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05호

Page 1




Content 학술지 게재논문

1

류서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손로

슬로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11

왕휘휘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

25

위더셩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

39

-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위더셩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53

이지엔화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66

조우단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83

천원리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95

- ‘The High Line’ 를 중심으로 -

학술대회 발표논문

천추안완

서비스 청사진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의 최적화 연구

111

판단단

중국 구도심지역 노인 생활관찰을 통한 Aging in Place 수요항목 조사연구

125

황차오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의 제품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141

김현정

디자인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기회요인

151

두보위

시너제틱스(Synergetics)에 의한 디자인 경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

157

- 전원(田園)복합체를 중심으로 류서

장주영_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에코 뮤지엄 역할에 관한 연구

163

마추화

북유럽 및 아시아 공공 자전거 주차 시설의 활용 요인에 관한 연구

169

요가혜

Research on the Improvementof Retail Strategy of

175

Chinese Local Fashion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Thinking 우리

제3공간개념의 TSUTAYA BOOKS 특성에 관한 연구

181

- 도쿄의 GINZA TSUTAYA BOOKS를 중심으로 유덕천

도교를 기반으로 한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연구

187

윤우람

중국의 교육환경을 고려한 아동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 제안

193

장단

중국 전통 경극에서 검보(脸谱)의 특징 연구

199

- ‘삼국지연의(三国演义)’속 ‘차동풍(借东风)’을 중심으로 장지파

제품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사용자 신체 기능 측정 방법 현황연구

205

진시

과학관 체험 프로그램의 분석

211

천타오

디자인공동 창조를 위한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필요요소와 방법의 제안

217

판단단

중국 노령화 사회를 위한 노인 수요에 대한 연구

223

2020학년도 전기 학위청구논문 명단

226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 Vol.19 No.10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류서,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19.19.10.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Case Study of Ecological Museums for Protecting Local Culture 류 서, 장주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Shu L iu(100542600@qq.com), Ju-young Chang(jychang@gdsu.dongseo.ac.kr) 요약

에코뮤지엄은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담장이 없는 “살아있는 박물관”이라 할 수 있다. 에코뮤지엄은 자연

과 문화 유산의 진실성, 완전성, 원생성을 보호하고 보존하며 전시하고, 사람과 유산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한

다. 1971 년 프랑스인 조지 헨리 리비에르(Georges Henri Riviere)가 “에코뮤지엄”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생 태”는 자연 생태와 인문 생태를 포 함한다. 이후 캐나다 , 영국 , 미국, 중국으 로 확산되었 다[1].

본 연구는 우선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정리하고, 기존 문헌을 정리하며 각각 쑤동하이, 후자오샹, 리비에르의

연구에서 6개의 요소를 선정하여, 이를 분석 프레임으로 여러 나라의 에코뮤지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 이론의 프레임은 에코뮤지엄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본 연구자가 진행 하고 자 하 는 중국 소 수민족 지역 의 에코뮤 지엄 연구에 도 활용할 수 있을 것 이다. ■ 중심어 :∣에코뮤지엄∣지역문화∣사례분석∣

Abstract Eco-museums ca n be called "living mus eums" without walls covering spec ific areas. Eco-museums

protect, preserve and display t he integrity, completeness a nd protozoic of nature and cult ural heritage, a nd emphasize t he orga nic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heritage. In 1971, the concept of "ecomuseum" was present ed by Frenchman George H enry Rivier. "Environment" includes natural and human lif e. It then spread to Canada, Britain, the United Stat es and China[1].

The first Ec ological Museum and the conc ept of t his study, the existing literature, high and eac h Su

donghai, Hu chaoxia ng and Liviere selects, six in the study of factors . Museum was analyzed by the ecology of t he f rame of analysis of several countries. According t o the analysis results, the frame of t his theory will not only be a pplicable to t he researc h of the ecological museum in the ecological

mus eum, but it will also be able to use this t heory frame for the ana lys is of the ecological museum in China's minority areas in the future. ■ keyword :∣Ecological Museums∣Local Culture∣Case analysis∣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에코뮤지엄”이라는 개념은 프랑스의 위그 드 바린

(Hugues De Varine) 과 조지 헨리 리비에르(Georges

Henri Riviere)가 1971년 국제박물관협회 제 9회 대회

*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 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업팀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접수일자 : 2019년 08 월 06 일 수정일자 : 2019년 09 월 30 일

2

심사완료일 : 2019년 10월 16 일

교신저자 : 류서, e-mail : 100542600@qq.com


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가 개최된 기간에 최초로 제시했다. 그들은 각 계에서 보

에코뮤지엄, 원래 의미는 생태학적 의의를 지닌 지역

편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생태 문제를 문화유산의 보호와

(사회 공동체,사회 집단)을 박물관으로 삼아 경영하고

라고 보았다. 이는 동태적인 개념을 통해 사회 공동체의

면, 이는 과학적, 교육적, 문화적인 기법으로 관리, 연구

박물관 건설에 도입하면서, 생태와 생계를 유기적 총체

정체성을 보호하고, 공업사회 이전의 생활 형태의 보존,

공업 유산의 문화적 모습 및 전 세계 경제 획일화 흐름

아래에서의 민족 문화 다양성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그

리하여 민족 문화의 자신감, 창의력과 문화의 “진위성”을

지켜낸다[2].

관리하는 것이다. 박물관 학계 및 문화계의 설명에 따르

및 개발된 특정한 사회 공동체/사회 집단에서 자연 및

문화유산에 내재된 것을 포함한 모든 유산의 전문적 기

구이다. 대중이 참여하는 사회 공동체의 기획과 발전의

도구를 말한다[6].

에코뮤지엄은 지역과 사회 공동체를 넘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에코뮤지엄의 기존 개념 정리를 통

리비에르와 프랑스 자연공원의 박물관 학자의 사상에 따

전 상황 그리고 개선조치 등에 관한 분석에 그치며, 에코

있다. 학문적 융합, 사회 공동체와의 연결, 사회 공동체

해,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박물관의 건설, 관리, 역할, 발

뮤지엄의 형성 요소에 관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점을 발

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문헌으로부터 에코뮤 지엄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 6개를 추출하여, 이를 바탕

으로 해외의 대표적인 에코뮤지엄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에코뮤지엄의 분

르면, 이러한 신형 박물관은 세 가지 기본 특징을 지니고

주민이 참여하는 건설 및 운영 등이 그것이다. 또한 모든

에코뮤지엄은 지역성과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를

지니고 있다[3]. 이는 주민 및 교육적 방향과 관련된다. 국제 박물관 협회의 자연 역사 위원회와 프랑스 정부 부

처도 에코뮤지엄에 대해 각각 정의를 내렸다. 그 공통점

석 프레임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은 모두 에코뮤지엄이 문화기구로서 문화유산 및 환경보

한 기초연구이다.

점에 있다. 또한 프랑스 정부는 더 나아가 에코뮤지엄의

중국 소수민족 지역 에코뮤지엄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관련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에코뮤지엄

과 전통박물관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리비에르의 연구

‘에코 뮤지엄, 진화하고 있는 정의’[3] 와 중국 학자 쑤둥 하이(苏东海)가 발표한 논문 ‘중국 에코뮤지엄’[4] 과 후

호에 참여하고, 사회 공동체의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는 이념이, 유산을 전통박물관과 같은 보호가 아닌 원래 있

던 곳에 그대로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7]. 1.2 전통적 박물관과의 차이점

에코박물관은 문화 본거지, 문화의 주인이 스스로 자

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새로운 박물관학 운동이 전통적

자오샹(胡朝相)의 논문 ‘에코뮤지엄의 지역 사회 문화유

박물관학을 비판하는 이유는 전통적 박물관이 소장품과

다양성과 공영성 등 에코뮤지엄이 갖춘 여섯 가지 요소

이다. 르네 리바드(Rene Rivard)는 에코뮤지엄과 전통

산 보호’[5] 등에서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를 도출하였다. 또한 그 이후의 연구에서 이 여섯 가지

요소를 적용하여 지역문화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5개의 대표적인 해외 에코뮤지엄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 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에코뮤지엄 개념 1.1 개요

그것이 탄생한 조건 및 환경을 분리한다고 여기기 때문

적 박물관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한 후, 1988년 아래 와 같은 간결한 공식을 도출하였다[8]. 표 1. 르네 리바드의 비교 공식 전통 뮤지엄

건축 + 소장품 + 전문가 + 관람객

에코 뮤지엄

지역 + 전통 + 기억 + 주민

또한 전통박물관과의 특징을 비교 정리하면 아래의 도

표와 같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3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표 2. 에코뮤지엄과 전통박물관의 차이 비교내용

전통박물관

활동범주

박물관 건물 내 소장품

활동자 활동 소장품 관리

박물관 전문연구원

에코뮤지엄

박물관 내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를 위 한 봉사까지 포함 지역사회 주민, 상주 전문 연구원, 관 련 분야 학자와 전문가

문물 수집 정리, 과학적 지역사회 조사→지역사회 전시→별관, 연구, 전시, 사회 교육 과학연구, 전시기획, 사회교육 이동 가능한 문물 하향식 관리

지역 문화, 지역 풍속, 지역 환경 등 완전히 사유화된 연합회 기구가 관리

2. 에코뮤지엄의 역할

전통적 박물관의 “건축+소장품+전문가+관람객” 모델

이든, 에코뮤지엄의 “지역+전통+기억+주민” 모델이든,

그 목적은 모두 문화 보존에 있다. 따라서 “보존”은 에코 뮤지엄의 핵심 업무로서 두 가지 형식으로 나타난다. 첫 째, 소장품 보호이다. 이는 전통적 박물관의 보호 방식이

자, 위기에 처한 문화를 제때 구제하고 문화 가치를 제때

발굴한다는 전제이다. 둘째, 활성화 보호이다. 유산 보호 와 경제 발전의 모순 사이에서,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곳은 원시적 생태 건축물이다.

문화 계승은 보호를 근본적인 목적으로 삼으며, 전시

3. 선행연구 고찰

선행연구조사는 '에코뮤지엄과 문화유산보호'를 키워

드로 검색하여 114개의 검색 결과를 얻었다. 그 중에서 인용수가 높은 대표 문헌 8편을 참고했다. 그 중에서 또

가장 영향력이 큰 쑤동하이1) , 후자오샹2), 리비에르3)는

모두 에코뮤지엄 이론의 권위있는 학자로 본 연구에서 근거가된 이론의 저자들이다.

표 3. 문헌 정리 저자

쩡웨이 (郑威) 황춘우 (黄春雨)
 팡이리 (方李莉)

리비에르

는 전통을 계승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에코뮤지 엄은 보존과 연구의 기초 상에서 주민, 관람객 등 각기

다른 인문적 수요를 근거로 하여 진열 방식을 융통성 있 게 선택할 수 있다.

종경위 (钟经纬)

첫째, 함의 측면에서 정적인 면과 동적인 면을 상호 보

완하는 방향을 채택한다. 정적인 함의는 현재의 환경과

문화를 이용하여 현지 생활의 각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

다. 예를 들어 공예, 풍습 등 목적성이 두드러지는 전문

테마를 전시한다.

둘째, 형식적 측면에서, 실물과 기억의 전시를 서로 결

합시킨다. 각 분야의 문물, 향토 건축물, 농기구 등 실물 을 전시하는 것은 현재 통용되는 전시 형식으로서, 현지 의 물질문화의 면모를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에코뮤지엄은 지역문화에 입각하여, 임기응변이 가능

한 보호 모델과 전시 수단을 기초로 문명의 여정을 수립

한다. 문화 발전의 다양성을 한 걸음 더 나아가도록 추진

하여 합리적인 이용의 주요 방식으로 자리매김한다. 이 때 해당 사회의 영향력을 극도로 끌어올린다.

4

3

후자오샹

쑤동하이

후자오샹

제목

『문화유산보호와 발전의 가교-광시 허저우 객가 문화 에코뮤지엄 건설을 논하다』,2006

주요 관점

에코뮤지엄은 현지성, 진실성과 완전성을 원칙으로 하며, 이것의 세 요소는 생활의 구역성, 민족문화유산, 그리고 이들과 연 결되는 주민을 포함한다.

중국 에코뮤지엄의 발전 현황과 향후 발 『중국 에코뮤지엄의 생 전 방향을 요약한 것으로, 에코뮤지엄이 존과 발전적 사고』, 지역경제 발전과 문화발전을 동시에 이끌 2001 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무형문화재 보호를 위 연구에서는 소수민족 지역의 에코뮤지엄 한 심층적인 사회적 배 이 커뮤니티 문화를 좀 더 포괄적으로 이 경』, 2007 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에코뮤지엄은 시간에 대한 일종의 표현이 다. 이곳에 펼쳐진 시간 범위 안에 존재하 『에코뮤지엄, 진화 중인 는 각양각색의 해석은 인류 등장 이전까 지 거슬러 돌아가기도 하고, 선사시대와 정의』,1986 인류의 삶까지 거슬러 올라갔다가 마지막 으로 현대인의 역사발전에까지 이른다. 소수민족 문화재 보호를 주요 목적으로 에코뮤지엄에 대한 들판조사를 벌여 상대 『중국 민족지역 에코뮤 적으로 풍부한 1차 소재에 더해 중국 소 지엄에 관한 연구』, 수민족 지역 에코뮤지엄 연구를 진행하고 2008 있다.연구에서는 커뮤니티의 생태환경을 포괄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 했다.

『에코뮤지엄 커뮤니티의 에코뮤지엄의 사회적 기능은 한편으로 문 문화유산 보호를 논하 화를 보호하고, 다른 한편으로 빈곤을 퇴 다』,2001 치하는 데 있다.

『중국 에코뮤지엄』, 에코뮤지엄은 문화유산 보호 측면에서 전 1995 체성, 자발성, 다양성을 갖추어야 한다. 『에코 뮤지엄에 관한 사 에코뮤지엄은 지역 사회 공동체를 단위로 색』,1995. 하며, 담장 없는 "살아 있는 박물관" 이다

『에코뮤지엄의 지역 사 에코뮤지엄 커뮤니티의 문화유산 보호는 회 문화 유산 보호』, 공영성이라는 특징을 뚜렷하게 나타낸다. 2001

1) 쑤동하이(苏东海), 중국 박물관학 분야에서 박물관 철학 연구와 박물관 발전 연구에 매진하였다. 특히 <노르웨이 박물관> 잡지 시 리즈에 “ 쑤둥하이 논문선”이 게재된 바 있다. 1986년부터 국제 에

코뮤지엄 사상을 중국에 알리고 실천하기 시작하였고, 2005년 꾸 이저우(贵州) 에코뮤지엄 국제 포럼을 주관하고 진행하였다. “중 국 에코뮤지엄의 아버지” 라 불린다. 2) 후자오샹(胡朝相), 중국 혁명박물관 연구원, 꾸이저우성 문물 보 호고문, 꾸이저우성 문물처 처장. 3) Georges Henri Riviere, 에코뮤지엄 이념 제창자, 프랑스 박물 관 전문가.


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이상에서 언급한 문헌으로부터 기존 연구 중 에코뮤지

1986년 리비에르는 “에코뮤지엄, 진화하고 있는 정의”

엄의 핵심 요소를 언급한 일부 내용을 찾아볼 수 있으나,

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토대로 에코뮤지엄

주민들이 자신의 과거를 알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일을

에 응용하여 에코뮤지엄의 구체적인 분석이론의 프레임

2. 본 지역 주민의 과거와 현재 및 그 주변 환경을 연

분석에 참고할 만한 구체적 프레임을 정리한 자료는 없 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를 발굴하고 해외 에코뮤지엄 사례 을 정리하고자 한다.

멈추지 않도록 만들었다.

구하여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본 영역의 전문 인력 육성

을 촉진하였으며, 외부 연구기관과의 협력 부분에서도

에코뮤지엄은 하나의 실험실이 되었다.

III. 사례 분석

이상 두 가지는 본 연구에서 활성화 정도와 개방성으

로 각각 정리하였다.

1. 분석의 틀

표 4. 요소 도출

1. 에코뮤지엄이 메모리얼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이 6개 요소를 에코뮤지엄 형성에 반드

저자

국가

연도

주제

쑤동하이

중국

1995

『중국 에코뮤지엄』

후자오샹

중국

2001

『에코뮤지엄의 지역 사회 문화 유산 보호』,

리비에르

프랑스

1986

요소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개방성 『에코뮤지엄,진화하고 있는 정의』 활성화 정도

본 연구는 쑤둥하이(苏东海), 후자오샹(胡朝相)과

리비에르의 에코뮤지엄 연구를 토대로 에코뮤지엄의 구

시 필요한 주요 요소로 정의하였다. 또한 개방성, 활성화

정도, 통합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등 6개 특성을 근 거로 대표적인 에코뮤지엄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표 5. 에코뮤지엄의 6 가지 요소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개념

다양한 형식으로 외계와 상호 교류 한다.

환경의 각 구성 부분과 요소 는 하나의 유기체를 구성한 다.

에코 뮤지엄의 구성 부분 및 주변 환경의 정비와 유지를 한다.

지명도와 영향력을 높인다.

성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쑤둥하이는 “중국 에코뮤지

자발성

주민은 자기문화의 주인이 다.

1. 주민은 자기문화의 주인이며, 정부와 전문가는 현

다양성

생물과 그 생존환경의 다양 성 및 문화의 다양성을 의미 한다.

2. 에코뮤지엄은 문화다양성의 산물이며, 대외개방을

공영성

경제와 문화가 함께 발전하 다.

엄”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다음 세 가지를 지적하였다. 지 문화에 대한 일시적 대리인일 뿐이다. 통해서만 더 큰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3. 전통적 박물관 건축의 제한을 타파하여 박물관 서

비스가 커뮤니티 구석구석에 스며들도록 해야 한다.

이상 세 가지를 본 연구에서는 각각 자발성, 다양성과

전체성이라 정리한다.

후자오샹은 2001년 발표한 논문 “에코뮤지엄의 지역

사회 문화 유산 보호”에서 에코뮤지엄 건설이 주민의 문

화적 자긍심을 높이고, 지역문화에 대한 동질감을 형성 하였을 뿐 아니라 지역 전체의 경제적 수입을 창출했다

고 지적했다. 이러한 관점은 연구에서 공영성으로 정리

하였다.

표현형식

외부와의 긴밀한 연계성을 가진다..

재생 불가능한 자원과 문화에 대한 홍보 및 보호를 한다.

원주민이 자발적으로 또는 긍정적 으로 건설,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 한다.

자연, 환경, 문화, 역사, 건축, 경관 등 현지문화를 보호 하고, 원주민의 생활 습속을 외부로부터 이해시키 다. 문화 보호와 경제 발전 간의 관계를 조정하여 현지 사회, 경제, 문화의 조화로운 발전을 촉진한다.

2. 사례 분석

2.1 사례 선정

아래는 해외의 대표적인 에코뮤지엄을 5개 선정하여

6가지 요소에 의거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프랑스 의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알자스 에코뮤지엄, 캐나다 의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미국의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영국의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등 5개의 에

코뮤지엄을 선정하였는데, 이들 박물관은 해당 지역에서 최초로 건설된 에코뮤지엄이며 오늘날에도 운영되고 있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5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다. 이들은 경제 낙후지역의 에코뮤지엄 사례로, 전통문

화를 보호하는 동시에 현지 경제발전을 이끌었다. 또한

문헌에서 가장 많이 소개한 곳이기도 하다.

크뢰조몽소 사람과 산업박물관은 세계 최초로 사람을

박물관 핵심에 둔 에코뮤지엄이며, 프랑스 에코뮤지엄을

새로운 단계로 이끌었다[9]. 알자스 에코뮤지엄은 1980 년 중반 유럽 경제 쇠퇴 이후의 ‘제3대 박물관의 ’ 대표이

다[10]. 상비보스 에코뮤지엄은 에코뮤지엄 이념이 캐나

다에 전해진 후 건립된 최초의 에코뮤지엄으로, 건설 이

후 “에코뮤지엄과 신 박물관학”을 주제로 열린 국제 심

포지엄에서 <퀘벡 선언>이 채택되었다[11]. 이는 에코뮤

지엄에 관한 최초의 국제 심포지엄이며, 에코뮤지엄과

신박물관 운동의 정착을 쟁취한 회의로, 에코뮤지엄 이 념의 전파와 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0]. 안나코

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은 에코뮤지엄 이념 이전에 에코 뮤지엄이라 명명하지 않은 경우이다. 그러나 이미 에코

뮤지엄의 성격을 지닌 커뮤니티 박물관이기 때문에 에코 뮤지엄의 발전 연구에 일정 정도 영향력을 미쳤다[12].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은 세계 최초의 완전 개방형

박물관이다. 박물관 설립 이래 해마다 1.5만 명의 여행

있는데 일찍이 황실 유리공장이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이곳은 현지 주민을 위해 존재하는 박물관으로, ‘1+5’모

델을 채택하였다4).

표 7.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상황 사업

표 6. 사례 에코뮤지엄 프랑스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3

캐나다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4 5

프랑스 미국 영국

특징

활동자

1975년

프랑스 세드커스

박물관 1+ 5모델

크뢰조몽소 주민

역할

지역 산업의 부흥, 문화발전, 수공예 인 력 육성, 성인교육을 위해 힘쓰며 마을 발전을 촉진한다.

표 8.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분석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다양성

분석

고대 건축의 전면적인 보수와 보호에 관하여 원주민들은 외부 인 사와 교류할 용의가 있음. 탄광, 운하 등 문화 전승을 보호하며 홍보하였음.

박물관 구역 내에는 광업 학교와 수도원, 주택가가 설치되어 있 으므로 원주민의 주거 조건이 보장되면서도 기존의 생활습관을 보호할 수 있었음.

원주민들은 자발적으로 박물관의 건설, 경영, 관리에 참여하였음. 보호 범위는 박물관 건물 자체나 주변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마 을 내 모든 자연경관과 인문자원을 관리 범위에 포함시켰음.

수공예자의 양성과 성인에 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였음.

상술한 분석 중 활성화 정도, 전체성, 다양성으로부터

크뢰조몽소 에코뮤니점이 역사적 건축과 전통문화 보호

를 대단히 중요시 여기는 모습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수

1 2

장소

소장품

공영성

고자 한다.

설립

지역에 존재하는 5개의 별관을 말하며 운하관, 탄광관, 광업학교관, 수도원, 노 동자주택지구를 포함한다.

위를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에코뮤지엄의 특징 개 박물관을 선정하여 아래와 같이 사례 분석을 진행하

사진

내용

자발성

을 더 잘 보여줄 수 있다[13].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 5

알자스 에코뮤지엄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2.2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공예 인력의 육성과 성인 교육에서도 공영성의 특징과

문화발전을 촉진하는 모습이 잘 드러난다. 그러나 개방 성 측면에서는 원주민과 외부의 교류를 장려할 뿐 그 자 체의 대외연계는 결핍되어 있다. 2.3 알자스 에코뮤지엄

프랑스 동부 윙거쉐임의 알자스 에코 뮤지엄(d’Alsace

크뢰조몽소 사람과 산업박물관(The museum of

Ecomuseum) 역시 프랑스 에코뮤지엄 중 대표적인 곳

뮤지엄이라는 ’ 명칭을 붙이지는 않았지만 프랑스 최초의

4) ‘1+5’ 모델. 여기에서 ‘1’은 크뢰조몽소 사람과 산업박물관의 중 심관을 말하며, 크뢰조의 18세기 고성에 위치하고 있는데 일찍이

Man and Industry, Le Creusot-Montceau)은 ‘에코 ‘에코뮤지엄’이라 불린다. 당시 국제 박물관 협의회 바린 (Hugues de Varine) 회장의 주도로 설립되었는데,

6

1975년 완공되었다. 크뢰조의 18세기 고성에 위치하고

객이 스태핀 지역을 찾아 현지 경제발전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이 박물관은 끊임없이 범

5

황실 유리공장이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5’는 주변 지역에 존재하 는 5개의 별관을 말하며 운하관, 탄광관, 광업학교관, 수도원, 노 동자주택지구를 포함한다.


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이다. 구체적인 운영 과정에서 그들은 선택적으로 재건

학자들은 본국에서의 시도와 발전을 통해 기존 에코뮤지

이커의 광산지역에 기존의 농가를 중심으로 재건을 진행

다. 언어적 편리성 덕분에 프랑스에서 발전한 에코뮤지

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윙거쉐임 시에서 제공하는 25에

했다. 알자스 에코뮤지엄은 프랑스 최대 규모의 노천박

물관으로, 농촌유산을 삶 속에 끌어들여 여행객에게 알 자스 민간예술과 전통을 보여준다[14].

표 9. 알자스 에코뮤지엄 상황 사업

사진

내용

설립

장소

1984년

프랑스 윙거쉐임시

소장품

특징

15-19세기 말 당시 농촌이나 산업 건축물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엄의 성과는 캐나다로 빠르게 전달되었다. 다년간의 이

론 축적과 건설 분야의 노력을 거쳐 캐나다 최초의 에코

뮤지엄인 상비보스 에코뮤지엄(The Ecomus ←e de la Haute-Beauce)이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고, 1983년 10

활동자 알자스 농민의 집 협회

역할

건축의 인테리어, 기능, 사용방식이 모 이곳은 ‘인공’적인 농촌이지만 문화유산 두 재현되었으며, 심지어 현지의 동식물 보호, 생태 복원, 지역경제 발전 면에서 까지도 옮겨 전시함으로써 ‘원래 그대로’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의 농촌 모습을 만들어냈다.

표 10. 알자스 에코뮤지엄 분석

엄 이론을 확장하고 관련 조직 및 기구 설립을 추진하였

분석

전통농업을 복구하고 대량의 동식물을 양식하여 원래의 생태 사 슬을 회복하였음. ‘회고식으로 ’ 지역 주민의 구술사를 취입하며 웹사이트를 만들어 박물관을 홍보하여 인지도를 높였음.

그 대표성과 풍토, 시대 또는 사회 집단 관계에 기반을 둔 알자스 가정, 농장, 학교, 교회 기차역, 산판을 선택하여 재건하였음.

지역 주민들이 박물관의 관리에 참여하며, 직원이 현지 전통의상 을 입고 관객에 현지의 전통공예, 농사, 철기제작 등을 전시하였 음. 전통 명절에는 다양한 일상 오락 행사를 열어 트랙터를 타거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관광하며 쇼핑할 수 있음. 관광객들이 농촌 생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현지 교육 청과 협력하여 견학 장소를 제공하였음.

알자스 에코뮤지엄은 원래 있던 자리에 재건하는 형식

으로 건립되어, 현지 생태계 및 그 전통적 농장문화를 복

구하는 과정에서 개방성과 전체성을 구현해 낼 수 있었

으며, 활성화 정도 면에서도 다양한 홍보방식으로 홍보

월 마침내 정식으로 개관하였다. 표 11.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상황 사업

사진

내용

설립

1983 년

소장품

장소

특징

활동자

1대중이 외부와의 접촉 상비보스 캐나다 을 통해 자발적으로 혁 시민 지역 퀘백시 신을 추구하는 것을 발 정부 전의 지표라고 보았다.

농·림·축·화강암 채굴업의 농작도구 전 시와 원시생활상태의 환원 한다.

역할

관람객 개인의 발전을 도와 모든 사람들 이 에코뮤지엄을 알고 자신의 정체성과 발전방식을 발견하도록 하는 데 있다

표 12.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분석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분석

전소장품 분실로 마을 재건하고 자금을 모아 이곳에서 에코뮤지 엄을 건립하였음. 설명을 통해 그 속에 담긴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정보를 현지 주 민들에게 소개함으로써 소장품의 중요성을 나타냈음.

민중들이 에코뮤지엄에서 스스로 학습하고, 스스로 가르치며, 따 라서 사회 변혁을 이끌 수 있음.

민중들이 적극적으로 에코뮤지엄의 사무에 참여하며, "우리가 어 디서 왔느냐? 우리는 누구냐? 우리는 어디로 가고 싶은가?"를 해 답함으로써 자연과 문화 유산을 인식하고,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민족 정체성을 추구하였음. 동시에 농업, 임업, 목축업, 광업에 대해 현지내 보전을 실시하였 음.

