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교원을 위한 학술DB의 검색과 활용

Page 1

과학·기술 학술정보 검색을 위한

학술DB의 선택과 활용

김경아 Kay Kim 도서관운영팀장 Librarian DGIST LIBRARY


학술정보관 도서관운영팀

 지식창조, 자유상상, 융복합 문화 공간  DGIST 구성원이 교육, 연구, 행정에 필요로 하는 학술정보를 수집하여 제공  학술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과 시설 등의 인프라와 서비스 제공

 운영시간: 학기중(평일 및 주말) 09:00 ~ 24:00

※ 시험기간 중 일부 공간에 한해 24시간 연장 운영 중

 도서관 홈페이지: http://library.dgist.ac.kr  정보서비스 문의/응답: http://libanswers.dgist.ac.kr, library@dgist.ac.kr  연락처: ☎ 053-785-1155 (1층 안내데스크), ☎ 053-785-1170~3 (도서관운영팀 사무실)


(시작하기 전에) 아래 리소스도 참고하세요 •

Visit Library issuu: https://issuu.com/dgistlibrary –

대학원 신입생OT의 “논문읽기와 문헌검색” 중 “Ch1. 문헌검색” 발표자료: 왜, 어떻게 검색하는가?

“학술정보관(도서관)을 200배 활용하는 33가지 방법”

      

문헌검색의 필요성 문헌조사의 중요성 문헌조사와 검색과정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논문관련 지표의 이해 검색기법과 연산자 문헌조직의 중요성


(시작하기 전에) 아래 리소스도 참고하세요 •

http://curation.dgist.ac.kr/curation/w/791


What Scientist Do •

In brief…, 문헌을 찾아 읽는 일이 몹시 중요하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

오늘 내용은 ‘2017 구독 전자자원 안내’ 공지의 확장판: DGIST에서는 어떤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가?!

‘도서관홈페이지> 공지사항> 2017 구독 전자자원 안내’ 참고

우리가 하는 일의 상당부분은 논문으로 대표되는 문헌을 찾아 읽는 일이다


학술 커뮤니케이션이란(Scholarly Communications)? Scholarly communication is the process used by researchers to share the results of their research work.

SocialMedia

Journal Article

TechReports

Proceedings

Usually, this is done through book, journals, conference papers and professional magazines


학술 커뮤니케이션이란(Scholarly Communications)? •

전통적인 방법과 떠오르는 방법     

Journal Articles Conference Proceedings Dissertations & Theses Technical Reports Patent  Social Media  

    

Email Conference Presentations

Review Papers Scholarly Monographs Treatises Encyclopedias Handbooks

Researcher’s Profile   

Google Citations ResearchGate ORCiD

Lab Homepage

[Image Source] https://geekyartistlibrarian.wordpress.com/2013/03/05/the-digital-humanities-transforming-scholarly-communication


타 전공에 대한 이해: 전공별로 어떻게 다를까?

31 ref. /article

19 ref. /article

M

35 ref. /article

25 ref. /article

I

48 ref. /article

E

R

55 ref. /article

B

N


DGIST 구독 학술DB의 활용 •

정보의 검색과 발견, 관리, 논문의 작성 등 연구 전반에 걸쳐 도서관 구독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하지 않는 전자저널의 논문을 접근 권한을 가진 타 기관을 통해 복사 받는 서비스  Web of Science, SCOPUS 등 인용색인 DB  DBPIA, KISS 등 국내학술지 원문 제공 DB

검색 & 발 견

 WIPS 등 특허검색 및 원문 이용 DB  EMIS 등 지역 및 기업정보, 시장분석보고서 등 제공 DB

SCIE, Scopus 논문

발표논문

 KS규격, ASTM 등 규격정보

홍보 & 관 리Mendeley

 Springer Protocols 등 프로토콜

DGISTScholar

관리 & 작 성 Endnote Mendeley

 JCR, SJR 등 저널의 Impact를 확인할 수 있는 DB  Endnote 등 참고문헌 관리 및 논문작성 관리 툴  DGIST Scholar, Mendeley 등 연구자 프로파일 관리 플랫폼  SciVal 등 분석솔루션(미래전략팀)

