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정보관을 200배 활용하는 33가지 방법

Page 1

학술정보관(도서관)을 200배 활용하는 33가지 방법 DGIST 도서관운영팀장 김경아


도서관이 하는 일? •

“융합-훌륭한 것들은 교차점에서 생겨납니다.” - 교육동 (E)과 연구동(R)의 교차점에서 교육과 연구를 지원

DGIST 구성원이 교육, 연구, 행정에 필요로 하는 학술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일

더불어 학술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과 시설 등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

수집된 자원을 함께 학습하고 연구하는 장소. 나 홀로 공부하는 독서실이 아니다.

학술정보관의 외관은? Möbius Strip

E

ducation

R

esearch


오늘 강의는 왜 하는가? •

선배에게 물어보면 답이 나올까? - 잘 모르고 쓰는 학술정보관과 학술정보원(Resource)  “도서관은 정숙해야 할 공간인가?” – 배려(Care)가 필요한 공간임은 분명 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리소스는 책 뿐인가?” – 책은 최소한의 핵심 장서만 보유

입학하고 천천히 알아가도 되지만, 먼저 알아두면 학습, 학교생활에 적응에 도움이 될 만한 것들

수업에 필요한 교재를 대출하고, 시험 공부하는 곳으로만 활용하지 않기 위한 숨은 기능 찾기

제공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그와 관련한 공간, 시설, 서비스 등을 함께 살펴 봄 + 약간의 팁  장서와 콘텐츠(Collection)  공간과 시설(Facilities)  서비스(Service)


부제: A+레포트를 위한 정보 구하기 •

실험, 관찰 등을 통해 직접 자료를 생산할 수도 있는데, 이를 1차적 자료라 한다.

그렇다면, 2차적 자료는 무엇인가? 

신입생은 단행본, 참고자료 등 기존의 문헌을 많이 참고하는 방법이 좋다: 강의계획서 살피기

일반 검색보다는 학술 검색을 이용하며, 인터넷보다는 도서관을 많이 활용하라.

인터넷 자료의 경우 정보와 출처의 신뢰성, 최신성, 정확성을 반드시 확인한다.

단행본 자료의 경우 출판사(북페스티벌 ‘말머리표’ 사례), 저널의 경우 Impact Factor 등이 저 널의 권위와 영향력을 말해주기도 한다.

수집한 정보는 Endnote, Mendeley 등으로 정리하는 습관을 들인다.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는 물론 레포트나 논문을 쓸 때 출처(References)를 달기도 쉽다.

사서에게 도움을 구해보자. 정보 검색을 도와주고 싶어 환장한 오지라퍼들이다.


1. 책(Book) 빌려보기 •

체계적으로 잘 잡혀진 정보자원, 개론과 맥락을 이해하기 쉬운 자원으로 아직 책 만한 것이 없다.

정보검색, 자료 연장, 예약 등은 도서관 홈페이지(http://library.dgist.ac.kr)

과학기술 핵심장서, 교양도서 등 5만 권의 핵심 장서 만을 보유

학생 : 10책 30일(연장 1회 15일)

단, 일부 신간/사회과학도서(분류기호가 A~P로 시작하는 도서)는 15일

“대출 시에 이용기한을 반드시 확인하자” – 도서관 홈페이지 “My Library”에서도 확인 가능

무인 대출 반납기 활용 “화면의 안내에 따라 천천히”    

학생증 스캔 대출 가능 여부 확인 대출 자료 스캔 대출처리 확인

검색은 ↑ 스탠딩 검색대

대출은↑ 무인대출반납기


1.1 나만의 열람/사색 공간 찾기 •

구석구석 찾아보면 숨어있는 사색 공간들이 있다.

책을 찾아 조용히 열람할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을 찾아보자

<5층 종합자료실 2- 과학/기술도서 코너>

<5층 종합자료실 1- 인문/사회도서 코너>


1.2 희망도서 신청하기: 도서관 미소장 자료 활용1 •

도서관에서 내가 필요한 때에 모든 자료를 구입해 놓고 기다려주는 것은 아니다.

