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unist.ac.kr
VISION 2030 World Top 10 University in Science and Technology
유니스트비전 2030 UNIST VISION 2030
Vision 선언문
울산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2차 전지 등 세계적인 산업들이 밀집해있는 우리나라 산업수도입니다. UNIST는 산업수도 울산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적인 고급인력 양성과 R&D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2009년 3월 첫 신입생을 맞이했습니다. 개교 2년 반의 짧은 기간 동안에 정부와 지자체의 전폭적인 지원과 구성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으로 자리 잡았으며 국제경쟁력 을 가진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다져가고 있습니다. UNIST는 미래를 개척하는 창의적 과학기술분야 글로벌 리더 양성과 녹색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하는 융합과학기술 구현을 통해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대학이 되고자 하는 비전과 목 표를 갖고 출발했습니다. 창의·융합·글로벌화 전략과 선택과 집중을 통해 2020년까지 세계 20위권, 2030년 까지 세계 10위권의 이공계 특성화 대학이 되고자 합니다. 'UNIST VISON 2030'에는 UNIST가 2030년까지 세계 10위권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실천 계획과 청사진이 담겨 있습니다. 전화기·PC·카메라의 융합 기능을 함께 갖춘 스마트폰의 출현으로 융합지식·융합기술·융합제품 등 ‘융합’이 미래사회 메가트렌드의 핵심단어가 되고 있습니다. 융합지식 창출로 융합기술이 개발되고 융합기술로 융합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융합교육이 필요합니다. UNIST는 모든 학생들이 2개 이상의 전공트랙을 이수하도 록 의무화하고, 모든 교수들을 2개 이상 학부에 소속시킴으로써 융합교육과 융합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IT기반의 Mobile Campus를 구축하고 최신 교육관리시스템(LMS)을 도입하여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 육을 병행하면서 토론식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창의성 교육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국내대학으로서는 유일하 게 모든 강좌를 100% 영어로 진행하고 외국인 교수와 외국인 학생을 적극 유치하여 글로벌화 교육을 선도 하고 있습니다. 또, 쿼터학기제를 도입하여 우수한 인력의 조기 사회진출과 교육비 부담 완화를 유도함으로 서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세계 어느 대학도 모든 분야에서 세계 최고가 될 수는 없습니다. Harvard나 MIT도 모든 분야에서 세계 최 고는 아닙니다. UNIST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첨단 신소재와 차세대 에너지 분야를 특성화해 글로벌 리더가 되고자 합니다. 2차 전지관련 연구결과 특허들이 기업체에 이전되고 Nature, Science 등 세계 최고 학술지에 발표되는 논문 수가 늘어나는 등 특성화의 성과들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4개 이공계 특성화 대학 지원 계획’이 확정되고 건국 후 최대 기초과학지원사업인 국제 과학비지니스벨트사업에도 참여하게 됨으로 써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확고한 기반을 다지게 되어 ‘UNIST VISION 2030’ 목표 달성을 위한 큰 동력이 되 고 있습니다. 2030년 ‘World Top 10’ 대학이 되고자 하는 ‘UNIST VISION 2030’은 정부의 지원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 습니다. 총장을 포함한 대학 집행부의 노력만으로는 더더욱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교수·직원·학생 모든 구 성원들의 헌신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 다같이 2030년 세계 10위권 이공계 연구중심대학 진입이라는 목 표달성을 위해 뜻과 지혜를 모아갑시다.
2011년 10월 20일 UNIST 총장
수행기관 UNIST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참여연구자
* : 분과장
총괄 및 자문 기획연구처장 기계신소재공학부 테크노경영학부
연구 분과 기계신소재공학부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기계신소재공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지원팀
서판길 교수 염영일 교수 송민석 교수
백정민 김덕영 김재업 서의성 남한석
교수* 교수 교수 교수 팀장
허민섭 박승배 조형준 정창열 노승훈
교수* 교수 교수 교수 팀장
박형욱 김병수 김철민 신현석 최성득 김규환 장부찬
교수* 교수 교수 교수 교수 팀장 팀장
최영도 정용호 신현배 문준철
과장 팀원 팀원 팀원
교육 분과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기초과정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테크노경영학부 교무팀
행정 및 인프라 분과 기계신소재공학부 친환경에너지공학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친환경에너지공학부 도시환경공학부 입학관리팀 기획팀
행정 지원 기획팀
Contents I. UNIST 소개 가. UNIST 설립 배경 및 개교 ………………………………………………9 나. UNIST 주요 연혁 및 현황 1) 주요 연혁 ……………………………………………………………11 2) 주요 현황 ……………………………………………………………13 3) 주요 성과 ……………………………………………………………17 다. UNIST와 울산광역시 1) 울산광역시 소개 ……………………………………………………19 2) UNIST의 역할 ………………………………………………………22
II. UNIST VISION 2030 가. VISION 2030 1) UNIST 비전 및 목표 …………………………………………………25 2) 2020년 목표 및 달성 전략 …………………………………………27 나. 분야별 목표 및 성과 지표 1) 기본 전략 ……………………………………………………………28 2) 연구 분야 ……………………………………………………………29 3) 교육 분야 ……………………………………………………………30 4) 시설 및 인프라 분야…………………………………………………30
III. 중점 추진 과제 가. 대학 운영의 패러다임 전환 ……………………………………………34 나. 융합 연구를 통한 연구 브랜드화………………………………………44 다. 창의적 과학 기술 교육 …………………………………………………74 라.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을 위한 인프라 구축 ………………………107
IV. 실행 계획 및 예산 가. 세부 실행 계획 및 단계별 추진표……………………………………137 나. 중점 추진 과제별 투자 소요 …………………………………………139 다. 인원 계획 ………………………………………………………………143 라. 캠퍼스 마스터플랜 ……………………………………………………144
IV. 부록 가. 연구원별 프로그램/연구그룹 구성 현황 ……………………………147
7
Ⅰ.
유니스트비전 2030 UNIST VISION 2030
UNIST소개
가. UNIST 설립 배경 및 개교 UNIST(울산과기대)는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쳐, 2009년에 개교식을 갖고, 동남권 의 거점 이공계 특성화 대학으로 성공적으로 출발하였다. UNIST는 국내 최초 국 립대학법인으로 세계 초일류 대학을 목표로 사회적, 공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 하는 연구중심 이공계 특성화 국립대학이다.
□ UNIST의 설립 배경 울산광역시의 인구는 110만으로, 우리나라 산업수도이다. 수출액은 대한민국 연간 수출액의 약 20%에 달하며, 1인당 연평균 소득이 4만 달러에 이르러 소 득 기준으로 국내 최상위 도시다. 울산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2차전지 등의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이 위치 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우수한 인력 양성과 기업의 고 도화 · 첨단화를 위한 산학협력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이공계 특성화 대학이 울산에 설립되기를 희망해왔다.
9
□ UNIST 개교
UNIST는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이공계 특성화 연구중심대학으로, 4대 과기원을 세계적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의 지원을 받는다. 전략기술 원 천연구분야로 차세대에너지 및 첨단신소재 분야를 선정하고, 우수한 교수진을
UNIST는 오랜 준비 기간을 거쳐 국내 최초 법인화 국립대로 설립, 2009년에
확보하고, 거대 국책 사업의 수행을 통해 우수한 연구 결과를 창출하고 있다.
개교식을 갖고 출범하였다. UNIST의 비전은 미래를 개척하는 창의적인 과학기술 글로벌 리더 양성과 녹 색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융합과학기술 구현을 통해 인류의 삶 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 기술 선도대학을 만드는 것이다.
나. UNIST 주요 연혁 및 현황
UNIST는 “창의” · “융합” · “글로벌” · “선택과 집중” 교육 및 연구를 통해 2020 년까지 세계 20위, 2030년까지 세계 10위권의 이공계 특성화 대학으로 발전시 켜, 한국의 MIT로 발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 주요 연혁
전 강좌 100% 영어강의, IT기반의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를 활 용한 토론식 수업, 전 학생 두 개 전공트랙이수 의무화를 통한 융합 교육으로
2007
글로벌 교육 특성화, 창의성 교육 특성화, 융합 교육 특성화 대학을 지향한다.
04.06
률 제정 및 공포 (법률 제 8221호) 07.18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 및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여 우수한 교수와 창의적인 학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시 행령 제정
생을 적극 유치한다.
09.01
조무제 초대 총장 취임
05.07
경동장학재단 법인등기
08.11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학술교류 MOU 체결
08.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연구 MOU 체결
09.16
Georgia Tech과 학술교류 MOU 체결
09.17
포항가속기연구소와 공동연구 MOU 체결
03.02
제1회 신입생 입학식
03.02
중앙기기센터 개원
04.27
친환경에너지공학부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세계수준
개교 첫해 전국 상위 3% 이내의 우수 학생을 선발하였는데, 이 중 특목고 출신 학생의 비율이 20%에 해당한다. 이공계 분야의 재능 있는 학생을 선발하고자 국내 최초 관찰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여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자리매
2008
김 하고 있다. 5개 융합연구원을 중심으로 6대 신성장동력산업(에너지 환경, 지식 서비스, New IT, 바이오, 수송시스템, 융합 신산업)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최첨단 연 구 장비를 구비한 세계적 수준의 UCRF(중앙기기센터)를 개설하여 최첨단 연 구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그림 I-1]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 대학교 UNIST
2009
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사업 선정 05.12
개교식
06.18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선정(관찰입학사정관제 국내 최초 도입)
06.24
신기술 융합형 성장동력사업 신소재/나노융합분야 주 관대학 선정
07.01
Univ of Texas at Dallas의 The Alan G. MacDiarmid NanoTech Institute와 학술교류 MOU 체결
07.24
10
UC-Irvine과 학술교류 MOU 체결
11
2009
09.09
Indian Institute of Tech와 MOU 체결
09.22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생의학연구소(Max Planck Insti-
10.06
01.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MOU 체결
02.01
연합인포맥스와 금융교육 지원 MOU 체결
tute for Molecular Biomedicine)와 MOU 체결
03.03
세포간 신호교신을 통한 암 제어 연구센터 개소
(재)울산테크노파크 정밀화학사업단과 학술교류 MOU
03.07
세진그룹과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소재 기술이전 MOU
2011
체결
체결
10.08
국립암센터와 공동연구 MOU 체결
03.08
Florida State University와 상호협력에 관한 MOU 체결
10.28
OLYMPUS와 생체영상센터(UOBC) 구축 지원 MOU
03.29
University of Sydney(Faculty of Engineering and Infor-
체결 11.12
개교기념 국제심포지움 개최
12.0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공동연구 MOU 체결
12.08
중국과기대(USTC)와 학술교류 MOU 체결
mation Technologies)와 상호협력에 관한 MOU 체결 04.01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와 상호협력에 관한 MOU 체결
04.26
University of Cambridge(Department of Engineering)와 상호협력에 관한 MOU 체결
2010 2010
02.02
울주군과 매년 50억원씩 10년간 총 500억원의 대학발전 기금 지원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
03.10
(주) 태성환경연구소와 공동연구 MOU 체결
04.07
효성기술원과 첨단소재 연구 MOU 체결
04.1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과 ‘상호 연구협력 및 교육프 로그램 공동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2011
05.11
한국원자력연구원과 MOU 체결
05.12
고려대학교와 학술교류 MOU 체결
06.24
슈퍼컴퓨팅센터 개소
07.19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와 MOU 체결
07.21
Tata Institute of Social Sciences(India)와 MOU 체결
08.13
한스 쉘러 줄기세포 연구센터 개소
08.30
Virginia Tech과 MOU 체결
교수 1인당 학생 수 : 19.5명
09.01
울산테크노파크와 MOU 체결
09.01
Hano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와 MOU체결
행정직원 정원 : 182명(비정규직 사무보조 58명, 조교 27명 포함)
10.07
국가핵융합연구소와 공동연구 MOU 체결
10.11
Far Eastern National University와 MOU 체결
10.18
한국수력원자력과 일반교류 MOU 체결
11.22
Kyrgyz State Technical University와 MOU 체결
11.2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와 MOU 체결
12.07
원자력기초공동연구소(BAERI) 개소
01.13
Sabanci University와 상호협력에 관한 MOU 체결
01.18
Kazakhstan Institute of Management, Economics and Strategic Research와 상호협력에 관한 MOU 체결
12
2) 주요 현황 □ UNIST 편제 정원 및 시설 현황(편제 완성년도 (’12년) 기준) 학생 총 정원 : 5,000명(학부생 4,000명, 대학원생 1,000명) 교원 정원 : 257명
교수 1인당 직원 수 : 0.7명 교육 · 연구 시설 면적 : 154,000㎡ 학생 1인당 교육 · 연구 시설 면적 : 30.8㎡
□ 7개 융합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Electrical and Computer Eng.) 친환경에너지공학부(Green Energy Eng.) 기계신소재공학부(Mechanical and Advanced Materials Eng.)
13
나노생명화학공학부(Nano-Biotechnology and Chemical Eng.)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AHS & Entrepreneurship 교육을 강화하여, 과학기 술적 · 기업가적 창의력을 높이는 혁신적인 교육 과정이 개설되어 있다1).
도시환경공학부(Urban and Environmental Eng.)
1) 인문소양교육(AHS: Arts, Humanities & Social Sciences), 경영마인드 함양 교육(Entrepreneurship)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Design and Human Eng.) □ 우수 교수 초빙
테크노경영학부(Technology Management)
현재 122명의 교수를 임용(‘11.4월 기준)하였다. 2/3는 Harvard, MIT, Stanford, Oxford 등 외국 대학 Ph.D 출신이고, 1/3은 서울대, KAIST, POSTECH 등 국 □ 융합복수 트랙 이수를 의무화하여 실질적인 융합 교육을 제공 국내 유일의 대학 UNIST는 창의적인 연구 및 혁신적인 교육 시스템을 추구한다. 전문성을 강화 하고, 실용성을 추구하며, 국제 경쟁력을 갖기 위해 첨단 융합 연구 및 교육 프 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창의, 융합, 글로벌화, 선택과 집중의 추진전략 하에 혁신적인 융합형 교육 시 스템을 개발하여, 연관 산업과의 관련성이 높고 융합의 시너지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를 묶어 학부를 구성하였다. (예: 나노생명화학공학부 = 생명과 학+나노과학기술+화학공학, 기계신소재공학부 = 기계공학+신소재+재료물 리 등) 현재 7개 학부가 있고, 각 학부마다 다수의 세부 전공 트랙이 있다. 융합 교육 을 위해 학부생은 2개 트랙 이수를 의무화(총 135학점 이수)한다. - 두 전공(트랙) 선택제를 운영하여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 라 두 전공을 선택하여 공부할 수 있다. 두 전공 선택제에서는 학생이 자신
[그림 I-2] UNIST 융합 학부 및 학부별 트랙 현황
모든 교수가 외국의 대학 및 연구소에서 연구 경력을 갖고 있으며 - 1/3 교수 경험(Michigan State U, Florida A&M U, POSTECH 등) - 1/3 산업체 경력(Intel, Qualcomm, Agilent, Samsung, LG 등) - 1/3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Post-Doc. 경력(MIT, Stanford, Georgia Tech 등) 융합 교육 및 연구 활성화를 위해 모든 교수들의 D/A(Dual Appointment)화를 의무화 하여, 교수의 제 1소속과 제 2소속을 통해 융합화를 꾀하고 있다. - 모든 교수는 본인의 전공분야와 관련성이 높은 타 학부에도 소속되어 교육, 연구 활동에 참여(Dual Assignment)하며, 융합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합리적인 연봉 및 인센티브제도가 도입(특훈 교수, 산업체 석좌교수 임용)되 었고, 실험실 구축비 및 초기 정착금이 제공된다.
의 능력과 소양을 바탕으로 제 1트랙(제 1전공)을 선택하고, 제 1트랙과 가
세계적인 연구와 교육을 위해서 단계적으로 교원의 20%까지 외국인으로 충
장 시너지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제 2트랙(제 2전공)을 선택함으로써 개별
원할 계획이다.
맞춤형 융합전공이 가능하다.
우수한 교수 자원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 전 강좌 100% 영어 강의가 도입이 되
Machanical and Adv. Materials Eng.
Eletrical and Computer Eng.
Green Energy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 Eng.
Energy Conv. & Storage
Acvanced Materials Engineering
Nuclear Energy
Mechanical Sys Design & Manufacturing Thermo-Fluid & Power Eng.
Comm. Control & Signal Proc. Electronic Design & Applications
Device Physics
14
내 대학 Ph.D 출신이다.
Nano-Bioscience and Chemical Eng.
었다.
Urba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esign and Human Engineering
Technology Management
Environ. Anal. & Pollution Control Eng.
Integrated Indusrtial Design
Technology Management & Info Systems
NanoChemical Science & Eng.
Earth Science & Eng.
Affective & Human Factors Design
Marketing & Int’l business
Bio Engineering
Urban Develop. Engineering
Engineering & Sys Design
Finance and Accounting
Advanced Chemical Engineering
Biomedical Science
General Management
□ 우수 교수 초빙 UNIST는 전국 Top 3%내의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이 공 계 열 수시(학생부) 정시(수능) 1.5 1.7 1.7
1.7 1.8 1.8
경 영 계 열 수시(학생부) 정시(수능) 1.6 2.0 1.8
[표 I-1] 입시 평균 성적 (등급)
1.7 1.5 1.4
15
전체 모집 정원의 90%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하였고(2011년 기준), 과 학고, 과학영재학교를 포함한 특목고 출신 비율이 약 18%, 일반고 출신은 전
3) 주요 성과
국 상위 3% 이내의 학생을 모집하고 있다. 지역별로 수도권 학생의 비율이 31%, 부산/경남 24%, 울산 12%, 기타 33%로, 고른 지역 분포를 보이고 있다. [표 I-2] 출신 지역별 분포
지역별 2009년 2010년 2011년
수도권
부산/경남
146(29.2%) 127(25.4%) 228(30.4%) 182(24.3%) 253(33.6%) 179(23.7%)
□ 학생 유치 및 교육 분야 성과 전국 고등학교 졸업생 상위 3% 이내(평균 내신 및 수능 등급 : 1.5) 학생 입학
울산광역시 62(12.4%) 79(10.5%) 98(13.0%)
기타 지역
계
165(33.0%) 500 261(34.8%) 750 220(29.7%) 750
특목고(과학영재고, 과학고, 외국어고 등) 출신 학생비율 : 18%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 선정 - ’10년에 모집정원 80%, ’11년은 90%를 입학사정관제로 선발 국가 이공계 장학금 50% 쿼터 배정대학 선정(한국장학재단)
UNIST, KAIST, POSTECH, GIST 4개 대학은 한국장학재단의 국가이공계장
- UNIST, KAIST, POSTECH, GIST 4개 대학
학생 선발 쿼터제가 실시되고 있고(전체학생의 50%), 학생들이 일정 성적 이 상을 유지할 경우 전액 장학금을 보장하고 있다. □ 연구 실적 및 정부 주관 연구과제 수주 실적 □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IT기반의 LMS(Learning Management
개교 이후 2년 만에 CNS(Cell, Nature, Science)에 6편 논문 게재
System) 구축
- ’08년 이후 KAIST 5편, POSTECH 4편, GIST 1편 게재 (제1저자 기준)
국내 최초로 전 교육 과정에 IT기반의 LMS를 도입하여 e-Education 시스템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사업 2과제 선정 : 5년간 209억
을 구축하였고, 이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교
신기술융합형 신성장동력 사업단(2차전지 분야) 주관대학 선정 : 5년간 180억
과목과정을 재설계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 구성원 모두가 스마트폰을 이 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e-Education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Mobile Campus 를 국내 최초로 구축하였다. FMC(Fixed Mobile Convergence) 환경과 스마트폰을 통해 모바일 캠퍼스를 구축하고, LMS를 통한 창의적 강의시스템을 도입한 국내 유일의 대학이다. 캠퍼스 내에서 스마트폰으로 LMS에 접속해 학습과 커뮤니케이션 및 학사업
2010년 선도연구센터(SRC, 10년간 100억), 기초연구실(BRL, 5년간 25억) 선정 2010년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 선정률 전국 대학 중 최상위 - 교수 기준 68.7%(46명/67명) (참고 : 전국대학평균 28.8%(과제 기준)) 2010년 한국창의재단 학부생연구지원과제(URP) 전국 최다과제 선정 - 전국 85개 지원과제 중 13과제
무처리가 가능하다.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소재 기술이전 - 세진그룹
선도적인 학습시스템을 통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고 있으
- 기술료 등 총 54억원 규모(국내 대학 사상 최고 금액), 제품 양산시 연간 1000
며, IT-enhanced, student-centered, tailored 된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억원 이상의 수입 대체 효과 창출
전교생에 지급된 스마트폰을 수업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세계 어느 대학 보다
UNIST 그래핀(Graphene) 연구센터 명예소장 Konstantin Novoselov 교수 ‘10
앞서 IT를 창의적 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 타 대학에 큰 파급효과를 내
년도 노벨 물리학상 수상
고 있다.
16
17
□ 국제 협력 추진 Han Schöler Stem Cell Research Center 설립 - 독일 Max-Planck Institute 공동연구센터 Georgia Tech과 IT 및 신소재 분야 공동연구소 설립 UC-Irvine과 MOU체결 (2009.7)
- “꿈의 신소재 그래핀” 대량합성기술과 “산업의 비타민” 희토금속의 대체물 질 개발 연구 등 첨단 신소재 연구 주도 - 맞춤형 줄기세포, NT기술 등을 이용한 신약, 세포치료제, 의료소재 등의 생 체소재 실용화 R&D 추진 UNIST는 5개 중점연구원을 발전시켜 일반 연구중심대학과 차별화 교육-연구 연계 강화 및 융합연구 활성화
IIT-Kanpur와 MOU체결 (2009.9) Univ. of Sci. & Tech. of China와 MOU체결 (2009.12)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와 MOU체결 (2010.7) Tata Institute of Social Sciences와 MOU체결 (2010.7)
다. UNIST와 울산광역시
Virginia Tech과 MOU체결 (2010.8) Hano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와 MOU체결 (2010.9)
1) 울산광역시 소개
Far Eastern National University와 MOU체결 (2010.10) Kyrgyz State Technical University와 MOU체결 (2010.11)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와 MOU체결 (2010.11) Technology University of Eindhoven과 MOU 체결 (2011.4) Univ. of Michigan, UC-Irvine, UT-Dallas와 공동연구 수행 (Medical Device,
□ 산업 수도 울산 울산은 우리나라 산업 수도로서 자동차, 조선, 화학/화공, 원자력, 2차전지 산 업 등을 주축으로,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과 수많은 관련 업체 및 첨단 부품소 재업체들이 위치하고 있다. 현재 지역 내 수출 규모는 국가 연간 수출의 19%(약 788억 달러)에 달하며,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산업화 기지이다.
Graphene 등) [그림 I-3] 국가산업의 메카 - 울산
MIT, HKUST와의 교류협정 추진 중
산 국가 국 가 산업의 메카-울 메카-울산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이공계 특성화 연구중심대학 : UNIST(동남권), KAIST(충청권), DGIST(대경권), GIST(호남권) UNIST 등 4개 과기대(원)을 세계적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획안 에 대한 교과부의 2011년 대통령 업무보고 (‘10.12.17.)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제2차과학기술인재육성·지원기본계획” 확정(‘11.4.19.) 이를 통해 UNIST를 광역경제권 전략산업의 대형연구개발프로젝트 수행 등 R&D 특화분야의 연구중심대로 육성 - 동남권 주력산업인 이차전지(리튬)와 전기자동차용 부품개발 등 지역기반 의 R&D 주도
18
조선 산업 세계 1위
자동차 산업 세계 5위
석유화학 산업 세계 5위
성SDI, 한화석유화학, 한화 화석유화학, KCC, LG화학 동남권 주요 기업 현황 : 현대중공업, 대중공업, 현대자동차, 현 삼성정밀화학, 삼성 삼성SDI, 대우조선해양, 두산중공업, 삼성중공업, SK에너지, 르노삼성자동차, 삼성전기, 대우조선해양, 두산인프라코어, STX조선, 삼 STX엔진 한진중공업 고리 리 원자력 발전 발전소
19
울산 지역의 산업 발전은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발전과 그 역사를 같이 하는 데,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조선과 관련된 많은 기업들이 울산 및 영남권에 소 재하고 있다. [표 I-3] 울 산 및 영 남 권 의 주 요 기업 현황
구 분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울산시는 수출중심형 경제 성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제조업 생산에서는 2008년 기준 167조 원으로 전국 2위를 차지한다. - 울산시 주력 업종의 수출 비중을 살펴 보면, 화학의 수출 비중이 40.5%인
기
업
체
동국제강, 삼성전자, 삼성코닝정밀유리,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전자, 제일모직, 포스코, 현대제철 등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SK에너지, SK케미컬, 삼성정밀화학, 삼성 SDI, SB리모티브, 한화석유화학, KCC, LG화학, 르노삼성자동차, 삼성전기, 대우조선해양, 두산중공업, 삼성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STX조선, STX엔진 등
246억 달러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이는 전국의 화학 수출의 42.6%로 전국 1위에 해당한다. 그 외 자동차 수출 비중은 18.6%인 113억 4,000만 달러, 조 선 · 해양 수출 비중은 21.5%인 130억 7,700만 달러에 달한다. - 울산시는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의 구조 고도화 및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산업진흥사업 등 적극적인 지원정책 및 사업을 마련하여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 울산시는 기간산업 테크노산단 조성, 그린 전기자동차 연구기반 구축과제
[그림 I-4] 울산 소재 주요 기업
추진, 지역R&D현황과 URIGO 추진, 2단계 지역전략산업 진흥사업 추진, 광역경제권 선도 산업 추진, 동북아 오일 허브 구축 추진 등을 통해 지역 내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을 진행 중이다. 산업클러스터 현황 - 울산시 산업클러스터는 전략 산업인 자동차, 조선해양, 정밀화학, 환경산업 별로 산업 집적과 연구 지원기관의 연계를 통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 각 산업별 클러스터는 70~80%의 산업 집중도를 보이고 있으며, 클러스터 내 주력 선도 기업을 중심으로 생산 및 기술협업관계를 구성하고 있다. - 산업클러스터는 지역 내 산업간 연관수요를 충족함과 동시에 주변 산업지 역인 김해, 양산 및 경주지역도 영향권에 포함되어 초광역 클러스터를 형성2) 하고 있다. □ 울산의 산업 현황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구조 - 2007년 울산시의 명목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46조 4,050억원으로 전 국의 5.1%를 차지하며,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은 전국 총생산의 5.0% 에 해당한다. -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지속적으로 전국 1위. 최근 5년간 1인당 지역내총생 산이 전국 1위. 2008년도에는 4,862만원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전국 평균의 두 배 이상이다.