발표논문 리뷰 SCIE, Scopus

논문출판 저널선정 JCR, SJR


학술DB와 검색엔진의 이해 •

학술DB란? –

논문, 발표자료, 보고서 등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결과물이 담겨있는 통(컬렉션)이다

DB에 따라 특정 주제 분야만을 담고 있거나, 자료형태, 수집기간 등 수집 범위에 차이가 있다

DB에 따라 PDF, HTML 등의 원문까지 포함하는 경우도 있고, 서지정보만을 담고 있는 경우도 있다  인용색인DB vs. 원문DB

자료가 특정 DB에 담겨있느냐(검색이 되느냐)가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 SCI(E), SCOPUS, KRI 등에 등재여부가 평가 요소가 되는 경우  DB에 저널 등재 기준을 까다롭게 하는 경우

하나의 자료가 반드시 하나의 DB에 속하는 것은 아님  ‘A’라는 논문은 출판사 플랫폼에서 원문을 이용할 수 있으면서, SCOPUS, Web of Science에 등재되어있고, Google에서 검색되며 기관의 리포지터리에도 담겨있음

Journal Articles, Conference Proceedings, Reports, Theses…

News, Magazines,

Data, Patent, Standards…

Scholarly Database

※서지정보(Bibliographic information): 자료의 제목, 저자, 출판사, 연도 등을 기술한 메타데이터 정보


연구자들은 어디에서 다운로드하고 있는가?

! Sci-Hub의 등장은? •

출처: Elsevier Library Connect


책(단행본)은 어디에서 찾나? – 도서관 홈페이지 •

DGIST의 소장자료(단행본, 학위논문, DVD 등)를 모아 둔 데이터베이스

접속경로: http://library.dgist.ac.kr –

인쇄 단행본: 홈페이지> 자료검색> 소장자료

전자책(e-books): 홈페이지> 전자정보> 해외전자책

미소장자료: 서비스> 원문복사서비스> 협력기관도서신청


책(단행본)은 어디에서 찾나? – Paper Books •

도서관 소장도서 이용방법(’17.2월 현재 약 6.5만권) –

도서검색: [도서관홈페이지]-[자료검색]-[소장자료]

결과리뷰: 제목, 저자(지은이), 출판사, 연도 등 확인

상세보기: 도서상태, 소장위치, 청구기호 순 확인

도서대출: 무인대출반납기 사용


책(단행본)은 어디에서 찾나? E-Books •

Springer, Elsevier, Wiley 등 주요 출판사의 학술단행본 이용

Ebrary, EBSCOhost 등을 통해 과학기술, 교양도서 등 이용

E-Book 이용방법

no.

[도서관홈페이지]-[전자정보]-[해외전자도서]

서명, 저자, ISBN, 출판사 등으로 검색 후 이용

저널처럼 기관IP 접속 후 이용

ebook Package Title

1 EBRARY 2 EBSCO-Flipster 3 EBSCOhost eBook 4 Elsevier Freedom collection 5 McGraw-Hill e-book library 6 Springer STM e-book 7 Wiley e-book 8 ACS e-book 9 Books@JSTOR 10 SPIE eBooks 11 World e-Book Library

Note 전주제 교양잡지 전주제 SciencDirect 플랫폼/전주제 과학/어학 (36종 업데이트) LNCS 시리즈 구독 Online Reference Works 7종 업데이트

BSL(3개 과기대 협력 공동구매)


DGIST 구독 저널 검색: Journal AtoZ •

저널, DB 패키지 단위로 구독하는 경우가 많아 동일한 저널이 검색되는 경우 제공처를 확인한다

Nature, Science, Cell 등 저널명이 단순한 경우 “완전일치” 제한 검색을 활용한다

저널명을 클릭하여 저널 상세정보에서 구독범위(Coverage)를 확인: Start Date, End Date –

최신호는 출판사, 과월호(Back file)는 ProQuest와 같은 aggregator의 제공 빈도가 높음 도서관홈페이지> 전자정보> 전자저널

저널명 또는 ISSN으로 구독 여부 검색

※ ISSN: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제공처 링크 바로가기


저널 정보의 검색과 투고 저널의 선택 •

InCites Journal Citation Reports(JCR): SCIE 등재 저널정보, Impact Factor* 및 저널 랭킹 정보 제공

