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한국·아시아 문화와 디자인 5
문화 정체성(Cultural Identity)속의 애니메이션 영화 - <백사:연기(白蛇·缘起)>를 중심으로
장레이, 이동훈
11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중산로를 중심으로
왕휘휘, 홍관선
17
중국 녹읍현(鹿邑县)노자(老子)고향 관광지 지역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사례 연구
니시루이, 안병진
29
중국 명청 시대 강남 지역의 정원 디자인에 관한 연구
장이한, 양성용
36
중국 민남(闽南)지역 향훈기구 디자인 개발
리바오위에, 고정욱
42
중국 심양고궁 박물관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류양, 안병진
창의성/디자인교육 58
중국 아동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 경험 디자인적 접근
윤우람, 고정욱
조형연구
2
63
기억색이 노인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팽자용, 안병진
75
모바일 미디어의 중국어 가독성에 관한 연구
유천, 김형우
80
무의식 디자인(Without Thought)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 비상설 전시 공간의 사인 시스템 제안을 중심으로 루한이, 서한석
86
장예모 감독 영화<삼국-무 영자>의 색상 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주우원위안, 류도상
91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도레미, 박부미
101
중국 SF영화 발전 연구 - 영화 <유랑지구>를 중심으로
장지아멍, 김기수
106
중국 닝원고성(寕遠古城)의 안내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우초, 서한석
110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 중국 10대 재스민 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티엔쥔, 서한석
116
칸딘스키의 음악 시각화 추상형식과 오스카피싱거의 음악 시각화 추상영화와의 관계
청위위, 류도상
122
태종대의 관광안내사인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왕지아, 김경원
129
판타지 영화에 나타난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팀 버튼 감독 작품을 중심으로
장멍치, 양성용
136
한·중·일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분석에 관한 연구
임은송, 서한석
142
한자 캘리그라피의 현대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서예의 전통 ‘장법’을 중심으로
치야센, 장주영
149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관계
조우단, 서한석
154
현대 디자인에서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 장식 문양 도형 요소의 활용에 관한 연구
조정정, 안병진
161
중국 10대 월병 포장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지에펑, 서한석
Vol.1 No.1 August 2019
디자인 방법론 166
도시 수변공간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 탄성 (resilient)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양멍, 홍관선
180
디자인 중심 창업의 자생방안 연구 - 국내 소규모 제조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김현정, 고정욱
192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한 상해박물관 이용자 경험분석
장윈화, 이명희
198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 미치는 제품 요인 연구 - 온라인 쇼핑 리뷰를 중심으로
마추화, 고정욱
207
‘제3의 공간’ 개념의 현대서점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쿄의 GINZA TSUTAYA BOOKS를 중심으로
우리, 홍관선
217
HMD디자인을 위한 기술 발전방향 연구
향가흔, 고정욱
사회적 디자인 221
CPTED에서의 빅 데이터 발전하는 자연적 감시 원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류허, 홍관선
230
MaaS(Mobility-as-a-Service) 기반의 공유자전거 서비스 모델연구
왕양, 이성필
235
건축물 파사드의 생태녹화 디자인 분류표준화 연구
장염, 양성용
242
공유 경제 서비스 모델 연구
쉬엔야오웨이, 이성필
248
공유택시 안전 서비스디자인 연구제안
인징징, 이성필
254
상업 휴게 공간 이용 행태 연구 -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을 중심으로
위더셩, 윤지영
262
역사·문화기반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 특성 디자인 연구 - 중국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장징위, 윤지영
274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류서, 장주영
281
퍼블릭 아트를 통한 역사문화지구의 아이덴티티와 특성 표현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이지엔화, 윤지영
288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을 활용한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뉴욕 하이라인파크’를 중심으로
천원리, 홍관선
300
도시역사지구의 보존과 재생 디자인 연구 – 쑤저우의 평강로를 중심으로
경리, 윤지영
3
Vol.1 No.1 August 2019
문화 정체성(Cultural Identity)속의 애니메이션 영화 - <백사:연기(白蛇·缘起)>를 중심으로 -
Animated Films under Cultural Identity: Focusing on “White Snake·Origin”
장레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문화 정체성, 문화, 애니메이션 Zhang, le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Culture, Cultural Identity, Animatio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문화 정체성(Cultural Identity)속의 애니메이션 영화 1. 서론
<백사: 연기(白蛇: 缘起)>는 추광 애니메이션 스튜디오(Light Chaser Animation Studios) 와 워너 브라더스가 공동 출품하고 황지야캉, 자오치 감독이 연출하였으며 2019년 11 월에 중국 대륙에서 상영한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마오옌 흥행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백사: 연기(白蛇: 缘起)>가 1월 11일 개봉해서부터 2월 18일 상영 종료까지 38일 동안 총 4.49억위안의 흥행 성적을 기록하였다. 이 영화는 초기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영화의 존재 자체도 모르고 있었다. 그러나 많은 관객들이 영화를 시청한 후 자발적으로 입소문을 낸 덕분에 영화는 순식간에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 흥행 성적이 급속도로 상승하였는데, 이 영화의 뒤에는 관객들이 영화에서 나타낸 문화 내용에 대한 인정이 있다. 본문은 문화 정체성 각도에서 영화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문화 정체성이 영화에서 어떻게 관객을 사로잡는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스토리 내용의 문화 정체성
문화 정체성은 문화의 경향성에 대한 인류의 공통된 인식과 인정이다. 인간은 서로 다른 문화 체계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인류의 문화 정체성도 문화의 차이에 따라 다른 양 상을 고이고, 문화 정체성은 자체 문화에 대한 소속 의식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문화는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 정체성도 인류의 문화 발전과 함께 변해가는 역동적 개념이다. 즉 문화의 변화에 따라 문화 정체성에도 변화가 발생한다. 우리는 중국 역사상 특정 단계에서 한족의 문화 정체성에 어떠한 내용, 어떤 특징이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중국인의 문화 정체성”개념으로 중국의 역사를 요약할 수 없다. 때문에 문화 정체성을 역동적 개념으로 인식해야 문화 정체성의 본질과 시대적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백사: 연기(白蛇: 缘起)>의 감독 자오치의 말에 따르면: “우리는 중국의 전통 문화 속 에서 무언가를 발굴하고자 했다. 나는 각 시대의 이야기마다 모두 당시의 시대와 사회 에 들려주는 이야기라고 믿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새로운 시각에서 전통 이야기를 그 려나갈 지에 대해 고민했고, 우리가 그린 이야기가 젊은이들의 인기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했다.” <백사: 연기(白蛇: 缘起)>는 중국 4대민간 전설 중 하나인 <백사전>에서 소 재를 얻었고, 주로 인간으로 수련한 뱀과 인간의 굴곡적인 사랑 이야기를 그렸다. 초기 의 <백사전>은 구두로 전해졌으나 나중에 이르러 민간에서 평화(評話), 설서(說書), 탄 사(彈詞)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변형되었으며, 후기에는 희극 위주의 공연으로 발전을 이 루었다. 희극 형식으로 나타난 <백사전>만 놓고 봐도 황매희(黃梅戱), 상극(湘劇), 여극 (呂劇), 월극(越劇) 등 30여가지의 곡예 종류로 발전하였다. 시대가 발전하면서 <백사 전>은 또 영화 형태로 관중들 앞에 등장하였는데, 스토리 내용과 표현 형식 및 이야기 의미도 사람들의 문화 정체성에 대한 변화와 함께 변하였고, 스토리 속 부정적 이미지 였던 백사도 긍정적 이미지로 서서히 바뀌었다. 그 변화는 주로 3단계로 나뉠 수 있다. 제1단계는 송나라 화본인 <서호삼탑기(西湖三塔 記)>에서 백사가 인간으로 변하여 미인계로 사람을 유혹한 뒤 사람을 잡아 먹는다. 제2 단계는 명나라의 <백낭자 영진 뇌봉탑(白娘子永震雷峰塔)>에서 백사에게 인간성이 부여 되어 더 이상 사람을 잡아먹지는 않지만 법도를 지키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제3단
6
Vol.1 No.1 August 2019
계, 현대의 티엔한이 각색한 <백사전(白蛇傳)>에서 백사는 정과 의리가 있고 은혜를 갚 을 줄 알며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이미지로 되었다. 여기서 인물 이미지가 더욱 현대에 서 여성의 신분에 대한 정의에 부합된다. <백사전> 이야기는 한 순간에 완성된 것이 아 닌 오랜 시간을 거쳐 사람들이 끊임없이 수정하고 다듬어 완성한 것이며, 스토리 줄거 리와 인물 성격도 사람들이 시대의 문화 정체성에 대한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따라서 초기의 사람을 잡아먹는 요괴 또는 나중의 정과 의리가 있는 뱀신이든 모두 사람들이 당시의 주류 문화 정체성 속에서 인물 이미지 부각에 대한 변화이다. 80년대부터 시작 하여 tv가 주요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로 되었고 <백사전>은 드라마와 영화 형식으로 각 색되어 방송되기 시작하였다. 그 중에서 1992년의 <신백낭자전기(新白娘子傳奇)>가 가 장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또 가장 널리 알려졌으며 스토리가 누구나 다 알게 될 정도 였다. 드라마의 스토리 내용 및 주제곡이 매우 익숙하게 알려져 영화 <백사: 연기(白蛇: 缘起)>의 성공을 위해 튼튼한 대중적 기초를 다져놓았다. <백사: 연기(白蛇: 缘起>는 당나라 문학가 류종원의 <포사자설(捕蛇者說)>에서 소재를 취하였고 스토리 줄거리를 <백사전>이야기가 발생하기 500년 전으로 설정하였으며, 주 로 당나라 말기에 국사가 대중들을 이끌고 대대적으로 포사 활동을 벌인 이야기를 그 렸다. 국사를 죽이러 간 백사는 사고로 기억을 잃게 되고 포사 마을의 소년 선이에 의 해 구조된다. 소녀를 도와 기억을 찾기 위해 두 사람은 모험의 여정을 떠난다. 영화의 스토리 내용에 “낯설게하기” 스토리텔링 방식을 활용하여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이야기 를 새롭게 다루었는데, “낯설게하기”의 스토리텔링 전략은 대중들에게 참신한 심미 느 낌을 주었고 원래부터 익숙했던 이야기에 변화와 창의성을 더해 이야기를 재해석하고 서술하여 새로운 의미와 표현을 부여하였다. <백사: 연기(白蛇: 缘起)>는 상영 시 성인을 타깃 목표로 하였는데 이러한 결정은 대중 집단이 보다 스토리 시나리오의 내용 표현에 부합되게 하였다. <백사: 연기(白蛇: 缘 起)>의 스토리 내용은 주로 남자 주인공 허선과 여 주인공 백소정의 사랑 이야기를 다 루었다. 성인들은 나이가 증가됨에 따라 인생 경험도 증가하여 애니메이션 캐릭터 속에 서 보다 쉽게 공통점을 찾을 수 있고 더욱 쉽게 공감대를 형성하여 애니메이션이 내포 하고 있는 숨긴 진리를 더욱 깊이 깨달을 수 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의 복잡한 표현 내용과 감정이 보다 많은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초기의 드라마나 영화에서 <백사전>에 대해 널리 알렸기 때문에 당시의 시청자들이 자 여스럽게 <백사, 연기>의 대중 기초가 되었고, 영화 속에는 과거의 대표적 드라마 <신 백낭자전기>와 영화 <청사>의 쇼트 및 음악을 대량으로 활용하여 스토리를 새롭게 그 리는 한편, 사람들이 기존 스토리에 대한 인정을 활용하여 공감대를 형성하고 새로운 스토리에도 정체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3. 기술적인 면 에서의 본문화 정체성과 문화 자각
3.1. 본문화(本文化) 정체성 본문화(本文化)란 한 대중 집단에서 창조한 기타 문화와 구별되는 문화 내용이고 마치 민족의 독특한 민족 문화, 한 나라 특유의 문화 등을 말한다. 예를 들면 중국 특유의 붓, 바둑, 경극 등이 포함된다. 사람들은 어떠한 문화 속에서 살고 있으며 자신을 성장 시킨 문화에 대한 인정이고 기타 사물에 대해 인정하는 전제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문 화는 특정 요소를 상징으로 하지 않는 완전한 개념이다. 마치 자기 자신이 중국인이라
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는 것은 알고 있지만 본국 문화의 구성에 대해 투철하게 알지 못하고 자기가 어떠한 문 화에서 왔는지에 대해서만 알고 있어도 그에 대한 소속 인식을 가지게 되고 문화 속의 다양한 변화에 의해 흔들리지 않으며 소속 인식이 비교적 안정적이다. 또 초기의 중국 애니메이션 학파는 주로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창작을 진행하 거나, 중국 전통의 수묵 예술로 수묵 애니메이션을 개발하거나, 민간의 종이 공예 기술로 각종 전지 애니메이션을 창작하거나, 중국의 경극 요소를 이미지 디자인에 활용하는 등은 모두 중국의 전통적인 수묵 기법, 경극 동작, 민간 기예 등을 융합시켰다. 그러나 예를 들면 수묵에서의 필법 변화에 어떠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의경은 무엇인지? 어떻게 나타내는지? 등과 같이 전통 기예에 대해 투철하고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적다. 중국 애니 메이션에서 <대요천궁>과 <오만한 장군> 등 애니메이션들은 인물 캐릭터부터 동작 표현 까지 모두 경극 문화를 활용하였으나 인물 캐릭터의 검보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지? 이처럼 섬세하고 깊은 문화 내용에 대해 우리는 대부분 정확히 알지 못한다. 하지만 여러 세대를 거듭하며 은연중에 형성한 본문화에 대한 부각으로 인해 사람들은 본문에 대해 깊은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 때문에 우리는 본문에 자연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3.2. 중국 애니메이션과 문화 자각 이와 같은 정체성을 전제로 초기의 중국 애니메이션은 선배 예술가들이 중국 애니메이 션에서 어떻게 전통 문화를 활용할 지에 대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 눈부신 성과를 이 루었고 심지어 외국에서 “중국 학파”로 인정되기도 하였다. 이런 성과는 전통 예술의 표현과 응용에 대한 인정을 나타낸다. 하지만 정치적 원인으로 인해 중국 애니메이션은 4년 동안 아무런 발전도 없었고, 중기에 이르러 개혁 개방 시기로 진입한 중국은 상하 이 영화를 위주로 하는 애니메이션 산업에 변화를 맞이하였다. 개혁 개방이 시작되면서 훌륭한 외국 애니메이션들이 대량으로 중국으로 들어왔고 중국은 성숙되지 못한 산업 으로 인해 생산량과 품질 면에서 외국의 애니메이션과 경쟁할 수 없었는데 많은 애니 메이션 회사들이 생존을 위해 중국 특색을 가진 애니메이션 형식의 탐색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고 외국의 애니메이션 가공 작업을 받아 하면서 기술 대행 공장으로 전락되 었다. 하여 당시 애니메이션 문화에 대한 젊은 세대들의 인식, 심미, 가치관 모두 미국 과 일본 문화로 기울게 되었다. 중국 정부는 이와 같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2000년부터 황금 시간대에 외국애니메 이션 방영 금지 또는 국산 애니메이션과 수입 애니메이션의 방영 비율을 7:3으로 조정 하는 등 일련의 정책들을 제정하여 국산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지원했다. 이러한 정책들 은 나약한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을 보호하였으나 중국 애니메이션이 치열한 경쟁이 없 는 환경 속에서 느슨해 지도록 하였고, 수량 면에서 급속도로 상승하였으나 본문화 형 식에 대한 애니메이션 내용이 매우 적었다. 뿐만 아니라 같은 시기의 일본 또는 미국 애니메이션에 비해 제작 수준 및 스토리 내용의 표현에 있어 큰 차이를 보여주어 중국 애니메이션의 처지를 더욱 곤경에 빠뜨렸다. 수준 높은 외국 애니메이션의 비교 속에서 관객들은 중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정체성 감정이 매우 낮아 한때는 중국 애니메이션은 짝퉁과 저수준의 대명사라는 인식까지 생겼다. 심지어 일부 사람들은 중국의 전통 문화 는 더 이상 지금 이 시대와 알맞지 않아 성공하기 어렵다고 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은 강력한 외래 문화의 충격 속에서 본문화에 대한 의구심이 생 기기 시작한 것이다.
8
Vol.1 No.1 August 2019
시대의 발전과 함께 중국 초기의 애니메이션 제작 이념과 산업은 더 이상 현재의 애니 메이션 시장에 적응하지 못하였고 현재 사회에서 전통 문화의 실용성이 점점 줄어들었 다. 때문에 일정한 부분에서 우리가 자체 전통 문화에 대한 인정은 많은 부분에서 실용 적 가치가 아닌 그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인정이고, 현대인들의 전통 문화에 대한 정체성 인정은 한편으로 민족 감정에 대한 의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 민족 문화의 존재 가 치와 상징으로서 존재하게 된다. 페이샤오퉁이 제기한 “문화 자각”개념에서 문화 자각의 뜻은 바로 자체 문화에 대한 이 해이다. 맹목적으로 전통 문화를 기준으로 삼지 않고 또는 단편적으로 외래 문화를 거 부하는 것이 아닌 자기 민족 문화의 정수를 깊이 이해하여, 좋은 것은 남기고 나쁜 것 은 제거하며, 낡은 것은 버리고 새로운 것은 선택하여 옛 문화를 오늘의 현실에 맞게 받아들이는 것이다. 민족 문화에 대해서도 스스로를 너무 낮추거나 완전한 서양화를 막 아야 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자부심에 빠져 옛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피해 비 판적으로 전통 문화를 승계하여 세계화가 진행되는 오늘날 민족 문화에 대해 재구성하 고 혁신하여 널리 알려야 한다. “문화 자각을 기반으로 문화를 전승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문화 자신감을 세워 문화 자강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현재 가져야 할 문화 태도이다.” 영화 <백사: 연기(白蛇: 缘起)>는 3D기술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시각적 부분에서 창 작팀은 작품 구상을 마친 후 역사적 자료를 대거 수집하였고 당나라 말기와 송나라 문 화에 대해 공부하여 건축 양식, 의상 디자인, 인물 조형 등에 대한 섬세한 고증을 진행 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당나라 목재 불탑, 도관 및 옛 성에 대한 연 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영화에서 당시의 인문 풍습을 최대한 표현하고자 하였고 “구이저우의 옛 마을, 동굴, 카르스트 지형 등에 대한 현지 조사를 통해 영화의 중국 양식에 기반을 마련하였다. <백사: 연기(白蛇: 缘起)>은 중국 수묵, 종이 공예, 색채 등 과 같은 중국의 전통 미학 심미 언어를 충분히 활용하였다. 감독 자오치의 말에 따르면 “영화는 입체적 특징이 있는 3D영상을 통해 평면 효과의 중국 산수의 정취를 추구하였다.” 자연 풍경의 표현에서는 3D기술을 사용하여 배경에 대한 수묵화 처리를 진행하였고 농후한 동양 의경을 조성하려 하였다. 또한 영화는 중국 전통 문화의 특색에서 기문둔 갑(奇門遁甲), 음양 오행, 윤회전세(輪廻轉世)등과 같은 불교와 도교 문화를 활용하였는 데,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던 법술과 이념들은 가상 세계의 실감을 보다 풍성하게 하였 고 또 관객들이 영화 속의 세계관에 동질감을 느끼도록 하였다. 음성 부분에서 스토리 의 동양 고전 양식에 맞추고 또 현재 젊은 관객들이 취향에 맞추기 위해 “전통 관현악 에 전자 음악 요소와 제작 방식을 더했고 마지막으로 민족 음악 요소를 추가하였다. 이 런 방식으로 대범한 양식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리듬에서 젊은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 고자 하였다.” <백사: 연기(白蛇: 缘起)>는 전통 민족 문화에 대한 창의적 표현이다. 영화는 현재 가장 선진 적인 영화 기술에 중국 전통 문화를 접목시켜 전문 문화에 대한 발굴을 진행하였 고, 현대의 심미와 가치관에 부합되는 새로운 형식으로 관객들 앞에 나타났으며 본토 문화에 뿌리를 박고 외부의 뛰어난 요소를 융합하였는데 이 부분은 중국 애니메이션이 발전할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이다.
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 결론
애니메이션 영화의 본질은 문화에 대한 표현 방식이고 시청 언어이다. 영화 한편이 사 람을 매료시킬 수 있는 진정한 매력은 애니메이션이 내포하고 있는 문화에 있다. 우리 가 표현하고자 하는 문화 내용에 대해 관객들이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야말로 영 화가 성공할 수 있는 근본이고, 영화 속 내용에 대한 표현 형식인 이미지, 음성, 특수 효과 등 뛰어난 기술은 보다 대중들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형식으로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스토리 내용에 대해 인정 받고자 하는 형식에 불과하다. <백사: 연기(白蛇: 缘起)> 의 성공은 우리들에게 본문화에 대한 고도의 정체성을 증명하였고, 정확한 표현 방법을 찾아야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는 현재의 선진 기술 여건을 충분히 활 용하여 우리의 전통 문화에 대해 새롭게 이해하고 창작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 전통 문화의 매력을 이해하고 느끼도록 해야 하다.
참고문헌 张继梅. 文化自觉与文化传承[J]. 齐鲁学刊, 2013(4) 郑晓云。文化认同论 1992年 贾否.动画概论<第三版>2010.8 高艳芳 中国白蛇传经典的建构与阐释 2014.5
10
Vol.1 No.1 August 2019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중산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ceness of Vacant Houses in the Street of Historical Culture - Focusing on Hangzhou Zhongshan Road -
왕휘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Wang, Hui Hu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역사문화거리, 빈집, 장소성 Keyword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Street of Historical Culture, Vacant Houses,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Placenes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세계화라는 파도 속에서 도시에는 보편적으로 ‘개성화상실’이라는 문제가 생겨났다. 따 라서, 경제 세계화 추진 과정 중에서 지방 문화와 도시 개성화 보호가 절박한 실정이 다. 현대 도시에 있어 역사 문화 거리는 도시의 역사 문화 발전과 도시 경관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도시 가치와 도시 정체성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도시 개 성화라는 속성이 표현된다. 역사문화거리는 도시 문화유산이 가장 집중된 구역으로, 장소에 대한 사람들의 신뢰를 담고 있다. 중심가의 발전에 비해, 주변가의 발전 상황은 점차 쇠퇴하고, 장소성은 상 실되었다.부가로의 장소성이 상실되었고, 이를 통해 빈집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고, 따 라서 역사문화단지 주변가의 발전과 빈집 문제에 대한 관심이 아주 시급하다. 중국 항저우는 8대 고도 중 하나로, 국가 최초의 역사 문화 도시이다. 남송시대부터 항 저우는 중요한 역사가 유구한 도시였다. 지난 20년 동안, 항주(杭州)에서는 거의 90% 이상의 역사 건축물이 훼손되었고, 중산로는 항주에서 헐고 남은 10%의 역사문화거리 중 가장 큰 구역이다.1)중산로 의 디자이너 왕슈(王澍)는 심층적인 개조 관점을 제시했 다. 중심가 외에 주변가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는 본문의 연구 배경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는 중국 항저우 중산로의 빈집을 연구 대상으로 하며, 중산로의 역사 문화를 배 경으로 도시가로 빈집의 장소성에 대해 평가적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장소성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연구를 하고, 장소와 장소상실에 대한 기념에서 시작하며, 디자인 의 각도에서 사례 분석과 중산로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영역적 방법을 평가 연구하고,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보호 가치를 강조하면서, 역사문화거리 경제의 발전을 추진한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항저우의 역사 문화 거리 재생 사례인 중산로(中山路)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 문화 거리 빈방 문제, 장소성의 개념, 역사 문화 거리 빈 방의 재생과 장소성의 상관성을 고찰한다. 둘째,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하여 역사 문화 거리의 재생 속에서 나타나는 장소성에 대해 정리 및 분석을 하고, 형태적인 각도, 인지적 각도, 사회적 각도, 시각적 각도, 기능적 각도, 시간적 각도에서 장소성 평가 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사례 분석을 통해 장소성의 평가 요소를 검증하고 해석한다. 넷째,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적 의사 결정방법)분석을 통해 역사문화거리에 있는 빈집의 장소성 평가요소의 중요도를 도출 한다. 마지막으로, 장소성에 대한 평가요소에서 파생되어 나온 구체적인 문제를 분석하여, 빈 집 활용에 대한 영역적 방법을 도출한다.
1) 王澍,中山路:一条路的复兴与一座城市的复兴,杭州,中国,世界建筑,2012, p.114,
12
Vol.1 No.1 August 2019
2. 이론적 고찰
2.1. 역사문화거리에서 빈집의 이론적 고찰 2.1.1. 중산로의 역사문화적 배경 항주 중산로(中山路)는 항주시 구시가지에 위 치하고 있으며, 중산중로(中山中路), 중산북로 (中山北路), 중산남로(中山南路)로 나뉜다. 역 사상 줄곧 항주의 대표적인 번화가였지만, 건 축물 밀도의 증가와 역사적 상황의 변화에 따 라, 어가(御街)의 발전은 방해를 받으면서, 점 점 쇠락하게 되었다. 2008년 초 정식으로 중 산중로를 핵심으로 하는 종합보호와 유기갱 신공사가 시작되었다. 리모델링 중, 역사문화 거리의 심층적 개조를 강조하며, 주변가 발전 의 불균형과 그에 따른 빈집 문제를 해결하 고, 현재는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 상업, 관광 에 적합한 특색있는 도시공간을 만들며, 항주 의 또 하나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본 논문은 빈집을 리모델링한 우수한 사례인 중산로 진열관, 벽집, 100년 고택을 선택해 분석을 진행하며, 빈집의 장소성의 연역적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1.2. 역사문화거리의 개념 및 특성 ‘역사문화거리’의 개념이 처음 제시된 것은 1933년 8월 국제현대건축학회가 아테네에 서 통과시킨 <아테네헌장>의 ‘역사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과 거리에 대해 적절히 보존하 고, 훼손하지 않는다.’라는 문장이다. 중국은 1986년 국무원이 제2회 국가급 역사문화명성을 공포할 때 정식으로 ‘역사문화 거리’라는 개념을 다음 문장 속에서 제시했다. ‘역사문화명성이란, 도시의 역사와 그 보 존된 문물 고적만을 보아서는 안 되고, 그 현상 구조와 풍모가 역사적 특색을 보존하고 있는지, 도시의 전통적 풍모를 어느 정도 대표할 수 있는 거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아 야 한다.’2)
2.1.3.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의 개념 현재 빈집이라는 개념은 법률상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빈집 및 소규모주 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농어촌정비법」,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서는 6개월 혹은 1년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빈집 여부를 판단한다.3) 부동산에서 ‘유휴’와 ‘거치’는 같은 개념은 아니지만, 이들 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 문에 종종 혼용된다. 현재 토론을 기초로 하여 두 가지 개념을 정의한다면, ‘유휴’는 (이미 개발된)토지와 건축물이 적절히 사용되지 않고 비어있는 상태로 있는 것을 가리 키고, ‘거치’는 (이미 개발된) 토지와 건축물이 물리적, 경제적 혹은 사회적으로 아직 2) 徐林强,历史街区旅游规划初期居民感知和态度研究—以杭州中山路为例,浙江大学,2008, p.7, 3) 노민지, 빈집의 공간분포와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2017, p.40-41
1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적절히 관리되지 못한 상태를 가리킨다.
4)이는
유휴와 유휴상태의 부동산을 포함하며,
‘유휴, 거치 부동산’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에서 말한 토론에 기초하여 역사문화거리에서 거치, 유휴 상태에 있는 민가와 잠재적 유휴 가능성이 있는 집을 모두 빈집이라고 설정한다.
2.1.4.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의 재생 및 의미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재생이란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을 ‘살아 있는 문화’로 여기는 것이 고, 역사문화거리만의 역사적 골목, 민가 및 주택, 고목 및 고물 등 여러 요소들을 종합 적으로 이용해서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의 장소성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재생을 통해 거리의 경제적 발전 추진과 문화적 계승애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 을 것을 기대한다.
2.2. 장소성의 이론적 고찰 2.2.1. 장소성과 공간 공간은 동적이고, 개방적이며, 자유롭고 위협적이지만, 장소는 정적이다. 장소는 개인 이 가치를 부여한 안식처로, 안정감과 사랑을 느끼게 해주는 곳이다. 공간은 장소보다 추상적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공간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공간에 가치를 부여하면 공간은 장소가 된다.5)
2.2.2. 장소성의 형성 요소와 필요성 현상학적 공간 파악을 한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는 장소성을 하나의 특징으로 선정하거나 집약하는 것은 지역의 고유한 상황과 계획의 목적이나 경험에 달려있고 중 요한 것은 물리적 환경·인간의 활동·의미라는 세 가지 요소가 항상 어떤 방식으로 상호 관련되느냐가 중요하며, 다른 요소로 대치될 수 없다고 말한다.6)이러한 하위 구성요소 들 각각은 특정 장소성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세 가지 기본요소는 장소의 경험 속에서 얽혀 각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성립된다. 장소의 의미는 물리적 환경, 인간 활동과 긴밀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공간 활동을 통해 장소에 의미 부여를 하게 되며, 의미 부여는 다른 장소와 구분되는 자신만 의 의미 요소와 질서 요소를 가짐으로써 장소성이 형성되어 최종적으로 지역사회의 구 성원들과 공유되어 공통성의 기반으로 성립되게 된다. 장소성은 인간의 체험에 의한 인 간의 의미 부여에 의해 형성된다. 장소의 의미는 인간의 의도성을 속성으로 하는데, 여 기서 의도성이란 특정한 흥미·경험·관점을 반영하는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다양성을 포 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장소의 의미는 복합적이고 모호하여 의미를 포착하기 가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7)
4) 물리적 방치는 전기・가스・수도 중단, 관리되지 않는 외관이나 구조적 위험 등이 있는 경우, 경제적 방치는 압류, 유 치권 설정이 되어 있거나 임대료 등 경제적 수익을 얻을 수 없는 경우, 사회적 방치는 주변 근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말함(한수경, 이희연 2016,) 5)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대윤, 1995(2011), p.4 6)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옮김, 장소와 장소상실, pp.113-114 7) 에드워드 렐프, op. cit., p.113
14
Vol.1 No.1 August 2019
‘물리적 요인’과 인간의 활동인 ‘활동적 요인’은 사람들의 경험과 체험에 따라서 의미를 부여받고 그 공간에서의 특별한 장소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장소성 형성 요소에서 ‘의미 적 요인’은 종속 변인으로서 인간과 환경의 결합으로 영향을 받는다.8)
2.3. 연구의 차별성 빈집에 대한 사회 정치적 흥미가 증가함에 따라서, 빈집에 대한 연구도 많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빈집에 대한 연구는 부동산 데이터 통계와 개념적 정의에 대부분 머무르 고 있고, 빈집의 활용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문은 선행연구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을 통해서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활용을 실현시킨다. 본문은 역사문 화거리 재생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역사문화거리 속 빈방 활용의 가치를 분석한다. 또, 역사문화거리의 주변가 와 부가로의 발전 불균형 현상 분석에서 시작하여 재생 이론과 장소성 이론을 종합하고, 장소 환경의 공간 구성과 형태에 대해 분석한다.
3. 역사문화
본문은 장소성 이론을 기초로 하여 장소와 장소 상실의 개념에 시작하고, 역사문화거리 에서 나타나는 각종 설계문제에 대해서 토론한다. ‘대중’문화로 인해 문화와 장소는 동
거리에서
질화, 표준화되었고, 대중문화는 지방문화를 압도하며 심지어는 파괴했다. 장소에 대한
빈집의 장소성
사람들의 감정은 파괴되었고, 사람들은 공동체의식을 빼앗겼으며, 결국은 장소를 잃어
평가요소 선정
버렸다. 본문은 Matthew Carmona의 <도시설계>의 6가지 차원에서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활용 에 대해 연구하고, 도시 설계의 각도에서 중산로의 빈집 활용을 평가한다. 도시설계는 형태, 지각, 사회, 시각, 기능, 시간의 여섯 가지 차원에 차례대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빈집의 재생은 이러한 차원을 동시에 고려해야만, 비로소 전체성을 구현할 수 있다. 그래 서,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평가요소는 이 여섯 가지 차원에서 고려된다.
3.1. 형태적 차원
[표 2] 평가요소
도시설계의 형태적 차원은 도시의 형태와 공간의 배치와 구조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문제이다.
3.2. 지각적 차원 지각적 차원은 장소 인지에 대한 사람의 인식과 평 가, 특히 장소에 대한 인지와 체험이다.
3.3. 사회적 차원 사회적 차원은 장소의 구조와 사회 사이의 관련성 에 중점을 두며, 사람들(사회)은 장소를 창조하고 개조하는 동시에 장소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화시킨다.
8) 한수민, 장소성 확보를 위한 참여디자인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2.12, p.10
1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4. 시각적 차원 시각적 차원은 주로 도시설계의 예술적 형식을 탐구한다.
3.5. 기능적 차원 기능적 차원은 설계가 더 나은 장소를 창조하다.
3.6. 시간적 차원 시간적 차원은 시간의 추이에 따라, 공간이 장소가 되고, 시간이 쌓이면서 더 의미를 가진다는 것에 주목한다.
4. 사례분석
본 연구는 역사거리에서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영역적 방법으로, Matthew Carmona 의 도시설계이론의 6가지 차원에서 13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빈집의 영역적 방법을 제 시하려고 시도했으며, 사례의 선택과 분석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중산로 내 빈집의 활용을 선택 기준으로 삼아, 관련 논문에서 출현 빈도가 비교적 높은 사례를 선택하여 원시기능이 이미 상실된 100년 고택을 선정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Matthew Carmona의 도시설계이론의 6가지 차원에서 도출한 13가지 요소에 기초하여, 사례의 설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참고문헌 노민지, 빈집의 공간분포와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 원부동산학과,2017 물리적 방치는 전기・가스・수도 중단, 관리되지 않는 외관이나 구조적 위험 등이 있는 경우, 경제적 방치는 압류, 유치권 설정이 되어 있거나 임대료 등 경제적 수익을 얻을 수 없는 경우, 사회적 방치는 주변 근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말함(한수경, 이희연 2016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옮김, 장소와 장소상실 한수민, 장소성 확보를 위한 참여디자인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2.12.
16
Vol.1 No.1 August 2019
중국 녹읍현(鹿邑县) 노자(老子)고향 관광지 지역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사례 연구 A Study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design utilizing image of Luyi Laozi hometown sightseeing place of China
니시루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안병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Ni, Xi Ru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지역이미지, 문화관광상품, 시각적표현, 관광지 Keyword
Ahn, Byoung jin(Corresponding author)_
Local image, Cultural tourism products,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Visual representation, Tourist destinatio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녹읍현(鹿邑县) 노자(老子)고향 관광지 지역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사례 연구
1. 서론
1.1. 연구 뱅경 및 목적 중국은 개혁과 개방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양적 성장에 치중한 반면, 질적 성 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국민 소득수준의 향상은 여가 시간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일련의 관광문화를 위한 여건이 조성됨에 따라 대다수의 국민이 주어진 시간을 가치 있게 활용하기 위해 그에 알맞은 시간 활용계획을 수립하여 여가 활동을 누리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의 삶에 대한 만족을 위해 관광문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 는 실태이며, 관광문화에 대한 욕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오늘날 관광은 문화적 수요를 추구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문화 활동이며, 높은 문화 서비스를 통해서, 관광객들의 만족을 넘어, 그들에게 감동을 주는 일종의 서비스이다. 세계 각국과 각 지역은 독특한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관광상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이것으로 이익창출과 취업 기회창출이 특별히 주목된다. 도시 및 지 역의 독특한 전통 문화는 독창적인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원천이 되었고, 각국에서는 자신들의 문화적 특색을 부각시킨 상품을 개발하고, 상품 홍보에 힘쓰고 있 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관광상품의 개발은 지역이나 그 나라 전통문화 가치에 역사 성과 정체성을 부여하며, 디자인 제작 상품을 결합한 산업, 오늘날 문화관광상품들은 경제와 무역에서 중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문화관광상품을 이미 생산하고 있는 선진 국들은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고, 취업기회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자기 나라나 지역 브랜드의 이미지를 높이며, 관광 홍보의 매개체가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노자 고향 관광지는 중국 하남지역의 국가급 4A 관광 명승지로, 관광지는 태청궁풍경구(太清宫风景区), 명도궁풍경구(明道宫风景区)로 나누어 구성된 다. 이 곳은 중국 고대의 위대한 사상가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역사문화의 명인 노자 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후대인들이 그 제사행사에 대해 남긴 문화재 고적을 주체로 하 고, 주변의 다른 유명한 역사유적의 인문경관을 배합하고, 이 지역 특유의 자연경관과 결합하여 역사문화, 자연풍경, 휴식을 하나로 하는 종합관광구이다. 그러나, 노자 고향 의 문화관광상품은 현재 중국 하남지역의 4A급 휴양 명승지의 위상에 부합하지 않게, 단지 중국 전통의 서적, 금은옥기 등이 있을 뿐, 제대로 잘 개발된 문화관광상품이 없 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하남의 대표적인 관광지 노자 고향 관광지를 대상으로, 국외 문화 유명인관광지문화상품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 하남성의 대표적인 관광지 노자 고향 관 광지의 문화관광상품 디자인 방향설정에 적용할 수 있는 학제적 연구의 기초를 구축한 다. 또한, 지방에 기초한 문화관광상품 디자인을 제시하면서, 노자 고향 관광지의 문화 관광상품에 대한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미래의 노자 고향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돕 는데 목적을 둔다.
18
Vol.1 No.1 August 2019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중국 하남지역의 4A 관광 지구 노자 고향 관광지를 조사대상으 로, 문화유명인관광지문화상품에 대한 비교분석, 이론연구를 통해, 문화관광상품에 필 요한 요소를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노자 고향 관광지의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하는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했다.
2. 지역 이미지와 문화관광 상품의 이론적 고찰
2.1. 지역 이미지의 개념 지역이미지는 제품이나 서비스도 아니지만 관광지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관광객에게 동 기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관광학 분야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1) 지역 이미지가 지역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마케팅 중요한 수단임을 밝히 고 있으며, 그리고 지역이미지는 비록 같은 장소라 할지라도 그것을 보는 사람의 개성 이나 독특한 경험 때문에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유사한 문화적 혹은 사회 경제적 특성을 지닌 개개인의 집단은 같은 이미지를 공유하게 된다. 또한 지 역이미지는 지역사회의 정보를 바탕으로 형성되기도 하고, 개인의 개별적 특성과 경험 에 따라 형성된다.2) 특정 지역으로 관광을 결정하는 과정과 재방문의사 혹은 주변인물 들이 해당 지역에 대해 갖게 되는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전반적인 관광산업의 성 장발전 잠재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지역이미지란 인간 심 리, 도시계획 디자인 및 환경, 조직 지역발전성과에서의 이미지가 복합적으로 관련지어 진 형태로 지역에 대한 개개인의 마음속에 있는 생각으로서 몇 가지의 독특한 특성들 이 주된 영향을 주어 대상 전체에 대한 이미지가 형성된다고 하였다. 그래서 지역이미지란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에 대한방문객들의 경험과 지식, 신념의 총체적 지각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이미지를 특정 지역을 방문 한 관광객들이 그 지역이 갖고 있는 자연, 환경, 인정, 문화, 전통 특성 등 지역을 구성 하고 있는 요소에 대해 가지는 전반적 인식 또는 지각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2. 문화관광 상품의 분류 한 국가의 문화상품은 고유의 가치관과 사고방식, 생활양식 등의 문화를 상품화하여 수 요의 지속적인 창출이 가능하며, 국가의 이미지를 창출해 일반 공산품을 비롯한 국가전 체의 경쟁력 제고와 직결되며, 많은 고용기회를 창출하는 등 산업 연관 효과와 환경 친 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파급효과(波及效果)가 매우 큰 분야이다.3) 관광에 있어서 문화는 중요한 상품으로 해당 지역의 특색을 나타내 주는 지역문화나 민족문화는 예능, 공예품, 축제와 같은 생활관행은 관광이라는 구조 중에서 연출되며,
1) 정은정, 김창수, “지역 축제 브랜드가 지역이미지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제16권 제호 통권52호, 2012.9, pp.293-316 2) 표원정, 사효란, 정석중, “지역이미지가 관광정보의 신뢰성과 확산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 경영 학회』. Vol.55 No.0.2013. pp309-326 3) 강형기, “지역브랜드의 개발과 경영”, 『한국정책연구원』, 2010.
1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이때 문화는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4) 이는 여행의 유형적 증거물이자 추억을 상 기시키기 위해 구매하는 제품이며, 이러한 관광기념품의 유형은 [표 1]5)와 같다. [표 1] Gordon의 관광기념품 유형 구분 시각적인 기념품
특징
종류
가장 일반적인 기념품 형태
사진, 카드, 포스터
자연 기념품
자연 노획물
돌, 조개껍질, 나뭇잎 등 자연물의 일부
상징 기념품
제조품으로서 특정 지역의 상징적 기념물 또는 경관과 관련된 내용물
석가탑, 다보탑 등의 미니어처, 돌하르방 등
표상 기념품
특정 시. 공간에 관한 기록을 담고 있는 일반적 제조품
관광지 지명 또는 로고가 새겨진 제품, 공산품
토산 기념품
지방고유의 전통이 담긴기념품
민속음식, 민속주, 전통의상 등
2.3. 지역 이미지 문화 상품의 파급 효과 일반적으로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먼저 검토해 보면 고용, 소득, 생산 부문에서 투자와 생산력 제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관광산업은 고용기회의 창출, 소득증대, 자본유입, 지역생산력의 증대 등을 수반 할 수 있다. 그리고 관광산업은 스 포츠, 레저산업, 리조트산업, 컨벤션산업, 쇼핑, 생활문화산업 등 많은 관련 산업을 포 함하거나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산업들은 노동집약형 이며 지역 환원율이 높은 산업들이 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제효과에 대한 간접파 급효과로서 지역경제의 자극, 환경 개선, 문화 창조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즉 관광산업 의 투자가 계기가 되어 이벤트 등의 관련 산업이 육성되고 관련소비를 유발하는 등 지 역경제를 자극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미화 등의 도시경관 창출과 도시재개발의 촉진 등 지역 환경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며, 시민문화수준의 향상, 지역간, 국제간의 문화교 류를 촉진시키는 등의 지역 문화 창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여타 산업의 개발효과는 대개 경제적, 사회적인 면에서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반해, 관광 개발은 문화적, 환경적인 면에 이르기까지 더욱 광범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여타산업 (생 산업과제조업)들의 투자 (원자재 구입과 재고관리, 인력양성)가 지속적인데 비해 관광 투자는 비교적 일시적이면서 부가가치가 크기 때문에 지역개발의 수단으로 더욱 효과 적인 방법이 되고 있다.6) 문화관광상품 개발의 효과는 문화적으로는 전통문화의 개발과 보존, 문화적 자부심의 함양 등의 효과가 기대되며 사회적으로는 축제 참여를 통한 주민연대감의 강화, 주민단 합에 의한 지역 정체성의 구축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경제적으로는 관광 수입 및 특산 물의 생산과 판매를 통한소득증대 및 지역하부구조의 발전효과, 지역 내 취업기회의 확 대에 의한 지역일꾼의 양성과 이농인구의 방지효과 그리고 지역 내의 소득증대와 고용 창출로 인한 지역경제의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 이외에도 무공해 산업으로써 지역의 환경을 심하게 훼손시키지 않고 전개할 수 있다는 환경적 이점도 있다.7) 4) 김정국·이호선,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5) 김정엽, “공예문화상품의 브랜드디자인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9. 6) 김성기 (2007), 『관광자원론』, 학현사. 7) 임종원·박철, 전게논문, p.243.
20
Vol.1 No.1 August 2019
이와 같이 제 학자들의 논의를 종합하면 문화관광상품은 종교, 예술, 풍습, 의례, 축제, 놀이, 역사 등 이러한 문화요소들을 상업화한 것들로써 향토특산물, 공예품, 상징물, 사 적등 유형화된 상품과 무형문화재, 축제, 민속놀이 등 무형화된 상품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문화관광상품의 개발을 통해서 한 지역이 얻게 될 효과는 [표2]8)과 같이 문화 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표 2] 문화관광상품 개발의 효과 특성
3. 국외 명인고향
문화적
∙ 전통문화의 보존과 개발 ∙ 문화적 자부심 함양
사회적
∙ 주민 간 연대감 강화 ∙ 지역의 정체성 구축
경제적
∙ 지역특산물 개발로 지역산업육성 및 소득증가 ∙ 관광상품의 개발로 관광수입 증대와 지역하부구조의 발전 ∙ 지방중소기업의 발전으로 지역 일자리 확충과 이농인구의 방지 ∙ 지역 내 기업 간의 교류로 지역경제의 제고
[표 3] 베토벤과 본의 문화 분석
관광지 문화관광 상품의
기 대 효 과
개요
사례분석
이름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국가 지역
독일의 본(Bonn)
시간
1770년 12월 17일 ~ 1827년 3월 26일
∙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독일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이다.가장 잘 알려진 작품 가운데에는 〈교향곡 5 번〉, 〈교향곡 6번〉, 〈교향곡 9번〉, 〈비창 소나타〉, 〈월광 소나타〉 등이 있다. ∙ 본(Bonn), 공식적 명칭으로 연방도시 본은 독일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있는 도시이다. 본은 독일 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2천 년 이상의 역사를 지녔다. 유래는 게르만족과 로마인의 거주지 이다.
명인 사진
고향 사진
센터 플라자
관광객 센터
8) 임종원·박철, “지역문화상품개발을 위한 지방중소기업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지』, 제17권 제2호, 1995
2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고향 사진
베토벤의 생가
시청
[표 4] 베토벤 고향의 문화관광상품 분석 문화관광상품 사진 및 내용
22
법랑침 베토벤의 이미지를 캐릭터화한 법랑침.
티셔츠 티셔츠 위의 베토벤은 현대 사회에나 있는 이어폰과 결 합하여 자신감 있게 먼 곳을 바라보고 있다. 말기에 귀가 들리지 않았지만, 운명에 불복하지 않고 수 많은 명곡을 만들려고 했던 베토벤의 완강한 정신을 표현하였다.
컵 베토벤의 명곡 <교향곡 5번>의 악보를 바탕으로 한 컵.
엽서 베토벤의 이미지와 그의 고향 본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 용해서 만든 엽서.
가방 베토벤의 초상화 요소를 사용해서 만든 가방이다.
카펫 베토벤의 명곡 <운명>의 악보를 기초 원소로 만든 카펫.
스카프 베토벤의 유명한 노래 “달빛의 소나타”의 기본 요소로 만든 스카프.
안경 케이스 베토벤의 이미지와 악보를 이용하여 만든 안경 케이스.
Vol.1 No.1 August 2019
[표 5] 안토니 가우디 이코르네트와 스페인 카탈루냐 문화 분석
개요
이름
안토니 가우디 이코르네트(Antoni Placid Gaudí i Cornet)
국가 지역
스페인 카탈루냐(Catalunya)
시간
1852년 6월 25일 ~ 1926년 6월 10일
∙ 안토니 가우디 이코르네트은 스페인 카탈루냐 지역의 건축가이다.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밀라 주택, 바 트요 주택, 구엘 저택, 구엘 공원,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등을 설계했다. 가우디는 당시 카탈루냐 건 축을 주도했던 고전주의 건축을 벗어나, 건조한 기하학 만이 강조된 건축이 아닌 나무, 하늘, 구름, 바 람, 식물, 곤충 등 자연의 사물들을 관찰했고, 그런 형태들의 가능성에 관하여 진지하게 고민했다. ∙ 카탈루냐는 이베리아 반도 북동부에 위치한 스페인의 자치 지방이다. 주도는 바르셀로나이다. 바르셀로나 주, 지로나 주, 예이다 주, 타라고나 주의 4개 주로 나뉘며, 다시 41개의 세부 단위인 코마르카로 나뉜다.
명인 사진
사그라다 파밀리아
카사 바트요가
고향 사진
구엘 공원
카사밀라
[표 6] 안토니가우디 이코르네트 고향의 문화관광상품 분석 문화관광상품 사진 및 내용
용조각 바르셀로나 구엘공원(Park Guell)에 있는 용조각을 응 용한 마그넷(Magnet) 기념품이다. 이와 더불어 기념품 의 모티브가 된 용조각은 가우디가 즐겨 사용한 타일을 이용한 모자이크 기법으로서 기념품에도 그기법을 응용 하였다.
모형 가우디가 디자인한 카사 바트요가 원형을 위해 만든 카 사 바트요 모형문화관광상품
2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문화관광상품 사진 및 내용
주방 식기 가우디의 대표적인 깨진 대리석을 이어붙인 스타일로 만 든 도자기 문화관광상품
컵 및 문구 가우디의 대표적인 깨진 대리석을 이어붙인 스타일로 만 든 컵과 문구문화관광상품
펜던트 가우디가 디자인한 사그라다 파밀리아 요소로 만들어진 브로치이다.
브로치 구엘 공원의 상징적인 장식품이자, 카탈루냐 지역의 상 징인 컬러 조각 도자기 외관의 거대한 도마뱀을 원소로 만든 브로치이다.
시계 가우디가 디자인한 사그라다 파밀리아 건축요소로 만들 어진 시계.
인형 가우디가 즐겨 사용한 트렌카디스 기법을 바탕으로 만든 인형
[표 7] 카를 마르크스와 트리어의 문화 분석
개요
명인 사진
24
이름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국가 지역
독일의 트리어(Trier)
시간
1818년 5월 5일-1883년 3월 14일
∙ 카를 마르크스 독일의 트리어 출신. 그의 대표작은 1848년 출간된 소책자 『공산당 선언』과 3권짜리 『자본론』이다. 마르크스의 정치사상과 철학사상은 그 이후의 사상사, 경제사, 정치사에 거대한 영향을 남겼으며, 마르크스주의라는 일대 학파를 이루어 그 이름은 보통명사, 형용사화되었다. ∙ 트리어는 과거 갈리아 제국의 수도였으며 고대로마시대부터 현재까지 2000년이 넘는 도시역사를 간직 한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다.
Vol.1 No.1 August 2019
고향 사진
트리르 대성당
니그라 성문
마르크스 생가
콘스탄티누스 바실리카
[표 8] 카를 마르크스 고향의 문화관광상품 분석 문화관광상품 사진 및 내용
엽서 마르크스의 캐릭터 만화로 제작 된 쉽고 재미있는 엽서.
가방 트리어시 지역의 신호등 그림은 모두 마르크스의 캐릭터 형상인데, 귀여운 신호등은 기념품으로 집에 가져갈 수 없지만 마르크스 신호등 캐릭터가 새겨진 가방은 관광객 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다.
컵 마르크스의 초상화와 만화 캐릭터를 바탕으로 한 컵.
쿠키 몰드 마르크스의 측면 형상의 윤곽을 사용해 만든 마르크스 형상의 쿠키를 만들 수 있는 쿠키 몰드.
고무오리 마르크스 이미지로 제작된 귀여운 마르크스 고무오리.
티셔츠 마르크스 두상 그림을 사용해 만든 공산주의적인 티셔츠.
2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문화관광상품 사진 및 내용
와인 일상 생활에서 마르크스는 정통 포도주 애호가였다. 트 리어 사람들은 마르크스를 기념하기 위해서 마르크스 와 인을 생산했는데, 와인의 병에는 마르크스의 형상과 그 의 유명한 문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4. 분석 결과
십자수 배지 마르크스의 형상을 사용하여 만든 십자수 배지.
각 국가의 문화상품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문화성, 기능성, 독창성 등을 적극적으 로 반영했다. 소비자들의 취향에 따라 여러 가지 문화상품을 개발하면, 내국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의 취향도 많이 반영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베토벤, 가우디, 마르크스 유명인들의 고향지역의 문화관광상품을 위주로, 현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진행한다. 본(Bonn)은 베토벤의 고향으로, 이 세계의 위대한 음악가가 자란 곳이다. 베토벤에 관 한 본의 지역 이미지 문화관광상품에는 베토벤의 인물 형상이 많이 있고, 베토벤의 음 악문화 이미지와 본의 지역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거나 요소의 표현방식을 바꾸 어 의류, 생활용품, 문구, 장식품 등의 문화관광상품 중에 활용했다. 스페인 카탈루냐는 찬란한 문화유산과 더불어 천재적인 건축가 가우디를 배출한 나라 답게 가우디의 흔적이 거리 곳곳에 남아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 전체가 자연스런 예술 공원의 면모를 갖출 만큼 그의 기량은 뛰어나다고 평가되고 있다. 가우디는 환경보호론 자는 아니었지만 건축을 할 때, 자연과의 어울림을 생각한 건축가로서 그는 깨진 타일 이 버려진다는 사실을 알고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 등에 사용하였으며, 이 때에도 디자인과 색을 먼저 고려하여 사용하였다. 스페인 카탈루냐는 이러한 가우디의 건축철학을 그대로 이용하고 가우디가 설계하고 건축한 건물들에서 디자인 모티브를 얻어 다양한 기념품으로 개발하였으며 특히 스페인 카탈루냐의 기념품들은 다른 선진 국가 들보다 더욱더 디자인 모티브가 다양하고 제품이 세련되고 디자인적인 가치가 높 다고 평가받고 있다. 독일 트리어(Trier)시는 저명한 사상가이자, 정치학자, 철학자인 마르크스의 고향이다. 만약 당신이 처음으로 트리어에 발을 디딘다면, 귀여운 마르크스 형상의 문화관광상품 에 반할지도 모른다. 그것들이 당신에게 상기시키는 것은 모두 엄숙한 마르크스주의와 깊은 사상이 아니고, 귀여움, 유머, 그리고 세련된 멋이다. 마르크스에 관한 트리어의 지역 이미지 문화관광상품에는 마르크스의 캐릭터 인물 형상과 유명한 마르크스주의 언론을 현대 만화 스타일의 형태로 시각화해 술병 포장, 장난감, 의류, 생활용품 등의 문화관광상품에 활용했다. 사례 분석을 통해서, 국외 문화유명인관광지 지역 및 문화와 관련된 유명인이 다르므 로, 문화관광상품의 디자인에도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지역마다 현지의 문화
26
Vol.1 No.1 August 2019
유명인 이미지와 지역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고유의 문화전통을 보존하고 예술적 가치 를 강조하여 표현수법과 상품유형에 따라 현지문화의 특색을 지닌 문화관광상품을 다 르게 설계하고 있다. 그것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편리함과 대량생산의 기능을 가진, 상 대적으로 구매에 부담이 없는 가격과 지역문화적 특색, 실용적이고, 독특하며, 소비자 의 취향에 부합하는 문화관광상품이 폭넓게 개발되어, 내국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외국 인 관광객까지 대체적으로 만족시키고 있다. 국외 문화유명인관광지의 성공적인 문화관광상품 개발 사례분석 결과와 노자 고향관광 지 시장분석을 통해 노자 고향관광지의 문화관광상품 디자인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4.1. 재료 노자 고향 관광지의 디자인에서는 원래 금, 은 도자기와 옥기류의 문화관광상품 재료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고 지역특색과 잘 맞지않아 금은도자기옥기류의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종이재료 등 편리하고, 대량생산 기능이 있고, 상대적으로 구매 할 때 부담 없는 가격에 지역문화의 특색을 지닌 문화관광상품을 발전시키는 것이 매 우 중요하다.
4.2. 표현방법 노자 고향 관광지의 문화상품 개발의 제안에서는 노자 이미지, 문화 이미지, 지역 이미 지 변형 요소 등의 표현방식으로 표현 수법을 더욱 다양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노자 이미지와 지역 이미지에 요소, 회화 표현을 결합해 시각예술로 처리해 새로운 이미지 요소를 형성하고, 현대 문화관광상품 개발에 응용한다.
5. 결론
본 연구는 중국 녹읍현 노자 고향 관광지의 지역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디자 인에 관한 연구이다. 해외의 지역문화와 관련된 유명인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의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대적 특징과 결합해 현대 문화관광상품의 개발과 관련된 방안 을 제시한다. 노자 고향 관광지는 중국 하남성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도교문화의 기원지이자 발원지 이다. 노자 고향 관광지의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하는 것은 노자의 도교 문화와 지역의 문화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자 고향 관광지의 문화 기호와 지역 이미지를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문화 기호와 지역 이미지의 재창조성 을 강화하고, 문화적 특징을 부각시켜, 지역 이미지와 시각 이미지를 융합해 문화관광 상품의 디자인 중에 응용했으며, 창의적인 문화관광상품의 개발과 제시 가능성을 검증 한다. 첫째, 노자 고향 관광지에 대한 기초적인 현황 및 분석, 노자 고향 관광지 문화상품의 발전현황에 대한 이해와 해외에서 유명인과 관련된 관광지의 문화관광상품에 대한 분 석을 통해, 오늘날 노자 고향 관광지 문화관광상품을 발전시키는데 장애요소와 단점을 찾아냈다.
2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1. 장애요소: 상품을 전시하는 플랫폼이 없고, 각 관광지는 문화관광상품을 판매하는 각업주들에게 임대되는 작은 상점이다. 매력이 충분한 문화관광상품 판매센터가 형성 되지 않아, 관광시장이 쉽게 형성되고, 관광객들이 신뢰하기 어렵다. 2. 단점: 화관광상품의 특징이 뚜렷하지 않고, 지역성 문화의 의미가 결여되어 있다.체 계적인 문화관광상품 개발과 디자인이 부족하여, 여전히 활발하지는 않다. 예를 들 어, 현지 문화를 전시하는 특색상품의 형식은 간단하고, 디자인된 문화관광상품은 공예품이 위주이며, 일부는 중국 전통의 서적, 금은옥기 등 관광지의 이미지와는 관 련이 없다. 둘째, 문화관광상품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문화관광상품은 상품 자 체의 역할을 발휘하는 동시에, 문화의 지속적 발전의 영향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문 화적 속성과 시각적 기호를 충분히 활용해서 전달하는 문화상품은 배경과 대표성, 역사 성 등의 요소를 디자인 개발 중에 응용해야 한다. 셋째, 새로운 문화상품 디자인의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전통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전통문화와 현대 디자인 문화를 융합하여 창의성과 예술성이 풍부한 새로운 문화관광 상품을 만들 것을 제의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노자 고향 관광지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분석, 시장분석, 문화관 광상품의 현황과 해외에서 유명인과 관련된 관광지의 문화관광상품 분석을 통한 조사 연구로, 문화관광상품의 발전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후 이 논문이 다양한 지역 의 문화관광상품을 개발하는데 모범사례가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정은정, 김창수, “지역 축제 브랜드가 지역이미지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 영학회』, 제16권 제호 통권52호, 2012.9, pp.293-316 표원정, 사효란, 정석중, “지역이미지가 관광정보의 신뢰성과 확산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 경영 학회』. Vol.55 No.0.2013. pp309-326 강형기, “지역브랜드의 개발과 경영”, 『한국정책연구원』, 2010. 김정국·이호선,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김정엽, “공예문화상품의 브랜드디자인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9. 김성기 (2007), 『관광자원론』, 학현사. 임종원·박철, 전게논문, p.243. 임종원·박철, “지역문화상품개발을 위한 지방중소기업의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한 국중소기업학회지』, 제17권 제2호, 1995
28
Vol.1 No.1 August 2019
중국 명청 시대 강남 지역의 정원 디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Chinese Landscape Design of Jiangnan in Ming and Qing dynasties
장이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양성용(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ang, Yi H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Yang, Sung Yong(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정원, 디자인, 명청시대, 강남 Keyword
garden, design, Ming and Qing Dynasty, Jiangna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명청 시대 강남 지역의 정원 디자인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 배경 중국 정원의 역사는 매우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정원은 중국 문화의 중요 한 구성 요소로서 현대의 정원디자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고전 정원 에서 현대 정원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났다. 첫째, 고전 정원에 대한 보호 및 유지에 있어서 고전 정원이 지니는 근원적인 내용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한다. 둘째, 전통적 사상과 수법에 대한 정확한 연구 자료가 없기 때문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없다. 셋째, 중국 전통에 대한 불신과 외부에서 들어온 것을 맹목적으로 좋고 따라가는 의식 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전 정원이 가지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서, 다양한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가장 전성기 시대인 중국 명청 시기의 강남지역에 서 만들어진 고전 정원을 연구하고자 한다.
1.2. 연구 목적과 의의 1.2.1. 연구 목적 민족 전통 문화의 보호와 계승은 세계적인 화두이다. 중국의 정원은 전 세계의 정원 디 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으로 보전 가치가 높은 중국 명 청 시기 강남 지역의 개인 정원에 대한 디자인 기법, 의미와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 분 석 항으로써 전통 문화를 제대로 적용하고 계승할 수 있게 고전 정원의 보호와 유지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1).
1.2.2. 연구 의의 분석을 통해 중국 정원에 대한 인식을 더욱 깊이 하고, 중국 정원에서 훌륭한 정원 설 계 요소, 발전 역사를 돌이켜보고 디자인 특색을 비교하는 것은 중국의 현대 환경 디자 인에 현실적 지도적 의미가 있다.
1.3. 연구 범위 1.3.1. 시간 범위 중국 정원은 긴 역사를 거쳐 초창기, 형성기, 성숙기의 등 단계를 거치면서 수많은 정 원을 만들었으며, 그중에 현대 정원 디자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정원 디자인 1) 렌 샤오 티안, 「중국과 일본의 고전 정원 개념에 대한 인문학과 자연의 영향」, 노스 웨스트 농업 및 임업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5, p.28
30
Vol.1 No.1 August 2019
은 명청 시대에 만들이진 정원디자인 이다. 이러한 정원의 대부분은 개인정원들이며 이 시기가 정원디자인의 황금기 이다2).
1.3.2. 지역 범위 중국 역사상 정원이 가장 많이 만들어진 명, 청 시기에도 중국의 넓은 지역으로 인해 강남, 강복과 영남의 서로 다른 3대 지방 특색을 지니는 정원 디자인 유형으로 분류된 다. 이러한 3개 지역의 정원 중에 사회, 경제적 측면과 자연, 지리적 측면에서. 2개 지 역보다 더 발달한 강남 지역의 개인 정원은 다른 2개 지역의 정원보다 더 대표적이고 예술적으로 뛰어나기 때문에 강남의 개인 정원으로 선정하였다.
2. 정원 구성 요소의
그 가운데 학술 저작 6편과 석사 논문 6편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관련 논문에 대해 키 워드를 추출하였다. 선택한 키워드 11개이고 각각 치석, 진열, 건축, 배치, 공간, 포장, 퇴산, 식물, 지도(池島), 이수 및 소품이다. 한번 이하로 사용된 키워드는 선택하지않는다.
연관성에 대한 연구
[표 1] 디자인 수법 구성 요소의 키워드 디자인 수법 구성 요소
번호
연구자
1
쉬진성
●
2
류칭펑
●
3
펑이강
●
4
장지아지
5
바이커
●
6
류팅펑
7
치석
진열
건축
배치
공간
포장
퇴산
지도
이수
소품
●
●
●
●
●
●
●
●
●
●
●
●
●
●
●
●
뤄단리
●
●
●
●
●
8
천위지
●
●
●
●
●
9
우천췬
●
●
●
●
●
10
빈안
●
●
●
●
11
왕위숴
●
12
왕샤오퉁
●
●
●
●
8
10
9
5
합계
●
식물
●
● ●
●
●
●
●
●
9
12
● ●
●
●
● ●
● ● 4
2.1. 강남 개인 정원의 구성 요소 중국 고전의 유명한 시문에서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천하에서 강남의 정원은 제일 아름답고 뛰어나다.’ 이와같이 명나라 이후 청나라의 중후반기의 정원디자인의 미적 감 각과 디자인의 수법은 대단히 예술적이고 훌륭하다.
2) 장 지아 유, 『중국 정원사』, 흑룡 강성 사람 출판사, 1986, p.3
3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2. 정원의 건축과 공간 2.2.1. 건축과 공간 구성 공간 구성은 특별한 형태나 규칙이 없이 자유로운 형식으로 만들었다. 건물과 회랑은 마치 자연과 같은 구불구불한 경치에서 숨어져 있다. 보통 구조는 공간의 레이어 맞춰 서 집중하게 전체 정원 공간은 구성할 수 있도록 수 공간은 정원의 중간에 두고 건물의 정면은 정원 쪽에 향하고 뒷면은 밖으로 향해서 정원의 외벽에 따라 지어진다.
2.2.2. 건축가 구조는 나무를 사용하고 벽돌, 돌, 기와를 사용하여 두 껍고 무거운 형태를 만들었다. [그림 1] 궁전, 묘당이 나 주택의 대칭 형식에서 벗어난 규칙 없는 아주 소박 하고 고상한 모습의 건축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2.3. 공간 배치
[그림 1]
하나로 보일 수 있는 큰 공간에서 복잡하고 단계가 많 은 작은 공간으로 배치되었다. 공간과 공간은 서로 구 분되어 지 기도하다 연결되기도 하는 공간의 사이에서 유동성을 보이도록 구성하였다. 기능에 따라 차경, 격 경, 광경, 대경을 이용하여 주 공간과 부 공간으로 나 누었다[그림 2].
[그림 2]
2.4. 퇴산 돌이나 흙으로 만든 체적과 무게가 큰 가산이다. [그림 3] 자연의 풍경을 표현하기 위해 봉래와 호천의 모습 을 참고하여 진짜 산과 같이 웅대하고 우뚝 솟게 만들 었다. 강남정원의 퇴산의 형태에 대한 조형은 아담하 고 생생한 분위기로 부여한다. [그림 3]
2.5. 수공간 강남 정원에서 수공간은 이수라고 부른다. 강남정원의 이수원리(理水原理)는 ‘작은 물은 모으고, 큰물을 나뉜 다.’의 원칙으로 공간을 통하여 정원 전체의 공간의 맥 을 소통하게 한다. 자연스럽게 형성된 물 공간과 호수 의 주변에서 퇴산과 나무로 구성한다. [그림 4]. [그림 4]
32
Vol.1 No.1 August 2019
2.6. 치석 돌의 형태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주로 호석, 황석, 영석을 이용하여 특정하게 형대로 만들어 서로 대칭 되거나, 군집시키고, 분산되게 하는 형식으로 구성한 다. 사람들의 사상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인 것 으로 전체 경치를 비유하여 유한한 것을로 무한한 것 을 표현한다. [그림 5].
[그림 5]
2.7. 식물 식물의 종류가 다양하게 하여 생장 주기와 특성을 중 시한다. 단독적인 식물과 군집 식물을 결합해서 형태 는 깔끔하지 않지만 가장 자연스러운 식물 생장 형태 를 표현하여 정원에서 적은 식물과 무성한 식물의 형 태로 공간의 차원을 만든다. 식물을 통해서 문학, 예술 과 문화의 경치를 표현한다. [그림 6].
[그림 6]
2.8. 소품 주변에 벽이 없는 개방적인 정자 [그림 7], 강남 정원 에는 정원 소품들이 매우 많다. 돌사자, 석고, 석 분재, 석 탁자와 의자 등이 있다. 이들은 늘 정원 속의 식물 과 돌 등과 같이 경관 구성요소와 함께 정원의 중요한 경관의 포인트가 되고, 전체 정원 경관 구성에서 중요 한 역할을 일으키고 있다.
3. 강남 지역의
[그림 7]
3.1. 지리적 환경 요소
정원 디자인에
3.1.1. 지리적 요소
영향을
중국은 아시아와 유럽 대륙의 동쪽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 북쪽, 남쪽은 여러 나
미치는 요소
라와 연결되어 있고, 동쪽만 바다에 접해 있다. 중국은 지역이 넓고 산악 풍경과 수역 풍경이 풍부하다. 산과 물을 중심으로 하는 구조는 가장 직관적으로 중국의 지리적 환 경을 구현시킬 수 있다. 강남지역은 중국의 남쪽 지방과 북쪽 지방 사이에 위치에 하고 있기 때문에 대륙성 기후에 특징이 뚜렷하다.
3.1.2. 지형적 요소 수자원이 광활한 국토 면적, 복잡한 지형적 조건, 풍부한 자연 경관과 자연 자원으로 인해 중국 문화의 번영과 발전에 대한 훌륭한 기초적인 조건을 제공한다. 강남 지역은 지세가 평탄하고 수계가 발달하여 이러한 아름다운 자연 환경이 강남 정 원의 ‘시문적인 감정과 그림 속에 의미’라는 표현의 기본적인 요소가 된 것이다.
3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 정원의 사상적 요소 3.2.1. 유가의 사상 명, 청 시기의 유가 사상은 중앙집권 정치의 중심이 되는 전통 사상이었다. 정심(正身), 수신(修身), 제가(齐家), 치국(治国), 평천하(平天下)라는 사상적 틀은 유교 사상이 정 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중요한 내용이다3). 이런 사상은 정원 디자인 표현에서도 영향을 주었다. 이시기의 정원 디자인에 있어서 ‘삼분 공인, 칠분 주인’(30% 공인의 조 작, 70% 주인의 의지) 이라는 말이 있다. 이 뜻은 정원 속에 정원 주인 이 추구하는 사 상, 심미와 취향이 정원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가졌다, 즉 개인 정원으로서의 각각의 차별성을 지난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시문과 그림에서도 영향이 미쳤다. 강남 지역의 이런 풍부한 문화와 예술은 강남 정원에 아주 깊은 영향을 미치었기 때문에 강남 정원 은 시문의 감정과 그림의 의미를 표현하는 동시에 유가의 정신과 문인의 기질도 보이 고 있다.
3.2.2. 도가의 사상 ‘사람은 지를 본받고 지는 하늘을 본받다,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다’라는 도가 사상도 정원 디자인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도가 사상의 기초에 있어서 강남 정원 은 시문의 감정과 그림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건축 구성과 기능에 따라 배치하고 서예, 문학, 철학, 미학 등 여러 요소를 같이 융합해서 문인은 몸 과 마음을 다스리고 고상하게 모여서 즐겁게 얘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4). 이시기의 정원은 그 만든 사람이나 주인의 마음,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도가 사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유가 사상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3.3. 인문적 요소 중국의 정원을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자연 산수이고 다음에는 건축 산수 마지막으로 시와 그림의 건축 산수이다. 이것은 자연 실체에서 인공 실체로, 또한 정신적인 실체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거주자의 오락 장소로서 뿐만 아니라 설계자가 물 체의 힘을 빌려서 자기 지향을 표현하는 매개체인 것이다. 중국의 정원은 인간의 정신 을 구현하기 위하여 인문의 경지를 중시하였다. 자연과 인간은 상호 융합해서 감정의 공감을 추구한다. 설계자는 정원을 통해서 자기 마음과 감정을 표현한다. 문인의 교양 을 반영하여 방문자들도 그 경치를 보고 어떤 감정을 느끼게 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무 한하게 상상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쑤저우의 우원(苏州耦园)은 부부간의 진지한 감정을 표현하는 정경이다. 망사원(网师园)은 호수를 통해 설계자는 낚시에 대한의 마 음과 감정을 표현하였다. 그래서 중국 정원의 경치는 그 지역의 인문적, 특징인, 심미 와 취향 등 측면과 직결된다.
3) 치아 오용, 음과 중동, 투유 훼이 “중국 정원과 유교 사상”, 『북경 삼림 대학교 저널』, 2005, Vol.4(4) 4) 선 종 메이, 「도교 사상과 중국 정원 예술 정신」, 제남 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p.12
34
Vol.1 No.1 August 2019
4. 결론
역사가 발전함에 따라 중국 정원은 매우 위대한 성취를 이루었으며, 정원 디자인에서는 깊은 문화적소양이 숨겨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전통의 것에 대한 충분히 이해하여 야 고전 정원에 대한 전통과 사상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통을 중시하고 이를 적용 함으로써 새로운 발전과 혁신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원의 역사 발전에 있어 서, 명, 청시기 정원에 대한 명확히 하고 구성한 요소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정 원 디자인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강남지역의 개인정원의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였다. 우수한 정원 디자인은 아주 깊은 예술적인 함양이 있어야 한다. 유구한 문화유산을 지 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민족의 전통에 대한 사고와 구현이 필요 한다. 앞으로 더욱더 현 대의 정원 디자인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통정원에 대한 많은 연구와 자료가 제시되어 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张家骥, 『中国造园史』, 黑龙江人民出版社, 1986 陈从周, 『中国园林』, 广东旅行出版社, 1996 彭一刚, 『中国古典园林分析』,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5, p.1 周维权, 『中国古典园林史』, 清华大学出版社, 1999 刘先觉, 潘谷西, 『江南园林图录—庭院・景观建筑』, 东南大学出版社, 2007 Shunmyo MASUNO. 『Zen Gardens』, TuttleShokai Inc, 2012 KENDALL. 『Visionary Landscapes』, TUTTLE, 2017 王钰, 「从江南园林到现代景观」, 江南大学 硕士论文, 2008 李文娟, “中国园林设计之创新比较研究”,『中国文学研究』, 2008, Vol.12(3) 乔永强, 尹中东, 拓云飞 “中国园林与儒家思想”, 『北京林业大学学报』,, 2005, Vol.4(4) 변철, 「현대 중국식 주거단지 경관디자인의 전통 해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https://www.naver.com https://www.google.com.
3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민남(闽南)지역 향훈기구 디자인 개발 Design of Aromatherapy Utensils in Southern Fujian of China
리바오위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 Bao Yue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민난 지역, 향훈기구 디자인 Keyword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southern sujian of china,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aromatherapy utensils design
Vol.1 No.1 August 2019
중국 민남(闽南)지역 향훈기구 디자인 개발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민남 문화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중국 역사 문화의 집합지이다. 아랍 문화, 동남아 문화, 서양문화 등 외래문화 원소를 융합한 지역이다. 향훈기구는 민남 사람들의 신앙과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민남 지역의 향훈기구 디자인 개발을 통해 민남 지역 문화의 현대적인 계승하고 민남 지역 문화상품의 콘텐츠를 확대한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다음 가지를 포함한다. 1.민남 지역 문화 2.향훈기구 두 부분으 로 구성되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주로 선행연구, 인터넷조사, 관련 문헌 조사, 박물 관 사진 자료 수집, 전문서적, 인터넷 자료 조사, 역사 고찰연구이다. 본 논문은 위의 연구 방법을 통해 민남 문화 및 향훈 기구 디자인에 대해 연구한다.
2. 이론적 고찰
2.1. 민남 지역의 문화적 특징 민남 문화의 관련 논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민남 문화의 특징을 정리하였는데 다 섯 가지 문화적 특징으로 구분하다. 다음[표 1]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1] 민남 지역의 문화적 특징 민남 지역의 문화적 특징 민남인 성격의 모험성 민남 문화의 개방성 성해양 문화의 다양성
지리 환경 요인과 사회 환경 요인 2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다. 교육 문화, 종교 문화, 언어문화, 건축 문화의 개방적인 사상과 기술의 개방성 풍부한 해양 경제 활동, 독특한 해양 신앙, 조선업 기술의 발달, 해양성 음식습관, 고옥의 해양풍격
민남 문화의 확장성
대만 및 해외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구전문화의 불통성
지방극과 방언 종류를 다양하다, 그 차이가 매우 컸는데, 이는 구전문화의 불통성을 형성 하였다.
2.2. 민남지역문화상품 현황조사 중국 타오바오만(淘寶网), 민남지 역 박물 관망, 독일 IF 디자인상을 받은 민남 차 문화 상품점 (泊喜), 민남 유명한 브랜드 상품점(乐府知礼, 大拾堂) 등 검색을 통해 판매량 및 인지도가 높은 상품 28개에 대해 문화상품의 용도별 와 재료별 분류 방법에 따라 민남 문화상품의 현황을 분석한다. 아래 [그림 1-3]과 같이 정리하였다.
3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1] 민남문화상품의 현황을 [그림 2] 민남문화상품의 현황을 용도별로 종류 비율분포도 재료별로 종류 비율분포도
[그림 3] 민남문화상품의 현황을 문화 응용 단계별로 종류 비율분포도
논문 선행연구를 통해 분류 방법을 참고하여 민남 문화 상품에 대해 문화 응용 단계, 재료와 용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민남 문화 상품에서 시각적 응용 단 계의 상품이 가장 많다, 도자기 소재용품이 많다, 식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 다. 현황 조사에 따르면 민남의 향훈기구는 문화 상품 디자인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디 자인과 개발 공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3. 송나라향훈기구의 문화 상징기능과 조형 특징 역사의 왕조적 발전으로 볼 때, 향훈기구의 발전은 몇 가지 단계를 거쳤다. 신석기 시 기의 맹아 단계, 전국 시기의 초기 단계, 주지한 시기의 형성 단계, 수당 시기의 성숙 단계, 송나라 시기의 전성기, 원명청 시기의 안정 단계, 청말민 초기의 쇠퇴 단계. 이제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고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향훈문화가 다시 발전하고 전승되기 시작했다. 본 문서는 송나라 시기의 향훈기구의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시기는 중국 향훈기구 디자인 발전의 역사에서 가장 결정적인 의미를 지 닌다. 둘째, 송나라 향훈기구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과거의 귀족 전용에서 문인과 일 반 백성들까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발전하였다. 셋째, 송나라 향훈기구 디자 인은 기물 디자인 방식에 변화가 발생한 시작이고, 기능성만 중요시하던 것에서 정신을 의존하는 것으로 변화되는 것을 상징한다. 넷째, 송나라는 전 국민이 향을 사용하던 시 대이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송나라는 상대적으로 완벽한 향훈 디자인 체계와 심미적 모델을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송나라 향훈기구의 디자인은 중국 향문화의 발전을 추진 시켰고, 다른 시기보다 송나라 향훈기구의 디자인은 높은 연구 가치가 있다. 송나라 향훈기구의 문화 상징기능과 조형 특징 연구를 통해 향훈기구는 문화에 대한의 구현방식을 추출하였다. 이는 각각 형태, 문양, 색깔, 재료 등에 대한 문화적 구현이다. [표 2]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2] 민남 지역의 문화적 특징
38
문화
향훈기구 조형 특싱
문화에 대한의 구현기법
정치문화
고족 컵 형태
형태
종교문화
종교 문양 활용(연꽃무늬, 여의무늬(如意纹), 박산무늬(博山纹))
문양
문인 사상 문화
간결함을 숭상; 부피가 작다; 옛 기풍을 모방
형태; 색깔; 소재
일반 민중 세속 문화
몸에 지니고 다니
형태
Vol.1 No.1 August 2019
3. 민남(闽南) 향훈기구 디자인 개발
3.1. 디자인 콘셉트 설정 민남 문화성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화적 특성을 감성적인 표현으로 향훈 기구 의 디자인에 부여한다. 감성 단어 추출은 토론 형식을 통해 수행되다. [표 3]과 같이 정 리하였다. [표 3] 토론 기록표 방법
참가 인원
그룹 토론; 사유(思維) 확산 (Brainstorm)
시간 집단
내용
방법
디자인 전공 2019.03.11. 중국 민남지역의 멤버 개개인의 감성적인 이미지에 대한 박사과정생 3명, 오후 문화적 특징(5개)의 사유(思維) 확산을 통해 공감도 높은 석사과정생 6명, 14:15-15:30 감성 이미지 추출 이미지를 정리하여 총결산한다. 총 9명
민남 문화 특성의 감성적 이미지 추출, 사유(思維)가 확산 방식을 취하다. [그림4-5]과 같이 정리하였다.
[그림 4] 사유(思維)가 확산도
[그림 5] 감성 이미지 추출도
토론 구성원의 공동 토론을 통해 공감도가 높은 단어를 선별하고 [그림 4]와 같이 정리 한다. [그림 5]중 빨간 동그라미에서 나온 단어는 공감도가 높은 단어이며 [표 4]와 같 이 정리되어 있다. [표 4] 민남지역의 문화적 특징에 대한 공감도가 높은 감성이미지 추출 A.성격의 모험성
돌파감, 위험감, 변화감, 자유감 등.
B.사상과기술의 개방성
포용감, 다원감, 교차감, 전위감. 밝은 느낌 등.
C.해양문화의 다양성
풍부감, 변화감, 융합감 등.
D.문화의 확장성
발산감, 유동감. 끊임없는 느낌 등.
E.구전문화의 불통성
순수함, 안정감, 독특감, 아취감 등.
3.2. 아이디어 스케치 민남지역의 문화적 특성에 이해와 영감을 바탕하며 디자인 콘셉트에 적합한 이미지를 참고로 하여 현대 향훈기구디자인 스케치 다수 진행하였다. 그중 디자인 콘셉트 합당하 고 판단되는 11개의 1차 선정 스케치는 다음 [표 5]과 같다.
