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기업내지92p

Page 1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2009 디렉토리북

착한 기업

행복을 나누는 따뜻한 기업, 사회적기업이 만듭니다.



축하 글

지역실정에 맞는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해 힘쓸 것...

광주의 (예비)사회적기업을 위한 홍보책자를 발간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어려운 가운데에도 소외된 이웃들에게 일자리와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애를 쓰고 계시는 사회 적 기업가와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사회적기업은 정부, 지자체, NGO와 착한 기업이 만나 취약계층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사회통합 대안입니다. 이미 영국, 이탈리아,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급증하는 복지재정에 대처하면서 정부 서비스의 사각지대 도 축소시킬 수 있는 주요 방안의 하나로 사회적 기업이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고용 없는 성장이 심화되는 가운데 사회적기업은 일자리 창출의 새로운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 사회적기업이 하루 빨리 뿌리내리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민간기업, NGO 등 각 부문간 상 호 협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 시는 지역 실정에 맞는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해 조례를 제정하는 한편, 사회적기업 생산제품과 서비 스 구매 촉진에 더욱 힘쓸 것입니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내의 영리기업, 전문가 그룹 등 민·관이 협력체를 구성하고 지원한다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내 참여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기업이 많아질 것입니다. 이 홍보책자의 발간은 사회적기업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기업이 보다 더 시민들에 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무쪼록, 사회적기업이 범시민적 관심과 공감대 속에 크게 확산되기를 바라면서, 모든 분들의 앞날에 건 강과 축복이 함께 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광주광역시장


여 는글

사회에 좋은 일도 하고 수익도 내는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은 사회적으로 착한 일을 하면서, 수익을 내어 일자리를 유지하는 기업입니다. 사 회적으로 착한일이란 우리 사회에 필요한 값있는 일을 말합니다. 가난한 아동들을 위해 싼값에 도시락을 제공하고, 공부방을 마련해주고, 병약한 노인의 재활을 돕는 일도 합니다. 노인, 장애인, 새터민 등 취약계 층을 고용해서 제과 제빵 일을 하기도 하고, 음악 미술 분야 등 문화예술 인력을 고용하여 지역에 도움이 되 는 문화콘텐츠를 생산하고 공공예술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들이 그동안 공익활동을 해온 비영리 NGO와 다른 점은 사회적 윤리적으로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수익 을 창출하는 일을 한다는 것입니다. 사회적 문제로부터 수익모델을 만들고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하여 일 자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합니다. 이러한 사회적기업은 우리 사회의 희망이고 자산입니다. 무제한의 이윤창출경쟁으로부터 공동체가 파괴 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장치입니다. 정부의 대민 서비스가 비효율적이고 형식적이지 않도록 생명과 진정성 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회적인 경제활동, 현재의 경제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한 개념이라 할 수도 있습 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적인 영역의 경제활동이 필요합니다. 더 이상의 시장실패와 정부실패를 보완하기 위 해서입니다. 우리 한국사회에서도 수십 년의 시민사회의 성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식의 제고, 정부의 합 리적 서비스전달체계를 정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 등으로 볼 때 이젠 실현가능한 대안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기업의 자립과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소비자들은 윤 리적 소비를 통해 이들을 지원해야 합니다. 장애인과 새터민이 만드는 과자나 도시락을 일부러 마음을 내서 구입해줘야 합니다. 특히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사회적기업의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해주어야 합니다. 사회적기업이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이 생산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널리 홍보하고 학습해야 합니다. 본 홍보 책자는 이러한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책자의 발간을 위 해 광주광역시와 광주지방노동청의 도움이 큰 힘이 되었습니다. 광주(예비)사회적기업협의회는 기획과 자 료조사, 편집을 위해 시간과 정성을 기울여 주셨습니다. 다시 한 번 도움주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아무 쪼록 이번 책자발간이 광주 사회적기업들의 홍보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광주경제살리기운동본부 위원장

이민원


이익을 만들고 행복을 나누는 착한기업 빵을 팔기 위해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하기 위해 빵을 판다.”사회적기업을 소개할 때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물론 이 말 하나로 사회적기업의 모든 것을 표현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 사회에 사 회적기업이 왜 필요한지를 잘 나타내주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적기업은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경제의 사각지대, 즉 이윤이 나지 않는 다는 이유로 일반 기업에게 버 림받았던 - 하지만 이 사회에 꼭 필요한 - 분야에서 생산 및 서비스 활동을 하는 기업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 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선진국에서는 많은 지원과 혜택, 그리고 시민 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구매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막 첫걸음을 디딘 우리나라는 많은 단체와 기업들이 높은 의욕을 가지고 출발하였지만 부족 한 인식과 열악한 지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 광주 지역에도 70여개의 사회적기 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질이 일반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음에도 부족한 인지도와 인식 그리고 홍보 부족 등의 이유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고자 우리 협의회에서는 광주경제살리기운동본부와 함께 이 책자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을 소개하고 생산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향상 및 판매촉진에 기여하고자 하오니 많은 시민, 그리고 단체와 기관들의 관심 및 적극적인 도움을 부탁드리고 자 합니다. 아울러 이 책자를 만드는데 많은 도움을 주신 광주경제살리기운동본부, 그리고 적극적인 지원을 마다하 지 않으신 광주광역시와 광주지방노동청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 올리면서 우리 사회적기업들은 더 욱 유익하고 건강한 활동을 통해 보답을 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김윤기

광주·전남(예비)사회적기업협의회 공동대표


Contents

초대 글 여는 글 착한소비자의 하루 착한기업 소개

005p 006p 010p 012p 공연01

교육02

024

014

문화·체험03

032

미술04

보육·돌범05

042

046 비즈니스 06

056

Food07

062

Living08

074


공연01 01 02 03 04 05 06 07 08

(사)광주전남행복발전소 (사)나눔노인복지회문화사업단 (사)맥지청소년사회교육원 (사)문화터미널 (사)아시아공연예술위원회 (재)유당문화재단 신명아트센터 퓨전국악연구회 아이리아

015p 016p 017p 018p 019p 020p 021p 022p

교육02 01 02 03 04 05 06 07

(사)광주경제문화공동체 (사)빛사랑청소년회 (사)외국인근로자문화센터 (사)통섭 (사)한누리 (사)흥사단광주지부 누리문화재단

025p 026p 027p 028p 029p 030p 031p

문화·체험03 01 02 03 04 05 06 07 08

033p (사)광주불교교육원 034p (사)대동문화재단 035p (사)광주전남숲생태해설센터 036p (사)지역미래연구원 037p (사)한국인간교육연구원 화 문화공동체 038p 교육문화공동체결 039p 미디어연구소 040p (사)광주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

미술04 01 (사)북구장애인복지회 02 (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043p 044p

보육·돌범05 01 02 03 04

(사)광주광역시교통약자지원센터 (사)광주여성노동자회 (사)부름의전화장애인자립생활협회 (사)하누리노인복지센터

047p 048p 049p 050p

05 06 07 08 09

051p 광주YMCA 열린육아지원센터아가야 052p 광주YWCA 드림헬퍼 053p 노동실업광주센터 054p 대원노인복지센터 055p (사)희망복지회

비즈니스 06 01 02 03 04

(사)광주장애인정보화협회 (사)빛고을미래사회연구원 (사)한국부동산개발연구원 (주)빛고을건설

057p 058p 059p 060p

Food07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사)광주도농교류협회 (사)일촌공동체광주전남본부 (사)청소년광산문화의집 (사)틔움복지재단 (사)하늘빛사회복지회 (유)자미푸드 (유)행복을나누는도시락 광주남구시니어클럽 광주동구지역자활센터 씨튼장애인직업재활센터 엠마우스일터

063p 064p 065p 066p 067p 068p 069p 070p 071p 072p 073p

Living 08 01 02 03 04 05 06 07 08

075p (사)한국근로청소년 능력개발원 076p (사)한국운동건강협회 077p (사)해피웨이 078p (재)광주 YMCA 빛고을 바이크 사업단 079p 나무야가구야 080p 소화아람일터 081p 한마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082p (사)실로암사람들

착한기업이야기 착한소비 10계명

084p 086p


착한소비자 K씨의하루 수완지구에 사는 K씨. 두 아이의 엄마이자, 한 남자의 아내이며, 한 기업의 직원인 그녀의 일상 속에는 늘 착한 소비가 함께 한다. 그녀의 행복한 일상을 한번 들여다보자. 일러스트_ 부창조

07:00 기상 이른 아침 출근준비를 하는 K씨. 중증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에서 제작하는 칫솔로 이를 닦고, 우리쌀 미강유로 만들어 우리 농촌을 살리 는데 도움을 주는 천연비누로 세수를 하니 얼굴이 환하다. 환경을 훼손 하지 않으면서도 네팔의 가난한 여성들의 자활을 돕는 친환경소재 옷을 입으니 오늘 하루 왠지 기분이 좋아진다.

08:00 아침 아침을 든든하게 먹어야 하루가 편하다. 오늘 아침은 우리콩으로 만들어 담백한 건강두부와 유기농으로 재 배한 새싹채소에 팔레스타인 농민들이 일일이 손으로 따서 만든 최고급 등급의 올리브유를 사용한 건강 식 탁을 준비해 보았다.이른 아침 출근준비를 하는 K씨. 중증장애인을 고용한 사회적기업에서 제작하는 칫솔 로 이를 닦고, 우리쌀 미강유로 만들어 우리 농촌을 살리는데 도움을 주는 천연비누로 세수를 하니 얼굴 이 환하다. 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네팔의 가난 한 여성들의 자활을 돕는 친환경소재 옷을 입으니 오 늘 하루 왠지 기분이 좋아진다.


14:20 업무 회사에서도 그녀의 착한소비는 빛을 발한다. 환경을 생각해 폐카트리지를 재사용한 재생 토너와 재생 종이로 만든 종이 볼펜을 사용하니 처음에는 무관심했던 사무실 사람들도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다. 나른한 오후에는 장 애인들이 우리밀로 만든 쿠키와 네팔과 동티모르 농민들에게 공정무역을 통해 수입한 커피로 졸음을 달래본다.

18:00 퇴근 퇴근 길, 시골에 계신 부모님 건강이 걱정되어 우체국에 들러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들이 직접 재배한 건강콩으로 만든 청국장 가루 세트를 보 내주었다. 믿을 수 있는 제품을 보내드리고 나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19:30 저녁 저녁 식사 전 우리 아이를 위한 간식으로 새터민들이 만든 영양간식 느릅찐빵과 유 기농콩으로 만든 유기농콩버거를 주었더 니 너무나 좋아한다. 설거지를 할 때도 지 역여성들의 자활을 돕는 앞치마와 친환경 수세미 사용을 잊지 않는다.



착 한기업소개


공 연 01

ㅣ (사)광주전남행복발전소 ㅣ (사)나눔노인복지회문화사업단 ㅣ (사)맥지청소년사회교육원 ㅣ (사)문화터미널 ㅣ ㅣ (사)아시아공연예술위원회 ㅣ (재)유당문화재단 ㅣ 신명아트센터 ㅣ 퓨전국악연구회 아이리아 ㅣ


015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광주전남행복발전소 문화도시 일자리 사업단

시민들의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모 아 현실화 시켜 내는 일을 하는 민 간 싱크 탱크 NGO입니다.

- 친환경 유기농체험 및 유통 판매 - 행복음악회 개최 및 음반판매 - 아시아문화도시 홍보 - 대중교통사랑 홍보

광주전남행복발전소 ●

대 표 자 김한배

광주전남지역 시민들의 행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사업

사업형태 기타 (음반, 대중가수공연,

을 개발하여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므로써 상호작용인한 시너 지 효과를 가지며 이는 곧 일자리 창출과 수익창출, 사회적 목적 달성, 지역경제 발전을 동시에 추구한다.