도서관에 없는 자료는 “사주세요” 할 수 있음 - 희망도서 신청서비스  단, 오늘 신청하면 내일 받아보는 총알 배송 서비스는 기대하지 말자  자료의 구입과 목록에 많은 시간이 소요. 해외 도서라면 특히 그렇다: 1주~때로 한 달 이상  신청경로: 도서관 홈페이지> MyLibrary> 희망도서(온라인 도서검색기능을 활용) 또는…

Post it


1.3 협력기관을 통해 이용하기: 도서관 미소장 자료 활용2 •

연구와 학습에 급하게 필요한 책이라면 다른 도서관에서 빌려볼 수 있다 : 아직까진 무료!

다른 도서관 찾아 가기  많은 대학들이 자료의 열람을 위해 타 대학의 구성원에게도 서비스를 일부 개방하고 있음  대구 지역의 타 대학 도서관을 방문하여 필요한 자료를 열람. 일부 복사하여 이용하는 방법 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 서비스> 타대학열람의뢰서 발급 및 출력

우리 기관에서 받아보기  타 과기대(BICSTARLibrary), 전국의 대학, 출연기관 등 도서관에서 자료를 서로 빌려주고 받음  이러한 서비스를 상호대차(Inter-library Loan)이라고 함  구입이 어려운 책, 급하게 봐야하는 책 등은 이 서비스를 활용: 2-3일 정도 소요(택배) 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서비스> 원문복사신청> 협력기관도서신청


1.4 필요한 자료 복사하기 •

단행본의 일부만 필요하다면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빌려가기 무거울 때, 대출 권 수를 초과나 연체 패널티 기간이라 대출할 수 없는 경우 등에 활용 가능

학술정보관 5층(그룹스터디룸 옆)에 위치

협진 인쇄/문구에서 관리(E7) : 복사카드 구입 후 이용

“복사기 PC는 복사/출력용으로만 사용하자” - 검색은 캠퍼스클라우드 전용단말기(VDI)를 사용


[잠깐 Tips] 생각보다 고퀄: 스마트폰 무료 스캐너 활용하기 •

무료로 제공되는 휴대폰용 고화질 스캐너를 활용해보자: CamScanner Free ,Office Lens 를 추천

기울기를 바로잡아주고, 주석을 달고, 메모를 하여 PDF 또는 이미지로 저장해주는 기능

도서관 책 뿐 아니라 인쇄하여 메모한 논문, 레포트 등의 자료의 보관과 공유 시에도 유용함

“스캔한 이미지를 웹에 올리거나 공유하는 것은 저작권에 위배되므로 주의하자"

<이미지 출처: Google PlayStore>


1.5 강의지정도서 빌려보기 •

학기초 강의 계획서(syllabus)의 부교재와 참고문헌 목록을 꼼꼼하게 체크하자. 그냥 써 있는 게 아니다

강의지정도서는 몇 권으로 한정된 도서를 더 많은 학생들이 볼 수 있도록 이용 기간을 제한하는 제도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 또는 특정 기간(1일, 2일, 일주일 등)으로 제한하여 제공함

한 학기 내내 수강생들에게 대출해주는 경우도 있음 예) 철학  “친구들 책과 바뀌지 않도록 유의하세요” -바코드확인


1.6 참고문헌(Reference) 이용하기 •

참고문헌은 백과사전, 사전, 핸드북, 연감 등으로 이제는 웹이 그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 위키피디아(Wikipedia)의 활약과 대표 백과사전 브리태니커의 인쇄 출판 중단 선언  “인터넷 자료의 경우 저자의 신뢰성, 자료의 정확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도서관 구독 참고자료: Access Science, Access Engineering 등을 활용해보자  온라인으로 옮겨 간 참고문헌의 예를 볼 수 있다 (+풍부한 레포트 만들기)

3층 창의열람실 내에 영어사전 등 일부 참고문헌 보유


[잠깐 Tips] 아직도 네**에 물어보니? •

사전 등 참고문헌이 해결해 주 던 것들

Wolfram Alpha(울프럼알파)에 수·물·화·생을 물어봐!

