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20140912 p

Page 1

거지와 왕자, 또는 왕자와 거지의 패러디 떠돌이와 천민이 노예 여인을 두고 다툰다. 저자의 이야기다. 두 왕자가 한 여인을 두고 다툰다. 왕궁의 이야기다. 남녀상열지사다. 그 인간이 그 인간이다.

태국의 칸 출판사에서 출간한 ≪라덴 란다이≫의 표지 그림, 1975


인텔리겐치아 2212호, 2014년 9월 12일 발행

아시아 고전 특집 2. 프라마하몬뜨리(쌉)이 쓰고 김영애가 옮긴 ≪라덴 란다이≫

이제 이야기를 시작하자. 의지할 곳 하나 없는 가난한 천애의 란다이 왕자님 이야기를. 일인 왕국의 왕자님은 떠돌이라네. 힌두 사원 앞, 그네 거리 저자통을 누비네. 꼭대기가 뚝 잘려나가 버린 궁성의 첨탑 근 처에 사는데


번쩍이는 보석 성벽은 가시철조망투성이고 호위하는 군졸이 개 짖는 소리를 내어 시간 을 알리며 음해하려고 침입하는 적을 지키고 있네. -≪라덴 란다이(บทละครเรื่อง ระเด่นลันได)≫, 프라마하몬뜨리(쌉)(พระมหามนตรี(ทรัพย์)) 지음, 김영애 옮김, 3쪽

≪라덴 란다이≫가 어떤 작품인가? 태국 최초의 풍자문학이다. 형식만 보면 공 연극이지만 내용을 보면 읽고 즐기는 것에 더 중점을 두었다. 주인공은 누구인가? 떠돌이 거지 란다이다.


거지를 왕자님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뭔가? 일종의 풍자다. 등장인물은? 쁘라두와 쁘라대가 나온다. 인도 사람 쁘라 두는 말레이에서 온 포로 쁘라대를 노예시장 에서 아내로 사 왔다. 무슨 이야기인가? 쁘라두가 소를 몰고 성 밖으로 나간 사이 란 다이가 쁘라대를 유혹한다. 두 사람은 눈을 맞추고 이 사실을 안 쁘라두가 란다이와 크게 다툰다.


거지와 이민자가 노예를 두고 다투는 것인가? 란다이는 거지 신분으로 ‘캑’이라 불리며 멸 시받았다. 쁘라두는 인도에서 온 가난한 이 주민이었다. 쁘라대 역시 전쟁 포로인 노예 여인이었다. 세 사람은 당시 태국인에게 인 간 이하의 취급을 받았다. 쁘라대의 미모 때문인가? 아니다. 피부가 검고 귀에는 손가락이 드나 들 정도로 구멍이 나 있는 추녀였다. 추녀를 두고 두 남자가 싸운단 말인가? 그렇다. 그 때문에 이 사건은 태국 방콕 사람 들의 입에 오랫동안 회자되며 웃음거리가 되 었다. 이 실화를 바탕으로 저자는 실명을 사


용해 이 작품을 썼다. 실명을 썼다면 기록문학인가? 실제 일을 토대로 했지만, 여기에 더해 태국 의 장편 서사문학 ≪이나오≫를 패러디했다. ≪이나오≫는 어떤 작품인가? 왕궁의 여인들이 궁에서 공연했던 정교하고 고상한 품격을 가진 무용극이다. 아유타야 시대부터 내려오던 이야기로, 왕국이 망하 면서 문학작품이 전소되었고 라마 1세, 라마 2세 등 여러 왕이 그때의 문학작품을 궁정시 인에게 명령해 다시 제작했다. ≪이나오≫ 는 특히 상류층의 사랑을 받았다.


천민의 이야기에 궁정극을 패러디한 이유는 무엇인가? 플롯이 유사했다. 또 상류층을 풍자하기 위 해서는 상류층이 즐기는 작품을 패러디하는 것이 손쉬웠다. ≪이나오≫는 어떤 이야기인가? 자바의 왕자 이나오는 같은 가문의 부싸바와 정혼한 사이였지만 다른 여인의 매력에 빠져 약속을 깬다. 부싸바의 아버지는 딸을 다른 왕자와 혼인시키려 했다가 딸이 말을 듣지 않 자 지체가 낮은 왕국의 아들인 쩌라까와 정혼 시킨다. 그러던 중 이나오는 부싸바를 만나 보고 첫눈에 사랑에 빠져 그녀를 납치해 달아 난다.


