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포만필_맛보기

Page 1

西浦漫筆 서포만필


편집자 일러두기 ∙이 책은 ≪서포집(西浦集)・서포만필(西浦漫筆)≫(1971, 통 문관)을 저본으로 삼되, 필요할 경우 서울대 규장각본도 참고 했습니다. ∙이 작품은 원전에서 30% 정도를 발췌한 것입니다. ∙주석은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옮긴이가 붙인 것입니다. ∙괄호 안의 말과 바깥 말의 독음이 다를 때, 괄호가중복될 때, 원 전의 표현을 그대로 밝혀줄 때에는 [ ]를 사용했습니다. ∙뒤표지의 글은 옮긴이가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심 문장을 직접 뽑아낸 것입니다. ∙표지에 사용한 색상은 <지식을만드는지식 고전선집>을 위 해 개발한 고유 색상입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고전선집>은 환경인증서를 획득했습 니다. 표지와 본문에는 모두 친환경 재질을 사용했습니다.


• 공자는 태백(泰伯)을 “지덕(至德)한 분”이라 했고, 주자 는 “실제로 비로소 상(商)을 전수받았다[實始傳商]”라고 시 (詩)를 인용해 말했다. 좌전(左傳)에는 “태백이 따르지 않 았다는 말은 태왕(太王)이 군대를 일으킬 뜻이 있었으나, 태백은 이를 말리고 싶은 생각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제 이때의 상황을 고려해 이 문제를 살펴본다면, 아마도 다 그런 것 같지는 않다. 문왕은 재위 50년에 죽고, 무왕이 그 왕위를 계승해 13년 에 주(紂)나라를 정벌했으니, 문왕이 왕이 된 것은 마땅히 주왕보다 앞이었고, 은(殷)나라의 왕인 제을(帝乙)과 같은 시대이며, 그 전에 또 주나라 태왕의 막내아들인 왕계(王 季)가 있었으니, 태왕과 주(紂)나라의 차이는 아주 크다. 은

(殷)이 나라를 잃어버림과 주(周)나라가 오래도록 쇠미해 졌음은 서로 같지 않다. 주(紂)나라는 무정(武丁)과는 멀지 않고, 그 사이에 조갑(祖甲), 제을(帝乙)이 모두 현군이었 으니, 태왕은 바로 은나라가 전성한 시기에 해당되는데, 어 찌 갑자기 일어나서 이를 쳐 없앨 뜻을 가질 수 있었겠는가? 그뿐만 아니라 태왕이 있었던 기읍(岐邑)이란 곳은 험난한 오랑캐인 융적(戎狄)의 사이에 있어서, 겨우 자신만을 보존 할 수 있을 뿐이었으니, 당시의 상황으로는 도저히 그런 생 각을 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다만, 태왕의 지혜가 보통 사람들과는 달라서, 후세에 반 21


드시 흥성해져서 성인(聖人)이 주나라에 오리라는 것을 미 리 알고서, 그 자손들에게 유언을 남겨 도와준 것이 덕과 인 을 쌓아둔 일이었다. 그러기에 시인(詩人)이 이를 찬송하여 “상(商)을 물리쳐 없앨 작업이 실로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고 했다면, 이는 올바로 파악한 것이다. 태백이 어찌 천명을 받는 일이 후세 자손에게 있다고 여겨, 미리 이를 피하는 데 이르렀겠는가? 좌전(左傳)이 범연하지 않다고 한 것은, 처 음에는 아무 일도 말하지 않았는데, 증거가 부족했기 때문 일 것이다. 아마도 태백은 태왕의 뜻이 그 동생 계력(季歷) 에게 왕위를 물려주려는 것임을 알았을 텐데, 만약 드러내 놓고 왕위를 양보하면 계력은 반드시 숙제(叔齊)처럼 왕위 를 사양하고 도망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그 아버지의 실책을 세상에 나타나게 할까 두려워한 나머지, 이처럼 아 무런 자취도 없게 함으로써 백성들로 하여금 이 사실을 깨 달아 말하지 못하게 했을 뿐이다. 어떤 사람은 말한다. “그렇다면 양보한 것은 나라인데, 공자는 어찌하여 천하에 말하기를 ‘주나라가 끝내 상나라를 대신해 왕이 되었더라도, 역시 천하라고 칭할 만하다고 ’ 했 는가? 남용(南容)은 ‘우왕(禹王)과 후직(后稷)은 몸소 농사 를 짓고 있었어도 천하를 차지했다고 ’ 했다. 석륵(石勒)은 말했다. “조조(曹操)와 사마의(司馬懿)는 사람을 속이고 왕 이 되어 천하를 차지했다”라고. 22


