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한국·아시아 문화와 디자인 5
도교를 기반으로 한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연구
유덕천, 이명희
11
쑤저우박물관의 전통문화 표현에 연구
홍호, 윤지영
16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왕휘휘, 홍관선
27
요족(瑤族) 전통의상의 전승과 발전 - 요족(瑤族) 자수(刺綉)를 중심으로
류샤오위, 양성원
37
장족(壯族)의상의 현대화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리줘, 양성원
46
전통문화요소를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비교분석 - 한국의 민화와 일본의 우끼요에 작품을 중심으로
김현삼, 안병진
53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의 형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도레미, 박부미
67
중국 1인 미디어 문화 특징에 기반한 문화형 1인 미디어 디자인 사례 연구
차이창, 이동훈
74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彩陶) 응용한 현대 문화상품 디자인 작품 연구
조정정, 안병진
85
중국 앱 디자인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총체적 사고방식을 중심으로
이기항, 안병진
97
중국 역사문화 관광지의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우초, 서한석
101
중국 전통 경극에서 검보(臉譜)의 특징 연구 - ‘삼국지연의(三國演義)’속 ‘차동풍(借東風)’을 중심으로
장단, 이명희
107
중국 전통 장난감의 리디자인에 관한 연구
황쯔러, 고경욱
112
중국 전통브랜드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연구
성홍연, 장주영
119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위더셩, 윤지영
127
중국, 한국과 싱가포르 도시 주상복합 주거 단지에 대한 비교 연구
주춘영, 박부미
창의성/디자인교육 133
과학관 체험 프로그램의 분석 -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을 중심으로
진시, 이명희
139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윤우람, 고정욱
조형연구
2
146
<스틸 라이프>에서 영상공간의 은유에 관한 연구
멍샹빈, 김해윤
154
“더우인(틱톡)”을 사례로 한 뉴미디어 클립과 전통 텔레비전, 영화 속 시청각언어 사용에 관한 차이점 연구 딩한디, 김해윤
162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의 필요성 연구 - 하얼빈 랜드마크 서점 ‘중앙서점’을 중심으로
리스루이, 안병진
168
비주얼 뮤직의 이론적 고찰
청위위, 김해윤
175
상업성 예술성을 위한 저예산 영화에 대한 연구 -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를 중심으로
림팡루, 김해윤
181
영화 <유랑지구>와 <상해보루>의 내러티브 구조 연구
장지아멍, 김해윤
Vol.2 No.1 February 2020
조형연구 186
자하 하디드의 건축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소, 윤지영
195
장이머우 영화 속 시각 공간
조우원위안, 김해윤
201
중국 영화 포스터의 디자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16~2018 국제영화제 수상작품 중심으로
장범, 송만용
210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 중국 10대 재스민 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티엔쥔, 서한석
217
중국의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에 등장한 감성 디자인 표현 성향
주수리, 홍관선
227
집단기억 표현 요소로 분석한 역사적 Landmark 건축물에 관한 연구
강박, 홍관선
235
한·중·일 타이포의 시각적 분석과 활용에 관한 연구
임은송, 서한석
246
항공사별 항공기 도장디자인에서의 컬러와 국가브랜드 인지도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조우단, 서한석
디자인 방법론 255
게임 마니아를 위한 VR HMD디자인 제안
향가흔, 고정욱
262
디자인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기회요인
김현정, 고정욱
268
문화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중국 모바일 홍바오(红包)를 중심으로
유천, 김형우
274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 미치는 제품 디자인 요인 연구 - 온라인 쇼핑 리뷰를 중심으로
마추화, 고정욱
281
인터랙션 디자인에서는 인지갈등에 관한 선행연구
라황황, 김세화
288
제품의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효용성 연구
장지파, 고정욱
사회적 디자인 303
도시역사문화거리의 보존 및 재생에 관한 평가 연구 - 중국 쑤저우의 평강로를 중심으로
경리, 윤지영
311
부산시립박물관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왕단, 윤지영
322
슬로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손로, 윤지영
333
에코뮤지엄 관련 문헌연구
류서, 장주영
341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이지엔화, 윤지영
353
최적화된 공유숙박 APP 서비스 연구
쉬에쉬엔나, 이성필
360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장소형성(Place Making) 사례연구 – 한국과 중국의 대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팽자용, 안병진
371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의 상관특성에 관한 연구
웨이이린, 홍관선
3
Vol.2 No.1 February 2020
도교를 기반으로 한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연구 Study on Cultural Goods of City God Temple in Shanghai, China
유덕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u, De Chu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Lee, Myung Hee(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문화상품, 성황묘, 지역성 Keyword
cultural goods, city god temple, locality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도교를 기반으로 한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연구 1. 서론
‘성황(城隍)’은 수천 년 동안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민족 신앙체계를 형성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 속에서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신앙형식이다.1) 본래 민간신앙에서 기원했지만 도교에 의해 흡수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도교’는 중국에서 생성되고 발전된 중국인의 민족종교로서 전통문화로 존재하여 현대 중국인들의 일상생활 속에 잠재되어 있다. 설날의 제사, 각 지역에 존재하는 성황묘 등 에서 모두 도교 문화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 남방지역 장강(長江)의 3대 사원 중 하나인 상하이 성황묘는 명나라 영락(永樂) 연 간(1403-1424)에 세워져 600년의 역사를 가졌으며, 동원(東園)과 서원(西園, 예원(豫 園))을 포함하여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특히 상하이의 관광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예원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아짐에 따라 성황묘를 방문하는 사람도 많 아지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문화상품은 영화, 방송, 음악 등 지적이거나 창의적이고 정서적인 정보와 의미를 담고 있는 생산물이 상품화된 것을 말한다. 오늘날 문화상품은 다양한 분야의 문화와 현대인들의 생활을 결합시키는 새로운 수단으로서 활발히 발전 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도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어 경제성 장을 촉진 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소비자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문화적 요소가 체 화(體化)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상품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현대 중 국의 시장경제에 따라 상업적이며 오락적인 기능이 부각되어 발전한 상하이 성황묘를 중심으로 중국의 민족종교로서 도교의 문화상품에 주목하고자 한다.
2. 중국의 성황묘와 도교
2.1. 중국의 성황묘 중국의 성황묘는 성황신 신앙에서 유래된다. 중국 종교문화에서 보편적으로 숭상하는 중요한 신(神) 중 하나로, 중국 민간과 도교가 마을의 수호신으로 신봉한다. 성황신은 마을을 지키고, 권선징악을 관장하고, 한 지방 백성의 생사(生死)와 화복(禍福)을 주관한 다. 중국 고대에 성황묘는 제사 기능을 담당하는 공간의 기능과 세속성을 가진 공공건 축물로서 여러 도시에 존재하였다. 넓은 중국의 지역적 특색에 따라 각 도시마다 성황 묘도 짙은 지역특색을 띠고 있다. 중국 서안성(西安省)의 장안왕곡 성황묘(長安王曲城隍 廟)는 한나라 기신(紀信) 대장군을 모신다. 성황신이 태어난 날에는 제사를 지내는데, 서안지방의 특색을 가진 서안고악(西安鼓樂,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인류비물질문화유 산)을 연주한다. 한편 상하이 성황묘는 초우션시(酬神戯, 수신희)라는 상하이 지방의 특 색 극으로 성황신의 태어난 날을 축하한다. 이처럼 각 지역마다 성황신의 제사 활동은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2) 1) 박정숙, 「중국 성황묘의 현대적 계승 양상과 그 의의」, 중국어문학논문집 73호, 2012, p.407 2) 王曉如, 『西安非物质文化遗产研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5, p.112
6
Vol.2 No.1 February 2020
성황신이 될 수 있는 사람은 크게 네 분류다. 첫째, 정치적 업적이 있는 지방 관리로 사망 후 그 지방 백성은 그의 공적을 표창하여 성황신으로 모신다. 둘째, 국가의 공신 으로 생전에 국가와 백성을 구한 적이 있는 사람이다. 셋째, 청렴하고 정직한 벼슬을 지낸 사람이다. 넷째, 선행을 많이 하는 사람이 성황이 될 수 있다. 현재의 성황묘는 도 교의 종교행사 장소로서 지역의 특징적인 묘회(廟會)와 기복(祈福) 행사 등을 거행하여 설이나 명절이 올 때마다 주민들이 성황묘에 가서 분향하고 복을 빈다.3)
2.2. 중국의 성황묘와 도교의 관계 도교의 시조는 노자이며 중국 원시사회의 귀신 숭배 관념과 춘추전국시대의 신선방술 및 음양오행 등의 사상을 결합시켜 형성됐으며 도를 근본 신앙으로 삼는다. 중국 전통 의 3대 종교인 유교, 불교, 도교 중에 도교는 중국 본토 종교로서 불교에 비해 중국 본 토 신앙의 민족성을 제현하고 유교에 비해 중국 본토 신앙의 대중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성황은 본래 민간신앙에서 기원하였지만 도교에 의해 흡수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성황신을 도교의 신령체계로 도입한 이후 성황신은 점차 도교에서 신봉하는 명계의 신 령으로 받들어졌다. 당나라 때부터 성황신이 국가의 신격으로 상승했다는 것은 당시 사 람들의 정신세계에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4)
2.3.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이해 상하이 성황묘는 상하이 구도시의 오래된 도교 사 원으로 상하이에서 가장 번화하고 유명한 예원(豫 園)과 나란히 있다. 상하이 지역의 중요한 도교궁관 (道教宮觀)으로 명나라 영락(永樂) 연간에 세워졌으 며 지금까지 600년이 넘었다. 전전(前殿)은 한나라 의 대장군 호광(霍光)에게 제사를 지내고, 정전(正 殿)은 성황신인 진유백(秦裕伯)을 모시고 있다. 대 부분의 성황묘가 한 명의 성황신만을 모시는 것과
[그림 1] 상하이 성황묘
달리 상하이 성황묘에는 ‘일묘삼성황(一廟三城隍)’이라는 말이 있다. 지금의 사원 안에 모신 성황신은 호광(霍光)대장군과 원조 말 명조 초기의 유명인사 진유백, 외적의 침략 에 맞서 용감하게 전사한 진화성(陳化成) 장군을 모신다. 오늘날 성황묘는 상하이의 수많은 명소 중 가장 인기 많고 전통적인 곳이다. 그러나 대 부분의 사람들이 말하는 성황묘는 성황묘 관광단지를 말하는 것이다. 성황묘 관광단지 는 성황묘, 예원 및 먹거리와 중국 전통 문화상품 시장 등 큰 구역을 포함하고 있다. 상하이 통계국 자료에 이르면 2018년 1년 동안 내국인 관광객은 31,845만 명, 외국인 관광객은 8,731만 명이었으며, 그중에 상하이 성황묘에 방문한 관광객은 180만 명이 였고 설날에는 3만 명이 방문하였다.
3) 彭倩, 「益阳城隍庙奉道特供荼包装设计」, 中南林業科技大學, 碩士學位論文, 2016 4) 박정숙, 「중국 성황묘의 현대적 계승 양상과 그 의의」, 중국어문학논문집 73호, 2012, p.425
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상하이를 처음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성황묘 관광단지는 상하이를 이해하는 첫 번째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상하이 성황묘는 다른 지역의 성황묘에 비해 천혜의 관광 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하이 성황묘는 중국의 전통 민족 신앙인 도교 문화를 국 내외에 알리는 창구가 될 수 있다.
3. 성황묘 문화상품 사례분석
3.1. 광저우 및 잉탄시 용호산의 성황묘 문화상품 사례 광저우 두성황묘(廣州都城隍廟)는 광저우시(廣州市)에 있는 도교 사원이다. 중국 오대십국 (五代十國) 때 광저우지역에서 남한(南漢)을 세운 류공(刘龑, 유엄)을 성황신으로 모신다. 광저우 두성황묘는 현지의 특색 있는 풍습인 ‘다디치(打地氣)’를 원형으로 옷 디자인을 했다. 다디치는 사람들이 성황신이 태어난 전날 밤 성황묘의 성황전 바닥에 앉았다 누 우며 다음날이 밝을 때까지 성황신의 앞에서 분향하면서 복을 기원하는 것이다. 옷에 다디치의 글자, 덕담, 태극, 성황묘의 이름, 그리고 귀여운 캐릭터를 이용해서 젊은 사 람들을 많이 끌어들인다. 용호산 천사부(龍虎山天師府)는 중국 장시성(江西省) 잉탄시(鷹潭市)의 용호산(龍虎山)에 있는 도교사원이다. 용호산 천사부에는 천사봉함서부(天師封缄署符)라는 부적을 사용하 여 문화상품이 있다. 천사봉함서부는 대동법록(大洞法籙)에 기록되어 있는 부적이며, 도 사들이 병의 입구를 밀봉할 때나 봉투를 봉할 때 쓰는 부적으로 부적이 상징하는 의미 를 차용하여 종이테이프를 문화상품으로 만들었다. [표 1] 광저우 두성황묘(廣州都城隍廟)와 용호산 천사부(龍虎山天師府)의 문화상품 ① 광저우 두성황묘(廣州都城隍廟) 특징
② 용호산 천사부(龍虎山天師府)
광저우두성화묘의 특색적인 풍습을 바탕으로 개발한 문화상품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테이프의 기능과 도교 부적 의 의미를 결합하는 문화상품
[그림 2] 다디치(打地氣) 티셔츠
[그림 3] 천사봉함서부(天師封缄署符) 테이프
사진
3.2. 대만의 성황묘 문화상품 사례 대만은 아시아 지역 중 도교가 가장 번창한 지역 중 하나로, 도교 신앙 인구 및 영향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대만에는 관련 문화상품도 많이 있다. 신죽두성황묘(新竹都城隍廟) 는 대만 신죽시(新竹市)의 도교사원으로 이곳에서는 성황신의 제사를 모실 때 평안부(平 安符) 부적과 성황신의 이름(尊稱)을 이용한 수건을 판매한다. 하지만 이 제품은 신죽두 성황묘의 특징이 잘 표현되지 않았고 단지 부적 문양만을 인쇄한 수건이라는 것이다.
8
Vol.2 No.1 February 2020
노주수현궁(蘆洲受玄宮)은 대만 신북시(新北市)의 궁묘(宮廟)이며, 모시는 신은 지방에서 귀신을 쫓는 현천상제(玄天上帝)이다. 도교신앙을 결합하여 현제자배(玄帝瓷杯)라는 컵 을 문화상품으로 출시했다. 현제자배는 수현궁(受玄宮)의 가장 큰 특색인 ‘청정수부(清 净水符)’를 컵에 인쇄하고, 물을 마시면 몸을 깨끗하게 해 주는 효과가 생긴다는 믿음 과 결합하였으며 컵의 외면에는 현천상제 신의 이미지를 귀여운 캐릭터로 그렸다. [표 2] 신죽두성황묘(新竹都城隍廟)와 노주수현궁(蘆洲受玄宮)의 문화상품 ① 신죽두성황묘(新竹都城隍廟) 특징
② 노주수현궁(蘆洲受玄宮)
신죽두성황묘의 특징이 안 들어가고 단지 평안부 부 적의 문양을 프린트한 문화상품
도교 사상과 일상생활 용품의 결합을 통해 ‘상선약 수(上善若水)’의 의미를 더 많이 느끼게 한 문화상품
[그림 4] 부적 수건
[그림 5] 현제자배(玄帝瓷杯)
사진
3.3.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상하이 성황묘에서 판매하고 있는 문화상품은 크 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팔찌, 부적, 신상(神 像), 실내 장식품 등이 있다. 상하이 성황묘 문화상 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교의 문화적 특징이 부족하다. 장식품의 경우 단지 중국 매듭에 태극 팔괘 문양이 인쇄되 어 있는 향주머니이며 팔찌도 팔괘 문양이 찍혀
[그림 6] 상하이 성황묘 수호부 문화상품
있을 뿐이고, 심지어 일본 신사(神社)에서 판매된 오마모리(御守り)도 판매하고 있었다. 둘째, 실용성과 미학성이 부족하다. 조롱박의 외형으로 만든 장식품은 단순이 중국인들 이 좋아하는 빨간색과 금색을 칠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도교 신도나 도사에게 파는 상품으로 편향되어 있다. [표 3]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특징
팔찌
신상(神像)
실내 장식품
부적 응용상품
행운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이용해서 만드는 문화상품
도교 신도가 집에서도 모실 수 있는 신상
팔괘와 태극문양과 중국 매듭을 결합하는 문화상품
도교의 부적을 이용해서 만든 메탈 스티커
[그림 7] 팔찌
[그림 8] 신상
[그림 9] 실내 장식품
[그림 10] 부적 응용상품
사진
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 결론
성황신은 도시와 그 주민을 수호한다고 믿어진 신으로 각 도시에 설치되어 사람들의 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관계를 가졌던 사당이다. 넓은 중국의 지역적 특색에 따라 각 도 시마다 성황묘도 짙은 지역의 특징을 띠고 있다. 따라서 지역을 상징하는 예술성, 창의 성, 대중성 등을 문화적 요소로 하는 문화상품의 디자인이 기대된다. 중국과 대만의 도교사원과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을 살펴 본 결과, 지역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상품이 몇 가지 존재 했지만 이미지의 단순 복재에 불과한 상품이 다. 중국의 민족 신앙으로 현대 생활에도 잠재되어 있는 도교문화가 반영된 문화상품은 현대인들의 문화적 기호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도교문화가 표상하는 의미를 소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연구하게 될 도교적 성황묘의 문화상품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 려하게 될 것이다. 첫째, 문화상품을 디자인 할 때 도교사원의 특징인 지역의 개성이 녹아들어야 한다. 도 교사원인 성황묘에서 모시는 성황신이 마을의 수호신이므로 지역의 개성이 표현되는 문화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둘째, 현대디자인 관점에서 문화적 경험을 소비하게 되는 실용성이 있어야 한다. 도교문화에서 부적의 의미나 상징적인 문양을 일상생활 용품에 접목시켜 사람들이 도교의 문화상품을 사용할 때 도교문화를 느낄 수 있게 되어야한다. 셋째, 도교문화를 다양하게 이해해야 한다. 도교문화는 부적뿐만 아니라 신선문화, 도 교철학, 도교의학 등 다양하다. 이를 폭넓게 이용하면 더 많은 문화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하이 성황묘의 다양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국내외의 관광 객에게 중국적 도교문화를 알리는데 기여 할 것이라 기대한다.
참고문헌 牟钟鉴, 『论儒道互补』, 华文出版社, 1999 王曉如, 『西安非物质文化遗产研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5 박정숙, 「중국 성황묘의 현대적 계승 양상과 그 의의」, 중국어문학연구회, 중국어문학 논문집 73호, 2012 조흔, 「중국 도교 문화 관광지의 디자인 마케팅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9 황지현,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버내큘러디자인의 실험적 적용」,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 조형학연구 13권3호, 2012 彭倩, 「益阳城隍庙奉道特供荼包装设计」, 中南林業科技大學, 碩士學位論文, 2016 周月, 「永乐宫文化创意产品设计应用研究」, 北京服裝學院, 碩士學位論文, 2016 http://shchm.org/
10
Vol.2 No.1 February 2020
쑤저우박물관의 전통문화 표현에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Suzhou Museum
홍 호,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ong, Hao_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I.M.Pei, 전통성, 소주박물관, 현대적 표현 Keyword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I.M.Pei, Traditionallity, Suzhou museum,
Dongseo University
Modern Expre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쑤저우박물관의 전통문화 표현에 연구 1. 서론
이오 밍 페이(Ieoh Ming Pei)는 미국의 교육에 영향을 받아 새로운 기술의 적극적 수용 과 더불어 중국적 전통성을 동시에 접목시켜 이를 자신만의 건축적 언어로 확립하였다. 2006년에 완공한 중국, 소주의 소주박물관은 졸정원(拙政園, 줘정위안)·충왕부(忠王府, 쫑왕푸)가 인접하고 있어 역사성, 전통성, 컨텍스트 등을 고려하여 약 7년간의 시간을 거쳐 건립된 중국 내 페이의 유일한 박물관 작품이다. 이에 연구의 범위를 소주박물관 으로 한정하여,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페이 건축의 근간을 이루는 후기 모더니즘의형성·발전하기 시작한 20세기 중반의 전시시설을 바탕으로 그의 현대성과 전통성의 표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I. M. Pei 박물관 건축의 특성
2.1. 기하학적 형태 구성 베이위밍의 집안을 보면, 이오 밍 페이의 집안에서 부유하고 쑤저우의 명문가이며, 집 안에 문화적 영향도 많이 받았다. 어린 시절 쑤저우에서 보냈고 쑤저어에 유명한 정원 인 쓰즈린(狮子林)은 이전에는 베이위밍의 집안의 정원이었다. 어린 시절 상하이(上海) 에서 공부할 동안 베이위밍은 건축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그의 일생을 보면 베이위 밍의 생활 경력은 주로 서양에서, 서양에서 교육과 이념을 받았다. 베이위밍의 공부 이력을 보면 건축 전공에 대한 공부를 접하게 된 것은 서양에서였다. 펜실베이니아대학에 합격했지만, 베이위밍은 대학에서 그림으로 고전 건축 이론을 설 명하는 수업에 실망했고, 곧 MIT로 전학시켜 1939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고 미국 건축협회의 상도 받았다. 1944년, 베이위밍은 하버드 대학에서 석사학위 공부를 했고 1945년에 학업을 마치고, 설계연구소의 조교수로 초빙되었다. 구조적특성을 통해 유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페이의 건 축은 형태적 차원에서 벗어나 건축물의 기능과 성능을 통합하는 페이만의 특성으로 대변된다. 이는 축적된 과학 적 지식과 공업적 수법이 건축물에 적용·표현된 것이다. 페이의 박물관 작품은 [표 1]과 같이 크게 2기로 나눌수 있다.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1기의 작품은 단순 기하학 형태로 건축물을 독립적, 자립적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피라미드의 삼각형 형태를 통해 구조의 장점을 익혔으며, 이시기를 통해 2 기에서는 구조적 이점을 통해 단조로움을 피하는 특징을 볼 수 있으며 이를 적용·발전 시켜 마스터바형의 사각 형태로의 전개를 이루었다.
12
Vol.2 No.1 February 2020
[표 1] 박물관작품 시기의 구분과 특성 대표작품
1기 National Gallery East Building(1978)
John. F Kennedy Library(1979)
Grand Louvre(1989)
장식이 배제된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건물을 독립적, 자립적 대상으로서 고려하고 있다.
2기 Miho Museum(1997)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Islamic
Museum Zeughaus (1997)(2008)
외부의 전망을 내부로 끌어들여 무미건조하고 단조로운 성격의 기하학적 형태에 생명력을 부여하고 있다.
2.2. 주변 환경과의 연관성 중정과 창, 천창, 개구부 등의 요소들을 통해 외부를 향한 시선을 연장시킨다. 주변의 풍경을 건물로 끌어들임으로서 단순한 형태에서 시각적 다양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 한 특성은 모더니즘의 무미건조하고 단조로운 성격을 비판하고자 했던 그의 건축어휘 로서 건축물에 생명력을 불어넣고자 했던 의도와 일맥상통한다.
3. 소주 박물관의 특성
3.1. 소주 박물관의 평면 및 전시공간의 특성 3.1.1. 평면구성 특성 현재 소주박물관은 [그림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진 입정 원과 대공간, 연못으로 이루어진 중심축을 기준으로서측에 는 전시공간 A간와 B, 동측에는 사무 및 교육공간을 포함하 는 지원시설인 C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축은 기존 충왕부의 거주공간구성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3.1.2. 전시공간의 특성
[그림 1] 소주박물관, 충왕부 평면
소주 박물관의 전시공간은 3가지의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자수, 옥 등이 전시된 첫 번째 전 시공간간 A는, 단위전시공간의 입구와 출구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이며 전시실 마다 개별적 출입이 불가능하다. 한나라에서 당나라까지의 유물들이 전시된 두 번째 전 시공간 B는, 단위전시공간 출입구가하나이고 중앙홀에서 각전시실로의 개별적 출입이 가능하다. 교육시설과 VIP ROOM이 있는 세 번째 전시공간 C는서로 연속적으로 배치 되어 관람하는 형식이 나타난다.
1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박물관의 평면구성 단위전시공간 도면
다이어그램
단위전시공간
공간별 특징
A
∙ 입·출구 분리 ∙ 개별적 출입 불가능
B
∙ 출입구 하나 ∙ 중앙홀에서 개별적 출입 가능
C
∙ 연속적 배치
3.2. 소주 박물관의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 3.2.1. 주변 환경 소주는 원림도시이고, 도시 안에 원림은 지금까지 백여 개 정도 위치해 있다. 소주원림 의 가장 큰 특색은 커다란 산을 가상으로 작게 표현하는 것으로, 북송의 산수화를 생각 하며 석재에 조각을 이용해서 벽을 종이로 하고 돌을 회화로 하는 개념으로 정원 벽 앞 에 석족 조각으로 특별 한 중국의 산수화를 재현해냈다. 신관 건물은 주변 환경과 융합 하고, 조경공간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정원의 녹지와 수면면적은 42%를 차지하고, 한 개의 주정원과 9 개의 작은 정원이 있다. 또한 충왕부와 일체화를 위해 같은 색상의 기와와 정원의 배치, 등나무 중정의 반영을 볼 수 있다. [표 3] 충왕부의 주변 환경를 반영 지붕
정원
3.2.2. 기하학적 형태 건물 전체는 소주 전통주거와 전체적인 양식이 비슷하고, 주변에 있는 주거와 색상, 형 태, 지붕경사도까지 일치하고 있다. 입구에 위치한 로비는 박물관의 중심적 역할을 하 고 있으며 페이는 소주 주거의 특징인 정방형의 평면 형태를 전통적 요소에 적용하여 팔각형 로비로 설계하였다. 이러한 소주 전통건축의 기하학형태 변화는 시각적 변화를 주고 있 으며, 큰 면적의 천장, 흑색 지붕은 서로 상응하며 과거의 목구조를 현대의 개 방식 강구조로 번안·적용하여 현대적천창에 이를 조절하는 차양장치를 통하여 현대적 표현을 하고 있다.
14
Vol.2 No.1 February 2020
[표 4]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 요소 정원
지붕
금속차양
로비
3.2.3. 재료적 특성 소주박물관은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졸정원과의 일체화를 통해 소주의 전통적 특색을 계승하고자 하였다. 전체적인 주조색은 전통적 회반죽에서 나타나는 흰색과 동일한 색 채를 사용하였다. 지붕은 주변의 기와 색과 모듈에 서 번안하여 흑색은 화강석 타일을 개발하여 주변과의조화를 고려하였다. 내부에서는 석재와 금속구조를 효율 적으로 연 결시켜 장식을 나타내었다. 정원에서는 주정은 보전원림의 가지고 새롭게 만들고, 작은 정원은 주로 전통수법의 재료인 나무, 대나무, 태호석을 사용해서 계획하였다.
4. 결론
페이의 소주 박물관에 나타나는 전통성은 충왕부와 졸정원의 도시적 컨텍스트를 반영 하여 소주 전통의 특색을 페이의 건축어휘를 통해 현대적 표현으로 나타낸 것을 고찰 할 수 있었다.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기하학적 형태에서 수목과 재료적 특성을 이용 하여 주변 환경과 일체화 시키면서, 강구조를 사용하여 천창, 금속차양으로 고전식의 형태를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처럼 장소성을 바탕으로 전통적 특성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도시와 소통하고자 했 던 페이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윤재희, 진경돈, 「건축가 I. M. Pei의 건축작품에 나타난 레이 트 모더니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연구, Vol.8, 1998 홍지호, 박철민], 「제주지역 테마박물관의 평면구성유형과 형태구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권 2호, 2011 Philip Jodidio, 「I. M. PEI COMPLETE WORKS」, RIZZOLI, 2008 Zhang Xin, 「SUZHOU MUSEUM」, Great Wall Publishing House, 2007
1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ceness of Vacant Houses in the Street of Historical Culture - Focused on HangZhou Zhongshan Road -
왕휘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Wang, Hui Hu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역사문화거리, 빈집, 장소성 Keyword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Street of Historical Culture, Vacant Housesl Regions,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Placeness
Vol.2 No.1 February 2020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연구의 배경과 목적 세계화의 파고 속에서 도시의 ‘몰개성화’는 비단 특정 도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 적인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즉 경제의 세계화 과정 속에서 지역 문화와 도시 개성화 보호가 절박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 도시에 있어서 역사문화거리 는 도시의 역사·문화적 발전과 도시 경관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공간으 로, 도시 가치와 정체성의 중요한 요소이자 도시 개성화라는 속성이 표현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역사문화거리는 도시의 문화유산이 가장 밀집된 구역으로, 기본적으로 해당 장소에 대 한 시민들의 신뢰가 담보되어 있는 공간이다. 그런데 중심가의 발전에 비해 주변 거리 (역사 문화의 거리에서는, 중심가보다 다른 거리의 본문을 주변거리라고 부른다)의 발 전 상황이 점차 쇠퇴함에 따라 장소성이 상실되면서 역사문화단지 내 주변 거리의 발 전과 빈집 문제에 대한 관심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국 항저우는 중국 8대 고도의 하나이자 남송시대 이래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도 시로, 중국 최초의 역사문화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20년 동안 항저우에서는 거의 90% 이상의 역사 건축물이 훼손되었는데, 살아남은 10%의 역사 건축물은 대부분 항저우 역 사문화거리 가운데 가장 큰 구역인 중산로(中山路)에 밀집되어 있다[1]. 이 중산로 보존 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설계자 왕슈(王澍)는 역사문화거리 보존에 있어 핵심적인 개선사항으로 중심가 외에 주변 거리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을 제기한 바 있는데, 이 는 본 논문의 연구배경과 일치되는 견해이다. 본 연구는 장소성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항저우 중산로의 빈집을 연구 대상으로, 그 장 소성 요소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다. 연구의 목적은 항주시 중산로 빈집을 활용하는 방 향과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항저우의 역사문화거리인 중산로의 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자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문제, 장소성 개념, 역사문화거리 내 빈 집의 재생과 장소성의 상관성을 고찰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역사문화거리의 재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소성에 대해 정 리·분석하고, 행태적·지각적·사회적·시각적·기능적·시간적 차원에서 장소성 평가 요소 를 분석한다. 셋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지 평가를 실시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적 의사결정방법) 분석을 통해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 평가요소의 중요도 를 도출한다. 이때 전문가의 범주에는 재생사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실무 경험을 갖 춘 교수, 연구자, 설계자 등이 포함된다.
1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넷째,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현지 조사를 실시하여 리모델링을 거친 중산로 내 빈집의 장소성이 나타내는 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역사문화거리의 이론적 고찰 2.1.1. 중산로의 역사문화적 배경 항저우의 구시가지에 위치한 중산로는 크게 중산중로(中山中路), 중산북로(中山北路), 중 산남로(中山南路)로 나뉜다. 그 중 중산중로는 전근대시기 황제의 통행을 위한 전용거리 로 이용된 곳으로, 황제 이외의 관리나 백성들의 통행이 금지되어 ‘어가(御街)’라고도 불렸다. 이 중산중로는 역사적으로 줄곧 항저우의 대표적인 번화가였지만, 건축물들의 밀도가 증가하고 역사적 상황이 변화되면서 발전이 제한되어 점차 쇠퇴하였다. 그러던 중 2008년 초 역사문화거리의 심층적 개선을 강조하며 주변 거리 발전의 불균형과 이 에 수반된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식으로 중산중로를 중심으로 한 종합보호가 시작 되면서 중산중로는 현재 주거·상업·관광에 특화된 도시공간으로서 항저우의 또 다른 랜드마크가 되었다.
[그림 1] 중산로
본 논문에서는 빈집을 리모델링한 우수 사례로서 중산로박물관, 벽집, 100년 고택을 선별적으로 분석하여 빈집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 다른 도시의 빈집 리모델링에 시사점 을 제시하고자 한다.
2.1.2. 역사문화거리의 개념 및 특성 ‘역사문화거리’라는 개념은 1933년 8월 국제현대건축학회가 아테네에서 통과시킨 <아 테네헌장>의 “역사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과 거리에 대해 적절히 보존하고 훼손하지 않 는다.”라는 문장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중국에서는 1986년 국무원이 제2차 국가급 역사문화도시를 공포할 때 정식으로 ‘역사 문화거리’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즉 “역사문화도시란 단순히 도시의 역사나 보존하고 있는 문물·유적만 보아서는 안 되고 그 도시 경관이 역사적 특색을 보존하고 있는지 또 도시의 전통적인 모습을 어느 정도 대표할 수 있는 거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아야 한 다.”라는 것이다[2]. 역사문화거리의 기본적 특징은 아래의 세 가지이다. ① 도시 경관의 완전성과 전형성. ② 유물의 진실성. ③ 공간의 기능성.
18
Vol.2 No.1 February 2020
2.1.3.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의 개념 빈집(vacant houses)이라는 용어는 본래 외국에서 유래하였지만, 아직 국제적으로 통 용되는 개념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빈집이라는 용어를 주로 주택분양의 수급 상황에서 사용한다. 일례로 중국 국가통계국의 ‘부동산통계보고제도’에서 보듯이 빈집이라는 용 어는 거래 경력이 없는 신축건물에 국한되어 사용된다[4]. 반면, 한국에서의 빈집 개념 은 법률상으로 명확히 규정되어 있는데, 예컨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 법」, 「농어촌정비법」 등에서는 6개월 혹은 1년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빈집 여부를 판 단한다[5]. 본 논문에서는 이상에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역사문화거리 내 유휴 혹은 거치 상 태의 부동산과 잠재적 유휴 가능성 있는 부동산 모두를 가리켜 빈집으로 설정하였다.
2.1.4.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의 재생 및 의미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재생이란 역사문화거리 내의 빈집을 ‘살아 있는 문화’로 여기는 것이고, 역사문화거리만의 역사적 골목이나 민가 혹은 주택, 오래된 나무나 물건 등의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을 환기시키는 것 이다.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재생은 해당 거리의 경제적 발전과 문화적 계승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2.2. 장소성의 이론적 고찰 2.2.1. 장소와 공간 공간이 동적이고 개방적이며 자유롭고 위협적이라고 한다면, 장소는 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장소는 개인이 가치를 부여한 안식처로, 안정감과 사랑을 느끼게 해주는 곳이다. 공간은 장소보다 추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마디로 정리하면 우리가 공간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공간에 가치를 부여하면 그 공간은 장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8].
2.2.2. 장소성의 개념과 특성 ‘장소’는 무수히 넓고 큰 공간 속에서 어떠한 의미나 가치, 또는 행위가 부여됨으로써 특정한 지점이 되고, 개별적인 성격을 지니게 된다. 그래서 장소는 공간에 비해 사람들 에게 더 친숙하고, 사적이며, 의미와 가치가 부여된다. 이는 사람들이 공간을 경험함으 로써 공간을 지각하게 되고, 지각을 통해 공간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 러한 일련의 과정이 사람들에게 구체화되면 공간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고, 그들은 더 이상 공간이 아닌 장소로 기억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장소감은 공간에 장소성 이라는 그 장소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격을 부여하게 되는데, 이 장소 역시 사람들 에게 정체성을 부여한다[9].
2.2.3. 장소성의 형성 요소와 필요성 현상학적으로 공간을 파악한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는 장소성을 하나의 특징 으로 선정하거나 집약하는 것은 지역의 고유한 상황이나 계획의 목적이나 경험에 달려 있다고 하였는데, 물리적 환경, 인간의 활동, 의미라는 세 가지 요소가 항상 어떤 방식
1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으로 상호 관련되는지가 중요한 것으로 다른 요소로는 대치될 수 없다고 하였다[11]. 이러한 하위 구성요소들은 각각 특정한 장소성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세 가 지 기본요소는 장소의 대한 경험 속에서 상호작용하면서 장소성이 성립된는 것이다.
2.3. 연구의 차별성 빈집에 대한 사회·정치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빈집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관 련 연구를 살펴보면, 빈집의 현황과 관련 정책, 빈집의 통계, 빈집의 발생 원인과 문제, 국내외 사례 분석, 관리와 활용 방안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최근 5년간의 연구 를 살펴보면, 빈집이 야기할 수 있는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그 해결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빈집을 관리하고 활용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빈집 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부동산 데이터 통계와 개념적 정의에 머무를 뿐 빈집의 활용에 대한 심도 있는 학술적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 대 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활용에 대해 주목하였다. 즉 역사문 화거리의 재생 개념에서 시작하여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 활용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또한 역사문화거리의 중심가와 주변가의 발전 불균형 현상에 대한 분석에서 출발하여 재생 이론과 장소성 이론을 종합하고 장소성 이론을 바탕으로 장소와 장소 상실의 개 념을 차용하여 현 단계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해 탐색하였다. 대중문화는 사람들의 공간 에 대한 감정을 파괴시키고, 사람들이 공감하지 못하게 하며 최종적으로 장소를 잃게 한다.
3. 빈집의 장소성 평가요소 선정
3.1. Matthew Carmona의 6차원 본문은 장소성 이론을 기초로 하여 장소와 장소 상실의 개념에서 시작해, 현재 단계에 서 빈집에 존재하는 현상과 문제를 탐색한다. 대중문화는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감정을 파괴시키고, 사람들이 공감하지 못하게 하고 최종적으로 장소를 잃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Matthew Carmona의 <도시설계>의 6가지 차원을 차용하여 역사문화 거리의 빈집 장소성에 대해 분석하고, 도시 설계의 관점에서 중산로의 빈집 활용에 대 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도시설계는 형태·지각·사회·시각·기능·시간의 6가지 차원에 차 례로 관련되어 있고, 또한 그들은 서로 교차하여 빈집의 장소성에 함께 영향을 미치며, Punter(1991)와 Montgomery(1998)는 Relph의 장소 이론의 기초 위에서 도시 설계 의 각 차원이 어떻게 수립되고 장소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설명한다[그림 2]. 이 여섯 가 지 차원에 대한 구분은 분류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각 차원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 다. 이에 6가지 차원을 통한 분석은 본 연구의 분석에 적용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 추출한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평가 요소는 이러한 6가지 차 원이며 [그림 2][14]는 이러한 도시설계와 장소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20
Vol.2 No.1 February 2020
[표 3] 평가요소
[표 4] 쌍대비교 설문항목 예시
[표 5] 2급 지표의 중요도
Consistancy Index = 0.0925
[표 6] 3급 지표의 중요도
Consistancy Index = 0.0000
3.2. AHP를 통해 가중치 도출 T.Saaty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된 AHP 기법은 대안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하기 위해 계 층 또는 네트위크 구조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다기준 의사결정 모델이다. 일반적인 AHP 분석과정은 브레인스토밍, 계층구조 설계, 가치계산, 우선순위 측정의 4단계로 이 루어진다(Kim, Kim, & Shin,2016)[30]. AHP는 자연과학적 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는 사항에 대해 사람의 판단을 통해 진행하는 합리적이고 통합적인 방법이다. 절대평가가 아니라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 를 통해 평가자의 판단을 근거로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를 제공하고, 각 평가 요소 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을 도와 도시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서 각 평가 요소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본 논문도 중요도를 구하기 위해 계층분 석기법을 사용했다. 그래서 AHP 계층분석기법을 적용해서 판단을 가능했다. 설문지 설계는 AHP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다. 첫째, 평가해야 할 사항을 계층구조 아래에 배열하여 크게 세 개의 지표로 구분한다. 1급 지표: 역사문화거리에 있는 빈집 의 장소성, 빈집의 활용방향. 2급 지표는 행태적 차원, 지각적 차원, 사회적 차원, 시각 적 차원, 기능적 차원, 시간적 차원. 3급 지표는 연계성과 접근성, 개별성과 동일성, 안 전성과 개방성, 심미성과 질서성, 다양성과 사용성, 역사성과 연속성이다. 둘째, 각 지 표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연구에서는 9점 척도(1: 똑같이 중요하 다, 3: 약간 중요하다, 5: 필수적이다 혹은 매우 중요하다, 7: 확실히 중요하다, 9: 절 대적으로 중요하다)를 사용한다.셋째, 쌍대비교행렬로부터 각 지표 내 의사결정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 쌍대비교를 위해 설계된 설문지 항목의 사례는 [표 4]과 같다. 프로젝트의 행태적 차원 A와 지각적 차원 B를 비교하고 숫자는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낸다. 동일한 중요도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평가할때, 왼쪽은 마이너스 (-) 중요도, 오른쪽은 플러스(+) 중요도를 나타낸다. 즉, A와 B를 비교할 때, 왼쪽의 ‘5’는 A가 B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1’은 중요도가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오른쪽의 ‘5’는 B가 A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앞서 서술하였듯이 6가지 차원에 대한 분석을 통해 12가지 평가요소를 도출하였고, 이 12가지 평가요소에 대해 도시재생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전문가의 범주에는 재생사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무 경험이 있는 교수, 연구자, 설계자 등이 포함되며, 장소성 이론에 근거하 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문가의 비중은 연구자가 53.3%, 대학교수가 26.6%, 설계자 가 20.6%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도 평가를 15명의 전문가가 개별적으로 중 요도를 평가한 후 통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5 명의 전문가의 의견을 기하평균 (Geometric mean)을 사용하여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15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설문지의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가 0.1 이하이면 유효한 설문지로 간주하였고,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역사문화 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에 대해 매 평가요소 별 가중치를 표시하였는데, [표 5], [표 6] 도 사례 분석에서 이용하였다. AHP 분석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분석과정별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관성 지수(Consistancy Index)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에 대한 C.I.는 모두 0.1보다 낮게 나타나 일관성이 높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가지 설계 차원 중에서 사회적 차원의 가중치가 0.246, 지각적 차원의 가중치가 0.211이었고, 이어서 기능적 차원, 행태적 차원, 시각적 차원이 각각 0.181, 0.138, 0.126이었으며, 시간적 차원의 가중치가 0.098이었다. 12가지 평가요소 가운데, 안전 성의 가중치가 0.186, 동일성과 사용성의 가중치가 각각 0.114, 0.101, 개별성·심미 성·연계성·다양성의 가중치가 각각 0.099, 0.085, 0.082, 0.080, 개방성·연속성·접근 성의 가중치가 각각 0.060, 0.059, 0.057, 질서성·역사성의 가중치가 각각 0.041, 0.039이었다.
3.3. 사례분석 본 연구는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영역적 방법으로, Matthew Carmona의 도시설계이론의 6가지 차원에서 12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빈집의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려고 시도했으며, 사례 선택과 분석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항저우 중산로에 관해 분석한 정기간행물과 기사는 총 30편이고, 그 중 중국 CCTV <면대면(面对面)>에서 방영된 <왕슈:한 건축가의 이상과 현실(王澍:一个建筑师的 理想与现实)), (왕슈, 2012), 세계건축저널 중 <한 부흥의 길과 한 도시의 부흥>, (김단 단, 2016), 절강닷컴(浙江在线)의 첸장만보(钱江晚报)가 보도한 <남송어가의 아름다운 변화> 등이 있다. 중국 역사거리구역의 리모델링은 대부분은 거리 전체 리모델링 프로 젝트로, 역사문화구역 중 어떤 공간에 대한 리모델링은 거의 없다. 한국의 어떤 공간에 대한 리모델링 방식을 참고하여, 중산로 내 빈집의 활용을 선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이미 기본적으로 원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기능이 발 생한 건축 공간을 선정하였는데, 선정된 세 사례는 각각 중산로박물관, 벽집, 100년 고 택이다. 3가지 사례 모두 원래 기능이 주택이었으나, 활용 후 중산로박물관은 전시용으로 사용 되고, 중산로 벽집은 상점, 다실, 100년 고택은 여전히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22
Vol.2 No.1 February 2020
둘째, 제2장 장소성 이론 자료에 기초하여, 선정 사례 중 12가지 요소가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을 반영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론에서 도출 된 12개가지 평가 요소가 세 사례에서 나타난 강약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 요소가 사 례별로 나타내는 강약의 범위를 1-10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그 중 1-10의 수치 를 3개의 강약구간으로 나누었는데, 사례분석표에서, 1-4는 약함으로 ○으로 표시하였 고, 4-7은 보통으로 ◐으로 표시하였으며, 7-10은 강함으로 ●으로 표시하였다. [표 8] 중산로(中山路) 벽집 분석
[표 9] 100년 고택 분석
본 연구는 사례에서 12가지 평가 요소 별로 표현 값 평가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추가 적으로 전문가가 평가한 가중치를 기준으로 요소의 비율과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중 요소의 비율은 세 사례에서 12가지 평가 요소의 표현값의 총점과 모든 평가 요소의 표현값을 합한 총점의 비율이다. 따라서 다시 요소의 비율과 가중치를 비교분석하였는 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다. [표 10] 비교분석
2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 결론
본 연구는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 평가를 근거로 분석틀과 방향을 설정하였고, 리모델링을 거친 중산로 내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을 6가지 차원, 12가지 평가요 소로 나누었다. 즉 행태적 차원(연계성, 접근성), 지각적 차원(개별성, 동일성), 사회적 차원(안전성, 개방성), 시각적 차원(심미성, 질서성) 기능적 차원(다양성, 사용성), 시간 적 차원(역사성, 연속성)이다. 둘째, 중산로의 장소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는데, 가중치가 높은 요소 는 사회적 차원과 지각적 차원이었다. 따라서 빈집을 활용할 때는 우선 장소의 사회적 차원을 고려해야 하고, 건축 환경을 조성할 때 사회적 활동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주목 해야 하며, 다음으로 사람들의 장소에 대한 인지와 체험 구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리모델링에서 이 두 가지 차원이 가중치가 높았던 것은 바로 인간 존중이 구현된 것이다. 가중치가 0.126-0.181인 구간은 시각적 차원, 형태적 차 원, 기능적 차원 순으로 나타났다. 우선, 쾌적함, 편안함, 그리고 환경에 대한 다른 수 준의 참여와 같은 다양한 사용 방식과 사람들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 다. 사람들은 기능에 대한 욕구가 충족된 후에만, 공간의 배치와 구조에 관심을 갖는 다. 시각적 차원의 평가가 낮은 것은 사람의 환경에 대한 감지와 심미적인 평가가 사람 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는 것을 설명한다. 사람들의 다양한 시각적 체험을 충족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시간적 차원의 가중치는 가장 낮았는데, 이것은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재생과정에서 시간적 차원이 필연적으로 설계에 활용되기는 하겠지만 설계의 초점은 아니라는 점을 나타낸다. 셋째,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에서는 안전성, 동일성, 사용성의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 았으며 세 가지 사례에서 모두 안전성이 부각되었는데, 이는 설계에서 가장 먼저 안전 성을 고려하여 사람들이 해당 장소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나타낸 다. 빈집의 활용에서, 안전성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으로, 안전 방범 및 카메라 설치를 통한 모니터링을 진행하면 사람들이 안전하게 장소에 들어가고 장소를 사용할 수 있다. 세 가지 사례에서 동일성과 사용성 구현의 일반, 향후 빈집 활 용에서는 사람들의 관념, 생활 습관, 문화 풍습 및 장소의 사용성을 존중하고 강조해야 한다. 가중치 0.080-0.099 구간에는 다양성, 연계성, 심미성, 개별성이 있다. 명확한 개별성은 사람들이 다른 장소와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며, 빈집의 활용 에서는 추가 랜드마크 설계, 축제활동 개최 등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빈집의 리모델 링은 고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연계해야 하며, 활용 후의 빈집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야 한다. 사례의 총체적 분석에 따르면 설계자 역시 네 가지 요 소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전문가의 의지를 구현하였다. 가중치 0.057-0.060 구간에는 접근성, 연속성, 개방성이 있다. 역사성과 질서성의 가중치가 가장 낮으며, 이 두 가지 요소의 가중치가 가장 낮은 것은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재생에서 역사성과 질서성은 필연적인 고려 요소이지만 설계의 초점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전문가의 평가치와 사례 분석으로 얻은 평가치를 비교한 결과 안전성, 동일성, 사용성, 개별성에서는 전문가의 평가치가 사례 분석으로 얻은 평가치보다 높았다. 향후 역사문화거리 빈집 활용에서 활용 후 빈집의 안전성, 빈집에 대한 사람들의 정서적 귀 속, 다양한 사람들의 만족도, 독특한 건축양식이나 독특한 체험을 강조해야 한다. 연계 성, 접근성, 개방성, 심미성, 질서성, 다양성, 역사성, 연속성의 8가지 평가요소에서는
24
Vol.2 No.1 February 2020
사례 분석으로 얻은 평가치가 전문가의 평가치보다 높았는데, 이는 설계자가 이 8가지 요소의 구현이 중산로 빈집의 장소성을 구현하는데 중요하다는 점을 이미 인식하고 있 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세 가지 사례의 원래 기능은 모두 주거공간이며, 사례1과 사례2는 활용 후 공 공장소로 사용되고 사례3은 활용 후에도 여전히 개인 주택으로 사용된다. 사례1과 사 례2의 안전성과 개방성 점수는 사례3보다 높고, 사례1의 개별성·연속성 점수와 사례2 의 연계성· 심미성·다양성 점수는 모두 사례3보다 높다. 따라서 사례1과 사례2의 점수 가 사례3보다 높다. 빈집을 활용하여 공공장소로 사용하는 것이 공간의 가치를 구현하 는데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 빈집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며, 빈집을 재생 자원으로 삼아 빈집의 활용 방향을 만드는 것이 우선적인 문제이다. 본 연구는 장소성 이론에서 시작해 빈집 의 활용에 대한 거시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중산로에서 다른 공간에 있는 빈집의 리모 델링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려고 한다. 서로 다른 공간에 따라 빈집의 유형도 다르기 때 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미시적 측면에서 빈집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참고문헌 王澍, 中山路:一条路的复兴与一座城市的复兴,杭州, 中国, 世界建筑, p.114, 2012. 徐林强, 历史街区旅游规划初期居民感知和态度研究—以杭州中山路为例, 浙江大学, p.7, 2008. 徐林强, 历史街区旅游规划初期居民感知和态度研究—以杭州中山路为例, 浙江大学, p.8, 2008. 朱佳敏, 杭州市住宅空置特征与空置率实证研究, 浙江大学, p.8, 2009. 노민지, 빈집의 공간분포와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 원 부동산학과, 박사학휘논문, pp.40-41, 2017. 한수경, 빈집의 공간적 군집과 고착화에 관한 실증 연구: 전라북도 익산시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국토연구원, 제97권, 제2호, p.19, 2018. 이-푸 투안 저, 심승희, 구동회 옮김, 공간과 장소, 대윤, p.231, 2011. 이-푸 투안 저, 심승희, 구동회 옮김, 공간과 장소, 대윤, p.4, 2011. 최아름, 장소기억 회복을 위한 ‘빈집’ 기반 에코뮤지엄 전시콘텐츠 기획 연구, 건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휘논문, p.21, 2018.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휘논문, p.10, 2013. 에드워드 렐프 저,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pp.113-114, 2005. 에드워드 렐프 저,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pp.113, 2005. 한수민, 장소성 확보를 위한 참여디자인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p.10, 2012.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95, 2009.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135-155, 2009.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210, 2009.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163, 2009.
2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남윤학, 장소정체성 구축을 통한 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휘논 문, p.21, 2012. 남윤학, 장소정체성 구축을 통한 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휘논 문, p.21, 2012.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22-244, 2009. 권영재,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휘논문, p.61, 2016.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71-295, 2009.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47-253, 2009. Jane jacobs, 美国大城市的死与生, 译林出版社, p.155, 1961.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97-305, 2009. Kevin Lynch, 场所中的时间, 北京时代华文书局, p.240, 1972.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355-380, 2009. 권영재,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휘논문, p.59, 2016. 권영재,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휘논문, p.59, 2016. 주희선, “AHP 분석을 통한 빈집활용방안 우선순위 평가,” 한국주거학회, 게재논문, 제 30권, 제1호, p.98, 2019.
26
Vol.2 No.1 February 2020
요족(瑤族) 전통의상의 전승과 발전 - 요족(瑤族) 자수(刺綉)를 중심으로 -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Yao Traditional Costumes - Focused on Hezhou Yao embroidery -
류샤오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양성원(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u, Xiao Y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요족, 의복과 장신구, 공예기법, 전통재료, 자수, 계승 Keyword
Yang, Seong Won(Corresponding author)_
yao, clothing, craftsmanship, traditional materials,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embroidery, inheritance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요족(瑤族) 전통의상의 전승과 발전 1. 서론
광서(廣西) 장족(壯族) 자치구는 중국 5개 소수민족 자치구 중 하나로, 146만 명의 요족 이 주로 광서 하주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있다. 요족 자수 기술 은 공예가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아 다년간의 학습이 필요하며, 요족 자수 기술을 보유 한 사람들은 대부분 연장자이다. 노인들의 죽음과 함께 자수 기술도 사라지고 있으며 경제 시장경제의 충격으로 성인 여성들이 도시로 일하러 나가면서 요족 자수공예의 전 승이 단층 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디지털 자수 패턴 기계의 출현은 전통적인 수작 업인 자수공예에도 충격을 주어 요족 전통복식 공예의 전승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런 배경에서 어떻게 현대의류에 요족 복장의 특징을 살려나갈 것인지, 요족 자수공예의 발 전을 보존하고 계승할 것인지가 이번 논문의 과제다. 본 논문은 중국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요족복장’의 문화적 특징을 분석하고 요족자수의 스타일적 특징을 기술함으로 써 요족의 자수에 담긴 문양을 현대적인 액세서리와 복식에 적용한 디자인을 하여 요 족 복식 지역 상품화를 시도하고 추진하고자 한 다. 디자인에 앞서 요족 복장 관련 논문과 문헌을 고찰하고, 현장답사, 인터뷰, 설문조사방 법, 사례분석법을 통해 하주 요족 전통의류 제작 공정을 연구했다. 저자는 2019년 2월 하주 지방에 가서 현지조사를 하며 요족 자수 전승 인을 인터뷰하고 요족 전통복식 발 전 현황, 요족 자수공예, 요족의류 문화제품을 조사했다. 요족복장 사례 분석을 통해 요족 자수의 패턴 디자인, 색채 운용 등의 특징을 알아봤다. 요족 자수 특징문양을 추 출하여 복식의 스타일과 패턴을 개량하고, 요족 자수 특징문양을 위주의 컬렉션과 디자 인 과정을 기록했다.
2. 요족의
요족 모든 분파는 여성의 머리 장식으로 구별된다. 풍속에 있어서는 본 민족의 특징을 유지하고, 남녀 복장을 보면 이는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요족 여자는 자수에 능하
전통 의복과
며, 옷자락, 소맷부리, 바지통에 화려한 패턴을 수놓는다. 머리카락을 묶어 머리 위에
장신구
걸치며, 오색구슬로 꾸민다. 옷깃과 소맷부리에는 자수 패턴이 빼곡히 박혀 있다. 남자 는 머리를 길러 상투를 두르며, 빨간색이나 파랑색 천으로 머리를 감싼다. 옷깃이 없는 옷을 입거나 자수 포대를 두르며, 하의는 통이 큰 바지를 입는다.1) “요족 아이는 15세 이후 여자 아이는 머리에 꽃을 가지고 있고 남자 아이는 머리에 모자를 쓰고 그들이 성 인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2014년 11월 11일, 요족의 의상과 장신구는 국무부에 의해 네 번째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승인되었다.2)” 장신구속의 은공예는 요족의 이 동에 따라 점차 발전하는 금속공예이다. 처음에는 금은귀금속 재산을 편리하게 휴대하 고 보존할 수 있도록, 한족 문화의 영향으로 한족 귀금속 공예에 대한 이해와 파악, 점 차 완성되어 민족을 형성하는 이색 공예. 요족은 공예는 가장 전통적인 금형 주조 성형 금속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 모델은 금형의 세밀한 정도에 대한 높은 요구사항을 가지 고 있으며, 금형의 좋고 나쁨은 은 조각의 최종 성형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1) 정웨이, 위쇼스(鄭威, 余秀忠), 『광서(廣西)하주 요족 의복과 공예 및 문화 변천』, 광서 사회학과, 2007,p.22. 2) http://www.gov.cn/2019.5.20.요족민족의역사와 발전에 관한설명, 2019.05.20.
28
Vol.2 No.1 February 2020
은금속공예가 복잡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법 숙련도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요족 의 새로운 세대의 젊은이들은 모두 이런 공예에 흥미가 많지 않다. 이것은 요족 전통 민간 공예의 전승 위기의 한 측면이기도 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현대 과학 기술의 진 보와 발전은, 귀금속 장신구는 공예 적으로 매우 향상되었다. 더욱 빠르고 정교하게 제 작되었으며, 이것은 또한 전통적인 민간 공예를 전승하는데 있어서 큰 충격을 주었다. [그림 1-2]
[그림 1] 요족 부족 분파, 작가는 광서 박물관에서 촬영하였다.2019.3.20.
[그림 2] 요족 장신 구, 작가는 광서 박물관에서 촬영하였다.2019.3.20
3. 자수공예 (刺綉工艺)
하주 요족 자수 특징: 자수는 붉은 색, 흰 색, 노랑, 초록, 오렌지 등으로 구도가 비교 적 단순하거나 별도의 패턴을 사용하거나 또는 한두 개의 패턴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구도를 조합한 것이다. 수를 놓는 아가씨들은 대부분이 착침(错针)과 접침(叠针)방식으 로 여러 가지 옷을 수놓은 경우가 많으며 이 면수, 그물수 등의 방식으로 수를 놓는 것 도 가능하다. 많은 패턴 심지어 밑그림을 그리지 않고도 천이나 경위에 따라 수를 놓을 수 있는데, 주로 옷감의 경위선에 따라 실이나 융선 혹은 사선 아래의 바늘을 골라서 먼저 도안의 윤곽을 뽑아낸다. 현재, 꽃을 고르는 도안은 대부분 산천하류(山川河流), 화초수목(花草树木), 어충조수(鱼虫鸟兽) 등 이다3). 도화공예는 주로 옷이 파손되기 쉬 운 소매나 네크라인 등을 장식하여 심미성과 실용성을 겸비하고 있다. 자수무늬 특징: 복을 빌며 길한 것을 희망하는 요족의 옷에 나타나는 문양은 전통적인 문화 기호로서 의 한 형태이고, 민족의 오랜 역사와 강한 정신의 상징이며, 요족의 복식미의 한 형태 이다. 패턴의 종류: 동물 패턴은 물고기, 새, 꿩, 나비, 봉황 등을 포함하여 요족 사람들이 사 냥과 고기잡이를 즐기는 생활을 나타낸다. 식물 패턴은 연꽃, 부추 꽃, 측백나무 꽃, 오 동화 등 요족의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다. 사람 무늬로 요족 조상, 신령의 상징하였다. 요족 여자 나타난 물결무늬는 태양을 상징한다. 태양은 요족 신앙에서 중
3) 황거(黄戈) 『하주 요족 복식문양 여행 상품 디자인 개발에서의 응용』. 길림방송통신대학교학회지. 2017, p.62
2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물결무늬와 삼 각부는 붉은, 노랑, 푸른 삼색으로 수를 놓아 산 수山水를 표현하였다. 이는 요족이 자연을 숭상하는 감정을 표현하였다4). 요족 복장에 나타난 도안은 대부분 기복(祈福), 추길(趋吉)귀로, 피흉(避凶)이 위주로 되어 있어 자연 과 생명에 대한 애정, 확고하고 낙천적인 민족적 신념의 통일적인 구현이다5). 색채특징 : 요족 의류는 빨강, 노랑, 오렌지색을 주된 색조로 하고 녹색, 파랑, 흰색으 로 배합한다. 색의 주된 순서가 특히 뚜렷하고, 아름답고 화사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낸 다. 젊은 층의 옷차림은 화려하고, 중년층은 따뜻한 색깔을 선호하고, 노인들은 수수하 고 온화해 보이기 위해 대부분 빨강, 파랑, 하얀, 초록 등 차가운 색조를 쓴다. [그림 3]
[그림 3] 요족 자수 패턴, 하주박물관애서 촬영, 2019.01,17.
4. 요족의
하주 요족의 복식은 매우 다양하다. 요족은 남성 상의에 벨트를 매는 등 다양한 스타일 이 있다. 바지는 긴바 지 짧은 바지, 발끝까지 오는 것도 있고, 무릎까지 오는 것도 있
전통의복과
다. 색상은 검은색으로 주를 이룬다. 요족 여성상의는 길이가 다양하다. 치마 아래는
장신구의
치마와 바지로 구분되어 있다. 전통 요족 복식은 아직도 일정한 시장 수요가 있다. 현
활용 현황
지의 일부 민간 소작방의 요족 자수 문양의 디자인 제품이 거리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제품 유사하고 도안이 억지스럽고, 디자인이 지역적 문화 특색이 부족하고 그 지역의 문화와 현지 문화와 어울리지 않아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낮은 실정이다. 아래 사진은 저자가 하주 현지연구소에서 촬영한 요족 자수 문양을 위주로 한 디자인 제품 이다. [그림 4]
[그림 4] 요족 수제품, 저자가 하주에서 촬영, 2019.2.20.
4) 위스제(玉時階), 『요족 전통 복장 및 장신구의 계승과 발전』, 광서민족대학교 학보, 2008. p.98 5) 장제(張潔), 『요족 의복 및 장신구 문양의 현대 의류 디자인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및 연구』 동화대학교, 2004. p.46
30
Vol.2 No.1 February 2020
5. 요족
족의 전통적인 스타일의 발전 잠재력은 저자가 설문조사 형식으로 분석한 것이다. Davis가 1989년에 제안한 기술 수용 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은
전통 양식의
현재 정보 기술 채택 연구 분야에서 가장 우수한 이론 중 하나 로, 이 모델은 사용자가
발전 가능성
신기술을 수용하는 것을 해석하고 예측하는 데 유효하다는 것이 많은 연구로 입증되었 다. Rogers가 1995년에 제출한 창의적 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IDT) 과 IDT모델은 쇼핑 참여 의사 연구 분야에 여러 번 사용되었다.TAM 과 IDT 은 서로 검증하고 보완하는 모델로 많은 국내외 소비자 제품 쇼핑 참여 의사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TAM과 IDT의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는 대표적이다.6) 요족 자수 제품 을 테마로 한 소비자 참여의지와 사용을 위한 데이터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 고 18세 이상의 재학 중인 대학생과 각 업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16일부 터 1주일 동안 설문지 200장을 배포하여 146장의 유효 데이터를 회수하였다. 이는 이 번 요족 자수문양의 창의적인 복식 디자인 실천을 위한 참고 근거로 되었다. 다음은 변 수의 측정 및 참조 출처이다.
[그림 5] 저자가 설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한 분석도, 허저우, 2019,05,30, [표 3] 저자가 설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한 분석도,허저우, 2019,05,30,
6) 주배정(周蓓婧), 『 TAM과 IDT를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 참여와 의사에 관한 연구』, 관리 학자 학술판, 베이징, p6-10.
3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소결: 쇼핑 태도가 사용의사에 현저히 영향을 미친다. 사용의도 및 즐거움감지, 혁신감 지, 주파수감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계한 결과 요족 문양의 화려한 색상의 기하학적인 자수가 있는 복식을 원한다가 78%에 달한다. 이는 이번 요족 복식디자인에 대한 의사 결정과 디자인 과정에 가장 튼 영향을 미쳤다. 또한 후속 전체 요족 자수 문양 디자인 에 참고를 제공할 것이.
6. 요족
앞에서 서술한 선행 연구와 실제 조사, 인터뷰,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해 가격이 적당하 고 요족 전통 자수가 들어 있는 개량 의류와 액세서리는 소비자가 가장 원하는 제품 2
전통의상을
개를 포함하며, 또한 기하학 패턴이 가장 사랑받는 아이템이다. 붉은색, 녹색, 노란색,
활용한 자수
검은색, 흰색은 요족 전통 의상들의 주색이다. 영지는 건강을 대표하고, 새는 자유를
디자인 개발
의미하고, 진주는 순결을 뜻하고, 원구는 행복하고 원만함을 의미하고, 꽃은 사랑을 의 미하고, 전기 조사 연구를 통해 요족 자수 기하학 패턴에서 모티브를 추출하고 재설계 하여 6점의 장신구를 디자인하였으며, 장신구는 반지, 브로치, 펜던트, 의류 라인 6점 의 여성 의류를 포함한다. 장신구 재료는 백은이다, 새로 디자인된 기하학적인 도형은 요족 십자수 공예가 주를 이룬다. 다음은 디자인 과정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형태 의 변형과 색 구성을 시도하였다. [그림 6-17]
[그림 6] 요족 액세서리 디자인: 요족 전통 문양과 흑황새를(黑鹳) 영감으로 한 반지디자인, 기하 학적인 무늬의 자수 디자인, 날아가는 새를 뜻하는 깃털.
[그림 7] 패턴 디자인에는 요족 자수와 요족 지역의 나는 새의 움직임이 통합하였다, 자수의 색채와 공예는 장식성이 뛰어나 새의 형상이 더욱 돋보인다.
32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8] 요족 피어싱 디자인에는 영지의 형태와 요족 자수가 조화되어 있으며, 불규칙한 기하학적 무늬가 자수공예 통해 현란한 색채를 표현한다.
[그림 9] 패턴 디자인에는 자수 볼의 형태와 요족 자수 패턴이 조화를 이루어 기하학적 무늬라고 불리는 자수 패턴의 색상이 조화를 이룬다.
[그림 10] 브로치의 디자인은 요족 자수 패턴과 식물의 작은 붉은 열매의 형태를 융합하여 식물의 결 특징을 표현한다.
[그림 11] 브로치 디자인에는 요족 자수 패턴과 진주조개 시뮬레이션 형태가 통합되어 진주를 중심으로 방사된 자수패턴이 진주를 더 빛을 발하게 한다.
3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12] 컬러는 요족 의상 컬러로 레드, 옐로우, 그린, 화이트, 블랙 컬러로 네크라인과 소매에 기하학적 디자인되어 벨트 디자인이 여성의 몸매 비율을 부각시킨다.
[그림 13] 카 라는 언밸런스 디자인으로 네크라인 하단에는 기하학 자수 패턴을 적용한 블랙 타이트한 원피스이다.
[그림 14] 원피스는 칼라와 허리 부분에 기하학적인 패턴을 넣어 어깨 가슴 디자인 투명 사,
[그림 15] 피스는 A라인으로 칼라와 허리와 밑단에 기하학적인 패턴을, 소매는 투명 원단을, 치맛자락은 투명 원단과 투명하지 않은 원단을 포함시켜 여성의 가벼운 보디라인과 섹시함을 부각하였다.
34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16] 케이프 디자인과 원피스 디자인으로 어깨 부분에 기하학적 자수 패턴을, 원피스는 허리 부분에 패턴을, 치맛자락에는 투명 사 디자인을 매치해 여성스럽고 우아함을 강조하였다.
[그림 17] 숄 디자인에 원피스 디자인, 어깨 부분에 기하 자수 패턴, 허리와 치맛자락에 기하 무늬를 넣었다.
7. 결론
첫째, 시장조사를 통해 하주요족의 자수 패턴이 정교하고 아름다우며, 구도가 치밀하고 알 차 며 특색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주 요족 자수 도안은 생활에서 유래되어 자연을 미로 하는 심미적 취향으로 생활에서 발전되었다. 하주 요족 자수 도안은 주로 기하학적인 형상과 상징 문양이 많은 것으로 요족 사람들의 아름다운 신화 전설과 토 템을 담고 있다. 생활에서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더 아름다운 것을 무형 문화적 형태인 예술적 매개체로 세상에 보여주었다. 이는 디자이너들에게 무한한 디자인 공간을 주고 국제 디자인 분야에 요족 문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둘째, 하주 요족 자수는 주로 빨강, 노랑, 하양, 초록, 흑 다섯 가지 색으로 오색찬란한 실크라인은 요족 사람들의 생활 역정에 대한 묘사와 표현이다. 본 현대의류디자인에서 는 하주 요족 자수의 정체성 이해를 기반으로 색상 특성을 살려 컬러를 활용하여 색채 면적 조화를 이루어 전통적인 색채 구조해석을 시도하였다. 현대의류 디자인을 통해 지 역적인 특색과 문화적 가치를 지닌 전파 매개체가 되었다. 셋째, 현지답사를 통해 기존의 하주 요족 자수의류제품에서 기계적으로 모방한 패턴을 발견하였다. 전통 자수 패턴이 현대의류에 기계적으로 모방하여 적용되면 의류제품의 미적 감각이 부족하여 소비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느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대의류는 재미와 독특함을 갖춰야 함을 알게 되어 이번 디자인은 전통 요족 자 수 패턴과 하주 토종 동식물 문양을 혁신적으로 디자인하고 현대적인 의상 디자인에 접목해 현대적인 의상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다.
3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황거(黄戈) 『하주 요족 복식문양 여행 상품 디자인 개발에서의 응용』. 길림방송통신대 학교학 2017. 정웨이위쇼스(鄭威, 余秀忠), 『광서 하주 요족 의복과 공예 및 문화 변천』, 광서사회학 과, 2007. 위스제(玉時階),『요족 전통 복장 및 장신구의 계승과 발전』, 광서민족대학교 학보, 2008. 장제(張潔), 『요족 의복 및 장신구 문양의 현대 의류 디자인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및 연 구』 동화대학교,2004. 주배정(周蓓婧), 『 TA, M과 IDT를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 참여와 의사에 관한 연구』, 관리 학자학 술판, 2004. 이정귀(李廷貴), 『먀오족 역사』, 민족 출판사: 구이저우(贵州)1996, 판화(範曄), 『후한서, 남만 서남 의 열전』,중국 서남부 소수 민족의 생활,2002 (남송) 저우취페이(周去非), 『영외대답<嶺外代答>은』, 송 대 영남지역(현재 광둥(广东)/ 광서) 의사회경제, 1998. 수핀(淑聘), 궁페이(龔佩華) 『문화인류학 이론방법 연구』, 광둥 고등 교육 출 판사,2006 Davis F D.『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Sydney:1989. http://www.gov.cn/xinwen/
36
Vol.2 No.1 February 2020
장족(壯族)의상의 현대화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Fashion Design of Zhuang Nationality
리 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양성원(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 Zhuo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장족, 민족의상, 의상디자인의 현대화, 혁신, 계승 Keyword
Yang, Seong Won(Corresponding author)_
The Zhuang nationality, Ethnic doubles,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modernization of costume design, innovation, successio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장족(壯族)의상의 현대화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1. 서론
광서 장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지역 내에는 12개의 대대로 거주하고 있는 소수 민족이 있으며, 그 중 장족 인구는 약 1700만 명으로 광서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소수 민족이다. 그 중 장족의상은 지리적 환경, 풍속, 종교, 생산방식과 생활습관 속에서 뚜 렷한 색채, 정교한 공예, 독특한 스타일로 자체의 독특한 의상문화와 미학이 형성되어 오랜 시간 동안 보존되어 왔다. 시대 발전에 따른 생활 방식의 변화와 국제화 시대의 의상디자인의 국제화의 역할이 커지면서 사람들이 의상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졌다. 현 대 의상에서 어떻게 장족의 전통의상의 민족적 특징을 보존하면서 현대생활 수요에 부 응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본 논문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은 장족의 의상의 스타일 특성을 기술하고 민족 전통문양을 도출하여 현대 의 상디자인에 적용하여 장족의상을 기성복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장 족의상에 관한 논문과 문헌을 수집하여 장족의상 문화의 역사를 분석한다. 둘째, 장족 의상 사례분석을 통해 장족의상의 디자인 스타일, 문양디자인, 색상 적용, 의상 소재 등 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장족의상의 문양을 도출하여 현대 의상디자인에 필요한 디 자인 원리를 적용하여 현대 의상디자인에 장족의상 문양을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 능성을 모색하며 장족의상 문양을 활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과정을 기록한다.
2. 장족의류의 고찰
2.1. 장족의류의 역사 장족은 중국에서 56개 민족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소수민족으로 발전 역사가 오래되었다. 광서 장족은 인구 분포가 매우 넓어서 주로 계시(桂西)의 좌우강과 홍수하(紅水河) 유역에 모여 살고 있다. 즉 백색(百色), 하지(河池), 남녕(南寧), 유주(柳州) 등 4개 지역에 모여 살고 있다. 장족의 선민들은 일찍이 이 오래 된 땅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아왔다.1) 그들은 자신의 지혜와 힘으로 자신의 빛나는 문화를
[그림 1] 광서지역 장족분포도
창조하고, 위대한 중화민족을 구성하는 빛나 는 역사에 중요한 공헌을 한다. 장족은 다른 민족과 마찬가지로 역사의 발전과 처한 자 연환경의 영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본 민족을 형성하면서 자기 민족적 풍속 문화가 특 색을 지닌 의상에도 형상화되어 있다.2) [그림 1]
1) 광서민족박물관, 『장족』, 세주민족(世居民族), 2009.04 2) 석경빈(石景斌), 『장족 의상 소개』, 중남민족학원 학보(철학사회과학판), 1990, p.26.
38
Vol.2 No.1 February 2020
2.2. 장족의류의 특징 장족의 의상은 장족의 심미적 취향의 표현으로, 장족의 문화 발전의 산물이다. 장족의 인들의 독특한 심미 예술을 반영하였다. 장족의 의상은 색채, 조형, 도안 등 측면에서 장족인의 강렬한 민족 심미적 감정을 보여준다. 그리고 주변의 다른 형제 소수민족과의 교류와 교화 중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발전 시기에 형성된 전 통의상이다. 역사와 지리, 교통 등 다방면에 걸친 요인 때문에 현지의 장족의상은 대다 수가 고대 전통의상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지금의 전통의상은 그 지역의 장족들이 대대로 발전하고 번성하는 과정에서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다.
2.2.1. 장족의류의 스타일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장족의 남성복은 여성복에 비해 스타일이 훨씬 단순하고 지 역적인 차이가 크지 않다. 장족 남성은 카라가 없는 상의를 입고, 일부는 옷자락 가장 자리에 레이스를 장식하고, 아래는 와이드 팬츠, 허리 스트랩을 착용한다. 상의는 가디 건, 미디움 블라우스, 오른쪽 여밈 블라우스, 가디건, 마고시, 가운 등으로 나눈다. 바 지는 통바지, 반바지, 각반, 근대식 서양식 바지 등으로 이루어진다.3) 장족의 여인은 몸에는 남색, 소박한 차림, 상의는 짧은 옷, 하의는 와이드 팬츠, 상의의 옷자락, 밑단, 소매 등에 얇은 오색 테두리를 두르는 것을 좋아하며 각자의 솜씨와 심미적인 정취를 표현하다. 짧은 바지는 가볍고 허리에는 세련된 앞치마를 매고 있다. 노동할 때는 짚신 을 신고, 명절에는 자수 신발을 신는다. 특히 장족 아가씨의 순박함이 돋보인다. 그러 나 광서만의 독특한 지역과 다민족의 즐기는 특성으로 인해 장족의 여복은 형성과정에 서 다문화의 영향으로 통일성을 답습하기 하고 다양성도 형성하며, 디자인 형태가 풍부 하며, 세절에 따라 다른 지역적인 스타일과 멋이 배어있다.4)[그림 2], [그림 3]
[그림 2] 장족 여장
[그림 3] 장족 남성복
3) 왕신싱(王莘荇), 『장족의류 문양 및 현대 의류디자인에서의 응용』, 예술 탐구, 2011. 08, p.120. 4) 탕인(唐吟), 웨이샤오쥐안(韦晓娟), 『광서장족 ‘복’과 ‘장식’ 문화 심미 탐미』, 큰 무대, 2013, p.249.
3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2.2. 장족의류의 문양 및 색채 장족의 장금(壯錦)은 매우 유명한 자수로 의류에 있는 도안은 율동적인 무늬가 매우 특 색이 있어 장금의 개성미를 대표할 수 있다.장족 사람들은 자신의 심미에 따라 구체적 인 것을 추상화하고, 자연의 모든 아름다운 것들을 무늬로 장식하는 방식으로 의상에 입혔다. 크게 두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자연물 및 자연력 관련의 도안, 둘째는 식물, 동물류 및 이들을 근거로 나온 도안이다. 자연물 및 자연력에서의 도안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가 포함된다. 첫째는 일(日), 월 (月), 성진(星辰), 하천(河川), 산천(山川), 괴석(怪石), 용동(溶洞) 등 자연계에 옛날부터 존재했던 것들, 둘째는 바람(風), 비(雨), 뇌(雷), 전(電)기 등의 자연현상이다. 식물, 동 물류 및 이들을 근거로 형성된 도안은 원시사회의 토템에서 유래한 것이 많다.
5)장족
문화에서 태양과 새에 대한 인간의 인식은 모두 자연에서 비롯된다. 태양은 자연에서 자신의 윤회현상으로 해가 뜨면 농사하러 가고 해가 지면 돌아오는 것을 사람에게 알 려주는 것이다. 태양이 만물에 생장을 가져 주어 태양에 대한 숭배를 만들었다. 새들은 하늘을 날고, 낙‘雒’은 ‘새’로 불리며, 장족 선인들은 새를 숭배한다. 그래서 태양 문양 과 새 문양은 원시선인의 태양과 새 숭배의 조형적인 형식이 되었다. 백월(百越)과 그 후손들의 암화와 출토된 구리테 소고 문양에서 태양 형태의 둥근 모양, 빛 모양 기호는 새의 형상과 융합되어 수천 년 동안의 전승과 발전하여 종교 신앙, 생산생활과 민족예 술 속으로 스며들었다. 백월(百越)과 그의 후예 태양은 새 숭배의 문화적 현상을 보여준 다.6)[그림 4]
[그림 4] 장족 의상 문양
2.2.3. 장족의류의 소재 장족 여성들은 면을 짜는 습관이 있는데, 방적하기, 베를 짜기, 염색하기 등이 가정 수 공업으로 되었다. 자작한 면사로 짜는 천을 베틀라고 한다. 도톰하고 마모에 견디고, 빛깔과 광택은 파랑색, 검은색 또는 갈색을 위주로 한다. 장족 민간 전통 날염방법은 주로 평염(平染)7), 납염(蜡染)8), 교염(扎染)9)염이다. 자수 공예는 주로 평수(平绣)10),
5) 류훙샤오, 『장족의류의 정교한 도안』, 아트 테크놀로지, 2013, p.31. 6) 리동, 『장족 선인의 태양과 새 숭배를 도모하다』, 문산학원 학보, 2016.01, p.20. 7) 평염(平染), 각각 염색하기 전에, 앞면에 바탕색을 평평하게 깔다. 8) 납염(蜡染), 꽃무늬 천을 염색하는 공법으로, 녹인 황랍으로 흰 천에 도안을 그려, 염색한 후, 밀랍을 삶아낸다. 9) 교염(扎染), 천을 염색하는 공법으로 염색하기 전에 실밥으로 직물을 필요한 꽃 모양대로 묶으면 염색 후에 특정한 무늬가 만들어지며 단색 또는 다색으로 구분된다. 10) 평수(平绣), 평수는 중국 수종 중의 하나이다
40
Vol.2 No.1 February 2020
십자수(挑花)11), 타자기법(打籽技法)12), 아플리케(贴布)13) 등으로 이루어진다. 장금이 비교적 두껍고 유명한 공예품이며, 전통의 장금은 면과 마의 실로 지경을 만들고, 지위 와 평문을 교차한다. 굵은 진사로 채위를 만들어 앞뒷면에 대칭 무늬를 만든다. 색채 대비가 강하고 문양은 마름모꼴 기하학적 무늬가 많으며 구성이 치밀하고 변화가 풍부 하여 화려한 예술 풍격을 지니고 있다.[그림 5]
[그림 5] 장족 여성이 천을 짜는 모습 (장금 제작 과정)
3. 장족의류의 디자인 전개
3.1. 디자인 주제 이번 장족 문양 디자인 시리즈의 명칭은 ‘왕금’(往今)으로, 이강 유역의 장족의 의상에 서 전승되는 것을 가리킨다. “장족의 민족적 문양과 현대적인 패션 스타일의 결합”을 주요한 디자인 컨셉으로 하고 있다. 22-35세의 젊은 여성들이 주축이 되고, 그리고 광 서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조사를 거쳐 디자인 중심은 장족의 문양 디자인을 응용이다. 장족의 의상 특징에 따라 의상 색상은 주로 파란색을 주색으로 하고 흰색 회색 등 다른 색상을 보색으로 선택했다. 장금의 문양과 새의 문양을 응용하여 디자인 하였다. 이 디 자인은 광서 소수민족 지역에서 소수민족 의류의 현대화를 추진하였다. 평소 생활에서 장족 스타일을 갖춘 현대식 옷차림을 할 수 있는 장족의 욕구를 해결한 것이다.
3.2. 개발과정 위의 장족 소수민족 의상 분석과 조사를 통해 장족의 의상에 태양문양과 새의 문양을 즐겨 사용하던 관례에 따라 그 중 장금문양 속의 태양문양 하나와 기하 새 문양 하나를 응용했다. 선별된 문양을 옷깃, 밑단, 소맷부리 등에 첨가하고 두 가지 주요 아이템 뒤 에 새 무늬를 사용해 의상 사용 장소에 따라 기능을 구분했다. [그림 6]
11) 십자수(挑花), 꽃 고르기, 사 뽑기의 일종, 자수의 일종인 침술, 중국 민간의 전통 수공예를 뜻하기도 합니다. 12) 타자기법(打籽技法), 수시침이 뒷면에서 앞면으로 찌르면, 바늘 끝을 실밥 밑 발에 두 번 감아서 알처럼 작은 동그 라미로 감아서 한 바늘을 수놓아 ‘씨’를 형성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3) 아플리케(贴布), 천 붙이기라고도 하며, 다른 천을 잘라서 옷에 꿰매는 자수 형식이다.
4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6] 전통 장금문양 중에 기하학 도형
장족의상 문양에서는 기존의 장금문양을 현대적인 그래픽으로 구성한 디자인 기법을 추출하여 요약하고, 해석 및 변환하고, 해체하고, 재구축하여 장족 문양에 대한 기하학 적인 재디자인을 한다. 먼저, 문양의 원형 중에서 가장 전형적인 의미를 지닌 태양 문 양과 덩굴 문양을 간결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과장, 강화, 수식 및 재구성을 한다. 다음 으로, 원형을 해체하고 국소 선택하여 태양문양과 덩굴문양에 대한 국부적 문양을 잡아 서 확장, 변이, 변환을 한다. 마지막으로, 원형을 전체적으로 분해한 후 재결합하고, 원 형의 조직구조 형식을 타파하고 변이와 정렬하며, 원형미의 부분과 가장 특징적인 각도 를 유지하면서 원형을 잘라내고 재구성한다. 문양에 대한 재설계와 함께 장족의 기하학 적 문양 양쪽의 연속적인 구도방식을 보존하고, 전기는 대표적인 중국 전통 색채를 가 미하고, 후기는 현대적 감각이 강한 색채를 점차 융합하여 장족 문양의 다른 색깔 대비 응용연구를 통해 장족의 전통 문양이 현대 디자인에서 갖는 접점을 찾는다.[그림 7]
[그림 7] 태양 무늬의 디자인과 색채
이번 디자인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디자인에 있어서는 먼저 옷을 사용하 여 비율을 늘리고 전통적인 장족의 패션디자인을 랄파하고 모자, 앞 여밈, 바짓가랑이 등 위치를 많이 사용하는 언밸런스 디자인이다. 망토와 어깨가 넓은 의상을 대비시키는 방식으로 라인을 크게 만든 뒤 바지와 치마를 날씬하게 줄이고 상의는 허리를 접어 몸 에 밀착시켜 여성의 몸매를 돋보이게 했다. 다음으로 색의 응용이다. 블루, 네이비, 그 레이, 화이트 등의 컬러를 조합해 디자인하고 레드, 옐로우 컬러를 포인트로 하여 민족 적인 선염시킴으로써 기성복 디자인을 더욱 장족의 특징이 있게 만들었다.[표 1~6]
42
Vol.2 No.1 February 2020
[표 1] <왕금> 제1세트: 하이웨이스트 원피스 의상디자인 과정
[표 2] <왕금> 제2세트: 타이트한 상의와 반바지, 높은 어깨 망토 의상디자인 과정
[표 3] <왕금> 제3세트: 언밸런스 여장 의상디자인 과정
[표 4] <왕금> 제4세트: 브이넥 와이드 어깨의 여성 원피스 의상디자인 과정
4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5] <왕금> 제5세트: 민소매 라운드 원피스 의상디자인 과정
[표 6] <왕금> 제6세트: 캐주얼 긴팔 원피스 의상디자인 과정
3.3. 디자인 완성 및 설명 장족의류의 현대화 응용 디자인에 사용된 ‘장금’(壯錦)은 중국 전통 니트와 자수 수법 중 하나로 전승과 보호, 발전이 필요하다. 장족 문화는 중국 문화 상징의 기호 중 하나 이다. 현대 의상디자인은 발전 과정에서 장족의상 문양을 현대의류에 적용하고 현대의 미적인 시야에서 도안된 문양을 추출하는 더욱 시대적이고 현대적인 디자인의 소재와 영감의 원천을 제공함으로써 현대 패션을 더욱 독특하게 만들었다. 현대 예술 구현의 다양화, 개성화, 자연으로의 회귀를 추구하는 디자인, 이인위본(以人为本)의 디자인 개 념, 형식을 갖춘 정신문화 문양으로부터 계승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4. 결론
장족의상의 역사고찰과 전통의상의 특징분석을 통한 전통 문양 분석을 바탕으로 현대 의상디자인으로의 디자인 전개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현대 심미적 관점에서 볼 때,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장족의 의류 문양의 적용은 전통 민 족 문화의 확산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활성화하고 전통 장족의 의류 혁신의 새로운 발전 방법이다. 현대 심미학에 의해 추출된 문양을 현대의 기성복을 매개체로 삼아 전 통 장족의상문화를 패션이 되게 하여 장족의 현대적인 의상을 입는 것이 가능해 지고 현대 시장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다. 이것은 장족 의상 문화의 전승과 혁신에 효과적인 자극을 주며 점점 더 세계화된 의류에 대한 문화적 소양을 향상시킨다.
44
Vol.2 No.1 February 2020
장족의류 문양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장족 민족 전통의상에서 추출된 문양 중에서 장금 문양 속의 태양문양, 지오메트리 깃털 무늬를 선택하여 문양의 분해를 통해 원초적인 형태의 미적 감각을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 문양을 가미하여 현대적인 패션 스타 일과 현대적인 디자인 색채를 적용하여 이번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문양을 분해하고 재 구축함으로써 형태 본연의 미적 감각도 보존하고 현대적인 디자인 문양을 가미해 현대 적인 디자인을 시도하여 전통 장족의상의 경직된 시각적 이미지에서 인체 비율을 끌어 올려 여성의 몸매를 돋보이게 하였다. 현대 의상디자인에서 장족의 의상 문양의 적용은 장족의 의류 문양의 발굴과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현대의 미적 문양과 민족적 미감을 완벽하게 융합하여 현대의 의류 디 자인의 혁신을 실현할 수 있다.현대 패션디자인에서 장족의 문양의 특성들이 현대의상 을 디자인하는 과정에 충분히 적용되면 새로운 의상문양으로서 형태적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장족 문화의 정신적 의미에 더 많이 반영될 수 있다. 각 나라와 다양한 민족의 의상디자인에서 많은 차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차별성은 의 상 작품의 생명력이기도 하다. 중국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장족의 정수를 흡 수하여 장족의상 문양을 현대 의상디자인과 융합하여 장족의 의류의 문양을 현대 의상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독특한 의류 문화를 형성하며 우수한 전통문화를 선양하고 민 족성과 지역성을 보존하면서 현대 의상디자인의 국제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광서민족박물관, 『장족』, 세주민족(世居民族). 2009 스경빈(石景斌), 『장족의상소개』, 중남민족학원학보(철학사회과학판), 1990 왕신싱(王莘荇), 『장족의류문양 및 현대 의류디자인에서의 응용』, 예술탐구, 2011 탕인(唐吟), 웨이샤오쥐안(韦晓娟), 『광서장족 ‘복’과 ‘장식’ 문화심미탐미』, 큰무대, 2013 친만린, 『장족의류문양을 현대화한 의복디자인에 통합한 혁신적 응용연구』,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2017 류훙샤오, 『장족의류도안이정교하다』, 아트테크놀로지, 2013 리동, 『장족 선인의 태양과 새숭배를 도모하다』, 문산학원학보, 2016 양한창, 『장족 전통의류문화특질 및 보호와 전승』, 문예연구, 2012 정지오나, 『광서 백색장족의 의상문화에 관한 연구』, 톈진공업대학교, 2017 김석원, 『사진, 미술을 초대하다』, 아트북스:서울, 2007 https://baike.baidu.com/item/壮族/125251?fr=aladdin http://www.amgx.org/news-50.html
4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전통문화요소를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비교분석 - 한국의 민화와 일본의 우끼요에 작품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Product Design using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 Focused on Korean folk paintings and Japanese ukiyo-e works -
김현삼,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안병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Kim, Hyun Sam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Ahn, Byung Jin(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전통문화, 문화상품, 비교분석
Vol.2 No.1 February 2020
전통문화요소를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비교분석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국가경쟁력을 척도하는 기준중의 하나는 그 나라만의 고유 문화 콘텐츠이다. 고 유의 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가 상품으로 재생산되어 수출됨에 따라 경제적 이 익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전파되어 그 파급효과가 국가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경 쟁력이 되어 돌아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미 오래 전부터 저 마다의 역사를 가진 국가들이 자신의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상품개발에 총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오천 년 역사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문화자원을 만들어 왔지만, 근대 화 과정에서 문화를 상품화 하는 노력에는 소홀해 왔다. 전통문화는 바라보고 보존하는 것이지, 상업적으로 활용하여 경제적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예의에 벗어나는 것이고 문 화를 격하시키는 일이라 여겨왔던 것이다. 이것이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기술을 가 지고 있지만, 한국다움이 스며있는 전통문화상품의 부재를 안고 있는 한국의 현재 모습 이다. 선진국들간의 기술평준화가 이루어진 21세기는 고도화된 기술력을 활용하여 다 양한 문화상품의 개발이 필요한 시기이다. 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품개발은 건축물과 역 사적 장소 등의 체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관광상품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용품들 악세사 리, 장소와 스토리를 담은 기념품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의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상품 중 민화의 요소를 소재로 한 일상 생활용품과 문구상 품에 대해 조사하고 디자인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연구내용 및 방법 문화상품의 개념을 파악하고 한국전통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세계적인 문화상 품 디자인을 위해 민화를 소재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의 기초연구의 내용을 정하 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화상품의 개념을 사전, 논문, 전 문서적 및 인터넷검색 등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한국의 민화의 종류와 요소들의 상징적인 의미 에 대해 조사하고, 일본의 우끼요에의 의미와 작품에 대해 조사한다. 셋째 한국의 민화 를 소재로 개발되어진 문화상품에 대해 장단점을 조사하고, 일본의 우끼요에 중 후지산 을 중심으로 개발 유통되어지는 문화상품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의 개발을 위한 전통문화 연구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4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문화상품
2.1. 문화상품의 개념 및 분류 문화상품은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물을 뜻하는 것으 로 그 개념은 매우 포괄적이다.1)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 2조에서는 “문화상품”이란 예술성·창의성·오락성·여가성·대중성(이하 “문화적 요소”라 한다)이 체화(體化)되어 경 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형·무형의 재화(문화콘텐츠, 디지털문화콘텐츠 및 멀티미 디어 문화콘텐츠를 포함한다)와 그 서비스 및 이들의 복합체로 정의한다2). 문화를 상 품, 서비스, 관광, 체험 등의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다양 한 형태를 문화상품으로 보는 것이다. 문화는 여러가지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존재해 왔다. 문화상품의 주제가 되는 문화는 오 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며, 유형.무형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처 럼 광범위한 문화의 범위가 현재의 문화상품에서는 관광기념품과 전통공예품에 한해 한정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문화상품은 각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반영한 것으로, 좋은 문화상품은 지역의 독특한 문화와 세계적인 보편성을 지닌 세련된 디자인을 갖추어야 한다. 문화와 디자인은 세계화 속에서 차별화 할 수 있는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가 장 중요한 요인이다.3) 문화상품화 대상의 기준은 첫째, 그 나라 문화를 대표하고 타국 문화와 뚜렷이 구별되는 대표성과 정체성 을 가져야 한다. 둘째, 의미하는 상징성이 누 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하며 시각적으로 가시화되어야 한다. 셋째, 지구촌에 어느 정도 이미 인지되어 있거나 인기가 있어야 한다. 넷째, 인종과 종교를 초월하여 호감을 주어야 한다.4)
2.2. 한국의 민화 2.2.1. 민화의 정의 민화(民畵)는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을 위해, 또는 민속적인 관 습에 따라 제작된 실용화(實用畵)를 말한다. 민화는 내용과 소재에 있어 서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오랜 역사의 생활형식이 녹아 있어 한국적인 정서와 미를 짙게 띄는 특징이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민화를 우리 민족의 미의식과 정감이 가시적(可視的)으로 표현된 진 정한 의미의 민족화로 보고, 일본인 미술평론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1889∼1961] 가 ‘오오쓰에[大津繪]’라는 일본의 민속적 회화에 붙였던 명칭에서 비롯된 민화를 ‘겨레 그림’으로 바꿔 부르자는 의견도 있다5). 민화는 한국의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예술분 야이며, 사대주의적 관점과 양반계층의 예술 분야와는 다소 다른 의미를 내포한다. 그 리하여 민생들의 더 많은 이야기와 상징성을 내포하는 것이 민화이며, 한국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사료인 것이다.
2.2.2. 민화의 분류 민화는 그림의 소재, 그림의 용도, 그림을 그리는 사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대중성과 상징성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기준으로 민화에 사 용되어지는 소재(주제)에 따라 1. 화훼도, 2. 영모도, 3. 어해도, 4. 문자도, 5. 책가도, 6 십장생도의 6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6).
48
Vol.2 No.1 February 2020
[표 1] 민화의 6가지 분류
2.2.2.1. 화훼도 화훼는 꽃을 사용한 그림이다. 나비와 곤충 들이 그려지는 조충도 역시 꽃과 함께 많이 그리는데 이러한 그림도 크게 화훼도의 범주 안에 포함될 수 있다. 범주를 넓혀보면 민 화에서 가장 많은 작품이다. 2.2.2.2. 영모도 영모도는 동물을 주제로 한 그림이다. 주로 털을 가진 새, 호랑이, 강아지 등을 그린 것 으로, 새의 종류에는 꿩, 봉황, 학, 매, 오리, 닭, 해오라기, 원앙, 제비, 꾀꼬리, 참새 등이 주류를 이룬다. 2.2.2.3. 어해도 어해도는 물고기를 그린 그림이다. 물고기를 중심으로 하되 다양한 상징적 요소가 내포 된다. 물고기는 주로 잉어와 같은 물고기를 그려 넣었다. 잉어는 장수와 길상의 상징이 지만 민간에서는 부호의 상징이다. 민화를 서민의 그림으로 정의할 때 조상들은 어해도 를 통해 부의 소유를 갈망했을 것이다. 2.2.2.4. 문자도 문자도에 주로 사용된 문자는 효(孝).제(悌).충(忠).신(信).예( 禮).의(義).염(廉).치(恥) 여 덟 글자이다. 효(孝)자에는 잉어, 대나무, 죽순, 거문고, 부채, 감귤, 배게 등이 그려지 며 제(悌)자에는 할미새와 산 앵두나무가 그려진다. 충(忠)자에는 용, 잉어, 대합, 새우, 대나무, 거북이 등이 그려지고 신(信)자에는 흰기러기와 청조, 예(禮)자엔 거북이와 살 구 꽃 등이 그려진다. 의(義)자엔 복숭아와 연꽃이, 염(廉)자에는 봉황새나 해 또는 사람 이 그려지고, 치(恥)자에는 설화에서 따온 장면들이 그려진다. 2.2.2.5. 책가도 책가도는 책장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책에 진열된 책의 권 수와 책 제목 모두에서 상징성을 찾아볼 수 있으며‘, 책거리’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책가도를 통하여 문방사우 와 책을 그림으로써 지식에 대한 열망과 욕구를 표현한 것이다. 2.2.2.6. 십장생도 십장생 그림은 해, 구름, 바위, 물, 소나무, 대나무, 학, 사슴, 거북, 불로초 등 불로장생 (不老長生) 한다고 여겨진 열 가지 동식물을 모두 한 화면에 그려 놓은 그림을 말한다.
4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3. 일본의 우끼요에 우끼요에라는 말은 그리 오래전부터 사용했던 것은 아니다. 에도시대 중에서도 덴나(天 和)연간(1681-1684)에 비로소 정착되기 시작한 미술용어 이다. 처음으로 나타난 기록 은 1681년에 간행된 배해서(排諧書)(여러가지 풀)에 기록된 ‘우끼요에(浮世繪)의 아래에 자라난 생각의 풀’이라는 내용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때가 우끼요에의 탄생을 알려준다7). 우끼요에는 우끼에와 우끼요의 합성어이다. 우끼에(浮繪)는 표면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그린 그림으로 서양화의 원근법을 이용한 그림을 말하며, 우끼요(浮世) 는 당시, 덧없는 세상, 속세를 뜻하는 말이다. 이 두 합성어로 이루어진 우끼요에는, 무 상의 현세를 의미하는 모든 사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당시 서민 생활의 풍습을 그린 풍속화를 지칭한다. [표 2] 우끼요에의 대표작가 “카츠시카 호쿠사이”의 후지산 36경 중
3. 문화상품 사례조사
3.1. 한국의 전통을 소재로 한 문화상품 현재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상품은 박물관, 미술관, 공공기관, 문화재단 그리고 다수의 민간 기업과 개인 작가들에 의해 활발히 개발되어 유통되어지고 있다. 박물관과 미술관 은 자체 아트숍을 운영하며, 상품을 제작, 유통하고 있으며, 전국의 기차역사 공항, 터 미널등의 아트숍을 통해 민간기업과 개인 작가들의 상품이 유통되어 지고 있다. 공공기 관의 경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국립 박물관 문화재단과 문화재청 산하의 한국문화 재단 등이 전통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대표적인 공공기관이다. [표 3] 한국 문화상품 현황
50
Vol.2 No.1 February 2020
3.2. 일본의 우끼요에를 소재로 한 문화상품 본 연구에서는 우끼요에를 소재로 한 문화상품에 집중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본의 경 우 여러분야에 걸쳐 다양한 형태의 문화상품이 존재하는데 문구의 경우 특유의 인쇄술 과 다양한 재질의 특징을 활용한 제품들이 활발하게 유통되어지고 있다. 특히 편지지와 의류, 그리고 대표적인 컬렉션 토이 베이브릭의 우끼요에의 도입은 유통 저변에 확장되 어온 문화요소 적용의 단면을 볼 수 있다. [표 4] 일본 문화상품 현황
3.3. 사례조사 결과 본 사례조사를 통해 어느 나라의 문화상품이 우수하다는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아니며, 전수조사가 아닌 문화상품 중 일부를 조사한 것이므로, 완벽한 결과와 비교는 불가능하 다. 다만, 한국 문화상품의 경우 주로 나전칠기등과 같은 전통제작 기법을 활용한 공예 품이나 문양을 활용한 기념품등이 대다수이며, 지나치게 가격이 비싸거나 문양과 형태 만 흉내낸 모조품의 경우 활용성이 떨어져, 소비자가 접근하는데 있어 큰 장애로 작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본의 경우 고가의 상품부터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저관여 상품 전반에 사용되는 디자인의 요소에서 전통문화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4. 결론 및 제언 국가 간의 관광이 일반화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현 재는 어느 때 보다 독창성이 중요한 시기이다.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이 자리잡기 위해 서는 역사와 문화적 특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디자인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는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상품으로 응용되기 전의 한국적인 정체성과 고유성을 지닌 전통문화의 원천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원천자료를 현대적인 감각에 맞도록 재구성하는 디자인적 감각과 기술이 필요하다. 셋 째, 상품의 제작과 포장, 유통의 과정까지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본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전통문화요소가 존재한다. 장소와 건축물과 역 사적 사실 등 유형과 무형의 전통문화연구를 통해 본래의 모습을 그대로 옮기는 단편 적인 복제의 형태를 넘어 전통문화의 요소를 분석하여 긍정적인 변화와 응용할 수 있
5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는 디자인적 연구를 통해 문화가 있는 상품개발이 경쟁력 있는 유통으로 이어지는 선 순환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지원(2013), [메타상품으로서 문화상품], [디자인학 연구] 26권 4호, 한국디자인학회, p277.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제2조 2항 (문화체육관광부(문화산업정책과)) 상품의 문화화를 위한 21세기 전략, 문화관광부, p.44, 1999. 김순규, “한국의 문화이미지; 차원높고 복합적이며 다양해야 한다,” 문화예술, 제204 권, pp.20-27, 1996. [네이버 지식백과] 민화 [民畵] (두산백과) 김형숙, 『민화에 나타난 토속신앙 연구』, 2010,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석사 논문, p5~p6 재인용 백승제, 조선 후기 풍속화와 일본 에도 시대 우끼요에(浮世會) 비교연구, 고려대 교육대 학원,2004,p.9 2)
52
Vol.2 No.1 February 2020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의 형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ype of the Boundary and Transition in Traditional House
도레미,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박부미(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Do, Re M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전통주거, 경계, 전이, 형성, 유형 Keyword
Park, Boo Mee(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traditional house, boundary, transition, formation,
Dongseo University
structure type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의 형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공간은 기본적으로 외부와 내부의 영역을 구분 짓는 것에서 시작되어, 내부 영역의 공 간적, 행위적 구분에 따라 벽, 기둥, 천장 등과 같은 구조요소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공 간이 형성되면서 경계(境界)와 전이(轉移)도 필연적으로 형성되며, 경계와 전이는 공간 의 전체적인 흐름뿐만 아니라 공간-공간, 영역-영역 사이의 위계를 부여하고, 공간과 사용자와의 관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해방 이후 급속한 근대화와 산업화를 거치면서, 근대 공간에서 형성되는 경계와 전이는 공간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 혹은 공간과 사용자와의 관계성은 고려되지 않고 프라이버시를 우선시하는 서양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분할적인 특성으로 형성되어왔다. 근대 공간의 경계와 전이가 기능적, 분할적 특성을 중점으로 형성되었다면, 산업화 이 후의 현대 공간에서는 사용자의 행위와 심리적 체험을 고려하고자 하는 측면으로 형성 되어 왔다. 이는 단순한 구축물의 공간분할을 위한 요소로서가 아니라 공간들의 조화를 통한 체험적인 특성을 가지는 현대 공간에 대한 요구라 할 수 있다. 현대 공간에서 주거공간은 각 시대의 흐름이나 사용자의 생활양식이 공간 내에 잘 나 타난다. 또한 내외부의 경계와 전이를 통해 주거공간 내 거주자의 행위를 반영하며, 사 회적 관계를 형성하거나 표현한다. 이처럼 주거공간은 사회구조의 변화나 외부와의 교 류를 통하여 끊임없이 발전되며1) 기능적 특성뿐만 아니라 체험적 특성이 변화하고 있 다. 따라서 주거공간의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경계와 전이에 관한 개념을 재정립하고 사 용자와의 관계성을 살펴봄으로써 주거공간의 본질적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경계와 전이에 대한 한국 전통 주거공간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는 공간 간의 관계성이 매개(媒介)적, 대립(對立)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한지애, 2012)하거나, 공간 구성이 마 당과 채의 분할, 개구부의 개폐여부로 인한 개방성과 폐쇄성 등을 통해 전통 주거의 경 계공간과 전이공간의 특성이 유기적이고 가변적(김해영, 2008)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경계와 전이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공간 간의 관계성을 재정립하고, 공간구성을 유형화하는 것에서 나아가 주거 공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경계와 전이의 본질적인 의미를 고찰하 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화 이후의 주거공간에서 나타나는 경계와 전이의 변용에 대해 분석하여 현대 주거공간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주거의 경계와 전이가 지니는 개념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 찰과 근세 이후의 전통 주거를 대상으로 한 사례들을 선정하여 경계와 전이의 본질적 인 의미를 구분하고자 한다.
1) Amos Rapport, 『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95, p.33
54
Vol.2 No.1 February 2020
첫째, 공간적 범위는 전통 주거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계와 전이를 바탕 으로 전통 주거의 내부 안에서 실외와 실내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계와 전이에 대해 알 아본다.
[그림 1] 전통주거 내 공간구성
둘째, 시대적 범위로 조선시대 문화재가 가장 많이 현존하는 시기이며, 주거 양식이 정 형화 되어 나타나기 시작한 16세기 후반부터 19세기 후반까지의 상류계층의 사대부가 를 중점으로 한국 전통 주거의 경계와 전이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내용적 범위로 전통 주거의 경계와 전이를 구성하는 요소는 벽이나 개구부 와 같이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물리적 구조와 관찰자의 행태와 같이 비가시적으로 나타 나는 심리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와 전이를 형성하는 물리적 구 조를 바탕으로 전통 주거의 경계와 전이의 유형을 추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선행연구 고찰 한국 전통 공간의 경계와 전이에 관한 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로 살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근본적 의미를 살펴보는 영역으로서의 개념적 측면에 관한 연구이며, 두 번째로 는 공간 구성과 관련되는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표 1] 한국 전통공간 선행연구 연구자
논 문
키워드
한국 전통 공간에서 나타나는 전이공간의 유형 및 특성(서울대, 1998) 조승만
전이공간의 유형을 상징적 의미를 통해 형성되는 전이공간과 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전이공간으로 분류하고, 전이공간의 구조는 문, 다리, 계단과 같이 물리적 구조를 통해 수평적·수직적 전이요소로 나타난다고 분석 전통 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건국대, 2001)
정혜석
전통 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을 양동마을의 반가를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 영역성, 연속성, 위계성으로 분류. 이러한 공간적 특성에 의해 물리적 구조 의 변화, 시선의 차단과 연결 등이 형성
상징적·과정적 전이요소, 수평적·수직적 전이요소
전이현상화, 전이점, 전이차원, 영역성, 위계성, 연속성
5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연구자
논 문 한국 전통 주거공간에 있어서 경계공간의 개념 및 특성(세종대, 2002)
윤현정
전통 주거의 경계를 Boundary가 아닌 Threshold로서 재정립하고, 경계는 공간 간의 관계에서 경계요소와 경계공간으로 나타나며, 경계공간은 전이적 성향보다는 특정기능을 수행하고 공간 간의 관계를 조정하는 기능의 유형으 로 나타난다고 분석
키워드 Threshold, 경계구조, 경계 공간, 공간 간의 관계성, 공간위상도 분석방법
한국 주거 건축 경계구조의 특성과 변용에 관한 연구(홍익대, 2004) 곽경숙
한국 주거 건축 경계구조는 공간 간의 상호교류와 위계성을 가지며, 구조 요 소는 수평·수직의 공간적 요소와 시간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연속과 차단, 이원성, 위계성, 채와 시선의 중첩으로 공간의 깊이감과 연속 성의 특성을 가진다고 분석
반내부, 반외부, 경계구조, 이원성, 위계성, 중첩, 연속성
전이공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홍익대, 2005) 김일석
전이공간의 요소는 물적 요소와 단위 공간적 요소로 구성된 물리적 요소와 전이차원, 전이활동, 전이절점으로 이루어진 심리적 요소로 분류하고, 전이 공간은 물리적 심리적 전이요소의 상호작용으로 장소확장, 과정의 연속, 지 각의 전환, 상호적 침투 기능을 한다고 분석
물리적·심리적 전이요소, 장소확장, 과정연속, 지각전환, 상호침투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내외부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홍익대, 2008) 김해영
공간의 분화, 개방성, 폐쇄성, 내부적 외부, 경계는 경계요소에 의해 인식되는 것이며, 전통 건축의 특성은 공간의 분화, 개방성과 폐쇄성, 내부적 외부 공간, 공간의 위계 등으로 분류하고, 경계 인 매개, 위계, 경계인식요소 식요소로는 바닥, 벽, 천장 외에 기단, 처마, 마루 등이 있다고 분석 전통 건축에 나타난 시지각적 경계특성 연구(성균관대, 2010)
오주원
이중경계구조, 시지각적 작용, 직교구조, 전통 건축의 경계는 직교구조, 평행구조, 수평구조와 같은 이중경계구조를 평행구조, 수평구조, 통해 시지각적으로 공간 간의 연속성과 방향성이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연속성, 방향성 근세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서울대, 2012)
한지애
한중일 전통주거의 경계구조에 관한 선행 연구 비교분석을 토대로 경계의 차이점을 물리적, 심리적 영역의 접점으로 정의. 가시적 경계, 비가시적 경 계의 상호작용과 중첩, 단절 등으로 인한 공간의 깊이감에 대한 연관성을 도출
경계 구조, 가시적·비가시적 경계, 상호 작용
2.2.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 2.2.1. 경계 경계(境界)는 연속적인 자연(自然)에서 영역을 한정 짓는 것으 로부터 시작되어 독립적으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발생된 다. 연속적인 자연, 즉 외부와 한정된 영역인 내부는 경계를 통하여 외부와 내부라는 대립(對立)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다 른 두 공간이 구분되어 있지만 경계가 없는 그 자체로 완성된 공간이라면, 상호 관계가 없는 공간2)이며, 각 독립적인 공간 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경계란 두 개 이상의 대립되는 관계의
[그림 2] 경계의 형성
영역의 접점이라고 할 수 있다.