박물관 사업에 대한 민중의 참여가 활발해졌고, 이들은 지역 사 회와 관련된 사회나 경제활동으로 관심을 넓히고, 이처럼 밀접한 연계를 통해 관련 부처들이 민중의 마음을 알게 되었으며, 민중 의 필요에 맞는 인성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하여 지역 배려를 강화하였음.

상비보스 에코뮤지엄은 다양성, 공영성의 두 측면에서

를 진행하였다. 또한 자발성, 다양성, 공영상 면에서 대

원주민의 교육을 더욱 중요시 여기고, 그들의 자긍심을

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경제발전을 촉진하였다.

지역사회와의 연계도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져 공동 발전

부분 원주민의 대외교류를 통해 외부사회가 그 전통문화 2.4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70년대 후반 캐나다 학자들이 프랑스와 학술교류를

진행하며 에코뮤지엄 이론을 퀘백 지역에 들여왔다. 이

높였다. 각 방면에 대한 보호도 완벽하게 이루어졌으며

을 더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른 방면에서 는 평범한 수준을 보인다. 특히 박물관 소장품을 소개하

는 방식 면에서 전통박물관과 별 차이가 없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7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2.5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1960년대 프랑스에서 에코뮤지엄 설립이 시작되기 전

2.6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2008년 건립된 영국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미국은 이미 지역사회 박물관인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Scotland Staffin Museum) 은 쥐라기 시대의 역사를

1966년 11월, 스미스코니언의 딜리언 리플레이(Dillion

틀랜드 관광지인 스카이섬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한때

게 가깝게 다가가야 한다고 호소하며 저소득층 거주지역

언어를 사용하면서 자신들만의 민족 문화와 소양을 형성

박물관(Anacostia Community Museum)을 설립했다.

Ripley) 총재는 전미 박물관 총회에서 박물관이 대중에

에 박물관을 건립하여 대중이 문화를 접하고 잠재된 능

주제로 한 에코뮤지엄이다. 그는 경치가 아름다운 스코

게일 사람들이 대대로 살았던 곳으로, 그들은 자신들의 하였다. 오늘날 비록 영어가 섬 전체를 뒤덮고 있지만,

력과 창작을 끌어낼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건

게일 어는 여전히 섬 주민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으므로

개관하며 경영 관리에 있어 대중의 참여를 강조하였다.

어로 '발자국'이라는 뜻이다[15].

의했다. 1967년 9월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이

표 13.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상황 사업

사진

내용

소장품

설립

장소

1967년

미국 워싱 턴시

지역 사회 역사 문화의 전시, 노동 도구, 주민복장, 생활용품 등 전시하다.

특징

대중의 전시 참여 뿐 아니라 박물관과 지역사회가 하나 되는 느낌을 만들어나간다.

활동자 지역사회 청년들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이 박물관은 'Ceumanann'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게일

표 15.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상황 사업

사진

내용

역할

주민들의 자긍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존 감과 긍정적인 정서를 높였다.

표 14.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분석 분석

저소득층 거주지역에 박물관을 건립하여, 대중이 문화를 접하게 하고 잠재 능력과 창작의 동력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하였음. 박물관은 주민들의 즐거운 배움터이자 실험실임. 주민들은 박물 관 운영을 통해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도 자체 노력과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음. 동시에 전시 주제, 지역 및 주변 환경을 보호하고,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둘러싸고 큐레이션을 전개하였음.

경영하고 관리하는 주체는 이웃 고문 위원회로, 지역의 각 계층 에서 선출된 75명 위원으로 구성되며, 학자와 전문가는 주도자가 아닌 협력자로 참여하여 박물관 운영에 도움을 주고 있음. 큐레이션의 내용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주제로 하며, 전시 대상 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주로 하였음.

지역사회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이익성을 통해 주민의 자긍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존심과 긍정적인 정서를 높였음.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은 자발성을 발휘해 지

역 내에 이웃 고문위원회를 구현해냈다. 이는 커뮤니티

설립

장소

2008년

영국 헤브 리디 제도

소장품 지역 공예품, 쥐라기 시대의 화석 전시 하다.

특징

담장과 지붕이 없어 속박감을 주지 않은 완전히 오픈된 박물관이다.

활동자

스태핀 지역 신탁(SCT): 현지 주민들이 경제개선믈 위해 만는 공공조직.

역할

주민의식 향상과 문화유적 활용을 통한 직원들의 경제 비전 강화, 현지 주민의 장기적인 일자리 창출의 역할을 한다.

표 16.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분석 특성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분석

담장과 지붕이 없는 오픈형 박물관으로서 대외적으로 완전히 개 방됨.

광범위한 온라인 홍보를 통해 더 많은 여행객이 이곳을 찾을 수 있도록 장려하면서, 동시에 길가에 있는 여관과 음식점 등에 경 제적 이익과 취업 기회를 창출하였음. 게일 인들의 민속 문화, 생활습관, 그리고 쥐라기 시기 문화의 역 사를 전반적으로 보호하였음.

현지 주민이면 상인이든 어민이든 모두 운영 관리에 참여할 수 있으며, 지역의 미래 발전에 의견을 제기할 수 있음.

이미 발굴된 공룡 화석과 부분 발굴 도구를 전시하고, 공룡 테마 를 둘러싸고 많은 어린이 취미와 도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음. 게일어 학습 수업을 개설하여, 현지 주민들이 게일어로 학생들과 교류하도록 장려함으로써, 주민들은 고향 문화를 홍보하는 동시 에 자신감과 자부심을 높였음.

스코프레임랜드 스태핀 박물관은 5개 사례 중 가장 늦

의 건설과 발전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는 다른 에코뮤지

게 건립되었으며, 최초의 완전 개방형 에코뮤지엄이기도

코뮤지엄을 통해 경제가 낙후된 지역도 자신의 노력과

들에게 경제적 수익과 일자리를 창출해주었다. 지역의

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점이다. 활성화 정도 면에서 에

외부와의 협력을 통해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주민들 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8

7

하다[16]. 활성화 정도 면에서 풍부한 홍보수단은 주민

민족문화와 쥐라기 역사문화에 대한 보호도 박물관의 다

양성을 구현하는 힘이 되었다. 게일어 수업을 개설하여


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현지 주민이 게일어로 학생과 교류하는 방식을 장려하였

이를 에코뮤지엄 분석의 프레임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

문화를 홍보하면서 동시에 자신감과 자긍심을 높이는 계

지역 환경의 5개 에코뮤지엄은 모든 핵심요소를 대체로

는데, 이 역시 공영성이라는 요소를 잘 구현했다. 시골의 기가 되었다.

IV. 분석 결과

에코뮤지엄 개념이 등장한 이래 많은 국가와 지역이

공통점

차이점

원주민에 의한 건설 혹은 운영에 참여

환경으로 인한 건축형식의 차이

특정 시기의 역사적 산물 보호

전시내용의 차이

경제적으로 낙후 지역에 건설

관리 메커니즘의 차이

풍부한 민속역사 보유 지역

전시방식의 차이

알자스 에코뮤지엄 상비보스 에코뮤지엄

안나코스티야 커뮤니티 박물관 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

이 개념을 실천에 옮겼고 에코뮤지엄을 설립하였다. 에

코뮤지엄은 유산 속에 숨어 있는 문화적 맥락과 환경을

강조하여, 여행객이 마치 실제 현장에 온 것처럼 유산의

가치와 매력을 느끼도록 만들었다. 에코뮤지엄에서 원주 민은 박물관의 직원이 되어 자신의 평소 생활을 관람객

에게 보여준다. 그러나 사회 경제의 발전에 따라 현재 전

표 18. 사례 요소 분석 크뢰조몽소 에코뮤지엄

골고루 포괄하고 있응을 알 수 있었다.

V. 결론

표 17. 5 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결과

개방성

에코뮤지엄 분석의 프레임을 통해 다양한 국가, 다양한

활성화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 공영성 정도

통문화가 외래문화와 생활방식의 영향을 받으면서 현지 주민, 특히 젊은 층은 기존의 문화유산을 버리고 더 높은 경제적 이익과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본토 주민이 전면

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 구역은 지나친 산업화의 폐단

화가 풍부한 지역에서 구현되고 있다. 사회의 끊임없는

지엄의 발전도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 것이며, 현대화된

(●뛰어나다 ◐일반적 ○부족하다)

이상의 5개 에코뮤지엄 사례분석에서 개방성과 자발

성은 주로 박물관의 건설방면에 표현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주민이 자발적으로 역사적 건축을

보호하는 등의 모습이다. 다양성과 전체성은 소장품, 환

경, 문화, 동물보호에 더 많이 표현된다. 공영성은 대부 분 지역건설과 함께 경제문화발전을 어떻게 촉진할 것인

가의 부분에서 표현되며, 활성화 정도는 외부와의 교류

연계에 잘 나타난다.

사례를 통해 모든 에코뮤지엄마다 각자 특징적인 장점

이 있으며, 동시에 어떤 면은 평범한 수준임을 알 수 있

다. 바로 이러한 현황을 토대로 본 연구가 제시한 6개의 핵심요소는 그 조합성과 실시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나 기존 원시 생태가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에코뮤지엄은 주로 경제적으로 낙후되고 민속 문

발전에 따라 도시화 발전이 날로 가속화되면서, 에코뮤 도시와의 결합이나 도시 속 에코뮤지엄 발전은 미래 에 코뮤지엄 발전이 직면한 문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는 에코뮤지엄의 요소로 개방성, 활성화 정도, 전체성,

자발성, 다양성과 공영성이라는 6개의 키워드를 도출하

여 제시하였다. 이 6개 요소는 에코뮤지엄의 분석 프레 임으로 향후 에코뮤지엄 분석의 참고 지표로 삼을 수 있

을 것이다. 또한 중국 첸둥난(黔东南) 소수민족지역의 에

코뮤지엄에 대한 후속 연구에서 이론적 토대로 활용하고 자 한다.

참 고 문 헌 [1] 양쿤(杨昆), “무형문화유산 보호 중 에코뮤지엄 모 델 연구에 대한 총론,”

CHINA

COLLECTIVE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9


9

지역 문화 보호를 위한 에코뮤지엄 사례 분석 연구 ECONOMY, 제33 권, 제92호, p.38, 2009.

[2] Hugues De varine, “20 세기 60-70 년대 신박물관 운동사상과 에코뮤지엄 용어 및 개념의 기원,” 중국 박물관, 제260 권, 제14 호, p.72, 2005.

[3] Georges Henri Riviere, “에코뮤지엄, 진화하고 있 는 정의,” 중국박물관, 제4 권, 제2 호, p.75, 1986.

저 자 소 개

류 서(Shu Liu)

정회원

▪2009년 9월 : 베이징공상대학교 디 자인학과(문학사)

[4] 쑤둥하이(苏东海), “중국 에코뮤지엄,” 베이징 관

▪2014년 3월 : 동서대학교 디자인학

[5] 후자오샹(胡朝相), “에코뮤지엄의 지역 사회 문화

▪2018년 9 월 ∼ 현재 : 동서대학교

찰, 제7권, 제11호, p.55, 1995. 유산

보호,”

중국박물관,

pp.19-22, 2001.

제269 권,

제26 호,

[6] 판쇼우용(潘守永), “에코뮤지엄 및 중국에서의 발 전: 역사적 관찰과 사고,” 중국박물관, 제268권, 제9 호, p.24, 2011.

[7] 쑤동하이(苏东海), “국제에코뮤지엄 운동 술략 및 중국의 실천,” 중국 박물관, 제260 권, 제7 호, p.4,

2001.

과(석사)

디자인학과(박사)

<관심분야> : 중국의 소수민족 문화, 에코뮤지엄

장 주 영(Ju-young Chang)

정회원

▪현재 : 동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 학과 교수

[8] 쑤동하이(苏东海), “에코뮤지엄에 관한 사고,” 중국 박물관, 제268 권, 제11 호, p.3, 1995.

[9] 쑨화(孙华), “에코뮤지엄 건설 지침 초안,” 유산과 보호 연구, 제269 권, 제2 호, p.4, 2016.

[10] 위푸예(于富业), “에코뮤지엄에 관한 기초 연구-

꾸이저우(贵州) 에코뮤지엄군과 저장안지(浙江安 吉) 에코뮤지엄군을 사례로,” 난징예술학원(南京艺 术学院), 제2 권, 제28호, pp.23-26, 2014.

[11] 위밍팡(于鸣放), “퀘벡 선언,” 중국박물관, 제269 권, 제1호, p.269, 1995.

[12] John Kinard, “The Smithsonian's Anacostia

Neighborhood Museum,” Curator, Vol.11, No.3, p.190, 1968.

[13] 쩡쉐썬(郑学森), “에코뮤지엄을 향해 나아가다스코틀랜드 스태핀 박물관의 시사점,” 박물관연구, 제269 권, 제561 호, p.15, 2019.

[14] https://www.ecomusee.alsace/fr/, 2019.6.12.

[15] Kenneth Hudson, Ec omuseums becomes more

realistic, Nordisk Museologi, 1996.

[16] 배은석,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활용한 지역의 유 산보존과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 츠, 제15 권, 제33 호, p.33, 2014.

10

<관심분야> : 디자인역사, 비교문화(동아시아 및 한국지역 디자인문화), 디자인이론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 Vol.20 No.1

슬로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손 로,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

슬로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in the Slow City Certified Villages 손 로*, 윤지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 *

Lu Sun(285454029@qq.com) *, Ji-Young Yoon(klismos@gdsu.dongseo.ac.kr) ** 요약 본 연구는 슬로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슬로시티 우수 사례를 선정,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장소성 개념에서의 슬로시티의 구축 특성을 파악하였다. 한국에서 국제 슬로시티 조직

의 인증을 받은 5 개의 슬로시티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장소성을 통한 구축 특성과 슬로시티의 인증 평가 요소를 결합하여 장소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으며, 현지 방문 평가를 진 행하여 사례 별로 변화 및 구축 특 성을 평가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례 분석을 통한 슬로시티의 장소성 구축 특성으로는 슬로시티의 기본 개념을

도입하여 관련된 장소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토대로 슬로 시티의 전반적인 장소성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슬로시티의 장소성은 역사·문화적 자산> 환경적 자산> 물리적 자산> 생활 자원, 정서·상징적 자산> 사회적

자산 순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환경적 자산과 역사· 문화적 자산의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생활 자산, 사회적 자산 및 정서· 상징적 자산의 활용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활동이나 지 역에 대한 자부심을 높 이는 프로 그램 운용 등 이 필요함 을 의미한다 . ■ 중심어 :∣장소성∣슬로시티∣장소자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 o derive a checklist for the site evaluation of Slow City, and through t he excellent cases of Slow City, carry out field invest igation to understand the construct ion

c haracteristics of Slow City in the concept of localit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five cases of s low cities in Sout h Korea certified by Citta Slow. Through literat ure review, combining with the c onstruction cha racteristics of locality and the evaluation elements of S low City certification, the

c hecklist of Slow City locality evaluation has been obta ined, and the field visit eva luation has been ca rried out. The cha nge characteristics and c onstruction c haracteristics are evaluated by the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Through cas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ite-based construction features of Slow City a re as f ollow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conc ept of Slow City to create the relevant place environment, and build the overall site of Slow City based on it.The location of Slow City was evaluated as hist orica l• cultural assets>environmental assets>phys ical assets>living resources,

emotional•symbolic assets>social assets.In addition, t he level of environmental assets, historical•cultural

assets is higher, but the level of living resources, social assets and emotional •symbolic assets is lower.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 o carry out c ommunity activities f or local residents or use projects to improve regional pride and so on.

■ keyword :∣place∣slow city ∣Place Asset∣ 접수일자 : 2019 년 10 월 24일 수정일자 : 2019 년 12 월 03일

12

심사완료일 : 2019년 12 월 16 일 교신저자 : 윤지영, e-mail : klismos@gdsu.dongseo.ac.kr


2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I. 서 론

한 평가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셋째, 선정한 5개 슬로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트를 중심으로 각 슬로시티의 장소성을 평가하고 그 특

1999년 이탈리아에서 출범한 치따슬로(cittaslow),

즉 천천히 느끼며 살자는 것이 슬로시티(slow city) 운 동의 시작이 되었다. 슬로시티는 지역의 정체성과 전통

시티를 직접 방문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체크리스 성을 분석한다.

성의 회복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촉진하며, 자연과 문

II. 이론적 고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적 도시 및 지역 발전

1. 장소와 장소자산의 개념 및 유형

화에 대한 지역 주민의 동질감에 근거하여 지역 주민의 모델이다[1].

슬로시티 운동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기본 이념으로

1.1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

'장소(place)'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국내외 학자들 사

하고 있으며, 지역 내 주거환경 개선을 통해 지역의 특

이에서 다양한 개념적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지리학, 건

이다. 또한, 국제적인 슬로시티 네트워크(slow city

장소는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생성되는 물질적,

수성을 부각시킴으로서 지역의 장소성을 조성하는 것 network) 를 통해 장소를 주체로 한 지역 재활성화 모 델로 여겨진다[2].

축학, 도시 설계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정신적 영역으로(백선혜, 2004), 물리적 환경과 사람,

문화의 관계 속에서 다중성, 고유성, 역사성, 정체성 등

2007년 슬로시티의 개념이 한국에 도입된 이래로 이

이 함께 녹아든 총체적실체이며(이무용,2003), 루커만

개발 전략의 지도적인 정책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과 문화의 통합, 공간적 상호 연결, 국지화, 형성, 의미

개념은 지역 및 전통적인 농촌 지역의 현대화와 지역

(Lukermann, 1964) 은 장소 개념을 물리적 위치, 자연

슬로시티의 이념인 지역 발전에서의 응용은 아직 추상

의 여섯 가지의 주요 요소로 분류하여 설명 하고 있다

city)의 장소 개념은 현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지만 그

선행 연구에서 장소의 개념은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적인 이데올로기에 머무르고 있다. 슬로시티(slow

[3].

장소를 구축하는 특성과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

여러 가지 의미를 파생시켰지만 그것이 생겨나는 관계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슬로시

다. 존재하는 공간의 물리적 실체가 인간의 활동에 의

정이다.

티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장소성 개념에서의 슬로시티의 구축 특성 을 파악하며 이를 통해 향후 슬로시티의 발전과 디자인

적인 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및 내용

본 논문은 장소의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슬

로시티 조직의 인증을 받은 사례의 장소 구축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장소성에 대한 기본 개

념 및 장소 자산(place assets)의 유형을 파악하고, 슬

로시티의 개념과 인증 평가요소를 파악한다. 둘째, 슬로 시티 평가요소와 장소성 형성 요소에 대해서 매트릭스

분석을 진행하여 장소성 형성 요소를 중심으로 재구성

로 볼 때 장소는 인간의 활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 해 생성된 결과물과 상호작용하면서 의미 있는 실체 공

간의 형태를 만들어 낸다. 즉, 장소는 인간 활동 시작의

맥락인 동시에 인간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부여하는 상 징적인 대상이며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의 영향을 받아 생성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4].

장소가 개개인에게 주는 체험, 느낌과 감정은 다양

하지만 바로 이러한 장소 고유의 느낌과 경험의 발생이 서로 다른 장소 간의 차별화를 야기한다. 공간의 물리

적 속성에서 인간의 활동은 끊임없이 그것과 관계를 맺

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자산과 장소의 경험을 축적하고

다양한 느낌을 들게 하지만 오히려 장소성의 공통된 인 식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5].

1.2 장소성 관련 선행연구 고찰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3


슬로 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장소성

의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장소 성 형성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백선혜 2004 임상현 2013 김연경 2015 김태진 2004 최요섭 2010 정원욱 2012 이남휘 2011 박신영 2014 연구자

장소성 형성 요소

물리환경적 · 요소

인적·문화적 요소

상대적 요소

정서·상징적 요소

인간의 활동 요소

장소성의 의미

물리적 요소

행태적 요소

의미적 요소

물리적 특성

행태적 특성

의미적 특성

물리환경적 · 요소

인적·문화적 요소

물리적 측면

활동적 측면

물리적 요소

인적 요소

활동적 요소

물리적 요소

사회· 문화적

행태적 특성

물리·환경적

정서·상징적 요소 상징적 측면

사회·문화적

백선혜(2004)는 장소 마케팅의 관점에서 다양한 장

소 요소에서 장소 마케팅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

소라고 주장하였다. 즉, 마케팅 과정에서 경쟁력 있는

리하여 장소의 구성요소에 따라 장소 자산을 사회·문화

물리환경적 · 요소

상대적 요소

는 문화 관광 마을로 상품화하였다.

자산 형태를 갖추고 장소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

표 1.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장소성 형성요소 저자

의미 상징적

정서·상징적

적, 정치·제도적 자산, 환경적 자산, 물리적 자산 등으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및 전통적인 농촌지역의 현대화

와 지역 개발에서 논의된 ‘장소’의 관점에서 장소 자산 의 구축 유형을 검토하고 농촌 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구체적인 자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현재 장소 자산의 유형을 아래 표와 같이 요약하

였다.

표 2. 장소의 요소에 따른 장소자산의 분류 구 분

물리·환 경적

장소성 형성을 위한 구성요소에 관한 분류는 [표 1]

의 선행연구 종합 분석에 나타나듯이, 학자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 그 구성요소에는

물리적·환경적 요소, 인간의 활동적 요소, 상대적 요소,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유형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사회·문 화적

사회·문화적, 정서·상징적 요소, 의미적 요소의 6가지

내용

경성 요소: 기반시설, 건물, 스포츠 및 놀이시설, 생활 편의 시설, 도로, 건물 등. 연성 요소: 인공적 환경(예 공공녹지, 인공 수경, 공원 등), 자연ㆍ생태 환경자원(예 자연환경, 산, 물, 공기, 기후, 등). 제도적 자산, 도시 공공서비스, 정책자산.

역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미와 요소가 변화하는 특성을 뜻[7] 문화적 하며, 축적 된 경험, 기억을 토대로 공간이 지니는 고유 한 자산 정서, 가치, 문화가 반영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8]하다. 생활 자산

정서· 상징적 자산

전통음식, 지방 특산품, 농경문화 등. 인간이 장소를 인지하여 부여하게 되는 느낌과 정체감을 통 해 생성되는 요소(예 장소감, 장소애착, 장소 이미지, 장소 정체성, 상징물, 수공예품 등).

포괄적 개념에서 분류하여 물리적·환경적, 사회·문화적,

정서·상 징적

중요한 평가 지표로 선정하였다.

자료: 백선혜, 2004: 92, 김진선, 2008:15, 최요섭(崔耀燮),2010 :31,고선 영, 2008:420-422,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2010:73-75을 종합하여 수정 재 구성.

정서·상징적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장소성 형성의 1.3 장소자산의 이해

‘장소자산’ 이라는 용어는 ‘영역자산(Territorial

Asset; Storper, 1999)’이라는 개념을 국내의 장소마 케팅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수용하면서 번역된 말이다

2. 슬로시티의 개념 및 인증평가요소 2.1 슬로시티 개념

국제 슬로시티 기구(Cittaslow International) 는

[6]. 안덕초(2010)는 문화 관광 마을 활성화의 관점에

1999년부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으며, 느린(여유마

자산, 문화자산, 관계성 자산, 잠재적 자산, 물리적 자산

운동을 전 세계로 확산하였다. 위 개념은 지역이 원래

서 출발하여 장소를 구성하는 자산 유형을 제도, 정치

등의 자산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위의 몇 가지 유

형의 자산을 결합함으로써 농촌 지역을 상품 가치가 있

14

3

을의 의미로 대도시와는 반대되는 개념) 마을 만들기 갖고 있는 고유한 자연 생태 환경과 지방 전통문화를 지키면서 지방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생활의 질을 향

상시키며 슬로푸드의 재배, 지방 특산품 및 공예품 보


4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호, 구역 내의 독특한 자연환경을 강조하는 것이다.

관 및 미관, 지역 자생력 보호, 주민의 인지 및 참여, 관

에서 탈피하여 환경을 위협하는 바쁜 생활 태도를 배제

사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상필(2008)은 슬로시티의 철학은 생산성 지상주의

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기다림 등의 철학을 실천하

광객의 환대 등과 특별 요구 1개로 총 7개 항목 36개 슬로시티 장소성의 형성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서 슬

는 것으로 느리게 살기를 실천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

로시티의 인증평가 요소와 장소성 형성요소를 매트릭

철학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커뮤니

성 형성 요소를 중심으로 [표 4]와 같이 재구성하였다.

로시티는 전통 보존, 지역민 중심, 생태주의 등 느림의

티를 의미한다.

슬로시티는 지역 내의 전통문화의 활성화와 자연 생

태 환경을 보호하는 방식을 통해서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내어 지역의 전반적인 생활 주거

환경을 향상시킨다[9].

앞서 정의된 슬로시티에 대한 개념을 종합해보면, 슬

로시티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전제로 하여 지역 내에 존

재하는 모든 장소 자원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 의 대표 특산물을 매개로 지역 내의 물리적·환경적 요소, 사회

스 표로 나열, 분석하였다([표 3] 참조). 또한 이를 장소

표 3. 슬로시티의 평가요소와 장소성 형성요소 분석 항 목

대기, 수질, 토양 보호 폐기물 및 재활용 정책

환 경

적·문화적 요소 등의 요소를 강화한다. 또한 지역의 특

이다.

2.2 슬로시티 네트워크와 인증항목

슬로시티는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범세계적인 네트워

크인 슬로시티 국제연맹을 형성하고 심사를 통해 승인

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10]. 슬로시티는 인구 5

만 명 이하의 도시로 가입 자격을 제한하고 있으며 슬

로시티 국제연맹이 제시하는 활동 목표인 환경, 기초 인프라, 도시경관 및 미관, 지역 자생력 보호, 주민의 인

지 및 참여, 관광객의 환대 등 6개 부문 52개, 특별 요

구 사항 3개, 총 55개 인증 항목 중 필수 항목으로 24 개 항목을 제안하고 있으며, 제시되는 인증 항목은 실

재 진행 가능한 가이드라인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11].

3. 슬로시티의 인증항목과 장소성 형성요소 분석 3.1 슬로시티의 인증항목과 장소성 형성요소

선행연구를 통해서 장소성의 형성요소로 물리·환경

적, 사회·문화적, 정서·상징적 요소가 도출되었다. 또한

슬로시티의 인증 평가요소는 환경, 기초 인프라, 도시경

인 프 라 구 축

■ ■

친환경적이고 환경에 어울리는 쓰레기통 계획 유전자변형 식품 규제

거리광고, 조명 규제 도시경관 및 전체적 미관 식생에 대한 계획

역사 문화적 가치 보전 녹지 공간 마련 및 인프라

수성을 부각시키고 슬로시티의 발전 이념을 도입하여 슬로시티 네트워크를 통해 홍보를 진행하는 발전 모델

세부 요구사항

장소성 형성 요소 물리· 사회· 정서· 환경적 문화적 상징적 A1 A2 B1 B2 B3 C1

대안교통, 보행자친화, 접근성향상

노약자 및 장애인 위한 공공 편의시설 자동차 사용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한 자전거도로, 보도 정비 공공 공간의 구조물 정비

쇠퇴지역의 재활성화 도 역사적 작품 및 공간의 복원 계획 시 유기적 건축 계획 경 관 역사센터에 대한 편의성 및 , 정상화에 대한 프로그램 미 외관손상을 막기 위한 포스터 관 광고의 제거 및 제약

■ ■

■ `

■ ■ ■

■ ■

지역특산품 품질 보증

지역 문화행사 프로그램 활용 및 보존

지 역 시장 내 유기농, 친환경 상품 홍보 및 판매 장려 자 생 지역에서 생산된 음식의 맛, 력 영양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유기농 푸드 재배 개발 계획 보 전통 수공예품 및 장인들의 호 예술품 품질인증

관 광

슬로시티의 목적에 대한 지식 제공 슬로시티 지정 방법 홍보

■ ■

■ ■

지역 문화 행사와 전통 문화 축제 보존

주 환대를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민 외국인을 위한 표기 및 안내 의 제공 인 도시접근성 및 정보 이용의 지 용이성 증대

■ ■ ■ ■ ■ ■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5


슬로 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느림의 철학에 대한 이해 증진

기존 조직 및 시설의 협력

개 편리한 도시 접근성과 행사가 의 있는 경우 주의 깊은 서비스 제공 환 도시의 ‘느린’ 여행(슬로우 대 투어코스) 준비(브로슈어, 웹, 홈페이지 등)

지역 인근에 주차장 설치 슬로 활동과 정체성 캠페인 필요사항 일치 특 별 슬로푸드 지역 구성, 원조 요 가입 도시들은 슬로시티 마크 구 삽입, 활용 사 치따슬로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항 정보를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 ■ ■ ■ ■

■ ■

■ 캠페인 A1:물리적 자산,A2:환경적 자산,B1:사회적 자산,B2:역사·문화적 자 산, B3 :생활자원,C1:정서·상징적 자산

* 슬로시티의 인증 평가요소 출처: 한국 슬로시티 운동본부 홈페이지 (www.cittaslow.kr) 참고. 표의 내용은 슬로시티 평가 요소와 장소성 구축 요소 의 재구성임

3.2 체크리스트 도출

슬로시티의 장소성 구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슬로

정 서 · 상 징 적

생활 자산 정서상징 · 적 자산

5

무형적 역사 문화: 지역 문화 행사 프로그램 활 J 2 용 및 보존, 역사적 명절 및 축제, 역사적인 이 야기 등. K1 전통 수공예, 수공예인, 기념품, 생활환경 K2 전통 음식, 지역 내의 토산품 등. G1 G2

지역주민: 슬로시티의 목적에 대한 지식 제공, 슬로시티 지정 방법, 슬로시티의 가치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등. 관광객: 지역 특색의 체험 프로그램과 슬로시티 와 관련된 교육 활동과 홍보 프로그램.