≪라덴 란다이≫는 ≪이나오≫를 어떻게 패러 디했는가? ≪이나오≫를 읽은 사람이면 누구나 이나오 가 란다이, 쩌라까가 쁘라두, 부싸바가 쁘라 대임을 알 수 있다. 두 작품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나오≫가 아름답고 낭만적인 분위기라 면 ≪라덴 란다이≫는 슬프고 기괴하다. 전 자는 왕가의 이야기인 반면 후자는 당시 사회 의 밑바닥 천민 계층의 이야기다. 작가는 정 의로운 이나오를 바람둥이 란다오로, 현숙 한 미인인 부싸바를 다른 남성과 정분이 나는 유부녀 쁘라대로 패러디해 당시 사건을 기록 하는 동시에 한층 더 웃음거리로 만들었다.


≪라덴 란다이≫의 작가는 누구인가? 프라마하몬뜨리(쌉)는 왕궁을 지키는 경찰 대나 근위대에 소속된 고위 관료였다. 19세 기 당시 태국에는 성씨가 없었으며 관직명 옆 에 괄호를 하고 본명을 붙였다. 즉, ‘쌉’이 그 의 이름이다. 시대상에 민감한 작가였다. 당신은 누구인가? 김영애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교수다.


거지와 왕자, 또는 왕자와 거지의 패러디 떠돌이와 천민이 노예 여인을 두고 다툰다. 저자의 이야기다. 두 왕자가 한 여인을 두고 다툰다. 왕궁의 이야기다. 남녀상열지사다. 그 인간이 그 인간이다.

태국의 칸 출판사에서 출간한 ≪라덴 란다이≫의 표지 그림, 1975


라덴 란다이 프라마하몬뜨리(쌉) 지음 김영애 옮김 태국 시 2014년 4월 10일 출간 사륙판(128*188) 무선 제본, 112쪽 16,000원


작품 속으로

라덴 란다이


이제 이야기를 시작하자. 의지할 곳이 하나 없는 가난한 천애의 란다이 왕자님 이 야기를. 일인 왕국의 왕자님은 떠돌이라네. 힌두 사원 앞, 그네 거리1) 저자통을 누비네. 꼭대기가 뚝 잘려나가 버린 궁성의 첨탑 근처에 사는데 번쩍이는 보석 성벽은 가시철조망투성이고 호위하는 군졸이 개 짖는 소리를 내어 시간을 알리며 음해하려고 침입하는 적을 지키고 있네.2)

1) 그네 거리: 클렁럿 천변에 있는 현재의 태국 공보국 근처다. 2) 란다이의 신분과 그가 살고 있는 장소에 대한 설명이다. 첫 행부터 독자에 게 의아심과 호기심을 일게 한다. 왕자 또는 왕은 한 나라 최상의 지위에 있 는 존재인데 의지할 곳이 전혀 없다는 뜻의 ‘혈혈단신’이라는 단어로 받았 다. 그가 살고 있는 곳도 ‘궁성’, 즉 ‘쁘라쌋’이라고 했으나, 기둥 하나로 지탱 되고 있는 궁성, 보석으로 장식된 궁성의 벽과 가시철망, 궁성을 지키며 왕 자님의 안위를 지키는 호위 군사가 짖어대는 개라는 점은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다. 이 작품은 시작부터 왕자의 성과 인도인이 몰려 사는 싸오 칭차 거 리에 있는 가난한 거지의 집을 서로 모순되고 상반되는 언어로 묘사함으로 써 독자나 청자가 웃음을 터뜨리게 하고 있다.

3


해금을 켜면서 집집에서 구걸한 쌀은 굶주린 배를 채워주는 공물이라네. 남녀노소 아무도 왕자님을 피하지 않네. 위엄에 눌려 그에게 충성하려고 다툰다네.3) 해가 기울고 어둠이 내리면 모깃불을 피워 놓고 성안으로 들어가 보석 침대 위에 대나무 돗자리를 깔고 잠을 청하네.4) 하루 일에 지친 왕자님은 그제야 담배를 피워 문다네.

3) 란다이가 구걸을 하러 갔을 때 적선을 하지 않으면 끈질기게 버티며 행패 아 닌 행패를 부려 성가시고 귀찮아서 먹을 것을 주었을 것이다. 작가는 이런 그에게 위엄이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또 성가신 그를 얼른 쫓아버리려 고 먹을 것을 주는 행위를 앞을 다투어 그를 모시거나 또는 충성함으로써 자 신의 안위를 도모한다고 표현함으로써 해학성을 돋보이게 했다. 4) 주인공 란다이가 거지라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거지인데 작가는 실제와는 모순되는 단어 ‘위엄’을 사용하여 현실을 풍자한다. 이외에도 그의 잠자리 를 보석으로 장식하고 보석을 깐 침대 위에 낡아서 두 동강이 날 지경인 대 나무 돗자리를 함께 사용하여 해학과 재미를 유도하고 있다.

