한때 그곳에 있었음의 우회적 발화이다. 또한 그 장소가 나를 품고 있었다는 몽상의 표현이다. 세상은 주체로부터 소외된 대상이 아니다. 무의식적으로
욕망 때문이리다.
물들어있는 자기중심적 세계관은 진작 영화에서도
단지 사이에 철문이 있지만 오래전부터 닫혀있었다. 이 길을 바라볼 때면 안에서 밖으로 ,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고픈 생각이 자연스럽게 생긴다. 안쪽의 정지된
조르주 멜리에스Georges Méliès 는 편집을
버려야 할 때가 왔다.
하다가 어떤 대상이 갑자기 사라지고 나타나는 장면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고 한다. 그가 보기에 그것은 대단한 마술의 신개척지였다. 지금으로 보자면 가벼운 트릭 정도에 지나지 않을지 모르지만. 하지만 그가 발견한 것은 영화의 편집 미학에 있어 커다란 걸음이었다. 있음과 없음은 엄격하게 논리적인 영역이다. 그 안에 비논리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성과 과학은 논리 위에 구축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은 논리로 해명되지 않는다. 있음과 없음 사이의 찰라 속에 시간의 흔적 , 응축된 시간이 희미하게 비춰질 뿐이다. 그 응축된 시간은 보여질 수 없다. 애초부터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볼 수 없기에 느낄 수 있는 것 아닐까. 카메라 / 영화의 발명과 존재는 논리의 영역을 강화해온 측면도 있지만 오히려 느낌의 영역을 축소시켰다.
임창재 | Lim, Chang Jae
고궁산책
HD / 5min 45sec / 2012
65
A Palace Stroll
어린 시절 지금의 창경궁에는 동물들이 살았다.
서구의 인상파 화가들은 이미 그것을 알아차렸고
일제강점기 시절에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서고
화폭 위에 표현했다. 빛의 성질에 따라 반사되는
창경원으로 격하되어 불렸다가 1983년에 와서야
피사체는 매번 달라 보인다. 색 사이의 구분은
원래의 모습을 회복한 것. 침략자들의 발상은 참으로
서로간의 비교에서나 가능하다. 우리는 살면서
어처구니 없다. 그리고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는
평균치의 것들을 기준으로 만들어버린다. 기준을
데도 한참의 시간이 걸렸다고 생각하니 또한 슬픈
만들어야 불편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하기에 원래의
일이다. 조선이라는 봉건사회에서의 궁은 왕족들이
색이라고 제시되는 장면들도 사실 객관적 색이라고
사는 안전공간에 지나지 않는다. 밖에서 보면
할 수 없다. 절대적 우상을 세우면 진리는 들리지 않는
통치자의 요새이다. 그 안의 건축물들을 손으로
것이라고 모세는 이미 침묵으로 말했다.
만든 이들은 민초들이다. 봉건의 그림자는 사라지고
이름을 잃어버린 사물은 절규한다고 어느
민초들이 주인이 세상이 되는 데 수백년이 걸렸다.
철학자가 말했던가. 느리게 걸음으로써 보지 못했던
한 여자가 고궁을 찾는다. 여자를 뺀 행인과 차량은
것들이 언뜻 보여질 수 있다면. 그 안에서 사물이
거꾸로 움직인다. 마치 시간을 거슬러가는 것처럼.
자기의 이름을 찾아갈 수 있다면. 그러나 여전히
아니면 여자가 유령이라도 되는 것처럼. 색 color 들은
현대를 살아가는 것은 구름 위를 걷듯이 가볍고
탈색되어있다. 고정된 색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위태롭고 한없다.
임창재 | Lim, Chang Jae
하얀돼지
White Pig
Short Film / 23min 40sec / HD / Color / 2012
2010년 전국을 휩쓸고 간 구제역 사태. 새끼 돼지 한 마리와 어린 소년, 그리고 아들을 바라보던 아버지를 통해 생명의 의미를 돌아보고 싶다. A foot and mouth disease was spread very wide at 2010. One pig and a boy can reflect our reality. In this film I hope we can take a good look at lives.
양경모 | Yang, Kyung Mo
66
양경모 1978년 서울출생 한겨레 영화 제작 학교 수료 고려대학교 의학과 졸업 한국 예술 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졸업
Jade Law Yang (Yang Kyung-mo) Born in Seoul Korea 1978. Graduated Korea University medical school Graduated Han-gyu-rey Film making school Membership of ‘Underground filmmaker’s crew Goblin’ Now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 Membership of ‘Association of korea independent film and video’
연변
18min /2011
67
Yanji
모국어는 한 민족의 대중적 기억에 대한
허상범 Sangbum HEO
기표이다. (나) 는 연변지역을 여행하면서 지금은
2011 Ca’ Foscari Short Film Festival International Competition, Venice 2011 MFA Show, Gene Siskel Film Center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10 World Film Festival of Bankok
말소되었거나 다시 씌여진 한국의 역사적 흔적들을16mm 필름으로 기록했다. 영화에서 나레이터인 (K) 는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미국에서 자랐기 때문에 모국어를 거의 망각했다. 그녀는 나에 의해서 연변에서 씌여진 에세이를 그녀의 서툰 발음으로 읽어내려간다.
Mother tongue of one nation is a signifier of public memory of mother land. In this film essay, I travelled and shot with 16mm, Yanji which is now Chinese territory along the border of North Korea. The narrator for the 16mm footage is K who is born from south Korea but grew up in U.S and forgotten her mother tongue. She read written essay that I wrote while I was in Yanji, with her awkward Korean pronunciation.
허상범 | HEO, Sangbum
68
선비가 사는 마을
A Village Where Seonbee(korean classical scholar) Lives 오백 년된 한옥 전통 마을이 좌충우돌해가며 체험마을로 성장해가는 모습을 독특한 방식으로 그린 감독의 여성론이다. 이는 할머니와 떠돌이 암캐를 주인공으로 그리며 시작하여 전통 달집 태우기라는 마을전통행사를 통해 완성된다. 마을로 누군가가 찾아오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마을사람들에게는 손님들이 오히려 신기하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이제 그들도 손님을 대하는 준비를 하게 된다.
This film shows the director ’s philosophy of woman by describing the development of identity of a village from a mere 500-year-old Korean traditional village to a tradition experience village. It starts with an old lady and a female dog as its main characters, and ends with a traditional ceremony, burning “Dal-zip.” Village people are not familiar to the visitors, but they have to be prepared for be visited.
금광 속의 - 송아지
Calf in the Gold Mine 아시아의 먼 나라에서 홍천 시골 마을로 온 이주여성들에게도 숨겨놓은 꿈이 있다. 가난 때문에 미루었던 결혼식이기도 하고 , 노래자랑에서 상금을 받아 보란 듯이 고향에 가보는 것이기도 하다. 그녀들은 ucc 공모전에 도전하고자 마을을 찍는 영화감독의 카메라를 빌리려 그의 5 톤 트럭을 찾아간다. 한편 , 우연히 일제시대 폐광을 발견하는데…
Migrant women who came to a rural village in Hongcheon from a far-away country in Asia also have their own dream. It would be the postponed wedding march for poverty, or visiting hometown proudly with prize money from a singing contest. They ask a film director who shoot a film at the village to lend his camera, since they want to submit an UCC for an UCC contest. In another hand, they accidently find out an abandoned mine…
신지승 | Shin, Ji Seung
69
살아가는 기적
서촌일기
Living Miracle
Seochon Diary
6.25 전쟁 이전에는 북한령이었다가 전쟁을 치르면서 남한령으로 바뀐 강원도 한 마을, 60년이 지난 지금 전사자 유해발굴이 한창이다. 마을 사람들은 전쟁의 상처와 아픔을 쉽게 드러내지는 않는다. 어린
일맥 아트상을 수상하러 서울로 온 감독은 트럭에서
새끼를 데리고 집으로 몰래 들어온 길 고양이 가족을
7일 동안 만난 사람들, 작가, 배우, 기자들에게서 포착한 예술에 대한 집착과 사유가 담겨 있다. 다큐와 드라마의 경계가 모호한 작품.
