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02-448-7369 www.1004wa.co.kr
목차
Contents
상영시간표
Screening Schedule
25
개·폐막작
Opening & Closing Film
27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8 22
32 36 39 42 47 52 55 61 66
티켓 운영 안내
아시아경쟁 청소년경쟁
Ticket Information
Asian Competition Youth Competition
글로벌비전
Global Vision
DMZ비전
DMZ Vision
한국다큐쇼케이스 다큐패밀리 다큐초이스 특별기획
Korean Docs Showcase Docs Family Docs Choice Special Focus
70
아시아청년다큐멘터리
Asian Docs Co-Production
72
청소년다큐제작워크숍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81 87 90 96 98 104
공동제작 수료작
Network Workshop
부대행사
Program Events
DMZ Docs EDU
DMZ Docs EDU
특별행사
배리어프리 상영안내 행사장 & 셔틀버스 색인
Special Events
Barrier Free Screening Venues & Shuttle Bus Index
상영시간표 보는 법
8
Legend for Screening Schedule 코드
001 10:00~11:30
제목
그 날 One Warm Spring Day
등급, 런닝타임 이벤트
상영관
G
83min, p26/53
페이지
Q&A
등급 메가박스 백석 2관
G
모든 관객이 관람할 수 있는 등급
MB3
메가박스 백석 3관
12
12세 미만인 자는 관람할 수 없는 등급
MB7
메가박스 백석 7관
15
15세 미만인 자는 관람할 수 없는 등급
MB8
메가박스 백석 8관
18
18세 미만인 자는 관람할 수 없는 등급
MBM
메가박스 백석 M관
MBT
WP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세계 최초 상영
MP1
IP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1관
해외 최초 상영
MP2
AP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2관
아시아 최초 상영
MP3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3관
KP
한국 최초 상영
MP7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7관
CG
캠프그리브스
YS
연천수레울아트홀
자막코드
GA
김포아트홀
별도 표기가 없는 한 모든 상영작에는 다음과 같이
MB2
시간
자막이 제공됩니다. Q&A
관객과의 대화 Q&A
·영어대사 한글자막 제공
DE
DMZ Docs EDU 교육프로그램
·한국어대사 영어자막 제공
TK
프로그램 부대행사 토크
·기타언어대사 한글자막과 영어자막 동시제공
LT
프로그램 부대행사 강연
INT
작품해설
N
비영어대사 + 영어자막 없음
배리어프리
K
한국어대사 + 영어자막 없음
ND
대사없음
*관객과의 대화는 게스트 스케줄에 따라 사전 고지 없이 변동될 수 있음
묶음상영 국제경쟁 단편1
<더 높이 날아올라>, <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에 대한>, <그레이스 오브 갓>
국제경쟁 단편2
<브루클린 다리 위의 하얀 깃발>, <그 땐>, <머리 감겨주는 여자>
아시아경쟁 단편
<마이 레그>, <선장 솔레이만>
청소년경쟁1
<19禁>, <엄마의 상자>, <9와 0 사이>
청소년경쟁2
<영돼와 돼영이>, <그건 사랑이었네>, <수필>
글로벌비전 묶음
<주크-스펜서 윌리암스의 여정>,
다큐패밀리 묶음
<스페셜 원>, <축구장 가는 길>
다큐패밀리 단편1
<링 위의 촐리타>, <소년이 되는 법>, <할매축구단>
다큐패밀리 단편2
<보이첵, 파일럿이 되다>, <나는 대리모입니다>, <아야의 하루>, <알바트로스>
다큐패밀리 단편3
<테픽, 넘어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어>, <살아있는 숲>, <집처럼 따스한 별 아래> 다큐패밀리 단편4
<찬란히 빛나는>, <행동하는 예술>, <풋볼 브라더스>, <감옥에서 만난 자유>
한국다큐쇼케이스 단편
<로봇 강아지, 아이보>, <아버지의 유산>, <꿈으로 가득한>
<우리가 한 때 가졌던 생각> 글로벌비전 단편
<눈을 감으면>,
다큐초이스 단편
<책방의 풍경>, <퀴어 서점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빙빙>, <적막의 경관>, <골목의 이야기>
*이 시간표는 8월 31일자로 제작되었습니다. 이후 변동 사항은 홈페이지(www.dmzdocs.com)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영시간표 보는 법
9
Legend for Screening Schedule Code
001 10:00~11:30
Title
그 날 One Warm Spring Day
Rate, R/T
G
Page
Q&A
Event
Venues
83min, p26/53
Time
Ratings
MB2
Megabox Baekseok 2
G
General
MB3
Megabox Baekseok 3
12
Under 12 not admitted
MB7
Megabox Baekseok 7
15
Under 15 not admitted
MB8
Megabox Baekseok 8
18
Under 18 not admitted
MBM
Megabox Baekseok M
MBT
Megabox Baekseok Table M
WP
World Premiere
MP1
Megabox Pajubookcity 1
IP
International Premiere
MP2
Megabox Pajubookcity 2
AP
Asian Premiere
MP3
Megabox Pajubookcity 3
KP
Korean Premiere
MP7
Megabox Pajubookcity 7
CG
Camp Greaves
YS
Yeoncheon Sureul Art Hall
GA
Gimpo Arts Hall
Subtitle
Q&A
Guest Q&A
Unless following code is marked, all films will have subtitle as follow
DE
DMZ Docs EDU Education Program
TK
Program Event Talk
· Korean subtitle for English language films · English subtitle for Korean language films
LT
Program Event Lecture
· Korean & English subtitle for other Language films
INT
Introduction Barrier Free
* Guest Q&A schedules can be changed without prior notice depending on guests’ schedules.
N
Non-English Dialogues+No English Subtitles
K
Korean Dialogue + No English Subtitles
ND
No Dialogue
Film Selections International Competition Shorts 1
I'll Fly Higher, A Tale of Love, Madness and Death, Grace of God
Korean Docs Showcase Shorts
B-ing B-ing, A Landscape between Past and Future, An Alley's Story
International Competition Shorts 2
Symbolic Threats, Then Then Then, Women In Sink
Docs Family Collection The Special One, On Football
Asian Competition Shorts
My Leg, Skipper Soleiman
Youth Competition 1
Adults Only, Mom's Shabby Box, Between 9 and 0
Youth Competition 2
Shallow Kim, We Can Call It Love, Essay
Global Vision Collection
Juke-Passages from the Films of Spencer Williams, The Thoughts that Once We Had
Global Vision Shorts
Sangha, Artivism, Football Brothers, Guamuchil Seeds
Docs Family Shorts 1
The Wrestling Cholita, How Ky Turned Into Niels, Alive&Kicking: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Docs Family Shorts 2
Wojtek, My Life: I'm a Surrogate, Away from Ayah, Albatross
Docs Family Shorts 3
Drawing For Better Dreams, Asylum Child. Tefik, When You Fall, You Get Back Up Again, The Living Forest, Under the Stars I Felt at Home
Docs Family Shorts 4
The Dog, Heritage, Full of Dreams
Docs Choice Shorts
Poetries from the Bookstores, Welcome to My Queer Bookstore
※ This festival guide was printed on August 31st. Please check out our official website periodically for changes.
p91-93 DE
p91-93 DE
p91-93 DE
48min, p60
Docs Family Shorts 4
Table M관
G
어느 독일인의 삶
다큐패밀리 단편 4
G
113min, p28
A German Life
113 12:00~13:53
105 10:30~11:18
메가박스 백석
92min, p38
MBT
G
Still and All
Song of the Reed
백석 8관
76min, p68
갈대의 노래
메가박스
G
112 12:30~14:02
그럼에도 불구하고
104 10:30~11:46
MB8
78min, p56/57
Collection
Group Viewings 2
백석 7관 G
Docs Family
단체관람 2
메가박스
G
111 13:00~14:18
다큐패밀리 묶음
103 10:30~12:00
MB7
81min, p37
120 14:30~15:44
Q&A
12
74min, p33
Cities of Sleep
델리에서 잠드는 법 12
215min, p67
12
80min, p28
18:00
12
100min, p48
96min, p33 Q&A
G
Spring, the Tamaki Family..
다마키 가족의 봄 After
125 17:00~18:36
G
The Backward Lands
촌구석
124 17:30~19:10
78min, p49 Q&A
G
Time Workers’ Union
40min, p43
K
G
G
70min, p48
Ladies’ Lunchtime
133 19:30~21:25
p51 Q&A
case Shorts
G
65min,
Korean Docs Show-
한국다큐쇼케이스 단편
134 20:00~21:05
115min, p38 Q&A
G
The Nuclear Mafia
핵마피아
95min, p54 Q&A
Korean Schools in Japan-
Symphony-The Story of the
하늘색 심포니 The Sky-Blue
그녀들의 점심시간
Q&A
21:00 130 20:30~22:05
132 19:30~20:40
Q&A
131min, p29
The Promise 15
사랑의 덫
유령 Claude Lanzmann: Spectres of the Shoah
131 19:30~21:41
129 18:00~18:40
20:00
83min, P26/53
19:00
G
클로드 란즈만: 쇼아의
가현이들 The Part-
123 17:00~18:18
뎁스 투 Depth Two
122 16:00~17:20
G
Living with the “Memories”
기억과 함께 산다
Breaking the Silence
깨어난 침묵 After
17:00
개막식 Opening Ceremony /
캠프그리브스
22:00
개막작 <그 날> Opening Film <One Warm Spring Day>
001 19:00
CG
121 16:00~19:55 *Intermission 20min
16:00
119 15:00~16:21
p91-93 DE
p91-93 DE
백석 3관 G
Group Viewings 2
Group Viewings 1
메가박스
G
110 14:00~15:30
단체관람 2
102 10:30~12:00
단체관람 1
MB3
G
Group Viewings 2
Group Viewings 1
G
단체관람 2
단체관람 1
15:00
백석 2관
14:00
메가박스
13:00 109 14:00~15:30
12:00
101 11:00~12:30
11:00
MB2
10:00
9월 23일 Fri 금
9월 22일 Thu 목
Shorts
3관
DE
DE
G
p91-93
Group Viewings 2
Group Viewings 2
p91-93
단체관람 2
김포아트홀
G
140 12:30~14:00
139 10:00~11:30
단체관람 2
GA
DE
G
91min, p37
82min, p44
p91-93
Group Viewings 2
단체관람 2
DE
G
All Live, Olive
141 15:00~16:30
p91-93
Group Viewings 3 G
단체관람 3
8관
파주출판도시
15
69min, p50
올 리브, 올리브
LOVETRUE
117 14:30~16:00
70min, p34
G
The Slice Room
사람이 산다
128 15:30~16:52
메가박스
G
17:00
18:00
G
102min, p43
19:00
190min, p44
G
158min, p38
The Journey To OKJU
옥주기행
136 18:30~21:08
G
In Jackson Heights
잭슨 하이츠에서
135 18:30~21:40
The Cameraperson
카메라를 든 사람
137 17:30~19:12
126 16:30~17:39
127 16:00~17:31
16:00
러브트루
MP8
70min, p46
Global Vision
파주출판도시
G
보이지 않는 도시, 홍콩 Traces of an Invisible City
116 13:00~14:10
108 11:00~12:10
글로벌비전 단편
p91-93
메가박스
DE
G
Group Viewings 4
MP3
137min, p45
Global Vision Collection
파주출판도시
12
단체관람 4
2관
115 14:00~15:30
p91-93
글로벌비전 묶음
DE
G
107 11:00~13:17
p91-93
메가박스
DE
G
MP2
1관
Group Viewings 3
단체관람 3
Group Viewings 2
15:00
단체관람 2
14:00
파주출판도시
13:00
메가박스
12:00 114 14:20~15:50
11:00
106 11:00~12:30
10:00
MP1
21:00
G
87min, p28
Enlightened
The Land of the
소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138 20:00~21:27
20:00
22:00
Korean Woman 72min, p53
Princess Shaw
80min, p56
International
백석 7관
The Last Insurrection
Asian Competi-
tion Shorts
Q&A
131min, p29
98min, p37
63min, p33
Q&A
G
20:00
232 20:00~21:45
Q&A
100min, p49
65min, p34 Q&A
G
Red Clothes
100min, p50
110min, p37 Q&A
G
Good Bye My Hero
안녕 히어로
234 19:00~20:50
Q&A
G
the Water
Memories from Across
Yongwanggoong:
N
105min, p48 Q&A
G
Becoming Who I Was
앙뚜
용왕궁의 기억
18
70min, p50 Q&A
G
Windy Coffee Road
바람커피로드
233 19:00~20:40
No Money, No Future
21:00
231 20:00~21:10
60min, p64
Q&A
G
Mountain College
Fully Awake: Black
블랙 마운틴 컬리지
230 19:30~20:30
220 16:00~17:40
19:00
노후 대책 없다
Q&A
G
Itaewon
이태원
226 17:00~18:38
15
The Promise
사랑의 덫
붉은 옷
76min, p29
76min, p64
225 17:00~19:11
15
Black White+Gray
블랙 화이트 + 그레이
221 16:30~17:35
Table M관
36min, p35
G
A Syrian Love Story
시리아 러브스토리
219 15:00~16:16
18:00 224 17:30~18:46
마지막 반란
아시아경쟁 단편
83min, p26/53
Q&A
G
One Warm Spring Day
그날
17:00
216 13:30~14:33
205 11:00~11:36
G
49min, p41
Q&A
G
Competition 2
Youth
16:00
218 15:00~16:23
15:00
215 14:00~14:49
청소년경쟁 2
메가박스 백석
Q&A
130min, p38
MBT
Q&A
49min, p40
Competition 1
Shorts 2
G
Youth
Docs Family
백석 8관
49min, p58
청소년경쟁 1
다큐패밀리 단편 2
G
212 12:00~12:49
204 10:30~11:19
메가박스
83min, p31
MB8
G
G
The Remnants
국제경쟁 단편 2
Competition Shorts 2
211 13:30~15:40
공동정범
203 11:00~12:23
89min, p30
메가박스
G
MB7
Q&A
Competition Shorts 1
International
22(Twenty Two)
백석 3관
113min, p67
국제경쟁 단편 1
15
210 13:00~14:29
202 10:30~12:23
22
MB3
14:00
메가박스
G
Mrs.B, a North
Presenting
G
마담 B
유튜브 신데렐라
백석 2관
13:00
메가박스
12:00
209 12:30~13:42
11:00
201 10:30~11:50
MB2
10:00
9월 24일 Sat 토 22:00
78min, p49
83min, p26/53
Workers’ Union
G
One Warm Spring Day
The Part-Time
G
238 12:30~13:53
그날
가현이들
91min, p65
237 10:00~11:18
G
a Million Times
김포아트홀
91min, p56
GA
12
Future Baby
파주출판도시
3관
백만 번 산 고양이 The Cat that Lived
217 13:30~15:01
208 11:00~12:31
퓨쳐 베이비
LT
12
G
70min, p50
G
75min, p45
The Song of Rice
쌀의 노래
TK
G
65min, p48
TK
다큐초이스 with 요조
33min, p65
94min, p53 Q&A
G
People are the Sky
사람이 하늘이다
G
The Artist
아티스트
236 18:30~20:04
12
79min, p49
Sword
The Orchid and the
난잎으로 칼을 얻다
229 16:00~16:33
Docs Choice Shorts
20:00 235 19:30~20:49
228 19:00~20:05
19:00
다큐초이스 단편
Q&A
95min, p54
Korean Schools in Japan-
Symphony -The Story of the G
18:00 227 17:30~18:45
하늘색심포니 The Sky-Blue
Windy Coffee Road
바람커피로드
17:00
223 16:00~17:35
16:00
239 15:00~16:10
152min, p43
Bitter Money
상하이 청춘
메가박스
49min, p57
15:00 222 14:30~17:02
MP3
G
Shorts 1
2관
65min, p56
Twilight of A Life
Docs Family
파주출판도시 G
214 13:00~14:05
남아있는 나날
207 11:00~11:49
다큐패밀리 단편 1
72min, p54
메가박스
G
14:00
MP2
45min, p59
Shorts 3
1관
G
Docs Family
Yellow Wind
황색바람
다큐패밀리 단편 3
파주출판도시
13:00
메가박스
12:00
213 12:30~13:42
11:00
206 11:00~11:45
10:00
MP1
21:00
22:00
92min, p38
세계가 충돌할 때
Karayuki-San,
백석 3관
12
The Silence
백석 7관
Presenting
백석 8관
Gwangmyung+Suwon
Goyang+Gyoha
Q&A
117min, p72-79
Production Workshop
Production Workshop
G
DMZ Docs Youth Documentary
DMZ Docs Youth Documentary
Table M관
K
121min, p72-79
Q&A
G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광명/수원
305 10:15-12:12
313 13:30-15:31
70min, p34
Q&A
G
Invisible City
110min, p67
Q&A
G
Q&A
91min, p37
Q&A
G
All Live, Olive
G
131min, p72-79 Q&A
K
71min, p34 Q&A
G
the Last Communist
My Father,
DMZ Docs Youth Documentary Seongnam+Bucheon
88min, p29
마지막 공산주의자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성남/부천 Production Workshop
15
Too Much
The Man Who Saw
너무 많이 본 남자
327 18:00~19:11
320 17:00~18:31
올 리브 올리브
328 16:30-18:41
87min, p50
19:00
326 18:30~19:58
Dynamics Pepper and Rifle
Peasant Revolutionary
Sound of Nomad: 12
N, K
동학농민혁명 고추와 라이플 총
고려아리랑: 천산의 디바 Koryo Arirang
18:00
325 17:00~18:50
17:00
319 16:00~17:27
45min, p59
Traces of an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고양/교하
INT
86min, p68
G
Shorts 3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3
보이지 않는 도시, 홍콩
메가박스 백석
80min, p56
G
16:00 318 15:30~16:15
321 15:00~16:10
MBT
G
Princess Shaw
유튜브 신데렐라
Okinawa no Harumoni
312 12:30~13:56
오키나와의 할머니
304 10:30~11:50
메가박스
K
158min, p38
Q&A
G
The Journey To OKJU
옥주기행
311 13:00~15:38
MB8
Q&A
100min, p68
침묵
메가박스
G
303 10:30~12:10
MB7
N, K
75min, p67
Q&A
Prostitute
103min, p30
12
the Making of a
INT
15:00
When Two Worlds Collide
310 13:30~15:13
302 11:00~12:15
가라유키상
Q&A
G
메가박스
84min, p33
MB3
12
Hooligan Sparrow
Still and All
그럼에도 불구하고
훌리건 스패로우
백석 2관
14:00
메가박스
13:00 309 13:00~14:32
12:00
301 11:00~12:24
11:00
MB2
10:00
9월 25일 Sun 일 21:00
65min, p48
G
82min, p29
Those Who Jump
점프
332 20:30~21:52
Q&A
G
The Artist
아티스트
331 20:30~21:35
95min, p44
69min, p50 Q&A
G
The Slice Room
사람이 산다
335 20:00~21:09
Q&A
G
The Road
로드
334 20:30~22:05
79min, p49 Q&A
G
The Orchid and the Sword
난잎으로 칼을 얻다
333 20:00~21:19
20:00
22:00
60min, p64
Showcase Shorts
65min, p51
1관
Q&A
Every Face Has
a Name
2관
Youth
Competition 1
파주출판도시
3관
83min, p26/53
Spring Day G
Spring Day
One Warm
아트홀
83min, p26/53
One Warm
그날
G
339 14:00~15:23
그날
338 11:00~12:23
연천수레울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DMZ Documentary Project &
the DMZ Docs Fund:
143min, p62
The Public Presentation of
12
the Second Fortress
Narita: Peasants of
7관
YS
336 19:30~21:21
15
146min, p63
111min, p49
without Journalist
Seven Years-Journalism
Narita: Heta Village 12
20:00
7년-그들이 없는 언론
337 18:30~20:56
DMZ 프로젝트&신진작가 제작지원
48min, p60
36min, p35
Q&A
G
tion Shorts
Asian Competi-
아시아경쟁 단편
330 17:30~18:06
임근준a.k.a이정우 TK
산리즈카 - 헤타 마을
파주출판도시
G
97min, p64
다큐초이스 with
G
Gerhard Richter-Painting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회화
19:00
산리즈카 - 제2요새의 사람들
85min, p45
18:00
329 17:00~18:37
17:00
324 15:30~17:53
G
Ukrainian Sheriffs
우리는 보안관
323 15:30~16:55
76min, p64
제작지원 공개발표
49min, p41
Shorts 4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4
317 14:00~14:48
15
Black White+Gray
블랙 화이트 + 그레이
메가박스
G
Competition 2
Youth
청소년경쟁 2
316 12:30~13:19
70min, p48
16:00
322 15:00~16:16
15:00
MP7
49min, p40
청소년경쟁 1
G
308 11:00~11:49
MP3
메가박스
76min, p43
G
이름이 있다
파주출판도시
12
그녀들의 점심시간 Ladies’ Lunchtime
315 13:00~14:10
307 11:00~12:16
모든 얼굴엔
메가박스
Q&A
G
MP2
G
Mountain College
Korean Docs Fully Awake: Black
블랙 마운틴 컬리지
한국다큐쇼케이스 단편
14:00
파주출판도시
13:00
메가박스
12:00 314 13:00~14:00
11:00
306 11:00~12:05
10:00
MP1
K
21:00
22:00
위안부이야기 A Secret
Docs Family
백석 3관
침묵을 찾아서
소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메가박스
백석 8관
In Jackson Heights
Table M관 12
152min, p43
Bitter Money
상하이 청춘
잭슨 하이츠에서
190min, p44
413 14:30~17:02
405 10:30~13:40
G
113min, p28
Q&A
G
A German Life
어느 독일인의 삶
메가박스 백석
87min, p28
and Memories
18:00
오키나와의 할머니
G
86min, p68
Harumoni
Okinawa no
TK
G
G
115min, p38
The Nuclear Mafia
핵마피아
108min, p62
100min, p68
130min, p38 Q&A
G
The Remnants
공동정범
428 19:30~21:40
N, K
75min, p45 Q&A
G
The Song of Rice
쌀의 노래
426 19:00~20:15
TK
다큐초이스 with 후지이 다케시
12
Summer in Narita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의 여름
The Silence TK
20:00 424 19:30~21:25
425 19:00~20:48
19:00
427 18:30~20:10
침묵
422 17:30~18:56
In Between the Documentation
Japanese Imperial Army:
Forum: Comfort Women of
418 15:30~17:23
MBT
G
Q&A
Enlightened
81min, p28
G
The Land of the
In Pursuit of Silence
410 13:00~14:21
404 10:30~11:57
MB8
Q&A
215min, p67
Living with the “Memories”
백석 7관
G
포럼-일본군 위안부: 기록과 기억 (사이)
16:00~18:00
140min, p63
기억과 함께 살다
G
Narita Stories
403 11:00~14:55 *Intermission 20min
76min, p68
The Wages of Resistance:
메가박스
49min, p57
G
Song of the Reed
417 16:00~18:20
산리즈카에 살다: 나리타 이야기
158min, p38
갈대의 노래
G
The Journey To OKJU
옥주기행
MB7
G
Shorts 1
402 11:30~12:19
다큐패밀리 단편 1
82min, p68
메가박스
G
MB3
p91-93
17:00
416 16:00~18:38
16:00
409 13:00~14:16
DE
The Story of Taiwanese
Comfort Women
G
Buried for 50 Years:
Group Viewings 5
단체관람 5
50년간의 비밀: 대만
15:00
백석 2관
14:00
메가박스
13:00 412 14:00~15:30
12:00
401 11:00~12:22
11:00
MB2
10:00
9월 26일 Mon 월 21:00
22:00
Feature-Length Documentary Project
7관
The Public Presentation of the DMZ Docs Fund:
파주출판도시
96min, p33
63min, p33
제작지원 공개발표: 장편다큐
G
the Tamaki Family..
After Spring,
G
12
81min, p37
the Silence
After Breaking
깨어난 침묵
18:00
18
100min, p49
G
70min, p46
G
G
100min, p48
The Backward Lands
K
65min, p56
Twilight of A Life
남아있는 나날
430 18:30~20:10
촌구석
20:00
431 19:30~20:35
No Money, No Future
노후 대책 없다
Global Vision Shorts
글로벌비전 단편
19:00 429 18:30~20:10
423 17:30~18:40
N
421 16:30~17:51
The Last Insurrection
마지막 반란
메가박스
143min, p44
100min, p50
420 15:30~16:33
G
the Water
Memories from Across
MP7
15
Human
파주출판도시
3관
415 14:00~15:36
다마키 가족의 봄
휴먼
110min, p37
408 11:00~13:23
G
MP3
65min, p34
49min, p58
메가박스
G
Red Clothes
파주출판도시
2관
안녕 히어로
G
Shorts 2
Good Bye My Hero
411 13:00~14:50
407 11:00~12:05
붉은 옷
메가박스
78min, p56/57
MP2
G
Collection
1관
Yongwanggoong:
용왕궁의 기억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2
17:00
Docs Family
16:00
다큐패밀리 묶음
15:00
파주출판도시
14:00
메가박스
13:00 419 16:00~17:40
12:00 414 14:00~14:49
11:00
406 11:30~12:48
10:00
MP1
21:00
22:00
단체관람 2
클로드 란즈만: 쇼아의
유령 Claude Lanzmann:
백석 7관 DE
40min, p43
Karayuki-San, the
백석 8관
17:00
19:00
110min, p67
74min, p33
80min, p28
Q&A
other Possibilities
83min, p31 G
Competition Shorts 2
Forum: The Distribution of Documentary, Theatrical Releasing and
International
Forum: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Project
Table M관
다른 배급의 가능성
527 18:00~19:23
국제경쟁 단편 2
포럼-다큐멘터리 배급, 극장 개봉과
Q&A
12
뎁스 투 Depth Two
526 18:00~19:20
Q&A
15:00~17:30
95min, p44
A Syrian Love Story 76min, p29
111min, p49
Q&A
15
without Journalist
Seven Years-Journalism
7년-그들이 없는 언론
시리아 러브스토리 G
20:00
524 19:00~20:51
88min, p29
525 18:00~19:16
15
포럼-아시아 청년 다큐멘터리 공동제작 프로젝트
G
The Road
로드
519 15:30~17:05
12
Cities of Sleep
델리에서 잠드는 법
518 16:00~17:14
91min, p37
Q&A
G
All Live, Olive
올 리브, 올리브
517 15:30~17:01
Q&A
G
Too Much
Dynamics Pepper and Rifle
너무 많이 본 남자
523 18:30~19:58
The Man Who Saw
18:00
Peasant Revolutionary
동학농민혁명 고추와 라이플 총
N, K
505 10:30~14:30
Q&A
16:00 516 15:30~17:20
메가박스 백석
75min, p67
110min, p37
p91-93
15:00
MBT
12
G
Good Bye My Hero
안녕 히어로
가라유키상
메가박스
Making of a Prostitute
512 12:30~14:20
504 10:30~11:45
MB8
12
G
Spectres of the Shoah
Group Viewings 2
511 13:30~15:00
503 12:00~12:40
메가박스
DE
p91-93
MB7
DE
G
Group Viewings 1
Group Viewings 1
백석 3관
p91-93
단체관람 1
G
510 13:30~15:00
502 11:00~12:30
p91-93
단체관람 1
DE
G
메가박스
p91-93
MB3
DE
G
Group Viewings 4
Group Viewings 2
단체관람 2
단체관람 4
백석 2관
14:00
메가박스
13:00 509 13:30~15:00
12:00
501 11:00~12:30
11:00
MB2
10:00
9월 27일 Tue 화 21:00
K
102min, p43
70min, p50
94min, p53
71min, p34 Q&A
G
the Last Communist
My Father,
마지막 공산주의자
534 20:30~21:41
Q&A
G
People are the Sky
사람이 하늘이다
533 20:30~22:04
G
Windy Coffee Road
바람커피로드
532 20:30~21:40
G
The Cameraperson
카메라를 든 사람
531 20:30~22:12
22:00
95min, p53 G
98min, p37
Itaewon
The Propaganda Game
파주출판도시
G
이태원
3관
515 13:30~15:08
프로파간다 게임
49min, p58
508 11:00~12:35
G
Shorts 2
MP3
130min, p38
메가박스
G
The Remnants
파주출판도시
2관
다큐패밀리 단편 2 Docs Family
514 14:00~14:49
507 11:00~13:10
p91-93
공동정범
DE
G
메가박스
115min, p38
MP2
G
1관
Group Viewings 1
단체관람 1
The Nuclear Mafia
15:00
핵마피아
14:00
파주출판도시
13:00
메가박스
12:00 513 14:10~15:40
11:00
506 11:00~12:55
10:00
MP1
G
78min, p49
Q&A
G
G
92min, p38
Still and All
그럼에도 불구하고
18:00
12
91min, p56
Future Baby
퓨쳐 베이비
12
83min, p26/53
G
81min, p28
In Pursuit of Silence
G
Day
One Warm Spring
그날
530 19:30~20:53
87min, p50
Koryo Arirang
Sound of Nomad:
고려아리랑: 천산의 디바
침묵을 찾아서
TK
20:00
528 19:00~20:27
19:00
535 18:30~19:51
529 17:30~19:01
Time Workers’ Union
가현이들 The Part-
522 16:00~17:32
72min, p53
Korean Woman
Mrs.B, a North
마담 B
17:00 520 16:30~17:48
521 15:30~16:42
16:00
21:00
22:00
82min, p44
89min, p30
610 12:30~14:15
앙뚜
Becoming Who I Was 105min, p48
605 10:30~11:40
글로벌비전 단편
Global Vision Shorts
70min, p46
Table M관
G
49min, p57
Shorts 1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1
614 15:00~15:49
Medium 615 16:30~17:35
G
65min, p56
Twilight of A Life
남아있는 나날
102min, p43
G
85min, p45
Ukrainian Sheriffs
우리는 보안관
620 18:30~19:55
72min, p54 G
G
The Cameraperson
카메라를 든 사람
618 19:00~20:42
108min, p62
Yellow Wind Q&A
81min, p37
LT
12
Summer in Narita
산리즈카의 여름
619 18:00~19:12
in Korea: Genre, History and
12
617 18:30~20:18
일본해방전선,
황색바람
Today’s Documentary Film
98min, p37
Q&A
G
Itaewon
이태원
포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
Q&A
G
Competition Shorts 1
International
국제경쟁 단편 1
613 16:30~17:59
91min, p56
20:00
616 19:00~20:38
19:00
15:00~17:00
12
Future Baby
퓨쳐 베이비
늘: 장르, 역사, 매체
메가박스 백석
G
15
LOVETRUE
러브트루
18:00
the Silence
MBT
G
17:00 611 16:30~17:52
612 16:00~17:31
16:00
After Breaking
Those Who Jump
백석 8관
82min, p29
깨어난 침묵
G
609 13:00~14:21
604 11:00~12:22
점프
103min, p30
MB8
12
메가박스
84min, p33
Hooligan Sparrow
백석 7관
12
세계가 충돌할 때 When Two Worlds Collide
608 13:30~15:13
603 11:00~12:24
훌리건 스패로우
메가박스
DE
p91-93
MB7
DE
G
Group Viewings 3
Group Viewings 2
백석 3관
p91-93
단체관람 3
G
607 14:00~15:30
단체관람 2
p91-93
메가박스
40min, p43
DE
G
602 10:15~11:45
12
Shoah
Spectres of the
Claude Lanzmann:
MB3
DE
p91-93
Group Viewings 2
Group Viewings 4
G
단체관람 2
클로드 란즈만:
쇼아의 유령
단체관람 4
15:00
백석 2관
14:00
메가박스
13:00 606 14:00~15:30
12:00
622 12:30~13:10
11:00
601 10:15~11:45
MB2
10:00
9월 28일 Wed 수
G
48min, p60
Shorts 4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4
621 20:30~21:18
21:00
22:00
Closing Ceremony +
M관
Closing Film
716 19:00
33min, p65
20:00
폐막식+폐막작 상영
12
Docs Choice Shorts
다큐초이스 단편
19:00
메가박스 백석
91min, p65
146min, p63
715 15:30~16:03
12
18:00
MBM
G
a Million Times
The Cat that Lived
Gerhard Richter-Painting
Table M관
97min, p64
백만 번 산 고양이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회화
G
710 13:30~15:01
705 11:00~12:37
메가박스 백석
49min, p58
MBT
G
Shorts 2
Narita Stories
140min, p63
Docs Family
The Wages of Resistance:
백석 8관
Narita: Heta Village
714 15:30~17:56
산리즈카 - 헤타 마을
112min, p67
709 14:00~14:49
15
22(Twenty Two)
다큐패밀리 단편 2
G
17:00
713 16:00~17:52
22
산리즈카에 살다: 나리타 이야기
143min, p44
704 11:00~13:20
143min, p62
15
Human
휴먼
MB8
12
the Second Fortress
Narita: Peasants of
산리즈카 - 제2요새의 사람들
76min, p43
50년간의 비밀: 대만 위안부이야기 A Secret Buried for 50 Years: The Story of Taiwanese Comfort Women G 82min, p68
12
708 13:00~15:23
703 11:00~12:22
137min, p45
712 15:00~17:23
12
Global Vision Collection
16:00
메가박스
백석 7관
메가박스
MB7
Every Face Has
Collection a Name
이름이 있다
Docs Family
백석 3관
78min, p56/57
모든 얼굴엔
G
707 13:00~14:16
다큐패밀리 묶음
45min, p59
702 11:00~12:18
G
Shorts 3
메가박스
95min, p53
MB3
G
글로벌비전 묶음
The Propaganda Game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3
프로파간다 게임
백석 2관
15:00
메가박스
14:00 711 15:00~17:17
13:00 706 13:30~14:15
12:00
701 11:00~12:35
11:00
MB2
10:00
9월 29일 Thu 목 21:00
22:00
티켓 운영 안내
22
Ticket Information 1. 티켓 종류 및 상영관 안내 종류
종류
가격
상영관
개막식·개막작 초청 게스트 한해서 입장 가능 캠프그리브스
가격
상영관
일반상영
5,000원
메가박스 백석·파주출판도시
폐막식·폐막작 폐막식 당일 선착순 무료
무료상영
선착순 무료
김포아트홀·연천수레울아트홀
메가박스 백석 M관
2. 입장권 구입 및 예매 안내 상영관
메가박스 백석
온라인 예매
현장 예매
기간
방법
결제
기간
방법
결제
9월 12일(월) -
메가박스 홈페이지
신용/체크카드
9월 23일(금) -
메가박스 백석
신용/체크카드,
9월 29일(목)
(www.megabox.