2) 곽경숙, 「한국주거건축 경계구조의 특성과 변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p.15
56
Vol.2 No.1 February 2020
[표 2] 경계의 구조와 기능 관계
유형
구조
예시
기능
독립
채, 방
∙ 외부 환경의 유입 조절(보호) ∙ 영역(공간)의 형성, 장소성 부여
차단
담, 벽
∙ 영역(공간)의 접근성 형성 ∙ 사적 공간 형성, 프라이버시 보호
2.2.2. 전이 전이(轉移)는 사전적 의미로 위치나 특성의 변화 혹은 물질이 나 사물 따위의 변화를 뜻하는 개념으로 사전적 의미3)를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하나의 형상,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경과, 이동 및 변화 ② 한 단계, 형태, 양식으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다른 단계, 형태, 양식으로의 발전, 움직임
[그림 3] 전이의 형성
③ 한 주제로부터 위급한 절단이 없는 다른 주제로의 통과 ④ 변화, 중간과정, 연결하는 방식, 과도기적인 과정 위와 같은 의미의 전이를 공간적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이란 이동을 전제로 하여 구분된 둘 이상의 영역 사이에서 일어나는 변화과정이며,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는 영역 간의 물질적인 변화와 사용자의 이동, 인식과 같은 심리적 변화가 포함된 것이다. [표 3] 전이의 구조와 기능 관계
유형
구조
예시
기능
병치
마당, 마루
∙ 동선, 공간의 방향성 형성 ∙ 공간의 변화 예측가능
병설
기단, 디딤돌
∙ 공간 간의 위계성 형성 ∙ 관찰자의 심리, 행위 변화
2.2.3. 경계와 전이의 혼합적 형성 앞에서 고찰한 주거 내에서 형성되는 경계와 전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의 제한 혹 은 이동의 연결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경계와 전이가 혼합되어 상호작용을 통해 관찰자 의 이동과 행위의 확장이 발생한다. 경계와 전이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인접한 두 영역 이 필연적이며 이동을 전제로 하였을 때, 경계와 전이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형 성되는 경계와 전이의 유형은 물질적 구조와 심리적 구조가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며 유형과 구조는 다음과 같다. 3) 정혜석, 「전통 주거 공간의 전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p.4
5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또한 이질적 영역의 사이에서 두 영역간의 특성을 수용하여 이질적 영역들의 특성을 완화하는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공간성을 내재하여 형성되는 경계와 전이의 혼합적 형 성은 두 영역의 특성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표 4]경계와 전이의 혼합적 구조와 기능 관계
유형
구조
예시
기능
통과
개구부, 기둥
중첩
마루
∙ 이동, 방향성, 접근성 형성 ∙ 사회적 접촉 수용 조절 가능 ∙ 경계와 전이의 전환점 ∙ 공간 간의 이질적 특성 완화 ∙ 인접한 공간 사이에서의 영역적 경계와 전이 형성
2.3. 소결 [표 5] 경계와 전이의 구조 구분 관계
경계
경계+전이
전이
독립
차단
통과
중첩
병치
병설
채, 방
담, 벽
개구부, 기둥
마당, 마루
마당, 마루
기단, 디딤돌
유형
구조
예시
기능
3. 한국
∙ 외부 환경의 유입 조절(보호) ∙ 영역(공간)의 형성 ∙ 프라이버시 보호
∙ 영역의 접근성 조절 ∙ 이질적 영역 특성 완화 ∙ 사회적 접촉 수용 조절
∙ 영역 간의 연결 ∙ 관찰자의 행위 변화 ∙ 공간-관찰자 간의 관계성 확장
주거는 공간의 기본요소 중 구조적 요소인 바닥, 벽, 천장 등이 자연에서 영역을 한정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여 독립된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형성된
전통주거의
다. 또한 외부와 분리된 내부에서 물리적 구조를 통해 관잘자가 공간 내의 영역의 분리
공간구성
를 인식하거나 체험할 수 있다. [표 6] 공간구성 유형
58
구분
[A] 실외
[B] 반실외
[C] 반실내
[D] 실내
사례
마당
기단, 처마
마루
방/채
Vol.2 No.1 February 2020
3.1. 실외공간 외부와 분리된 내부에서는 자연요소에 노출되고 신을 신고 활동하는 실외 공간과 천정 과 바닥, 벽 등의 구조로 둘러 싸여져 신을 벗고 활동하는 실내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표 7] 실외공간 유형 분류
도식화
특징
예시
∙ 천정이 없는 공간 ∙ 담, 벽에 의해 공간의 한정
[A] 실외
∙ 천정(바닥) 구조 ∙ 신을 신고 활동 ∙ 외부에 노출
[B] 반실외
마당
기단, 처마, 들마루
[표 8] 마당의 종류 분류
정의
행위
사랑마당
수목을 심고 화단을 조성하는 공간
외부-내부의 중간영역, 이동 외부인을 처음 맞는 곳, 공적인 영역
행랑마당
행랑채에 위치한 마당. 외양간, 곳간 등이 포함
생산, 저장, 공적인 영역
안마당
안채에 위치하는 마당
실외에서 실내로의 이동 외부인의 접객, 반공적인 영역
뒷마당
안채 뒤에 위치하며 개방되지 않는 공간 장독대, 우물, 목욕장소, 기도장소 등이 됨
실내에서 외부로의 이동 사적인 영역
3.2. 실내공간 실내 공간은 천정 구조가 있으며 신을 벗 고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쪽마루나 대 청마루와 같이 신을 벗고 활동할 수 있으 며, 천정과 바닥구조가 형성되어 있지만 한 개 이상의 면이 자연요소에 노출되는 반실내 공간과 개구부를 닫으면 완전히 외부와 차단되는 방 혹은 채와 같은 실내 로 나눌 수 있다. [그림 4] 마루의 개념도
5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9] 마루의 종류 분류
4. 조선시대 전통주거 사례 연구
정의
행위
대청마루
실내의 각 채와 방을 연결하는 공간 인접한 채에 따라 안대청과 사랑대청으로 구분
채와 채 사이의 이동 일상생활, 휴식, 외 부인의 맞이 집안의 행사(잔치, 제사 등) 개최
누마루
지면으로부터 높이 띄워 누각처럼 형성된 마루
일상생활, 휴식, 외부인의 맞이
툇마루
툇기둥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마루
채와 채, 마루와 마루 사이의 이동 실외로 이동을 위한 중간 영역
쪽마루
채(방)의 측면이나 뒷면에 덧대어 형성된 마루
실외로 이동을 위한 중간영역 개구부의 개폐로 인한 공간 확장
들마루
이동이 가능하며 마당에 형성된 마루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공간의 특성이 달라짐
곡식 등의 건조 일상생활, 휴식
4.1. 조선시대 주거 명칭과 분류 전통주거 사례는 중요민속문화재 지정조사 보고서(문화재청, 2015)에서 선정하였다. 보고서 내의 전통건축의 명칭이 동일하지 않고 근정전, 충효당 등과 같이 중심건물의 명칭으로 표기되어 있거나 정읍 김동수씨 가옥과 같이 거주자의 이름 혹은 의성김씨 율리 종택과 같이 종가(宗家)로 표기되어 있다. 전통건축의 명칭의 종류는 전(殿), 당 (堂), 합(閤), 헌(軒), 누(樓), 정(亭) 등 다양하나 보고서 내에 주로 나타난 명칭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10] 전통주거의 명칭4) 명칭
정의
전(殿)
사찰과 궁궐 등에서 중심을 이루는 건물
당(堂)
전(殿)보다는 한 등급 격식이 낮은 건물 궁궐, 사찰, 주거의 유형의 영역에서 중심건물
헌(軒)
주거의 성격을 가지는 당(堂)의 형식이나 정자의 성격을 가지는 건물
누(樓)
지면으로 높이 띄워 만든 마루
정(亭)
정자와 같은 유희공간을 일컫는 말
재(齋)
주거 내 부속된 제사나 학문연마를 위한 건물
택(宅)
주거의 성격과 관계없이 주거를 통칭하여 일컫는 말
옥(屋)
모든 유형의 건축물
가(家)
주거를 통칭하는 말
위와 같은 명칭들 중 보고서 내에서는 택과 옥이 가장 많은 표기가 되어있으며, 당과 헌이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보고서 내의 173개의 문화재 중 지붕구조가 초가, 너와 등을 제외한 한식기와 구조인 안채, 사랑채, 부엌 등과 같이 살림을 주목적으로 하는 고택을 범위로 한다.
4)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pp. 438-442
60
Vol.2 No.1 February 2020
4.2. 건립시기 별 분류 조선시대의 시대구분에 있어 15세기 후반 사림파의 등장부터 16세기에서 17세기의 붕 당정치가 실시되는 기간을 조선 중기, 실학의 발달과 정치개혁이 시도된 영·정조이후를 조선 후기로 나누어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는 관점도 제시되고 있다.5) 위와 같은 시대구분을 기준으로 하여 사례 대상지의 건립연대에 따라 조선 전기는 배 제하고, 15세기 후반부터 17세기까지를 조선 중기, 18세기부터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까지를 조선 후기로 하여 사례 분류 기준으로 한다. 또한 대동법이 전국적으로 실시되 어 농민층의 분화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한 18세기 중반을 기준으로 나누어 그 이전과 이후의 사례의 건립연대에 따라 분류하고, 더 많이 현존하고 있는 시대의 사례를 살펴 보고자 한다. [표 11] 조선시대 주거 시기 별 분류 시대
조선 중기~후기 (15C 후반 ~18C 중반)
조선후기 (18C 후반 ~19C 후반)
개수
고택
32
양동 서백당, 예천권씨 초간종택, 양동 낙선당, 경주 김호장군 고택, 영덕 충효당, 합 천 묘산 묵와 고가, 예천 의성김씨 남악 종택, 가평리 계서당, 영덕 영양남씨 난고 종 택, 의성김씨 율리 종택, 구미 쌍암 고택, 해남 윤두서 고택, 홍성 사운 고택, 하리동 일성당, 대구 경주최씨 종택, 청운동 성천댁, 안동 오류헌, 논산 백일헌 종택, 청송 평 산신씨 종택, 논산 명재 고택, 성석헌, 법흥동 고성이씨 종택, 양동 상춘헌 고택, 영천 매산고택, 양동 두곡고택, 양동 수졸당, 고성 어명기 가옥, 장흥 존재고택, 영천 만취 당, 여주 김영구가옥, 영천 전용준씨 가옥
51
경주 교동 최씨고택, 진접 여경구 가옥, 궁집, 영동 김참판 고택, 영주 괴헌고택, 양동 근암고택, 정읍 김동수씨 가옥, 나주 홍기헌가옥, 권성백 고택, 가일 수곡 고택, 거창 동계 종책, 해저 만회고택, 학암 고택, 청도 운강 고택, 안동 송소 종택, 안동 귀봉 종 택, 성준경 가옥, 민칠식 가옥, 화성 정용채 가옥, 하동 고택, 양동 사호당 고택, 일두 고택, 예산 수당 고택, 강릉 선교장, 단양 조자형 가옥, 김기현 가옥, 안동 번남댁, 음 성 공산정 고가, 괴산 청천리 고가, 청원 이항희 가옥, 하회 북촌댁, 제원 박도수 가 옥, 거촌리 쌍벽당, 세종 유계화 가옥, 양주 백수현 가옥, 아산 건재 고택, 청도 임당 리 김씨고택, 중원 윤민걸 가옥, 달성 삼가헌, 봉화만산 고택, 송소 고택, 화순 양동호 가옥, 의성 소우당, 영동 소석고택, 보성 이범재 가옥, 외암리 참판댁, 안동 향성 고택, 영동 성위제가옥, 영광 연안김씨 종택
4.3. 지역 및 구조 별 분류 지역적 범위는 사례 중 소재지를 중심으로 경기, 강원, 충청도 지역을 묶어 중부권, 전남과 전북을 호남권, 경남과 경북, 대구를 묶어 영남권으로 크게 분류하여 각 지역권 사례의 공간구성에 따 른 경계와 전이의 특성을 분석하고, 가장 많이 분포되어있는 지 역을 중점으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전통주거의 평면구조는 홑집과 겹집으로 나눌 수 있으며, 채의 형태에 따라 ㅡ자형, ㄱ 자형, ㅁ자형으로 나뉜다.6) [그림 5] 홑집과 곁집 예
5) 이태진,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1985, p. 6) 이준호, 「현대주거건축에서의 한국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0, p.18
6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13] 지역 및 구조 별 사례 분류 지역
구조
개수
ㄱ
1
영동 규당 고택
ㄷ
1
괴산 청천리 고가
트인ㄷ
2
양주 백수현 가옥, 단양 조자형 가옥
ㅁ
8
강릉 선교장, 화성 정용채가옥, 진접 여경구가옥, 궁집, 세종 유계화가옥, 민칠식가 옥, 성준경가옥, 김기현가옥
트인ㅁ
7
청원 이항희가옥, 제원 박도수가옥, 영동 김참판고택, 음성 공산정고가, 외암리 참 판댁, 아산 건재고택, 예산 수당고택
ㅡ
3
영동 소석 고택, 중원 윤민걸 가옥, 영동 성위제 가옥
ㄷ
3
보성 이범재 가옥, 영광 연안김씨 종택, 정읍 김동수씨 가옥
ㅡ
3
나주 홍기헌 가옥, 보성 문형식 가옥, 화순 양동호 가옥
ㄱ
1
양동 근암 고택
ㅁ
14
경주 교동 최씨고택, 양동 사호당고택, 하회 북촌댁, 달성 삼가헌, 해저 만회고택, 거촌리 쌍벽당, 가일 수곡고택, 하동고택, 권성백 고택, 의성 소우당, 송소고택, 영 주 괴헌고택, 안동 귀봉종택, 봉화 만산고택
트인ㅁ
8
청도 운강고택, 학암고택, 일두고택, 안동 송소종택, 거창 동계종택, 청도 임당리 김씨고택, 안동 번남댁, 안동 향산고택
중부
호남
영남
소 계
사례
51
[그림 6] 사례 분포도
62
Vol.2 No.1 February 2020
4.4. 조선시대 주거의 영남권 사례 영남권의 ㅁ자 구조 사례들 중 채와 마당의 분화를 통해 형성된 공간분할의 비율을 살 펴보고 분석대상에 적합한 사례를 선별하여 영역의 접점과 영역으로써 형성되는 경계 와 전이의 구조를 분석한다. 영남권에 ㅁ자구조로 형성된 고택들의 평면도를 살펴보고 공간분할을 [표 14], [표 15]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14] 사례 별 면적 및 공간분할 분류 구분
고택
면적(㎡)
채
마당
①
경주 교동 최씨고택
6,598
7
②
양동 사호당 고택
1,245
③
하회 북촌댁
④
마루
사당
대청
누마루
5
◎
○
3
3
◎
○
4,136
7
4
◎
달성 삼가헌
47,609
5
4
◎
○
⑤
해저 만회 고택
14,045
4
5
◎
○
⑥
거촌리 쌍벽당
4,141
7
5
◎
○
⑦
가일 수곡 고택
3,921
6
5
◎
○
⑧
하동 고택
1,534
5
5
◎
⑨
권성백 고택
4,988
5
4
◎
⑩
의성 소우당
14,791
5
4
◎
⑪
송소 고택
31,495
8
5
◎
⑫
영주 괴헌 고택
3,459
6
5
◎
○
⑬
안동 귀봉 종택
6,639
5
4
◎
○
⑭
봉화 만산 고택
6,465
5
6
◎
○
○
○
[표 15] 공간 분할 비교
① 경주 교동 최씨 고택 ② 양동 사호당 고택
⑥ 거촌리 쌍벽당
⑦ 가일 수곡 고택
⑪ 송소 고택
⑫ 영주 괴헌 고택
③ 하회 북촌댁
④ 달성 삼가헌
⑤ 해저 만회 고택
⑧ 하동 고택
⑨ 권성백 고택
⑩ 의성 소우당
6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고택들의 면적은 상이하나 채와 마당의 분화로 인한 공간분할의 비율이 비슷한 규모인 고택은 경주 교동 최씨 고택과 하회 북촌댁, 거촌리 쌍벽당, 가일 수곡고택, 송소 고택, 영주 괴헌 고택이다. 그 중 경주 교동 최씨 고택의 공간분할이 더 명확하게 드러나 중 점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림 7] 경주 최씨 고택 평면도
경주 교동 최씨 고택은 1760년대에 건립되었으며, 대문채와, 누마루를 포함한 사랑채, 곳간채, 중문간채, 행랑채, 안채, 사당, 별당채로 구성되어있으나 별당채는 화재로 인해 소실되어 터만 남아있다. 사례를 통해 앞 장에서 고찰한 경계와 전이의 유형과 구조가 공간에 따라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의 특 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림 8] 경주 최씨 고택 단면도
[그림 8]은 경주 최씨 고택을 일부 단면화 하여 경계와 전이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독립적 경계는 사랑채와 안채의 방과 같이 실내의 유형에서 나타났으며, 차단적 경계는 외부와 내부를 구분 짓는 담벼락 혹은 각 채의 개구부를 구성하는 벽에서 나타났다. 통과적인 경계와 전이는 차단적 경계와 함께 형성되기도 하는데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또한 툇마루와 기단 사이에서 나타났다. 중첩적인 경계와 전이는 방과 기단 사이의 마루와 같은 반실내공간 유형으로 볼 수 있다.
64
Vol.2 No.1 February 2020
전이는 대문채, 사랑채, 안채에서 각각 나타났으며, 병치적 전이는 사랑채에서 누마루 나 툇마루로의 이동하기위해 사랑방을 거치는 수평적인 연결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병설적 전이는 각 채에서 마당으로의 이동을 위해 기단을 거치는 수직적인 상하 연결 관계로 나타났다.
5.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첫째, 경계는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채의 구분, 채, 방과 같이 독립 적인 경계와 담, 벽과 같은 차단적인 경계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둘째, 전이 역시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공간 간의 사이를 수평적으로 연결하는 병치적 전이와 공간 간의 사이를 수직적으로 연결하는 병설적 전이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셋째, 경계와 전이의 혼합적인 유형 또한 벽의 개구부의 개폐에 따라 결정되는 통과적 인 경계와 전이와 툇마루와 같은 중첩적인 경계와 전이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중점사례로 살펴본 전통주거의 경계와 전이는 위와 같이 나타났지만 사례의 분석 수가 충분하지 못하고 지역 편향적인 점을 고려하여 향후 중부권과 영남권의 사례를 추가적 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기단과 마루와 같은 반실외공간과 반실내공간의 행위에 따 른 기능적 분석을 바탕으로 전통주거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현대주거에서의 활용방안 을 제안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이태진,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1985 임창복,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돌베개, 2011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답사수첩』, 동녘, 2006 Amos Rappart, 『주거형태와 문화』, 열화당, 1955 곽경숙, 「한국 주거 건축 경계구조의 특성과 변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 박사학위논문, 2004 김상택, 「한국 전통 주거건축 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일대 석사학위논문, 2001 김일석, 「전이공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2005 김해영, 「전통성 개념을 표출한 현대주택의 내외부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2008 오주원, 「전통 건축에 나타난 시지각적 경계특성 연구」,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2010 윤현정, 「한국 전통 주거공간에 있어서 경계공간의 개념 및 특성」, 세종대 석사학위논 문, 2002 이승진, 「한국 전통 주거건축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1 조승만, 「한국 전통 공간에서 나타나는 전이공간의 유형 및 특성」, 서울대 석사학위논 문, 1998 정혜석, 「전통 주거공간의 전이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1 한지애, 「근세이후 한중일 전통주거의 내외부 경계인식 비교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 문, 2012
6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김봉렬, “전통건축 속의 공간적 전이”, 『대한건축학회』, 1993, Vol.37(3) 문화재청, ‘중요민속문화재 지정조사 보고서’, 2015, 문화재청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 보고서’, 문화재청
66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1인 미디어 문화 특징에 기반한 문화형 1인 미디어 디자인 사례 연구 Chinese Cultural Personal-Media design Based on Personal media Culture Characteristics in China
차이창,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이동훈(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ai, Cha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1인 미디어, 지식 비즈니스 모델, 사용자 제작콘텐츠 Keyword
Lee, Dong Hun(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personal media, knowledge, business model,
Dongseo University
user created content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1인 미디어 문화 특징에 기반한 문화형 1인 미디어 디자인 사례 연구 1. 서론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중들은 전대미문의 발언권을 얻게 되었다. 개인을 단위 로 한 미디어 형식이 등장하면서 오랜 동안 지속되어 왔던 수직적 커뮤니케이션 경로 에서 산재형 커뮤니케이션 정보 조직 구조가 형성되었다. 1인 미디어가 계속해서 발전 하기 시작하면서 1인 미디어는 다양한 컨텐츠 유형으로 세분화되기 시작했다. 미디어 컨설팅부터 대중 오락, 지식의 공유부터 생활 서비스까지, 1인 미디어의 발언자는 독특 한 개인적 매력을 발산하며 자신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동시에 자신의 영향력을 확장 하고 있다. 오늘 날과 같은 글로벌화 시대에서 중국의 인터넷 문화는 특수한 발전 추세 와 문화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중국의 전통적 가치 관념, 사회 구조 의 변화 그리고 중국인의 자아 인식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1). 1인 미디어라 는 특수한 미디어 형식 중에서도 최근 특히 문화형 1인 미디어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 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독특한 인터넷 문화적 배경 속에서 주목받고 있는 문화형 1인 미디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다. 수익창출에 큰 성공을 거둔 문화형 1인 미디어의 문화적 특징과 브랜드 비즈니스 전략을 정리하고 분석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2. 중국 1인
인터넷 미디어 기술 표현 수단의 발전과 교체에 따라 중국의 1인 미디어 발전은 문자 시대(1900-2000), 그래픽시대(2001-2008), 리치미디어시대(2009-현재)의 세 가지 변
미디어 발전의
화 단계를 거쳐 왔다. 중국의 주요 1인 미디어 플랫폼으로는 블로그, 웨이보(微博), 위
세 단계
챗, 바이두티에바(百度贴吧), 논단(论坛)2) 등과 같은 인터넷 커뮤니티가 포함된다. 제 42차 <CNNIC>3) 에 따르면, 2018년 6월까지 중국의 네티즌 규모는 8.02억, 인터넷 보급률은 57.7%에 달했다고 한다. 중국의 모바일 네티즌 규모는 7.88억명에 달했으며, 모바일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티즌 비율은 98.3%에 달했다. 온라인 환경이 점차 성숙됨에 따라 중국의 1인 미디어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외에도 1인 미디어 브랜드와 연관된 관련 산업에서 대량의 자본이 유입되기 시작했 으며, 점점 더 많은 투자 회사와 산업 인큐베이터에서 1인 미디어 브랜드에 관심을 가 지게 되었다. 다른 국가보다, 중국은 많은 시청자 수를 가진 1인 미디어 분야에 더 많 은 자본을 투자하길 원하는데 그 이유는 높은 사용자 참여율과 화제성을 통해 안정적 인 투자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의 1인 미디어는 강한 상업화의 의지도 보여주는데, 외부자본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개인의 영향 력을 확대하여, 더 큰 성공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1) 다이위메이(代玉梅2011), 뉴스와 전파 연구,1인 미디어의 미디어학 해독, 제5기 <代玉梅(2011),新聞與傳播研究, 自 媒體的傳播學解讀, 第5期> 2) 문성실(2010), 1인 미디어 상점의 블로그 마케팅 특성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대 학원. 3) Statistical Reports on Internet Development in China(2018), China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CNNIC, 13-17.
68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1] 중국 네티즌 규모 및 인터넷 보급률
3. 중국의 독특한 1인 미디어 경제 결론
[그림 2] 중국 인터넷 접속 사용 기기
3.1. 격렬한 변혁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환경 중국 1인 미디어의 발전 경로와 사회문화적 배경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중국의 인 터넷 문화와 전통 관념 간의 충돌과 융합 그리고 변화는 오늘 날 1인 미디어의 특수한 생태계를 형성해 주었다. 90년대 인터넷이 정식으로 중국에 유입되면서 SINA(新浪), 소후(搜狐), 넷이즈(网易), 알리바바(阿里巴巴)와 같이 비교적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 터넷 브랜드(기업)가 계속해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사람들의 가치 관념에 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개혁 개방 정책의 시행과 사유 경제의 사회 진입, 서양 문화의 유입 등의 영향에 따라 2000년 이후로 중국인들은 점차 자기 자신을 새롭 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자국의 발전에 대해서도 큰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사람들이 시사에 대해 논하고 정치적 토론에 참여하기 시작하는 모습은 60-70년대 중 국 사회의 문화와 극렬하게 대비되는 풍경이다.4) 또한 이 시기에 중국의 사회 형태는 점차 현대 사회의 형태로 전환되기 시작했으며, 경제적 발전의 중요성이 신 중국 역사 상 최초로 정치의 중요성을 초월해, 중국인들이 가장 큰 관심을 갖는 일이 되었다. 경 제의 산업구조 관념이 점차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자유시장 원리에 따른 경제적 이익 추구에 대한 관념이 형성되면서 사람들은 자유시장의 강력한 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산업화의 변혁은 오늘 날 중국인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오늘 날 중국의 정보 산업이 이토록 빠른 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도 이러한 산업화 관념이 사람들의 마음 속 깊이 자리하게 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3.2. 개인화 관념의 부활 90년대부터 미국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서양 문화가 중국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기존 의 가치관과 서양 문화 사이에서 끊임없는 문화적 충돌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충 돌은 중국 사회에 영향을 끼쳤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개인의 권리를 중시하기 시작했 고, 개인의 가치 실현을 중시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5) 젊은 계층에서는 강렬하고 극단적인 방식으로 개개인의 정서와 관점을 표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지배적이었는데, 이에 따라 전통 사회에 반하는 개인적 관점이 억압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문화적 추세 속에서 인터넷이 주는 자유롭고,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언어적 플랫폼은 자연히
4) 장이빙(張義兵2002), 사이버 교육 중 “인간”의 리포지셔닝에 대한 논의. 난징사범대학 학보 사회과학판, 제6기. <侯 張義兵(2002), 論網絡教育中“人”的重新定位, 南京師大學報社會科學版, 第6期> 5) 박설매(2012), 중국의 인터넷 스타현상에 대한 문화적 이해, 숭실대학교.
6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당시 개개인의 관점을 표현하는 주된 경로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인터넷 문화가 사회 문화와 사용자의 가치관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면서 인터넷 환경 속에서 성장한 신 세대는 자신에 대해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중국인들의 새로운 인식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이라는 관념의 강화와 ‘개인’적 관점의 표현이다. 특히 1인 미디어 세계에서는 보통 남들과는 다른 자신의 모 습을 과감하게 보여주어 타인의 관심을 받으려는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이다.
3.3. 사회적 압력과 지식에 대한 불안감 최근 중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계층의 변동성이 약화되고 계층의 고착화가 강화되고 있 다는 주제로 열띤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 중국의 풍부한 노동력에 의한 경제 성장이 더 이상의 효력을 발생하지 못하게 되면서 중국인들의 생존에 대한 압박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평생학습의 개념과 그 중요성을 인정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게 되었 고, 지식구매에 대한 소비관념이 생성되기 시작했다. 나날이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 시대와 날로 가중되는 중국인들의 지식 습득에 대한 불안감 속에서 사람들은 이미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기 시작했으며, 독서와 학습을 일종의 생활 방식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생활 방식은 일상생활에서 받 는 막대한 스트레스와 충돌하며 사람들의 불안감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 적 배경 속에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효율적 학습을 가능하게 해 주는 문화형 1인 미 디어가 점점 더 큰 발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그림 3] 유명 SNS 어플리케이션 사용률(CNNIC통계 2018)
4. 뤄지쓰웨이 (罗辑思维)와 지식 콘텐츠 유료화
4.1. 문화형 1인 미디어의 개념 문화형 1인 미디어는 문화지식 전파를 주요 콘텐츠로 하는 1인 미디어이다. 전파 콘텐 츠는 경제, 공학, 문학, 음악, 생활 등 여러 분야를 포함하며, 대중들은 자신의 흥미에 맞는 1인 미디어를 구독하거나 1인 미디어가 다루는 콘텐츠를 구매한다. 이렇듯 문화 형 1인 미디어는 기존의 1인 미디어에서 파생된 특색 있는 1인 미디어 형식이다. 중국 의 지식형 1인 미디어 중《논리사유(罗辑思维)》, 《효설(晓说)》, 《번등독서회(樊登读书 会)》등으로 대표되는 지식형 1인 미디어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진 행자가 가볍고 재밌는 말로 역사나 정치적 사건, 인물이나 현재적 이슈나 화제등을 소 개해 사람들에게 색다른 시각을 보여준다.
70
Vol.2 No.1 February 2020
4.2. 뤄지쓰웨이(罗辑思维) 현황 분석 뤄지쓰웨이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문화형 1인미디어 브랜드이다. 2012년 뤄전위(罗振宇)와 션인(申音)이 손을 잡고 만든 지식형 동영상 토크쇼 뤄지쓰웨 이는 매주 월요일 새로운 회차가 업로드 되는데, 2015년에는 ‘더따오(得到)’라는 이름 의 APP플랫폼을 개발하여 더 많은 지식 콘텐츠를 통합하고 있다. 현재 뤄지쓰웨이의 콘텐츠 형식은 위챗 공식 계정 구독, 토크쇼 동영상 및 1인미디어 플랫폼 ‘더따오 APP’ 등이 있는데 총 영업 수입은 1.4091위안에 달한다. 현재 뤄지쓰웨이의 시장 가 치평가액은 약 100억 위안으로 추정된다. 뤄지쓰웨이의 시청자 성비는 남성 84.6%, 여성 15.4%이다. 남성 위주에, 연령대는 대 부분 22~39세이며,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사람이 다수로 직업군은 화이트칼라와 학 생에 집중되어 있다. 뤄지쓰웨이의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뤄전위의 자신의 독서를 통 해 얻은 지식를 공유하고 독립적 사고를 계발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풍부한 지식 누적 량과 독특한 표현 방식으로 인해 뤄지쓰웨이는 온라인 동영상 분야에서 독자적인 하나 의 계파를 형성했다. 뤄지쓰웨이의 콘텐츠는 높은 식별력, 대량의 정보를 보유했고, 흥 미와 지식적 측면을 동시에 갖췄으며, 관점과 논리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가장 많 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역사, 인물, 경제 정책, 인터넷, 교육 등 분야로 콘텐츠 창업 주 제 역시 비슷하게 다루고 있다.
[그림 4] 뤄전위(罗振宇)와 더다오(得到) APP
4.3. 지식 콘텐츠 유료화 전략 중국의 사용자들은 지식 콘텐츠를 위해 기꺼이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관념은 격렬한 생존 경쟁 속에서 형성되었다. 중국에서 고등 교육이 보편화되고 취업 경쟁이 나날이 치열해지면서, 쉴 새 없이 갈고 닦은 개인의 지식 시스템이 경쟁력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고 직장에서도 ‘공부’가 점차 새로운 키 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에서 높은 수준의 정제된 지식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이 이러한 집단의
[그림 5] 중국 지식 소비 사용자 규모 및 증가추세
공통된 선택이 되어버린 것이다. 중국인들의 지식에 대한 염려에 직면하여, 뤄지쓰웨이는 광고수입이 아닌 ‘지식 콘텐츠 유료화’의 경영 전략을 선택했다. 그 원인은 광고 수익, 사용자 조회수와 직접적인 관 계가 있다. 더 많은 사용자의 유입을 위해서, 오롯이 광고 수익에만 의존하는 1인 미디
7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어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주목을 끌 수 있는 제목이나 현재 유행하고 있는 화제에 주 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은 프로그램 콘텐츠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경우 가 많고, 높은 수준의 지식을 전파한다는 경영 목표에도 부합하지 않았다. 낮은 수준의 콘텐츠로 시청자의 지식에 대한 염려를 해소시키지 못하면 결국에는 사용자들이 떠나 는 상황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영 전략에 기반하여 뤄지쓰웨이는 중국 시장에서 가장 먼저 지식 콘텐츠 유료화라는 경영 전략을 세웠고, 이를 통해 높은 수준 의 브랜드 이미지도 구축할 수 있었다.
4.4. 지식형 커뮤니티 형성 뤄전위의 브랜드 이미지 전략 중에서 활발한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것 역시 그 방법 중 하나였다. 뤄지쓰웨이는 응집력이 강한 지식형 커뮤니티를 만들고자 시도했다. 그들의 시청자는 대부분이 지식인, 청년층이었는데, 즉 시대에 뒤처지지 않은 고학력자들이었 다. 뤄전위는 커뮤니티에서 모든 이들의 지식에 대한 갈망을 아이돌을 대하는 팬들의 열광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커뮤니티 내외의 활발한 상호 교류라는 방법을 이용했고, 점 차 인지도 있는 지식형 커뮤니티 브랜드를 만들어냈다. 뤄지쓰웨이 토크쇼의 회당 평균 클릭 수는 116만 정도이다. 뤄지쓰웨이의 위챗 공식계 정 구독수는 2018년에 이미 백만을 돌파했을 뿐 만이 아니라, 2.5만 명의 팬을 보유하 고 160만 위안의 수익을 거두는 놀라운 기록을 달성했다. 뤄지쓰웨이 위챗 공식 계정 은 엄청난 규모의 지식형 커뮤니티를 형성해냈다.
5. 결론
현대 중국인들의 지식 불안이 증가됨에 따라, 지식형 1인 미디어는 점점 더 많은 관심 을 받고 있다. 이러한 1인 미디어는 대부분 광고 영업수익이 아닌 ‘지식비용 유료화‘ 경영전략을 택했는데, 그 원인은 광고 수입이 종종 사용자 유동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강렬한 경쟁 속에서 더 많은 사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광고 수입에 의존하는 1인 미디어는 대부분 사람들을 유인하는 제목이나 현재 유행하는 화제를 콘 텐츠로 전파하는데, 위챗 공식계정(微信公众号)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이러한 콘텐츠는 지식형 1인 미디어가 전파하는 정보의 질을 보장할 수 없고, 지식의 전파와 해석의 질이 낮아져, 오히려 사용자들의 지식 불안을 해소하지 못해, 최종적으로 사용 자 유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중국의 지식형 1인 미디어가 모두 ‘비용 지불‘ 경영전략을 택하고 있는데, 이것은 중국 문화형 1인 미디어의 하나의 독특한 특 징이라 할 수 있다.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대중의 정보 수용 경로가 폭넓어지고 정보의 전파 방식 이 다양해지면서 문화형 1인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유료화된 지식형 1 인 미디어가 중국의 인터넷 문화 배경에 잘 적응해나가면서 그 콘텐츠의 내용과 가치 관이 중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점차 그 뚜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72
Vol.2 No.1 February 2020
참고문헌 최재용, 『인터넷 스타(왕홍) 3.0 시대 중국 사이버 페미니즘 담론 - Papi장의 경우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17 문성실, 『1인 미디어 상점의 블로그 마케팅 특성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 치는 영향』, 세종대학교대학원, 2010 박설매, 『중국의 인터넷 스타 현상에 대한 문화적 이해』, 숭실대학교, 2012 CNNIC, 『Statistical Reports on Internet Development in China』, China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CNNIC, 2018 ZhangHanyin, 『From media time under brand design research』, Tianjin Academy of Fine Arts, 15-18, 2016 다이위메이(代玉梅), 『뉴스와 전파 연구,1인 미디어의 미디어학 해독』, 제5기, 2011 허우샤오룽, 리옌하오, 『사용자 감정 체험을 기반으로 한 1인 미디어 정보전파 효과 평 가』, 정보 이론과 실천, 제5기, 2015 장이빙(張義兵), 『사이버 교육 중 ‘인간’의 리포지셔닝에 대한 논의』, 난징사범대학 학보 사회과학판, 제6기, 2002 원징, 『미디어학의 관점에서 신왕홍(網紅) 현상의 원인 연구 및 분석--papi쟝을 예로 하여』, 뉴스 연구 간행물, 제10기, 2016 https://www.igetget.com/?ljdbd007 https://www.weibo.com/xiaopapi?refer_flag=1005055 013 https://baike.baidu.com/item/罗辑思维/2192931?fr=ala ddin
7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彩陶) 응용한 현대 문화상품 디자인 작품 연구 Research of the modern cultural commodity about the Majiayao cultural painted pottery in China Neolithic
조정정,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안변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ao, Ting Ti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 문화채도, 문화상품, 디자인 Keyword
An, Byoung Jin(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China, Neolithic Age, Majiayao, Cultural goods,
Dongseo University
design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馬家窯) 문화 채도(彩陶) 응용한 현대 문화상품 디자인 작품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는 발달된 채도로 세계에 알려져 있으며, 채도의 비율은 일반 적으로 도기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어떤 유적은 90%에 달하며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부장품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도질이 단단하고 표면에 광이 나 고, 빨강, 노랑, 검정, 하얀색을 함께 사용하여, 채색 선이 매끄럽우며 섬세하다. 또한, 무늬가 세심하고 우아하며, 화려한 고전적 스타일로 강한 예술적 표현력과 감화력을 가 지고 있다.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는 중국 신석기 시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고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문화 유물로서 역사적, 예술적, 과학적 가치가 있다. 모든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뒤에는 생생한 역사가 있다. 그것들은 서로 다른 측면 에서 당시 사회의 생산력, 생산 관계, 경제적 기반, 정신적 이념, 사회생활, 자연환경 등을 반영한다.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는 선사시대 선민들이 지혜와 노동으로 창조한 실용품으로, 조형예술과 장식예술이 결합된 예술품이다.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는 일정한 기간 내에서 특정한 무늬와 도안을 가지고 있었다. 상주(商周) 청동기 시대의 어떤 문양 및 구도 형식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를 차용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마가요(马家窑) 문 화 채도 예술은 의심할 바 없이 중국 전통 예술의 원천 중 하나가 되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그 예술적 의미가 되어, 발전되고 있다.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는 당시 사람들의 자연 인식과 이용정도, 그리고 과학기술과 생산력의 발전 수준이 반영되었다. 도기의 생산부터 채도의 탄생까지, 수 천 년의 탐색 과 반복을 거쳐서, 그들은 점점 천연 광물연료의 특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도기를 굽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었을 때 채도가 탄생하게 되었다. 선사시대 도기와 채도의 수천 년 의 생산을 바탕으로, 중국은 또 눈부시게 빛나는 자기를 창조해냈다. 그래서,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역사, 미술, 경제 등의 학술계에서는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면서 이 연구 분야에 큰 관심을 보여 왔다. 본 논문은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를 연구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다. 본 논문은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발견과 분포, 형성과 발전 과정에 대해 정리하고,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양의 변화과정, 문양의 구성형식, 색채구성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그 안에 포함된 문양의 요소, 형식을 현대문화상품에 응용하도록 한다.
7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은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로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관점을 출발점으로, 문양의 변천과정, 문양의 구성형식, 색채 등의 요소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 다. 또한, 이론 연구를 통해 작품에 필요한 요소를 결정했고, 이것을 바탕으로 마가요 (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상품 개발과 관련된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했다. 첫째, 문화상품의 정의와 개념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과 일반적인 제품과 문화적 요소가 적용된 제품의 경제성과 비경쟁적 요소 및 차이점 등의 분석을 통하여 문화 상품의 종 류를 분류 하였다. 둘째,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발견과 분포, 그리고 형성과 발전 과정을 탐구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문양 구성 형식 및 색채 구성을 분류 한다. 셋째, 중국 국내에 현존하는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를 활용한 문화상품 사례와 해외 의 비슷한 문화를 활용한 문화상품 사례에 대해 비교분석을 진행했고, 그 차이성과 이 용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 결과를 통해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상품을 디 자인했다. 넷째, 앞의 과정을 통해, 조사 연구한 자료를 바탕으로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 상품의 디자인 방안을 제시했다.
2. 마가요 문화 채도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분석
2.1. 마가요 문화 채도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선정과 분석기준 세계화로 인하여 여러 국가의 선진문화는 다양한 지역과 국가에 커다한 문화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무구한 역사와 과거의 전통문화가 내재된 매우 풍부한 문 화적 자원을 갖고 있는 국가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이며 역사적인 과거 중국의 문화자원 을 어떻게 문화상품으로 전환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의 문화상품으로 재창조할 것인가 하는 것은 디자이너들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국의 무구한 역사 중 신석기시대의 마가요 문화 채도의 문화자원을 현대적인 디자인의 문화상품으로 전환하고자 하며, 이를 위한 기초 단계로 마가요 문화 채도가 반영된 여러 국가의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들은 신석기시대 찬란한 도기 문화를 형성한 중국과 일본, 고대 그리스와 이집트를 선정하였으며,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분석의 기준은 여러 선행연구 에서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기준을 참고하고자 하였다. 박지민(2011)의 연구에서는 관광문화상품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 첫째, 장소성으로 다 른 지역과의 차별성 있는 그 지역만의 문화상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역사성으로 해당 지역의 다양한 자연 및 문화적 환경, 주민의 생활양식이 반영된 문화상품이 개발 되어야 한다. 셋째, 상징성으로 해당 지역의 상징물을 모티브로 반영한 문화상품이 개
1) 박지민,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관광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p.32.
76
Vol.2 No.1 February 2020
발되어야 한다. 넷째, 연계성으로 장소성과 역사성, 상징성 등이 모두 문화상품과 연계 되어 반영 및 표현되어 있어야 한다. 이 외에도 지역의 다른 문화상품과 공통적인 디자 인 모티브의 적용, 모티브의 이미지화 표현, 지역산업과의 연계성, 제품 종류의 다양성 등의 분석기준을 주장하였다. 반철(2019)은 문화상품이 일반 상품과 달리 심미성, 문화성, 휴대 편리성, 유용성, 지 역성의 5가지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2) 첫째, 문화상품의 기본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심미성은 다채로운 색채나 공예, 소재, 조형 등으로 소비자의 관심과 시선을 유도해야 한다. 둘째, 문화상품이 개발된 해당 지역의 문화적 배경에 대해서도 이해해 야 하므로, 문화상품 디자인에는 문화성을 반영해야 한다. 셋째, 문화상품은 보통 관광 지나 타 지역 및 국가에서 판매하는 관광의 목적으로 판매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휴대 에 편리해야 한다. 넷째, 문화상품의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사람들의 사용 요구와 사용 가치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측면에서 유용성을 반영해야 한다. 이 외에도 문화상품 디자인 관련 사례를 분석할 때 시각이미지, 제품과 패션, 공간 상 품의 기준을 토대로 분석한 선행연구(고정흠, 2013)도 있으며,3) 그 외에는 단순히 문 화상품 디자인 현황을 살펴보았기에 특별한 분석기준 없이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를 분 석한 일부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 분석기준 중 박지민(2011)과 반철 (2019)의 분석기준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마가요 문화 채도 관련 문화상품 디자인 사 례 분석기준은 문화성, 상징성, 심미성, 유용성의 4가지 분석기준을 설정하여 마가요 문화 관련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2.2.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 문화 채도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 문화 채도를 반영한 문화상품들을 살펴본 결과, 문화상품의 종 류는 크게 스카프, 장신구, USB, 공예품, 쿠션, 다기, 조명 등이 있었다. 관련 사레의 이미지는 [표 1]에 정리하였다. 종합적으로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 문화 채도 문화상품 디자인들을 살펴본 결과, 문화 상품의 디자인적 측면에서 마가요 문화 채도의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과거의 마가요 문 화 채도를 반영하여 표현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화상품에 반영된 문화 채도 의 구성은 비교적 조악하여 심미적인 문화상품으로 보이지 않으며, 특히 현대인의 일상 생활과 어우러지지 않는 문화상품들이 많아 유용성이 떨어졌으며, 현대적 요소와 재료 를 다양하게 활용하지 않아 혁신성도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화상품 중 중국 전 통의 다기, 조명, 금은옥기 등이 있었는데, 이 문화상품들의 가격도 비교적 높은 수준 이며 휴대하기에도 불편한 문화상품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중국 신석기시대 마 가요 문화 채도를 반영한 문화상품 디자인들은 과거의 전통문양 등의 문화성을 반영하 고자 노력한 반면에, 그 외에 문화상품이 지녀야 할 유용성, 심미성 등이 부족한 것으 로 생각된다. 다시 말하면, 마가요 문화 채도를 반영한 문화상품들의 디자인이 비교적
2) 반철,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원강석굴 상징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p.29. 3) 고정흠, “중국산서(山西) 광령전지(广灵剪紙)의 조형특성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23.
7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좋지 않고, 그 형태가 단일하였으며, 휴대하기에도 용이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관심과 구매를 유도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 1]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 문화 도기 문화상품 조사
2.3. 일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 일본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12000~4세기 경의 조몬시대로, 세계 최초의 도기는 일본의 신석기시대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조몬은 일본 최초의 도기라 할 수 있다. 조몬 도기는 진흙과 끈, 막대기 등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일상생활에서 식품을 보관하 거나 또는 종교적인 상징물로 활용되었다. 조몬 도기의 경우 도기의 끝 부분이 뾰족하 거나, 사람의 외형을 모티브로 한 외형적 특성이 있으며, 관련 이미지와 추가 설명은 [표 2]에 제시하였다. 일본 신석기시대 조몬 도기의 문양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들을 살펴본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문화상품의 종류는 안대, 장갑, 종이컵과 종이컵 홀더, 쿠션, 노트, 냉 장고 마그네틱, 그릇, 와펜, 가방, 열쇠고리, 손수건, 편지봉투, 액자 장식품, 마이크로 인형, 금속 액세서리, 수공 종이접기, 핸드폰 케이스, 의류(셔츠), 종이 가방, 인테리어 장식품 등과 같이 그 종류가 매우 많았다. 종합적으로 일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디자인 사레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모 든 문화상품 디자인들이 일본 신석기시대의 유물이자 문화적 자원인 차강기 토우, 화염 형 도기의 무늬 등을 활용한 문화성을 드러내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문화상품 디자인에 토우 이미지가 반영되었는데, 이는 식품 보관의 기능으로 활용된 것 을 상징하기 보다는 종교적 기능의 토우 이미지를 상징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렇기에 색상의 경우 주로 황금색, 검은색 등을 활용한 것으로 보이며, 팝아트의 망점과 같은 기법을 활용한 가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문화상품 디자인이 대체적으로 투박하며 소박한 느낌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색상 또한 다른 색상을 다채롭게 활용하지 않고 조몬 도기의 고유색이라 할 수 있는 갈색과 황토색 등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문화상품 디자인이 더욱 투박하게 보이며, 그 외형 또한 매우 단조로워 심미성이 떨어지는 것으 로 해석된다.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마이크로 인형과 금속 액세서리 등의 문화상품은 유용성마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으로 문화상품 디자인들 이 매우 투박한 느낌을 주어 소비자들의 관심과 구매를 유도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78
Vol.2 No.1 February 2020
[표 2] 일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 조사
[표 3] 일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조사
2.4. 그리스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 그리스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2800년~기원전 1세기 경의 연대로, 그리스는 크레타 섬 과 지중해 북부 에게해 지역의 일대에 위치한 국가였다. 일반적으로도 그리스는 역사와 문화적 자원이 매우 풍부하며 발달된 고대 문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고대 그리스 의 도기는 현재까지도 매우 유명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그리스의 도기들은 주로 동그 란 항아리의 외형을 갖추고 있으며, 도기의 겉 표면에 전사나 신도와 같은 고대 그리스 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리스의 도기는 주로 주황색과 검은색, 황금색을 사용하였 는데 이는 고대 태양신을 믿은 그리스인들의 신앙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대 그리 스의 개요와 그리스 도기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표 4]와 같다. 고대 그리스 도기에 표현된 무늬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들을 살펴보면, 다음 [표 5] 과 같다. 문화상품의 종류는 커피잔, 배지, 열쇠고리, 캔버스 가방, 핸드폰 케이스, 쿠 션, 와펜, 기념주화, 마그네틱, 브로치, 커프스 단추, 부엉이 노트 세트, 열쇠고리, 금속 브로치, 벽걸이 액자, 장식품, USB, 장식화, 티셔츠, 목걸이, 노트, 그릇 등 매우 다양 하였다. 종합적으로 고대 그리스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디자인 사레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의 문화상품 디자인에 고대 그리스의 도기와 고대 그리스인의 모습, 고대 그리스에서 지혜의 상징인 부엉이, 신성한 준마 등이 모티브로 반영되어 고대 그리스의 문화성을 드러내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문화상품의 색상은 주로 검은색과 황금색, 주황색 등이 활용되었으며, 일부 문화상품인 그릇에서만 파란색과 하늘색, 검은색과 흰색의 색상이 활용되었다. 이로 인해 고대 그리스 신석기시대의 문화 자원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은 대체로 전통 및 역사적인 과거의 디자인이라는 경향이 강하다고 생각된다. 다 시 말하면, 이 문화상품 디자인들은 전혀 현대적인 디자인이라 할 수 없으며, 세련되지 못한 문화상품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전체적으로 문화상품 디자인들의 심미 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상품 디자인들의 종류는 컵, 가방, 케이스, 쿠 션, 노트, 티셔츠, USB, 그릇 등과 같이 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품들로 구성되어 있어 유용성은 비교적 높다고 볼 수 있겠다. 결과적으로 고대 그리스 신석기 시대 문화상품 디자인은 문화성과 상징성은 강하게 반영되어 있는 반면에, 심미성은 다 소 떨어지며 유용성은 비교적 있는 것으로 보인다.
7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4] 그리스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 조사
[표 5] 그리스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조사
[표 6] 이집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 조사
[표 7] 이집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조사
2.5. 이집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 이집트 신석기시대는 기원전 7000년~기원전 400년 경의 연대로, 이집트는 나일강 일 대에 위치한 국가였다. 이집트의 경우 다른 고대 문명과 비교하여 비교적 선진의 도기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흑정도기”라는 유명한 이집트 도기 유물에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집트의 흑정도기는 쇠퇴하였으며, 채색을 한 도기가 성행하였고, 관련 도기의 이미지는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이집트 신석기 시대 도기의 무늬 등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들은 다음 [표 7]와 같이 정리하였으며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화상품 디자인은 자석, 금속 펜던트, 배 지, 스티커, 쿠션, 금속 귀걸이, 수건, 브로치, 의류(긴팔 셔츠와 티셔츠), 열쇠고리, 컵 받침, 노트 등으로, 주로 생활용품의 용도로 개발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이집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디자인 사레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 화상품 디자인에 이집트의 상징적인 요소인 연꽃, 호루스의 눈, 딱정벌레, 십자가 등을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문화상품으로 개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집트 도기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은 주로 상징성이 반영됨을 알 수 있다. 이집트의 문자 나 도기 등을 모티브로 활용한 일부 문화상품 디자인들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는 이 집트의 문화적 자원과 역사적 자원을 문화상품에 반영하였다는 측면에서 문화성도 반 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이집트 도기 무늬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 인들은 매우 투박하고 소박하며, 단순하며, 조악한 디자인으로 개발된 경향이 있어 문 화상품의 심미성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자석이나 스티커, 배지와 같은 문화상품들은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사용하지 않는 상품들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측
80
Vol.2 No.1 February 2020
면에서 유용성도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이집트 신석기시대 도기 문화상품 디자인들은 문화성과 상징성 등은 반영하였으나 심미성과 유용성이 떨어져 시급히 현 대적인 문화상품 디자인으로 개선 및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6. 사례조사 결과 경제의 발전과 문화의 진보에 따라 시각성과 심미성, 그리고 현대성을 갖는 문화상품은 국가의 문화적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화상 품들은 해당 국가의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문화상품의 경우 해 당 지역과 국가의 역사 및 문화적 자원을 모티브로 반영하고, 이를 관광상품으로 활용 할 수 있기에 국내 소비자뿐만 아니라 국외소비자에게도 미적 및 차별화된 가치를 제 공하여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구매 욕구를 자극시켜야 한다. 최근의 문화상품 디자인들은 과거의 전통과 문화적 자원을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점차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상품의 내적 의미가 풍부하며 예술적 효과 를 배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동시에 현대 문화상품 디자인과 관광 및 문화산업의 발전 에 기여할 수 있어, 문화상품 디자인의 우수성은 디자인 분야의 발전에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중국 마가요 문화 채도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 하기 위한 과정으로, 앞서 중국과 일본, 그리스와 이집트 신석기시대의 도기를 모티브 로 하여 문화상품으로 디자인 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화 상품 분석기준인 문화성, 상징성, 심미성, 유용성의 네 가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성으로, 중국과 일본,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석기시대 도기를 활용한 문화상 품 디자인들은 모두 그 지역의 생활방식과 민족적 특색에 관한 다양한 요소들을 문화 상품 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중국과 일본은 동양 국가이며, 그리스와 이집트는 서양 국가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서양의 예술문화 형태와 방식 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공통점으론 동양 국가와 서양 국가 모두 아름 다운 생활방식과 축복과 기고 등의 상서로운 생활과 가치관을 추구하였는데, 이러한 상 서로움과 관련된 기호와 요소들이 도기에 반영되었으며, 이것이 다시 문화상품 디자인 으로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중국과 일본의 동양 국가의 경우 선계로부터 비롯되어 연 꽃과 다양한 동물을 비교적 변형한 형태로 표현하여 상서로움을 표현하였다. 그리스와 이집트의 서양 국가의 경우 도기 자체가 직접적으로 상서로움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 는데, 그렇기에 신에 대한 묘사도 최대한 인물의 형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며, 그리스와 이집트의 문화상품 디자인들을 살펴보면 그리스인과 이집트인을 형상화한 상품들이 많 은 경향이 있었다. 둘째, 상징성으로 네 개의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 모두 해당 지역문화에서 상징적으로 여긴 다양한 요소들을 문화상품 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한 흔적을 엿볼 수 있었다. 다 만 아쉬운 것은, 그 상징적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거나 변형하지 않고 그대로 차 용하여 과거의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특히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 관련 문화상품 디자인에서, 십자문을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한 문화상품들은 비교적 적은 경 향이 있었다.
8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십자문은 고대 중국인이 믿은 최고의 신인 태양과 관련이 있는데, 고대 중국인에게 태 양은 경외의 대상이었다. 농경사회로 인하여 태양을 숭배하게 되면서, 고대 중국의 민 간신앙으로 정착되었는데, 이는 마가요 문화 또한 유사하였다. 황하상류 지역에서 출토 된 마가요 문화 채색도기의 원형에는 십자문의 문양이 많으며, 이는 고대 중국인의 태 양 숭배사상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 도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태양의 경우 생명을 상 징하는 기호로 인식되었는데, 그 이유로 태양의 시각적 이미지는 ‘원’이며, 그 의미의 핵심은 ‘빛’이라 할 수 있고, 결국 태양은 고대 중국인의 삶의 터전을 빛처럼 밝힌다는 상징적인 의미였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십자문 문양의 하나에도 중국인의 삶과 문화 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십자문은 고대 중국인들의 민간신앙이라 할 수 있 는 태양과 관련이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상징적 요소이자 디자인 모티브로 활 용될 수 있는 무구한 아이디어 자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사려본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 문화 채도의 무늬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에는 십자문과 태양, 빛 등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경향이 전혀 없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다른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도 유사하였으며, 결국 상징적인 요 소는 문화상품 디자인에 반영하였으나 사실적인 이미지를 그대로 반영하고 무궁한 아 이디어의 자원을 전혀 현대적으로 변형 및 재해석한 디자인 노력은 없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심미성으로 중국과 일본,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석기시대 도기를 활용한 대부분의 문화상품 디자인은 매우 투박하고 단순하였으며, 조악하여 디자인의 심미성이 매우 낮 은 경향을 보였다. 디자인이 그 자체의 ‘디자인’으로서 정체성과 기능하기 위해서는 충 족해야 하는 몇 가지 요건이 있는데, 그 중 하나의 요소가 바로 심미성이라 할 수 있 다. 디자인이 추구하는 심미성은 소비자와 대중이 공감하는 공통된 미의 인식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심미성은 결국 현대사회의 복합적이며 유동적인 미의식에 의해 결정 된다. 그렇기에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할 때 심미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화 상품 디자인의 대한 객관적 미의 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미에 대한 기호 조 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이너의 미적 감각과 디자인 작업을 통해 문화상품의 개성과 독창성을 표현함으로써 성공적이며 현대적인 문화상품 디자인 이 개발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소비자마다 개별적인 미의식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디자이너는 소비자의 미의식의 수준을 그대로 반영하기 보다는 더욱 수준을 높인 심미성을 추구해야 한다. 가끔 지나치게 빈티지하거나 종교적인 특색이 강한 문화 상품 디자인들이 외면당하는 것은 소비자의 미의식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기 때문 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장에서 살펴본 네 가지 사례 모두 현대인인 소비 자의 미의식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나치게 과거의 역사와 문화의 자원을 사실적으로 구현하려는 생각에 사로잡혀, 무궁무진한 다양한 신석기시대 도기의 문화적 자원을 낭 비한 채 문화상품 디자인으로 개발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문화상품 디자인의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는 색채로, 색채의 경우 문화상품의 시각적 이미지와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표현 요소라 할 수 있 다. 하지만, 대부분의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에서는 과거에 사용된 색채를 현대적인 색 채로 변경하지 않고 갈색, 황금색 등 그대로 사용한 흔적이 매우 뚜렷하였다. 현대적이 지 못하며 통일되지 못한 색채의 사용은 결국 문화상품 디자인의 심미성을 저하하였다 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과 일본,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석기시대 도기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의 심미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82
Vol.2 No.1 February 2020
넷째, 유용성으로 앞서 사려본 네 가지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들은 비교적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컵, 노트, USB 등의 생활소품 용도 위주로 개발된 경향이 있었다. 우수 한 디자인의 조건 중 하나는 경제성과 합목적성이라 할 수 있는데, 문화상품의 외관과 기능, 재료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경제적으로 우수한 가치를 지녔다고 판단되면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다.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사람에게 유용한 문화상품이라 할 수 있으며, 결국 문화상품의 유용성이란 상품을 사용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중국과 일본,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석기시대 도기를 활용한 대부분의 문화상품 디자인들은 주로 기능적인 측면에서 생활소품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사용 할 수 있기에 경제적이라 할 수 있지만, 문화상품 디자인의 외관이나 재료 등은 경제적 이고 유용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집트의 문화상품 디자인 중 대리 석 자석이 있었는데, 매우 투박한 디자인이며, 기능은 자석이나 대리석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그리고 자석을 대리석으로 사용한다는 것도 아이러니라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문화상품의 유용성이 떨어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집트 문화상품 디자인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그리스 문화상품 디자인 모두 유용성이 결코 높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종합적으로 중국과 일본,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석기시대 도기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 인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심미성과 유용성이 떨어지며 이는 문화상품의 가 치를 저하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앞의 사례 분석결과는 본 연구의 중국 신석 기시대 마가요 문화 채도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 점을 제공해주었다. 첫째, 재료의 경제성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할 문화상품 디자인의 경제성과 유용성 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앞의 사례에서 사용한 금과 은, 옥과 대리석 등과 같은 가격이 높은 재료보다, 합리적인 소재의 재료들을 사용하여 디자인의 유용성과 경제성을 갖추고자 한다. 둘째, 디자인 모티브의 표현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마가요 문화 채도에 관한 다 양한 디자인 모티브와 이미지 및 상징적 요소들을 추출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다 양한 이미지로 표현하고자 한다. 특히 새로운 문화적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이를 그래픽 이미지와 결합하여 시각예술 이미지로 변환하고자 하며, 이를 새로운 도안으로 구성하 여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반영하고자 한다. 셋째, 다채로운 색채의 사용으로, 앞의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와 같이 도기에서 사용된 색상을 그대로 문화상품에 활용하지 않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안과 매칭하여 현대적 인 색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3.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국 신석기시대의 간쑤(甘肃), 칭하이(青海), 닝샤(宁夏)를 중심으로 한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발견 및 분포, 형성과 발전과정, 그리고 구성형식과 색채 구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문양 요소와 시대적 특색을 서 로 결합해, 현대관광상품을 개발하는 관련 방안을 마련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문양 요소를 이용하여, 표 현하였다. 또한, 문화상품의 디자인은 창의적인 문화상품의 개발 및 제시 가능성을 검 증하는데 사용된다.
8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첫째,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기초현황 분석을 통해, 중국 신석 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발견 및 분포, 형성 및 발전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하였다. 또한,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상품의 발전 현황 및 이념,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발생지, 기타 문화상품의 발전 현황 등을 파악하 여 오늘날 문화상품의 발전에서 장애요소와 단점을 찾아냈다. 둘째, 문화상품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문화상품은 상품 자체 의 역할을 발휘하면서도 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문화상품은 문 화적 속성과 시각적 기호를 충분히 활용하여, 문화적 배경, 대표성과 역사성 등의 요소 를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셋째, 새로운 문화상품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문양을 바탕으로, 재디자인하고 실생활과 심미성을 결합하고, 현대적 인 색채 를 융합하여 창의성과 예술성이 있는 새로운 문화상품을 만들었다.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상품의 개발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의 전파와 문화적 전승에 상응하는 가치와 의미를 지니며 다양한 문양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중 문양 요소를 재창조하는 것을 강조하고, 문화적 특성과 문양을 현대 문화상품 속에 추가하는 것을 개발 방향으로 한다. 첫째, 전통문화 요소는 사회문화의 발전과 변화에 주목해야 하며,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의 문양 요소는 현대생활과 더 잘 융합되어야 한다. 둘째, 문양의 선택은 문양 요소의 분석과 다른 사례에서 흔히 발견되는 문양 요소를 바 탕으로 한다. 문양 요소를 선택해 재디자인하여 복잡한 요소를 단순화하고, 더 현대화 하여 단순한 것이 더 아름답다는 것을 보여주는 디자인 컨셉이다. 셋째, 문양을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요소의 새로운 디자인에 응용해야 한다. 전통적인 형식에서 추상적이고 의도적인 재구성을 통해서만 마가요(马 家窑) 문화 채도의 새로운 문양 요소 형태를 새롭게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상품의 현황과 국외 신석기시대 도기문화상품을 분석, 조사하여, 문화상품의 발전 방향과 방법을 제시 했다. 이 논문이 이후 문화상품 개발에 참고사례가 될 수 있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박지민,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관광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p.32. 반철,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원강석굴 상징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p.29. 고정흠, “중국산서(山西) 광령전지(广灵剪紙)의 조형특성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23. https://baike.baidu.com/item/마가요 채도 https://ko.wikipedia.org/wiki/조몬시대 https://ko.wikipedia.org/wiki/그리스 도기 https://ko.wikipedia.org/wiki/이집트 도기
84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앱 디자인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총체적 사고방식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Applications Designed Examples in China - Which Focus on Holistic Thinking -
이기항,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안병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 Qi Ha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앱디자인, 중국 앱디자인, 총체적 사유방식 Keyword
An, Byoung Jin(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APP design, Chinese APP design,
Dongseo University
Chinese holistic way, of thinking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앱 디자인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에서 글로벌화와 인터넷의 보편화는 각 나라 간 교류와 협력을 밀접하게 하고 있으며, 산업화에 따른 제품의 대규모적인 보급과 산업화에 기반을 둔 디자인은 오늘날 의 디자인을 유사한 추세로 나아가게 하고 있다. 바우하우스에서 비롯된 대량생산에 적 응하기 위한 모더니즘 디자인이 세계 범위에서 흥행하기 시작하였고, 디지털미디어 기 술의 발전은 모더니즘 디자인이 세계에 널리 퍼져 국제주의 스타일이 점차적으로 형성 되어 가고 있다. 서로 다른 민족은 서로 다른 문화적 특성을 보유하며, 세계관과 가치관, 잠재적인 사고 방식에도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중국의 경우, 중화문명의 기나긴 발전과정에서 중 화문명의 연속과 발전은 중국인의 독특한 사고방식을 형성하였다. 중국 전통문화의 구 성부분을 이루는 사고방식은 5000년의 역사에 물들고 누적되어 사람들의 사상의식과 행동규범에 스며들어 견고한 민족심리와 행위방식으로 형성되었으며, 민족적 심미경향 과 문제해결 방식, 방법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중국적 사고방식은 중화문명의 발 전과 함께 오늘까지 지속적인 발전을 가져와 오늘날 중국인의 사상과 사고 맥락에도 반영되고 있으며, 사람들이 사물에 대한 관찰, 사고, 처리하는 방식과 방법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1)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적 사고방식으로부터 착수하여 전통적 사고방식에 대하여 정리하고 총괄하며 중국 앱 디자인에서의 중국적 사고방식의 표현에 대하여 알 아보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사례 선정은 중국의 스마트 폰 앱 기업 관련 서적, 선행연구, 인터넷 자료, 기사 등을 토대로 중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 앱 20위 안에서 상위권을 차지 하는 사례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례는 텐센트, 징동닷컴, 메이투안, 유쿠로 총 4개의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분석 틀의 기준은 총체적 사고방식으로, 백광현(1999)은 총체적 사고를 통합성, 우 연성, 질서성, 전체성, 적합성의 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2) 김정애와 김재휘(2014)는 총 체적 사고를 대안성, 포괄성, 추상성, 관계성, 조합성의 특성으로 분류하였다.3) 따라서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자들의 총체적 사고방석 특성 분류 기준과 앞의 이론 고찰을 통 해 살펴본 총체적 사고방식의 특성을 수정 및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사례분석 틀의 기준은 총체적 사고방식의 3가지 특성인 완전성, 조합성, 질서성을 기준으로 분석 하고자 한다.
1) 사비오 챈, 마이클 자쿠어(2015). 중국의 슈퍼 컨슈머: 13억 중국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홍선영 역. 서울: 부키. 2) 백광현(1999). IMF시대의 중소기업 지식정보화를 위한 총체적 사고에 관한 연구. 한몽경상연구, 3, 483-502. 3) 김정애, 김재휘(2014). 사고방식과 제품의 속성 유형이 구매의도 및 선택에 미치는 효과. 광고학연구, 25(5), 207-226.
86
Vol.2 No.1 February 2020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적 사고방식에 대한 분석과 정리를 통하여 중국적 사고방식의 주요 특성을 총괄하며 중국 모바일 발전 현황고찰을 통해 사용자들이 애용하는 모바일 앱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다. 중국적 사고방식을 응용한 앱 디자인과 다른 국가와 지역 의 앱 디자인을 비교하여 중국적 사고방식이 중국 모바일 앱 디자인에 미친 영향을 분 석한다.
2. 중국의 APP시장
디지털 미디어 산업은 중국 디지털 미디어 산업과 정보 네트워크가 고속 성장하면서 급성장하기 시작했으며, 중국 문화 콘텐츠 산업의 빠른 발전의 구동력이 되었으며 국가 정보화 건설의 중요한 축으로 꼽히는 국가 정보화 사업이 되었다4). 급속하게 발전하는 디지털 산업 시장에 따라 중국의 스마트 폰 시장은 특히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며, 중 국의 스마트 폰 시장은 주로 해외 스마트 폰 수입 위주 또는 중국산 스마트 폰을 위주 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2015년 2분기까지 중국 스마트 폰 사용자 규모는 6.57억으 로, 2014년에 비해 2400만 명이 증가하였으며,5) 2015년 2분기까지 중국 스마트 폰 가입자는 6억 100만 명에 달한다. 중국 스마트 폰 사용자가 제일 먼저 고려하는 요소 는 앱 스토어의 인지도로 비중이 68.6% 차지하고, 그 외 선택 범위와 고객 테이터의 높은 안전성도 중국 휴대폰 사용자들이 고려하는 두 가지 요소로 비중은 각각 61.8%와 39.2%를 차지한다.6) 중국 스마트 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휴대전화 앱 디자인과 보급이 격렬한 경쟁태세를 이루면서 애플, 구글 스토어의 중국 토종 모바일 앱 스토어가 모바일 앱의 주류 다운로 드 루트로 떠올랐다. 아이미디어 리서치(iMedia Research) 데이터에 의하면, 2015년 제3자 앱(360휴대폰 조수/앱 스토어)스토어의 사용비율은 53.7%, 그 다음은 단말기 자체의 앱(샤오미/화웨이) 스토어가 34.3%이고, 앱 스토어(앱le 스토어/구글 플레이/윈 도 폰)를 사용하는 비율은 25.8%, 모바일 마켓(Mobile Market) 사용자는 8.8%이다.7) 2015 3월까지 앱 스토어에 접속한 총수는 100만 개를 넘어섰고, 구글 플레이(Google play)와 중국의 안드로이드(Android) 마켓 앱 스토어 이용이 꾸준히 늘고 있다. 수많 은 앱 시장에서 극소수의 앱만이 사용자의 관심을 끈다. 현재 중국시장에서 인지도가 높고 시장 점유율이 높은 앱 스토어는 안드로이드 마켓, 텐센트(騰訊-Tencent) 모바일 응용과 360 핸드폰 응용 등이다. 그들의 성공적 요인은 앱 입주 권한을 철저히 개방하고 광범위한 앱을 흡수하며 신속한 갱신으로 인기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높은 관심과 적절한 최적화를 유지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정을 받 는다. 예로 ‘바이두 뉴스 클라이언트(百度新聞客戶端)’가 비교적 좋은 다운 량과 활용률 을 보유하고 있다. 그 이유를 찾아보면 매일 아침마다 스마트 폰을 켜면 현재 벌어지고 있는 국가 대사와 업계의 최신 움직임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디디다처(滴滴打车)’가 짧은 시간 내에 가장 많은 고객의 이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더는 뙤약볕아래 길 가에서 오래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앱 시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앱이 사용자에게 확실한 가치의 제공여부는 이용자를 증가하고 보유시키는 핵심이다.
4) 王思民, 『2016年中國手機發展現狀及影響因素分析』[M], 前瞻産業研究院, 2016 5) 「中國手機APP行業深度調研及市場前景分析報告」[R], 中國産業調研網, 2016 6) 전망사이트, https://www.qianzhan.com/analyst/detail/220/180122-b5acf1b4.html, 2018.3.27 7) 中國互聯網發展統計報告[R].中國互聯網信息中心. 2015-03-05.
8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이렇듯 중국에서는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서 그들의 편의성와 사용용이성, 불편 성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앱을 출시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앱 시장을 더욱 확 산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2022년에 중국 앱 시장 의 지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8)
[그림 1] 2022년 중국 앱 시장 전망
위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2022년 소비자 앱 지출의 상위 5개국 중 1위는 중국으 로, 중국의 앱 시장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이 수치는 2017년에 비해 107%나 증가한 수치로, 중국의 앱 시장은 더욱 확산될 것임을 알 수 있다.
3. 중국의 총체적 사고방식
3.1. 중국의 총체적 사고방식의 특성 3.1.1. 완전성 중국고대의 총체적인 사고에서의 완전성의 형성은 중국의 자연조건, 사회조건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중국대륙은 온대와 아열대기후로 기온이 따뜻하며, 고대중국은 동식물 종류가 아주 풍부하다. 이로 인하여 고대 중국인은 사물에 대한 개별적이고 고립된 관 찰을 하는데 익숙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물과 연결시켜 비교 관찰을 통해 사물사이의 연결성과 차별성을 형성하였다. 초기에 사람들은 두 가지 사물을 비교하는데 국한되었 지만 점차 많은 사물사이에서 공통된 특징을 연결하면서 하나의 중국적 사고방식인 총 체적인 특성인 사물과 사물 사이를 연결하여 한 종류의 사물을 하나의 총체로 보는 것 이 형성되었다. 중국은 전형적인 농업국가로 농경지를 이전하지 못하기에 중국 내륙 인구의 대거 이동 이 상대적으로 적고, 특히 기후가 좋은 지역의 농민들은 몇 대가 한 곳에 정착해 대규 모적인 인구 이동이 없었다. 이것은 중국인들이 가족 관념이 더욱 강화되고 인구의 총 체성이 강화되어 자신을 가족 혹은 단체의 일원으로 간주하게 하였다. 때문에 완전성은 중국적 사고방식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 되었다. 총체적인 사고방식에서의 완전성은 여러 사물을 완전한 총체로 보고 그들 사이의 내재적인 연관 관계를 관찰한다.9)
8)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50909084625416 9) 오태석(1997). 지령 30 집 기념호 : 논문 ; 중국문화의 사유론적 이해 - 중국문학 이해의 배경적 관점에서 -. 중국어 문학, 30(0), 259-282.
88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의 총체적인 사고방식에서 중의학은 가장 대표적이다. 중의학은 총체적이면서도 독특한 이론적 체계로 세계 의학의 행렬에 들어서면서 중국의 전통적 사고특성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중의학은 음양설을 이론적 기초로 인체를 음양과 대응하는‘상(象)’으 로 나누고, ‘상’을 통한 치료와 조리로 음양의 평형을 이루게 한다. 또한 오행개념을 활 용하여 사람과 자연환경을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시간과 공간의 다원적 구조에서 인체 의 변화를 파악하여 하나의 유기적인 이론 체계를 구성함으로‘변증적 치료실시’10)의 주 된 특성이 이루어졌으며, 인체의 각 부분을 나누어 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 작용하고 상 호 영향을 준다고 여긴다. 이것은 사고방식에서의 완전성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완전성의 또 다른 대표적인 사례는 중국고대의 농학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절기가 농작 물의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여겨 농작물이 발아하고, 꽃피고, 열매 맺고, 익 는 각 단계에서 계절과 특수한 대응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농작물의 풍작을 확보하려면 시서기록이 정확함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겼다. 종합적으로, 완전성은 총체적인 사고방 식의 중요한 특징으로 중국인들이 총체적으로 사물을 관찰하는 것을 선호하고, 하나의 총체에서 각 사물 사이의 상호영향 작용을 중요시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1.2. 조합성 총체적인 사고방식에서 조합성은 중요한 특징이다. 중국인들은 서로 다른 사물을 조합 하여 하나의 총체적인 것으로 형성하는데 익숙하며, 중국인의 사고방식이 핵심과 정신 적 본질을‘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으로 여겨 이는 중국 고전철학의 근본적 개념의 하나 가 되었다. 고대인들의 세계관은 천인합일을 숭상하고 사람과 자연의 변증대립적 관계 를 제시하였으며, ‘천인합일’은 물질의 기본 속성 범위를 깨고 사람과 자연을 하나로 조합하여 하나의 총체로 본다.11) 중국 고대의 천인합일 사상은 자연과 사람, 그리고 사 회에 대한 깨달음의 의미가 있으며 또 서양문화와 다른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보완되는 문화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천일합일의 사상은 사람과 자연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면서 중국인이 총체적인 사고방식의 형성에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였다. 사람과 자연의 관계 는 대립 통일의 총체적인 구조에 처해 있다는 것은 총체적인 사고방식의 핵심이다. 하 늘과 인간, 음과 양, 정신과 물질은 함께 종합되어 있는 통일체이다. 중국인이 지혜구 조를 보면 사람과 자연은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조화 통일되는 것이다. 때문에 자연에 대한 인식에서 이성을 자연에 강요하기보다는 이성을 자연에 순응시키고 주체와 객체, 도와기(이념과 도구)의 통일을 강조한다.12) 조합성은 현대 중국의 언어 문자에서도 표현된다. 영어는 원자론의 언어 구조로 단음으 로 단어가 형성되고 단어로 문장을 구성하고 문장으로 단락을 구성하며 단락으로 총체 적인 의미를 구성한다. 한자의 글자 구조로 보면 한자는 표의(表意) 문자로 도상성을 중 요시 한다. 표의는 상형의 기초에서 상형의 종합으로 사람들에게 사고와 연상을 제시한 다. 총체적인 형상은 한자의 표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쌍‘목(木)’은‘림(林)’으로 조합 되고, 삼‘목(木)’은 삼‘(森)’으로 조합되고, 삼‘인(人)’은‘중(众)’으로 조합된다. 한자에서 이러한 사례가 너무 많아 일일이 열거 할 수 없다. 이에 대응하는 영어는 병음 문자에 속한다. 병음 문자가 중요시 하는 것은 자모 하나하나의 정확 여부이다. 예를 들면
10) 季羨林,『讀國學』[M], 華藝出版社, 2007 11) 《周易·系辭》第十一章 12) 祝帥,『中國文化與中國設計十講』[M], 中國電力出版社, 2008
8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hate(恨)중의 h를 l로 바꾸면 late(晚)로 된다. 단어를 구성하는 한 개 자모를 바꿔도 전체 단어의 의미가 변한다. 종합하면, 총체적인 사고에서의 조합장은 중국인들이 사물의 조합방식을 통해 새로운 총체를 형성하며 조합을 통해 사물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1.3. 질서성 고대 중국은 총체에서의 질서, 특히 장유유서의 예교 질서를 강조하였다. 총체 속에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질서를 구축하는 것을 시도하여 각 계층의 생활 배경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합쳐져 상대적으로 안정된 사회 질서를 형성하는 것이다. 중국의 유교사상은 중국 고대 사회생활의 각 영역에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그 후 역대 철학자들과 사상가 들이 해석, 보완과 수정으로 중국 사회가 생존하고 서서히 진화하는 정신지주가 되었 다.13) 유가가 사회 관리를 실현하는 두 개의 원칙은 ‘분(分)’과 ‘화(和)’로, ‘분(分)’은 등급의 구분, 사회 분공과 윤리규범에서 규정한 모든 기타 구분으로 이것은 군신, 부자, 장유, 남녀이다. ‘화(和)’는 각종 사회규범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처한 사람들이 화친하고 서 로 존중하는 것이다 유가 문화의 실천 측면의 핵심은 일정한 지속성을 수립하는 것이 다. 이런 질서성도 중국 총체적인 사유방식의 특징의 하나로, 이는 사회시스템을 유지 하는 일정한 구조가 있고 안정도 유지하면 무너지지 않는 기본요소가 되었다.14) 중국인은 총체적인 사고에 익숙하여 총체적인 국면으로부터 출발하여 총체에서 부분으 로 이르며, 그중 질서성은 중국사회에서 이미 은연중에 행위 규칙으로 감화되어 일정한 정도에서는 예절과 성숙함을 상징하는 동시에 총체적 사고방식의 중요한 특징이다. 모 든 민족 문화의 주제는 모두 그의 특정한 사고방식을 결정한다. 상응하는 이러한 사고 방식도 그 민족의 문화주제를 충분히 부각시킨다. 중국인이 객관 세계에 대한 인식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관점은 서양인들과 아주 큰 차이가 있으며 동양문화의 독특성을 지니 고 있다. 총체적인 사고방식에의 완전성, 조직성과 질서성은 오랜 시간 동안 문화와 행 위 규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부터 중국인은 집단을 중요시하고 총체적인 것을 중 시하는 관념이 파생되었으며 일정한 정도에서 중국인의 성격특징을 양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4. 중국의
4.1. 사례 분석
앱디자인
4.1.1. 텐센트
사례 분석
텐센트는 중국 최대 인터넷 종합서비스 제공업체 중 하나이자 중국 최대 고객을 유치 한 인터넷 서비스 업체 중 하나로, 1998년 11월에 마화텅(馬化騰) 등 다섯 명의 창업 주가 공동 창립하였다. 텐센트의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위챗, 소셜 네 트워크 서비스인 QQ Zone, 텐센트 게임 계열사 QQ Game 플랫폼, 포털 사이트 텐 센트 닷컴, 텐센트뉴스 클라이언트, 인터넷 화상 서비스, 텐센트 동영상 등을 제공하며,
13) 권두언(2010). 지식의 지평9 : 한국인의 중국 이해와 한중 관계의 현실적 분석. 서울: 아카넷. 14) 張美玲,「中國傳統思維與邏輯思想」[J], 重慶理工大學學報(社會科學), 2007, 21(7): pp.33-35
90
Vol.2 No.1 February 2020
텐센트 기업을 서로 다른 7개 사업 군(부문)으로 분화하여 텐센트 제품을 나누어 운영 을 관리하고 있다. 텐센트 계열사의 제품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금융, 엔터테 인먼트, 컨설팅, 도구, 플랫폼, 인공 지능 등 7개 유형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온라인으로 운영 중인 제품은 41개로 서로 보완하고 자원 공유하는 제품 생태체 인을 형성하고 있다.15) [표 1] 텐센트의 사업단과 제품 구분
제품
기업 발전 사업
온라인 결제 플랫폼, 위챗페이, QQ월렛, 텐센트 라치이통, 텐센트웨이황진, 텐센트대금융안전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사업
텐센트 게임, 텐센트 시네마, 텐센트 애니메이션, 텐센트 전자경기, 열문그룹, QQ 뮤직, 텐센트 영상, 펭귄픽쳐스, 텐센트 스포츠, 펭귄전자경기, NOW 생방송, Tribe, 텐센트 강의, 펭귄FM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
QQ 웹 브라우저, 텐센트 모바일 관리 서비스, 텐센트 컴퓨터 관리 서비스, 텐센트 지도, QQ메일, 자유주식, Pitu, 텐센트 설문, 투거차오
온라인 매체사업
텐센트 net, 텐센트 뉴스, 매일속보, 잉용바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업
QQ메신저, QQ Zone, 텐센트 웨이보,
기술공정 사업
텐센트 개방플랫폼, 텐센트 클라우드
위챗 사업
위챗
텐센트는 제품 종류의 선정과 기능선택에서 전반적인 고려가 있으며, 즉 앱과 앱 사이 에는 수많은 갈래의 연결과 상호 간에는 사용자 데이터, 기술 지원, 이용자 피드백, 자 금 수익 등 몇 가지가 서로 지지하며, 특히 텐센트는 기존의 QQ로 인한 방대한 이용 자 수에 힘입어 같은 클러스터 설계를 통해 새로운 응용이 쉽게 성공할 수 있었다. 전 형적인 사례로는 위챗이 시장에 진출할 때 대부분의 유저들은 예전에 QQ로 형성된 인 적관계망이었다. 통신 게임은 위챗과 QQ아이디의 계정을 이용해 로그인하고 좋은 친 구 순위 차트, 친구권 나눔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게임의 점착성을 높였다. 동시에 게이머들이 게임 중에 충전은 텐센트의 현재 가장 큰 수익원이 되고 있다. 이런 수익으로 QQ, 위챗, 인공지능 등의 응용으로 사용되고 있으 며 인공 지능의 발전은 보다 높은 등급의 사용자 통계 및 연산 능력을 실현하고, 텐센 트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게임 등에서 수집한 사용자의 정보와 사용자 행동 습관을 더욱 잘 분석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인성화된 디자인 전략을 세워 사용자의 체 험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텐센트 제품의 디자인과 연구 개발은 시장수요를 지 향하였을 뿐만 아니라 완전한 총체성으로부터 고려되었다. 앱과 앱 사이의 연계성을 강 화하여 서로를 보완하는 전체가 형성되었다. 텐센트 앱 및 인터넷 응용 개발 전략에서 나타난 완전성의 전략이든, 총체성이든 모두 총체적인 사고방식이 중국시장에서의 중요한 작용, 특히 완전성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 다. 중국 디자인에서 많은 요소를 하나로 집합하는 것은 보편적인 사고방식이다. 이는 집합이 거대한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15) www.qq.com
9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1.2. 징동닷컴 중국의 네트워크 기업 중에서 징동닷컴(JD.com)은 비교적 특별하다. 다른 인터넷 구매 플랫폼과 달리 징동닷컴은 쇼핑 웹사이트를 건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체의 물류 단체 를 구성하고, 직영과 제3자 물류와 종합하여 전체 징동 산업체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일환이 되었다. 직영 물류를 통하여 진동은 기업이 완전성을 잘 유지 하였을 뿐만 아니 라 기업 서비스품질과 제어력을 유효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하나의 완전성 사고방식 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2017년 징동집단은 징동물류 자회사를 설립하였다. 징동은 주하이, 광주에 전액 자회 사를 편성하여 화북, 화동과 화남 거점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여 전국의 대부분 지역 에 징동닷컴 물류배송 망을 형성하는 동시에 끊임없이 회사의 기술 실력을 강화하고 애프터서비스, 물류배송 및 시장추광 등 각 방면에서 소프트, 하드웨어 조건을 보완하 였다. 징동닷컴은 북경 상계 광주, 성도 서안을 중심으로 하는 플랫폼을 설립하여 전국 사용자들에게 더욱 빠른 배송 서비스로 회사의 업무공간을 확장하고 심화시켰다. [표 2] 징동닷컴의 물류 서비스 구분
서비스
211샌스다
당일 오전 11시 전에 주문한 현품은 주문서에 의한 출고 완성 시간부터 측정하여 당일 배송된다. 밤 11시 전에 올린 주문서는 이튿날 15시에 배송된다.
츠르다
일정한 시간 안에 올린 현품주문서는 주문서에 의한 출고된 시간부터 측정하여, 익일에 배송된다.
지수다
사용자에게 개성화된 유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지수다배송을 원하면 온라인에서 전액 지불 하거나 착불 방식으로 주문을 완성하고 지수다배송을 표기하면 징동은 서비스 시간 내에 3시간이면 배송지에 배송된다.
징준다
정확한 시간 안에 배송하는 서비스로 온라인 지불 방식으로 전액 혹은 착불 형식으로 주문서를 올리 면 지정된 배송 시간 안에 고객이 선택한 상품 배송지에 확실하게 도착한다.
예지앤페이
고객에게 더 빠르고 더 편리한 부가서비스이다. 고객이 저녁에 직배송을 원하면 주문서를 올릴 때 저녁 19시~ 22시 시간대를 선택하면 야간 배송 상품 범위에 속한다.
징동 셀프 택배함은 전일 스트레이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주문할 때 셀프 택배함을 선택하 면 구매한 상품은 재빠르게 무인택배함에 배송된 후 징동 시스템이 자동 메시지로 소비자에게 수량 셀프 택배함 을 알린다. 수령할 때 주문번호와 출하번호를 입력하거나 직접 QR 코드를 스캔하면 신분확인을 완 성하고 안내에 따라 pos 기에서 카드로 비용을 지불하면 함을 열고 수하할 수 있다.
우렌지
2016년 11월 10일 쌍 11일이 되면 징동 우렌지는 수티엔, 시안, 베이징 등 지역에서 동시에 운영 에 도입한다. 이것은 2016년 618 첫 스타트 이후 징동 우렌지가 앱 영역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음 을 볼 수 있다.
징동은 고객에게 양질의 직영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의 인정과 사랑 을 받고 있다. 이런 서비스는 징동의 공식 앱 디자인에서도 엿볼 수 있다. 징동 앱 디 자인은 직영 제품과 징동 물류 선택사항을 가장 중요한 위치에 배정하였다.
92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2] 징동 물류서비스 앱 디자인
이와 관련하여 징동 CEO 류치앙둥(劉強東)은 인터뷰에서 완전성을 기업 서비스 품질 제어의 핵심이라고 하였다.16) 이로부터 징동이 전체 사업 체인에서의 완전성을 매우 중요시함을 알 수 있다. 이것도 중국의 총체적인 사고방식의 표현이며 경영효과가 소비 자들의 인정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징동도 거대한 이익을 거두었다.
4.1.3. 메이투안 중국 최고의 인터넷 공동 구매 쇼핑몰 메이투안(美團)의 앱은 최소한 10개 이상의 공동 구매 종류와 서비스를 집합했다. 미식 메뉴 할인권, 조회와 영화티켓 예매, 호텔 예약, 오락 서비스, 배달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기차표 구입, 여행상품구매 및 서비스 등등 을 포함한다. 메이투안 온라인은 2010년 선보인 이래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여 최초의 공동구매 기능으로 오늘날까지 다양한 기능의 집합이 되었기에 메이투안의 여정은 앱 의 각종 기능을 끊임없이 집합하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메이투안과 유사하게 기능 의 통합 현상은 거의 모든 유명 앱 디자인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중국의 검색 엔진 사이트인 hao123(hao123.com)은 검색창 외 각종 웹 사이트 링크, 뉴스 추천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었다. 이러한 사이트의 환경은 중국 사용자들에게 매우 흔하며 대부 분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식이다. 이러한 통합은 중국 앱 디자인의 하나의 전형적인 특성인 셈이다.17)
[그림 3] 메이투안과 hao123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16) 劉濤, 「京東商城發展策略研究」, 天津大學, 2012 17) 李娜, 章玉台, 「“互聯網+”背景下餐飲團購的發展現狀及對策研究——以美團爲例」, 企業導報, 2016(10): pp.65-66
9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한편, 중국 인터넷 시장에서는 업종을 뛰어넘는 업무 조합이 형성되었는데 메이투안(美 團)과 택시 콜 서비스이다. 쇼핑과 주문배달을 핵심 산업으로 하는 메이투안(美團)이 차 예약 업무를 자기 업무 구조에 조합시켜 남경에서 실험 운행을 하였다. 이 앱은 메이투 안이 차 예약과 공동구매 핵심 외의 업무로 서로 관계가 없는 업무를 하나의 앱에 조합 시킴으로써 계에서 메이투안 핵심적 속성의 변화에 유익하다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4.1.4. 유쿠 유쿠는 2006년 6월 구융치앙(古永鏘)이 설립되어, 일일 방송양이 11억 8천만이 되는 두 개 비디오 플랫폼이다.18) 유쿠는 설립 초기에 유트브의 운영 전략을 모방하고, 사용 자 업로드를 핵심적 운영 개념으로 채택하고 개인적으로 업로드 한 비디오를 네트워크 플랫폼에 통합하면서 발전시켰다. 회사의 운영이 발전됨에 따라 강한 중심화 경향이 나 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TV 방송국 및 영화 회사와 전략적인 협의달성 외에 도, 자체 프로그램 경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자체 프로그램은 사이트가 계 획, 테마 선택, 촬영 및 후기 편집을 하는 칼럼으로 비디오 제작 분야에서 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의 경향은 중국의 비디오 웹 사이트에서 매우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중국영상은 약속이나 한 듯이 중심화 발전전략을 채택한 이 유는 중국의 총체적인 사고의 영향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영상기업은 영상자원의 중 심으로 하향적 질서로 콘텐츠를 보급한다.
[그림 4] 유쿠 인터페이스
유쿠와 같은 중심화 현상은 텐센트 비디오, 아이치이(愛奇藝) 등 대규모 비디오 사이트 를 포함하여 거의 모든 중국 비디오 사이트에서 나타났다. 이는 유튜브의 사용자 업로 드를 주요 콘텐츠로 사용하는 제작 방식과 달리 네트워크 질서에 대한 구성도 포함되 어 있다. 이런 환경의 성공적인 구성은 중국 총체적인 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8) 백도 백과사전, ‘유큐 앱', https://baike.baidu.com/item/%E4%BC%98%E9%85%B7%E7%BD%91/10727008 ?fr=aladdin,2018.4.5
94
Vol.2 No.1 February 2020
4.2. 중국의 앱디자인 완전성 분석 결과 중국의 인터넷은 나라에서 정부, 네트워크 경영자, 내용 제공자 및 사용자를 하나의 상 호 관련된 총체로 보고 상하관리 질서를 강조하며 정부로부터 감시하고, 운영자와 내용 제공자들이 자율과 사용자들이 공동 참여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중 국의 인터넷 환경은 매우 명확한 중앙 중심화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보이며 위에서 아 래로 순서 유지가 매우 엄격하다. 이에 따라 중국의 앱 디자인은 다른 나라에 비해 고 도의 통합성, 질서성 등의 특성이 드러난다. 즉 하나하나의 앱이 여러 가지 기능을 통 합하고 있으며,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소프트웨어일수록 마치 하나의 완전한 기능 클러 스터를 구축하며, 위에서 아래로의 질서성과 통합성을 주로 강조하는데, 이 근원은 중 국의 총체적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총제적 사고방식의 영향 으로 중국인은 영세한 분류를 하나의 전체로 집합시키는 것과 정보량이 크고 기능이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첫 번째 사례인 텐센트는 다양한 인테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리즈 제품 개발은 제품 사이의 협력, 상호 부축, 상호 촉진을 형성하여 회사의 전체 제품이 하나의 총체를 형 성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사례인 징동은 인터넷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영 물류를 통해 양질의 인터 넷 구매 체험을 완성하며 기업이 서비스에 대한 통제력을 중요시하고 기업 서비스의 완정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사례인 메이투안은 공동구매 및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능의 직접 도가 높은 최대한 많은 기능들을 하나의 앱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총체성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즉, 공동구매 서비스에서는 서로 큰 차이가 있는 업무의 조합으로 두 영 역의 업무를 조합하여 전체 기업의 업무 속성을 변화하였다. 네 번째 사례인 유쿠는 온라인 동영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영상 사이트를 주체로 영 상 컨텐츠의 제작홍보와 마케팅을 하며 중심화 경영을 지향함을 알 수 있었다. [표 3] 징동닷컴의 물류 서비스 총체적 사고방식
텐센트
징동
완전성
●
●
조합성 질서성
메이투안
유쿠
● ●
종합적으로 중국 앱 시장의 치열한 경쟁에서 기능 통합형 앱은 사용자를 더욱 쉽게 유 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여러 앱 사이에서 끊임없이 회전할 필요 없이 앱이 더욱 좋 은 점착성을 형성하여 많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 므로 중국인의 총체적 사고방식이 투영된 통합 디자인적 방식은 중국 사용자들의 보편 적인 환영을 받으며, 이를 인지하는 중국의 기업들은 완전성, 조합성, 질서성을 포함한 총체적 사고방식을 제품 및 서비스에 반영하여 하나의 완전한 총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9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 결론
중국의 총체적 사고방식은 장기적인 생산과 삶 속에서 중국인이 점차적으로 침전되어 형성된 하나의 사고방식으로, 본 연구는 중국의 총체적 사고방식과 중국 앱 디자인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의 앱 기업인 텐센트, 징동닷컴, 메이투안, 유쿠를 대상 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총체적 사고방식과 중국 앱 디자인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즉 앱 디자인의 각 측면에 총체적 사고방식의 특성인 완전성, 조합성, 질서성이 반영되었다. 시각적 인터페이스 정보구성, 사용자 관 계 조직에서 제품 수익 모델에 이르기까지 앱 디자인의 모든 측면에서 이러한 사고방 식의 특성이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총체적 사고방식이 앱 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 며, 이런 작용은 중국 앱 디자인이 특수한 매력과 디자인의 독특한 발상을 보여주고 있 음을 알게 한다. 이는 중국 디자인의 민족주의적인 표현이며, 이런 사고방식에 바탕을 둔 앱 제품도 중국 시장에서 보편적인 환영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인의 총체적 사고방식에 기반을 둔 디자인은 현대적인 디자인에서 민족성을 찾는 하나의 유효한 방 식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王思民, 『2016年中國手機發展現狀及影響因素分析』, [M], 前瞻産業研究院, 2016. 「中國手機APP行業深度調研及市場前景分析報告」[R], 中國産業調研網, 2016. 祝帥, 『中國文化與中國設計十講』[M], 中國電力出版社, 2008. 張美玲, 「中國傳統思維與邏輯思想」[J], 重慶理工大學學報(社會科學), 2007, 21(7): pp.33-35.
96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역사문화 관광지의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ign Design of Historical Culture Tourist Attractions
석우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Shi, Yu Chao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사인디자인, 사인시스템, 관광지 Keyword
Design of Sign, Sign System, Tourist Attraction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역사문화 관광지의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관광업은 많은 국가와 지역의 중요한 경제 소득의 원천이 되었입니다. 관광업은 날로 한 도시의 중요한 경제 소득 업종이 되어가고 있고 지역 경제의 발전에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하고 있다. 관광지의 중요한 공공시설인 사인시스템은 없어서는 안될 역할 을 하고 있다. 최근 싱성시의 관광업이 신속하게 발전하여 국내외 관광객들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닝원고성 관광지는 싱성시 관광업의 중요한 일환이다. 훌륭하고 효과적인 관 광 구역 사인시스템은 고성 관광구역의 관람 효율을 높이고 고성 관광지에서 관광객들 의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다. 고대 고성 안내 사인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완벽을 통해서 옛 고성로 하여금 더욱 좋은 개발 기회를 얻게 하다. 이곳을 찾은 사람들이 역사와 문화에 대해 더 잘 알게 해 준다 고 말했다. 현지 관광업의 발전을 이끌 수도 있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중국 국가 관광국에서 발표한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중국 역사 문화 관광구역에서 관광객 수가 800만명을 초과한 역사 문화 관광지를 선택한 다음, 범위를 중국 관광 지역에서 대표적 지역인 랴오닝과 윈난 이 두 도시로 축소시켰다. 관광지 규모, 환경 및 건축 연대의 흡사도를 통해 랴오닝성 닝원고성 관광지, 랴오닝 심양고궁 관광지, 윈난 리강고성 관광지 및 관도고진 관광지를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 로 정하였다. 첫째, 4개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둘째, 조사결과를 분석한 후 닝원고성 관광지 사인시스템의 6가지 요소를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 설문 조사를 기획하였다. 델파이 조사법을 활용, 총 3차례에 걸친 조사를 진행한 후 최종적으로 닝원고성 관광지 사인시스템의 방안을 도출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사인의 개념 사인시스템은 환경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연결시킨 정보 인터페이스 시스템이다. 사인 시스템은 이미 현대의 상업 장소와 공공시설, 도시 교통, 커뮤니티 등 공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고, 사인디자인은 더 이상 고립된 개별 디자인 또는 간단한 표지판이 아닌 브랜드 이미지와 건축 경관, 교통 포인트, 정보 기능 심지어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통합 시킨 체계적 디자인이다.
98
Vol.2 No.1 February 2020
2.2. 사인의 기능 관광지의 관람 사인 시스템은 완전한 안내와 식별 기능을 지닌 환경 지시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적 전달 방식 즉 문자, 화살표, 픽토그램, 표기, 색채, 영상 등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여 관광객들에게 관광 목적지의 위치, 방향, 도로, 공간, 인문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다.
2.3. 사인의 시각요소 사인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중요한 기구이다. 따라서 사인의 시각요소 또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요소에는 문자와 그래픽요소들이 포함되는데, 이를 세부적 으로 분류하면 문자, 화살표, 픽토그램, 레이아웃, 색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3. 관광지 사인시스템의 설문조사
리장고성 사인시스템
관도고진 사인시스템
심양고궁 사인시스템
닝원고성 사인시스템 [그림 1] 관광지 사인시스템의 현황
3.1. 설문조사 목적 이번 설문조사는 중국 랴오녕성과 윈난성의 관광객 수량이 800만 명을 넘는 역사 문화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사인시스템의 각 시각적 요소에 대한 문제 제기를 통해 각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이 포함하고 있는 시각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현재 역사 문화류 관광지의 사인시스템 현황을 파악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닝원고성 관광지의 사인 디자인 수정 방안에 대한 참고 자료 로 제공하였다.
9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 조사 결과를 통해 관도고진의 관광지 사인시스템이 각 요소 면에서 가장 뛰어났고 각 항목의 점수 평가에서 훌륭한 수준에 이르렀다. 리장고성의 관광지 사인시스템은 문자 와 구도 면에서 비교적 훌륭했고 사인디자인과 지역 이미지 결합이 조화로웠다. 심양고 궁의 관광지 사인시스템은 픽토그램의 디자인과 정보 전달 면에서 매우 뛰어났다. 첫째, 관광지의 사인디자인은 문자의 정보 전달 기능을 중요시해야 하고, 정확한 문자 정보는 사인시스템의 사용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외국 관광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관광지의 사인디자인은 보다 많은 외국어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보다 많은 국가의 관광객들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관광지의 사인시스 템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사인시스템의 주요 색상을 보조색 및 글씨체 색깔과 매치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뚜렷하게 사인시스템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사인시스템의 픽토그램은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픽 토그램 은 사인시스템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에서 문자, 픽토그램, 화살표 등 요소의 구도 배치가 조화 를 이루어야 한다. 훌륭한 구도 배치는 사인시스템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할 수 있다. 여섯째, 사인시스템은 화살표, 픽토그램 및 컬러 매치의 디자인 감을 중요시해야 한다. 사인디자인은 해당 국가와 도시의 이미지와 잘 접목시켜야 한다.
4. 결론
중국 남북 방 3개 역사 문화 관광지 사인시스템을 조사해본 결과, 아래 부분은 닝원고 성 관광지 사인시스템에 적용해볼 만 한 가치가 있다: 첫째, 리장고성 관광지와 관도고진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은 외국어 정보 면에서 매우 훌 륭하다. 사인시스템은 중국어와 영어는 물론 한국어와 일본어 정보까지 제공하였다. 닝 원고성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은 보다 많은 외국어 정보를 추가하여 비영어권 국가의 관 광객들이 보다 쉽게 사인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관도고진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은 화살표 디자인이 매우 훌륭하고 화살표의 명확 성도 매우 뛰어나다. 닝원고성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은 화살표 디자인 부분에서 미흡하 여 추후에 보다 뛰어난 디자인을 채택하여 관광객들이 사인시스템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관도고진 관광지 사인시스템의 주조색과 보조색의 조합에 사인시스템의 명확성 을 추가 하였다. 닝원고성 관광구의 사인시스템은 주조색과 보조색의 대비도를 높일 수 있고, 보다 훌륭한 색깔 조합을 진행하여 사인시스템이 전달하는 정보가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사인시스템의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관도고진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은 픽도그램의 정보 전달과 디자인 면에서 매우 훌 륭하여 관광객들의 편리성을 고안하였다. 닝원고성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에는 픽토그램 이 부족하여 관광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명확하게 표시하지 못하였으므로 개선이 필요 하다. 아울러 닝원고성 관광지의 사인시스템에 픽토그램의 디자인 감각을 강화해야할 필요가 있다.
100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전통 경극에서 검보(臉譜)의 특징 연구 - ‘삼국지연의(三國演義)’속 ‘차동풍(借東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attern of the make-up of Characters in Romance - Three Kingdoms of Peking Opera Focus on ‘Jie Dong Feng’ -
장 단,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검보, 상국지연의, 경극캐릭터 Zhang, D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pattern of the make-up,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peking opera character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전통 경극에서 검보(臉譜)의 특징 연구 1. 서론
중국에서는 전통연극과 현대 연극을 통틀어 희극(戱劇)이라 한다. 희극의 하위 장르는 희곡(戱曲)과 곡예(曲藝)가 있고, 희곡은 노래 위주로 일정한 규모의 극적 형식을 갖춘 연극을 말하는데 중국 전통극을 특정해 일컫는 말이다. 이 표현은 근대 이래로 중국 전 통극의 문화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중국의 전통극은 종류가 300가지가 넘을 뿐만 아니라 양식의 다양성에서도 세계 최고를 자랑하지만 주로 민간 가무(歌舞,노래와 춤), 설창(说唱, 운문과 산문으로 꾸며져 있는 민간 문예로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함), 골계희(滑稽戱,상하이(上海)·장쑤(江苏)·저장(浙江) 일부 지역에서 유행한 희극)라 는 세 가지의 장르를 종합해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베이징오페라(Peking Opera)라는 이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경극(京劇)은 곤 극(崑劇, 난방을 대표하는 지방극), 천극(川劇, 쓰촨(四川)지역을 대표하는 전통 지방극), 월극(越劇, 여성 배우들이 공연하는 지방극)과 함께 중국 4대 지방극이다. 공연예술이면서 시각예술로까지 일컬어지는 경극은 관람자에게 등장인물의 성격을 직 접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얼굴 분장을 하였는데, 이 분장은 경극에서 배역의 성격을 표 현하는 중요 수단으로 일정한 격식에 따라 그려진다. 이 격식을 검보(臉譜)라고 하는데 경극의 검보는 중국 민간 예술의 색채 사용법과 패턴의 과장된 변형 기법을 적용하여 인물의 선악과 같은 등장인물 성격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인물의 성격을 암시함으로 써 관객이 캐릭터를 칭찬하거나 비판하면서 극의 내용에 몰입하여 관람할 수 있게 한 다.2) 이렇듯 경극은 중국문화의 결정체로 고전 희곡의 대표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검 보는 경극의 구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때로는 중국의 상징 이미지가 되기도 한다. ‘삼국지연의(三國演義)’는 중국 고전 4대 명작 중 하나로 경극의 무대뿐만 아니라 드라 마나 영화로도 애용되는 이야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지연의 중 ‘차동풍(借東風)’ 장 면을 사례로 검보의 시각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검보의 시각적 특징을 분석함으로 써 중국을 상징하는 시각적 정체성을 추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고전문헌 에서부터 최근 발표된 전문서적과 연구논문까지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경극 검보의 개 념과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해한다. 둘째, ‘삼국지연의’ 중 ‘차동풍’ 속 인물의 검보를 시각적으로 분석한다.