쫓아냈던 마을 할머니는 겨울이 다가오자 문을 열어 그들을 맞아들인다. 그러나 어미 고양이는 끝내 죽고
먹고 자고 7일을 보내며 자신의 사유를 담은 한편의 짧은 에세이 영화를 만든다. 자신의 5 톤 트럭이 “보안여관”으로 들어오는 때부터 나가는 때까지의
마는데…
신지승 고려대 사학과 졸업 영화연구소 OFIA 소장 역임 산업과 개인 예술로서의 영화에서 어울림의 영화인 마을영화라는 장르를 개척 현 세계마을영화축제 집행위원장 홍천 아시아 다문화영화제, 구둔영화 축제 ,등대영화제 집행위원장 역임 전국 80여 마을 에서 마을영화제작 “떠돌이 감독의 돌로 영화만들기” 출간 2010
2009,영화진흥위원회 주최 한국영화산업진흥을위한 정책 아이디어 최우수상수상 “전국민이 함께하는 마을영화”
신지승 | Shin, Ji Seung
OAF, 시네 스페셜 OAF, Cine Special
김곡 김선 –
Digression 신출– 검사와 여선생
정당정치의 역습
16mm / 26min / 2006
72
Party Politics Strikes Back
세계를 흔드는 절대절명의 위기 , 지구에 위장취업했던 미녀 삼총사가 세상을 구하러 도시로 뛰어 나간다. 전경들과 짭새들은 이미 시청 앞을 점령했고 , 욕조 안에서 축배를 들려던 지배자는 그녀들에게 포격을 퍼붓는다. 위기가 낸 빵꾸를 중심축으로 빙빙도는 세계의 속도 , 그리고 그를 따라잡으려는 미녀삼총사의 속도 . 이 전투에 필요한 것은 필요한 것은, 정치의 속도화에 대항하는, 속도의 정치화.
2006년 여름, 투쟁 중에 목숨을 잃은 열사들을 위한 대규모 시위가 있었고 , 이에 불려나간 수천의 전경들이 시청에 운집했다. 우리는 16mm 카메라와 장난감 총을 들고나갔다. 무대 밖을 나간 미녀삼총사는 그 즉시 세상을 무대화했다.
As a world threatening crisis arrives, a woman trio runs out of the door to save the world. Already combat polices and cops captured the city hall and the ruler, drinking a toast in a bath tub, bombs on them. There are two different speeds, the central axis as the hole made by the crisis: the speed of spinning world and the speed of the trio trying to catch up. All we need for the battle is the politic speed against speeding politics. During the summer in 2006, there was a large demonstration for those who died during that protest and there were thousands of combat polices. We went there with a camera with 16mm and toy guns. The trio went out of the stage and the world became the stage.
김곡, 김선 | Kim Gok, Kim Sun
자살변주
16mm / DV6mm / 15min / 2007
73
Suicidal Variations
밀폐된 방. 여자는 자살을 꿈꾼다. 전화벨이 울리고 , 자살의 순간, 문이 열린다. 죽음은 단지 검지 않다. 그것은 반짝거리며, 자살일 경우 더욱 그렇다.
16mm 촬영 후, 포지티브와 네거티브의 빠른 교차로 얻어낸 플릭커, 그리고 플릭커로 직조한 무의식. 빛과 어둠이 교차되면서 서로를 파열시키는 행렬에 대한 연구이며, 이 행렬은 3개의 계열 , 때로는 네 개의 계열까지도 증식할 수 있었다. 흰 프레임과 검은 프레임의 교차 한복판에서 얻어지는 것은 더 이상 명도로는 설명할 수 없는, 섬광과 투명함. 기관총처럼 난사되는 비트 위에 , 홍철기의 턴테이블로 일그러뜨린 쇤베르크 .
In a closed room, a woman dreams of suicide. A phone rings, and the moment for the suicide, the door opens. The death is not just dark. It shines, especially when it is a suicide. After shooting with 16mm, flickers obtained by fast intersect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nd the unconsciousness weaved by the flickers. It is a study about a matrix that the light and the dark violate each other as they intersect and this matrix could be increased to three levels or four levels. What we obtain at the intersection of the white frame and the black frame is the flash and the transparentness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just brightness. On the beat like fire machine gun madly, contorted Schönberg plays by turntable of Hong, Chul Gi.
김곡, 김선 | Kim Gok, Kim Sun
디그레션
16mm / 20min / 2007~2009
74
Digression
소멸하는 육신 , 부패하려는 살. 질산염을 먹거나 토해내며 경련 발작하는 필름의 신경계 , 혹은 스펀지처럼 난 구멍에서 빛을 뿜으며 폭발하려는 뇌인가? 육신의 광화학적 소멸기... 한국 노이즈 밴드인 < 아스트로노이즈 > (홍철기 /최준용)의 명반 <Digression/ Degression> 을 위한 뮤직비디오 . 포르노 풋티지들을 수집해서 필름으로 옮긴 후, 네거티브를 나트륨이나 마그네슘으로 산화시킨 뒤 , 이멀젼이 완전히 녹아내리기 직전에 확대기로 프린팅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작업.
Dying body and rotting flesh. Is it a nervous system of film on acute attacks, drinking and vomiting a nitrate, or an exploding brain lighting from the holes in the shape of sponges? The photochemical extinction of the body... This is a music video for the great album <Digression/Degression> of Korean noise band <Astronoise>(Hong, Chul Gi and Choi, Jun Yong). Collected porno footage and put into a film, oxidized the negative by sodium or magnesium, and printed by an enlarger just before the emulsion melts completely. A work from 2007 to 2009.
코메디
HDcam / 38min / 2012
Comedy
이제는 더 이상 웃기지도 않은 코메디언의 무대 뒤. 그는 극장주에게 핀잔을 듣고 , 아기를 돌보고 , 집나간 마누라를 욕하고 , 아기방 선생님까지 웃기려고 노력한다. 그는 기어이 집나간 아내의 행방을 찾는다. 그녀는 퇴장한 것이다. 왜냐하면 세상이 이미 무대이기 때문이다.
개그맨 조영빈과의 공동작업. 무대화 staging에 대한 일고찰.
Cooperation with Cho, Young Bing, a comedian. Thoughts on ‘staging’.
At the back stage, there is a comedian who is not funny anymore. He got scolded by the theatre owner, take care of his baby, curses on his wife who ran away, and tries to the baby ’s teacher laugh. He tries to find his wife. She is already at the back stage. The world is already a stage. 김곡, 김선 | Kim Gok, Kim Sun
검사와 여선생
Film / 16mm / 1948
75
Prosecutor and a Teacher
현존하는 유일의 무성 영화로 비극적인 멜로
감독 윤대룡
드라마의 전형이다. 표현은 서투르고 투박하지만
Director daeryong yun
인간의 향기가 풍겨난다. 한 여인을 통하여 희생으로 빚어내는 사랑의 원형을 제시하고 있다.
This film is epitome of tragic melodrama that Existing only silent film. The expression is clumsy and crude, but the scent of humans. A woman is presented the circle of love by fashioned as a sacrifice.