과제 작성과 학습의 충실한 도우미가 될 수 있을 듯


1.7 교양을 위한 국내 전자책(e-Book) 빌려보기 •

기숙사에서 잠 못드는 밤, 이동 또는 공강 시간에 볼 만한 콘텐츠로 최적

약 1,500종의 국내 전자책을 보유: Yes24, 웅진메키아

PC 전용뷰어, 스마트폰 앱을 다운로드하여 이용 가능

연 2~4회 콘텐츠를 업데이트 하고 있음

http://ebook.dgist.ac.kr 접속 후 사용방법 및 콘텐츠 확인


1.8 학습과 교양을 위한 해외 전자책(e-Book) 보기 •

학습과 교양 혹은 영어공부를 위한 해외 전자책: 국내 전자책과 달리 대출의 개념이 없다     

McGraw-hill e-Book Library ProQuest e-brary EBSCOhost e-Book World e-Book Library Books@JSTOR

연구를 위한 해외 전자책: 과학기술계에 연구, 종사하게 되면 익숙해질 대표적 과학기술 출판사들     

Elsevier[엘스비어] e-book Springer[스프링거] STM e-book Wiley[와일리] e-book ACS e-Book SPIE eBooks


1.9 깊어가는 가을의 책 잔치(Book Festival) 참여하기 •

2014년부터 매년 가을 학술정보관 1층 로비에서 개최되는 행사

원하는 책을 직접 골라 구입을 요청하는 도서전시회를 비롯 다양한 부대 행사와 이벤트로 구성

어마어마한 이벤트 상품들 놓치지 말자


2. 다양한 미디어의 감상: DVD 빌려보기 •

영화, 미드, 음악, 다큐 등 DVD, 블루레이, 3D까지 1,500종 2,600점 보유: 희망DVD 신청 가능

“불법 다운로드는 No! 심심할 때, 영어 공부할 때 잘 활용해보자”

한번에 2점 3일/ 1층 안내데스크에서 대출

소장목록 확인    

도서관 홈페이지 검색 가능 도서관 홈페이지 공지사항 확인: PDF, Excel 전체 소장자료 업로드 1층 안내데스크 목록 책자 활용: 입수 순, 장르별 제목 순 추천 DVD: 1층 미디어월, 큐레이션 등을 통해 볼만 한 DVD를 추천 함


[잠깐 Tips] 어려운 강의는 무료 동영상을 찾아보자 •

플라톤아카데미TV는 Youtube를 통해 플라톤의 ‘국가’를 포함하여 『인문학 8대 고전 읽기』 제공 중

그 밖에 K-MOOC, KOCW 등을 통해 국내의 다양한 무료 공개 영상을 수업 보조 도구로서 활용하자 

포스텍, 카이스트, 서울대 등 10개 기관이 참여 중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K-MOOC

국내 대학 등 200여개 기관에서 12,000여 개의 강의 300,000건의 강의자료 무료 이용

(재)플라톤 아카데미가 대학생들에게 고전의 참가치를 전하기 위해 제작한 고전 독서 가이드 <출처: 플라톤 아카데미 Youtube 영상 캡쳐>


2.1 둘이서 보기: 4층 멀티미디어 열람실 활용 •

혼자 영화를 보기엔 노트북 정도로 괜찮지만 친구와 둘이 보려면 멀티미디어 열람실을 활용해보자

지나친 애정 행각은 솔로들에게 괴로움을 줍니다

보유장비    

55인치 스마트TV 블루레이 플레이어 무선헤드셋 리모컨

3D 안경을 대여 가능: 1층 안내데스크


2.2 10명 이내로 보기: 3층 휴게실 활용 •

과제, 동아리 모임 등으로 여럿이 함께 보고 싶을 때는 휴게실을 활용할 수 있다

DVD 뿐 아니라 OCW, MOOC 등을 동시 수강하는 것으로 활용 가능

참가자를 모집하고자 하는 경우 Open Knowledge(도서관 홈페이지) 활용

“단, 저작권법에 따라 DVD 출시 후 6개월이 지난 DVD만 단체 관람이 가능 하므로 유의”     