1) 리샤오추(李小球), 천광중(陈光中), 『고등학교 학생 어문학 시험 필수용 책 제6차 개정(高中语文学考必备用书 第6次修 订)』, 호남대학교 출판사, 2011.08, p.236 2) 궈사오이(郭绍义), 천웨(陈越), 「경극 검보 원소의 당대 시각전달 디자인에 관한 응용연구」, 『Design』, 중국공업설계 학회, 2015, Vol.15, pp.127-128
102
Vol.2 No.1 February 2020
2. 검보의 이해
2.1. 검보의 특징 검보는 색과 패턴을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직접적으로 알려준다. 무대 위 인 물들의 이미지를 분명하게 보여주며, 관객들은 더 이상 추측이나 추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경극의 검보는 중국 문화의 특색을 살린 특수한 분장으로 공연 시 사실적인 표현과 상 징이 결 합된 예술적 과장을 통해 인물의 면모를 선명하게 표현한다. 예를 들어, 행당 (行当, 희곡에 있어서 배우들의 배역 종류)에 따라 검보의 모습이 다르다. 행당은 크게 생(生), 단(旦), 정(凈), 축(丑)의 네 종류가 있으며 희곡 속 검보는 주로 ‘정각(淨角, 성 격이 거칠거나 강직한 남자 배역)’의 얼굴 그림을 가리키는데, 정각과 축각(醜角, 희극 배우 중의 어릿광대)의 얼굴 그림은 복잡하다. 특히 ‘정각’은 검보의 내용이 풍부하고 패턴이 복잡해 ‘화롄(花臉, 얼굴을 여러 가지 물감으로 분장한 배역)’이라고 부른다. ‘축 각‘은 콧등에 흰색을 살짝 발라 속칭 ‘샤오화롄(小花臉, 희곡 중의 어릿광대 역)’이라고 부른다. ‘생각(生角, 전통극의 남자 배역)’, ‘단각(旦角, 전통극의 여자 배역)‘은 화장이 간단하고 분장이 과하지 않아 ‘쑤몐(素面, 분장하지 않은 얼굴)’이라고 한다. 또한 생각 (生角)은 홍생(紅生, 전통극에서 얼굴을 붉게 분장하는 남자 배역)과 몇몇 무생(武生,중 국 전통극의 남자 무사 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분장을 하지 않는다. 이는 등장인물의 성격을 감추기 위해 검보를 그리지 않으며 그린다고 하더라도 분장이 대체로 같은 것 이 특징이다. ‘단각(旦角)‘의 경우에도 그 배역을 맡은 배우들 모두 비슷하게 그린다. 이 에 따라 ‘생각(生角)‘과 ‘단각(旦角)‘의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나이는 주로 연기나 의상 등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검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 번째는 설명성이다. 검보의 설명성은 각 캐릭터의 피부색과 얼굴 패턴을 직접 알려 주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는 상징성이다. 검보의 상징성은 두 가지로 나누는데, 그 하 나는 색으로 인물의 기본 성격을 상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작은 패턴이나 기호를 그려 인물을 상징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성격성이다. 성격성은 검보의 분류 및 패턴에 서 인물의 내면적인 성격, 신분 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네 번째는 평가성이다. 관객들 은 검보를 통해 등장인물의 정의로움, 사악함, 선량함, 충성심, 교활함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다섯 번째는 상형성이다. 동식물을 요정, 요괴의 얼굴 등에 표시해 이들이 자연 계의 존재임을 관람자들이 확실히 알게 한다.3)
2.2. 검보를 그리는 법 경극 배우들의 분장은 크게 기초분장과 색조분장으로 나뉜다. 기초분장은 ‘흰 얼굴’ 또 는 연지화장‘이라고 부른다. 먹으로 눈 화장을 하고 연지로 얼굴을 발라 간단한 화장으 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생과 단 역의 배우들이 많이 하며, 분장 순서도 비교적 간단하다. 색조 분장은 검보를 그리는 것이다. 검보를 그리는 기법은 기 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 러우롄(揉臉)은 배우가 손으로 색을 찍어 얼굴에 골고루 문지르는 것을 말한다. 또 이목구비의 선과 결을 흑백으로 그 려 인물의 이미지와 표정을 부각시킨다. 두 번째, 모롄(抹臉)은 먼저 흰색을 얼굴에 바 른 뒤 검은 회색 양색으로 눈썹과 눈, 얼굴 근육의 결을 그리는 것을 말한다. 세 번째,
3) 위의 책, pp.23-24
10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얼거우롄(勾臉)은 배우가 흰색으로 얼굴의 이목구비 위치를 그려주고, 뇌문 등 다양한 문양을 그려 넣은 뒤 여백에 주요 색을 채우는 것을 말한다. 러우롄이나 모롄이 아닌 정각의 얼굴은 모두 얼거우롄이다.4) 네 번째, 푸어(破)는 러우렌, 모렌, 얼거우렌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얼굴의 좌우를 다르게 그리는 분장법이다. 이것은 부정적인 인물을 그려내는데 적합한 분장이다. 이와 같이 검보의 분장법은 배역의 성격에 맞게 정해지므 로 어떻게 분장했는가에 따라 관객은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3. ‘삼국지연의
‘삼국지(三國志)’는 진(晋)나라 학자 진수(陳壽)가 기전체(紀傳體)로 쓴 위(魏)·촉(楚)·오 (吳) 3국 간의 정사(正史)이고 ‘삼국지연의’는 원나라 때 소설가 나관중(羅貫中)이 ‘삼국
(三國演義)’
지’를 바탕으로 쓴 소설책이다. 이 ‘삼국지연의’는 중국 고전 4대 명작 중 하나이자 장
‘차동풍
회체 (장편 소설 체제의 하나로 전편을 여러 회로 나누어 서술하며, 매 회마다 제목이
(借東風)’의
붙어 있음)의 역사연의 소설이다. 중국 삼국시대(동한말~서진초)를 모티브로 했으며 군
검보 분석
웅할거(群英割據,여러 영웅이 각기 한 지방씩 차지하고 위세를 부림)의 난세에 위·촉·오 3국 간의 정치군사적 투쟁을 영웅을 중심으로 요약적으로 묘사했다. 그 중 ‘차동풍(借 東風)’은 ‘적벽대전(赤壁之战)’의 중요한 전제가 되는 장면으로 ‘동풍을 부른다’라는 뜻 을 가진다.
3.1. ‘차동풍’의 내용과 인물의 성격 차동풍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오차오(曹操,조조)는 오나라를 토벌하기 위해 장강 위에 진을 쳤다. 팡퉁(龐 統)은 ‘연환계(차례차례 교묘하게 짠 계책)’를 통해 조 조가 선박을 서로 고정하도록 유도했다. 문제는 겨울 엔 동풍이 불지 않아 불기운을 조조의 선단으로 돌리 기 어려웠다는 것이었다. 오나라 군의 지휘관 주유(周
[그림 2] 차오차오(曹操)
[그림 3] 황가이(黃蓋)
[그림 4] 쉬성(徐盛)
[그림 5] 서우타이퉁쯔 (守台童子) 출처:『바이시쳰푸 (百戲千譜)』
瑜)는 이 문제를 걱정하다가 병이 났다. 이에 주거량 (諸葛亮, 제갈량)은 갑자일(甲子日, 간지역법이라 불리 는 중국의 전통 날짜를 기록하는 방법)에 반드시 동풍 이 불 것이라고 확신하고 병문안 기회를 빌어 주유에 게 자신이 동풍을 일으키겠다고 간언하였다. 주유가 남병산(南屏山)에 제단을 쌓고 주거량이 법을 행하자 동풍이 과연 예정대로 찾아왔다. 주유는 주거량의 재 능을 질투해 서성을 보내 주거량을 암살하려 했으나 일찌감치 이를 눈치채고 도피할 준비를 한 주거량은 조운의 도움을 받아 샤커우(夏口, 옛 마을의 이름)로 돌아왔다.”5) 등장인물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차오차오(曹操, 조조)는 위나라 황제로 천성적으로 의 심이 많고, 악랄하고 잔인하다. 그리고 매우 간사하는 사람이다. 황가이(黃蓋, 황개)는 오나라의 명장으로 용맹스럽고 싸움을 잘하며, 충성심이 강하여 늙어도 기력이 왕성하
4) 톈유량(田有亮), 『바이시쳰푸(百戲千譜)』, 중국 서점 출판사, 2012.10, p.29 5) 百度知道(https://zhidao.baidu.com/)
104
Vol.2 No.1 February 2020
다. 쉬성(徐盛, 서성)은 오나라의 명장으로 지용을 겸비하고 배짱도 있고 지혜도 있는 사람이다. 서우타이퉁쯔(守台童子, 수대 동자)는 겁이 많고 일을 두려워하며 잔꾀를 부 리는 사람이다. 주거량(諸葛亮, 제갈량)은 병법에 정통하고 계략에 능한 사람이다. 자오 윈(趙雲, 조운)은 충직하고, 신용을 지키며 정이 깊고 의리를 지키는 사람이다.
[그림 1] 경극 ‘삼국지연의(三國演義) 중 차동풍(借東風)’에 등장하는 인물 (왼쪽으로부터 차오차오, 황가이, 쉬성, 서우타이퉁쯔, 주거량, 자오윈) 출처:www.bilibili.com
3.2. ‘삼국지연의(三國演義)’ 중 ‘차동풍(借東風)’의 검보 분석 차동풍에는 차오차오, 황가이, 쉬성, 서우타이퉁쯔, 주거량, 자오윈 총 6명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식(검보의 양식) 얼굴색, 이마, 눈썹, 눈, 코와 같이 얼굴의 특징적인 주요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표 1] 인물 검보의 분석 유형
캐릭터
차오차오 (曹操, 조조)
보식(검보 양식)
얼굴색
이마
눈썹
류펀롄(六分臉 이마와 얼굴을 4:6으로 나누는 양식)
적색 (紅色)
눈썹을 이마까지 확대
흰색 (白色)
쉬성 (徐盛, 서성)
위안바오롄(元寶臉 배우 본인의 피부색을 유지하거나, 러우롄이나 얼거우롄으로 빨간색을 칠하고, 볼은 하얗게 칠하는 양식)
즈메이 붉은색 이마 (紅色的脑门) (直眉, 삼각뿔,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모양)
자오윈 (趙雲, 조운)
뎬메이 배우 (點眉, 눈썹 본인의 눈매 중간에 검은 점) (原本的眼形)
배우 본인의 코 (原本的鼻形)
냐오옌워 (鸟眼窝, 새둥지 같은 문양)
검은 코구멍 (黑鼻孔)
수백색 (水白色)
배우 본인의 이마 (原本的额头)
바쯔메이 (八字眉, ‘八’자 모양)
처진 눈매 (下垂的眼睛)
검은 코구멍 (黑鼻孔)
쑤몐(素面, 피부 본연의 색의 양식)
배우 본인의 피부색 (原本的膚色)
화라쳰 (化蜡扦 붉은색 이마)
번메이 (本眉, 배우 본인의 눈썹)
배우 본인의 눈매 (原本的眼形)
배우 본인의 코 (原本的鼻形)
쑤몐(素面, 피부 본연의 색의 양식)
배우 본인의 피부색 (原本的膚色)
인슝쳰(英雄扦 화라쳰의 다른 이름)
배우 번메이(本眉 늘씬한 아이라인 본인의 코 배우 본인의 (高挑的眼线) (原本的鼻形) 눈썹)
어릿 서우타이퉁쯔 원처우롄(文丑臉, 광대 (守台童子 얼굴이 두부와 같은 양식) (丑角) 수대동자)
생각 (生角)
코
나오먼원 헤이메이(黑眉 졘옌워(奸眼窩 만비(滿鼻 윗 정롄(整臉, 수백색(水白色, 피부색을 과장하기 위해 음흉하고 교활한 (腦門紋, 검은색 눈썹) 역할이 음험할 입술과 코 얼굴에 전체적으로 수록 눈이 성격의 사람들에 칼 문양) 혹은 사이의 여백을 한 가지 색을 사용) 더 가늘어짐) 사용하는 색) 셰푸원(斜蝠紋 진한색으로 박쥐 문양) / 모롄(抹臉) 칠함)
황가이 정각 (黃蓋, 황개) (淨角)
주거량 (諸葛亮, 제갈량)
눈
10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차오차오(조조) 검보의 얼굴색은 수백색으로, 차오차오의 간사한 성격을 나타내며 정롄 (整臉)은 그의 능글맞은 성격을 잘 드러낸다. 잔주름은 차오차오가 자주 눈을 가늘게 뜬다는 점을 강조한 것인데, 그가 꾀가 많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마의 도형은 칼이다. 그가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이다. 눈썹과 콧구멍 모 두 검은색이며 같은 색의 가짜 수염을 하고 있다. 황가이(황개)의 검보는 전형적인 류 펀롄(六分臉)으로 눈썹 아래는 적색, 위는 흰색이고 눈썹 부분에 검은 점(點眉)이 있다. 적색의 꼿꼿한 콧대도 특징적이며 나이가 들어 보이도록 외모를 그렸다. 충직한 성격도 드러나며 나이가 많은 인물이기 때문에 하얀 가짜 수염을 가지고 있다. 쉬성(서성)의 검보는 전형적인 위안바오롄(元寶臉)으로, 꼿꼿한 눈썹은 서성이 겉으로는 강한 척하지 만 속으로는 나약한 성격을 드러냈다. 검은색 눈썹과 콧구멍, 가짜 수염을 하고 있다. 서우타이퉁쯔(수대동자)의 검보는 어릿광대 얼굴로 팔자 모양의 눈썹을 통해 연약하고 담이 작은 그의 성격을 표현했다. 주거량(제갈량)의 검보는 주거량이 노생(老生, 중년 이상 남자로 분장하는 배우)이기 때문에 이마에 붉은색을 발라(化蜡扦) 비교적 둥글고 온화한 모양을 하고 있다. 자오윈 검보는 무생(武生, 남자 무사 역)이기 때문에 이마에 인슝쳰(英雄扦, 화라쳰의 다른 이름)을 하나 가지고 있다. 모양이 비교적 날카롭고 색이 진하다. 늘씬한 눈썹은 그가 용맹스럽고 싸움을 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주거량과 자 오윈은 모두 생각(生角)이어서 검보를 그리지 않는다.
4. 결론
본 연구는 경극 ‘삼국지연의’ 중 ‘차동풍’의 등장인물 검보를 보식, 얼굴색, 이마, 눈썹, 눈, 코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과 나이를 판단할 수 있었다. 더불어 색과 문양에 따라 다른 의미를 표현하고, 다양한 형식을 통해 인물의 전체적인 특성을 표현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보를 이해함으로서 완전한 공연을 보지 않아도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검보의 특징을 분석ㆍ정리함으로써 검보의 시각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전통적인 것을 현대 화하는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후 다양한 검보의 조형적 특징 및 색을 분석하여 중국의 정체성을 보유하는 현대화 디자인의 방 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송철규, 『경극』, 살림, 2004 리샤오추(李小球), 천광중(陈光中), 『고등학교 학생 어문학 시험 필수용 책 제6차 개정 (高中语文学考必备用书 第6次修订)』, 호남대학교 출판사, 2011 궈사오이(郭绍义), 천웨(陈越), 「경극 검보 원소의 당대 시각전달 디자인에 관한 응용연 구」, 『Design』 Vol.15, 중국공업설계학회, 2015, 톈유량(田有亮), 『쳰시바이푸(千戏百谱)』, 중국 서점 출판사, 2012 https://baike.baidu.com/item/‘三國演義’ https://zhidao.baidu.com/‘借東風’
106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전통 장난감의 리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hinese Traditional Toy Redesign
황쯔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경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uang, Zi Le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oh, Kyeong Uk(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중국, 전통 장난감, 리디자인 Keyword
Chinese, Traditional Toys, Redesig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전통 장난감의 리디자인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견에 의하면 지금으로부터 약 만년 이전의 신석기 시대부터 원시 장난감이 있었다. 전 통 장난감은 현대의 대규모 장난감 생산과는 달리 주로 거리와 골목에서 볼 수 있고 제 작자들도 보통 장인이나 가정주부였으며 스승이 제자에게 전수하는 방식으로 대대로 전해져 창조성이 강하고 개인의 취향이 매우 짙다.1) 하지만 시대의 발전과 변화에 따 라 각양각색의 새로운 장난감이 등장하였고 전통 장난감이 점차 장난감 주류 시장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새로운 제품들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왔고 중국 전통 장난감의 변하지 않는 형식은 더 이상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지 못했다. 전통 장난감을 승계하고 발전시 키는 것은 단순히 전통 장난감의 발전이 아닌 민족 역사와 전통, 민족 문화와 민족정신 에 대한 인정, 승계 및 발전이다. 중국의 전통 장난감은 많은 중국인들에게 아름다운 추억을 남겨주었고, 업그레이드 디자인을 통해 이 장난감들이 대대로 전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표 1] 논문 구조
중국 전통 장난감 행심 요소
1
특징 분석
2
분류 방식
3
중심문화 분석
4
리디자인의 의미
5
리디자인 방향
6
결론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문은 문헌 조사와 사례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검색한 문헌 범위는 중국 전통 장난 감의 속성에 대해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였고, 전통 장난감 창조 사상의 승계와 발전각 도에서 연구하였다. 문화는 연결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중국 전통 문화의 요소는 반 드시 중국 전통 장난감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마련이다. 다음 검색한 문헌들에 대해정 리와 분석, 요약을 진행하여 사례로 설명한다.
2. 중국 전통 장난감의미와 분석
2.1. 중국 전통 장난감의 특징 분석 중국 전통 장난감은 대부분 게임, 노동 등 활동에서 기원하였고, 백성들의 삶의 구현이 다. 때문에 나타날 때부터 각종 전통과 사회의 문화 요소의 영향을 받았다. 중국 고대 봉건 사회의 생산 방식은 자급자족의 경제 형식이기 때문에 중국 전통 장난감은 대부 1) 張園園. 傳統遊戲(非物質文化遺產) 現實空間的保護和利用研究[D]. 西安建築科技大學, 2008.
108
Vol.2 No.1 February 2020
분 가정에서 제작되었고 비 산업화 시대에 제작되었던 제품이다. 중국 전통 게임은 다 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1) 전통 소재의 사용, 전통 장난감은 여건의 제약으로 인해 제작할 때 현지에서 소재를 취하고 목재와 대나무와 같은 비교적 원시적인 재료들을 선택한다; (2) 제작이 간단하다. 전통 장난감 대부분은 수작업으로 제작되고 제품의 조 형이 심플 하다. (3) 원가가 저렴하다. 값싼 원재료를 선택하고 제작에 들인 시간이 짧 다. (4) 생산량이 적다. 수작업 제작 능력의 한계로 인해 대량 생산이 불가능 하다.
[그림 3] 공명쇄 (孔明鎖)
2.2. 중국 전통 장난감의 분류 방식 연구 방향에 따라 중국 전통 장난감에도 다양한 분류 방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뤼 인 티엔은 전통 장난감의 다양한 기능에 따라 오락, 지능 발달 및 심미 장난감으로 구 분하였다.2) 장난감이 이용 대상에 따라 유아용 장난감, 소아용 장난감, 성인 장난감과 노인 장난감으로 나뉜다.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분류 방식은 장난감의 기능 또는 제 작 소재 이 두 가지 면에서 요약하였다. 본문은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분류 방식을 활용하여 장난감의 기능에 대하여 요약을 진행하였다. [표 2] 중국 전통 장난감의 기능별 분류 분석
1
축제의 시기적절한 장난감 지정, 시간성
축제 장난감 꽃등, 폭죽 등
2
장식 장난감
주로보기위한 장난감, 표현성 토인, 목조 등
3
소리를 내는 장난감, 오락성, 자극성
오디오 장난감 헤매북, 대나무 휘파람 등
4
두뇌 장난감
지혜를 깨우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논리적 칠교판, 동물 체스 등
2) 呂品田, [M]中國民間美術全集·遊藝篇·玩家卷, 山東:山東教育出版社, 1993
10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
피트니스 장난감
주로야외활동, 단체성 연, 점핑 케이블 등
6
실용적인 장난감
삶의 기능이 있는 장난감, 실용성 호랑이 모자, 부풀어 오르는 설탕 등
2.3. 중국 전통 장난감의 중심문화 분석 중국 유가의 대표적 작품인 <대학>에서는“수신, 제가, 입국(자신을 배양하여 나라를 다 스리고 나라를 다스린다)”이라 기록하였다. 여기서 “수신”은 믿음과 신뢰, 타인을 도움, 공정과 공평, 예의와 겸손 등과 같은 개인의 도덕을 강조하였다. 중국 전통 장난감은 모두 “수신”의 의미를 충분히 나타내어 게임의 공정과 형평성, 게임 속에서 해야할 협 력과 존중해야 한다. 예를 들어, 두뇌 장난감-동물체스, 게임의 인터랙티브는 사람들로 하여금 파트너와 좋은 인간관계를 맺기 쉽게 해준다. 즐겁게 가르치는 기능을 강조하였 고, 역사 중국 사람들의 인생 태도, 감정 방식, 가치관 등 깊은 차원에서의 전통 문화를 승계하였다.
2.4. 중국 전통 장난감을 리디자인하는 의미 중국 전통 장난감의 판매 시장은 비교적 좁아 주로 관광 기념품가게나 잡화 시장 또는 중고 시장에서 판매한다. 비록 중국 전통장난감은 자기만의 독특한 문화 강점이 있지만 현대 사회에서 생존하고 발전을 이루며 장난감 시장에서 일정한 지분을 차지하려면 시 대의 흐름에 적응해야 한다. 중국 전통 장난감에 대한 깊은 연구는 중국 장난감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 중국 전통 장난감의 민족화와 현대화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3. 중국 전통
중국 전통 장난감은 생산력이 현재와 비교할 수없었던 시대에 탄생되었고, 전통 장난감 의 디자인, 소재, 형태는 당시 디자인 환경의 제약을 받았다.3) 첫째, 생산 소재와 형태,
장난감의
색깔 부분에서 전통 장난감에 대해 리디자인을 진행하는 것은 가장 직접적인 디자인
현대화를 위한
방법이다. 예를 들면 뛰어난 품질의 재료를 사용하고 정교한 디자인과 기술솜씨가 뛰어
기본 개념
나 장식품과 예술품으로 제작하면 중국 전통 장난감이 수집가들의 수집 대상이 될 수 도 있다. 다음은 장난감의 소재이다. 전통 장난감 요소와 현대 장난감 요소를 결합하여 참신한 디자인을 구상한다. 예를 들면 일본의 디자이너들은 중국의 전통 삼국 인형 이 미지를 참고하여 조립 시리즈 삼국 건프라건담 모형을 디자인하였는데,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자마자 큰 성공을 거두었다.4) 셋째, 장난감의 안정성은 전통 장난감의 업그레이 드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중국 전통 장난감은 안전성 면에 3) 張君麗, 全球化語境下的中國傳統玩具再設計[J]. 科技管理研究, 2010, 30(22):127-129. 4) 劉雪飛, 包海默, 袁慶慶, 葛桂波. 從中國傳統民間玩具談當前中國的玩具設計[J]. 大連民族學院學報, 2010, 12(05):456-459.
110
Vol.2 No.1 February 2020
모서리 또는 날카로운 변두리 등과 같은 안전 위험이 있다. 위의 세 가지 요소를 결합 한 연구를 보다 깊이 진행하고 중국의 다양한 전통 장난감 문화 자원을 깊이 발굴 및 개발하며 이를 현대의 과학기술 문화와 접목 시 켜야 중국 특색을 지닐 뿐만 아니라 시 대적 수요에 부합되는 장난감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림 2] 미니 건담 세트 속의 관우
4. 결론
전통 장난감은 민족이 감정을 소통하는 다리이고, 민족의 것이 세계의 것인 것처럼 이 와 같은 전승은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통해 전통을 계속해서 이어나가야 한다. 발전 과 정에서 독특한 중국 특색과 민족 문화를 계승하고 또 시대의 모습은 남겨두어 진정한 중국 브랜드 장난감이 되게 하여 사람들의 성장과 함께하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張園園, 傳統遊戲(非物質文化遺產) 現實空間的保護和利用研究[D]. 西安建築科技大學, 2008. 呂品田, [M]中國民間美術全集·遊藝篇·玩家卷, 山東:山東教育出版社, 1993 張君麗, 全球化語境下的中國傳統玩具再設計[J]. 科技管理研究, 2010, 30(22):127-129. 劉雪飛, 包海默, 袁慶慶, 葛桂波. 從中國傳統民間玩具談當前中國的玩具設計[J]. 大連民族學 院學報, 2010, 12(05):456-459. https://baike.baidu.com/item/%E4%BC%A0%E7%BB%9F%E6%B8%B8%E6%88%8 F%E9%A1%B9%E7%9B%AE/1647208?fr=aladdin
11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전통브랜드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연구 Research on innovat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brands
성홍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Sheng, Hong Y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중국 전통브랜드, 브랜드 발전, 창의력, 활성화 Keyword
Chang, Ju Young(Corresponding author)_
Chinese traditional brands, brand development,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innovation, Activation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전통브랜드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중국 전통브랜드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청, 명대에 설립되어, 이미 백 년의 역사를 보유한 경우가 많다. 중국 전통브랜드에는 대대로 전해온 독특한 제품과 기술, 풍부한 전통문화, 역사적 배경과 전설이 있다. 중국 전통브랜드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 요한 구성부분이다. 중국 상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 ‘중국 전통브랜드’로 인정받은 기업은 총 1128 개에 이른다.1) 주로 베이징, 상하이, 난징, 항저우, 텐진, 시안, 청두 등 역사와 문화로 잘 알려진 도시에 분포하며, 뚜렷한 지역문화성을 나타다. 그러나 중국 전통브랜드로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기업은 그 중 10%에 그치며, 대 부분의 전통브랜드는 발전이 저조하거나 파산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전통브랜드는 주로 혁신적인 발전 면에서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인터넷과 디지 털 경제시대를 맞아 새로운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전통브랜드도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 알리연구원이 베이징 대학과 공동으로 연구하여 완성한 <중국 전통브랜드 발전지수>2)연구 보고서 중 전통브랜드의 시장 점유율, 창의력, 인지도, 사 회적 명성, 충성도 등 5개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브랜드 창의력’에서 상위 6위 안에 든 우수 전통브랜드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전통브랜드 발 전을 위한 창의력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가 다른 전통브랜드의 활성화에도 참고 가 되기를 바란다.
1.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주로 문헌정리법과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각종 관련 서적, 논문 간행물, 보고서 등 문헌자료와 영상자료 중 관련 정보와 연구성과를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중국 전통브랜드의 브랜드창의력 부문에서 상위 6위 안에 든 우수 브랜드에 대해 사례분석법을 이용해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이론 연구에 근거와 논거를 제공하였다. 마지막 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중국 전통브랜드 활성화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중국 전통브랜드 (中华老字号)
2.1. 중국 전통브랜드의 개념 중화전통브랜드라 불릴 수 있는 기업은 대체로 명나라 청나라 두 시기나 1949년 건국 이전에 창립된 기업을 말한다. 업종의 분포는 주로 공상업, 수공업, 요식업, 민간예술 및 문화예술분야에 포함되었다. 중국상무부(中国商务部)에서 반포한 <전통브랜드 인정
1) 2018년 9월 27일 발표, 상하이 상무부가 지도하고 알리 연구원과 베이징대 광화관리학원 왕예(王锐) 교수가 공동으 로 완성했다. 2) ibid
11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규범 의견 수렴고> 中华老字号认定规范征求意见에서는 “중화전통브랜드”(中华老字号)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첫째 중화민족의 문화적 창조력과 가치를 보여주고 선명한 중화민족전통의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브랜드. 둘째 세대에 걸쳐 계승되고 있는 독특한 기술(기법, 비법)을 바탕으로을 경영을 고수 하는 브랜드. 셋째 사회적으로 광범 위하게 인정받고 있으며 양호한 평판을 받고 있는 브랜드로 규정하고 있다. 해당 규범 에서는 세 개의 “중화전통브랜드” 인정조건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업부문에서 정식으로 등기해야한다. 둘째 민족적 특색을 갖추어야 하며 선명한 지역적 문화특징을 갖고 있어 야 한다. 셋째 비교적 높은 상업적 가치와 문화 가치를 갖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좋은 평판을 받는 신용 있는 기업이어야 한다.3)
2.2. 중국 전통브랜드의 특징 전통브랜드는 서비스업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작용은 소비자들이 전통 브랜드에 대한 평가에서 비롯한다. 전통브랜드는 물질문명의 함축이라 할 수도 있고 정 신문명의 계승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는 중국서비스업의 대표들이라 할 수 있으며 여 기에는 여러 세대에 걸친 민족기업들의 심혈이 기울어져있다. 1) 독특한 제품, 서비스, 경영, 가공기술을 갖고 있으며 지금까지 경영을 지속해온 실체 이다. 2) 일정한 지역에서 높은 신용을 갖고 있으며 비교적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 상호나 브랜드명을 갖고 있다. 3) 농후한 문화적 전통과 역사적 배경, 민족적 전설을 함축하고 있다. 중화민족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 제품이나 서비스는 실제로 디자인하거나 개발, 생산과 경영을 맡아서 하며 자주적인 지적재산권을 갖고 있다. 소비자와 사회적인 공인을 받아야한다.4)
2.3. 전통브랜드의 현황 중국의 전통브랜드 체계는 가족체계에서 공사공동경영, 나아가 국유기업으로의 과정을 거쳤다. 계획경제시기에 일정한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시장경제하에서는 모든 것이 많은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체계와 시스템 등 다방면에서 시장의 수요와 동떨어지면서 낡은 시스템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기 어렵게 된다. 새롭게 재구성한 전통브랜 드는 살아남을 수 있지만 개혁을 하지 않은 기업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어려움 속에서 허덕이다 최종적으로 시장에 의해 도태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제품이 창의적이지 못하고 조직구성이 낡았으며, 인력자본이 부족하다. 전통 브랜드의 가치에 관심을 두지 않아 장기적인 곤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부 기 업은 이미 사회적 가치를 상실하고 시장으로부터 버림받았다. 70%의 전통기업들은 간 신히 명맥을 유지할 뿐이다. 전통브랜드는 현재 계승과 혁신 및 발전이라는 도전 속에 처해있다. 그들에게 있어 이 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도전이기도하다.
3) <전통브랜드 인정규범 의견 수렴고>, 중국상무부, 2006년 4) ibid
114
Vol.2 No.1 February 2020
2.4. 중국 전통브랜드발전지수 모델 2.4.1. 중국 전통브랜드 발전지수의 구성 2018 년 9월 27일 발표, 상하이 상무부 가 지도하고 알리 연구원과 베이징대광 화관리학원 왕예(王锐) 교수가 공동으로 완성한 보고서 에 의하면 전통브랜드의 발전지수는 시장, 소비자, 브랜드 세 개 로 구성된다. 이는 다섯 개의 지표(시장 점유율, 창의력, 인지도, 사회적 명성, 충 성도)를 종합적으로 계산하여 얻어낸다. 계산방법에 있어 각지표의 원시결과에 대해 표준화처리를 거쳐 전통브랜드의 최종적인 지수결과를 얻는다. 이 수치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전체, 분야별, 구역
[그림 1] 중국 전통브랜드브랜드 발전지수 <양력삼도모형两力三度模型>
별, 전통브랜드의 발전을 비교한다. [표 1] 중국 전통브랜드 발전지수 편제방법
2.4.2. 중국 전통브랜드 발전의 창의력 분석 상술한 브랜드 발전지수 모형에서 창의력 지수는 전체 지수의 30%를 차지하여 다른 지수에 비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력 지수는 브랜드 발 전 총지수 순위와 같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창의력 지수와 브랜드 활성이 정의 상관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력 지수를 참고기준으로 하였다. <전 통브랜드 발전지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통브랜드 창의력 지수는 제품 혁신, 소비 자 혁신, 유통 혁신과 기타 혁신의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1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2] 전통브랜드 발전지수의 혁신력
2.4.2.1. 제품혁신 주로 신제품 개발과 혁신, 브랜드 혁신이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고객의 수요를 만 족시키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 2.4.2.2. 소비자 혁신 소비자 혁신이라 함은 잠재적인 소비자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소비자 로 하여금 보다 능동적으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주로 젊은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소비자들은 브랜드 혁신과 발전에 중요한 작용 을 하기 때문이다. 2.4.2.3. 유통혁신 유통혁신이라 함은 유통경로를 말한다. 회사에서 생산한 제품들이 일정한 사회적 네트 워크와 대리상을 통해 각 지역으로 유통된다. 여기에서 유통혁신이라 함은 주로 구역 외의 확장과 해외시장의 개척을 말한다. 2.4.2.4. 기타 혁신 기타 혁신에는 마케팅 혁신, 소매방식 혁신 등 온라인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주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통해 제품의 생산과 유통 판매과정을 업그레 이드하는 것이다.
3. 사례 연구
3.1. 사례 선정 중국 전통브랜드 발전지수 리스트의 총 [표 2] 중국전통 브랜드 발전지수 순위 지수 순위와 창의력 순위를 근거로 6위 안에 든 브랜드를 사례연구대상으로 선 정하였다.
3.2. 창의력 특성 분석 모델 전통브랜드의 창의력 특성분석은 앞서 살펴본 <중국전통브랜드 발전지수 편제 방법>에 의거하여 창의력 지표의 2급 지표에 해당하는 창의적인 혁신, 소비자 혁신, 유통 혁신과 기타 혁신의 4가지
116
Vol.2 No.1 February 2020
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인 전통브랜드 발전의 창의력 특성을 도출하 고자한.
3.3. 사례 분석 [표 3] 사례 1
[표 4] 사례 2
[표 5] 사례 3
11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6] 사례 4
[표 7] 사례 5
[표 8] 사례 6
118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Commercial Architecture Design in China
위더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Yu, De She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상업건축, 실내공간, 문화적, 전통, 지역, 대중, 기술, 생태 Keyword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Commercial, Architecture, Indoors, Cultural, Tradition,
Dongseo University
Local, Population, Technology, Ecology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건축은 쇼핑, 오락, 레저, 교육 등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대형 복합체로 도시의 상 징적인 건축물 중 하나이다. 또한, 현대 도시인들의 중요한 활동 장소로서 사람들의 생 활과 떨어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성공적인 상업건축은 사람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필수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한 국가 나 도시의 종합적인 이미지를 더 직접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것의 문 화적 표현은 상업공간의 주제를 표현하는 중요한 핵심이자 디자인적 사고의 기본 출발 점이기도 하다. 아모스 라포포트(Amos Rapoport)는 <문화특성과 건축 디자인>이라는 책에서 “문화는 한 민족의 생활방식으로, 그들의 이상, 규범, 규칙, 일상행위의 표현을 포함하며 대대로 전승되어 온 기호가 전달하는 도식 시스템으로서, 언어와 모범을 매개 로 후대에 영향을 끼치고 동화시키는 수단이자 생태를 개조하고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 이다.” 라고 말했다.1)건축은 문화의 담체로, 어떤 건축이든 모두 일정한 문화적 함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건축의 문화적 함의는 사람과 사회와 동일한 구조로, 시대성, 역사 성, 민족성, 지역성도 가지고 있다.건축의 문화적 함의는 사회인문적 환경에 대한 적응 을 반영하고, 사람들의 문화적 가치관과 일치하며,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하고 또 변 화하며, 유동성, 변이성, 다양성을 가진다. 오늘날 중국 현대 상업건축 공간의 실내 디자인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문제는 비록 단 기간 내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겠지만,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 화성 문제에는 많은 위기가 잠복해 있고, 심지어는 안 좋은 영향도 야기할 수 있다. 그 러므로, 오늘날 세계화된 상업건축의 공간 디자인과 문화가 함께 발전하는 환경 아래에 서 반드시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있는 문화성의 가치를 재인식해야 하고, 서로 조화롭게 통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 디자인의 발전을 실현해 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현대 상업건축의 문화적 의미와 실내공간의 표현적 특성에 기 초하여, 중국의 유명하고 전형적인 6개 현대 상업건축의 실제사례를 분석하고, 실제 사 례와 같이, 중국 상업건축의 실내 공간에서 문화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 태성 등의 표현 형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실제 사례에서 중국의 각 지역별 대표적인 현 대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그 문화적 의미에 대해 연구하고 정리했다. 이것으로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공공간(백화점, 상가, 전문판 매점, 슈퍼마켓, 쇼핑몰 등을 포함)의 물리적 환경, 시각적 환경의 디자인과 문화적 표 현이 통일된 관계에 대해 이론적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1) L. Mumford, The Culture of Cities, Building & Architecture Press, 1970. p.386
120
Vol.2 No.1 February 2020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본문의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논문과 서적을 참고하여 내용을 분류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문화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 등 5가지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각각의 평가요소를 결합해 더 자세히 서술하였다. 둘째, 중국의 최대 도시 6개 중 각각 대표적인 상업건축을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 해 분석했다. 이 사례들은 2010년에서 2018년 사이에 지어지고, 국제건축디자인(FX international interior design awards, Andrew Martin 대상)이나 실내 디자인 (Design Award & Com petition대상, 미국Interior Design Gold Witan상)대상을 받은 작품이나 국제적으로 유명한 디자이너의 작품이다. 이 사례들의 상업건축 실내공 간에 대해 문화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 5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 하였다. 셋째, 선택한 사례 6개를 통해, 이 상업 공간들 사이에 존재하는 재료, 색상, 조형, 조 명, 스타일 등 면에서의 차이를 기반으로 다섯 가지 문화 표현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하였고, 중국의 가장 크고 발달한 도시 6개의 상업 건축 실내공간의 특징들을 비교하고 요약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상업 공간의 개념과 분류 상업 공간은 사람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그에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며 사람들의 정신적, 물질적 수요를 만족시키는 장소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개념은 상업 활동과 연관이 있는 모든 공간이고, 가장 복잡하고 다양한 인류 활동 공간의 한 중류이 다; 좁은 의미에서의 상업 공간은 도시의 쇼핑 센터, 전통적인 쇼핑 매장을 포함할 뿐 만 아니라 박물관, 전시관, 호텔, 레스토랑, 사무실 및 오락 등 공간들도 포함된다.2) 구체적인 사용 성격에서부터 상업 공간을 구분할 때: (1) 문화 전시류, (2) 요식 오락 류, (3) 비즈니스 사무류, (4) 쇼핑 레저류 등으로 나뉜다.3) 도시의 종합 쇼핑 센터는 상업 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에 속한다. 이는 현대의 도시인들과 가장 밀접한 관련 이 있는 제3의 공간이기도 하다. 상업 공간의 존재 의의와 가치는 현대 도시인들의 물 질과 정신 문화의 연결 고리라는 것에 있고, 오늘날 고속으로 발전하는 시대에서 현대 상업 공간 디자인은 경제 발전의 필연적 산물이며 점차 지역 나아가 국가의 문화를 표 현할 수 있는 독특하고 직접적인 방법 가운데 한가지가 되었다.
2.2.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 평가 요소 선정 De Blij,H.J의 저작 <인문지리---문화, 사회와 공간>에서는 “문화 경관은 각종 문화 특 징들이 집합하여 구성된 것이며 특정 지역 문화의 각종 인상과 느낌에 대한 모음이다” 라고 정의하였다.4) 유명한 건축대가 I. M. 페이는 “모든 건축마다 개별적으로 설계되 2) 중국 백과, 국제 사회 과학 백과전서, China Encyclopedia Press, 2007.p.186 3) 구푸바오(顾馥保), 상업건축 디자인,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2003. p.85 4) Harm J. de Blij, Human Geography: Culture, Society, and Space),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1988. p.155
12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어야 하고 이는 기후, 장소와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의 역사, 인문 및 문화 배 경도 고려해야 한다. 이 또한 세계 각지의 건축들이 각자의 독특한 양식을 지니고 있는 원인이기도 하다”고 하였다.5) 이를 통해 건축 공간 디자인에서 의경, 양식, 개성은 문 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양한 민족, 다양한 시대 및 다양한 지 역이 서로 다른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을 형성한다. 모든 실내 디자인 형식이 반드시 시 대의 사조, 자연 여건 그리고 인문 풍습과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업 공간 실내 디 자인의 의경, 스타일, 개성은 문화 콘텐츠의 집중적 구현일 뿐만 아니라 창의적 구상을 통해 서로 다른 시대의 사조와 지역 특징에 대한 대표적 표현 형식이기도 하다. 건축 환경에서는 어떠한 공간에 대한 표현도 반드시 무에서 유로, 생각에서 실제로 이 루어지는 과정을 지켜야 한다. 이 과정은 정신적 사고와 표현, 방향 설정, 실행과 응용, 안정과 지속적 발전의 과정이고, 이 과정들을 실행하는 것은 문화 표현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매우 큰 영향을 일으킨다.
2.2.1. 전통적인 정신 표현 일본의 건축 대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는 자신의 저서 <건축을 말한다>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전통에 대한 승계는 전통적인 구체적 형태를 승계하는 것이 아닌, 그 근본적인 정신적인 무언가를 승계하여 이를 다음 세대까지 전해야 한다.”6) 그는 전통 문화에서 가장 근원적인 것, 생명에 대한 인지와 심리적 위안을 추구하였다. 구로카와 기쇼는 “전통에서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진정하게 이해를 해야 가장 특색이 있는 부분 (언어)를 기호로 분해하여 추상해낼 수 있고, 이 기호들을 새로운 기호 체계에 활용하 여 현대 스타일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였다. 건축 문화에서 이와 같은 “전통에서 보이 지 않는 것”은 전통 문화 속의 심미 심리이고 문화 전통의 숨겨진 표현이다.7) 상업 공 간에서 문화의 전통적 연속을 이루는 것은 역사와 현실을 결합시키는 중요한 균형점이 고 실내 공간 문화를 나타내는 전통성과 혁신의 통합이다.
2.2.2. 지역성의 안정적 발전 문화의 형식은 기나긴 축적 과정이고 각 지역 여건에 따라 창조된 문화의 지역성도 모 두 다르다.8) 지역성은 공간적 개념이지만 시간적 개념이기도 하고, 지역의 자연 환경, 지리, 기후, 자원 등의 특수성과 일관성 즉 특정 지역 문화 이데올로기의 특수성과 일 관성을 강조한다. 중국의 유명한 건축학자인 칭화대학의 우량푸(吴良镛)는 <광의건축 학>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지역성이란 일반적으로 최종 제품의 생산과 제품의 사 용이 모두 소비의 장소에서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건축은 지어진 후 이동할 수 없고 상대적으로 안정된 거주 환경을 형성하는데 이 환경은 또 점점 변화하고 발전하는 특 징을 지니게 된다.”9) 지역 문화는 건축 공간과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고 건축 공간과 실내 환경도 마찬가지로 문화를 전파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 문화의 지원이 없다면 건 축 공간과 실내 환경은 공허한 것이 되며 전통 문화가 가져다주는 무게감이 결여되게
5) 천카이펑(陈凯峰), 건축 문화학,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1996. p.88 6) 안도 다다오(安藤忠雄), 바이린 역, 건축을 말한다,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2004. p.41 7) 화이 건축사무소, 구로카와 기쇼(Kurokawa Kisho), C.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1997. p.53 8)천카이펑(陈凯峰), 건축 문화학,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2014.p.121 9) 우량용(吴良镛), 광의건축학(广义建筑学),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1989. p.66
122
Vol.2 No.1 February 2020
되므로 지역성은 상업 공간 문화의 기본 표현이다. 비록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화하지만 일정 단계에서 안정성을 지닌다.
2.2.3. 대중적 주도 방향 미국의 학자 Albert J.Rutledge(1990)에 따르면, 사람의 공간 행위는 환경 디자인의 유기적 구성 부분이고 해당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자아를 발견하고 자아를 표현하며 사 상 교류와 문화 공유 등을 할 것을 요구한다.10) 이에 따라 공간 행위에서 사람의 영향 효과를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해 상업 공간의 실내 디자인 과정에서 사람의 대중적 행위 에 대한 검증 여부가 결정된다. 대중적 생산과 생활 소비가 사회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 기 때문에 사회학자들도 대중 사회를 “소비 사회”라 부르기도 한다. 윌리엄스에 따르면 대중들은 오합지졸 또는 군중이 아닌 산업화 사회가 초래한 자연스러운 조합이고 이른 바 엘리트 문화와 대중 문화의 대립이란 존재하지 않는다.11) 대중들이 소비하는 것은 문화 상품의 사용 기능만이 아니고 점차 소비 문화 기호를 방향으로 문화의 대중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상업 공간에서 문화의 대중성이 인정되고 공간 주제와 발전 방향을 결정되어 비로소 공간 디자인과 실행의 동력을 형성하고 보다 나은 공간 예술성과 정 신성을 탄생시킨다.
2.2.4. 기술성의 지원과 응용 중국의 유명한 건축학자 량스청에 의하면: 건축⊂과학∪기술∪예술, 즉 건축은 과학, 기술 및 예술의 집합이라 하였다. 그는 기술은 건축이 실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 한 요소 중 한 가지라는 것을 명확하게 주장하였다.12) 베르나르 스티글러(Bernard Stiegler)는 기술에 대해 “기술은 생명 이외의 수단으로 생명을 연장하는 것이다”라는 정의를 내렸다. 공간 문화의 표현은 기술의 지원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기술성은 상 업 공간 실내 디자인의 문화 표현과 연속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2.2.5. 생태성의 연속적인 발전 20세기 50년대에 미국의 유명한 문화 인류학 학자 줄리안 스튜어트(Julian Steward) 는 자신의 저서 <문화 변화론>에서 처음으로 문화 생태학을 제기하여 인류 문화와 환 경 사이를 연구하는 과학이 되었고 생태와 사람 및 공간 환경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하 였다.13)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 컴퍼스의 교수 사우어(Carl Ortwin Sauer)는 “문화 생태학파”를 설립하였는데, 환경에서 생태학은 높은 관심을 일으키고 있고 공간 환경에서 자연도 문화의 생태성을 벗어날 수 없다. 이는 자연-경제-사회의 삼위일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구조이다.14) 때문에 상업 공간에서 실내 디자인의 문 화 생태성은 자연과 조화로운 공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환경과 균형을 이루며 공 간에서 사람들의 자유, 건강, 지속적 발전을 보장한다.
10) Albert J. Rutledge, 왕츄즈, 가오펑 역, 대중 행위와 공원 디자인,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1990. p.170 11) 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 가오샤오링 역, 문화와 사회, Jilin Press, 2011.p.379 12) 가오징(高静), 건축 기술 문화에 대한 연구, Xi'an University of Architecture and Technology, 2005. pp.98-103 13) Julian HaynesSteward, Cultural Change Theory, Guizhou People's Publishing House, 2013.pp.132-133 14) 류전(刘珍), “생태이론 기반의 실내 디자인 연구,” Architectural Journal, Vol.63, No.8, 2015. p.88
12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상업 건축 공간의 문화적 표현 특성에 대해 서술한 학위 논문들 도 있는데. 위에서 서술한 학자와 전문가의 관점을 종합해 관련 논문의 관점을 정리하 고,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평가요소를 요약하면 주로 5가지로, 각각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이다.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의 5가지 평가요소를 구체적으로 구현하고 응용 한 것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전통성은 주로 공간의 패턴, 색조의 색상 응용을 구현한다. 지역성은 공간의 구체적인 지리적 환경, 자연적 조건과 역사성이 결합된 응용을 구현한 다. 대중성은 공간에서의 디자인을 각 계층의 소양, 관습, 심리 및 환경을 고려해 상응 하는 응용을 구현한다. 기술성은 실내공간의 재료, 시공방법, 공예 등의 실제 응용을 구현한다. 생태성은 공간 설계에서 사람과 환경의 조화로운 관계의 응용을 구현한다.
3. 중국 현대
중국의 대표적인인 도시의 상업건축 사례 6개를 결합했는데, 이러한 상업건축들은 각 각 2010년에서 2018년 사이에 지어졌다.상업건축 실내공간의 가장 대표적인 로비
상업건축
(lobby) 부근을 선택했다(상업 건축의 로비, 사이드 홀(Side hall), 복도, 엘리베이터
실내 공간의
부근, 에스컬레이터 부근, 내부 정원 등은 실내의 중요한 공공 공간이고, 로비는 이 공
문화적
간의 핵심 위치에 분포되어 있다.) 건축에 대한 문화적 함의는 전통, 지역, 대중, 기술,
사례 분석
생태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은 다음과 같다.
3.1. 사례 분석 1. 광저우 k11(Guangzhou K11)사례 분석 2. 선전 믹스몰(ShenZhen Mixc Mall)사례 분석 3. 난징 골드이글스(NanJing Golden Eagle) 사례 분석 4. 베이징 조이시티(Beijing Joy city) 사례 분석 5. 항저우 타워(Hangzhou Tower) 사례 분석 6. 상하이 슈퍼브랜드몰(ShangHai Super Brand Mall) 사례 분석
124
Vol.2 No.1 February 2020
3.2. 6가지 사례의 실내 디자인 특징에 대한 물리적 분석 위의 6개 사례는 모두 다양한 도시의 상업 공간 실내 디자인의 특징을 드러냈고, 공간 문화 표현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 모두 각 지역의 경제, 풍습, 지리 적 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 상업 공간 실내 디자인의 색깔, 재료, 조명, 조형, 스타일 등 의 측면에서 차이를 형성하였다. 비록 현대의 신소재와 조명 방식에 대한 응용이 크게 보면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는 각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되었다. 남부 도시의 상업 공간은 색상이 화려하고 곡선 변화가 많은 조형을 사용하였고, 동부 도시의 상업 공간은 밝은 색채 그리고 네모에서 부채꼴 형태로 변하는 조형을 하였으며, 북부 도시 의 상업 공간은 차분한 색상, 원형과 사각형을 교차로 사용하여 뚜렷한 대비를 이루며 중국 각 지역의 특색이 있는 상업 공간 디자인 문화를 형성하였다.
3.3. 종합분석 이상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을 다방면에서 알 수 있었다. 그것은 그 지역의 경제, 역사, 풍습, 사회 환경, 지리적 조건, 심지어는 그 지역 도시의 개방성과 중요성 등과도 밀접하 관련되어 있다. 6개 사례들의 문화성 특성과 표현방식에도 공통성과차이점이 나타났는데. 각각 다른 지역의 상업건축 실내 디자인이 표현하는 것은 단일한 문화적 특성이 아니 고, 간단한 공간의 수요도 아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다 양성을 탐구해야 하고,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표면적으로 보이는 장식 효과와 내재된 표 현방식에 대해서 자신만의 종합적 기호가 필요하다. 이것은 공간의 표현은 반드시 독특 성을 가져야 하며, 자신의 고유한 본질적인 특징으로 실내공간 문화의 종합적 표현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 6개의 사례들은 중국의 현대 상업건축에서 발전이 가장 성숙하고 문화적 표현이 뚜 렷한 도시의 건축들인데, 그것들은 개방적인 사상으로 전통문화를 현대의 다양한 원소 들과 융합하고 있다. 또한, 표현 과정에서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각자 특색 있는 상업건축 공간을 형성한다.
4. 결론
종합적으로, 앞으로 중국 현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을 표현할 때는 지역문화를 포용하 고 흡수하는 사고를 통해 꾸준히 보완해 나가야 한다. 기술을 문화성을 부각시키는 중 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전통 요소를 대중 생활에 융합시키며 생태 환경 보호의 각도 에서 활기 넘치는 공간 환경을 조성하여 지역 상업 건축의 문화적 특성을 돋보이게 해 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성을 장기적인 안목으로 내다보며 문 화의 침전과 승화를 꾸준히 진행하여, 문화성의 표현을 재활성화(Revitalize), 재변형 (Retransform), 재창조(Recreate), 혁신(Innovation)할 필요가 있다. 공간의 설계와 문화의 사고를 형성하는 ‘3RI’모델은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 특성 의 양호한 지속적 발전을 주도한다. 상업 공간 문화의 다섯 가지 특성을 보다 훌륭하게 나타내고 중국 제3의 공간에 전체적으로 활력을 가져오고 효과를 한층 업그레이드시킨다.
12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현대 상업 건축 실내공간의 독특한 문화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상업 실내공간이 맹목 적인 이익 추구로 서로 같아지고 특색이 사라지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세계화된 경제 가 빠르게 발전하는 배경 아래에서 혁신적이고 활력이 가득한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 을 창조해야 한다.
참고문헌 L. Mumford, The Culture of Cities, Building & Architecture Press, p.386, 1970. 중국 백과, 국제 사회 과학 백과전서, China Encyclopedia Press, p.186, 2007. 구푸바오(顾馥保), 상업건축 디자인,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85, 2003. Harm J. de Blij, Human Geography: Culture, Society, and Space),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p.155, 1988. 천카이펑(陈凯峰), 건축 문화학,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p.88, 1996. 안도 다다오(安藤忠雄), 바이린 역, 건축을 말한다,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41, 2004. 화이 건축사무소, 구로카와 기쇼(Kurokawa Kisho), C.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53, 1997. 천카이펑(陈凯峰), 건축 문화학,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p.121, 1996. 우량용(吴良镛), 광의건축학(广义建筑学),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66, 1989. Albert J. Rutledge, 왕츄즈, 가오펑 역, 대중 행위와 공원 디자인,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1990. 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 가오샤오링 역, 문화와 사회, Jilin Press, p.379, 2011. 가오징(高静), 건축 기술 문화에 대한 연구, Xi'an University of Architecture and Technology, pp.98-103, 2005. Julian HaynesSteward, Cultural Change Theory, Guizhou People's Publishing House, pp.132-133, 2013. 류전(刘珍), “생태이론 기반의 실내 디자인 연구,” Architectural Journal, Vol.63, No.8, p.88, 2015.
126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한국과 싱가포르 도시 주상복합 주거 단지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Mixed-Use Residential Complex in the Cities of China, Korea and Singapore
주춘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박부미(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u, Chun Yi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Park, Boo mee(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도시, 아파트, 주상복합, 주거, 단지 Keyword
Cities, Apartment, Mixed-Use, Residential, Complex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한국과 싱가포르도시 주상복합 주거 단지에 대한 비교 연구 1. 서론
도시 단지 상업은 도시 상업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주민의 종합적인 소비를 만족시 킬 수 있는 적재 공간이다. 단지에서 상업공간의 발전의 중요성을 연구하다. 아시아 중 국, 한국과 싱가포르 세 나라를 선택 했다. 이 세 나라의 단지는 상업 발전이 모두 다 르다. 중국의 주거단지는 비교적 폐쇄적이다. 단지의 상업 발전은 불균형에 편향되어 있다. 한국의 주거 단지는 주상복합의 형식이 비교적 많다. 싱가포르의 주거단지는 내 부에서 상업 발전이 비교적 많다. 1970년대에 싱가포르, 한국의 주거 지역 상업 대규 모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주거 지역 상업은 50년 이상의 발전 과정을 거쳤다. 단지의 상업 변화는 여러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의 주거 지역 주상복합 발전은 비 교적 낙후 있다.1) 중국의 현재 경제 수준에 따라, 도시 주거 지역 상업을 발전시키는 것은 도시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해 여러 가지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주거단지의 더 많은 상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거단지의 활력을 높이기 위하여 주거단지의 상 업발전을 개발하여야 한다.
2. 중국, 한국과 싱가포르 주상복합 주거 단지에 대한 비교
2.1. 주거 주변 환경 및 기능 비교 [표 1] 지역 환경 비교.(출처 중국 정보 통계국 2018연대) 지역 위치
중국 제남 시 역하 구
한국 부산시 수영동
싱가포르 홍모교 구
선택 면적
25만 m²
25만 m²
25만 m²
주상복합 아파트
12%
36%
8%
열린 도로
30%
90%
80%
20-30층 건물 비율
60%
30%
20%
폐쇄 단지 아파트
70%
18%
25%
상업 비율
20%
45%
40%
거주 건축
88%
64%
92%
임대
13%
28%
10%
주거 지역 서비스
10%
35%
60%
소형 창업 비율
15%
35%
22%
녹화 비율
40%
20%
49%
교통 체증
55%
20%
10%
서비스 상황
집중
균형
균형
아파트 부지 면적
크다
작다
중
중국, 한국, 싱가포르, 세 나라 중에서 같은 수준의 지역을 선택하여 주변 환경과 단지 의 상업 서비스 기능 분포에 대한 비교 했다. [표 1] 첫 번째. 중국 주거단지 주변은 상 업이 드물다. 주거단지는 대지 면적이 너무 크고 폐쇄적이어서 많은 주거단지 내부에 사는 사람들에게 서비스 시설이 희박하다. 단지 주변에 울타리가 둘러 싸여 있고 상업
1) 번성란, 「도시단지의 상업개발 운영에 관한 연구」, 충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28
Vol.2 No.1 February 2020
분포는 단지 밖에 있으니까 쇼핑이 불편 한다.2) 둘째, 한국 도로변에 많은 주상 복합 건물이 있다. 상업 분포가 합리적 이고 현대화 수준이 높다, 서비스 시설이 발달 되어 있다. 셋째, 싱가포르단지는 열려있다. 외부 차량 진입 가능 한다. 단지 내부에는 서비 스 시설이 많이 분포되어 있고 친환경적인 주거 건물들이 많고 서비스 시설이 잘 갖춰 져 있다. 비교를 통해서 중국 제남 시 역하 구 주거 단지 두드러진 문제는 상업 분포 적음. 배치 분산 시설 낙후. 현대 서비스 수준 낮음. 열린 도로 적음. 주거단지에 합리 적인 분포의 상업은 사람들의 생활에 더 많은 편리를 가져줄 수 있다.주거 주변의 상업 서비스는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9년 지역 비교를 통해 발견되 는 것은 중국의 제남 시 역하 구 지역은 폐쇄 단지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상업적으로 불합리한 분배가 존재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단지의 건설 형태를 바꾸어야 하고,3) 공간 활용 가치를 충분히 발굴해야 한다. 아래의 사진 참고. [그림 1] 중국 역하 구의 자주색 부분은 내부가 폐쇄된 단지이다. 블루 부분 상업, 오렌지 부분 음식 상점, 거주 구역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명절과 출퇴근은 교통 체증을 가져올 수 있다.4) [그 림 2] 한국 수영 지역 상업은 균형이 잘 잡혀 있고 상업이 주거와 도로 옆에 분포하고 있다. 주거와 도로의 배치가 합리적이다. [그림 3] 싱가포르의 상업 서비스 시설은 단지 내부에 있다. 단지의 도로는 바깥과 연결되어 있어서 교통과 생활에 좋다.
[그림 1] 중국 역하 구
[그림 2] 한국 수영동
[그림 3] 싱가포르 홍모교 구
(출처 Google 지도 25만 m² 2019연대)
2.2. 주거 건축 비교 [표 2] 주거 건축 외부 비교. (출처 중국 정보 통계국 2018연대, 사진, 바이두. 지도, Google 지도) 위치
중국 제남 시 역하 구
한국 부산시 수영동
싱가포르 홍모교 구
폐쇄 단지 아파트 주변에 울타리 보호가 있다. 안에 상업이 없다.
주상복합 아파트 편리한 상업 서비스, 다양한의 건 축 장식이 있다.
주상복합 아파트. 편리한 상업 서비스, 다양한의 건 축 장식이 있다.
투시도를 통해 중국도시의 주거단지가 폐쇄된 것을 볼 수 있다. 한국과 싱가 포르에 열린 단지 자주 볼 수 있다 세부 사진을 통해 중국 주 거단지 단일 단지 내부 상 업은 매우 적음. 중국과 싱가포르에 주상복합의 건 물을 자주 볼 수 있다 2010연대 중국, 한국과 싱가포르 도시 건축
2) 조인, 「우리나라 주거단지내부 상업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시안건축과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 손천설, 「도시'열린 주거 단지의 계획 설계 탐색」, 산둥건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 쉬링링, 「상업 거리제 이념 하 단지 상업 공간의 계획 연구」, 정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2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3] 주거 건축 상황 비교. (출처 중국 정보 통계국 2018연대) 위치
중국 제남 시 역하 구
한국 부산시 수영 동
싱가포르 홍모교 구
평균 면적
120m²
45m²
110m²
1인당 면적
43m²
15.m²
34m²
이용자 수
90%
45%
55%
단지 아파트
85%
45%
75%
10-25층
80%
38%
70%
폐쇄 단지
70%
18%
25%
가족 구성원
3-6(명)
2-4(명)
3-6(명)
평균 가격
2-3(억)
3-5(억)
4-6(억)
아파트 소음
저급
중급
중급
주차 방식
지하 실외
도로변 지하
지하 실외
출입 방식
검사 입구
게이트 카드
게이트 카드
중국, 한국과 싱가포르 도시 주상복합 주거 단지는 건축형식은 국가의 지리환경 전통 문화에 따라 관계가 있다. [표 2] 중국전통 건축은 정원형식이고 현재 단지건축도 전통 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외래문화 다양성 건축은 비교적 현대화 그리고 내륙 평야는 면적이 적고 개방형 단지는 교통과 사람들의 활동을 편리 하다. 싱가포르는 열대 우림 기후 그로 인해 친환경적인 단지 건물이 많다. [표 3] 중국과 싱가포르는 결혼을 하고 부모님과 함께 살기 때문에 건축 면적이 크다. 그리고 한국은 부모님과 별거하는 사람 의 수가 많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대부분 농촌 인구는 도시 거주에 집중되었고 모 든 도시의 면적은 제한적으로 도시의 발전을 고려하여 많은 고층 아파트를 건설 했다.
2.3. 중국 도시 주거 단지 단점 분석과 해결책 중국 제남 시(济南 市) 역하 구 폐쇄 단지는 외부 상업과 분리되어 거리의 활성화 도를 떨어뜨렸다. 주거와 상업 분리는 상업 경제 발전에 영향을 준다, 소형 창업 기회 감소 지역 실업률 증가.5) 주상복합 분리 상업지역 임대가 늘어 상업건축물 판매가 감소하였 다. 폐쇄 단지는 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부지 면적이 넓다, 차량이 영향을 미치는 도시 교통에 진입하지 못함. 폐쇄 단지 상업 음식 서비스 시설 배분 불균형, 단지 아파트 외 부설계는 동일, 게다가 외부는 단지 내부를 볼 수 없다, 도시의 가로환경 조성에 영향 을 준다.6) 도시의 너무 많은 폐쇄된 주거단지가 상업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상업 불균형 발전이 존재 문제가 있다. 소규모 창업 비율 감소 실업률을 증가시키다. 폐쇄 단지는 부지 면 적이 너무 크기 때문에 주위에 울타리가 있어 도시의 교통이 원활하지 않다. 도시에서 중요한 교통 노선이 주거 단지 울타리로 막혀 있다. 지역 대비 분석 이후 반(半)폐쇄 주 상복합 주거단지 단지 아파트 이용 제안. 층수를 낮추고 폐쇄 단지 건물 면적 축소. 도 시에서는 넓은 면적에 폐쇄 단지를 건설하는 것을 피한다. 주거단지 사용 내부 폐쇄 외 부 개발 상업. 도시의 주상복합건물을 늘리고 나서 도시의 중요한 교통로를 열린다. 도 시의 건설 면적을 확장하여 고층 아파트를 줄이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5) 윤교, 「공간 구법에 기초한 대형 단지 내 상업 계획 설계 연구」, 화남이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정홍성, 「상업 기획에 기초한 단지 상업개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0
Vol.2 No.1 February 2020
2.4. 중국 단지 아파트 미래 예측 전망 미래 고령화 증가하고 있다. 노인층은 고충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오는 것이 힘들 다, 따라서, 아파트 내 휴식 및 여가 공간이 필요하다. 만약 주거단지가 상업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도시에서 폐쇄된 주거단지를 대량으로 건설하는 것 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교통이 점점 더 나빠질 것이다.7) 도시의 사람들 대부분 은 회사와 정부 기관에 다닌다. 상업건축과 주거건축의 분리 했다. [표 3] 상업 건물은 너무 비싸서 보통 사람들은 구입할 능력이 없다. 도시에 영세한 창업자 가 부족하면 빈 부격차가 늘어난다. 미래 도시의 균형발전을 위해 주거단지를 폐쇄하는 것은 상업과 주 거의 융합을 위한 발전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도시의 주상 복합 건설을 증가시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창업 기회를 제공하다. [표 4] 상업 건축 판매 면적 감소. (출처 중국 보고 통계국)
3. 결론
시간
상업 매출 면적
판매 누계 성장
2019년 2월
838.07만m²
-13.6%
2019년 3월
1881.34만m²
-6.9%
2019년 4월
2578.96만m²
-8.8%
2019년 5월
3293.02만m²
-12.9%
2019년 6월
4612.05만m²
-12.3%
연구를 통해서 중국 제남 시(济南 市) 역하 구 도시 주거 단지의 불합리함을 알게 되었다. 첫째. 중국 제남 시(济南 市) 도시 주거단지 경제와 도시 계획으로 여러 각도에서 많은 문제를 알 수 있다. 주거 단지와 상업을 통한 기본 이념 연구. 주거지역 주변 환경, 기 능배치. 주거건축형식의 상황 분석 했다. 가장 큰 문제는 폐쇄 단지에 나타나는 것이 상업 발전과 교통 문제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단지 상업 공간은 사람들의 삶에 중 요한 의미를 갖으며. 단지 상업의 발전 상황은 단지 주민의 소비 만족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도시 상업의 전반적인 구조와 배치에도 관계 된다. 그리고 도시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촉진 할 수 있으며. 단지 상업의 발전 잠재력은 막대하다. 단지 주민들의 생활 수요를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미래의 주민 소비 방식 발전도 이끌 수 있다고 말 했다. 둘째, 분석을 통한 한국과 싱가포르의 주거단지 상업 발전상황 소개, 지역주변 환경과 주거단지와의 관계, 주상복합 건물의 관련자료 분석했다, 지역 대비 분석 이후 제시 중 국 제남 시(济南 市) 역하 구 주상복합 주거단지 건설의 필요성, “반(半)폐쇄” 이용 제 안. 층수를 낮추고 폐쇄 단지 건물 면적 축소. 도시에서는 넓은 면적에 폐쇄 단지를 건 설하는 것을 피한다. 주거단지 사용 내부 폐쇄 외부 개발 상업. 도시의 주상복합 건물 을 늘리고 나서 주거단지 안에 있는 도시의 중요한 노선을 열다.
7) 전빈, 「현대 단지의 상업 발전과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절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셋째. 논문은 주거단지의 상업발전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 주거단지의 상업발전에 나타 난 문제점주로 연구한다. 기존의 완전히 폐쇄된 주거단지 형식을 타파하다. 도시 속의 폐쇄된 주거단지를 도시 생활 속에 융합시키다. 미래의 인구 고령화와 인구 증가에 따 라 단지 설계는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도시 주거단지는 미래의 중국의 주요 주거 선택이다. 주거단지의 도시 안에서의 설계는 더 많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 다. 폐쇄 주거단지를 열린 하면 안전상의 위험이 생긴 다. 따라서 주거단지 열린 정도 를 합리적으로 해야 한다
참고문헌 번성란, 「도시 주상복합 단지의 상업 개발 운영 에 관한 연구」, 충칭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9 쉬링링, 「상업 거리제 이념 하 주상복합 단지 상업 공간의 계획 연구」, 정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7 손천설, 「도시'열린 주상복합 주거 단지의 계획 설계 연구」, 산둥건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윤교, 「대형 단지 내 주상복합 상업 계획 설계 연구」, 화남이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정홍성, 「상업 기획에 기초한 단지 상업 개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전빈, 「현대 단지의 주상복합 상업 발전과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절강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7 조인, 「우리나라 주거 단지 내부 주상복합 상업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시안건축과 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https://kns.cnki.net/kns/brief/default_result.aspx http://www.wanfangdata.com.cn/index.html
132
Vol.2 No.1 February 2020
과학관 체험 프로그램의 분석 -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Experience Pro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with Busan Science Center -
진 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과학기술, 체험 프로그램, 교육 효과 Chen, Sh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science and technology, experience program, education effectivenes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과학관 체험 프로그램의 분석 1. 서론
최근 중국에서는 과학관 교육과 사회발전 사이의 관계가 날을 거듭할수록 밀접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학교 교육에서는 수험교육, 주입식 교육이 청소년의 창의력을 제약 하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은 과학관이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는 데 특별한 도움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과학관 교육활동에는 큰 발전이 있었으나, 여전히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과학관은 국민의 과학 소양을 향상시키고, 국가의 혁신 능력을 강화시키는데 중요한 작 용을 한다. 2007년 중국 건설부와 발전개혁위원회에서 반포한 『과학기술관 건설 표 준』1) 에서는 “관람객이 참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과학기술 보급 전람회와 교육활동 은 과학기술관의 핵심적 기능”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과학관에서의 대다수 관람객들은 무질서하고 임의적이며 맹목적인 학습목적을 지닌 단순한 관람, 휴식, 오락 행위로 간 주하고 있다. 상하이과학기술관은 중국의 중요한 과학교육 기지이다. 국가 5A급 과학보급 관광지이 자 전국 초중고생 학문연구 실천교육의 기지로서 대표성과 전형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계 과학관 역시 왕성한 발전을 이뤘으며, 과학관 교육은 각 국의 관심을 끌고 있다. 상하이과학기술관은 중국 21세기 과학기술 분야의 대표주자로 그 발전은 중국 과학기술교육사업에 있어 중요한 의의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하이과학기술관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 에 대한 해결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과학 체험 프로그램의 내용과 시설물 및 공간 은 과학기술관 이용자들에게 보다나은 과학적 정보와 지식의 서비스를 경험하게 하는 매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은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으로 하 여 각 기술관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중국 과학관에서 제공하게 될 체험프로그램의 올바 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 과학관의 체험프로그램 분석
2.1. 과학관의 이해 한국의 국립중앙과학관에 의하면 과학관의 역할을 과학 원리와 기술을 전시, 교육하며 첨단과학기술의 혁신으로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추어 정보를 수집·보존·연 구하여 과학문화발전에 기여한다고 하였다.2) 또한 과천과학관은 기초과학, 천문우주, 생명과 자연에서 전통과학, 첨단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과학과 기술을 쉽게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전시장이자,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행사를 펼치는 과학문화 확산의 공간이라고 소개하고 있다.3)
1) 중국과학기술협회, 『과학기술관 건설 표준』, 건설부와 발전개혁위원회, 2007 2) 국립중앙과학관 https://www.science.go.kr/ 3) 국립과천과학관 https://www.sciencecenter.go.kr/
134
Vol.2 No.1 February 2020
상하이과학기술관은 중국의 중요한 과학보급교육 기지이며, 중국의 가장 대표성 있는 과학기술관이다. 11개의 스타일이 각기 다른 테마 부스, 4개의 하이테크 특수 영화관, 3개의 중국과내외의 저명한 과학자와 그들의 발자취를 그린 예술 회랑, 2개의 테마 전 시관과 몇 개의 임시 전시홀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람객들에게 “자연, 인간, 과학기술” 이라는 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우리들의 집 지구, 정보시대, 로봇세계, 탐구의 빛, 인간과 건강, 우주세계 등 여섯 개의 전시 홀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과학적 요 소와 재미요소를 세계적 수준까지 끌어올리고자 하고 있다. 부산과학체험관은 학생과 시민이 과학 세계를 공유할 수 있는 최고 체험 과학관으로 빛, 전자, 소리와 파동, 지구와 생명, 열과 역학, 수학과 융합과 같은 여섯 가지 테마의 기초과학 체험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수학, 과학 교 육과정과 연계하여 제2의 학교이자 과학 교실 역할을 하고 있으며, 흥미 있는 체험 위 주의 기초과학 체험물로 구성되어 국내 다른 과학관과 차별화되고 특성화 공간창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과학에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과학 장치를 제공하여, 기 초과학과 생활과학의 개념과 기본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러한 체험을 통해 과학 원리를 체득하고 즐겁게 학습을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력과 합리적인 심성을 함양할 수 있다.4)
2.2.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의 체험프로그램 분석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의 과학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데스 크리서치로서 ‘과학관’과 ‘과학 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후 각 홈페이 지를 통해 양 과학관의 목표를 이해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체험 프로그램의 실체를 확 인하였다. 2019년 4월 4일에는 부산과학체험관, 2019년 7월 21일에는 상하이과학기 술관의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양 과학관에서 공통으로 운영되는 체험 프로그램 주제 인 ‘물리와 지구’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표 1] 상하이과학기술관 체험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목적
체험 방법
학습 효과
액체패턴
액체 역학 현상이 실연을 통한 이해
위로 흐르는 액체가 중간에 각종 장애물을 만났을 때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과정 관찰
액체 역학 원리 이해
에너지 왕복머신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 간의 에너지 교환 실연
작은 공이 여러 가지 모양의 궤도에서 여러 모양으로 움직이는 것 관찰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 간의 에너지 교환 학습
드롭 해머의 중력 원리 이해
자전거 밑에 드롭 해머를 달면 중심이 와이어 케이블 밑으로 가게 되어 오뚜기처럼 되며, 쉽게 “고공 자전거” 서커스를 할 수 있음
중력 원리 체험, 물리에 대한 흥미 향상
[그림 1]
[그림 2]
고공 자전거 [그림 3]
4) 부산과학체험관 홈페이지 체험관 소개 https://scinuri.pen.go.kr/(2019. 07)
13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목적
체험 방법
학습 효과
지진 모험
지진 공간 체험을 통해 지진의 원리 이해
지진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에서 지진 과정을 현실적으로 경험
지진의 과정을 현실적으로 경험
카르스트 동굴
동굴과 그 특징 이해
카르스트 동굴 공간 관찰
대자연이 만들어 내는 지질학적 경관 감상
[그림 4]
[그림 5]
[표 2] 부산과학체험관 체험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목적
체험 방법
학습 효과
미끄럼틀
역학 원리에서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 이해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면 높이가 감소하므로 위치에너지는 감소하나,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는 속력이 증가하므로 운동에너지는 증가함
높이에 따라 속도가 달라짐을 체험함으로써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됨을 알 수 있음
[그림 6]
[그림 7]
구슬 발사대 만들기
실포물선 궤도를 통해 포물선의 원리 이해
튀어 오르는 쇠공의 궤도가 포물선 궤도가 됨을 높이가 다른 고리의 위치로 확인 할 수 있음
발사한 공이 받침대 고리를 통과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공의 궤도가 포물선의 궤도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대형 만화경
거울의 반사 법칙을 이용하여 빛의 직진과 반사작용의 이해
천정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4면의 벽에 평면거울을 설치하여 거울에 반사된 다양한 무늬를 체험
만화경을 통해 빛의 원리에 대한 지식을 얻고 광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 일으킴
재질에 따라 실로폰 소리가 다름을 알고 다섯 세트의 장치를 다른 이와 함께 연주함으로써 비트와 멜로디를 합성하는 효과를 체험
사람이나 악기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나고 같은 악기라 하더라도 재질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남, 소리가 상황과 재질에 따라 일어나는 다른 변화를 경험
[그림 8]
[그림 9]
[그림 10]
136
재미있는 5음색 실로폰 연주
간단한 음색 원리를 배움
화산 화산지형을 만드는 체험물의 공기 조절 버튼을 조종하여 주위에는 모습과 바람의 모래 아래쪽에서 공기를 쏘아 올리면, 화산활동의 과정과 어떤 일이 세기를 따라 공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지형 형태를 그에 따른 현상을 이해 일어 모양과 패턴이 관찰 날까요? 달라짐을 관찰
Vol.2 No.1 February 2020
3. 과학 체험
현재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과학 체험 프로그램 중 ‘물리와 지구’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상하이과학기술관은 공간의 활용 면에서 효과를
프로그램 조사
거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공 자전거’ 프로그램의 경우 체험시설이 있는 공
결과의 시사점
간의 높이를 특별히 높여 중력 원리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카르스트 동굴’ 프로 그램은 실사이즈로 재현된 석회암동굴의 모습을 통해 이용자가 실제 동굴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그러나 체험 효과를 최대한 부각시키고자 한 반면 그 속에 있는 과 학적 함의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은 부족했다. 상하이과학기술관의 프로그램 중 “지진 모험”은 소리, 전기, 공간 등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한 대형 시뮬레이션 체험 공간이다. 이러한 설비와 장치는 관람객들이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함으로서 현실감과 몰입감을 부여해 지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그 러나 이러한 형식의 체험은 단순한 호기심 유도에만 머무르고, 관람객이 지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지식을 학습하게 하는 것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부산과학체험관의 “화산 활동” 체험 프로그램은, 체험 과정에서 땅에서 공기가 분출되 어 공기 흐름의 방향과 공기 흐름의 세기를 형상과 이미지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화산활동 과정과 화산활동이 가져오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고, 그 속에 담긴 지 질학적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 ‘지진’에 대한 동일한 체험이지만 “지진 모험”은 지진에 대한 현상만을 체험하는 것이라면 “화산 활동” 프로그램은 화산활동의 원리로부터 심층 적이면서 직접적인 내용으로 체험자가 구체적인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하이과 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이라는 명칭에서도 ‘기술관’과 ‘체험관’으로 무엇을 중점 적으로 여기는지 알 수가 있다. 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Museum of Science and Industry)은 서구 최대의 과학박물 관이자 미국의 대표적인 과학박물관이다. 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의 체험 프로그램은 다양한 연령과 주제에 맞추어 단순 현장학습 경험인 견학부터 3D프린트 체험, 전기회 로 조작으로 조명 만들기 체험, 항공기의 비행을 제어하고 우주를 유영하는 VR 체험 등 매우 다양한 주제와 관람자의 관점에서 운영되고 있다. 과학관에서는 기초과학에서부터 전통과학, 첨단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과학 원리와 기술을 쉽게 보고 느끼고 체험하고, 현대의 과학기술의 힘으로는 제어할 수 없는 자연 재해나 질병 등의 관심사항에 대해서도 정확한 과학적 정보와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4. 결론
과학기술 산업의 빠른 발전에 발맞추어 과학관의 체험 교육 프로그램 역시 발전이 요구 된다. 과학 체험 프로그램은 과학기술 지식을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실체적인 체험을 통하여 과학에 대한 열정과 흥미를 불어넣을 수 있어야 한다. 과학관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기지로, 단순히 과학기술 전시관이나 실험실에 머물러서 는 안 된다. 관람객은 대부분 단순한 흥미 위주의 효과를 체험하는 것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와 지구’라는 주제에 한정된 분석이었지만, 상하이 과학기술관은 체험 프로그램 교육을 중요시하지만, 과학적 지식의 효과적인 학습효과를 위한 경험의 제공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진 모험”과 같은 형식의 체험은 과학적 지식의 학습효과 보다는 지진이 발생한 현상만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13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따라서 상하이 과학기술관은 관람객을 위해 “지진모험”과 같은 체험 프로그램을 만드는 동시에 그 속에 내재된 과학적 정보에 대한 심층적인 발굴이 있어야만 더욱 효과적인 과학적 정보와 지식의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지속되는 연구에서는 현재의 청소년 중심의 과학기술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성인 대상의 과학기술 지식과 정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에 주목하고, 연구를 발전시키 기 위해 과학관에서 제공되는 과학기술 체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람과 제공하는 사 람들에게 최적의 경험을 주기위한 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진행하고자 한다. 교육철학자 인 존 듀이(John Dewey)가 『경험으로서의 예술』에서 언급한 진정한 경험으로 분류한 기억에 남는 경험, 삶을 충만하게 하는 경험, 주변 사람과 환경 사이에 조화를 이루는 경험으로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과학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진우, 『서비스경험디자인』, 안그라픽스, 2017 중국교육과학연구원, 『2017년 중국 STEM 교육백서』, 중국교육과학연구원, 2017 중국과학기술협회, 『과학기술관 건설 표준』, 건설부와 발전개혁위원회, 2007 Leonie Rennie & Terence McClafferty, 『Using visits to interactive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s, museums, aquaria, and zoos to promote learning in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98 어우야거, 「미국 과학 기술 박물관의 발전 추세를 가볍게 논하다」, 자연과학 박물관의 연구, 2016 과학보급연구 2007년 2월호 과학보급연구 2009년 5월호 국립중앙과학관 https://www.science.go.kr/ 국립과천과학관 https://www.sciencecenter.go.kr/ 부산과학체험관 https://scinuri.pen.go.kr Museum of Science and Industry https://www.msichicago.org/ 上海科技馆 http://www.sstm.org.cn
138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Children’s Arts Experience Program for Chinese Children’s Creativity
윤우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Yoon, Woo Lahm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아동미술, 창의성 Keyword
Children’s Arts, Creativity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디자인 선진국 그룹에서는 일찍이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창의성교육에 대한 중요성 이 주목을 받았다.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교육과정을 통해서 단순히 국민의 디자인 의식을 배양하고 디자인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으로 사 고하는 훈련과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생활 속에 나타나는 문제들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나감으로써 주어진 환경에 최적화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통합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 는 것이다. 여러 선진 국가들은 교육을 통한 창의성 증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고한 교육체계를 확립하고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을 실시한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선진국 과 비교했을 때 GDP 대비 창의성교육 시장의 규모가 현저하게 작으며, 공교육에서 디 자인적 사고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중국의 경제 성장세가 점 점 둔화됨에 따라 질적 성장을 위한 체질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미래의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창의성을 갖춘 인재들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창의성교육을 체계 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최종적인 목적은 디자 인적 사고방식을 활용한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의 방향 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수요가 있는지, 디자인 적 사고를 적용한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학부모의 관점에서 중국의 교육환경에 맞는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그 효과 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 결론으로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첫째, 연구는 공간적 범위를 중국의 톈진시(天津市)로 한정하였다. 비록 중국의 아동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나,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 시간 및 경제적 제한으로 인하여 중국 전역의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 국의 톈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의 아동기 창의성 발달은 Lowenfeld의 아동 미술표현 발달단계 이론을 중 심으로 고찰하였다. Lowenfeld의 이론은 아동 미술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인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Lowenfeld의 이론에 근거하여 디자인에 대한 개념이 생겨 나기 시작하는 또래 집단기(Gang Age)에 속하는 9~11세의 중국 초등학생을 연구 대 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140
Vol.2 No.1 February 2020
첫째, 이론연구에서는 창의성에 관련된 선행이론연구 및 Lowenfeld의 미술표현 발달 단계 이론을 중심으로 아동의 연령별 표현특성 및 인지능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아동기의 창의성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였으며,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창의성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각 국가의 사례 및 중국의 창의성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국의 교육환 경에 적합한 수업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 단계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을 자녀로 둔 중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면대면 인터뷰 방식으로 심층 인 터뷰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학부모의 창의성교육에 대한 인지도조사, 의견, 기대효과를 정리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수업 계획안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다음 단계의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방안을 선정하였다. 셋째, 앞서 선정한 프로그램을 통해 각 차시의 구체적인 수업 지도계획을 수립하여 교 재를 제작한다. 수업을 실시하기에 앞서 연구 대상에 대해 Torrance의 TTCT를 이용 한 사전 창의성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미술 체험 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고, 재차 창의성 검사를 진행하여 수업 전후의 결과를 대조하여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창의성의 이해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시대적 상황과 각 학자 개인의 연구 방향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를 종합적으로 관통하는 견해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생각이나 능력’, ‘현재 상황에서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 및 과정’등을 유추할 수 있다. 기 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전혀 새로운 무엇인가를 창조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불가능한 일 이다. 그러므로 창의성이란 어떠한 상황이나 맥락 속에서 기존에 존재하던 유무형의 요 소를 적절하게 재해석하여 적용함으로써, 그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을 사람들이 전혀 다 른 새로운 것으로 느끼게 하는 능력이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 에서 아동의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은 각 국가별로 상이한 교육환경 및 사회문화적 맥락 을 고려하고, 이에 부합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현지화 전략을 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2. 창의성의 연령별 발달 단계 [표 1] Lowenfeld의 아동 미술의 발달 단계1) 난화기 (2~4세)
전도식기 (4~7세)
도식기 (7~9세)
자아표현 시작 제멋대로 끄적거리는 시기 무질서한 난화기
실물 재현의 첫 시도 상징적이고 사실적인 표현 표현양식을 변화시킴
형태 개념의 습득 자신이 이해한대로 표현 전체에서 세부로 표현
또래집단기 (9~11세)
의사실기 (11~13세)
결정기 (13~17세)
표현대상 주변 것으로 확대 다양한 재료의 탐색 대상과 재료의 관계 발견
의식적 조작 단계 주제에 대한 접근법 변화 자신의 주관적 경험 표현
사각형과 촉각형의 구분 눈으로 사물의 외형 접근 근육감각, 촉각적 인상
1) 송영은,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평가 지표 개발 -Rhodes 4P요소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p.32, [그림 2-6]
14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현대적인 아동 미술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친 Lowenfeld는 미술과 미술교육을 구분하였 다. 미술은 창작의 최종적 결과물에 주목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미술교육은 아동이 어 떠한 창작 과정을 통해서 어떻게 결과물에 접근하는지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었다. 김혜 진(2017)은 이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유아-아동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성인의 관 점에서 좋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결과물 자체가 아니라,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생각, 느 낌, 지각 등 그들의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요소들을 표출하고 발견해 나가는 과정이라 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Lowenfeld는 미술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아동의 발달 단 계를 고려하여 단계별로 적절한 교육의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걸맞는 표현기법을 지도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유도할 수 있다고 보았다.
2.3. 아동기 창의성교육의 의의 Torrance(1995)의 창의성 발달 경향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동의 창의성은 아 동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또한 Alieldin(1979), Carroll(1979), Levene(1984) 등의 연구에서도 유치원 및 초등학교 과정에 있는 남녀 아동들의 창의성은 이들의 연령증가에 수반하여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2). 오 유영(2017)을 비롯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견해는 이 시기에 아 동들을 대상으로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를 배양하기 위해 실시하는 교육은 창의성과 통합적 사고력을 훈련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3). 아동기에 적합한 창의성교육을 통해 아동들은 심미적 감각과 같은 정서 발달의 촉진을 겪을 수 있으며, 성인이 된 후에도 수준 높은 디자인을 향유할 수 있는 기본적 소양을 갖출 수 있다.4)
3. 인터뷰 조사
3.1. 중국 학부모의 창의성교육 인지도 조사 인터뷰 조사는 중국 톈진시(天津市)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 아동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앞서 어떠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인터뷰 조사는 2019년 8월 2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중 국 톈진시의 난카이구(南开区), 허핑구(和平区)에서 면대면(face-to-face) 심층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인터뷰 참여자의 구성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인터뷰 참여자 개요 구분
연령
성별
아동연령
학부모 A
37세
여
만 10세
학부모 B
43세
여
만 10세
학부모 C
40세
여
만 10세
학부모 D
43세
여
만 10세
2) 송영은, 위의 논문, pp.44-45 3) 오유영,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아동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선방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p.20 4) 홍혜경, 김준교, 「초등 디자인교육 현황 및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vol.24 no.3, 2011, pp.321-338
142
Vol.2 No.1 February 2020
구분
연령
성별
아동연령
학부모 E
41세
여
만 10세
학부모 F
36세
여
만 9세
학부모 G
36세
여
만 9세
학부모 H
38세
여
만 9세
학부모 I
35세
여
만 9세
학부모 J
37세
여
만 9세
3.2. 인터뷰 결과 분석 본 연구는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얻은 정보 중에서, 향후 중국 아동을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내 용들을 추출하여 아래의 [표 3]으로 정리하였다. [표 3] 인터뷰 결과 요약 구분
학부모 A
학부모 B
학부모 C
학부모 D
학부모 E
학부모 F
학부모 G
중국 아동을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부모 의견 a: b: c: d:
들어봤다. 아이의 성장과정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 아이의 상상력과 창조적인 능력을 충분히 자극하고 이끌어 내는 것. 중국 전통의 도덕과 가치관, 그리고 중국 전통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소양 등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a: b: c: d: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 아이가 독립적이고 창의적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아이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필요한 능력과 더불어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에 대해 두루 배울 수 있으면 좋겠다.
a: b: c: d:
조금 알고 있다. 어릴 때부터 틀에 박힌 생각보다는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면 좋겠다. 아이가 자신감 있게 스스로의 생각을 표현하고 발산하는 것. 가정에 성실하고 감사할 줄 아는 인성 함양이 필요하다.
a: b: c: d:
들어본 아이가 아이가 아이가 된다고
a: b: c: d:
들어봤다. 아이의 창의성을 개발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아이가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명확한 계획을 스스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 매사에 감사할 줄 알고 선생님을 존경하는 등 사회성 개발.
a: b: c: d:
알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흥미를 찾아가는 미술교육. 아이들의 부모님 세대, 할아버지 세대가 그랬던 것처럼 다음 세대에 헌신하는 마음가짐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 b: c: d:
들어봤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스스로 찾아가는 것 같다. 세상을 보는 시야를 확장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 도교, 유교적인 중국 전통의 도덕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적 없다. 타고난 모습 그대로 모든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능력. 주도적으로 자신의 일을 계획하고 행하는 것. 창의력을 발휘할 때에도 스승과 노인을 공경하는 중국 민족의 전통적인 미덕을 잊어선 안 생각한다.
14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구분
학부모 H
학부모 I
학부모 J
* a: b: c: d:
4. 미술 체험 프로그램 설계
중국 아동을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부모 의견 a: b: c: d:
들어본 적 없다. 잘 모르겠다. 아이가 즐겁게 할 수 있는 활동, 자신을 발산할 수 있는 활동. 서양의 디자인이나 예술에 대해 이해하듯이 중국 고유의 디자인과 예술에 대해 더 많은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 b: c: d:
잘 알고 있다. 아이가 나름대로 상황에 맞게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스스로 시도해보는 태도라고 생각한다. 아이가 스스로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공부할 수 있는 과정. 중국의 다양한 전통문화 요소들을 이용해서 전통의 어떠한 가치관들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 b: c: d:
들어봤다. 타고나는 부분이 크다고 생각한다. 아이에게 많은 감각적 자극을 주고 생각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수업. 중국 전통의 발명품, 예술품 등 콘텐츠의 내용을 중국의 것으로 변형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다.
창의성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가? 아동의 창의성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가?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면 가장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인가? 중국의 교육환경에 맞는 창의성교육은 어떤 특성들이 필요한가?
앞서 진행한 중국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연구에서 중국의 교육환경에 적 합 창의성교육의 개발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심층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학부모들은 아동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에는 중국의 문화적 콘텐츠 요소 및 중국 사회의 전통적인 가치관인 ‘화합, 존경, 감사, 경로, 겸손, 효도’등이 반영되기를 희망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또래 집단기에 해당하는 중국의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표 4] 제시된 수업계획안 요약 구분
수업계획안 1
수업 계획안 2
수업 계획안 3
문화적 요소
경극
전통 의복
전통 도자기
학습개념
사회성
가족윤리
자긍심
학습도구
가면, 물감
종이, 부직포, 옷감 등
점토, 물감
주요내용
∙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여 경극 주인공 디자인 ∙ 고전 중국 이야기 속에서 롤 모델 발견 ∙ 또래 집단에서 바라본 자신의 모습 생각해보기
∙ 옛날이야기와 연계된 전통의 상 디자인 학습 ∙ 효도에 관련된 스토리를 통한 자아성찰
∙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 인 도자기를 통해 자국 문화 에 대한 자긍심 함양 ∙ 광고의 기본 개념 학습을 통 한 자기표현 훈련.
이상의 3가지 수업 계획안의 특징들을 간략히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극을 활용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성교육이다. 교육의 주요 키워드 는 사회성이며, 경극의 형식을 채용하여 가면이라는 매개체로 자신을 객관화하는 과정 을 디자인 문제로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들의 중국 경극 문화에 대한 이 해도를 제고하고, 자신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또래 집단 속에서 서로를 배려 할 수 있는 사회성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144
Vol.2 No.1 February 2020
둘째, 옛날이야기와 전통의상을 연결시킨 맥락연결 형식의 미술 체험 프로그램이다. 교 육의 주요 키워드는 가족윤리이며, 최근 중국에서 이슈로 대두되는 효도에 관한 내용에 중국 전통 의상을 접목한 디자인 문제를 제시하였다. 중국의 전통 의복 디자인의 재해 석이라는 과제와 함께, 아동이 평소 부모님에 대한 태도가 어떠했는지 앞으로 어떻게 개선해 나갈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셋째, 중국이 세계에 큰 영향을 끼쳤던 문화 콘텐츠 중에서 도자기를 선택하여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창의성교육이다. 주요 키워드는 자긍심이며, 중국의 우수한 문화 콘텐츠 를 어떻게 해석하고, 디자인하고, 소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디자인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자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제고하고, 광고의 기본 원리 학습을 통해 서 자신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5.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본 연구는 중국 아동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앞서 중국 학부모를 대 상으로 심층인터뷰 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대부분 창의성교육에 대해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나, 그 자세한 교육방법이나 맥락에 대 해서는 충분히 숙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아동의 창의성 증진이라는 목적에 대해서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이 반영된 창의성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조사 연구 결과 를 반영하여 후속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할 예정이다. 첫째, 중국 학부 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인터뷰 조사를 바탕으로 현지 교육 환경에 맞는 미술 체험 프로그램 학습지도방안을 수립한다. 둘째, 채택된 학습지도방안을 토대로 미술 체험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셋째, 수업 진행 전후로 공신력 있는 평가 방법을 통해 아동 창의성 검사를 진행하여, 미술 체험 프로그램의 효 과를 검증한다.
참고문헌 송영은,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평가 지표 개발 -Rhodes 4P요소를 중심으로-」, 한양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유영,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아동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선방향」, 세종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p.20 홍혜경, 김준교, 「초등 디자인교육 현황 및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초등 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vol.24 no.3, 2011, pp.321-338
14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스틸 라이프>에서 영상공간의 은유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the Metaphor of Film Space in <Still life>
멍샹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기수(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Meng, Xiang Bi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공간비평이론, 영상공간, 은유, 스틸라이프 Keyword
Kim, Gyo Su(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Spatial criticism theory, image space, metaphor,
Dongseo University
<Still life>
Vol.2 No.1 February 2020
<스틸 라이프>에서 영상공간의 은유에 관한 연구 요 약
공간비평이론은 1990년대 중반 문화지리학, 문화연구 등의 이론의 발흥과 함께 생겨난 새로운 비판방법이다. 그것은 연구의 중심을 텍스트에 있는 “시간”에 대한 관심에서 “공간”으로 돌리고, “공간” 뒤에 잠재되어 있는 사회적 속성, 문화적 속성, 그리고 “초 공간”의 특성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방법과 사례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공간비평의 이론을 고찰 하여 분석항목을 도출하였고. 다음으로, <스틸 라이프>를 중심을로, 공간비평 이론적인 관점에서 영상공간의 의미생산을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야기에서 일어나는 장면, 표현 수법, 렌즈의 선택의 세 가지 관점에서 영화 속 실제 공간과 은유 공간을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의 의미는 공간비판 이론의 사회문화적 내포를 풍부하게 함과 동시에 영상 공간 연구의 부족을 보완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영화의 공간은 일 종의 생활공간의 재현에 속한다. 감독은 장면과 소품, 카메라를 통해 이런 공간들을 보 여주며 많은 의미를 표현한다. 따라서, 한 영화의 주제와 표현의 의미는 그 공간과 밀 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공간비판 이론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문화지리학, 문화연구 등의 이론이 대두되면서 생겨난 새로운 비판방법이다. 그것은 연구의 중심을 텍스트에 있는 “시간”에 대한 과거 의 관심에서 “공간” 뒤에 잠재되어 있는 사회적 속성, 문화적 속성, 그리고 “초공간”의 특성을 고찰하고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관련 자료를 찾아보니 공간과 문화산업에 관한 연구도 많았고 영화 작품에 관한 연구 도 있었다. 이 연구들은 보통 영상공간을 심리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1) 또는 그림 안 공 간과 그림 밖 공간2) 등으로 분류하지만 공간비평 이론으로부터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 은 많지 않다. 동시에 이 두 영화의 관련 논문을 검색하면서 우리는 거시적 차원에서 영화문학적 의미를 언급한 저작도 있고,3) 광영, 렌즈, 화면, 서사 등의 관점에서 구체 적인 분석을 하는 연구도 있고,4) 그러나 영상공간 및 공간생산, 공간비판 등 측면에서 접점인 것은 많지 않다. 이처럼 공간비평 이론은 본인이 보지 못했지만, 영화 분석을 공간적으로 하면 영상공간 생산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영상전달의 법칙을 이해하는 것도 이 글에서 발췌 한 것이다. 본 문서의 연구는 공간비판 이론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풍부하게 함과 동시 에 영상공간 연구의 부족을 보완한다는 점에서 문예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 글은 주로 사례분석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이야기에서 일어나는 장면, 표현 수법, 렌즈 선택의 세 가지 관점에서 영화 속 물리적 공간과 은유적 공간을 분석한다.
1) 이은경, 「타이포그래피의 환경 변화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p.1-2 2) 황결.(2006).영화예술의 “매체공간” 및 그 “개발기연”. 신문계, 2006년 06월. 3) 맹건, 양승호. (2006).시각문화 전파: 일종의 전파 형태와 문화 생산의 이론 구축. 현대적 전파. 2006년 05호. 4) 니뢰. (2014). 기호화 소비언어의 경지에 따른 영상광고 언어연구.베이징 패션스쿨 석사논문.
14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이론적 배경
2.1. 공간비평 1990년대 중반 이래 텍스트에 대한 ‘공간’의 관심은 학계의 깊은 흥미를 불러일으켰 고, 학자들은 문화지리학, 문화연구 등의 학문에서 양분을 취하며 텍스트에 대한 이전 의 ‘시간’과 역사로 눈을 돌렸다. 학계에서 경중을 중시하는 사건 중 하나로 꼽히면서 공간비판(Spatiial Critism) 이론도 함께 생겨났다. 서양의 전통적인 시공관념에서 ‘공간’은 ‘시간’에 비해 종속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 시간의 종속성에 불과하고, 단지 ‘용기’나 ‘무대’에 불과하며, 공간을 경시하는 관념 이 문예연구에 미치는 것이다.5) 당대 공간비판은 이를 반전시켜 ‘공간’의 정명(正名)으 로 삼으려 했다. 그것은 시공간의 관계 문제를 포스트모던 어경에서 다시 생각해 볼 것 을 요구하면서, 또한 “공간”은 정체성의 지위로 “공간”이 인간 사회 문화생활에서 해야 할 역할을 한다. 공간 이론가들은 “공간 자체가 ‘생산물’이며, 다양한 사회 흐름과 인간 의 관여로 형성된 ‘힘’”이라며 “세계에서 인간의 행동과 방식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제한해야 한다”고 말한다.6) 초기 공간 비평가는 공간의 사회적 속성을 강조하여 텍스트 공간 뒤에 있는 사회적 요 인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와 헨리 레퍼블(Henri Lefebvre)을 대표로 한다. 푸코는 공간에 잠재되어 있는 권력관계를 강조하며, 그가 보 기에 “공간은 어떤 공공 생활 형식의 기초이다. 공간은 어떤 권력이 작동하는 기반이 다.”7) 레퍼폴은 공간의 사회적 속성을 강조하며, 그는 어떤 공간도 세 원소로 구성된다 고 생각한다: 공간실천(spatial practices), 공간의 재현(representation of space)8) 즉, 물질적인 측면을 감지하는 공간, 정신적인 측면에 치중하는 구상 공간, 앞선 두 가 지를 담으면서도 다른 생활공간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3자가 우리의 공간을 구성하여 하나의 사회생산방식이 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 공간비평가들은 포스트모던, 포스트 식민주의, 문화연구 등의 이론을 받 아들여 공간의 문화적 속성을 "공간이 어떻게 텍스트의 의미 시스템과 핑거 시스템으로 서 이데올로기, 정치신앙, 그리고 민족주의를 표현하는지에 관심이 모아졌다.9)그는 콘 래드 소설 ‘짐야’를 분석한 뒤 “파투손 섬은 ‘전보와 우편선이 따라올 수 없는 곳’으로 묘사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 공간은 유럽 제국주의와 경제 확장의 산물로 ‘유럽의 이 지방에 대한 기억’10)에 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파투손 섬이 유럽 대륙과 구별되는 ‘타자’의 신분을 갖게 된 것이다. 근년, 제임슨 등의 학자들은 공간을 글로벌·포스트모던과 연계해, 공간의 속성을 다차 원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제임슨의 관점에서 보면, 포스트모던은 문화의 공간화이며, 공간은 포스트모던 사회의 틀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공간 범주와 공 간화 논리가 포스트모던 사회를 주도하고 있다. 포스트모던의 ‘초공간’ 특성을 내세우 며 공간의 평면화, 조각화, 복제성을 강조하고, 전통공간의 시간감을 체념했다.11) 5) 이삼호. 기술철학의 공간서사. 철학동태, 2015년 05월. 6) Phillip E Wegner.(2003). Spatial Criticism: Critical Geography, Space, Place and Textuality, pp.181,182,194. 7) 보야민(2001). 포스트모던성과 지리학의 정치. 상하이교육출판사, 2001년, pp.13-14. 8) 오경군.(2007). 당대의 공간비평 세계 문학 평론,2007년 2월. 9) 후빈 영.(2006). 제임슨 포스트모던 공간 이론 탐구. 구색, 2006년 제12월. 10) Anthony Giddens,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M].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pp.18-19. 11) 손소이. (2010) 영화 경위-영상공간과 문화 글로벌리즘, 상하이 푸단대학 출판사.
148
Vol.2 No.1 February 2020
2.2. 영상 공간 영상공간은 영상이 일련의 생산과정을 통해 인간의 뇌 속에 상상의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사람들이 상상공간의 영향으로 객관적인 공간을 보고 회상할 때 어떤 장면이 영화와 강력하게 대비되는 것을 발견한다.12) 영상 공간 생산에서의 “생산 장소”는 적어 도 두 개의 의미를 포함합니다. 제일층은 인간을 다루는 관념적 상상의 공간으로 영상 공간 생산 과정에서 처음 생산되는 곳으로, 생산 과정에서 영화 속 이야기가 일어나는 곳으로 표현되는 스타일, 경조, 무드 등 수많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다. 후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가상의 미디어 공간으로 가득 차 있고, 영상은 크게 행해지 며, 사람들의 생활 공간을 의도적으로 만들고, 또 퍼뜨리고, 사람들이 있는 공간을 진 실하고, 진실하지 않게 만들고, "다양한 전자 매체의 도움으로 먼 곳에서 벌어지는 사 건들이 현지 공간에 격렬하게 개입할 수 있게 되어 사람들의 거주지가 일종의 비진실 공간이 된다.13) 둘째, 제임스슨은 거리감이 사라진 것을 포스트모던의 초공간적 표징으로 꼽았다.14)포 스트모던 영상 전파는 제임슨이 연구하는 이 같은 포스트모던 공간과 직결되며, "공간 과 지역은 포스트모던 감정과 특성의 중심에 잘 드러나 있다.15)에드워드 소여의 말대 로 ‘당대의 개혁기에 수반되는 것은 공간성과 공간화, 지역화와 지역주의의 갑작스러운 현형성, 인간의식’이다.16) 일종의 포스트모더니즘이 강조하는 것은 국제적인 그래픽 네 트워크가 만들어낸 새로운 공간성의 본질과 체험이다. 이미지와 스크린, 외관으로 구성 된 글로벌 공간으로, 여기서 현실의 질서는 상상의 질서와 얽혀 있다. 포스트모던 지리 이론의 함의다.17) 정보 전파 신기술은 의심할 여지없이 새로운 공간 구조와 관계, 그리 고 자리매김의 태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영상은 정보 전파 신기술의 강력 한 적재체 중 하나로 생산 후 현대 지리공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의 ‘영상공간 생산’ 이론은 포스트모던 이론에서 영상이 차지하는 위상을 바탕으로 연구되 었다. 이처럼 굵은 선을 그어보면 당대 사회문화적 시각에서 ‘공간’의 위상의 전환과 강화를 알 수 있다.
3. 사례 연구
3.1. 영화의 소개 <스틸 라이프>은 중국 영화감독 자창커가 자작극으로 연출한 다섯 번째 장편영화다. 영화는 탄광 노동자 한삼명과 간호사 심홍 두 사 람이 산서성에서 삼협으로 친척을 찾아가는 남녀의 사연을 그린 두 개의 스토리라인으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끝내 아무런 소식이 없 던 심홍의 남편 곽빈은 삼협으로 향하다가 남편이 이미 신환이 있
12) 사르트르.(1986). 영상론. 베이징: 중국 인민대학교 출판사. 13) (영)데이비드 몰리, 케빈 로빈스.(2001). 공감의 공간. 난징 난징대학출판사.
[그림 1] 영화 <스틸 라이프>
14) 김단원.(2003). 포스트모던 어경과 영상 미문화상하이 학림출판사. 15) 임소산.(2016) 공간생산의 논리(1). 이론과 현대화, 2016년 03월. 16) 이간난.(2009) 후현대영화: 포스트모던소비사회의 문화적 기관. 사천: 사천인민출판사. 17) (법)퀴이·엔스트·데포.(2006). [경관사회]·난징대 출판사.
14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다는 사실을 알고 남편과 어색하게 춤을 추자 이혼을 요구했다. 한삼명의 아내는 16년 전 딸을 데리고 떠났고, 몇 차례 우여곡절 끝에 삼협으로 가 처자를 찾았고, 예전보다 더 어려운 처지라는 사실을 알게 된 그는 3만원을 주고 아내를 돌려보냈다. 이 영화는 2006년 제63회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았다.18)
3.2. 장면 공간 영화에서의 사건은 중국 후베이성 이창시 싼샤 지역에서 일어났다. 영화 시작 장면은 기선, 대교, 계단식 건물, 철거 중인 집, 짐가방을 메고 떠나는 행인 무리 등이다. 중국 중부지방 장강변의 파괴된 소도시의 전형적인 공간구간이 소개됐다. 이 공간은 아름다운 자연 풍광을 가지고 있고 번잡한 주거 환경도 있다. 이러한 아름답고 낙후되고 부서진 모순된 공간 속에서만 가족을 찾는 이야기가 발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
[그림 2] 영화 시작된 장면
영화의 큰 배경은 삼협 이민 공사이다. 삼협 프로젝트는 중국 현대화의 한 큰 사건이다. 이 공사는 중국 현대화의 한 축이다. 중국 현대화의 한 과정이다. 자장코의 현장감 넘 치는 장면이 우리를 수몰 직전의 산샤쿠 구로 안내해 주었는데, 그곳은 폐허의 공간: 무너진 집, 깨진 기와 더미. 감독은 몇 가지 현실적인 장면을 통해 관객이 은유하는 공간, 즉 고난, 분리를 느끼게 한다.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이 공간에서 사람들의 고난은 여전 하다. 현대화에 대한 대가를 치를 또 하나의 집단인데, 이번에 그들이 치른 대가는 한 쪽 팔을 잃은 것일 뿐 아니라 가정의 파탄일 뿐 아니라 고향을 등진 비정이다. 폐허로 변한 이 공간은 밑바닥의 고난의 사진이자 그들의 정신적 공간의 현실적인 투영이다.