변사 신출 신출은 1940년대부터 활약한 3세대 변사로 영화사상 마지막 생존해 있는 최고의 무성영화 변사 이다. 일찍이 변사 수업을 쌓은 후 1940년대부터 한국 6.25전쟁 발발시 까지 최고의 인기를 누린 전설적인 변사로 때로는 비장하고 때로는 구성진 천의 목소리로 수 많은 관객들을 울리고 웃겼던 변사였다. 변사 신출은 6.25 전쟁후 문화공보부에서 영화 업무를 60세까지 종사한 후 현재 가족과 함께 지내고 있으며 전국 각 지방과 일본 동경, 미국 캘리포니아 영화제에 초빙되어 그 옛날 그 모습을 생생하게 재연하는 등 우리 영화사의 산증인 중 한명이다.
Silent-film narrator ‘Sinchul ’ since the 1940s, Sinchul is a silentfilm narrator of the third generation plays. in movie history he is the best silent-film narrator that last surviving at silent film. he is legendary silentfilm narrator. he was learned early classes about silent-film narrator. since the 1940s, he was popular to South Korea at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윤대룡 | Daeryong Yun
프로추어 어택
Proteur Attack
프로추어 어택 프로그램 김다울
“Proteur”는 Professional + Amateur 의 합성어로 Proteur Attack 섹션은 팬픽(FanFic), 머시니마(Machinima), 웹툰, 플래시 영상 등 아마추어들이 만든 독특한 이미지, 영상제작물의 독특한 형식과 그 문화적 영향력에 주목한다. 유튜브나 비메오등 인터넷 온라인 채널들을 매개로 분배되고 소비되는 이 새로운 작가들은 신조어들을 만들어내며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새로운 미학적 장을 여는 소비문화 시대의 대중이자 생산자, 작가이자 관객이다. 프로추어 섹션을 준비하면서 수많은 얼굴없는 작가들의 사랑받는 이미지들을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발굴’해낸 대부분의 많은 작가들이 ‘패러디’의 아슬한 경계 위에서 ‘저작권’ 시비에 놓여 방송사나 제작사들의 판권 지불비에 걸려 상영되지 못하고 안타깝게 누락되어 이 지점에서 실은 copy rights 와 copy left의 정신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민하게 되기도 하였다. 이 섹션에서는 평범하지않은 평범한 이들의 UGC(User Generated Contents) 10 작품을 미흡하나마 소개하고자 한다. 못 다 소개한 많은 작품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Phil Brown – The Haunter Of The Dark 흥해라흥 픽처스 – 1루수가 누구야 그림꾼 임병두 – 동무 평양 스타일
2011년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문화기술론, MAchinima Project –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Courtesy to ‘dcinside.com’ – 일어서라 솔로부대 패러디
LIEVICUS – 뜬금 초등학교
LIEVICUS – 뜬금 초등학교 2
LIEVICUS – 폭풍돌격! 포켓몬스터V LIEVICUS – 나가사끼 짬뽕 만화 광고
84banda84 – 모에화 콜렉션
The Haunter Of The Dark
UCC / 27min 10sec / 2011
Phil Brown
1루수가 누구야
UCC/ 4min 45sec / 2012
흥해라흥 픽처스
동무 평양 스타일
총 기획 제작: 소품제작: 메인댄서: 도와준댄서:
UCC / 3min 43sec / 2012
그림꾼 임병두 그림꾼 임병두 그림꾼 임병두 지나가는 동생들
Phil Brown | 흥해라흥 픽처스 | 그림꾼 임병두
78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UCC / 9min 6sec / 2011
2011년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문화기술론, MAchinima Project
일어서라 솔로부대 패러디
UCC / 2min 47sec
Courtesy to ‘dcinside.com’
2011년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문화기술론 | Courtesy to ‘dcinside.com’
79
뜬금 초등학교
UCC / 52sec / 2012
LIEVICUS
뜬금 초등학교 2
UCC / 2min 16sec / 2012
LIEVICUS
폭풍돌격! 포켓몬스터V
UCC / 1min 15sec / 2012
LIEVICUS
LIEVICUS
80
나가사끼 짬뽕 만화 광고
UCC / 38sec / 2012
LIEVICUS
모에화 모음
UCC / 2012
84banda84
LIEVICUS | 84banda84
81
현대 중국 실험 영상 예술
Contemporary Chinese Experimental Film&Arts
현대 중국 실험 영상 예술 프로그램 이준영
Cheng Ran Li Ning Wu Junyong Xu Tong Pema Tseden Gu Tao
중국 본토의 새로운 미디어 아티스트들과 실험영화 영역의 활발한 움직임을 소개한다. 중국에서 활동하는 소수민족들의 이야기들을 다룬 작가들과 새로운 세대들의 미디어 아트들을 포함하며, 미디어가 사회가 맺고 있는 흥미로운 접점들을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예술이 사회와 맺고 있는 다른 다양한 관계들을 조명한다. 융합적 미디어 작품 활동을 하고있는 리닝과 청란 등 10여편을 소개할 예정. 2012 London Chinese
Independent Film Festival(CIFF –London)과 Partnership 을 맺어 진행된다.
츄잉 검 페이퍼
Chewing Gum Paper
고스트(햄릿)
Ghost (Hamlet)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 3min / 2011
Three channel video projection / SD / 30min / 2012
<Ghost (Hamlet), 2012> 은 2012년에 제작한 신작으로 세 개의 싱글 채널 비디오가 동시에 상영된다. 각 22분 분량의 세 영상은 샹들리가 달리고 테이블이 놓인 한 장소에서 두 명의 남성과 두 명의 여성이 춤을 추기 시작한다. 이들은 서구의 근대 의상을 입고 격렬하게 춤을 추거나 발을 구르고 때로는 고요하게 각자의 몸짓 언어로 반응한다. 영상은 그 어떤 소리도 배제된 채 , 그들의 몸에서 나오는 소리들만 흘러나온다. 이들은 서로 얽히기도 하고 이내 따로 떨어져 즉흥적으로 표출하는 몸짓을 되풀이 하다가, 타의에 의해 또는 자의로 물 속으로 빠진다. 물 안쪽에는 물 바깥에 설정 되어 있던 상황이 동일하게 연출되어 있으며, 물 속에서도 그들은 몸짓 언어를 계속한다.
84
<Ghost (hamlet), 2012> is a new work in 2012, which plays three single channel videos at the same time. Each three 22 minutes-long videos show two men and two women in western modern clothes dancing in a room with a table and a chandelier. They, sometimes, dance violently and stomp loudly and sometimes, respond just by silent body movements. There are only the sounds from their body movements. They tangle their bodies with the others or get apart from the others and express by instinctive body movements. Then, they fall into the water by themselves or the others. They keep on dancing under the water, where its circumstance is same as the outside.
청란 | Cheng Ran
핫 블러드 , 웜 블러드 , 콜드 블러드
Hot Blood, Warm Blood, Cold Blood
청란은 사진과 영상 설치를 통해 그의 작품 세계를 펼쳐왔다. 그의 멀티채널 설치는 영화예술적인 효과를 전달한다. 영상에 있어 그는 결코 특정한 출발점을 설정하지 않는다. 정해진 대본이나 촬영 방식 없이 작업하면서 그는 그의 영감에 의존한다.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는 가능한 한 “경험되지 않은” 것을 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청란은 언어적, 시각적 언어를 교차하는데 능하며, 그의 독특한 시적인 방법을 통해 그의 광활한 정신세계를 표현한다.
Cheng Ran has processed his artistic practice through the media of photography and video installation. His video work with multi-channel installation always delivers a cinematic effect. He would never use a specific concept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video, working without a confirmed script or way of shooting. He relies on inspiration.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a video, he tries to make his works as “inexperienced” as possible. Cheng Ran is good at the transposition between textual and visual languages, presenting the tremendous spiritual world through his unique poetic way.
