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MPRINT
PRODUCTION Prof. Saari Omar, Farhana Mohammed Isa Nurhuda Ruslan Rosnizal Baharum Vigneswaran PRINTED IN MALAYSIA ISBN 973-3-8365-0091-3
© DEPARTMENT OF ARCHITECTURE Faculty of the Built Environment, University of Malaya, 50603 Kuala Lumpur, Malaysia
COORDINATOR Prof. Seo Ryeoung Ju Prof. Ar. Saari Omar Ms. Ar. Lee Mei Ming Dr. Hazreena Hussein Ar. Norzaini Mufti Mr. Adnan Abdullah Mr. Tham Chee Kang
2011 UM-KHU
This book is a compilation of selected students works in University of Malaya - Kyung Hee University Joint Studio Programme for the year 2011
U NIVERSITY OF M A L AYA - KYU NG H EE U NIVERSITY
JOINT STUDIO
©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College of Ecology, Kyung Hee University, Seoul 130-701, Korea
2
PROGRAMME 3
UM-KHU 2011| COMPILATION
CONTENTS
UM-KHU 2011 is published by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Faculty of the Built Environment, University of Malaya. Copyright 2011 . Department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Malaya. All written and printed materials in the publication may only be reproduced with the permission of the author and/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welcome
ISBN 973-3-8365-0091-3
Prof Ar. Saari Omar
about
introduction to the project
participants
Boa Er & Jeong Eun . Farhana & Minji . Zhi Xin & Yoon Jeong Keian Ann & Young Lae . Mir & SeungKyu . Hisyam & SeungHun . Razis & Da Young Mustaffa & Hami . Nadiah & Wumin . Nurhuda & Hannah . Ai Qin & Jung Sun . Chun Khai & JunHo Rosnizal & Yirang .Wee Jen & Seul Ki. Vignes & Neo . Sze Min & Euni Li San & Hyunji . Cornelia & Sun Young
4
5
W E L C O M E
N O T E S
amconsenim venis nos nim zzrit wis ex eu faccummy nulluptat, sim quat. Ommodigniat, vel dipis augue deliquat volorer cillam quatinci blandrem adip euipis augiat lut vel irit pratem digna feuipit autpati scilit aliquam, vulputpat. Ci bla facidunt non ex erat, senim velesed ming ea facilit la feugait ulla ad min essequi bla faciduis et, con veliquatem acinit alisi. Nim exeriuscidui blam, sed do ecte facipisit praesto elen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ciliquat.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aut lum vulland rercilis duip eu feui ex estrud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er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er. xeriuscidui blam, sed do ecte facipisit praesto elen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 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ciliquat.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aut lum vulland rercilis duip eu feui ex estrud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duip eummy nummodolen.
Ci bla facidunt non ex erat, senim velesed ming ea facilit la feugait ulla ad min essequi bla ore er sit, conum ing et, quatumsan ullamet utet nonsed duip eummy nummodolenit amconsenim venis nos nim zzrit wis ex eu faccummy nulluptat, sim quat. Ommodigniat, vel dipis augue deliquat volorer cillam quatinci blandrem adip euipis augiat lut vel irit pratem digna feuipit autpati scilit aliquam, vulputpat. Ci bla facidunt non ex erat, senim velesed ming ea facilit la feugait ulla ad min essequi bla faciduis et, con veliquatem acinit alisi. Nim exeriuscidui blam, sed do ecte facipisit praesto elen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ciliquat.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aut lum vulland rercilis duip eu feui ex estrud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er sit, conum ing et, quatumsan ullamet utet nonsed duip eummy nummodolenit amconsenim venis nos nim zzrit wis ex eu faccummy nulluptat, sim quat. Ommodigniat, vel dipis augue deliquat volorer cillam quatinci blandrem adip euipis augiat lut vel irit pratem digna feuipit autpati scilit aliquam, vulputpat.
Professor Seo Ryeung Ju Kyung Hee University
W E L C O M E
amconsenim venis nos nim zzrit wis ex eu faccummy nulluptat, sim quat. Ommodigniat, vel dipis augue deliquat volorer cillam quatinci blandrem adip euipis augiat lut vel irit pratem digna feuipit autpati scilit aliquam, vulputpat. Ci bla facidunt non ex erat, senim velesed ming ea facilit la feugait ulla ad min essequi bla faciduis et, con veliquatem acinit alisi. Nim exeriuscidui blam, sed do ecte facipisit praesto elen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ciliquat.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aut lum vulland rercilis duip eu feui ex estrud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er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er. xeriuscidui blam, sed do ecte facipisit praesto elen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 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ciliquat.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aut lum vulland rercilis duip eu feui ex estrud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duip eummy nummodolen.
Ci bla facidunt non ex erat, senim velesed ming ea facilit la feugait ulla ad min essequi bla ore er sit, conum ing et, quatumsan ullamet utet nonsed duip eummy nummodolenit amconsenim venis nos nim zzrit wis ex eu faccummy nulluptat, sim quat. Ommodigniat, vel dipis augue deliquat volorer cillam quatinci blandrem adip euipis augiat lut vel irit pratem digna feuipit autpati scilit aliquam, vulputpat. Ci bla facidunt non ex erat, senim velesed ming ea facilit la feugait ulla ad min essequi bla faciduis et, con veliquatem acinit alisi. Nim exeriuscidui blam, sed do ecte facipisit praesto elent lum venit ut lor se dolessit, quis ad minciliquat. Wismod enim irit augiamet nulla faccumm odolorerilis num vel dolumsan eumsan henit aut lum vulland rercilis duip eu feui ex estrud et autetue euis dolorper atie core er sit, conum ing et, quatumsan ullamet utet nonsed duip eummy nummodolenit amconsenim venis nos nim zzrit wis ex eu faccummy nulluptat, sim quat. Ommodigniat, vel dipis augue deliquat volorer cillam quatinci blandrem adip euipis augiat lut vel irit pratem digna feuipit autpati scilit aliquam, vulputpat.
Professor Saari bin Omar University of Malaya
6
N O T E S
7
INTRODUCTION PROPOSED DESIGN PROJECT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Rud molor iure magnis ex ex exer acipsummod magna core tie min volesti onsequam, con exeriustrud te te dolor si tin volor suscip exer iusting ex el ing ex er iurerostio odiamconse faci euis nullam, sequamcons at. Ro eum am inci tat il dolorti sciliquipit ex erci el illuptat. Ecte dui tin velesent volobore dolor ipsustrud min hent velit alisl dolore dolor senim augiam zzril dit ilis num dolore mod dit ing er ip ercidunt laor irit prat, cons num ero od ming enim doloborero odiam, sumsandre commy nibh eugiat. Sandre diam nosto ex et num dolobortin vel il utem ea feum irilis etum ilis dolorpe rostie digna faccum eniamco nsecte delestrud eugiat.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Lor irillutet nit nulla conulla facipsu mmodolore dolobore dolor sim irit prat, susci blan veliquamet do odolore verci te magnisl dip eu facincidunt iriusto commy nibh et, vulla faccum nisi ea adipis eugait acipsum sandre magna am quismol uptat, velessequis nos ad tis diamet inci bla ad minim quisim in ulputet, sustie min henit lore delenis do exercil landre vel utpat nostrud ero odolum quip exerci tat adit wis ex etum digna facip eu facipsum ipisit prat ipis aliqui eugiat wisl do dignis augiat lute min estrud moloreetuer adignit num volenis adion eliquis eu feuis aci blandre rilissequis alismol oborer ad minim do dit utat venis dolore min ute verat pratumsan ea core ming euguer in erciliq uamet, quis dolorper senibh el duisim nit non henim erit vel ipit iureet, sit, volorti onsequisi blam zzrit nonum quat, consenim euismol orperci duipisim irilla consed min ut auguero odolutat inibh ex eliquat. Ut ercilit, sustrud exero et alit prat. Quam, volorer sum del ulputem dignis dolor se tio conullandre consed tat. Duipisi.
Ectem adit del etum iriliquatin ut nonse te te dolenit praessecte tem duis dip exerosting eu feugait augait, sum venim qui bla feugait nonse faccumsan henim nulput doloreet vel ex exercidunt velis aci te dipisim iustion volortinim num nim vent autet et lam, quam, sim do do od te modip ercipsum iliquis aliquis ero con utat veriure rostrud molore dui ea facidunt at. Ut volessim eugait wiscin utpatum sandiat, sisiscin hendipit dio dunt at ulluptat nulluptat niam quisl ulluptatie magna aciliquipis alit, quationsed ming er aliquisi ex eriusci duisci tie exerit venis nos aut in utat, vullaor ipismod ionsequi tem nulput lobore dolor sim zzriliq uipsummolore corer sendipit velisit wissi tat, vullan utat acipsusto odolore rcillan heniat nulla ad dolortinim nibh euisse minim iure tat. Rit aliquam quatisim do conum dip eugiam, quis ad et non henit wisi.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Faciduis at. An eugiatum quipit adio digna feummodipit irillutat, suscidui exer autem elesto ero et, corero core dio consecte ming eraessi.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Pat prat ipit ulla consent elesent illaore dit ut nostrud dolore modipsum nit lute min esent luptat. Rud dunt iure dunt ercilla facillaore tionsent aut acincidunt ipit ad dip estie modit, con ent at am eu feugiamet amet autem quisis nonse ming eum erci er iure el ulput del ulputate vel eugiam do duiscidunt alit ad dunt ad dolor sequi ero ea feugiametum vullaoreet, commy nos euisl dolenim zzrilit wis atis alis ea facin utem in volor iliqui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
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8
9
JUSTIFICATION FOR THE PROJECT
esse tatem quis atie min henit, verate dolor sequissi. Ibh elit la am delisi. Vero cor sustie ming ex ercin hent augiam ip essit velit ip el dolorem ip et, quis at ilit lore duismod olorercinisl iriuscil utatum nos amcommo dolobor eraesto delenisit ipit wis esecte conse modiam, vel utat. Duip eros am, veriurerosto elisi blaorer sendre ver ip eugait num ip eugue tatetum quatini amconulput iriureet, si tatum zzrit aliquametuer iril dip esectem in ea consed dunt veliqui tio dolorpero odolortin vel ut wis eummoloreet ilis adiat, sequam nit ipit, quat, quiscil issequat nos autpat, sit wisi.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Ed ercidunt autet lorting el iure molestrud del eu feuguer adip ea feu feum augait auguero dipsum ip eros at la faccum zzriusci bla ad magnim nibh eu facilit alit vent verit in vel dolessequisl duip ea feugue euipit, veraesto odio conse ex ea conulla adit, commy nisismo dolupta tuerostrud tem eugue feugait volorper iuscidunt praesequipis nim dolor sum zzrit luptat, si te vullum exercidunt ing estissendre exerat, quat wis autatem quis alit in ullan utetum iureet lore modolor perostrud tie du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Groups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In sociology, a group can be defined as two or more humans that interact with one another, accept expectations and obligations as members of the group, and share a common identity.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LOCATION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
A design project will be done in an Iban village called Rumah Kanyan at Ngemah Ili, about 250 km (5 hours drive) Southeast of the Kuching city.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10
11
The Interactive Community
Chai Boa Er and Jeong Eun
BREAKING FROM BUSY URBAN LIFE, ACHIEVE A SECURE, RELIEF AND PEACEFUL COMMUNITY
The Project Current issues: 1. Very bad sound and air pollution due to surrounding high traffic flow 2. Safety and security problems due to (high traffic flow, bad condition of back lane and etc…) 3. Difficult to create privacy due to prominent site location Based on the current issues, the affordable housing design intension was to break from the busy urban life, to achieve a secure, relief and peaceful community. There are few objectives to be achieved through this housing design, these includes firstly, to form a defensible community in an urban area, to create a community space with privacy control from the busy environment and to create an inward looking community rather than outward looking living community. Inward looking living community brings all the units living spaces such as balconies and living spaces to face inwards. All the unit occupant’s have the opportunity to interact and at the same time create natural surveillances between the occupant’s and their surroundings. Inward looking community also provides the benefit of creating a more safe environment since there are strong natural surveillances between the occupants that creates a safe and secured living environment.
To enhanc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ccupants in one big community space, the housing design scheme design will create common spaces/facilities which are shared together within all the occupants within the different ages. These common facilities such as multifunction hall, roof garden, recreational park, lift lobby interaction space, library, gym room, kindergarten, classroom, retails, cafeteria, sports and others. The common facilities will be provided mostly on the ground level and in the center of the whole housing area. Each floor will provide with interaction space which is located at the lift lobby area, seating’s are provided for resting, reading, and chit chatting with neighbours. Each corridor space are provided with seating’s as a resting and chatting space. There are two main internal courtyards as the recreational park that surrounds the housing blocks. This creates privacy at common facilities spaces and occupants can safely enjoy the facilities provided.
Besides that, due to the location of this housing, privacy control and sound control is very important in the housing desig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ffordable housing in the urban area, the housing design will create privacy control such as second skin facing outward, sound control such as orientation of the housing unit to face inwards rather than outwards. The sliding panels are used as the second skin which are flexible and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occupants needs. The sliding also can be used as sun shading devices and as rain protector.