DOAJ(www.doaj.org): Open Access 저널 디렉토리로 OA 저널 여부를 검색

SHERPA RoMEO(http://www.sherpa.ac.uk/romeo): 출판사, 저널별 Archiving 정책에 따른 저작권 확인 –

개인/랩 홈페이지, ResearchGate 등에 본인이라도 논문 업로딩 시 저작권에 유의하여야 한다

Green(출판사 버전 아카이브 가능), Blue(post print가능), Yellow(Preprint가능), White(불가)


DGIST 구독저널 논문 검색: 통합메타검색 •

기관 구독 DB내에서 아이템(논문) 단위로 검색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나, 기관 구독 자원으로 한정하여 검색 가능


Google Scholar: 검색해서 열린다고 구글신이 주신 것은 아니다! •

사람이 직접 큐레이션하는 Web of Science, SCOPUS, PubMed 등의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출판사나 도서관, 리포지터리 등의 학술기관의 문헌을 Robot이 crawling하여 색인

너무 방대하고 포괄적이며, 제공 기능에도 한계가 있으나 “특정논문”의 원문을 빠르게 찾을 때 유용함

기능의 한계는 Advanced Search나 Boolean 연산자 등으로 보완하여 검색


Google Scholar: 원문을 이용할 수 없을 때 다른 ‘버전’을 선택해보세요 •

여러 개의 제공 소스로부터 크롤링하므로 동일한 자료라도 여러 개의 버전이 존재함: 통상 출판사가 1순위

활용: DGIST 접속 권한이 없는 저널인 경우 기관 리포지터리에 preprint가 구축되어있는지 확인 가능


Google Scholar •

환경설정에서 몇 가지 세팅으로 조금 더 효율적인 검색과 이용이 가능 –

서지관리 프로그램 설정: Endnote 등 인용정보 가져오기 링크를 표시

라이브러리 링크: 검색 결과의 기관 구독 추가 정보를 탐색(Find it more@DGIST), 노트북에 셋팅

‘알림만들기(Create Alerts)’로 반복적인 검색식을 등록하여 e-mail, RSS 등으로 알림받기


Web of Science vs. Google Scholar •

Google Scholar가 있는데 왜 Web of Science, SCOPUS, SciFinder와 같은 값비싼 DB를 구입하는가? 구분

Web of Science, SCOPUS

Google Scholar

자료구축

Human: 별도로 메타데이터를 구축. 오타 등 약 간의 실수가 있을 수 있음(메타정보의 풍부함)

Robot: 출판사, 리포지터리에 올린 그대로 Crawling 및 대상 정보로의 링크 제공(신속함)

색인정보

기본서지정보 외에 keyword plus, funding정보

저자, 제목, 출판일, 저널명을 인덱싱

검색목적

선행연구, 동향분석 등을 위해 문헌리뷰를 하거나, 알고 있는 서지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자료의 원문 인용관련 부가 정보를 찾을 때 을 빠르게 찾을 때

자료유형

엄선된 저널 논문 중심으로 찾을 때

레포트, 단행본, 발표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 하여 검색할 때

주제분야

과학기술(SCIE), 사회과학(SSCI), 인문예술 (A&HCI) ※DGIST는 ‘16년 현재 SCIE만 구독

전 주제 분야

엄선된 자료의 풍부한 메타정보 제공

방대한 자료의 빠른 검색 제공

결론


DGIST 구독 학술데이터베이스 접속하기 •

전자정보> 학술데이터베이스

공지사항> 2017 구독 전자자원


Web of Science: SCIE 논문의 검색 •

Web of Knowledge 라는 플랫폼 안에 다른 여러 DB와 함께 수록되어있다

100년 이상, 10억 건의 인용 문헌이 인덱싱되어있으며, DGIST는 1900-현재까지 구독한다(기관마다다름)

SCI-E(과학기술), SSCI(사회과학), A&HCI(인문예술) 에디션을 포함하나, DGIST는 SCIE만을 구독한다

Peer reviewed 저널, Conference Proceeding 등 ‘17.2월 기준 8,874종의 Publication을 수록(매달 변경)

