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20150205 p

Page 1

영회시, 극심한 심리 공황 그는 명사였지만 불의를 막지 못했다. 죽림칠현이 되고 신선을 동경했다. 감정이 복받치면 시를 지었다. 마음에 품은 바를 노래했다. 난해하지만 아름답다.

<죽림칠현도(竹林七贤图)>의 완적을 묘사한 부분, 손위 그림, 당(唐)대 작품


인텔리겐치아 2436, 2015년 2월 5일 발행

심우영이 옮긴 완적의 ≪영회시≫ 夜中不能寐 한밤중 잠 못 이루어 起坐彈鳴琴 일어나 앉아 거문고 타니, 薄帷鑑明月 엷은 휘장에 밝은 달 비치고 淸風吹我襟 맑은 바람 옷깃 스친다. 孤鴻號外野 바깥 들녘 외기러기 울부짖는 소리 翔鳥鳴北林 북쪽 숲 뭇 새들 우는 소리. 徘徊將何見 배회한들 무엇을 볼 수 있으리? 憂思獨傷心 깊은 근심에 마음만 상할 뿐. -<제1수 夜中不能寐>, «영회시(詠懷詩)», 완적 지음, 심우영 옮김, 23쪽


깊은 근심은 어디서 시작되는가? 위나라 명문귀족 출신으로 위진 교체기에 겪는 뼈저린 아픔과 고독이다. 아픔과 고독은 어떤 모습인가? ‘밝은 달’과 ‘맑은 바람’은 객관적 경물이긴 하 나 시인의 고독한 형상과 고결한 태도를 부 각하기 위한 의도적인 상관물 역할을 한다. 이어서 등장하는 ‘외기러기’와 ‘뭇 새’는 시인 의 쓸쓸하고 처량한 처지를 형상화한다. ‘뭇 새’는 누구인가? 이전의 비평가들은 ‘외기러기’는 완적 자신 을, 북쪽 숲 속의 ‘뭇 새’는 사마씨(司馬氏) 세 력에 아첨하는 위나라 군신(群臣)들을 비유


했다고 주장했다. 요즘 해석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새 들의 등장 자체가 시인의 상상이므로 과거의 해석이 완전히 틀렸다고 보기는 힘들다. 완적과 사마씨의 관계는? 완적의 아버지 완우는 건안 문학을 선도한 건안칠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완적은 비 록 가난하기는 했지만 명문가의 일원으로 위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249년 사마의가 일으킨 정변으로 위나라 왕 실은 힘을 잃고 사마씨로의 권력 이동이 급 물살을 탔다.


당시 완적의 심리 상태는? 완적은 당시 명사로 이름을 떨치고 있었다. 하지만 정권 찬탈을 목적으로 하는 사마씨 의 전횡에 불만이 누적되어 극심한 심리적 공황을 맞았다. 극심한 심리 공황을 어떻게 벗어났는가? 도피적 처세관으로 청담 현학을 일삼는 죽 림칠현의 일원이 되었다. 방탕한 생활을 하 다가도 은사와 신선을 동경하며 감정이 복 받칠 때마다 시를 지었다. 그게 바로 대표작 «영회시»다. 45세부터 53세로 사망하기 전 까지 지은 작품들이다. 총 95수다.


‘영회시’가 무슨 뜻인가? ‘영회(詠懷)’란 ‘마음에 품은 바를 노래한다’ 는 뜻이다. 무엇을 영회했는가? 고통과 고독의 정회를 묘사했고 변절자를 풍자하는 한편, 노년기 인생 역정과 불안한 여생에 대해 서술했다. 은둔 생활과 신선 세 계를 추구한 시도 있다. 시의 특징은? 난해하다. 비흥(比興), 상징, 용전(用典)의 수 법이 자주 사용되어 시인의 의도를 한눈에 알기가 쉽지 않다.