Site Plan
BLOCK MASSING DESIGN IDEA
COMMUNAL SPACES DESIGN IDEA 12
13
Side Elevation
Front Elevation
14
15
프로젝트
유닛의 평면유형에는 family unit과 studio unit 이렇게 두
아이 방으로 들어가는 통로에 놓인 책장은 벽과 가구 두
가지 유형이 있다. Family unit은 방을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가지 역할을 한다. 이 책장을 변형시키면 부족한 스터디
따른 3가지 옵션이 있는데, 거주자가 자신의 편의에 맞춰서
공간을 보완해준다. 책장을 방 안쪽으로 밀어 넣은 후,
공간을 이용할 수가 있다. 사람들은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테이블을 밑으로 내리고 의자들을 꺼내면 1~2인이 공부할
침실을 따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합쳐서 하나의 커다란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공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만들어진 커다란 공간은 안방, 서재 또는 작업실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모든
아이 방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침대를 접을 수 있는 2
유닛들은 크게 공용공간과 개인공간으로 나눠져 있는데
층 침대로 디자인하였다. 침대가 필요한 경우만 펼쳐서
입구를 들어섰을 때 왼쪽이 공용공간이고, 오른쪽이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어놓을 수 있어서
개인공간이다. 공용공간과 개인공간은 유동성 있는 벽과
방 안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과
슬라이딩 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화장실과 세탁실 쪽에
마찬가지로 움직이고 회전시킬 수 있어서 두 개의 방을 이
있는 슬라이딩 문은 입구에서 들어오는 사람이 안쪽을 바로
가구를 이용하여 나눌 수도, 합쳐서 사용할 수 있다.
볼 수 없도록 막아주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준다. Studio unit의 벽도 움직일 수 있는 벽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가족이 늘어나면 거주자들은 그 벽을 설치하고 움직여서 새로운 공간을 더 만들 수 있다. 집 안에는 변형이 가능한 여러 가구들이 있어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그 예로 먼저 거실의 텔레비전 장은 거실과 식탁이 있는 공간을 나누어 준다. 이 텔레비전 장은 움직이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 거실과 식탁 공간을 합쳐서 사용할 수 있다. 부엌과 식탁 공간은 3개의 움직일 수 있는 판으로 만들어진 파티션으로 나누어져 있다. 3개의 판을 모두 닫으면 두 공간은 완전히 분리된다. 반대로 3개의 판을 모두 돌려서 벽 쪽으로 밀어놓으면 부엌과 식탁 공간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두 가구를 모두 오픈된 상태로 만들어 놓으면 부엌부터 거실까지 연결된 넓은 공간이 만들어져 부엌에서 요리하는 사람이 거실에 있는 사람들과도 소통을 할 수 있게 해준다.
FAMILY TYPE 3 BEDROOMS
2 BEDROOMS
1 BEDROOM
16
STUDIO DESIGN
FUTURE EXTENSION
17
Mobius Strip Public Housing @ jln imbi
Farhana Mohammed Isa and Kim Minji
SOCIAL NETWORKING, SUSTAINABLE URBAN LIVING AND CREATING HEALTHY LIFESTYLE COMMUNITY
The Project Before the city, comes the grouping of villages. In modern days, the neighborhood spaces and a personal individual space will act as one, that will finally conclude as a house. The design intention of the MOBIUS STRIP PUBLIC HOUSING inspired by the MOBIUS STRIP shapes itself. A house must be design to grow a family. The ideas of flexibility in unit design and layout, the social networking in space planning and defensible space are reflected in this public housing. The house must be flexible in interior partitioning and growth from one bedroom to three bedroom to cater for the growing needs of the family. The mobius strip concept gives the impact of exterior wilderness, and interior world to the community that live in it. The site issues of noise, dust, traffic circulation, parking ,thus gives some limitation to the design constraints but there are also some advantages of views, public transportation hub and commercial hub in the centre of Kuala Lumpur.
The MOBIUS STRIP PUBLIC HOUSING @ JALAN IMBI gives what they want, on riding bicycle, shopping, exciting night life, security, pedestrian friendly, rest area, a place for study and green scenery. The hierarchy of spaces from town, park, square, lobby, passage, and corridor and into the unit design gives the overall impact of the strip ideas. The MOBIUS STRIP PUBLIC HOUSING development is designed with four attractive zone which are recreation zone, observation zone, education zone, and sport zone in this development. The house must have a social ‘serambi’ for community and social interaction, the nature of the family has no meaning without peace and harmony between families in the immediate neighborhood.
In construction wise, IBS system, using low-e glass, less odors and less heat gain paint selection, introducing recycling, rain water harvesting and roof garden will offer a great sustainable living and innovations been implemented. With the present technology, this can be easily done. Next, the priority is the respect of privacy in terms of visual, olfactory and auditory. Windows and penetrations must be designed with care so as not to intrude visually and from the issues of crime, the neighborhood should have its own territorial courtyard at the ground level. The thermal comfort of the houses should be cool without using air-conditioning and makes this design with well cross ventilation in the space planning.
Design skecthes and ideas
The MOBIUS STRIP PUBLIC HOUSING also approaches the religious matters of performing their ritual events. Security and crime prevention takes the concept of this infinity loop where the ability for small children to play without fear of vehicular or criminals.
프로젝트
Floor Plans 18
Ground Floor Plan 19
1
2
3
4
1 Corridor design with green wall as buffer from noise and dust 2 View towards main entrance and community centre 3
Elevated ground with sitting area
4 View from the balcony towards open area
20
21
22
23
Farhana Mohammed Isa and Kim Minji
프로젝트
아파트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여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발코니 확장이
세대가 함께 사는’ 주거 건물이다. 때문에 아파트 안에는
가능한 평면을 계획했다. 발코니 바깥쪽에 개, 폐가
여러 가족들이 모여서 살고 있으며 각 가족들의 생활은
자유로운 문을 디자인해 발코니를 없애고 방을 더 넓힐 수
각자의 개성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아파트는
있도록 하였다. 사적 공간에는 따로 벽을 두지 않고 가구를
한 건물 안에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용해 공간을 구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사적 공간과 공적
아파트 내에서 평면의 계획과 인테리어는 개성을 중요시
공간으로 나누어지는 곳에는 미닫이 문을 두었는데, 이는
하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프로젝트는
사적 공간의 구분이 바뀌었을 때 문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
평면과 가구의 계획을 통해 거주자의 요구에 따라 공간의
할 수 있도록 한 계획이다. 발코니 확장 형과 미닫이 문은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주택을 구매, 유지, 관리를
한국적인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발코니
하는 데에 큰 비용이 들지 않도록 디자인 되었다.
확장은 한국의 현대 아파트에서 베란다를 확장해 방을 넓히는 경우를 적용한 것이고, 미닫이 문은 한국의 전통
먼저 전체 유닛은 TYPE A 와 TYPE B 두 가지로 단순화
가옥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문의 형식이며 현대 주거에서도
되어있다. 두 타입은 단순히 가로와 세로가 바뀌어 있는
공간 활용을 위해 탈 부착이 가능한 문으로 많이 쓰이고
90도 회전 형으로 복잡하게 여러 가지 크기의 평면을 넣지
있다. 바닥이나 벽의 재질은 부엌, 야드, 발코니, 화장실의
않고 두 가지만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했다. 각 타입은
정해진 공간을 제외하고는 같은 재료를 사용해 공간이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4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며, 공간을
변형되었을 때 한 공간 안에 여러 재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으로 구분해 확장이나 변형이 쉽게
계획했다. 가구를 통해서도 공간의 효율성을 높였다.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먼저 각 타입의 1번(A-
원룸타입의 경우 소파 뒤에 침대가 접어 올려져 들어갈 수
1, B-1)은 신혼부부를 위한 평면 계획으로 A-1의 경우
있는 공간을 두어 거실과 침실의 역할을 같이 할 수 있도록
신혼부부를 위한 평면이라고 보기에는 비교적 큰 크기를
했고, 각 침실에 있는 침대 역시 세로로 접어 올려 넣을 수
가지고 있지만 서재와 휴식 공간 등의 공간을 넣음으로써
있도록 하거나 바닥의 단을 한 단 올리고 침대가 아래에서
집안에서의 생활을 풍족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B-1의
나올 수 있고, 단 위의 공간에 책상을 두는 공간으로 계획해
경우에는 방이 한 개 딸린 평면과 원룸타입의 평면이 함께
잠을 자지 않을 때 활용 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혔다.
있는 타입이다. 각각의 출입문도 따로 있기 때문에 큰 집이 필요하지 않은 신혼부부나 미혼의 젊은 층을 위한 평면이다.
그 외에 현관 앞에 앉아서 쉴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해 복도
각 타입의 2번(A-2, B-2)과 3번(A-3, B-3)은 자녀가 있는
안에서 자신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이웃들과 대화를
가족을 위한 평면으로, 사적 공간인 각 침실들을 어떻게
나누면서 쉴 수 있도록 해 이웃간의 교류를 유도하였다.
확장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평면이다. A타입의 경우
또, 현관문이 복도에 바로 노출 되는 것이 아니라 이
공적 공간 양쪽으로 사적 공간이 위치해 있으며, B타입의
공간을 통해야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의
경우 세로 경계를 두고 왼쪽은 사적 공간, 오른쪽은 공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공간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각 타입의 4번(A-4, B-4)은 B-1의 경우와 같다. 한 평면 안에 원룸 타입이 포함되어 있는 유형이다. A-4는 침실이 두 개 있는 평면과 원룸 평면이 함께 있어 조부모를 모시고 사는 가족 등의 두 세대가 한 집에 사는 가족에게 효과적일 것이다. 세를 주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다. B-4의 경우는 B-1과 같다.
24
25
Imbi.Wall
Hew Zhi Xin and Choi Yoon Jeong
INSPIRED BY BYKER WALL, A SOLID CONCRETE PERIMETER WALL
The Project The project was inspired by Byker Wall, an award-winning housing project by Ralph Erskine built in Newcastle-UponTyne, United Kingdom.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both the site of Byker Wall and the project site shared common traits, such as the presence of noise from busy traffic along the highways. In Byker Wall, a solid concrete wall was built around the perimeter as a noise barrier. For this project, the intention was to take the concept of the ‘wall’ element further than just as a noise barrier. In this project, the wall not only becomes a noise barrier at the perimeter, but enters the site and becomes part of the landscape. Through thoughtful openings and profiling, a wall can turn into seating, framing views of the city. By texturing the wall, it turns into a sensory element for the landscape. Walls can also be planted with green to become a green wall, which provides a comfortable microclimate and reduces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The principles of defensible space are also applied in the project. By building the massing of the housing as a perimeter block, the building acts as a barrier from the outside. Other than that, the housing is separated into three blocks to make it more defensible. The landscape area is separated into active and passive landscape areas. Facilities provided include shops, library, prayer areas, multipurpose hall, gym and yoga and aerobic platform. Sustainable design strategies were also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is project. To facilitate natural ventilation, the blocks are broken in between to create double-volume landscaped areas which allows air to flow through. The units uses large openings, light shelves and louvers to admit natural daylight and ventilation. Recycled materials are used in the project, both for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s.
26
27
28
29
30
31
32
33
프로젝트
Hew Zhi Xin and Choi Yoon Jeong
이번 우리 팀의 프로젝트에는 두 가지 유닛이 있다. 하나는
이 유닛에도 flexibility가 있다. 우선 주방과 방을 막을 수
방이 세 개 인 3-bedroom 유닛으로 가족이 중심이 되는
있는 이동식 벽을 두어 필요에 따라 벽을 움직여서 사용할
유닛이고, 다른 하나는 혼자 살거나 부부가 살 수 있는
수 있게 했고, 거실에 첫 번째 유닛과 마찬가지로 수납장의
작은 크기의 스튜디오 유닛이다. 각각의 유닛은 가족이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 접이식 침대를 두어 손님이
어떻게 커져 나가느냐 또는 방을 어떻게, 어떤 용도로
머무르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작업공간과
사용하느냐에 따라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또한 이번
방 사이에 책장을 돌아가는 벽으로 두어서 이것 또한
프로젝트의 실내인테리어 컨셉은 flexibility로 각각의
어떤 곳을 가리고 어떤 곳을 오픈하고 싶어하느냐에 따라
유닛에 유연성을 주는 실내 인테리어를 만들었다.
자유자재로 책장을 돌릴 수 있다.
첫 번째 유닛인 3-bedroom 유닛에는 7가지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집안일을 하는 젊은 부부, 일하는 젊은 부부, 자녀가 성별이 다른 가족, 자녀가 성별이 같은 가족, 자녀가 중, 고등학생인 가족, 자녀가 출가하고 부부만 남은 가족, 손님이 머무르는 경우와 같이 7가지가 있다. . 이 유닛의 전체적인 컬러는 베이지색, 나무색을 이용해 편안하고 따뜻한 느낌을 내어서 가족적이고 친근한 느낌을 주었고, 아이들 방에는 연두색이나 노란색으로 포인트를 주어서 신선하고 발랄한 느낌을 주었다. 이 유닛에는 크게 4가지의 flexibility가 있다. 첫 번째는 접이식 벽으로 안방을 제외한 두 방 사이에 접이식 벽이 존재하는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벽을 접어서 하나의 방으로 또는 벽을 세워서 두 개의 분리된 방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드레스룸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드레스룸은 한 쪽은 벽에 부착되어 있고 한 쪽은 옷장 자체를 움직여서 열고 닫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움직이는 옷장 뒤편에는 접고 닫을 수 있는 작은 판(책상)이 있어서 이것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열고 닫아서 책상으로 사용 함으로써 그들만의 작은 작업공간을 만들 수 있다. 세 번째는 식탁 겸 공부공간이다. 식탁 옆에 벽이 달린 책장이 있는데 이 벽을 밀고 당김으로써 사람들은 때에 따라 식탁으로 또는 공부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식사를 할 때에는 벽을 당기지 않고 그대로 두어 식탁으로 사용 할 수 있고 공부할 때에는 벽을 당겨서 책장을 오픈하여서 공부하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은 접이식 침대이다. 손님이 방문하고 머무를 때, 거실에 있는 수납장을 당기고 그 곳에 숨어있는 침대를 내려서 손님들이 사용 할 수 있게 했다. 이 모든 flexibility는 각각의 프로세스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 될 수 있다. 두 번째 유닛인 스튜디오 유닛에는 5가지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여가를 즐기는 경우, 파티를 하는 경우, 손님이 머무르는 경우, 일을 하는 경우, 고객들을 만나는 경우가 있다. 이 유닛의 컬러컨셉은 젊은 부부나 미혼자들에게 특성에 맞게
잡았는데
전체적인
컬러는
흰색,
검은색으로
깔끔하고 깨끗한 느낌을 주었고 포인트로 빨간색을 넣어서 감각적이고 강한 느낌을 주었다.
