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20150305 p

Page 1

시를 짓듯 사를 짓고 사는 대중가요였다. 통속이었고 볼 것이 없었다. 동파가 등장하자 사는 시의 반열에 선다. 지식인의 감정이 이것에 실려 서정의 시가 된다. 천재는 규범에 얽히지 않았다. 타고 놀았다.

<적벽야유(赤壁夜游)>, 황산수 그림, 청(淸)대


인텔리겐치아 2477, 2015년 3월 5일 발행

류종목이 옮긴 소식의 ≪소동파 사선≫ 사람은 슬프다 기쁘고 헤어졌다 만나는 것 달은 찼다 기울고 흐려졌다 개는 것 이 일은 예로부터 늘 좋을 수 없었으니 다만 하나 바라는 건 우리 오래 살아서 천 리 밖에서나마 고운 달 함께 보는 것 人有悲歡離合 月有陰晴圓缺 此事古難全


但願人長久 千里共嬋娟 -<병진년 중추절에 자유를 생각하며>, «소동파 사선 (蘇東坡詞選)», 소식(蘇軾) 지음, 류종목 옮김, 37~38쪽

소동파가 함께 하려는 그는 누구인가? 친동생이다. 소동파는 동생 소철과 우애가 깊었다. 자주 보려고 일부러 가까운 곳에 부 임했지만 막상 명절이 되니 가깝다고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작가는 어떤 성격의 소유자였나? 가족이나 친구에 대한 인간적인 애정과 관 심이 유난히 깊었다. 지방관으로서 백성에


대한 연민도 깊었다. 그는 긍정적인 사람이 었다. 그의 인생도 그렇게 긍정적이었나? 아니다. 사실 소동파는 송대 정치적 핍박 속 에서 자신의 출중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 지 못한 사람이었다. 일생 대부분을 폄적한 지방관 생활로 보냈다. 그의 작품도 폄적했다는 말인가? 작품에서는 달랐다. 자연을 사랑하고 세속 의 가치에 초연했다.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 까지도 서슴없이 토로했다.


사에서 그것을 읽을 수 있는가? 그는 사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했다. 사사 로운 감정을 담은 작품이기 때문에 제목이 필요했다. 제목을 달기 시작했다. 소동파는 사에 제목을 붙이는 기풍을 만들었다. 과거의 사는 제목이 없었나? 그렇다. 곡조의 이름인 사패(詞牌)만 붙여도 작품의 이해에 별 문제가 없었다. 사는 일종 의 대중가요 가사였다. 기존 곡조가 있었고, 여기에 맞추어서 사를 써넣었다. 소동파 사에는 제목과 사패가 따로 있는가? 그렇다. 예컨대 위에 인용한 사의 원래 제목 은 <병진년 중추절에 새벽까지 흔쾌하게 마


시고 크게 취하여 이것을 짓고 아울러 자유 를 그린다(丙辰中秋, 歡飮達旦, 大醉, 作此篇, 兼懷子由)>이다. 번역본에서는 편의상 간략 하게 줄였다. 그리고 사패는 ‘水調歌頭’다. 흔쾌하게 마시고 쓴 사는 여느 사와는 무엇이 다른가? 웅장하고 남성적이며 호방하다. 예전 사가 감상적이고 여성적이었던 것과는 구별된다. 그래서 소동파를 호방파(豪放派)의 비조라 부른다. 호방파는 무엇을 했는가? 사가 통속에 주저앉지 않고 지식인의 갖가 지 감정을 담아내는 서정시로 발전하는 계


기가 되었다. 중국문학사에서는 이러한 소 동파의 작사 태도를 ‘이시위사(以詩爲詞)’라 했다. 시를 짓듯이 사를 지었다는 뜻이다. 시를 짓듯 사를 지으면 사는 어떻게 되나? 불가피하게 사의 음악적 측면을 경시할 수 밖에 없었다. 급기야 “소동파가 호방파를 열 어 사가 쇠퇴했다”는 비난까지 나왔다. 하지 만 그의 공적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그의 공적이 무엇인가? 사를 서정시의 대열에 올린 것이다. 사의 곡 조가 없어진 지 오래인 오늘날까지도 많은 중국 지식인들이 사의 창작을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소동파의 공로다. 그래서인지 이규