3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Sketch 1
Sketch 2
Sketch 3
Sketch 4
Sketch 5
Sketch 6
Sketch 7
Sketch 8
Sketch 9
40
Sketch 10
Sketch 11
Vol.1 No.1 August 2019
향훈기구디자인 방안으로 개념적 적합성, 민남 문화의 상관성, 문화상품의 적합성, 조형적 미 감, 독특성, 선호도 6개 항목을 통해 평가하였 다. 10점제를 활용하여 스케치검증을 진행하였 다. 총 20명의 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스케치 검증을 했는데, 결과는 다음 [그림 6]와 같다.
[그림 6] 향훈기구디자인 11개 방안의 평균값 분포도
향훈기구 디자인 11개 방안 중 평균 점수가 가 장 높은 것은 방안 2이고, 그 다음이 방안 11, 방안 4이다.
4. 결론
방안 2-제안 A
방안 11-제안 B
방안 4-제안 C
Sketch 2 향훈기구의 조형은 민남 차 마시는 풍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기 문화상품의 디자인이 많기 때 문에 다기 조형물을 영감으로 찻주 전자의 주둥이 모양을 추출하는 방 안이다. 이 향훈기구는 동글동글하고 이중 유리 소재를 사용하여 그 안에 서 연기가 나면서 투명하고 개방적 이며 포용적인 느낌을 만들어 냅니 다. 민남문화성의 특징 중 개방성을 구현하여 제안 A로 3D 렌더링과 도 면을 작성한다.
Sketch 11은 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두 부분으로 나뉘며 연기가 그 속에서 뿜어져 나와 안이하고 안정적인 느 낌을 주며 구름과 안개 사이에서 사 는 느낌을 조성하고 신비롭고 순수 하다. 민남문화에서 구전문화의 불통 성 상징하는 특징이다. 따라서 제안 B로 3D 렌더링과 도면을 작성한다.
Sketch 4는 민남 지형의 특징을 추 출하여 봉우리 구릉의 형태, 연기가 산천에 떠 있는 가운데 은밀하고 순 수한 느낌을 주었으며, 조형 아래 부 분은 오뚝이 원리로 자유롭게 흔들 려 민남의 자유를 지향하는 모험정 신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제안 C로 3D 렌더링과 도면을 작성한다.
민남 지역의 향훈기구 방안은 민남 문화에 대한 계승이고, 본 연구은 향훈기구 조형 디 자인을 통해 민남 문화를 계승하고자 하였다. 향훈기구의 현대적인 디자인을 통해 민남 지역 전통문화의 내포된 의미를 전달하며 현대적 심미성에 부합한다. 또한, 현대 문화 상품의 조건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동시에 민남 문화의 현대화 전승을 실현하였다. 민 남 지역문화를 강화하는 상품 디자인은 문화를 전파 하고 민남 문화의 특징이 상실되 지 않도록 하며, 민남의 문화역사를 기억하는데도 도움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리바오위에, 『중국 민난 지역의 문화적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18 펜스티, 『송나라 향훈로의 문화기능 탐구』, 미와 시대출판사, 2017
4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심양고궁 박물관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Using World Cultural Heritage of Shenyang Palace Museum in China
류 양,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안병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u, Ya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세계문화유산, 문화상품, 심양고궁, 박물관, 디자인 Keyword
Ahn, Byoung Jin(Corresponding author)_
World Cultural, Heritage, Cultural Product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henyang palace, Museum, Design
Vol.1 No.1 August 2019
중국 심양고궁 박물관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중국은 1985년 12월 12일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협약”에 가입한 이래 현재 세 계문화유산은 총 53개로 이탈리아의 54개 다음으로 많은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성공적인 세계문화유산 등재로 해마다 이용하는 관광객이 늘면서 관련 문화산업 도 발전하고 있다. 2015년 중국국무원 총리 리커창(李克强)은 “중국 정부는 국내 박물 관이 유물 소장품들이 각기 가지는 의의를 발견하고, 문화 관련 창의적인 일을 도모하 고, 이를 여행 산업과 결합하여 상품을 개발하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이에 박물관의 역량을 기르고자한다.”1)란 내용의 <박물관 조례>를 공포하였다. 이것은 중국정부가 문 화유산 관련 사업의 발전에 얼마나 큰 공을 들이고 있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따 라서 최근 중국 정부는 박물관 유물 및 자원들을 보호하고 활용하는 작업을 원활히 진 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관련된 정책 및 조례들을 통해 서 박물관들이 문화유산들을 보존하고, 관련 문화 산업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4년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만청문화의 발원지인 요 녕성 심양고궁 박물관의 유물을 활용하여 문화상품 개발을 연구하고자 한다. 세계문화 유산으로서 심양고궁 박물관은 자금성과 함께 중국에서 현존하는 궁전식(宫殿式)건축물 의 쌍두마차 중 하나로 손꼽히며, 40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심양고궁 박물관은 2018년 연간 201만300명이 방문하였으며,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처음으로 200만 명을 넘어섰다.2) 하지만 요녕성 심양고궁 박물관은 2014년 처음으로 문화상품 등을 제작 및 출시하기 시작하였으며, 상품 디자인이나 브랜드 개발이 아직 미숙한 상태이 다. 또한 중국 내에서도 역사적 문화유산으로써 가치 높음에도 타 박물관과 비교해 문 화상품 등의 발전 상황이 더디고 미흡한 부분이 많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유사 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해 박물관의 문화상품 개발에 있어서 가치 및 필 요성을 분석하여 심양고궁 박물관의 문화상품 디자인의 단점과 약점 등을 분석하고 근 본적인 원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추후 심양고궁 박물관의 문화 상품 디자인의 개발에 있어서 올바른 방향성 제시와 창의적 문화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헌이 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이자 중국 청나라 시대의 대표적인 궁전건축물중 북경시 북경 고궁과 함께 쌍두마차라 말 할 수 있는 요녕성 심양고궁을 대상으로 하며, 또한 심양고 궁에 전시 중인 유물을 활용한 디자인 문화상품 개발에 있어서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
1) 중화 인민 공화국 중앙 정부 포털 www.gov.cn 2) 陈凤军 심양 일보 기자 http://ln.people.com.cn/n2/2019/0112/c378317-32521530.html
4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라고 하겠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등의 선행 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 및 박물관 문화상품의 개념과 특성 및 분류하였다. 둘째, 세계문화유산 중 유네스코(UNESCO)선정 5대 궁전 유적 인 중국 북경 고궁(자금성),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 영국 블레넘궁, 프랑스 베르사유궁, 독일 뷔르츠부르크궁 등 사례를 심양고 궁 박물관의 문화상품과 비교 분석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앞의 과정들 통해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여 심양고궁 박물관의 올바른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방향성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세계문화유산개념 및 분류 세계유산은 1972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 협약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약칭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세계유산 위원회가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자연유산 및 문화유산들을 유네스코 (UNESCO)에서 공식인 목록을 작성 하여 국제적 차원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하여 도입 한 제도이다.3) 세계유산은 유엔이 발의하고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가 주관하는 국제협 약의 수립제로 전세계 인류에게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니는 자연이나 문화를 보존하 기 위한 것이다.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는 인류의 진귀한 유산과 기록을 잘 보존하기 위하여 국가유산 관련제도를 운영하기 시작하는데 세계유산(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 산), 세계무형유산, 세계기록유산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세계 유산으로서의 문화유산 의 개념을 유적지, 건축물군, 기념물로 나누어 정의하고 있으며 각각의 항목에 포함되 는 유형은 다음 [표 1]와 같다. [표 1] UNESCO의 문화유산 분류 출처: [유네스코와 유산] http://heritage.unesco.or.kr/wh/wh_intro/ 구성요소
내용
기념물
건축물, 기념 조각 및 회화, 고고 유물 및 구조물, 금석문, 혈거 유적지 및 혼합 유적지 가운데 역사, 예술, 학문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유산.
건축물 군 유적지
독립되었거나 또는 이어져 있는 구조물들로서 역사상, 미술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 가있는 유산. 인공의 소산 또는 인공과 자연의 결합의 소산 및 고고유적을 포함한 구역 에서 역사상, 관상상, 민족 학상 또는 인류학상 탁월한.
중국은 1985년 12월 12일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협약”에 가입 한 이래 2018 년 7월 2일까지 세계 문화유산 36개,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4개, 자연 유산13개 등 총 53개의 유산에 대한 등재를 완료하였으며, 등록 숫자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 다.4) 현재 중국 요녕성 심양시(沈阳市)는 3개의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그림1 참조]
3) 엄사사,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에 대한 연구-중국 운남성 리장시 리장고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2016, p.3-4,재인용 4) 세계유산 신정 목록,UNESCO:http://whc.unesco.org/
44
Vol.1 No.1 August 2019
심양 고궁(瀋陽故宮)
청복릉(淸福陵)
청소릉(淸昭陵)
[그림 1] 심양시(沈阳市)에서 세계문화유산
2.2. 박물관 문화상품의 개념 및 분류 2.2.1. 박물관 문화상품의 개념 박물관 문화상품은 표면적으로 박물관이라는 환경 아래 소장된 유물들의 문화적 함의로 부터 파생된 상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는 문화상품의 정의를 문화상품 (culture goods)과 문화서비스 (culture services)로 분류하였다. UNESCO(유엔교육 과학문화기구)는 “문화 상품은 보통 사상과 기호 및 생활 방식을 전파하는 소비품으로,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여 집단 내 공감대를 형성하고 문화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정의 내렸다. 이를 통해 “문화 상품”은 깊은 의미를 가진 소비품이며, 문화 상품의 가치는 주로 생산, 유통, 교환, 소비 등 차원에서 실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5) 따라서 문화상품이란 문화적 성향이나 특성이 경제적인 영역과 결합함으로써 산업적 생산 및 소비의 대상물로 나타나는 모든 분야, 또는 문화 산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물품 으로 영화, 광고, 출판, 음반, 미술품, 공예 지역 특산품, 자연경관, 문화 유적지, 문화 시설과 공간 등을 총치하는 개념이다.6) 또한 문화상품과 일반상품의 다른 점은 제품에 문화적 요소가 가미되어진 상품이다. 문화상품이란 문화적 소재를 활용한 산업 활동 과 정에서 생산되는 최종물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문화상품의 분류기준이 아직까지 모호 하며 일반적 기준이 없으므로 분류현황이 매우 다양하며 복잡하다. 또한 문화상품군의 용어 또한 통일되지 못하여 복잡하게 얽혀있는 실정 이다.7) 문화상품의 일반적 분류는 앞에서 했듯이 문 화상품의 법위는 다양하고 광법위하기 때문에 그 기 준을 정하기가 쉽지 않지만, 기준의 연구 자료들을 중심으로 문화상품의 일반적 분류 [그림 2]8)와 같이 재구성해 보았다.
[그림 2] UNESCO
5) 백암, 「청니라 의복디자인을 모티브로한 캐릭터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역구-중국 복경 고궁 박물관(北京故宫博物 院)문화 상품을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p.6 6) 한국무화관광정책연구원, 2002, p.49 7) 박선희, 「문화상품의 시장 활성화 방안연구-아트샵의 문하상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2002, p.20 8) 전태일, 「박물과 뮤지엄샴. 문화상품개발 및 활성화 방안」, 병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p24
4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3] UNESCO의 문화유산 분류
2.2.2. 박물관 문화상품의 분류 박물관 전체를 한 범주의 문화상품으로 정의 할 때, 그 범주 속에서도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게 분류 될 것이다. 우선 박물관의 외관과 내부 건물. 시설. 공간을 포함한 박물 관 그 자체를 문화상품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둘째, 유물, 예술작품, 표본과 같은 소 장유물과 전시가 또 하나의 상품이 될 수 있으며, 셋째, 레이블, 텍스트, 카탈로그와 같 은 해석 자로, 넷째는 강좌, 공연, 특별행사와 같은 프로그램, 다섯째, 리셉션, 오리엔 테이션, 편의시설, 뮤지엄샵(Museum shop), 레스토랑과 같은 박물관 서비스이다.9) 박물관을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정의할 때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문화 상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박물관에서 판매 되고 있는 문화상품 만을 중심으로 해서 분류 해 보고자 한다. 박물관의 문화상품은 크게 출판물과 기념품으로 대별 될 수 있다. 출 판물은 교육을 목적으로 시작하여 발전된 것으로 인쇄 과정에 의해 제작된 저작물(서 적)이며, 보다 넓은 범주로 각종 미디어 저작물, 디지털콘텐츠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출판물에는 전시품이나 전시회를 설명하는 도록, 전시품을 활용하여 새로운 목적성을 부여한 교육교재, 학술연구자료 및 소장품 목록과 그 밖에 박물관의 각종 편의 시설과 서비스 관련 안내자료 등에서 부터 디지털 저작물, 필름, 테이프, 디 스크, 정기간행물 등이 포함된다. 또한 모양과 용도, 재질, 가격, 제작방법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2.2.2.1. 용도 및 목적에 의한 분류10) 박물관의 문화상품 중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기념품, 생활용품, 장신구, 장식 용품, 교육용품, 놀이용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표 2] 참조 [표 2] 용도 및 목적에 의한 분류
구 분
장식용품
생활용품
교육용품
장신구
놀이용품
인쇄물
유물복제품 유물관련 제작품 작가작품
생활자기 생활소품 의류
문구류 키트(kit)상품 교육프로그램
각종액세서리 넥타이 스카프
어린이 완구의류
엽서 각종도록 포스터
9) 서지연, 「박물과 영역공간과 뮤지엄샵의 상관관계 연구」, 서울산업대학교IT 디자인대학원, 2007.p29 10) 전태일, 「박물과 뮤지엄샴. 문화상품개발 및 활성화 방안」, 병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p34-43
46
Vol.1 No.1 August 2019
2.2.2.2. 가격에 따른 분류 서구 선진국의 경우 가격에 따라 관광기념품을 분류하는 기준이 마련되어 활용하고 있 으나 중국 국내에서는 그 같은 제도가 없다. 뮤지엄샵(Museum shop) 문화상품 개발 에서 판매가에 따라 매출이 결정되기 때문에 가격대에 따른 분류도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가품의 경우 10만원 이상, 중가품 10만원 미만 1만원 이상으로 현 성되어 있으며, 저가품은 1만원 미만으로 형성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박물관 의 정체성 및 고유이미지를 잘 살려 줄 수 있는 상품의 가격대 등을 분석해 냄으로써 박물관의 재정 및 홍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화상품개발이 필요하다. [표 3] 참조 [표 3] 가격에 따른 문화상품 군 구 분
고가품(10만원 이상)
중가품(10만원 미만 1만원 이상)
저가품(1만원미만)
수공예품, 유물복제품
장신구, 교육용품, 생활용품
문구류, 놀이용품, 일상용품
2.2.2.3. 제작방법에 의한 분류 문화상품의 개발 및 제작은 전시유물을 직접 복제하는 경우와 박물관 또는 미술관의 고유이미지를 형상화하여 자체개발 및 제작하는 경우 등 문화상품개발은 박물관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자체적으로 개발 제작하는 경우와 개발은 자체 디자인부에서 하고 제작은 외부업체에 맡기는 경우 그리고 기존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상품을 선별해서 박물관 등의 이미지와 연결 시켜 로고 등을 상품에 부착하여 판매하는 경우 등 다양한 제작 방법으로 만들어 진다. [표 4] 참조 [표 4] 제작방법에 따른 문화상품 분류 구 분
3. 세계문화유산
복제상품군
응용상품
기성품
장식용품-회화, 조각, 전시유물복제 출판물-슬라이드, 포스터 엽서, 각종인쇄물
생활용품 장신구, 교육용품
놀이용품 일상용품, 문구류
유네스코(UNESCO)선정 세계 5대 궁전 유적 중 [표 5]의 5개의 분류 항목에 모두 포 함하고 있는 중국 북경 고궁(자금성),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 프랑스 베르사유궁 비
활용한 박물관
교 분석을 통해 심양 고궁과 비교 분석하였다. 도표 [표 5]로 비교해서 본 결과 본문 연
문화상품 사례
구 주제에 완전히 일치하는 사례는 중국 북경 고궁 박물관,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
분석
박물관, 프랑스 베르사유 궁 박물관 그리고 중국 심양 고궁 박물관이 유일했다. [표 5] 참조 [표 5] 유네스코 선정 세계 5대 궁전 유적 및 심양 고궁 나라
황궁 이름
황가궁전
박물관
세계문화유산
문화상품
인터넷쇼핑
등제
프랑스
베르사유궁
●
●
●
●
●
1979
독일
모스크바 크렘린궁
●
×
●
●
×
1981
중국
북경고궁(자금성)
●
●
●
●
●
1987
영국
블레넘궁
×
×
●
●
×
1987
러시아
뷔르츠부르크궁
●
●
●
●
●
1990
중국
심양고궁
●
●
●
●
●
2004
4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1.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 박물관 [표 6]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 박물관 문화상품 중류 및 디자인 현황
박 물 관 개 요
이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 박물관
위치
러시아 모스크바
유형
세계문화유산 궁전 유적
시간
건조시간: 1806년 / World Cultural Heritage: 1990년
인터넷 주소
http://www.kreml.ru/museums-moscow-kremlin/
모스크바 크렘린은 러시아의 국가 성지와 러시아 국가의 상징이다. 역사는 크렘린 언덕이 이 귀중한 유산 을 만들고 보존한 수세대에 걸친 역사적 기억의 수호자인 모스크바의 주요 박물관 명소가 되도록 지시했 다. 모스크바 크렘린 기념물의 독특함과 독특함을 인식하는 것은 세계 문화 발전의 예외적인 장소는 세계 문화유산인 모스크바 크렘린과 레드 스퀘어의 세계 문화유산에 포함되었다.
장식용품 기념품 북마크, 기념품 자석, 도자 자석
생활용품
문 화 상 품 의 일 반 분 류
티셔츠 시리즈, 가방 시리즈, 필통, 도자 컵, 플레이트, 숟가락, 포크, 스카프, 넥타이
교육용품 노트북 시리즈
장신구
목걸이, 팔찌, 반지, 슬리브 버튼, 귀걸이
놀이용품 도자 완구
인쇄물 정기 간행물 잡지, 그림책
48
Vol.1 No.1 August 2019
러시아 크렘린 궁전의 문화 상품은 러시아의 민족 문화를 일정 부분 계승하고 있으며 또 그 문화의 특징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현재 판매되는 상품의 디자인은 대체로 민족 문화의 특징을 반영하는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6] 참조
3.2. 프랑스 베르사유궁 박물관 [표 7] 프랑스 베르사유궁 박물관 문화상품 중류 및 디자인 현황
박 물 관 개 요
이름
프랑스 베르사유궁 박물관
위치
프랑스 파리 서남쪽 교외
유형
세계문화유산 궁전 유적
시간
건조시간: 1661년 / World Cultural Heritage: 1979년
인터넷 주소
http://www.chateauversailles.fr/
약 60,000 점의 작품으로 가득 찬 베르사이유 (Château de Versailles) 컬렉션은 프랑스 역사의 5 세기 이상을 보여줍니다. 이 앙상블은 1837 년에 루이 필립 (Louis Philippe)이 창립 한 ‘프랑스의 모든 영광 (for all glories of France)’에 헌정 된 군주와 박물관이 살았던 샤토 (Château)의 이중 소명을 반영한다.
장식용품
기념품 메달, 양초, 루이 14세의 작은 상자의 조각 상, 조각 시리즈
문 화 상 품 의 일 반 분 류
생활용품
티셔츠, 가방 시리즈, 부채 손잡이, 도자 컵, 플레이트 시리즈, 스카프, 넥타이, 쿠션, 우산, 앞치마
교육용품 필, 척, 노트북 시리즈·, 노트북 집게
장신구
목걸이, 코끼리 팔찌, 귀걸이, 브로치
4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문 화 상 품 의 일 반 분 류
놀이용품 조각 상-나쁜 늑대 완구, 물뿌리개-개구리, 벨벳 양, 도형 퍼즐, 공
인쇄물 정기 간행물 잡지, 어린이 그림책
베르사유 궁전은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궁전 중 하나이며, 총 6만개 이상의 작품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르사유 궁전의 문화상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당시 통치자 루이 14세와 베르사유 전체의 건축물 등을 사용 시대성을 방영한 기념품 제작 판매하고 있다. 또한, 프랑스 민족의 고유한 형상을 문화 상품에 사용된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 하다. 그리고 태양신을 상징하는 베르사유 궁전 박물관 의 로고를 디자인에 활용하고 있다.11) [표 7] 참조
3.3. 중국 북경 박물관 [표 8] 중국 북경 고궁 박물관 문화상품 중류 및 디자인 현황
박 물 관 개 요
이름
중국 북경 고궁 박물관
위치
중국 북경 중심에 위치
유형
세계문화유산 궁전 유적
시간
건조시간: 1406년 / World Cultural Heritage: 1987년
인터넷 주소
http://www.dpm.org.cn/Home.html
북경의 자금성은 중국의 명청왕조(明清王朝)의 왕궁으로, 이전에는 자금성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북경의 중심축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대 중국 궁전 건축의 본질이다. 북경의 자금성은 3 개의 주요 홀을 중심으로 72 만 평방미터의 면적과 약 150,000 평방미터의 건축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70 개 이상의 크고 작은 궁전과 9,000 채 이상의 주택이 있다. 그것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보존되어있는 고대 목조 건 축물 중 하나이다.
장식용품 문 화 상 품 의 일 반 분 류
만복 궁등(燈籠) 부채 장식품, 종이 조각의 조명 기구, 장식화, 기념 도장, 병풍 장식품
생활용품
티셔츠, 가방 시리즈, 도자 컵, 부채 손잡이, 식기류 시리즈, 스카프, 넥타이, 쿠션
11) http://www.chateauversailles.fr/
50
Vol.1 No.1 August 2019
교육용품
노트북, 노트북 집게, 척, 종이테이프, 휴대폰 홀더, 클립 홀더, 필통, 분재 문 화 상 품 의 일 반 분 류
장신구 목걸이, 팔찌, 귀걸이
놀이용품 팔기 군대 오뚝이, 미니 고궁 고양이 장난감, 청나라 황제 저금통, 팔기 군대 장식품, 청나라 황제 황후 장식품
인쇄물 북경 고궁 책에 대한 소개, 북경 고궁에서 소장 명화 책에 대한 소개
북경고궁은 중국 명청시기(明清时期)의 궁전으로, 자금성으로 불린다. 북경고궁은 북경 의 중심부에 위치해있으며, 중국 고대 황실 건축물을 대표하기도 한다. 북경고궁 박물 관은 대표적인 소장품과 전통적인 무늬를 함께 활용, 현대적으로 디자인해 문화상품을 제작하고 있다. [표 8] 참조
4. 심양고궁
[표 9] 중국 심양 고궁 박물관 문화 상품 중류 및 디자인 현황 이름
중국 심양 고궁 박물관
박물관 문화
위치
중국 심양 중심에 위치
상품 종류 및
유형
세계문화유산 궁전 유적
시간
건조시간: 1625년 / World Cultural Heritage: 2004년
인터넷 주소
http://www.sypm.org.cn/
디자인 현황
박 물 관 개 요
문화 상품 의 일반 분류
심양 고궁은 1625 년에 청나라 초기에 세워진 황궁에 의해 세워졌다. 심양 황궁은 약 60,000 평방 미터의 면적에 114 개의 고대 건물과 500 개 이상의 건물이 있으며 잘 보존되어 있으며 풍부한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 고대 유적지이다. 법원 부지에 세워진 심양 궁전 박물관은 법원 예술이 풍부한 유명한 고대 법원 미술관이다.
장식용품 기념품: 융사금(绒纱金) 대정전, 감상 접시, 영복 접는 합, 목제 청나라 명화 책갈피
5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생활용품
티셔츠, 도자 컵, 8각형 부채 손잡이, 수제 가방, 식기류, 스카프, 쿠션
교육용품 문 화 상 품 의 일 반 분 류
노트북, 노트북 집게, 척, 종이테이프, 필통, 휴대폰 홀더, 클립 홀더
장신구
귀걸이, 목걸이, 반지
놀이용품 포커(poker), 황제 황후 장식품, 목제 3D 퍼즐
인쇄물 심양 고궁 정기 간행물 잡지, 심양 고궁 책에 대한 소개
심양고궁은 성경고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심양고궁은 북경의 자금성과 함께 중국 중세 부터 보존되어 현존하는 대표적인 궁전식 건축물 중에 하나이다. 청초시기에 황제의 궁 으로 사용되었고, 면적은 18,150평에 달한다. 현재까지 온전하게 보존되어 왔으며, 역 사적 함의가 매우 깊은 유산 중 하나이다. 심양고궁은 3차례에 걸쳐 대규모의 건축 작 업을 진행했는데, 이로써 동중서삼로의 형식을 갖게 되었다, 그중 동중로는 누르하치가 심양에 거주하게 된 이후에 다시 건축된 것이다. 종루는 누르하치(努尔哈赤)의 아들인 청태종(清太宗) 황제를 위해 건축되었다. 또한, 서로는 청나라 중기 건륭 황제의 <사고 전서>를 완고히 하기 위하여 지어졌다. 1961년, 심양고궁은 국가 제1급 보호 구역으로 선정되었다. 2004년, 심양고궁은 명청황공(明清皇宫)문화유산으로서 <세계문화유산 리 스트>에 등재 및 2017년 심양고궁은 “중국 제1급 박물관”으로 등록되었다.12)
12) http://www.sypm.org.cn/
52
Vol.1 No.1 August 2019
[그림 4] 심양고궁의 역사
심양 고궁 박물관은 2004년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방문자가 2004년 67만 명에서 2013년 128만 명으로 늘었다. 방문자 증가율은 91%로 2배에 육박했다. 2016년 161 만3000명, 2017년 180만9300명, 2018년 심양 고궁이 연간 201만300명으로 처음으 로 200만 명을 돌파했다. 심양고궁 박물관은 3년간 매년 관람객이 증가해 2018년 11.1% 증가했다. 2015년 초, 심양고궁은 “영원한 복”(永福)을 주제로 첫번쩨 문화 상 품을 제작했다. 사무실 용품, 문구류, 가정용품 등의 상품들이 있었다. 현재까지, 심양 고궁의 문화 창의 사업은 100여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고, 800여개의 상품이 제작되었 다. 통계에 의하면, 심양고궁은 2016년 한화로 매출액 11억7천600만원(KRW)을 달성 했다.13)
[그림 5] 심양고궁 여행 인차 증가도
본문에서는 최근 5년간 연구된 6개의 논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 심양 고궁 문화상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 들이 발견하였다. 첫째, 심양고궁 문화상품의 디자인 창의성, 지역 특색과 브랜드 문화상품 개발 부족하다. 둘째, 문화상품들이 실용성이 떨어지고, 홍보 가 부족하다. 셋째, 제품 판매 경로는 단일하다. [표 10] 참조 [표 10] 심양 고궁 문화 상품 개발 관련된 문헌 조사 저자
연구 논문 제목
심양 고궁 문화 상품 디자인이 부족한 요소
비고
곡동 구영
「沈阳故宫旅游文 创产品开发研究」
일부 제품은 품질이 좋지 않아 관광기념품점 위치가 뚜렷하지 않고, 문 화상품은 실용성이 떨어지고 지역 특색이 부족하며, 심양 고궁은 문화상 2018 품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며, 제품 판매 경로는 단일하다.14)
곽문군 고길 장서량
「沈阳故宫旅游纪念 品开发与营销的现 状特征及优化对策」
심양 고궁은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과 마케팅은 창의성부족, 낮은 품질, 2018 낮은 소장가치, 실용적 가치가 부족하다.15)
양홍
「整合与再生-沈阳 故宫文化衍生品研 发途径研究」
문화 원소를 이용해 충분하지 않다, 계열화하지 없다, 브랜드 이미지가 두드러지지 않다, 효과적인 전파 경로가 부족하다. 디자인 관념이 낡고 2017 특색이 부족하다.16)
13) 曲桐, 邱瑛 「沈阳故宫旅游文创产品开发研究」, 合作经济与科技,2018年6期 14) 曲桐,邱瑛 「沈阳故宫旅游文创产品开发研究」, 合作经济与科技,2018年6期 15) 郭文君, 高洁, 张绪良 「沈阳故宫旅游纪念品开发与营销的现状特征及优化对策」, 高师理科学刊,2018年5期 16) 양홍, 「整合与再生-沈阳故宫文化衍生品研发途径研究」, 심양항공항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p29
5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 사례분석 소결
저자
연구 논문 제목
심양 고궁 문화 상품 디자인이 부족한 요소
비고
국기
「符号学视域下的沈 阳故宫文化创意产 品设计研究」
브랜드 이미지 설정 뚜렷하지 않다, 계열화하지 없다, 문화 창의 제품 개 2017 발 방식 단일, 효과적인 전파 경로가 부족하다.17)
임홍
「沈阳故宫文化衍生 品创新设计策略与 途径研究」
계열화하지 없다, 브랜드 이미지 설정 뚜렷하지 않다, 디자인 관념이 낡 2017 고 특색이 부족하다. 지역 특색이 부족하다.18)
윤김해
「沈阳故宫旅游纪念 品开发设计研究」
심양 고궁은 기존 제품들은 형식이 단일하고, 차별화가 부족하며, 제품 2014 판매 경로가 단일하고, 지방 특색이 부족하다.19)
본문은 세계문화유산 중 3대 궁전 박물관의 문화 상품 중, 동일한 부류의 상품에 대해 비교 분석을 진행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했다. 첫째, 동서양을 막론하고, 중국의 북경고궁 문화상품 디자인, 그리고 모스크바 크렘린궁과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 의 문화 상품들은 모두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에서 는 태양신 아폴론의 형상,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이 그려진 핸드백이 시리즈로 제작되었 다. 그 외의 예로는 러시아 크렘린 궁전의 시를 주제로 삼은 핸드백, 또 수작업으로 그 린 크렘린궁이 그려진 공책, 중국 궁전이 그려진 문화상품 등이 있다. 둘째, 모두 국가 에서 통용되는 전통 무늬, 도안, 색채를 현대적인 디자인과 결합했다는 특징이 있다. 그 예로 중국의 북경고궁박물관의 시리즈 컵, 식기, 핸드백, 공책 표지 등의 상품, 러시 아 모스크바의 크렘린궁전에서 제작한 식기, 그리고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의 식기 등이 있다. 셋째, 모두 궁전의 건축과 박물관의 소장품을 디자인에 사용했다.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러시아의 크렘린궁에서는 공책 디자인에 크렘린궁을 손으로 직접 그린 모습 을 담아냈다. 또한,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의 식기 디자인에는 베르사유 궁전의 건축 형식인 바로크 풍의 디자인을 활용했다. 그리고 북경고궁의 문화상품 중 넥타이에는 고 궁 성벽의 각루 등의 요소들을 녹여냈는데, 소장품 중에서 사용된 것으로는 회화, 유 품, 진주 등의 귀중품들이 있다. 또한, 중국 북경고궁의 문화상품의 봉지 디자인에는 고대 회화 명인의 작품이 사용되다, 넷째, 이들 3대 궁전은 모두 국가의 수도에 위치하 고 있는 만큼, 문화상품에 국가를 대표하는 역사적 인물과 사물의 이미지, 그리고 봉건 제도 아래 황제의 권력 등을 상징하는 요소가 많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북경고궁의 문화 상품은 용과 봉황 같은 봉건사회에서 황제의 권력을 상징하는 요소들을 디자인에 사용했다.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태양신 아폴로의 이미지, 러시아의 크렘린 궁 에서는 러시아를 상징하는 쌍두 독수리와 차르 등의 이미지를 많이 사용했다. 다섯째, 3대 궁전의 문화상품은 모두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토대로 디자인되었다는 특징이 있 다. 상품 하나하나는 모두 시대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역사적 사건과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 크렘린궁의 봉지 디자인은 러시아의 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 며,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에는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을 활용한 시리즈 상품들이 있 고, 또 북경 고궁에는 청나라 황제를 비롯한 궁궐의 인물들을 활용한 문화 상품들이 있 다. 따라서 역사, 문화, 지역, 민족, 소비자 층이 다르기 때문에, 동서양의 궁전 박물관
17) 국기, 「符号学视域下的沈阳故宫文化创意产品设计研究」, 심양항공항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p24-25 18) 임홍, 「沈阳故宫文化衍生品创新设计策略与途径研究」, 包装工程, 2017年4期 19) 윤김해, 「沈阳故宫旅游纪念品开发设计研究」, 国际工业设计研讨会暨第十八届全国工业设计学术年会论文集, 2013
54
Vol.1 No.1 August 2019
에는 각기 다른 문화 상품들을 가지고 있다.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생겨난 디자인의 차이가 크다고 하겠다. [표 11] 참조 [표 11] 궁전 박물관 문화 상품 디자인 요소 비교 러시아 크렘린궁 박물관
프랑스 베르사유궁 박물관
중국 북경 고궁 박물관
중국 심양 고궁 박물관
러시아의 전통 민족 문양 과 박물관의 유물 이미지 장식용품 사용했다.
통치자 루이 14세와 베르 사유 전체의 건축물이 가 장 자주 사용되는 소스이 다. 예를 들어, 메달 기념 품은 루이 14세, 루이 15 세의 머리를 디자인의 주 소스로 사용한다.
북경고궁박물관은 대표적 인 소장품을 디자인에 직 접적으로 활용한다. (명화, 유물, 문양, 등)
심양고궁 대표적인 건축물을 대정전(大 政殿)요소 사용한 기 념품 만 있다.
크렘린궁 박물관의 문화 상품들은 역사적 사건들을 상품의 스토리텔링에 활용 한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생활용품인 봉지 디 생활 자인에는 러시아의 문학, 용품 그중에서도 시와 관련된 디자인 문화적 배경을 이미지에 특징 활용한다.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의 이미지도 식기 디자인에 주로 사용되곤 한다. 또한, 프랑스 민족의 고유한 형 상을 문화 상품에 사용된 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 다. 캔들 홀더와 식기 시 리즈 상품들의 디자인에서 이와 같은 예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마리 앙투아 네트의 이미지를 개발하여 디자인된 상품들도 있다.
북경고궁박물관은 전통적 인 무늬를 디자인에 활용 한다. 현대적 디자인 스타 일을 활용했다는 것이다 (팝아트, 그리고 개인의 취향을 고려한 방식). 창 의 문화 상품이라고 해서 꼭 전통적인 수법으로 전 통 문화를 표현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서화를 이용 하여 황제의 권력을 대표 하는 언어, 그리고 캐릭터 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방 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계열화 상품은 영복 (永福) 계류 제품만 있다. 만주팔기의 용 (龙)의 이미지를 디 자인 요소로서 많이 사용했다. 채택 원소 는 매우 단일하다.
크렘린궁 박물관의 문화상 품 중에는 복제된 공예품 일 과 장난감은 비교적 적은 반 편이다. 공책을 디자인 특 적 교육 징은 크렘린궁의 건축물을 용품 직접 공책 표지에 실었다 분 디자인 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류 특징 공책이 확 눈에 띄는 효과 특 를 준다. 징
태양신을 나타내는 배지 (베르사유 궁전 박물관의 로고)를 디자인에 활용하 는 것 역시 베르사유 궁전 이 문화 상품을 디자인하 는 방법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 유 행하는 것들을 결합시킨 것이다. 고대인들을 귀엽 게 그려내고, 또 그 모습 이나 얼굴 표정들을 과장 시켜 젊은이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것이다. 이와 같 은 방식으로 상품을 제작 하기에 창의 문화 상품은 창의성과 실용성이라는 장 점을 겸비하게 된다.
가장 특색 있는 것은 대정전(大政殿) 클립 홀더와 청나라 전기 1, 2위 황제의 초상 화로 복경고궁과 다 르지 않다. 모두 청 나라팔기군(清代八 旗军)의 원소들이다.
장신구 디자인은 러시아 민족의 전통 무늬와 색채가 뚜렷하게 드러나게 하는 장신구 것이 눈에 띄는 특징이다. 디자인 특징
18세기에, 진주는 다양한 보석들로 장식되었다: 긴 줄 목걸이, 팔찌, 귀걸이, 그리고 펜던트입니다. 심 지어 법원 여성의 머리 장 식에서도 진주가 발견되었 다. 베르사유 궁전에 전시 된 많은 그림들이 이 패션 을 증명 한다.
장신구 디자인 요소는 전 통적인 상운(祥云), 호리병 박, 부채, 도장, 사용 했 다. 소재는 금속공예로 많 이 제작.
장신구 디자인 특징 은 만주족 문자와 영 복(永福)계류 금속공 예로 많이 제작. 복 해(福海)장신구는 전 통 문양 사용 했다.
러시아의 전통 민족 문양 놀이 지자인 했다. 용품 디자인 특징
장난감의 디자인 배경은 모두 왕실의 취향과 관련 이 있으며, 디자인 원소는 왕실의 손으로 그린 도안 과 캐릭터를 주요 표현 방 법으로 사용한다.
청나라 황제와 발기(八旗) 캐릭터는 발기(八旗)군대 의 특성에 따라 구별되다. 창의성과 귀여운 느낌.
디자인원소는 청나라 의 황제와 팔기군(清 代八旗军)을 위주로 한다.
박물관
장식 용품 디자인 특징
문 화 상 품 의
5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박물관
문화 상품 의 인쇄물 일반 디자인 적 특징 분류 특징
6. 심양고궁
러시아 크렘린궁 박물관
프랑스 베르사유궁 박물관
중국 북경 고궁 박물관
중국 심양 고궁 박물관
출판물도 마찬가지로 러시 아의 역사와 그 발전을 디 자인의 핵심으로 여긴다.
베르사유 궁전 박물관의 문화상품과 출판물은 단 순히 소장품과 역사와 문 화를 반영하는 발간물들 외에도, 아동 교육에 유용 한 화집도 다루고 있다.
북경고궁 출판물은 문물 류, 관광생활류, 중국 서 화류, 문학 이야기류, 사 학문고류, 학술류, 기물소 장류, 정기 간행물 잡지류 등 상세한 분류가 있다. 또한 특별한 AR 애니메 이션 기술로 궁정 회화를 주제로 황제의 생활상을 보여줍니다.
출판물은 주로 고궁 을 소개하는 서적과 정기 간행물을 위주 로 한다.
세계문화유산 선정 5대 궁전유전 중 북경의 북경고궁 (자금성), 러시아의 크렘린궁, 프 랑스의 베르사유와 요녕성의 심양고궁을 대상으로 디자인 된 문화상품을 비교분석하였
박물관 문화
다. 이를 기반으로 심양 고궁 박물관의 문화상품 디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
상품 디자인
고자 한다. 첫째, 심양 고궁의 문화적 자원을 결합하여, 지역 민족과 문화의 개성을 살
개발의 방향
리는 방안이 있다. 심양 고궁 문화 상품의 포지셔닝과 시리즈화의 방향을 명확히 하는
설정
것이다. 이처럼 세계 3대 궁전의 박물관의 문화 상품들을 살펴본 결과, 모두 전통문화 에 나타난 기호들을 현대 상품 기획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반대로 심양고궁박물관의 상품들은 문화 관련 이미지를 상품에 그대로 적용한 경 우가 많았고, 창의성 개발을 통해 만들어진 문화 상품은 매우 적다. 따라서 심양의 고 궁 문화 기호의 특징을 대표하는 원소를 찾는 것이 중요한다. 이를 정리하고 전면적으 로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호를 찾아내야한다. 북경 고궁의 문화 기호와 겹치는 것 을 피하다. 둘째, 합리적인 제품 가격 체계를 만들어 제품의 품질을 중시한다. 문화제 품은 프리미엄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여행자의 소비층을 전반적으로 고 려해 저가 상품의 비중을 적절히 늘리고 다양한 소비계층에 맞는 문화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심양고궁은 제품의 원자재에 약간의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도록 조정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판매가를 낮추어 고가로 제품 판매를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연 령과 소비수준에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및 다양한 문화상품을 디자인 되다. 문화 상품 기획에 앞서, 심양고궁은 반드시 문화상품 산업에 대한 시장 분석을 진행해야한 다. 소비자층(연령, 구매력, 소비욕 등), 소비 환경 및 방식, 기존의 상품(상품의 유형, 이에 활용된 문화 기호) 등을 면밀히 분석해야한다. 셋째, 혁신적인 마케팅 방식 필요 한다. 심양고궁 문화상품에 관한 홍보 활성화하기 위하여 관광객들이 편하게 상품 정보 를 얻기 위하여 심양고궁문화상품의 관련 자료가 디지털화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양한 미디어 기술을 구사하는 수단을 통해 심양 고궁 문화상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홍보한다. 인터넷 판매의 강점을 충분히 발휘하다. 새로운 멀티미디어 기술(VR, AR)개발을 통해 상품에 대한 사용자 체험은 문화상품의 디자인 아이디어와 실용적 가치소개를 구매자 에게 제공할 수 있다.
56
Vol.1 No.1 August 2019
7. 결론
본 연구는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이 선정한 세계 5대 궁전유적을 중 프랑스 베르사유 궁, 중국 북경고궁(자금성), 러시아 크렘린 궁을 대상으로 중국 요녕성의 심양고궁의 문 화상품 개발에 관한 올바른 방향서 제시하기 위한 것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 문화유산 중 연구의 요구 조건에 충족하는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 러시아 크렘린 궁전, 중국 북경고궁을 대상으로 궁전 박물관의 동일한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분류 및 비교 분석을 진행했다. 또한 최근 5년 동안 연구된 중국 내 심양고궁 문화상품에 대한 선행 자료 바탕으로 심양고궁 문화상품의 당면한 문제점과 그 원인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창의성 및 지역 고유의 문화적 특징에 대한 연구 부재, 둘째, 문화상품 브랜드에 대한 인식 및 홍보 인식 부재, 셋째, 문화상품 제작에 있어 실용성과 합리성 부재, 넷 째, 문화상품의 계열화와 판매경로의 단일화 등을 큰 문제의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따 라서 심양 고궁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몇가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자 한다. 첫 째, 요녕성 지역의 민족과 문화의 개성을 적용한 문화적 자원을 개발, 결합해야 할 것 이다. 둘째, 세계 유명 궁전 박물관의 문화상품 등의 사례와 같이 확고한 포지셔닝과 궁전 유물(전시물, 궁전 양식, 형태 등) 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계열화 된 다양한 상품군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디지털기술(VR, AR)을 적용 등의 혁신적인 마케팅 방 식으로 심양고궁의 홍보방향을 다원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 은 한계점을 가진다. 첫째, 조사범위를 선행연구 자료와 국·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정 하였고 또한 다양한 물리적 환경요소 등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다 반영하지 못하였다. 둘째, 심양고궁의 방문자의 소비패턴, 취향 등을 직접 조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셋째,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하여 조사범위 확장과 시각적 표현요소와 여러 변수를 추가해 펴 본다면 색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부분들을 차후 연구 의 과제로써 보완을 통해 실질적이고 심층적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참고문헌 엄사사,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에 대한 연구-중국 운남성 리장시 리장고 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16, p.3-4,재인용 박선희, 「문화상품의 시장 활성화 방안연구-아트샵의 문화상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 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2002,p.20 한국희, 「박물과 뮤지엄샵. 문화상품개발 및 활성화 방안」,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p24, 재인용 서지연, 「박물과 영역공간과 뮤지엄샵의 상관관계 연구」, 서울산업대학교IT 디자인대학 원, 2007.p29, 세계유산 신정 목록,UNESCO: http://whc.unesco.org/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 박물관 http://www.kreml.ru/museums-moscow-kremlin/ 프랑스 베르사유궁 박물관 http://www.chateauversailles.fr/ 중국 북경 고궁 박물관 http://www.dpm.org.cn/ 중국 심양 고궁 박물관 http://www.sypm.org.cn/
5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아동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 경험 디자인적 접근 -
A Development of Children’s Arts Experience Program of China - Experience Design Approach -
윤우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Yoon, Woo Lahm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디자인 교육, 아동미술, 경험디자인 Keyword
Design Education, Children’s Arts, Experience Design
Vol.1 No.1 August 2019
중국 아동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의 산업은 제품의 기획, 생산 및 유통 방식이 점차 고도화되고 있으며,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슈머(Prosumer)의 개념이 제 시되었으며, 이후 크리슈머(Cresumer) 즉, 창조적 소비자들이 등장하여 제품의 기획을 주도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면서 시장의 판도를 재편하고 있다1)2). 그러므로 미 래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국가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창조적 생산자 와 더불어 디자인적 소양을 갖춘 창조적 소비자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질 것이다3). 현재 디자인은 각 영역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융합 및 협업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특정 직업과 특정 분야에 한정된 의미가 아닌 사회, 경제, 과학, 인문, 예술 등 광 범위한 학문 영역과 통합하고자 하는 연구와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4). 이와 같은 시 대적 흐름이 교육현장에 투영된 결과물로서 디자인조기교육이 제시되었다. 디자인조기 교육은 전문적 디자인교육대상자가 아닌 보편적 교육대상자 즉, 일반 초중등 공교육대 상자들에게 일반교육적인 접근을 통해 디자인의식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들이 성장한 이 후에 보다 수준 높은 디자인을 향유하고 이를 평가할 역량 및 디자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추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5) 현재 중국의 초등 공교육에서 미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으며, 사설미술교육기관 에서도 상위 학교로 진학하기 위한 미술교육 및 여가 취미 활동으로서의 미술교육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초등 미술 교육 과정에서 디자인교육의 필요성 을 규명하고, 이에 기반한 아동 미술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이를 통한 중국 아동 의 창의력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아동미술교육과 디자인조 기교육의 이론 및 현황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일반교육과정으로서 디자인교육의 사례 및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연령별 아동의 발발단계에 맞는 적용방안 및 방향성에 대 해 탐구한다. 둘째, 인터뷰조사를 통해 중국의 학부모 및 미술교육 종사자의 디자인교 육에 대한 인식, 이해도, 기대효과 등에 대해 이해한다. 이를 기초로 체험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수업에 필요한 학습지도 계획을 설계한다. 셋째, 학습지도 계획을 1) 양재범, 「마케팅환경 변화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권 5호, 2008, pp.113-121 2) 유초롱, 「크리슈머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p.6-13 3) 현은령,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 현황과 과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2014, pp.90-97 4) 현은령,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29, 2014, p3 5) 홍혜경, 김준교, 「초등 디자인교육 현황 및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vol.24 no.3, 2011, pp.321-338
5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토대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여 이를 실험 한다. 이후 공신력 있는 창의성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미술 체험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창의력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 검증한다. 본 연구의 이론 고찰 범위는 아동의 연령별 발달 단계 및 디자인조기교육의 주요 이론 에 한정하였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에서 진행될 실증연구의 대상으로 중국의 초등학교 공교육 과정에 속하는 6-12세의 연령대를 선정하였다. 또한 공간적 배경으로 중국의 징진지 지역을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디자인조기교육 디자인조기교육은 디자인전공자를 위한 전문디자인 교육이 아니라, 일반 초중등 공교 육대상자를 위한 보편적 일반교육의 속성을 지닌다. 이를 통해 교육대상자는 확산적 사 고와 수렴적 사고과정의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동료와의 소통 및 주도적 문제해결과정 을 통해 창의성의 발현 및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아동청소년기에는 지능, 신체, 정신이 발달하는 시기이며, 이 시기에 형성된 성격과 생 활습관, 학습습관은 성인이 된 후에도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6) 그러므로 디자인조기교 육은 적시교육(just-in-time education)으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표 1] 일반교육으로서의 디자인의 가치 Advocate
The Value of Design Education
Bruce Archer
인문학, 과학에 버금가는 세 번째 영역인 디자인 교육의 정당성 설명
Stuart Pugh
디자인이 미술 및 과학의 지식을 서로 통합한다는 특성 강조
Charles L. Owen
문제해결(Problem solving), 개념화(Conceptualization), 시각화(Visualization),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등의 전문적인 교육이 부가된 디자인 교육 주장
Nigel Cross
현실적인 문제해결 능력(Real-world problem solving), 구조적 사고방식(Constructive thinking), 그리고 비언어적(non-verbal) 사고방식이 디자인 교육의 본질적 가치라고 주장
Charles Burnet
디자인은 특별한 영역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주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프로세스라고 주장
V. Papanek
디자인 교육은 문화의 가치를 비판하고 창조하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
J. Norman
창조적인 능력을 개발하고 다른 과목이나 생활에서의 경험을 통합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개로서의 역할을 주장
2.2. 디자인조기교육 해외사례 이전부터 선진국들은 이미 디자인교육의 효과 및 중요성에 대해 주목하였으며, 공교육 과정에서부터 디자인적 사고를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선진국의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디자인 교육의 특징은 창작활동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교육, 아동의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을 통한 문제 해결능력 개발이 있었다. 또한 디자인 자체를 교육의 목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창의성을 갖춘 인재 개발을 목적으로
6) 최윤영, 「조기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무용학회지, 10권 1호, 2010, pp.65-76
60
Vol.1 No.1 August 2019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디자인 선진국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간략한 특징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선진국의 디자인조기교육 사례7) Country
England
US
Japan
France
Germany
Italy
Program
Design & Technology
K-12
Art ang Craft
Arts Plastiques
-
-
Start year
1960
1989
1990
-
1945
-
Subject
5~16
5~13
6~12
6~12
7~19
0~12
Education objective
Increase creativity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Foster vitality
Develop individuality
Teach sense of order
Develop creativity
Method
Key stage in 4 steps
Experience education
Art activities
Basic and in-depth education
Teachercentered teaching
Five senses art
Practice in daily life
Develop the special program of library and museum
Art activities with the people
Absolute authority of teacher
Humanlike art education
Using cultural facilities by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eature
3. 결론
중국은 최근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창의교육 및 예술 교육에 대한 수요와 시장의 규 모가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 있는 정책에 맞춰 중국에서 창의적 생산자뿐만 아니라 창의적 소비자의 중요성도 점점 증대되고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을 위주로 이뤄지는 디자인교육에 기반한 아동 미술 체 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재 중국의 시장변화에 호응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향후 연구 를 통해 본 연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조기교육의 이론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국 징진지 시장에서 적용할 방안을 모색한다. 둘째, 중국 징진지 지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디자인조기교육에 대한 인식 및 잠재수요에 대한 인 터뷰 조사를 진행한다. 셋째, 시장의 특성에 맞는 디자인조기교육에 기반한 중국 아동 미술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에 대한 검증실험을 진행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 해 디자인조기교육이 중국아동의 창의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7) 고정욱, 권지은, 「한국 문화 콘텐츠 기반의 디자인 조기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2012, pp.1-12
6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고정욱, 권지은, 「한국 문화 콘텐츠 기반의 디자인 조기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조형 학연구, Vol.13 no.3, 2012, pp.1-12 양재범, 「마케팅환경 변화에 따른 통합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8권 5호, 2008, pp.113-121 유초롱, 「크리슈머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p.6-13 윤소영, 「초등과정에서 디자인을 기초로 한 교육의 개선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6, p.10 최윤영, 「조기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무용학회지, 10권 1호, 2010, pp.65-76 현은령,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 현황과 과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2014, pp.90-97 현은령,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29, 2014, p3 홍혜경, 김준교, 「초등 디자인교육 현황 및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 –초 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vol.24 no.3, 2011, pp.321-338
62
Vol.1 No.1 August 2019
기억색이 노인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memory color on the elderly preference
팽자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기억색, 노인, 선호도 Peng, Zi Ro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기억색이 노인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인구 노령화는 21세기의 인류 사회의 발전에 나타난 주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21 세기 이후 세계 인구의 노인 인구는 6억 명에 육박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는 해마다 2%의 성장률로 증가하고 있고, 2025년~2030년까지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 성장률이 2.8%에 달할 것으로 추측된다. 다양한 분야에서 인구 노령화를 위한 서비스 에 대해서도 다양한 수요가 나타났다. 인류가 세계를 알아 가는데 필요한 정보의 80%는 모두 시각을 통해 획득한다. 자료 통 계에 따르면,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각막은 빛을 잃어 가기 시작하고 빛 굴절 능력도 떨어지게 된다; 동공의 활약근 기능도 하락하여 동공이 축소를 유발시키고 따라서 빛의 투과 량도 줄어든다; 수정체가 혼탁하고 누렇게 변하며; 시망막의 시각적 감각 세포도 점차 자연사하게 된다. 이처럼 일련의 생리 조절 능력의 하락은 시각의 민감성과 밝기, 공간, 색깔 및 정보 처리의 변화에 직접적 영향을 주게 된다. 색채는 시각적 체험을 일 으킬 뿐만 아니라 정보와 이념을 전달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색채 선호도는 인류 생활의 여러 가지 부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 사회에서 노인 들의 생리적 기능이 노화되면서 심리적 특징에도 변화가 발생하고 사회적 지위도 점차 낮아져 자기존 중감, 성격, 가치관 등 부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노인들은 변화된 환경을 완전히 받아들이지 못하고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외로운 감정을 쉽게 느 끼게 되며 이러한 감정은 또 주변 사람과의 갈등을 빚기도 한다. 때문에 노인들의 수 요, 심리적 생리적 활동 등을 정확하게 파악한 다음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노령화 사회 에 존재하는 현실적 문제에 대해 정확한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환경, 주택 공간, 제품 개발, 노인 시설, 의료 건강 등에 대한 노인 산업 분야의 개발을 기반으로 하고 그 가운데의 조형 요소 색채에 대해 연구를 진 행하였다. 색채는 환경 요소 중 한가지로서 이미지 형성에 있어 질감과 형태보다 더욱 직접적으로 감정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행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생활에 서 사람들은 이미 바다, 사과, 피부 등에 대한 색깔에 개념적 인상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빨간 사화, 푸른 하늘 등 단어들은 이미 사람들의 마음 속에 깊이 각인되었고 이 처럼 개념화된 색깔을 “기억색”이라 한다. 노인들이 새로운 사물을 받아들이는 속도가 느려 짐에 따라 사물의 색깔 선호도에 있어 기억색이 노인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 인가? 젊은이들에 비해 어떤 차이가 있는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가? 이것이 바로 이번 연구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문제들이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55세 이상~70세 이하의자기 관리 능력이 있는 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한편, 16-28세의 청년들을 비교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먼저 조사 대상에 대한 설문조 사를 통해 사물의 기억색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다. 다음 기억색이 존재하는 사물과 기
64
Vol.1 No.1 August 2019
억색이 없는 물체를 총 8가지에 사각형 1개를 선택하여 모두 9개 그룹을 형성하였다. 기억색이 있는 물체 6그룹과 기억색이 없는 물체 3그룹으로 나뉘어 NCS색채계를 활용 하여 각 그룹 모두 NCS색채계의 6가지 기본색을 변수로 하여 기억색과 비 기억색 물 체가 6가지 색깔 속에서의 선호도를 연구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필요한 연구배경, 연구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의 내용과 결과, 설문조사에 따라 실험을 제작하였다. 넷째, 실험 결과는 기억색과 비 기억색에 따라 노인과 청년들의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2. 이론적 고찰
2.1. 노인에 대한 이론 2.1.1. 노인의 개념 UN은 고령화 사회에 대해 전체 인구 가운데 65 세 이상의 비율이 7 % 이상이면 고령 화 사회 (aging society), 14 % 이상이면 고령 사회 agedsociety), 20 % 이상이면 초 고령 사회 (superaged society)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정의에 따라 스웨덴 이 가장 빠른 1887 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미국 (1942 년), 일본 (1970 년)에 이어 우리나라는 2000 년에 고령화 사회에서 진입하였으나 급속한 증가로 2018 년에 는 고령 사회, 2026 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추계되었다. 또한 노인의 범위를 우리나라 법령에 따라 고령자 고용 촉진법에 의해 고령자는 55 세 이상, 준 고령자는 50 세 이상 55 세 미만인 자이며 노인 복지법에서는 65 세 이상인 자를 노인으로 규정하며 국민 연 금법에서는 60 세 (특수 직종 근로자는 55 세)부터 노령 연금 수급권 자로 규정 하였다.1) 인간은 노화가 진행됨으로 인해 살아가면서 필요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등의 기능이 저하되고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신체적으로는 세포의 감소, 골격과 수근의 약화 만성 질환의 상병 률 증가, 피부와 지방 조직의 감소 신진 대사 기능 및 소화 기능 쇠퇴 등 기능적인 부분이 많이 불편해진다. 심리적으로는 개인 차가있을 수 있겠지만 신체 기능 의 저화와 함께 자신감을 상실하여 소득 기회 상실 및 소외감과 불안감을 초래하여 주 변 사람들과의 갈등까지 겪게 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노화와 함께 기억력이 쇠 퇴하는 경향은 생리적 인 정신 노화와 병적 인 정신 노화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사회적 으로는 가정과사회에서의 지위와 역할이 하락하여 노인이 설 자리가 없어지게 된다. 이 는 밀러 (Miller)의 노인의 정체성 위기를 퇴직으로 인한 자아지지 기반의 와해2) 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개념과 동일하다.
1) 2011,6, 박유선, 노인세대의 색채 감정반응에 따른 선호도와 이미지 평가방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6, p.55
6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1.2. 노인의 색채심리 인류는 시각네트워크의 간상세포와 원추세포를 통해 시각을 만들며, 노인은 나이가 들 면서 생리적으로 만들어진다. 눈의 노화와 질병 등의 여러 요인으로 색채 정보를 전달하는 원추세포가 가 감소하게 된다. 연구에 따르면, 노인의 원추세포는 20대의 절반 수준이며, 색채에 대한 민감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많은 색을 보고 배우면서 살아 가게 된다. 색채를 지각하게 되는 것은 대뇌를 통해 입력되어 지는데 이로 인한 색자극 은 색지각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심리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인간이 지각하는 색은 개관 적으로 정립되어지기보다 과거의 경험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와 같은 색의 특 징 때문에 색과 관련된 활동은 사람이 편안함, 흥분, 따뜻함, 차가움을 경험하게 되고 조화로운 심신 상태를 유지, 복원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특히 색채는 노인의 삶에 매 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일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노인들의 상태에 맞게 색채를 노 출시킨다면 신체적 건강과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게 해줄 수 있다(이근매, 2008). 노인의 나이가 증가하면서 생리적으로 안구 노화와 질병에 시달릴 수 있으며, 색채정보를 전달하는 원추세포는 신체의 기능 하락으로 다소 감소한다. 노인에게 있어서 색채는 독 특한 기억 언어이며, 색채의 심리적 특징은 그들의 색채 선택과경향에 영향을 미친다.
2.2. 색에 대한 이론 2.2.1. 색의 속성 색채는 사물이 발산하거나 빛의 반사로 인해 사람들의 시각에 상이 맺힌 것이다. 색채 에 대한 사람의 인식은 눈의 역학을 통해 이뤄지며, 이는 생리현상이지만 감각을 통과 하는 충격 또한 심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색채는 감정이 없으며 일종의 무력한 현 상이지만, 사람들은 색채에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사람들이 오랜 세월 색채의 세계의 생활했으며, 많은 시각 경험을 축적 했기 때문이다. 경험과 외부 색채자극이 일 정한 호응을 이룰 때,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특정한 정서를 느끼게 된다. 인간은 노화가 진행됨으로 인해 살아가면서 필요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등의 기능이 저하되고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신체적으로는 세포의 감소, 골격과 수근의 약화 만성 질환의 상병 률 증가, 피부와 지방 조직의 감소 신진 대사 기능 및 소화 기능 쇠퇴 등 기능적인 부분이 많이 불편해진다. 심리적으로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겠지만 신체 기능 의 저화와 함께 자신감을 상실하여 소득 기회 상실 및 소외감과 불안감을 초래하여 주 변 사람들과의 갈등까지 겪게 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노화와 함께 기억력이 쇠 퇴하는 경향은 생리적 인 정신 노화와 병적 인 정신 노화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사회적 으로는 가정과 사회에서의 지위와 역할이 하락하여 노인이 설 자리가 없어지게 된다. 이는 밀러 (Miller)의 노인의 정체성 위기를 퇴직으로 인한 자아지지 기반의 와해3)에서 기인하는 것이라는 개념과 동일하다.
2.2.2. 기억색 우리는 어려서부터 과일이나 꽃의 이름을 부르며 색이름을 공부해 왔다. 예를 들어 빨 3)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6, p.55
66
Vol.1 No.1 August 2019
강을 사과색으로, 선명한 주황을 귤색 등으로 불러 왔다. 여기서 귤색과 사과색은 모두 기억색(memorial color)에 해당한다. 기억색(memory color)은 일상에서 흔히 접하 는 친숙한 대상이나 물체와 관련해 기억되는 색이다(Bartleson, 1960). 기억색 연구에 서는 잠재적으로 기억하고 있는 색을 조사하기 위해서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자 연물을 주로 활용한다. 기억색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되어왔다. 정보의 흐름이 감각기억에서 장기 기억으로 진행되는 상향 처리 관점과 장기기억에서 감각기억으로 진행되는 하향 처리 관점이다(Ling & Hurlbert, 2008).
2.3. NCS 색체계 스웨덴색채연구소(Scandinavian Colour Institute)가 1964년부터 연구하여 1972년 에 발표한 색체계가 NCS(natural Colour System)이다. 1972년에 스웨덴연구소에서 발표했고, 우럽각국의 표준체계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자연색을 바탕으로 한 색채계 이므로 먼셀시스템의 한계점을 보완한 색채계이고 업체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해준다고 한다. NCS에서 색상은 표준 색표집을 기준으로 할 때 총 40개의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색상의 속성인 흰색상(w), 검정색상(s), 노랑색상(y), 빨강색상(r), 파랑 색상(b), 초록색상(g)을 기준으로 한 혼합비로 표현된다.4) NCS 색공간(color solid) 다 음과 같다. NCS 는 노랑, 빨강, 파랑, 녹색이 유채색 있고 2가지 무채색 총 6가지 기 본색이다.
2.4. 선호도 선호도란 신선하여 좋은 정도나 선명하여 아름다운 정도를 말하며 색채 선호도란 여러 가지 색채 중에서 특정한 색을 더 좋아하는 개인의 성향을 말하는 것이다.5) 색채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모두 동일한 색을 좋아한다거나 싫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색의 선호는 개인, 연령, 집단, 사상 지역, 문화 등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이렇듯 ‘어떤 색을 좋아하는가’는 여러 가지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심 리학자 N. K. Humphrey(1976)는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선호색은 오랫동안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으며, 현대인들은 자기 마음대로 색을 사용하나 이에 대한 반응은 계속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색채에 대한 개인적인 선호도는 무의식과 의식에서 차이가 나타난다.”고 하였다,6) 즉, 색채 선호는 내 외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변적
4) 문은배, 「색채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1, p.225-228 5) 김민정, 「보라색의 선호도와 제품 구매의사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8 6) 서정이, 「아동의 성별에 따른 색채선호와 연상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p.11
6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이지만 대상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찾을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색채 선호에는 대상물 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은 순수 선호 색과 대상물을 지정한 선호 색이 있으며, 이 두 가 지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색채 선호에 대한 연구는 1895 년 Cohn의 색 채 선호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시초로 수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졌었다. 그는 제한된 색 약간을 몇 인치 정방형 색지로 오려서 색의 선호도를 조사 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대 비가 강한 배색이 대체로 선호되었음을 알게 된다.7) 서정이, 「아동의 성별에 따른 색채 선호와 연상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p.11
3. 연구 가설 및 실험
3.1. 연구 가설 본 연구는 노인의 선호색은 기억색을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총4개의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다. 1) 사물의 색상 선호도는 기억색의 영향을 받음 2) 노인은 무색보다 색상이 있는 계열을 더 선호함 3) 노인과 젊은이의 색채 선호도는 모두 기억색의 영향을 받음 4) 노인과 젊은이가 선호하는 색채는 차이가 있음
3.2. 예비 설문조사 및 자극물 조건 설정 NCS 색체계 속에 표준색에 대응한 RGB 수치, 하양색 (W: RGB-255,255,255); 검은 색 (S: RGB-0,0,0); 노란색 (Y:RGB-255,210,0); 빨간색 (R:RGB-196,10, 52); 푸른색(B: RGB-0,137, 191); 녹색( G: RGB-0, 164, 106)를 사용한다. 실험자는 먼저 물체의 고유색에 대한 인지 테스트를 진행하여 아래 실험에서 사용하게 될 실물 인지 상황에 대해서도 인지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1]. [표 1] 설문 조사 결과 색 대표 자연물
아양 토끼
건은 거미
빨간 사과
노란 바나나
푸른 파도
녹색 잎
동일 비율(%)
100
95.85
100
100
93.75
100
반의 비율(%)
0
4.15
0
0
6.25
0
설문조사의 참가자는 도합 48명인데 그중 기억색과 대표 실물 사이의 관계를 확립했다. 거미, 파도 이외에 동의는 흰색은 토끼, 노란색은 바나나, 빨간색은 사과, 녹색은 나뭇잎. 거미와 물결에서 동의한다는 응답은 각각 95.85%, 93.75%였다. 그래서 실험 중 기억 색의 자극물은 토끼, 거미, 바나나, 사과, 바도, 이파리로 확인됐다.
7) 서정이, 「아동의 성별에 따른 색채선호와 연상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p.11
68
Vol.1 No.1 August 2019
3.3 본 연구를 위한 실험 조사 3.3.1. 조사 대상자 및 자극물 중국에 있는 남녀 사람 300명이고, 그중에 남녀 노인과 남녀 젊은이 두 그룹이 150명 씩을 대상으로 실험 및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 150명의 자립능력이 있는 55 세부터 70세 미만의 노인하고 150명의 일반 16세부터 28세 미만의 젊은이로 선정하 였다. 자극물은 실물이 8개이고 정방형 1개이다. 총 9가지. 토끼·거미·바나나·사과·바도·잎· 나비·옷·정방형이다. 토끼, 거미, 바나나, 사과, 바닷물, 잎은 기억색을 가진 물건이다. 사람들은 흔히 보는 물체에 대해 이미 머리 속에 개념화되어 있다. 나비는 객관적 사물 이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진 실물을 나타내고, 옷은 사람들이 주관적 취향에 따라 선택하 고 확정한 색깔의 실물을 나타내며(옷 이미지는 계절성이강하지 않고 나이와 성별 제한 이 없는 일반적 양식을 사용하였다), 사각형은 아무런 정해진 의미도 없는 기학학적 도 형으로 사람들이색깔 선호도에 대한 추상적 특징을 나타낸다.
3.2.2. 실험 조건 자극물의 배경색은 RGB(192, 192, 192) 사용한다.8) 자연광원을 블라인드로 차단하고 배색 형광등(24Wx2EA)이 수직으로 방사하는 작업 환경을 약 500lx를 유지하였다 (Kim& Park, 2015). 각 도안은 각각 6장에 달하며 각기 6가지 색상으로 나타난다. 도형의 크기는 변의 길 이 3cm인 정사각형. 한조에 6개 조로 나눠 동시에 나타났는데 도합 9개 조로 54개 조 로 구성되였다. 예: 자극물(바나나)
자극물을 하나씩 배경 위에 올려놓고 6개의 같은 종류, 다른 색깔의 그림을 동일 스크 린에 띄운다. 실험 설비는 iPad Pro 11형, 스페이스 그레이, 총 9그룹이 순서대로 스 크린 위에 등장하고 시험자는 순서대로자신들이 가장 선호하는 색깔에 가까운 색깔을 선택한다.
8) Minkuko Sasaki, Yasuhiro Kawabata, 「Influence of an object’s typical color on colormenmery」, 日本色 彩学会志, 2018, p.27-36
6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 분석 결과
4.1. 기억색에 따라 노인 색채 선호도 분석 [표 2] 실험 결과 토끼 차례
노인
거미 청년
노인
사과 청년
노인
바나나 청년
노인
청년
파도 노인
잎 청년
노인
청년
1
흰색 흰색 검은 검은 빨간 빨간 노랑 노랑 남색 남색 녹색 녹색 66.15 41.54 52.31 38.46 72.31 41.54 81.54 64.62 76.92 67.69 86.15 51.54
2
노랑 검은 빨간 빨간 녹색 녹색 15.38 16.92 15.38 18.46 21.54 19.23
남색 녹색 검은 빨간 남색 24.62 16.92 24.62 24.62 18.46
3
빨간 노랑 12.31 15.38
남색 15.38
노랑 17.69
빨간 16.92
녹색 노랑 노랑 18.46 12.31 13.85
4
녹색 13.85
흰색 13.85
남색 11.54
검은 15.38
빨간 16.92
검은 12.31
노랑 15.38
빨간 12.31
5
검은 11.54
6
흰색 10.25
표에서 나열한 6개 항목 모두 특정 기억색을 가진 실물이다. 예를 들면 하얀 토끼, 검 은 거미, 노란 바나나, 빨간 사과, 초록 잎, 푸른 파도. 그림에서 두 가지 실험자가 기 억색에 대한 색깔의 선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1.1 기억색을 선호하는 공통적인 경향 6개 항목 데이터를 통해 두 가지 실험자에서 가장 많이 선택한 기억색은 사물과 관련 되는 기억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1.2. 선호색은 기억색에 의존하는 정도 다르다 제1위의 주요 기억색 수치로 비교하면 노인의 선호색보다 젊은이 더 기억색에 의존한 다. 6개 항목 데이터를 주요 기억색의 평균치 보면, 노인은 72.56%, 젊은이는 50.89% 이다.
4.1.3. 선호도 높은 색채 수량 다르다 표에서 나열한 색채는 모두 인원수 비율이 10%이상을 차지한 데이터이다. 이를 통해 노인이 색채에 대한 선호도가 청년보다 좁고 색깔수량도 더욱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인들이 비교적 집중적으로 선택한 색채는 해당 실물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색채를 선택하였고, 청년들은 이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다른 색채, 예를 들면 노란 토끼, 검은 사과, 빨간 바나나 등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노인들의 색깔 선호도가 물체의 고 유색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청년들은 이와 달리 특정 색채 가 있는 음식에 대한 색깔 선호도에서 사물의 기억색을 중요시할 뿐만 아니라 색체 자 체에도 눈길을 돌렸다.
70
Vol.1 No.1 August 2019
4.2. 노인과 젊은이의 비기억색에 대한 경향 나비, 옷, 정사각형 물체는 그 자체가 특정한 기억색을 가지고 있지 않은 물체들이다. 즉 비기억색 물체들이다. 아래에서는 각 항목의 결과를 나누어 설명한다.
4.2.1. 두 그룹의 실험 참가자들의 나비에 대한 색상 선호도 나비 그 자체는 색채가 풍부하거나, 단색으로 나타나거나, 꽃의 색깔로 난다. 이번 연 구에서는 6개의 단색을 채택해 두 그룹의 참가자들의 이러한 사물의 색상 선호도에 대 한 특징을 테스트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청년들의 색상 선호도에서 나비의 색상에 대한 선호도는 파란 색이 가장 높았고, 선택한 인원수의 비율은 69.23%를 차지 했다. 그 다음은 검은색으 로 인원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43.08%였다. 노인들의 색채 선호도에서 나비의 색상에 대한 선호도는 파란색이 위주였고, 그 다음으로 검은색으로 인원 수 비율은 각각 50.77%, 24.62%였다. SPSS의 카이스퀘어를 통해 검증을 진행하여, 두 그룹의 참가자 가 추출한 여섯 가지 색상의 선호도에 대한 인원 수 비율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단지 파란색, 검은색의 차이성만 유의할 뿐(유의성은 0.032와 0.000), 다른 여러 가지 색상 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색채가 풍부한 자연사물에 대해 노인과 젊은이 들은 모두 파란색을 선호하고, 젊은이들은 파란색을 바탕으로 검은색에 대해서도 매우 뚜렷한 선호도를 나타냈다.
4.2.2. 두 그룹의 실험 참가자들의 옷에 대한 색상 선호도 옷의 색상은 사람들의 색상에 대한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선택의 자율 성이 비교적 크다. 여기에서는 6가지의 기초 단색만 선택 대상으로 삼는다. 채택된 옷 의 이미지 양식은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사진은 두 그룹의 사람들이 선택한 결과를 비 교한 것이다. 그림은 비율이 인원 수 비율이20% 이상인 데이터만을 선택했다. 옷이라 는 이 항목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아래 그림에서는 성별에 따라 구분해서 비교하고 있다. 이 중 차지하는 비율은 이 항목을 선택한 사람 수의 백분율이며,총 사 람 수의 백분율이 아니다. 그림에서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7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젊은이들의 옷 색상에 대한 선호도는 무채색인 흑백을 기본으로 하며, 그 다음은 유채 색으로 순서대로 노란색,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이다. 반면에 노인들이 선호하는 색상 은 흰색과 빨간색, 파란색이고, 그 다음은 초록색과 노란색이다.
성별 차이: 위 그림의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노인의 선호도 비율에서 남성 노인은 파란색 옷을 특히 선호하고, 그 다음으로 흰색과 빨간색을 선호한다. 그러나, 여성 노 인은 빨간색과 초록색을 선호한다. 청년들로 말하자면 청년 남성의 데이터는 노란색과 초록색이 그들이 특히 선호하는 색이고, 다른 색상에 대한 선호도는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여성 청년의 경우에는 노란색, 검은색 옷을 선호하고, 그 다 음은 흰색,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순이었다. 색상의 선호도 차이: 두 데이터를 비교하면, 젊은이들은 옷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노인 보다 높았다. 성별로 비교하자면, 여성의 색상 선호도는 남성보다 훨씬 높았다.
4.2.3. 두 그룹의 실험 참가자들의 정사각형에 대한 색상 선호도 이번 실험은 정사각형을 제외한 8개 항목에서 어떤 물체의 색상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 서 사람들의 물체에 대한 색상 선호도 경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정사각형 자체는 고도 의 추상성이 있고, 구체적인 의미가 없기 때문에 색상 그 자체의 반응 효과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아래는 두 그룹의 참가자들의 직사각형의 6가지 기초 단색에 대한 경향성 을 분석한 인원 수 비율이다. 흰색
검은
빨간
노란
남색
녹색
노인(%)
16.92
6.15
38.46
15.38
32.85
24.62
청년(%)
36.92
46.15
35.38
36.92
33.85
29.23
표에서 보면, 젊은이들의 색상 선호도 차이는 크지 않으며 최고 선호율과 두 번째 선호 율은 10%의 차이가 나고, 수치가 매우 낮거나 높은 비율이 나타나지 않으며, 색상의
72
Vol.1 No.1 August 2019
수가 많고 배열이 밀집되어 있으며 수치가 근접하다. 따라서, 수치의 크기에 따라 순서 가 배열되고 이러한 색상에 대한 실제 차이를 반영할 수는 없다. 노인의 색상 선호도로 보면, 빨간색과 파란색 정사각형에 대한 선호율이 가장 높고 검은색 정사각형에 대한 선호율이 가장 낮은데 선호율은 10% 미만이다. 두 그룹의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차이 가 가장 큰 것은 검은색으로, 청년 참가자의 항목에서 선호도가 가장 높은 색상은 검은 색인 반면 노인 참가자의 항목에서 검은색은 선호도가 가장 낮은 색상이다.
4.3. 결과 소결 실험연구는 물질 고유의 기억색과 비기억색 2가지로 나눠 탐구해본다. 실험결과에 따 르면, 노인과 청년을 불문하고 기억색(물체에 대한 고유의 선호 색상이 일치하는 경향 성)이었다. 즉, 대다수 사람들이 물체의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물체 고유의 색상에 크 게 영향을 받는 다는 점을 설명하며, 이것이 바로 본문이 말하고자 하는 기억색이다. 동시에, 실험결과에서 젊은 사람의기억색에 대한 의존도는 노인보다 적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두 실험대상자의 기억색의 평균치는 젊은 사람이 56.66%, 노인이 68.46% 였 으며, 6개의 기억색 테스트 중 두 실험대상자가 선택한 범위를 보면, 10% 이상의 색상 은 젊은이가 노인보다 높았다. 두 실험 대상자의 인원 수 비율은 1:2.25였다. 노인의 선택은 객체 본연의 색상을 위배하지 않았으며, 검정색은 노인들이 가장 선호하 지 않는 색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이 색채 선택에 있어서 사물의 고유 색채효과에 더 욱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설명하며, 기억색에 더욱 큰 의존성을 가진다. 기억색에 속하지 않는 나비, 의류, 정사각형은 각자의 특징이 있다. 색채가 화려한 자 연물의 색상 선호도를 볼 때, 노인은 대부분 자주 보이는 색상을 선택했으며, 젊은 사 람은 검정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 색상의 선호도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미 적 관념을 나타낸다. 앞의 연구대상인 토끼, 나비, 바나나, 사과, 잎, 파도와 비교할 때, 나비와 의류 색상은 달랐으며, 정사각형은 비물질 색상으로 추상성이 강해 사람들의 일반적인 색채 선호 경 향을 관찰하기에 편하다. 결과에 따르면 노인은 빨간색을 크게 선호했으며, 검정색은 이에 반대되는 결과로 선호도가 낮아 젊은 사람의 결과와도 대비를 이뤘다. 이상 몇 가지 분석 항목은 기억색이 존재하는 사물 중 그 의존도가 노인이 젊은 사람보 다 명확히 높다는 점을 설명한다. 이러한 개념화된 기억 색채는 노、인의 생활 습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사의 NCS색채 체계에서 6가지 색채를 중심으로, 노인 의 색채 선호도 범위는 젊은 사람보다 적었으며, 범위 내 색상은 모두 기억색을 포함하 고 있고 새로운 사물에 대한 수용 정도가 젊은 사람 보다 낮았다. 색상의 선호도는 연 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노인의 색상 선호도는 색채가 있는 색상에 더욱 치중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생 리적으로 나타난 시력 감퇴와 색상에 대한 민감도 하락으로 시각적 충격이 크고 화려 한 색채에 더욱 큰 매력을 느낀다는 점을 추측할 수 있으며, 퇴직 후의 사회적 버림감, 쇠퇴감, 고독감 등의 원인으로 심리적으로 눈에 띄고 선명한 색채를 찾는 것과 직접적 인 관련이 있는 것이다.
7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 결론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 속 노인을 대상으로 은발시대 분야의 색채를 기본적으로 연구 했다. 실험을 통해 기억색을 가지고 있는 사물과 그렇지 않는 사물에 대해, 노인의 색 채 선호도는 기억색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증명했다. 젊은 사람과 비교한 때, 노인의 색상 선호도는 차이가 있었다. 주요 결과는 변인 NCS색체체계의 6가지 기본색 중 기 억색이 존재하는 사물을 테스트 할 때 노인의 선호도가 높았다. 노인과 청년 대비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인이든 청년이든 기억색(물체 특유의 색채)에 대한 선호도는 일치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보다 사람들의 색채 선호도는 많은 부분에서 음식 자체의 고 유색 즉 기억색에 의존한다. 하여 이와 같은 디자인 결과가 향후 진행하게 될 노인 주 택, 제품, 의료 시설 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문은배, 『색채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킥스, 2011 Robert Snowden, Peter Thompson, Tom Troscianko, 오성주 역, 『시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13 D.B.Bromly, 김정휘 역, 『노인심리학』, 도서출판 성원사, 1992 박유선, 「노인세대의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색채이미지와 선호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최원정, 「기억색의 형성요인으로서 초점색과 색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논문, 2014
74
Vol.1 No.1 August 2019
모바일 미디어의 중국어 가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Mobile Media in Chinese
유 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형우(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Yu, Chu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im, Hyong Woo(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가독성, 중국어, 모바일 미디어 Keyword
readability, chinese, mobile media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모바일 미디어의 중국어 가독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스마트폰과 무선 인터넷의 전면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이 정보를 얻는 경로가 더 이상 인쇄 매체에 국한되지 않게 되었다. 중국신문출판연구원의 <16차 전국 국민 독서 조사> 에 따르면 2019년 4월 현재 중국 성인 네티즌의 온라인 읽기율은 69.3%, 스마트폰 읽 기율은 73.7%, 전자 판독기 읽기율은 20.6%, 태블릿 PC 읽기율은 20.8%이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얻고 퍼뜨리고 있으며, 문자의 가독성은 사용자의 읽기 성능과 그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인쇄 매체에 있어서의 문자 가독성에 관한 연구는 이전에는 많이 있었지만, 모바일 매 체에서는 문자 가독성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드물다. 동시에, 알파벳 언어와 비 알파벳 언어의 차이로 인해 알파벳 언어 시스템의 문자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기초 하는 것이 한자의 가독성에 완전히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 쇄 매체와 모바일 매체에서 한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탐구하는 것이다.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자의 가독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다. 첫째, 문헌조사법을 통해 기존 연구자들의 가독성에 대한 정의를 정리한다. 둘째, 인쇄 매체와 모바일 매체에서 한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구체적인 결과를 문헌조사법을 통해 정리한다. 셋째, 알파벳 시스템과 비 알파벳 시스템에서 구문 구성을 비교 분석하여 한자의 가독 성 연구에 적용된 요소를 요약한다.
2. 이론 배경
2.1. 가독성(Readability)의 개념 [표 1] 가독성의 정의 연도
저자
관점
1949
Edgar Dale, Jeanne Chall
독자 그룹이 성공할 수 있도록 주어진 인쇄물 내의 모든 요소의 총합 (모든 상호 작용 포함). 성공은 그들이 그것을 이해하고, 최적의 속도로 읽고, 재미있고 느낄 정도이다.