대중교통, 그림지도광고)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

987-49 2F 연 락 처 Tel. 062-373-0259 홈페이지 www.happyngo.net

주요사업 ● ●

- 행복창안센터 나 + 사회 = 행복, 아이디어 제안을 통해 개척하고 실현시키는 사업

- 풀뿌리연구센터 광주전남지역의 지방도시와 농촌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 연구

- 시민문화센터 시민들의 문화적인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대안 연구 및 실천

- NGO 성장센터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을 이해 발돋움하는 블루오션 센터

- 봉사실천센터 행복발전소의 회원들간의 유대 강화는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나눔노인복지회 음 악치료 예술공연뮤지컬단

뮤지테라컬”은 뮤지컬(MUSICAL) +테라피(THERAPY)의 합성어로 음악을 통한 정서적 치료를 목적으 로 활동하고 있다.

대 표 자 박안순 사업형태 기타 (문화)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97-98 연 락 처 Tel. 062-521-2194

설립취지 ●

문화, 예향의 도시 광주 최초의 전문 뮤지컬단으로 예술전공자 의 일자리 확대 및 문화적 소외계층까지 문화의 향기를 전파하여 뮤지컬을 지역의 문화사업으로 확대한다. 공연실적 ●●

- 가족뮤지컬 : 가족이라는 이름의 행복 - 로맨틱 코미디 뮤지컬 : 총각 연애허다

016


017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3

Living

사단법인

맥지청소년사회교육원 맥지희망나래단

위기청소년·취약계층 청소년들 에게 취업기회 제공을 통해 자립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사업단이다.

- 문화예술공연교육팀 - 헤어디자인팀 - 문화교육체험팀(동구문화센터팀)

맥지청소년사회교육원 ●

대 표 자 노성대

민주화를 정착하기 위하여 1980년대 태동한 맥지회를 중심으로

사업형태 기타 (문화예술공연 및 체험)

창립되어 청소년들에게 그 정신을 계승하고 사회발전의 씨알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소득층 청소년 수련활동은 물론 위기 소외 나아가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적극적 회복, 치유프로그램을 실 시하여 끝내는 최혜자로 재탄생시켜 사회에 합류토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혜자란 가장 많이 나누는 사람이 가장 값진 것을 얻는다는 뜻 으로 이의 실천을 위하여 학교 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도시속참사 람학교, 정신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있는 청소년을 위한 맥지위 기청소년교육센터와 광주광역시중장기청소년쉼터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저소득층 및 위기청소년들에게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힘을 갖도록하기 위하여 예비사회적기업인 맥지희망나 래단을 운영하고 있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소태동 449 연 락 처 Tel. 062-368-8041

Fax. 062-368-8042 홈페이지 www.macji.or.kr


04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문화터미널 문화공간창출사업

지역 예술단체의 자생력 확보와 공연 문화를 활성화여 모두가 함께 즐기는 문화공간을 만든다.

대 표 자 방극만

문화터미널 ●

사업형태 기타 (공연문화 사업)

콘텐츠 제작을 통해 지역예술단체들이 21세기문화환경에 적응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 177-39 광주영상예술센터 302호 연 락 처 Tel. 062-675-4027

하고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진보하고자 모여서 설립된 문화 예술단체 커뮤니티이다.

Fax. 062-675-4028

사업목적● ●

상시 활용도가 낮은 지자체공공시설 및 부지를 활용하여 상설 전 시 및 공연을 통한 문화특성화공간을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연‘순수’● ● ●

- 순수 시민들의 문화 접근성 확대를 위하여 야외 공간을 활용하는 시민문 화공간 특성화사업

- 터미널 지역 예술가들에게 공연기회를 제공하고 작품을 콘텐츠로 제작함으 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콘텐츠제작형 사업

018


019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5

Living

사단법인

아시아공연예술위원회 빛고을예술공동체 (Light city Art Community)

문화예술을 통하여 사회적 문화 예술 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 문화예술 활 동을 촉진시키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사업 ●

대 표 자 이정재

- 복합(융합) 장르의 공연예술단 구성

사업형태 기타 (공연예술 활성화 사업)

- 다양하고 풍부한 내용의 공연 상설화 - 사회적 서비스 제공 - 새로운 작품 창작 및 상품화 - 공연예술인들의 일자리 창출 도모 - 사장성의 확보 기대효과 ● ●

- 시민대중의 문화예술 향유권 충족 - 공연예술인의 경제적 어려움 경감 - 공연예술 관련업계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 부양 - 문화수도 광주의 새로운 비젼 실현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290 조선이공대학 창업보육센터

407호 연 락 처 Tel. 062-226-2030

Fax. 062-226-2031 홈페이지 www.gjasia.org


06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재단법인

유당문화재단 꿈꾸는 예술

전문 음악인 (클래식)으로 구성된 예 술단이 임의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재미있는 음악서비스를 제 공한다.

대 표 자 최상옥

꿈꾸는 예술 ●

사업형태 기타 (공연문화 사업)

국내외에서 열정적인 활동으로 기량을 인정받은 전문 연주자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891-8 은석빌딩 5F 연 락 처 Tel. 062-655-3533

Fax. 062-222-3522

이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고 늘 색다른 모습을 선보이기 위해 연습 하고 또 연습합니다. 함께 만들고 함께 즐기며 함께 나누는 문화’ 라는 슬로건 처럼, 쉽고 재미있는 공연, 한 번 보면 오래도록 잔잔한 여운을 남기는 예술활동을 하겠다. 테마 ● ●

- 꿈꾸는 솔리스트 - 꿈꾸는 뮤지스타 - 꿈꾸는 공연플래너, 아트마케터, 공연매니저, 디자이너들 - 꿈꾸는 예술의 아주 특별한 관객들

020


021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7

Living

신명아트센터 굿’ 과‘놀이’ 의 재해석

굿’ 과‘놀이’ 의 재해석을 통한 공연예술이다.

- 전통연희를 활용한 공연제작 - 굿과 놀이의 재해석 - 공연컨텐츠 개발 등

대 표 자 박강의 사업형태 기타 (공연예술)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

390-11 3F

주요사업 ●

- 마당극 창작 및 공연 - 전통연희 양식의 계승과 재창조 탈춤, 판소리, 풍물등 전통적 연희양식을 소재로 한 작품의 창작과 공연으로 통해 현대적인 재창조와 계승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지역문화유산의 재발견 및 컨텐츠화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역에 존재하는 인물, 문화유산, 유무형의 문화자산등을 소재로한 공연작품화를 통해 지역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시도와 함께 컨텐츠화에 노력하고 있다.

- 지역문화정책연구 및 교류활동 우리 지역에 맞는 문화정책의 연구와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지역내 시민사회단체 및 타지역, 해외의 문화예술인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연 락 처 Tel. 062-527-7295

Fax. 061-381-7297


08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퓨전국악연구회

아이리아 재즈의 나비, 국악의 꽃에 앉다

민족의혼이담겨있는전통적인국악 의 가락에 동·서양의 다양한 음악을 접목시켜, 소리와 떨림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모두가 함께하는 나눔의 예술활동을 하는 (예비)사회적기업 으로서 국악 및 음악전공의 청년일 자리 제공을 통한 국악공연 및 국악 교육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대 표 자 강혜경

퓨전국악연구회 아이리아 ●

사업형태 기타 (국악공연, 국악교육)

우리민족의 노래 아리랑의 후렴구‘아리랑’ ‘ , 아라리요’ 에서 차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1272-2 연 락 처 Tel. 0505-955-3535

Fax. 062-252-3046 홈페이지 cafe.naver.com/iria

용하여 새롭게 창작한 단어로 싱그러움과 생기를 불어넣는 상생 의 소리이며‘나’로서‘나’를 이롭게한다(我以利我)는 것은 국 악인과 재즈그룹이 어우져 모두가 활력 넘치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다. 공연구성 ● ●

가야금, 해금을 비롯한 국악기와 드럼, 비이스등의 현대악기가 어우러진 연주곡과 보컬이 함께 노래하는 어울림 공연이다.

022



교 육 02

ㅣ ( 사)광주경제문화공동체 ㅣ (사)빛사랑청소년회 ㅣ (사)외국인근로자문화센터 ㅣ (사)통섭 ㅣ ㅣ ( 사)한누리 ㅣ (사)흥사단광주지부 ㅣ 누리문화재단 ㅣ


025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광주경제문화공동체 경제교육 및 전통시장 발전 사업단

광주지역 최초의 체계적인 경제교 육을 실시하는 단체로서, 소비자 주권시대를 맞이하여 개인이 국 내·외의 경제적 흐름을 냉철하게 판단하고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 록 교육하는 단체이다.

광주경제문화공동체 ●

시민을 위한 경제기초 강좌에서부터 투자활동에 관한 다양한 교 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외 심도 있는 경기지표 분석을 통해 경제동향에 관한 수많은 연구보고서를 간행하고 있으며, 또한 광주지역의 경제와 산업을 분석하여 빛고을 광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아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이바지 하고 있다. 주요사업 ● ●

- 경제교육강좌 시민강좌·실전기업분석(초급반), 경제증권강좌, 시민무료강좌(중급반), 인문학강좌 - 경제간행물 발간 경제서평, Paper, 산업보고서, 칼럼 - 전통시장 발전사업단 소식지 발간 (월간지) , 전통재래시장 홈페이지

대 표 자 윤영선 사업형태 사회서비스(교육)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161-42 연 락 처 Tel. 062-431-6339

Fax. 062-262-6340 홈페이지 www.kjecc.or.kr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빛사랑청소년회 아름다운 빛으로의 여행

청소년특기적성 방과후 교육프로그 램 운영을 통한 청년·중·장년 및 실 직여성을 위한 사회적일자리 창출 사업이다.

대 표 자 김한민

빛사랑청소년회 ●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인류의 고귀한 가치인 사랑과 평화의 정신을 바탕으로 21세기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새로운시대의 주인공이 될 청소년 여러분들과 함께 소중한 청소

북구 중흥동 288-9, 3F

년기의 꿈을 함께 만들어가고 더 밝은 미래를 향한 힘찬 발걸음

북구 오치동 974-7, 1F

을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 락 처 Tel. 062-525-0916

Fax. 062-525-9884 홈페이지 www.vits.or.kr

주요사업 ● ●

- 문화교실 : 뮤지컬, 보컬, 째즈댄스, 그룹밴드(기타,드럼) 축구,야구 - 인재계발교육 : 멘토링교육,직업교육,상담교육,학습코치 - 체험학습캠프 : 연중 계절체험 기대효과 ● ● ●

청소년들의 재능과 소질을 개발 할 수 있는 참여활동을 적극 유 도 지원하여 사회와 청소년들이 하나되어 밝은 사회를 만듦을 목표로 하며 인성과 적성교육을 통해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제 공하고 미래를 설계해서 보다 건전하고 밝은 사회를 만들어 나 가고 있다.

026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3

Living

사단법인

외국인근로자문화센터 다문화가정자녀 정규 전일제교육사업

문화적, 언어적, 인습적 갈등을 해소하는 능력을 부여함과 동시 에 긍정적 마음을 유도하여 우리 사회에 친밀하게 다가갈 수 있도 록 한다.