III. 사례 분석 1. 사례선정 기준 및 분석

현행 연구와 국제 슬로시티 조직 및 한국 관련 문헌

연구에 따르면, 슬로시티 인증을 받은 한국의 사례는 총 15개이다[그림 1].

시티의 인증평가 요소와 장소성 형성 요소를 매트릭스

표로 나열, 분석한 후([표 3] 참조), 장소성 형성 요소를 중심으로 [표 4] 와 같이 재구성하였다.

또한 [표 4]에서는 슬로시티 장소성의 구축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세부 내용과 함께 연구자에 의한 평가를 추가하였다(적극적 적용●, 중점적 적용◉, 중간적 적용

◐, 소극적 적용O , 해당사항 없음 ◎의 총 5 단계로

표시).

표 4. 슬로시티의 장소성 구축 특성 체크리스트 구 분 물 리 · 환 경 적

사 회 · 문 화 적

16

유형

물리적 자산

세부 내용

기초 인프라: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공공 편 C1 의시설, 공공 공간의 구조물, 휴게시설, 관광안 내 표지판, 주차장 등.

접근성 향상: 대안 교통, 보행자 친화적, 자전거 C2 도로,도시 접근성 증대 등. C3 유기적 건축, 건축 공간 재활성화 등.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역사· 문화적 자산

H1

인공 환경 강화: 도시 환경 미화, 쇠퇴지역의 재활성화, 생태 공원 등.

자연 환경보호: 대기, 수질, 토양 보호와 이용, H2 환경 친화적인 생활 방식 사용. 사회 제도: 구역 내 장기적인 발전 정책 수립(지 역 경제 활성화, 관광 비즈니스 사업과 지역 특 F1 수성 보호 제도)과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정책 등. 공공 서비스: 브로슈어, 웹, 홈페이지 등 구축, F2 슬로시티 지부 구성 및 원조, 친환경 상품 홍보 및 판매 장려 등. 유형적 역사 문화: 역사적 작품 및 공간 복원, 역 J1 사적 건축물, 역사적인 명인의 생가, 역사 구역 의 재활성화와 재활용 등.

평 가

그림 1. 도별 슬로시티 분포도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15개 마을 중

5개 사례를 선정하였다. 첫째, 도별로 한두 개씩 대표적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둘째로, 인증을 취득한 기간은

2007년부터 2011년이며 인구 1000명 이상 10000명

미만으로 비교적 유사한 규모를 가진 슬로시티를 선정 하였다. 다만 ‘전주 한옥마을’의 경우 다른 슬로시티에

비해 면적 면에서는 매우 작은 편이나 2010년 ‘가장 한

국적인 문화를 간직한 고장’으로 국제 슬로시티 조직의

인증을 받았으며, 슬로시티 인증 사례 중 가장 우수한 사례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6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조안면, 창평면, 대흥면, 악양면 그리고 전주 한옥마을

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사례별 기

적 자 산

표 5. 슬로시티의 사례 선정 및 개요

사 회 적 자 산

본 정보는 [표 5] 와 같다. 사례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전라남도 담양군

A B C

인증 지역

인증 시간 2010년

50. 68㎢

4, 266명

창평면

2007년

33. 91㎢

4, 067명

조안면

E

인구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2009년

31.4㎢

2, 100명

전라북도 전주시

악양면

2009년

51.8㎢

3, 809명

한옥마을

2010년

2.08㎢

6, 965명

경상남도 하동군

D

면적

사 회 · 문 화 적

본 연구에서 선정된 사례의 현장 조사는 모두 두 차

생 활 자 산

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사례조사 기간은 아래와 같다. 표 6. 사례 조사 시간 시간

5월15일――5 월19 일

5 월29 일――6 월2일

위 치

조안면, 대흥면,

한옥마을,악양면,창평면

2. 사례 분석

2.1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슬로시티

역 사 · 문 화 적 자 산

정 서 · 상 징 적

정 서 · 상 징 적 자 산

로 비교적 좋게 향상되었다. 팔당댐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여 H2 있어 녹지와 맑은 공기, 깨끗한 물과 토양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슬로시티 특성화 사업과 지역 경제 활성화 등 관련 정책 F1 을 제정하여 이미 9개 마을에 대해 마을 특성화를 완료 하였지만 다른 관련 정책에 대한 실행은 일반적이다 [12].

‘슬로시티 조안의 ’ 홍보를 위한 웹사이트 구축 및 홍보 F2 책자를 제작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환경 친화적인 상품 을 홍보하는 사회적 서비스는 부족한 실정이다[13].

J1

조선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 선생의 생가와 묘지, 실학 박물관, 다산유적지, 남양주 종합 촬영소, 거미 박물관, 수종사 등 다양한 역사적 유적들이 있어 전통문화 도시 의 이미지가 강하다.

다산문화제, 광릉숲 문화축제 등 지역 향토축제를 개최 J2 하지만 지역 내에서만 인지도가 있으며 영향력을 미친 다.

짚공예, 싸리공예, 목각공예, 삼봉농악과 경기도 무형문 K1 화재 제49호 전통 목각공예가 있지만 개발 및 보호 수 준이 비교적 낮다.

배 막걸리, 유기농 쌈채와 딸기, 전국적으로 유명한 먹 K2 골배 등의 특산물이 있다. 유기농 생산지로서 특산물 브 랜드에 대한 식별도가 높다.

슬로시티 협의회 및 달팽이 학당과 유기농 박물관 등을 G 1 운영함으로써 슬로시티의 장소이념에 대한 주민들의 인 식을 강화한다.

슬로시티 문화관을 중심으로 슬로시티 허브마켓과 특산 물 등 각종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2013년 세계 유 기농대회와 슬로시티의 날 기념 축제 및 슬로라이프 대 회를 개최하여 지역 이미지를 높였다[14].

G2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역사·문화적 자산

생활자산

정서·상징적자산

“새가 편안히 깃드는 낙원”을 마을 테마로 선정한 조

안면은 제18차 세계 유기농 총회의 개최로 지역 내 자

원이 효율적으로 통합되었고[12], 친환경적인 생태 이

미지를 공고하게 한 국내 유일의 도농 복합형 슬로시티

이다.

표 7. A 조안면 슬로시티

위 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시 간 면 적

물 리 · 환 경 적

물 리 적 자 산

50.68㎢

4,266명

2013년에는 세계 유기농 대회를 개최하여 우수한 체험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휴게 시설물, 위생 시설물, 조망 C1 시설물, 정보 시설물 그리고 주제별 어린이 놀이 시설물 등이 비교적 잘 구축되어 있다.

평가 ●

자전거 도로의 활성화와 조안면의 마을 안길을 슬로시 C 2 티길과 다산길로 개선하여 구역 내의 접근성은 강화하 였지만 대중적인 공공 교통 시스템의 구축은 미약하다.

역사 건축의 재 활성화는 외부에만 있을 뿐 내부 공간으 로는 진입할 수 없어 방문자의 참여도가 낮다.

C3 환 경

인 구

장소성 구성 세부 특성

2010년 11월

H1

생태테마파크(물의 정원, 팔당댐 생태 공원)와 중앙선 옛 철로는 자전거도로로 변경하여 도시환경이 미관적으

2.2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

창평의 테마는 "오래갈 미래로 돌담길과 고택마을”이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7


7

슬로 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다[15]. 소쇄원 등 한국 가사문학과 정자문학의 본고장

으로 전원 경관과 전통 고옥경관, 시골 분위기의 골목

풍경이 있어 다양한 전통 문화가 있으며 도시민들의 전 통문화 체험의 장이 될 수 있다. 표 8. B 창평면 슬로시티

위 치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시 간 면 적

물 리 · 환 경 적

물 리 적 자 산

환 경 적 자 산 사 회 적 자 산

사 회 · 문 화 적

역 사 · 문 화 적 자 산 생 활 자 산

정 서 · 상 징 적

정 서 · 상 징 적 자 산

33.91㎢

장소성 구성 세부 특성

4,067명

지역 내 보행 도로 시스템 및 주변의 자전거 도로 시스템 C2 의 이동성과 접근성은 보통이며 외부 공공 교통 방식은 단일하다.

C3 건물의 활성화 정도는 보통이고, 빈 가옥들은 관리의 허 점을 노출하며, 주변 건축 환경과 조화되지 않는다. 전원 경관과 전통 고옥 경관, 시골 분위기의 골목 풍경에 H1 대한 개선이 잘 되어 마을의 전반적인 환경이 향상되었 다. 동편에는 월봉산과 남쪽에는 국도봉이 있고 월봉천, 운 H2 암천, 유천 등 세 갈래 하천의 물이 모여 비교적 좋은 자 연환경을 조성한다.

지역 역량 강화 사업의 제정 및 프로그램 운영, 지역 가 F1 치 발굴 및 주민 삶의 질 개선,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사업 추진력은 낮다.

한국 최초로 슬로시티 인증을 수여받았으며 비교적 완전 한 홈페이지 홍보 시스템 및 브랜드 관리, 관광객 수요에 F2 따른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정보 전달에 관해서는 비교적 단일하다.

◐ ◐

마는 “고향의 향수와 가족 이야기가 살아있는 의좋

창평면에는 전통장(醬) 명인, 한과 명인, 쌀엿 명인, 천연 K1 밀랍으로 양초를 만드는 명인 등이 거주하고 있지만 이 와 관련된 체험 활동이 적다.

◐ O

주민에 대한 슬로시티의 인지와 관련된 교육 홍보의 추 G1 진 역량이 약하다. 슬로시티 위원회를 통해서 슬로시티 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을 강화하고 있다[17].

슬로시티와 관련된 체험 및 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G2 간단하게 제작된 슬로시티 광고판을 통해서만 슬로시티 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사회적 자산

충남 예산군 대흥면 중리길 49에는 충남의 보물

남도 문학, 소쇄원 한국 가사문학과 정자 문화의 본고장 이기도 하지만 활성화 정도가 낮다.

전통장류, 창평 한과, 장아찌, 창평 효소, 약선음식 등의 K2 전통 음식이 있다. 하지만 지역 특산물이 뚜렷하게 우세 하지 않다.

2.3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슬로시티

같은 마을이 자리잡고 있다. 슬로시티답게 자연과

환경적 자산

정서·상징적 자산

평가

지역 내 역사 문화자산(등록문화제 265호 돌담길, 고재 선 가옥, 고정주 가옥, 고재환 가옥 등)과 100년의 유구 J1 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창평 초등학교가 있다. 재활성화 정도가 높다[16]. J2

생활자산

2007년 12월 1일

인프라의 종류가 단일할 뿐 아니라 디자인이 간단하고 정보 시설물은 너무 단순하며 쓰레기통 및 공공 휴게시 C1 설물의 설치가 부족하다. 하지만 주차장 및 관련 부속시 설은 잘 정비되어 있다.

물리적 자산

18

인 구

역사·문화적 자산

역사, 문화와 전통을 고루 갖춘 동네이며 이곳의 테

은 마을”이다[18].

표 9. C 대흥면 슬로시티 위 치

면 적

물 리 · 환 경 적

사 회 · 문 화 적

물 리 적 자 산

환 경 적 자 산 사 회 적 자 산 역 사 · 문 화 적 자 산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31.4㎢

시 간 인 구

장소성 구성 세부 특성

2009년 09월 2,017명

생태 우호적인 여행 관광지로 기반 시설(주차장, 캠핑장, 잔디 광장, 산책로 등의 다양한 부대시설)이 비교적 잘 C1 갖추어져 있으며 안내 및 관련 기능성 시설물도 잘 갖추 어져 있다. C2

내부 공간은 3가지의 각기 다른 테마의 보행도로와 예당 저수지를 둘러싸며 형성된 관광 보행도로가 있다. 비교 적 보행자 친화적이며 도시의 주요 간선 도로와 연결되 어 있어 외부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다.

공간 및 방치된 건물을 개·보수하여 민박, 마을 문화 공 C 3 간, 체험장, 전시장 등을 마련하였다. 각기 다른 주제의 공간에 대해서 건물의 외부면을 개조하였다.

마을 경관은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고 마을 및 느린 H1 꼬부랑길 자투리땅을 이용 하여 소규모 정원을 조성함으 로써 마을 환경을 개선하였다.

대흥면은 봉수산의 빼어난 경치와 주변이 상수원 보호구 H2 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예당호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좋은 자연 환경 자원을 가지고 있다.

평가 ●

● ◉ ●

정책의 집행력이 상대적으로 좋기에 지역의 특수성 보호 F 1 제도 및 추진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다른 제도의 추진 성 과는 그다지 뚜렷하지 않다.

F2

홍보 안내 책자 및 기념품 제작, 마을 사업 홍보를 위한 홈페이지를 구축하였다.

40 년 전의 대흥장터와 600년 된 대흥 향교[19], 예산 윤봉길 의사 유적에 대해서 재활성화와 활용 J1 을 하여 추사고택, 백제 시대에 향천사, 예산 용궁 리 백송, 한국 고건축 박물관을 브랜드화 하여 사 용하였다.

정기적으로 의좋은 형제 축제, 달집 축제, 매헌 윤봉길 J2 평화축제를 개최하고 전시 및 민속놀이와 각종 문화행사


8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생 활 자 산 정 서 · 상 징 적

정 서 · 상 징 적 자 산

가 있으며 또한 전통적인 역사 이야기들을 이용하여 만 들어진 체험적인 장소들이 있다.

K1 짚공예, 손바느질, 천연비누 만들기 등의 전통 수공예의 개발 및 이용 정도가 비교적 낮다.

자인이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어 이용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 O

전통적인 농촌문화 유지와 어죽, 사과, 붕어찜 등 다양한 K2 지역 특산물이 있다.

G1

주민 협의체 운영 슬로우 시티에 대한 주민 인식과 역내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증대되고 있다.

대흥장터 문화 체험단, 의좋은 형제 장터, 마을 전시 공 간, 예당 낚시 대회의 운영과 역사 이야기를 이용하여 만 G2 들어진 표지물과 슬로시티의 개념과 관련된 구축물들은 관광객들의 공감을 끌어내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C3 환 경 적 자 산

사회적 자산

사 회 · 문 화 적

역사·문화적 자산

생활자산

정서·상징적 자산

정 서 · 상 징 적

2.4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슬로시티

전통 건축의 재활용성이 높고 상업과 전통 한옥 체험의 공간이 재현되어 있어 방문자와의 상호작용이 강하다.

인공적인 관여가 적고, 대부분이 자연환경을 위주로 하 H1 며, 중심 구역을 활성화한 결과 전반적인 환경이 크게 개 선되었다.

지역 내 평사리 들판, 지리산과 섬진강의 훌륭한 자연 경 H2 관을 가지고 있으며 마을에 햇빛과 신선한 공기를 제공 한다.

● ● ●

사 회 적 자 산

관광 비즈니스 사업과 환경 친화적인 생산방식 정책의 F 1 실시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생태적 모델을 잘 구축하였다.

F2

역 사 · 문 화 적 자 산

소설 <토지>의 배경이 된 최참판댁, 매암차 박물관, 조씨 고가, 고소성, 환산사, 악양루 등의 역사 명소가 있다. 개 J1 별적인 역사 장소의 활성화가 비교적 잘 되어 있 고 각 역사적 장소 간의 연계성은 약한 편이다 [21]. 민속놀이 복원, 세시풍속 체험, 치타슬로 선데이, 최참판 J2 댁 가을걷이 풍년 잔치 등 슬로라이프 문화를 육성하고 있다.

생 활 자 산

K1

정 서 · 상 징 적 자 산

슬로시티 홍보 이미지와 홍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지만 지역화 특색적인 홍보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대봉곶감 명인 박민봉, 발효차 명인 이경숙 등 전통 수공 예인이 있다.

지리산 자락 산비탈에 유기농 방법으로 생산되는 야생 K2 ‘천년 녹차와 홍차,’는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그 외에 대 봉 곶감, 매실, 녹차소주 등이 있다.

G1

G2

청소년 및 마을 주민에 대한 슬로 교육 실시, 지역 주민 들을 위한 다양한 동아리 및 취미활동 강좌 운영, 슬로시 티위원회 등 공동체 활동 추진하여 슬로시티에 대 한 지식을 강화하고 있다[ 22].

슬로푸드를 활용한 대표 축제가 있으며(화개 야생차축제, 악양 대봉감 축제) 지리산학교와 달팽이 학교 등 이러한 활동은 슬로시티의 장소적 특징을 강화하지만, 지역 내 에서 슬로시티를 대표하는 표지물 설치는 미약하다.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역사·문화적 자산

생활자산

정서·상징적 자산

하동의 마을 테마는 “차가 있어 즐겁고 행복한 다

행촌락(茶幸村樂)”이다[20]. 지리산, 섬진강과 같은

자연자원과 박경리의 소설 ‘토지’로 알려진 공간적

배경, 하동 야생차와 같은 특산품들이 어우러져 차 (茶) 재배지로서 세계최초로 슬로시티로 인증 받았 다.

표 10. D 악양면 슬로시티 위 치

면 적 물 리 · 환 경 적

물 리 적 자 산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51.8㎢

시 간

인 구

장소성 구성 세부 특성

2009년 9월 3,768명

관광 관련 정보 시설물 및 휴식 시설물은 부족하다. 주요 C1 구역에만 주차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기반 시설물은 다소 일반적이다. 내부 공간에서 이용 가능한 교통수단이 단일하고 접근성 C2 이 좋지 않으며 내부의 보행자 도로와 자전거 도로의 디

평가 ◐ ◉

2.5 전라북도 전주시 담양군 슬로시티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9


9

슬로 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담양군의 마을 테마는 “한국 전통문화의 수도, 슬로

시티 전주 한옥 마을”이다. 최대 규모의 한옥(700여 채)

과 골목길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이곳은 전통적

인 생활 방식의 발원지이다[23]. 표 11. E 한옥마을 슬로시티 위 치 면 적

물 리 · 환 경 적

물 리 적 자 산 환 경 적 자 산 사 회 적 자 산

사 회 · 문 화 적

역 사 · 문 화 적 자 산 생 활 자 산

정 서 · 상 징 적

전라북도 전주시 시 간 50.68㎢ 인 구 장소성 구성 세부 특성

2010년 11월 4,266명 평가

전주 한옥마을은 역사 관광 명소로 비교적 완벽한 공공 C1 시설물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관광객의 증가 에 따른 공간적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대부분이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방문하여 관광 집중화 현 C2 상이 있다. 한옥마을과 연계한 관광교통시설 부족 및 주 변 관광지와 연계성 부족하다. 국내 최대 규모의 700여 채의 한옥이 잘 보존되어 있고 C3 상업 공간, 전시 공간, 한옥체험 공간의 수준이 높다. 태조로, 은행로 등의 도로 정비, 공공주차장 조성, 야간 경관 조명 설치, 오목대 정비, 테마 관광로 조성, 골목길 H1 정비 사업 및 쓰레기 분리수거함 설치로 전반적인 환경 을 매우 개선했다.

전주 한옥마을은 대한민국 최초의 슬로시티 지정 마을이 H2 다. 하지만 자연적인 경관 요소 및 환경 친화적인 생산 방식이 부족하다. 각종 사회제도가 잘 정비되어 있고, 추진성도 좋은 편이 F1 지만 관광객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집행상의 문제점이 비교적 많다.

국제슬로시티 전주 한옥마을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 F2 을 유치하기 위해 슬로시티 지도 및 홍보물 제작하고 있 다.

전주향교, 학인당, 전주동헌 경기전, 전동성당, 오목대, 남천교, 풍남문 및 국내 최대 규모의 700여 채의 한옥과 J1 골목길이 잘 보존되어져 있고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 이 모셔진 조선왕조의 발상지이다.

◉ ◐ ● ◐ O

이상 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정서·상징적 요소의

분석을 통해서 사례별 장소성의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각 사례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 적극적 적용(●)7

점, 중점적 적용(◉) 5점, 중간적 적용(◐) 3점, 소극적

적용(O) 1점, 해당사항 없음(◎) 0점으로 적용하여 아 래 [표 12]과 같이 평가하였다. 위의 사례에 대한 종합

적인 분석을 통해 조안면, 대흥면과 악양면 슬로시티는

물리적 환경을 주도적으로 하여 구축된 슬로시티이며

도적으로 하여 구축된 슬로시티로 나타났다.

K1

전주 비빔밥은 이미 전국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슬로푸드 K2 이자 외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표 음식이다. 그 외에 도 한정식, 전주 막걸리 모주 등 전통 음식이 있다.

3.1 사례별 종합평가 분석

전주한옥마을은 전통문화가(전통문화 교육, 혼례 체험 및 J2 예술 공연 혼불문학제, 판소리 체험 및 교육, 황손문화 및 전통차 체험 등) 많이 남아 있고 활성화도가 높다.

음식, 한지, 소리, 한복, 한옥, 한방, 예절 등 한국 스타일 대표의 생활자산 및 문화 예술인들의 주거활동 지역이다.

3. 소결

정 슬로시티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슬로시티에 대한 이해 증 서 G1 진 및 참여를 유도한다. 슬로시티 명소화 기반을 구축하 ◐ · 고 특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상 주민들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한국 스타일(한옥, 한지, 한 징 적 G2 식, 판소리) 체험 프로그램 진행으로 전통과 문화 ◉ 가 함께 어우러지는 전주만의 색다른 재미를 제공 자 한다[24]. 산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창평면, 전주시 한옥마을 슬로시티는 역사와 문화를 주

표12. 사례별 종합평가 분석 합계:n(x ),n:평균수,x :합계수 정서· 상징적 구 역사· 정서·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 생활 문화적 상징적 분 자산 자산 자산 자산 자산 자산 C1 C2 C3 H1 H2 F1 F2 J1 J2 k1 K2 G1 G2 물리· 환경적

평 가 합 계

20

생활자산

정서·상징적 자산

4.3(13)

7( 14)

2(4)

4(8)

3(6)

6(12)

A 사 례 평 가 분 석 평 가

조안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환경적 자산, 정서·상징적 자산>물 리적 자산>역사·문화적 자산>생활 자원>사회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수원 보호지과 2013년 세계유기농대회 개최지로 비교적 좋은 자연환경과 인공 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슬로시티와 관련된 조형물, 이벤트와 체 험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은 장소의 장소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물리적 자산 도 강화하였다. 그에 비해 사회적 표현은 일반적으로 역사·문화적 자산의 이점, 생활 자산의 이점을 강화하지는 못했다.

B 사 례 평 가 분 석

창평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역사문화적 · 자산>환경적 자산> 물리적 자산, 사회적 자산>생활 자원>정서·상징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역사 자산은 활성화 정도가 비교적 높고 각 역사적 자산의 위치는 집중적이 고 연속성이 강한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시내 지역과 가까운 자연 자원의 이점은 일반적이며 이해 비해 사회적 정책과 공공 서비스의 실행력은 중간 수준에 머물고 있어 물리적 자산이나 생활 자산에 관한 자원이 부각되지 않 아 관광객의 장소 체험감이 저하되며 정서·상징적의 평가 역시 좋지 않다.

합 계

역사·문화적 자산

역사·문화적

3(9)

5( 10)

3(6)

6(12)

2(4)

1(2)


10 평 가 합 계 C 사 례 평 가 분 석 평 가 합 계 D 사 례 평 가 분 석 평 가 합 계 E 사 례 평 가 분 석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7(21)

6( 12)

4( 8)

5(10)

2(4)

3(6)

대흥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물리적 자산>환경적 자산>역사· 문화적 자산>사회적 자산>생활 자원>정서상징적 ·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자산의 구축은 어렵지 않고 활성화 정도가 높아 상수원 보호구역의 자연환경에서의 우위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양호한 생태 환경을 유지하 고 있다. 또한 역사적 자산이 형성된 상황을 이용하여 인공 환경의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대조적으로 삶의 자산 활용 및 슬로시티 관련 활동 그리고 구축물의 활성화 수준은 일반적이다. ◐

5(15)

7( 14)

3( 6)

6(12)

3(6)

2(4)

악양면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환경적 자산>역사문화적 · 자산> 물리적 자산>사회적 자산, 생활 자원>정서·상징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과 인공 환경의 활성화 정도가 높고 전통 역사 지역의 활성화 및 상업화에 대한 활용도가 높다. 또한 물리적 자산의 활성화 수준이 향상되었 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정경의 상징적인 활성화 수준은 낮은 편이다. ◉

◐ 5(15)

2(4)

3( 6)

7(14)

6(12)

4(8)

한옥마을의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은 역사문화적 · 자산>생활 자원> 물리적 자산>정서상징적 · 자산>사회적 자산>환경적 자산 순으로 나타났 다. 전통 한옥 및 전통적인 생활 문화 자원을 다량 보유하고 활성도가 매우 높아 유명 관광지로서의 기본 시설물이 다양하게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관 광객이 늘어나면서 위와 같은 강점은 두드러지지 않고 도시 환경 속에 위치 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에 대한 수준은 낮은 편이다.

합계:n(x ),n:평균수,x :합계수

공간 표현의 특성은 장소 내 모든 장소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수성을 부각시켰으며, 동시에 슬로 시티의 기본 디자인 콘셉트로 지역 내 생태 환경 자원,

역사 문화 자산 그리고 생활 관련 자원을 활성화하어 각각의 슬로시티만의 특징을 가진 공간을 형성하였다.

선정된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요약 분석을 통해 가장

높은 종합 평가 점수를 받은 사례는 예산군 대흥면(C사

례)이고 다음으로는 전주시 한옥마을(E사례)이다. 종합 평가 점수가 중간 수준인 사례는 남양주시 조안면(A 사

례)과 하동군 악양면(D 사례)이다. 종합 평가 점수가 비

교적 낮은 사례는 담양군 창평면(B 사례)이며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 [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3. 사례별 종합 분석 총계:n(x ),n:평균수,x :합계수 물리· 환경적 역사· 문화적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 역사· 자산 자산 자산 문화적

B C

D E

합 계 총 계

◐ ◉

◉ ◐

● ●

● ◐

● O

◐ ◐

◐ ◐

◉ ●

● ●

◐ ●

◐ ●

25 23

24.3 (73)

◐ ●

25

◉ ◉

27

◉ ●

O ◉

◉ ◐

● ◉

◉ ◉

27 15 15 31 25

27 (54)

15 (30)

28 (56)

자산 k1 K2 G1 G2 O

57

◐ ●

◐ ◉

◐ ◐

O ◉

57 59

◐ O

O ◐

O ◐

O ◐

15 17 15 17 16 (32)

43 61

16 ( 32)

평가가 가장 높게 나온 담양 슬로시티는 기반 시설이

잘 구축되어 있고 사용자 연령층을 고려한 휴식시설(소 형 공연장, 놀이시설, 관련 정보 시설물 등)을 제공한다.