난해해진 이유가 뭔가? 작품 자체의 시작 수법 때문일 수도 있지만, 복잡 미묘한 시인의 심리적 갈등이 상식을 뛰어넘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창작 배경이 나 정황이 다른 문헌에 거의 나타나지 않고, 판본에 따라 다른 글자가 많아 정확한 해석 이 힘들다. 작품 수준은? 비록 난해하긴 하지만 미의식과 철학, 뜻과 감정이 적절하고 풍부하게 포함됐다는 점에 서 뛰어난 작품이다. 후대는 완적을 무어라 평가했나? 일찍부터 비평가들의 이목을 끌었고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쳐 유사한 작품들도 많이 나왔 다. 도연명, 진자앙, 이백의 작품에도 완적의 영향을 받은 시가 있다. 문학사에서 위치는? 선진 시대에 «시경»이 탄생해 중국의 정통 시가 문학을 출발시켰다고 한다면, «영회 시»는 그로부터 8세기가 지난 위진 교체기 에 5언 신시체로 등장해 최고의 서정시로 자 리매김했다. 당신은 누구인가? 심우영이다. 상명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 다.


영회시, 극심한 심리 공황 그는 명사였지만 불의를 막지 못했다. 죽림칠현이 되고 신선을 동경했다. 감정이 복받치면 시를 지었다. 마음에 품은 바를 노래했다. 난해하지만 아름답다.

<죽림칠현도(竹林七贤图)>의 완적을 묘사한 부분, 손위 그림, 당(唐)대 작품


영회시 완적 지음 심우영 엮음 2010년 9월 15일 출간 사륙판(128 *188) 무선제본, 195쪽, 12,000원


작품 속으로

詠懷詩 영회시


제1수 夜中不能寐

한밤중 잠 못 이루어 일어나 앉아 거문고 타니, 엷은 휘장에 밝은 달 비치고 맑은 바람 옷깃 스친다. 바깥 들녘 외기러기 울부짖는 소리 북쪽 숲 뭇 새들 우는 소리. 배회한들 무엇을 볼 수 있으리? 깊은 근심에 마음만 상할 뿐. 夜中不能寐 起坐彈鳴琴 薄帷鑑明月 淸風吹我襟 孤鴻號外野 翔鳥鳴北林 徘徊將何見 憂思獨傷心

해제

시인은 한밤중인데도 잠을 이루지 못한다. 깊은 근심 때문이다. 무슨 근심인지 시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하지만 시인이 당시


처한 입장을 고려하면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위나라 종친(宗親) 으로서 위진 교체기에 겪는 뼈저린 아픔 때문이다. ‘명월(明月)’ 과 ‘청풍(淸風)’은 객관적 경물이긴 하나 시인의 고독한 형상과 고결한 태도를 부각시키기 위한 의도적인 상관물(相關物)로 작 용했다. 이어서 등장하는 ‘고홍(孤鴻)’과 ‘상조(翔鳥)’는 자아의 상징으로 쓸쓸하고 처량한 경계를 형성했다. 이전의 비평가들 은 외로운 기러기는 자신을, 북쪽 숲속의 뭇 새들은 사마씨(司 馬氏) 세력에 아첨하는 위나라 군신(群臣)들을 비유한 것이라

고 주장했다. 지나친 확대해석이라는 지적이 많으나, 새들의 등 장 자체가 시인의 상상 속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


제2수 二妃遊江濱

두 여신(女神) 강가로 놀러와 바람 따라 빙빙 날며 유유자적했노라. 교보(交甫)는 여신의 패옥 가슴에 품고 예쁜 모양 좋은 향기 간직하며 연모의 정에 푹 빠져 기뻐하고 사랑하다 천 년 동안 잊지 않으리라 다짐했다. 절세미인이라 하채(下蔡)를 미혹하고 빼어난 미모는 마음을 사로잡았지만, 감정 격동하자 근심 생겨 망우초(忘憂草)를 규방에 심었다. 누굴 위하여 예쁘게 화장할거나? 비 기다리다 아침 해 원망하는 꼴. 어찌하여 금석같이 단단한 교분이 하루아침에 슬픔으로 변했을까? 二妃遊江濱 逍遙順風翔 交甫懷環佩 婉孌有芬芳 猗靡情歡愛 千載不相忘 傾城迷下蔡1