• 탕왕(湯王)이 하(夏)나라 걸왕을, 무왕이 은(殷)나라 주 왕(紂王)을 토벌한 일, 이윤(伊尹)과 곽광(霍光)이 백성을 위해 못된 임금을 폐위(廢位)하고 나라를 바로잡은 일은 일 찍이 도리에 어긋남이 없다. 그런데도 백이(伯夷)·숙제 (叔齊)와 엄연년(嚴延年), 혜강(嵆康), 소식(蘇軾)은 이를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걸왕(桀王)과 주왕(紂王)도 정벌해 서는 안 된다면, 원흉(元兇)인 소(卲)나 주우규(朱友珪)처 럼 자신을 후계자로 삼지 않는다는 이유로 아버지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흉악한 반역자일지라도 정벌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한(漢)나라의 재상인 곽광이 창읍왕 하(賀)를 황제 로 삼았으나, 음란 무도하자, 다시 폐위한 일이 있는데, 이 것도 안 된다면, 당 고종의 왕후인 무조(武曌) 및 중종의 왕 후인 위후(韋后)가 정권을 잡아 음란함과 탐학한 일을 일삼 았어도 쫓아내면 안 된다. 이렇게 되면 결국 사람의 도리가 허물어지고 반드시 하늘의 이치도 무너지기에 이를 것이다. 하늘이 백성들을 위해 임금을 마련해 두는 뜻은 결코 이러 라고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성왕(成王)과 탕왕은 차이가 없다. 하지만 오로지 무왕 이 황금 도끼와 흰 깃발을 들고 침입한 것은, 주자가 말한 바와 같이 추악하고 난폭했다. 하지만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의 내용이 반드시 사실을 기록한 것이라고 하기는 두렵다. 23


어쨌든 내가 대단히 의심하는 것은 왜 은(殷)나라에 주 왕의 형이자 은나라 토벌 전쟁에 협력한 미자(微子)를 봉하 지 않고 주왕의 아들인 무경(武庚)을 봉했는가 하는 점이 다. 주왕이 포악했음에도 그 가족이 몰살되는 것을 면할 수 있는 것만도 다행인데, 폭군의 후손이 상공(上公)으로서 우 대와 존경을 받았다는 것은 분명히 부당한 일이다. 소식(蘇 軾)은, 무왕이 무경을 봉한 것은 은의 유민(遺民)을 위로하

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했으나, 이는 전혀 타당치 않다. 옛날 우왕(禹王)이 죽었을 때, 익(益)이 제왕의 자리를 피해 양성 (陽城)으로 갔는데, 천하를 노래하는 사람들은 익을 따라가 지 않고, 계(啓)에게 가서 “우리 임금의 아들이다”라고 했 다. 오(吳)나라 사람이 영 땅을 침입해 초나라 소왕(昭王)이 운(鄖) 땅으로 도망하자, 운인(鄖人)들이 “평왕(平王)이 우 리 아버지를 죽였으니, 우리가 그 아들을 죽이는 것이 옳지 않겠는가?” 했다. 주왕이 백성들에게 행한 일은 평왕보다 심했으니, 백성들이 우(禹)에게 보답하고자 함으로써 그에 게 보답한다면, 이런 이치는 있을 수 없다. 무릇 미자는 어질게 살고 대대로 적통(嫡統)을 이어왔기 때문에, 은나라 사람들이 그에게 마음을 둔 지가 오래되었다. 만일 주가 미처 폭정을 행하기 전에 죽었다면, 진실로 은 나라의 부형(父兄)이나 세신(世臣)은 미자를 옹립했을 것 이다. 주왕의 폭정을 간하다가 비간(比干)이 죽음을 당한 24


후에 기자(箕子)가 갇혔을 때, 미자가 홀로 제기(祭器)를 안 고 흰 말을 타고 주나라로 향한 것도 어찌 종사(宗嗣)를 이 어받는 일을 자기 책임으로 여긴 것이 아니겠는가? 미자가 임금이 되고 기자가 보필했으면, 삼종(三宗)의 정치1)를 수 행하여 동북방의 제후를 무마했을 것인데, 천하의 일 중 알 수 없는 것은 미자가 옹립될 수 없었던 것과 무경이 봉해져 은인(殷人)에게 설득되었다는 점이다. 아! 백성을 속일 수 없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깨달아온 것이다. 주나라가 왕을 뽑지 않았을 때, 은나라 사람들은 고 개를 들고 서쪽을 바라보기를 마치 큰 가뭄 가운데에서 구 름을 바라보듯 했고, 군대를 일으켰을 때 음식을 갖고 와서 왕의 군대를 맞이하기를 마치 어린아이가 어머니에게 달려 가듯 했다. 그런데 막상 전투에 참여한 여러 군사가 서로 만 나 전쟁 후의 일들을 어떻게 처리할지 상의하여 모든 일이 말끔하게 밝혀지고 천하가 주나라를 따르게 된 뒤에, 기뻐 하기보다는 오히려 슬피 울부짖으며 하늘에 호소해 그 적통 을 찾으려 했다. 왜 그랬겠는가? 제나라 환공(桓公)이 오랑캐를 물리치고 주나라를 존중 한 것은 그 공이 크다. 하지만 교만하고 잘난 체하다가 아홉 나라[九國]를 잃었다. 이런 실수가 어찌 단지 겉으로 드러나

1) 성왕과 탕왕, 미자 세 인물의 뛰어난 정치.