34
35
Scene of Village Community
Lim Keian Ann and Kim Young Lae
INSPIRED BY THE TRADITIONAL MALAY HOUSE CONCEPT
The Project The traditional Malay house is one of the richest components of Malaysia’s cultural heritage. Designed and built by the villagers themselves, it manifests the creative and aesthetic skills of the Malays. The design not only sustain to local environment but also the impressive of it flexibility space. However, today the traditional Malay house in Malaysia is slowly becoming extinct. It is very rare a new traditional Malay house being built throughout the country for normal living purposes other than for ceremonial or heritage exhibition purposes and the failure of its adopt in our high-rise housing scheme. Culture and tradition is an identity to a society that needs to be preserved for future generation. Here, the idea concept in this housing design is based on Malay traditional house concept, which is an autonomous housing process using self-help and mutual-help approaches, can throw some light on the development of a modern autonomous housing model which is based on the needs and aspirations of its users, rather than being imposed by others on the users. The flexibility of the structural system are also reflected by the Malay traditional construction system, the modular system that becomes a unit that forms and separate parts of the resident units in coordinated dimension.
The importance of this housing solution is reflected in its ability to solve two of the housing problems, one is the design for natural surveillance and the other, the design for the poor community in a manner that is most appropriate to their socio-economic and cultural needs. The design provides two continuous open garden on the first floor, separated by a linear building form with the sky lobby and roof garden as a secondary activities area. This is a near-perfect house form which is appropriate to local needs and expresses the way of life of its inhabitants. The house is extremely well designed to meet the need of sustainable living style by introduction of the rain water harvesting system and the magnetic generator in terms of cost savings, educational and provides additional income to the residents. The design also meet the multifunctional use of space by the provision of 3 types of basic units, that are Type A family 4 to 5 people maximum and able to turn into small family (3-4 people) type by flexible furniture and walls, Type B - a couple unit and Type C - a single unit. Moreover the design is also flexible as it caters to the widely different needs of its users by the movable partition walls which allows the house to be extended to meet the growing needs of each family ( large family up to 9 people). It is an important input into solving the massive housing problems in Malaysia without losing its own identity.
Site Plan
프로젝트 이 제안서는 높은 사이트 컨텍스트에 의해 구동됩니다. 에지 패턴과 자연의 감시를 만드는 최고의 전망을 얻기 위해 지속적인 선형과 강력한 연속 선형, 주택 체계가 긴 지그의 설계입니까 만들어가 글루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중요한 가장자리 강과 고속도로, 따라서이 주택 방식입니다 제 3 중요한 가장자리되고있다. 고속도로 옆에는 강을 옆에 열려있는 활동 및 녹색 지역은 자리를 커뮤니티 회랑있는 동안 어디에 주요 차량 순환 거짓말입니다.
36
37
38
39
40
41
Lim Keian Ann and Kim Young Lae
프로젝트
무엇이 ‘좋은 디자인’인가? 우리는 가장 먼저 ‘탁월함’에 대한 고민을 했다. 이 유닛 디자인은 무엇보다 단순한 정육면체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이끌어낼 수 있는 강점은 바로 비용절감이다. ‘단순함’ 그것이 바로 ‘탁월함’ 임과 동시에 수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공간의 변화와 유용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매개체에 대한 생각을 하다가 우리가 깨달은 것은 그것이 꼭 구조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는 것이였다. 작은 요소 하나하나가 모여 공간의 극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우리는 그것을 현실화하려는 노력을 했다. 유닛 레이아웃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공간을 재배열할 수 있는 가구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한 방의 벽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내장 가구는 회전을 하여 또 다른 공간들을 창출한다. 그와 더불어 한정된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가구들을 사용하였다. 내부 인테리어 디자인은 우리의 개념과 통일성있게‘ 단순함’을 강조하였다. 밝은 하얀색의 세라믹 재질이 대부분의 가구에 사용되었다. 세라믹재질과 바닥 타일을 화이트톤으로 통일함과 동시에 노출되어 있는 콘크리트 천장은 안정감있는 느낌을 줌과 동시에 자연광의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테라스 부분은 우드 플로링 마감으로 단지 계획과 일관된 느낌을 준다. 내부 조명은 LED 튜브와 LED 전구를 사용해 경제적인 측면을 충족시켜준다. 이러한 유닛은 세가지 타입으로 나뉘어지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정육면체의 블록 형식을 기반을 하고 있다. 두개의 작은 블록이 모여 하나의 큰 블록이 되는 개념을 적용하면서 우리는 유닛의 통합과 분리를 자유롭게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유닛 형태는 두개의 블록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약 87sq.m 의 면적을 지닌 이 유닛은 세 개의 방을 제공하는데, 내장 가구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두가지 다른 타입의 작은 블록 유닛이 있다.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극대화한 타입과 넓은 시야를 강조한 타입으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취향에 따라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42
43
Macro-Collaborative Living Form
Mir Shariffuden Mustafa and Song Seoung Kyu
THE LIVING FORM OF PUBLIC HOUSING; A HOUSING COMPLEX, A SAFE HOME AND A COMMUNICATION LINKAGE
The Project A residential area shall be presumed as one entity, living under one roof. When looking at residential area community, it should be seen as a whole, not separating a family with another.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a living space that promotes communal activities & public interactions as these families are the cells to a bigger core family; the community. The word Collaboration best describes the living form of public housing, where the community shares a common object (the housing complex), has the same intention (to have a safe home) and at the same time shal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mmunication linkage). These three criteria is the fundamental of public housing. Affordable-public housing has the stigma of being dirty, dangerous and home to ‘low income-low minded people’. Though this is not entirely true, some typical problems do exist in Malaysian affordable-public housing. People living here always feel unsatisfied with the dwelling condition. Yet, there are design solutions that can counter these problems. The design promotes healthy living & serves as a model of how new development can provide multiple layers of benefits to the residents, the community & to the environment.
How to solve UNSATISFACTORY? How to erase affordable housing STIGMA? Massing Strategies: 1. The design starts by giving security and privacy as number one criteria. Affects on communal spaces are also amongst the top priorities. 2. The whole site is raised by half floor (1.6 meter offset from ground level), securing the occupants by way of higher location and limiting access into the private housing area. At the same time, the space underneath is used as sub-basement parking, fully covered and enclosed all around. 3. Dwelling units take place all around the raised area, leaving a very generous chunk of land for green area used for playground, futsal turf and landscape area. Front and left portion of site are converted into commercial areas (restaurants, coffee house, shops, salon) and basic residentially needs (clinic, laundry service, surau). These commercial areas attract surrounding people especially from the heavy pedestrian along Jalan Raja Chulan – Jalan Kg Pandan; giving big economic opportunities to the occupants. The commercial blocks also become sound and noise buffer for the housing units.
44
4. Housing units is raised 8 storeys up to cater the number of unit needed; a strategic that conceals the common spaces from view and creates a central landscape courtyard. 5. An entrance is created at the center of West side of the site; relates back to the neighbouring residential area. 6. More opening is created, especially at the corners, giving more space inside and creating a better form. 7. To minimize the building’s apparent mass, the façade is subdivided horizontally into urban row house forms. This at the same time, enhance the security and privacy and blocks away noise & vehicular sound of the heavy Jalan Imbi & Jalan Kg pandan traffic. 8. Green pockets are created on parts of the complex which becomes the sustainable features to the complex. Green pockets also act as communal spaces, where types of activities can be held to strengthen the community.
45
46
47
Mir Shariffuden Mustafa and Song Seoung Kyu
프로젝트 이번
프로젝트는
말레이시아인들
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에서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에게 적합한 플랜을 설계해 보았습니다. 먼저, 유닛 플랜에서는 크게 2가지 플랜으로 나뉘었는데 하나는 방이 3개에 화장실이 2개인 플랜이며, 나머지는 스튜디오 플랜입니다. 일반적인 3 Room 플랜을 주축으로 하여 비내력벽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moving wall, foldering wall 등으로 설계하여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바꿔 방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여서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도록 컨셉을 만들었습니다. 그러하여, 3 Room 플랜에서는 일반적인 3 Room 플랜과 아이가 1명 있는 2+1 플랜, 아이가 2명 있는 2+2 플랜, 마지막으로 신혼부부가 사는 플랜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스튜디오 플랜이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 2세대가 합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세대 간의 비내력벽을 개조하여 2세대가 결합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은 평수의 세대에서 아늑한 공간과 편리함을 얻기 위해 1가지 가구에서 여러 가지 가구로 변형시킬 수 있는 Transforming furniture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방문하는 손님들의 잠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가구들입니다. 예를 들면 선반이나 탁자로 쓰이는 가구에서 매트를 꺼내거나, 소파 뒤에서 적당한 크기의 매트가 나오는 것과 같은 가구입니다. 두 번째는 공간 활용을 하기 위한 가구들입니다. 침대를 올리면 책상으로 변하는 가구와 옷장 안에 침대를 넣는 것이 있습니다. 그리고 냉장고 옆에 접이식 탁자와 벽에 붙은 접이식 탁자가 있습니다. 이렇듯 여러 가지 유연성 있는 가구들과 접목시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움직이는 벽을 설계하였습니다. 움직이는 벽과 접히는 벽, 이들 중 움직이는 벽에는 2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벽 가운데를 나누어 문처럼 열리도록 하였고, 다른 하나는 벽 속으로 벽이 들어가도록 하였습니다. 실내 디자인 분야에서 컬러 컨셉은 기본적으로 무난하지만 깔끔하고
모던한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블랙
&
화이트로 하되, 포인트 주는 컬러로 마무리하는 것으로 디자인하였습니다. 말레이시아의 날씨가 비도 많이 오고 덥고 습하여 바닥 재질을 우드로 하지 않고 시원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 세라믹이나 아크릴로 하였습니다. 우드로 했을 경우에 날씨로 인한 곰팡이 생김과 뜨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바닥 재질을 우드로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대리석으로도 하면 부하게 보여서 좋지만, 컨셉이 Lowcost 이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문들은 모두 우드로 디자인하였습니다. 또한 천장은 직접적인 빛을 받게 하기 보단 간접적으로 받아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게다가 스튜디오 플랜에서는 천장 공간 까지 활용하기 위하여 천장 주위를 선반으로 만들어 수납 공간을 디자인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번 프로젝트의 컨셉은 좁고, 낮은 가격의 세대에서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함이기 때문에 수납이나 구성원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에 많은 비중을 두었습니다. 물론 컬러에서 무난함이 보이지만 가구 컬러에서 포인트를 주어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의 동선을 체크하여 가장 짧은 동선을 확보하기 위해 플랜을 디자인하였습니다.
48
49
Person@Imbi
Mohd Hisyam Mohamed Yusoff and Jwa Seunghun
FLEXIBLE AFFORDABLE HOUSING COMPLEX
The Project This affordable housing complex is situated in the heart of Kuala Lumpur. It is located in the fringe of Bukit Bintang, between the junction of Jalan Imbi and Jalan Sultan Ismail. With the robust developments of the surrounding area, this housing development gains tremendous opportunities in enhancing the community in term of their economy, cultural and social. The planning geist of this housing complex is to implement natural survaillance among the community of the housing complex themselves. The intention is to build up a strong healthy community reaction between each other since the issue of unfriendly urban community within their neighbourhood. Planning wise, Building, houses and spaces are arranged accordingly in order to maximize the survaillance from the community itself. Most of the features are implemented on the ground floor where most of the housing units are lifted up, except for several ones that are for the elderly.
As stated above, the ground floor is mostly dedicated for communal spaces, giving more priority on the social and community activities. The main idea is to introduce a series of coutyards which specifies with its function. The main courtyard situat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complex, funtioning as the main communal space that gives an overall survaillance towards the area. There is an open air multifunction hall, elevated from the sub basement in the center of the courtyard acting as the focal towards the development. Furthermore, in respecting the urban context of the site given, a row of office shoplots introduced on the north side of the site. Keeping on the continuation of Jalan Imbi as the bussiness street, it also open up bussiness oppurtunity towards the housing community intended to enhance the domestic economy growth and stability.
50
51
52
53
54
55
Mohd Hisyam Mohamed Yusoff and Jwa Seunghun
프로젝트 Background
Units Description
Challenge
말레이시아의 수도 Kuala Lumpur 에 위치하고 있으며, 큰
기본적으로 이 아파트 단지는 크게 두 개의 Unit를 가진다.