3.3. 표현 수법: 현실공간과 초현실적 공간 영화는 다큐멘터리식 리얼리티와 수법으로 사건을 기록하지만 현실의 공간 속에서는 초현실적 그림인 굴뚝이 치솟고 UFO가 하늘을 날아와 기와 더미 속에 존재하는 자연 풍경이 펼쳐졌다[그림 3].
18) Wikipedia. <스틸 라이프> https://zh.wikipedia.org/wiki/三峡好人.
150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3] UFO, 지폐 속의 풍경, 웅위한 대교, TV 속의 영상등 원소가 만들어된 비현실적인 공간
감독이 표현하고 싶은 것은 중국에서 밑바닥부터 현실주의적인 존재이다. 저변에는 탄 광 노동자와 광난, 구민과 이민사업 까지 반면 고도의 눈부신 발전은 일반인들을 이해 못하거나 심지어 무관심하게 만들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것은 밑바닥의 현실적 고난과 대비된다. 전환기 중국의 저층 일반인에게 초점을 맞춰 저층 현실공간에서의 생 존 몸부림을 보여주는 영화의 저층 시야에서의 높은 발전은 필연적으로 초현실적이다. 하이테크와 UFO의 출현은 이러한 불합리한 존재를 강조한다.
[그림 4] 빌딩이 로켓이 되어 날아갔다
여주인공이 두 번의 초현실적 사건을 직접 경험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는 전혀 무관심했다. 예를 들어, 낮에는 한 건물 앞에서 남편을 만났고, 밤에는 이 빌딩이 로켓 으로 발사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그림 4]. 경이롭지도, 흥분하지도 않았고, 그녀는 싼샤 댐 이민자들을 상대하는 무표정함으로 이 두 번의 초현실적인 사건들을 마주했다. 여기 서 두드러진 것은 바로 이런 분열이다. 사실 중국의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중국의 변화 는 일반인들에게 놀라움과 설렘을 주지 않는 반면,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일반인들이 느끼는 체감은 점점 더 무관심해지고 있으며, ‘역대력’은 점점 더 많은 고통을 주고 있 다. 이민 사업이든, 가정 비극이든 일반 국민들은 고통 경험 속에서 점점 더 무감각해 지고, 점점 더 무관심해지고 있으며, 그들은 고급 발전은 물론 자신들의 고난에도 익숙 해져 있다.
3.4. 렌즈의 선택: 3D 입체 공간 남주인공 한삼명은 각각 16년 된 아내와 빌딩에서 만났을 때 벽의 큰 구멍을 뚫고 경 심에서 또 다른 굉음을 내며 무너진 건물을 보았다. 철거가 진행 중이어서 이곳은 결국 물에 잠길 것이다. 여주인공의 뒤에는 보통 현지 주민들의 생활공간도 있다. 이사에 대한 현지 주민들의 정서와 여자주인공의 이혼에 대한 정서는 평온했다. 그들이 서로의 일에 무관심한 것은 사람들이 현실을 직면하는 무감각과 어쩔 수 없음을 보여준다[그림 5].
15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5] 남녀 주인공들 주변의 첫 공간과 현지 주민들의 생활 공간의 대비
자동으로 무너지는 듯한 경심공간의 빌딩은 이 두 사람뿐 아니라 삼협 지구 전체가 중 국 밑바닥의 운명에 어떤 힘에 떠밀려 움직이는지 알려주고 있는데 이들은 일어서서 보는 것 말고는 그런 운명을 받아들이는 것 같다. 영화 마지막에 삼협 지구를 떠난 한 삼명이 열심히 벌어 가정을 꾸릴 예정이어서 강인한 생명의 힘을 느낄 수 있지만 산서 의 탄갱이 기다리고 있으니 한삼명의 앞날을 누가 예측할 수 있겠는가. 이 영화는 이 렌즈들의 변환을 통해 중국 밑바닥 민중의 생존을 보여준다. 그들의 운명은 현대화 과 정에서 자신들의 손에 잡히지 않았다. 어떤 불가항력적인 힘이 그들을 고난으로 미끄러 져 들어갔다.19)
4. 결론
공간에 따라 경험을 달리하고 경험을 전달하는 데도 렌즈 언어가 필요하다.<스틸 라이 프>은 급변하는 중국 밑바닥 민중의 생존감을 보여준다. <스틸 라이프>이 우리에게 보 여준 공간은 완전한 중국화였다: 급변하는 중국의 공간, 현실적이고 초현실적이다. 삼 협 사업은 인류가 자연을 개조한 기적, 100년 중국 현대화의 랜드마크, 환경 생태적 재 앙, 한 번의 현실과 역사의 강도에 대한 역사적 대사건을 늘 다르게 이해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영화공간에서 거대한 저수지 공사는 거의 볼 수 없다는 점. 남자주인공 한삼명의 작업 공간 말고도 곳곳에 있는 폐허가 아닌, 오히려 평범한 중국 남서쪽 소성 리로 가득 차 있다. 영화는 공사가 끝날 무렵을 선택했고, 이야기는 카운트다운 분위기 와 함께 공간 곳곳에 3기 수위 높이의 표식들로 가득 차 있다. 사실 영화의 공간과 이야기가 펼쳐지는 순간, 배경은 삼협 호인이 중국의 우화를 재건 하거나 파묻고, 창조하거나 파멸하고, 기억하거나 묻히고, 시간 속의 꿈의 실현이나 역 사의 단절을 의미한다. 영화는 거대한 폐허 위에 소독제를 뿌리는 사람들을 따라다니며 밀폐된 과거 사람들의 집을 볼 수 있는데, 지금도 벽에 남아 있는 그림, 상, 그리고 꿈을 제시한다. 이것은 보통 전쟁영화 특유의 광경이며, 어떤 피카소가 ‘게르니카’(Picasso, Guernica)에서 전달하려고 시도했던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때 이곳은 세계가 주목하 는 건설현장이었다. 마치 공상과학영화처럼 극에 강한 초현실적 분위기를 띄고, 마치 두 세계에 나타나는 듯한 현상이 종종 한 공간에 펼쳐지는 대비를 이룬다.
19) 하오박녕, 이려방.(2007). 영상서사론. 운남: 운남대학교 출판사
152
Vol.2 No.1 February 2020
참고문헌 장일병. (2006). 뒤바뀐 경관세계(1) 난징대학 학보. 철학인문과학사회과학판, 2006년 01호. 황결. (2006). 영화예술의 “매체공간” 및 그 “개발기연”. 신문계, 2006년 06월. 맹건, 양승호. (2006).시각문화 전파: 일종의 전파 형태와 문화 생산의 이론 구축. 현대 적 전파. 2006년 05호. 니뢰. (2014). 기호화 소비언어의 경지에 따른 영상광고 언어 연구. 베이징 패션스쿨 석사논문. 이삼호. 기술철학의 공간서사. 철학동태, 2015년05월. Phillip E Wegner.(2003). Spatial Criticism: Critical Geography, Space, Place and Textuality, pp.181,182,194. 보야민(2001). 포스트모던성과 지리학의 정치. 상하이교육출판사, 2001년, pp.13-14. 오경군.(2007) .당대의 공간비평 세계 문학 평론,2007년 2월. 후빈 영.(2006). 제임슨 포스트모던 공간 이론 탐구. 구색, 2006년 제12월. Anthony Giddens,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M].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pp.18-19. 손소이.(2010) 영화 경위-영상공간과 문화 글로벌리즘, 상하이 푸단대학 출판사. 사르트르.(1986). 영상론. 베이징: 중국 인민대학교 출판사. (영)데이비드 몰리, 케빈 로빈스. (2001).공감의 공간. 난징 난징대학출판사. 김단원.(2003).포스트모던 어경과 영상 미문화상하이 학림출판사. 임소산.(2016) 공간생산의 논리(1). 이론과 현대화, 2016년 03월. 이간난.(2009) 후현대영화: 포스트모던소비사회의 문화적 기관. 사천: 사천인민출판사. (법)퀴이·엔스트·데포.(2006). [경관사회]·난징대 출판사. Wikipedia. <스틸 라이프>https://zh.wikipedia.org/wiki/三峡好人. 하오박녕, 이려방.(2007). 영상서사론. 운남: 운남대학교 출판사.
15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더우인(틱톡)”을 사례로 한 뉴미디어 클립과 전통 텔레비전, 영화 속 시청각언어 사용에 관한 차이점 연구 The Research of the Difference of the Audio-Visual Language between the New Media Clips and the Tradiotinal Television and Film. By 'TikTok‘ as an Example.
딩한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Ding, Han D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시청각언어, 뉴미디어클립, 촬영제식, 음화관계 Keyword
Seo, Han Se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audio-visual language, new media clips,
Dongseo University
shooting mode, relation of the voice and plan
Vol.2 No.1 February 2020
“더우인(틱톡)”을 사례로 한 뉴미디어 클립과 전통 텔레비전, 영화 속 시청각언어 사용에 관한 차이점 연구 1. 서론
시청각 언어는 넓게는 특정한 규칙이 있는 기호표의 시스템을 가리킨다. 시청각 언어는 샷(Shots)의 촬영, 샷의 몽타주, 음악, 화면의 조합 등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형식이 며, 시청각 작품은 정보, 정서와 의미를 전파하고 이를 수용, 표상 또는 창조해낸다. 시 청각 언어의 구성 특징과 시청자에 대한 영향은 전통 미디어 영역의 연구와 실천의 중 요한 논제였다. 과거 뉴스 시청각 언어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심미 이해나 당위 규칙과 같은 방면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시청각 언어라는 형식에 담긴 의미에 대한 해석을 진 행하였다. 그 해석에 어느 정도의 공통된 인식이 존재했음에도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 은 보편적으로 부족했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즉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매체 에 기반한 전파는 각동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간, 사용자와 인터넷 간에 정보 교류를 진행하는 전파 과정이다.
2. 논문 배경 및 고찰
2.1. 연구 배경 및 목적 사회의 끊임없는 발전과 모바일 인터넷의 대중화에 따라 뉴미디어 업계는 전에 없는 변혁을 맞았다. 시청자의 다양한 관람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뉴미디어는 시대라는 큰 배경 속에서 계속해서 발전을 이어갔으며, 신문이나 관람 위치가 고장되어 있는 텔레비 전, 영화, 인터넷 클립(internet clip) 등과 같은 전통 미디어 특유의 표현 방식과 내용 수요와 차별을 두게 되었다. 뉴미디어의 다양한 표현 방식과 임의적인 관람 장소, 교류 와 상호작용성 등 장점들은 뉴미디어가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이다. 인 터넷 스타 경제의 등장으로 영상 업계에는 훌륭한 콘텐츠 제작자들이 하나 둘 출현하 기 시작했다. 웨이보(微博), 미아오파이(秒拍), 콰이쇼우(快手), 진르토우탸오(headlin e)1)는 잇따라 영상 업계에 진출하였으며, 우수한 콘텐츠 제작팀을 대거 영입하였다. 2014년부터 중국에서 핸드폰 단말기를 이용해 인터넷을 하는 사용자는 PC 단말기를 넘어섰다. 이는 중국이 정식으로 모바일 네트워크 시대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이기 도 하다. 2015년 전후부터 인터넷 자체제작 콘텐츠와 위챗 공식계정 등 1인 미디어 플 랫폼은 자본시장에서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2017년에는 클립(Clip) 영상 업계의 경쟁 이 절정에 달했으며, 콘텐츠 제작자 역시 전문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인터넷 플랫폼 자체제작 콘텐츠는 웹드라마, 웹 예능을 비롯한 고퀄리티의 인 터넷 오락 콘텐츠를 생산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클립 제작은 라이브 스트리밍과 핸드 폰 촬영 기능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새로운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시장과 콘텐츠를 집광한 클립 플랫폼이 잇따라 등장하면서 클립을 직접 제작하는 사람이나 단 순히 클립을 시청하는 사람이나 구별할 것 없이 모든 참여자들에게 넓은 활동 공간을 제공하게 되었다.
1) 웨이보(微博), 미아오파이(秒拍), 콰이쇼우(快手), 진르토우탸오(headline) 모두 중국의 뉴미디어 소셜 플랫폼이다.
15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2. 연구 방법 및 범위 이렇게 클립은 새로운 사교 언어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2년간의 빠른 발전을 거쳐 클립 은 사람들이 세계를 발견하고 생활을 탐색하는 플랫폼이 되었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콘텐츠 전파에 새로운 매개체가 되었으며, 빠름과 간결함, 생동감과 가벼움, 정 확함과 사교화는 새로운 시청각 콘텐츠가 되었다. 새로운 콘텐츠 매개체를 붙잡고, “짧 으나 정교하고, 단순하나 생동감 있고, 작으나 아름다운” 시청각 콘텐츠를 만드는 것은 오늘날 뉴미디어 시대 속 모바일 네트워크의 콘텐츠 전파의 난제가 되었다. 본 논문은 전통 시청각 콘텐츠와 뉴미디어 클립(뉴미디어 클립)이라는 새로운 시청각 콘텐츠의 시 청각 언어 방면에서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네 가지 기본적인 방면에서 시작하여 다음과 같은 목표를 실현하고자 한다: 촬영(shooting), 몽타주 (montage), 의미(the meaning of shooting), 콘텐츠(the content of shooting). 또 한 “더우인(틱톡)” 시청자와 콘텐츠 제작자 간의 관계를 간단히 다뤄보고자 한다. 그러 기 위해서는 뉴미디어와 전통 미디어를 비교하는 방법을 차용하여야 한다. 즉 뉴미디어 를 정확히 드러낼 수 있는 방면을 탐색해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야 하는데, “더우 인(틱톡)”이 바로 이러한 비교 분석에 적합한 사례이다. “더우인(틱톡)2)”은 2016년 9월 정식으로 론칭된 음악 크리에이티브 클립(clips) 위주 의 소셜 소프트웨어로, 창의적인 음악 클립을 촬영하는 것이 주를 이루는 커뮤니티이 다. 사용자는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골라 나만의 작품을 제 작한 후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 “더우인(틱톡)”이 대중들의 사랑을 받게 된 이유는 시청각적으로 관객에게 전해주는 오락성과 참여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더우인(틱톡)” 시청각 언어의 특징
3.1. 샷 화면 촬영(shooting): 시청각 언어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구현 기준 시청각 언어의 기본 단위는 바로 화면(shot/frame) 이다. 화면 촬영(shooting)과 관련된 요소로는 화면 의 앵글(shooting angle), 샷의 촬영 거리(shooting distance), 샷의 운동 방식(movement of camera) 등이 있다. 시청각 언어는 우리들의 일상 생활 속 소 리와 시각 화면에 대한 사람들의 감지와 심리적 반응
[그림 1] 그림 전통 화면의 표현 방식
의 합리적인 응용을 통해 시청자에게 시청각 정보를 전달하는 특수한 감성어이다. 언어는 문자처럼 필연적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문자와 문 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바로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화면과 화면 몽타주, 예컨대 클로즈업(close-up), 클로즈 샷(close shot), 미디엄 샷(medium shots), 파노라마 (panoramic) 등이다. 화면 표현 방식마다 만들어 내는 효과도 천차만별이다. “더우인(틱톡)” 클립(clips)의 제작은 보다 간단하고 러프하다. “더우인(틱톡)” 사용자는 영상의 촬영 속도, 몽타주(montage), 특수 효과(루프, 번쩍임 효과, 슬로 모션부터 고 난도의 할리우드 효과까지 다양하다) 등 기술을 이용해 영상에 창의성과 흡인력을 더할
2) 틱톡은 중국에서는 '抖音(더우인)'를 쓴다.
156
Vol.2 No.1 February 2020
수 있다. 핸드폰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촬영을 진행할 수 있고, 또 언제 어디서든 편집(cutting)을 할 수 있어 제작 과정을 대폭 단축시킨다.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짧은 시간 안에 효율적 으로 자신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고, 촬영 전에 필요한 상세한 시 나리오(scenario)나 각본, 각종 불빛 효과(light effect)를 준비하 는 과정을 크게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전문적인 촬영 장비나 촬영 감독, 전문 배우나 세트장도 필요 없으며, 전문적인 편집 인력은 더더욱 필요 없다. 심지어 어떤 작품들은 따로 준비 작업 없이 바 로 촬영하며, 기발한 아이디어만으로 작품을 제작하고 기본적인 편집도 생략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유행한 해초춤(海 草舞hai cao shade)이 바로 이런 유형의 작품으로, 영상에는 사 람에게 조종되고 있는 고양이 한 마리가 등장하고, 거기에 해초춤 노래가 배경으로 깔린 것이 이 영상의 전부이다. 이 영상은 인터 넷에서 빠르게 퍼져나가며 영상의 주인공인 귀여운 고양이는 각 광받는 스타가 되었다. 이렇듯 콘텐츠의 재미를 중시하고 기술적 방면은 경시하는 창작 시청각 언어는 90년대 이후에 태어난 젊은 층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림 2] 그림 해초춤을 추는 고양이
3.2. 몽타주 관계: 몽타주와 오디오, 화면 조합의 탐구와 의의 화면 간의 몽타주에 대해 비교적 복잡한 관례는 일찍이 20세기 초 할리우스 영화 산업이 성숙되면서 미국에서 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소련 몽타주 학파(Montage School of the Soviet Union)3)는 단일한 동작을 여러 개의 화면으로 표현하거나 샷 간에 54 개의 다양한 전환 방식을 차용하면 관람자의 정서를 자극할 수 있으며, 그들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몰입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화면 간에 몽타주로 대비를 만들어 내는 것은 몽타주의 가장 중요한 함의 중 하나로, 의미 생성의 핵심적인 환절로 여겨진다. 오디오, 화면 몽타주는 몽타주의 또 다른 중요한 종류이다. 음향 언어(audio language) 방면에서 음성, 음악, 음향 효과(acoustics)4) 등 소리 언어는 영상에 대한 우리들의 느 낌와 이해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청각의 개입은 “감각기관의 싱크로나이 징(Synchronizing)”을 실현시킨다. 음향 기술의 발전과 유성 영화의 출현으로 몽타주 는 음향과 화면 조합 방면에서 여러 새로운 탐색이 있었다. 뉴미디어는 표현 형식에 있 어 샷의 단순화를 추구하며, 어떤 사물을 전시할 때 결코 많은 화면을 이용하지 않는 다. 늘 가장 짧고 가장 적은 샷만을 이용해 묘사하는데, 이러한 표현 형식은 제작 과정 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화면에서 전달되는 콘텐츠는 더 많아지고, 콘텐츠 사이사이가 더 욱 빈틈없이 연결된다. 요리를 만드는 것을 예로 들면, 전통적인 요리 영상은 표현 형 식 상에서 전문적인 미식 프로그램이나 전문가를 초청해 촬영하는 영상이 주를 이뤘으
3) 1920년대 중반 소련에서 나타난 몽타주 학파는 새로운 영화적 표현수단을 모색하여 새로운 시대를 보여주는 혁명영 화 예술을 추구하는데, 그들의 탐구는 주로 몽타주에 대한 실험과 연구에 집중되었다. 4) ‘sounds effect’라고도 불립니다.
15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며, 요리 과정을 굉장히 상세하게 알려줘서 시청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었지만, 상대적 으로 복잡하기도 하였다. 예컨대 어떤 미식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효과나 오락성, 활 기찬 분위기 등을 위해 진행자에게 대사를 많이 배정하기도 하는데, 이런 방식은 프로 그램에 유머감을 더하기는 하지만 조금 번잡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더우인 (Tiktok)”에서는 독특한 표현 형식을 이용해 요리 하나를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만들 고, 단 15초 만에 단순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어떠한 반감도 불러일으키지 않 는다.
3.3. 화면 의미: 의미 있는 형식과 더우인에 적합한 클립 촬영 방법 시청각 언어의 기본 단위는 화면이며, 화면 촬영과 관련된 요소는 화면의 촬영 고도 (shooting height), 화면의 촬영 거리(shooting distance), 샷의 운동 방식 등이 있 다. 창작가와 연구자는 화면 형식이 담고 있는 의미와 화면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감상 효과에 대해 상당한 인식의 일치를 이뤘다. 촬영 고도의 변화는 관중에게 정서상과 가 치상의 특수한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로우 앵글(low angle)은 등장인물을 장 려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하이 앵글(high angle)은 등장인물에 대한 낙심, 비통, 실망 의 느낌을 전해준다. 특히 몽타주 학파의 경우 촬영의 고도 방면에서 통상적인 풀 샷 (full shots)을 차용하는 경우가 드물며, 건축물과 인체에 대한 로우 앵글(low angle) 을 통해 등장인물의 위협적인 느낌과 영웅주의를 부각시킨다.
3.4. 콘텐츠 소재 선정: 전국민 촬영과 브이로그(V-log) 오락 콘텐츠 콘텐츠 방면에서 뉴미디어는 오락성이 교육성보다 높다. “더우인(Tiktok)” 클립 콘텐츠 도 그 행렬에 속하는데, 연예인, 미녀, 미남, 생활, 가정, 아이들, 반려동물, 음악과 춤, 연기, 미힉, 여행, 게임, 기술 위주이며, 거의 모든 콘텐츠의 소재가 이 몇 가지 분야로 귀납된다. 이 밖에도 수공예, 이차원(quadratic), 그림, 여러 교육 영상, 헬스 트레이 닝, 사진과 영상 촬영 등 다양한 콘텐츠 유형이 있으며, 이들이 모여 “더우인(틱톡)”의 다원화된 콘텐츠 생태를 구성한다. 앞서 언급한 수많은 콘텐츠는 “더우인(틱톡)” 클립의 콘텐츠 생태를 구성하면서 감상성, 흥미성, 가치성, 상호작용성, 공유성 등 특징도 보유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생태화, 저연령화, 오락화, 사교화, 개성화, 기술화, 유행화, 창의화, “마성(魔性)화” 된 커뮤니티 분위기를 형성하며, 콘텐츠와 시청자 사이에 감동 을 받거나 즐거워하거나, 감상하거나 찬미하거나 감복하는 등의 감정적 유대관계를 만 들어낸다. 이는 강렬한 감정적 공명을 불러일으켜 사용자의 충성도를 강화시키는 데 도 움을 준다.
158
Vol.2 No.1 February 2020
3.5. 전통 미디어 영상과 “더우인(틱톡)”을 사례로 한 뉴미디어 영상의 비교. [표 1] 전통적인 미디어와 더우인(틱톡)의 관계 전통 미디어
더우인(틱톡)
차이점
촬영
1. 사진 촬영 절차가 더욱 간소화되고 1. 촬영 합리화 응용은 촬영시의 각도, 자유화됨. 전통 촬영의 복잡화에 비해, “더우인 운동방식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시나리오가 기본적으로 필요하지 않 (틱톡)”의 촬영 절차가 크게 간소화되 2. 촬영 전에 치밀한 구상이 필요하다. 음의 사용자 이름은 제작 프로세스 고, 조작이 용이하다 를 크게 줄였다.
몽타주 관계
1. 전통 영상 제작에서는 몽타주 화면 수가 많고 몽타주가 화면접합이 더 몽타주에 대한 많은 사고와 절차가 거 전통 미디어 영상의 제작은 몽타주 공 욱 복잡. 의 필요하지 않다 정과 프로세스를 더 중시한다. 2. 전통영상 제작은 소리, 음향, 음악 등 의 요소를 더 많이 요구한다.
화면 의미
1. 전통 미디어 영상은 화면 속 언어 표현에 더욱 치중하며, 완전한 줄 거리를 가지고 있다. 화면과 내용의 표현 방식이 더 제멋대 “더우인(틱톡)”의 화면표시는 기본적으 2. 전통 미디어 영상의 촬영 각도, 범위, 로여서, 촬영 각도에 특별한 요구가 로 특별한 의미가 없으며 단순화와 수 방법 등의 요구가 보다 가혹하다. 없다. 의성를 추구한다. 3. 전통적인 미디어 영상화면 표현은 더 강한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콘텐츠 소재
1. 전통적인 영상은 취재 면에서 소재 의 대표성과 중요성을 보다 중요시 한다. 2. 전통 영상은 소재를 선택 보다 소재 와 자체 스토리의 결합을 더욱 중 요시하고, 자신의 상황에 따라 선 택한 소재를 표현한다.
전체“틱톡”은 소재 선택 부분에서 전 통 영상처럼 까다롭지 않아 소재가 거 의 대부분 영역을 포함한다. 연예인, 요리, 개인 라이프, 운동, 애완동물, 쇼핑 등 소재들이 모두 “틱톡”에서 클 립의 내용이 될 수 있다.
“틱톡” 영상의 파편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소재와 스토리에 뚜렷한 관계가 없고 서로 다른 영상의 연속성 과 상관성도 비교적 뒤처진다.
이를 통해 전통 영상은 촬영, 몽타주 관계, 화면의 의미 그리고 내용 선택 면에서 볼 때 엄격한 초기 구상, 시나리오 창작 및 촬영방식이 없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에 비해 “틱톡” 클립 영상은 촬영 방식 면에서 촬영 사물과 주변 사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짧디짧은 15초 내에 간단한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촬영 방식면에서든 몽타주 관계의 활용 면에서든 대대적으로 간소화되었거나 일부 절차를 생략하였다. 예 를 들면, 몽타주의 조합, 화면의 연결, 스토리 연관성과 몽타주의 관계, 또는 선택한 소 재 내용과 스토리의 일치성에 대한 요구 등은 모두 전통 영상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절 차 심지어 핵심 절차이다. 그러나 “더우인(틱톡)”에서는 클립(clip) 영상이 “자유형” 촬 영과 발휘를 할 수 있어 각 클립영상마다 서로 다른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4. “더우인(틱톡)” 의 강점
“더우인(틱톡)”은 뚜렷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더우인 (Tiktok)”의 전파 매체에 의해 결정되는데, 더우인의 전파 매체는 인터넷이다. 인터넷 매체의 개방성에 덕분이 사이트에 가입한 사용자는 영상을 본 후 하트를 누르거나 덧 글로 자신의 감상을 표현할 수 있고, 영상이 마음에 들 경우 하트를 누르거나 덧글로 자신 생각을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생각에 동의하는 또 다른 사람이 거기에 하트를 누 르거나 덧글을 달며 교류를 진행할 수 있다. 또 많은 사용자는 영상을 찍어 옷을 꿰맬 때 어떻게 실자국을 감추는지, 둥근 얼굴은 어떤 헤어스타일을 해야 얼굴이 작아 보이
15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는지 등과 같은 자신의 생활 속 팁을 공유하기도 한다. 이는 전통 미디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부분이다. 대중들 사이에 유행하는 “넷캐스트(netcast)”를 예로 들면, 넷캐스트 중간의 구름 자막형 댓글(bullet-screen comments) 역시 일종의 교류이자 상호작용 이며, 이를 통해 서로의 관점을 나눌 수 있는 신선한 방식이기도 하다. “상호작용성”을 제외하고도 더우인은 뚜렷한 “사교성”, 즉 강한 홍보성과 영향력을 갖추고 있다. 이는 더우잇의 전파 플랫폼 형식에 의해 결정된 것이다. 더두인은 핸드폰 미디어 플랫폼에서 전파되어 바이러스 마케팅(viral marketing) 효 과를 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 “바이러스 마케팅”은 사실 “바 이러스”와 무관하지만, 바이러스와 같은 폭발적인 영향력과 감염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진 것 이다. 바이러스 마케팅은 퍼지는 속도가 놀라울 정도이며, 이러한 전파 방식은 정보를 짧은 시간 안에 광범위한 사람들 에게 알릴 수 있다. 더우인 영상은 핸드폰에서 전파되며, 가 입한
사용자의
공유와
하트를
통해
쉽게
집적효과
(concentration effect)를 만들어낼 수 있다. 영상 공유로 사용자가 짧은 시간 안에 영상의 콘텐츠를 볼 수 있으며, 정 보는 이를 통해 광범위하게 전파된다. 이러한 뚜렷한 사교성
[그림 3] 그림 수고(手鼓) 아가씨 “샤샤(夏夏)
은 전통 미디어에서는 결핍되는 부분이다. 이런 강한 홍보성과 넓은 영향 범위는 더우 인으로 하여금 많은 광고주들과 동영상 사이트의 총아가 되게 하였다. 더우인의 유명한 수고(手鼓) 아가씨 “샤샤(夏夏)”를 예로 들면, 많은 관객은 더우인에서 수고를 치며 노래 를 부르는 이 아가씨의 영상을 보고는 샤샤(xiaxia)의 공연을 보기 위해 직접 리장(丽 江)으로 향했으며, 이는 리장 수고 시장의 발전을 이끌었다. 심지어 이러한 관심은 민요 (民谣)로까지 이어져 민요 보호와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 국민화(全 國民化)”는 필자가 생각하는 “더우인(틱톡)”의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강 점이다. 더우인은 전 국민의 모방을 이끌어 내며, 나이를 불문하고 사람들의 노출도를 향상시킨다. 자신을 드러내고 싶어 하는 일반 시민의 욕망을 충족시키며, 전 국민 오락 화를 실현한다. “감독의 꿈”와 “연예인의 꿈”이 더 이상 꿈에 머물지 않게 한다. 당신이 원한다면 자신 의 삶의 감독이 될 수 있으며, “민속 풍토”, “멜로”, “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제작해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다.
5. 예상 결론
이번 연구에서 전통 텔레비전, 영화 시청각 언어의 콘텐츠 전문성 추구나 관람 효과에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여기는 절대다수의 형식이 모바일 설비에서 전파량에 긍정적 인 효과를 미치지 않다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참여식 관찰 중 창작자가 인정하고 익숙한 텔레비전, 영화 등 전문 의식형태는 현재의 생산공정과 격려 제도 속에서 텔레 비전, 영화 시대의 시청각 언어 특징으로 하여금 모바일 시대에서 여전히 지속되게 하 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한 방면에서 핸드폰을 비롯한 휴대용 촬영(portable shooting) 설비의 보급과 사용자 정보 업로드의 낮은 문턱화로 관객이 정보를 획득하 는 것이 어렵지 않게 되었다. 또 다른 방면에서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잠깐 짬을
160
Vol.2 No.1 February 2020
내거나 여유 시간에 더욱 효과적으로 정보를 획득하고 싶어하며, 형식감을 중시하지 않 는 것이 사용자의 중요한 습관이자 수요이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있어서 효율적인 정보 획득은 짧은 시간 동안의 시청에서 가장 중요하다. 또한 전통 미디어 창작자의 전문의 식과 업무 프로세스에서 이미 전파량이라는 변수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 링을 진행하고 있으나, 시청각 텍스트의 여러 변수와 전파량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검 증과 이론 분석에까지는 아직 파고들지 못하고 있다. 사용자와 효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산을 진행하는 생산 패턴은 아직 모호하고 거친 제시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 생 산 과정에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창작자들이 특정 텔레비전, 영화 시청각 언어 형식의 사용은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재생수의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알려 주어도, 주류 미디어의 기관의 성질과 격려 제도는 수많은 1인 미디어(we media)로 하여금 재생수 데이터만을 고려하여 콘텐츠 생산 전략을 수립하게 하며, 기관 자체의 영향력에 대한 판단과 창작자에 대한 격려는 시장에서 피드백되는 숫자를 유일한 판단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전통 미디어 시대의 전문성과 형식감이 있는 샷이나 신(scene) 방식의 수용은 창작자가 자신의 전문적이고 권위적인 미디어 이미지를 견고히 하고 강화하며, 부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고 여기며, 창작자가 격려 제도에서 시장의 데이터를 완전히 믿지 않고 자신의 습관적인 운영 방식을 지속적 하면서 만들어진 필연적인 결과이다. 전환기에 위치한 전통 미디어 기관에게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전파 규칙에 대한 과학 적 탐구와 그 전파 규칙을 준수하는 것을 전제로 한 생산 혁신은 향후의 발전 방향이 며,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참고문헌 김설미 . 『영화사(史)에서 컴퓨터 그래픽이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영화 <아바타>를 중심으로』 - 한국영상미디어협회.2012. 이영창·장은혜·정순철·손진훈. 시청각 『동영상에 의해 유발된 부정적 감성에 따른 자율 신경계 반응』 .감성과학.2007 박현선*․김상현**.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의존, 생활 장애 및디지털휴식의도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지각된 위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정보시스템연구.2014 Konstantinos Bougiatiotis, 『Theodoros Giannakopoulos.Enhanced movie content similarity based on textual,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 n』.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2018 Stephanie Rosemann∗, Inga-Maria Wefel ♦, Volkan Elis ♦, Manfred Fahle. 『Audio---visual interaction in visual motion detection: Synchrony versus Asynchrony』.journal of optometry.2017 Nessa Coyle, RN, MS, Natalia Khojainova, MD, John M. Francavilla, MS, and Gilbert R. Gonzales, MD. 『Audio-Visual Communication and Its Use in Palliative Care』.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2, https://wenku.baidu.com/view/c4750e69227916888586d718.html?from=search https://wenku.baidu.com/view/ba0cd5466037ee06eff9aef8941ea76e58fa4a d2.html?from=search
16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의 필요성 연구 - 하얼빈 랜드마크 서점 ‘중앙서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Brand Identity Design Improvement - Focused on Harbin Landmark Bookstore ‘Central Bookstore’ -
리스루이,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브랜드, 아이덴티티, 서점 Li, Si Ru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brand, identity, bookstore, necessity
Vol.2 No.1 February 2020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의 필요성 연구 1. 서론
오늘날의 시장 환경에서 경쟁은 매우 치열하고, 발전의 길에서 상점들은 시대의 발전에 따른 여러 가지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브랜드의 개선과 혁신은 브랜드의 업계 이미지 를 새롭게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 및 시장 환경에서 상점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자신의 전략적 포지셔닝과 상응하고 긴밀하게 결합하며, 관중들의 인상에서의 차이와 부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점의 특징에 초점을 맞춰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 선하는 것은 상점의 경쟁력과 브랜드 이미지의 향상을 위한 필연적인 선택이 되었다. 상점의 특색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가장 짧은 시간 내에 소비자들에게 상점의 정신적 이념과 주체 운영 범위를 표현하는 것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핵심적으 로 추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재 성숙한 비주얼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갖춘 브랜드 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조사하고, 비교를 통해서, 이 서점의 브랜드 아이덴티 티 디자인 개선의 필요성을 연구하였다. 이 논문은 오늘날 시장의 배경에 기초하여, 그 현황에 대해 간단하게 분석을 진행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의 필요성을 연구한다. 상점의 시장 포지셔닝과 기업 이 미지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관계는 긴밀하고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브랜드 아이덴 티티 시스템이 개선된 디자인을 돌파구로 삼을 수 있다.또한, 디자인 개선의 기본 원리 를 바탕으로, 소비자심리학, 색채미학, 형식미학 등 다양한 학과를 교차 융합하여 현재 시장에서 상점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활용한다.
2. 브랜드
브랜드 이미지는 기업이나 그 어떤 브랜드가 시장에서, 그리고 사회 대중의 마음에서 보여지는 개성적인 특징을 말하며, 그것은 특히 브랜드에 대한 대중의 평가와 인지를
아이덴티티
나타낸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와 불가분의 이미지로 브랜드가 보여주는 특징으로
디자인 개선의
브랜드의 실력과 본질을 반영한다. 브랜드 이미지에는 품명, 포장, 패턴 광고 디자인
연구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전(汉典)>에서 “개선”이라는 이 단어의 해석은 사물의 어떤 단점을 없애 버리고, 요 구에 더 적합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사물에 원래 있던 기초 위에서 수정이나 변경을 하며, 최종적인 목적은 사물을 어떤 요구에 더 잘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관점에서 소비자의 수요 에 초점을 맞춰, 목표 디자인 대상의 과거와 미래의 사용 환경에 대해 비교를 진행한 다. 또한, 기업 이미지 포지셔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더해, 기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선하고 최적화하면 개선 후의 디자인은 소비자의 수요와 전체 적인 환경의 추세에 더 부합할 것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은 실용성과 지속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기존의 이미지 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더 심층적인 다양한 요구를 찾아내는 것이 일반적으로 디자인 개선의 핵심이다. 디자인을 개선하는 데는 일정한 원칙과 제한성이 있는데, 즉 변화과 정에서 기존의 기업 문화와 기업 이미지를 지속하고 중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16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1.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의 동기 2.1.1. 시장의 변화 시장의 발전과 포화에 따라, 소비자 수요와 심미적 취향을 맞추는 많은 서점들이 꾸준 히 시장에 나타나고 있다. 시장의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전제하에, 상점 사이에는 피할 수 없는 경쟁이 존재한다. 상점도 기존의 전통적 이미지가 이미 현재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과, 브랜드의 문화 이념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 하고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브랜드 이념의 외적인 표현 형식으로, 관중들에게 전체 브랜드의 핵심 운영 범위와 브랜드 포지셔닝을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오늘날 다양하면서도 동질화된 소비 시장에서, 어떻게 소비자들의 선택을 유도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 인을 개선해 더 차별화된 제품 및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지 등으로 브랜드의 경 쟁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을 통해 브랜드의 식별성을 높이는 것이 디자이너가 중시해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2.1.2. 소비자 심리수요변화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는 과정에서,정신 및 감정 소비에 대한 수요도 늘었다. 서 점 자체가 예술, 문화, 레저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 학습과 독서의 장으로서 뿐만 아니 라 소비와 문화의 욕구가 동시에 충족되는 곳이기 때문에, 서점의 브랜드 디자인에 있 어서는 소비자의 마음에 독특하고 선명한 서점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야 한다.
2.1.3. 문화공통 통신기술과 미디어 산업의 고속 발전은 국가와 지역의 경계를 점점 모호하게 했다. 하 지만, 문화적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고, 서로 다른 지역의 사람들이 생활하는 구역이 서 로 교차하는 현재 상황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이러한 비교적 새로운 환경에서 변화하 여, 다문화가 서로 융합되고 공통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림 1] 위 그림은 로지텍(Logitech)과 구글(Google) logo의 변경 전후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둘다 산세리프체로 변화했고, 이전과 비교해 더 깔끔하고 가지런하며, 더 매끄럽다. 이것은 현재 유행하는 평면화 logo 디자인 경향에 맞추어, 브랜드의 구현력을 더 직관적으로 변하게 하였다. 또한, 두 기업의 기업 문화의 새로운 정의와도 관련이 있다.
3. 조사연구
조사연구를 통해서 현재 소비자 집단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식별도가 비교적 높은 몇몇 서점의 logo를 정리했다. 디자인 스타일은 다르지만, 전체적인 스타일은 읽기 쉽 고, 형식이 간결하다. 브랜드 문화와 딱 어울리며, 높은 식별성을 가지고 있다.
164
Vol.2 No.1 February 2020
[표 1]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식별도가 비교적 높은 몇몇 서점의 logo 브랜드
로고
츠타야서점 TsutayaBooks (일분)
교보문고 (한국)
반디앤루니스 Bandi n lunis (한국)
토토라서점 TOTORA (스페인)
방소서점 FANGSUO (중국)
言几又서점 YANJIYOU (중국)
3.1. 대형복합서점 브랜드디자인 현황 - 일본 츠타야 서점예로 일본은 서점의 로고 TSUTAYA는 ‘茑居書店’로 갱신되었고, 로고 이미지는 주로 ‘茑’자 를 부각시켰으며, 일본어로는 담쟁이덩굴로 되어 있고, 이 로고는 읽기 쉽고 형식이 간 결하며 현대적인 예술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茑'자를 주요 설계 요소로 하여 여러 가 지 스타일의 조합형 형식을 창조하였다.
[그림 2-1, 2-2] 츠타야 서점의 로고 브랜드 디자인 전후 변화
[그림 3-1, 3-2, 3-3, 3-4] 츠타야 서점의 시각 제품의 디자인
16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 소형독립서점 브랜드디자인 현황 - ‘無早 no morning’(노 모닝)독립서점 예로 방소·성품·종서각과 같은 중국의 대형 복합서점과는 달라, 소형서점의 브랜드 이미지는 “사람” 서점경에 있다. 취향과 관점에 따라 자기 가게의 시각적 디자인을 선택하고 상 품을 구성하여 서점을 독특한 제품으로 만든다. 이런 서점의 브랜드 컨셉은 보통 자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작고 아름다운 서점 풍경을 만들고자 한다. ‘無早 no morning’ 독립서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영업의 보급·판매한다. 독 립 잡지를 파는 서점. 가장 간단한 진열방식과 깔끔한 브랜드 이미지로 종이책을 사랑 하는 소비자들에게 우월한 브랜드 분위기를 제공한다. ‘無早 no morning’은 심플하고 질박한 스타일로 개성이 뚜렷하고 위치가 정확한다. [표 2] ‘無早 no morning’ 독립 서점 브랜드의 시각적 인식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독립서점
'無早 no morning'(노 모닝)
로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모티브 응용
모티브 응용제품형식
포스터, 에코백, 티슈, 엽서, 노트, 문화 아이디어 제품
디자인 제품
logo디자인은 폰트 디자인 위주이며, 슬림하고 동글동글하며 세련된 느낌을 주며, 작고 아름다운 브랜드의 조화에 잘 어울린다. 색상은 단아한 컬러를 선택하여 조용하고 편안 한 느낌을 주며, 브랜드 웨어러블 디자인에서도 브랜드의 전체적인 스타일과 조화가 가 능한 한 깨끗하며 심플한 디자인.
166
Vol.2 No.1 February 2020
4. 결론
브랜드가 기회와 도전을 만날 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선하는 것은 브랜드 이미지의 재조성과 소비자에게 주는 인상의 심화를 위해 필요한 것이다. 더 정확한 브 랜드 포지셔닝, 더 개성 있는 브랜드 전파는 불필요한 정보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더 설득력과 경쟁력 있는 상점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쉽다. 현재 서점 시장의 빠른 발전과 시장 포화 현상에 기초하여, 하얼빈의 랜드마크 서점“중앙서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선하는 것은 브랜드 자체의 가치 향상과 경쟁력 증대라는 이 두 가지 측면 에서 필요한 것이다.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경험에 근거하여 진행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은 이 브랜드의 장기적인 발전에서도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하라켄야, 『디자인 중의 디자인』, 산둥 인민출판사, 2006 양조, 『서점의 솜씨』, 환류, 2014 하정은, 대형서점 문화콘텐츠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도서 리커버 및 문화상품 개 발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최완군, 「감성체험에 기초한 독립서점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요성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8 Dobbie Millman “The Essential Principles Of Graphic Design” HOW Books, 2008 https://store.tsite.jp/daikanyama/about/origin/ https://brunch.co.kr/@wirteforwrong/13
16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비주얼 뮤직의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research in visual music
청위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해윤, 류도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heng, Yu Y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색채 음악, 추상적 회화, 빛과 색채 예술, 추상영화 Keyword
Kim, Hae Yoon/Liu Dao Sheng(Corresponding author)_
color music, abstract painting, light color art,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abstract film
Vol.2 No.1 February 2020
비주얼 뮤직의 이론적 고찰 1. 서론
“예로부터 예술가들은 움직이는 빛으로 청각 효과와 견줄 수 있는 시각적 효과를 창조 하고자 하였다”. 청각적 효과와 견줄 수 있는 시각적 효과의 음악이란 비주얼 뮤직을 가리킨다. 이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의 주목을 크게 받으며 끊임없이 연구되고 창조 되고 있다. 현재 비주얼 뮤직에 대한 연구는 주로: 비주얼 뮤직의 채색 기기 및 디자이 너의 역사적 정리, 비주얼 시각화를 실현하는 형식과 방법에 대한 연구, 의상 또는 애 니메이션 등 분야에서 비주얼 뮤직의 응용 실천, 비줄얼 뮤직에서의 미학적 탐구 및 표 현 특징 분석 등 내용들이 포함된다. 본문은 현존하는 학술 문헌을 바탕으로 하여 비주 얼 뮤직의 이론에 대한 고찰과 정리를 진행하였으며, 문헌을 보완하는 한편 추후에 진 행하게 될 비주얼 뮤직의 형식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2. 비주얼 뮤직의
[표 1] 비주얼 뮤직의 개념
개념
3. 비주얼 뮤직의 기원과 초기 형식
기원 : 기원전 6세기-중세기-근대과학 초기 형식 : 1. 색채 음악 2. 추상적 회화 3. 빛과 색채 예술 4. 추상 영화 [표 2]
16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비주얼 뮤직의 기원과 초기 형식
170
Vol.2 No.1 February 2020
4. 비주얼 뮤직의 파생 응용
5. 결론
비디오 예술/설치/공연/시각/제품 [표 3] [표 3] 비주얼 뮤직의 파생 응용
비주얼 뮤직은 공감을 바탕으로 하고 또 컬러 뮤직, 추상 회화, 빛과 컬러 예술 및 추 상 영화 등 여러 가지 유형을 보유하고 있는 시청각 예술이고, 현재 동영상, 설치 예술, 공연, 비주얼, 제품 및 의상 등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성행하고 있다. 비주얼 뮤직의 오 랜 역사는 기원전 6세기의 피타고라스 음악과 수학, 플라톤의 음악과 천체 및 아리스토 텔레스의 음악과 색채 운율의 관계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고, 중세기의 보에티우스 (Boethius), 보베의 뱅상(Vincent of Beauvais), 그리고 프란치노 가퓌리오(Franchino Gaffurio) 등의 강화를 거쳐 요하네스 케플러(Kepler Johannes)와 아이작 뉴턴 (Isaac Newton)의 근대 과학 시대까지 연속하였고 뉴톤에 의해 빛의 색깔과 음악 음 계의 대응 관계가 보충되었다. 이 사상과 이론은 비주얼 뮤직의 초기 형식 탐구에 튼튼 한 보장을 주었다.18세기의 루이 베르트랑 카스텔(Louis Bertrand Castel)는 선배인 주세페 아르침볼도(Giuseppe Arcimboldo)의 소리와 밝기,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Athanasius Kircher)의 우주 오르간 구상 이론의 영향을 크게 받아, 세상에서 공인되 는 첫 번째 채색 오르간을 창조하여 시각적으로 음악의 색채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임스(D.D.Jameson), 프레데릭 카스트너(Georges Frédéric Eugène Kastner), 베인브릿지 주교(Bainbridge), 알렉산더 월라스 리밍톤(Alexander Wallace Rimington) 등은 모두 적극적으로 다양한 컬러 뮤직 형식을 창조하였고 색채와 음악이 대응하는 도보(圖譜) 또는 이론을 제기하였다.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를 대표로 하는 추상 회화가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게 되면서 컬러 뮤직 관념도 회화 속에 서 끊임없이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아우구스트 마케(August Macke), 프란티섹 쿠프 카(Frantisek Kupka), 로베르 들로네(Robert Delaunay), 파울 클레(Paul Klee), 로 이 드 메스트르(Roy De Maistre), 모건 러셀(Morgan Russell) 등 추상 화가들도 참 여하였다. 비주얼 뮤직이란 용어도 이때부터 정식으로 나타났는데, 1912년 영국의 예 술 비평가 로저 프라이가 처음으로 “비주얼 뮤직”으로 칸딘스키의 추상 회화 작품을 묘 사하였다. 그러나 칸딘스키는 회화에 만족하지 않지 빛과 색깔의 그림자, 관현악 음악
17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과 시 등 다양한 예술을 융합하여 종합적 예술을 형성하고자 하였으며, 그는 기술의 발 전에 의존하여 이를 최종적으로 빛과 색깔 예술의 형태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빛과 색 깔 예술의 등장은 비주얼 뮤직에 보다 넓은 표현 공간을 제공하였고, 알렉산더 스크랴 빈(Alexander Skryabin), 알렉산더 헥터(Alexander Burnett Hector), 토마스 윌프레 드(Thomas Wilfred), 매리 할록 그린월트(Mary Hallock-Greenewalt), 블라디미르 바라노프 로시네(Vladimir Baranov-Rossine), 알렉산더 라즐로(Alexander Laszlo) 등 예술 및 발명가들이 수많은 광색 예술의 공연 실천과 설치 기기의 특허 창조를 진행 하여 비주얼 뮤직의 연출을 단일함에서 종합적 형식으로 발전시켰다.뿐만 아니라 선진 적인 기술 설비도 뒤어어 나타난 추상 영화에 하드워어 지원을 제공하였는데, 바이킹 에겔링(Viking
Eggeling),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발터
루트만(Walter
Ruttmann), 오스카 피싱거(Oskar Fishinger), 메리 엘렌 부트(Mary Ellen Bute), 노 먼 맥라렌(Norman McLaren), 및 위트니(Whitney) 등 영화 작가들 모두 거대한 기여 를 제공하여 함께 비주얼 뮤직을 새로운 높이고 상승시켰다. 뉴미디어 및 디지털 시대 에 진입하면서 현재의 비주얼 뮤직 응용이 더욱 다양하게 변하였으며, 미디어 기술에 의존하는 동영상, 설치 예술 및 공연 분야에서도 크게 빛을 발산할 뿐만 아니라 예술 디자인에서 시각, 제품, 패션 등 여러 가지 표현 방식에서 매력을 뿜었다. 때문에 비주 얼 뮤직의 발전 전망은 여러 가지 분야가 공공으로 연구하고 탐구하며 창조하기 즐겨 하는 주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호. 『비쥬얼 뮤직에 나타난 추상적 공감각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 2016 오경은, 『음악의 시각화』. 현대 미술사연구,2015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보이지 않는 것의 시각화 연구』. 경기대학교, 2008 김지연, 『음악의 시각화를 통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대중음악의 장 르별 특성표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2 청위위, 김해윤, 『칸딘스키의 음악시각화 추상형식과 오스카 피싱거의 음악시각화 추상 영화와의 관계』, 커뮤니케이션디자인, 2018 청위위, 김해윤, 『추상애니메이션의 양식적 특징에 따른 월터 루트만과 오스카 피싱거 의 추상애니메이션 작품 차이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션디자인,2019 Adriano Abbado. 『Visual Music Masters: Abstract Explorations of Past and Present Artists』. Skira. 2018 Athanasius Kircher. 『Musurgia Universalis. Glasgow university library special collections』. 1650 http://special.lib.gla.ac.uk/exhibns/month/nov2002.html Maarten Franssen. 『The Ocular Harpsichord of Louis-Bertrand Castel』. Tractrix3, 1991 Elder.R, Bruce. 『Harmony and Dissent: Film and Avant-garde Art Movemen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l』. Film and Media Studies, 3, Wilfrid Laurier Univ. Press, 2008 David Briggs. 『The ryb hue circleor“artists’colour wheel”』. 2013 http://www.huevaluechroma.com/072.php
172
Vol.2 No.1 February 2020
John Gage. 『Color and Culture: Practice and Meaning from Antiquity to Abstraction』, University o fCalifornia Press,1999 Pietro Gonzaga. 『La Mustique des yeux et l’optique theatral』,1800 https://archive.org/stream/lamustiquedesyeu00gonz/lamustiquedesyeu00gonz _djvu. txt D.D.Jameson.『Colour-music. London Smith Elder』,1844 https://www.worldcat.org/title/colour-music-by-dd-jameson/oclc/457468569 Grunenberg, Christoph and Harris, Jonathan. 『Summer of Love: Psychedelic Art, Social Crisis and Counterculture in the 1960s』. Liverpool University. 2005 Bainbridge Bishop. 『A Souvenir of Color Organ: With some suggestions in regard to the soulof the rainbow and the harmony of light』. The De Vinne Press, 1893 Colour music. The Sydney Morning Herald. September 20,1895 https://trove.nla.gov.au/newspaper/article/14017525 Alexander Wallace Rimington. 『Colour-music the art of mobile colour』. Hutchinson, London,1912 De Staë. 『De I’Allemagne』. 1810 https://gallica.bnf.fr/ark:/12148/bpt6k9676861h/f15.image Ernst Florens Friedrich Chladni. 『Entdeckungen Uber Die Theorie Des Klanges 1787』. Literary Licensing, LLC, 2014 Erasmus Darwin. 『The Loves of the Plants』. 1789 http://www.en.utexas.edu/Classes/Moore/romantic/poetry/Darwin-46.pdf Wassily Kandinsky. 『Concerning the Spiritual in Art』. Dover Publication, 1977 Phillip Barcio. 『The art of František Kupka-From Figuration to Orphism』. Ideelart, 2016 Ursula Rehn Wolfman. 『Paul Klee-Paintng and Music』. 2016 https://interlude.hk/paul-kiee-painting-music/ “Roy de Maistre”. AGNSW collection record.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2016 Kenneth C. Lindsay, Peter Vergo. 『Kandinsky: Complete Writings On Art』. Da Capo Press,1994 Hajo Düchting. 『Kandinsky』. Taschen,2017 Anna M. Gawboy and Justin Townsend. 『Scriabin and the Possible, Society for Music Theory』, Volume 18,(06), 2012 Vanechkina, Irina. 『O tsvetnom slukhe A.N.S kriabina “On Scriabin's Colored Hearing”』. In Materialy Tret'ei konferentsii Svet i muzyka, 31-33. Kazan, Russia:KAI, 1975 Kenneth Peacock. 『Instruments to Perform Color-Music: Two Centuries of Technological Experimentation』. LEONARDO, Vol21, No.4, 1988 Jane Gibian. 『Alexander Burnett Hector and his colour music invention』. State Library of New South Wales, 2018
17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S. R. Wagler .『Sonovision: A Visual Display of Sound』. Leonardo. The MIT Press. Volume 3, Number 4, 1970 Thomas Wilfred. 『Light and the Artist』.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1947 Antoniio Baldassarre. 『The musicalization of the visual arts: Considerations of 20th century music iconography research』. Research Gate, 2008 Michael Betancour. 『Visual musicinstrument patents』. Borgo press, 2004 Michael Betancourt. 『Mary hallock greenwalt the complete patent』, wildside press, 2005 Moritz, William. 『The Dream of Color Music, And Machines That Made it Possible』. Animation World Magazine. issue 2, 1997 Derek Holzer. 『A brief history of optical synthe』. Berlin, 2010 Malte Hagener. 『Moving forward, looking back: the European avant-garde and the invention of film culture』, 1919-1939.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7 Jon Krasner. 『Motion Graphic Design: Applied History and Aesthetics』. Taylor & Francis,2013 Stephen Cavalier. 『The World History of Anim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David Podwell Kristen Thompson. 『FilmHistory (4 Edition)』. McGraw-Hill, 2018 Byeongwon Ha. 『A Pioneer of Interactive Art: Nam June Paik as Musique Concrète Composing Researcher』. ISEA, 2015 Claus, Jürgen. 『“Stan Van Der Beek: An Early Space Art Pioneer”』. Leonardo. 36 (3),2003 Spielmann, Yvonne. 『“Steina and Woody Vasulka: Noisefields, 1974”』. La Fondation DanielLanglois,2004 Faulkner, Michael; D-Fuse. VJ: Audio-Visual Art and VJ Culture: Includes DVD. Laurence King Publishing,2006 http://www.designdo.com.cn/index.php/News/view/id/622.html https://handmadecinema.com/mobileview.php?id=04 https://www.theartstory.org/artist/kupka-frantisek/artworks/#pnt_4 https://en.wilipedia.org/wiki/Frantisek_Kupka https://www.meishu.com/baike/2/1/3740.html http://www.signage911.com/article/4109.html
174
Vol.2 No.1 February 2020
상업성 예술성을 위한 저예산 영화에 대한 연구 -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w Budget Flims for Commercial an Artistic Value - Focused on Film <Drug Dealer> -
림팡루,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n, Fang R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e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저예산, 영화시장, 예술특점 Keyword
mid-budgest films, film markets, artstic feature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상업성 예술성을 위한 저예산 영화에 대한 연구 1. 서론
중국 저예산 영화는 다년간의 탐색하에 영화예술창작에서나 시장에서의 상업성적인 측 면에서 비교적 좋은 발전을 가져왔다. 예술창작 측면에서 말하면 최초의 ‘개인 서사’부 터 상업유형 영화의 축제로 또 서사 방식의 다원화까지 이미 점점 성숙에 나아가고 독 특한 풍격을 형성하였다. 상업적으로는 입소문 마케팅과 차별화를 널리 보급하는 것이 저예산 영화에 새로운 경험과 결실을 가져다주었다. 본 연구는 영화의 예술성과 상업성 두 가지 측면에서 <나는 약신이 아니다>라는 영화에 대해 분석연구를 하고 또 성공 경 험을 정리하여 신인 감독들의 작품을 위해 참고할만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논문 배경
2018년 중국 박스 오피스는 처음으로 600억 원을 돌파하였으며 저예산 영화의 강한 시장 잠재력을 보여주었다1). 본문에는 저예산 영화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중국 영화시장에 대해 분석 연구를 진행하고 영화의 상업성 가치와 예술성 사이 관계의 관 점을 논술하며 이에 의해 새로운 경험과 제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저예산
중국의 저예산 영화는 발전 시간이 짧고, 영화적 특징이 불명확하며, 투자 규모의 불확 정성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학술계에서 저예산 영화에 대한 명확하게 표준화된
영화개념에
답이 없다.
대한 정의
영화는 투자 자본금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일반적으로 고·중·소자본 영화로 나뉜다. 중국 에서 소위 대작이란 8000만 위안 이상을 투자한 영화, 즉 고 자본 영화이며, 1000만 위안에서 8000만 위안 사이의 영화는 중자본 영화, 소자본 영화는 투자금액이 1000만 위안 이하이다. [표 1] 2018년 중국 국산 영화 박스오피스 순위2) 매출(억위안)
제작비 (천만 위안)
흥행수익률(배)
홍보발행비용 (천만 위안)
순위
영화
1
오퍼레이션 레드 씨
36.4944
50
2.67
8
8.3
2
당인가탐안2
33.9666
55
2.26
15
6.7
3
나는 약신이 아니다
30.9691
7.5
15.97
6
9.0
4
Hello Mr. Billionaire
25.4625
5
5.5
1.5
6.6
5
몬스터 헌트2
22.3665
90
1
15
5.0
6
먼 훗날 우리
13.6394
7
5.4
1
5.9
7
아일랜드
13.5131
15
2.2
-
7.1
8
무쌍
12.7347
26
-
-
8.1
9
초시공동거
8.9886
3
10.6
1
6.9
10
A Cool Fish
7.9450
3
9.3
1.5
8.1
1) 라오쉬광: ‘당대 중국의 구조적 변화 속의 중소예산 영화’[J], ‘예술백가’, 2016년 1기, 총 148기. 2) 바이두, 구글, 콩쪽 등의 웹 사이트의 데이터 검색에 따라 이 표가 나온다.
176
DOUBAN평점
Vol.2 No.1 February 2020
[표 1]은 2018년 중국 국산 영화 박스 오피스 차트 상위 10위에 대한 통계 자료이다.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는 박스오피스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듀반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상업성과 예술성에서 성공적인 탐색을 했다.
4. 저예산 영화 시장의 마케팅 전략 분석
4.1. 입소문 마케팅 효과 입소문 마케팅을 하는 과정에서 관객들은 주도권과 자발성을 지니고 있는데 다른 관객 들의 신뢰를 획득하고 따라서 타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입소문 마케팅이란 주 도권을 관객들한테 주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 또한 제작진이 고의적으로 이끈 결과이기 도 하다. 예를 들면 영화 개봉, 포인트 프로젝션, 로드 쇼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 개하고 영화계 인사, 영화 평론가, 스타 배우, 인터넷 스타 등 일련의 사회적 영향력이 있는 인사들과 각종 대형 언론 기자들의 참여하에 영화에 대한 입소문이 최대한 전파 되게 만들어 홍보 목적에 도달하게 만든다. [표 2] 2018년 중국 국산 영화 흥행 10위 개봉일 전 15일 흥행 통계도3)
[도표 1]의 “홍보 배급 비용”을 조합해 2018년 중국 국산 영화 흥행 상위 10개 영화 중 “요기 잡기 2” “당인거리 탐정 2” “먼 훗날 우리”는, 영화 첫날 개봉 흥행 순위가 상 위에 비해 현저하게 되었다. 특히 첫날 개봉 당시 1위를 차지한 ‘요물잡기2’는 홍보발 매 비용이 가장 높았지만 하락세가 뚜렷했고, 관객수가 급격히 하락했으며, 입소문 평 가가 낮아 관객반전율이 적었다. 반면 ‘나는 약신이 아니다 ’차이나타운 탐정2 무명의 무리는 개봉 첫날 흥행이 적었고 특히 개봉 5일 전의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나는 약 신이 아니다’는 홍보배급료 6000만 위안 가운데 1억5000만 위안의 홍보배급비용이 드 는 ‘당인거리탐안2’ 보다 훨씬 큰 파동을 일으키며 높은 입소문을 받았다.
3) 중국 영화 흥행 데이터 네트워크, 바이두, 구글, 콩쪽 등의 웹 사이트의 데이터 검색에 따라 이 표가 나온다.
17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2. 차별화된 마케팅수단으로 생존공간을 확대 먼저 대작이 드문 기간을 선택하여 경쟁력 부담을 약화시키고 그 다음 큰 비용이 필요 한 플랫폼, 영화 예능 프로그램을 포기한다. 저예산 영화의 입소문이 가장 좋은 극장은 이 극장들이 마주하고 있는 관객들이 모두 저예산 독립영화를 받아들인 것을 의미한다. 영화 극장의 보급, 스크린 수의 확장은 극장 사이의 경쟁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일부 극장은 특별히 저예산의 예술영화를 상영하여 관객들을 흡입한다. 극장의 차별화, 개성 화를 추구하는 경영은 저예산 영화의 새로운 발전 계기와 공간을 가져다주었고 빅 데 이터에 대한 분석, 차별화되는 마케팅 수단을 통해 적극적으로 주도권을 장악하여야 스 스로 구제하는 것을 실현할 수가 있다. 박스 오피스의 성공을 획득하는 전제는 영화의 완성도가 우수하여야 하고 좋은 스토리 가 담겨져야 되는 것이다. [표 3] 2018년 중국 국산 영화 박스오피스 순위4) 순위
영화
매출(억위안)
국적
개봉일
1
오퍼레이션 레드 씨
36.4944
중국
2018-02-16
2
당인가탐안2
33.9666
중국
2018-02-16
3
나는 약신이 아니다
30.9691
중국
2018-07-16
4
Hello Mr. Billionaire
25.4625
중국
2018-07-28
5
Avengers: Infinity War
23.7
미국
2018-05-11
6
몬스터 헌트2
22.36
중국
2018-02-16
7
Aquaman
19.97
미국
2018-12-08
8
Venom
18.56
미국
2018-11-09
9
Jurassic World: Fallen Kingdom
16.82
미국
2018-06-15
10
Ready Player One
13.85
미국
2018-03-30
[표 3]은 2018년 중국 영화 흥행 순위 10위 안에 드는 순위이다. 영화 ‘나는 약신이 아니다’가 영화 개봉일을 선택할 때, 첫째, 설 대목을 피해 우수 국산 영화를 대거 개봉 하는 것이다. 둘째, 미국 할리우드 영화 상영 시간대를 피해서다. 셋째, 결국 여름 개봉 을 택했다. ‘나는 약신이 아니다’의 홍보발급원은 “우리가 홍보발매에 들어가기로 했을 때 다른 가능성을 탐구했지만 결국 영화 내용이 충분히 풍부하다고 생각했고,7월 초에 상영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고 가장 긴 발효기를 갖는다.”
5. 저예산 영화 속
5.1. 예술성에 있는 상업성
스토리지에서
5.1.1. 상업 시장을 향해 접근하는 현실 소재의 영화
예술성과
현재 영화의 시장화가 점점 심화되는 상황아래, 영화는 없어서는 안되는 상품이 되었
상업성
고, 그 상품성은 무시할 수 없다. 현실주의 소재는 중국 제 6세대 감독들의 작품 스타
4) 중국 영화 흥행 데이터 네트워크, 바이두, 구글, 콩쪽 등의 웹 사이트의 데이터 검색에 따라 이 표가 나온다.
178
Vol.2 No.1 February 2020
일에 존재하는데, <나는 약신이 아니다>는 현실주의 소재에 일정한 상업적 요소를 더 해, 생활에 더 밀착하며, 사회문제를 반영한다. 영화는 실화를 각색한 것으로, 2015년 “육용안(陆勇案)”이라는 인물이 화제가 되며, 네 티즌들의 열띤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당시에 어느 정도의 사회적 영향력이 있어, 영화 홍보의 전기에서 일정한 촉진 역할을 했다. 영화는 현재 평범한 인물들의 감정의 역정 과 생존상태, 사회 변두리 인물들에 주목하며, 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에 대해 상응하 는 태도를 제시하면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 의료제도, 법리와 감정에 대한 사고 측면 에 대해 관중들의“2차 소비”를 재촉한다.
5.1.2. “가난병”, “인도신유” 등의 유행어, 인터넷 어휘의 출현 이야기는 상하이를 배경으로 연출되고, 많은 본토의 상하이 사투리와 속어를 결합하고 현지 문화에 뿌리를 두며, 농후한 중국의 특색을 융합해, 관중들의 생활에 더 밀착해 다가갔다.
5.2 상업성에 있는 예술성 5.2.1. 전형적인 환경아래에서 전형적인 인물 조성 “각 인물은 모두 어떤 두드러진 특징을 사용하고, 혹은 한 그룹이 밀접하게 연결된 성 격의 특징으로 충분한 표현을 할 수 있다.”5) <나는 약신이 아니다>에서 청용(程勇)은 이혼한 건강보조식품점 사장으로, 순조롭지 않은 사업을 하고 있고, 다른 인물들로는 백혈병 환자 여수익(吕受益), 딸을 구하기 위해 무녀가 된 사혜(思慧), “신부 말투”의 영 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유(刘)목사, 성격이 사나운 황모(黄毛)가 있다. 인물은 이야기의 매개체이고, 본 영화는 다섯 명의 선명한 인물의 이미지를 확정했기 때문에, 좋은 이야 기로 절반은 성공했다.
5.2.2. 인과식 선형 서사 구조 평범한 서사를 피하기 위해, 청용 약 판매 팀의 다섯 명의 주요 배역들은 극이 발전되 면서, 각각 “만족-하락-다시 만족”의 과정을 거치면서, 할리우드 영화의 고전적인 서사 방식에 부합한다.6) 또한, 전체 영화의 감정 수렴이 매우 적절해, 관중들의 마음을 직접 적으로 건드렸다.
5.2.3. 갈등 충돌의 이야기 백혈병 환자들은 생명을 구할 비싼 최고가의 약을 감당할 수 없어, 단지 인도에서 밀수 된 약을 살 수밖에 없었다. 청용이 환자들을 도와 약을 밀수한 것은 벌을 받아 마땅하 지만 감정적으로는 용서할 만한 점이 있다. 하지만, 법률이 고가의 약을 보호하고 인정 미가 적은 것도 역시 사회질서에 필요한 것이다. 영화의 극본에 충돌을 구성하여, 영화 의 극적인 측면을 더하였다.
5) [미] 조지베이커, <연극기교> 중국연극출판사, 2004년, 215p. 6) [미] 데이비드보드웰, <할리우드의서사방법> 백가(역), 남경대학출판사, 2009-6-1.
17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2.4. 서술 시점의 선택 영화는 외부 초점형 서술 시점을 선택했는데, 이러한 서술 시점은 영화의 현실주의 스 타일에 더 부합하며,“실재 인물과 사실”의 느낌을 조성하고, 비교적 넓은 시점을 사용 해, 관중들이 방관자의 시각으로 전체 이야기를 보게 하고, 영화 속 사건을 객관적으로 보게 한다.
6. 결론
저예산 영화의 예술적 가치와 상업적 가치를 모두 획득하는 것이 불가한 것은 아니다. 영화는 현실소재의 바탕에서 작자의 주제의식을 투영하고 예술적 영화의 시야 아래서 다양한 유형의 서사 풍격을 시도하여 작가의 의지로 영화의 오리지널성과 예술성을 표 현할 수 있으면서도 시장에서 대중의 입맛에 맞게 접근할 수가 있다. <나는 약신이 아 니다>의 창작 전략과 시장의 길은 우리에게 참고할만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참고문헌 라오쉬광: ‘당대 중국의 구조적 변화 속의 중소예산 영화’[J], ‘예술백가’, 2016년 1기, 총 148기. 바이두, 구글, 콩쪽 등의 웹 사이트의 데이터 검색에 따라 이 표가 나온다. 중국 영화 흥행 데이터 네트워크, 바이두, 구글, 콩쪽 등의 웹 사이트의 데이터 검색에 따라 이 표가 나온다. 중국 영화 흥행 데이터 네트워크, 바이두, 구글, 콩쪽 등의 웹 사이트의 데이터 검색에 따라 이 표가 나온다. [미] 조지베이커, <연극기교> 중국연극출판사, 2004년, 215p. [미] 데이비드보드웰, <할리우드의서사방법> 백가(역), 남경대학출판사, 2009-6-1.
180
Vol.2 No.1 February 2020
영화 <유랑지구>와 <상해보루>의 내러티브 구조 연구 A Study of Narrative structure between the Sci-Fi Movies <The Wandering Earth>and <Shanghai Fortress>
장지아멍,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기수(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ang, Jia Me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im, Gyo Su(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유랑지구, 상해보루, 내러티브 Keyword
The Wandering Earth, Shanghai Fortress, Narrative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영화 <유랑지구>와 <상해보루>의 내러티브 구조 연구 1. 서론
작가 강남의 동명소설을 각색한 영화 <상해보루>는 2019년 8월9일 중국 내륙에서 상 영되었다. 2019년 2월5일 상영된 영화 <유랑지구>와 같이 모두 동명 SF소설을 각색하 여 제작된 재난 주제의 SF영화이며 미래의 중국인이 세계 종말을 맞닥뜨릴 때의 노력 과 희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나 <유랑지구>가 상영 후 높은 예매 율과 호평 을 기록한 것과 달리, <상해보루>의 상영 성적은 매우 좋지 않았으며 2019년 최악의 영화로 꼽히며 심지어 한 네티즌은 “<유랑지구>가 중국 SF계의 대문을 열었다면 <상해 보루>는 그걸 닫아버렸다”고 평가하였다1). 본문은 서술의 각도로 두 영화에 대해 비교 를 진행하였으며 영화<상해보루>의 서술 구조에 존재하는 문제와 실패 원인을 분석하 고 SF영화의 이후 발전을 위한 지도적 의미를 제공하려 한다.
2. 영화
2.1. 영화의 테마 분석
<유랑지구>와
<유랑지구>의 스토리는 지구가 태양이 곧 소멸될 재난을 맞닥뜨렸을 때 주인공이 세계
<상해보루>의
각국의 사람들과 한 마음이 되어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하는 노력과 희생에 대해 이야
내러티브
기 하고 있다. 영화는 중국인의 가정에 대한 책임감과 지구라는 “인류의 집”에 대한 열 애에 대해 다루고 있다2). <상해보루>는 지구에서 솅톈(仙藤)이라는 무한한 에너지원이 발견되고 이 에너지원을 차지하기 위하여 미지의 외계인이 지구를 공격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주인공은 상해보루의 군인으로, 여지휘관과의 사랑을 위해 상해를 보호하 는 임무에 참여하게 되었다. 상해보루는 전쟁시대에서의 주인공간의 애정 묘사를 통해 인류의 생과 사의 기로에서의 사랑의 위대한 힘을 표현하고자 하였다3). [표 1] 영화 개봉정보 연도
유랑지구
상해보루
촬영시간
2017.5
2017.9
개봉시간
2019.2.5
2019.8.6
제작비(위안)
3.2억
3.6억
박스오피스(위안)
46.87억
1.22억
또우반 평점
7.9분
2.9분
1) 중국 박스오피스 참조(https://movie.douban.com/subject/26266893/) 2) 누가 유랑하는 지구를 구할 것인가 - 영화 《유랑지구》와 중국의 ‘인류운명공동체’이념. 3) 『중국 SF는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할 능력이 있다』. <人民網-文化頻道> 2019.2.13. http://culture.people.com.cn/n1/2019/0213/c1013-30653477.html) 참조
182
Vol.2 No.1 February 2020
[표 2] 영화 <유랑지구>와 <상해보루>의 통합체 분석(심층 구조) 영화제목
유랑지구
상해보루
표면구조
태양이 곧 사망할 지경에 이르자 유랑지구 계획이 정식으로 개시됨(시퀀스 서사구조)
지구의 “셴톙(仙藤)”에너지원을 얻기 위해 외계인이 지구를 침공함(시퀀스 서사구조)
주인공이 각국의 시민의 도움을 받아 지구 를 지킴(영상화면 서사구조)
주인공이 연합군의 지휘관이 되어 지구를 지키기 위한 최후의 결전에 나선다(영상화 면 서사구조)
인류문명의 공통 이념: 지구는 인류 모두의 “집”, 모두가 힘을 합쳐 보호해야 한다(시퀀 스와 영상화면의 맥락구조)
사랑의 힘을 강조: 인류는 자신의 생명을 희생하여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보호한다 (시퀀스와 영상화면의 맥락구조)
그레마스의 표층구조 심층 구조 심층구조
2.2 영화의 내용 분석 영화 <유랑지구>의 서술 방식은 지구와 우주정거장 두 개의 시점의 평행 전개로 진행 된다. 이야기의 진행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사이의 충돌로 이루어 진다. 예를 들 어 주인공 일가와 구조대 사이에서의 마찰, 집에 가려는 주인공과 목성이 곧 지구라는 집을 파괴할 상황에서의 마찰, 극은 주인공이 새로운 해결 방법을 찾았을 때 절정에 이 르고 모든 인류가 합심하여 지구를 성공적으로 구해낸다.
[그림 1] <유랑지구> 서사 구조(평행 시점)
[그림 2] <상해보루> 서사 구조(시간 순서)
18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영화 상해보루의 서술 방식은 시간의 발전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극중 외계인이 한 차 례 한 차례 공격할 때 마다 점차 극의 절정으로 향하는데, 중간에 주인공의 사랑 이야 기를 다루는 방식이 너무 간단하고 지구를 보호하는 주요한 주제에서 주인공의 사랑이 야기는 극의 흐름을 느리게 만들며 있어도 없어도 무관한 내용으로 보여진다. 또한 사 랑이란 주제가 이 영화에서 명확하게 표현되지 못했다4).
2.3. 영화의 주인공 분석 소련언어학자 블라디미르 프로프는 1928년 출판한 <민담 형태론>에서 이야기의 기본 단위는 인물이 아닌 인물이 이야기 속에서 하는 행동으로, 이야기의 발전은 안정적으로 시작하여 불안정을 지나 최종적으로 안정되게 되며 주인공은 이야기의 발전에 따라 점 차 성숙해져 간다고 언급하였다5). 류치(刘启)는 우주인 아버지를 두었지만 그 자신은 반항적이고 평범한 젊은이이다. 조력자가 있어야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지구를 보호 하는 사건의 해결 중에서 류치(刘启)는 가족을 잃는 슬픔을 경험하고, 구조에 실패를 경험하며 반항적이었던 그는 끊임없이 성장하고 점차 성숙해져 단체의 이익을 위해 개 인의 이익을 포기하게 되면서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강렬한 공감을 이끌어냈다. [표 3] 영화 <유랑지구>와 <상해보루>의 계열체 분석(주인공) 주인공
이항대립구조
류치(유랑지구)
강양(상해보루)
일반 평민
천재 소년
성격이 괴팍하고 괴짜스럽다
성격이 온화하고 선량하다
가족에 대한 사랑, 애국심
애정
조력자: 세계각국의 사람들
조력자: 소대 대원
좌절의 경험: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잃음
좌절의 경험: 전우와 정인을 잃음
결국: 성장하며 성숙 해짐
결국: 인물 내적으로 변화가 없음
이와 반대로, 강양(江洋)은 영화 도입부부터 전형적인 헐리웃 스타일의 영웅으로 그려 졌다: 학업성적이 우수하고 최고의 무인기조종술을 보유한 능력 있는 상해 보호 공신이 다. 상해보루에 들어와 지구를 보호하게 된 동기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을 따라가기 위해서 였다. 그가 전우와 정인을 잃었을 때, 영화는 주인공의 심리를 제대로 묘사하지 않았고 인물의 성격은 시작부터 끝까지 어떠한 전환을 격지 않았다. 이는 프로프가 언 급한 영웅의 성장 규칙에 부합하지 않으며 보는 이들로 하여금 인물의 진실성을 느끼 도록 할 수 없다.
3. 결론
비록 영화 유랑지구의 성공과 상해보루의 실패 원인은 모두 다양한 방면에서의 이유가 있을 것 이다. 그러나 서술 방식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영화 유랑지구가 평행 서술과 다양한 인물의 묘사를 성공적으로 지구 보호의 주제와 접목시킨 것과 달리 영화 상해 보루는 사랑이란 주제 표현 불분명하고 극중 전쟁과 애정관계를 분명히 정리하지 못해
4) <일반 언어학 강의>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페르디낭 드 소쉬르. 1916 5) <민담 형태론> (Морфология сказки). 블라디미르 프로프. 1928
184
Vol.2 No.1 February 2020
이야기 구조에 모순과 충돌이 생기고 인물 묘사 역시 규칙을 벗어난 헐리웃 영화 산업 모방의 실패 사례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따라서 중국 영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헐리웃의 영화제작 체계는 더 이상 중국 영화시장의 발전에 부합하지 않으며 중국 관 객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관객들은 더 이상 화려한 특수효과 때문에 극중 정서 와 인물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 그와 반대로 관객은 중국 문화 배경에 기반한 서술 규 칙에 부합한 논리적인 중국 자체의 SF스토리를 보길 갈망하고 있다.
참고문헌 중국 박스오피스 참조(https://movie.douban.com/subject/26266893/) 누가 유랑하는 지구를 구할 것인가 - 영화 《유랑지구》와 중국의 ‘인류운명공동체’이념. 金震共.2019.8 『중국 SF는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할 능력이 있다』. <人民網-文化頻道> 2019.2.13. http://culture.people.com.cn/n1/2019/0213/c1013-30653477.html) 참조 <일반 언어학 강의>(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페르디낭 드 소쉬르. 1916 <민담 형태론>(Морфология сказки). 블라디미르 프로프. 1928
18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자하 하디드의 건축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of Zaha Hadid
한 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an, Xiao Do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자하 하디드, 건축, 디자인 특성 Keyword
Zaha Hadid, Architectural, Design Characteristics
Vol.2 No.1 February 2020
자하 하디드의 건축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현대 사회는 산업화 이후 집단과 개인의 관계, 사회조직의 변형,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에 의한 지역적 개념의 변화와 더불어 시민 의식의 성장과 사회계층의 분 화로 인한 다양한 가치관이 형성되었다. 이는 사회와 시민들에 의한 도시와 건축에 대 한 인식 또한 변화시켰으며, 건축가들에게도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게 되었음을 의미한 다. 사회의 변화는 다양한 가시적인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데 특히 도시적 현상과 맞닥 뜨려 나타나게 된다. 이런 도시적 현상에 대해 건축이 대응하고 반응하기 위해서 기존 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시도를 통해 도시와 건축의 관계를 논의해야 할 것이 다.1) 제로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예술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 호보완적인 관계로 존재하는 것이다. 즉, 서로 다른 분야의 디자인이 서로 영향을 미치 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가능성이 있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건축 디자인은 소프트웨어와 건축 재료도 변화시켰고 유동성과 비구조화된 건축시공도 가능해졌다. 자하 하디드의 건축 디자인 실험은 어려움을 겪기는 했지만, 2000년에 와서 자하 하디 드가 디자인한 비구조화, 유동적인 건축들이 연이어 준공되었다. 2004년, 자하 하디드 는 프리츠커상을 받은 최초의 여성 건축가로 선정되었고, 세계적인 건축가가 되었다.2) 본 연구자는 건축가 자하 하디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자하 하디드의 건축 양식의 특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자하 하디드가 디자인하여 2000년 이후 개발, 완공 또 는 갱신된 광저우 오페라극장,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 예술센 터 3가지의 복합문화공간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3가지 사례의 건축 특성을 각각 분석하여 자하 하디드가 현대 건축 디자인에서 표현한 특징의 변화를 도출하여다.
1.1. 연구 범위와 방법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하 하디드의 철학과 건축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건축의 경량 성, 투명성, 역동성, 장식성, 시간성, 연속성, 비선형성 등 7개 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사례분석으로 자하 하디드의 최근작 (2004년 이후) 3가지 복합문화공간 사례를 각 사례의 개념과 건축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자하 하디드 건축 디자인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여 자하 하디드 21세기 건축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하여다.
1) 咸然植,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도시의 건축화’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 정유진, 「자하 하디드(Zaha Hadid) 건축의 특성에 기반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18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이론적 고찰
2.1. 자하 하디드의 건축개념 20세기 80년대 미국 뉴욕의 “7인의 해체주의 건축 전시회”가 개최된 이후 자하 하디드 (Zaha Hadid)에 대해 논할 때 해체주의를 빼놓을 수 없게 되었다. 자하 하디드와 해 체주의는 밀접 불가분 한 관계에 있다. 자하 하디드의 변화무쌍한 작품들은 서로간에 차이가 크지만, 일종의 내재적인 “일관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사실 건축 창작 이념 의 “일관성”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다. 자하 하디드가 창작한 건축은 기하 형태와 유선체 와 같은 건축 구조의 유행에 한발 앞선 전위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새로운 공간 형식임과 동시에 이 시대의 건축 특징과 공간 구조 본질에 대한 자하 하디드의 인 지를 드러낸 것이기도 하며, 그 속에 깊은 함의와 사상의 기초를 담고 있다. 자하 하디 드는 시대와 사회 발전 속의 이슈를 민감하게 포착하며, 이를 디자인의 창작 주제로 녹 여낸다. 창작 과정에서 그녀는 정보화 사회의 복잡성을 창작의 주제로 삼아 직관적인 디자인 사유로 건축의 형식, 공간과 기술 개념을 혁신하였다. 그녀는 급진적인 경관 사 상을 중심으로 건축, 도시, 자연 등 공간의 가치 함의와 공간 개념과 복잡성, 다양성의 함의를 발굴하였다.
2.2. 자하 하디드 건축적 특징 자하 하디드는 새로운 시각으로, 현대의 세계를 표현하는 건축가이다. 그녀는 오브제의 응축과 미래 변화에 대한 적응을 건축의 주제로 삼았다. 움직임에 의한 변화를 표현하 기 위하여 유동적 공간과 구조, 대지 밖으로 나아가는 예리한 각도, 내·외부를 관통하 는 곡선의 무한함 등을 통하여 도시맥락과 어우러지는 공간언어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공간언어에서 발전하여 더 가볍고 투명하며 반중력적인 특성을 지닌다. 건축 화 과정에 있어서 스케치와 페인팅, 그래픽 단계는 자하 하디드 건축의 본질이다. 복잡 한 생각과 창조적 형태를 스케치하여 나타담 선들은 건축적 실현이 가능할지의 구심을 품게 하지만, 그래픽 작업을 통하여 작은 부분까지도 건축화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사 람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며 스케치작업은 그녀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친다.3) 자하 하디드의 건축은 흰색과 검은색을 주로, 경쾌한 색채가 부드러운 선과 결합하여 미래와 과학기술의 느낌을 나타낸다. 실내 건축 재료는 모두 인조석으로, 가장 돋보이 는 점은 틈이 없이 하나가 되어 조형이 비교적 임의적이고 친환경적이라는 점이다. 현 재 이러한 인테리어는 많지 않고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들며 마지막에는 광택을 내고 왁 스를 입혀야 한다. 자하 하디드는 항상 급진적인 디자인 태도로 사람들에게 '인공풍경 (Artificial Landscape)'의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자연풍경에서 일반적인 토폴로지(topology) 형태의 추출을 통해서, 그리고 추상, 유추, 콜라주 그리고 혼합 등 의 수법을 통해서 그 전환된 개념을 건축 어휘 범위에 도입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그리 고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람들을 일반적인 행위 패턴에 빠지게 할 수 있는 모든 친숙하 고 평범한 형태를 버리고, 새로운 방식으로 지각해야 비로소 의미가 풍부한 추상적 결 합체로 대체하려고 했다. 이렇게 하면 건축과 이용자, 환경 사이에 새로운 형식의 대화 관계를 만들 수 있다. 무궁무진한 자연의 형태는 의심할 여지없이 자하 하디드가 디자 인에서 가장 먼저 선택한 전환 개념이다. 건축에는 매끄러운 질감의 알루미늄, 스테인 리스강, 유리에서부터 무광의 콘크리트, 목재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재료를 사용했다.4) 3) 曲敬铭, 何旭泽, 「解构主义思想与扎哈哈迪德设计理念」, 大连理工大学, 2019 4) https://wenku.baidu.com/view/bd1553f4f90f76c661371ac2.html
188
Vol.2 No.1 February 2020
2.3. 건축 특성분석 노상우(2005)의 논문의 주요 목적은 공간의 분리의 형태에 대한 근본적인 의미는 외관 에 있고, 외관은 공간의 표현 방법을 변화시킨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목적에 대한 내 용은 아님. 맞는지 확인)논문에서 요약한 특성은 경량성, 투명성, 역동성, 장식성이다. 류규진(2007)의 논문의 주요 목적은 건물 외관의 구축 방식과 외관에 대한 표현성이 현대 건축에서 갖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논문에서 요약한 특성은 투명성, 시간성, 역동성, 장식성이다. 박성희(2012)의 논문의 주요 목적은 유동공간의 표현특성 분석을 통해, 건축 생성에 따른 유동형태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논문에서 요약한 특성은 경량성, 역동성, 연 속성, 비선형성이다. 이상의 선행연구로 도출한 경량성, 투명성, 역동성, 장식성, 시간성, 연속성, 비선형성 7가지 건축 특성을 통해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표 1] 자하 하디드의 건축 특성 정합 경량성
경량성
투명성 역동성
미래성
비선형성 반중력 투명성 시간성
경량성 투명성/반중력/미래성/시간성
역동성
╋
장시성
→
비선형성 방향성
비선형성 불안정성/긴장성/집중성
집중성 불안정성
연속성
유동성 집중성/역동성/연속성/방향성/장시성
긴장성
[표 2] 자하 하디드의 건축 특성 특성
주요 특징 반중력 공간-형태 측면은 습관성, 장소성, 그리고 구축 가치를 벗어나는 현상이고, 이것으로 만들어진 형 태는 관심과 중시, 분극, 경계가 없다. 유리와 금속재료 등 반사면의 사용은 효과적인 표현이 있다.
경량성
투명성 투명한 시각 및 시각적 특징을 가리킨다. 이러한 공간의 투명성은 긴장감과 운동감을 조성한다. 색깔은 주변 환경의 변화와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미래성 건축물의 중량감이나 폐쇄성을 낮추는데 많이 사용되며, 외부 활동을 통해 정적인 건축물을 동적 인 건축물로 만든다. 빛의 연출과 상응하는 소재의 연출은 건축물의 시간적 표현에 자주 나타난다.
유동성
역동성 사선을 삽입하여 중력에 대항하는 형태를 구성함으로써, 이것으로 시각적 활력을 테스트한다. 가벼운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유리와 금속 등의 재료도 사용한다.
18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특성
주요 특징
유동성
연속성 전체 공간형태의 디자인 방법을 통해, 자연요소를 공간을 결합하여 자유롭고 유동적인 액체공간을 실현한다. 외관에는 흐르는 물처럼 부드러운 곡선의 기하학 무늬가 사용되며, 그 흐름은 관찰자가 통과하게 될 내부 공간에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비선형성
3. 사례분석
비선형 특성은 계층화된 공간의 복잡한 표면이나 구역을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적이고 강한 방향성 효과가 있는 공간을 만든다.
3.1. 사례 선택 기준 자하 하디드의 건축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하 하디드의 건축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선정 기준의 시간적 범위는 자하 하디드가 2004년 프리츠커상을 받은 이후 개발, 완공 또는 갱신된 복합문화공간 사례로, 광저우 오페라극장,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창사 메 이시후 국제문화 예술센터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비슷한 규모의 사례를 선별하여 경량성, 투명성, 역동성, 장식성, 시간성, 연속성, 비선형성 특성에 대해 시간순으로 분 석을 진행한다.
3.2. 분석 방법 본 논문은 자하 하디드가 디자인한 건물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건축의 특 성을 바탕으로 자하 하디드의 3개의 복합건축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동대문 디자인 플 라자, 광저우 오페라극장,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예술센터의 건축 특성에 대해 각각 분석을 진행한다. [표 3] 광저우 오페라극장 사례분석 광저우 오페라극장 위치
계요
중국 광저우
규모
70000㎡
건설시간
2003-2010
광저우 오페라홀의 점유 면적은 4.2만 제곱미터이며, 건축 면적은 7.3만 제곱미터, 건축물 총 높이는 43.1 미터이다. 시설로는 오페라홀, 실험극장, 현대 미술관등 예술 전문홀과 세 개의 리허설 홀(오페라 리허설 홀, 발레 리허설 홀, 교향악 리허설 홀)이 있다. 광저우 오페라홀은 디자이너 자하 하디드가 설계 하였으며, 2013년 9월 광저우 오페라홀은 “FIDIC 백년 중대 건축 프로젝트 걸작상”을 수상하였다. 반중력 건축물 외피에 흰색을 사용해 무중력을 구현하였다. 표면에 넓은 면적의 유리 재질을 이용해 투명한 느낌으로 건물의 경량감을 구현하였다. 건물 주변 연못에 건물의 형상이 반사되어 경량감을 강화하였다.
건축 특성
경량성
투명성 흰색 외피가 조명과 어우러져 야간에 반투명한 건축물처럼 보이게 하여 투명성을 구현하였다. 유리 재질자 체가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미래성 건축물 외피에 설치된 조명 시스템과 흰색 석재가 건축물의 중량감과 폐쇄성을 상쇄하였다. 건축물의 표피와 계단 위의 조명, 흰색 석재와 유리가 건축물의 시간성을 강화하였다.
190
Vol.2 No.1 February 2020
역동성 건축물 외관에 104개의 능선을 차용해 비틀리고 경사진 모습으로 중력에 대항하는 형태를 구성 한다. 유리 재질로 가벼운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유리를 통해 격자 모양으로 만든 활력이 넘치는 동태적인 표면을 관찰할 수 있다. 유동성 건축 특성
연속성 유리와 물의 반사되는 특성을 활용해 자연환경과 건축물을 결합하여 자유롭게 유동하는 건축물 을 실현하였다. 외관에는 기하학을 사용해 여러 종류의 기하 절단체로 구성되어 공간 내부와 외부의 일관된 표 현 기법을 구현하였다. 비선 형성
중합 분석
장식성 유리를 통해 내부 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며, 기하형태가 장식적 작용을 한다.
건축물 외피의 유리는 삼각형이 여러 개 합쳐져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구조와 함께 다양한 차 원의 프랙탈 기하의 특징을 드러낸다. 건축물 외형은 점, 선,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어서 모양을 만드는 기법을 이용해 비선형성 을 더욱 드러낸다.
광저우 오페라홀은 흑백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흰색 표피와 유리는 수면과 만나 경량성, 유동 성, 시간성을 드러내며, 전부 절단면으로 구성된 형태적 특징은 건축물에 연속성을, 경사진 벽면은 역동성 을 드러내고, 유리로 내부 구조를 볼 수 있어 장식적 작용을 하며, 기하 형태의 건축 구조는 비선형성을 갖추고 있다.
[표 4]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사례분석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위치
계요
한국 서울
규모
86574㎡
건설시간
2007-2013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한국 서울 동대문에 위치해 있으며, 총면적은 86574 제곱미터, 최고 높이는 29 미터이다. 아트홀, 문화센터, 디자인 실험실, 아이디어 시장과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5대 경기장 등을 포함 하여 지하 3층, 지상 4층 구조이며,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이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는 영국 의 유명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하였다. 4840억 원이 투자 되었으며, 5년간의 공사 기간을 거친 세 계 최대 규모의 비표준 건축물이다. 반중력 형태적으로 낡은 이미지를 탈피하고,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여 유연한 상태를 만들었다. 반사금속재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중량감을 상쇄하였다. 경량성
건축 특성
투명성 외관은 알루미늄으로 포장되어 있고, 금속에 빛이 반사되어 투명성이 약간 드러난다. 건축물 외벽에 조명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어 주변 환경의 변화에 맞춰 투명성을 드러낸다. 미래성 빛의 변화와 금속 반사 재료가 건물에 시간성을 더한다.
유동성
역동성 건축물 외관에 단순한 곡선을 통해 일탈성과 방향성을 드러내고 있다. 여러 기능이 내장된 거대한 금속과 조명 시스템과 배합되어 건물이 보다 부드럽게 드러난다. 장식성 건축물 외피에 사용된 알리미늄은 조금 차이가 있어 장식성을 더했다 건축물에 내장된 야간 조명이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장식성을 드러낸다.
19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건축 특성
연속성 유동성 외관에 물이 흐르는 듯한 부드러운 곡선 기학적 형태를 사용하였으며, 관찰자가 통과해야 할 내 부공간으로 향해 흘러가게끔 연출하였다. 비선 형성
자연스러운 라인과 물이 흐르는 듯한 곡선을 건축 공간에 도입하였다. 동적이고 복잡한 건물 외관은 동태적이고 방향성을 갖춘 공간이다.
경계의 모호화와 금속 소재는 건축물에 경량성을 더했으며, 금속 빛반사 효과와 표면의 조명은 투명성을, 부드러운 곡선은 역동성과 연속성, 비선형성을 부여하였다. 장식성은 비교적 약하며, 빛 효과로 건축물에 시간성을 부여하였다. 중합 분석
[표 5]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 예술센터 사례분석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 예술센터 위치
계요
중국 창사
규모
115000㎡
건설시간
2011-2019
메이시후 국제문화 예술센터는 총 28억 위안이 투자되었으며, 총 건축면적은 12만 제곱미터에 달하고, 2012년 준공을 시작하였다. 극장에는 총 1800석의 주극장과 500석의 다용도 소극장이 있으며, 예술관 은 9개의 전시홀로 구성되어 있고, 전시홀 면적은 1만 제곱미터에 달한다. 세계 일류의 대형 뮤지컬, 무 용극, 교향악 등 예술 공연을 올릴 수 있을 정도의 규모이다. 세계 건축계의 최고상인 프리츠커상 수상자 인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하였으며, 조형은 메이시후 호숫가에 만개해 있는 한 송이의 아름다운 연꽃과 같다. 반중력 건축물 표면에 건축물 대량의
외피에 흰색을 사용해 무중력을 구현하였다. 넓은 면적의 유리 재질을 이용해 투명한 느낌으로 건물의 경량감을 구현하였다. 주변 연못에 건물의 형상이 반사되어 경량감을 강화하였다. 곡선으로 건물을 부드럽게 연출하며 경량감을 더했다.
경량성 투명성 건축물 외피의 유리는 투명한 시각적 특징이 있다. 공간의 투명성이 운동감을 조성한다.
건축 특성
미래성 건축물 외피에 설치된 조명 시스템과 흰색 석재가 건축물의 중량감과 폐쇄성을 상쇄하였다. 건축물의 표피와 계단 위의 조명, 흰색 석재와 유리가 건축물의 시간성을 강화하였다. 역동성 건축물 외관에 대량의 곡선을 사용하여 건물의 방향성과 활력을 더했다. 접기 기술을 활용하여 건물이 유연한 모습을 드러낼 수 있게 하였다. 표면의 경계면을 없애 건물에 생동감과 강렬함을 부여하였으며, 시대적 감각의 유동성이 더욱 돋 보일 수 있게 하였다. 유동성 장식성 건축물 자체의 조형이 꽃과 같이 구조적으로 장식성을 보유하고 있다. 연속성 유리와 물의 반사 특성을 통해 자연환경과 건축물을 결합하여 자유롭게 유동하는 건축물을 실현 하였다. 외관에 곡선 기하학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였다.
192
Vol.2 No.1 February 2020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 예술센터 건축 특성
비선 형성
혼돈이론을 차용해 표면의 흐름을 예측할 수 없게 하였다. 연속적이고 자유로운 곡선면 형식은 비선형의 중요한 형식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흰색의 동적 곡면과 유리 재질과 수면은 경량성, 투명성을 드러내며, 대량의 곡선과 접기 기술로 역동성을 표현하고, 신선한 건축 조형과 조명, 유리 재질로 장식성과 시간성을 드러낸다. 또 자유로운 곡면으로 연속 성을 드러내며, 건축물의 액체외형은 비선형성을 구현한다. 중합 분석
3.3. 소결 광저우 오페라극장은 2010년 중국 광저우에 건립된 복합문화 공간으로, 건축물의 경량 성은 흰색 표면으로 표현한 무중력을 통해 구현되며, 넓은 면적에 걸쳐 유리 재질이 사 용되어 주변에 연못의 수면위에 건물이 떠오르는 듯한 효과를 낸다. 투명성은 유리 자 체의 투명성과 야간의 흰색 외관과 조명이 결합되어 만들어내는 시각 효과를 통해 구 현된다. 역동성은 건축물에 새겨진 수많은 빗금과 흰색 석재와 유리가 만들어내는 가벼 운 느낌을 통해 드러나며, 유리 너머 관찰할 수 있는 격자 모양 구조는 동적인 느낌을 전해준다. 장식성은 삼각형 기하 건축 구조가 유리 너머 관찰자 앞에 직접적으로 노출 되면서 구현된다. 시간성은 건축물의 흰색 표피와 내부의 발광 효과로부터 구현된다. 계단과 건물의 통일적인 조명 방식과 빛의 변화는 시간성에서 특히 중요하다. 또 한 건 물 전체가 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건축물의 윤곽이 심플하며, 모든 단면이 통일을 이루 고 있다는 점에서 연속성이 드러난다. 비선형성은 건물의 외형이 점, 선, 면으로 구성 되어 동적 효과를 만들어내는 형태라는 점에서 구현된다. 동대문 디자인플라자는 2013년 서울에서 건립된 복합문화공간이다. 건물의 경량성은 외형의 불분명한 경계와 금속 재질에서 드러난다. 투명성은 금속 재질의 빛 반사 효과 와 건물과 환경과의 연관성에서 드러난다. 역동성은 곡선의 사용과 넓은 면적의 금속 외피 사용과 조명 시스템과의 배합에서 드러난다. 장식성은 표피 재질의 미세한 차이와 조명등의 무질서한 배열에서 드러난다. 시간성은 빛과 건물의 관계 방면에서 드러난다. 연속성은 건물 윤곽과 출입공간의 자연스러운 연결에서 드러난다. 비선형성은 곡선의 응용기법에서 드러난다.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예술센터는 2019년 중국 창사에서 건립된 복합문화공간이다. 건축물의 경량성은 흰색 외피의 무중력감과 유리 재질의 가벼움, 수면에 비친 건축물의 표류감, 변형적 곡면의 부드러움 네 가지 방면에서 구현된다. 투명성은 건축물에 사용 된 넓은 면적의 유리에서 드러나며, 특히 꼭대기 부분에 사용된 유리는 건축물에 투명 감을 더한다. 역동성은 접기 기술과 폭이 큰 곡선, 표면 경계 제거 등에서 드러나며, 이 러한 수단으로 건축물에 활력을 더해 강렬한 유동성이 돋보인다. 장식성은 꽃 모양의 건축물 형상 자체에서 구현된다. 시간성은 외피의 조명 시스템, 흰색 외벽화 변형적인 곡면 외관에서 드러난다. 연속성은 유리와 물의 반사 특성에서 구현되는데, 자연환경과 건축물을 결합하여 자유롭게 유동하는 건축물을 실현하였으며, 곡선 기하학을 이용해
19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실내와 실외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였다. 또한 혼돈이론을 차용해 표면의 흐름을 예측할 수 없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비선형성이 드러난다. 세 시기의 건축물은 다양한 특성과 표현력을 보여주고 있다. 2010년 광저우 오페라극 장은 단면 연결에 있어서만 곡면을 사용하였으며, 2013년의 동대문 디자인플라자와 2019년의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예술센터는 모두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의 창사 메이시후 국제문화예술센터는 2013년의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곡면보다 그 응용 에 있어서 보다 복잡하며, 비선형성과 경량성, 역동성 방면의 역량이 강화되었다.
4. 결론
해체주의 사상과 자하 하디드의 건축사상은 큰 연관성이 있다. 많은 건축물 중 자하 하 디드는 전통적인 선형 사유 패턴의 제약에서 벗어나 건축의 임의성과 우연성의 구현을 강조하였다. 자하 하디드의 건축 스타일은 전통을 전복시켰으며, 그녀가 표현한 것은 단순히 전통에 대한 반역이 아닌 시대적 배경 속에서 건축에 대한 사람의 발전 수요를 호소한 것이며, 정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건축물의 개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 과정 에서 그는 점차 표현 방법을 변화시켰으며, 이를 기초로 건축의 형태를 재정의 하였다.
참고문헌 咸然植,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도시의 건축화’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정유진, 「자하 하디드(Zaha Hadid) 건축의 특성에 기반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曲敬铭, 何旭泽, 「解构主义思想与扎哈哈迪德设计理念」, 大连理工大学, 2019 노상우, 「건축외피의 물리적 특성이 건축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뮤지움 (Museum)에 관한 사례를 중심으로 -」, 동명정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柳圭溱, 「아론 탄의 건축물 외피 디자인에 나타난 표현성에 관한 연구」, 釜慶大學校 석 사학위논문, 2007 박성희, 「자하 하디드의 MAXXI에 나타나는 유동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2 https://wenku.baidu.com/view/bd1553f4f90f76c661371ac2.html
194
Vol.2 No.1 February 2020
장이머우 영화 속 시각 공간 The visual space in Zhang Yi'mou films.
조우원위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해윤, 류도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ou, Wen Yu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장이머우, 색채, 상징성, 형태, 밀폐된 공간 Keyword
Kim, Hae Yoon/Liu Dao Sheng(Corresponding author)_
Zhang Yi'mou, Color, Symbolism, Form,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enclosed space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장이머우 영화 속 시각 공간 1. 서론
장이머우는 현재의 중국 영화계에서 “중국 영화의 모범”으로 불린다. 장이머우는 중국 영화의 발전에서 매우 큰 추진 역할을 일으켰고, 국제무대에서 중국 문화의 매력을 과 시하였다. 장이머우 에 관한 논문들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장이머우 영화의 문화, 스토 리텔링 테마 그리고 생채가 시각적 부각에 대한 추구에 관한 연구가 매우 많고 그가 시 각적 공간 조성에 들인 노력에도 주목해볼만한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 3부작” 영화 속 신비로운 색채의 사용은 전통 문화를 스토리 공간 속에 대입 시켰고 시각적 공 간의 실감을 강화 하였으며, 색채의 종합적 표현을 이용하여 영화의 특수 공간 형태를 통해 화면의 입체감과 깊이를 돋보이게 하였다. 본 논문은 색채 그리고 형태가 장이머 우 영화의 시각적 공간에 대한 부각 가치에 입각하여, 장이머우 의 영화 공간 속의 시 각적 요소인 색채 및 형태의 활용 효과와 의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화 관계자 및 학 자들에게 공간 및 색채 디자인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부여하였다.
2. 장이머우
장이머우는 “5세대 감독”의 대표적 인물로써 “붉은 수수밭”부터 시작하여 “그림자”에 이르기까지 총 20여편의 영화를 연출하였다. 촬영에서 연기자로, 나아가 감독으로 되 기까지 그의 영화는 중국 영화 발전사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그의 영화는 민족 문화, 사회의 사고, 문화 바탕과 영화 창의성을 모두 통합하였고, 특히 그의 초기 영화의 예술적 특징은 실감나는 세부적인 부분이 여성 주제와 서로 호응을 이루고, 강 렬한 색채와 밀폐된 공간 배경을 사용하는데 능하다. 작품의 두드러진 특징은 중국 전 통 봉건 의식에 대한 심각한 인식과 강렬한 비판 정신이고, 소박하고 민속적인 기이한 광경을 구현하였으며, 여성의 반항 정신에 대한 노래와 찬양을 내포하고 있다.
3. 밀폐된 공간과 색채의 상징
루이스 자네티의 주장처럼 “밀폐된 형식은 낯선 느낌을 보다 강조할 수 있다. 영상은 구조적 대비와 이목을 끄는 시각적 효과로 가득하다. 배경 배치가 보다 정확한 통제를 받을 수 있고 더욱 양식화가 되어 이 영상들은 의도적인 느낌을 동반하게 된다--영상 의 이질감과 현실감 이탈...형식의 다양함은 표면 현상의 진실성보다 우선시되어 고려 된다.” 때문에 밀폐된 공간은 감독이 이질감을 만들어낼 때 진실성에 대한 고려를 일정 수준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 미셀 푸코는 정치와 정치 기술의 각도에서 공 간과 사람의 관계를 연구하였고, 권력이 공간의 힘을 빌려 역할을 발휘하고 공간이 어 떻게 권력을 행사하는 지를 논술하였다. 개인에게 있어 공간은 매우 강력한 관리와 통 치 능력을 지니고 물리적 공간은 자체 구조를 통해 은밀한 권력 메커니즘을 이룰 수 있 으며 이러한 권력 메커니즘은 지속적이고 끊임없이 모니터링과 감시를 할 수 있다. 공 간은 주체를 생산할 수 있고 목표를 가지고 새로운 주체의 유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푸코의 <감시와 처벌>이론을 통해 장이머우 감독의 많은 영화에서 이와 비슷한 “신체
1) 路易斯·詹內蒂., 認識電影, 中國電影出版社, 2007
196
Vol.2 No.1 February 2020
의 “질서”공간을 구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황후화>에 등장하는 왕궁, <진 링의 13소녀>에 나오는 성당 등이 있다. 이처럼 전형적인 구축 모델은 <붉은 수수밭> 의 술 공장과 수수밭, <국두>에 등장하는 염색 공장 및 <홍등>에 나오는 진가네 마당처 럼 “여성 3부작”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공간은 또 시간적 배경의 약 화로 인해 무한성이 부여되었다. 왕궁, 성당, 술 공장, 염색 공장, 마당 등은 모두 특징 적이고 전부 중국 전통 문화와 심미 등 요소에 따라 구상해낸 공간들이다. 색채는 장이머우 영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풍부한 색채 요소에서 그는 빨간색 을 선호하였고 이는 그의 영화의 문화적 바탕이다. 특히 그의 “여성 3부작”2)에서 빨간 색에 대한 표현이 더욱 그러하다. 빨간색은 중국 전통 문화에서 없어서는 안될 요소이 다. 예를 들면 “홍등”에 등장하는 “빨간 초롱불”이 바로 중화 문화의 산물이고 영화에 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표현하며; 빨간색은 또 청춘과 활기를 상징한다. 장이머우의 색 채 사용은 매우 강한 색채 대비에 나타난다. 예를 들면 “집으로 가는 길”에서 흑백과 채색을 사용하여 현재와 과거를 나타내고, 죽음의 잔혹함과 사랑의 따듯함을 선명하게 비교하였다. “영웅”에서는 색채에 매우 강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는데, 빨강, 파랑, 초록, 검정 및 하양의 비교를 통해 모든 싸움 장면의 색깔을 다르게 하였는데, 첫째는 환경, 둘째는 의상으로 이를 실현하였다.