Web of Science는 언제 사용하나? –

핵심 저널 내에서의 문헌 검색

논문 사이의 관계 파악, 관련논문의 탐색

내 연구 분야의 연구 경향 및 문헌 탐색

키워드 만으로 찾기 어려운 연구 문헌 발견

SCIE 등재논문 검색, 피인용 확인

연구자, 기관정보의 검색: h-index

원문제공 DB가 아님

webofknowledge.com


[잠깐!] 인용의 중요성과 키워드 검색의 한계 •

중요한 논문을 기점으로, 논문 과거(참고문헌)와 미래(인용논문), 인용으로 연결된 관련논문까지 검색

Citation Alert RSS Feed ….

Source: Thomson Reuters Korea


SCOPUS: 보다 폭넓은 검색 •

Elsevier 출판사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인용색인 DB로 1960년부터 현재까지의 과학기술, 사회과학, 인문예술 21,500 이상의 Peer-reviewed 저널을 포함하여 Conference Paper, 단행본, 등 문헌이 인덱싱 되어있다

Web of Science와 기능 및 활용 목적은 유사하나 DB내에 수록된 콘텐츠의 범위가 폭넓다

어떤 분야에서는 SCIE 저널 만큼 Conference Proceeding도 중요하다

주요기능 –

문헌검색, 저자검색, 기관검색, 고급검색, Refine 등

Alerts, Analyze, Metrics 등

원문 제공 DB가 아님

scopus.com


SciFinder: 화학 및 관련분야 DB •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만든 화학 및 관련분야 문헌, 물질, 반응 검색용 DB

키워드, 이름, 출판물명 등 자연어 뿐 아니라 반응경로, 화학구조, Markush 구조 등으로 검색 가능

꼭 리뷰 해야 할 문헌, 핵심 연구자, 내 연구분야와 관련된 물질 정보 외에…

활용: 합성 계획, 규제 정보, 화학·물리·생물적 특성 등의 중요한 정보를 확인

중요한 속성 정보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나? 76백만 물질의 10억 개 속성값 포함

어떻게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 실험과정 제공

그 물질을 어디에서 구매할 수 있나? 링크제공

관련된 규제의 제한이 있나?

특허의 보호를 받고 있나?

잠재적인 동료나 경쟁자가 있나?

정보를 공유하고 발전시키려면 어떻게 하나?

비고: 기관 회원가입 페이지 내에서 회원가입 필수!


출판사별 원문 데이터베이스 •

상업 출판사별 저널 패키지 플랫폼에 접속하여 검색하지 않아도 인용색인 DB의 출판사 링크, Google Scholar 등 검색 엔진을 통해 연결되고 있다

Science Direct: Elsevier 출판사와 파트너 2,500여종의 저널과 DGIST 구입 4,000여종 e-Book을 제공

Springer Link: Springer 출판사의 저널 2,000여종과 DGIST 구입 e-book 9,000여종을 제공

Wiley Online Library: John Wiley&Sons의 1,160종의 저널과 DGIST 구입 e-book 2,000여종을 제공

SAGE Journals: Sage 출판사의 전 주제분야 650여종의 저널

Taylor & Francis Online: 2,200여종의 전 주제분야


출판사별 원문 데이터베이스 •

학·협회별 저널 패키지 플랫폼에 접속하여 검색하지 않아도 인용색인 DB의 출판사 링크, Google Scholar 등 검색 엔진을 통해 연결되고 있다

ACS Publications: ACS(American Chemical Society) 60여종 저널, 1500종 e-book을 포함(미국 화학회)

RSC Publishing: RSC(Royal Society of Chemistry) 50여종 저널을 포함(영국 왕립화학회)

AIP Scitation: AIP(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19종 저널(미국 물리학회)

APS Journals: APS(American Physical Society)의 12종 저널(미국 물리학 협회)

APS Journals: APS(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의 15종 저널(미국생리학회)

IOP Science: IOP(Institute of Physics) 및 파트너 출판사 99종 저널(영국소재, 물리학협회)