보나 김부식 같은 고려 문인들도 소동파를 굉장히 추앙했다. 이 책 ≪소동파 사선≫은 어떻게 엮었나? 현존하는 350여 수의 작품 중 대표적인 것 64수를 선정해 역주했다. 이 작품만으로 소 동파 사의 전모를 효율적으로 엿볼 수 있도 록 작품들을 여섯 범주로 나누고 그것을 다 시 창작 시기순으로 배열했다. 옮기며 마음을 두었던 점은? 원작 내용을 충실하게 전하고 싶었다. 그러 면서도 역문 자체가 한 편의 독립된 시가 될 수 있도록 글자 수, 압운 같은 운율도 최대한 고려했다. 4·4조 또는 7·5조를 기본으로 하 였고 은유나 의인법도 가급적 유지했다.


당신은 누구인가? 류종목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다.


시를 짓듯 사를 짓고 사는 대중가요였다. 통속이었고 볼 것이 없었다. 동파가 등장하자 사는 시의 반열에 선다. 지식인의 감정이 이것에 실려 서정의 시가 된다. 천재는 규범에 얽히지 않았다. 타고 놀았다.

<적벽야유(赤壁夜游)>, 황산수 그림, 청(淸)대


소동파 사선 소식 지음 류종목 옮김 2008년 4월 15일 출간 사륙판(128 *188) 무선제본, 200쪽, 12,000원


작품 속으로

蘇東坡詞選 소동파 사선


병진년 중추절에 자유를 생각하며*

명월이 하늘에 떠 있는 것 그 얼마인지 술잔 잡고 저 푸른 하늘에 물어본다. 천상의 궁궐은 오늘 이 밤이 어느 해쯤 되었는지 잘 모르겠다. 바람을 잡아타고 돌아가고 싶건만 한편으론 구슬로 지은 멋진 그 집이 너무 높아 추위를 못 이길까 두렵다. 일어나서 춤추며 그림자를 희롱하니 이게 어찌 속세에 사는 것과 같겠나?

달은 붉은 누각을 살며시 돌아 비단 문에 내려와 잠 못 드는 사람을 비추어준다. 달은 한을 품고 있을 턱이 없는데 어째서 늘 헤어져 있을 때 둥글어지나? 사람은 슬프다 기쁘고 헤어졌다 만나는 것 달은 찼다 기울고 흐려졌다 개는 것 이 일은 예로부터 늘 좋을 수 없었으니 다만 하나 바라는 건 우리 오래 살아서


천 리 밖에서나마 고운 달 함께 보는 것. 水調歌頭 / 丙辰1中秋, 歡飮達旦2 , 大醉, 作此篇, 兼懷子由3 明月幾時4 有, 把酒問靑天. 不知天上宮闕, 今夕是何 年. 我欲乘風歸去5 , 又恐瓊樓玉宇6 , 高處不勝寒. 起 舞弄淸影, 何似在人間7 . 轉朱閣, 低綺戶, 照無眠8 . 不應有恨, 何事長向別時 圓. 人有悲歡離合, 月有陰晴圓缺, 此事古難全. 但願 人長久, 千里共嬋娟9 .

해 설

희령 9년(1076) 중추절 날 혼자 술을 마시며 동생을 그린 것이 다. 소동파는 동생 소철과 우애가 대단히 깊었거니와 그가 밀주 태수로 부임해 간 것도 동생이 제주장서기로서 밀주에서 가까 운 제남에 있다는 이유로 자청했던 것이다. 그러나 막상 명절이 되고 보니 가깝다고 해서 함께 명절을 쇨 수 있는 것은 아니었 다. 이리하여 그는 이 사로써 동생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함과 동시에 스스로를 위로했다.

*원래의 제목은 <병진년 중추절에 새벽까지 흔쾌하게 마시고 크게 취 하여 이것을 짓고 아울러 자유를 그린다>인데 편의상 간략하게 줄였다.


1.

丙辰(병진): 희령 9년(1076)을 가리킨다.

2.

達旦(달단): 새벽까지 줄곧.

3.

子由(자유): 동생 소철의 자(字). 당시 그는 제주장서기(齊州掌書記)

로서 제남(濟南, 지금의 산동성 제남)에 있었다. 4.