3.1. 영화 분석 <홍등> (중국어: 大紅燈籠高高掛)은 1991년 제작된 드라마 영화이다. 송련(주인공)은 부 잣집으로 시집가라는 계모의 강요로 19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부호 진대감의 넷째 부인 이 되어 진대감의 저택에서 살게 된다. 이 집 가문에는 진대감과 하룻밤을 함께하게 될 부인의 방에 그날 밤 홍등을 밝히는 가풍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이것은 곧 진대감의 부 인들에게 권력이 되는 것이다. 네 명의 부인들은 방 안에 홍등을 밝히려, 즉 권위를 내 세우려 서로 시기하고 질투하며 경쟁한다. 송련은 어느 순간부터 그 권위에 눈이 멀어 자신이 임신했다는 거짓말을 한다. 하지만 하인에 의해서 결국 들통나게 되고 송련은 복수하려 하인의 비밀을 알리게 되는데 그 때문에 하인은 죽고 만다. 송련은 이에 충격 을 받고 부인들의 암투와 멀어져가는 진대감의 발걸음에 절망을 느껴 술에 빠진다. 송 련은 술김에 셋째 부인이 의사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사실을 실토하고 그다음 날 셋째 부인은 살해를 당하게 된다. 이후 송련은 셋째 부인의 시체를 발견하고는 충격을 받고 미쳐버린다. 하지만 진대감은 다섯째 부인을 새로 들이게 되고 중국의 봉건 사회 의 폐습이 계속된다.
[그림 1]
2) 2003년 남지현의 석사 논문 [장이머우 여성 3부작에 나타난] 중에서 ‘붉은 수수밭’, ‘국두’와 ‘홍등’을 여성3부작”이 라 일컫고
19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홍등>에서 영화 시작의 파노라마는 결혼 꽃가마가 피사계 심도로 걸어가는 장면이고, 송련은 강요에 못이겨 진어른댁으로 넷째 부인으로 시집을 가게 된다. 하얀색 저고리와 검정 치마가 화면의 오른쪽에서 등장하고 맑은 하늘이 보인다. 양쪽은 높이 솟아오른 버드나무 숲이고 곧이어 저택으로 들어오는 모습은 송련이 나타내는 현대성과 옛 습성 의 충돌을 표현하였다.
[그림 2]
화면의 첫 번째 줄에서 주인공이 카메라를 등지고 높은 담장을 마주하고 있다. 이때 구 도는 대칭적이고 화면의 좌우와 위쪽 모두 황갈색 담장으로 두텁고 무거워 보이며, 주 인공이 담장 아래에 위치하여 억압과 괴로운 느낌을 준다.
[그림 3]
화풍의 전환은 영화에서 빨간색에 대한 분위기 조성을 부각시켰고 폐쇄된 진어른댁 공 간에서 여성이 반드시 이러한 분위기 즉 여성이 남성에 굴복해야 하고, 여성들 사이에 서는 진어른의 총애를 받기 위해 서로 헐뜯어야 한다. 영화는 소설에는 없었던 부분을 약간 추가하였는데 이 부분은 모두 폐쇄된 빨간색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어 느 방에서 등잔불을 지피게 되면 진어른의 시중을 들어야 하고 총애를 잃은 부인은 “등 잔불을 폐쇄되게” 되며 선택 받은 부인은 다음 날의 요리를 정할 수 있고 합방하기 전 부인은 하인들의 발마사지 등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들의 역할은 동물을 길들이는 방 식으로 여성들의 싸움을 자극시켜 남성의 통치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다. 바로 이와 같 은 폐쇄된 공간에서 송련은 처음의 적응하기 힘들어 했던 것에서 완전히 이러한 질서 에 순종하게 되었는데 어느 날 송련이 발마사지를 받지 못하게 되자 불편함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발마사지를 하게 되는데 이때 셋째 부인의 방에서 발마사지를 하는 소 리를 듣게 된다. 밀폐된 공간은 이처럼 빨간색 분위기 속에서 사람들이 나타내는 질투, 미움, 남의 불행을 즐거워하는 미묘한 감정을 아낌없이 표출하였다. <국두> (중국어: 菊豆)은 1990년 제작된 영화이다. 유항의 소설 《伏羲伏羲》를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1920년대 청년 여자 국두가 염색방 주인 양금산과 결혼해 결국 성적 무 능을 견디지 못한 남편의 학대로 남편을 사랑하게 된 조카 천청을 그린다.
198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4]
밀폐된 공간과 색채의 상징은 사람이 그 속에 갇혀 몸과 마음의 이중적 억압과 비틀림 을 나타낼 수 있다. <국두>에서 모든 이야기는 염색 공장이라는 폐쇄된 공간에서 일어 나게 된다. 젊고 예쁜 국두는 강제적으로 염색 공장의 주인인 양진산에게 시집을 간 후 염색 공간에서 양진산의 억압을 견뎌야만 했다. 그러나 양진산이 키워준 양티엔칭은 얼 핏 보기에 자유의 몸인 것 같지만 그는 스스로 염색 공장의 구속에 순종하였고, 감독은 빨간 염색 천이 서서히 떨어지는 장면으로 국두와 양티엔칭이 외도하는 보습을 표현하 였다. 국두에 대한 사랑하는 마음이 들게 된 후에도 국두를 데리고 도망하지 못했고 심 지어 양진산이 죽은 후에도 몰래 만나는 상황을 바꾸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은 주로 세 명의 남성과 한 여성이다. 연약한 양티엔칭은 시종일 관 봉건 예의의 족쇄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숙모 신분을 가진 국두에 대한 사랑을 인정 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두의 도망가려는 제안도 수락하지 않았다. 생리적으로 하 자가 있는 양진산은 봉건 인물의 대표이고 그는 타인에게 고통과 억압만을 주는 인물 이다.
[그림 5]
양티엔바이는 우매한 사람을 나타내고 있다. 어려서부터 염색 공장에서 자란 티엔바이 는 정상적이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마지막 희망을 잃게 되었고 결국 차가운 물 속에 서 발버둥치고 있는 아버지 양티엔칭을 죽이고 만다. 감독은 이 부분에서도 빨간 염색 천을 내리는 것으로 아버지를 죽이는 행위를 표현하였다. 영화 속 등장인물 모두 피해 자이지만 서로 정도가 다르게 복수하는 마음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 염색 공간이란 폐쇄된 공간은 마치 밀폐 용기처럼 봉건의 독을 빨간색 분위기를 통해 유달리 광적인 분위기를 자아냈고, 사람들은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에게 자신의 비열함 과 이기적임을 나타낼 수밖에 없다. 이는 국두가 이처럼 기형적이고 숨막히는 가정에서 힘겹게 살아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영화에 등장하는 폐쇄적이고 어두운 지붕 사이 로 높이 걸린 화려한 색깔의 염색천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회청색의 지붕과 화려한 색깔의 천은 회청색의 담장과 높이 걸린 염색 천과 대비를 이루어 지붕으로 공간의 밀 폐성과 무거운 분위기를 나타냈고 염색천으로 국두의 억눌린 욕망을 나타냈다.
19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 결론
파리크는 <세계건축 예술>에서 “중국 건축의 이념은 서양 사회의 거리처럼 건물마다 사람들을 향해 자신의 신분과 지위를 과시하는 것이 아닌 건축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보는 것이다.”장이머우 영화의 밀폐된 공간은 중국 전통 건축의 기본 속성에서 기원하 였다. 수천 년 동안 중화민족은 자급자족과 농업 위주의 농경 문화, 그리고 내향적이고 안정적임을 추구하는 문화 심리를 형성하였다. 중국의 고대 건축에서도 내향적인 공간 의식을 나타냈다. 장이머우의 초기 영화에서공간의 배치를 놓고 보면, 늘 색채의 장력을 통해 뒷받침해 주었다. 영화 공간 자체의 수요와 장이머우 영화의 특징은 “빨간색을 선호하는 영화감 독”3)이기 때문이다. (리얼웨이가 “감독께서 연출한 대부분 작품이 모두 빨간색과 관련 이 있습니다. <붉은 수수밭>의 붉은 수수, <국두>의 빨간 염색천, <홍등>에서의 빨간 초롱불...... 때문에 사람들은 “빨간색을 좋아하는 감독”이라 부르는데 왜 그토록 빨건색 을 좋아합니까”라고 물었을 때, 장이머우는 “빨간색은 표현력이 매우 풍부하여 사람들 에게 매우 강한 충격을 줄 수 있다. 나는 줄곧 영화의 색채를 매우 중요시하는데 색채 는 매우 빨리 사람의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시각적으로 감화력을 줄 수 있기 때 문이다......이는 나 자신이 산시(陝西)사람인 관계도 있다. 산시는 토질이 노란색 속에 붉은 기가 돌고 산베이(陝北)” 민간에서도 빨간색을 선호한다.....이들의 풍속에서 영향 을 받아 나도 빨간색을 편애하는 편이고 따라서 빨간색을 표현하기 즐긴다”고 대답하 였다.)그래서 장이머우 영화적 시각 공간의 제작과 관련하여 종종 색채의 채우기를 통 해 이 목적을 달성한다. 그래서 장이머우 영화적 시각 공간의 제작과 관련하여 종종 색채의 채우기를 통해 이 목적을 달성한다.이 같은 폐쇄적인 공간의 감각은 소재와 스토리의 표현으로 인해 무한 하게 증폭되고, 특히 대홍초는 로케이션의 시작을 제외하고는 로케이션이 거의 없어져 영화 전체와 스토리가 발전한다.이 폐쇄적인 우리 안에서 감독은 빛, 색채의 운용을 통 해 이러한 시각장력을 부각시킴으로써 빛과 색에 담긴 시각적 효과를 통해 사람과 사 회,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아, 내면의 복잡한 모순을 정교하게 표현한다.
참고문헌 路易斯·詹內蒂., 認識電影, 中國電影出版社, 2007 남지현, [장이머우 여성 3부작에 나타난], 석사논문, 2003 李爾葳, 直面張藝謀, 經濟日報出版社, 2002, p.289
3) 李爾葳, 直面張藝謀, 經濟日報出版社, 2002, p.289
200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 영화 포스터의 디자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16~2018 국제영화제 수상작품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Chinese Movie Poster - take award works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2016-2018 for example -
장 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송만용(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ang, F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ong, Man Yong(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영화포스터, 디자인, 특성, 연구 Keyword
movie poster, design, characteristic, research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 영화 포스터의 디자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영화는 커뮤니케이션이다. 또한 영화는 정치, 경제, 문화 및 사회 생활 뿐만 아니라 사 람들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는 우리에게 메시지로 다가온다. 그러나 영화는 시간예술이기에 상영시간을 지켜야만 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영화적 내용을 압축적으로 전달할 역할을 영화 포스터가 필요하다. 아무리 홍보 영상물이 발달하였다고 하여도 영화 마케팅적 관점에서 영화 포스터의 의미와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성과 디자인이 결합된 영화 포스터에서 디자적 인 표현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더욱이 중국영화는 ‘패왕별희’가 1993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는 등 괄목할만 한 성과와 함께 독창적인 디자인이 부상하면서, 예술적 형식에 큰 진전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중국 영화의 발전에 비하여 영화 포스터에서는 국제성과 중국성의 모호한 결합 으로 중국적 특성을 살리지 못한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었다. 그런 점에서 본 소고의 연구범위인 국제영화제 수상작품(2016~2018)은 본 소고에서 던진 문제점, 즉 국제성 과 중국성을 잘 살린 포스터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상작인 중국 영화는 개인과 혁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상업과 예술에서 균형을 찾고, 시청각 언어는 사실에 편향되어 있으며, 사회적으로 의미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포스터의 디자인은 영화의 메시지를 관객에게 직접 전달할 뿐만 아니라 관객의 미적 향유를 보여주고 있으며, 영화 포스터의 세계화 과정에서 중국 요 소는 영화 홍보의 역할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 문화를 홍보하는 주요 책임을 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영화 포스터 디자인의 중국 요소의 활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 고, 영화 포스터 디자인의 중국 요소의 표현 방식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렇게 문화기호의 구성과 제시, 문화정보의 전달, 문화의 의미를 표현함으로써 문화의 배경을 가진 관객들이 문화를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창이 될 수 있는 영화 포스터는 중국 디자인적 특성 뿐만 아니라 국제적 보편성을 같이 살펴볼 수 있는 좋은 대상이기 때문이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따라서 본 소고에서 던진 영화포스터 디자인에서 중국적 요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 여 2016~2018년 국제영화제(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등)에서 수상 한 중국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영화의 디자인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런 국제영화제에서 수상 영화는 국제적인 의미 소통과 아울러 중국문화의 상징화 표현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중국 영화 포스터는 예술작품으로서 디자인과 제작에 있어서 다양한 주 객관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시각적 스타일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의 미적 측면에 맞는 영화 포스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주 객관적 요소와 대중의 미적 측면을 고려한 문맥적 해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202
Vol.2 No.1 February 2020
본 논문은 영화 포스터와 관련된 문헌자료, 정기 논문을 수집, 검토, 요약하고,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여 사진과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분석, 연구, 요약을 통해 논문의 연구 각 도와 사고를 파악하였다. 중국의 영화 포스터를 다른 국제적인 우수 포스터와 비교 분 석하여 중국 디자이너의 장점과 아이디어를 찾고 중국의 다른 시대의 영화 포스터 작 품과 비교하여 최근 몇년 동안 중국 포스터 디자인의 주요 스타일과 특징을 살펴보고 자 한다. 그리하여 본 소고에서는 영화포스터의 유형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되었다. 색채, 글씨, 문양, 전통적 요소의 네 가지 측면을 통해 시각적 효과의 의미적 역할을 분석하 고, 중국 영화 포스터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 영화 포스터의 발전과 도전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영화포스터의 의미와 전개 이차원적인 정보전달방식은 비용이 적고 보급효과가 높아 광고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영화관, 쇼핑몰, 버스정류장, 잡지 내 페이지 등 생활의 여러 측면에 얽매여 있 다. 영화 포스터는 영화의 파생물로서 영화 작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영화 포스터는 글, 그림, 사진 등 다양한 시각화 요소를 하나로 묶어 다양한 영화 관련 정보의 중첩을 통해 영화 관련 정보를 전달하면서 관객들에게 높은 미적 감각을 부여하고 이를 바탕 으로 관객을 끌어모으며 흥행을 끌어올린다. 19세기 말 세계 최초의 영화 ‘열차가 역으 로 가는’ 상영은 영화 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이로써 영화는 가늠할 수 없는 속도로 세 계적으로 빠르게 발전했다. 영화 포스터라는 형식을 통해 회화, 사진,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적 요소가 유기적으로 융합되어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영화 포스터와 영화 사이에는 밀접한 내적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영화 포스터 디자인은 단순히 이미지화에 국한되지 않으며 추상화 수단의 사용은 수용 집단에 “백인”을 제공하여 청중의 개별 요 인의 차이를 감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즉, 다른 청중은 자기 식별을 생성하고 미적 인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2. 중국 영화포스터의 전개 1905년 중국 최초의 무성영화인 정준산이 탄생한 이후 중국 본토의 영화산업이 급속 히 발전하기 시작했고, 특정 역사적 조건에 의해 제약을 받아 정준산은 홍보 역할을 하 는 포스터가 없었다. 가장 초기의 영화 포스터로 여겨지는 것은 1926년 베이징 광화영 화사에서 개봉한 영화 ‘연산만의 가인’의 영화 포스터로, 영화 포스터의 정의에 따라 그림과 문자 조합으로 영화 주제를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깨어나는 영화 이름과 주요 배우, 시나리오 작가, 감독 등 창작진과 함께 영화 ‘연산만의 가인’을 정의하는 영화 포 스터이다 신문의 요소는 중국에서 처음 존재하는 영화 포스터이다.1)
1) 만가, 「영화 포스터 디자인에 있어서 시각적 전달 예술의 구현」, 난창공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p13
20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3. 선행연구 : 중국 영화포스터에 대한 연구 현황 영화 포스터는 영화의 내용과 주제를 매우 일반화하고 다양한 시각적 상징을 적용하여 관객의 감정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감각 자극을 통해 관객의 마음속에 깊은 인상을 남기고 영화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목적에 도달하는 영화의 가장 직관적인 홍보물이다. 이러한 중국 영화포스터에 대한 주요 연구는 다음과 같다. 저자
제목
발행연도 및 발행처
왕이이, 박용진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과 신화론에 의한 중국 무협 영화포스터의 특징 과 함의연구 - 2011~2018년 박스오피스 상위영화제 수상작 5편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2019
동서원, 양종훈, 이사은
중국작가 황해의 콘셉트 영화포스터에 나타난 시각표현방법
한국콘텐츠하괴/2019
류호
중국 개혁개방에 따른 영화포스터 디자인의 변화
전남대학교 석사/2016
예월
고흥행 영화 포스터의 차이에 관한 연구
미래커뮤니케이션/2019
선행연구를 통해 현재 영화 포스터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중국 영화 포스터의 발 전과정과 발전단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연구가 일반화 연구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최근 중국의 우수 영화 포스터를 분석하여 디자인에 있어 창 의적인 요소를 탐구하고, 영화 포스터가 문화 확산에 미치는 현실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미시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렇게 포스터는 색,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시각적 상징 요소의 활용을 통해 디자인 되며, 이러한 시각적 요소의 교묘한 배열과 제시가 각 시각적 상징의 독특한 의미를 구 축하기 위해 만들어지며, 영화 포스터는 또한 관객에게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다. 최근 중국 영화시장의 호황을 누리면서 포스터 디자인이 점차 학자들의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그러나 수상작품 분석과 포스터 스타일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 며, 그 표현 형태와 미래의 발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3. 중국 영화 포스터 디자인적 요소
3.1. 색채 - 상징적 표현 영화 포스터는 풍부한 아이디어를 어느 정도 구현하고 색채의 능숙한 적용을 통해 시각적 충 격과 예술적 감염을 촉진함으 로써 대중을 끌어들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영화 포스터 작 품에서 색채의 활용은 화면의 다양한 은유, 상징, 표현의 수단 이 되었고, 색채는 포스터 작품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언어가 되었다. 뛰어난 포스터 디자이너는 색깔을 활용해 사람의 눈높 이를 잡고 관객의 정서와 감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영화의 전체적인 색채와 색채는 디자이너가 영화 포스터를 디자인하 는 색채의 기조로 직관적이고 강렬한 색조가 관객에게 감동을 주고, 특정한 환경 분위기와 분위기를 조성한다. 시청자는 영
204
[그림 1] ‘산하고인’ 칸 영화제 2016 골든팜 상
Vol.2 No.1 February 2020
화 포스터의 넓은 색깔 적용을 통해 영화의 주제를 대략 알 수 있다. 영화 포스터의 색 채의 활용은 풍부한 상징성과 사상적 의미를 드러내며, 그 밝은 관계에 대한 교묘한 배 열을 통해 영화의 주체 기조와 일치함으로써 빛이나 어둠, 또는 생명, 또는 죽음과 같 은 기조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영화 ‘산하고인’[그림 1] 포스터는 색 요소를 충분히 활용해 명 암이 번갈아가는 썩은 색을 사용하고, 허화되고 모호한 배경은 마치 조금 지나가는 듯한 시간의 홍수로, 캐릭터는 썩은 색에 등장하며, 마치 시간의 바다를 지나는 듯한 기억과 감정의 그 림자를 가지고, 포스터 속 색이 주요한 장편을 차지하고, 캐릭 터는 그림자나 작은 그림자로 등장한다. 썩은 색깔의 표현은 시간이 흐르는 시간도 지나가는 감정으로 영화의 주제와 인물 의 애환을 섞어 표현하는 데 흠뻑 젖어 있다. 영화 ‘생각’[그림 2]은 상업영화의 속세에 빠지지 않는 문학영 화로, 영화의 개성과 특성을 반영해 디자인자가 포스터를 디자
[그림 2] ‘생각’ 홍콩 영화제 2016 여우조연상
인할 때 파란색을 배경으로 주색을 선택하고, 거대한 인어꼬리 가 하늘을 긁어내며, 주인공이 화면의 왼쪽 하단에 있다. 한편 포스터 속 파란색과 인 어는 이야기 속의 아이들과 함께하는 인어 이야기에 대응하고, 한편으로는 파란색이 바 다를 형성하는 느낌이 많이 들어, 바다에서 파란은 우리의 정서, 삶은 좋고 나쁘고, 우 리는 길을 잃고 자유를 원한다. 영화 ‘미래를 지나다’[그림 3]는 현재 중국 사회의 많은 이슈를 다루고 있으며, 경제 발전에 따른 전통적 개념과 도시 문화 사 이의 갈등은 감독이 표현하고자하는 주제입니다. 붉은색과 검 은색을 포스터로 한 주색으로 빗대고 가교를 치는 구조로, 영 화 속 주인공은 다리 위에 서서 인생에 대한 막연함과 무력감, 흑색과 붉은색의 색 대비가 강해 억압적이고 막연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영화의 내용과 주인공의 마음과 어우러져 엇갈린 육 교를 연출하고 있는 것도 주인공이 인생을 마주하고 있음을 반 영하고 있다. 선택할 때 내면의 불안과 무력감. [그림 3] ‘미래를 지나다’
3.2. 텍스트 - 서술적 표현
칸 영화제 2016 주목할만한 대상 상하이영화제 2018 영화 채널 미디어 어워드
뛰어난 영화 포스터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디자인 요소와 창의적인 동시에 작용하는 결 과이며, 그래픽, 텍스트 및 색상과 같은 시각 요소가 서로 일치하여 독특한 시각 표현 을 형성하는 반면, 텍스트의 시각 요소는 포스터 디자인에 매우 중요합니다. 텍스트는 전문적으로 디자인된 후 표현 효과가 더욱 강화되고 두드러져 영화 포스터의 시각적 감각과 문화적 의미를 높일 수 있습니다.디자인을 통해 텍스트 자체와 포스터 콘텐츠를 결합하여 영화 정보를 전달하면서 영화 전체의 기조와 기조를 어느 정도 전달할 수 있 게 된다. 영화 포스터를 디자인할 때 중국어 글꼴의 활용 형태가 다양하고 한자본은 풍 부한 의미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중국어의 다양한 글꼴과 포스터 디자인을 상호매립 시켜 정보전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글꼴 디자인을 통해 영화 포스터 의 전반적인 시각적 효과를 잘 발휘해 포스터의 전체성을 높이고 작품을 활력 있게 할
20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수 있다. 포스터 디자인에 텍스트 요소를 추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텍스트도 그래픽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어 보다 완성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2) 영화 포스터 디자인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 키기 위해 창의적인 글꼴은 영화 제작자와 디자이너의 선호를 받고 있습니다. 서예 서 체나 인쇄체에 비해 더 가변적이고, 특정한 모양과 규칙이 없고 오히려 창의적이고 개 인화되어 있지만, 디자이너의 디자인 아이디어와 디자인 경험을 더욱 시험해 볼 수 있 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디자인 글꼴로는 디자인과 창작에 자유롭고 제약 없이 디자인 자의 이념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창작 글꼴은 필름의 주제에 꼭 맞추어 포스터 화면의 필요성을 충족시켜주거나, 그렇지 않으면 필름 포스터와 영화에 막대한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화 ‘세대종사’[그림 4]는 영화 포스터를 디자인할 때 디자이 너가 초본 글꼴을 채택해 불규칙한 크기의 조합으로 영화명을 표현하고 초본 글꼴은 유연하고 기발하며 기세가 돋보이는 등 과감한 느낌을 준다. 초본은 포스터 화면과 잘 어울려 무성하 고 음색이 없고 무동감 있고 춤추는 화면 감각을 보여주며, 포 스터에 폭우가 쏟아져 나오는 동안 잎은 적에게 물었고, 기세 는 강렬하게 빗속에 서서 가만히 서 있었고, 초본의 글꼴은 제 지와 결합하여 완벽했다. 영화 ‘황금시대’[그림 5]의 포스터는 마치 한 줌의 영화가 컷을 치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것은 황금 시대의 문호이며, 가난한 시대는 백 가지의 논쟁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가혹한 것은 영
[그림 4] ‘세대종사’ 아카데미 시상식 2014 최고촬영상 홍콩 영화제 2014 베스트 필름
혼의 승화로 이어졌으며, 자물쇠를 끊기 위해 단순하고 굵은 힘이 필요한 대중을 깨웠습니다. 워드라인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워드라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워드라인 간의 리듬성을 생성하고, 워드라인의 구조적 공간성을 확장하거나 매개함으로 써 워드라인을 재구성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어 서체가 영화 포스터 디자인에 존재하는 의미인 정보와 시각적 아름다 움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서체 디자인을 통해 시각적 아 름다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림 5] ‘황금시대’
3.3. 그래픽 - 개념적 표현
아시아 영화제 2016 최고감독상 홍콩 영화제 2016 베스트 필름
좋은 포스터는 텍스트가 아닌 그래픽 언어로 말해야 합니다. 미술계에 속하는 시각예술 의 가장 큰 부분은 그래픽의 조형이다. 왜냐하면 조형은 즐거운 모양을 만들어 재미를 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그래픽은 시각 언어이며, 텍스트보다 더 많은 관심을 끌 수 있는 텍스트 언어의 보급과 구별됩니다. 그래픽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 식으로 예술적으로 처리되며 정보의 보급, 아이디어 교환 및 아이디어 표현에 도움이 되고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영화 포스터 디자인에서 그래픽 기호의 존재는 간결하지 만 단순하지는 않으며 풍부하고 의미가 풍부하며, 영화 포스터를 통해 각국과 지역의 관객이 영화의 내용을 빠르게 직접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3) 그래픽 심볼 자체는 주 2) 장로용, 「영화 포스터의 중국어 글꼴 스타일에 대해 이야기」, 천진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pp.5-6
206
Vol.2 No.1 February 2020
목을 끌 수 있으며, 포스터의 그래픽을 통해 관객을 안내하는 명확한 표현은 영화 포스 터의 표현 공간과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영화 포스터 디자인의 그래픽 기호에는 이미지 그래픽과 개념 그래픽의 두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서로의 강점과 강점을 발휘하며 서로의 단점과 부족함 을 보완해 포스터에 더욱 풍성하고 아름답게 그려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화 ‘인어’[그림 6]의 포스터는 거대한 인어 꼬리와 롤링 파도 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포스터 중간에 4명의 스타를 주연으로 배치해 개그와 과장된 캐릭터 이미지와 장면을 설정해 영화 인 어의 주제를 드러내는 한편, 주성차의 과장과 과장, 과장된 모 습은 그 해 연하의 수많은 영화에서 관람객들을 눈앞에 밝게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스타 이미지를 활용해 포 스터를 제작하는 열풍이 쇠퇴하면서 더욱 참신하고 창의적인 형식이 도래하기 시작해 디자이너들이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 해 더욱 고생하고 있다. [그림 6] ‘인어’
영화 ‘2세대 요정’[그림 7]은 인간 본을 찾은 백호가 인간과 사 랑에 빠지고, 인간과 악계의 대란을 일으켜 악계 내부의 혼전
아시아 영화제 2017 최고신인배우상 홍콩 영화제 2017 최적시각효과상
을 일으킨 작품이다. 칸 영화제에서 발표된 티저 포스터에는 주연과 영화 콘텐츠의 그림이 없으며 안개가 낀 도시에서 흰색 여우가 숨어 있으며, 그 이야기가 들려오는 것처럼 보이지만 도시의 평온은 깨질 것입니다. 영화 포스터 디자인 과정에서 구상 그래픽의 사용은 비교적 광범위하고 직관적이며 선명한 것이 주요 특징이며 독특한 매력을 형성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관객들에게 사랑 받고 있습니다. 강문의 영화는 수많은 영화 작품들이 콘셉트형 홍보 포스터를 채택해 관객들이 포스터를 처음 보는 순간부터 알게 된 것이 강문의 대표적이다. 강문영화 포스터는 영화 콘텐츠를 소개하
[그림 7] ‘2세대 요정’ 칸 영화제 2017 시각효과상
지 않고 영화의 기조와 미학, 감독의 개인적인 특징만을 보여 주고 있다. 영화 ‘정의의 승리’[그림 8]은 강문의 대표작으로, 공개된 포스터는 극도로 시각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 포스터는 화면 내용이 단순하지만 강렬한 색채와 패턴을 적용해 강문의 모든 생각을 관객들에게 표현하고, 간결함, 로맨스, 충격, 광야 는 강문과 그의 작품의 레이블이 될 뻔했다.
3.4 허실 - 문화적 표현 허실(虚实)은 영화 포스터에서 중국 전통 문화 상징의 표현이 다. 중국의 토착 문화에서 태어난 전통 문화는 주로 유교 문화 와 도교 문화입니다. 유교 문화나 도교 문화는 “의미”에서 “환
[그림 8] ‘정의의 승리’ 아시아 영화제 2019 최고미술지도상 홍콩 영화제 2019 베스트 필름
상”를 옹호한다. 중국 영화 포스터의 서예, 잉크 등은 모두 실
3) 유미,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이 영화 포스터에 미치는 영향」, 후베이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p.16
20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화의 표현이다. 영화 포스터의 타이포그래피에 더 많은 흰색이 있는 등 허구의 실화를 구현합니다. 따라서 전통문화기호를 실 화하는 것은 문화기호 자체를 표현하는 것이고, 중국 영화 포 스터에서 중요한 표현 방법 중 하나이다. 공백은 중국 전통 국화의 출현과 발전으로 시작되었다. 화면에 시각적 공백이 나타나는 것은 ‘공백’이 아니라 더 큰 가능성을 담고 있는 것이 정신적 정관이다. 중국 철학에서 ‘없다’는 것은 ‘있다’는 것을 더 포용하고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영화 ‘백은제국’[그림 9]의 포스터에는 남주인공이 흐른 잉크에
[그림 9] ‘백은제국’
앉고, 다른 쪽에는 많은 공백이 남아서 화면에서 먼 한편으로
홍콩 영화제 2016 최고미술지도상 상하이 영화제 2016 베스트 필름
는 먼 느낌을 드러내며 중국의 두 사상체계 법학자와 유교 사 상 논쟁을 보여주는 영화 주제와 맞물려 있다. 화면의 한쪽에 는 무늬와 글자가 없는 것처럼 보이며, 사실은 풍부한 의미와 의미를 부여받으며, 모든 것을 보여주지 않는 사물과 합쳐져 관람객의 끝없는 연상이 된다. 영화 ‘무영자’[그림 10]의 포스터는 반년 만에 완성됐다. 디자 이너 황해는 포스터 디자인에서 페이드 핸들링을 적용하여 중 국 수묵화의 시각적 감각에 도달했으며 현대적인 미적 특징과 동양적인 색채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었습니다. [그림 10] ‘무영자’ 아시아 영화제 2019 최적시각효과상 타이페이 영화제 2019 최고감독상
결론:
중국 영화산업의 번영으로 영화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홍보 목적으로 다양한 포스터, 해외 포스터의 패러디, 표절에 대한 동질화된 포스터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중국 영화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중국의 원본 포스터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물이다.
포스터 디자인의
포스터는 중국 탄생 초기에 정치적 기능을 강조했지만 상업 시대가 다가오면서 영화
문제점과
산업의 상업성을 높이며 영화를 촬영하고 영화를 제작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
미래 발전
4)영화
다. 현재 중국의 영화 포스터는 대부분 광고회사에서 제작하고 있으며 중국은 영화 포 스터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회사가 있지만, 수량이 너무 적어 제작된 포스터 효과는 다 소 미미하다. 훌륭한 영화 포스터는 캐릭터, 플롯, 시야를 강조하는 세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하며, 세 가지 조건을 통합하거나 가져옵니다. 영화의 일종의 광고로 자연스럽게 영화를 홍보 하기 위해 존재하는 포스터는 영화 포스터가 이 세 가지에서 벗어나면 영화에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다. 캐릭터는 영화의 기본이며, 플롯은 영화의 주제이며, 시각적 효과 는 영화의 필수 조건이며, 이 세 가지 측면을 기본 내용으로 하고 포스터 디자인을 수 행하며, 디자인된 영화 포스터가 반드시 영화의 주제에 붙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종이매체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과거 영화 포스터는 여러 공공장 소에 게재돼 노출도를 높였다. 그러나 인터넷 시대에는 영화 포스터의 홍보가 인터넷에 서 더 강화되어야하며 전자 포스터와 다이나믹 포스터는 좋은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
4) 이계분, 「최근 10년간 중국 영화 포스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윈난사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p.8
208
Vol.2 No.1 February 2020
습니다. 뉴미디어와 각종 포털 사이트, 마이크로 블로그, 마이크로 폰의 독서량과 클릭 량으로 영화의 관심과 화제를 높일 수 있다. 중국의 요소와 전통문화의 결합은 포스터 디자인을 새로운 발전과 변화, 전통과 현대의 충돌로 만들어 디자인의 의미의 풍부하고 표현적인 형태를 다양하게 하고, 디자이너들 은 영화의 내용을 표현하고 중국의 전통적 매력을 구현하는 끊임없는 혁신과 돌파구를 모색한다. 중국의 그림과 서예, 비유산적 요소, 중국 철학적 사고, 전통 미학, 연극적 얼굴 스펙트럼, 그리고 포스터 디자인에서 다양한 중국 상징의 사용은 수없이 많으며, 현대 디자인에 이러한 전통 요소를 어떻게 통합할 수 있는지는 모든 디자이너가 독특 한 통찰력과 표현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참고문헌 권기명, 『광고 디자인의 메타포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디지털 디자인 대학원, 2005 관격격, 『한중 공익광고 포스터의 의미분섯에 관한연구』,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 원, 2011 이계분, 「최근 10년간 중국 영화 포스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윈난사범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5 만가, 「영화 포스터 디자인에 있어서 시각적 전달 예술의 구현」, 난창공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6 양완난, 「문화의 배경에 따른 영화 포스터 디자인의 분석」, 정저우경공업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7 장로용, 「영화 포스터의 중국어 글꼴 스타일에 대해 이야기」, 천진산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유미,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이 영화 포스터에 미치는 영향」, 후베이산업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9 월간 시청각, 2016년 11월호 월간 대중문예, 2018년 3월호 http://www.douban.com/group/topic/104280761/ http://www.naoteng.com/haibao/
20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 중국 10대 재스민 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ference Degree of Jasmine Tea Package Design in China - Focused on China's Top 10 Jasmine Tea Brands -
티엔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Tian, Ju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패키지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재스민 차 Keyword
Package Design, Consumer Preference, Jasmine Tea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재스민 차는 꽃차의 일반화 제품이고, 산지가 광활하고 생산량이 높으며 품종이 다양하다. 중국 한나라 시대부터 기원한 재스민 차는 청나라 시대에는 진상품으로 지정되었고 지 금까지 150여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중국 차 마케팅 협회의 <2018년 중국 재스민 차의 판매형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현 재 50, 60세의 노인 소비자 집단의 소비 능력이 점차 하락하는 추세이고 25~40세의 젊은 소비자집단이 점점 재스민 차의 소비 행렬에 가입하고 있고, 그 비중도 점차 확대 되고 있다.1) 재스민 차의 소비행태 및 요구특성은 신·구세대 간에 명확한 차이를 보이 고 있다. 수요의 중점이 구세대 소비자집단은 가격, 식감, 품질 등에 있다면, 신세대 소 비자집단은 소비체험, 제품 디자인, 개성화, 구매편의성 등에 중점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재스민 차 시장의 대표브랜드 10개에 대한 조사연구를 바탕으 로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분석한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및 중국의 주요 구매사이트에서 진행한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재스민 차의 대표 브랜드 10개를 선정하였다. 패키지디자인의 특징을 로고, 칼라, 레이아웃 및 형태 등 4개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설문지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에 기술적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진행하여 분 석 결과에 따라 재스민 차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조언을 제시한다.
2. 이론적 고찰
2.1.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이해 패키지디자인이란, 소비자에게 상품을 알리고, 구매의욕을 증가시키며, 상품을 안전하 게 보호하고 운반할 수 있는 입체디자인을 말한다.2)
2.2.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요소 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논문 8편을 연구한 후 패키지 디자인 요소에서 4가지 요소(로고, 칼라, 레이아웃, 형태)를 선정하여 다음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이은경, 「타이포그래피의 환경 변화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p.1-2 2) 이은경, 「타이포그래피의 환경 변화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pp.1-2
21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1] 표 선행 연구 및 패키지 디자인구성요소 연구자
제목
구성요소
김다혜 (2018)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관한 연구 : 국외 맥주 브랜드 중심으로
네이밍, 로고, 칼라,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Tian Meng (2018)
캔 맥주 패키지 디자인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중국 내 판매되고 있는 맥주 중심으로
로고, 칼라,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이혜선 (2017)
드럭스토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형태, 재질, 로고, 칼라, 레이아웃, 이미지
호유영 (2017)
중국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 제작 사례 연구
로고, 타이포그래피, 칼라, 이미지
쉬만 (2016)
중국수출을 위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선호도 연구
형태, 재질, 재료, 칼라, 일러스트레이션, 로고, 레이아웃
박혜영 (2016)
프리미엄 생수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로고, 일러스트레이션, 칼라, 레이아웃, 형태
이선희 (2015)
농산물 상품화를 위한 브랜드패키지디자인 연구
로고, 칼라, 일러스트레이션, 레이아웃
허진영 (2015)
여성소비자를 위한 RTD주류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로고, 칼라,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2.3. 재스민 차 패키지에 대한 이해 중국의차문화는 중국의 차를 제조 그리고 차를 마시는 문화이다. 7가지 생활필수품(땔 나무, 쌀, 기름, 소금, 간장, 식초, 차)중 하나이며, 차를 마시는 것은 고대의 중국에서 매우 보편적인 일이다. 중국의 차문화는 유럽, 미국 또는 일본의 차문화와 큰 차이점이 존재한다. 중화 차문화는역사가 유구하며 또 넓고 심오하다. 이는 물질문화 방면을 포 함할 뿐 아니라 깊은 정신문명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 당나라의 다성이라 불리는육우의 <다경>으로부터 시작해 차의 정신은 궁궐, 사회 그리고 중국의 시, 그림, 서예, 종교, 의학에도 담겨있다. 송나라시기(AD960~AD1279) 중국에서는 차에 향을 입히는 것이 유행하였고 시대의 변화을 겪으면서 여러 가지 종류의 꽃을 도태시켰고 결국 5, 6가지 밖에 남지 않았는 데 그 중 재스민이 약 96%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발전하기 시작한 재스민 차의 상품화는 명나라 말기에 시작되었고 청나라에 이르러서는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다. 중 국의 찻잎은 청나라 시기 수출 상품이 된 후부터 근대 중국 역사의 발전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곤 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 국내 소비뿐 만 아니라 해외 수출 역시 중요하 였으며 차 수출을 둘러싼 문화·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중국내부는 물론 해외에서의 검 증 또한 필요하였다. 찻잎 수출은 청나라 말기 중영 무역에서 절대적 흑자를 기록하였 으나 아편 전쟁 이후 47년째 되는해부터 시작하여 찻잎 무역은 점점 몰락하였다.
212
Vol.2 No.1 February 2020
3. 중국 시장 재스민 차의 패키지에 대한 연구
2018년 10월 달의 월 매출 기준 중국내 10대 재스민 차 브랜드를 선정 소비자의 선호 도 설문대상으로 지정하였다. 10대 브랜드는 각각 “장이위엔”, “우위타이”, “이푸탕”, “수밍룬”, “티엔푸밍차”, “춘 룬”, “징화”, “비탄피야오쉐”, “샤오관차”, “중차”이다. 10개의브랜드에서 각 브랜드마다 제품 3가지를 선정하여 총 30가지를 추려냈으며, 각 제품들의 로고, 칼라, 레이아웃, 형태 등 4 가지 요소의 정보를 수집하여 소비자 선호 도 조사표를 만들었다.
4. 소비자 선호도 조사와 결과 분석
4.1. 조사 개요 소비자의 기본 정보에 관한 질문 3개를 제외한 나머지 질문 57개는 모두 Likert scale 을 사용하였다. 즉 응답자가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만족하지 않음, 매우 만족하지 않 음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게 한 후 평균값을 계산하여 이를 근거로 소비자의 선호도 를 판단하였다.
4.2. 데이터 통계 4.2.1. 분산분석 연령과 직업에 따라 재스민 차 패키지의 칼라, 레이아웃, 로고, 형태와 30개 제품의 총 선호도 5개 요소의 선호도에 대해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분산분석(ANOVA)을 실시했다. 연령과 직업에 따라 칼라, 레이아웃, 형태, 총 선호도 총 4개 항목에서는 명확한 차이 가 없었고(P>0.05), 이것은 연령별로 칼라, 레이아웃, 형태, 총 선호도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연령에 따라 로고 요소에서는 명확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따라서 연령과 직업 별로 로고 요소에 대한 선호도는 다르다.
4.2.2. 상관분석 재스민차 패키지의 칼라, 레이아웃, 로고, 형태와 30개 제품의 총 선호도의 이 5가지 요소 사이에 현저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에 대해 상관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칼라 요소와 형태 요소 사이에 상관 관계가 없는 것외에 모든 요소 사이에 상 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3. 회귀분석 재스민차 패키지의 칼라, 레이아웃, 로고와 형태 요소가 소비자의 재스민차 패키지에 대한 선호도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에대해 회귀 분석 을 진행했다. 네개의 변수 모두 선호도 55.8%의 변량을 해석할 수 있다. 4가지 변수 중에서 레이아 웃요소와 로고요소 2가지 변수이 비교적 뚜렷한 예측력이 있었으며, 로고요소보다 레 이아웃요소의 선호도 예측값이 더 컸다.
21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3. 설문조사 결과 묘사분석 [표 2] 표 설문 조사 결과 요소
내용
로고 항목
장이위엔 우위타이
만족도
이푸탕
수밍룬
티엔푸밍차
춘룬
징화
비탄피야오쉐 샤오관차
3.66
3.66
3.48
3.44
3.18
3.13
3.37
2.89
항목
빨강색 계열
노랑색 계열
파랑색 계열
자주색 계열
녹색 계열
회색 계열
만족도
3.46
3.78
3.34
3.51
3.30
3.61
항목
유형1
유형2
유형3
유형4
유형5
유형6
유형7
유형8
만족도
3.41
3.50
3.40
3.33
3.35
3.29
3.45
3.33
3.52
중차 3.13
칼라
레이아웃
형태
항목
형태1 형태2 형태3 (사각형) (장방형) (정방형)
만족도
5. 결론
3.55
3.55
3.40
5.1. 로고 로고의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장 인기가 많은 로고는 3.66점을 획득 한 "비탄 피야오쉐”이고, 가장 인기가 없는 로고는 2.89점밖에 획득하지 못한 "춘룬”이다. “비탄 피야오쉐”는 오로지 문자로만 되어 있는 로고인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이 와 같은 종류의 로고를 가장 선호한다. 또 칼라 요소에 비해 로고 요소의 전체 득점이 비교적 낮 아 소비자가 로고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칼라 요소 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디자인에서 문자형 로고를 많이 활용하고자 한다.
5.2. 칼라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칼라 요소에서 가 장 인기를 얻은 칼라는 노랑색 계열이다. 다음은 칼라 요소 첫 번째 그룹의 회색계열과 자주색계열이며 이 3계열의 득 점은 모두 3.5점 이상이다. 그러나 두 번째 그룹인 파란색 계열과 빨강색 계열, 녹색계 열의 득점이 모두 비교적 낮다. 때문에 향후 디자인에서 첫 번째 그룹의 노란색계열, 회색계열, 자주색 계열과 의 칼라를 사용하고 두 번째 그룹 인 파란색계열, 빨강색계 열, 녹색계열의 칼라를 사용하는 것을 줄여야 한다.
214
Vol.2 No.1 February 2020
5.3. 레이아웃 레이아웃요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8가지 레이아웃에서 가장 인기를 얻은 레이 아웃은 유형2이고 가장 인기가 없는 것은 유형6이다. 그 중에서 유형2는 두개의 단독 패키지이고 유형8은 네개의 단독 패키지이다. 향후 디자인에서 두 개의 단독 패키지 위 주의 유형2를 적극 활용하고 자한다.
5.4. 형태 재스민 차 패키지의 형태 요소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장 소비자들의 인기를 얻 은 패키지 형태는 3.55점을 획득한 형태1(사각형) 와 형태2(장방형)이고, 그 다음은 3.40점을 획득한 형태3(정방형)이다. 하지만 이 3가지 형태의 득점이 비교적 균일하여 최고점인 2번 형태와 최저점인 3번 형태의 점수 차이가 0.15점을 넘지 않는다. 그러므 로 형태 요소가 소비자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PSS분석에 근거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1. 성별에 따라 재스민 차 패키지의 칼라, 레이아웃, 로고, 형태, 선호도 등에 명확한 차이가 없었다. 2. 연령에 따라 칼라, 레이아웃, 형태, 선호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로고에 대해 연 령별로 명확한 차이성을 나타냈다. 또한 30-40대 연령의 로고 차이성이 20-30대 보다 컸다; 40-50세 연령대의 로고 차이성은 20-30세 보다 컸다. 3. 직업에 따라 칼라, 레이아웃, 형태, 선호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직업표본은 로고에 큰 차이성을 나타냈다. 또한 공무원의 로고 요소에 대한 차이성이 학생보다 컸으며, 국가 기업 관계자의 로고 요소의 차이성 또한 학생보다 높게 나왔다. 또한 사무직 종사자의 로고 요소의 차이성이학생보다 높았으며, 자영업의 로고 요소의 차 이성 또한 학생보다 높았다. 4. 칼라요소는 레이아웃요소, 로고요소, 선호도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레이아웃요소 는 칼라요소, 로고요소, 형태 요소 및 선호도에 영향을 끼쳤다. 로고요소는 칼라요 소, 레이아웃요소, 형태요소와 총 선호도에 영향을 끼쳤다. 형태 요소는 레이아웃요 소, 로고요소, 선호도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총선호도는 칼라요소, 레이아웃요소, 로고요소와 형태 요소에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형태요소와 칼라 요소 간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5. 칼라, 레이아웃, 로고, 형태 4가지 변수에서 레이아웃요소와 로고 요소 2가지 변수 만이 피실험자의 재스민 패키지 선호도를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선호 도 예측에 대한 레이아웃요소가 로고요소 보다 컸다. 재스민 차의 선물 패키지에 대한 연구에는 아직도 많은 미흡한 부분이 많다. 1. 소비자를 상대로 하는 설문조사에서 시장에서 판매량이 높은 재스민 차 선물 패키지 만취급하여 브랜드의 제한성이 있다. 때문에 향후의 패키지 디자인 연구에서 브랜드 를 선택하는 원인 요소를 추가하여 단지 판매량에만 국한하지 않으려 한다. 2.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설문지의 한계이다. 설문 조사 과정에서 설문지 응답에 참여 한 소비자가 20대 중심이고 기타 연령대가 비교적 적어 샘플의 수량이 비교적 적었 다. 재스민 차 의 패키지 디자인 요소도 4가지 요소 밖에 선택하지 않아 전면성이 부족하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소비자 선호도 원인에 대한 연구를 추가예정이다.
21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박혜숙, 『숙명여자대학교』, 선물패키지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2016 이화영, 『홍익대학교』, 커스터마이징 패키지디자인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8 호유영, 『숙명여자대학교』, 중국 어린이 비타민제 패키지 디자인 제작 사례 연구, 2017 Tian Meng, 『홍익대학교』, 캔 맥주 패키지 디자인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중국 내 판매되고 있는 맥주 중심으로, 2018 이선희, 『단국대학교』, 농산물 상품화를 위한 브랜드패키지디자인 연구, 2015 박혜영, 『한양대학교』, 프리미엄 생수 패키지디자인의 브랜드 개성에 관한 연구, 2015 김다혜, 『중앙대학교』,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관한 연구 : 국외 맥주 브랜드 중으로, 2018 쉬만, 『영삼대학교』, 중국수출을 위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선호도 연구, 2016 허진영, 『영삼대학교』, 여성소비자를 위한 RTD주류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2016 김소영, 『세종대학교』, 에어캡스케이프와 브랜드인지도가 감정 반응, 브랜드이미지, 만 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A380항공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2013 허남규, 『계명대학교』, 통계 지도를 위한 SPSS의 활용에 관한 연구, 2010 강성수, 『고려대학교』, 기초 통계분석 사례기반의 SPSS 활용화 방안 연구, 2007 조민형, 『동의대학교』, SPSS를 이용한 최적척도 방법의 응용과 적용사례분석, 2000 https://www.puercn.com/cysj/fxbg/145176 https://www.chayu.com/article/197246
216
Vol.2 No.1 February 2020
중국의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에 등장한 감성 디자인 표현 성향 Emotional Design Expressing Tendency in Long-Term Rental Youth Apartment in China
주수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u, Su L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임대, 청년 아파트, 감성디자인 Keyword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in Long-Term Rental Youth Apartment,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Emotional design, research trend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의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에 등장한 감성 디자인 표현 성향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최근 들어 도시 경제의 신속한 발전과 새로운 과학 기술, 새로운 소비 방식, 새로운 사 교 모델이 등장하면서 국내의 1, 2선 도시에서는 전통 임대 아파트와는 다른 서비스 모델의 청년 장기 임대 아파트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청년 장기 임대 아파트는 중국 의 도시화 과정과 사회 발전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고 외국에서 일찍부터 성행하였으 나 중국에서는 최근에야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2017년 이후 “임대인과 동일한 사 회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권리(租購同權)”가 제기되면서 임대 시장의 각종 관련 정책 및 기관 계획이 신속하게 추진되었고 장기 임대 아파트 시장에도 “최적의 시대”를 맞이하 게 되었으며, 칭커(青客), 유플러스, 신파이(新派), 모팡(魔方), 베이징 즈룸(自如寓), 상 하이 상하이위지엔(上海遇見) 등 청년 장기 임대 아파트들이 등장하였다. 청년 서비스형 아파트는 과거의 전통 임대 사업에서 아무런 서비스도 제공하지 않았던 시장 공백을 보완하였고, 새로운 시기의 신세대 집단에게 일정 기간 동안 주거 환경과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하였다. 청년 장기 임대 아파트는 대부분 고품질 형식과 장기적 형식으로 발전을 이루고 있고 이전의 거주 형식에 비해 보다 합리적인 감관체험을 느낄 수 있다. 현재의 청년 세대들은 점점 우월한 사회 환경에 처해 있다. 하지만 이들도 직장, 생활, 감정의 다중적 스트레스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안락하고 편안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 하고 긴장을 풀어야 할 뿐만 아니라 주거 환경과의 감정 교류를 진행하여 경험하고 인 생을 깨달으며, 자신만의 공간 내에서 몸과 마음을 조절하고 교류를 진행하며 스트레스 를 해소해야 한다. 이는 청년 장기 임대 아파트에 대해 디자인할 때 기본적인 기능 요 구를 만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에 대한 관심과 감정적 위로에 더욱 주 목해야 한다. 현재 실내 디자인의 발전은 점점 거주자의 감정 체험을 중요시한다.1) 때 문에 본 연구는 중국 장기 임대 아파트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현재, 중국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공용 공간에 대한 감성 디자인 요소와 표현 특성을 연구하고, 대표성이 있는 사례 조사와 분석을 통해 중국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공용 공간 감정적 디자인 의 표현 성향을 확정하고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주로 중국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공용 공간 감성 디자인 표현 공간 특성 을 분석하여 공간 내 감성 디자인의 표현 성향을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로 문헌 조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과 범위에서 연구하였다: 첫째, 중국 장기 임대 아파트의 발전 현황, 발전사 및 공간의 기능 분류. 둘째, 문헌 조사를 통해 감성 디자인을 정의하고, 선행 연구를 통해 감성 디자인의 표현 요소와 특성을 도 출한다. 셋째, 사이트, 홍보 자료, 통계 데이터 등을 통해 대표성을 띤 중국 장기 임대
1) 秦杨. 基于情感需求的室内环境设计研究[D]. 武汉理工大学, 2013. 친양. 감정 수요 기반의 실내 환경 디자인 연구 [D]. 우한이공대학. 2013
218
Vol.2 No.1 February 2020
청년 아파트 사례 다섯 개를 선정하였고 감성 디자인의 표현 특성 및 감성 디자인 추세 를 분석하고 요약하였다. 본문은 주로 중국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실내 공용 공간을 분석하였고 기타 공간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개념과 발전 상황
2.1.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개념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란 운영자가 구매하여 개조하거나 전체를 임대하는 형식을 통해 거주, 레저, 스포츠, 사교 등을 통합시켜 일괄적 관리를 진행하는 신형 거주 모델을 말 한다. 뿐만 아니라 완전한 풀 옵션의 생활 가구를 설치해주고 임대 형식(일반적으로 중 장기 임대이다.)으로 운영한다. 주로 사회에 진출한 청년 집단을 타깃으로 하고 주로 중산층 생활수준과 생태 건강을 강조하고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충족한 공용 공간 을 제공하여 청년들이 방안에서 나와 보다 많은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하며 건강한 삶 을 양성한다2). 장기 임대 아파트란 전통적 아파트에 비해 젊은이를 주요 소비 시장으 로 하고 젊은이들에게 장기적인 거주 공간과 주거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을 통합하여 소속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또 상대적으로 동질화 된 집단을 유인하는 경향이 있 다.3) 장기 임대 아파트는 일반적으로 브랜드화, 체인화, 표준화 모델로 운영하고 전통 적 모델에 비해 보다 뛰어난 임대 체험을 할 수 있는 신형 아파트이다.
2.2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발전 상황 중국의 초기 아파트는 “외래품”이었다. 이른바 “아파트”란 대외 판매 부동산을 개발하 는 배경 하에 외국의 주장을 참고하여 탄생되었고 주로 외국인들에게 주택을 제공한다. 국내의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개념은 최근 몇 년 사이에 나타났다. 당시 청년 아파 트와 일반 주택의 기숙사는 큰 차이가 없었고 입주 집단에 대해서도 특별한 구분을 하 지 않았다. 사회의 발전과 함께 사람들의 생활수준도 끊임없이 향상되었고 청년 집단이 임대 소비의 주체가 되었다. 이들이 집에 대한 태도는 더 이상 단일한 거주 기능에만 만족하지 않고 생활환경 및 완비된 부대시설 즉 생활, 레저, 오락을 통합시킨 다양화 거주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을 더욱 중요시하였다. 사회의 공급과 수요는 현재의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왕성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표 1] 국내 시장에서 장기 임대 아파트 업게의 발전 상황, 인터넷 및 관련 문헌에 따라 그렸음 년도
발전 상황
1980년
서비스형 아파트가 뉴욕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점차 현지 부동산 기업의 핵심 추진 종목으로 발전 하였다.
1995년
상하이에서 프리미엄 호텔식 아파트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주로 외국계 기업에서 고위 관리자의 장 기 거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났다.
2003년
Yopark 임대 아파트가 설립되고 처음으로 국내의 고급 아파트 시장을 타깃으로 하였다.
2008년
체인형 호텔식 아파트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2) 张珉, 《长租型青年公寓室内公共空间研究》, 2017, P4 장민,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 실내 공용 공간에 대한 연구>, 2017, P4 3) Ron Fisher, Ruth Mcphail. Residents’ Experiences in Condominiums: A Case Study of Australian Apartment Living[J]. Housing Studies, 2014(06):781-799
21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년도
발전 상황
2011년
아파트 예약 사이트인 미국 회사 Home Away가 상장하였고, 국내 회사에서 이를 모방하여 타자왕 (途家罔) 온라인과 청니엔후이(青年汇)가 설립되었고 주택 물건 규모가 일반적으로 100-300개에 달 한다.
화이트 칼라 장기 임대 아파트가 전면적으로 발전학 시작하였고 업계의 융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요 2012년 커이쟈(优客逸家), 칭커(靑客), 모팡(魔方) 등 잠재력이 있는 아파트 기업들이 나타났으며 매물 수량 - 2013 년 이 1000개 이상에 달했다. 2015년
부동산 개발기업들이 아파트에 개입하기 시작하여 발전 초기에 진입하였으며 많은 우수 아파트 기업 들이 급증하였다.
2016년 - 2019년
청년 장기 임대 아파트는 “백화제방”의 발전 추세를 나타냈고 많은 투자자와 대형 부동산 기업, 호텔 등 전통 업계에서 모델 전환을 진행하여 청년 아파트 분야로 확장하였다.
2.3.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 공용 공간의 개념 및 기능 분류 장기 임대 아파트의 공용 공간은 보통 풍부한 공용 활동 공간과 서비스 공간을 설치하 고 있고 “공유”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공유란 “공동 소유”와 “공동 분담”을 말한다. 협 력 주택처럼 공유는 자원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고 이성적으로 자원을 배치하며 주거 공간과 일부 기능의 사회화를 실현할 수 있다4). 본문에서 연구한 장기 임대 아파트의 공용 공간은 공간 성격에 따라 공간을 교통 연결 공간, 기능 생활공간 및 공용 활동 공 간으로 나뉘고, 손님 접대구역, 사무 구역, 오락구역, 헬스 구역, 독서 구역, 세탁물 건 조 구역, 공용 주방 등 세분화 된 기능적 공간이 포함된다. [표 2] 공용 공간 분류 구분 공 용 공 간
3. 이론적 고찰
기능
종류
공용 생활공간
기본적인 생활 편의 공간, 공용 주방, 다이닝 룸
화장실, 세탁실, 현관, 택배 수령구역, 세탁물 건조구역 등
교통 연결 공간
복도 공간과 수직 교통 공간,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
공용 활동 공간
휴식, 사교, 레저 활동의 공용 공간, 접대실, 휴게실
사무구역, 독서구역, 헬스장, 영화 관람실, 상점 등.
3.1. 감감성의 개념과 특성 3.1.1. 감감성의 개념 일반적으로 감성디자인의 의미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감성을 물리적인 디자 인요소로 번역해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기술이다.5) 정서는 물리적 환경의 자극과 감각 기관의 전달을 통해 사람들의 즐겁거나 불편한 또는 복잡한 심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심리학에서 감정은 “한 사물에 대해 일으키는 사람들의 감각과 인상”을 말하고, 사람이 상황의 자극, 주관적 체험, 인간의 표정, 뇌와 신경계통의 결과를 포함한다. 사람과 공 간 사이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향은 우리와 함께 발전하고, 공간은 감성디자인을 통해 4) 贾倍思.寻找私有和共享的结合点——经济型住宅中的公民社会营造[J].NEWARCHITECTURE, 2009(03):4-12 实现交 往的目的。 5) 나까마씨 미쮸오. 김연민(역), 감성공학, 물산대학교 출판부, 1997, p.29
220
Vol.2 No.1 February 2020
공간을 활성화하고 사람과의 기본적인 교류는 관계의 수요를 만족시키는 기대 효과를 지니고 있다. 감성디자인은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인간의 신체적. 심리 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간과 공간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방향이다.6)
3.1.2. 감감성의 특성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는 현재 더 이상 단순한 공간이 아닌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해 조 성해야 하는 공간이다. 공간 디자인에서 표현한 감성적 요소를 감성에 관한 연구자들의 논문과 문헌을 통해 다음 표1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3] 감성디자인요소 특성 감성적 표현 요소 연구자 년도
제목
박수정 (2005)
이토 도요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감성 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3)
하세강 (2006)
국내 어린이병원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4)
서수경 (2007)
뮤지엄의 감성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윤정미 (2007)
주거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김정아 (2010)
감성적 표현특성이 적용된 해외 병원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장인경 (2012)
현대 상업실내 공간에 나타난 감성디 자인의 도입 성형에 관한 연구
김혜경 (2017)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릴렉스라운지 공 간 계획에 관한 연구
강윤서 (2019)
컨셉스토어의 감성디자인을 위한 공 간연출 표현요소 연구-J 패션 디자이 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오감의 체험
연속적 시각 체험
상징성
스케일
행태 지원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8
●
●
●
4
장면성
테마성
비일상적 체험
● ●
● ●
●
●
●
●
5
6
●
●
3
2
3
위에서 설명한 선행 연구 분석에 나타난 실내 공간의 감정적 표현 특성은 오감의 체험, 장면성, 테마성, 상징성, 행태지원성, 연속적 시각체험, 스케일, 비일상적 체험 등이 있 다. 그중에서 오감의 체험, 상징성, 행태지원성, 연속적 시각체험, 스케일은 가장 많이 나타난 경우이다. 3.1.2.1. 행태지원성 지원성이란 어떠한 물체가 일으킬 수 있는 인간의 행동을 가리키는 것이다.7) 행위는 지각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인간은 주변 환경에서 생존과 일상 생활에 필요한
6) 권유지, 감성디자인의 상호유형에 따른 소형주택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0, p.45 7) 이영화, 건축과 회화로 보는 감성 공간사, 한불문학 출판사, 2001, p.206
22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정보를 획득한다. 다시 말해서 사람과 환경 사이에는 서로 깊은 영향을 미치고 사람과 환경은 환경을 통해 다양한 행위 지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람과 환경의 상호 작 용은 환경 설비를 통해 개인의 정보를 획득한다. (즉 사람과 환경은 서로 영향을 미쳐 환경 설비를 통해 개인의 정보를 파악한다.) 3.1.2.2. 오감의 체험 사람은 감정 공간의 매개체이고 객관적 사물에 대한 사람의 주관적 의식이다. 사람이 공간에 대한 인지 경로를 명확히 해야 목적을 가지고 공간 창작을 진행할 수 있다. 그 렇다면 인간은 어떠한 수단으로 세상을 감지하는가? 우리는 세상에 대한 인상과 기억 을 모두 우리의 오감 체계 즉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을 통해 정보를 획득한 후 대뇌 속에서 공간에 대한 인식으로 전화한다. 사용자의 감정 만족감 표시 하에 인간 의 감성을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해당 분야에서 점점 확대되고 있다. 확대 된 인간의 감정 영역에는 빛, 소리, 냄새, 향기 등 오감을 포함하여 감정 만족 기능으로 간주한다. 미래의 디자인은 인류의 오감을 통해 디자인의 기본 요소 즉 형태, 질감, 공 간, 명암, 색채 등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미지의 데이터 베이스 발전을 이룰 것이다. 3.1.2.3. 상징성 인류와 환경의 상호 작용 과정에서 환경에 대한 의미와 상징성을 형성하였다. 사람과 사물의 관계에서 습관적 요소와 商量元素는 동시에 작용하지만 감성적인 사람들은 이들 의 관계를 지속적 발전으로 비유하여 결국 우리가 사용하는 공간에서 과거에 잃어버린 상징적 의도를 내포하였다. 즉 상징의 정의는 인식 가능한 어떤 것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더 큰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8) 이러한 상징성은 대중들 이 사회화와 문화를 쉽게 접하게 되고 개인의 가치관을 나타내며 환경에 만족감과 즐 거움을 가져다주는 것을 반영하였다. 때문에 현대의 감성적 공간에서 코믹한 표현 형식 으로 자주 등장한다. 심사숙고의 개념에 비해 우리는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에 치우쳐 이들과 대중 사이의 장벽을 파괴한다. 3.1.2.4. 연속적 시각체험 감성 공간의 또 다른 특징은 공간의 연속성이다. 즉 활기와 변화로 가득함을 표현하였 고 유기체의 생명력마냥 감성적이다. 공간에서의 연속성은 심리적 차원의 비일상적인 의식작용을 하나의 장면 또는 여러 장면으로 나누어 표현하는 방식을 말한다.9) 우리는 어떠한 장면을 보고 그 장면을 기억한 채로 다음 장소로 이동을 하게 되면 다음에 보이 는 장면을 연속적 관계성으로 지각하여 그 전 장면과 이어진 채로 공간경험을 하게 된 다.10) 3.1.2.5. 스케일 인간이 공간에서 느끼게 되는 양적 느낌과 크기의 의미의 추상적 비율은 개인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공간 배치에 따라 신숙성 또는 축소를 나타낼 수 있 고 실감 또는 추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8) 김정태 최상헌, 한국 현대 개신교회 대예배실 디자인의 추상적 상징성 표현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p.5 9) 신선영, 어린이 놀이학습공간 실내디자인의 감성 표현특성, 울산대학교 석론, 2011, p.42 10) 오영근, 건축 감성디자인의 언어 인간척도론, 시공문화사, 2002, p.158
222
Vol.2 No.1 February 2020
[표 4] 감성디자인요소 특성 항목
감성 요소설명
비영역성(투명성) 유희성(휴식의 장) 공간의 지원성 인간 친화성 비일상적 체험 유도 조건 반사적 공간 체험
∙ 인간의 행동 가능성을 파악하고 지원성을 고려하여 인간 친화적이고 사용자 중심적인 능동적 공간을 제공함 ∙ 인체치수로 방의 크기를 산정하여 아늑한 공간감을 형성함 ∙ 다양한 기능 공간의 지원 ∙ 인간과환경의상호작용
연속적 시각 체험
빛을 통한 시각적 가변성 공간의 구성 연속적 시각체험 시간척도에 따른 역동성 장면성과 연속성 / 장면화
∙ 내부와 외부의 공간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흐름. ∙ 독립적이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됨. ∙ 연속적인 공간을 형성된 계획
상징성
공간의 상징성 공간의 표현적 구분 이미지와 시각적 상징 탈스케일 / 상징적, 다의미 상징성과 해학 사실적 스케일로 탈피
∙ 공간이 주는 인상과 느낌 ∙ 바로 나타나는 분명한 느낌 이외의 암시적인 것 ∙ 실내 장식품의 물리적 조형의 상징성 ∙ 공간 테마와 분위기를 통한 상징성
스케일
공간의 형태 - 모티브, 스타일 공간형태 해석 사실적스케일탈피 추상적 표현 / 조형성
행태 지원성
오감의 체험
4. 사례분석
세부항목
색 / 공간의 감각 요소 오감자극 / 자연소재, 인공소재 오감의 체험
∙ 공간이 유기적이고 연결되어 보이도록 하는 것 ∙ 내부와 외부의 공간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흐름 ∙ 사람이 움직임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양한 공간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조절 ∙ 가구, 장식품등 방을 치장하는 요소
4.1. 사례 범위 및 방법 요근래에 들어 중국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의 브랜드가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고, 중국 의 장기 임대 청년 아파트는 주로 브랜드 체인의 형식으로 존재한다. 다양한 브랜드마 다 각자의 스타일과 특징이 있다. 최근 3년간 장기 임대 아파트의 브랜드 영향력 순위 에 따르면 1위부터 3위까지의 장기 임대 아파트 브랜드는 각각: YOU+, 모팡(魔方), 보 우위(泊寓)(완커)。11) 2016 년 이후 사례 분석을 위해 5 개의 아파트가 선정됩니다. [표 5] 사례분석 대상지 사 례
위치
연면적
년도
中国燕京里(Yanjing Lane)
중국 베이징
2500㎡
2017년
福州万创公社泊寓共享空间
중국 푸젠
480㎡
2017년
松花湖新青年公社
중국 지린시
10000.0㎡
2016년
YOU+上海石龙路社区
중국 상하이
4200㎡
2016년
魔方公寓闵行体育公园店
중국 상하이
4700㎡
2017년
11) http://baijiahao.baidu.com/s?id=1603418030179595730&wfr=spider&for=pc。 https://baijiahao.baidu.com/s?id=1611020007333116547&wfr=spider&for=pc
22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2. 사례분석 선정된 사례를 [표 7]에서 제시한 감성디자인 표현 특성의 분석틀을 토대로 내, 공용 공 공간을 포함하여 분석 내용은 5단계 척도를 기준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사례의 공간들 중 4곳 이상에서 해당 특징이 나타나면 4점, 3곳에서 특징이 나타나면 3점, 2곳에서 나타나면 2점, 1곳에서 나타나면 1점, 특징이 나타나지 않으면 0점으로 표시하였다. [표 6] 사례분석 대상지 中国燕京里(Yanjing Lane)
2017(CGDA) 국제 심볼 디자인상 은상 《중국 크리에이티브 디자인 연감·2016-2017》. 금상 《13회 APD 아태 디자인 연감》 선정
이 미 지
청년 장기임대 아파트의 감성적 표현 특성 행태지원성
오감의 체험
상징성
연속적시각체험
스케일
1. birdesk를 수용하는 공간의 이름은 ‘운집(云集)’인데 그것은 카페 같은 작업 공간일 뿐만 아니라 극장, 바, 세미 나실 등 다목적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각 birdesk에는 전원, USB 포트, 수납공간이 있다. 2. 로비, 카페, 공동사무홀 등 여러 기능구역은 유리를 사용해 마감했고, 양호한 외부 자연광의 유입, 탁 트인 자유 로운 시야 확보, 자체적 음향 효과로 안정된 분위기를 만들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3. 이 프로젝트의 로고가 돋보이는데 연경(燕京)의 함축된 의미는 ‘옛 베이징’으로 옛 베이징의 문화적 요소를 공간 디자인에 담아 어두운 녹색의 벽, 옛 수업용 책걸상의 80년대 교실풍처럼 무거운 연대감을 가져오고 곳곳에서 는 맞춤제작한 문화벽돌을 볼 수 있다. 4. 재료와 색채의 반복적 사용. 방향성과 리듬감, 자연스러운 동선의 유도에서 공간 이동이 쉽고, 동선의 흐름을 따라 다양한 공간이 펼쳐져 사람에게 흥미있고 변화가 있는 공간의 체험을 준다.
푸저우완창공사 푸寓 공유공간
완전 폐쇄식 기능의 방과 완전 오픈식의 큰 공간의 설계 배치를 버리고 하나의 연속된 곡선 벽면을 통해 반으로 둘러싸인 유동 공간을 만드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224
Vol.2 No.1 February 2020
푸저우완창공사 푸寓 공유공간
이 미 지
청년 장기임대 아파트의 감성적 표현 특성 행태지원성
오감의 체험
상징성
연속적시각체험
스케일
1. 공간의 예술적 처리는 상호작용을 만들 뿐 아니라 활력 있는 청년 커뮤니티의 공용로비와 카페, 도서열람, 사 교, 로드쇼 등 다양한 기능적 공간을 수용하는 복합공간을 만들었다. 발코니의 디자인을 통해 주거 아파트와 공용로비 사이에 여러 기능적 공간을 만들었고, 발코니 앞뒤의 경계면도 로비 입면 공간의 풍부함을 더했다. 2. 16미터 높이의 로비공간은 천장의 빛을 지하층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충분한 빛과 탁 트인 시야를 보장하고, 발 코니에는 흰색 육각형 타공판을 사용해 시선과 소음에 일정한 여과 작용을 하며, 녹지를 조성해 실외화, 자연 화, 햇빛과 녹색으로 가득한 로비를 만들었다. 3. 모자이크를 사용하여 ‘온천풀’의 장식 재료로 공간과 기존 기능의 연계를 시도했고, ‘온천풀’의 경계는 목재를 사용하여 의자, 계단, 나무풀장, 책꽂이 등등 흥미있는 공동 요소를 디자인했다. 4. ‘온천풀’ 위쪽의 로비 경계면은 건물 외립면의 처리방식을 사용하여, 반투명의 흰색 타공판과 통유리 창이 중첩 해 연속적인 운율, 역동감이 풍부한 변화가 생겨나는 동시에 로비공간의 전체성을 잃지 않았다.
松花湖新青年公社 신청년공사는 만코손화호 휴양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혼합형 청년 주거 커뮤니티로 자연마을과 접경하고 있다. 건물은 800명을 수용할 수 있고, 상층부에는 만과 직원이 거주하며, 중층은 진의 자영업자에게 임대하고, 첫 층은 학생 등 야영지로 사용하며 주변 마을 주민들에게 개방한다.
이 미 지
22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松花湖新青年公社
이 미 지
청년 장기임대 아파트의 감성적 표현 특성 행태지원성
오감의 체험
상징성
연속적시각체험
스케일
1. 복합적인 3차원 공용로비의 형식, 많은 모듈화된 목판 가구의 흥미로운 조합이 답답한 공간의 특징을 깨뜨렸다. 분리된 기능 영역은 로비의 각각의 위도에 배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코너를 돌면 시야가 탁 트인 새로운 공간이 나타난다. 2. 높고 긴 로비에 노출된 콘크리트 프레임과 차가운 회색 시멘트 벽판은 로비 공간의 기초를 세운다. 색상과 소재 는 공간의 지침이 되고, 목판가구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로비공간의 배치는 광선이 충분하고 시야가 넓지만 녹색식물이 적고 소음지수가 높다. 3. 모듈 가구는 사용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고 일련의 실내 마이크로형 ‘부열’???을 형성한다. 이러한 ‘부열’은 사용자의 신체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상단의 채광, 옆창과 동서쪽 끝의 큰 유리는 기념 공간의 주제 를 부각시켜 어떤 공통된 집단 상상을 암시하고 초조함을 완화시킨다. 4. 통풍이 잘 되는 높은 중정은 다리, 계단, 계단의자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개방적인 골목길처럼 다양하고 변화가 많은 대중교통의 흐름을 형성하며 다양한 활동이 여러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전개된다.
226
Vol.2 No.1 February 2020
집단기억 표현 요소로 분석한 역사적 Landmark 건축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Landmark Architecture Analyzed by Collective Memory Representative Elements
강 박,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Jiang, Bo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Hong, Kwan Seon(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집단기억, 랜드마크, 건축물 Keyword
collective, memory, landmark building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집단기억 표현 요소로 분석한 역사적 Landmark 건축물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사회의 진보와 발전에 따라 현대 도시에 새로운 건물들이 대량으로 들어서면서 ‘도시의 불제화’는 도시의 공간 기획과 건설의 큰 문제가 되었다. 사실 건물 자체는 도시의 현 대적인 문화경관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문화경관이 도시 공간에서 사람들로 하여금 도시의 특징 또는 ‘과거’를 떠올리게 할 수 없다면, 사람들에게 생소하다는 느 낌을 줄 수 있다. 이로부터 표지적 건물은 도시의 랜드 마크로서 도시의 지울 수 없는 추억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억 자체는 시간과 공간의 흔적이 남아 있기에 급속히 변화하는 현대화 도시가 바로 인간의 집단기억의 장소이다. 이런 상황에 서 도시의 표지적 건물은 집단기억의 도구로서 집단기억 중 서로 다른 개체의 기억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집단기억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의 기억요소가 도시의 표지적 건물에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관련 디자인 사례에 이 론적 뒷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집단기억의 관점에서 랜드마크(landmark)건축을 분석하고, 랜드마크 건축 이 어떻게 도시 발전의 지역적 특색을 담았는지 탐구한다. 연구방법은 먼저, 문헌조사 를 통해 집단기억 및 랜드마크 건축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요약, 정리한다. 다 음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선택한 사례에 대한 실제 조사를 진행하여, 집단기억의 지역 역사문화성, 지속성, 구조성으로 사례에 대해 분석연구를 진행하고, 집단기억이 랜드마 크 건축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되는 형식을 얻어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사례에 대해 종합분석을 진행한다. 현대도시의 기억요소가 어떻게 도시의 랜드마크 건축 디자인 방법에 구현되는지 총 정리한다. 본 연구의 시간적 공간적 연구 범위는 아래 표와 같다. 둥베이[東 北] 평원 중앙, 헤이룽강 최대의 지류인 쑹화강[松 花 江] 연변에 있다. 하얼 빈은 만주족(族 )의 말로 ‘그물 말리는 곳’이라는 뜻이다. 19세기 무렵까지는 불과 몇 채의 어민 가구가 사는 한촌(寒 村)에 지나지 않았으나 제정(帝 政) 러시아의 둥칭[東 淸] 철도의 철도기지가 된 이래 상업·교통도시로서 발전하였다. 제유(製 油)·하얼빈은 나의 고향이자 국제어의 도시이기 때문에, 이것이 내가 하얼빈 건축을 선택한 이유이다.
228
Vol.2 No.1 February 2020
[표 1] 시간적 공간적 내용적 연구의 범위
2. 이론적 고찰
기간
20세기부터 한재까지
공간
헤이룽장성 하얼빈지역의 대표적인 랜드마크(LANDMARK) 건축
내용
1. 집단기억의 지역역사문화성, 지속성, 구조성의 관점에서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2. 주로 랜드마크(LANDMARK) 건축의 외관형태에 초점을 맞춘다.
2.1. 집단기억의 개념 ‘집단기억’은 프랑스 사회학자인 모리스 알박스 (Maurice Halbwachs)가 주창한 개념 이다. 알박스는 자신의 스승인 뒤르켐의 ‘집단의식’ 개념에 근거하여 ‘집단기억’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어떠한 집단이 서로 공유하는 기억을 의미한다. 알박스는 특정한 집단을 이루는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은 기억의 ‘사회적 구성틀’을 사용해 야만 회상의 범위와 내용이 결정되어지고 제대로 복구도 된다고 하였다. 즉 모든 개인 적 기억은 집단적 기억이자 집단적 현상이라는 것이다. 이러 한 사회적 구성 틀에서 가 장 중요한 것은 ‘공간적 틀’이다. 어느 개인이건집단에 소속되어 있으며 그러한 공간적 틀 안에서 개인적 기억을 되살리고 유지해나가기 때문이다. 집단기억은 타인의 개입과 기억 공유에 의하여 개인적 기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억의 재배치와 재구성도 가 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다른 집단과 구별 짓는 특수한 정체성을 제공한다. 이렇게 알박스는 집단기억이 ‘의사소통적 기억’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하 였다. 개인적 기억은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의미를 얻고, 집단을 통해 뭉쳐지고 구조화 된다는 것이다. 사회적 집단 속에서의 타인은 개인의 기억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어떠한 사건을 직접적으로 체험하지 않았더라도 그 사건은 타인에 의하여 환기될 수 있으며, 환기된 순간은 집단의 관점을 이루는 것이다. 즉 이것이 집단기억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2.2. 집단기억의 구성요소 선행 연구를 통해 ‘집단 기억’의 구성요소를 정리했으며, 아래 표 [표 2]와 같다. [표 2] 선행연구 선행연구에서 관련된 내용
구성 요소
집단기억, 소통적 기억, 문화적 기억, 사회적 틀, 일본군 위안부, 항일운동, 문화적 매개체
배척, 접수, 확산, 중건
메모리얼 뮤지엄공간에서 나타나는 다층적 기억의 표현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기념적 메모리얼 전이적 메모리얼 기호학적 메모리얼
Renewal of Block Interface Base on the Urban Collective Memory
작용성 구조성 현재성 지역역사문화성
메모리얼에서 집단기억 특성과 공간 연출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선택성 현재성 장소성 상호작용성 지속성 시간성 심상성
기억의 개념적 특성을 적용한메 모리얼 공간디자인
시간성 장소성
선행 연구 속 집단기업에 대한 종합 분석에 기반하며, 본 연구는 역사문화성, 지속성, 건축성 3가지 측면에서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을 분석했으며, 결과는 아래의 [표 3]와 같다.
22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3] 집단기억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지역역사 문화성
문화적 특징
각 도시에는 독특한 지역적, 문화적 특색이 있으며, 이러한 도시 공공공간과 건축물은 집단 기억의 매개체이다.
역사적 특징
역사적 특징은 사람들의 행위, 생활, 기억에 영향을 준다.
시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간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시간성은 이야기의 구성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혹은 시간의 흐름을 말해줄 수 있는 재료로 표현된다
재건축
관람자들은 공간을 체험하면서 공간에 계획되어진 기념 스토리를 받아들일 수 있고 기념 대상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시킬 수 있다. 하나의 스토리를경험해도 다수의 관람자들에 의해 다양한 스토리로 재구성된다
지속성
구조성
내용
기능
시간에 따라 기존 기능의 전환
기호
실제로 사회에 중대한 변혁이 발생한다 해도, 과거에서부터 온 사회적 공유 기호와 규칙 은 지속될 것이고, 일정한 재건이 진행되며, 이러한 재건은 형식상의 개조만은 아니다.
2.3. 역사 랜드마크(LANDMARK) 건축 랜드마크란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유명한 공간의 상징적 이미지로 알려져 있으며 추상 적인 형식이 아니라 공간의 구성이나 방위, 정보를 떠올리는 데 유용한 구체적인 특별 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건축에서의 랜드마크란 도시나 일정 지역전체의 지배적인 경관에서 독특하게 관찰되는 경관 요소로서, 관찰자가 대상 안에서 바라 보는 것이 아 니라 외부에서 바라보는 경우에 건물, 표지판, 상가, 산 등과 같이 단순하게 정의될 수 있는 물체를 지칭한다.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이란 도시, 지방정부가 보호가치를 인정한 랜드마크 건축물이다.
2.3.1. 랜드마크(LANDMARK) 건축 외관의 표현특징 요소 본 연구의 연구 내용은 주로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의 외관이며, 선행연구를 통해 랜드 마크 건축물의 외관 구성요소를 아래 [표 4]와 같이 정리했다. [표 4] 랜드마크(LANDMARK) 건축 외관의 표현 요소 분류
LANDMARK 건축 외관의 표현특징 요소
물리적 요소
규모, 재료, 색상, 예술조형, 환경 대비
비 물리적 요소
기능, 역사성, 종교사상,
2.3.2. 집단기억요소와 랜드마크(LANDMARK) 건축의 관계 집단기억 요소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중의 지역 역사문화성, 지속성, 구조성은 모두 랜드마크 건물 구성 요소와 상호 관련, 상호 영향이 있었고, 랜드마크 건물 외관 의 물리적 요소와 비 물리적 요소를 통해 구현된다. 집단기억은 도시에서 역사문화의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 도 시의 발전과 변천은 그 기억의 지속성 위에서 만들어진다. 도시의 기억을 간직해야만 도시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명확히 할 수 있고, 도시의 집단기억이 더 완벽하게 유지될수 록, 도시는 독특한 지역적 매력을 가진다. 랜드마크(LANDMARK) 건축은 바로 이러한 기억의 매개체로 도시에 존재한다.
230
Vol.2 No.1 February 2020
지속성은 사람들과 기억의 영향을 받으며, 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특정 기념장소와 기념 시간을 포함한다. 시간 그 자체는 지속성에 포함되는 요소 중 하나로, 건축에서 시간의 특징은 재료에 의해 구현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부식되는 재료에 대해, 추상적인 집단기억 요소를 랜드마크(LANDMARK) 건축의 물리적인 요소들과 꼭 맞게 연결시킨다. 기억의 구조성과 지속성 사이의 상호 침투로, 둘을 완전히 구별할 방법은 없다. 실제로 사회에 중대한 변혁이 발생한다 해도, 과거에서 부터 온 사회적 공유 기 호는 지속될 것이고, 일정한 재건이 진행되며, 이러한 재건은 형식상의 개조만은 아니 다. 랜드마크 건축에서 기능의 연장을 구현하며, 이러한 사용 기능의 연장에는 서로 다 른 시대적 배경 아래의 다양한 기호가 담겨져 있다. 이러한 긴밀한 연결은 집단기억과 랜드마크(LANDMARK)의 연결에 필요한 것이다.
3. 사례분석 개요
3.1. 사례분석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관련 연구 및 인터넷 검색을 진행했으며, ‘랜드마크 건축물’을 핵심 키워드 로 하얼빈과 관련된 랜드마크를 정리했으며, 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사례 조사 리스트 사례 조사 명칭
연대
규모
비고
하얼빈 성 소피아 성당 Sophia Church
1907
721 ㎡
국가 중점 문물 보호 대상
하얼빈 오페라 하우스 Harbin Opera House
2015
7.9만 ㎡
(极乐)극락사 Temple of Bliss
1923
3,000 ㎡
용탑 Longta Tower
1998
716 ㎡
산 알렉세예프 교회 Saint Alekseyev Church
1931
1,500 ㎡
홍보광장 Hongbo Square
1997
5만 ㎡
성급 문물 보호 대상
성급 문물 보호 대상
본 문서에서는 하카타 소피아 성당, (极乐)극락사, 산 알렉세예프 교회 등 세 개의 역사 문화건축물 문본 연구의 분석대상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사례 선정 방법은 아래 [표 7] 와 같다.
3.2. 사례분석 [표 7] 하얼빈 성 소피아 성당 사례분석 하얼빈 성 소피아 성당(Sophia Church) 디자이너 위치
Михаил Матвеевич Осколков 러시아 건축가 미하일 마오스코르코프 하얼빈 난강취
규모
721 ㎡
연대
1907
사진
23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하얼빈 성 소피아 성당(Sophia Church) 요약
소피아 성당은 중국의 중점 문화재 보호단위로, 1907년 건축되었으며, 가무연회 등의 문화행사를 정 기적으로 개최해, 휴식오락, 관광여행에 국내·외의 관광객이 많음. 문화적 특징
성. 소피아 성당은 하얼빈의 독특한 이국적 스타일을 형성한 건축물이며, 정통 러시아 그리스교 건축 양식.
역사적 특징
역사적으로 제정 러시아 침략의 흔적과 하얼빈 근대사 유적으로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님.
시간
나무 벽 외부의 타일을 허물어져 벽돌목제 구조식 교회가 되었으며, 재질의 부식을 통 해 세월의 흐름을 볼 수 있다. 기존의 붉은색 벽과 녹색 지붕의 색도 많이 옅어졌다.
재건축
1986년 교회는 기존의 기능을 버리고 예술 박물관으로 개방되었다. 동시에 러시아 침 략의 아픔을 상기시키고 러시아 건축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사람들의 집단 기억이 오랜 기간 전파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
기능
기존의 기능은 신앙을 위한 교회였으나, 현재는 하얼빈 건축 예술박물관(Harbin Architectural Art Gallery)으로 대중에게 개방되어 다양한 활동이 진행.
기호
러시아 그리스교 건축 양식의 외관을 보면, 붉은 벽돌로 구성된 벽돌목제 구조이며, 지붕은 철제 표면에 녹색 페인트를 칠했다. 여러 중국식 건축물과 뚜렷하게 차이가 있 으며,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로 러시아식 기호, 구조, 선조, 색상, 재질을 갖추고 있다. 사람들에게 뚜렷한 기억의 장소로 자리 잡음.
지역역사 문화성
지속성
구조성
[표 8] 극락사(Temple of Bliss) 사례분석 극락사 디자이너 위치
중국 정부 출자 하얼빈 난강취
규모
3,000㎡
연대
1920
사진
요약
1920년대에 건축되었으며, 점유면적이 5만 7천 제곱미터이다. 극락사는 헤이룽장에서 가장 큰 근대 불교 사원 건축으로, 중국의 문화 보호단위임. 문화적 특징
하얼빈 극락사는 둥베이 3성의 4대 불교 사원이자 전국 거점 사원으로 종교문화가 매 우 뚜렷.
역사적 특징
1920년부터 오늘날 까지, 사원은 뚜렷한 역사 랜드마크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러 불교활동, 법회를 진행해 현지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기억되고 있음.
시간
1980년 개보수 되어 기존의 재질에 변화가 있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색상과 재질이 자연스레 부식되면서 역사의 흐름을 여전히 느낄 수 있음.
재건축
종교의 전파, 관광의 보급과 확산, 사원의 기념비적인 사건의 증대로 이러한 기억의 장소를 끊임없이 재구축 하고 있으며, 절에 대한 현지인들의 집단기억을 구성.
지역역사 문화성
지속성
기능
종교 전파와 개방 관광의 기능에는 변함이 없음
기호
절 안에는 탑과 불전 서 흔하지 고 불교에
구조성
232
높이 30미터의 7층 석탑이 있다. 탑의 정면은 지장전을 마주하고 있으며, 앞, 동서 양측에 2층 종루(鼓楼)가 위치하고 있다. 배치가 독특하며 중국에 않다. 불전과 탑의 내벽에는 불교 그림이 그려져 있으며, 사람들이 관광하 대한 인상을 심어주는 장소음.
Vol.2 No.1 February 2020
[표 9] 산 알렉세예프 교회(Saint Alekseyev Church)사례분석 산 알렉세예프 교회 디자이너
스미르노프 토프타노프스키(Smyrnov Todtanovsky)
위치
하얼빈
규모
1,500㎡
연대
1931
사진
요약
지역역사 문화성
지속성
정교회이며, 건축면적은 1005제곱미터로, 1931년에 지어졌다. 전형적인 러시아식 건물로, 1980년 복원을 거쳐 천주교당으로 바뀌었고, 헤이룽장성 문화재 보호단위음. 문화적 특징
러시아 기독교 신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하얼빈 기독교 활동의 중심지 로 외래문화가 잘 정착한 도시의 이미지를 줌.
역사적 특징
러일 전쟁 후 하얼빈으로 옮겨졌으며, 1931년 건축.
시간 재건축
구조성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존 벽돌의 붉은색은 퇴색. 여러 번의 재건축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색상은 미래에 대한 이미지를 새롭게 구축.
기능
종교활동, 기념적 사건이 일어난 장소 라는 사실에는 변화가 없음.
기호
독특한 러시아 양식, 종교활동이라는 본연의 기능, 녹색 지붕, 붉은색 벽돌 등의 특징 으로 사람들에게 쉽게 기억되었다. 3개의 십자가가 각자 교회의 둥그런 지붕에 설치되 어 있으며, 명확한 기호적 특징을 가짐.
3.3 소결 하얼빈 성소피아 성당, 극락사, 산 알렉세예프교회를 역사 문화성, 지속성, 구조성의 측 면에서 비교 분석했으며, 이러한 역사적 랜드마크 건축물의 물리적 요소와 비 물리적 요소 또한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했다. [표 10] 종합분석 대상지
지역역사문화성
지속성
구조성
하얼빈 성 소피아 성당
독특한 러시아 역사 문화 건 축물. 사람들은 이러한 역사적 기억을 통해 건축물을 새롭게 인식하고, 집단기억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기억을 나타내는 매개체로 써 도시의 미래에 끊임없이 영 향을 주고 있다. 재료, 색상, 시 간에 따른 부식으로 과거 역사 를 상기시킨다.
러시아 건축 기호, 구조, 선조, 색상, 건축물 본연의 기호는 사람들에게 점차 받아들여진 다. 교회 기능의 변화 또한 사 람들의 기억을 새롭게 구축하 고 있다.
극락사
유구한 역사는 극락사라는 매 개체에 존재하며, 이는 현지 역사 유적으로써 사람들의 집 단 기억을 상기시키는 핵심 요소이다.
사원 본연의 기념비적 사건이 많은 관계로 사람들은 이러한 기억의 장소를 끊임없이 재구축 하고 있으며, 사원에 대한 현지 인들의 집단기억을 구성한다.
종교 전파와 관광의 기능을 변 하지 않았으며, 독특한 종교적 기호를 통해 사람들에게 집단 기억으로의 인정을 받았다.
러시아 기독교 신자들이 거주 하는 지역으로, 하얼빈 기독교 산 알렉세예프 활동의 중심이다. 이러한 활동 교회 속 집단기억의 상기와 연속은 하얼빈이 독특한 러시아 지역 문화를 갖게 했다.
시간의 흐름으로 기존의 붉은색 벽돌은 부식, 퇴색되었으며, 이 러한 재질은 개보수를 거치면서 새로운 색상과 외관으로 사람들 이 기억을 새롭게 구축하도록 한다.
종교 활동, 기념적인 사건이 일어난 장소에는 변함이 없으 며, 러시아식 건축 기호가 뚜 렷하다.
23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 결론
우선 지역 역사 문화의 측면에서, 다양한 문화적 특색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당시 특수한 시기의 역사적 사건을 밝힌다.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통해 역사 랜드마크를 새롭게 인식하며, 집단기억에 영향을 미친다. 그 다음으로, 지속적인 측면에서,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의 서비스 대상은 현지 주민이 지만, 역사 기억을 담는 매개체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 랜드마크의 연속성은 과 거, 현재, 미래의 연속과 계승을 통해 나타난다. 이러한 연속성의 구축은 도시의 집단 기억과 매우 큰 관련이 있다. 재료, 규모, 색상, 고도, 주위 환경은 집단기억의 지속성 을 반영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부식은 도시 역사의 집단기억을 상기시킨다. 셋째, 건축적인 측면에서,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은 집단 기억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매개체로, 도시의 미래에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순환과 반복의 과정이 바로 과거의 사 물이 현재의 사물이 되는 과정이며, 이러한 문화, 기능성, 종교사상 또한 집단기억에 영향을 끼친다. 마지막으로 집단기억 연구는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이 놓쳐서는 중요한 지도 이론이며, 랜드마크 자체가 바로 도시 기억의 매개체이다. 역사 사건의 집단기억은 잊혀져서는 안 된다. 저자 본인은 역사 랜드마크 건축물이 더욱 활발히 작용하고, 기억의 매개체가 되 었으면 하는 기대한다.
참고문헌 김영범, 알박스의 기억사회학 연구, 1999, p20. 제프리 올릭, 강경이 역, 기억의 지도 옥당, 2011, p46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p.44 李晓鹏, Study on Urban Public Spac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Memory, 2017 秦川, Research on the cultural vitality of the city historic distric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collective memory, 2014 李晓鹏, Study on Urban Public Spac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Memory, 2017 서희정, 메모리얼에서 집단기억 특성과 공간 연출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2018 李雨珍, 도시의 랜드마크로서 박물관 계획, 자연형태 모방개념을 적용한 자연사 박물관, 2008
234
Vol.2 No.1 February 2020
한·중·일 타이포의 시각적 분석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Analysis and Application of Korea, China and Japanese Typography
임은송,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m, Eun So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Seo, Han Su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타입, 타이포그래피, 선호도, 분석 Keyword
type, typography, analysi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한·중·일 타이포의 시각적 분석과 활용에 관한 연구 1. 서론
세계화 시대에 들어선 이후 인구 유동성이 커질수록 일상 속에서 다중 문자가 나타나 는 것은 필연적인 추세이다.1) 가장 대표적인 영어부터 가깝게는 중국의 한자와 일본의 가나에 이르기 까지 넓어지는 세계 만큼이나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은 지리적인 위치 만큼이나 다양한 교류를 이어왔다. 때문에 오늘날 각 나라의 문자를 다루는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관광 청 통계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을 방문한 방한객의 약 31%가 중국인 일본인이 약 19% 로 전체 50%를 차지했다.
2)
하지만 국내의 서체연구의 진행상황은 현 상황을 충족할
만큼 충분하지 못하다. 현 소비시장에서 일본, 중국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은 결코 무 시할 수준이 아니다. 단순히 인구의 비율 만을 고려하더라도 한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 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이며, 일본어 역시 약 1억 3000만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순 위만 놓고 보자면 각각 1위, 8위에 해당하는 높은 비율이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 우리가 활용하는 다중 언어의 이해도는 미흡한 수준이다. 이는 각 나라의 문화적 차이점과 더불어 언어적, 시각적 특징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부족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2014년 어도비, 구글, 그리고 한중일 삼국의 글꼴회사가 공동으로 서체를 개발하였으나 그 활용이 미미하고, 또 다중 언어의 사용률 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나의 서체에 의지해 모든 상황을 해결하는 것 또 한 여의치 않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서체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이를 올바르게 파악 하고 이해하는 시도를 통해 서체의 활용도를 높여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2. 연구의 범위 및 대상설정
2.1. 연구 대상의 범위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병용표기를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모든 서체를 동등한 조건을 가지고 비교하기 위해서 같은 크기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다만 기본서체 의 형태가 비교적 유사하고 각 국가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서체에 대한 조사가 다소 미흡하였다. 다만 기본 서체라 하더라도 국내에서 사용되는 영문서체에 비해 그 인지도가 다소 부족하다 보여지는데 이는 영문에 비해 언어의 중요도를 낮게 보기 때 문이라 추측된다. 디지털 폰트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매킨토시가 국내 시장에 발을 딛기 시작한 이후 싹트기 시작했다. 이 즈음 부터 매킨토시, Window3.1 등의 운영체 제에서 비교적 익숙한 ‘바탕체’, ‘돋움체’, ‘굴림체’, ‘궁서체’ 등의 글자를 기본서체로 개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디지털의 보급과 출판시장의 발달로 본격적으로 ‘다양한 서 체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는데 따라서 글꼴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서체회사들이 생 겨나기 시작했고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중국과 일본 역시 서체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의 차이가 있지만 디지털의 본격적인 보급으로 서체의 개발과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기준으로 연구에 활용한 서체의 범위는 1990년대 이후 보급되어 최근까지 활용도가 높은 디지털 서체로 한정하였다. 1) 이진우, 「한글과 한자의 타이포그래피 구조에 대한 비교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1 2) 관광청 「연도별통계(1975-2018)」
236
Vol.2 No.1 February 2020
2.2. 연구 진행을 위한 대상 설정 본 연구를 진행하기 앞서 각 국가별 서체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기에 대 상의 범위와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위한 기준 서체가 필요하다 판단되었 다. 서체디자인이 확장 되면서 고딕체 및 명조체 이외에도 다양한 측면의 서체가 존재 하나 본 연구에서는 그 대상을 고딕체와 명조체에 한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서체를 기준으로 웹, 출판에서 사용 선호도가 높은 서체를 우선 선정하였다. 선정된 서체는 대중적인 운영체제인 윈도우와 맥의 표준서체로 사용된 서체와 출판, 인 쇄에서 제목 또는 본문서체로 선호도가 높은 서체의 순위를 관련 논문 및 문헌을 통해 조사하여 선발하였다. 그 결과 한국, 중국, 일본 고딕체/명조체를 각 10가지씩 선정하 였다. 이상 선발된 서체를 해당 국가별로 30명씩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선호도에 따라 나열 하였으며 이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서체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 한다. [표 1] 선발된 서체 분류
고딕체
명조체
번호
한국
중국
일본
1
맑은고딕
微软正黑体
游ゴシック体
2
나눔고딕
冬青黑体简体中文
メイリオ
3
HY중고딕
华康金刚黑
ヒラギノ角ゴ Pro
4
함초롱돋움
方正兰亭黑体
IPAexGothic
5
본고딕
思源黑体
小塚ゴシック Pro
6
나눔바른고딕
微软雅黑
Noto Sans CJK JP
7
KoPub 돋움체
Adobe 黑体
源真ゴシック
8
Apple SD 산돌고딕 Neo
华康黑体
MS Pゴシック
9
윤고딕
经典黑体简
OSAKA
10
HY견고딕
苹方中等体
HGSゴシックE
1
Apple 명조
方正书宋简体
IPA P明朝
2
Adobe 명조
华文宋体
ヒラギノ明朝 Pro
3
나눔명조
新宋体
はんなり明朝
4
조선일보명조
腾祥铭宋简
游明朝体
5
HY신명조
思源宋体
IPAex明朝
6
함초롱바탕
Adobe 宋体
あおぞら明朝
7
본명조
汷仪中宋简
MS P 明朝
8
윤명조
华文中体
NotoSerif CJK JP
9
KoPub 바탕체
方正准雅宋简
小塚明朝 Pro
10
HY견명조
方正小标宋简体
HGS明朝E
2.3. 설문조사 진행 본 연구에서는 총 2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중 첫 번째 설문조사는 연구 진행에 앞서 한국, 중국, 일본 사용자의 타이포에 대한 선호도와 다중언어 표기에 대한 인식을 알기 위해 실시한다. 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3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설문내용 영역
질문
A.인식도 조사
1) 디자인 요소로서 서체의 중요도 2) 타 언어 서체 디자인의 중요도 3) 다중언어 표기시 서체 디자인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 또는 불편감을 줄 가능성
B.선호도 조사
1) 고딕체 10가지에 대한 선호도 2) 명조체 10가지에 대한 선호도
[표 3] 설문내용 분류
내용
조사 내용
국가별 서체 사용의 인식도를 조사한다. 선정된 10가지 서체의 선호도를 조사한다.
조사 장소
동서대학교, 김해 국제공항, 서면
조사 대상
한국인 30명, 일본일 30명, 중국인 30명 (총 90명)
조사 방법
설문조사, 직접조사, 인터넷 조사
조사 기간
2019년 06월 10일 ~ 2019년 06월 17일, 2019년 07월 01일 ~ 2019년 07월 08일(2회)
2.4. 설문결과 선정된 서체를 가지고 설문을 진행하였으면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4] A항목 응답내용 내용
평가구분
한국
중국
①(전혀 중요하지 않다)
일본
전체
1
1
13
15
②(중요하지 않다) 디자인 요소로서 서체의 중요도
③(보통)
2
④(중요하다)
5
7
11
24
⑤(매우 중요하다)
23
23
5
51
1
1
15
19
①(전혀 중요하지 않다) ②(중요하지 않다) 타 언어 서체 디자인의 중요도
다중언어 표기시 서체 디자인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 불편감을 줄 가능성
③(보통)
4
④(중요하다)
6
6
8
20
⑤(매우 중요하다)
19
24
6
49
① 예
20
26
17
63
② 아니오
10
4
13
27
2.4.1. 디자인 요소로서 타이포 중요도 각기 다른 언어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전체 5점만점을 기준으로 평균 치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38
Vol.2 No.1 February 2020
디자인요소로서 서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한국어사용자는 평균 4.7점으 로 전체 응답자 중 23명(76.6%)가 5점(매우 중요하다)으로 2명(6.6%)의 응답자가 3점 (보통)으로 응답하였다. 중국어사용자는 평균 4.7점으로 전체 응답자 중 23명(76.6%)가 5점(매우 중요하다)으 로 응답하였다. 일본어사용자는 평균 3.6점으로 전체 응답자 중 5명(16.6%)가 5점(매우 중요하다)으 로, 13명(43.3%)의 응답자가 3점(보통)으로 응답하였다.
2.4.2. 타 언어 타이포 디자인 각기 다른 언어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전체 5점만점을 기준으로 평균 치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 언어를 사용할 때 서체 디자인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한국어 사용자는 평균 4.3점으로 전체 응답자 중 19명(63.3%)가 5점(매우 중요하다)으로 4명 (13.3%)의 응답자가 3점(보통)으로 응답하였다. 중국어사용자는 평균 4.8점으로 전체 응답자 중 24명(80%)가 5점(매우 중요하다)으로 응답하였다. 일본어사용자는 평균 3.6점으로 전체 응답자 중 6명(20%)가 5점(매우 중요하다)으로 15명(50%)의 응답자가 3점(보통)으로 응답하였다.
2.4.3. 다중언어 표기시 서체의 사용 각기 다른 언어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중언어표기시 서체 디자인의 선택에 따라 해당언어 사용자에게 불쾌감 또는 불편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에 대한 질문에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사용자는 전체 응답자중 20명(66.6%)의 응답자가 불쾌감이나 불편감을 줄 수 있 다고 응답하였으며 10명(33.3%)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중국어사용자는 전체 응답자중 26명(86.6%)의 응답자가 불쾌감이나 불편감을 줄 수 있 다고 응답하였으며 4명(13.3%)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일본어사용자는 전체 응답자중 17명(56.6%)의 응답자가 불쾌감이나 불편감을 줄 수 있 다고 응답하였으며 13명(13.3%)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전반적으로 중국어사용자와 한국어사용자의 응답결과가 유사하고 평균적으로 높은 점 수의 응답을 보인 것에 반해 일본어 사용자의 경우 타이포의 중요도와 선택에 있어 다 소 낮은 점수의 응답률을 보였다. 하지만 설문조사의 결과를 보았을 때 대부분의 응답 자가 타이포의 중요도와 타 언어 타이포의 선택에 대해서 3점(보통) 이상의 평균을 나 타냈으며 전체 응답자중 절반 이상(전체56.6%)의 응답자가 디자인 요소로서 타이포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타이포의 사용역시 전체 응답자의 70% 가 타이포의 사용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감 또는 불쾌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어 다음은 각 10가지 서체에 대한 선호도 조사의 응답내용이다.
23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5] B항목 한국어 응답결과 - 고딕체 번호
분류
응답
%
1
맑은고딕
10
11.1%
2
나눔고딕
11
12.2%
3
HY중고딕
3
3.3%
4
함초롱돋움
11
12.2%
5
본고딕
12
13.3%
6
나눔바른고딕
11
12.2%
7
KoPub돋움체
16
17.7%
8
Apple SD 산돌고딕 Neo
8
8.8%
9
윤고딕
5
5.5%
10
HY견고딕
3
3.3%
응답
%
[표 6] B항목 한국어 응답결과 - 명조체 번호
분류
1
Apple 명조
6
6.6%
2
Adobe 명조
7
7.7%
3
나눔명조
13
14.4%
4
조선일보명조
14
15.5%
5
HY신명조
3
3.3%
6
함초롱바탕
11
12.2%
7
본명조
15
16.6%
8
윤명조
11
12.2%
9
KoPub바탕체
9
10%
10
HY견명조
1
1.1%
응답
%
[표 7] B항목 중국어 응답결과 - 고딕체 번호
240
분류
1
微软正黑体
15
16.6%
2
冬青黑体简体中文
8
8.8%
3
华康金刚黑
8
8.8%
4
方正兰亭黑体
12
13.3%
5
思源黑体
5
5.5%
6
微软雅黑
16
17.7%
7
Adobe 黑体
9
10%
8
华康黑体
1
1.1%
9
苹方中等体
9
10%
10
经典黑体简
7
7.7%
Vol.2 No.1 February 2020
[표 8] B항목 중국어 응답결과 - 명조체 번호
분류
응답
%
1
Adobe 宋体
11
12.2%
2
华文宋体
8
8.8%
3
方正书宋简体
14
15.5%
4
新宋体
7
7.7%
5
腾祥铭宋简
6
6.6%
6
思源宋体
7
7.7%
7
汷仪中宋简
10
11.1%
8
华文中体
9
10%
9
方正准雅宋简
6
6.6%
10
方正小标宋简体
12
13.3%
응답
%
[표 9] B항목 일본어 응답결과 - 고딕체 번호
분류
1
メイリオ
3
3.3%
2
ヒラギノ角ゴ Pro
8
8.8%
3
IPAexGothic
20
22.2%
4
小塚ゴシック Pro
3
3.3%
5
游ゴシック体
20
22.2%
6
Noto Sans CJK JP
9
10%
7
源真ゴシック
8
8.8%
8
MS Pゴシック
16
17.7%
9
OSAKA
2
2.2%
10
HGSゴシックE
1
1.1%
응답
%
[표 10> B항목 일본어 응답결과 - 명조체 번호
분류
1
IPA P明朝
13
14.4%
2
ヒラギノ明朝 Pro
8
8.8%
3
MS P 明朝
10
11.1%
4
游明朝体
6
6.6%
5
IPAex明朝
19
21.1%
6
あおぞら明朝
6
6.6%
7
はんなり明朝
4
4.4%
8
NotoSerif CJK JP
2
2.2%
9
小塚明朝 Pro
16
17.7%
10
HGS明朝E
6
6.6%
24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11] 국가별 서체 선정결과 - 고딕체 구분
서체
응답률
%
한국
KoPub돋움체
16
17.7%
중국
微软雅黑
16
17.7%
일본
IPAexGothic/游ゴシック体
20
22.2%
응답률
%
[표 12] 국가별 서체 선정결과 - 명조체 구분
서체
한국
본명조
15
17%
중국
方正书宋简体
14
15.5%
일본
IPAex明朝
19
21.1%
2.4.5. 고딕체 한국어 응답자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서체는 16표를 얻은 KoPub돋움체로 전 체 90표의 응답 중 약 18%의 선호도를 보였다. 뒤 이어 본고딕 그리고 나눔고딕 및 나 눔 바른 고딕이 각각 12표 11표의 선호도를 보였다. 중국어 응답자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서체는 16표를 얻은 微软雅黑 서체로 전 체 90표의 응답 중 약 18%의 선호도를 보였다. 뒤 이어 微软正黑体, 方正兰亭黑体 이 각각 15표, 12표의 선호도를 보였다. 일본어 응답자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서체는 각각 20표를 얻은 IPAexGothic 과 游ゴシック体으로 전체 90표의 응답 중 약 22%의 선호도를 보였다.