ASME Digital: ASME(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30여종 간행물(미국기계학회)

ACM Digital Library: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저널, 프로시딩 등 1,140종

IEEE Xplore: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와 파트너 출판사 170종 저널, 1,400종 이상의 Conference Proceedings, 5,000종 이상의 technical standards 등을 포함


출판사별 원문 데이터베이스 •

대학출판사 저널 패키지 플랫폼에 접속하여 검색하지 않아도 인용색인 DB의 출판사 링크, Google Scholar 등 검색 엔진을 통해 연결되고 있다

Cambridge Journals Online: ACS(American Chemical Society) 60여종 저널을 포함(미국 화학회)

OUP(Oxford University Press): Toxicological Sciences 등 291종 저널

RU(Rockefeller University Press): Journal of Cell Biology 등 3종 저널


국내학회지, 연구보고서 활용하기 •

연구보고서 등 국내 대학, 과학기술 출판물을 RISS, NDSL에서 검색하거나 국내 소장처를 확인할 수 있다

국내학회지는 DBPia에서 2,000종 이상, KISS에서 3,264종의 간행물의 원문을 이용할 수 있다

기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검색 후 “협정기관”에서 열람가능한 자료: 5층 인터넷라운지 PC이용


ProQuest Central •

ABI/INFORM, PQDT 등 30여개 DB를 포함, 160여 주제 분야를 포괄하는 전 주제분야 데이터베이스로 학술 저널, 보고서, 신문, 학위논문 등의 전통적인 문헌 뿐 아니라 블로그, 팟캐스트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다

특히, 기업 정보, 국가정보, 산업/시장 정보, G20 국가에 대한 데이터 파일 형태의 국가 통계 및 예측 자료 등 비즈니스, 경영, 경제 분야에 특화되어있다

PDF, HTML 원문을 볼 수 있는 콘텐츠와 인용정보만 보여주는 콘텐츠가 있으며, 특정 기간 엠바고(embargo) 를 두는 경우도 있어 출판물 별 제공 Coverage를 확인한다

Nature Research 저널 등 기관 구독 Coverage 외에 과거 소급 분까지 보고 싶은 경우 검색해보자


Find Dissertations/Theses •

Find Global Dissertations/Theses –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PQDT): http://search.proquest.com/pqdtglobal

세계 최대의 해외 석/박사 학위논문 데이터베이스 미국의회도서관의 공식 지정 학위논문 저장 (Repository) 데이터베이스

북미지역 대다수의 석/박사 학위논문 및 중국, 유럽지역 서지/초록을 제공

그 중 185만여 건에 대한 PDF원문을 제공

DGIST는 2016년 현재 원문까지 볼 수 있는 Global 옵션을 구독 중

Find Domestic/DGIST Dissertations/Theses –

국내 대부분의 대학이 KERIS(http://www.riss.kr) dCollection에서 제공


학위논문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

DGIST를 비롯한 국내 대학 학위논문은 RISS.kr 에서 검색하여 무료로 원문 이용 가능: 회원가입

북미(미국) 지역은 PQDT Global, DDOD(PQDT Global 미구독기관인 경우)를 이용.

영국은 British Library에서 운영하는 EThOS에서 40만건의 박사 학위논문을 제공: http://ethos.bl.uk

스웨덴은 국가도서관시스템에서 대학 생산물을 검색할 수 있는 SwePub을 운영: http://swepub.kb.se

스페인은 7만건 이상 학위논문 검색, 2만건 이상 원문을 수록한 TDX를 운영: http://www.tdx.cat

일본은 RISS.kr을 통해 CiNii에서 60만 건의 학위논문을 검색 가능

호주는 호주국립도서관의 검색 시스템 Trove(http://trove.nla.gov.au)에서 검색


기관구독 DB만으로 부족할 때 •

과학기술 분야 DB에 집중되어 있어 타 분야 등 검색을 위해 검색 DB가 필요한 경우 RISS 해외DB를 활용하자

이용방법: 오후 4시~ 익일 오전 9시에 미구독 해외 DB를 RISS에 접속하여 이용가능(대학 구성원에 한함)

