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Docs Fund

Page 1

제작지원



제작지원 Hosted by

Organizing Committee

Presented by Premiere Sponsor

Prestige Sponsors

Executive Committee 파트너 Partners


4

목차

Contents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소개

DMZ Docs Fund Program

6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및 개봉배급지원 소개

DMZ Docs Fund Program

7

제작지원 분야 및 시상내역

Fund Categories and Grants

8

제작지원 심사위원 소개

DMZ Docs Fund Jury

12

개봉배급지원 심사위원 소개

Jury for Fund for Release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장편 프로젝트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18

01 그림자 꽃

01 Shadow Flowers

20

02 까치발

02 My Daughter’s Toe Walking

22

03 나의 아버지

03 My Father the Executioner

24

04 도시외곽순환도로

04 The Ring Road

26

05 두 개의 국기

05 Two Flags

28

06 로그북

06 Logbook

30

07 보이지 않는 스타

07 Unseen Star

32

08 빨갱이의 탄생

08 Red Complex

34

09 아에타

09 The Aeta

36

10 아편전쟁

10 The Opium War

38

11 옵티그래프

11 Optigraph

40

12 터지지 않은 폭탄

12 The Future Cries Beneath Our Soil

42

13 할매꽃2

13 The Isolated

DMZ 프로젝트

DMZ Documentary Project

46

01 4.25 축구단

01 My NK Football Team

48

02 오래된 미래

02 Old Future

신진작가 프로젝트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52

01 5월 17일

01 May 17

54

02 녹

02 The Rust

56

03 도시를 배회하다

03 Prowl City

58

04 사수

04 Guardians

60

05 이별시

05 Birha(Away)

62

06 해프닝

06 Happenings

64

07 희망을 냉동보관하다

07 Hope Frozen

개봉지원 접수작

Entries of Fund for Release

개봉지원 접수작

Entries of Fund for Release

제작지원 부대행사

DMZ Docs Fund Events

69

부대행사

DMZ Docs Fund Events

70

포럼

Forum

71

DMZ Docs 제작지원작 상영 및 토크

DMZ Docs Granted Projects’ Screenings & Talks

67


5

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소개 Fund Program


제작지원 소개

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및 개봉배급지원 소개

6

Fund Program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프로그램’은 공개발표

‘The DMZ Docs Fund’ will award 350 million Korean won

등을 통해 최종 선정된 20편 내외의 다큐멘터리에 총 3억

to about 20 documentary projects finally selected in the

5천만원을 제작비 및 개봉지원비로 지급한다. 지원 분야는 크게 ‘제작지원(총 18편)’과 ‘배급지원(총 2편)’으로 나뉜다. ‘제작지원’분야는 아시아·한국의 장편 다큐멘터리(9편),

Public Presentation, for their production or release. The Fund Program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unds for Production’ (18 projects) and ‘Funds for Release’ (2 projects). ‘Funds for Production’ is distributed to Korean or Asian

대명문화공장다큐펀드(1편), 신진작가제작지원(5편),

feature-length documentary (9 projects), Daemyung Culture

DMZ프로젝트(2편)으로 공모작 중 선정된 우수 작품에

Factory Funds (1 project),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총 3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협약을 통해 4개국의

(5 projects), and DMZ Documentary Project (2 projects), and

아시아청년다큐멘터리스트들의 공동제작 옴니버스 작품에 1천만원을 더 지원한다. ‘배급지원’은 다큐멘터리 영화가 극장에서 개봉하기 쉽지 않은

a total of 300 million Korean won will be provided to the best projects selected from the entries submitted. In addition, ‘Funds for Production’ supports an omnibus documentary for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through the agreement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관객과 만날 수 있도록 극장

with the young documentarists from four teams in Asia.

상영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Fund for Release’ is a program to support the theater

공식초청작 중 2017년 상반기 극장 개봉을 계획하고 있는 한국

screening for the feature-length documentaries that can

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2편을 선정하여 총 4천만 원을 지원한다. 올해 제작지원 공모에는 한국 71편, 아시아 19개국 30편으로 총 101편이 응모했다. 예심을 통해 총 20편, DMZ국제다큐영화제와

solve real difficulties in releasing at the theaters and connect with a wider audience. Among the Korean feature-length documentaries officially invited in the 8th DMZ Docs and preparing for the release at theaters in the first half of 2017, 2

인도의 독엣지 콜카타(Docedge Kolkata)와 말레이시아의 사바

films selected will be supported with a total of 40 million won.

피칭 포럼(Sabah Pitching Forum) 간 협력 네트워크 사업으로

This year for ‘Funds for Production’, a total of 101 projects

선정한 2편까지 총 22편의 프로젝트를 공개발표 참가작으로

submitted applications, including 71 from Korea and 30

선정하였으며, 영화제 기간 중 열리는 ‘공개발표’를 통해 최종 지원작 17편을 선정할 예정이다. ‘공개발표’를 통해 현재 기획·제작 중인 다큐멘터리의 제작 상황을 공유하고, 전문가 및

from nineteen countries in Asia. And a total of 22 projects, by adding 20 projects that passed the preliminaries and 2 projects selected by the collaboration network project of DMZ Docs, Docedge Kolkata in India and Sabah Pitching

예비 관객들의 의견을 듣는 기회가 될 것이다.

Forum in Malaysia, were qualified for the Public Presentation.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의 특징으로 상대적으로 제작비

And the 17 projects for the Funds will be selected through

펀딩 및 작품 완성이 어려운 ‘신진 작가’ 에 대한 지원 부문을 들

the Public Presentation event during the Festival. The

수 있는데, 올해는 지원 대상 및 규모를 확대했다. 한국 제작자에 한정되었던 지원이 올해는 아시아 지역 제작자들까지 대상이 확대됐다. 신진작가부문을 통해 총 5천만원의 지원금을 5작품에 지원할 예정이다.

Public Presentation will be a chance to share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documentary projects in production or in the planning stage and to take professional advice or listen to opinion of future audience. A feature of the DMZ Docs Funds is the support program for the new directors who relatively have difficulty with receiving the funding for production and completing the films and the Festival expanded the range and amount of funding this year. It extended the range of the fund’s beneficiaries to whole Asia, and will provide a total of 50 million won to 5 projects through funding for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Fund Program

7

제작지원 분야 및 시상내역

구분

Fund Categories and Grants

지원대상

세부내용

구분 사항

장편다큐

한국 및 아시아의 장편(60분 이상) 다큐

제작지원

한국 및 아시아 국적을 가진 감독/프로듀서의 다큐 프로젝트

대명문화공장

한국 장편(60분 이상) 다큐

다큐펀드

극장 개봉을 목표로 하는 다큐

지원편수

9편 내외

1편

한국 및 아시아 국적을 가진 감독/프로듀서의 다큐 프로젝트 DMZ프로젝트

‘DMZ’, 통일/분단, 분쟁 등을 소재/주제로 한 장편(60분 이상) 다큐 프로젝트

2편 내외

특히 새터민, 탈북을 다룬 다큐 프로젝트 제작지원

선정작 혜택 편당 2천만 원 내외 총 1.8억 원 내외 총 2천만 원

편당 2천5백만 원 내외 총 5천만 원 내외 편당 1천만 원

3억1천만 원/

신진작가

장편 다큐 제작경험이 1편 이하인 한국 및

18편

제작지원

아시아 신진다큐감독의 프로젝트로 장·단편 가능

아시아

국립타이난예술대학교, 상하이동제대, 일본영화대학,

청년다큐멘터리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선정한 제작자와 협약을 통한 공동제작 프로젝트

공동제작지원

‘나는 아시아인이다’라는 주제로 15분 내외의 단편 다큐

5편

총 5천만 원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시설 및 장비 이용 특전

옴니버스 1편

총 1천만 원

해당 프로젝트의 감독 또는 독엣지 콜카타상

DMZ Docs 공개발표 참가 프로젝트

1편

프로듀서 1인에게 2017년 독엣지 콜카타 피칭 포럼 참가를 위한 숙박 및 뱃지 제공

개봉 및 배급 지원

DMZ다큐 개봉지원

4천만 원/ 2편

Category

Funds for Production

Funds for Release

Details

2016 제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상영작으로 공식 초청된 장편 다큐 중 2017년 상반기 내 극장 개봉을 계획 중인 한국 다큐

Qualifications for Documentary funds

2편

편당 2천만 원 총 4천만 원

Number of Selected project

Benefit of Selected project

Feature-Length Documentary Project

Korean or Asian feature-length documentary (minimum of 60min) Documentary projects suggested by directors/producers with Korean or Asian nationality

About 9 projects

About 20 million won per project A total of 180 million won

Daemyung Culture Factory Fund

Korean feature-length documentary (minimum of 60min) Documentary aiming at opening in theaters

1 project

A total of 20 million won

DMZ Documentary Project

Documentary projects suggested by directors/producers with Korean or Asian nationality Documentary projects (longer than 60min) about dispute, union or ‘DMZ’ Especially documentary projects about ‘North Korean defector’ or ‘Refugees from North Korea’

About 2 projects

About 25 million won per project A total of 50 million won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Project of Korean documentary director who produced 1 or no feature length documentary before

5 projects

About 10 million won per project A total of 50 million won Aid facilities and equipment of Seoul Community Media Center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Co-production project through agreement with selected producer in Tainan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Japan Institute of the Moving Image Tongji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Omnibus documentary on the subject of ‘I’m Asian’

Omnibus 1 project

A total of 10 million won

Docedge Kolkata Award

Projects the Public Presentation of the DMZ Docs Fund 2016

1 project

Badge and accommodation to participate in the Pitching Forum at Docedge 2017

DMZ Documentary Release Fund

Among official feature films screening at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hich films preparing to release at theaters or community screening in the first half 2017

2 projects

20 million won per project A total of 40 million won


제작지원 소개

제작지원 심사위원 소개

8

Fund Jury

고영재 Goh Young-jae

남인영 Nam In-young

(주) 인디플러그 대표 / (사) 한국독립영화협회 이사장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영상예술대학 교수

CEO, INDIEPLUG Inc / Chairman, The Association of

Professor, Im Kwon Taek College of Film and Media Arts

Korean Independent Film & Video

at Dongseo Univ.

경희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으며 용인대학교에서

뉴욕대학교 영화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중앙대학교

영화제작실기석사(MFA)학위를 받았다. 영상미디어센터

첨단영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월간 「말」,

미디액트, 한국독립영화협회에서 활동하였으며 2006년

「문화일보」, 「씨네21」 등을 통해 영화 평론 활동을 펼쳤으며,

장편다큐 <우리학교>를 통해 제작자,프로듀서로 데뷔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와 인디다큐페스티벌의 프로그래머를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를 넘나들면서 10여편의 작품을

역임했다. 현재 동서대학교 임권택 영화예술대학의 교수이자

제작,프로듀싱했으며 현재는 투자,배급까지 그 활동영역을 넓혀

임권택 영화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

30여편의 작품에 참여했다. 투자, 제작, 극장과 온라인배급사인

독립다큐멘터리』(공저) 외.

(주) 인디플러그 대표이자 (사) 한국독립영화협회의 이사장이다.

Goh Young-jae studied political science at Kyunghee

She completed a Master’s degree at New York University

University, and has a master’s degree in film making from

and has a Ph.D. at Chung-Ang University. She was a film

Yongin University. He had worked in the media center

critic with a monthly magazine Mal, The Munhwa Ilbo,

MediACT and the Association of Korean Independent

Cine 21 and now she is teaching at Im Kwon Taek college

Film and Video. Since having debuted as a film producer

of Film and Media Arts at Dongseo University. She is also

with the documentary Our School in 2006, he has

the chief of Im Kwon Taek Film Archive & Research Center

produced over 10 films, including both fiction films and

and has co-authored the book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ies. He expanded his field into investment

Documentary』.

and distribution, and participated in making 30 films. He is currently the CEO of Indieplug Inc., a film company of investment, production and theater·online distribution, and the chairma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Independent Film and Video.


Fund Program

9

니로팔 마줌다르 Nilotpal Majumdar

리차드 리앙 Richard Liang

독엣지콜카타 집행위원장 Head, ​​DocedgeKolkata

프로듀서 Producer

독엣지콜카타, 아시아 다큐멘터리 포럼을 운영하는

10년 동안 다큐멘터리 작업을 해왔다. 중국 감독들과 세계

‘Documentary Resource Initiative’의 설립자이자 대표다.

시장을 연결시키는 데에 가장 활발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제

인도의 푸네영화학교에서 편집부문을 전공했으며 작가, 감독,

협력사들과 함께 <The Next Life>, <The Rest of My Life Is

편집자, 촬영감독으로 활동해왔다. 여러 국제영화제에서

for Sale>, <Dust in the Lung>, <The Road>, <Song of

심사위원 및 멘토로서 활동해왔으며 인도에서도 젊은

the Mulberries> 등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제작자뿐만

영화감독들의 멘토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인도의 최고

아니라 배급자과 이벤트 기획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중국

영화학교 중 하나로 손꼽히는 콜카타의 사티야지트 레이

장편 다큐멘터리를 위한 저작권 에이전시를 운영하고 있는데

영화학교의 학장 및 교수를 겸임했으며 현재 임팔 마니푸르 주

2013년부터 IDFA에 중국 작품을 소개해주는 일을 해왔으며,

영화학교의 임원이다.

2015년에는 IDFA의 심사위원이었다. 그는 또한 매달 중국의 큰 도시들에서 다큐멘터리를 상영하는 이벤트를 기획하고 있다.

Founder·President of Documentary Resource Initiative

Richard Liang has been working on documentaries

that organises Docedge Kolkata, Asian Forum for

for over 10 years. As one of the most active producers

Documentary. Postgraduate from Film&Television Institute

building bridges between Chinese filmmakers and

of India, Pune with specialization in Editing. Has been

international market, Richard has produced several

working as Writer, Director, Editor and Cinematographer.

documentaries with international partners, including

Attended international festivals and workshops as

The Next Life, The Rest of My Life Is for Sale, Dust in

jury, tutor and mentor. He rigorously mentors young

the Lung, The Road, and Song of the Mulberries . In

filmmakers in India. Served as Professor and Dean of

addition to being a producer, he is also a distributor and

Satyajit Ray Film & Television Institute, Kolkata till January

event organizer. He runs a copyright agency for feature

2016, a premier film institute in India for postgraduate

documentaries in China; he has been scouting Chinese

studies. Presently he is the Director, Manipur State Film &

films for IDFA since 2013 and was in the jury of IDFA in

Television Institute, Imphal.

2015; he also organizes a monthly event that screens feature documentaries in one of the largest cities in China.


제작지원 소개

10

최정길 JK Choi

김승현 Kim​​​Seung-hyeon

대명문화공장 팀장 Deamyung Culture Factory

대명문화공장 파트장 ​Deamyung Culture Factory

대명문화공장의 영화, 공연, 프로모션, 이벤트 등 문화사업

대명문화공장의 영화사업파트를 담당하고 있으며, 2014년

전반의 책임자로서 상업영화 투자/배급을 비롯, 2016년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투자/배급의 진행을 시작으로

<초인>을 개봉을 시작으로 다양성영화 개발/투자를 총괄하고

상업영화와 더불어 다양성 영화 개발/투자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있다.