휴대폰 결제
9월 29일(목)
티켓부스
현금, 티켓교환권,
앱에서 예매 가능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 온라인 예매: 상영 30분 전까지 가능, 현장 예매 : 상영 5분 전까지 가능
메가박스
9월 27일(화)
파주출판도시
(09:30 - 21:00)
티켓부스
종이티켓 발권없이 입장 가능 ※ 현장 예매는 해당 상영 영화관에서만 예매 가능
※ 키오스크(무인발권기) 발권 및 예매 가능
김포아트홀
9월 23일(금) -
※ 모바일 메가박스 어플 사용 시, 전용 모바일 티켓으로
※ 온라인 예매 후 발권 시, 반드시 예매번호 혹은 예매내역서 지참
상영관
DMZ Docs Family
(09:30 - 21:00)
co.kr) 및 모바일
전화 예매
현장 예매
기간
방법
결제
기간
방법
결제
9월 1일(목) -
김포시청
9월 23일(금) -
선착순 무료 배포
무료
9월 21일(수)
031-980-2481
· 무료 상영
9월 24일(토)
(상영 20분 전)
· 티켓 현장 수령
(09:00 - 18:00) 연천수레울
연청군청
아트홀
031-839-2062
(상영 20분 전까지) 9월 25일(일)
(09:00 - 18:00)
3. 할인 안내 대상
가격
내용
고양·파주시민
2,500원
고양·파주시민 50%할인. 신분증 지참 시 영화제 기간 중, 하나멤버십 신규 가입자에 한함
하나멤버십 신규회원
2,500원
청소년
2,500원
48개월 이상 - 청소년(19세 이하) 50% 할인. 청소년증 및 학생증 지참 시
장애인/국가유공자
2,500원
복지카드/국가유공자증, 국가유공자 유족증 소지자
군인
1,000원
동반 1인 할인적용. 휴가증 지참 시
경로할인(만 65세 이상)
무료
신분증 지참 시
티켓교환권
무료
일반 상영작만 관람가능 * 영화제 상영일에만 현장에서 티켓 교환 가능(인터넷 예매불가) * 티켓뒷면 유효(교환)기간 확인 (2016년 9월 23일(금) - 29일(목))
DMZ Docs Family
10,000원
1일 최대 상영작 5편 관람가능 / 후원회원에 한해 판매(1인 1매) * 영화제 상영일에만 티켓 교환 가능 (2016년 9월 23일(금) - 29일(목)) * 인터넷 예매불가
※ 해당 신분 증명 가능한 증명서 및 신분증 지참 시에만 할인이 가능합니다. ※ 현장티켓부스 예매 시에만 할인이 적용됩니다. (인터넷 예매 시 할인 적용 안됨)
※ 만 48개월 미만 아동과 보호자 동반 시(전체관람가에 한함), 한 좌석에 동반착석 시에만 별도의 관람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 중복할인 불가 ※ 하나멤버십 기존회원은 모바일앱을 통해 포인트로 50% 할인된 티켓교환권 구매가 가능합니다.
티켓 운영 안내
23
Ticket Information
1. Ticket & Venue Ticket Type
Price
Theater
Ticket Type
Price
Theater
Opening Ceremony
Invitation only
Camp Greaves
General Screening
5,000 won
Megabox Baekseok·Pajubookcity
Closing Ceremony
Free, First-comefirst-served
Megabox Baekseok M
Free Screening
Free, First-comefirst-served
Gimpo Arts Hall· Yeoncheon Sureul Art Hall
2. Purchase & Reservation Venue
On-line Reservation Period
Megabox Baekseok
On-site Box Office Reservation
September 12 (MON) - www.megabox.co.kr September 29 (THU) or Megabox mobile App.
Payment
Reservation
Payment
Credit/debit card, September 23(FRI) – mobile payment September 29(THU) (09:30 - 21:00)
Period
On-site box office at Megabox Baekseok
September 23(FRI) – September 27(TUE) (09:30 - 21:00)
On-site box office at Megabox Pajubookcity
Credit/debit card, cash, Exchange Ticket, DMZ Docs Family
Megabox Pajubookcity
※ On-line Reservation is available until 30 minutes before the screening
※ Tickets can be purchased and reserved from ticket vending machines (Kiosk)
starts. On-site ticket purchase is available until 5 minutes before the
※ For on-line reservation, through checking the mobile ticket,
screening starts.
‘admittance’ without ticket issued is available
※ Tickets booked on-line can be picked up at the Box office with your
※ On-site ticket purchase is only possible in a cinema that screened.
reservation number. (SMS or Mobile Reservation page)
Venue
Gimpo Arts Hall
Phone Reservation
On-site Box Office
Period
Reservation
September 1 (THU) September 21 (WED)
Gimpo City Hall Tel. 031-980-2481 (09:00 - 18:00)
Yeoncheon Sureul Art Hall
Yeoncheon Country Office Tel. 031-839-2062 (09:00 - 18:00)
Payment
Period
September 23 (FRI) · Free September 24 (SAT) · Tickets can be picked up at the Box office until September 25 (SUN) 20 minutes before the screeing start
Reservation
· Free · Tickets are available on a first come, first served basis from 20 minutes the screening starts.
Payment Free
3. Discount Target
Price
Description
Goyang·Paju citizens
2,500 won
Discount for Goyang·Paju citizens with a valid ID
Youth
2,500 won
Between the ages of 48 month and 19 years old
Disabled people & Men of national merit
2,500 won
Persons with valid ID
Military
1,000 won
Accompanied 1 person at a discount rate
Senior
Free
Over 65 years old with a valid ID
Exchange Ticket
Free
DMZ Docs Family
10,000 won
· Ticket to be exchanged only for the General Screening · Checking the Expiry date is advis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ticket.(September 23(FRI) - 29(THU)) * No reservation to online · 5 Screenings for one day (at on-site box office) / Only for DMZ Docs supporters. * Ticket to be exchanged only for the General Screening * No reservation to online
※ Discount will be given only when valid ID card or other official document is presented. ※ Discount will be given only at on-site box office.(No application to online reservation) ※ Children under age 4 will only be allowed to share a designated seat with parent or guardian inside the event without purchase. ※ Discounts can not be duplicated
입장권 구입 안내
24
Ticket Information
4. ID카드 안내
4. ID card Information
예매 기간
9월 23일(금) – 9월 29일(목) (현장 예매만 가능)
Period
예매 장소
메가박스 백석·파주출판도시 티켓부스
September 23 (FRI) - September 29 (THU) (Only on-site ticket purchase is available)
Venue
Megabox Baekseok·Pajubookcity box office
예매 방법
티켓부스에서 ID 카드 제시 후 예매
Reservation Available at the Box office. Must show Vaild ID.
유의사항
· 1일 최대 일반상영작 5편 관람가능
Remarks
· 동일 시간대 상영작중 1매만 예매 가능 · 메가박스 백석/파주출판도시 현장 예매는 해당 상영 영화관에서만 예매 가능
· Up to 5 tickets of the General Screening can be purchased per a day · Only 1 tickets can be purchased for each screening · Ticket purchase is only possible in a cinema that screened.
5. 단체예매
5. Group Reservation
기간
Period
예매방법
9월 1일(목) – 9월 28일(수) 10인 이상 단체예매가능 상영 1일 전 6시까지 사무국 전화 접수분에 한함
September 1 (THU) - September 28 (WED)
Reservation Available for minimum of 10 persons. Reservation is only allowed until 6pm the day before screening date.
결제수단
무통장입금, 신용카드, 휴대폰 결제 (DMZ홈페이지에서 결제)
Payment
취소방법
상영 1일 전 오후 6시까지 가능
Cancellation Only allowed until 6pm the day before screening date.
유의사항
· 개·폐막작을 제외한 일반 상영작 단체예매 가능(매진작 제외)
Remarks
· 성인 1인 2,500원/청소년 1인 1,000원/대학생 1인 2,000원 · 단체 예매 진행 시 필히 사무국 전화 문의바랍니다. (Tel.032-623-8062)
6. 취소/환불 온라인 예매
상영시작 20분 전까지 취소가능
· General screenings are available except Opening, Closing and sold-out films. · 2,500 won for adult/1,000 won for up to 19 years of age/2,000won for university·college student with a valid ID · If you want a group reservation, please contact the office. (Tel.032-623-8062)
6. Cancellation & Refund On-line Reservation
현장 예매 Penalty
취소수수료 수수료 없음 취소방법
Direct Deposit, Credit Card on www.dmzdocs.com
상영시작 전까지 취소가능
On-site Box Office
No penalty is charged for cancellation
Cancellation Until 20 minutes before the screening start Limit
Before the screening starts
※ 상영시작 시간 이후는 취소/환불이 불가합니다.
※ Cancellation is not available after the screening start
※ 한 결제당 부분취소 불가. (현금결제는 제외) 3매 중 2매를 취소하고자
※ Partial cancellation or refund is not available. To cancel 1 ticket among
할 경우, 3매를 모두 반납/취소하시고 1매를 다시 예매하셔야 합니다. ※ 티켓교환권으로 발권한 티켓은 환불 불가(변경만 가능) ※ 영화제 사정에 의해 환불을 공지한 경우, 해당 티켓 소지자에 한해 영화제 기간 동안 티켓부스에서 환불 가능합니다. (해당 티켓 반드시 지참) ※ DMZ영화제의 관람가격 및 좌석현황, 취소/환불에 대한 정책은 메가박스 정책과 상이할 수 있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 booked tickets for 1 screening, you should cancel all 3 tickets and book another 1 ticket. (Except cash payment) ※ Issued by Exchange Ticket cannot be cancelled. Exchange only. ※ If the screening is cancelled or rescheduled by the DMZ Docs, 100% refund will be made to ticket (holders at on-site box office.) ※ Some information of DMZ Docs ticket is different from that of Megabox movie ticket. Please check the information on www.dmzdocs.com
7. 유의사항
7. Attentions
· 모든 관객은 티켓을 소지해야만 상영관 입장 및 영화 관람이 가능합니다.
· All audiences must have a ticket to enter the theater and see the screening. (You cannot enter the theater with only ID card or Exchange Ticket.) · Tickets can be used only for designated screening and date. · Admission is allowed 10 minutes after the screening begins. The availability of seats is not guaranteed after the screening begins. · Admission may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screening rating. · Photography or video recordings are not allowed in the theater. · Tickets cannot be reissued. Please be careful not to misplace or damage your tickets.
(티켓교환권, ID카드 소지자도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후 상영관 입장이 가능합니다)
· 예매하신 티켓은 지정된 일시 및 해당 상영관에 한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 상영관은 정시입장을 원칙으로 하며, 입장완화 정책으로 상영 시작 후 10분까지 입장이 허용됩니다. (단, 상영 후 입장 시 지정좌석 보장 불가) · 상영관 입장은 관람등급에 따라 제한됩니다. · 상영 중 사진 및 영상촬영은 불가합니다. · 티켓의 분실 및 훼손 시 재발권이 불가하오니 보관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개·폐막작 Opening & Closing Film
개막작 Opening Film
26
그날
Korea | 2016 | 83min | DCP | Color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One Warm Spring Day
G
WP
001 9/22 19:00 CG
218 9/24 15:00 MB2 Q&A 238 9/24 12:30 GA 338 9/25 11:00 YS 339 9/25 14:00 YS
530 9/27 19:30 MP2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이었던 외할아버지의 오른쪽 발 광대는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정수은 Jeong Su-eun
시커멓게 죽어 있었다. 앙상하게 메마른 발에 유독 도드라져 보이는 그 죽은 피부는 전쟁에서 도망치고자 했던 외할아버지의 울음이었다. 한국군이었던 친할아버지와 인민군이었던 외할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나는 여전히 단단하게 분단된 한반도의
Biography
남쪽에서 살고 있다. 어느 따뜻한 봄 날, 나는 나의 한 쪽 뿌리인 외할아버지의
외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고
죽음을 목격했다. 어린 시절 목격한 외할아버지의 죽음은 어른이 된 나에게 계속해서
싶어서 다큐멘터리 공부를 시작했다. 대학에서 다큐멘터리를 전공했고, 역사와 공간을 다룬 단편
고통스러운 질문을 던진다. 외할아버지는 그 날, 왜 그런 선택을 하게 된 것일까? 나는
다큐멘터리 작업을 해왔다. 이번 작업은 감독의 첫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외할아버지의 삶과 시간들을 쫓기 시작한다. 나는 할아버지가
장편 작업으로, 개인의 기억과 목소리가 역사와
밟았던 땅과 보았을 시선을 따라 걸으며 할아버지의 죽음과 비극의 역사를 아프게
어떻게 만나 발현되고 창작되는지에 대한 첫
이해하기 위한 여정을 떠난다.
실험작 이기도 하다. Director Jeong Su-eun started to study the
Born to a paternal grandfather having been a South Korean soldier and
documentary in order to make a documentary
a maternal grandfather a North Korean soldier in the Korean War, I live in
devoted to her maternal grandfather. She majored in documentary filmmaking at a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still strictly divided. One warm
university, and has made short documentaries
spring day, I witnessed the death of my maternal grandfather. His death
dealing with the theme of history and space.
continues to pose a painful question to me even now as an adult. 'Why did
One Warm Spring Day is her first feature-length film and an experimental work to see how a person's memory and voice could encounter history and could be manifested or represented in the documentary.
my grandfather make such choice that day?' I start to chase his days of life
폐막작 Closing Film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I take a journey along the ground that he had walked on, to understand the grandfather's death and the history of tragedy with a heavy heart.
국제경쟁 대상 수상작 White Goose Award Film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27
올해 국제경쟁 부문에서는 9편의 장편과 6편의 단편을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this
선보인다. 전쟁으로 신음하는 아프가니스탄, 혁명의
year, presents nine feature-length and six short
물결이 이는 시리아,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장벽을 넘으려는 난민들로 가득 찬 스페인, 개발에 저항해 원주민의 삶을 지키려는 페루 등 자유와 평화를 향한 세계 곳곳의 도전을
documentaries, in which we could see the challenges of preserving freedom and peace all over the world: Afghanistan suffering from war, Syria in which the revolutionary wave rises, Spain flooded with
만날 수 있다. 침묵 속에 묻혀진, 기억 속에서 잊혀진
refugees across barriers for a better life, Peru that
역사를 불러오려는 시도들 또한 DMZ국제다큐영화제가
is trying to protect the lives of the natives against
주목하는 작품들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독일과
development and so on. The DMZ International
2000년대 초반 유고슬라비아에서 일어난 학살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는 작품들은 전쟁과 폭력, 파시즘에 대한
Documentary Film Festival also maintains its focus on the films that attempt to evoke the history buried in silence and forgotten in the memories. The films,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진다. 흥미로운 인물과 주제, 형식을
that bring back their memories of massacre in
시도하는 장편 다큐와 함께 올해부터는 심도 깊은 이슈와
Germany of the Second World War and in Yugoslavia
작품성을 두루 갖춘 단편 다큐를 국제경쟁에 소개한다.
of the early 2000s, pose thoughtful questions
짧지만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편 다큐멘터리의 맛과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about war, violence, and Fascism. From this year,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presents the short documentaries with controversial issues and the quality of work as well as the feature-length documentaries with interesting characters, themes and new forms. It could be a place to enjoy the proper style and charm of the short documentary with brief but powerful messages.
국제경쟁 12
2001년 유고슬라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의 교외에서 대규모 매장지가 발견된다. 이 영화는 이 끔찍하고 무서운 발견 이면에 숨겨진 이야기를 파헤쳐 1999년 나토의 세르비아 폭탄 투하 사건으로 우리를 데려간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술 증언들을 통해 17년 전 일어났던 대규모 학살의 현장이 서서히 그 정체를 드러낸다. 침묵 속에 묻혀진 이야기를 폭로하는 심리 스릴러 다큐멘터리. 오그옌 글라보니츠 Ognjen Glavonić
In 2001 a mass grave was discovered in a suburb of Beograd. Depth Two investigates the hidden story behind this horrid discovery and takes us back to 1999 and the NATO bombings in Serbia.
Serbia, Franceㅣ2016 | 80min |
Using the verbal testimonies of perpetrators and victims, it unfolds like a hypnotic thriller that visits
DCPㅣColor
the places where the crimes happened 17 years ago and follows the trail of this untold massacre, in
Berlinale 2016
an attempt to uncover and give a voice to the stories that are still intentionally buried in silence.
어느 독일인의 삶 A German Life
AP
113 9/23 12:00 MBT 418 9/26 15:30 MB8 Q&A
나치의 선전장관이었던 조셉 괴벨스의 개인 비서 및 속기사로 일했던 브룬힐데 폼셀은 이제 105세이다. 언제나 본인 스스로가 정치에 전혀 관심이 없는 인물이라고 말하지만, 그녀의 인생은 20세기의 주요 역사적 격변기와 그 이후 독일인의 삶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전쟁과 파시즘의 위협을 오래전에 극복했다고 믿고 있지만, 그녀의 이야기는 이것이 사람들의 착각일 수도 크리스티앙 크로네 Christian Krönes, 올라프 뮐러 Olaf Müller, 롤랜드 쇼르투퍼 Roland Schrotthofer, 플로리안 와이겐즈미어 Florian Weigensamer
G
28
뎁스 투 Depth Two
IP
122 9/23 16:00 MB3 526 9/27 18:00 MB8 Q&A
G
International Competition
있음을 보여 준다. Although Brunhilde Pomsel, aged 105, always described herself as just being a side-line figure and not at all interested in politics, she used to work as secretary, stenographer and typist for the Nazi Propaganda Minister Joseph Goebbels. Brunhilde Pomsel’s life mirrors the major historical ruptures of the 20th century and German life thereafter. Nowadays, many people presume that
Austria | 2016 | 113min | DCP | B&W
the dangers of war and fascism have long been overcome. Brunhilde Pomsel makes it clear that
Visions Du Réel 2016
they are deluded.
침묵을 찾아서 In Pursuit of Silence
KP
410 9/26 13:00 MB8 Q&A 535 9/27 18:30 MP3 TK
기술 혁신과 도시의 급격한 성장 속에 침묵은 점점 빠르게 전설이 되어가고 있다. 존 케이지의 ‘4분 33초’에 대한 송가로 시작하는 이 영화는 시각과 청각으로 세심하게 침묵을 직조해낸다. 이 영화는 침묵과 소리, 그리고 우리 삶 속의 소음의 영향과 우리의 관계에 대한 사색적 탐험이다. 평화라는 메시지와 침묵의 의미가 영상과 사운드로 구현된 인상적인 작품. 패트릭 쉔 Patrick Shen USA | 2015 | 81min | DCP | Color CPH:DOX 2015 Sheffield Doc|Fest 2016
Amidst all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rapid growth of our cities, silence is now quickly passing into legend. Beginning with an ode to John Cage’s seminal silent composition 4’33”, the sights and sounds of this film delicately interweave with silence to create a contemplative and cinematic experience that works its way through frantic minds and into the quiet spaces of hearts. In Pursuit of Silence is a meditative exploration of our relationship with silence, sound, and the impact of noise on our lives.
G
소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The Land of the Enlightened
KP
138 9/23 20:00 MP3 404 9/26 10:30 MB8
미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하고, 폐허가 된 땅에 남겨진 소년들은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살아간다. 갱 조직을 만들어 무역 통로를 관리하고, 전쟁에서 쓰다남은 포탄과 총알을 다른 소년들에게 팔기도 한다. 허구와 다큐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식을 통해, 우리는 전쟁으로 신음하는 아프가니스탄으로 영화적 여행을 떠난다. 7년 넘게 촬영된 이미지들을 통해 감독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피터-얀 드 푸에 Pieter-Jan De Pue Afghanistan | 2016 | 87min | DCP | Color Sundance Film Festival
아프가니스탄의 다음 세대에게 남겨진 것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진다. A gang of Afghan kids from the Kuchi tribe dig out old Soviet mines and sell the explosives to children working in a lapis lazuli mine. When not dreaming of the time when American troops finally withdraw from their land, another gang of children keeps tight control on the caravans
Cinematography Award 2016
smuggling the blue gemstones through the arid mountains of Pamir. In this seamless blend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ictional and documentary form, we experience a stunning cinematic journey into the beauty of
Rotterdam 2016
war-tormented Afghanistan.
국제경쟁 15
29
너무 많이 본 남자 The Man Who Saw Too Much
AP
326 9/25 18:30 MB3 523 9/27 18:30 MB2 15
International Competition
사고 사진을 찍는 것에 사로잡힌 한 남자. 그는 이 사진들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운명이 그의 삶과 맞닿는 지점을 발견한다. 사고의 이미지가 욕망의 대상이 될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그의 동시대인에 대한 사고 사진 작업을 통해 범죄 장면들, 사고들의 구체적 묘사에 담겨진 멕시코 시티를 발견하고 죽음, 광기, 엿보기의 매혹에 직면한다. 폭력적인 이미지로 가득한 현대사회와 인간성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던지는 영화. 트리샤 지프 Trisha Ziff
A film about fragility; a man obsessed with photographing the accident who discovered that the
Mexicoㅣ2015 | 88minㅣDCP |
fate of others was his way of connecting to life. What happens when the image of the accident
Color/B&W
becomes the object of desire? Through the work of Metinides and his contemporaries we discover
Hot Docs 2016
Mexico City through a narrative of crime scenes and accidents; and confront our own fascination
AFI Fest 2016
with death, morbidity, rubbernecking through the Metinides’ gaze.
사랑의 덫 The Promise
AP
131 9/23 19:30 MB3 Q&A 225 9/24 17:00 MB3
잔인하게 살해되어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된 엘리자베스의 부모. 버지니아 교외는 도주 중인 연쇄 살인마를 떠올리고 혼란에 빠진다. 의심의 화살은 아시아와 유럽을 횡단하며 열정적 사랑의 편지의 흔적을 남기다 부도 수표 발행으로 영국에서 체포된 옌스와 엘리자베스에게 돌아가고, 엘리자베스에 대한 사랑으로 옌스는 범행을 자백하는데…. 21세기 최고의 로맨틱 스릴러. 카린 슈타인버거 Karin Steinberger, 마커스 베터 Marcus Vetter
There were an unlikely couple Jens and Elizabeth. The discovery of the bodies of Elizabeth's brutally murdered parents panicked their affluent, rural Virginia community into thoughts of a
Germany, USAㅣ2016 | 131min |
serial killer on the loose. Suspicion turned to Jens and Elizabeth when they fled the country, criss-
DCPㅣColor
crossing Asia and Europe, leaving a trail of passionate love letters, eventually landing in the UK
Filmfest München 2016
where they were arrested for writing bad checks. Jens says his love for Elizabeth drove him to confess the murders.
G
시리아 러브스토리 A Syrian Love Story
AP KP
219 9/24 15:00 MB3 525 9/27 18:00 MB7 Q&A
동지이자 연인인 아메르와 라그다는 15년 전 시리아의 감옥에서 만났고, 둘 사이에는 네 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 감독은 남편 아메르는 출감하고, 아내 라그다가 감옥으로 재수감되었던 2009년부터 그들의 정치적 자유를 향한 5년여의 여정을 아주 가까이 담아냈다. 혁명과 조국, 서로에 대한 희망과 꿈, 그리고 절망과 함께 하는 두 사람의 러브스토리이자 시리아 사태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한 가족의 오디세이아. 숀 매칼리스터 Sean McAllister
Comrades and lovers Amer and Raghda met in a Syrian prison cell 15 years ago. When McAllister
UK, France, Lebanon, Syria |
first meets their family in 2009, Raghda is back in prison leaving Amer to look after their 4 boys
2015 | 76minㅣDCPㅣColor
alone; but as the ‘Arab Spring’ sweeps the region, the family’s fate shifts irrevocably. Filmed over
One World FF Special Jury Award 2016
5 years, the film charts their incredible odyssey to political freedom. For Raghda and Amer, it is a
Sheffield Doc|Fest
journey of hope, dreams and despair: for the revolution, their homeland and each other.
Grand Jury Award 2016
점프 Those Who Jump
G 332 9/25 20:30 MB3 604 9/28 11:00 MB8
아프리카에 있는 스페인령 멜리야에는 난민의 유입을 막기 위한 철제장벽이 설치되어있다. 말리와 카메룬, 리비아 출신 난민들은 모로코와 스페인 국경 경비대의 감시망을 뚫고 국경을 넘기 위해 6미터 높이의 철책에 오른다. 유럽에서의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일 년이 넘도록 이 장벽을 넘을 기회를 노리는 말리 출신의 아부도 그 중 한 사람이다. 누군가는 철책을 넘지 못한 채 고향으로 되돌아가지만, 이 상황을 아부 바카 시디베 Abou Bakar Sidibé, 모리츠 시버트 Moritz Siebert, 에스테판 와그너 Estephan Wagner Denmarkㅣ2016 | 82min |
카메라에 담으면서, 아부의 결심은 더욱 확고해진다. In northern Morocco lies the Spanish enclave of Melilla: Europe on African Land. On the mountain above live over a thousand hopeful African migrants, watching the land border, a fence system separating Morocco and Spain. Abou from Mali is one of them. For over a year, he has ceaselessly
DCPㅣColor
persisted in attempting to jump the fence. At the fence, they have to overcome the razor-wire,
Berlinale 2016
automatic pepper spray and brutal authorities. Some give up and return home, others never return from the fence.
국제경쟁 12
International Competition
30
세계가 충돌할 때 When Two Worlds Collide
KP
310 9/25 13:30 MB3 Q&A 608 9/28 13:30 MB7
2009년 페루 원주민들은 도로, 수로, 석유 생산시설 등을 점거하고 반정부 시위를 벌인다. 이들의 요구는 외국 기업들이 석유 시추, 채광, 벌목, 대규모 농경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개발법을 철폐하는 것. 하지만 대통령이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경찰과 원주민 사망자가 발생한다. 여기에 정부가 원주민 지도자에게 선동 반란 혐의를 적용해 구속 영장을 발부하면서, 정부와 시위대 두 세계의 충돌은 걷잡을 수 하이디 브란덴부르크 Heidi Brandenburg, 매튜 오르즐 Mathew Orzel Peru, UKㅣ2016 | 103min | DCPㅣColor Sundance Film Festival Special Jury Award 2016 Hot Docs 2016
없는 유혈 사태로 치닫는다. Tense and wholly immersive, this film take you directly into the line of fire between two, powerful Peruvian leaders over the future of the country. When president Alan Garcia attempts to extracts oil and minerals from untouched Amazonian land with the hopes of elevating his country’s economic prosperity, he is met with fierce, violent opposition led by indigenous leader Alberto Pizango. This film capture all angles of a conflict that quickly escalates from a heated war of words to one of deadly violence.
Sheffield Doc|Fest 2016
국제경쟁 단편 1 International Competition Shorts 1
89min
G
210 9/24 13:00 MB3 613 9/28 16:30 MB7 Q&A
더 높이 날아올라 I'll Fly Higher 두 명의 어린 형제가 목적지 없이 거대하고 황량한 세상을 떠돈다. 주변부의 삶으로 밀려난 형제는 현실로부터 도피하려고 노력한다. 영화는 가난하고 척박한 삶 속에서 몸부림치는 어린 형제의 여정을 통해 교육과 사회의 구조에 문제를 제기한다.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속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부정할 수 없는 세상과 관계를 맺을 것인가?
이사벨 람베르티 Isabel Lamberti
Two young brothers wander around in a big empty world without a clear destination. As society
Netherlands | 2015 | 23min |
rages on around them at only a few yards distance, it couldn’t seem farther away. Together they try
DCPㅣColor
to escape reality, but how do you relate to an undeniable world that you don’t seem to be part of?
IDFA 2015 AP KP
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에 대한 A Tale of Love, Madness and Death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아들과 시한부 선고를 받은 아내, 두 사람을 돌봐야 하는 나의 할아버지. 그 둘을 돌볼 능력이 없는 할아버지는 아내와 아들 중 한 명 만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스페인 음악의 선율과 인물들의 무기력한 표정이 대비를 이루며 한 가족의 사랑과 죽음, 광기어린 상황이 펼쳐진다. My uncle is schizophrenic and my grandmother suffers from a terminal illness. My grandfather, who 미쟐 부스토스 구티에레스
is unable to take care of both, must decide between his wife or his son.
Mijael Bustos Gutiérrez Chile | 2015 | 23min | DCPㅣColor IDFA 2015 TIFF 2015
그레이스 오브 갓 Grace of God 영화는 자신이 길렀던 동물 혹은 가축과 깊은 우정, 교감을 나누었던 열 세명의 경험으로 우리를 데려간다. 주인을 구하기 위해 본능과 기지를 사용하는 동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을 위해 이들을 죽여야 하는 인간의 이야기는 인간과 가축의 복잡미묘한 관계를 울림있게 담아낸다. 동물인 동시에 사랑받는 가족과 친구들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크리스티앙 로줌피에르 Kristjan Loðmfjörð
Thirteen individuals share their stories of personal experiences with a particular animal, relaying everything from profound friendships to a range of unusual interactions. There are stories of farm
Iceland, Poland | 2015 | 43min |
animals as well as beloved family, friends reflecting on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DCPㅣColor
and domesticated animals. Animals of exceptional intelligence, who in some cases have used
CPH:DOX 2015
their instincts and wit to save the storytellers live. Even touching on the symbolism associated with
AP
animals that appear to humans as visions from the afterlife.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국제경쟁 단편 2 International Competition Shorts 2
31 83min
G
203 9/24 11:00 MB7 527 9/27 18:00 MBT Q&A
브루클린 다리 위의 하얀깃발 Symbolic Threats 항복의 행위인가, 예술인가? 지난 여름 뉴욕을 뒤흔든 사건에 대한 반응들이다. 뉴욕의 아이콘인 브루클린 다리 양 쪽에 갑자기 등장한 ‘흰색 깃발’을 둘러싼 열띤 논쟁에 영감을 받아, 이 영화는 오늘날 예술이 기능하는 사회적 범위를 묻는다.
미샤 라인코프 Mischa Leinkauf,
An act of surrender or perhaps art? These were the theories that New York puzzled over last summer. Inspired by the heated debate over the two ‘White American Flags’ that suddenly
루츠 헨케 Lutz Henke,
appeared on the towers of New York City’s iconic Brooklyn Bridge, the film asks what kind of
마티즈 베암커 Matthias Wermke
societal scope art has in the present day. How can one incident be interpreted in so many ways?
Germany | 2015 | 17min | DCPㅣColor
By means of press reports, Symbolic Threats allows the public at large to express their extreme
Berlinale 2015
disparity of interpretation.
KP
그 땐 Then Then Then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 영화는 1968-72년 사이 미국에서 격렬하게 일었던 시민불복종 운동을 아카이브 푸티지를 통해 재조명한다. 1968년 미국의 베트남전 참전에 반대하는 대규모 반전운동과 경찰의 유혈 진압, 1969년 ‘미 정부·원주민 조약’에 따른 소유권을 주장하며, 원주민 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던 인디언 알카트라즈 운동 등 새로운 형태의 정치적 행동을 모색했던 그 당시로 돌아가는 영화는 다니엘 쉴러 Daniel Schioler Canada | 2015 | 30min | DCP | Color/B&W AP KP
행동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더 많이 들려야 할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작품이다. When protest fails, what’s left? A hypnotic and unsettling blend of archival footage and music, Then Then Then offers a stark glimpse into the moral struggles of a generation coming to terms with its own inability to affect social change. This meditation on civil disobedience is a timely reminder of the lengths some have gone to in order to have their voices heard.
머리 감겨주는 여자 Women In Sink 감독은 아랍 이웃들을 이해하기 위해 고향인 하이파에서 미용실을 차린다. 그녀는 손님들의 머리를 감겨주면서 아랍인, 유대인과 함께 정치에서부터 사랑에 이르는 주제들에 대해 진솔한 대화를 이어간다. 이 대화는 동시대 이스라엘 사람들의 솔직하고 미묘한 초상이다. In this charming film, the director sets up shop in an Arab hair salon in her hometown of Haifa, to 아이리스 자키 Iris Zaki
try to understand her Arab neighbors. As she washes their hair, she converses candidly with the
Israel | 2015 | 36min | DCPㅣColor
salon’s clients—Arabs and Jews—on topics ranging from politics to love. What emerges from these
Visions Du Réel 2015
conversations is an honest and nuanced portrayal of contemporary Israel.
Zagreb Dox Special Jury Mention 2015 AP KP
아시아경쟁 Asian Competition
DMZ국제다큐영화제에 아시아경쟁이 신설된 지 두 번째
The Asian Competition, initiated last year, will
해인 올해는 좀 더 다양한 국가의 아시아 다큐멘터리를
present its second version with the documentaries
만나볼 수 있다. 평소에 접하기 힘든 아시아 다큐들을 통해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지도를 그리는 것과 함께 동시대 아시아인들이 직면한 문제를 마주할 수
from much more diverse countries in Asia. These Asian documentary films difficult to see usually will enable to figure out the various issues in Asia and to encounter the problems of the contemporary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아시아의 중요한 정치적 의제들과
Asians. It particularly gives a chance to understand
빈곤, 도시화, 재개발 등 급속한 근대화에 놓여진 동시대
the important political issues and the actualities of
아시아의 모습과, 노란우산, 해바라기운동 등 최근의
East Asia in rapid modernization such as poverty,
민주화 투쟁으로 고무된 대만과 홍콩 젊은 세대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제작지원을 통해 완성된 캄보디아,
urbanization and redevelopment, and to perceive the changes of the young in Hong Kong and in Taiwan, encouraged while fighting for democracy
베트남, 홍콩의 다큐멘터리 3편은 아시아로 지원 대상을
in the Umbrella Movement and the Sunflower
확대해온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프로그램의
Student Movement. Three documentary films from
결실이다. 아시아경쟁에 소개되는 7편의 장편과 2편의
Cambodia, Hong Kong and Vietnam completed with
단편 다큐를 통해 ‘아시아 다큐멘터리’ 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support of the DMZ Docs Fund are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support program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at has expanded the range of the fund’s beneficiaries to the Asia. We hope to learn what 'Asian Documentary' is from the seven feature-length and two short documentaries presented in the Asian Competition.
아시아경쟁 G
Asian Competition
33
다마키 가족의 봄 After Spring, the Tamaki Family …
IP
125 9/23 17:00 MBT Q&A 415 9/26 14:00 MP3
다마요 할머니와 다마키 가족은 오키나와 아에야마 제도에 살고 있는 이주민 가족 중 가장 큰 가족이다. 2015년 어느 따뜻한 봄날, 그들은 2차 세계대전 전에 떠나온 고향, 타이완으로 향하고, 그곳에서 정체성과 기억의 혼란을 마주한다. 한 가족이 동아시아의 거대한 변화 속에서 8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어떻게 함께 살아 남았는가를 보여주는 따뜻한 가족영화. 황 잉유 Huang Yin-yu
On a warm spring day in 2015, Grandma Tamayo and the Tamaki family, the largest immigrant
Japan, Taiwan | 2016 | 96min |
family on Yaeyama Islands of Okinawa, go a journey back home where they’d long left before
DCPㅣColor
World War II: Taiwan, on which they little by little steer out of the disorientation of their memory
Taipei Film Festival 2016
and complex identity. This is a heartwarming home movie spanning 80 years about how a family together wades through and eventually revives in the tide of the vicissitudes in East Asian history.
12
델리에서 잠드는 법 Cities of Sleep
IP KP
120 9/23 14:30 MBT Q&A 518 9/27 16:00 MB7
인도 델리에 밤이 찾아오면 노숙자들은 잘 곳을 찾아 헤맨다. 이 곳에는 잠자리를 관장하는 마피아들이 존재하는데, 안전한 잠자리는 삶과 죽음의 문제이기도 하다. 계속 안전한 잠자리를 찾아 다니는 샤킬과 낮 시간 동안 잠을 잘 수 있는 간이 영화관을 운영하는 란짓의 이야기를 통해 영화는 노숙자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이슈뿐 아니라 잠자리에 대한 철학적인 접근도 보여준다. 쇼네크 센 Shaunak Sen India | 2015 | 74min | DCP | Color/B&W TIDF Merit Award 2016
Cities of Sleep takes us into a sleeper’s communities as well as the infamous ‘sleep mafia’ in Delhi where just securing a safe sleeping spot often becomes a question of life and death. The film trails the lives of two individuals. Shakeel tries to find a safe sleeping space and Ranjeet runs the ‘sleepcinema’ community. The film looks at not only the tremendous social and political pressure that sleep exerts on the homeless in the city but is also a philosophical exploration of sleep at large.
훌리건 스패로우 Hooligan Sparrow
12
301 9/25 11:00 MB2 603 9/28 11:00 MB7
중국 남부의 하이난에서 6명의 초등학생이 교장에 의해 강간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를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려고 하는 당국에 맞서, 일명 ‘참새’라고 불리는 하이옌은 항의시위를 조직한다. 국가의 공적이 된 그녀는 정부로부터의 감시, 구금, 심문, 퇴거 등 어려움에 처하지만, 투쟁을 멈추지 않고, 이 모습은 인터넷을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간다. 왕 난푸 Wang Nanfu China, USA | 2016 | 84min | DCP | Color
Six elementary school girls were sexually abused by their principal in Hainan Province of southern China, but the states shrugged off the case. Haiyan, alias Hooligan Sparrow, organized a demonstration to protest the case and was marked as enemies of the state. She never stopped
Sundance Film Festival 2016
struggling under constant government surveillance, imprisonment, face interrogation and
Hot Docs 2016
harassment, and her story spread quickly through the Internet.