외국인근로자문화센터 ●

대 표 자 이천영

상담 및 한국어교육, 의료지원, 통역지원, 쉼터,컴퓨터교육사업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을 통한 적응능력을 배양하여 한국의 이미지를 대외적으로 증진 시키며 대 내외적으로 친한 외국인친구를 양성하여 미래에 한국 의 문화외교, 통상과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법인을 통하여 외국어능력을 배양하고 외국문물을 접할 수 있 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요사업 ● ●

- 외국인 근로자 상담소 운영 - 쉼터운영 및 무료급식 - 교육활동, 문화 친교활동, 무료통역활동 - 정기 외국인 근로자 모임(하남센터, 평동센터)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823-1 연 락 처 Tel. 062-943-8930

Fax. 062-943-1634 홈페이지 www.carenation.or.kr


04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통섭 여성과학일자리 창출사업 문화과학 놀이터

일상생활 속에서 무심코 지나치는 자연현상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 게 하고 기초적인 탐구방법과 과학 적 지식을 습득하여 어린이들이 논 리적이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 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대 표 자 임종준 사업형태 사회서비스(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290 조선이공대학1호관 410호 연 락 처 Tel. 062-512-0868

062-236-1223 Fax. 062-226-2038

통섭(統攝, Consilience) ●

- 지식의 통합’ ,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연결하고자 하는 통합 학문이론 ◦ 현대 학문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 ◦ 인문분야와 사회분야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는 학문 ◦ 사단법인 통섭에서는 과학교육분야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분야의 결합을 추진 하고자 한다.

주요사업 ● ●

- 초등학교 학생 대상의 방과후 프로그램 ◦ 단계적

프로그램 : 단계별 A,B,C,D 단계로 구성됨

◦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 일반 시민 대상의 프로그램 ◦ 백화점

문화센터 프로그램, 지역주민센터 프로그램

기대효과 ● ● ●

손꼽히는 교육 내용을 통한 미래 창조적 청소년 육성 / 단순 교육 에서 공연을 통한 예술적 무대로의 승화 / 창조적 인재 양성 / 사교육비 절감

028


029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5

Living

사단법인

한누리 배우는 즐거움, 품앗이 교육 공동체

저소득층 교육격차 해소 및 고학 력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교육 서비 스 제공사업이다.

사단법인 한누리 ●

대 표 자 송하성

저소득층 학습부진 학생의 교육 및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고학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력 실업자 대상 방과후 교육부문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설립 되었다.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

1230-12 연 락 처 Tel. 062-527-5186

주요사업 ● ●

- 자기주도 학습코칭’서비스 - 협동학습기반‘프로젝트형 체험캠프’서비스 - 리더쉽 교육 서비스 - 부모 코칭 교육 서비스 - 가정방문 돌보미 서비스 교육프로그램소개 ● ●

- 성품교육 - 목표설정교육 - 몰입기억법 - 자기주도학스법 - 체험학습

Fax. 062-527-5180 홈페이지 www.hannuritv.org


06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흥사단광주지부 세상을 움직이는 작은리더

민족과 사회발전에 이바지 할 사명 감 있는 인재,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한다.

- 기러기어린이아카데미 - 놀토체험프로그램 - 친교 및 공동체 프로그램 강사 - 안창호리더쉽프로그램

대 표 자 최영태

사단법인 흥사단 ●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도산 안창호 선생의 거룩한 애국 애족 정신을 실천하여 건전한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수기동 5-4

가치관과 도덕적 품성을 형성하고 단체 생활 능력을 기르며 민주

연 락 처 Tel. 062-223-6659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여 한국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

Fax. 062-223-4885

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여 다양한 수련 활동과 시민운동을 하는

홈페이지 www.kjyka.or.kr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민 단체(NGO)이다. 기러기어린이아카데미 ●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흥사단 출신 전문교육자들의 커리큘럼과 대학생들의 생활 멘토링으로 어린이들의 건강한 자아개발, 꿈과 진로탐색, 리더쉽과 대인관계능력, 문화감수성과 생태적 가치, 더불어 경험을 통해 자신의 꿈을 성취하고 민주적 지도자의 인격 을 갖춘 참 인물로 성장케 하는 어린이 회원제이다. ✽대

상 : 초등학교 3학년~ 6학년(가족함께참여시 1,2학년 가능)

✽일

정 : 매 주 토요일 6개월 과정 운영(1,3주 오후/ 2,4주 종일)

✽참가회비 : 월 회원 8만원, 놀토 회원 5만원, 1회 참가 3만원 ✽프로그램 : 1주-리더쉽,진로프로그램 /2주-문화예술체험활동

3주-학습교과과정 / 4주-생태,역사탐방

030


031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7

Living

누리문화재단

꿈누리사업단 자라나는 새싹들의 꿈을 위한 도약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생태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 해 나가는 사업단입니다.

- 진로교육 - 부모교육 - 생태, 문화교육 - 기타교육

꿈꾸는사업단 ●

대 표 자 조상권

초등학생(4 ~6년)과 중학생(1 ~ 2년)을 대상으로 교육 전문가의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자문과 20여명의 전문강사진이 참가자의 특성과 조건에 맞는 진 로코칭, 셀프리더쉽, 팀워크배양, 문화감수성 함양 등 다양한 교 육(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장동 17-1 한국전산인쇄 4F 연 락 처 Tel. 062-226-6108

Fax. 062-225-0039

주요사업 ● ●

- 꿈꾸는아카데미 문화교실 눈으로 한번보고 스쳐 지나가는 체험이 아니라, 직접보고, 생각하고, 만들고, 느끼는 체험학습 교육과 함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함으로써, 창의력 향상, 수학적, 과학적, 자연 탐구력, 정서, 지능 발달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 꿈꾸는아카데미 생태체험탐험대 제도권교육이 담아내기 어려운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한다.

- 꿈꾸는아카데미 진로코칭 공부의 의미를 인식해 스스로의 힘으로 바람직한 성장을 할 수 있도 록저문적인 코칭을 해주는 곳이다.

홈페이지 www.knoori.or.kr


문 화 체 험 03

ㅣ (사)광주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 ㅣ (사)광주불교교육원 ㅣ (사)대동문화재단 ㅣ ㅣ (사)광주전남숲생태해설센터 ㅣ (사)지역미래연구원 ㅣ ㅣ (사)한국인간교육연구원 화 문화공동체 ㅣ교육문화공동체결 ㅣ 미디어연구소 ㅣ


033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광주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

영상미디어 활용을 통한 교육인력 양성사업이다.

- 개인 및 기업의 영상콘텐츠 제작 - 영상미디어교육 - 지역축제,기업행사,공연등기획연출 - 2D 애니메이션(컬러링) 임가공

주요사업 ●

대 표 자 정환담

영상미디어 콘텐츠 제작 : 영상의 주인은 사람입니다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 지역 홍보물 및 문화 관광 영상 제작 ◦ 다큐멘터리및 문화콘텐츠

DB작업

(간병, 보육, 교육 등) 기타 (기획연출, 영상제작, 컬러링)

영상미디어 활용 전문 강사 : 본다는 것은 의미와 만나는 것입니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4가 5

◦ 아동·청소년·소외계층 대상 영상미디어 교육

연 락 처 Tel. 062-228-9968

◦ 미디어 활용 프로그램 교육 ◦ 역사 다큐멘터리, 영화로 배우는 논술 교육

기획 이벤트 : 차별화된 기획과 연출로 고객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전합니다 ◦ 지역축제 등 이벤트 기획 및 연출 진행 ◦ 지역축제 모니터링(평가) 및 대안 개발 ◦ 기업행사 및 엔터테인먼트·예술 공연

애니메이션팀 2D 애니메이션(컬러링) 임가공

Fax. 062-228-9972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광주불교교육원 문화사업팀뮤지컬단

시민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쉽 고 바르게 전하고, 민족문화의 축 이며 21세기의 대안문화인 불교 문화를 보급하는 불교문화·교육 도량이다.

- 어린이 역사문화 탐방 - 사찰순례 - 성보(문화재)해설

대 표 자 이범석

주요사업 ●

사업형태 사회서비스(교육)

- 사업계획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가

22-2, 우리빌딩 10F 연 락 처 Tel. 062-228-9098

Fax. 062-228-9003

◦ 불교 포교사 및 지도자 양성(불교문화대학·대학원) ◦ 성보해설사 양성(자격증 부여) ◦ 불교 대중화를 위한 포교·봉사활동 ◦ 불교문화 유적답사·어린이 역사문화탐방 ◦ 전통사찰문화사업단(사찰 성보해설 및 안내책자 출판)

- 연구, 출판사업 ◦ 불교교리 및 불교문화 조사 연구 ◦ 불교문화 관련 도서 및 불교교육 교재 출판 ◦ 불교교육 프로그램 및 불교문화체험 프로그램 개발

- 교류, 협력 사업 ◦ 내외 불교단체 및 문화 관련 단체와의 교류·협력 ◦ 남북 불교문화 및 아시아 불교문화 교류·협력

034


035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3

Living

사단법인

대동문화재단 남도 문화 지킴이 사업단

남도 문화재 지킴이들은 지역의 문화유산을 알고, 가꾸고, 지켜나 가는 자율적 시민운동이다.

- 지킴이 사업단 - 문화예술 교육사업단 - 디자인 사업단 - 공공미술 사업단 - 문화콘텐츠 사업단

대동문화재단 ●

대 표 자 조상열

교육, 예술 후원, 답사, 문화기획, 출간부분에서 우리역사, 문화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예술의 참 의미를 바르게 알게 하여 문화예술의 저변층을 확산하 는데 크게 기여했으며, 시민 문화예술 사회 교육의 장을 마련하 는 등 남도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는 시민문화운동 단체이다.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 2동

541-4, 대원빌딩 3F 연 락 처 Tel. 062-461-1500

Fax. 062-674-6560

주요사업 ●●

- 정기 출판문화 사업(격월간 문화전문지“대동문화”발간) - 문화답사 및 문화재 지킴이 자원봉사 활동 - 초등학교(시민단체) 파견 방문 문화유산 교육(방문교육 활동) - 문화유산 해설사 양성 및 지원사업 - 문화예술 행사 기획 사업(행사 기획, 행사 준비 활동) - 출판 및 디자인 기획 사업 단행본, 도록, 소식지, 리플렛 등 출판물과 CI, 캐릭터 등의 디자인 기획, 디자인 기획물의 상품화 활동

- 문화콘텐츠 제작 홍보 사업 지자체 홍보 동영상 촬영, 프로덕션 제작, 교육용 영상 제작, DVD 타이틀 제작 활동

홈페이지 www.daedongc.com


04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숲해설가협회 광주전남협회 숲으로가는 사회적기업 생태해설센터

숲과 자연을 사랑하며 그 속에서 지혜를 얻고 건강한 자연관을 실천 한다.

- 숲해설가 양성교육사업 (산림청 인증 제10호) - 숲 해설사업

대 표 자 이관우

숲해설가협회 ●

사업형태 사회서비스(문화, 교육)

숲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숲과 자연 생태에 관한 소양과 지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696-51

식을 제공하여 자연친화적인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함양하도록

연 락 처 Tel. 062-223-3279

하여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숲 해설가의 양성

Fax. 062-233-3279

교육과 재교육을 실시하여 그 능력과 자질을 높이며 숲 해설가

홈페이지 cafe.daum.net/forestguide

상호간의 정보 교류와 친교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사업 ● ●

- 사회봉사형 ◦ 취약계증 / 지역아동센터, 장애인 복지관 ◦ 노인단체 및 마을공동체 무료 숲생태해설

- 일반형 ◦ 숲 생태관련 공공기관 의뢰 숲생태해설 ◦ 시민단체 문화해설및 숲해설

- 유료형 ◦ 초등학교 방과후 교실, 유치원생태교실 ◦ 기업체문화행사 및 농촌마을 체험행사

036


037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5

Living

사단법인

지역미래연구원 문화재예방관리센터

소중한문화유산의보존을목적으로 과학적방법을 통해 문화재의 예방· 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단체이다.