3-channel HD video, color / SD / 8min 8sec / 2011
85
<Hot Blood, Warm Blood, Cold Blood> 는 3 채널의 비디오 작품이다. 이 작품은 개념미술이라고도 할 수 없으며 묘사나 이해가 가능한 것도 아니다. 나는 단순한 편집 기술에 더불어 편집상의 실수를 통해 형식적으로 아름답고 상징적인 이미지를 새로이 창조하고자 하였다. 세 영상이 동시에 재생되는 동안 움직임과 멈춤, 클로즈업과 전경의 조화는 미지의 공간의 이미지를 보여줄 것이다. 나는 이 이미지들이 관객들로 하여금 어떤 변화가 일어나게 할 지 모른다. 어쨌든 그 결과가 독특하고 예상할 수 없는 것이길 바란다. Hot Blood,
Warm Blood, Cold Blood 는 세 마리 말의 특성을 통하여 눈으로 볼 수 없는, 감정적이거나 정신적인 상태의 다양한 흐름을 연상적으로 , 또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 세 마리의 말은 만져볼 수 없지만 없어서도 안 될 인간의 정신세계와 같이 불안정하고 불확실하다.
Hot Blood, Warm Blood, Cold Blood is a three 3-channel video work. It is not primarily a conceptual piece and is neither describable nor comprehensible. I hope that by using simple editing techniques and even editing mistakes I have created a different kind of image that is beautiful and symbolic in form. When the three films are played simultaneously the combined effect of rest and movement, close-ups and full views will show an unknown image space. I don’ t know what kind of changes this group of images will bring to a hall, but I hope that the effect is imaginative and even unanswerable. Hot Blood, Warm Blood, Cold Blood is suggestive and symbolic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horse; they are invisible, the different directional flows of emotional and spiritual states; they are unstable and uncertain, like the human spiritual world, which is untouchable, but also indispensable.
청란 | Cheng Ran
테이프
Documentary / 168min / 2010
86
Tape
몇 년 후, 나의 테이프에 대한 연구와 사용이 결국 집착과 광기에 이르렀다. 이 작품은 살아왔던 모든 공간, 무대 위 , 내 작품과 내 생각의 심연에 초점을 맞췄다. 마법적인 환각의 땅, 중국에서는 내가 하고 있는 것이 터무니없고 불합리한 것으로 규정된다. 많은 국가들에서 일어나는 큼직한 사건들과 나의 극단적인 행동을 통해 , 나는 현실과 초현실적 예술의 결합을 이루어냈고 , 그것은 완전한 하나의 영역이 되었다. 그러나 결국, 나는 기계의 부품과 같이 사회의 한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또 하나의 상에 불과한 것이 되었다. 이것은 내가 직면하고 싶지 않지만, 내 인생의 일부분인 나의 자화상이다. 지난 5 년 동안, 철거로 인해 이주당한 것을 포함하여 세 번 이사하고 , 컴퓨터가 네 번이나 고장나고 경찰에게 두 번 조사를 당하고 , 공연 팀이 네 번 해체되는 등 셀 수 없는 상처를 받은 후… 내 진심을 말하는 데 있어 한 치의 과장도 없었다. 나는 테이프 그 자체가 되기로 마음먹었고 그것은 나의 영화 <테이프 > 에 그대로 옮겨져 있다. 이 작품을 완성하는 것 자체로 나는 내 자신의 인생에 좋은 해답을 줄 수 있었다.
After many years, my research into the use of tape reached the point of obsession and madness: it was the focus of my life everywhere, on the stage, in my works and in the depths of my thoughts… In China, a land of magical illusions, what I am doing is destined to become ridiculous and absurd. Through encounters with the occurrence of major events in many countries and my own extreme behavior, I have finally accomplished the marriage of reality and surreal art into a seamless realm. But in the end, I’ve become yet another photo pasted on an employment form, forced to function in society as part of the machine. This is my self-portrait, which I do not want to face, but it belongs to my life. Last for five years, after moved three times(including been demolished), four-time computer broke down, investigated by the policeman twice and four groups of actors changed, countless wounds......There’s no exaggeration when said working my heart out, and I have changed myself to be a tape, which firmly stick to the my film Tape. Finishing this, I could hand a good answer to my life.
리닝 | Li Ning
테이프
Documentary / 168min / 2010
87
Tape
리닝 (무대 감독, 영화 감독, 조각가, 육체 행위예술가) 세계 유수의 예술제와 영상제가 사랑하는 감독 리닝은 중국의 실험영화와 공연예술계의 지평을 끊임 없이 넓혀온 감독이다. 1993년 산동 예술학교(Shandong Art School)에서 조각과 현대무용을 공부한 그는 중국의 저명한 무용가 진싱(Jin Xing)과 공동으로 퍼포먼스를 진행하였으며, 1997년에는 퍼포먼스 ‘제이타운 육체 게릴라들’(J-town Physical Guerrillas)를 창작하여 베이징, 상해, 홍콩, 마카오 등 도시에서 공연하였다. 이 촉망 받는 40세의 감독이 설립한 ‘메이드 인 제이타운 필름 랩’ (Made in J-town Film Lab) 지난 12년간 중국의 영화계와 퍼포먼스 분야의 발전에 기여를 해왔을 뿐만 아니라 그의 예술 창작물과 그가 집필한 예술비평분석은 중국의 젊은 후세대 창작가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리닝 | Li Ning
Li Ning (Theater director, film director, sculptor, physical performance artist) As more and more of his works receive awards from and invitations to leading art and film festivals, 40-yearold Li Ning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China’s leading figures in experimental film and physical theater. After entering the sculpture program at Shandong Art School in 1993, he began studying modern dance and performance with renowned choreographer Jin Xing. In 1997 he founded his own physical arts collective “J-town Physical Guerrillas ” which has performed throughout Beijing, Shanghai, Hong Kong, Macau among others, and for the past twelve years, Li’s “Made in J-town Film Lab” has lead the way in pushing China’s boundaries of exploration in film and performance.
리닝 콜렉션
Li Ning Collection
Experimental Short films / 120min / 2009
1. 무제 3 “정체성”의 현존하는 기초에 대한 탐색 작가의 창작에서 얻은 영감 - 생명력있고 독특한 캐릭터를 만들기 위해 , 작가들은 그들이 쓰고자 하는 것에 관해서 직접 경험하고자 하며, 삶을 관찰하고 소재를 모은다. 보통 작가들은 창조된 인물과 그들 자신을 구분할 수 없다. 퍼포머 리닝은 소설의 캐릭터는 그의 자의식 안에 존재하는 작가 자기자신을 반영한 것이라고 여긴다.
2. 1966/1986/2006 1966년, 중국에서 문화혁명이 일어났다. 1986년, 이 퍼포먼스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태어났다. 2006년······ 40년 전 문화대혁명이 일어난 후로 문화대혁명은 문화적 소비의 코드가 되어 왔다. 한편 80년 대 이후에 태어난 젊은 세대가 겉보기와 같이 정말로 문화대혁명과 관계가 없는지는 의문이다. 댄서는 그의 몸짓과 카메라를 통해 , 중국의 젊은이들이 왜 자신의 나라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실패했는지 그 이유를 조명하고자 한다.
3. 미완성 - 2 중국에는 “문제의 건물”이라고 불리는 영원히 완성되지 않을 건물이 있다. 이 방치된 건물에 들어서면서 나는 충격을 받음과 동시에 압도당했다. 나는 그저 창조하고 싶었고 , 인도를 받고 싶었다. 나는 즉흥적으로 행동을 취하고 사진으로 기록을 남기기 시작했다. 그 전날 밤, 꿈에 뱀이 나왔다. 전부터 구상해왔지만 그저 몸 속에서 맴돌기만 했던 작업의 밑그림이 있었다. 예상치 못하게 , 바로 그 건물이 내 의식 밖으로 나왔고 실제로 눈 앞에 나타났다. 매일 밤 편집 작업을 하면서 생각을 하고 또 했다. 그 생각의 끝에 이 영화는 신과 신화에 대한 의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것은 “에덴”이라는 고전적인 개념에 대한 파괴다. 완성되지 않은 이 건물과 같이, 기원과 구약성서에 관한 신화는 신탁이 오기 전에 이미 잊혀지고 버려졌다.