幾時(기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금방 죽어 없어지는 사람과 달

리 달은 하나의 자연물로서 영구적으로 존재한다는 해석과, 달은 금방 찼 다 이지러졌다 하므로 명월의 상태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해석이 그것이 다. 이백(李白)의 시 <술잔을 들고 달에게 물어본다(把酒問月)>에 ‘푸 른 하늘의 저 달은 언제부터 있었는가? 나 이제 술잔 멈추고 한번 물어보 노라(靑天有月來幾時, 我今停杯一問之)’라고 했는데 이 사의 첫 부분이 이백의 시와 상당히 유사한 것을 보면 소동파가 이백 시의 작품세계를 빌 려 달은 사람과 달리 영구적으로 하늘에 떠 있는 존재라는 뜻으로 썼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사의 끝부분에 ‘月有陰晴圓缺, 此事古難全’이 라고 한 것을 보면 보름달이 며칠 가지 못하는 것처럼 인생에 있어서 즐 거운 시간은 길지 않다는 뜻으로 썼을 가능성도 있다. 어쩌면 이 둘을 구 분하지 않고 두 가지 의미를 다 담았는지도 모를 일이다. 5.

歸去(귀거): 이 구절은 자신이 원래 천상의 궁궐, 즉 달나라에 살던 사

람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신선시한 셈이다. 6.

瓊樓玉宇(경루옥우): 월궁(月宮)에 있는 화려한 전각을 가리킨다.

7.

人間(인간): 사람이 사는 사회. 이 세상. 속세.

8.

無眠(무면): 동생에 대한 그리움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자기 자신을

가리킨다. 9.

嬋娟(선연): 아름다운 것, 즉 달을 가리킨다.


자유에게

버들개지 날리는 곳에 보리가 물결치고 저녁 호수는 갓 닦은 맑은 거울이었지. 날듯이 노를 저어 북처럼 달리는 작은 배에서 우리는 둘이 함께 <채릉가>를 불렀었지.

들판에는 비구름이 뭉게뭉게 몰려들고 조그마한 누각에는 날씨가 화창하다. 저녁 구름 자욱한데 제남은 어디 있나? 네가 돌아가 버리면 내 근심은 어이하나? �堂春 /�寄子由1 柳花飛處麥搖波. 晩湖2 淨鑑新磨. 小舟飛棹去如梭. 齊唱采菱歌3 . 平野水雲4 溶漾5 , 小樓風日6 晴和. 濟南7 何在暮雲多. 歸去8 奈愁何.

해 설

희령 9년(1076) 10월 밀주에 있을 때 동생 소철이 제주장서기의 임기가 끝나 제남에서 개봉으로 돌아갈 즈음하여 옛날에 함께


놀던 일을 회상하며 더욱 멀어짐을 아쉬워한 사다. 상편에서는 희령 4년(1071) 항주통판으로 부임해 가는 도중 진주에 들러 동 생과 같이 지냈던 7∼8월경에 함께 진주의 유호에서 놀던 일 을 회상했고 하편에서는 동생이 제남을 떠남에 따른 섭섭한 마음을 토로했다. 동생이 제남에 있다는 이유로 밀주태수를 자청한 그였으니 동생이 멀어져 가는 것이 무척 견디기 힘들 었을 것이다.

1.

子由(자유): 동생 소철의 자(字). 당시 그는 제남에 있었는데 곧 개봉으

로 돌아갈 예정이었다. 2.

晩湖(만호): 진주(陳州, 지금의 하남성 회양) 유호(柳湖)를 가리킨다.

소동파는 항주통판(杭州通判)으로 부임해 가는 중이던 희령 4년(1071) 7 ∼8월에 동생이 있는 진주에 들러 70여 일 동안 함께 지냈다. 이때 이들 은 유호에 가서 노닐었다. 3.

采菱歌(채릉가): 곡조 이름. 강남 지방 사람들이 홍릉(紅菱)·오릉(烏

菱) 등을 캘 때 부르는 노래. 4.

水雲(수운): 곧 비를 뿌릴 듯한 구름.

5.

溶漾(용양): 물결이나 구름이 심하게 흔들리는 모양.

6.

風日(풍일): 날씨.

7.

濟南(제남): 지금의 산동성 제남.

8.

歸去(귀거): 동생이제남에서도성인개봉으로돌아가는것을가리킨다.


늦봄에 이공택과 작별하며

우수수 바람도 없이 꽃은 절로 떨어지고 적막한 동산 숲에 버들은 늙고 앵두는 철 지났지요. 지는 해도 정이 있어 좌중을 비추는데 청산 하나 우뚝 솟아 구름 띠가 끊겼지요.