제공 DB별 상세정보 및 이용시간은 RISS> 해외DB 통합검색> 해외DB 전자정보 안내 참고

추천 DB(기관미구독) –

ASP: 전분야 해외 학술저널 제공

BSP: 경영경제 출판물 제공

CiNii: 일본문헌, 학술논문 제공

PML: MEDLINE 등재저널 제공

AVON: 전분야 동영상


참고자료(Reference Work)의 검색 •

사전, 백과사전, 연감, 핸드북, 지도 등 ‘사실(facts)’ 정보를 기술한 자료로 논문을 작성할 때 인용정보를 표시 하는 Reference와 혼돈하지 말자

도서관에 단행본과 별도로 Reference 컬렉션 코너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으나 최근에는 Wikipedia 등 웹에 서 제공되고 있어 DGIST에서는 가급적 인쇄본 수집을 하지 않고 있다

백과사전, 어학사전, 지도 등 일반적인 정보는 포털 검색 등을 이용. 집단지성을 이용하는 웹사이트나 도메인 이 의심스러운 자료는 이용에 주의할 것

DGIST 구독 과학기술 참고자료는 다음 장을 참고


참고자료(Reference Work)의 검색: 과학기술 정보 •

Springer Materials –

461볼륨, 29만 물질정보, 140만 인용정보를 수록한 Landolt-Börnstein New Series를 포함

Alloy Phase Diagram Databse –

36,500 2, 3차 상평형그림(phase diagrams)을 검색, 열람 가능


풍부한 수업자료를 만들기 위한 멀티미디어의 활용 •

ARTSTOR(http://library.artstor.org) –

미술관, 사진 아카이브, 학술 및 예술, 과학, 역사 이미지 등을 수록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이다

저작권 규정에 따라 교육, 학술적 목적으로 출처를 밝힌 후 수업자료 제작 등에 활용 가능하다

의생명 분야 학술, 역사 사진 Wellcomeimages(http://wellcomeimages.org)도 참고하자

Naxos Music Library(http://dgist.naxosmusiclibrary.com) –

기초학부 음악수업을 위해 구독 중인 DB로 동시 접속자 수에 제한이 있다

음악 DB로 클래식, 재즈, 월드 뮤직 등 세계적인 레이블의 명반 12만장의 CD 감상 가능하다


풍부한 수업자료를 만들기 위한 멀티미디어의 활용 •

Academic Video Online: Premium (AVON) –

학술용으로 선별된 5만 편 이상의 전 주제 분야 비디오 스트리밍 컬렉션

JOVE: 비디오 저널의 등장. 생명과학, 메디컬 분야 methods의 공유 –

학술용으로 선별된 5만 편 이상의 전 주제 분야 비디오 스트리밍 컬렉션

‘JoVE Science Education’을 2017 신규구독 : Biology, Psychology, Environmental Sciences 등


기타 유형의 자료 검색 •

IHS Standards Expert: ASTM Standards 등 검색

KSSN(한국표준정보망 디지털라이브러리): KSA(한국표준협회) 제공 KS 규격검색

Springer Protocols: 의생명과학 분야 프로토콜 검색 및 원문이용, 비디오 프로토콜 포함

WIPS: 국내외 특허검색

HSTalks: 생명과학, 바이오메디컬 분야 권위있는 전문가의 강연 영상


학교 밖에서 접속하기: 교외접속(Proxy Server) •

주말, 출장 등 학교를 벗어 나 있어도 교내에서 이용하는 것과 똑같이 전자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프록시(Proxy) 서버를 이용한 전자자원의 ‘교외접속’ 서비스’라 한다.

도서관 로그인 후 교외접속 링크를 통해 이용  자세한 이용방법: 도서관 홈페이지> 교외접속 클릭 후 안내사항 확인  DB사이트 주소(URL)앞에 http://libproxy.dgist.ac.kr/_Lib_Proxy_Url/ 를 붙임  사용하는 노트북에 자주 찾게되는 전자자료는 Proxy URL로 즐겨찾기 해두면 좋다


도서관에 없는 논문 신청하기: 원문복사서비스 •

도서관 미소장 자료 활용 3종 세트 중 하나: 원문복사 서비스(Document Delivery Service)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하지 않는 전자저널의 논문을 접근 권한을 가진 타 기관을 통해 복사 받는 서비스  KISTI NDSL, KERIS 등의 무료 회원 가입을 통해 신청 후 도서관에서 수령  직접신청 경로: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서비스> 원문복사신청 후 도서관에서 수령  아직까진 무료!