He generalizes the investment and the distribution

He is in charge of the development and investment of

of commercial film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the diversity film as well as the commercial film in the

investment of diversity film starting by releasing Overman

cinema department in ​​Deamyung Culture Factory. He

in 2016, as a person in charge of all cultural content

participated in the investment and the distribution of

projects, including cinema, performance, promotion,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in 2014.

culture events etc., in Deamyung Culture Factory.


Fund Program

11

한경수 Han Kyung-soo

한선희 Han Sun-hee

다큐멘터리 필름메이커 Documentary Filmmaker

프로듀서 / 감독 Producer / Director

1999년 처음으로 다큐멘터리 제작현장에 발을 디딘 이후,

극장용 장편 다큐멘터리 <말하는 건축가>(2011)

주로 EBS 다큐프라임, MBC 스페셜 등 TV로 방송된 다양한

<만신>(2013)의 프로듀서로 일했으며 <망원동

장르의 다큐멘터리를 연출했다. 최근에는, 국제공동제작 및

인공위성>(2013)을 제작했다. TV 다큐멘터리로는

극장용 장편다큐멘터리영화의 프로듀싱에 매진하여, <님아, 그

디스커버리 채널 아시아 퍼시픽 네트워크의 <Shaman of the

강을 건너지 마오> (2014, 감독 진모영), <춘희막이> (2015,

Sea>(2012)를 프로듀싱했으며 MBC 다큐스페셜 <광복동

감독 박혁지), <왕초와 용가리> (2016, 감독 이창준)의 제작에

꽃할배>(2015)를 기획 제작했다. 연출과 제작을 겸한 장편

참여했다.

다큐멘터리 <올드 데이즈>(2016)가 올해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아시네마스케이프 부문에 초청되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전문사 과정에서 ‘다큐멘터리 프로듀싱’을 강의하고 있다.

Since Han Kyung-soo started working on documentaries

She worked as a producer for feature length documentary

in 1999, he had mostly made documentaries shown on

Talking Architect (2011), Manshin: Ten Thousand Spirits

television such as <EBS Docu Prime>, <MBC Special>

(2013) and The Basement Satellite (2013), all of which

etc. Recently he has concentrated on the international

were critically acclaimed worldwide and theatrically

co-production of the documentary films and on the

released nationwide. For TV documentaries, she also

production of feature-length theatrical documentaries,

produced Shaman of the Sea (2012) for Discovery

and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My Love, Don’t

Channel Asia Pacific Networks, and The Master Tailor

Cross That River (2014, Jin Mo-yeong), With or Without

(2015) for MBC Docu Special. Her directorial debut feature

You (2015, Park Hyuck-jee), and Hide Behind the Sun

Old Days (2016) was invited to the Korea Cinemascape

(2016, Lee Chang-jun).

section at this year’s Jeonju Int’l Film Festival.


제작지원 소개

개봉배급지원 심사위원 소개

12

Jury for Fund for Release

안소현 Ahn So-hyun

이진숙 ​Lee Jin-sook

인디스페이스 프로그래머 Independent film house

프로듀서 Producer

INDIESPACE Programmer 2000년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로 영화제작을 시작했다. <낮은 목소리 3-숨결>, <밀애> 등의 연출팀이었다.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영화 옴니버스 프로젝트 <여섯개의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에서 공부했고 현재

시선> 등 3편의 총괄 프로듀서를 했으며, <여교수의 은밀한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에서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매력>, <요가학원> 등의 장편영화를 제작했다. 2016년,

있다.

<밀정>을 기획/공동제작했으며, <할매꽃2>의 프로듀서를 맡고 있다.

Ahn So-Hyun, having participated as a staff member in

Lee Jin-sook started her career by joining the production

My Own Breathing (1999), Ardor (2002) etc., studied the

of Die Bad (2000) and worked on three films, including, If

filmmaking at Korea University of Arts, and she is currently

You Were Me (2003), an anthology film series presented

in charge of programming in the independent film house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INDIESPACE.

as a chief producer. She has participated in producing

Bewitching Attraction (2006), YOGA (2009) and is now working on The Isolated . She produced The Age of

Shadows was released in September 2016.


Fund Program

진명현 Jin Myung-hyun 무브먼트 대표 CEO, MOVement 영화사 백두대간 기획실, 키이스트 홍보실, KT&G 상상마당 프로그래머 및 영화사업팀장으로 재직했고 현재 독립영화 배급, 홍보/마케팅 및 독립영화 감독, 배우 에이전시를 진행하는 무브먼트의 대표로 일하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부천국제영화제 등의 모더레이터로 참여했고 영화지 [맥스무비]와 [매거진M]에 칼럼을 기고 중이며 배우 전문 팟캐스트 [빌리진 김현민의 배우파] Billy Jin .MOVement 의 진행을 맡고 있기도 하다.

JIN Myung-hyun worked in the film company BaekduDaegan, the entertainment enterprise Keyeast, and the art house KT&G Sangsang-Madang, and currently he is CEO of MOVement, the independent film distribution, promotion, marketing company and director/actor agency. He participated, as a moderator, in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Bucheon, Busan and Jeonju. He writes columns for 「Max Movie」, 「Magazine M」, and hosts podcast Billy Jin .MOVement.

13


14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15

장편 프로젝트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프로젝트 Documentary Project 신진작가 프로젝트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16


17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장편 프로젝트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1 그림자 꽃

Shadow Flowers

02 까치발

My Daughter’s Toe Walking

03 나의 아버지

My Father the Executioner

04 도시외곽순환도로

The Ring Road

05 두 개의 국기

Two Flags

06 로그북

Logbook

07 보이지 않는 스타

Unseen Star

08 빨갱이의 탄생

Red Complex

09 아에타

The Aeta

10 아편전쟁

The Opium War

11 옵티그래프

Optigraph

12 터지지 않은 폭탄

The Future Cries Beneath Our Soil

13 할매꽃2

The Isolated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18

그림자 꽃 장편 프로젝트 01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가족이 있는 평양으로 돌아가기 위한 한 여성이 바라보는 남쪽의 삶, 이산 그리고 분단의 풍경. 시놉시스 김련희 씨는 평양에 두고 온 가족이 항상 그립다. 돈만 벌고 돌아갈 수 있다는 브로커

감독 이승준

말을 들은 게 실수였다. 5년 전 인천공항에 도착했을 때부터 돌아가기 위해 선택한 단식, 밀항, 자살시도도 소용없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기자회견을 한 후에야 사람들이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희망이 보이는 듯했다. 세계의 언론이 관심을 가졌다. 그러는 사이에 평양의 가족들 모습이 매체를 통해 드러났다. 희망이 생겼다. 한 대사관을 통해 망명을 시도해보지만 돌아온 건 경찰 조사. 다시 절망이다. 앓고 계신 어머니 생전에 돌아가야 할 텐데…. 남한 생활이 익숙해질까 봐 걱정이다.

프로듀서

기획의도

감병석

이제는 서로에게 향기도, 색깔도 잊혀진 채, 흐릿한 그림자 같은 존재가 돼버린 남한과 북한 사람들, 그 빛과 향기를 되찾는 일은 우선 ‘차이’보다, ‘다름’보다 ‘같음’을,

진행상황 촬영 40% 예상제작비용 KRW 200,000,000 확보예산 KRW 50,000,000 문의 이승준 sean1936@gmail.com

‘비슷함’을 발견하는 데서 시작된다고 믿는다. 딸과 남편이 있는 고향인 평양으로 돌아가기 위한 한 여성의 노력, 그 속에서 우리는 서로에 대한 낯선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그녀가 바라보는 남쪽의 풍경, 만나는 사람들과의 대화들을 통해 이 분단의 또 다른 자화상을 발견하기를 바란다.


19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Shadow Flowers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1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Diaspora, the scenery of divided country, and the life in South Korea witnessed by a North Korean defector who wants to go back to her family in Pyongyang, North

Director

Korea.

Yi Seung-jun

Synopsis Producer

Kim Ren-hi misses her family in Pyongyang. It was a tragic mistake to believe the

Kam Gary Byung-seok

human- trafficking broker who told her she would be able to go back to the North easily after making quick money. She has tried everything for 5 years, from hunger

Project Status

strike to the attempt to kill herself but all in vain. In her last hope, she held a press

In production

conference and people in the South showed some interest but still she can not know when she will be able to return. Having been tortured by hope, she is scared

Total Budget

that she might get used to this life in the South, alone.

KRW 200,000,000

Director’s statement Confirmed Financing

South and North Koreans speak same language but they don’t or can’t

KRW 50,000,000

communicate. They are just like blurred shadows to each other. I believe we have to try to find firstly the common ground than the differences to get together. In

Contact

the story of a woman who wants to go back to Pyongyang and her eyes to witness

Yi Seung-jun

the scenery of division, I wish to raise some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reveals a

sean1936@gmail.com

different portrait of the tragic divis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20

까치발

장편 프로젝트 02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그녀들의 삶을 이해한다면 내 상처는 치유될 수 있을까?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심리적 상처와 치유 과정에 관한 영상 에세이. 시놉시스 다큐멘터리 감독이자 딸아이를 둔 엄마로서 나(권우정)는 자신의 죄책감과 불안감의

감독 권우정

표식이 된 딸아이의 까치발 보행에 대해 해답을 찾고 싶어 한다. 장애 자녀 엄마들의 심리적 고백과 삶의 우여곡절, 그리고 장애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이해한다면 나의 불안과 상처 또한 치유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으로 엄마들을 향하여 카메라를 들게 된다. 영화는 장애 자녀 엄마들의 인터뷰와 장애 자녀 엄마들과 감독이 함께 만드는 팟캐스트,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 과정을 담아낸 낭독공연으로 채워진다. 과연 영화가 완성되고 나면 나는 아이의 ‘까치발’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프로듀서

기획의도

김지현

다큐멘터리 영화 〈까치발〉은 감독 자신의 상처와 불안감의 해답을 찾고자 장애자녀 엄마들에게 말을 걸면서 시작된다. 감독의 개인적 갈증과 필요 때문에 출발한 영화는

진행상황 촬영 40% 예상제작비용 KRW 110,000,000 확보예산 KRW 25,000,000 문의 김지현 imazinekim@gmail.com

점차 그녀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징검다리로 확장되고 인터뷰와 팟캐스트를 통해 들려준 그녀들의 고백이 ‘낭독공연’으로 마무리되면서 영화는 타자화되었던 ‘장애 자녀 엄마’들을 삶과 무대의 주인공으로 견인해 나간다. 이는 관객들로 하여금 ‘장애’도 삶의 하나의 조건일 뿐임을 몸소 터득한 당당한 엄마들의 모습을 통해 그동안 타자화된 ‘장애’의 문제를 똑같이 다른 하나의 ‘사람’의 문제로 바라볼 수 있는 긍정의 시선을 마련해 줄 것이다.


21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My Daughter’s Toe Walking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2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If I understand their lives, could my wound heal? An essay film about the psychological trauma and its healing for the mothers of the disabled children.

Director Kwon Woo-jung

Synopsis Documentary director and mother with a daughter, I want to solve the problem

Producer

regarding my daughter’s toe walking through making the documentary. I approach

Kim Ji-hyun

the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ith a camera, in the hope of healing my wounded heart and anxiety when I could understand the feeling, the life with complications

Project Status

and the process of accepting their disabilities that they confess. The documentary

In production

film is comprised of the interviews with the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e podcast that they produce together with the director, and the reading performance that

Total Budget

deals with the whole process and comment on it. After completing the film, could I

KRW 110,000,000

accept my child’s toe walking for what it is?

Confirmed Financing

Director’s statement

KRW 25,000,000

My Daughter’s Toe Walking starts from talking to the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seek for the solutions to the director’s wounded heart and anxiety. The

Contact

documentary was planned out of the director’s sheer need at first, but becomes

Kim Ji-hyun

a vehicle for the stories of the mothers of disabled. Their confession they begin

imazinekim@gmail.com

making in the interviews and the podcast ends up as the reading performance, and the documentary invites finally the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otherized, as heroines in their life as well as on stage. It could also provide a positive outlook for the audience to consider the problem of ‘disability’, otherized for a while, as a problem of the ‘Human’, through the dignified figure of the mothers realizing that disability is only a condition of life.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22

나의 아버지 장편 프로젝트 03

제작국가 필리핀

로그라인 아버지의 이중적인 삶. 아들에게는 사랑스런 아버지였던 그는 동지를 처형하는데 지독스럽게 앞장섰다. 시놉시스 과거 필리핀의 공산주의 반란군의 일인자였던 현재 72세의 페페는 정치적 망명자로

감독 차 에스카라

독일에 거주하고 있다. 나는 반란군의 내부 숙청 때 동지들의 고문과 처형을 주도했었다는 그에 대한 좋지 못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4년간 사귀어온 나의 남자친구인 그의 아들은 페페가 그에게 써서 보낸 편지 뭉치를 보관하고 있었다. 나의

진행상황

남자친구는 이 편지들이 담고 있을 비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제작 준비

그러나 다큐멘터리 감독이자 이 남자 친구와 결혼할 계획이 있는 나는 페페에 대해

예상제작비용

20년 넘게 그 곳에 살고 있으며, 모국인 필리핀으로 돌아올 수 없다. 그는 무일푼으로,

USD 60,000

일주일에 두 번 신장투석을 받고 있다. 그리고 그는 필리핀 정부로부터 지명수배 중이다.

자연스럽게 호기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페페를 만나기 위해 독일로 떠났다. 그는

한 편, 나의 남자 친구는 서류 문제로 인해 필리핀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나는 독일에서 확보예산

페페를 만나 그의 과거에 대해 듣게 되었다. 눈앞에 죽음을 마주하고 있는 한 남자와

-

그의 아들이 간직하고 있는 편지들 속에서 진실의 편린들을 모아 조각 맞추기를 해보려

문의 차 에스카라 charemna@gmail.com

한다. 기획의도 이 다큐멘터리는 페페의 이중적인 삶이 지닌 윤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 윤리적인 측면은 그가 아들에게 쓴 편지와 그와의 심도 있는 인터뷰를 통해서 그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 영화를 통해 나의 관객들과 공감하고 궁극적으로 내 자신과 공감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인물의 나쁜 면과 좋은 면이 다 드러나게 된 지금, 그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드는가? 당신은 그를 비난하게 되는가 아니면 그에 대해 동정심이 생기는가?


23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My Father the Executioner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3

Production Country

Logline

Philippines

Three years into our relationship, my boyfriend tells me, “My father was an executioner.” So I set off on a journey to know the secrets of my boyfriend and his

Director

executioner father.

Cha Escala

Synopsis Project Status

PEPE, a 72-year old, political-asylum seeker in Germany used to be a top gun

Pre-production

Communist rebel in the Philippines. I’ve heard unpleasant stories about him leading the tortures and executions of his fellow comrades in the rebel group’s internal

Total Budget

purging. His son, my boyfriend for four years, keeps a bundle of letters written to him

USD 60,000

by PEPE. What secrets do these letters keep- my boyfriend prefers not to discuss it. But, being a documentary filmmaker, and with my boyfriend and I planning to get

Confirmed Financing

married, I am naturally curious about PEPE. So I set off to meet PEPE in Germany.