2.4.6. 명조체 한국어 응답자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서체는 15표를 얻은 본명조로 전체 90표 의 응답 중 약 17%의 선호도를 보였다. 뒤 이어 조선일보 명조 그리고 나눔명조가 각 각 14표 13표의 선호도를 보였다. 중국어 응답자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서체는 14표를 얻은 微软雅黑 서체로 전 체 90표의 응답 중 약 16%의 선호도를 보였다. 뒤 이어 微软正黑体, 方正兰亭黑体 이 각각 12표, 11표의 선호도를 보였다. 일본어 응답자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서체는 19표를 얻은 IPAex明朝로 전체 90표의 응답 중 약 21%의 선호도를 보였다. 앞선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 중국, 일본 각 국가별로 선호도가 가장 높은 서체를 선정 하고 이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다만 분석에 내용은 해당 서체를 기준으로 한 것 으로 서체의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242
Vol.2 No.1 February 2020
3. 연구의 진행
3.1. 시각적 비교을 위한 선행연구 국내 타이포그래피 관련 연구는 그 역사가 얼마 되지 않아 관련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체계적인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활자관련 연구논문의 연구 체계를 참고 하여 기준을 수립해 보고자 하였다. 각 국가별 언어의 체계적인 시각적 형태 분석을 위해 언어적 차이와 구조적 차이를 파 악하기 위한 선행연구가 필수적으로 동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가별 언어의 역 사와 언어의 구조에대한 이론적 선행연구를 진행한 뒤 서체의 가독성 및 선호도에 영 향을 끼치는 요소별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한다. [표 13] 언어별 특징 구분
예문
언어의 종류
형태
특징
한국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표음문자
조합형
각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는 조합형의 문자로, 조 합된 형태가 비교적 간결하다. 문장을 사용할 때 단어와 단어의 사이는 빈칸으로 구분된다.
나열형
글자마다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다른언어에 비해 서체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글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식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나열형
소리를 나타내는 가나와 한자를 혼용한다. 문장에 서 간결한 획의 가나와 비교적 복잡한 획의 한자 가 함께 사용된다. 가나의 경우 획이 둥글고 매우 간결하다. 사용되는 한자의 경우 중국의 간체와 형태가 다르 나 특징은 같다.
중국
您好,很高兴认识您
일본 こんにちは、はじめまして。
표의문자
표음문자(가나) 표의문자(한자)
다음으로 기존 연구를 통해서 효과적인 다국어 서체의 병용을 위해서 필요한 조건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서체의 효과적인 병용 요건은 크게 주목도, 가독성, 호감도에의 해 결정된다고 보았다.3) 주목도는 사람의 눈에 얼마나 띄고 관심을 갖게 만드는가의 정도를 말한다. 텍스트가 언어소통 수단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신자의 주목을 끌어당길 필요가 있다. 가독성은 독자가 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가 하는 효율을 말한다. 가독성의 범위는 내 용의 복잡성, 글꼴의 크기, 글꼴의 색, 문장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그 이외에 글꼴의 종류, 레이아웃, 문자의 모양 및 장식, 중량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가독성은 언어소 통의 수단으로써 전달이라는 기능을 다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호감도는 쉽게 말해서 보기 좋은 정도를 말한다. 다국어 서체는 대부분 입간판 등의 옥 외에 사용되며 안내, 정보 전달 뿐만아니라 경관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텍스트의 호감도 뿐만 아니라 정리가 잘 되어있고 기능성이 우수할 때 사용자들은 디자인에 호 감을 느낄 것이다. 따라서 다국어 서체의 효과적인 병용을 위해서 각 요소의 디자인요 소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고려해야할 디자인 요소는 아래 표와 같다. 3) Haruna Kana, 「문화 간 언어 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다국어 텍스트 병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 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4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14]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요소
내용
서체의 사용된 매체에 알맞은 서체 크기 의 크기
고려사항 서체의 면적과 여백을 적적하게 고려함으로써 사용처에 맞는 알맞은 크기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크기 행간
기본적으로 글자의 특징에 서체의 맞는 행간, 자간조절 사용 정렬 목적에 알맞은 글자 전체의 정렬, 여백 등의 측면
내용전달에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며 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서체의 선택 선택
정보전달의 측면과 함께 병용표기에 있어서 복잡한 인상을 주거나 부조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체
조합된 서체에 따라 발생하 는 굵기에 의 차이.
서체의 선택에따라 발생하는 굵기변화에따른 주목도와 가독 성의 변화를 말하며
굵기
편집에서 서체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
정보정리 정보의 분류와 정리, 표현의 선택, 정렬, 크기, 여백, 톤의 차이 컬러 등, 모두를 종합적으로 고려해한 전체적인 디자인 단어의 선택 을 말하며 컬러 종합적인 이미지를 결정한다. 시각적피로도
톤의 차이
레이 아웃
자간 정렬 순서
3.2. 연구 진행 계획 이상 각 기준을 바탕으로 서체의 낱자(구성에 따른 시각적인 형태의 비교)와 행의 형태 를 각각 분석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재배치하여 다국어가 서면상에 배치 되었을 때 가 장 중요한 가독성과 주목성 그리고 심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각각 이에 영 향을 미치는 레이아웃, 정렬, 크기, 굵기, 순서 및 위치 등 다양한 예시를 제작하여 이 를 각 국가별 3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떤 서체와 배치를 선호하는지 조사하여 병용표기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쓰이고 있는 문화 간 언어소통 수단으로서의 다국어 텍스트 병용 디자인에 주목하여, 문헌 연구를 토대로 시각적 형태의 분석, 설문조사를 통한 다 국어 텍스트 병용디자인 개선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1. 현재 사용 되고 있는 기본서체의 선호도 2. 선호도가 높은 서체의 낱자형태 시각적 특징 3. 언어 사용자별 선호도를 통한 효과적인 다중 언어의 병용 표기활용반안
참고문헌 송성재, 『한글 타이포그래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일본디자인학회(日本デザイン学会), 『일본에게 타이포그래피를 묻다.』, 안그라픽스, 2011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시공사, 1995 이진우, 「한글과 한자의 타이포그래피 구조에 대한 비교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2
244
Vol.2 No.1 February 2020
정수화, 「한글, 영문활자의 시각적 통일성에 관한 연구- 국내 기업 전용서체를 중심으 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책 호, 「한글. 한자. 로마자의 타이포그래피 용어 비교 연구 - 중국 간자 타이포그래피 용어의 통일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Haruna Kana, 「문화 간 언어 소통을 위한 효과적인 다국어 텍스트 병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윤지희, 「기본 줄기로 본 한글전용서체 조형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TYPOGRAPHY SEOUL 2012년 11월 26일자 ‘중국 진출을 위해 알아둘 폰트의 모든 것,<2012 중국어 폰트 세미나> 기사’ http://www.typographyseoul.com/news/detail/283
24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항공사별 항공기 도장디자인에서의 컬러와 국가브랜드 인지도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 and National Brand Recognition in Aircraft Painting Design by Airline
조우단,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ou, D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246
연구키워드
컬러, 국가브랜드 인지, 항공기 도장디자인 Keyword
Seo, Han Sok(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Color, national brand recognition,
Dongseo University
Aircraft Painting Design
Vol.2 No.1 February 2020
항공사별 항공기 도장디자인에서의 컬러와 국가브랜드 인지도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 배경과 목적 세계화와 정보화로 인하여 자본의 이동이 증가하고 국가 간, 지역 간 경쟁이 심화됨으 로 인해 장소적 특성이 이전보다 더욱 중요한 시대가 되면서 국가브랜딩(Nation Branding)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Kim, Kim, & Park, 2010).국가브랜드의 개발 및 홍보는 국가적 합의와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과정이지만, 국가들은 국가 에 대한 외부적 인지도 향상과 내부적 역량 강화를 추구하고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가브랜딩 을 추구한다(Mihailovich, 2006; Papadopoulos, 2004; Kotler & Gertner, 2002). 국가 이미지와 기업 브랜드와의 연관성은기업과 정부가 자원의 우위를 점유하기 위한 경쟁의 근원이 된다. 기업 브랜드는 국가의 정치, 경제, 문화 등의 거대한 배경을 바탕 으로 삼아야 비로소 국제적 경쟁력을 지닌 브랜드가 될 수 있다. 국가 브랜드를 높이는 것은 기업 브랜드의 발전을 위한 양적인 외재적 조건을 마련해줄 수 있다. 소비자의 마음 속에 박힌 국가의 올바른 이미지는 종종 해당 국가에 속하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을 만드 는데 기여해, 나아가 해당 국가의 상품이나 브랜드를 구매하기까지 이르게 만들 수 있다. 항공산업의 발전에 따라 항공사들은 기업 이미지를 나날이 더욱 중요시 생각하게 되었 다. 비행기는 항공사 각각의 기업이미지의 정보를 전달해줌과 동시에 국가 이미지를 전 달하는 작용을 한다. 브랜드는 항공사의 영업 실적과 사회적 영향력이 종합적으로 나타 난 형태이자, 항공사가 온 힘을 다해 구축한 핵심적 가치를 전달하는 상징적인 지표이 기도 하다. 항공사의 브랜드 이미지는 주로 객실 내부 인테리어와 외부 도장에서 나타 난다. 이는 또한 각 항공사를 구별할 수 있는 가장 주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외부 도장 은 비행기에 대해 소비자가 갖게 되는 첫 번째 시각적 인상이자, 기업 이미지를 담고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또한 국가 브랜드를 전달하는 시각적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 기업 브랜드의 이미지 디자인 중 컬러는 불가결한 요소이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 람은 컬러에 대해 매우강한 직관적인 감각을 지니고 있다. 다른 텍스트나 그림과 달리 컬러가 더욱 이목을 끈다는 것이다. 컬러는 브랜드의 시각적 디자인이 부여하는 사람들 의 정신적 감각에 영향을 미친다. 비행기의 외부 도장 컬러는 기업 브랜드의 문화적 함 의를 담고 있다. 심지어 국가적 차원에서 색채의 선호 경향을 보여주기도 한다.
1.2. 연구 방법과 범위 본문은 SKY TEAM, 스타 얼라이언스, ANA, 세계 3대 항공사 얼라이언스에 가입한 항공사들의 대표적인 비행기 도장 디자인을 연구범위로 삼는다.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 하기 위해 3대 얼라이언스에 속한 59개 항공사를 대표하는 비행기의 도장컬러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우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 다음 KSCA 컬
24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러 추출 프로그램을 사용해 해당사례에 나타난 컬러를 도출한다. Munsell의 컬러 시스 템 원리에 따라 대비색, 사용한 색의 숫자, 색의 조합 방법을 통계를 낸 뒤, 이에 상응 하는 설문조사를 구성해 설문조사를 시행한다. 마지막에는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해 결 론을 맺는다.
2. 이론 연구
2.1. 국가브랜드 국가브랜드(Nation Branding)는 한 국가의 명 성지 수를 구체적으로 수량화, 객관화 시킨 지표이다. 국가 브랜드 자수는 국면이나 기업 등면 간의 활동으로 향상시킬 수도 있고, 국가의 국가 홍보와 관리 등으로 인하 여도 향상 될 수 있다. 국가 브랜드는 국 가적 차원에서의 그러한 경쟁력 요 소를 뜻한다. 또한 국가의 관광 수입 증대에도 영향 을 매칠 잣이다. 이 가쳐는 폐 래시대로 갈수록 감성과 심리적 만족감과 같은 정세 적 욕구를 추구하게 될 소비자의 증가로 인하여 더욱 중요성이 강조 될 것이다".4)
2.2. 항공기 도장 디자인와 컬러 항공기 도장은 비행기의 “제복”이다. 비행기 표면의 침식을 막아주고 비행기의 각종 기 능을 강화해줄 뿐만 아니라, 뚜렷한 항공 문화로 작용하고 있다. 이렇게 뚜렷한 특징으 로 인해사람들은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도장 디자인은 기술적 차원을 중시함과 동시에, 미적 외관도 중요시되어야 한다. 이로써 비행기의 외관 이미지에 시대적인 분위기를 담 을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항공사의 이미지와 국가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부 대형 항공사의 민간용 비행기의 도장은 해당 항공사의 이미지를 훌륭하게 보여주어, 자신만의 독특한 기업 문화를 나타낸다는 특징을 지닌다.5) 항공기 도장이란 전달 방식은 시각적 자극이 강하고 전달범위가 넓은데다, 실효성이 길 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항공기 도장디자인은 완전히 시각적인 부호로 항공기의 정보 를 전달하는 시각적인 정보전달 디자인이라 볼 수 있다. 컬러는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 로,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항공기가 운항중일 때 색채는 가장 먼저 사람들의 시각에 자리잡게 되며, 가장 먼저 사람들의 주의력을 끌어들이는 디자인적 요소이다. 뚜렷한 색채는 소비자가 쉽게 해당 기업의 브랜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 고, 기업의 브랜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소비자가 브랜드 연상을 할 수 있게 한다.
2.3. Munsell Color System 미국의 화가이며 색채 연구가 인 먼셀 (Albert H. Munsell 1858~1919)은 색채교육을 위해 1905 년, 색을 지각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객관적인 기호와 숫자로 체계화 하였다. 1943 년, 미국 광학회(OSA)에 의해 수정된 먼셀색체계는 이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색채 교육 및 색의 표시 방법의 표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Munsell Color System을 한국 산업 규격 (KS)으로 채택하고 있다.6)
4) 김진영. 국가브랜드 지수와 국가디자인 경재력의 연관관계 분석. 한국브랜드다자인학회. 2009.05. Vol.7 5) 宫浩钦. 飞机涂装设计中的功能诉求和文化象征. 143-147 6) 배용진 장성란. ‘디자인을 위한 색채’. 지구문화사. 2019.3. p32
248
Vol.2 No.1 February 2020
3. 사례분석
각 항공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munsell color system 의 분류방식으로, 색 상은 10가지 (빨강R, 주황YR, 노랑Y, 연두GY, 녹색G, 청록GB, 파랑B, 남색PB, 보라 색P, 자주RP)로 그림2에 설명했다. 본 논문은 항공기 도장디자인 색채에 나타난 배색 수, 배색 방법에 대해 분석한다. 항 공기 도색디자인의 기본 원칙에 따라 도색된 항공기의 배색 수는 무채색을 제외한 유 채색의 주요 색상에 의해 결정된다. 분석한 배색 숫자가 유색계의 배색 수이다. 통계를 보면 59개 항공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상은 빨강(38)과 파랑(35)이다. 다 음으로 주황(7), 황색(9), 녹색(6), 남색(6)이 있으며, 이 네 가지 색상은 항공기 도장디 자인에 사용된 수에 근접했다. 마지막 항공기 도장디자인에서 색상이 가장 적게 사용된 것은 연두(3), 청록(3), 보라색(2), 자주(1)이었다.
4. 설문 조사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기 도장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색채와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의 관련성을 도출하는 데 있다. 59개 항공사에서 선택한 도장 색채를 바탕으로 색상, 배색 한 색상 갯수, 배색 방법을 통계내려, 색상, 배색한 색상 개수, 배색 방법과 국가 브랜 드의 인지도와 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4.1. 연구 가설 H1. 항공기 도장의 색상과 국가 브랜드 인지도의 관계. H2. 항공기 도장의 색채 배색 방법과 국가 브랜드 인지도의 관계. H3. 항공기 도장의 컬러 배색 수와 국가 브랜드 인지도의 관계.
24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2. 변수 정의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방법 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인지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국가의 국기를 활용하는 것이다. 국 기(National flag)는 국가를 대표하 는 깃발이자, 국가의 상징이다. 신문이나 방송 등 커뮤니케이션 매 체에도 한 국가를 대표하는 의미로 서 국기는 빈번하게 노출된다. 친숙 도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한 국가의 국기만 보고도 그 국가의 이 름과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국기를 보고 연상에 의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국기가 지니는 아이덴티티 가 시각적 자극체계를 통해 전달되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기는 일정한 ‘모양 (ray out)’과 ‘색’으로 구성된 국가브랜드 상징물이다. 특히 시각적 감각을 자극하는 색은 각 국기마다의 고유한 의미를 담아내는 역할을 한다. 국기 제작의 과정에서 선택된 색은 그 국가의 역사와 문화적 특성은 물론 국민의 성격이나 기후 특성까지 고려하여 결정 되어지기 때문이다.7)
4.3. 설문지 구성 항공사 도장 디자인의 색상과 국 가 브랜드 인지도의 관계를 분석 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분석 결과 를 참조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 였다.
4.4. 설문지의 디자인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도장 디자인 의 색상과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대상으로 도장 색상이 국가 브랜드 와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설문지 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구체적인 조사 설계 내용 은 아래 표에 요약되어 있으며.
7) 최일도. 국가브랜드 의상징으로서 PR국기가지니는커뮤니케이션 기능에 관한 연구 - 국기의색채구성이지니는시각적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년 겨울 제 13권4호.
250
Vol.2 No.1 February 2020
4.5. 설문지의 신뢰성과 타당성 측정 도구의 구성타당도의 검증을 문항 분석을 위해서 선정 된 문항에 통해 요인 분석 (EFA)을 실시 하였다. 같이 탐색 적 우선, 수집 된 EFA에 적합한지를 확인한 결과, 표 본 형성 측도 인 KMO (Kaiser-Meyer-Olkin) 값 적절성의 0.922 (수용 기준 0.8이 이상)로 표본의 크기가 모형에 적합하였으며, Bartlett의 구형 통계치 (p <0.01) 성 검 정 유의 한 값을 가지는 역시 상당히 것으로 나타나 EFA를 시행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로 판단되었다. CFA 결과에 의하면 각요인 (구성 개념)의 P 값이 모두 p-0.001 수준에서 유의 적이므 로 단일 차원 성을 판단된다. 확보했다고 CR이 모두 0.7 또한 이상이고 AVE가 0.5 이 상이므로 집중 타당도를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4.6. 설문지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한 설문지 중 최종 통계 분석에 사용된 것은 모두 282건이다. 표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 121명, 여성 161명이었다. 연령별로는 18-25세가 154 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령 26-30세 54명, 연령 31-40세 43명 순이었다. spss분산분석법을 통해 비행기 도장에 활용된 색상과 국가 브랜드 이미지와의 상호 관 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색상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F=12.22, P=0.00<0.05) 따라서 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차이점을 대비한 결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 조별 평균값 중 빨간색(R)의 평균값이 모든 색상의 평균값보다 높았다. 다음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인 색상은 차례대로 (YR), (Y), (BG), (B), (G), (GY), (P), (PB), (RP)였다. 구체적인 수치는 아래 표와 같다. 분산분석 결과 색상(평군±표준편차) R
YR
Y
GY
G
BG
B
PB
P
RP
F
P
국가 7.11 6.38 6.18 5.71 5.91 5.96 5.89 5.42 5.59 5.41 브랜드 12.218 0.000 ±2.52 ±2.27 ±2.32 ±2.48 ±2.48 ±2.50 ±2.47 ±2.49 ±2.50 ±2.44 인지도 P<0.05, P<0.01
spss분산분석법을 통해 비행기 도장에 활용된 배색방법과 국가 브랜드 이미지와의 상 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배색방법은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차이점을 대비한 결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 조별 평균값은 순서대로 tone on tone>tone in tone, tone on tone>분리, tone on tone>그라데이션, 강조>tone in tone, 강 조>분리, 강조>그라데이션이었다. 구체적인 수치는 아래 표와 같다.
25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분산분석 결과 배색방법(평군±표준편차) tone on tone tone in tone 국가 브랜드 인지도
6.36 ±2.32
5.91 ±2.44
강조
분리
그라데이션
F
P
6.36 ±2.32
5.851 ±2.39
5.85 ±2.44
3.523
0.007
P<0.05, P<0.01
spss분산분석법을 통해 비행기 도장에 활용된 배색된 색상의 수와 국가 브랜드 이미지 와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기 배색된 색상의 수는 국가 브랜드 인지 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F=0.099, P=0.983>0.05) 구체적인 수치 는 아래 표와 같다. 분산분석 결과 배색수(평군±표준편차)
국가 브랜드 인지도
1중
2중
3중
4중
5중
F
P
6.57 ±2.36
6.55 ±2.35
6.65 ±2.33
6.65 ±2.32
6.62 ±2.43
0.099
0.983
P<0.05, P<0.01
4.7. 분석소결 본 연구를 통해 평균값이 높을수록 국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사 실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각 색상은 구각의 브랜드 인지도에 뚜렷한 영향을 보이고 있다. 그중 빨간색(R)의 색상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고, 비행기 도장 에 활용된 색채 중 빨간색(R)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한편 주황색(YR)의 색상은 두 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4위였다. 노란 색(Y)은 세 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3위 였다. 파란색(B)은 네 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2위였다. 청남색(BG)은 다섯 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5위였으며, 녹색(G)은 여섯 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 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6위였다. 녹황색(GY)은 8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 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7위였으며, 보라색(P)은 9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8위였다. 한편 적남색(PB)는 9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6위였으며, 적 홍색(RP)는 10번째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도장에 사용된 횟수는 10위였다. 빨간색(R)과 파란색(B)은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가장 많이 활용된 색채인데, 빨간색(R) 이 파란색(B)보다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쳤다. 적남색(PB)와 적홍색 (RP)가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 2위로 서로 상이했으며, 가장 적게
252
Vol.2 No.1 February 2020
사용된 색채이기도 하다. 비행기 도장 디자 인을 종합해보면, 사용 빈도가 가장 많은 색상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각 배색 방법 또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 고 있다. 배색을 강조하면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도 컸는데, 배색의 강 조는 색채를 도장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색 방법이기도 하다. Tone on tone 배색의 영향 정도는 배색의 강조와 마 찬가지로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 향과 비슷했으며, 두 번째로 많이 활용된 방 법이다. Tone in tone 배색이 국가 인지도 에 미치는 영향은 3위였으며, 4번째로 많이 활용된 배색 방법이다. 배색 분리가 국가 브 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4위였으며, 3 번째로 많이 활용된 배색 방법이다. 그라데 이션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은 5위였으며, 5번째로 많이 활용된 배색 방법이다. 따라서 59개의 비행기 도장 디자 인을 살펴본 결과, 자주 활용된 배색 방법일 수록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배색된 색상의 수가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도 뚜렷 했다. 배색에 활용된 5가지 색상의 수치에서 보면, 두 개씩 서로 비교한 수치의 차이가 모두 0.1보다 작았다. 따라서 59개 비행기 도장 디자인을 살펴본 결과, 활용된 색채의 수가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5. 결론
본 연구는 색상, 배색방법, 배색된 색상의 수의 방면에서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활용된 색채와 국가 브랜드 인지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KSCA 색채분석 프로그램을 59개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활용해 통계를 내렸다.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관련성에 관한 가설 을 통해, 또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도출하고, 해당 데이터의 신뢰도와 시행가능성 을 분석하여 도출한 데이터를 정돈해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비행기 도장 색채가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색채의 경우,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색상은 빨간색(R)이었고, 이 색상은 비행기 도장에 가장 많이 활용된 색상이기도 하다. 빨간색은 국기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색상이나, 각 민족이 부여한 의의는 모두 상이하다. 일부 문화에서는 피를 상징해 위험, 전쟁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다른 문화권에서는 사랑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빨간 색을 국가와 함께 엮어서 생각하면서 국가 고유만의 독특함과 정체성을 인지하게 된다.
25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빨간색을 제외하면 주황색(YR), 노란색(Y), 청남색(GB), 파란색(B), 녹색(G), 황녹색 (GY), 보라색(P), 적남색(PB), 적홍색(RP)이 차례로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많이 활용되 었다. 또한 이 색상들의 빈도수는 국기에 활용된 색상의 빈도수와도 일치했다. 따라서 비행기 도장 디자인의 색상을 선택하는 작업은 국가의 국기에 사용된 색채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도장 색채는 항공사의 브랜드 이념을 대표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가 브랜드를 상징하기도 한다. 배색 방법의 경우,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방법은 배색의 강조 와 tone on tone 방법이었다. 이 두 방법은 또한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가장 자주 활 용되는 방법이기도 하다. 두 방법의 공통점은 모두 실질적으로 배색을 진행할 때 한 가 지 색상을 두드러지게 하여 강조의 효과를 만들었다는 데 있다. 국기의 배색 방법을 살 펴보면, 대부분의 국기도 또한 특정 주요색을 강조하고, 다른 색채는 보조의 역할을 하 고 있다.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활용되는 배색 방법은 국기에 사용되는 것과 흡사하다. 이러한 배색 방법은 사람들이 더욱 쉽게 강조색을 분별할 수 있게 만들어, 강조의 효과 를 낼 수 있다. 국기의 중점 색채를 두드러지게 한다면, 해당 색채가 사람들의 기억에 더욱 오래 남을 수 있으며 국기에 대한 인지도도 높여, 결과적으로 국가 브랜드의 인지 도를 높일 수 있다. 비행기 도장 디자인의 색채방법도 이와 비슷한 방법을 활용한다. 국기의 배색과의 연관성을 강화하여 항공사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면, 나가가 국가 브 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배색된 색상의 수는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시 말하면,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활용된 색채의 수는 국가 브랜드 인지도와 큰 연관성을 지니지 못한다. 비행기 도장 디자인에 활용된 색채의 수는 국가 차원의 색채에 대한 선호도 뿐 만 아니라, 항공사 자신의 브랜드 이미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비행기 도장 디자인 에서 색상의 수를 고려할 때, 국가 브랜드 인지도와 상호적인 연관성을 지니지 않는다. 정리해보면, 비행기 도장의 색채 디자인을 통해 더욱 자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높 이기 위해서 본 연구는 비행기 도장의 색상을 고려할 때 자국의 국가 색상을 고려해야 만 하며, 배색방법에 있어서도 중점색을 강조하는 색상의 강조 또는 tone on tone배 색법을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항공사 자체의 브랜드 이념도 삽입해 변화를 꾀해 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진영. 『국가브랜드 지수와 국가디자인 경재력의 연관관계 분석』. 한국브랜드다자인학 회. 2009.05.Vol.7 宫浩钦. 『飞机涂装设计中的功能诉求和文化象征』.143-147 배용진 장성란. 『디자인을 위한 색채’. 지구문화사.』 2019.3. p32 최일도. 『국가브랜드 의상징으로서 PR국기가지니는커뮤니케이션 기능에 관한 연구 국기의색채구성이지니는시각적아이덴티티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 학회. 2011년 겨울 제 13권4호.
254
Vol.2 No.1 February 2020
게임 마니아를 위한 VR HMD디자인 제안 HMD Design Proposal for Game Mania
향가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Xiang, Kexi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o, Jeong Wook(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HDM, VR, 게임 마니아, 발전 Keyword
HMD, VR, game mania, development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게임 마니아를 위한 VR HMD디자인 제안 1. 서론
최근 가상현실(Virtual Reality)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오귤러스 리프트(oculus rift)의 성공을 시작으로 글로벌 가상현실시장의 변화는 스타트업들로 발생해서 페이스 복, 구글과 같은 글로벌 IT기업들의 참여로 급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마니아 를 위해 VR의 발전사를 고차하고 사용자의 의견을 고력해서 미래지향적인 HMD 발전 방향을 추측하고 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할 것이다. HMD의 개념과 VR기술의 특징을 먼저 설명할 것이다. 첫째, 선행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시간축을 단서로 처음부터 현재까지 시중 나타난 모든 HMD기기를 분석하여 VR 기술 발전 방향을 정확히 예측할 것이다. 둘째, HMD의 시장변화를 분석하여 미래시장 의 발전을 정망할 것이다. 셋째, HMD의 사용자 구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VR마니아를 뽑아서 설문지조사를 진행할 것이자. 넷째, 디자인 방향을 명확할 수 있도록 게임 마니 아를 1대1 인터뷰를 진행하고 의견을 정리해서 디자인 콘셉트를 제출할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HMD 및 VR HMD는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주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의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사용된다. 최근의 HMD는 다양한 센서 기술과 무 선 기술을 통해 진보되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를 탑재하는 대신에 사용자의 스마트폰 을 디스플레이로 활용한다.
1)이러한
VR HMD의 기술요소로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무선 통신 장치, 자이로센서 360도시야 및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3D기술을 활용한 가상의 콘텐츠가 기본요소 기술이라 할 수 있다. HMD을 통한 몰입형 가상현실 은 기존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인간을 보다 인터랙티브하고 몰입적인 환경으로 이끌 어 현실성을 높여주는 하드웨어와 콘텐츠들이라 할 수 있다2)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임 의의 특정한 환경 및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한다. 실제와 매우 유사하며 만들 어진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고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 간적 체험을 하게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또한 사용자 는 가상현실에 단순히 몰입할 뿐만 아니라 실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 을 가하는 등 가상현실 속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3)
1) Sangmi Choi, Jungho Kim, Soonchul Kwon, and Seunghyun Lee, “Analysis of Technical Elements of Vision Therapy based on VR HMD,” Global 3D Tech Forum, Seoul, Korea, October, 2016. 2) Alaric Hamacher, Soon-chul Kwon, and Taeg-keun Whangbo, “Analysis of depth perception in smart phone HMDs,” 1st EEECS 2016, Phuket, Thailand, January, 2016. 3) Jason, J.The VR Book: Human-Centered Design for Virtual Reality, ACM BOOKS, 2005.
256
Vol.2 No.1 February 2020
2.2. HMD의 발전사 2.2.1. HMD 기술 동향 VR발전사는 시간 축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되었다. 개념 맹아기, 기술 맹아기, 기술 축 적기(积累期), 제품 교환기, 제품 폭발기. 구체적인 내용은 [표 1] 과 같다.4) 이런 5단 계의 병화를 통해서 VR HMD기술의 발전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성능적인 변화는 7 가지(광학 및 디스플레이, 그래픽, 눈 추적, 음성 효과, 상호작용, 인체공학, 컴퓨터 시 각) 전망된다. [표 1] VR기술 발전사 1935-1961 개념 맹아기
1962-1972 기술 맹아기
희미한 환상의 단계
이 시기는 기술 제한을 인해 가상현실은 여전히 원시형태에 있다.
1973-1989 기술 축적기
전체 가상 기술 이론과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
1990-2012 제품 교환기
2012-2019 기술 폭발기
2014년에, 가상현실 각 회사들은 자신들의 이론 보완과 VR 제품을 출시해서 애플리케이션으로 VR 업계 전체가 전환을 시작하는 단계. 폭발적인 성장기에 접어들었다.
2.2.2. HMD 시장 동향 1989년 미국 컴퓨터 과학자 Jaron Lanier가 설립한 신흥 기술 회사인 VPL Research는 처음으로 VR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VR의 첫 물결이 시작됐다. VR는 세 번의 열을 겪었다, 1차는 1960년대 VR 기술 원리를 확립했고, 2차는 1990년대 VR의 상용화 시도가 무산된 데 이어 3차 붐의 전기를 맞고 있으며 페이스북은 20억 달러의 오큘러스 인수를 계기로 세계적으로 VR의 상용화 물결이 일고 있다. 2020년 VR 시장평가 2016년 15배 28억3000만달러 예상할 것이다.5) 인비웹(yivian) 통계에 따르면 2018년 말 현재 주류별 AR/VR 플랫폼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총 량은 마이크로소프트 HoloLens 383종, 마이크로소프트 WMR197종, Magic Leap World는 12종, Steam 3002종, Oculus Rift는 1252 모델, Oculus Go는 1373중, PS VR는 350중, HTC Viveport는 1494중.6) [그림 1]과 같다.
[그림 1] VR 애플리케이션 수와 시자규모 예측
4) VR발전사, http://www.iheima.com/article-156475.html 5) 중국 산업 정보, 2018년 중국 가상현실(VR) 업계 발전 현황 및 업계 발전 추세 분석, 6) https://yivian.com/news/50459.html
25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2.3. HMD 사용자 동향 ABI Research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VR 보급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 며, 2022년에는 전 세계 VR 사용자 수가 2억56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 규모는 600억 달러에 달한다. 또한 이 보고서는 VR 일체형기기와 6자유도 모바일 VR의 발흥으로 삼성 gearVR, 구 글 Daydream 등 모바일 VR과 VR 체험 테마파크 사이에 차이가 줄이다. ABI Research Sam Rosen 부회장은 "VR는 앞으로 5년 동안 실제적인 변혁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장기적인 시장 명제로 보고 있다. 그리고 AR과 VR의 경계선은 앞으로 몇 년 동안은 여전히 분명하겠지만, 기술의 성숙과 포화에 따라 이 경계선이 점차 사라 져 MR로 넘어가기를 기대한다.
2.4. 세 가지 동향에 근거한 HMD진화방향 HMD의 발전사를 상세하게 정리해서 종합분석 내용을 다음과 같다. [표 2] HMD 발전방향 종합분석 항목
추세
기능
눈 추적 기술 / 표정 포차 몸짓 포차 / 제스처 식별 관절점 motion capture Computer vision 리어한 환경은 VR에서 재건해서 장애물 피한다. 새로운 소셜 VR 플랫폼 Horizon DigitalZoom
해상도에 대해 요구를 많다. 더 진실한 체험 구하다 Oculus connect대회에서 발표한 최신 기술을 의하다.
성능
해상도 120도로 예상 피넬 렌즈, 140도 뷰를 지원하다 항속능력
OC6 최신 발표한 기술 Half Dome1는 피넬 렌즈를 사용하여 140도의 시야를 지원하고, 다음으로 눈 동작 추적에 따라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근접 대상을 살펴볼 때라도 이미지가 선명하게 유 지되도록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Half Dome 2는 작고 가볍다, 왜냐하면 빛의 길을 매우 작은 부피로 접을 수 있기 때문이다. Half Dome 3는 Digital Zoom을 통해 자체 구조를 더 욱 조밀하게 한다.
크기
최적화, 최소화 HMD느낄 수 없다
Half Dome 2원형기기는 광로를 작은 크기로 접음으로써 두각을 나타내는 사이즈를 줄였고 무게를 200g 줄였다
무게
300g이내의 경량화 베터리 나눠서 무게 균형
무게변화추세 근거 Half Dome 2원형기기는 광로를 작은 크기로 접음으로써 두각을 나타내는 사이즈를 줄였고 무게를 200g 줄였다 인공기 공사에 적합 더 긴 게임체험 시간
가격
200$이하
설문지 조사결과 근거
없음
설문지 조사결과 근거
핸드폰APP / 직접 착용 Bluetooth 통해서 연결
발전추세 근거 Oculus connect대회에서 발표한 최신 기술을 의하다.
추가옵션 작용법
258
이유
Vol.2 No.1 February 2020
3. VR게임 마니아를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
3.1. 목표인원을 대상으로 조사 정한 게임 마니아를 찾기 위해서 조사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할 것이다. 첫 번째는 설문조사이다. 두 번째는 1대1 인터뷰 조사이다. [표 3] 1차 조사계획서 1차 조사 계획서 조사 대상
HMD 게임 플레이어
조사 목적
VR 마니아들의 HMD사용현황
조사 방법
설문조사
조사 내용
성별, 연령, 직종별, 학력, 장비 유무, 선호도 등
조자 기간
6월~8월
조사 핵심
사용자의 통점
조사 수량
100 분
타깃 그룹 찾기 방법
인터넷 포럼, 인터넷 채팅방, 오프라인 체험관, 동호회 등
1차 조사 결과를 통해서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받다. 총132명 게임 플레이어 중에서 42명이 장비 보유한다. 이 42명 중 장비 사용시간 길고 사용 빈도 높은 마니아는 인터뷰 대상으로 선정된다. 디자인 방향을 명확할 수 있도록 2차 심층 인터뷰를 진행할 것이다. [표 4] 2차 조사: HMD 게임 마니아 선정 2차 조사: HMD 게임 마니아 선정 선정 대상
HMD 게임 마니아
조자 기간
8월 까지
조사 방법
인터뷰 방단
조사 목적
HMD 디자인 개선방향
표본 수량
132명 중 10명 선정
선정 요건
VR장비 유무 VR 사용하는 시간 매주 VR장비 사용 빈도 남녀 수량 비슷하다
인터뷰 주로 내용
사용해 본 제품 중에서 어떤 제품 가장 좋습니까? 원인은 무엇입니까? 미래 새로운 VR기기 제품 어떻게 되면 좋겠습니까? 어떤 새로운 기능을 기대합니까?
1차과 2차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HMD에 대해 요구 키워드를 [그림 2]에서 나온다.
25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2] 사용자 요구 키워드
4. 결론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를 알 수 있다. ∙ VR사용자는 주로 20-30대의 젊은 층이다. 남성은 70%에 있다. ∙ VR 애호자중 가장 인기 끌고 있는 제품은 Oculus quest로 나타났다. ∙ 대부분 사용자는 부담할 수 있는 가격은 200달러에 정도로 나타났다. ∙ 앞에 통해서 일체형 VR HMD는 미래의 발전방향임을 알 수 있다. ∙ 모든 사용자들은 해상도가 가장 중요한 성능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으로 렌즈 및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은 2,3순위에 차지된다. 이에 따라 몰입감은 성능 부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 해상도16k(15360*8640)는 마니아들의 요구인데 기술제안 인해 가까운 미레 실현할 수 없다. ∙ 무겁다는 VR의 가장 불편한 요소인데 게임 시간 짧아서 항속능력의 중요성은 낮다. 그리고 움직임의 제안과 고성능 컴퓨터 등 보조설비의 제안은 뒤에 차지한다. ∙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스캔기술 사용하여 주변 환경을 가상공간 안에 재건해서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할 때 물건을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 광 통신기술광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먼저 클라우드에서 렌더링한 후에 광통신을 통해 VR 장비로 전송한다. ∙ 마니아들은 motion capture에 대해 요구가 많다. motion capture는 눈 추적 기술, 표정 포차, 몸짓 포차, 제스처 식별 등 4가지 기술을 포함된다. ∙ 적외선으로 위치확인, 기지국구이 필요가 없다. ∙ 사용편의성 때문에 사용자는 추가옵션이 없으면 더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시장, 사용자 동향의 연구과 사용자리서치를 종합해서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한다.
[그림 3] 이론 종합
260
Vol.2 No.1 February 2020
선행연구과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젊은 고관여 사용자의 활동성 증대를 위한 착용압박감 최소화 및 트렌디한 HMD 디자인”을 디자인 콘셉트로 설정하였다.
참고문헌 이홍섭, 박의준, 3D HMD의 멀미증상 완화를 위한 조작방법에 관한 연구,2014, pp. 85-91 최상미, 김정호, 권순철, 이승현, VR HMD에서의 비전 테라피 활용을 위한 기술 요소 연구, 2016.12, 161-168 최상미, 김정호, 권순철, 이승현 (2016). VR HMD에서의 비전 테라피 활용을 위한 기 술 요소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53(12), 161-168. 김기윤, 이주환 (2018). VR 환경에서의 게임 시점에 따른 재미와 몰입감. 한국HCI학 회 학술대회, 929-932. 안수진, 김주연 (2018).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 가상현실에서 사용자의 적응시간에 따른 주의집중과 주시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5), 74-83 이홍섭, 박의준, 3D HMD의 멀미증상 완화를 위한 조작방법에 관한 연구,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27, No. 4, 30 december 2014, pp. 85-91 김효군, 손영주, 김동우, 박규순 (2016). Virtual Reality(가상현실) 기술개발 동향과 군 훈련 적용 방안. 국방과 기술(444), 66-75 이지혜 (2018). VR시스템 환경 기술과 사용자 몰입감 요소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지, 24(2), 585-596 안수진, 김주연 (2018). 가상현실(Virtual Reality)개념과 국내 선행연구 동향. 한국실 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 328-331 https://www.statista.com/topics/2532/virtual-reality-vr/ https://www.qianzhan.com/analyst/detail/220/191016-ffff0705.html https://compassmag.3ds.com/kr/10/Cover-Story/node_3283 http://www.iheima.com/article-156475.html https://www.cnblogs.com/Rodolfo/p/5567714.html http://www.chyxx.com/industry/201806/649168.html https://yivian.com/news/50459.html http://www.pjtime.com/2016/10/211768395814.shtml https://www.vrtuoluo.cn/11084.html
26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디자인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기회요인 Business Types and Opportunities for Design Startups.
김현정,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Kim, Hyun Jeo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산업디자인, 디자인 창업, 비즈니스 모델 Keyword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Industrial design, Design start-up, research trend,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business model
Vol.2 No.1 February 2020
디자인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기회요인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최근 다양해진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에 맞춰 기술과 아이디어를 활용한 벤처·창업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IT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창업이 디자인 창업으로까지 확대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1) 다양한 영역간의 융합은 고객에게 더욱 양질의 서비스와 편의를 제공하는 산업의 형태로 변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맞춤형 제품·서비스를 제 공하는 디자인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 [표 1] 트렌드 영향력 증대에 따른 변화요인 구 분
소비자 변화
산업적 변화
급변하는 소비자 취향
신기술 발전과 혁신적인 상품의 폭증
소비자 선택의 능동적
사업경계 소멸과 경쟁 심화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고객가치 지향적 산업구조 변화
트렌드 영향력 증대
또한 2017년도 우리나라의 전문 디자인 업체 수는 총 5,502여 곳으로 작년 대비 1.4% 증가하였다.2) 또한 전문 디자인 업체의 사업체 수를 살펴 본 결과 디자인 창업의 업체 수는 매해 증가하고 있었다. 하지만 창업진흥원이 8,000여 곳의 창업기업 업력 실태조 사를 실시한 결과 1년 차 기업이 가장 높은 24.3%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2년 20.6%, 3년 16.0%, 4년 12.6%, 5년 10.2%, 6년 8.8%, 7년 7.5% 순으로 나타났다.3) 이를 통 해 창업 3년 후에는 약 35%가 폐업을 하고, 6년 후에는 약 70%의 폐업률이 발생한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2.1. 비즈니스 모델 대기업과 NPO 법인의 기획 및 서비스 컨설팅을 하고 있는 소로소로의 대표 곤도데쓰 로는 어렵고 복잡한 경영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을 누구하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 림으로 설명하는 ‘비즈니스 도해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비즈니스 도해 연구소에서 는 ‘비즈니스×도해’를 콘셉트로 사업이나 서비스, 기획, 디자인, 소셜 마케팅 등 다양 한 분야에 걸친 컨설팅 사업을 하고 있다. 《한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에서 곤도데쓰로는 그림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모델 100가지를 해설 하였다. 곤도데쓰로는 위 책을 통해 우리가 세 가지 통찰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비즈니스의 가시화를 통 해 지금까지 접하지 못한 업계의 비즈니스를 발견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상식에 얽매이 지 않고 타 기업의 비즈니스를 보면서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학습’으 1) 중소기업청, 2016 2) 한국디자인진흥원, 산업디자인통계조사, 2018 3) 창업진흥원, 창업기업실태조사, 2018
26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로, 도해의 내용을 반복해서 읽으면 모델을 이해하는데 서서히 익숙해진다고 하였다. 또한 기업의 모든 사례의 도해를 3×3의 똑같은 틀로 만들어 기업들의 비즈니스 구조 의 공통점과 차별점을 분석할 수 있다. 세번째로는 ‘실천’이다. 위 도해를 통해 업무를 할 때 위 그림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사례들을 보고 아이디어들을 얻을 수도 있으며 직접 적용시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 [표 2] 비즈니스 모델의 세 가지 이점 인식
많은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여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다.
학습
비즈니스 모델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실천
자신의 업무를 설명할 때 그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비즈니스 모델 도해를 활용하면 비즈니스 자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때문에 위 도해를 통해 디자인업계의 비즈니 스 모델을 도해를 가시화 시켜보므로서 현상을 살펴보고, 위 현상을 다시 구조화하여 비즈니스의 기회가 있는지 도출해 보 고자 한다. 위 책에서 비즈니스 모델은 ‘물건, 돈, 정보, 사람’ 이라는 네가지 부류로 나누어져 있는데, 물건, 돈, 정보, 사람 은 본래 경영자원의 4요소이다. 이 중 ‘물건’은 ‘물건으로서 새로운 ‘핵심가치’를 제공한다.’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상품이 나 서비스 공간의 가치를 시대의 변화에 맞춰 본질적인 가치 로 재 정의한 사례의 장이다. 아이디어로 역설을 만들어 낸
[그림 1] 프라이탁 예시
장이며 그 예시는 무수히 많지만 그 중 ‘프라이탁’이 디자인업계의 성향과 알맞으며, 디 자인 업계의 비즈니스 모델 또한 ‘물건’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디자인 창업의 모형화
3.1. 조사개요 본 연구는 제품 디자인 업계구조도를 분석하기 위해 사업을 유지하는 과정이나 개발과 정에서 필요한 비즈니스캔버스에 대입하여 조직의 자원 및 전략요인, 산업 환경요인의 유사점과 차별점을 식별하고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표 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항목 항목 핵심활동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을 위한 활동은 무엇인가요?
핵심자원
사업 유지를 위해 투입하고 있는 자원의 종류는 무엇인가요?
핵심파트너 고정지출비용 고객세분화
264
인터뷰
사업을 실행함에 있어 맺어지는 핵심파트너십은 어느 분야에서 맺어지나요? 매달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지출은 무엇이며, 어느 시점에 큰 지출이 발생하나요? 자사의 매력을 평가하는 주요 소비 고객층은 누구 인가요?
공급채널
고객에게 어떠한 방식의 공급채널(온, 오프라인)을 제공하고 있으신가요?
유통채널
제품을 유통시킬 때 각 유통사별로 수수료가 다른데 이를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Vol.2 No.1 February 2020
디자인 비즈니스 캔버스의 항목은 사업활동의 골자를 대략적 으로 나타낸 설계도이다.4)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 비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돈 을 벌겠다는 아이디어를 말한다. 비즈니스 모델이 중요한 이 유는 사업 모델의 현실성 및 사업성을 점검할 수 있으며, 사 업 추진과 운영에 필요한 모든 측면을 제대로 검토할 수 있기
[그림 2] 기업 비즈니스 모델
때문에 사업의 ‘지속가능성’의 여부와 ‘수익창출활동’을 한번 더 검증할 수 있는 사고의 실험으로 심층인터뷰의 항목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3.2. 조사결과 인터뷰를 통하여 각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의 구조를 파악 하였으며, 이를 [그림 2]를 통해 모형화하고 인터뷰를 통해 나온 시사점들은 해당 카테고리에 맞도록 정리해 보았다. [표 4] 심층인터뷰에 따른 시사점 도출 질문
시사점
초기 사업의 핵심 자원 ∙ 유통 플랫폼을 통한 비즈니스 시작함 ∙ 전시 활동을 통한 비즈니스 시작함 ∙ R&D협력을 통한 상품개발을 통한 비즈니스를 시작함 ∙ 국가지원사업을 통해 시제품 개발비용을 확보하여 사업을 시작함 ∙ 국가지원사업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있음 ∙ 지원사업을 통해 멘토 네트워킹등의 정보를 습득함 ∙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 운영에 대한 정보를 습득함 ∙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통한 클라이언트 확보함 ∙ 지인을 통한 클라이언트 확보함 ∙ 초기 창업멤버의 전문분야와 다양성이 요구됨
질문
시사점
사업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 ∙ 디자인 공예기반의 기술사업형태임 ∙ 디자인기반 기술창업의 형태임 ∙ 자체상품개발을 하고 있음 ∙ 기업의 디자인 컨설팅을 대행해주는 업무를 하고 있음 ∙ 기관 및 업체와의 콜라보를 통한 상품개발을 하고 있음 ∙ R&D협력을 통한 상품개발을 하고 있음 ∙ 한정적인 인원으로 인한 개개인의 멀티테스킹 능력이 요구됨 ∙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프로토타입 테스트 과정을 거침
질문
시사점
제품 생산 ∙ 지인을 통해 업체를 발굴함 ∙ 직접 발품을 팔아 업체 발굴함 ∙ 자사가 직접 생산을 진행하는 시스템 ∙ 위탁생산을 통한 생산 시스템 ∙ 중국 위탁생산을 통한 생산 시스템 ∙ 일부는 자사가 직접 핸들링하고 있음 ∙ 프로덕트 매니저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공장에 자사만의 기술력 확보하고 있음 ∙ 공장 자체적인 컨설팅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제품의 생산과정 중 예상치 못한 각종 문제들이 발생하게 됨 ∙ 바이어를 통한 제품 매입 방식임 ∙ 클라이언트 및 주요 협력사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함 ∙ kc인증을 통한 제품을 검증하고 있음 ∙ 상표등록과 디자인권등록을 위한 지식재산권 확보하고 있음
4)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2010
26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질문
시사점
고객에게 제공하는 공급 마케팅 채널 ∙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음 ∙ 오프라인 매장은 브랜드를 홍보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음 ∙ 유통 플랫폼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광고를 활용하고 있음 ∙ SNS 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기반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음 ∙ 네이버 검색 키워드 광고를 활용하고 있음 ∙ 디자인 매거진을 통한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 포트폴리오를 통한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 국내 외 디자인 전시를 통해 소비자나 바이어들을 만나며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 해외수출 관련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음 ∙ 기업의 컨설팅을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 강연, 외부행사를 통해 기업을 홍보하고 있음 ∙ 마케팅을 대행해주는 업체를 이용하고 있음 ∙ 크라우드펀딩은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음 ∙ 마케팅을 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함
질문
시사점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긴 위한 유통채널 ∙ 오프라인을 통한 위탁판매에 주력하고 있음 ∙ 온라인을 통한 위탁판매에 주력하고 있음 ∙ 협력사(MD, 유통사)를 통한 위탁판매를 이용하고 있음 ∙ 자사가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 자사가 온라인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음 ∙ 자사 내부에 유통 담당자를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음 ∙ 국내 전시를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음 ∙ 국외 전시를 활용하여 제품을 해외에 납품하고 있음 ∙ 국내외 전시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해외수출을 통해 제품을 대량으로 납품하고 있음 ∙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음 ∙ 유통에 대한 정보의 부족을 느끼고 있음
질문
시사점
그 외 사업의 애로사항 ∙ 사업초기 기업 운영에 대한 정보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음 ∙ 마케팅 및 영업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 ∙ 자금의 확보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 ∙ 인력을 고용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함 ∙ 파트너사와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발생함 ∙ 개인의 멀티테스킹 능력이 요구됨 ∙ 동종업계의 제품 카피 ∙ 국내의 경우 예술쪽에 투자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 공예기반 디자인 창업의 경우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지원사업을 참여하고 있지만 관련 지원사업이 한정적임
3.3. SWOT분석 인터뷰를 통해 정리 된 시사점을 SWOT분석을 통해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자인 비즈니스의 강점, 약점, 기회, 위험요소를 정리하였다. Strengths (강점) ∙ 프로젝트에 따른 업무의 다양성 ∙ 기업 비전에 따른 실행력을 갖춘 제조 브랜드 ∙ 문제해결능력 갖춘 디자인 전문 인적자원
266
Weaknesses (약점) ∙ SNS 치중 된 광고 마케팅 ∙ 업계의 약 80%가 위탁판매 방식 ∙ 자금/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사업확장의 한계
Vol.2 No.1 February 2020
Opportunities (기회) ∙ 제조활력 중심 정부정책 4.0 추진 ∙ 해외전시 지원을 통한 수출의 확대 ∙ 지적재산권 보호 관련 법률의 강화
4. 결론
Threats (위험) ∙ 국내 제조 업계의 불항 ∙ 내수시장의 한계 ∙ 중국의 ‘미니소’, ‘타오바오’ 등의 저가마진 전략의 출현
최근 국내의 경우 많은 사업체들이 생겨나고 사라지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는 실제 업 체를 방문하여 현장을 탐구하는 심층 인터뷰 방식을 통해 디자인 창업의 실증적인 비 즈니스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 디자인창업의 비즈니스를 모형화하여 시사점 과 SWOT를 정리하였다. 하지만 위 분석법은 현상만을 나타내고 있고, 국가의 시대적 인 상황이나 환경을 내포하지 않으며 추상적이며, 간결하고, 함축적이다.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반으로 조금 더 큰 범위에서의 기회요인을 도출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하여 현상을 객관화 하는 것이 실질적인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이를 통해 궁극 적으로는 국내 디자인전공 CEO나 예비 창업자들에게 업계의 정보를 제공 할 수 있기 를 바라며, 제조 기반 디자인창업자들이 성공적인 창업의 밑거름 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의 디자인 창업 준비를 위한 사고의 폭을 넓 힐 수 있는 자료로서 이를 활용하는 것에도 큰 목적이 있다.
참고문헌 곤도데쓰로, 『한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 2019 알렉산더 오스더왈더, 『비즈니스모델의 탄생』, 2010 중소기업청, 2016 한국디자인진흥원, 산업디자인통계조사, 2018 창업진흥원, 창업기업실태조사, 2018 최동은,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성균관대하교, 2018 https://blog.naver.com/whyble/220650085873
26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문화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 중국 모바일 홍바오(红包)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Culture-based Mobile Easy Payment System-Focused on China Mobile Hongbao
유 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형우(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 사용의도 및 사용행위, 통합기술수용이론
Yu, Chu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im, Hyung Woo(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mobile easy payment system, the intention to use and use behavior,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Vol.2 No.1 February 2020
문화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1. 서론
인터넷과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의 발전과 저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교류방식이 온라 인으로 빠른 속도로 옮겨 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중국의 전통문화인 홍바오가 있 다. 홍바오는 빨간 종이봉투를 뜻하는 중국말로 복을 기원하거나 감사를 표시하는 전통 적인 대면적 교류문화였으며, 현재는 SNS등의 사용으로 온라인(on-line) 상에서 활발 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문화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에서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하고자 했 다. 먼저, 모바일 홍바오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문헌 조사 및 모바일 홍바오의 개념을 정립했다. 또한 앞의 과정들을 통해 모바일 홍바 오의 구성요소를 분석했으며, 마지막으로 통합기술수용모형(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에 기초한 중국 모바일 홍바오 사용 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기술수용모형을 도출했다.
2. 연구 배경과 목적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일상 생활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 다. 또한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의 발전과 저변화로 전통적인 방식의 오픈라인 상거 래가 온라인으로 옮겨 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중국의 전통문화인 홍바오가 있다. 홍바오는 빨간 종이봉투를 뜻하는 중국말로 복을 기원하거나 감사의 표시이자 전통적인 교류문화이다. 과거 홍바오가 세뱃돈 또는 경조사 등의 복을 기원하거나 감사의 의미로 직접적인 만남(off-line) 아래 주고받는 행위였다면, 현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등의 사용으로 온라인(on-line)상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 한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통합기술수용모형을 기초로 모바일 홍바오를 대상으로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새로운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 이다.
3. 문화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3.1. 문화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과 모바일 홍바오의 개념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란 전자화폐 결제를 위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제품을 이용 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말한다.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는 인터넷, 단말 장치, 금융 기 관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결제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모바일 간편 결 제 서비스의 확대와 발전으로 새로운 방식의 전자화폐가 급속도록 보급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문화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는 전통 문화의 특징을 내포한 새로운 형태 의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모바일 훙바오가 있다. 홍바오는 빨간 봉투를 뜻하는 중국말로 복을 기원하거나 감사를 표시하는 중국전통문 화이다. 크게는 춘절(春節)에 복을 기원하고 송구영신(送久迎新)과 세뱃돈 및 결혼 등
26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경조사의 의미로 홍바오를 건넸으며, 가정에서 축복과 행운을 기원하며, 기업은 상여금 이 나갈 때도 홍바오 통해 직원들을 독려하고 복을 기원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 었다. 과거에 사람들은 전통적인 종이 홍바오를 주고 감정을 전달했었으나 지금은 종이 홍바오를 대신하여 모바일 홍바오를 보내며 감정과 예의를 전달한다. 현재의 모바일 홍 바오는 발전 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를 기반으로 전자화폐의 장점을 결합한 시스 템이라고 하겠다. 또한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과 전자 화페의 활성화로 기존의 전통 적인 대면적 교류방식의 변화와 대중의 일상생활 관계에 큰 변혁과 변화를 가져 오고 있다. [표 1] 모바일 홍바오의 개념 요소
전통적 홍바오
모바일 홍바오
사회성
가족, 조직 등의 예의와 유대적 관계의 표시
문화성
감사의 표시와 복을 기원하며, 축복과 행운 등의 긍정적 의미
간편성
시간, 공간, 장면에 제한을 받고, 중요한 경조사 및 명절 등 대면 전달 가능
시간, 공간,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에서 조작 가능
비밀성
홍바오의 금액이 제3자에게 쉽게 노출 됨
발송자와 수신자만이 홍바오의 금액을 알수 있음
오락성
단일 배포 및 수신 과정만 있을 뿐, 다른 기능적 가능성은 없음.
사용자들은 채팅 그룹 내에서 홍바오를 배포할 수 있으며 채팅 구성원은 임의로 수령할 수 있음.
모바일 홍바오는 약 5년 전 출시되었으며, 현재 이와 관련된 학술 연구는 적다. 중국에 서는 모바일 홍바오 연구가 2015년부터 학자들에 의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모바일 홍바오의 연구는 홍바오의 이용실태 현황, 전파 메커니즘, 운영 모델 등에 집중 되어 있다. 하지만 기술 모형을 통해 이용 의도와 행위에 대한 실증 연구는 미미한 실 적이다.
3.2. 중국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의 현황 중국의 아이미디어 리서치(iiMedia Research)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1분기까지 중국의 모바일 간편 결제 거래 규모는 지속적으로 고속 성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 설팅 애널리스트들은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 템이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거래 규모가 지속 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간편 결제 플랫폼이 사람들의 생활권 깊숙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간편 결제가 더욱
[그림 1] 2014-2018년 중국 모바일 간편 결제 거래 규모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증가의 요인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모바일 장치의 확 산 및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제3자에게 모바일 결제에 필요한 발전된 환경을 제공했다. 둘째, 급속한 기술 및 스마트폰 시스템 환경의 발전으로 모바일 결제 사용자가 크게 증 가했다. 셋째, 일상생활에서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의 보편적인 보급으로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아졌다.
270
Vol.2 No.1 February 2020
4. 연구 모형
4.1.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의 개념 통합기술수용모형(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은 벤카테시(Venkatesh) 등이 “정보기술 사용자 수용(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에서 기 술한 기술수용모형이다. 통합기술수용모 형은 사용자의 정보 시스템 사용에 대한 의도와 그에 뒤따른 사용 행위를 설명하 [그림 533] 통합기술수용모형
기 위한 것이다. 이 이론은 성과기대
(PE: Performance Expectancy), 노력기대(EE: Effort Expectancy), 사회적 영향 (SI: Social Influence), 촉진조건(FC: Facilitating Conditions) 등 4가지의 중요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앞의 세 개는 사용 의도와 행위의 직접적인 결정 요소이고, 마 지막 네 번째는 사용자 행위의 직접적인 결정 요소이다. 사용자의 성별, 연령, 경험과 자발성은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사용의도와 사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4.2. UTAUT 구성 요소에 관한 선행연구 벤카테시(Venkatesh)가 2003년에 제안했던 통합기술수용모형연구 결과를 종래의 모 형과 비교 분석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요인들을 분석은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 기술과 모바일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과거의 통합기술수용 모형으로 현재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모바 일 간편 결제 시스템과 모바일 홍바오에 관한 최근 몇 년 간의 연구들은 신기술 사용에 대한 의도와 행위를 보다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모바일 간편 결제와 모바일 홍바오에 관한 UTAUT 구성 요소 선행연구는 [표 2]와 같다. [표 2] UTAUT 구성 요소 선행연구 모형의 구성 요소 핵심구성요소
저자 성과 기대 Liu Hongli(2014)
●
Huang Xiang(2016)
노력 사회적 촉진 기대 영향 조건 ●
●
●
●
●
추가 요소
적용분야
위험 감지
모바일 간편 결제
기능적 수요, 사교적 수요, 심리적 수요, 위험 감지
모바일 홍바오
Yan & Wang(2016)
●
●
●
●
심리적 만족도, 위험 감지, 사용 환경
모바일 홍바오
대임지(2017)
●
●
●
●
신뢰성, 경제성
모바일 홍바오
Ding Lisha(2019)
●
●
●
●
위험 감지, 브랜드 신뢰성, 결제 환경
모바일 간편 결제
Tang Xiaoying(2019)
●
●
●
●
위험 감지, 감지 오락성
모바일 간편 결제
27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3. UTAUT기반 새로운 모형 도출 본 연구는 문화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현재 중국 내 SNS 등에서 활발하게 사용 되 고 있는 위챗 홍바오를 연구의 대상으 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의도 및 사용행위가 위챗 홍바오에 어떤한 영향을
미치는지
통합기술수용이론
(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모형을 기초
[그림 3] UTAUT기반 새로운 모형
로한 새로운 분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연령·학력 등 위챗 홍바오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소와 사용의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 다. 앞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위챗 홍바오의 사용을 위한 세 가지 요소를 요약하였으 며, 기능적 수요, 심리적 수요, 사교적 수요를 UTAUT 모형의 성과기대 요소로 대체하 였다. 기능적 수요, 심리적 수요, 사교적 수요 등 3가지 요소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 변 수의 틀을 재구성하였다. UTAUT 모형에서 기존의 조절 변수는 각각 성별·연령·경험· 자발성이다. 성행연구를 통해경험과 자발성 요소 및 주요 연구 변수 사이에 현저한 영 향관계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자발성 요소는 고려하지 않았 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자들이 간과한 인구통계학적 요소 중 직업, 학력은 상관관계를 입증하기 위해 새로운 조절 변수로 추가하였다. 또한 성별·연령·학력 등 3 가지 요소 위주의 조절 변수 틀을 구성하였다. [표 3] 요소의 정의
5.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기능적 수요
사용자들은 모바일 홍바오가 사용자를 도울 수 있을 정도.
심리적 수요
모바일 홍바오의 형태는 사용자의 심리적 욕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킬 수 있다.
사교적 수요
모바일 홍바오는 사교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교류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전자화폐와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의 발전 과 SNS의 활성화로 기존의 전통적인 교류방식이 온라인상으로 급속히 옮겨져 가고 있 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모바일 홍바오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에서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먼저, 모바일 홍바오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선 행연구를 통해 문헌조사 및 모바일 홍바오의 개념을 정립했다. 또한 앞의 과정들을 통 해 모바일 홍바오의 구성요소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통합기술수용모형을 기초한 중 국 모바일 홍바오 사용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기술수용모형을 도출했다. 차후 이것을 통해 성별·연령·직업·학력 등 모바일 홍바오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소와 사용의도, 사용행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272
Vol.2 No.1 February 2020
참고문헌 Venkatesh, MG Morris, GB Davis, FD Davis, 『A=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2003 대임지, 「핀테크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중국 핀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우완신, 「현대 중국의 변화된 소셜 문화에 관한 연구: 위챗 모바일 훙바오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황샹(Huang Xiang), 「위챗 홍바오의 사용행위와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UTAUT 이론 모형을 기초로」, 화중과학기술대학 석사학위논문, 2016
27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 미치는 제품 디자인 요인 연구 - 온라인 쇼핑 리뷰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Product Design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Emotions of Women - Focus on Online Shopping Reviews -
마추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Ma, Chu Hu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부정적인 감정, 온라인쇼핑리뷰, 리뷰조사, 데이터 Keyword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negative emotion Online shopping review,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Review survey Data
Vol.2 No.1 February 2020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에 영향 미치는 제품 디자인 요인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회와 교육의 발달로 여성 소비자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21세 기는 ‘여성의 시대’라고 언급한 것과 같이 오늘날 사회와 기업에서는 여성의 사회적 중 요성을 인식하고 있다.1) 여성은 본질적으로 남성보다 감정적으로 민감하다.2) 아시아 여성에 대한 The EIU3) 2014 조사에 따르면, 여성과 배우자의 41%는 가족을 위해 돈 을 벌며, 특히 중국 내 이 비율이 62%에 이른다. 아시아 여성의 63%는 하루에 적어도 한 번 인터넷과 서비스를 검색하며, 여성의 약 30%는 하루에 두 번 이상 탐색하다. 여 성 소비자의 80%가 일상용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한다(여성의 약 20%는 일상생활의 대 부분을 온라인으로 구매한다). 이처럼 여성 소비자는 다양한 이유로 온라인 쇼핑을 좋 아한다. 온라인 쇼핑은 저렴하고 선택의 폭이 넓으며 쇼핑 환경 접근이 더 쉽다. 또한 여성들은 자신의 일상용품뿐만 아니라 가정의 일상용품에 대한 구매 권한을 책임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에서 많은 여성 고객은 온라인 구매가 완료된 이후 상품 구매 에 대한 의견을 남긴다. 온라인 소비자 리뷰(온라인 구전 EWOM; electronic word of mouth)는 소비자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소비자의 의견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의견 을 수집하고 감정적 가치와 부정적인 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중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 여성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여성 소비자 감정의 부정적인 요인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이해하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고찰하였다. 둘째, 온라인 쇼핑 리뷰를 통한 여성 소비자 감정의 부정적인 요인 조사를 위하여 많은 데이터 웹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데이터 질의에 따르면(invespcro.com)4), 글로벌 온 라인 쇼핑 국가의 톱 10순위(2018년 아시아에서 1위는 중국이다) 이다. 셋째, 온라인 쇼핑 시장의 다양한 상품 중 설문조사를 통하여 표본 상품을 선정하였다. 선택 기준은 여성 관심도 순위를 대상 표본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의 감정 적 부정적인 요인을 겨냥하기 때문에 여성의 관심이 높은 제품을 선정하는 것이 연구 의 의의이다.
1) Megatrends, John Naisbitt, 1982 2)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 American, John Gray, 1993 3)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EIU) 2014 The Economist Group 4) https://www.invespcro.com/
27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넷째, 연구의 신뢰도 와 타당성을 위해 표본상품들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5) 기법을 통해 1년 동안 콘텐츠가 있는 소비자 리뷰를 수집하고 키워드 를 발굴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KJ 방법으로 분류(긍정적인 및 부정적인). 그런 다음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6) 방법 을 사용하여 부정적인 요인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프로세스 의 체계는 [그림 1] 과 같다. [그림 1] 연구 프로세스
2. 이론적 고찰
2.1.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는 선행 연구자들의 문헌을 통해 [표 1] 과 같이 찾아볼 수 있다.
2.2. 선행연구 방법론 고찰 선행연구는 “여성의 부정적인 감정 요인”을 키워드 RISS, KISS, DBpia 등 웹사이트 논문 검색하여 나타난 1000편 논문 중 관련도가 높은 여섯 편의 논문의 연구 방법은 [표 2]과 같다. [표 1]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 출처
부정적인 감정의 정의
Schwarz, Clore (1996)
부정적인 감정은 사람들의 정서적 태도 정보의 원천이다.
Eckman (1999)
부정적 감정에는 다음과 같은 8 가지 증상이 포함: 분노, 번뇌, 공포, 초려, 매듭, 무관심, 절망.
Pam (2013)
개인이 이벤트 나 사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쾌감이나 불행한 감정을 말다.
Zein, Wyatt, Grezes (2015)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해하도록 도와 줄 수 있다. 특히 부정적인 감정은 위협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어있다.
Shaver Phillip (2018)
“부정적인”것으로 정의되는 이유는 이러한 종류의 정서적 경험이 긍정적이지 않고 불편하며 심한 경우 일상 생활과 일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표 2] 관련 논문 고찰 연구주제
연구자
측정방법
한류(韓流) 제품의 여성 취향의 디자인 요소 분석
윤민희 (2010)
빅 데이터 분석 설문조사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백현미, 안중호, 데이터 마이닝 하상욱 오피니언 마이닝 (2011)
명품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임중식, 고인곤 연구: 제품속성과 (2015) 명품성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SPSS분석
신제품의 소비자 수용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상혁, 고종욱, 조성복 (2008)
설문조사 KJ방법
온라인 쇼핑 초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품유형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윤동기 (2012)
설문조사 빅 데이터 분석
가전제품의 제품 및 서비스 요인에서 사용자 구매요인 및 구매 만족에 관한 연구
최효선, 박근량, 반상우, 윤명환 (2008)
VOC자료 수집 인터뷰 AHP 기법
5) Lee, D., Jeong, O. R., and Lee, S. G. (2008). “Opinion Mining of Customer Feedback Data on the Web,”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pp. 230-235. 6) 백현미, 안중호, 하상욱.(2011).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76
Vol.2 No.1 February 2020
3. 연구 프로세스
본 연구는 중국의 주요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인기 있는 순위에 100개의 일상 제품 을 선별했다. 그리고 WJX.cn 설문 조사 플랫폼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에 참여한 여성 이 100 개의 제품 중에서 관심이 가장 높은 제품 10 개 중 하위 5 개 제품을 선택하 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여성들은(광동성, 산둥성, 허난성, 후베이성, 후난성, 지린성, 지앙쑤성, 광시성, 쓰촨성, 저장성, 허베이성, 톈진 성, 랴오닝성, 하이난성, 산시성, 섬 서성, 상해직할시, 내몽골성, 안후이성, 푸젠성, 구이저우성, 충칭직할시, 국외). 조사 된 505명의 여성 중에서, 20~30살 여성 160명(31.68%), 30~40살 여성 125명 (24.75%), 40~50살 여성105영 (20.7%), 50살 이상여성 115명 (22.77%). WJX.CN 설문 조사 플랫폼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505명의 여성 중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인 상위 제품 10 개 중 하위 5 개 제품: 전자레인지(90명 17.82%), 안경 (90명 17.82%), 청소기(85명 16.83%), 피부관리기(85명 16.83%), 칫솔(85명 16.83%). 연구 샘플을 결정한 후 다음은 중국에서 가장 영향도가 높은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선 정하였다. 이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온라인 쇼핑 시장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 므로 중국에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많아서 대표적인 절대적 플랫폼을 선택하기 위해 빅 데이터 웹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 질의(emarketer.com)7)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림 2] 2018년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판매 순위에서 Alibaba 플랫폼은 중국에서 총판 매량의 58.2 %를 차지하여 1위를 차지하다. 이 연구는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서 대상 제품에 대한 소비자 논평 연구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2018년 중국 온라인 쇼 핑 플랫폼 판매 순위에서 Alibaba 플랫폼은 중국에서 총판매량의 58.2 %를 차지하여 1위를 차지하다. 이 연구는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대상 제품에 대한 소비자 논평 연구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3.1. 전자레인지 온라인 쇼핑 리뷰 디자인 관련 핵심내용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Galanz, Midea, Haier. 다음으로, 세 가지 브랜드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 제품에 대 한 온라인 쇼핑 리뷰 분석이 수행됐었다. 총 581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7) eMarketer inc. https://www.emarketer.com/
27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 안경 온라인 쇼핑 리뷰 디자인 관련 핵심내용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Baodao Optical, Doctor, Meitelong. 총 699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3.3. 청소기 온라인 쇼핑 리뷰 디자인 관련 핵심내용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Midea, Haier, PHILIPS. 총 648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278
Vol.2 No.1 February 2020
3.4. 피부관리기 온라인 쇼핑 리뷰 디자인 관련 핵심내용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 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Notime, SKEEN, dearfere. 총 379 개의 리뷰가 수집되었다.
3.5. 칫솔 온라인 쇼핑 리뷰 디자인 관련 핵심내용 조사 Alibaba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검색한 후 인기가 높은 3개의 세탁기 브랜드는: Crest, Colgate, DARLIE. 총 395 개의 리뷰 이 수집되었다.
4. 현재 연구
상기 데이터를 수집한 후 SPSS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리뷰 내용을 집계하고, 이어서 분석 키워드 및 요인을 정량화하여 최종 가시화 결과를 도출한다.
진행 과정
27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Donald·A·Norman.(2003). Emotional Design. Lee, D., Jeong, O. R., and Lee, S. G.(2008). “Opinion Mining of Customer Feedback Data on the Web,”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pp. 230-235 John Gray.(1993).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 JohnNaisbitt.(1982). Megatrends. 윤민희.(2010). 한류(韓流) 제품의 여성 취향의 디자인 요소 분석. 백현미, 안중호, 하상욱.(2011).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 한 연구. 윤동기.(2012). 온라인 쇼핑 초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품유형의 조절적 역할 을 중심으로. 백현미, 안중호, 하상욱.(2011).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 한 연구.
280
Vol.2 No.1 February 2020
인터랙션 디자인에서는 인지갈등에 관한 선행연구 Preceding Research on the Cognitive Friction in Interaction Design
라황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세화(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uo, Huang Hua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im, Se Hwa(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인터랙션 디자인, 인지갈등, 사용자 Keyword
Interaction Design, Cognitive Friction, User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에서는 인지갈등에 관한 선행연구 1. 서론
기술의 발전과 같은 분야의 제품의 격렬한 경쟁에 따라 인터랙션 디자인의 발전에는 제품 형태를 고도로 중시하는 추세가 출현하게 되었으며, 신제품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 오면서 사용자의 선택 범위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경험 과정에서 기대에 부합하지 않거나 조작 실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해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관련 사례를 통해 이러한 문제의 발생 원인은 디자이너의 사용자 행위에 대한 이해하게 부족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디자이너와 사용자의 인 지에 뚜렷한 인지 차이가 존재해 사용자의 제품 사용 과정 중 인지 갈등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인터랙션 디자인 교류 중 사용자 연구 환절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인지갈등의 각도에서 인지갈등을 만들어 내는 세 가지 모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과 인지갈등 간의구체적인 관련성과 표현 형식을 탐구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중의 인지갈등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인 작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2. 인터랙션 디자인
인터랙션 디자인(IxD:Interaction Design)은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정확히는 어 떻게 사람들이 사용하는 제품·서비스와 연결되고, 그것을 통해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가 에 대한 것이다.1) 인터랙션 디자인은 현대 정보 시대에 새로운 디자인 추세이며, 여러 학문 분야와 관련 되어있다. 기술 측면에서는 정보구조학, 언어 프로그래밍, 컴퓨터 공학 등과 관련되며, 사용자 측면에서는 인류행위학, 심리학과 관련되고, 디자인 측면에서는 공업디자인, 인 터페이스 표현, 제품언어표현 등과 관련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중 디자이너는 제품의 형태를 제일 중요시하며, 표현행위는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Alan Cooper의 저서 <The Essentials of Interaction Design>에서는, 인터랙션 디 자인 원칙은 행동과 형태, 내용에 관한 보편 적용 법칙으로, 제품 행위가 사용자의 목 표와 수요를 지원할 수 있게 하며, 긍정적인사용자 경험을 만들어 낸다.2) 따라서 인터 랙션 디자인 중 사용자 행위 부분을 중시하고, 조작 갈등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기대하 는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이다. Alan Cooper는 디지털 제품의 디자인은 세 가지단계로 나뉜다고 주장한다. 제품의 요 소나 구조의 표현 모델(represented model), 사용자의 수용 가능한 예상 제품 경험의 멘탈 모델(mental model)과 사용자의 예상 제품 경험을 도달하기 위한 디자이너의 디 자인 과정인 실현 모델(implementation model)이다. 인터랙션 디자인의 우선적 목표 는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앞에 이론 연구와 결합해보면, 인터랙션 디자 인은 주로 사용자 수요에 대한 세분화를 진행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제품 차원, 개념 차원, 행위 차원 세 가지 방면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1) 인터랙션 디자인-NAVER 지식백과 2) Alan Cooper, <About Face 4: The Essentials of Interaction Desirn>, 倪卫国 译, 2015.10, p.141
282
Vol.2 No.1 February 2020
2.1. 제품 차원 제품 자체의 디자인 각도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을 분석한다. 인터랙션 디자인은 우선 사 용자, 상황, 목표, 다양한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에서의 다양한 임무 목표는 다양한 임무 과정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과정과 정보 구조, 페이지 원형 등을 분석하면 제품 의 감춰진 통점을 찾아낼 수 있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제품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다.
2.2. 개념 차원 개념 측면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을 더욱 잘 사용하고 사용자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돕는 것이며, 전체 사용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복잡한 조작 인터페이스라고 하더라도 초급 사용자가 빠르게 사용할 수 있고, 우수한 인지 속성을 보유하고 있어 사용자가 고민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빠르게 사용자의 목표 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잡한 인터랙션인터페이스를 조작할 때 오류가 발 생한다고 하더라도 제품은 합리적인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오류 재발생률을 낮추며, 이 를 통해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2.3. 행위 차원 인터랙션 디자인은 넓은 의미에서 디자이너와 물체(제품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 사람 과 사람의 상호작용, 사람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말하고, 좁은 의미에서는 사람과 물체 의 상호작용을 말한다. 사용자의 제품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시의 상호 행위를 파악하 고, 디자이너는 제품 행위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할지를 결정한다. 핸드폰 app의 안내 페이지와 신기능 도움말 등이 그 예이다. 이런 유형의 인터랙션 디자인은 모두 제품 인 터페이스의 행위를 디자인하여 사용자의 행위에 영향을 주며, 최종적으로 더욱 훌륭한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림 1] 인터랙션 디자인의 세 가지 차원
인터랙션 디자인 영역의 사용자 수요와 행위 방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에 따라 인터 페이스 디자인도 사용자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풍부하고 다양한 형식이 등장하였다. 사용자의 하나의 수요에 대해 디자이너마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활용하는 디자인이념 과 디자인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Android와 iOS 두 개의 조작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과 레이아웃 표현 방식을 구현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그러나 디자인마다 실제 응용 효과는 판이하다. 사용자 중심으로 디자인되어 있 는 것처럼 보이는 디자인이 반대로 혼란스러운 경우가 있고(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관적
28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으로 관련 이미지, 버튼을 찾을 수가 없거나 알림 정보 등의 구체적인 의미와 조작 방 식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 결국 사용 효율에 영향을 주어 사용자 조작 과정의 흐름을 단절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인터랙션 디자인에 자주 등장하는 문제인데, 제품 인터페이스의 행위 디자인이 불명확해 사용자의 행위에 영향을 주게 되면서 사용자와 제품 간에 충돌이 빚어지는 것이다. [표 1] Android 및 iOS 시스템 인터페이스 사례 기능 인터페이스
전화 다이얼 인터페이스
계산기 인터페이스
화면 비교
Android (하프스크린식)
3. 인지갈등 (Cognitive Friction)
iOS (풀스크린)
Android (다용도)
iOS (기본 기능도)
3.1. 인지갈등 개념 인지갈등의 영문은 ‘Cognitive Friction’으로, 미국 디자이너 Alan Cooper가 1999년 초 제시한 개념이다. 그는 공업제품과 소프트웨어 개발 디자인에서 인간의 지능이 문제 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복잡한 시스템 규칙과 맞닥뜨릴 때 발생하는 저항을 인지 갈 등이라고 하였다.3) 교육 분야에서는 ‘인지부조화’이라고 일컬어지며, 어떤 사람이 기존 의 신념이나 관념과 모순되는 새로운 정보를 마주했을 때 발생하는 정신적부조화를 가 리킨다.4) 기계 위주의 공업 시대에서 제품 구조가 집중되고 획일화되면서 그 조작 결과는 쉽게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제품 사용 과정에서의 인지 갈등 부작용이 출현 하는 경우는 비교적 적다. 그러나 정보 기술과 여러 디자인 이념, 디자인 요소와 다양 화로 인해소위 ‘최첨단 과학기술 제품’의 경우 사용자는 조작에 어려움을 느낀다. 미국 디자이너 Nelson은 새로운 사용자는 10분 안에 새로운 제품 시스템 사용 방법을 학습 해야 하며, 이 시간 안에 학습하지 못할 경우 그 제품은 실패한 제품이라고 주장한다.5) 요컨대, 인터랙션 디자인 분야에서 인지 갈등은 디자이너와 사용자 간의 인지 차이로 인해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자이너의 의도를 알아차리지 못해 조작 과정에서 3) Alan Cooper. The Inmates Are Running the Asylum 著.Chris Ding 译. 交互设计之路——让高科技产品回归人 性. [M].北京:电子工业出版社. 2006.6.pp.18—27 4) https://evidenceintopractice.wordpress.com/2014/06/20/conflicted-about-cognitive-conflict/,2014.06 5) Jennifer Preece, Yvonne Rogers, Helen Sharp,著. 刘晓晖.张景等译. 交互设计—超越人机交互.【M】北京:电子工业 出版社. 2003.6, p.12
284
Vol.2 No.1 February 2020
어려움을 겪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태그나 가이드가 불분명하거나 조작 피드백의 불명확, 느린 반응속도 등의 문제로 사용자가 예상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을 말한다.
3.2. 인지갈등을 일으키는 세 가지 모델 저서 <인터랙션 디자인의 본질(交互设计精髓)>에서작가는 디자이너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바로 표현 모델과 사용자 멘탈 모델 사이의 격차를 최대한 좁히는 것이라고 말한다.6) 그중 실현 모델은 제품이 어떻게 작동하는 것인지를 기술하며, 멘탈 모델은 제품의 작 업 완수방식과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말하며, 표현 모델은 디자이너가 시각 화 방식으로 제품 기능이나 소프트웨어 운영 메커니즘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방식을 가리킨다. 표현 모델이 사용자의 멘탈 모델과 근접할 때 사용자는 제품 인터페이스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사용자와 제품 인터페이스 간에 인지갈등이 쉽 게 발생한다.
[그림 2] 세 가지 모델의 관계(Cooper & Remann, 2003)
인간과 기계의 인터랙션 시스템에서는 많은 정보가 제한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드러 나야 한다. 정보의 범람은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 를 신속하게 가려낼 수 없게 하며,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사용 과정에서 정서적인 공감 을 느낄 수 없게 되고, 사용자 경험 수준이 하락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가리켜 인터 랙션 디자인 중에서의 ‘인지 갈등’이라고 하는 것이다.
4. IxD에서의 인지결등의 표현사례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4.1. 제품 측면 제품 자체의 설계에서 출발점으로 모바일 상호작용 된 정보 아키텍처 또는 임무 프로 세스에서 나타나는 인지갈등의 디자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타오바오(淘宝) 앱이 프로모션 동안에서 앱을 열면 홈페이지에 나타나는 광고 팝업 창 (pop-up)은 닫기 아이콘을 클릭한 후 다음에 앱을 다시 사용할 때도 여전히 나타나고, 이는 이미 정보를 알고 있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조작 절차는 번거로운 것이다.
중심으로) 6) Alan Cooper, <About Face 4: The Essentials of Interaction Desirn>, 倪卫国 译, 2015.10, pp.14-17
28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어떤 앱은 사용하다가 갑자기 등록을 해야 다음을 할 수 있다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그 러나 등록 기능은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임무가 아니다. 사용자는 원래 다 음 모듈로 가고 싶었고 자세한 내용을 배울 수 있다. 그러나 등록된 기능 인터페이스가 나타나니까 이러한 조작 절차는 사용자의 본능적 인지와 모순이 생기면 사용자가 심리 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4.2. 개념 측면 복잡한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초급 사용자는 빠르게 사용할 수 있고, 좋은 인지 속성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 과정에서의 방해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 SNS 시장에서 대표적인 앱 — 위챗(Wecaht)이다. 朋友圈를 보낼 때 ‘카메라’ 버튼을 클릭하거나 길게 누르면 다른 결과가 발생하는데, 이미지를 추가하고 문자를 편집한 경우, 길게 누르는 것은 발표 문자일 뿐이고, 조작 방식의 다양성과 불 명확성으로 초급 사용자가 고민하고 있다. iPhone의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자면, 인터페이스에서 모든 아이콘, 문자, 버튼이 조작 후에 변하는 것은 제품 계면의 접점에 해당한다. ‘편집’ 아이콘이 알람 수 정과 삭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두 가지 의미는 사용자가 알람을 수정하고자 할 때 약간 의 당혹감을 느끼게 되므로, 이로 인해 인지갈등이 생기게 되면 인지갈등 점은 ‘편집’ 아이콘을 표현된 다른 의미이다.
4.3. 행위 측면 사용자가 조작 과정에서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 작용 하는 행위 표현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의 홈 버튼은 한 번 누르면 홈 페이지로 돌아가고, 두 번 누르면 화면 위쪽의 항목을 가능한 범위까지 끌어올릴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랙션 방식은 조작 실 수 현상을 일으키기 쉽다. iPhone 시스템에 있는 G메일 앱에서는 계정 관리 인터페이스의 컨트롤을 클릭하면 메 뉴 바가 화면 왼쪽에서 나타나고, 하지만 메뉴 번들의 옵션을 클릭하면 위에서 아래로 인터페이스를 나타난다. 조작 과정에서 다양한 계면 행위 방식이 나타나면, 복잡한 정 보 전환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286
Vol.2 No.1 February 2020
차원
제품 층면
개념 층면
행위 층면
표현사례
5. 결어
본문에서는 우선 인터랙션 디자인과 인지갈등의 개념을 정리한다. 인지갈등을 일으키 는 세 가지 모델의 연구를 통해 인터랙션 디자인과 인지갈등 사이의 구체적인 관련성 과 표현 형식을 탐구하고 스마트폰이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인지갈등이 존재하는 사례를 열거한다.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인지갈등의 표현 사례의 분석을 통해 분류한다. 다음에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인지갈등을 일으키는 형성 원인 요소를 제시하여 이후의 인터랙션 디자인 에 대한 참조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Alan Cooper, 『About Face 4: The Essentials of Interaction Desirn』, 倪卫国 译, p.141, 2015.10 Alan Cooper. 『The Inmates Are Running the Asylum』 著.Chris Ding 译. 『交互 设计之路——让高科技产品回归人性』. [M]. 北京:电子工业出版社, pp.18—27, 2006.6 Jennifer Preece, Yvonne Rogers, Helen Sharp, 著. 刘晓晖.张景等译. 『交互设计 —超越人机交互』. [M]. 北京:电子工业出版社, p.12, 2003.6 인터랙션 디자인-NAVER 지식백과 https://evidenceintopractice.wordpress.com/2014/06/20/conflicted-about-co gnitive-conflict/,2014.06
28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제품의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효용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xclusion Calculation for the Product Inclusive Design
장지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ang, Ji F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Exclusion Calculation, 효용성 분석, 포용적 디자인 Keyword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
Exclusion Calculation, Effectiveness Analysis,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Inclusive design
Vol.2 No.1 February 2020
제품의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효용성 연구 1. 서론
포용적 디자인의 관점은 디자인을 통해 제품이 가능한 많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 포용적 디자인 개념의 배경에서 제품의 포용성을 정량적 분석하 기 위해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이 제시되었다. 사용자의 신체 기능 측면에 서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이를 사용할 수 없는 인구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제품의 포용성을 대표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디자이너가 포용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제품을 개 선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연구자 J.Goodman-Deane은 Exclusion Calculation이 제품의 포용성과 사용성 평 가를 위한 방법으로서 이 평가 방법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고 제안했다.2) 다른 의학 분야의 평가 방법보다 Exclusion Calculation에 있는 각 평가 척도의 기준 이 상황 묘사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더 직관적이다. 그러나 각 척도에서 보이는 신체 기능 정도의 차이성은 식별하기 어렵고 평가자가 평가할 때의 판단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표 1] 세부연구목적과 내용 세부연구목적
세부의 연구내용
평가 결과의 유용성
Exclusion Calculation을 사용하여 전기다리미 각 사용과정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하고 각 Exclusion 비율을 획득하고 제품의 어떤 사용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평가 결과의 정확성 전기다리미의 사용성 평가 결과를 통해 11명 평가자 간의 평가 결과의 이산정도를 분석했다. 평가 항목의 직관성 Exclusion Calculation에서 각 평가 항목의 판단 난이도를 분석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의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Exclusion Calculation의 효용 성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며, 주로 평가 결과의 유용성, 평가 결과의 정확성과 평가 항목의 직관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도록 하였다. 세부연구목적과 내용은 [표 1] 과 같다. 본 연구는 먼저 Exclusion Calculation의 개념 소개, 평가 범위와 상세평가 항목, 그리고 방법의 사용 대상과 사용 방식을 설명한다. Exclusion Calculation 방법 의 효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기다리미를 평가 대상으로 Exclusion Calculation 적용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절차는 [그림 1]처럼 나타났다.
1) Taesun Kim,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Design and Its Meaning in the Future Society』, Archives of Design, 2015, p.144 2) J Goodman-Deane, J Ward, I Hosking & J Clarkson 『A comparison of methods currently used in inclusive design』, Applied ergonomics, 2014, p.886 3) 김태선, 조재경, 「포용적 디자인 관점의 신체생활기능 분류‧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신체기능 분류‧평가
28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그림 1] 연구 절차
2.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
2.1. 포용적 디자인의 개념 스위스 연구자 Maria Benktzon은 1993년에 [그림 2] 와 같이 사용자 피라미드(The user pyramid)를 제안 했다. 사용자 피라미드는 신체장애나 손상 정도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한다.
사용자
피라미드에
기초하여
Maria Benktzon은 사례를 통해 최상위 사용자의 니즈 를 만족시키는 제품도 하위 사용자의 니즈를 더 잘 만 족시킬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4) 2000년 영국 연구자 Simeon Keates 등은 논문에서 제시한 포용적 디자인 큐브(Inclusive Design Cube)를 통해 사용자 감지
[그림 2] Maria Benktzon제시한 사용자 피라미드
(Sensory), 인지(Cognitive) 및 행동(Motivation) 세 가지 차원의 능력 정도와 그에 관련한 인구 규모를 표현하였다.5)
2004년 영국표준연구소(British
Standards
Institute)는 포용적 디자인을 전문적이고 특별한 디자인을 필요 하지 않으나 주류 제 품을 최대 가능한 많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방법과 과정으로 정의하였다.6) 마이크로소프트는 <Inclusive Toolkit Manual>에서 장애의 상황은 영 구적 장애(Permanent disability), 일시적 장애(Temporary disability) 및 조건적 장 애(Situational disability, 외부원인으로 인한 장애)로 분류되고 설명되었다. 장애의 세 가지 종류에 근거하여 영구적인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해 디자인된 제품 또는 서 비스는 일시적 또는 조건적인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게도 혜택을 줄 수 있다.7) 앞 내용에서 기술된 포용적 디자인 개념을 종합하면 포용적 디자인은 사용자의 신체 기능의 다양성과 주류 제품의 사용성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다. 포용적 디자인의 목적은 디자인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제외되는 목표 사용자 그룹을 줄이고 주류 제품이 가 능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제품의 포용성 높인 것이다. 이에 따라 포용적 디자인의 접근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4) MariaBenktzon, 『Designing for our future selves: the Swedish experience』, Applied Ergonomics, Volume 24, Issue 1, 1993, p.20 5) Simeon Keates, P. John Clarkson, Lee-Anne Harrison & Peter Robinson, 『Towards a practical inclusive design approach』, Proceedings on the 2000 conference on Universal Usability, 2000, p.47 6) 『BSI BS7000 Part 6: Design Management Systems – Guide to managing inclusive design (latest draft)』. British Standards Institute, London, UK, 2004. 7) https://www.microsoft.com/design/inclusive/
290
Vol.2 No.1 February 2020
2.2. Exclusion Calculation의 소개
[그림 3] 인간공학에서 제시된 능력-요구 이론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은 케임브리지 대학 엔지니어링 설계 센터의 교수인 Simon Keates와 P. John Clarkson에게 제안되었다. [그림 3]과 같이 인간공학에서 제시된 능력-요구이론(Capability-demand theory)에서 사용자의 감지, 인지와 행동 세 가지 측면의 신체 기능과 제품의 물리적 특징 사이의 상호작용을 묘사한다.8) 능력-요구이론에 기초하여, Exclusion Calculation은 사용자 신체 기능의 관점에서 제품 사용성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 법은 영국의 DFS(Disability Follow-up Survey 1996/97) 데이터베이스를 기초하여 제품사용에서의 인구측면의 Exclusion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9) 제품의 Exclusion비율 이란 제품이 사용되기 가능한 최대 인구수량을 알기 위해 Exclusion Calculation 웹 사이트 버전을 이용해서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인구 비율을 계산하고 추정하는 것이다.
2.3. Exclusion Calculation의 사용대상 및 평가과정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은 디자이너를 사용 대상으로 하여 기존 제품 또는 개념 제안의 포용성을 평가함으로써 디자이너에게 제품 사용성의 부족과 제품 개선의 방향을 판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10) 제품의 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사용 과정과 평 가 척도는 [그림 4]와 같다.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항목별의 평가척도에 0부터 12까지의 평점과 12이상으로 구분되고 있다. 평가척도에서의 평점은 제품 사용의 난이 도를 대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성 평가 수치로 이해할 수 있다. Exclusion Calculation의 웹 페이지에서 평가 항목별의 척도위의 평점을 선정한 후에 제품의 포 용성을 대표한 Exclusion 비율을 바로 산출할 수 있다. 평가 척도의 0점은 제품 사용 때 해당 신체 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 등급이 높을수록 사용자에 대한 능력 요구가 높음을 나타낸다. 사용성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의 난도가 높아진다. 포용성의 관점에서 보면, 이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그룹이나 제외된 잠재한 사용자의 수가 최대 가능한 사용자 총량에 차지하는 비율은 증대한다. 이와 같 이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도 [그림 5]와 같이 이 원리에 기반으로 Exclusion 비율을 산출한다.11) 또한 평가자가 각각의 평가항목을 더 쉽게 이해하고
8) U Persad, P Langdon & P. John Clarkson, 『Characterising user capabilities to support inclusive design evaluation』,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2007, p.121 9) http://calc.inclusivedesigntoolkit.com/ 10) Joy Goodman-Deane, Sam D. Waller, Elaine Yolande Williams, Pat M. Langdon & P. John Clarkson, 『Estimating exclusion: a tool to help designers』, Proceedings of Include 2011, Royal College of Art, 2011 11) Umesh Persad, Pat Langdon & P. John Clarkson, 『Inclusive Design Evaluation and the Capability-demand Relationship』, Designing Accessible Technology, 2006. p.7
29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가척도의 4점, 8점 및 12점에서 모두 일상생활에서의 행위에 관한 축약도과 해당 묘사적인 문자를 두고 있다.
[그림 4] Exclusion Calculation의 평가과정 (상세한 내용은 calc.inclusivedesigntoolkit.com에서 볼 수 있다.)
[그림 5] Exclusion 비율의 산출 원리
2.4. Exclusion Calculation의 평가범위 및 세부항목 Exclusion Calculation의 평가범위는 시력(Vision) 및 청력(Hearing), 인지적 능력 (Thinking), 손부의 기능(Reach & Dexterity), 행동 능력(Mobility)이 포함된다.12) 이 평가범위 안에는 상세한 평가 항목은 14개 있다. 평가의 상세항목은 평가범위의 각 범위에서 사용자의 신체 기능과 관련된 상세 평가 항목이다. 시력 측면에서 Exclusion Calculation은 제품 사용이 사용자의 시력에 대 한 요구 정도를 평가할 때 제품 사용 시 읽을 수 있는 글꼴 크기를 보고 판단한다. 그 렇지만 문자나 아이콘 외에도 제품의 미세구조는 사용자 시력에 높은 요구사항을 가지 며 제품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의해 케임브리지 대학 엔지니어링 디자인 센터에 서 시력의 모호한 정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종이안경을 개발했다.13) 개발된 안경 을 착용함으로써 시력이 정상인 연구원들도 시각적 모호함이 있을 때 제품을 사용할 가능성을 직접 테스트할 수 있다. 동시에 Exclusion Calculation 방법에 맞춰 연구원 은 제품 사용 프로세스가 사용자의 시력에 얼마나 요구되는지 평가할 수 있다. 시력 관 련 평가 항목의 두 가지 평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청력 측면에서는 제품의 서로 다른 소음 배경에서의 사용 가능성에 따라 사용자 청력에 대한 제품의 요구 정도 를 평가한다. 정신적 능력 측면에서 평가의 세부사항은 주의력 집중(Concentration), 장시간 기억(Long-term memory), 언어를 읽어서 이해 능력(Literacy), 언어청취 및
12) http://calc.inclusivedesigntoolkit.com/ 13) http://www.inclusivedesigntoolkit.com/csg/csg.html
292
Vol.2 No.1 February 2020
이해(Speech comprehension), 그리고 언어표현을 포함한다. 손의 능력 측면에서 평 가 세부사항은 물건을 리프팅의 힘(Lifting strength), 손가락 정교적인 작업 (Dexterity), 손을 앞으로 내밀기와 위로 뻗어서 닿기(Reaching forward and up), 그리고 손을 아래로 뻗어서 닿기(Reaching down)를 포함한다. 행동 능력 측면에서 평가의 세부 항목에는 보행 능력(Walking), 계단을 타는 능력(Stair climbing), 그리 고 직립과 평행 능력(Standing and balancing)이 포함된다. Exclusion Calculation 의 평가 범위 및 신체 기능과 관련된 평가 항목이 요약되고 [표 2]에 정리되며 각 평가 항목에 대해 번호가 매겨진다. [표 2] Exclusion Calculation의 상세평가항목 평가범위
시력
E1. 시각적 상세항목 식별
3. Exclusion
청력
인지적 능력
손부의 능력
하지 행동 능력
E2. 말이나 소리에 대한 각의 예민함
E3. 주의력 집중 E4. 장시간 기억 E5. 언어를 읽어서 이해 E6. 언어청취 및 이해 E7. 언어적 표현
E8. 물건을 리프팅의 힘 E9. 손가락 정교적인 작업 E10. 손을 앞으로 내밀기와 위로 뻗어서 닿기 E11. 손을 아래로 뻗어서 닿기
E12. 보행 E13. 계단타기 E14. 직립과 평행
본 실험 연구는 Exclusion Calculation 방법이 제품평가에서의 효용성을 검토하고 평 가하기 위해 전기다리미를 실험에서 평가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전기다리미를 선택한
Calculation의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째, 전기다리미가 집집마다에게 소유되고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
적용 실험 및
는 전자제품이다. 둘째, 전기다리미 사용과정은 사용자의 각 측면의 신체기능과 충분한
효용성 연구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전기다리미는 사용과정의 복잡성이 높지 않으나, 다른 제 품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조작 부품을 가지고 있어 연구의 효율성에 도움이 되다. 또 한 전기다리미 브랜드 중에서도 PHILIPS는 글로벌 전기다리미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 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Exclusion Calculation의 적용 실험 연구어서는 PHILIPS의 기본형 모델(모델명:GC2148) 전기다리미가 실험 대상으로서 선택되었다.
3.1. 실험 계획 [표 3] 11명 평가자의 세부 정보 구분
성별
연령
시험 방식
시험 시간
비고
S1
여
32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2
남
29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3
여
24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4
여
29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5
여
28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6
남
28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7
여
27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8
남
28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9
여
27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10
여
31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S11
남
34
현장 실험
45 min
신체이상 없음
번호
29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Exclusion Calculation의 적용 실험을 실행하기 전에는 평가자 성인 남녀 11명이 Exclusion Calculation 방법을 사용하여 전기다리미가 사용되는 각 세부과정에 대해 제품 사용성을 평가할 계획했다. 실험에서 평가자 11명의 세부 정보는 [표 3]과 같다. 이에 따라 실험이 진행되기 전에 전기다리미의 사용과정을 미리 살펴보고 실험에서 평 가되어야 할 사용과정을 정리하여 설정하기가 필요하다.
3.1.1. 평가할 사용 과정 설정 제품의 사용은 사용자의 능력에 대한 요구가 제품사용 때의 접점(Touch point)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기다리미 사용 때의 해당 조작 부품에 대해 [표 4]에서 간략하게 나열하고 설명했다. [표 4] 전기다리미의 조작부품 부품
뚜껑
스팀 조절 버튼
물 분사 버튼
전기다리미 스팀 조절 버튼을 물 분사 버튼을 주수구의 뚜껑은 통해 증기 누르면 옆의 질감과 배출량을 전기다리미 부품 다르다. 뚜껑 조절한다. 버튼 앞쪽에 물을 설명 근처에 수면 옆에 문자와 분사한다. 높이를 제한하는 기호가 표시되어 버튼위에 기호가 MAX 마크가 있다. 표시되어 있다. 있다.
스팀 방출 버튼
스팀 방출 버튼을 누르면 전기다리미 밑에 패널에서 증기가 방출된다. 버튼위에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다이얼
전선
다이얼을 돌리고 다림질 모드를 선택하는 동시에 밑 패널의 온도를 수납 때 설정한다. 전기다리미의 다이얼위에 밑받침에 전선을 문자와 기호가 감을 있다. 표시되어 있다. 다이얼 옆에 지시 화살표 있다.
그림 예시
관찰된 전기다리미의 사용과정은 주로 [그림 6]과 같이 네 가지 단계로 나뉘는데, a)다 리미질 전, b)수평으로 다리미질, c)수직으로 다리미질, d)다리미질 후의 단계를 포함한 다. 사용단계a)에서는 사용자가 스팀 조절 버튼이 ‘증기 없음’ 표시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다리미안에 물을 부면서 수평면이 MAX선을 넘지 않도록 주의한다. 옷을 수평으로 다림질이나 수직으로 다림질 모두 옷을 다림질하는 과정이지만 두 가지 다림 질 방식은 사용 행위가 구별을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단계로 구분되었다. 사용단계b)와 c)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켠 후에 다림질될 옷 재질에 따라 다이얼을 돌려서 다림질 모 드를 선택한다. 증기 기능을 사용할 때 증기 조절 버튼의 위치를 설정하여 증기 배출량 을 조절한다. 스팀 방출 버튼이나 물 분사 버튼을 누른 사용행위도 있다. 사용단계b)와 달리 사용단계c)의 다리미질 과정은 전기다리미를 리프팅 같은 행위가 더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난다. 사용단계d)에서 다이얼을 처음 모드로 돌리고 전원을 꺼서 전기다리미 안 에 남아 있는 물을 버린다. 마지막으로, 전선을 다리미 밑받침에 감아서 전기다리미 수 납한다. 위의 여러 가지 조작 행위에 따라 전기다리미의 세부 사용 과정을 순으로 배열 하고 각 평가할 사용 과정에 번호를 매긴다.