Sheffield Doc | Fest Special Mention 2016
G
마지막 반란 The Last Insurrection
IP
216 9/24 13:30 MBT Q&A 420 9/26 15:30 MP2
1987년 계엄령이 해제되면서 타이완에서는 개혁과 민주화에 대한 희망이 자라난다. 하지만 1991년 5월 정보당국이 4명의 젊은이를 체포하면서 사회에 백색테러 공포가 퍼져나간다. 영화는 심도 깊은 인터뷰와 리서치를 통해 1991년 발생한 타이완 독립협회 사건을 재조명한다. 계엄령 해제 이후 어떠한 정치적 박해도 없었다고 믿어온 해바라기 혁명 세대가 만든 이 영화는 잊혀진 역사를 현재로 불러오려는 시도이다. 리야오 지엔화 Liao Jian-hua
Martial law in Taiwan was lifted in 1987. Since then, hopes for all kinds of reforms and
Taiwan | 2015 | 63min | DCP |
democratization were raised. However, in May 1991, the Bureau of Investigation arrested four young
Color/B&W
people. This generated fear for the 'White Terror' in socie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IDF 2016
research, the film re-examines the Taiwan Independence Association Incident in 1991.
Taipei Film Festival 2016
아시아경쟁 G
Asian Competition
34
마지막 공산주의자 My Father, the Last Communist
WP
327 9/25 18:00 MB8 Q&A 534 9/27 20:30 MBT Q&A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아버지는 현재 일어나는 일은 곧잘 잊어버리지만 먼 과거의 일들은 또렷하게 기억한다. 그는 현재를 살고 있지만, 그의 기억은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지난 날 그는 순수한 공산주의 이념을 지키기 위해 온 삶을 바쳐 투쟁했지만 지금 베트남의 현실은 그가 70년전 혁명에 참여했을 때와 매우 다르다. 이는 프랑스와 미국과 싸우는데 그들의 인생을 바친 아버지 세대의 비극이다. 도안 홍 레 Doan Hong Le
The director's father is now in the beginning of Alzheimer. He forgets what's happening in the
Vietnam | 2016 | 71min | DCPㅣColor
present, but remembers the memories in far past. The present life is going on, but he stops with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memories of his time. In the last days of his life, he's struggling to keep his pure communist ideology, although the reality in Vietnam today is very different.
G
붉은 옷 Red Clothes
WP
221 9/24 16:30 MBT Q&A 407 9/26 11:00 MP2
캄보디아 섬유산업의 중심지인 프놈펜 교외, 젊은 노동자 티 소파니트는 아내와 5살 난 아들과 함께 살고 있다. 농촌 지역인 캄퐁츠낭에서 농사를 짓던 그는 유명 브랜드 의류를 제조하는 공장에 취직하지만 그가 버는 수입은 겨우 굶어 죽지 않을 만큼의 낮은 임금이다. 더 나은 노동조건과 임금을 요구하는 시위에 참여한 소파니트는 경찰의 총알에 맞아 부상을 당하고, 캄보디아 의류 노동자들의 투쟁은 점차 격렬해진다. 찬 리다 Chan Lida
In a suburb of Phnom Penh, where Cambodia’s textile industry is flourishing, Ty Sophanith lives
Cambodia | 2016 | 65min |
with his wife and his five years old son. The young workers, former peasant from the countryside
DCPㅣColor
of Kampong Chhnang, were hired by the factory, supplier to the well-known brands in the West,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but the couple lives in starvation wage. Sophanith was wounded by the police bullets during a demonstration for their better working conditions, The Cambodian workers’ demonstration is getting violent.
G
보이지 않는 도시, 홍콩 Traces of an Invisible City
WP
116 9/23 13:00 MP3 321 9/25 15:00 MB8 Q&A
영화는 홍콩의 도시 풍경을 통해 글로벌하고 자본주의적인 도시의 역사적 변화를 압축해서 보여준다. 글로벌 공간, 현지 홍콩인들의 공간, 홍콩-중국간의 국경선 공간의 세 가지 장으로 구성된 영화는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있는 풍경들을 통해 도시에 존재하는 긴장감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공공장소가 어떻게 구성, 사용, 해석되는지를 통해 도시에 존재하는 갈등과 위기감을 그려낸다. 왕 보 Wang Bo, 판 루 Pan Lu Hong Kong, USA, Korea | 2016 | 70min | DCPㅣColor/B&W 2014 DMZ Docs 제작지원작
The film presents urban space in Hong Kong as a vivid showcase of the hidden logics of globalization, capitalism and historical changes of today’s world cities. The film contains three chapters that is parallel to but interwoven with each other: global, local and border space. The film examines a series of urban landscapes in Hong Kong to illustrate the tension among their visual existence, function and ownership, and how the city’s public space has been constructed, used, owned and interpreted.
아시아경쟁
Asian Competition
아시아경쟁 단편 Asian Competition Shorts
35 36min
G
205 9/24 11:00 MBT Q&A 330 9/25 17:30 MP2 Q&A
마이 레그 My Leg 미얀마의 카야주에서는 60년 동안 다양한 인종의 무장 세력들이 버마군대로부터 자유와 독립을 위해 싸워왔다. 한 퇴역 군인 모임에서 의족을 만드는 워크숍을 열어 인종에 관계 없이 같은 운명에 처한 퇴역군인들에게 일년에 백여 개의 의족을 만들어주고 있다.
콘 서 모에 아웅
In Kayah State, Myanmar, for over 60 years, different ethnic armed groups have been fighting the Burmese Army in a war for freedom and independence. A group of war veterans have opened
Khon Soe Moe Aung
an artificial leg workshop constructing a hundred legs per year for fellow veterans with the same
Germany, Myanmar | 2015 |
stroke of fate - leaving ethnic differences behind.
11min | DCPㅣColor TIDF 2016 KP
선장 솔레이만 Skipper Soleiman 이란 북서부 지방에 있는 우르미아 호는 중동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염호이다. 하지만 지금은 수량이 5%로 줄어들어, 거대한 소금 밭이 되었다. 우르미아 호를 오가던 배들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소금밭에 정착해있다. 노아의 방주라 불리던 배를 운항하던 솔레이만은 배를 몰 수 없게 된 지금,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지만 때때로 부는 소금 폭풍에 그마저도 쉽지 않고, 매일매일 더 이상 사닷 알리 사이드 푸어 Sa'adat ali Saeed Pour Iran | 2015 | 25min | DCPㅣColor WP
움직이지 않는 배 주위를 서성인다. Lake Urmia in northwestern Iran is the largest lake in the Middle East and the third-largest saltwater lake on Earth. But it now contains five percent of the amount of water and has turned into a vast salt land. The boats, that had come and gone on Lake Urmia, could not any more move and lays stranded on the salt land. Soleiman, who had steered the boat once called the Noah's Ark, is not able to work on a boat, and therefore he lives practicing agriculture now. But it is not easy to do because of the salt breeze blowing sometimes. He hangs around the stationary boat every day.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역대 최다 편수 출품을 기록하며 한국 다큐멘터리의
The Korean Competition, indicating the upward trend
상승세를 보여준 올해 한국경쟁 부문에는 내용과 형식
of the Korean Documentary with the largest number
면에서 다양한 한국 다큐멘터리가 포진되어 있다. 특히 올해에는 오랜 시간 작업 기간을 거쳐 첫 선을 보이는 중견 감독의 신작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다. 자신의 투쟁을
of films submitted ever, presents the documentary films divers in content and form from Korea this year. It includes the new films made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the veteran directors particularly. And it also
기록하기 위해 직접 카메라를 든 노동자, 이스라엘 점령
shows the films listening to the voice of the marginal
하에서 살아가는 팔레스타인 민중의 삶, 가족의 시선으로
who are not mainstream or become expelled out
바라본 쌍용자동차 투쟁과 용산 참사 철거민, 재개발의
of the mainstream: a worker who records his own
여파 때문에 주변부로 밀려나는 사람들, 핵마피아와의 싸움을 선언한 평범한 시민, 공적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struggle with the camera, the lives of the people of Palestine under the Israeli occupation, the Ssangyong Motor struggle and the residents evicted
소리꾼 등 주류에 편입되지 못한, 혹은 밀려나는 주변부의
of the Yongsan disaster from their families' point of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우리
view, people pushed out into fringe areas due to
사회에서 주목 받지 못하는, 외면당하거나 잊혀진 목소리에
redevelopment, an ordinary citizen who declares war
주목하는 한국 다큐멘터리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한국 사회의 현실을 대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on nuclear mafia, a ‘sorikkun’ (traditional singer) not recorded in public history and so on. The Korean Competition makes us face a reality of the society with the Korean documentary that maintains its focus on the ignored or forgotten voice in Korea.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37
깨어난 침묵 After Breaking the Silence
12
119 9/23 15:00 MB8 Q&A 421 9/26 16:30 MP3 609 9/28 13:00 MB8
2014년 4월 29일 생탁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이 법에 정해진 노동3권 보장과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환경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노동자들은 자신의 투쟁을 기록하기 위해 카메라를 들고 거리에서 쉼 없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외치지만, 법과 자본, 사람들의 무관심과 가족의 외면은 그들의 외침을 집어삼켜 버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은 다시 거리로 나선다. 박배일 Park Bae-il
On 29th April 2014. Workers who worked in ‘SaengTak’ got to the struggle to require adjust of
Koreaㅣ2016 | 81min | DCPㅣB/W
working environment for safely food, and guaranteed a Three Right of labors. Then, Worker's tried to record there's own struggle and launch forth to street, However, Law, Capital, unconcern of crowd and avoid of facile are swallow up them.
G
올 리브 올리브 All Live, Olive
WP
127 9/23 16:00 MP2 320 9/25 17:00 MB7 Q&A 517 9/27 15:30 MB3 Q&A
위즈단은 둘째 아이 출산 후 다시 직장에 복귀한다. 남편 니달은 일거리가 줄어들어 쉬는 날이 많다. 양가 부모님은 올리브 농사를 지으며 살아간다. 위즈단의 아버지는 여전히 고향집 열쇠를 간직하며 돌아갈 날을 기다리고 있다. <올 리브 올리브>는 이스라엘 점령 상황 속에 살아가는 팔레스타인의 다양한 일상을 담고 있다. 영화에는 가족의 죽음, 친구의 죽음을 지켜보면서도 일상을 살아내야 하는 이들의 고단한 김태일 Kim Tae-il, 주로미 Ju Ro-mi Koreaㅣ2016 | 91min | DCPㅣColor
일상과 작은 평화를 위한 저항이 공존한다. Wizdan lives in the rural village of Sebastia. Both of their parents are olive farmers. With the expansion of Israeli settlements, Wizdan's and Nidal's parents are losing their farmland, but the problem is not their loneliness. But many Palestinians have been lived in refugee camps for almost 70 years, and the fourth generation of refugees are growing up in refugee camps today. They struggle to guard their land despite repeated humiliation, and the film focuses on the resistance of such ordinary Palestinians including Wizdan's family.
G
안녕 히어로 Good Bye My Hero
WP
234 9/24 19:00 MBT Q&A 411 9/26 13:00 MP2 512 9/27 12:30 MB8 Q&A
14살 현우가 오랜만에 집에 온 아빠와 생활기록부를 쓰고 있다. 가장 난감한 부분은 아빠의 직업란이다. 현우의 아빠는 쌍용 자동차에서 해고된 후 복직투쟁을 하고 있다. 사람들 앞에 나서서 쌍용차 정리해고 문제에 대해 말해야 하는 아빠를 바라보는 현우의 심정은 복잡하다. 아빠가 복직이 되면 좋겠지만 아무리 애를 써도 상황은 좀처럼 달라지지 않는다. 왜 아빠는 결과도 없이 그렇게 힘든 일을 하는 걸까? 왜 이렇게 한영희 Han Young-hee Koreaㅣ2016 | 110min | DCPㅣColor
아빠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 걸까? Hyun-woo is a school boy who wants to be as invisible as possible. He is filling in information in the school life report card with his father, who came home in a long while. His father is fighting against Ssang Yong Motors for years to be reinstated. However, it doesn’t seem like his father’s state has gotten any better. Why would his father keep going without any promising prospects? We wonder what answers Hyun-woo will get while he glimpses the real world watching his father.
G
이태원 Itaewon
WP
226 9/24 17:00 MB7 Q&A 515 9/27 13:30 MP3 616 9/28 19:00 MB2 Q&A
미군 달러가 지배하던 시절부터 지금까지 이태원에서 살아온 세 여성의 이야기. Stories of three women who have been living in Itaewon, Seoul since the era that the town was run by U.S dollars of the U.S. Army. 강유가람 Kangyu Ga-ram Koreaㅣ2016 | 98min | DCPㅣColor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핵마피아 The Nuclear Mafia
G 133 9/23 19:30 MB8 Q&A 424 9/26 19:30 MB2 TK 506 9/27 11:00 MP1
G
38
‘핵마피아’를 만나기 위한 시민 탐정들의 용감한 여정이 시작된다. Citizen detectives dare to begin a journey to meet the ‘Nuclear Mafia’.
김환태 Kim Hwan-tae Koreaㅣ2016 | 115min | DCPㅣColor
옥주기행 The Journey to OKJU
WP
136 9/23 18:30 MP2 311 9/25 13:00 MB7 Q&A 416 9/26 16:00 MB2
나는 아주 오래 전부터 소리에 관심이 있었던 듯하다. 멜로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장면은 아름다운 주인공들의 사랑이 아닌, 강원도 정선 어딘가의 산골에서 노부부가 부르던 정선아리랑을 남자 주인공이 녹취하던 장면이었다. 나는 그때 이 영화를 보면서 연애가 아닌, 왜 이 소리에 전율하는지를 내게 물었다. 그때 나는 겨우 30대였다. 그리고 우연이 필연이 되는 것처럼, 김응수 Kim Eung-su Koreaㅣ2016 | 158m | DCPㅣColor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이상한 마을을 알게 되었다. In One Fine Spring Day , a Korean melodrama, it wasn't the handsome main characters' love that remained most vividly in my memory, but the scene in which the main male character was recording Jeongsun Arirang, sung by an old couple in a mountainous village. At that time whilst seeing the movie, I asked myself why this sound, not the romance, makes me shudder. I was in my 30s. And, as coincidences become inevitability, I came to know the strange village.
G
공동정범 The Remnants
WP
211 9/24 13:30 MB7 Q&A 428 9/26 19:30 MBT Q&A 507 9/27 11:00 MP2
2015년 10월, 경찰관을 죽였다는 이유로 억울하게 수감되었던 철거민들이 6년 전 용산참사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다. 부당한 재개발 정책에 맞서 함께 망루에 올랐고, 농성 25시간 만에 자행된 경찰특공대의 폭력 진압에 저항했던 그들. 그 과정에서 발생한 원인 모를 화재로 동료들은 죽고, 남은 그들은 범죄자가 되었다. 반가움도 잠시, 오랜만에 만난 ‘동지들’은 서로를 탓하며 잔인한 말들을 김일란 Kim Il-rhan, 이혁상 Lee Hyuk-sang Koreaㅣ2016 | 130min | DCPㅣColor 2014 DMZ Docs 제작지원작
쏟아낸다. 그 동안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In October 2015, the evicted residents who had imprisoned on a false charge of killing a policeman assembled in a place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Yongsan Disaster six years ago. They had occupied a watchtower against unreasonable redevelopment policies and in protest against violent suppression used by riot police in 25 hours of their sit-in demonstration. Their colleagues had died from an unknown fire, and they became criminals. The delight of meeting again lasts only briefly. The ‘comrades’ rip out cruel words while blaming each other.
그럼에도 불구하고 Still and All
G 112 9/23 12:30 MB8 309 9/25 13:00 MB2 Q&A 522 9/27 16:00 MP3
47년 만에 영도다리가 개통되며 재조명을 받고 있는 영도에는 갑자기 쏟아진 관심과 새로운 변화에도 불구하고 묵묵히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한 때 성황을 이루던 점바치 골목에 마지막까지 남은 두 점바치 할매, 어느새 자신만큼 늙어버린 강아지를 돌보며 살아가는 강아지 할매, 아직도 물질을 멈추지 않은 노년의 청각장애 해녀, 곧 문을 닫을 조선소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용접공. 이들의 희망은 김영조 Kim Young-jo Koreaㅣ2015 | 92min | DCPㅣColor
이곳에서 계속 자신들의 삶을 이어 가는 것이다. Still and All is a story about the souls living beneath the Yeongdo Bridge in Busan. Yeongdo and its bridge offer a historical space with lingering trac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Korean War. The people under Yeongdo Bridge, reconstructed in 2013 after 47 years, are driven to move when the vicinity around it is designated a Special Tourist Zone. The film superimposes their stories against the spatial history.
청소년경쟁 Youth Competition
DMZ국제다큐영화제만의 특색 있는 부문인 청소년경쟁은
The Youth Competition, a distinctive section in
올해에도 청소년들의 고민과 재기발랄한 시각이 담긴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6편의 단편 다큐멘터리를 선보인다. 가족과 우정 등 일상적으로 겪는 평범한 이야기에서부터 입시와 진로, 진학 등 청소년들만의 고민이 담긴 다큐는 물론, 청소년의
presents six short documentaries that depict the problems of the youth with their witty views. These documentary films deal with a wide variety of subjects and themes, from their stories of everyday
선거권, 독립, 우정과 사랑의 경계 등 다루고 있는 소재와
life such as family and friendship to career path,
주제의 폭이 상당히 넓어졌다. 특히 올해에는 소재의
the right to vote for the youth and independence
다양성은 물론,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감독이
from parents. They were not only selected on the
주제에 대한 질문을 구체화하는 과정, 자기 언어로 소화하고 관객들에게 전달하려고 하는 태도에 주목해
basis of diversity in contents, but also on the basis of perspectives to specify the question about the theme, ways to express in their own language and
작품을 선정했다. 때로는 일상의 관찰과 기록의 도구로,
manners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e
때로는 탐색과 표현의 도구로 카메라를 활용하며 자신의
Youth Competition section gives a chance to meet
문제를 적극적으로 끌어안는 독특하고 용감한 청소년들의
the unique films full of courage that the youth could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made by using the camera sometimes as a tool to observe and record everyday life, and sometimes as a tool of investigation and expression.
청소년경쟁 청소년경쟁 1 Youth Competition 1
Youth Competition
40 49min
G
212 9/24 12:00 MB8 Q&A 308 9/25 11:00 MP3
19禁 Adults Only 민주주의의 꽃, 선거. 왜 19금인 걸까? The flower of democracy: Right to vote. Why only for adults?
안수현 Ahn Soo-hyeon, 조한나 Cho Han-nah, 진지원 Jin Ji-won Koreaㅣ2016 | 25min | DCPㅣColor WP
엄마의 상자 Mom’s Shabby Box 생애 첫 번째 다큐멘터리를 만들면서 나의 가족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다가 엄마의 오래된 상자를 발견했다. 거기서 엄마와 친구들이 30년 전에 작성한 설문지를 본 나는 설문지 속 주인공들을 찾아가 보기로 했다. 엄마의 친구들을 만나면서 청소년들의 꿈과 꿈을 이루는 과정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There are many small boxes owned by my mother. I found mom’s private questionnaire that was 허윤 Heo Yun
filled by mom’s high—school friends in mid—80th. The old paper brought me to the unknown time
Koreaㅣ2016 | 14min | DCPㅣColor
and places that I’ve never experienced. I decide to see mom’s old friends to find how they reached
WP
their dream on the paper.
9와 0 사이 Between 9 and 0 스무 살에 독립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던 나는 이제 열 아홉 살이다. 독립이 바로 눈 앞에 있지만, 이대로는 스무 살에 독립을 하지 못할 것 같다. 자신의 몫을 다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나는 자신의 몫을 찾기 위해 여러 행동을 한다. 뿌듯함도 느끼고 현실의 벽도 느끼면서, 혼란에 빠진다. 진짜 독립은 무엇일까? I once set the goal. When I became twenty, it would be time to be independent. Many aspect of 김수민 Kim Su-min
independence of my life at 20, which I am approaching closer, looked achievable, but I found that
Koreaㅣ2015 | 10min | DCPㅣColor
has been very difficult task. Being independent meant not only financially from parents' help, but building my own concrete world view. So I choose a path to experience some controversial sites by myself to taste some.
청소년경쟁 청소년경쟁 2 Youth Competition 2
Youth Competition
41 49min
G
215 9/24 14:00 MB8 Q&A 316 9/25 12:30 MP3
영돼와 돼영이 Shallow Kim 우리 집 막내 영재는 일곱 살이다. 첫째인 나와 자그마치 열한 살 차이가 난다.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영재는 도가 지나칠 정도로 커버렸다. 영재의 소아비만이 가장 큰 고민인 나는 영재의 양육법을 두고 부모님과 다투는 일도 허다하다. 하지만 학교 기숙사에 외따로 살고 있는 내 의견은, 식구들 사이에선 ‘아웃 오브 안중’이다. 이대로 두고만 볼 수 없다! 영재는 왜 살이 쪘을까. 그 답을 찾고자 오랜만에 가족들과
김태영 Kim Tae-yeong Koreaㅣ2015 | 24min | DCPㅣColor WP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My little brother Yeongjae, 7 years old, is 11 years younger than me. He is growing child but has grown too much. Recently my biggest worry is nothing but my brother’s obesity. Parents and I had a number of arguments about how we nurture him. However, since I live separately at school dormitory, my opinion has been ignored easily as if I were not a member of the family. Why did he become chubby? For this, I had some meaningful talks with our family.
그건 사랑이었네 We Can Call It Love 우정과 사랑이라는 감정 사이에 뚜렷한 경계가 있을까? 학교에서 친구들끼리 서로 어울려 노는 모습을 가만히 보면 다정하게 이야기를 나누거나, 손을 잡거나 팔짱을 끼고 복도를 다니기도 한다. 속상한 일이 있는 친구를 안아주는 등 스킨십도 꺼리지 않는다. 서로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만큼 때론 친구 이상으로서의 질투심을 느끼기도 하는데…. 민지오 Min Geo
Is there a definite border between friendship and love that people feel? Friends at school talk
Koreaㅣ2015 | 10min | DCPㅣColor
affectionately to each other, walking down the hall in hand or arm-in-arm, and they also never mind giving a sweet hug to each other. As long as they value each other, sometimes they feel jealous of him or her, as more than just friends…
수필 Eassy 아버지께서 돌아가시고 공허감이 나를 채운다. 아버지에 대한 나의 기억이 돌아가신 아버지를 쫓는다. My memory follows the traces of my father. When I get worn out from chasing memories, my father's past fills me. 김영총 Kim Yeong-chong Koreaㅣ2015 | 15min | DCPㅣColor
글로벌비전 Global Vision
다큐멘터리의 거장 프레드릭 와이즈먼과 톰 앤더슨의
The Global Vision presents the major documentaries
신작부터 유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화제를
worthy of the name of this section in which we
모으고 있는 커스틴 존슨의 <카메라를 든 사람>, 제3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한 <봄베이 비치>의 알마 하렐 감독의 신작까지
can see at a single glance the current trend of the documentary, from the new films of the two master directors in the field of documentary, Frederick Wiseman and Thom Anderson, through
‘글로벌비전’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전세계 다큐멘터리의
Cameraperson of Kirsten Johnson who is sweeping
동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화제작들을 모았다. 특히
awards across renowned film festivals drawing a lot
왕빙 감독의 신작 <상하이 청춘>과 장 잔보 감독의 <로드>는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작으로 이미 해외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으며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of attention, to a new title of Alma Har'el of Bombay
Beach which won the Special Jury Award in the 3rd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it will especially screen two films at the first time in
작품들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영된다. 이외에도 올해
Korea, Bitter Money a new title of Wang Bing and
DMZ국제다큐영화제 포스터 사진을 촬영한 얀 아르튀스-
The Road of Zhang Zhanbo supported by the DMZ
베르트랑의 <휴먼>, 아시아경쟁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Docs Fund, which has been was well-received in
우루퐁 락사사드의 <쌀의 노래>도 특별상영된다.
the overseas film festivals and critically acclaimed for its cinematic quality. In addition, Human of Yan Arthus-Bertrand who had taken the photo of DMZ for the poster of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The Songs of Rice of Uruphong Raksasad, commissioned as one of jury member of Asian Competition section this year, will be presented at a special screening.
글로벌비전 12
Global Vision
43
상하이 청춘 Bitter Money
AP
222 9/24 14:30 MP1 413 9/26 14:30 MBT
중국에서 가장 번영한 도시 상하이의 이웃 지역에 위치한 산업 지역 리밍. 매년 많은 사람들이 시골에 있는 그들의 마을을 떠나 이곳으로 온다. 이들은 보통 17-20세로 서쪽으로 1500마일 떨어진 윈난성 출신이다. 일하는 곳이나 도미토리, 좁은 아파트 등 건강에 좋지 않은 곳에 살고 있는 이들은 성인인 척 행세하지만, 불안정한 상황, 경제적 압박, 공간적 단절로 순수함과 젊음을 소진하고 있는 십대에 불과하다. 왕 빙 Wang Bing
Liming is an industrial district located in the neighborhood province of Shanghai, the most
France, Hong Kong | 2016 | 152min |
prosperous city of China. Each year, many young people leave their villages of the countryside
DCPㅣColor
and move here. They are between 17 and 20 years old, all come from the rural province of Yunnan,
2014 DMZ Docs 제작지원작
located 1500 miles west. These young usually live at their workplace, dorms, small apartments,
Venice Int'l Film Festival 2016
unhealthy rooms. They live as adults but are still teenagers burning their innocence and youth with the unstable situations, economic pressure and the geographic dispersal.
G
카메라를 든 사람 The Cameraperson
AP
137 9/23 17:30 MP3 531 9/27 20:30 MB2 618 9/28 19:00 MB7
<화씨 9/11>, <시티즌포> 등 25년간 여성 촬영감독으로 활동해온 커스틴 존슨의 개인적이고 파격적인 회고록으로, 그녀에게 영감이 되었던 빛나는 순간과 현장들을 재구성해 한 편의 아름다운 작품을 만들어냈다. 여성이자 촬영감독으로서의 여행과 작업에서 걸러진 이미지들을 통해 진실과 카메라에 포착된 장면의 틈새, 그 역학관계에 대한 우아하고도 명상적인 질문을 던진다. 커스틴 존슨 Kirsten Johnson
As a visually radical memoir, The Cameraperson draws on the remarkable footage that Kirsten
USA | 2016 | 102min | DCPㅣColor
Johnson has shot and reframes it in ways that illuminate moments and situations that have
Sundance Film Festival 2016
personally affected her. What emerges is an elegant medi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effield Doc|Fest
truth and the camera frame, as Johnson transforms scenes that have been presented on Festival
Grand Jury Award 2016
screens as one kind of truth into another kind of story—one about personal journey, craft, and direct human connection.
12
클로드 란즈만: 쇼아의 유령 Claude Lanzmann: Spectres of the Shoah
AP
129 9/23 18:00 MB3 503 9/27 12:00 MB7 622 9/28 12:30 MB2
1985년 <쇼아>가 세상의 빛을 본지 30주년이 되기 바로 전날, 장장 9시간 30분에 달하는 유대인의 홀로코스트를 담은 이 영화를 만들기 위해 감독인 란즈만이 직면했던 갖가지 시련이 최초로 밝혀진다. 1973년 원기왕성한 저널리스트에서 1985년 염세적 작가로 변모하기까지의 여정은 물론, 프랑스 레지스탕스로서 보낸 10대 시절, 시몬 드 보부아르와의 사랑, 장 폴 사르트르와의 우정이 고스란히 아담 벤진 Adam Benzine Canada, UK, USA | 2015 | 40min | DCPㅣColor/B&W Hot Docs Award 2015
담겨있으며, <쇼아>에 담기지 못한 푸티지들도 볼 수 있다. On the eve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release of Shoah— Claude Lanzmann’s nine-and-a-halfhour examination of the Holocaust of European Jews—it reveals for the first time the trials and tribulations he faced. It features an array of previously unseen outtake footage that was shot during
Sheffield Doc|Fest 2015
the creation of Shoah , to illustrate Lanzmann’s journey from the bright-eyed journalist of 1973 to
Academy Award 2015
the world-weary author of 1985 and his life, including a teenage French resistance, his love affair with Simone de Beauvoir and his friendship with Jean-Paul Sartre.
12
모든 얼굴엔 이름이 있다 Every Face Has a Name
AP
307 9/25 11:00 MP2 707 9/29 13:00 MB3
1945년 4월 28일, 독일로부터 강제수용소 생존자들을 실고 온 배가 스웨덴 말모 항구에 도착한다. 70년 후, 생존자들은 그 당시 자신들의 모습이 담긴 푸티지를 처음으로 마주한다. 그들은 삶이 다시 시작되던 기이한 날에 느꼈던 행복, 혼란 그리고 불안감을 다시 떠올린다. 그것은 모두 하나가 되던 해방의 순간이었다. 오늘날 전세계에서 1945년과 비슷한 장면이 반복된다. 끊없는 분쟁의 흐름 속에서 익명의 매그너스 애튼 Magnus Gertten Sweden | 2015 | 76min | DCPㅣ Color/B&W IDFA 2015
난민들은 지금도 여전히 모국을 떠날 것을 강요 받는다. On April 28, 1945, ferries with survivors from the German concentration camps arrive at the harbor of Malmö, Sweden. Now, 70 years later, the survivors see this footage for the first time and recognize themselves. They relive the happiness, confusion and insecurity of that extraordinary day when life began again. All are united in this moment of liberation. Scenes identical to those in 1945 are repeated all over the world today. Endless stream of war anonymous refugees forced to leave their home countries.
글로벌비전
44
잭슨 하이츠에서 In Jackson Heights
G 135 9/23 18:30 MP1 405 9/26 10:30 MBT
167가지의 언어가 공존하는 미국 뉴욕 퀸즈의 잭슨 하이츠는 전세계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인종적, 문화적인 다양성이 공존하는 커뮤니티이다. 문화적, 인종적, 민족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된 잭슨 하이츠 사람들은 미국 이민자의 새로운 물결을 대표한다. 이 영화는 사람들의 일상을 통해 고유의 전통을 고수하는 것과 미국적 방식과 가치에 적응하는 것, 둘 사이의 충돌을 다룬다. 프레드릭 와이즈먼 Frederick Wiseman
15
Global Vision
Jackson Heights, Queens, New York City, 167 languages are spoken, is one of the most ethnically and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in the World. The people live in Jackson Heights, in their
USA | 2015 | 190min | DCP | Color
cultural, racial and ethnic diversity, are representative of the new wave of immigrants to America.
Venice Int'l Film Festival 2015
The subject of the film is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in this community and the conflict between
TIFF 2015
maintaining ties to traditions of the countries of origin and the need to learn and adapt to
CPH:DOX 2015
American ways and values.
러브트루 LOVETRUE
AP
128 9/23 15:30 MP3 611 9/28 16:30 MB2
진정한 사랑에 대한 판타지가 산산이 부서질 때 우리의 과거와 현재의 경험들이 우리의 결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사랑의 존재 방식에 대한 도발적인 모험. 다큐멘터리와 판타지의 주술적 결합인 이 영화에 등장하는 세 편의 독특한 러브스토리는 커플의 과거와 미래를 연기하는 배우들로 하여금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고찰하게 한다. 알마 하렐 Alma Har'el
The director meets three couples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lives and relationships to discover
USA | 2016 | 82min | DCPㅣColor
the movements, more than the meaning, of true love. Using nonfactors to act out significant
Hot Docs 2016
moments of their pasts and play out possible versions of their futures, LOVETRUE is an ode to
Karlovy Vary Award 2016
the beautiful potential of partnership, and a challenging confrontation of its complexities. It is a journey that offers profound insight into our common quest to find love and how we redefine its meaning as we grow.
휴먼 Human
15
408 9/26 11:00 MP3 712 9/29 15:00 MB3
우리가 사는 세계의 이야기와 이미지의 모음인 이 영화는 우리의 삶을 반추하게 한다. 사랑과 행복, 증오와 폭력으로 가득 찬 이 가슴 아픈 조우를 통해 타인을 마주하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된다.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메인 포스터로 사용된 사진을 촬영한 저명한 사진작가이자 감독인 얀아르튀스-베르트랑의 최신 작품으로, 3년간 60개국에서 촬영되었다.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Yann Arthus-Bertrand France | 2015 | 143min | DCPㅣColor IDFA 2015 EuroDOK Jury Award 2016
G
Human is a collection of stories and images of our world, offering an immersion to the core of what it means to be human. Through these stories full of love and happiness, as well as hatred and violence, Human brings us face to face with the other, making us reflect on our lives. These poignant encounters share a rare sincerity and underline who we are. Human is a politically engaged work which allows us to embrace the human condition and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our existence.
로드 The Road
KP
334 9/25 20:30 MB8 Q&A 519 9/27 15:30 MB8
중국 중부 지역, 후난 성의 한 조용한 마을에 고속도로 건설이 진행된다. 엄청난 비용이 이 공사에 투입되고, 각종 장비와 기계들이 밀려들어오면서 마을과 농부들의 삶은 어쩔 수 없는 변화 앞에 놓인다. 용지 보상, 주택 이전, 사찰 복원을 둘러싼 미묘한 긴장과 충돌이 지속되고, 건설 현장의 노동자와 지역민들의 삶이 부딪힌다. 3년이 넘는 오랜 기간 촬영된 이 영화에는 중국과 중국의 경제를 바라보는 장 잔보 Zhang Zanbo China | 2016 | 95min | DCPㅣColor 2014 DMZ Docs 제작지원작 IDFA 2015 TIDF 2016
희귀한 통찰력이 담겨있다. The director managed in 2010 to get unique and unprecedented acces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586 billion USD financial plan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mplemented as an attempt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on the world’s second largest economy. For more than three years he filmed the making of a section of a highway through a quiet village in Hunan, a province in central China, where Chairman Mao was born. The result is a rare insight to China and its economy.
글로벌비전
Global Vision
45
쌀의 노래 The Song of Rice
G 227 9/24 17:30 MP1 426 9/26 19:00 MB7 Q&A
쌀 문화와 그것이 태국 여러 지역의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각적 기록. 서정적인 구조의 이 영화는 다른 목소리들로 노래하지만 같은 마음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하모니로 이루어진 쌀의 노래들을 들려준다. 북쪽 그리고 농업 유토피아에 대한 이야기들로부터 시작된 우루퐁 락사사드 감독의 쌀 삼부작 중 마지막 영화이다. 우루퐁 락사사드 Uruphong Raksasad
This is a visual record of rice culture and its influences on the people in different parts of Thailand. The lyrical structure of this documentary film reflects the melodies in the songs of rice,
Thailand | 2014 | 75min | DCP | Color
crafted and composed by the diverse harmonies of the people who may sing in different voice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but who share the same heart. This is the final movie in the rice trilogy that began with stories
Award 2014
from the north and agrarian utopia.
Hot Docs 2014
G
우리는 보안관 Ukrainian Sheriffs
AP
323 9/25 15:30 MP2 620 9/28 18:30 MBT
콤비인 빅터와 볼로디야는 두 마리 오리를 훔친 도둑을 쫓는 등의 자잘한 사건들을 해결해야 하는 남부 우크라이나 한적한 마을의 보안관이다. 이들이 해결해야 하는 사건은 주로 이웃들 간의 말싸움, 만성 실업, 가난과 문맹이다. 감독은 빅터와 볼로디야의 모험들을 카메라로 바짝 쫓으며 이 작은 마을에서 벌어지는 해프닝을 날카로운 시선으로 담아낸다. 로만 번데쵸크 Roman Bondarchuk
Like a bird, the Ukrainian flag flies along perched on the car of two affable sheriffs deputized by
Germany | 2015 | 85min |
the mayor of a village in southern Ukraine. There's a sly bum whose gift is not to work and a guy
DCP | Color
who puts an anaconda in his woman's shed. Town folks are dipping in icy water and laughing, but
IDFA Special Jury Award 2015
are they divided in their loyalties? These sheriffs are taking you along for the ride. A tragicomic
Hot Docs 2016
portrait of a two-man team of sheriffs in a remote Ukrainian village disturbed by everyday incidents and political developments.