-

He has been living there for more than 20 years and could not come home to the Philippines. He does not have money. He undergoes dialysis twice a week. And, he

Contact

is wanted by the Philippine government. My boyfriend, on the other hand, could

Cha Escala

not fly out of the country because of a problem with his documents. In Germany, I

charemna@gmail.com

confront PEPE about his past. I piece together fragments of truth from a man who is facing mortality ahead of him and from the letters being kept by his son. Would my relationship with the son survive whatever truth is withheld by these men? Director’s statement

In My Father the Executioner , I explore the dual life of a former top gun Communist rebel in the Philippines, PEPE, as he led the brutal executions of his fellow comrades in the group’s internal purging while being a loving father to his only son. The son happens to be my boyfriend for 4 years. I have visited PEPE in Germany- where he is a political asylum seeker- but knowing about his dark past makes me distant from him. Now that my boyfriend and I are talking about getting married, it’s about time I confront this issue- by making this film. This documentary will focus on the moral dimensions of Pepe’s double life. This moral dimension will be navigated through the letters he wrote his son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im. I want this film to be an exercise of empathy for my viewers and, ultimately, for myself. Now that this person’s bad and good side have been put to the fore, what do you think of him? Will you condemn him or will you sympathize with him?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24

도시외곽순환도로 장편 프로젝트 04

제작국가 베트남

로그라인 웃으며 지옥을 견디는 법. 도시 외곽 순환 도로가 나는 지역 철거 현장에 일하러 온 두 노동자의 이야기. 시놉시스 하노이 주변의 유서 깊은 지역이 완전히 파괴되고 있는 중이다. 후이와 쿠옌, 두

감독 트란 푸옹 타오

명의 40대 이주 노동자는 그 곳에서 주택철거 작업을 하고 있다. 길에서 자고, 도시 사람들에게 무시당하고, 도둑에게 강도 당하고, 동네 깡패들에게 갈취 당하고, 그들의 삶은 지옥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두 노동자는 가족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지내게 된 현재의 삶을 즐기려 노력하고 있다. 이들은 유머와 자기 자신에 대한 풍자를 통해 이 지옥 같은 삶을 부조리한 코미디로 바꾸어 버린다. 노동에 매진한지 6개월이 지난 음력 설날 무렵, 드디어 허영심이 많은 하노이 사람인 사장으로부터 보수를 받을 날이 다가왔다. 만약 그 돈을 받지 못하게 된다면, 무일푼으로 고향으로

프로듀서

돌아가야 하는 수모를 겪어야 한다.

스완 뒤비 진행상황 제작 중 예상제작비용 USD 65,252 확보예산 USD 15,000

기획의도 내가 어린 시절 살던 곳과 가까운 부오이라는 지역은 한 때 매매춘과 가라오케, 불법호텔로 악명 높은 거의 시골분위기가 나는 곳이었다. 몇 년이 지난 뒤 부오이 주변 지역은 새롭게 형성된 도시의 중산계급이 선망하는 곳이 되었다. 부오이 지역도 완전히 철거될 예정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그 곳에서 마지막으로 영화를 찍기로 했다. 나에게 이 지역은 급변하는 하노이와 베트남 사회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노이에서 일을 하는 시골출신 노동자들로 구성된 하층민 사회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 두 명의 노동자와 하노이 근교지역에서 벌어지는 드라마와 코미디로 가득 찬 그들의 삶 덕분에 이 영화 제작을 시도할 수 있었다. 우리는 이 거대한 ‘야외

문의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하노이를 건설하지만 그 새로운 도시 사회를 이용할 일 없는

트란 푸옹 타오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 하는 관찰 형식의 ‘모자이크 영화’를 만들고자 한다.

tpthao1977@yahoo.fr


25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The Ring Road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4

Production Country

Logline

Vietnam

To earn enough money to celebrate Lunar New Year in their village, two migrant workers demolish a popular neighborhood in Hanoi. Despite their frequent

Director

confrontations with thieves, violence from the local mafia and a greedy boss, they

Tran Phuong Thao

choose to turn their hellish situation into an absurd and sarcastic comedy.

Producer

Synopsis

Swann Dubus

A historical neighborhood of Hanoi is being entirely demolished. Huy and Quyen, two forty-year-old migrant workers are hired to tear down houses. Sleeping on the

Project Status

street, despised by the urban population, harassed by thieves, racketed by local

In production

gangsters, their life seems to be like hell. Despite the hardship, the workers manage to enjoy this life far away from their family. With humor and self mockery, they turn

Total Budget

this hellish situation into an absurd comedy. After six months of intense work, the

USD 65,252

Lunar New Year is approaching, it’s time for them to collect the wages due from their boss, a vain Hanoian businessman. If not, they will face the shame of returning

Confirmed Financing

to their village penniless.

USD 15,000

Director’s statement Contact

Buoi is the neighborhood of my childhood. It used to be a semi-rural area notorious

Tran Phuong Thao

for prostitution, karaokes and dodgy hotels. Years have passed, Buoi suddenly

tpthao1977@yahoo.fr

became surrounded by an area coveted by the new urban middle-class. When I heard Buoi was about to be razed to the ground, I took this last chance to make a film there. For me, the area is a symbol of rapid changes in Hanoi and the Vietnamese society. The filming was possible thanks to two workers who gave me free access to the underground society of countryside laborers earning a living in Hanoi, as well as their life full of drama and comedy going on in the neighborhood. In our huge ‘open-air studio’, we shot an observational ‘mosaic film’ telling the story of the people who are building the New Hanoi, but will never take advantage of the new urban society.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26

두 개의 국기 장편 프로젝트 05

제작국가

로그라인

인도

퐁디셰리라고 불리는 남인도의 진기한 프랑스 마을의 정치와 삶의 연대기. 2017년 프랑스 대선에 대비해 준비하는 과정을 쫓으며 영화는 후기 식민주의 시대의 국가, 시민권, 고향의 개념을 파헤친다. 시놉시스

감독/프로듀서 판카즈 리쉬 쿠마르

인도 퐁디셰리 지역에서는 프랑스 국경일에 인도 국기와 프랑스 국기가 게양되며, 두 국가의 국가(國歌)가 울리고, 프랑스를 위해 싸운 인도 군사에게 헌사가 받쳐진다. 바로 그 순간에, ‘모국’인 인도에서 선거권도 갖지 못한 공동체인 타밀 계 프랑스인들의

진행상황

마음속에 일어나는 이중성이 느껴진다. 프랑스가 이민법을 강화했을 때, 프랑스의

제작 중

관심은 인도와의 핵과 안보 동맹관계에 있었다. 무시당한다는 느낌을 받은 타밀 계 프랑스인들은 국적 회복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 공동체의 식민 역사와 열망과 꿈이 다음

예상제작비용

프랑스 대통령 선거 중에 그 목소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바로 그 때, 그들은 조국인

USD 58,765

프랑스의 민주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존재가 될 것이다.

확보예산

기획의도

-

타밀 계 프랑스인들이 동일한 종교, 언어, 관습, 역사 또는 실제로 그들이 시민권을

문의 판카즈 리쉬 쿠마르 kumartalkies@yahoo.com

가진 국가인 프랑스의 민족성을 반드시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 시민권의 혜택을 누릴 권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인도에 거주하며, 그 곳은 (그들의 정부인) 프랑스가 통치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곳이다. 인도에서 그들은 재류 외국인이다. 프랑스로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지만, 문화적으로나 가족관계에서 비롯되는 애착관계는 그들을 인도에 머무르게 한다. 그들은 인도와 프랑스 두 국가 모두에서 아웃사이더이다. 긴급하고 부적절하게 실행된 탈식민화의 과정에서 태어난 프랑스 계 퐁디셰리 인들은 20세기 말 프랑스에게 현재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이례적인 난제를 제공하고 있다.


27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Two Flags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5

Production Country

Logline

India

6,000 ethnic Tamils living in their motherland (Pondicherry, India) but having French Citizenship gear up for the French Presidential elections of 2017.

Director/Producer Pankaj Rishi Kumar

Synopsis On French National Day, (in Pondicherry India) both Indian and French flags are

Project Status

hoisted, the two national anthems are sung and tributes are paid to Indian soldiers

In production

who fought for France. At such moments, the duality in Tamil French people’s mind is palpable as the community has no voting rights in India: their ‘motherland’. As

Total Budget

France tightens its immigration laws, its interest lies in nuclear and defense ties with

USD 58,765

India. Feeling ignored, the Tamil French strive for resilience to be heard. The colonial history, anxieties and dreams of the community will find voice during the upcoming

Confirmed Financing

French Presidential Elections. A time, when they can have a voice in the democracy

-

of their ‘homeland.’

Contact

Director’s statement

Pankaj Rishi Kumar

Tamil French people, do not necessarily share the same religion, language, customs,

kumartalkies@yahoo.com

history, or indeed ethnicity of their country of citizenship: France. Although entitled to all the benefits of French citizenship, they reside in India, over which France (their government) possesses no sovereignty. In India, they are resident aliens. Although, they may migrate to France freely, cultural and familial attachments keep them in India. They are outsiders in both India and France. The Franco Pondicherrians, born of a hasty and infelicitous process of decolonization, present an anachronistic and anomalous conundrum to a late twentieth-century France.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28

로그북 - 어느 잠수사의 일지 장편 프로젝트 06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세월호 현장의 ‘구조자’로 나선 산업잠수사, 그 후 잠수경력 20년의 자부심은 트라우마로 바뀌고 마는데…. 잠수일지 로그북에 담겨진 그날의 결정적 사건들과 잠수사들의 삶을 추적한다. 시놉시스

감독 복진오

저승에서 벌어 이승에서 쓴다는 산업잠수. 프로 중의 프로만이 할 수 있다는 자부심은 잠수일지 ‘로그북’에 그대로 드러난다. 인생의 절반을 물에서 산만큼 치열하고도 시시콜콜한 삶의 기록들이 가득한데…. 각자의 바다를 바쁘게 헤쳐오던 사람들. 그런데 2014년 봄, 그들의 로그북이 같은 내용으로 적히기 시작한다. 짧고 두서없는 기록들. 그 바다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기획의도

프로듀서

세월호 구조 수색 현장에 투입된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고 있는

송규학

잠수사들. 어디에도 말할 수 없었던 비밀들이 그들이 쓴 로그북을 통해 세상에 처음 공개된다. 잠수사들의 치유와 극복의 과정에서 이제껏 드러낼 수 없었던 그 날의 진실을

진행상황 촬영 50% 예상제작비용 KRW 85,000,000 확보예산 KRW 45,000,000 문의 송규학 jz963@naver.com

밝히고 오해를 푸는, 그래서 그들 가슴 깊숙한 곳에 남은 두려움과 분노를 씻어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29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Logbook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6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The industrial engineer divers arrived on the scene of the Sewol ferry as ‘savior’. But after that, his pride as a diver of 20 years experience turned into trauma…

Director

The documentary retraces the crucial incidents written in his logbook and the

Bok Jin-oh

lives of divers.

Producer

Synopsis

Song Kyu-hag

The industrial engineer divers who earn the money in the Otherworld and spend it in this world. We can find the pride of them who are professional of

Project Status

the professional divers in the logbook, a daily record of diving. They, passed

In production

the half of their life in the sea, have written everything down to the last detail in the logbook. They have lived by their own respective sea. But, since the

Total Budget

spring of 2014, all their logbooks have begun to contain the same stories. The

KRW 85,000,000

records are very short and desultory. What happened in the sea?

Confirmed Financing

Director’s statement

KRW 45,000,000

The divers had PTSD from called to the scene of the Sewol ferry in order to search for survivors. The secrets nowhere to be found will be revealed by the

Contact

logbooks that they had written, for the first time. We hope the divers could tell

Song Kyu-hag

the truth of the day, clean up their reputation, and leave unwarranted fear in

jz963@naver.com

their minds.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30

보이지 않는 스타 장편 프로젝트 07

제작국가 인도네시아

로그라인 16살 소녀 피핏은 장래에 수학이나 체육 선생님이 되고 싶어하지만 학교는 추천장을 써 주지 않으려고 한다. 졸업을 앞둔 피핏은 공부를 계속할지, 의류 공장에서 일을 해야 할지 결단을 내려야 한다. 시놉시스

감독/프로듀서 드위 수잔티 누그라헤니

활동적인 16세 소녀 피핏은 사회생활에서 여러 곤란함을 겪어왔다. 그녀의 주변 사람들은 그녀가 재능이 있는 육상선수이긴 하지만 버릇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대학에서 체육 교육을 전공하고 싶은 꿈이 있지만, 학교는 장학금 신청을 위한 추천서를 써주려 하지 않는다. 내년에 그녀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게 될 것이며, 그때부터 생계를 꾸려나가기 위해 확실한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장학금을 없이는 불가능하지만 교육을 계속 받거나, 그게 아니라면 해외로 나가 이주 노동자가 되거나, 마을의 다른 소녀들처럼 근처 도시의 봉제공장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

공동 프로듀서 디안 헤르디아니

기획의도 부계사회인 인도네시아의 중간 계층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소녀들에게 쉽지 않은

진행상황 제작 중 예상제작비용 USD 50,000 확보예산 USD 15,000 문의 드위 수잔티 누그라헤니 dsnugraheni@gmail.com

일이다. 특별히 시골이나 소도시에 계속 살아가야 한다면 더욱 그렇다. 그들이 따라야 하는 규범과 규칙들이 너무나도 많다. 또래 소년들이나 남성들보다 소녀들에게 꿈을 이룰 기회가 더 적게 주어진다. 그들이 규범이나 규칙을 깨게 될 때마다 나쁜 소녀라는 낙인이 찍히게 된다. 피핏의 이야기는 그런 낙인에 대한, 그리고 더 나은 인생을 위해 노력하는 누군가의 잠재력을 막는 이중적인 기준과 고정관념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들 중 하나이다.


31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Unseen Star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7

Production Country

Logline

Indonesia

Pipit, a 16 years old girl, has a dream to become a math or PE teacher but her school doesn’t want to support her. She will graduate soon and from then on she

Director/Producer

had to strengthen her resolution to live on, whether continuing her education or to

Dwi Sujanti Nugraheni

work to help her family economy problem.

Co-Producer

Synopsis

Dian Herdiany

Pipit, 16 years old cheerful girl had it tough with her social life. People around her assume she’s kind of naughty girl although in reality she is a talented athlete. She

Project Status

had a dream to be physical education. But the school doesn’t want to give her the

In production

recommendation letter for applying for scholarship. Next year she will be graduating from high school, from then on she had to strengthen her resolution to live on,

Total Budget

whether continuing her education although it seem rather impossible without

USD 50,000

scholarship or going abroad to become a migrant worker or just become a garment factory worker in the city nearby like other girls in her village.

Confirmed Financing USD 15,000

Director’s statement Live in the middle Indonesian patriarchal society is not easy for girls, especially

Contact

when they still live in the village or small city. Too many society norm and rules they

Dwi Sujanti Nugraheni

have to follow. Girls have less chance to pursuing their dream than boys or men.

dsnugraheni@gmail.com

Whenever they break the norm and rules they will be stigmatized as a bad girl. Pipit’s life is one story among many others stories about stigma, double standards, and stereotypes that obstruct one’s potential to achieve a better life.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32

빨갱이의 탄생 장편 프로젝트 08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일본

창조경제의 나라 대한민국에서 종북 빨갱이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시놉시스 빨갱이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유신독재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긴급조치 9호를 발동한 1975년 11월 22일. 중앙정보부는 ‘모국 유학생을 가장해 국내

감독 김철민

대학에 침투한 재일동포 간첩 일당 21명을 검거했다’고 공표했다. 이 사건은 재일동포 사회를 공포와 충격 속에 몰아넣었고, 그 상처는 지금도 온전히 아물지 않은 채 봉합돼 있다. 다큐멘터리 제작진은 일본 도쿄와 오사카에서 간첩으로 내몰린 사람들을 찾아 당시 한국과 일본의 시대적 분위기, 그리고 어떻게 간첩으로 탄생(?)했는지를 듣고자 한국과 일본을 부지런히 오가며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충격적인 재일동포 간첩조작 사건의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데….