4


먼동이 트고 해가 떠오르면 엉덩이를 하늘에 꽂고 대야 물로 눈곱을 떼네. 생선 껍질 튀김과 누룽지로 아침 수라를 잡수시고 해자 운하 한복판으로 들어가 목욕을 한다네.

5


물속을 세 번 들락거리며 땀을 씻어낸 후 운하에 놓은 계단을 통해 방으로 들어가서는 향수를 뿌리고 하얀 땀띠분을 바른다네.5) 매우크라우 고양이처럼 두 볼과 턱에 물을 바르고6) 본바닥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기운 누더기 바지를 입었 는데 본래는 신선이 입는 무늬 없는 하얀 천7)이었다네. 라오스에서 온 라와족8)처럼 긴 허리띠를 했는데 마치 방콕에 막 도착한 인도인 바로 그 모습이네. 기다란 염주를 목에 걸고 걸망을 어깨에 메었더니

5) 상류층이 사용하는 향수와 천민이 땀띠분으로 사용하는 백분을 한 문장에 서 같이 사용했다. 6) 매우크라우 고양이는 덩치가 크고 늙은, 수염이 길고 얼굴이 무섭게 생긴 수 고양이를 말한다. 이 행은 덥수룩한 수염의 털이 많아 지저분해 보이는 고 양이 매우크라우를 란다이가 목욕하고 세수하는 모습에 비유하여 그를 매 우크라우처럼 험상궂고 털도 많은 인물로 묘사했다. 그는 무성하게 난 턱수 염에 되는 대로 아무렇게나 물을 발라 다듬는 등 지저분한 모습이면서도 향 수를 뿌린다. 란다이의 모습을 코믹하게 묘사했다. 7) 무늬 없는 하얀 천: 인도 남성들이 일상적으로 입는 하얀 무명천으로 된 상 하의 평복을 의미한다. 이 복장은 태국에서 캑 외에 신선이나 도사 등 산에 서 수도하는 남성들이 입고, 여성은 매치(여승이나 수녀 등 종교에 입문한 여성을 일컫는 말)가 입는다. 8) 라와족: 태국 북부에 거주하는 몬ᐨ크메르계 고산족의 한 종족으로 치앙마 이의 서남 지역에서 산다.

6


빤이9)의 모습보다 당당하고 아름답네. 한 손엔 성가시게 따라오는 개를 쫓을 방망이를 들고 다른 손엔 해금을 들고 길을 나서네.10)

9) 빤이: <이나오>의 남주인공 이나오 왕자를 의미한다. 왕자는 누구든 첫 눈에 반할 정도로 잘생긴 미남이고 그 자태에 위엄과 용감함이 드러났다. 어려서부터 사촌들과 무예를 익혔으므로 무예가 출중한 전사였고 왕자였 다. 10) 란다이의 행색을 이나오와 비교해 역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여기서도 역시 왕족에게 사용하는 단어와 천민에게 사용하는 단어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란다이가 입은 본바닥이나 바늘땀을 제대로 찾아 보기 힘들게 깁고 또 기운 누더기 바지, 평범한 단색 무명천의 옷을 신들의 옷이라고 한다. 태국인들이 무지하고 깨지 못한 사람이라고 멸시하는 라 와족과 같은 모습으로 태국인들이 가난한 거지라고 멸시하는 인도에서 갓 건너온 힌두교도 란다이를 미남이라고 극찬하며 태국 고전 작품의 주인공 중 가장 미남이라고 평가받는 이나오에 비유하여 란다이가 더 잘생겼다고 역설적으로 풍자하고 있는 대목이다. 게다가 용감하고 미남인 왕자 이나 오가 소지하고 다니는 무기−활과 검−와 달리 란다이가 구걸 전선에서 사용하는 무기는 방망이와 해금이다. 방망이는 그의 뒤를 따라다니며 으 르렁대고 위협하는 개를 쫓아버리는 데 사용하는 무기다. 예나 지금이나 태국에는 야생견이 많음을 이 작품에서도 언급하고 있다.

7


지금까지 북레터 <인텔리겐치아>를 보셨습니다. 매일 아침 커뮤니케이션북스와 지식을만드는지식 저자와 독자들을 찾아갑니다. <인텔리겐치아>사이트(bookletter.eeel.net)를 방문하면 모든 북레터를 만날 수 있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