1963
George Klare
가독성은 글쓰기의 양식에 의한 이해나 이해의 용이함이다.
1969
G. Harry McLaughlin
1981
Gretchen Hargis와 IBM의 동료들
가독성은 단어나 문장을 쉽게 읽는 것이다.
2004
William H. DuBay
가독성은 일부 텍스트를 다른 텍스트보다 읽기 쉽게 만드는 것이다.
2006
LAU Tak Pang
2009
76
가독성은 특정 계층의 사람들이 어떤 읽을거리가 매력적이고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가독성은 한 문장의 난이도를 가늠하는 방법이다.
Ding-Long Huang, Pei-Luen 가독성은 글자를 인식하고 본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난이함 또는 Patrick Rau, Ying Liu 용이함이다.
Vol.1 No.1 August 2019
[표 2] 가독성의 범위 연도
저자
관점
1987
Carol Bergfeld Mills, Linda J. Weldon
Readability는 일반적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용이성을 의미하며, legibility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항목의 식별 용이성을 의미한다.
2004
William H. DuBay
Readability는 종종 legibility와 혼동되지만 legibility는 서체와 레이아 웃에 관한 것이다.
2010
Strizver, Ilene
Legi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 설계의 측면에는 “높이, 글자 모양, 스 트로크 대비, 카운터 크기, 세리프 또는 세리프 부족, 무게”가 포함된다.
2014
김유영
Readability영역의 경우 사전 지식, 독해 능력, 흥미 및 동기 등으로 보 았으며, Legibility영역은 길이, 표기, 어휘, 문법, 문체 등과 같은 언어 형식과 디자인, 구성, 폰트 등의 구성형식으로 나누었다.
가독성은 독자가 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가독성의 범위는 텍스트 내용의 복 잡성, 글꼴 크기, 글꼴 색, 문장의 길이이다. 판독성의 범위는 글꼴 종류, 레이아웃, 문 자 모양, 세리프 또는 세리프 부족, 중량이다.
2.2. 한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표 3] 한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요소
인쇄 매체
모바일 매체
차이점
출처
5.5인치 일반 경우: 스마트폰: 10pt 9-16pt 폰트 크기 -본문
화면 면적과 눈금 범위의 차 휴대용 컴퓨터: 이로 인해 글꼴 크기가 문자 신문: 8pt 8-12pt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 된다. 교과서: 17인치 LCD 10.5pt 모니터: 14pt
* 중국 고등학교 국어(語文)교과서의 본문 가독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white space on traditional Chinese text-reading on smartphones * The Effect of Age and Font Size on Reading Text on Handheld Computers * Effects of display factors on Chinese proofreading performance and preferences
인쇄 매체와 모바일 매체에서 폰트 색상의 운용은 다양하지 만 가독성이 가장 높은 조합 방식은 동일하며 모두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의 조합방 식이다.
* Effects of font size, display resolution and task type on reading Chinese fonts from mobile devices
어려운 단어 수가 많은 문 어려운 장 단락의 가독성은 어려 말의 운 단어 수가 적은 문장 비율 단락보다 현저히 낮다.
난어율이 가독성에 영향은 주로 텍스트 난이도에 달려 있으며 의 교육받은 정도와도 있다.
* Readability revisited: The new Dale-Chall readability formula
디스 플레이 해상도
사용자가 고해상도에서 읽는 속도가 저해상도에서의 읽기 속도보다 현저히 높다.
폰트 컬러
흰 바탕에 검은 글자의 조 합 방식의 가독성이 가장 높다.
-
2.2인치 스마트폰: 250dpi
미치는 자체의 사용자 관련이
* Effects of font size, display resolution and task type on reading Chinese fonts from mobile devices
텍스트의 가독성은 내용(단어 및 구문의 복잡성)과 표시(폰트 크기, 줄 높이 및 줄 길이 와 같은 타이포그래픽 측면)에 따라 달라진다.
7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4] 알파벳 언어와 비 알파벳 언어의 특징 명칭
예문: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특징
알파벳 언어-영문을 예로 들다
The capital of South Korea is Seoul.
단어는 빈칸으로 구분되며 단어 사이의 빈칸은 단어 의 경계를 나누는 데 도움이 된다.
알파벳이 아닌 언어-중국어를 예로 들다
韩国的首都是首尔。
글자마다 다른 의미와 발음이 있고 글자꼴 구조는 알파벳 언어의 문자보다 더 복잡하다.
G. Harry McLaughlin에 의해 제시된 영문 인쇄 매체에 대한 SMOG 가독성 공식은 문장 길이, 문장 수, 그리고 음절 수를 채점 요소로 사용한다. 그러나 중국어 문장 구성 과 영어 문장 구성은 매우 다르다. 영어의 알파벳 쓰기 시스템에서, 단어는 빈칸으로 나뉘어지고 단어 사이의 빈칸은 단어의 경계를 나누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중국어 는 표의적 쓰기 시스템으로 중국어 텍스트는 알파벳 등간격 부호로 이루어진 것도 아 니고 빈칸으로 구분된 것도 아니며, 사용자가 글자의 인지와 문법의 정도를 파악해야 문장의 뜻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SMOG 공식에서의 채점 요소는 모바일 매체에 서의 한자 가독성 연구에 적용되지 않는다. 동시에, 우리는 위의 결과에서 뻔한 결과들을 볼 수 있다. 예를 어려운 단어 수가 많은 문장 단락의 가독성은 어려운 단어 수가 적은 문장 단락보다 현저히 낮다. 아니면 사용 자가 고해상도에서 읽는 속도가 저해상도에서의 읽기 속도보다 현저히 높다. 폰트 크기는 가변량으로서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서도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이전 연구자들은 대형 모니터에 더 많은 관심 포인트를 두면서 폰트 크기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작은 스크린 전자기기에서 폰트 크기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가 적으면 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더 적어졌다. 이를 종합하면 폰트 크기를 한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연구할 것이다.
3. 실험 방안 제출
3.1. 참가자 어휘와 위사가 문법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참 가자들은 어떤 곳에서 어떤 문자 짝짓기의 의미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중국 대륙에서 커야 한다. 참가자들의 시력은 정상이어야 한다. 참가자의 연령 제한은 없다.
3.2. 태스크 본 실험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태스크가 채택되었다. 첫 번째 태스크는 향상된 독서 장 면을 시뮬레이트하는 텍스트 읽기 작업이다.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문자 크기의 텍스트 단락을 읽고 독서 시간을 기록한다. 두 번째 태스크는 장면의 빠른 보기를 시뮬레이트 하는 시각적 검색 작업이다. 참가자들이 의사 텍스트 단락에서 단어를 검색하고 검색 시간을 기록한다. 텍스트 읽기 태스크에서 각 참가자는 다른 문자 크기로 렌더링 된 텍스트의 일부를 읽 고 해상도가 고정된다. 6 개의 문자 크기를 테스트해야하므로 참가자는 서로 다른 세션 에서 총 6 개의 텍스트 발췌 부분을 읽어야한다. 문자의 순서는 표시 될 때 무작위이며 각 발췌 록은 500자 정도 포함한다. 참가자의 독서 성을 보장하기 위해 참가자는 각
78
Vol.1 No.1 August 2019
텍스트를 읽은 후 텍스트 내용을 실험자에게 간단하게 소개해야한다. 시각적 검색 태스크에서 각 참가자는 다른 문자 크기로 표시되는 의사 텍스트 단락에 서 특정 단어를 검색한다. 각 문자 크기 검색 작업은 3 번 수행해야하므로 각 참가자는 18 (6 × 3) 개의 평가판을 갖다. 문자 크기의 순서와 표시 순서는 임의적이다.
3.3. 측정기준 읽기 태스크에서 속도 판독 데이터를 수집한다. 각 발췌문의 문자열 수, 그리고 참가자 가 각 세션마다 텍스트를 읽는 데 걸리는 시간(참가자가 페이지에 들어갈 때 세션을 시 작하고 참가자가 페이지 끝의 종료 버튼을 누를 때 종료)을 계산하면 참가자의 읽기 속 도(문자/분)를 계산할 수 있다. 시각적 검색 태스크에서 검색 속도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참가자가 단어를 찾는 시간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기록된다. 참가자가 각 문자 크기의 위 텍스트 단락에서 세 단어를 찾는 데 걸리는 총 시간은 검색 속도의 도량으로 사용된다. 설문조사를 통해 주관적인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읽기태스크와 검색 태스크를 위해 사용한다. 읽기 태스크에 대해서는 참가자들에게 각 문자 크기가 읽기에 얼마나 쉬운 지, 피로도와 선호도를 평가하도록 요구한다. 검색 태스크에서 참가자에게 문자열 크기 가 검색 과정에서 얼마나 쉬운지 평가하도록 요구한다.
3.4. 통제변수 텍스트의 가독성은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독성에 대한 폰트 크기의 효과를 연구하려면 다른 요소를 제어해야한다. 폰트 스타일은 Hei 스타일로 설정되고 텍스트는 양극으로 표시되며 문자 색상은 검정색이며 배경색은 흰색이다. 보기 거리는 35cm이며, 읽기 태스크의 텍스트는 가로로 표시되고 텍스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정렬된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자들의 가독성에 대한 정의, 그리고 인쇄 매체와 모바일 매체 에서 한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주로 정리했다. 알파벳 시스템(영문의 경 우)과 비 알파벳 시스템(중국어의 경우)의 차이 때문에 이전에 알파벳 시스템과 관련된 가독성 연구가 한자 가독성 연구에 완전히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동시에, 인쇄 매체와 모바일 매체의 사용 환경상의 차이로 인해, 인쇄 매체에 관한 가독성 연구 역시 전자 매 체의 문자 가독성 연구에 완전히 적용될 수 없다. 이 같은 차이를 요약한 뒤 폰트 크기 를 다음 연구에서 한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요약해 실험방법을 제시했다.
참고문헌 G. Harry Mc Laughlin, 「SMOG Grading-a New Readability Formula」, Journal of Reading, Vol. 12, No. 8, pp.639-646, 1969 ‘16차 전국국민독서조사’, 2019.4, 중국신문출판연구원
7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무의식 디자인(Without Thought)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 비상설 전시 공간의 사인 시스템 제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the Process of Without Thought Design - Focused on Non-permanent Display Space's Sign System -
루한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무의식 디자인, 디자인 프로세스, 비상설 전시공간, 사인 시스템
Lu, Han Y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without thought, design process, non-permanent display space, sign system
Vol.1 No.1 August 2019
무의식 디자인(Without Thought)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1. 서론
현대 과학기술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지금 제4차 산업 혁명을 대비하는 시대에 서 수많은 최신의 기술, 공예, 제품 등을 나타났다. 인간을 위주, 인간의 감성을 점차 더 강조하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인간과 소통(communication)에 대한 연구는 화두가 되었다. 후카사와 나오토(深澤直人)에 의하면 “First Wow/Later Wow”1)이라는 개념을 언급하였다. “무의식 디자인(Without thought)”은 이러한 “Later Wow”를 집 중하여 디자인의 깊이와 디자인의 힘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또한, 후카사와 나오토는 현대 사회에서 수많은 상점, 도록, 광고의 디자인은 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남을 수 있 지만 디자인 자체의 힘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하지만 무의식 다자인이 후카사와 나오토 디자인 이념의 기초로써 디자인 연구에서 아직 체계적인 이론 연구 없으며 “Without thought”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없고 “어포던스 디자인(Affordance Design)”과 혼란하게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물질적인 생활을 만족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서 점점 더 많은 사 람들이 예술적인 생활의 품질을 중요시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예술관, 박물관, 컨벤션 등 비상설 예술 전시 활동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예술 전시 공간에서 사 인시스템은 예술 환경과 맞지 않다는 경우가 존재하며 관람자에게 이해할 수 없는 단 점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자인 연구 분야에서 무의식 디자인이라는 개념을 체계적으로 논술 하기 위하여 무의식 디자인 개념을 정의하고 무의식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한 다. 또한 무의식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하여 비상설 예술 전시 공간의 사인 시스템 디 자인을 응용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고찰
2.1. 무의식 디자인(Without Thought) 이론 “Without thought”이라는 개념은 후카사와 나오토(深澤直人) 처음으로 제시하는 디자 인 이념이다. “Without thought”는 후카사와 나오토의 디자인에서 기반이 되는 개념 이다. ‘생각하지 않는다’를 의미하는 이 말은 사람이 물건과 상호 작용할 때는 도리어 그 행위나 물건을 세세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에 착안해서 이름 붙여졌다. 이것은 사람의 의식에 접촉하기 위한 디자인의 대극(對極)에 있는 사상으로 “생각하지 않는” “자각하지 않는” 기억이나 행위 속에서 디자인 소스를 이끌어내 제품화하는 것이다.2)
1) “First Wow”는 “이 물건을 보는 순간 강력한 첫인상을 받아서 나타나는 감탄사”라고 말하며 “Later Wow”는 “이 물건을 보는 순간 디자인의 의미를 모르거나 강력한 첫인상을 없어 나중에 이 물건의 의미와 디자인 의도를 알게 될 때 나타나는 감탄사”라고 하였다. 고토 다케시, 사사키 마사토, 후카사와 나오토, 『디자인 생태학-the ecological approach to design』,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옮김, 세종출판사, 2005, p.99 2) 고토 다케시, 사사키 마사토, 후카사와 나오토, 『디자인 생태학-the ecological approach to design』, 유니버설디 자인연구센터 옮김, 세종출판사, 2005, p.92
8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Without thought”는 “지각 디자인”이라고도 불린다. “무의식적인 행위를 보이는 사 물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의식적인 디자인을 통해 무의식 행위를 실현하는 디자인 이 념이다. “Without thought”는 새로운 디자인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 는 세부적인 디테일을 눈여겨보고, 기존의 제품에 주입하는 것으로, 이런 변화는 때때 로 하나의 신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더 위대한 것이다.3)
2.2. 디자인 프로세스(Design Process) 디자인 프로세스는 주어진 문제를 디자인이라는 창의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하려는 행위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돈 코버그(Don Koberg)와 짐 바그날(Jim Bagnall)은 그들의 저서 Universal Traveler에서 디자인 프로세스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나열하였다.4) ∙ 목표를 최대화 하는 방법(A way to maximize goals) ∙ 목적을 효과적으로 개념화 하는 것(A concept for optimizing objectives) ∙ 의도를 현실화 하는 기술(A technique for realizing intentions) ∙ 의도에 형식 또는 형상을 나타내주는 계획(A scheme for giving form to intentions) ∙ 명령을 끝까지 수행하는 흐름(A sequence of operations leading to an end) ∙ 개선사항을 미리 예상하녀 나타내는 것(A means of anticipatory improvement) ∙ 개념을 통한 분석과 종합의 연결다리(A bridging of analysis to synthesis via concept) ∙ 문제점을 하나하나 관리하기 위한 방법(A recipe for managing parts and pieces of a dilemma) ∙ 자료를 취급하고 조직하는 계획(A plan for organizing and dealing with data) ∙ 꿈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 수단(A logical means to realize a dream) 분석하면 디자인 프로세스는 추상적인 사고의 개념을 현실화 하여 그 의도를 실현 시 키는 행위로 볼 수 있다. 또한 주어진 문제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그 정보를 조직 화 하는 관리 체계로 분석 할 수도 있다.
2.3. 비상설 전시 공간 운영기간을 기준으로 한 전시 영역은 상설전시, 비상설 전시로 분류될 수 있는데, 비상 설 전시는 상설전시로 보여줄 수 없는 내용이나 주제를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에 개최 하는 것을 말하며 임시전시라고도 할 수 있다. 비상설 전시는 전시내용이나 주제는 구 체적 이고 한정적이며, 전시의 목적이 명확하기 때문에 특별기획전시, 계절전시는 단 한정적이며, 전시의 목적이 명확하기 때문에 특별기획전시, 계절 전시는 단 한번으로 그치는 일회성을 갖는다. 비상설 전시는 전시취소나 전시기간의 변동으로 다음 전시일
3) Ding Feng, Wu Wei, 「Naoto Fukasawa and His “Without Thought” Design Theory」, Journal of HuNan University of Technology Social Science Edition, Vol.16 No.2, 2011, p.139 4) Don Koberg, Jim Bagnall, 『The Universal Traveler: A Soft-Systems Guide to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the Process of Reaching Goals』, Updated classic ed. Menlo Park, Calif.: Crisp Learning, 2003, p.26
82
Vol.1 No.1 August 2019
정까지 대치되거나 짧은 기간 내에 기획되어지기 때문에 전시에 대한 초점이 명확해야 하며, 주제에 대한 참신성과 전시효과의 극대화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2.4. 사인 시스템 사인 시스템이란, 표시, 부호, 신호 등 전달하고 싶은 것을 기호로서 표시한 것이나 방 법을 뜻하는 사인을 CI와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계획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인 시스템 은 사인의 체계를 말하며, 사인 환경에 질서를 부여하여 보다 알기 쉽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인 시스템의 구조로는 사물의 위치와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안내사인, 목적한 사물에 대한 방향을 나타내는 유도사인, 일반적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기명사인, 안전이 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규제사인으로 나눈다. 이러한 네 가지 사인의 구조에 맞게 사 인 시스템이 계획,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용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쾌 적한 환경을 이루기 위해 꼭 필요하다.5)
3. 무의식 디자인
∙ 행위의 연속성(Continuity of Behavior) ∙ 의미(語意)의 명확성(Clarity of Semantics)
(Without
∙ 인지의 공통성(Commonality of Cognition)
Thought)의
∙ 생활 상황(情境)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Living Situations)
원칙 도출
∙ 자연적인 수요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Natural Needs)
4. 무의식 디자인 (Without Thought) 프로세스 개발
4.1. 기존 디자인 프로세스의 유형 디자인 프로세스는 묘사적 모델(Descriptive Models), 규정적 모델(Prescriptive Models), 통합적 모델(An Integrative Model)6)으로 분류하였다. 묘사적 모델들은 대개가 프로세스의 초기에 해결개념(a solution concept) 도출의 중 요성을 강조하며, 따라서 해결에 초점을 둔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반영하고 있다. 규정 적 모델들은 대개 좀더 연산적(algorithmic)이고 체계적인 절차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특별한 디자인 방법론(design methodology)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종 여겨지고, 디자 이너로 하여금 작업방법을 개선하도록 설득하거나 고무시켜준다. 통합적 모델은 디자 인 프로세스의 본질을 잡으려고 시도한다. 즉 디자인 문제에 대한 이해와 해결안의 발 전은 동시에 발생하고 얽혀 있다. 디자인 프로세스의 ‘문제 제시’에서 ‘해결안 제시’까 지의 예견된 진전 모형을 구현하려는 시도를 한다. 디자인 프로세스 각각 유형의 구체 적인 내용은 다음 [표 1]과 같다.
5) http://designhoo.co.kr/221319320091 6) Nigel Cross, 『Engineering Design Methods: Strategies for Product Design(Fourth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2015, pp.27-41
8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1] 디자인 프로세스의 유형 분류 유형
내용
묘사적 모델 (Descriptive Models)
나이젤 크로스(Nigel Cross)의 간단한 4단계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프렌치(French)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존스(Jones)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아처(Archer)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과 3단계 요약 모델
규정적 모델 (Prescriptive Models)
팔과 바이츠(Pahl and Beitz)의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VDI 2221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마치(March)의 PDI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통합적 모델 (An Integrative Model)
나이젤 크로스(Nigel Cross)의 ‘문제-부차적 문제-부차적 해결안-해결안의 대칭적 관계’ 모델
4.2. 기존 디자인 프로세스의 문제점 디자인 프로세스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을 통해 묘사적 모델은 시행착오적(heuristic) 이고 간단한 디자인 프로세스이며 규정적 모델은 좀 더 연산적(algorithmic)이고 체계 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이며 통합적 모델은 ‘디자인 문제의 이해’와 ‘해결안의 발전’이 동 시에 발생하고 얽혀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이다. 본 논문은 무의식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할 연구이다. 무의식 디자인은 사용자와 물건 의 어포던스가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알아봐야 한다. 구체적인 디자 인 방안을 제시하기 전에 사용자를 정교한 관찰을 진행해야 하며 사용 장면에 대해 정 량적 분석을 해야 한다. 무의식 디자인은 그렇게 해야 디자인 문제와 디자인 방안을 제 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규정적 모델의 개념 및 특징과 일치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규정적 모델을 바탕으로 무의식 디자인 원칙과 맞는 디자 인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하지만, 기존 규정적 모델은 무의식 디자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부족점이 있다. 1. 이성적으로 대안 중 최선의 해결안을 선택하도록 지나치게 강조하지만, 일반적인 디자 인 실천이 항상 이 디자인 프로세스를 따를 수는 없다. 2. 복잡한 모델들은 종종 모든 실제적인 작업에 필요한 많은 일과 활동들의 세밀한 부분까지 파고들어 디자인 프로세 스의 일반적인 구조를 불분명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3. 디자인 작업을 연역적으로 분석하거나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 계획안과 확립된 이론은 대부분 공학이며, 무의식 디 자인에 대한 실천적 적용이 부족하다. 무의식 디자인 프로세스가 상기의 부족점에 대한 개선이 가능한지 여부는 이 논문의 향후 연구 방향이다.
5. 결론
본 논문은 이론적 연구를 통해 기존 디자인 프로세스를 고찰하여 묘사적 모델, 규정적 모델, 통합적 모델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의 대표적인 디자인 모델을 분석하였다. 무의식 디자인의 특징에 따라 무의식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의 기초로 규정 적 모델을 선정하여 기존 규정적 모델이 무의식 디자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84
Vol.1 No.1 August 2019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향후, 본 논문은 도출된 문제점을 출발점으로 규정적 모델을 토 대로 무의식 디자인 원칙과 맞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무 의식 디자인 프로세스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상설 사인 시스템에서 무의식 디자인 프로 세스를 활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고토 다케시, 사사키 마사토, 후카사와 나오토, 『디자인 생태학-the ecological approach to design』,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옮김, 세종출판사, 2005 Ding Feng, Wu Wei, 「Naoto Fukasawa and His “Without Thought” Design Theory」, Journal of HuNan University of Technology Social Science Edition, Vol.16 No.2, 2011 Don Koberg, Jim Bagnall, 『The Universal Traveler: A Soft-Systems Guide to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the Process of Reaching Goals』, Updated classic ed. Menlo Park, Calif.: Crisp Learning, 2003 Nigel
Cross,
『Engineering
Design
Methods:
Strategies
for
Product
Design(Fourth Edition)』, John Wiley & Sons, Ltd., 2015 http://designhoo.co.kr/221319320091
8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장예모 감독 영화 <삼국-무 영자>의 색상 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lor Design Features of Zhang Yimou's Film “Shadow”
조우원위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해윤, 류도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ou, Wen Yu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im, Hae Yoon/Liu Dao Sheng (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장예모감독, 영화색상, 잉크문화 Keyword
Zhang Yimou, Film color, Ink culture
Vol.1 No.1 August 2019
장예모 감독 영화 <삼국-무 영자>의 색상 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1. 서론
<삼국-무 영자>는 장예모 감독이 연출하여 2018년에 개봉한 최신 영화로, 이것은 동양 의 수묵 스타일 영화로, 주로 흑백으로 나타난다.[1] 이 영화는 2018년 제75회 베니스 영화제 비경쟁 상영부문, 토론토국제영화제 상영부문, 런던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했 다. 장예모 감독은 민족문화의 내용을 표현할 때,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문 화적 가치관을 자신의 촬영방식으로 풀어냈다. 그의 작품으로 보면, 이 영화의 주제는 주로 중국 고대의 역사문화와 수묵문화에 근거해 표현되며, 중국 전통문화의 독특한 매 력에 대한 찬양이 기도 하다. 본 논문은 연출 스타일과 동양의 심미적 측면에서 영화가 지닌 예술적 특징, 영화에 담긴 인문정신을 탐구하고, 세계를 향해 중국 수묵문화의 문 화적 의미를 소개하는 동시에, 영화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1.1. 연구 배경 및 방법 영화의 알맞은 색채 조합은 영화 줄거리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 영화 <삼국-무 영 자>의 주요한 색조는 검은색과 흰색, 두 가지 차가운 색조이다. 그러나 화면의 명암 전 환과 그 속에 숨겨진 암시를 보면, 장예모 감독의 색채 활용은 이미 풍부하고 다채롭 다. 이 영화는 일정한 성과를 얻었는데, 본 논문은 관객들이 장예모 감독 영화의 예술 적 특징과 인문정신, 수묵 스타일 영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장예모 감독 영화의 예술적 특징, 인문정신, 수묵 스 타일 영화의 특징을 탐구한다. 관객들이 영화 자체의 예술적 특징을 해석하는 것을 돕 는 것 외에, 영화의 발전에도 참고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2018 년9월 6일, 장예모 감독은 베니스 영화제에서 창작의 바람을 이야기하면서 다음 과 같이 나타냈다. “<삼국-무 영자>와 같은 줄거리는 중국의 전통문화에서 오기 때문 에, 많은 창작의 영감이 전통문화를 기본으로 한다. 이 영화를 찍는데, 가장 중요한 것 은 나 역시 대역의 이야기를 좋아한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매년 많은 사극을 찍는데 대역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들은 독특한 것이고, 그들의 인격의 분열과 복잡함을 탐구한다. 중국은 수천 년의 역사문화가 있고, 전통문화가 매우 깊어, 항상 나의 창작의 원천이 된다. 젊은이들이 전통문화의 작품을 많이 보기를 바란다. <삼국-무 영자>의 스타일은 수묵화인데, 오래된 중국의 회화로, 젊은이들이 영화에서 중국 전통문화의 독특한 미학에 주목해 주기를 바란다.”[2] 장예모 감독은 영화의 화면 에 이러한 스타일을 활용하는 것 외에도 칠현금, 소 등 중국 전통의 악기를 영화의 배 경음악에 많이 활용했는데, 이러한 방식을 사용해 <삼국-무 영자>의 특별한 의미를 설 명한다.
8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영화 <삼국-
2.1. 인물 색상 디자인 분석
무 영자>의 색상 디자인 분석
[그림 1] 영화의 주요 인물
영화에서 배우는 1인 2역으로 두 주인공 도독(子虞)과 그림자(境州)를 연기하는데, 하나 는 회색의 옷을 입은 허름한 안색의 쓸쓸한 패국의 장군 도독이고, 다른 하나는 흰 옷 의 꼿꼿한 자태가 늠름한 대역 그림자이다. 여자 주인공 소애는 도독의 아내로, 담 수 묵 스타일의 비단옷을 입고, 때로는 슬(瑟)을 켜고 때로는 병풍의 어두운 길에서 우물쭈 물한다.
2.2. 의상 색상 디자인 분석
[그림 2] 영화에서 사용된 의상
장예모 감독이 이전 영화에서 색채가 화려하고, 의상이 현란한 것을 좋아하던 것과는 달리, 이 영화는 수묵화이다. 디자인에서 영화의 의상 이미지는 한족의 복장을 기초로, 칼라 라인은 한 대(汉代)의 가장 간단한 칼라가 교차하는 상의로, 어떤 각색이나 기타 원소의 주입이 없는, 전형적인 한족의 복장 스타일이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 <삼국-무 영자>를 보면서 영화의 전체 질감이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88
Vol.1 No.1 August 2019
둘은 완전히 다른데, 비교하자면 일본은 일반적으로 단순한 검정색과 흰색이고, 옷이 딱딱하고 두껍지만, 본 영화의 의상은 더 유연하고, 우아해서 수묵의 예술적 미학에 부 합된다. 영화 속 많은 장면들이 바람과 비속에 있어, 소재의 선택에서 바람을 만나면 사방으로 흩날리지만, 비를 만나면 앉을 수는 없다. 의상의 선택을 비교하고 고찰하면, 매 사람의 의상마다 운율이 다른 발 묵 이 있고, 중국 화와 닮았지만, 특별함이 있고 형체를 갖추지 않은 그런 종류의 꽃 모양, 문도가 있다.
2.3. 공간 색상 디자인 분석 영화 중 사용된 색상은 공간 구조의 주관적 위치를 차지했다. 그것은 물체의 객관적인 외관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주관적인 감정의 표현기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 이다. 시각적 요소의 아래에서, 이 영화의 주요색조는 흑백이다. 계속되는 장마의 날씨 는 자연스럽게 도독의 음흉함, 그림자의 억압을 강조한다. 감독은 수묵화를 복제하는 기시감에 집중했다. 조정이든, 자연경관이든 관계없이, 각종 물화의 도구로, 최선을 다 해 추구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항상 극단적인 형식으로 향하는 장예모 감독이 새로 운 영상 표현방식인 중국 산수질감을 찾게 하였다.
[그림 3] 영화에서 사용된 공간 색상
3. 결론
이 영화에서는, 장예모 감독이 이전에 좋아하던 그런 종류의 선명한 색채와는 다른 점 이 있다. 수묵화 스타일의 사용은 하나의 도전이고, 해외 관객들은 수묵화 스타일에 대 해 민감하지는 않지만, 중국 국내의 관객들은 이런 스타일의 영화에 감성이 가득 차 있 다. 이러한 영화는 상당히 많은 쓸쓸한 정취가 있다. 시청효과 측면에서도 신기한 체험 이고, 매 장면에서 모두 수묵화의 광경을 볼 수 있어, 특히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이 영화에서, 장예모 감독은 아마 새로운 미학의 관념, 음양의 미학을 추앙하는 것 같다. 이러한 미학의 관념은 영화 속 어디에서나 보여 지는데, 영화 속의 팔괘와태극의 이미 지, 이것은 바로 음양미학의 가장 좋은 예시이다. <삼국-무 영자>는 인물, 의상, 공간 전체가 수묵 스타일 경향인 디자인을 통해서, 작품 의 색채 효과를 효과적으로 연출했다. 시각적 활용은 이 영화의 주요한 특징이 되었다.
8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 사이에는, 회색의 기본색조 및 흑백 등 두 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의상이든 공간이 든 관계없이, 모두 전체에 흑백과 회색 기본색조의 조성을 통해서, 그것들이 보여주는 90퍼센트 이상의 화면은 기본적으로 모두 어두운 색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그림자에 관한 이야기이고, 그들의 운명이 순탄하지 못하고 어둡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화의 전 체적인 기본색조는 이러한 주제와 부합하며 연출된다. 더 나아가, 그것들은 색채의 측 면에서 작품의 시각적 활용을 드러냈다.
참고문헌 维基百科 - Wikipedia搜索关键词“影(2018年电影)” https://www.youtube.com/watch?v=jBAMGBqXLwA 维基百科 - Wikipedia搜索关键词 “三国”
90
Vol.1 No.1 August 2019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Space and Boundary Space
도레미,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박부미(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Do, Re M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Park, Boo Mee(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전이공간, 경계공간, 가시적요소, 비가시적요소 Keyword
transitional space, boundary space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인간은 농경사회를 살며 정착화 되었고 거주하고자 하는 욕구가 발전되어 주거가 형성 되었다. 일차적인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를 구분하고 보호하려는 본능을 통해 형성된 주거는 문화와 시대의 흐름이 반영된 그 나라만의 전통성을 나타낸다. 주변의 여러 요 인들과의 복합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해온 주거공간에 대한 탐구는 그 나라의 독자 적 문화에 대한 이해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전통성 추적을 위한 전통 주거공간 선행 연구 중에는 주거를 이루는 여러 요소들 중 전이와 경계의 양상을 띠는 공간을 분석하여 매개(媒介), 완충(緩衝), 연결(連結), 대 립(對立)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이(轉移)와 경계(境界)의 공간적 특성의 차 이와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특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분류들이 모호하여 명확한 분 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주거공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유형화하는 것에서 나아가 두 공간적 특성의 차 이를 분석하여 공간과 공간, 그리고 공간과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본질 적인 의미를 고찰하고,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독자적인 전통성을 요소 별 특성으로 정 리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한국 전통 주거공간 중, 공간의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에 관한 연구를 대상으로 하고, 공 간의 특성과 요소들을 분류하여 각 공간의 독자적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전통 주거공간에서도 공간구성, 인식요소 등을 통해 공간의 특성 변화에 따른 관찰자(사용자)의 심리, 행위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 한다. 첫째, 전이와 경계에 대한 개념을 정의, 각 기능에 관해 분석과 전이와 경계가 발생하 는 공간적 형성원인을 분류한다. 둘째, 요인에 따른 유형과 유형 별 구조를 분석하고, 전이와 경계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유형 별 특성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유형에서 가시적, 비가시적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전통 주거공간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92
Vol.1 No.1 August 2019
[표 1] 연구 흐름도
1.3. 선행 연구 분석 한국 전통주거의 공간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전통주거에 내재된 보편적인 특성을 추적 하고, 공간구조에 대한 원인규명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와 같이 전통 주거공간 에 대한 선행연구는 독자적인 전통성 도출과 더불어 주거공간이 가지는 본질을 규명하 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공간특성과 인식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3.1. 한국 전통 주거공간 한국 전통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그 중 전통 주거공간에 대 한 연구 또한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김상택(경일대, 2001)은 전통 주거건축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공간구성요소를 분류하고 그에 따라 공간구성을 유형화 하였으며. 김해영(홍익대, 2009)은 전통 주거건축의 특성 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표현요소들을 분류함으로써, 현대 건축에서의 표현에 관해 사례 분석 하였다. 이준호(홍익대, 2011)는 구조와 재료 분석을 통하여 표현요소를 분류하고 현대 주거건축에서의 전통성 표현을 중점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정혜석(건국대, 2001)은 문헌조사를 통해 전이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기능 과 유형을 분류하였고, 분류된 유형을 사례 분석 하였다. 윤현정(세종대, 2002)은 전통 주거공간의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개념을 스페이스 신택스(Space Syntax) 방법론1)과 1) 1984년 런던대학교에서 빌 힐리어에 의해 개발된 공간 분석 기법. 공간 배치 형태를 분석하여 물리적, 심리적 접근 성을 기준으로 각 공간의 접근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이론.
9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공간위상도 분석방법2)을 적용하여, 서울, 경기, 충북, 전남 4개의 지역을 사례로 선정 하여 분석하였다. 한지애(서울대, 2012)는 한·중·일 전통 주거공간의 경계요소 분석을 목적으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경계 요소를 도출하고, 사례 분석을 진행 하였다. [표 2] 전통 주거공간 선행연구 구분
연구자
내 용
출 처
한국전통주거건축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김상택 (2001)
한국 전통 주거건축공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구성의 연결성을 분석하고, 공간구성 요소를 유형별로 분류하였음.
경일대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내·외부 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공간 구성
김해영 (2009)
전통 주거건축의 내·외부공간의 경계요소와 경계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요소들을 사례분석 하였음.
홍익대
현대 주거건축에서의 한국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이준호 (2011)
전통주거건축의 표현요소 분류을 목적으로 구조와 공간구성, 재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하였음.
홍익대
전통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혜석 (2001)
문헌조사와 방문조사를 바탕으로 전이의 개념설명과 전이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양 동마을의 반가를 중심으로 사례분석 하였음.
건국대
한국전통주거공간에 있어서 경계공간의 개념 및 특성 공간 특성
윤현정 (2002)
한국 전통주거의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개념을 스페이스 신택스 방법론과 공간위상 도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사례를 통해 비교분석하였음.
세종대
근세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 한지애 (2012)
한·중·일 전통주거 경계구조에 관한 선행 연구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각 공간구성과 형태에 대해 분류하고, 한·중·일 삼개국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음.
서울대
위 표를 토대로 전통 주거공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자 면, 첫째, 주거공간의 전체적인 실의 배치, 공간 내의 구조, 가구 등의 공간구성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있으며 둘째, 공간구성을 바탕으로 공간적 기능과 특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1.3.2. 한국 전통 주거공간 특성 전통 주거공간에 대한 특성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 중 전이공간 혹은 경계공간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정혜석(건국대, 2001)은 전통 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을 양동마을의 반가를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영역성, 연속성, 위계성으로 분류하였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에 의해 물리적 구조의 변화, 시선의 차단과 연결 등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2) 어느 특정한 공간으로부터 모든 공간의 상대적 깊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공간의 연결 형태를 분석하는 방법.
94
Vol.1 No.1 August 2019
[그림 1]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
한지애(서울대, 2012)는 한·중·일 전통주거의 경계구조에 관한 선행 연구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토대로 한 한·중·일의 경계의 차이성을 물리적, 심리적 영역의 접점으로 정의하 였고, 가시(可視)적 경계, 비가시(非可視)적 경계에 대한 인식적인 상호작용과 중첩, 단 절 등으로 인한 공간의 깊이감에 대한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그림 2] 경계의 인식 요소 도식화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특성은 채를 이용한 공간 분할, 개구부의 개폐에 따른 폐쇄성과 개방성, 출입의 분산화 등과 같이 경계와 전이의 요소들이 고정적이지 않다는 특성으로 나타나며, ‘유기적(有機的)’이며 ‘가변적(可變的)’이라고 축약할 수 있다. 경계와 전이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벽, 기둥 등과 같은 구조를 이루는 물리적인 요소와 공간과 관찰자 간의 관계, 시선의 이동과 같은 심리적인 요소의 복합작용으로 인해 관찰자의 인식 요소들이 공간과의 관계에서 연결, 단절, 모호 등 인식의 방향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표 3] 전통 주거공간 공간특성 구분
연구자
정 의
출 처
전통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이성
정혜석 (2001)
문헌조사를 통해 전이, 전이성, 전이기능, 전이요소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국대 전이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분류하여 양동마을의 반가를 사례로 선정하여 전이공간의 공간 특성을 영역성, 위계성, 연속성이라고 도출하였음. 근세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
경계성
한지애 (2012)
한·중·일 삼개국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전통주거의 내·외부의 경계구조를 분류하 서울대 고, 한국의 사대부가, 중국의 사합원, 일본의 쇼인즈쿠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례를 통해 공간구성과 경계 인식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한·중·일 삼개국간의 경계인식요소 를 비교분석하였음.
9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전이와 경계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은 전체 공간 구성에 있어 공간과 사용자가 가장 긴밀한 관계로 엮여 있으며, 공간의 내재된 질서를 구축한다. 따라서 2장에서는 전이공간과 경계공간 의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2.1. 공간에서의 전이 2.1.1. 전이와 전이공간 전이(轉移)는 사전적 의미로 위치나 특성의 변화 혹은 물질이나 사물 따위의 변화를 뜻 한다. 따라서 전이는 하나 이상의 영역이나 공간들이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어 발생하는 접점에서 일어나는 가시적, 비가시적 변화 과정이다. 물질적 변화, 즉 물질적 전이는 영역의 변화가 구조로 나타나는 것이며, 심리적 전이는 영역의 변화로 인해 관찰자의 인식 혹은 행태가 변화가 구조화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 이공간이란 요소와 영역들의 구조적 변화의 접점 혹은 하나 이상의 영역 내의 행태 변 화 과정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이공간은 동일하거나 이질적인 영역들이 연결(連結)되는 관계를 형성하며, 다른 공간적 요소들보다 비교적 동적(動的)인 힘을 내재하고 있다.
2.1.2. 전이의 기능 전이는 영역의 연결이라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시작되어 연결된 영역 내에서 인간의 심 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영역의 연결을 통해 관찰자의 행태 변화를 이끌 어내기 위해 형성되기도 한다. 전이가 형성되는 원인과 연결관계에 따른 기능을 정리하 자면 아래의 [표 3]과 같다. [표 3] 전이의 형성원인과 기능 구 분
원 인
연결관계
기 능
구조 (構造)
∙ 영역의 경계부 연결 ∙ 영역의 특성 변화 연결
병치
∙ 이동, 동선의 발생 ∙ 관찰자의 심리, 행위 연결
심리 (心理)
∙ 관찰자의 심리 변화 연결 ∙ 영역의 이질적 특성 연결
매개
∙ 관찰자의 심리적 안정 ∙ 연결되는 영역의 특성 예측
행태 (行態)
∙ 영역 내의 체험 변화 연결 ∙ 심리 변화에 따른 행위 확장
심화
∙ 체험의 단계 형성 ∙ 공간과 관찰자 간의 관계성 확장
구조적 전이는 각 영역의 경계부의 연결 혹은 영역의 특성 변화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 되며, 이 때 연결되는 영역은 비슷한 특성을 띠고 있어 병치(倂置)적 관계로 나타난다. 이러한 구조적 형성을 통해 동선이 생성되고, 관찰자의 행위와 심리가 연결된다. 심리적 전이는 이질적인 특성의 영역들이 연결될 때, 관찰자가 공간의 특성 변화를 인 식함에 있어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거나 연결된 공간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다음 공간의 특성을 예측 가능한 기능을 하며, 이질적인 둘 이상의 영역의 특성을 내재 하여 매개(媒介)적 관계를 형성한다. 행태적 전이는 영역에서 관찰자의 주체적인 행위의 변화를 유도하거나 심화(深化)하기 위해 형성되며, 이러한 전이를 통해 관찰자의 체험이 심층적으로 단계가 생성되고, 공 간과 관찰자 간의 관계가 확장되어 관찰자의 적극적인 행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96
Vol.1 No.1 August 2019
2.1.3. 전이공간의 유형 전이공간은 둘 이상의 영역들이 연결되는 관계에 따라 병치, 매개, 심화의 유형으로 크 게 분류할 수 있다. 분류된 유형 내에서도 영역 간의 배치에 따라 구조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먼저 병치관계로 나타나는 전이는 영역 간의 연결, 관찰자의 이동, 행위의 연결의 기능 을 목적으로 하며, 연결되는 영역은 비슷한 특성을 내재하고 있어 포함되거나 병치되는 구조로 나타난다. 대조되는 특성 혹은 이질적인 특성을 내재한 영역들의 연결 구조는 각 영역들의 특성들을 모두 내포한 중립적인 전이공간이 각 영역들과 중첩되거나 매개 의 유형으로 나타난다.행태의 단계를 심층적으로 형성하거나 공간과 관찰자 간의 관계 성을 심화하는 전이유형은 상호연계, 확장의 구조로 나타난다. [표 4] 전이공간의 유형 별 구조 유형
구 조
심 리
행 태
연결관계
병 치
매 개
심 화
구 조 포 함
병 치
매 개
중 첩
상호연계
확 장
2.2 공간에서의 경계 2.2.1 경계와 경계공간 경계(境界)란 다른 성격의 요소가 대립(對立)되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대응되는 두 개의 세계가 공유하는 물리적, 심리적 영역의 접점3)이라고 할 수 있다. 물리적 영역은 가시적인 반면, 심리적 영역의 접점은 인간의 행태 자체가 영역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행태들의 변화가 구조화되는 것으로 비가시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공간이 란 다른 두 영역이 접점이 발생되는 실제의 장소를 뜻하기도 하고 혹은 행태의 변화 자 체가 될 수도 있다.
2.2.2 경계의 기능 경계는 외부의 갈등구조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인간의 원초적인 심리작용으로 인해 시작되어 내부에서의 보호적 기능으로 시작되어 공간 내에서 분리에 의해 질서가 형성되기도 하며, 관찰자의 접근성이 제한되기도 한다. 또한 동일한 공간 내의 관찰자 간의 경계를 심화시켜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이루어진다.
3) 한지애, 「근세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pp.31
9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5] 경계의 형성원인과 기능 구 분
원 인
대립관계
기 능
구조 (構造)
∙ 외부와 내부의 영역 구분 ∙ 외부 환경과 내부 환경의 분리
명확
∙ 장소성 부여 ∙ 외부 환경의 유입 조절(보호)
심리 (心理)
∙ 공간 내 관찰자의 동선 제한 ∙ 공간에서의 영역 분할
모호
∙ 공간의 접근성 형성 ∙ 공간의 방향성, 위계성 형성
행태 (行態)
∙ 공간과 관찰자 간의 경계 심화 ∙ 사회적 접촉 수용 조절
심화
∙ 사적 공간 형성, 프라이버시 보호 ∙ 경계성의 강도(깊이) 조절
구조적 경계는 내·외부를 구분함과 동시에 내부에 존재하는 관찰자에게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와 더불어 장소성을 부여함으로서 명확한 대립관계가 나타난다. 심리적 경계는 외부와 분리된 내부에서의 공간 내에서 관찰자의 동선을 제한하거나, 영 역을 분할하기 위해 형성되며, 제한적인 동선의 형성으로 모호한 대립관계가 나타난다. 공간과 관찰자 간의 경계를 심화시키고, 사회적 접촉을 조절하기 위해 구조적 경계와 심리적 경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립관계가 심화되어 나타난다.
2.2.3. 경계공간의 유형 경계공간 내의 대립관계는 명확, 모호, 심화로 분류할 수 있는데. 명확한 경계대립은 분리를 목적으로 전이공간처럼 공간의 특성들이 융합되어 중립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가시적 요소로 구조체로 영역을 단절시키거나 단절된 영역 사이에서 독립적으 로 나타난다. 모호한 경계대립은 투과와 같이 시선과 이동의 명확한 연결 혹은 단절이 아닌 제한적 연결구조로 인해 심리적인 긴장감을 형성하여 접근성이 조절되며, 혼돈적인 구조를 통 해 방향성이 형성되기도 한다. 구조적 경계와 심리적 경계의 중첩을 통해 경계가 심화됨으로써 프라이버시의 보호의 기능이 형성되거나 관찰자가 사회적 접촉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표 4] 전이공간의 유형 별 구조 유 형
구 조
심 리
행 태
대립관계
명 확
모 호
심 화
구 조 단 절
98
분 리
투 과
혼 돈
연 속
중 첩
Vol.1 No.1 August 2019
3. 소결
3.1.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비교 구조, 심리, 행태적 요인에 따라 전이공간은 이동, 심리적 안정, 체험의 확장 등의 기능 들이 병치, 매개, 심화의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경계공간은 공간의 형성, 영역의 세분 화, 사적 영역 형성의 기능들이 명확, 모호, 심화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3장에서는 2장의 전이와 경계의 개념과 더불어 형성원인과 기능을 바탕으 로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을 [표 7]과 같이 정리하여 비교하고, 그에 따른 공통점과 차이 점을 분석하였다. [표 7]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비교 구 분
전이공간
경계공간
공통점
∙ 영역의 경계부의 접점에서 일어나는 특성 혹은 행태 변화의 과정 구조화 ∙ 관찰자의 심리적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해 의도적 형성 ∙ 공간 내의 방향성, 질서 형성
차이점
∙ 연결을 목적으로 형성 ∙ 동일하거나 비슷한 특성 간에도 형성 ∙ 이질적 공간들의 특성 수용 ∙ 행태를 유도, 확장하는 특성 ∙ 비교적 개방적 특성 내재
∙ 분리를 ∙ 대립적 ∙ 이질적 ∙ 행태를 ∙ 비교적
목적으로 형성 혹은 이질적 특성 사이에서 형성 공간들의 특성 비수용 제한하는 특성 폐쇄적 특성 내재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은 영역의 경계부에서 구조, 심리적 작용, 행위의 변화 과정이 구 조화되어 나타났다는 것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관찰자의 이동과 심리 변화를 유 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공간 사이의 방향성을 통해 관찰 자는 전체공간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이공간은 연결을 주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는 반면, 경계공간은 영역의 분리가 주목적인 공간이다. 동일한 특성 혹은 이질적 특성을 내재한 영역들의 접점이 발생함으 로써 전이공간이 형성되지만, 경계공간은 대립적 영역들의 접점에서 형성된다. 이질적 영역들의 사이에서 형성될 때, 전이공간은 각 영역들의 특성들을 수용하여 중립 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경계공간은 이러한 특성을 수용하지 않고 전환의 기점이 되거나 독립적으로 나타난다. 구조를 바탕으로 심리적 변화를 유도하여 소극적이거나 적극적인 행태의 변화를 이끌 어내는 전이공간과는 다르게 경계공간에서는 관찰자의 행태에 제한을 두어 안정감 혹 은 긴장감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전이공간은 비교적 개방적인 특성을 나타나고 있으 며, 경계공간은 폐쇄적 특성이 나타난다.
3.2. 향후 연구 계획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유형들은 가시적 요소와 비가시적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가시적 요소는 수직·수평적 구조체로 형성되어 높낮이, 재료의 특성 등을 이용한 빛의 유입 혹은 시선의 확장과 같은 시각적 인식이 가능하다. 비가시적 요소는 시각적 인식 과 함께 관찰자의 경험이나 기억을 바탕으로 하여 습관, 관습 등 심리와 행위로 나타난 다. 이러한 가시적, 비가시적 요소들의 상호작용은 동일한 영역 내에서 부분적으로 분 포되어 작용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작용도 함께 일어난다.
9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향후 후속 연구로써 전이공간과 경계공간의 유형 별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을 바탕으로 현대 건축에서 전통적인 공간의 전이와 경계의 역할 및 기능을 분석하고, 사 례를 통하여 공간 내에서 가시적, 비가시적 요소들이 전이와 경계의 유형에 따라 어떤 복합적 작용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상태, 「한국전통주거건축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김해영,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내·외부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문대성,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유심적 가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박성재, 「한국 전통주거의 미적 관점에 의한 공간 연계성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윤현정, 「한국전통주거공간에 있어서 경계공간의 개념 및 특성」,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이준호, 「현대 주거건축에서의 한국전통성 표현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1 정혜석, 「전통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한지애, 「근세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2 http://www.spacesyntax.com/
100
Vol.1 No.1 August 2019
중국 SF영화 발전 연구 - 영화 <유랑지구>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ci-Fi Movies - Focusing on the movie <The Wandering Earth> -
장지아멍,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유랑지구, SF영화, 문화적 Zhang, Jia Me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The Wandering Earth, Sci-Fi movie, cultural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SF영화 발전 연구 1. 서론
2019년 2월 5일은 중국 춘절 연휴의 첫 날로, 궈판(郭帆)이 감독을 맡고, 휴고상 수상 자이자 중국 출신의 소설가 류츠신(刘慈欣)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한 <유랑지구>가 상 영되었다. 현재까지 박스오피스 46억 위안, 관람객 수 1억 명을 돌파하여 최근 5년 해 외시장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해당 영화가 해외에서 흥행하는 동시에, 국 내에서도 입소문을 타고 뜨거운 이슈를 몰고 와 일종의 문화 현상을 형성했다. 해당 영 화는 중국 전통문화와 핵심 가치를 알리는 기초에서 우주의 신비함을 탐색하고 인류의 미래를 사고한다. 선명한 시대적 특징과 농후한 인문정신을 담고 있으며, 중국 영화의 문화적 자신감을 충분히 재현하였다. 할리우드식 중국 영화의 예술적인 성공이며, 중국 이 영화대국에서 영화강국으로 전환하는 이정표적 상징을 가지고 있다[1]. 이러한 배경 에서, 본문은 <유랑지구> 속의 중국문화를 소개하고, 우수한 성적을 거둔 원인을 분석 하여 중국과 서양의 SF문화의 차이점을 이해한다.또한 앞으로의 중국 SF영화의 발전에 저자의 견해를 제시한다. [표 1] 2019년5월까지 중국영화과 해외영화의 박스오피스 대비(톱10) 중국영화
102
해외영화
영화
박스오피스 (억위안)
개봉
또우반 평점
영화
박스오피스 (억위안)
개봉
또우반 평점
1
<특수부대 전랑 2>
56.7
2017-07-27
7.1
<어벤져스: 엔드게임>
42.3
2019-04-24
8.6
2
<유랑지구>
46.5
2019-02-05
7.9
<분노의 질주8>
26.7
2017-04-14
7.0
3
<오퍼레이션 레드 씨>
36.5
2018-02-16
8.3
<분노의 질주7>
24.2
2015-04-12
8.3
4
<당인가탐안2>
33.9
2018-02-16
6.7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3.9
2018-05-11
8.1
5
<미인어>
33.9
2016-02-08
6.7
<아쿠아 맨>
20.1
2018-12-07
7.6
6
<나는 약의 신이 아니다>
30.9
2018-07-05
9.0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19.7
2014-06-27
6.6
7
서홍시수부>
25.4
2018-07-27
6.5
<베놈>
18.7
2018-11-09
7.2
8
<풍광적외성인>
22
2019-02-05
6.4
<쿵푸 요가>
17.5
2017-01-28
5.0
9
<수수적철권>
22
2017-09-30
6.9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16.9
2018-06-15
6.7
10
<전임3: 재견전임>
19.4
2017-12-29
5.5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
15.5
2017-06-23
4.9
Vol.1 No.1 August 2019
2. 영화내용 및 문화분석
2.1. 영화의 소개 및 주제 <유랑지구>는 태양이 곧 소멸하는 상황에서 인류가 새로운 정착지를 탐험하기 위해 지 구에 행성 추진기를 달아 태양계를 떠나 우주를 유랑한다는 계획을 모티브로 한다. 이 야기는 지구가 자전을 멈춘 17년 후의 중국을 다루며, 춘절 첫날 국민은 지하 도시에 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마작을 두고 “복”스티커를 붙이면서 새로운 해를 맞이하 고 있었다. 그러나 지구가 목성을 지나칠 때 목성의 강력한 인력에 이끌려 지구는 큰 위협을 맞이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주인공을 포함한 3대 가족은 단결하여 인류와 지 구의 운명을 구하게 된다. 해당 영화는 화려 한 우주 배경 밖에도 짜임새 있는 스토리와 선명한 주제를 내포하고 있다. 바로 “귀가” 이다. 우주정거장을 지키며 직위해제를 받고 집으로 향하고자 하는 아버지, 오빠와 집을 나와 지하도시를 방랑하다가 자연재해를 겪 은 후 집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딸, 가정을 보호하기 위해 군명을 어긴 오빠 등을 통해
[그림 1] 영화 <유랑지구>포스터
이러한 점을 충분히 볼 수 있다. <유랑지구>는 태양이 곧 소멸하는 상황에서 인류가 새로운 정착지를 탐험하기 위해 지 구에 행성 추진기를 달아 태양계를 떠나 우주를 유랑한다는 계획을 모티브로 한다. 이 야기는 지구가 자전을 멈춘 17년 후의 중국을 다루며, 춘절 첫날 국민은 지하 도시에 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마작을 두고 “복”스티커를 붙이면서 새로운 해를 맞이하 고 있었다. 그러나 지구가 목성을 지나칠 때 목성의 강력한 인력에 이끌려 지구는 큰 위협을 맞이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주인공을 포함한 3대 가족은 단결하여 인류와 지 구의 운명을 구하게 된다. 해당 영화는 화려한 우주 배경 밖에도 짜임새 있는 스토리와 선명한 주제를 내포하고 있다. 바로 “귀가”이다.우주 정거장을 지키고 있던 아버지는 임무를 마친 후 집으로 돌아가 가족들과 만나기를 기대하고, 오빠를 따라 지하 도시에 서 빠져 나온 여동생이 자연의 위험함을 느끼고 집으로 돌아가려 하거나, 가족들을 보 호하기 위해 군의 명령을 어기더라도 가족들을 데리고 집으로 돌아가려는 오빠 등 내 용들이 등장한다. “집으로 돌아가다”는 영화의 핵심 감정으로써 영화의 스토리 전개를 이끌어 냈는데 중국인들이 설 명절에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냈을 뿐만 아 니라 인류가 지구를 구원하고 터전을 지키는 원동력을 보여주었다.
2.2. 영화중의 중국 특성 <인터스텔라>, <패신저스>, <Lost in Space> 등으로 대표되는 할리우드 SF영화 중, 외 계인 침공, 자원고갈, 거대 자현재해 등의 중대한 위기를 겪을 때 인류는 통상적으로 지구를 버리고 우주선을 발사하여 다른 행성으로 이민을 한다. 영화 <유랑지구>의 기본 설정은 인류가 지구와 함께 희망을 찾아 2500년 동안 100세대 후손들이 떠돌이 생활 을 하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의 서양 문화와는 다르게[2], 수 천년 동안 농 경문화를 이어왔으며, 토지, 고향, 가족에 대한 정서가 서양과는 다르다. 중국의 호적제 가 오늘날까지 유지되어 오면서 중국인의 유랑을 감소시켰으며, 영화는 동양인들의 “원 래 살던 곳에 익숙해져 쉽게 떠나려 하지 않는” 사상을 기반으로, 중국인들이 “집”에 대한 걱정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고, 중국인들의 뿌리 깊은 고국 관념과
10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인들만의 우주관을 나타내고 있다. 감독 궈판(郭帆)이 말했던 것처럼: “<유랑지구> 의 색심은 중국인들이 땅과 고향에 대한 깊은 감정이다.” 영화에서 사람들이 싸우고 희 생하는 거대한 동력은 모두 “집으로 돌아가는” 것과 “가족과의 만남”에 대한 사람들의 강한 신념에서 비롯된다. 설 연휴 영화로서 해당 영화는 전 세계 중국인들의 “집으로 돌아가려는” 강렬한 의지를 반영하였을 뿐만 아니라, 천백 년 동안 변하지 않은 중국인 들의 향토 의식과 고국 및 천하에 대한 감정을 절묘하게 삽입시켰다. 사람들이 몰입할 수 있게 하여 강렬한 공감을 일으킨다[3].
[그림 2] 영화 <패신저스>중의 우주이민
[그림 3] 영화 <유랑지구> 중국 전통 명절-설날
2.3. <유랑지구>가 성공을 한 원인과 의미 <유랑지구>의 성공은 우연이 아니며, 2019년 중국 영화계의 “블록버스터급”영화로, 국 가 영화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사회 각층의 인사들의 협력을 받았 다. 영화는 감독, 투자, 특수효과 측면에서 큰 노력을 들였으나, 가장 중요한 점은 인문 학적 정감을 잘 표현해냈다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 “귀가, 단결, 희망”등은 영화의 정감 핵심이다. 국외 영화와 비교할 때 <유랑지구>는 중국식 정서가 충분히 반영되었다.첫 째, 영화 이야기의 발생 시간은 상영 시간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설 명절로 설정하였다. 지하 도시의 “복(福)”글씨와 설 인사는 중국인들의 가족과 함께하려는 감정을 스크린을 통해 전달하였고, 지구가 도망가는 신세라도 사자춤, 마작 등 중국의 전통 명절을 보내 는 전통을 이어나갔으며, 여주인공은 출타하기 전에도 만두를 먹을 생각을 한다. 뿐만 아니라 베이징과 상하이 등 지역의 상징적 건축, 베이징 교통위원회의 알림, 류치와 한 둬둬의 빨간색 유니폼인 “우주복”, “꼬치집”등 중국 요소들을 통해 관객들과 감정적 유 대관계를 형성하였다.둘째.주인공과 아버지는 중국식 부자 간의 사랑을 표현하며, 비록 교류가 없고 벽이 존재하지만 영화 후반에는 이러한 삭막함이 눈시울을 붉히는 최루탄 이 되어 돌아온다. 영화 마지막 단계에서 감정의 표현과 특수효과가 결합되며, 디테일 에도 충분한 노력이 기울여졌다. 중국식 키워드를 모든 곳에서 볼 수 있으며, 아버지가 우주 정거장의 회전을 멈춰 중력이 소실되는데, 이때 눈물이 무중력으로 인해 떠다니는 모습은 관객에게 사실감을 주어 공명을 일으 킨다. 영화 <유랑지구>은 성공적으로 중국 판타지 영화의 발전을 위해 소중한 경험을 누적하였다: 중국 판타지 영화의 발전은 <유 랑지구>처럼 할리우드 영화의 성공 경험을 끊임없이 받아들이고 참고하는 발전 모델을 모색해야 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혁신하고 중국 문화와 본토 내용을 기성 모듈에 주입
104
[그림 4] 영화 <유랑지구>눈물 효과
Vol.1 No.1 August 2019
하여 관객들의 관람 수요를 만족시키고 흥행 성적과 평가 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해야 한다[4].
3. 결론
영화 속 인공지능의 말과 같이, “인류가 영원한 이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일종의 추 구다.” 비록 중국의 전통 문화가 서양인과 같은 이성적인 사고와 탐구적인 정신을 갖지 못하게 할지라도, 글로벌화가 진행되는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편견을 깨부수고 할리우 드 영화의 속박으로부터 탈출해야 한다. <유랑지구>는 중국 SF 영화를 위해 좋은 스타 트를 끊었다. 중국 SF영화는 서양의 우수한 문화를 흡수하는 동시에 자신의 독특한 현 지문화를 결합시켜 자신만의 형태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형태는 중국 음식인 러우쟈 오(肉夹馍)일 것이마 햄버거의 형태가 아닐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 SF영화가 더욱 잘 발전할 수 있다.
참고문헌 时曼卿.论中国科幻电影的发展. 2015 吴宏阳.世纪之交中国科幻小说创作的本土化特征. 2016 蒋真.国产科幻电影创作研究. 2016 鲍远福.从《流浪地球》的成功看科幻小说的影视改编.中国艺术报. 2019.2
10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닝원고성(寕遠古城)의 안내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Guided Sine in Ningyuan ancient city, China
석우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Shi, Yu Chao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사인디자인, 사인시스템, 고성 Keyword
Design of Guided Sign, Sign System, ancient city
Vol.1 No.1 August 2019
중국 닝원고성(寕遠古城)의 안내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관광업은 나날이 한 도시의 중요한 경제 수입 업종이 되고 있으며, 관광업은 지 방의 경제 발전에 대체적인 작용을 한다. 사인시스템에서 중요한 공공시설로서, 없어서 는 안 되는 작용을 하고 있다. 관람객들은 사인시스템을 통해 목적지를 찾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관광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도 높일 수 있다. 요녕성의 흥성 시는 중국의 저명한 역사문화 관광 도시 중의 하나로, 닝원고성은 바로 도시에서 중요 한 관광 명소이다. 전기 조사연구를 통해서 닝원고성의 현존하는 안내 사인시스템은 미비하다. 다른 역사 문화 관광지와 비교해 보면 차이가 뚜렷하다.(예를 들어:리장고성,관도고성,선양고 궁 등) 외관, 정확성, 선명성 등의 방면에서, 배워서 완전하게 하거나 수정해야 한다. 고대 고성 안내 사인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완벽을 통해서 옛 고성로 하여금 더욱 좋은 개발 기회를 얻게 하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이 역사와 문화에 대해 더 잘 알게 해 준다 고 말했다. 현지 관광업의 발전을 이끌 수도 있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중국 남북의 역사문화관광지 중에서 선발한 AAAA급 이상의 관 광지이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4개 관광지는 리장고성, 관도고성, 선양고궁 이다. 첫째, 관련 문헌을 통해 사인디자인과 관련된 요소를 파악, 이들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 조사의 관련 문항을 제작했다. 둘째, 관광지마다 현장조사를 하고 관련 사진을 수집해 설문조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했 다. 네 개의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를 집계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사인의 개념 사인(sign)은 기호학점 관점에서 기호, 신호, 몸짓, 징후, 간판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이들은 문자나 기호, 신호를 전달매체로 하여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전달하고 자 하는 정보를 시각언어로 소통한다고 할 수 있다.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 중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사인 커뮤니케이션 역할이 크다. 특히 인간은 정보의 대부분을 시·지각을 통해 받아들이기 때문에 이것에 의한 의사소통인 사인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0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2. 사인의 시각요소 사인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중요한 기구이다. 따라서 사인의 시각요소 또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요소에는 문자와 그래픽요소들이 포함되는데, 이를 세부적 으로 분류하면 레이아웃, 문자, 픽토그램, 색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설문 조사
본 논문은 닝원고성 적용 가능한 안내 사인디자인 수정제안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본 조사는 중국 리장고성, 관도고성, 선양고궁과 닝원고성의 안내 사인 시스템 디자인에 대한 중국인 및 한국인 각 50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20일부터 4월 11일 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림 1] 설문 조사
4. 설문 조사의 결과
4개의 관광지구에 있는 사인시스템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통해 관도고진 의 사인시스템이 각각의 요소면에서 가장 잘 표현되었고, 모두 우수점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닝원고성의 사인시스템은 문자 정보, 칼라, 픽토그램 면에 서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108
Vol.1 No.1 August 2019
[그림 2] 설문 조사의 결과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첫째, 사인시스템이 존재하는 것은 일반인들이 쉽게 목적지에 도달하게끔 도와주기 위 함이다. 따라서 경구적 사인시스템은 주중 문자 정보 전달의 기능성을 필요로 하며, 사 인시스템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킨다. 조사에서 닝원고성의 사인시스템에는 중국어와 영어만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 고, 이것은 비영어 어족 여행객들이 많은 경우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많아지면서 더 많은 나라 관광객이 이용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도 필요하다. 둘째, 사인시스템의 주요 색과 보조 색 및 글꼴 색의 조합은 사용자가 위의 내용을 명 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사인시스템의 색상 매칭은 단일 또는 난잡할 수 없다. 셋째, 사인시스템의 픽토그램은 내용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픽토그램은 통해 사용자가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사인시스템은 화살표 표시, 픽토그램의 디자인 감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사인 디자인은 해당 국가, 그리고 도시의 이미지와도 잘 결합되어야 한다. 사인에는 도시의 문화는 물론 국가 문화의 특징들을 잘 드러내야하기 때문이다.
10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 중국 10대 재스민 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ference Degree of Jasmine Tea Package Design in China - Focused on China's Top 10 Jasmine Tea Brands -
티엔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Tian, Ju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패키지디자인, 소비자선호도, 재스민 차 Keyword
Package Design, Consumer Preference, Jasmine Tea
Vol.1 No.1 August 2019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재스민 차는 꽃차의 일반화 제품이고, 산지가 광활하고 생산량이 높으며 품종이 다양하 다. 중국 한나라 시대부터 기원한 재스민 차는 청나라 시대에는 진상품으로 지정되었고 지금까지 150여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신 중국이 성립된 후 푸저우의 재스민 차는 줄곧 국가 외교 관련의 선물용 차로 사용되었다. 중국 차 마케팅 협회의 “2018년 중국 재스민 차의 판매 형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유구한 역사를 지닌 재스민 차는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독특한 공정과 폭 넓은 소비수요에 따라 내수와 수출에서 모두 큰 발 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최신 조사에 따르면 현재 50, 60세의 노인 소비자 집단의 소비 능력이 점차 하락하는 추세이고 25~40세의 젊은 소비자 집단이 점점 재스민 차의 소비 행렬에 가입하고 있고, 그 비중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재스민 차의 소비행태 및 요구 특성은 신·구세대 간에 명확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요의 중점이 구세대 소비자집단 은 가격, 식감, 품질 등에 있다면, 신세대 소비자집단은 소비체험, 제품디자인, 개성화, 구매편의성 등에 중점을 둔다[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재스민 차 시장의 대표브랜드 10개에 대한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분석한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및 중국의 주요 구매사이트에서 진행한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재스민 차의 대표 브랜드 10개를 선정하였다. 패키지 디자인의 특징을 로고, 칼라, 레 이아웃 및 형태 등 4개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들 요소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 호도 데이터를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기술적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통해 향후 재스민 차의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제안을 실시하였다.
2. 이론적 고찰
패키지 디자인이란, 소비자에게 상품을 알리고, 구매의욕을 증가시키며, 상품을 안전하 게 보호하고 운반할 수 있는 입체디자인을 말한다. 패키지디자인은 제품을 보호하고 운반하는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현대생활에 있어 소비자의 폭넓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의 특성과 가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다 양한 부가가치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경제 세계화가 된 오늘날 패키지와 상품은 이미 하나로 통합되었다. 상품의 가치와 사 용 가치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써 패키지는 생산, 유통, 판매와 소비 영역에서 매우 중요 한 역할을 발휘하고 있고, 기업과 디자인계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중요한 과제가 되 었다. 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논문 8편을 연구한 후 패키지 디자인 요소에서 4가지 요소(로고, 칼라, 레이아웃, 형태)를 선정하여 다음 연구를 진행하였다.
11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1. 로고 로고는 각 제품이 지니고 있는 주제의 의미를 합리적,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제품의 개성과 특성을 대변해주는 형에 의한 이미지 표현이다.
2.2. 칼라 색채는 사람의 감정을 자극하는데 효과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 에 있어서 색채는 제품을 돋보이게 하여 무엇보다도 소비자들에게 구매욕을 증가시키 는 역할이다. 동시에 색채는 시각적 구성 요소 중의 자극을 가장 빠르게 전달할 수 있 는 것이다.
2.3. 레이아웃 레이아웃은 디자인 구성 요소들을 보기 좋게 배치하는 것을 말하며 제한된 공간안에서 소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힘을 지니고 조화와 통일성이 요구된다.
2.4. 형태 형태란 어떤 대상에 대하여 그 전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질서를 형성함으로써 완전 히 통일 통합되어 있는 전체 혹은 체제이다. 소비자의 시선을 끌어 흥미를 유발시키고 구입하고 싶은 욕망을 불러일으켜 궁극적으로 구매행동에 이르게 한다.
3. 설문 조사 결과 분석
3.1. 로고에 대한 결과 분석 재스민 차 패키지의 로고 디자인이다. “다음 로고에 대한 만족도를 선택하시오” 문제에 서 5점 만점의 설문지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다. 로고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은 로고는 3.53점의 “샤오관차”이고, 가장 인기가 없는 로고 는 2.85점의 “춘룬”이다. “춘룬”은 점수가 가장 높은 “샤오관 차”와 0.68점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자체 점수도 3점 미만이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소비자가 로고에 대한 선호도는 최고득점이든 최저 득점이 든아 니면 평균점수이든 모두 칼라보다 낮다. 점수가 가장 낮은 “춘룬”을 제외한 나머지 9개 의 로고 득점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장이위엔”, “샤오관차”, “우위타이”과 “텐푸밍차”는 첫 번째 그룹이고 이들은 모두 3.4점 이상을 획득하였으며 이 4가지 로 고의 점수 차이는 0.13점 미만으로 모두 고득점 로고에 속한다. “이푸탕”, “중차”, “수 밍룬”, 비탄피요쉐 그리고 “징화”는 두 번째 그룹이며 이들의 득점은 전부 3.0~3.4점 사이에 있고 다섯 로고의 점수 차이는 0.26점 미만이다.
3.2. 칼라에 대한 결과 분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6가지 칼라에서 가장 소비자 의 인기를 얻은 칼라는 가장 높은 점수인 3.71점을 획득한 회색 계열이다. 회색계열의 칼라는 포화도가 비교적 낮 고 밝기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칼라는 3.26점 밖에 획
112
Vol.1 No.1 August 2019
득하지 못한 녹색계열이다. 이계열의 칼라는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회색 계열과 0.45점의 차이가 난다. 점수 3.5점 이상을 획득한 칼라는 또 3.68점을 얻은 노란색 계 열과 3.57점인 빨간색 계열이다. 설문지의 득점 상황에 따라 각 칼라 계열을 두가지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 회색계열, 노란색 계열 그리고 빨간색 계열이 한 그룹으로 나뉘는데 이들은 득점이 비교적 높은 칼라들이다. 또 파란색계열, 보라색계열과 녹색계열을 두 번째 그룹으로 나뉠 수 있는 데 이 칼라들은 득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칼라들이다. 각 그룹에서 칼라의 득점이 매우 흡사하여 최고 득점을 한 칼라 계열과 최저득점을 한 칼라의 점수 차이가 0.18점 밖에 되지 않는다.
3.3. 레이아웃에 대한 결과 분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스민 차 패키지의 레이아웃 디자인의 8가지 레이아웃에서 가장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은 브랜드는 3.48점을 획득한 유형2이고 가장 인기가 없는 것은 3.13점을 획득한 유형8이다. 그러나 유형8과 유형1의 점수 차지가 0.35점 밖에 되지 않는다. 설문지의 득점 상황에 따라 최고점인 유형2와 최저점인 유형8을 제외하 고, 유형3과 유형1 그리고 유형7의 점수가 각각 3.36, 3.37, 3.39점을 획득하여 득점 이 비슷하다. 유형4와 유형5의 득점도 거의 비슷한 3.27점과 3.25점이어서 점수 차이 가 매우 작았다. 그러나 점수는 모두 3.2~2.3점 사이에 있어 첫 번째 그룹의 3가지 레 이아웃보다 작으므로 두 번째 그룹으로 구분 할 수 있다. 3.31인 유형6은 첫 번째 그 룹 및 두 번째 그룹 모두와 차이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별도로 중간 그룹으로 구분하였 다. 각 그룹 내의 레이아웃은 득점 차이가 매우 적은데 최고 득점 차이도 0.02점을 넘 지 않는다.
3.4. 형태에 대한 결과 분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스민 차 패키지의 형태 디자인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은 패키지 형태는 3.54점을 획득한 형태2(장방형)이고 그 다음은 3.48점을 획득한 형태1(사각형) 이고 마지막은 3.43점을 획득한 형태3(정방형)이다. 이 3가지 형태의 득점이 비교적 균 일하고 최고 득점의 형태2(장방형)와 최저 득 점의 형태3(정방형)의 점수 차이도 0.11 점을 넘지 않는다. 아울러 이 3가지 형태의 득점은 3.4~3.55 점 구간에 있다. [표 1] 표 설문 조사 결과 요소
내용
로고 항목 만족도
장이위엔 우위타이
이푸탕
수밍룬 티엔푸밍차
춘룬
징화 3.32
3.41
3.45
3.18
3.05
3.4
2.85
항목
빨강색 계열
노랑색 계열
파랑색 계열
자주색 계열
녹색 계열
회색 계열
만족도
3.57
3.68
3.33
3.44
3.26
3.71
비탄피야오쉐 샤오관차 3.31
3.53
중차 3.2
칼라
11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요소
내용
레이아웃 항목
유형1
유형2
유형3
유형4
유형5
유형6
유형7
유형8
만족도
3.37
3.48
3.36
3.27
3.25
3.31
3.39
3.13
형태
항목
형태1 형태2 형태3 (사각형) (장방형) (정방형)
만족도
4. 결론
3.48
3.54
3.43
본 연구는 재스민 차의 선물 패키지를 연구 주체로 하였고 다양한 선행연구 후 재스민 차의 패키지 디자인의 4가지 요소인 로고, 칼라, 레이아웃과 형태를 선택하였다. 설문지를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선정한 브랜드10개에서 각 브랜드 3가지 선물 제품을 선별하여 총 30개의 선물 제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해당 30개 제품의 로고, 칼라, 레 이아웃과 형태 등 4가지 요소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정리하여 소비자를 상대로 설문 조 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후 데이터의 진실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에 대한 SPSS AU신뢰 도와 타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Crobach's α값이 0.772으로 0.7보다 크 기 때문에 연구 데이터의 신뢰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MO수치는 0.7보 다 큰 0.707이며 데이터의 타당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1. 로고 로고의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인기가 많은 로고은 3.53점을 획득 한 샤오관 차이고, 가장 인기가 없는 로고은 2.85점 밖에 획득하지 못한 춘룬이다.
4.2. 칼라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칼라 요소에서 가장 인기를 얻은 칼라은 회색계 열이다.
4.3. 레이아웃 레이아웃 요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8가지 레이아웃에서 가장 인기를 얻은 레이 아웃은 레이아웃1이고 가장 인기가 없는 것은 레이아웃8이다.
4.4. 형태 재스민 차 패키지의 형태 요소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장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 은 패키지 형태는 3.54점을 획득한 형태2이고 그 다음은 3.48점인 형태1이고 마지막
114
Vol.1 No.1 August 2019
은 3.43점을 획득한 형태3이다. 재스민 차의 선물 패키지에 대한 연구에는 아직 도 많은 미흡한 부분이 많다. 첫째는 소비자를 상대로하는 설문조사에서 시장에서 판매량이 높은 재스민 차 선물 패키지만 취급하여 브랜드 제한성이 있다. 둘째는 재스민 차의 패키지 디자인 요소도 4가지 요소 밖에 선택하지 않아 전면성이 부족하다. 때문에 향후의 연구에서 위에서 언급한 미흡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보완하여 연구 요소 와 조사 인원수를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설문 조사 결과에 따라 소비자가 선호하는 재 스민 차 패키지 요소를 분석하고 또 소비자 선호도에 따라 재스민 차 패키지에 참고할 수 있는 패키지 방안을 제공하는 동시에 방안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혜숙, “선물패키지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pp.15, 2009. 이화영, “커스터마이징 패키지디자인이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p.11, 2018. 호유영, “중국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 제작 사례 연구,” pp.19-20, 2017. Tian Meng, “캔 맥주 패키지 디자인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중국 내 판매되고 있는 맥주 중심으로,” pp.10, 2018. 이 선 희, “농산물 상품화를 위한 브랜드패키지디자인 연구,” pp.9-12, 2015. 박혜영, “프리미엄 생수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pp.18, 2015. https://www.puercn.com/cysj/fxbg/145176
11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칸딘스키의 음악 시각화 추상형식과 오스카피싱거의 음악 시각화 추상영화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Kandingsky’s Abstract form in Visualizing Music and Oskar Fischinger’s Abstract Films in Visualizing Music
청위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해윤, 류도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heng, Yu Y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칸딘스키, 음악 시각화, 추상형식, 추상영화, 오스카 피싱거 Keyword
Kim, Hae Yoon/Liu, Dao Sheng(Corresponding author)_
Kandingsky, visualization music, abstract form,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abstract film, Oskar Fischinger
Vol.1 No.1 August 2019
칸딘스키의 음악 시각화 추상형식과 오스카피싱거의 음악 시각화 추상영화와의 관계 1. 서론
“시각 음악”이라는 용어는 1912년 영국의 예술 비평가 로저 프라이(Roger Fry)가 처 음으로 제시하면서 러시아 예술가 바실리 칸딘스키의 작품을 “시각 음악”의 개념으로 소개하였다. 칸딘스키는 음악의 감정을 창작의 영감으로 삼아 점, 선, 면의 추상 형식 및 색채를 사용하여 음악의 특성이 가득한 시각 형식을 창작하였다. “절대영화”도 칸딘 스키의 영향을 깊게 받아 도형과 음악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 중 “영상계의 칸딘스키”라고 불리는 오스카 피싱거는 일생 동안 음악의 시각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2명의 예술가 간의 예술 개념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관련 문헌 자료의 관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 헌분석법을 활용하여 칸딘스키의 추상형식 이론들을 체계화하여 본 논문에 대한 이론 적 배경으로 활용하였다.이를 바탕으로 칸딘스키 추상회화의 개념을 적용하여 오스카 피싱거 작품을 분석하여 칸딘스키의 예술적 개념이 오스카 피싱거간의 예술표현에 미 친 영향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표 1] 칸딘스키의 음악의 추상형식 표현 요소
2. 칸딘스키의 음악 시각화 추상형식
11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 칸딘스키의 음악적 추상 형식 개념과 오스카
3.1. 칸딘스키의 음악적 추상형식 “점”의 요소와 오스카 피싱거의 추상영화와의 관계 칸딘스키의 점은 구심적인 긴장을 지니고 있다. 중심에 서 멀어지는 상황에서도 구심력은 유지된다. 오스카 피 싱거의 작품 “옵티컬 포임”은 하나의 독립된 점이 천천
피싱거의
히 화면 안으로 떨어지면서 시작되며 이 원형의 점은
추상영화와의
강한 구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화면 속에서 견고한
관계
상태를 나타내며 배경음악의 무게감과 부합된다. 다수의 점들이 공동으로 중심에서 멀
[그림 1] 점
어지는 운동을 할 때 화면은 여전히 구심적인 긴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그림 1] 예 시 “옵티컬 포임”에서도 볼 수 있다. [그림 1]의 작품 “알레그레토”에는 마름모 형태의 점들이 모여 선을 이루고 퍼져나가는 모양으로 중심에서 멀어지는 운동을 하지만 화면 의 중심이 마치 인력으로 다른 요소들을 붙잡고 있는 것 같다. 이 작품에서 뚜렷한 시 각적 구심력을 볼 수 있다.