글로벌비전 묶음 Global Vision Collection
137min
12
107 9/23 11:00 MP2 711 9/29 15:00 MB2
주크 - 스펜서 윌리암스의 여정
Juke - Passages from the Films of Spencer Williams 1940년대에 스펜서 윌리엄스는 텍사스의 색(Sack)엔터테인먼트에서 9편의 흑인들을 위한 영화를 연출했고, 그 중 8편에서 직접 연기를 했다. 그 중 한편은 지금까지 남아있지 않다. <주크>에서 감독은 그의 영화를 재구성하여 영화 자체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보여줌과 동시에 기록으로의 의미도 살려낸다. 톰 앤더슨 Thom Anderson
윌리엄스의 영화는 언제나 신성함과 신성모독, 교회와 술집, 가스펠과 블루스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는데,
USA | 2015 | 29min | DCP | B&W
그의 영화에서 두 가치는 대립적이지만 언제나 동등한 가치로 그려진다.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2016 AP
During the 1940s, Spencer Williams directed nine race films for Sack Entertainment in central Texas, and he acted in eight of these films. Only one has yet to be rediscovered. In Juke - Passages from the Films of Spencer Williams , I attempt to reclaim his work, to demonstrate its originality and beauty as well as its documentary value. Williams returns always to the same theme: the struggle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church and the juke joint, gospel and blues. He portrays both with equal conviction.
우리가 한 때 가졌던 생각 The Thoughts that Once We Had <우리가 한 때 가졌던 생각>은 쥘 들뢰즈의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 그리고 2013년 12월 31일에서 2014년 1월 1일 밤 사이에 터너 클래식 무비 채널에서 방송한 ‘이것이 엔터테인먼트다’에서 본 클래식 헐리우드 뮤지컬 코미디에서의 발견에 영감을 받아 톰 앤더슨 감독이 개인적으로 기술한 영화의 역사이다. 톰 앤더슨 Thom Anderson USA | 2015 | 108min | DCP | Color/B&W YIDFF 2015
The Thoughts That Once We Had is a personal history of cinema, partly inspired by Gilles Deleuze’s The Movement-Image and The Time-Image (quotations from these books appear intermittently) and partly by my discovery of the classic Hollywood musical comedy, occasioned by a That’s Entertainment marathon on Turner Classic Movies the night of December 31, 2013-January 1, 2014. Perhaps little of these inspirations remain in the film, but it is certainly a personal history of cinema. Of course, many others are possible, and anyone’s history is as valid as mine.
글로벌비전 글로벌비전 단편 Global Vision Shorts
Global Vision
46 70min
G
108 9/23 11:00 MP3 423 9/26 17:30 MP2 605 9/28 10:30 MBT
찬란히 빛나는 Sangha 27년 간 뇌성마비를 앓아 온 피에르의 삶 이야기. 신체적으로 타인에게 의존하며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자신의 운명, 그가 나눈 진정한 우정과 지울 수 없는 상실의 경험, 그의 사랑에 대한 담담하고 진솔한 독백. A life story of Pierre, who has suffered from cerebral palsy for 27 years. His fate to live in physical dependence on another, his true friendship, his unforgettable experience of loss, and his love. His
쟝 크리스토프 피셔
calm and true monologue about all of these.
Jean Christophe Pêcheur France | 2016 | 13min | DCP | Color AP
행동하는 예술 Artivism 예술인가, 액티비즘인가? 영국에서 예술을 통해 정치적 직접행동을 하는 아티스트들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A look into the artists behind some of the UK's most renowned political and activist art. 덴 레프톤 Dan Laughton UK | 2015 | 14min | DCP | Color WP
풋볼 브라더스 Football Brothers 폴란드 남쪽의 작은 마을에 사는 형제는 그 지역팀에서 최고의 위치에 오른다. 한 단계 더 올라가기 위해 형제는 더 좋은 팀을 찾아 다른 도시로 가야 한다. 형제의 노력에는 수 년 전 프로축구 선수가 되려 노력했으나 실패한 아버지의 꿈을 지켜주고 싶은 마음도 있다. 아버지에게는 이제 그의 아들만이 유일한 희망이기 때문이다. 마르신 필리보비츠 Marcin Filipowicz Poland | 2015 | 26min | DCP | Color CPH:DOX 2015 AP
Two teenage brothers live in a small village in the South of Poland and reached the top of possibilities in a local football team. Now the next big step awaits them. But if they would be chosen, they should move from their home and start living in another city. They cannot apply to the same team, so they would be completely on their own. Apart from rivalry between the brothers we observe attempts to fulfill their father's dream—he tried to play football professionally years ago but failed.
감옥에서 만난 자유 Guamuchil Seeds 문맹율이 80%에 육박하는 멕시코의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각자의 사연을 가지고 수감된 그녀들. 각자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소통할 수 없던 그녀들은 감옥에서 재활하는 동안 공용어를 함께 배우며 출소 후, 편지를 주고 받는다. 비로소 세상을 향해 발화하게 된 그녀들의 글에는 사회의 바깥으로 내몰렸던 고통스런 과거에 대한 애잔한 감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여성들의 끈끈한 우정과 가슴 짠한 연대. 케롤라이나 코랄 파르디스 Carolina Corral Paredes Mexico | 2016 | 17min | DCP | Color WP
The women prisoners from different regions in Mexico with the illiteracy rate closer to 80 percent, because they spoke different languages, they could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prison. Having learned a common language together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s of prison, they exchange letters after release from prison. These women, who found their voice toward the world, reflect the painful past memories of their being excluded from society with emotion in their writing. The close friendship and heartwarming solidarity among women.
한국다큐쇼케이스 Korean Docs Showcase
한국 다큐멘터리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작품들로
Korean Docs Showcase gives a chance to grasp
채워진 한국다큐쇼케이스에서도 다채로운 신작들을
the current trend of the Korean documentary, with
만나볼 수 있다. 여행, 커피, 음악, 미술 등 모두가 여유 있게 즐길 수 있는 다큐멘터리를 포함해 노동, 가족, 역사, 사회 현실 등 국내외를 넘나든 다양한 이야기들이
a variety of new Korean documentaries not only dealing with different issues such as labor, history, family and social problems, but also easy to enjoy with the themes of trip, coffee, music, art etc. The
펼쳐진다. 특히 올해 한국다큐쇼케이스 부문에서는
new young documentary filmmakers stand out in
신진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약진이 돋보인다. 20대 알바
the Korean Docs Showcase section this year with
노동자들의 반란을 담은 <가현이들>, 펑크 밴드의
their films: The Part-Time Workers’ Union showing
직설적인 외침을 담은 <노후 대책 없다>, 쪽방에서의 1년의 기록인 <사람이 산다>, 점심시간을 보는 여성의 삶과 이야기 <그녀들의 점심시간>, 아버지와 딸의 특별한
the rebellion of short time workers in their 20s, No
Money, No Future with the hard-hitting outcry of a funk band, The Slice Room dealing with one year's record in a slice room, Ladies' Lunchtime looking at
여행을 담은 <난잎으로 칼을 얻다>까지 젊은 신진
the women' lunch time with their lives and stories,
감독들의 활약을 확인할 수 있다. <촌구석>, <앙뚜>,
The Orchid and the Sword about a special trip
<용왕궁의 기억> 등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작들도 관객들에게 첫 선을 보인다.
of father and daughter. The documentary films supported by the DMZ Docs Fund, The Backward
Lands, Becoming Who I Was, Yongwanggoong: Memories from Across the Water and so on. They will make their debut to the audience in this section.
한국다큐쇼케이스 G
Korean Docs Showcase
48
아티스트 The Artist
WP AP
228 9/24 19:00 MP2 331 9/25 20:30 MB2 Q&A
화가 김덕기는 작품의 영감을 얻기 위해 여러 지역들을 순차적으로 방문한다. 그 시간들 속에서 작가는 간간이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리고 수첩에 시를 써내려 간다. 그의 기억 속에 고스란히 남아있는 그리움과 추억에는 어린 나이 부모를 잃고 인고한 세월의 흔적이 남아있다. <아티스트>는 현존작가 김덕기의 미술세계를 로드무비 형식의 여정으로 담아, 아픔을 지닌 가족사와 삶의 철학을 예술로 승화시킨 그만의 김선영 Kim Sun-young Koreaㅣ2015 | 65min | DCPㅣColor CinemAvvenire Film Festival Award 2014
행복한 힘을 보여준다. While the warm 3 o'clock ray poking through the artist’s studio is slow in contrast to the serene rural scenery, there is a strong positive energy. Having lost both his parents in his early childhood, Kim Duk-ki did not forgo his pursuit of becoming an artist and thus reveals his passion and will. The Artist follows the format of a road movie, which portrays Kim Duk-ki, who was able to transform his tragic upbringings to art through positive energy.
G
촌구석 The Backward Lands
WP
124 9/23 17:30 MB8 430 9/26 18:30 MP3
국가의 일방적인 이주명령에 수십 년 지켜온 땅을 떠나게 된 사람들이 살았던 곳, 지역을 먹여 살린다는 큰 자동차 공장에서 한 순간에 이천 명이 넘는 노동자를 공장 밖으로 쫓아내고 그들의 죽음을 외면했던 곳, 평택. 제대로 된 이유도 모른 채 하루 아침에 사라져버린 아이들이 살았던 곳, 안산. 그리고 여전히 두 촌구석에서 살아가는, 혹은 살아남은 사람들. 태준식 Tae Jun-seek
Pyeongtaek. where had lived people forced out of land they had stayed for several decades by
Koreaㅣ2016 | 100min | DCPㅣ
compulsive eviction order of the government, and where over two thousand workers were thrown
Color/B&W
out of a big automobile factory feeding the region and people closed their eyes to the death of
2012 DMZ Docs 제작지원작
the workers. Ansan, where had lived the students disappearing without knowing the reason one morning. And people who still live, or are left alive, in these two rural towns.
G
앙뚜 Becoming Who I Was
WP
232 9/24 20:00 MB7 Q&A 610 9/28 12:30 MBT
어느 날 갑자기 사람들이 나에게 머리를 조아리고 무릎을 꿇었다. 그러나 환생 전 사원을 찾아야만 린포체로 인정받을 수 있는 현실. 문제는 내 전생의 사원은 라다크가 아닌 티베트. 중국의 종교 탄압에 가로막혀 제자들이 나를 찾아올 수도, 내가 갈 수도 없다. 결국 머물던 라다크 사원에서도 쫓겨나고, 사람들의 시선이 두렵다. 나를 믿고 곁을 지켜주는 유일한 사람은 스승 우르갼 뿐이다. 나는 누구였을까? 문창용 Moon Chang-yong, 전진 Jeon Jin Korea | 2016 | 105min | DCP | Color 2014 DMZ Docs 제작지원작
그 답을 찾아 금지된 땅 티베트로 가야만 한다. A seemingly ordinary boy discovers he is the highest ranking Tibetan monk reincarnated from a past, giving him the noble title of Rinpoche. Displaced in his reincarnation in Ladakh due to the political instability in Tibet, he is separated from his former monastery. Filmed over 7 years, the young reincarnate faces questions of survival, coming-of-age, and serving a sacred order. With one aging godfather on the backdrop of the biting Himalayan Mountains, Rinpoche sets on a dangerous journey to find his place in the world.
그녀들의 점심시간 Ladies' Lunchtime
G 132 9/23 19:30 MB7 Q&A 315 9/25 13:00 MP2 Q&A
더운 날씨에 몸이 좋지 않은 경마장 미화원 숙정씨, 입맛은 없지만 오후 일정을 위해 억지로 밥을 떠 넘긴다. 여고생들은 맛없는 급식 대신 햄버거를 몰래 배달 시켜 먹으며 다이어트 이야기를 한다. 택시기사인 희숙은 차 안에서 점심으로 김밥을 먹다 손님을 발견하고 황급히 숨긴다. 각양각색 다양한 점심의 풍경, 그 속에 담긴 여자들의 삶과 이야기. 구대희 Koo Dae-hee Koreaㅣ2016ㅣ70minㅣDCPㅣColor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The diverse lunch times of ladies and their lives and stories.
한국다큐쇼케이스
220 9/24 16:00 MB8 Q&A 429 9/26 18:30 MP1
서울의 펑크 밴드들이 도쿄에서 역대 가장 크게 개최되는 하드코어 펑크 음악 페스티벌에 초대된다. 2015년 현재 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가장 시끄러운 펑크 밴드들이 어떤 생각으로 살아가고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는지, 알 사람은 이미 다 알지만 모를 사람들은 평생 모를 것들에 대해 아주 가까운 곳에서 무엇보다 유쾌하게 보여준다. 이동우 Lee Dong-woo
Punk bands in Korea get invited to biggest hardcore punk festival in Tokyo. This movie shows how
Koreaㅣ2016 | 100min | DCPㅣ
one of the loudest and most active punk bands in Asia live and deliver message very closely and
Color/B&W
pleasantly.
난잎으로 칼을 얻다 The Orchid and the Sword
WP
235 9/24 19:30 MP1 TK 333 9/25 20:00 MB7 Q&A
G
49
노후 대책 없다 No Money, No Future
18
G
Korean Docs Showcase
평생을 아버지로부터 벗어나고자 노력했던 딸 다훈은 아버지로부터 한 통의 메일을 받는다. 눈이 멀어가는 아버지가 학자로서 못다한 『만주순례기』 초고를 대신 완성해달라는. 2015년 겨울, 다훈은 어쩌면 아버지의 마지막 유언이 될지도 모르는 원고를 들고, 복잡한 심정으로 아버지와 함께 만주로 떠난다. 여행 안에서 다훈은 아버지 대신 ‘한국독립운동사 복원’을 위한 원고를 완성해가며, 아버지를 임경희 Lim Gyung-hee Koreaㅣ2016 | 79min | DCPㅣColor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이해하기 시작한다. In 2014 an email from a father arrives. He asks his daughter to complete his book Travelogue to Manchuria on his behalf as he is going blind. Da-hoon, the daughter, has mixed feeling about this request. In January 2015, she heads for Manchu with him, carrying his script as if it is his will. She gets to understand her father through completing a manuscript to restore Korea's history of independence in the course of her trip.
가현이들 The Part-Time Workers’ Union
WP
123 9/23 17:00 MB7 Q&A 237 9/24 10:00 GA 520 9/27 16:30 MP1 Q&A
8년 동안 알바를 해온 나에게 찾아온 아르바이트 노동조합. 그곳에서 나와 이름이 똑같은 두 명의 가현이를 만났다. 너무 잦은 해고, 너무 낮은 임금과 너무 낮은 대우에 보이지 않던 노동을 하던 아르바이트 노동자들이 뿔이 났다. “최저임금을 1만원으로!” 스스로의 이야기를 구호로 만들며 우리의 존재를 외친다. 우리는 알바‘생’이 아니라, 알바‘노동자’다. 지금부터 우리들의 유쾌한 반란이 시작된다! 윤가현 Yun Ga-hyun
I found the Part-time Worker’s Union after having been a part-time worker for eight years. At
Koreaㅣ2016 | 78min | DCPㅣColor
the union, I met other two other girls with the same name as myself: Ga-hyun. The part-time workers are upset and indignant at the way they are treated: the low wages, the mistreatment, and unwarranted layoffs. Now we tell our stories and demand a livable wage. We are not studentworkers but part-time laborers. Now we begin a rebellion!
7년-그들이 없는 언론 Seven Years-Journalism without Journalist
15
336 9/25 19:30 MP2 524 9/27 19:00 MB3 Q&A
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년부터 현재까지 총 20여명의 언론인이 해직되었다. 해직 언론인 대부분이 노조 간부가 아닌 것은 물론, 그 중 상당수는 평범한 언론사의 직장인으로서 생활하던 이들이다. 7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한때 그들의 직장이었던 언론사에 대한 권력의 통제는 이미 관성이 되어버렸고, 그런 현실을 바라보는 그들의 시선도 착잡하기만 한데…. 그들은 돌아갈 수 있을까? 직장은 잃었지만, 김진혁 Kim Jin-hyuk Koreaㅣ2016 | 111min | DCP | Color
직업은 지속될 수 있을까? A total of 20 journalists have been fired since 2008, the beginning of Lee Myung-bak’s presidential term. They fought against the companies that they worked for succumbing to power and are now frustrated at reality where censorship of the press by authority has now become a norm. Can they continue their activities as journalists?
한국다큐쇼케이스
Korean Docs Showcase
50
사람이 산다 The Slice Room
G 126 9/23 16:30 MP1 335 9/25 20:00 MBT Q&A
쪽방에 산지 1년이 되어가는 창현은 부족한 기초수급비로 인해,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이어간다. 쪽방에서 나고 자란 일수는 27살의 나이에 결핵, 고위험성 당뇨, 고혈압으로 기초수급자의 삶을 살고 있다. 이제 막 쪽방에서의 삶을 시작하려는 남선은 부양의무제도 때문에 수급을 포기하고 폐지수집을 하고 있지만 월세와 생활비 감당이 녹록지 않다. 가난한 이들이 모여있는 쪽방. 그들을 굴레 속에 가두는 제도. 일 년 송윤혁 Song Yun-hyeok Koreaㅣ2015 | 69min | DCP | Color
동안의 쪽방의 기록으로 빈곤의 굴레를 본다. Chang-hyun who has lived in the Jjok-bang for almost a year, because of insufficient basic supply, escape the officer who oversee illegality and furtively have made bread out of part-time job. Il-so who were born in the Jjok-bang and grown up, as recipient of basic living, contract tuberculosis and have high-risk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at young age, 27 years old. They are confined in bridle of poor by system. For a year, through record of the Jjok-bang, we will observe bridle of poor.
고려아리랑: 천산의 디바 Sound of Nomad: Koryo Arirang
12
319 9/25 16:00 MB3 Q&A 528 9/27 19:00 MP1
비극적 가족사를 가진 고려극장 여성 예술가들의 삶의 노래를 담은 음악 다큐멘터리. 강제 이주 후, 소련과 중앙아시아 전역을 유랑하던 여성 예술가들은 러시아 가곡, 재즈, 한국 노래에 능했다. 국가 폭력의 비극을 주시하는 목격자이며 생존을 확언하는 기념물로서의 고려 아리랑. 이함덕과 방 타마라 두 디바의 멜로디. 영하 20도의 밤, 우슈토베의 고려인 강제 이주 기념비에 투사한 고려극장 배우들의 영상, 만월이 김정 Kim Jeong Koreaㅣ2016 | 87min | DCPㅣColor
빛나는 장면이 눈물겹다. This Film starts with a diva of a tragic family history related to a history of migration. This is a testimonial – a witness to injustice and tragedy, but it is also a declaration of survival – a survival that is not static but transformative. The trains that displace, the deserts that separate form one harsh horizon but within that limit, against it and across it are people, are a culture, not escaping but flourishing unofficially, with the affective majesty of a melody, a rhythm, an Arirang.
G
바람커피로드 Windy Coffee Road
WP
231 9/24 20:00 MB3 Q&A 239 9/24 15:00 GA 532 9/27 20:30 MB7
이담은 풍만이라는 이름의 커피트럭을 타고 전국을 여행하는 커피여행자이다. 에어컨도 나오지 않는 낡은 트럭, 얄팍한 잔고의 통장으로 대변되는 가난한 여행이지만, 그가 가는 곳엔 항상 그의 커피를 기다리는 사람과 공간이 있고 대화가 끊이지 않는다. 그 과정에서 커피와 인생이 서로 닮은 부분이 많다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 커피 여행자 이담의 여정을 담담하게 담아낸 이 이야기는 치열한 삶 속의 우리에게 건네는 현진식 Hyun Jin-sik Koreaㅣ2016 | 70min | DCPㅣB&W
커피 한 잔의 휴식 같은 영상편지이다. Lee Dam is a coffee traveler who takes along Poongman, his coffee truck, across the country. Lee’s trip is far from luxurious—the truck is without air conditioning, and his budget tight. Wherever he goes, however, there are people who greet his coffee, not to mention endless conversations. In this process, Lee learns that coffee and life share many things in common. Lee’s journey is a like video message, or a cup of coffee, which offers some downtime we all need in our busy lives.
G
용왕궁의 기억 Yongwanggoong: Memories from Across the Water
WP
233 9/24 19:00 MB8 Q&A 419 9/26 16:00 MP1
2009년 7월, 오사카 사쿠라노미야(櫻宮)의 ‘용왕궁’이 철거될 위기에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용왕궁’은 2차 세계대전 전부터 제주도에서 이주한 재일조선인 1세 할머니들이 가족의 안녕이나 평안을 기원하는 ‘굿당’이었다. 2015년 4월, 제주도 영등굿 촬영 중 만난 필사적으로 기도하는 할머니들의 모습과 옛날 부엌에서 조용히 기도하던 어머니의 모습이 겹친다. 가족을 위해 극진히 기도하던 어머니의 마음을 알고 김임만 Kim Im-man Korea, Japanㅣ2016 | 100min | DCPㅣ Color/B&W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싶었고, 위로해 드리고 싶었다. Yongwangung was a Gutdang(shaman’s shrine) where first generation Korean women who crossed the seas from Jeju to Japan eve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In 2009, I heard that a shamanic shrine called Youngwanggung was about to be demolished by the Osaka city government. My childhood memory of my mother praying in the kitchen came back when I was filming elderly women in Jeju. I felt the urge to have a shamanistic ritual for my mother who had been hospitalized.
한국다큐쇼케이스
Korean Docs Showcase
한국다큐쇼케이스 단편 Korean Docs Showcase Shorts
51 65min
G
134 9/23 20:00 MBT Q&A 306 9/25 11:00 MP1
빙빙 B-ing B-ing 고향에 두고 온 카메라를 가지러 가는 길에 친구들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들과 통화하는 동안 유행하는 노래나 기계의 수명 그리고 서로의 건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동차 네비게이션이 위치를 다시 검색하겠다고 말하니까 꿈에서 보았던 장소가 눈 앞에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스크린의 신호를 따라 페달을 밟으면 푸른 인조잔디 위에 하얀 공이 쑥 올라온다. 텅 빈 집으로 향하다가 문득 스치는 풍경들
임철민 Im Cheol-min Koreaㅣ2016 | 27min | DCPㅣColor
사이로 커다란 구멍을 내는 상상들. Now, a long ride of spinning is about to begin. Let's chant an incantation: "Disco Disco Pang Pang!“
적막의 경관 A Landscape between Past and Future 경남 거창군 신원면. 산을 파고 들어간 계곡에서 시작하는 물의 줄기. 그 표면의 잔상과 수면 아래 작은 생명체. 정지된 숲과 바위. 이 경관을 스치며 뚫고 들어간 왕복 2차선 도로. 그 끝에 보이는 추모공원. 적막의 경관. 적막의 현재. A stream begins in a valley that cuts into the mountain in Sinwonmyeong, Geochanggun, 오민욱 Oh Min-wook
Gyeongnam Province. The lingering images on the surface and the small lifeforms under the water.
Koreaㅣ2015 | 21min |
Woods and rocks that are still. A two-lane road that cuts through this landscape that leads to a
DCPㅣColor/B&W
cemetery. Bleak landscape. Bleak present.
골목의 이야기 An Alley's Story 우리에게 들려줄 이야기가 너무 많은 골목이 있다. 서대문 형무소 인근의 여관 골목, 뒤틀린 한국의 근현대사를 꿋꿋이 견뎌왔지만, 폭력적인 재개발이 시작되자 허무하게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아직 들려줄 이야기가 너무 많은 옥바라지 골목의 다섯 사물이, 차례로 말문을 연다. Here is an alley, which has a lot of stories to tell. Nearby Seodaemun Prison, the alley was filled 권순현 Kwon Soon-hyeon
with inn, where were shelters for family members visiting inmates. The alley had to endure
Koreaㅣ2016 | 17min | DCPㅣColor
twisted Korean modern history. But in 2016, the alley is about to completely devastated by
WP
violent urban development. Still, the alley has untold, unwritten stories. Five objects in ‘Okbaraji Alley’ break the silence.
DMZ비전 DMZ Vision
지난해 분단 70년을 맞아 분단의 비극성을 담은 작품들로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구성된 특별전을 선보였던 DMZ국제다큐영화제는
launches a new section ‘DMZ Vision’ this year,
DMZ비전 섹션을 통해 분단의 현실과 통일에 대한 전망을 제기하는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몇십 년 만에 어릴 적 살던 고향을 찾은 감독의 북한 방문기
developing the special program that had shown the films with the tragedy of the division focusing on 70 years of the national division last year, and we will continue to introduce the films with the reality
<사람이 하늘이다>, 일본조선학교 아이들의 북한 방문기
of division and the prospects of reunification in
<하늘색 심포니>, 스페인 감독의 <프로파간다 게임>은
the section each year. We could see the different
다른 배경과 역사, 시선을 가진 사람들이 직접 만나고
spectrum about North Korea, that encountered
경험한 북한의 각기 다른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탈북 여성의 중국과 한국에서의 삶을 따라가는 <마담B>와
and experienced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histories and perspectives, in the films, People are the
sky recording the visit to North Korea by the director
한국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탈북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who went back his hometown in decades, Sky-
<황색바람>은 탈북자들에 대한 고정관념에 균열을 내면서,
Blue Symphony -The Story of the Korean Schools
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것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지는
in Japan- about the visit to North Korea of students
작품이다. DMZ비전에 상영되는 작품들을 통해 식민, 분단, 이산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통일에 대한 비전을 함께 마련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of Joseon-schools in Japan, and The Propaganda
Game made by a Spain director. And Mrs.B., a North Korean Woman chasing the trace of a North Korean woman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Yellow Wind reflecting the voice of several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Korea, these two documentaries break the stereotype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and pose a serious questions about living together with them. The DMZ Vision section with the selected films could give a place to heal the trauma of the colonized, the division and the separation, and to prepare the vision for the reunification.
DMZ비전
209 9/24 12:30 MB2 521 9/27 15:30 MP2
10년 전, 돈을 벌기 위해 북한을 떠나 중국으로 넘어간 마담 B는 밀수업자에 의해 중국 농부에게 강제로 팔린다. 마약거래를 해가며 중국에서 생계를 꾸리고,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을 돕던 마담 B는 어렵사리 남편과 아들들을 남한으로 밀입국시키는데 성공한다.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 길고도 위험한 여정 끝에 남한에 도착하지만, 그녀의 인생은 그녀가 꿈꿨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윤재호 Jero Yun Korea | 2016 | 72min | DCP | Color Canne 2016
Mrs. B., a North Korean woman , was forcibly sold to a Chinese farmer by her smugglers. To earn a living in China and help her family, who remained in North Korea, Mrs. B. turned to drug trafficking. She succeeds in getting her husband and sons smuggled into South Korea and then leaves herself with a group of illegal migrants to join her children at last. Her life takes a completely unexpected turn than the one she’d dreamed of.
그 날 One Warm Spring Day
WP
001 9/22 19:00 CG 218 9/24 15:00 MB2 Q&A 238 9/24 12:30 GA 338 9/25 11:00 YS 339 9/25 14:00 YS 530 9/27 19:30 MP2
G
53
마담 B Mrs.B., a North Korean Woman
G
G
DMZ Vision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이었던 친할아버지와 인민군이었던 외할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나는 여전히 단단하게 분단된 한반도의 남쪽에서 살고 있다. 어느 따뜻한 봄날, 나는 나의 한 쪽 뿌리의 죽음을 목격했다. 어린 시절 목격한 외할아버지의 죽음은 어른이 된 나에게 계속해서 고통스러운 질문을 던진다. 할아버지는 그 날, 왜 그런 선택을 하게 된 것일까? 정수은 Jeong Su-eun
I was born between a paternal grandfather who was in the South Korean Army and a maternal
Korea | 2016 | 83min | DCP | Color
grandfather who was in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And I am
2015 DMZ Docs 제작지원작
now living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it is still firmly divided into two parts, South and North. On one warm spring day of my childhood, I witnessed the death of one of my origin, grandfather. Why did he make that choice on that day?
사람이 하늘이다 People are the sky
AP
236 9/24 18:30 MP3 Q&A 533 9/27 20:30 MB8 Q&A
일곱 살 때 고향인 황해도 신천을 떠난 이후 꼭 한번 밟고 싶었던 북한에서 영화를 만들고 싶었던 나를 격려해준 것은 남편이었다. 남편이 세상을 뜬 후 한동안 상실감에 빠졌던 나는 다시 한번 집을 찾는 심정으로 북한 방문을 준비한다. 2013년과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북한을 방문한 나는 북한 주민들과의 만남을 통해 그들의 삶을 들여다본다. 대실 김-깁슨 Dai Sil Kim-Gibson USA | 2014 | 94min | DCP | Color
People Are the Sky , Kim-Gibson’s eighth, and most personal film, connects two ideas: the search for home, and the nature of ordinary people, while exploring the evol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in relation to the Republic of Korea (ROK) and the USA. The title of the film is inspired by Dong Hak (Eastern Learning) which teaches that all people are equal with God.
프로파간다 게임 The Popaganda Game
G 508 9/27 11:00 MP3 701 9/29 11:00 MB2
북한 정부를 위해 일하는 유일한 외국인인 알렉산드로 카오데베노스의 덕으로 북한사회를 촬영할 수 있게 된 스페인 감독은 호기심을 가득 안고 여정을 시작한다. 아이들의 공연과 고층 빌딩들, 번듯한 관공서와 학교, 놀이공원을 둘러보며 감독은 의문을 품게 되고, 북한 사회의 여러 ‘플레이어’들과 그들이 ‘진실’을 조작하는 전략들에 관심을 갖게 된다. 허위보도와 반쪽 짜리 진실은 관객들이 스스로 결론에 도달하도록 알바로 롱고리아 Álvaro Longoria Spain | 2015 | 95min | DCP | Color CPH:DOX 2015
이끌고, 진실을 간파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숙고하게 한다. The film has been shot in North Korea with privileged access thanks to Alejandro Cao de Benós, the only foreigner who works for the communist government. The film analyses the interests of the different 'players' and the strategies they use to manipulate the 'truth'. False news, half-truths and surreal controversies will lead the viewers to reach their own conclusions and reflect on how difficult it is to discern the truth.
DMZ비전 G
DMZ Vision
54
하늘색 심포니 The Sky-Blue Symphony-The Story of the Korean
WP KP
130 9/23 20:30 MB2 Q&A 223 9/24 16:00 MP2 Q&A
Schools in Japan-
영화는 일본에서 나고 자란 조선학교 학생들이 북한을 방문하는 여정을 함께 한다. 2주일 간 북한에 체류하면서 아이들은 ‘조국’에서 만난 사람들과 얘기도 나누고 함께 노래도 부른다.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고향땅인 남쪽(한국)을 바라보며 아직도 전쟁중이라는 비극을 실감하기도 한다. 이국에서 박영이 Park Yeong-i Japan | 2016 | 95min | DCP | Color/B&W
태어난 아이들에게 있어서 조국이란 무엇인가? This documentary mainly filmed the 2 weeks travel to North Korea together with the Korean students who attend one of Japan's 60 Korean schools for the third—and fourth—generation Koreans born and raised in Japan. At Panmunjom, which is a symbolic place of division of Korea, looking over the South side, the land of their ancestors’ birthplaces, they realized the tragedy of the war. What does 'homeland' mean to the students?
G
황색바람 Yellow Wind
WP
213 9/24 12:30 MP1 619 9/28 18:00 MB8 Q&A
<황색바람>은 탈북 정착 지원사무소 하나원에서부터 함경북도 출신 20-30대 탈북자들의 교회생활과 대학생활, TV출연과 해외인턴쉽까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탈북자들의 모습을 관찰한다. 또한 북한 인권을 위해 싸우며 남한의 자본주의에 익숙해지고 있는 탈북자들과 자본주의 삶의 어두운 단면을 얘기하는 탈북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이들과의 만남은 북한과 탈북자에 대하여 좀 더 넓은 조현준 Cho Hyun-jun Korea | 2016 | 72min | DCP | Color
시각을 가지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 Discover for yourself how the tension of the Korean standoff affects personal lives in this dramatic expose' outlining the challenges North Korean refugees have faced in China and South Korea. Can the kinship that was severed so long ago by war, political ideologies and a border that can rarely be crossed ever be restored? This personal and very detailed look gives you an insider view of what motivates conflicted, ex-regime followers to seek out a new life beyond what they've grown to call home.
다큐패밀리 Docs Family
온 가족이 함께 둘러앉아 볼 수 있는 다큐를 소개하는
The 'Docs Family' as a section presenting the
다큐패밀리 섹션에서는 올해 부모와 자식의 관계, 혹은
documentary that the whole family could enjoy
가족의 의미를 곱씹어볼 수 있는 작품들을 준비했다. 폐암 말기 진단을 받은 95세 어머니와 어머니의 마지막 여정을 함께하는 아들의 이야기 <남아있는 나날>, 난자기증과
together, prepared the films to figure out the relation of parents and children or the meaning of family this year, including Twilight of a Life in which a son spends together the last days of 95-year-old
대리모 등 발전한 과학기술을 통해 아이를 만드는
mother diagnosed with advanced lung cancer and
부모들을 통해 가족의 의미를 생각해보는 <퓨처 베이비>
Future Baby thinking about the meaning of family
등이 그것이다. 특히 올해에는 어린이들과 청소년,
through the story of parents making a baby by
그리고 다큐멘터리 초보 관객들을 위해 단편 다큐를 집중 소개한다. 아직은 장편 다큐멘터리에 익숙하지
means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nd also it prepared the special selection of the short documentary films for the children, the teenagers
않은 관객들에게 가족의 사랑, 전쟁의 트라우마와 치유,
and the beginning audiences of documentary this
장애, 난민, 환경 문제, 다문화 등 전세계 다양한 이슈를
year. This selection introduces the short documentary
담은 단편 작품들이 짧지만 진하고 강한 다큐멘터리의
films dealing with various issues such as the love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다양한 연령층과 장애인이 함께 단편 다큐를 관람할 수 있도록 배리어프리 (화면해설) 서비스도 제공된다.
of family, healing of war trauma, the disabled, the refugee, the environment, multicultural society and so on, to the audiences who aren't yet familiar with the feature-length documentary. The service of the descriptive narration will be offered for the disabled and people of all ages together to watch the short documentary.
다큐패밀리 12
56
퓨쳐 베이비 Future Baby
KP
208 9/24 11:00 MP3 529 9/27 17:30 MP2 612 9/28 16:00 MB3
<퓨처 베이비>는 바로 우리 코앞에 다가온 미래에 펼쳐질 인간 복제에 대한 이야기다. 감독은 세계 곳곳의 연구소와 병원을 방문하여 여러 의사들과 과학자, 난자 기증자, 대리모를 만난다. 영화는 이런 혁명적인 기술을 찬성하는 자와 이 기술이 불러오는 윤리적, 법적인 모순을 지적하는 반대론자 사이에서의 균형을 잃지 않는다. 그러면서 동시에 인간이 얼마큼 자연에 관여해야만 하고, 관여할 수 마리아 엘레마브스키 Maria Arlamavsky Austria | 2016 | 91min | DCP | Color Hot Docs 2016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Future Baby is a film about the future of human reproduction as it is happening right before our eyes. Maria Arlamovsky’s exploration takes her all around the world—to patients and researchers, to egg donors and surrogate mothers, to laboratories and clinics. The hopes and wishes of future parents mesh with research on how to 'upgrade' human embryos in the face of an everaccelerating rate of progress. How far do we want to go?