- 문화재예방관리사업 - 역사문화체험프로그램 - 역사문화컴텐츠제작사업 - 비지정문화유산발로사업 - 문화재활용사업학생 및 일반시민

주요사업 ●

대 표 자 정담

- 문화재예방관리사업

사업형태 기타(문화)

◦ 문화재 일상관리, 문화재 모니터링, 문화재 경미보수 ◦ 문화재 정보

DB화 사업:

문화재 상태 및 주변 환경 정보를 망라한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문화재 인터넷 포털사이트 구축

- 문화재수리기능사 및 지도사 양성 사업 전통문화지도사 양성, 문화재 해설사 양성

- 문화재 캠페인사업 문화재 사진전 ,1문화재 1지킴이 운동

- 문화유산 보존운동 문화유산신탁운동, 훼손문화재보존기금 모금 캠페인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134-8, 내일신문 3F 연 락 처 Tel. 062-365-0030

Fax. 062-365-0036 홈페이지 www.cultural.or.kr


06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한국인간교육연구원 화(和)문화공동체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사회

화(和)문화 공동체활동을 통해 빛고 을 평화마을 만들기 사업이다.

대 표 자 윤순홍

주요사업 ●

사업형태 기타 (예술작품)

- 법원 요보호청소년’교육프로그램 운영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 4-7, 연 락 처 Tel. 062-372-9578

Fax. 062-372-9582 홈페이지 www.allareone.co.kr

- 학교폭력, 가정폭력’예방 교육프로그램 운영 - 교육공헌대상’행사 및 교육신문(Edu-Times) 발행 - 소외계층’ 의 문화교육 및 일자리 창출 보급운동 ●●

- 愛書圖 (애서도) : 무병장수 기원 - 和書圖 (화서도) : 성공적인 삶을 통해 행복을 기원

038


039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7

Living

교육문화공동체 결 문화재 生生프로그램

조선 최고 학자인 고봉 기대승 선 생의 숨결과 함께 떠나는 월봉서 원 체험프로그램이다.

- 춘설차만들기 체험 - 청소년철학걷기캠프 - 월봉서원 철학스테이 - 의재미술관 어린이 도슨트

고봉숲 산책길을 따라서 ●

대 표 자 민문식

미래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이 계산풍류의 정신과 엄격한 선비정

사업형태 사회서비스(문화, 교육)

신을 걸음으로 잇고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진정한 나와 세계를 발견하므로써 삶의 힘을 깨닿는“生生”교육문화 프로그 램이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

70, 3F 연 락 처 Tel. 062-432-1318

Fax. 062-430-1319 홈페이지 www.gyeol.org

프로그램 ● ●

- 청소년 철학 걷기 캠프 과거고봉기대승선생이걸었던계산풍류의길과오늘날계산풍류의 장이 펼쳐지는 곳을 오늘날 청소년들이 걸음으로 잇고 이 시대 스승 과의 만남을 통해 자기 자신과 시대를 성찰할 수 있는 미래형 청소년 인문 배움의 장입이다.

- 월봉 서원 철학스테이 학문정진과 예절 교육의 산실인 서원에 머무르면서 본래 기능을 현 대적 의미로 되살린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서원의 가치를 이 해하고 자기 성찰과 관계 회복, 지친 심신의 활력을 찾아가는 온전 한 배움과 살림의 장입이다.


08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미디어연구소 미디어교육 및 영상컨텐츠 제작사업

미디어교육지도사를 양성하고, 지 역의 영상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 하기 위한 비영리공익사업을 목적 으로 한다.

- 영상제작분야 - 미디어(UCC)교육분야 - 영상자서전분야 - 스토리텔링 분야

대 표 자 이상걸

주요사업 ●

사업형태 기타 (미디어관련 분야)

- 미디어교육 분야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 177-39,

◦ 영상시대에 따른 영상교육 수요의 증대

광주영상예술센터 103호

시민대상 영상제작교실, 장애인 영상제작교실, 민간단체, 기업 및

서구 농성동 622-23,

주민자치센터 문화프로그램 영상제작교육

미디어연구소 4F 연 락 처 Tel. 062-366-9003

Fax. 062-366-9004

- 영화 및 영상제작 분야 영화아카데미 및 영화제작, 인터넷방송‘시민TV’ 고정, 기획다큐멘 터리 제작, 방송프로그램 제작, 기업홍보영상 제작, 문화 / 관광 분야 홍보영상 제작(스토리텔링과 연계), 영상자서전 제작

- 디지털 스토리텔링 분야 ◦ 만화, 영상 자서전, 동화 등의 스토리텔링과 디지털화 사업

영상 대본 등 시나리오 작업, 지자체 역사유적, 인물 관련 시나리오 사업, 기업 소사·약사·전사 편찬 작업, 자서전, 전기 등 집필 대행 사업, 광고·애니·영화 등 시나리오 집필사업

040



미 술 04

ㅣ (사)북구장애인복지회 ㅣ (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ㅣ


043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북구장애인복지회 꿈엔밥예술사업단

- 공공미술 : 벽화봉사, 취약계층 미술봉사 - 농업체험학습 : 체험학습 친환경 농산물생산, 가축위탁사업

북구장애인복지회 ●

대 표 자 김재성

광주광역시 북구지역에 장애인들의 복리증진과 사회 참여, 재

사업형태 기타 (공공미술, 체험)

활 및 자립도모한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 222 연 락 처 Tel. 062-226-7579

Fax. 062-227-7579

주요사업 ● ●

- 공공미술프로젝트 지역 주민의 쾌적하고 문화적인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보장 하고, 소외지역의 시설과 장소에 대한 문화 나눔으로 사회양극 화 해소와 공공미술의 공익적 목표를 지향한다. ✽ 지역 환경 사업, 소외계층 미술교육 및 생태예술 전시

- 농업체험학습장 농촌 마을의 생태 문화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예술 체험과 올 바른 생태문화 체험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연 친화적으로 생산된 농산물을 판매함으로써 수익 창출을 이루는 녹색사업 이며 도시와 농촌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 ✽ 생태체험학습, 내가 기르는 가축, 친환경 농산물 생산

홈페이지 www.bgable.or.kr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재단법인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무돌아트컴퍼니

사회 + 예술 + 사람 화가들이 공동체를 이루고 창작활 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회 적기업이다.

대 표 자 김상윤

무돌아트컴퍼니 ●

사업형태 기타 ( 지역연대공공미술 사업)

친절한 화가 54명과 16명의 착한 기획자들이 모여 새롭고 다양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3가

1-5, 삼호별관 2F 연 락 처 Tel. 062-234-2727/29/30

Fax. 062-234-2728 홈페이지 www.mudolart.com

한 시도가 깃든 전시, 공공미술프로젝트, 문화상품들은 문화생 산자와 수요자를 상호 연계하며 지역문화의 빈곳을 아름답게 채 움으로써 이상한 나라 엘리스 같은 동화 즐거움을 나눠주는 곳 이다. 주요사업 ● ●

- 공공미술 - 찾아가는 갤러리 - 문화상품 - 미술은행 - 전시·기획

044



보 육 돌 봄 05

ㅣ (사)광주광역시교통약자지원센터 ㅣ (사)광주여성노동자회 ㅣ (사)부름의전화장애인자립생활협회 ㅣ ㅣ ( 사)하누리노인복지센터 ㅣ (사)희망복지회 ㅣ 광주YMCA 열린육아지원센터아가야 ㅣ ㅣ 광주YWCA 드림헬퍼 ㅣ 노동실업광주센터 ㅣ 대원노인복지센터 ㅣ


047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광주광역시교통약자지원센터 행복 Call 택시

장애 등으로 인해 이동에 어려움과 불편을 겪고있는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제공한다.

이용대상 ●

대 표 자 심정 보

1·2 급 및 3급 지적, 자폐성 장애인, 휠체어를이용한 65세 이상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노약자 및 동반가족(외국인포함)

(간병, 보육, 교육, 복지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

166-11, 대원빌딩 4F

전용택시 운행 기반 구축 ●●

- 전용택시 도입 : 15대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 - 전용택시 브랜드 (Naming) 개발 : 행복콜 택시 운영성과 ●●●

- 교통약자 이동권 확대로 취업·치료·여가 활동 기회 증대 -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를 법인화하여 전용택시를 위탁 운행함 으로써 전용택시 운행의 효율성 제고와 안정적 운영기반 구축 -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 취업기회 제공과 신규고용창출(20명)

-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지방노동청 장려금 지원 (229백만원)으로 근로여건 개선

연 락 처 Tel. 062-383-0130

Fax. 062-383-0160 홈페이지 www.gjtsc.com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광주여성노동자회 워킹맘지원센터

취약계층 고용을 통한‘찾아가는 가정보육사’ 의 보육서비스를 제 공한다.

- 보호서비스 - 교육서비스 - 기타보육서비스 - 지역자원 연계

대 표 자 주경미

워킹맘지원센터 ●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 목적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2동

641-8, 광주여성단체회관 2F 연 락 처 Tel. 062-361-3081

Fax. 062-361-3027 홈페이지 www.gjwwa.or.kr

◦ 한부모 및 저소득 맞벌이 가정/일반 맞벌이 가정에 대한 공공서비스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활대를 통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 보육서비스의 표준화로 보육문화 장착 ◦ 워킹맘지원센터 서비스의 사회적 기업화

- 통합보육서비스 ◦ 이용 대상 : 만

3개월 ~ 만 10세 초등저학년

◦ 대상 지역 : 광주 전지역 ◦ 세부프로그램

✽ 영아(만 3개월 ~ 36개월) : 워킹맘지원센터 보육프로그램 서비스, 아기 빨래, 젖병소독, 동화책 읽어주기, 놀이지도 등 ✽ 유아(36개월 ~취학전) : 워킹맘지원센터 보육프로그램 서비스, 보육시설(어린이집,유치원)등·하원,식사 및 간식챙기기,놀이활 동,문화체험활동,숙제도우미,병원데려가기,동화책 읽어주기 등 ✽ 초등학생 : 학교 등하교 지도, 식사 및 간식챙기기, 놀이활동, 문화체험활동, 숙제도우미, 동화책 읽어주기, 병원데려가기 등

048


049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3

Living

사단법인

부름의 전화 장애인자립 생활협회 더불어 사는 공동체

- 중증장애인 차량이동서비스 - 양봉사업

설립목적 ●

대 표 자 김종원

지역민의 이해와 협조로 빛고을에 거주하고 있는 재가 중증 장애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복지)

인과 독거 노인의 고충 해소를 위해서 각종 봉사활동과 지원사업 을 개발하여 실천함으로서 더불어 함께 사는 공동체 사회 구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802-3, 시은빌딩 6F 연 락 처 Tel. 062-682-5250

Fax. 062-682-5255 홈페이지 www.callphone.or.kr

주요사업 ●●

- 봉사대 운영사업 (차량, 가사, 직농 [이.미용,전기,설비,음악 등], 간병)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역량강화를 위한 봉사자 모집 및 교육사업 - 교육문화 강좌사업 (세미나 개최) - 중증장애인과 비장애인 결연 및 중증장애인가족 생필품 지원사업 - 중증장애인 권익보호 및 고충상담전화 운영사업 -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상담사업 및 재활촉진 수련회사업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기반조성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사업 - 중증장애인의 이해증진을 위한 홍보, 출판 계몽사업 - 중증장애인의 의식, 욕구, 실태파악 및 해결을 위한 정책건의사업 -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역량강화 지원기금 마련을 위한 수익사업


04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하누리노인복지센터 품앗이복지공동체

사회복지 이념을 바탕으로 어르신 들을 위해 각종 사회복지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 주야간보호 - 장기요양 - 노인돌보미 - 푸드뱅크사업 - 교육사업

대 표 자 한현성

하누리노인복지센터●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노인들을 위한 시설로 시니어 예술과 건전문화 보급 및 사회봉사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23-33

사업으로 건강한 사회인을 세우고 노인상담 및 치료, 노인폭력 등의 예방교육을 통하여 사회의 약자를 보호한다.