25


는 기색과 말씨에서만 그러겠는가? 만약 미자가 은나라 제 후로 봉해졌다면, 이 사람은 정말 어진 사람이니, 어찌 천명 (天命)이 어디 있는 줄 몰랐겠는가? 오직 원래 주나라의 영 토였던 기토(冀土)만 다스리며 주나라 왕실에 복종했을 뿐, 어찌 다른 생각을 가졌겠는가? 하지만 최초의 정책을 잘못 썼기 때문에, 막판의 재앙이 이루 말할 수 없이 컸던 것이 다. 뱁새가 새매로 되고, 친척이 원수로 변하고, 이 빠진 도 끼가 성한 도끼를 망가뜨려 안정을 얻은 격이니, 아! 안타까 운 일이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그러면 성왕이 미자를 송(宋)나라 에다 봉한 이유는 그 유능함을 미워하지 않아서 그런 것입 니까?” 내가 대답했다. “무왕의 실책을 보충하기 위해서 그 렇게 했습니다. 천하가 주나라에 귀의한 지가 이미 오래되 어 은나라를 따르던 무리도 없어졌고, 민심의 방향도 염려 할 게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미자를 은나라에 봉하지 않고 송나라에 봉하며, 패(邶)·용(鄘)·위(衛) 세 나라를 합쳐 무왕의 동생인 강숙(康叔)에게 계도(啓導)케 한 뜻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봉건설(封建說)은 유종원(柳宗元)과 소식(蘇軾), 범중엄 (范仲淹) 등이 아주 간곡하게 설명한 바가 있다. 하지만 나 는 이들의 설명과 다르게 생각한다. 일찍이 봉건은 단지 희 26


(姬)씨 왕조였던 주(周)나라 때 와서 만들어진 제도이지, 그 이전 중국 상고시대의 전설적인 제왕들인 요(堯)·순 (舜)·우(禹)·탕(湯) 때부터의 제도라고는 생각하지 않는 다. 만국(萬國)은 이 세상에 백성이 생겨난 이래 저절로 있 었던 것이지, 천자가 분봉(分封)함으로써 비로소 생긴 것이 아니다. 우(禹)가 왕이 된 후 여러 나라가 도산(塗山)이란 곳에 모였는데, 나중에 도착했다 해서 처벌된 자는 방풍(防 風)이란 제후뿐이었다. 탕(湯)이 왕이 됨으로써 멸망당한 나라도 오직 갈(葛)·곤오(昆吾)·위고(韋顧) 등 겨우 몇 나라뿐이었으며, 그 토지도 대부분 수도 부근의 땅인 왕기 (王畿)에 편입되었던 것이다. 우·탕이 어찌 비어 있는 땅 을 자제나 공신에게 봉했겠는가? 경전(經傳)에 “들판을 갈라 제후를 세웠다”고 한 것은, 이미 존재하고 있던 여러 나라의 크기에 따라 이를 제도화 한 것에 불과하다. 오직 주 무왕(周武王)이 6주(六州)의 무 리로써 은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주(紂)를 정벌했으므로 목 야(牧野)라는 최후의 결전장에서 군대를 받아들임이 오히 려 숲과도 같았다. 하지만 관채(管蔡)의 난(亂)2)이 일어나,

2) 주 무왕의 아우 선(鮮)이 관(管)에 봉해지고 도(度)가 채(蔡)에 봉해졌는 데, 무왕(武王)이 죽은 뒤 성왕(成王)이 어려서 주공(周公)이 섭정하자, 이들 이 주왕(紂王)의 아들 무경(武庚)에게 붙어서, 주공이 성왕을 해칠 것이라는 유언비어를 퍼뜨려 반란을 일으켰다가 죽음을 당한 사건.

27


사방의 나라가 선동하여 이 사건을 전후하여 멸망한 나라가 100개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무왕과 주공은 그 토지를 얻게 되어 크게 열후(列侯)를 봉해 왕실을 울타리처럼 지키게 하 고 천하의 형세를 보았다. 이것은 융성했던 고대로부터 살 펴본다면, 이때부터 말세(末世)의 일이 시작된 것이니, 이 를 덕스럽지 못한 일이었다고 말해도 괜찮다.