3.2. 칸딘스키의 음악적 추상형식 “선”의 요소와 오스카 피싱거의 추상영화와의 관계 칸딘스키는 운동을 하는 직선을 3가지 유형으로 정의 하였다. 수평선 형식은 무한하고 차가운 운동을 표현할 수 있고 수직선 형식은 무한하고 따뜻한 운동을 표현 할 수 있다고 정의하였다. 칸딘스키의 주장에 따르면
[그림 2] 선
대각선 형식은 무한하고 차가운 운동, 혹은 무한하고 따뜻한 운동을 표현해낼 수 있으며 다른 모든 직선들은 대각선에 치우친 정도에 의하 여 차가움이나 따뜻함의 경향이 결정된다고 하였다. [그림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오스 카 피싱거의 작품 “스터디 넘버 7”에서는 음악의 선율이 평온해질 때, 위에서 아래로 선율이 전환되는 지점을 비롯하여 모든 지점에서 수평선 및 수평적인 다른 직선들이 나타난다. 이로써 차가운 경향을 표현하였고 음악의 평온한 선율과 갑작스럽게 끊기는 전환을 나타냈다. 2가지 서로 다른 성질의 움직임에 의하여 각이 형성된 다. 칸딘스키는 예각을 가장 따뜻한 각, 직각은 가장 차가운 각이라고 정의하였고, 3종류의 각도는 각각 대 응되는 서로 다른 소리를 가지고 있다고 여겼다. 직각 은 차갑고 속박된 느낌을 주고, 예각은 날카롭고 매우 활기 있는 느낌을 주며, 둔각은 외롭고 가냘프면서 둔 탁한 느낌을 준다고 칸딘스키는 정의하였다. 예각은 노 란색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각이 날카로워질수록 뜨 거워진다. 직각은 빨간색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둔각 에는 충격력, 따뜻함, 긴장이 부족하고 파란색의 우아
[그림 3] 선
한 특색을 지니고 있다고 칸딘스키는 설명하였다. 오스 카 피싱거 작품 “알레그레토”에서 기하학적인 마름모는 여러 각도로 변환되면서 화면 가운데 음악 선율의 움직임과 조화를 이룬다. 고음이나 격양된 선율이 나타나면 기하학
118
Vol.1 No.1 August 2019
적인 마름모는 화면 가운데 예각의 움직임으로써 충만 한 힘과 활기를 표현한다. 저음이나 중후한 선율이 나 타나면 기하학적인 마름모의 각도는 바로 직각에 가까 워지거나 직각을 넘어 둔각으로 변화한다. [그림 3]처 럼 심지어 색채도 조정되어 직각의 특징에 부합하는 빨간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그림 4] 면
3.3. 칸딘스키의 음악적 추상형식 “면”의 요소와 오스카 피싱거의 추상영화와의 관계 칸딘스키의 면이 가리키는 것은 화면이다. 그는 화면은 2개의 수평선과 2개의 수직선으로 구성되며, 이로 인 해 한정된 범위 내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실체를 그려 낼 수 있다고 여겼다. 또한 수평선의 차갑고 정적인 요 소와 수직선의 따뜻하고 정적인 요소가 화면의 평온하 고 객관적인 소리를 결정한다고 여겼다. 화면에서 “상 (上)”은 가뿐함, 해방감 등의 느낌을 주며 최종적으로 일종의 자유스러운 느낌을 부여한다. “하(下)”는 조밀 함, 무거움, 속박 등의 느낌을 표현한다. “좌(左)”로 향 하는 운동은 자유 편향적이고 밖으로 향하는 운동이다. “우(右)”로 향하는 운동은 속박 편향적이고 안으로 향 하는 운동이다. 오스카 피싱거는 작품 “스터디 넘버 7” 에서 선의 요소를 활용하여 아래서부터 위로 약동하는 느낌을 표현했고 시각을 위로 향하게 하는 효과를 만 들어 선율이 자유스럽고 가벼운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음악의 선율이 바뀔 때 무리를 이루는 점들이 “우”로 향하는 것은 안을 향하는 운동을 뚜렷이 만들며 선율 이 갑자기 바뀔 때의 상단 음악에 대한 속박감을 나타 낸다. [그림 4]의 작품 “알레그레토”에서는 여러 층으
[그림 5] 면과 색채
로 되어있는 마름모 면을 활용하여 시각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효과를 만들었고, 이는 무겁고 중후한 리듬감을 표현한 것을 볼 수 있다. 역시 [그림 4]의 작품 “옵티컬 포임” 은 사각형 점이 “좌”로 향하는 운동은 음악 선율의 경쾌함과 자유스러움에 부합하는 장 면을 보여주고 있다.칸딘스키는 화면에서의 대각선을 “조화로운” 대각선과 “부조화로 운” 대각선으로 구분하였다. 우상변에서 좌하변으로 향하는 대각선은 조화로우며 “서정 적인” 긴장을 지니고 있고, 좌상변에서 우하변으로 향하는 대각선은 부조화로우며 “극 적인” 긴장을 지니고 있다. [그림 5]에서 보는 것처럼 작품 “알레그레토” 중 배경화면으 로 브로드웨이 무도곡이 나오는 부분에서 뚜렷한 해학적 느낌이 표현될 때, 화면 가운 데 기하학적인 형태로 4개의 무리로 나뉘어져 우상변에서 좌하변으로 비스듬하게 향하 는 이동은 해학적이고 유쾌한 리듬감과 극적인 긴장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다.
11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4. 칸딘스키의 음악적 추상형식 “색채”의 요소와 오스카 피싱거의 추상영화와의 관계 칸딘스키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날카로운 색은 날카로운 형태와 어울리고, 부드럽고 묵 직한 색은 원만한 형태와 어울린다고 여겼다. 예를 들어 노란색은 삼각형, 파란색은 원 형과 어울린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형식과 색채의 적절치 못한 조합이 반드시 부조 화를 이루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정도의 조정 과정을 거쳐 신선하고 조화로운 느낌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다. 오스카 피싱거는 작품 “알레그레토”에서 노란색과 타원형의 조합을 활용하였다. 이는 재즈의 즉흥적 특징을 표현한 것이다. [그림 5]의 작품“알레그 레토”에서 보는바와 같이 악기의 날카로운 소리는 노란색에 부합하고, 한편 부조화로운 원형과의 조합이 화면에 지나치게 날카롭고 유쾌하지 않은 느낌이 없도록 통제하면서 반대로 화면을 조화롭게 변화시킨다.
4. 결론
칸딘스키의 추상미술은 음악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의 음악적 추상형식의 개념 은 실험영화를 하는 작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특히 음악을 시각화하고자 하였던 오스카 피싱거의 실험영화는 칸딘스키의 점, 선, 면, 색채, 4가지 형식 표현들의 특징이 잘 나타나고 있다. 작품에서 점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뚜렷한 긴장을 지니고 있다. 수평선, 수직선의 활용에서 차가움과 따뜻함의 특징을 볼 수 있고 예각, 둔각, 직 각은 뜨거움, 공정함, 냉혹함의 서로 다른 정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화면에서 위로 향하는 방향은 가뿐하고 자유로운 느낌을 주고 아래로 향하는 방향은 묵직하고 속박되 어있는 느낌을 준다. 좌로 향하는 방향은 자유로운 느낌을 주고 우로 향하는 방향은 수 축하는 느낌을 준다. 색채와 형태의 부조화로운 사용에서 조화로운 효과 및 대비색의 배합이 나타나는 점에서도 칸딘스키의 추상표현 개념이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 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 사례를 활용하여 오스카 피싱거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칸딘스키 의 추상형식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기존의 문헌들에서 밝히고 있는 “오스카는 영 상계의 칸딘스키이다”라는 관점을 논증하였고 칸딘스키가 오스카 피싱거에게 미친 밀 접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칸딘스키의 음악 시각화 추상표현과 오스카 피싱거의 음악 시각화 추상표현에는 회화 매체와 영상매체라는 차이가 존재한다. 매체 차이에 따 르는 음악의 시각화 개념에는 엄연한 차이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 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의 의미를 목표로 두고 연구하였다.
참고문헌 쉐옌핑, 『비주류 애니메이션 영화』, 중국전매대학출판사, 2012 웨이즈청, 『동적 그래픽디자인에 대한 초보적 연구』, 화학공업출판사, 2017 팡졘궈 왕페이더 펑이, 『중국과 외국의 애니메이션 역사』, 저장대학출판사, 2007 E.H.Gombrich.『예술과 착각』. 저장촬영출판사.1987 Jon
Krasner.
『MOTIONGRAPHIC
DESIGN
APPLIED
HISTORY
AND
AESTHETICS』. 인민우전출판사.2016 A .L. Rees. 『A History of Experimental Film and Video:From the CanonicalAvant-garde to Contemporary British Practice』. BritishFilm
120
Vol.1 No.1 August 2019
Institute. 1999 Kerry Broughher, Olivia Mattis and more.Visual Music: Synaesthesia in Art and Music Since1900. New York: Thames & Hudson Co.2005 Wassily Kandingsky. ă&#x20AC;&#x17D;Concerning the Spiritual in Artă&#x20AC;?.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1977 http://www.centerforvisualmusic.org http://mypaper.pchome.com.tw/binjen/post/1336318832
12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태종대의 관광안내사인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aejongdae's tourism Sign design
왕지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태종대, 관광안내사인 디자인, 안내시스템, 사례분석 Wang, Ji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Taejongdae, tourism Sign design, Guidance System, case analysis
Vol.1 No.1 August 2019
태종대의 관광안내사인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1. 서론
안내시스템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써 인간의 생활환경에 질서를 부여하고, 안내에 있어 보다 알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요소를 체계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 광 안내 사인 시스템의 활용은 관광업이 발전하면서 점점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한 류가 인기를 끌게 되면서 외국 관광객들의 수량도 급증하였다. 부산의 유명한 관광지인 태종대는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곳이다. 하지만 부적절한 안내 사인 시스템 디자인으로 인해 관광객들이 사용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다. 관광지에서의 관광안내 시 스템의 설계가 불합리하여, 관광객들에게 많은 불편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관광 안내 서비스와 언어 기호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태종대 안 내 시스템 설계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 및 현지 조사를 통해 태종대의 안내 사인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들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수정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은 태종대의 사인 시스템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산의 유명한 관광지인 태종대는 많은 외국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곳이다. 하지만 부적 절한 안내 사인 시스템 디자인으로 인해 관광객들이 사용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다.
2. 관광안내 시스템의 소개
2.1. 안내시스템의 정의 및 종류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의미와 내용이 사람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매개체가 되는 것을 널리 안내라고 정의한다. 즉 안내는 의사소통의 기본 단위 로서 의미와 내용을 가진 기 호이며, 시각적이고 직접적이며, 인간의 환경을 이해하고 행동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보 전달 수단이다. 현대사회의 안내는 단순히 전달하는 기능에서 확대되어 이용자의 다양 한 요구에 따라 기능과 형태가 점차적으로 변화되고 발전되어가고 있다. 관광지의 안내 는 상업안내와 다르게 평상시는 공간 중에 서로 어울리고, 또한 악센트를 주는 역할이 며, 필요한 때는 그 공간의 의미를 관광객에게 확실히 이해시켜, 그 장소에서 목적지까 지 확실히 유도할 수 있는 상호 연결시스템으로써 존재해야 한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태종대에 상용된 안내시스템은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표 1]. [표 1] 태종대에 설치된 안내시스템 분류 종류
실예
유도안내
화장실, 주차장, 등산로, 매점, 공중전화, 식수대, 건물
규제안내
금지, 준수, 주의, 통제, 경고
설명/기명안내
명소소개, 건물, 역사소개, 문화재소개, 천연기념물
종합안내
관광자원, 종합 지도, 관광시설의 위치 및 방향, 접근방법 등을
12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2 관광 안내 사인 시스템의 기능분류 관광 안내 사인 시스템은 “관광객들에게 관광 구역의 전체 배치도, 관광지 분포, 도로, 공공 서비스, 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일련의 공공 서비스와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총칭이다.” 오늘날 문화 내용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안내 시스템은 사람을 중요시하고 사람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람에게 계시를 주는 등 전면적 서비스 단계로 발전 하였다. 관광 구역의 안내 사인 시스템은 관광 구역 정보의 매개체이고 시스템의 기능 적 의의는 방향 안내와 관광 노선에 대한 인도 역할뿐만 아니라, 관광지의 관리 질서를 유지하고 관광지의 이미지를 미화하며 문화 장소 효과를 조성하는 기능적 역할도 일으 키고 있다. 수많은 자료를 연구를 통해 이론과 사례를 접목시켜 관광 안내 사인 시스템의 분류 방 식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해당 시스템에 대해 기능, 내용, 형식 등 세 가지 측면에 따 라 분류와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관광 안내 사인 시스템의 기능은 주로 다음과 같은 6가지 측면이 포함된다.
2.2.1. 안내 기능 관광객이 관광지에 들어선 후 안내 사인 시스템을 통해 관광구역에 대해 전반적이고 대략적 인식을 가질 수 있고, 자신의 관광 노선과 위치를 알 수 있으며 관광객들이 관 광 노선과 일정을 계획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2.2.2. 해설 기능 일정한 의미에서 관광 안내 사인 시스템은 마치 정치된 가이드처럼 관광 구역의 각종 관광 정보들을 제공하고, 주요 관람 장소의 배경 및 특색 그리고 관람 노선에 대한 자 세한 설명을 진행하여 관광객들이 편리하고 빠르며 정확하게 관광 구역의 상황을 알 수 있게 한다.
2.2.3. 관리서비스 기능 관광업 발전의 거시적 각도에서 볼 때 과학적인 안내 사인 시스템은 관광 구역에 대한 관리와 발전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관광이라는 사회적 체 험 활동에서 볼 때 안내 사인 시스템은 관광객들을 위한 중요한 시설이고 모든 관광객 들에게 안내 서비스와 수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여 관광 체험의 질을 향상시킨다.
2.2.4. 교육 기능 관광객이 관광하면서 안내 사인 시스템을 통해 관련 역사, 문화 등 지식에 대해 알 수 있어 인지 수준을 높일 수 있다.
2.2.5. 문화 전승 기능 관광지에서 안내 사인 시스템을 전시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 만이 아닌 그 지역의 인문 역사, 지역 특색 및 풍습과 문화 등을 널리 알려 관광객들이 직접 체험한 다음 해당 지역의 관람 장소, 민속 습관, 인문 내용을 전파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뛰 어난 문화 특색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124
Vol.1 No.1 August 2019
2.2.6. 광고 홍보 기능 일반적으로 관광지는 도시의 교통 도로 주변과 관광지 입구에 광고 간판을 설치한다. 완전한 안내 사인 시스템은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관광 정보, 특색, 문화 내용을 전달할 수 있고, 또 관광 도시와 관광지 이미지의 중요한 전시 매개체가 된다.
3. 관광 안내사인 시스템
사례 1. 서울시는 남산도시자연공원 [표 2] 남산도시자연공원의 안내사인 시스템 디자인
디자인의 사례 분석 종합관광안내
유도안내
유도안내
유도 사인
[표 2]와 같이 사인 디자인 간판은 모두 나무 소재를 사용하여 안내판에서 나무의 결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녹색을 주요 색상으로 사용하였고 방향 표시는 노란색을 사용 하였다. 소재와 색깔의 매치로 인해 전체 안내 사인 시스템이 남산 공원의 환경과 조화 를 이루게 하였고 자연의 분위기를 물씬 풍기도록 하였다. 방향 표시는 입체 디자인을 하여 부각시켰고 관광객들이 식별하기 쉽게 하였다. 노랑색은 안전을 표현하는 색으로 주의를 의미한다.
사례 2. 카와바타엥프라자(川場田園プラザ) [표 3] 카와바타엥프라자안내의 사인 시스템 디자인의 분석
종합안내
유도안내
설명/기명안내
안내 사인 디자인은 파형판 자체의 특성에 따라 기존의 안내 사인 시설에 대해 조정 디 자인을 진행하였다. 디자인은 가와바 촌의 광활한 농지와 과수원 옆에 사용한 정비 재 료에서 영감을 얻었고, 파형판의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안 내판 표면을 감쌌는데, 낮은 원가 방식으로 전체 안내 사인 시스템에 대해 정리하고 통 일시켰다. 이 뿐만 아니라 표면에 인쇄한 사인 이미지는 울퉁불퉁한 표면에 의해 매우 독특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안내판은 파형판의 기존 색깔 외에 농담이 다른 하얀색 으로 정보를 인쇄하여 디자인이 깔끔하고 정보가 명확하며 주변의 전원풍경과도 매우 잘 어울린다. 위의 두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광지의 안내 사인 시스템 디자인의 안내 정보 디자 인에 대한 타당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안내 사인 시스템의 디자 인이 이 장소의 문화 특징과의 융합도 매우 중요하다.
12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 태종대의 관광 안내사인
4.1. 태종대의 관광 안내사인디자인 분석 [표 4] 설명안내 표지현황
디자인 설명안내 표지현황
형태
통일되지 않고 제각각 다른 형태
재질
목재, 석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
디자인
디자인 스타일의 통일되지 않다
언어
주로 국문이 대다수이고, 가끔 표지판에 중국어와 일어가 영어도 있다.
정보설계
정보의 양이 많고, 문자가 작으며, 중요한 정보가 명확하지 않다.
조명시설
제공되어 있지 않아 야간 시 이용불편
[표 5] 종합안내 지현황
종합안내 표지현황
형태
통일되지 않고 제각각 다른 형태
재질
목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 일부재질은 빛에 반사되어 가독성에 문제
디자인
디자인 스타일의 통일되지 않고 지도 그림이 선명하지 않다
언어
주로 국문과 영문이 대다수이고, 가끔 영어도 없다
정보디자인
정보의 양이 많고, 문자가 작으며, 중요한 정보가 명확하지 않다.
조명시설
제공되어 있지 않아 야간 시 이용불편
[표 6] 종합안내 표지현황
유도안내 표지현황
126
형태
통일되지 않고 제각각 다른 형태
재질
스테인레스, 아크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디자인
디자인 스타일의 통일되지 않고 방향 표시 색상이 동일하지 않고 표시 위치가 부정확함. 그래픽과 로그에 대한 쓰기가 동일하지 않다.
언어
국문과 영문이 다수임
정보 디자인
정보의 양이 많고, 문자가 작으며, 중요한 정보가 명확하지 않다.
Vol.1 No.1 August 2019
[표 7] 규제안내 표지현황
규제안내 표지현황
형태
통일되지 않고 제각각 다른 형태
재질
플라스틱, 나무, 석재, 스테인레스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디자인
경고 표시와 제시된 아이콘은 설계가 동일하지 않습니다
언어
국문과 영문이 다수임
정보 디자인
문자 정보의 조판은 비교적 난잡하다
4.2 태종대의 관광 안내사인디자인 문제 조사대상인 태종대의 관광안내서비스 현황을 조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현재 위치의 표시 누락으로 인한 방향성 상실을 초래하고 있다. 둘째, 관광안내표지가 설치에서 일반적으로 한글과 영문도 위주지만 일본과 중국어 표 기가 있다. 셋째, 재질 및 형태가 통일감 없고, 반사 및 시인성에 저해되는 재료들 사용이 많았음 을 알 수 있다. 넷째, 사람 눈높이에서 볼 수 없는 안내도의 크기 및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설치 되어 있는 등 정보 습득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유도표지의 경우 화살표 방향 오류로 인한 혼란을 야기 시켰다.
4.3 태종대의 관광 안내사인디자인 개선 방안 태종대는 부산 일대에서 보기 드문 울창한 숲과 기암괴석으로 된 해식 절벽 및 푸른 바 다 등이 조화를 이룬다. 찾아낸 태종대 안내시스템 디자인의 문제점에 따라 태종대를 결합한 환경 설계의 안내시스템 개선안을 제시한다. 태종대 안내시스템의 디자인 스타 일을 통일하기 위해 주요 재료는 목제 및 플라스틱이다. 주된 색조는 바다와 비슷한 파 란색을 마시는 것이다. 방향 지시 표시는 노란색(알림을 표시)을 사용합니다. 태종대 안 내시스템 디자인의 네 가지 유형으로 관련된 설계 대안이 제시되었다.
12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8] 태종대 안내시스템 디자인의 개선 방안
종합안내
5. 결론
유도안내
설명/기명안내
규제안내
태종대의 안내 사인 디자인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태종대 관광지의 전반적인 안내 사 인 디자인은 양식이 일관되지 않아 이는 관광객들이 정보를 찾는데 어려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미관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일부 안내판은 정보 디자인이 두드러지지 않 고, 또 안내 기능이 미흡하여 관광객들이 관람 장소를 찾을 때 비교적 많은 시간을 들 여야 찾을 수 있다. 문화 전승 기능도 비교적 뒤떨어지고 안내 사인 시스템 디자인에 태종대의 특징 요소들이 부족하여 풍경과 어우러지지 못했다. 태종대의 안내 사인 디자인의 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여 안내 사 인 시스템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태종대의 특색 요소를 찾아낸 다음 태동대에 어울리는 디자인 양식으로 안내 사인 시스템 디자인을 통일시켜 태종대 안내 사인 시스템의 기능성과 사용성을 강화한다. 태종대는 부산 일대에서 보기 드문 울창한 숲과 기암 괴석으로 된 해식 절벽 및 푸른 바다 등이 조화를 이룬다.
참고문헌 신유정, 「부산지역 관광안내 서비스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대학원,2017 진연, 「사용자 경험을 활용한 공공장소 정보 디자인 개선안」, 중앙대학교, 2015. 신영기, 「관광안내정보시스템 품질요인과 지각된 유용성이 사용자만족과 관광지 이미 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2011. 한세준, 공공장소의 디지털 정보 사인시스템에 대한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포럼, Vol. 10 No. -, 2009.
128
Vol.1 No.1 August 2019
판타지 영화에 나타난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팀 버튼 감독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in Fantasy Films - Focusing on Tim Burton's work -
장멍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양성용(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ang, Meng Q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판타지 영화, 공간, 특성, 팀버튼 감독 Keyword
Yang, Sung Yong(Corresponding author)_
Fantasy Films, Space, Characteristic,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Tim Burton Director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판타지 영화에 나타난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예술은 공통적이다. 공간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운반체 중 하나이며, 모든 디자인에 서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며, 이것은 자연히 영화를 포함한다. 판타지 양식이 활발히 활력을 띄는 예술분야 중 영화는 당시 대표적 시대상과 흐름, 새로운 사조를 가장 먼저 표현하며 문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구체적인 특성을 통해 전체 영화 공간 장면 현상의 실제 분포를 알아봅니다. 영화 표현의 기본적인 특징을 이해하고, 관람 체험에 대한 느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판타지 영화가 널리 보급되어 세계를 뒤덮으면서 오 락성과 세계화의 가치가 있다. 판타지 영화의 대부 팀 버튼(Tim Burton)은 독특한 작품으로 “괴상한 감독”이라고 불리며, 그의 작품은 다양한 작품형식으로 할리우드에서 개성과 흥행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었다. 2000년 대 이후의 연구는 대부분 캐릭터, 복 장 디자인에 집중되어 있으며, 영화 공간의 내용과 관련된 자료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팀 버튼 감독의 판타지 영화 작품을 대상으로 한 영화 공간 분석을 다룬다. 본 연구는 판타지, 판타지 영화의 정의 및 형식을 이론 기초로 삼아, 영화와 공간의 관 계를 정리하여 영화 공간특성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했다. 또한 초기 판타지 대표 영 화를 분석하여 판타지 영화 공간의 핵심 키워드도 도출하여 작품을 분석했다. 이러한 목적은 판타지 영화의 핵심 공간 키워드를 도출하여 팀 버튼(Tim Burton)의 영화 공 간 활용기법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관점과 변화를 탐구한다.
2. 이론적 고찰
2.1. 판타지 영화 움직이는 이미지로 스토리를 현실과 같은 방식으로 재현한다는 영화 자체의 속성 때문에 환상의 특성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1). 지금의 상황을 관찰해보았을 때, 영화기예의 진 보는 판타지영화 예술환 상의 실현과 예술효과의 성숙을 추동하였다. 반면에, 판타지영 화의 발전은 때때로 동일한 시대 영화기예 발전이 달할 수 있는 수준을 대표해주었다.
2.2. 판타지영화의 양식 판타지형 영화는 판타지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것을 위주로 한 영화의 총칭으로, 전통적으 로 판타지과학, 동화, 신괴, 영이 그리고 종교적 전설, 시사신화 등의 장르를 포함한다2).
2.3. 판타지영화의 특성 팀 버튼(Timothy Burton)감독의 작품에는 고딕 풍과 애니메이션 요소가 융합해 연결 되어, 영화의 창조적 시각을 깨고, 팀 버튼 특유의 형식을 창조했다. 이 영화들의 인물 은 과장되고, 영화의 공간은 구속을 받지 않고 자유로우며, 시각과 청각에 공포, 동화 와 같은 원소들이 융합되어 있고, 영화는 독특한 개인적인 풍격을 가지고 있다.
1) 김성태, 「영화에서의 환성성의 문제: 중세적 환상성과의 연관성 연구를 위해」, 사회이론 통권, 2003, p.4 2) 제프리 노웰 스미스(Geoffrey Nowell Smith) 저, 이순호 역,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경기: 열린책들, 2006, p.378
130
Vol.1 No.1 August 2019
3. 판타지 영화 공간
3.1. 영화 속의 공간 <영화·텔레비전사전>에서는 영화의 공간을“투시, 조명, 색채, 인물과 촬영기기의 움직 임 및 음향 효과의 작용을 이용해, 움직임, 시간을 포함한 4차원 공간의 환각을 창조해 낸다. 그것은 현실 공간 자체가 아니라 현실 공간의 재현이다”라고 정의 한다3).
3.2. 판타지 영화와 공간의 관한 선행연구 우선 판타지 영화를 분석하기 전에 영화와 공간의 상관성 논문을 조사했다. 논문은 2000년대 이후의 논문만 정리하였다. 영화산업과 영화미술의 발전으로 이와 관련된 다 양한 자료들이 많았으며 그 중에서 공간과 관련된 10개의 논문 내용 압축하였다. 기호 ‘●’를 표시하여 논문에 있는 영화와 공간적 특성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키워드 요소 내 용은 아래 [표 1]와 같다. [표 1] 선행 연구 분석 공간 요소 번호 연구자
분절성 지각성
존재 재료성 표현 물리 지속성 시간성 장면성 시각성 인식 소재 형식 존재
1
한연숙 (2001)
●
2
최근식 (2002)
●
3
황은희 (2003)
●
●
4
정향국 (2011)
●
●
5
朱艺 (2013)
6
杨志伟 (2014)
●
7
潘秀通 (2014)
●
8
류세룡 (2015)
9
기혜슬 (2016)
10
李廷廷 (2018) 소계
●
●
●
●
적용 초현실 공간성 다원성 현실성 범위 성
●
●
●
●
●
●
●
●
●
●
●
●
●
●
●
●
●
●
●
3
●
●
●
4
1
2
3
2
3
2
●
●
3
3
1
2
2
●
●
3
4
3) 허남명(许南明), 『영화 예술 사전』, 베이징: 중국 영화 출판사, 1986, p.207
13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기호 ‘●’ 수가 둘 이상인 키워드를 논문 추출의 키워드로 선택한다. 선택한 키워드는 13개이며, 각각 분절성, 지각성, 지속성, 시간성, 장면성, 재료성 소재, 표현 형식, 시각성, 물리 존재, 공 간성, 다원성, 현실성 및 초현실성 이다. 따라 서, 선행 연구를 통해 위의 표에 나타난 모든 키 워드를 분석하고 요약하여 총 3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그림 1] 그림 설명글
3.3. 판타지 영화에서 나타나는 공간 본 장에서는 판타지 영화 대표작 4편을 판타지 영화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범위 로 선정했다. 제2장에서 이론연구에 따라 판타지 영화를 언급한 장르가 3가지이기 때 문에 판타지 영화 중 가장 기초가 되는 1900년대 초반의 영화 대표 1편을 바탕으로 3 가지 장르의 초기 대표작을 각각 1편씩 선정하였다. 이렇게 하면 전체 판타지 영화에 나오는 장르가 모두 커버가 되어 판타지 영화에 나오는 공간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 석할 수 있다. 영화 공간 특성을 통해 얻은 판타지 영화 공간에 속하는 특성 키워드를 분석합니다. 핵 심 공간 요소 정리 총결산 [표 2]은 다음과 같다. [표 2] 영화 공간 핵심 요소 정리 영화 제목
공간 핵심 요소 지속적 지각성 환상적
달세계 여행
메트로폴리스
곡절적
기묘한
직관적
원근감의 과장
불규칙성
추상적
비구상적 양식
흑백대비
왜곡된 형태
유토피아
중첩, 변형
창조성
이국적
공간의 대비
극단적 대비
기념비
축조적
규범적 형태
색채 대비
유동성
무형의
변형된
회전성
자유 곡선
양식화 회화적
그로테스크 오즈의 마법사 상징성
132
대조
공간의 무한성
신비적 감정성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
장면의 표현성
Vol.1 No.1 August 2019
3.4. 소결 영화공간의 3가지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판타지 대표 영화공간을 분석하여 판타지 영화 공간 특징 키워드를 도출한다. 위 표에 나타난 모든 핵심 공간 요소를 분석하고 요약하 면 총 10개의 판타지 영화 공간 특성 키워드로 분류된다.
[그림 2] 지속적 지각성에 나타나는 공간 특성 핵심 요소
4. 팀 버튼
[그림 3] 장면의 표현성에 나타나는 공간 특성 핵심 요소
[그림 4] 공간의 무한성에 나타나는 공간 특성 핵심 요소
팀버튼(Tim Burton)은 미국의 유명한 감독이며, 할리우드에서 독특한 스타일로 상업 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다. 따라서 그는 이곳에서 매우 유명한 인사이다. 이것으로 팀
영화감독에
버튼 감독이 판타지 영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판타지 영화의 독립된 분파를 갖고 있
대한 고찰
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은 팀 버튼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5. 사례 분석
5.1. 사례 범위 및 대상 선정된 영화 작품들은 모두 팀 버튼 감독이 선정하거나 지명한 ‘최고의 판타지 영화’로 팀 버튼 감독이 제작한 영화 제4장의 표에서 좨된27편중에 13개의 영화는 표에서 정 리하였다.
5.2. 사례 분석 제3장에서는 판타지 영화의 10개 특성 키워드를 정리하고, 사례분석 의 틀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영어 식 표현에 대한 기호화 규정을 두 었다. 이렇게 정리된 팀 버튼영화 상에서 나타나는 판타지 영화의 공 간특성을 도출된 결괏값을 토대로 도 표화 시키고 분석하여 그에 따 른 종합적 결과를 도출한다.
[그림 5] 사례분석의 틀
13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3. 종합 분석 이상의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팀 버튼 감독영화에서 드러나는 판타지 영화의 공간연출 특성은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팀 버튼 판타지 영화의 공간 특성 판타지 영화의 공간 특성 사례
지속적 지각성
장면의 표현성
공간의 무한성
IP
MP
SP
DE
ME
NE
IG
NF
EF
OF
1
6
4
0
6
4
0
2
3
2
5
2
5
2
5
5
3
2
2
3
4
0
3
3
4
5
8
5
3
0
0
9
3
4
5
4
1
7
0
1
2
4
1
3
5
7
3
4
5
5
2
2
2
3
2
6
4
3
3
4
5
1
3
4
1
0
7
4
3
3
9
2
1
1
6
2
1
8
4
8
0
6
7
5
3
3
3
6
9
4
6
2
8
7
0
5
3
4
0
10
7
2
3
4
1
2
0
3
4
3
11
1
4
5
9
2
1
5
2
2
1
12
4
0
2
7
3
0
2
3
2
3
13
4
4
0
3
4
0
1
4
1
5
소계
58
47
33
81
48
18
28
40
38
32
모든 핵심 요소에 구현된 특성 이미지 장면 수에서 팀 버튼 감독이 용하는 수치는 평균 이 아니며, 강한 굴곡을 가지고 있다. 팀 버튼이 영화공간에서 보여주는 공간적 특성은 개인적인 취향이 있고 비교와 비과학적인 환상의 표현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6. 결론
전체적으로 팀 버튼의 영화공간은 환상적이고 상상력이 넘친다. 비교감이 강하고 색채 와 공간 등의 비교 기법을 구사하여 영화 공간의 차이를 표현한다. 공간 형태는 기하형 상도 있고 구부러진 형태도 있으며 다양하다. 본 논문은 현재 영화공간의 연속적인 지각성, 장면의 표현성 그리고 공간형태의 무한성 이라는 3가지 측면만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판타지 영화공간의 10 가지 특성 키워드만 획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발생된 공간의 표현 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디자이너와 영화 제작자에게 새로운 영감을 제공해야 한다.
134
Vol.1 No.1 August 2019
참고문헌 제프리 노웰 스미스(Geoffrey Nowell Smith) 저, 이순호 역, 『옥스퍼드 세계 영화 사』, 경기: 열린책들, 2006 허남명(许南明), 『영화 예술 사전』, 베이징: 중국 영화 출판사, 1986 김성태, 「영화에서의 환성성의 문제: 중세적 환상성과의 연관성 연구를 위해」, 사회이 론 통권, 2003
13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한·중·일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분석에 관한 연구
Visual analysi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ypographies
임은송,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m, Eun So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타이포그래피, 서체, 한국, 중국, 일본 Keyword
typography, type, Korea, China, Japen
Vol.1 No.1 August 2019
한·중·일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분석에 관한 연구
1. 서론
현재,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문자는 하나의 독립된 개체가 되었다. 우리는 일상 속에서 문자를 접하지 않는 순간이 없을 정도록 문자가 넘쳐나는 세상에 살고 있다. 이러한 상 황에서 문자는 단순히 정보전달의 수단에서 벗어나 그 자체로 하나의 시각 경험이 되 었다. 세계화 시대에 들어선 이후 인구 유동성이 커질수록 일상속에서 다중 문자가 나타나는 것은 필연적인 추세이다.1) 가장 대표적인 영어부터 가깝게는 중국의 한자와 일본의 가 나에 이르기 까지 넓어지는 세계 만큼이나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은 지리적인 위치 만큼이나 다양한 교류를 이어왔다. 때문에 오늘날 각 나라의 문자를 다루는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 나 현재 상황에서 우리가 활용하는 다중 언어의 이해도는 미흡한 수준이다. 이는 각 나 라의 문화적 차이점과 더불어 언어적, 시각적 특징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부족하기 때문 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2014년 어도비, 구글, 그리고 한중일 삼국 의 글꼴회사가 공동으로 서체를 개발하였으나 그 활용이 미미하고, 또 다중 언어의 사 용률 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나의 서체에 의지해 모든 상황을 해결하는 것 또한 여의치 않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서체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이를 올바르게 파악하 고 이해하는 시도를 통해 서체의 활용도를 높여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에 목적을 두고 진행 하고자 한다. 1. 각 국가별 언어의 특징과 문화적, 역사적 배경 그리고 구조적 특징을 이해한다. 2. 각 국가별로 대중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기본 서체와 이의 선호도를 일차적으로 파악한다. 3. 선정된 서체의 시각적 요소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조형적 특징을 파악한다. 4. 이를 통해 다중 언어를 병용표기 했을 때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고려하여 병용표 기에 대한 선호도와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2. 연구 범위 및 대상설정
2.1. 연구 대상의 범위 한자의 역사는 깊다.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일본의 가나 역시 한글보다 역사가 길 다. 타이포그래피의 역사는 어떠한가? 한국의 경우 다양한 활자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개발하여 사용하는 개념이 없었다. 활자시대로부터 서체 개발은 전통적으로 인쇄기기 회사나 대형출판사, 신문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을 뿐이다. 그리고 그 마저도 일 본에서 개발된 서체를 토대로 개발된 서체가 중심을 이뤘다. 디지털 폰트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매킨토시가 국내 시장에 발을 딛기 시작한 이후 싹트기 시작했다. 이 즈음 부터 매킨토시, Window3.1 등의 운영체제에서 비교적 익숙 한 ‘바탕체’, ‘돋움체’, ‘굴림체’, ‘궁서체’ 등의 글자를 기본서체로 개발 활용하기 시작
1) 이진우, 「한글과 한자의 타이포그래피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1
13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하였다. 디지털의 보급과 출판시장의 발달로 본격적으로 ‘다양한 서체의 필요성’이 커 지게 되었는데 따라서 글꼴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서체회사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중국과 일본 역시 서체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진 시기의 차이가 있지만 디지털의 본격적인 보급으로 서체의 개발과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기준으로 연구에 활용한 서체의 범위는 1990년대 이후 보 급되어 최근까지 활용도가 높은 디지털 서체로 한정하였다.
2.2. 연구 대상의 설정 본 연구를 진행하기 앞서 각 국가별 서체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기에 대 상의 범위와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위한 기준 서체가 필요하다 판단되었 다. 서체디자인이 확장 되면서 고딕체 및 명조체 이외에도 다양한 측면의 서체가 존재 하나 본 연구에서는 그 대상을 고딕체와 명조체에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서체를 기준으로 웹, 출판에서 사용 선호도가 높은 서체를 우선 선정하였다. 선정된 서체는 대중적인 운영체제인 윈도우와 맥의 표준서체로 사용된 서체와 출판, 인 쇄에서 제목 또는 본문서체로 선호도가 높은 서체의 순위를 관련 논문 및 문헌을 통해 조사하여 선발하였다. 그 결과 한국, 중국, 일본 고딕체/명조체를 각 10가지씩 선정하 였다. 이상 선발된 서체를 해당 국가별로 30명씩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선호도에 따라 나열 하였으며 이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서체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표 1] 선발된 서체 분류
고딕체
명조체
138
번호
한국
중국
일본
1
맑은고딕
微软正黑体
游ゴシック体
2
나눔고딕
冬青黑体简体中文
メイリオ
3
HY중고딕
华康金刚黑
ヒラギノ角ゴ Pro
4
함초롱돋움
方正兰亭黑体
IPAexGothic
5
윤고딕
思源黑体
小塚ゴシック Pro
6
본고딕
微软雅黑
Noto Sans CJK JP
7
KoPub 돋움체
Adobe 黑体
源真ゴシック
8
나눔바른고딕
华康黑体
MS Pゴシック
9
Apple SD 산돌고딕 Neo
经典黑体简
OSAKA
10
HY견고딕
苹方中等体
HGSゴシックE
1
한마음명조
方正书宋简体
IPA P明朝
2
Apple 명조
华文宋体
ヒラギノ明朝 Pro
3
Adobe 명조
新宋体
はんなり明朝
4
나눔명조
腾祥铭宋简
游明朝体
5
함초롱바탕
思源宋体
IPAex明朝
6
조선일보명조
Adobe 宋体
あおぞら明朝
7
HY신명조
汷仪中宋简
MS P 明朝
8
윤명조
华文中体
NotoSerif CJK JP
9
본명조
方正准雅宋简
小塚明朝 Pro
10
KoPub 바탕체
方正小标宋简体
HGS明朝E
Vol.1 No.1 August 2019
2.3. 연구 기준 국내 타이포그래피 관련 연구는 그 역사가 얼마 되지 않아 관련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체계적인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활자관련 연구논문의 연구 체계를 참고 하여 기준을 수립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형태적인 분석에 앞서 언어적 차이점과 연구시 고려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한글, 한자, 가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는 문자의 구성원리와 특징을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시에 고려해야할 주의점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후에는 각각 서체를 낱자(홑자)와 행의 형태로 구분하여 비교를 진행한다. 낱자는 글자의 직선과 곡선, 장식의 형태, 구성에따른 크기의 비율, 공간의 대비, 폭과 방향등을 각각 비교하고 행의 형태는 문단의 길이, 무게중심, 마디의 공간, 자간과 행 간에 따른 가독성과 시각적 피로도를 각각 비교하여 진행한다. 각각의 분석 기준은 관 련논문2) 3) 4) 및 타이포그래피 관련 서적의 서체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표 2] 서체별 시각적 요소 분석내용 분류
시각적 요소
낱자(홑자)형태
행의 형태
직선과 곡선
문단의 길이
장식
무게중심
크기 비율
마디의 공간
공간의 대비
자간과 행간에따른 가독성
폭과 방향
시각적 피로도
1차적인 형태의 비교연구를 진행한 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고려하여 다중 언어의 병용 표기시 나타나는 특징과 주의점을 살펴보고 문자가 서면상에 배치 되었을때 가장 중요한 가독성과 주목성 그리고 심미성을 종합적으로 평 가하기 위해 각각 이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아웃, 정렬, 크기, 굵기, 순서및 위치등을 다 양하게 배치하여 이를 각 국가별 3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떤 서체와 배치를 선호하는지 조사하여 병용표기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2.4. 설문조사 본 연구에서는 총 2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설문조사의 실시 목적과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 3] 설문조사 구성 분류
1차 조사
2차 조사
조사 목적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분석을 위한 서체선호도 조사
다중언어의 병용표기시 소비자의 선호도를 알아 보기 위한 설문조사
조사 방법
직접조사, 인터넷 조사
직접조사, 인터넷 조사
2) 이진우, 「한글과 한자의 타이포그래피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 정수화, 「한글. 영문활자의 시각적 통일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 윤지희, 「기본 줄기로 본 한글전용서체 조형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3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 연구의 방향 및 결론 도출
분류
1차 조사
2차 조사
조사 목적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분석을 위한 서체선호도 조사
다중언어의 병용표기시 소비자의 선호도를 알아 보기 위한 설문조사
조사 방법
직접조사, 인터넷 조사
직접조사, 인터넷 조사
조사 대상
한국인 30명, 중국인 30명 일본인 30명(총90명)
한국인 30명, 중국인 30명 일본인 30명(총90명) 디자인 전공자(석, 박사이상) 각 5명 (총15명)
조사 내용
선정된 고딕체/명조체 서체 중 각 국가별 서체의 선호도 및 서체 디자인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다.
서체의 병용표기시 가장 중심이 되는 가독성을 중심으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아웃, 정렬, 크 기 및 굵기, 순서 등의 배치를 달리하여 이에 따 를 국가별 선호도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과정을 진행하여 1. 현재 사용 되고 있는 기본서체의 선호도 2. 선호도가 높은 서체의 조형적 특징 3. 다중 언어의 병용 표기 및 국가별 선호도가 높은 활용방법 을 살펴 보고 이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각각 1. 조형적 형태에 따른 선호도 2. 배치의 순서, 정렬, 굵기에 따른 선호도 3. 서체의 조합에 따른 선호도로 연구 내용을 정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병용표기를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모든 서체를 동등한 조건을 가지고 비교하기 위해서 같은 크기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다만 기본서체 의 형태가 비교적 유사하고 각 국가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서체에 대한 조사가 다소 미흡하였다. 다만 기본 서체라 하더라도 국내에서 사용되는 영문서체에 비해 그 인지도가 다소 부족하다 보여지는데 이는 영문에 비해 언어의 중요도를 낮게 보기 때 문이라 추측된다. 관광청 통계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을 방문한 방한객의 약 31%가 중국인 일본인이 약 19%로 전체 50%를 차지했다.5) 하지만 국내의 서체연구의 진행상황은 현 상황을 충족 할 만큼 충분하지 못하다. 현 소비시장에서 일본, 중국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은 결코 무시할 수준이 아니다. 단순히 인구의 비율 만을 고려하더라도 한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이며, 일본어 역시 약 1억 3000만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순위만 놓고 보자면 각각 1위, 8위에 해당하는 높은 비율이다. 문자는 한 국가를 대표하는 가장 핵심적인 정체성이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 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활용만큼 언제나 문화의 차이를 고려한 디자인이 우선 되어야 한다.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문자, 곧 서체의 디자인적 활용에서도 이를 고려하 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잦다. 중국과 한국은 비슷한 문화와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할지라도 그 내면에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또 똑같은 글자를 보더라도 한국인 과 중국인이 받아들이는 느낌은 판이하다.6) 한자를 함께 공유하는 일본과 중국 역시
5) 관광청 「연도별통계(1975-2018)」 6) TYPOGRAPHY SEOUL 「중국 진출을 위해 알아둘 폰트의 모든 것」, 2012
140
Vol.1 No.1 August 2019
그 관점이 다를 것이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한국 내에서 사용 되는 서체라 할지라도 그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한국인이 아닌 해당언어의 사용자이다. 이러한 시각적 차이를 이 해하지 못한채 단순히 ‘한자를 사용해 디자인을 한다’는 생각으로 별 다른 분석과 이해 없이 작업을 진행하면 결국 그 디자인은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디 자이너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서는 각 문자의 특징과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세상에는 많은 서체가 존재한다 하지만 결국 어떤 것을 사용할 지 결정하는 것은 디자 이너 개인의 몫이다. 본 연구가 앞으로 다중 언어의 병용 표기 작업시 디자이너에게 도 움을 주고, 더불어 다국어 텍스트가 잘 정비되도록 도움으로써 언어의 시각적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각 문자의 문화적 역사적 이해와 그 특징을 파악하는 과정이 효과 적인 서체의 활용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송성재, 『한글 타이포그래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일본디자인학회(日本デザイン学会), 『일본에게 타이포그래피를 묻다.』, 안그라픽스, 2011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시공사, 1995 이진우, 「한글과 한자의 타이포그래피 구조에 대한 비교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2 정수화, 「한글, 영문활자의 시각적 통일성에 관한 연구- 국내 기업 전용서체를 중심으 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책 호, 「한글.한자.로마자의 타이포그래피 용어 비교 연구 - 중국 간자 타이포그래피 용어의 통일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Haruna Kana, 「문화 간 언어 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다국어 텍스트 병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윤지희, 「기본 줄기로 본 한글전용서체 조형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TYPOGRAPHY SEOUL 2012년 11월 26일자 ‘중국 진출을 위해 알아둘 폰트의 모든 것, <2012 중국어 폰트 세미나> 기사’ http://www.typographyseoul.com/news/detail/283
14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한자 캘리그라피의 현대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서예의 전통 ‘장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temporary Design of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 Focus on ‘Zhāngfǎ’, A Traditional Chinese Calligraphy -
치야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Qi, Ya Xu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타이포그래피, 연구동향, 분석, 장법, 아방가르드 Keyword
Chang, Ju Young(Corresponding author)_
typography, research trend, analysis, Zhāngfǎ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avant-garde
Vol.1 No.1 August 2019
한자 캘리그라피의 현대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1. 서론
타이포그래피의 정의는 활자의 모양과 배치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발생 하는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정보와 지식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오늘날 타이포그래피는 문자의 시각적 표현을 통해 미학적 가 치를 달성하고 디자이너의 자아를 표현하는 예술적 수단으로 기능한다. 특히 상형문자인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어는 이미지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대에서 타이포 그래피 대상으로서의 가능성이 무한하다. 다만 오늘날 젊은 중국 디자이너들은 서양 타이포 그래피에만 초점을 맞추어 중국 문자의 언어적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중국 전통 서예의 한 방법인 ‘장법(章法, Zhāngfǎ)’을 참조하여 현대 중국어 캘리그라피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① 서양의 타이포 그래피 디자인의 사조를 살펴보고, ② 서예 장법 각각의 특성과 유사한 점을 고찰하여, ③ 현대 중국어 타이포그래피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 해보고자 한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중국서예이론체계』1) 를 참조하면 서예 장법의 특성은 크게 세 가지인데, ① 텍스트 내포 의미의 시각화, ② 창작자의 직관을 통한 형식미 창출, ③ 객관적 정보 전달이 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먼저 서양의 타이포그래피의 역사 속에 서 중국 서예와의 유사성을 찾아본다. 그리고 현대 중국 캘리그라피의 작품을 3가지 측 면에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개념적 범위는 고대 한문과 중국어의 문어, 로마자로 한정한다. 서예의 ‘장법’은 한 폭의 서예 작품을 구성함에 있어서 글자의 획과 획, 글자와 글자, 행과 행 사이의 연관 관계를 조절하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며, 필법·결구법과 함께 서예 의 형식을 구성하는 3대 요소이다.2) 청나라 서예 이론가인 유희재(劉熙載)는 장법을 대장법(Dàzhāngfǎ, 大章法)과 소장법 (Xiǎozhāngfǎ, 小章法)으로 분류한다. 대장법은 한 폭의 서예 작품 전체에서 활자의 면적과 나머지 공백의 면적을 배치하는 기법이다. 소장법은 한 글자 속에서의 점과 획이 배치되는 방식을 말한다. 로마자와 한 자의 글자 구조상의 복잡성 차이 때문에 소장법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에는 어려 우므로 본 논문에서는 대장법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1) 슝빙밍(熊秉明)저, 『중국서예이론체계(中国书法理论体系)』, 동문선(人民美术出版社), 2003 2) 장이 저, 정현숙 역, 『서예 미학과 기법』, 교우사, 2009
14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선행연구
[표 1] 선행연구 표 주제
타 이 포 그 래 피
장 법
서 예 디 자 인
논문제목
특징
인쇄매체를 통하여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시각 표현연구 : 해체적 표현을 시각디자인에 바탕으로 적용한 연구 김선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2008]
인쇄매체에서 나타난 타이포 그래피의 표현 특징을 설명
시각언어로서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 영상매체를 통하여 영화 오프닝 타이틀 중심으로 시각디자인에 황미경, 慶星大學校 디지털디자인대학원,[2003] [국내 적용한 연구 석사]
영상매체에서 나타난 타이포 그래피의 표현 특징을 설명
수업모형에 활용한 연구
타이포그래피 제작 수업을 통한 매체 언어 교육 방법 연구 곽수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2008] [국내석사]
교육적 측면에서 타이포그래 피를 제작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
서예장법이론
書藝의 章法에 관한 硏究 : 二王을 중심으로 손관순,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2015]
서예 장법이론에 대한 분석
서예필법의 미학적 특성
隸書의 章法 硏究 : 本人 作品을 中心으로 곽문환,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2004]
서예장법의 미학적 특성 분류
篆刻의 造形性에 관한 硏究 : 齊白石 印面의 章法을 중 인물을 중심으로한 심으로 필법연구 이승환,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2000]
인물과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 석
중국술 브랜드로고 캘리그래피 분석에 대한 패키지 브랜드 디자인에의 디자인 연구 : 백주 (마오타오주) 중심으로 적용연구 왕흥영, 대불대학교 대학원,[2011] [국내석사]
서예디자인이 실제 사례에 적 용된 경우를 연구
캘리그라피로의 발전연구
한·일 전통술 레이블디자인의 캘리그라피 표현에 관한 비교 연구 진선애, 건국대학교 대학원,[2011] [국내석사]
브랜드디자인에 캘리그래피를 적용한 사례 연구
[표 2] 한자의 특징에 대한 연구 성과(정리) 연구방향
연구자
대표논문
발표 간행물
내용 요약
사회적 측면에서 한자의 응용 양상에 대한 연구
임예진
한자글꼴인식과 그 공공공간에서의 응용연구
중앙 미술 대학 2012
한자의 각 글꼴이 공공공간의 시각전달에 끼치는 영향
시쉬안
구조 및 인지—설계가 외국인 한자습득 과정에 개입했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중앙 미술 대학 2012
한자 제자 원리가 외국인의 한자 습득에 적용되는 방향을 관찰
윤정
‘백가성’ 한자 서법 연구
쿤밍 공과대학 2014
‘백가성’ 의 한자 서법의 변천과 특징에 대해 연구
유예
한자 서법에서 ‘완형’ 적용연구
호북공업대학 2017
둥근 ‘완형’이 한자 서법에 적용되는 방향에 대해 연구
간모데
문자 획의 융합에서 한자 서법의 혁신과 확장모색
디자인학연구 2009
한자 서법의 적용 과정에서 문자 획의 융합 방식의 확장에 대해 연구
순이산
한자조형에 의한 당대 시각디자인에서의 운용연구
윈난 예술대학 2012
중국의 시각디자인에서 한자의 조형적 특성이 이용되는 방향
고고
현대 한자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미적 감각과 특징
예술과 디자인 2007
현대 한자 타이포그래피의 미적 감각과 특징이 드러나는 방향에 대해 연구
리동연
제품 디자인에서의 한자 타이포그래피 적용 연구
미술교육연구 2017
한자 타이포그래피가 제품 패키징과 프로덕트 디자인에 적용되는 방향 연구
한자 서법의 연구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한자의 응용에 대한 연구
144
Vol.1 No.1 August 2019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첫째는 사회적 측면에서 한자 의 응용 양상에 대한 연구, 둘째는 한자 서법의 연구, 셋째는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한 자의 서법에 대한 연구이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서는 서예 취법이나 예술성에 대한 전 반적 특징을 개괄하여 사회적 관점의 응용에 대해 서술하기는 하였으나, 이를 장법의 특징과 연관한 역사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시각디자인의 관점에서 정보 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고찰에 이르기보다는 완성도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산출 하기 위한 연구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유로, 텍스트 의미의 시각화, 객관적 정보 전달, 직관을 통한 형식미 창출의 세 가지 측면을 중점으로 현재에도 유효한 장법의 이론의 잠재성 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3. 서양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특성
3.1. 아방가르드 운동 타이포그래피는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의 유파인 미래파와 다다 이즘의 등장을 계기로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이했다. 20세기 초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 운동인 아방가르드는 기존의 예술적 관례 를 거부하고 새로움과 혁신을 모색했는데, 그중 미래파는 급격 한 산업 혁명과 전쟁에서 착안하여 ‘구체시’를 창안하였다. [그림 1]은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특성을 엿볼 수 있는 구체시 이다. 전쟁의 공포와 가중되는 산업화의 속도로 인한 혼돈을 표 현하기 위해 기존의 문자 배열에서 탈피한 방식으로 활자를 사 용하였다. 시의 내용을 시각적인 층위로 확장하여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점은 서예 장법의 특징 중 하나인 ’텍스트의 시각적 재진술‘ 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중국어 타이포그래피에 문자 크기의 과감한 변형과 수평적 텍스트 전개 탈피, 창작자의 목적에 맞는 글자 형태 변형 등의 시사점을 이끌어낼 수 있다.
3.2. 국제주의 양식 아방가르드의 타이포그래피는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 후 1950년대에는 가독성 높은 타이포그래피와 레이아웃에 대한 요구가 커졌고, 이를 위해 객관적 정보 전달에 초점을 맞춘 국제주의 타이포그래피가 등장했다. 국제주의 타 이포그래피는 장식적이거나 표현적인 요소를 제거한다. 활자 크기와 활자체에 대한 엄 격한 규정을 수립하고, 안내선 격자를 도입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이렇게 도출한 시사점은 서예 장법의 특징 중 하나인 ’객관적 정보 전달‘ 을 보완하기 위해 유용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
3.3. 포스트모더니즘 양식 포스트모더니즘 타이포그래피에서는 창작자의 주관과 직관을 통한 형식미 창출을 강조 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사조가 무엇보다 중요시하는 것은 개인의 주관인 만큼, 이 시점
14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에 이르러 타이포그래피는 정보 전달의 기능을 넘어선 예술적 표 현 기능을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포스트모더니즘 타이포그래피의 대표적인 디자이너로 볼프강 바 인하르트를 들 수 있다. [그림 2]에서 볼프강 바인하르트는 다양 한 표현 요소를 화면에 조합하여 강인하고 실험적인 느낌을 표현하 였다. 이처럼 서양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은 아방가르드 운동에서 보았듯 이, 문자 크기의 과감한 변형과 수평적 텍스트 전개 탈피, 창작자 의 목적에 맞는 글자 형태 변형 등을 통해 문자 디자인만으로 직 관적이고 객관적인 정보 전달을 가능케 했으며, 뿐만 아니라 창작자의 독특한 시각을 기반으로 혁신적이며 예술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했다.
4. 현대 중국어 캘리그라피 디자인의
4.1. 칸타이쿵 이 작품의 경우 텍스트의 내포의미 시각적 형상화의 측면에서는 한자 “심”을 쓰면서 글 자의 각 획을 서예하는 방식에 수묵화의 필법을 도입하여, 산맥의 모양과 “심” 의 구조 적 유사성을 포착하여 전면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심” 의 맨 꼭대기에 위치한 붉은
서예 장법의
원이 태양을 나타내고, “심” 의 나머지 획은 산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서사하며, 수묵화
응용 양상
의 ’파묵‘ 기법을 이용하여 암산의 입체감을 표현하고 있다.
직관형식의 측면에서는 중국 전통 문화의 탁월성을 서양 디자인의 특성과 성공적으로 접목하는 작가 칸타이쿵이 예술적 탐구를 진행하는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 [그림 4(화 자아심)]에서는 의상(意像)의 점획미, 여백미, 조화미로 대표되는 그의 예술적 특성을 엿볼 수 있다.3)이 작품에서는 서양 타이포그래피 사조인 해체적 타이포그래피의 문자
3) 이운운, 「중국 고대 한자 초서와 근대 한자 타입디자인에 관한 연구 - 칸타이쿵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6, 343p
146
Vol.1 No.1 August 2019
배열 방식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는 것과 함께, [그림 5(심운계열)]와 공유하는 특징인 붉 은 점을 사용해 “점획미”를 표현하였고, 파묵 기법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여백미” 와 “조화미”를 엿볼 수 있다.
4.2. 쉬빙 먼저 직관형식의 관점에서, 이 작품을 이해하 기 위해 먼저 중국의 텍스트 아트의 형성과 발 전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인 쉬 빙의 예술적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 쉬빙은 이 작품에서 한자의 필획을 교체하여 만든 유사문 자를 소재로 하였는데, [그림 6(네모글자서예)] 에서도 유사문자를 중심으로 작품을 전개하고 있지만, 중체서용(中體西用)의 사상을 구현하며 <천서>보다 더욱 진보된 예술적 사유를 표현하 고 있다. 서양의 로마자와 동양의 한자 구조가 <네모글자서예>에서 결합되어, 서양과 동양의 이분법을 넘어선 융합적 예술을 창조하였다. 정보전달의 측면에서는, 역설적으로 그는 이를 통해 문자의 이미지만 표현하고, 정보 전달을 위한 텍스트는 배제되는 상황을 전달하 여, 정보가 전달될 수 없는 유사문자를 통해 사상을 표현하는 예술 작품을 창조한 것이 다.4) 이를 통해 ‘혼종적 글씨 쓰기’를 지향하기보다 ‘중체서용’을 지향해야 한다는 메시 지를 강조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는 타이포그래피의 정보 전달 수단으로서의 특징이 변형되고 확장된 예를 시사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4.3. 분석결과 앞에서 칸타이쿵과 쉬빙의 작품을 분석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 우리는 한자 타이포그래 피의 발전 방향인 텍스트 내포의미의 시각화, 객관적 정보 전달, 직관을 통한 형식미 창출이 각 작품에 일부 드러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5. 결론
1) 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타이포그래피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디자인계는 한자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서체의 개발에 매진할 역량 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어 타이포그래피를 개발하는 데 전 통 서예의 ’장법‘ 이 좋은 참고가 될 것이라 생각하고, 서예 장법 각각의 특징에 상 응하는 서양 타이포그래피 사조를 고찰하여 중국어 타이포그래피 개발에 참조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 이를 통해 타이포그래피 개발을 위한 서예 장법의 이론적 바탕과 기준을 마련하고, 한자와 알파벳이 구조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인 층위에서의 연결점이 존재
4) 최병식, 『中國 當代美術에서 漢字와 書法의 활용 분석』, 『동양예술』, 2013, 345-349p
14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한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타이포그래피 개발의 기준점을 수립하였으며, 현대 작품 분석 을 통해 서예 장법의 특징이 한 작품 속에 혼재하여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3) 본 논문을 통하여 전통 장법의 이론적 체계가 현대에도 유효한 참고와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참고문헌 구진중 저, 김희정 역, 『필법과 장법. 서예 형식미 구성의 두축』, 다운샘, 2016 로빈 킨로스, 최성민 역, 『현대 타이포그래피-비판적 역사 에세이』, 스펙터프레스, 2009, 안석 저, 황금슬 역, 『한자 서법』, 이담북스, 2010 장이 저, 정현숙 역, 『서예 미학과 기법』, 교우사, 2009 전규호 저, 『서예장법과 감상』, 이화경영연구소, 2003 전규호 저, 『행초장법』, 명문당, 2014 Christopher Crouch and Jane Pearce, 『DOING RESEARCH IN DESIGN』, Berg, 2012 이운운. 「중국 고대 한자 초서와 근대 한자 타입디자인에 관한 연구 - 칸타이쿵 타이포 그래피 디자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2016, 최병식, 『中國 當代美術에서 漢字와 書法의 활용 분석』, 『동양예술』, 2013, 靳埭强. 『靳叔说·设计语录』. 安徽美术出版社. 2009.
148
Vol.1 No.1 August 2019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rline's tail graphics and national brand recognition
조우단,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ou, D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국가브랜드 인지도, 꼬리날개 그래픽 Keyword
tail graphics, national brand, recognitio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관계 1. 서론
항공산업의 발전에 따라 항공사의 기업 이미지에 대한 중요성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비행기는 항공사의 기업 이미지를 전달해줄 수 있고, 또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는 작용 도 한다. 비행기는 국내 지역 간에 빠른 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운송수단으로써, 국내 에도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해외와 연결시켜주는 매개 수단이기도 하다. 따라서 국가 간의 이동을 통해 비행기의 도장 디자인은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교량 역 할을 한다. 항공기의 도장 디자인은 다양한 요소를 담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비행기 도장 디자인 영역 중에서도 꼬리날개 그래픽의 요소와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와의 관계를 파 악하는 데 있다. 본문은 세계 3대 항공사 얼라이언스(联盟)에 소속된 각 항공사들을 상 징하는 비행기의 꼬리 날개 그래픽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각 항공사가 소속된 국가들 을 그들의 경제발전 상황과 지역을 기준으로 구분한 뒤, 각 경제적 상황과 지역문화에 서 발전된 꼬리날개 그래픽이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비행기의 도장 디자인 영역 중에서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더욱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이론적 고찰
2.1. 국가브랜드 자신만의 브랜드를 지닌 기업과 마찬가지로 국가도 자신의 브랜드가 존재한다. 다시 말 하면 각국은 모두 자신만의 국가 브랜드를 지니고 있다. 국가 브랜드는 한 국가의 추상 화된 모습으로, 이 국가의 이미지는 바로 국가 브랜드에서부터 보여진다. 또한 그와 동 시에 한 국가의 국가브랜드는 상당수준 자국의 이미지에도 다시 영향을 주기도 한다.
2.2. 항공기 도장 디자인 및 구성요소 항공기 도장 디자인은 주로 기체를 미화하고 자신을 위장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으 며, 민항기 분야든 군용기 분야든 항공기 도장은 항공기 겉옷 한 벌이라고 할 수 있 다.1)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요소와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주요 부위에 따라, 본 논문은 항공기 도장 디자인를 주로 세 부분으로 요약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꼬리날개 위주의 패턴으로, 두 번째 부분은 전체 위주의 컬러으로, 세 번째 부 분은 항공기 동체의 전체적인 장식과 조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꼬리날개 위주의 패턴 장식 요소를 분석하는데, 이를 줄여서 꼬리날개 그래픽이라고 하다.
2.3. 항공 얼라이언스 세계 3대 항공 얼라이언스 란 두 칸 또는 그 이상의 항공사 간에 이루어진 협력 합의 중 가장 큰 세 개 항공 연합을 말한다. 이들 세계 3대 항공사 얼라이언스은 각각 스타
1) 사이먼 안호 . 『주조 국가, 도시 및 지역의 브랜드: 경쟁 우위 식별 시스템』. 상하이 교통 출판사. 2010
150
Vol.1 No.1 August 2019
얼라이언스 (Star Alliance), 스카이팀 (Sky Team), 그리고 원월드(one word)이다. 1997년 설립된 스타 얼라이언스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본부를 둔 세계 최초의 글로 벌 항공사 컨소시엄이다.2000년 6월 22일 에어프랑스, 델타항공, 멕시코국제항공, 대 한항공이 공동으로 설립한 스카이팀(SkyTeam)은 암스테르담의 스키포 국제공항에 본 부를 두고 있다. 원월드(Oneworld)는 1999년 2월 1일 설립된 국제 항공사 컨소시엄 으로 미국 뉴욕시에 본사가 있다.
3. 설문 조사 연구
3.1. 연구 가설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하였다. H1-1: 선진국의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픽은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 이는 데 기여한다. H1-2: 선진국의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픽은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양적 작용을 한다. H2: 일부 국가의 꼬리날개 그래픽 또한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H3-1: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같은 대륙에속한 유명 항공사의 항공기 도 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픽은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양적 작용을 한다. H3-2: 지역 문화의 특징을 지닌 꼬리 날개 그래픽은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양적 작용을 한다.
3.2. 변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변수 정의와 테스트 문항은 아래 [표 1]와 같다. [표 1] 변수 정의 변수명
변수의 정의
테스트 문항
꼬리날개 그래픽
항공기 끝의 수직 꼬리날개에 부착된 도장그래픽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으로 나누어진 꼬리날개 그래픽, 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및 지역 문화적 특색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
국가 브랜드에 대한 승객의 친숙함 정도 및 국가특색의 분별한 정도
국가 브랜드 친숙도 및 국가 브랜드 분별도
3.3. 설문지의 구성 항공사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 브랜드 인지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5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설문지의 구성 순서
설문 문항과 내용
문항 수
측정 방법
1-1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1-2
선진국과 꼬리날개 그래픽
1
5점 리커트 척도
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3-1
지역 문화적 특색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3-2
같은 대륙에 속한 유명 국가의 항공사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2
3.4. 설문지 디자인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대상으로 항공 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가 브랜드와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설문지를 작 성하여 구체적인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구체적인 조사 설계 내용은 [표 3]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표 3] 디자인을 구체적으로 조사하다 구 분
4. 설문지 구체적 분석
조사 내용
설문조사 대상
부산 김해국제공항과 중국 수도국제공항을 찾는 18세 이상 승객
설문조사 방법
승객의 동의를 구한 후 설문지를 승객에게 배포한 후, 설문지의 취지와 목적을 승객에게 설명하고 설문지를 작성한다.
설문조사 기간
2019년 4월 13일 ~ 4월 30일
표본크기
총 107부, 유효 설문수 99부 회수
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브랜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sig 값 = 0.00, B 값 = 0.653,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정적인 역할 을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가설 1-1이 검정을 통과한다. 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전 세계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을 회귀분석한 결과,sig 값 = 0.00, B 값 = 1.278,선진국의 꼬리날개 도형 디자인이 전 세계의 꼬리 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가설 1-2이 검정을 통과 한다. 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sig 값 = 0.000, B 값 = 0.556,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가 브랜드 인 지도에 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가설 2이 검정을 통과한다. 같은 대륙의 유명한 국가를 대상으로 한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브랜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유럽의 sig 값 = 0.000, B 값 = 1.127; 아시아의 sig 값 = 0.000, B 값 = 1.137,같은 대륙의 유명한 국가를 증명하는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 자인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정 방향으로 작용한다. 가설 3-1이 검정을 통과한다.
152
Vol.1 No.1 August 2019
지역 문화적 특징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전 세계적인 꼬리날개 그래픽 디 자인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sig 값 = 0.000, B 값 = 0.605,지역 문화의 특 징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전세계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정적으로 연 관되어 있음을 증명합니다. 가설 3-2이 검정을 통과한다.
참고문헌 사이먼 안호 . 『주조 국가, 도시 및 지역의 브랜드: 경쟁 우위 식별 시스템』 . 상하이 교통 출판사 . 2010
15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현대 디자인에서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 장식 문양 도형 요소의 활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Research on the Decorative Pattern Elements of Majiayao Cultural painted Pottery in Modern Design
조정정,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안병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ao, Ting Ti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현대, 마가요, 채도, 장식문양 Keyword
Ahn, Byoung Jin(Corresponding author)_
modern, Majiayao, painted pottery,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Decorative Pattern
Vol.1 No.1 August 2019
현대 디자인에서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 장식 문양 도형 요소의 활용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도기(陶器)는 원고시대(远古时代) 선조들의 중요한 발명이며 인류가 문명을 향해 한 걸음 나아간 증거이기도 하다. 이는 기나긴 역사 발전 동안 중국 선조들의 물질 문화와 풍부한 정신 세계를 충분히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채도가 나타나면서 석기시대 단일했 던 심미 요구에 변화를 가져왔고, 채도의 장식 문양은 토템과 자연에 대한 인류의 숭배 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길상에 대한 추구, 벽사, 평안을 기원하는 등 의미도 내 포하고 있다. 이는 사회와 인류가 발전하고 진보하는 과정을 상징한다. 채도 문양 장식 은 독특한 조형 방식과 민족 정신이 깃든 디자인 사상으로 전통 장식 예술에서 가장 대 표적 의의가 있는 도형 문양 장식 사고 언어가 되었고, 역대의 문양 장식 나아가 현대 의 디자인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복잡하고 번잡한 채도 세계에서 마가요(馬家窯) 문 화의 채도가 가장 다채로운데 석령하(石岭下) 유형, 마가요(馬家窯) 유형, 반산(半山) 유 형, 마장(馬場) 유형 등으로 나뉜다. 마가요(馬家窯) 채도는 조형이 아름답고 문양 장식 이 독특하며 색채가 화려하고 제작이 정교할 뿐만 아니라 분포가 넓고 수량이 많다.
2. 연구 목적과 방법
시대가 발전하면서 채도 장식 문양도 끊임없이 발전하였으며 현대 디자인은 채도 문화 의 정수를 추출하여 혁신을 이루어 내야 한다. 현대의 시각 디자인에서 많은 디자인은 디자인 요소의 표면적 요소만 추출하여 활용하였을 뿐 디자인 요소의 본질은 발굴해내 지 못하였으므로 아무런 의미도 없는 디자인이다. 디자인 혁신은 요소를 그대로 옮긴다 해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디자인 창작을 진행할 때 새로운 각도에서 새로운 사고방식으로 장식 문양을 다시 조합하여 디자인 요소와 현대 디자인 수법을 적절하게 접목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는 디자이너가 훌륭한 요약 능력과 채도 문화에 대한 충분 한 이해가 있을 것을 요구하고, 이를 전제로 오프라인의 심미와 디자인 법칙을 결합하 여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민족성과 시대성을 지닌 디자인을 창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 라 전 세계와 공유할 수 있는 시각적 언어로 다양한 디자인 발전을 탐구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채도 장식 문양 속의 전형적 문양인 선문(旋紋)을 선택하여 선문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마가요(馬家窯) 문화의 채도 색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 대 디자인을 통해 전통적인 장식 문양의 색채는 어떻게 표현하였는가를 알아보고자 한 다.분석을 통해 중국 정원에 대한 인식을 더욱 깊이 하고, 중국 정원에서 훌륭한 정원 설계 요소, 발전 역사를 돌이켜보고 디자인 특색을 비교하는 것은 중국의 현대 환경 디 자인에 현실적 지도적 의미가 있다.
15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 마가요(馬家窯)
호변 삼각문 발전도
문화의 채도
마가요 문화 채도의 선문이 4대 권문(圈紋)으로 발전하는 일련의 과정 의미
마가요 문화 선문 채도병, 호의 발전
선문의 발전
장 식 문 양 의 발 전
출 토 지 역
ᅠ
1-2. 진안대지만 (秦安大地湾) (양사오 문화 말 기) 3. 간구 회지 (석령하 유형) 4. 룽시 여가평 5. 융덩 장가평 6. 란저우 왕바오바오성 (王堡堡城) 7. 진안 (바가요 유형 말기)
1. 간구 회지 2. 퉁웨이 이가파 (이상 석령하 유형이다) 3-4. 융덩 장가평 5. 룽시 소포자(小堡子) 6. 동향 임가(東鄕 林家) (이상 마가요 유형) 7. 린타오(临挑) 신뎬(辛甸) 8. 란저우 무지아핑(牟家坪) 9. 란저우 관묘핑(关庙坪) (이상 마가요 유형이 반산 유형으로 과도) 10. 광허 디바핑(地巴坪) 11. 징타이 장타이(景 泰张台) 12. 란저우 칭강차(青岗岔) 13. 란저우 사징이(沙井驿) (이상 반산 유형) 14. 융징(永靖)(마장 유형)
1. 진안 자요쟈구(秦安焦家溝) (석령하 유형) 2. 룽더펑령(隆德風㱓) 3-4. 둥샹린가(東響林家) (마가요 유형) 5. 우웨이 왕징자이(王景寨) (마가요 유형이 반산 유형으로 과도) 6. 란저우 삼영(三營) (반산 유형 초기) 7. 광허 디바핑(地巴坪) (반산유형 중기) 8. 란저우 칭강차(靑崗岔) 9. 란저우 사징이(沙井驛) (반산유형 말기) 10. 란저우 투구산(土谷山) (마장유형 초기) 11. 러두류만(樂都柳灣) (마장 유형 말기)
선문은 소용돌이의 형상적 표현이다. 선문은 최초의 ‘사물을 보고 상을 얻는다(观物取 象)’에서 ‘사물과 인류의 근원은 같다(物我同源)’에 이르기까지 원시 선조들이 지혜롭고 도전적인 디자인 정신을 충분히 나타냈다.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선문의 연속 문양 장 식은 여러 가지 형태를 보여주었는데 주로 화문(火紋), 운뢰문(雲雷紋), 절곡문(窃曲紋) 등이 있었다. 초한시대에서는 선문을 ‘운문화(雲紋化)’처리하여 현실 속의 물과 구름 등 요소들을 선문에 융합시켰는데 이는 채도 장식 문양에 대한 마가요(馬家窯) 유형의 채 도는 그림 무늬의 구조는 머리의 동그라미를 중심으로 하고 동그라미 양측에 대각선으 로 마주하고 있는 굴곡이 있는 삼각문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삼각문 속에 작은 점이 나타나 이를 중심으로 원이 점점 커져 권점문(圈點紋)에서 동심원문(同 心圓紋)으로 바뀌어 선문의 초기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반산 유형 시기로 발전하여 선
156
Vol.1 No.1 August 2019
문은 성숙된 모습을 형성하여 반산 유형 채도의 주요 문양이 되었다. 반산 채도의 선문 은 자연 연태의 기하학적 도안에서 완전히 벗어났고 초기의 선문은 실제 굴곡 삼각문 에서 굴곡 삼각문의 선문(線紋)이 되었고,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던 삼각문 사이의 거 리가 멀어져 중심원 사이를 두개 또는 세개의 나선형 선으로 연결시켰다. 반산 중기의 선문은 중심원이 끊임없이 확대되었고, 중심원 속의 장식도 원점, 심자, 대칭 삼각형 등 간단한 무늬를 장식하였으며, 빨간색 띠 문양으로 중심의 선들을 연결시켰고 양측에 검정색 띠 문양을 그려 넣었으며, 나선형 선의 위아래를 병합하여 여러 개의 빨간 띠와 검정 톱니 무늬가 엇갈린 문양을 그려 넣었다. 이처럼 여러 개의 나선이 병합되고 반복 되는 형태는 문양의 효과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여 나선형으로 돌아가는 느낌을 강화 시킨다. 반산 말기에 이르러 선문의 중심원은 큰 원형으로 발전하였고 원형 내의 무늬 도 비교적 복잡하게 발전하여 망문(罔紋), 엽형문(葉形紋) 또는 십자, 미(米)자의 간격 속에 반점을 추가하는 무늬로 변하였다. 이 때의 빨간색 나선형 선은젨 가늘게 변하였 고 검정색 톱니 무늬 띠는 넓어졌으며 윗부분의 톱니문이 가늘게 변하였다. 나선형 선 아래위의 무늬 조합의 수가 줄어든 관계로 중심이 되는 4개의 원형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4. 마가요(馬家窯)
채도
색채
의미 짙고 투명하지 않는 색채이다. 내면에 따듯함이 꽉 찬 것처럼 반짝반짝 빛난다. 빨간색은 불꽃과 같고 마치 생기로 가득한 땅처럼 식물의 성장과 만물의 발생을 촉진한다. 빨간색은 또 화성과도 연관이 있고, 전쟁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늘 혁명의 표식으로 사용되었다. 또 자신의 열정과 행복에 대한 기대를 표현하고 있어, 중화민족이 빨간색 또는 빨간색에 가 까운 색에 대한 선호와 추구는 채도의 발생과 발전 과정에서비교적 뚜렷 하게 표현되었다.
문화의 채도 색채 분석
조형호(鳥形壺)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 반산 유형)
어두운 밤이드리워지는 것은 신비함과 죽음, 두려움을 상징한다. 밤하늘 의 심오함에서 계시를 얻었든 검은 머리, 검은 눈동자에 대한 정체성에 비롯되었든 검정색은 중화민족 원시 도자기 회화의 기본색 중 한 가지가 되었고, 중화민족에서 가장 오래된 색채 심미 요구가 되었다. 갈색은 채도에서바탕색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땅은 인류가 생존을 이어갈 수 있는 기초일 뿐만 아니라 채도 제작의 주 원료이기도 하다.
색채는 한 민족이 대대로 전해지고 뚜렷한 예술적 대표성을 지닌다. 마가요(馬家窯) 채 도는 ‘검정’ ‘빨강’ ‘노랑’을 활용하여 중국이 이 색깔들에 대한 선호를 형성하였다. ‘흰 것을 알면서 검은 것을 유지하면 세상의 본보기가 될 것이다(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 라는 이치는 일찍부터 마가요(馬家窯) 채도에서 구현되어 검정색과 하얀색을 나뉘는 것 으로 도가의 유무상생(有無相生)과 허실상간(虛實相間)을 나타냈다. 중국의 풍습은 “발 간색”을 선호하고 ‘빨간색’이 길상, 경사, 뜻대로 성사됨을 상징한다 여겼다. 하여 많은 훌륭한 디자인 작품에서도 빨간색을 활용하였다. 고대의 “노란색”은 황권의 상징이고 현대에서도 사람들은 노란색을 선호한다. 고대의 오행학설에 따르면 각 색깔마다 가리키는 방향과 요소가 모두 다르다. <예기(禮 記)>에서는: ‘북쪽은 물을 나타내고 물은 검정색이며 또 화(火)를 다스리고 화는 빨간색 이므로 보라색은 암홍색이다. 노란색은 중앙을 나타내고 유황(騮황)은 중앙 사이에 있 으며 중앙은 토(土)이다.’ 오행에서 검정색은 북쪽의 물을 나타내고 빨간색은 남쪽의 물
15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을 나타내며 노란색은 중앙의 흙을 나타낸다. 물, 불, 흙이 융합되어 채도를 완성하였 으며 물, 불, 흙을 상징하는 색깔들이 채도의 주요 색채가 되었다. 생활 환경 속에서 경 험의 누적과 접하게 되는 주요 물상은 선조들의 심미 관념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중국 최초의 회화 관념 색채는 ‘오색(오색)’ 즉 청, 적, 황, 백, 흑 등 오색으로 세상 만 물을 표현할 수 있었다. 마가요(馬家窯) 채도의 색채가 바로 이러한 관념 색채의 최초 형태이다.
5. 현대 디자인 에서의 활용
5.1. 선문 요소의 추출과 창의성 명칭
도형
분석
진다이챵 한자 시리즈
문양 요소가 진다이챵 벽보 창작의 가장 중요한표현형식과 문화 내용 이 되었다. 나선문 형태의 “운(雲)”자는 기세가 대단하고 심금을 울린 다. 구름이휘날리는 모습은 전통적 문양의 영혼을 남김없이 발휘하였고 전통 문양과 현대가 완벽히 결합된 벽보 디자인이다.
베이징 올림픽 성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성화 디자인에서 권축(卷軸) 표면에그려진 빨간 운기문(雲氣紋)은 매우 짙은 동양의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아름 답고부드러우며 끝이 없는 문양은 중화 문명의 유구하고 왕성한 생명 력을 상징한다. 천년의역사를 자랑하는 운기문은 선문 장식에서 발전된 문양 장식으로 짙은 민족 양식을 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모두가공생 하고 조합롭게 융합되는”사상을 나타냈다.
위엔둥 광장 호텔 향궁
홍콩 디자이너 천유지엔이 홍콩의 위엔둥 광장호텔의 향궁을 위해 디 자인 한 심벌이다. 현대적인 도시 레스토랑으로서 위엔둥 광장 호텔의 향궁은 서양의 패션 분위기와 동양의 신비한 분위기까지 겸하고 있다. 디자이너 천유지엔은 중서양 문화가 융합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향 궁의 “궁”자를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여 중간의 구자 두개를 나선형 형 태로 디자인 하였고, 전통서법의 이미지 형태를 활용하여 리디자인 하 였는데 위엔둥 광장 호텔의 향궁의 남다른 고상함을 표현하였다.
형에 대한 연출은 우선 먼저 원형에 대한 이해, 분석, 정리를 바탕으로 형성되고, 모든 디자인 형식은 “화합”을 최종목적으로 하며 간소화와 강화는 기호화와 형성화 과정이고 디자인이 역사적 느낌을 지닐뿐더러 현대의 수요도 만족시켜 시각적 효과를 풍부하게 한다. 원시 문양에 대한 재해석과 분석을 진행한 후 재구성 또는 변형을 이루고, 또 형 에 대한 해체와 뜻에 대한 해체를 통해 형과 의(意)를 재정립시킨다. 과장과 변형을 접 목시켜 정확하게 이미지 특징을 파악하고 현재의 수요에 따라 전통 요소에 현대 이미 지 특징을 부여한다. 하여 원시와 현대 디자인 수법을 바탕으로 어떠한 연결을 형성하 여 디자인 표현력을 강화하고 디자인 내용을 보다 잘 표현하고자 하였다.