유튜브 신데렐라 Presenting Princess Shaw
G 201 9/24 10:30 MB2 304 9/25 10:30 MB8
뉴올리언즈 빈민지역에 살고 있는 비운의 싱어송라이터 사만다는 낮에는 노인들을 돌보고, 밤에는 가수 ‘프린세스 쇼(Shaw)’로 변신한다. 관객이 거의 없는 클럽의 무대에서 다른 가수의 노래를 부르거나, 직접 노래하는 모습을 찍어 유튜브에 올리는 것이 그녀의 일상의 전부이다. 하지만 상상하지도 못한 일이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고, 마치 신데렐라처럼 그녀는 하루 아침에 유튜브 스타가 된다. 이도 하르 Ido Haar
Samantha, a star-crossed singer-songwriter, lives alone in one of New Orleans' toughest
Israel | 2015 | 80min | DCP | Color
neighborhoods. By day she works as a caregiver for the elderly; at night she transforms into
Sheffield Doc|Fest
Princess Shaw, belting out soulful originals at sparsely attended open mic nights and posting
Audience Award 2016
G
Docs Family
homemade a cappella clips on YouTube, usually reaching just a handful of viewers. She doesn't
SXSW 2016
imagine that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she has a talented secret admirer who is about to
Visions Du Réel 2016
expose her to millions of listeners.
남아있는 나날 Twilight of a Life
KP
214 9/24 13:00 MP2 LT 431 9/26 19:30 MP2 615 9/28 16:30 MBT
폐암 말기 진단을 받은 95세 어머니와 그런 어머니의 마지막 여정을 함께하는 아들의 이야기. 감독은 시한부 선고를 받은 어머니가 어떤 방식으로 ‘나이 들어 감’에 대처하는지를 따뜻하고 유쾌한 시선으로 보여준다. 병상에 누워서도 여전히 삶을 즐기는 어머니에게 바치는 한 편의 시. 실뱅 비글라이즌 Sylvain Biegeleisen Belgium, Israel | 2015 | 65min | DCP | B&W Visions Du Réel 2015 Zagreb Dox Audience Award 2016 Doc Aviv Best Israeli Film Award & Fedeora Director Award
Twilight of a Life is a fascinating and optimistic journey of a mother aged 95, and her son, the director. Against all odds, she decided not to surrender to the pessimistic diagnosis of the doctors. She remains alive and through the magic presence of the camera, she is giving us, amazing teachings about life. A film that touches and gives hope to everyone. Twilight of a Life is a unique document that proves that ‘Old Age’ can be approached without fear, with humor and tenderness!
다큐패밀리 묶음 Docs Family Collection
78min
G
111 9/23 13:00 MB7 406 9/26 11:30 MP1 702 9/29 11:00 MB3
스페셜 원 The Special One 미얀마 양곤에 있는 산뺘 수산시장은 시끄럽고 냄새 나며 항상 분주한 곳이다. 그 지역에서 생선을 파는 마인트런의 고된 일상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낙은 바로 축구이다. 축구는 그에게 삶의 빛이자 희망이다.
라민 오아 Lamin Oo Myanmar | 2015 | 8min | DCP | Color KP
San Pya fish market in Yangon is a noisy, smelly and busy place. For a local fishmonger Myint Lwin, there is only one thing that gets him through the grinds of his day: football.
다큐패밀리
Docs Family
57
축구장 가는 길 On Football 세르지오와 그의 아버지 시몽은 20년 동안 만난 적이 없다. 2014년 월드컵이 열리기 하루 전, 세르지오는 아버지와 함께 월드컵을 보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온다. 아버지와의 완벽한 재회를 위해 월드컵 일정에 맞춰 한달 동안 함께 경기를 보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이다. 그러나 둘의 관계는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경기를 함께 보는 것도 어느 순간부터 의무로 느껴지기 시작한다. 세르시오 옥스만 Sergio Oksman
Sergio and his father, Simão, haven’t seen each other for over 20 years. On the eve of the 2014
Spain | 2015 | 70min | DCP | Color
World Cup, Sergio returns to his hometown, hoping to watch the games with Simão. It seems
Locarno IFF 2015
to be a perfect plan for a father-son reunion: a whole month together, their schedule based on
DOK Leipzig 2015
the World Cup calendar. But as the days go by, their relationship starts to wander into unknown territory and their pact to watch the entire tournament together turns into a dangerous ritual ....
Cinema Du Réel 2016 AP
다큐패밀리 단편 1 Docs Family Shorts 1
49min
G
207 9/24 11:00 MP2 402 9/26 11:30 MB3 614 9/28 15:00 MBT
링 위의 촐리타 The Wrestling Cholita ‘촐리타(cholita)’는 남미 원주민 계통의 여성을 일컫는 말로, 두 갈래로 땋은 머리 스타일과 블라우스, 긴 주름치마를 입고 있는 것이 이들의 특징이다. 1990년대 초반 볼리비아에서 프로 레슬링의 인기가 사그라들자, 가부장적 풍습으로 억압받는 여자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고자 시작된 촐리타 레슬링은 볼리비아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촐리타 레슬러로 활약 중인 테레사의
하리 그레이스 Harri Grace UK | 2016 | 9min | DCP | Color AP
맹활약이 링 위에서 펼쳐친다. Teresa Huayta is one of Bolivia’s Wrestling Cholitas. These indigenous women with their distinctive outfits and bowler hats are the most popular fighters in Bolivia’s colourful Wrestling scene. Cholitas have long been discriminate of against but recent social chance has resulted in a massive surge of confidence and pride for these women. For Teresa, there’s no doubt that the best place of demon starting this pride is the wrestling ring.
소년이 되는 법 How Ky Turned into Niels 키(ky)는 불꽃놀이, 초인종 장난치기, 축구 등을 좋아하지만 여자의 몸을 가지고 있다는 것 때문에 힘들어 한다. 지난 여름 키는 용기를 내어 남자가 되고 싶은 자신의 꿈을 부모님에게 밝히고, 니엘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된다. 이제 ‘키’가 아닌 ‘니엘’의 새로운 삶이 시작된다. Ky has been unhappy for years because she has a girl’s body. Last summer Ky finally managed to 일스 판 드리얼 Els van Driel
tell her parents she wants to become a boy. And she would like to have a different name: Niels.
Netherlands | 2014 | 20min |
Together with her friend Sterre, who used to be called Tibor and therefore has a boy’s body, they
DCP | Color
tell their new secondary school class that they are transgender children. It is the beginning of a
KP
new life as Niels.
할매축구단 Alive&Kicking: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아프리카 남부 림포포강의 중심부에는 마을의 오랜 관습을 깨고 그들만의 방식으로 공을 차는 할머니 축구팀이 있다. 축구화 끈을 졸라맨 그녀들은 열정적으로 공을 찬 후, 다같이 모여 흥겨운 노래를 부른다. 축구와 노래는 잔혹한 세상에서 살아 남기 위해 홀로 힘겹게 버텨왔던 스스로의 삶에 대한 위로이다. Filmed in the heart of Limpopo, the village grannies ‘Vhakegula, Vhakegula’ lace up their soccer 라라-앤 드 웨트
boots and start kicking their way through centuries of taboos. They play serious soccer then
Lara-Ann de Wet
break into laughter and traditional song as they wage a singular fight for a decent life, true
South Africa, USA | 2015 | 20min |
health and a snatch at joy in a brutal world.
DCP | Color AP
다큐패밀리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2 Docs Family Shorts 2
58 49min
G
204 9/24 10:30 MB8 414 9/26 14:00 MP1
보이첵, 파일럿이 되다 Wojtek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년 보이첵은 스타워즈와 파워레인저를 좋아하며, 파일럿이 되는 것이 꿈이다. 보이첵의 취미는 아버지와 함께 마을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골판지 상자를 모으러 다니는 것. 이제 아버지와 힘을 합쳐 이 골판지 상자들을 상상 그 이상의 멋진 무언가로 변신시킬 것이다.
514 9/27 14:00 MP2 709 9/29 14:00 MB8
바르텍 트레즈나 Bartek Tryzna
Wojtek and his dad George collect cardboard boxes.
Poland | 2015 | 3min | DCP | Color AP
나는 대리모입니다 My Life: I'm a Surrogate 대리모는 아이를 가질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아이라는 선물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존재이다. 하지만, 대리모에게는 낳아준 어머니와 완전한 남이라는 극단적인 위치의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 작품은 존과 스테인의 대리모인 쟈스민이 이 극단적인 두 가지 역할을 어떤 방식으로 수행하는지 보여준다. 코디 오터슨 Cody Autterson, 앤드류 슈나이더 Andrew Schneider USA | 2016 | 7min | DCP | Color WP
Surrogacy brings the gift of life to those unable to create it on their own. It is a journey of extreme highs and lows, undertaken selflessly for what can often be a complete stranger. This story follows Jazmin, a surrogate mother in California. Jazmin’s journey with Jon & Stein has been far from perfect. After a miscarriage, Jon and Stein are out of money and have only one egg left, will Jazmin be able to give them the family they’ve always dreamed of having?
아야의 하루 Away from Ayah 12살 아이핀(가명)의 아빠는 감옥에 있다. 영화는 겉으로는 담담해 보이지만, 어려운 상황을 견뎌내기 위해 애쓰는 아이핀의 삶을 들여다 본다. 아마도 또래 친구들이랑은 다르게 성장할 소년의 모습을 통해, 성장기 아이들에게 부모의 존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한다.
아멜리아 탄 Amelia Tan Singapore | 2015 | 13min | DCP | Color
Away from Ayah is an intimate look into the life of Ipin (not his real name), a 12-year-old boy coping with his father in prison. This film explores the emotional impact on a child through Ipin’s perspective as he narrates his thoughts and feelings. Considering how important it is to have a parent throughout a child’s formative years, he may grow up differently from his peers.
KP
알바트로스 Albatross 한 젊은 감독이 할아버지의 마지막 나날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조금씩 사그라지는 할아버지 옆에는 그런 남편을 위해 항상 밝은 유머를 잃지 않는 할머니가 있다. 할머니는 한없이 섬세한 손길로 한결같이 할아버지를 돌본다. 사랑과 죽음에 대한 짧고 아름다운 이야기. A young director is documenting the last days of his grandfather’s daily life. His grandmother takes 스베레 크벰 Sverre Kvamme Norway | 2016 | 26min | DCP | Color AP
care of the grandfather in a humorous and caring way. The topic is love and death.
다큐패밀리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3 Docs Family Shorts 3
59 45min
G
206 9/24 11:00 MP1 318 9/25 15:30 MB2 706 9/29 13:30 MB2
눈을 감으면 Drawing For Better Dreams <눈을 감으면>은 9-12살 사이의 팔레스타인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바탕으로 만들어 졌다. 그림은 참혹한 전쟁이 일어난 점령지에 살았던 아이들의 마음속으로 관객들을 이끈다. 크레용으로만 그린 단순한 그림이지만, 아이들이 매일매일 겪었을 전쟁의 참혹함이 고스란히 살아난다.
메이 오다하 May Odeh, 디아 에자흐 Dia Azzeh Palestinian territories | 2015 | 4min | DCP | Color DOK Leipzig 2015
By using images drawn by Palestinia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9 and 12, Drawing for Better Dreams takes us to the Occupied Territories and into the minds of the kids who live there under siege. By animating the simple crayon drawings, this moving film conjures up the struggles faced by Palestinian children on a daily basis, and demonstrates the power of—and need for—allowing young people to dream.
KP
테픽, 넘어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어
Asylum Child. Tefik, When You Fall, You Get Back up Again 코소보 출신인 소년 테픽의 가족은 집시라는 이유로 받아야 하는 차별과 학대를 견딜 수 없어 덴마크의 난민 캠프로 도망쳐 왔다. 테픽은 따돌림을 당하지만, 마음에 상처를 입고 앓아 누운 엄마와 걱정이 많은 아빠에게는 그 사실을 말할 수 없다. 테픽은 그저 창문 너머로 자신의 모습을 지켜보는 아빠를 위해 얀닉 하스트로프 Jannik Hastrup Denmark | 2014 | 10min | DCP | Color DOK Leipzig 2015 AP
열심히 자전거 묘기를 연습할 뿐이다. Tefik from Kosovo is living with his father and traumatized mother in a refugee camp in Denmark. They were harassed. Maybe because they are Roma gypsies then they have fled from Albania. Tefik is now being bullied by other kids at school but he won't tell his dad because he is having enough worries with the mother who is sick. Tefik is very good at riding his bike. It makes his father happy when Tefik makes tricks on his bike.
살아있는 숲 The Living Forest 에콰도르 아마존 사라야코 지역에 살고 있는 소녀 니나는 조상 대대로 ‘살아 있는 숲’에서 동식물과 유기적으로 공존하며 살고 있는 키치와족의 일원이다. 하지만 숲을 개발하려는 석유회사의 위협은 끝이 보이지 않고, 키치와족은 숲을 지키기 위해 아주 특별한 카누를 만들어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열리고 있는 파리로 향한다. 마크 실버 Marc Silver
The Kichwa tribe in the Sarayaku region of the Amazon in Ecuador believes in the ‘living forest’,
UK | 2015 | 9min | DCP | Color
where humans, animals and plants live in harmony. They are fighting oil companies who want to
AP
exploit their ancestral land, and have been doing so since Nina Gualinga was a child. A delegation of indigenous people, including Nina, went to the Paris COP21 climate conference to make sure their voices were heard. Along with other indigenous groups, they sailed down the Seine in a specially-constructed canoe.
집처럼 따스한 별 아래 Under the Stars I Felt at Home 아픈 엄마와 단 둘이서 네덜란드의 작은 방에 살고 있는 일리아는 고향인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고 싶다. 비록 전쟁 중이었지만, 고향에서의 삶은 풍족하고 행복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형과 할아버지가 탈레반의 손에 죽고, 이들은 떠날 수밖에 없게 된다. 난민으로서의 삶을 일리아는 다른 또래 친구들에게도 보여주고 싶다. 안느루 판 헤임스트라 Anneloor van Heemstra
Ilia is homesick, he longs for all the happiness he used to know.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war, his life was almost normal in Afghanistan until the Taliban killed his brother and grandfather.
Netherlands | 2014 | 22min |
Then everything changed forever. Now he is living in the Netherlands, along with his sick mother,
DCP | Color
in a small room. The other family members are not allowed to stay with them. Living in an asylum
IDFA 2014
seekers’ home is downright rotten, Ilia feels. He wants to show this to other children.
DOK Leipzig 2015 KP
다큐패밀리
Docs Family
다큐패밀리 단편 4 Docs Family Shorts 4
60 48min
G
105 9/23 10:30 MBT 317 9/25 14:00 MP3 621 9/28 20:30 MBT
로봇 강아지, 아이보 The Dog 만약 당신이 키우는 강아지가 살아있는 생명체가 아니고 로봇이라면? 소니(Sony)가 로봇 애완견 ‘아이보’의 생산을 중단하자, ‘아이보’를 마치 자식처럼 키운 노부부는 가족의 일부가 되어버린 애완 로봇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한다.
드레아 쿠퍼 Drea Cooper, 재커리 케인퍼리 Zackary Canepari USA | 2015 | 8min | DCP | Color
When Sony stopped manufacturing replacement parts for its Aibo pet robot, owners scrambled to save the robot-dogs that had become part of their families.
Hot Docs 2016 Sheffield Doc|Fest 2016 AFI Docs 2016 AP
아버지의 유산 Heritage 시한부 선고를 받은 크리스티앙은 새로 태어난 아들 필립과 지낼 시간이 1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슬퍼한다. 하지만 그 1년이 아들 필립에게 자신을 알려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 크리스티앙은 아들을 위한 선물을 준비한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영화이자, 아버지가 아들에게 남기고자 하는 것에 대한 영화. 샬롯 티스-에반슨 Charlotte Thiis-Evensen Norway | 2015 | 21min | DCP | Color
Christian has one year left to live, one year to get to know his newborn son Philip, and on year to make sure Philip will have a chance to get to know him. Heritage is a film about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what is important to bring on to your son, what is important to inherit from you father.
DOK Leipzig 2015 AP
꿈으로 가득한 Full of Dreams 열 살 소녀 안나는 8명의 지적장애인들과 함께 ‘토마스하우스’에 살고 있다. 밥, 올리비아 등 친구들과 함께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을 꾸는 이들에게 꿈을 실현할 기회가 찾아온다. 함께 밴드를 결성, 이웃의 바비큐 파티에서 첫 공연을 하기로 한 것. 미래의 꿈에 대한 노래와 가사를 쓰는 것을 시작으로 이들의 유쾌발랄 한 공연 준비가 시작된다. 마린카 드 욘 Marinka de Jongh
Anne(10) lives together with her family in a house with eight mentally disable people, a so-called
Netherlands | 2015 | 19min |
‘Thomashuis’. With two of her housemates, Bob(24) and Olivier(25) she dreams of becoming
DCP | Color
world-famous. And this doesn’t stop with dreaming, because together they decide to form a band.
IDFA 2015
Their first gig is already set up. In two weeks there will be a neighborhood barbecue. When they
AP
write a song about their dreams for their future, they thinking: will the future of Bob and Olivier be very different from Anne’s?
다큐초이스 Docs Choice
다큐멘터리가 갖는 다양한 가치들을 확대하고자 음악,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미술, 역사 등 다른 분야의 전문가가 큐레이터로 8회
invites the experts from other fields of music, art,
DMZ국제다큐영화제에 참여한다. 올해에는 역사학자 후지이 다케시, 싱어송라이터 요조, 미술평론가 임근준a.k.a이정우가 큐레이터로 참여해, 자신들의 관심사를
history and so on as curators, in order to spread various values of the documentary, in the Docs Choice. This year, historian Fujii Takeshi, singersongwriter Yozoh, and art critic Geun-jun Lim a.k.a
추천 다큐를 통해 관객들과 나눈다. 역사학자 후지이
Chung-woo Lee participate in the event and share
다케시는 오가와 신스케의 산리즈카 3부작과 <산리즈카에
their concerns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ir
살다: 나리타 이야기>를 통해 옥바라지 골목 철거 등 거주민
recommended documentary films. Fujii Takeshi
생존권과 역사적 가치를 훼손하는 무분별한 재개발이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요즘, 저항의 역사를 되새긴다.
recommends a total four films, three of ‘Sanrizuka Series’ and The Wages of Resistance: Narita Stories and invites the audience to remember a history
싱어송라이터이자 종로구 계동의 ‘무사’라는 이름의
of resistance in this present when takes place the
책방을 운영하고 있는 뮤지션 요조는 작가 사노 요코에
arbitrary redevelopment destroying historical value
대한 다큐멘터리 <백만 번 산 고양이>와 대만의 독특한
and the right to live for residents all over the place.
책방을 담은 작품을 통해 ‘책’과 ‘서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미술평론가 임근준a.k.a.이정우는 사진과 미술 등의
Yozoh, who is also an owner of the bookstore named ‘Musa’, talks about the books and bookstores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Cat that Lived a Million
영역에서 활약한 예술가들을 조망하는 다큐를 통해 미술과
Times devoted to a writer Sano Yoko and two
사진, 현대 예술의 궤적을 쫓는 기회를 마련한다.
documentaries dealing with special bookstores in Taiwan. Geun-jun Lim a.k.a Chung-woo Lee creates an opportunity to chase the trajectory of the modern arts and the photography with a documentary devoted to the artists who had taken active works in the field of art and photography.
다큐초이스
후지이 다케시's
Choice
Docs Choice
62
21세기 한국엔 중앙권력에 대항하는 지역투쟁이 많이 일어난다. 밀양, 강정부터 재개발에 반대하는 운동들이 그러하다. 일본 최대의 지역운동이였던 산리즈카 투쟁이 시작된지 올해로 50년째이다. 오가와 신스케는 당시 7편의 산리즈카 시리즈를 제작했다. 그 중 3편과, 45년 만에 다시 산리즈카를 찾아가 지금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까지, 당시의 투쟁과 그 이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들은 우리가 투쟁을 어떻게 진행하고, 바라보아야 할지 다양한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In Korea of the 21st century has taken place a number of the local struggles against the author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struggles in Miryang and Gangjeong, and the campaigns to protest the redevelopment in different areas. It's the 50th year since the Sanrizuka struggle, the biggest local campaign in Japan, began in 1966. Ogawa Shinsuke had made the ‘Sanrizuka Series’ composed of seven films at those
후지이 다케시 Fujii Takeshi
times. From three documentary films of the series to a recent film, which revisits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Sanrizuka in 45 years and shows the current life of the people once in resistance
Researcher of The Institute for
against the state (The Wages of Resistance: Narita Stories ), the films devoted to the
Korean Historical Studies
past and the present at Sanrizuka giv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how we should continue the struggles and from which perspective we should see them.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의 여름 Summer in Narita
12
425 9/26 19:00 MB3 TK 617 9/28 18:30 MB3 LT
1968년은 전세계에서 학생과 노동자들의 투쟁이 일어난 해이다. 일본의 나리타현 산리즈카 마을에서는 주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시작된 새 도쿄 공항 건립 계획에 대한 저항이 일어난다. 8년 동안 7편이 만들어진 나리타(산리즈카) 시리즈의 첫 번째 영화로 오가와 신스케는 모든 컷을 농민의 대열에서 농민의 시각으로 촬영했다. 오가와 신스케 Ogawa Shinsuke Japan | 1968 | 108min | DVCAM | Color
In Narita, Japan, residents of the farming village Sanrizuka rose up in protest against the New Tokyo International Airport Project that had been decided upon without any respect to local concerns. This film is the first in Ogawa Productions’ eight year, seven-films Narita (Sanrizuka) Series. Ogawa said about this film: “All the shots were taken from the farmers’ side—we were always amongst them, shooting from their perspective. Even when we were shooting the authorities, we shot everything, face-on and also in contrast to this.”
산리즈카 - 제2요새의 사람들 Narita: Peasants of the Second Fortress
12
324 9/25 15:30 MP3 708 9/29 13:00 MB7
나리타 시리즈의 네 번째 이야기. 나리타 공항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산리즈카 농부들의 투쟁이 3년째 계속되고, 정부와 공항공사는 농지 강제 집행을 진행하고 있다. 불도저와 경찰력을 동원해 농민들의 바리케이트를 파괴해버리고 농민들과 학생들을 무차별 습격하는 공권력에 맞서 마을의 여성들은 바리케이트에 서로 몸을 묶고 “우리가 여기 있다. 우리 땅과 함께 우리를 죽여라!” 하고 외친다. 오가와 신스케 Ogawa Shinsuke
The fourth installment of the Narita Series, made during the third year of the Sanrizuka farmers’
Japan | 1971 | 143min | DVCAM |
struggles against the authorities over the Narita Airport Project. At that time, the prefectural
B&W
and airport authorities began using bulldozers and riot police to clear and destroy the farmer’s barricades and ‘fortresses’. The women of the villages chained themselves to the barricades and one another, and taunted the government forced, yelling “Here we are, hog-tied—why don’t you kill us with our land?”
다큐초이스
Docs Choice
63
산리즈카 - 헤타 마을 Narita: Heta Village
12
337 9/25 18:30 MP3 714 9/29 15:30 MB8
나리타 시리즈의 여섯 번째 이야기. 6년째 계속된 투쟁은 주민들의 일상이 되었다. 많은 주민들이 두 번째 강제집행 때 체포되었고, 오가와 프로덕션이 머무르던 헤타 마을에선 젊은 농부가 자살한다. 영화에서 카메라는 이전처럼 투쟁의 현장을 쫓아가는 것에서 벗어나 주민들의 생활 속으로 들어가 마을 주민들의 생활 리듬과 문화를 보여준다. 투쟁 현장을 쫓기보다 주민들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들에 집중하는 오가와 오가와 신스케 Ogawa Shinsuke Japan | 1973 | 146min | DVCAM | B&W
신스케 감독의 스타일 변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The sixth installment of the Narita Series. The prolonged struggles went on for the sixth year. The struggles had become part of protestor’s daily lives. Many protestors were arrested and in Heta village, where Ogawa Productions installed their base, a young farmer had committed suicide. This film marks the transition of Ogawa’s style and subject matter: instead of following political events, Ogawa concentrated more and more on the life of the protestors as an inheritance from the past, the present as a vestige of history.
산리즈카에 살다: 나리타 이야기 The Wages of Resistance: Narita Stories
G 417 9/26 16:00 MB3 704 9/29 11:00 MB8
1966년 나리타 공항 건설에 반대했던 산리즈카 주민들의 투쟁은 전국적인 지원 속에서 일정 정도 승리했고, 산리즈카는 격렬했던 정치적 투쟁의 상징처럼 되었다. 45년이 지난 후, 다시 찾은 산리즈카엔 몇몇의 주민만이 남아 비행기 소리 속에서 농사를 짓고 있고, 땅을 버리고 떠나야 했던 많은 이들은 눈물로 아쉬움을 이야기한다. 뜨거운 투쟁과 아름다운 전원 풍경이 공존하던 과거와 머리 위 제트 다이시마 하루히코 Daishima Haruhiko, 오츠 코시로 Otsu Koshiro Japan | 2014 | 140min | HDCAM | Color/B&W TIDF 2014
엔진소리가 쉬지 않고 들리는 현재의 모습이 대조적이다. 45 years from the violent anti-airport movement, farmers defy Japan’s amnesia by choosing their own lives of resistance.
다큐초이스
임근준 a.k.a이정우's Choice
Docs Choice
64
전설적인 미술학교였던 블랙 마운틴 컬리지를 되돌아보며 미술교육을 되짚어 보는 <블랙 마운틴 컬리지>, 1980년대 명성과 악명을 동시에 얻은 사진가 로버트 메이플소프와 그의 연인이자 후원자인 샘 와그스탭의 남다른 삶을 통해 그 시대 뉴욕 현대예술계의 단면을 볼 수 있는 <블랙 화이트+그레이>, 현대미술가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인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회화> 이 작품들을 통해 미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영화적 시도를 살펴볼 수 있다. Fully Awake: Black Mountain College a chance to reflect on a legendary art school 'Black Mountain College' and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rt education,
Black White+Gray: a Portrait of Sam Wagstaff and Robert Mapplethorpe revealing an 임근준a.k.a이정우 Geun-jun Lim a.k.a Chung-woo Lee 미술·디자인 평론가 Art critic
aspect of the contemporary art world in New York though the relation between Robert Mapplethorpe, artist gaining both fame and notoriety in 1980s, and Sam Wagstaff, his lover and patron, and Gerhard Richter-Painting a documentary showing the creative process of Gerhard Richter,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contemporary art. Through these documentaries, we could see the new perspectives and the features of cinematic technique applied in the field of art.
15
블랙 화이트 + 그레이 Black White+Gray: A Portrait of
KP
224 9/24 17:30 MB2 322 9/25 15:00 MP1
Sam Wagstaff and Robert Mapplethorpe
1970-80년대 뉴욕시의 예술계는 새로운 기운으로 활기가 넘쳤고 그 중심에는 로버트 메이플소프가 있었으며 그의 뒤에는 연인이자 후원자였던, 미술수집가이자 큐레이터인 샘 와그스탭이 있었다. 로버트는 사진 작업을 통해 경이로운 이미지들을 포착하고, 예술계의 중심에 서게 된다. 두 사람의 관계와 작품들을 제임스 크럼프 James Crump USA/Switzerland | 2007 | 76min | Digibeta | Color/B&W
통해 그 당시 뉴욕 예술계의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다. Documentary portrait of Art Collector & Curator Sam Wagstaff, controversial photographer Robert Mapplethorpe, and musician Patti Smith.
Tribeca Film Festival 2007
G
블랙 마운틴 컬리지 Fully Awake: Black Mountain College
AP
230 9/24 19:30 MB2 Q&A 314 9/25 13:00 MP1 Q&A
블랙 마운틴 컬리지는 1933년에서 57년까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있었던 실험적인 예술학교에 대한 다큐멘터리이다. 영화는 이 학교에서 이루어진 급진적인 예술교육이 20세기의 수많은 중요한 미국 예술가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 보여준다. 캐서린 데이비스 좀머 Cathryn Davis Zommer,
Fully Awake: Black Mountain College is a documentary film about the experimental college based in North Carolina from 1933 to 1957, and how its progressive pedagogy influenced many of America’s most important twentieth-century artists.
닐리 도슨 Neeley Dawson USA | 2008 | 60min | DCP | Color/B&W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회화 Gerhard Richter-Painting
G 329 9/25 17:00 MP1 TK 705 9/29 11:00 MBT
지난 반세기 동안 현대 미술의 거장으로 이름을 알려온 예술가 게르하르트 리히터. 언론의 노출을 극도로 꺼리는 그는 이례적으로 코린나 벨츠 감독이 자신의 아틀리에에 오는 것을 허락한다. 감독은 2009년 여름 6개월 동안 지속된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추상화 시리즈가 창작되는 과정을 카메라에 담으며 거장의 작업을 세밀하게 기록한다. 코린나 벨츠 Corinna Belz
For almost five decades Gerhard Richter has been one of the world’s most significant artists. The
Germany | 2011 | 97min | DCP | Color
media-shy painter granted filmmaker Corinna Belz access to his studio where he was working on a
Toronto IFF 2011
series of large abstract paintings over six months in the summer of 2009. Gerhard Richter Painting gives us rare insights into the making of these paintings and the work of the artist. A penetrating portrait of an artist at work—and a fascinating film about the art of seeing.
다큐초이스
요조's Choice
Docs Choice
65
책방을 운영하는 요조는 책과 책방에 대한 다큐를 추천한다. 작가 사노 요코에 관한 다큐인 <백만 번 산 고양이>는 사노 요코와 책을 읽는 여성, 그리고 아이들을 통해 삶이란 무엇인지 곱씹게 한다. 대만의 특별한 네 곳의 서점을 통해 책을 사랑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책방의 풍경>은 책을 향한 다양한 사랑을 체험할 수 있는 다큐이다. <퀴어 서점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를 통해서는 10년 넘게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책방의 모습을 통해 주인장의 열정을 느낄 수 있다. Yozoh, an owner of bookstore, recommends the documentaries about books and bookstores. The Cat that Lived a Million Times devoted to a writer Sano Yoko gives a chance to think about what the life is through Sano Yoko, a woman reading books
요조 Yozoh 싱어송라이터, 배우, 라디오 DJ, 작가이자 독립서점을 운영하고 있는 책방주인. Singer-songwriter, Radio DJ, Writer and owner of an independent bookstore
and children. Poetries from the Bookstores , teaching how to love books through four special bookstores in Taiwan, makes us to experience a variety of ways to love books. And we could share the enthusiasm of the owner for his unique bookstore celebrating the 10th anniversary, through Welcome to My Queer Bookstore.
백만 번 산 고양이 The Cat that Lived a Million Times
G 217 9/24 13:30 MP3 710 9/29 13:30 MBT
영화는 사노 요코의 대표작인 그림책 『백만 번 산 고양이』를 소리 내어 읽으며 사람들이 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암 선고를 받은 작가 사노는 얼마 남지 않은 삶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간다. 공통점이 없는 이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것은 사노의 책이다. 영화는 또한 사노가 지냈던 베이징과 도쿄의 풍경을 통해서 죽음의 그림자와 새로운 생명의 풍경을 담아낸다. 고타니 타다스케 Kotani Tadasuke
While reciting her masterpiece picture-book The Cat That Lived a Million Times , people talk about
Japan | 2012 | 91min | DCP | Color
their views of life and death. On the other hand, Sano is slowly heading to the death. The camera captures both Sano and the people talk about their lives. The only connection between them is the book. The film also tries to capture the shadow of ‘death’ and even new ‘life’ in scenes of Tokyo, Kita Karuizawa, and Beijing; Places where Sano has lived in her life.
다큐초이스 단편 Docs Choice Shorts
33min
12
229 9/24 16:00 MP3 TK 715 9/29 15:30 MBT
책방의 풍경 Poetries from the Bookstores 독립서점을 운영하는 서점 주인의 삶과 믿음에 관한 다큐멘터리. 서점 자체의 아름다움과 서점 주인이 삶을 통해 추구하는 바를 21세기 타이완의 독서 풍경들을 통해 보여준다. 영화에서 서점들은 거대하고 어두운 우주 속에서 홀로 빛나는 별과 같다. 서점 주인들의 굳건한 믿음 뒤에 있는 시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기 위해 영화는 그들을 인터뷰하고 일상을 담아낸다.
허우 치잔 Hou Chi-jan
A documentary of indie bookstores and bookstore owners’ attitude toward life and beliefs. To grasp the
Taiwan | 2015 | 14min | DCP | Color
beauty of the bookstore itself and the life pursuit of bookstore owner, the documentary featured several
KP
short films to highlight the atmosphere of book reading of Taiwan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se bookstores are like stars that shine in the darkness of the great universe. We interviewed and followed each owner's daily life and try to reveal the poetic beauty that lies behind their solid beliefs.
퀴어 서점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Welcome to My Queer Bookstore 타이완의 타이페이에 있는 진진의 서점은 중화권의 유일한 LGBT 관련 서점이다. 감독은 이 상징적인 장소가 불러일으킨 소송 및 논쟁과 함께 다양한 포럼, 책 사인회, 퀴어 영화 홍보 행사 등 서점의 일상을 소개한다. 레리 퉁 Larry Tung Taiwan | 2009 | 19min | DCP | Color AP
Located in Taipei, Taiwan, Gin Gin’s Bookstore is the one and only bookstore dedicated to the LGBT community in the Chinese-speaking world. The director explores the lawsuits and the discussion this iconic space has ignited, as well as its place in gay culture: hosting numerous public forums, book sign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for gay films and television shows.
특별기획 Special Focus
66
올해 특별기획에서는 지난해 말 '12.28 한일 일본군 위안부
The Special Focus of this year has the opportunity to
합의'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reflect on the issue of the 'Comfort Women' through the
다큐멘터리를 통해 성찰해보고자 한다. 1973년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이 제작한 <가라유키상>, 1979년 야마타니 테츠오 감독이 만든 <오키나와의 할머니>, 2015년 도이 토시쿠니 감독이 만든 <기억과 함께 살다>는 일본
documentary, which has become the big social issue due to 12·28 Agreement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Comfort Women) issue during the Korean-Japan Ministerial Meeting at the end of the 2015. It presents the documentary films by Japanese Filmmakers,
감독들이 제작한 위안부 여성에 대한 다큐멘터리이다.
devoted to the Comfort Women such as Karayuki-
대만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과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San, the Making of a Prostitute by Imamura Shôhei,
현재를 담은 두 편의 다큐멘터리와 중국에서 제작된 <22>, 재일교포 2세 박수남 감독의 <침묵> 등을 통해 아시아 각국에서의 위안부 피해자들의 목소리에
Okinawa no Harumoni by Yamatani Tetsuo and Living with the “Memories” by Doi Toshikuni. And also present two documentaries that depict the testimonies of Taiwanese Comfort Women and their current life of
주목함은 물론, 전쟁과 폭력이라는 여성들의 경험이
healing the trauma, 22(Twenty Two) made in China,
한 국가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아시아의 여러 다른
and The Silence by Park Su-nam, a second-generation
지역을 가로지르며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군위안부에 대한 집단 기억과 재현, 아시아에서의 군위안부 재현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는 토론의 장도
Korean Japanese director, through all these films, we coul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voice of the Comfort Women as victims in the countries of Asia, but also confirm that the women's experiences of war
함께 마련된다. <동학농민혁명 고추와 라이플 총>은
and violence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 of the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화하는 과정에서 동학 농민군을
individual countries but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진압했음을 폭로하는 다큐로, DMZ국제다큐영화제의
crossing the borders of the countries in Asia. Along with
특별제작지원작이다.
screening them, the Special Focus will hold a forum to examine the collective memory and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mfort Women and the past and present of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Asia. In addition Peasant Revolutionary Dynamics, Pepper
and Rifle , a documentary that reveals that Japan suppressed Peasant Revolutionary army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of Joseon, was received the special production support of the DMZ Docs Fund and will also be screened in the Special Focus.