20
- 향후, 차세대 전지 산업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수직계열화가 이루어 질 것 으로 예상 되는데, 지역 내 대기업 또는 최종 수요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클 러스터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지역 주력산업의 특징 - 울산광역시의 주요 산업인 제조업 중에서도, 지역제품 수출에서 주도적 역 할을 하고 있는 주력산업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이다. - 이들 주력산업들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산업별 생산액 및 사업체수를 기준 으로 석유화학 산업이 가장 규모가 크고, 자동차와 조선업의 순이다.
- 울산시는 4구 1군 체제로 구성된 도농복합형 도시로서, 2009년 기준 지역수
- 울산지역 주력산업의 생산액이 전국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
출액 608억 달러로서, 동경, 상하이, 도요타에 이은 아시아 4대 생산도시이다.
면, 자동차 산업은 전국 생산액의 25.7%, 조선 산업은 40%, 석유화학 산업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주요 국가주력산업 품목의 수출에서 주도적 역 할을 하고 있으며, 제조업 중심의 수출주도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2) 복합에너지생산연구단지 조성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최종보고서(2010.01), 에너지경제 연구원
은 29.4%를 차지하고 있다.
21
- 부가가치 기준으로 업종별 비중을 살펴보면, 자동차 산업이 26.4%, 조선 산 업이 40.7%, 석유화학 산업이 21.6%를 차지하고 있다.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투자유치 현황
- 지자체들은 산업발전계획 수립, 국가연구소 유치, 선도기술형 산업클러스
- 울산시는 우수한 산업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많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 의향을 밝히고 있는 지역으로, 자유무역지역 지정으로 인해 외국인투자의 3) 복합에너지생산연구단지 조성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최종보고서(2010. 01), 에너지경제 연구원
영남권의 지자체와 기업들은 위기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유치가 더욱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3) 된다.
터 구축 등 여러 가지 산업혁신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신기술 개발과 새로운 산업으로의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울산은 노동집약적인 제조 및 석유 화학 산업에서 미래 고부가가치 산
- 국내 5대 산업단지의 위상을 바탕으로 꾸준히 국내 기업들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내고 있으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중소기업의 투자 유치 활동 을 하고 있다.
업인 첨단소재 산업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대기업 연구소와 산·학·연 공동 연구 추진이 용이한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울산시와 지역 산업체들은 UNIST가 보유하고 있는 첨단소재 기술 등과 같은
- 녹색성장 및 차세대 전지산업과 관련한 투자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업 인프라 이외의 부분에서는 타 지역에 비해서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 에 이 부분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첨단 신제품 을 개발하기 위한 R&D 고급 인력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차세대 성장 동력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고, 공동 연구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지역 인프라가 부족하다. - 국내 산업의 꾸준한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차세대 성장 동력이 필요하고 이를 새로운 산업으로 만들어 갈수 있는 기반 기술 및 연구 인프라가 절실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지역과 지역 산업계의 요구를 UNIST는 적극적으로 수 용하여 지역과 함께 발전해 나갈 필요가 있다. UNIST를 중심으로 한 울산의 차세대 미래 산업 주도
2) UNIST의 역할
- 울산광역시 차세대 성장 동력권은 울산의 주된 도시개발 지역으로 길천지 방산업단지, 가천공업지역, 고속철도 역세권, 혁신도시 등 UNIST를 중심으 로 향후 울산의 차세대 성장 동력 역할을 할 수 있는 주요 사업들이 포함되
□ 산업의 특징
어 있다.
울산을 기반으로 한 세계적인 산업 중에, 자동차, 화학, 조선 등은 그 산업의 라 이프사이클 상에 정점을 지나 장년기에 도달하였다.
효과를 극대화 하여야 한다. 서부권은 자연 환경이 양호하여 산업단지와 연
- 이들 산업은 치열한 경쟁의 한가운데에 있으며, 현재와 같이 갈 경우 지속적
계한 연구개발사업(향후 UNIST 중심의 과학연구단지조성 계획 추진)이 적
인 수익률 감소가 예상되며, 특히, 글로벌 경영위기를 벗어나고자 중국 등 개발도상국들이 경기부양책으로 이들 분야에 설비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글로벌 공급 과잉 문제가 심화될 우려가 있고, 향후 수익률이 감소는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I-5] 한국 주력 산업의 전 세계 공급 과잉현황 (조선일보 2010.3.1)
합하고, 동부권은 UNIST, 울산대, 테크노파크, 혁신도시 등 울산지역의 주 요 R&D 기반의 입지가 좋아 울산의 지식기반 산업육성이 적합하다. - UNIST가 보유한 다양한 기초·원천기술을 적극적인 산·학·연·관 협력을 통 하여 사업화를 추진하여, 산업 도시 울산의 신성장동력산업 발전에 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2.4
첨단 소재 관련 연구 선도 - 고급기술을 추구하는 선진국과 저가를 앞세워서 전 세계 시장을 급격하게
7.4
잠식하고 있는 CHINDIA 등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소재/부품에서 핵심원천
56.7 8.3
37.7
17.9
기술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5.1 14.4 3.9
22
- UNIST를 중심으로 산·학·연·관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시너지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조선
반도체
공급 과잉률 국내 제조업 비중
23
- UNIST의 가장 핵심기술은 소재와 관련된 기술인데, 이차전지, 태양전지, 수 소전지 등의 에너지 저장 소재 기술, 고강도 나노금속소재, 나노광학소재, 그래핀 등 신물질 및 차세대 첨단소재 창출을 위한 나노소재기술, 암 세포와 주변 세포 간 신호교신 연구를 바탕으로 생체 적합 생체나노소재 등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신성장동력산업 창출 - 최근, 정부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성장동력 비전과 발전 전략'을 확정하고, 녹색기술과 첨단융합, 고부가 서비스 등 3대 분야에서 17 개 신성장동력을 발표했는데,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에너지, 고도 물처 리, LED응용, 그린수송시스템 등 녹색기술산업에서 6개 △방송통신융합산 업, IT융합시스템, 로봇응용, 신소재ㆍ나노융합, 바이오제약ㆍ의료기기, 고 부가식품산업 등 첨단그린도시 첨단융합산업에서 6개 △글로벌 헬스케어,
Ⅱ.
유니스트비전 2030 UNIST VISION 2030
UNIST VISION 2030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금융, 콘텐츠ㆍ소프트웨어, MICEㆍ관광 등 고부 가서비스산업에서 5개가 각각 선정되었다. - UNIST에서 보유중인 기초 원천 기술은 3대 분야에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가. VISION 2030
신성장동력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원천기술 확보하고 있어 이러한 기술을 산업계 전반에 확산시켜 산학연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과제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기반과 모멘텀 확보를 추진할 것이다. 고용 창출
1) UNIST 비전 및 목표
- 2010년 국가의 국정 제 1목표는 일자리 창출이다. 울산시의 경우, 최근 고용 없는 경제성장으로 인해 실업률이 조금씩 증가하여 2009년에 4%에 이르고 있어, 고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비전 :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 대학” (World Top 10 in 2030)
- UNIST의 기초원천기술을 토대로한 사업화 전략은 향후 지역경제의 성장과 고용창출을 선도하리라 예상된다. 특히, 울산의 미래성장동력으로 저탄소 녹생성장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업화센터를 통해 녹색성장 기술개발 지원 및 제품 생산 관련 기술 이전 등의 사업화를 추진하 여 지역 고용창출을 증대시키는 데 큰 몫을 담당할 것이다.
□ 목표 : 2020년 세계 20위권, 2030년 세계 10위권 이공계 특성화 대학 교육 : 미래를 개척하는 창의적 과학기술 글로벌 리더 양성 연구 : 녹색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융합과학기술 구현 2030년까지 세계 최고 과학자 2명 및 글로벌 스타 과학자 10명 배출 (노벨상, 필즈상, 라스카상, 큐리상 등 수상자) 4개의 UNIST 글로벌 브랜드 창출
24
25
[그림 II-1] 2030년 UNIST 발전 방향 Wo r l d To p 1 0
2) 2020년 목표 및 달성 전략 □ 2020년 발전 목표 : 세계 20위권 과학기술 대학
세계 일류수준 ▶
World Top 20
2013년 : 국내 3대 과학기술대학 2017년 : 국내 최고/세계 100위 과학기술대학
World Top 100 국내 최고 연구 중심대학
국내 최고수준 ▶
2020년 : 세계 20위 과학기술대학
국내 3대 연구 중심대학 2008
2011
2013
2017
2020
2030
□ 2011 - 2020년도 목표 달성 전략 [그림 II-3] 2020년 UNIST 발전 방향
□ 전략 : 창의 · 융합 · 글로벌화 · 선택과 집중
World Top 20 세계 일류수준 ▶
세계적 연구성과 창출
창의 :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기반 토론식 수업 융합 : 전학생 무전공 입학, 2개 이상 전공트랙 이수, 교수의 2개 이상 학부 소 속 의무화
선택과 집중 인프라 구축
지속성장 글로벌화 국내 최고 World Top 100
글로벌화 : 국내 대학 최초 100% 영어강의, 외국인 교수 및 학생을 단계적으 국내 3대 연구 중심대학
로 20%까지 확대 선택과 집중 : 중점 연구 분야 선정 및 융합 연구원을 통한 집중 연구
□ 중점연구분야 : 첨단 신소재 (에너지 · 바이오 · 기계부품 · 친환경)
2008
2011
2013
2017
2020
2008년 - 2013년 : 과학 기술 선도 초일류 대학을 위한 인프라 구축기 - 집중 연구 분야 선정
[그림 II-2] UNIST의 비전 및 발전 전략
- 우수 인력 및 학생 확보 창
의
- 연구 중심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행정·학사 조직 정립 우수 학생
우수 교원
2013년 - 2017년 : 지속 성장 및 글로벌화 집중기
선택과 집중
최첨단 연구 인프라
26
- 지속 성장을 위한 발판 마련 및 성장 동력원 창출 글로벌
융합
- 첨단 연구 기자재 확보 및 인프라 구축
- 활발한 국제 교류를 통한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 UNIST 브랜드 이미지 창출 2017년 - 2020년 : 세계적인 연구 성과 창출기 - 지속 성장 및 세계적인 연구 성과 창출
27
- 2대 핵심 연구 분야 초일류 성과 창출
▹중점분야 •기초/원천연구 : 첨단신소재 (에너지, 바이오, 기계부품, 친환경) •응용 및 사업화 : 이차전지 및 에너지
- World Top 10 진입을 위한 계획 수립 및 기반 조성
[그림 II-4] 2020년 UNIST 비전 및 목표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대학 (World Top 10 in 2030)
비 전
목 표
교 육 : 미래를 개척하는 창의적 과학기술 글로벌 리더 양성 연 구 : 녹색 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융합과학기술 구현
창의, 융합, 글로벌화, 선택과 집중
전 략
연구그룹간 융합 연구
Global bal Bran Brand d 창출 프로그램 중심의 교육 및 연구
2030년까지 세계 최고 과학자 2명 배출, 글로벌스타 과학자 10명 배출
중기 (2014 - 2017)
장기 (2018 - 2020)
국내 3대 연구중심대학 - 주요 지표 기준 (1인당 논문, 연구비, 특허 등) - 국내 최고 연구 분야 3개
국내 최고 연구중심대학 - 세계 상위권 연구 분야 3개 - 국내 최고 연구 분야 10개 - 과학기술분야 대학순위 100위
세계 일류 연구중심대학 - 세계 상위권 연구 분야 10개 - 국내 최고 연구 분야 20개 - 과학기술분야 대학순위 20위
연구센터 연구그룹
기초원천 연구 실용연구 미래선도 연구
•연구과제발굴 •세계수준 연구업적 •연구성과 사업화
연구지원본부
Program
(UCRF) Aegis Station
학 부 우수과학기술인력 교육 및 공급
첨단 신소재 (에너지 ・ 바이오 ・ 기계부품 ・ 친환경)
단기 ( - 2013)
UMI연구원
대학원
Track k 중심의 학제간 간 교육
Track
중점연구분야
[그림 II-5] 비전 달성을 위한 특성화
2) 연구 분야 모든 분야에서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 택과 집중을 통해서 연구 분야를 선정하고, 융합 연구를 통해서 선도적인 연구 결과를 창출. 이를 기반으로 학제간 융합연구센터를 구축하고, 특화 연구원, 융합기술원 등을 육성하여, UNIST 연구 브랜드화를 촉진
나. 분야별 목표 및 성과 지표
우수한 연구를 위해서는 우수한 인적 자원이 필수적인 요소임. 따라서 국내외 우수한 연구 인력의 유치를 통해서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 세계적인 글로컬(Glocal) 대학 추진을 통해서 글로벌(Global) 경쟁력을 갖춘 연구 성과를 창출하며, 지역내(Local) 초일류 기업들과 연계를 통해 발전해 나
1) 기본 전략
가는 협동 모델을 구축 항
VISION 달성을 위한 기본 전략은 연구 중심/대학원 중심 대학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것임. 이를 위해서 UNIST를 동남권 거점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시 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 내부적으로 행정 학사 조직을 연구 중심 조직으로 변경하고, 전략연구지원본 부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추진 체계를 만듦 - 교육(학부 중심), 연구(연구원 · 센터 · 그룹 중심) 이원화를 통해서 학부에서 는 기초적인 교육을 충실히 하고, 연구원과 센터를 통해서 연구를 수행하며, 대학원 교육은 연구원에 필요한 우수한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데 초점을 맞춤
28
목
CNS 발표 논문편수 SCI 논문편수(교수1인당) SCI 논문편수(교신 및 주저자) Citation/paper(최근5년간) 교수 1인당 연구비(억원) 교수 1인당 특허출원(국내/해외) 교수 1인당 특허등록(국내/해외) 기술이전 건수 기술이전료 수입(억원) Global Brand 연구(건)
2013 10 4.5 2.4 10 3.0 2.0/1.0 1.0/0.5 10 10 3
2017
2020
15 5.0 2.7 12 3.5 2.5/1.2 1.2/0.6 40 30 5
20 5.5 3.0 15 4.0 3.0/2.0 1.5/1.0 60 50 10
[표 II-1] 연구 분야 주요 성과 지표
29
최첨단 연구·교육 시설의 제공, 우수 인력을 유치하는데 중요한 정주 여건을
3) 교육 분야
개선하고, UNIST 주변을 울산 Technopolis로 발전시킴
교육의 질 향상과 학생에 대한 맞춤형 지도를 위해 교원 정원을 기존의 연구중 심대학 수준으로 확대하며, 학 · 석사 연계, 석 · 박사 통합 제도 등을 통해 연구 능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양성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강의를 추구하며, e-Education 등 혁신적인 교육 시스 템을 통해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교육을 수행 교육 브랜드화를 통해 융합 교육을 선도하고, 영재 교육원 신설, 해외 교류를 활성화, 이공계 경영전문 인력양성 등, UNIST 만의 특화된 교육을 제공 [표 II-2] 교육 분야 주요 성과 지표
항
목
교수 1인당 학생 수(명) 중도탈락 학생비율(%) 강의평가 공개비율(%) 교수1인당 연간 강의시수(학점) 학석사 연계과정 진학률(%) 학석사 출신학생의 박사과정 진학률(%) 본교졸업생의 본교 석박사통합과정 진학률(%) 교수 1인당 연간 석사 배출인원(명) 교수 1인당 연간 박사 배출인원(명) 외국인 교수 비율(%) 외국인 학생 비율(%) 공개강의(OCW) 비율(%) 교수 1인당 강의 보조 인력 비율(%) 강의 평가 점수(평점) 본교 학생의 해외 파견 비율(%) 해외 학생의 본교 파견 비율(%) 국제 경연대회 입상 건수(건) AHS 교과목 교류 비율(%) 박사학위 취득자 수(연간, 명)
2013 16.0 2 100 9 10 25 15 0.5 0.3 10 7 10 0.5 3.5 5 1 1 20 30
2017
2020
12.5 1.5 100 6 15 50 18 1 0.5 15 13 15 1 3.7 10 3 2 50 125
10.0 1 100 6 20 50 20 1 1 20 20 30 2 4 15 5 4 100 250
행정 시스템 측면에서, 연구 중심의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한 행정 시스템을 구성하여, 구성원들의 연구·교육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성 항
목
학생 일인당 건축연면적(m2) 교수 일인당 연구면적(m2) 교수/직원 비율(%) 교수/기술인력 비율(%) 행정서비스 만족도(%) MBO 평균 달성율(%) UNIST 대학문화 행사지원건수(건) 대외 협력 건수(건)
2013
2017
2020
41.6 34.7 60 33 90 80 24 10
72.6 90.0 80 50 95 90 48 30
100 98.18 100 50 100 100 80 50
[표 II-3] 시설 인프라 분야 주요 성과 지표
4) 시설 및 인프라 분야 중심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중심 대학 수준 이상의 인프라 구축
30
31
Ⅲ.