또한 내·외부적으로 편리한 교통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내부 기능별 공간의 연계성이 높고 역사적 유휴건물에 대한 재활용의 정도가 높아 각 공간들은 보수되어 민

박, 마을 문화 공간, 체험장, 전시장 등과 같은 형태로

활용된다. 또한 마을 및 느린 꼬부랑길 자투리땅을 이

용하여 소규모 정원을 조성함으로써 마을 환경을 개선 하였으며 전통적인 역사 이야기와 역사적 사건들이 결

합되어 체험적인 장소와 그와 관련된 스토리텔링을 형 성하였다.

평가가 가장 낮게 나온 담양 슬로시티는 기반 시설이

잘 구축되어 있지 않고 관련 휴식 시설, 정보 시설물 그 리고 주차시설 등 기능적인 시설물의 설치가 부족하다.

또한 내외부의 연결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내부 공

간에 대한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역사적 건축물의 이용 효율이 낮고 비어있는 공간이 많아 관리 부족 및

주변 환경과의 부조화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뿐만 아니

3.2 사례 간 비교 분석

구 분

A

자산 C1 C2 C3 H1 H2 F1 F2 J1 J2

정서·상징적 생활 정서· 자산 상징적

총 계

라 슬로시티와 관련된 시설물의 설치가 빈약하고 지역 적 특수성 조성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것을 보아 관련

정책의 집행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로시티 인증을 받은 사례의 장소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역사·문화적 자산> 환경적 자산> 물리적

자산> 생활 자산, 정서· 상징적 자산> 사회적 자산 순으 로 나타났다. 역사·문화적 자산의 경우 모든 사례에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 내 역사 건축, 역사 유 적의 재활성화 및 역사 행사 프로그램, 명절, 축제 그리

고 향토 문화 등의 요소를 활용하여 지역의 문화적 가 치를 증가시키고 특수성을 강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경적 자산의 경우 모든 사례에서 아주 높게 나타났으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1


슬로 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며, 우수한 자연 생태 환경은 지역 전체 환경의 질을 향

리적 자산> 생활 자산, 정서· 상징적 자산> 사회적 자산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인공 환경의 개선을

환경적 자산 및 물리적 자산에 대해서는 높게 나타났으

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산물에도 양호한 환경을 위해서도 비교적 좋은 기반을 제공하였다.

물리적 환경 자산은 모든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편인

데, 이것은 역사·문화적 자산과 환경적 자산에 기반 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역사·문화적 자산,

나, 상대적으로 정서·상징적 자산과 생활 자산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평가가 가장 높게 나온 요소는 역사·문화적 자

여 공간 내 기본시설물 및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중

산이었으며 사례 E(한옥마을)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주

가 크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슬로시티 주제와

화와 전통적인 역사 문화의 재활용에 대해 표현하고 있

요한 요소이다. 정서·상징적 자산의 경우 사례별 차이

관련된 항목과 구축물이 부족했으며 특히 창평면의 사

례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생활 자산의 경우 다른 사 례들에 비해 한옥마을의 사례에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자산은 사례들 사이에서 그 차이가 크지 않고

로 역사적 건축물과 쇠퇴하는 역사 구역에 대한 재활성

으며 구체적으로는 민속 전시 공간을 재활용하여 활성 화하는 것이다. 또한 마을 문화 공간 혹은 전통 역사이

야기 및 관련 사건과 결합하여 체험공간의 활용으로도

이용되었다. 다음으로 환경적 자산은 사례 A(조안면 슬

대부분 지역 발전과 관련된 제도 정책과 홍보 활동이

로시티)와 사례 D(악양면 슬로시티)에서 가장 두드러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여 슬로시티 공간(보행 공간, 자전거 도로 등)을 형성

잘 마련되어 있지만 집행력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가

IV. 결 론 슬로시티는 사람과 자연환경이 조화롭게 발전하고,

다. 주로 구역 내의 자연환경과 마을 내부 환경을 이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자산은 사례 C(대흥면 슬로시티)에서 가장 두드러졌으며 주로 공공시설물(휴

게시설, 공공 서비스 시설, 정보 시설 등)의 구축과 내·

외부 교통수단 및 접근성에서 나타났다.

생활 자산은 사례 E(한옥마을)에서 가장 두드러졌으

지역성과 전통성을 유지하는 토대 위에서 지역 자원을

며 주로 지역 특산물 및 전통 수공예에서 나타났다. 한

전라남도의 4개 지역에서 시작하여 2007년에 처음으

전통 생활 자산이 많이 남아있어 활성화 정도가 높았

재 활성화하는 발전 모델이다. 한국 내의 슬로시티는 로 슬로시티로 지정된 이후 농촌 지역의 활성화와 현대

화 건설에 널리 활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슬로시티에

대한 인식은 슬로시티 인증을 받은 관련 사례를 통해서 만 알 수 있으며 이는 슬로시티를 현상적으로만 인식할

수 있고 슬로시티의 장소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 족한 실정이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과 현장

조사를 통하여 장소성의 구축 요소와 슬로시티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여 사례별 현장 평가 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선행 연구를 통해 장소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물리적 자산, 환경적 자산, 사회적 자산. 역사·문화적 자 산, 생활 자원, 정서·상징적 자산의 6 가지 특성으로 구

분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슬로시티 장소성 구축 특 성을 살펴 본 결과, 역사문화 · 적 자산> 환경적 자산> 물

22

11

옥마을은 전통적인 수공예 장인과 한지, 한복, 한식 등 다. 정서·상징적 자산은 사례 A(조안면 슬로시티)에서

가장 두드러졌으며 슬로시티 문화 전시관, 달팽이 학당 과 유기농 박물관 그리고 슬로시티와 관련된 표시물들

이 설립되어 있었다. 사회적 자산은 정책의 추진 정도 나 사회 서비스의 구축을 위한 것이며 정책의 추진은

다른 장소 요소를 통해 직관적으로 반영된다. 사회 서 비스 시스템의 구축은 슬로시티 대외 홍보(관련 정보

홍보물, 인터넷 사이트 구축)를 통해 이루어지며 사회 적 자산 수준의 높고 낮음은 다른 장소 요소의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요소는 분석된 사례에 서는 모두 두드러지지 않았다. 창평면의 경우 비교적 우수한 자연 생태 환경과 역사 문화 환경을 갖추고 있 지만 정책의 추진력과 사회 공공서비스의 수준이 낮아,

물리적 자산 및 정서· 상징적 자산의 평가도 낮게 나타 났다.


12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넷째, 슬로시티의 발전은 지역 특산물을 매개로 하여

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장소 요소를 대상으로 하였고 슬

[7] 한국 슬로시티, htt p://www.cittaslow.kr, 2019.08.

로시티의 기본 개념을 활용하여 지역의 특수성을 강화

[8] 박경문, “국내 슬로 시티 발전 방안 연구,” 지리학

보면 환경적 자산과 역사·문화적 자산의 수준은 비교적

[9] 崔耀燮, 장소 개념은 통해 본 국내 슬로시티 개발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문 [표 13]의 분석 결과를

높게 나타났으나 생활 자산, 사회적 자산 및 정서·상징 적 자산의 활용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주민 들에게 있어 자신이 속한 슬로시티의 장소성에 대한 공 감 및 자부심이 떨어뜨리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향후 슬

로시티 조성에서는 생활 자산 및 사회적 자산과 관련된 운용 및 활동을 보다 더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 미한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슬로시티의 장소성 구축 특

성을 평가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현장 조사 분석을 실시 하였다. 그러나 생활 자산이나 사회적 자산과 연계하여 주민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

니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 리스트를 활용하여 슬로시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만

족도 및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여 슬로시티

가 나가야 할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1] 조영태, “한국형 슬로시티 추진 전략,” 토지 연구, 제24권, p.98, 2008.

[2] 崔耀燮, 장소 개념은 통해 본 국내 슬로시티 개발

연구, 제42 권, 제2호, p.241, 2008.

전력의 개선방향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4, 2011.

[10] https://www.farmstay.c o.kr/village/NH00024/, 2019.08.

[11] 황길식, 슬로시티 지역자원조사 및 스토리텔링

- 슬로시티 관광자원화 5개년계획 수립, 보고 서, 충청북도 제천시 , p.29, 2013.

[12] http://www.slowcityjoan.kr/, 2019.09.

[13] http://www.slowcityjoan.kr/s1_4_1.php, 2019. 08.

[14]

http://www.slowcp.com/kr/sub06/sub06_02,

2019. 08.

[15] KITD 연구보고서, 슬로시티관광자원화· 생태관광

10 대모델 사업의평가 및 향후 추진 방향 연구, 문 화체육관광부, p.24, 2014.

[16] 문화체육관광부, 슬로시티 관광 자원화· 생태 관

광 모델 사업의 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연구, p.45, 2014.

[17] KITD 연구보고서——슬로시티관광자원화· 생태관광1

0 대모델 사업의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연구, 문화체 육관광부, p.24. 2014.

[18]슬로시티관광자원화· 생태 관광 10대 모델 사업의 평

가 및 향후추진방향연구,

2014.

문화체육관광부, P.45.

전력의 개선방향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https://m.blog.naver.com/PostV iew.nhn?blogId,

[3]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장소 자산을 활용한 농촌

[20] https://www.nongmin.com/news/318586/view.

p.3, 2011.

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9.08.

2019.09.

대학원, p.65, 2010.

[ 21] htt p: //c itt as low.kr/kor/ sub02_ 05_0 2.php.

재현 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22] htt p: //c itt as low.kr/kor/ sub02_ 05_0 3.php.

[4] 전석환, 장소의 역사 지리적 탐색을 통한 건축적 석사학위논문, p.77, 2012.

[5] 임상현,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플래시 몹의 공간

적 구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 전문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p.23, 2013.

[6] 안덕초, 신현정, 김용근, “장소 자산을 활용한 농 촌관광마을축제 계획에 관한연구,” 한국농촌계획

2019.09. 2019.09

[23] http://cittaslow.kr/kor/sub02_05_01.php. 2019

[24] 김 준, 역사·문화재를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

한 연구- 전주한옥마을의 지역성을 중심으로, 전

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57. 2016.

학회지, 제17권, 제1 호, p.70, 201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3


슬로 시티 인증 마을의 장소성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저 자 소 개

손 로(Lu Sun)

정회원

▪2013년 9월 ∼ 2015 년 6월 : 동 서대학교 대학원 환경디자인 학 과(석사)

▪2018년 9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대학원 환경디자인학과(박사과정)

<관심분야> : 환경디자인, 역사지역 재생, 농촌지역 재활성화

윤 지 영(Ji-Young Yoon)

정회원

▪2001 년 3 월 ∼ 현재 : 동서대학 교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전공 교수

<관심분야> : 도시재생, 실내디자인, 환경, 문화

24

13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 Vol.20 No.1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왕휘휘,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617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ceness of Vacant Houses in the Street of Historical Culture - Focused on HangZhou Zhongshan Road 왕휘휘, 홍관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ui-Hui Wang(wh772763171@gmail.com), Kwan-Seon Hong(cigahks@naver.com) 요약 도시의 문화유산이 가장 집중된 역사문화거리의 중심가에 비해 주변 거리의 발전은 점차 쇠퇴하는 상황을 보이고 있으며 장소성 역시 상실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빈집이 발생함에 따라 역사문화지구 내 빈집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중국 항저우 중산로의 빈집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장소성 이론 및 Matthew Carmona의 도시 설계의 6가지(사회적, 지각적, 기능적, 형태적, 시각적, 시간적) 차원을 적용해 이해하고, 항저우 중산로에 있는 다른 빈집의 활용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역사문화거리에 있는 빈집의 장소성 평가 요소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AHP 계층분석법을 활용하여 각 평가요소(6차원의 12가지)의 중요도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의 평가결과와 사례의 분석결과를 비교분석하였 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활용의 장소성의 평가 결과, 12가지 평가 요소에는 안전성, 동일성, 사용성, 개별성, 심미성, 연계성, 다양성, 개방성, 연속성, 접근성, 질서성, 역사성이 차례대로 고려되어 야 한다고 도출되었다. ■ 중심어 :∣역사문화거리∣빈집∣장소성∣

Abstract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locks with the most concentrated urban cultural heritage, the development of both side streets is impac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ain street, which shows a gradual decline. The loss of placeness on both side streets has resulted in more empty houses. Therefore, it is urgent to pay attention and take countermeasures to the empty hous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blocks. In this study, the vacant houses on Zhongshan Road in Hangzhou, China were taken as the object of study to understand the location theory and the six dimensions of Matthew Carmona’s urban design. Meanwhile, it further analyzed the evaluative features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o provide direction and basis for the flexible using of other empty houses in Zhongshan Road. Then by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t obtained the importance scale of each evaluative feature and compared the evaluation results of experts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cases, getting the results as follows: In the flexible application of vacant hous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he evaluation result of placeness indicates that this kind of usage should be in order of societal level, perceptional level, functional level, morphological level, visual hierarchy and temporal level; among the evaluative features, security, identity, usability, individuality, aesthetics, connection, diversity, openness, continuity, accessibility, order and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in turn. ■ keyword :∣Street of Historical Culture∣Vacant Houses∣Placeness∣

접수일자 : 2019년 09월 30일 수정일자 : 2019년 11월 01일

26

심사완료일 : 2019년 11월 11일 교신저자 : 홍관선, e-mail : cigahks@naver.com


6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I. 서 론

살펴보면.

1. 연구 배경 및 목적

장소성 개념,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재생과 장소성의

세계화의 파고 속에서 도시의 ‘몰개성화’는 비단 특정 도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즉 경제의 세계화 과정 속에서 지역 문화와 도시 개성화 보호가 절박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 도시에 있어서 역사문화거리는 도시의 역 사·문화적 발전과 도시 경관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반영 하고 있는 공간으로, 도시 가치와 정체성의 중요한 요 소이자 도시 개성화라는 속성이 표현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역사문화거리는 도시의 문화유산이 가장 밀집된 구 역으로, 기본적으로 해당 장소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가 담보되어 있는 공간이다. 그런데 중심가의 발전에 비해 주변 거리(역사 문화의 거리에서는, 중심가보다 다른 거리의 본문을 주변거리라고 부른다)의 발전 상황이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문제, 상관성을 고찰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역사문화거리의 재생 과 정에서 나타나는 장소성에 대해 정리·분석하고, 행태적· 지각적·사회적·시각적·기능적·시간적 차원에서 장소성 평가 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지 평가를 실시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계층적 의사결정 방법) 분석을 통해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 평 가요소의 중요도를 도출한다. 이때 전문가의 범주에는 재생사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실무 경험을 갖춘 교 수, 연구자, 설계자 등이 포함된다. 넷째,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현지 조사를 실시하여 리모델링을 거친 중산로 내 빈집의 장소성이 나타내는 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점차 쇠퇴함에 따라 장소성이 상실되면서 역사문화단 지 내 주변 거리의 발전과 빈집 문제에 대한 관심이 시 급한 실정이다. 중국 항저우는 중국 8대 고도의 하나이자 남송시대

Ⅱ. 이론적 배경

이래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도시로, 중국 최초의

1. 역사문화거리의 이론적 고찰

역사문화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20년 동안 항저우에서

1.1 중산로의 역사문화적 배경

는 거의 90% 이상의 역사 건축물이 훼손되었는데, 살 아남은 10%의 역사 건축물은 대부분 항저우 역사문화 거리 가운데 가장 큰 구역인 중산로(中山路)에 밀집되어 있다[1]. 이 중산로 보존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설 계자 왕슈(王澍)는 역사문화거리 보존에 있어 핵심적인 개선사항으로 중심가 외에 주변 거리를 발전시켜야 한 다는 점을 제기한 바 있는데, 이는 본 논문의 연구배경 과 일치되는 견해이다. 본 연구는 장소성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항저우 중산 로의 빈집을 연구 대상으로, 그 장소성 요소에 대한 평 가를 진행한다. 연구의 목적은 항주시 중산로 빈집을 활용하는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항저우의 구시가지에 위치한 중산로는 크게 중산중 로(中山中路), 중산북로(中山北路), 중산남로(中山南路) 로 나뉜다. 그 중 중산중로는 전근대시기 황제의 통행 을 위한 전용거리로 이용된 곳으로, 황제 이외의 관리 나 백성들의 통행이 금지되어 ‘어가(御街)’라고도 불렸 다. 이 중산중로는 역사적으로 줄곧 항저우의 대표적인 번화가였지만, 건축물들의 밀도가 증가하고 역사적 상 황이 변화되면서 발전이 제한되어 점차 쇠퇴하였다. 그 러던 중 2008년 초 역사문화거리의 심층적 개선을 강 조하며 주변 거리 발전의 불균형과 이에 수반된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식으로 중산중로를 중심으로 한 종합보호가 시작되면서 중산중로는 현재 주거·상업·관 광에 특화된 도시공간으로서 항저우의 또 다른 랜드마 크가 되었다.

본 연구는 항저우의 역사문화거리인 중산로의 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7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619

이어야 하며, 후대인들에 의해 재건되거나 모방되거나 위조된 것이어서는 안 된다. ③ 공간의 기능성 도시의 역사문화거리는 도시 기능과 공간 시스템의 그림 1. 중산로

본 논문에서는 빈집을 리모델링한 우수 사례로서 중 산로박물관, 벽집, 100년 고택을 선별적으로 분석하여 빈집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 다른 도시의 빈집 리모델링 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역사문화거리의 개념 및 특성 ‘역사문화거리’라는 개념은 1933년 8월 국제현대건 축학회가 아테네에서 통과시킨 <아테네헌장>의 “역사 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과 거리에 대해 적절히 보존하고 훼손하지 않는다.”라는 문장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중국에서는 1986년 국무원이 제2차 국가급 역사문 화도시를 공포할 때 정식으로 ‘역사문화거리’라는 개념 을 사용하였다. 즉 “역사문화도시란 단순히 도시의 역 사나 보존하고 있는 문물·유적만 보아서는 안 되고 그 도시 경관이 역사적 특색을 보존하고 있는지 또 도시의 전통적인 모습을 어느 정도 대표할 수 있는 거리를 가 지고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라는 것이다[2]. 역사문화거리는 기본적으로 도시의 도로나 거리에 종속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상업적 목적을 바탕으로 도로의 양측에 점포가 위치하게 되면서 상업 ‘거리’가 형성되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관련 작업장이나 주택 들이 세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발전 형식에 따라 점차 ‘거리’가 확장하면서 도로를 중심으로 하는 ‘긴 형태의 구역’이 형성되는 것이다. 역사문화거리의 기본적 특징은 아래의 세 가지이다. ① 도시 경관의 완전성과 전형성 역사문화거리의 가치는 넓은 면적과 개별 건축물 간 의 상호 관계로 조성되는 도시 경관의 완전성과 일치성 등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선명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 고 있다. ② 유물의 진실성 역사문화거리 내 물질적 구성요소, 예컨대 건축물, 구 조물, 골목, 외부 공간 등은 기본적으로 실제 역사 유물

28

유기적인 구성 부분으로, 해당 공간이 역사문화거리 내 외의 공간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생활과 특성에 부합하 는 것이야말로 역사문화거리를 조성하는 중요 내용이 다. 따라서 역사문화거리를 보호하려면, 실제 역사 유적 의 보존과 동시에 그 사용 기능을 유지·발전시켜 역사 문화거리의 활력을 증대시켜야 한다[3].

1.3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의 개념 빈집(vacant houses)이라는 용어는 본래 외국에서 유래하였지만, 아직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개념은 아니 다. 중국에서는 빈집이라는 용어를 주로 주택분양의 수 급 상황에서 사용한다. 일례로 중국 국가통계국의 ‘부동 산통계보고제도’에서 보듯이 빈집이라는 용어는 거래 경력이 없는 신축건물에 국한되어 사용된다[4]. 반면, 한국에서의 빈집 개념은 법률상으로 명확히 규정되어

있는데, 예컨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

법」, 「농어촌정비법」 등에서는 6개월 혹은 1년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빈집 여부를 판단한다[5]. 한편, 부동산에서 ‘유휴’와 ‘거치’는 엄밀한 의미에서 는 동일한 개념이 아니지만 양자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 이 있기 때문에 종종 혼용되기도 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양자의 개념을 정의하면, ‘유휴’는 (이미 개발된) 토지와 건축물이 적절히 사용되 지 않고 비어있는 상태를 가리키고, ‘거치’는 (이미 개발 된) 토지와 건축물이 물리적, 경제적 혹은 사회적으로 아직 적절히 관리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6]. 따라서 유휴 혹은 거치 상태의 부동산을 가리켜 ‘유휴 부동산’, ‘거치 부동산’이라고 부를 수 있다. 표 1. 법률상 빈집 정의 법령

빈집 정의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자치구의 구 빈집 및 소규모주 청장이 거주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한 날부터 1년 이상 아 택정비에 관한 특 무도 거주하지 아니하는 주택(미분양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 례법 는 주택 제외)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거 건축법 주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한 날부터 1년 이상 아무도 거주 하지 아니하거나 사용하지 아니하는 주택이나 건축물.


6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농어촌 정비법

시장(특별자치도의 경우에는 특별자치도지사)·군수·구청장 (광역시 자치구의 구청장)이 거주 또는 사용 여부를 확인한 날부터 1년 이상 아무도 거주하지 아니하거나 사용하지 아 니하는 농어촌 주택이나 건축물.

본 논문에서는 이상에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역 사문화거리 내 유휴 혹은 거치 상태의 부동산과 잠재적 유휴 가능성 있는 부동산 모두를 가리켜 빈집으로 설정 하였다.

1.4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의 재생 및 의미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재생이란 역사문화거리 내의 빈집을 ‘살아 있는 문화’로 여기는 것이고, 역사문화거 리만의 역사적 골목이나 민가 혹은 주택, 오래된 나무 나 물건 등의 여러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역사 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역사 문화거리의 빈집 재생은 해당 거리의 경제적 발전과 문 화적 계승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 된다.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은 주변 환경(예컨대 자연, 건축 물, 경관, 시설 등) 및 현지 주민과 장기간 상호작용하 며 유형 혹은 무형의 흔적이 누적된다. 혹자는 “우리가 그것들을 사용함으로써 그것들에 대해 알게 되지만, 예 술품을 대하듯 그것들에 주의를 기울이지는 않는다. 그 것들은 너무 가까이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거의 우리 자신의 일부이다.”라고 한다[7]. 즉 지역 거주민의 생활 및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유산으로서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고, 이를 통해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된다는 것이 다.

2. 장소성의 이론적 고찰 2.1 장소와 공간 공간이 동적이고 개방적이며 자유롭고 위협적이라고 한다면, 장소는 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장소는 개인이 가치를 부여한 안식처로, 안정감과 사랑을 느끼게 해주 는 곳이다. 공간은 장소보다 추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 데, 한마디로 정리하면 우리가 공간에 대해 깊이 이해 하고 이를 통해 공간에 가치를 부여하면 그 공간은 장 소가 된다고 할 수 있다[8].

2.2 장소성의 개념과 특성 ‘장소’는 무수히 넓고 큰 공간 속에서 어떠한 의미나 가치, 또는 행위가 부여됨으로써 특정한 지점이 되고, 개별적인 성격을 지니게 된다. 그래서 장소는 공간에 비해 사람들에게 더 친숙하고, 사적이며, 의미와 가치가 부여된다. 이는 사람들이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공간을 지각하게 되고, 지각을 통해 공간에 의미와 가치를 부 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사람들에게 구 체화되면 공간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고, 그들은 더 이 상 공간이 아닌 장소로 기억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형 성된 장소감은 공간에 장소성이라는 그 장소만이 가지 고 있는 고유한 성격을 부여하게 되는데, 이 장소 역시 사람들에게 정체성을 부여한다[9]. 장소성이란 특정사회의 구성원들이 집단적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활기반이 되면서 장소에 대해 가지는 집단적, 사회적 의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장소는 특정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물 질적, 정신적 영역을 모두 포함한 개념으로서 유사 개 념인 공간(space) 또는 위치(location)와는 구별된다 [10].

2.3 장소성의 형성 요소와 필요성 현상학적으로 공간을 파악한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는 장소성을 하나의 특징으로 선정하거나 집약 하는 것은 지역의 고유한 상황이나 계획의 목적이나 경 험에 달려있다고 하였는데, 물리적 환경, 인간의 활동, 의미라는 세 가지 요소가 항상 어떤 방식으로 상호 관 련되는지가 중요한 것으로 다른 요소로는 대치될 수 없 다고 하였다[11]. 이러한 하위 구성요소들은 각각 특정 한 장소성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세 가지 기 본요소는 장소의 대한 경험 속에서 상호작용하면서 장 소성이 성립된는 것이다. 장소의 의미는 물리적 환경, 인간 활동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사용자는 공간 활동을 통해 장소에 의 미를 부여하게 되며 의미 부여를 통해 다른 장소와 구 분되는 자신만의 의미 요소와 질서 요소를 가짐으로써 장소성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장소성은 최종적으로 지 역사회의 구성원들과 공유되어 공통성의 기반으로 성 립되게 된다. 즉 장소성은 인간의 체험에 의한 인간의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9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의미 부여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장소의 의미 는 인간의 의도성을 속성으로 하는데, 여기서 의도성이

전영미‧ 김세훈

04

2015

05

2016 한수경

06

2019 주희선

07

2009 주쟈민

란 특정한 흥미·경험·관점을 반영하는 개인적이고 문화 적인 다양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볼 때 장소 의 의미는 복합적이고 모호하며 의미를 포착하기 어렵 다는 특성을 지닌다[12].

621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빈집의 분포현황과 특성, 인과관계를 파악함 • 빈집 인근 공적영역의 유지관리 방안 마련 빈집의 공간적 군집과 고착화에 관한 실증 연구: 전라 북도 익산시를 대상으로 • 빈집 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분석 프레임워크와 전략 제시 AHP 분석을 통한 빈집활용방안 우선순위 평가

‘물리적 요인’과 인간의 활동인 ‘활동적 요인’은 사람 들의 경험과 체험에 따라 의미를 부여받고 그 공간에서 의 특별한 장소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장소성 형성 요소

항저우시 주택 공실 특징과 공실의 실증 연구

에서 ‘의미적 요인’은 종속 변인으로서 인간과 환경의 결합에 영향을 받는다[13].

2019 장위성

3. 연구의 차별성 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빈집의 현황과 관련 정책, 빈집의 통계, 빈집의 발생 원 인과 문제, 국내외 사례 분석, 관리와 활용 방안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최근 5년간의 연구를 살펴보면, 빈집이 야기할 수 있는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그 해결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빈집을 관 리하고 활용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빈집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부동산 데이터 통계와 개념적 정의 에 머무를 뿐 빈집의 활용에 대한 심도 있는 학술적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 공실과 공실률 및 적절한 공실률의 개념을 정의 • 공실률의 영향 요소를 분석 주택 공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도시, 한 정책”의 실시

08

빈집에 대한 사회·정치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빈집

• 수익형, 공익형, 사회형으로 구분 • 빈집 활용방안에 대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진행함.

• 해결책은 한 도시, 한 정책을 실시하여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고 주민들의 실제 구매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는 것임 주택 공실률 지표 체계에 관한 연구와 응용-충칭시를 예로

09

2017

탄시

• 주택 공실, 공실률의 개념을 정의 • 저장량과 증가량이 합리적인 주택 공실률의 계산 모 형을 구축하였음.