특별기획
Special Focus
67
특별기획 1 Special Focus 1 G
동학농민혁명 고추와 라이플 총
WP
325 9/25 17:00 MB2 Q&A 516 9/27 15:30 MB2 Q&A
Peasant Revolutionary Dynamics Pepper and Rifle 영화는 지금으로부터 120년 전 한반도에서 농민들이 주도한 민주화 운동인 동학농민혁명을 현재로 불러온다. 조선관군은 농민들의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일본군과 협력해 농민들을 살육했고 이것을 빌미로 일본군은 한반도에서 청·일 전쟁을 일으켰다. 유족과 학자, 지식인들로부터 수집한 증언을 토대로 마에다 켄지 Maeda Kenji
한국 전역을 찾아 다니며 동학혁명의 흔적과 갈등의 현장을 취재했다.
Japan | 2016 | 110min | DCP | Color
The film recalls at presen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 peasant-led democracy movement
2016 DMZ Docs 특별제작지원
on the Korean Peninsula a hundred twenty years ago. The royal forces of Joseon cooperated
다큐 프로젝트
with Japanese forces to crackdown on the democracy movement, and slaughtered the peasants. Japanese forces, taking this opportunity, started the Sino-Japanese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e traveled all across Korea and recorded the trac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scenes of strife on the basis of the testimonies of the bereaved and the scholars.
특별기획 2 Special Focus 2 22 22(Twenty Two)
15
202 9/24 10:30 MB3 Q&A 713 9/29 16:00 MB7
중국에 사는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의 삶에 대한 기록이자, 기억의 기록. 2차 세계대전 당시 중국에서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 갔던 희생자 20만명 중, 현재 생존자는 단 22명뿐이다. 조선에서 일본군에게 끌려갔다가 돌아가지 못하고 중국에서 평생을 살아온 할머니, 중국 내 소수민족 출신 할머니, 독립군으로 활동하다가 일본군에게 끌려간 할머니의 삶은 한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과 중국, 일본, 아시아의 여러 궈 커 Guo Ke
다른 지역을 가로지르며 연결된다.
Korea, China | 2015 | 112min |
The memories and lives of the few surviving Japanese ‘comfort women’ living in China. Of the
DCP | Color
200,000 victims taken as comfort women by the Japanese army during World War II, only 22 remain
Moscow IFF 2016
in Mainland China. As though not wishing to trespass on their lives, the camera approaches them
Chinese Visual Festival
slowly, tightly controlled, silently listening and watching. Crystal clear memories and memories long
Jury Award, Audience Award 2016
since forgotten; stories that want to be told, and at the same time be kept silent. That gap says more than words ever could.
12
가라유키상 Karayuki-San, the Making of a Prostitute
KP
302 9/25 11:00 MB3 INT 504 9/27 10:30 MB8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각지로 파견된 일본인 창부 집단을 가리키는 말 ‘가라유키상’. 다이쇼 시대 초에 ‘여현’(에도 시대의 뚜쟁이)에게 속아 싱가포르에 홀로 끌려온 ‘가라유키상’의 이야기를, 선도 키쿠요 씨와 함께 그녀의 발자국을 더듬으며 들어보는 작품.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은 일본으로 돌아와 그녀의 고향을 찾아보고 그로 인해 고뇌가 가득한 경험을 이야기하는 이마무라 쇼헤이 Imamura Shôhei Japan | 1973 | 75min | HDCAM | Color
그녀의 사정이 이해되기 시작한다. ‘Karayuki-San’ is the name given to Japanese women sent to serve as prostitutes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in Southeast Asian,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Taisho period. The film depicts the life of a Karayuki-San who was trafficked and brought to Singapore by Zegen (matchmaker) in the early years of the Taisho period through interview with Kikuyo. Imamura Shôhei, only after having returned to Japan and visited her hometown, could more deeply understand her experiences full of troubles.
기억과 함께 산다 Living with the "Memories"
G 121 9/23 16:00 MB2 403 9/26 11:00 MB7 Q&A
‘나눔의 집’은 일본 제국주의 시절 위안부였던 한국 할머니들이 함께 살아가는 시설이다. 감독이 ‘나눔의 집’을 처음 방문했을 때는 1994년 여름이었다. 할머니들과 만나 이야기들을 들은 후, 그는 일본 저널리스트로서 할머니들에 대해 더 알 필요를 느꼈다. 4개월이 지난 후, 그는 할머니들의 목소리와 삶을 기록하기 위해 카메라를 들고 ‘나눔의 집’을 다시 찾는다. 도이 토시쿠니 Doi Toshikuni
‘The House of sharing’ is a facility where Korean women who were ‘Comfort Women’ under the
Japan | 2015 | 215min(1부 124min,
Japanese Imperial now live together. The director visited ‘House of Sharing’ for the first time in the
2부 91min) | DCP | Color
summer of 1994. After meeting the ‘Halmoni’ and listening to their stories, he realized he needed to get to know them better, as a Japanese journalist. Four months later, he headed to the House of Sharing again—this time with a camera—so that he could record the voice and lives of the Halmoni.
특별기획 G
Special Focus
68
오키나와의 할머니 Okinawa no Harumoni
IP
312 9/25 12:30 MB8 INT 422 9/26 17:30 MBT
야마타니 테츠오 감독은 1977년 7월 한국 위안부를 찾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는 일본에서 수학한 최창규라는 건축가를 만나게 된다. 일본제국의 엔지니어로 중국에 파견되었던 그는 위안부였던 한국 소녀들의 심각한 환경을 직접 목격하고 충격을 받는다. 야마타니는 예전에 위안부였으며 현재 오키나와에 살고 있는 한 한국 여인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다. 그는 오키나와 남부 사탕수수밭의 작은 오두막 집을 야마타니 테츠오 Yamatani Tetsuo Japan | 1979 | 86min | DCP | Color
방문하는데…. Director Tetsuo Yamatani begins to look for the woman, who was a 'comfort woman' in Korea from July, 1977. And he meets Choi Chang Gyu, the architect who learned in Japan. He was dispatched in China as an engineer of the Japanese army and knew the severe circumstances of young Korean women who were a ‘Comfort Woman’ in his own eyes there. Yamatani obtained the information that a Korean former ‘Comfort Woman’ was living in Okinawa. He visited a small hut in the cane field of South Okinawa.
G
50년간의 비밀: 대만 위안부이야기
KP
A Secret Buried for 50 Years: The Story of Taiwanese Comfort Women 401 9/26 11:00 MB2 703 9/29 11:00 MB7
대만 위안부 생존자들의 고통과 슬픔을 최초로 드러낸 작품. 13명의 위안부는 그들의 가장 깊숙한 곳의 비밀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그녀들의 고통스러운 증언을 통해 일본 군대의 여성에 대한 착취가 드러난다. 골든 호스 영화제에서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한 이 영화는 대만 사회를 뒤흔들며 거대한 반향을 양 지아원 Yang Jia-yun Taiwan | 1998 | 82min | DVD | Color
이끌어냈으며, 그 이후 연작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The first documentary film in Taiwan revealing the pain and sorrow of Taiwan comfort women survivors. A total of 13 comfort women revealed their deepest secrets in the film. Their harrowing testimony exposed the Japanese military’s torturous exploitation of women. Named the best documentary at the Golden Horse Film Festival during the year it was released. The stories it tells have shaken the Taiwanese society and hence created a series of chain reactions with a great amount of attention ever since.
침묵 The Silence
G 303 9/25 10:30 MB7 Q&A 427 9/26 18:30 MB8 TK
G
1994년 5월 일본에 찾아온 15명 위안부 피해자들이 있었다. 그 대부분이 세상을 떠났으나 중심에 언제나 장구를 치며 앞장 섰던 이옥선 씨는 지금 속리산에 살고 있다. 반세기의 한을 증언한 이옥선 씨들을 밀착해 기록한 소중한 영상들이 살아 있는 피해자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In May 1994, the fifteen victims ‘Comfort women’ visited Japan. Most of the victims have passed 박수남 Park Su-nam
away, but Ms. Lee Ok-sun, who has always led the way with playing the janggu, live in the Sokli
Japan, Korea | 2016 | 100min |
Mountain now. The precious footage, recording close to Ms. Lee Oksun who testifies her deep
DCP | Color
resentment for half a century, shares the message from a surviving victim.
갈대의 노래 Song of the Reed
KP
104 9/23 10:30 MB8 409 9/26 13:00 MB3
가장 끔찍한 트라우마에 사로잡혀 살던 4명의 대만 위안부 생존자들이 용기를 내어 자신의 삶을 직면한다. 대만여성구조재단은 일본 위안부 생존자들을 위해 수 회에 걸쳐 심리치료 워크샵을 조직해 왔다. 같은 경험을 가진 커뮤니티에 의해 지지 받고, 사회적 노동자들과 상담사들의 토닥임을 통해 생존자들은 그들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재건한다. 궁극적으로 이 영화는 피해자가 아닌 생존자로서의 우 허수칭 Wu Hsiu-ching Taiwan | 2013 | 76min | Blu-ray| Color
여성들을 예우하며 그리하여 인간 존엄에 대한 영감을 준다. This film highlights the life stories of four survivors, who had been trapped in the most excruciating traumas before they mustered the courage to face themselves. Over the decades, Taipei Women’s Rescue Foundation has organized several psychotherapy workshops for the survivors of Japan’s military sexual slavery during WWII. Supported by a community of others with the same experiences and embraced by social workers and counselors, these survivors rebuilt their identities and self-esteem. Ultimately, the documentary honors the women as survivors, not victims, and thus, inspiration of human dignity.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지난해 아시아 대학생 교류상영전으로 시작되어, 올해
The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held as a
정식으로 출범한 ‘아시아청년다큐멘터리 공동제작
special exchange screening with student filmmakers
프로젝트’는 국립타이난예술대학, 상하이동제대, 일본영화대학,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생들과 교수진이 참여해 ‘나는 아시아인이다’라는 주제의 옴니버스
in Asia last year, is initiated as a formal section this year. In the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participated the students and professors at Tainan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Tongji University of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4개국의 공동 제작 프로젝트를
Shanghai, the Japan Institute of the Moving Image,
통해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것을 넘어서, 아시아라는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they
공간을 적극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
made an omnibus documentary on the theme of
DMZ Docs 청소년다큐제작워크숍은 청소년들의 다큐멘터리 제작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I'm an Asian'.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Project of the four teams from Asia presents the opportunity to thinks about the space of Asia through making the documentary together.
올해 6년차를 맞는다. 고양영상미디어센터, 교하도서관, 광명시청소년수련관, 부천시민미디어센터,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수원영상미디어센터 6개 지역의 기관과 협력해 총 40편의 수료작이 완성되었다.
The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this year marks its 6th year since initiated in order to vitalize documentary production by the youth, and presents a total of 40 documentary films completed by young participants in collaboration with the youth media centers in six regions, including Goyang, Gwangmyeong, Gyoha, Bucheon, Seongnam and Suwon.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70
아시아청년다큐멘터리 공동제작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나는 아시아인이다 I’m Asian
89min
G
505 9/27 10:30 MBT
리턴 Return 일본의 어느 산지마을에 오래된 집이 있다. 건축된 지 200년도 더 된 그 집에 유모토 시게루는 홀로 살고 있다. 그는 오늘 한국의 예술대학 학생인 이예은의 방문을 받게 된다. 이 영화의 감독이 이 두 사람을 서로에게 소개하지 않았다면 그들은 결코 마주칠 일이 없었을 것이다. 이 오래된 집에 머물게 된 이예은이 자신의 고향과 가족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하기 시작하자, 유모토도 망설임 없이 자신의 과거에 대해 이야기를 하게 된다.
미사와 타쿠야 Misawa Takuya
An old house stands in a mountainous village in Japan. It has been there for more than two
Japan | 2016 | 32min | DCP | Color
hundred years. Yumoto Shigeru lives there alone. He has a visitor today, Lee Ye-Eun, a student at
WP
an art university in Seoul. The director of this film introduces the two, whose paths would otherwise never cross each other. Being in this old house, Lee starts to remember her hometown and her family, which then prompts Yumoto to talk about his own past.
동지를 위한 행진 Marching for You, Comrade 2015년, 하이디스테크놀로지 한국공장의 노동자들이 타이완 본사의 한국공장폐쇄 결정에 항의하기 위해서 타이완을 방문했다. 이 중년의 한국 노동자들은 타이완의 젊은 사회운동가들과 만남을 가졌다. 그들은 서로 다른 언어로 이야기했지만, 운동가인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부를 수 있었다. 이 영화는 그들이 어떻게 국경을 초월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서로에 대해 알아가게 되고 함께 싸워나가는지를 대만국립예술대학팀 TNNUA team Taiwan | 2016 | 17min | DCP | Color WP
이야기해준다. In 2015, a group of workers from Hydis Technologies Co. in Korea came to Taiwan to protest the plant closure decision of the parent company of Taiwan. These middle age workers from Korea met another group of young social movement activists in Taiwan. They speak different languages, but they can sing the same song ‘Marching for you, comrade’. The film story is all about how they cross borders, learn from each other and fight together.
그림자 놀이 The Shadow Player 리 데렌 놀이단은 주앙 지역에 남은 마지막 그림자 놀이단이다. 이러한 상황은 다른 전통문화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이다. 리 데렌 놀이단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문화 유산을 알리기 위해, TV 쇼에도 출연하고 순회공연도 하지만, 그들은 상품으로 취급될 뿐이다. 결국 그들은 고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리 데렌은 이러한 실패를 인정하고 싶지 않다. 그래서 예전의 그림자 놀이단 친구들을 모아 주앙 바오 만후아 Bao Manhua China | 2016 | 20min | DCP | Color WP
지역에서 뭔가를 도모하려 한다. Shadow player Lee De Ren's group is last one in Zhuang'he County. This is the common situation for Traditional culture. In order to make more people to know this culture heritage, Lee show his shadow play in TV show and made national tour but he and his group's show are treat as merchandise. At last, Lee came back to his hometown. He doesn't want to admit this defeat and organized his old shadow play friends to do something in Zhuang'he County.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71
언더커버 파라다이스 Undercover Paradise 인아와 지니는 지니의 나라, 태국으로 떠나는 한국의 패키지 투어 프로그램에 카메라를 들고 잠입한다. 그 속에서 둘은 무엇을 보게 될까? 그리고 무엇을 보지 못하게 될까? 패키지 투어 속 태국은 한국과 별반 다르지 않았고, 지니는 관광객이 되어 만난 자신의 고향, 태국이 이상하기만 하다. 처음의 설렜던 마음과는 달리 둘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지쳐 가고 미묘한 감정들이 피어 오른다. 최인아 Choi In-a
In-a and Jinny (Supatcha Skultechatana) join package tour from Korea to Jinny’s Home, Thailand.
Korea | 2016 | 20min | DCP | Color
What they will see and what they can’t watch in that Tour? Thailand in Package tour is no different to
WP
Korea and for Jinny, who is Thai, this circumstance is quiet awkward. As time goes by, unlike exciting feeling in first time, they are getting exhausted and feel a growing sense of delicate and unease.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72
청소년다큐제작워크숍 수료작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고양영상미디어센터
38min
Mentor
김준호 Kim Jun-ho
Goyang Media Center
<길> Old Man and the Land (2008) G
WP
하빛나 Ha Bean-na
305 9/25 10:15 MBT Q&A
고양영상미디어센터 미디어교육 보조강사 An assistant instructor of media education
5시 24분 Five Twenty Four
1303
어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한
홈스쿨링을 해오던 나는 진로와
적 없다. 책임감, 불안감 의문 등
홈스쿨링에 대한 고민과 질문을
이런 생각을 정리하고 싶어서
하게 되고 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제작하게 되었다. 방나연 Bang Na-yeon
10min
I never have wanted to be an adult. I make a documentary in order to clear my thoughts of these all such as responsibility, curiosity, anxiety about being an adult and so on.
노력한다. 이승주 Lee Seung-ju
12min
5월은 푸르구나 My Brother Justin
구 Nine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가 즐겁다는
이슬기 Lee Seul-gi
9min
Having been homeschooled, I'm concerned about my career path and homeschooling, and try to come up with a solution.
이유로 우울함을 잊기 위해
어릴 때부터 친했던 사촌 오빠의
친구들과의 여행 계획을 세운다.
사고 후 난 그 사실을 피해왔다.
I make plans for a trip with friends to forget depression, because I'm fun when friends are with me.
이젠 현실을 받아들이고 오빠를 박연수 Park Yeon-soo
7min
기억하려 한다. My cousin, with whom I had been close from childhood, died in an accident, but I didn't accept his passing. Now, I accept reality, and I'm going to remember him.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교하도서관
79min
73
Mentor
이소현 Lee So-hyun
Gyoha Library
<할머니의 먼 집> Dear Grandma (2015) G
WP
안현준 An Hyun-jun
305 9/25 10:15 MBT Q&A
교하도서관 미디어교육 보조강사 An assistant instructor of media education
비둘기 Pigeon
여성혐오가 뭘까? What's Misogyny
비둘기에 대한 사람들의 좋지 못한
길혜주 Gil Hye-ju
5min
이준섭 Lee Jun-seop
13min
이승애 Lee Annie
10min
시선과 그에 대한 인식을 바꾸려는
요즘 사회적으로 여성혐오가
이야기.
뜨거운 논란이 되고있다. 우리가
The film is designed to change the negative thoughts of some people who dislike pigeon.
여성혐오를 알고 있는지 하고 이유신 Lee Yoo-shin
9min
있는지 찍어보았다. Recently, misogyny is a hot button social issue that arouses controversy in Korea. I made a film to find out how people perceive misogyny.
쓰리, 고 Three, GO
멋 Style
꿈이 불투명한 준섭. 꿈이 뚜렷한
멋을 부리기 좋아하는 동생이
재현, 성곤 둘을 쫓아다니면서
자신의 직업에 대해 생각하고
준섭은 변화를 겪는다.
찾아가는 과정.
Jun-seob without clear dream and vision. He experiences the change while spending time with Jae-hyun and Sung-gon trying to achieve their dreams.
엄윤상 Um Yoon-sang
5min
My younger brother, who loves to get dolled up and is interested in fashion, considers the future and tries to choose his career path.
선물 Present
One, the Others
가장 특별하고 가장 사랑스럽고
'나'에 대한 확신이 없는 사람의
가장 귀여운 이 선물이 나를 눈
나에 대해서 알아가는 이야기.
뜨게 한다.
The story is about a young man without self-confidence, who is trying to find his true self.
This most special, lovely and prettiest present lets me wake up.
이승열 Lee Seung-yeol
5min
특별상영
장미소 Jang Mi-so
Special Screenings
74
운전하자. 브레이크 밟지 않고 Drive. Without Brake
그것이 알고싶다, 싸우는 모녀 Matter of Course
자존감이 낮은이유는 뭘까?
엄마와 내가 싸우는 것을 카메라에
나에 대한 관찰일기.
담으면서 내가 고쳐야할 점과 엄마의
What makes me have low self-esteem? This film is an observation report about me.
11min
빈 자리를 느끼는 다큐. 전혜진 Jeon Hye-jin
9min
While documenting with a camera that my mom and I got into a fight, I see my problems that need to be fixed and think of the position of mother.
괴짜할배 Grandpa Geek 할머니한테 혼나면서까지 말썽만 일으키는 괴짜 할아버지의 생각을 알고 싶다.
최현지 Choi Hyun-ji
11min
'Grandpa Geek' still makes trouble, while he even has gotten scolded by grandmother. I want to know what he thinks.
광명시청소년수련관
Gwangmyeong City Youth Center G
69min
WP
Mentor
김보람 Kim Bo-ram <결혼전.투> Struggle before The Marriage (2013) <독립의 조건> Shall we talk? (2014)
313 9/25 13:30 MBT Q&A
이진우 Lee Jin-woo <전봇대, 당신> KT-MAN (2014)
가족휴가는 1년전까지.. Family Holiday until Last Year
기쁘지 아니한가 Not Happy?
고3 언니로 인해 나에게 가족휴가는
드러내는 것이 왜 창피할까? 그 이유에
1년 전까지만 존재했다. 가족과
대해 알아보려 한다.
'아이돌 덕질'을 하는 것을 사람들에게
휴가를 못 가게 된 나는 친구와 함께 이민서 Lee Min-seo
11min
여행을 떠난다. My family has not gone on a vacation for a year since my sister became a high school senior. Therefore I'm going on a vacation with a friend, instead of the family.
서지우 Seo Ji-woo
10min
Would it be a shame that someone reveals oneself an idol group's fan to others? If so, what's the reason? I'm going to find out the reason.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75
내가 고흐에게 To Van Goah
媼媽(온마) Onma
평소 좋아하던 화가인 고흐의
올라온 나. 하지만 아무런 배움도 없고
그림을 보고 묻어두었던 나의
시간이 지날수록 실망감만 쌓인다.
배우고 싶은 것 배우겠다고 서울로
이야기를 꺼내 본다. 박지윤 Park Ji-yoon
6min
임유경 Lim Yu-kyung
11min
After looking at a picture of my favorite painter Goah, I was motivated to talk about my story buried
I came to Seoul in order to learn what I want. But I didn't learn anything and my disappointment grew with time. Me left alone. When I feel like the odd one out, I miss grandmother very much.
별이 되고 싶은 불가사리들 Starfish that Want to Become a Star
나에게 엄마는 늘 다른 존재로
꿈을 이루려고 노력하는 친구들의
다가왔다. 때로는 의지할 수 있는
꿈에 대한 이야기.
존재로, 가끔은 성가신 존재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엄마는 늘 그 자리에 서있었다.
대화의 페달 Pedal of Dialog 대화가 많다고 생각하는 가정,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둘째 아들 사이에서 아버지와 아들은 대화의 페달을 밟는다.
10min
이럴수록 할머니의 빈자리가 시립다.
10min
꽃처럼 아름다운 그대에게 Dear You like a Beautiful Flower
My mother appears to me with different figures each time. Sometimes, as someone I can rely on, sometimes as someone annoying me. Nonetheless, she is always with me.
나요한 Na Yo-han
혼자있는 나. 혼자같은 나. 아, 정말 나수민 Na Su-min
The father thinks that the conversation is lively in the family, but his second son doesn't agree with him. These two start talking back and forth as if they take turns pedaling together on a bicycle.
백유정 Beak Yu-jung
11min
A person trying to achieve their dreams, a person who fails to realize their dreams, and a person having realized their dreams. The stories about their dreams.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수원영상미디어센터
52min
76
Mentor
이창민 Lee Chang-min
Suwon Media Center
<어느 사진가의 기억> Memories of a Photographer (2014) G
WP
오현아 Oh Hyeon-a
313 9/25 13:30 MBT Q&A
<도시의 산책자> Walker In The City (2010)
빅 이슈 Big Issue
여유 Composure
우리는 홈리스에 대해 어떤 편견을
늘 여유로운 삶을 꿈꾼다고
가지고 있을까. 교회에서 만난 ‘안광수
말해왔지만 정작 내 삶은 여유롭지
선생님’을 통해 나와 내 친구들의
않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생각이 점점 바뀌기 시작한다. 김여진 Kim Yeo-jin
10min
What kind of prejudice do we have against the homeless? After my friends and I had met Mr. Ahn Kwang-Soo at a church, our thoughts about the homeless started to change.
나와 주변 그리고 사회를 통해 김찬빈 Kim Chan-bin
알아보려 한다.
8min
I have always said that I want to live at ease, but I could not actually keep my composure. What is wrong in my life? I try to find out the reason through the observation of people around me, myself and the society.
행복 Happy
다이어트 Diet
고등학교에 온 후 새로운 친구들과
사람들은 나에게 다이어트를 하라고
함께 하며 행복했다. 그러나 현재
한다. 나는 다이어트의 필요성을
공부에 지쳐가며 ‘학교는 왜 다니는
느끼지는 않지만 그냥 한번 해
것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정우 Lee Jung-woo
11min
After entering high school, I had been happy with new friends. But now, I get tired of studying and I ask why I should attend school.
일직선 Straight Line 수능, 군대, 취업, 결혼이 일직선으로 이어져 있다 생각한 나는 하루라도 젊을 때 친구들과 추억을 남기려 하는데, 이마저 쉽지 않다. 이만기 Lee Man-ki
11min
I think that life phases will be lined up from the college entrance exam, through entering the military and the job, to marriage with no pause. So I want to make memories with friends in the very flush of life, but it is not easy to do.
보기로 했다. 송지연 Song Ji-yeon
10min
People give me advice to go on a diet. I don't keenly feel the need to diet, but I'll give it a try.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97min
Mentor
박명순 Park Myung-soon
Bundang Jeongja
<농민 Being> Farmer-being (2011)
Youth Training Center G
77
<상록> Evergreen (2014)
WP
김기봉 Kim Ki-bong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청소년활동팀
328 9/25 16:30 MBT Q&A
Member of Youth Service team at Bundang Jeongja Youth Training Center
신미래 Shin Mi-rae
7min
나의 귀여운 달팽이 My Charming Snail
그를 아십니까? Strange but Good
모두들 내가 느리다고 한다. 그러나 나의
나와는 너무도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
소소한 행복까지 포기하면서 그 모습을
서로를 이해할 수 없는 가운데서도
바꿔야하는지 의문을 느낀다. 과연 느리게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순간이 있다.
산다는것이, 한국사회에서 여유있게 사는것으로 받아들여질수 있을까? 우리는 느린 사람들을 이해할 수는 없는걸까?
정이든 Jeong I-deun
10min
People say that I'm slow to act. I wonder whether I should change my way to live at the cost of my small pleasures. To live slowly, could it be accepted as a relaxing lifestyle in Korea? Couldn’t we understand the people slow to act?
미정 Undefined
우리 집 속 정글 In My Jungle
나는 자퇴를 고민하고 있다. 사실 자퇴를
우리집에서 키우고 있는 생물을 가지고
하고 싶진 않다. 자퇴를 하는 것은 단지
영상을 만들어 우리 사람도 이렇게
지금 내 상황을 도피하는 방법이다.
갇혀산다는 것과 이러한 생물들도 우리
부모님과의 갈등을 통해 내 현재 고민을
사람과 서로 간에 이익을 줄수 있구나를
임유진 Lim Yoo-jin
풀어나가는 과정을 담은 영화다.
장윤석 Chang Yoon-suk
6min
I'm thinking about dropping out of school, but I don't really want to do. I know that dropping out of school is just a way to escape from my own reality. The film shows how I resolve my current problems and the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5min
8min
알게해주는 영상이다. I made a film about living things such as animals and plants that my family is keeping at home. The film leads to see that men also are locked in their house like them, and to understand that these living things and men could have a beneficial effect on each other.
태극기에 대하여 경례 About Respect
친애하는 My Dear
우리가 당연히 여기는 것들이
무늬를 소중한 것으로 얻게 되는 과정.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것은 아닐까?
My dearest cat. This cat accepts its brindled coat as a precious thing.
내가 가장 아끼는 고양이. 고양이
내 주변을 통해 찾아 가보기로 하였다. 박시영 Park Si-young
A conversation with people so different than me. There are moments when we could nod to each other, even if we hardly even knew each other.
Could it be right to accept without question things that we take for granted in our everyday lives? I will look for those cases encountered around me.
조하린 Cho Ha-rin
7min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78
좋은 덕후 나쁜 덕후 이상한 덕후 Good Deokhu Bad Deokhu Weird Deokhu
아비앙또 À bientôt 한국 사회에서 불안을 느낀 나는 프랑스 유학을 준비하게 된다.
나의 취미는 꼭 모든 사람의 동의를
주인공을 통해 20대의 우울, 피로를
받아야하는가? 최승민 Choi Seung-min
8min
Do my hobbies need to be approved by all the people?
보여준다. 임표정 Lim Pyo-jeong
8min
광화문에서 In Gwanghwamoon
검은프레임 Black Frame
나는 광화문에 나가 카메라를 들고
그래서 나는 자퇴를 하려고 한다.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아봤다.
근데… 사회는 나를 어떻게 볼까?
고등학교 생활이 너무 무의미하다.
광화문은 서울의 중심이자, 과거부터 허윤 Heo Yun
9min
Anxious for my future in Korea, I'm preparing for studying in France. The film demonstrates twentysomething tired and depressed through the main character.
정치 1번가, 그리고 전세계인들이 모이는 핫플레이스이다. 광화문에서
박승희 Park Seung-hee
7min
알아가는 우리나라. 그리고
Life at high school is all meaningless to me. For that reason, I'm going to drop out of school. But...what will people think of me?
고등학생의 시선으로 바라본 광화문. I go to Gwanghwamun with the camera and see what is happening there. Gwanghwamun is the center of Seoul, the center of Korean politics and also the hot place for sightseeing that tourists visit from all over the world. My country, Korea about which we learn at Gwanghwamun. And Gwanghwamun from a high school student's point of view.
그루잠 Wake up in Deep Sleep
이갈이 Giving off
그들과 함께 한 7일밤.
누구의 잘못일까?
Seven nights with them.
A woman grinds her teeth in her sleep every night. What makes her grind her teeth?
매일 밤 이를 가는 여자가 있다.
심현수 Sim Hyeon-su
장준혁 Chang Joon-hyuk
12min
11min
특별상영
Special Screenings
부천시민미디어센터
33min
79
Mentor
박소현 Park So-hyun
Bucheon Media Center
<야근 대신 뜨개질> The Knitting Club (2015) G
WP
김민형 Kim Min-hyung
328 9/25 16:30 MBT Q&A
부천시민미디어센터 미디어교육 보조강사 An assistant instructor of media education.
학교 그리고 3년 The School and 3 Years
파워프랜즈 Power Friends
3년 간 고등학교에서 잠시 동안의
부원들과 공모전에 참가했다.
행복을 내려두고 힘겹게 살아간다면
하지만 빽빽한 학교 일정과 부원들의
고등학교 3학년인 나는 동아리
과연 미래의 나는 행복할까? 구명준 Koo Myeong-jun
17min
If I give up the pleasure of the moment and just work hard during my high school years, could I be happy in the future?
아버지와 나의 사정 My First Documentary 아버지를 소재로 다큐를 찍던 나, 상영을 앞두고 완전히 망쳐버린 결과물을 내놓게 된다. 왜 나의 한서영 Han Seo-yeong
8min
다큐가 실패했는지 알아본다. I started to make my first documentary about my father, but screwed it up before the screening. I need to know why I failed to complete the film.
행동에 불만을 갖게 된다. 박대혁 Park Dae-hyeok
8min
A high school senior, I decided to participate in a contest with club members. But I become dissatisfied with tight school schedule and the attitude of club members.
부대행사
다큐초이스
1. 다큐초이스 with 요조
1. Docs Choice with Yozoh
내용
Events
A talk time with Yozoh about books and bookstores. She is a singer-song writer, actress, radio DJ and also owner of a bookstore named 'Musa' at Gyedong, Jongro-gu. It is a chance to talk about the life and the ways to love books with Yozoh, through three documentaries dealing with books and bookstores.
Date
September 24 (SAT) 16:00, after screening Docs Choice Shorts (Poetries from the Bookstores + Welcome to My Queer Bookstore )
Program Events
요조와 함께 나누는 책과 서점 이야기! 싱어송라이터이자
Docs Choice
배우, 라디오DJ, 작가이기도 한 요조는 종로구 계동에 ‘무사’라는 서점을 운영하고 있는 책방 주인이기도 하다. 3편의 책과 서점에 관한 다큐를 통해서 요조와 함께 삶에 대해서, 책을 애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보는 시간. 일시
9월 24일(토) 16:00 다큐초이스 단편(<책방의 풍경>+<퀴어 서점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3관
Venue
Megabox Pajubookcity 3
패널
요조(싱어송라이터)
Panel
Yozoh (Singer-songwriter)
2. 다큐초이스 with 임근준a.k.a이정우 내용
임근준a.k.a이정우와 함께 하는 미술과 예술 이야기. 사진작가와 현대미술가, 그리고 예술학교에 대한
2. Docs Choice with Geun-jun Lim a.k.a Chung-woo Lee Events
A special talk on art with Geun-jun Lim a.k.a. Chung-woo Lee. This event is designed to focus on an aspect of the modern art world in New York of the 1970s and '80s and to look at the creative process of artists through the documentaries devoted to the life of contemporary artists and photographers and art schools. It also allows us to reflect on the current art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documentary dealing with a famous art school.
Date
September 25 (SUN) 17:00, after screening Gerhard Richter-Painting
작품들을 통해 7-80년대 뉴욕현대예술계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 실제 미술작업의 과정을 엿보게 된다. 또한 유명했던 예술학교를 다룬 다큐를 통해서 지금의 예술교육을 되돌아본다. 일시
9월 25일(일) 17:00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회화>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1관
패널
임근준a.k.a이정우(미술, 디자인 평론가)
81
Venue
Megabox Pajubookcity 1
Panel
Geun-jun Lim a.k.a Chung-woo Lee (Art critic)
3. 다큐초이스 with 후지이 다케시
3. Docs Choice with Fujii Takeshi
내용
Events
‘Sanrizuka Series’ revisited with Fujii Takeshi. Japanese documentary master Ogawa Shinsuke had recorded the local struggle against the building of Narita International Airport in the 1960s and '70s as ‘Sanrizuka Series’. Fujii Takeshi recalls these series to ask about the way that we look at the current and rising local struggles against the author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Date
September 26 (MON) 19:00, after screening Summer in Narita
Venue
Megabox Baekseok 3
Panel
Fujii Takeshi (Researcher of Institute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
후지이 다케시와 다시 보는 ‘산리즈카 시리즈’. 일본 다큐멘터리의 거장 오가와 신스케는 일본 신도쿄국제공항 건설에 반대해 일어났던 6-70년대 지역운동을 ‘산리즈카 시리즈’로 기록했다. 후지이 다케시는 이를 다시 불러와 현재 새로 떠오르는 중앙권력에 대항하는 지역투쟁을 어떻게 바라볼지 질문한다.
일시
9월 26일(월) 19:00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의 여름>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3관
패널
후지이 다케시(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부대행사
토크
1. 책 읽고 다큐 보고 수다수다!
1. Reading, Watching and Talking!
내용
Events
The eighty days' journey that the father going blind and his son had taken through China, Japan and Russia, to find trace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Their journey was made into a book Jumping on the Peace Train without Ticket in 80 Days and a documentary The Orchid and the Sword . 'Book+ Cinema Talk' with writer Chung Da-hun and director Lim Gyung-hee, close friends and 'chroniclers'. Let's meet two young people with great ardor who try to 'remember' people that have made history for today.
Date
September 24 (SAT) 19:30, after screening The Orchid and the Sword
Venue
Megabox Pajubookcity 1
Panel
Lim Gyung-hee (Director of The Orchid and the Sword ), Chung Da-hun (Author of Jumping on the Peace Train without Ticket in 80 Days )
Program Events
시력을 잃어가는 아버지와 함께 독립운동가들의 흔적을
Talk
찾아 중국, 러시아, 일본을 거침없이 누빈 80일의 기록. 이 여정이 책 『평화무임승차자의 80일』로, 그리고 다큐 <난잎으로 칼을 얻다>로 만들어졌다. 절친한 친구이자 '기록자'인 두 사람, 정다훈 작가와 임경희 감독이 함께하는 시네마+북 토크! 오늘의 역사를 만든 사람들을 ‘기억’하려는 두 청춘의 뜨거운 열정을 만나보자. 일시
9월 24일(토) 19:30 <난잎으로 칼을 얻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1관
패널
임경희(<난잎으로 칼을 얻다> 감독), 정다훈(『평화무임승차자의 80일: 5인의 독립운동가를 찾아
82
대륙을 누빈, 다훈이의 격하게 뜨끔한 여행기』 저자) 공동주최 서해문집
Co-Host Booksea Publishing
2. 재일교포 2세 다큐멘터리스트의 삶과 투쟁
2. The Lives and Struggles of Two Second-generation Korean-Japanese Documentarists
내용
일본 재일교포 2세로 다큐멘터리 작업을 하고 있는 <침묵>의 박수남 감독과 <용왕궁의 기억>의 김임만 감독의 삶과 다큐멘터리 감독으로서의 경험을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의 조경희 교수와 함께 나눈다.