容好結中腸 感激生憂思 萱草2 樹蘭房3 膏沐爲誰施 其雨怨朝陽 如何金石交 一旦更離傷

해제

이 시는 유향(劉向)의 ≪열선전(列仙傳)≫에 등장하는 한수 (漢水)의 여신(女神)과 정교보(鄭交甫)의 짧은 만남을 패러디 한 작품이다. 남녀 간의 동등한 사랑 이야기를 마다하고, 여신 과 인간의 사랑 이야기를 내용으로 한 것은 상대를 차별화한 이 원론적인 발상이다. 당시의 현실을 풍자하며 자신의 의도를 비 유적으로 표출한바, 상대적으로 박정(薄情)한 여신을 등장시킨 것은 위진 교체기에 절의를 배반한 관료들을 질타한 것이라고 도 하고, 교보와 여신을 군신 관계로 보아 사마씨가 위나라 왕조 를 찬탈할 음모를 꾸민 것을 풍자한 것이라고도 한다. 1. 하채(下蔡): 옛날 고을 이름으로, 지금의 안후이성 펑타이(鳳臺)현이다. 초나라의 권문세가 자제들이 봉해진 지역이다. 2. 훤초(萱草): 일명 ‘망우초(忘憂草)’라고 한다. 부인들이 자신의 남편을 그리워하다가 걱정이 되면 초당 계단 아래에 심었다. 3. 난방(蘭房): 규방, 즉 여인이 거처하는 방.


제3수 嘉樹下成蹊

좋은 나무 아래 작은 길 생기니 동원 안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때문. 가을바람 불어 콩잎 흩날리면 이때부터 시들어 떨어지기 시작한다. 번성한 후에는 쇠락하기 마련 대청에 가시나무, 구기자나무 생겼다. 말을 몰고 이곳을 떠나 수양산 기슭으로 올라가리라. 이 한 몸 보전하지 못하면서 어찌 처자를 그리워하리오. 된서리가 들풀을 덮었으니 이렇게 또 한 해가 저무는구나. 嘉樹下成蹊 東園桃與李 秋風吹飛藿 零落從此始 繁華有憔悴 堂上生荊杞 驅馬舍之去 去上西山1 趾 一身不自保 何況戀妻子


凝霜被野草 歲暮亦云已

해제

우주의 삼라만상은 반드시 성함 뒤에는 쇠함이 있고 쇠함 뒤에 는 성함이 있다. 동원 안의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도 가을이 되 어 과실이 익으면 그 아래 길이 생기지만, 나무가 마르기 시작하 면 잡목인 가시나무와 구기자나무가 자란다. 조위(曹魏)의 멸 망과 사마씨의 득세도 성쇠(盛衰) 논리로 보아 자연의 순환 원 리와 같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런 자위가 어찌 고통의 수렁에 빠진 자신을 구해 낼 수 있을까? 이리하여 그가 선택한 것은 은 일(隱逸)이다. 은일은 육체적 고통이 따르지만 정신적 자유를 만끽할 수 있기에 선인들이 택했던 고도의 생활 방식이다. 나라 가 위급한 상황에서 자기 한 몸도 추스르지 못하는 판국에 가족 에 대한 그리움은 지나친 여유라는 것이 시인의 처절한 변이다. 1. 서산(西山): 백이, 숙제가 굶어 죽은 수양산(首陽山)을 가리킨다.


지금까지 북레터 <인텔리겐치아>를 보셨습니다. 매일 아침 커뮤니케이션북스와 지식을만드는지식 저자와 독자들을 찾아갑니다. <인텔리겐치아>사이트(bookletter.eeel.net)를 방문하면 모든 북레터를 만날 수 있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