스크린 빔 프로젝터 스피커 마이크 리모컨


2.3 10명 이상이 함께 보기: 3층 세미나실 활용 •

과제, 동아리 모임 등으로 여럿이 함께 보고 싶을 때는 세미나실을 활용할 수 있다

운영사, 도서관의 도움이 필요하므로 반드시 사전 협의 및 Open Knowledge(도서관 홈페이지) 활용

“단, 저작권법에 따라 DVD 출시 후 6개월이 지난 DVD만 단체 관람이 가능 하므로 유의”  100석 규모의 좌석  대형 스크린


2.4 도서관 영화 상영 프로그램 활용 •

도서관에서 방학 등 영화 상영 프로그램을 하는 경우가 있으니 눈 여겨 보자

이용자의 외면으로 사라진 서비스들…ㅠㅠ : 영화상영회, 셀프DVD대출 서비스


2.5 Naxos로 음악 감상을 •

도서관에서 구독 중인 Naxos Music Library는 음악 수업의 파트너이자 음악 감상실

클래식 음악 뿐 아니라 재즈, 롹 레전드, 월드 뮤직 등도 제공한다

권위 있는 레이블 약 120,000장의 CD/ 1,750,00 개의 트랙을 제공

매주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음


2.6 예술 작품 감상하기 •

DGIST 갤러리    

도서관 1층에 구성원의 문화적 욕구를 해소해주기 위한 갤러리가 있다 대구시미술협회 초청, 국립현대미술관 대여 작품 등 수준 높은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2-3개월 마다 작품이 변경되며, 오픈 당일에는 이벤트도 있으니 눈 여겨 보자 동아리 등 전시는 도서관에 문의!

지난 작품은 D-큐레이션에서 e-도록을 찾아보자


[잠깐 Tips] ARTstor를 활용한 이미지 검색과 활용 •

ARTstor Digital Library  2015년부터 도서관에서 구독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 MoMA, 메트로폴리탄 아트 뮤지엄 등 세계 유수의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이미지를 수집한다  교육과 학술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저장소로 예술 작품 뿐 아니라 학술적, 역사적 사진들이 여러 분의 레 포트를 보다 풍성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Wellcomeimages  http://wellcomeimages.org 

Creative Commons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 가능한 (의생 명 분야의) 학술적, 역사적 사진들이 저장되어 있다.


3. 잡지(Magazines) 읽기 •

여행, 운동, 요리, 패션 등 취미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해 줄 교양 잡지들

시사, 경제, 교양과학(National Geographic, Skeptic, Newton..) 등 교양을 넓혀 줄 잡지

약 80종의 교양 잡지를 연간 구독 중: 2016년 구독 잡지는 이미 결정되어 있음.

어떤 잡지를 보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도서관홈페이지> 자료검색> 연속간행물” 에서 목록 확인


3.1 힐링열람실 활용하기 •

교양잡지는 대출할 수 없다 “1층 로비, 4층 힐링열람실(정기간행물실)”을 활용하자

1층: 일부 잡지의 가장 최신호를 비치. 로비의 소파에서 읽어보자

4층: 전체 구독 잡지의 최신 및 지나간 호를 비치 “서가의 문을 찾아 열어보자. 과월호가 열릴 것이다”

Current Issues Back Issues


3.2 전자잡지(e-Magazine)으로 보기 •

국내잡지: 모아진(도서관 매거진)  국내 출간 200여 종의 잡지를 pc 및 스마트기기로 열람  2016년부터 신규 구독 시작  http://dl.moazine.com/dgist

해외잡지: Flipster  해외 출간 50여 종의 잡지를 PC 및 스마트기기로 열람  영어 공부용으로 활용 가능  2015년부터 구독 중

이용방법과 추천 자료 등은 관련 큐레이션을 찾아보자


4. 심화학습을 위해 전자저널 활용하기: 이거 횽아들만 쓰는 거 아닌가요? •

뽀대나는 레포트, UGRP 대비 등에 전자 저널을 활용해보자: 단행본이 주지 못하는 최신 연구 결과들

남이 쓴 레포트 돈 주고 사지말자, 네이버 전문검색 결과에 ‘Dbpia’도 돈주고 사지 말자 – 도서관 구독중

학부 과정에서도 활용할 만한 국내 학술지 검색 3종 세트를 활용해보자  RISS, NDSL, Dbpia +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5층 인터넷라운지 PC이용)


4.1 해외 전자저널까지 접근해보기 •

E-Only 학술지 구독 정책으로 과학/기술에 특화된 전자저널 12,000여 종을 구독 중

기초학부 과정에서도 가끔 교수님들이 학부 수준에서 이해할 만한 논문을 추천하는 경우도 있다

UGRP 등 연구에 참여하게 되면 본격적으로 해외 저널도 활용하게 된다

학부 과정에서 SCIE 등재지에 제1저자로 투고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저널 AtoZ 리스트의 활용: 도서관 홈페이지> 전자저널  도서관 구독 저널을 저널명, ISSN 으로 검색  저널의 구독범위와 제공 URL을 확인 가능  기관 IP 내에서는 별도 로그인 없이 열람 가능  구글 검색결과로 열린다고 구글 제공이 아니란 말씀


4.2 학교 밖에서 접속하기 •

방학 등 학교를 벗어 나 있어도 교내에서 이용하는 것과 똑같이 전자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프록시(Proxy) 서버를 이용한 전자자원의 ‘교외접속’ 서비스’라 한다.