일시
9월 26일(월) 18:30 <침묵>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8관
패널
박수남(<침묵> 감독), 김임만(<용왕궁의 기억> 감독), 조경희(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교수)
Events Park Su-nam of The Silence and Kim Im-man of Yongwanggung: Memories from Across the Water , two second-generation Korean-Japanese documentary directors have a time to share their lives and the experiences that they had as documentarists with KoreanJapanese professor Cho Kyung-hee. Date
September 26 (MON) 18:30 after screening The Silence
Venue Megabox Baekseok 8 Panel
Park Su-nam (Director of The Silence ), Kim Im-man (Director of Yongwanggung: Memories from Across the Water ), Cho Kyung-hee (Professor of 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at SungKongHoe Univ.)
3. 핵마피아 Out, 착한 전기 OK!
3. Nuclear Mafia Out, Good Electricity OK!
내용
Events
Who is the 'nuclear mafia'? Do we need ‘nuclear power plants’? DMZ Docs prepares a time for talking about energy democracy, energy policy and good electricity with the audience, after screening The Nuclear Mafia . Summer 2016 suffering from the heat wave and the progressive stage system of electricity charges, the ev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what has happened behind the scenes.
Date
September 26 (MON) 19:30, after screening The Nuclear Mafia
Venue
Megabox Baekseok 2
Panel
Ha Seung-su (Co-Chief of Green party operation committee), Kim Hwan-tae (Director of The Nuclear Mafia )
‘핵마피아’는 누구인가? ‘핵발전소’는 필요할까? <핵마피아> 관람 후 에너지민주주의와 에너지정책, 착한 전기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마련한다. 폭염과 전기누진제로 고생한 2016년 여름, 그 이면에는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일시
9월 26일(월) 19:30 <핵마피아>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2관
패널
하승수(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김환태(<핵마피아> 감독)
부대행사
토크
4. 침묵, 평화와 치유의 언어
4. Silence, Beckoning of Peace and Healing
내용
Events
How much are we exposed without protection to everyday noises in a big city? A special talk program invites the audience to share the meaning of the silence, a language of zero decibels, for modern people tired of the sound and noise in everyday life.
Date
September 27 (TUE) 18:30, after screening In Pursuit of Silence
Program Events
대도시에 사는 우리는 얼마나 많은 일상 소음들에
83
Talk
무방비로 노출된 채 살고 있는 걸까? 바쁘고 분주한 일상 속 소리와 잡음들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0데시벨의 언어, 침묵의 의미를 나누어 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일시
9월 27일(화) 18:30 <침묵을 찾아서>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3관
Venue
Megabox Pajubookcity 3
패널
패트릭 쉔(<침묵을 찾아서> 감독), 하도겸(칼럼니스트)
Panel
Patrick Shen (Director of In Pursuit of Silence ), Ha Do-gyeom (Columnist)
공동주최
주한미국대사관
Co-Host
U.S Embassy Korea
5. 남북청년들 모여라! 두부밥 토크! 내용
통일이 별건가?!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이야기, 통일. 그래서! 지금, 여기에 있는 남북한의 청년들이 만나
5. Young North and South Koreans, Let’s Get Together! ‘Tofu Rice’ Talk ! Events
Is the unification such a great thing? A theme too delicate to deal with, the unification. Accordingly, we provide a chance to share the special North Korean food ‘Tofu Rice’ and learn about each other for young men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together.
북한의 특식 두부밥을 나눠먹으며 서로를 알아가는 자리를 갖는다. 일시
9월 27일(화) 19: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5층 Open M
패널
엄에스더(유니시드 대표), 조현준(<황색바람> 감독),
Date
September 27 (TUE) 19:00
Venue
Megabox Baekseok 5F Open M
Panel
Uhm Esther(President of UNI Seed), Cho Hyunjun(Director of Yellow Wind), Choi Yun-hyeon (President of Choiguevara Company)
Co-Host
Choiguevara Company
최윤현(최게바라 기획사 대표) 공동주최
최게바라 기획사
부대행사
강연
1. 아름다운 죽음을 위하여
1. Approaching to a Beauty of Death
내용
Events
A special event to watch Twilight of a Life that depicts a story of the 95-year-old mother diagnosed with latestage lung cancer and her son spending her last days together, and then to talk about aging with Koh Gwangae, a writer specializing in the problem of the aged.
Date
September 24 (SAT) 13:00, after screening Twilight of a Life
Program Events
폐암 말기 진단을 받은 95세 어머니와 어머니의 마지막
84
Lecture
여정을 함께하는 아들의 이야기 <남아있는 나날>을 보고, 고광애 노년전문저술가와 함께 나이 듦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자리. 일시
9월 24일(토) 13:00 <남아있는 나날>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2관
Venue
Megabox Pajubookcity 2
고광애(『나이 드는 데도 예의가 필요하다』 노년문제 저술가)
Panel
Koh Gwang-ae (Author of We Need to Know proper Etiquette for Successful Aging )
패널
2. 오가와 신스케와 전후 일본 다큐멘터리 내용
전후 일본에서 활약을 펼친 오가와 프로덕션의 구성원과의 인터뷰, 오가와 프로덕션의 작품 및 전후 일본 다큐멘터리
2. Ogawa Shinsuke and Postwar Japanese Documentary Events
A special lecture on the Postwar Japanese Documentary by professor Markus Nornes. He will discourse on the trajectory of documentary theory and practice in Japan and, by extension, in other parts of Asia,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members of Ogawa Productions, one of Japan's best-known documentary film collective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Ogawa Productions' films and the Post-war Japanese Documentary.
Date
September 28 (WED) 18:30, after screening Summer in Narita
Venue
Megabox Baekseok 3
Panel
Markus Nornes (Professor of Asian cinema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Host
U.S Embassy Korea
분석을 통해 일본, 더 나아가서는 아시아 다큐멘터리 이론과 실천의 궤적을 쫓는다. 일시
9월 28일(수) 18:30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의 여름>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3관
패널
마르쿠스 노르네스(미시건 대학 아시아영화 교수)
공동주최 주한미국대사관
부대행사
포럼
1. 일본군 위안부: 기록과 기억 (사이)
1. Comfort Women of Japanese Imperial Army: In Between the Documentation and Memories
Program Events
내용
특별기획으로 준비한 위안부에 대한 중국, 일본, 대만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가 아시아 각국의 경계를
Forum
Events
The Special Focus section gives an opportunity to figure out how the issue of 'Comfort Women would be connected across borders of Asian countries and how women's experiences would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violence of the wartime, with the documentary films devoted to the Comfort Women in China, Korea and Taiwan. And in the forum ‘Comfort Women’ of Japanese imperial army: In Between the documentation and Memories’, as a part of the Special Focus section, the panels will discuss on the relatio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istorical records and the memories regarding the Comfort Women of Japanese imperial army by asking the questions about how the documentation and memories are produced and exploring whether gaps or oppositions opened up between them.
연구원,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제도』 저자),
Date
September 26 (MON) 16:00
박수남(<침묵> 감독), 도이 토시쿠니(<기억과 함께 산다>
Venue
Megabox Baekseok 7
감독), 경순(<레드마리아 2> 감독)
Moderator Kim Hyun-gyung (Research fellow of 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 Youngheeya Nolja)
가로질러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어떻게 전시폭력에서 여성의 경험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부대행사로 열리는 포럼 ‘일본군 위안부: 기록과 기억'을 통해서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역사적 기록과 기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기록과 기억 사이의 간극 혹은 충돌은 없는지, 둘 사이의 관계와 거리를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일시
9월 26일(월) 16: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7관
사회
김현경(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문화기획집단 영희야 놀자)
패널
85
윤명숙(상해사범대 중국‘위안부’문제 연구센터 객원
<레드마리아 2> 특별상영
Panel
일시: 9월 23일(금) 15:00-16:40 장소: 매가박스 백석 7관
Yun Myung-suk (Visiting fellow of Shanghai Normal Univ., Author of Korean “Comfort Women ” and the “Comfort Stations ” System by the Japanese Imperial Army, Park Su-nam (Director of The Silence ), Doi Toshikuni (Director of Living with the “Memories” ), Kyung Soon (Director of Red Maria 2)
<Red Maria 2> Special Screening
Date: September 23 (FRI) 15:00-16:40 Venue: Megabox Baekseok 7
2.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 장르, 역사, 매체 내용
2000년대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에 불어온 새로운 흐름을 포착하고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발간된 『한국
2. Today’s Documentary Film in Korea: Genre, History and Medium Events
A forum to examine the changed features and situations of the Korean documentary from a variety of views such as esthetics, media, history, industry and so on and to talk about the recent issues of the documentary, along with the book Today’s Documentary Film in Korea: Genre, History and Medium published to focus on new currents of the Korean Documentary after the 2000s.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 장르, 역사, 매체』에 맞춰 2000년대 미학, 매체, 역사, 수용, 산업 등 다각적 관점에서 한국 다큐멘터리의 변화된 지형을 살펴보고, 최근 다큐 이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 일시
9월 28일(수) 15: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8관
패널
남인영(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연구소장),
Date
September 28 (WED) 15:00
Venue
Megabox Baekseok 8
Panel
Nam In-young (Chief of Im Kwon-taek college of Film and Entertainment Art at Dongseo University), Jeong Min-a (Film critic), Cho Hye-young (SIWFF Programmer), Lee Seung-min (Film critic)
Co-Host
Im Kwon-taek college of Film and Entertainment Art at Dongseo University
정민아(영화평론가), 조혜영(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 이승민(영화평론가) 공동주최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연구소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 부대행사
86
The 8th DMZ Docs Fund Events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작 공개발표
The Public Presentation of the DMZ Docs Fund 내용
예심을 거쳐 선정된 22편의 한국, 아시아 다큐멘터리를 대중 앞에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장편다큐, DMZ프로젝트, 신진작가 제작지원 세 부문으로 나뉘어 이틀간 공개발표가 이루어지며, 공개발표 후 최종지원작이 선정된다. 한국과 아시아에서 현재 제작되는 혹은 기획 중인 다큐멘터리 프로젝트를 통해 동시대 아시아의 현재를 그려보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일시
9월 25일(일) 14:00 9월 26일(월) 13:30
장소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7관
Events The event is to present 22 documentary projects from Korea and Asia that passed the preliminary examination to the public. The public presentation will take place for two days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eature-Length Documentary Projects DMZ Documentary Project and New Directors‘ Documentary Project, and the selected works will be announced after the presentation. It gives an opportunity to figure out Asia and Asian documentary of the present day through documentary projects in production or in the planning stage from Korea and Asia. Date
September 25(SUN) 14:00 September 26(MON) 13:30
Venue Megabox Pajubookcity 7
포럼 Forum 1. 아시아 청년 다큐멘터리 공동제작 프로젝트
1.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Project
내용
Events After screening the films of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a collaboration project with the film schools and film festivals from the four teams in Asia, it will be held an event to present and evaluate the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films, and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to consider Asia as an intellectual community.
아시아 4개국 영화학교 및 영화제의 협력 프로젝트인 아시아 청년 다큐멘터리 공동제작 프로젝트 작품 상영 후, 작품의 기획, 제작과정을 나누고 평가하면서, 지적 공동체로서의 아시아에 대한 사유 가능성을 탐색한다.
일시
9월 27일(화) 10:30, 아시아 청년 공동제작 프로젝트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패널
김동원·전규찬(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야스오카 타카하루(일본영화대학 교수), 차이 친 통·첸 핀 지운(국립타이난예술대학 교수), 최인아(한국예술종합학교),
Date
Venue Megabox Baekseok Table M Panel
미사와 타쿠야(일본영화대학), 바오 만후아(상하이동제대), 우 충 흐시엔(국립타이난예술대학), 장세윤(동북아역사재단)
2. 다큐멘터리 배급, 극장 개봉과 다른 배급의 가능성 내용
극장 개봉과 공동체 상영이라는 두 가지 상영 방식을 통해 관객과 만나고 있는 다큐멘터리의 배급 전략과 방식에 대한 논의를 나누는
Kim Don-won·Jeon Gyu-chan (Professor of K’arts), Yasuoka Takaharu(JIMI) Tsai Chin-tong·Chen pin jiun (Professor of TNNUA), Choi In-a (K’arts), Misawa Takuya (JIMI), Bao Manhua (Tongji Univ.), Wu Tsung-hsien (TNNUA), Chang Se-yun(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 The Distribution of Documentary, Theatrical Releasing and other Possibilities Events
A forum to discuss the strategy for distribution of the documentary that has contacted the audience by two ways of screening, theatrical releasing and community screening. It offers a chanc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herent in theatrical releasing and the possibilities of community screening and community cinema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is almost impossible to release of documentary films in theaters.
자리. 극장 개봉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상황에서 극장 개봉의 가능성과 의미는 무엇인지, 공동체상영과 국내 커뮤니티 시네마의 가능성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일시
September 27 (TUE) 10:30, after screening the films of Asian Docs Co-Production Network
9월 27일(화) 15: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Table M관
패널
김남훈(모두를 위한 극장 공정영화협동조합 상임이사),
Date
September 27 (TUE) 15:00
김철민(<불안한 외출> 감독), 김하늘(다큐멘터리 배급사
Venue
Megabox Baekseok Table M
시네마달), 헬렌 코펠(그랑 에크랑 다큐멘터리 디렉터)
Panel
Kim Nam-hun (Chief Director of ‘Mogeukjang’ Cooperative), Kim Cheol-min (Director of The Anxious Day Out), Kim Han-eul (Documentary distributor Cinemadal), Hélène Coppel (Director of Documentaire Sur Grand Écran)
특별행사
87
Festival Events
개막식
Opening Ceremony
국내·외 다큐영화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의
A ceremony attended by Korean and international documentary
개막을 선포하는 공식행사
filmmaking professionals to declare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open.
일시
9월 22일(목) 19:00
Date
September 22 (THU) 19:00
장소
DMZ 내 캠프그리브스
Venue
Camp Greaves Gym in Paju DMZ
행사내용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개막선언
Events
·Grand opening of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ntroduction of this year’s festival ambassadors and jury members ·Screening of this year’s opening film
Opening Film
One Warm Spring Day Jeong Su-eun | Korea | 2016│83min
·홍보대사 및 심사위원 소개 ·개막작 상영 개막작
<그 날> 정수은 | 한국 | 2016 | 83min
폐막식
Closing Ceremony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공식 폐막행사
The official closing ceremony of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일시
9월 29일(목) 19: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M관
행사내용
·영화제 경쟁부문 시상 ·다큐백일장 입상자 시상
Date
September 29 (THU) 19:00
Venue
Megabox Baekseok M
Events
·Presenting awards to the winners of competition sections and Docs Essay Contest ·Declaring the festival closed ·Screening the closing film
·폐막선언 ·폐막작 상영
다큐&뮤직콘서트
DMZ Docs & Music Concert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사전행사로 ‘평화’, ‘소통‘, ’생명’을
A preliminary event to celebrate the 8th DMZ International
주제로 열리는 축하 콘서트. 가수 전인권의 노래로 시작해
Documentary Film Festival, based on the theme 'peace', 'life', and
하나통일원정대의 합창과 린덴바움 페스티벌 앙상블의 공연으로 이어지는 무대. 일시 장소 행사내용
'communication'. Singer Jeon In-kwon will open the concert, followed by Hana Reunification Choir and, Lindenbaum Festival Ensemble.
9월 18일(일) 16:00 - 17:40
Date
September 18 (SUN) 16:00 – 17:40
고양시 아람누리 아람음악당
Venue
Aram Concert Hall, Goyang Aram Nuri Arts Center
Events
·Screening the official trailer of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long with short documentary films ·Performances of invited musicians and a talk show about documentary films
공식 트레일러 및 단편다큐 상영, 다큐에 관한 토크와 축하공연
출연진
전인권, 린덴바움 페스티벌 앙상블, 하나통일원정대 합창단
상영작
<눈을 감으면> 메이 오다하, 딘 에자흐 | 팔레스타인 | 2015 | 4min <테픽, 넘어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어> 얀닉 하스트로프 | 덴마크 | 2014 | 10min
Performer Jeon In-kwon, Lindenbaum Festival Ensemble, Hana Reunification Choir Films
Drawing For Better Dreams May Odeh, Diam Azzeh | Palestinian territories | 2015 | 4min Asylum Child. Tefik, When You Fall, You Get Back up Again Jannik Hastrup | Denmark | 2014 | 10min
특별행사
88
Festival Events
DMZ1박투어
DMZ Sleepover Tour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개막식 참가자들의 사전 신청을 통해
An experience program of an overnight-stay at the DMZ is open
진행하는 DMZ 1박 체험프로그램
only to participants of the Opening Ceremony of the 8th DMZ
일시
9월 22일(목) 16:00 - 9월 23일(금) 13:00
advance.
구간
캠프그리브스 → 도라산역 → 도라전망대 → 제3땅굴
Date
September 22 (THU) 16:00 – September 23 (FRI) 13:00
대상
영화제 개막식 참가자 중
Course
Camp Greaves → Dorasan Station → Dora Observatory → The 3rd Tunnel
Target
The festival’s domestic and international guests and the public
Fee
20,000KRW per person (2 meals, transportation, and entry fee included)
Events
·Joining the Opening Ceremony ·Staying at a youth hostel in Camp Greaves ·Taking a tour of Dora Observatory & The 3rd Tunnel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th reservations in
사전 신청자(게스트 및 일반인) 참가비
1인당 20,000원(1박2식, 버스 운행 및 입장료 포함)
행사내용
·개막식 참관 ·캠프그리브스 유스호스텔 숙박 ·도라산 전망대 및 제3땅굴 방문
DMZ팸투어
DMZ Fam Tour
국내·외 다큐 영화인들의 DMZ 일대 체험을 통해 DMZ를 국제적으로
A Tour Program for documentary filmmakers from Korea and
알리고자 하는 투어 프로그램
abroad to experience the area of DMZ, set in order to promote the
일시
DMZ internationally.
1차: 9월 25일(일) 9:00 - 13:00
Date
2차: 9월 27일(화) 9:00 - 13:00 구간
임진각 → 도라산역 → 도라전망대 → 제3땅굴 →
2nd: September 27 (TUE) 09:00 – 13:00
Course
Dorasan Station → Dora Observatory → The 3rd Tunnel → Camp Greaves
캠프그리브스 대상
영화제 초청 게스트
행사내용
도라산 전망대, 제3땅굴 및 캠프그리브스 방문
DMZ평화자전거행진
1st: September 25 (SUN) 09:00 – 13:00
※ DMZ팸투어(9/25)와 연계
Target
The festival’s domestic and international guests
Events
A tour of Dora Observatory, The 3rd Tunnel and Camp Greaves
DMZ Peace Bicycle Tour
※ The event is linked with DMZ Fam Tour(September 25)
국내·외 다큐 영화인들과 함께 평화를 기원하는
A bicycle tour with Korean and
자전거 투어 프로그램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makers to wish peace
일시
9월 25일(일) 13:00 - 16:00
Date
September 25 (SUN) 13:00 – 16:00
구간
임진각 → 통일촌 삼거리 → 초평도 입구 → 마정리 →
Course
Imjingak → Tongilchon Three-way Intersection → Chopyeongdo → Majeong-ri → Imjingak(17.2Km in total)
임진각(17.2Km) 대상
영화제 초청 게스트 및 일반인
참가비
1인당 10,000원, 장비대여료 3,000원 (자전거 및 헬멧 대여가능)
Target
The festival’s domestic and international guests and the public
Fee
10,000KRW per person, 3,000KRW for equipment rental (bike and helmet)
특별행사
89
Festival Events
특별야외상영
Special Outdoor Screening
한국영상자료원의 후원으로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의 민통선 내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s Special
마을 거주민을 위한 특별 상영 프로그램
Outdoor Screening Program for local residents in Civilian Control Line. Sponsored by Korean Film Archive(KOFA).
일시
9월 27일(화) 19:00 - 20:00
장소
연천군 연강갤러리 앞마당
대상
인근 지역 주민 및 DMZ 지역 군인
상영작
<할매 축구단> 라라-얀 드 웨트 | 남아프리카, 미국 | 2015 | 20min
Date
September 27 (TUE) 19:00 – 20:00
Venue
Yonkang Art Gallery
Target
Local residents and Soldiers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DMZ
Films
Alive&Kicking :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Lara-Ann de Wet | South Africa, USA | 2015 | 20min Albatross Sverre Kvamme | Norway | 2016 | 26min
<알바트로스> 스베레 크벰 | 노르웨이 | 2016 | 26min
DMZ포차라운지
DMZ PoCha Lounge
국내·외 다큐 영화인들의 네트워킹을 위한 DMZ국제다큐영화제
A Pojangmacha (cart bar) run by the DMZ International
전용 포차공간
Documentary Film Festival as a socializing venue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makers.
일시
9월 23일(금) – 28(수) 20:00 - 26:00
장소
메가박스 백석 인근
대상
영화제 게스트 ID카드 소지자
Date
September 23 (FRI) – 28 (WED) 20:00 – 26:00
Venue
Nearby Megabox Baekseok
Target
Holders of the guest badge of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MZ포차라운지 오시는 길 DMZ PoCha Lounge Map
7
3호선 백석역 Subway Line No.3 Baekseok Station
8 1 DMZ포차라운지 (오모리찌개 2층)
DMZ PoCha Lounge (2F, Omori Jjigae)
메가박스 백석 Megabox Baekseok
90
DMZ Docs EDU DMZ국제다큐영화제 교육 프로그램
영화제 기간 중 교육 프로그램
DMZ국제다큐영화제는 다큐멘터리의 교육적 측면에 주목하여 교육과 다큐멘터리를 접목한 교육 프로그램 ‘DMZ Docs EDU’를 운영하고 있다. 영화제 기간
1. 단체관람 프로그램
중 다큐백일장, 단체관람 프로그램과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함은 물론, 상시적으로 청소년
내용
평화, 인권, 소통 등 다양한 가치를 담은 다큐영화를 관람하고 초청 강연을 통해 생각의 층을 넓힐 수 있는 프로그램 (영화 상영 포함 90분으로 구성)
대상
체험 프로그램 참가를 원하는 중·고등학교, 기타 희망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다큐멘터리에 관심 있는 커뮤니티 등
일시
9월 23일(금) - 28일(수)
다큐제작워크숍, 열린 강좌 ‘다큐’, 찾아가는 다큐특강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DMZ Docs EDU’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인권과 다양성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교육적 경험의 장이다.
장소
메가박스 백석, 파주출판도시 상영관, 김포아트홀
신청방법
희망 일정 하루 전까지 홈페이지 신청서 접수(사전 신청) 또는 당일 현장 예매(매진작 제외)
참가비
1회 당 2,500원
※ 단, 다큐백일장 참가 시 참가비 무료 ※ 10명 이상 단체 참가 시 1인당 1,000원, 참가자 10명 당 인솔자 1인 무료 입장 가능
프로그램 및 일정 메가박스 백석 회차 1 2 3
4
일시
9/23(금) 10:30-12:00 9/23(금) 11:00-12:30 9/23(금) 14:00-15:30
5 6 7 8 9 10
9/26(월) 14:00-15:30 9/27(화) 11:00-12:30 9/27(화) 13:30-15:00
11 12 13 14 15
9/28(수) 10:15-11:45 9/28(수) 14:00-15:30
강연 주제
강연자
상영작
내 꿈을 위해서 싸우는 방법
김남훈(레슬링 해설위원)
단체관람 1
난민과 분쟁, 우리 안의 연결고리
김승환(평화교육프로젝트 모모 실행위원)
단체관람 2
비전을 발견하고 디자인하라(비발디)
이창현(대구공업대학 외래교수)
단체관람 1
'세계시민' 어벤저스에 합류하기.
한재윤(유엔과 국제활동 정보센터 공동대표)
단체관람 2
STEP I - UN 및 글로벌이슈와 친해지기 다르더라도 함께 살 수 있는 세상
이정은(아시아인권문화연대 사무국장)
인권, 너와 나의 연결고리
김라현(인권교육활동가)
단체관람 5
내 꿈을 위해서 싸우는 방법
김남훈(레슬링 해설위원)
단체관람 1
문화를 덮친 문명
김상화(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집행위원장)
단체관람 4
다르더라도 함께 살 수 있는 세상
이정은(아시아인권문화연대 사무국장)
단체관람 2
진로 탐색, 나 - 자존감 찾기 부터
안태일(무원고등학교 교사)
단체관람 1
난민, 그리고 우리 곁의 이주민들
김대권(아시아의 친구들 대표)
단체관람 2
문화를 덮친 문명
김상화(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집행위원장)
단체관람 4
우리는 테픽보다 평화로운 걸까? : 전쟁을 통해 본 평화
신기철(인권평화연구소장)
단체관람 2
난민, 그리고 우리 곁의 이주민들
김대권(아시아의 친구들 대표)
단체관람 2
청소년! 영화로 평화를 보다
조진화(영화나눔협동조합 이사장)
단체관람 3
91
DMZ Docs EDU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회차
일시
1
9/23(금) 11:00-12:30
2
3
4
5
9/23(금) 14:00-15:30 9/23(금) 14:20-15:50 9/26(월) 14:30-16:00 9/27(화) 14:10-15:40
강연 주제
강연자
상영작
'마당을 나온 암탉' 이렇게 만들다
오성윤(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감독)
단체관람 2
영화로 보는 또 다른 세상
정선임(한국언론진흥재단 강사)
단체관람 4
Global color life story
허성희(한국북네트웍스 대표)
단체관람 3
청소년! 영화로 평화를 보다
조진화(영화나눔협동조합 이사장)
단체관람 3
비전을 발견하고 디자인하라(비발디)
이창현(대구공업대학 외래교수)
단체관람 1
(애니메이션제작에 대해)
김포 아트홀 회차
일시
강연 주제
강연자
상영작
1
9/23(금) 10:00-11:30
평화가 필요한 세상
정주진(평화갈등연구소 대표)
단체관람 2
아무도 집을 떠나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마붑(M&M 인터내셔널 영화사 대표)
단체관람 2
난민과 분쟁, 우리 안의 연결고리
김승환(평화교육프로젝트 모모 실행위원)
단체관람 2
2 3
9/23(금) 12:30-14:00 9/23(금) 15:00-16:30
단체관람 프로그램 안내 상영작
단체관람 1
상영시간
링 위의 촐리타 할매 축구단
57 32min
보이첵, 파일럿이 되다 단체관람 2
59 36min
집처럼 따스한 별 아래 단체관람 3
단체관람 4
57 37min
57
로봇 강아지, 아이보
60
링 위의 촐리타
57
할매 축구단
단체관람 5
59 59
링 위의 촐리타 할매 축구단
57 58
눈을 감으면 테픽, 넘어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어
Page
38min
57
살아있는 숲
59
보이첵, 파일럿이 되다
58
아야의 하루 집처럼 따스한 별 아래
38min
58 59
92
DMZ Docs EDU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Content
Educational program for widening one’s thought after watching documentaries covering diverse values like peace, human rights and communication together and taking related lectures. (Total 90 minutes including screenings)
Participants
Middle-high schools, individual middle-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want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communities interested in the documentary etc.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Date
September 23 (FRI) – 28 (WED)
‘Open Lecture Docs’, ‘Visiting Special Lecture Docs’
Venue
Megabox Baekseok, Megabox Pajubookcity, Gimpo Arts Hall
Method of application
Submission of application at DMZ Docs website until a day before the wish date (advance reservation) or on-site reservation on the day of the screening (except the films sold out)
Film Festival operates the program ‘DMZ Docs EDU’ that combines the education and the documentary, focusing on educational aspects of the documentary. It holds the Education Programs such as ‘Group Viewings Program’ and ‘Docs Essay Contest’ during the Festival, and it has also the Year-round Education Programs such as
and so on. ‘DMZ Docs EDU’ provides the fields of educational experiences to learn the human rights and the value of diversity through the documentary.
Entrance fee 2,500 KRW per session ※No entrance fee for attendants entering Docs Essay Contest ※1,000 KRW per person for groups of ten or more, and a guide free if accompanied by 10 attendants
Program & Schedule Lecture Concert in Megabox Beakseok No.
Lecture Subjects
Lecturer
Screening
The way to fight for my dream
Kim Nam-hoon (Professional Wrestler)
Group Viewings 1
The refugees and the conflicts, a connection with the issue inside our community
Kim Seung-hwan (Peace Education Project MOMO)
Group Viewings 2
Look for the vision and design it (VIVALDI)
Lee Chang-hyun (Outside professor of Daegu Technical Univ.)
Group Viewings 1
To join the Avengers 'World Citizen'. STEP I to approach the UN and the global issues
Han Jae-yoon (Co-President of ICUNIA)
Group Viewings 2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rying to living together
Lee Jung-eun (Director of Solidarity for Asian Human Rights and Culture)
The human rights, the connection between you and me
Kim Ra-hyun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st)
Group Viewings 5
The way to fight for my dream
Kim Nam-hoon (Professional Wrestler)
Group Viewings 1
The civilisation occupies the culture
Kim Sang-hwa (Chief Commissioner of Busan International Kids&Youth Film Festival)
Group Viewings 4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rying to living together
Lee Jung-eun (Director of Solidarity for Asian Human Rights and Culture)
Group Viewings 2
10
Career exploration. Start by finding Me-self confidence
An Tae-il (Teacher of Moowon High School)
Group Viewings 1
11
The refugees, our neighbor immigrants
Kim Dae-kwon (Friends of Asia)
Group Viewings 2
The civilisation occupies the culture
Kim Sang-hwa (Chief Commissioner of Busan International Kids&Youth Film Festival)
Group Viewings 4
Are we more peaceful than Tefik?: Peace through War
Shin Ki-cheol (Chief of Human rights & Peace research institute)
Group Viewings 2
The refugees, our neighbor immigrants
Kim Dae-kwon (Friends of Asia)
Group Viewings 2
The young people see the peace through the movies
Cho Jin-hwa (Chief Director of CINE COOP)
Group Viewings 3
1 2
3
4
Date
September 23 (FRI) 10:30-12:00 September 23 (FRI) 11:00-12:30 September 23 (FRI) 14:00-15:30
5
6
7 8
9
12
September 26 (MON) 14:00-15:30 September 27 (TUE) 11:00-12:30 September 27 (TUE) 13:30-15:00
September 28 (WED) 10:15-11:45
13
14 15
September 28 (WED) 14:00-15:30
93
DMZ Docs EDU Lecture Concert in Megabox Pajubookcity No. 1
2
3
4
5
Date
September 23 (FRI) 11:00-12:30 September 23 (FRI) 14:00-15:30 September 23 (FRI) 14:20-15:50
September 26 (MON) 14:30-16:00 September 27 (TUE) 14:10-15:40
Lecture Subjects
Lecturer
Screening
Leafie, A Hen into the Wild, how had it been made? (Regarding the production of animations)
Oh Sung-yun (Director of Animation Leafie, A Hen into the Wild )
Group Viewings 2
To see another world through the movies
Cheong Sun-im (Korea Press Foundation)
Group Viewings 4
Global color life story
Heo Sung-hee (President of Korea Book Networks)
Group Viewings 3
The young people see the peace through the movies!
Cho Jin-hwa (Chief Director of CINE COOP)
Group Viewings 3
Look for the vision and design it (VIVALDI)
Lee Chang-hyun (Outside professor of Daegu Technical Univ.)
Group Viewings 1
Lecture Concert in Gimpo Arts Hall No.
1 2 3
Date
September 23 (FRI) 10:00-11:30 September 23 (FRI) 12:30-14:00 September 23 (FRI) 15:00-16:30
Lecture Subjects
Lecturer
Screening
The world needs peace
Chung Ju-jin (Center for Peace & Conflict Resolution)
Group Viewings 2
No one leaves home unless home is the mouth of a shark
Lee Mahbub (President of M&M International Film)
Group Viewings 2
The refugees and the conflicts, a connection with the issue inside our community
Kim Seung-hwan (Peace Education Project MOMO)
Group Viewings 2
Group Viewings Program Films Collections Screening
Group Viewings 1
R/T
The Wrestling Cholita Alive&Kicking: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57 32min
Wojtek Group Viewings 2
59 36min
Under the Stars I Felt at Home Group Viewings 3
Group Viewings 4
57 37min
57
The Dog
60
The Wrestling Cholita
57
Alive&Kicking: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Group Viewings 5
59 59
The Wrestling Cholita Alive&Kicking: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57 58
Drawing For Better Dreams Asylum Child. Tefik, When You Fall, You Get Back up Again
Page
38min
57
The Living Forest
59
Wojtek
58
Away from Ayah Under the Stars I Felt at Home
38min
58 59
94
DMZ Docs EDU 2. 다큐백일장 Docs Essay Contest 내용
다큐백일장 지정작 감상 후 90분 이내에 400자 원고지 2-3매 내외의 자유로운 감상문을 작성하여 현장 제출
Content
After watching a selected documentary, participants freely write an essay, 2-3 pages long on 400 square writing paper within 1 hour 30 mins.
대상
전국 중·고등학생 및 동등 연령 청소년
Participants
Middle-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the country including the youth about the same age.
일시
9월 24일(토) - 25일(일)
장소
메가박스 백석, 파주출판도시 내 다큐백일장 안내데스크
부문
한글 감상문(중등/고등), 영어 감상문(고등)
시상
경기도지사상, 경기도교육감상, 고양시장상, 파주시장상, KEB하나은행장상 등
신청방법 사전신청: 9월 21일(수)까지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접수
참가비
Date
September 24 (SAT) – 25 (SUN)
Venue
The information desk of Docs Essay Contest in Megabox Baekseok, Megabox Pajubookcity
Sector
Essay in Korean(middle-high school students), Essay in English(high school students only)
Awards
The Gyeonggi Province Governor’s Award, The Gyeonggi Superintendant of Education Award, The Goyang City Mayor’s Award, The Paju City Mayor’s Award, KEB Hana Bank’s Award etc.
현장신청: 행사 당일 백일장 안내데스크에서 신청서 작성 (매진작 제외)
Submission of application at DMZ Docs website Method of application until September 21 (advance application), or onsite application on the day of the event.
무료 (※지정작 상영시간 20분 전부터 안내데스크에서 현장 접수 및 사전 신청자 티켓 배부)
Entrance fee Free (※It will be available to submit the application and to take tickets at the information desk from 20 minutes prior to the film screening.)
다큐백일장 지정작 상영일정 Selected Films for Docs Essay Contest 메가박스 백석 회차 일시
지정작
Megabox Beakseok 상영시간 Page
No. Date
1
9월 24일(토) 10:30
다큐패밀리 단편 2
49min
58
1
2
9월 24일(토) 14:00
청소년경쟁 2
49min
41
2
3
9월 25일(일) 10:30
<유튜브 신데렐라>
80min
56
3
4
9월 25일(일) 15:30
다큐패밀리 단편 3
45min
59
4
지정작
September 24 (SAT)
상영시간 Page
September 25 (SUN)
다큐패밀리 단편1
49 min 57
1
2
9월 24일(토) 16:00
<하늘색 심포니>
95 min 54
2
4
9월 25일(일) 14:00
청소년경쟁 1
다큐패밀리 단편 4
Presenting Princess Shaw
10:30 September 25 (SUN)
Docs Family Shorts 3
15:30
No. Date
9월 24일(토) 11:00
9월 25일(일) 11:00
Youth Competition 2
14:00
R/T
Page
49min
58
49min
41
80min
56
45min
59
R/T
Page
49 min
57
95 min
54
48min
40
48 min
60
Megabox Pajubookcity
1
3
Docs Family Shorts 2
10:30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회차 일시
Screening
September 24 (SAT)
48min
40
48 min 60
3 4
September 24 (SAT)
Screening
Docs Family Shorts 1
11:00 September 24 (SAT) 16:00 September 25 (SUN)
The Sky-Blue Symphony -The Story of the Korean Schools in JapanYouth Competition 1
11:00 September 25 (SUN) 14:00
Docs Family Shorts 4
95
DMZ Docs EDU
상시 교육 프로그램 Year-round Education Program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DMZ Docs Youth Documentary
청소년들의 다큐멘터리 제작을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Production Workshop
2011년부터 시작된 다큐멘터리 제작 워크숍. 참가자들은
In order to vitalize documentary production by the
약 5개월간 다큐멘터리 감독의 멘토링을 통해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완성하게 되며, 수료작은 영화제 기간 중에
youth,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was initiated in 2011. The participants make a documentary and the films that they would complete
상영된다.
will be shown during the Festival.