중점 추진 과제
유니스트비전 2030 UNIST VISION 2030
중점 및 세부 추진과제
대학 운영의 패러다임 전환
융합 연구를 통한 연구 브랜드화
융합 집중 연구 우수 인력 확보 글로컬화 연구중심 융합 교육
창의적 과학기술 교육
창의적 교육 시스템 UNIST 교육 브랜드화
스마트 행정 연구중심 시스템 대학으로 성장을 위한 행정 혁신 및 연구중심대학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
가-1 가-2 가-3 가-4 나-1 나-2 나-3 나-4 나-5 나-6 나-7 다-1 다-2 다-3 다-4 다-5 다-6 다-7 다-8 다-9 다-10 라-1 라-2 라-3 라-4 라-5 라-6 라-7
전략연구지원본부/대학원 본부 운영 동남권 거점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 연구중심대학 조직 구성 쿼터제 시행 UNIST 융합연구원(UMI) 중점육성 수리 과학 특화연구원 신설 융복합기술사업화 특화연구원 신설 미래 도전 과제 발굴 및 연구 수월성 확보 UNIST Fellowship Program을 통한 우수연구인력 육성 박사급 연구인력 및 행정인력 확보 해외 유수 연구기관 유치 및 기술교류 활성화 우수 교원 확보를 통한 선진교육기반 확충 프로그램 기반 대학원 운영 우수 학부생 유치 학사·석사·박사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창의적 과학기술·AHS 교육을 통한 리더 양성 Smart LMS/Mobile Campus를 통한 창의적 교육 우수 교육 자원 확보 및 교수법 교육 융합 교육 브랜드화 및 영재 교육원 신설 해외 교류 확대 및 국제 경연대회 유치 이공계 경영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 (PSM/APSM) 행정 시스템 혁신 행정 전산 인프라 구축 UNIST 문화 창달 교육·연구·지원시설 확충 ULSAN Technopolis 조성 정주 여건 개선 UNiWAY 구축
33
가. 대학 운영의 패러다임 전환
- 국가, 지역, Global Partner 및 기업의 연구과제 수주 지원 •정부, 지자체, Global Partner, 국내 · 외 기업 등과 UNIST 융합연구원을 연 결해 주는 가교 역할 담당 연구 성과 확산 지원 - 기술사업화 및 기술 이전, Incubating, Funding, 마케팅 지원 등 기술마케팅,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창업지원 업무 담당
1) 과제개요
※ Georgia Tech은 이와 유사한 조직으로 Enterprise Innovation Institute를 운영 - 기술의 기업이전 및 사업화 적극 추진 •기술사업화 센터 운영 : 300백만(연간)
□ 과제목적 미래 문제해결형 연구과제 발굴, 원천기술 로드맵 작성을 통한 기초과학연구 지원 국가, 지역, Global Partner 및 기업발주 연구과제의 수주지원 연구 성과 확산 지원
•국내외 특허출원 지원 : 300백만(연간 200건 지원) •대학기업 창업지원 : 600백만(연간 2개 기업 창업) - 기술 마케팅 전문가 양성 및 수요 분석(적극적인 기술 이전), 산업체 기술 수 요 충족 및 기술 제공 등의 기능 수행 대학원 본부 운영 - 대학원 본부의 역할 •박사과정 중심의 대학원 프로그램 코디네이션 •UMI, 연구센터 및 연구그룹과 프로그램 디렉터간의 업무조율
□ 과제목적 전략연구지원본부 운영 - 전략연구지원본부의 역할 •미래문제해결형 연구과제의 탐색에서부터 연구 성과의 확산(사업화)까 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One-stop Service 제공(UNIST 융합연 구의 시발점 역할을 하는 조직) - International 자문 그룹 구성, 기초과학연구 및 연구 성과 확산 지원 •노벨상 수상자, 국내·외 석학, 국내·외 CEO 출신 전문가들로 자문 그룹구 성 및 운영 - 원천기술 로드맵 작성, 전략 연구과제 발굴 •인류와 국가의 당면과제 해결을 위한 기술,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과제 발굴
•대학원 학위수여 및 학사업무총괄 - 대학원 프로그램 운영 •UMI 산하 연구센터 또는 연구그룹에서 생성되는 대학원 전공(프로그램) 의 커리큘럼 관련업무 수행 - 우수 대학원생 선발 및 학부생 유출방지 •U-SURF, U-WURF, Open Lab 등을 통한 우수 대학원생 유치프로그램 운영 •Out-breeding 프로그램 운영(타대학원 진학 학부생에 대한 지원 및 Career Path 관리) - 우수 대학원생 지원 프로그램 운영 •Nobel R&D Fellowship 프로그램 운영 •Star R&D Fellowship 프로그램 운영
34
35
•Elite Fellowship-GPS 연계강화를 통한 우수 대학원생 유치
2) 단기 추진계획
- 대학원 학위관리 및 학사업무 •대학원 입시, 교무, 학사 및 학생지원 업무
□ 단기 과제목표 전략연구지원본부 구성(자문그룹 구성 및 운영)
□ 기대 효과
조직개편을 통한 대학원 본부 신설
전략연구지원본부 주도로 UMI(UNIST 융합연구원/연구센터) → 대학원 전공 (Program) → 학부 전공(Track) 연계 운영, UNIST의 연구경쟁력 극대화 국가 및 지역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연구 성과 확산에 기여(사업화) 박사과정 중심의 대학원 운영시스템 정착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조직구성 및 자문그룹 운영 전략연구 자문그룹 회의 4회/년 (자문그룹 회의횟수) 지원본부 구성 조직구성 조직, 인력, 편제 대학원 본부 신설
검증방법 회의 횟수 조직도
우수 과학기술 인력의 해외유출 방지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 우수인력 양성 □ 단기 주요 추진내용 전략연구지원본부 자문그룹 구성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산학협력단, 대학원 본부, 융합연구원(UMI) 사업 추진절차
조직개편을 통한 대학원 본부구성 • 대학 대학본부, 산학협력단
자문그룹 구성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
전략과제 발굴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
연구그룹과 연계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 UMI
연구 성과 사업화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 UMI
대학원 본부 운영
36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 대학원 본부 운영 조직 개편
자문그룹 구성 - 자문그룹 회의 4회 개최
- 전략연구지원본부 운영 산단내 전략연구지원본부 신설
- 노벨상 수상자 2명, 국내 · 외 석학 4명, 국내 · 외 CEO 출신 전문가 2명으로
• 대학 대학본부
총 소요예산 : 151억원
대학원본부 • 대학
37
과학영재고, 과학고 및 과학중점고 졸업생의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으로의 진 학을 통한 연계 교육 강화
1) 과제개요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팀,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추진절차
□ 과제목적 충청권(KAIST), 호남권(GIST), 대경권(DGIST)을 연결하는 교두보 확보 및 과 학기술의 지역적 불균형 해소 국가기간산업이 밀집한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 주력산업의 첨단화 및 신성 장동력 창출을 주도할 세계적 수준의 인재양성 및 R&D 육성 동남권에 우수인재 유치→지역 R&D역량 강화→지역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선진국 진입의 선순환 구조 구축
UNIST법 개정안 마련
• 교육 교육과학기술부, 기획팀
장관보고
• 교육 교육과학기술부
국무회의 심의
• 교육 교육과학기술부
국회 교과위 법률심의
• 국회
국회 법사위 법률심의
• 국회
국회 본회의 심의
• 국회
□ 과제내용 UNIST를 동남권 거점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하고, 이 를 통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 동남권은 국내 수출의 35%, 공업생산액 29%로 광역경제권 1위(‘09년)
2) 단기 추진계획
•주요 수출 품목은 조선(세계 1위), 자동차(세계 5위), 석유정제품(세계 5위) - 전국대비 동남권 연구원 비중 감소 추세 •‘04년 9.5% → ’09년 8.8% 현 교명을 울산과학기술대학교에서 울산과학기술원으로 변경
□ 단기 과제목표 동남권 거점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한 계획 수립 교명을 울산과학기술원으로 변경
- 울산과학기술원으로 변경을 통해, KAIST, GIST, DGIST와 함께 거점 연구 중심대학으로 자리매김
□ 단기 주요 추진내용 거점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을 위한 TFT 구성 및 운영
□ 기대 효과
교명 변경을 위한 활동
동남권 거점연구중심대학으로 우수한 인재 양성 및 R&D 기반 확충 국가기간산업이 밀집한 동남권 산업구조의 첨단화 및 신성장동력 창출을 통 한 선진국 진입
38
39
박사과정 중심의 대학원 교육 과정 개편으로 인한 고급 연구인력 배출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대학원 본부 설립을 통한 체계적인 대학원생 지원 제도 도입 연구 지원 제도 강화 및 효율성 제고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12년 총 소요예산 : 1억원
□ 기존 교육 중심 조직 구성
[그림 III-1] 기존 행정도
이사회 감 총
사
장
교학부총장 산학협력단
사무처
학술정보처
교수학습지원센터
슈퍼컴퓨팀센터
중앙기기센터
UNIST미디어센터
학생기숙사
언어교육원
학생상담센터
기초과정부
테크노경영학부
친환경에너지공학부
연구소 창업보육센터
기술사업화센터
산학협력팀
시설관리팀
총무관리팀
정보서비스팀
문헌정보팀
IT융합기술연구소
나노바이오연구소
첨단화학신소재연구소
에너지환경연구소
기술경영대학원
자연과학부
테크노경영학부
친환경에너지공학부
도시환경공학부
디자인및인간공학부
나노생명공학부
기계신소재공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대학원 중심의 발전기반 마련을 위한 대학원 행정조직 별도 설치
산학협력팀
기획연구처를 기획처와 연구처로 분리
연구지원팀
기 위한 연구부총장제 도입
학생지원팀
연구관련 업무 전반에서 총장을 보좌하고 학교 차원의 체계적 연구를 추진하
기획국제교류팀
기존 조직 체계를 연구 중심 체계로 변경
입사정관실
□ 과제내용
입학관리팀
유도하는 성공적 모델 제시
학사관리팀
융합연구소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대학의 전통적 학과운영 시스템의 변화를
부속기관
대학원 교무팀
글로벌 융합연구 기반조성 및 창의적인 개방형 연구시스템 구축
디자인및인간공학부
연구-교육 win-win 모델로 통합적인 연구시스템 구축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기계신소재공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과제목적
부 도시환경공학부
기획연구처
학생처
입학처
교무처
1) 과제개요
학
□ 연구중심대학 전환기 조직(2011년 4월 조직개편) 연구원 중심의 본원적인 연구기능 강화 - 부설연구원으로 아래와 같이 5개의 융합연구원을 두고 ‘UNIST 융합연구 원(영문명 : UNIST Multidisciplinary Institute, 약칭UMI)’으로 통칭 •그린에너지연구원 •바이오 · 화학연구원 •인간편의정보통신연구원
□ 기대 효과 연구-교육 win-win 모델로 통합적인 연구시스템 구축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40
•첨단신소재연구원 •테크노경영 · 디자인연구원
41
- 5개의 융합연구원, 연구원 소속의 융합연구센터 및 연구그룹 중심으로 연
- 연구부총장하에 산학협력단과 부속연구원, 학술정보처 등을 두고 예하조
구 및 대학원 교육의 구심체 역할을 수행
직으로 전략연구지원본부, 연구지원본부, 5개 UNIST융합연구원 설치함으 로써 연구중심대학의 명실상부한 본원적 연구기능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연구인프라 통합관리
수 있는 조직을 갖춤
- 연구지원본부를 두어 기존의 개별적으로 이뤄지던 연구지원 기능들과 신 규 지원 수요를 통합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구지원 기능을 수행
전략연구지원본부를 중심으로 한 연구부문 특성화 추진 - 전략연구지원본부(가칭 Aegis Station) : 미래문제 해결형 연구과제의 탐색
연구지원기능 세분화
에서부터 연구 성과의 확산(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 연구전략기획팀을 신설하고 장단기 연구전략 및 연구진흥정책 등 UNIST
One-stop Service 제공(UNIST 융합연구의 시발점 역할을 하는 조직)
연구부문의 전체적 방향을 수립하는 역할 - 연구비감사팀을 산학협력단내 신설하여 연구비 집행에 대한 효율적이고 평의원회
총
교학부총장
감 감사실
기획처
부속기관 특화연구원
융합연구원
(UGRF)
(SIS)
(UMI)
UNIST국제화센터 홍보대외협력팀 기획예산팀 대학평가팀 대학원입학팀 대학원행정팀 프로그램코디네이트팀
테크노경영연구원 IT융합기술연구원 나노바이오연구원 첨단화학신소재연구원 에너지환경연구원 융합기술사업화연구원 수리과학특화연구원 정보서비스팀 문헌정보팀
학부행정실
UOBC IVF 기기가공실 환경분석센터 중앙기기센터 창업보육센터 기술사업화센터 기술사업화팀 산학협력팀 연구지원팀 연구전략기획팀 전략자문그룹
시설관리팀 재무팀
UNIST미디어센터
총무팀
입학사정관실
학생상담센터 학생지원팀
교수학습지원센터
학사관리팀
교무팀
연구비감사팀
창업보육센터
기술사업화센터
산학협력팀
시설관리팀
구매팀
총무팀
재무팀
정보서비스팀
문헌정보팀
테크노경영디자인연구원
첨단기계신소재연구원
인간편의정보토인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원
그린에너지연구원
자연과학부
테크노경영학부
친환경에너지공학부
도시환경공학부
디자인및인간공학부
나노생명공학부
기계신소재공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연구전략기획팀
연구지원팀
학생지원팀
기획팀
입사정관실
입학관리팀
학사관리팀
교무팀
기술경영대학원
UNIST융합연구원
대학원
연구지원본부
전략연구지원본부
산학협력단
사무처
학생기숙사
언어교육원
학생상담센터
교수학습지원센터
국제화센터
홍보미디어센터
연구지원본부
기초과정부
테크노경영학부
대학원
학술정보처
부속기관 친환경에너지공학부
디자인및인간공학부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기계신소재공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도시환경공학부
기획연구처
학생처
입학처
교무처
부
부속기관 부 관 영재교육원 학생기숙사 언어교육원
교학부총장
산학협력단 연(구처 )
학부
사무처
학생처
입학처
사
교무처
감 장
사
연구부총장
이사회 총
감
장
학술정보처
[그림 III-2] 연구중심대학 전환기 조직도: 2011.4월 조직 개편안
학
[그림 III-3] 연구중심대학 정착기 조직도
이사회
공정한 감사시스템을 구축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과제목표
□ 연구중심대학 정착기 조직 연구중심 체계로 변경 - 연구관련 업무 전반에서 총장을 보좌하고 학교 차원의 체계적 연구를 추진 하기 위한 연구부총장제 도입
42
기존 조직 체계를 연구 중심 체계로 변경(교학부총장 및 연구부총장 업무 분리) 기획연구처를 기획처와 연구처로 분리 대학원 중심의 발전기반 마련을 위한 대학원 행정조직 별도 설치
43
성과목표 혁신적 대학조직체계 구성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성과지표(계산방식) 연구 및 교육 이원화 대학원 부서 신설 및 학부와 별도 운영
검증방법
연구 및 교육 이원화 조직개편도 시스템 구축[~ '13년] 대학원 본부 건립 조직개편도 [~ '13년]
매년 2학기 이상 선택 등록, 매 학기 최고 16학점 수강 가능 - 3개 학기 등록자의 경우 1년에 최대 48학점 (평균 16학점 x 3학기) 이수 가능 - 1년 48학점 이수하면, 3년에 144학점 이수로 3년에 졸업 가능 전공별 맞춤형 로드맵 제공 - 각 전공별로 전공 로드맵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쿼터제 시스템에 적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
□ 단기 주요 추진내용 연구 중심의 혁신적 대학 조직체계 구성 및 새로운 조직 개편안 분석, 관리 - 단기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확보 병행 기존 조직 체계를 연구 중심 체계로 변경(교학부총장 및 연구부총장 업무 분리)
교원의 경우 2개 학기에 걸쳐서 강의를 진행하고, 1개 학기에서는 연구를 진행 하여, 교육과 연구의 집중도를 향상시킴 LMS를 통한 e-Educatin 확대
□ 기대 효과 융 · 복합 교육 강화 및 교육모델 선진화 집중 교육과 집중 연구를 통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으로 도약 우수한 인력의 조기 사회진출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쿼터제 시행을 통해 UNIST의 특성화된 이공계 교육/연구 모델 구축 세계 수준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기반 조성 및 우수 인력의 조기 사회 배출 강의 학기(2학기)와 연구학기(1학기) 구분을 통한 교원의 교육/연구 집중도 향상
3 ~ 4년간 3학기 등록금제로 등록금 약 25%정도 인하 효과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팀, 교무팀 사업 추진절차 쿼터제 시행안 마련
• 기획 기획팀, 교무팀
학칙 개정
• UNI UNIST
쿼터제 시행
• 교무 교무팀
□ 과제내용 UNIST의 특성화 교육을 위해 쿼터제 시스템을 도입 운영 현행 1년 2학기제에서 1년 3학기제로 개편 - 3학기 각 11주로 편성, 여름 계절학기 8주 편성 - 매학기 종료 후 2주, 여름 계절학기 종료후 5주 방학 편성
44
45
2) 단기 추진계획
□ 과제내용 녹색 성장을 견인할 미래 유망 연구 분야 융합연구원(UMI) 중점 육성
□ 단기 과제목표 쿼터 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쿼터제 시행
- 그린에너지, 바이오·화학, 인간편의정보통신, 첨단기계신소재, 테크노경영·디 자인의 5개 융합 연구원 육성 - 각 UMI 산하 융합 연구센터 구축: •Smart-Green-Human 관련 연구 수행 •집중 연구를 통한 연구개발 선도
□ 단기 주요 추진내용 쿼터제 시행을 위한 TFT 구성 및 운영 ERP 시스템 수정
•센터 기본 운영비 지원(센터별 5억 내외) 연구력 강화를 위해 UMI와 대학원 교육을 연계한 대학원 중심 교육 운영 체제 구축(실천과제 III-2 참조) - UMI-URC-대학원전공(Program)-학부전공(Track)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연구과제 중심의 고등교육시스템 연구현장에서 우수 인력을 개별적으로 초빙·활용하는 브레인풀 사업 추진
나. 융합 연구를 통한 연구 브랜드화
학제간 연구 교류 촉진 및 융합 연구 활성화 지원 : 융합을 위한 예비과제 추진 - 학문 간 융합과 학제의 유연화를 목표로 추진 - 자유로운 융합 연구 분위기 유도를 위하여 소규모(5 ~ 15명 이내)로 연구 그룹 을 만들어 학제 간 연구를 향한 연구 경향, 포럼 등을 개최 - 연구 그룹당 500만원 내로 지원 중점육성연구원
1) 과제개요
그린에너지 연구원
□ 과제목적 인류 및 국가의 미래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연구 활성화 촉진 과학기술분야의 해외 우수과학자 유치 · 활용을 통한 글로벌화 촉진으로 개방형 연구체계 구축
46
바이오·화학연구원
융합연구센터(가칭)
연구 개시
차세대 원자로 시스템 연구센터 배터리 연구센터 에너지 변환 연구센터 태양광 소재 연구센터 기후변화대응환경 연구센터 미래도시기반시설 연구센터 MPI 줄기세포 연구센터 암제어 연구센터 생체모방 나노구조 연구센터 녹색 화학공정 연구센터 세포통신 연구센터 맞춤형 치료 연구센터 신재생 바이오연료 연구센터
2010 ~ 2009 ~ 2011 ~ 2011 ~ 2012 ~ 2012 ~ 2011 ~ 2010 ~ 2012 ~ 2011 ~ 2011 ~ 2011 ~ 2011 ~
융합 분야
[표 III-1] UNIST 5개 융합연구원(UMI)
에너지∙원자력 신소재∙화학
나노∙생명 화학∙신소재
47
중점육성연구원
인간편의정보통신 연구원
첨단기계신소재 연구원
테크노경영·디자인 연구원
융합연구센터(가칭) Wireless Charging 연구센터 차량편의 디자인 연구센터 나노 및 지능로봇 연구센터 해양레저스포츠 디자인 연구센터 계산수리과학센터 그린 클라우드 연구센터 스마트실버케어홈 연구센터 전자설계 연구센터 그린센싱시스템 연구센터 그래핀 연구센터 스마트 센서 연구센터 광전융합 연구센터 지속경영전략연구센터 혁신 및 기업가 정신 연구센터 에너지 전략 및 정책 연구센터 마케팅엔지니어링 연구센터 미래전략 디자인 연구센터 금융공학 연구센터
연구 개시
융합 분야
2010 ~ 2010 ~ 2012 ~ 2011 ~ 전기전자컴퓨터 2012 ~ 기계∙디자인 2011 ~ 2011 ~ 2011 ~ 2011 ~ 2010 ~ 2012 ~ 신소재∙나노 2012 ~ 2011 ~ 2012 ~ 2011 ~ 테크노경영 2012 ~ 디자인 2011 ~ 2011 ~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연구전략기획팀, UMI(연구원 행정실)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연구 연구전략기획팀
• UMI
세부 시행계획 수립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연구 연구전략기획팀, 기획팀
• UMI
사업 시행
• UMI 연구전략기획팀, 기획팀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과제목표
□ 기대 효과 연구 · 교육 이원화를 통한 세계적 연구중심대학으로의 위상 강화 융합연구 강화를 통한 UNIST의 위상 강화 및 연구실적 향상 단시간에 국제적 연구부문 경쟁력 확보
5개 융합연구원(UMI) 및 연구 센터 육성 Smart-Green-Human 관련 연구 분야 육성으로 대학경쟁력 강화 연구중심의 혁신적 대학원 조직 운영 : 전공의 탄력적인 운영 성과목표
학교 기술 브랜드 홍보 및 우수 교원/연구원/학생 확보 대학 연구역량 제고
성과지표(계산방식)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학제간 융합 연구 과제 연구원당 1개 과제 도출 건수 '11년 0건 →'13년 5건 융합연구원 및 연구원별 3개 이상의 산하 연구센터 설립 현황 연구센터 설립
검증방법 활용기관 직접 조사 연구센터 현황조사
□ 단기 주요 추진내용 18개 융합연구센터 육성, 성과분석 및 사업관리 - 단기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확보 병행
48
49
현재 규모의 브레인풀사업 추진 - 연구 센터별 우수 인력 확보
- 활발한 국내외 연구 교류 사업 추진 •월 2회의 정기적인 세미나를 갖고, 방학기간동안 국내외 학자들과 워크숍을 개최하며, 연 1회씩 연구소의 연구발표회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발표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 최근, 최첨단 기술 개발과 제품생산의 복잡성은 물리적 실험과정이 장기간 의 시간과 고비용을 요구하게 되어, 정확한 수학적 모델을 세우고 최적화 과 정, 효과적인 계산방법 사용,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비용절감이 절실히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요구되고 있음
총 소요예산 : 총 1,440억(144억원/년간) - 연구센터 운영비 : 1,080억원 - 브레인풀 사업 : 360억원(36억원/년간(18개 연구센터 × 2억원))
거대 기초 과학 분야 연구 및 첨단 센터 운영 - 교육용 원자로 •5MW급 개방수조형인 다목적 연구 및 교육용 원자로 유치를 통한 원전운 영 효율성 증진, 재료 및 핵연료 관리기술 연구,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술연 구를 통한 원자력 발전, 주요 부품 건전성 평가기술 및 운영효율 증진 연구 를 수행할 예정임 - Solar Tower •태양열로 인공 바람을 만들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에너지 타워로, UNIST 상징물로서의 특징과 에너지 시설로서의 실용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 여 민자 사업을 유치하여 진행할 예정임
1) 과제개요
- Health-tech tower •범세계적 인구고령화로 인한 건강과학기술 육성의 일환으로 Health-tech
□ 과제목적 기초과학의 핵심 분야인 수학, 물리, 화학을 하나의 연구소로 총괄함으로써 활발 한 산 · 학 · 연 협동연구와 기초과학의 연구 활동을 더욱 활성화 학제간의 학문교류를 통하여 국제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학파를 형성하여 한국 의 기초과학 발전 및 국제적 학문발전에 크게 기여함
tower 추진 - 지역 슈퍼컴퓨팅 센터 유치(국가슈퍼컴퓨팅 육성계획) •슈퍼컴퓨터는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과 국민복리 증진을 위한 첨단 도 구로, 세계 각국은 슈퍼컴퓨터를 초고속 인터넷과 더불어 국가 경쟁력 향상 을 위한 신과학 기술 인프라로 인식하고 미래 과학기술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전략 요소임 •슈퍼컴퓨팅 전문 인력 양성' 및 '컴퓨팅을 이용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을
□ 과제내용 수리과학 특화연구원 - 수학, 물리, 화학, 생명 등 기초과학 육성 - 모든 응용 학문의 기초가 되는 수학, 물리, 화학, 생명 등 기초과학 집중 육성
50
주요 목표로 추진 - Biomedical Device Physics •암치료 및 진단용 입자 가속기, DNP MRI, 반도체 기반 THz 센서, 고출력 THz source for medical detection and therapy
51
□ 기대 효과
해외 우수인력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연구역량 제고
수학, 물리, 화학, 생명 등 기초과학 육성을 통한 응용학문의 급속한 성장
성과목표
글로벌 기초과학 연구거점 역할 수행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검증방법
수리과학특화 연구원 기본계획안 설립 수리과학 본부동 신축 특화 연구원 연구원 설립 ['11년 0개→'14년 설립 여부 연구동 1개] 분야별(수학, 물리, 해외 유수 대학과의 공동 화학,생명 등) 글로벌 활용기관 연구 추진 공동 연구기관 확보 직접조사 (‘11년 0개→ '14년 2개) 수리과학특화
연구와 교육의 연계를 통하여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인 과학기술인력을 양성 기초연구수행의 핵심인 대학연구의 활성화
성과지표(계산방식)
기초분야 연구 역량 제고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연구처, 시설관리팀, 산학협력단 사업 추진절차
□ 단기 주요 추진내용
연구원 설립에 관한 기본계회 수립
• 기획 기획연구처, 시설관리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기획 기획연구처, 시설관리팀
현재 시범 추진된 세계적 연구센터사업 성과분석 및 사업관리 - 단기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확보 병행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배정
사업 시행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수리과학 특화연구원 설립을 통한 수학, 물리, 화학, 생명 등 기초과학 육성안 마
• 기획 기획연구처
련
• 산학 산학협력단, 시설관리팀
기초 과학 육성을 위한 인력 수급안 마련
• 기획 기획연구처, 시설관리팀, 산학협력단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2) 단기 추진계획
총 과제기간 : 2012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1,220억원
□ 단기 과제목표 수리과학 특화연구원 설립 기초안 마련 및 중이온 가속기, 교육용 원자로, Solar
- 센터 및 시설 건축비 : 900억원(2012년 ~ 2015년) - 센터운영비 : 320억원
Tower 등 세부 사업 계획안 마련 활발한 국내외 연구 교류 사업 추진 - 월 2회의 정기적인 세미나를 갖고, 방학기간동안 국내외 학자들과 워크숍을 개최 하며, 연 1회씩 연구소의 연구발표회를 통하여 연구결과를 발표
52
53
한 경험을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허브센터로 울산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첨단소재 관련 기업 및 현재 정부에서 조성중인 구미, 포항, 부산진해 부품소 재전용공단 입주기업들의 기술 및 연구인력 교류의 장. - UNIST SGH(Smart, Green, Human) 9개 원천 기술 사업화에 중점
1) 과제개요
•Human Smart : Smart Clothing, Smart Silver Care, Smart management •Smart Green : Green Cloud, Green Energy, Eco-Smart Building
□ 과제목적 환태평양 시대의 기간산업 및 물류의 중심지인 울산의 신성장동력산업의 발전
•Human Green : Advanced BioMed Materials, Human System Interaction - UNIST Aegis Station 운영(조지아텍의 Enterprise Innovation Institute 벤치마킹) :
을 견인할 수 있는 기술사업화 특화연구원 신설
2012 ~
UNIST가 보유한 원천기술인 Smart-Green-Human 중심의 융합기술, 즉 교육과학
•기술 마케팅 전문가 양성 및 마켓 수요 분석 : 적극적인 기술 이전
기술부가 지정한 미래 핵심 기술의 방향인, 편리한 세상, 자연과 함께하는 세상,
•과제 수주 가능성 확대
그리고 풍요롭고 건강한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데 필요한 핵심 기술 집중 육성 과학기술분야 연구중심대학으로서 UNIST의 차별적 특성화 추진을 위하여 고
•산업체 기술 수요 충족 및 기술 정보 수집
유 연구 영역 개발 적극적인 산 · 학 · 연 · 관 협력을 통하여 UNIST가 보유한 다양한 기초·원천기술 을 창의적으로 융합하여 사업화를 추진
□ SGH(Smart, Green, Human) 원천 기술 소개 Human-Smart 융합 - Smart Clothing : 고부가가치의 신개념으로서, 각종 IT, NT, BT, ET, CS 기능들
□ 과제내용 융복합기술사업화 특화연구원 - 창업보육 : UNIST 및 참여기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실제로 실현가능한
스템’이 적용된 기기로, 대상 내에 각종 신호 전달성 신기술을 적용하고,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내장시킴으로써, 미래 생활의 복지, 국방 및 라이프스타일에 있어 필수적으로 언제 어디에서나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된 인간친화형 기계
사업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창업보육 역할과 궁극적으로는 혁신적
장치
인 벤처를 창업하고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
•Hybrid Wearable Robot : 물리적 역량을 보강하며 골반부위나 팔꿈치 혹은
- 가상 기업(Virtual Enterprise) :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 체계
기타 관절부위에 착용하여 인체능력을 증대하거나 보조하기 위한 Robot 기술
로 UNIST의 기술사업화센터를 중심으로 핵심 기술과 자원을 보유한 산 · 학 ·
•Smart Monitoring Technology : 유해 환경 검출을 위한 인공후각, 센서 네트
연 · 관의 결합, 해체 또는 재결합하는 방식으로 개별 구성원이 지닌 능력과 자 원을 공유하고 결합함으로써 혁신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한 가치 사슬 - 물리적 기반시설 : 각종 제품, 서비스 개념화 및 제품개발을 실현하기 위한 원 스톱 서비스 공간으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 할 수 공간을 제공하고, 실제로 연구결과의 상품화 및 사업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품성 및 원가 분석 등을 위한 시범 생산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물리적 기반시설 - 허브센터 : 대학 · 연구기관 · 기업 간 체계화된 과학기술 및 지식, 그리고 중요
54
이 융합되어 환경이나 인체의 자극에 대한 감지 및 반응 시스템 즉, ‘스마트 시
워크 기술, 실시간 생체 정보 측정을 통한 질병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의복형 POC(Point Of Care) 및 약물 투여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재료 및 공정, 시스템 통합 기술 •Hybrid Display Technology : 하이브리드 기술이 적용되어 Flexibility가 우수 하고 내충격성이 강해 종이 같은 디스플레이를 스마트 옷에 바이오리듬, 건 강체크, 센서, 스마트폰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 이 기술
55
- Smart Silver Care : 노인 및 장애인이 집에서 독립적이면서도 사회적으로 연결 되어 생산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보통신 융합기술 기반 스마트 실버케어 시스템 •사생활을 보호하며 인간행동 모니터링/분석 •다중로봇환경 제어 •실감형(Tele-Presence) 디스플레이 •생산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보조로봇 - Smart Management : 기술사업화를 위한 산·학·연 협력관리 및 전략 컨설팅 •마케팅 : 시장수요조사, 타겟 고객그룹설정, 마케팅 전략 수립, 가격책정 •경영전략 : 경쟁 우위 전략, 글로벌화 전략, 기술/제품 포트폴리오 관리, 중 장기 전략 •경영정보/생산관리 : 기술 혁신 전략, 기술 역량 강화, 생산 관리, 정보시스 템 관리
•이차전지 : 이차전지는 라이프스타일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올 21세기 혁신 기술 중 하나로서, 포터블 기기, 스마트 그리드, 전기자동차 등 미래 성장동 력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개발해야 할 핵심요소로, 현재 UNIST가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은 양극음극 전해질 소재기술, Si 음 극 소재 합성기술, 전해액 소재 개발기술, 양극소재합성기술 등 •연료전지 : 본격적인 수소경제의 도래 이전에 탄화수소계 연료를 직접 사용 할 수 있는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로써, UNIST에서는 최첨단 기 술인 함침법(Infiltration)과 전기량 적정법(Coulometric Titration) 등의 원천 기술 보유 •첨단 원전기기/부품소재 : 차세대 원자로 계통 검증 시험, 차세대 원전 기기 /부품검증 시험, 첨단 핵연료 개발, 첨단 원자력 소재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 - Eco-Smart Building : 친환경 스마트 건축물은 ET, IT, NT의 융합을 통해 인간 의 편의를 증진시키면서 에너지 효율적이고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신 개념 건축물로써 친환경 스마트 건축물(Eco-Smart Building) 구현에 필요한 세