또한 역사문화거리의 중심가와 주변가의 발전 불균 형 현상에 대한 분석에서 출발하여 재생 이론과 장소성 이론을 종합하고 장소성 이론을 바탕으로 장소와 장소 상실의 개념을 차용하여 현 단계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 해 탐색하였다. 대중문화는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감정 을 파괴시키고, 사람들이 공감하지 못하게 하며 최종적 으로 장소를 잃게 한다.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분 석을 통해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활용에 대해 주목하 였다. 즉 역사문화거리의 재생 개념에서 시작하여 역사 문화거리 내 빈집 활용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표 2. 관련 눈문 및 내용 NO 년도 연구자

제목과 내용 부산시의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제언

01

2018 한승욱

• 빈집 관련 해외의 정책 동향 • 빈집 재생을 위한 이해관계자와 중간지원조직의 역 할 빈집활용의 세 가지 유형과 사례

02

2017 권영상

• 빈집활용 유형을 3가지 (철거형, 재활용, 혼합형)로 나누어 국내외 사례를 제시 빈집도 지역자산이다

03

30

2015 남지현

• 국내 빈집발생문제, 특히 경기도 지역에 대한 빈집 현황 • 경기도 빈집 문제 해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제시

Ⅲ. 빈집의 장소성 평가요소 선정 1. Matthew Carmona의 6차원 본문은 장소성 이론을 기초로 하여 장소와 장소 상실 의 개념에서 시작해, 현재 단계에서 빈집에 존재하는 현상과 문제를 탐색한다. 대중문화는 사람들의 공간에 대한 감정을 파괴시키고, 사람들이 공감하지 못하게 하 고 최종적으로 장소를 잃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Matthew Carmona의 <도시설계>의 6가지 차원을 차용하여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장소성에 대해 분석하고, 도시 설계의 관점에서 중산로의 빈집 활용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도시설계는 형태·지각· 사회·시각·기능·시간의 6가지 차원에 차례로 관련되어


6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있고, 또한 그들은 서로 교차하여 빈집의 장소성에 함

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집단에 속해

Punter(1991)와

있다는 느낌과 어떤 특정 장소에 들어간다는 느낌, 즉

Montgomery(1998)는 Relph의 장소 이론의 기초 위

집단과 장소에 대한 소속감을 필요로 한다[17]. 이러한

에서 도시 설계의 각 차원이 어떻게 수립되고 장소성을

소속감은 개인과 집단이 장소를 체험하며 느끼는 ‘동일

증가시키는지를 설명한다[그림 2]. 이 여섯 가지 차원에

성’과 장소가 다른 장소와 구분되는 ‘개별성’이 모여서

대한 구분은 분류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각 차원의

구성된다. ‘동일성’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장소에 대한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에 6가지 차원을 통한 분석

사람의 감정과 소속감이 통일되어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은 본 연구의 분석에 적용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말한다[18]. 이상의 ‘동일성’에 관한 연구에 의거하면,

논문에서 추출한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에 대

빈집의 ‘동일성’은 누적된 시간과 같은 다양한 요소가

한 평가 요소는 이러한 6가지 차원이며 [그림 2][14]는

함께 작용하여 형성된, 사람들 사이의 통일된 인식, 관

이러한 도시설계와 장소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념, 생활습관, 문화 및 풍속습관 등을 말한다. 또한 ‘개

영향을

미치며,

별성’은 어떤 장소가 다른 장소와 구분되는 독특하면서 도 선명한 특징을 가진 장소라는 것을 의미한다[19]. 구체적인 빈집의 활용 과정에서, 사람들의 지각과 체 험, 사람과 환경의 상호영향 및 사람들이 환경을 통해 만드는 연상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유명한 랜드마크 그림 2. 도시설계와 장소성의 관계

1.1 형태적 차원 도시 디자인의 형태적 차원은 도시의 형태와 도시의 배치를 연구하는 문제이다. 최근의 도시 공간 형태는 각 부분의 조직을 시도하고 있는데, 즉 기존에 있던 질 감과 이전의 도시 공간에 남겨진 양식에 따라 조직하 고, 고립된 조각을 재조정하여 공간과 주위 환경과 연 계시킨다[15]. 이에 의거하면 ‘연계성’의 개념은 신축공 간과 이전부터 있었던 도시 공간을 통합하고 신축공간 과 주위환경을 조화시키는 것이다. 거리의 양식은 공공 공간의 평면 배치이며, 도시의 거리 양식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접근성’이다. 즉, 여성·아동·노인·장애인 등의 다른 집단이 어떤 공간에 들어가거나 이용할 수 있는 용이성을 말한다[16]. 빈집의 구체적인 활용에서는 빈집의 부분과 전체, 외 부 환경과 전체 대상 간의 관계, 제약, 그리고 양호한 출입 조건과 설계 세부사항을 고려하여 모든 사람에게 건물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장소와 물리적 공간의 연 속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1.2 지각적 차원

설계, 각종 축제 개최, 현지 지역문화 홍보 등이다.

1.3 사회적 차원 사회적 차원은 장소와 사회 사이의 관련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람들(사회)은 장소를 만들고 개조하는 동 시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장소를 바꾸고 있다. 사회적 관계는 공간을 통해 구축될 수 있고 공간의 제약을 받 는다. 즉 물질적 환경이 사람의 활동을 촉진하고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사람들이 어떤 장소에 대해 불안 을 느낀다면, 그것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안 전성은 이용하는 공간 환경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해결 해야 하는 조건이다[20]. 이상의 내용에 의거하면, 전체 적으로 ‘안전성’의 요소 및 개념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공공 영역은 어떤 사람에게나 개방적이며, 다수가 함께 참여할 수 있고 적극적으로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은 ‘개방성’이라고 할 수 있다[21]. 빈집의 활용은 사람들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설계는 반드시 다양한 사람들이 장소를 사용하 고 활동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보안 방범과 감시 카메라 설치 혹은 환경 설계를 통해 범죄 를 막고 설계 단계에서 부터 사람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지각적 차원은 장소 인지에 대한 사람의 인식과 체험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31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623

1.4 시각적 차원

양한 사용 방식을 나타내야 하며, 장소의 시설은 편안

시각적 차원은 주로 공간의 시각적 미학, 심미적 선

함, 휴식 및 환경에 대한 소극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참

호와 관련된 공간 속 경관의 미학적 평가 등에 주목한 다. 도시 공간의 시각․심미적 특징은 단지 공간 건축, 경 관, 색채, 질감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환기시키 는 기억, 경험, 감정 등에서 나타난다[22]. 이에 의거하

여 등 다양한 욕구를 충족해야 한다. 휴게시설, 화장실, 식당 등의 시설이 충분한지, 사용 후 편리한지 등의 여 부도 고려해야 한다.

면, ‘심미성’이라는 개념은 빈집의 건축, 경관, 색채, 질

1.6 시간적 차원

감 등의 요소에 대해 설계를 진행하는 것과 동시에 사

시간적 차원은 장소 형성에 대한 시간의 영향에 주목

람의 감정에 반응하는 것이다.

한다. Kevin Lynch는 “효과적인 디자인 행위는 강한

우리는 항상 고립된 일부분이 아닌 ‘전체’ 환경을 경

시간 의식에 기초하여 과거와 미래를 잘 연결하고 변화

험하는데, 심리학자들은 공간을 시각적으로 더 일관적

를 감지하며 이러한 변화를 이용하고 감상할 수 있는

이고, 질서 있게 보이도록 조직과 분리의 원리를 활용

것”이라고 하였다[26]. 따라서 빈집의 장소성 형성은 마

하여 일부분에서 시작하여 좋은 형식을 만든다. 유사한

찬가지로 빈집의 실제 과거를 바탕으로 한 가치의 구축

원소의 운율감, 시각적 원소 중 다양한 유형의 균형, 그

으로, 현재 그리고 미래로 연장되는 ‘역사성’ 요소를 추

리고 서로 다른 부분 사이의 연계에 주목하는 것이다

출해 낸다. 도시 디자인은 과거 역사의 ‘연속’으로, 역사

[23]. 이에 의거하면 ‘질서성’에 대한 개념은 빈집의 일

가 남긴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실물을 강조하는데,

부분에 시각적 재미를 만드는 것으로, 이는 장소성을

그러한 실물들이 전하는 장소감과 역사성을 통해 가치

증대시킨다.

를 얻는다[27]. 빈집의 과거 내용을 바탕으로 전달되는

빈집의 활용 중, 시각적 측면에서 탐구하는 것은 장 소 설계의 예술성으로, 설계 시에 공간의 배치, 건축, 경 관 등의 시각적 측면에 주목하여 색채, 질감, 척도, 비 례, 건축 요소, 리듬 등을 파악해야 한다.

장소감과 역사성은 시간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는 속성이 있는데 이것은 ‘연속성’이라 할 수 있다. 역사문화거리의 빈집이 남긴 보고 만질 수 있는 실물 은 그것이 전달하는 장소감과 역사의 연속성을 통해 가 치를 얻는다. 활용 중에, 반드시 빈집의 역사와 문화적

1.5 기능적 차원

가치를 따르고 존중하고, 현지의 역사 문화를 보호하고

기능적 차원은 사람들이 어떻게 환경을 활용하는지

전승해야 한다.

에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용도에 주목한다. Jacobs은 공간 기능의 ‘다양성’을 실현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였다. 즉 첫째, 충분한 밀도를 갖춘 집단이 있어 야 한다. 둘째, 반드시 하나 이상의 주요한 기능을 제공 해야 한다. 셋째, 장소는 여러 용도와 상황이 뒤섞인 건 축물이어야 한다[24]. 본 연구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는 Jacobs의 관련 연구에 의거한 것이다. 성공적인 장

이상의 6가지 차원을 종합하여 추출된 평가 요소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 3. 평가요소 평가요소 형태적 차원

소는 활동을 지원하고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리 는 공간을 설계할 때 쾌적함, 편안함, 환경에 대한 수동 적 참여, 환경에 대한 능동적 참여 등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25]. 이상의 관련 연구들에 의거하면 '사용성'에 대한 이해는 빈집 사용자의 다양한 단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빈집 활용의 기능적 차원에서는 건축물과 시설의 다

32

지각적 차원

사회적 차원 시각적 차원

내용

연계성

현재의 도시구조와 과거로부터 전승된 공간의 양식을 조합 하고 신규 개발과 현재 공간의 연계를 구축.

접근성

여성,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의 다른 집단의 사람들이 어 떤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용이성.

개별성

어떤 장소와 다른 장소를 구분할 수 있는 독특하고 선명한 특징.

동일성

시간의 변화에 따라 장소에 대한 사람들의 감정과 소속감 이 동일시되는 특성.

안전성

공간 환경을 이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선결조건으로서 설계 단계에서부터 필요한 사용자의 안전감.

개방성

다수의 사람이 함께 참여하고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개방성.

심미성

사람의 감정에서 반응하여 공간 건축, 경관, 색채, 질감 등 의 요소를 설계.


624

기능적 차원

시간적 차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질서성

유사한 원소의 운율감, 다양한 시각적 원소의 균형, 서로 다른 부분 사이의 연계.

다양성

충분한 밀도의 집단을 갖추고 하나 이상의 주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서로 다른 건물의 용도와 상황을 혼합한 건축.

사용성

쾌적함, 편안함, 환경에 대한 수동적 참여, 환경에 대한 능 동적 참여 등과 같은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정도.

역사성

과거에 기반한 가치를 통해 구축하여 현재와 미래까지 계 승되어야 할 속성[27].

연속성

공간의 과거에 기반한 내용이 시간성에 따라 현재의 경험 자에게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속성[28].

2. AHP를 통해 가중치 도출 T.Saaty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된 AHP 기법은 대안 에 대한 선호도를 도출하기 위해 계층 또는 네트위크 구조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다기준 의사결정 모델이다.

항목의 사례는 [표 4]과 같다. 프로젝트의 행태적 차원 A와 지각적 차원 B를 비교하고 숫자는 상대적 중요도 를 나타낸다. 동일한 중요도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평 가할때, 왼쪽은 마이너스(-) 중요도, 오른쪽은 플러스 (+) 중요도를 나타낸다. 즉, A와 B를 비교할 때, 왼쪽의 '5'는 A가 B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1'은 중요도가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오른쪽의 '5'는 B가 A 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4. 쌍대비교 설문항목 예시 순 번

구분

1

형태적차원 (A)

Extreme 9

7

← 5

Equal 3

1

→ Extreme 3

5

7

9

구분 지각적 차원(B)

일반적인 AHP 분석과정은 브레인스토밍, 계층구조 설 계, 가치계산, 우선순위 측정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Kim ,Kim ,& Shin,2016)[30]. AHP는 자연과학적 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는 사항에 대해 사람의 판단을 통해 진행하는 합리적이고 통합적 인 방법이다. 절대평가가 아니라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평가자의 판단을 근거로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를 제공하고, 각 평가 요소의 중요 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을 도와 도 시 리모델링 프로젝트에서 각 평가 요소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본 논문도 중요도를 구하기 위해 계층분 석기법을 사용했다. 그래서 AHP 계층분석기법을 적용 해서 판단을 가능했다. 설문지 설계는 AHP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다. 첫 째, 평가해야 할 사항을 계층구조 아래에 배열하여 크 게 세 개의 지표로 구분한다. 1급 지표: 역사문화거리 에 있는 빈집의 장소성, 빈집의 활용방향. 2급 지표는 행태적 차원, 지각적 차원, 사회적 차원, 시각적 차원, 기능적 차원, 시간적 차원.3급 지표는 연계성과 접근성, 개별성과 동일성, 안전성과 개방성, 심미성과 질서성, 다양성과 사용성, 역사성과 연속성이다. 둘째, 각 지표 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연구에서 는 9점 척도(1: 똑같이 중요하다, 3: 약간 중요하다, 5: 필수적이다 혹은 매우 중요하다, 7: 확실히 중요하다, 9: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를 사용한다.셋째, 쌍대비교행

앞서 서술하였듯이 6가지 차원에 대한 분석을 통해 12가지 평가요소를 도출하였고, 이 12가지 평가요소에 대해 도시재생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 는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전 문가의 범주에는 재생사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무 경험이 있는 교수, 연구자, 설계자 등이 포함되며, 장소 성 이론에 근거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문가의 비중 은 연구자가 53.3%, 대학교수가 26.6%, 설계자가 20.6%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도 평가를 15명 의 전문가가 개별적으로 중요도를 평가한 후 통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15 명의 전문가의 의견을 기하평 균(Geometric mean)을 사용하여 중요도를 산출하였 다. 15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 합하여 설문지의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가 0.1 이하이면 유효한 설문지로 간주하였고, 유효 표본 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에 대해 매 평가요소 별 가중치를 표시하 였는데, [표 5], [표 6]도 사례 분석에서 이용하였다. AHP 분석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분석과정별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관성 지수(Consistancy Index)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에 대한 C.I.는 모 두 0.1보다 낮게 나타나 일관성이 높고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렬로부터 각 지표 내 의사결정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 쌍대비교를 위해 설계된 설문지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33


625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표 5. 2급 지표의 중요도

Consistancy Index = 0.0925

항목

형태적 차원

지각적 차원

사회적 차원

시각적 차원

기능적 차원

시간적 차원

중요도

0.138

0.211

0.246

0.126

0.181

0.098

표 6. 3급 지표의 중요도 항목 중요도

연 계 성

0.0 82

접 근 성

0.0 57

개 별 성

0.0 99

동 안 일 전 성 성

Consistancy Index = 0.0000 개 방 성

심 미 성

질 서 성

다 양 성

0.1 0.1 0.0 0.0 0.0 0.0 14 86 60 85 41 80

사 역 용 사 성 성

연 속 성

0.1 0.0 0.0 01 39 59

을 선정하였는데, 선정된 세 사례는 각각 중산로박물관, 벽집, 100년 고택이다. 3가지 사례 모두 원래 기능이 주택이었으나, 활용 후 중산로박물관은 전시용으로 사용되고, 중산로 벽집은 상점, 다실, 100년 고택은 여전히 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둘째, 제2장 장소성 이론 자료에 기초하여, 선정 사례 중 12가지 요소가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을 반영 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론

6가지 설계 차원 중에서 사회적 차원의 가중치가 0.246, 지각적 차원의 가중치가 0.211이었고, 이어서 기능적 차원, 행태적 차원, 시각적 차원이 각각 0.181, 0.138, 0.126이었으며, 시간적 차원의 가중치가 0.098 이었다. 12가지 평가요소 가운데, 안전성의 가중치가 0.186, 동일성과 사용성의 가중치가 각각 0.114, 0.101, 개별성·심미성·연계성·다양성의 가중치가 각각 0.099, 0.085, 0.082, 0.080, 개방성·연속성·접근성의 가중치가 각각 0.060, 0.059, 0.057, 질서성·역사성의 가중치가 각각 0.041, 0.039이었다.

3. 사례분석

에서 도출된 12개가지 평가 요소가 세 사례에서 나타 난 강약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 요소가 사례별로 나타 내는 강약의 범위를 1-10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그 중 1-10의 수치를 3개의 강약구간으로 나누었는데, 사례분석표에서, 1-4는 약함으로 ○으로 표시하였고, 4-7은 보통으로 ◐으로 표시하였으며, 7-10은 강함으 로 ●으로 표시하였다. 표 7. 중산로박물관 분석 NO.1

이미지

본 연구는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영 역적 방법으로, Matthew Carmona의 도시설계이론의

개요

6가지 차원에서 12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빈집의 활용 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려고 시도했으며, 사례 선택과 분석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항저우 중산로에 관해 분석한 정기간행물과 기 에서 방영된 <왕슈:한 건축가의 이상과 현실(王澍:一个 <한 부흥의 길과 한 도시의 부흥>, (김단단, 2016), 절 강닷컴(浙江在线)의 첸장만보(钱江晚报)가 보도한 <남 송어가의 아름다운 변화> 등이 있다. 중국 역사거리구 역의 리모델링은 대부분은 거리 전체 리모델링 프로젝 트로, 역사문화구역 중 어떤 공간에 대한 리모델링은 거의 없다. 한국의 어떤 공간에 대한 리모델링 방식을 참고하여, 중산로 내 빈집의 활용을 선택대상으로 하였 다. 연구대상으로는 이미 기본적으로 원래의 기능을 상 실하고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기능이 발생한 건축 공간

34

7

공간 진입에 특별한 장애물은 없다. 다만 특정집 접근성 단의 이용은 제한적인데, 장애인을 위한 설계는 이루어지지 않았음.

5

다섯 시대별 고어가(古御街) 유적이 중첩되어 있 고, 송대 특유의 편목 아치형 구조가 있음.

8

식별가능성이 강한 물질적 환경을 갖추고 있고, 동일성 어가(御街)의 역사적 문맥은 장소와의 감정적 연 결을 함께 구성함.

6

8

9

7

6

개별성 지각적 차원

중산로박물관은 화재로 전소된 중산중로(中山中路) 112번지 의 민가 택지에 위치하며, 기지 내에는 이미 보존할 수 있는 건물이 없다. 심층 발굴을 통해 남송(南宋), 원(元), 명(明), 청 (清), 민국(民國) 등 시대별 거리유적이 발견되었고, 보존 상태 도 양호하다. 총 3층으로 부지면적은 800㎡이며, 주요 기능은 전시임. 건축은 척도와 스타일에서 중산로 전체의 척도, 스타일과 일치되도록 유지했음.

연계성 형태적 차원

사는 총 30편이고, 그 중 중국 CCTV <면대면(面对面)> 建筑师的理想与现实)), (왕슈, 2012), 세계건축저널 중

중산로박물관 분석

중산중로에 위치하여 주변 치안이 비교적 양호하 안전성 고 주위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 안전성이 높음. 사회적 차원 박물관은 주변 사람과 인근 건물에 모두 개방된 개방성 상태로, 임시 휴관에도 거리에서 박물관 내부를 볼 수 있음. 외벽 주된 색채는 청색으로 되어 있어 탁 트이는 심미성 느낌을 주고, 전체적으로 건축은 매우 강렬한 시 각적 느낌을 줌. 시각적 차원 특유의 목조 기와면이 많이 굽은 큰 천막은 한 질서성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고, 벽체의 청색 벽돌은 거 리의 유적이 형성하는 특징과 중복됨.


62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관내 기능은 전시와 카페로 나눠지는데, 사람들 다양성 은 이곳을 중산로를 왕래하는 통로로 이용할 수 도 있음. 기능적 차원 공간은 현지에서 수집한 원소를 사용하여 사람들 사용성 에게 편안한 느낌을 준다. 전시관과 카페를 설치 하여 서로 다른 참여 기회를 제공함. 거리유적을 겹쳐 놓아 백년고도의 발전사를 증명 역사성 함과 동시에 중산로의 각 시대별 건축 자료와 역 사를 전시했음. 시간적 차원 진실성의 원칙을 강조하고 현지 특유의 건축 원 연속성 소와 현대 디자인이 서로 융합하여 서로 다른 시 기의 문화 인지를 지속함.

표 9. 100년 고택 분석 6

5

7

9

NO.3

이미지

개요

표 8. 중산로(中山路) 벽집 분석 NO.2

중산로(中山路) 벽집 분석

이미지

개요

항저우 중산중로는 고은가(高銀街)가 교차하는 교차로 옆, 복흥 로(複興路)와 인접한 중산중로 전체 계획의 남부에 위치한다.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경계에 있으며, 건축구조는 현재 무너진 기와집과 흩어져 있는 집의 임대만을 남기고 있다. 도시 재생 프로젝트 1호 토지의 건설과 추가 건설로, 총 3층으로 부지면 적은 667.2㎡이며, 주요 기능은 상점, 카페임.

새로 건축한 흰색 외벽은 현대적 공간과 일체감을 이루고, 새로운 벽체의 외벽은 낡은 벽돌과 회색 표 연계성 면의 재료를 사용하여 서서히 낡아 푸른 이끼가 낀 형태적 표층과 장소가 융합되어 하나가 되었음. 차원 이 건물의 공간은 총 3층으로 나뉘는데, 각 층 사이 접근성 는 계단을 통해 연결된다. 공간 별로 특수 집단의 이용에는 제한이 있음. 낡은 도시와 새로운 도시의 맥락 사이에서 산체와 개별성 강줄기가 형성한 자발적 도시의 살결이 맞물리는 곳임. 지각적 차원 개인의 지각은 도시의 척도에서 정원의 척도로 전

6

리모델링 이후의 고택은 흰색 위주의 소박하고 연계성 자연스러운 느낌으로 조성되었는데, 이는 남송 어가의 외부 환경과 조화를 이룸. 형태적 차원 고택의 공간 배치는 30㎡의 건물과 70㎡의 정 접근성 원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계단이 없어 노인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음. 5대째 공예를 이어온 고택 개별성 지각적 원래 있던 대들보, 기둥, 돌벽, 고목을 남겨 노 차원 동일성 인의 기억과 경험, 그리고 감정의 반응을 일깨 움. 욕실은 혼자 사는 노인을 위해 세심하게 디자인 안전성 되었고, 손잡이를 새로 추가하였으며, 동시에 사회적 채광을 위해 천정을 개폐식으로 했음. 차원 주요 기능은 노인의 거주용이기 때문에 외부의 개방성 방해를 받지 않고 사생활이 보호됨. 전체 환경은 시각적으로 더 조화롭고, 산, 물, 심미성 경치가 있어 마치 수묵화를 보는 듯 다양한 감 시각적 각을 일깨움. 차원 전체 공간은 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대량의 질서성 “유백”을 했음. 정원에 다실을 설치하여 노인이 거주 외에 정원 다양성 에서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음. 기능적 자연 요소와 오래된 물건은 사람의 생활과 공간 차원 사용성 을 연결시키며, 사람을 편안하게 하고 안정감을 줌. 집 안에 각종 오래된 물건의 변화와 개조로, 집 역사성 을 새롭게 만드는 동시에 생활의 흔적을 유지했 음. 시간적 차원 진실성의 원칙을 강조하여 고택 특유의 건축 원 연속성 소와 현대적 디자인을 융합하였고, 서로 다른 시기의 문화 인지를 지속시켰음.

6

4

3

7

7

3

6

5

5

6

5

6

7

근처에 순찰대가 있어 주변 치안이 비교적 양호하 며 안전이 확보되어 있음.

9

공간의 기능이 다양한 서비스업이기 때문에 개인의 개방성 참여가 가능함.

9

8

7

한 가중치를 기준으로 요소의 비율과 비교분석을 진행

안전성

건물의 색조, 재료의 질감, 공간에서 일어나는 활동 심미성 은 모두 시각적이지만, 기억의 경험과 감정의 반응 을 일깨움. 시각적 차원 분리된 공간은 여러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이용할 질서성 수 있으며, 내부는 언덕길과 뜰을 하나하나 연결시 키며 각 공간을 고정시킴.

기능적 차원

9

항저우 중산로에 위치하고 임. 5대째 공예를 이어온 고택에서 평생을 살았던 93세 노인은 이사를 원하지 않는다. 고택은 오 랫동안 수리를 하지 않아 외벽이 벗겨졌고 장마철에는 누수가 심각하며 공간 기능이 어지럽고 방이 많아 일부 방은 방치되 었다. 고택의 부지면적은 100㎡로, 주요 기능은 주택임.

7

동일성 환되고, 공간과 분위기의 존재와 전환을 체득하면 서 자연의 원소와 생활의 장면을 융합함.

사회적 차원

100년 고택

본 연구는 사례에서 12가지 평가 요소 별로 표현 값 평가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전문가가 평가 하였다. 그 중 요소의 비율은 세 사례에서 12가지 평가

다양성

건물의 새로운 기능은 근처 구역의 매장들을 위한 연속으로, 사람들에게 다양한 이용 방식을 제공함.

8

요소의 표현값의 총점과 모든 평가 요소의 표현값을 합

사용성

사용자는 편안한 느낌, 서로 다른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음.

7

한 총점의 비율이다. 따라서 다시 요소의 비율과 가중

6

볼 수 있다.

5

벽체는 단일 건축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여러 차 역사성 례의 재건 과정에서 사용된 각종 재료들이 혼합되 어 있음. 시간적 차원 몇 개의 오래된 벽을 이용하여 디자인의 중심으로

연속성 이용하였는데, 그것들은 그 장소에서 역사가 가장 유구한 원소로서 역사의 변천과 맥락을 증명함.

치를 비교분석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표에서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35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관심을 갖는다. 시각적 차원의 평가가 낮은 것은 사람

표 10. 비교분석 평가요소

627

NO.1

NO.2

NO.3

총점

요소비율

가중치

연계성

7

9

6

22

0.094

0.082

접근성

5

6

개별성

8

7

4

15

0.064

0.057

3

18

0.077

0.099

동일성

6

각적 체험을 충족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시간적

7

7

20

0.086

0.114

안전성

8

9

7

24

0.103

0.186

차원의 가중치는 가장 낮았는데, 이것은 역사문화거리

개방성

9

9

3

21

0.090

0.060

심미성 질서성

7

8

6

21

0.090

0.085

계에 활용되기는 하겠지만 설계의 초점은 아니라는 점

6

7

5

18

0.077

0.041

다양성

6

8

5

19

0.082

0.080

을 나타낸다.

사용성

5

7

6

18

0.077

0.101

역사성

7

6

5

18

0.077

0.039

사용성의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세 가지 사례

연속성

9

5

6

19

0.082

0.059

233

1

1

에서 모두 안전성이 부각되었는데, 이는 설계에서 가장

합계

74

88

62

의 환경에 대한 감지와 심미적인 평가가 사람들의 관심 을 끌지 못했다는 것을 설명한다. 사람들의 다양한 시

내 빈집의 재생과정에서 시간적 차원이 필연적으로 설

셋째,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에서는 안전성, 동일성,

먼저 안전성을 고려하여 사람들이 해당 장소를 안전하 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빈집의 활

Ⅳ. 결론

36

용에서, 안전성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가장 기본적 인 조건으로, 안전 방범 및 카메라 설치를 통한 모니터

본 연구는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소성 평가를 근

링을 진행하면 사람들이 안전하게 장소에 들어가고 장

거로 분석틀과 방향을 설정하였고, 리모델링을 거친 중

소를 사용할 수 있다. 세 가지 사례에서 동일성과 사용

산로 내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성과는

성 구현의 일반, 향후 빈집 활용에서는 사람들의 관념,

다음과 같다.

생활 습관, 문화 풍습 및 장소의 사용성을 존중하고 강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장

조해야 한다. 가중치 0.080-0.099 구간에는 다양성, 연

소성을 6가지 차원, 12가지 평가요소로 나누었다. 즉

계성, 심미성, 개별성이 있다. 명확한 개별성은 사람들

행태적 차원(연계성, 접근성), 지각적 차원(개별성, 동일

이 다른 장소와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보여주

성), 사회적 차원(안전성, 개방성), 시각적 차원(심미성,

며, 빈집의 활용에서는 추가 랜드마크 설계, 축제활동

질서성) 기능적 차원(다양성, 사용성), 시간적 차원(역사

개최 등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빈집의 리모델링은 고

성, 연속성)이다.