프로듀서

기획의도

조은성

창조경제의 나라 대한민국은 종북과 빨갱이를 탄생시키는 방법도 매우 창조적이다. 잊을 만 하면 간첩 조작사건을 탄생시키고 있다. 과거 독재 정권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진행상황 촬영 20% 예상제작비용 KRW 100,000,000 확보예산 KRW 5,000,000 문의 조은성 eunsungpd@gmail.com

거세거나, 대학가 반정부 시위가 활발해질 조짐이 보이면 마치 주문생산이라도 하듯 어김없이 간첩사건이라는 유령이 탄생하곤 했다. 간첩을 체포한 것이 아니라 생산(?)한 것이다. 그 중엔 모국어를 배우기 위해 한국으로 유학을 온 재일동포들도 상당히 많다. ‘재일한국인 정치범을 구원하는 가족·교포회’가 93년 발표한 재일동포 간첩사건 피해자는 약 160명에 이른다. 하지만 그들이 사랑했던 ‘조국’ 대한민국은 여전히 그들의 아픔과 상처에 무관심하다. 과연 ‘국가’란 무엇일까?


33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Red Complex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8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Japan

How is a pro-North Korean red created in Korea, a country of Creative Economy?

Director

Synopsis

Kim Cheol-min

How would a red be created? The Emergency Decree no. 9 issued to crack down the pro-democracy movement protests to rise against the Yusin (Revitalization Reform)

Producer

Dictatorship on November 22, 1975.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declared, “A

Cho Eun-sung

group of 21 Korean-in-Japan spies was arrested, who disguised as students of the Studying-in-Homeland program and penetrated into local universities.” The Korean

Project Status

resident community in Japan was shocked and terrified at the case, and their

In production

wounds still have not completely healed, just stitched up. The production crew went to seek out the persons unjustly accused of espionage in Tokyo and Osaka in Japan.

Total Budget

And traveling back and forth between Japan and Korea, in order to ask about the

KRW 100,000,000

social climate in two countries at that time and how they had been created as espionage agents, they could encounter the shocking truth about the fabrication of

Confirmed Financing

‘Koreans-in-Japan spy cases’.

KRW 5,000,000

Director’s statement Contact

It is in very creative ways that Korea, a country of the Creative Economy, invents the

Cho Eun-sung

pro-North Koreans and the reds. A new espionage case is created, when people

eunsungpd@gmail.com

had nearly forgotten the past cases. The revenant named ‘espionage case’ would be invented as if produced to order, when the resistance of the people to the dictatorship hardened or there were the signs of anti-government demonstrations in the universities. The government has not arrested the spies but has produced them. Among them there were many Koreans-in-Japan students who had come to learn the Korean, their mother tongue, in Korea. Korean Rights Group in Japan announced in 1993 that the number of victims of the Koreans-in-Japan spy cases reached around one hundred sixty. But the Republic of Korea, their homeland that they had loved, is indifferent in their pain and suffering. Indeed, what is a nation?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34

아에타

장편 프로젝트 09

제작국가

로그라인

필리핀

부족의 정체성을 찾아 조상들의 혼과 그들의 신이 깃든 피나투보 산으로 돌아가려는 아에타 부족의 이야기. 시놉시스 피나투보 산 유목 부족인 아에타의 마그나파시오 족장은 냉전 시대 당시 그의 주도로

감독 젯 레이코

이루어진 방위협력확대협정(EDCA)에 따라 부족 청년들을 미군으로 훈련시키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 하지만 훈련 시간이 점차 다가올수록 부족 사람들은 소수 민족의 민간 군대 운용에 대한 합법화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아에타 내부에서는 긴장이 점점 커져갔다. 이런 와중에 1991년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하면서 부족은 생존을 위해 근처 저지대 도시로 이동하게 되고 황폐해진 지역을 복구하는데 동원된 외부인들과의 마찰, 중장비들이 만들어 내는 소음과 먼지는 그들에게 또 다른 불안과 공포를 가져온다. 부족의 문화와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저항의 일환으로 그들의 수호신인 아포 나물랴리에 접신하여

프로듀서

승리와 정복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는 마그니파시오 족장. 그는 부족 모두의 안전과 밝은

박선규

미래를 희망하며 미군 헬기가 장악한 하늘을 향해, 그리고 그들의 땅을 바라보며 선다. 그러나 과연 이것이 그 저항의 끝인 것일까?

진행상황 제작 중 예상제작비용 USD 62,200 확보예산

기획의도 시기를 막론하고 역사는 보통 승자라 불리는 지배자들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그들의 욕망에 따라 진실을 우롱하고 필리핀 사람들의 정체성을 흔들어놓았다. 다른 필리핀 사람들이 그러하였듯이 아에타 부족 역시 이런 승자의 역사 속에 자신들의 이야기는 철저하게 왜곡되고 말았다. 외부인이지만 아에타 문화에 잠시 몸을 담게 된 나는 그들의

USD 3,000

오랜 수호신으로 피나투보 산에 존재하는 아포 나물랴리의 신화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

문의

이를 연구하던 중에 황폐한 황무지에서 비틀거리는 수호신의 처참한 모습을 마주하는

수호신은 부족의 과거 사건들에 대한 기억을 이어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박선규

나를 자주 발견하게 되었다. 필리핀 사람으로서 이 프로젝트에 내 경험을 함께 담을 수

coolssam@hotmail.com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또 아에타 부족이 아닌 외부인으로서의 호기심과 다른 시각으로 그들의 생활과 종교를 재창조 해 기록해 두려 한다. 그 과정 속에서 아에타 부족이 행한 저항의 역사를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 우리 필리핀의 정체성 또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35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The Aeta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09

Production Country

Logline

Philippines

The most skilled Aeta hunter in the mountain is forced to train and host his enemies

Director

memories of his ancestral identity confront him.

in his homeland, as they trek the barren lands of Mt. Pinatubo, dreams and Jet Leyco

Synopsis Producer

In the mountains of Pinatubo, an elder chieftain Magnafacio from the nomadic Aeta

Ssam Park

tribe is once again confronted in commanding the youth to train American soldiers via the Enhanced Defence Cooperation Agreement (EDCA), an achievement he once

Project Status

had done during the cold war. As the training draws near, tensions rise between the

In production

Aeta, who recently has been given recognition of their ancestral domain and the private security forces of mining companies who were also given legitimate claim to operate.

Total Budget

Still recovering from the devastation of the 1991 volcanic eruption, the presence of

USD 62,200

mechanical drills scare away the few livestock that remain for the tribes forcing some to

Confirmed Financing

of their deity Namulyari, given visions of triumph and subjugation about their people,

USD 3,000

a constant struggle against displacement of culture and identity. Bound for the skies

disperse to nearby lowland cities in order to survive. Magnafacio is visited by the spirit

inside an American chopper, he sees their land from a broader perspective, finally Contact

coming to an understanding of their identity, but will this be the end of the struggle?

Ssam Park coolssam@hotmail.com

Director's statement History throughout time persists to be rewritten by malefactors, abused of context to further their desires at the cost of our truth and identity as a nation. The Aeta like the rest of us Filipinos, suffer from this revisionism, as an outsider briefly immersed in the Aeta culture, I learned of their old God, Apo Namalyari, the god of happening and events who they say reside in Mt. Pinatubo, perhaps the deity plays a role in preserving memories of the events of their past? The study struck me, as if facing a dilapidated image of this deity – an outsider whose curiosity seeks to recreate and restore this image, with the hopes of interweaving my own experiences as a Filipino. Perhaps in recapturing and restoring the image, a line that speaks a history of struggle for the Aeta and our nation can be exposed.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36

아편전쟁 장편 프로젝트 10

제작국가

로그라인

미얀마

미얀마의 카친에서는 수천명의 젊은이들이 마약으로 죽어가고 있다. 마약 반대 민간단체인 팟 자산은 마약 근절을 위해 경찰, 마약 딜러, 아편 농사꾼들과 충돌한다. 시놉시스 미얀마 카친 주에서 수천 명의 청년들이 마약중독으로 죽어가고 있다. 마약 퇴치에

감독 존라러

관심이 없는 정부가 제대로 된 행동을 보여주지 못하는 이 시점에, 시민들은 2014년 카친 지역 토속어로 ‘마약 반대’를 의미하는 ‘팟 자산’이란 이름의 마약 척결 운동조직을 결성하였다. ‘팟 자산’ 소속의 시민들이 마약 딜러와 중독자에 대해 단호한 조치를

진행상황

취하기 시작하면서, 시민단체들과 마약 왕들 간에 큰 충돌이 일어났다. 설상가상으로,

제작 중

부패한 정부 당국은 마약 왕들의 편에 서서 마약척결을 주장하는 시민운동가들을 대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예상제작비용 USD 63,800

기획의도 조사에 따르면 160만 카친 주 주민의 10퍼센트(16만)가 마약에 중독되었다. 수천 명의

확보예산

청년들이 이미 마약남용으로 인해 사망하였으며, 또 다른 수천 명의 사람들이 마약

USD 10,000

주사기로 인해 HIV에 감염되었다. 부패한 정부 관료들은 마약왕들과 거래를 하여

문의 존라러 johnlaraw@yahoo.com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시민들은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동원하여 마약 문제에 대항하고 있다. 그러한 배경 속에서 〈아편전쟁〉은 아주 중요한 작품이다.


37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The Opium War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10

Production Country

Logline

Myanmar

In Kachin State, Myanmar, civilians anti-drugs organization, ‘Pat Jasan’ (which means ‘Prevent and Clean’ in local Kachin language) members are clashing with police, drugs

Director

dealers and opium farmers when they try to eradicate drugs issue which deadly affects

John La Raw

the lives of local people.

Project Status

Synopsis

In production

Thousands of young people are dying because of drugs in Kachin State, Myanmar. When the government is indifferent and not doing enough to crack down the drugs

Total Budget

problem, the civilians formed an anti-drugs organization in 2014 called ‘Pat Jasan’

USD 63,800

which means ‘Stop and Clean drugs’ in local Kachin language. When ‘Pat Jasan’ civilians started to take action against drugs dealers and drugs addicts, there is a big

Confirmed Financing

clash between civil anti-drugs group and drugs lords. To make it worse, the corrupted

USD 10,000

authorities are on the side of drugs lords and creating many problems for anti-drugs activists civilians.

Contact John La Raw

Director’s statement

johnlaraw@yahoo.com

According to research 10% ( 160,000) of 1.6 million population in Kachin State are drugs addicts. Thousands of young people are already dead from drugs abuse and other thousands are drugs addicts and living with HIV from drugs injection. The corrupted government officials are doing business with drugs Lords to make the matter worse. The civilians are fighting against this drug issues with their own ways and strength. The

Opium War therefore, is very important documentary film.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38

옵티그래프 장편 프로젝트 11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외할아버지는 풍경에 따라 바뀌셨을까, 풍경을 바꾸셨을까. 시놉시스 100세로 돌아가신 외할아버지는 99세 때 나에게 자서전을 부탁하셨다. 몇 년 후, 나는 필름 메이커가 되었고, 오래된 숙제를 필름 카메라와 사운드 레코더로 시작했다. 미국

감독 이원우

CIA의 전신인 O.S.S 요원, 한국전쟁 시작 시기에 치안국장이셨던 것은 내가 알지 못하는 할아버지의 얼굴이었다. 할아버지가 20년을 넘게 사신 미국, 첩보 활동을 하셨던 버마(미얀마), 이승만의 연락책으로 방문한 중국 중경 임시정부 등을 찾아가면

진행상황

할아버지가 본 풍경을 내가 볼 수 있을까. 그리고 할아버지는 사람들의 풍경을 바꾸고

촬영 65%

싶으셨을까. 기록 속의 할아버지는 내가 아는 할아버지일까. 초점거리를 조절하며 포커스를 맞춘다.

예상제작비용 KRW 70,000,000

기획의도 ‘외할아버지의 풍경은 외할아버지를 어떻게 바꾸었을까.’가 궁금해졌다. 나에게는

확보예산

장수하신 할아버지일 뿐인데, 할아버지의 직책은 100년의 시간 안에서 여러 의미를

KRW 20,000,000

가지며 다양했다. 그리고, 외할아버지를 찾아가는 길이 나에게 외할아버지의 얼굴을

문의 이원우 wwooya@gmail.com

다르게 보이게 할지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가 생겼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언론기사, 책, 방송 다큐 등에서 외할아버지의 이름과 얼굴을 찾을 수 있었다. 나는 그를 알아볼 수 있을까. 카메라와 녹음기로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 부탁하신 광학적 자서전을 쓰려 한다.


39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Optigraph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11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My maternal grandfather, has he had changed with the landscapes? Or had he changed them?

Director Lee Won-woo

Synopsis My maternal grandfather, who died at the age of 100, asked me to write his

Project Status

autobiography, when he was 99 years old. And, a few years later, I became a

In production

filmmaker, and started to do my assignment of long standing with a film camera and a sound recorder. I didn’t know the faces of the grandfather who had been an

Total Budget

agent of the O.S.S, the forerunner to the CIA, and a director of the security police

KRW 70,000,000

around the start of the Korean War. The United States where he had lived for over 20 years, Burma (Myanmar) he worked undercov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Confirmed Financing

China’s Chongqing that he visited as Syngmyn Rhee’s connection, etc. If I visit these

KRW 20,000,000

places, could I see the landscapes that he had seen? And had he wanted to change the landscapes of those days? Is my grandfather in the records the same person I

Contact

have known? I focus the camera on him, adjusting the focal length.

Lee Won-woo wwooya@gmail.com

Director’s statement I wondered how the landscape of the maternal grandfather had changed him. He is just my grandfather who lived to a great age, but his positions had different meanings and various figures in his 100 years’ time. And with a mixture of anticipation and dread, I am going to follow the way of seeking for the past of my grandfather, because the way would show me his faces different from those I had known. I could find the name and face of my grandfather on the press, the books, and the documentary films for TV broadcast. But I don’t know whether that is fortunate or not for me. Can I recognize him in those records? I try to write his optical autography with the camera and recorder.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40

터지지 않은 폭탄 장편 프로젝트 12

제작국가

로그라인

베트남

여전히 출몰하는 베트남 전쟁의 상흔. 전쟁은 끝났지만 베트남 전쟁의 결과가 남북 베트남의 경계에 있는 마을에서 태어난 세 남자 사이에 말할 수는 없는 애증의 관계로 아로새겨져 있다. 시놉시스

감독 항팜뚜

탄, 후앙, 푸옹, 이 세 남자는 1960년대 초에 출생했다. 이후 그들의 운명은 그들의 손에서 벗어나 버린 것만 같다. 그들은 모두 전쟁이 발발했던 남 베트남과 북 베트남의 경계 지역인 쿠앙 트리 지방에서 유혈이 낭자했던 시기에 태어났다. 전쟁이 끝난 지 44년이 지난 지금, 이 세 남자는 그 지역의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삶을 꾸려나가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 그들은 매일 탄의 집에 모여 술을 마시고, 싸우기도 하고, 과거와 헤어진 연인들과 미래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 하고 노래하며 지내지만, 아직도 발굴되는 전쟁 당시의 폭탄들이 멀리서 터지는 소리를 듣곤 한다.