연 락 처 Tel. 062-376-7004

또한 가정봉사원을 파견함으로써 홀로 계신 어르신과 경제적으

Fax. 062-375-6579

로 고통받는 어르신들에게 안정적이고 희망적인 노후 생활을 누

홈페이지 hanuriwelfare.tistory.com

릴 수 있도록 돕는다. 주요사업 ●●

- 노인 돌보미 바우처 사업 정신적 신체적인 이유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힘든 어르 신들의 가정에 봉사원을 파견하여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 빛고을 뜸침 봉사단 운영 매주 지역의 건강이 좋지 않은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질병 예방과 치 료의 차원에서, 무료로 뜸침 봉사를 실시하고 있다.

- 가정봉사원 파견 및 교육 (주간·단기보호) 만 60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및 저소득 어르신을 찾아가 가 사,우애, 방문목욕 등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050


051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5

Living

사단법인

희망복지회 사랑과봉사를 생활화

독거노인 들이 대대로 살아온 이 지역에서 친숙한 환경과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을 인식케하고 노인들 에게 삶의 보람을 영위하기 위하 여 가정봉사원을 파견하여 정서 적으로 안정을 도모한다.

- 신체수발 및 가사지원 - 개인활동 지원, 간병활동

설립목적 ●

대 표 자 김영자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노인이있는 가정 및 독거노인들에게 또는 부득이한 사유로 가 족의 보호를 받을수 없는 심신이 허약한 노인과 장애노인 등에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1동

80-1

게 장기요양요원 및 노인 돌보미를 파견하여 일정시간동안 보호

연 락 처 Tel. 062-653-9313

하여 노인의 기능회복은 물론 가족 및 보호자의 안정을 도모하고

Fax. 062-653-2315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지원대상 ●●

- 65세이상 장기요양인증 신청자중 등외 판정자 - 65세이상 노인중 거동이 불편하여 수발을 요청한자 - 65세 미만자중 노인성 질병이 있는자 - 기타 장애인 취약계층(독거및 기초수급자) 에 있는자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

가사지원, 신체·개인활동, 우애, 목욕 (시설목욕탕 안내) 서비스

홈페이지 www.hymang.com


06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광주YMCA

열린육아지원센터아가야 시간제 보육사업

교보와 노동부가 후원하고 YMCA 가 운영하며, 취업취약계층 여성 들을 위한 사회적일자리를 창출 한다.

- YMCA 베이비시터 - 놀이시터 - 기관 파견 시터

대 표 자 김국웅

열린육아지원센터 아가야●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다양해진 보육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시간제 전담 시설을 운영함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

1057-11

으로서 한국사회의 시간제 보육문화를 정착시키고, 가정육아를 담당하는 사람들에게 자기개발과 취업지원을 하게되며, 또한 열

연 락 처 Tel. 062-955-6900

린육아센터의 운영을 통해 사회적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면서 사

Fax. 062-956-0333

회적 기업으로서의 자기매김을 비젼으로 전국적 규모의 공간과

홈페이지 www.hanamymca.com

파견 시간 전담 육아 서비스를 운영한다. 주요사업 ●●

시간제 공간서비스와 파견(베이비시터)서비스, 여성일자리 창출 과 지원,그리고 다양한 부모교육과 육아상담 등을 통해 여성- 가 족 - 보육 - 노동의 통합적 관점 속에서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 영유아 전용도서관‘꿈시루’ - 아가야 녹색가게‘생활재활용운동’ - 베이비시터 교육 지원 및 일자리 지원

052


053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7

Living

광주YWCA

드림헬퍼사업단 함께 이루어 가는 희망 도전

인간존중 / 소유와 나눔 환경사랑 / 화해와 공존

- 노인돌보미 - 가사도우미 - 다문화가정 한글지도

설립목적 ●

대 표 자 이옥식

젊은 여성들이 하나님을 창조와 역사의 주로 믿으며 인류는 하나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님안에서 한 형제자매임을 인정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치심 을 자기 삶에 실천함으로써 정의ㆍ평화ㆍ창조질서의 보전이 이루 어지는 세상을 건설함을 목적으로 한다.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유동

107-5, 광주 YMCA 1F 연 락 처 Tel. 062-522-3336/8

Fax. 062-529-1388

주요사업 ●●

- 노인돌보미 ◦ 노인들의 건강문제 소외감 해소 및 복지 활성화 ◦ 가족 간의 갈등 예방 및 보호 기능 보안 ◦ 모법적 사회적 역할의 모델 제시

- 가사서비스 ◦ 여성들의 사회 참여로 가사업무가 원호하지 못한 맞벌이 가정 ◦ 바쁜 일상에 쫓겨 가사 일에 부담 느끼는분들을 위한 가사서비스 제공

- 다문화가정 한글지도 ◦ 사회의 무관심속에서 심리적 고리감, 정서적 소외감 해결 ◦ 사회적응을 위한 지속적인 기회 넓혀주기 ◦ 생활안정, 미래 사회문제 미연에 방지

홈페이지 www.kjywca.or.kr


08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노동실업광주센터 함께 이루어 가는 희망 도전

내가족을 대하는 마음으로 성실 함과 책임감으로 편한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가사도우미 - 산모, 신생아 도우미 - 베이비시터 - 노인돌보미

대 표 자 정향자

노동실업광주센터●

사업형태 기타 (비영리 인간단체)

더불어 사는 따듯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지원활동을 펼치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2가

7-1, 2F

고 있는 민간실업운동 단체입니다.

연 락 처 Tel. 062-224-4139

062-225-4139 Fax. 062-224-4141

주요사업 ●●

- 실업자를 위한 구인구직 활동 - 저소득 맞벌이를 가정을 위한 공부방 운영 - 실업자 자활의지 고취를 위한 자활 지원사업 및 지역연대 활동 - 보건복지부 바우처 산모 신생아도우미 파견사업 - 노동부 사회적일자리 돌봄서비스 가시도우미, 노인돌보미, 베이비시터, 산모신생아 도우미 파견사업 돌봄서비스 우렁각시 ●●●

구직이 어려운 여성과 가사,육아,산후조리,노인 돌봄으로 어려 움을 느끼는 분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이다. ◦ 내가족을 대하는 마음과 성실함과 책임감 / 전원배상책임보험가입 /

고객과의신뢰우선/철저한교육과정이수/확실한신분의돌봄전문가/ 가족을 케어하는 마인드

054


055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9

Living

대원노인복지센터 돌보미(실버시터) 사업단

차후 수발대상자를 관리 하는 등 급외 어르신들의 욕구가 강한 독 거어르신 및 일반어르신들을 대상 으로 수발서비스를 제공한다.

설립목적 ●

대 표 자 조옥자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으로 목욕이나 집안일 등 일상생활을 혼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보육, 교육 등)

자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가정봉사원을 파견하여 신체활동 및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노후생활의 안정과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준다. 주요사업 ●●

- 가정봉사원파견사업 신체수발, 가사지원, 일상생활수행, 정서지원, 간호 및 기능회복훈련서비스

- 노인일자리사업 지역 내 건강한 어르신 자원으로‘시니어 헬퍼단’을 결성하여 재가복지사업 참여

- 상담 사업 전화, 내방, 직접방문상담

- 노인재가복지사업 경로잔치, 효도관광지원,생필품 및 의약품 지원, 지역자원과 결연·후원지원, 김장김치지원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주월동

1287-1, 창신빌딩 403호 연 락 처 Tel. 062-676-7893

Fax. 062-676-7894


비 즈 니 스 06

ㅣ (사)광주장애인정보화협회 ㅣ (사)빛고을미래사회연구원 ㅣ (사)한국부동산개발연구원 ㅣ(주)빛고을건설ㅣ


057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광주장애인정보화협회 장애인IT교육원 & 자활자립장

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 및 사회참여확대를 위해 정보화를 추진하고 장애앤에게 사랑의 PC 보내기 운동, 컴퓨터 무료교육장 등 소회계층의 재활자립을 위한 제반 복지사업을 도모하는 단체 이다.

설립목적 ●

대 표 자 이인춘

소외된 계층과 장애인, 고령자와 지역아동등을 대상으로 무료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IT교육사업과 장애인들에게 자활 자립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 으며 소외된계층및 스리랑카, 캄보디아, 키르키스스탄공화국등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532-62

후진국 등에 무료 PC 보급사업을 하고 있다. 2008년에는 광주

연 락 처 Tel. 062-942-2860

광역시 교육청과 업무협약체결로 무료 PC보급 사업과 장애인

Fax. 062-942-2861

자활 자립장으로서의 역할에 큰 힘을 얻고 있으며, 장애인도 지 역사회의 일환으로써 정보화에 뒤지지않게 PC를 보급함으로서 지역사회의 통합과 원활한 정보이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빛고을미래사회연구원 지속가능하고 살기좋은 공동체

광주시민들의 참여와 관심으로 다 양한 아이디어들을 지역정책으로 발전시켜서 지역의 미래를 새롭게 디자인 하는 시민중심의 민간연구 원이다.

대 표 자 박도영

설립목적 ●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시민사회차원에서 21세기 국내외의 급속한 변화를 주체적으로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1가

수용하는 지역사회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정립하고, 이를 위한

전일빌딩 5F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학문연구와 정책대안을 제시하여 건강한

연 락 처 Tel. 062-224-4029

지역사회 발전의 기반을 구축하고, 국가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Fax. 062-224-4020 홈페이지 www.cfsg.or.kr

시민사회 자체의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주요사업 ●●

-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사회환경조사 사업 - 기획조사사업을 실시 - 사회환경분야에 관한 조사를 특화시켜서 수행

058


059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3

Living

사단법인

한국부동산개발연구원 온 국민의 편안한 삶의 터전을 위하여

부동산 실무활동을 이론화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있도록 연구 활 동을 전개한다.

- 기획관리팀 - 공무지원팀 - 프로젝트사업팀 - 시공팀

설립목적 ●

대 표 자 정철기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국토균형발전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

사업형태 가구 및 인테리어

기 위하여 부동산에 관한 제반 사항을 학술적으로 연구 분석한 다. 아울러 부동산현상을 파악하여 부동산의 최유효이용을 도모 하고, 지역의 효율적인 공간가치창조를 통하여 광주지역사회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사업 ●●

- 학술발표회 및 강연회 등 부동산에 관한 학술, 연구활동 - 부동산 연구총서 및 정기간행물 발간 등 출판활동 - 부동산관련 각종 정책과 법률 및 제도연구 - 부동산컨설턴트 및 경매사업연구 - 부동산활동에 관련된 입지분석 및 사업타당성연구 - 회원간 상호교류와 회원의 부동산 교육활동 - 기타 연구원의 목적과 관련된 일체의 사업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동

1021-1, 7F 연 락 처 Tel. 062-433-4499

Fax. 062-368-0927 홈페이지 www.kredi.or.kr


04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주식회사

빛고을건설 지역주거복지 건설

저속득층을 대상으로 주거복지 개선하는 사업이다.

- 주거현물급여(집수리사업) - 저소득층에너지효율개선사업 - 복지시설 및 저소득층 주택개보수사업

대 표 자 노종영

설립목적 ●

사업형태 기타 (주거복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자활공동체 빛고를집수리공동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374-48

채로 시작하여 지역의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현물사업, 에너지

연 락 처 Tel. 062-351-3029

효율개선사업, 재가장애인주택개·보수사업을 하였으며, 또한

Fax. 062-351-3026

월 1회씩 자원봉사를 통하여 어려운 이웃에 주거복지사업을 진 행한다. 주요사업 ●●

- 주거현물급여사업(지자체위탁사업)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 11조에 의거 주거현물급여에 따른 수급자 가구의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 저소득층이 직접 사 업에 참여하여 자활 능력을 배양하는.제공한다 회를기

- 저소득층에너지효율개선사업 한국에너지재단에서 지식경제부와 함께 에너지빈곤층 해소를 위하 여‘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을 실시한다.