•재무관리 : 투자관리, Cash Flow 관리, 투자 결정, 리스크 관리
부기술
•지적재산권관리 : 지적재산권 보호, 관련법률자문, 계약서 작성 컨설팅
•Air Quality Monitoring & Control
Smart-Green 융합
•Water Reuse & Quality Control
- Green Cloud : 저전력 고효율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정부 및 각 급 학교의 컴
•Energy-Efficient Building Structure & Materials
퓨팅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관리하기 위해서 많은 수의 컴퓨터 서버들이 필요 한데, 이를 운영하는데 필요로 하는 에너지의 소비를 줄임으로써 클라우드 센 터 운영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국내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술이 세계적으로
Human-Green 융합 - Advanced Bio Med Materials : 생명 과학 기초연구 결과를 의료 및 복지에 적용
경쟁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기술
할 수 있는 신약, 세포치료제 및 의료소재 개발 등의 생물 소재 실용화 기술
•분산컴퓨팅 : 프로그래밍 모델, 디자인 패턴, 확장성이 높은 자원할당, 그리
•환자 맞춤형 세포치료제(Smart Biomedical Therapeutics) : 세계최고의 GMP
드 컴퓨팅, 비중앙 집중식 P2P 분산 해시 테이블(DHT)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 •맴리듀스(MapReduce) : 클라우드 컴퓨팅의 백앤드 기술 •암호 & 보안기술 •전력을 고려한 자원공급기술 •이기종 클라우드 플랫폼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 - Green Energy : 깨끗한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친환경/신개념 에너지원 창출 을 위한 융합기술로 이차전지, 연료전지, 원자력 에너지(핵분열(Gen-IV), 핵융
56
합(Gen-V))를 위한 기초 핵심 기술
수준 연구시설을 통하여 임상 적용 가능한 세포/유전자/단백질 치료제 개 발 및 생산 기술 •Nano-Doctor : 기초과학, 의학, 공학 분야의 상호 연계를 통해 질병의 치료, 예방, 진단기술을 아우르는 착용가능 진단 및 치료시스템 •단백질 생체재료를 이용한 영상진단(Advanced Protein Theragnostics) : 영 상진단 기법은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치료를 위한 중요한 기술로 질병의 관리 를 통해 의료비용의 절감 및 삶의 질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기초기술로써, 이 러한 영상진단 기법을 위해 새로운 진단 기술의 개발뿐만 아니라 기존 진단 기술의 감도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조영제 및 생체재료의 개발을
57
통해 기존에는 불가능 하던 질병의 조기진단을 이룰 수 있는 기술 보유 - Human System Interaction : 인간을 포함하는 또는 인간을 위한 시스템설계 및 성능평가를 위해서는 실제 시스템 개발(Physical Prototyping) 이전에 인간 중심 의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이 필수적인데, 특히 본 기술은 인간의 동작모사뿐 만 아니라, 인지특성, 심리특성, 감성특성을 반영한 인간의 전반적인 행태를 모 사할 수 있고 주위 환경시스템 안에서의 인간 행동 및 의사결정을 시뮬레이션
- 세부 기술 개발 내용 정리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로봇의 개발과 그와 연관된 첨단소재를 활용한 스마 트 모니터링 기술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위한 IT, 로보틱스, 바이오, 디자인, 시스템 등 융합 기 술 개발
할 수 있는 인간 중심의 시스템 시뮬레이션 기술과 시스템의 최적 설계 디지털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개발 및 대용량 데이터의 분석 서비스 개발
생산 검증 및 오류 분석 기술 그리고 색채 및 영상에 대한 인간의 시지각 특성
•전기자동차용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과 감성 분석을 통한 디지털 영상기기 설계 기술로 구성
•발전용/수송용/휴대용 연료전지 개발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 : 가상 설계 및 평가를 위한 지능형 디지털 휴 먼, 현재의 디지털 휴먼 기술에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기술 및 인간의 동작
•첨단원전기기/부품소재 개발 •친환경 건축물 기술 및 대기/수질오염 관리기술 개발
정밀 모사 기술 등 •인간 행동 시뮬레이션(HITS:Human-In-the-system) : 거대한 시스템 내에 서의 인간 행동 시뮬레이션, 인지 기반 인간 행동 예측을 통한, 인간-환경 상 호작용 이산 수학 모델링 기법 등 •디지털 최적 설계 및 오류 분석 : 복잡한 시스템의 최적 레이아웃 설계 기술 (Complex System Configuration) 및 시스템의 오류 분석 및 단시간 복구/재 설계를 위한 기계적/전기적 오류 원인 분석 기술(No Fault Found Failure Analysis) 등
•신약, 세포치료제 및 의료소재 개발 •인간중심의 제품 설계 기술 개발
□ 기대효과 그린 에너지 및 첨단 신소재관련 핵심 기술 개발 UNIST를 중심으로 한 울산의 차세대 미래 산업 주도 : 이차전지, 태양전지, 수소
•색채 및 디지털 영상 기술 : 색채 및 영상에 대한 인간의 시지각 특성과 감성 에 대한 기초 연구 및 응용 기술 및 Visual Appearance 등
전지 등의 에너지 저장 소재 기술, 고강도 나노금속소재, 나노광학소재, 그래핀 등 신물질 및 차세대 첨단소재 창출을 위한 나노소재기술, 암 세포와 주변 세포 간 신호교신 연구를 바탕으로 생체 적합 나노소재 개발 등 첨단 신소재 관련 기술
[그림 III-4] Smart-Green-Human 중심의 융합기술 모식도
Human Smart Silver Care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팀, 지식경제부
Smart Clothing Human System Interaction Smart Management
사업 추진절차 구분
Acvanced BioMed Materials
Smart Green Colud
과정 기간
Green Energy Eco-Smart Building
58
Green
추진 계획
1단계
2단계
인프라 구축 기술사업화 ‘11-’13 ‘14~’17 UNIST 융복합 기술이전 및 센터내부 기술사업화센터 신축 에서 사업화 추진 첨단연구장비 도입 개발 기술의 핵심 기초·원천기술 고부가가치 창출을 R&D 수행 위해 기업의 사업화 지원
3단계 사업고도화 ‘18 ~ ’20 국내 첨단소재 산업을 선도하는 전문연구 센터로 도약 선진국을 뛰어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소재기술 확보
59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과제목표 Smart-Green-Human 중심의 융합 핵심 기술 집중 육성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SGH 연구 성과 창출
SGH 중심 연구 과제 수행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SGH 과제 활용기관 '11년 0건 →'13년 5건 직접조사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미래도전과제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통한 국가 과학기술의 브랜드화 추진
□ 단기 과제내용 Smart-Green-Human 연구 센터 운영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는 핵심 과학기술인력 양성 질적인 우수성을 바탕으로 한 연구의 수월성 확보
□ 과제내용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연구과제의 Career Path를 관리, 체계적 지원 - 미래도전과제 발굴 및 초기지원 → Global Brand 대상 연구과제 선정 및 집중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지원 → 정부 지원과제 연구비와 매칭 → 글로벌브랜드화
총 소요예산 : 920억원
미래 도전 과제 발굴 및 지원
- 건축 및 시설 : 600억원(2016년 ~2019년)
- 취지 : UNIST 과학 기술 브랜드화에 큰 기여 및 과제 수행을 통해 정부 및 기업
•융복합 기술사업화센터 신축 : 400억원 •첨단 연구장비 도입 : 200억원 - 센터운영비 : 320억원
체 대응과제 수주 기회 확대 - 창의과제 : 도전형 과제 •개인과제 교수 1인당 1억원×30명=30억원(연간, 3년 지원) •협동과제 팀당 3억원×10개팀=30억원(연간, 5년 지원) •2011년 개인과제 10명×1억원=10억원 •2011년 협동과제 3개팀×3억원=9억원 - 모험과제 : 창의·혁신적 아이디어 기반 과제, 액수 제한 없음 •개인 또는 팀 과제당 5억원 지원(매년 1~3개 과제 발굴, 연간 예산 15억원 확보 필요) •2011년 1개 과제 발굴 지원 : 5억원
60
61
Global Brand 연구과제 - 고부가가치 및 글로벌브랜드 잠재가치 보유 과제를 중심으로 집중지원 •6개 연구 브랜드×50억원=300억원 소요 •2011년 1개 브랜드 선정 추진, 2012년부터 매년 10억원 연구업적의 질을 중요시하는 동료평가제도 도입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전략연구지원본부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UNI UNIST 연구원(UMI, SIS)
미래도전과제 공모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
- 단순히 양적인 연구 성과 보다는 실제로 국제적으로 연구의 질을 공인 받을 수 있는(Nature, Cell, Science, 기타 수상 실적) 평가제도 도입을 통하여 대학사회 및 국내 연구풍토의 개혁을 유도 - 논문의 영향력 평가(예: 인용도)
미래도전과제 선정 및 지원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International 자문 그룹)
• 전략 전략연구지원본부, UNIST 연구원(UMI, SIS)
우수교원 연구 보장제도 - 조기 연구 안식년제도 : 기존의 임용 후 7년 이후가 아닌 그 이전이라도 우수 교원의 경우 필요시 연구안식년을 조기에 심사받고 혜택 받을 수 있는 제도 - 조기 승진 및 석좌교수제도 : 우수 교원의 경우 보다 안정된 환경 하에서 연구 할 수 있는 여건 마련
2) 단기 추진계획
- 정년연장제도 : 우수 교원의 지속적인 활용 및 정년에 근접한 교수에게 동기부여
□ 기대효과 연구과제 Career Path 관리를 통해 가능성 있는 연구 과제를 발굴, 지속적으로 지 원함으로써 Global Brand 연구과제 육성 가능 Global Brand 연구 과제를 통해 국가의 과학기술위상 제고
□ 단기 과제목표 미래도전과제 발굴 : 선진 연구트렌드 분석 및 과제 공모 미래도전과제 및 Global Brand 연구과제 지원체제 구축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미래도전과제 발굴·집중 지원
미래도전 발굴건수 - 창의과제(개인/협동) - 모험과제(개인 또는 팀) Global Brand 연구과제
우수 교원 연구 보장제도 도입을 통한 우수 교원의 지속적인 활용 및 정년에 근 접한 교수에게 동기부여 이공계 과학기술인력의 자부심, 자긍심을 고취함으로써 해외 우수 인력 유치 및 우수 인재 흡인 가능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창의과제 개인 10, 협동 3팀, 모험과제 1건 1건
검증방법 지원 결과 지원 결과
□ 단기 주요 추진내용 연구과제 Career Path 관리 시스템 구축(행정조직, 전산시스템) 미래도전과제 공모(참여연구 교수는 교내외, 해외 포함) Aegis International 자문 그룹 회의를 통한 미래도전과제, Global Brand 연구과제 선정 및 지원
62
63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1,065억원 3년간 사업비 : 190억원 - 2011년 24억원 •창의 개인과제 10명, 10억원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국가경쟁력을 선도할 글로벌 핵심 인재(우수 박사 인력) 양성 - 노벨상 수상자 또는 노벨상에 근접한 과학자들과 UNIST 교수들의 공동지도,
•협동과제 3팀, 9억원
R&D 참여 기회 제공 등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 과학자들의 연구동향, 연구경
•1개 모험과제, 5억원
험, 연구방식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 마련
•Global Brand 지원과제 1개 선정(예산은 2012년 지원) - 2012년 61억원 •창의 개인과제 20명, 20억원 •협동과제 7팀, 21억원 •2개 모험과제, 10억원 •Global Brand 지원과제 1개, 10억원 - 2013년 105억원 •창의 개인과제 30명, 30억원 •협동과제 10팀, 30억원 •3개 모험과제, 15억원 •Global Brand 지원과제 3개, 30억원
- 박사 과정 대학원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재정적으로 안정된 교육 · 연구 환경을 제공하여 우수 과학기술인력 확보 교내외 우수 대학생 확보 및 우수 신예 연구자의 조기 육성
□ 과제내용 Nobel R&D Fellowship - 노벨상 수상자와 UNIST 교수의 박사 과정 대학원생 공동지도/공동학위수여 프로그램 운영 •10명의 노벨상 수상자(10개 Unit)와 공동지도/공동학위 수여 프로그램 운영 •박사과정 대학원생 20명 선발(Unit당 2명), 연간 30백만원(3년간)의 재정 지원 - 노벨상 수상자의 Lab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1년 중 6개월 이상 해외 Lab에 파견 •박사 학위 과정 3년 동안 계속 참여 •3년 후 성과평가를 통해 Post.Doc 지원 여부 결정 - 2011년 3개 Unit과 협약 체결, 2020년까지 10개 Unit으로 확대
Star R&D Fellowship - 노벨상 수상 가능성이 있는 해외 석학과 UNIST 교수의 박사 과정 대학원생 공동지도/공동학위수여 프로그램 운영
64
65
•10명의 해외 석학과(10개 Unit)와 공동지도/공동학위 수여 프로그램 운영 •박사과정 대학원생 20명 선발(Unit당 2명), 연간 30백만원(3년간)의 재정 지원 - 해외 석학의 Lab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기대 효과 국가경쟁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우수 과학기술인력 양성 우수 이공계 인력의 연구경쟁력 강화
•1년 중 6개월 이상 해외 Lab에 파견
박사과정 우수 대학원생의 도전의식 자극 및 국가 및 UNIST에 대한 Loyalty 강화
•박사 학위 과정 3년 동안 계속 참여
대학원 연구 인력의 양과 질을 모두 향상 시켜, 연구 성과의 우수성 높이고, 국제
•3년 후 성과평가를 통해 Post.Doc 지원 여부 결정 - 2011년 3개 Unit과 협약 체결, 2020년까지 10개 Unit으로 확대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 국내 우수 학부생들의 국외 이탈을 방지, 국외 우수 인력의 유입을 통해 국내 연 구 경쟁력의 제고
Elite Fellowship Program과 정부의 Global Ph.D Scholarship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박사과정 우수 대학원생의 도전의식 자극 및 국가와 UNIST에 대한 Loyalty 강화 - Elite Fellowship 기본 프로그램 : 우수 대학원생(석·박사 과정)에게 연간 30백 만원(3년간)의 재정 지원 제공 - GPS 수혜자에게는 GPS + α의 추가 지원 제공 •GPS 지원이 2년으로 종료되는 경우, 추가 1년은 Elite Fellowship Program으 로 지원(총 3년 지원 보장) •GPS 수혜자의 해외 Lab 참여 또는 해외 학술대회 참여 지원 : 연간 10백만 원 한도 학부생의 연구 참여 기회 확대 - 학부생 연구참여 프로그램 참여 유도(학점부여, 연구참여 성과 포상) - 전공 분야 설명회 및 교수 면담 행사 정례화(전공 분야 교수와 학생간의 만남, 분야별 2명의 교수 격주제 운영)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대학원 본부,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추진절차 GPS / Elite Fellowship(Nobel, Star, Normal)대상자 선발
• 교육 교육과학기술부 / 대학원 본부
Nobel / Star Fellowship Unit과 협약 체결
대학원 본부 • 대학
GPS 강화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및 지원프로그램 확정
대학원 본부 • 대학
공동지도 및 재정지원
대학원 본부 • 대학
성과 평가 및 피드백
대학원 본부 / 교육과학기술부 • 대학
교내외 우수대학생 유치 활동 - U-SURF/U-WURF 및 오픈랩 행사 활성화 - 우수 학부 학생들 학교 투어 정례화
2) 단기 추진계획
해외 우수학생 확보 프로그램 수행 - 유럽 대학 Diploma project(5년 학석사 과정) 학생 유치
□ 단기 과제목표
- 해외 대학원 설명회 개최
Nobel / Star R&D Fellowship Program 추진 대상 노벨 수상자 및 해외 석학과의
우수 대학원생 포상제도 실시(매년 연구 실적 평가)
협약 체결 - 2011년 3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공동지도/공동학위 수여 협약 체결
66
67
•Constantine Novoselov(201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Tim Hunt(2001년 노 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등 - 2011년 3명의 해외 석학과 공동지도/공동학위 수여 협약 체결
총 과제기간 : 2011년~ 2020년
- 2011년 5명의 GPS 수혜자에게 GPS + α 추가 지원 제공
총 소요예산 : 352억
성과 목표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Nobel R&D Fellowship 3개 Unit 6명 대상자 선발 tar R&D Fellowship 3개 Unit 6명 대상자 선발 GPS+ α 추가 지원 대상자 5명 선발 Elite Fellowship 연구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실질적인 학부생들의 연구참여 유도 Program을 정기적인 통한 우수 U-SURF/U-WURF 연구인력 육성 교외 우수대학생 및 오픈랩 행사 마련 진학률 재고 (전년대비 참여율 5% 향상) Diploma project 해외 우수학생 진학 유도 제도 마련 및 대학원생 프로그램 활성화 포상제도 실시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3년간 사업비 : 55.5억 검증방법 협약 체결 및 대상자 선정 결과 지원 결과 설문조사
- 3년간 Nobel/Star R&D Fellowship 36억원 •2011년 : 2(fellowship)×6명×0.3억원(재정지원) = 3.6억원 2(fellowship)×6명×0.3억원(R&D 참여 체재비) = 3.6억원 •2012년 : 2(fellowship)×10명×0.6억원(재정지원 및 R&D체재비)= 12억원 •2013년 : 2(fellowship)×14명×0.6억원(재정지원 및 R&D체재비)=16.8억원 - 3년간 Elite Fellowship Program + α : 18억원 - 해외 홍보 활동 : 1.5억
설문조사
제도 마련 여부
□ 단기 주요 추진내용 노벨상 수상자 3명, 해외 석학 3명과 박사학위 대학원생 공동지도/공동학위 수
1) 과제개요
여 프로그램 운영 협약 체결 2011년 최소 5명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 GPS 수혜자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지도 강화 U-SURF/U-WURF, Open Lab의 지속적인 시행 및 확대 - 국외 학부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원하도록 프로그램 개선 URP 등 학부 과정의 연구 프로그램 및 대학원 진학과 연계되는 교육 프로그램 구성 - 학부생의 연구 활동 지원을 위한 예산 확보 병행 해외 우수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원 및 연구 프로그램 등의 홍보
68
□ 과제목적 국가경쟁력을 선도할 글로벌 핵심 인재(우수 박사 인력) 양성을 위한 선진행정 인프라 구축 및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연구 환경 조성 -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이 되기 위해서는 교수뿐만 아니라 충분한 연구 전 담인력과 전문기술인력의 확보가 중요 •교수 대 연구원 비율을 선진국 수준인 1:2 형성을 위해 지속 지원 - 전담 연구원(Post-Doc.)의 안정적 연구 참여 및 지원을 통해 연구 성과 극대화 도모
69
- 최신 연구 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기술원의 연구 참여를 통해 연구 성과 향상 도모 - UNIST Vision의 효과적 수행을 뒷받침할 최소한의 행정 전문인력 충원 교수 · 연구자들에게 일류 행정, 연구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교 차원의 연구역량 강화 연구 · 교육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변화를 기획/선도할 전문행정역 량 구축 명실상부한 국제화를 뒷받침할 행정 인프라 구축
- 분석장비 조작, 분석결과 해석의 오류 최소화, 기술 인력의 장비운용 노하우 축적 및 활용을 통한 연구 성과 향상 •정규직 전문기술원에 의한 전문적인 분석 서비스 및 컨설팅, 공용 장비의 성 능을 최고 수준으로 유지 및 관리는 연구 역량 극대화를 위해 필수적임. - 연도별 정규직 전문기술원 충원 계획 ’12
’13
’15
’20 충원 누계 충원 누계 충원 누계 충원 누계(T/O)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50 20.0 50 20.0 50 20.0 100 40.0 50 20.0 200 80.0 - - 250 100.0
[표 III-3] 정규직 전문기술원 정원 및 연도별 충원계획(안)
겸직 교수 확충 □ 과제내용 (Elite) Research Fellowship(연구교수) 제도 도입 - 연구센터에 Research Fellowship을 두어 다년계약을 통한 연구의 완성도 향상 - 우수한 신진 연구인력 확보(Research Fellowship for Young Scientists) 정규직 연구원(전임직 연구전담교원) 정원 신설 및 단계적 충원 -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전임직 전담연구원(연구교원) 제도 신설 및 인건비 지원 필요 - 외국선진대학의 경우 연구전담 교원이 교수보다 많으며, 2-4년 계약제 Post Doctor(이하 Post-Doc.)까지 연구진에 가세 - 장기적인 기초연구 및 대형 연구의 경우 박사과정 중심의 인력만으로는 연구 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 산업계 전문가(CEO, CTO)를 겸직교수로 임용, 활용 행정인력 정원 증원 : UNIST가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하기 위 해서는 UNIST Vision을 달성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뒷받침할 전문 행정 요원이 필요함 - UNIST의 행정인력 정원은 국내 주요 연구중심대학과 비교해도 턱없 이 부족한 수준임 •편제완성연도(‘12) 행정직원 1인당 학생 수 : 27.5명 ※ KAIST 6.3명, POSTECH 7.7명, GIST 10.8명
(단위 : 명)
구 분
KAIST
POSTECH
GIST
UNIST(2012)
행정직원 : 학생 행정직원수 학생수(편제)
1 : 6.3 1,316 8,300
1 : 7.7 372 2,874
1 : 10.8 83 900
1 : 27.5 182 5,000
- 연도별 정규직 연구원 충원 계획 [표 III-2] 정규직 연구원 정원 및 연도별 충원계획(안)
’12 ’13 ’15 ’20 충원 누계 충원 누계 충원 누계 충원 누계(T/O)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50 20.0 50 20.0 50 20.0 100 40.0 50 20.0 200 80.0 - - 250 100.0
최신 연구장비 활용을 위한 정규직 전문기술원(Technical Staff) 인건비 지원 - 장기적인 기초연구 및 대형 연구를 위해 연구소와 대학의 중간영역의 모델로 4개 과학기술대학을 육성 •대학 교원, 연구원, 학생들의 연구 지원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직업 안정성이 유지되는 정규직 전문기술원을 육성 관리할 필요가 있음
70
[표 III-4] 주요 연구중심대학 행정 직원 1인당 학생수 비교4)
4) 타대학 자료 : ‘09 공시자료 기준, UNIST 직원은 행정직, 조교, 사무 보조를 포함
- 조직 신설·분화의 요구가 있으며, 그에 따른 추가인력이 필요함 •전략연구지원본부 및 대학원 본부 신설 •글로벌 업무(국제교류업무, 외국인 교원·직원·학생 선발 및 지원업무 담당) 및 과학영재 교육부서 등 신설 •e-Education 도입에 따른 인력 충원 필요(재설계된 Teaching 모델의 co-teaching 요원(AI) 충원 등) - 행정인력 정원 증원 및 연도별 충원 계획 변경 필요(2015년 400명, 2020년 500명까지 확충 추진)
71
[표 III-5] 행정직원 정원 조정 및 연도별 충원계획 변경(안)
<현행> 정원 및 연도별 충원 계획 <변경> 정원 및 연도별 충원 계획 구분 정원 ’10 누계 ’11 충원 누계 ’12 누계 ’13 누계 ’15 충원 ’20(T/O) (T/O)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행정직 97 72 74.2 25 26.6 97 100.0 138 39.4 180 51.5 280 80.0 350 100.0 조교 27 20 74.1 7 25.9 27 100.0 30 60.0 32 64.0 40 80.0 50 100.0 사무 보조58 48 82.3 10 17.2 58 100.0 62 62.0 68 68.0 80 80.0 100 100.0 소계 182 140 76.9 42 23.1 182 100.0 230 46.0 280 56.0 400 80.0 500 100.0
□ 기대효과
□ 단기 과제목표 행정인력 정원 증원, 정규직 연구원 및 전문기술원 정원 신설 : 교육과학기술부, 기획재정부 협의(계획 승인 및 예산 확보 등) 정원 증원 및 정원 신설에 따른 충원계획 수립(2012년 ~ 2020년)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한 유명 과학자들이 이룬 성과의 대부분은 Post-Doc. 시절 5) 1953년 DNA 나선구조를 발표해 노벨의학상을 수상한 제임스 왓슨은 당시 Post-Doc. 신분이었음
2) 단기 추진계획
시작된 경우가 많으며5), 사이언스, 네이처, 셀 등 유명과학 학술지를 장식하는 논 문도 Post-Doc.이 주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전임직 연구원을 도입하여 연 구 성과 극대화 UNIST 대표 융합연구분야 선정으로 집중된 투자와 육성 신규 일자리 창출과 국내・외 우수인력 유인 등 시너지효과 창출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2012년 230명 매년 인원 행정직원 정원 증원 인가 2020년 500명 조사 행정직원, 정규직 2012년 연구원 25명, 연구원·전문기술원 정규직 연구원 및 전문기술원 50명 매년 인원 증원 전문기술원 정원 신설 2020년 연구원 125명, 조사 전문기술원 250명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Engineering staff를 통해 장비운용지원 및 연구기획 등을 통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control tower system 구축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정규직 연구원의 신분안정화 도모로 안정적 연구 성과 창출에 기여 박사급 우수 인력 해외 유출 방지
행정부처 협의 : 교육과학기술부, 기획재정부 협의(계획 승인 및 예산 확보 등) - 교수 : 직원 비율 1:1 목표로 교직원 확충에 필요한 예산 확보 방안 마련 -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교직원 정원 확대
□ 과제추진체계
- 비정규직 교직원들의 정규직화 추진
사업(지원) 수행주체 : 대학본부, 전략연구지원본부, 융합연구원(UMI) 및 특화 연구원
정원 증원 및 정원 신설에 따른 충원계획 수립(2012년 ~ 2020년) 및 이사회 승인 우수 연구인력 및 전문기술원 운영을 위한 적극적 홍보 방안 마련 및 추진
사업 추진절차
- 신문 및 하이브레인넷을 통한 광고 연도별 충원계획 수립(매년초)
인력 운영 세부 계획 수립
인력 충원, 배치
인력 운영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대학 대학본부, 전략연구지원본부
• 대학 대학본부, 연구원(UMI, 특화연구원)
- 해외 학회 및 잡지를 통한 광고 - UNIST 연구 결과 및 연구 시설에 대한 홍보
• 대학 대학본부, 전략연구지원본부
• 대학 대학본부, 연구원(UMI, 특화연구원)
• 대학본 대학본부, 전략연구지원본부, 연구원(UMI, 특화연구원)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과제기간 : 2012년 ~ 2020년
72
73
총 소요예산 : 3,206억원 - 2012년부터 2020년까지 인건비 총계
사회 변화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연구 방향 설정으로 활용도 높은 연구 결과의 산출 연구 결과의 빠른 산업화를 통한 영향력 및 브랜드 이미지의 강화 국제 산학연을 아우르는 클러스터 형성으로 도전적 거대 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연구처, 융복합기술사업화연구원 사업 추진절차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기획연 기획연구처, 융복합기술사업화연구원, 연구지원본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기획연 기획연구처, 융복합기술사업화연구원, 연구지원본부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세계적인 대학과의 교류, 특성화된 첨단 분야 간 융합을 통한 세계적 연구중심
• 기획 기획연구처
• 융복 융복합기술사업화연구원, 연구지원본부
사업 시행
선도대학 육성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기획연 기획연구처, 융복합기술사업화연구원, 연구지원본부
□ 과제내용 세계적인 연구중심 글로컬(글로벌 + 로컬) 대학 추진 - 취지 : 지역과 세계를 아우르는 대학 추진(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해외 유수기관 유치 및 기술교류 활성화
2) 단기 추진계획
•국제공동연구기관 적극적인 유치 •후진국 시장개척을 위한 선도적인 연구 활동 증진 : 해외시장의 생상 수준 과 수요에 반응 •2026년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대비한 지역산업 및 국가경쟁력에 기여할 원
□ 단기 과제목표 매년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 실시 및 익년도 예산 신청 해외 우수인력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연구역량 제고
천기술분야의 연구 그룹 집중 육성 •UNIST를 중심으로 한 첨단 융합 연구 클러스터 추천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해외 유수기관 유치 수
□ 기대효과 국제적 공동 연구를 통한 세계적 연구 수준의 빠른 확보 및 연구 결과 홍보
74
세계적 연구중심 선도대학 육성
첨단 융합 연구 클러스터 추진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해외 유수기관 수 MOU [전년대비 5% 향상] 체결 첨단 융합 연구 제도적 장치 클러스터 유치 존재 여부 제도 마련
75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380억원
구 분
MIT
서울대
KAIST
POSTECH UNIST7)(2012)
총학생수 대학원생수 학부생수 교수 수 교수 1인당 학생수
10,206 6,140 4,066 992
28,242 15,163 13,079 2,025
8,300 5,400 2,900 521
3,763 2,563 1,200 243
5,000 1,000 4,000 257
10.3
13.9
15.9
15.5
19.5
[표 III-6] 국내 · 외 주요 대학 교수 1인당 학생수 비교6)
6) 국내 타 대학자료 : ‘09년 대학 정보공시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의 편제정원 기준 ⇒ 대학원생수 = 대학원생 편제정원 × 약 1.5 7) 정원조정 검토 중 : 학부 4,000, 대학원 1,000명 → 학부 3,000, 대학원 2,000명 ⇒ 2012년 교수 1인당 학생수는 19.5명
- 연구력 향상에 애로 초래
다. 창의적 과학 기술 교육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경력을 가진 교원 확보가 필수적 이나, 교원수가 부족하여 융합연구 활성화에 애로가 있음 •특히, 원자력·2차전지 등 에너지 분야와 그래핀, 생체 소재 등 첨단 신소재 분야 등 특성화 분야의 협력 연구를 위한 교원 확보가 절실함 - 세계 대학 평가지표 향상에 장애요인으로 작용8) •세계 대학 평가항목 가운데 연구관련 부문의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교원수 부족으로 연구 성과 지표 향상이 어려움
8) The Times & Thomson-Reuter : 연 구 실 적 30%, 논문인용도 32.5% QS World University Ranking : 연구(학계평가 40%, 논문 피인용 20%)
- 열악한 교육환경 조성
1) 과제개요
•낮은 교원확보율은 수준 높은 교육 구현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 •신입생 유치홍보, 대학평가 및 각종 재정지원사업 등에 부정적인 영향 초래 ※ 타대학 교수 1인당 학생 수 목표(‘11) : POSTECH 10.2, KAIST 12.8
□ 과제목적 교수 대 학생비율 1:10 확보를 통한 세계최고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 - UNIST가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연구· 교육역량을 확보하여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대학에 필적할 수 있는 교수진을 일정 규모(Critical Mass, 1:10) 이상 확보하여야 함
□ 과제내용 교수대 학생비율 1:10 수준 유지를 위한 교수 정원 증원 - UNIST의 교수 정원은 국내·외 주요 대학과 비교할 때, 교수 1인당 학생수가 19.5명(편제완성연도 기준)으로 턱없이 부족한 수준임.