프로듀서 제웰 마라난

기획의도 시민전쟁과 국제분쟁에 이르는 역사가 피로 기록된 나라에서 성장한 나는, 우리 베트남

진행상황 제작 준비 예상제작비용 USD 87,819 확보예산 USD 12,028 문의 항팜뚜 cinema.is.incomplete@gmail.com

사람들이 어떻게 존재할지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유를 가져본 적이 있는지 궁금했다. 우리의 운명은 우리 자신의 결정권이 아니라 다른 민족의 손에 달려 있는 건 아닐까? 실제로 우리의 인생은 특수한 정치적 환경이라는 전제 조건에 달려있다. 그러나 나는 자신이 원하는 삶과 소망하는 존재 방식을 추구하기 위해, 주어진 전제 조건을 초월하려는 개인의 선택과 능력이 어느 정도의 범위까지 발휘될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질문은 나의 알려지지 않은 탐구 대상으로 나는 그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41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The Future Cries Beneath Our Soil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12

Production Country

Logline

Vietnam

In the DMZ area in Vietnam, the war has passed, but left its trace on the lives of three old men in a small village.

Director Hang Pham Thu

Synopsis Thanh, Hoang and Phuong are three men born in the early 1960s. Since they were

Producer

born, their fates seem to have slipped out of their hands. Not only were they born in

Jewel Maranan

the bloodiest time in Vietnam, they were also born in the geographical middle of the war-boundary of North and South Vietnam – the Province of Quang Tri. 44 years

Project Status

since the war finished, the three men and many others in the village still struggle to

Pre-production

keep up with their life. Everyday, they gather in Thanh’s house, drinking, fighting, talking and singing about the past, their lost loves and their coming death while

Total Budget

hearing explosions of wartime bombs still being excavated from a distance.

USD 87,819

Director’s statement Confirmed Financing

Growing up in a country where history is written in blood from civil wars and

USD 12,028

international conflicts, I wonder if we would ever have total freedom to decide on our own how we exist? Would our destiny ever depend on our own decisions

Contact

and not on other people’s hands? Our lives indeed are preconditioned according

Hang Pham Thu

to specific circumstances. But the extent of an individual’s choice and power to

cinema.is.incomplete@gmail.com

surpass his precondition, so as to pursue the life he wants and the way he desires to exist, is a greatly unknown quest I’ve been trying to answer.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42

할매꽃2 장편 프로젝트 13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국가 없음’, ‘비국민의 삶’을 증언해야 하는, 재일조선인들의 끝나지 않을 이야기. 시놉시스 평생 일본의 침략 전쟁 사죄 및 국가배상 운동을 해 온 재일조선인 박수남(81세)과 그녀의 딸 박마의(50세)는 생존 위안부 할머니들을 찾아 2016년 한국으로 향한다.

감독 문정현

재일조선인 권리 찾기에 앞장섰던 김임만(55세)은 병석에 계신 어머니를 위해 10년 동안 찍어온 다큐영화를 마무리하고자 제주도로 향한다. 북의 여동생 뒷바라지로 살아온 재일조선인 박철웅(70세)은 4년 전 여동생의 갑작스러운 죽음 후, 국적을 조선적에서 한국적으로 바꾼다. 꿈꾸던 한국 방문을 마친 그는 북의 둘째 조카 결혼식 참석을 위해 평양으로 떠난다. 기획의도

프로듀서

재일조선인에게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사회에서 비국민으로 살아가야 하는

이진숙

그들의 삶은 일본 식민과 침략전쟁의 역사, 해방과 한국전쟁 그리고 조국분단, 연장된 차별이라는 강제된 역사로 점철되어왔다. 스스로의 언어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진행상황 촬영 60% 예상제작비용 KRW 90,000,000 확보예산 KRW 20,000,000 문의 문정현 documjh@gmail.com

질문하며 살아가는 재일조선인들의 삶을 통해 민족/국민국가의 이름으로 또 다른 폭력을 자행/묵인하고 있는 나와 우리의 역사, 우리의 현재를 되돌아보고 싶었다.


43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The Isolated Feature Length Documentary Project 13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An endless story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have to testify about ‘nonnation’ and ‘non-national life’.

Director Mun Jeong-hyun

Synopsis Park Su-nam(81), who has conducted the campaign for an apology from Japan for

Producer

the wartime aggression and for the state compensation, and his daughter Park Ma-

Lee Jin-sook

ui(50), they leave for Korea to visit the living grandmothers of the Comfort women in 2016. Kim Im-man(55), who leads struggle for the rights of the Korean residents in

Project Status

Japan, leaves for Cheju-do in order to complete the documentary that he is making

In production

the past ten years for his mother sick abed. Park Chul-woong(70), having financially helped his sister in North Korea, changed his nationality from North Korean to South

Total Budget

Korean after her sudden death four years ago. He leaves for Pyeongyang to attend

KRW 90,000,000

the wedding of his second nephew, from a visit to Korea that he had dreamed of.

Confirmed Financing

Director’s statement

KRW 20,000,000

A nation doesn’t exist for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ing to live as ‘nonnational’ in Japan, they have been influenced by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from

Contact

the history of Japan’s colonization and aggressive war, to the forced history of

Mun Jeong-hyun

Korea’s Independence,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the homeland, which the

documjh@gmail.com

discrimination against them follows in Japan. I want to reflect on myself, our history and our present that have committed other violence or connived at it on the pretext of the nation, through the lives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don’t stop asking themselves questions to look for their proper language.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프로젝트 Documentary Project

44

01 4.25 축구단

My NK Football Team

02 오래된 미래

Old Future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45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46

4.25 축구단 DMZ 프로젝트 01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이 영화는 북한 축구단을 자기의 팀이라고 부르는 남한 감독과 북한 〈4.25 축구단〉의 이야기이다. 시놉시스 2007년 8월, 중국의 쿤밍에 북한의 〈4.25 축구단〉이 처음으로 전지훈련을 왔다. 그

감독 서민원

이후, 남한의 다큐멘터리 감독 서민원은 일 년에 한 번 쿤밍으로 훈련을 나오는 축구 선수들의 명단을 받는다. 그때마다 감독이 가슴을 졸이며 찾는 이름이 있다. 바로 리성진이다. 감독은 성진이 8살이던 2008년에 그를 처음 만난 후, 카메라 앞에서 당찼던 성진과 어린 축구 선수들을 밀착 기록해 왔다. 2015년 1월, 그들을 마지막으로 만난 이후, 이제 감독은 평양에 가서 그들을 다시 만나고 싶다. 최근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남북한의 복잡한 정치적인 상황 속에서 감독은 평양에 가서 그들을 만날 수 있을까?

프로듀서 이미진

기획의도 남한의 다큐멘터리 감독 서민원은 북한의 〈4.25 축구단〉을 처음 만난 뒤, 이후 10년간

진행상황 제작 중 예상제작비용 KRW 200,000,000 확보예산 KRW 5,000,000 문의 서민원 baseclef@hanmail.net

촬영을 진행하면서, 축구단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했다고 느꼈다. 하지만, 팀은 남북한 정치 상황이 나빠지게 되면서, 감독의 카메라 앞에서 그들의 진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주저하기 시작했다. 이제 감독은 그들과 관계를 더 형성하고 싶다. 남한과 북한의 지도자들이 원하지 않는다 해도, 감독은 노력하고 싶다. 감독은 TV에서만 보던, 연출된 북한 사람들의 모습이 아닌 우리와 같은 얼굴을 하고 있는 진짜 북한 사람들을 〈4.25 축구단〉의 아이들을 통해서 보여주고 싶다.


47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My NK Football Team DMZ Documentary Project 01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This documentary tells a story about the ‘4.25 Football Team’ from North Korea and a South Korean documentary director who calls it “my team”

Director Seo Min-won

Synopsis In August 2007, North Korean ‘4.25 Football Team’ came to Kunming in China for

Producer

training for the first time. Since then, South Korean Documentary director Seo Min-

Lee Mi-jin

won has received a list of football players who have a training in Kunming once a year. Each time he looks with eager anticipation for a name in the list. It’s Lee

Project Status

Sung-jin. Since the director met Sung-jin at 8-year-olds in 2008, he has done an

In production

in-depth reporting of Sung-jin sparkling in front of the camera and other young football players. He met them lastly in January 2015, and now he wants to go to

Total Budget

Pyongyang and to meet them again. Could he go there and meet them, in the

KRW 200,000,000

politic situ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recently getting worse?

Confirmed Financing

Director’s statement

KRW 5,000,000

Since the first time South Korean Documentary director Seo Min-won met ‘4.25 Football Team’ from North Korea, he has thought that he had a good rapport with

Contact

them, in ten years of filming for the documentary. But as the political relations

Seo Min-won

between the two countries get worse, they began hesitating to show their true

baseclef@hanmail.net

feelings in front of the director’s camera. He wants to develop a more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m and he will try to do, even if the leaders of the two nations don’t want it. He wants to show not the figures staged of the North Koreans on the TV, but the real North Koreans who have the same faces that we have, with the children of the ‘4.25 Football Team’.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48

오래된 미래 DMZ 프로젝트 02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한국전쟁 국군포로 문제를 통해 다가올 남북통일의 미래를 엿보다! 시놉시스 故 조창호 중위 귀환 이후 10여 년간 귀환국군포로들의 탈북 행렬이 이어졌다. 이들은 탈북 직후 한국사회의 반짝 관심을 받기도 했지만, 지금은 대부분 편치 않은 여생들을

감독/프로듀서 조경덕

보내고 있다. 남한 자본주의 생리에 무지했던 이들 대부분은 사기를 당해 국가에서 받은 보상금을 송두리째 날렸고, 이런 형편은 뒤늦게 탈북에 동참한 북한 출신 가족들이나 남한에 있던 가족들과 관계가 소원해지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빈털터리가 된 이들은 딱히 기댈 데가 없다. 정부는 할 일을 다 했다는 입장이고, 시민사회 역시 무심하기만 하다. 이들이 보기엔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시선도 남 일 같지 않다. 한국사회, 정말 이래도 되는 것일까?

프로듀서

기획의도

정승혜

남북분단사를 관통하는 상징인 국군포로들의 발생부터 미송환국군포로들의 북한 생활, 탈북, 한국 재정착 등의 이야기를 당사자들의 육성을 통해 담는다. 그간 한국사회에서

진행상황 촬영 50% 예상제작비용 KRW 120,000,000 확보예산 문의 조경덕 achimhaenori@naver.com

남북체제대결의 종속변수로서 기능해왔던 국군포로의 문제를 고찰하는 일은 정략적인 것으로 치부되거나 당국의 책임으로 한정되어왔다. 현재 귀환국군포로들은 한국사회의 문화충격에서 기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정부정책 및 시민사회 지원은 대증요법에 그치고 있다. 이런 상황과 문제들은 장차 통일과정에서 도래할 일이라는 점을 피력하고자 한다. 통일은 남과 북이 이질감을 해소하고 동질감을 회복하는 과정인 것이다.


49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Old Future DMZ Documentary Project 02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A glimpse into the future of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rough the issue of the prisoners of war from the Korean War!

Director/Producer Cho Kyeong-duk

Synopsis In the decade following the return of the late lieutenant Cho Chang-ho, the returned prisoners

Producer

of Korean war had continued to escape from North Korea. They had received attention from

Chung Seung-hye

the Korean society for a little while immediately after return, but it seems they did not actually live a settled life. Most of them quite ignorant about South Korea of the Capitalism have been

Project Status In production Total Budget KRW 120,000,000 Confirmed Financing Contact Cho Kyeong-duk

swindled out of the compensation received from the Government. Their difficult situation made them estranged from the family reunited in South Korea, as well as the family from North Korea,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following them. They became bankrupt and have no one else to turn to. The Government’s position is that it did as much as it could, and most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lso are indifferent to them. It appears the Korean society has biased views on the returned prisoners.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re they responsible for them that have found themselves in this situation? Do they have to learn how to survive on their’s own as other Korean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reality of the returned prisoners could be the future of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that will come soon. Furthermore, in Korean society, there is going around the information distorted and biased about them and their experiences in North Korea. If the returned prisoners don’t look forward to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as a rosy future, the outlook of the reunification is bleak.

achimhaenori@naver.com

Director’s statement

Old Future depicts the stories about the prisoners of the Korean war with their voice, including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war prisoners who are a symbol penetrating the division history of Korea, the life in North Korea of the war prisoners not repatriated, the escape from North Korea, the resettlement in Korea etc. It has been considered as politically motivated works or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Korean war prisoners that have function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onfrontation of political system between North and South. The returned Korean prisoners have difficulty due to the culture of the Korean society that shock them, and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support of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egarding their problem is only a temporary expedient. I try to express the opinion that the situations and problems caused by the returned Korean prisoners (the defectors) will occur in the process of the reunification between two Korea in the future through the documentary Old Future. The reunification will be realiz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fferences and establishing a new identity as people of the unified Korea.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신진작가 프로젝트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50

01 5월 17일

May 17

02 녹

The Rust

03 도시를 배회하다

Prowl City

04 사수

Guardians

05 이별시

Birha(Away)

06 해프닝

Happenings

07 희망을 냉동보관하다

Hope Frozen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51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52

5월 17일 신진작가 프로젝트 01

제작국가

로그라인

조지아

2013년 5월 17일 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에서 발생된 폭력사건을 통해 종교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뿌리깊은 가부장제 사회인 조지아 사회가 LGBT 공동체를 반대하는 동기를 파헤친다. 시놉시스

감독/프로듀서 라티 치테라드즈

〈5월 17일〉라는 제목의 영화는 2013년 5월 17일 트빌리시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의 배경에 대해 추적한다. 이 영화는 LGBT 멤버들의 삶의 조건에 대해 묘사하며, 그들 내부 세계와 그들의 과거 현재 미래 사이의 투쟁에 대해 추적한다. 또한, 그 폭력 사태에

진행상황

대해 도발적인 질문을 제기하면서, 누구에게 그 책임이 있는지 그리고 무엇이 그렇게

제작 중

만들었는지에 대해 답을 찾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감독 라티 치테라드즈는 현대 사회에 여전히 터부로 남아 있는 민감한 질문들에 대해 답을 구하고자 한다.

예상제작비용 USD 219,600

기획의도 남성중심의 전통적인 이데올로기를 가진 조지아에서 종교는 사회에 대해 강한 영향력을

확보예산

미치고 있다. 나는 어린 시절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지만 강한 진짜 남성이 되기

USD 42,550

위해 무술학교를 다녀야 했다. 세계 무술챔피언이 되었을 때, 내가 그렇게 되어야만

문의 라티 치테라드즈 tsiteladzerati@gmail.com

한다고 결정을 짓는 관념에 따라 이 세상을 살아왔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내 자신이 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사실을 내가 깨닫는데 27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관객들은 이 영화를 통해 지난 10년 동안 조지아에서 여러 사건들이 어떻게 은폐되어왔는지 알게 되며, LGBT의 역사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53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May 17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01

Production Country

Logline

Georgia

Intriguing mystery around May 17, 2013 in Tbilisi takes us deep into traditions and culture.