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연계해야

둘째, 중산로의 장소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며, 활용 후의 빈집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야 한

진행하였는데, 가중치가 높은 요소는 사회적 차원과 지

다. 사례의 총체적 분석에 따르면 설계자 역시 네 가지

각적 차원이었다. 따라서 빈집을 활용할 때는 우선 장

요소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전문가의 의지를 구현하였

소의 사회적 차원을 고려해야 하고, 건축 환경을 조성

다. 가중치 0.057-0.060 구간에는 접근성, 연속성, 개

할 때 사회적 활동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주목해야 하

방성이 있다. 역사성과 질서성의 가중치가 가장 낮으며,

며, 다음으로 사람들의 장소에 대한 인지와 체험 구성

이 두 가지 요소의 가중치가 가장 낮은 것은 역사문화

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역사문화거리 내 빈집의 리모

거리 내 빈집의 재생에서 역사성과 질서성은 필연적인

델링에서 이 두 가지 차원이 가중치가 높았던 것은 바

고려 요소이지만 설계의 초점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

로 인간 존중이 구현된 것이다. 가중치가 0.126-0.181

다.

인 구간은 시각적 차원, 형태적 차원, 기능적 차원 순으

넷째, 전문가의 평가치와 사례 분석으로 얻은 평가치

로 나타났다. 우선, 쾌적함, 편안함, 그리고 환경에 대한

를 비교한 결과 안전성, 동일성, 사용성, 개별성에서는

다른 수준의 참여와 같은 다양한 사용 방식과 사람들의

전문가의 평가치가 사례 분석으로 얻은 평가치보다 높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사람들은 기능

았다. 향후 역사문화거리 빈집 활용에서 활용 후 빈집

에 대한 욕구가 충족된 후에만, 공간의 배치와 구조에

의 안전성, 빈집에 대한 사람들의 정서적 귀속, 다양한


62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사람들의 만족도, 독특한 건축양식이나 독특한 체험을

[6] 한수경, “빈집의 공간적 군집과 고착화에 관한 실증 연

강조해야 한다. 연계성, 접근성, 개방성, 심미성, 질서

구: 전라북도 익산시를 대상으로,” 국토연구, 제97권,

성, 다양성, 역사성, 연속성의 8가지 평가요소에서는 사 례 분석으로 얻은 평가치가 전문가의 평가치보다 높았 는데, 이는 설계자가 이 8가지 요소의 구현이 중산로 빈집의 장소성을 구현하는데 중요하다는 점을 이미 인 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세 가지 사례의 원래 기능은 모두 주거공간 이며, 사례1과 사례2는 활용 후 공공장소로 사용되고 사례3은 활용 후에도 여전히 개인 주택으로 사용된다. 사례1과 사례2의 안전성과 개방성 점수는 사례3보다 높고, 사례1의 개별성·연속성 점수와 사례2의 연계성· 심미성·다양성 점수는 모두 사례3보다 높다. 따라서 사 례1과 사례2의 점수가 사례3보다 높다. 빈집을 활용하 여 공공장소로 사용하는 것이 공간의 가치를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 빈집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며, 빈집을 재생 자원으로 삼아 빈집의 활용 방향을 만드는 것이 우선적인 문제이다. 본 연구는 장소성 이론에서 시작해 빈집의 활용에 대한 거시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중산로에서 다른 공간에 있는 빈집의 리모델링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려고 한다. 서로 다른 공간에 따라 빈집 의 유형도 다르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미시적 측면 에서 빈집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

제2호, p.19, 2018. [7] 이-푸 투안 저, 심승희, 구동회 옮김, 공간과 장소, 대 윤, p.231, 2011. [8] 이-푸 투안 저, 심승희, 구동회 옮김, 공간과 장소, 대 윤, p.4, 2011. [9] 최아름, 장소기억 회복을 위한 ‘빈집’ 기반 에코뮤지엄

전시콘텐츠 기획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21, 2018. [10]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휘논문, p.10, 2013. [11] 에드워드 렐프 저,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장

소와 장소상실, 논형, pp.113-114, 2005. [12] 에드워드 렐프 저,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장

소와 장소상실, 논형, pp.113-114, 2005. [13] 한수민, 장소성 확보를 위한 참여디자인 연구, 홍익 대, 석사학위논문, p.10, 2012. [14]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95, 2009. [15]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135-155, 2009. [16]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210, 2009. [17]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163, 2009. [18] 남윤학, 장소정체성 구축을 통한 문화공간 계획에 관

요하다.

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1, 2012. [19] 남윤학, 장소정체성 구축을 통한 문화공간 계획에 관

참 고 문 헌 [1] 王澍, 中山路:一条路的复兴与一座城市的复兴,杭州, 中国, 世界建筑, p.114, 2012. [2] 徐林强, 历史街区旅游规划初期居民感知和态度研究—

以杭州中山路为例, 浙江大学, p.7, 2008. [3] 徐林强, 历史街区旅游规划初期居民感知和态度研究—

以杭州中山路为例, 浙江大学, p.8, 2008. [4] 朱佳敏, 杭州市住宅空置特征与空置率实证研究, 浙江大 学, p.8, 2009. [5] 노민지, 빈집의 공간분포와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박사 학위논문, pp.40-41, 2017.

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1, 2012. [20]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22-244, 2009. [21] 권영재, 장소기억기반 공간재생에 관한 연구, 홍익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1, 2016. [22]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71-295, 2009. [23]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47-253, 2009. [24] Jane jacobs, 美国大城市的死与生, 译林出版社, p.155, 1961. [25]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297-305, 2009. [26] Kevin Lynch, 场所中的时间, 北京时代华文书局,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37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p.240, 1972. [27] Matthew Carmona, 도시설계, 도시출판대가, pp.355-380, 2009. [28] 권영재, 장소기억기반공간재생에관한연구, 홍익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9, 2016. [29] 권영재, 장소기억기반공간재생에관한연구, 홍익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9, 2016. [30] 주희선, “AHP 분석을 통한 빈집활용방안 우선순위 평가,”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30권, 제1호, p.98, 2019.

저 자 소 개

왕 휘 휘(Hui-Hui Wang)

정회원

▪2013년 9월 : 하남사범대학 미술대 학 미술 학과 교과(석사)

▪2018년 3월 ∼ 현재 : 동서대학교 환경디자인 학과(박사 과정)

<관심분야> : 건축디자인, 환경디자인, 도시재생

홍 관 선(Kwan-Seon Hong)

정회원

▪1993년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건 축학과 학사

▪1995년 : 국민대학교 대학원 건축 학과 석사

▪2014년 : 국민대학교 대학원 건축 학과 박사

▪2001년 9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관심분야> : 건축디자인, 환경디자인, 도시재생

38

629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 Vol.19 No.9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 -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위더셩,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19.19.09.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and Behavioral Analysis of Commercial Rest Area -Focused on the Rest Area and Furniture of Shinsegae Department Store, Busan위더셩, 윤지영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DeSheng Yu(396334203@qq.com), Ji-Young Yoon(klismos@gdsu.dong.ac.kr) 요약 본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 상업 공간인 센텀 신세계백화점을 대상으로, 실내 휴게 공간과 가구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고 , 가구를 중심으로 한 방문객의 이용 행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상업공간에서 공공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휴게 공간 디자인이 방문객의 특성과 행태를 지원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추후 상업 휴게 공간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현장 방문 관찰을 진행해 휴게공간에서 각 층별 휴게 공간의 위치 , 휴게가구 디자인의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파악한 후 , 주요 층별 휴게 가구 이용자의 특성과 행태 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게공간과 가구를 분석한 결과 휴게공간의 위치나 크기는 적절하다 고 여겨진다 . 또한 휴게 가구는 베이지에서 브라운 , 밝은 회색에서 블랙에 이르는 저채도의 편안한 색채에 부 채형, 호형 벤치 , 소파 , 의자 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어 있어, 쉬기 , 휴대폰 사용 , 대화와 같은 가장 일반적인 이용 행태를 적절히 지원하고 있었다. ■ 중심어 :∣백화점∣공공 휴게 공간∣휴게 가구∣방문객∣이용 행태∣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Centum Shinsegae Department Store,to grasp the indoor rest space and furniture design status,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use behavior centered on furni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mmerc ial rest space design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ting space in commercial s pace and whether the furniture can support the behavior of visitors. The research method is to carry out on-site inspec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rest space on each floor, the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furniture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he users on each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t space and furniture, the furniture is brown, it has been provided with various designs such as fan-shaped, arched bench, sofa, chai r type, and comfortable colors of lightness ranging from light gray to black, and appropriately supported the most common

usage patterns.However, in the case of Shinsegae Department St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vulnerable groups. ■ keyword :∣Department Store ∣Public Rest Area∣Rest Furniture∣Behavioral Analysis∣ 접수일자 : 2019년 07월 19일 수정일자 : 2019년 08월 22일

40

심사완료일 : 2019년 08월 22일

교신저자 : 윤지영, e-mail : klismos@gdsu.dong.ac. kr


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9

I. 서 론

화점으로 부산의 여가 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신세계

1. 연구배경 및 목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 그 면적은 3%를 넘지 않지만

오늘날 도시의 발전 속에서 복합 상업 건축물이 지속 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도시 공간의 핵심이 되어 가고 있다. 상업 건축물의 공간이 일반적으로 교통허브 의 중심 역할을 하고 , 기후 및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방 문객들의 최적의 여가 장소로 거듭나게 되었다.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 찰스 젱크스(Charles Jencks),윌리엄 화이트(William H. Whyte), 컨루이 달튼(Conroy Dalton R)등은 건축공간 을 통해 방문객들의 생활과 도시를 융합하고자 다양한 방법을 탐색했다. 이들의 도시 공공 인프라 기획은 제한 된 공간을 충분이 활용하여 사회적인 공유를 달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매튜 카르모나(Matthew Carmona) 에 따르면, “사람들이 공공 공간에서 만족을 얻기를 원하 는 다섯 가지 기본 수요는 편안함 , 느슨함, 환경에 대한 수동적 참여 , 환경에 대한 능동적 참여 그리고 발견이 다”[1]. 사실상 귀중한 토지 자원 내에서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체계적으로 극대화 한다면 방문객들은 더욱 많은 활동 공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업 공간을 대표하는 백화 점 건축물은 도시의 발전과 방문객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며, 오늘날 방문객들의 일상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장소로 거듭나 도시 속 방문객들의 생활과 업 무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따라서 백화점의 휴게공간 시설의 중요성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복합 상업 건축물이 만족스러운 여가와 쇼핑기 능을 제공해야 한다[2]. 그러나 백화점과 같은 대형 복합

백화점의 휴게 공간은 실내 공간에서 매우 중요한 휴게 전체 백화점 이미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 신세계백화점을 대상으로 실내 휴게 공간과 가구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고, 가구를 중심 으로 한 방문객의 이용 행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는 상업공간에서 공공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휴게 공 간 디자인이 방문객의 특성과 행태를 지원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서 백화점과 같은 대형 상업 휴게공간의 설계 시 방문객의 특성과 행태에 따라 차별화된 휴게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된 문헌을 참고하여 휴게공간에서 사용하는 가구의 유형을 정리하고, 이용 행태 분석과 관련한 선행 논문들을 고찰해 이용행태 분석 방법에 대해 파악하였 다. 둘째, 현장 관찰을 통해서 백화점 내 주요 층별 휴게공 간의 위치를 파악하고, 휴게가구의 유형, 디자인 특성과 조명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2018년 12월 1차 방문 조사 4회, 2019년 4월 2차 방문조사 4회를 주중과 주말의 시간대로 나누어 실 시하였다. 방문객들의 휴게 공간 이용 행태에 대해 관찰, 기록, 사진 분석, 도표 및 맵핑 등의 방식으로 백화점 주 요 층 휴게 공간 방문객들의 이용행태에 대해 분석하였 다. 넷째, 백화점의 층별 특성에 따라 방문객의 이용 행태

상업공간의 휴게공간의 시설과 인간 행동패턴 간의 관계

에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고, 휴게공간의 위치 및 규모,

를 연구한 자료는 많지 않다. 휴게공간의 편안함과 가구

가구 디자인 등이 방문객들의 휴게공간의 이용행태를 지

의 합리적 배치 및 사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또한 부족하

원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 한 도시의 대표적인 상업 건물의 휴게공간은 시민들의 여가 문화를 지원하고 도시민의 삶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부산의 경우, 해운대 센텀 지구에 2000년 이후 새롭게 개발된 상업공간이 부산의 쇼핑 여가 문화의 핵심적 역 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신세계 백화점은 세계 최대의 백

Ⅱ. 이론적 고찰 1. 휴게 공간 가구의 종류 및 기능 휴게가구는 개인공간에서 사용하는 것 외에도 광장, 공원, 쇼핑몰 등과 같은 공공공간에서 자주 활용되지만,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41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현재 상업 공간에서도 공공 휴게공간의 역할을 보다 잘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휴게 서비스의 과학성과 합리화

소파

한 종류는 쿠션이 있는 자리가 여러 개 있는 의자로, 스프링이나 두 꺼운 스티로폼 등의 등받이 의자를 장착한, 양쪽에 팔걸이가 있는, 소프트 가구의 일종이다.

기타

형태가 다양하고 , 각 방면에서 인체를 지탱할 수 있으며, 사람이 앉 아서 일하고 휴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앉을 수 있는 도구이다.

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 휴게시설의 성질과 기능을 충분 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 공공공간에서도 휴게시설 이용 의 최적화를 실현해야 한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휴게가 구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대부분 재료 분류, 기 능 분류, 구조 분류, 스타일 분류, 등급 분류, 조형 분류 가 있지만, 휴게시설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기능과 조형이 있다[3]. 휴게시설은 사람들의 일상생활, 작업 등에서 휴식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심신을 편안하게 하거나 즐겁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시설 중 하나이다. 그것은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의자와 벤치 등과 같이 인위적으로 제 작될 수도 있다. 이는 휴게시설의 범위가 매우 넓다는 점 을 의미하며, 롱 벤치와 의자 외에도 다양한 유형이 가능 하다. 휴게 시설은 휴게라는 기본적인 기능뿐 아니라 시 선을 모으는 중심이 될 수 있으며, 내재적 문화 특징을 반영하여 시대적 정신을 전달할 수 있다. 중국의 유명한 가구연구학자 팽량(彭亮) 교수는 <가구 디자인과 공예>라는 책에서 가구를 조형과 사용기능의 각도에서 분류하고, 벤치를 단독형, 원형, 호형 3가지로 분류했다[4]. 대만의 학자 옹통원(翁同文)은 <중국의 의 자 습관 및 의자 명칭의 기원과 보급>이라는 책에서 의 자를 기원과 습관 측면에서 상세하게 서술하였다[5]. 핀 란드 알토대학교(Aalto University)의 방해(方海) 교수 는 <20세기 서양 가구디자인의 변화>라는 책에서 스타 일, 기능, 재질 등의 측면에서 소파와 기타 가구에 대해 이해했다[6]. 관련 자료의 해석을 결합하여, 휴게가구의 유형을 아래의 [표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표 1. 휴게가구의 유형 형식

분석 내용

단독형 벤치

공간이 비교적 좁은 휴게 공간에 적합하다. 경관 등과 결합시켜 공 간을 절약 할 수 있고 전방의 경치를 람 할 수 있다.

원형 벤치

호형의 좌석은 옆 사람과 서로 빗겨서 앉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타인 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양쪽에 마련된 좌석은 각종 방향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등을 맞 호형 벤치 대고 앉을 수 있어 (1인용 또는 원형 ), ‘떨어짐의 ’ 기능이 더욱 크다. 의자

42

등받이가 있고, 팔걸이가 있는 앉을 수 있는 도구로 재질에 따라 나 무 의자 , 유리 의자 , 철공예 의자, 플라스틱 의자, 천 의자, 가죽 의 자 등이 있다.

3

2. 휴게공간의 가구 디자인 평가요소 상업건축의 실내 휴게공간의 목적은 방문객들에게 세 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것은 인간성 측면을 구현하며, 진정으로 공공공간에서 휴게용 가구 사용의 편리성을 이룰 필요가 있다. 휴게시설은 구체적인 특성에 따라 기능성, 지역성, 환 경성, 심미성, 공공성, 안전성의 6가지 주요 평가요소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평가요소들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7]. 기능성 측면에서, 가구는 기본적인 휴게시설로, 최소한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앉아서 휴게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휴게가구는 실내공간 디자인의 특징에 맞추어, 공간의 색채, 조명, 인테리어 재질 등과 통일시켜 일종의 아름다운 시각적 효과와 상 징적인 의미를 만든다. 지역성 측면에서, 다양한 지역과 공간은 구체적인 수요에 따라 , 휴게가구의 사용은 구체 적인 특징을 가지고 그것과 서로 부합될 수 있다. 환경성 측면에서, 건축 실내공간의 제공은 인테리어의 객관적인 조건으로, 휴게가구의 디자인은 기존의 공간 디자인의 특징을 결합하여,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형성한 다. 공공성 측면에서 휴게가구는 공공시설로, 대중의 사 용이 더 많은 서비스 대상의 사용 사정을 고려하여, 공공 서비스의 목적을 더 잘 구현한다. 안정성은 사용자에게 안전한 사용과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8].

3. 공간 이용 행태 연구 김찬주 외(2013)는 동선체계 관련 공간구성 요소를 규 정하면서, 건축물 내부에서 사용자들의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동선요소로서 수평동선, 수직동선, 그리고 결절점으로 구분하고 , 그 결절점에 해당하는 공간을 중 심공간과 진입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진입공간과 중심공 간은 공통적으로 전체 시설의 결절점 중 비교적 평면상 넓은 오픈 스페이스를 가지며 수직적으로 1개 층 이상이


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9

오픈된 공간을 지칭한다. 두 공간을 구분하는 기준은 공 간 평면상의 위치로 분석하였다[9].

백화점이라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쇼핑을 중심으로 스파(SPA), 아이스링크, 전시장, 문화

또한 스티보 렁가(Steve Leunga)는 <홍콩 인테리

아카데미, 옥상 테마파크 등을 갖춘 복합형 문화 체험 상

어 디자인>에서 “휴게사용 행태는 공간 디자인의 편

업공간이다. 백화점은 총 14층이며 기네스북에 최대 규

안함과 합리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 중 하

모의

나”라고 하였다[10]. 휴게공간에서 휴게 행태는 공간

509,810m2, 백화점 면적은 198,500m2로 2009년 6월

디자인의 중요한 영향요인 중 하나가 된다. [표 2]는

26년 개업했다. 신세계 그룹에서 유일한 부산 지점으로

휴게가구의 이용행태와 관련된 연구 자료를 종합, 요

미국의 칼리슨(Callison), 이태리의 클라우디오 실버스

약한 것이다.

틴(Claudio Silvestin) 등의 글로벌 건축 회사가 참여했

백화점으로

등재되어

있다.

건축

면적은

휴게 공간 가구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해, 휴게, 교류, 대

다. 실존하지 않는 “황금색 바다”를 모티브로 부산의 대

기, 잠자기, 독서, 휴대폰 사용, 음식 섭취, 구경 등의 7가

표적인 건축물이 되었다. 또한 건축, 예술, 쇼핑, 엔터테

지가 가장 자주 보이는 행태임을 알게 되었다.

인먼트, 문화, 여가라는 6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건축 및 공간디자인이 이루어졌다[16].

표 2. 가구의 이용 행태 분석 선행연구에 나타난 이용 행태

이용 행태 구경

A

B

C

D

E

F

휴대폰 사용 잠자기

독서

음식 먹기

잠시 쉬기

● ●

대화 주) A. 왕단[11]

예비조사시 나타난 이용행태

● B. 黄文华[12]

● ●

C. 吴延光[13]

2. 휴게 공간 및 가구 분석 2.1 층별 구성 및 휴게 공간 층의 선정 14층인 부산 신세계백화점의 매장 안에서 7, 8층은 영 화관으로, 9층은 전문식당가로 , 10층 이상은 프라이빗 스포츠 공간으로 구성되어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7, 8층 영화관은 공공 휴게공간이 제공되

지 않았으며, 대신 7층에 팝콘 등을 파는 스탠딩 형태의

푸드 존과 카페가 위치하였다. 9층은 전문식당가로 각

D. 조지영[ 14] E. 刘树老[15 ]

가구의 이용 형태는 일정한 사회 문화 특징을 반영할 수 있고 는 시각적 행위 효과를 나타내며 시대적 정신을 전달하고 공간을 구현하는 부분에서 물리적, 정서적 인 터랙티브 방식이기도 하다. 본문은 이와 같은 이론을 기반으로 백화점 휴게공간의 위치와 방문객 특성에 따른 휴게 공간 이용 형태를 관찰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음식점 별로 입구에 휴게 벤치를 제공하고 있어 이를 공 공 휴게공간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외하 였다. 또한 10층 이상은 회원권으로 운영되는 프라이빗 스포츠 공간으로 회원이 아닌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능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층과 유사한 휴게 공간으로 구 성된 2층, 4층을 제외하고, B2층, 1층, 3층, 5층, 6층을 중점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표 3. 층별 구성

Ⅲ.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 및 가구 분석 1. 부산 신세계 백화점(센텀시티점) 개요 신세계 백화점(센텀시티점)은 부산에서 쇼핑과 휴게

각층 내용

B2층

패션스트리트 /주차장

1층

해외유명/ 브랜드 /화장품 /스파랜드

3층

여성 / 구두/ 스프츠 / 아웃도어

5층

낭성 / 씨네드쉐프

6층

아동복 /골프 /여성 언더웨어 /유아 휴게실

문화를 리드하는 해운대 센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치, 규모, 매출 면에서 부산을 대표하는 최대 규모의

2.2 휴게 공간 내 가구 위치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43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부산 신세계 백화점의 휴게 공간 위치를 먼저 파악한

5

표 4. 휴게 공간 및 가구 위치

후 가구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B2층의 휴게 가구는 주로 각 주요 입구 근처에 설치되 어 있다 . B2층의 방문객은 다른 층보다 많은 것으로 보 였는데, 이는 주로 지하철과 주차장으로 향하는 통로이 며 동시에, 식당과 쇼핑까지 함께 혼재되어 있다.

B2층

주요 출입구의 방문객들은 ‘가까운 곳을 선택하는 원칙’ 에 따라 편안하고 편리한 휴게 공간 및 가구를 선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차장 엘리베이터와 입구 스테이지 광장의 휴게 구역은 방문객이 가장 많은 곳 이다([표 4] 참조). 1층 휴게 공간은 로비 근처에 분포되어 있다. 1층은 백 화점 메인 입구에서 들어오는 사람들과 기다리는 사람들

1층

이 많아 많은 방문객들이 휴식을 취하는 장소이다. 뿐만 아니라 1층은 지하와 지상을 연결시키는 공간이어서 인 구 유동이 비교적 많고 방문객 휴게 시간은 길지 않은 5 -15분 사이에 집중되고 주말 오후 시간대의 방문객이 가 장 많았다. 3층 휴게 공간은 엘리베이터 근처와 쇼핑몰 부분과 연 결된 복도에 분포되었다. 3층의 휴게 공간 방문객들의

3층

휴식 시간은 10분~15사이가 많았고 주중에는 휴게 가구 사용 빈도가 높지 않았다. 5층 휴게 공간은 3층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 층에 비해 이용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오전 시간대의 방문객 사용 빈도가 가장 낮고 젊은이들이 주로 사용한다. 6층의 휴게 공간은 전체 백화점에서 가장 공간이 넓고

5층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신세계 아카데미가 위치하고 있 어 아카데미 수강 방문객들의 편의를 고려한 데에 기인 한 것으로 보인다.

2.3 가구 디자인 분석

6층

B2층은 쇼핑스트리트와 주차장이 위치하는 곳으로 의류, 신발, 디저트, 액세서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 류를 취급하고 있다. 백화점의 공공 휴게 공간 중 휴 게가구의 종류와 수가 가장 많은 층으로, 개방형 공간 에는 주로 원형 벤치, 기타 유형의 가구가 있고, 휴게

44

가구의 소재는 나무와 가죽을 위주로 하고, 가구의 색 상은 옐로우베이지와 검은색이며, 공간의 조명은 주 로 반직접 조명과 직접 조명의 방식을 사용한다. 폐쇄


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9

형 휴게공간에서 휴게가구의 주요 유형은 부채꼴 형 벤치 소파이고, 가구의 소재는 가죽과 금속이다. 가구

의자

의 색상은 브라운색, 푸른 색, 아이보리, 옐로우 등이 며, 공간 조명은 가구에 맞게 직접 조명, 반직접 조명 의 방식을 함께 사용하였다([표 5] 참조).

형태 원형 벤치

조명

그 중, 화장실 근처는 찻상이 있는 상대적으로 폐쇄된

목재/ 브라운

직반접 조명 , 빛은 반투명의 전등갓을 통해, 난반사된 빛이 천장를 밝게 비 추며, 비교적 높은 공간감을 만든다 .

소파, 가구의 소재는 가죽, 나무 재질을 위주로 한다.

원형 전등과 스포트라이트의 결합, 직 인조가죽/ 접조명의 방식을 활용해, 빛이 벽 위 블랙 및 브라운 와 바닥을 비춘다.

소파

스포트라이트가 비추는 직접조명의 인조가죽 /블랙 방식을 사용하여, 빛을 모아 벽 위에 및 푸른 비추어, 명암 대비가 뚜렷하다.

기타

하며 , 여성이 주요한 소비층이다. 3층의 휴게가구는

재료 / 색채

호형 벤치

호형 벤치

3층은 여성용품, 신발 , 스포츠웨어 등을 주로 취급 엘리베이터 근처, 복도, 화장실 근처에 분포해 있고,

표 5. B2층 휴게 가구 분석 사진

인조가죽 및 직접 조명을 사용하고 , 주로 원형 목재/ 밝은 브라운 전등이 빛을 비추며, 밝기가 비교 적 높다. 계열

인조가죽및 금속/ 아이보리

스포트라이트가 비추는 직접조명의 방식을 사용하여, 빛을 모아 벽 위에 비추어, 명암 대비가 뚜렷하다.

휴게공간으로 가구의 유형은 부채꼴 형 벤치, 의자, 가구의 색상은

블랙,회색,브라운

계열,아이보

리,노랑 등으로 다양했고, 휴게공간의 조명은 개방 형 공간에서는 간접 조명과 반간접 조명의 방식을 사 용하고, 폐쇄형 공간에서는 직접 조명을 위주로 하였 다([표 7] 참조). 표 7. 3층 휴게 가구 분석 사진

형태

인조가죽 / 블랙 간접 조명 방식, 스폿 조명을 보조 광원으로 한다 ,빛은 및 회색 백색이다.

의자

인조가죽 / 간접 조명 방식, 스폿 조명을 브라운 계열 및 보조 광원으로 한다 ,빛은 블랙 백색이다.

의자

반간접 조명 방식 , 반투명의 인조가죽 및 목재 전등갓이 광원의 하부에 설 / 아이보리 및 치되어 , 따뜻한 백색광을 위 브라운 주로 한다.

소파

인조가죽 및 목재 직접 조명, 스폿 조명의 방식 / 노란색 및 을 이용해 빛을 비추어, 빛과 아이보리 그림자 효과를 형성한다.

1층은 화장품, 패션 액세서리, 명품 브랜드 층으로, 량은 B2층 다음으로 많다. 휴게가구의 종류와 수는 비교적 적고 , 단지 부채꼴 형 벤치와 의자만 있으며, 주로 로비 근처와 2번 게이트 엘리베이터 근처에 집 중되어 있다. 가구의 소재는 메탈릭 가죽, 나무 재질 이고, 가구의 색상은 회색과 밝은 브라운 계열이다.

조명

호형 벤치 인조가죽 ,목재 , 난반사의 조명 방식을 사용해, 빛은 금속/블랙 및 전등갓의 위쪽에서 방출되어, 천장를 옐로우 거쳐 반사되며, 부드럽다.

지하와 지상을 연결하는 가장 핵심적인 층으로, 유동

재료 및 색채

휴게공간의 조명은 직접 조명과 난반사 조명의 방식 으로, 공간의 빛은 밝고, 부드럽다([표 6] 참조).