길 끝나고 강 굽으매 뱃머리를 돌려서 한 어촌에 들어가 닻줄을 매니 달빛은 침침하고 등불은 쓸쓸하네요. 날아다니는 혼의 힘으로 서로의 혼을 불러 내가 그대 생각할 제 그대 나를 생각하셔요. 蝶戀花 /�暮春別李公擇1

簌簌2 無風花自墮. 寂寞園林, 柳老櫻桃過. 落日有情 還照坐. 山靑一點橫雲3 破.

路盡河回人轉柁. 繫纜漁村, 月暗孤燈火. 憑仗4 飛魂 招楚些5 . 我思君處6 君思我.


해 설

원풍(元豊) 원년(1078) 3월 이상(李常)이 서주(徐州)에 들렀다 가 떠나려고 할 때 그와 함께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석별의 정을 나눈 뒤에 지은 것이다.

1.

公擇(공택): 이상(李常)의 자(字).

2.

簌簌(속속): 꽃이나 잎이 떨어지는 모양.

3.

橫雲(횡운): 가로로 길게 떠서 띠를 형성하고 있는 구름.

4.

憑仗(빙장): 의지하다. 힘을 빌리다.

5.

招楚些(초초사): 초혼(招魂)하다. 굴원(屈原)의 <초혼(招魂)>은

초나라의 민간에 유행하던 초혼사(招魂詞)의 형식을 본떠서 지은 것인 데 이 작품에는 끝에 ‘사(些)’를 쓴 구절이 많기 때문에 ‘초사(楚些)’로써 초혼가(招魂歌)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졌다. 6.

處(처): 때.

43


팽문에서 작별하며

옥 술잔의 좋은 술이 맛이 없는 건 가인의 눈물 천 방울이 섞였기 때문. 도를 배워 근심 걱정 잊었는가 했더니 어느새 또 자유스럽지 않게 되누나.

지금은 아직 안 보여도 돌아가면 동원에 싸락눈처럼 꽃이 필 테지만 한마디 말로 서로를 위로하나니 애당초에 여기에 안 온 걸로 하세나. 減字木蘭花 / 彭門1留別2 玉觴無味. 中有佳人千點淚. 學道忘憂3 . 一念4 還成不 自由5 . 如今未見. 歸去東園6 花似霰7 . 一語相開8 . 匹似9 當初 本不來.

해 설

원풍 2년(1079) 3월 팽문을 떠나게 되었을 때 정든 고장을 떠나 야 하는 아쉬운 마음을 노래한 것이다.


1.

彭門(팽문): 지금의 강소성 서주(徐州).

2.

留別(유별): 떠나가는 사람이 남아 있는 사람에게 작별 인사를 하다.

3.

學道忘憂(학도망우): ≪한서·양운전(楊惲傳)≫에 ‘군자가 도에 노

닐면 즐거움으로 근심을 잊는다라는 ’ 말이 있다. 4.

一念(일념): 지극히 짧은 시간.

5.

不自由(부자유): 뜻대로 되지 않다.

6.

東園(동원): 널리 정원을 가리킨다.

7.

花似霰(화사산): 양(梁)나라 원제(元帝)의 <봄철의 이별(春別應令

詩)>에 ‘곤명지에 달이 뜨니 그 빛이 명주 같고, 상림원에 꽃이 피니 싸

락눈 같네. 아침 꽃과 저녁 달이 춘심을 자아내는데, 그 누가 견디리오. 그리워도 볼 수 없는데(昆明夜月光如練, 上林朝花色如霰. 朝花夜月動 春心, 誰忍相思今不見)’라고 했다. 이 구절은 꽃이 하얗게 피어서 그리

움을 자아낸다는 뜻이다. 8.

一語相開(일어상개): 만나지 않은 것으로 치자는 한마디의 말로 서로

의 마음을 위로해 주는 것을 말한다. 9.

匹似(필사): 마치 ∼와 같다. 흔히 ‘匹如’라고 한다. 이 구절은 애당초

서주에 오지 않은 것처럼 생각하면 이별의 슬픔도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북레터 <인텔리겐치아>를 보셨습니다. 매일 아침 커뮤니케이션북스와 지식을만드는지식 저자와 독자들을 찾아갑니다. <인텔리겐치아>사이트(bookletter.eeel.net)를 방문하면 모든 북레터를 만날 수 있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