Director/Producer Rati Tsiteladze

Synopsis

MAY 17 explores the motivation of the violence on May 17, 2013 in Tbilisi. The film Project Status

portrays the conditions of LGBT members, explores their inner world and their

In production

struggle betwee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film poses provocative questions and endeavors to determine who and what is to blame: culture, religion,

Total Budget

political ideology or the organizers? The filmmaker Rati Tsiteladze is trying to find

USD 219,600

answers to several fragile subjects that are still taboo in our modern society.

Confirmed Financing

Director’s statement

USD 42,550

In Georgia religion has a strong influence on society, where we have traditional ideology of masculinity. I have loved to paint since I was a child, but I was forced

Contact

into a martial-arts school in order to become a real man. When I won world

Rati Tsiteladze

championship I realized that I was living in a world according to its notion of who I

tsiteladzerati@gmail.com

should be. It took me 27 years to realize that hardest thing to do is to be yourself. Together with me, the audience will discover how events have unfolded in Georgia throughout the decade and learn the history of LGBT people.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54

신진작가 프로젝트 02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녹이 쇠를 부식하듯이 감춰진 역사는 세상의 진실을 좀먹는다. 시놉시스 일본 일광의 폐광산과 한국 일광의 폐광산. 두 나라에 지명조차 같은 곳, 구리 광산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폐광산이 있다. 과거에 강제징용이라는 역사적 사실까지

감독 신나리

같지만 세월이 흐른 지금의 상황은 달라져 있다. 두 지역의 구리광산은 폐광산이 되었지만 일본은 역사적 사실이 미화되어 관광지로 변모하고, 한국은 강제징용 사실이 잊혀진 채 폐쇄를 하는 중이다. 일본 일광에는 강제징용자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사람이 있고 한국 일광에는 강제징용자가 있었다는 기록만이 남아있다. 어느 날 부산 일광 폐광산은 벌건 물을 토하며 아픈 몸을 일으키며 나에게 잊혀진 강제징용자의 진혼곡을 부탁한다.

프로듀서

기획의도

김영조

우연히 내 마을에 강제징용현장이 출몰한다. 그 사실이 놀라워서 조사를 하던 중 역사적 사실을 가진 지명이 같은 일본의 다른 마을을 알게 된다. 두 공간의 달라진 현재를

진행상황 촬영 30% 예상제작비용 KRW 50,000,000 확보예산 문의 신나리 sinari1225@naver.com

생각해 보고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대충 묻어두지 말고 그 역사적 사실들을 정확히 알고 과거를 통해 현재에서 그 아픔을 느끼고 살아갈 미래를 짚어보자는 것이다. 녹은 긁어내면 그 본연의 광물의 모습이 드러난다. 이 다큐에서 역사의 녹을 벗기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55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The Rust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02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As rust eats away iron, so does masked history eat away truth in the world.

Director

Synopsis

Shin Na-ri

There are respective abandoned mines that had been once copper mines with same name of Ilkwang in two countries, Japan and Korea. Two areas have a the

Producer

same history of the compulsory manpower draft as well as the same name, but

Kim Young-jo

their current situations are so different from each other nearly six decades later. Japan glamorized historical facts and transformed the abandoned mine of copper

Project Status

into a tourist attraction, but Korea shut down the mine, forgotten the history of the

In production

compulsory manpower draft. And people still cherish the memory of the victims of the compulsory manpower draft in Ilkwang in Japan, but there are the records about

Total Budget

victims forced to do hard labor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Ilkwang in

KRW 50,000,000

Korea. One day, the abandoned mine of Ilkwang in Busan, vomiting red water and holding itself erect, asks me to compose the requiem for the Korean victims of the

Confirmed Financing

compulsory manpower draft.

-

Director’s statement Contact

The scene of the compulsory manpower draft appears at the town where I live.

Shin Na-ri

I was so curious about the event that I would investigate the place and its history.

sinari1225@naver.com

In the course of an investigation, I learned about a town with the same name and history located in Japan. I want to reflect on different present and of two area and to think about their future through the documentary. I think we need to recognize the historical facts exactly and then perceive the wounds in the present and also prospect the future through the past. The mineral could reveal its natural features, when removing the rust from it. I’ll try to take off the rust of the history by making the documentary The rust .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56

도시를 배회하다 신진작가 프로젝트 03

제작국가

로그라인

인도

분주하게 움직이는 히말라야의 한 도시에서 파수꾼이자 양치기, 그리고 가수인 한 남자의 삶은 예기치 않게 표범이라는 존재에 의해 좌우된다. 시놉시스 히마찰프라데시 주 쉼라 지역의 사람들은 오랫동안 표범들과 함께 살아왔다. 그러나

감독 문문 달라리아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존재를 알아차리지도 못했었다. 숲을 관리하는 공무원들은 정기적으로 식인 표범들과 맞싸워야 하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위험한 ‘구조 활동’에 투입되곤 한다. 크리슈나를 찬양하는 바잔 가수이자 야생 생물에

진행상황

관심이 많은 아쉬바니 샤르마가 그 지역 사람들과 거대한 고양이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제작 준비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가 20년 넘게 지속해온 연구와 촬영을 통해 얻게 된 표범이 겪는 역경에 대한 이야기는 그의 노래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영화는 대도시의 방갈로나

예상제작비용 USD 10,000

양치기들의 움막에 정기적으로 나타나는 표범들의 이야기를 통해 도시의 야생생물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아쉬바니는 쉼라의 다른 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사람으로, 야생생물보호구역 내부에 있는 경비원의 집으로 우리를 데리고 갔다. 그 경비원의

확보예산

가족들은 자주 표범과 마주친다고 한다. 그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서, 우리는

-

야생생물 보호에 대한 도시적인 아이디어가, 야생생물과 사람들이 공존하는 그 지역의

문의 문문 달라리아 munmundhalaria@gmail.com

현실과 어떻게 부딪히는지도 이해 할 수 있었다. 기획의도 인도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인 나는 인간과 야생동물의 공존을 위한 노력을 포착하기를 원하며,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역할, 특별히 인도의 야생생물에 대해 제작한 해외의 다큐멘터리들에서 종종 배제되는 사람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나는 야생생물 보호에 대해 관심을 갖는 도시 거주자들의 위선에 대항하여 싸워왔다. 아쉬바니와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사람들이 거대한 고양이들을 다루는 기본적인 정보나 인프라만을 가지고 한 지역의 야생생물보호에 빠지는 그러한 딜레마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아쉬바니는 표범이 겪는 곤란함에 대해 관심을 가질 뿐 아니라, 야생생물보호에 대한 지역적인 개별 관점을 이해하는 지역의 환경보호활동가이다. 나는 아쉬바니가 고립된 야생생물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영화를 위한 특별한 화자가 되리라 생각한다. 관리인의 가족은 우리에게 표범의 유일한 거주지인 그 지역을 소개해줄 것이며, 우리는 큰 고양이가 도시의 다양한 모퉁이에 자리 잡아서 종종 사람들이 놀랄 정도로 너무 가까이에 지내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57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Prowl City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03

Production Country

Logline

India

In a bustling himalayan city, the lives of a watchman, a shepherd, and a singer become unexpectedly intertwined by the presence of leopards.

Director Munmun Dhalaria

Synopsis The people of Shimla, Himachal Pradesh (India) have lived with leopards for a

Project Status

long time, but most have been oblivious to its presence unless directly confronted.

Pre-production

The forest officials regularly engage in incredibly unsafe ‘rescue’ efforts against ‘maneating’ leopards. Ashvani Sharma, a bhajan singer and wildlife enthusiast,

Total Budget

narrates the story of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locals and the big cat,

USD 10,000

spreading awareness about the plight of the leopard through filming and studying them over 20 years. The film introduces the topic of urban wildlife through big

Confirmed Financing

city bungalows and thatched shepherd homes, both regularly visited by leopards.

-

Ashvani is the common thread between different people of Shimla, and takes us into the only house inside the Catchment wildlife sanctuary, where a watchman

Contact

resides. The watchman’s family regularly encounters leopards and through a series

Munmun Dhalaria

of their interactions, we understand how a very urban idea of wildlife conservation

munmundhalaria@gmail.com

clashes with the ground realities of local people living with wildlife. Director’s statement As an Indian documentary filmmaker, I want to capture the struggles of humanwildlife coexistence and highlight the role of people on the ground, most often excluded from internationally produced wildlife documentaries about India. I have always struggled with the hypocrisy of being an urban dweller interested in wildlife conservation. Spending time with Ashvani has been very fruitful in understanding the dilemmas of indulging in wildlife conservation in an area devoit of basic information and infrastructure to deal with big cats. Ashvani is a local conservationist who not only cares about the plight of leopards, but also understands local perspectives on wildlife conservation. I feel that he will be an exceptional narrator to a film that questions the idea of looking at wildlife in isolation. Through the gatekeeper’s family, we are introduced to an area that is considered the only habitat of leopards while we see the big cat adapting itself to various corners of the city, sometimes too close for people’s comfort.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58

사수

신진작가 프로젝트 04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노조파괴에 맞서 싸워온 유성기업 노동자들. 이제는 단 한 사람도 떠나보낼 수 없다. 시놉시스 “미안하다 사랑한다”는 마지막 메시지를 남기고 유성기업 노동자 한광호가 주검으로 발견되었다. 2011년부터 시작된 회사의 노조파괴에 맞서 민주노조를 지키려 싸워온

감독 김설해

지 5년이 되어갈 무렵이었다. 5년 전, 무장한 경비용역들이 가한 무차별한 폭력의 트라우마를 안고 감시와 차별이 일상이 된 일터를 견뎌온 동료들은 그의 죽음이 자신의 죽음이었을 수도 있다고 입을 모아 말한다. 그래서 그들은 이제는 더 한 사람도 잃을 수 없다는 각오로 그동안 숨을 조여오던 노조파괴를 끝내기 위해 모든 것을 걸고 다시 싸움에 불을 붙인다. 기획의도

감독

국가와 자본에 의해 철저하게 탄압당하면서도 주체적인 인간으로 살아가려

박배일

몸부림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동료를 배신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혼자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 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기 위해 서로를 보듬는다는 것은 어떤

진행상황 촬영 30% 예상제작비용 KRW 62,000,000 확보예산 KRW 2,000,000 문의 김설해 lope7@naver.com

것일까. 왜 그런 모든 게 이제 마치 세상에 없는 것처럼, 동화 속에나 나오는 이야기처럼 들리는 것일까. 파업으로 인한 임금 삭감과 잔업 특근 차별 때문에 한 달 월급이 3, 40만 원이 되어도 투쟁할 수 있는 이유, 힘들지만 서로를 보며 웃을 수 있는 그들의 삶 속에 있는 힘을 보여주고 싶다.


59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Guardians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04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The workers in Yusung enterprise fight against the destruction of labor unions. Now they cannot let even a single member go.

Director Kim Seol-hae

Synopsis Han Kwang-ho, a worker in Yusung enterprise, left his last message ‘I’m Sorry, I

Producer

Love You’ and was found dead. It has been about five years since the struggle had

Park Bae-il

begun in 2011 to protect the democratic labor union from the company destroying it. His colleagues, suffering from the trauma of the violence that a security guard

Project Status

armed had used five years ago and living under the discrimination and surveillance,

In production

all said that they could have died instead of him. Now they start again to fight with the thought that they couldn’t lose anyone else, and they stake their all on breaking

Total Budget

the nonunionism of the company, which has driven them to commit suicide all the

KRW 62,000,000

while.

Confirmed Financing

Director’s statement

KRW 2,000,000

What would it mean to make an effort to live as subjective man under severe repress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capital? What would it be not to betray

Contact

comrades? And What would it be helping each other to survive together instead of

Kim Seol-hae

struggling to survive alone. It seems that all these would be the stories in the fairy

lope7@naver.com

tale for me. The workers’ solidarity helps us continue to fight, though we draw only month’s salary of 300-400 thousand won because of the cut of wage caused by a labor strike and the discrimination in overtime work. I want to show the power in the workers’ lives, which could make them smile at each other, though they get tired.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60

이별시

신진작가 프로젝트 05

제작국가

로그라인

인도

사라진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기다림과 애가. 이주노동자의 경로를 따라가며 은유와 제의, 반복적인 일상을 통해 마음의 풍경을 구현해낸다. 시놉시스 ‘비르하’는 펀잡 지방의 수피 시에서 파생된 이별의 시로, 이별의 고통에서 비롯된

감독/프로듀서 엑타 미탈

기다림과 비탄을 노래하는 운문 장르이다. 이 시의 이름을 따온 〈비르하〉는 이별의 시정과 이주 노동자들 간의 우정을 다루면서 멀리 떨어진 시골 마을을 벗어나 미지의 도시로 떠나는 이별의 자취를 그려낸다. 어떤 이들은 집을 그리워하고, 어떤 이는 집을

진행상황

떠나 자유를 누리며, 또 어떤 이들은 사라져버렸다. 이 영화는 영원히 지속될 것만 같은

제작 중

현재 속의 덧없음을 추적한다.

예상제작비용

기획의도

USD 46,482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이별의 감정과 함께 머무를 수 있도록 관객을 초청하여, 이 영화의 느린 움직임 속에서 고통과 슬픔과 상실을 인지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확보예산

영화는 노동자들이나 이주민에 대한 사실적인 이야기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떠나는

USD 8,000

사람들과 뒤에 남겨진 사람들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겪게 되는 경험을 카메라로

문의 엑타 미탈 ekta@maraa.in

포착한다. 당신이 가까운 누군가를 잃게 된다면, 그것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의 부재는 공허이며, 영원히 지속될 것 같은 기다림을 동요시키고 감지하기 위해 관객이 그 공허를 체험하기를 바란다.


61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Birha(Away)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05

Production Country

Logline

India

Birha reflects ‘the waitings and lamentations caused by the pang of separation,’ through infinite landscapes, missing persons, mothers and lovers waiting for their

Director/Producer

loved ones.

Ekta Mittal

Synopsis Project Status

Birha is poetry of separation. Derived from Punjabi Sufi poetry, it reflects the

In production

waiting and lamentation caused by pangs of separation. Guided by this poetry, and

Total Budget

villages to unknown cities. Some long to go home, some feel free to be away from

USD 46,482

home, some others have disappeared. The film is in quest of impermanence in an

friendships with migrant workers, Birha follows the trails of separation from faraway

everlasting present. Confirmed Financing USD 8,000

Director’s statement Our film is an invitation to stay with the emotion of separation, so that we may

Contact

acknowledge the pain, grief and loss, in all its slowness. It is not a factual account

Ekta Mittal

representation of workers or migration but takes the viewer through a subliminal

ekta@maraa.in

experience of the person who has left and the people who are left behind. If you have lost someone close you, it is hard to put things in words. His absence is a void we want the audience to experience, in order to unsettle and sense the everlasting wait.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62

해프닝

신진작가 프로젝트 06

제작국가

로그라인

한국

보수기독교 집안에서 반공교육을 받고 자란 여인이 ‘종북마녀’가 되어 강제추방 당한다. 시놉시스 성악가가 되기 위해 미국으로 유학을 간 은미는 미국에서 아이들을 키우며 평범하게 살고 있다. 어느 날 남편과 함께 북한 여행을 다녀온 후로 그녀의 삶에 변화가 시작된다.