• 범증(范增)과 동공(董公)에 대해 송나라의 동파(東坡) 소식(蘇軾)과 치당(致堂) 호인(胡寅)이 논한 내용은 모두 당시의 사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범증이 항우(項羽)의 계부(季父)인 항량(項梁)을 설득 한 것은 미씨(羋氏)3)에게 진정한 충성을 한 것이 아니다. 사실 그 속마음은 항씨(項氏)의 기세를 확장시키려 한 것이 었다. 이는 마치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이 진(秦)나라의 어양(漁陽)을 지키고 있을 때 시기를 놓쳐 처벌받게 되자, 호해(胡亥)가 그 큰아들인 부소(扶蘇)를 죽이고 황제의 자 리에 올랐다며 반역을 일으킨 것과 같고, 항연(項燕)이 창 평군(昌平君)을 내세웠다가 진나라 군대가 침입하자 반항 하다가 진나라 장수 왕전(王翦)에게 패배해 창평군이 죽자 자신도 자살하게 된 것과도 같다. 범증이 어찌 민간에서 양

3) 초(楚)나라 회왕(懷王)의 원래 성[原姓].

28


을 치던 아이4)를 꼭 초왕의 후예라고 믿어서 이를 왕으로 삼으라고 했겠는가? 이를 맞이했을 때 이미 제사 지내기 전 의 제물로 여긴 것이었다. 역사책에 범증이 평소에 기이한 꾀를 쓰기 좋아했다고 한 뜻은 저절로 분명하다. 범증 같은 자는 자신이 항씨의 참모였으니 황제에게 무슨 생각을 가졌 겠는가? 안양(安陽)에서의 만남,5) 과 강중(江中)에서의 진 격6) 등의 주모자는 반드시 범증이었을 것이다. 대저 의제(義帝)는 어린 나이인데도, 항우가 보기에 몹 시 꺼림칙하게 여긴 것은 왜 그랬을까? 초나라에서 대대로 왕실을 돕던 신하들이 의제의 좌우에 많이 있어, 항씨의 강 포함을 미워하여 의제로 하여금 항우와 거리를 두게 이간질 했기 때문이다. 의제가 송의(宋義)를 상장(上將)으로 삼고, 패공(沛公)을 시켜 관중으로 침입하도록 한 것을 보더라도 이를 알 만하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여러 신하들이 꾸민 일 이었으니, 어찌 의제가 스스로 일으킨 것이겠는가? 약속하 겠다고 한 대답7)도 마찬가지다. 의제가 항우를 죽이려고

4) 초 회왕의 손자인 심(心). 5) 진나라 장수 장감(章邯)이 항량을 죽이고 승리하자 초왕 항우가 팽성으로 와서 초나라 장수와 같이 있었던 사실. 6) 항우가 송의(宋義)를 죽이고 장수(漳水)를 건너 조(趙)나라 왕이 피해 있 던 거록성(鉅鹿城)으로 쳐들어간 일. 7) 항우가 함양을 함락하고 진나라 궁궐을 불태운 뒤에 고량으로 돌아가고 싶 다고 한 말을 듣고 초 회왕이 약속대로 하겠다고 한 것.

29


해서 여러 대신들과 상의했지만, 의제는 어리석은 나머지 이를 비밀로 하지 못해서 항우에게 먼저 당한 것이다. 이는 마치 곽광(霍光)이 창읍왕(昌邑王)을 세웠을 때 창읍왕의 군신(君臣)들이 곽광을 해치려고 했으나, 결국 패배하여 죽 게 되자 말하기를, “마땅히 처단해야 할 것을 처단하지 못하 여, 도리어 그의 난을 당했다” 한 것과 아주 같은 일이다. 가령 의제가 빈주(濱州)에 있었다면, 반드시 제후들을 규합해 초나라를 도모하려 했을 것이니, 항우가 어찌 편안 했겠는가? 항우는 정말 사나운 인물이므로, 여러 대신들이 의제를 위하여 도모했던 것은 바로 화(禍)를 촉진하기에 충 분한 것인데도, 소동파는 의제를 천하의 현명한 군주라고 칭찬했으니 지나친 말이다. 동공(董公)이 한왕(漢王)을 설득한 것도 범증이 항량을 설득한 것과 같다. 당시에는 적국을 무너뜨리고 제후를 규 합하려는 정책이 잘한 일 같지만, 소하, 장량, 진평, 한신 등 이 아무도 이를 말하지 않은 것은 무슨 까닭일까? 대저 제후 라는 사람들이 의제가 임금으로서는 부족하다는 사실을 잘 알았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예를 든다면, 패공(沛公)으로 부터 우대를 받아 선발, 등용된 자들은 그 임금이 시해되었 다는 사실을 듣고서도 아마도 편안한 마음으로 이상스럽게 여기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니 하물며 그 이웃 나라는 어땠 겠는가? 이뿐만이 아니다. 제왕(齊王) 영(榮)은 그 임금 시 30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