말레이시아의 법규 중 모든 방과 공간에 기계적이 아닌
쇼핑몰이 몰려 있는 Bukit Bingtang 주변의 Times square
첫 번째로 방 2개와 화장실 2개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자연적인 환기와 채광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 한국의
의 맞은편에 위치 하고 있어 유동인구가 많다. Proposed
시작으로 가족의 규모에 Life cycle에 따라 방을 변경 할
아파트와는 매우 다른 점이다. 한국도 역시 환기와 채광이
site 옆으로 Highway로 나가는 길이 있어서 교통량이
수 있다. 신혼 초기, 자녀 한 명, 자녀 두 명, 노년기 총
중요하지만 인공적인,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환기와
많으며 출퇴근 시간과 저녁 시간에 교통체증이 심하다.
크게 4개의 시기 마다 집의 구조를 변경하여 작은 공간을
채광을 할 수도 있지만 말레이시아는 반드시 자연적인
Proposed site는 현재 매우 낙후되었고 관리가 되고 있지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하게 하였다. 신혼 초기 와
환기와 채광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부분이 집 내부를 디자인
않으며, 작은 연못 역시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아 위생적,
노년기에는 Master bedroom, 방 1개를 가지고 있으며 그
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였던 부분이다. 하나의 건물이 아닌
건강적으로 좋지 않다. Site 주변은 현재 낙후된 집들이
대신 넓은 공간의 거실과 주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자녀
여러 개의 단지가 모여 있으므로, 창문을 내는 부분에서
위치되어 있으며, 그 집들 역시 정부의 관리 부족 등으로
한 명 시기에는 Moving wall 을 통하여 방이 2개로 변하여
Privacy 와 Light의 양을 생각하여야 하였고, 작은 공간에
매우 낙후 되었고, 냄새가 나며, 위생 상태가 좋지 않다.
자녀에게 개인 방을 마련해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녀
또한 방의 개수와 크기가 변경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 하였을
두 명 시기에는 주방이 조금 줄어 드는 대신 방이 하나가
때 어느 쪽으로 창을 내야 하는지, 또는 얼마나 크게 창을
이 곳에 Low-middle apartment complex 를 설계하여,
더 생겨서 총 3개의 방을 이용하여 자녀 두 명에게 개인
내야 하는지 많은 고민을 하였다. 또한 말레이시아라는
중산층을 Target 으로 하여 그들을 위한 아파트 단지를
방을 마련해 준다. 이 Unit 에서 고정된 부분은 기본 화장실,
나라의 법규와 규범에 맞추어 집 내부를 디자인 해야
계획한다.
Master bedroom & bathroom, 발코니 와 그 옆에 위치한
한다는 점과 나 개인의 작품이 아닌 말레이시아 Partner 와
거실 부분으로 이 부분은 공간 변경 부분에서 항상 같은
함께 둘이서 하나의 작품, Architecture 과 Interior Design,
위치에 있으며 변하지 않는다.
을 만들어 나간다는 점에서 새로운 경험이자 도전이었다.
Concept Affordable & Flexible Apartment, 가족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더 큰 공간으로 이사를 갈 수 없는 가족들을 위하여, 집 내부를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게 디자인 한다. Moving wall 과 Partition wall 을 사용하여 동일한 공간 안에서 방의 수를 늘릴 수 있고, 방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책상, 장롱, 침대, 선반 등 집에 필요한 가구들을 하나에 넣어 Flexible Moving Furniture 을 이용하여 작은 공간을 알차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Unit 는 Studio type으로 신혼 초기의 부부, 노년기 또는 독신자를 위한 공간이다. 하나의 긴 공간으로 입구부터 시작하여, 주방-거실-공부 공간-하나의 방과 화장실이 일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개인적인 공간은 없지만 방과 거실 부분을 선반으로 나누어 침실에 있는 동안 Privacy 를 유지하면서 거실 공간을 감시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56
57
d’ imbi Public Housing
Muhammad Razis bin Abdul Samad and Cho Da Young
KEY PRACTICAL ISSUES: BUILDABILITY AND MAINTAINABILITY AS WELL AS PRIVACY, SAFETY AND SECURITY
The Project The first approach taken in this project was the analysis based on the diagram, issues driven from surrounding, then to create a kind of ‘pattern’ from the analysis and information gathered. It also addressed all the key practical issues, buildability and maintainability as well as privacy, safety and security. From the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pattern of significant issues and architectural style needed to be revived, thus the concept or key word for this project is called ‘revive’ and it will be the backbone for all aspects related to architecture. The concept of ‘revive’ can be broken down to the most crucial criteria in order to evolve – adaption and flexible, in other words, the ability to fit into the new environment comfortably. This idea applied to the micro, as well as macro aspect of this project. Architecturally, the form and massing of the scheme attempted to make a development a landmark in the setting(urban park) The idea is to link the blocks together via urban park and jogging track(and also the existing open space at Jalan Khoo Teik Aik), the facilities and give different exper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thus to create additional ‘ground’ spaces to be more exciting with recreational choices. The continuous arrangement of the blocks creates two large open spaces that responds well to the surrounding area, thus, creates a layer to reduce the impact of noise from the main road. The block along Jalan Imbi, the urban setting was improved by creating the street block that was derived from the row of shophouses. The upper ground is divided into pathways/park network and urban park which loops the entire perimeter of the building. The loop was intended as a linear programme where activities like walking and running takes place.
58
59
60
61
Muhammad Razis bin Abdul Samad and Cho Da Young
프로젝트 실내는 전체 레이아웃에 따라 대표 유닛인 유닛A와
이제 유닛A의 첫번째 옵션인 ‘Newly Wed’부터 살펴보면,
코너 유닛인 유닛B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유닛A
침실이 2개인 평면이다. 신혼부부인 만큼 많은 방들이
는 공간활용도에 의해 세로로 긴 형태이며, 양쪽 벽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접이식 벽, 미닫이 벽, 접이식 옷장
공유하여 길게 배열된다. 유닛B는 전체 레이아웃 끝 쪽인
등을 모두 열어 거실부터 안방까지 오픈 되며, 접이식
코너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로로 긴 형태이며, 한 면만
가구는 두 공간 가운데에 위치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공유한다. 두 유닛 모두 거주자의 라이프 사이클에 의해
시각적 차단이 가능하다. 혹시나 손님이 오거나, 가족이
5가지 옵션이 있다. 이는 접이식 벽과, 미닫이 벽, 접이식
방문할 경우가 있으므로 게스트룸이 있으며, 안방과
가구, 이층침대, 이층 침대와 책상 등으로 가능하다. 여기서
거실 사이의 옷장을 펼쳐 안방을 차단할 수 있다. 두번째
접이식 벽은 얇은 패널로 제작해 천장에 있는 레일에 따라
옵션인 ‘Home Office’는 게스트 룸이 스터디 룸으로
접혀 한 쪽 벽에 밀어둘 수 있으며, 미닫이 벽은 모두 밀어
배치된다. 이로 인해 다양한 손님이 자주 방문 하므로,
열어 포개놓을 수 있고, 모두 닫아 벽으로 사용 가능하며,
이동식 가구와 벽을 활용해 차단하거나 오픈할 수 있다.
한쪽씩 열어 문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그리고 접이식
세번째 옵션인 ‘Birth of 1st Child’는 안방과 거실 사이에
가구는 총 4칸으로 구성된 옷장의 양 끝 두 칸을 가운데로
접이식 가구와 접이식 벽을 닫아 아이방으로 활용한다.
밀어 가운데만 사용하고, 양쪽으로 두 공간을 통하게 하는
아이가 어려 부모의 보호가 필요할 때에는 꼭 방문을
방식을 이용했다.
이용할 필요 없이 두 공간 사이의 접이식 가구를 활용해 쉽게 이동 가능하다. 네번째 옵션인 ‘Birth of 2&3 Child’
먼저 공통적인 특징부터 살펴 보면, 각 세대가 양쪽 벽을
는 스터디룸이 아이방으로 활용된다. 공간이 좁기 때문에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한 세대의 거실, 식사공간 등에서
침대를 책상아래에 미닫이로 설치하였고, 책상은 침대
발생하는 소음이 옆 세대의 침실로 전달 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만큼 계단을 올라간 위에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별도의
입구에서부터 거실 끝까지 한쪽 벽면을 꽉 채우는 책장을
의자가 필요없이 다리를 늘어뜨리고 앉아 사용 가능하다.
배치했다. 이는 책장자체는 물론 수납하는 물건들로 인해
또한 첫번째 아이의 방에는 이층침대가 있는데, 이층침대의
소음이 흡수되어 사생활이 보호된다. 또한, 벽 전체를 수납
발쪽의 판을 당겨서 내려서 책상에 걸치면 또 다른 책상으로
공간으로 사용해 집안 잡동사니를 처리 할 수 있어 한층
활용 가능해 좁은 방을 두명의 자녀가 함께 사용 가능하다.
정돈되고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부엌, 식사공간,
마지막으로 자녀가 커서 결혼을 해 나가고, 부모가 늙어
거실은 일렬로 배치했으며, 거주자의 필요에 의해 원하는
보호가 필요한 ‘In Laws’ 옵션이다. 아이방은 부모님을 위한
공간을 더 넓게 사용 가능하다. 부엌에는 조리대 연장선상에
방으로 배치된다. 간단한 화장대와 수납공간이 제공된다.
간이 식탁을 배치해, 간단한 식사나, 가족 구성원이 적을 때 이용 가능하다. 거실과 안방이 평면에서 세대에서
유닛B 역시 전체 레이아웃에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유닛A
중요한 공간이므로 경관이 좋은 방향에 발코니와 창문을
와 같은 방식, 같은 라이프 사이클에 의한 옵션이 제공된다.
냈다. 부부가 사용하는 화장실과, 손님이나 다른 가족이 사용하는 화장실을 분리 했으며, 각종 수도시설 배치와 다양한 옵션에 의한 유동적인 실내 공간변화를 고려해 부엌, 세탁공간과 함께 배치했다.
62
63
Habitable Oasis
Mustaffa Khair Johari and Sunyoung Ham
INTEGRATION OF NATURE
The Project The first approach taken in this project was the analysis This affordable housing scheme highlights the habitable oasis approach in which a much safer and more comfortable development is implemented and at the same time giving the residents an urban living experience. The location of the site in the middle of the hustle and bustle city life makes it vulnerable to many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site context. The problems are often lack in security, lack in plac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also sound, noise and visual pollution which are common in an urban context. Although this housing scheme emphasises on a safer home concept by having many opportunities for natural surveillanc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n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engagement with the public is also crucial. Therefore, this design scheme allows certain portion of the development to be integrated with the urban fabric of the city especially through the design of the urban kiosks which gives the residence an opportunity to be engaged with the public.
Besides that, integration of nature into the development is also eviden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mmunal spaces at every level which are beautifully landscaped to increase security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This scheme also implements an inward looking approach in which the single loading corridor which is located at the outer perimeter of the block becomes a method for filtering noise pollution and also preventing excessive sun and heat penetration into the units. The units are designed to face into the internal garden or an oasis which gives residents more privacy and add to the human surveillance. As for the units, a basic spacious unit with no rooms could be transformed into a house with maximum 3 rooms using flexible furniture depending on the resident’s preference. A portion of the house can also be rented out by the owner of the units. This habitable oasis approach is therefore a new affordable housing scheme which could improve the lives of residents living in the city by giving a whole new perspective on affordable housing.
64
65
66
67
68
69
Mustaffa Khair Johari and Sunyoung Ham
프로젝트 위치는 Bukit Bingtang, Times square에 인접하게 위치해있어서 교통이 혼잡하며 인구가 많이 밀집되어있다. 도시와 반대편에는 저소득층의 인구가 밀집되어있고 거리가 비위생적이며 범죄가 많이 일어난다. 이 affordable housing은 더욱 편안하고 안정된 공간을 만드는 동시에 거주자들에게 도시생활을 이롭게 만드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그 가운데에 더욱 편안하고 안전한 오아시스와 같은 주거단지를 조성하고자 한다. Unit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studio형식의 방의 구분이 없는 unit과 studio를 두 개 붙인 크기의unit이다. 두 형태의 집은 모두 변화 가능한 가구와 접을 수 있는 창문을 이용하여 공간을 나눌 수 있다. 또한 베란다를 특별한 공간으로 두어 쓰는 사람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베란다에 따로 창문을 두지 않고 바닥 데크를 이용하여 재질로써 간접적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서 공간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고 공간의 구분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Studio unit은 가족수가 적거나 작은 공간을 원하는 거주자들을 위한 공간이다. 방의 구분은 따로 없고 거주자의 요구에 따라 거실 겸 마스터 룸의 공간을 따로 구분 짓도록 문을 둘 수 있고 주방도 마찬가지로 따로 문을 더 둘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 unit은 studio unit의 2배의 크기이며 형태는 기본적으로 6가지로 나누었다. 베란다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방의 구분도 studio unit 과 마찬가지로 거주자의 편의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또한 방하나를 임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형들은 기본적으로 life cycle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처음에 집을 사게 되면 화장실과 방하나, 부엌이 갖춰진 큰 유닛을 갖게 되고 신혼처럼 가족 수가 적은 경우 방 하나와 화장실을 임대할 수 있다. 그 후 자녀를 갖게 될 경우 베란다나 임대를 했던 방의 용도를 변화 시켜 자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방의 변화 가능한 형태를 6가지로 나누어 제시한다. 말레이시아에서 인테리어디자인을 하면서 생각해본 것이 많이 있다. 인테리어와 건축은 상호관계에 있으며 바깥 상황에 따라 안의 구성과 형태가 달라질 수 있음 경험을 통해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말레이시아의 기후와 환경이 디자인 하는데 가장 큰 초점이었다고 생각한다. 높은 기온을 고려하여 통풍을 가장 크게 고려해야 할 점이었다. 또한 주변 환경이 한국과는 다르기 때문에 부엌의 위치부터 문의 형태까지 말레이시아의 환경을 고려하여 디자인 해야 했다. 예를 들자면, 부엌을 환기위주로만 생각해서 창 가까이에만 둔다면 무슬림과 비무슬림이 함께 공존하는 말레이시아에서 음식냄새가 이웃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또한 환경과 문화를 잘 이해해야 좋은 디자인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다. 또한 파트너와 함께 작업하면서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고 건축과 인테리어가 결코 따로 생각할 수 없는 작업임을 알게 되었다.