감독 김상규

인터넷에 연재한 북한 여행기가 인기를 얻고 통일부의 다큐멘터리에도 출연한다. 한국에서 초청을 받아 토크콘서트를 하던 중 은미는 상상치 못한 일들을 당하게 되고 벗어나려 할수록 상황은 악화일로로 치닫는다. 보수적인 기독교 집안에서 투철한 반공교육을 받고 자란 그녀는 왜 ‘종북마녀’가 되었을까? 기획의도 세상에 일어나는 어떤 일들은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인다. 실제로 관계가 없을 수도

프로듀서

있고, 어떤 관계가 있지만 우리에게는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2014년 대한민국은

김철민

‘종북’이라는 두 글자에 격한 반응을 보인다. 어느 재미교포는 ‘종북토크쇼’를 했다는 이유로 강제 출국 당하고, 어느 정당은 북한의 노선을 추종하는 ‘종북정당’으로 규정돼

진행상황 촬영 70% 예상제작비용 KRW 72,680,000 확보예산 KRW 10,000,000 문의 김상규 pd39kim@gmail.com

해산된다. 같은 해에 있었던 두 가지 사건을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기록하면서 이 사건들이 서로, 그리고 과거의 어느 시점과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63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Happenings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06

Production Country

Logline

Korea

A woman, brought up with anticommunist education in a conservative Christian family, becomes a ‘pro-North Korean witch’ and displaced from her family.

Director Kim Sang-kyu

Synopsis Eun-mi went to the US to study singing and had a normal life with her children

Producer

there. But Her life began to change after the trip to the North Korea with her

Kim Cheol-min

husband. She, known for a series of journals about the trip to the North Korea posted on the internet, appeared in a documentary produced by the Ministry of

Project Status

Unification. She encountered difficulties she had never thought in a talk concert

In production

that she was invited to, and the more she gets out of this situation, the worse things get. A woman, brought up with strong anticommunist education in a conservative

Total Budget

Christian family, why does she become a ‘pro-North Korean witch’?

KRW 72,680,000

Director’s statement Confirmed Financing

It would seem that are not at all concatenated some things which happen in the

KRW 10,000,000

world. They could not really be concatenated or we could not realize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xpression ‘Pro-North Korea’ had provoked outrage

Contact

reactions in Korea 2014. A Korean resident in America was deported from Korea

Kim Sang-kyu

because she had held a pro-North Korean talk concert, and a political party was

pd39kim@gmail.com

dissolved, having been labeled as a pro-North Korean party that sympathized with North Korea. Watching very closely and recording two cases that had happened the same year, we think that they could be concatenated with each other and with some point in the past.


제작지원 공개발표작

64

희망을 냉동보관하다 신진작가 프로젝트 07

제작국가

로그라인

태국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엔지니어 사하토른은 2살 때 희귀암으로 죽은 딸 에인즈의 뇌를 저온보존하기로 했다. 언젠가는 딸이 살아날 수 있는 기회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으로 말이다. 과연 과학 기술이 인간의 끔찍한 비극을 치유할 수 있을까? 시놉시스

감독 파이린 웨델

두 돌을 맞은 ‘에인즈’는 아시아에선 최초의 그리고 전 세계에서 가장 어린 냉동보존된 아기이다. 뇌 암으로 투병하던 이 아기의 부모들은, 두 사람 모두 박사학위 소유자로, 애리조나의 센터에서 비영리로 아기의 뇌를 냉동보존하기로 결정했다. 사망 전에,

진행상황

에인즈는 12회의 외과수술과 20회의 항암 화학요법을 받았지만, 코마 상태에서

제작 중

깨어나기도 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절망적으로 살고자 노력한다고 확신을 하게 되었다. 이 영화는 에인즈의 가족들이 촬영한 비디오를 모아

예상제작비용

만든 작품으로, 그녀가 죽은 뒤의 부모들의 여정에 대해 시네마 베리테 형식으로

USD 180,000

보여주며, 또한 그들이 가진 기억을 재구성한다. 이 사하토른 가족들의 회고담에 대한 영화는 불교신자이자 과학자로서의 그리고 딸을 사랑하는 아버지로서의 역할과

확보예산

싸워나가면서 겪었던 감정적인 갈등과 과학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담을 예정이다. 이

-

영화는 우리의 문젯거리들을 수정하기 위해 과학의 기적에 신념을 갖게 되는 이 현재

문의 파이린 웨델 pailin.wedel@gmail.com

세계에 대해 검토하며, 테크놀로지가 자식을 잃는다는 인류의 가장 잔혹한 비극을 치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해 질문하다. 기획의도 과학 학위를 가진 저널리스트인 나는 전통과 신념 그리고 테크놀로지 간의 갈등을 다루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나는 21세기가 타락한 사제들을 어떻게 압박하는지, 그리고 오래된 종교 갈등이 어떻게 페이스 북에서 폭발을 하게 되는지에 대해 보도해왔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추적하면서 나는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존재를 재정의하게 되는 건 아닌지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작년에 엔지니어인 사하토른을 만났다. 짧은 인터뷰를 계획했었지만 결국 인체냉동보존술로 인해 죽음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철학적인 대화를 나누느라 2시간이란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사하토른에게 이 신념은 전통적인 불교 신앙을 대체하면서 그가 전통과 현대 간에 발생하는 격렬한 충돌 속에 빠져들게 했으며, 그 충돌은 내가 나의 전 인생을 통해 증명해왔던 것이기도 하다. 사하토른을 통해, 내가 언제나 조사하기를 원했었던 심오한 질문들에 대해 결국에는 답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65

Project for Public Presentation

Hope Frozen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07

Production Country

Logline

Thailand

After his two-year-old daughter Einz died from a rare form of cancer, a Thai engineer, decided to cryopreserve her brain, hoping that one day his daughter will

Director

have another chance at life.

Pailin Wedel

Synopsis Project Status

Two-year-old ‘Einz’ became the first in Asia and youngest in the world to be

In production

cryopreserved. After battling brain cancer, her parents, both Thai PhD-holders, decided to cryopreserve her brain with a non-profit in Arizona. Before her death,

Total Budget

Einz survived 12 surgeries, and 20 chemo sessions and woke up from a coma.

USD 180,000

This convinced her father that she desperately wanted to live. The film weaves the family’s footage of Einz, with verite of their journey after her death and recreations

Confirmed Financing

of their memories. It follows Sahatorn’s recollections, emotional conflicts and

-

scientific ponderings as he wrestles with his roles as a Buddhist, scientist and loving father. The film examines a world in which we place faith in scientific miracles to

Contact

fix our problems and it asks whether technology can help heal humanity’s cruelest

Pailin Wedel

tragedy: the loss of a child?

pailin.wedel@gmail.com

Director’s statement As a journalist with a science degree, I’m drawn to stories about conflict between tradition, faith and technology. I’ve covered how 21st century pressures corrupt monks and how ancient religious conflicts erupt on Facebook. Chasing these stories have made me ponder deeper questions about how technology is redefining us. I met Sahatorn, an engineer, last year. What was intended as a short interview became a two-hour philosophical conversation about how cryonics is changing the meaning of death. For Sahatorn, this faith has superseded traditional Buddhist beliefs thrusting him into a grander clash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that I’ve witnessed all my life. Through Sahatorn, I can finally examine, the deeper questions I’ve always wanted to investigate.


66

개봉지원 접수작 Entries of Fund for Release


Entries of Fund for Release

67

개봉지원 접수작 22

Entries of Fund for Release 앙뚜

22 (Twenty Two)

Becoming Who I Was

Director 궈 커 Guo Ke

Director 문창용, 전진 Moon

Korea, China | 2015 | 112min |

Chang-yong, Jeon Jin

DCP | Color

Korea | 2016 | 105min | DCP | Color | World Premiere

7년 - 그들이 없는 언론

옥주기행

Seven Years-Journalism

The Journey To OKJU

without Journalist

Director 김응수 Kim Eung-su

Director 김진혁 Kim Jin-hyuk

Korea | 2016 | 158min | DCP |

Korea | 2016 | 111min | DCP | Color

Color | World Premiere

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

올 리브 올리브

Sound of Nomad: Koryo

All Live, Olive

Arirang

Director 김태일, 주로미 Kim Tae-il,

Director 김정 Kim Jeong

Ju Ro-mi

Korea | 2016 | 87min | DCP | Color

Korea | 2016 | 91min | DCP | Color | World Premiere

공동정범

하늘색 심포니

The Remnants

The Sky-Blue Symphony

Director 김일란, 이혁상 Kim Il-

-The Story of the Korean

rhan, Lee Hyuk-sang

Schools in Japan-

Korea | 2016 | 130min | DCP |

Director 박영이 Park Yeong-i

Color | World Premiere

Japan | 2016 | 95min | DCP | Color/B&W | Korean Premiere

그럼에도 불구하고 Still and All

핵마피아 The Nuclear Mafia

Director 김영조 Kim Young-jo

Director 김환태 Kim Hwan-tae

Korea | 2015 | 92min | DCP | Color

Korea | 2016 | 115min | DCP | Color

난잎으로 칼을 얻다

황색바람

The Orchid and the Sword

Yellow Wind

Director 임경희 Lim Gyung-hee

Director 조현준 Cho Hyun-jun

Korea | 2016 | 79min | DCP | Color

Korea | 2016 | 72min | DCP | Color

| World Premiere

| World Premiere

노후 대책 없다 No Money, No Future Director 이동우 Lee Dong-woo Korea | 2016 | 100min | DCP | Color/B&W


68

제작지원 부대행사 Fund Events


69

Fund Events

부대행사

Fund Events

1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작 공개발표 내용

예심을 거쳐 선정된 22편의 한국, 아시아 다큐멘터리를 대중 앞에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장편다큐, DMZ프로젝트, 신진작가 제작지원 세 부문으로 나뉘어 이틀간 공개발표가 이루어지며, 공개발표 후 최종지원작이 선정된다. 한국과 아시아에서 현재 제작되는 혹은 기획 중인 다큐멘터리 프로젝트를 통해 동시대 아시아의 현재를 그려보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일시

9월25일(일) 14:00 9월26일(월) 13:30

장소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7관

2 제작지원 결과 발표 및 시상식 내용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에 선정된 최종 프로젝트 발표 및 시상식.

일시

9월 27일(화) 19: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6층 DMZ 스퀘어

1 The Public Presentation of the DMZ Docs Fund Events

The event is to present 22 documentary projects from Korea and Asia that passed the preliminary examination to the public. The public presentation will take place for two days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eature-Length Documentary Projects, DMZ Documentary Project and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and the selected works will be announced after the presentation. It gives an opportunity to figure out Asia and Asian documentary of the present day through documentary projects in production or in the planning stage from Korea and Asia.

Date

September 25(SUN) 14:00 DMZ Documentary and New Directors’ Documentary September 26(MON) 13:30 Feature-Length Documentary Projects

Venue

Megabox Pajubookcity 7

2 The Final Selection Announcement and the Awards Ceremony Events

The Final Selection Announcement of the 8th DMZ Docs Fund and the Awards Ceremony

Date & Time

September 27(Tue) 19:00

Venue

Megabox Baeseok 6F DMZ Square


제작지원 부대행사

70

포럼

Forum

1 아시아 청년 다큐멘터리 공동제작 프로젝트 내용

아시아 4개국 영화학교 및 영화제의 협력 프로젝트인 아시아 청년 다큐멘터리 공동제작 프로젝트 작품 상영 후, 작품의 기획, 제작과정을 나누고 평가하면서, 지적 공동체로서의 아시아에 대한 사유 가능성을 탐색한다.

일시

9월 27일(화) 10:30, <나는 아시아인이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사회

전규찬(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발제

김동원(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야스오카 타카하루(일본영화대학 교수), 리 시아오펑(상하이동제대 교수), 첸 핀지운(국립타이난예술대학 교수), 최인아(한국예술종합학교), 미사와 타쿠야(일본영화대학), 바오 만후아(상하이동제대), 우 충흐시엔(국립타이난예술대학),

토론

리 신(윈난예술대학교), 장세윤(동북아역사재단), 차이 친 통(국립타이난예술대학 교수)

2 다큐멘터리 배급, 극장 개봉과 다른 배급의 가능성 내용

극장 개봉과 공동체 상영이라는 두 가지 상영 방식을 통해 관객과 만나고 있는 다큐멘터리의 배급 전략과 방식에 대한 논의를 나누는 자리. 극장 개봉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상황에서 극장 개봉의 가능성과 의미는 무엇인지, 공동체상영과 국내 커뮤니티 시네마의 가능성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일시

9월 27일(화) 15: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패널

김남훈(모두를 위한 극장 공정영화협동조합 상임이사), 김철민(<불안한 외출> 감독), 김하늘(다큐멘터리 배급사 시네마달), 헬렌 코펠(그랑 에크랑 다큐멘터리 디렉터)

1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Project Events

After screening the films of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a collaboration project with the film schools and film festivals from the four teams in Asia, it will be held an event to present and evaluate the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films, and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to consider Asia as an intellectual community.

Date

September 27 (TUE) 10:30, after screening I’m Asian

Venue

Megabox Baekseok Table M

Panel

Kim Don-won·Jeon Gyu-chan (Professor of K’arts), Yasuoka Takaharu (JIMI), Li Xiaofeng (Dongji Univ.), Tsai Chintong·Chen pin jiun(Professor of TNNUA), Choi In-a (K’arts), Misawa Takuya (JIMI), Bao Manhua (Tongji Univ.), Wu Tsung-hsien (TNNUA), Chang Se-yun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LI Xin(Yunnan Arts University)

2 The Distribution of Documentary, Theatrical Releasing and other Possibilities Events

A forum to discuss the strategy for distribution of the documentary that has contacted the audience by two ways of screening, theatrical releasing and community screening. It offers a chanc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herent in theatrical releasing and the possibilities of community screening and community cinema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is almost impossible to release of documentary films in theaters.

Date

September 27 (TUE) 15:00

Venue

Megabox Baekseok Table M

Panel

Kim Nam-hun (Chief Director of ‘Mogeukjang’ Cooperative), Kim Cheol-min (Director of The Anxious Day Out), Kim Han-eul (Documentary distributor Cinemadal), Hélène Coppel (Director of Documentaire Sur Grand Ecran)


71

Fund Events

제작지원작 상영 및 토크

Granted Projects’ Screenings & Talks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 제작지원한 작품들의 상영 및 토크를

Sharing of the experience in making documentary in

통해 한국과 아시아에서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경험을 공유하고,

Korea and Asia after screening of documentary film

작품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

funded by DMZ Docs

상영작 및 상영 일시 Title and Screening date

마지막 공산주의자 My Father, the Last Communist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아버지는 현재 일어나는 일은 곧잘 잊어버리지만 먼 과거의 일들은 또렷하게 기억한다. 그는 현재를 살고 있지만, 그의 기억은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지난날 그는 순수한 공산주의 이념을 지키기 위해 온 삶을 바쳐 투쟁했지만 지금 베트남의 현실은 그가 70년 전 혁명에 참여했을 때와 매우 다르다. 이는 프랑스와 9월25일(일) 18:00 MB8 Q&A

미국과 싸우는데 그들의 인생을 바친 아버지 세대의 비극이다.

9월27일(화) 20:30 MBT Q&A

The director’s father is now in the beginning of Alzheimer. He forgets what’s happening in

September 25(SUN) 18:00 MB6 Q&A

the present, but remembers the memories in far past. The present life is going on, but he

September 27(TUE) 20:30 MBT Q&A

stops with memories of his time. In the last days of his life, he’s struggling to keep his pure communist ideology, although the reality in Vietnam today is very different.