5.2.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 색채의 승계와 혁신 채도 색채에서 ‘흑, 황, 홍(黑, 黃, 紅)’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파악하여 디자인에서 색채를 사용할 때 사물을 정확히 묘사하고 반영 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추
158
Vol.1 No.1 August 2019
출하고 전환시켜 생기가 있는 새로운 색채를 만들어 낸다. 채도 색채를 승계하는 동시 에 전통 색채 예술의 요소를 현대 디자인에 융합시켜 민족의 문화 정신과 현대의 디자 인 언어가 융합되어 현대의 디자인 주류 사상이 되게 해야 한다. 국내외의 많은 디자인 작품에서 색채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해석한 경우가 매우 많다. 예를 들면 천유지엔의 월병 포장 디자인 [그림 1]을 보면, 해당 월병 포장은 ‘흑, 황, 홍’색깔을 위주로 하였는 데 넓은 면적의 검정 색 속에 우아한 빨간색과 노란색을 넣었고 포장 밑부분에는 넓은 크기의 빨간색을 사용하였다. 12색 중에서 강렬한 빨간색은 인류가 최초부터 사용하던 기본 색깔이다. 원시 사회부터 빨간색은 피와 불의 색깔로 여겨졌고, 중국 원시 기물 위에도 늘 빨간색을 염색되었으며 이는 태양, 화로, 뜨거운 피, 꽃 등을 연상케 하여 희 망, 충성, 건강, 행복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줄곧 중국의 전통적인 경사 색채이고 좋은 분위기에 어울린다. 추석에 달 구경을 하고 온 가족이 모여 평화롭고 화목하게 지 낸다. 하여 이러한 색채의 조합으로 인해 사람들의 구매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다.이외 에, 천유지엔이 디자인한 찻잎 작품 [그림 2-3] 도중국의 전통색채 ‘빨강, 노랑, 검정’ 을 디자인의 주조색으로 사용하였다. 검정색을 중심으로 차분하고 우아한 노랑, 빨강 두 가지색상으로 장식하여 짙은 중국풍을 나타냈고, 대중들에게 문인이 차를 음미하는 기질과 품격을 강렬하게 느끼게 하며 제품 디자인의 매력을 부각시켰다. 위에서 서술한 포장 사례의 성공은 전통 색채의 참고와 활용에서 직접적으로 색상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 외에도 상품의 색조에 따라 간략하게 추출을 진행해 풍부한 창의적 상상을 펼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내며, 제품 포장에 특정한 내적 감정 요소를 부여한다. 홍콩 의 유명한 디자인 대가 근태강(靳埭强)의 많은 작품에는 그의 포스터 디자인 <유전천하 (儒传天下)> [그림 4]와 같이 중국의 전통 색채가 녹아 있다. 이 작품의 바탕색으로는 노란색을 사용해, 공자(孔子)의 존귀한 지위를 부각시켰다. 작품속 빨간색 “C(China)” 는 열정이 가득한 중국을 대표하고, 또 다른 검은색 “C(Confucius)”는 유가문화가 세 계 문화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위치를 나타낸다. 축제의 분위기를 부각시키며 사 람들에게 떠들썩하고, 즐겁고 낭만적인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은 바로 빨간색과 노란색 의 조합을 사용한 것으로 한 편으로는 전세계를 향한 중국의 개방된 마음과 중국인들 의 열정과 호의를 나타내고, 다른 한편으로 유교문화의 정신을 설명하며 공자의 존귀함 을 드러낸다.
[그림 1]
6. 결론
[그림 2]
[그림 3]
[그림 4]
마가요(馬家窯) 문화의 채도 장식 문양은 발전 맥락과 진화 과정을 통해 중화 민족 문 화의 축소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가요(馬家窯) 시대가 지금까지 이어지면서 그의 심미 경향은 중화 민족의 내면으로 침투되었다. 장식 문양의 디자인 형식은 매우 다양 하고 근거가 있어 매우 독특한 예술 양식을 가지고 있다.
15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마가요(馬家窯) 문화의 채도 장식 문양을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시대적 관점에서 전 통문화와 현대문화의 융합을 다시 살펴보고, 채도 장식 문양이라는 이 전통적 요소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을 현대 디자인에 활용할 것인가 등에 대한 문제에 새로운 시도를 한다. 현대 유행하는 시각적 요소를 구현할 때, 마가요(馬家窯) 문화의 채도 장식 문양에 대한 심층적인 문화적 특징을 연구하고, 마가요(馬家窯) 문화 의 채도 장식 문양의 정수를 발굴하고, 현대 디자인의 표현 수법과 기술을 결합하여, 현대인의 심미적 취향에 부합하도록 한다. 옛 요소와 현대 디자인의 융합은 유구한 문 화가 승계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대 디자인이 보다 내용과 기초를 지니게 하였다.
참고문헌 랑수더, 쟈지엔웨이, 『채도』, 돈황문예출판사, 2003 리광우, 『채도를 바탕으로 한 시각적 언어 기호의 해석』, Packaging Engineering, 2008, Vol.12(3) 리저허우, 『미의 여정』, 톈진사회과학출판사, 2001 https://www.naver.com https://www.google.com.
160
Vol.1 No.1 August 2019
중국 10대 월병 포장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Consumer Preference of Top Ten Mooncake Packaging Design in China
한지에펑,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an, Jie Pe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타입, 타이포그래피, 연구동향, 분석 Keyword
type, typography, research trend, analysi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10대 월병 포장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에 대한 연구 1. 서론
중국 브랜드가 세계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은 점점 중국 디 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와 동시에 점점 더 많은 외국인들이 중국문화 에 대해 깊은 관심과 흥미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바로 중 국의 전통 명절인 중추절이다. 아시아권에 속하는 여러국가들은 모두 중추절과 관련된 문화와 풍속을 가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중추절에 월병을 먹는 전통이 있다. 이 러한 영향 때문에 매년 중추절 기간에 월병 시장의 매출액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CNPP1)데이터 연구 보고에 따르면, 2018년도의 월병 시장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11.03%가 증가한 528.74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월병 포장이 월병에 대한 소 비자의 구매 욕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월병 포장에 대 한 조사 연구 보고에 따르면, 86.17%의 소비자가 월병을 구매할 때 월병의 포장 디자 인을 보고 상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이론적 고찰
2.1. 포장은 브랜드 이념 포장은 브랜드 이념, 제품의 특성, 소비 심리를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 욕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포장이 제품과 소비자 간의 친화력을 강화시켜주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실제로 포장은 생산, 유통, 매출, 소비 분 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외에도 포장은 기업 및 디자인 업계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포장은 제품 보호, 제품 관련 정보 전달, 사용 및 운송의 편리함 제공, 판매 촉진, 제품 부가 가치향상과 같은 여러 기능을 한다. 포장은 하나의 종합적인 학문 분야로서 제품 과 예술이 결합된 양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2)
2.2. 포장 디자인의 요소 포장 디자인은 제품의 가장 직관적인 부분을 전달하고, 소비자들을 향해 효과적이고 빠르 게 제품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럼으로 포장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고려한다면, 전달 하고자 하는 정보를 시각화하여,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본 연구는 포장 디자인에 필요한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2.2.1. 브랜드 로고(Brand Logo) 인류가 무리 지어 살기 시작한 때부터 내부 구성원간의 구별, 혹은 외부 구성원들과의 구별이 필요했고 서로간의 소통이 필요했다. 그러한 소통과 구별 의 필요는 곧 특정한 의미와 상징을 나타내는 표시의 발달로 이어지게 되었 다. 로고(Logo) 혹은 워드마크
1) https://www.china-10.com/china/045yb_index.html 2) 김경화, 『패키지 디자인 이렇게 하라』, 디자인소호 출판부, 2015, p.2
162
Vol.1 No.1 August 2019
(Wordmark), 로고타이프(Logotype)는 그 가운데서도 문자의 특징을 살린 대표적인 표시들이다.3) 로고디자인(Logodesign)은 아이디어 그램 혹은 아이디어그래프라는 그리스어에 근원 을 두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업이 나 제품 등의 이름을 특징이 드러나도록 디자인하 며, 상표처럼 사용할 수 있 도록 제작된 글자들의 조합을 말한다. 과거에는 로고(Logo) 를 서명과 같이 주로 글자로 활용하여 주로 디자인했기 때문에 로고타이프(Logotype) 라고 불렀다. 로고타이프(Logotype)는 글자의 구별된 형태를 통해 신뢰를 획득 하는 심리역사적 과정에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4)
2.2.2. 색채(Color System) 색은 패키지디자인에서 많이 활용된다. 우선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일부로 사용되어서 시각적으로 브랜드를 규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리고 색의 일 관적인 사용을 통해서, 색은 소비자가 색을 볼 때, 즉 각 브랜드와 그 색을 연관시킬 정도로 브랜드에 의해 소유된다.5) 색은 제품군에서 제품을 차별화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식품이나 화장품의 경 우가 될 수 있는 제품군의 계층구조를 ‘검색’하는데 도움을 받아서 필요에 적합한 제품 을 찾고 싶어 한다. 제품군 규모가 작은 경우, 제품 선택은 한 가지 향을 선택하는 것 만큼 간단할 수 있다.6) 따라서 소비자 감정에 호소하여 구매를 유발시키는 패키지디자인의 색채 연구는 중요 하다. 효과적인 패키지 색채전략을 위해서는 색채에 대한 소비자의 문화적 반응을 이해 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인구통계학적 특성, 심리상태, 퍼스낼리티 특성과 색채간의 연관 이나 색채선호도 등도 고려해야 한다. 색채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감정적이기 때문에 제품의 용도, 기능, 사용상황 등에 따라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색채가 뚜렷이 달라질 것 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색채는 패키지디자인의 가치형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속 성을 지닌다.7)
2.2.3. 형태(Shape) 형태는 내용 상품의 형태에 따라서 대부분 결정되는데, 상품의 보호, 과잉포장의 범위 를 넘지 않도록, 가능한 한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형태가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제품 의 구성요소와 제품의 질을 직접 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소비자의 시각적 인지를 자극 하여 구매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외부적 요인은 상품 포장의 외부형태로 크기와 형태를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형태에는 총 3가지가 있는데, 자연형태와 인조형태, 우연히 발생한 형태가 그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상품의 형태구성을 연구할 때 반드시 모든 성질에 적용되는 형태를 찾아야 하고,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형태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이를 추상형태라고 한다.
3) 김거수. <아이덴티티 디자인 or 로고 디자인 웬만큼 이해하기>. 드마북스. 2012. p.16. 4) 김거수. <아이덴티티 디자인 or 로고 디자인 웬만큼 이해하기>. 드마북스. 2012. p.17. 5) 김정훈, “브랜드 실패에 따른 패키지디자인 리뉴얼 개발사례 연구 -815콜라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p.22, 2014 6) Giles Calver. <What is Packaging Design?>. Replica Books. 2007. pp.146~148. 7) 박규원. <현대 포장디자인>. 미진사. 1995. p.140.
16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형태구성은 일정한 방법, 법칙으로 구성한 각종 변화무쌍한 형태를 말하는데 포장의 형 태에는 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각 종 형태로 구성하는 포장은 소비자들의 시각 인지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 며, 특이한 사각 형태는 소비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게 된다. 포장 디자이너는 반드 시 형태요인 자체의 특징을 완벽하게알고 있어야 하며, 이를 형식의 미를 나타내는 소 재로 보아야 한다.8)
2.2.4. 재질(Material) 요즘은 거의 모든 소재를 상품의 패키지 재료로 사용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9) 포장 디자인의 품질 보전성,안전성,가공적성,편리성,상품성을 고려하여 제품의 특성에 맞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 재질이 형태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중요 한 요인이 된다. 특히, 자연의 오염과 자원의 고갈로 포장 재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차적으로 포장의 재료는 내용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용물을 항상 신선하게 유지시켜야 하며, 시각적인 요소와 사용성이 요구된다. 재질요인은 포장 디자인의 중요한 절차이며 직접적으로 포장의 전체 기능과 경제비용, 생산가공 방식 및 포장폐기물 회수처리 등 여러 방면의 문제들과 관련된다.10)
2.3. 소비자 선호도 소비자 선호도는 소비자의 특정 제품, 서비스의 구매경험에 대한 감정적 반응으로 정의 하고 있으며, 선호란 단지 인지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만족을 통해서 얻는 좋은 감정, 불만족으로 인한 나쁜 감정의 요소라고 하였다11). 측정 을 위해서 소비자 선호도의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수정하여 설문문항은 4 문항으로 분류 작성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를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2018년 중국내 월병 브랜드의 선호도 순위표[1] 번호
월병 브랜드
순위지수
1
미심월병(美心月餅)
89.89
2
룽화(元朗榮華)
87.81
3
리구복(廣州酒家)
85.25
4
화미(華美)
83.78
5
자바(嘉華月餅)
81.03
6
베이징 도햐춘(北京稻香村)
79.82
7
씽화러우(杏花樓)
77.55
8
도햐춘(稻香村)
77.37
9
원조(元祖)
76.86
10
고덕림(功德林)
74.18
8) 왕준나, 「한·중·일 그린 포장 디자인에 관한 비교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p.1. 9) 최동신, 박규원 등, 『패키지 디자인』, 안그라픽스, 2016, p.21. 10) 김경화, 앞의 책, p.27. 11) Westbrook & Reilly, Value-percent disparity: an alternative to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 1983, p.84-91.
164
Vol.1 No.1 August 2019
3. 결론
경제와 디자인의 발전과 함께 월병 포장에도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가장 최초의 황유 지 포장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월병 선물 포장으로 발전하였으며, 월병 선물 포장 디 자인의 다양한 발전을 추진하였다. 이번 논문에서 조사와 연구를 통해 중국 10대 월병 브랜드의 포장 디자인을 연구하였고, 월병 포장의 이미지와 색채 두 가지 부분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중국 월병 포장 디자인의 장점과 부족한 점을 할 수 있었다. 아시아에서 중추절은 많은 나라들의 중요한 명절이지만, 중추절에 월병을 먹는 풍습은 중국만이 가지고 있다. 때문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중국의 월병 브랜드가 전 세계로 나아갈 수 있고, 세계 각지의 사람들이 중국의 중추절 풍습을 체험하며 월병이 라는 음식을 맛볼 수 있기를 기원한다. 이러한 생각은 월병의 디자인 포장에도 큰 시험 을 준다. 전통적 디자인을 잃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계 디자인과 접목시켜 세계화를 나 타내야 한다. 이번 논문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중국의 월병 브랜드와 포장 디자인 요소 가 아직도 매우 많아 전면적인 조사를 진행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월병 포 장의 색채와 이미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월병의 포장 디자인이 다양하고 다채 로우며 각 포장마다 독특한 디자인 스타일을 지니고 있으며 모두 남다른 매력을 발산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https://www.china-10.com/china/045yb_index.html 김경화,『패키지 디자인 이렇게 하라』,디자인소호 출판부, 2015, p.2 김거수. <아이덴티티 디자인 or 로고 디자인 웬만큼 이해하기>. 드마북스. 2012. p.16. 김거수. <아이덴티티 디자인 or 로고 디자인 웬만큼 이해하기>. 드마북스. 2012. p.17. 김정훈, “브랜드 실패에 따른 패키지디자인 리뉴얼 개발사례 연구 -815콜라 패키지 디 자인을 중심으로-”, p.22, 2014 Giles Calver. <What is Packaging Design?>. Replica Books. 2007. pp.146~148. 박규원, <현대 포장디자인>. 미진사. 1995. p.140. 왕준나, 「한·중·일 그린 포장 디자인에 관한 비교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p.1. 최동신, 박규원 등, 『패키지 디자인』, 안그라픽스, 2016, p.21. 김경화, 앞의 책, p.27. Westbrook & Reilly, Value-percent disparity: an alternative to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 1983, p.84-91.
16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도시 수변공간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 탄성 (resilient)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Landscape Plan Strategy of Urban Waterside Space Buffer Zon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Resilient Plan -
양 멍,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Yang, Me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도시 방재, 수변 공간, 완충 지역, 탄성 계획 Keyword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Urban Disaster Prevention, Waterfront Space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Buffer Zone, Resilient Plan
Vol.1 No.1 August 2019
도시 수변공간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 전문위원회(UN IPCC)가 2018년 10월 8일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극단 기후가 야기하는 자연 재해 중 가장 빈번이 발생하는 재해는 홍수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명, 경제적 손실은 이전에 예측했던 것보다 더 크고 지 속 시간이 길어졌다[9]. 또한, 2018년에 Orb Media의 연구 결과는 만약 대규모의 구 조적 조정이 없다면 향후 20년간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에서 강물 범람으로 인해 발생 하는 피해만해도 17%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문은 도시경관의 개발계획을 연구목적으로 삼고, 범평원(泛平原) 도시의 수변 완충지 역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또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 기능 분석 및 탄성 방재 요소를 평가 기준으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홍수자연재난이 일어난 이후 피해지역을 재건하기 위해 제안된 도시수변계획 보고서 사례를 선정하여 검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문헌연구, 도시 수변공간에 시행할 방재 계획 분석, 수변 완충지역에 시행 할 탄성 계획 검증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수변 완충지역의 경 관의 기능과 특징, 그리고 탄성, 방재와 관련된 이론들을 정돈한다. 둘째, 경관 디자이 너와 제시한 도시 수변공간의 방재 계획을 중심으로 각 도시에 위치한 수변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방재 계획의 시행방법을 조사, 분석한다. 셋째, 탄성, 방재의 요소를 기 반으로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에 적용될 방재 계획의 실질적인 시행 가능성을 검증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수변공간과 기능 속성 2.1.1 수변공간의 개념과 범위 수변 공간 개념은 생태계 보전과 경관을 통해 시민들에게 심리적 정서적 만족을 제공 해 주며, 사람과 문화가 교류하는 친수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아울러 수 공간의 영향 이 미치는 수변리적 도시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서울시의 경우 서울시 기본 경관계획에서 한강변 경관관리를 위한 공간 범위를 간선도로를 기준으로 하천구역 경 계에서 내륙으로 500m내외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수변경관관리 차원의 기준제시이 다. 하천법의 경우 수변공간에 해당하는 유역면적은 홍수 시 범람에 대한 재해관리 차 원의 하천유역 범위로 도시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의 범위 도출과는 거리가 있다.
2.1.2. 수변 공간의 기능 속성 선행 연구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 수변 공간은 방재 이외의 효과도 있다. 경제, 사회, 문화 등 측면에서 수변 공간의 구체적인 기능 속성을 분석했을 때, 수변 공간은 자연
16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하류의 생태공간이라는 측면에서 장점을 갖고 있다. 이에 주민들의 다양한 오락, 휴식, 교류, 조망 등 개방적인 수변리적 속성을 만족하고, 나아가 랜드마크성과 장소성, 기억 성 등 상징적 심리 기능 속성을 갖고 있다. 이 외에도 수변 공간은 특수적 지리로 인해 도시의 제3공간으로서 수로와 육로를 조율하는 연결점이 될 수 있다. 이는 도시 공간의 연결성과 통행성이라는 중요한 역할로 도시 공간 기획과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표 1] 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자가 그 속성을 정리한 내용이다. [표 1] 수변 공간의 기능 속성 연구자
수변 공간의 기능 속성
윤수미·김연정 (2010)
접근성
쾌적성
문화성
이광국 (2012)
접근성
공간 연속성
상호 개방성
이원철·박찬돈 (2014)
접근성
문화성
임병호·이춘호·지남석 (2016)
접근성
활동성
심미성
상징성
정체성
관리성
기능성
생태성
안전성
특이성
2.2. 수변완충 지역과 기능적 속성 2.2.1. 수변완충 지역의 개념과 범위 수변완충지역은 지형적으로 하천에 인접하는 띠 형태의 경관 생태적 통로로서 토양, 동 식물 등 생태시스템을 포함하는 수역과 육역의 천이지대를 말하며, 에너지의 전달과 차 단, 물질의 여과와 저장, 생태 서식처로서의 역할을 한다. 미국의 코네티컷 주(Connecticut)의 코네티 컷 강 보호 위원회(Connecticut River Joint Commission)가 처음으로 수변 완충 지역의 범위에 대해 발표한 내용을 보면, 영양 물질 배제, 고체 물질 통제, 홍수 조절, 생태 서식 지 등 기능적 분류의 기준을 따를 때 수변 완 충 지역의 최소 범위는 하류의 횡폭 길이가
[그림 1] 수변완충 지역의 범위
90m되는 지점이다. [그림 1]
2.2.2. 수변완충 지역의 기능적 속성 수변 완충 지역의 개념을 통해 볼 때, 우선, 수변 완충 지역은 생태학 관점에서 수변 특수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이 외에 주목적은 하류와 사람들의 활동 공간 사이의 수변 공간에 일정한 과도 지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코네티컷 강 보호 위원회가 제시한 완충 지역이 갖춰야 할 기능은 홍수 조절 기능 외에도 생태 시스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 능들을 갖춘다. [표 2]
168
Vol.1 No.1 August 2019
[표 2] 수변완충 지역의 기능 속성 수변완충 지역의 기능 침전물 필터(Sediment Filter)
수생 서식지(Aquatic Habitat)
오염 필터(Pollution Filter)
기슭 안정 장치(Bank Stabilizer)
스트림 흐름 조절기(Stream Flow Regulator)
강바닥 안정제(Bed Stabilizer)
야생 동물 서식지(Wildlife Habitat)
레크리에이션과 미학(Recreation and Aesthetics)
2.2.3. 소결 앞서 언급한 수변 공간과 수변 완충 지역에 대한 관련 개념과 기능적 연구 분석을 통해 수변 공간과 수변 완충 지역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기능 적으로 차이점과 모순점이 있고, 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공간 지리 요소 측면에서 수변 공간은 수변 공간 완충 지역을 포함한다. 수변 완충 지역은 공간적으로 수변 공간에 예속, 종속 관계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봤을 때, 두 공간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수변 공간과 수변 완충 지역은 도시 하류를 둘러싸고 있으며, 이의 주요 기능 또한 도시의 홍수 방재 기능이다. 특히 수변 완충 지역은 공간적으로 일정한 홍수 조절 효과가 있기 때문에 두 공간은 방재 측면에서 특정한 관련이 있다. 3) 수변 공간은 기능적으로 공간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특히 도시의 육로와 수로 사이 의 복잡함을 수변 공간이라는 제3의 공간을 통해 공간의 연결성과 원활성을 효과적 으로 조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경제, 사회와 문화 측면에서 도시 하류 간 의 교류를 잇는다. 하지만, 수변 완충 지역은 생태 시스템 보호 측면에서 도시 하류 와 수변 공간 사이의 일정한 보호 및 과도 구역을 설정하여 인간 활동으로부터 이 구역의 생물 다양성과 수질 보호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능적 측면에 서 이 둘은 일정한 모순을 갖고 있다. 그렇기에, 효과적으로 도시 홍수의 방재 문제를 해결하면서, 경관 디자인 방법을 사용 하여 수변 공간을 조절하는 것과 수변 완충 지역의 종속, 그리고 기능적 모순이 더욱 부각된다. 도시 방재 측면에서 두 기능이 추구하는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방 안을 모색해야 한다.
2.3. 탄성(resilient)디자인과 도시방재(防災) 2.3.1. 탄성(resilient)의 개념과 발전 생태학자 Holling은 포식자와 사냥감의 개체군 관계와 생태 안정성 이론을 연구하면서 탄성이란 개념을 최초로 생태학에 들여왔으며, 이를 ʻ생태계가 교란된 후 안정 상태를 회복하는 능력ʼ이라고 정의하였다[3]. 탄성의 개념은 도시 수자원 관리에서 상당히 일찍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홍수 예방과 위험관리까지 확대되었다. 정주철은 2000년 이후의 탄성 개념 연구를 분석하여 탄성은 첫째, 자연 재해 경험을 학습하고, 둘째, 이를 통해 향후 자연 재해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며, 셋째, 재해 발생 시 재해 지역을 빠르게 복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탄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탄성과 수변 완충구에 생태방 재적인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6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3.2. 탄성(resilient)의 방재(防災)구성 요소 탄성의 개념을 토대로 Bmneau et al.은 최초로 탄성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 구는 기술, 조직, 사회, 경제의 네 가지 방면에서 지역 복원력을 종합적으로 살펴서, 해당 지역의 지진 복원력과 탄성 지표라는 하나의 개념적인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내구성 (Robustness), 대체성(Redundancy), 신속성 (Rapidity)과 자원동원력(Resourcefulness) 이 바로 그것이다. 이 틀은 향후 연구에 응용할 수 있으며, 상이한 지역 단위의 물리적 체계나 조직적 체계의 탄성을 확정짓는 데 기여할 수 있다. O'Rourke는 Bmneau et al의 연구를 기반으로 탄성 방재요소의 틀에서 나아가 도시 지역의 기초 시설의 기술, 사회, 경제 방면과 관련된 사례들을 평가하였다. 김현주은 이를 기초로 주민 경쟁력 등 사회 부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5R1) 방재(防災)요소를 제시하였다. 탄성에 관한 최근 선행연구들은 탄성의 공통적인 개념과 구성부분에 대해 다루었다. 탄성은 ʻ물리적·사회 적 도시 요소가 적응 및 회복을 통해 재해를 억제하여 더욱 나은 조건을 얻는 능력ʼ이 라 정의된다. 또한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동원력, 지역경쟁력의 5가지 도시 재해 관리 탄성에 관한 평가 목표를 확립하였다. 김미선은 양자를 기초로 다섯 가지 탄성 방 재(防災)요소를 정리하였다[8]. 본 연구는 탄성의 각도에서 도시계획과 방재계획을 분 석하고자 한다. 도시 계획의 기본적 계획, 관리 계획, 시행 계획을 종합하여 탄성(5R) 요소와 외국 사례에서 보이는 5가지 기능의 도입을 분석하여, 탄성 요소의 각도에서 도 시의 안정적인 발전 방향을 확립하고자 한다. [표 3]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자가 그 속성을 정리한 내용이다. [표 3] 탄성(resilient) 방재구성요소의 관련연구 연구자
탄성(resilient) 방재구성요소
Bruneau et al. (2003)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
Godschalk (2003)
Redundant, Diverse, Efficient, Autonomous, strong, Interdependent, Adaptable, Collaborative
Campanclla (2006)
Robust economic foundation, Planning, Redundant Capacity
O'Rourke (2007)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
Cutter (2008)
Community Competence
김현주 (2011)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 Regional competence
김미선 (2015)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 Regional competence
이상의 이론 분석은 수변 공간 완충구에 대한 탄성의 방재(防災)기능에 참고 의미가 있다.
1) “5R” : Robustness 내구성, Redundancy 대체성, Rapidity 신속성, Resourcefulness 자원동원력, Regional competence 지역경쟁력
170
Vol.1 No.1 August 2019
본 연구는 탄성 방재(防災)의 5R(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 동력과 지역 경쟁력) 요 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2.3.2.1. 내구성(Robustness) 내구성은 체계와 체계 내 각 요소의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 능력을 말한다[5]. 이는 외 부 충격에 대한 완충 장치 혹은 분산화, 모듈화를 통해 시스템의 전체성을 유지하는 능 력이다. 특히, 시스템 중 개별 모듈이 외부 충격을 받아 훼손했을 때, 전체 시스템에 영 향을 주지 않도록 시스템의 다른 모듈이 정상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보장하는 예방 능 력이다. 이를 통해 각 모듈의 방재 내구성을 제고할 수 있다. 내구성은 이미 방재, 환 경, 토지 이용 기획 등과 더불어 탄성 도시의 관련 방재 표준 제정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2.3.2.2. 대체성(Redundancy) 대체성은 ʻ시스템에 기능적 손실이 발생할 때 기 존 기능의 대체 가능성ʼ이다[5]. ‘예비 능력’이라고도 불리우며 이는 외부 충격에 대비의 필요와 대체 능력을 갖고, 시스템의 잉여 자원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기본 능력을 대체하고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 러므로, 시스템 내 특정 부분 요소가 훼손되었을 때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설령 시스템이 손상을 입어도 여유 자원과 능력으로 기존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폭우의 기후 변화 특징과 홍수 재해가 쉽게 발생하는 수변 구역에 대해서는 낮은 습지대를 이용하여 수변 공간의 완충지역을 기획할 수 있다. 2.3.2.3. 신속성(Rapidity) 도시 방재 능력 측면에서 신속성은 ʻ재난 발생시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는 기능과 능력ʼ 이다. 외부 충격의 영향을 최소화기 위해 가장 짧은 시간 안에 디자인 기능을 다시 시 작하고, 조직화와 회복능력을 신속히 재가동하는 것이다.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반드시 시스템의 회복 목표와 우선 순위를 정해야 한다. 또한, 시스템 간의 신속한 정보 교환 이 이뤄져야 한다. 방재 및 환경 관련 재난 최소화, 기후 변화와 재난 환경 변화에 대 한 분석을 통해 공간의 취약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신속한 피난 교통 노 선을 구축하고 다른 공간과의 연결성을 증가하여 재해가 닥쳤을 때 긴급 피난을 보장 할 수 있을 것이다. 2.3.2.4. 자원동원력 (Resourcefulness) 자원동원력은 ʻ재난 발생시 시스템 기능을 유지하고 회복하기 위해 긴급 상황에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 능력을 조달하는 능력ʼ이다[5]. 이는 시스템 전체가 마주한 문제 혹은 미 래 방재를 위해 모든 자원에 대해 우선, 순위를 매기고 효율적으로 시스템의 재정, 정 보, 기술, 인력 자원을 운용하는 능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원 동력은 시스템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관리, 대체 자원의 기획과 대책 창조 능력, 그리고 시스템 변화 후 적응 능력을 강조한다. 2.3.2.5. 지역 경쟁력(Regional Competence) 지역 경쟁력은 ʻ위험에 대한 이해와 집단행동, 의사결정, 문제 해결 능력ʼ으로 정의된다 [8]. 사회 커뮤니티의 단결력(신뢰, 자율, 협력, 참여, 소통), 교육 및 훈련 등으로 구성 된다. 도시 주민의 자율 방재 정책과 사회 커뮤니티의 단결을 통해 재해 예방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진행하고, 사회의 재난 환경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한다.
17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3.3. 소결 앞선 이론 분석 및 정리를 통해 수변 완충지역에 관한 연구 내용과 방향성이 대부분 생 태학, 식물학 그리고 생물학 연구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내용과 방향은 크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면에서의 내용으로 정리해 볼 수 있 다. 첫 번째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수변 완충지역이 생물의 다양성이 존재하는 생태 시 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논증하는 내용의 연구이다. 두 번째는 식물학과 수문학적 관점에서 수변 완충지역이 하류의 수질 정화에 미치는 작용과 오수에 대한 생태 정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세 번째, 수변 완충지역의 폭과 거리가 수변 생물 보 호에 미치는 작용에 대한 생물학적, 공간적 관점에서의 연구이다. 사실 수변 완충지역 이 사실상 홍수를 조절해 주거나 오락 혹은 미학적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은 사실 이나 수변 완충 지역의 이 두 가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부진한 편이다. 본 연구 에서는 수변 완충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 이 지역의 홍수 조절, 오락 및 미학적 기능을 중심으로 탄성 방재 이론과 수변 경관 디자인의 시각에서 수변 방재와 오락 및 미학적 기능이 결합된 수변 경관 디자인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래서, 위의 문헌 자료에 대한 정리와 도시 수변 공간의 경관 개발 계획의 실제 수요 에 따라 수변 완충 지역이란 특정 공간의 경관 특성에 대한 재구성이 매우 필요하고, 향후의 수변 공간 경관의 개발 방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3. 국외도시수변 방재계획의 특성
3.1. 분석대상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홍수자연재난 일어난 이후 피해지역을 재건하기 위해 제안된 도 시 수변 계획 사례 중경관 계획가 및 도시 계획가들에 의해 제안된 계획을 중심으로 총 7개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조사는 문헌자료와 각 프로젝트 공식홈페이지2)를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대 상은 다음 [표 4]과 같다. [표 4] 연구 대상 년도
계획가
위치
계획
2000
Michael R. Garrett
Toronto Canada
Our Toronto Waterfront
2005
David Waggonner
Louisiana USA
Greater New Orleans Urban Water Plan
2007
PUB
Singapore
Active, Beautiful, Clean Waters Design Guidelines
2010
CWCB
Stamford USA
Flood Hazard Mitigation Plan
2) ① Michael R. Garrett, https://www.toronto.ca/wp-content/uploads/2017/11/92f4-Our-Toronto-Waterfront-staffreport.pdf ② David Waggonner, https://livingwithwater.com/blog/urban_water_plan/reports/ ③ PUB, https://www.pub.gov.sg/abcwaters/designguidelines ④ CWCB, http://hermes.cde.state.co.us/drupal/islandora/object/co%3A20199 ⑤ Joao Nunes, http://www.proap.pt/project/antwerp-quays-waterfront-1/ ⑥ OMA, http://www.rebuildbydesign.org/our-work/all-proposals/resist-delay-store-discharge-a-comprehensive -strategy-for-hoboken ⑦ HUDB, http://www.jhjsj.gov.cn/01/ghzj/201709/t20170930_1493148_2.html
172
Vol.1 No.1 August 2019
년도
계획가
위치
계획
2012
Joao Nunes
Belgium
Antwerp waterfront
2012
OMA
Hoboken, new jersey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Hoboken
2017
Jinhua City HUDB
Jinhua China
Jinhua City Sponge City Special Plan
3.2. 도시 수변 계획 분석 기준 도시의 수변 개발은 늘 하천의 자연 형태와 정도가 다른 홍수 재난 대응에 따라 여러 가지 대응 방법이 있기 때문에, 재난 수준과 방재 경험에 따라 각 도시의 물 관리 계획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따라서 여러 도시의 수변 개발 계획의 특정 방법을 요약하는 것 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도시 수변 개발 계획을 분석하는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진행한 두 가지 측면을 도시의 수변 개발 계획의 분석 기준으로 하기로 했다. 첫째는 수변 공간 기능 구성 요소의 연구 시각에서 도시 개발 계획의 물 리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요소를 통해 수변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고, 둘째는 탄성 방재 이론의 연구 각도에서 즉 김현주가 도시 방재의 물리성과 사회성 두 가지 측면에서 제 기한 탄성 방재의 계획 지표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수변의 예방, 정비 및 복 구의 방재 디자인 과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도시의 수변 개발 계획을 관찰하여 도시의 수변 물리적 디자인 요소와 사회적 디자인 요소 두 가지 계획 모델을 분석 기준으로 설 정하고자 한다.
3.2.1. 물리적 디자인 요소 분석 물리적 요소는 각 도시의 사례가 도시별 수변 지형, 공간 형태 및 방재 재료 등에 따라 개발한 수변리적 방재 특성이고, 위의 사례에 나타난 디자인 요소에 대해 총 7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는 긴시는 자연적 호안제 형태, 여러 학과 기술의 사용, 공간의 연결성 강화, 대피소 건설, 친환경 완충 인프라 시설 구축, 식수변 구조 최적화, 저습지 조성과 보전이다.[표 5] [표 5] 물리적 디자인 요소 사례 Our Toronto Waterfront
방재 계획 ∙ 물 관리형 공원 ∙ 친수다리 설치
Greater New Orleans ∙ 침투 구역 설치 Urban Water Plan ∙ 공간 확장 Active, Beautiful, Clean Waters Design Guidelines Flood Hazard Mitigation Plan Antwerp waterfront
∙ 다목적 공간
∙ 공간 연결성
∙ 녹색프레임 설치 ∙ 다목적 공간 ∙ 모듈형 수변 공간 구조
∙ 자기 유지를 위한 자연 시스템 ∙ 컨베이어 conveyance
∙ 구속detention
∙ 녹색프레임 설치 ∙ 다목적 공간 ∙ 지정해 효과적으로 공간관리
∙ 공원과 숲조성
∙ 일시적 공간제공
∙ 저항resist 전략 ∙ 지연delay 전략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Hoboken ∙ 방출discharge 전략 Jinhua City Sponge City Special Plan
물리적 요소
∙ 해면 시설 ∙ 생태 골 ∙ 수변 공간의 유기적 관계
∙ 저장store 전략 ∙ 침하 식 녹지
∙ 자연적 호안제 형태 ∙ 여러 학과 기술의 사용 ∙ 공간의 연결성 강화 ∙ 대피소 건설 ∙ 친환경 완충 인프라 시설 구축 ∙ 식수변 구조 최적화 ∙ 저습지 조성과 보전
17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2. 사회적 디자인 요소 분석 사회적 요소는 주로 도시의 사회 자원에서 입각하여 수변 디자인 과정에서 방재를 위 해 제기한 사회적 기능과 사회 활동 등이 포함되는 비 수변리적 방재 특징이고, 각 사 례가 지닌 프로젝트 특성에 대해 분석을 진행한 후 총 5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이 5가지는 각각 지역 사회 주민의 참여와 교육, 공간의 다기능성, 자원의 재사용, 지역사 회 공간과 다방면의 협력 통합이다.[표 6] [표 6] 사회적 디자인 요소 사례
방재 계획
Our Toronto Waterfront
-
Greater New Orleans ∙ 자원의 재활용 ∙ 뉴올리언스 물 협동조합 Urban Water Plan Active, Beautiful, Clean Waters Design Guidelines Flood Hazard Mitigation Plan Antwerp waterfront
물리적 요소
∙ 뉴올리언스 수업진행
∙ 방재피난 응급 방책 ∙ 전개교육 활동 ∙ 장기쉽터 제공
∙ 수자원 지역사회 소유권 ∙ 설립 사이트
∙ 피난광장형물저장소 ∙ 지역사회 시설제공 방재피난 훈련 ∙ 지역공모전진행
∙ 피해자와 협동진행
∙ 지역 사회 주민의 참여와 교육 ∙ 공간의 다기능성 ∙ 자원의 재사용 ∙ 지역사회 공간 ∙ 다방면의 협력
A comprehensive ∙ 보험정책 strategy for Hoboken Jinhua City Sponge City Special Plan
-
3.3. 소결 각 도시 수변관리 개발 계획을 정리, 분석하여 경관 디자이너와 도시 계획가들의 디자 인 목적 또는 의도를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하여, 디자인 요소와 계획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도시의 방재 계획에서 수변 개발 계획과 비슷한 부분 을 조합하여 구체적인 수변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도시 수변 개발 계획은 수변 공간의 경관 디자인 방법과 방향 특히 수변 왕충지역에 대 한 개발과 이용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위의 각 도시 수변 방재 계획 사례의 분석에 서 수변 완충 지역이 도시 방재와 도시 경관 문화에 대한 현실적 의의를 다시 한 번 입 증하였다. 따라서 도시 수변 디자인 요소와 계획 특성에 따라 수변 완충 지역의 경관 재구성 특성과 비교를 진행하여 수변 완충 지역 경관 개발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하고 해당 특정 지역의 개발 디자인 방법을 명확히 한다.
4. 도시 수변 완충 지역 탄성 경관 특성
174
4.1. 분석 개요 홍수 자연재해는 통제 불가능성과 불확실성이 있어 늘 후속 재난의 발생을 동반하며 위험성도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반드시 지속적인 도시 방재 대 책을 작성해야 한다. 따라서 도시 연구 및 정책 분야에서는 지속적 방재 개념을 제기하
Vol.1 No.1 August 2019
였고 전 세계적으로 도시 환경과 도시 지역 사회의 복구 능력을 육성하여 손실을 최대 한 줄이고 탄성이 있는 도시를 추구한다. 본 연구는 탄성 방재 능력의 관련 이론에 대한 고찰 과정에서 김현주가 탄성 방재 능력 의 4R개념을 기반으로 도시 방재는 물리적 요인 뿐만 아니라 도시의 사회적 요인도 고 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탄성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을 방재 능력 상태를 포함하는 탄성 개념으로 다시 정의하였다. 김미선은 도시 계획 정책의 제정에서 [표 7] 탄성(resilient) 방재 핵심 요소 탄성의 방재 5R기능 요소를 도시 방 기능(5R) 기능별 요소 재 능력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 도시의 방재 능력을 강화하는데 사용하였다.
내구성
∙ 재난에 안전한 자연환경 ∙ 기반시설 및 건축수변의 내구성 ∙ 강건한 경제구조
대체성
∙ 대체기반시설 ∙ 다양성(경제, 통신수단 등)
신속성
∙ 시스템(계획 및 관리) ∙ 정보(전달 및 공유) ∙ 자원수송
자원 동원력
∙ 자원확보 (구호수변자, 장비, 정보, 재정, 인력) ∙ 자원운영(리더십, 계획, 평가, 형평성) ∙ 자원관리(자원모니터링 및 배치)
지역 경쟁력
∙ 결속력(신뢰, 자율, 협력, 참여, 소통) ∙ 적응(위험인지, 재난경험) ∙ 교육 및 훈련
아울러 향후의 연구에서 국가 방재 교 육 연구원과 토지주택 연구원은 도시 의 방재와 도시 재생 부분에도 탄성 5R요소를 한국 도시 방재 능력의 지 표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때문에 본 연구는 김현주 등이 제 기한 5R탄성 요소를 도시 수변 개발 의 핵심 요소로 정하고, 도시 수변 방 재 계획에서 물리성과 사회성과 관련 되는 계획 지표와 탄성 5R방재 핵심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검증과 비교 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수변 계획 방재 계획 품질 지표와 김현주 제기한 5가지의 핵심적인 탄 성 방재 요소에 대해 검증과 비교를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 계획이 이와 같은 핵심 요소들을 구비할 경우 탄성 방재의 수변 경관 계획 방법으로서 도시의 수변 방재와 복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분석 지표로 적합하다고 사료 된다. 도시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 방재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도시 수변 계획 계획 요 소와 계획 특성을 탄성 5R 핵심 요소와 대응하여 분석을 진행한 다음 그에 해당 하는 관계를 도출한다.[그림 2] [그림 2] 수변 계획 탄성 방재 핵심 요소의 관계 분석
4.2. 디자인 요소와 탄성 핵심 요소 사이의 관계 수변 완충 지역 경관 구축의 실행 가능성을 분석 및 검증하기 위해 여러 도시가 수변 환경 방재 계획 과정에서의 실제 경험과 방법으로 계획 요소 및 계획 특성과 5R핵심 요소 사이의 관계를 관찰하고 또 이를 통합시킨다.[표 8]
17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8] 계획 실시와 탄성 방재 요소의 관계 핵심 요소
디자인 요소
계획 특성
①내구성
∙ 자연적 호안제 형태 ∙ 친환경 완충 인프라 시설 구축
∙ 공간의 다기능성
②대체성
∙ 재료의 재활용 ∙ 저습지 조성과 보전 ∙ 대피소 건설
∙ 지역사회 공간
③신속성
∙ 공간의 연결성 강화
-
④자원동원력
-
∙ 자원의 재사용 ∙ 민관의 협력
⑤지역경쟁력
-
∙ 각각 지역 사회 주민의 참여와 교육
1) 내구성 부분에서 각 모듈의 방재 내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재 친환경 인프라 시 설의 다원 모듈화를 제기하였다. 각 모듈의 가지 개조와 적응을 통해 재난이 전체 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듈화의 내구력을 향상시킨다. 2) 대체성 부분에서 자연 지형의 공간 변화를 유연하게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 형식으로 홍수 정체(대체)와 적극적 피난(미리 대비)의 방재 능력을 대응한다. 3) 신속성 부분에서 수변리적 시설을 통해 수변 공간의 연속성과 접급성을 강화하고, 긴급 분산과 대피에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사회적 단체와의 소통을 강화하여 지역 사회의 정보 교류를 통해 재난 발생시의 빠른 대응과 정보 피드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자원 동원력 부분에서 민관의 협력은 위기 순간에 시스템과 체계의 융통성을 높여 시스템이 자원의 효과적 운용에 대한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지역 경쟁력 부분에서 지역사회의 교류 공간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교육 참여와 훈련을 격려할 수 있고, 주민들의 참여율을 높여 주민들의 홍수에 대해 알고 홍수에 대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재난 위기에 대응하는 사회적 능력을 제고한다.
4.3. 수변 완충지역 경관 계획의 탄성 특성과 방향 4.3.1. 수변 방재 계획의 탄성 특성 도시 수변 방재 계획의 계획 분석과 탄성 방재 요소에 대한 비교를 통해 구체적인 방재 계획을 실시하는 수량[표 9]과 탄성 특성에 부합되는 계획 요소를 도출한다.[표 10] [표 9] 수변 방재계획 실시 계획수량 계획
176
계획수
계획
계획수
자연적 호안제 형태
4
각각 지역 사회 주민의 참여와 교육
5
여러 학과 기술의 사용
2
공간의 다기능성
2
공간의 연결성 강화 물리적 대피소 건설 요소 친환경 완충 인프라 시설 구축
8 4 3
식물 구조 최적화
3
저습지 조성과 보전
4
자원의 재사용 사회적 지역사회 공간 요소 다방면의 협력
2 3 5
Vol.1 No.1 August 2019
[표 10] 수변 탄성계획 특성 계획수량 탄성 방재 요소
특성수
내구성 Robustness
10
대체성 Redundancy
10
신속성 Rapidity
8
자원 동원력 Resourcefulness
4
지역 경쟁력 Regional Competence
9
4.3.2. 수변 방재 계획의 계획 방향 도시 수변 방재 계획과 탄성 방재 요소의 비교 분석 결과 기반의 탄성이 있는 수변 완 충 지역 경관 계획의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표 11] [표 11] 수변계획 사례의 탄성방재 특성 사례
Our Toronto Waterfront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 물 관리형 공원 (회복 Mimico ∙ 다목적 공간 ∙ 공간 연결성 Creek / (제공 지역사회와 ∙ 친수다리 설치 회복 Etobicoke 지역 공원) Creek) ∙ 확대 공원 용지
자원 동원력
지역 경쟁력
-
-
∙ 뉴올리언스 수업진행 ∙ 뉴올리언스 물 협동조합
Greater New Orleans Urban Water Plan
∙ 다목적 공간 ∙ 침투 구역 설치 ∙ 공간 확장 ∙ 녹색프레임 설치 (유닛구조)
∙ 모듈형 수변 공간 구조 ∙ 재료의 재사용
∙ 자원의 재활용
Active, Beautiful, Clean Waters Design Guidelines
∙ 자기 유지를 위한 자연 시스템 (생물체류 저지대/ 식물 저지대)
∙ 구속 detention (완충녹지/공원)
∙ 컨베이어 conveyance (피난 교통 노선의 계획과 조직)
∙ 전개교육 활동 ∙ 방재피난 응급 (People, 방책 Public, ∙ 수자원 지역사회 Private) ∙ 설립 사이트 소유권 ∙ 장기쉽터제공
Flood Hazard Mitigation Plan
∙ 녹색프레임 설치
∙ 다목적 공간 ∙ 공원과 숲조성
∙ 지정해 효과적 으로 공간관리
∙ 피난광장형물 저장소
Antwerp waterfront
∙ 일시적 공간제공 ∙ 일시적 공간제공 (빗물 공간 등)
∙ 저항 전략 A comprehensive ∙ 지연 전략 strategy for (저류지 공원/ Hoboken 생물 습지) Jinhua City Sponge City Special Plan
∙ 해면 시설 (생물체류시설)
-
∙ 지역사회 시설제공 방재피난 훈련
-
∙ 지역공모전진행 ∙ 피해자와 협동진행 ∙ 보험정책 (이익관련자)
∙ 방출 전략 (물이 흐를 수 있는 대체 경로)
∙ 저장 전략 (그린 인프라 스트럭처의 상호 연결성)
-
∙ 생태 골 ∙ 침하 식 녹지
∙ 수변 공간의 유기적 관계 (친수다리 설치)
-
-
첫째, 분석 결과가 기타 요소의 자원 동원력 탄성 요소보다 낮은 것을 고려해야 한다. 각 도시의 방재 계획 보고서 사례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이 두 가지 방재 요소는
17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방재 사회성 면에서만 구현되었는데 이는 현재 도시의 수변 방재 계획은 도시의 국부적 요소로만 고려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탄성 방재 요소에서 자원동원력이 강조하는 조달 가능한 모든 도시 자원을 동원하여 도시 전체의 방재 체계를 조정하는 것에 위배된다. 둘째, 탄성 방재 프레임 속에서 다원화된 물리적 디자인 요소와 사회적 디자인 요소를 개발하고 실시해야 한다. 분석한 사례의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 으로부터 보면 계 획적 개발이 사용한 방법에 유사성이 있다.
5. 결론 및 제언
도시의 홍수 피해가 끊임없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탄성 방재 능력의 5R핵심 요소를 검증 기준으로, 경관 디자이너 및 도시 기획가들이 제기한 도시 수변 방재 디자 인을 기반으로 하여 도시의 수변경관 실시계획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도시 방재 디자인의 물리적 요소 및 사회적 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내 구성, 대체성, 신속성 등 세 가지 방재 요소와 관련있는 탄성 특성이 비교적 높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세 가지 부분이 탄성 방재 특성과 연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 핵심 요소 기반의 프레임 속에서 자원동원력과 지역 경쟁력 두 가지 요소에 대한 디자인 방법도 더욱 깊이 생각하고 개선해야 한다. 시행할 계획을 검증하여, 이를 통해 도시 경관 디자이너와 도시 계획가들을 위해 더욱 뛰어난 탄성을 지닌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 음과 같다. 첫째, 방재 공정기술의 실시 방면에서 접근하여, 더욱 탄성을 지닌 계획 방법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대항적인 홍수 방지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내구성과 대체성을 높여 방재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예: 수변지역에 완충 녹지와 피난 공원 등을 설치하고 건설하여, 실천적으로 수변 완충지역의 홍수피해를 억제하는 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도시 정책의 제정과 시행 방면에서 접근하여 도시 이익의 관계자의 각도에서 각 사회 계층이 방재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특히 사회지역에 있 어 그들이 방재와 재난 이후 대처에 대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예: 미국의 뉴올리언스는 도시 재난 이후 재생작업을 진행하면서 사회지역의 탄성작용이 크게 발휘되었다.) 셋째, 사회 참여와 소통의 방면에서 접근하여 방재 긴급 예방대책과 피난 계획을 제정 하고, 사회 여러 방면으로부터의 협조를 독려하고, 자원 동원력과 사회 동원력을 높인 다. (예: 재난 피해 이전에는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재난이 발생시 비상 경보와 해당 정 보를 발표하고, 피해 이후에는 사회적 자원을 관리하고 재생 계획을 구축해야 한다.) 향후에는 경관 디자이너와 도시 계획가의 각도에서 탄성 방재의 개념을 기반으로 상술 한 3가지 관점을 참고하여 체계적으로 도시 내 수변지역의 방재 탄성 계획 방안을 제 시하여, 수변 경관 계획이 실질적으로 시행되었을 때 방재 계획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부족한 부분을 메우고자 한다.
178
Vol.1 No.1 August 2019
참고문헌 신청우,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임프레스, 2010 이광국, 『부산시 수변공간 재생 디자인 수법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pp.177-191, 2012. 최지용, 『수변환경 생태복원을 위한 수질관리』, 한국 환경 생수변 학회, pp.20-29, 2002. Holling C S, 『Principles of insect predation』, Annual Review of Entomology, pp.163-182, 1961. 정주철, 『도시방재에 있어서의 리질리언스 개념 정립』, 건축, pp.37-40, 2018. Bruneau M, Chang S, Eguchi R, et al. 『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mic Resilience 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 pp.733-752, 2003. O Rourke, T. D,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t』,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pp.22-29, 2007. T. H. Kim, H. J. Kim and K. J. Lee, 『The concept and Functional Objectives of the Urban resilient for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pp.65-70, 2011. 김미선, 신진동, 심숙연, 김현주, 『방재력을 고려한 도시의 풍수해 안전기준 개발방향 설정연구』, 한국안전학회지, pp.127-136, 2015.
17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디자인 중심 창업의 자생방안 연구 - 국내 소규모 제조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
The study on self improvement of design centered startup
김현정,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산업디자인, 제품디자이너, 디자인창업, 디자인생태계, 디자인경영, 비즈니스 캔버스
Kim, Hyun Jeo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Industrial Design, Product Designer, Design Startup, Design Ecosystem, design ecosystem, Business canvas
Vol.1 No.1 August 2019
디자인 중심 창업의 자생방안 연구 1. 서론
디자인 창업을 위한 발상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이 란 인간의 필요에 공감하고, 대중이 모르는 잠재적 욕구를 발굴하여 시제품 (prototype)까지 만들어보는 과정을 말한다.1) 실리콘밸리 기업가들 사이에서 번지기 시작한 디자인 싱킹은 ‘이해·공감 → 문제정의 → 아이디어 도출 → 시제품화 → 테스트’의 과정을 반복하는 실천적인 접근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한다는 방식이다. 즉각 시 험을 해봄으로써 구체적이고 창조적인 해답을 얻을 수 있다. 단, 사업의 경험이 적은 사람은 현실에서 동떨어진 사업을 설계하기 쉬우며, 사업의 자금, 시간, 인원 등 의 구 체적인 규모와 제약을 고려할 때는 현실적이지 않다.2) 학교와 기관에서도 디자인 싱킹 에 대한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상이다. 하지만 아이디어 개발 이후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를 만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디자인 경영은 또 다른 문제로, 신규 창 업자들은 고객과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는 창업아이템으로 죽음의 계곡 (Death-Valley)을 극복하기 힘든 실정이다. 때문에 현 정부는 관계 부처 합동으로 제 조중심 창업 인프라를 확산시키기 위해 힘 쏟으며, ‘창업 → 투자 → 성장 → 회수·재투 자3)를 강화하려고 하고있다. 본 연구는 제조업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디자인창업의 ‘자생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7년 이내의 소규모 디자인 스튜디오 28여 곳, 총 3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실제 사업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즈니스 캔버스 모델’의 9가지 항목을 심층 인터뷰 항목에 대입하였으며, 각 기 업의 자생력과 노하우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창업 기업의 현실적 자생방 안의 문제를 노출 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3년 이내 디자인 중심 창업 자들이 사업을 실행함에 있어 디자인 업계의 고충을 파악하고 공감하며 추후 업계의 발전에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 이론적 고찰
2.1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2.1.1 비즈니스모델캔버스의 정의 비즈니스 모델 (Business model)은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 세계화 시대 속에서 생겨난 용어이다. 그 당시 사회는 글로벌 기업의 도약과 it 기술의 발달로 벤처 붐이 일 며, 많은 기업들이 만들어지고 또 사라졌다.4) 때문에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용어가 기 업 및 투자자들 사이에서 사용되었지만, 비즈니스 모델의 정의도 모호하고 그것을 정확 히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알렉산더 오스터왈더(Alex Osterwalder)는 비즈니스 모델에 관련된 사업구조를 기업인, 교수 등 전문가들과의 인
1) 중도일보, 통합적 사고를 기르는 ‘디자인 싱킹’ 2) 네고로 다쓰유키. (2018). 일본 최고 MBA 경영수업 3) 중소기업벤처부, 제 2 벤처 붐 확산 전략 새로운 도약 4) https://blog.naver.com/whyble/220650085873
18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터뷰 자료를 통해 9개의 핵심 요소로 재구성하여 ‘비즈니스모델캔버스(Business model canbas, BMC)’를 모형화했다. 비즈니스모델캔버스란 사업의 구조에 관한 ‘의도’를 정리한 설계로 내제되어 있는 요소 나 설계범위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사업 활동의 골자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설계도이 다.5)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 며, 어떻게 수익을 창출 할 것인지의 아이디어를 말한다.
6)
비즈니스 모델이 중요한 이
유는 사업 모델의 현실성 및 사업성을 점검할 수 있으며, 사업 추진과 운영에 필요한 모든 측면을 제대로 검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의 ‘지속가능성’의 여부와 ‘수익창출활 동’을 한 번 더 검증할 수 있는 사고의 실험이다 [표 1] 비즈니스모델캔버스 ⑦ 핵심활동
④ 고객관계
⑧ 핵심 파트너쉽
기업이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실행하는 활동
고객과의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관리 방법
① 고객 세그먼트
긴밀한 협력관계에 있는 ‘공급자-파트너’ 간의 네트워크
⑥ 핵심자원
③ 채널
기업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고객
② 가치제안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차별화된 포인트
원할한 비즈니스 진행에 필요한 인적, 물적, 지적 등의 자산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기 위한 마케팅·유통채널
⑨ 비용구조
⑤ 수익원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비용
기업이 고객으로부터 창출하는 현금(=수익·비용)을 의미
2.1.2. 비즈니스모델캔버스에 따른 심층인터뷰 본 연구는 제품 디자인 비즈니스를 비즈니스 캔버스 모델의 9가지 항목에 대입하여 ‘심 층인터뷰’ 질문을 구성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하는 도중, ‘가치 제안’은 기업마다 너무 다른 가치를 두고 있어 배제 시켰으며, ‘수익원’과 ‘핵심 활동’은 개별적으로 질문하였 을 때 중복된 답변이 나와 이를 통합하여 ‘수익창출을 위한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또 한 위 항목 이 외 디자인 업계에서 대두되는 수출, 펀딩 등의 비즈니스 항목을 추가하 여 [표 1]과 같이 구성하였으며, 각 항목을 기준으로 사업별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할 수 있었다. 심층 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는 총 36명으로 7년 이내의 디자인 중심 창업자 이며, 이들 100%가 현재 창업을 하고 있다. 이에 특정한 경험이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의견이 한쪽에 치우쳐지는 것을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의 노하 우와 경험하고 있는 고충들을 알 수 있었다.
5) 네고로 다쓰유키. (2018). 일본 최고 MBA 경영수업 6) 박대순. (2019). 비즈니스모델 4.0
182
Vol.1 No.1 August 2019
[표 2] 심층인터뷰 업체 리스트 항목
지역
기업명
년차
인원
1
서울특별시
픽트
3
2
2
서울특별시
이오공디자인
5
3
3
광주광역시
즙디자인스튜디오
7
2
4
광주광역시
언디자인랩
1
1
5
경기도
504-18
1
3
6
경기도
옴모
7
5
7
서울특별시
파운드파운디드
3
7
8
서울특별시
리드아트
3
3
9
서울특별시
크래프트콤바인
3
5
10
서울특별시
비밥
3
2
11
서울특별시
페시
3
2
12
서울특별시
임성묵스튜디오
3
1
13
대구광역시
키포
1
1
14
서울특별시
제조
3
1
15
부산광역시
코젠트
3
4
16
부산광역시
리비트
2
1
17
부산광역시
슬릭
3
1
18
광주광역시
맴돌
3
2
19
광주광역시
럽디자인랩
1
1
20
광주광역시
토요요
7
3
21
부산광역시
소담스페이스
1
1
22
대구광역시
셈트
3
1
23
서울특별시
어뎁션
1
2
24
서울특별시
해턴
3
3
25
서울특별시
모바일아일랜드
2
4
26
서울특별시
랩크리트
5
2
27
서울특별시
비믹스
5
1
28
서울특별시
헬로우vr
3
7
[표 3] 심층인터뷰 항목 항목
인터뷰
응답률(%)
핵심활동
Q.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을 위한 활동은 무엇인가요?
100%
핵심자원
Q. 사업 유지를 위해 투입하고 있는 자원의 종류는 무엇인가요?
100%
핵심파트너쉽
Q. 사업을 실행함에 있어 맺어지는 핵심파트너십은 어느 분야에서 맺어지나요?
100%
고정지출비용
Q. 매달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지출은 무엇이며, 어느시점에 큰 지출이 발생하나요?
100%
고객세그먼트
Q. 자사의 매력을 평가하는 주요 소비 고객층은 누구 인가요?
70%
채널
Q. 고객에게 어떠한 방식의 공급채널(온, 오프라인)을 제공하고 있으신가요?
80%
Q. 제품을 유통시킬 때 각 유통사별로 수수료가 다른데 이를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70%
해외수출
Q. 해외수출에 대해 어떠한 입장과 생각을 가지고 있으신가요?
60%
투자·펀딩
Q. 디자인업계에서 펀딩과 투자에 대해 어떠한 입장과 생각을 가지고 있으신가요?
80%
Q. 비즈니스를 실행함에 있어 필요로 하는 역량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80%
Q. 이 외 사업을 진행하시면서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은 어떤 부분인가요?
100%
고객관계 그 외 항목
비즈니스 역량 위험요소
18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 실증분석
3.1. 심층인터뷰 분석 본 연구는 [표 3] 심층인터뷰 항목에 대한 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디자인 중심 7년 이내 소규모 창업자들이 말하는 비즈니스를 실증적으 로 분석한 것이다. 각 업체가 경험하고 있는 고충과 전반적인 비즈니스 운영방식을 알 수 있다. 이에 경험자의 ‘자론’이나 ‘자생 현상’이 비즈니스를 실현함에 있어서 어느 정 도 도움은 되지만, 뒷받침하는 기업의 정확한 성장률과 매출이익률은 수치화하기 힘든 실정으로 기업의 성장방안 보다는 ‘자생방안’으로써의 접근이 바람직하다.
3.1.1. 핵심활동 기업이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시행하는 활동으로 첫 번째는 상품을 팔아 자금을 확보하는 일이다. 그러나 초기 창업자의 경우 판매할 상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때문 에, 대출을 받거나, 국가지원 사업을 통해 제품을 개발한다. 먼저 ‘대출’은 어디까지나 빚으로, 계획한 사업을 잘 운영하여 일정 기간 이후 착실히 갚아 나갈 수 있는지를 따 져본 후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초기 창업자의 경우 통장에 너무 많은 돈을 가지고 있 으면 필시 부주의와 과소비가 동반되기 때문에 이를 항상 조심해야 한다. ‘국가지원 사 업’은 미래부, 산업부, 중기청 등 다양한 주관 기관의 공모와 심사를 거쳐 자금이 업체 에게 수혜 된다. 상금으로 대표되는 국가지원금은 창업 팀의 지분이 줄어드는 투자도 아니고, 갚아야 하는 빚도 아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하면 좋다. 단점으로는 서면 상 으로 처리해야 할 서류가 많고, 시간이 소요되는 각종 행사들로 번거로움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본래 사업은 본인의 자금으로 운영하는 것이 외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 편하 지만, 수중에 모아둔 자금이 별로 없고 경제적 리스크를 지기 부담스러울 경우 국가지 원 사업의 힘을 빌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하지만 정부 사업에만 의존하다간 초 기 창업자의 자생 능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유의하여야 한 다. 두 번째는 외주이다. 외주 일감이란 다른 회사의 디자인 개발을 대신 진행해주고 제작비를 받는 일로, 현금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자체 개발 업 무 이외에 외주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외주를 계속적으로 반복하다 보면 점자 자체 브랜드를 만드는 일은 소홀해지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잘 활용해야 한다. 현재는 일감 부족으로 이 또한 힘든 실정이다. [표 4] 핵심활동 항목
상품개발
상품판매
외주
응답률
%
33
33
33
100
3.1.2. 핵심자원 사업 유지를 위해 투입하고 있는 자원으로 첫 번째는 인력이다. 디자인 중심 창업은 제 조업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인력을 투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들이 생긴다. 초기에는 개인이 회사를 운영할 수 있지만, 어느 시점이 지나게 되면 개인이 사업을 감 당하기 힘든 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 더 좋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 도의 사업의 규모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하게 되는 것은 기업이 추구하고 있는 목적과 그 가치를 극대화해 줄 수 있는 인재와 그만한 인력이다. 이는 적절한 시기에 투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좋은 팀은 좋은 때에 만난 인재들의 합으로 이루어진다고도
184
Vol.1 No.1 August 2019
한다. 하지만 많은 디자인기업들은 연차가 어느 정도 쌓였음에도 불구하고 인재들을 뽑 기 위한 자금의 부족으로 소수인 경우가 많다. 두 번째는 시간이다. 사업은 시기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자칫 잘못하여 프로젝트의 기간이 예정보다 늦어지게 된다면, 기업은 그에 따른 손해가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그 자체 가 경쟁력이다. 시간의 분배는 중요하며, 실패에 대한 큰 두려움을 느껴 완벽히 준비하 기보다는 빠른 시일 내 아이디어를 실체화시켜 이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문제점 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음이 중요하다. 아직 상품이 없고, 자본도 없는 초기 팀 이 가진 유일한 자원은 시간으로, 실행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초기 창업자의 경우 개인이 혼자 다중적인 작업을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1-2년 정도의 시간을 투자하여 창업을 진행하고 있거나, 공동창업자와 함께 업무를 분담하며 시간 소비를 줄이고 있었다. 세 번째는 ‘자금’이다. 자금은 창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가 장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디자인 중심 창업자 중들이 종종 자금을 별로 신경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특히 창업을 처음 해보는 사람이나 비교적 젊은 창업자들 사이 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본인이 평소에 실현해보고 싶었던 욕구를 실행함으로써 수익과 욕구를 타협한다. 이런 욕구들은 모두 훌륭한 가치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위 가치를 더 오래 실현하기 위해서는 회사에 이익을 내야 한다. 보통은 상품 판매 이외에 R&D 기술 개발, 외주, 콜래보레이션(collaboration) 등 다양한 수익활동을 가지고 자금을 확보하고 있으며, 초기 자본이 없는 경우 국가지원 사업을 통해 상품개발을 지원받기도 한다. 기업은 자금을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우선시 여기고 이를 취하기 위해 남들보다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표 5] 핵심자원 항목
자금
시간
인력
응답률
%
70
20
10
100
3.1.3. 핵심파트너쉽 사업을 실행함에 있어 맺어지는 핵심 파트너십은 첫 번째로 제조업체이다. 디자인 중심 창업은 제조업을 다루고 있지만, 약 70% 기업들이 실제 제조공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대부분 주문 형 제조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었으며, 특정 소재에 따른 전문 협력사들을 두루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단가, 생산 일정을 맞추는 것은 여간 까다로운 일로, 자사의 컨트롤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생산 관련 업체 또한 직접 관리해야 했다. 개별의 제조업을 관리하는 PM(product manager)도 존재하고 있지만, PM이 있는 공장은 찾기도 힘들뿐더러 소규모 회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본금으 로는 대량생산을 맡길 수 없는 실정이었다. 때문에 중국에서 더 저렴하게 제품을 생산 하여 판매하는 방식의 스튜디오도 있었으며, 국내에서 국내 기술 업체들과 적당히 타협 을 하며 원가를 조율하여 제품을 만들고 있는 스튜디오도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빠 른 회전율과 컨트롤에 있어서는 국내 제조가 더 용이한 실정이다. 두 번째로는 유통업체이다. 약 80% 디자인 중심 창업자들은 유통 관련 지식의 부족으 로, 온 오프라인 등 유통의 단계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실질적으로 유통을 도 와줄 수 있는 플랫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초기 창업자의 경우 전시 또는 SNS를 통 해 업체를 알리고, 온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하지만 초기 창업
18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자의 경우 위 경우로는 다각적인 유통채널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사전에 아무 지식 없이 판매와 유통이 지속되기는 어려운 일로, 약 25% 소수의 기업은 마케터를 두 고 판매, 판촉에 관련된 일을 진행하고 있었다. 때문에 초기 창업자의 경우 수수료가 발생하더라도 업계의 전문 영업·마케터와 함께 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마케터는 보다 전략적으로 소비자에게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표 6] 핵심파트너쉽 항목
제조업체
유통업체
응답률
%
50
50
100
3.1.4. 고정지출비용 기업은 제품이 개발되지 않는 시기에는 ‘인건비>사무 공간, 임대료> 식비 교통비’와 같 은 인력 위주의 지출이 발생하지만, 상품개발 시기에는 수익금의 약 85%가 ‘재투자 비 용’으로 발생하게 된다. 위 시기는 분기와 상관없이 업체별로 다르게 발생되고 있지만, 수익금의 약 80-95%까지의 비용이 상품개발로 재투자 되고 있다는 사실은 모두 일관 되고 있다. 디자인 창업의 사업 특성상 수익이 불규칙할 수밖에 없어, 직장인처럼 계획 적인 소비가 이루어지기 힘든 실정이다. 때문에 항상 수익금의 일부를 ‘사업자 통장’에 모아두어야 한다. 당장 돈이 많더라도 다음 달에 수익이 발생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사업자 통장’의 근본적인 개념은 저축이 아닌 또 다른 사업을 위한 비자금 의 개념으로 고정지출비용을 제외하고는 다람쥐 도토리를 모으는 것처럼 계속 모아둘 수밖에 없다. 이에 연차가 어느 정도 쌓인 기업들은 미리 연간 계획을 기획해두고 지출 이 많이 발생하는 시즌에 대한 준비를 하며 자금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있는 실상이다. [표 7] 고정지출비용 항목
상품개발
인건비
임대/기자재
식비/교통비
응답률
%
70
15
9
6
100
3.1.5. 고객세그먼트 디자인 중심 창업자들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아이템으로, 소비자 개개인 에게 접근을 시도하고 있었다. 기업들은 대부분 기성품에 1.2배 더 특별한 가치를 부여 한 제품을 생산하여 소비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주고 있었으며, 각 기업은 가전제품, 유아용품, 인테리어 소품 등 특정 분야와 상관없이 다양한 아이템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주요 소비 고객층은 대부분 20대 중반부터 30대 후반의 여성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경제적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연령층으로 개인의 취향을 고 려한 소비를 하고 있는 추세였다.
3.1.6. 채널 주요 고객은 대부분은 SNS와 블로그 광고를 통한 접근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대부분 의 기업들은 SNS와 바이럴 광고에 중요성은 알고 있었으나, 이를 제대로 실행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요인은 SNS를 관리할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었으며, SNS 마 케팅의 운영방식과 체계가 잡혀있지 않은 상태였다. 때문에 위 매체를 활용한 마케팅을
186
Vol.1 No.1 August 2019
꾸준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객들의 공감을 유발하는 감각 있는 담당자로 하여 운영을 맡길 필요가 있다. 담당자가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해 운영할 수 있도록 돕고 필 요할 경우 최소한의 예산 집행은 가능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팔로워나 ‘좋아요’ 가 많더라도 이를 매출로 연결한 회사는 손에 꼽기 때문에 실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 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없을 경우 불필요한 활동이라면 하지 않는 것이 맞다. 많은 기업 들은 제품을 출시한 이후에 본격적으로 마케팅을 진행한다. 초기 소규모 기업은 자금이 많지 않기 때문에 광고비를 쓰는 마케팅보다 입소문과 미디어 노출에 의한 마케팅에 치중하게 된다. 때문에 페이스북, 인스타 카카오 등 소셜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마케팅 을 진행하게 되는데, 계정을 만들고 홍보하는데 비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가 장 선호한다. 이때 누구나 처음 겪는 것은 무관심이다. 때문에 제품이 출시된 후부터는 제품이 관심 받을 수 있을만한 기회가 있다면 무엇이든 해야 한다. 반복해서 배포하다 보면 누군가는 관심이 생길 수도 있다. 제품의 피크(peak)는 생각보다 오래 걸리기 때 문에 조급해 하지 말고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자사의 제품에 맞는 홍보 방식을 발견하는 게 좋다.
3.1.7. 고객관계 디자인 중심 창업자는 디자이너이기 때문에 이미지에 대한 것들은 더욱 풍요롭게 제안 할 수 있어야 된다. 상품을 보여줄 수 있는 어떤 프로모션 같은 장소가 오프라인이라서 오프라인에서 제일 차려진 모습을 보여줘야 하며,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루트는 온라인으로 풀어내야 된다. 때문에 최대한 제품이 어울리는 숍에 입점을 하려고 하며, 오프라인이 부진하더라도 오프라인에 계속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그 이유로는 제품의 특성 자체가 눈으로 보는 것과 사진으로 보는 것들이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실 제 보이는 형상과 느낌에 영향을 주는 것이 오프라인 매장이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 에 많은 수수료를 부담하더라도 입점할 수밖에 없다. 또한 온라인은 상품을 소비하는 특정 다수가 들어온다면, 오프라인은 불특정 다수가 들어오게 되는 거라 파급효과가 다 르다. 때문에 매장과 온라인에서 다양한 효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 계속 변 화해야 한다. 온라인은 기념일이 되면 사이트에 사람 유입률이 많아진다. 또한 사이트에서도 광고를 많이 해주기 때문에, 초기 창업자라면 광고를 대신해줄 수 있는 온라인 사이트들을 잘 이용하면 좋을 것 같다. 또한 지원 사업을 통해 네이버 검색광고나 키워드 광고비용을 투자 받을 수 있는데, 광고비용을 투자하더라도 쇼핑몰로 들어왔을 때 볼거리가 많아야 그만큼의 유입률도 늘어나기 때문에, 제품 설명부터 상품 이미지, 마케팅까지의 딱 맞 춰진 상세페이지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이 마케팅 비용보다 는 내실을 다지는 비용에 투자를 하고 있는 실상이다. 하지만 제조업을 하는 입장에서 오프라인에 입점을 하면 수수료의 최저가 약 50%이고, 인터넷 쇼핑몰은 약 25%-35%이기 때문에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다. 오프라인은 어떻게 보면 매장에서 제품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실 질적으로 제품의 판매가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또한 초기 창업자는 디자인 경영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없다 그렇다 보니 수수료의 문제에 부딪혔을 때 이를 어떻게 해 결해야 할지 모른다. 때문에 채널이 없는 사람들은 제품을 홍보하기가 힘들며, 할 수 있는 게 전시 나가는 거 아니면 큰 대형업체에 들어가는 것들뿐이라 홍보를 실질적으
18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로 도와줄 수 있는 플랫폼이 생기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업체도 돈을 벌어야 하고, 플 랫폼도 돈을 벌어야 하는데 이를 지원해 주고 양쪽 모두가 만족 할 수 있는 수익구조를 만들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표 8] 고객관계 항목
오프라인
온라인
응답률
%
50
50
70
3.1.8. 해외수출 대부분 디자인기업은 해외 수출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세계 인구 순위 28위로, 내수 시장만으로 시장을 확보하여 회사를 운영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다. 실제 20%의 기업들은 인도, 북미 등 주요 소비국에 제품을 대량으로 납품하여 기업을 자생하고 있었다. 때문에, 다수의 디자인기업은 내수시장이 자연스럽게 해외 진출로 이 어지길 원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검증되지 않은 브랜드에 박한 나라로, 내수시장을 겨냥해 목표점에 도달한 이후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기에는 국가의 도움이나 투자가 필 요한 사항으로 현실화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초기 스튜디오는 국내에 국한되지 않 고 해외로 확장하여 본인들의 거래처를 확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국내 온 오프라 인 시장의 매출이 부진할 때, 해외시장에서 매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디자인 중심 창업자들이 해외시장의 판로를 개척하는 방법으로 첫 번째는, 해외 디자인 페어에 참관하는 것이다. 기업이 사전에 바이어들에 대한 조사와 함께 서면이나 구두 상으로 확실한 협의 점을 두고 일을 직접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자사의 취향에 맞 는 셀렉트숍과 바이어들을 직접 찾아볼 수 있다. 두 번째는, 유통을 대신해 줄 유통 업 자를 만나 특정 해외 몇 국가에 납품하는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수수 료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그만큼의 수익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표 9] 해외수출 항목
해외전시
유통업자
내수시장
응답률
%
40
20
40
60
3.1.9. 투자 및 펀딩 디자인 업계에서 투자유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어떤 시장에 어떤 파이를 가져다줄 수 있는가에 우선 가치를 두고 있는 비즈니스의 영 역이기 때문에, 소규모 디자인 중심 창업자들은 소극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 하지 만, 와디즈나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이전의 펀딩의 개념은 개인 이 회사에 투자를 하는 개념이었지만, 우리나라의 펀딩 사이트는 투자의 개념보다는 제 품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변화하였다. 이전에는 이미지만 가지고 펀딩으로 수익을 창출 하여 제작할 수 있었다면, 지금은 다 만들어놓고 출시 직전에 펀딩 사이트의 유저나 전 문가들에게 홍보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때문에 펀딩은 보다 신중해야 한다. 웬만 해서는 금형틀을 다 만들어 놓고서 진행하는 게 좋으며, 완전한 검증과 인증을 다 갖추 어 놓고 시작해야 하는 것이 오늘날의 펀딩이다.
188
Vol.1 No.1 August 2019
3.1.10. 비즈니스역량 사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무수히 많은 역량이 필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역량은 [그림 6]과 같이 총 5가지로 초기창업자들이 기장 많이 실수하는 부 분이다. 첫 번째로는 ‘소통’이다. 상품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는 예기치 못한 수많은 사 고와 소통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슬기롭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업계에서의 평판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일을 효율적으로 잘 할지라도 업 계에서의 평판이 좋지 않으면, 일이 꾸준히 연결될 수 없다. 또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이 업계에 소문이 나면, 기업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b2b의 경우 영업에 큰 도움 이 된다. 그 이유는 업계의 전문가들이 신뢰하여 공신력이 그만큼 오르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다중처리능력’이다. 사업의 특성상 많은 인원을 고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한 사람이 다중으로 업무를 맡아 처리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일에 대한 효율성은 다 소 떨어지지만, 회사를 보다 성장시키기 위해 이 같은 노력은 감수하여야 한다. 또한 대표 스스로가 사회 경험이 없을 경우, 회사 내에 상대적으로 경험이 많은 중간 관리자 를 두어도 좋다. 세 번째로는 대표자의 ‘화술’이다. 보통 우리나라에서 지원을 해주는 디자인 분야라고 하면 테크놀로지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업체들에게 엄청난 투자가 들 어가고는 하는데, 럭셔리한 리빙 제품 쪽에는 투자가 들어오지 않는 실상이다. 이때 경 영자가 투자자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그 사람들이 구미가 당기도록 이야기하 는 화술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한다. 네 번째로는 ‘추진력’이다. 일을 진행시킬 수 있는 중요한 능력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디자인 단계까지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실제로 아 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직접 발로 뛰고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결과로 이끄는 과정 이 가장 어렵고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는‘관찰력’이다. 디자인을 전공으로 배웠 기 때문에 ‘디자인만 잘한다고 해서, 사용성만 좋다고 해서’ 물건이 잘 팔리는 것은 아 니다. 무심코 지나가는 것을 얼마만큼 캐치하느냐는 디자이너의 역량에 따라 달라진다. [표 10] 비즈니스 역량 항목
소통
다중처리
화술
추진력
관찰력
응답률
%
20
20
20
20
20
100
3.1.11. 그 밖의 위험요소 첫 번째로는 대부분의 창업자들은 수익이 발생해도 다시 재투자로 돌아가기 때문에, 창 업 초기 3년 정도는 다들 빠듯하게 버텨가며 회사를 운영한다. 디자인 업계는 투자를 받으면서 성장하는 체계가 아니기 때문에, 제품을 제작하는 창업자들은 모두 저마다의 고충을 가지고 있다. 언제나 새로운 것을 준비해야 하고, 새로운 것을 준비할 때마다 그 열정과 비용이 다시 회수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은 점 점 확신이 사라져갈 때가 가장 어렵다고 한다. 일시적인 슬럼프가 아니라 “정말 제품의 수명이 끝나가는 시즌이었다.”라고 생각하면 돈이 회수가 안 되니까 불안감이 크기 때 문이다. 두 번째로는 같이 일하는 파트너사와 소통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사람과 사람의 문제는 감정이 오가는 문 제이기 때문에 심적으로 고통을 받는다. 때문에 소통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상 긴장을 멈추지 않아야 하며 이를 원만하게 잘 대처할 수 있는 것도 대표자의 능력 중 하나이다. 세 번째는 혼자서 일을 하는 게 한계가 느껴질 때이다. cs, 디자인 상세페이
18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지, 고객 관리, 택배 포장 등 따로 담당자가 없기 때문에 전부 다 창업자가 해야 하는 일로, 심리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힘이 든다. 대부분의 기업은 일정하게 자금이 확보되 지 않기 때문에 항상 마케팅 영업의 필요성을 느끼고는 있지만, 소규모의 기업에서 더 이상의 고용 인력을 늘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인력을 필요로 한다면 안정적인 고정 수입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네 번째로는 ‘상품이 제법 팔리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사업화를 진행하여 시장에 뛰어들었을 때 오히려 고려해 야 하는 건 상품의 스펙보다 비즈니스 모델인데 이를 간과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이 다. 대부분의 창업자들은 디자이너들이 오히려 공부해야 할 것은 경영과 유통, 마케팅 이라고 하였다. 현실적으로 수익을 어디서 발생시킬 것이며, 어떻게 시장의 인지를 쌓 을 것인지 항상 고민을 해야 한다. 좋은 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품을 다 소진을 시 켜야 계속적인 생산부터 판매까지의 한 사이클이 완성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공 장만 좋을 일이다. 다섯 번째는 저작권 관련 침해와 예방은 사전에 철저하게 관리되어 야 한다. 대부분 소규모의 업체의 경우 이를 간과하다 큰일이 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간과할 경우에는 결국 나중에 회사에 큰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 문제가 발생한 뒤 이 를 수습하려면 사전에 예방하는 비용의 몇 십 배가 든다. 때문에 저작권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중요시 여겨야 하며, 사전에 철저하게 예방하여야 한다. 연구결과 소규모 디자인 중심 창업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알 수 있 었다. 이에 초기 창업자들을 지지해줄 수 있는 국가의 실질적인 지원이나 정책 마련이 필요하며, 위 실증현상을 노출시킴으로써 풀뿌리 교류가 확산되어, 사회 곳곳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이 더욱 활성화되길 바란다.