70
71
Lifetime Housing
Nadiah Mazli and Lee Wumin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CONCEPTS OF LIFE
The block planning itself act as a fence ar barri-
The Project The idea behind lifetime housing is to have different generation living together by creating a housing unit suitable for everyone. The Lifetime Housing is a development that are not only integrated into their immediate surrounding in the city but achieve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concepts of life. Who is everyone? In general definition, everyone includes different stages of human life-cycle like bachelor, newlyweds, single parents, parents with children, in laws with newlyweds, retire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 are two main design approaches for Lifetime Housing that is the implementat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approach, and another in flexible housing design. CPTED i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deterring criminal behaviour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strategies rely upon the ability to influence offender decisions that precede criminal acts. As for flexible housing, it is a type of housing that can adapt to the changing needs of users. This definition is deliberately broad. It includes the possibility of choosing different housing layouts prior to occupation as well as the ability to adjust one’s housing over time. Socially, it empowers the user to take control of their own dwelling, either by making choices prior to final construction or else over the lifetime of the home. Demographically, it enables housing providers to adjust to new living patterns and configurations of users. Economically, it avoids obsolescence and costs involved in reconfiguration or refurbishment.
er from intruders The block planning is arranged surrounding the site parameter so that it acts as a fence or barrier from intruders. By having the residential block located at the site boundary, it psychology became a security buffer from the public. Although the block planning acts as the boundary, a direct path is also provided for pedestrian to cross over the site.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o connect the pedestrian bridge that link the public schools the residential area next to the site. Even though this might create unwanted problems like theft or robbery because the path is open to the public, the design of this housing scheme will help in discouraging unwanted advances as the path is created across the main public space. Furthermore with all blocks are facing the public space, it will increase natural surveillance. Other implementation of CPTED is by locating the elevators slightly away from the main entrance Pedestrian would have to pass through active spaces before reaching the elevators. From the main entrance, pedestrian have to walk along an active zone on the ground floor before reaching the elevators. Only two elevators cores are provided to control access and also for cost efficiency. The design of this development also encourages different groups of residents who can mutually support each other to live together. Single units and double units are mixed together in one floor. This encourage passive surveillance between neighbours, as younger generation are most likely to go to work during the day and the elderly and children would stay home most of the time.
72
Communal spaces are also provided to encourage informal interaction between the residents. With reference to Krupat diagram, interaction/communal spaces are created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urs. 3 main stages of spaces are: Semi public space- central courtyard Semi private space - roof garden + communal space at each floor Private space- anjung area provided for each unit
Direct path for public to cross over the site
As for sustainable design approach, two main components are introduced which is the rainwater harvesting and filtration at the rooftop garden level and the vertical garden which is designed as part of the plug-in balcony feature on the unit facade.
Pedestrian have pass through active spaces before reaching the elevators
The rainwater is collected at the rooftop level, and it will be naturally filtered as it will be piped down and flow through series of soil beds on the roof garden terraces. The rainwater that have been filtered will be stored in the rainwater tank according to zones. The water will be used for flushing the WC, watering the landscape elements such as the sky courts, central courtyards, the vertical garden pods and the planter boxes. The vertical garden is incorporated with the plug-in balcony, which will not only create a mor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ut also facilitate ambient cooling of the facade. It also gives the residents the opportunity to have their own private garden to grow plants of their own choices.
Pedestrian have pass through active spaces before reaching the elevators
73
74
75
Plug-in balcony attached to the unit as a sunshading device. Operable screen allows natural ventilation . Vertical garden are also incorporated to the balcony prototype
View from the junction of Jalam Imbi and Jalan Sultan Ismail
76
77
Nadiah Mazli and Lee Wumin
프로젝트 평면 및 인테리어 디자인은 Affordable housing, 그
사람들의 평생을 위한 인테리어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
중에서도 Lifetime Housing이라는 우리 그룹의 주제에
좋다는 생각에 흑과 백, 그리고 나무를 주 색상 및
맞추어 진행되었다. Lifetime Housing이란 한 사람이
재료로 삼았다. 그러나 집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더블
평생을 지낼 수 있는 집을 위한 설계를 말한다. 변화하는
유닛의 중심이 되는 벽은 청록색으로 칠해 열대 기후인
가족생활주기에 맞춰 대응할 수 있는 유닛 디자인을 목표로
말레이시아의 주택 안에서 싱그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말레이시아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들도
하였다.
성취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소득층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큰 주제에 기반하여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모듈러 하우스를 기본 틀로 삼았다. 각각의 유닛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발코니가 포함되어 있으며 원하는 거주자는 발코니를 확장해 더 넓은 실내공간을 만들 수도 있다. 평면의 기본 형태는 사각형의 모서리를 깎아낸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데 그로 인해 생기게 되는 벽에는 크게 창을 내 통풍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든 유닛의 현관문과 복도 사이에는 말레이시아에서 Anjung이라고 칭하는, 가볍게 손님을 접대할 수 있는, 공용공간과 개인공간의 중간이라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집 바깥에서도 손님을 맞이하거나 이웃들과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닛 디자인은 크게 Single Unit과 Double Unit으로 나누어 디자인되었다. 먼저 Single Unit은 싱글, 신혼, 혹은 최대 3 인 가족을 위한 유닛으로, Double Unit을 반으로 나눈 것과 같은 형태를 띤다. 싱글 유닛은 현관의 위치에 따라 두 형태로 나뉘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실을 발코니 쪽에 둘 수도, 침실을 발코니 쪽에 둘 수도 있다. 침실을 전체 평면의 중심에 두는 경우에는 벽 대신에 책상 등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수납장을 사용하여 복도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Double Unit 은 Single Unit을 두개 합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좀 더 큰 가족이 주로 사는 평면인 만큼 화장실이 두 개가 있으며, 그 중 한 화장실은 Master Bedroom에 속하게 되어있다. 더블 유닛의 평면에는 또한 Pocket garden이 있어 거주자가 작은 정원을 가꾸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 빨래 건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더블 유닛의 가장 큰 특징은 이동이 가능한 벽이 있어 평면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점이다. 발코니를 면하고 있는, 기본적으로 거실로 쓰이는 공간은 오로지 거실로 쓰일 수도 있지만 천장의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수납장에 의해 거실과 작은 사무실 혹은 서재로 나뉠 수도 있으며, 수납장을 거실 쪽으로 당겼을 때 생기는 공간을 최대로 했을 때에는 안방으로 쓰일 수도 있다. 이처럼 더블 유닛은 공간을 분화할 수도, 용도를 달리 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침실은 접이식 책상과 침대를 사용하여 공간이 절약되고 가족 생활주기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의 인원 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이처럼 더블 유닛에는 Lifetime Housing이 보다 더 반영되어 있는데, 시간이 흘러 가족의 규모가 작아지고 그 가족이 가까운 곳에, 하지만 다른 집에 살고 싶거나 집을 나누어 세를 주고 싶을 때에는 더블 유닛의 중심에 벽을 추가하여 두 개의 싱글 유닛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는 것도 큰 특징이다.
78
79
Affordable Community Housing
Nurhuda Ruslan and Lee Hannah
POSITIVE AND NEGATIVE - A PLACE FOR IDEAL LIVING HOME
The Project For a development, we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factor such as NEEDS and DEMAND of the families in Malaysia which considers affordable housing. According to a philosopher, Abraham Maslow (1954) indicates that: the needs of people are based on 3 stages. Every stage of needs of higher rank is impossible to achieve before the basic needs to be fulfilled. In basic needs, there are 3 types such as food, clothing and living place (HOME). And NOW we need to change the societies perception that the low income people also have their rights to make a better living. Thus we need to create something to acknowledge the poor like space saving techniques. The concept of this scheme is positive and negative – a place for ideal living home. The concept of this housing project was inspired from the site itself and from the social issue arises. As the area consists of negative element such as crimes, heavy traffic, drug addicts and etc, the site will be adding to a positive element and makes the site safer and a conducive place to stay. Creating a safer place for people to live by makes a conducive and defensible place (CPTED) into the scheme.
This can be done by locating the public amenities such as shops, kindergarten and management office on one side only, and locating at ground floor for natural surveillance purposes, while the housing is located around the perimeter of the site. All housing have interaction to the green communal spaces at the ground floor. To control the movement at ground level from vehicles are by having minimal route and allocated car park at the sub basement level. Parking lots on the ground level is thus created for visitors, elderly and disable only. The housing scheme also includes a place for green communal space at ground floor where they can play games, children can used the playground and the elderly can use the reflexology path and have a rest at small ‘wakafs’ provided that overlooks the sensory garden. While, at all floors of the housing, the communal zones was provided and positioned around the staircase and also in between the housing blocks. Other than house, they can also celebrate the space through people where they give birth, getting new job, newlywed or move into a new house, and they can also celebrate through social and culture festivals such as Hari Raya, Chinese New Year, Deepavali, Christmas, birthday party and etc.
80
For social interaction such as intensive games (indoor) like carrom, mah-jong. Outdoor games such as badminton, sepak takraw, and children’s playground are provided. This is the centre of the family, where the family ties become closer. The unit design concept is ‘Celebrations’ and the theme is Scale of needs. Not all people are born rich. Some of them start with low income and single. Then they get married and start to move into a new house of 1 room. They start a family with a child and move to another bigger area than before, which are 2 rooms. After years and years, the family expands, and they have more children and the level income increases, so they would afford to buy a new house with 3 or 4 rooms. In the other words, the unit layou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current needs (modular space), it depend on the scale of needs therefore they celebrate the space. The housing scheme put furniture as part of their space saving techniques. For example, in living room, the TV shelves have a sliding door which can be closed if they are not watching it and can be turned into something else and people get comfortable when having conversation with each other.
81
82
83
84
85
Nurhuda Ruslan and Lee Hannah
프로젝트 1. Unit Design Concept : ‘’CELEBRATIONS” 우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일들을 기념하면서 살아간다. 작게는 가족 내에서의 생일, 결혼, 이사부터 시작하여 크게는 명절 등의 기념일을 가족과 주변 친지들과 함께 축하하는 자리를 갖는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의 배경이 되는 말레이시아에는 다양한 인종이 함께 모여 살아감에 따라 그 인종 고유의 명절을 기념하기 위한 날들이 한국보다 더 많이 있다. 그 예시로 말레이시아 인종의 Hari raya, 중국 인종의 Chinese new year, 인도 인종의 Deepavali 는 1년 중 말레이시아 인들에게 가장 큰 축제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기념일들이 많이 있다. 우리는 다양한 축제와 기념일을 즐기는 말레이시아의 생활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인 컨셉을 “CELEBRATIONS” 으로 정하였다. 이러한 축제의 중심에는 ‘가족’이라는 존재가 있고, 이 ‘가족’들을 더 가깝게 이어주는 중요한 매개체를 제공하는 것은 ‘집’이다. 집은 단순히 사는 공간이 될 수도 있지만 더 나아가 살아가는 구성원들에 의해 다양하게 재구성될 수 있는 공간 또한 될 수 있다. 집 안에서도 크고 작은 기념일을 가족, 친지들과 함께 즐길 수 있고, 평소에는 가족들에게 안락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컨셉이다. 2. Theme : “Scale of Needs”
type A n B Family unit
이번 프로젝트의 유닛 구성은 가정이 탄생하여 점차 확대되는 과정을 고려하여 디자인 되었다. 독신가정으로 시작하여 조부모와 부모, 아이들까지 함께 사는 대가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유닛들을 한 단지에 디자인 하였다. 또한 가변형 벽체를 설치하여 가족 구성원이 늘어남에 따라 공간을 넓게 하기도, 분리하기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Space and Furniture 이번 디자인에서는 가구를 공간을 절약하기 위한 하나의
BED + DESK
도구로 디자인하였다. 한 가구당 주어진 공간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가구를 활용하여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또한 “CELEBRATIONS”이라는
couple unit type C
컨셉을 고려하여 사람들이 모일 경우에는 평소에 쓰던 공간보다 더 넓은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가변형 가구와 벽체가 필요하다. 가장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침대와 옷장, 책상을 한 요소로 묶어서 디자인을 한다면 가장 큰 공간 활용 효과를 볼 수 있다. 때문에 벽체를 이동하여 공간을 넓혀야 하는 곳이나, 두 가지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협소한 공간에 이러한 가변형 가구를 디자인하여 효과적으로 좁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single unit type D 86
87
Bridging The Community
Ong Ai Qing and Kim Jung Sun
HUMANE LIVING ENVIRONMENT
The Project We initiated the design for affordable housing by asking ourselves of “Why we need a house?” We want to have a house because we want to set up our own living, a house that accommodates not only the physical needs but also gives us a strong sense of belonging, caring and sharing among each other. We prefer a humane living environment rather than a “machine of living”. A home is always a place that embraces a wealth of emotional attachments in either laughter or sadness, sweet or bitter-sweet memories. We retire to the safety of our homes where we feel freedom, peace, protected, safe, recharged and rebound. Located at the prominent junction of Kuala Lumpur city centre and the prime commercial district, we are faced with a challenge on how to create a secured and livable environment for the potential occupants to live in urban area. By a thorough study of the existing site context, we generated a housing scheme that well responded to its contextual setting.