294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6] 전기다리미의 세부 사용 과정
3.1.2. 평가 방식 설정 앞 내용에서 정리한 전기다리미 세부사용과정과 같이 평가될 사용과정은 a1~a4, b1~b6, c1~c4, d1~d6 총 20개에 이른 다. 각각의 사용 과정에 대한 평가는 Exclusion Calculation 의 신체 기능에 관한 14가지 평가 항목에 따른다. 전반적으로 개괄하면 평가자 11명이 Exclusion Calculation에 있는 14 개 평가 항목에 따라 전기다리미가 사용되는 20개 과정을 평 가했는데, 이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 평가 데이터의 삼차원
3.2. 실험과정 실험 계획에 따라 실험이 시작되기 전에 7분을 걸려 11명 평가자에게 실험의 목적과 절차,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했다. 이 설명된 사항에서는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에 대한 소개와 그것의 평가 항목도 포함한다. 실험에서는 평가자 11명이 현장에 서 전기다리미 사용을 직접 경험하는 동시에 실험 계획에 설정된 사용 과정에 따라 전 기다리미의 사용성을 평가했다. 실험 과정에서 평가자들이 나누어져서 독립적으로 제 품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평가자가 서로 평가결과에 영향하는 것은 피하였다. 전기다리 미의 사용성 평가가 끝난 후에 평가자 11명이 각각 Exclusion Calculation의 각 평가 항목에 대한 판단 난이정도를 평점으로 제시했다. 실험과정은 [표 5]와 같다. [표 5] 실험과정 실험 절차
실험 설명
전기다리미 대상으로 제품 사용성 평가
평가 항목에 대한 판단 난이도 평점
시간
7 min
28 min
10 min
그림 예시
29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3. 실험결과 3.3.1. 평가 결과의 유용성 분석 이 연구내용 부분은 각 세부 사용 과정에 대한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표 6]은 작성되 었다. [표 6]의 왼쪽 세로줄에는 [그림 6]에 설정된 각 사용 과정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표 6]의 위쪽 가로줄에는 [표 2]에서 Exclusion Calculation 제시한 14개 평가 항목 이다. [그림 7]에 따라 세부 사용성 평가에는 각 평가마다 평가자 11명의 평가 수 치가 있기 때문에 [표 6]에서는 평가 수치의 최대 빈도 값을 최종 사용성 평가 결과로 삼았다. [그림 4]의 평가 과정과 같이 (웹 페이지 버전의) Exclusion Calculation 제 시한 각 평가 항목을 통해 각 사용 과정의 Exclusion 비율이 계산되고 사용성 평가 수 치 옆에 있는 괄호 안에 표시되고 있다. 또한 [표 6]의 오른쪽 세로줄에는 각 사용과정 과 사용단계, 전체 과정에 대한 종합 Exclusion 비율을 나타낸다. 종합 Exclusion 비 율도 [그림 4]의 평가 과정을 비슷하여 (웹 페이지 버전의) Exclusion Calculation제 시한 14개 평가항목을 다 평가하여 도출하는 것이다. 네 가지 주요 사용 단계 a, b, c 및 d밑의 세부 사용성 평가 최대값은 각각 단계별 사 용성 평가 결과로서 선정되고 어두운 가로줄에서도 기록되었다. 예를 들어, 다리미질 전이란 a)사용단계에서 시력에 관한 평가항목(E1)을 진행할 때 증기량을 조절하는 과정 a1의 세부 사용성 평가 수치가 가장 높고, 즉 사용 과정a1은 사용자의 시력에 대해 요 구가 제일 높다. Exclusion Calculation의 사용 목적에 기초하여 평가 항목E1을 진행 하는 동안 사용 과정a1의 사용성 평가 결과는 a)단계의 사용성 평가 결과를 대표한다. 앞 내용과 같은 방식으로 [표 6]의 마지막 칸에서 도출된 전체 과정의 사용성 평가 결 과를 보면 전기다리미 사용할 때는 사용자의 시력(E1), 주의력(E3), 기억력(E4)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전체적 Exclusion 비율이 9.1%인 것도 볼 수 있다. [표 6] 전기다리미에 대한 평가 결과 Exclusion Calculation 제시한 평가항목
296
사용 과정
E1
E2
E3
E4
사용성 평가 수치의 최대빈도 값(Exclusion비율)
E5
E6 E7
E8
E9
E10
Exclusion E11 E12 E13 E14 종합 비율
a
12 (3.5%)
0
4 (1.2%) 12 (1.5%) 4 (0.2%)
0
0 8 (2.4%) 4 (1.5%) 4 (1.1%)
0
0
0
0
7%
a1
12 (3.5%)
0
1 (0.3%) 12 (1.5%) 4 (0.2%)
0
0 8 (2.4%) 4 (1.5%)
0
0
0
0
0
6.3%
a2
1 (0.2%)
0
1 (0.3%)
0
0
0
0 4 (1.1%) 4 (1.5%)
0
0
0
0
0
2.1%
a3
2 (0.4%)
0
4 (1.2%)
0
0
0
0 8 (2.4%) 1 (0.4%) 4 (1.1%)
0
0
0
0
4%
a4
0
0
1 (0.3%)
0
0
0
0 2 (0.5%) 4 (1.5%)
0
0
0
0
2.9%
0
b
12 (3.5%) 6 (1.4%) 12 (3.6%) 12 (1.5%) 4 (0.2%)
0
0 6 (1.7%) 5 (1.9%) 5 (1.4%)
0
0
0
0
8.8%
b1
1 (0.2%) 1 (0.2%)
0
0 4 (1.1%)
0
0
0
0
2.1%
b2
12 (3.5%) 4 (0.9%) 12 (3.6%) 11 (1.3%) 4 (0.2%)
0
0 4 (1.1%) 5 (1.9%)
0
0
0
0
6.2%
b3
8 (0.9%) 6 (1.4%) 4 (1.2%) 12 (1.5%) 4 (0.2%)
0
0 5 (1.4%) 4 (1.5%) 5 (1.4%)
0
0
0
0
5.8%
b4
4 (0.7%) 1 (0.2%) 3 (0.9%) 6 (0.7%) 4 (0.2%)
0
0 2 (0.5%) 1 (0.4%)
0
0
0
0
0
2.4%
b5
4 (0.7%)
0
2 (0.6%) 4 (0.5%) 4 (0.2%)
0
0 2 (0.5%) 1 (0.4%)
0
0
0
0
0
2%
b6
3 (0.6%)
0
4 (1.2%)
0
0 6 (1.7%)
4 (1.1%)
0
0
0
0
3.6%
c
12 (3.5%) 4 (0.9%) 10 (3%) 12 (1.5%) 5 (0.3%)
0
0 8 (2.4%) 6 (2.4%) 4 (1.1%)
0
0
0
0
8.6%
c1
12 (3.5%) 4 (0.9%) 10 (3%) 12 (1.5%) 4 (0.2%)
0
0 4 (1.1%) 4 (1.5%) 4 (1.1%)
0
0
0
0
7.9%
c2
5 (0.8%) 4 (0.9%) 6 (1.8%) 5 (0.6%) 4 (0.2%)
0
0 5 (1.4%) 4 (1.5%)
0
0
0
0
0
4.8%
c3
4 (0.7%)
0
8 (2.4%)
0
5 (0.3%)
0
0 2 (0.5%) 1 (0.4%)
0
0
0
0
0
3.6%
c4
0
0
6 (1.8%)
0
0
0
0 8 (2.4%) 6 (2.4%)
0
0
0
0
0
4.4%
0
0
0
0
0
0
0
4 (1.1%) 0
Vol.2 No.1 February 2020
Exclusion Calculation 제시한 평가항목 사용 과정
E1
E2
E3
E4
사용성 평가 수치의 최대빈도 값(Exclusion비율)
E5
E6 E7
E8
E9
E10
Exclusion E11 E12 E13 E14 종합 비율
d
4 (0.7%) 4 (0.9%) 4 (1.2%) 2 (0.2%) 4 (0.2%)
0
0 4 (1.1%) 4 (1.5%) 4 (1.1%)
d1
3 (0.6%) 4 (0.9%) 4 (1.2%) 1 (0.1%) 4 (0.2%)
0
0 4 (1.1%) 4 (1.5%) 4 (1.1%)
0
0
0
0
4.4%
0
0 1 (0.3%)
0
0
0
0
3.9%
d2
0
0
2 (0.6%)
0
0
0
d3
0
0
2 (0.6%)
0
0
0
0 1 (0.3%) 1 (0.4%)
d4
2 (0.4%)
0
1 (0.3%)
0
0
0
0 1 (0.3%)
4 (1.1%)
0
0
0
0
5.4%
0
0
0
0
0
0.9%
0
4 (1.1%)
0
0
0
0
1.8%
0
d5
0
0
1 (0.3%) 2 (0.2%)
0
0
0
0
3 (1.1%)
0
0
0
0
1.8%
d6
4 (0.7%)
0
2 (0.6%)
0
0
0
0
3 (1.1%) 4 (1.1%)
0
0
0
0
2.6%
0
0 8 (2.4%) 6 (2.4%) 5 (1.4%)
0
0
0
0
9.1%
0
전체 과정 12 (3.5%) 6 (1.4%) 12 (3.6%) 12 (1.5%) 5 (0.3%)
사용성 평가결과와 Exclusion 비율을 참고하여 제품의 사용성 문제를 발견하고 제품 개선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과정(c1)에는 7.9%의 Exclusion 비율이 있고 제품사용은 사용자에 대한 시력(E1), 주의력(E3)과 기억력(E4) 요구가 높다. 사용 과정c1에서 일반인들에게 다이얼의 글자 크기는 물론 다이얼을 정확한 위치로 조절하 는 것도 간단하다. 그러나 Exclusion Calculation방법을 이용하여 3.5%와 3%의 인구 비율이 각각 시각 장애와 주의력 장애로 인해 제품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다이얼을 조절할 때 사용자는 다림질된 옷이 어떤 온도 모드를 사용하는지 알아야 하는 것이 사 용자의 기억력에 대해 높은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일반 사용자라도 이 사용 세부사항을 간과하기로 인해 옷을 다림질하는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다. 평가 결과를 통해서 아래 [표 7]에서 주요한 사용성 문제가 추출되어서 나열되었다. [표 7] 사용성 문제 세부 사용 과정 세부 사용 과정-평가 항목 구분 순번 (Exclusion 종합비율) [사용성 평가 (Exclusion 비율)] 1 2
c1 (7.9%)
3 4
a1 (6.3%)
제품의 물리적 특징에 관한 사용성 문제
c1-E1 [12 (3.5%)]
다이얼위의 설명 문자 과 아이콘이 너무 작다.
c1-E4 [12 (1.5%)]
다른 다림질 모드를 사용해서 다른 재질의 옷을 다림질하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a1-E1 [12 (3.5%)]
증기 조절 버튼 옆의 표시가 너무 작다.
a1-E4 [12 (1.5%)]
매번 사용자가 전기다리미안에 물을 붓기 전에 증기 조절 버튼을 “증기 없음” 위치에 설정하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5
b2 (6.2%)
b2-E3 [12 (3.6%)]
다이얼위의 문자와 표시가 너무 많아서, 사용자 를 현혹시키기 쉽다.
6
c4 (4.4%)
c4-E8 [8 (2.4%)]
걸려 있는 옷을 다림질할 때 너무 무겁다.
제품의 사용성 평가결과에 따르면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은 두 가지의 장 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신체 기능 의 관점에서 제품의 물리적 특징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용성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그 러나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할 때는 인체공학적 관점에 부합하는 제품의 물리적 특징뿐 만 아니라 사용자 인지적 측면의 제품 사용 논리성이나 자연적인 경험도 고려해야 한 다.14) 실험 과정에서 보면 Exclusion Calculation의 평가 항목은 제품 사용의 논리성 을 평가하기가 어렵다. 14) 곽해리, 김봄메, 손영우, 「심미성과 사용성: 제품 선택에서의 문화차」, 감성과학, 2011, p.362
29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둘째, Exclusion Calculation평가방법은 인구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 사용과정 에서 어려움이 있는 인구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제품 포용성을 파악하고 제품 사용 문 제를 발견해서 해결할 수 있다. 개별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제품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 보다 Exclusion Calculation으로 도출된 평가결과가 보편적인 객관성을 가진다.
3.3.2. 평가 결과의 정확성 분석 전기다리미의 사용성 평가결과를 도출한 후에 평가자 11명의 평가 수치의 이산정도를 근거하여 Exclusion Calculation평가결과의 정확성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이산정도는 excel의 표준차를 통해서 도출하고 [표 8]에 보여줬다. 평가결과의 이산정도를 통해 11명 평가자 각자 나온 제품 사용성 평가 결과 사이의 일치성 또는 차이성을 볼 수 있 다. 이산정도가 높을수록 평가결과의 일치성이 떨어지고 평가 결과의 차이성 높아진 것 으로 볼 수 있다. [표 8]에서 그레이스케일을 통해 평가결과의 이산정도를 가시화하도 록 해서 각 세부 사용성 평가결과의 정확성을 더 쉽게 볼 수 있다. [표 8] 세부 사용성 평가 결과의 이산정도 Exclusion Calculation 제시한 평가항목 사용 과정
E1
E2
E3
E4
E5
E6
E7
E8
E9
E10
E11
E12
E13
E14
a1
3.95 3.64 4.94 5.35 2.94 0.30 0.00 3.66 1.40 2.72 0.00 0.00 0.00 0.67
a2
3.63 3.14 2.34 1.49 1.54 0.40 0.00 2.19 1.50 3.53 0.00 0.60 0.00 1.19
a3
3.32 2.61 2.75 3.52 2.81 0.92 0.00 3.17 1.74 2.64 0.93 1.30 0.00 2.84
a4
2.59 3.46 2.50 1.49 1.08 0.40 0.00 2.18 1.44 3.34 0.00 0.60 0.00 1.21
b1
3.44 3.39 2.84 3.81 3.87 1.70 0.00 2.49 3.17 3.72 0.00 0.67 0.00 4.65
b2
3.11 2.43 3.57 1.45 1.79 0.30 0.00 2.66 2.86 1.94 0.00 0.47 0.00 2.75
b3
3.92 2.96 3.55 4.16 3.91 1.70 0.00 3.06 3.04 2.94 0.00 0.30 0.00 3.12
b4
3.50 3.05 3.67 3.85 3.52 1.04 0.00 2.71 2.05 3.38 0.00 0.30 0.00 2.81
b5
3.23 2.58 2.53 2.34 2.02 1.04 0.00 2.17 1.57 2.44 0.00 0.40 0.00 2.81
b6
3.07 2.65 2.51 2.20 2.16 1.04 0.00 2.24 1.69 2.21 0.00 0.30 0.00 2.81
c1
2.79 3.72 3.22 1.94 2.01 0.40 0.00 2.74 2.21 2.98 0.00 0.65 0.00 4.76
c2
3.10 3.65 3.56 3.85 3.59 1.70 0.00 2.62 2.97 4.13 3.38 0.69 0.00 4.30
c3
3.96 2.95 3.76 3.70 3.88 1.70 0.00 3.22 3.19 2.89 0.00 0.40 0.00 3.20
c4
3.06 3.16 3.83 3.53 3.59 1.04 0.00 2.98 1.79 2.11 0.00 0.40 0.00 3.00
d1
2.94 2.70 2.94 2.83 2.50 1.04 0.00 2.88 2.02 2.81 0.00 0.40 0.00 2.99
d2
4.30 3.38 3.18 2.29 1.87 0.40 0.00 2.48 3.59 4.13 3.38 0.69 0.00 4.80
d3
3.44 3.20 3.52 3.97 3.45 2.41 0.00 3.11 2.81 3.63 1.63 1.56 0.00 2.61
d4
3.05 3.21 3.26 3.79 3.14 1.56 0.00 1.91 2.25 2.55 0.00 0.30 0.00 1.64
d5
2.82 1.66 2.74 1.67 1.66 0.30 0.00 2.87 2.80 2.01 0.00 0.40 0.00 1.26
d6
1.85 2.66 1.36 1.35 1.54 0.40 0.00 2.38 1.42 2.05 0.00 0.30 0.00 1.21
평균 수치 3.42 2.66 2.34 1.30 1.04 0.40 0.00 2.93 1.36 2.36 1.63 1.51 0.00 2.61
[표 8]의 마지막 칸의 평균 수치를 보면 평가항목 E1에서의 평가 결과의 이산정도 평 균 수치가 가장 높다. 다음으로 평가 결과의 이산정도 평균 수치가 2 이상인 경우는 평 가 항목 E8과 E2, E14, E10, E3 순으로 나타났다.
298
Vol.2 No.1 February 2020
2.4절에서 Exclusion Calculation의 세부 평가 항목을 소개한 부분과 같이 제품사용 때 사용자 시력에 대한 요구는 제품위의 문자나 아이콘의 크기뿐만 아니라 제품의 미 세 구조와도 관계가 있다. 전기다리미의 평가 때는 전용한 시각 모호함 시뮬레이션 안 경을 이용 못해서 평가항목E1의 평가 결과 이산정도가 제일 높고 정확성도 떨어진 것 을 나타났다. 또한 평가항목 E8에서 평가결과의 이산정도가 높은 이유는 평가척도의 기준에 대한 평 가자들의 인지가 불일치 때문이다. 예를 들어, 평가척도에서 묘사된 와인 한 병의 무게 는 서로 다른 경험을 가진 평가자들의 인지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3.3.3. 평가 항목의 직관성 분석 이 부분내용은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에서의 14개 평가 항목의 직관성 분 석을 위해 평가 항목별 판단 난이정도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전기다리미 평 가에 참여한 11명 평가자가 [표 9]와 같은 7포인트 평점스케일을 사용하여 평점함으로 써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항목별 판단 난이도를 측정했다. [표 9] Exclusion Calculation 평가항목의 판단 난이정도 평점 스케일 매우 쉽다 평가항복
보통
1
2
3
매우 어렵다
4
5
6
7
[표 10]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항목별 판단 난이정도 평점 Exclusion Calculation 제시한 평가항목 평가 표본
E1
E2
E3
E4
E5
E6
E7
E8
E9
E10
E11
E12
E13
E14
S1
3
5
7
6
2
2
2
3
4
3
2
5
2
3
S2
2
3
4
3
3
5
7
1
1
1
1
5
5
7
S3
5
4
5
3
4
2
2
1
1
1
1
1
1
1
S4
5
6
3
3
4
5
5
4
4
7
6
7
6
7
S5
3
5
6
4
4
7
7
5
4
4
2
2
1
3
S6
5
5
4
3
2
5
5
1
1
2
2
3
2
4
S7
4
6
2
4
4
6
5
3
1
4
4
1
3
4
S8
4
1
2
2
1
5
5
3
3
1
1
1
1
1
S9
3
3
4
3
5
5
5
2
5
4
6
5
5
4
S10
5
4
4
3
3
4
5
2
3
2
3
3
6
4
S11
3
4
4
3
2
3
3
2
2
2
2
3
4
3
평균 평점 3.82 4.18 4.09 3.36 3.09 4.45 4.64 2.45 2.64 2.82 2.73 3.27 3.27 3.73
S1에서 S11까지의 11명 평가자가 E1에서 E14까지의 14개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결 과는 [표 10]처럼 나대났다. [표 10]의 마지막 칸의 평균 평점을 보면 판단의 난이도가 평점 4점 이상인 평가 항목은 E7, E6, E2 및 E3 순으로 나타났다. 판단의 난이정도가 평점 4점 이하인 평가 항목은 E1, E14, E4, E12, E13, E5, E10, E1, E9, E8 순이다. 판단의 난이도가 낮을수록 평가항목에서 평가기준의 직관성이 강함을 의미한다.
29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평가범위에서 보면 사용자 인지 능력과 관련된 평가 항목 E3, E6 및 E7의 판단 난이 정도가 다 4점 이상이었다. 이에 따라, 인지능력과 관련된 평가항목의 직관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Exclusion Calculation방법의 인지능력에 관한 평가항목은 인지심 리학 분야에서 유래되기 때문에 현재 제품 특징과 사용자 인지 능력 사이의 관계를 설 명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하다.15) 이와 같이 평가자들이 평가 항목에서의 평가 기준과 제품 사용 간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해서 인지능력에 관한 평가항목별 평가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점 결과를 보면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자의 판단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용이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평가항목별 척도의 평가내용과 표시된 구체적 기준의 직관성이 강하다는 것을 반영할 수 있다. 이 는 주로 평가 척도의 기준이 일상생활의 현황을 묘사함으로써 표현되고 있는 것에 기 인한다.
3.4. Exclusion Calculation평가 방법의 효용성 평가 [표 11] Exclusion Calculation 평가항목의 판단 난이정도 평점 스케일 구분
장점
단점
1.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장점은 사용자의 신체 기 능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발견하고 분 평가 결과의 석할 수 있다. 유용성 2. Exclusion 비율은 평가자가 사용성 문제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디자이너가 포용적인 제품을 디자인하도록 유 도할 수 있다.
Exclusion Calculation평가 방 법은 제품 사용의 논리적 측면 의 사용성을 평가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평가 결과의 정확성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척도만 사용하여 도출된 평가 결과의 정확성이 낮다.
없음
평가 항목의 전체적으로 평가 척도에서의 평가 기준이 평가자에게 이해되고 판 직관성 단되기가 쉽다.
인지능력에 관련된 평가 항목은 직관성이 약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적용 실험을 통해 Exclusion Calculation평가 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요약함으로써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효용성 분석 결과로서 다음 [표 1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항목별 평가할 때 시각적 모호함 시뮬레이션 안경과 유사한 보조 도구가 필요하고 평가 척도의 각 등급 에는 더 객관적인 수량과 단위 표시가 첨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Exclusion Calculation의 적용 실험을 통해 이 평가 방법이 “제품을 위한 포용적 디자인 평가의 효용성”을 고찰하였다. 우선 실험에서 얻은 평가 결과에 따 라 평가 결과의 유용성, 정확성 및 평가 항목의 직관성 세 가지 측면에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 결과에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추출하여 이 방법의 효용성은 분석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 하였다. 15) Weining Ning, Joy Goodman-Deane & P. John Clarkson, 『Addressing Cognitive Challenges in Design – A Review on Existing Approaches』, in Proceedings of th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gineering Design (ICED19),Delft, The Netherlands, 2019, p.2779
300
Vol.2 No.1 February 2020
디자이너 입장에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 자이너가 사용자의 신체 기능 관점에서 제품의 물리적 특징으로 야기되는 사용성 문제 를 발견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제품의 개선 방향에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용성 문제를 대표한 Exclusion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제품 포용성 의 관점에서 디자인 제안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Exclusion Calculation은 제품의 포용성과 사용성 평가 방법으로 더 보편적인 사용자로 위한 디 자인 접근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의 사용성에서의 사용 논리성을 평가할 수 없어 포용성 평가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평가에 사용할 보조 도구가 없고 평가 척도에 표시된 기준 정보의 대표성은 약하다는 것으로 인해 디자이너가 Exclusion Calculation을 사용하여 얻은 평가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 진다. 셋째, 인지적 측면과 관련된 평가 항목은 직관성이 낮다. 본 연구에 제품의 사용성과 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각적 흐릿함 시뮬레이션 안경 같은 보조 도구를 이용할 수 없는 것도 본 연구의 부족한 점이다. 그러나 위에 분석된 단점을 근거로 하여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을 더욱 보완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도 앞 내용의 장단점을 근거하여 제품의 포용성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효용적인 제품 포용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J Goodman-Deane, J Ward, I Hosking & J Clarkson 『A comparison of methods currently used in inclusive design』, Applied ergonomics, 2014 Joy Goodman-Deane, Sam D. Waller, Elaine Yolande Williams, Pat M. Langdon & P. John Clarkson, 『Estimating exclusion: a tool to help designers』, Proceedings of Include 2011, Royal College of Art, 2011 MariaBenktzon, 『Designing for our future selves: the Swedish experience』, Applied Ergonomics, Volume 24, Issue 1, 1993 Simeon Keates, P. John Clarkson, Lee-Anne Harrison & Peter Robinson, 『Towards a practical inclusive design approach』, Proceedings on the 2000 conference on Universal Usability, 2000 Taesun Kim,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Design and Its Meaning in the Future Society』, Archives of Design, 2015 U Persad, P Langdon & J Clarkson, 『Characterising user capabilities to support inclusive design evaluation』,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2007 Umesh Persad, Pat Langdon & P. John Clarkson, 『Inclusive Design Evaluation and the Capability-demand Relationship』, Designing Accessible Technology, 2006. p.7 Weining Ning, Joy Goodman-Deane & P. John Clarkson, 『Addressing Cognitive Challenges in Design - A Review on Existing Approaches』, in Proceedings of th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gineering Design (ICED19),
30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Delft, The Netherlands, 2019, p.2779 곽해리, 김봄메, 손영우, 「심미성과 사용성: 제품 선택에서의 문화차」, 감성과학, 2011 김태선, 조재경, 「포용적 디자인 관점의 신체생활기능 분류‧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가이 드라인: 신체기능 분류‧평가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제33권 제2호, 2015 『BSI BS7000 Part 6: Design Management Systems – Guide to managing inclusive design (latest draft)』. British Standards Institute, London, UK, 2004. http://calc.inclusivedesigntoolkit.com/ http://www.inclusivedesigntoolkit.com/csg/csg.html https://www.microsoft.com/design/inclusive/
302
Vol.2 No.1 February 2020
도시역사문화거리의 보존 및 재생에 관한 평가 연구 - 중국 쑤저우의 평강로를 중심으로 -
Evaluation Study on the Presence and Regeneration of Urban History and Culture Street - Focused on Pinggang Road in Suzhou, China -
경 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Geng, Li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역사문화거리, 보존, 재생, 분석 Keyword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history culture street, present, regeneration,
Dongseo University
analysi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도시역사문화거리의 보존 및 재생에 관한 평가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 역사를 토대로 도시 발전과 역사의 지역에 대한 재생의 영향을 기반으로, 쑤저우 평강로 역사거리의 보호와 재생은 현지 정부 주도로 이뤄졌고, 중국 역사문화명가, 밍 진, 5A급 국가관광 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리모델링을 거친 쑤저우 평강로 역사거리가 새로운 거리로 대중 앞에 등장하면서 현대 생활에서 여전히 역사를 지닌 강남수향1)으 로 자리 잡았다. 롼이산2)은 인터뷰에서 ‘쑤저우 평강로와 같은 역사적 블록은 현대 생 활의 중요한 또 다른 측면인 역사 블록의 현대화와 함께, 역사 블록의 문화는 평강로를 일종의 관광 상업 블록으로 보지 않는 것이 사람들이 추구하는 또 다른 중요한 삶이 다.’이라고 말한 바 있다3). 본 연구에서는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 거리를 대상으로, 역사·문화의 변천 과정을 살 펴보고, 지역 재생과 관련하여 건축 및 시설물의 보존과 변화를 포함한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의 분석틀을 선정한 후, 평강 로 역사문화거리의 특성을 파악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평강로 역사문화거리 재생 디자 인에 대하여 현지 거주자와 방문객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여 장점과 문제점에 대 한 분석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역사문화 거리의 재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방법 이 연구는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 지역을 대상으로 역사거리 문헌조사와 해당 블 록별 세부분석 설문조사 부문으로 나눠 분석했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거리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파악한다. 둘째, 선행논 문연구를 통해 역사문화 지구의 보존과 재생 특성을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분류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선정하였다. 역사문화거리의 물리적 요소를 공간구조, 도로 맥락, 건물보존, 그리고 비물리적 요소에 문화성, 사회성, 경제성 등을 포함한 평가기준 으로 나누어 분석틀을 정리했다. 셋째, 물리적 요인에서의 공간 구조, 맥락성, 건축물 보존, 그리고 비물리적 요인에서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차원으로 평강로의 재생 현 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넷째, 설문조사를 통해. 쑤저우 평강로의 보존 및 재생의 성공요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역사문화거리의 리모델링에 대한 지역민과 방문객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1) 강남수향: 강남은 지리적 영역, 말 그대로 창장(長江)의 남쪽을 뜻하며, 인문 지리적 개념에서는 창장(長江) 중하류 이남을 지칭한다. 강남 지역은 따뜻한 환경으로 인해 강하호박성라기포(江河)가 가득 차 있어 예로부터 중국에서 가 장 풍족한 어미의 고장이었다. 2) 롼이산: 현 건설부 퉁제대 국가 역사문화명성 연구 센터장, 퉁제대학교 건축성규학원 교수, 박사과정 교수, 중국 역 사문화명성 보호전문 가위원회 위원. 주요 저서로는 '호성기실(护城纪实)' '호성발자록(护城踪录)' '강남고진(江南古 城)' '역사문화명성 보호 이론과 기획(历史文化名城保护理论与规划)' 등이 있다. 3) 롼이산민저 인터뷰 동영상 자료
304
Vol.2 No.1 February 2020
2. 이론적 배경
2.1. 도시역사문화지역의 개념과 특성 역사문화경관의 물적 요소는 경관의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 그리고 역사문화 환경 의 물적 대상이 된다. 역사문화 환경의 물적 대상은 경관의 인공적 요소와 구성요소가 같으며 인공적 요소 안에 도시형태, 건축물, 시설물이 포함된다. 또한 경관의 비물적 요소는 역사문화 환경의 비물적 요소와 구성요소가 같다. 하지만 역사문화 환경의 비물 적 대상이 폭넓은 개념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역사문화경관의 비물리적 요소를 구분한다. [표 1] 역사문화경관의 구성요소 구분
비물적 요소
물적 요소
요소 사건
역사, 사건, 어벤트
활동
문화, 경체, 제도, 행정
분위기
고유한 이미지, 사건의 흔적
자연적 요소
지형, 수문, 식생
이공적 요소
도시형태
가구패턴, 가로
건축물
역사적 건축물(공공·산업·종교·주거·등)
시설물
다리, 수목
2.2. 도시역사문화지역 관련 선행 연구 분석 본장에서는 역사문화거리가 어떻게 재생될 수 있는가를 어떻게 보호하는가에 관한 주 요한 연구로 문헌답사분석, 그리고 실제 사례분석까지를 다룬다. [표 2] 역사문화 거리관련 주요 선행 연구 저자
연대
문장
박혁
2010
문화지역의 유형별 계획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 개항장 문화지역을 중심으로 -
홍사철
2010
歷史都市 慶州를 爲한 景觀正體性에 關한 硏究 : 景觀要素의 特性과 變遷過程을 통한 景觀正體性 糾明을 中心으로
정재학
2012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재생에 관한연구
서진경, 김한배
2012
역사·문화적 도심재생에 있어서 이용자인식의 비교연구 - 인사동과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
오대건
2013
古都 익산의 역사경관 보전 및 활용을 위한 지역지정 방안
하오량
2016
역사문화지역의 교통개선에 관한 연구 : 중국 칭다오(청도) 중산로를 중심으로
김둘이
2017
문화역사 마을 가꾸기 사업대상 마을 역사문화자원의 경관적 활용 특성
김현재
2017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 관련 핵심 이해당사자의 선호도 특성 연구 - 한양도성 주변 성곽마을을 사례로 -
나현주
2018
나주 읍성권 역사 문화적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오은지
2019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성 보존을 위한 문화적 도시재생 방안 연구
서재명
2014
쑤저우건축의 통제와 보호를 재생 디자인 관한연구
엄국태
2014
역사적 거리 지역의‘문맥’보호 분석 연구 - 쑤저우 평강 역사지역의 문화유산
30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저자
연대
문장
장천성
2015
지역 문화적 역사거리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수만
2018
크로스오버 용합모델하의 역사적 거리 업데이트 메커니즘과 전략에 관한 연구
석박, 과위민
2018
남송 종교건축과 도시지형의 공간적 분포 특징인 쑤저우 <평강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 지역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역사문화자원, 역사문화지역 특성 등 키워드에 나타나는 역사문화지역의 보호와 재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별 분석 결과 역사문화지역의 특성 분석요소로 도출되었다. 빈도별 분석 결과 5회 이상 나타난 물리적인 요소로는 ‘공간적’, ‘맥락적’, ‘건축적’을 도출하고 비물리적인 요소로는 ‘문화 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이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논문 연구 분석을 통해 물리적 요소 중 공간적 특성 10개, 맥락적 특성 6개, 건축적 특성 8개, 그리고 비물리적 요소 중 문화적 특성 11개, 사회적 특성 9개, 경제적 특성 5개를 도출하였다. 이어지는 연구에서 물리적 요소 중 환경적 특성 2개, 공공시설 1개, 그리고 비물리적 요소 중 역사적, 정체적, 연속적, 심미적, 지역적, 상장 적, 중교성, 희소성, 비대체성, 정보전달, 풍수지리 중 5번 이하로 나타난 특성은 제외 하였다. 최종적으로 물리적인 요소에서의 공간적 특성, 맥락적 특성, 건축적 특성 그리고 비물 리적 요소에서의 문화적 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2.3. 역사문화지역 재생 사례 분석 여기서 강조되어야 할 사회·경제·문화적 요인에는 관련 집단의 관점의 차이와 이들 간 의 소통 관계의 구축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실증적인 사례 연구 가 증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역사문화지역의 보존 및 재생기반 사례 6개를 아래의 기준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1) 사례 선정의 기준은 2000년 이후, 역사문화거리(공간)로 재생된 경우 2) 단순한 건축물 1개가 아니라 대규모지역이나 거리로 재생된 경우 3) 역사적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관련 전문서 및 논문에서 3차례 이상 언급된 사례로 한정하였다. [표 3] 역사문화경관의 구성요소 국가
이름
위치
산업
원기능 현기능
디자인접근
인사동 쌈지길거리 (仁寺洞) (2002)
서울
상업 중심
문화 주거
문화 상업
기존의 물리적 가치 보존하고 역사문화거리의 형성
삼청동 북촌길 (2004)
서울
관광
문화 주거
문화 상업 주거
기존의 물리적 가치 보존하고 역사문화거리의 형성
한국
306
그림
Vol.2 No.1 February 2020
국가
이름
위치
산업
난루오꾸골목 (南鑼鼓巷) (2016)
베이징
문화 관광
문화 상업 정치
문화 상업
기존의 물리적 가치 보존하고 역사문화거리의 형성
남송어가 (南宋御街) (2008)
항저우
상업 중심
교통 주거
문화 상업
기존의 물리적 가치 보존하고 역사문화거리의 형성
우진(乌镇) (2001)
저장성 가흥시 동향시
문화 관광
문화 주거
문화 상업
기존의 물리적 가치 보존하고 역사문화거리의 형성
신티엔디 (上海新天地) (2007)
상하이
주거
문화 주거
상업 주거
기존의 물리적 가치 보존하고 역사문화거리의 형성
중국
원기능 현기능
디자인접근
그림
2.4. 역사문화지역 보존 및 재생의 특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의 보호와 재생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역사거리 보존과 재생의 특성 대 역사문화거리 재생모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역사 문화거리의 정의, 역사문화거리의 개념적 특성을 역사거리로 하는 이론, 한국과 중국의 유명 역사문화거리와 관련된 발전과 재생을 위한 설계방법 등을 이론기반으로 하여 선 행연구에 대한 역사문화거리의 공통성을 정리하였다. 물리적 요소로 공간적, 맥락적, 건축적 특성과 비물리적 요소로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 6가지로 분류하였다. 도시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을 위한 요소로 선정된 평 가기준은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표 5] [표 5] 역사문화 거리관련 주요 선행 연구 오쇼
특성 문화적 특성
비물리적 요소
물리적 요소
분석 방향 장소성 및 정체성 강화
경제적 특성
역사·문화 요소의 보존 및 활용
지역 상업의 보호 및 경제 활성화
사회적 특성
커뮤니티 형성 및 참여
국가 정책 제도
공간적 특성
구역 구분
공공 공간 및 시설
공간 구성
맥락적 특성
주변 환경 연계 개발
도로 체계
도로 변화
건축적 특성
건축물의 용도
건축 구조
건축 파사드(Facade)
30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지구 보존 및 재생 분석
3.1.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지구의 배경 및 발전 쑤저우는 남송사 (1229)에서 2500여 년 역사의 유명한 고성을 갖고 있었고, 쑤저우시 는 중국 최초의 도시인 ‘평강도’[그림 1]를 만들었고, 명나라때를 학빈 구도로 변를 다 시 학빈. 대량의 도로와 교명, 교위, 송-평강도와 일치 한다.평강 역사의 거리는 쑤저우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호성하, 서쪽으로 린둔루, 남쪽은 간장루, 북쪽 은 백탑 동로로, 면적은 약 113. 5헥타르, 쑤저우 고성 중 가장 완전하게 보존된 역사 적 위치 중 하나다.수륙평행을, 하가 상을 마주하게하는 두 바둑판"구도의 도시 전통 민가 가 모여있는 곳이다.[그림 2]4)
[그림 1] 평강로 역사거리지도
[그림 2] 평강로 역대 발전 평면도
3.2. 평강로 보존 및 재생 특성 분석 3.2.1. 평강로 재생: 비물리적 요소 3.2.1.1. 문화적 특성 문화적 특성의 각도에서 평강로 지역의 보존과 재생을 살펴보면, 쑤저우 평강로의 역사 문화지구에 담긴 문화의 장소성과 전체성이 강화되었다. 역사적·문화적 요소가 보존되 고 활용되면서, 기존의 역사적 풍속과 문화가 보존되었고, 동시에 역사적·문화적 활동 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3.2.1.2. 경제적 특성 경제적 특성의 지역경제가 활성화되어 재생하면서, 기존의 거주공간이 새롭게 개선되 었고 상업활동이 재개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지 거주민들도 작은 점포에 상점을 열게 되었다. 평강로 역사문화지구의 경제발전은 주로 평강로 메인 도로에 집중되었는데, 주 요 상업유형으로는 요식업, 판매업, 주거유형, 문화창작유형, 여행업이었다. 현재 여행 업은 주로 평강로 주요 간선도로에 집중되어 있어, 여행업이 과도하게 개발되면서 주요 간선도로에 인구 유동량이 과도하게 많아져 복잡해졌고, 결국 주변 환경에까지 영향으 로 주었다. 따라서 동시에 주변 골목을 개발함에 이르렀다. 3.2.1.3. 사회적 특성 지역사회 서비스센터를 설치하게 되어 사회적 기초설비가 보완되었다. 동시에 일련의 개발활동이 전개되었다. 대중 인터넷 플랫폼이 세워지고,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된 것이 4) 금기, 왕명비. 도시 전통 민가의 보호와 재활용—쑤저우의 평강로 31호 개조[B], 복건건축, 2010
308
Vol.2 No.1 February 2020
다. 동시에 일자리를 늘려 사회적으로 취업을 활성화시켰다. 동시에 국가는 정책을 발 표해 국가 법률기준을 반포함으로써 통일화된 규정 제도를 실시해, 정부도 그에 맞는 사회적인 활동과 도움을 전개했다. 쑤저우시 시정부는 평강로 역사문화지구의 레저의 성격을 지닌 길거리를 쑤저우시 서비스업 발전 중심 밀집지역이라 명명했다.
3.2.2. 평강로 재생: 물리적 요소 3.2.2.1. 공간 구조적 특성: 거리 구조 보존 지역 구획을 나눌 때,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지구는 각 구역을 다시 나누어 “파편적으 로 구역 나누기”란 관리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기존 공간의 거주기능을 연장시키면서 여행업을 개발했다. 공용공간은 강하나 길 두 갈래라는 공간 구조를 유지한채, 새로운 공간을 개발하였고 녹지 공간을 확장시켰다. 쑤저우 지역의 역사적 건축이 보존된 현지 역사 골목의 공간에 담긴 특징을 살렸다.[그림 3]
[그림 3] 평강로 지역의 공간 구성
[그림 4] 평강로 지역의 공간 구성
3.2.2.2. 맥락적 특성: 도로 및 접근성 쑤저우 평강로와 주변 환경의 관계가 발전되고 도시의 맥락 체계가 정비되었다. 현재 평강로 역사문화지구의 도로체계는 고대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평강로 역사문화지 역의 맥락적 체계는 주변 환경과의 연계를 통해 문화지구 내 도로 체계가 모두 개선되 어, 현대화 속 여행경관이 담긴 역사문화지구의 요구를 만족시켰다. [그림 5]
[그림 5] 평강로 지역의 도로도
30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2.2.3. 건축물의 보존 특성 쑤저우 평강로에 위치한 건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오래된 건축을 합리적으로 보존하 고 재생해, 기존의 거주기능을 기념적인 여행관광 기능과 상업 기능으로 전환시켰다. 역사적 고적 건축을 늘렸고, 문화 여행 포인트로 삼았다. 골목 내부는 기존의 거주기능 을 유지하여 본래의 생활 상태를 유지시켰다. 이로써 역사문화지구는 기존의 생활 모습 을 상실하지 않게 되었다. 건축의 기능, 구조, 높이, 입면의 모습이 기존의 건축이 지닌 특징을 유지한 채로, 골목 공간의 구조와 높이도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통일된 범주내에 위치하도록 바꾸었다. 입면 경관의 모습은 원래의 특징을 유지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약간의 현대 디자인을 융합시켜, 골목 공간에 위치한 건축이 복잡하게 다변하면서도 서 로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최대한 기존의 특징과 풍모를 살렸다.[그림 4]
4. 제안
여기까지는 이미 완성된 부분이고, 그 다음은 위에서 도출된 결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겠다. 주민 특성에 따라 지역 주민과 방문객로 구분되며 주로 지역 주민과 방문 객의 만족도를 느낄 수 있다. 설문 내용은 분석 프레임워크의 방향과 내용에 대해 질문 하며, 주로 비물리적 요소에서 문화적 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 물리적 요소 에서 공간적 특성, 맥락적 특성, 그리고 건축적 특성으로부터 질문한다. 설문지 평가의 만족도에 따라 어느 특성의 보존과 재생 발전이 대중 수요에 적합한지 와 현지 주민과 방문자 설문지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요약마지막으로 어떤 재생 모델이 오래된 거리의 재생 발전에 더 적합한지 도출한다.
참고문헌 박혁, 문화지역의 유형별 계획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 개항장 문화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원 학위논문(석사), 2010 홍사철, 歷史都市 慶州를 爲한 景觀正體性에 關한 硏究 : 景觀要素의 特性과 變遷過程을 통한 景觀正體性 糾明을 中心으로, 국민대학교 학위논문(박사), 2010 정재학,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재생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12 서진경, 김한배, 역사·문화적 도심재생에 있어서 이용자인식의 비교연구 -인사동과 전 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원 학위논문(석사),2012 오대건, 古都 익산의 역사경관 보전 및 활용을 위한 지역지정 방안 : 역사문화자원 유 형화 및 가치평가를 통하여, 전북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13
310
Vol.2 No.1 February 2020
부산시립박물관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of Busan Museum
왕 단,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Wang, Da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박물관, 유니버셜디자인, 특성 Keyword
Museum, Universal Design, Facility, Characteristics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부산시립박물관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현대 사회 속에서 사람들의 의식 수준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사람들은 생활의 물질적 조건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람들의 문화 수요와 여가 생활을 충족해주기 위해 각종 문화공간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문화공 간은 사람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직접 혹은 간접적인 경험과 문화생활을 획득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디자이너는 문화공간을 계획을 때 노인, 장애인, 아동과 외국인 등 다양한 사용자의 존재를 고려하여야 한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모든 사용자를 위해 쉽고 편리하게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박물관은 국민에게 봉사하기 위해 존재하는 공익적인 사회 기관으로, 모든 방문객을 존 중하고 세심히 고려하는 것이 박물관의 궁극적인 배려이며 모든 박물관의 사명이다. 유 니버설디자인을 활용한 박물관 시설 건설을 통해 사회 약자에 대한 이해, 존중, 배려와 도움이 구현된다. 이는 또한 그들에게 평등하게 사회 문화생활을 참여할 수 있게 기회 를 제공하며, 사람 중심의 박물관의 문명 디자인 이념의 구현이기도 하다.
1)
유니버설
디자인은 우리 삶 대부분의 환경에서 구현되고 있으며, 그 시스템이 매우 다양하고 뿌 리 깊게 박혀 있어 표면적으로 보면 원리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유니버설디자인의 목적은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든 사람은 임산부, 대중과 외국인, 노인, 장애인과 아동을 모두 포함한다. 다시 말해 유니버설디자인은 특정한 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유니버설디자인을 인식하는 것은 우리들이 생활하는 도시 환경에 굉장히 중요하며, 사람들의 문화와 일상생활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 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립박물관의 시설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을 파악 하 고자 한다. 박물관내의 시설의 현황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박물관내의 시설을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바람직한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자 한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부산시 남구에 위치한 부산시립박물관의 5개 영역의 시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장애인의 편리성 증진을 기반으로 5개 영역(매개 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화장실), 안내시설, 기타시설)을 세부적으로 평가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高森, 现代博物馆中的无障碍设计, 2010, p11
312
Vol.2 No.1 February 2020
첫째, 문헌고찰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및 평가요소, 박물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 공공 시설의 논문분석(시설구성)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여, 실용적인 이론적 기초 로 삼는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용성, 사용편 의성, 안전성, 정보· 인지성, 접근성 이렇게 5가지의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 한 세부평가기준을 토대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선정하여 현 장조사에 사용할 분석의 들을 개발 하였다. 둘째, 현장조사로 본 조사는 2019년 11월 1일에서 부산시립박물관을 현장 방문하여 조사 하였다. 실태조사 외에 실축과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부산시립박물관 내에 위치 하고 있는 보도 및 접근로, 주차구역, 출입구, 복도 및 통로, 계단, 승강기, 경사로, 일 반사항, 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 피난 설비, 접수대, 자동판매 기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EXCEL 통계 프로그램으로 기초 통계를 진행하였다[표 6]. 셋째, 사례분석으로 박물관에서 시설을 실측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제안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및 평가요소 [표 1]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주요논문 제목
저자
연도
출처
박물관의 실내공간에 있어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이혜정
2004
건국대학교
국내 Museum의 Visual Communication에 관한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사례중심으로 -
김명중
2006
홍익대학교
박물관 공용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이연수, 하미경
2009
한국생태환경 건축학회
지역문화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연구 : 공연전시영역의 공공서비스 공간을 중심으로
오찬옥
2010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공공문화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전당과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
하승아
2014
한양대학교
박물관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을 위한 환경 평가요소 분석 :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용 평가를 중심으로
권정인 외
2015
한국콘텐츠학회
공간디자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도구 및 지침개발
오찬옥
2015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전시공간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지은
2016
한양대학교
문화예술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 연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
권빛나
2017
전남대학교
유니버설디자인은 20세기 중엽 처음 등장하였다. 영어 원어로는 “Universal Design” 이며, 중문으로는 보편성 디자인, 공용성 디자인, 적응성 디자인, 전체 디자인, 만능 디 자인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유니버설디자인의 정의는 20세기 80년대 미국 노스캐롤 라이나 대학교의 Ronald L.Mace 교수가 처음 확립하였으며, 1985년 정식으로 “유니 버설” 디자인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유니버설디자인은 “어떠한 제품이나 환경 공
31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간의 디자인이 나이, 신체 상황이나 행위 능력 수준과 상관없이 최대한 많은 사람에 의 해서 편리하게 사용되어 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유니버설디자인 4원칙2)의 수용 가능한 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3)의 공평한 사용, PPP원리4)의 공평한 사용에 대한 배려를 병합하여 수용성으로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 특성을 연구한 논문을 중심으로 유니버 설디자인 평가요소를 재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용성, 사용편의성, 안전성, 정보· 인지성, 접근성 5가지 평가요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 디자인 특성 을 분석하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의 5개 평가요소를 차용하였다. [표 2]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요소 내용 평가요소
내용
수용성
∙ 다양한 사용자 고려
∙ 차별감 억제
∙ 동등한 기회 및 선택권 제공
사용 편의성
∙ 사용하기 쉬운 구조와 배치
∙ 단순한 형태
∙ 간단한 조작
안전성
∙ 사고를 방지하는 기본구조와 형태 ∙ 경고시스템 구축
∙ 위험요소의 제거 및 최소화
∙ 정보전달의 복수수단 제공 ∙ 정보의 효과적 전달 및 가독성최대화
∙ 오감정보에 대한 배려와 활용
정보·인지성 접근성
∙ 물리적 방해물 제거 ∙ 사용이 용이한 위치 ∙ 사용하기 적절한 사용 공간과 조건 확보 및 다양한 손 크기와 악력 수용
2.1. 공공시설의 논문분석(시설 구성) 공간의 공공시설 구성을 연구한 논문을 정리한 결과[표 3]. 매개시설은 보도 및 접근로, 주차구역. 내부시설은 출입구, 복도 및 통로, 계단, 승강기, 경사로. 위생시설은 화장실. 안내시설은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 피난설비. 기타 시설은 접수대, 자동판매기 등을 위한 휴게시설로 등 크게 15가지의 시설 구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 부산시립박물관 부산관 층별도
[그림 2] 부산시립박물관 동래관 층별도
2) 풍 려 (2012), 보행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p.19 3) 손정수(2003), 유니버설디자인을 바탕으로 한환경 설계 방법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p.12 4) 나카가와 사토시, Textbook for Universal Design. 디자인 로커스, 2003, pp.10-16
314
Vol.2 No.1 February 2020
[표 3] 공공시설 항목 선정 항목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
선행연구에 나타난 시설 분류 항목 A
B
C
D
●
● ●
F
G
예비조사 항목
●
●
●
●
●
●
●
●
●
●
●
E
보도 및 접근로
●
주차구역
●
●
●
출입구
●
●
●
복도 및 통로
●
●
●
●
●
●
●
●
계단
●
●
●
●
●
●
●
●
승강기
●
●
●
●
●
●
●
●
경사로
●
●
●
화장실
●
●
●
●
●
●
●
●
점자블록
●
●
●
●
●
●
유도 및 안내
●
●
●
●
●
●
●
●
피난설비
●
●
●
●
●
●
●
접수대
●
●
●
●
●
●
●
자동판매기
●
●
●
●
●
●
●
●
●
●
주) A. 조원탁 외(1999) B. 황완주(2004) C. 김진화(2007) D. 조영행(2008) E. 조태호(2010) F. 장소율(2015) G. 권빛나(2017)
3. 조사대상지 개요 및 현황
3.1. 부산시립박물관 개요와 역사 부산시립박물관은 부산광역시자치단체에서 사업소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 공립박물관이 며, 소장품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부산의 역사와 문화관련 유물을 종합하여 전시 하고 있는 종합박물관이자, 역사박물관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박물관에 전시되고 소장된 유물들은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부산의 역사와 문화의 성격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들이다. 부산시립박물관은 1975년 11월 공사를 시작하여 1978년 11월에 개관하였다. 연건평 3만 1075㎡에 소장유물(所藏遺物)은 1만 1,300점에 이른다. 부산시립박물관은 2개의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명칭은 동래관(구석기시대~고려 시대)과 부산관(조선시대~근현대시대)이다. 두 개 전시관의 원래 명칭은 제1관과 제2관 이었으나, 2014년 1월 9일 현재의 명칭인 동래관과 부산관으로 개칭되었다.5)
3.2. 대상지 조사 개요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 등을 통해 각 시설 조사 세부평가항목별로 중복을 포함하여 유 니버설디자인 관련 평가항목들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하여 2019년 11월 1일 현장방문을 통해 현장조사를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5) 부산박물관, http://museum.busan.go.kr/busan /exhibitorigin
31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4] 현장 조사 내용 조사시간
2019년 11월 1일
조사사항
보도 및 접근로, 주차구역, 출입구, 복도 및 통로, 계단, 승강기, 경사로, 일반사항, 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 피난 설비, 접수대, 자동판매기
조사방법
실태조사과 사진촬영
3.3. 박물관 시설 평가 방법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분석 프레임을 개발한 후, 부산시립박물관의 시설을 5개 영역, 즉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화장 실), 안내시설, 기타시설으로 나누어 [표 3] 각 시설을 세부적으로 평가했다. 부산시립박물관 시설 평가방법은 먼저 세부평가항목별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와의 관 련성을 검토하였다. 세부 항목 평가를 설치, 확보, 제거, 적합, 표시는 3점. 일부 설치, 일부 확보, 일부 제거, 미비는 2점. 미설치, 미확보, 미제거, 부적합은 1점로 하여 시설 로 점수를 산정하였다.
4. 부산시립박물관
부산시립박물관을 5개영역(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화장실), 안내시설, 기타시설) 으로 구분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여부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 평가 [표 5] 부산시립박물관 시설 평가 시설
내용
“보도 및 접근로”를 평가한 결과, “유효폭”과 “바닥재질”의 세부사항은 보도 기준사항에 적합했다. 유효폭은 1.2m 이상이었고, 바닥 재질은 미끄럼 및 방지 재질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틈새간격”의 거리는 단면으로 0.02m 접근로 이하로 보도 및 접근로에 일부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었다. 한편 “기울 매 기”는 1/18을 넘어 상당히 기울어져 있어 평가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개 시 “주차구역”을 평가한 결과, “주차공간”과 “바닥”의 세부사항은 기준사항 설 에 적합했다. 장애인 전용 주차장의 권장 규격(3.3m × 5m)으로 주차 주차 구역
장이 마련되어 있었으며, 주차장의 출입구도 1.2m로 기준사항에 적합 했다. 바닥재질은 미끄럼 방지 재질을 사용했고, 지면에 장애인 전용 주 차장이란 표시와 주차장 방향 등 정보를 표기해두었다. 그러나 건축물 의 출입구에는 장애인 전용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출입구”를 평가한 결과, 계단에 적용된 유니버설디자인의 실용성이 상 대적으로 높고, 출입구의 넓이로 0.8 이상으로 넉넉했다. 또한 유효 활 동공간이 1.8m로 시설 내부에 높이의 차이가 없고, 주요 출입구에 장 출입구 애물이 없었다. 출입문의 손잡이는 0.9m에 위치해 있고, 자동문을 설 치해 편리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해두었다. 입구의 좌측에는 박물관 전 내 체의 관람도를 설치하였고, 시각장애인용 점자와 관리인 호출용 버튼을 부 설치해두었다. 시 “복도 및 통로”를 평가한 결과, “복도 유효폭”과 “바닥차”의 세부사항은 설 기준사항에 적합했다. 지면 높이의 차이가 있던 부분은 아직 제거하지 복도 않았는데, 높이 폭은 0.01m이다. 계단, 승강기, 화장실 등 출입구의 위 및 치에는 점자표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손잡이의 직경은 3.8cm 이 통로 상이었고, 위치한 높이는 1.1m로 기준사항보다 0.85m를 넘었다. 또한 양 모서리와 굴절 부분에도 점자표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316
[그림 3] 보도 및 접근로
[그림 4] 주차구역
[그림 5] 출입구(문)
[그림 6] 복도 및 통로
Vol.2 No.1 February 2020
시설
계단
내용 “계단”을 평가한 결과, “계단참”, “단높이”, “단너비”의 세부사항은 모 두 기준사항에 적합했으나 “손잡이”, “계단 전면에 점형블록”은 모두 기 준사항에 미치지 부적합했다. 계단의 손잡이 부분에는 점자표시로 기점 과 종점 표시가 있지 않았으며, 손잡이의 높이는 기준사항보다 1.1m 높았다. 또한 기점과 종점에 점형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계단 전 면에도 점형블록 등이 결여되었다.
[그림 7] 계단
“승강기”를 평가한 결과, “활동공간”, “크기”, “유효폭”, “조작설비”, “손잡이”의 세부사항은 모두 기준사항에 적합했다. 승강기 정면의 활동 내 공간은 2m이상이었고, 출입문의 너비도 1.2m였다. 그러나 언어, 문자, 부 승강기 점자표시는 일부에만 표시되어 있었다.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점자표시 시 판은 세로로 1m정도로, 횔체어 사용자용 가로형 조작판은 설치되어 있 설 지 않았다.
[그림 8] 승강기
“경사로”를 평가한 결과, “유효폭”, “손잡이”, “손잡이 위치”, “손잡이 굵 기”, “바닥재질”의 세부사항은 대부분 기준사항에 적합해, 다소 높은 유 니버설디자인의 실용성을 갖고 있었다. “기울기”도 1/6이하로 상당히 경사로 가파랐다. 손잡이 위치의 기점과 종점의 길이는 0.15m였으며, 손잡이 에 점자표시가 설치되지 않았다. 벽면에는 충격 보호용 완충제가 설치 되어 있지 않았다.
[그림 9] 경사로
일반 사항
“일반사항”을 평가한 결과, 장애인 전용 화장실은 남녀공용이었고, 문 외벽에 제어용 판넬(점자표시 있음)이 설치되어 있어 장애인도 쉽게 사 용할 수 있도록 해두었다. 그러나 화장실 내부와 외부의 지면 높이의 차이가 2cm나 존재했다. 출입구(남, 여)에는 점자 문자가 표시되어 있 지 않았고, 지면 또한 일반적인 미끄럼 방지 재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변기”를 평가한 결과, “유효바닥면적”, “출입문 유효폭”, “활동공간”, “손잡이 수평높이”, “손잡이 수직높이”는 대부분 기준사항에 적합해, 상 대변기 당히 높은 수준 유니버셜 디자인의 실용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대변기 의 좌우 폭이 0.65cm이하였고, 좌우에 위치한 수평 손잡이의 거리가 위 0.9cm나 되었다. 또 대변기의 높이는 0.4m 이하였다. 생 시 설 “소변기”를 평가한 결과, 대부분 기준사항에 적합했다. 손잡이의 수평 높이는 0.8m-0.9m로였고, 손잡이의 수직 높이는 1.1m~1.2m정도였 소변기 다. 좌우 손잡이와의 거리도 0.6cm정도였으나, 수직 손잡이와 지면과 의 거리가 0.3m 차이가 났다.
[그림 10] 일반사항
[그림 11] 대변기
[그림 12] 소변기 “세면대”를 평가한 결과, 구조적인 방면에서 보았을 때 상단의 높이는 0.85m이상이었고, 하단의 높이는 0.55m이상이었다. 세면대의 무릎과 세면대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는 하단 공간의 깊이는 0.45정도였다. 수도꼭지 에는 뜨거운 물과 찬 물을 구별할 수 있는 점자 표시가 없어, 장애인이 쉽게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안 내 시 설
점자 블록
[그림 13] 세면대
“점자블록”을 평가한 결과, 2가지 세부사항이 모두 기준에 적합하지 않 았다. 시각장애인이 편히 걸을 수 있는 점자블록이 없었고, 선형블록의 시작, 교차점, 굴절 부분에도 점형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그림 14] 점자블록
31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시설
유도 및 안내 안 내 시 설
내용
“유도 및 안내”를 평가한 결과,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음성안내 장치는 주요 포인트에만 설치되어 있었고, 점자 안내판/촉지도식 안내도 일부 부분에만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장애인 전용 특수 신호장치가 설치되 어 있지 않았다. [그림 15] 유도 및 안내
피난 설비
“피난설비”를 평가한 결과, 피난지역 유도등과 통로 유도등, 시각장애인 용 경보 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개수가 적어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없다. 비상벨 주변에는 깜박이는 형태의 긴급 경보가 설 치되어 있었다. 피난설비는 대부분 기준치에 적합해 상당히 높은 유니 버설디자인의 실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16] 피난설비
“접수대”를 평가한 결과, “활동공간”의 세부사항은 기준에 적합했다. 구 접수대 조적인 방면에서 상단의 높이는 1m였고, 접수대의 깊이는 0.1m로 휠 체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활동하기는 어렵다. 기 타 시 설
[그림 17] 접수대]
“자동판매기”를 평가한 결과, 자동판매기의 높이는 0.4~1.2m였다. 그 자동 러나 조작버튼에 점자표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자동판매기가 설치 판매기 된 지면의 재질은 별다른 조치 없이 주변 재질이 같으며, 자동판매기 앞에 점자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림 18] 자동판매기
5. 소결
[표 6]의 내용을 종합한 결과, 부 [표 6] 박물관 유니버설디자인 세부항목 평가결과 산시립박물관의 5개 시설에 적용 된 유니버설디자인은 다음과 같
분류
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평균 2.4 점이 도출되었다. 그중 “보도 및
출입구
차구역의 평균점수는 2.6점이었 다. “보도 및 접근로”, “주차구역” 은 항목은 1개 항목으로, 전체 항목의 8%를 차지했다. 내부시설의 47개 세부사항을 평 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평균 2.4 점이 도출되었다. 그중 평균적으
318
부적합 (1점)
매 보도 및 6 46 6 46 1 (3) (1) 개 접근로 (2) 시 주차 12 0 1 설 구역 (4) 92 (0) 0 (1)
접근로”의 평균점수는 2.2점, 주
의 항목 중 기준에 적합하지 않
미비 (2점)
X(Y) Z X(Y) Z X(Y) Z
은 부분에서 나타난다. 매개시설 중 11개 세부사항을 평
적합 (3점)
내 부 시 설
24 0 100 (8) (0)
0
0 (0)
8 8 0
계
평균
X(Y)
N
13 2.2 (6) 26 2.4 13 (11) 2.6 (5) 24 (8)
복도 15 6 3 24 63 25 12 및 통로 (5) (3) (3) (11)
3 2.2
계단
18 0 82 (6) (0)
0
4 22 114 18 2.2 2.4 (4) (10) (47)
승강기
18 2 86 (6) (1)
9
1 (1)
21 (8)
2.6
경사로
18 2 78 (6) (1)
9
3 23 13 (3) (10)
2.3
5
Vol.2 No.1 February 2020
로 가장 점수가 높은 부분은 출 입구(3점)으로, 그 뒤로 오름차순
분류
으로 승강기(2.6점), 경사로(2.3 일반 사항
(2.2점)이었다. 평가항목 중 기준 많은 부분은 “계단”(4개), “주차 구역”(3개), “보도 및 접근로”(3
위 생 시 설
개)였다.
균 2.3점이 도출되었다. 그중 평 균적으로 가장 점수가 높은 부분 은 소변기(2.5점)으로, 그 뒤로 오름차순으로 대변기(2.4점), 세 면대(2.3점)이었다. 평가항목 중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항목이 가 장 많은 부분은 “일반사항”(2개), “대변기”(2개)였다.
부적합 (1점)
계
평균
X(Y)
N
3 6 2 11 27 55 18 (1) (2) (2) (5)
2.2
15 2 2 19 78 11 11 2.4 (8) 49 (5) (1) (2) 2.3 9 0 1 10 (21) 소변기 90 0 10 2.5 (3) (0) (1) (4)
대변기
세면대
위생시설(화장실)의 21개 세부사 항을 평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평
미비 (2점)
X(Y) Z X(Y) Z X(Y) Z
점), 복도 및 통로(2.2점), 계단 에 적합하지 않은 항목이 가장
적합 (3점)
점자 블록
6 2 1 9 67 22 11 (2) (1) (1) (4) 0 (0)
0
0 (0)
0
2.3
2 2 100 (2) (2)
1 안 내 유도 3 4 1 8 15 38 50 12 2 1.8 시 및 안내 (1) (2) (1) (4) (8) 설 0 5 피난 3 2 40 0 2.5 60 (0) (2) 설비 (1) (1) 기 타 시 설
안내시설의 8개 세부사항을 평가 한 결과, 종합적으로 평균 1.8점 이 도출되었다. 그중 평균적으로
3 2 1 6 50 33 17 2 (1) (1) (1) (3) 11 1.8 5 (6) 자동 3 0 2 60 0 40 1.6 (0) (2) (3) 판매기 (1)
접수대
계
156 34 25 72 16 12 (52) (16) (25)
215 (93)
2.3
X=분수, Y=평가항목수, Z=평가점수(%), N=평균
가장 점수가 높은 부분은 피난 설비(2.5점)으로, 그 뒤로 오름차순으로 유도 및 안내(2 점), 점자블록(1점)이었다. 평가항목 중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항목이 가장 많은 부분은 “점자블록”(2개)였다. 기타시설의 6개 세부사항을 평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평균 1.8점이 도출되었다. 그중 평균적으로 가장 점수가 높은 부분은 접수대(2점)로 그 뒤로 자동판매기(1.6)가 높았다. 평가항목 중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항목이 가장 많은 부분은 “자동판매기”(2개)였다. 부산시립박물관의 시설에 적용된 유니버설디자인의 세부사항은 종합적으로 평균 2.3점 이 도출되었다. 그중 “안내시설”, “기타시설”의 평균점수는 모두 1.8점으로, 유니버설디 자인의 실용성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6.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립박물관의 5개 영역(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화장실), 안내 시설, 기타시설)에 위치한 시설에 적용된 유니버설디자인의 실용성을 평가하였다. 첫째, 부산시립박물관의 93개 세부평가항목 중, 52개 항목(72%)의 세부 항목이 기준사 항에 적합해, 다소 높은 유니버설디자인의 실용성을 보여주고 있었고, 25개 항목(12%) 이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그중 점자블록(100%)의 세부 항목은 완전히 기준치에 도달 하지 못했다.
31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둘째, 본 연구에서 조사한 부산시립박물관의 시설의 현황에서 나타난 주요 문제점은 다 음과 같다. ① 매개시설방면에 있어 활동공간, 틈새공간이 부족하고 보행로에 장애물이 있다. ② 내부시설 방면에 있어 보도 및 접근로의 손잡이가 부족하고, 계단, 승강기, 화 장실 등에 점자 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양 모서리와 굴절부분에 점자표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승강기의 손잡이의 위치가 높으며, 승강기 정면에 점자 블록이 설 치되어 있지 않다.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점자표시도 부족하며, 내부에는 가로형 조작 버튼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경사로에 설치된 손집이의 길이도 짧으며, 손잡이에 점자 표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지면에 완충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③ 위생시설 방면에 있어 장애인 전용 화장실의 지면의 높이는 다소 높고, 지면의 재질(미끄럼 방지)도 적 합하지 않다. 출입구에도 점자기호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대변기의 좌우는 넓어 손잡 이와의 거리가 넓으며, 좌변기의 높이가 부족한다. 소변기의 세로형 손잡이의 위치는 적합하지 않고, 세면기 아래 너비 공간이 부족하다. 수도꼭지에는 점자표시가 없으며, 보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점자 블록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④ 안내시설 방면에 있어 언어 가이드, 점자표시판, 감지용 센서의 시설이 부족하다. 또한 특수 신호 장치가 설 치되어 있지 않다. 피난유도등, 통로 유도등, 시각 장애인용 신호 장치의 시설도 부족 하다. ⑤ 기타 시설 방면에 있어 접수대의 높이가 부족하며, 접수대의 하단은 휠체어가 들어갈 만큼의 깊이가 보장되지 않았다. 자동판매기의 위치 표시(바닥 재질구분, 점자 블록)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셋째, 부산시립박물관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맹인 가이드, 촉각 가이드, 일반 가이드, 점자 모니터, 음성 가이드와 경보기 등 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부 족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잘 갖춰져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자 블록 외에 앞서 언급한 조치들을 차용해 시각장애인 전용 시설의 안전 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전시홀에는 시각장애인이 직접 만질 수 있는 모방품을 배치하고 음성 가이드를 설치하여야 할 것이다.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휠체어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로 방향의 조작판을 설치하여야 할 것 이다. 또 접수대의 상단의 높이를 낮추고 하단을 높여 휠체어 사용자의 진입에 용이하 게 한다. 넷째, 박물관은 모든 사람들(노인, 장애인과 청소년 등 포함)이 지식을 학습하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하지만 오늘날의 박물관 환경은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이 편 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에게 있어서 그들의 목적은 단순히 박물관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며, 박물관을 “사용”하는 것에 있다. 그렇 기 때문에 박물관이 내부 “교통” 방면에서의 무장애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심리적인 “장 애”에 대해서도 고려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高森, 现代博物馆中的无障碍设计, 2010, p11 풍려, 보행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2012, p.19 손정수, 유니버설디자인을 바탕으로 한환경 설계 방법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2003, p.12 나카가와 사토시, Textbook for Universal Design. 디자인 로커스, 2003, pp.10-16
320
Vol.2 No.1 February 2020
부산박물관, http://museum.busan.go.kr/busan /exhibitorigin 조원탁 외,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해수욕장 편의시설 실태조사 -부산의 5개 해 수욕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999, p29 황완주, 공공도서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4, p8 김진화, 사회복지관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과 이용자 평가 -광주광역시의 아파트 단지 내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7, pp18-21
32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슬로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in the Slow City Certified Villages
손 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Sun, L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장소성, 슬로시티, 장소자산 Keyword
place, slow city, Place Asset
Vol.2 No.1 February 2020
슬로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999년 이탈리아에서 출범한 치따슬로(cittaslow), 즉 천천히 느끼며 살자는 것이 슬 로시티(slow city) 운동의 시작이 되었다. 슬로시티는 지역의 정체성과 전통성의 회복 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촉진하며, 자연과 문화에 대한 지역 주민의 동질감에 근거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적 도시 및 지역 발전 모델이다1)[1]. 슬로시티 운동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기본 이념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 내 주거환경 개 선을 통해 지역의 특수성을 부각시킴으로서 지역의 장소성을 조성하는 것이다. 또한, 국제적인 슬로시티 네트워크(slow city network)를 통해 장소를 주체로 한 지역 재활 성화 모델로 여겨진다2).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슬로시티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 트를 도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장소성 개념에서의 슬로시티의 구축 특성을 파악하며 이를 통해 향후 슬로시티의 발전과 디자인적인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 방법 및 내용 본 논문은 장소의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슬로시티 조직의 인증을 받은 사례의 장소 구축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장소성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장소 자산(place assets)의 유형을 파악하고, 슬로시티의 개념과 인증 평가요소를 파악한다. 둘째, 슬로시티 평가 요소와 장소성 형성 요소에 대해서 매트릭스 분석을 진행하여 장소성 형성 요소를 중 심으로 재구성한 평가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셋째, 선정한 5개 슬로시티를 직접 방문 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체크리스트를 중심으로 각 슬로시티의 장소성을 평가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다.
2. 이론적 고찰
2.1.장소와 장소자산의 개념 및 유형 2.1.1.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 ‘장소(place)’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국내외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개념적 연구가 진 행되었으며 지리학, 건축학, 도시 설계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장소는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생성되는 물질적, 정신적 영역으로(백선혜, 2004), 물리적 환경과 사람, 문화의 관계 속에서 다중성, 고유성, 역사성, 정체성 등이 함께 녹아든 총
1) 조영태, “한국형 슬로시티 추진 전략,” 토지 연구, 제24권, p.98, 2008. 2) 崔耀燮, 장소 개념은 통해 본 국내 슬로시티 개발 전력의 개선방향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 2011.
32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체적실체이며(이무용, 2003), 루커만(Lukermann, 1964)은 장소 개념을 물리적 위치, 자연과 문화의 통합, 공간적 상호 연결, 국지화, 형성, 의미의 여섯 가지의 주요 요소로 분류하여 설명 하고 있다3).
2.1.2. 장소성 관련 선행연구 고찰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장소성의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 였고 이를 통해 장소성 형성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1]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장소성 형성요소 저자
장소성 형성 요소
백선혜 2004
물리·환경적 요소
인적·문화적 요소
임상현 2013
물리·환경적 요소
인간의 활동 요소
장소성의 의미
김연경 2015
물리적 요소
행태적 요소
의미적 요소
김태진 2004
물리적 특성
행태적 특성
의미적 특성
최요섭 2010
물리·환경적 요소
인적·문화적 요소
정원욱 2012
물리적 측면
활동적 측면
이남휘 2011
물리적 요소
인적 요소
활동적 요소
박신영 2014
물리적 요소
사회·문화적
행태적 특성
연구자
물리·환경적
상대적 요소
상대적 요소
정서·상징적 요소
정서·상징적 요소 상징적 측면
사회·문화적
의미 상징적
정서·상징적
2.1.3. 장소자산의 이해 ‘장소자산’이라는 용어는 ‘영역자산(Territorial Asset; Storper, 1999)’이라는 개념을 국내의 장소마케팅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수용하면서 번역된 말이다4). 안덕초(2010)는 문화 관광 마을 활성화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장소를 구성하는 자산 유형을 제도, 정치 자산, 문화자산, 관계성 자산, 잠재적 자산, 물리적 자산 등의 자산 유형으로 구분하였 다. 또한 위의 몇 가지 유형의 자산을 결합함으로써 농촌 지역을 상품 가치가 있는 문 화 관광 마을로 상품화하였다. 백선혜(2004)는 장소 마케팅의 관점에서 다양한 장소 요소에서 장소 마케팅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즉, 마케팅 과정에서 경쟁력 있는 자산 형태를 갖추고 장소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장소의 구성요소에 따라 장소 자산을 사회·문화적, 정치·제도적 자산, 환경적 자산, 물리적 자산 등으로 구분하였다.
3)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장소 자산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p.65, 2010. 4)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장소 자산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제17권, 제 1호, p.70, 2014.
324
Vol.2 No.1 February 2020
본 논문에서는 지역 및 전통적인 농촌지역의 현대화와 지역 개발에서 논의된 ‘장소’의 관점에서 장소 자산의 구축 유형을 검토하고 농촌 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구체적인 자 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현재 장소 자산의 유형을 아래 표와 같이 요약하였다. [표 2] 장소의 요소에 따른 장소자산의 분류 구 분 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유형
내용
물리적 자산
경성 요소: 기반시설, 건물, 스포츠 및 놀이시설, 생활 편의시설, 도로, 건물 등.
환경적 자산
연성 요소: 인공적 환경(예 공공녹지, 인공 수경, 공원 등), 자연·생태 환경자원 (예 자연환경, 산, 물, 공기, 기후, 등).
사회적 자산
제도적 자산, 도시 공공서비스, 정책자산.
역사·문화적 자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미와 요소가 변화하는 특성을 뜻[7]하며, 축적 된 경험, 기억을 토대로 공간이 지니는 고유 한 정서, 가치, 문화가 반영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8]하다.
생활자산 정서·상징적
정서· 상징적 자산
전통음식, 지방 특산품, 농경문화 등. 인간이 장소를 인지하여 부여하게 되는 느낌과 정체감을 통해 생성되는 요소 (예 장소감, 장소애착, 장소 이미지, 장소 정체성, 상징물, 수공예품 등).
자료: 백선혜, 2004: 92, 김진선, 2008:15, 최요섭(崔耀燮), 2010 : 31, 고선영, 2008:420-422,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2010:73-75을 종합하여 수정 재구성.
2.2. 슬로시티의 개념 및 인증평가요소 2.2.1. 슬로시티 개념 국제 슬로시티 기구(Cittaslow International)는 1999년부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 으며, 느린(여유마을의 의미로 대도시와는 반대되는 개념) 마을 만들기 운동을 전 세계 로 확산하였다. 위 개념은 지역이 원래 갖고 있는 고유한 자연 생태 환경과 지방 전통 문화를 지키면서 지방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며 슬로푸드의 재 배, 지방 특산품 및 공예품 보호, 구역 내의 독특한 자연환경을 강조하는 것이다. 조상필(2008)은 슬로시티의 철학은 생산성 지상주의에서 탈피하여 환경을 위협하는 바 쁜 생활 태도를 배제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기다림 등의 철학을 실천하는 것으로 느 리게 살기를 실천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로시티는 전통 보존, 지역민 중심, 생태주의 등 느림의 철학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커뮤니티를 의미한다.
2.2.2. 슬로시티 네트워크와 인증항목 슬로시티는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범세계적인 네트워크인 슬로시티 국제연맹을 형성하 고 심사를 통해 승인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5). 슬로시티는 인구 5만 명 이하의 도시로 가입 자격을 제한하고 있으며 슬로시티 국제연맹이 제시하는 활동 목표인 환경, 기초 인프라, 도시경관 및 미관, 지역 자생력 보호, 주민의 인지 및 참여, 관광객의 환 대 등 6개 부문 52개, 특별 요구 사항 3개, 총 55개 인증 항목 중 필수 항목으로 24개 항목을 제안하고 있으며, 제시되는 인증 항목은 실재 진행 가능한 가이드라인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6). 5) https://www.farmstay.co.kr/village/NH00024/, 2019.08. 6) 황길식, 슬로시티 지역자원조사 및 스토리텔링 - 슬로시티 관광자원화 5개년계획 수립, 보고서, 충청북도 제천시, p.29, 2013.
32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3. 슬로시티의 인증항목과 장소성 형성요소 분석 2.3.1. 슬로시티의 인증항목과 장소성 형성요소 선행연구를 통해서 장소성의 형성요소로 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정서·상징적 요소 가 도출되었다. 또한 슬로시티의 인증 평가요소는 환경, 기초 인프라, 도시경관 및 미 관, 지역 자생력 보호, 주민의 인지 및 참여, 관광객의 환대 등과 특별 요구 1개로 총 7개 항목 36개 사항으로 구성되었다. 슬로시티 장소성의 형성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서 슬로시티의 인증평가 요소와 장소성 형성요소를 매트릭스 표로 나열, 분석하였다([표 3] 참조). 또한 이를 장소성 형성 요소 를 중심으로 [표 4]와 같이 재구성하였다. [표 3] 슬로시티의 평가요소와 장소성 형성요소 분석 장소성 형성 요소 항목
세부 요구사항
물리·환경적 A1
환경
A2
대기, 수질, 토양 보호
■
폐기물 및 재활용 정책
■
친환경적이고 환경에 어울리는 쓰레기통 계획
■
유전자변형 식품 규제
B1
거리광고, 조명 규제
■
도시경관 및 전체적 미관 식생에 대한 계획
■
■
대안교통, 보행자친화, 접근성향상
■
노약자 및 장애인 위한 공공 편의시설
■
자동차 사용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한 자전거도로, 보도 정비
■
공공 공간의 구조물 정비
■
쇠퇴지역의 재활성화
■
역사적 작품 및 공간의 복원 계획 유기적 건축 계획
■ ■
역사센터에 대한 편의성 ,정상화에 대한 프로그램 외관손상을 막기 위한 포스터 광고의 제거 및 제약 지역특산품 품질 보증
■ ■ ■
지역 문화행사 프로그램 활용 및 보존 시장 내 유기농, 친환경 상품 홍보 및 판매 장려 지역 자생력 지역에서 생산된 음식의 맛, 영양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보호 유기농 푸드 재배 개발 계획
■ ■ ■ ■
전통 수공예품 및 장인들의 예술품 품질인증 지역 문화 행사와 전통 문화 축제 보존
326
B3
■
녹지 공간 마련 및 인프라
도시 경관 및 미관
B2
■
역사 문화적 가치 보전
인프라 구축
정서· 상징적
사회·문화적
■ ■
C1
Vol.2 No.1 February 2020
장소성 형성 요소 항목
세부 요구사항
물리·환경적 A1
주민의 인지
B1
B2
B3
■
외국인을 위한 표기 및 안내 제공
■ ■
슬로시티의 목적에 대한 지식 제공
■
슬로시티 지정 방법 홍보
■
느림의 철학에 대한 이해 증진
■
기존 조직 및 시설의 협력
■
편리한 도시 접근성과 행사가 있는 경우 주의 깊은 서비스 제공
■
도시의 ‘느린’여행(슬로우 투어코스) 준비 (브로슈어, 웹, 홈페이지 등) 지역 인근에 주차장 설치
■ ■
슬로 활동과 정체성 캠페인 필요사항 일치 특별 요구 사항
C1
환대를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도시접근성 및 정보 이용의 용이성 증대
관광 개의 환대
A2
정서· 상징적
사회·문화적
■
슬로푸드 지역 구성, 원조
■
가입 도시들은 슬로시티 마크 삽입, 활용
■
치따슬로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정보를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캠페인
■
A1:물리적 자산, A2:환경적 자산, B1:사회적 자산, B2:역사·문화적 자산, B3:생활자원, C1:정서·상징적 자산 * 슬로시티의 인증 평가요소 출처: 한국 슬로시티 운동본부 홈페이지(www.cittaslow.kr) 참고. 표의 내용은 슬로 시티 평가 요소와 장소성 구축 요소의 재구성임
2.3.2. 체크리스트 도출 슬로시티의 장소성 구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슬로시티의 인증평가 요소와 장소성 형 성 요소를 매트릭스 표로 나열, 분석한 후([표 3] 참조), 장소성 형성 요소를 중심으로 [표 4]와 같이 재구성하였다. [표 4] 슬로시티의 장소성 구축 특성 체크리스트 구분
물리 · 환경적
유형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사회 · 문화적
사회적 자산
세부 내용 C1
기초 인프라: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공공 편의시설, 공공 공간의 구조물, 휴게시설, 관광안내 표지판, 주차장 등.
C2
접근성 향상: 대안 교통, 보행자 친화적, 자전거 도로, 도시 접근성 증대 등.
C3
유기적 건축, 건축 공간 재활성화 등.
H1
인공 환경 강화: 도시 환경 미화, 쇠퇴지역의 재활성화, 생태 공원 등.
평가
H2 자연 환경보호: 대기, 수질, 토양 보호와 이용, 환경 친화적인 생활 방식 사용. F1
사회 제도: 구역 내 장기적인 발전 정책 수립(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 비즈니스 사업과 지역 특수성 보호 제도)과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정책 등.
F2
공공 서비스 : 브로슈어, 웹, 홈페이지 등 구축, 슬로시티 지부 구성 및 원조, 친환경 상품 홍보 및 판매 장려 등.
32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구분
사회 · 문화적
유형 역사· 문화적 자산
생활자산
정서 · 상징적
정서· 상징적 자산
세부 내용
평가
J1
유형적 역사 문화: 역사적 작품 및 공간 복원, 역사적 건축물, 역사적인 명인의 생가, 역사 구역의 재활성화와 재활용 등.
J2
무형적 역사 문화: 지역 문화 행사 프로그램 활용 및 보존, 역사적 명절 및 축제, 역사적인 이야기 등.
K1
전통 수공예, 수공예인, 기념품, 생활환경
K2
전통 음식, 지역 내의 토산품 등.
G1
지역주민: 슬로시티의 목적에 대한 지식 제공, 슬로시티 지정 방법, 슬로시티의 가치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등.
G2
관광객: 지역 특색의 체험 프로그램과 슬로시티와 관련된 교육 활동과 홍보 프로그램.
또한 [표 4]에서는 슬로시티 장소성의 구축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세부 내용과 함께 연 구자에 의한 평가를 추가하였다(적극적 적용●, 중점적 적용◉, 중간적 적용◐, 소극적 적용O, 해당사항 없음 ◎의 총 5 단계로 표시).
3. 사례 분석
3.1. 사례선정 기준 및 분석 현행 연구와 국제 슬로시티 조직 및 한국 관련 문헌 연구에 따르면, 슬로시티 인증을 받은 한국의 사례는 총 15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15개 마을 중 5개 사례를 선정하였다. 첫째, 도별 로 한두 개씩 대표적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둘째로, 인증을 취득한 기간은 2007년부터 2011년이며 인구 1000명 이상 10000명 미만으로 비교적 유사한 규모를 가진 슬로시 티를 선정하였다. 다만 ‘전주 한옥마을’의 경우 다른 슬로시티에 비해 면적 면에서는 매우 작은 편이나 2010년 ‘가장 한국적인 문화를 간직한 고장’으로 국제 슬로시티 조 직의 인증을 받았으며, 슬로시티 인증 사례 중 가장 우수한 사례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조안면, 창평면, 대흥면, 악양면 그리고 전주 한옥마을을 연 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사례별 기본 정보는 [표 5]와 같다. [표 5] 슬로시티의 사례 선정 및 개요
328
사례
위치
인증 지역
인증 시간
면적
인구
A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2010년
50.68㎢
4,266명
B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2007년
33.91㎢
4,067명
C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2009년
31.4㎢
2,100명
D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2009년
51.8㎢
3,809명
E
전라북도 전주시
한옥마을
2010년
2.08㎢
6,965명
Vol.2 No.1 February 2020
3.2. 사례 분석 3.2.1.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슬로시티 “새가 편안히 깃드는 낙원”을 마을 테마로 선정한 조안면은 제18차 세계 유기농 총회 의 개최로 지역 내 자원이 효율적으로 통합되었고[12], 친환경적인 생태 이미지를 공고 하게 한 국내 유일의 도농 복합형 슬로시티이다.
3.2.2.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 창평의 테마는 “오래갈 미래로 돌담길과 고택마을”이다[15]. 소쇄원 등 한국 가사문학 과 정자문학의 본고장으로 전원 경관과 전통 고옥경관, 시골 분위기의 골목 풍경이 있 어 다양한 전통 문화가 있으며 도시민들의 전통문화 체험의 장이 될 수 있다.
3.2.3.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슬로시티 충남 예산군 대흥면 중리길 49에는 충남의 보물 같은 마을이 자리잡고 있다. 슬로시티 답게 자연과 역사, 문화와 전통을 고루 갖춘 동네이며 이곳의 테마는 “고향의 향수와 가족 이야기가 살아있는 의좋은 마을”이다.
3.2.4.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슬로시티 하동의 마을 테마는 “차가 있어 즐겁고 행복한 다행촌락(茶幸村樂)”이다. 지리산, 섬진 강과 같은 자연자원과 박경리의 소설 ‘토지’로 알려진 공간적 배경, 하동 야생차와 같 은 특산품들이 어우러져 차(茶) 재배지로서 세계최초로 슬로시티로 인증 받았다.
3.2.5. 전라북도 전주시 담양군 슬로시티 담양군의 마을 테마는 “한국 전통문화의 수도, 슬로시티 전주 한옥 마을”이다. 최대 규 모의 한옥(700여 채)과 골목길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이곳은 전통적인 생활 방식 의 발원지이다.
3.3. 소결 3.3.1. 사례별 종합평가 분석 이상 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정서·상징적 요소의 분석을 통해서 사례별 장소성의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각 사례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 적극적 적용(●)7 점, 중점적 적용(◉) 5점, 중간적 적용(◐) 3점, 소극적 적용(O) 1점, 해당사항 없음(◎) 0점으로 적용하여 아래 [표 12]과 같이 평가하였다. 위의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조 안면, 대흥면과 악양면 슬로시티는 물리적 환경을 주도적으로 하여 구축된 슬로시티이 며 창평면, 전주시 한옥마을 슬로시티는 역사와 문화를 주도적으로 하여 구축된 슬로시 티로 나타났다.
32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12] 사례별 종합평가 분석
합계 : n(x), n : 평균수, x : 합계수
물리·환경적 구분
평가
물리적 자산
평가
평가
평가
평가 합계 E 사례 평가 분석
역사· 문화적 자산
생활 자산
정서· 상징적 자산
H1
H2
F1
F2
J1
J2
k1
K2
G1
G2
●
◉
O
●
●
◐
O
●
O
O
◉
◉
●
4.3(13)
7(14)
2(4)
4(8)
3(6)
6(12)
조안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환경적 자산, 정서·상징적 자산>물리적 자산>역사·문화적 자 산>생활 자원>사회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수원 보호지과 2013년 세계유기농대회 개최지로 비교적 좋은 자연환경과 인공 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슬로시티와 관련된 조형물, 이벤트와 체험적인 프로 그램의 운영은 장소의 장소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물리적 자산도 강화하였다. 그에 비해 사회적 표현은 일반적으로 역사·문화적 자산의 이점, 생활 자산의 이점을 강화하지는 못했다. ◐
◐
◐
◉
3(9)
◉
◉
O
5(10)
◉
●
3(6)
◐
6(12)
O
O
2(4)
O 1(2)
창평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역사·문화적 자산>환경적 자산> 물리적 자산, 사회적 자산>생 활 자원>정서·상징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역사 자산은 활성화 정도가 비교적 높고 각 역사적 자산의 위치는 집중적이고 연속성이 강한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시내 지역과 가까운 자연 자원의 이점은 일반 적이며 이해 비해 사회적 정책과 공공 서비스의 실행력은 중간 수준에 머물고 있어 물리적 자산이나 생 활 자산에 관한 자원이 부각되지 않아 관광객의 장소 체험감이 저하되며 정서·상징적의 평가 역시 좋지 않다. ●
●
●
◉
7(21)
●
◉
6(12)
◐
◉
4(8)
◉
O
5(10)
◐
◐
2(4)
◐ 3(6)
대흥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물리적 자산>환경적 자산>역사·문화적 자산>사회적 자산>생 활 자원>정서·상징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자산의 구축은 어렵지 않고 활성화 정도가 높아 상 수원 보호구역의 자연환경에서의 우위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양호한 생태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또 한 역사적 자산이 형성된 상황을 이용하여 인공 환경의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대조적으로 삶의 자산 활용 및 슬로시티 관련 활동 그리고 구축물의 활성화 수준은 일반적이다. ◐
합계 D 사례 평가 분석
사회적 자산
C3
합계 C 사례 평가 분석
환경적 자산
C2
합계 B 사례 평가 분석
정서·상징적
C1
합계 A 사례 평가 분석
역사·문화적
◉
●
●
5(15)
●
◐
7(14)
◐
◉
3(6)
●
◐
6(12)
◐
◐
3(6)
O 2(4)
악양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환경적 자산>역사·문화적 자산>물리적 자산>사회적 자산, 생 활 자원>정서·상징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과 인공 환경의 활성화 정도가 높고 전통 역사 지 역의 활성화 및 상업화에 대한 활용도가 높다. 또한 물리적 자산의 활성화 수준이 향상되었지만 이와 대 조적으로 정경의 상징적인 활성화 수준은 낮은 편이다. ◉
◐
●
◐
5(15)
O 2(4)
◐
◐ 3(6)
●
● 7(14)
●
◉ 6(12)
◉
◐ 4(8)
한옥마을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역사·문화적 자산>생활 자원>물리적 자산>정서·상징적 자 산>사회적 자산>환경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 한옥 및 전통적인 생활 문화 자원을 다량 보유하 고 활성도가 매우 높아 유명 관광지로서의 기본 시설물이 다양하게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관광객이 늘 어나면서 위와 같은 강점은 두드러지지 않고 도시 환경 속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에 대한 수준은 낮은 편이다.
합계 : n(x), n : 평균수, x : 합계수
3.3.2. 사례 간 비교 분석 선정된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요약 분석을 통해 가장 높은 종합 평가 점수를 받은 사례 는 예산군 대흥면(C사례)이고 다음으로는 전주시 한옥마을(E사례)이다. 종합 평가 점수 가 중간 수준인 사례는 남양주시 조안면(A 사례)과 하동군 악양면(D 사례)이다. 종합
330
Vol.2 No.1 February 2020
평가 점수가 비교적 낮은 사례는 담양군 창평면(B 사례)이며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3] 사례별 종합 분석
총계 : n(x), n : 평균수, x : 합계수
물리·환경적 구분
물리적 자산
역사·문화적
정서·상징적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역사· 문화적 자산
생활 자산
정서· 상징적 자산
총계
C1
C2
C3
H1
H2
F1
F2
J1
J2
k1
K2
G1
G2
A
●
◉
O
●
●
◐
O
●
O
O
◉
◉
●
57
B
◐
◐
◐
◉
◉
O
◉
●
◉
◐
O
O
O
43
C
●
●
●
◉
●
◉
◐
◉
◉
O
◐
◐
◐
61
D
◐
◉
●
●
●
◐
◐
◉
●
◐
◐
◐
O
57
E
◉
◐
●
◐
O
◐
◐
●
●
●
◉
◐
◉
59
합계
25
23
25
27
27
15
15
31
25
15
17
15
17
총계
24.3 (73)
27 (54)
15 (30)
28 (56)
16 (32)
16 (32)
평가가 가장 높게 나온 담양 슬로시티는 기반 시설이 잘 구축되어 있고 사용자 연령층을 고려한 휴식시설(소형 공연장, 놀이시설, 관련 정보 시설물 등)을 제공한다. 또한 내·외 부적으로 편리한 교통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내부 기능별 공간의 연계성이 높고 역사적 유휴건물에 대한 재활용의 정도가 높아 각 공간들은 보수되어 민박, 마을 문화 공간, 체험장, 전시장 등과 같은 형태로 활용된다. 또한 마을 및 느린 꼬부랑길 자투리땅을 이용하여 소규모 정원을 조성함으로써 마을 환경을 개선하였으며 전통적인 역사 이야기와 역사적 사건들이 결합되어 체험적인 장소와 그와 관련된 스토리텔링을 형성하였다.
4. 결론
슬로시티는 사람과 자연환경이 조화롭게 발전하고, 지역성과 전통성을 유지하는 토대 위에서 지역 자원을 재 활성화하는 발전 모델이다. 한국 내의 슬로시티는 전라남도의 4 개 지역에서 시작하여 2007년에 처음으로 슬로시티로 지정된 이후 농촌 지역의 활성 화와 현대화 건설에 널리 활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슬로시티에 대한 인식은 슬로시티 인증을 받은 관련 사례를 통해서만 알 수 있으며 이는 슬로시티를 현상적으로만 인식 할 수 있고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과 현장 조사를 통하여 장소성의 구축 요 소와 슬로시티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여 사례별 현장 평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선행 연구를 통해 장소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역사·문화적 자산, 생활 자원, 정서·상징적 자산의 6 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슬로시티 장소성 구축 특성을 살펴 본 결과, 역사·문화적 자산> 환경 적 자산> 물리적 자산> 생활 자산, 정서· 상징적 자산> 사회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역사·문화적 자산, 환경적 자산 및 물리적 자산에 대해서는 높게 나 타났으나, 상대적으로 정서·상징적 자산과 생활 자산은 낮게 나타났다.
33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참고문헌 조영태, “한국형 슬로시티 추진 전략,” 토지 연구, 제24권, p.98, 2008. 崔耀燮, 장소 개념은 통해 본 국내 슬로시티 개발 전력의 개선방향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 2011.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장소 자산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대학원, p.65, 2010. 전석환, 장소의 역사 지리적 탐색을 통한 건축적 재현 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7, 2012. 임상현,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플래시 몹의 공간적 구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 인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3, 2013.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장소 자산을 활용한 농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연구,” 한 국농촌계획학회지, 제17권, 제1호, p.70, 2014. 한국 슬로시티, http://www.cittaslow.kr, 2019.08. 박경문, “국내 슬로 시티 발전 방안 연구,” 지리학 연구, 제42권, 제2호, p.241, 2008. 崔耀燮, 장소 개념은 통해 본 국내 슬로시티 개발전력의 개선방향 연구, 경북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p.14, 2011. https://www.farmstay.co.kr/village/NH00024/, 2019.08.
332
Vol.2 No.1 February 2020
에코뮤지엄 관련 문헌연구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Eco-Museums
류 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u, Shu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Chang, Ju Young(Corresponding author)_ 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에코뮤지엄, 문헌, 연구 Keyword
Ecological Museums, Literature, Research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에코뮤지엄 관련 문헌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에코뮤지엄은 자연환경, 인문환경, 유형유산, 무형유산을 전체적으로 보호하고 또 제자 리에서 보호함으로써 사람과 사물, 그리고 환경을 고유의 생태 관계 속에 두고 조화롭 게 발전시킬 수 있는 박물관의 새로운 방향이다. 에코뮤지엄의 개념은 1971년 리비에르(Georges Henir Riviere)가 제기한 이후 오랜 발전을 겪었다. 본 연구는 중국 및 해외 에코뮤지엄에 관한 연구의 정리를 통해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이론적인 기초를 마련하고자한다.
1.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주로 중국과 해외에서의 에코뮤지엄에 대한 다양한 연구 관점에서의 연 구 성과를 논술하고자한다. 우선 에코뮤지엄을 키워드로 하여 중국문헌 1232건, 영문 문헌 2560건을 검색하였다. 그리고 피인용 횟수 상위의 문헌을 골라 분류하여, 해외의 연구 분야를 세 가지로, 중국의 연구 분야를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즉 해외 연구 부분 은 에코뮤지엄의 설립 사상의 연원(渊源), 개념적 정의 및 기능의 세 가지 측면으로 요 약된다. 중국 내 연구 부분은 에코뮤지엄과 문화유산 보호, 관광개발, 신농촌(新农村) 건설 및 자체 건설 문제 등 네 가지 측면으로 요약하였다.
2. 해외에코 뮤지엄 관련 연구
2.1 <사상적 연원(渊源)>에 관한 연구 에코뮤지엄(Eco-museum)은 두 개의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하나는 ‘iokos’ 이고 다른 하나는 ‘museion’이다. ‘iokos’의 본래 의미는 거주지를 의미하며, 사람들 이 문화적 역사적 측면에서 자연조건과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는 것의 전체 내용을 나 타낸다. ‘museion’은 본래 과학이나 문화적 의미가 있는 물건의 소장을 의미한다. 이 처럼 영어의 ‘Eco’를 에코뮤지엄에 이용하는 것은 경제(Economy)도 아니고 물론 생태 학(Ecology)도 아니다. 그 본래의 뜻은 사회 생태 환경 균형 시스템, 커뮤니티 또는 사 회, 사람이 존재하는 핵심 부분, 인간의 활동과 그 진행 과정을 가리킨다.1) 에코뮤지엄의 개념은 프랑스의 두 박물관학자인 조르주 앙리 리비에르와 위그 드 바린 (Hugues De Varine)이 제시했다. 이들은 프랑스 환경부에 박물관 발전의 새로운 방 향을 설명하면서 처음으로 이 개념을 제시했고 사람, 문화, 자연환경이 긴밀하게 결합 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사고를 표현했다. 박물관은 전통적인 전시 방식을 바꿔야 하고, 밀집에서 분산으로, 도시에서 민간으로 나가야 한다는 ‘박물관 중심화 개념’을 제기했다. 문화가 날로 번성하는 현대에는 세계의 옛 모습이 더욱 그리워지면서 세계문화유산에 대한 보호가 도마에 올랐고 그래서 에코뮤지엄은 포스트 공업화 사회(post-industrial
1) 위그 드 바린(Hugues De Varine), [에코뮤지엄과 지속가능성 발전], 중국박물관, 2005, p.83
334
Vol.2 No.1 February 2020
society)에서 인류의 환경 보호 의식이 높아지고 자연으로의 회귀(回归) 목소리가 높아 지면서 생겨났다.
2.2. <에코뮤지엄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연구 1970년대 초 프랑스에서 탄생한 에코뮤지엄 이념은 산업문명 배경하에 인간의 생태의 식과 환경의식이 박물관 분야에 반영된 것이다. 프랑스 에코뮤지엄 운동 창시자인 조르 주 앙리 리비에르(Georges Henri Riviere)는 ‘에코뮤지엄은 공공 권력기관과 현지인 들이 함께 구상하고 공동 경영 관리하는 도구’라고 정의했다.2) 국제박물관협회가 편집 한 ‘박물관학대사전(博物馆学大辞典)’은 에코뮤지엄에 대해 ‘에코뮤지엄은 지역사회 발 전에 힘쓰는 기관이다. 에코뮤지엄은 이 지역 사회가 가진 문화와 자연유산에 대한 보 존, 전시, 해석 기능을 융합했으며 또 특정 구역 내의 일종의 활상과 작동 중인 환경을 반영하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3) 라고 정의했다. 영국 박물관학자 패트릭 보이랜(Patirck Boylan)이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요약할 때 ‘이는 특정 구역 내의 일종의 다학과적, 지역 사회를 핵심으로 하는 생태, 환경, 자연과 사람에 관한 박물관이다’4) 라고 했다. 이탈리아인이 시작한 ‘유럽 에코뮤지엄 협력 네트워크’는 에코뮤지엄은 지속 가능한 발 전의 목적으로 그 유산을 보존, 판별, 분석, 관리하는 일종의 방식으로 정의하고 있으 며, 이는 지역 사회의 공동 인가를 바탕으로 세워진 것이다. 노르웨이 에코뮤지엄학자 존 제스트롱(John Jestrom)은 ‘에코뮤지엄은 하나의 건물이 나 하나의 방이 아니라 지역 사회의 전체를 대표하는 곳’이라고 생각한다. 에코뮤지엄 이 보호하고 전파하는 것은 자연의 유산뿐만 아니라 문화의 유산까지 포괄하는 자연과 문화의 두 가지 유산의 복합이다. 그래서, 우리가 에코뮤지엄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자연과 문화유산을 우리 후손들에게 전체적으로 전파하는 것이지, 이 문화들을 종지부 를 찍지 말아야 한다. 이런 자연 그대로의 환경 속에서 이 문화들을 옮겨 유산의 완전 성을 유지해야 한다.5) 동시에 그는 둘 사이의 차이를 아래 표와 같이 요약하였다. [표 1] 에코뮤지엄과 전통박물관의 차이 전통박물관
에코뮤지엄
소장품
유산
건축물
지역사회
관객
거주민
과학지식
기억을 활성화하다
과학적 연구
공중지식
2) 조르주 앙리 리비에르(Georges Henri Riviere), [생태 박물관--하나의 진화의 정의], 중국박물관, 1986, p.2 3) Andre·Desvallees, Francois·Mairesse, 「Key Concepts of Museology」, Armand Colin and ICOM, 2010, p.59 4) Boylan·Patrick, 「Ecomuseums and the New Museology: Deifnitions」, Museum Journal, 1992, p.29 5) 황재귀(黄才贵), [당안둥족(侗族) 문화의 전형적 공간재체], 구이저우민족출판사, 2003, p.295
33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3. <에코뮤지엄의 기능>에 관한 연구 위그 드 바린는 에코뮤지엄 교육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주민들이 그들의 책무를 깨닫 고 그들의 환경과 자연자원을 보호해 균형 있게 활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 러한 지역 사회들은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변화에 적응해야만 하고 지역 사회의 과거 와 그들이 사는 문화로 허용되어 지속 가능한 범위에서 발전해야 한다. 에코뮤지엄의 한 가지 장점은 그의 내부의 상호작용인데, 그것은 전통적인 교육 도구가 아니다. 이는 공동개최를 통해 주민들이 구체적인 지식과 경험으로 다양한 이론가들과 교류하는 쌍 방향 학습이다. 이 과정에서는 진정한 에코뮤지엄의 이념을 표현하고, 함께 나눔을 하 며, 자신의 문화 범위 내에서 지역발전을 목표로 할 수 있다.6) 마크모어(Mark Moore)는 에코뮤지엄의 세 가지 기능에 대해 이야기했다. 첫째, 에코 뮤지엄은 거울로서, 그 곳의 사람들은 이 거울 안에서 자신의 문화를 보고 자신의 문화 를 인지하고 수용하며 자신의 문화를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다. 두 번째는 에코뮤지엄 이 관객, 관광과도 연관되어 전시할 것이 많기 때문에 또 하나의 진열장이 될 수 있다. 세 번째는 현지 주민들이 외부 관객과 소통할 수 있도록 열린 창구이다. 이 세 가지가 되면 지역사회의 문화적 보호와 경제 발전 문제는 동시에 해결될 수 있다.7) 프랑수아 위베르(François Hubert)는 ‘프랑스의 에코뮤지엄 갈등과 기형적 변화’ 라는 그의 논문에서 프랑스의 에코뮤지엄에 대해 약간의 비판적인 사고를 표했는데, 그는 일반 대중은 에코뮤지엄이 곧 과거의 한 농업공장의 재건이라고 믿어야 한다고 지적했다.8)
1980년대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급속히 발전해 온 산업화에 들어갔다. 이와 함께 산업
3. 중국의 에코뮤지엄 관련 연구
화에 따른 생태적 불균형과 환경파괴도 부각되기 시작했다. 산업화 시대가 열리면서 중 국인의 집합 거주 발전 형식이 깨어졌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일부 저개발지역은 교통 통신 등 인프라 발전이 지체되는 지역에 위치해 외부와의 각종 정보 연계가 부족해 특 유의 폐쇄적인 발전 현상을 보였다. 또 낙후된 마을 형태와 낙도(孤岛)형 문화를 특징 으로 하여 주변 지역과 비교했을 때 공간형태, 생활방식, 문화신앙 등의 시대적 차이가 드러났고 지역적 또는 민족적 특색을 살린 향토건축, 농후한 민속풍경은 시골 취락(聚 落) 발전의 역사적 정보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이러한 전통 적인 풍모를 지닌 시골 지역은 문화적, 경관적 가치가 점차 학계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 곳들은 종종 중국 내에 생태 박물관이 들어서는 이상적인 지역이 되었다.
3.1. <문화유산의 보호>에 관한 연구 방리리(方李莉)는 에코뮤지엄을 하나의 에코뮤지엄 개념이 아니라 인류의 문화적 다양 성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사업으로 여기고 있다. 전통적인 박물관의 개념을 갱신하고 전복시킬 뿐만 아니라, 어떻게 다른 지방 문화의 퇴화를 막고, 어떻게
6) 방리리(方李莉),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심층적인 사회적 배경—구이저우소가(梭嘎)에코뮤지엄의 연구와 사고], 무형문 화재 보호, 2007, p.6 7) 방리리(方李莉),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심층적인 사회적 배경—구이저우 소가(梭嘎) 에코뮤지엄의 연구와 사고], 무형 문화재 보호, 2007, p.8 8) François Hubert(弗朗索瓦·于贝尔), [프랑스의 에코뮤지엄 갈등과 기형적 변화], 중국박물관, p.4
336
Vol.2 No.1 February 2020
다른 지방 문화의 창조력을 북돋아줄 수 있는지에 대한 인간 문화 미래의 발전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지향한다.9) 후차오상(胡朝相)이 발표한 논문 ‘에코뮤지엄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문제’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요소를 제기한다. ‘첫째, 전문가의 지도와 훈 련은 문화유산 조사 작업의 품질(质) 보증의 전제 조건이다. 둘째, 에코뮤지엄 지역 사 회의 마을 주민 육성이 관건인데, 이는 에코뮤지엄의 문화유산을 장기간 보존하고 전승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정부 주도, 그리고 재정적인 지원은 무형문 화유산 보호의 중요한 보증이다.’10) 라고 하였다. 에코뮤지엄이 전통문화를 보호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인 반면 황소옥(黄小钰)은 오히려 에코뮤지엄은 전통문화에 충격을 준다고 생각했다. 중국 에코뮤지엄이 지닌 지역성과 민족성, 문화가 독특하고 경제적으로 낙후된 특성 때문에, 황소옥(黄小钰)은 이런 중국 의 특수환경 속에 에코뮤지엄을 건립하는 것은 전통문화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는커 녕 전통문화에 충격을 주고 전통문화의 종말을 재촉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첫째, 에코 뮤지엄 건립의 배경을 보면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자각과 문화적 자부심이 결여되어 있 다. 둘째, 에코뮤지엄에 많은 방문객들이 몰려들면서, 외부사람들은 불가피하게 자신들 의 생활방식을 그곳으로 가지고 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부관광객들이 몰려들면서 현 지의 문화도 부당하게 상품화 될 것이다.’11) 라는 것이다.
3.2. <에코뮤지엄의 건설>에 관한 연구 2000년 8월 9일 중국의 육지특구(六枝特区)와 노르웨이의 투튼에서 열린 중국과 노르 웨이 에코뮤지엄 국제 검토반은 ‘육지원칙(六枝原则)’이라는 중요한 성과를 낳았다.12) 육지원칙의 구체적 내용은 ‘첫째, 마을 사람들은 그 문화의 소유자이며 그 문화를 인정 하고 설명할 권리가 있어야 한다. 둘째, 문화의 의미와 가치는 반드시 사람과 연결이 되고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에코뮤지엄의 핵심은 대중의 참여이며, 민주적으로 관리 되어야 한다. 넷째, 관광과 문화 보호가 충돌할 때 우선 문화를 보호해야 하며 문화유 산은 팔지 말아야 하지만 전통공예로 기념품을 만들어 팔도록 권장해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이고 역사적인 비전은 언제나 가장 중요하며, 오랜 문화를 해치는 단기적인 경제 행위는 제지되어야 한다. 여섯째, 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전반적인 보호는 전통공예 기 술과 물질문화 자료가 핵심입니다. 일곱째, 관객은 존중하는 태도로 일정한 행동준칙을 따라야 할 의무가 있다. 여덟째, 에코뮤지엄은 일정한 패턴이 없고 문화 및 사회의 서 로 다른 여건으로 인해 천차만별이다. 아홉째, 지역사회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주민생 활을 개선한다.’ 등 이다. 쑤둥하이(苏东海)는 에코뮤지엄의 핵심 이념으로 문화의 원생지에서 문화를 보호하고, 주인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을 꼽았다. 에코뮤지엄은 문화의 주인이 사실상의 주 인이 되어야 비로소 튼튼해질 수 있다. 외국처럼 문화 수준이 높은 곳에 에코뮤지엄을
9) 방리리(方李莉),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심층적인 사회적 배경—구이저우 소가(梭嘎) 에코뮤지엄의 연구와 사고], 무형 문화재 보호, 2007, p.6 10) 후차오상(胡朝相), [에코뮤지엄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문제], 국제박물관협회 아태지역 제7차 대회에서 중국 측 주제발표 및 논문 문집, 2010, p.97-98 11) 황소옥(黄小钰), [에코뮤지엄은 전통문화보호의 보호일까? 충격일까?], 문화학간, 2007, p.2 12) http://news.sohu.com/20050603/n225811436.shtml
33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건립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을지 몰라도 중국에는 문화대리 단계가 존재한다. 문화대리에서 문화 자아관리로의 복귀는 마을 주민들이 세가지 문화의 체증 을 거쳐야 한다. 이것이 이익, 감정, 그리고 지식 세 가지 구동 측면이다. 마을 사람들 의 문화 보호의 동력은 이익 취득에서 나오고, 자기 문화에 대한 자연적 감정에서 비롯 되며, 자신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과학적 인식도 부족함으로 만약 그들이 자신들의 마 을 문화에서의 역사적 가치, 예술적 가치, 학문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면, 그들은 자신의 문화를 더욱 소중히 여기고 그들의 문화의 장기적 이익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13) 쑤둥하이(苏东海)는 ‘에코뮤지엄의 사상 및 중국의 행동’에서 에코뮤지엄의 사상이 중 국 땅에 뿌리를 내리고 발전한 지 20년 가까이 됐으며, 중국 에코뮤지엄 건설의 기본 경험은 ‘첫째, 에코뮤지엄의 사상이 현지화돼야 뿌리가 생긴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둘 째, 주민은 자기 문화의 주인이고 정부와 전문가들은 현지 문화의 일시적인 대리인일 뿐이다. 셋째, 에코뮤지엄은 옛 문화의 보호신이 아니다. 넷째, 에코뮤지엄은 문화의 다 양화의 산물로 보다 대외적으로 개방되어야만 그 가치를 더 빨리 실현할 수 있다.’14) 고 하였다. 황춘우(黄春雨)는 ‘중국에코뮤지엄의 생존과 발전 사고(中国生态博物馆生存与发展思考)’ 에서 구이저우(贵州) 에코뮤지엄의 지역 사회의 문화유산에 대한 재인식을 제시하고, 문화경관에 대한 인식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화경관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 다. ‘첫째, 인간이 의도적으로 설계한 경관은, 미학적 이유로 지어진 정원과 공원 경관 을 포함하여, 그것들은 항상(하지만 늘 그런 것이 아니고) 종교나 다른 기념적인 건물 이나 건물군과 연계되어 있다. 둘째, 유기적 진화된 경관, 그것은 가장 초기의 사회적, 경제적, 행정적 그리고 종교적 필요에 의해 시작됐고, 주변 자연환경과의 연계나 적응 을 통해 현재 형태로 발전했다.15) 셋째, 그는 구이저우(贵州) 에코뮤지엄 발전의 관건 은 자금과 인적 자원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고 언급했다.’ 고 하였다.