도서관 로그인 후 교외접속 링크를 통해 이용  자세한 이용방법: 도서관 홈페이지> 교외접속 클릭 후 안내사항 확인  DB사이트 주소(URL)앞에 http://libproxy.dgist.ac.kr/_Lib_Proxy_Url/ 를 붙임  사용하는 노트북에 자주 찾게되는 전자자료는 Proxy URL로 즐겨찾기해두면 좋다


4.3 도서관에 없는 논문 신청하기: 도서관 미소장 자료 활용3 •

도서관 미소장 자료 활용 3종 세트 중 하나: 원문복사 서비스(Document Delivery Service)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하지 않는 전자저널의 논문을 접근 권한을 가진 타 기관을 통해 복사 받는 서비스  KISTI NDSL, KERIS 등의 무료 회원 가입을 통해 신청 후 도서관에서 수령  직접신청 경로: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서비스> 원문복사신청 후 도서관에서 수령  아직까진 무료!


5. 정보 검색을 위한 툴로 사용하기: 학술DB의 활용 •

정보의 검색과 발견, 관리, 논문의 작성 등 연구 전반에 걸쳐 도서관 구독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하지 않는 전자저널의 논문을 접근 권한을 가진 타 기관을 통해 복사 받는 서비스      

Web of Science, SCOPUS 등 인용색인 DB DBPIA 등 국내학술지 원문 제공 DB WIPS 등 특허검색 및 원문 이용 DB Gartner 등 산업 동향 및 분석 보고서 제공 DB KS규격, ASTM 등 규격과 Springer Protocols 등 프로토콜 Endnote 등 참고문헌 관리 및 논문작성 관리 툴 발표논문

검색 & 발견 SCIE, Scopus 논문 관리 & 작성

홍보 & 관리 ResearchGate

Endnote

Mendeley

Mendeley

발표논문

※ 오늘은 여기까지!

리뷰 SCIE, Scopus

논문출판 저널선정 JCR, SJR


5.1 학술 검색용 검색 엔진은 다르다 •

Naver보다는 Naver 전문정보를 이용: academic.naver.com 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국가기록원, KERIS, KISTI 등 국가 기관과 협력  DBPIA, KISS 등 국내학술지 상용 데이터베이스 등과의 제휴를 통해 자료 검색 제공  유료 리포트와 서식은 가급적 구입하지 말고 DBPIA, RISS, 국회도서관 등을 통해 열람

Google보다는 Google Scholar를 이용: scholar.google.com  국내 논문 검색보다는 해외 학술자료 검색에 활용  세계적 출판사, 대학, 도서관 리포지터리 등을 통해 자원을 수집. 방대한 학술자원 검색 제공  약간의 검색 팁과 환경 설정으로 보다 효율적 검색이 가능: 큐레이션 참조


6. 큐레이션 콘텐츠 활용하기+참여하기 • • •

도서관 구독 자원, 믿을 만한 오픈 리소스를 모아 학술정보 꿀팁을 제공 의미없는 짤방은 집어 치우고 “우주의 (조금은 깊 이 있는) 꿀팁” 을 활용하자 접속경로  http://curation.dgist.ac.kr  도서관 홈페이지, 학생포털  도서관 페이스북(/dgistlibrary)  도서관 mediawall, kiosk 등

<학생 포털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잠깐 Tips] 이 길 위에서 사색하거나 큐레이션 콘텐츠를 모바일로 읽기 좋음


[잠깐 Tips] • •

과제 등 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정보 전문가의 도움을 얻고 싶다면 “큐레이션 요청” 기능을 활용 대학생활 꿀팁, 동료에게 추천할 만한 리소스 등 참여하고 싶다면 “게스트-큐레이터”에 지원


7. 혼자공부하기 •

DGIST 학술정보관은 “함께 모여 공부하는 공간”으로 독서실 칸막이 책상이 없다

그래도 조용히 혼자 공부하고 싶다면 예약 후 4층 일반 열람실을 이용한다.