88
1. Untitled-3 A probe into the existing basis of “identity”. Inspiration comes from writer ’s creation-In order to create lively and distinctive characters, writers go to experience what they will write about, observe the life and accumulate source material...They usually can’ t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created characters. Li Ning, the performer, thinks the characters are the reflection of the writer himself which exists in his selfconsciousness. 2. 1966/1986/2006 1966 the Cultural Revolution of China began, 1986,the performancers who participat in this artistic work was born, 2006······ When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has become cultural consum-ption since it took place forty years ago, we wonder if the young generation born in later 1980s really has no relevance to the Revolution as it appears. Through his body language and the camera, the dancer tries to find out the reason why Chinese youth fail to comprehend the history of their own nation. 3. Unfinished - 2 These buildings which will never be finished are called in China “lan wei lou (Problem building)”. Entering these abandoned buildings, I was shocked and conquered. I just wanted to create and follow some kinds of induction. I started to improvise some actions and shots. The last night, a snake came into my dream. Suddenly, the theme of this work I was looking for since Lots of days but prowled in my body and the building came out of my conscious and shown up. Every night when I did the editing work, I thought over and over, finally I found out that the film was a query to the God and legends! It is a destruction of that classical text “Eden”! As these unfinished buildings, legends about Genesis and Old Testament are already forgotten and abandoned by people even before the oracles were delivered.
리닝 | Li Ning
리닝 콜렉션
Documentary / 168min / 2010
89
Li Ning Collection
4. 지구의 표면 2 모래 / 물 / 하늘 / 두 개의 신체…그 외에는 아무런 생명도 없다. 시간도 공간도 , 시작도 끝도 없는 알려지지 않은 행성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 ,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그들은 어떤 관계인가?
4. Land Froms 2 Sand / water / sky / two bodies…besides, no other lives. Such a unknown planet without time and place, without beginning and end. They don’ t know where do they come from, where are they going?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ve?
5. 몸의 귀로
5. The Homecoming of the Body The cupboard was torn down Into pieces, floating on the black waves This woman, is my grandma More often She represents the soft murmur, helps me to fall asleep She is one eighth of what I belong …. What all your bodies left, stays in me Strayed in the emptiness Everything I touch Is vanity And vanity ….
찬장이 무너졌다 조각이 나고 흑색 물결 위에 부유한다 이 여성은 나의 할머니이다 종종 내가 잠들 수 있도록 그녀는 나직하게 속삭인다 나의 8 분의 1은 그녀로 이루어져 있다
.... 당신들의 몸이 남긴 것들은 내 몸 안에 존재한다 모든 것이 사라진 후 길을 잃은 내가 만지는 모든 것들은 공허하고 또 공허하다 ….
리닝 | Li Ning
Opera Series (Opera 1, Opera 2, Opera 3)
Short Animation Series / 11min 50sec / 2006
우쥔용에게 있어 세계는 서커스와 같고 , 인생은 다양하면서도 단조로운 하나의 공연이다. 마치 명멸하는 말처럼, 우쥔용이 창조하는 이미지들은 간헐적인 내러티브의 축을 중심으로 맴돌면서 끝나지 않는 하나의 이야기를 자아낸다. 우쥔용의 이미지를 재생산하는 재주는 악의적이면서도 자기만족적인 관음증, 사회에 대한 관음증적인 관찰에서 온다. “퍼레이드”부터 “오페라” 삼부작까지 , 또 “슬랭”으로 이어지는 이미지들은 인간의 이면의 동기에 대한 그의 관찰의 결과와 유머러스한 표현이다. 이 모든 것들은 우쥔용의 사회적인 도상을 구성한다. 그가 구상하고자 의도하는 사회에서 , 권력과 욕망, 정치와 에로티시즘은 웃음거리가 된다.
90
For Wu Junyong, the world is a circus, life is a performance, diverse yet monotonous. The images that Wu Junyong creates are as if flickering words, repetitively sliding on the axle of intermittent narratives, knitting a never-ending story. Wu Junyong ’s strong ability of image reproduction comes from his voyeuristic observations toward the society, a malevolent yet self-entertaining voyeurism. From the “Parade” to “Opera” trilogy, then to “Slang”, these images are his observations and humorous expressions towards humanity ’s ulterior motives. All these constitute Wu Juyong’s social iconography. In the society that he intends to construct, power and desire, politics and eroticism are farcical.
우쥔용 | Wu Junyong
Time of Stomach
Short Animation / 8min 11sec / 2011
91
우쥔용은 1978년 푸젠 지방에서 태어 났다. 그의 작품들은 드로잉, 유화, 조각,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그는 “신체와 정치의 혼성”이라는 개념에 집중하였고 그의 작품의 대부분은 생리학과 사회학 사이의 경계에서 표류하고 기인한다. 그의 작품은 현실과 환상을 혼합하여 사회를 묘사한 것이다. 그가 창조해낸 이미지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히고 또 동요하는 동시대인들을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Wu Junyong was born in 1978 in Fujian Province. His creation includes drawing, oil painting, sculpture, animation, etc.. He is so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the hybrid of body and politics” that almost all of his works derive from and drift along the boundary between physiology and sociology. His work is the social portrait interweaving reality and illusion. The images that he has created are the most tangling and unsettling amongst his contemporaries.
우쥔용 | Wu Junyong
포츈 텔러
Documentary / 132min / 2010
92
Fortune Teller
리바이청(Li Baicheng) 은 중국사회에서는 불법으로 분류되는 점쟁이 일을 직업으로 삼고 있다. 그의 고객들은 주로 매춘부와 같이 중국사회에서 불법으로 규정되고 있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는 가족들의 학대를 당한 경험이 있는 청각장애와 지적 장애를 앓고 있는 부인 펄(Pearl)과 함께 베이징시 근교의 마을에서 점을 봐주며 살고 있다. 다큐멘터리 ‘ Fourtune Teller ’ (점쟁이) 는 점쟁이 리바이청(Li Baicheng)의 마을에서의 삶을 통하여 중국 사회의 감추어진 주변부의 삶을
쉬 통 쉬퉁은 1965년생으로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그는 Communications University에서 영화학을 전공했으며, 첫 장편 다큐멘터리 ‘Wheat Harvest’ (밀 추수)로 2009년 CinDi의 ‘레드 카멜레온’ 상을 수상, 2010년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에 초청을 받았다. 그의 두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포춘텔러’는 중국 다큐멘터리에서 심사위원 상을 수상했으며 중국 독립 영화제가 선정한 최고의 중국 다큐멘타리 10편에 선정되었다.
진솔하고 밀도 있게 담아내고 있다.
Li Baicheng is a charismatic fortune teller who services a clientele of prostitutes and shadowy figures whose jobs, like his, are commonplace but technically illegal in China. He practices his ancient craft in a village near Beijing while taking care of his deaf and dumb wife Pearl, who he rescued from her family ’s mistreatment. The colorful life of a countryside fortune teller provides a candid and deeply revelatory look at people living on the fringes of Chinese society.
쉬 통 | Xu Tong
Xu Tong Xu Tong was born in Beijing in 1965. He graduated from Communications University with a major in film. Wheat Harvest is his first feature-length documentary, which won the Red Chameleon at CinDi in 2009 and was selected by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2010. His second featurelength documentary Fortune Teller won the Jury Prize at the Chinese Documentary Festival, was selected among the Best Ten documentaries at the China Independent Film Festival.
