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rchitecture, as in any creative practice, successful
Tracing their origins to the folk painting tradition of Korea
여느 창의적인 작업과 마찬가지로 건축에서도 형태와
한국의 전통회화인 '민화'에 근원적 기반을 둔 캐스퍼
between form and function. This perspective asserts
Kang’s visual inventory are not entirely his own;
관점은 근본적으로 공존할 수 없는 디자인의 부수적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형태적 요소들은
design is often distinguished by the balance it strikes
creative compromise as an inevitability of design,
envisioning its subsidiary elements as being fundamentally incompatible. But a truly inspired
approach to design transcends these concerns; by embracing obstacles and innovating toward symbiotic
solutions, form and function cease to be at odds with one another, and creative harmony emerges where once only dissonance was expected.
Casper Kang, a Canadian artist of Korean descent,
creates his distinctive paintings with an unquestionably architectural eye. Kang’s approach to his painting
practice is rooted in his wide-ranging vision for his work’s
unified whole as well as his acute awareness of the component parts used to realize it. Drawing from his
background in architecture, Kang’s knack for keeping these two perspectives simultaneously in focus induces
his artistic ‘double vision’ which underpins the enigmatic aesthetic sensibility and expressive potency his paintings are known for.
The individual images collected to form Kang’s DIVVISIONS serie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in nature
than the complex renderings depicted in his paintings, however. This disparity is the result of a very different
method of production required to make them; rather than integrating various discrete formal elements into a
cohesive pictorial whole, Kang inverts this process in
order to dissolve these larger composite representations
into their constituent parts. Kang then breathes new life into the isolated graphic fragments that emerge from this extraction process, repurposing them as the visual
components he fuses together to create the paintings of his defining oeuvre.
known as minhwa, the formal elements which comprise notwithstanding, they serve as the graphic infrastructure
which enable his decidedly unorthodox logic of representation. Rather than striving to comprehend the symbolic value of minhwa forms within their traditional
aesthetic framework—as visual signifiers of traditional Korean ideals—Kang deliberately narrows his focus, eschewing any attempt at interpretation and limiting his
기능의 조화가 디자인의 성공을 결정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구상하는 디자인의 필연성으로서 형태와
기능의 창조적 조화를 역설한다. 그러나 디자인에 대한 진정성 있는 접근은 형태와 기능의 부조화에 대한 우려를 초월한다. 장애 요인들을 수용하고, 형태와 기능이
공존할 수 있는 해법을 위한 혁신을 시도함으로써
불협화음을 이루던 형태와 기능이 대립을 멈추고,
perception to a purely objective assessment of their
창조적 측면에서 조화를 이루게 된다.
specificity, they acquire new functionality as key terms in
한국계 캐네디언 아티스트인 캐스퍼 강은 뚜렷한
vernacular.
대한 그의 접근 방식은 작품 속에 통합된 전체를
formal attributes. Once stripped of their historical/cultural
the visual vocabulary at the core of Kang’s own aesthetic
DIVVISIONS is a partial index of this vernacular. The individual fragments presented here converge in Kang’s
paintings, where his duality of perception is manifested
as a singular visual language. Kang claims the formal elements of the past by assuming a detached neutrality
건축학적 시각으로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인다. 작품에
작품을 통해서 잘 알려진 불가사의한 심미감과 표현력,
이 두 가지 관점을 동시에 아우르는 창의적인 '이중
offers valuable insight into Kang’s personalized system
작품들과는 기본적으로 다르다.이러한 차이는 매우
개별 이미지들은 복합적인 회화 기법으로 구현된 그의
상반된 작업방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형태를 이루는 별개의 요소들이 복합적인 전체 그림을
Independent Curator
나타내는 시각적 요소로 해석하기 보다는 민화의 형태적 요소들을 철저히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일체의 다른
해석을 배제시켜 의도적으로 제한된 영역에 작업의
초점을 맞춘다. 이와 같이 역사적/문화적 고유성에서
탈피한 형태적 요소들은 캐스퍼 강, 자신만의 미학적
표현 양식의 근저를 이루는 핵심적 비주얼 언어로서 그의 작품 속에서 새로운 기능을 부여받는다.
각각의 이미지들은 그의 이중적 시각이 비범한 비주얼
캐스퍼 강의 'DIVVISIONS' 시리즈를 구성하고 있는
Andy St. Louis
미학구조의 상징적 가치를 한국의 전통적 이상향을
일을 했던 경험에 기반을 둔 캐스퍼 강의 능력은 그의
대한 날카로운 인지 감각에서 기인한다. 건축관련하여
aesthetic framework. Presented here for the first time
of visual expression.
기반구조를 형성한다. 그는 민화가 내포하고 있는 전통적
‘DIVVISIONS' 시리즈는 캐스퍼 강의 그러한 미학적
시각'을 만들어 낸다.
as standalone images unto themselves, DIVVISIONS
그의 뚜렷한 비전통적 표현논리를 구현하는 그래픽
구현하는 폭넓은 시야와 그 전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에
to dissociate them from their minhwa etymologies and
revalue their expressive potential within his own
강의 작품 속 형태적 요소들은 온전한 그 자신의
구성하도록 작업하기 보다는 복합된 전체가 그
구성요소들로 분해되는 정반대의 작업방식을 사용한다.
그러한 분해 과정을 통해서 분리된 그래픽 조각들에 그는 새로운 숨결을 불어 넣고 모두 결합하여 자신이 구상한 작품 전반의 시각적 요소로 재구성한다.
표현 양식의 부분적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수록된
언어로 구현된 그의 작품을 통해서 하나로 수렴된다.
캐스퍼 강은 객관적 중립성을 가지고 민화의 근원적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리시켜 자신만의 미학적 구조 내에서 그러한 형태적 요소들의 표현적 가능성을 재해석하고 있다. 독립적인 이미지로서는 처음 선보이는 'DIVVISIONS'는 캐스퍼 강의 고유한 비주얼 표현기법에 대하여 가치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