Parallel to our main objective of creating humane living environment and a caring community, we introduced our design concept of “Bridging the Community”, where we created a physical bridge that links the communal spaces such as community library, workshops cum learning centre, games and exercise pavilions and the multi-function hall. This communal bridge is intended to foster closer relationships among the housing community by encouraging the spirit of sharing and caring among each other. The placement of all these communal nodes are designed such a way that they also serves as natural surveillance for public spaces to ensure the security in this housing scheme. We also implemented hierarchy as space planning strategy where it follows the sequence of public, semi-private and private to the site planning and unit layout design. By having hierarchy of spaces, it naturally provides a sense of territory and belonging to its occupants to stay safe and secured in their living environment, psychologically eliminating the intrusion of outsiders that would cause social problems to the occupants.
88
Bridging contains the meaning of connecting and gathering. When people gather, they communicate, interact to know each other and thus to understand each other. We believe that by bridging, we form a strong founded community in this urban housing.
89
90
91
92
93
Ong Ai Qing and Kim Jung Sun
프로젝트 아파트라는 공동주거단지를 계획하면서 가장 고민하였던 부분은
어떻게
하면
주민들의
커뮤니케이션과
프라이버시를 적절히 균형 잡을까 라는 문제였다. 아파트 단지 내에 주민들이 함께 어울려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제시하되, 각 단위세대의 프라이버시는 지켜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저소득층을 위한 알맞은 주거공간을 계획하다 보니, 공간내의 가변성을 통해 다양한 공간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하나의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요구를 세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풀어 해결해보았다. 첫 번째는 ‘hierachy’, 공간간의 단계이다. 한 단위세대 내에서도 공공공간,
완충공간,
개인공간을
제공하여
필요한
공간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모든 세대가 현관 옆에 베란다와 발코니를 가지고 있으며 프라이버시가 가장 필요한 안방은 가장 안쪽으로 배치하였다. 두 번째는 ‘symbiosis’, 이웃간의 공생이다. 부엌을 현관 옆에 배치하여 부엌에서 집안의 출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베란다와 발코니의 벽을 낮게 하고 부엌에 전면 창을 설치하여 이웃집의 출입까지도 모니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거주자 본인이 낯선 사람의 출입을 통제하여 안전을 지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웃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활발하게 진행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lexibility’, 공간의 융통성이다. 저소득층 주거의 요구에 맞게 좁은 공간에 가변성을 주어 하나의 공간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공간을 모듈화 하여 생활 속에서 손쉽게 융통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공간의 가변성은 파티션이나 조립식가구를 통해 설계단계에서만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닌, 실생활을 통해 매일매일 이루어 질 수 있는 손쉬운 가변성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기본적 컨셉을 바탕으로 저소득층가구에 맞는 100sqm, 80sqm의 두 가지 유형의 단위세대를 설계하였다. 먼저 A형인 100sqm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공간의 분할과 확장이다. 부엌과 다이닝룸, 거실을 일자형으로 배치하고 그 경계를 이동이 가능한 파티션을 사용하여 각각의 실들이 자신의 용도는 분명히 하되, 하나의 큰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중 하나로 두 개의 방의 경계에 옷장을 두어 평소에는 양쪽에서 옷장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때 옷장의 양쪽 문을 열어 커다란 하나의 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하나의 화장실을 갖되, 세면대와 샤워실과 변기를 각 실로 나누어 동시에 세 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두 번째로 B형인 80sqm 의 특징으로는 한 공간의 다양한 기능성이다. 다이닝룸에 다목적 가구를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식사도 할 수 있고 공부도 할 수 있으며 가족이 다 함께 즐기는 가족실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접이식 파티션을 이용해 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선택 할 수 있도록 하여 생활패턴에 맞는 공간을 거주자가 직접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94
95
+ Plus One Residence
Ooi Chun Khai and Choi Junho
HUMANE LIVING ENVIRONMENT
The Project The project calls for an affordable medium rise residential housing with density of approximately 40 to 50 units per acre. The site with its rectangular profile is located in down town, at the junction between Jalan Kampung Pandan and Jalan Imbi; an important intersection busy with vehicular and pedestrian movement. The site analysis shows that the areas situated around the site are clearly demarcated for commercial, institutional and residential purposes. Another advantage of the site is the readily available public transport system such as monorail and bus stop. However, there are also some threats associates with the site. The neighbourhood next to the site which is predominantly occupied by foreign worker is an ‘active ground’ for social workers. Another major concern is the potential trespassing of ‘neighbours’ into the site and use the facilitie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project are to create a defensible neighbourhood and enhance social interaction of the community. Prior to commencing the design process, the housing criteria proposed by Dr. Mhmd Tajuddin and the Krupat’s diagram are studied. A minor modification is made on the diagram with an introduction of serambi as a transition space before entering a unit. The serambi will also serve as an interaction space between the family and their neighbours. For the residential blocks, they are orientated according to the sun path with smaller façade facing the east and west sun to minimize the cooling loads of the units. Next, certain units are skewed to improve privacy. The block is double loaded (cost efficient) and large void is integrated within the block to harvest natural daylight and avoid gloomy experience.
96
To create a defensible and vehicular free neighbourhood, a new activity platform is created at the first floor. This platform will house several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playground, gym, community hall and etc. The ground floor, thus, only meant for parking, drop-off and commercial activities. Next, a spine (covered pedestrian walkway) which connects all the facilities and blocks on the site is created on the platform. As the spine will terminate at both ends of the site, bringing the residents to the monorail and bus station at the Northwest and a pedestrian bridge at the Southwest, it is expected to be used extensively hence creating natural surveillance to the neighbourhood. In addition, all facilities are located near to the lift cores of the blocks and access to the upper floors is limited to access card holders. With these strategies, the needs for gate and guard are eliminated thus reducing the overall cost and creating more humane urban or street edges
97
98
99
100
101
102
103
프로젝트
Ooi Chun Khai and Choi Junho
말레이시아의 수도 Kuala Lumpur 그 중에서도 가장
공간 가구는 각기 다른 높이(Height)에서 다른 기능
번화가로 손꼽히는 Bukit Bintang 중심부에 계획된 이
(Function)을
프로젝트는 도시에 거주하는 중∙하 소득 계층을 타깃으로
시작하여, 구조적으로 높이에 따른 기능들을 최대한
완성된 공간으로, 그들에게 바쁘고 지친 도심속의 안락한
내제시키고
휴식처로서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테이블과 수납장의 결합, 좌식테이블과 수납장의 결합은
가지고 조합시킨
있는
가구들에
가구들을
대한
탄생시켰다.
탐구에서 다이닝
공간의 분위기와 사용을 사용자 스스로 조절할 수 이들은 도시의 일부이자 각각의 가정의 중심으로 보다
있게하여, 효율적인 공간계획을 가능하게 하고 깔끔하고
실용적이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Affordable) 공간을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완성시켰고, 침대와 책상, 옷장의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비용을 절감하면서 삶의 질을 위한
결합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삶은 사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최소한의Standard, 그 이상을 제공하기 위해 도전적인
공간 경험을 선사한다.
방법으로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도심 한복판에 위치해 비용상의 이유로 크지 않은 공간 (100m2)에 대한 해결책으로부터 시작된 공간은 공간을 단순한 집이 아닌 큰 비용부담 없이 Life-Cycle에 맞춰 개∙보수 하여 평생주택(Life time home)으로 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와 공간 유연성 (Flexibility)이 요구된다. 앞서 언급한 이슈들의 해결을 위해 디자인 컨셉은 편안하고 자연스러움을 담아낸 내추럴리즘(Naturalism) 과
모듈화되고
실용적인
모더니즘(Modernism)을
결합하였다. 불필요한 요소들을 배제하고 공간활용도를 최대한 높이면서도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배려하려 노력했다.집의 중심부인 거실과 부엌을 잇는 공간은 화이트톤을 주조로 하고 밝은 라이트그레이쉬 톤의 내츄럴 색상을 조합하여 단순하고 직관적이면서도 따뜻하고 풍부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거실벽면과
가구에는
나무가 가진 질감을 활용하여, 포인트를 주어 친밀하고 자연친화적인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였다. 공간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모듈화된 무빙-월(Moving wall)을 이용해 공간을 사용자들의 필요(Needs)에 맞추어 적시적으로 변형하여 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10개의 패널 무빙-월은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천장에 레일을 밀착시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거실 벽면과 수납장의 역할도 겸하는 무빙-월은 이동과 함께 공간의 활용을 정의해준다. 이러한 공간 유연성(Flexibility)은 비용의 부담
없이
사용자들의
Life-Cycle에
맞추어
공간을
조절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공간의 필요나 분위기 전환을 위한 적시적인 공간 변환 또한 가능하게 하였다. 거실의 모듈화된 가구들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른 형태와 배치로 보관이나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일자로 이어진 부엌, 식당, 거실에 레이어(Layer)를 구성하여 공간의 개방성(Opening)과 프라이버시(Privacy)를 조절 가능하게 하였다.
104
105
Introverted - Extroverts
Rosnizal Baharum and Kim Yirang
COMMUNICATING WITH OUTSIDE, AND BEING ISOLATED WHENEVER THEY WANT
The Project To most individuals, housing represents the largest single investment item of a lifetime. This is especially true as family income increases and housing viewed less as a basic consumption and more as a key to a secured future. Developing countries have learned that the provision of decent housing for all cannot be left to the play of the market forces alone. Whereas the well-to-do few have no trouble in obtaining comfortable homes, the majority of familie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go without adequate housing and related facilities. Therefore, the governments found it necessary to intervene in the production of housing for their population. Sustainability of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been given serious consideration. However, issue concerning sustainability is not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nly, but more importantly, towards sustaining the community within urban mass housing settlement. The formation of a strong community is an integral element of a harmonious multiethnic society.
In multi-ethnic social structure, good ethnic relations will promote social cohesion. The best place to encourage social interaction is at the very place where they live. Therefore, communal spaces for social interaction should be designed by understanding the formal and informal interactions that would take place within. The understanding of basic human interaction patterns in communal spaces are crucial in designing functional communal space. Appropriate communal spaces would enable social interaction that enhances community spirit. It helps towards establishing and sustaining a harmonious multi-ethnic community. There are various theories and principles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design in the creation of successful communal spaces in housing settlement. However, few architects and planners truly considered the idea in their design, i.e. the communal spaces within housing settlement.
106
The design of this housing strives in providing the good quality social interaction space at the macro scale. Two major zones separation two main communal areas. One for the more active activities such as for sports and another for the more exclusive kind of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The block in the middle work as a separator, however still allowing the community activities to happen at any time without disrupting the existing social activities. The appropriate of its scale makes this happen. The idea to make the housing to be ‘introverted-extroverts’, is to ensure that the housing would not to be too ‘selfish’ or stand alone by its own, but to public to enter the housing development for the business and trades purposes in a certain degree. However, the layout of this housing is addressing the idea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which encourages the natural surveillance to promote a safe place for the residents.
107
108
109
110
111
Rosnizal Baharum and Kim Yirang
프로젝트 이 저소득층을 위한 아파트 디자인에서 가장 핵심적인
이 프로젝트에는 두가지 종류의 유닛, X형과, Y형이 있다.
벽을 가동하는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하자면, 안방과 방1
컨셉은 공간의 가변성, 그리고 외향적인 동시에 내향적인
X형은 88.68sqm의 넓이로 저소득층을 위한 아파트에
사이의 벽을 제거하는 시스템은, 일명 플립시스템이다.
공간이다. 먼저 공간의 가변성에 대해 설명하자면, 가족
적합한 크기이다. 일단 기본형으로 거실과 주방, 2개의
한옥의 들어열개문과 비슷한 이 시스템은 벽을 3등분으로
생애 주기의 순환에 따라 공간에 대한 요구는 달라지게
화장실이 있고 3개의 방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식사실과
나누어 한면씩 교차하여 천장으로 들어올리는 방식이다.
된다. 예를 들어 신혼부부 같은 경우, 공간의 분할 없이
공부실이 있다. 부부와 두 자녀가 함께 살거나, 젊은
천장에 달려있던 조명이 걸개의 역할을 하여 벽을 잡아 줄
스튜디오 형태의 공간을 원하기도 하고, 자녀를 출가시킨
직장인이나 학생 여러명이서 한 유닛을 빌려서 공동으로
수 있다. 특히 그 경우에 천장에 있던 들보형식의 구조물과
노부부의 경우 많은 개수의 방보다 넓은 거실이 더 필요하다.