올드 독
Drama / 86min / 2011
93
Old Dog
티벳유목견은 티벳 사람들의 경작물과 가축을 지키는 견종 (犬種 )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왔으며, 최근에는 이국적인 생김새로 중국의 부유층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어 그 몸값이 치솟고 있다. ‘남자’는 마을 주민들이 기르는 티벳유목견들이 도둑맞는 것을 보고 , 한발 앞서 자신의 집에서 키우는 티벳유목견을 암시장에 팔아 이득을 챙기기로 한다. 유목일을 하는 남자의 아버지는 개가 없어진 것을 알고 분노를 하며 개를 다시 사들일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개를 다시 사들이려고 할수록 그의 가정을 위협하는 희비극적인 일들이 일어나는데……
The Tibetan nomad mastiff is an exotic prize dog in China, fetching as much as millions of dollars from wealthy Chinese. When a young man notices several thefts of mastiffs from Tibetan farm families, he decides to sell his family ’s dog before it is stolen and sold on the black market. His father, an aging Tibetan herder, is furious when he discovers their dog missing. When the father seeks to buy the dog back, it leads to a series of tragicomic events that threaten to tear the family apart, while showing the erosion of Tibetan culture under the pressures of contemporary society.
페마 체덴 | Pema Tseden
페마 체덴은 티벳 영화계의 신성이자 작품전체를 티벳어로 촬영하는 중국에서 활동 중인 유일무이한 감독이다. 그의 세 번째 작품 ‘올드 독’은 티벳의 빈곤한 시골마을이 배경으로, 감독은 유머러스하지만 진지함을 잃지 않은 채 마을 주민들의 삶을 카메라에 담는다. ‘올드 독’은 뛰어난 HD 촬영기술을 이용하여 빈곤으로 인해 황량한 티벳 마을의 모습과 장엄한 히말라야의 풍광을 생동감 넘치게 담아냈다는 점에 있어 눈 여겨 볼만하다. 페마 체덴은 그의 작품을 통하여 티벳인의 눈으로 바라본 티벳을 영상으로 재현해내는 작업을 해내고 있다.
Pema Tseden is the leading filmmaker of a newly emerging Tibetan cinema and the first director in China to film his movies entirely in the Tibetan language. His third feature Old Dog is both a humorous and tragic allegory and a sober depiction of life among the impoverished rural Tibetan community. The masterful HD cinematography perfectly incorporates the desolate living conditions of these outpost towns whilst magnificently capturing the majestic Himalayan scenery which surrounds them. Pema Tseden shows Tibet through Tibetan eyes, as it is lived and experienced by ordinary people.
위구오의 휴일
Documentary / 48min / 2009
94
Yuguo and His Mother
위구오의 엄마인 리우샤는 위구오가 어릴 때 남편과 사별했다. 알코올중독에 시달리는 그녀는 위구오를 잘 키울 수 없었지만 정부보조금 덕분에 위구오는 다른 도시로 가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리우샤는 순록과 술에 의지하며 우울한 나날을 보냈다. 위구오가 방학 동안 다싱안링 산맥 깊은 곳에 있는 에벤크로 돌아왔을 때 그는 13 살이었고 그 곳은 몇 년 전과는 완전히 달라져 있었다. 취한 어머니와 절망한 삼촌, 순수한 부족 사람들, 익숙하면서도 기이한 숲, 그는 혼란의 시기에 빠지게 되는데..
Liuxia, Yuguo’s mother, lost her husband when her child was young. Suffered from excessive drinking, she was not able to support Yuguo. Thanks to the financial aid from the society, Yuguo was sent to Wuxi to accept free education. After that, Liuxia lived with gloom everyday and she could find sustenance in reindeer and alcohol. In a winter vacation, Yuguo came back to his hometown---Ewenke, which was deep in Daxing’anling. He was then thirteen, totally different from the Yuguo that had left this place years ago. Growing up in the city, Yuguo then had to face his drunk mother, the frustrated uncle, the innocent tribes people, and the familiar but strange forest. He was going through a period of confusion…
구타오 | Gu Tao
아오루구야, 아오루구야…
Documentary / 90min / 2007
95
Aoluguya, Aoluguya…
300년 전에 시베리아에서 다싱아링 산맥으로 이주해 온 에벤크 족은 빽빽한 원시림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사냥을 하고 순록을 기르면서 살아왔다.
2003년에 , 에벤크 족은 숲에서 나와 정부에서 지은 거주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사냥이 금지된 현재 , 에벤크 족은 진퇴양난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과부인 리우샤는 술에 취해 살아간다. 허시에는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슬픔을 하모니카 연주로 표현한다. 시간은 흘러가고 , 순록의 방울소리도 점점 희미해져 간다. 마지막 족장 마리아 수어는 무기력하게 변화를 지켜볼 뿐이다. 한편 , 에벤크들이 살던 그 숲은 아직도 그들의 것일까?
In the Greater Xing’ an Mountain of northern China,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share their life with the reindeers. These Ewenkis people came from Siberia over three hundred years ago. They have been living in the dense primeval forest and surviving on hunting and raising reindeers in their own traditional way. In 2003, the Reindeer Ewenkis came out of the forest and moved down to the new settlement built by the government. Now with hunting also banned, the Reindeer Ewenkis find themselves in a dilemma. Liushia, a woman whose husband has passed away, makes herself numb with alcohol. He Xie expresses the sadness in his heart through his harmonica. Time is passing… the sounds of deer bells are fading away… Maria Suo, the last chief of the tribe, watches the changing of time helplessly. But does the forest the Ewenkis used to know still belong to them?
구타오 | Gu Tao
OAF, 뉴 포커스 OAF, New Focus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가 두 차례 공모를 거쳐 엄선된 국내 신인 작가들의 작품들을 선보인다. 각 섹션에서 다양하게 소개되는 실험영화, 다큐멘터리, 미디어 아트등의 작품들은 섹션에 신선함과 흥미로움을 더해준다. 참신하고 재능있는 작가들이 선보이는 귀중한 작품들을 통해 국내 비상업 영화의 밝은 미래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 Art Festival will be showing works by new Korean artists carefully selected through two contest rounds. Each section introduces diverse works such as experimental film, documentary, and media art, increasing interest and novelty to each section. Viewers will get a chance to see valuable works created by refreshing and talented artists and discover what a bright future domestic noncommercial film has.
심사평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오프앤프리 국제영화 예술제는 영화의 다양성을 지키고 키워 나가는 전초기지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철저히 자본의 논리가 지배해가는 우리 영화의 현실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오락과 흥행만 남은 극한의 토양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단순히 예술영화에 국한해서만이 아니라 영화 전체를 위해서도 이제는 실험성과 창의성이란 자양분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이번 영화예술제 출품작에 대한 심사 에서도 작가의 실험성과 창의성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물론 작년 영화 예술제의 성과와 비교하면 올해 출품작의 규모면에서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전 작품들과 비교해볼 때 작품의 다양성은 물론 실험영화에 대한 이해도와 완성도의 측면에서는 확실히 진일보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번 상영작들에서는 단순히 실험성만을 목적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작품의 창작과정에서 실험성이 자연스럽게 발현된 작품들을 좀 더 많이 접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다양한 형식만큼 작가들의 시선도 더욱 다양한 주제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점들은 비록 좀 더 많은 노력과 발전을 필요로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영화제의 미래에 희망과 기대를 갖게 합니다. 또한 올해 작품들에서 남는 아쉬움들이야 말로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가 지속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내년에는 더욱 다양하고 실험성이 넘치는 영화들의 참가를 기대해봅니다.