- 대한부택보증‘저소득층 노후주택 개보수 지원사업’ - 한국토지공사‘지역아동센터 리모델링 지원사업’

060



Food 07

ㅣ (사)광주도농교류협회 ㅣ(사)일촌공동체광주전남본부 ㅣ (사)청소년광산문화의집 ㅣ(사)틔움복지재단 ㅣ ㅣ (사)하늘빛사회복지회 ㅣ(유)자미푸드 ㅣ (유)행복을나누는도시락 ㅣ ㅣ 광주남구시니어클럽 ㅣ 광주동구지역자활센터 ㅣ씨튼장애인직업재활센터 ㅣ 엠마우스일터 ㅣ


063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광주도농교류협회 도시와 농촌을 이롭게

농축산물직거래와 도농교류 활성 화를 통해 농촌과 도시가 상호 융 화하고 이롭게 한다.

- 농축산물 직거래 - 주말농장 - 농촌체험

도농이란 ●

도시와 농촌을 이롭게 하는 사람들을‘도농이’ 라 합니다.

50년이상 농사를 지으신 농업명장들이 생산한 농산물을 고르고 골라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선물하는 곳이다. 가족의 건강을 우리손을 지킨다는 이념으로 신뢰가는 싱싱도농 이가 되겠다. 함께 더불어 사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

- 도시민에게.. 농민과 도시민이 함께 돕고 더불어 사는 계획을 갖고 모두가 행복하 게 웃을수있는 날을 만들어 본다.

- 농민에게.. 믿을 수 있는 농산물에 대한 자존심으로 농산물에 대한 제값받기를 시작하도록 노력한다.

- 예비사회적기업... 뜻과의지를 먼저 세우고 희망의 기업을 만들고자 하는 우리는 도시 와 농촌간 소통과 교류 활성화의 초석이 될것이다.

대 표 자 고범석 사업형태 기타 (도·소매서비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586 연 락 처 Tel. 062-943-1221

Fax. 0505-361-9366 홈페이지 www.cfg.or.kr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일촌공동체광주전남본부 참살림사업단

장애인 및 저소득층을 위한 지역 농수산물 가공유통산업단 이다.

- 농산물가공사업장애자일자리제공 - 농산판매 (전자상거래) - 홈페이지 제작관리교육

대 표 자 정재훈

설립목적 ●

사업형태 기타 (농산물 가공 유통 )

소외된 우리 이웃의 삶을 꼼꼼히 돌아보는 관심과 배려에서 출발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943-11 연 락 처 Tel. 011-621-4110

Fax. 062-443-0789

하여 사회적 약자와 일반 사람들이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상생의 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나눔과 봉사가 우리삶의 가 치를 이루는 공동체사회를 형성함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사업 ●●

- 일촌 복지 아카데미 지역복지 활동가 교육을 통해 지역 현장사업을 활성화하여 참다운 지역 복지 흐름의 조성 및 확산에 기여한다.

- 효마을 만들기 단순 보호차원을 넘어 독거 어르신들의 단절된 사회적 관계망을 회 복하여 사회적 인적자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전환을 목표로 한다.

- 지역아동센터,작은도서관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참여하는 독서운동을 전개하므로서 다양한 문화,교육,보육프로그램을 체험한다.

- 정신지체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센터 - 정신지체 장애 청소년 수요 문화체험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

064


065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3

Living

사단법인

청소년광산문화의집 광산건강가정사업단

친환경농산물과 발효식품을 제조 및 판매한다.

- 건강두부 및 건강식품 제조 (천연초 및 두부제조용 콩 재배)

비젼 ●

대 표 자 윤흥성

전 국민의 건강과 생활환경을 변화시키는 기업으로의 성장

사업형태 식품 (건강식품 제조 및 유통)

주요사업 ●●

연 락 처 Tel. 062-941-6003

1027-5

- 현재 ◦ 국산콩을 사용한 건강 즉석두부를 만들어 저렴하게 보급하고 있다. ◦ 야채스프(무청,무우,당근,표고버섯,우엉)를 만들어 건강에 도움이

되고자 보급하고 있다. ◦ 환경효소인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

EM을 보급함으로써 가정 및 실생활의 환경변화에 힘

을 기울이고 있다.

- 미래 2,000여평)에 건강즉석두부 제조를 위한 콩을 재배 관리

◦ 현재 함평(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추어 저렴하게 공급하며, 100% 신뢰할 수 있는 식품과 마음으로 다가서겠다.

1,500여평)에 천연초를 재배하고 있으며, 향후 천연초를 활용

◦ 장성(

한 건강식품(분말)과 비누등의 실생활용품을 만들어 보급한다. ◦ 솔잎등 산야초를 활용한 건강식품에 투자,연구하고 있으며, 건강

식품을 개발 및 보급한다.


04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틔움복지재단 사랑의 티움쿠키

친환경 농산물, 과일을 이용한 친 환경 과자 제조 및 판매한다.

대 표 자 안병규

설립목적 ●

사업형태 식품 (조리 및 가공식품 등)

장애인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 하기위한 프로그

제과 및 제빵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삼각동

786-8

램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보조 프로그램 도 병행하고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장애인이 자립할 수 프로

연 락 처 Tel. 062-430-3368

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함께 해서 장

Fax. 062-574-3368

애인은 물론 비장애인도 더불어 같이 하는 따뜻한 사회를 지향

홈페이지 cafe.daum.net/tiumwelfare

하고 있다. 티움쿠키 ●●

100% 순수 우리밀 유기농 우리제품만을 사용하며 위생을 최우 선으로 생각합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합심하여 건강에 좋은 친환경쿠키를 정성껏 만들어 생산 판매한다. - 생산과정 재료계량 ⇀ 재료반죽 ⇀ 쿠키성형 ⇀ 오븐굽기 ⇀ 쿠키포장 ⇀ 완성쿠키

066


067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5

Living

사단법인

하늘빛사회복지회 사람과 희망의 나눔터

지역농수산물 급식연계사업이다.

- 재가노인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 - 지역농수산물 급식 연계사업 - 방문요양, 방문목욕, 케어등 - 사랑의 도시락등 - 자원봉사 자질교육 및 후원 결연사업

설립목적 ●

대 표 자 황경옥

다양한 노인복지사업을 통하여 어르신들의 일상생활 자립을 돕

사업형태 식품 (급식)

고,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어르신에게 가사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

848-18

지원 및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된 노후생활보장 및 가

연 락 처 Tel. 062-942-1133

족의 사회·경제적 활동기반 조성을 통해 사회통합을 추구한다.

Fax. 062-942-1136

주요사업 ●●

- 저소득층 사회서비스 제공 복지취약계층에게 질 높은 사회서비스 무료 또는 실비 제공

- 취업취약계층 일자리창출 ◦ 취업을 통한 개인 및 가정경제력 향상 ◦ 사업참여자

80%이상을 취업취약계층으로 채용

- 노인보건복지사업 - 지역기관과 네트워크구축 - 농촌지역 농산물의 생산 판매 가공·유통과 공공급식 연계 - 사랑의 도시락 배달부 사업


06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유한회사

자미푸드 결식이웃 도시락 급식지원사업

HACCP를 적용한 안전하고 위생 적인 양질의 도시락을 전하고, 실 직자 및 취약계층에게는 조리와 배송 등의 과정에 참여하는 사회 적일자리를 제공한다.

대 표 자 고경희

설립목적 ●

사업형태 식품 (조리 및 가공식품 등)

SK 행복도시락 지원사업을 통해 철저한 위생 및 품질, 경영관리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동

410-1 연 락 처 Tel. 062-576-6980

Fax. 062-576-6973

등의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있다. 건강한 수익구조를 통한 매출 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꾀하고 있으며 광주지역 사회의 취약계층 들에게 도시락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고 있다. 주요사업 ●●

- 출장뷔폐사업 : 행사 유형별 맞춤급식 및 뷔페/캐이터링 - 행사도시락사업 : 기관행사, 야유회 맞춤식 - 정기급식도시락사업 : 중식/석식 도시락 배달 - 구내식당 위탁운영사업(추진중임) : 공공기관내의 직원식당 - 공공급식사업 : 결식아동 및 독거노인 도시락

068


069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7

Living

유한회사

행복을나누는도시락 나눔을 향한 따뜻한 마음

결식이웃에서 무료 도시락을 만 들어 배달하는 공익적 일자리창 출 사업이다.

설립목적 ●

대 표 자 김경희

저소득층 노인 및 아동에게 무료로 급식을 제공하고 가난하고 소

사업형태 서비스 (서비스 )

외받는 이웃과 함께 아름답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

식품 (단체급식, 도시락/뷔페, 위탁급식)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

주요사업 ●●

- 아동 및 노인 무료급식사업 저소득층 이웃에게 지자체와 연계하여 무료로 급식 제공

- 출장뷔페 - 단체급식(위탁급식) ◦ 기업, 병원, 학교, 유치원, 건설현장 등에 단체급식 제공 ◦

HACCP 기준에 엄격히 맞추어 최고의 위생과 영양으로 제공

◦ 고객의 건강을 외우선으로 생각하여 맛과 영양을 갖춘 메뉴,

다양한 메뉴, 신선한 식자재, 철저한 위생, 가족같은 서비스 제공

- 각종도시락사업 ◦ 체육대회, 노조행사, 교회행사, 각종 야유회 및 야외 행사 ◦ 주방설비없는 기업체, 공장, 유치원, 학교 ◦ 장단기적인 구내식당 개보수시 ◦ 개업식, 준공식, 시무식, 종무식, 창립기념일 등의 행사

589-1 연 락 처 Tel. 062-383-3184

Fax. 062-383-3184


08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광주남구시니어클럽 해비치

- 노인일자리 전담기관 - 노인일자리 창출 및 소개, 알선 - 프로그램 개발 - 소득형사업단 운영

대 표 자 양철호

설립목적 ●

사업형태 식품 (조리 및 가공식품 등)

노인들의 경륜과 지식에 맞는 일자리를 개발하여 경제 및 사회활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서동 175-1 연 락 처 Tel. 062-654-6081

Fax. 062-682-5063 홈페이지 www.kjsenior.com

동의 적극적인 참여기회 제공(일자리를 지원) 하므로써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와 자립적 노년기를 보낼수 있는 기반을 확 충하도록 지원해 준다. 품목 ●●

- 백반 ◦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엄마의 손맛” 과 정성으로 만드는 백반 ◦ 매일 매일 신선한 재료로 다른 반찬 제공 ◦ 장흥의 해풍을 맞고 자란 쌀, 토굴에서 숙성된 젓갈, 대촌 농장에서

직접 키운 유기농 야채, 식약청 검사를 통과한 100% 순정 참기름 과 볶음깨, 신안 증도의 천일염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맛 좋고 몸에 도 좋은 음식 제공

- 단체도시락 1식 5찬/6찬(국과 반찬제공),행사 2일전(48시간전)까지 주문 요망

- 점심도시락 월 - 금(주 5일) 점심시간에 맞추어 배달 (국과 반찬제공)

070


071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9

Living

광주동구지역자활센터 꿈이 익어가는 반찬가게“음식서비스단 - 신나는 반찬”

기초수급자 창업 지원한다.