생활 할 수 있다. 공부실은 기존의 주택이 갖는 기본적인
벽이 수직으로 만나며 사이의 공간을 수납용으로도 사용할
그래서 가족 생애 주기에 따른 다양한 공간 요구에 대응 할
요구에서 나아가 2차적인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수 있다. 거실과 방2사이의 벽을 제거하는 시스템은 접이식
수 있도록 공간의 가변성을 최대로 살릴 수 있는 컨셉의
디자인 되었다. 또한 모든 공간은 외기를 면하여 환기와
벽이다. 거의 같은 크기로 등분된 벽을 접어서 구석에 보관
유닛을 디자인하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외향적인 동시에
통풍의 측면에서 말레이시아의 열대기후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접어진 벽은 천장에 달린 레일을 따라 움직인다.
내향적인 공간이다. 건물 전체에서 뿐만 아니라 유닛에서도
디자인 하였다. 또한 동선 상으로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외향적인 동시에 내향성을 갖을 수 있는 다공성을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색채계획과
재료의
측면에서,
X형의
주된
컨셉은
활기차면서도 모던한 컨셉이다. 푸른색과 녹색, 노란색을
추구한다. 외향적인 동시에 내향적이라는 것은 두가지의 의미를 가진다. 첫번째는 어떤 공간이 너무 내향적이거나
공간의 가변성 측면에서, X형은 2가지의 가변성을 가진다.
사용하여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면서도 약간 낮은 톤의
너무 외향적이지 않게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첫번째는 안방과 방1 사이의 벽을 제거하여 하나의
색깔을 사용하여 모던하고 깔끔한 분위기를 표현했다.
두번째로는 내향적이고 싶을 떄는 내향적으로 사람들과
큰 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아기와 같이 한
저소득층 주택이라는 것과 기후적인 면을 고려하여, 벽면은
분리, 혹은 단절되고, 외향적이고 싶을 때즉 사람들과의
방에서 생활할 필요가 있는 신혼부부가 다른 나머지 방을
페인트를 사용하고, 대부분의 바닥재는 테라코타 타일을
접촉이 필요할 때는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진정한
손님방으로 사용하며 생활할 수 있다. 두번쨰는 방2 와 거실
사용했다. 가변성을 가지고 있어 합쳐질수 있는 안방과 방
사생활의 보장이란 단순히 격리되는 것이 아니라, 접촉과
사이의 벽을 제거하여 확장된 거실으로 사용할 수 있게
1은 나무바닥재를 사용하였다.
단절이 자유로운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컨셉을 계획하게
디자인 하였다. 이 경우에는 자녀를 출가시킨 노부부가
되었다.
거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Y형은 88.9sqm로 역시 X형과 마찬가지로 모든 공간이 외기에 면해있다. 거실과 주방, 2개의 화장실과 3개의 방, 식사실이 기본형이다. 공간의 가변성은 첫째로 거실과 안방사이의 벽을 제거하여 더 큰 거실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거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노부부에게 유용하다. 혹은 한명의 자녀를 둔 부부에게도 적합하다. 두번째로 Y형 주택은 다른 출입구를 가진 두개의 유닛으로 분리될 수가 있다. 한쪽은 하나의 거실과 주방, 화장실 그리고 하나의 방을 가진 유닛, 그리고 다른 한쪽은 방 두개를 합쳐 스튜디오 유닛으로 쓸 수 있다. 자녀가 가정을 이루어 부모님에게서 독립된 생활 공간을 갖고싶어 하는 경우나, 스튜디오 유닛을 임대하여 살고 싶어 하는 신혼부부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완전히 다른 출입구와 완전히 독립된 생활을 할 수 있다. 벽이 가동하는 방식은 X형의 확장된 거실을 만드는 예와 같이 접이식 벽을 사용한다. Y형의 색채계획은 자연과 심플함이다. 하얀색과 녹색, 나무색을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만들어, 거주자가 집에서 가장 편안히 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하였다. 위와 같이 페인트 벽과 타일을 사용하였고, 모든 방에 나무바닥재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더했다.
112
113
The Green Court Residency
Tay Wee Jen and Lee Seul Ki
DERIVED FROM CHINA COURTYARD HOUSE
The Project Idea & concept The idea of greencourt residency is derived from China’s courtyard house. This type of courtyard house is a form of China’s traditional urban habitation that have inner courtyard where it is surrounded by ‘cell’ and are opened to the sky. Hence, with the presence of the courtyard, it can form an interior ‘outdoor living space’ and have a ‘friendly’ interior. The house has open pl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are interpreted. Besides that, the courtyard acts as an interaction space for the large number of occupants inside to live together in a civilized harmony way in the house.
From the planning principle of China courtyard house, it is base on the ‘yin yang’ principle .This approach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for China architecture design where yin represent anything that is passive and yang represent anything that is active. The principles of ‘yin yang’ is basically represented as balance, contrast, harmony or symmetry in the architecture principle, where the elements are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in nature and how they give rise to each other in turn for the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and outdoor.
114
Design intentions 1. To introduce a passive and active inner courtyard in the housing residency where both courtyard is surrounded by units and are opened to the sky. 2. To use landscape strategy with play of transparency and layering on outdoor and indoor relationship. 3. To create a linkage of neighbourhood and community between the residential scheme. 4.To experience the open spaces and green courtyards with the function of facilities.
115
116
117
118
119
Tay Wee Jen and Lee Seul Ki
프로젝트 우리의 컨셉인 ‘음양 陰陽’에 따라 ‘양陽’의 의미를 가진
두번째 투룸 타입은 두 자녀가 있는 가족을 위한
각각 유닛의 특징은 조금씩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공용공간(Public Space)과 ‘음陰’의 의미를 가진 개인적인
디자인이다. 부모가 쓰는 하나의 침실과 아이들이 쓰는
플렉시블한 가구와 슬라이딩 도어를 많이 배치해 별 다른
공간(Priviate Space)으로 나누어 디자인 했다. 공용공간
공간으로 나뉘어 지는데, 아이들이 쓰는 공간은 접을 수
움직임 없이 밀고 꺼내기만 하는 단순한 동작으로 한
(Public Space)에는 가족들이 공용으로 쓰는 거실, 발코니,
있는 침대와 움직이는 책상을 통해 다른 용도의 공간이
공간이 여러 가지의 용도로 쓰일 수 있게 했다.
주방, 식사공간 등을 배치하고, 개인적인 공간을 변형
필요할 때 확장 할 수 있다.
가능한 공간(Flexible Space)으로 두고 이곳을 중심으로 디자인 했다.
세번째 가장 일반적인 쓰리룸 타입은 3명의 자녀가 있는 가족을 위한 디자인이다. 자녀들이 쓰는 공간을 살펴보면
거주자의 가족유형에 따라 개인적인 공간을 하나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공간에 있는 침대 두 개는 벽 쪽으로
공간으로 둔 원룸 타입, 두 공간으로 나눈 투룸 타입,
숨길 수도 있고, 침대 아래에 위치한 판을 내리면 책상으로도
세공간으로 나눈 쓰리룸 타입, 그리고 세를 내 줄 수 있는
쓸 수 있다. 거실 쪽에 위치한 공간에 있는 침대도 접어서
스튜디오 유닛 이렇게 크게 네 가지로 나 눌 수 있다.
숨길 수 있으며 책장에 달린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공간을 완전히 오픈 할 수도 있다.
이 네 가지 유형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공용공간과 개인적인 공간을 구분하도록 되어있는 거실에 위치한 슬라이딩
마지막으로 스튜디오 유닛은 많은 공간이 필요 없는
도어이다. 이 슬라이딩 도어는 거주자가 손님들을 초대하는
노인들과 같은 거주자가 경제적 여유가 충분하지 않은
등의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할 때에 거실을 확장하여
혼자 사는 학생들이나 직장인들에게 세를 내 줄 수 있는
공용공간을 확장하는 역할을 해준다.
디자인이다. 세를 내주는 것이지만 서로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출입문을 따로 두었고, 스튜디오 유닛을 살펴보면
각각 타입의 특징적인 것을 살펴보자면, 첫번째 원룸 타입은
좁은 공간에 비해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 할 수 있도록
많은 방이 필요하지 않은 신혼들을 위한 디자인이다. 하나의
플렉시블한 가구를 많이 배치했다. 이 가구들을 사용해
침실을 가지고 있고, 거실에서 큰방을 이어주고 있는
평소엔 일상생활을 하는 집이기도 SOHO를 하는 사람들의
공간은 작업공간으로 사용되고 작업공간에는 움직이는
사무실이 될 수도 있도록 했다.
책장을 두어 뒤쪽으로 밀어 많은 손님들이 방문했을 때 쓰일 수 있는 넓은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120
121
Back to Nature
Vigneswaran Mayachandran and Neo Chung Ping
BACK TO BASICS
The Project Mass housing is a product of industrial revolution during the period of 18th and 19th century throughout Europe. It is a period of technological change in agriculture, production, manufacturing, etc, which would affect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conditions of that time. The age of industrialisation was born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factories in urban areas. Influx of people started to migrate to cities and towns in search of employment. Mass housing was developed but with very little considerations for the safety and health of its occupants. Very little has changed, as in this day and age, mass housing or public housing developments in urban areas are still facing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Our proposed affordable housing with a density of 50 units per acre is situated at the busy intersection of Jalan Imbi and Jalan Sultan Ismail. The site is an abandoned three storey high structure and a carpark. The term, ‘Back to Nature’ was developed as more and more urbanites and people who live and work in cities, crave to escape the hustle and bustle of the cities to a more serene environment like the beach or forests and even to their earliest childhood memories of growing up in the kampongs and villages. These tendencies of wanting to be closer to nature are synonym to our own human nature.
The site is located at the very heart of the buzzing KL life of shopping, working, eating and living. As nature itself have the ability to regenerate and reproduce, sustainability itself cannot be solved by technology. The sustainable strategy was considered even in its early planning stage where the abandoned building would be demolished and all the debris of concrete to be used as crusher run and pavement base and the steel rebars to be recycled back into the project. The big matured trees will be moved to the perimeter of the site. Other sustainable factors are considered such as rainwater harvesting, sun shading devices on the east and west facing blocks and social sustainability such as gotong royong, open houses and many others. The building layout is derived from the site analysis and the urban grid. The blocks hug the perimeter which acts as the ‘barrier’ to outsiders. The block that faces Jalan Imbi has shops and retail fronting it as to continue the language of the context. The height of the blocks also varies as the lower ones coincide with the site context of the shop lots of Jalan Imbi. The blocks vary from four to eight storeys high. The open area or the ‘padang’ is the continuation of the existing green lung into the site.
122
The ‘padang’ being associated to everyone’s childhood in one point of time of their lives. The corners naturally become the drop off point and it is the access point into the development. The strategy of the defensible space is taken into account as the access point leads to an open area or ‘padang’ where natural surveillance can occur. All the units are designed to ‘look out’ and have surveillance on their neighbourhood. The features of Krupat studies and Newman’s Defensible Space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se features are to allow social interaction, social control, sense of security, organisational ties, collective identity, simple circulation and hierarchy of open spaces. The spaces of this development are zoned according to public (retail), semi-public (open areas), semi-private (lift lobby and communal spaces) and private (units). It has a sub-basement carpark level which is accessible to public and the access points are fronted with retails such as barber shop, locksmiths, laundry, etc for security reasons. The development encourages public interaction on the commercial zone while maintaining a secured and safe environment for its occupants in the development.
123
124
125
O’Park Affordable Housing Design
Yeap Sze Min and Kim Hyoeun
LEGEND 1. Public Pedestrian E once 2. Open Gallery 3.Retail outlets 4. Parkings for retails 5. Entrance to Retails parking 6. Service Zone 7.Loading/Unloading+Refuse 1 8.TNB 9. Active Zone -Basketball Court, Shallow water feature, children playground, adult exercise zone. 10. Kindergarten 11 . Small classrooms 12.Surau 13. ICT and Library 14. Pedestrian Entrance to Residential Zone 15. Ground Floor Garden Unit 16. Green Area with Pergolas 17. Taichi Area 18. Stairs 19. Passive Zone -Resting Area, Taichi Area, Reflexology Path, Green Slope. 20. Drop-off 21. Open Walkway ZManagement Office 23. Utility 24. Outdoor Study Corner 25. Visitor Carpark 26. Open Plaza 27. Bomba Lane 28 Green Communal Corner 29. Servic Zone 30. Loading/Unloading, Refuse 2
CUSTOMISED LIVING ENVIRONMENT
The Project Located in the most strategic spot of Kuala Lumpur city centre, at a busy traffic junction along Jalan Imbi, the site possesses advantages that should be enhanced, as well as disadvantages and issues that have to be resolved. This project aims to create a live-able housing scheme, which is affordable, flexible, and sustainable. One main issue that causes many concerns is the noise that comes from the traffic junction. Design Strategy - Initial Flexibility Most of the CONVENTIONAL apartment housing we perceive today possess the forms that are shaped merely by the influences of technology and economic forces within our society. Its existence is only to fulfill certain conditions of the society in logic and rational manner in which sacrifices the individual needs in living apartment. In result, users tend to spend more for renovation in order to customise their individual living environment.