3층, 4층, 5층 아트리움 주변으로 예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라운지석도 마련되어 있다.  개별 조명과 스마트기기 충전을 위한 아울렛 보유가 장점

4층 일반열람실: 개별 조명이 설치되어 집중하기 좋다(예약필요)

3/4/5층 라운지석: 개별 조명과 개별 아울렛이 있다(예약불필요)


7.1 좌석배정시스템의 사용 •

일반열람실 좌석, 2인 DVD열람석, 그룹스터디룸은 예약 후 이용한다

예약방법  도서관 홈페이지 로그인> 도서관서비스> 좌석/실 예약  모바일 앱: ios, 안드로이드 지원 ※구글플레이 ‘DGIST 학술정보관 배정예약’ 설치  키오스크: 학술정보관 각 층 엘리베이터 앞의 좌석배정 키오스크를 이용(좌석예약만 가능)

확인방법  예약 후 이용 확인을 받아야 한다  좌석/실에 부착된 QR코드 스캔(ios), 및 NFC태그 인식(안드로이드)  또는 좌석배정 키오스크에서 확인증 출력


8. 함께 공부하기: 3층 창의열람실 활용 •

창의 열람실은 함께 공부하며 아이디어를 나누도록 만들어진 “소란스러운” 공간이다.

삼삼오오 모여 간단한 게임을 하거나, 함께 과제를 풀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멘토링 할 수 있는 공간

창의 열람실에 대한 오해 - “아…여기 자는 곳이 아닙니다”


8.1 함께 공부하기: 그룹스터디룸 활용 •

조별 과제 수행 등 조금 더 집중적으로 그룹 스터디가 필요한 경우 그룹스터디룸을 활용할 수 있다

3층에는 대표적 과학 위인을 컨셉으로 9개실, 5층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서원 5개실로 꾸며져 있다

최소 4인~ 최대 12인이 함께 모여 공부하는 공간: 예약 후 이용

그룹스터디룸에 대한 오해: - “아…여기 혼자 조용히 공부하는 곳이 아닙니다”

[활용 Tip] 3층 에디슨 방은 회의형 테이블, 빔프로젝터와 스크린을 갖추고 있다.


9. 먹고(eating) 마시기(Drinking): 타인을 배려하는 범위 내에서의 허용 •

먹고 마시기는 3층 휴게실에서만 가능

간단한 먹고 마시기는 휴게실 스낵 자판기, 음료 자판기, 커피 자판기 또는 1층 카페 팬도로시를 이용

물은 각 층 남자화장실 옆 정수기를 이용: 개인 텀블러 이용

“함께 쓰는 공간입니다”. 

책, 전산기기, 카펫 등이 있는 휴게실 외 공간에 서의 식·음료는 제한합니다

커피, 아이스크림 등 이동하며 먹지 않습니다

부득이 외부 음식을 반입해야 하는 경우 냄새가 많이 나지 않는 도시락 등을 준비하세요

중식 등 배달 음식은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행위 입니다. 타인의 후각도 존중해주세요.

먹고 난 자리는 반드시 정리합니다.


10. 도움 청하기: Ask a Librarian •

기본 시설과 서비스: 1층 안내데스크 운영사 직원에게 문의

전문 학술 서비스: 6층 도서관운영팀 사무실 사서에게 문의(평일 9 to 6, 단 점심시간 제외)

직원 외 시간 등 문의는 Ask a Librarian을 이용(모바일 페이지도 제공) •

http://libanswers.dgist.ac.kr


10.1 Library Class •

개별 DB의 실습 등 오리엔테이션에서 다루기 힘든 학술정보 활용 교육을 주목

정규 강좌: 매 학기 초(3월, 9월 넷째 주 경 일주일이 교육 주간)

Open Knowledge를 통해 예약 : 멀티미디어 실습실(20명 선착 순)


10.2 Open Knowledge: OK! •

‘16년 3월부터 시작될 베타서비스, 커밍쑨~

DGIST 학술정보관의 공간을 활용하여 구성원이 가진 가치, 지식, 경험, 아이디어를 나누세요. 

공간 활용: 창의열람실, 휴게실, 세미나실, 갤러리, 로비, 스터디룸, 멀티미디어 교육실 등

플랫폼 지원: 수강자 모집을 위한 예약시스템, 자료 공유를 위한 큐레이션 시스템

장비 지원: 프로젝터, 무선마이크, 영상촬영장비, 강연대 등

홍보 지원: 홍보물 제작 및 배포(온라인), 기념품 등

“세 사람이 걸어가면 그 중엔 반드시 스승이 있다”


지식이∝되는 DGIST 학술정보관

THE END THANK YOU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