3.3.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진연(陈燕)은 관광개발과 문화보호 사이에는 일정한 상충이 있으며, 민족문화자원의 특 수성은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개발방식을 요구한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민족문화 보호와 관광 지속 발전 모델로서 에코뮤지엄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민족문화에 대한 원생보호방식으로 생태적 상황에서의 보존과 전시를 실시하고, 문화의 발전과 사회의 발전을 강조하였다. 에코뮤지엄 모델을 채택하여 민족문화자원을 개발할 때에는 이를 정확히 인식하여 보호성, 생태성, 선택통제, 지역 사회의 참여, 그리고 수익 환원 원칙 에 따라 민족문화와 관광업의 동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16)고 하였다. 여청(余青)과 오필호(吴必虎)는 민족문화 보호와 관광업의 급속한 발전을 갈등으로 여 기며 ’어떻게 하면 관광 개발에서 민족문화의 순결성을 보호하고 민족문화의 정화(精 华)를 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을 지가 고민해야 할 과제’이라고 했다. 민족문화 관광
13) 쑤둥하이(苏东海), [중국 에코뮤지엄의 발전을 위한 사고의 수립과 공고(巩固)], 국제박물관, 2005, p.4 14) 쑤둥하이(苏东海), [에코뮤지엄의 사상 및 중국의 행동], 국제박물관, 2008,p.3 15) 황춘우(黄春雨), [중국에코뮤지엄의 생존과 발전에 관한 사고], 중국박물관, 2001 16) 진연(陈燕), [민족문화관광개발을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운남민족대학(云南民族大学), 2009
338
Vol.2 No.1 February 2020
의 문제점은 민족 문화의 동화, 속물화, 모델화, 그리고 공식화이다. 일정한 의미에서 관광 개발 과정은 하나의 민족문화가 가공이나 포장을 거쳐 하나의 상품성 있는 관광 상품으로 상품화되는 과정이고, 민족문화를 상품으로 판매하는 과정이다. 이런 상황에 서 민족문화의 인위적 전파와 경제적 수익이 결합되어 더 이상 민족문화의 원생형태가 아니라 유상유가(有偿有价)를 가진 정신적 상품으로서의 성격을 가진 재생형태가 되었 다.17) 이들은 전통박물관과 에코뮤지엄을 비교하며 에코뮤지엄은 소수민족의 자연생태 와 인문생태 전반에 대한 보호에 특히 효과적인 박물관이며 또 민족문화관광 개발과 보호에 지속적인 발전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3.4. <신농촌 건설>에 관한 연구 문홍(文红), 유언수(刘彦随), 황연(黄娟), 장총(张聪)은 신농촌 건설의 시각에서 에코뮤 지엄을 새롭게 해석했다. 구이저우 에코뮤지엄 건설은 ‘육지원칙’을 총결산하고 에코뮤 지엄 지역 사회 관리 모델을 정부 주도의 다자간 참여 모델이라고 부르며 또 카스트(喀 斯特) 민족지역의 문화유산 보호와 사회경제 발전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조사를 통해 구이저우 에코뮤지엄 건설에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에코뮤지엄 은 새로운 농촌건설과 결합해야 하고 또 문화유산 보호에서의 원진성(原真性)과 발전성 을 정확하게 처리하고 민족마을의 발전단계를 넘어 카스트 지역의 에코뮤지엄 형식의 새로운 농촌을 건립해야 한다.18) 고 하였다. 여압방(余压芳)은 에코뮤지엄의 경관보전과 활용의 두 가지 ‘참조가치’ 체계를 제시했 다. 첫째는 원주민을 중심으로 한 다원적 주체가치의 균형이고, 둘째는 취락경관(聚落 景观)의 역동적인 변천과 경관기능의 합리적인 전환이다. 에코뮤지엄의 지속 가능한 발 전을 위해서는 역사문화 마을 보호제도, 사회주의 신농촌 건설을 위한 기본 국책, 무형 문화유산 보호정책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19) 고 하였다.
4. 종합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주로 중국과 해외의 에코뮤지엄에 관한 연구 문헌을 총결하였다. 에코뮤 지엄에 관한 연구 성과가 상당히 풍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에코뮤지엄은 중국에서도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해외 연구는 주로 에코뮤지엄의 사상연원(思想渊源), 정의 및 기능 세 가지 측면에서 요 약할 수 있었다. 인류가 포스트 공업화 사회(post-industrial society)로 접어들면서 사람들의 생태의식과 환경의식이 일깨워지게 되면서 에코뮤지엄이 생겨났으며, 그 사 상의 근원은 주로 인간의 활동과 화경의 기원에서부터 서술되었다. 에코뮤지엄의 정의 에 대해 업계에는 많은 논쟁이 있고, 통일된 얘기가 없다. 기능에 있어서 위그 드 바린 (Hugues De Varine)는 교육 기능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마크(Mark)는 에코뮤지 엄을 거울, 전시장, 창구에 비유했다. 위베르(Hubert)는 이론과 실천에 차이가 있다고 비판적 사색을 제시했다.
17) 여청(余青), 오필호(吴必虎), [에코뮤지엄의 민족문화 지속관광 발전모델], 인문지리, 2006,p.6 18) Deg·Myklebust, [노르웨이 관점에서 본 구이저우성 에코뮤지엄 프로젝트], 구이양(贵阳) 생정박물관 국제포럼, 2005 19) 여압방(余压芳), [경관 시야하의 서남(西南) 전통 취락 보호—에코뮤지엄의 탐색], 동지대학(同济大学), 2012
33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중국의 에코뮤지엄 연구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뉘는데 첫째, 에코뮤지엄과 문화유산의 보 호, 둘째, 에코뮤지엄 건설의 문제, 셋째 에코뮤지엄과 관광개발, 넷째, 에코뮤지엄과 신농촌 건설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코뮤지엄 문헌의 정리를 통해 에코뮤지엄과 신농촌의 건설에 관한 연 구문헌이 가장 적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000년대 이후에 새롭게 시작된 연구로서 <신 농촌 건설>을 새로운 시각이라고 할 수 있고, 앞으로 연구의 발전 가능성 크다고 여겨 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에코뮤지엄과 신농촌 건설에 대한 연구로 범위를 좁히고자한다.
참고문헌 위그 드 바린(Hugues·De·Varine), [에코뮤지엄과 지속가능성 발전], 중국박물관, 2005 조르주 앙리 리비에르(Georges Henri Riviere), [생태 박물관--하나의 진화의 정의], 중국박물관, 1986 황재귀(黄才贵), [당안둥족(侗族) 문화의 전형적 공간재체], 구이저우민족출판사, 2003 방리리(方李莉),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심층적인 사회적 배경—구이저우소가(梭嘎)에코 뮤지엄의 연구와 사고], 무형문화재 보호, 2007 위그 드 바린(Hugues De Varine), [1960-70년대 새로운 박물관 운동 사상과 ‘에코뮤 지엄’이라는 용어와 개념의 기원], 중국박물관, 2005 후차오상(胡朝相), [론에코뮤지엄 지역 사회의 문화유산 보호[J]. 중국박물관], 2001(4). François Hubert(弗朗索瓦·于贝尔), [프랑스의 에코뮤지엄 갈등과 기형적 변화], 중국 박물관, 쑤둥하이(苏东海), [에코뮤지엄의 사상 및 중국의 행동], 국제박물관, 2008 황춘우(黄春雨), [중국에코뮤지엄의 생존과 발전에 관한 사고], 중국박물관, 2001 진연(陈燕), [민족문화관광개발을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운남민족대학(云南民族大学), 2009 여청(余青), 오필호(吴必虎), [에코뮤지엄의 민족문화 지속관광 발전모델], 인문지리, 2006 Deg·Myklebust, [노르웨이 관점에서 본 구이저우성 에코뮤지엄 프로젝트], 구이양(贵 阳) 생정박물관 국제포럼, 2005 여압방(余压芳), [경관 시야하의 서남(西南) 전통 취락 보호—에코뮤지엄의 탐색], 동지 대학(同济大学), 2012 후차오상(胡朝相), [에코뮤지엄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관한 문제], 국제박물관협회 아 태지역 제7차 대회에서 중국측 주제발표 및 논문 문집, 2010 황소옥(黄小钰), [에코뮤지엄은 전통문화보호의 보호일까? 충격일까?], 문화학간, 2007 단양핑(段阳萍), [중국 서남(西南)민족지역의 유형별 에코뮤지엄 비교연구][D], 베이징: 중앙민족대학, 2012 Andre·Desvallees, Francois·Mairesse, 「Key Concepts of Museology」, Armand Colin and ICOM, 2010 Boylan·Patrick, 「Ecomuseums and the New Museology: Deifnitions」, Museum Journal, 1992 반수영(潘守永), [에코뮤지엄과 에코뮤지엄의 중국에서의 발전: 역사적 관찰과 사고], 중 국박물관, 2011. http://news.sohu.com/20050603/n225811436.shtml
340
Vol.2 No.1 February 2020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Public Art i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 Focused on Taoxichuan in Jingdezhen -
이지엔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Li, Jian Hu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퍼블릭아트, 역사문화지구, 특성, 징더전 Keyword
Yoon, Ji Young(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Public Art,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
Dongseo University
Characteristics, JingDeZhen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도시들도 그들이 갖는 여러 가지 도시 문제와 변화하는 현 대 사회 발전에 맞추어 어떻게 도시 공공 공간을 조정하고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 나 갈까 고민하고 있다. 이미 많은 도시들이 1960년대부터 도시 계획에 따라 공공 공간과 공공 디자인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선진 도시들의 도시 계획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 사적 흔적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변화하고 있고 이들 도시들의 공공 공간은 그 자체로 훌륭한 상품이 되어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1). 또한 도시 문화는 모 든 시민들이 장기적인 삶과 생산 실천에서 함께 만들어 내는 물질과 정신적 재부이며, 그 내포와 외연의 차이성은 예술의 창작에 강력한 요소를 제공한다. 1974년 NEA (국가환경국)가 규정한 이후부터, 퍼블릭 아트 작품과 환경간의 문제는 불가분한 문제가 되었다2). 퍼블릭 아트는 도시문화의 중요한 매개체의 하나로 도시계 획과 건축설계를 결합하여 도시 전체의 이미지 조성을 도입하고, 도시의 공공공간과 환경 조성에 퍼블릭 아트이 개입하여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3). 퍼블릭 아트는 스타일과 품질 측면에서 계속 발전하였고, 대중들에게 심미적 즐거움을 가져다주었다. 조나단 보롭스키(Jonathan Borofsky)의 ⌜망치질하는 남자(Hammering Man)나 헨리 무어(Henry Moore)의 몇몇 작품은 복수로 제작되어 전세계 여러 장소 에 설치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차라리 ‘장소 지정형 미술(Site-general Art)’ 이 라고 부르는 것이 적합하며 갈수록 장소지정형 미술이 퍼블릭 아트의 적합한 형태로 평가받고 있다. 환경의 개선은 퍼블릭 아트로 하여금 세계 곳곳으로 나아가게 하였지 만, 여전히 조잡한 품질의 퍼블릭 아트가 존재하며, 퍼블릭 아트와 장소의 의미 사이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징더전(景德镇) 시는 도자기 산업으로 중외에 유명한 천년 고성이 며 장시(江西)성 중요한 여행 및 산업 도시이다. 징더전의 도자기 산업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중국 역사상 8대 관요(정부 주도 도자기 공장) 중 하나이기도 한다. 또 한 이는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전국의 24개 역사문화 명소 및 대외 개방지역이기도 한 다. 징더전 시 도계천의 전신이었던 국가 소유의 우주 도자기 공장은 중국 최초의 산업 유산 중 하나로 공인받았다. 개조된 후의 도계천은 중국 최초의 도자기 문화를 중심으 로 한 문화 레저 테마파크 “China 팡”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2017년 11월, 도계천 박물관은 유네스코 아태 문화유산 보호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였다4).현재 도계천에는 도자기 산업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예술적 시설들이 남아 있으며, 2012년에는 입구 상 징조형물로 도계천의 장소성을 확립하였다. 1) 윤정영,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국가별 비교와 서울특별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국내석사, pp.1-2, 2013. 2) 安德里亚.巴尔蒂尼, 论公共艺术的在地性, 文艺理论研究, 2016年, 第2期. 3) 周秀梅, 城市文化视角下公共艺术整体性设计研究, 武汉大学, 2013年博士论文. 4) 장징위, 윤지영, 역사·문화기반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28 No.3, p.5, 2019.
342
Vol.2 No.1 February 2020
본 연구는 중국의 도자기 문화를 대표하는 징더전 시 도계천을 대상으로 하여 퍼블릭 아트의 현황을 파악하고 도계천의 역사문화적 특성과 퍼블릭 아트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 하였다. 퍼블릭 아트는 회화나 조각, 조형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나, 본 논문에서 는 조형적인 설치 작품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된 환경 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성의 관점에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 장소에서의 퍼블릭 아트의 표현 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사 문화 요소에 개입하여, 지역 정체성을 표출할 수 있는가를 고찰함으로서 퍼블릭 아트가 지닌 의미와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로 퍼블릭 아트의 개념, 특성, 구성 요소 등을 이해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역사·문화지역의 퍼블릭 아트의 평가요소를 도출하 였다. 둘째, 현장조사와 자료수집으로, 징더전시 도계천에서 두달 간 거주하며 퍼블릭 아트 현황을 2012년 지역재생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셋째, 징더전 도계 천의 퍼블릭 아트의 특성을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성의 관 점에서 분석하였다. 넷째, 평가 결과를 근거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특성과 지역 문 화와의 관련성을 아이덴티티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역사 문화 장소의 개념 어느 도시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가 있으나, 이러한 광의적 차원의 의미해석은 역사도시 와 문화도시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마르크스주의는 도시란 인류가 문명 시대에 진입한 시작점이자 주요 상징이라고 주장 했다. 도시의 출현은 인류 역사 발전의 필연적인 부분이며, 인류 문명의 시작에 비교적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도시 발전의 역사는 인류 역사적 성격과 의미가 가장 풍부하고, 가장 집중되어 있는 핵심 부분이다. 역사 문화의 명문 도시란 문명의 부가 집결된 곳으 로써, 해당 지역에는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고차원적인 삼중적의미가 내재되어 있다5). 역사문화도시란 역사도시와 문화도시가 융합되어 형성되는 도시라 할 수 있으며, 도시 정책과 계획적 측면에서 역사문화도시는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자 산의 적극적·창조적 활용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살기 좋은 도시, 살고 싶은 도시로 도달 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역사문화도시는 도시가 지 닌 역사성뿐만 아니라 현재성과 미래성을 함께 담보하여야 한다.(김효정, 2004)
2.2. 아이덴티티와 장소성의 개념 아이덴티티( Identity )라는 말은 프로이드로부터 시작하여 에릭슨에 의하여 개념화된 말이다. 원래 라틴어의 Identicus에서 유래한 것이며, ‘동일하다는’ 뜻에 뿌리를 두고
5) 刘宝玉, 论历史文化名城的公共艺术设计——以景德镇为例, 景德镇陶瓷大学, 2008年, 硕士论文.
34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있다. 그래서 한마디로 표현 한다면 ‘~는 ~답다’ 라고 표현 할 수 있다6). 아이덴티티의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것이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우리가 어떤 종류의 존재어디에서, 어떻게 관련을 맺든지 간에, 정체성은 반드시 생겨나게 된다”라 고 설명한다. 케빈 린치 (Kevin Lynch)는 “공간의 정체성은 장소에 개별성을 부여하거 나, 다른 장소와의 차별성 을 제공하며, 독립된 하나의 실체로 인식하게 하는 토대 역 할을 한다”고 정의했다. 도시재생, 지역의 지속가능성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지역아이 덴티티 형성요소를 분석하여 기여하는 바가 큰 강점을 찾아내고, 유지 보수를 하는 과 정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7) 장소성은 장소에 의미를 부여받은 상태를 말한다. 즉, 장소는 텅빈 공간이 아니라 인간 에 의해 의미를 부여받아 장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8) 장소성이란 특정사회의 구성원 들이 집단적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활기반이 되고 장소에 대해 가지는 집단적, 사회적 의식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장소는 특정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만 들어내는 물질적, 정신적 영역을 모두 담아내는 개념으로서 유사 개념인 스페이스 (space) 또는 로케이션(location)과는 구별된다9).
2.3. 퍼블릭 아트의 개념 및 분석 퍼블릭 아트라는 개념은 근대 이전 건축 및 회화와 조각에 통합되어 있어 널리 알려지 지 않았다. 하지만 근대 이후 민주사회의 발전에 따라 건축에서 역할을 구분되면서 퍼 블릭 아트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퍼블릭 아트의 개념을 간략하게 서술하면 “퍼블 릭 아트(Public Art)는 공개된 장소에 대중을 위해 설치, 전시되는 작품을 말한다10).기 존의 퍼블릭 아트는 공공의 개념을 장소와 관련시켜 작품을 만들고 소통하는데 반해, 최근의 새로운 개념으로서의 퍼블릭 아트는 장소를 물리적 장소로 보지 않고 사회적· 문화적·정치적 소통의 공간으로 간주하며, 그런 의미에 맞는 작품으로 지역 공동체와 관람객의 참여, 일시적 작업 등을 제안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11) 환경 미술, 환경 조형 미술의 개념을 가진 퍼블릭 아트는 현대 도시 공간 안팎에서 볼 수 있는 작품들이 며 그 작품들은 그 자체로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볼 때 퍼블릭 아트의 가치는 도시의 시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심미적 측면과, 지역의 문화와 역사적 특성을 제고하는 상징적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기 본적 기능 이외에도 예술과 삶의 일치를 통한 소통의 기능이 요구된다.12)
2.4. 선행 연구 문헌 고찰과 선행 논문을 통해 퍼블릭 아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환경성, 공공성, 상 징성, 예술성, 역사성, 형태성, 능동성, 장소성, 다원성, 지역성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 다. 그 내용은 다음 [표 1]와 같다. 6) 김건희, 이규백, 안도타다오 종교공간에서 정체성 포헨특성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p.2, 2015. 7) 김건희, 안도타다오 종교공간에서 정체성 포헨특성 연구, 울산대 석사논문, p.6, 2015. 8) 이석환, 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vol.32 no.5, p.175, 1997. 9)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3, 2013. 10) Miles, Malcolm, 박삼철, 마일스, 맬컴, 미술, 공간, 도시: 공공미술과 도시의 미래, 단행본(다권본) 서울: 학고재, p.2, 2000. 11) 유현정, 공공미술을 위한 인터렉티브 아트 표현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디지털 미디어 학부, p.2, 2000 12) 유현정, 공공미술을 위한 인터렉티브 아트 표현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디지털 미디어 학부, p.2, 2000.
344
Vol.2 No.1 February 2020
[표 1] 퍼블릭 아트 특성 분석을 위한 평가요소 선행 연구
환경성
공공성
김소라(2009)
■
■
김별 (2018)
■
■
이미림(2010)
■
■
장유미(2007)
■
■
송천 (2019)
능동성
■
맹쥐안(2018) 5
역사성
예술성
■
■ ■
■
■
형태성
다원성
■
■ ■
■ ■
지역성
■
■
저슈메(2018)
개
상징성 ■
고우진(2016)
유보옥2008)
장소성
■
■
■
■
■
■
■
■
■
■
8
2
■
2
■
■
6
3
■
■
5
4
1
1
[표 1]를 통해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역사성, 예술성이 논문 연구에서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능동적 출현 횟수는 많지 않지만 최근 2년간 연구 논문에서 나타난 특성으로 인해 발전 추세를 보인다. 퍼블릭 아트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평가 요소를 [그림 1]과 같이 도출하였으며 구체적 인 개념은 [표 2]와 같다.
[그림 1] 퍼블릭 아트의 평가 요소 도출 과정
[표 2] 퍼블릭 아트 분석의 틀 종류
개 념
환경성
퍼블릭 아트는 작품 그 자체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공간적 관계성이 중요하다. 구체적 으로 퍼블릭 아트와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의 관계를 말한다.
공공성
도시 공간에서 퍼블릭 아트의 특징은 대중과의 관계이다. 과거의 위압적이고 기념비적인 위치로 설치 되었던 퍼블릭 아트 작품은 현대에는 대중을 감상 주체로서 고려하여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상징성
공공 공간속에 놓여진 작품은 시각적 인상을 단순화하여 랜드마크나 공간의 지표 등으로 상징되고 이 러한 효과는 공간의 성격을 분명하게 하고 작품의 존재감을 갖게 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시킨다.
예술성
구체적인 주제 분석에 의한 작가의 개념은 기존 작품들과는 달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 전개 가 필요하다. 면, 표면, 볼륨, 양감, 색채, 비례 등 기본적 요소들의 질서와 혁신의 관계가 시각적 미 적 효과를 나타난다.
역사성
작품이 설치될 장소의 역사와 특징. 공간에 대한 창조적 해석을 통한 정확한 의미 전달, 지역 역사 문화의 특징을 구현한다.
상호 작용성
환경과 작품, 작품과 관람자, 관람자와 관람자 간의 행위, 감정 등에서 일이나는 상호작용으로 사회 적, 정시적 차원에 창조성을 중대시킨다.
34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5. 퍼블릭 아트의 사례 분석 세계적으로 도시 현대화의 발전과 새로운 도시 공간의 출현에 따라, 정신문화에 대한 대중의 필요와 도시 민주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은 퍼블릭 아트 의 역사적 전개와 급속한 발전을 강력하게 추진한다. 퍼블릭 아트의 유형도 점차 영웅 과 미덕을 기리는 기념적인 조각에서 대중적 참여도가 높은 유머나 새로운 예술적 패 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작품 사례 선정은 작품이나 작가가 수상을 한 경우 또는 전 문서적이나 학술연구에서 우수사례로 언급된 경우 선정하였다. Florentijin Hofman의 레버 덕은 2007년 프랑스를 시작으로 전세계 각지에 전시되었고, Lawrence Argent 의 big blue bear은 중국사회과학원 등의 사이트에서 소개되었으며, Anish Kapoor 의 Cloud Gate, Jaume Plensa의 Crown Fountain, Calder의 Flamingo, Antony Gormley의 the angle of the North 등은 우수 조형물로 수상을 하였으며, 퍼블릭 아트에 관한 논문 및 전문지에서 수차례 소개되었다. 현재 외국의 대표적인 퍼블릭 아트의 사례분석을 통해 퍼블릭 아트는 우선 독특한 조 형으로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고, 현장 환경과 주변건축의 스타일에 따라 색채, 소재, 표현 형태를 표현함으로써 공간적 상징성을 지닌 조형물을 형성하여야 한다. 있다. 또 한, 퍼블릭 아트는 도시 퍼블릭 공간의 중요한 부분으로 공간을 즐기는 시민들에게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통 퍼블릭 아트의 단순한 장식적 역할에서 벗어나 시민과의 상호작용을 형성하여 퍼블릭 아트의 본질적인 장소적 의미와 사회적 가치를 구현해야 한다.
[그림 2] 퍼블릭 아트의 사례 1-6
사례 1과 사례 2는 모두 밝은 색과 귀여운 만화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였다. 재미있는 조형을 역사적으로 퍼블릭 아트는 대중과 작품, 작품과 장소 사이의 상호 조화를 극대 화하는 방향으로 흘러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사회 문제에 적극 개입하여 실질적인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행동주의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참여 중심적인 퍼블릭 아트에서 는 ’상호소통‘이 필수적이다.13) 또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거대한 조형물과 익살스 러운 표현 형식을 가진 퍼블릭 아트는 대중과의 더 많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고 있다. 퍼블릭 아트는 단순한 미적 오브제가 아니라 참여와 소통의 매개체의 유기적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징더전 시 도계천 퍼블릭 아트 현황
3.1. 징더전 시 도계천 개요 징더전은 쟝시 동북부에 있으며, 황산과 회옥산맥과 판양호 평원의 중간 지역에 있다. 징더전에서 나는 고령토는 품질이 우수하고, 이는 징더전 도자기 생산에 훌륭한 천연 조건이 되었다. 징더전은 유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독특한 도자기 문화를 형성하여 도자
13) 심현섭, 상호소통과 공동체적 방법론에 의한 공공미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사과정, p.6, 2016.
346
Vol.2 No.1 February 2020
기의 도시로 불린다. 여기서 만들어진 도자기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품종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품질까지 우수해 해외까지 널리 수출되고 있다. 징더전에 위치한 도계천은 조각 도자기 공장에서 우주 도자기 공장의 변화되었다. 도계천 문화 산업계의 등장은 징더전의 “새로운 비즈니스 카드”가 되었다. 2018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몇 차례에 걸쳐 징더전 도계천으로 가서 해당 지역의 퍼블릭 아트 디자인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3] 징더전 시 도계천 퍼블릭 아트 발전 연도표 시간
내 용
1958년
근대 바우하우스 공업 건축의 특징이 뚜렷한 공장 건물과 7개의 큰 굴뚝은 퍼블릭 아트의 형성을 위 한 밑바탕을 제공하고 있지만 다른 퍼블릭 아트 조형물은 없음
1990년
공장 건물과 7개의 큰 굴뚝은 퍼블릭 아트의 형성을 위한 밑바탕을 제공하고 있지만 다른 퍼블릭 아 트 조형물은 없음
2012년
7개의 굴뚝 조형물과 건축물, 배경으로 이루어진 퍼블릭 아트
2016년
새로운 퍼블릭 아트가 계속 만들어지고 13개의 퍼블릭 아트가 제작되어 설치되고, 기존의 기계 설비 도 새롭게 정비되어 퍼블릭 아트로서 공공 공간에 배치되었음
2019년
국제 작업실과 박물관, 예술관 등의 지역 활동이 많아지고 예술가가 창조 한 임시 퍼블릭 아트 5개가 추가되었고, 어떤 것은 배치 된 시간이 비교적 오래되어 작은 공간의 상징적 조형물이 되었음
징더전 위저우 도자기 공장에는 60여년의 역사가 있으며, 각 시기의 역사 유적, 예를 들어, 오래된 산업 공장 건축물,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 생산 설비, 당시 작성된 생활 관련 자료가 보존되어 있으며, 과거 도자기 공장에서 근무하던 4000여명의 근로자를 포함한 그 시대를 겪은 사람들이 역사의 산증인으로 남아있다. 오늘날 만들어진 창업 공간, 예술가들의 작업실 그리고 각종 상업 모델은 도계천에 새로운 인적 역량을 불어 넣어 주었다. 여기서 인적 역량에는 현지 사람, 외지인 등이 포함된다. 그들이 창작한 예술 작품과 역사 문화의 상호 결합은 전체 공간에 또 다른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림 3] 도계천 지리적 위치
[그림 4] 도계천 지리적 평면도
1958년에 특색이 뚜렷한 일곱 개의 큰 굴뚝이 퍼블릭아트의 형성을 위한 기초를 제공 할 뿐 다른 퍼블릭 아트는 없었다. 2012년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지역재생이 이루어지 면서 7개의 큰 산업용 굴뚝이 만들어졌다.2015년에[입구 게이트]되면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다. 2016년 예술가 작품 [IT is me]가 도계천에 들어가고, [사자]설치되었으 며, 2017년에는 공업[스타일 조각1]등 퍼블릭 아트가 속속 설치되었다. 연이어 2018년 퍼블릭 아트[개구리]가 설치되고 2019년에는 지역의 활성화와 더불어 새로운 예술품이
34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설치될 예정이다.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는 7개로 모두 굴뚝모양의 조형물로 조 형이 독특하지만 형태가 단일하다. 지역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는 10개로 대부분 이 조형이 아름답고 감화력이 있지만 수량이 적고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표 4] 징더전 시 도계천 퍼블릭 아트 발전 연도표 명칭
개요
사진
∙ 년대:1958 ∙ 색채:쇠녹색
∙ 사이즈:60m ∙ 재료:벽돌
공장에서 생산 기능에 사용되는 큰 7 개 굴뚝이 독특한 조형 때문에 퍼블 릭 아트의 예술의 기초로 되었음
∙ 년대:2012 ∙ 색채:쇠녹색
∙ 사이즈:60m ∙ 재료:벽돌
조형이 독특한 큰 7개 굴뚝은 표면 재처리를 거친 효과로 그 장소의 대 표적인 퍼블릭 아트로 되었음
∙ 년대:2015
∙ 사이즈(m): 4.6×1.4×2.4 ∙ 재료:금속
바우하우스 산업 양식의 퍼블릭 아트 이자 도계천의 대문으로 조형은 도계 천 옛터의 벽체와 큰 굴뚝의 형상
∙ 사이즈(m): 0.9×1.4×0.5 ∙ 재료:금속
잔디 휴식 구역에 있는 크고 작은 두 마리 금속 사자의 형상 조각
∙ 색채:구릿빛
∙ 사이즈(m): 2.5×0.8×0.4 ∙ 재료:유리강
텅 빈 광장에 위치한 움직일 수 있는 두상의 퍼블릭 아트는 성인의 키보다 훨씬 더 커서 시각적 충격을 줌
∙ 년대:2017 ∙ 색채:쇠녹색
∙ 사이즈(m): ∙ 재료:금속
입구 옆 잔디밭에 위치한 다섯 개의 길이가 다른 다양한 금속 재질로 만 들어진 파이프 조형의 퍼블릭 아트
∙ 년대:2017
∙ 사이즈(m): 1.1×0.7×0.7 ∙ 재료:도자기
도요 작업실 옆에 있는 이동 가능한 인물 조형도자기는 예술품으로 구워 지길 기다리는 듯한 모양
∙ 사이즈(m): 2.0×0.9×1.0 ∙ 재료:도자기
국제 작업실 근처의 움직일 수 있는 도자기 인물 조각상으로 방금 출토된 유물 같음
∙ 사이즈(m): 4.1×2.1×0.5 ∙ 재료:금속
잔디밭에 자리 잡은 금속 막대의 조 형으로, 교차 조합된 퍼블릭 아트
∙ 사이즈(m): :1.2×11×1.8 ∙ 재료:금속
원래의 녹슨 모양과 색채를 그대로 간직하면서 잔디밭에 자리 잡은 기계 장비로 만든 퍼블릭 아트
∙ 사이즈(m): 2.8×0.4×0.4 ∙ 재료:금속
연장된 신장 효과의 캐릭터인 퍼블릭 아트는 메탈 소재와 컬러 효과로 작 품의 특색을 살려 공간과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줌
∙ 사이즈(m): 2.3×0.5×0.9 ∙ 재료:유리강
미술관 앞에서의 수묵 스타일의 색채 효과의 개구리와 사람의 마주봄은 인 간과 자연의 대화를 상징함
1 굴뚝
2 입구 게이트 3 사자
4 It's me 5 공업 스타일 조각1 6 명상
7 이산
∙ 년대:2016 ∙ 색채:구릿빛 ∙ 년대:2016
∙ 색채:베이지+브라운 ∙ 년대:2017 ∙ 색채:베이지+브라운 ∙ 년대:2017
9 공업 스타일 조각3
∙ 년대:2017
11 개구리
348
∙ 색채:구릿빛
8 공업 스타일 조각2
10 수호자
현황분석
∙ 색채: 구릿빛
∙ 색채:쇠녹색 ∙ 년대:2018 ∙ 색채:은회색 ∙ 년대:2018 ∙ 색채:수묵색
Vol.2 No.1 February 2020
4. 징더전 시
4.1.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도계천의
[표 5]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퍼블릭 아트
그림-명칭
특성 및 아이덴티티 분석
굴뚝
입구 게이트
사자
환경성
공공성
역사성
상호 작용성
∙ 근대 도자기 생산 시설의 산업흔적을 구현
∙ 입구 조형물은 도계천의 건물 실루엣으로 전체적인 공간, 환경과 어우러짐
∙ 현대적인 기하학적 ∙ 단순한 장소의 조형물로 상징물로 공간이나 바우하우스 산업 양식을 표현하지만, 방문자와의 교감이 지역의 도자기 역사 없음 문화와는 관련 없음
∙ 일반 단지 입구 진입 제한 시설에서 벗어나 공간 진입 제한 없음
∙ 심플한 기하 형태와 ∙ 단지의 대표적인 녹이 슨 재질로 건축 형식과 굴뚝을 근대시기 공업 건축의 디자인 원소로 함 미학적 특징이 선명함
∙ 사자 테마의 ∙ 디자인 형식, 표현 ∙ 설치 위치가 외진 ∙ 조형물 표면에결이 조각은 전체 주제, 재질 등은 데다 부피가 작아 없고 사자의 형상이 환경과 공감할 수 공장 구역과 관련이 식별이 쉽지 않음 불명확함 없음 없음 ∙ 박물관의 광장 구역에 위치하고 있어 방문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음
∙ 공장 설비품인 파이프조형물이 ∙ 입구 쪽 공공 자연 환경과 구역에 있어 대조를 이룸 접근이 쉽음 공업 스타일 ∙ 역사문화 주제를 구현하여 조각1 인문환경과 어울림
이산
예술성
∙ 전체 공장 건물의 ∙ 굴뚝이 전체 공간의 ∙ 공공 구역에 건축 스타일과 ∙ 굴뚝은 상징물이 됨. 위치하여, 대중이 일치함 ∙ 우주 도자기 바우하우스의 근대 ∙ 징더전의 도자기 자유롭게 관람할 공장의 전성기를 건축양식을 보유함 역사적 문화 수 있음 상징함 환경과 호응함
∙ 색채가 건물 색채가 서로 호응함 ∙ 주제는 전반적인 it is me 환경과 관련이 크지 않음
명상
상징성
∙ 단순한 장소의 상징물로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교감이 없음
∙ 공장 구역의 도자기 문화와 아무런 관련이 없음
∙ 단순한 장식물일 뿐,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교류는 없음 ∙ 예술가의 개인적인 스타일 조각으로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인터랙션이 없음
∙ 개별 예술가의 개인적인 독특한 스타일로 공장 구역의 어떠한 상징적인 요소도 응용하지 않음
∙ 현대 창작 기법으로 인물의 표정과 테마 스타일을 표현
∙ 공장지역의 도자기 역사문화 테마의 전달 작용을 갖추지 못했음
∙ 산업단지 시기의 파이프를 디자인 원소로 하였음
∙ 거친 녹 표면을 가진 금속 파이프 조형물은 간결하고, 전형적인 근대 산업의 느낌을 가짐
∙ 산업시대 파이프 조형물로 근대 산업 ∙ 단순한 장식물일 뿐, 공간이나 양식을 표현하여 방문자와의 교감이 근대 도자기 생산 시설의 산업 흔적을 없음 구현
∙ 도자기 재질의 ∙ 예술가 개인의 창작 ∙ 인물의 조형은 ∙ 작업실 ∙ 조각 인물 전체가 인물 조형과 공간, 스타일로 사고하고 유희적이고, 색채가 구석위치가 약간 도자기 재질을 자연환경, 도자기 있음을 표현할 뿐 자연스러움 외진데다가 사용하여 선명한 ∙ 도자기 인물조각의 소제 공간의 공장 구역의 부피가 작아 도자기 문화의 소제공법이 엄격하여 인문환경이 잘 상징적인 요소를 식별이 쉽지 않음 역사성이 있음 보류할 가치가 있음 조화되어 있음 응용하지 않음
∙ 단순 조형물일 뿐,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교감은 없음
∙ 2미터높이의 소제 도자기 조각으로 ∙ 조각 인물 전체가 공예성이 강함 도자기 재질을 ∙ 예술가의 개인 창작 ∙ 근육질로 파워풀함을 사용하여 선명한 스타일을 대표함 표현하고, 컬러 도자기 문화의 효과로, 연대감을 역사성이 있음 표현
∙ 단순 형물일 뿐,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교감은 없음
∙ 구석 공간에 ∙ 위치가 외져 배치하여 전체적인 대중의 접근이 공간 배치가 쉽지 않음 부족함
∙ 작품의 테마가 명확하지 않아 전체 환경과 공업 스타일 공감할 수 없음 조각2
∙ 위치가 외져 대중의 접근이 쉽지 않음
∙ 간단한 금속 재질의 ∙ 주제가 명확하지 ∙ 단순 형물일 뿐, ∙ 금속 나열이 너무 접합으로 상징적인 않고, 도계천 공간이나 제멋대로여서 디자인 의미를 전달하지 도자기 역사문화를 방문자와의 교감은 의도가 명확하지 않음 못함 구현하지 못했음 없음
34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4.1.1.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 특성 분석 [산업유산-굴뚝]의 7개 굴뚝의 퍼블릭 아트의 환경성,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모두 선명하게 구현되고 있다. 7개 굴뚝은 전체 공장 건물의 건축 스타일과 일 치하고 도자기 역사적 문화 환경과 호응함으로 강한 환경성을 나타낸다. 방문자들은 자 유롭게 도계천에서 굴뚝을 감상할 수 있어 공공성이 강하다. 굴뚝은 근대의 바우하우스 를 기하학적 건축 양식을 완전히 보존하여 예술성의 구현이 명확하다. 우주 도자기 공 장 전승기의 상징으로서 굴뚝은 전체 공간의 상징물이 된다. 역사적 구현이 선명한 것은 근대적 도자기의 생산 시설의 산업 흔적을 단지의 역사적 상징물로 하였기에, 높은 보존가치와 인지성이 있다. 따라서 일반 퍼블릭 아트 행사나 체험 기능이 없이도 가능하다.
4.1.2.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종합 분석 특성을 분석 한 결과 예술성>공공성> 환경성> 상징 성> 역사 성> 상호 작용 성 순으로 나타났다. 퍼블릭 아트작품의 특성 총합 분석 한 결과 [굴뚝][공업 스타일 조각1]>[공업 스타일 조각3]> [입구 게이트][수호자][개구리] > [명상]> [IT is me][이 산]> [사자][공 업 스타일 조각2] 순으로 나타났다. 도계천 퍼블릭 아트 작품에 대한 분석을 총괄해 보 면 작품[공업 스타일 조각1]이 환경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공업 스타일 조각2]이며, [입구 게이트], [수호자]와 [개구리] 세 작품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 중 예술성이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공공성, 환 경성 상징성, 역사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호 작용성이 가장 낮았다. 공업 건축과 도자 기 요소를 결합하여 다양한 예술 형식의 구현하므로 예술성이 잘 부여되었다. 대부분의 퍼블릭 아트가 장식기능과 심미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중들이 쉽게 접근하여 감상하고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진입이 자유로워 공공성 강하다. 퍼블릭 아트가 일부 작품(산업 유산-굴뚝, 입구 게이트, 공업 스타일 조각1,공업 스타일 조각3)은 주제와 전체적인 환 경과 잘 어울리고, 일부 작품(명상, 수호자, 개구리)은 재질과 창작수법이 환경과 잘 어 울려 환경성이 강하다. 일부 작품(산업유산-굴뚝 등)에서는 상징적인 표현이 뚜렷하지 만 일부 작품(IT is me)에서는 주제가 명확하지 않아 상징성이 약하며 일부 작품(사자, 명상, 이 산,공업 스타일 조각2)은 상징성이 없으므로 전체적으로 상징성이 부족하다. 일부 작품(사자, 수호자, 개구리)은 조형적으로 새로운 디자인 감각이 있지만, 주제가 도자기 역사문화와는 관련이 없어 역사성과 상호 작용성이 약하다. 대중이 공공조형물 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대중들이 감동을 느낄 수 있어야 하는 동시에 즐거움과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4.2.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아이덴티티 분석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아이덴티티 분석을 통하여 역사 유적으로의 퍼블릭 아트는 역 사문화를 표현하는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고, 지역 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는 공간 과 잘 어우러져 다원문화를 형성하면서 대중과 공간의 상호 소통을 하면서 새로운 아 이덴티티를 형성하였다. 도계천의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는 환경성 공공성, 상징 성, 예술성, 역사성 등 여섯 가지에 대한 지역 아이덴티티를 확실하게 표현하였다. 높 이 솟은 굴뚝은 20세기 중반 바우하우스 형태의 공장 건물과 서로 호응하면서 장소와 공간의 차이성을 나타내어 공간의 독특함을 부여하였다. 상호작용성이 비교적 약하며
350
Vol.2 No.1 February 2020
단순히 장소의 상징물로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교감이 없다. 지역재생을 위해 새롭게 설 치된 신 퍼블릭 아트는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와 같은 역사적 아이덴티티를 지니 고 있지는 못하나 새로운 의미의 장소성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아이덴티티 를 확립할 수는 있다. 그러나 [사자], [공업스타일 조각2]의 경우 모든 평가가 매우 낮 게 나타났으며 특히 아이덴티티와 관련해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례라고 판단된다. 따 라서 예술성 측면이나 아이덴티티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표3] [레버 덕]의 사례 1과 2에서 퍼블릭 아트와 마찬가지로 유희적인 디자인 요소를 첨가하거나 [크라운 파운틴]과 같이 상호작용하는 물의 요소를 추가하여 아이덴티티를 강화할 필요 가 있다.
5. 결론
본 연구는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두 가지 형식에 대해 퍼블릭 아트의 여섯 가지 특성 과 아이덴티티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특성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 한 7개 큰 굴뚝의 퍼블릭 아트는 완전히 보존된 산업역사 건물 과 어울린다. 그중,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이 명확한 구현을 갖추고 있으며 단지의 역사적 상징물로서 보존 가치와 식별가능성이 높아 일반 퍼블릭 아트의 행사나 체험기능을 더하지 않아도 된다. 지역 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 중 퍼블릭 아트의 예술성, 환경성,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고 환경성도 중간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역사성이 높지 않고, 상호 작용성이 약하다. 둘째, 퍼블릭 아트의 다섯 가지 특성에 대한 아이덴티티를 분석한 구체적인 결론은 다 음과 같다.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한 퍼블릭 아트는 역사유적 퍼블릭 아트로 산업유산과 도자기 요 소로 대중들의 시공간적 소통을 형성하면서 대중에게 정신적 공감을 전달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다. 지역재생을 위해 새롭게 설치된 신 퍼블릭 아트는 산업유산 으로의 퍼블릭 아트와 같은 역사적 아이덴티티를 지니고 있지는 못하였으며, 새로운 아 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한 예술성과 상호작용성 등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표 3]의 [마망] 대형 거미 조형물은 주변 환경 및 지역 역사 문화와 관련이 크지 않지 만 작가의 상징성적인 모성애의 부여와 방문자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점점 많은 사 람들에게 인정을 받게 되었고, 미술관 지역의 상징이 되었다. [클라우드 게이트]는 거울 처럼 주위의 환경을 비추면서 도시 및 그 지역의 건축과 결합되어 도시를 더 인간적으 로 만들고, 세계 각지의 관광객과 예술가들을 더 많이 도입하면서 지역 전체의 경제와 문화 발전을 이끌었다. 작품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이 점점 더 잦아짐에 따라, 일부 작 품들은 점점 공간 환경과 융합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고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형성한다. 징더전 시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사례를 보면, 역사 문화 지역의 퍼블릭 아트가 단순히 그 지역의 역사적 문화 원소에만 의존하여 표현하는 것은 부족하기에 현대 예술과 전 통문화를 융합하고 아울러 새로운 상징성을 부여해야 통일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여 대중들과 정신적으로 교감 할 수 있다. 퍼블릭 아트는 사회참여와 대중과의 커뮤니케이 션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호 작용성 퍼블릭 아트가 적어 방문자들이 참여와
35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체험하는 퍼블릭 아트를 증가해야 한다. 작가 중심의 조형이 아니라 대중들과 감성이 공유되어 참여와 경험을 통한 긍정의 감성이 공유될 때 더욱 지속가능한 가치를 가지 고 단순한 조형물이 아니라 문화로 자리 잡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영속적인 가치를 가진 문화로 자리 잡을 때 사람들이 찾고 즐기면서 지역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문화지구를 중심으로 한 퍼블릭 아트는 재료, 색채, 형태 등의 연속으로 내재된 문 화특성을 표현하지만 현대 퍼블릭 아트는 퍼블릭 아트의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는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의 상호관계성을 구축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시 공간의 퍼블릭 아트는 문화적 가치와 삶의 질적 향상을 부여하여 문화 마케팅으로서의 역할을 도모해야 한다. 퍼블릭 아트는 사람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참여적 작품으로 지향해야 한다.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개입을 통한 소통과 교감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며 미적 정서 를 고취시키고 퍼블릭 아트로써의 정체성을 확보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퍼블릭 아트 가 공동체에 참여하고 대화하는 것이 바로 퍼블릭 아트의 시대적 역할이자 궁극적인 가치이다.
참고문헌 윤정영,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국가별 비교와 서울특별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국내석사, pp.1-2, 2013. 安德里亚.巴尔蒂尼, 论公共艺术的在地性, 文艺理论研究, 2016年, 第2期. 周秀梅, 城市文化视角下公共艺术整体性设计研究, 武汉大学, 2013年博士论文. 장징위, 윤지영, 역사·문화기반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 인학회 논문집, Vol.28 No.3, p.5, 2019. 刘宝玉, 论历史文化名城的公共艺术设计——以景德镇为例, 景德镇陶瓷大学, 2008年, 硕 士论文. 김건희, 이규백, 안도타다오 종교공간에서 정체성 포헨특성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p.2, 2015. 김건희, 안도타다오 종교공간에서 정체성 포헨특성 연구, 울산대 석사논문, p.6, 2015. 이석환, 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vol.32 no.5, p.175, 1997.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3, 2013. Miles, Malcolm, 박삼철, 마일스, 맬컴, 미술, 공간, 도시: 공공미술과 도시의 미래, 단행본(다권본) 서울: 학고재, p.2, 2000. 유현정 , 공공미술을 위한 인터렉티브 아트 표현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디지털 미디어 학부, p.2, 2000 유현정 , 공공미술을 위한 인터렉티브 아트 표현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디지털 미디어 학부, p.2, 2000. 심현섭, 상호소통과 공동체적 방법론에 의한 공공미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 술학과 박사과정, p.6, 2016.
352
Vol.2 No.1 February 2020
최적화된 공유숙박 APP 서비스 연구 Research on Optimized Sharing Accommodation APP
시에쉬안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이성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Xie, Xuan Na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연구키워드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씽킹, 공유숙박 APP Keyword
Lee, Sung Pil(Corresponding author)_Dept. of Design,
Service design, Design thinking,
Dongseo University
Optimized Sharing Accommodation App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최적화된 공유숙박 APP 서비스 연구 1. Introduction
Online sharing accommodation is an evolution from traditional accommodation. It is a transaction mode emerging in the sharing economy environment1). As a new format under the sharing mode, online sharing accommodation in China develops fast and a number of sharing accommodation apps. Its rapid development is attracting more and more attention. After reviewing relevant materials, it can be found that some scholars have
studied
the
consumer
behavior
of
sharing
accommodation in China2)3) and some scholars have studied the satisfaction of online sharing accommodation products4).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optimization service of sharing accommodation app. Above
all,
this
paper
will
optimize
sharing
accommodation app on the basis of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and propositions and recommendations to stimulate future research about service quality are offered.
2. Developing
With
the
development
of
sharing
accommodation,
[Fig.1] Current problem of the sharing accommodation app
sharing accommodation apps are developing rapidly. At
situation of
the same time,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sharing accommodation app.
shar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ummary,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accommodation
following problems exist in China's Sharing accommodation apps and need
app in China
to be rectified. See [Fig.1].
1) Guttentag D, Smith S, Potwarka L, et al., 『Why Tourists Choose Airbnb: A Motivation-Based Segmentation Study』, Journal of TravelResearch. 2017,57(3), p.342-359. 2) YAO Ji, JIANG Yu-fen, LIU Jia-cai, WU Wei-ying, MAXiao-long, ZHOU Jian-hua. A Study of Online Homestay Consumer Using BehaviorInfluencing Factors Based on ELM Model[J]. Journal of HuzhouUniversity.2019,48(2):100-106. 3) XUShi-wei. Research on Residents' Travel Accommodation Consumption Behavior underInternet + Sharing Economy[J]. China Journal of Commerce.2018(12):48-49. 4) PEI Hong-xue. Research on Satisfaction of Non-standardHousing Products in Beijing. [D].Beijing Jiaotong University.2017.
354
Vol.2 No.1 February 2020
3. Research
Airbnb is a typical of the sharing accommodation industry. By the end of 2015, the number of users has reached 17million, and it now keeps
object and
exponential growth5). But it slow development since it entered China, and
purpose
there have been some negative news6). Compared to the local platform, Airbnb is less accepted7). Therefore, this paper takes Airbnb as research object. By exploring problems of sharing accommodation services and proposes feasibility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service experience and get better development.
4. Research method and design framework
[Fig.2] Double Diamond Design Model
This paper is an improvement study, using Double Diamond Design Model to investigation of sharing accommodation app. Double Diamond Design Model was developed by the Design Council in 2005. There are: Discover, Define, Develop, Deliver8).See [Fig.2]. ▪ Discover : uses customer journey map to explore users needs ▪ Define : analyzes data through persona and service blueprint ▪ Develop : proposes optimization strategy ▪ Deliver : test the program, and finally, optimization service is elaborated in the form of service storyboard
5) 贺佳雯, 『2015中国“共享经济“元年』, 中国经济信息. 2015(24), p.32-35. 6) 石栋奇/高晓燕/米晓洁, 『基于Airbnb的中国民宿安全现状研究』, 宝鸡文理学院学报. 2017,37(2), p.134-137. 7) 艾瑞咨询, 『中国在线短租行业研究报告2017年』, 2017. 8) https://www.designcouncil.org.uk/sites/default/files/asset/document/ElevenLessons_Design_Council%20(2).pdf
35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 Research on sharing accommodation
5.1. Discover Discover is stage to discover problems and collect information. By observing the performance of users when using the sharing accommodation app. This survey is mainly users between 20 and 40 years old. Information
app service
collected will be used to develop the customer journey map. It can describe
improvement
use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ervice in detail9). See [Fig.3]. [Table1] Target Persona Name Age
CC 25
Career
Designer
Hobby
Travel
Character APP Usage Needs
Extrovert, Individual, Friendly Experience , user of travel-type App Convenient security quality
[Fig.3] Customer journey map
5.2. Define Define is a process of filtering and refining ideas. Person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discover stage. See Table1. Draw service blueprint based on journey map, and clearly interaction relationship of sharing accommodation app. See [Fig.4].
9) ANDY P, LAVRANSA L, BEN R., 『Service Design』, 清华大学出版, 2015.
356
Vol.2 No.1 February 2020
[Fig.4] Service blueprint
5.3. Develop In the develop, we need propose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s and user needs, which will bring higher service quality percep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to users. See [Table2]. [Table2] Pain-point and Optimizing service strategy Pain-point
Optimizing service strategy
Registration steps cumbersome
Added name search function for accommodation
User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Set up passwords according to certain standards or patterns
Payment information security
Third-party payment platform to strengthen information supervision
Authenticity of information about accommodation
Strengthen the field investigation of merchants registered
Effectiveness of accommodation evaluation
Verify and publish customer comments on the platform to reduce invalid content
Cannot search by name
Added name search function for accommodation
Variety complexity affects choice
Information classification, avoid unnecessary information in the browsing process
Sharing accommodation Host cancels the order without cause
The available date, the host must promise not to cancel the order without reason
Service response
Increase the rate of online consultation feedback
35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5.4. Deliver Deliver stage is the stage to establish scheme and inspect it. This paper uses CSAT questionnaire to conduct satisfaction survey. Data of 20 respondents were collected in survey. The results indicate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the optimization strategies reached 90%. They believe that optimization strategies can improve user experienc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service optimization scheme in the way of service storyboard. See Fig.5. Compared to the original process, the new service model optimizes improves the intelligent control and interaction efficiency of products and provides better service for users.
[Fig.5] Optimized Sharing Accomodation App Service
6. Concl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this paper researches the current sharing accommodation APP. It is follows the design process of Double Diamond Design Model and to obtain the optimized service scheme of sharing accommodation app. Research results show that more sharing accommodation APP pain-points occurs during the service stage. However,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whether it can provide users with high-quality products enable users to get better service experience. If the service process of sharing accommodation is not optimiz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service experience, there will be no way to create better service quality for users and unable to increase customer Retention Rate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reference for Chinese online Shared accommodation enterprises to use service design method to improve service quality.
358
Vol.2 No.1 February 2020
References Guttentag D, Smith S, Potwarka L, et al. , 『Why Tourists Choose Airbnb: A Motivation-Based Segmentation Study』, Journal of Travel Research,. 2017,57(3). p.342-359. YAO Ji, JIANG Yu-fen, LIU Jia-cai, WU Wei-ying, MAXiao-long, ZHOU Jian-hua. A Study of Online Homestay Consumer Using Behavior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ELM Model[J]. Journal of Huzhou University. 2019, 48(2):100-106. XUShi-wei. Research on Residents' Travel Accommodation Consumption Behavior underInternet + Sharing Economy[J]. China Journal of Commerce. 2018(12):48-49. PEI Hong-xue. Research on Satisfaction of Non-standard Housing Products in Beijing. [D]. Beijing Jiaotong University.2017. 贺佳雯, 『2015中国“共享经济“元年』, 中国经济信息. 2015(24), p.32-35. 石栋奇/高晓燕/米晓洁, 『基于Airbnb的中国民宿安全现状研究』, 宝鸡文理学院学报. 2017, 37(2), p.134-137. 艾瑞咨询, 『中国在线短租行业研究报告2017年』, 2017. https://www.designcouncil.org.uk/sites/default/files/asset/document/ElevenL essons_Design_Council%20(2).pdf ANDY P, LAVRANSA L, BEN R., 『Service Design』, 清华大学出版, 2015.
35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장소형성(Place Making) 사례연구 - 한국과 중국의 대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ommunity Activation using Community Art -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Korea and China -
팽자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커뮤니티 아트, 지역 활성화, 장소형성, 공공공간 디자인, Peng, Zi Rong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도시환경디자인
Vol.2 No.1 February 2020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장소형성(Place Making) 사례연구 1. 서론
‘Community’의 어원은 라틴어Communis에서 유래한다. 즉, 반려자 또는 상호관계의 감정이 담긴 소통(Communicate), 공통(Common)과 그 기원이 같다. 커뮤니티 또는 공동체와 관련한 개념은 20세기 초 산업화 시대를 이끈 영국에서 최초로 나타났다. 르 페브르는 자본주의제도 하에서 ‘공간속의 생산’이 ‘공간의 생산’으로 전환되었다고 지 적한 바 있다. 글로벌화 되면서 도시화의 진행 과정은 지역 간의 공간과 시간의 차이, 지역성과 정신적인 측면의 관념의 문제들을 무너뜨렸다. 특색이라고는 전혀 볼 수 없는 드넓은 도로, 공공시설 건설 등은 사람들로 하여금 커뮤니티에 대한 의존성을 점점 사 라지게 하였다. 물질문명이 끊임없이 발전하면서 도시의 발전은 이미 도시미학의 시대 로 접어들었고, 도시미학의 실천은 도시가치의 향상에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1). 커뮤니티 아트는 이러한 배경에서 생겨났으며, 새로운 시각으로 공공공간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커뮤니티 아트는 커뮤니티에 뿌리를 둔 예술 활동으로 커뮤니티 참 여, 커뮤니티의 문화 교류 촉진, 커뮤니티 구성원간의 소속감 형성을 강조하며 공동체 공조, 평등한 권리 추구 등과 같은 이념을 예술 생산에 접목하는 시도를 해왔다. 커뮤 니티 아트는 문화 활동을 총칭하는 것으로 정해진 한계가 없으며 형식 또한 다양하여 보통 공공 설비, 그라피티, 개념 예술 그리고 예술 교육과 같은 형태로 자주 등장한다. 기존의 예술 창작 공간은 예술가들의 창조적 행위가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많은 변화가 생겨 지역성을 갖춘 문화적, 예술적 공간으로 또는 예술가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과 교 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변모하고 있다. 이로 인해 커뮤니티 아트는 인간의 감정과 의식의 응집을 보여주는 과정으로 커뮤니티와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 커뮤니티 아트를 수단으로 하여 지역공동체를 위한 Place Making을 조성한 사례를 크게 세 가지의 주최자 관점, 즉 한국, 한국과 중국의 합작, 중국으로 나누어 사례조사하고 논거에 대한 기존의 국내외 선행 연구의 공리들과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향후 대안으로서 커뮤니티 아트를 이용한 장소형성의 방법적 모색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배경 및 목적을 서술하고 그에 따른 연구 범위 및 주안점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양국의 커뮤니티 개념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커뮤니티 아트의 생 성 배경 및 발전 과정에 대한 이해와 커뮤니티 아트 실행에서 중요한 요소와 속성에 대 해서 알아본다. 또한 공간(Space)과 장소(Place)의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장소형성의 개념 및 특성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2010년 이후 최근까지 중국과 한국에서 영향력이 큰 대표사례로 선정된 사례들을 국내외 각기 다른 학자 및 전문가가 장소형성에 대해 제기한 이론을 외삽법적으로 추계한 조사 분석을 통해 예술의 개입을 핵심으로 한 장 소형성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요소를 분석종합 한다. 4장에서는 위의 모든 내용을 종합 하여 본 연구의 마지막 결론을 도출하고 향후 한중 양국의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장 소형성 프로젝트에 필요한 대안적 방법을 찾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둔다.
1) Liu, Zhang, <Community creation and planning thinking involving art>, Art Planner Forum Vol 8, P30, 2016
361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 이론적 배경
2.1. 커뮤니티와 커뮤니티 아트 개념 및 특성 커뮤니티 아트의 개념을 살피기 전에 본 연구에서 통시적인 논거로서 커뮤니티 개념을 간단히 정의하기로 한다. “커뮤니티란 일정한 지리적 구역 범위 내의 사회단체를 의미 하며, 단체의 구성원들은 공통의 흥미를 가지고 있고, 서로 알고 지내며 왕래한다. 또 한 사회적 기능을 행사하고 사회적 규범을 창조하며 고유한 가치 체계와 사회 복지 사 업을 형성한다. 각 구성원은 가정, 이웃, 커뮤니티를 거쳐 더욱 큰 커뮤니티로 통합된 다.2) 퇴니에스3)의 시각에서는 커뮤니티(Gemeinschaft)의 함의는 매우 광범위하며, 커뮤니티(Gemeinschaft)는 지역 공동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또한 혈연 공동체, 정 신 공동체, 사람 간에 형성된 공동의 문화적 의식 그리고 매우 친밀한 관계 모두가 커 뮤니티의 정수(精髓)이다. 국내에서도 현대 사회의 발전에서 커뮤니티의 정의에 대해 퇴니에스가 이끌어낸 커뮤니티의 개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시간이 흐르고 사회가 발전하면서 커뮤니티의 개념도 점차 지리적 또는 지역적 특성을 강조하는 공동체의 개 념에서 사람 간의 소속감, 동질감 및 사회적 참여 등의 요소들로 이루어진 커뮤니티 개 념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국 사회학계는 커뮤니티를 지역적 사회로 규정하고 있고 커뮤니티 연구가 중국 현대화 과정에서의 응용과 실천의 필연적인 결과 로 정의내리고 있다. 중국은 현재 커뮤니티 건설을 대부분 법정 조작단위로 행하고 있 으며, 무엇보다 구(区), 가(街), 위(委)와 같은 말단에 치중하고 있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정의가 주로 커뮤니티 건설이라는 특징으로 풀이된다.4) 파스컬 길랭은 예술가와 공동체의 관계에 따라 네 가지 유형을 제시했다[그림 2]. 커 뮤니티아트에 있어서 가장 본질적이며 기 본적인 것은 대중을 예술적 창작이나 생산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시키는 것이다. 참 여자가 예술전문가나 감식가가 아니라는 사실로부터 우리는 관련된 영역을 정의해 야 한다. 커뮤니티아트 작업은 참여자사이 에서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때만이 성공할
[그림 2] 파스컬 길랭의 커뮤니티 아트 개념지도
수 있다.5) 또 다른 주요 논거로서 일본 미 야자키 교수는 이러한 의제는 인(人), 문(文), 지(地), 산(产), 경(景)의 다섯 가지 유형으 로 분류된다고 주장하였다.[그림 2] 예술이 커뮤니티의 설립에 개입하는 과정에서 이 다섯 가지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인(人)은 인적 자원을 지칭하는 것으로 표 현되었다. 지역 주민은 예술적 환경의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커뮤니티 가치를 인식하 고, 예술의 형태로 커뮤니티의 의제를 표현하며 또한 커뮤니티 활동에서 강한 응집력과 커뮤니티 소속감을 형성할 수 있다. 문(文)은 문화 자원을 가리킨다. 지역의 문화는 예 술로 표현되어 주민의 수용도와 참여도를 증가시키고 예술과 문화의 교화를 촉진시킨 다. 지(地)는 자연 자원을 가리킨다. 예술은 현지 지리 환경의 보육을 촉진하고 특색을
2) 세계보건기구(WTO)는 1974년 커뮤니티 위생 간호 분야의 전문가들을 한데 모아, 커뮤니티 위생분야 역할에 공통으 로 적용되는 커뮤니티의 정의를 규정하였다. 3) Ferdinand Tönnies, 사회학자 1855—1936 4) Kang, Ho <Lesson of community concept development>, P123, 2002 5) 파스칼 길랭(Pascal Gielen), 「매핑 더 커뮤니티아트」, 금천 예술 공장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p18, 2010
362
Vol.2 No.1 February 2020
살리다. 산(产)은 산업 자원을 가리킨다. 현지 산업과 예술의 결합은 산업의 향상과 운 영을 촉진하고 나아가 새로운 산업을 파생시킨다. 경(景)은 경관 자원을 가리킨다. 이러 한 개념은 예술이 커뮤니티 공공장소의 조성에 개입하여 양질의 생활환경, 독특한 생활 경관을 창출하고 주민들의 생활 만족도를 높인다고 할 수 있다.6) 한편, 황산나(2011)는 국내외 커뮤니티 아트의 사례를 통하여 커뮤니티 아트의 특징을 창작성, 체험성, 소통성, 표현 성, 참여성, 공동체 6가지 항목으로 정 리하였다. 창작성이 작가에게 가장 중 요한 특징으로 여겨지고 예술, 과학, 산 업, 교육, 그리고 공동체의 발전에 핵심 적 특징으로 서술한 바 있다. 체험성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서 생성된 정보는 인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간은 이를 통 해 몸소 느꼈던 생명의 과정을 생성하 고 그로 인해 미래에 대해 어느 정도 예감을 할 수 있다. 커뮤니티 아트의 프 로젝트에서 시각, 촉각 등의 감각적인
[그림 3] 미야자키의 커뮤니티아트 관점
체험이 추가된 것을 많이 볼 수 있기 때문에 체험은 인간의 감각을 통해서 느끼고 기억 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피스크(fiske, John.1842~1901)의 정의에 따르면 소통은 한 사람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과정으로서 타인의 행위나 정신 상태 또는 감정적인 반 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개인이 특정문화나 사회의 일원이 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 을 것이다7). 소통은 서로의 거리를 좁혀주고 사람들로 하여금 환경에 친근감을 갖도록 하며 사람들 사이의 외로움과 고립감을 줄여준다. 또한 우리는 소통으로서 제공되는 공 간에서 감정 교류, 사상 전달 등을 형성한다. 표현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형상화하 여 나타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색채심리학자들은 보통 파란색을 불안한 정서를 안정 시키는 색채라고 하는데, 이러한 색채 환경은 사람들이 답답한 일상생활에서 도피하도 록 도울 수 있고 각기 다른 색채로 창조된 공간 환경은 예술가나 주민들이 그들의 행동 을 표현하거나 보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참여는 주민들을 문화에 끌어당기는 첫 단 계라고 볼 수 있다. 주민들의 관심을 끌어당기는 공간연출의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데 그 중, 실내 환경에서의 신비적인 공간은 상상력을 동반한 불명확한 다양성을 통해서 공간적 흥미를 유발시키는 목적성을 지니기 때문에 주민들의 일상에 자극을 주어 자연 스럽게 유도하여 참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8). 공동체는 개인들이 모 이는 장소이며 이 공간에서 대화와 교류가 일어날 수 있고 개방된 공간이기에 이로 인 해 더 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다.
6) 2016, 제8기, 제32권 <예술 개입의 커뮤니티 조성과 기획적 사고>, 유우함(刘雨菡), 장산산(张珊珊), 예술 기획자 포 럼, P31 7) 200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론>, 김우롱, 장소원, p20 8) 황산나, <지역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예술 창작 공간 연구-커뮤니티아트 요소를 적용하여>, 2011
36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2.2. 공간(Space), 장소(Place), 그리고 장소형성(Place Making)의 개념 및 특성 장소형성은 우리가 공공장소를 계획하고, 설계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 공유 가치를 극 대화하고 사람과 사람이 공유하는 지역 내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공공장소를 만드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9) 더 세분화하여, 공간(Space)은 장소(Place)와 동일하지 않고 단지 사람들이 다양한 수요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그것이 사회, 문화, 역 사적 사건, 사람의 활동과 특정한 지역적 조건으로부터 의미를 얻을 때 장소(Place)라 고 할 수 있다10). 바꾸어 말하면 장소(Place)란 의미가 있는 공간이다. ‘장소(Place)’는 어떤 의미에서 한 개인의 기억에 대한 구체화와 공간화, 그리고 공간에 대한 동질감과 소속감을 내포한다. 더 나아가 Bennett (2014)은 “창조적인 Place Making은 커뮤니 티가 경제적 다양성과 커뮤니티의 발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모든 사람에 게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잘 활용되지 않는 거리에는 다양한 장 르의 예술을 한곳에 모아 커뮤니티가 계획성 있는 인파모델을 만들 수 있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공공시설 및 안전을 개선하고, 지역주민 또는 방문자들이 음식을 먹고 마시거나 쇼핑을 하는 것 등을 통해 커뮤니티의 경제 발전을 이끌 수 있다”라고 하였다11).PPS에서 얘기하는 성공적인 Place Making 프로젝트를 어떻게 수립할 것인 지에 대해 제시한 평가 도구를 통해 [표 1]과 같은 네 가지 커뮤니티 조성의 속성을 정 의하고 예시를 정리하였다. [표 1] PPS의 장소형성 주요 속성 정의 및 예시 주요 속성
속성 정의
예 시
Sociability 사교성
일정한 조건에서 개인 간에 왕래 하며 물질적, 정신적 교류를 하 는 사회활동을 말한다.
어떠한 장소가 사람들의 친한 친구, 이웃과의 인사, 낯선 사람과 의 교감의 장소가 될 때 사람들은 장소가 지니는 사교성을 느낄 수 있다.
Uses & Activities 능동성
일련의 활동은 좋은 장소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부분이다. 이러한 장소의 활동은 사람들로 하여금 이곳으로 오게 하거나 다시 돌아 올 이유가 되도록 한다.
이곳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때는 그저 비어있는 공간이 된 다. 또한 세심한 분포 활동범위는 이 장소가 하루 동안 각기 다 른 시간에 다양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예 를 들어 낮 시간에 농구장은 어린아이들을 끌어들이고 방과 후 에 청소년들을 끌어들이며 저녁 음악회는 모든 사람들을 끌어들 일 수 있다.
Access & Linkages 연결성
하나의 좋은 공공장소는 쉽게 도 착할 수 있고, 쉽게 들어올 수 있으며, 쉽게 찾아갈 수 있는 곳 이다.
이곳의 접근성을 통해 주변 환경과의 연계에 더 효과적으로 주 의를 기울일 수 있고, 시각적인 연관을 포함하여 당신은 이곳에 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을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볼 수 있다. 공공장소의 변두리 지역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거리 를 따라 줄지어져 있는 상점들보다는 한쪽 면이 흰 색인 벽이나 혹은 공터가 더 재미있고 보통 더 안전하다.
Comfort & Image 쾌적성
편안하고 유혹적으로 보이는 공 간은 환영받기 쉬울 수 있다. 편 안함에는 안전성, 청결도 그리고 충분한 좌석의 유무가 포함된다.
좌석의 부족은 원래 괜찮았던 많은 장소를 만족스럽지 못하게 만든다. 사람들은 그들에게 앉을 자세를 선택할 수 있게끔 하는 곳에 끌리기 때문에 그들은 하루나 혹은 일 년의 각기 다른 시 간에 햇빛을 죄거나 바람을 쏘이며 쉴 수 있다.
9) PPS.org, <What is Placemaking? | Project for Public Spaces>, 31 December 2009. Retrieved 15 August 2012. 10) Dun Mingming, <Cases of Ancient City Protection and TechnicalInnovation>, P93, 2017 11) Bennett Jamie, <Community Development INVESTMENTREVIEW>, P77-82, 2014
364
Vol.2 No.1 February 2020
3. 분석
3.1.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사례 분석에 따른 분석요소추출 본 분석에 앞서 객관적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사례를 종합 한 분석요소추출작업을 아래 [그림 5]와 같이 실시하였다. 이를 해석하면 Miyazaki, R(2019)의 커뮤니티 아트의 5가지 배경 변인, 즉, 인(人), 문(文), 지(地), 산(产), 경(景) 을 기본적인 테두리로 하여 그 속에서 크게 두 가지 매개변수로 PPS가 제시한 장소형 성의 속성과 커뮤니티 아트 속성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커뮤니티 아트의 속성은 국내 외 선행연구자, Gielen, F(2010)., Hwang, S(2011)., Miyazaki, R(2019)., Kim, M(2018)., Birren, F(1983).,의 공리를 따른다.- 관계성 분석의 공통된 요소를 귀납적 추론방식으로 분석요소를 추출하게 되는데, 창작, 체험, 소통, 참여, 및 관계(성)의 5가 지 요소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중 관계성은 커뮤니티 아트의 속성에 포함된 공동체의 의미를 파스컬 길랭의 커뮤니티 아트의 4가지 관계성을 포함하는 요소로 재해석하여 보다 구체적인 분석 매개변수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요소들은 이후 절에서 한국과 중국 대표사례분석에 적용이 되어 각각의 사례의 특성을 정의내리는 변 수가 된다.
3.2 커뮤니티 아트 활용한 장소형성 사례분석 3.2.1. 사례 1 - 중국 충칭성 WuLong Lanba Lab 프로젝트 (국제문화공원) 사례 1
중국 WuLong - Lanba Lab 프로젝트 대상지역
개요
배경
기간
2019년 8월
주관
중국 충칭 WuLong 인민 정부, 사천미술학원
주최
중경시 WuLnog 구 문화 및 관광발전위원회, 하이난 진훙그룹, 충칭시 우룽구 셴뉘산 여행 투자 유한회사
후원
Lab미술관
인(人)
주관 39명 예술가와 주민들
문(文)
∙ 《满城尽带黄金甲》, 《트랜스포머》 촬영지 ∙ 세계자연유산지
지(地)
∙ 해발이 1,200 미터이고, 높은 산이 에워싸여 있다.
산(产)
∙ 사천 요리, 현지의 특색 있는 음식(양고기탕, 충칭소면)
경(景)
∙ 토제구조 주택 ∙ 라이라바 미술관 ∙ 국가 급 관광휴양지
세부사항
세부 프로 그램 분석
중국 충칭성 WuLong Lanba
활동내용
∙ 오강·선녀산진·라패 관광지·양각고진 ∙ 심장박동 박물관 ∙ 국가 5A급 관광지 특성
“당대 ∙ 제1회 우룽〮 라우빠 국제 대지 예술 시즌은 예술은 <예술을 국민에게 돌려주자>를 테마로 하여 지역사회에 2년마다 개최하는 형식으로 전개됨. 개입하여 ∙ 예술계는 세계 각지의 예술가들을 우룽현으 인민에게 로 초청하여 현지의 풍경과 재료를 소재로 예술을 돌려 하는 예술 작품을 창작하도록 종용함. 그리 준다”는 하여 현지와의 연관을 강조하고 대중의 참 내용의 여와 상호 작용 역시 강조함. 작가 전시
36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사례 1
중국 WuLong - Lanba Lab 프로젝트 세부사항
활동내용
특성
∙ 전시는 <나는 산에서 왔다>, <대지의 소 리>, <마을 공생 계획>의 세 부분으로 나누 어지며 약 40명의 예술가들의 작품으로 구 성되어 있음. ∙ 일본의 예술가 Akinori Matsumoto는 우 룽의 대나무를 이용하여 현지의 죽세공예 장인과 함께 그의 작품인 <죽음극원(竹音 剧院)>을 완성. ∙ 또한 예술가 Yusuke Asai는 우룽 현지 주 민의 도움으로 현지의 흙을 모아서 거대한 돔형 지붕 위에 흙 벽화를 완성. ∙ 덴마크의 예술가 Thomas Dambo는 우룽 의 폐목재로 두 명의 거인을 건축하여 관람 객들이 찾는 과정에서 새로운 단서를 발견 할 수 있도록 함.
세부 프로 그램 분석
“마을 공생 계획” 작품 공모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 예술 애호가 및 대중을 대상으로 ‘예술을 인민〮마을공생 계획 에게 돌려주자’를 주제로 하여 공모전을 개최 함. 공모전에는 미디어 채널을 개설하여 누구 나 작품을 창작하여 기고를 할 수 있도록 하 였고, 대중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 으며 일부 작품은 라우댐 미술관이 영구 소 장하여 우룽의 상설 작품으로 선정되도록 하 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3.2.2. 사례 2 - 중국 하북성 무강현 주와진(中国河北武强周窝镇) 사례 2
2013 주와 국제 마을 미술 프로젝트 대상지역
개요
기간
2013년 4월 8일(월) ~ 5월 5일(일), 총 28일간
장소
주와 뮤직 타운
주관
중국 하북성 형수시 무강현
주최
중국 형수대학, 중국 금음그룹, 중국 루덕 문화산업 회사
후원
한국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 한국동서대학교, 중국 루덕국제예술학교, 중국락도 창의미술학원
인(人)
∙ 명나라 영락(明永乐, 1430~1424)시대 약 600년 전에, 산서(山西) 홍동(洪洞) 지방에서 이곳으로 이주해 왔다. 현재 주씨는 300가구, 강씨는 30가구가 살고 있다. ∙ 한국작가 및 기획자 14명과 한국학생 6명 총20명이 참여하여 형수(衡水)대학 교수와 학 생, 공장 직원, 마을주민 ∙ 80%의 젊은 주민들은 금음악기 공장의 직원이다
문(文)
∙ 마을의 80%주민들이 악기 연구를 할 줄 안다 ∙ 2012년3월부터 주민 악단을 설립되었으며 의무적으로 연출을 많이 했다 ∙ 2012년 5월에는 허베이성 관악기축제를 주최하였다 ∙ 2012년8월에는 제6회 중국 기타문화축제를 주최하기도 하다 ∙ 2013년 초에는 허베이성의 ‘행복마을’로 선정되었다 ∙ 정월 15, 16일에 마을에서 큰북을 치고 작은 종이 등을 만들어서 마을 거리에 설치한다
배경
366
중국 하북성 형수시 무강현
Vol.2 No.1 February 2020
사례 2
배경
세부 프로 그램 분석
2013 주와 국제 마을 미술 프로젝트 지(地)
∙ 허베이성 형수시 무강형 주와진 ∙ 상하수도, 통신, 난방, 도로포장, 마을녹화, 음악광장 건설 등을 추진하여 문화산업의 토대 를 마련하였다.
산(产)
∙ 2012년에 서양악기 생산 공단, 새마을 주택단지, 전통 민족음식구역, (주외) 악기 전시 상 업지구, 음악 행사구역, 11개의 악기 기념관 등을 갖추어 조성되었다.
경(景)
∙ 거리 양쪽의 나무는 30년 넘은 회와 나무이다. ∙ 정원마다 대추나무가 있다. ∙ 빨간색, 주황색을 좋아하는데, 길상의 뜻을 가진다. 그리고 흰색, 검정색을 싫어하고 큰 면 적의 녹색과 자주색을 싫어한다.
세부사항
활동내용
형수대학 <예술창의 공방>
형수대학 예술창의 공방은 주와뮤직타운 아 트프로젝트팀의 사무실로 사용했으며 예술가 들과 학생들의 회의장소로 또는 주민들이 마 을이야기를 들려주던 소통의 공간이었다.
작가전시
참여 작가 개개인의 평소 작품 활동과 작품 세계에 대하여 발표를 하였다.
공동체 참여
작가들과 주민, 방문자들이 함께 나무로 제작 한 물고기 형태에 아름다운 색을 칠하였다. 전체 20개 시리즈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구성하였다. 360미터의 거리 양쪽으로 8,000 여 마리의 물고기가 작품을 이루었다.
특성
3.2.3. 사례 3 - 한국 부산 감천문화마을 사례 3
부산 감천문화마을 ‘미로미로 골목길’ 프로젝트 대상지역
개요
배경
한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 2동 일원
기간
2010년5월~10월
장소
감천 2동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후원
사하구청과 감천2동 주민, 전문가
인(人)
∙ 태극도 신자들이 대부분의 인구를 구성하고 있음.
문(文)
∙ 이곳은 6.25 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내려와 산허리에 계단식으로 판잣집을 지은 것이 시초 로 지금도 슬래브 지붕의 집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부산의 대표적인 문화 소외지역임. ∙ 태극마을이라고 불려 지기도 함.
지(地)
∙ 주변에 자갈치시장, 국제시장, 남포동 등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가 자리 잡고 있음. ∙ 감천동과 아미동을 연결하는 교통로로서의 감천2동
산(产)
∙ 특이사항 없음
경(景)
∙ 울긋불긋한 색의 단독 주택이 언덕에 다닥다닥 붙어있는 특이한 풍경 ∙ 국내외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배경으로 등장하였음.
36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사례 3
세부 프로 그램 분석
부산 감천문화마을 ‘미로미로 골목길’ 프로젝트 세부사항
활동내용
“꿈을 꾸는 부산의 마츄픽츄”
∙ <꿈을 꾸는 부산의 마츄픽츄>라는 제목으로 10점의 조형물들이 설치됨. ∙ <골목길 프로젝트>는 골목 곳곳에 작가들과 마을 주민들이 참여한 예술 작품을 설치하 여 진행함.
“테마가 있는 빈집 프로젝트”
∙ <사진 갤러리>, <어둠의 집-별자리>, <평화 의 집>, <빛의 집-집에서>, <북 카페-혼적> 등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킴.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작업
∙ 감천2동 문화마을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 자인 작업을 통해 지역 이미지 통일화 작업 과 브랜드 가치 창출의 목적으로 심벌마크 와 로고타입을 개발, 성공적인 문화 마을로 써의 입지를 확고히 함.
“영화의 집”
∙ 2011년 2월 11일, 문화 마을은 <영화의 집> 3호점으로 선정 되었으며, 주요 영화촬 영지에 인증서를 부착하여 부산의 이미지를 제고함.
특성
3.3. 분석 종합 앞서 2010년 이후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과 한국에서 인지도12)가 있는 주최자 관점의 커뮤니티 예술을 활용한 장소 조성 사례 세 개를 선정하여 방문 및 온오프라인 문헌 조 사에 근거한 세부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림 5]는 이러한 분석의 종합을 나타내고 있다. 요약을 하면 세 가지 사례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보여 지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는데, 그중 한국과 중국합작의 사례(사례2)와 한국의 사례(사례3)가 중국의 사례(사례1)와 관 계(성)와 참여, 소통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이론적 배경에서도 확인 한 바와 같이 양국 간 커뮤니티의 개념차이에서 오는 주최방식의 차이라 분석되어진다. 한국의 경우 지방 정부와 함께 민간에서의 참여 즉, 상향식 방식을 채용하는 반면, 중 국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주관하여 시행하는 하향식 방식이 주가 되는 것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래 [그림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커뮤니티 아트가 장소 형 성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각의 사례에서는 다양한 행사의 실시를 통해 예 술 공간을 장소화하고 그 안에 있는 사람들 간의 체험, 상호 작용과 교류를 촉진한 것 으로 분석된다. 다만, 중국의 사례를 제외한 두 가지 사례의 공통적인 특징은 커뮤니티 아트의 다양성에 비해 그 표현 방식의 유사성은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사안으로 여겨 진다.
12) 사례별 규모와 방문객 및 온오프라인 인지도 기준
368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5] 분석 종합 도해
4. 결론
오늘날 도시의 발전은 예술의 개입을 일종의 트렌드로 만들고, 장소 조성을 위한 중요 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커뮤니티 아트가 장소 형성에서 갖는 특성과 의미를 바탕으로 최근 10년간 한중 양국이 영향력 있는 사례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커 뮤니티 아트는 커뮤니티의 조성 과정에서 물질적 공간을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예술 문화의 융합, 예술 사업의 발전 그리고 사람 간의 소통과 연결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 할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이끌기 위해서는 정부를 필두로 각계 이해관계자들의 협업 이 절실하며 예술가들과 지역 사회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함께 융합이 필요하다. 커뮤니티는 한 지역의 자연환경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그것은 다른 지역과 구분 짓 는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역민 은 지역공동체를 구성하는 기본단위로 개인의 성향과 가치 지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 고 발전하며 지역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커뮤니티의 특성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이렇게 각 지역의 독특한 자연적, 사회적, 역사적 환경을 통해서 지역성이 지니 고 있는 가치는 세계화 개념의 상대가치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13) 이러한 연유로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예술성 즉, 현지 특색을 살린 개성적인 공공장소의 예술적 가치가 커뮤니티 아트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한편, 예술과 창의적 인 표현이 장소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과 동시에 경제적 파급효과와 생산성 또한 성공적인 장소형성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있어 중요한 동기가 되고 있다. 중국 정 부의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된 공개 수치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문화 및 관련 산업의 증가치는 30,785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3.0%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명목 GDP보다 4.4%가 더 증가했다. 이러한 논거는 두 요소 즉, 예술성과 경제성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고 예술이 도시 공공공간을 창조하거나 재생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 을 보여준다. 순수한 물질적 차원에서의 장식은 오늘날의 장소형성에서 중요한 상징이 지만, 이것은 예술에서 가장 피상적인 부분에 불과하다. 진정한 장소형성은 예술이 사 람과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며 함께 나누고 비강제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사람의 정 신적인 수요를 위한 것임을 상기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몇 가 지를 언급한다면, 첫째, 본 연구의 논거가 되는 이론적 배경들이 미국과 유럽을 위시하 여 정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계 지역의 사례연구가 우선시 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 는 후속연구로써 관계지역과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해 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과는 다르게 중국에서의 논제와 관련한 사례가 많이 부족하여
13) 이호상,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p. 22.
36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비 다양성에서 오는 객관성의 한계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이론적 배경과 분석 결과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커뮤니티의 개념이 상이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는데, 향후 본 연구와 유사한 연구들이 마중물이 되어 양국의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장소형성 발전 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셋째, 지역 활성화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나 지면관계상 그 다양성의 언급이 미비하였으며 장소형성에 국한 시킨 점을 꼽을 수 있 겠다. 넷째, 커뮤니티 아트의 활용을 통한 장소형성의 장점에 포커스를 맞추어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산재되어 있는 단점이나 모순점들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한 계점들을 보완한 후속연구로 도시화에 있어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고 있는 커뮤니티 아 트시행으로 올바른 장소형성과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진화(姜振华), 호홍보(胡鸿保) <커뮤니티 개념 발전의 과정>, 2002. 김기호, 김도년, 김세용, 김은희 <우리, 마을 만들기>, 2012. 정원죽(丁元竹), <커뮤니티 연구의 이론과 방법>, 2009. 황산나, <지역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예술창작공간 연구 - 커뮤니티아트 요소를 적용 하여>, 2011 이영범, 김성주, 최성용, 김연금, 홍승모,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2009 Susan Lacy, <지형그리기: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Mapping theTerrain: New Genre Public Art>, 1995/2008 Ryo Yamazaki, <커뮤니티 디자인>,2019 Bennett, Jamie, <Community Development INVESTMENTREVIEW>,2014 Ferdinand Tönnies, <Gemeinschaft undGesellschaft: Grundbegriffe der reinen Soziologie>, 1999 김민정, <공공미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도시재생에 관한 사례연구>, 2017 조숙현, <한국 커뮤니티 아트의 예술성·공공성 연구-참여주체간 갈등 사례분석>, 2014
370
Vol.2 No.1 February 2020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의 상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Shared Space
웨이이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연구키워드
콤팩트 시티, 공유공간, 특성연구 Wei, Yi Lin_Dep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Keyword
compact city, common space, characteristic study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의 상관특성에 관한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세계 도시의 발전과 함께 도시의자원도 점점 사람들에 의해 개발되고 선진국가의 도시 발전은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일련의 도시 문제, 환경오염, 자원 낭비, 인구 유실 등 문제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도시 발전 지연과 불균형 발전을 초래하였 다. 새로 건설하는 도시는 인프라 시설과 서비스 시설 등에 대해 갱신하기 때문에 이는 기존 도시의 발전을 느리게 하고 심지어 정체 되게 하며, 대부분 인구 이전을 초래하여 간접적으로 자원 환경 문제를 초래한다. 때문에 자원 절약과 환경 개성 원도시의 도시 재생을 위해 콤팩트 도시 이념으로 도시에 대한 개조를 진행하고 원도시의 2차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도시(原都市)에 콤팩트 시티의 발전 전략을 시행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이에 따라 콤팩트화 과정에 공유의 이념을 도입하고, 공유 공간의 개념과 분 류를 분석하며, 콤팩트 도시 공간의 구도 특징 결합하여 ‘콤팩트’와 ‘공유’의 상관성 분 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한 특성의 연관성을 찾아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의 특 성 제시하고, 그 특성을 근거로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며, 사례 를 통해 해당 공간에 대한 검증 분석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 범위와 방법 본 연구는 우선 콤팩트 시티와 공유 공간이라는 두 개의 개념에 대한 개념 정리를 진행 할 것이다. 논문과 선행 연구를 통해 콤팩트 시티와 공유 공간의 개념과 공간 특징을 이해하고, 콤팩트와 공유를 연결하여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의 개념을 제시 및 재정의 하고자 한다. 또한 ‘콤팩트’와 ‘공유’의 특성을 상호 연결하여 콤팩트 도시 공유 공간의 특징을 도출하고, 이렇게 도출한 특성을 근거로 사례 선정의 기준을 확정하며, 사례 속 공유 공간에 대한 특성의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검증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콤팩트는 공유가 필요하고 공유 경제의 발전과 함께 공간의 다기능 사용도 공유의 주 요 특징이 되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류와 연결을 촉진시켰다. 이는 콤팩트 시티의 발 전 이념과 매우 흡사하다.
372
Vol.2 No.1 February 2020
2. 이론적 고찰
2.1. 콤팩트 시티 2.1.1. 콤팩트 시티의 개념 및 발전 20세기 30년대 이후 집중형 도시 계획의 아버지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는 도시 에서 콤팩트한 개발을 실행하는 방안을 제기하여 도시에서 초고층 건축을 건설하여 보 다 많은 도시 공공 공간을 조성할 것을 주장하였다.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도 고 밀도 공간으로 도시의 공공 공간이 다양하고 활기를 띠게 하는 것을 주장하였다. 콤팩 트 시티의 기원은 단치히와 사티 두 사람이 제기한 개념적 도시 모형이다. 해당 모형은 주로 콤팩트한 도시 형태로서 자원의 절약적 활용을 촉진하는 것이었다1). 콤팩트 시티 정책은 흔히 도시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활용 방식을 통해 콤팩트 시티의 목표를 실현 하는 종합적 사고로 이해된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시기의 학자들이 제기한 관점에 대해 개념 정리를 진행하 였다[표 1].2) [표 1] 콤팩트 시티 개념의 발전 학자
연도
내용
단치히(George Bernard Dantzig) 사티(Saaty)
1973
처음으로 “콤팩트 시티”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원형의 도시를 설계하여 25만명의 주민을 수용하였고 도시에는 시설이 완비되었다. 이들은 콤팩트 시티의 특징을 제기하였다: (1) 도시 형태: 고밀도화 (2) 공간 특징: 토지의 혼합 활용 (3) 사회적 기능: 공평성과 자급자족
토마스(Thomasand) 커진스(Cousins)
1996
보다 많은 “분산형 집중” 도시의 발전이 이와 같은 거주 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한편, 경제적 동력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처치맨(Churchman)
1999
콤팩트 도시 정책이란 보다 높은 거주 밀도와 집중 건설, 혼합적 토지 활용, 제한 지정 구역 외의 개발 등 방식으로 도시의 토지에 대한 집약적 활용을 실현한다.
버튼(Burton)
2002
콤팩트 시티의 3대 특징: 고밀도, 혼합적 활용 및 집약적 발전. 앞의 두 가지는 콤팩트 시티의 형태이고 세 번째는 도시가 콤팩트해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콤팩트 시티의 개념을 도출할 수 있는데, 콤팩트 시티란 압축 도시 그리고 고밀도의 도시 공간을 창조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고 교통이 편리해지며 기능의 혼합적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 이념이다.
2.1.2. 콤팩트 시티의 도시 공간 특징 콤팩트 시티의 수많은 관련 연구가대부분 도시의 전반적 계획 측면을 기반으로 하고, 콤팩트를 기반으로 하는 발전 이념이 현대 도시에서의 특징은 대략 세 가지로 나뉜다: (1) 고밀도성과 접근성의 개발 모델 (2) 대중교통을 각 도시 구역의 교통 연결 방식으 로 한다 (3) 각 도시 구역의 서비스 시설과 취직 기회의 접근성과 편의성. 이를 바탕으로 관련 논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콤팩트 시티에서의 관련 특 성을 정리한다[표 2].
1) https://en.wikipedia.org/wiki/Compact_city 2) OECD Green Grown Studies. Compact City Policies A Comparative Assessment (Chinese version)
373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표 2] 콤팩트 시티 선행 연구 선행 연구 심재승
콤팩트 시티(Compact City)와 지방도 재생 - 일본 토야마(富山) 중심으로 -
집중성, 연겨성, 고밀성
金炫爽
콤팩트 시티(Compact City) 이론에 근거한 홍콩 도심부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고밀성, 접근성, 편리성, 집중성
백승관
지속가능한 콤팩트도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유럽, 미국, 일본의 도시, 사회, 거주 특성분석을 중심으로 -
고밀성, 생태성, 집중성, 복합성
정재용, 오민준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을 중심으로 -
집중성, 생태성, 연속성, 복합성, 기능성
[표 2]와 콤팩트 시티의 공간 특징을 통해 콤팩트 시티의 공간 특성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으로 나뉠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밀도성, 복합성, 집중성, 연결성, 접 근성 등 특징들은 공유 이념 하의 공간과 일정한 연관성이 있다.
2.2. 공유 공간 2.2.1. 공유 공간의 개념 및 분류 공유는 ‘sharing 몫, 할당’ ‘share 분배하다, 나누어 쓰다’라는 의미를 뜻하며‘공유 공 간’은 ‘shared space’와 ‘common space’로 구분된다. 먼저, ‘shared space’는 1991년 팀 파로(Tim Pharoah)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이 후 생활권도로의 차량 속도 저감 및 보행자 안전도모를 위한Traffic Calming 기법 중 하나로 도시 설계의 개념이다. 다음으로, ‘common space’는 1986년 사이언스지에서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는 공간’을 칭하며 ‘common’의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 는 주로 ‘common, 공동의’ 의미에 중점을 두고 ‘common space’를 공유 공간의 개 념적 용어로 많이 사용한다.3) 공유 공간은 공/사적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반공/사적 영역에 속한다[그림 1].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 공간의 역할과 기능도 점점 많아지고 이를 출발점으로 하여 ‘common’이 여러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건축 환경 면에서의 공간에서 공유이든 공용이든 이 공간들을 사용하는 상황도 매우 많고, 사람과 공유 공간의 관계도 매우중 요하게 부각된다. 위와 같은 개념 정리와 분석을 기반으로 관련 키워드를 탐색하고, “공유” 관련 공간에 대한 문헌 정리를 진행하며, 일부 전 세계적인 사례를 탐색하여 그 기능, 유형과 형태 에 대한 분류를 진행하였다(부록 1 참고). 위와 같은 사례의 분류와 정리를 통해 공유 공간이 기능상에서 대략적으로 주거, 오피 스, 주차와 문화 등으로 분류되며, 공간 유형상에서 현실 공간과 계획 중의 공간으로 나눌 수 있고, 공간 형태상에서는 기초 공간, 개조 공간과 신축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손은하, 「공유 공간과 커뮤니티」, 동북아문화연구 제32집, 2012, p. 67
374
Vol.2 No.1 February 2020
[그림 1] 공유 공간의 개념 분석도
2.2.2. 공유 공간의 공간 특성 위와 같은 공유 공간 사례 정리와 공유의 관련 논문을 기반으로 조사와 열람을 진행하 였다. 각종 공유 공간의 관련 논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그 속에서 상관 특성을 추 출하였다. 공유 공간은 도시 속의 신흥 공간으로, 도시 속에서 중요한 구성 부분을 담 당한다. 콤팩트 시티 역시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관련 논문을 선정하여 그중의 공유 공간의 특성에 대한 분석과 정리를 진행하였다 [표 3]. [표 3] 공유 공간 선행 연구 선행연구
박정은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요소 연구
공간이용
일상성, 접근성, 쾌적성
공간구성
개방성, 연계성, 위요성, 일체성
최현철
공간주거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개방성, 개별성, 다양성, 유동성, 접속성, 확장성, 가변성, 우연성
문은설
공공성 개념을 적용한 소규모 집합주거 공유공간의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개별성, 접근성, 교류성
이은아
공유개념이 적용된 소규모점포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접근성,연계성, 개별성, 위요성, 교류성, 가변성, 유희성, 기능성
우커스
중국의 재생공간에서 나타난 공유가치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 융합성
이혜수
공유오피스의 커뮤니티 중심 공간 구성 특성
개별성, 개방성, 교류성, 연계성
[표 3]과 앞선 사례 정리를 통해 공유 공간의 분류에는 차이가 존재하나, 공유의 목적 은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중 특성이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관련성과 유사성이 존재했으며, 이에 대한 귀납 정리를 진행하였을 때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으로 추릴 수 있었다: 접근성, 개방성, 신축성, 연결성, 다양성, 교류성, 개 별성, 집합성, 공공성. 여기서 몇 가지 특성과 콤팩트 시티 중의 공간 특성에 유사성이 존재하였으며, 양자 간에 일정한 연관성이 존재했다. 이 연관성을 근거로 콤팩트 시티 와 공유 공간 간에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375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3. 콤팩트 시티 및 공유 공간
3.1. 콤팩트 시티 및 공유 공간의 상관성 분석 [표 4] 콤팩트 시티 및 공유 공간의 특성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
고밀성, 복합성, 집중성, 연결성, 접근성
접근성, 쾌적성, 개방성, 일관성, 일체성, 개별성, 다양성, 유동성, 연결성, 확장성, 가변성, 교류성, 기능성,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 융합성
위와 같은 선행 연구 내용과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콤팩트시티와 공유 공간의 특성에 대해 [표 4]와 같이 귀납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양자 간에 일정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콤팩트”와 “공유” 양자의 개념을 보면, 콤팩트는 일종의 집약된 상태로, 이러한 상태에서 반드시 기능의 복합과 집합 역시 이루어져야한다. 공유의 이념과 콤팩트는 상 부상조적인 관계이다. 둘째로 콤팩트 도시 모형의 건립 초기의 목적은 자원의 절약에 있었다. 콤팩트 도시는 효율적으로 도시 환경을 개선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고밀도, 토지 복합 이용 등 콤팩트 도시 관련 방안이 제시되게 되었다. 공유의 이념은 공유 경제에서 비롯된다. 공유 경제의 초기 목적은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으로 자원절약과 지속 가능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였다. 공유 경제의 생산과 발전은 현대 사회에 공유 자동차, 공유 오피스, 셰어하우스 등과 같은 일련의 공유 기능이 등장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 4]에서 정리한 관련 특성을 통해 양자의 관련성을 발견할 수있다. 콤팩트 도시와 공유 공간의 특성은 연결성과 접근성 등과같이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콤팩트 도시가 피력하는 공간 특성은 공간 계획 측면의 거시적인 것이지만, 공유 공간은 도시 속의 미 시적 차원으로 도시의 발전 방향에 적합한 공간 특성을 따라야 한다. 따라서 공유 공간 은 콤팩트 도시의 미시적 차원 공간에 존재하며, 양자 간에는 일정한 상관성이 있다. 이를 기초로 양자를 연관 지어 콤팩트 도시 공유 공간에 대한 개념 해석 및 정리를 진 행한다.
3.2.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의 개념 제시 위와 같은 콤팩트 시티와 공유 공간의 선행 연구를 기반 으로 논문에 대한 정리와 개념의 명확화, 특성의 분석과 마지막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콤팩트 시티와 공유 공간의 개념을 융합하여 새로운 개념을 도출하였다. 콤팩트 시티의 도시 공간 형태는 고밀도, 집중적, 복합적 인 형태이다. 그 최종 목적은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자원의 절약에 있다. 공유는 공유 경제에서 비롯된 것으 로, 공유 경제는 적은 자원으로 최대 이익을 실현하는 것 이다. 환경 디자인 측면에서 공유가 해결하는 문제는 바 로 자원 환경 문제이다. 도시 공간에는 자원낭비 문제가 심각하다. 많은 빈 집들이 존재하며, 공간은 크지만 사용 자는 적거나 밀접된 오피스 환경과 민가 등 문제는 도시 공간에 도사리고 있는 문제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공유
376
[그림 2] 콤팩트 시티 및 공유공간의 특성에 관한 분석도
Vol.2 No.1 February 2020
공간은 최근 몇 년간 점차 도시 공간과 공간 개조의 발전 추세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 라서 콤팩트 도시 공유 공간의 개념을 위에서 도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정의를 한다 면, 고밀도, 복합적, 집중적인 도시 공간 형태 중 자원 절약과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반 (半) 공공 반 프라이버시의 공간 중 생활, 오락, 교류 등 기능을 하는 공유 공간, 즉 콤 팩트 도시 공유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3.3.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 특성의 정리와 총결 위와 같은 개념을 근거로 [표 4]에서 정리한 관련 특성과 결합하여 양자의 특성에 대한 귀납과 정리를 진행하고, 이로부터 콤팩트 도시 공유 공간의 특성을 도출한다[그림 2]. 그 특성을 연속하여 공통 특성을 통합하고 유사 특성을 통합하여 최종 콤팩트 도시 공 유 공간 특성을 도출한다[표 5]. [표 5] 콤팩트 도시 공유공간 특성 콤팩트 도시 공유공간 특성 고밀성, 복합성, 집중성, 연결성, 접근성, 가변성, 교류성, 공공성, 공유성, 쾌적성, 유동성, 융합성
4.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 사례 연구
4.1. 사례 선정 기준 우선 도시의 선정은 콤팩트 시티를 기준으로 하여, 콤팩트 시티의 평가 지표와 콤팩트 시티 보고서에서 콤팩트 시티와 관련된 계획 정책과 공간 측면의 건설과 개조 등을 탐 색한다. 둘째로 이러한 콤팩트 시티 속에서 관련 공유 공간 디자인 사례와 그 디자인 이념을 탐색한다. 위와 같은 두 가지 목표 기준을 충족하는 사례를 본 연구의 사례 분 석 대상으로 삼는다. OECD 보고서에 제시된 콤팩트 시티의 5대 평가기준에 따르면 밀도, 근접도, 로컬 서 비스와 일자리의 편의성, 콤팩트도의 복합지표, 대중교통 시스템, 그리고 콤팩트 정책 에 대한 실시 정도 분석 한다.이 중에는 호주, 캐나다, 일본, 프랑스, 독일, 한국 등 36 개국을 선택했고 이 중 5연구 보고서에서 국가와 사례 연구로 원인은 분석해 실시한 배경과 정책 발전과 다양한 특정 상황에서 대처 방법 이다.이 몇몇 나라들은 각각: 멜 버른(호주), 밴쿠버(캐나다), 파리(프랑스), 토야마(일본), 포틀랜드(미국)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또한 몇몇 국가 지역에서 관련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 위에서 제 시한 특성의 상관성과 콤팩트 시티와 공유 공간 사이의 연계를 찾아봐다.
4.2. 사례 분석 위에서 정리한 관련 특성을 통해 콤팩트 시티 중의 공유 공간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진 행한다.
4.3. 분석 결과 위와 같은 사례 분석을 통해 최종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한다.
377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멜버른 멀티 commons 공유 사무 공간 위치
호주, 멜버른
유형
공유 사무 공간
내용
한 세 층의 공유 협업 사무 공간. 이 프로젝트의 요약은 창조성, 생산력 그리고 건강 증진에 좋은 공간 을 설계하고 자연적인 요소를 통합함으로써 공간 계획 배치의 목적은 뜻을 같이하는 커뮤니티 구성원들 이 공공 공간의 인터랙티브와 연결을 공유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공간이용 측면
공간구성 측면
고밀성
복합성
○
○
실내 공간은 넓고 기능 분포가 명확하며 공간 분포 밀도가 낮습니다. 집중성
연결성
◐
●
공간에는 작은 부분에서 대화와 미팅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콤팩트 도시 공유 공간 특성 요소
공간에 복합 공간이 없다.
각 공간 사이의 연결성이 강 한다.。
접근성
가변성
◐
○
공간 기능들 사이에는 대부분 칸막이가 없고 조용한 환경이 필요한 공간들은 잘 분리되어 있다.
공간 영역이 명확하고 신축성이 변화 가능한 공간이 없다.
교류성
유동성
●
◐
공간에는 공공 공간이 많아 다양하고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있다.
공공 공간에는 활동 공간이 있지만 대개 공간은 고정 기능을 위주로 한다.
쾌적성
융합성
●
◐
공간에는 비교적 편안하고 편리한 개인 공간이 많다.
접근성에 부합하기 때문에 소수의 공간 간에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통합된 공간이 형성된다.
공유성
공공성
●
●
공간 입구에 회랑과 같은 직원이 임시로 교류할 수 있는 공유공간이 하나 있고, 동시에 내부의 교류 공간, 휴식 공간 등이 공유성이 존재한다.
공간은 대부분 열린 공간이기 때문에 공공성이 강한다.
공간은 레저 오피스를 주요 기능으로 하고, 공공 공간과 오픈 스페이스가 많기 때문에 비교적 좋은 공 종합분석 공성, 공유성, 연결성 및 교류성이 형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공간이 서로 교차하기 때문에 기능의 혼합 사용은 필요하지 않다.
378
Vol.2 No.1 February 2020
5. 예상 결론
본 논문은 우선 콤팩트 시티와 공유 공간에 대한 이론 고찰과 개념 정리를 진행하였으 며, 관련 특성을 정리하고 그 상관성을 증명하였다. 이를 기초로 새로운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양자의 특성을 근거로 콤팩트 시티 공유 공간의 특성 을 정리하여 사례 선정 기준을 확정하였다. 사례를 통해 특성의 존재 가치를 검증하고, 이를 향후 콤팩트 시티 발전 중의 공유 공간 디자인의 지표로 삼고자하였으며, 일정한 디자인 이념과 의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부록 1] 공유 공간 사례 분류 공간 기능
공간 운용
공간 상태
기획 및 기존 매니지 공간 먼트
이름/기업
지역
Sharecuse 공유 사무실
뉴욕
“no car lifestyle” 공유 아파트
뮌헨
mates 공유 사무 공간
뮌헨
만류 국제 공유 커뮤니티
심천
●
별표 공유 사이 CO-LIVING 공유 라이프 커뮤니티
베이징
●
Treehouse 청년 공유 아파트
서울
●
Mura-cekai 공유 사무 공간
도쿄
●
●
●
Hubhub 공유 사무실
프라하
●
●
●
Boitsfort 공유 사무실
브뤼셀
●
●
●
400박스 공유 커뮤니티
중국
AX-공유, 불산
중국
GO TODAY SHIRE 공유 살롱
도쿄
공유농장 : 홍과수 + 작은 술집 리모델링
베이징
중산로 공유 사무공간
중국
WeMarket 공유 소매 공간 디자인
베이징
구장 -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작업 공간
무한
Superlofts 커뮤니티 공유
네덜란드
주거
숙박
사무
주차
문화 및 기타
● ● ●
●
실공간 공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신축 공간
●
● ●
●
개조 공간
●
● ●
379
아시아디자인 저널 Journal of Aisa Design
공간 기능 이름/기업
지역
함께 – 실내 청년 공유 캠프
베이징
Second Home 공유 사무 공간
런던
능동체 블록 – 바르셀로나 ZAMNESS 공유 사무 공간
바르 셀로나
공유 바
홍콩
Three Co-working Space By DL atelier
중국
주거
숙박
공간 운용
공간 상태
기획 및 기존 매니지 공간 먼트
문화 및 기타
실공간 공유
●
●
●
●
●
●
●
●
●
사무
주차
●
● ●
개조 공간
● ●
신축 공간 ●
● ●
참고문헌 정재용, 오민준,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1 백승관, 「지속가능한 콤팩트도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주대학교, 2016 심재승, 「콤팩트시티(Compact City)와 지방도시의 재생」,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014 강인호, 「일본 축소도시의 컴팩트 시티 추진전략」, 한국정책학회보, 2018 金炫奭, 「콤팩트 시티(Compact City) 이론에 근거한 홍콩 도심부 공간계획 특성에 관 한 연구」, 中央大學校, 석사하위논문, 2012 이상호, 「복합용도개발과 입체복합 공간계획」, 건축공학과 교수, 2014 윤소연, 최재필, 「커뮤니티를 통한 공유주거의 장소애착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 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4 우커스, 「중국의 재생공간에서 나타난 공유가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9 조민정, 「수직적 도시 공동주거 커뮤니티에 적용된 공유공간의 계획특성 연구」, 한국생 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11 이은아, 「공유개념이 적용된 소규모점포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7 손은하, 「공유 공간과 커뮤니티」, 동북아문화연구, 2012 조성희, 강혜경, 「공동주택단지의 공동생활공간 구성을 위한 거주자 사용행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02 최현철, 「공동주거의 커뮤니티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14 황순재,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를 통한 주민복지 향상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18 曹政, 「基于共享理念的社区更新策略研究」, 北京建筑大学, 석서하위논문, 2019 漆雪薇, 「共享型社区住宅空间设计探究——以“400 盒子的社区城市”为例」, 广州南洋理工 职业学院, 2019 https://www.gooood.cn/search https://baike.baidu.com https://zh.wikipedia.org/wiki/Wikipedia:%E9%A6%96%E9%A1%B5
380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 본 연구소는 서구 중심의 디자인 방법론과 이론의 전달에 급급한 한국 디자인 교육의 현실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하여, 연구의 주체성, 교육과 연구의 현지화, 그리고 인류문화 보편성으로서의 한국·아시아 문화 가치의 탐색과 세계 문화와의 소통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설립되었다. ADCF aims to offer a diiferent approach to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in korea, which has typically focused on Western design methodologies and theories. The ADCF instead seeks to localize the subject of research and scholarship to that of the East Asian region, explore Korean and Asian culture within the narrative of humanities and the arts, construct, create and disseminate Asia-specific design knowledge, and improve Asia’s design education through regional and global joint collaborations. 47011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로 47 동서대학교 뉴밀레니엄관 228호 T. 051-320-4833 E. adcfdsu@gdsu.dongseo.ac.kr H. http://uni.dongseo.ac.kr/adcf | http://cafe.naver.com/adcfdsu 발행일ㅣ2020년 02월 28일 발행처ㅣ동서대학교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