Keep current !!! •

RSS, Email & Table of Contents Alerts


Articles@DGIST •

학술정보관 내 카페 입구에 인쇄 형태로 매달 DGIST Monthly Article을 인쇄하여 배치

DGIST 큐레이션(포털 내 메인페이지 좌측 하단에서 접근 가능)에 매주 Weekly Article을 소개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서비스> Articles@DGIST 에서 SCOPUS, SCIE 등재 최신 논문 확인 가능


Organize your references •

You can use Citation Software. It helps you to: –

import citations from your favorite databases and websites.

build and organize bibliographies.

format citations for papers.

take notes on articles and save them in your collection of citations.

save and organize PDFs, screenshots, graphs, images, and other files for your research.

DGIST Library support Endnote, Mendeley

Freely Available: Zotero, Mendeley,


전자저널 사용 기준 공지 •

전자자료 이용의 오남용 사례가 발견될 시 해당 IP뿐 아니라 기관 전체 서비스가 일시·영구 차단될 수 있으며, 출판사가 청구하는 비용을 위반 행위자가 직접 부담(유상 청구)하여야 하므로 아래 공정 이용에 관한 내용을 숙지하시어 DGIST 전체 연구자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자저널 사용 위반 기준 ○ 연구 범위를 초과하는 원문 대량 다운로드하거나 인쇄하는 행위 ○ 저장/인쇄한 자료를 개인의 연구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행위 ○ 전 권(특정 volume/issue 전체)을 다운로드하거나 인쇄하는 행위 ○ 자동수집 프로그램, 로봇 등을 이용한 다운로드 및 인쇄 행위: Endnote “find Full-text” 기능에 유의 ○ 타인에게 논문을 전달하거나 공공에 업로딩, 본인의 계정을 빌려주는 행위 ○ 개인용/공용 PC 관리 소홀로 타인의 접속을 허용한 행위

아울러 피해에 따른 선의의 연구자들을 보호하고, 불필요한 논문의 다운로드로 인한 기관 구독료의 상승을 막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용 기준을 제시합니다. ○ 동일 PC(IP)에서 동일 출판사 논문(Full-text) 최대 다운로드 일일 30건 ○ 연구와 학습에 꼭 필요한 논문만 다운로드


D-curation 콘텐츠 활용과 참여 •

도서관 구독 자원, 믿을 만한 오픈 리소스를 모아 학술정보 꿀팁을 제공 중

Flipped Learning Tool로 활용: 교원 Curator 상시 모집 중!

접속경로: http://curation.dgist.ac.kr  도서관 홈페이지, 학생포털  도서관 페이스북(/dgistlibrary)  도서관 mediawall, kiosk 등  특정 그룹 또는 개인 제공을 위한 비공개 설정 가능

<교직원 포털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Open Access에 관심을 가져주세요 •

연구 결과물이 더 널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인용될 수 있는 방법입니다.

Open Access 또는 Hybrid 저널에 투고하거나, 상업출판사의 경우 저작권 및 셀프아카이브 정책에 따라 Preprint/Postprint 를 올려주세요!

For more: http://starlibrary.org/open-access


DGIST 기관 리포지터리(’17년 오픈예정): http://scholar.dgist.ac.kr •

모든 기관이 모든 자료를 구독하고 있지 않습니다.

Preprint를 올려 Global Impact를 높이세요!


Ask a Librarian •

기본 시설과 서비스: 1층 안내데스크 운영사 직원에게 문의

전문 학술 서비스: 도서관운영팀 사무실 사서에게 문의(평일 9 to 6, 단 점심시간 제외)

직원 외 시간 등 문의는 Ask a Librarian을 이용(모바일 페이지도 제공) •

http://libanswers.dgist.ac.kr

library@dgist.ac.kr


지식이∝ 되는 DGIST 학술정보관

THE END THANK YOU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