- 각종 김치류 밑반찬 판매 (대인점,두암점 가판) - 취약계층에 반찬제공 서비스

설립목적 ●

대 표 자 정향자

기초수급권자 창업지원 및 자립 통한 더 나은 경제적 생활을 누

사업형태 식품 (조리 및 가공식품 등)

릴 수 있도록 도와주며 더 많은 수익을 남기기보다 질 높은 순 수 국산재료와 천연조미료를 사용하여 몸에 좋은 건강먹거리를 만든다. 주요사업 ●●

- 광주지역의 생활취약계층에게 급식 및 음식(반찬)지원 - 반찬종류 : 김치류, 밑반찬류, 각종 국 등 - 계절음식과 특식 지원 계획 - 대상자(타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취약계층)를 발굴하여 지원횟수를 늘림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2가

7-1, 2F 연 락 처 Tel. 062-228-1410

Fax. 062-222-6190


10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씨튼장애인직업재활센터 씨튼베이커리

소비자들의 건강을 위해 믿고 드 실 수 있도록 우리밀가루와 국내산 재료를 엄선하여 빵과 쿠키를 만 든다.

- 빵류, 쿠키류, 케익류, 선물류

대 표 자 최은숙

설립목적 ●

사업형태 제과 및 제빵

직업재활시설로 장애인들이 신체특성과 장애상태에 따라 자신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 1-1 연 락 처 Tel. 062-973-1151~2

Fax. 062-971-0064 홈페이지 www.setonhouse.or.kr

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활용하여 사회에 기여하는 동시에 사 회적·경제적 자립으로 인격적 존중을 받고, 노동을 통한 기쁨 과 보람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자‘씨튼베이커리’ 와‘씨튼희망 터’ 를 운영하고 있다. 씨튼베이커리 ● ●

우리밀과 유기농재료, 올리브유 등 우리 몸에 좋은 재료와 정성 이 담긴 근로를 더해 씨튼우리밀 제과·제빵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품에 대해서는 연구원을 통해 영양성분검사 및 자가품질검 사 등을 주기적으로 의뢰하여 보다 좋은 제과·제빵을 만들고 자 다함께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우리밀 빵과 쿠키’ 는 직접판매와 업체납품(생협연대, 한마음공동체, 우리농 등), 쇼핑몰을 활용한 온라인판매, 전화주문을 통한 택배 등의 방 법으로 소비자들에게 전해지고 있다.

072


073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11

Living

엠마우스일터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의 신나는 일터

인권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개 별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 공한다.

엠마우스일터 ●

대 표 자 김명선

일반취업이 어려운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에게 근로의 기

사업형태 식품 (조리 및 가공식품 등)

회를 제공하고 경쟁고용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 직 업적응훈련, 사회교육, 일상생활 등을 지원하는 장애인보호작 업장이다.

여성 및 생활용품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

371-6 연 락 처 Tel. 062-371-8801

Fax. 062-371-8803

주요사업 ●●

- 참기름, 들기름 생산 국내산 100% 참깨와 들깨만을 사용하여 신선고 건강에 유해한 방 부제와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적정온도로 볶아“벤조피 렌”이라는 발암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전통압착식으로 제조하며 영 양손실이 적도록 저온으로 1회만 착유한다.

- 천연수제비누 생산 천연고급 100% 식물성오일을 사용하고 천연에션셜 오일을 첨가하 여 아로마테라피를 즐길수 있다.

- EM발효액 생산 탁월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부패를 억제시켜주며 화초의 성장 촉진과 신선도 유지, 가정의 생활환경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

홈페이지 www.emmausac.or.kr


Living 08

ㅣ (사)실로암사람들 ㅣ (사)한국근로청소년 능력개발원 ㅣ (사)한국운동건강협회 ㅣ(사)해피웨이 ㅣ ㅣ (재)광주 YMCA 빛고을 바이크 사업단 ㅣ 나무야가구야 ㅣ 소화아람일터 ㅣ 한마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ㅣ


075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1

Living

사단법인

실로암사람들 그래픽스티커 제작사업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를 위해 일 하는 단체이다.

- 장애인 교육 - 봉사 - 계몽

설립목적 ●

대 표 자 김용목

포인트스티커 (그래픽스티커, 고광택시트지포함)를 디자인하고

사업형태 가구 및 인테리어

제작 및 가공 작업에 취약계층의 참여를 유도해 일자리를 창출하 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한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주월1동

1032-10 연 락 처 Tel. 062-672-7782

Fax. 062-672-6622 홈페이지 www.siloam76.or.kr


02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한국근로청소년 능력개발원 호남지역본부 그루터기 청소년 전문 백화점

청소년을 위한 더 폭넓은 기능들 을 개발하여 꼭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 청소년 전문백화점부 - 독서실운영 - 문화사업단 - 상담센터 - 장학제도

대 표 자 고제훈

설립목적 ●

사업형태 식품 (조리 및 가공식품 등)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청소년기에 필요한 제반 유·무형의조건

문구 및 완구품 신발 및 피혁품

을 충족 시켜줌으로써 건강한 청소년을 육성시키고, 또한 이러

여성 및 생활용품

한 조건들의 결핍으로 인해 소외 청소년들이 생겨나는 것을 예방

가구 및 인테리어

하는것이 저희 청소년 나눔백화점의 목적이다.

가전 및 공구

- Off-line Department

사회서비스 (간병, 보육, 교육 등) 기타 ( 이,미용 )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 4-1 우미프라자 37호 연 락 처 Tel. 062-526-1318

Fax. 062-526-1318 홈페이지 www.zzimshop.com

일정한 공간에서 물품을 제공하여 판매하는 방식

- On-line Department 인터넷상의 쇼핑몰에서 물품을 판매하는 방식

- Moving Department 찾아가는 백화점. 청소년들이 학업 때문에 백화점 방문이 어려운 점 을 감안하여 학교에 찾아가서 물품을 제공하는 방식

특징 ●●

- 공동구매·예약주문·기부 등의 구매방법을 통해 저가에 구입 하여 저가에 판매 - 청소년들만을 위한 물품과 서비스로 꼭 필요한 구매 - 건전한 소비를 유도함으로써 올바른 지출을 할 수 있도록 교육

076


077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3

Living

사단법인

한국운동건강협회

위기 청년실업과 여성일자리를 위 한 운동, 건강, 여가교육을 통해 일자리를 만든다.

- 건강체조 강습회 - 스포츠클럽 프로그램 - 운동회 및 레크리에이션행사 - 어린이 축구대회

주요사업 ●

대 표 자 김원준

- 운동, 건강, 여가(레크리에이션) 서비스 사업단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 운동관련 프로그램 개발, 보급, 순회지도 - 여가,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보급, 순회지도 - 운동용품, 놀이기구 관련 기술개발 및 특허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404-8, 염주체육관 107호 연 락 처 Tel. 062-383-7734

Fax. 062-384-7734

판매현황 ● ●

- 주요구매자 유아교육기관, 초등학교, 평생교육시설, 개인체육시설 운영자, 복지시설

- 자치단체 서부교육청, 동부교육청, 동구청, 서구청, 광산구청


04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사단법인

해피웨이 광산희망가꾸기 사업단

취업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 하고 지역 내 취약계층에게 다양 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통합을 구현한다.

대 표 자 공수자

설립목적 ●

사업형태 사회서비스

전문직업 교육과정, 노인보건복지사업, 환경지킴이사업을 운영

(간병, 보육, 교육 등)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

679-10, 3F

하며 지역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취업취약계층과 저소득 층에 일자리와 사회서비스를 제공한다.

연 락 처 Tel. 062-959-9011/9013

Fax. 062-959-9014 홈페이지 ww.happyway.or.kr

주요사업 ●●

- 인력양성사업 취업취약계층에게 전문교육을 실시하여 직무능력향상 및 자격증을 취득하게 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 노인보건복지사업 독거노인에 대한 생활실태, 안전 확인 및 생활교육실시와 함께 보 건·복지서비스 연계활동을 통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 장기요 양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후의 건강증진과 생활안정을 도모하여 삶의 질을 향상 및 건전한 노인문화를 조성한다.

- 환경지킴이사업 저소득취약계층 및 고령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며 자원을 재활용함 으로써 자원의 순환과 나눔을 통한 가치를 창출하여 수익창출과 사 업단의 자립을 도모한다.

078


079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5

Living

재단법인

광주 YMCA 빛고을 바이크 사업단 빛고을 바이크

고유가시대를 맞아 자전거를 보다 효과적인 대안교통수단으로 활용 하기 위한 각종 교율, 정비, 정책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업단 이다.

설립목적 ●

대 표 자 김국웅

-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및 기술 습득으로 자립의 기초마련

사업형태 기타 (재활용, 정비, 이벤트)

- 고유가, 교통난, 환경오염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 - 아파트의 새로운 문제인 폐자전거의 생산적으로 재활용 - 그린스타트 운동의 일환으로 저탄소시범도시로의 도약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879-5, 1F 연 락 처 Tel. 062-973-9702

Fax. 062-973-9703 홈페이지 cafe.naver.com/bikeme

주요사업 ●●

- 방치자전거 수거 및 재활용 - 자전거 이동수리반 운영 - 시민자전거 대여소 운영 - 자전거학교 및 정비교실 개설 - 자전거 보관시설 정비 및 확충 - 자전거대회 및 이벤트 개최


06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나무야가구야 내가 디자인하고 내가 만드는 가구

새터민들을 위한 일자리 사업으로 원목 D.I.Y.가구 생산 및 판매한다.

대 표 자 윤승현

설립목적 ●

사업형태 기타 (DIY가구 생산, 판매)

새터민(탈북자)을 우선 채용하여 그분들의 원활한 정착을 도우

소 재 지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동

183-1 연 락 처 Tel. 062-374-4265

며 지역사회와 여러 단체에 고품격 원목 주문가구를 저렴한 가 격에 공급하고 있다.

Fax. 062-953-2566 홈페이지 www.woodfun.co.kr

나무야가구야 ●

DIY는 직접 생활가구를 만들고 수리한다는 뜻이며, 디 아이 와이” 라고 읽으며“네 자신이 직접 만들어라”라는 뜻의

Do it yourself의 준말이다. 최고의 기술진이 원목과 무독성 친환경 페인트를 사용해서 값싸 고 질 좋은 웰빙 가구를 제작하여 다양한 수종으로 제작이 가능 하기 때문에 고객 선택의 폭이 넓다. 주요사업 ●●

- 원목가구 주문 제작 및 가구 리폼 - 친환경 인테리어 - 목공체험학교(어린이) - DIY 동호회 활동

080


081

공연

교육

문화·체험

미술

보육·돌봄

비즈니스 Food

07

Living

소화아람일터 친환경 EM사업

친환경적으로 만든 EM비누는 소 비자의 몸과 자연을 고려한 제품 으로 세탁비누와 발효액,퇴비,물 비누등을 만들어 제조 및 판매하 고 있다.

설립목적 ●

대 표 자 김행란

작업능력이 낮은 지적장애인들에게 직업훈련과 일반고용을 통

사업형태 기타 (비누류)

해 소득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회활동에 참여함으 로써 사회통합에 이르게하고자 지원하는 시설이다.

소 재 지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2동 51 연 락 처 Tel. 062-675-4020

Fax. 062-675-0805 홈페이지 www.sohwaj.or.kr

주요사업 ●●

- 직업재활서비스 ◦ 직업재활 계획 수립 및 평가, 원외취업알선(원외 취업장 개발) ◦ 직업상담 및 직업평가, 직업적응훈련(취업 준비,사회기술 훈련)

- 직업기술훈련 판매홍보팀, 원예활동팀, EM제품생산팀, 단순수작업팀

- 홍보사업 EM이란 ●●●

Effective micro-organisms (이하 E·M)은 유용한 미생물이란 뜻으로써 공기나 물을 정화시키고 산화를 방지하는 등 일상생활 에서 사용할 경우 그 효과와 활용도가 매우 높다. ✽ EM 세탁비누, EM 곡물 때비누, EM퐁


08

2009 광주광역시 (예비)사회적기업 디렉토리북

한마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희망을 디자인하는 사람들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이라고 생각 하여 장애인 직업재활팀을 운영하 고 있다.