Customization of living environment by dwellers is actually the impulses of biological nature as a dwelling functions well only if inter-dependence between the dweller and dwelling exists. However, to allow customization of different individuals, will increase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Therefore, a balance is needed between: i) Developer = Save Cost ii) Dweller = customised living environment Basic design: 1 cell = 1 studio unit (for newly weds) 2 cells = 2 studio unit = 1 family unit (for standard family)
Flexible Living Space Different person lives a different life which make everyone’s life unique. Dwelling, other than providing shelter, should be able to accommodate desired functions and activities, providing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establishing a natural relationship with the dweller. However, for a housing development like an apartment, it is difficult to customise every single unit for different users. Therefore, the unit design of this apartment aims for the creation of a function shell for adaptive and flexible use by occupants. New Design with Architectural Solutions & Interior Design Approach: ‘Moving wall furniture’ system Transformable space from day to night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Yeap Sze Min and Kim Hyoeun
프로젝트 중산층을 위한 주거단지를 개발하는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이기 때문에 실내디자인 또한 그 취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중산층의 경우 작은 집에서 큰 집으로 이사를 쉽게 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가 많지 않다. 말레이시아의 가족은 세 명 정도의 자녀들과 부모님이 함께 사는 형태가 가장 보편적이다. 이러한 근거를 토대로 디자인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정리하여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신혼에서 세 명의 자녀를 두기까지의 인생 주기를 토대로 같은 집을 원하는 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flexible한 공간을 만들자는 것이다. 구성원의 수가 변화하는 주기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방의 수를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도록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제안한 아이디어가 바로 flexible한 기능을 가진 가구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다. 먼저 꼭 필요한 공간인 마스터 룸, 부엌, 화장실을 최대한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그 외의 공간에 탈 부착이 용이하고 레일과 작은 바퀴를 달아 이동이 가능한 한 세트의 가구를 디자인하여 가구로 공간을 만들어 냈다. 이로써 큰 공간은 다음과 같이 총 네 가지 옵션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① 부부를 위한 공간(거실1), ② 자녀 한 명이 태어난 경우( 거실1+싱글 사이즈 침실1), ③ 성별이 같은 두 자녀를 가진 경우(거실1+퀸 사이즈 침실1), ④ 성별이 다른 두 자녀를 가진 경우(거실1+싱글 사이즈 침실2). 가구 하나를 통해 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가구에 많은 옵션이 필요했기 때문에 각각의 방에 필요한 가구 세트를 디자인 하게 되었고, 가구 세트를 같은 공간에 다른 방식으로 두기만 하면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공간을 연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디자인을 풀어가게 되었다. 한 예로, 아이 한 명을 위한 방을 만들 수 있는 가구 세트에는 옷장, 책장, 책상, 침대 등의 옵션이 있어서 침실이 되기도 하고 공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거실 가구 세트는 소파와 책장과 옷장뿐만 아니라 침대도 있기 때문에 혹시 손님이 자고 자게 되면 거실을 손님 방으로 만들 수가 있다. 스튜디오 공간의 경우도 가구 세트를 이용하여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가벽을 이용하여 두 사람이 쉐어를 할 수 있는 옵션도 제안하였다. 재료는 말레이시아 환경에 가장 알맞은, 보편적인 것을 사용하였다. 넓은 공간으로 보이도록 화이트 컬러의 페인트로 벽을 마감하고, 포인트로 노란색 페인트로 마감하였다. 가구 마감재가 우드이기 때문에 가장 어울리는 컬러로 노란색을 고안하게 되었다. 바닥 마감은 말레이시아의 습기가 많은 기후를 고려하여 관리가 용이한 타일을 사용하였다. 마스터 룸 같은 경우는 다른 공간과의 차별성을 위해 우드 느낌의 데코 타일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중산층 가정이 보다 편리하게 한 평생을 살아갈 수 있는 변화 가능하며 유연한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134
135
The ONE housing design
You Lisan and Kwon Hyunji
CUSTOMISED LIVING ENVIRONMENT
The Project The idea of the design is the one housing design. The intention of this affordable housing design was to create an intimate and social interaction within the residents. The planning of the housing scheme are directed towards the green spaces. All the units manage to get views towards the recreation area and the green field area. More over it was designed to respond to the neighborhood housing area and the shop houses along Jalan Imbi. There are green pocket communal spaces within each of the unit blocks. These communal spaces allows the residence to use it during free time and to enhance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residences, hence creating a unifying housing spaces. The site has been raised up to create natural surveillance to the public.
The ground floor is left open for community spaces. There are kindergarten, multipurpose hall, surau, senior citizens spaces and also open spaces for recreation on the ground floor. The open space within the housing area has been divided into two, one for children playground area, the other for open green field. There are penthouse designs on the roof top for each of the building blocks; each of these penthouses has its own green roof. The building block corridors are covered with adjustable timber louvers that faces the main road to prevent sound and air pollution directly to the units, while the room and the living space, faces toward the open green field area. Most of the block design is single loading, as to allow for natural lighting and cross ventilation toward the corridor.
136
The material of the walls are timber and brick to create a warm and homely feel for the residences. The landscape planting around the surrounding site are to create shading along the pedestrian walkway and to lower dow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There are also landscape planting within the staircase and the children playground to give extra shading to these spaces.
137
138
139
140
141
142
143
You Lisan and Kwon Hyunji
프로젝트 ‘Low-Cost Housing’을 계획하는 데 있어서 유연한 공간을 어떻게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세 가지 키워드를 설정하였는데, ‘Green’, ‘One’, ‘Open’이 그것이다. 디자인 발전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처음에는 하나의 넓은 공간에서 시작했다. (One) 이 공간의 가장자리에는 화장실이나 부엌과 같이 고정될 수 밖에 없는 요소를 적용하였으며, 그 주변으로 terrace와 pocket area를 둘렀다. (Green) 이제 남은 내부의 공간의 중앙에 주요 동선을 확보하고, 양 옆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2개의 층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층은 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공간을 분할하는 기능의 4 개의 가구들로 구성되었다. 이 가구들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가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벽이 되어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안방을 위한 가구는 좀 더 큰 침대를 위한 공간을 확보했으며, 옷장과 수납의 기능까지 더했다. 자녀 방을 위한 가구는 양면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침대와 책상, 옷장, 수납 등이 가능하다. 가족 구성원이 많은 경우를 위한 추가적인 침대가 있는 가구를 포함하여 세 가구는 주요 동선의 왼쪽 공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이동해 가며 방을 2개나 3개까지 늘릴 수 있다. 오른쪽 공간의 terrace를 향한 곳은 거실이며, 입구와 가까운 곳은 부엌인데, 이 사이에 공간을 만들고 싶다면, 첫 번째 층의 마지막 가구를 이용할 수 있다. Mass + Panel로 구성되어 있으며, 넓은 거실과 부엌을 원한다면 이 둘을 붙여놓으면 되고, 하나의 공간이 더 필요하다면 Mass를 거실 쪽으로, Panel을 부엌 쪽으로 움직여 이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층의 가구들은 모두 천장의 레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이며, 가장자리의 패널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층은 사방으로 움직여 수납과 분할의 기능을 하는 4 개의 가구들로 구성되었다.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므로, 첫 번째 층의 가구들과는 달리 바닥에 바퀴를 달았으며, ‘frame’의 형태로 제작하여 경량의 가구들로 구성했다. 안방에 위치한 가구는 옷장의 기능에 중점을 두었고, 자녀 방의 가구는 사방으로 수납이 가능하다. 스튜디오 타입을 위한 가구는 책상과 의자를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거실에 위치한 마지막 가구 역시 수납의 기능을 하며, 중앙의 뚫린 부분에 앉아서 책을 읽을 수도 있다. 이 모든 가구들은 입구에서부터 terrace까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는 개방된 구조이다. (Open) 따라서 매우 다양한 평면이 나올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자녀가 3명이 넘는 경우, 2명인 경우, 1명인 경우와 신혼, 스튜디오 타입의 평면이 있다. 자녀가 많은 경우는 첫 번째 층의 가구들을 모두 활용하여, 최대한 많은 공간을 만들며, 침대는 5개까지 둘 수 있다. 반면 신혼이나 스튜디오 타입의 경우, 필요 없는 가구는 제외하여 넓은 공간을 두어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층의 가구들을 움직임으로써 온 내부가 단절될 수도, 하나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 모든 선택사항은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효과적으로 유연한 공간을 만드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144
145
Terrace Community
Cornelia Wong Tsuyin and Ham Sunyoung
URBAN POLYMER - A TERRACE COMMUNITY IN THE SKY The Project DESIGN ISSUES/INTENTIONS/CONCEPT This affordable housing project was designed based on the concept “Terrace Community”, which was derived from the Malaysian lifestyle as observed in the traditional Malay house, terrace housing, and the existing affordable apartment housing in Malaysia. Hence, the project was tailored for Malaysians of medium range income, fulfilling the needs of various age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housewives, youngsters, as well as children. Multipurpose garden pavilion, chill-out podium spine, interactive lift lobby, backyard herbal garden, etc are among the design ideas incorporated in the project. SITE PLANNING STRATEGY Generally, there are a total of 5 separate blocks clustered into 3 clusters, varies between the height of six to eight storey. Car parks are allocated at the sub-basement level and the rest of the development starts on the podium level onwards. Voids are punched through the middle and at the perimeter of the podium in order to bring in natural light and allow natural ventilation in the sub-basement.
The many layers of activities accommodated on the podium level include activities which take place along the podium spine (coffee shops and cafes with outdoor seating area for the elderly to hang out during the day), activities which take place around the multipurpose garden pavilion and the surrounding open space, such as barbeque session, birthday parties, wedding kenduris, funerals, etc. and common facilities for the residents, such as kindergarten, children’s playground, gymnasium, and management office. There are also six units on this level for family with physically disabled person. BLOCK PLANNING STRATEGY The idea of a backyard herbal garden is found along the Jalan Kampung Pandan facade, where it acts as a linkage that connects all the block clusters of the development. The idea came about when the designer observed how people utilized the land in front of their terrace units to plant edible fruits and plants, as well as how the potted plants is blocking the corridor of the apartments in Malaysia. It will not only serve as free time activity for the elderly and housewives, but also act as a platform for interaction among the residents.
146
A service core is found attached to each cluster while each block is supported by a singly-loaded corridor to connect the row of units. A generous space was dedicated for the lift lobby area on each floor, serving as interactive communal spaces for the residents to hang out or reading newspapers, magazines, or simply hanging out with their neighbours chit-chatting. It also serves as study area for children to study together after school in the evening. UNIT DESIGN STRATEGY The units ar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y are to evolve in space according to different function and time of the day. This is achieved with the use of pivoted and collapsible door panels. A serambi is introduced at the entrance of each unit to promote interaction among the neighbours during the day. This is a common scene in Malaysia, especially among the housewives. The interactive platforms of various hierarchies are provided to promote interaction among the residents at various levels, thus creating defensible spaces through the natural surveillance among the whole neighbourhood.
147
148
149
Cornelia Wong Tsuyin and Ham Sunyoung
프로젝트 Harmony (a state of peaceful existence and agreement) 현대 사회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굉장히 중요하지만, 주거에서만큼은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지 않다. 옆 집에는 누가 사는지, 이웃이 어떤 사람인지 알지 못하는 것이 당연시 되고 있다. 주거 단지는 이웃간의 교류, 가족간의 교류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을 했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뿐만 아니라 이웃과의 교류, 가족간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평면과 인테리어 디자인을 했다. 공간에 대한 주요 아이디어는 회전 문, 미닫이 문 그리고 접이식 문이다. 한 단위를 사용하는 어떠한 사람들이더라도 그들의 특성에 맞게 쓸 수 있도록 회전 문과 미닫이 문을 통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간은 세 단으로 이루어져 암묵적으로 공간을 분할 할 수 있다. 주방은 요리를 하기 위해 재료를 준비하는 공간과 실직적으로 요리를 하는 공간을 기름 튀는 것을 방지하고,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칸막이로 구분하였다. 또한, 옆집과 공유할 수 있는 복도, 현관 그리고 주방은 모두 연결이 되어 있다. 현관과 주방은 접이식 문을 사용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 하지 않고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럼으로써 이웃과의 교류를 더 쉽게 할 수 있고, 공간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 공간을 통해서 이웃과의 만남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신문을 보거나 개인 업무를 볼 수 있으며 아이들을 자연스럽게 돌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디자인했다. Flexible spaced을 위한 flexible furniture design을 해야 했다. 먼저, master bedroom을 제외한 나머지 두 방을 위해서는 공간을 유용하게 쓰기 위해 moving furniture 을 디자인 해야 했다. 이 가구는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침대, 책상, 책장을 겸하고 있어, 공간을 유용하게 쓰기에 적합하다. 또한 수납공간이 넉넉해 많은 책과 장식품을 놓을 수 있고,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도록 수납장을 만들었다. Master bedroom과 다른 한 방과 이어진 회전문은 수납장을 겸하였다. 문에 있는 수납장을 열면 수납공간과 거울이 있어, 화장품이나 액세서리를 보관할 수 있다. 만약 딸과 엄마가 화장품을 같이 사용한다면 이 문은 더욱더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입구에서 볼 수 있는 신발장은 주방의 바와 sliding panel이 같이 있다. 신발장의 측면에는 bar가 있어 불필요할 경우엔 bar을 접을 수 있고, bar가 필요할 경우에는 bar을 펼 수 있다. 또한 주방을 나누고 싶거나, 입구와 방을 구분하고 싶을 때는 sliding panel을 움직여 원하는 대로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150
151
UM - KHU 2011 Group photo
152
153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