3. 결론
4차 산업혁명 시대, 그래픽과 3D 프린팅의 발전은 저비용으로 프로토타입의 제작이 가 능하도록 하였다. 이는 산업 디자이너들이 보다 품질 높은 생산이 가능하도록 도움 주 었지만, 과거 국내 제조업계가 각종 사용료, 최저임금 인상 등 준소세의 영향으로 값싼 노동력을 찾아 해외로 이전하는 현상이 있은 이후, 오늘날 국내 제조업은 최저임금의 인상과 노동력의 결핍 등의 문제는 여전히 사회의 불황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 다. 때문에 국내 소규모 창업자들 또한 여전히 생산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고도 된 지식사회 속 지속되는 경기의 불황으로 디자이너의 외주화는 국내 외 가격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점차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든 여건이다. 반면, 디자인 업계의 긍정 적인 측면으로는 스스로 경쟁력을 키우며 차별적인 ‘디자인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노 력하고 있었고, 또 한편으로 국내 제조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며 국내 생산을 이어가기 위해 제조업계와 상부상조하며, 공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10인 이하의 소규모로 열약한 실정이다. 때문에 본 연구는 3년 이내 디자인 중심 창업자들이 사업을 실행함에 있어 디자인 업계의 고충을 파악하고 공감하며 추후 업계의 발전에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향후 디자인 경영 분류체계 에 따른 SWOT 분석을 통해 소규모 디자인업계의 약점을 보완 하고, 기회를 이용한 가 설모형을 제안하여 소규모 디자인 중심 창업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수익 창출과 경쟁력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비즈니즈 모델을 수립하고자 한다.
190
Vol.1 No.1 August 2019
참고문헌 네고로 다쓰유키, 『일본 최고 MBA 경영수업』, 흐름출판, 2018 이수봉, 「중소기업의 디자인 경영 성공 모델 연구 - 국내 중소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2009 이지연, 「영 디자이너(Young Designer)의 스타트업(Start Up)에 관한 보고 - 제품디 자이너의 디지털 제조를 기반으로 하는 자가 생산 중심으로」, 2015 김선주, 「조직 구성원의 기업가 정신 수준(역량, 태도, CEO, 지원)이 기업의 기업가적 문화와 구조, 운영체계에 미치는 영향: 국내 디자인기업을 중심으로」, 2016 박현아, 「정부창업지원정책 동향분석(2015-2018) - 제조메이커 디자인 창업 관점으로」, 2018 디자인하우스. 2018년 10월호 중도일보 2019년 02월자 ‘통합적 사고를 기르는 ‘디자인 싱킹’’ https://blog.naver.com/bizinfo1357/22148 3666610 https://blog.naver.com/whyble/220650085873
19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한 상해박물관 이용자 경험분석 An Analysis of the User Experience of the Shanghai Museum Using Scenario-based
장윈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ang, Yun Hu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Lee, Myung Hee(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시나리오 기법, 이용자 경험, 박물관 Keyword
scenario method, user experience, museum
Vol.1 No.1 August 2019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한 상해박물관 이용자 경험분석 1. 서론
현대인들의 소비 중점이 제품에서 서비스로 변화되었음은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의 도래로 이미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의 패러다임도 함께 변화되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시스템과 이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졌고, 이용자의 감성 과 경험까지 디자인하게 되었다. 이렇게 디자인 대상이 도구와 인간의 관계를 넘어 도 구와 인간을 포함하는 상황과 배경을 포괄하고 더 나아가 사회와 문화로까지 확대되고 있다(이건표, 2000). 기존 디자인 방법은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는 형상과 이미지를 디 자인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 발생되는 추상적인 경험이나 감정 까지 모두 아우를 수 없다. 하지만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은 이용자뿐만 아니라, 이용자 와 시스템, 환경 등 사용 상황을 폭넓게 다룰 수 있어서 이용자 경험 디자인 등에서 유 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박물관과 같은 공공시설은 다양한 요구와 목적을 가지는 폭넓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 소이다.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미래에 전승하고, 사회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공공 문 화공간으로서 박물관은 이미 생활환경의 일부가 되었다. 자료수집, 정리보관, 조사연구, 전시, 교육활동 등이 박물관의 기본적인 기능이지만 최근에는 소통, 교류, 오락, 여가의 기능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에게 보다나은 경험을 제공하 는 공공시설로서의 박물관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그 기초연구로서, 시나리오 기법으로 박물관 이용자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서비스 목표를 설정하고자 한다.
2. 시나리오 기법의 이해
시나리오는 퍼소나가 목표를 달성하려고 제품을 사용하는 상황을 간단하게 소개하는 이야기를 말한다.1) 퍼소나(Persona)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다양한 유형을 대 표하는 가상의 인물로 퍼소나를 둘러싼 다양한 상호작용 내용을 이야기로 작성한 것이 시나리오이다. 시나리오 기법은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퍼소나의 시 각에서 이상적인 체험을 묘사함으로써 디자인을 다 각화 시키고 있으며, 사용자의 사고와 행위에 중점 을 두어 사용자의 동기와 행동 패턴 등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Carol(2001)의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프로세스는 이용자가 매우 추상적이며, 이용자의 목 표와 동기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하다. 이러한 단 점을 보완한 것이 Cooper(2010)의 퍼소나 기반 시 나리오이다. 퍼소나는 실제 이용자들을 대표하기 때 문에 시나리오의 주인공으로 적합하고, 이용자의 동 기와 행동 패턴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그림 1] cooper의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프로세스 편집
1) 앨런 쿠퍼, 로버트 라이만, 데이비드 코로님, 크리스토퍼 노셀, 『인터랙션 디자인의 본질 About face4』, 에이콘출판 사, 2015, p154
19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다. 시나리오는 세 종류로 디자인프로세스의 진행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첫 번째는 사용자의 욕구를 넓은 시야에서 바라본 큰 그림을 제시하는 정황시나 리오, 두 번째는 퍼소나의 시스템 활용을 자세하게 묘사하는 주요 경로시나리오, 세 번 째는 디자인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시스템이 올바르게 제작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점 검시나리오로, 이용자를 시나리오 작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본다. 프로세스는 [그 림 1]과 같다.
3. 상해박물관 현장 조사
상해박물관은 중국 국립박물관 중 하나이며, 상해의 문화 명소로 내외국인의 관람객이 늘어 박물관 입구는 언제나 긴 줄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해박물관에 대한 데스크 리서치와 필드리서치를 통하여 얻은 정보로 시나리오 기법을 적용하여 관람객 이 관람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구현하여 분석하였다. 상해박물관의 건물은 중앙이 비어있는 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에는 중국 고대 청 동관, 중국 고대 조각관과 한 개의 임시 전시관 및 기타 대부분의 서비스 시설(안내 데 스크, 음성 가이드 데스크, 이벤트 센터, 비디오 센터, 레스토랑, 문화상품점, 물품보관 소, 휠체어와 유모차 대여 서비스 등)이 있고, 2층부터 4층에는 중국 고대 유물들이 전 시되어 있다. 상해박물관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는 두 번의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과정에서 관찰된 상황을 사진과 텍스트로 기록하였다. 1차 조사는 박 물관 전체의 서비스 상황을 조사했고, 2차 조사는 쉐도잉2) 기법을 통해 박물관 이용자 가족을 추적하여 관람 과정을 관찰했으며 관련 정보를 기록하였다.
3.1. 이용자의 이해 2018년 상해 입국 관광객 주요 관광객 순 위는 일본인 관광객 수가 940만 명으로 첫 번째이며, 두 번째는 미국인 관광객 수 로 연간 819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06% 증가하였다. 2017년보다 눈에 띄 게 늘어난 한국인 관광객은 연간 누적 686만 명으로 13.06% 늘어 3위를 차지 하였다.3) 상해박물관은 중국 국가 1급 박 물관에 속하여 상해 지역의 관광 필수코 스 중 하나로 연간 관람객이 210만 명을 넘는다. 상해박물관에는 여러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이 있지만 본 연구는 빠르게 성 장하고 있는 한국인 관광객을 핵심 이용 자인 퍼소나의 배경으로, 박물관에서 관찰
[그림 2] 이용자 ‘김교육’의 정보
2) 쉐도잉(Shadowing)은 대상자의 일상적인 생활을 가능한 눈에 띄지 않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이다. 조사자는 서 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그들의 행동과 경험을 관찰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3) soho뉴스, 2018년 상해 방문 관광객 수 순위, http://www.sohu.com/a/294872094_642249
194
Vol.1 No.1 August 2019
한 결과, 가족이나 친구를 동반하는 여행이 주를 이루고 있어 소규모 가족 관광객을 모 델로 작성하였다. 또한 박물관에서 가족 단위의 관람객으로 아이들의 문화교육과 관람 체험의 질에 대한 부모의 욕구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관람 과정에서의 경험 을 잘 보여준다. 구체적인 퍼소나의 정보는 [그림 2]와 같다.
3.2. 이용자 정황시나리오 이용자의 행위를 섀도잉으로 추적 관찰해 사진이나 문자 형태로 기록한 후 이용자 시 나리오를 작성하였다. 퍼소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정황시나리오를 묘사하였는데, 퍼소나 ‘김교육’과 딸은 남편의 중국 항저우 출장에 동행하여 귀국 길에 가족이 따로 상해를 여행한다는 배경이다. ‘김교육’은 딸의 교육에 관심이 많아 일정에 상하이박물관을 배 치하였다. 박물관을 관람하는 과정에서의 체험을 주요 경험 과정으로 묘사하였다. 시나 리오는 이용자의 경험 순으로 배열되었으며 시나리오에서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 인 경험(×)에 따라 접점 포인트를 분석하였다. 정황시나리오에서 발견한 접점 포인트 를 선별하여 다음 [표 1]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1] 아이의 교육에 관심이 많은 퍼소나 ‘김교육’의 상해박물관 관람 정황시나리오 번호
경 험 전
박 물 관 경 험 중
위치
1
한국의 집
2
출장지 ➜ 상해
3
상해박물관 외부
4
사 진
행 동 ‘김교육’은 남편의 출장 일정이 확정된 후, 상해 여행을 계획했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여 일 정과 먹을 음식을 정했다. 평소 사용하던 부킹 앱 으로 호텔을 예약했다.
분석 감정 접점포인트
내용
○
앱
예약
박물관에 도착한 후 줄을 서서 박물관 내부로 들 어갔다. ‘김교육’은 딸에게 안내판에 적힌 내용을 알려주었고, 모르는 내용은 남편이 설명해 줬다.
×
안내판
언어
로비
안내 데스크 옆의 가이드북이 한국어 버전이 없어 서 영어와 일본어 버전을 가져갔다. 가이드북은 한 번 보고는 계속 손에 들고만 있었다.
×
가이드북
언어
5
4층 소수민족 공예관
소수민족의 문화는 특별해 보인다. ‘김교육’과 딸 은 소수 민족들의 의상과 장신구에 관심이 있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
소수민족 의상
전시품
6
4층 소수민족 공예관
서양 아이들이 키오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딸도 사용해보고 싶었지만 영어와 중국어밖에 없어서 아무거나 몇 번 클릭해 보고 떠났다.
×
키오스크
언어
7
3층 회화관
동치창(董其昌)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 입구에 QR코드가 있어, 김교육은 딸에게 스캔을 해보라 고 했는데 정보가 중국어로만 나왔다.
×
QR 코드
언어
8
3층 회화관
전시장 벽에 중국의 전통 스타일 그림이 프린트되 어 있다. 기념사진을 찍고 싶어 다른 관람자에게 찍어달라고 부탁했다.
○
포스터
기념사진
9
3층 복도
딸이 너무 힘들어 해서 쉬고 싶지만 자리가 없다. 층마다 있는 휴게 벤치가 사람들로 꽉 찼다. 작은 의자를 가지고 와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
벤치
휴식구역
출장 일정을 마치고 상해로 이동하였다.
19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박 물 관 경 험 중
경 험 후
사 진
행 동
분석
번호
위치
10
3층 역대 서예관
역대 서예관에는 두 대의 멀티미디어 인터랙티브 전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딸은 이런 상호작 용 체험을 매우 좋아한다.
○
스크린
전시 시스템
11
3층 역대 도장관
해설사가 많은 사람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다. 설 명을 듣고 싶지만 중국어를 이해할 수 없다.
×
해설사
언어
12
2층 제2특별 전시장
에스컬레이터 바로 옆에 커다란 포스터가 있다. 양쪽에서 다른 그림을 볼 수 있고, 딸이 즐겁게 돌아다녔다. 딸의 사진을 찍어 주었다.
○
포스터
기념사진
13
2층 고대 도자기관
‘김교육’은 딸에게 사진을 찍어주지만 찍은 사진 은 빛이 좋지 않고 반사도 많이 있다.
×
사진
기념사진, 효과
14
2층 다실
다실에서는 동치창 전시와 연계하여 다과를 팔고 있다. 딸은 예쁜 마카롱 과자를 보고 사달라고 했 다. 가족은 다실에서 차를 마시며 휴식을 했다.
○
다과
휴식구역
15
로비 계단
계단에는 많은 사람들이 앉아 있어서 통행하기 불 편하고 ‘김교육’이 실수로 남의 발을 밟아서 미안 하다는 말을 연발했다.
×
계단
휴식구역
16
1층 데스크
1층 음성가이드 렌탈 데스크 발견. 한국어 음성가 이드를 렌트할 수 있다. 직원들과는 영어로 소통 을 하지만 태도가 좋지 않다.
×
직원
태도
17
1층 고대 청동관
청동 편종이 전시되어 있는 곳에서 연주소리가 나 왔다. 딸이 악기에 관심이 많아 연주하고 싶었다. 가까이서 보려고 하다가 유리에 머리를 부딪쳤다.
×
유리
전시품, 체험
18
1층 고대 청동관 출구
청동관 출구에 키오스크가 있는데 박물관 소개와 층별안내, 관람코스 추천이 있다. 시스템은 중국 어만으로 상세한 내용을 이해할 수는 없다.
×
키오스크
언어, 위치
19 1층 복도
스크린 벽이 있는데 전시품에 대한 소개도 있고, 좋아하는 전시품에 하트를 보낼 수도 있다. 딸이 좋아해서 함께 즐겼다.
○
스크린
전시품, 체험
20 1층 매점
한국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줄 선물을 사고 싶은 데, 선뜻 사고 싶은 것이 없다. 동양적인 패턴으 로 만든 책갈피를 몇 개 구입하였다.
×
문화상품
감정 접점포인트
21
상해박물관 옆 공원
상해박물관을 나왔다. 힘들었지만 쉴 곳이 없어 박물관 옆 공원의 벤치에서 쉬었다. 공원에서 ‘김 교육’은 가족과 함께 사진을 찍었다.
○
벤치
22
남경로 보행길
남경로에서 거리를 구경하고 저녁을 먹었다. ‘김교육’은 딸에게 중국 전통복장의 인형을 사주 었다.
○
볼거리, 음식, 기념품
내용
휴식
3.3. 문제점 도출 및 서비스 목표 시나리오에 따라 퍼소나는 상해박물관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였다. 퍼소나는 상해에서는 외국인이라는 점 때문에 박물관의 정보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문제가 많이 포착되었으 며, 관람에 시간이 소요되면서 휴식이 필요하지만 관람 인원이 많아 휴식구역에서도 많 은 인원으로 휴식을 취할 수 없다. 체험 할 수 있는 포인트를 즐기고, 중국다운 기념품 을 원하지만 오히려 박물관 밖에서 다양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196
Vol.1 No.1 August 2019
[표 2] 상해박물관의 서비스 목표 설정 분야
문제점
서비스 목표
언어
∙ 정보를 얻는 방법(키오스크, 앱, QR코드, 해설 사 등)에서 제공하는 언어의 종류가 적다. ∙ 언어 장벽은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주고, 직원 들과 의사소통하는 데 문제를 초래한다.
∙ 외국인 관람객이 내국인만큼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외국인 관람객이 순 조롭게 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정보
∙ 정보의 활용성이 낮다. ∙ 정보의 디자인이 조악하다.
∙ 관람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더 많이 제공하도록 한다. ∙ 정보의 시각적 디자인을 향상시키고 더 많은 관람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휴식구역
∙ 박물관은 비교적 많은 시간을 보내는데, 휴식 구역이 부족하다.
∙ 더 많은 관람객이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 록 한다.
기념품
∙ 관람객들은 기념사진을 찍고 싶고, 기념품을 구 입하고 싶지만 만족할 만한 것이 없다.
∙ 관람객에게 상해박물관의 특색이 있는 기념사 진을 남기도록 한다.
∙ 관람객들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원한다.
∙ 선호하는 전시품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호작용
4. 결론
시나리오는 서비스디자인에서 이용자의 세부적인 사용 과정을 서술하는 기법으로 이용 자가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디자인에서 문제점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국인 관람객인 퍼소나의 상해박물관 관람 정황시나리오의 분석 을 통해 상해박물관의 장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외국인 관광객에게 가장 큰 문제는 언어장애와 정보의 획득 방식이라는 것이 발견되었고 휴식구역의 부족과 기념사진 및 기념품의 문제점도 발견하였다. 언어장애는 정보 획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후 이러 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출된 문제점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검증하기 위한 경로시나리오 및 점검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박물관에서의 관람 경험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앨런쿠퍼, 로버트라이만, 데이비드코로님, 크리스토퍼노셀, 『인터랙션 디자인의 본질 About face4』, 에이콘출판사, 2015 송규민, 「페르소나 기반 시나리오(Persona-based Scenario)기법을 활용한 공공공간 길 찾기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0권 제1호, 2009 신유경,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프로세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https://www.shanghaimuseum.net/museum/frontend/
19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 미치는 제품 요인 연구 - 온라인 쇼핑 리뷰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product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emotions of women - Focus on online shopping reviews -
마추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Ma, Chu Hu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부정적인 감정, 온라인 쇼핑 리뷰, 리뷰조사, 데이터 Keyword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negative emotion Online shopping review,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Review survey Data
Vol.1 No.1 August 2019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 미치는 제품 요인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회와 교육의 발달로 여성 소비자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21세 기는 ‘여성의 시대’라고 언급한 것과 같이 오늘날 사회와 기업에서는 여성의 사회적 중 요성을 인식하고 있다.1) 여성은 본질적으로 남성보다 감정적으로 민감하다.2) 아시아 여성에 대한 The EIU3) 2014 조사에 따르면, 여성과 배우자의 41%는 가족을 위해 돈 을 벌며, 특히 중국 내 이 비율이 62%에 이른다. 아시아 여성의 63%는 하루에 적어도 한 번 인터넷과 서비스를 검색하며, 여성의 약 30%는 하루에 두 번 이상 탐색하다. 여 성 소비자의 80%가 일상용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한다(여성의 약 20%는 일상생활의 대 부분을 온라인으로 구매한다). 이처럼 여성 소비자는 다양한 이유로 온라인 쇼핑을 좋 아한다. 온라인 쇼핑은 저렴하고 선택의 폭이 넓으며 쇼핑 환경 접근이 더 쉽다. 또한 여성들은 자신의 일상용품뿐만 아니라 가정의 일상용품에 대한 구매 권한을 책임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에서 많은 여성 고객은 온라인 구매가 완료된 이후 상품 구매 에 대한 의견을 남긴다. 온라인 소비자 리뷰(온라인 구전 EWOM; electronic word of mouth)는 소비자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소비자의 의견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고 감정적 가치와 부정적인 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 여성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여성 소비자 감정의 부정적인 요인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이해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고찰하였다. 둘째, 온라인 쇼핑 리뷰를 통한 여성 소비자 감정의 부정적인 요인 조사를 위하여 많은 데이터 웹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데이터 질의에 따르면(invespcro.com)4), 글로벌 온 라인 쇼핑 국가의 톱 10순위(2018년 아시아에서 1위는 중국이다) 이다. 셋째, 온라인 쇼핑 시장의 다양한 상품 중 설문조사를 통하여 표본 상품을 선정하였다. 선택 기준은 여성 관심도 순위를 대상 표본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의 감정 적 부정적인 요인을 겨냥하기 때문에 여성의 관심이 높은 제품을 선정하는 것이 연구 의 의의이다.
1) Megatrends, John Naisbitt, 1982 2)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American,John Gray,1993. 3)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EIU) 2014 The Economist Group 4) https://www.invespcro.com/
19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넷째, 연구의 신뢰도 와 타당성을 위해 표본상품들 의
온라인
(opinion
쇼핑
플랫폼에서
mining)5)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통해 1년 동안 콘텐츠
가 있는 소비자 리뷰를 수집하고 키워드를 발굴하였 다. 수집된 데이터를 KJ 방법으로 분류(긍정적인 및 부정적인). 그런 다음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 g)6) 방법을 사용하여 부정적인 요인을 통계 분석하 였다. 연구 프로세스의 체계는 [그림 1] 과 같다. [그림 1] 연구 프로세스
2. 이론적 고찰
2.1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는 선행 연구자들의 문헌을 통해 [표 1]과 같이 찾아볼 수 있다.
2.2. 선행연구 방법론 고찰 선행연구는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 요인”을 키워드 RISS, KISS, DBpia 등 웹사이트 논문 검색하여 나타난 1000편 논문 중 관련도가 높은 여섯 편의 논문의 연구 방법은 [표 2] 과 같다. [표 1]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 출처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
Schwarz, Clore (1996)
부정적인 감정은 사람들의 정서적 태도 정보의 원천이다.
Eckman (1999)
부정적 감정에는 다음과 같은 8 가지 증상이 포함: 분노, 번뇌, 공포, 초려, 매듭, 무관심, 절망.
Pam (2013)
개인이 이벤트나 사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쾌감이나 불행한 감정을 말다.
Zein, Wyatt, Grezes (2015)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도록 도와 줄 수 있다. 특히 부정적인 감정은 위협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어있다.
Shaver Phillip (2018)
“부정적인”것으로 정의되는 이유는 이러한 종류의 정서적 경험이 긍정적이지 않고 불편하며 심한 경우 일상 생활과 일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표 2] 관련 논문 고찰 연구주제
연구자
측정방법
한류(韓流) 제품의 여성 취향의 디자인 요소 분석
윤민희 (2010)
빅 데이터 분석 설문조사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백현미, 데이터 마이닝 안중호, 하상욱 오피니언 마이닝 (2011)
명품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제품속성과 명품성을 중심으로
임중식, 고인곤 (2015)
설문조사 SPSS분석
신제품의 소비자 수용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상혁, 고종욱, 조성복 (2008)
설문조사 KJ방법
온라인 쇼핑 초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품유형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윤동기 (2012)
설문조사 빅 데이터 분석
가전제품의 제품 및 서비스 최효선, 박근량, VOC자료 수집 요인에서 사용자 구매요인 반상우, 윤명환 인터뷰 및 구매 만족에 관한 연구 (2008) AHP 기법
5) Lee, D., Jeong, O. R., and Lee, S. G. (2008). “Opinion Mining of Customer Feedback Data on the Web,”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pp. 230-235. 6) 백현미, 안중호, 하상욱.(2011).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
Vol.1 No.1 August 2019
3. 연구 프로세스
본 연구는 중국의 주요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인기 있는 순위에 100개의 일상 제품 을 선별했다. 그리고 WJX.cn 설문 조사 플랫폼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에 참여한 여성 이 100 개의 제품 중에서 관심이 가장 높은 5개의 제품을 선택하다. 설문 조사에 참여 한 여성들은(광동성,산둥성,허난성,후베이성,후난성,지린성,지앙쑤성,광시성,쓰촨성,저장 성,허베이성,톈진 성,랴오닝성,하이난성,산시성,섬서성,상해직할시,내몽골성,안후이성,푸 젠성,구이저우성,충칭직할시,국외). 조사 된 505명의 여성 중에서,20~30살 여성 160명(31.68%), 30~40살 여성 125명(24.75%), 40~50살 여성105영 (20.7%), 50살 이상여성 115명 (22.77%).WJX.CN 설문 조사 플랫폼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조 사에 참여한 505명의 여성 중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인 상위 5개 제품: 세탁기(115명 22.77%), 냉장고(110명 21.78%), 화장품파우치(110 명21.78%), 침대(100명 19.80%), 착즙기(95명 18.81%). 아래 [표 3], [표 4] 과 같다.
[표 3] 연구 대상 정보
[표 4] 대상 제품
[그림 2] 2018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 판매 순위
연구 샘플을 결정한 후 다음은 중국에서 가장 영향도가 높은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선 정하였다. 이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온라인 쇼핑 시장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 므로 중국에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많아서 대표적인 절대적 플랫폼을 선택하기 위해 빅 데이터 웹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 질의(emarketer.com)7)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림 2] 2018년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판매 순위에서 Alibaba 플랫폼은 중국에서 총판 매량의 58.2 %를 차지하여 1위를 차지하다. 이 연구는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7) eMarketer inc. https://www.emarketer.com/
20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서 대상 제품에 대한 소비자 논평 연구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2018년 중국 온라인 쇼 핑 플랫폼 판매 순위에서 Alibaba 플랫폼은 중국에서 총판매량의 58.2 %를 차지하여 1위를 차지하다. 이 연구는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대상 제품에 대한 소비자 논평 연구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3.2. 표본 상품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각 대상 제품의 인기도 또는 브랜드 인지도를 토대 로 세 가지 대표적인 제품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대상 제품에 대한 소비자 리뷰를 수집 하여 키워 드를 추출하고 분류이다.
3.2.1. 세탁기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Haier,, SIEMENS, Midea. 다음으로, 세 가지 브랜드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 제품에 대한 온라인 쇼핑 리뷰 분석이 수행됬었다. 총 667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조사내용은 다음 [표 5], [표 6] 과 같다. [표 5] 세탁기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표 6] 세탁기 온라인 쇼핑 리뷰 분석
3.2.2. 냉장고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SIEMENS, Haier, Midea. 총 608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조사내용은 다음 [표 7], [표 8] 과 같다.
202
Vol.1 No.1 August 2019
[표 7] 냉장고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표 8] 냉장고 온라인 쇼핑 리뷰 분석
3.2.3. 화장품파우치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FASHION INDEX, BUBM, Beauty Artisan. 총 533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조사내용은 다음 [표 9], [표 10] 과 같다. [표 9] 화장품파우치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표 10] 화장품파우치 온라인 쇼핑 리뷰 분석
20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4. 침대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QuanU, LandBond, QM. 총 667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조사내용은 다음 [표 11], [표 12] 과 같다. [표 11] 침대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표 12] 침대 온라인 쇼핑 리뷰 분석
3.2.5. 착즙기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Joyoung, Midea, SUPOR. 총 631개의 리뷰 이 수집되었다. 조사내용은 다음 [표 13], [표 14] 과 같다. [표 13] 착즙기 온라인 쇼핑 리뷰 조사
204
[표 14] 착즙기 온라인 쇼핑 리뷰 분석
Vol.1 No.1 August 2019
3.3. 데이터 요약 위 제품들의 대상으로 온라인 쇼핑 리뷰의 [표 15] 부정적인 요인 데이터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수집하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표 15] 부정적인 요인을 추출하 였다. 모든 대상 제품에 대한 소비자 리뷰의 합계 는 3,106개였으며 그중 991개가 부정적인 리뷰로 전체의 31.90%를 차지하였다. 부정 적인 요인으로 추출된 키워드는 총 9가지로 전문성, 디자인, 용량, 소음, 가격, 냄새, 브 랜드, 편리, 품질로 나타났다. 이 중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전문적이지 않은 애프터서 비스 이며, 비율 2위와 비율 3위는 좋지 않은 외관 디자인과 용량이 부족, 이 둘 사이 의 데이터 격차가 적은 반면 이들은 비율 1위와의 데이터 격차가 매우 크며, 제품의 디 자인과 용량에 비해 중국 여성 소비자들은 제품의 애프터서비스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율 4위(소음이 크다) 부터 비율 7위(브랜드 신뢰도가 낮다)까지 의 데이터 격차는 크지 않은 반면 비율 8위(편리하지 않다)과 비율 9위(불순물이 있다) 백분율 데이터는 앞의 요인에 비해 낮은 편이다. 중국 여성 소비자들은 제품의 소음, 가격, 냄새, 브랜드에 대한 관심은 비슷하지만 제품의 편리함과 품질에 대한 관심은 상 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결론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관심이 높은 제품을 선택하 여, 이들 제품에 대한 온라인 쇼핑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리뷰를 수집하고 의견에서 키 워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다섯 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제품에 대한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쇼핑 소비자 리뷰에서 여성 소비자에게 나타나는 9가지 부정적 영 향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 데이터는 소비자 리뷰에서 긍정적인 리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지만, 저는 현재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 연구가 너무 많고, 부정적인 감정이 여성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제품의 부정적 영향에서 여성 소비자들의 부정적 정서를 개선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위의 수치에 따르면, 제품의 애프터서비스가 중국 여성 소비 자들에게 가장 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냈다. 아마도 중국 제품 회사들은 제품 디자인보다 제품의 애프터서비스 개선을 더 필요로 할 것이고 그래야 여성 소비 자들에게 더 나은 환경과 경험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수집된 온라인 쇼핑 리뷰는 익명 으로 되어 있으며 데이터 연구 평가에는 일정한 제한이 있다. 둘째, 중국의 온라인 쇼 핑 시장이 너무 커서 제품 유형이 많아서 제품 선택 프로세스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20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Donald·A·Norman.(2003). Emotional Design. Lee, D., Jeong, O. R., and Lee, S. G.(2008). “Opinion Mining of Customer Feedback Data on the Web,”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pp. 230-235 John Gray.(1993).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 JohnNaisbitt.(1982). Megatrends. 윤민희.(2010). 한류(韓流) 제품의 여성 취향의 디자인 요소 분석. 백현미, 안중호, 하상욱.(2011).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윤동기.(2012). 온라인 쇼핑 초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품유형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백현미, 안중호, 하상욱.(2011).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6
Vol.1 No.1 August 2019
‘제3의 공간’ 개념의 현대서점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쿄의 GINZA TSUTAYA BOOKS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Bookstore Design in ‘The Third Place' Concept’ - Focused on the Ginza Tsutaya Books in Tokyo -
우 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Wu, L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제3의 공간, 현대 사점, 라이프스타일 숍, 디자인 Keyword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The Third Place, Modern bookstore, Lifestyle store,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Desig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제3의 공간’ 개념의 현대서점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경제와 정보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배경 아래, 우리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가 나타났는데, 이는 시대에 따라서 발전하고 또다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늘 날, 삶의 질이 향상되어, 사람들의 소비욕구가 커지고 다양화되었다. 이에 뒤따라 소비 공간도 변하면서,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종합적이고 다양하게 발전 하여, 일상생활에 바쁜 현대인들이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편안해 질 수 있는 제3의 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제3의 공간은 이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점에 따라 극장, 공원, 도서관, 헬스클럽, 종교 시설을 비롯한 우리의 생활공간 및 인터넷상의 가상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현대에 와서 유희적 소비가 확산되고 제3의 공간개념을 적용한 마케팅이 보편화되면서 쇼핑 시설, 미용실, 음식점과 같은 대부분의 소비 공간이 제3의 공간화 되었다. 즉, 현대인들은 소비 생활을 향유하며 여가시간을 보내고 여가 소비의 공간으로 제3의 공간을 선택한다.1) 제3의 공간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한 공간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최근 변화되고 있는 서점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Richard Florida는 “창조 계급은 보다 유기적이고 토착적인 거리 수준의 문화에 끌린다.”라고 말하며, 그 거리에는 미술화랑, 서점, 소규모 극장, 라이브 음악 공간, 찻집, 스튜디오 등이 자리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오늘날 플로리 다가 사례로 삼은 미국에서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새롭게 등장하는 거리의 서점들은 기존의 서점들과 구분되는 제3의 공간으로 서의 공간성을 보이고 있다.2) 우리에게 서점이란 지식과 정보의 집합체로서 다양한 지식을 전달하는 미디어, 커뮤니 케이션, 장소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사람과 만남의 장소로 활용되어지는 매개 체적인 장소이다. 서점은 문화적 속성 때문에, 지식을 전파하는 문화적 공간이자 사람 들이 교류하는 사교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외에, 서점의 존재와 그것의 끊임없는 최적 화는 독자들의 욕구를 존중해 나타난다. 서점은 도시의 제3의 공간의 중요한 구성 부분 으로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서점의 본질적인 기능과 카페의 기능을 결합해 새로 운 문화적 공간으로 탈바꿈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3) 본 연구는 제3의 공간으로서의 현대 서점공간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현대 서점공간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을 중점으로 주목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대 서점 공간을 탐 구하고, 현대 서점공간의 디자인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여, 현 대인의 욕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제3의 공간인 라이프스타일 숍 내부공간의 특징과 서 점의 이상적인 공간 구성방법에 대한 분석, 제3의 공간과 라이프스타일 숍의 관련 특성 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현대 서점의 디자인 특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1) 문근이, ‘제3의 공간’으로서 카페의 공간 연출 전략, 건국대학교, 2014, p.2 2) 송하원, op.cit, p.16 3) 이완희, 일본 츠타야 T-SITE의 마케팅 전략과 방법을 적용한 서점공간디자인, 건국대학교.2018, p.2-7
208
Vol.1 No.1 August 2019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1. 연구의 범위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가장 먼저 제3의 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제3의 공간의 발전과 변 화에 대해 정리를 하고자, Ray Oldenburg, Christian Mikunda, Howard Schulze, Henri Lefèbvre, Edward Soja 및 김수근 등 6명의 학자들의 제3의 공간 개념과 정 의에 대한 문헌조사와 스타일 숍의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 자료에 대한 정리를 진행하 여 본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사례 연구의 범 위를 한정하였다. 본 논문은 도쿄의 대표적 서점으로 2017년 개장한 GINZA TSUTAYA BOOKS을 주 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서점을 연구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 상업시설 공 간과 함께 운영되고 있는 서점이며, 둘째, ‘서점+’의 복합화 운영모델로, 도서 외에도 커피, 문화 창작제품 등 업무 경영 방식의 요소들이 있어, 공간은 풍부한 확장성을 가 지고 있다. 셋째, 문헌 검색과 사례에서 다섯 번 이상 언급되었기 때문이다. 넷째, 제3 의 공간의 개념과 부합되며, 제3의 공간과 라이프스타일 숍의 특징이 명확하게 나타나 고 있었기 때문이다.
1.2.2. 연구의 방법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로 제3의 공간 개념, 라이프스타일 숍 개념 및 평가요소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여, 본고를 위해 실용적인 이론적 기초로 삼는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 해 상호작용성, 개방성, 다양성, 편안성, 상징성, 문화성 6가지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현장조사로 GINZA TSUTAYA BOOKS의 개념, 기능, 구성요소, 유형 등에 대 해 전체적인 이해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도출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논문답사를 통해 여기에 제3의 공간의 접목해 포괄적인 분석을 하고, 최종적으로 상호작용성, 개방성 등 공간적 특성을 추출 해 서점의 공간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연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제3의 공간 19세기에 들어 이미 자리를 잡게 된 ‘제1의 공간’은 집주인만의 미학적 가치를 지닌 주 거 공간의 개념을 의미한다. 1960년대에 들어서 등장한 ‘제2의 공간’이라는 개념은 작 업환경이 근로의욕을 북돋운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일터가 또 다른 거주 공간으로 인식 되면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0년대 들어서 대중적인 시설을 개인의 공간 처럼 안락하고 편안하게 느껴지는 내 집과 같은 공간으로 연출하고, 체험을 중요시하는 체험 마케팅이 확산되면서 ‘제3의 공간’ 개념이 자리 잡았다.4) 4) 冯静, 甄峰, 王晶, 西方城市第三空间研究及其规划思考[J], 国际城市规划,2015,30(05):16-21, p16.재정리
20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제3의 공간은 기본적으로 복합적인 특성을 가진 공간으로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기 어려우며, 아직까지 제3의 공간의 유형을 명확히 분류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Ray Oldenburg, Christian Mikunda, Howard Schulze, Edward Soja, 김수근, Henri Lefèbvre의 제3의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3의 공간(The third space)’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2.2. 라이프스타일 숍 라이프스타일이란, 개인이 속해 있는 환경·문화·사회와 상호적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형 성되는 독특한 생활양식과 가치관, 사고방식과 문제 해결 방식 등을 총체적으로 아우르 며 각 개인의 개성과 특수성을 담고 있다. 또한 이는 개인의 소비행동과 생활유형에도 밀접한 영향을 주는 중요한 특성이다. 이를 종합 해 보면 라이프스타일은 인간의 가치관, 생활 태도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생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표1] 라이프스타일 숍의 공간 구성 의식주 공간
이벤트 공간
추가 공간
패션, 잡화, 카페, 식품 가구, 생화 용품
전시회, 위크숍 퍼포먼스, 팝업 스토어 등
그린, 플라워샵, 도서, 음반, 문구, 뷰티 등
2.3. 서점(bookstore) 서점이란 사전적 의미로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라는 의미이다.5) 서점경영 자는 상행위를 한다는 점에서는 상인일 수밖에 없으나, 1959년 런던에서 개최된 제1회 국제서적상인대회에서 채택된 결의문처럼 가치 있는 정신문화재의 선택보급 장려라는 주된 목표를 실천하는 정신적 중개자이기 때문에 다른 직업과 구별된다.6)
3. 제3의 공간 개념으로서의 현대서점 특성 도출
3.1. 제3의 공간 제3의 공간 특성은 제3의 공간의 개념 및 정의에 기초한 것으로 연구자에 따라 강조하 는 특성이 다르며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2]과 같다. [표 2] 제3의 공간의 특성 연구자 특성
레이 올덴버그
상호작용성①
◉
비생산성
◉
개방성
◉
크리스티안 하워드 슐츠 미쿤다 ◉
5) 이완희, op.cit, p4 6) 이두영, 출판상황론, 청한, 1991, p182
210
◉
김수근
앙리 르페브르
에드워드 소자
빈 도
◉
◉
◉
6 1
◉
◉
◉
4
Vol.1 No.1 August 2019
연구자 특성
레이 올덴버그
크리스티안 하워드 슐츠 미쿤다
김수근
앙리 르페브르
에드워드 소자
빈 도
창조성
◉
1
가변성
◉
1
유희성
◉
복합성
◉
다양성
◉
◉
◉
◉
편안성
◉
◉
◉
◉
◉
◉
3 1
편의성
◉
평등성
◉
체험성
◉
◉
4 1
◉
2 1
◉
비일상성
5
1
이상 연구자들의 개념의 정리를 통해 제3의 공간의 연구를 상호작용성①, 비생산성, 개 방성, 창조성, 가변성, 유희성, 복합성, 다양성, 편안성, 편의성, 평등성, 체험성, 비일상 성등 13개 특성를 바탕으로 분석했다.13개 특성에서 상호작용성①, 개방성, 유희성, 다 양성, 편안성, 평등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2. 라이프스타일 숍 연구자들은 선행연구와 이론고찰을 통해 2006년부터 2018년까지 라이프스타일 숍과 관련된 문헌를 정리하고, 라이프스타일 숍의 실내 표현 특성을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 요약하였다. [표 3] 선행연구별 라이프스타일 숍 공간특성 구 분
문태균
김희연
김소연
유 연
이지수
상호작용성②
◉
◉
◉
◉
◉
다차원성
◉
접근성
◉
◉
복합성
◉
◉
서연림
빈 도 5 1
참여성
◉
상징성
◉
연속성
◉
◉
◉ ◉
4 ◉
◉
5 1
◉
◉
◉
4 1
연결성
◉
1
집합성
◉
1
독립성
◉
1
체험성
◉
1
문화성
◉
1
선행 연구 논문의 통계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숍의 연구를 상호작용성②, 다차원성, 접 근성, 복합성, 참여성, 상징성, 연속성, 연결성, 집합성, 독립성, 체험성, 문화성등 12개 특성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12개 특성에서 복합성, 상호작용성②, 접근성, 상징성이 차 지하는 비율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3. 제3의 공간의 현대 서점(bookstore) 표현 특성 도출 또한, 서점 자체가 가져오는 문화적 속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자는 문 화성이라는 이 특성을 추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체험식 경제가 도래하면서 서점 도 다원화된 경영방식을 모색하며 체험식 비즈니스 모델로의 이행과 발전으로 향하고 있어, 연구자는 체험성이라는 이 특성을 추가해 사례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성①, 개방성, 다양성, 편안성, 평등성, 유희성, 복 합성, 상호작용성②, 접근성, 상징성, 문화성, 체험성의 열두 가지 특성으로 제3의 공간 인 현대 서점에 대해 사례분석을 전개하고자 한다.
4. 현대 서점 사례 분석
4.1. GINZA TSUTAYA BOOKS의 개요 TSUTAYA BOOKS은 항상 시대 발전의 흐름과 목표층의 특징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 비자들의 독서 체험을 중시해 왔다. 또한, 모기업 CCC(Culture Convenience Club)가 가져오는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을 포인트를 적립하는 방식을 구축하였고, 서점의 운영업체의 발진과 변화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표 4] GINZA TSUTAYA BOOKS의 개요 GINZA TSUTAYA BOOKS 개 요
긴자의 TSUTAYA BOOKS는 책으로 예술, 일본 문화와 생활을 연결하며, 고객을 위해 “예술이 있는 생활”을 제공한다. 카페 및 갤러리가 마련되어 있어, 예술품을 감상하거나 예술 서적을 보면서,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위 치
도쿄 GINZA SIX 6F
규 모
면적 : 700평
운영시간
10:00~22:30
년 도
2017
사진
4.2. GINZA TSUTAYA BOOKS의 공간 구성 및 내용 책·영화·음악 등 컬쳐 콘텐츠를 중심으로 생활을 제안 하는 상업시설. 제1 구역: 잡지, 문예, 건축과 디자인, 사진, 일본미술, 서양미술, 예술, 문구, VINTAGE BOOK, 대형 BIG BOOK. 제2 구역: 일본문화의 도쿄, 민속, 생활, 예능 네 가지 큰 방향을 포함하는 일본문화 전문구역.
212
[그림 1] GINZA TSUTAYA BOOKS의 평면도
Vol.1 No.1 August 2019
4.3. 제3의 공간의 특성 4.3.1. 상호작용성 ① 공간 내에 진열된 예술품들은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서점 내 스타벅스의 휴식존은 소비자들에 게 휴식과 사고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자아의 내적 요구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전체 공간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복도공간은 외부의 환경을 내부로 끌어들이고, 그로 인 해 시시때때로 변화하는 공간을 체험한다.
4.3.2. 개방성 관통감 있는 공간디자인으로, 도서와 카페코너 사이에 는 벽이 없고, 중정은 햇빛이 드는데, TSUTAYA BOOKS는 이곳을 갤러리 공간으로 설치해, 문화예술 과 관련된 행사를 연다. 서점 입구에는 유리벽을 설치해, 1층 중정에서 서점의 내부를 볼 수 있어 거리감이 없다.
4.3.3. 다양성 서점의 업무 경영 방식은 다양하며, 책 이외에 영화, CD, 커피 등도 있다. 소속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점포 운영 모델을 정 한다. 책의 각 진열대는 설계가 매우 정교하며, 다양한 구역 에 정성스럽게 선정한 서적들을 전시하고 있다.
4.3.4. 편안성 ‘집’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낮은 천장판을 사용했는 데, 이렇게 하면 고객들에게 더 개인적인 분위기를 제 공할 수 있다. 빛은 따뜻한 색조를 위주로 한다.
4.3.5. 평등성 모든 독자들은 평등하게 서점을 이용할 권리를 가지 며, 이 평등한 정보공간에는 신분상의 차이가 없다.
21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3.6. 유희성 운영의 중심을 “예술” 분야에 두고, 핵심 이념은 “Art of Living”으로, 예술형 서점, 카페, 전시홀, 활동장소 로 구성되며, 소비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예술 플랫폼 을 창조한다.
4.4. 라이프스타일 숍의 특성 4.4.1. 상호작용성 ②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그림 전시 행사와 전문 서적 구 매 도우미의 안내, 그리고 스타벅스 휴식존의 편안한 체험은 소비자와 상품 및 도서의 교류를 더 친밀하게 하고, 소비자들이 머무는 시간이 더 늘어나 자연스럽 게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4.4.2. 상징성 <삶을 위해 제안하는 서점>이라는 컨셉과‘예술을 살리 자’는 취지로, 예술과 패션정보의 발신지 T Card와 회원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데이테 베이스를 활용 하여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4.4.3. 접근성 스타벅스에는 예술 경매형 기록과 예술 잡지의 책꽂이 와 예술벽이 진열되어 있다. 카페 내 책꽂이에 있는 책 은 모두 자리로 가져가 읽을 수 있다. 커피를 마시면서 책을 읽는 편안함을 조성한다.
4.4.4. 복합성 여러 가지 서적 외에도 CD, DVD, 문화창의제품, 커 피 그리고 애완동물 미용, 카메라 전문점과 식당 등 많 은 시설들이 있다. 심지어는 공원녹지까지 개발해 이 곳은 이미 서점을 뛰어넘는 문화생활 공간이 되었다.
4.4.5. 문화성 6만권의 책과 잡지를 모아, 전 세계에서 사진, 건축, 패션, 일본 문화 등의 예술책이 가장 잘 갖춰져 있는 서점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14
Vol.1 No.1 August 2019
4.4.6. 체험성 어린이가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생활 체험 의 공간을 만들고, 소수 독자를 대상으로 특색 있는 공 간을 만들며, 다양한 업종을 통해 독자들에게 책과 관 련된 생활공간을 제공하고 그들에게 인터넷 서점과 디 지털 자료가 제공할 수 없는 다양한 감성적인 체험을 가져다준다.
4.5. 특성 요소 분석 [표 5] GINZA TSUTAYA BOOKS의 특성 요소 분석표 제3의 공간 구 분
정 도
5. 소결
라이프스타일 숍
상호 상호 작용성 개방성 다양성 편안성 평등성 유희성 복합성 작용성 상징성 접근성 문화성 체험성 ① ② ●
◎
●
●
◎
●
●
●
●
●
●
◎
TSUTAYA BOOKS을 대표로 하는 사례에서 서점들은 각자의 방식으로‘제3의 공간’으 로서 공간성을 구현하고 있다. 첫째, 이곳에서는 모두 서점을 핵심으로 다원적 운영방식을 전개하는 회사의 구조를 이 루며, 과거 오프라인 서점과는 다른 길을 걷기를 원한다. 둘째, 고객의 수요를 핵심으로 하는 경영이념을 결합하고, 인터랙티브 체험을 강조하며 고객이 중시된다는 느낌을 받고 점성이 생기기를 바란다. 셋째, 매장의 포지셔닝을 명확히 하여 목표 고객층을 정하고 이윤을 확보한다. 넷째, 미학 스타일의 건축 디자인으로 각 매장을 만들어 고객이 더 오랜 시간 머물 수 있도록 하여 소비 가능성을 늘리려는 의도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대량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각의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그러므 로, 성공적인 오프라인 서점은 사실 많은 복잡한 운영 이념과 모델이 숨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시대의 발전 구도 아래에서, 현대 서점이 독서와 문화를 둘러싸고, 라이프스타 일이라는 이 방향으로 더 많이 뻗어나가면 독서를 좋아하고 생활의 질을 높이려는 소 비층에게 더 많은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점에 대해 말하자면, 서점은 자 신만의 특색으로 주변과 고정된 독자층과 친근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 그 리고 사람과 문화를 연결하고 나아가 사람과 생활을 연결하고 마지막으로 사람과 사람 의 연결을 실현해야 한다.
21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송하원, 제3서점의 내부 동학에 관한 연구-<퇴근길 책한잔>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 학교, 2017 문근이, ‘제 3의 공간’으로서 카페의 공간 연출 전략, 건국대학교, 2014 이완희. 일본 츠타야 T-SITE의 마케팅 전략과 방법을 적용한 서점공간디자인. 건국대 학교.2018 张京祥, 西方城市规划思想史纲 [M]. 南京 : 东南大学出版社, 2005
216
Vol.1 No.1 August 2019
HMD디자인을 위한 기술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HMD Design
향가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옥(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Xiang, Ke Xi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o, Jeong U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HMD, VR기술, VR게임 Keyword
HMD, VR Technology, VR Game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HMD디자인을 위한 기술 발전방향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VR 기술을 모두 Virtual Reality라고 한다. 이 기술은 컴퓨터 기술, 멀티미디어 기술, 네트워크 기술, 시뮬레이션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의 융합 기술이다. VR기술의 목적은 근본적으로 사람과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의 상호작용 방식을 사실적인 몰입감 를 제공하는 것이다.VR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량의 신흥 산업도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 다. VR 기술은 HMD제품을 통해서 보급화와 상용화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 HMD의 디자인 방향을 위한 VR기술 측면 발전사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HTC, Oculus 및 Sony의 세 가지 소비급 헬멧 모니터의 잇따른 판매로 2016년 ‘VR 원년’으로 공인된다. 그 이후로도 각종 소비급 VR 헬멧 모니터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최대 1,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VR기술은 컴퓨터, 스마트폰에 이어 인터 넷 혁명을 일으킬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시간축을 단서로 시중에 나타난 모든 HMD 분석하고, VR 기술 발전 단서를 정리해 VR 기술 발전 방향을 예측할 것이다.
2. 서슬 내용적 배경
2.1. VR 기술 발전사 현재까지는 VR발전사는 5단계로 구분되었다 개념 맹아기, 기술 맹아기, 기술 축적기(积累期), 제품 교환기, 제품 푹발기. 1. (1932-1956)개념 맹아기 1932 영국 소설가 Aldous LeonardHuxley의 소설 “아름다운 신세계”에서 “가상현실”이라는 단어가 처음 나타났다 2. (1956-1972)기술 맹아기: 기술 제한 인해 가상 현실은 여전히 원형기 단계
1. 1957-62년 Morton Heilig는 Sensorama를 연구하고 발명했으며, 이것은 3D 영상을 투사하여 소리, 진동, 심지어 냄새와 바람 효과를 입체적으로 감출 수 있는 간단한 3D 디스플레이다. 2. 1963년, Hugo Gernsback은 Life 잡지에서 Teleye glasses를 검토했다.이 단어는 TV+눈+안경으로 이루어 져 있다는 뜻이다. 3. Ivan Sutherland는 1969년에 The Sword of Damocles을 개발했다. 이 장비에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218
Vol.1 No.1 August 2019
3. (1973-1989)기술 축적기: 전체 가상 기술 이론과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
1. Jaron Lanier는 1984년에 Eyephone을 출시했다. 2. Eric Howlett은 LEEP 기술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세 가지 Cyberface 장비를 선착순 출시했다. 3. 1983년 미국 항공우주국은 VIVED VR를 개발하였다. 4. (1990-2012)제품 교환기: 가상현실 기술 이론의 보완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의 단계
90년대에 이르러서, VR열은 첫 물결의 전세계적인 확산을 열었다. 1. 1991년 등장한 ‘Virtuality 1000CS’라는 VR 헬멧은 VR 제품의 단점을 잘 보여준다 2. 1995년, 닌텐도는 게임 산업을 겨냥해 Virtual Boy를 출시했다 3. Philips Scuba RV는 필립스사가 1997년에 출시한 장비이다. 5. (2012-2019)제품 푹발기: HMD제품 푹발적으로 출시한 단계
2014년에, 각 회사들은 자신들의 VR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다.주로 3가지 제품을 구분되었습니다. 1. 컴퓨터에 맞춰야 하는 Oculus Rift, HTC Vive,SONY PSVR등 HMD를 대표함. 2. Cardboard 및 같은 제품:스마트폰을하나의가상현실 로 만드는 원형 디바이스 체험 효과는 엔트리급에 불과하다. 3. 한드폰에 맞춰야 하는 제품:GEAR VR 및 유사 제품. 4. VR 복합기:OCULUS GO
5단계의 변화과정에 따라 VR,HMD기술의 발전방향을 다음과 같다. 1. 혁신적인 눈추적 기술-인기교호 방식 변화할 것이다. 2. VR-AR-MR. 즉 최종 목표는 현실을 가상과 중첩할 것이다. 3. 플랫폼 조작(cross-platform) 4. 개인화된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이 개발. 5. 데이터 의류, 장갑.
3. 결론
VR의 최종 목표는 오감 즉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그리고 균형감각 등의 감각 정보 제공함으로써 “실제 현실 세계와 같은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이런 VR기술의 발전사를 통해서 앞으로 HMD의 발전 방향은 작고 가벼우며 무선화 될 것이며 데이터 장갑과 데이터복도 미래 연구의 중요한 방향이 될 것이다 또한. 설비 원가가 낮아지고, 컴퓨터에 대한 의존도도 감소할 것이다.
21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http://www.iheima.com/article-156475.html http://www.sohu.com/a/166641915_589398 http://vr.yesky.com/182/108377182all.shtml 방준성, “VR/AR 게임기술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Vol.31 No.1 2016 김석태, Kim,,Seok-Tae,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Vol.20 No.4, 2016
220
Vol.1 No.1 August 2019
CPTED에서의 빅 데이터 발전하는 자연적 감시 원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Big Data on Natural Surveillance Principle in CPTED
류 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u, He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환경, 자연감시, 빅 데이터 Keyword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CPTED, Environment, Natural Surveillance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Big Data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CPTED에서의 빅 데이터 발전하는 자연적 감시 원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오늘날까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이론은 세계 각 나라에서 광범위하게 응 용되고 있으며, 우리 일상생활의 각 방면에서 나타난다. 반세기 동안 도시 각 환경에서 의 발전과 응용도 점점 더 성숙해졌다. CPTED이론의 자연적 전략(Natural Strategy) 은 과거의 기계적이고 조직적인 전략보다 더욱 두드러졌다. ‘거리의 눈’으로 묘사한 자 연적 전략의 자연적 감시 개념은 Jane Jacobs의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에서 제기한 것이다. 이후 학자들의 관련 연구와 창의적 노력으로 자연적 감시의 중요성은 두드러지게 되었다. 자연적 감시의 개념은 CPTED 관련 종사 자와 시민들이 공공공간에 대한 사용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과 같은 빅 데이터 기술 응용 시대의 배경 아래에서 사용자 네트워크, 스마트폰 과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은 시각성에만 영향을 미친 게 아니라 우리의 더 많은 감각 기 관에 영향을 미쳤다. 빅 데이터와 과학 기술의 발전은 이미 우리 생활환경에 대한 이해 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빅 데이터 기술 응용의 발전이 CPTED 이론의 자연적 전략 중 자연적 감시 원리 및 범죄예방의 설계 방법에 일으킨 관련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우선 본 연구는 CPTED이론 고찰에 선행 연구를 진행한 후, ‘거리의 눈’인 자연적 감 시 원리를 토대로 빅 데이터 기술 응용과 사람들 생활 방식의 변화가 자연적 감시 원리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스위스 KTH 국제세미나에서의 전문가 및 학자의 프로그램 사례들을 분석 하여 빅 데이터와 응용 기술의 결합이 CPTED의 발전과 범죄 예방의 설계 방법에 일 으킨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2. 이론적 고찰
2.1. CPTED 이론 배경1) 1960년 초에 제이콥스(Jane Jacobs)는 뉴욕에서 살 때 쌓은 경험에 근거하여 그 때의 도시 계획 그리고 재건이론에 대하여 비판하였다. 그는 출판한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란 책에서 그 당시 도시의 특성, 도시가 다양화 할 때 필
1) Jane Jacobs, The Life and Death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61, pp.3~28, 赵秉志(Zhao, Bingzhi), 金翼翔(Jin, Yixiang), CPTED理论的历史梳理及中外对比, 青少年犯罪问 题, 第3期, 2012, pp.34~38에서 선행연구 통하여 연구자가 정리, 재인용
222
Vol.1 No.1 August 2019
요한 조건, 도시에서 쇠퇴하는 세력, 그리고 도시에서 새롭게 바뀌는 세력, 및 도시 문 제에 대한 분석함으로써 도시 문제를 해결할 때마다 대응하는 대비책을 탐구하였다. 또한 거주자와 물리적 환경, 이웃 동네 등의 주거 환경과 범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최초로 CPTED 개념을 주장하였다. 1970년대 C. Ray Jeffery는 범죄학의 입장에서 그 당시 미국 범죄학 연구는 단순한 사회학 모식을 나타나며, 이 단일한 연구 모식을 돌파하고 범죄학에 대하여 교차 학과 의 연구를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와 동시에 환경에 범죄를 일으킬 수 있는 유인이 가득하다면 이 환경은 사람들에게 범죄 행위를 배우기에 도움이 되며, 그래서 이런 환경에서 많은 범죄행위가 나타나고 이따위 범죄행위가 거꾸로 사람들에게 범죄 행위를 배우게 한다고 판단하였다. Oscar Newman은 ‘방어공간(Defensible Space)’ 이라는 책에서 방어공간은 자신을 방어하는 사회적 구조물을 물리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범죄를 방지하는 것으로 어떤 지역의 물리적 특성을 강화(방어공간을 강화)하면 지역주 민과 잠재적인 범죄자 모두에게 그 지역이 소유자가 있고 관리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 내어 결국은 범죄를 예방하게 된다고 하였다. 비록 두 학자의 학술적 관점은 약속한 듯이 일치 했지만, 두 학자가 CPTED 이론에 대 한 결정적인 차이는 환경 이란 개념에 대해 다소 다른 정의를 내리고, 환경설계에 대한 이해로 다른 면이 있다.
2.2. CPTED 기본개념 및 원리2) 국제범죄예방학회3)에서는 CPTED란 환경 건설에서 범죄가 유발하는 공포, 범죄 발생 률을 줄이고 생활 품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한 설계와 효과적으로 공간을 이용하는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4) CPTED 개념은 구조 환경의 제어를 통해 범죄율과 범죄가 유발할 공포감을 줄이는 행 위 효과와 반응을 강조하므로 사람들의 생활 품질을 개선한다. 그리고 이런 행위 효과 와 반응을 형성하는 동시에 범죄 활동 발생에 도움이 되는 환경 구조도 줄이는 것이다. CPTED에는 세 가지 서로 중첩된 기본 원리가 있다. 즉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 자연적 접근통제(Natural Access Control), 영역성 강화(Territorial Reinforcement)이다.
2.3. CPTED 조직적, 기계적 개념에서 자연적 개념으로의 전환 2.3.1. 일반적인 접근통제와 감시의 개념 및 분류 감시의 주요 원칙은 외부 침입자에 대한 감시 제어를 유지하는 것이다. 보통 기계적(조 명 등), 조직적(경찰 순찰)과 자연적(창문 등) 전략으로 구분된다. 접근 통제의 주요 원 칙은 범죄 발생의 기회를 줄이는 것이다. 이것도 보통 기계적(잠금장치 등), 조직적(보 안 요원 등) 자연적(공간 정의 등) 전략으로 구분된다.
2) Timothy D. Crow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ird Edition, Revised by Lawrence J. Fennelly, Elsevier Inc, 2013, pp.25-30에서 정리, 재인용 3) National Crime Prevention Institute, NCPI 4) Ibid, p.280
22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1] 일반적인 접근통제와 감시의 개념 및 분류
영역성 강화의 주요 원칙은 자연적 설계를 통해 구역 내 사람들의 공간 귀속감을 강화 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공간 구역의 영향을 창조하거나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고 따 라서 사람들에게 소유자의 느낌(공간구역 안에서의 안전의식)이 들게 하며, 이를 통해 잠재적인 범죄자를 방어할 수 있다. 전형적인 감시와 접근통제의 개념은 기계적과 조직 적 범죄 예방 기술을 강조한다. [그림 1]5)
2.3.2. 기계적과 조직적 전략에서 자연적 전략의 개념으로 변화 최근의 많은 환경 구조 설계의 방법은 모두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범죄를 예방하는 기 술을 강조하기 시작하고 환경 속의 자연적 조건으로 범죄 예방을 전개하려고 한다. 자 연적 감시와 자연적 접근통제도 공간 귀속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원인인데 공간의 주인 들이 자기가 보호하고자 하는 공간 소속지에 더욱 효과적인 응답을 하게 한다. 만약 더 욱 강한 안전 의식이 있으면 안전 정보의 피드백 등을 더욱 중요시하게 된다.
[그림 2] 기계적과 조직적 전략에서 자연적 전략의 개념으로 변화
동시에 잠재적 범죄자가 더 강한 엄제를 받게 한다. 기계적이고 조직적인 전략에서 자 연적 전략의 개념으로 변화한다. [그림 2]6) 사람들이 주의해야 할 것은 범죄 예방 기능 이 있는 일반적 설계와 효과적으로 환경을 이용하는 목적성 설계 사이에서 최대한 평
5) Ibid, p.28에서 정리, 재인용 6) Ibid, p.30에서 정리, 재인용
224
Vol.1 No.1 August 2019
형을 찾아야 한다. 이는 우리가 과거의 조직적이고 기계적인 전략이 아닌 자연적 전략 을 더욱 주목하게 하기 때문이다.
2.3.3. 일반적인 자연적 감시 설계 방법7) [표 1] 자연적 감시 전략적인 설계 방법 The following examples of CPTED strategies for low-income and public housing are grouped under the three primary CPTED concepts of natural surveillance ∙ Provide magnets for watchers or gatekeepers by increased outdoor use of space (e.g., porches, yard assignment, and gardening). ∙ Reduce light pollution on bedroom windows to influence residents to leave curtains and blinds open or partially open to create the reality and perception of surveillance. ∙ Install automatically controlled porch lights to create a sea of light at the human scale to allow for better visual identification of faces and to reduce light pollu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use and intensity of overhead mast-mounted lights. ∙ Place car parking in the line of sight of units or, preferably, immediately in front. ∙ Remove walls and hedgerows that produce impediments to natural surveillance; replace dumpster enclosures and perimeter fencing with transparent materials.
3. 빅 데이터가
건축사과 도시 기획자에 있어 1960년대 이후 자연적 감시의 원리가 일반적 감시보다 더 중요해졌다. 자연적 감시의 원리와 작용은 CPTED 관련 연구자와 시민들이 공공 공
자연감시
간에 대한 사용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원리에 미치는
사람들이 종사하는 각종 일상 활동과 그들이 얻은 감시와 접근통제 간에는 관련성이
영향
존재한다. 선행연구에서 ‘거리의 눈’이란 개념이란, 어떤 유형의 환경은 시각과 청각 감 시에 자연적 기회를 창조해줬다고 강조했다. 한 거리가 낯선 사람이 많은 경우, 안전을 확보하려면 아주 성공한 도시 거리 구역처럼 반드시 세 가지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표 2]8) 자연적 감시의 원리는 최근 수십 년의 도시 기획 이론에 매우 중요하며, 환경 범죄 자체의 발전에도 중요한 원리이다. 환경 범죄학에서 이웃 감시 사회가 제어하는 개념과 감호(보호와 관찰)의 개념이 중첩된 방식으로 실시되는데 이런 개념은 범죄 예 방에도 반영되는 동시에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배후의 매커니즘(Mechanism)에도 사 용된다. 하지만 안전한 환경 창조의 매커니즘은 과학 기술 발전과 일상생활 방식의 변화에 영 향을 받는다. 거리에서 발생한 사건을 정태로 지리 좌표의 형식을 나타난다. 우리가 더 이상 ‘창문’을 통해 거리에서 발생하고 있는 일을 주목하지 않을 때 전통적 ‘거리의 눈’ 은 사회 제어로서의 평가 표준을 잃게 된다. 보통 방관인 개체는 발생한 사건 속에 존 재하며 사건의 발생에 참여하거나 간섭한다. 아니면 단독으로 감시하는 게 아니라 CCTV를 통해 경찰 순찰에 협조한다.9)
7) Ibid, p.289에서 정리, 재인용 8) Jane Jacobs, op.cit., p.35 9) Vania Ceccato, Eyes and Apps on the Streets: From Surveillance to Sousveillance Using Smartphones, Criminal Justice Review, 2019, pp.26-28에서 정리, 재인용
22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거리의 눈과 자연적 감시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한 도시의 거리가 낯선 사람들을 대응하고, 낯선 사람이 많을 때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려면, 매우 성공적인 도시 블록에서처럼, 세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A city street equipped to handle strangers, and to make a safety asset, in itself, out of the presence of strangers, as the streets of successful city neighborhoods always do, must have three main qualities:) ∙ 공공 공간과 사적 공간 사이에는 경계가 분명해야 하며, 교외 주택가처럼 혼합되어서는 안 된다. (there must be clear demarcation between what is public space and what is private space.) ∙ 거리를 바라보는 눈들(감시자)이 있어야 하는데, 이 눈들은 우리가 거리의 자연적 거주자라고 한다. (there must be eyes upon the street, eyes belonging to those we might call the natural proprietors of the street.) ∙ 인도에는 항상 행인이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거리를 바라보는 눈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더 많은 사람 들을 끌어들여 건물에서 거리를 바라 볼 수도 있다. (the sidewalk must have users on it fairly continuously, both to add to the number of effective eyes on the street and to induce the people in buildings along the street to watch the sidewalks in sufficient numbers.)
[표 3] 거리의 눈에서부터 거리의 앱(App)으로의 감시의 재 개념화
그러나 빅 데이터와 정보 통신 기술의 신속한 발전은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네트워크를 형성했고 사용자 네트워크는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변화시켰으며 이미 자 연적 감시의 원리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쳤다. [표 3]10)
10) Ibid, p.29에서 정리, 재인용, 의미의 변환을 우려하며 변역하지 않고 영어로 표지한
226
Vol.1 No.1 August 2019
사람들이 생활 방식 변화에 따라 빅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 및 자연적 감시의 작용이 서로 결합되었고 이는 자연적 감시의 원리가 단순한 감시가 아닌 감시의 과정에 더 가 깝게 하였다.
4. 사례분석
4.1. KTH International Safeplaces Network 세미나 사례 본 연구는 국제 세미나 중 4명의 학자들의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여, 빅 데이터의 영 향을 받은 내용 들을 도출하자고 한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내용 및 도출한 빅 데이터의 영향을 받는 내용은 [표 4]11)를 통해 알 수 있다. 표에서 프로그램의 변화를 명화하게 하기위해, 영문 내용을 그 대표 표지하였고,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빅 데이터의 기술 개발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평가 시스템 등은 자연적 감시의 역할 확대를 위한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범죄 예방 비정식 감시의 더 많은 가능성을 확장했다. 또한 환경에 대한 우리의 이해 방식을 변환했다. [표 4] KTH 국제세미나에서의 학자별 사례 분석 KTH International Safeplaces Network Seminar The aim of the seminar: to promote a forum of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surveillance, guardianship and social control in the digital era. Guardianship – Not too broad, not too narrow 이미지
프로그램 내용 More specificity in mapping crime also applies to spatial patterns, with crime shifting greatly over the hours of the day, and from weekday to weekend. We need to know through big data which small things lead to big crimes and which do not. 도출한 빅 데이터의 영향을 받는 내용 ∙ 범죄의 공간 패턴(모식)을 그림 ∙ 범죄 구역의 분류 ∙ 범죄지도 Disrupting crime place networks: The role of surveillance
이미지
프로그램 내용 Place Big Data -based social media surveillance tools can expedite police investigations. An widely available tool, google street view, can provide evidence of place-based activity. However, more advanced surveillance technologies including, Geofeedia, emotion/face API, video indexing, text analytics, and video/image/web macro-search engines can help to uncover offender and place networks. 도출한 빅 데이터의 영향을 받는 내용 ∙ 범죄 장소의 네트워크화(Network) ∙ 범죄지도 ∙ 사교적 감시 방식
11) KTH International Seminar Report, Eyes & Apps on the Streets, From natural surveillance to crime sousveillance, 2017에 대한 정리, 재활용, (Sweden, Kungliga Tekniska högskolan, KTH)
22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Beliefs about CCTV 이미지
프로그램 내용 The big data model makes clear a number of issues but does not favor CCTV as an effective general crime control tool. There is good evidence that CCTV effectiveness varies considerably by context. The effect was non-significant in city and town centre, public housing and public transport. No evidence of an effect on violent crime. 도출한 빅 데이터의 영향을 받는 내용 ∙ CCTV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 효과 ∙ 범죄예방에 대한 시스템 평가 효과
Mapping the movement of active guardians in time and place 이미지
프로그램 내용 Crowdsourced data (through web/apps) can represent the presence of people actively monitoring their environments, potentially acting as capable intervening guardians. Harnessing information and skills from large crowds into one collaborative project. 도출한 빅 데이터의 영향을 받는 내용 ∙ 집단정보(local)를 이용하는 수단 ∙ 대량의 정보와 프로그램이 결합된 후 보호자(guardian)에게 미치는 영향
▪ 첫 번째로, 프로그램에서는 빅 데이터를 적용한 후 범죄 지도를 그리면서 공간 판도 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범죄 활동은 하루의 몇 시간 동안 그리고 평일부터 주말 까지 엄청나게 변화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범죄활동이 공간 구조적으로 변하는 것을 빅 데이터의 정리를 통해 잘 볼 수 있었다. ▪ 두 번째로, 프로그램에서는 빅 데이터 기반한 감시 기술이 경찰 조사를 가속화할 수 있었다. 빅 데이터와 감시 기술의 결합을 이용하여 활동 지점에 기초하여 증거를 제 공할 수 있고, 감시당하는 지역의 과거를 파악하는 동시에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활동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었다. ▪ 세 번째로, 프로그램에서는 빅 데이터와 분석 모형(EMMIE framework)의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해 두 번째 프로그램과 다른 몇 가지 문제를 명확히 했다. 프로그램에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CCTV의 효과가 환경에 따라 다르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었 다. 노르웨이 오슬로시(Oslo) 도심에서는 공동주택과 대중교통 방면에 CCTV의 효 과가 미미하였다. ▪ 네 번째로, 프로그램에서는 Crowdsourced data 데이터 패킷(Data Packet) 소프 트웨어를 통해 환경을 적극적으로 감시하는 사람의 존재를 대신할 수 있었다. 지역 의 대량의 정보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결합하면 잠재적으로 개입할 능력이 있는 감시자 역할을 할 수 있다.
228
Vol.1 No.1 August 2019
4.2. 소결 KTH 국제세미나에서의 학자별 사례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살펴보자면 빅 데이터와 정보 통신기술의 신속한 발전은 자연적 감시의 작용 원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범죄 확장 예방을 위한 비정식(informal) 감시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과 기술의 응용이 ‘토론의 핵심(hot topic of discussion)’이었다. 관련된 기술 원가(costs)와 프 라이버시 문제도 주목 받고 있으며 논쟁이 되었다.
5. 결론
빅 데이터 시대에서 과학 기술 응용은 이미 여러 방면을 통해 우리들의 생활 속에 들어 왔다. 빅 데이터는 많은 기회와 문제 해결의 능력을 창조했다. 하지만 새로운 리스크와 도전을 가져왔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의 정리를 통해 빅 데이터와 자연적 감시 원리 사이의 영향을 분석하고, 다시 KTH 국제 세미나에서의 학자별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 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빅 데이터 시대에서 기술 응용의 발전은 우리 일상의 생활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범죄 예방 비정식 감시의 더 많은 가능성을 확장했다. 나아가 생활방식의 변화는 차후 자연적 감시의 개념에도 영향을 미친다. 둘째, 빅 데이터 기술 응용의 감시 방식과 감 시 과정은 자연적 감시 원리의 영향에서 우리가 환경과 환경 행위에 대한 이해도를 증 가시켰으며, 비정식 감시의 가능성 확장에 가이드 작용하였다. 셋째, 빅 데이터와 정보 통신 기술의 결합을 이용한 범죄예방의 설계 방법과 CPTED이론의 기속 가능한 발전 에 효과적인 발전 전략이라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Jane Jacobs, 『The Life and Death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61 Timothy D. Crow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ird Edition, Revised by Lawrence J. Fennelly, Elsevier Inc, 2013 KTH International Seminar Report, 『Eyes & Apps on the Streets, From natural surveillance to crime sousveillance』, 2017 赵秉志(Zhao, Bingzhi), 金翼翔(Jin, Yixiang), 「CPTED理论的历史梳理及中外对比」, 青少年犯罪问题, 第3期, 2012 Vania Ceccato, 「Eyes and Apps on the Streets: From Surveillance to Sousveillance Using Smartphones」, Criminal Justice Review, 2019
22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MaaS(Mobility-as-a-Service) 기반의 공유자전거 서비스 모델연구 Service Model Research of Bicycle-sharing based on Mobility-as-a-Service(MaaS)
왕 양,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성일, 부산경제진흥원
연구키워드
공유자전거, 모빌리티 서비스, 서비스 모델, 여행체험
이성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Keyword
Wang, Ya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Bicycle-sharing, Mobility as a Service, Service model,
Park, Song Il_Busan Economic Promotion Agency
Travel experience
Lee, Sung Pil(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Vol.1 No.1 August 2019
MaaS(Mobility-as-a-Service) 기반의 공유자전거 서비스 모델연구 1. Introduction
Mobility as a Service (MaaS) is a new concept intelligent mobility. It offers transformative mobile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 “how to delivery and consumption of transport (or mobility)?” MaaS not only satisfies fast, reliable, convenient and personalized travel demand but also it has a high degree of flexibility to adapt to travel trends. On the one hand, MaaS mainly focuses on the different design methods and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for different types of passengers. After considering the literature research, it can be easily found that MaaS is dominated by the public transport
or
government
departments
and
intermediate
and
private
transport usually participates in MaaS as auxiliary system. On the other hand, most scholars still focus on the theory research of MaaS, such as the explanation of framework, influence of society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model, consequently, the research about how to apply the service model is very little. Based on the concept of MaaS, the research puts forward a new service model to make the travel modes become more various and flexible. The service model is so convenient that many people choose it instead of personal vehicles to complete your daily commut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 traditional community system, which lets human-centeredness integrate into intelligent mobility, and let bicycle-sharing of mobility service make new relationship with users and play a positive role in their society life.
2. Fundamental
MaaS as the new concept, it can be seen as combined mobility services (CMS) and provides subscription of travel service about multi-modal
Research of
transportation. MaaS as the new phenomenon, expects to build a
MaaS
sustainable transportation phenomenon. MaaS as the new transport solution, integrates the available travel options and presents them in an integrated way to let the users use it travel from A to B rather than the individual transport modes and services.
23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Fig. 1] MaaS concept from user's perspective
3. Research for
The bicycle-sharing or the internet rental bicycles is a branch of the 4th BSSs, which has evolved from traditional BSPs. It is a new service model
mobility mode
for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mobile Internet and rental bicycle. The
of bicycle-
bicycle-sharing is a shared mobility mode in the sharing economy. The
sharing
nature of bicycle-sharing is a rental service, and the service depends on network platform, IoT and third party payment platform to achieve the on-demand service mode of cycling trip. This means bicycle-sharing's model of mobility is pay-as-you-go. In the mobility model of bicycle-sharing, when users choose the bicycle-sharing to finish their travel, they don't need to have the bicycle ownership and they also don't need to sign a contract or order the service package in advance. If the users don't want to pay for the deposit in the first place, they still could use the bicycle-sharing and they only lose some discounts. Besides, bicycle-sharing has replaced the need for physical docks into bicycle-mounted GPS to develop dockless system, It allows users to pick up, renting, parking or returning the bicycle-sharing anywhere.
4. Service model of bicyclesharing based on MaaS
4.1. Definition of MaaS-based bicycle-sharing MaaS-based bicycle-sharing adopts one platform to combine multi-model transportation to satisfy the user demand of travel from A to B and offer users
with
demand-orientation
tariff
option
and
travel
option
of
personalized and customized service. It aims the seamless connection between short-distance travel and long-distance commute and optimize the rapid transfer between the first/last-mile and before long-distance to satisfy uses' commute need: the travel route plan, the value package and the match of a series of trip modes.
232
Vol.1 No.1 August 2019
4.2. Mobility model of MaaS-based bicycle-sharing The transport service offered by MaaS-based bicycle-sharing not only offers seamless customer experience and it keeps pace with the urban efficiency namely the dense urban environments. Therefore, there are two different travel ideas in the mobility model of MaaS-based bicycle-sharing. On the one hand, based on the bicycle-sharing platform, To increase people-oriented service is method to satisfy the service demand of users. On the other hand, MaaS-based bicycle-sharing allow users to visit related content on the bicycle-sharing platform and use other transport means. And depending on the flexible and convenient bicycle-sharing in the travel, it offers fast transfer of single platform and rapid shuttle servi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ombines related service components in MaaS-based bicycle-sharing to build the mobility model of MaaS-based bicycle-sharing according to the user's travel plan. Meanwhile, the creation of story board starts with the service blueprint. In the scene 1, it describes the service process and touch points of the user committing. It gives emphasis on the feedback of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o users and allows the users to make the travel plan according to his preference and choose the transportation means they like. The scene 2, it describes the travel between 2 cities in one day. It demonstrates that how the MaaS-based bicycle-sharing help users complete long-distance travel: the transportation modes choice, the ticket and the weather, the ticket booking.
4.3. Test and Evaluate After the propose of new concept of MaaS-based bicycle-sharing, we make questionnaire survey to test the new service model and hope to know the experience expectation result and dynamic emotional fluctuations, to make sure the service function accepted by the users. The survey data shows that the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experience of MaaS-based bicycle-sharing in general, which shows that the touch points, interaction and function in the service experience of MaaS-based bicycle-sharing could meet the expectation of the target users.
5. Concl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lligent mobility, based on the travel modes of MaaS, this research uses business model canvas, the service blueprint and service story board to build a new bicycle-sharing system mode, namely MaaS-based bicycle-sharing. The new mode aims to solve the service defect of bicycle-sharing in “Multi-modal Traffic Transfe” and “Integrate into Public Transportation”. Then, the research adopts a survey to make assessment of the service content experience, and through customer journey
23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map to find mood swings of users when they use MaaS-based bicycle-sharing.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ervice model of MaaS-based bicycle-sharing is in accordance with the habit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On the one hand, the travel mode of MaaS bicycle-sharing offers flexible and convenient travel experience for users. A research about promoting bicycle-sharing use in 139 cities, shows that it is rather helpful to promote the public bicycle use when the bicycle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other travel modes. On the other hand, the bicycle-sharing with the concept of MaaS offers book tickets, combined travel and travel information feedback. It would plays an important transit role in the travel. In addition, the bicycle-sharing with the concept of MaaS is helpful to achieve the sustainable travel, resulting in reduction of private car travel and more travel opportunities to suburbs.
234
Vol.1 No.1 August 2019
건축물 파사드의 생태녹화 디자인 분류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study on ecological greening design of building facade
장 염,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양성용(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ang, Y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Yang, Sung Yong(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수직녹화, 생태건축, 표준화 Keyword
vertical greening, eco-buildings, standardizatio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건축물 파사드의 생태녹화 디자인 분류표준화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건물의 고층화, 집접화 및 노후 건물의 증가 등으로 건물의 에너지에 대한 이용이 급속 도로 많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자연에 대한 물 오염, 공기 오염, 빛 공해 등 여러 환경 오염으로 인해 일으킨 환경 문제도 심각한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 생태불균형, 오존층 파괴, 산성비, 스모그 등 기후 변화가 지구와 인간 사회에 엄청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인구 증가, 도시 용지 부족, 건축물이 계속 증가하고 녹 지는 계속 줄어들면서 인간의 생활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환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만들어지 면서 도시에 대한 지속 가능한 발전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지속 가능한 발전 개 념은 1987년 전 노르웨이의 총리 Gro Harlen Brundtland에 의해《Our Common Future》보고서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미래 시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능력을 손상시 키지 않으면서 우리 시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개발”이라 하였다. 이후 1992년 《Rio Declaration》과 《Agenda 21》의 두 보고서는 유엔 환경 개발회의에서 채택된 것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전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즉 생태 환경과 도시 발전 의 공생을 탐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최근에는 더욱더 생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생태 건축에 대한 사회적 니즈가 요구되고 있다.