붉은 옷 Red Clothes 캄보디아 섬유산업의 중심지인 프놈펜 교외, 젊은 노동자 티 소파니트는 아내와 5살 난 아들과 함께 살고 있다. 농촌 지역인 캄퐁츠낭에서 농사를 짓던 그는 유명 브랜드 의류를 제조하는 공장에 취직하지만 그가 버는 수입은 겨우 굶어 죽지 않을 만큼의 낮은 임금이다. 더 나은 노동조건과 임금을 요구하는 시위에 참여한 소파니트는 경찰의 9월24일(토) 16:30 MBT Q&A

총알에 맞아 부상을 당하고, 캄보디아 의류 노동자들의 투쟁은 점차 격렬해진다.

9월26일(월) 11:00 MP2

In a suburb of Phnom Penh, where Cambodia’s textile industry is flourishing, Ty Sophanith

September 24(SAT) 16:30 MBT Q&A

lives with his wife and his five years old son. The young workers, former peasant from the

September 26(MON) 11:00 MP2

countryside of Kampong Chhnang, were hired by the factory, supplier to the well-known brands in the West, but the couple lives in starvation wage. Sophanith was wounded by the police bullets during a demonstration for their better working conditions, The Cambodian workers’ demonstration is getting violent.


제작지원 부대행사

72

보이지 않는 도시, 홍콩 Traces of an Invisible City 영화는 홍콩의 도시 풍경을 통해 글로벌하고 자본주의적인 도시의 역사적 변화를 압축해서 보여준다. 글로벌 공간, 현지 홍콩인들의 공간, 홍콩-중국간의 국경선 공간의 세 가지 장으로 구성된 영화는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있는 풍경들을 통해 도시에 존재하는 긴장감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공공장소가 어떻게 구성, 사용, 9월23일(금) 13:00 MP3

해석되는지를 통해 도시에 존재하는 갈등과 위기감을 그려낸다.

9월25일(일) 15:00 MB8 Q&A

The film presents urban space in Hong Kong as a vivid showcase of the hidden logics of

September 23(FRI) 13:00 MP3

globalization, capitalism and historical changes of today’s world cities. The film contains

September 25(SUN) 15:00 MB8 Q&A

three chapters that is parallel to but interwoven with each other: global, local and border space. The film examines a series of urban landscapes in Hong Kong to illustrate the tension among their visual existence, function and ownership, and how the city’s public space has been constructed, used, owned and interpreted.

상하이청춘 Bitter Money 중국에서 가장 번영한 도시 상하이의 이웃 지역에 위치한 산업 지역 리밍. 매년 많은 사람들이 시골에 있는 그들의 마을을 떠나 이곳으로 온다. 이들은 보통 17-20세로 서쪽으로 1500마일 떨어진 윈난성 출신이다. 일하는 곳이나 도미토리, 좁은 아파트 등 건강에 좋지 않은 곳에 살고 있는 이들은 성인인 척 행세하지만, 불안정한 상황, 경제적 9월24일(토) 14:30 MP1

압박, 공간적 단절로 순수함과 젊음을 소진하고 있는 십대에 불과하다.

9월26일(월) 14:30 MBT

Liming is an industrial district located in the neighborhood province of Shanghai, the

September 24(SAT) 14:30 MP1

most prosperous city of China. Each year, many young people leave their villages of the

September 26(MON) 14:30 MBT

countryside and move here. They are between 17 and 20 years old, all come from the rural province of Yunnan, located 1500 miles west. These young usually live at their workplace, dorms, small apartments, unhealthy rooms. They live as adults but are still teenagers burning their innocence and youth with the unstable situations, economic pressure and the geographic dispersal.

로드 The Road 중국 중부 지역, 후난 성의 한 조용한 마을에 고속도로 건설이 진행된다. 엄청난 비용이 이 공사에 투입되고, 각종 장비와 기계들이 밀려들어오면서 마을과 농부들의 삶은 어쩔 수 없는 변화 앞에 놓인다. 용지 보상, 주택 이전, 사찰 복원을 둘러싼 미묘한 긴장과 충돌이 지속되고, 건설 현장의 노동자와 지역민들의 삶이 부딪힌다. 3년이 넘는 오랜 9월25일(일) 20:30 MB8 Q&A

기간 촬영된 이 영화에는 중국과 중국의 경제를 바라보는 희귀한 통찰력이 담겨있다.

9월27일(화) 15:30 MB8

The Chinese director Zhang Zanbo managed in 2010 to get unique and unprecedented

September 25(SUN) 20:30 MB8 Q&A

acces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586 billion USD financial plan that the Chinese

September 27(TUE) 15:30 MB8

government implemented as an attempt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on the world’s second largest economy.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director filmed the making of a section of a highway through a quiet village in Hunan, a province in central China. This is the province where Chairman Mao was born. The result is a rare insight to China and its economy.


73

Fund Events

이태원 Itaewon 미군 달러가 지배하던 시절부터 지금까지 이태원에서 살아온 세 여성의 이야기. Stories of three women who have been living in Itaewon, Seoul since the era that the town was run by U.S dollars of the U.S.Army.

9월24일(토) 17:00 MB7 Q&A 9월27일(화) 13:30 MP3 9월28일(수) 19:00 MB2 Q&A September 24(SAT) 17:00 MB7 Q&A September 27(TUE) 13:30 MP3 September 28(WED) 19:00 MB2 Q&A

옥주기행 The Journey To OKJU 나는 아주 오래 전부터 소리에 관심이 있었던 듯하다. 멜로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장면은 아름다운 주인공들의 사랑이 아닌, 강원도 정선 어딘가의 산골에서 노부부가 부르던 정선아리랑을 남자 주인공이 녹취하던 장면이었다. 나는 그때 이 영화를 보면서 연애가 아닌, 왜 이 소리에 전율하는지를 내게 물었다. 그때 나는 9월23일(금) 18:30 MP2

겨우 30대였다. 그리고 우연이 필연이 되는 것처럼, 이상한 마을을 알게 되었다.

9월25일(일) 13:00 MB7 Q&A

In One Fine Spring Day, a Korean melodrama, it wasn't the handsome main characters'

9월26일(월) 16:00 MB2

love that remained most vividly in my memory, but the scene in which the main male

September 23(FRI) 18:30 MP2

character was recording Jeongsun Arirang, sung by an old couple in a mountainous

September 25(SUN) 13:00 MB7 Q&A

village. At that time whilst seeing the movie, I asked myself why this sound, not the

September 26(MON) 16:00 MB2

romance, makes me shudder. I was in my 30s. And, as coincidences become inevitability, I came to know the strange village.

공동정범 The Remnants 2015년 10월, 경찰관을 죽였다는 이유로 억울하게 수감되었던 철거민들이 6년 전 용산참사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다. 부당한 재개발 정책에 맞서 함께 망루에 올랐고, 농성 25시간 만에 자행된 경찰특공대의 폭력 진압에 저항했던 그들. 그 과정에서 발생한 원인 모를 화재로 동료들은 죽고, 남은 그들은 범죄자가 되었다. 9월24일(토) 13:30 MB7 Q&A 9월26일(월) 19:30 MBT Q&A

반가움도 잠시, 오랜만에 만난 ‘동지들’은 서로를 탓하며 잔인한 말들을 쏟아낸다. 그 동안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9월27일(화) 11:00 MP2

In October 2015, the evicted residents who had imprisoned on a false charge of killing

September 24(SAT) 13:30 MB7 Q&A

a policeman assembled in a place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Yongsan Disaster six years

September 26(MON) 19:30 MBT Q&A

ago. They had occupied a watchtower against unreasonable redevelopment policies

September 27(TUE) 11:00 MP2

and in protest against violent suppression used by riot police in 25 hours of their sitin demonstration. Their colleagues had died from an unknown fire, and they became criminals. The delight of meeting again lasts only briefly. The ‘comrades’ rip out cruel words while blaming each other.


제작지원 부대행사

74

촌구석 The Backward Lands 국가의 일방적인 이주명령에 수십 년 지켜온 땅을 떠나게 된 사람들이 살았던 곳, 지역을 먹여 살린다는 큰 자동차 공장에서 한 순간에 이천 명이 넘는 노동자를 공장 밖으로 쫓아내고 그들의 죽음을 외면했던 곳, 평택. 제대로 된 이유도 모른 채 하루 아침에 사라져버린 아이들이 살았던 곳, 안산. 그리고 여전히 두 촌구석에서 살아가는, 9월23일(금) 17:30 MB8

혹은 살아남은 사람들.

9월26일(월) 18:30 MP3

Pyeongtaek. where had lived people forced out of land they had stayed for several

September 23(FRI) 17:30 MB8

decades by compulsive eviction order of the government, and where over two thousand

September 26(MON) 18:30 MP3

workers were thrown out of a big automobile factory feeding the region and people closed their eyes to the death of the workers. Ansan, where had lived the students disappearing without knowing the reason one morning. And people who still live, or are left alive, in these two rural towns.

앙뚜 Becoming Who I Was 어느 날 갑자기 사람들이 나에게 머리를 조아리고 무릎을 꿇었다. 그러나 환생 전 사원을 찾아야만 린포체로 인정받을 수 있는 현실. 문제는 내 전생의 사원은 라다크가 아닌 티베트. 중국의 종교 탄압에 가로막혀 제자들이 나를 찾아올 수도, 내가 갈 수도 없다. 결국 머물던 라다크 사원에서도 쫓겨나고, 사람들의 시선이 두렵다. 나를 믿고 9월24일(토) 20:00 MB7 Q&A 9월28일(수) 12:30 MBT

곁을 지켜주는 유일한 사람은 스승 우르갼 뿐이다. 나는 누구였을까? 그 답을 찾아 금지된 땅 티베트로 가야만 한다.

September 24(SAT) 20:00 MB7 Q&A

A seemingly ordinary boy discovers he is the highest ranking Tibetan monk reincarnated

September 28(WED) 12:30 MBT

from a past, giving him the noble title of Rinpoche. Displaced in his reincarnation in Ladakh due to the political instability in Tibet, he is separated from his former monastery. Filmed over 7 years, the young reincarnate faces questions of survival, coming-of-age, and serving a sacred order. With one aging godfather on the backdrop of the biting Himalayan Mountains, Rinpoche sets on a dangerous journey to find his place in the world.

그녀들의 점심시간 Ladies' Lunchtime 더운 날씨에 몸이 좋지 않은 경마장 미화원 숙정씨, 입맛은 없지만 오후 일정을 위해 억지로 밥을 떠 넘긴다. 여고생들은 맛없는 급식 대신 햄버거를 몰래 배달 시켜 먹으며 다이어트 이야기를 한다. 택시기사인 희숙은 차 안에서 점심으로 김밥을 먹다 손님을 발견하고 황급히 숨긴다. 각양각색 다양한 점심의 풍경, 그 속에 담긴 여자들의 삶과 9월23일(금) 19:30 MB7 Q&A 9월25일(일) 13:00 MP2 Q&A September 23(FRI) 19:30 MB7 Q&A September 25(SUN) 13:00 MP2 Q&A

이야기. The diverse lunch times of ladies and their lives and stories.


75

Fund Events

용왕궁의 기억 Yongwanggung : Memories from Across the Water 2009년 7월, 오사카 사쿠라노미야(櫻宮)의 ‘용왕궁’이 철거될 위기에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용왕궁’은 2차 세계대전 전부터 제주도에서 이주한 재일조선인 1세 할머니들이 가족의 안녕이나 평안을 기원하는 ‘굿당’이었다. 2015년 4월, 제주도 영등굿 촬영 중 만난 필사적으로 기도하는 할머니들의 모습과 옛날 부엌에서 조용히 기도하던 어머니의 9월24일(토) 19:00 MB8 Q&A 9월26일(월) 16:00 MP1

모습이 겹친다. 가족을 위해 극진히 기도하던 어머니의 마음을 알고 싶었고, 위로해 드리고 싶었다.

September 24(SAT) 19:00 MB8 Q&A

Yongwangung was a Gutdang(shaman’s shrine) where first generation Korean women

September 26(MON) 16:00 MP1

who crossed the seas from Jeju to Japan eve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In 2009, I heard that a shamanic shrine called Youngwanggung was about to be demolished by the Osaka city government. My childhood memory of my mother praying in the kitchen came back when I was filming elderly women in Jeju. I felt the urge to have a shamanistic ritual for my mother who had been hospitalized.

난잎으로 칼을 얻다 The Orchid and the Sword 평생을 아버지로부터 벗어나고자 노력했던 딸 다훈은 아버지로부터 한 통의 메일을 받는다. 눈이 멀어가는 아버지가 학자로서 못다한 『만주순례기』 초고를 대신 완성해달라는. 2015년 겨울, 다훈은 어쩌면 아버지의 마지막 유언이 될지도 모르는 원고를 들고, 복잡한 심정으로 아버지와 함께 만주로 떠난다. 여행 안에서 다훈은 아버지 9월24일(토) 19:30 MP1 TK

대신 ‘한국독립운동사 복원’을 위한 원고를 완성해가며, 아버지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9월25일(일) 20:00 MB7 Q&A

In 2014 an email from a father arrives. He asks his daughter to complete his book

September 24 19:30 (SAT) MP1 TK

Travelogue to Manchuria on his behalf as he is going blind. Da-hoon, the daughter,

September 25 20:00 (SUN) MB7 Q&A

has mixed feeling about this request. In January 2015, she heads for Manchu with him, carrying his script as if it is his will. She gets to understand her father through completing a manuscript to restore Korea's history of independence in the course of her trip.

그 날 One Warm Spring Day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이었던 친할아버지와 인민군이었던 외할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나는 여전히 단단하게 분단된 한반도의 남쪽에서 살고 있다. 어느 따뜻한 봄 날, 나는 나의 한 쪽 뿌리의 죽음을 목격했다. 어린 시절 목격한 외할아버지의 죽음은 어른이 된 나에게 계속해서 고통스러운 질문을 던진다. 할아버지는 그 날, 왜 그런 선택을 하게 된 9월24일(토) 15:00 MB2 Q&A

것일까?

9월27일(화) 19:30 MP2

I was born between a paternal grandfather who was in the South Korean Army and a

September 24 (SAT) 15:00 MB2 Q&A

maternal grandfather who was in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t the time of the

September 27 (TUE) 19:30 MP2

Korean War. And I am now living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it is still firmly divided into two parts, South and North. On one warm spring day of my childhood, I witnessed the death of one of my origin, grandfather. Why did he make that choice on that day?


Editorial 발행인

Publisher

조재현

Cho Jae-hyun

편집

Editors

박혜미

Park Hye-mi

최윤정

Choi Yun-jeong

임근영

Lim Keun-young

번역

Translator

주은정

Ju Eun-jung

디자인

Design

슬로워크

slowalk

인쇄

Print

타라TPS

TaraTPS

Contact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DMZ Docs Fund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천로 198번길 18 춘의테크노파크2 202동 906호 9F, 202-dong, Chunui Technopark2, 198 Bucheon-ro, Wonmigu, Bucheon-si, Gyeonggido, Korea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백석동, 고양종합터미널 6층) 6F, 1036, Jungang-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South Korea (Goyang Bus Terminal 6F, Baekseok-dong) Tel 032-623-8051 Fax 032-623-8080 Email market@dmzdocs.com www.dmzdocs.com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