76
- 전임교원 정원 증원 및 연도별 충원 계획 변경 필요(2015년 400명, 2020년 500 명까지 확충 추진) <현행> 정원 및 연도별 충원 계획 <변경> 정원 및 연도별 충원 계획 구분 정원 ~’10 누계 ’11 충원 ’12 충원 누계 ’13 누계 ’15 누계 ’20(T/O) (T/O)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인원 % 교원 257 108 42.0 72 28.0 77 30.0 257100.0 300 60.0 400 80.0 500 100.0
[표 III-7] 전임교원 정원 조정 및 연도별 충원계획 변경(안)
- 사업규모(2012년 대비 전임교원 증원에 따른 정부출연 인건비 추가 소요액) •2,400백만원 순증(2013년, 전임교원 43명 순증) 국내 · 외 우수 교수 확보를 위한 체계적 유치 활동 전개 - Faculty Recruiting Committee 운영 - 학부, UNIST 융합연구원, 특화연구원의 중점연구 분야의 우수 교수 확보를 위 한 체계적 교원인사 시스템 구축
77
- 해외 유수 대학 박사과정생 및 Post-Doc. 이메일 리스트 제작, UNIST 소식 주
사업 추진절차
기적 홍보를 통하여 교수 지원자 풀 확대
연도별 충원계획 수립(매년초)
• UNIS UNIST 대학본부(FRC), 대학원 본부 및 연구원(UMI, 특화연구원)
인력 운영 세부 계획 수립
• UNIS UNIST 대학본부(FRC), 대학원 본부 및 연구원(UMI, 특화연구원)
- 전략연구지원본부 자문그룹을 활용, 선진국 Road Show 추진 - 해외석학 및 해당 연구팀 초빙제도 확대 • UNIS UNIST 대학본부(FRC)
인력 충원, 배치
정착 지원 시스템 강화(편리하고 안정된 정주여건 조성) (실천과제 IV-6 참조)
• UNIS UNIST 대학본부(FRC), 대학원 본부 및 연구원(UMI, 특화연구원)
인력 운영
- (영어)유치원 및 국제 학교(초, 중, 고) 유치 지원 - 아파트, 기숙사 등 원스톱 행정 처리 및 기반 시설 확충
• UNIS UNIST 대학본부, 연구원(UMI, 특화연구원)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국제 Food Courts - Green convention center(민자유치 500억) : 국제화 및 연구 교육에 구심체(Symbolic) - 대형 의료 기관과의 MOU 체결을 통한 의료 혜택 지원
2) 단기 추진계획
외국인 교수와 여성 교수인력 확대 - 외국인 교수 : 2010년 5명(4.1%) → 2020년 100명(20.0%) - 여성 교수 : 2010년 15명(12.4%) → 2020년 100명(20.0%) ※ 외국인 교수 및 여성 교수 채용 확대를 위한 인프라 확충 필요 예) 외국인 교수 전용 숙소, 영·유아 보육시설 확충 등
□ 단기 과제목표 전임교원 정원 증원 : 교육과학기술부, 기획재정부 협의(계획 승인 및 예산 확보 등) 정원 증원에 따른 충원계획 수립(2013년 ~ 2020년) 성과목표
□ 기대효과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교육환경 구축으로 세계적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 마련
우수교원 확보를 통한 선진교육 기반 확충
성과지표(계산방식) 전임교원 정원 증원 인가 교수 1인당 학생수 외국인 교수 비율
다양한 분야의 교원 교류를 통한 융합연구 시너지 제고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2013년 300명 2020년 500명 2013년도 교수 1인당 학생수 17명 2013년도 10% 유지
검증방법 직접 조사 직접 조사 직접 조사
[그림 II-5] 프로그램 중심 교과 운영 예시
우수 이공계 학생 유치 및 글로벌 과학기술 리더 배출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대학 본부(Faculty Recruiting Committee), 대학원 본부, 융 합연구원(UMI) 및 특화연구원
78
행정부처 협의 : 교육과학기술부, 기획재정부 협의(계획 승인 및 예산 확 보 등) 정원 증원에 따른 충원계획 수립(2013년 ~ 2020년) 및 이사회 승인
79
- 한 명의 교수는 자신의 수업에 따라 하나의 학부(Undergraduate)와 하나의 프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로그램(Graduate)에 동시에 소속
총 과제기간 : 2013년 ~ 2020년
- 한 명의 교수는 연구 주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연구센터에 소속
총 소요예산 : 1,225억원
전공트랙 컴퓨터공학 통신/제어 및 신호처리 전자회로 설계 및 응용 소자물리 에너지변환 및 저장 원자력에너지 기계시스템 설계 및 생산공학 열유체 및 동력 공학 신소재 공학 바이오공학의생명과학 나노고분자과학정밀화학 및 공학 첨단환경분석 및 제어공학기후변화 및 지구환경시스템공학 미래도시개발공학 통합산업디자인감성 및 인간공학 공학 및 시스템 디자인 매니지먼트 기술경영/정보시스템/ 기업가정신 금융/회계 마케팅/국제경영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학부(Undergraduate) 교육에서 독립된 대학원 운영으로 학사조직의 경직 성 해결
대학원 프로그램
[표 I I-8] 학부별 트랙/전공 프로그램
컴퓨터공학, 전기전자공학, 응용물리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원자력 공학 및 과학 기계공학, 신소재공학, 응용수학 생명과학, 생명공학, 나노융합화학소재 환경공학, 도시공학 디자인공학융합전공 금융, 글로벌 회계 기술경영, 마케팅
- 연구센터는 5대 연구원 중 하나에 소속 - 각 대학원생은 연구센터에서 자신의 연구를 수행하는 동시에 프로그램에서
대학원에서의 연구역랑 강화에 우선순위를 둔 프로그램 커리큘럼 운영
수업을 수강하며 학위과정을 이수함 - 프로그램명이 석·박사 학위명으로 사용됨
□ 과제내용
- 센터와는 무관한 교육 목적 프로그램 일부 운영(예: 과학기술 정책대학원 프 로그램, AHS-공학 연계 프로그램, PSM 등)
프로그램 중심 대학원 교과 운영
기초/전공/프로그램에 대한 의무 시수를 따로 구분 배정하여 학부 및 대학원 교 육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함(강의 시수 의무 할당 : 기초1, 전공 5, 대학원프로그 학부교 학부교육 교육 u uni unit nit it (Und ergraduate Sc S c choo ch hoo ol) l) (Undergraduate School) 전공(Track) CCS EDA
학부(School) 연구그룹(Group) 전기전자 컴퓨터공학부 퓨터공학부 부
Lab.
전공(Program) 연구원(Institute)
GROUP ROUP ROU P
DPH CSE
램 3)
구 unit 대학 대학원 학원 교육 교 / 연구 hool) ((Graduate (Gr raduate Sc ch School)
Research Center
Lab.
Lab. Lab
Comp Computer mpu utte er Scie Scien Science ence e nc ce c e & Engineering En ng gin neerin ng
첨단기계 ・신소재 연구원
E ec Electrical Ele e tricall ect En Engineering ng giine neerin ng
바이오 ・ 화학 연구원
Applied App plie ed Phys ed Physics ysic sic cs
인간편의정보통신 연구원
-
그린에너지 연구원
-
테 테크노경영 ・디자인 연구원
교수당 의무 강의 시수를 연간 9학점 이하로 학칙에 명문화(교수 정원이 완전히 확보된 후엔 연간 6학점 이하를 목표) 제도를 원활이 정착시키기 위해 남는 수업시수를 다음 해로 넘기는 등의 융통성 있는 운영 필요 대형 과제를 수행하는 교수의 경우 연구비 일부를 지불하여 강의 시수 면제를 받 을 수 있도록 함
◇ 과제수행: 집단연구 - 그룹 또는 연구센터 개인연구 - 개인 실험실(Lab.) ◇ 프로그램: 대학원 교육 / 연구의 단위
80
81
□ 기대효과 현재 대부분의 대학에서 대학원 교육이 학부에 종속되어 있는데, 본 사업을 통해 대학원 학위와 커리큘럼의 독립이 가능 이에 따라 연구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성과목표 프로그램 기반 대학원 운영
정해진 전체 시수 내에서 교수 개개인이 자신의 수업시수를 자율적으로 컨트롤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행정조직 개편 행정조직 개편 행정조직 개편 프로그램 단위별 학위 수여의 학위 수여의 학위 수여 근거 마련 근거 마련 성과지표(계산방식)
하며 연구에 집중할 수 있음 연구비 수주/연구실적에 교육의무를 연계시킴으로써 대형과제 수주율과 연구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대학원 개편을 위한 관련법령 등 검토
의욕 향상
대학원 프로그램화의 내용을 포함한 학칙 개정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교무처, 기획연구처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교무 교무처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교무 교무처
사업비 : 29억원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사업 시행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기획 기획연구처
• 교무 교무처
• 교무 교무처, 기획연구처
2) 단기 추진계획 1) 과제개요 □ 단기 과제목표 프로그램 단위의 대학원 개편에 대한 교과부의 승인 프로그램별로 석 ·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것에 대한 교과부의 승인 프로그램 단위를 국책사업, 교과부 사업에 대한 지원단위로 인정(예, BK, WCU 사업 등 대학원 연구역량 강화 사업들에 학부가 아닌 프로그램별 지원이 허용되
□ 과제목적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해 학교의 인지도를 고양 국내외 우수학생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 학생 상담을 통해 UNIST로 우수학생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장려
어야 함)
82
83
□ 과제내용
매년 국내외 우수학생의 선발
대중 강연을 통한 간접적 홍보
UNIST 인지도 고양
- UNIST 스타 교수 주요 도시 대중 강연회 기획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우수 학부생 유치
과학고, 민사고, 외고 등 특목고 학생 비율 입학생 성적 외국인 학생비율
- UNIST 스타 교수 대중 강연 웹 브로드캐스팅 우수학생 직접적 리쿠르팅 제도 확대 - Explorer@UNIST에 교수와의 만남 시간 신설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검증방법
매년 10% 유지
직접조사
상위 2% 전년대비 10% 증가
직접 조사 직접조사
외국인 학생 비율 확대 전문 인력 배치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국내외 우수학생 선발을 위한 입학사정관제
□ 기대효과
UNIST 스타교수의 대중강의
우수 학부생 유치 우수학생이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우수 석,박사 배출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교무처, 기획연구처 사업 추진절차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교무 교무처, 기획연구처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교무 교무처, 기획연구처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교무 교무처, 기획연구처
사업 시행
• 교무 교무처, 기획연구처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교무 교무처, 기획연구처
총 소요예산 : 90억원 - 홍보비 : 5억원/년 - 전문인력 운영 : 5억원/년(2013년 ~)
2) 단기 추진계획 1) 과제개요 □ 단기 과제목표
84
85
□ 과제목적 학부와 대학원을 연계하는 프로그램들을 통해 우수 학생들의 조기에 연구 경력 을 시작하고 성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신예 연구인력을 육성
조기에 사회에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기회를 제공 대학원생들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수업 부담 감소 박사학생 비율 증가로 인해 장기적으로 연구하는 분위기 조성
석사를 마치고 박사과정에 진학하려는 학생들에게 조기에 박사과정에 진입할 수 있는 방법 제공 □ 과제추진체계 □ 과제내용 학 · 석사 연계(3.5+1.5) 도입 - 학부생의 대학원 과목 수강 학점 인정 - 대학원 기초과목(5단위 과목) 중 지정과목에 대해 학부생 수강 인정 - 학부 전공과 동일전공 수업일 경우 학부 졸업학점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
사업(지원) 수행주체 : 교무처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교무 교무처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교무 교무처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학부 전공과 동일전공이 아닐지라도 학부 과정에서 수강한 대학원 학점을 대
사업 시행
• 기획 기획연구처
• 교무 교무처
학원 졸업학점에 포함시켜 대학원 조기졸업을 가능하게 함 - 일반적인 학생들 기준으로 3.5년에 학사 수료, 1.5년 후 석사 수료 완료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교무 교무처, 기획연구처
석 · 박 통합 과정 진학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 상당수의 학생들이 박사과정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석사과정으로 입 학을 하고 있음
2) 단기 추진계획
•석사를 졸업하고 다시 박사에 입학하게 되면, 학생들 본인에게도 시간의 낭 비가 있을 수 있고, 학교의 행정력의 낭비도 불가피 •가급적 학생들이 석박사 통합과정에 곧바로 입학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지 원이 필요
□ 단기 과제목표 학석사 연계과정 도입에 대한 교과부의 승인
- 석박사 통합과정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인건비를 처음부터 박사급으로 지급
인건비 예산 증액
- 4대 거점 과학기술 대학에 대해 현 KAIST나 GIST처럼 대학원생 기본 인건비
4대 거점 과학기술대학에 대한 기본인건비 지원 교과부 승인
전액 지원을 교과부에 요청
성과목표
- 석박사 통합과정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졸업을 단축시킬 기회를 제공
□ 기대효과 학부와 연계된 대학원 프로그램을 통한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우수 연구 성과 산출 UNIST 우수 학생 대학원 진학 유도를 통한 자대 대학원 진학생 조기 확보
86
학·석사 연계 (3.5+1.5) 도입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행정조직 개편 행정조직 개편 행정조직 개편 학위 수여의 학위 수여의 학석사 학위 수여 근거 마련 근거 마련 인건비 예산액 2013년까지 40억원 4대거점 4대거점 과학기술대학 과학기술대학 제도적인 근거 마련 기본인건비 지원 기본인건비 지원 성과지표(계산방식)
87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학석사 연계과정 도입을 위한 관련 법령 및 학칙 검토
신나는 수업을 통한 자가 학습동기 부여 및 학업성취도 향상 인성 교육 및 인문소양교육을 통한 창의적 리더 양성
4대거점 과학기술대학의 기본인건비 지원을 위한 제도적인 근거 마련 석박사 통합과정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인건비를 박사급으로 지급하기 위한 학 칙 개정
□ 과제내용 이공계 기초교육 과정 입체화 - 대형 강의실에 극장형 강의 환경 구축 : 보고 듣고 만지는 입체형 강의 구현을 위한 강의 내용 리디자인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기초과목 강의가 대형화되면서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이론 중심으로만 진행되는 수업만으로는 기초과학과목에 흥미를 유발하는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1,436억원 - 학 · 석사 연계 프로그램 운영비 : 0.5억원/년 - 석 · 박사 인건비 지원 : 1,431억원
데 한계가 있음 - 입체형 강의와 Lab의 연계성을 높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효과를 높이는 실험 아이템 개발 •2010년도 일반물리 과목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다른 기초과목으로 확대 AHS 교육 선진화를 통한 Critical Reading/Writing 능력향상 - 스마트 LMS를 활용한 AHS 원격 강의 - 4개 과기원 AHS 공동 운영 •공동 과목 개발 및 학점 교류 •과정 공동 운영을 위해 AHS 교과 내용 및 타이틀 개편 •1년 초빙 교환 교수제 도입 •AHS 공동 운영 관리 직원 별도 확충
1) 과제개요
- 우수 강의 보조 인력 확보를 위해 정규직 AI 제도 확립 - 타학교 AHS 과목 자유 선택 인정 창의성 교육
□ 과제목적 과학기술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교육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문제해결 지향 적인 창의적 인재를 양성 입체화 체험, 영역간 융합, 양방향 의사교환 방식을 통해 발상 전환을 유도함으 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유연한 관점을 제공
88
-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양과목 개설 확충 •자유선택과목 6~9학점(음악, 미술, 체육, 문화 등 관련 교과목 확충) - 융합형 인문사회교육 강화 •기존 AHS 교과목의 융합강화
89
•트랙간 융합 교육 활성화
2) 단기 추진계획
•학생주도의 융합형 프로젝트 수업 확대 및 발굴 인성교육
□ 단기 과제목표
- Leadership 프로그램 강화
수학, 물리, 생물, 화학 기초과정 입체화 추진
•테마형 봉사활동 도입 : 지역현안, 국내문제, 기업고충 등 사회문제 해결 동참 •실질적으로 동참하는 실용적 봉사활동 추진 : 지역아동을 위한 방과후 학습 등 - HONOR CODE의 정착
AHS 교과 과정 개발 창의성 교육 함양을 위한 교양과목 개설 확충 및 e-Education 추진 인성 교육을 위한 Leadership 프로그램 강화 및 HONOR CODE의 정착 노력
•무감독시험 정착, 학내 활동에서의 학생상호 및 교수와의 관계 강화 •기숙사 생활에서의 팀워크 훈련 및 면학분위기 조성
□ 기대효과
성과목표
성과지표 (계산방식)
창의적 과학 기술 교육모델 개발 및 운영
입체화 이공계 기초과정 수 AHS 개발 과정 수
신나는 수업을 통한 자가 학습 동기 부여 기초과목 교육 강화로 인한 학업 성취도 향상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리더 육성기반 마련
Leadership 프로그램 강화
창의적 모델정착을 통한 전 대학 교육부문 개혁의 시발점 역할 기대 인문 소양 강좌를 통한 창의성 개발 이공계 연구 중심 대학의 인문사회교육 표준화
UNIST HONOR CODE의 정착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양과목 개설 확충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학사관리팀, 기초과정부 사업 추진절차 기초과정 입체화 및 AHS 교육 선진화 계획 수립
• 학사 학사관리팀, 기초과정부
계획승인 및 예산 편성 지원
• 기획 기획근무처
기초과정 입체화 및 AHS 교육 과정 개발
90
융합형 교육 강화
• 학사 학사관리팀, 기초과정부
교육 시행
• 기획 기획근무처
교육모델 대내외 전파
• 기초 기초과정부
글로벌 역량교육 강화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4개
검증 방법 직접 검증 직접검증
20개 - 2012년부터, 테마형 봉사활동 ⇒ 봉사영역(지역, 국내, 기업 등) 봉사활동 추진실적 3-5개 추진(2012년부터) 확인증 ⇒ 영역별 매학기 1~2회 봉사 추진 - 2011년부터, 실용적 봉사활동 봉사활동 ⇒ 지역 봉사활동 범위 5~10개 설정 추진실적 확인증 ⇒ 격주 4시간 봉사활동 추진 HONOR CODE - 2011년부터, 준수율(무감독시행율, ⇒ 매년도 전년대비 10% 상향조정 실적 부정행위율, 징계율, ⇒ 2015년부터 90% 수준 유지 평가 기숙사생활실적 등) ⇒ 2020년 99% 달성 - 2012년부터, 자유선택과목 개설 실적 ⇒ 연도별 2개 개설(2015년까지) 평가 및 수강율 ⇒ 수강율 90% 유지 - 2011년부터, 설문 융합 교육 만족도 ⇒ 만족도 4점(5점만점) 유지 평가 ⇒ 2015년부터 4.5점 유지 - 2012년부터, 우수 융합형 프로젝트 ⇒ 우수프로젝트 학부별 1과제 발굴 프로젝트 발굴건수 ⇒ 2015년부터 학부별 2과제 심의 ⇒ 2020년부터 학부별 3과제 - 2012년부터, 글로벌 역량교육 설문 ⇒ 만족도 4점(5점만점) 유지 만족도 평가 ⇒ 2015년부터 4.5점 유지
91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수학, 물리, 생물, 화학 기초과정 입체화 추진 - 대형 강의실을 극장형으로 개조, 데모아이템 개발 - 입체강의 개발과 지원을 위한 인력 확보 AHS 20개 과정 개발(올린 공대 벤치마킹)
1) 과제개요
창의성 교육 -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양과목 개설 확충추진 - 융합형 교육 강화를 위한 AHS 융합교과목 개설 확충, 전공트랙간 융합 교육 강화 및 학생주도 융합형 프로젝트 수업 확대 및 발굴, 만족도 설문실시 인성 교육 - Leadership 프로그램 강화 •테마형 봉사활동영역(지역, 국내, 기업 등) 확정 및 매학기별 봉사추진 •실용적 봉사활동 추진을 위한 지역 활동 범위 설정 및 격주 봉사 추진 - HONOR CODE의 정착 •무감독시험 정착, 학내 교육활동 및 기숙사 생활을 위한 홍보 및 평가방안
□ 과제목적 IT기반 교육시스템 구축 및 기존 과정과 접목, 신규과정 개발을 통해 교육자원을 통합 · 운영함으로써 투입요소의 생력화, 교육진행의 효율화, 교육성과의 양질화 를 도모함. Smart LMS, Blackboard 등 관련 시스템의 상승적 통합 및 교육운용프로그램 지 속개발 및 효율적 확대, 프로그램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해 IT기반 교육시스템의 선도적 모델 확립 및 전파 학생들 간, 학생-교수 간 교류 활성화 및 사이버 공동체 구축 모바일 환경의 내실화를 통해 교육 부문 경쟁력 제고
추진 □ 과제내용 SMART Learning/Smart LMS 구축을 통한 대면교수시간을 증대시킨 토론수업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실시 등 - SMART Learning/Smart LMS 구축 - SMART Learning/Smart LMS의 브랜드화 및 선도모델 확산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 4개 대학 통합과정 제안 및 SNS 기반의 대학간 교류 교육시스템 검토
총 소요예산 : 76억 - 이공계 기초과정 입체화 : 4억원/년(운영비), 14억원(개발비)
캠퍼스의 모바일화를 위한 시스템, S/W 유지 및 개선
- AHS교육선진화 : 1억원/년(운영비)
- 스마트폰 휴대지원 및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구축
- 인성 창의성 교육 : 1억원/년(운영비, 융합 프로젝트 발굴비) 원격 화상강의·가상현실기반의 입체강의를 위한 4D환경 구축 - 4개 대학, 해외대학과의 원격강의 교류 확대
92
93
- 가상현실+감각체험형 교육이 가능한 4D 강의실 구축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정보서비스팀, 학사관리팀, 기초과정부, 학부, 대학원
4개 대학 통합 e-Education 기반 교과과정 Redesign 추진 제안(TF추진) SNS를 활용한 소셜 Education 네트웍 구축(대학간 공통 분야 교류 활성화) 교육 콘텐츠/모바일앱 공동 제작 및 활용 체계 마련
사업 추진절차 스마트 러닝 / LMS 시스템 설계
• 정보 정보서비스팀
시행계획승인 및 시스템 개발
• 정보 정보서비스팀
기존교과과정 접목, 신규개발
• 정보 정보서비스팀, 기초과정부, 학부, 대학원
시스템에 탑재 및 feedback 모바일접속환경구출
• 학사관 학사관리팀, 기초과정부, 학부, 대학원, 정부서비스팀
성과분석에 기초한 지속적 개선
• 학사관 학사관리팀, 기초과정부, 학부, 대학원, 정부서비스팀
- 예비 수험생(고 2, 3학년) 강의체험 환경제공 -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입시홍보 연계 제공 The Horizontal Report 등을 참고하여, 첨단 IT 기술의 성숙도를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교육 방법에 대한 계획 수립 IT기술 전자책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기반교육
동작기반컴퓨팅
러닝분석
내
용
도입시기 2011 2012 2013 2014 2015
전자책의 보급을 활성화 하고, 교육에 활용 하며, 노트 필기와 연구에도 활용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Ubiquitous 캠퍼스 구축 및 각종 서비스 제공 실제 사물에 추가적인 정보를 혁신적으로 제공하는 증강 현실을 통해,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활용 협업 능력, 문제풀이, 체계적인 사고 훈련 등을 위해 게임기반 교육 활용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 기반 컴퓨팅을 통해, 보다 동적인 교육 제공 교육 효과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찾고, 교육 방법의 개선을 통해 교육의 질을 극대화
□ 기대효과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과제목표 Smart LMS/SMART Learning 활용도 제고 원격 화상강의·가상현실기반 교육이 가능한 4D 강의실 구축 기초과목 및 교양과목을 위한 e-Education 정착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검증방법
Smart LMS/SMART Smart LMS/SMART 50% 실적수치 Learning 활용도 Learning 활용비율 (전체강의중 활용비중 제고 및 관련 4D강의실 구축 4D강의실 1개 구축 4D강의실 활용여부 인프라 구축
첨단교육선도 : e-Education공동 활성화로 교육효과 극대화 및 비용절감 소셜 Education을 통한 대학 간, 대학-예비대학생 간 교육 가치사슬 형성 예비대학생, 학부형, 일반 교육소비자 등 소셜 인맥 강화(예비수험생 홍보, 대학 발전기금 유도, SNS를 통한 글로벌 학생 유치 기반 마련)
94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Smart LMS/SMART Learning 정착 및 활성화 - 기존과정 개편위원회 운영 및 SMART Learning에 접목
95
- Smart LMS/SMART Learning 활용율 제고 및 시스템 개선
교육 자원 확보를 위한 강의 석좌 교수제 도입(이공/인문사회/경영)
- 다양한 시도 및 개선을 통한 안정적인 신규 수업모델 추가개발
학부간 공통 전공과목 조정위원회 운영
4D강의실 구축 및 시범강의과정 개설
교육정규직(Head TA, AI) 신설
- 해외 유명석학 원격 특강실시 및 가상현실 적용가능 교육과정 개발
교수법 지원 센터 운영 우수 강의 자료 동영상 공개 우수 강의 교수 인센티브 제공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강의평가결과 공개 성과평가강화 및 성과 연봉제 전면도입
총 과제기간 : 2012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44억원