가구의 수는 백화점 전체에서 가장 적다. 주로 1호, 6호

표 6. 1 층 휴게 가구 분석 사진

형태 호형 벤치

재료 및 색채

5층은 남성용품을 주로 취급하며, 휴게가구의 유형과

조명

반사된 조명 방식, 천장 조명을 위 인조가죽 및 금속/ 주로, 빛은 천장에서 실내로 반사 되고, 원형 전등의 조명을 보조 광 회색 원으로 한다.

엘리베이터 근처에 분포하고, 가구의 유형은 부채꼴 형 벤치, 소파 두 종류이며, 가구의 소재는 가죽, 금속, 가구 의 색상은 밝은 브라운, 블랙 및 아이보리이다. 조명은 1 호 엘리베이터 휴식구역에는 직접 조명을 사용하고, 6호 엘리베이터 휴식구역에는 간접 조명의 방식이 사용되었 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45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표 8. 5 층 휴게 가구 분석 사진

표 9. 6층 휴게 가구 분석

형태

재료 및 색채

조명

호형 벤치

인조가죽 및 금속/ 밝은 브라운

직접 조명, 스폿 조명의 방식 을 이용해 빛을 비추고, 빛은 베이지색이다.

소파

7

사진

간접 조명의 방식, 천장 조명 인조가죽 / 블랙 및 의 빛은 천장에 굴절되고, 스 아이보리 폿 조명은 벽 위를 비춘다

6층은 아동복, 골프복, 신세계 아카데미, 교육센터, 신 세계갤러리, 여성 언더웨어가 있는 층이다. B2층 다음으 로 가구의 종류와 수가 많은 층으로, 휴게가구가 기본적 으로 신세계 아카데미 근처에 집중되어 있다. 휴게 가구는 종류가 가장 다양하여 총 6가지가 있었고

형태

재료 및 색채

조명

단독 벤치

목재/ 브라운

직접 조명, 스폿 조명의 방식을 이용해 빛을 비추고, 빛과 그림 자의 대비가 뚜렷하다.

소파

인조가죽/ 천장 조명이 천장에 굴절되는 차콜베이지 및 조명을 위주로, 스폿 조명을 보 회색 조 광원으로 한다

소파

인조가죽 /회색

반간접 조명 방식, 반투명의 전 등갓이 광원의 하부에 설치되 어, 따뜻한 백색광을 위주로 한 다.

단독 벤치

인조가죽 및 금속/ 블랙

직접 조명, 원형 전등이 빛을 비추는 것을 위주로, 빛이 밝고 , 따뜻한 백색이다.

소파

인조가죽 및 금속/ 브라운

직접 조명, 스폿 조명의 방식을 이용해 빛을 비추며, 빛은 백색 이다.

호형 벤치

인조가죽 및 금속/ 차콜그레이

난반사 되는 조명의 방식을 사 용해 , 빛은 전등갓의 위쪽에서 방출되고, 천장을 거쳐 반사되 며, 부드럽다.

주로 소파와 벤치 위주로 설치되었다. 가구의 유형은 단 독형 벤치, 소파, 부채꼴 형 벤치가 있으며, 가구의 재질 은 나무, 가죽, 금속, 가구의 색상은 브라운, 차콜베이 지,회색,블랙,브라운,차콜그레이이다. 조명 방식은 개방형 공간에는 직접 조명과 반직접 조명을 사용하며, 폐쇄형 공간에는 난반사 조명 방식을 위주로 한다. 전체적인 가구 디자인 특성을 정리하면, 단독형 벤치 는 검은색, 노란색의 인조가죽을 위주로 하고, 금속을 결 합해 사용하며 등받이가 없다. 원형 벤치는 주로 노란색

표 10. 휴게 가구 평가요소별 분석

나무 재질로 되어있으며, 수량이 가장 적은 가구이다. 호 형 벤치는 갈색, 노란색, 검정색, 흰색, 회색의 인조가죽

기 능 성

지 역 성

환 경 성

심 미 성

공 공 성

안 전 성

을 위주로 하고 대부분 등받이가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

B2층

·

되고 있다. 의자는 노란색 인조가죽과 나무 재질을 위주

1층

·

로 하고, 소파는 노란색, 회색, 흰색의 인조가죽 위주로

3층

·

되어 있다. 기타 가구는 검은색 인조가죽과 나무 재질 위

5층

·

주이다. 조명은 직접조명은 따뜻한 옐로우 칼라의 스폿

6층

·

조명과 함께 사용하였고, 대부분 은은한 간접 조명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이미지를 조성하였다. 또한 각 층별 가구디자인 특성을 기능성, 지역성, 환경성, 심미성, 공공성, 안전성의 6가지 평가요소로 평가하면 아래와 같다([표 9] 참조).

◉만족

○보통

·불만족

층별 가구 디자인은 약간씩 차이를 보였으나 6가지 평 가요소의 측면에서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 형 백화점의 휴게공간이므로 안전성, 공공성, 기능성은 기본적으로 확보되었으며, 재료 면에서는 목재 또는 인 조가죽이 사용되어 내구성은 좋으나 생태적으로 다소 문 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심미성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가구들이 베이지에 서 카키, 브라운 계열의 편안한 색채와 단순한 형태로 디

46


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9

자인되어 휴게공간에 적합한 이미지를 연출하였으나, 지

동을 하며 걷는 노선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방문객은

역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대부분 실내 쇼핑 등을 마친 사람들 위주이므로 휴게 시 간은 10분~20분 사이에 집중되어 있고, 방문객에서 주 말

시간이

주중보다

훨씬

많으며

특히

오후

Ⅳ. 휴게 공간 이용 행태 분석

13:30-17:30 사이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다.

1. 이용 행태 분석

은 층이다. 노년층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노년 여성의

B2층 휴게공간의 방문객들은 주로 노년층, 중년층, 젊

B2층, 1층, 3층, 5층, 6층 휴게 공간의 주요 위치를 주 요 관찰 지점으로 선정하여 방문객을 상대로 이용 행태 분석을 진행하였고, 주중과 주말로 나누어 관찰, 사진 촬 영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찰 시간은 다음과 같다.

휴게 이용행태는 구경, 잠시 쉬기, 잠자기이고 노년 남성 의 휴게 이용행태는 잠시 쉬기, 휴대폰 사용이다. 중년층 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중년 여성의 주요 휴게 이용행 태는 대화, 휴대폰 사용이다. 중년 남성의 휴게행태는 주 로 휴대폰 사용이다. 젊은 층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젊 은 여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대화, 휴대폰 사용, 음

표11. 현장관찰 시간

식 먹기이고 젊은 남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휴대폰

2018년 12월 1차 방문 조사

사용이다.

201 8.12.02

월요일

11:00-1 3:00

201 8.12.09

일요일

10:30-1 8:00

201 8.12.10

월요일

15:30-1 9:00

201 8.12.22

토요일

10:30-1 3:00

곳인데, 신세계 몰과 연결되는 공간의 휴게 공간을 미처 근처에 서있거나 심지어 바닥에 앉기도 하였다. 따라서

2019년 4월 2차 방문 조사 2019.4.03

수요일

12:30-1 9:30

2019.4.13

토요일

10:30-2 0:30

2019.4.20

일요일

10:30-1 7:30

2019.4.26

금요일

14:30-2 0:30

이 층은 전체적으로 노년층의 휴게활동이 가장 많은 파악하지 못한 일부 노인들은 지하철 방향의 휴식구역 B2층의 경우 휴게 공간과 벤치 등의 가구를 좀 더 배치 하거나 신세계 몰과 연결되는 휴게 공간에 대한 사인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1.1 B2층 휴게공간 이용행태 분석 1.2 1층 휴게공간 이용행태 분석

그림 1. B2층 이용행태

B2층은 주차장과 지하철 출구가 있는 곳으로, 유동량 이 많고, 사람들의 활동 종류도 가장 복잡하다. 방문객은 주로 A구역(지하중앙광장), B구역(에스컬레이터 근처), C구역 (주차장 근처 휴게구역), D구역(엘리베이터 근처 휴게구역)에 집중된다. 이 구역들은 방문객들이 실내 활

그림 2. 1층 이용행태

1층은 백화점에서 가장 중요한 층으로, 이 층의 휴 게 공간 방문객은 매우 많다. 휴게가구는 A구역(백화 점 2번 게이트 엘리베이터 근처 )과 B구역(중앙로비 근처 )에 집중되어 있으며 , 방문객들은 에스컬레이터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47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9

를 이용해 이층으로 올라가거나 지하층으로 내려갈

구역 ), D구역(1호 엘리베이터 근처 휴식구역)의 휴게

수 있다. 대부분은 A구역의 휴게가구에서 휴식을 취

가구를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B구역은 휴게가구의

하는데, 이 층의 A구역과 B구역의 가구 사용률은 백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데, C구역과 D구역은 엘리베이

화점 전체에서 가장 높다. 방문객들은 일반적으로 동

터 근처 휴식구역으로, 방문객들은 엘리베이터를 기

행과 같이 휴식하는데, B구역의 휴게가구는 의자로.

다리거나 동행을 기다리는 시간에 주로 휴게 가구를

A구역의 휴게가구는 부채꼴 형 벤치로 제공되었다

이용하였다([그림 3] 참조).

([그림 2] 참조).

3층 휴게공간의 방문객들은 주로 여성으로, 여성의류

1층 휴게공간의 방문객들은 B2층과 마찬가지로 주로

매장이 위치하여 휴게가구 이용도 중년 여성이 가장 많

노년층, 중년층, 젊은 층이다. 노년층에서, 여성과 남성의

았고, 그 다음이 젊은 여성, 노년 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비율은 비슷하고 노년 여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구경, 잠

또한, 소수의 남성들이 동행을 기다리는 동안 잠시 쉬면

시 쉬기 , 노년 남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구경, 휴대폰 사

서 휴게가구를 이용하였다. 중년 여성의 휴게 이용행태

용이다. 중년층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중년 여성의 주

는 주로 대화, 휴대폰 사용, 잠시 쉬기이고, 젊은 여성의

요 휴게 이용행태는 대화, 잠시 쉬기 , 휴대폰 사용이다.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대화, 휴대폰 사용이다. 노년 여성

중년 남성의 휴게행태는 주로 휴대폰 사용, 구경이다. 젊

의 휴게 이용행태는 구경, 잠시 쉬기이다. 이 층의 휴게

은 여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대화, 휴대폰 사용, 젊

가구는 전체적으로 위치, 수량이 휴게 공간 방문객들의

은 남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휴대폰 사용이다. 이 층

수요와 일치하며, 주말 오후 3시부터 5시 30분까지 휴게

은 휴게공간의 방문객이 비교적 많으나, 배치된 휴게가

가구의 이용 횟수가 높게 나타났다.

구는 백화점 전체에서 종류와 수량은 적은 편으로 휴게 공간 및 가구가 매우 부족해 보였다. 특히, 주말 오후 2

1.4 5층 휴게공간 이용행태 분석

시부터 6시까지는 모든 휴게가구에 사람들이 가득 차, 방문객들의 휴식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이 층의 휴게공간에는 남성보다 여성의 휴게 방문객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1.3 3층 휴게공간 이용행태 분석

그림 4. 5층 이용행태

5층은 주로 남성용품을 취급하며, 이 층의 휴게가 구 는 주로 A구역(3호 엘리베이터 근처), B구역(6호 엘리베 이터 근처), C구역(1호 엘리베이터 근처)에 밀집되어 있 다. 이 층의 휴게가구는 백화점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용 빈도가 가장 낮다. 5층 휴게공간의 방문객들은 주로 남 그림 3. 3층 이용행태

3층은 여성 전문매장 층으로, 방문객은 주로 A구역 (Mall 방향으로 연결된 복도 휴식구역), B구역(화장 실 근처 휴식구역), C구역(6호 엘리베이터 근처 휴식

48

성이다. 젊은 남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휴대폰 사용, 중년 남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대화 , 휴대폰 사용 , 잠시 쉬기로, 노년 남성의 휴게 이용행태는 구경, 잠시 쉬기로 나타났다. 이 층에서 휴식하는 방문객들의 휴게시간은 전체 백화점 중 가장 짧은데, 주로 5분에서 15분 사이이


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9

다. 휴게 공간 방문객들의 수는 전체적으로 많지 않았으

휴게가구의 이용 횟수가 가장 많은 시간은 주말로, 휴

며 주중이나 주말 모두 휴게가구가 여유가 있는 것으로

게시간이 비교적 길지만 휴게공간의 가구는 성인을 기준 으로 설계되어 있어 일부는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 불편

파악되었다.

해 보였다. 따라서 보호자와 어린이가 함께 휴식할 수 있 1.5 6층 휴게공간 이용행태 분석

도록 디자인된 휴게 가구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소결 각 층별 휴게공간의 가구의 이용행태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표 12] 참조 ). 표 12. 이용 행태 종합 분석 주요 대상

층 여 성 B2층

그림 5. 6층 이용행태

낭 성

6층에는 갤러리, 신세계 아카데미 , 어린이 휴게실, 아 동용품, 여성용품 등이 있는데, 이 층의 주요 휴게가구는 주로 A구역(교육센터 근처 휴식구역), B구역(1호 엘리베 이터 근처 휴식구역), C구역(신세계 아카데미 근처 휴식

여 성 1층 낭 성

구역)에 밀집되어 있다. 이 세 구역을 중점적으로 관찰해보면, A구역은 휴게공 간이 넓고 환경이 조용하여 백화점 전체에서 휴식의 편 안한 정도가 가장 높은 구역이다. B구역 휴게공간의 방

시간에 집중되고 휴식하는 시간도 30분 이상으로 비교 적 길게 나타났다. 6층 신세계 아카데미의 경우, 어른을 위한 프로그램 외에도 엄마와 어린 자녀를 위한 ‘음식만들기’, ‘그림그리 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어 어린이 방문객이 많음 에도 불구하고 어른을 위한 휴게 가구(벤치와 소파)만이 배치되어 있다. 어린이의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독서, 잠 자기, 음식 먹기, 잠시 쉬기이며, 성인들은 어린이들을 돌보거나 또는 기다리면서 차를 마시거나 또는 6층을 지 나가는 과정에서 잠시 쉬기도 한다.

● ●

칭년

노년

낮 잠

독 서

중년

음식 먹기 ●

잠시 대화 쉬기 ● ●

칭년

노년

중년

칭년 노년

● ●

칭년

5층

낭 성

중년

칭년

6층

종 합

● ●

아동

● ● ●

● ●

기타

중년

노년

칭년 노년

● ●

중년

중년

독립적인 폐쇄 공간으로 휴게 시설이 가장 잘 완비되었 고 공간 환경이 가장 쾌적하였다. 방문객들은 주말 오후

폰 사용

여 성

3층

문객 비율은 A구역보다 더 적고 , 휴게가구를 사용하는 시간이 가장 나타났다. C구역의 휴식구역은 상대적으로

노년

구경

● ●

● ●

B2층은 휴게공간의 방문객은 주로 노년층, 중년층, 젊 은 층이고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이용행태는 잠시 쉬기, 휴 대폰 사용이다. 노년 여성의 이용행태가 가장 많고 젊은 남성의 이용행태가 가장 적다. 1층의 방문객 주로 노인, 중년층이 조용히 앉아, 구경하고, 휴대폰을 사용한다. 휴 게공간에는 남성보다 여성 노인 방문객이 많았다. 3층은 방문객 중 중년 여성이 휴게가구를 이용하는 횟 수가 가장 많고 휴게행태도 젊은 여성이나 노년 여성보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49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11

다 많다. 5층의 휴게 이용행태는 주로 젊은 남성과 중년

층에 비해 약간 어둡고 따뜻한 이미지로 연출되었다.

남성에게서 나타나며 노년 남성이 방문객은 거의 없었

셋째, 휴게 가구의 이용 행태는 전 연령층에서 휴대폰

다. 6층은 휴게 이용행태는 어른과 어린이가 다르게 나

사용, 잠시 쉬기, 대화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났으며 주로 독서, 구경하기, 쪽잠 자기, 휴대폰 사용

노년층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음식 먹기와 구경이 많이

이다. 또한 어린이의 휴게가구 이용 빈도가 다른 층에 비

나타났다. 단독형 벤치는 주로 복도와 같은 공간(6층 사

해 높게 나타났다.

례)에 주로 배치되어 있으며, 방문객의 휴게 이용행태는 ‘잠시 쉬기’가 가장 많았다. 원형 벤치는 기둥과 결합하여 사용된 사례가 많았으며(B2 층 사례), 방문객의 휴게 이

Ⅵ. 결 론 본 논문은 부산 신세계백화점을 대상으로 실내 휴게 공간과 가구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고, 가구를 중심으로 한 방문객의 이용 행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휴게 공간과 휴게 가구의 위치는 휴게 공간 방문 객의 전반적 인구 유동 분포와 관계가 있다. B2층의 출 입구 광장 휴게 구역과 주차장 출입구 인근에 위치한 휴 게 구역은 방문객들이 휴식을 취하는 노선 선택에서 가 까운 곳을 선택하고, 출입구와 같은 공간과 연결되는 인 접 위치는 방문객이 실내 활동을 마친 후 몸과 마음의 휴 식을 취하거나 백화점을 떠나기 전의 에너지 보충 장소 가 되며 방문객의 휴식 시간도 다른 층보다 더욱 길다. 1층의 휴게 공간은 전체 백화점의 지하와 지상을 연결시 키는 장소이므로 방문자가 비교적 많고, 휴게 가구도 로 비 근처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주말 오후 시간대에 방문 객들의 휴게 가구 사용률이 매우 높다. 둘째, 휴게 가구의 디자인과 조명은 각 층별로 공통점 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휴게 가구의 형태는 6층을 제 외하고 유사한 부채꼴이나 호형, 일자형 등이 많았으며, 색채도 아이보리, 브라운, 회색, 블랙 등이 많았고 비비

형 벤치는 로비 또는 엘리베이터 근처 휴게구역(B2층, 1 층, 3층, 5층, 6층)에 분포하고 방문객의 휴게시간이 상 대적으로 길며, 이용행태는 구경, 휴대폰 사용, 대화, 음 식 먹기 등으로 나타났다. 의자는 대부분 로비나 엘리베 이터 근처 휴게구역(1층, 3층)에 분포하며, 방문객은 조 용히 앉아 쉬거나 구경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파는 면 적이 비교적 큰 공간에 분포하고 로비, 엘리베이터 근처 (3층, 5층, 6층)에 집중되어 있으며, 방문객의 휴게 이용 행태는 조용히 앉아 쉬기, 휴대폰 사용 등이 대부분이었 다. 기타 가구는 유동량이 비교적 많은 곳(B2층)에 집중 되어 있으며, 방문객의 휴게 행태는 잠시 쉬기, 음식 먹 기, 대화 등으로 나타났다. 부산 신세계 백화점의 휴게공간과 가구, 이용하는 사 람들의 밀집도 등을 관찰한 결과 휴게공간의 위치나 크 기는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휴게 가구는 아이보리 에서 브라운, 밝은 회색에서 블랙에 이르는 저채도의 편 안한 색채에 부채형, 호형 벤치, 소파, 의자 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어 있어, 쉬기, 휴대폰 사용, 대화와 같은 일반적인 이용 행태를 비교적 잘 지원하고 있었다. 각 층별로 휴게공간의 가구 디자인은 유사점과 차이점

드 칼라는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은

을 나타내었으나 , 의자, 벤치, 소파와 같은 가구 유형에

직접조명은 따뜻한 웜칼라의 스폿 조명과 함께 사용하였

따라 특정 행태가 나타났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전 층

고, 대부분 은은한 간접 조명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이미

의 휴게공간에서 가장 일반적인 행태는 잠시 쉬거나 휴

지를 조성하였다. 그러나 5층 남성 중심의 휴게가구는

대폰 사용, 그리고 대화 등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휴게 공간도 작고 가구의 종류

한 행태와 가구 유형과의 관련성은 파악되지 않았다. 오

도 인조가죽 벤치 위주로 다른 층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

히려 가구디자인에 대한 개인적 선호도나 옆자리 사람의

타났다. 6층의 휴게 공간도 차이를 보였는데, 신세계 아

유무 등이 가구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카데미와 갤러리 등 문화 관련 프로그램과 용품을 취급

되며, 이 점에 대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

하는 층으로, 휴게 가구도 아이보리와 밝은 회색의 마주 보는 소파로 구성되었으며, 조명도 간접조명으로 다른

50

용행태는 휴대폰 사용, 구경, 대화 등으로 나타났다. 호

다고 생각된다. 또한 휴게가구의 이용행태와 관련하여 불편 사항이나


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9

만족도 조사 등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밀하게 방문객들

[6] 方海, 20世纪西方家具 设计流变, 中国 建筑工业 出版社, pp.64-70, 2003.

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신세계 백화점의 경우, B2층이나 1층 같이 많은 사람들이 휴게 공간을 찾는 경우 취약 집단(노인, 어린이, 임산부, 장애인 등)의 안전성과 사용 편리성 점 이 좀 더 고려되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취약 계층을 위 한 휴게 영역이 설정되고 노인이나 휠체어 사용자를 위 한 휴게가구가 제공된다면 방문객의 만족도가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6층의 휴게공간은 어린이의 활동이 비교적 집중되어 있는 층으로, 어린이의 인체공 학적 특성과 선호를 고려한 휴게 공간 및 가구가 제공할 필요가 있다.

[7] 왕단 , 윤지영 , “부산시민공원의 벤치 및 파고라 이용자 행태특성 및 선호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p.660, 2018. [8] 钱丽英, 公共休息空间座椅与人的行为研究, 广州 美术学 院, p. 23, 2014. [9] 김찬주 ,공은미,김영욱, “보행 동선체계에 영향을 주 는 공간구성요소의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편 , 제 3호 , p.85, 2013. [10] Steve Leunga, Hong Kong interior design,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98, 2015. [11] 왕단, 윤지영, “부산시민공원의 벤치 및 파고라 이용자

그 외에도 주말 오후와 같이 방문객이 많은 시간대에 는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휴게공간이 제공된다면 효율성과 함께 백화점의 이미지도 상승할 것 이다. 앞으로 상업 공간에서 공공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휴게 공간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보다 더 활성화되기를 바라며, 추후 연구에서는 휴게 공간 이용자들의 이용 빈 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는 정량적 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나은 휴게 문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유의미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행태특성 및 선호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p.660, 2018. [12] 黄文华, 公共空间人的行为研究, 广西师范大学学报, p.67, 2011. [13] 吴延光, 商业建筑 室内休息空间与家具的使用研究[J], 科技资讯, p.68, 2009. [14] 조지영 , 백화점 휴게공간 이용경험 및 만족도가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pp. 22-24, 2006. [15] 刘树老, 室内设计系统的研究, 南京林业大学 博士论文, pp.35-37, 2006. [16] https://www.shinsegae.com/index.do, 2018.12.

참고 문헌

저 자 소개

[1] Matthew Carmona, The Di mensions of Urban

Design Publi c places Urban Space, Jiangsu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p.162, 2011. [2] Pei Ying Li, Ming Shih Chen, Haruo Hibino, Shini chi Koyama, and Meng-Cong Zheng, “Rest

위 더 셩(DeSheng Yu)

정회원

▪2018 년 3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박사)

Faci lities at Commercial Plazas through User Behavior

Perspective,”

JAABE,

Vol.8,

No.1,

p. 120, 2009. [3] 方海, 20世纪西方家具 设计流变, 中国 建筑 工业 出版 社, p.36, 2003. [4] 彭亮, 家具设计与工艺, 高等教育出版社, pp.52-58,

<관심분야 > : 건축디자인, 실내디자인 , 문화

2003. [5] 翁同文, 中国坐椅习俗以及椅子名称的起源 及普 及, 中国 国际出版集团 海豚出版社, 2011.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51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윤 지 영(Ji-Young Yoon)

정회원

▪ 2001 년 3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전공 교수

<관심분야> : 도시재생, 실내디자인 , 환경 , 문화

52

13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 Vol.19 No.10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위더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19.19.10.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pression in Contemporary Commercial Architecture Design in China 위더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DeSheng Yu(396334203@qq.com) 요약 본 논문은 문화적 표현특성을 기초로 , 중국 6개 최대 도시의 대표적인 현대 상업건축 공간 사례에 대해 비교 분석을 진행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현대 상업용 건물의 실내공간 문화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를 기대한다 . 6개 사례를 각각 문화의 전통성 , 지역성 , 대중성, 기술성 , 생태성 5가지 관점에서 분석했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의 전통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에서 구체적인 지역의 전통적 요소를 중시하도록 요구한다. 둘 째 , 문화의 지역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이 있는 곳의 경제발전 정도 , 역사적 내막 , 지리적 환경조건, 기후 등 사회와 자연환경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셋째 , 문화의 대중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을 통해 대중 문화의 통합화, 레저화 , 오락화 , 기호화를 나타낸다. 넷째 , 문화의 기술성은 현지의 문화성을 가진 시공 방법 , 구조 형식 , 재료를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통합하는 것이다. 다섯째, 문화의 생태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에 식물을 배치하고 , 건강하고 쾌적하며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 중심어 :∣상업건축∣실내 공간∣문화적∣전통∣지역 ∣대중∣기술∣생태∣

Abstra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xpression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ases of representative commercial architectural spaces of six largest cities in China.In order to promo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indoor space culture of modern commercial buildings in China.Six cases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s of cultural tradition, locality, popularity, technology, and ec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 of culture requires the emphasis on the t raditional elements of s pecific areas in the interior space of commercial architecture.Second, the regional character of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interior space of commercial architecture, historical intrinsic space, geograph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l imate.Fourth, the technicality of cultu re is to integrate construction method, structure form, and material with local culture into commercial architecture interior space.Fifth, cultural ecology places attention to placing plants in the interior space of commercial architecture and c reating a healthy, pleasant and safe envi ronment. ■ keyword :∣Commercial Architecture ∣Indoors∣Cultural∣Tradition∣Local∣Population∣Technology∣Ecology∣

접수일자 : 2019년 06월 25일 수정일자 : 2019년 09월 25일

54

심사완료일 : 2019년 10월 15일

교신저자 : 위더셩, e-mail : 396334203@qq.com


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I. 서 론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을 설계할 때는 각 지역문화의 구체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하다.

상업건축은 쇼핑, 오락, 레저, 교육 등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대형 복합체로 도시의 상징적인 건축물 중 하나 이다. 또한, 현대 도시인들의 중요한 활동 장소로서 사람 들의 생활과 떨어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성공적인 상업건축은 사람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필수 적인 공간일 뿐만 아니라, 한 국가나 도시의 종합적인 이 미지를 더 직접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 또한, 그 것의 문화적 표현은 상업공간의 주제를 표현하는 중요한 핵심이자 디자인적 사고의 기본 출발점이기도 하다. 아 모스 라포포트(Amos Rapoport)는 <문화특성과 건축 디자인>이라는 책에서 “문화는 한 민족의 생활방식으로, 그들의 이상, 규범, 규칙, 일상행위의 표현을 포함하며 대대로 전승되어 온 기호가 전달하는 도식 시스템으로 서, 언어와 모범을 매개로 후대에 영향을 끼치고 동화시 키는 수단이자 생태를 개조하고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이 다.” 라고 말했다[1].건축은 문화의 담체로, 어떤 건축이 든 모두 일정한 문화적 함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건축 의 문화적 함의는 사람과 사회와 동일한 구조로, 시대성, 역사성, 민족성, 지역성도 가지고 있다건축의 . 문화적 함 의는 사회인문적 환경에 대한 적응을 반영하고, 사람들 의 문화적 가치관과 일치하며,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 하고 또 변화하며, 유동성, 변이성, 다양성을 가진다. 90년대 중반 중국의 상업건축은 최초로 개혁개방의 최전선에 있던 광둥성에서 처음으로 광저우시 광백백화

적인 특성과 함께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것이 매우 중요 오늘날 중국 현대 상업건축 공간의 실내 디자인에 존 재하는 보편적인 문제는 비록 단기간 내에 큰 영향을 끼 치지는 않겠지만,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상업건축 실내공 간의 문화성 문제에는 많은 위기가 잠복해 있고, 심지어 는 안 좋은 영향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 세 계화된 상업건축의 공간 디자인과 문화가 함께 발전하는 환경 아래에서 반드시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있는 문화성 의 가치를 재인식해야 하고, 서로 조화롭게 통일할 수 있 는 가능성을 찾아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 디자인 의 발전을 실현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현대 상업건축의 문화적 의미 와 실내공간의 표현적 특성에 기초하여, 중국의 유명하 고 전형적인 6개 현대 상업건축의 실제사례를 분석하고, 실제 사례와 같이, 중국 상업건축의 실내 공간에서 문화 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 등의 표현 형 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실제 사례에서 중국의 각 지역별 대표적인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의 특성 에 대해 분석하여, 그 문화적 의미에 대해 연구하고 정리 했다. 이것으로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공공간(백화 점, 상가, 전문판매점, 슈퍼마켓, 쇼핑몰 등을 포함)의 물 리적 환경, 시각적 환경의 디자인과 문화적 표현이 통일 된 관계에 대해 이론적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广百百货), 정가광장(正佳广场) 등 현지의 문화적 특색

본문의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을 가진 상업건축 공간이 등장해 사람들의 큰 관심을 끌

첫째,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관한

었다. 세계화의 끊임없는 영향으로 경제가 전반적으로

선행연구 논문과 서적을 참고하여 내용을 분류하고, 이

발전함에 따라, 국내의 상업건축은 90년 말에 급속하게

것을 바탕으로 문화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발전하여 많은 곳에서는 심지어 상업건축의 수로 도시의

생태성 등 5가지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각각의 평가요소

발달정도를 측정하기도 하였다. 단기간에 상업건축의 건

를 결합해 더 자세히 서술하였다.