1.2. 연구의 목적 및 가치 도시화의 증가로 지을 수 있는 건축물의 토지 면적이 줄어 듬에 따라 도시의 건축 밀도 가 증가하고 건축물의 수직화가 심화되면서 고층과 초고층 건물이 급속도로 증가하였 다. 따라서 건물의 열량 배출증가하고 에너지 소모 문제가 심화되면서 도시 열섬형상을 급속히 확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도시 구성요소에 있어서 건축물은 도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생태적 관계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생태적 설계는 이 시대의 매우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으로 지속, 조화롭게 발전하는 것을 추구한다. 생태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식물은 기후 개선, 공기 정화, 오염 감소 환경 을 보호할 수 있는 작용으로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식물이 자 연에 대한 생태 보조적 역할과 친환경 재생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도시의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건축물에 대한 지속 가능한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 은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연구 중 큰 면적을 차 지하는 건축 파사드의 생태적 디자인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런 생태태적 접근 방 법은 예전의 평면에서 입체로 녹화의 개념을 전환해서 확대 시킬 것이다. 도시 녹화 확 보율을 높이며, 더 중요한 것은 벽체에 대한 녹화가 건축물의 열량 배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 소모도 줄이고 건축의 에너지 생태 환경도 바꾸고 도시 환경 의 생태 질량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때문에 점점 더 많은 수직녹화 파사드는 건물의 표
236
Vol.1 No.1 August 2019
피 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다. 종류가 다양하고 다채로운 녹화 효과를 형성되었다. 수직 녹화 효과는 그 사용하는 기술과 직결된다. 서로 다른 기술에 따라 완전히 다른 녹화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기술을 조합함으로써 디자인 기법을 더 유 연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지금 기존 있는 수직녹화 시스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 며, 그 중에는 서로 다른 녹화 방식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심지어 어떤 시스템과 시스 템 사이 및 녹화 방식과 녹화 방식 사이에는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후에 수직녹화는 보편화시키기 위한 본문은 기존 있는 수직녹화 디자인 분류 표준화 에 대한 연구와 탐구한다. 수직녹화 파사드는 건축의 표피 디자인에 더 쉽게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1.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①먼저 선행연구를 통해서 생태건축에 대한 고찰하여 생태건축과 수지녹화 파사드의 사이를 파악한다. ②중국의 건축, 경관, 디자인의 빅 데이터로 된 gooood(www.gooood.cn) 사이트와 전문 독서 <건축벽면녹화>라는 책에서 채택된 녹화기술을 판별할 수 있고 녹화효과가 풍부하고 도면이 있거나 구조가 명확한 것을 기준으로 총 21개의 우수한 사례를 선정 해서 연구한다. 사례의 시공방법과 식물의 재배방식에 따라 분류하였다. [표 1] 생태건축에 대한 선행연구 번호 국가
2. 수직 녹화 파사드에 관한 연구
년도
저자
연구논문
1
중국
2003
NI NING
생태건축의 다자인 원리 및 다자인 방법 연구
2
중국
2005
TAN YA WU
3
한국
2005
이윤희
생태중심사고에 의한 현대 건축의 시사점
4
한국
2006
이영희
디자인 요소로서의 생태건축에 관한 연구
5
중국
2006
ZHAO XIAO PING
6
한국
2007
문종우
환경시대의 건축패러다임으로서 아파트 생태건축 적용에 관한 연구
7
한국
2007
강경아
생태건축의 특성과 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8
중국
2010
HUANG LEI
9
중국
2011
WANG JIE HUI
10
한국
2011
고귀한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여구
11
한국
2016
김우진
현대 자연관의 관점에서 본 생태건축의 시사점
12
중국
2017
WANG XIN RANG
생태건축의 다자인 방법 연구
건축계면-생태건축의 외 보호구조 연구
지역자연환경을 반응한 생태건축 디자인 책략의 탐구 생태건축 기술의 지역적 적용 책략 연구
기술의 자연적 속성에 있어서 생태건축의 다자인 연구
2.1. 파사드의 생태화 건축물 파사드는 또 건축물 표피라고 부를 수 있다. 건축 파사드는 원시의 야수의 공격 을 막은 울타리나 벽이다. 그 후에 과학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함에 따라 건축 파사드 하 중의 기능에서 벗어났으며, 통풍, 채광, 단열, 보온, 차양 등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태적 기능도 부여한다. 수직녹화 파사드는 자기 조절 기능을 가지 고 있고 마치 동식물의 표피처럼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하여 건물은 다양한 자연환경과
23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특별한 시기의 열악한 기후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보온 단열의 특징을 이용하여 외부 환 경이 내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환경이 내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거나 차단, 실내 환경의 쾌적함을 보장하는 동시에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2. 수직 녹화 파사드의 가치연구 [표 2] 수직녹화의 종합적 효율 복합적 가치
생태
에너지 절약
녹지율
●
토지 소기후
●
경제
사회
인문
토지절약 소음 생태
빛 공해 먼지 공기 정환 열심
●
생물다양성 에너지 절약
빗물 집수
●
●
재료 노화 사용 기간 경제
온도 조절
●
●
상업 가치
●
비용 정약
●
장식 사회
시야
●
기후
●
인지도
●
마음 인문
피로 지역 문화
●
지리 위치
●
사회적, 경제적, 에너지적, 생태적, 인문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서 수직 녹화 안에 포함한 모든 효과는 한 단면만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각 효율 사이에 서로 연관되어 상호 작용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심지어 하나의 효과로 인해 여러 측면의 복합적 효율은 얻을 수 있었음은 알 수 있었다. [표 2] 결국 모든 수직 녹화 시 스템에 대한 효과의 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종 수익자는 인간이다.
238
Vol.1 No.1 August 2019
2.3. 지속 가능한 생태 건축 생태건축은 인간, 건축, 자연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개선, 사회의 발전과 자연 사이의 조화와 공생 등 다중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생태건 축은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다라고 할 수 있다. 생태건축은 생명력을 지닌 건물로 볼 수 있다. 수직녹화 파사드는 자기 조절 기능을 가 지고 있고 생태건축을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치 동 식물의 표피처럼 건축을 생태화로 변화시킨다.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하여 건물은 다양 한 자연환경과 특별한 시기의 열악한 기후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보온 단열의 특징을 이 용하여 외부 환경이 내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환경이 내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거나 차단, 실내 환경의 쾌적함을 보장하는 동 시에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기 때문에 생태건축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 경 제, 에너지, 생태, 인문 등 모든 가치는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이 건축영역에 나타난 것 이다. 3R 원칙 Reduce(절약), Reuse(재사용), Recycle(재활용)을 결합해서 적은 자원 으로도 인간의 다양한 물질적 요구에 대한 니즈의 증가를 만족시킨다. 그래서 생태건축 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3. 수직 녹화 파사드
먼저 식물의 생장환경, 생장방향과 생장과정의 3요소를 통하여 건축물의 수직녹화 파 사드 시스템을 크게 2 가지 유형으로 분석했다. 하나는 직접 흙 속에서 자라고 식물 자 체가 지면과 수직으로 생장한 자연적인 녹화로서, 식물이 생장할 때 다듬지도 않고 생 장방식에도 간섭하지 않는 방식이다. 또 하나는 인공적으로 제공된 토양이 있는 캐리어 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식물은 그 캐리어 안에 미리 일정하게 생장시켜서 녹화가 필요 한 지정 위치에 설치 후에 계속 생장할 수 있게 하는 인공적인 수직녹화방식이다. 식물 의 생장방향도 더 이상 단순한 수직이 아닌, 위치에 따라 지면과 여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표 3] 수직녹화 파사드의 시스템의 분류 환경 요소 생장환경
생장방향
생장과정
이용 방법
벽체
캐리어 흙
수경
●
●
●
케이블
모듈
그리드
● ●
●
●
●
●
미리재배 간섭 없음
접착
●
다양함 수직
용기
● ●
● ●
●
●
●
● ●
●
●
[표 4] 수직녹화 파사드의 사례 분석 벽체 OPEN Architecture
베트남 수치 요법 센터
Sheraton Bali Kuta Resort
케이블 One Central Park
베트남 공장 사무실 리모델링
마이애미 예술 박물관
23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리드 GREEN BOX
오스트레일리아 여자학원 도서관
Shma Company Limited
모듈 EATHOUSE
미국 플로리다 개인 주택
페루 주택 빌딩
용기 Residential building
The Oberoi Gurgaon
발리 공항 주차장
접착 스페인 녹벽 커피숍
Ezequiel Farca
벨기에 개인 주택
수경 체코 LIKO NOE 생태 사무소
인디아 KMC회사 빌딩 생장환경
기준 사례
생장방향
생장과정
캐리어
흙
다양함
1 Residential building
●
●
●
2 인디아 KMC회사 빌딩
●
●
●
3 벨기에 개인 주택
●
●
●
4 GREEN BOX 5 미국 플로리다 개인 주택
● ●
수직
미리 재배
간섭 없음
●
● ●
● ●
6 마이애미 예술 박물관
●
●
●
7 Sheraton Bali Kuta Resort
●
●
●
8 EAT HOUSE
●
●
9 SEs Landskap
●
●
10 발리 공항 주차장
●
●
● ● ●
11 베트남 수치 요법센터
●
●
●
12 오스트레일리아 여자학원 도서관
●
●
●
13 스페인 녹벽 커피숍
●
14 베트남 공장 사무실 리모델링 15 The Oberoi Gurgaon
● ●
●
16 Shma Company Limited
240
SEs Landskap
● ●
● ●
● ●
●
●
17 페루 주택 빌딩
●
●
●
18 체코 LIKO NOE 생태 사무소
●
●
●
19 Ezequiel Farca
●
●
●
20 OPEN Architecture
●
●
●
21 One Central Park
●
●
●
Vol.1 No.1 August 2019
4. 결론
사회 발전 및 기후의 급격한 변화로 건물을 열량 배출 및 에어컨 등 설비기계에 의한 대량 에너지 소모에 의한 다양한 생태 환경문제를 야기 시켰다. 건축도 조형성을 넘어 서 수직 녹화 파사드를 융합적용하면 건축 입면의 디자인, 생태 환경의 개선, 건축 에 너지 소모의 감소와 실내외 온도의 조절 등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속 가능한 발전 도시를 건설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중세서도 수직녹화 파사드는 매우 중요한 역할과 가 능을 할 것이다. 건축물의 수직 녹화는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과 부합에 가장 적합한 디자인 방법이다. 또한 수직 녹화로 인해 생태적, 에너지적, 사회적, 경제적 다 양한 측면에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수직녹화 연구 를 하여야 한다. 수직 녹화 시스템의 디자인 사례조사 연구를 통하여 수직 녹화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건축 파사드의 시스템에 따른 기술과 구조, 디자인 표현방식의 요 소를 발견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건축물 파사드의 수 직녹화 디자인 분류 표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생태 건축 설계에 대 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24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공유 경제 서비스 모델 연구 Research on service design model of sharing economy
쉬엔야오웨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이성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Xuan, Yao We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공유경제, 서비스디자인, 공유유산, 사용자연구 Keyword
Lee, Sung Pil(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shared economy, service design,
Dongseo University
umbrella sharing, user research
Vol.1 No.1 August 2019
공유 경제 서비스 모델 연구 1. 서론
에어비앤비(airbnb), 우버택시(uber)등과 같이 공유경제 패러다임을 반영한 새로운 차 원의 서비스 비즈니스의 확산은 IT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네트워크 보급 에 다 른 제품의 서비스화(servitization)가 일반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공유 경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제품 공유와 관련된 서비스 시스템의 디자인 응용을 연구하는 것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으며, 기존 모델의 확장을 통한 모색하여 보다 개 선된 모델을 탐색하고 개발하는 것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 왜냐하면, 공유경제를 기반 으로 하는 서비스 디자인이 스마트 네트워크와 융합을 통해 자 원 활용을 높이고 낭비 를 줄이며, 사용자의 다양한 생활 체험과 가치있는 수요를 보장해줄 수 있기 때문이며, 합리적인 서비스 수익모델을 제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문헌 정리와 디자인 실무를 통해 고찰한 서비 스 디자인 개념을 바탕으로, 부산을 방문하는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예측하기 힘든 특수한 날씨환경에서 우산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와 수요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보 다 개선되고 창의적인 “공유우산 서비스 디자인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 여 서비스 디자인 방법과 원칙에 따라 우산을 공유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목표고객, 서 비스 프로세스, 접점을 분석한 후,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우 산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청사진(Service Blue Print)을 만들고 우산공유 위한 서비스 전략을 제시할 계 획이다.
2. 주제 연구 구성과 방법
[그림 1] 행문 노선도
24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 이론적 배경 연구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으나 활용하지 않는물건 또는 지 식, 시간, 경험 등의 유.무형 자원을 상호 대여하거나 교환함으로써 거래 참여자가 상 호편익과 적정이윤을 얻을 수 있는 경제활동방식이다.1) 2008년 하버드대학의 로렌스 레시그 교수가 공유경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가장 구 체 적으로 설명하였다. 레시그 교수는 상업 경제를 대척점에 세워두고 문화에 대한 접근이 가격에 의해 규정되지 않고 사회적 관계의 복잡한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경 제 양식을 의미한다고 공유경제를 정의했다.2) 또한 공유경제의 참여 동인을 ‘나 혹 은 너’의 유익 이라고 강조하여, 공유경제와 상업경제를 구분하는 기준점을 언급하였다.3) 공유경제는 특정 자산에 대한 개인의 소유가 아닌 거래 주체 간의 공유가 핵심으 로 작 용하는 경제방식이다(이장우 외, 2015). 공유경제는 대량생산과 자본주의에 근 거한 소 유 개념에서 벗어나 가치를 중시하고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훌륭한 경제개 념이지만 인류가 공동체 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함께 해온 개념이기도 하다. 조영 연의 연구에서 도 공유경제는 활용되지 않는 유휴 자원을 다른 필요한 사람과 공유 하여 불필요한 소 비를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가치 증가에기여하는 경제활동 이자 대안적 사회운 동이다. 전수연은 공유경제를 유ᄋ무형의 자원을 개인이 소유하 지 않고 다른 필요한 사 람들과 함께 공유하여 합리적인 소비행위를 이끌고, 사회적 및 환경적 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경제개념이라고 정의했다. [표 1] 공유경제의 주요한 개념 정의
4. 서비스 설계 개념 하의 공유 우산 서비스 설계 분석
연구자
내 용
owyang
기업이나 사람들 간의 활용과 소유가 공유되는 경제적 모델로서 새로운 생산과 서비스 성장을 가져 올 것으로 보고 있다.
marcus felson
공유 경제의 주요 특징은 개체가 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하여 개체 간 유휴 자원의 직접 교환을 가능 하게 한다는 것이다.
刘建军
공유 경제는 공급, 시장의 두 가지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4.1. 공유 우산 서비스 설계 구조 공유 우산의 체계적인 서비스는 대여, 경험, 반납 등의 부분을 포함하며, 시스템 속 주 사용자의 여러 욕구는 시스템 설계의 방향과 흐름을 결정한다. 따라서 목표 대상의 기 본적인 욕구와 감정을 파악하고 이를 시스템 설계에 반영해야 시스템의 완성도와 가용 성을 보장할 수 있다. 공유 우산 시스템의 서비스 설계는 일정한 설계 방법과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서비스 설계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서비스 과정 제작, 접점 분석, 핵심인물 지도, 사용자 경험 지도이다.
[그림 2] 공유우산 서비스 흐름도
244
Vol.1 No.1 August 2019
공유 우산 서비스의 각종 과정과 접점을 분석했으며, 서비스 설계의 주요원칙과 결합하 여 관련된 접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공유우산 시스템을 설계 구조도로 표현했으며, 이는 위의와 같다.
5. 공유우산의 시스템 제안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우천을 만났을 때 휴대폰 APP를 실행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QR코드를 스캔하여 우산을 대여하게 되며,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백도어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위치추적 을 하며, 반납 경고도 제공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불량한 행위를 했을 시, 경고나 패널티를 주며, 정당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포상을 준다.
[그림 3] 공유우산 서비스 시스템 구조
[그림 4] 공유우산 서비스 플랫품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사용자 조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우산이 준비되지 못한상황에 비가 왔을 경우 대비하고 싶어 하는 시민들의 니즈와 집 에 이미 일회용 우산이 많을 경우 또 우산을 구매하고 싶지 않은 니즈를 반영 할 수 있 도록 다섯 가지 기능으로 구성 하였다.
24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공유우산의 기능정의 주요기능 1
언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2
메뉴화면을 통해 원하는 항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3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대여역과 반납 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4
우산의 개수의 실시간 확인을 가능하도록 한다.
5
우산의 이용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6
우산의 예약기능을 가능 하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웍은 와이어프레임(Wire Frames)을 통해 최종화면 에 표시 될 콘 텐츠를 간단히 요약해 보여주는 것으로 그래픽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서비스 흐름에 초점을 맞추어 대략적인 서비스 단계를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그림 5] 공유우산 어플리케이션의 와이어프레임
6. 결론
최근 2년간 공유 제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고, 공유 단차가 다른 제품의 공유를 이 끌어 내는 데 성공해 우산 공유가 그렇다. 그러나 현재 공유 우산이 공유 단차를 포함 한 공유 모델의 경우,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높지 않고 서비스 시스템이 미비하여 사 용자의 다방면에 걸친 수요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서비스 시스템 설계를 검토하 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공유 제품의 국내외 발전 현황과 서비스 설계 이론의 발전에 대해 알 아보고, 서비스 설계에 근거한 이념을 제시함으로써 공유 제품의 서비스를 최적화하였 습니다. 본 문서는 서비스 설계의 이론적 체계를 심층적으로 인식하고 공유 제품의 분 류, 임대 시스템, 인공기 계면 등을 심층적으로 검토한 후, 공유 우산의 서비스 시스템 연구를 본위로 최종 확정하였다.
246
Vol.1 No.1 August 2019
참고문헌 순천. 스마트폰 기반 뱅킹서비스의 특성이 중국 사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 –기술준비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4 상관금용. 모바일 관광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관광객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서현숙. 다차원적 서비스편의지향성과 서비스편의성,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卞淑娴. 共享经济下移动旅游APP用户接受行为研究, 西安科技大学, 硕士毕业论文. 2017 Matofska, B. What is the Sharing Economy. The PeopleWho Share. 2014 http://mobdata.mob.com/2017年中国共享经济研究报告중국국가정보센터(2017). http://www.sic.gov.cn/ https://baike.baidu.com/item/共享经济/
24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공유택시 안전 서비스디자인 연구제안 Research on Service Design of Shared Taxi Security
인징징,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이성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Yin, Jing Ji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Lee, Sung Pil(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타입, 타이포그래피, 연구동향, 분석 Keyword
type, typography, research trend, analysis
Vol.1 No.1 August 2019
공유택시 안전 서비스디자인 연구제안 1. 서론
2012년 국내에는 첫 택시 어플리케이션인 야오야오 택시가 등장했다. 해당 어플은 사용 방법이 매우 간단했는데 승객이 주문을 전송하고 기사가 수락하는 형식이었다. 나중에야 디디택시, 빠른 택시 등 다양한 택시 어플이 개발되었는데 승객과 기사의 정보 소통 문 제를 해결하고 시간과 원가를 절감하여 빠른 속도로 도시에서 보급되었다. 관련 부처의 데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5월7일까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주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11개에서 택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전체 사용자 수는 백만명을 넘었고 사 용자 층이 주로 일선도시에 집중되었다. 2017년까지 중국은 디디택시로 해당 업계의 가장 큰 시장지분을 차지하였다. 그와 함께 택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이 비교적 늦어 지금까지 시장에는 체계적인 관리가 정립되지 않았고, 2018년 발생한 두 건의 호출 택시 기사 살인 사건은 택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에 매우 큰 안전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적 나라하게 드러냈다. 현재 공유 경제와 택시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연구 보고가 점점 많아지고 있으나 대부분 시장경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2018년 두 건의 안전사고 가 발생한 이후에야 사회 각계에서안전 문제에 대해 광범위한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디택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문제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중국 공유택시 사업자 분석 중국 인터넷 택시 업계는 급속도로 발전하였고 인터넷 택시 어플리케이션을 운영 플랫 폼에서 기사와 승객이 핸드폰 등 모바일 장치를 통해 주문과 지불을 완성하면 택시가 승객을 지정 장소까지 픽업하는 절차로 완성된다. 2016년 8월, 디디(滴滴)는 우버 차이나와 합병으로, 독점적인 지위를 형성하였다. 그러 나 2017년, 메이퇀 택시(美团打车)가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2018년부터 중국 모바일 콜택시 시장에 맹렬한 공세를 펼치며, 최고의 자리에 있던 디디의 지위가 위협 을 받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디디택시(滴滴出行)는 58.6%의 침투율을 기록 해 각각의 플랫폼에서1위를 차지하며, 기타 모바일 콜택시 플랫폼을 크게 앞섰다. 다음 표 4와 같다. 디디택시가 오랫동안 구축한 인지도와 브랜드 파워는 더욱 사용자의 신뢰 를 얻어, 중국내 모바일 콜택시 시장에서 절대적인 지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
2.2. 중국 공유택시 이용객 현황조사 <2018-2023년 중국 모바일 콜택시 업계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투자기회 심층연구 보고 서>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4년 모바일 콜택시 업계는 첫번째 폭발기를 맞이했는데, 이것은 모바일 콜택시 플랫폼이 제공한 거액의 보조금덕분이다. 모바일 콜택시의 사용자 규모는 아주 빠른 속도로 확장되어, 증가 속도는 559.40%에 달한다,2) 다음 표 7과 같다. 그리고, 보조금의 힘이 약해짐에 따라, 사용자 규모의 증가는 안정기로 돌아왔다. 이 밖 1) 盛鹏辉, 《互联网时代下打车软件的现状, 问题和对策》, 山西工商学院, 2016 2) <2019-2025年中国网约车行业市场竞争格局研究报告>,2018,p3,4
24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에, 모바일 콜택시에 대한 새로운 정책이 시행된 후, 각 플랫폼의 사용자는 뚜렷하게 감 소하였다. 2017년 말까지, 중국의 모바일 콜택시 사용자 규모는 약 3억 3600만 명이다. 모바일 콜택시의 사용자 중, 25-30세의 사용자가 총 사용자의 30%를 차지하면서 가장 높았고,25-35세의 사용자 비율은 51%였다. 모바일 콜택시 사용자의 연령별 분포와 사 용자의 경제력 및 새로운 사물 수용능력은 서로 관계가 있으며, 25-35세사용자 집단의 소비 습관은 쉽게 길러지고 경제력이 비교적 좋아, 모바일 콜택시 사용자의 중심세력이 되었다.
2.3. 중국 공유택시s/w기술 분석 공유 경제의 핵심은 모바일 인터넷과 모바일 지불의 끊임없는 개선이다. 교통 외출 분 야는 공유 경제 개조의 선행 분야 중 하나가 되었다. 하여 인터넷을 통해 택시 예약(인 터넷 택시 호출), 공유 택시 예약(즉 “전용 택시/빠른 택시”업무), 자가용 카풀(즉 “순풍 차/카풀”서비스) 및 P2P차량 임대 등 네 가지 신흥 공유 외출 모델로 확대되었다. 전용 택시를 외출 도구로 하는 대중은 주로 작은 기업의 상업용 차량, 중고급 인사의 평소 외출, 및 차량 운행을 원치 않거나 번호 제한으로 인해 운행할 수 없는 자가용 차 주 위주이다; 빠른 택시는 가격에 예민한 소비 집단의 외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운 행되는데, 디디 택시의 기본 요금은 13위안이고 km당 1.5위안이며 전체 사용 시간은 분당 0.5위안인 점을 감안하면 기본 요금은 택시와 비슷하지만 중장거리의 가격이 상 대적으로 저렴하다. 현재 전용 택시는 주로 일선, 이선 도시에 집중되어 있고 중소형 도시는 빠른 택시 위주이다.3) 순풍차는 차주 자신이 외출할 때 같은 노선에 있는 사람을 태워 함께 출퇴근, 등하교, 장거리 외출, 관광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승객들은 외출 비용을 분할하여 편의와 혜 택을 보고, 차주는 약간의 요금을 받아 차량 유지 비용에 보탬이된다. P2P차량 임대는 개인이 개인에게 차량을 임대하는 방식으로 외출 플랫폼에서 중개료 를 받는 것을 상업 모델로 운영한다.
2.4. 디디택시 범죄사건 현상 조사 2015년이후 디디택시 범죄사건은 최소 89건(범죄에 연루된 택시기사102명), 그중교통 사고 33건, 성폭행 16건, 사기 15건, 소란난동10건, 음란모욕과 강도사건이 각각 5건과 3건이 발생하였다. 여성 신변안전과 관련된 사건은 21건으로 전체의20%를 차지한다. 위의 범죄사건 연루기사에서 86명의 용의자들의 나이가 공개되었는데 최대 51에서 최 소 22세까지 있었으며, 22~30세사이의 택시기사가 총 43명으로 전반을 차지하였다. 학력이 공개된 83명의 택시기사에서 중학교 및 그 이하 학력을 가진 사람이 55명으로 전체비중의66.27%를 차지하였다. 사건 발생시간대를 놓고 볼 때 아침 6~8시까지의 사 건발생수가 가장적은 단 한건에 불과했고, 늦은 밤에 일어난 범죄사건이 점점 늘어났는 데 20~24시에 발생한 범죄사건이 최고봉에 이르러 11건에 달했다. 조사결과를볼때밤 시간은사건발생의절정에이른다는것을알수있다.89건의 범죄사건에 서피해자(승객)25명
3) 邱雪林, 共享经济背景下滴滴出行营销策略分析, 重庆交通大学经济与管理学院, 重庆, 400074
250
Vol.1 No.1 August 2019
이 자신의 성별정보를 공개하였는데, 데이터에 따르면 여성이 22명으로 전체비중의 88%를 차지하였다.
3. 안전서비스
3.1. 관찰 (observation)
디자인 활용
현장 조사는 다음 몇 가지 부분에서부터 진행한다:
제안
첫째, 디디택시를 사용한 적이 있는지, 디디택시의 안전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지. 다음 디디택시 어플의 기능 및 사용방법에 대해 깊고 자세한 이해를 진행한다. 그리고, 디디택시 사용자의 택시 이용 절차에 대해 자세한 조사와 탐문을 진행한다. 사 용할 때 및 사용 시간 이외의 특별한 행위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승객이 택시 이용 과정에서 신변 안전에 위협을 느꼈을 때 디디택시가 스 스로 구할 수 있는지, 프로그램플랫폼에서 어떠한 도움을 주기를 원하는지.
3.2. 인터뷰와 고객 여정 지도(interview&journey map) 고객 경험 분석의 목적은 디디택시 승객과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수요를 파 악하여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사용자와의 인터뷰와 관찰을 통해, 여정 분 석을 통해 사용자의 경험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인터뷰는 총 두 갈래로 진행되었다. 직접적 인터뷰는 디디택시 어플을 금방 사용한 승 객의 동의를 구한 후 10에서 20분 간의 인터뷰를 진행한다. 연구 대상이 20~ 30세인 여성 고객이므로 20여세의 여성 승객 두 명을 대표로 선전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여 분 석한다. Content of interview 대상
여승객 A
여승객 B
신분 정보
인터뷰의 내용
나이 : 22세 직업 : 대학생 거주지역 : 난징 이용시간 : 2016 ~
1. 어느 시간대에 휴대전화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까? 14-16시, 18-22시 2. 디디택시 안전 문제 발생 원인 : 승객의 안전 의식이 낮다. 운전사의 도덕적 자질이 낮다. 3. 디디택시 타는 이유 : 편리함, 시간 절약 4. 어떤 문제가 가장 걱정됩니까? 기사가 교통규칙을 어기는 경우, 교통사고, 기사 성희롱
나이 : 28세 직업 : 선생님 거주지역 : 베이징 이용시간 : 2015 ~
1. 어느 시간대에 휴대전화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까? 6-8시, 17-20시 2. 디디택시 안전 문제 발생 원인 : 승객의 안전 의식이 낮다. 운전사의 도덕적 자질이 낮다. 플랫폼 관리를 잘 못 한다. 관련 정책이 불완전하다. 3. 디디택시 타는 이유 : 편리함, 시간절약, 현대 소비방식에 상응하기 때문에 4. 어떤 문제가 가장 걱정됩니까? 기사가 교통규칙을 어기는 경우. 교통사고, 인체 안전
25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1) 기사와 여승객 단둘이 차에 있을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여 생명 에 위협이 가해지게 되면 여승객은 도움을 요청하기 어렵다. (2) 승객을 목적지까지 안내하지 않았다.
(1) 승객의 정보 및 프라이버시가 노출될 수 있다. (2) 기사가 본인이 아닐 수 있다. (3) 기사와 여승객 단둘이 차에 있을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여 생명 에 위협이 가해지게되면 여승객은 도움을 요청하기 어렵다. (4) 의도적으로 승객을 인적이 드문 곳으로 데려가 협박과 공갈 등 범죄를 저지른다.
3.2. 서비스 청사진(service blueprint) 서비스 제공자인 디디택시 프로그램 측 및 당사자인 승객 측, 기타 당사자인 기사 측을 결합하여 service blueprint를 그려 touchpoint를 찾아냈다.
252
Vol.1 No.1 August 2019
touchpoint: (1) 기사가 신분 정보를 거짓 신고하거나 범죄 전과가 있다. (2) 승객의 주소, 전화 번호 등 정보가 누출될 수 있다. (3) 기사가 프로그램 등록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운전한다. (4) 차 안이 밀폐 공간이고 기사와 승객이 단둘이서 외계와 격리되어 있다. (5) 경로에서 이탈하여 목적지까지 도착하지 않는 위험이 있다.
4. 결론
4.1. 기사 신분 정보 심사 시스템에 보안 허점이 존재하여 서비스과정에서 기사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디디택시 기사들은 심사 서류로 신분증, 면허증을 업로드하고 얼굴 인식을 진행해야 한 다. 하지만 위의 작업 모두 온라인에서 기사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진행할 수 있 기 때문에, 택시를 운영할 때 정보를 심사한 기사와 실제로 운전하는 기사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디택시 측에서는 전체 플랫폼에 안전 교육계획을 실시하 여 기사 단말기에 안전 알림을 강화하고 매일 운행 시작 전 안전 지식에 대한 시험을 진행한 후 오더를 받을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사실 안전 지식 관련 시험은 매우 간단하 여 어린이들도 정답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기사 심사 제도를 보다 엄격하고 규범적으 로 집행해야 한다.
4.2 차안이 밀폐 공간이어서 외부와 격리된다. 운행 과정에서 여성 승객 혼자 승차하였을 경우 기사와 단둘이 밀폐된 공간에 있게 된 다. 이때 여승객이 외부와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방법은 핸드폰 밖에 없게 되고 긴급 상 황이 발생할 경우 차문 또는 창문을 열어 도움을 요청할 수 없다. 그러나 디디택시의 경찰 신고 기능은 승객이 자주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승객 스스로 신고 버튼을 누를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어떻게 하면 차 안의 이상 상황을 즉시 감지하고 경찰에 신고할 수 있는지는 매우 중요한 연구 포인트이다.
4.3. 여정에서 기존 경로를 이탈하여 정확한 목적지에 이르지 못한다. 승객이 길을 잘 모르거나 야간일 경우 기사가 의도적으로 경로에서 이탈하여 승객을 잘못된 장소로 안내할 경우 승객은 이러한 상황을 미리 감지하지 못하므로 여성 승객 특히 야간에 혼자 승차하는 여성 승객의 위험을 증가하였다.
참고문헌 盛鹏辉, <互联网时代下打车软件的现状, 问题和对策>, 山西工商学院, 2016. <2019-2025年中国网约车行业市场竞争格局研究报告>, 2018, p3,4 https://www.sohu.com/a/259989954_585306 邱雪林, 共享经济背景下滴滴出行营销策略分析, 重庆交通大学经济与管理学院, 重庆, 400074
25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상업 휴게 공간 이용 행태 연구 -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을 중심으로 -
Resting Space Usage Behavior Research - By renewing the space facilities of Busan Shinsegae Department Store -
위더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Yu, De She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백화점 공공 휴게 공간, 후게가구 방문객, 이용 형태 Keyword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epartment, Store, Public rest space, Rest furniture,
Dongseo University
Visitor, Usage behavior
Vol.1 No.1 August 2019
상업 휴게 공간 이용 행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논문은 주로 상업 건축물의 실내 공공 휴게공간 방문객이 휴게가구를 이용하는 행 위에 대해서 연구하며, 이전에 기네스 세계 최대의 백화점으로 기록된 부산 신세계백화 점을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한다. 현장에서 주중, 주말의 시간대별로 관찰연구를 진행하 며, 백화점 내부 각 주요한 층의 휴게공간, 휴게가구의 위치분포, 실내 휴게공간 방문 객의 활동상황, 휴게가구의 유형, 재료, 색상, 공간조명의 특징에 따라, 방문객의 휴게 가구 이용행태를 분석한다. 연구의 목적은 상업 건축물 실내 휴게공간의 설계와 이용행 위의 차이에 따라 실내 휴게공간의 분포위치, 매장테마, 가구 디자인 등 방문객의 휴게 가구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요소들을 도출하여, 대형 상업 건축물 실내 휴 게공간에 가치 있는 디자인 이론과 데이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실내공간 휴식가구의 개념을 해석하고 분류하며, 선행 연구의 성과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공간 속 휴식가구의 평가요소와 사용자 이용 행 태의 형태를 요약한다. 둘째, 부산 신세계백화점에 대해 현장 관찰, 주요층의 휴게공간위치 파악하고 가구디자 인 형태, 색채, 조명, 재료등의 측면에 가구 디자인을 분석한다. 셋째, 주중과 주말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휴게공간 이용 행태를 관찰, 분석 한다. 휴게 가구를 사용하는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각 공간에서 가구를 사용하는 행태의 특징을 분 석한다. 넷째, 설문조사를 통해, 백화점 실내 휴게시설에 대한 방문객들의 만족도와 문제점을 파악한다.
2. 이론적 고찰
2.1. 휴게 공간 가구의 종류 및 기능 휴게가구는 개인공간에서 사용하는 것 외에도 광장, 공원, 쇼핑몰 등과 같은 공공공간 에서 자주 활용되지만, 현재 상업건축공간에서 공공휴게공간의 역할을 보다 잘 구현하 고, 휴게서비스의 과학성과 합리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휴게시설의 성질과 기능을 충 분히 인게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그것을 분류하여, 공공공간에서 휴게시설 이용의 최 대화를 실현해야 한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휴게가구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대부분 재료 분류, 기능 분류, 구조 분류, 스타일 분류, 등급 분류, 조형 분류가 있지만, 휴게시설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기능과 조형이 있다[5].
25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상업 건축물 내 공공휴게 공간에서 방문객은 롱벤치와 의자 두 종류의 시설을 이용하 여 휴게을 취했으며, 찰스쟁(Charles Jencks)에 따르면: “휴게 시설은 사람들에게 휴게 를 제공하며, 이는 의자와 롱벤치를 포함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휴게시설의 범위가 매 우 넓다는 점을 의미하며, 롱벤치와 의자 외에도 석재와 플라스틱, 목재와 같은 원재료 가 될 수 있다.상업건축의 실내 공공휴게공간에서, 방문객들이 실내에서 휴게하며 사용 하는 휴게시설은 주로 벤치와 의자 두 종류이다. 아래에서는 부산 신세계백화점의 각 층 공공휴게공간을 결합해 자주 사용하는 휴게가 구의 종류에 대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다. [표 1] 휴게기구의 유형
[표 2] 가구의 이용 행태 분석
상업 건축물 내 공공휴게 공간에서 방문객은 롱벤치와 의자 두 종류의 시설을 이용하 여 휴게를 취했으며, 찰스쟁(Charles Jencks)에 따르면: “휴게 시설은 사람들에게 휴게 를 제공하며, 이는 의자와 롱벤치를 포함한다”고 언급했다. 이는 휴게시설의 범위가 매 우 넓다는 점을 의미하며, 롱벤치와 의자 외에도 석재와 플라스틱, 목재와 같은 원재료 가 될 수 있다[7]. 휴게 시설은 휴게라는 기본적인 기능 뿐만 아니라 시선을 모으는 중심이 될 수 있으며, 내재적 문화 특징을 반영하여 시대적 정신을 전달할 수 있다.
2.2. 휴게공간의 가구 시설(벤치 및 의자)평가 요소 선행연구의 성과를 분석하여 표 1에서 기능성, 미학성, 지역성, 환경성, 조화성 및 안전 성을 포함하는 7개의 평가 요소를 요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성, 환경성, 미학성, 공공성과 지역성을 평가인자로 선택했다. 또한, 상업건축의 실내 공공휴게공간의 목적 은 방문객들에게 즉시 세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것은 인간성 측면을 구현하 며, 진정으로 공공공간에서 휴게용 가구 사용의 편리성을 이룰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편리성”을 본 연구의 6번째 평가인자로 선택한다. 기능성 측면에서, 가구는 기본적인 휴게시설로, 그것은 최소한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앉 아서 휴게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한다[8]. 미학적 측면에서, 휴게가구는 실내
256
Vol.1 No.1 August 2019
공간 디자인의 특징에 맞추어, 공간의 색채, 조명, 인테리어 재질 등과 통일시켜, 일종 의 아름다운 시각적 효과와 상징적인 의미를 만든다. 지역성 측면에서, 다양한 지역과 공간은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휴게가구의 사용은 구체적인 특징을 가지고 그것과 서로 부합될 수 있다. 환경성 측면에서, 건축 실내공간의 제공은 인테리어의 객관적인 조건 으로, 휴게가구의 디자인은 기존의 공간 디자인의 특징을 결합하여, 편안하고 자연스러 운 분위기를 형성한다. 공공성 측면에서, 휴게가구는 공공시설로서, 대중의 사용에서 더 많은 서비스 대상의 사용 사정을 고려하여, 공공 서비스의 목적을 더 잘 구현한다 [9]. 편리성 측면에서, 공공공간에서 휴게가구는 사람들이 특정한 공간에서 가장 빠른 휴게의 수요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의 신속하고 편리한 특징을 반드시 갖추 어야 한다.
2.3. 공간의 이용 행태 연구 Matthew Catthew Carmona는 <도시 디자인의 척도>에서 “사람들은 공공 공간에서 만족을 얻으려는 5가지 기본 수요가 있는데, 이는 각각 편안함, 필요함, 릴렉스, 환경에 대한 수동적 참여, 환경에 대한 능동적 참여와 발견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실내 공공 공간에서 휴게 활동의 이용 형태와 일치하다. 예를 들어 휴게 공간에서 책을 읽고, 음 식을 먹고, 멀티미디어를 사용하고, 잠깐 휴식하고, 잠을 자고, 교류하고, 관람하는 등 은 방문객의 기본 기능적 수요와 형태 상황을 나타낸다. Willian H.whyte도 “휴게 장 소는 가장 사교적인 장소 중 하나이다”라고 지적하였다. 이 이론들을 기반으로 본문은 휴게 공간에서 서로 다른 시간대에서 방문객들이 휴게 가구를 사용하는 형태에 대해 관찰을 진행하였고 또 설문조사 방법을 접목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3.1. 부산 신세계 백화점(센텀시티점) 개요
3.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 분석
신세계 백화점(SHINSEGAE)는 오랜 역사를 가진 백화점이며, 한국 최초의 백화점이기 도 하다. 1930년 일본 미츠코시 백화점 경성 지점으로 개업했으며, 해방 후 동화백화 점으로 운영되었다. 1963년 삼성그룹에 인수된 후 이름을 공모했으며 신세계로 개명했 다. 바꿔 말하면 신세계는 한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백화점이라는 점이다. 쇼핑 을 중심으로 SPA세계, 아이스링크 등의 엔터테이먼트 및 문화 체험시설도 가지고 있으 며, 한국 유일의 복합형 문화 체험 공간이다. 백화점은 총 11층이며 기네스북에 최대 규모의 백화점으로 등재되어 있다.
3.2. 부산 신세계백화점 휴게공간과 가구현황 이 연구를 위해, 관찰 시간은 주중과 주말의 오전과 오후로 나뉘었는데, 2018년 주중 시간은: 11월 12일 화요일 오전, 11월 16일 금요일 오후, 11월 22일 목요일 오후, 12 월 5일 수요일 오전, 12월 14일 금요일 오후이고, 2018년 주말 시간은: 11월 24일 토 요일 오전, 12월 16일 일요일 오후, 12월 23일 일요일 오후이다. 2019년 주중 시간 은: 4월 3일 수요일 오후, 4월 9일 화요일 아침, 4월 24일 수요일 오전, 5월 8일 수요 일 오후이고, 2019년 주말 시간은: 3월 31일 일요일 아침, 4월 13일 수요일 오전, 4
25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월 20일 토요일 아침, 5월 5일 일요일 오후이다. 휴게공간의 가구 등의 수량을 파악하 여 이를 기록했다. 부산 신세계가 198500평방미터의 대형 백화점이기에 분산되거나 사용률이 비교적 저조한 휴게공간의 가구는 배제했다.
3.3. 휴게가구의 분석연구 3.3.1. 휴게공간 및 가구 위치 총 14층인 부산 신세계백화점의 매장 안에서 7, 8층을 리벙제품과 영화관으로 9층 이 상을 전문식당가와 스플츠 공간으로 주성되어 분연구에서는 제의하였다. 2, 4층을 3층 과 유사한 휴게공간 구성으로 또한 제의 하였다. B2층, 1층, 3층, 5층, 6층을 중점 연 구 대상으로 선택했고, 그 각 층의 구성은 아래의 표와 같다.
3.3.2. 휴게가구의 디자인 분석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가구의 위치에 대한 관찰을 통해 실내 공공 공간의 휴게 가구 에 대한 디자인 유형, 재질, 색깔, 공간 조명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B2층
3층 [표 3] 3.2.4. 5층 휴게 가구 분석
258
1층
5층 [표 4] 중점 연구 층의 영업 주제
6층
Vol.1 No.1 August 2019
3.3.2.1. B2층 휴게 가구 분석 3.3.2.2. 1층 휴게 가구 분석 3.3.2.3. 3층 휴게 가구 분석 3.3.2.4. 5층 휴게 가구 분석 3.3.2.5. 6층 휴게 가구 분석
5층
4. 휴게 공간 이용 행태 분석
6층
B2층, 1층, 3층, 5층, 6층 휴게 공간의 주요 위치를 주요 관찰 지점으로 선정하여 방 문객을 상대로 이용 행태 분석을 진행하였고, 주중과 주말 등 다양한 시간대에 따라 관 찰하여 사진 촬영과 통계 작업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관찰 시간은 다음과 같다. 2018.12.2.(월요일) 11:00-13:00.
2018.12.9.(일요일) 10:30-18:00.
2018.12.10.(월요일)15:30-19:00.
2018.12.18.(화요일)11:30-13:00.
2018.12.25.(크리스마스)11:30-:20:30. 2019.4.23.(수요일)12:30-19:30. 2019.4.28.(토요일)10:30-20:30.
2019.5.5.(일요일)11:00-20:00.
25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6. 결론
본 논문은 부산 신세계 백화점의 휴게 공간과 휴게 가구의 위치, 방문객 휴식 상황, 휴 게 가구의 형태, 재료, 색깔, 공간 조명, 방문객이 휴게 가구를 사용하는 형태 등에 대 한 전면적 연구를 통해 상업 휴게 공간의 이용 형태에 대해 정리하였다. 첫째, 휴게 공간과 휴게 가구의 위치는 휴게 공간 방문객의 전반적 인구 유동 부포에 영 향을 준다. 예를 들면, B2층의 출입구 활동 광장 휴게 구역과 주차장 출입구에 위치한 휴게 구역과 같은 분포는 휴게 방문객들이 휴식을 취하는 노선 선택에서 “가까운 곳을 선택”하도록 하고, 출입구와 같은 공간과 연결되는 인접 위치는 방문객이 실내 활동을 마친 후 몸과 마음의 휴식을 취하거나 백화점을 떠나기 전의 에너지 보충 장소가 되며 방문객의 휴식 시간도 다른 층보다 더욱 길다. 1층의 휴게 공간은 전체 백화점의 지하 와 지상을 연결시키는 장소이므로 방문자가 비교적 많고, 휴게 가구도 로비 근처에 집 중되어 있다. 특히 주말 오후 시간대에 방문객들의 휴게 가구 사용률이 가장 높다. 둘째, 휴게 가구의 형태, 재료, 색깔, 공간 조명은 휴게 공간과 휴게 시설의 환경성, 문 화성, 기능성, 심미성의 서로 다른 표현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문객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경험하고 느끼는 바가 모두 다르다. 예를 들면, 6층의 휴게 공간은 문화 교육, 갤러리, 골프, 유아 용품 등을 주로 취급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휴게 가구도 흰색과 회색 소파 위 주이고, 휴게 공간의 간접 조명도 황백광 위주이다. 5층의 공간은 남성 용품 위주이고 휴게 가구는 노란색의 아치형 인조가죽 벤치 위주이고, 휴게 공간은 하얀 빛의 직접 조 명 위주이다. 셋째, 방문객들이 휴게 행위는 휴게 공간과 휴게 가구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6층 의 문화센터 부근의 휴게 구역 방문객들 가운데서 책을 보거나 조용히 앉아 있는 행위 가 비교적 많고, B2층의 주요 출입구 휴게 구역에서 방문객들은 휴게 가구에서 대화를 하거나 잠을 자거나 음식을 먹거나 미디어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으며, 3층 의 여성 전문 매장의 휴게 공간에서 방문객들은 주로 미디어 장비를 많이 사용한다. 상업 휴게 공간의 이용 행태는 휴게 공간, 휴게 가구, 휴게 가구의 형태, 재료, 색깔, 공 간 조명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방문객들의 휴게 가구 이용 행태에서 상업 휴게 공간
260
Vol.1 No.1 August 2019
의 서비스 품질과 백화점의 전반적 이미지를 어느 정도 반영하였다. 때문에 상업 건축 공간은 방문객들의 휴게 이용을 바탕으로 휴게 공간과 가구의 디자인 특징을 접목시켜 인간적이고 주제의 특색을 부각시킬 수 있는 사고를 채택하여 편안한 상업 쇼핑 환경을 만들어 시민들의 레저와 즐거움 수요를 만족시키고 기업의 상업 경쟁력을 한층 끌어 올 린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현장관찰, 대화와 조사 등을 통해 얻은 실내 공공공간 휴게가 구 디자인과 사람의 사용행태 연구 데이터, 방법 및 정보는 상업건축 실내 디자인에 일 정한 참고적 의미를 제공할 것이다.
참고문헌 윤종영, 안혜신, 공공디자인 행정론, 삼성출판사, pp.10-13, 2009. 승서연, 공공디자인 행정론, 도서출판, pp.25-27, 2010. 류수열, 유지은, 이수라, 이용욱, 장미영, 주경미, 스토리텔링의 이해, 도서출판 글누림, pp.13-15, 2007. Pei-Ying Li, Ming-Shih Chen, Haruo Hibino, Shinichi Koyama, and Meng-Cong Zheng, “Rest Facilities at Commercial Plazas through User Behavior Perspective,” JAABE, Vol.8,No.1, p.120, 2009. 聂华. 百货店公共休息空间的研究[J]. 建筑创作, p.67,2016 Cody J F.Building in China: Henry Murphy's “Adaptive Architecture” p.78, 2010. Flanagan, R., Norman, G., Furbur, D. Life Cycle Costing for Construction [J]. Surveyors Publications, pp.70-73,2013. 吴延光, 商业建筑室内休息空间与家具的使用研究[J]. 科技资讯 p.68, 2009. 李明德. 商业建筑室内休息空间与家具设计[J]. 设计艺术(中国美术学院学报) p85-88, 2015. 왕단, “부산시민공원의 벤치 및 파고라 이용자 행태 특성 및 선호도연구, 석사학위논문,” pp.10-13,2018. Ghamari H, Pati, D., Visual, Environmental, Attributes, Contributing, to, Wayfinding, in, Unfamiliar Environments [C]. Interior Design Educators Council. pp.98-99, 2015. 钱丽英, 公共休息空间座椅与人的行为研究, 广州美术学院, p.23, 2014. 장은석, “옥외용 벤치디자인에 관한 연구-갤러리스타일의 에그 벤치 디자인을 중심으 로,” 조형미디어학, Vol.13, No.1, pp.160-170, 2010. Conroy-Dalton, R., at, Buildings:, Visual, of, Building. Acades [J]. Eye. Tracking, Vision, Architectural, Facades, pp.101-103, 1996 Matthew Carmona,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Public places-urban spaces, p173, 2004 王又佳, 金秋野譯, 伟大的街道, 中國建築工業出版社, p.9, 2009.
26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역사·문화기반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 특성 디자인 연구 - 중국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design of the Region with Historical Industrial Heritages and Culture - Focused on Taoxichuan in Jingdezhen -
장징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ang, Jing Y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역사문화, 산업유산, 징더전, 재생특성, 지역커뮤니티 Keyword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Historical, Industrial Heritages Region, JingDeZhen,
Dongseo University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Local Community
Vol.1 No.1 August 2019
역사·문화기반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 특성 디자인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990년대 후반, 글로벌 경제의 고속 성장, 세계화, 정보화가 도시에 미친 영향과 3차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도시 내부의 공업 단지는 역산업화 과정을 겪었다. 공업 단지와 기초 인프라 시설은 도시 중심에서 근교로 이동했고, 이로 인해 대규모의 산업 유적이 생겨났다. 특수한 도시 용지로서 산업유적 공간은 주변 인프라 시설이 잘갖춰져 있는 등 대개 지리적 장점을 갖고 있다. 이는 건축 문화유산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역사·인문 적 가치가 높다.1) 또한, 산업유산 지역에 존재하는 건축, 공업 시설, 흔적, 폐기물 등을 보존하고 개조함으로서, 쇠퇴하는 지역을 관광자원화하여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 는데 기여한다.2) 20세기 중국에서도 산업 건축물은 경제개발과 사회 변혁의 필연적 산물이었다. 중국의 경우 광저우성 포산시, 남풍고조, 장시성 간저우 7리진 구요, 징더전 도계천 등 이 대 표적 산업유산 지역으로 재생되었다. 1970년대부터 사람들은 방치된 산업 공간 중에서 역사 지구 혹은 산업 건축 유적에 속하는 건축물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건 축물과 역사·문화 유적뿐만 아니라 그 주변 환경까지 보호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 울이기 시작했다. 징더전 시 도계천은 중국 역사상 가장 큰 도자기 제조 지역으로 2000년의 역사를 가지 고 있었으나, 1990년대 경제 구조와 정책 개혁으로 인해, 기계식 도자기 공장은 점차 도태되거나 이전되면서, 대규모의 공장이 그대로 방치되거나 폐기되는 상황으로 이어 졌다. 현재 이 기업들은 모두 문을 닫았지만, 공업 유적지의 건물과 시설들은 징더전의 역사와 문화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또한 징더전 시의 폐기된 공방들은 중국 도자기 문화와 산업의 변천 과정을 그대로 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산업유산 지역을 대표하는 징더전 시 도계천의 독특한 도자 기 역사·문화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건축 및 시설물의 보존과 변화, 지역 문화 및 커뮤니티를 포함한 지역 재생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징더전 도계천과 같이 특정 산업의 역사와 문화가 오래된 지역 의 재생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와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1.2. 연구 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산업유산 지역의 개념 및 특성, 보존 및 재생에 대한 전체적 인 고찰을 한 후, 선행연구를 통해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방향을 설정하였다. 1) 史晓华, 徐秋实, 글로벌 산업 단지의 개조 및 보호, 정저우 대학교 건축 학원, 생태 경제, 2015, pp.2-5. 수정인용 2) 胡燕, 포스트 산업 조경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 북경 임업 대학교, 2014, pp.8-10
26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둘째, 관련 논문과 사료를 수집하여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2000년에 이르는 도 자기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변천과정을 상세히 파악하였다. 셋째, 징더진 시 도계천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산업유산 공간의 보존 및 개조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을 관찰, 분석하고, 건물의 이용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였다. 사료 고찰과 현장 분석을 통해 도계천 지역 산업유산 공간의 재생에 관해 물리·환경적, 지역·문화 적, 사회·경제적 측면을 포함한 통합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물리적 재생은 공간구성 및 환경, 건축물의 보존 및 재생, 실내 공간의 보존 및 개조 특성에 대해 분석을 포함하였다. 지역·문화적 재생에서는 징더전 도자기 문화의 발전과 쇠퇴, 도자기 공장의 보존과 그에 따른 역사·문화적 정체성에 관해 분석하였다. 사회· 경제적 재생에서는 지역 학교와의 연계, 지역 산업과의 연계, 지역주민의 참여와 커뮤 니티 활성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산업유산 재생의 잠재력 및 중요성 2000년대 들면서 낙후된 산업시설을 지역재생의 새로운 매개체로 바라보는 시각이 급증 하고 있다. 이는 산업유산이 가진 다음과 같은 잠재력 때문이다. 첫째는 산업유산이 가 지는 ‘다층성’이다. 산업유산은 대부분의 경우 해당 지역에서 번성했던 지역산업과 맥을 같이 하며 지역민의 생활양식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또 산업유산은 근대의 기억과 현대적 삶의 공존을 함께 남는 지역문화의 전달매개체적 성격을 보유하고 있다. 둘째는 ‘활용성’이다. 산업유산은 어느 정도 과감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록문화재이거나 비(非)문화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 며, 산업시설의 거친 인공미와 세련된 현대적 디자인이 결합되면서 다양한 형태를 갖춘 공간 창출의 새로운 장르를 열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재생성’이다. 크게 보면 산업 유산은 기능이 쇠퇴된 후 버려진 땅을 칭하는 브라운 필즈에 속한다. 특히 산업유산은 원도심이나 항만에 입지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재생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수 있는 무한 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어, 낙후되고 소외 대상이었던 옛 산업지대와 공간을 기회 자 산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강하게 보유하는 도시 자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3) 적절한 산업유산의 활용으로 작게는 국부적 공간에서 크게는 지역적인 영역까지 다양 한 가치창출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산업유산 재생의 장점 및 특성을 상징적, 경제적, 공간적, 창조적, 문화적, 지역적, 건축적 측면에서 분석해 볼 수 있다. ([표 1] 참고) [표 1] 산업유산 재생의 장점 및 특성 측면
장점 및 특성
상징적
∙ 해당지역의 장소에 산증인으로써 역사의 연속적인 역할과 그 공간에 대한 랜드마크적인 기능
경제적
∙ 산업유산에 대한 체험,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관광 ∙ 관광객을 유치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
공간적
∙ 단일 시설에 국한되기 보다는 지역차원의 공간구조와 차원의 용도와 활용까지 관련되기 때문에 산 업유산 개체의 고유성보다는 지역의 공간적 맥락과의 조화가 매우 중요
3) 정민주. 국내 폐공장 재활용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한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5권 3호, 통권32호, 2013, p.88.
264
Vol.1 No.1 August 2019
측면
장점 및 특성
창조적
∙ 한정적이던 문화재의 개념을 확대하여 ʻ유산의 재창조ʼ 라는 개념을 태동 시킬 수 있는 여건 조성 ∙ 이론에 머물던 재활용(Reuse),리노베이션(Renovation) 등의 개념을 산업유산 활용에 직접 적용 함으로써 수복형 정비 발전을 도모
문화적
∙ 공간의 활용으로 문화공간을 형성하여 산업기술의 변천과정과 지역의 역사 및 사건을 체험을 통한 학습시설로써 활용 가능 ∙ 도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해주는 ‘매개체’로서 그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단서 제공
지역적
∙ 경제적인 낙후로 인한 수많은 인구이동으로 초라해진 지역에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 ∙ 주변에 새로운 인프라를 형성하여 지역성장에 기여 ∙ 지역주민과의 커뮤니티 형성에도 영향
건축적
∙ 과거의 건축물에서 현재와는 다른 구조적∙재료적∙건축 공법과 미적 가치 보존 ∙ 건물 일부를 활용하여 본래 산업건물의 분위기인 굵고, 거친 선에 주변 인프라와 어우러져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아름다움이 공존
2.2. 산업유산 재생 관련 선행 연구 분석 [표 2] 산업유산의 재생 디자인관련 주요논문 연구자
연도
내용
정민주 이찬
2014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특성 연구
한아름
2013
산업유산의 창의적 활용 방법으로서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디자인
이병민
2017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산업유산 특성 - 삿포로와 청주 사례를 중심으로 -
오수현 서수미
2017
도시재생 관점에서 산업유산 시설을 활용한 컨버전 디자인 사례연구 - 폐 채석장을 중심으로 -
윤지영 변철
2014
나오시마에서 나타난 해양지역 재생 특성과 유기적 디자인 연구
왕발부 윤지영
2017
문화기반 산업유산 공간의 장소성 평가 연구 - 북경 798 예술지구를 중심으로 -
산업유산의 재생특성 [표 1]와 선행논문에 대한 연구 [표 2]의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 공업유적지의 재생특성은 상징적, 경제적, 문화적, 지역적, 공간적, 창조적, 건축적, 환 경적, 경관적, 기능적, 미학적, 기능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요 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징더전 도계천의 재생 디자인 특성을 물리·환경적, 지역·문 화적,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림 1] 분석의 틀 도출도
26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3. 징더전과 도계천의 역사 및 변천 과정 2.3.1. 도계천 지역의 개요 징더전의 도자기 산업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중국 역사상 8대 관요(정부 주 도 도자기 공장) 중 하나이기도 한다4). 민국시기와 광둥의 푸산, 후베이의 한커우, 허 난의 주셴은 전국의 4대 명산으로 불리었다. 또한 이는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전국의 24개 역사문화 명소 및 대외 개방지역이기도 한다. 징더전 시 도계천의 전신이었던 국가 소유의 우주 도자기 공장은 중국 최초의 산업유 산 중 하나로 공인받았다. 개조된 후의 도계천은 중국 최초의 도자기 문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 레저 테마파크“China 팡”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2017년 11월, 도계천 박물 관은 유네스코 아태 문화유산 보호 부문‘혁신상’을 수상하였다. [표 3] 도계천 도자기 산업유산 지역의 개요 도계천 도자기 산업 유산 (Taoxichuan Ceramic Industrial Heritages Space) 위치
개요
장시성 징더전시
시간
2012
규모
110,700m²
도계천의 전신인 징더전 도자기 공방 지역은, 1958년에 우주 공방을 중심으로 건설을 시작했다. 공업 유 산 지역은 도자기 공업의 발전 과정에 있던 옛 공방, 요로, 그리고 60m 정도 높이의 굴뚝 등의 것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계천 국제 도자기 문화 산업 단지는 기존에 건국 시기에 지어졌던 우주 도자기 공장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는데, 건물의 외관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내부에는 도자기 문화 활동을 많이 체험해 볼 수 있게끔 설계하였다. 이로써 징더전의 도자기 역사 및 문화가 가지는 상징성을 부각시키고, 징더전 사람들이 도자기 공업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소속감과 동질감을 기르고자 했다. 재생방식 원기능
현기능
재생 유형
도자기 공장(1958)
도자기 문화 예술공간(2012)
부분보존(외관보존)
2.3.2. 징더전 도자기 생산의 역사 징더전은 쟝시 동북부에 있으며, 황산과 회옥산맥과 판양호 평원의 중간 지역에 있다. 이곳은 전형적인 강남 홍토 구릉 지역으로, 자석(瓷石)과 고령토, 그리고 석탄 자원이 풍부하다. 고령토는 도자기 산업의 중요한 원료로, 징더전에서 나는 고령토는 품질이 우수하여 징더전의 도자기 생산에 이상적인 조건이 되었다.5) 중국은 “도자기의 나라(CHINA)”로 불리웠고, 역사적으로 징더전은 “도자기의 수도”였 다. 역사서에는 “신평(新平)”징더전의 옛 이름)에서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한나 라 시기부터라고 기록하고 있다. 당나라와 오대 시기에는, 징더전은 강남 지역에서 백
4) 중국 고대 8대 관요(정부 주도한 도자기 공장): 징더전(景德镇), 여요(汝窑), 균요(鈞窯). 관요(官窑), 가요(哥窯), 정요 (定窑), 요주요(耀州窑), 자주요(磁州窯). 5) https://baike.so.com/doc/5858014-6070857.html
266
Vol.1 No.1 August 2019
자를 가장 많이 만드는 도자기 공방이 되었다. 이 곳에서 만들어진 백자인 “영여옥(莹 如玉)”은 황실에서만 사용되었다. 송진종 경덕 원년(A.D. 1004년), 청백자 재질의 뛰어 남을 인정받아, 황제의 연호를 따라 징더전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원대에 와서 징더전 도자기 생산은 혁신의 시기를 맞는다. 이 시기에는 송대의 청백 자 기의 기반위에 현재까지도 극찬을 받는 청화자기를 만들어냈다. 명대에 와서 징더전은 전국 도자기업의 중심이 되었다. 징더전에는 황제를 위한 어기 공장이 설립되었고 도자 기 감독관이 파견되어 황실에서 사용되는 각종의 궁정, 외교, 예품용 도자기가 만들어 졌다. 어기 공장은 초기의 20개 가마에서 58개 가마로 확장되었고, 가장 가마가 많았 을 시기에는 80개까지 되었다. 이는 대대로 전해져 내려와 청나라 시기까지 이어졌다. 통계에 의하면, 어기 공장은 역대 27명의 황제를 500년간 모시며, 징더전 도자기 생산 의 발전과 품질 향상에 큰 역할을 했다. 청나라 말기 아편전쟁 이후, 징더전 도자기 생 산은 큰 손실을 입어, 500년 넘게 이어져온 어기 도자기 공장은 수명을 다하였다.6)
2.3.3. 징더전 도자기 생산의 현대화 청나라 말기에 들어와 점차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으나, 1949년 건국 후에 와서, 정부 는 국가의 도자기 산업을 재정비하고 지원하면서 징더전 시의 재생이 시작되었다. 도자 기 생산 규모가 커지며 일용 도자기를 중심으로, 예술, 건축, 공업, 전자 등 각종 도자 기 종류가 함께 산업 체계를 형성했다. 이후 인민, 신화, 동풍, 경흥, 예술, 광명, 홍성, 홍기, 우주, 위민, 화풍, 조소, 홍광, 서광 등의 대형 도자기 공장이 차례대로 세워졌다. 1958년, 전문적인 고급 도자기 인재 양성 고등학교인‘징더전 도자기 학원’이 설립되며, 가장 중요한 도자기 생산 및 수출 기지이자 도자기 과학 연구 교육의 중심이 되었다. 또한, 1977년 도자기 예술 교육을 위한 징더전 대학교 설립되었다. 천년 도자기 수도의 역사 문화는 역사 건축 유지와 도자기 제작 공예, 도자기 공예 가 문 등 유형 혹은 무형의 매개체를 통해 계승되어 왔다. 원료 생산지, 작방, 가마, 도로 와 항구, 저잣거리와 민가 등의 물리적 유산과 징더전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전통 도자 기 기예 그리고 문화 전승 등의 비물리적 유산이 풍부하게 남겨지게 되었다.
[그림 2] 징더전 전위도
[그림 3] 징더전 도자기 공업 유적지
6) https://baike.so.com/doc/5858014-6070857.html
26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4] 징더전 건국 후 12개 도자기 공장 발전 과정 시 간
기관
내 용
1950
건국 도자기 공장 건국 후 첫 국영 기업 설립.
1951
동풍 도자기 공장 1951년 설립되어 1953년에 운영되었다.
1954
우주 도자기 공장
1954년에 건립되었던 건국 제1 도자기 공장이었다.1958년 제13 도자기 공장과 제4 도자기 공장을 합쳐 이름을 변경하였다.
1956
인민 도자기 공장
1956년에는 화광, 군익, 광대인 세개 공장을 합쳐 ‘징더전 3도자 공장’이라고 불렀다. 1957년 신평 도자기 공장으로 개칭하였고, 1969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1957
홍기 도자기 공장 1957년 6번째, 7번째, 9번째 공장이 합병하였다.
1958
홍성 도자기 공장 1958년 11번째과 14번째 공장이 합병하였다.
1960
예술 도자기 공장
1961
광명 도자기 공장 1961년에는 홍기 도자기 공장 일부가 분리되었다.
1961
경흥 도자기 공장 1961년 화전공장과 광휘공장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1965
백성 도자기 공장
1965
신화 도자기 공장 원래 신평 도자기 공장(현 인민 도자기 공장)일부는 1965년에 설립되었다.
1978
화풍 도자기 공장 1978년 설립되어 1985년까지 운영되었다.
원래 이름은 공예 미술 도자기 공장으로 1960년에 설립되었으며, 1972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1965년에 건립되었는데, 원래 이름이 고급 미술 도기 공장이었며, 1966년에 백성 도자기 공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50년대 이전까지 징더전의 도자기 제작은 수공에 의존했으나, 1958년, 첫 기계화 생산을 이룬 신형 도자기 기업인 우주 자기 공장이 세워졌다. 이는 징더전 지역을 넘어 전국적으로 일용 도자기 산업의 공업화를 촉진했다. 1965년을 기준으로 도자기 산업에 종사하던 직원들은 약 2만 명이었다고 한다. 1980년대, 도자기의 주요 생산 기업으로, 우주 도자기 공장의 수출 실적은 매우 뛰어나, 해외에선 ‘중국 징더전 황실 도자기 공 장’으로 불리어졌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징더전 도자기는 현대 공업의 혁신과 중국 국유 기업 의 개혁을 맞이하며, 우주 도자기 공장에서 시작하여 10대 도자기 공장이 차례로 생산 을 중단했다. 이후 징더전은 쇠퇴와 몰락을 맞았고, 공장 지구도 점차 황량해졌다. 2012년 징더전은 칭화 통헝 역사·도시 보호 발전연구소와 합작하여 징더전 도계천 산 업 유산 단지에 대한 보호와 재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도계천은 징더전 동쪽의 우주, 위민 등 5개 공장과 노후 기차역 및 국가 식량고를 포함하며, 총 면적은 1,000,000㎡ 에 달한다. [표 5] 징더전 시 도계천의 개발 과정 시기
면적
2012.8 1000,000m²
2012.10
268
10,700m²
사건·인물·기관 2012년 징더전 시와 칭화대 통헝 역사·도시보호 발전연구소는 합작하여 징더전 도계천 산업 유산 단지에 대한 보호와 재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프로젝트 범위는 우주, 위민 등 공장과 노후 기차역 및 국가 식량고를 포함한다. 도계천 1기는 원 우주 도자기 공장을 중심으로 징더전 도자기 산업 유산 종합 보호 및 이용 개발 프로젝트를 가동하는 것이다.
site plan
Vol.1 No.1 August 2019
시기
면적
사건·인물·기관
2015.9
3600m²
도계천 1기는 우주 도자기 공장이 갖고 있던 정련 공장을 도계천 산업 유산 박물관, 미술관으로 활용하고, 원료 갖고 있던 정련을 도예 예술 체험 공간으로 개조하는 것이다. 2015년 9월 도계천 미술관은 개관하고 대외적으로 개방되었다.
2016.2
11328 m²
2016년 2월, 카이위엔 만쥐 호텔이 개업했고, 중앙 미술 아카데미는 도계천과 입주 협의를 맺었다. 고궁 박물관과 도계천 징더전 근현대 도자기 공업 박물관이 장기 협업 의사를 표했다.
대지면적 : 110,700m² / 2016.5 건물 연면적 : 89,000m²
2018-
3. 도계천 산업
site plan
2016년 5월 중국 미술 아카데미, 북유럽 디자인 센터 등은 예술 디자인 연구단을 도계천으로 옮겼다. 도계천 도기 문화 창의원은 정식으로 대외적으로 개방했다. 도계천 2기 건설이 전면 시작되었고, 예상 투자액은 138억원에 달한다. 이는 교육 및 훈련, 합동 공작, 비유산 센터, 호텔 및 아파트, 도예 체험, 호화 저택 등 도자기 예술과 상업을 하나로 묶은 새로운 예술문화 단지가 될 예정이다.
1000,000m²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요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징더전 도계천의 재생 디 자인 특성을 물리·환경적, 지역·문화적,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유산 지역의 재생 특성
[표 6] 징더전 시 도계천의 재생 특성 분석의 틀 차원
내용 공간구성 및 환경
물리·환경적
건축물의 보전 및 재생 특성 실내 공간의 개조
지역·문화적
도자기 문화의 역사와 발전 도자기 공장의 보존과 역사·문화적 정체성 지역 학교와의 연계
사회·경제적
지역 산업과의 연계 지역주민의 참여와 커뮤니티 활성화
3.1. 물리·환경적 재생 디자인 특성 본 연구는 문헌 조사 및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해 징더전 시 도계천 재생의 물리적, 환경 적 특성과 현황에 대해 파악하였다. 물리적 재생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조직 및 구성, 건축물의 보전 및 재생, 실내 공간의 보존 및 개조 특성‘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공간 조직과 구성은 주 로 구역의 기획 특성과 도로 조직, 공용 공간, 수공간 등을 분석 범주로 삼았다. 건축 특성과 변화는 주로 건축 외관의 복원 및 재설계, 그리고 건축용도의 변화에 대해 파악 하였다. 또한 실내 공간 리모델링은 구조적 보존과 용도와 관련한 리모델링의 방향 및 특성 등을 포함하였다.
26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또한 도계천 재생의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하여 건축·공간의 보존과 변화, 구조의 조정과 용도 등 통합적 물리적 재생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지역의 장소성은 보존하면서도 과 거의 공간과 현재의 공간 간의 연결성과 통합성에 대한 분석도 함께 이루어졌다. [표 7] 물리·환경적 재생 특성 차원
내용
공간구성 및 환경 건축물의 보전 및 재생 실내 공간의 개조
도계천 공간의 기능적 배치는 주로 도로계획, 공공 문화 광장, 수경 공간으로 구성된다. (개조 전후를 대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보전, 부분보전, 증축 및 개축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도계천 공간의 기능적 배치는 주로 도자기 연구개발, 도자기 전시 및 보전, 도자기 판매를 포함 한 상업공간 및 기타 서비스 공간으로 구성된다. (개조 전후를 대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림 4] 도로계획
[그림 5] 전체보전 건축물
[그림 6] 도자기 예술 전시공간
3.2. 역사·문화적 재성 특성 [표 8] 역사·문화적 재성 특성 차원
내용
징더전 도자기 문화의 발전
징더전 도자기의 역사는 한나라부터 시작하여, 삼국, 진, 남북조, 당, 오대십국, 송, 원, 명, 청 등 왕조를 거쳤다. 징더전은 2천 년의 도자기 제조의 역사를 갖추어 전국 도자기 제조업의 중 심이 되었다.
도자기 공장의 보존과 역사·문화적 정체성 구축
도계천 프로젝트는 1950년대에서 80년대까지 도자기 공장 22개를 온전하게 보존하였고, 원료 정제, 성형, 소성, 채색 및 포장 작업실까지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장작, 연탄, 중유에서 다시 가 스까지 각기 다른 시기의 화로 설비등 각종 공업 설비시설 219대를 보유하여 공장 지구에 공업 적 가치와 미학적 가치를 부여하였다.
[그림 7] 굴뚝
270
[그림 8] 둥근 가마
[그림 9] 보조 공간
Vol.1 No.1 August 2019
3.3. 사회·경제적 재생 특성 [표 9] 사회·경제적 재생 특성 차원
내용
지역 학교와의 연계
징더전 도자대학, 쟝시 도자기 공예 미술 직업 기술학원(1958년 설립), 쟝시성 징더전시 도자 기 직업 중등 전업 학교(1983년 설립), 징더전 도자기 직업 기술 학원(2012년 설립) 등의 도자 기 전문학교 경덕진에 우수한 인적 자원을 제공한다.
지역 산업과의 연계
도계천(陶溪川)은 몰락의 도자기 산업 문화적 혁신을 통해서, 새로운 현대적 형태의 도자기 제 작과 예술품 경영이라는 새로운 업종이 결합되었다. 도자기 예술의 창작에서 전파와 보급, 판매 와 소비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을 새롭게 이 물리적 공간속으로 끌어오며, 생기가 넘치는 문화공 간으로 재생시켰다.
지역주민의 참여와 커뮤니티 활성화
재생 과정에서 정부와 기업(도계천 문화 관광 그룹), 예술가, 지역커뮤니티, 중·고·대학교를 포 함한 교육기관 등이 전체 프로세스에 함께 참여했다. 정부가 대규모 투자와 정책 결정 측면에서 막대한 지원을 해주었고, 산업 유적을 보존, 개발 하는 과정에서 지나친 상업화를 방지하는 역 할을 했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개발이나 지가 상승과 관련한 투기를 억제하고, 도자기 예술 이라는 지역의 역사·문화적 가치에 초점에 맞추어 진행되었다. 또한 교육기관과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로 커뮤니티가 활성화되면서 사회적, 경제적 재생이 함께 이루어졌다.
[그림 10] 징더전 도자기 대학교(1958년)
4. 결론
[그림 11] 징더전 도자기 대학교(1975년)
[그림 12] 징더전 도자기 대학교(2006년)
본 연구는 징더전 시 도계천의 독특한 도자기 역사·문화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도계 천의 지역 재생 과정의 특성에 대해 고찰, 분석하였다. 도계천의 재생을 1)공간구성 및 환경, 건축물의 보존 및 재생, 실내 공간의 보존 및 개조를 포함한 물리·환경적 특성, 2)도자기 공장의 보존과 그에 따른 역사·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지역·문화적 특성, 3)지 역 학교와의 연계, 지역 산업과의 연계, 지역주민의 참여와 커뮤니티 활성화를 포함한 사회·경제적 특성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첫째, 물리·환경적 재생 차원에서는 전체 건물 형태적으로 큰 변경 없이 원형의 형태 가치를 최대한 보존하고, 기능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여 새로운 융합 가 치를 창출하고 있었다. 공간의 중앙에 위치한 광장에는 산업의 역사적 흔적인 거대 굴 뚝과, 바깥으로 튀어나온 파이프 구조, 터널형 가마 유적 등을 그대로 보존하여 강력한 문화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경관 장식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역사·문화적 재생 차원에서는 도자기 문화를 중심으로 한 지역적 문화 가치에 집 중함으로서 징더전 시의 브랜드 가치를 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전통적으로 도자 기를 구웠던 고대 가마와 작업장이 박물관으로 재생되어, 과거의 형태는 그대로 보존하 면서 시기별 도자기 제작시설과 도자기작품이 전시되어 문화적 기능을 강화하였다. 또 한 도자기 예술가들의 작품을 정기적으로 전시하는 미술관과 더불어 예술가들의 스튜
27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디오, 레지던시, 카페, 호텔 등이 재생되거나 신축되어 창조도시의 특성인 문화, 예술, 커뮤니케이션 측면이 강화되었다. 이는 지역 전체의 문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 왔다. 셋째, 사회·경제적 재생 차원에서는 지역 산업으로서의 도자기 생산, 전시, 교육, 판매 등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주민들의 참여정신이 함께 함으로서 지역 커뮤니 티의 부활로 연결되었다.‘지역과 학술(학교) 연계플랫폼’형식을 활용하여, 지역 커뮤니 티가 주민과 도자학원 학생의 참여를 이끌었고, 도공을 조직하고 문화 자원을 발굴했 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니어 예술가와 노인들이 도자기 공장으로 돌아왔고 지역적 산 업 체인의 선순환구조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물리·환경적, 역사·문화적, 사회·경제적 차원을 기반으로 도계천 도자기 문 화 산업 유산에 대한 재생 과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천년의 도자기 문화 기반과 백년의 도자기 산업 유산을 지닌 도계천의 성공적 재생을 다음과 같은 요인에 서 찾아볼 수 있다. 도자기 가마의 대형 굴뚝과 같은 오랜 역사적 시설의 보존, 바우하우스 양식의 근대건 축물과 상가들, 그리고 2000년 이후 신축된 현대식 박물관 및 호텔 등이 신구의 조화를 이루며 지역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새로운 일자리가 늘어나 면서 단순한 도자기 예술의 지역이 아니라 번성하는 복합문화 타운으로서의 발전을 이 루었다. 여기에는 정부와 학교, 도예 전문가 및 지역주민과의 협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 였으며, 이는 새로운 인구의 유입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지역 활성화를 가져왔다. 도계천의 사례는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이 단순히 물리적 재생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기존의 산업유산 건물 및 시설물을 새로운 용도에 맞게 보존하거나 개조하는 것과 더불어, 한 지역의 오랜 기간 축적된 문화적 자산을 지역 브랜드로 확립 하기 위한 통합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기존의 산업유산 공간을 지역 문화와 연계된 박물관, 미술관, 교육 시설, 상가, 카 페, 호텔 등 복합 문화 시설로 구축하고, 이러한 공간 구축과 연계 프로그램으로 예술 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지역 대학 및 지역 커뮤니티와 함께 추진해가는 공동의 전략이 필수적이다. 이는 지역 재생의 핵심 부분으 로 문화와 관련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새로운 역사·문화성을 확립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징더전 도계천 주민들과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재생에 따른 문화산업 과 커뮤니티의 활성화 여부, 그리고 그와 관련한 만족도 및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서 역 사·문화 기반 산업유산 공간의 재생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정민주, 국내 폐공장 재활용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한회 학술발표대회논문 집 제15권 3호, 통권32호, 2013 왕발부, 윤지영, 장징위, 문화기반 산업유산 공간의 장소성 평가 연구 - 북경 798 예술 지구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6권 1호 통권120호, 2017
272
Vol.1 No.1 August 2019
위안위, 징더전 도계천 문화공간 재건기리연구, 난징 예술 대학교, 2017 이선, 도계천-산업유산의 활성화 샘플, 동방 주간, 2018 한아름, 업유산의 창의적 활용 방법으로서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디자인, 한국디자인문 화학회지, 19(3), 2013 이병민,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산업유산 특성 - 삿포로와 청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경제학회논문집, 20(2), 2017 오수현, 서수미, 도시재생 관점에서 산업유산 시설을 활용한 컨버전 디자인 사례연구 폐 채석장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예술포럼학술집, Vol.12, No.6, 2014 윤지영, 변철, 나오시마에서 나타난 해양지역 재생의 특성과 유기적 디자인 연구, 한국 과학예술포럼, Vol.16, 2014
27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Case Study of Ecological Museums for Protecting Local Culture
류 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u, Sh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Chang, Ju Young(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에코뮤지엄, 지역문화, 사례분석 Keyword
Ecological Museums, Local Culture, Case analysis
Vol.1 No.1 August 2019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1. 서론
‘에코뮤지엄’이라는 개념은 프랑스의 조지 헨리 리비에르(Georges Henri Riviere)가 1971년 국제박물관협회 대회가 개최된 기간에 최초로 제시했다. 그들은 각 계에서 보 편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생태 문제를 문화유산의 보호와 박물관 건설에 도입하면서, 생 태와 생계를 유기적 총체라고 보았다. 동태적인 개념을 통해 사회 공동체의 일체성을 보호하고, 공업사회 이전의 생활 형태의 보존, 공업 유산의 문화적 모습 및 전 세계 경 제 일체화 흐름 아래에서의 민족 문화 다양성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우선 관련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에코뮤지엄과 전통박물관의 차이점을 정리 하고, 조지 헨리 리비에르의 연구 ‘에코 뮤지엄, 진화하고 있는 정의’1)와 중국 학자 쑤 둥하이(苏东海)가 발표한 논문 ‘중국 에코뮤지엄’2)와 후차오상(胡朝相)의 논문 ‘에코뮤 지엄의 지역 사회 문화유산 보호’에서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과 공영성 등 생태박물관이 갖춘 여섯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그 이후의 연구에서 이 여섯 가지 요소를 적용하여 지역문화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5개의 대표적인 에코뮤 지엄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의 대표적인 에코뮤지엄을 대 조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 소수민족 에코뮤지엄에 관한 후속연구에 이론적인 지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2. 에코뮤지엄
에코뮤지엄의 원래 의미는 생태학적 의의를 지닌 지역(사회 공동체, 사회 집단)을 박물 관으로 삼아 경영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박물관 학계 및 문화계의 설명에 따르면, 이는 과학적, 교육적, 문화적인 기법으로 관리, 연구 및 개발된 특정한 사회 공동체/사회 집 단에서 자연 및 문화유산에 내재된 것을 포함한 모든 유산의 전문적 기구이다. 대중이 참여하는 사회 공동체의 기획과 발전의 도구를 말한다. 쑤동하이는 “전통적 박물관은 문화유산의 정취를 집중시켜 보호하고 전시하는 것이다. 에코박물관은 문화 본거지, 문 화의 주인이 스스로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새로운 박물관학 운동이 전통적 박물관학 을 비판하는 이유는 전통적 박물관이 소장품과 그것이 탄생한 조건 및 환경을 분리한 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라고 하였다. 르네 리바드(Rene Rivard)는 에코뮤지엄과 전통 적 박물관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한 후, 1988년 아래와 같은 간결한 공식을 도출하 였다. [표 1] 르네 리바드의 비교 공식 전통 뮤지엄
건축 + 컬렉션 + 전문가 + 관객
에코 뮤지엄
지역 + 전통 + 기억 + 주민
1) Georges Henri Riviere, 『에코 뮤지엄, 진화하고 있는 정의』, 중국 박물관, 1995 2) 쑤둥하이(苏东海), 『중국 에코뮤지엄』, 중국박물관, 1995
27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에코뮤지엄과 전통박물관의 차이 비교내용 활동범주
활동자
활동 소장품 관리
3. 사례 분석
전통박물관
에코뮤지엄
박물관 건물 내 소장품
박물관 내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까지 포함
박물관 전문연구원
지역사회 주민, 상주 전문 연구원, 관련 분야 학자 와 전문가
문물 수집 정리, 과학적 연구, 전시, 사회 교육
지역사회 조사 → 지역사회 전시 → 별관, 과학연구, 전시기획, 사회교육
이동 가능한 문물
지역문화, 지역 풍속, 지역 환경 등
하향식 관리
완전히 사유화된 연합회 기구가 관리
에코 뮤지엄의 근본 목적은 지방문화재 보호를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와 환경이 함께 발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택한 에코 뮤지엄은 모두 경제가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민속문화가 풍부한 지역에 있다. 본 연구는 후차오상과 쑤둥하이의 에코뮤지엄 연구를 바탕으로 완전한 에코뮤지엄이 형성하는 데에 필요할 요소를 제시하였다. 개방성, 활성 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등이 여섯 개의 요소이며 따라 대표적인 에코 뮤지엄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표 3] 에코뮤지엄의 6가지 요소 특성
개념
개방성
환경은 하나의 개방 시스템으로 물질과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진다.