교육 트랙/연구 트랙 기간별 전환 가능 정년심사를 비롯한 교수 평가에 교육과 연구 각각의 트랙으로 갈 수 있도록 함
- SMART Learning/Smart LMS 개발 및 운영 : 33억원 - 4D 강의실 구축 및 운영 : 11억원
□ 기대효과 교육의 질 향상 교육 자원 확보를 통한 교원의 강의 부담 해소 경험에서 나오는 교육 know-how 활용 극대화 재능에 맞게 교수인력 활용
□ 사업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교무팀, 교수학습지원센터
1) 과제개요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교무 교무팀, 교수학습지원센터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교무 교무팀, 교수학습지원센터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교무 교무팀, 교수학습지원센터
사업 시행
• 교무 교무팀, 교수학습지원센터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교무 교무팀, 교수학습지원센터
□ 과제목적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 자원 확보 교수법 향상을 통한 양질의 수업 제공 및 교수법 향상에 대한 장려
□ 과제내용
96
97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사업목표 교육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국내외 우수 교수 초빙 및 보조 인력 확충 교수법 향상을 통한 교육 질 향상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2013년도 교수 1인당 교수 1인당 학생수 직접 조사 학생수 17명 외국인 교수 비율 2013년도 10% 유지 직접 조사 교수 1인당 강의 보조 2013년도 교수 1인당 직접 조사 인력 비율 보조인력 1명 미만 혁신적교육시스템 100% 강의평가 공개 직접조사 [현재 100%] 전년대비 5% 향상 강의공개 비율 직접조사 [현재 시작전단계] 전년대비 2.5% 향상 강의평가 점수 강의평가 점수 [현재 시작전단계] 직접조사 성과목표
성과지표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융합 교육/LMS 교육 등 UNIST 만의 교육 장점을 바탕으로 UNIST 교육 차별화 및 브랜드화 융합 교육 브랜드화 - 융합 트랙전공제의 장점과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홍보하여 선순환 구조를 확립 - 융합의 시대에 적합한 창의적, 융합형 인재의 양성과 이런 인재에 대한 외부의 인지도 향상 OCW(Open Course Ware)를 통한 공학 교육 혁신 모델 전파
교원수 확충
- OCW 시스템 구축(소프트웨어 개발 및 OCW 강의 녹화 시스템 설치 등)
강의를 위한 석좌교수제 도입
- OCW 강의 제작 및 서버 탑재(OCW 담당인력 인건비, 시스템 유지 보수 포함)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우수 영재 학생들을 위한 영재교육원 신설
교수법 이수
- 영재 교육을 통한 인재배출, UNIST 홍보 및 우수학생 유치 - 영재교육관련 국내외 경연대회 주관
3) 사업 기간 및 사업비
□ 과제내용 융합전공 프로젝트 성과물 관리 시스템 구축
총 사업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사업비 : 40억원 - 우수 교육 자원 확보 : 3억원/년
- 특허화, Idea 공모 출품, 국제 competition 출품, 기업 고충 해결을 위한 아이디 어 제안 등을 통해 융합 트랙 선택의 체계적 지도 - 교수 상담 및 학사조직의 지원상시화 우수 융합 프로젝트 성과물 전시회 기업 인사 초청
- 교수학습 지원 및 강의 인센티브 부여 : 1억원/년
98
99
입시 설명회에 융합 교육성과 홍보 코너 마련
국제 competition의 출전을 지원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확인하고 도전의식을 증대
영재 교육원을 통한 국제 경연대회 선수 양성 및 국제 경연 대회 호스팅 주관
영재교육을 통해 인재 조기 배출 영재교육을 통한 UNIST 홍보 및 우수 인재 선점
□ 기대효과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2012년까지 최소 5/5건, NTIS에 등록된 학부생 논문/특허 실적 2015년까지 연 10/10건 논문과 특허 혁신적교육 달성 출원여부의 확인 시스템 학부생 연구/ 2012년 졸업생까지 산업체 인턴십 전학생의 인턴십경험 졸업여건에 산정 경험율 의무화 국제 경연대회 입상 건수 전년대비 5% 향상 직접 조사 모바일 환경의 [성과측정년도 입상건수] [현재 0] 내실화를 통해 평가년말 현재 OCW에 AHS 및 이공·경영계열 웹 트래픽 교육 부문 등록된(전체강좌 수 대비) 기초과목 우선적 시행 직접 조사 경쟁력 제고 사이버 강좌의 수 성과목표
UNIST의 이공계 혁신 교육 모델과 성공사례를 타대학에 전파 OCW(Open Course Ware)/학부·대학원 교육 선진화 사례 전파를 통한 이공계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유도 교육 서비스 사후 관리 효과 우수 신입생 발굴 영재 교육원을 통한 교수/연구원 정주 여건 향상
성과지표(계산방식)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교무팀, 학생지원팀, 기초과정부, 자연과학부 사업 추진절차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창의 시스템 구현 과목에서 우수 융합적 아이디어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을 통해 학생과 교수들의 동기부여 확산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교무 교무팀, 학생지원팀, 기초과정부, 자연과학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교무 교무팀, 학생지원팀, 기초과정부, 자연과학부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교무 교무팀, 학생지원팀, 기초과정부, 자연과학부
강좌의 녹화와 공개를 시범추진하고 해당 강좌를 맡은 교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
사업 시행
• 교무 교무팀, 학생지원팀, 기초과정부, 자연과학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영재교육, Pre-UNISTAR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학교 자체역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교무 교무팀, 학생지원팀, 기초과정부, 자연과학부
학부생 인턴쉽 기회를 확대하여, 학생들의 융합적 아이디어가 실현될 수 있는 발 판을 마련
량으로 제작 영재교육 프로그램 신설 및 영재 선발 각종 경진대회 주최
2) 단기 추진계획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 단기 과제목표 융합적인 학부생 연구 아이디어에 파격적인 지원
100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101
총 소요예산 : 100억원
해외교류지원 장학금 확충
- 융합 교육 성과 확산 지원 : 30억원
교육지원환경 확장(기숙사, 체육관, 도서관, 문화공간, 외국학생의 식사메뉴 확
- OCW 운용 : 50억원 - 영재개발원 운영 : 20억원
대 등)(실천과제 IV-6 참조) 국제 경연대회 발굴 및 출전 기획 출전 학생 교육 및 지원을 총괄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 확립 UNIST 고유의 국제 경연대회 호스팅 및 UNIST 브랜드화 - 수학/물리/화학 올림피아드 유치 2011년도 국내 및 국제 각 1개씩 입상. 2012년부터 적극 확대
□ 기대효과 학생들의 국제 감각 증진 및 영어능력 향상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UNIST와 선진해외대학과의 교류프로그램의 확충 및 지원을 통한 교육의 글로 벌화 외국학생들에게 UNIST에 대한 인지도의 증가 학생들의 국제 경연대회 참여를 통해, 학업에 대한 동기 부여 및 국제 소통능력 향상 UNIST 고유의 국제 경연대회를 발굴/유치함으로써, UNIST의 브랜드화, 글로
학생들의 국제 무대 활동 경험 증대를 통한 글로벌화 UNIST 인지도의 증가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교무팀, 학사지원팀, 국제교류팀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교무 교무팀, 학사지원팀, 국제교류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교무 교무팀, 학사지원팀, 국제교류팀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교무 교무팀, 학사지원팀, 국제교류팀
사업 시행
• 교무 교무팀, 학사지원팀, 국제교류팀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교무 교무팀, 학사지원팀, 국제교류팀
벌화
□ 과제내용 글로벌 역량교육 강화를 위한 영어공용화 프로그램 매학기 평가 및 해외교류프 로그램 개설 교환학생 제도 확대 및 내실화 - 단기 Lab 투어 지양, 실질적 학점 및 학생 교환 체제 구축
102
103
2) 단기 추진계획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 단기 과제목표 UNIST와 선진해외 교육/연구기관간의 교류협정 확대 체결 구체적인 학생교류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확대 국제 경연대회 참여 학생비율/수상 실적의 증가 UNIST 고유의 경연대회 브랜드의 확보
총 소요예산 : 45억원 - 교환학생 : 500만원 × 20명 = 1억원/년 - 해외연구참여 : 500만원 × 30명 * 2학기 = 3억원/년 - 국제경연대회 : 1,000만원 × 5개팀 = 0.5억원/년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학점취득이 가능한 2014년까지 최소2개 협정체결여부 해외대학의 수 2020년까지 7개 방학 중 해외 랩의 연구에 2014년까지 최소 10개 학생들의 실제 참여하는 학생의 수 2020까지 최소 30개 참여여부 확인 혁신적교육시스템 국제 경연대회 참여 참여확인 및 전년대비 5% 향상 학생비율/수상실적 수상확인 UNIST 고유 경연대회 2012년까지 최소 1개 직접조사 및 item 의 발굴여부 2015까지 3개 모니터링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1) 과제개요
초기에는 교수들의 인적 인프라를 이용하여 해외 랩의 방학동안의 연구 참여 기 회를 확대하고 선발된 학생에게 여행비/실험비들의 기본적인 인건비를 지원. 또 한 선발된 학생에게 체계적인 언어능력 배양 교육을 진행하여 실질적인 교류가 될 수 있도록 함
이공계 석사생 대상으로 경영학적 마인드를 함양시킬 수 있는 과정 개설(PSM,
U-SURF, U-WURF 에 외국학생들이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교류의 장을
Professional Science Master)
마련(실제 2011년 여름 Michigan 학생들이 U-SURF 와 한국어 프로그램에 참여
- 좌 · 우뇌 융합형 커리큘럼을 실시함으로써 “T"자형 글로벌리더 양성
예정) 학생주도의 국제 competition 참가시 학교의 참가/준비비용 지원확대 및 인턴십 /창의시스템구현과목과의 연계를 통한 학점 인정
104
□ 과제목적
학문융합적/실증적 교육으로 고용시장 수요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성 이공계 연구원 · 산업인력을 대상으로 한 Advanced PSM(APSM) 과정 운영으로
UNIST 고유 국제 competition의 학생/교직원의 아이디어 모집, 인센티브 지급을
지역산업계에 이공계 경영전문 인력공급 및 PSM과정과 연계운영으로 산학융
통한 독창적이며 경쟁력 있는 아이템 발굴
합부문 추가 시너지효과 창출
105
□ 과제내용 UNIST PSM/APSM 과정 커리큘럼 개발 및 개설 준비 - 해외 벤치마킹, 커리큘럼 개발 및 운영위원회 조직
사업 추진절차 PSM 개설 TF 구성
• 학사관리팀
TF 보고 및 타당성 검토
• 학사관리팀
- 이공계 중심의 경영 융합 교육 교육과정 개설 및 학칙반영
• 학사관리팀, 입학관리팀, 교육과학기술부(협의)
- 경영 마인드를 가진 자연계 전공자 양성 - 경영 전공자에게 이공계 석사과정 교육 PSM/APSM 과정 운영
기본계획(안) 수립
• 학사관리팀, 교육과학기술부(협의)
관련산업 예산 반영
• 학사관리팀, 기획국제교류팀(협조)
- PSM/APSM에 특화된 이공기초 과목 제공
학생선발 및 수업운영
• 학사관리팀, 학생지원팀
- 경영학 관련 수업 제공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학사관리팀, 학생지원팀
- 기업 인턴쉽 및 협동 연구 지원, 창의적 과제 도출 및 수행 산업체 수요를 감안한 APSM 과정 개발 - 그린에너지 분야 고급 기술인력 양성(원자력 분야 APSM) - 산업체CEO 대상 기술동향, 고급기술 개요 교육(Techno CEO과정)
2) 단기 추진계획
- 산업현장 중견인력 대상 전문이학석사과정 교육(APSM 일반과정) □ 단기 과제목표 □ 기대효과 이공계 지식과 경영 마인드를 갖춘 융합형 창의적 인재 배출 수요 지향적인 교육을 통한 고용시장 수요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실용적 인 재 배출 국내 타대학으로 PSM 과정 확산을 통한 UNIST 위상제고 APSM 과정운영으로 산업 현장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현장정보 수집을 통한 산 학융합형 교육과정의 지속적 개선이 가능함
PSM 과정 개설 준비 - 해외벤치마킹 및 국내현황 조사 PSM 교육과정 개설 - 교육과정개설 준비위원회 운영 - 교육과학기술부 협의 및 학칙개정 반영 PSM 과정 운영 - 홍보 및 신입생모집
□ 과제추진체계
- 수업실시
사업(지원) 수행주체 : 학사관리팀, 입학관리팀, 교육과학기술부(지원)
106
107
성과목표
성과지표 (계산방식)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검증 방법
- 2011 상반기(과정개설 타당성 확보) PSM 신설관련 ⇒ 개설 TF 구성 및 보고서 작성 TF 보고서, 기본 사항의 달성 - 2011 하반기(교육과정 개설) 교과부 협의, PSM (타당성 확보, ⇒ 과정개설 타당성을 근거로 학내외 의견수렴, 과정 신설 교육과정 개설, 교육과정 개설완료 학내 공식기구 과정운영실시) - 2012학년도 1학기(과정운영 실시), 심의 ⇒ 홍보, 신입생 모집 및 수업시작
라.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과정개설 타당성 확보(2011 상반기) - 개설 TF 구성, 해외벤치 마킹실시, 국내현황 조사 및 보고완료
1) 과제개요
교육과정 개설 완료(2011 하반기) - 과정개설 타당성을 근거로, 교육과정 Draft 마련 - 학내외 의견수렴, 관련학부 협의 및 교과부 협의 등 실시 - 대학원위원회 및 교무위원회 심의 ⇒ 교육과정 개설완료 PSM/APSM 과정 개설 및 시범 운영 : 2012년 PSM/APSM 과정 정착 및 운영 : 2013년부터
□ 과제목적 행정조직 개편 및 행정 분야 전문가 양성 - Vision 2030을 달성하며 세계적인 과학기술 선도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선도 적인 행정조직 개편과 이를 뒷받침할 행정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 - 일류 연구 환경을 뒷받침 하는 일류 행정 조직과 인력 양성 교직원 합리적 평가시스템 구축 - 학교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구성원들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이 성과 평가 시
3) 연차별 투자실적과 계획
스템과 이에 따른 적절한 보상시스템의 개발 및 정비로 Vision 2030을 위한 최 적의 동기부여 - 각 조직의 활성을 가장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공명한 성과평가와 보상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110억원
외국인 교원/학생 전담부서 설립 - Vision 2030의 목표인 글로벌한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대학의 필수적인 요건이 외국인 교수/연구원/학생의 다양한 행정적 서비스 제공 2020년 20위 달성을 위한 MBO 설정 - 개인별, 팀별 MBO 마련에 의한 업무의 효율적 관리 유도 - MBO 기반 개인 및 팀 평가에 의한 효율적 인사 관리 제도 수립과 연계 연구지원기능 강화
108
109
- 연구지원기능 강화를 통한 연구 지원 혁신
□ 기대효과 행정조직 개편 및 행정분야 전문가 양성
□ 과제내용 행정조직 개편 및 행정분야 전문가 양성 - 개교 이후 조직운영상 문제점을 보완하고,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행정업무 체 제 구축 - 행정 업무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 정리 및 개선 - 학교 행정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행정혁신 TFT 설립 - 행정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행정 정보 시스템(ERP) 업그레이드 교직원 합리적 평가시스템 구축 - 교원, 직원, 연구원의 업무특성에 맞는 성과평가 시스템 필요 - 평가 시스템과 연계할 적절한 보상 시스템의 구축 필요 - 학교 초창기의 특성에 비추어 서비스 참여를 고무할 수 있는 인센티브 필요 외국인 교원/학생 전담부서 설립 - 외국인 교수/학생/연구원의 정주를 돕고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NIST International Center(가칭) 설립 - 외국인 학생 및 학부생 증원에 따른 수용시설 및 국제적 수준의 공동 시설 마 련 필요 - 해외 홍보 전담 체계 수립 2020년 20위 달성을 위한 MBO 설정 - 개인별, 학부별(부서별) MBO 마련 - 추진 전략 수립 및 보고 - 매년 부서별 MBO 달성 여부 점검 및 워크숍을 통한 내용 공유 연구지원기능 강화 - 연구비처리 프로세스의 혁신 - 연구비 수주 및 연구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연구자에게 맞춤형으로 조
- 교수/연구자들에게 일류 행정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교 차원의 연구역량 강화 - 연구/교육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변화를 기획/선도할 전문행정 역량 구축 - 명실상부한 국제화를 뒷받침할 행정역량의 구축 - 학교인지도 제고 및 우수학생 유치 교직원 합리적 평가시스템 구축 - 각 구성원의 위치에 맞는 사기 진작과 효율성 제고 - 선 순환적 인력 충원시스템의 구축 - 구성원의 효율성은 결국 대학의 경쟁력 확보로 연결됨 - 교직원 개개인이 학교의 발전을 위한 자발적인 서비스에 동참할 수 있는 분위 기 조성 외국인 교원/학생 전담부서 설립 - 국내외 고급연구인력 및 장래의 학생으로부터의 인지도 제고 - 현재 학교 차원의 공식 지원체계의 구축으로 각급 학부/대학원 단위의 행정인 력 운용 효율화 - 활발한 학생교류 및 연구교류의 중추 확보 2020년 20위 달성을 위한 MBO 설정 - 조직 단위의 발전 전략 설정 및 실행상황 점검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 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 수립 연구지원기능 강화 - 수요자 중심의 연구비 처리과정을 확립함으로써 연구역량 제고에 기여 - 연구자 개개인의 연구관심사와 특화된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맞춤형 연구비 수주 정보 제공 - 연구동향 파악과 국내외 각급 정책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백서 및 양질의 분석 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수집, 배포함으로써 연구자 지원
언해줄 수 있는 지원체계 수립
110
111
□ 과제추진체계
UNIST International Center(가칭) 설립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연구처, 교무팀
- 외국인 학생 및 학부생 증원에 따른 수용시설 및 국제적 수준의 공동 시설 마 련 필요
사업 추진절차
- 해외 홍보 전담 체계 수립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기획 기획연구처, 교무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기획 기획연구처, 교무팀
2020년 20위 달성을 위한 MBO 설정 - MBO 전략 수립 및 평가를 위한 시범사업 추진
• 기획 기획연구처
- 개인별, 부서별 MBO 수립(시범적으로 1차년도만)
사업 시행
• 기획 기획연구처, 교무팀
연구지원기능 강화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기획 기획연구처, 교무팀
- 연구 지원 프로세스 개선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인력자원 확충 행정조직 만족도 교수, 직원, 연구원별 성과 평가 기준 확립 평가시스템 성과 평가에 따른 구축 보상 시스템 확립 외국인 교수/ 외국인 교원, 연구원 수 외국인 학생 수 학생 MBO 설정 항목 수 (정량적 지표 설정) MBO 설정 평균 달성율 [개인별 ‘13년 90% 이상 자체 조사 달성율 총합/부서 총인원] 연구지원부서 만족도 전년대비 10% 향상 활용기관 직접조사 연구지원기능 강화 행정조직 재편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과제목표 행정조직 개편 및 행정분야 전문가 양성 - 행정 업무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 정리 및 개선 - 인적 자원 확충 및 능력 극대화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전년대비 25% 확충 활용기관 직접조사 전년대비 10% 향상 활용기관 직접조사 기존의 미비한 평가 활용기관 기준 재정립 기존의 미비한 보상 활용기관 기준 재정립 전년대비 20% 향상 UNIST 교무팀 전년대비 20% 향상 UNIST 학생지원팀 개인당 3개 이상의 자체 조사 구체적 목표 설정
- 행정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새로운 행정 조직도 개편 - 학교 행정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행정혁신 TFT 설립 교직원 합리적 평가시스템 구축
행정조직 개편 및 행정분야 전문가 양성
- 교원, 직원, 연구원의 업무특성에 맞는 성과평가 시스템 필요
- 행정 업무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 정리 및 개선
- 평가 시스템과 연계할 적절한 보상 시스템의 구축 필요
•개교 이후 조직운영상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완책 마련
- 공정한 성과 평가를 위한 평의회 확보
•효율적인 업무분장에 따른 안정적이고 능률적 행정업무 체제 구축
외국인 교원/학생 전담부서 설립
•각 행정 조직의 업무 프로세스 정리 및 상호 유기적 협동 체제 구축
- 외국인 교수/학생/연구원의 정주를 돕고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112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 인적 자원 확충 및 능력 극대화
113
•교수대 직원의 비율을 현재 0.7명에서 1.0명까지 확충 필요
•현재 연구원에 대한 평가 기준 없음
•정규직 인력의 확충으로 안정적인 업무체제 확립
•연구중심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연구교수, Post-Doc., 석사급 연구원
•직원의 행정적 능력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커뮤니케이션 능력 강화 교육 지원 - 행정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각 부서별 과장급 이상 직원의 행정 전문가 양성 트랙 도입 •고급 행정 전문인력 확충 •직원 전문화 교육 지원(경영대학원 및 행정대학원 지원) - 새로운 행정 조직도 개편 •수요자 중심의 교육/연구 지원체계 확립 •행정조직 효율화/유연화를 통한 행정서비스의 효율 제고 •연구부총장 신설과 더불어, 기획연구처를 기획처와 연구처로 분리 •대학원 중심의 발전기반 마련을 위한 대학원 행정조직 별도 설치 - 학교 행정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행정혁신 TFT 설립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행정혁신 TFT을 기획처산하로 설립 •행정 시스템 발전의 근간이 될 ERP 관련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교육 강화 교원, 직원, 연구원의 업무특성에 맞는 성과평가 시스템 확보 - 교원평가 •신임교수에게 일정 기간의 연구성숙기 필요(임용 후 3년 정도) •각 연구/교육 특성에 맞는 평가 시스템 세분화 필요 •영년직/재계약 제도 정비 및 개선 필요 •총장 평가, 제2소속 학부장 평가 등 세부항목 조정 필요 - 직원평가 •신입 직원에게 일정간의 업무 숙지기간 필요 •큰 폭의 성과급 차이(기본급의 30%) 조정 필요 •성과평가 전 과정에 있어 고도의 객관성이 요구 - 연구원
114
등 다양한 형태의 연구원이 필요로 하며, 이들의 효과적이고도 객관적인 평 가시스템 마련이 절실하고 시급함 평가 시스템과 연동한 적절한 보상 시스템의 구축 - 교수평가 •연공서열의 인사시스템을 지양하고, 성과기반 시스템 강화 •개인별 업적향상에 대한 동기부여 및 학과간 선의의 경쟁 유도 •다양한 형태의 인센티브, 강의, 연구 교수상, 특훈교수 제도 도입 •영년직 심사 기간을 정함으로서 연구 역량 확대를 도모하며, 심사 탈락시 원 칙적으로 재계약을 불가능하게 하므로 선 순환적 인력 충원 시스템의 구축 •타 대학으로 파급효과로 국내 대학 전반적 교수 역량강화와 더불어 국제경 쟁력 제고 •최우수 교수진의 정년 이후 지속적인 기여로 교육, 연구 가치 창출은 물론 선순환적 인력 구조의 유지 - 직원평가 •완성연도인 2012년까지 현행대로 평균 지급율 20% 지급 •현행 차등 지급율 폭을 완화, 현실화 •개인별 평가와 더불어 조직간 평가가 추가 되어야 함 - 연구원 •올해 안으로 연구원 평가기준 확립 •직급별 평가의 세부 가이드라인 확립 •인센티브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연구원 보상 시스템 마련(연수, 교육기회 보장) 공정한 성과 평가를 위한 평의회 설립 - 교원-직원-연구원의 효율적 성과 시스템 개발 및 정비를 책임 - 효율적, 공명정대한 시스템을 통한 직원의 경쟁력을 높이고, 발전적 대학문화 형성 - 세계적 수준의 교수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교수들의 업적 향상에 대한 동기 부여
115
외국인 교원/학생 전담부서 설립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 외국인 교수/학생/연구원의 정주를 돕고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NIST International Center(가칭) 설립 •외국인 정주를 위한 여권, 정착지원, 문화프로그램 지원 •외국인 학생의 학업 및 생활 지도를 위한 1:1 멘토 프로그램 buddy system •외국인 학생에 대한 장학금 수해 혜택 확대 •국제센터를 중심으로 한 교류시스템의 활성화로 국제협력의 선도적 문화 조성 - 외국인 학생 및 학부생 증원에 따른 수용시설 및 국제적 수준의 공동 시설 마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70억원 - 행정조직 개편 및 행정분야 전문가 양성 : 20억원(2억/년) - 합리적인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인센티브 : 20억원(2억/년) - 외국인 교원/학생 전담부서 설립 : 20억원(2억/년) - 2020년 20위 달성을 위한 MBO 설정 : 10억원