- 명함, 스티커 - 전단지 - 팜플렛,리플렛 - 현수막

대 표 자 김동효

설립목적 ●

사업형태 기타

장애인들의 자립생활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립생활의 패러다임

(도서편집 및 발행. 현수막, 명 함, 전단지 등 각종 홍보물)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845-6

을 널리 알리고 장애인당사자의 역량강화 인권옹호, 인식개선 등을 통하여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진정한 사회통합과 평등 한 사회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다.

연 락 처 Tel. 062-432-8025

Fax. 062-971-8077

주요사업 ●●

전단지, 현수막, 홍보책자 제작 등 각종 홍보물을 제작 판매하 고 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명함 및 책자도 제작하고 있다.

082



8 7 8 2 9 4 11 8

총 57개 사업장

Food Living

비즈니스

보육돌봄

문화체험

광주광역시 사업장 지도보기

착한기업 이야기 (사)한누리 / 062-527-5186 / www.hannuritv.org (사)흥사단광주지부 / 062-223-6659 / www.kjyka.or.kr 누리문화재단 / 062-226-6108 / www.knoori.or.kr

(사)유당문화재단 / 062-655-3533

(사)신명아트센터 / 062-527-7295

9

광산구

서구

10

남구

13

12

북구

13

동구

대원노인복지센터 / 062-676-7893

노동실업광주센터 / 062-224-4139, 062-225-4139

광주YWCA드림헬퍼 / 062-522-3336/8 / www.kjywca.or.kr

광주YMCA열린육아지원센터아가야 / 062-955-6900 / www.hanamymca.com

(사)희망복지회 / 062-653-9313 / www.hymang.com

(사)하누리노인복지센터 / 062-376-7004 / hanuriwelfare.tistory.com

(사)부름의전화장애인자립생활협회 / 062-682-5250 / www.callphone.or.kr

(사)광주여성노동자회 / 062-361-3081 / www.gjwwa.or.kr

(사)광주광역시교통약자지원센터 / 062-383-0130 / www.gjtsc.com

보육·돌봄

(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062-234-2727/29/30 / www.mudolart.com

(사)북구장애인복지회 / 062-226-7579 / www.bgable.or.kr

(사)통섭 / 062-512-0868 /236-1223

(사)아시아공연에술위원회 / 062-226-2030 / www.gjasia.org

(사)외국인근로자문화센터 / 062-943-8930 / www.carenation.or.kr

(사)문화터미널 / 062-675-4027

퓨전국악연구회 아이리아 / 0505-955-3535 / cafe.naver.com/iria

(사)빛사랑청소년회 / 062-525-0916 / www.vits.or.kr

(사)맥지청소년사회교육원 / 062-368-8041 / www.macji.or.kr

(사)광주경제문화공동체 / 062-431-6339 / www.kjecc.or.kr

(사)광주전남행복발전소 / 062-373-0259 / www.happyngo.net

(사)나눔노인복지회 / 062-521-2194


(사)한국부동산개발연구원 / 062-433-4499 / www.kredi.or.kr (주)빛고을건설 / 062-351-3029

(사)지역미래연구원 / 062-223-3279 / cafe.daum.net/forestguide

(사)해피웨이 / 062-959-9011/9013 / www.happyway.or.kr (재)광주 YMCA 빛고을 바이크 사업단 / 062-973-9702 / cafe.naver.com/bikeme 나무야가구야 / 062-374-4265 / www.woodfun.co.kr 소화아람일터 / 062-675-4020 / www.sohwaj.or.kr 한마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 062-432-8025

(사)틔움복지재단 / 062-430-3368 / cafe.daum.net/tiumwelfare

(사)하늘빛사회복지회 / 062-942-1133

(유)자미푸드 / 062-576-6980

(유)행복을나누는도시락 / 062-383-3184

광주남구시니어클럽 / 062-654-6081 / www.kjsenior.com

엠마우스일터 / 062-371-8801 / www.emmausac.or.kr

씨튼장애인직업재활센터 / 062-973-1151~2 / www.setonhouse.or.kr

광주동구지역자활센터 / 062-228-1410

(사)한국근로청소년 능력개발원 / 062-526-1318 / www.zzimshop.com (사)한국운동건강협회 / 062-383-7734

(사)청소년광산문화의집 / 062-941-6003

(사)실로암사람들 / 062-672-7782 / www.siloam76.or.kr

(사)일촌공동체광주전남본부 / 011-621-4110

(사)광주도농교류협회 / 062-943-1221 / www.cfg.or.kr

Food

광주전남숲생태해설센터 / 062-366-9003

미디어연구소 / 062-432-1318 / www.gyeol.org

교육문화공동체결 / 062-372-9578 / www.allareone.co.kr

Living

(사)빛고을미래사회연구원 / 062-224-4029 / www.cfsg.or.kr

(사)대동문화재단 / 062-461-1500 / www.daedongc.com

(사)한국인간교육연구원 화 문화공동체 / 062-365-0030 / www.cultural.or.kr

(사)광주장애인정보화협회 / 062-942-2860

(사)광주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 / 062-228-9968

비 즈니스

(사)광주불교교육원 / 062-228-9098

문화·체험


착한 생산품을 판매하는 매장이 매년 조금씩 늘

매년 버려지는 옷이 30%씩 증가해 의류 쓰레

고 있다. 조금만 부지런함을 떤다면 인터넷, 잡

기의 심각한 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가 버리는

지, 신문 등에서 충분히 착한 생산품을 판매하는

쓰레기의 2분의 1만 재활용해도 이산화탄소가

매장을 찾을 수 있다. 오랜만에 여유로운 주말을

1t 감소된다고 하니, 사람들이 기부한 물건을

보내고 싶다면, 착한 생산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새로운 아이템으로 재창조하여 판매하는 재활

쇼핑해 보는 것은 어떨까.

용기업 상품을 적극 이용하는 것으로도 환경을 지킬 수 있는 착한 소비가 된다.

착한생산품 매장 방문하기 재활용품으로 만든 물건 사용하기

사실 지속가능한 미래를 걱정하는 소비자라 하

생일, 명절, 기념일 등 선물 할 곳은 많은데 받은

더라도 상품의 생산과정을 꼼꼼히 확인해 구내

사람에게 감동을 전하는 의미 있는 선물을 찾기

에서 또는 제3국가에서 생산된 유리적인 상품

란 쉽지 않다. 더욱이 선물에도 궁합이 있기에

들을 구매하기란 쉽지 않다. 사회에 이로운 일

그 사람의 특성을 잘 살린 선물을 골라야 하는

을 해보고 싶었지만 시간이 없거나 또는 용기가

어려움이 있다. 이럴때 나보다 우리, 우리를 넘

없어 망설였던 분이라면 매달 하루 착한 소비를

어 더 많은 이웃을 생각하는, 좋은 의미가 담긴

통해 소비 기부를 실천해보자. 자신이 푤요한 물

물건을 골라 선물해보자. 그리고 이러한 상품의

건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이 부담도 덜하고 기

스토리를 선물과 함께 엽서에 담아 보낸다면 받

분도 훨씬 뿌듯한 것이다.

는 사람의 감동 또한 두 배가 될 것이다.

매달 하루는 착한 소비의 날로 정하기

착한 선물로 감동 두 배 전하기

이로운몰은 사회·환경·노동의 가치에 반하지

생활속에서 실천하는 착한소비 10계명

않고 우리 사회에 이로움을 주는 제품을 선별해 판매하고 수익을 공유하는‘사회적 쇼핑몰’이 다. 12월경 오픈 예정인 이로운몰에서는 소비자 에게 성분, 제조·유통과정, 공급사에 에에대한 주변정보 등 제품과 관련한 상세한 정보도 투명 하게 공개한다고 한다. 이로문몰이 우리 사회에 진짜로 이로운 쇼핑몰이 되려면 더 많은 사람들 이 찾아오는 것이 관건일 듯. 12월 사이트가 오 픈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이로운몰을 추천해보 는 건 어떨까. 주변에 이로운몰 추천하기


착한 생산품을 판매하는 사회적기업, 공정무역,

모든 제품에는 생산자와 생산 과정이 있기 마련

자활, 생협 등의 경우 일반 기업과 달리 초기 자

이다. 이왕이면 자신이 사는 제품이 어떤 과정을

본이 넉넉지 않은 상황이라 많은 도움을 필요로

통해 생산되고 유통되는지 관심을 가져보자. 당

하고 있다. 착한 생산품을 생산하는 기업 한 곳

신이 주말마다 사용하는 축구공이 어쩌면 가난

을 선택해 노트북, 사무집기 등 소소한 물품 지

한 나라의 8살 어린이가 100원을 받고 하루 14

원을 한다거나 자신의 시간을 쪼개어 자원봉사

시간씩 일해서 만든 것일지도 모른다. 또한 당신

또는 전문성 기부 등을 한다면 이러한 기업들이

이 하루 동안 사용하는 종이로 인해 우리가 쉴 수

만들어내는 믿을 수 있는 상품을 더 많은 사람들

있는 숲들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제는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생산과정에서 아 동노동 착취나 인권 유린, 환경 파괴는 최소화했

착한기업에서 자원봉사하기

는지, 윤리적인 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인지 등 누구보다 깐깐한 소비자가 되어 보자.

착한라벨(Social Labeling) 이란 소비자가

제품의 탄생 과정에 관심 가지기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는 경우 윤리적 구매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품에 부탁하 게 되는 각종 표시를 말한다. 이미 세계적으로

제품 개발을 위해 동물에게 실험을 하거나 학대

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는 착한상품 표시

를 통해 생상되는 제품들이 있다. 제품 개발을

들은 윤리적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정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주장도 일부 있지만, 세계

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상품을 신뢰하면서 구

적인 기업인 더바디샵의 경우 창업자 아니타 로

매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마케팅 수단으로 인

딕의 강한 의지로 제품개발을 위한 동물실험을

정받고 있다.

일절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내가 사용하는 제품이 수많은 동물을 학대해서 생산된 제품이

상품에 착한 라벨 확인하기

라면 왠지 꺼림직하지 않을까. 동물 실험 및 학대하지 않는 기업 제품 구매하기

착한 생산품이나 착한 소비에 대해 모르는 사람 들이 여전히 많다. 착한 소비에 대한 시가나 관 련 정보, 생산품 소개, 사용 후기 등을 자신이 사 용하는 블로그나 카페 등에 소개해보자. 착한 소 비 전도사, 착한 소비 홍보맨들이 더 많아질 수 록 착한 소비에 대한 인식도 더 높아지는 법. 착한 소비’ 에 대해 블로그로 홍보하기

쓰면 쓸수록 세상을 더 아름답게 하고, 만드는 사람과 구매하는 사람 모두 함께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착한 상품들. 조금의 불편만 감수한다면, 만드는 사람에게도 의망을 전하고 환경·인권·지역도 함께살리는 착한 소비를 우리 생활 속에서 실천 할 수 있습니다.


발행일 ㅣ2009년 10월 13일 발행인 ㅣ 광주 경제 살리기 운동 본부 발행처 ㅣ 광주·전남사회적기업협의회 기획 및 편집 ㅣ 광주·전남사회적기업협의회 문의전화 ㅣ 070-8228-6736 * 이 책자는 광주광역시에 보조를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사회적기업의 모든 것 www.socialenterprise.go.kr 새로워진 노동부 사회적기업 홈페이지와 함께하세요 사회적기업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 인증 상담 및 자가진단, 검색 등 차별화된 사회적기업 지원 시스템 제공합니다. + 정보 자료실을 통해 분야별로 특화된 국내외 정보 및 성공사례를 제공합니다. +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네트워킹이 가능합니다.

사회적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하는 좋은 일도 하고 수익도 내는 착한 기업입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