The Commentary As we present 4th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is year, we appreciate the role for the festival once again, which is the basement for preserving and growing the diversity of the films. Ruled by the logic of capitalism, our films are having more difficulties than ever before, as they have been left just for entertainment or success. In this context, experimentation and creativity is needed as the nourishment for the whole films, not only for the art films. The experimentation and the creativity of the directors, of course, was certainly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this year. Compare to the last festival, the scale of the entries did not meet our expectations, but however, you will learn that not only for the diversity of the works but also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al films and the completeness of the work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our entries, you will learn that the experimentation of the works was revealed spontaneously during the film making process, not just meant for an experiment. As there is diversity in the forms, you will also learn that the perspective of the directors is moving on to various subjects. Eventually through this festival, though it still needs to be put more efforts and development, we can hope for a new future. Most of all, this circumstance give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us, we are happily expecting to have more diverse and experimental works next year.
당신
Short film / 11min42sec / HD / 2012
You
당신은 어렸을 때부터 지금 현재까지의 이야기를 나에게 들려준다. 철없을 적 어린 시절부터 유명한 배우를 꿈꿨던 사춘기 시절 , 남편의 무관심에 큰 상처를 받아 이혼 후 여태까지 그 무거운 트라우마를 짊어지고 살고 있는 지금의 모습까지 . 나는 당신의 이야기를 들으며 당신의 순간들을 떠올린다. 그 당시 당신이 보았을 모습들과 느꼈을 감정들을.
You tell me the stories from when I was young to until now, from the days when I was just a mere child and the days dreaming of a famous actress in teenage to nowadays, suffering traumas after the divorce from the indifference of my husband. As I hear the stories from you, my mother, I think of the moment you had, I think of how you watched me and how you felt about me by then.
송민주 | Song, Min Ju
2012 서울국제실험영화제 상영 2012 서울독립영화제 상영
98
방관자들
Short film / 20min / HD / 2011
99
The Beholders
주인공인 여학생은 남·여학생들에게 정신적 , 육체적 폭행을 당한다. 그러던 어느 날, 지하주차장에서 자동차 보유불명사고를 목격하게 되고 , 늘 무심하게 지나쳤던 CCTV가 누군가가 피해를 입으면 그제야 찾아 돌려봐지는 것을 알게 된 여학생 . 여학생은 자신을 폭행하고 , 괴롭혔던 학생들을 자동차 보유불명사고가 일어났던 주차장 CCTV 앞으로 유인해 온다. 그리곤 누군가가 피해를 입으면 CCTV를 찾아 돌려볼 것이라는 생각에 차가 손상이 되도록 일부러 차가 있는 쪽으로 와서 두들겨 맞는데…
A schoolgirl is physically, mentally assaulted by other schoolgirls and schoolboys. One day, the schoolgirl witnesses a car accident of unknown cause at underground parking lot, and realizes that people try to play CCTV that she has not been concerned for only when they are involved in an accident and damaged by the accident. She entices the girls and boys in towards a spy camera in the parking lot where the accident of unknown cause occurred and she makes them beat her intentionally to damage a car because she thought that people would play the CCTV for the damaged car someday.
박석재 | Park, seock Jae
제12회 대구단편영화제 (DIFF 2011) 국내경쟁 제29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 (BISFF 2012) 본선경쟁 제17회 인디포럼 영화제 (Indieforum 2012) 신작전 제6회 여성인권영화제 (FIWOM 2012) 초청작 제17회 광주인권영화제 (GJHRFF 2012) 비경쟁
Supermarket Fantasia
Short film / 11min 29sec / HD/ 2012
물건에 가격이 매겨지듯이 인간에게도 가치가 매겨진다는 어이없는 현실 사회를 슈퍼마켓이라는 장소를 빌어 표현하고자 했다. 슈퍼마켓은 현실의 축소판이며 사장은 우리 모두의 대변자로 기능한다. 사실 전혀 슈퍼마켓 같지 않은 슈퍼마켓에서 소비자와 물건의 관계와도 같은 사장과 손님의 관계를 통해 우리 사회의 물질주의 , 자본주의의 아이러니를 유쾌한 척 그려내고자 했다.
Expressing a ridiculous social phenomenon of pricing on human, like they have been pricing on goods, from a supermarket as the background: The supermarket as a miniature of the reality and the manager as the representative of our society.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manager and the customers in the weird supermarket, which is similar to the relation between customers and goods, tried to express the irony of materialism or capitalism in our society in humor.
김나경 | Kim, Na Kyeong
2007 <햇살도 소용이 없다> 2008 <치킨갓> 2008 <절에 가다> 2009 <Bravo, Mongolia> 2011 <Danny’s Dream> 2012 <뽀득뽀득> 2012 <슈퍼마켓 판타지아>
100
아이들을 위한 그림 영화 - 북한 애니메이션
Documentary / 50min / HD / 2012
A Picture Movie for ChildrenThe Animations of North Korea ‘북한에도 애니메이션이 있을까? 정답은 있다.’ 라는 질문과 대답에서 시작되었다. 북한 정부 (김정일)의 직접적인 간여를 받으며 성장한 북한 애니메이션에 대해 우리들이 가져야할 시각에 대해 고찰한다.
It was started from the question, ‘are there any animations in North Korea? ’. Fortunately, there were. The animations of North Korea has been developed by the government, started from Kim, JongIl, which making us to be suspicious about it. However, this documentary film will help for having our better perspectives by providing various references.
February
Short film / 4min 20sec / HD / 2011
공, 나무, 그리고 바람. 빛, 그림자, 그리고 표면
A ball, A tree and wind, light, shadow and surface
박세환 | Park, Se Hwan / 조인한 | Jo, In Han
101
플라잉피그
short film / 31min / HD / 2012
102
Flying Pig
살아야 하는 이유는 아주 사소한 것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것이든 목적이 있는 한 우리는 결코 죽으려 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스로가 삶을 포기한 아주 극단적인 상황에서 , 자신이 타인에게 살아야 할 이유를 제공해 주게 된다면. 하는 생각으로부터 출발했다. 이러한 아이러니를 페이퍼 크래프트라는 매력적인 소재와 소녀와 소년의 아름다운 우화로 담아 보고자 한다. 2012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희망버스 러브스토리
The reason for living could be only a small thing. Whatever the actual reason is, we never attempts to die if we have the reason. My thought started from an extreme situation that if the oneself is already willing to die but gives the reason for living to the others. I tried to put this irony using the fascinating subject, the paper craft, into a touching story about a boy and a girl.
Animation / HD / 8min 26sec / 2012
A Love Story in the Bus with Hopes 2011년 크레인 위의 여성 노동자 김진숙의 309일간의 투쟁과, 그녀를 응원하기 위해 찾아갔던 사람들의 아름다운 이야기를 크레인 로봇이라는 판타지를 덧붙여 레고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해보았다.
In 2011, a female worker named Kim, Jin Sook fought against a company on a crane for 309 days. With the crane robot fantasy, the touching story about the protest and people who went there to support has been reconstructed as an animation. 2012 광주인권 영화제 2012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초청 2012 SICAF 2012 미장센단편영화제 비정성시 2012 인천여성영화제 2012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2012 삼성첸나이 여성영화제 2012 대만여성영화제 2012 정동진독립영화제 2012 인디애니페스트 박성미 | Park, Seong Mi / 박성은 | Park, Seong Eon
GV후 After GV
Short film / HD / 14min 46sec / 2012
두 이야기가 서로 엮이고 침범한다. 그 모호한 경계를 표현하고자 했다.
Two stories tangling up and violating the other. The indefinite boundaries between the two stories was what I attempted to show.
임지은 | Lim, Ji Eun
2008 [올 스탠바이] 연출 제11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제9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최우수 감독상, 동상 2011 [고백전야] 연출 제12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103
더줌
Short film / 13min / HD / 2012
104
The Zoom
이 이야기는 이솝우화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2006
바탕으로 현재 ,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작은 삶은
배설의 경계/KT&G 영상AWARD 심사위원 특별상
힘들다. 그리고 지속된다. 라는 의도로 접근하여 모든 영상 CUT에 Zoom In 또는 Zoom Out 으로 이미지를 구성하므로 서 , 이 이야기를 축소 또는 확대 할 수 있도록 감성적 접근과 전달의 가능성을 표현해보려고 노력했다.