련 필요 •외국인 교수/학생의 충원 계획에 따른 필수 인프라 구축 •증원되는 외국인 교수를 위한 교육, 연구 시설 확보 필요 •외국인 학생에 대한 한국 문화와 언어를 교육할 UNIST 학당(가칭) 설립 •국제 초/중/고 설립 •외국인을 위한 Medical clinic 시설 마련 - 해외 홍보 전담 체계 수립 •해외 우수 과학 기술 인력 유치
1) 과제개요
•해외 우수 학생 유치 및 홍보 전담 •각 과별 특색 있는 해외 프로그램 개발 지원 및 홍보 대행 2020년 20위 달성을 위한 MBO 설정 - MBO 수립 및 관리를 전략 수립(1차년도 초실시) - 개인별, 부서별 MBO 수립 및 부서별 MBO의 공유(워크숍 개최; 1차년도 초) - MBO 달성 여부 평가 및 향후 발전적 전략 수립을 위한 워크숍 개최 (1차년도 말) 연구지원기능 강화 - 연구 지원 프로세스 개선 - 연구 관련 정보 적시 제공
□ 과제목적 ERP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통한 대학운영의 효율성 극대화
□ 과제내용 원가분석에 기반을 둔 예산, 설비, 인적자원 배분과 손익집계 및 수익성 관리환 경 구축 입시홍보체계화, 발전기금확충, 대학이미지 홍보강화를 위한 홍보시스템 고도화 전략 기반 예산 편성 및 실행력 강화 내부통제력 강화(거버넌스, 위기관리, 규제준수 등)
116
117
목표관리제(MBO) 연계(균형성과지표)/BSC/KPI(핵심성과지표) 기반 성과관리
교내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ERP 시스템 업그레이드 완료
체계 구축 투명한 Data분석 기반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 양질의 전략의사 정보 실시간제공 지속 가능한 대학을 위한 보건안전/환경규제 관리
□ 기대효과 정확하고 고품질의 의사결정 정보 제공 : 실시간 대학 실현(RTU) 전략기반 홍보/행정시스템 구현 및 명쾌한 성과관리 시스템 구현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업그레이드 비율 시스템 업그레이드 [당해년도 업그레이드 항목 ['13년 개수/전체 업그레이드 예정 업그레이드 항목개수] 100% 완료] ERP 시스템 업그레이드 부서별 ERP 활용 만족도 전년대비 5% 향상 [개별 부서별 요구사항이 ['11년 3.0점 ERP에 반영되었는지 →'12년 3.25] 만족도 평가 실시] ※ 5점 만점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검증방법 업그레이드 항목 개수확인 정보서비스팀에서 부서별 ERP 활용도 조사
투명하고 강력한 행정업무 시스템 구축으로 최고의 대학 경쟁력 마련 환경/안전/규제관리를 망라한 명품대학 구축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원가분석에 기반을 둔 예산, 설비, 인적자원 배분과 손익집계 및 수익성 관리환
□ 과제추진체계
경 구축
사업(지원) 수행주체 : 정보서비스팀
- 교내 실정에 맞는 원가분석기법 정립
사업 추진절차
- 원가기법을 이용한 불필요한 예산낭비 저감 적용가능성 확인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정보 정보서비스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정보 정보서비스팀
- 원가분석기법을 구현할 ERP 모듈 개발 입시홍보 체계화, 발전기금 확충, 대학 이미지 홍보강화를 위한 홍보시스템 고도화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기획 기획팀
사업 시행
• 정보 정보서비스팀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정보 정보서비스팀
- 체계적인 입시 홍보안 점검(학부와 대학원에 따른 홍보방안 구체화) - 입학처 협조 - 발전기금 확보를 위한 실천계획(액션플랜) 구상 - 실무진 구성 - 대학 이미지 홍보시스템 구축 전략 기반 예산 편성 및 실행력 강화 - 전략적 예산을 보다 수월하게 편성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 예산집행의 유연성 확보
2) 단기 추진계획
내부통제력 강화(거버넌스, 위기관리, 규제준수 등) -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준수해야 할 통제과정을 마련 -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준수할 수 있는 여건 마련
□ 단기 과제목표
- 내부통제 수준을 ERP 상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매년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 실시 및 익년도 예산 신청
118
119
MBO 연계 BSC/KPI 기반 성과관리체계 구축 - 균형성과지표(BSC)와 핵심성과지표(KPI) 마련
지역사회 및 국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대학 문화 조성 □ 과제내용
- ERP에 성과관리체계 모듈 추가
UNIST 고유의 대학문화 창출
투명한 Data분석 기반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 양질의 전략의사 정보 실시간제공
기부금 확보를 위한 전략 수립
- 주요 핵심성과 지표를 비롯한 다양한 학교운영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공
학생회/동창회/동아리 등 자생적 풀뿌리활동의 체계적 지원
- 주요 사안별 의사결정기법 제시 및 다양한 의사결정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ERP 모듈 개발 지속 가능한 대학을 위한 보건안전/환경규제 관리 - 교내 안전지침 준수여부 관리 강화 - 안전교육 강화 및 ERP에 안전/환경관련 모듈 추가
□ 기대효과 대학구성원 전체의 자긍심 함양 및 대외인지도 제고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대학문화 창달로 구성원 간의 인화 촉진 지방정부, 지역연고 기업과의 협력 활성화로 UNIST의 지역 공헌 증대
□ 과제추진체계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사업(지원) 수행주체 : 학생지원팀, 기획팀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학생 학생지원팀, 기획팀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13년 세부 시행계획 수립
• 학생 학생지원팀
사업비 : 13억원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사업 시행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UNIST만의 고유한 대학 문화를 만들어 구성원의 자긍심 함양
120
• 기획 기획팀
• 학생 학생지원팀
• 학생 학생지원팀, 기획팀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사업목표 UNIST만의 고유문화 발굴 및 정착 지원
121
대학 구성원들에게 선정된 UNIST만의 고유 문화들을 적극 홍보 성과목표 고유한 UNIST만의 문화 창달 지원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대학문화 창달과 관련된 24건 이상 자체 조사 행사 지원 건수 ['11년 ? → '13년 0.57] 지원에 대한 구성원 만족도 ‘12년 : 4점이상 학생지원팀 [대학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현재 미실시] 직접 조사 문화지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 ※ 5점 만점 성과지표(계산방식)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UNIST만의 고유한 대학문화 선정을 위한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 및 지원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세계 최고수준 과학자 배출 및 4개 글로벌 브랜드 창출이라는 UNIST의 전략목
- 학생회/동아리/학부별/개인들의 대학문화 관련된 다양한 행사 지원 (예, 축제)
표 달성하기 위한 연구 · 교육 기본시설 면적 확보(글로벌 기준 최소 수준 이상)
- UNIST만의 고유문화 선정에 대한 절차 수립 및 행정적 지원
- 세계적인 연구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인프라 확충
- 교수/직원/학생 등 전체 구성원들 간의 교류의 장 마련 및 대학 문화에 대한 토
- 선도적 융합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시설 확충
론의 장 마련 UNIST 고유 문화의 홍보 - UNIST 미디어 센터를 통한 홍보 방안 마련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행정지원 관련 필수 인프라 구축 기혼 연구원 숙소 및 교수아파트 증축 등 내실 있는 연구 성과 도출을 위한 안정 적인 연구지원 환경조성
- 학생회/동아리/학부별 조직을 통한 홍보 방안 마련(포스터 제작, 동영상 제작, 홈페이지 구축) - 지역사회와 조화할 수 있고,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대학 문화를 선별하여 지역
□ 과제내용
사회에 홍보하는 방안 마련(예를 들어, 무감독 시험과 깨끗한 양심을 위한 시
연구 · 교육 기본시설(연구 3개동 신설)
민 운동 연계)
- UNIST 교수/학생 수 증가에 따른 관련 필수 인프라 확충
기부금 수입 및 자체 기금 마련을 위한 전략 수립
- 학생 1인당 연구·교육 기본시설 면적 72.6㎡로 확대 연구지원시설(대학원 본부 및 다목적 강의실 등) - 대학원 중심의 연구중심대학 운영을 위한 대학원 본부 건물 신축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사업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사업비 : 10억원
122
- 전략연구지원본부 등 확대된 산학협력조직을 중심으로 UNIST 연구 control tower 구축 - 연구부문 해외석학 초청 강의, 국제컨퍼런스, 리서치포럼 등 각종 국제간 연구 협력활동 및 특강을 지원할 수 있는 다목적 중·대형 강의실 - 국내외 교류에 따른 최소한의 내방객 지원시설
123
교육 및 연구 정주시설 - 연구원 기혼자 숙소(400세대) 신축 및 교수아파트(2개동) 추가 [그림 III-6] UNIST현황 및 2단계 BTL 사업관련 공간배치계획
구
분
KAIST(2008) GIST(2013) DGIST(2018) UNIST(2020)
학생수(학사,석사,박사,연구원) 8,241 총 부지면적(㎡) 1,263,856 학생 1인당 부지면적(㎡) 153 총 건축연면적(㎡) 488,091 학생 1인당 건축연면적(㎡) 59.23
1,288 495,867 385 124,961 97.02
2,160 5,000 661,160 1,024,234 323 205 237,600 220,254 110 44.1
[표 III-9] 국내 · 외 주요 대학 교수 1인당 학생수 비교9)
9)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학위과정 계 획 (과 학 기 술 정 책 연 구 원 , 2009.3), 단 DGIST는 적격성 심사를 거친 후 최종 확정된 수치를 기준으로 삼았음. UNIST 자료는 별도입력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팀, 시설관리팀,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사업 추진절차 2단계 BTL 자체플랜 수립
적격성 심사
□ 기대효과 연구중심의 교육인프라 구축으로 창의적 과학기술 인력양성
BTL 한도 내 포함
2단계 BTL 공사수행
• 기획 기획팀, 시설관리팀
• 기획 기획재정부
• 교육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 교육과학기술부, 시설관리팀
녹색 성장에 기반이 되는 융합기술 연구기반 확충으로 세계 수준 과학자 배출 기대 융합 기술 연구 및 산학 협력 증대로 사업화의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 산업의 고 도화에 기여 대학원 본부동 건립 - UNIST 연구 기획 기능 강화
2) 단기 추진계획
- 5개 연구원 별 네트워크 및 조정 기능 강화 - Campus 글로벌화 기반 구축
□ 단기 과제목표
- Aegis Station을 중심으로 한 Global network 구축
정부예산계획 반영
확보된 연구·지원 인프라를 기반으로 UNIST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계획을
연구 3개동 건립 통한 연구 공간 확충
구체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기초과학연구의 심화 및 응용과학부문의 사회적 기 여 달성이 가능함. 대학구성원의 증가에 따른 최소 정주 공간 마련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실 개선 사업 추진 융합 대학원 본부동 건립안 수립 및 예산 확보 방안 마련 융합 대학원 본부동의 역할에 정립 필요
124
125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중기재정계획 반영 반영확정 중기재정계획 확인 정부예산 적격성 심사 실시확정 심사계획 확인 계획반영 대학원 본부동 건립 대학원 본부동 신축 대학원 본부동 대학원 [신축되는 ['11년 0개→'16년 건립 여부 본부동 건립 융합대학원 본부동] 본부동 1개] 3개동 신설 공학관 건물증가 개수 연구 3개동 ['11년 연구동 3개 연구 3개동 건립 [신축되는 공학 연구동] 건립 여부 →'16년 연구동 6개]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3) 연차별 투자실적과 계획 총 과제기간 : 2012년~2015년 총 소요예산 : 2600억원 - 교육 및 연구시설 : 1600억원 - 연구지원시설 : 600억원 - 정주시설 : 400억원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기획재정부 적격성 심사대상 포함 추진 중기재정계획 반영 및 2012년 BTL한도 내 포함되도록 대정부 설득 연구 3개동 건립 통한 연구 공간 확충 계획안 작성 - 5개 연구원별 소요 연구 공간에 대한 계획안 수립 - 건물 설계시 공간 활용의 극대화 방안 수립 - 잔여 부지에 대한 활용 방안 설립 - 교수/교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건축 설계안 수립 연구실 개선 사업 추진
1) 과제개요
- 각 연구원별 맞춤형 연구실 설계 - 교수/대학생들의 의견 청취를 통한 개선안 마련 - 연차별 연구실 환경 개선 및 유지 보수 계획안 마련 융합 대학원 본부동의 기능 정립
□ 과제목적 세계적 과학기술 선도 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연구 인프라 구축 국가와 지역의 기업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첨단융합연구클러스터 구축
- 융합 대학원 본부동 체계적인 활용 방안 마련 - 각 연구원과 융합 대학원 본부동 사이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 방안 마련 - Global network 구축 방안 마련 - 효율적인 공간 활용 방안 마련
□ 과제내용 정부출연금과 민간유치 재원을 활용하여 기초원천 및 응용분야 연구 개발부터 벤처창업지원, PILOT-base 시제품 생산까지 이르는 체계적인 연구 성과 확산시 스템을 가동할 수 있는 첨단 융합연구클러스터를 구축 - 첨단융합연구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산업적 파급력이 큰 연구 성과 를 창출
126
127
- 각종 연구소 및 다양한 대기업과 중소 벤처기업 및 관련된 마케팅 법률자문 등 기업서비스업체들의 자연스런 군집을 유도 - 스탠포드대학 주변의 실리콘 밸리와 같은 강소형 테크노폴리스 모델을 구축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팀 사업 추진절차
BTL 2차 이후 교육 시설 및 연구 시설 확충 TFT 구성
• 기획 기획팀
기본 계획 수립
• 기획 기획팀
- 국내외 최고 수준의 교수 연구환경 조성 - 교수 일인당 연구/실험실 공간 확대(현재 15.5m2-> 2020년도 100m2 확대를 목표로 함) - 학생/대학원생 공간 확대 - 연구/교육 공간 점유율 확대 - 각 전공 별 연구 특성에 맞도록 실험실 환경 재구성 [그림 II-7] ULSAN Technopolis 구성안
2) 단기 추진계획 □ 단기 사업목표 ULSAN Technopolis 계획 수립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검증방법
울산 Technopolis 기획안 마련
ULSAN Technopolis TFT 구성 및 회의 진해
2회
관련계획 및 실시여부 확인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 기대효과
ULSAN Technopolis TFT 구성 및 계획 수립
산 · 학 · 연 협력 모델 구축을 통한 지역 및 국가 발전에 기여 교수 일인당 연구/실험실 공간 확대 통한 연구 성과 증대 국제적인 연구 성과 확보에 기여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연구기반 시설 확충 총 사업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사업비 : 2,713억원
128
129
여성 교수 및 연구원 인력 확대에 따른 영 · 유아원 신축·운영 - 여성 교수의 수가 2010년 15명(12.4%)에서 2020년 100명(20.0%)으로 증원 예 정, 따라서 거주 및 육아를 위한 인프라 확충 필요 - 200명 수용 규모의 영·유아 교육시설 신축
1) 과제개요
- 보육 프로그램 특화 방안 마련(외국어 교육 등) 외국인 숙소 및 게스트 하우스 신축(외국인 교수, 2010년 5명(4.1%) → 2020년 100명(20.0%)으로 증원)
□ 과제목적 대학 구성원과 가족들에게 편리하고 쾌적한 정주 여건을 제공 국내 · 외 석학, 교수, 우수 연구원 및 유능한 전문기술원의 유입을 유도하고 유출 을 방지하여 UNIST의 획기적인 연구력 강화에 기여 해외 석학, 외국인 교수, 여성 교수의 정착기반 마련을 통해 우수 연구 인력의 평 균 연구 참여기간을 증가시켜 안정적 연구기반 구축 미래 핵심 과학기술분야의 해외 우수과학자 유치를 위한 기반 제공
- 50명 수용 규모의 외국인 숙소 및 게스트 하우스 신축 외국인 교수, 해외 체류경험 있는 교수인력의 유입 확대를 위한 국제학교 신설 (부설기관으로 운영) - 국제 초·중·고를 부설기관으로 운영하여 해외 우수 인력과 해외 체류 경험이 있 는 우수 교원의 국내 유치 활성화 도모 - 향후 임용될 외국인 · 한국인 교원, 해외과학자(Post-Doc. 포함)들의 미래 수요 예측을 통해 적정 초 · 중 · 고교 규모 산정 - 학교별 설립 일정, 예산 규모 예측
□ 과제내용 기숙사 추가 건설 - 5000명의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 기숙사 건설 - 인원수 증가 계획에 따라 매년 추가 건설 기혼자(대학원생, 연구원, 전문기술원) 숙소 추가 건설 - 4차 대학원 기숙사(2013년 11월 완공예정)내에 기혼자 숙소 90세대 건설 예정
- 유관기관과의 협의 도출 부설 영재고등학교 설립 - 설립 타당성 조사 - 울산과학고·울산외국어고와의 차별성 확인 - 설립 일정, 예산 규모 예측 - 학교 입지 선정
이나, 2000명에 달하는 대학원생과 연구원, 전문기술원 등을 수용하기에는 턱
- 타당성이 확인되면 교육청과 교과부와 협의
없이 부족함
주요 병원과 진료협약 체결을 통한 교원·교직원 의료서비스 향상
- 2단계 BTL에 기혼자 연구원 숙소(400세대) 및 교수아파트 2개동 신설을 추진 중이나, 2015년까지 교수 400명, 정규직 연구원 200명, 정규직 전임기술원 200 명 수준으로 인원이 크게 증가하고, 비정규직 연구원(700명)까지 포함할 경우, 기혼자 숙소의 수요가 1,000세대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숙소의 추 가 건설이 불가피함 - 추가 건설 수요 : 2015년까지 기혼자 숙소 400세대 추가 건설이 필요하며(BTL 포함 총890세대), 2017년까지 추가 200세대 건설 필요
130
- 학교 입지 선정
교수 아파트 건축 - 교원의 안정적인 거주 여건 마련을 위해, 2차 BTL 사업 이후 교수 아파트 2개 동 추가 건축 테마형 교원·교직원 거주촌 추진 - 외국인 거주촌, 과학자촌 등의 테마 아이템 개발 •탄소 제로 타운 조성 및 택지 분양
131
- 향후 임용될 외국인·한국인 교원, 해외과학자(Post-Doc. 포함)들의 미래 수요 예측을 통해 적정 거주촌 규모 산정 - 유관기관과의 협의 도출(그린벨트 해제 등)
□ 기대효과
성과목표 정주여건 개선계획 수립 정부예산계획 반영
단기년도 목표 (현재 실적)
성과지표(계산방식)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TFT 운영횟수 및 구체적 계획수립 중기재정계획 반영 진료협약 병원개수
우수 교원 · 교직원 유치
4회 반영확정 협약 3개 이상 ['11년 1개→'12년 3개]
검증방법 관련계획 및 실시여부 확인 중기재정계획 확인 협약 병원 확인
선 순화적 정주 여건 확립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문화 조성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치
기획재정부 적격성 심사대상 포함 추진
국내 우수 박사 후 연구원의 해외 유출 방지
중기재정계획 반영 및 2012년 예산에 포함되도록 대정부 설득 주요 병원과 진료협약 체결을 통한 교원/교직원 의료서비스 향상
□ 과제추진체계
- 현재 진료협약을 맺은 서울산보람병원 외 동남권 주요병원과 수도권 병원과
사업(지원) 수행주체 : 기획팀, 울산광역시, 울주군 사업 추진절차
MOU 체결 - 교직원 단체 보험 강화(예: 한국교직원공제회 제휴상품)
TFT 구성
• 기획 기획팀
기본 계획 수립
• 기획 기획팀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20년 총 소요예산 : 1,880억원
2) 단기 추진계획
- 기숙사 추가 건설 : 750억원 - 기혼자 숙소 : 600억원
□ 단기 과제목표
- 게스트 하우스 : 150억원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TFT 발족 및 기획 연구 수행
- 교수 아파트 : 300억원
유관기관(교과부, 울산시, 울주군)이 본 사업 필요성을 공감할 수 있도록 중장기
- 테마 주거촌 조성 : 60억원
계획을 수립
- 보육시설 운영 : 20억원
교원/교직원 의료서비스 향상
132
133
- 도서관 모든 공간의 정보/학습공유공간(Information and Learning Commons)화 -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 제고를 위한 상시 사용자 안내공간 설치 - 대학기록관(University Records and Archives) 설치 - 정보반감기에 따른 활용도 낮은 장서의 보존서고 설치
1) 과제개요 □ 과제목적 UNIST Information Highway 구축을 통한 첨단 정보화 환경 구축 이공계 특성화 4개 대학 도서관의 교육·연구자원 공유를 통한 지식 인프라 제고 와 비용 절감 교육 · 연구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이공계 특성화 4개 대학 간의 교류 증진 교내 구성원에 대한 안정적이고 최적화된 학술정보 서비스 제공
- 다양한 주제의 전시 공간으로서 갤러리 설치
□ 기대효과 장서 특성화로 포괄적 지식정보자원 구축 가능 최신의 최선의 연구 지원 지식정보 제공으로 선도적 연구 촉진 자원 구입 위한 중복투자 방지 - 스토리지, 보안, 서비스 등 대규모 전산인프라 공동 구축, 활용으로 예산절감 - 대학간 백업 센터(BCP: Business Continuous Plan) 활용 - 대학간 교류 시 발생하는 전산인프라 요구 활용성, 편의성 극대화
□ 과제내용 이공계 특성화 4개 대학 공동온라인 도서관 운영을 통한 정보량 확충
최첨단 원격 회의, 협업 환경 제공 최상의 연구지원 및 학습환경 조성으로 연구학습능력 제고
- 각 대학 소장정보 One-stop 검색시스템 구축 - 각 대학 연구특성화에 맞는 특성화 장서구축(Collection Development ) - 5개 대학 실시간 자원 공유/배포 지원 시스템(DDS/ILL) 구축 - Institutional Repository 협력 체제 구축 - 신속한 자원공유 위한 전담인력 배치 최첨단 네트워크 통한 4개 대학컴퍼스 유기적 연계
□ 과제추진체계 사업(지원) 수행주체 : 문헌정보팀, 정보서비스팀, 시설관리팀 사업 추진절차 기본계획 수립(매년초)
• 문헌 문헌정보팀, 정보서비스팀, 시설관리팀
세부 시행계획 수립
• 문헌 문헌정보팀, 정보서비스팀, 시설관리팀
- 4개 대학 전산자원 공동 활용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 시행계획 승인 및 예산 배정
• 기획 기획팀
- 슈퍼컴퓨터, 연구용 고가 S/W 등 연구용 전산인프라 공동 활용 (KISTI연계) - 대학 간 초고속 첨단 원격 강의실 구축 및 전용망 구축 - 통합 CERT(보안사고 관제센터) 체계 – 보안사고, 관제 공동 대응 및 협력체계
사업 시행
결과보고 및 사후관리
• 문헌 문헌정보팀, 정보서비스팀, 시설관리팀
• 문헌 문헌정보팀, 시설관리팀, 기획팀
- 유무선 통합 SSO(단일 로그인체계) 환경 구축 도서관 증축 및 전자자료 열람실 별도구축
134
135
2) 단기 추진계획
직원교육 프로그램 및 대학구성원 홍보방안 구상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 제고를 위한 상시 사용자 안내공간 설치
□ 단기 과제목표
- 도서관 서비스 사용현황 조사를 통해 사용횟수가 저조한 분야 확인
4개 대학 공동온라인 도서관 운영
-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조사
최첨단 네트워크 통한 4개 대학컴퍼스 유기적 연계
- 물리적인 안내공간 설치 타당성 조사
도서관 증축 및 전자자료 열람실 설계 완성 및 기초공사 시작
-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 검토
성과목표
성과지표(계산방식)
One-step으로 지식인프라 제고 대출 가능한 4개 대학 및 비용 절감 통합장서의 수 및 온라인 장서·저널 수 컴퓨팅 자원의 학내 컴퓨팅자원 대비 공동 유지·관리 Inter-campus 컴퓨팅 자원의 활용 빈도 및 활용 시설설치 현실화 비율 학술, 교양, 문화 [실제 유치 시설 개수 수준 향상 /계획 시설 개수]
단기년도 목표 검증방법 (현재 실적) 4개 대학 실무진 간의 학교 간 교류 활성화 (inter-school) 학술정보 전산망의 학술정보 서비스 단계적 공유 빈도 조사 KISTI를 허브로 활용, 이공계 특성화 대학을 활용 빈도 조사 묶는 연구전산망 구축 설계완성 및 기초공사 시작 ['11년 검토 중 설치 여부 확인 →'12년 계획대비 50% 확정]
□ 단기 주요 추진 내용 통합 학술정보서비스망의 시범 추진 기 구축된 국가학술정보자원(물리학/생물학/화학 연구정보센터)과의 연 계사업 발굴
대학 기록관(University Records and Archives) 설치 - 대학의 역사를 고려하여 기록관 설치의 타당성 조사 - 대학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 - 오프라인 공간 규모와 운영사항 계획 - 구성원과 외부인에게 온라인 자료를 제공하는 디지털 역사관 구축 정보반감기에 따른 활용도 낮은 장서의 보존서고 설치 - 활용도가 낮은 장서 분류법 확립 - 보존서고에 대한 열람정보 안내 등 제반 운영사항 정리 - 현 도서 보유고와 향후 구입계획에 따라 보존서고 규모와 서고설치 일 정파악 다양한 주제의 전시 공간으로서 갤러리 설치 - 수요-공급 차원에서의 갤러리 설치 타당성 조사 - 갤러리 설치에 따른 인력 충원 방안 마련 - 갤러리의 규모와 최적위치 제시
4개 대학 간의 연구협력을 전담하는 정보서비스팀 내 부서 확충 및 전문 인력 충원 4개 대학 정보서비스 팀 간의 (부)정기적 워크숍 개최 도서관 모든 공간의 정보/학습공유공간(Information and Learning Commons)화
136
3) 과제 기간 및 소요 예산 총 과제기간 : 2011년 ~ 2018년
기존 도서관의 정보/학습공유공간 설치 사례조사
총 소요예산 : 76억원
UNIST 학술정보관의 정보/학습공유공간으로서의 현재 상황 조사
- 이공계 특성화 4개 대학 공동온라인 도서관 운영 : 10억원
사용자 편의 중심의 정보/학습공유공간 설계 작업
- 최첨단 네트워크 통한 4개 대학컴퍼스 유기적 연계 : 10억원
필요한 디지털 장비와 프로그램 구입 타당성 조사
- 도서관 증축 및 전자자료 열람실 : 56억원
137
Ⅳ.