다양한 형식으로 외계와 상호 교류한다.
지명도와 영향력을 높이다
재생 불가능한 자원과 문화에 대한 홍보 및 보호
전체성
환경의 각 구성 부분과 요소는 하나의 유기체를 구성한다.
에코 뮤지엄의 구성 부분 및 주변 환경의 정비와 유지
자발성
스스로 관념을 생성하는 능력, 인식의 적극성
원주민이 자발적으로 또는 긍정적으로 건설,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다양성
생물과 그 생존환경의 다양성 및 문화의 다양성
자연, 환경, 문화, 역사, 건축, 경관 등 현지문화를 보호. 원주민의 생활 습속을 외부로부터 이해시키다.
공영성
경제와 문화가 함께 발전하다
문화 보호와 경제 발전 간의 관계를 조정하여 현지 사회, 경제, 문화의 조화로운 발전을 촉진한다.
활성화 정도
표현형식
아래는 해외의 대표적인 에코뮤지엄을 5개 선정하여 6가지 요소에 의거하여 사례분석 을 진행하엿다. 프랑스의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알자스 에코뮤지엄, 캐나다의 상비보 스 에코뮤지엄, 미국의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영국의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 관등 5개의 에코뮤지엄을 지역문화의 보호를 목적으로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에코 뮤지엄의 성공 사례로서 문헌에 가장 많이 소개되는 곳이다.
276
Vol.1 No.1 August 2019
3.1.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표 4]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상황 사업
사진
설립
1975년
내용
장소
프랑스 세드커스
특징
활동자
박물관 크뢰조몽소 1+5 주민 모델
소장품
역할
지역에 존재하는 5개의 별관을 말하며 운하관, 탄광관, 광업학교관, 수도원, 노동자주택지구를 포함한다
지역 산업의 부흥, 문화발전, 수공예 인력 육성, 성인교육을 위해 힘쓰며 마을 발전을 촉진한다
[표 5]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분석 특성 개방성
표현형식 고대 건축의 전면적인 보수와 보호에 관하여 원주민들은 외부 인사와 교류할 용의가 있음.
활성화 정도 탄광, 운하 등 문화 전승을 보호하며 홍보하였음. 전체성
박물관 구역 내에는 광업 학교와 수도원, 주택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주민의 주거 조건이 보장되면 서도 기존의 생활습관을 보호할 수 있었음.
자발성
원주민들은 자발적으로 박물관의 건설, 경영, 관리에 참여하였음.
다양성
보호 범위는 박물관 건물 자체나 주변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마을 내 모든 자연경관과 인문자원을 관리 범위에 포함시켰음.
공영성
수공예자의 양성과 성인에 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였음.
3.2. 알자스 에코뮤지엄 [표 6] 알자스 에코뮤지엄 상황 사업
내용
사진
설립
1984년
장소
특징
프랑스 윙거쉐 임시
15-19세기 말 당시 농촌이나 산업 건축물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활동자
소장품
역할
건축의 인테리어, 기능, 이곳은 ‘인공’적인 사용방식이 모두 농촌이지만 알자스 재현되었으며, 심지어 문화유산 보호, 농민의 현지의 동식물까지도 생태 복원, 집 협회 옮겨 전시함으로써 지역경제 발전 ‘원래 그대로’의 농촌 면에서 커다란 모습을 만들어냈다. 역할을 하였다.
[표 7] 알자스 에코뮤지엄 분석 특성 개방성
표현형식 전통농업을 복구하고 대량의 동식물을 양식하여 원래의 생태 사슬을 회복하였음.
활성화 정도 ‘회고’식으로 지역 주민의 구술사를 취입하며 웹사이트를 만들어 박물관을 홍보하여 인지도를 높였음. 전체성
그 대표성과 풍토, 시대 또는 사회 집단 관계에 기반을 둔 알자스 가정, 농장, 학교, 교회 기차역, 산판을 선택하여 재건하였음.
자발성
지역 주민들이 박물관의 관리에 참여하며, 직원이 현지 전통의상을 입고 관객에 현지의 전통공예, 농사, 철기제작 등을 전시하였음.
다양성
전통 명절에는 다양한 일상 오락 행사를 열어 트랙터를 타거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관광하며 쇼핑 할 수 있음.
공영성
관광객들이 농촌 생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현지 교육청과 협력하여 견학 장소를 제공하였음.
27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3.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표 8]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상황 사업
사진
설립
장소
특징
활동자
1대중이 외부와의 접촉을 캐나다 통해 자발적으로 1983년 퀘백시 혁신을 추구하는 것을 발전의 지표라고 보았다.
내용
상비 보스 시민 지역 정부
소장품
역할
지역에 존재하는 관람객 개인의 발전을 5개의 별관을 말하며 도와 모든 사람들이 운하관, 탄광관, 에코뮤지엄을 알고 광업학교관, 수도원, 자신의 정체성과 노동자주택지구를 발전방식을 발견하도록 포함한다 하는 데 있다
[표 9]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분석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표현형식 전소장품 분실로 마을 재건하고 자금을 모아 이곳에서 에코뮤지엄을 건립하였음. 설명을 통해 그 속에 담긴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정보를 현지 주민들에게 소개함으로써 소장품의 중요 성을 나타냈음.
전체성
동시에 농업, 임업, 목축업, 광업에 대해 현지내 보전을 실시하였음.
자발성
민중들이 적극적으로 에코뮤지엄의 사무에 참여하며, “우리가 어디서 왔느냐? 우리는 누구냐? 우리는 어디로 가고 싶은가?”를 해답함으로써 자연과 문화 유산을 인식하고,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민족 정체성을 추구하였음.
다양성
민중들이 에코뮤지엄에서 스스로 학습하고, 스스로 가르치며, 따라서 사회 변혁을 이끌 수 있음.
공영성
박물관 사업에 대한 민중의 참여가 활발해졌고, 이들은 지역 사회와 관련된 사회나 경제활동으로 관심을 넓히고, 이처럼 밀접한 연계를 통해 관련 부처들이 민중의 마음을 알게 되었으며, 민중의 필요에 맞는 인성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하여 지역 배려를 강화하였음.
3.4.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표 10]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상황 사업
내용
사진
설립
장소
특징
활동자
소장품
역할
대중의 전시 참여 지역 사회 주민들의 자긍심을 뿐 아니라 박물관과 지역 역사 문화의 전시, 미국 불러일으키고 1967년 지역사회가 하나 사회 노동 도구, 워싱턴시 자존감과 긍정적인 되는 느낌을 청년들 주민복장, 정서를 높였다. 만들어나간다. 생활용품 등.
[표 11]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분석 특성
표현형식
개방성
저소득층 거주지역에 박물관을 건립하여, 대중이 문화를 접하게 하고 잠재 능력과 창작의 동력을 발 굴할 수 있도록 하였음.
활성화 정도 큐레이션의 내용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주제로 하며, 전시 대상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주로 하였음.
278
전체성
동시에 전시 주제, 지역 및 주변 환경을 보호하고,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둘러싸고 큐레이션을 전개하였음.
자발성
경영하고 관리하는 주체는 이웃 고문 위원회로, 지역의 각 계층에서 선출된 75명 위원으로 구성되며, 학자와 전문가는 주도자가 아닌 협력자로 참여하여 박물관 운영에 도움을 주고 있음.
다양성
박물관은 주민들의 즐거운 배움터이자 실험실임. 주민들은 박물관 운영을 통해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도 자체 노력과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음.
공영성
지역사회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이익성을 통해 주민의 자긍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존심과 긍정적인 정서를 높였음.
Vol.1 No.1 August 2019
3.5.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표 12]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상황 사업
사진
설립
장소
특징
활동자
소장품
역할
주민의식 향상과 스태핀 지역 담장과 지붕이 문화유적 활용을 신탁(SCT): 영국 없어 속박감을 지역 공예품, 통한 직원들의 경제 현지 주민들이 2008년 헤브리디 주지 않은 쥐라기 시대의 비전 강화, 현지 경제개선믈 제도 완전히 오픈된 화석. 주민의 장기적인 위해 만는 박물관이다. 일자리 창출의 공공조직. 역할을 한다.
내용
[표 13]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분석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4. 분석 결과
표현형식 담장과 지붕이 없는 오픈형 박물관으로서 대외적으로 완전히 개방됨. 광범위한 온라인 홍보를 통해 더 많은 여행객이 이곳을 찾을 수 있도록 장려하면서, 동시에 길가에 있는 여관과 음식점 등에 경제적 이익과 취업 기회를 창출하였음.
전체성
게일인들의 민속문화, 생활습관, 그리고 쥐라기 시기 문화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보호하였음.
자발성
현지 주민이면 상인이든 어민이든 모두 운영 관리에 참여할 수 있으며, 지역의 미래 발전에 의견을 제기할 수 있음.
다양성
이미 발굴된 공룡 화석과 부분 발굴 도구를 전시하고, 공룡 테마를 둘러싸고 많은 어린이 취미와 도 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음.
공영성
게일어 학습 수업을 개설하여, 현지 주민들이 게일어로 학생들과 교류하도록 장려함으로써, 주민들은 고향 문화를 홍보하는 동시에 자신감과 자부심을 높였음.
이상에서 살펴본 에코뮤지엄의 6개 요소의 표현형식으로부터 아래 표와 같은 결과을 도출할 수 있다. [표 14] 5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결과 공통점
차이점
원주민의 건설 혹은 운영 참여
환경으로 인한 건축형식의 차이
특정 시기의 역사적 산물 보호
전시내용의 차이
경제 낙후 지역에 건설
관리 메커니즘의 차이
풍부한 민속역사 보유 지역
전시방식의 차이
5개 에코뮤지엄의 대조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 에코뮤지엄 이론은 상대적으로 경제가 취약하고 민속 문화가 풍부한 지역에 주로 구현되었으며, 원주민이 박물관의 직원으로 활동하며 자신의 평소 생활을 관람객에게 보여주는 동시에 현지의 가치 있는 문화정보 를 전시하였다. 5개 박물관은 건축형식, 전시내용, 관리 메커니즘과 전시방식 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그들은 모두 현지 환경과 문화를 성공적으로 보호했다. 사회경제의 발전에 따라 현지의 전통문화는 외래문화와 생활방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지 주민, 특 히 젊은 계층은 기존의 문화유산을 버리고 더 높은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고자 한다. 그
27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러므로 전반적으로 본토 주민이 운영하고 관리하는 지역에는 과도한 상업화의 폐단이 나 기존의 생태성이 도전받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5. 결론
에코뮤지엄 개념이 등장한 이래 많은 국가와 지역이 이 개념을 실천에 옮겼고 에코뮤 지엄을 설립하였다. 에코뮤지엄을 건설하는 사명은 에코뮤지엄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 사회의 가치 있는 전통문화를 확인하고 이를 보존하는 것이며, 특히 에코뮤지엄을 자율 적으로 관리 운영하고 해당 주민의 집단기억을 회복하는 데 동참할 것을 호소하는 것 이다. 이런 집단기억에는 유형의 문물도 포함되고 무형의 민속도 포함되는데, 이것으로 문화의 다양성을 보호한다. 에코뮤지엄이 있는 지역의 자연, 역사, 사회문화를 조사, 연 구, 홍보하고, 이들 자연과 역사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지역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수집과 정리를 통해 에코뮤지엄이 가져야 할 개방성, 활성화 정 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여섯 가지 특성을 추출하여 다섯 개의 대표적인 에 코뮤지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에코뮤지엄은 모두 지역 문화 보호하는 것을 목 적으로 건립 되었응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에코뮤지엄의 개념과 요소를 이 해하고, 해외 사례를 통해 향후 지역의 에코뮤지엄 건립에 기초 자료조서 활용되길 바 란다. 향후 에코뮤지엄의 발전에 질문을 제기하며,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그 해결방안 을 도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봉채, 이병민,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적용 연구』, 인문콘텐츠, 2017 권수미, 『지역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에코뮤지엄(eco-museum) 적용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2006 Alain Joubert, 『프랑스의 에코 뮤지엄』, 중국 박물관, 2005 Georges Henri Riviere, 『에코 뮤지엄ㅡ진화하고 있는 정의』, 중국 박물관, 1995 Kenneth Hudson, 『The dream and the reality』, Museums Journal, 1992 Peter Davis, 『Ecomuseums:A Sence of Place』, Leicester: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99 Rene Rivard, 『Ecomuseums in Quebec』, Museum International(UNESCO, Paris), 2001 쑤동하이(苏东海), 『국제생태박물관 운동 술략 및 중국의 실천』, 중국 박물관, 2001 쑤동하이(苏东海), 『에코 뮤지엄에 관한 사색』, 중국 박물관, 1995 후차오강(胡朝相), 『에코 뮤지엄의 지역 사회 문화 유산 보호』, 중국 박물관, 2001
280
Vol.1 No.1 August 2019
퍼블릭 아트를 통한 역사문화지구의 아이덴티티와 특성 표현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도 -
A study on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 through Public Art - Focused on Taoxichuan in Jingdezhen -
이지엔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 Jian Hu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퍼블릭 아트 역사문화장소, 특성, 아이덴티티, 징더전 Keyword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Public Art,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
Dongseo University
Characteristics, Identity, JingDeZhe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퍼블릭 아트를 통한 역사문화지구의 아이덴티티와 특성 표현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도시들도 그들이 갖는 여러 가지 도시 문제와 변화하는 현 대 사회 발전에 맞추어 어떻게 도시 공공 공간을 조정하고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 나 갈까 고민하고 있다. 이미 많은 도시들이 1960년대부터 도시 계획에 따라 공공 공간과 공공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선진 도시들의 도시 계획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 사적 흔적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변화하고 있고, 이들 도시들의 공공 공간은 그 자체로 훌륭한 상품이 되어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1) 조나단 보롭스키 (Jonathan Borofsky)의 「망치질하는 남자(Hammering Man)」나 헨리 무어(Henry Moore)의 몇몇 작품은 복수로 제작되어 한곳 이상의 장소에 설치된 경우도 있다.이런 경우는 차라리 ‘장소 미지정형 미술(Site-general Art)’ 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합하며 갈수록 장소지정형 미술이 공공미술의 적합한 형태로 평가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장소 에 결합하는 예술이란 뜻으로 ‘온 사이트 아트(On- Site Art)’라는 용어를 도입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지구를 어느 정도 성공 했다고, 징더전 도계천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1958년, 징더전 최초로 기계화 생산을 도입한 신형 도자기 기업인 위저우 도자기 공장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위저우 도자기 공장 을 대표로 한 “10대 도자기 공장”은 문을 닫기 시작하였다. 2008년 이지역의 재생과 도자기 산업유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징더전 도자기 문화 관광 그룹과 베이징 칭화 통 헝 기획 및 설계 연구원 산하 유산 보호 및 도농 발전 연구 센터, 베이징 화칭 안디 건 축 디자인 유한회사는 합작을 진행하였다. 해당 프로젝트는 총면적 1300묘에 이르고, 핵심지역인 위저우 도자기 공장의 총 건축면적은 18만 제곱미터에 달하며, 1기 공사는 12만 제곱미터에 달한다. 산업 단지 외부는 보존된 오래된 공장의 기존 스타일에 현대 디자인 요소를 가미하여, 선명한 아날로그적 느낌을 가진 강렬한 대조를 형성한 동시에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통일을 이뤄내었다. 도계천의 도자기 산업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예술적 시설들이 남아 있다. 또한, 2012년에 와서는 입구 상징조형물로 도계천의 장소 성을 확럽하였다. 이러한 독특한 퍼블릭 아트 에는 매우 강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징더전 시 도계천을 대상으로 하여, 퍼블릭 아트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 한, 문헌 고찰과 현장 조사를 통해 도출된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관 점에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아이덴티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역사문화 지역의 퍼블릭 아트이 한나라 시대부터 도자기의 본상지였지만, 현재 산업유산과 관련한 퍼블 릭 아트의 역사는 60년전 신형 도자기 산업 시대부터이다.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서, 추후 도시 디자인의 퍼블릭 아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1) 윤정영,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282
Vol.1 No.1 August 2019
1.2. 연구 방법 및 내용 본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로 퍼블릭 아트의 개념, 기능, 구성 요소 등을 이해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역사·문화지역의 퍼블릭 아트의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현장조사와 자료수집으로, 징더전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현황을 분석하여 정리 하였다. 셋째, 징더전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를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문화성 관 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넷째, 평가 결과를 근거로 도계천을 중심으로 한 퍼블릭 아트의 아이덴티티 표현과 지 역 문화와의 관련성을 도출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역사문화 장소에서의 퍼블릭 아트의 표현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사 문화 요소에 개입하여, 지역 정체성을 표출할 수 있늘가에 대한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역사 문화 장소의 개념 마르크스주의는 도시란 인류가 문명 시대에 진입한 시작점이자 주요 상징이라고 주장 했다. 도시의 출현은 인류 역사 발전의 필연적인 부분이며, 인류 문명의 시작에 비교적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도시 발전의 역사는 인류 역사적 성격과 의미가 가장 풍부하고, 가장 집중되어 있는 핵심 부분이다. “역사 문화의 명문 도시”란 문명의 부가 집결된 곳 으로써, 해당 지역에는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고차원적인 삼중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 다. 해외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를 “고도”(OldCity), “역사의 도시” (Historical City)등 으로 부른다.
2.2. 아이덴티티와 장소성의 개념 아이덴티티(Identity)이라는 말은 프로이드로부터 시작하여 에릭슨에 의하여 개념화된 말이다. 원래 라틴어의 Identicus에서 유래한 것이며, ‘동일하다는’ 뜻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래서 한마디로 표현 한다면 ‘~는 ~답다’ 라고 표현 할 수 있다2). 아이덴티티의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것이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우리가 어떤 종류의 존재어디에서, 어떻게 관련을 맺든지 간에, 정체성은 반드시 생겨 나게 된다”라고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체성은 매우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그 주요한 특징이 분명히 드러난다 할지라도 간단히 정의할 수 없는 현상이기도 하다. 케빈 린치 (Kevin Lynch)는 “공간의 정체성은 장소에 개별성을 부여하거나, 다른 장소 와의 차별성 을 제공하며, 독립된 하나의 실체로 인식하게 하는 토대 역할을 한다”고정 의 했다. 이것은 장소가 각각 고유한 주소 지니고 있어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장소의 아이덴티티은 거기에 있는 사람들 수만큼이나 많다고 한다. 장소성은 장소에 의미를 부여받은 상태를 말한다. 즉, 장소는 텅 빈 공간이 아니라 인
2) 이미림, 도시 공간에서의 인간과 공공미술의 유기적 관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28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간에 의해 의미를 부여받아 장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장소를 둘러싸고 구성되 는 장소성이란 장소의 인지된 특성으로 인간이 체험을 통해 애착을 느끼게 되고 한 장 소에 고유하면서 동시에 다른 장소와는 차별적인 특성을 일컫는 것이다3). 장소성은 장소감이나 장소정신이 개인이나 집단의 행위적 차원 에서 사회적 의식으로 승화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Turner& Turner,2006)결국 장소성이란 특정사회의 구성원들이 집단적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활기반이 되고 장소에 대해 가 지는 집단적, 사회적 의식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장소는 특정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 이 만들어내는 물질적, 정신적 영역을 모두 담아내는 개념으로서 유사 개념인 space 또는 location 과는 구별된다.4)
2.3. 퍼블릭 아트의 개념 “퍼블릭 아트”이란 단어는 개방된 기관이 제작을 위탁한 작품을 말한다5). 퍼블릭 아트 의 사전적 의미는 ‘대중들이 이용하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예술’이다. 퍼블릭 아트가 라는 용어의 역사는 영국의 존 윌렛(John Willet)이 1967년 ‘도시 속의 미술(Art in a City)’이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시민 들을 대상으로 전시장과 같이 닫힌 공간에서의 시각 미술품에 대한 감상과 열린 공공 영역에서 의 시각 미술품들의 감상 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 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다수 감상자로서의 시민과 예술적 전통을 가진 장소적 배경으로서의 도시에 주목하게 되어 일반인들의 정서 에 개입하는 퍼블릭 아트(Public Ar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다6). [표 1] 퍼블릭 아트의 내용과 특성요소 요소
내용
환경성
퍼블릭 아트는 작품 그 자체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공간적 관계성이 중요하다.
공공성
도시 공간에서 퍼블릭 아트의 특징은 대중과의 관계 이다. 과거의 위압적이고 기념비적인 위치로 설치 되었던 퍼블릭 아트품은 현대에는 대중을 감상 주체 로서 고려하여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상징성
공공 공간속에 놓여진 작품은 시각의 인 상을 단순화하여 랜드마크나 공간의 지표 등으로 상징되고 이 러한 효과는 공간의 성격을 분명하게 하고 작품의 존재감을 갖게 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시킨다.
예술성
구체적인 주제 분석에 의한 작가의 개념은 기존 작품들과는 달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 전개가 필요하다.
형태성
면, 표면, 볼륨, 양감, 색채, 비례 등 기본적 요소들의 질서와 혁신의 관계가 시각적 미적 효과 를 나타 내야 한다.
능동성
대중이 공공조형물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대중들이 감동을 느낄 수 있어야 하는 동시에 즐거움과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장성성
물리적 환경 및 도시문화와 정신 공간의 구축
다원성
도시문화의 전통을 전시하고 전파하는 기능, 심미적 기능과 예술적 추구.
지역성
지역 역사 문화의 특징을 구현하다
3) 이석환·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vol.32 no.5 (1997), p.175. 4)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2, p.13. 5) 김소라, 공공미술과 공공디자인, 그리고 도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학회지, 2009 6) 윤정영,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3
284
Vol.1 No.1 August 2019
2.4. 선행 연구 지역아이덴티티 형성요소는 크게 물리적 요인과 비물리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도시재 생, 지역의 지속가능성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지역아이덴티티 형성요소를 분석하여 지 역 기여하는 바가 큰 강점을 찾아내고, 유지 보수를 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필요하 다.[8]문헌 고찰을 통해 퍼블릭 아트의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형태성,능동 성,장소성,다원성,지역성의 평가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고 퍼블릭 아트과 관련된 논 문에서 아이덴티티 요소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과 논문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퍼블릭 아트의 평가 요소에 환경성, 공공 성, 상징성과 예술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징더전 도계천은 역사 문화 지 역이므로 역사적 요소를 추가하며 논문의 분석 프레임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3. 징더전 시 도계천 퍼블릭 아트 현황
3.1. 징더전시 도계천 징더전은 쟝시 동북부에 있으며, 황산과 회옥산맥과 판양호 평원의 중간 지역에 있다. 이 곳은 전형적인 강남 홍토 구릉 지역으로, 자석(瓷石)과 고령토, 그리고 석탄 자원이 풍부하다. 고령토는 도자기 산업의 중요한 원료이다. 징더전에서 나는 고령토는 품질이 우수하고, 이는 징더전 도자기 생산에 훌륭한 천연 조건이 되었다. 징저전에 위치한 도 계천은 조각 도자기 공장에서 우주 도자기 공장의 변화입니다. 도계천 문화 산업계의 등장은 징저전의 “새로운 비즈니스 카드”가되었다. [표 2] 퍼블릭 아트 분석의 틀 종류
내용
환경성
퍼블릭 아트는 작품 그 자체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주 변 환경과의 공간적 관계성이 중요하다.
공공성
도시 공간에서 퍼블릭 아트의 특징은 대중과의 관계 이다. 과거의 위압적이고 기념비적인 위치로 설치 되었던 퍼블릭 아트품은 현대에는 대중을 감상 주체 로서 고려하여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상징성
공공 공간속에 놓여진 작품은 시각의 인 상을 단순화하여 랜드마크나 공간의 지표 등으로 상징되고 이 러한 효과는 공간의 성격을 분명하게 하고 작품의 존재감을 갖게 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시킨다.
예술성
구체적인 주제 분석에 의한 작가의 개념은 기존 작품들과는 달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 전개가 필요하다.면, 표면, 볼륨, 양감, 색채, 비례 등 기본적 요소들의 질서와 혁신의 관계가 시각적 미적 효과 를 나타내야 한다.
역사성
작품이 설치될 장소의 역사와 특징. 공간에 대한 창조적 해석을 통한 정확한 의미전달,지역 역사 문화 의 특징을 구현하다
[그림 1] 도계천 평면도
28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징더전은 유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독특한 도자기 문화를 형성하여 도자기의 도시로 불 린다. 여기서 만들어진 도자기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품종이 다양할 뿐만 아 니라 품질 까지 우수해 해외까지 널리 수출되고 있다. 현재 도계천에는 도자기 산업 문 화 유산 활동 박물관, 미술관 등 중요한 구역이 있다. 이러한 공공예술 작품은 다음 지 도에서 표시되었듯이, 산업 단지 내, 각 구역별로 분포되어 있다.현재 도계천 내에는 총 18계의 퍼블릭 아트 작품이 배치되어 있다.
3.2. 징더전 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및 아이덴티티 분석 본인은 2018년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몇 차례에 걸쳐 징더전 도계천으로 가서 해당 지역의 퍼블릭 아트 디자인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3]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그림
286
종류
내용
환경성
단지 내의 퍼블릭 아트 사이에는 일관성이 부족하고 수량이 비교적 적으며 체 계적이지 않다. 단지 내의 퍼블릭 아트 디자인은 서로 독립된 개체가 아닌 하 나의 완전체로 봐야 하고, 단일 작품은 단지가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공간 환 경 양식과 어울려야 하며 디자인 과정에서 퍼블릭 아트가 처한 환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양식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단지 내의 문화 정신을 충분히 드러내야 한다.
공공성
우선 먼저 대중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 대중들은 임의로 단지를 드나들어 퍼블릭 아트품을 감상할 수 있고 또 많은 퍼블릭 아트가 대중을 고려하여 흥 미성과 상호작용성으로 가득하지만 일부 조각 작품을 너무 임의로 설치하였고 또 일부 주제들이 아무런 의미도 없어 작가 개인의 창작 사고만을 나타내고 있다.
상징성
단지내의 많은 퍼블릭 아트 작품들은 모두 요약적이고 간단한 조형으로 예술 작품의 깊은 의미를 전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퍼블릭 아트 작품은 매우 적 다. 퍼블릭 아트는 가장 간단하고 가장 풍부한 표현력 수법으로 이미지를 부 각하고 주제를 나타내어 대중들에게 정신을 전달해야 한다.
예술성
퍼블릭 아트의 조형과 색깔 부분에서 나타낸 예술적 아름다움은 단지의 전반 적 모습을 조성하는데 추진 역할을 한다. 디자인도 대중 심미에 거의 부합하 지만 일부 퍼블릭 아트 디자인은 조형이 임의적이어서 아무런 아름다운 느낌 도 없다. 디자인은 합리적이고 예술성이 강한 퍼블릭 아트는 대중들이 단지에 대한 선호도를 효과적으로 강화할 뿐만 아니라 단지에서 대중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서 예술적 요소를 활용해야 한다.
역사성
도계천의 건축 및 기계 설비로 구성된 퍼블릭 아트는 역사성이 비교적 강하지 만 이런 작품의 수량이 비교적 적어 도자기 문화 및 징더전 역사 문화를 나타 내는 요소가 많지 않다.
Vol.1 No.1 August 2019
4. 결론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수량이 적어, 역사문화적 가치가 약하다. 그러므로 앞으로 단 지 내에서 퍼블릭 아트품의 상징적 요소를 더욱 늘릴 필요가 있으며, 도자기 문화적 요 소, 근대 산업 건축 시설 요소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도계천을 내에 문 화적 상징성을 갖춘 퍼블릭 아트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역사문화성에서, 징더전의 현지 유명 고적, 민속문화, 실용 도자기 등에서 문화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퍼블릭 아트에 접목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오로지 징더전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이론적인 분 석을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 설문조사 등의 방식을 통해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에 대해서 객관적이면서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본 논문은 역사 문화 지역 퍼블릭 아트의 발전 현황과 고려 요소 및 지방 및 퍼블릭 아트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한 건의를 소개합니다. 금후 깊이있는 연구에 기타 국가의 퍼블릭 아트사례를 추가하여 도자기소재와 도자기예술을 퍼블릭 아트로 진입시킨다.
참고문헌 윤정영,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이미림, 도시 공간에서의 인간과 공공미술의 유기적 관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이석환·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vol.32 no.5 (1997)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김소라, 공공미술과 공공디자인, 그리고 도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학회지, 2009 윤정영,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3
28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을 활용한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뉴욕 하이라인파크’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resilient landscape design by flexibly using ‘resilient city’ theory - Focused on‘new York High Line park’-
천원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리질리언트 시티, 뉴욕 하이라인파크, 경관 디자인, 리질리언트 디자인
Chen, Wen L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resilient city, new York High, Line park, landscape design, resilient design
Vol.1 No.1 August 2019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을 활용한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본문은 연구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리진리언트 시티’와 ‘리질리언트 디자인’ 은 각각 생태공학의 영역과 도시 계획영역의 쟁점이다. 경관 디자인학의 종합적인 시각 으로 이를 종합하여,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이 구체적으로 경관 공간 실체가 되도록 한다. 뉴욕 하이라인파크는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의 성공 사례로, 경관에 ‘리질리언트 시 티’ 이념을 접목하여 발전시킨 실제 성과이지만, 리질리언트 디자인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하다. 연구는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배경으로 해당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리 질리언트 개념 이론을 구축하고, 리질리언트 시티 발전 이론에 부합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이라인 공원의 리질리언트 디자인과 효과는 오늘날 도 시의 경제, 사회, 문화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되며, 따라서, 해당 지역에 대한 본문의 연구는 도시 경관 디자인에 충분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2. 연구의 범위, 방법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은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일정한 리질리언 트 구성 요소이다. 본문은 이론연구와 실천 두 가지 측면을 결합시켜 디자인 구성 요소 범위를 확정했다. ‘리질리언트’ 개념은 1999년 이후 기획 연구에 심화 적용되기 시작 했으며, ‘경관 리질리언트’는 2010년 미국 하버드대학 Niall G. Kirkwood 교수가 처 음 제시했다. 그는 이를 ‘리질리언트 디자인’이론에 기반한 경관 및 공간으로 정의했다. 하이라인파크 공원은 1999년 ‘friends of the high line’라는 조직에 의해 설립되었 으며, 2010년 최초로 대중에게 개방되었다. 리질리언트 개념은 기획과 경관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이는 하이라인파크에서과 같은 시간축(时间轴)에서 발전했다. 따라서 하이 라인파크의 경관 공간을 선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을 정리해보면, 우선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을 정리하고, 기획 및 경관 디자인 등의 영역과 리질리언트 연구 관련 내 연구자가 구성한 요소 등을 정리한다. 그 다음 실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 이론과 사례 속에서 5가지 핵심 요소를 추출한다. 마지막 으로 추출되어진 리질리언트 경관 속 생태성, 지속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 5가 지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리질리언트 분야에서의 해당 5가지 요소의 변 화를 고찰한다. 하이라인파크의 경제, 사회, 문화적 효과를 고려하여 경관 디자인에서 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활용방안과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도출한다.
28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리질리언트
리질리언트는 ‘To jump back’, ‘To Rebound’, ‘To Recoil’을 의미하는 라틴어 ‘Resilio’가 기원으로, 국내에서는 탄력성, 복원성, 복원력, 탄력복원성, 회복탄력성, 회
시티’ 및
복력으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의 경우 리질리언트 본래
‘리질리언트
의 함축된 의미를 표현하는데 한계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번역하지 않고 리질리언
경관 디자인’
트라는 용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 그 학술적 배경은 1973년 생태학자 C.S. Holling이 발표한 논문에 기반한다. Holling은 주로 예기치 못한 외부의 변화와 방해 에 노출된 시스템의 동작을 정량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리질리언스 개념을 사용하 였으며2), 리질리언스를 ‘변화와 방해를 흡수하고, 인구나 상태변수 간의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는 시스템의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3). 리질리언트 경관은 미국 하버드대학의 Niall G. Kirkwood교수가 처음 제시하였다. 그 는 오늘날 세계는 이미 환경·경관의 시대에 돌입하였으며, 풍경 뿐만 아니라 환경, 생 태, 경제, 문화, 예술, 나아가서는 정신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종합적인 체계를 조성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회복력과 생태체계를 통한 강한 생명력과 반 (反)회복력 능력을 Niall G. Kirkwood는 리질리언트 경관이라 이름지었다4).
3. 리질리언트 시티의 경관 요소 선정
3.1. 기존 관련연구 분석 리질리언트 시티는 물리,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외부의 충격과 훼손을 받 았을 때 도시시스템을 그 전의 상태로 유지하거나 회복할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미래 사람의 수요변화를 대응하는 사고방식과 전략이다. 디자 인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역사 요소와 불확정 요소를 고려하여 경관이 유한한 공간에서 적응 및 변환능력을 지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을 진단 및 평가하기 위해서 국내 외의 연구에서는 이하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 디자이너도 실천과정에서도 현재의 상 황에 부합하는 리질리언트 요소를 활용한다. 본문은 이론과 사례실천의 분석을 통하여 본문 연구에 적절한 요소에 대해 사례분석을 하고 정리하였다. [표 1] 관련연구 리질리언트 시티의 구성요소 연구자
구성요소
분류
김주 외 (2011)
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동원력, 지역경쟁력
도시방재
진정은 (2014)
적응력, 내구성, 회복성, 자원의 풍부함
도시방재
김정곤 외 (2016)
가외성, 내구성, 자원부존성, 신속성
도시재생 지속가능한 도시
주선옥 (2017)
적응성, 유연성, 대체성, 포용성, 통합성
정책생태 리질리언트
석설 (2017)
정체성, 지속가능성, 호환성, 동적, 생태성
리질리언트 경관
웨이팅 (2015)
정체성, 적응성, 경제성, 가변성, 재활용
리질리언트 후공업 경관
1) Kegler 2014; Karrholm, Nylund & dela Fuente, 2014; Christmann et al. 2011 2) 김정곤ㆍ임주호ㆍ이성희 2016, 『리질리언스(Resilience) 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LH 토지주택연구원. 3) Holling C. S.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J].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973, 4(1-23). 4)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J]. 艺术与设计(理论), 2010,2(04):81-82.
290
Vol.1 No.1 August 2019
연구자
구성요소
분류
City Resilience Framework (2014)
반영성, 내구성, 대체성, 유연성, 포용성, 통합성, 자원동원력
도시계획
Walker et al. (2004)
자유도, 저항성, 불안정성, 패나키
사회생태학
Walker & Salt (2006)
다양성, 생태적 변화, 모듈성, 느린 변수에 대한 인정, 피드백, 사회적 자본, 혁신, 거버넌스와 생태계 서비스의 중첩
생태학 환경
Van den Brink et al. (2011), Gupta et al.(2010)
다양성, 학습능력, 자치적인 변화의 여지, 리더십, 자원, 공정관리
계획 환경
*표희진(2014), 김정곤 외(2016)를 참고하여 저자 재작성
김정곤 외(2016)는 리질리언트 개념과의 중복성, 도시계획분야에서의 적합성을 고려하 여 4개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있고, 정은주 외(2016)는 O’ Rourke(2007).5) 가 제안 하고 있는 R4 Framework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4가지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있다. 김현주 외(2011)는 물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사회적 요소도 고려해야 하는 방재력 개념 에 기초하여 5가지 기능(5R)을 설정하여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있으며, 진정은(2014)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재난의 적응방안에 영향을 미치는 목적, 방법, 범위, 비용적측면 의 요소들을 선정6) 하여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
3.2. 관련 실천 사례 분석 리질리언트 경관 계획과 디자인의 취지는 공간을 변화하고 공간 현재 및 미래의 극단 적 재해와 불확정한 요소에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리질리언트 이론 이 도시 계획 및 경관 디자인 영역까지 발전하면서 리질리언트 시티를 이념으로 한 디 자인 계획이 많아지고 있다. 생물 다양성의 유실, 극단적 고온, 홍수, 황폐구역 등 문제 에 대해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진행하여 뉴욕 하이라인파크와 같은 성격의 대표적 사례 분석을 통해 사례의 디자인 구성요소를 추출하려 한다. 6가지 사례 모두 미국 ASLA 협회 탄성 디자인상을 수상한 우수사례들로 선정하였다. [표 2] 관련 사례 리질리언트 시티의 구성요소 사례
디자인 내용 / 요소 키워드
한국: 청계천 (2003—2005)
하천의 복원은 도시주민들이 참여 가능하고 생태성을 지닌 공공생활공간이 되었음.
중국: 옌웨이저우 공원 (2010—2013)
적응형 홍수방지 제방, 식물, 하수로를 설치하였음.이로써 경관의 생태적 회복력을 실현하였음.
중국: Houtan Park (2007—2009)
개조를 통해 재생경관이 된 인공습지는 홍수범람 방지의 기능도 갖게 되었음.
회복력, 지속가능한 도시, 생태성, 경제, 다양성 경관.
적응성 식생 및 홍수예방, 생태적 복원, 사회문화적 리질리언트, 물친화적인 지속성.
회복성 디자인, 생태적 시스템, 재생성, 회복성
5) O’ Rourke(2007),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Bridge-Washington- national. 6) 진정은, 2014, 연안도시의 홍수적응방안의 탄력성 평가-뉴욕, 로테르담,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 서울대학 교 도시설계학전공.
29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사례
디자인 내용 / 요소 키워드
미국: 하이라인파크 (1999-2014)
폐기 고가철도를 도시 공공생활의 공간으로 개조하여 다양성 생물과 도시 문화의 리질리언트 경관을 갖추었음.
러시아: 카반호수구역 (2013)
‘The Resilient Ribbon’을 중심으로 빗물과 홍수에 적응하고 자연, 문화, 사회를 보호하는 경관 으로 디자인 했음.
미국: Long Dock (2004-2014)
공업폐기지역을 예술거리, 오락, 환경교육을 일체화한 다양적이고 자유도를 지닌 경관으로 개조 했다.
보호와 재활용, 지속가능성, 연속성과 가용성, 유연성, 생태성.
생태 빗물 홍수 시설, 자원동원력, 연속성과 가용성, 생태계
다양성, 생태적 기능, 예술, 경제, 사회적 지속가능성.
선행연구는 리질리언트 경관 사례가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 및 해결문제 의 목표에 대해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여 각 사례의 디자인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앞 의 분석을 통해 경관 리질리언트 디자인과 생태영역의 생태성을 결합하는 것은 보편적 인 방법인 것을 알 수 있다. 적응성, 다양성, 지속가능성은 주요 구성요소이다.
3.3. 분석요소 선정 및 개념 국내이론연구는 주로 리질리언트 시티라는 큰 이론 틀에서 구성요소를 제시하며 이는 리질리언트 시티의 전체 공간이 연결되는 방면만 보여주었다. 이것은 리질리언트 경관 영역으로 더욱 구체적이고 합리화된 리질리언트 경관의 새로운 요소를 선택할 필요가 있고 깐단된다. 그러므로 선행연구는 이론과 구체적인 6개의 리질리언트 사례와 결합 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기준으로 본문이 분석할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공간의 리질리언트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관디자인항목을 분석하 여 구체적인 방법과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기초에 더 나아가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방향에 대한 견해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론과 사례를 결합하여 환경, 생태 학, 도시계획, 리질리언트 디자인 영역에서 리질리언트 경관 개념을 나타낼 수 있는 ‘리질리언트 사고’의 구성요소는 ①생태성, ②지속가능성, ③다양성, ④적응성, ⑤재활 용이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5가지 핵심개념을 분석요소로 선택하였 다. 분석요소는 구체적으로 리질리언트 시티 개념에 포함된 기술, 사회, 경제 방면을 결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 종합 표 1과 표 2의 요소 정리
292
Vol.1 No.1 August 2019
4. 리질리언트 경관을 기반 으로 한 뉴욕
4.1. 사례 선정 기준 뉴욕 하이라인파크는 제13회 Veronica Rudge 도시 디자인 녹색상을 수상하였다. 그 중 Section1의 도시계획 항목은 2010년 ASLA에서 명예상을 수상했고, Section2의 도시계획 항목은 2013년 ASLA
하이라인파크 사례 분석
[표 3] 리질리언트 시티의 구성요소 선정 구성요소
의 미
생태성 Ecologicality
생태성은 토지개발이용, 생태, 자원의 보호 및 개발, 경제발전과 환경 퀄리티의 관계를 보다 정확 하게 처리하는 것임. 더 나아가 경관생태시스템의 전체기능을 개선하고 사람과 자연의 화합을 달 성할 수 있음.
Harrison et al.(2014)은 예측할 수 없는 변화에 직면했을 때 높은 수준의 리질리언스 또는 적응 지속가능성 능력을 성취할 수만 있다면, 그 시스템은 지속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라고 보았다.7)이 개념에 Sustainability 기초하여 환경적 지속성, 사회적 지속성, 경제적 지속성이지속가능성의 기본 3 방면이로 발전하게 됨. 다양성 Diversity
다양성(Diversity)은 사회생태적 시스템에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종, 사람및 제도의 다양성을 의미 한다. 이런 점에서 유연성(flexibility)과 연계되는 반면, 효율성(efficiency)의 증가는 다양성의 감 소로 이어진다. 다양성의 결여는 대안 선택을 제한시키고. 방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키 게 됨.8)
적응성 Adaptability
시스템의 적응성이 높을수록 변화를 마주할 때 시스템의 리질리언트는 커지고, 반대로는 리질리언 트가 작아진다. 이 두가지는 서로 깊은 연관이 되어 있으며 나눌 수가 없다. 적응성은 생태보호와 건설발전의 대입현황을 완화활 수 있다. 유연한 계획수단은 시스템이 방해에서도 빠르게 대응하고 복원할 수 있도록 하며 시스템의 반발력과 활력을 높일 수 있음.9)
재활용 Recycling
도시 개발상황에 따라 목적 있고 계획적인 개조, 종합이용 및 개발행위를 진행해야 하며, 중요한 역사, 건축, 문화가치 특징을 보유하는 동시에 현실에서의 사용기능을 실현하고 경제, 사회, 문화 또는 생태가치를 창조해야 함.10)
PROFESSIONAL AWARD에서 명예상을 수상했다. 현재, 하이라인파크의 연구는 주로 공업유산의 재이용에 집중되어 있으며 본 연구처럼 리질리언트 시티이론 측면으로 진 행하는 연구는 부록한 상황이다. 사례의 성공은 경제, 문화, 지속가능성 발전 방면에 지속적으로 연구할 가치를 지니고 있다. 리질리언트 이론을 기본으로 한 디자인사례에 서 기술형이 대부분이며 하이라인파크는 경관디자인과 생태형에 더욱 가까워서 본 연 구와 더 큰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4.2. 리질리언트 경관 사례의 구성요소 적용 분석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이 강조하는 점은 리질리언트 경관 개념이자, 경관이 빠르게 회 복하여 다시 되살아나게 한다는 것이다. 리질리언트를 구성하는 요소는 공간을 이끄는 리질리언트 디자인 방법과 그 이론 배경이다. 따라서, 아래의 표 5에서는 다섯 가지 요 소의 개념분석을 통해 분석 틀을 구축하여, 하이라인파크를 대상으로 삼아 분석한 내용 이다. 생태성, 지속가능성, 다양성, 적용성, 재활용의 다섯 가지 요소의 각도에서 하이 라인파크에서 나타난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구체적인 과정과 방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7) 지속가능 발전법 제2조 1항 8)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J]. 艺术与设计(理论), 2010,2(04):81-82. 9) 胡中慧. 基于弹性理念的苏南乡村景观规划策略研究[D]. 苏州科技大学, 2017. p15 10) 倪文岩. 广州旧城历史建筑再利用的策略研究[D]. 华南理工大学, 2009.
29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또 이 요소들이 리질리언트 디자인 영역에서 어떻게 변하는지, 또 어떠한 변화를 만들 어내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표 4] 미국의 뉴욕 하이라인파크 사례 분석 리질리언트 디자인 구성요소 생 태 성
∙ 선정한 풀 종류 및 다년의 생물, 식물 및 이의 배치를 디자인하여 동태적인 야생경관을 완성함. 야생식물의 자연스러운 성장은 식물을 유지하는 원가를 낮추고, 4계절에 따라 각 다른 경관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는 도시 중앙에 위치한 녹색지붕임. ∙ 도로 옆의 토지에는 식물과 궤도를 배치하여 빗물이 자연스럽게 심은 식물이 있는 토양 층에 흘러가게 하며 관개 수요를 줄였음. 이는 생태보호에 부합하는 절약디자인임.
지 속 가 능 성
∙ 하이라인파크는 23개의 구역을 포함하여 공공공원으로 디자인 된 후 각 구역을 교모하 게 연계하여 구역 간의 긴밀성을 강화했고 직원과 주민들이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장 소를 제공함. ∙ 도시개조항목으로 항목의 핵심은 ‘보호’와 ‘재활용’임. 이는 동시에 정치, 생태, 역사, 사회와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지닌 항목임. 현재, 항목은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여 뉴욕 에게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줌.
다 양 성
∙ 공원의 녹색지역에는 100개의 각 다른 품종의 식물이 있으며 이는 현지 야생식물에서 선정한 것임. 이는 식물의 다양성을 강화했으며 현지야생식물은 공간의 인위적인 느낌 을 줄일 수 있고 자연과 사람의 화합을 보여줌. ∙ 개방형식의 배치는 광장과 도로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 이러한 기능의 불확실성과 다양 성의 ‘무장애(pathless)’처리방식은 관광객들이 자신의 생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성의 선택은 사람이 공간에 참여하게끔 함.
적 응 성
∙ 공업소재(예: 시멘트, 내후성 강재, 재활용 목재)사용해 배수로를 깔고, 심어놓은 식물 과 철로 궤도가 결합되면서 빗물이 자유롭게 식물의 토양층으로 스며들게 하였고, 이로 써 관개의 필요성을 줄임. ∙ 공원의 테두리에는 다양한 식물을 심어 곤충과 새의 이상적인 서식지를 조성하였고, 또 방문자가 다양한 체험을 하도록 함. 철로 궤도의 빈틈에는 야생화를 심었는데 이는 자 연과 인공의 조화의 모습이라 할 수 있음.
재 활 용
∙ 고가철도는 공업시기 발전의 산물이며 역사기억과 도시건설가치를 지니고 있음. 도로배 치에는 철로의 디자인을 유지하여 중요한 문화가치특징을 유지하는 동시에 뉴욕 이 도 시의 특색을 창조해냄. ∙ 폐기된 고가철도는 도시현황에 따라 공원으로 개조되었으며 잃은 기능을 다시 이용함. 이는 시민들에게 더 많은 야외휴식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주변 토지의 가치를 올려 새로운 취업기회와 경제적 이익을 창조함.
4.3. 리질리언트 시티 5가지 구성요소의 개념적 변화 4.3.1. 생태성 생태성 디자인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생태성은 시민에 입장에서만 고려되야 할 문제는 아니다. 리질리언트 경관의 생태성은 보편적인 생태관이며, 생태는 일종의 녹지를 보충 하는 것이다. 하이라인파크의 리질리언트 생태 디자인은 하이라인파크라는 버려진 지 역을 재생시켰으며, 오랜 시간을 거쳐 변화했다. 하이라인파크의 디자인 속에서 나타할 생태전략은 도시형태에 대한 주목이며 시간의 작용으로 다양성, 유동성 및 안정성을 나 타낸다. 생태는 도시기초시설 회복의 주요 수단이며 다른 학문과 결합하여 폐기된 도시 기초시설이 점차적으로 생명력을 지닌 탈산업화시대의 도시기초시설로 성장해야 한다.
294
Vol.1 No.1 August 2019
4.3.2. 지속가능성 하이라인파크의 디자인팀은 인위적인 디자인과 변화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라 고 생각하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의 생각을 가져야 하이라인파크를 디자인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이라인파크의 디자인 사고방식은 ‘지속가능한 발전’은 자연을 방치하는 것 이 아니라 이는 이 도시의 인문경관과 역사문화를 기초에서 설립되며 발전해야 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4.3.3. 다양성 미국경관디자이너협회(ASLA)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지침서에는 생물다양성의 상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다. 생물다양성의 상실은 생태시스템 서비스와 운영에 큰 영향을 끼 치며 장기적인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발전과 인류의 복지에 방해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 러한 시스템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인류생존에 관하여 매우 중요하다. 생물다 양성은 시스템 회복과 운영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야생동물과 본토식물은 도시구역에서 빠질 수 없는 구성요소이다. 하이라인공원의 디 자인은 시간변화에 따라 공원 생태환경과 생물다양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타냈다. [그림 1]11)은 생동적으로 우리에게 군락의 안정성이 년 단위로 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 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하이라인공원의 건설이 긴 시간동안 그 지역 환경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림 1] 군락의 안정성 변화
4.3.4. 적응성 경관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디자인장소 환경발전의 각 다른 단계에 적응해야 하며. 디자 인, 시공, 사용, 개조 등 각 단계에서도 적응능력을 지녀야 한다. 디자인과 시공단계에서도 개발자와 사용자의 각 다른 수요에 따라 비교적 강한 조절능 력을 지닌 디자인 방안을 확정해야 하고, 디자인이 어느 정도 수요변화의 필요에 적응 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하이라인파크방안 디자인의 초기는 자연요소, 공간요소, 문화 요소 및 시민의 활동 요소에 대하여 전면적인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나서 여 러 방안의 구상과 디자인을 제안했으며 장단점을 파악해 가장 나은 방안을 확정하였다. 사용단계에서는 장소환경은 공간, 기능의 변화 및 발전의 수요에 적응해야 한다. 하이 라인파크의 풍부한 참여성 활동의 운행관리는 공공예술활동, 학교교육 콥 활동, 개인 활동 등을 배치하여 공원의 사용빈도를 높였다. 공공사용 및 참여는 공원에 보호와 이 용을 촉진하였다.
11) https://backspace.com/notes/topic/high%20line.
29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개선단계에서 본래 환경과 결합하고 새로운 수요, 기술조건에 대해 상응하는 조정을 해 야 한다. 하이라인파크의 지면배치 및 녹화 디자인의 모습은 규칙적으로 변화가 있어야 했다. [그림2]12)은 사용률을 보이는 구역(100%경질배치)와 재배환경구역(100% 녹화구 역)이 있다.
4.3.5. 재활용 하이라인파크의 재활용은 공동체를 기초로 한 비영리성 조직 ‘Friend so the high line’를 먼저 설립하여 고가철도에 대한 보호를 촉진하였다. 이를 설립한 사람은 2명의 현지주민 Joshua David과 Robert Hammond이다. 조사연구를 진행한 후 하이라인 파크 건설에는 경제적인 실행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표 5] 5가지 구성요소의 개념적 변화 구성요소
경관 디자인 개념
개념적 변화
리질리 언트 디자인 개념
종합
생태성
지속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
자연발전의 과정을 존중하고, 에너지와 물질의 순환에 따른 이용과 장소에서 수 반되는 자아를 유지 하는 기능을 이끔
지속가능성은 특정 한 경관이 지닌 특 징으로, 장기적으로 안정된 경관 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으 며, 해당 지역의 사 람들의 복지적 차원 의 종합능력을 유지 하고 개선시킬 수 있음
모든 환경 속의 모 든 사물은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경관 의 다양성은 생물의 다양성의 범주에 속 한다. 경관의 다양 성의 지표는 풍부함 의 정도를 포함함
적응성은 사람에게 적합한 디자임. ‘경 관의 적응성 디자인’ 의 개념은 체계적으 로 환경과의 조화로 움을 이룸
버려진 장소는 경관 디자인을 통해 충분 히 해당 공간의 특 징과 장점이 활용되 어 개선되어, 결과 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생물과 환경의 조화 로운 통일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공간의 시설에도 관 심으로 바뀌어 감
특정한 경관 공간의 서비스는 기존에는 사람들을 위해 행해 졌지만, 점차 경제, 정치, 사회 등 전면 적인 지속가능성에 더욱 초점을 두게 되었음
리질리언트의 다양 성은 경관의 다양성 에서 파생되는 개념 으로, 그 개념의 의 미가 크게 다르지 않음
환경에서 비롯된 적 응성이 디자인 과정 에서 고려되는 각종 단계와 적응능력, 향 후 발생할 문제를 위한 대응능력으로 전환되었음
도시계획의 시각에 서 다양한 분과학문 을 용합한 틀 속에 서 공간의 재활용과 공간에서 발생하는 효과의 변화를 분석 하여 해당 공간을 재활용함
리질리언트 디자인 의 개념은 생물과 환경의 관계보다는 공간형태에 더욱 주 목함. 공간 재생은 점진적으로 활력을 지닌 공간을 형선함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개념이 강조하는 지 속가능성은 특정 장 소의 인문적·역사문 화적 요소를 통해 해 당 공간이 정치, 경 제, 역사, 사회의 지 속가능성을 갖도록 하며, 도시의 리질 리언트를 증대시킴
리질리언트 디자인 개념의 다양성은 역 시 생물의 다양성에 관심을 둔다. 결여 된 야생 동물과 현 지 식물군을 분석하 여, 해당 공간에 포 함된 생물이 점차 다양해지면서도 순 환되는 과정을 거치 도록 디자인함
리질리언트 디자인 개념의 적응성은 디 자인, 시공, 사용, 개조의 각 단계에서 일컫는 적응성이다. 이는 요구의 변화, 기능의 변화, 기술 의 변화에서 수반되 는 적응성을 포함함
리질리언트 디자인 개념의 재활용은 도 시계획 통제, 생태 와의 융합, 경제적 가능성을 모두 포함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수단을 통 해 공간을 보호하면 서 이용할 수 있음
따라서 리질리언트 디자인 이론에 포함된 5가지 요소는 경관뿐 아니라, 다양한 분과학문, 다양한 시각, 다양한 영역, 다양한 차원에서 전면적으로 고려되어 도시의 리질리언트 특징을 강화하였고, 향후 발생할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되었음. 각 요소들은 자신만의 특징을 지니면서도 서로 융합되는 부분도 존재함
12) https://www.pinterest.co.kr/pin/26810560270004401/.
296
Vol.1 No.1 August 2019
철도를 폐기한 후 사용기능은 상실했지만 주변 주민들한테는 고가철도의 형태는 이미 그들의 생활과 기억의 일부분이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어떠한 수단을 통해 폐 기된 고가철도를 보호하며 이용하길 바랐다. 리질리언트 개념 속의 재활용 및 개조방침 에는 도시계획의 통제, 상태의 융합, 생태과 예술의 결합 및 다학제의 업무 틀이 포함 되어 있으며 현재 기타 폐기경관의 처리이용에 대해 중요한 참고가치를 지니고 있다.
4.4. 하이라인파크를 위한 리질리언트 도시의 역할 평가를 통해 알 수 있듯, 하이라인파크는 효과적으로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곳으로, 버려진 철로를 물리적·사회적으로 체계화한 능력이 발현된 모습이다. 하이라인파크는 비록 가장 최근의 사례는 아니지만,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접목된 공간 이 구축되었을 때의 실효성과 작용에 뚜렷한 반응이 있었기 때문에 충분한 연구가치가 있다. 따라서 하이라인파크가 리질리언트 도시에서 맡은 역할을 간단하게 분석하면 다 음과 같다.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 하이라인파크는 경제성장을 이끌어갈 능력이 있다. 공원의 관리와 유지의 차원에서 보면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해 계속해서 리질리언트 디 자인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사회적 차원에서 보면 사회적 요구를 만족시켜 거주민 들을 하이라인파크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문화적 차원에서 보면 다양한 예술활 동을 개최하여 다양한 기능을 늘릴 수 있다. [표 5] 리질리언트 디자인 후의 역할 분석 분석 내용
경제적 가치
∙ 하이라인파크를 설립한 후 새로 구역을 나눔. 신구역과 공원의 조합은 이 곳이 뉴욕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구역이 됨. ∙ 2000년도부터 2010년까지 신구역의 인구는 60%나 성장하였으며 가장 활력있는 구역이 됨. ∙ 고가철도와 근접한 항목건설의 허가증은 1배나 증가했으며 적어도 29개의 항목을 개발하고 총 투자 는 20억달러를 넘으며 총 12000개의 일자리가 생김. ∙ 하이라인의 친구 년도세무표(Form990)에 따르면 2013년 총 수입은 3,169만달러임. 그 중 기부는 3,001만달러에 달하여 94.7%에 달함. 기부의 중요한 수단은 회원모집임. ∙ 공공자금을 공공공간에 투자하면 경제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음
공원 관리 와보수
∙ 도시폐기고가절도경관을 개조한 후의 환경은 자아통제, 조정, 균형의 자연관리통제과정이 있지만 종합 적으로 후속 인위, 문화, 생태 등 요소를 고려함 ∙ 반드시 인위적 관여를 통해 관리와 통제를 진행하고 자연 자체의 순환회복능력을 강화해야 함. ∙ 관리와 통제는 도시 폐기철도경관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중요한 단계임. ∙ 환경감독은 관리통제의 주요 수단 중 하나이며 이는 경관 후기보수를 위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 감독데이터정보디자인과 관리과정에서 가장 직접적인 피드백 작용을 하며 끊임없이 리질리언트 디자 인을 보완하는 작용이 있음.
사회적 가치
∙ 하이라인파크 리질리언트경관지아니은 생태성을 지닌 역사문화공공공간을 만들었으며 공업폐기지 주 변의 주민들에게 더 많은 교류, 활동, 오락공간을 제공함. ∙ 해당 지역의 문화생활 수준을 올리고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유치하고 공공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하이랑니파크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응용은 경관공간이 사회와 사람의 변화수요를 충족함. 하이라인파 크는 개방하면서 아직까지 이의 리질리언트 작용을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가치를 지님.
문화적 가치
∙ 하이라인파크는 공공예술을 유입하며 <예술위원회>를 설립하여 정기적으로 하이라인파크에서 각종 유 형의 공공예술활동 예를 들면 야외음악회, 그림 전시회, 콘서트 등을 주최함. ∙ 하이라인파크 디자인팀은 공원 근처의 폐기공장 및 창고에 대해 계획과 디자인을 하여 공공예술관과 예술업무구역으로 개조하여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 ∙ 공공예술활동은 하이라인파크공원과 서로 영향을 끼치며 성장하고 구역경제의 발전을 촉진함.
29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취지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결합하여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실천공간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다. 각종 문제와 압력에서의 하이라인파크 자체의 리질리언트 능 력을 판단하고 디자인 속의 생태성, 지속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을 탐구하고, 5 개의 리질리언트 디자인요소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공간에게 리질리언 트성을 부여했으며 도시경제, 사회, 문화, 구역, 사람에게 모두 발전가치를 지니게 하다 고 판단된다. 첫째,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구성요소는 공간 속에서 서로 작용하고 서로 영향을 끼친 다. 하이라인파크는 리질리언트 경관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경관의 다양성, 경관의 회 복 및 재활용능력을 높였으며, 생태경관 등을 지닌 방법을 선택해 경관시스템의 리질리 언트성과 경관성을 만들었다. 이는 경관이 외부의 방해를 저항하거나 완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자체적응능력을 지니게 하고 자아회복과 재생을 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지니 고 있다. 둘째, 리질리언트 디자인 요소는 각 영역에서 요소의 구성이 변화가 생기며 요소의 개 념도 달라질 수 있다. 리질리언트 경관 영역의 요소개념 변화를 탐구하는 것은 다른 구 역과 달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요소는 경관 디자인의 디테일과 리질리언트 시스템의 건립을 보 인다. 이러한 경관 디자인의 강화와 경관에 대한 유기적 시스템관리는 단기내의 일정한 경제적 투자를 증가하지만 이러한 지속가능성 경관은 긴 시간의 발전 속에서 공원 자 체 또는 주변 환경 발전에 대해 지속적인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셋째,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의 본질은 지속가능성 디자인에 속하며 주기적 순환성을 보인다. 디자인에서 장소기능디자인의 확장성 탐구, 재생가능 자원 에너지원의 재이용 재개발, 공공기초설비시설의 내구성 및 본토 식물의 회복과 보호 등을 중요시해야 한다. 넷째, 도시는 더 많은 환경문제와 경제문제를 마주하게 되고 이는 생태환경, 사회구조, 생활방식 등의 방면에서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나 도시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나라에 서는 도시공공공간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는 주로 공간의 단일화, 기능의 경직화, 적 응성의 상실에서 볼 수 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전통적인 디자인 방식은 변화하는 상태, 외래변화요소에 대한 고려가 부록하기 때문이다. 미래 발전변화에 대해 여지를 남겨야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방식은 효과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는 ‘전면적 디자인’과 ‘무(無)디자인’ 사이를 고려하는 사고방식이다. 공간의 리질리언트 능력을 부여하고 장기적인 생명력을 실현해야 한다.
참고문헌 Kegler 2014; Karrholm, Nylund & dela Fuente, 2014; Christmann et al. 2011 김정곤ㆍ임주호ㆍ이성희 2016, 『리질리언스(Resilience) 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LH 토지주택연구원. Holling C. S.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J].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973, 4(1-23). 魏婷, 弹性设计理论在后工业有景观设计中的应用[D]. 西安美术学院, 2015. O’ Rourke(2007),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298
Vol.1 No.1 August 2019
Bridge-Washington-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37(1) 진정은, 2014, 연안도시의 홍수적응방안의 탄력성 평가-뉴욕, 로테르담,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도시설계학전공 지속가능 발전법 제2조 1항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J]. 艺术与设计(理论), 2010,2(04):81-82. 胡中慧. 基于弹性理念的苏南乡村景观规划策略研究[D].苏州科技大学,2017. p15 倪文岩. 广州旧城历史建筑再利用的策略研究[D].华南理工大学,2009. https://backspace.com/notes/topic/high%20line https://www.pinterest.co.kr/pin/26810560270004401/
29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도시역사지구의 보존과 재생 디자인 연구 - 쑤저우의 평강로를 중심으로 -
Regeneration and Protection of Urban Historic Districts - Focused on Pingjiang Road, Suzhou, China -
경 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역사문화거리, 유산보호, 시가재생, 지속가능한 발전, 쑤저우의 형강로
Geng, L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Heritage Protection, Block Regener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Suzhou Pingjiang Road
Vol.1 No.1 August 2019
도시역사지구의 보존과 재생 디자인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사적지 보존은 1960년대에 탄생한 개념으로, 최초로 사적지 보존을 법제화 시킨 것은 프랑스이다. 프랑스는 1962년 <Malraux Act>를 가결시키며, 역사적 가치가 있는 도 로 및 구역을 “역사 보존 구역”으로 지정하였다. 1975년 가결된 <문화재보존법>에서는 전통 건축물들을 보존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중국은 1985년 “문화재 고적 중에서 어떤 시대의 전통적 풍모와 민족 지방의 특색을 잘 살릴 수 있는 거리”를 “역사 의 거리”로 명명하였다. “문화재 보호법”은 역사 문화로 지역에 대한 규정을 법적으로 보호하는 구역으로 학술적으로 “역사적 지구”라고 규정하고 있다. 현재의 역사적 거리에 관한 문제가 점점 두드러지고 있다, 역사적인 지역의 기초 시설 이 너무 부족하여, 시대의 발전을 잘 따라가지 못해 사람들의 현대 생활의 요구를 만족 시키지 못한다. 천 백 년간 고성에서 살아오고 있는 원주민은 낡은 지역을 개선하기 때 문에 건설적인 파괴를 당하고 있다. 많은 대도시에서 전통거리가 계속 줄어들고, 어떤 도시는 심지어 몇 개만 남아있다. 예를 들면 베이징, 지난 시안은 완전한 쓰 허 위안1) 을 찾기가 힘들다.2) 역사거리를 개조하는 방안 중 역사 문화적 배경과 현지 주민들의 기존 생활 상태에 따 라 기존의 거리 공간 구조를 바꾸지 않고 역사 문화가 있는 건물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 가를 연구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쑤저우 평강로 역사 문화의 거리를 분석 대상으로 도시 역사 거리의 발전과 보호 현황을 고찰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공간구조, 도로의 변화, 건축물 의 보존 및 변화 보호 등 3개 구성 요소로 나누어 집중분석 하였다. 쑤저우 평강로의 보존과 재생 방법을 디자인과 역사구역 계획에서 보면, 쑤저우 평강로는 역사 문화 거 구의 지속적인 발전 모델을 제시하였다,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이 연구는 쑤저우 평강로를 대상으로 문헌 고찰과 현장 조사의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첫 번째로, 문헌 조사를 통해 도시 역사 문화 지역의 발전, 재생 방식 및 현황 등을 전 면적으로 조사한 후,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도로 시스템, 거리 몇 공간구조, 건물 파사 드, 건물 구조, 건물 용도 5가지 구성요소를 추출하게 된다.
1) 쓰 허 위안:쓰허위안 (四合院쓰허방으로도 불림)은 전통적인 허 위안(合院)식의 건축물이다. 쓰허위안의 건축 패턴은 대게 한 건물이 네 면에 의해 지어진 형식이고, 네 면은 정원을 중간에 둘러 싸고 있는데, 이러한 건물을 쓰 허 위안 이라고 부른다. 2) 강펑.도시 전통 민가 보호 이용 중 기능 치환[ J]. 의춘학원학보, 2009, p.31
30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두 번째, 현장 조사를 통해 2018년 6월 말 평강로 역사구역을 방물, 조사하였다. 역사 문화, 공간구조, 건물 보호, 도로 변화 이 네 가지 분석 요소를 기준으로 전체 지역의 재생 현황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 이상의 분석을 통해, 전체 역사 거리 개조에 따른 발전 상황을 파악한다. 평강 로의 공간구조 개편 전과 리모델링 후의 발전, 도로의 변화, 그리고 건축공간의 외형, 구조에서 용도에 이르기까지의 변화를 알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이론적 고찰
이 연구와 관련 된 연구는 역사 문화의 거리가 어떻게 보존되고 역사적인 문화공간에 서 어떻게 개조하는지를 연구하는 것과 관련 된 연구다. 특히 역사 문화의 가리는 인간 의 활동과 사상이 비슷하게 형성된 통일문화 지역이다. 또 다른 역사적인 거리를 개조하는 걸 분석한 논문 중 평강로 개조와 재생 사업이 성공 적으로 채택되면서 개조모델을 제시하며 발전, 공간구조, 거리현황, 건축보호 등의 구 성요소를 제시했다. 역사 문화 거리관련 주요 선행 연구는 [표 1]과 같다. [표 1] 역사문화 거리관련 주요 선행 연구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의 도심재생 영향에 대한 시론적 분석 - 대구도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저자
이권희
연대
2017
출처
한국행정논집
2012
출처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역사문화거리 조성계획 저자
전강은
연대
중국의 도시재생과 기층 사회관리체제의 변화 - 베이징 ‘역사문화보호구’의 도시 거버넌스 저자
박철현
연대
2017
출처
한국사회사학회
역사·문화가로의 구성요소 및 색채특성 분석 연구 - 김해시 가야의 거리를 중심으로 저자
안수미
연대
2015
출처
한국과학예술포럼
연대
2004
출처
주택과학기술
연대
2015
출처
산서성의건축
중국 역사적 도시 유산의 보호와 합리적 이용 저자
롼이산
역사 문화 상업 지역의 보호와 업데이트 저자
이효명
역사적 거리 지역의 “문맥” 보호, 분석, 연구 -- 쑤저우 평강 역사지역의 문화유산 저자
엄국태
연대
2014
출처
중국원림
정부가 주도하는 향토 건축 유산 보호 관리 운영 모델의 비교 -- 강남 수향의 쑤저 우 평강 역사구역과 시탕구쩐 예로들었다 저자
이진
연대
2011
출처
남방건축
역사적 거리의 선행 연구는 역사지역의 보호와 개조모델을 대상으로 중국의 역사지역 에 대한 보호와 새로운 영역을 연구하며, 역사의 중심지 보호를 주요 거점으로, 도로 건축물의 개선은 번역 확인, 그리고 주요 구성 요소 의 출현 빈도를 분석 한다. 작 논 문의 주요 연구 주제 몇 내용을 분석했다. [표 2]
302
Vol.1 No.1 August 2019
[표 2] 구성요소 출현 비율분석 저자
건물 파사드
거리 몇 공간 구조
이권희(2017)
●
●
전강은(2012) 박철현(2017)
●
건물 용도
건축구조 ●
●
안수미(2015) 롼이산(2004)
도로 시스템
●
● ●
● ●
●
이효명(2015)
●
엄국태(2014)
●
이진(2011)
●
●
●
● ●
●
상기 표를 통한 주요 구성요소 출현 비율 분석, 본 연구에서는 주로 건물 파사드, 거리 몇 공간 구조, 도로 시스템, 건물 용도, 건축 구조 5개 요소가 이론적인 고찰에서 나타 나는 빈도를 나타냅니다. 건물 파사드는 7편의 논문 중 5번이 71%를 차지했다, 거리 몇 공간 구조는 7편의 논문 중 4번이 57%를 차지했다, 도로 시스템은 7편의 논문 중3 번이 42%를 차지했다, 건물 용도는 7편의 논문 중 2번이 28%를 차지했다, 건축 구조 는 7편의 논문 중 5번이 71%를 차지했다, 그래서 출현 비율에 거리 몇 공간 구조, 도 로 시스템, 건축 구조의 세 가지 요소를 통해 쑤저우 핑강로의 개조 패턴을 분석했다.
3. 평강로의 분석
3.1. 평강로의 개요 몇 역사 문화 쑤저우는 남송사 (1229)에서 2500여 년 역사의 유명한 고성을 갖고 있었고, 쑤저우시 는 중국 최초의 도시인 ‘평강도’[그림 1]를 만들었고, 명나라 때를 학빈 구도로 변를 다 시 학빈. 대량의 도로와 교명, 교위, 송-평강도와 일치한다. 평강 역사의 거리는 쑤저우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호성하, 서쪽으로 린둔루, 남쪽은 간장루, 북쪽 은 백탑 동로로, 면적은 약 113. 5헥타르, 쑤저우 고성 중 가장 완전하게 보존된 역사 적 위치 중 하나다. 수륙평행을, 하가 상을 마주하게하는 두 바둑판 구도의 도시 전통 민가가 모여있는 곳 이다. [그림 2, 3]3)
[그림 1] 평강로 역사거리지도
[그림 2] 침하의 역사 구역
[그림 3] 역사 구역
3) 금기, 왕명비. 도시 전통 민가의 보호와 재활용—쑤저우의 평강로 31호 개조[B], 복건건축, 2010
30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 평강로의 보존과 재생 3.2.1. 거리 및 공간구조 도시 자선(city purple line)4)의 규정 중 일부에 따르면, 역사 구역을 보존하고 역사 건축물을 계획함에있어 보존을 간소화 시키 고 통일시킨다는 원칙에 따라, 모든 보존 대상과 그 경계는 두 가지 단계로 나뉜다. 바로 보존 범위와 건설 통제 구역이다.5) [그림 4] 본래의 공간은 도로는 수로와 육로가 공존 한 형태였는데, 기존의 수로와 인접한 체스 판 무늬는 보존하였고, 수로 교통은 제거하
[그림 4] 보호계획
였다. 기존에는 작은 입구 옆에 자그마한 집결지만 마련되어있었고 대형 광장은 찾아볼 수 없었다. 위 공간에는 광장이란 것이 없었던 것이다. 원래의 건축 공간들은 보존하고, 일부 역사의 느낌과 맞지 않는 건축물들은 제거해버렸다. 제거된 건물로는 공장 건축 등이 있었는데, 시청에서는 이와 같은 건물들을 제거하고, 주차장과 같은 기능적인 공간들을 건설했다. 개방된 공간이 점차 덜 개방되어가는 수순 을 밟게 된 것이다. 다리 끝의 부두, 우물과 같은 개방된 공간들 말이다. [표 3] 참로 [표 3] 공간 구조의 변화 색각
주거 관광 분교 상업 갱신 문화 공장 감옥
개조 전
개조 후
용지 용지 용지 용지 용지 용지
4) 도시 자색은 다음을 지칭한다: 국가 역사 문화 명소 내의 역사 문화 구, 성, 자치구, 직할시의 정부가 정식적으로 지정한 역사 문화 구역의 보호 범위, 그리고 역사 문화 구역 외에 인민 정부가 지정한 역사 건축 보호 범위. 도시 역사 문화 보존의 범위 제어선, 도시 계획에서 강제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건설 관련 법령인 <도시 자선 관 리법> (2003년)에는 도시 자선이 선보인 모든 역사적 문화 유적의 보호 대상은 문물 보호 단위 및 역사관련 건축물 및 구성물을 포함했다. <도시 자선 관리법>은 2003년 11월 15일 건설법에서 제22회 상무회의에서 통과되었으며, 그 뒤에 발효됐고. 2004년 2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했다. 5) 임임, 원의삼. 쑤저우 고성 평강 역사 구역 보호 계획과 실제 [J]. 성시계획학술, 2006(3):45-51
304
Vol.1 No.1 August 2019
3.2.2. 도로 시스템 도로 구조는 송나라 때 최초로 건축된 이후에, 오늘날까지도 큰 개조가 없이 지속 되고 있다. 기존에는 수로를 통해 교통이 이어졌다면, 개조된 이후에는 육로를 통한 교통을 위주로 삼게 된 것이다. 즉, 수로 교통을 포기하고, 수로는 물을 저장하고 관광하는 용도로만 남겨둔 것이다. 지역을 제거함과 동시에 주차를 할 수 있는 공간은 늘린 것이다. 다만, 주간선도로를 2차선으로 차도로 사용되어있다. 인근에 2개의 주차구역이 설치 되있다. [표 4] 도로의 변화 색각
개조전
개조후
주차장 수로의 회복
3.2.3. 건축물의 보존 및 변화 평강로 구역은 역사 고적을 개선하고 해당 지역과 환경에 건설을 하는 일에 있어 문물 보호의 요구에 따라 보존을 진행한다. “기존의 모습을 바꾸지 않는다”라는 원칙을 따르 는 것이다. 모든 건축물에 대해서는 주로 세 가지 방면으로 분석, 기념성 건축물, 거주 성 건축물, 공공성 건축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념적인 건물은 대부분 보존을 위주로 중요 기념 건축물에 대하여, 변하지 않으며, 일 반 건축물에 대해 파손된 것이 있으면 보수를 한다; 둘째, 주거성 건물, 역사적 주택 은 보존하고, 일반 주택은 현지의 풍모와 편차가 있는 것을 시정한다; 마지막으로 공 공성 건축물로, 일반적으로 역사의 풍모를 거스르는 건축물을 철거한다. 건축물의 보존 몇 변화 [표 5] [표 5] 건축물의 보존 몇 변화 개념
중요한 기념 역사 건축 건축
사진
보존 복원
●
일부 전연 개조 개조
특성 고건축과 역사를 대표하는 건축물이 있고, 완전 보 존이 이루어져 있는데, 옛 사당과 옛 사찰, 유명인 의 생가를 포함해 제보 건물이 37개나 된다. 사당 의 고적이 보존되다. 보호 범위와 요구는 원칙적으 로 문화재 고적을 참조하여 시행해야 한다.
30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개념
기념 건축
사진
보존 복원
일반 역사 건축
●
역사 주택
●
일부 전연 개조 개조
건축 부재의 훼손에 따라 두 가지 수선방식으로 나 누어진다. 상감식 수선: 즉 소규모 보수로 훼손된 건물 부분만 원상 보수하는 등 건물의 현재 구조의 질이 비교적 좋다. 탈태식 보수: 즉 건물의 구조 체 계가 심하게 훼손되어 건물 지붕의 벽체와 같은 외 부 풍모를 유지하기 위해 기존의 훼손된 목구조 체 계를 강구조로 대체함으로써 전통 건축물의 실내공 간이 기둥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
유사한 역사적 풍모를 간직한 기념거리를 보존하여 보호하고 거주하다, 역사적 배경과 인문적 배경의 주거 주택, 유명인은 25개로 추정된다.
주택 건축 일반 주택
일반주거주택, 거주 가치가 있지만 역사적 거리의 풍모와 맞지 않는 벽체 개조, 지붕 수리, 구조 개조
●
공공 공장, 건축 감옥
4. 결론
특성
●
역사의 풍모에 어울리지 않고 철거하다. 공장건물, 시정조치, 교도소 전체를 헐어 야외 공공공간으로 사용
평강 역사 문화 구역의 개발 모델은 매우 안정적이었다. 거주민의 거주지 및 그 형식을 도로 문화의 핵심으로 삼았기에 이를 보존하는데 더 심혈을 기울였다. “옛것을 예스럽 게”, “원래 모습을 살려서”라는 보존 이념을 가지고 시작된 것이다. 이로써 평강로가 “비주류”가 되어버리는 현상을 원천봉쇄한 것이다. 도로의 개발에 있어서는 철저히 거 주민들의 이익과 요구를 고려한 작업들만 진행되었다. 역사 문화의 가치가 이 “진실 된”, 그리고 생활이라는 활력을 담고 있는 거리에서 최대한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끔 작업을 진행한 것이다. 개발 후의 평강 역사 문화 구역은 관광지로 자리매김했지만, 여전히 이곳은 거주민에게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쑤저우 평강로 역사 구역은 무언가를 부시고 짓는 등의 대단한 작업을 거치지 않았다. 되려 “예전의 것을 클래식하게, 기존의 것을 진실되게”라는 모토로 보호 및 복구 작업 을 진행한 것이다. 이로써 경제, 문화, 역사 등의 측면에서도 적잖은 긍정적인 변화가 생기기도 했다. 디자인과 역사 구역 계획에서 보면, 쑤저우 평강로는 새로운 모델을 제 시한거라고 할 수 있다. 주어진 조건에서 무언가를 빌려 쓰거나 새로 사용하는 등의 방 식을 제시하여, 더 많은 역사적 구역들이 보존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할 수 있 게끔 이끈 것이다.
306
Vol.1 No.1 August 2019
참고문헌 강펑, 도시 전통 민가 보호 이용 중 기능 치환[ J], 의춘학원학보, 2009 안수미, 구도심의 리뉴얼과 역사명성 보호, [K], 도시발전연구, 1996 댈리, 쑤저우 평강로길 역사문화의 내실 탐구하다, [G],재지, 2017 금기 왕명비, 도시 전통 민가의 보호와 재활용--쑤저우의 평강로 31호 개조[B], 복건건 축, 2010 <도시 자선 관리법>은 2003년 11월 15일 건설법에서 제22회 상무회의에서 통과되었 으며, 그 뒤에 발효됐고. 2004년 2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했다. 임임, 원의삼, 쑤저우 고성 평강 역사 구역 보호 계획과 실제 [J]. 성시계획학술, 2006 이권희,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의 도심재생 영향에 대한 시론적 분석--대구도심 교육프 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017 전강은,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역사문화거리 조성계획,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012 박철현, 중국의 도시재생과 기층 사회관리체제의 변화--베이징 ‘역사문화보호구’의 도 시 거버넌스, 한국사회사학회, 2017 안수미, 역사·문화가로의 구성요소 및 색채특성 분석 연구-- 김해시 가야의 거리를 중 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2015 롼이산, 중국 역사적 도시 유산의 보호와 합리적 이용, 주택과학기술, 2004 이효명, 역사 문화 상업 지역의 보호와 업데이트, 산서성의건축, 2015 엄국태, 역사적 거리 지역의 “문맥” 보호, 분석, 연구--쑤저우 평강 역사지역의 문화유 산, 중국원림, 2014 이진, 정부가 주도하는 향토 건축 유산 보호 관리 운영 모델의 비교--강남 수향의 쑤저 우 평강 역사구역과 시탕구쩐 예로 들었다, 남방건축, 2011
307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본 연구소는 서구 중심의 디자인 방법론과 이론의 전달에 급급한 한국 디자인 교육의 현실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하여, 연구의 주체성, 교육과 연구의 현지화, 그리고 인류문화 보편성으로서의 한국·아시아 문화 가치의 탐색과 세계 문화와의 소통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설립되었다. ADCF aims to offer a diiferent approach to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in korea, which has typically focused on Western design methodologies and theories. The ADCF instead seeks to localize the subject of research and scholarship to that of the East Asian region, explore Korean and Asian culture within the narrative of humanities and the arts, construct, create and disseminate Asia-specific design knowledge, and improve Asia’s design education through regional and global joint collaborations. 47011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로 47 동서대학교 뉴밀레니엄관 228호 T. 051-320-4833 E. adcfdsu@gdsu.dongseo.ac.kr H. http://uni.dongseo.ac.kr/adcf | http://cafe.naver.com/adcfdsu 발행일ㅣ2019년 08월 30일 발행처ㅣ동서대학교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