2007 정서적 싸움/6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본선선정
2008
This story based on Aesop´s Fables of ‘golden goose’ tried to express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approach and transfer enabling zooming in or out of this story by composing images of zoom in or zoom out in every film cut with the intention of saying ‘Currently, simple and valuable life is tough and continuous.’ this story
신재영 | Sin, Jae Young
자위적 싸움/7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및 1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2009 감성적 싸움/8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4만번의 구타부분 최우수작품상
2011 화의 전이/9회 아시아나 국제 단편영화제 본선선정
트리오롤로
Short film / 18min 47sec / HD / 2012
105
Tokyo Triololo
도쿄의 어느 세 가지 음악 오래된 음악 다방에서 , 작은 술집에서 , 객석이 열 자리뿐인 라이브홀에서 음악을 듣는다. 책을 읽다가 산책을 하다가 커피를 마시다가, 들리다가 들리지 않는다. 제자리로 돌아간다. 음악 들을래? … 어떤 음악이 좋아? …
Three some kind of music in Tokyo. at historical music salon, small pub with some cocktail, listening to the music in seat consist of ten at Live hall, reading a book, drinking a coffee, come back to standstill during some can listening, and can’ t listen anymore all we listen to music? …
What kind of music do you like? …
오롤로 | Orolo
OAF, 퓨처 OAF Future
새로운 off 영역의 신인들에 대한 후원과 교육 양성에 중점을 두는 신인육성 프로젝트이다. 3~4명의 신인작가와 젊은 큐레이터 / 비평가 신인을 각각 선정해서 서로 짝을 지어 글을 쓰고 포트폴리오를 발전 , 갤러리와 영화계 , 공연예술계의 전문가들에게 연계해주고 네트워크를 독려한다. 공식 영화제 기간 이후 프로그램의 말미에는 신인작가들과 큐레이터 / 비평가들이 기획한 전시가 아르코 미술관 스페이스 필룩스에서 열린다. 20대의 젊은 기획자들과 비평가, 큐레이터, 작가들을 격려하고 인큐베이팅하는 기획으로서 토크는 예술가의 집에서 오프 퓨쳐 섹션과 공동 진행될 예정이다.
참여 신인 작가 김태윤 엄귀현 참여 신인 큐레이터/비평가 김솔지 박현주 윤민화
오프퓨처 프로그램 최희범, 이재용
OAF, 아카이브 섹션 OAF, Archive
2012년도 작가들의 인터뷰 아카이브 섹션이다. 그들의 작업과 공공성을 둘러싼 이야기들을 심층 인터뷰 방식을 통해 담아 영화제의 웹사이트 , 인터넷 TV(아프리카), 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아카이빙하고 방송할 예정이다. 좌담에는 영화제에서 처음 시도되는 20대의 프로그램 팀과 진행 운영팀들이 동시에 참여한다. 오프- 퓨쳐 섹션과 공동 진행되며 1. 예술제를 만드는 사람들과 작가들의 커뮤니케이션의 적극적 기록 2. 1회성 상영이나 공연으로 이해가 어려운 현대예술작업들의 새로운 미학적 시도들을 깊이있게 조명 3. 20대의 젊은 세대들과 예술계의 대화를 통한 소통증대 의 의의를 갖는다. 예년에 시도되었던 단순한 Docent 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프로그램 팀을 운영, 다양한 전공 백그라운드를 가진 20대들이 기획부터 아카이빙에 이르기까지 적극 참여하도록 하였다.
오프 아카이브 프로그램 노성언
OAF, 토크 OAF, Talk
주제: 공공성과 현대예술 공공예술을 둘러싸고 제 분야의 전문가, 학자, 관계자들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가 예술가의 집 다목적 홀에 마련된다. 공공성이라는 주제에 맞추어 포럼에 참석한 패널들과 관객들 간의 원활한 소통과 이를 통해 현대 예술과 공공성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창이 열리길 기대한다.
정재형 안연정 김곡 옥인콜렉티브 신지승 전숙희, 와이즈 건축
오프앤프리 국제영화예술제 조직구성
OFF&FREE International Film & Art Festival Organization
조직위원장 정재형 동국대학교 교수 조직위원 강남규 툰집 대표 강문석 영화사 ‘기억속의 매미’ 대표 고창수 시인 , 실험영화감독 김수신 레알 성형외과 원장, 의학박사 김재봉 멀티화인테크 대표 박일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변인식 영화평론가, 전 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 안태근 EBS PD 이광모 아트하우스 모모 대표 , 영화감독 정중헌 서울예대 부총장, 전 문화예술위원회 위원 조문진 영화감독 지종학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 , 경남대학교 초빙교수 진승현 진진엔터테인먼트 대표 , 호서대학교 교수 집행위원장 한옥희 실험영화, 다큐멘터리 감독 문원립 동국대학교 교수, 다큐멘터리 감독 부집행위원장 이공희 실험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집행위원 김석범 수원대학교 교수 김시무 영화평론가, 부산영화연구소소장 김형수 연세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교수 김현옥 계명대학교 교수, 무용가 김혜신 건국대학교 초빙교수, 한국해양대학교연구교수 민경원 순천향대학교 교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영화교육위원장 소재영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어일선 청주대학교 교수 연동원 영화평론가 오창근 서강대학교 겸임교수 유양근 영화학 박사, 프로듀서 육정학 영남외대 교수 이경숙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센터 연구원 이용주 국민대학교 교수 이일수 백제예술대학 교수 최영익 영화강사협의회 회장 한승용 전주대학교 교수 자문위원 신강호 한국 영화교육학회장 김세훈 영상기술학회 회장 배장수 한국영화평론가 협회장 정용탁 전 한양대학교 교수 지명혁 국민대학교 교수 최길규 KBS 심의실 전문위원 , PD 한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공모작 선정위원장 박종호 동국대학교 교수 공모작 선정위원 이경숙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센터 연구원 정재형 동국대학교 교수 한옥희 실험영화, 다큐멘터리 감독 프로그램 프로그래머 장호진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최희범 오프 더 랜드 프로그램 이아람, 박현주, 이경민 씨네 어필 프로그램 박현주, 이재용, 이아람 현대 중국 실험 영상 예술 프로그램 이준영 프로추어 어택 프로그램 김다울 오프퓨처 프로그램 최희범, 이재용 오프 아카이브 프로그램 노성언 프로그램 지원 이석영, 허혜영 참여자 엄귀현 김태윤, 박현주, 김솔지 , 김동환, 박상은
커뮤니케이션팀
Proposal Zoe weber (canada) 해외작가섭외 Andrew Ratermann (USA) 중국세션섭외 및 통역
Lucile Gautier (France) Takyin Cheung 해외섭외 이경민 통역 Nikki Ang 최우식(일본어)
Daniel Lee Michael Clark Emeka Ozuku Joaguin Quentes (spanish) Serin Bropleh 이민수 도슨트 김기윤, 김소희 , 안수언, 이민재 , 이재아, 주원탁, 최은영 사무국 사무국장 노성언 운영팀장 최휘병 홍보팀장 정세아 홍보팀 이윤경 기술팀장 유한아 번역팀장 정은준 번역팀 우지희 , 최명지 , 한민희 , 황보현, 황현태 현장기록 이재진 , 이규범 디자이너 신덕호 참여업체 디지털 마스터링 비주얼스튜디오 초콜릿 자막 스팟팅 흰고래 미디어 장비대여 서울영상미디어센터, 제이토스 회의장소 제공 카페모아 (숙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