실행 계획 및 예산
유니스트비전 2030 UNIST VISION 2030
가. 세부 실행 계획 및 단계별 추진표 연번
실행 과제
세부 내용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전략연구지원본부/ 전략연구지원본부운영 대학원 본부 운영 동남권 거점 육성 계획 수립 및 가-2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 교명 변경 가-3 연구 중심 대학 조직 구성 조직 개편 가-4 쿼터제 시행 쿼터제 시행 UNIST 융합연구원 연구센터 운영 나-1 (UMI)중점육성 브레인풀 사업 수행 수리 과학 연구원 건설 나-2 특화연구원 신설 연구원 운영 융복합기술사업화 연구원 건설 나-3 특화연구원 신설 연구원 운영 미래 도전 과제 개인과제 발굴 나-4 발굴 및 협동과제 발굴 연구 수월성 확보 모험과제 발굴 Global 연구과제 발굴 Nobel R&D UNIST Fellowship fellowship 운영 나-5 Program을 통한 Star R&D fellowship 운영 우수연구인력 육성 Elite fellowship 운영 해외 홍보 행정 직원 증원 박사급 연구인력 및 나-6 정규직 연구원 증원 행정인력 확보 정규직 전문기술원 증원 해외 유수 연구기관 유치 활동 및 나-7 유치 및 기술교류 활성화 교류 활성화 가-1
139
연번
실행 과제
세부 내용
우수 교원 확보를 통한 우수 교원 유치 활동 선진교육기반 확충 다-2 프로그램 기반 대학원 운영 프로그램 기반 대학원 운영 홍보 활동 다-3 우수 학부생 유치 전문인력 운용 학사 · 석사 · 박사 연계 학 · 석사 프로그램 운영 다-4 프로그램 활성화 석박사과정 운영 시설 확충 창의적 과학기술 · AHS 이공계 기초교육 입체화 다-5 교육을 통한 리더 양성 AHS 교육 선진화 인성 및 창의성 교육 Smart LMS/Mobile 시스템 운영 다-6 Campus를 통한 창의적 4D강의실 구축 및 교육 원격강의 교육 자원 확보 우수 교육 자원 확보 및 다-7 교수법 교육 교수법 교육 강의 인센티브 부여 융합 교육 성과 확산 지원 융합 교육 브랜드화 및 다-8 영재개발원 준비 및 운영 영재 교육원 신설 OCW 개발 국제 Competition 해외 교류 확대 및 국제 다-9 교환 학생 지원 경연대회 유치 해외 연구 참여 지원 이공계 경영전문인력 양성 다-10 과정 개발 및 운영 과정 운영(PSM/APSM) 행정 조직 개편, 전문가 양성 교원/교직원 평가시스템 구축 라-1 행정 시스템 혁신 외국인 전담부서 설립 MBO 설정 및 수행 라-2 행정 전산인프라 구축 ERP 시스템 UPGRADE 라-3 UNIST 문화 창달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동3관 건립 교육 · 연구 · 지원 시설 라-4 대학원 본부동 건립 확충(2단계 BTL추진) 기혼자 숙소 및 교수아파트 Technopolis ULSAN Technopolis 라-5 조성 계획 수립 조성 Technopolis 조성 독신 기숙사 건립 기혼자 숙소 건립 외국인 숙소 건립 라-6 정주여건개선 교수 아파트 건립 테마 주거촌 조성 보육 시설 운영 4개 대학 온라인 도서관 운영 라-7 UNIWAY 구축 4개 대학캠퍼스 유기적 연계 도서관 증축, 전자열람실구축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나. 중점 추진 과제별 투자 소요
다-1
140
1) 중점 추진 과제별 투자 소요 요약 연번 실행 과제 대학운영의 패러다임 전환 융합 연구를 통한 나 연구 브랜드화 창의적 과학기술 다 교육 연구중심대학으로 라 성장을 위한 행정 혁신 및 인프라 구축 총계 가
‘11
‘12
14.5 14.5
‘13
‘14
‘15
16
‘19 16
‘20 총계
93.7 332.5 734.3
893
995 9,04.5 1,136.5 1,211.5 1,196 1,086 8,583
208
285
144
16
‘18
15
107
15
‘17
14
31
15
‘16
16
151
355
405
460
521
680 3,195
19.5 1,370.5 1,533.5 1,725.5 1,493 1,065
720
706
717
552 7,362
158.7 1824.5 2,485.8 2,841.5 2,788 2,339.5 2,277.5 2,393.5 2,450 2,334 19,291
2) 대학운영의 패러다임 전환 연번
실행 과제
세부 내용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총계
전략연구지원본부/ 전략연구지원본부 14 14 14 15 15 15 16 16 16 16 151 대학원 본부 운영 운영비 UNIST를 동남권 가-2 활동비 0.5 0.5 1 과학기술원으로 전환 연구 중심 대학 조직 가-3 구성 가-4 쿼터제 시행 총 계 14.514.5 14 15 15 15 16 16 16 16 151 가-1
141
3) 융합 연구를 통한 연구 브랜드화 연번 실행 과제 세부 내용 ‘11 ‘12 ‘13 ‘14 ‘15 ‘16 UNIST 나-1 융합연구원 (UMI) 중점 육성 수리과학 나-2 특화연구원 신설 융복합기술사업화 나-3 특화연구원 신설
나-4
나-5
나-6
나-7
4) 창의적 과학기술 교육 ‘17
‘18
연구센터 운영비 20 30 50 50 100 100 150 180 브레인풀 사업 36 36 36 36 36 36 36 36 수행비 시설 건축비 50 300 300 250 연구원 운영비 30 32 33 35 36 37 38 시설 건축비 100 200 200 연구원 운영비 30 32 33 35 36 37 38 개인과제 연구비 10 20 30 30 30 35 35 35 미래 도전 과제 협동과제 연구비 9 21 30 30 30 35 35 35 발굴 및 모험과제 연구비 5 10 15 15 15 20 20 20 연구 수월성 확보 Global연구과제 10 30 30 30 35 35 35 연구비 Nobel R&D 3.6 6 8.4 11 12 13 14 15 UNIST fellowship 운영비 Fellowship Star R&D 3.6 6 8.4 11 12 13 14 15 Program을 fellowship 운영비 통한 Elite fellowship 3 6 9 9 10 11 12 13 우수연구인력 운영비 육성 해외 홍보비 0.5 0.5 0.5 1 1 1.5 1.5 1.5 행정 직원 인건비 24 49 89 129 152 176 204 박사급 연구인력 정규직 연구원 0 25 50 82.5 110 115.5 132 138 및 인건비 행정인력 확보 정규직 0 25 50 82.5 110 115.5 132 138 전문기술원 인건비 해외유수기관 유치 활동 및 유치 및 3 3 4 50 50 50 70 70 교류 활성화 경비 기술교류 활성화 총 계 93.7 332.5 734.3 893 995 904.5 1,136.5 1,211.5
‘19 ‘20 총계
연번 실행 과제 세부 내용 ‘11 ‘12 ‘13 ‘14 ‘15 ‘16
200 200 1,080
다-1 우수 교원 확보 프로그램 기반 다-2 운영 우수 다-3 학부생 유치 학사 · 석사 · 박사 연계 다-4 프로그램 활성화
36 36 360 900 39 100 39 40 40 25
40 320 600 40 320 40 305 40 305 25 170
40 40 285 다-5 17 19 119 17 19 119 14 15 102
다-6
2 2 12 229 260 1,312 144 150 947
다-7
144 150 947
70 10 380
다-8
1,196 1,086 8,583
다-9
다-10
142
교원 추가 인건비 대학원 운영 경비
3
홍보 활동비 5 전문인력 운용비 학 · 석사 프로그램 0.5 운영 경비 석박사과정 운영 경비 시설 확충 창의적 이공계 기초교육 과학기술 · 입체화 교육을 통한 AHS 교육 선진화 1 리더 양성 인성 및 창의성 1 교육 Smart LMS LMS /Mobile 시스템 운영 Campus를 통한 4D 강의실 구축 창의적 교육 및 원격강의 교육 자원 확보 3 우수 교육 자원 교수법 교육 확보 및 강의 인센티브 1 교수법 교육 부여 융합 교육 성과 3 융합 교육 확산 지원 브랜드화 및 영재개발원 준비 2 영재 교육원 신설 및 운영 OCW 개발 5 국제 Competition 0.5 해외교류 및 교환 학생 지원 1 국제 경연대회 해외 연구 참여 3 유치 지원 이공계 경영전문인력 과정 개발 및 2 양성과정 운영 운영비 (PSM/APSM) 총 계 31
‘17
‘18
‘19 ‘20 총계
30 68 110 132 155
180
210 340 1,225
3
3
3
3
3
3
3
3
3
29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
50 40
0.5
0.5
0.5 0.5
60 86 121 159 196
226
257 286 1,431
0.5 0.5 0.5 0.5 0.5 40 10
10
5
20
4
4
4
4
4
4
4
4
4
36
1
1
1
1
1
1
1
1
1
10
1
1
1
1
1
1
1
1
1
10
9
3
3
3
3
3
3
3
3
33
3
1
1
1
1
1
1
1
1
11
3
3
3
3
3
3
3
3
3
30
1
1
1
1
1
1
1
1
1
10
3
3
3
3
3
3
3
3
3
30
2
2
2
2
2
2
2
2
2
20
5 0.5 1
5 0.5 1
5 5 5 5 5 0.5 0.5 0.5 0.5 0.5 1 1 1 1 1 3
3
5 5 0.5 0.5 1 1 3
50 5 10
3
3
3
3
3
3
30
12
12 12 12 12
12
12
12 12 110
107 144 208 285 355 405
460
521 680 3,195
143
5) 연구중심대학으로 성장을 위한 행정 혁신 및 인프라 구축 연번 실행 과제 세부 내용 ‘11 ‘12
라-1
라-2 라-3
라-4
라-5
라-6
라-7
144
‘13
‘14
다. 인원계획
‘15 ‘16 ‘17 ‘18 ‘19 ‘20 총계
행정 개편, 전문가 2 2 2 2 2 2 2 양성 혁신적인 행정 교원/교직원 2 2 2 2 2 2 2 평가시스템 시스템 구축 외국인 전담부서 2 2 2 2 2 2 2 설립 MBO 설정 및 수행 0.5 0.5 0.5 1 1 1 1 행정 전산 ERP 시스템 3 4 6 인프라 구축 UPGRADE UNIST 문화 창달 지원 활동비 0.5 0.5 0.5 1 1 1 1 연구동3관 건립 400 400 400 400 교육 · 연구 · 지원 대학원 본부동 150 150 150 150 시설 확충(2단계 건립 BTL추진) 기혼자 숙소 및 100 100 100 100 교수아파트 ULSAN Technopolis 2.5 2.5 2.5 2.5 3 Technopolis 조성 계획 수립 조성 Technopolis 조성 540 540 기숙사 건립 150 150 150 기혼자 숙소 건립 200 200 200 정주여건 외국인 숙소 건립 50 50 50 개선 교수 아파트 건립 150 150 테마 주거촌 조성 15 15 15 보육 시설 운영 1 1 3 3 3 4개 대학 온라인 1 1 1 1 1 1 2 도서관 운영 UNIWAY 4개 대학캠퍼스 1 1 1 1 1 1 2 구축 유기적 연계 도서관 증축, 5 5 10 12 12 12 전자열람실구축 총 계 19.5 1,370.5 1,593.5 1,725.5 1,493 1,065 720
2
2
2
20
2
2
2
20
2
2
2
20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교
원 학부생 박사 과정 석사 과정 소계 정규직 박사 연구원 연구원 정규직 기술원 소계 행정 직원수 조교 사무 보조 소계 계
180 257 300 350 400 420 440 460 480 500 교비 2,000 2,600 2,8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학생
1.5 1.5 1.5 10 13 1.5 1.5 1.5 10 1,600 600
연구원
500 13 540 540 540 2,700 150 150 750 600 150 300 15 60 3 3 3 20 2
10
2
10
재원 구분
구
행정 직원
총
110 150
200
250
400
550
600
700
800 1,200 교비
120 18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800
교비
2,230 2,930 3,300 3,650 3,900 4,150 4,300 4,500 4,700 5,000 0
50
100
150
200
210
220
230
240
250
100 250
500
600
700
750
800
850
880
900 연구비
50
100
150
200
210
220
230
240
250
100 350
700
900 1,100 1,170 1,240 1,310 1,360 1,400
97
138
180
230
280
294
310
324
337
350
교비
27
30
32
35
40
42
44
46
48
50
교비
58
62
68
75
80
84
86
90
95
100
교비
0
교비
교비
182 230 280 340 400 420 440 460 480 500 4,837 6,605 7,780 8,780 9,580 10,184 10,590 11,094 11,577 12,250
56 706 717 552 7,362
145
라. 캠퍼스 마스터플랜
3) 캠퍼스 조감도
1) 기간별 건축
□ 캠퍼스 공간 배치 계획 [그림 IV-1] 캠퍼스 공간 배치 계획
내
용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연구3동/4동/5동* 바이오화학연구원 대학원 본부동* 수리과학 특화연구원 융복합기술사업화 특화연구원 도서관 증축 기숙사2단계 기숙사추가건설 교수아파트3동/4동* 교수아파트5동 교수아파트6동 테마주거촌분양 게스트룸/외국인숙소 기혼자숙소1동/2동* 기혼자숙소3동/4동 기혼자숙소5동 보육시설건립 ULSAN Technopolis 조성 * BTL 2차 포함 내역
2) 캠퍼스 마스터플랜에 따른 거주 수용률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기숙사 2024 3000 3900 3900 3900 학생수 증가 2230 2930 3300 3650 3900 기숙사/학생비율 90.8% 102.4% 118.2% 106.8%100.0% 교수거주세대 80 80 170 170 220 교수아파트 80 80 160 160 200 테마 주거촌 0 0 10 10 20 교원수 증가 180 257 300 350 400 숙소/교원비율 44.4% 31.1% 56.7% 48.6% 55.0% 기혼자 숙소(세대) 0 0 100 100 800 연구원수 100 350 700 900 1100 숙소/연구원비율 0.0% 0.0% 14.3% 11.1% 72.7% 게스트룸/외국인숙소 10 10 35 35 100 어린이집 수용인원 0 0 40 40 200
146
4100 4150 98.8% 220 200 20 420 52.4% 800 1170 68.4% 120 200
4300 4500 4800 5000 4300 4500 4700 5000 100.0% 100.0%102.1%100.0% 270 270 280 280 240 240 240 240 30 30 40 40 440 460 480 500 61.4% 58.7% 58.3% 56.0% 1000 1000 1200 1000 1240 1310 1360 1400 80.6% 76.3% 73.5% 71.4% 140 160 180 200 200 200 200 200
147
Ⅴ.
유니스트비전 2030 UNIST VISION 2030
부
록
가) 연구원별 프로그램/연구그룹 구성 현황 ‘11년 ( 5월 기준) 연구원
프로그램 (프로그램장)
연구그룹 (연구그룹장)
G1-1-1. 비선형 복잡계 연구그룹 Nonlinear Complex Systems Research Group P1-1; 응용수학 (김필원) (Applied Mathematics) G1-1-2. 확률 모델링 및 계산 연구그룹 (이창형) Stochastic Modeling and Computation Research Group(이창형) G1-2-1. 광전/전자 융합 그룹 P1-2; 신소재공학 Opto-Electronics Convergence Technology(권순용) (Materials Science and 1. G1-2-2. 저차원 재료의 디자인-구현-분석 그룹 Engineering) 첨단기계 Design-Building-Characterization Group for (이종훈) 신소재 Low-Dimensional Materials(이종훈) 연구원 G1-3-1. 나노센서 및 나노구동장치 연구그룹 Nano Sensors and Actuators Group(장재성) G1-3-2. 차세대 다차원 소재 및 생산 연구그룹 P1-3; 기계공학 Advanced Multiscale Materials and (Mechanical Engineering) Manufacturing(AM3)(박형욱) (박형욱) G1-3-3. 멀티스케일 전산 유체 연구그룹 Multi-Scal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Research Group(유춘상) G2-1-1. 바이오센싱 및 이미징 2. P2-1; 생명공학 Bio Sensing & Imaging(조윤경) 바이오·화학 (Bioengineering) G2-1-2. 생명시스템 및 대사 공학 연구원 (조윤경) BioSystems & Metabolic Engineering(이성국)
149
연구원
2. 바이오·화학 연구원
3. 인간편의 연구원
4. 그린에너지 연구원
150
프로그램 (프로그램장)
연구그룹 (연구그룹장)
G2-2-1. 만성질환 연구 P2-2; 생명과학 Chronic disease research(서판길) (Life Science) G2-2-2. 줄기세포 연구 (권혁무) Stem cell and development(권혁무) G2-3-1.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 연구그룹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Research Group(나명수) G2-3-2. 그린화학 연구그룹 ·Green Chemistry Research Group(주상훈) P2-3; 나노융합화학소재 P2-3; 나노융합화학소재 (Nano-Convergence (Nano-Convergence Chemistry and Materials) Chemistry and Materials) (나명수) (나명수) G2-3-3. 기능성고분자/자연모사 나노구조 연구그룹 ·Functional Polymers/Bio-inspired Nanostructure Group(김경택) G2-3-4. 나노융합소자 연구그룹 Nano-Convergence Devices(고현협) G2-3-5. 그래핀 연구그룹 Graphene Research Group(백종범) G3-1-1. 나노 소재 및 소자 물리 P3-1; 물리 Nano Materials and Device Physics(박노정) (Physics) G3-1-2. 테라헤르츠 센싱 및 디바이스 연구그룹 정보통신 Terahertz sensing and device research group (박노정) (허민섭) G3-2-1. 탄소 기반 반도체 연구그룹 Carbon-based Transistors Research Group P3-2; 전기전자공학 (김영민) (Electrical Engineering) G3-2-2. 영상처리 및 이해 연구그룹 (김영민) Image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research group(심재영) G3-3-1. 그린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그룹 Green Cloud Computing Research Group P3-3; 컴퓨터공학 (서의성) (Computer Science and G3-3-2. 스마트 정보 기기 연구그룹 Engineering) (이종은) Smart Information Device Research Group (이종은) G4-1-1. 배터리 연구그룹 Battery Science and Technology (조재필) P4-1; 에너지 변환 및 저장 G4-1-2.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그룹 (Energy Conversion and Research Group for Next Generation Storage) Solar Cells(김진영) (조재필) G4-1-3. 전기화학그룹 SM Park Institute of Electrochemistry (박수문)
연구원
4. 그린에너지 연구원
프로그램 (프로그램장) P4-2; 원자력 공학 및 과학 (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 (손동성) P4-3; 환경공학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이창하) P4-4; 도시건설공학 (Urban Infrastructure Engineering) (이명인) P5-1; 디자인공학융합과정 (Interdisciplinary Design and Engineering) (경규형)
5. 테크노경영 디자인 연구원 P5-2; 테크노경영 (Technology Management) (우한균)
연구그룹 (연구그룹장) G4-2-1. 원자력안정성 연구그룹 Research Group for Nuclear Safety(손동성) G4-3-1. 환경 소재 및 공정 신기술 연구그룹 Advanced Environmental Materials and Process Research Group (이창하) G4-4-1. 국가재난 대응기술 연구그룹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Group (이명인) G5-1-1. 차량안전편의연구그룹 Vehicle Safety and Convenience Research Group(경규형) G5-1-2. 서비스디자인&사용자경험 연구그룹 Service Design & User Experience Research Group(정선희) G5-2-1. 에너지경영연구그룹 Energy Management Research Group(우한균) G5-2-2. 디지털비지니스전략연구그룹 Digital Business Strategy Research Group (DBS-RG)(정윤혁) G5-2-3. 국제 개발 연구그룹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Group (Bradley Tatar)
151
Go to Gyeongju
Ulsan Airport
North Cycle Road
Sayeon lake
T
UNIS
Ulsan Nat’l Police Agency
Taehwa River
Ulsan Education Authority
Ulsan Public Prosecutor’s Office Ulsan City Hall Oktyeon Intersection Ulju County office
Ulsan Nat’l Statistical Office
Taehwagang Gongup Top Train Station Roundabout Ulsan Bus Terminal
Ulsan Train Station
Go to Pusan
Toward a World-Leading University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International Students & Scholars
689-798 UNIST-gil 50 (100 Banyeon-ri), Eonyang-eup, Ulju-gun, Ulsan, Korea Tel. 82-52-217-0114 http://www.un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