열린 강좌 ‘다큐’
Open Lecture ‘Docs’
DMZ국제다큐영화제가 올해부터 새롭게 선보이는 열린
Open Lecture ‘Docs’, that the DMZ International
강좌 ‘다큐’는 인문학과 다큐멘터리를 접목하는 시도로,
Documentary Film Festival presents newly this year,
일상적인 주제를 다큐멘터리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장이다. 기존 다큐영화들이 환경·젠더 등
is a new attempt combining humane studies and documentary, and aims to give opportunity to see everyday themes with new perspectives through the
일상적인 주제를 어떻게 담아냈는지 살펴본 다음, 해당
documentary. Open Lecture ‘Docs’ is free and open
이슈 전문가들의 초청 강연을 듣고 심화적으로 토론하는
to anyone with an interest in humane studies or
커리큘럼으로 진행된다. 인문학 혹은 다큐멘터리에 관심
documentary, and is set to be held periodically.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 가능하며, 주기적으로 개설·운영될 예정이다. 찾아가는 다큐특강
Visiting Special Lecture Docs
DMZ국제다큐영화제 ‘찾아가는 다큐특강’은 학교, 도서관,
‘Visiting Special Lecture Docs’, the DMZ International
시민단체, 지역 커뮤니티 등으로 다큐멘터리 감독,
Documentary Film Festival presents, is an education
제작자는 물론 각 작품의 소재와 주제에 맞는 전문가가 직접 찾아가서 다큐멘터리에 관한 다양한 특강을 진행하는
program that documentary directors, producers and relevant experts visit schools, libraries, youth centers, community organizations, local communities, etc. and
교육 프로그램이다.
deliver a variety of lectures.
운영기간
상시
신청자격
· 학교, 도서관, 청소년수련관, 시민단체 등의 비영리 단체 · 프로젝터/마이크 등의 설비와 특강 진행 공간을 확보한 단체 · 수강인원 30명 내외인 단체
Operation period
신청절차
영화제 홈페이지(www.dmzdocs.com)에서 신청서 접수(프로그램 희망 일정 한 달 전까지 신청 가능)
Year-round
Application Nonprofit organization such as schools, libraries, youth centers, community condition organizations, etc. Application Submission of the application at the Festival Procedure website (www.dmzdocs.com) (available up to a month prior to the desired date)
배리어프리 상영
96
Barrier Free Screening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는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The 8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함께 영화를 볼 수 있는 배리어프리 상영을 선보인다.
launches the Barrier Free Screening in which the
시각장애인은 물론이고 쉬운 화면 해설을 통해 유아와 청소년들까지 함께 영화를 즐길 수 있다. 다큐패밀리
visually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are able to see films together. Therefore, not only the visual disabled, but also the infant and teenagers could
섹션 14편의 단편영화를 배리어프리 상영으로 관람할 수
enjoy watching films. The Barrier Free Screening for
있으며 장벽을 넘어 함께 영화로 소통할 수 있는 장이 될
a variety of interesting selections of 14 short films in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별도의 연동 가능한 앱을 다운받아
the section ‘Docs Family’ will enables the audience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means of films beyond the barriers. The audience could download the extra-app available to connect and use the service of descriptive narration on the smart phone that you have.
상영작 안내 Screening Schedule 섹션 section
제목
English Title
다큐패밀리
링 위의 촐리타
The Wrestling Cholita
단편 1
소년이 되는 법
How Ky Turned Into Niels
할매축구단
Alive&Kicking: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다큐패밀리
보이첵, 파일럿이 되다
Wojtek
단편 2
나는 대리모입니다
My Life: I'm a Surrogate
아야의 하루
Away from Ayah
DocsFamily
DocsFamily
알바트로스
Albatross
다큐패밀리
눈을 감으면
Drawing For Better Dreams
단편 3
테픽, 넘어져도
Asylum Child. Tefik, When You Fall, You Get Back up Again
DocsFamily
다시 일어날 수 있어 살아있는 숲
The Living Forest
집처럼 따스한 별 아래
Under the Stars I Felt at Home
다큐패밀리
로봇 강아지, 아이보
The Dog
단편 4
아버지의 유산
Heritage
꿈으로 가득한
Full of Dreams
DocsFamily
※ 개인 이어폰을 준비해 오시길 바랍니다. 별도의 이어폰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 You are requested to prepare the personal earphones. The extra earphones are not offered.
일정 Schedule 207 9/24 11:00 MP2
402 9/26 11:30 MB3
614 9/28 15:00 MBT
204 9/24 10:30 MB8 414 9/26 14:00 MP1 514 9/27 14:00 MP2
709 9/29 14:00 MB8 206 9/24 11:00 MP1
318 9/25 15:30 MB2 706 9/29 13:30 MB2
105 9/23 10:30 MBT
317 9/25 14:00 MP3
621 9/28 20:30 MBT
배리어프리 상영
97
Barrier Free Screening
배리어프리 앱 DMZ Docs 이용방법
The Barrier Free App DMZ Docs Instruction
1 구글플레이스토어 혹은 애플앱스토어에 접속한다.
1 Access to Google Play Store or Apple App Store.
2 ‘DMZ Docs’로 검색하고 설치한다.
2 Search and install ‘DMZ Docs’.
3 설치된 앱을 실행한다. 4 앱 목록에서 관람할 영화를 선택한다. 5 해당영화의 음성화면해설을 선택해서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다. 6 상영관 내에서 상영 중 인 영화와 스마트폰 앱의
사운드를 동기화하면 음성화면해설이 제공된다.
3 Run the installed App. 4 Select the film to watch in the list of App. 5 Select the descriptive narration for the visually
disabled and download the contents. 6 The descriptive narration is offered by Sound
Synchronization of the film in screening and Smart phone.
영화목록
콘텐츠 다운로드
음성 화면해설 동기화
Films List
Films Download
Sound Synchronization of the film in screening and Smart phone
행사장 안내 & 오시는 길
98
Venue Map & Direction
메가박스 백석 Megabox Baekseok 대화역 Daehwa
주엽역 Juyeop
정발산역 Jeongbalsan
MVL호텔 MVL Hotel
일
Ils 산호 an 수 La 공원 ke Pa rk
7 3호선 백석역 Subway Line No.3 Baekseok Station
마두역 Madoo
백석역 Baekseok
메가박스 백석 8 1
Megabox Baekseok
DMZ포차라운지 (오모리찌개 2층) DMZ PoCha Lounge
메가박스 백석
(2F, Omori Jjigae)
Megabox Baekseok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Goyang Bus Terminal 5F, Baekseok 1-dong,
고양종합터미널 5층
1242,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지하철
Subway
3호선 ‘백석역’ 하차 → 지하철 7, 8번 출구 이용
Line No.3 Baekseok Stn. Exit 7, 8
버스
Bus
시내버스
05, 66, 72, 76, 77, 88, 90,
Intra-city bus
직행버스
200, 1000, 1001, 1100, 1200, 1500,
05, 66, 72, 76, 77, 88, 90, 95, 96, 97
95, 96, 97 Express bus
200, 1000, 1001, 1100, 1200, 1500, 2000, 3300, 9700
2000, 3300, 9700 광역버스
9701, 9707, 9711, M7412, M7613
Red Bus
9701, 9707, 9711, M7412, M7613
간선버스
700, 706, 707
Blue Bus
700, 706, 707
지선버스
7727
Green Bus
7727
좌석버스
108, 770, 773, 830, 870, 871,
Express-city
108, 770, 773, 830, 870, 871,
921, 2000-1
bus
921, 2000-1
행사장 안내 & 오시는 길
99
Venue Map & Direction
파주, 문산 방향 Toward Paju
금촌 방향 Toward Geumchon
메가박스
이산포 IC Isanpo IC
서울 방향 Toward Seoul
Bus sw
ay
파주출판도시 Megabox
자 Ja 유로 yu Ex pr es
로 진입 Exit 도시 kcity 판 o 출 o juB Pa
Pajubookcity
일산 방향 Toward Ilsan
서 To 울 방 w ar 향 d Se ou l
자유로 Jayu Expressway
Bus
장월 IC Jangwal IC
김포 방향 Toward Gimpo
문 To 산, w 통일 ar 동 d M un 방향 sa n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Megabox Pajubookcity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Megabox Pajubookcity
호텔 지지향 Jijihyang Hotel
고양시 방향 Toward Goyang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20 이채쇼핑몰C동
파주출판문화 정보산업단지 Cooperative of Pajubookcity
Ichae Shopping Mall C-dong, Munbal-ro 220, Paju-si, Gyeonggi-do
지하철
Subway
지하철 3호선 ‘대화역’ 하차 →
Line No.3 Daehwa Stn. →
덕이동 방향 200번 버스 이용
Bus No.200, toward Deokyidong
대중교통(일반버스) 이용
Bus
마을버스
073, 078, 079, 083, 087
Town shuttle bus
073, 078, 079, 083, 087
시내버스
20, 77, 77-1
Intra-city bus
20, 77, 77-1
직행버스
200, 2100, 2200, 9000
Express bus
200, 2100, 2200, 9000
행사장 안내 & 오시는 길
100
Venue Map & Direction
김포아트홀 Gimpo Arts Hall
금파중학교 Geumpa Middle School
김포아트홀 Gimpo Arts Hall
사우고등학교 Sawoo High School
김포시민회관 Gimpo Citizen's Hall 김포 종합 운동 Gim 장 po S port Com s plex
경기 김포시 돌문로 26
Dolmun-ro 26, Gimpo-si, Gyeonggi-do
버스
Bus
김포고등학교 하차 → 시청방면 500m
Gimpo High School Stn. → toward Gimpo City Hall, 500m
시내버스
2, 9-1, 60, 60-3, 81, 81-1, 83, 88, 95, 96, 101,
Intra-city bus 2, 9-1, 60, 60-3, 81, 81-1, 83, 88, 95, 96, 101, 102, 388, 841, 841-1
102, 388, 841, 841-1 직행버스
3000, 8600, 9008
Express bus
3000, 8600, 9008
시외버스
9502, 8426
Intercity bus
9502, 8426
광역버스
9501
Red Bus
9501
간선버스
17, 60-2, 672
Blue Bus
17, 60-2, 672
지선버스
6641
Green Bus
6641
마을버스
52번: 기점(장릉 길훈 APT) >
Town shuttle
No.52: From Jangneung Gilhun APT to
종점(감정동 신안 APT) 53번: 기점(북변동 직행버스정류장) > 종점(고촌초등학교) 55번: 기점(장기중학교) > 장기월드아파트 > 종점(사우택지)
bus
Gamjeong-dong Sinan APT No.53: From Bukbyeon-dong Express Bus Stop to Gochon High School No.55: From Janggi Middle School to Sauteakji
행사장 안내 & 오시는 길
101
Venue Map & Direction
연천수레울아트홀 Yeoncheon Sureul Art Hall
연천수레울아트홀 Yeoncheon Sureul Art Hall 연천고등학교 Yeoncheon High School
연천공설운동장 Yeoncheon Public Stadium
연천문화원 Yeoncheon Culture Center
연천청소년수련관 Yeoncheon Youth Training Center
연천역 Yeoncheon Train Station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문화로 150
Munhwa-ro 150, Yeoncheon-eup, Yeoncheon-gun, Gyeonggi-do
기차 (통근열차: 동두천 ~ 신탄리) . 경유지: 동두천 > 소요산 > 초성리 > 한탄강 > 전곡 > 연천 > 신망리 > 대광리 > 신탄리 . 연천역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5분거리 버스 일반버스
39-1번: 도봉산역 > 지행동 > 보영여고 > 전곡 > 연천(연천역에서 하차) 39-2번: 동두천역 > 전곡 > 연천(연천중고등학교 앞에서 하차)
시외버스
3300번: 성남-의정부-연천(선진고속), 1시간 간격 운행 56번: 기점(고촌 은행점) > 종점(김포고, 기업은행)
Train (Commuters’ Train from Dongducheon to Shintan-li) . Stops: Dongducheon > Mt. Soyo> Chosung-li > Hantan River > Jeon-gok > Yeoncheon > Shinmang-li > Daekwang-li > Shintan-li . 5 min. walk from Yeoncheon Stn.
Bus Intracity bus
39-1: Mt.Dobong Stn. > Jihaeng-dong > Boyeong Girl’s High School > Jeon-gok > Yeoncheon (Alight at Yeoncheon Stn. Stop) 39-2: Dongducheon Stn. > Jeon-gok > Yeoncheon (Alight at Yeoncheon Middle / High School Stop)
Intercity 3300: Seongnam > Uijeongbu > Yeoncheon (Seonjin Express), leaving an hourly interval bus 56:
Starting Stop (Gocheon Eunhaeng-jeong > Last Stop (Gimpo High School/The Industrial Bank of Korea)
57:
Starting Stop (Express Bus Stop) > Last Stop (Gimpo High School/The Industrial Bank of Korea)
57번: 기점(직행 정류장) > 종점(김포고, 기업은행)
게스트숙소안내
102
Guest Hotel Information
카프리호텔
앙띠브호텔
CAPRI HOTEL
ANTIVES HOTEL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장백로 68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58
68, Jangbaek-ro, Ilsandong-gu, Goyang-si,
1058, Jungang-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Korea
Gyeonggi-do, Korea
Tel. (031)904-6222~3 | Fax. (031)904-6221
Tel. (031)905-1515
발렌타인호텔
미라벨호텔
VALENTINE HOTEL
MIRABEL HOTEL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강석로 15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56
15, Gangseok-ro, Ilsandong-gu, Goyang-si,
1056, Jungang-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Korea
Gyeonggi-do, Korea
Tel. (031)905-7002
Tel. (031)901-2333 | Fax. (031)901-2366
엠블호텔 MVL HOTEL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태극로 20 엠블호텔 킨텍스 20, Taegeuk-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Korea Tel. (031)927-7700 앙띠브호텔
발렌타인호텔
ANTIVES
HOTEL
HOTEL
VALENTINE
호텔미라벨 HOTEL MIRABEL
카프리호텔 CAPRI HOTEL
대화역 Daehwa
주엽역 Juyeop
정발산역 Jeongbalsan
MVL호텔 MVL Hotel
일 Ils 산호 an 수 La 공원 ke Pa rk
마두역 Madoo
백석역 Baekseok
5 4
6
3호선 백석역 Subway Line No.3 Baekseok Station
셔틀버스
103
Shuttle Bus
정기노선 Ilsan-Paju Line
메가박스 백석
MVL호텔
Megabox Baekseok
MVL Hotel
일산노선 Ilsan Line
메가박스 백석 Megabox
MVL호텔 MVL Hotel
Baekseok 메가박스 파주출판도시 Megabox Pajubookccity
·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2개 노선 무료로 운행됩니다. · 당일 교통사정에 따라 정류장별 도착시각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DMZ runs two free shuttle bus rout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audience. · The interval and duration of shuttles are subject to change depending on the traffic condition.
운행일시
Date
9월 23일(금) - 9월 27일(화), 5일간
September 23(FRI) – September 27(TUE), 5 days in total
운행시간 정기노선 일산노선
Time 첫차 – 09:00, 막차 – 22:30
Ilsan-Paju Line
First Bus-09:00, Last Bus-22:30
첫차 – 09:15, 막차 – 22:45
Ilsan Line
First Bus-09:15, Last Bus-22:45
※ 메가박스 백석 출발 기준, 30분 간격 운행
쉬는시간 정기노선
13:00, 19:30
일산노선
13:15, 13:45, 18:45, 19:15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고
셔틀버스탑승 장소 메가박스 백석
고양종합터미널 좌측 출입구 뒤쪽
메가박스
이채사거리 메가박스 1층
파주출판도시
출입구 앞
MVL 호텔
호텔 정문 앞
※ Departure Time Based on Megabox Baekseok every 30 minutes.
Break Time Ilsan-Paju Line 13:00, 19:30 Ilsan Line
13:15, 13:45, 18:45, 19:15
※Please check our official website (www.dmzdocs.com) for details.
Shuttle Bus Stop Location Megabox Baekseok
Back of the Goyang Bus Terminal's Left-side Entrance
Megabox Pajubookcity
In front of the Megabox Entrance towards Ichae Four-way Stop
MVL Hotel
In front of the Main Entrance
작품 색인
104
Index of Films
5시 24분
72
노후 대책 없다
1303
72
눈을 감으면
59
19禁
40
다마키 가족의 봄
33
22
67
다이어트
76
50년간의 비밀: 대만 위안부이야기
68
대화의 페달
75
5월은 푸르구나
72
더 높이 날아올라
30
7년-그들이 없는 언론
49
델리에서 잠드는 법
33
9와 0 사이
40
뎁스 투
28
One, the Others
73
동지를 위한 행진
70
가라유키상
67
동학농민혁명 고추와 라이플 총
67
가족휴가는 1년전까지…
74
러브트루
44
가현이들
49
로드
44
갈대의 노래
68
로봇 강아지, 아이보
60
감옥에서 만난 자유
46
리턴
70
검은프레임
78
링 위의 촐리타
57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회화
64
마담 B
53
고려아리랑: 천산의 디바
50
마이 레그
35
골목의 이야기
51
마지막 공산주의자
34
공동정범
38
마지막 반란
33
광화문에서
78
머리 감겨주는 여자
31
괴짜할배
74
멋
73
72
모든 얼굴엔 이름이 있다
43
구 그날
26, 53
그땐
49
미정
77
31
바람커피로드
50
그건 사랑이었네
41
백만 번 산 고양이
65
그것이 알고싶다, 싸우는 모녀
74
별이 되고 싶은 불가사리들
75
그녀들의 점심시간
48
보이지 않는 도시, 홍콩
34
그럼에도 불구하고
38
보이첵, 파일럿이 되다
58
그레이스 오브 갓
30
붉은 옷
34
그루잠
78
브루클린 다리 위의 하얀깃발
31
그를 아십니까?
77
블랙 마운틴 컬리지
64
그림자 놀이
70
블랙 화이트 + 그레이
64
기쁘지 아니한가
74
비둘기
73
기억과 함께 산다
67
빅 이슈
76
깨어난 침묵
37
빙빙
51
꽃처럼 아름다운 그대에게
75
사람이 산다
50
꿈으로 가득한
60
사람이 하늘이다
53
나는 대리모입니다
58
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에 대한
30
나의 귀여운 달팽이
77
사랑의 덫
29
난잎으로 칼을 얻다
49
산리즈카 - 제2요새의 사람들
62
남아있는 나날
56
산리즈카 - 헤타 마을
63
내가 고흐에게
75
산리즈카에 살다: 나리타 이야기
63
너무 많이 본 남자
29
살아있는 숲
59
작품 색인
105
Index of Films
상하이 청춘
43
주크 - 스펜서 윌리암스의 여정
선물
73
집처럼 따스한 별 아래
59
선장 솔레이만
35
찬란히 빛나는
46
세계가 충돌할 때
30
책방의 풍경
65
소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28
촌구석
48
소년이 되는 법
57
축구장 가는 길
57
수필
41
친애하는
77
스페셜 원
56
침묵
68
시리아 러브스토리
29
침묵을 찾아서
28
쌀의 노래
45
카메라를 든 사람
43
쓰리, 고
73
퀴어 서점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65
아버지와 나의 사정
79
클로드 란즈만: 쇼아의 유령
43
아버지의 유산
60
태극기에 대하여 경례
77
아비앙또
78
테픽, 넘어져도 다시 일어날 수 있어
59
아야의 하루
58
파워프랜즈
79
아티스트
48
풋볼 브라더스
46
안녕 히어로
37
퓨쳐 베이비
56
알바트로스
58
프로파간다 게임
53
앙뚜
48
하늘색 심포니
54
어느 독일인의 삶
28
학교 그리고 3년
79
언더커버 파라다이스
71
할매축구단
57
엄마의 상자
40
핵마피아
38
여성혐오가 뭘까?
73
행동하는 예술
46
여유
76
행복
76
영돼와 돼영이
41
황색바람
54
오키나와의 할머니
68
훌리건 스패로우
33
옥주기행
38
휴먼
44
媼媽(온마)
75
올 리브 올리브
37
용왕궁의 기억
50
우리 집 속 정글
77
우리가 한 때 가졌던 생각
45
우리는 보안관
45
운전하자. 브레이크 밟지 않고
74
유튜브 신데렐라
56
이갈이
78
이태원
37
일본해방전선, 산리즈카의 여름
62
일직선
76
잭슨 하이츠에서
44
적막의 경관
51
점프
29
좋은 덕후 나쁜 덕후 이상한 덕후
78
45
작품 색인
106
Index of Films
1303
72
Future Baby
56
22(Twenty Two)
67
Gerhard Richter-Painting
64
À bientôt
78
German Life, A
28
About Respect
77
Giving off
78
Adults Only
40
Good Bye My Hero
37
After Breaking the Silence
37
Good Deokhu Bad Deokhu Weird Deokhu
78
After Spring, the Tamaki Family…
33
Grace of God
30
Albatross
58
Grandpa Geek
74
Alive&Kicking: The Soccer Grannies of South Africa
57
Guamuchil Seeds
46
All Live, Olive
37
Happy
76
Alley's Story, An
51
Heritage
60
Artist, The
48
Hooligan Sparrow
33
Artivism
46
How Ky Turned into Niels
57
Asylum Child. Tefik, When You Fall,
59
Human
44
I'll Fly Higher
30
You Get Back up Again Away from Ayah
58
In Gwanghwamoon
78
Backward Lands, The
48
In Jackson Heights
44
Becoming Who I Was
48
In My Jungle
77
Between 9 and 0
40
In Pursuit of Silence
28
Big Issue
76
Itaewon
37
B-ing B-ing
51
Journey to OKJU, The
38
Bitter Money
43
Juke - Passages from the Films of Spencer Williams
45
Black Frame
78
Karayuki-San, the Making of a Prostitute
67
Black White+Gray: A Portrait of
64
Ladies' Lunchtime
48
Land of the Enlightened, The
28
Sam Wagstaff and obert Mapplethorpe Cameraperson, The
43
Landscape between Past and Future, A
51
Cat that Lived a Million Times, The
65
Last Insurrection, The
33
Cities of Sleep
33
Living Forest, The
59
Claude Lanzmann: Spectres of the Shoah
43
Living with the "Memories"
67
Composure
76
LOVETURE
44
Dear You like a Beautiful Flower
75
Man Who Saw Too Much, The
29
Depth Two
28
Marching for You, Comrade
70
Diet
76
Matter of Course
74
Dog, The
60
Mom’s Shabby Box
40
Drawing For Better Dreams
59
Mrs.B., a North Korean Woman
53
Drive. Without Brake
74
My Brother Justin
72
Essay
41
My Charming Snail
77
Every Face Has a Name
43
My Dear
77
Family Holiday until Last Year
74
My Father, the Last Communist
34
Five Twenty Four
72
My First Documentary
79
Football Brothers
46
My Leg
35
Full of Dreams
60
My Life: I'm a Surrogate
58
Fully Awake: Black Mountain College
64
Narita: Heta Village
63
작품 색인
107
Index of Films
Narita: Peasants of the Second Fortress
62
Still and All
38
Nine
72
Straight Line
76
No Money, No Future
49
Strange but Good
77
Not Happy?
74
Style
73
Nuclear Mafia, The
38
Summer in Narita
62
Okinawa no Harumoni
68
Symbolic Threats
31
On Football
57
Syrian Love Story, A
29
Tale of Love, Madness and Death, A
30
One Warm Spring Day
26, 53
One, the Others
73
Then Then Then
31
Onma
75
Those Who Jump
29
Orchid and the Sword, The
49
Thoughts that Once We Had, The
45
Part-Time Workers’ Union, The
49
Three, GO
73
Peasant Revolutionary Dynamics Pepper and Rifle
67
To Van Goah
75
Pedal of Dialog
75
Traces of an Invisible City
34
People are the sky
53
Twilight of a Life
56
Pigeon
73
Ukrainian Sheriffs
45
Poetries from the Bookstores
65
Undefined
77
Power Friends
79
Under the Stars I Felt at Home
59
Present
73
Undercover Paradise
71
Presenting Princess Shaw
56
Wages of Resistance: Narita Stories, The
63
Promise, The
29
Wake up in Deep Sleep
78
Propaganda Game, The
53
We Can Call It Love
41
Red Clothes
34
Welcome to My Queer Bookstore
65
Remnants, The
38
What's Misogyny
73
Return
70
When Two Worlds Collide
30
Road, The
44
Windy Coffee Road
50
Sangha
46
Wojtek
58
School and 3 Years, The
79
Women in Sink
31
Secret Buried for 50 Years: The Story of Taiwanese
68
Wrestling Cholita, The
57
Comfort Women, A Seven Years-Journalism without Journalist
49
Shadow Player, The
70
Shallow Kim
41
Silence, The
68
Skipper Soleiman
35
Sky-Blue Symphony
54
-The Story of the Korean Schools in Japan- , The Slice Room, The
50
Song of Rice, The
45
Song of the Reed
68
Sound of Nomad: Koryo Arirang
50
Special One, The
56
Starfish that Want to Become a Star
75
Yellow Wind
54
Yongwanggoong: Memories from Across the Water
50
감독 색인
108
Index of Films
강유가람
37
마에다 켄지
67
알마 하렐
44
장윤석
77
고타니 타다스케
65
마커스 베터
29
알바로 롱고리아
53
장준혁
78
구대희
48
마크 실버
59
앤드류 슈나이더
58
재키리 케인퍼리
60
구명준
79
마티즈 베암커
31
야마타니 테츠오
68
쟝 크리스토프 피셔
46
궈커
67
매그너스 애튼
43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44
전진
48
권순현
51
매튜 오르즐
30
얀닉 하스트로프
59
전혜진
74
길혜주
73
메이 오다하
59
양 지아원
68
정수은
26, 53
김선영
48
모리츠 시버트
29
엄윤상
73
정이든
77
김수민
40
문창용
48
에스테판 와그너
29
제임스 크럼프
64
김여진
76
미사와 타쿠야
70
오가와 신스케
62, 63
조하린
77 40 54
김영조
38
미샤 라인코프
31
오그옌 글라보니츠
28
조한나
김영총
41
미쟐 부스토스 구티에레스
30
오민욱
51
조현준
김응수
38
민지오
41
오츠 코시로
63
주로미
37
김일란
38
바르텍 트레즈나
58
올라프 뮐러
28
진지원
40
김임만
50
바오 만후아
70
왕 난푸
33
찬 리다
34
김정
50
박대혁
79
왕보
34
최승민
78
43
최인아
71 74
김진혁
49
박배일
37
왕빙
김찬빈
76
박수남
68
우 허수칭
68
최현지
김태영
41
박승희
78
우루퐁 락사사드
45
카린 슈타인버거
29
49
캐서린 데이비스 좀머
64
김태일
37
박시영
77
윤가현
김환태
38
박연수
72
윤재호
53
나수민
75
박영이
54
이도 하르
56
나요한
75
박지윤
75
이동우
49
닐리 도슨
64
방나연
72
이마무라 쇼헤이
67
다니엘 쉴러
31
백유정
75
이만기
76
다이시마 하루히코
63
사닷 알리 사이드 푸어
35
이민서
74
대만국립예술대학팀
70
샬롯 티스-에반슨
60
이사벨 람베르티
30
대실 김-깁슨
53
서지우
74
이슬기
72
덴 레프톤
46
세르시오 옥스만
57
이승애
73
도안 홍 레
34
송윤혁
50
이승열
73
도이 토시쿠니
67
송지연
76
이승주
72
드레아 쿠퍼
60
쇼네크 센
33
이유신
73
딘 에자흐
59
숀 매칼리스터
29
이정우
76
라라-앤 드 웨트
57
스베레 크벰
58
이준섭
73
라민 오아
56
신미래
77
이혁상
레리 퉁
65
실뱅 비글라이즌
56
일스 판 드리얼
로만 번데쵸크
45
심현수
78
롤랜드 쇼르투퍼
28
아담 벤진
루츠 헨케
31
아멜리아 탄
리야오 지엔화
33
아부 바카 시디베
마르신 필리보비츠
46
마리아 엘레마브스키
56
마리카 드 욘
60
커스틴 존슨
43
케롤라이나 코랄 파르디스
46
코디 오터슨
58
코린나 벨츠
64
콘 서 모에 아웅
35
크리스티앙 로줌피에르
30
크리스티앙 크로네
28
태준식
48
톰 앤더슨
45
트리샤 지프
29
판루
34
패트릭 쉔
28
프레드릭 와이즈먼
44
플로리안 와이겐즈미어
28
38
피터-얀 드 푸에
28
57
하리 그레이스
57
임경희
49
하이디 브란덴부르크
30
43
임유경
75
한서영
79
58
임유진
77
한영희
37
29
임철민
51
허우 치잔
65
아이리스 자키
31
임표정
78
허윤
안느루 판 헤임스트라
59
장 잔보
44
현진식
50
안수현
40
장미소
74
황 잉유
33
40, 78
감독 색인
109
Index of Films
Abou Bakar Sidibé
29
Harri Grace
57
Kristjan Loðmfjörð
30
Olaf Müller
Adam Benzine
43
Heidi Brandenburg
30
Kwon Soon-hyeon
51
Ogawa Shinsuke
Ahn Soo-hyeon
40
Heo Yun
Lamin Oo
56
Otsu Koshiro
63
Alma Har'el
44
Hou Chi-jan
65
Lara-Ann de Wet
57
Pan Lu
34
Álvaro Longoria
53
Huang Yin-yu
33
Larry Tung
65
Park Bae-il
37
Amelia Tan
58
Hyun Jin-sik
50
Lee Annie
73
Park Dae-hyeok
79
Andrew Schneider
58
Ido Haar
56
Lee Dong-woo
49
Park Ji-yoon
75
Anneloor van Heemstra
59
Im Cheol-min
51
Lee Hyuk-sang
38
Park Seung-hee
78
Bang Na-yeon
72
Imamura Shôhei
67
Lee Jung-woo
76
Park Si-young
77
Bao Manhua
70
Iris Zaki
31
Lee Jun-seop
73
Park Su-nam
68
Bartek Tryzna
58
Isabel Lamberti
30
Lee Man-ki
76
Park Yeong-i
54
Beak Yu-jung
75
James Crump
64
Lee Min-seo
74
Park Yeon-soo
72
Carolina Corral Paredes
46
Jang Mi-so
74
Lee Seul-gi
72
Patrick Shen
28
Cathryn Davis Zommer
64
Jannik Hastrup
59
Lee Seung-ju
72
Pieter-Jan De Pue
28
Chan Lida
34
Jean Christophe Pêcheur
46
Lee Seung-yeol
73
Roland Schrotthofer
28
Chang Joon-hyuk
78
Jeon Hye-jin
74
Lee Yoo-shin
73
Roman Bondarchuk
45
Chang Yoon-suk
77
Jeon Jin
48
Liao Jian-hua
33
Sa'adat ali Saeed Pour
35
Charlotte Thiis-Evensen
60
Jeong I-deun
77
Lim Gyung-hee
49
Sean McAllister
29
Cho Han-nah
40
Jeong Su-eun
26, 53
Lim Pyo-jeong
78
Seo Ji-woo
74
Cho Ha-rin
77
Jero Yun
53
Lim Yoo-jin
77
Sergio Oksman
57
Cho Hyun-jun
54
Jin Ji-won
40
Lim Yu-kyung
75
Shaunak Sen
33
Choi Hyun-ji
74
Ju Ro-mi
37
Lutz Henke
31
Shin Mi-rae
77
Choi In-a
71
Kangyu Ga-ram
37
Maeda Kenji
67
Sim Hyeon-su
78
Choi Seung-min
78
Karin Steinberger
29
Magnus Gertten
43
Song Ji-yeon
76
Christian Krönes
28
Khon Soe Moe Aung
35
Marc Silver
59
Song Yun-hyeok
50
Cody Autterson
58
Kim Jeong
50
Marcin Filipowicz
46
Sverre Kvamme
58
Corinna Belz
64
Kim Chan-bin
76
Marcus Vetter
29
Sylvain Biegeleisen
56
Dai Sil Kim-Gibson
53
Kim Eung-su
38
Maria Arlamavsky
56
Tae Jun-seek
48
Daishima Haruhiko
63
Kim Hwan-tae
38
Marinka de Jongh
60
Thom Anderson
45
Dan Laughton
46
Kim Il-rhan
38
Mathew Orzel
30
TNNUA team
70
Daniel Schioler
31
Kim Im-man
50
Matthias Wermke
31
Trisha Ziff
29
Diam Azzeh
59
Kim Jin-hyuk
49
May Odeh
59
Um Yoon-sang
73
Doan Hong Le
34
Kim Su-min
40
Mijael Bustos Gutiérrez
30
Uruphong Raksasad
45
Doi Toshikuni
67
Kim Sun-young
48
Min Ge-o
41
Wang Bing
43
Drea Cooper
60
Kim Tae-il
37
Misawa Takuya
70
Wang Bo
34
Els van Driel
57
Kim Tae-yeong
41
Mischa Leinkauf
31
Wang Nanfu
33
Estephan Wagner
29
Kim Yeo-jin
76
Moon Chang-yong
48
Wu Hsiu-ching
68
Florian Weigensamer
28
Kim Yeong-chong
41
Moritz Siebert
29
Yamatani Tetsuo
68
Frederick Wiseman
44
Kim Young-jo
38
Na Su-min
75
Yang Jia-yun
68
Gil Hye-ju
73
Kirsten Johnson
43
Na Yo-han
75
Yann Arthus-Bertrand
44
Guo Ke
67
Koo Dae-hee
48
Neeley Dawson
64
Yun Ga-hyun
49
Han Seo-yeong
79
Koo Myeong-jun
79
Ognjen Glavonić
28
Zackary Canepari
60
Han Young-hee
37
Kotani Tadasuke
65
Oh Min-wook
51
Zhang Zanbo
44
40, 78
28 62, 63
8회 DMZ국제다큐영화제
8th DMZ Docs
페스티벌 가이드
Festival Guide
발행인
Publisher
조재현
Cho Jae-hyun
책임편집
Chief Editor
박혜미
Park Hye-mi
편집 및 자료관리
Editor & Data Admin.
김민주
Kim Min-ju
원고 및 교정
Contents & Proofreaders
문일주
Moon Il-joo
조정의민
Chojung Eui-min
권은혜
Kwon Eun-hye
번역
Translation
주은정
Ju Eun-jung
디자인
Designed by
슬로워크
slowalk
인쇄
Printed by
타라TPS
TaraTPS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천로 198번길 18 춘의테크노파크2차 202동 906호 9F, 202-DONG, Chunui Techno Park II, 18 Bucheon-ro, 198-gil, Wonmi-gu, Bucheon-si, Gyeonggi-do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036 고양종합터미널 6층 6F Goyang Bus Terminal, 1036 Jungang-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Tel 1899 8318 Fax +82 (0)32 632 8080 www.DMZDocs.com
※ 본 책자는 8월 31일자로 인쇄되었습니다. 이후 변동사항은 DMZ국제다큐영화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This festival guide was printed on August 31st. Please check out our official website periodically for changes.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