축규모를 달성하기 위해서 심지어 복제, 유사한 상업건

둘째, 중국의 최대 도시 6개 중 각각 대표적인 상업건

축 공간의 실내장식이 나타났고, 수많은 상업공간이 수

축을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해 분석했다. 이 사례들

량만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표현특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간의 디자인 형식과 수법을 맹목적으 로 추구하고, 전혀 특색이 없는 이러한 추세는 지금도 여 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경제적 이익 등의 영향 아래에서

은 2010년에서 2018년 사이에 지어지고, 국제건축디자 인(FX

international interior

design awards,

Andrew Martin 대상)이나 실내 디자인(Design Award & Com petition대상, 미국Interior Design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55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3

Gold Witan상)대상을 받은 작품이나 국제적으로 유명

음이다”라고 정의하였다[4]. 유명한 건축대가 I. M. 페이

한 디자이너의 작품이다. 이 사례들의 상업건축 실내공

는 “모든 건축마다 개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이는 기

간에 대해 문화의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

후, 장소와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지의 역사, 인문

성 5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및 문화 배경도 고려해야 한다. 이 또한 세계 각지의 건

셋째, 선택한 사례 6개를 통해, 이 상업 공간들 사이에

축들이 각자의 독특한 양식을 지니고 있는 원인이기도

존재하는 재료, 색상, 조형, 조명, 스타일 등 면에서의 차

하다”고 하였다[5]. 이를 통해 건축 공간 디자인에서 의

이를 기반으로 다섯 가지 문화 표현 특성을 종합적으로

경, 양식, 개성은 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분석하였고, 중국의 가장 크고 발달한 도시 6개의 상업

수 있다. 다양한 민족, 다양한 시대 및 다양한 지역이 서

건축 실내공간의 특징들을 비교하고 요약하였다.

로 다른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을 형성한다. 모든 실내 디 자인 형식이 반드시 시대의 사조, 자연 여건 그리고 인문 풍습과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업 공간 실내 디자인

Ⅱ. 이론적 고찰

의 의경, 스타일, 개성은 문화 콘텐츠의 집중적 구현일

1. 상업 공간의 개념과 분류

와 지역 특징에 대한 대표적 표현 형식이기도 하다.

상업 공간은 사람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그에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며 사람들의 정신적, 물 질적 수요를 만족시키는 장소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개 념은 상업 활동과 연관이 있는 모든 공간이고, 가장 복잡 하고 다양한 인류 활동 공간의 한 중류이다; 좁은 의미에 서의 상업 공간은 도시의 쇼핑 센터, 전통적인 쇼핑 매장

뿐만 아니라 창의적 구상을 통해 서로 다른 시대의 사조 건축 환경에서는 어떠한 공간에 대한 표현도 반드시 무에서 유로, 생각에서 실제로 이루어 지는 과정을 지켜 야 한다. 이 과정은 정신적 사고와 표현, 방향 설정, 실행 과 응용, 안정과 지속적 발전의 과정이고, 이 과정들을 실행하는 것은 문화 표현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매우 큰 영향을 일으킨다.

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박물관, 전시관, 호텔, 레스토랑, 사무실 및 오락 등 공간들도 포함된다[2]. 구체적인 사용 성격에서부터 상업 공간을 구분할 때: (1) 문화 전시류, (2) 요식 오락류, (3) 비즈니스 사무류, (4) 쇼핑 레저류 등으로 나뉜다[3]. 도시의 종합 쇼핑 센 터는 상업 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에 속한다. 이는 현 대의 도시인들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3의 공간이 기도 하다. 상업 공간의 존재 의의와 가치는 현대 도시인 들의 물질과 정신 문화의 연결 고리라는 것에 있고, 오늘 날 고속으로 발전하는 시대에서 현대 상업 공간 디자인 은 경제 발전의 필연적 산물이며 점차 지역 나아가 국가 의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하고 직접적인 방법 가운 데 한가지가 되었다.

2.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 평가 요 소 선정 De Blij,H.J의 저작 <인문지리---문화, 사회와 공간> 에서는 “문화 경관은 각종 문화 특징들이 집합하여 구성 된 것이며 특정 지역 문화의 각종 인상과 느낌에 대한 모

56

그림 1. 사회, 공간, 문화

2.1 전통적인 정신 표현 일본의 건축 대가 안도 다다오(安藤忠雄)는 자신의 저 서 <건축을 말한다>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전통에 대한 승계는 전통적인 구체적 형태를 승계하는 것이 아 닌, 그 근본적인 정신적인 무언가를 승계하여 이를 다음 세대까지 전해야 한다[6].” 그는 전통 문화에서 가장 근 원적인 것, 생명에 대한 인지와 심리적 위안을 추구하였 다. 구로카와 기쇼는 “전통에서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진정하게 이해를 해야 가장 특색이 있는 부분(언어)를 기 호로 분해하여 추상해낼 수 있고, 이 기호들을 새로운 기


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호 체계에 활용하여 현대 스타일을 형성할 수 있다”고

트 문화와 대중 문화의 대립이란 존재하지 않는다[11].

하였다. 건축 문화에서 이와 같은 “전통에서 보이지 않는

대중들이 소비하는 것은 문화 상품의 사용 기능만이 아

것”은 전통 문화 속의 심미 심리이고 문화 전통의 숨겨

니고 점차 소비 문화 기호를 방향으로 문화의 대중성을

진 표현이다[7]. 상업 공간에서 문화의 전통적 연속을 이

부각시키고 있다. 상업 공간에서 문화의 대중성이 인정

루는 것은 역사와 현실을 결합시키는 중요한 균형점이고

되고 공간 주제와 발전 방향을 결정되어 비로소 공간 디

실내 공간 문화를 나타내는 전통성과 혁신의 통합이다.

자인과 실행의 동력을 형성하고 보다 나은 공간 예술성 과 정신성을 탄생시킨다.

2.2 지역성의 안정적 발전 문화의 형식은 기나긴 축적 과정이고 각 지역 여건에

2.4 기술성의 지원과 응용

따라 창조된 문화의 지역성도 모두 다르다[8]. 지역성은

중국의 유명한 건축학자 량스청에 의하면: 건축⊂과학

공간적 개념이지만 시간적 개념이기도 하고, 지역의 자

∪기술∪예술, 즉 건축은 과학, 기술 및 예술의 집합이라

연 환경, 지리, 기후, 자원 등의 특수성과 일관성 즉 특정

하였다. 그는 기술은 건축이 실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지역 문화 이데올로기의 특수성과 일관성을 강조한다.

중요한 요소 중 한 가지라는 것을 명확하게 주장하였다

중국의 유명한 건축학자인 칭화대학의 우량푸(吴良

[12]. 베르나르 스티글러(Bernard Stiegler)는 기술에

镛)는 <광의건축학>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지역

대해 “기술은 생명 이외의 수단으로 생명을 연장하는 것

성이란 일반적으로 최종 제품의 생산과 제품의 사용이

이다”라는 정의를 내렸다. 공간 문화의 표현은 기술의 지

모두 소비의 장소에서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건축은 지

원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기술성은 상업 공간 실내 디

어진 후 이동할 수 없고 상대적으로 안정된 거주 환경을

자인의 문화 표현과 연속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형성하는데 이 환경은 또 점점 변화하고 발전하는 특징 을 지니게 된다[9].” 지역 문화는 건축 공간과 실내 환경

2.5 생태성의 연속적인 발전

에 영향을 주고 건축 공간과 실내 환경도 마찬가지로 문

20세기 50년대에 미국의 유명한 문화 인류학 학자 줄

화를 전파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 문화의 지원이 없다면 건축 공간과 실내 환경은 공허한 것이 되며 전통 문화가 가져다 주는 무게감이 결여되게 되므로 지역성은 상업 공간 문화의 기본 표현이다. 비록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 화하지만 일정 단계에서 안정성을 지닌다. 2.3 대중적 주도 방향

리안 스튜어트(Julian Steward)는 자신의 저서 <문화 변화론>에서 처음으로 문화 생태학을 제기하여 인류 문 화와 환경 사이를 연구하는 과학이 되었고 생태와 사람 및 공간 환경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하였다[13]. 미국 캘 리포니아대학 버클리 컴퍼스의 교수 사우어(Carl Ortwin Sauer)는 “문화 생태학파”를 설립하였는데, 환 경에서 생태학은 높은 관심을 일으키고 있고 공간 환경

미국의 학자 Albert J.Rutledge(1990)에 따르면, 사

에서 자연도 문화의 생태성을 벗어날 수 없다. 이는 자연

람의 공간 행위는 환경 디자인의 유기적 구성 부분이고

-경제-사회의 삼위일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해당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자아를 발견하고 자아를 표현

인 구조이다[14]. 때문에 상업 공간에서 실내 디자인의

하며 사상 교류와 문화 공유 등을 할 것을 요구한다[10].

문화 생태성은 자연과 조화로운 공존에 직접적 영향을

이에 따라 공간 행위에서 사람의 영향 효과를 보다 잘 드

미치고 환경과 균형을 이루며 공간에서 사람들의 자유,

러내기 위해 상업 공간의 실내 디자인 과정에서 사람의

건강, 지속적 발전을 보장한다.

대중적 행위에 대한 검증 여부가 결정된다. 대중적 생산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상업 건축 공간의 문화적 표현

과 생활 소비가 사회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기 때문에 사

특성에 대해 서술한 학위 논문들도 있는데 , [표 1]과 같

회학자들도 대중 사회를 “소비 사회”라 부르기도 한다 .

다.

윌리엄스에 따르면 대중들은 오합지졸 또는 군중이 아닌 산업화 사회가 초래한 자연스러운 조합이고 이른바 엘리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57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표 1. 상업 건축문화와 관련된 논문의 정리 번 호

논문 제목

저 자

년 도

1

중국 상업 건축 공간 디자인의 문화적 영향에 관한 연구

陈 一 飞

2 0 0 9

상업용 빌딩 공간의 문화적 성과 특성- 마카오 N ew 2 Eighths 백화점을 예로 들어보십시오

李 芳 芳

2 0 1 1

일본 긴자의 상업 공간 디자인과 문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梁 明

상업 건축 공간과 홍콩의 4 지역 문화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张 伟 杰

2 0 1 4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나는 5 데페이즈망 기법의 표현 특성

서 지 나

2 0 1 5

상업건축 실내 공간 문화 6 연구

赵 亮

2 0 1 6

3

2 0 1 3

요소3

평가 요소 지 역 성

기 술 성

전 통 성

지 역 성

기 술 성

전 통 성

지 역 성

심 미 성 생 태 성

대 중 성

생 태 성

지 역 성

대 중 성

생 태 성

위에서 서술한 학자와 전문가의 관점을 종합해 관련 논문의 관점을 정리하고,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평가요소를 요약하면 주로 5가지로, 각

대중성

출처

《Culture and Society 》, <The c ountry and the city>

개념

대중문화는 한 사회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문화로서 , 대부분 의 사람들에게 수용되고, 비교적 통속적이다. 그것은 세속화된 문화로 서,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 환경의 통합 화, 레저화, 오락화와 기호화를 구현한다. 그것은 또한 상업 메커니즘에 의해 완전히 장악된 소비 문화이고, 건축은 생활과 관계가 가장 밀접한 예술로서, 기술의 종합적인 표현형식으로,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아 당대 인들의 대중적인 감정을 반영한다.

요소4

기술성

출처

<Handbook of Environmental Design(200 3)> 、<A General Theory of Archit ecture(1 992)>

개념

기술은 이성의 특징을 가지며, 각종 현상의 본질과 규율의 지식 시스템 을 반영한다. 건축의 기술은 건축 재료의 확장 및 구조 기술의 혁신과 관련되며, 기술은 끊임없이 혁신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시대의 건축 은 분명하게 다른 예술과 문화적 특징을 보인다. 줄리어스 로타르 메이 어 (Julius Lothar Meyer)는 전체 인류사회는 이미 “기술화 ”되었고, 합 리성 , 보편성, 자율성과 같은 기술 자체의 특징들은 현대 사회의 문화가 되었다고 여겼다.

요소5

생태성

출처

<The Meaning of the Built Environment(2003)>、<Handbook of Environmental Design(200 3)>

개념

생태성 건축공간은 자원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환경을 보호 하고 , 자연친화적이며, 편안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공간이다 . 건축 공간의 생태성이 관심을 가지는 것은 건축 자체뿐만 아니라, 자원의 절 약과 종합적 이용을 강화하고, 자연자원을 보호하고 , 생태화를 구현하 며, 각 지역의 구체적인 실정에 맞게 적절한 대책을 세우면서, 자연적 조건을 충분히 이용하는 것이다.

기 술 성 전 통 성

5

각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이다.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의 5가지 평가 표 2. 문화 특성 평가 요소 개념

58

요소1

전통성

출처

<Archit ectural Culture Market(2013)> 、<A General Theory of Architecture(19 92)>,<House Form and Culture>

개념

전통성이 두드러지는 시간 요소의 작용, 대대로 전해지고 생성된 건축 속성. 전통은 창작에 참여하지만, 그 자체는 더 이상 창조적인 것이 아니며 , 오늘날 전통의 표현은 직관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건축의 창작속 에 녹아 있다. 전통성은 다양함이 있고, 각 역사적 시기에 축적되어, 후 세에 의해 인정받은 계승의 가치가 있는 문화원소이다.

요소2

지역성

출처

《A General Theory of Architecture》、 <Land,Site, Architecture(20 04)>, <Cultural Identity and Architectural Design>

개념

지역성은 인문환경 및 문화적 특징으로, 지리적 요소와 기후적 요소 등 지역적 요소의 여러 측면을 포함하고, 그것은 공간 요소의 작용을 두드 러지게 하면서, 자연적 조건에서 생겨나는 건축의 속성이다. 지역 문화 는 모두 보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특정한 지역도 다른 지역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현지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개 방식 문화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요소를 구체적으로 구현하고 응용한 것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전통성은 주로 공간의 패턴, 색조의 색상 응용을 구현한다. 지역성은 공간의 구체적인 지리적 환경, 자연 적 조건과 역사성이 결합된 응용을 구현한다. 대중성은 공간에서의 디자인을 각 계층의 소양, 관습, 심리 및 환 경을 고려해 상응하는 응용을 구현한다. 기술성은 실내 공간의 재료, 시공방법, 공예 등의 실제 응용을 구현한 다. 생태성은 공간 설계에서 사람과 환경의 조화로운 관 계의 응용을 구현한다.

III.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사례 분석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은 중국의 가장 유명한 4


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대 일선 도시이다. 항저우, 난징은 새로운 일선 도시이고

년도

중국의 경제가 발달한 전형적 도시 대표이다(2018년 중 국산업정보망에 의하면, 상하이의 경제 총 생산액은 26688억 위안, 베이징은 24541억 위안, 광저우 20004 억 위안, 선전 19300억 위안, 난징 15400억 위안, 항저

사 례 4

우 11700억 위안이다.) 이 6개 도시의 상업 건축은 비교

2010 년

위치

베이징 (北京)

면적 /유형

2300 00㎡ / 박물관

설계자

MARKLAN D( 일본 TANSEISHA)、미국 ATRL 사

선정이유

적 완전하고 성숙해 중요한 연구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베이징 조이시티(Beijing Joy city)

베이징의 문화적 특색을 현대의 상업건축 공간 디자인에 교묘하게 융합시켜, Asia Pacific Interior Design Awards대상을 받았다.

항저우 타워(Hangzhou Tower)

중국의 대표적인인 도시의 상업건축 사례 6개를 결합

년도

2010 년

했는데, 이러한 상업건축들은 각각 2010년에서 2018년

위치

항저우(杭州)

면적 /유형

1800 00㎡ / 박물관

사이에 지어졌다.상업건축 실내공간의 가장 대표적인 로 비(lobby) 부근을 선택했다(상업 건축의 로비, 사이드 홀

사 례 5

설계자 선정이유

(Side hall), 복도, 엘리베이터 부근, 에스컬레이터 부근,

장건봉 (중국 ) 지방 상업문화의 특색을 살려 항저우 상업공간의 전통과 현대의 조화와 결합을 보여주며 , 국제공간디자인대상 IDEA-TOPS 를 받았다.

내부 정원 등은 실내의 중요한 공공 공간이고, 로비는 이

상하이 슈퍼브랜드몰(ShangHai Super Brand Mall)

공간의 핵심 위치에 분포되어 있다.) 건축에 대한 문화적

년도

2011 년

함의는 전통, 지역, 대중, 기술, 생태의 다섯 가지 측면에

위치

상하이 (上海)

면적 /유형

2400 00㎡ / 박물관

설계자

Super Brand(미국 )

서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은 다음과 같다.

사 례 6

표 3. 6개 사례 개요 광저우 k11(Guangzhou K11)

사 례 1

년도

2018 년

위치

광저우 (广州)

면적/유형

1020 00㎡ / 박물관

설계자 선정이유

LT H K G roup(중국) 세계 최초의 문화미술관 모델 개념 디자인의 상업건축 공간으로, 20 17년 A Design Award & Com pe tition 대상을 받았다.

선전 믹스몰(ShenZhen Mixc Mall)

사 례 2

년도

2017 년

위치

선전 (深圳)

면적/유형

1010 00㎡ / 박물관

설계자

Ziggy( 홍콩)

선정이유

동양미학의 표현을 가진 상업공간으로 , 상업건축 WAN 상 1위 , FX international interior design awards 대상을 받았다.

난징 골드이글스(NanJing Golden Eagle)

사 례 3

년도

2017 년

위치

난징 (南京)

면적/유형

4000 00㎡ / 박물관

설계자

Fre deric Rolland( 건축외관) 仓直光男(일본 Pinhole디자인)

선정이유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것을 바탕으로, 과감하게 디자인을 혁신하여 공간 디자인에서 미국 INTERIOR DESIGN‘GOLD WAITAN’ 상을 받았다.

선정이유

세계적으로 유명한 상업건축 디자인 회사 미국 저디 파트너십(The J erde Partnership)이 완성한 상업공간은 옛 상하이와 현대 상하이 사이의 문화가 지속되며 중국의 트렌디한 도시인 상하이의 공간 디자인 특징을 나타내며, Andrew Martin 대상을 받았다.

1. 광저우 k11(Guangzhou K11) 광저우 K11 쇼핑아트센터는 광저우 최초로 만들어진 예술관과 소매가 합쳐진 개념으로, 광저우 주장(珠江) 뉴 타운 CBD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탑군로(东塔裙楼) B2-L8층에 위치하며 총 10층이다. K11은 세계 최초로 예술, 인문, 자연의 3대 핵심 요소를 융합한 브랜드로 예 술 감상, 인문체험, 자연환경 보호를 완벽하게 결합했다 [15]. 쇼핑몰 내부의 테마 디자인에는 광둥성의 특색을 가진 독특한 용수(榕树, 뿌리를 독특하게 내리는 나무의 일종) 의 개념이 녹아 있다. 주택 단지, 본토 예술, 문화 요소를 디자인 속에 녹여냈을 뿐만 아니라, 무한한 아이디어, 자 유 및 개성화 된 생활 브랜드를 구현하며 감각적 체험을 가져오는 상업 공간이다. 광저우 K11은 주변 지역의 전 통적 생활 및 역사지리 등을 다차원적으로 통합하고, 이 지역의 인문예술과 생활문화를 부각시키며 현대 도시인 들의 생활패턴을 구현했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59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표 4. Guangzhou k11( 广州k11) 의 문화성 분석 문화의 전통성

광저우 k11의 실내공간은 영남 (岭南, 광둥 (广东)성· 광시(广西)성 일대를 가리킴)지역 전 통의 대용수 (大榕树)를 주요한 구상요소로 하 고 있으며 , 대용수는 현지의 중요한 우의성 식 물로 길상과 행복을 나타낸다. 복층의 대형 공 공 휴게공간에 용수를 심어 전통적 요소와 현 대 건축예술이 결합된 문화의 융합을 나타낸 다.

전 통 지 역

업공간을 만들었다[16] . 표 5. 선전 믹스몰(ShenZhen Mixc Mall) 문화의 전통성 선전의 전통 물결 곡선이 실내공간의 핵심 위치에 응 용되고 , 화남(중국 남부 지역. 광둥 (广东)성 ·광시 (广 西)성· 하이난 (海南)·홍콩(香港)· 마카오 (澳门)지역을 포함함 )지역 전통의 선명한 장식 색채와 어우러져, 상업건축 실내공간에서 연해도시가 표현하는 대담한 혁신을 보여준다.

전 통

문화의 대중성

지 역

기 술

상업공간의 소비층은 포괄적이고, 대중적인 체 험식 구매소비구역을 구성하고 예술 공간과 공 유 플랫폼을 형성하여 대중의 생활과 예술 및 상업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부각시켰다.

대 중

생 태

문화의 기술성

대 중

표 현 특 성

실내 인테리어에서는 교묘한 녹색건축 공간 디 자인의 구상 및 현대적 기술을 통해 일부 폐기 된 재료를 재활용을 통해 다시 이용하며, 친환 경 소재와 현지 원재료를 종합해 활용하는 것 에 주의하면서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 고 도시 공공생활 장소의 환경의 질을 전반적 으로 향상시킨다.

문화의 생태성 실내공간은 농가와 같은 테마의 형식을 활용해 현지식물을 대량으로 배치하여 수직정원 등의 다차원 정원 경관을 조성한다 . 상업 실내공간 이 본토의 생태환경과 잘 어우러져 도시 실내 공간에 오아시스 효과를 발생시켜 사람과 자연 사이의 문화적 사고를 일깨운다.

2. 선전 믹스몰 (ShenZhen Mixc Mall) 선전 믹스몰은 선전시 난산구(南山区)에 위치하고 있 으며 쇼핑, 문화예술, 품격있는 생활이 하나로 어우러진 프리미엄 부티크 체험센터로 새로운 동양미학의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상업공간에는 세 개의 큰 테마구역이 있는데, 동양미 학 생활구역(MIXC COLLECTION), 새로운 음식을 탐 색할 수 있는 구역 (MIXC KITCHEN), 도시문화가 담긴 예술 공간 (MIXC ARTS)가 있다. 그 중, 동양미학 생활 구역(MIXC COLLECTION)은 일본의 유명 디자이너 (池贝知子)가 디자인했고, 전체 상업건축 공간의 핵심 주제 방향으로, 그것은 패션, 예술, 문화를 하나로 갖춘 고품격 쇼핑센터이다. 순수하게 구매소비를 위주로 하는 상업공간과는 다르게, 쇼핑센터의 전체 공간은 독서, 전 시, 휴식, 쇼핑으로 융합되며 도서라는 특수한 상품으로

60

전체 동선을 연결해 현지의 특색을 살린 문화시대의 상

문화의 지역성

광저우는 아열대지방에 위치하여, 햇빛과 빗물 이 충분하고 식물의 품종이 풍부한 중국의 꽃 도시이다 . 실내공간 장식의 활용은 꽃과 같은 식물의 예술적 조형을 모방하고, 실내에 음생 식물을 배치하여 풍부한 색채 배합을 형성하는 등 꽃도시의 지역적 문화 특성이 뚜렷하다.

7

기 술 생 태 표 현 특 성

문화의 지역성 이 상업공간의 건설 프로젝트는 중국 남방의 가장 전 위적이고 활력 있는 도시인 선전이 공간 디자인의 응 용에서 나타낸 뛰어난 아이디어를 강조한다. 40년도 안되는 역사를 가졌지만 발달도시라는 좋은 이미지 를 드러내며, 지역적 특징을 활용해 현대 장식 디자 인 요소에 대해 새롭게 사고하고 해석했다.

문화의 대중성 대중문화 , 생활의 인도, 3대 테마구역, 그 중 동양미 학 생활지구 (MIXC COLLECTION)의 테마의 디자 인은 서점을 전체적인 형식으로 소매 공간을 관통하 는 방식으로 공간에 대중의 레저 소비패턴을 만든다.

문화의 기술성 현대 기술과 재료를 활용하여, 현대의 신형 재료인 PVC를 장식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금속 재료는 주로 공간의 장식과 조형에 사용되어 정밀한 설치와 유연 한 처리를 하기 쉽다.

문화의 생태성 문화의 생태성은 실내의 로비 홀과 엘리베이터 근처 등 공공공간을 관통하고, 넓은 면적의 덩굴식물들을 벽 위에 장식하고 자연스럽게 시각적 공간을 형성함 으로써 좋은 생태적 효과를 만들어 낸다.

3. 난징 골드이글스(NanJing Golden Eagle) 난징 골드이글스는 ‘중국 제1의 상권’으로 불리는 난징 의 신제커우(新街口) 상업지구에 위치해 있고, 총 6층이 다. 난징 골드이글스은 현대화된 국제 비즈니스 이념에 따라 디자인, 기획, 배치되고 쇼핑, 외식 등 많은 서비스 기능을 하나로 모은 상업건축이다. 실내공간은 조명문화 를 주요 핵심 주제로 하여, 전체 상업건축 공간을 관통하 고 다양한 현대적 표현원소를 결합하여 현지의 특색이 풍부하다. 이것은 현재 세계 최대의 쇼핑몰 중 하나이며,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은 문화적 아름다움과 실용적 기능 의 조화를 실현하고 있다[17].


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표 6. 난징 골드이글스 (NanJing Golden Eagle)

표 7. 베이징 조이시티 (Beijing Joy city) 문화의 전통성

문화의 전통성

조이시티 상업건축은 실내외의 색조가 조화롭고 통일 되어 있으며, 베이징 전통의 전형적인 색상을 사용한 다. 공간에는 채도가 비교적 높은 빨간색 계열에 흰색 계열의 색상을 배합해 사용하며, 선명한 색상으로 베이 징의 전통적인 표식 기호를 이어갔다.

중국의 문화 고도(古都) 난징의 전통문화 원소는 문체공간, 다실, 전시공간 등 실내외에서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전 통적인 종이 펜던트, 나무 문양의 장식은 공공 공간의 디테 일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전 통 지 역 대 중 기 술 생 태 표 현 특 성

문화의 지역성 상업건축 프로젝트는 아열대의 동부 연해에 자리잡고, 도시 의 핵심 상권에 위치하고 있다. 공간 내부는 중국 고대의 유 명 도시인 난징의 새로운 시대에서의 경제 발전 상태를 보 여주며, 동부의 발달된 지역 상업공간의 혁신적인 특징을 나 타낸다.

문화의 대중성 상업공간은 서비스의 대상을 고, 중, 저소비층으로 하여 소 비자가 선호하는 쇼핑, 오락, 레저 장소를 만들어 상업무역 · 과 여행이 하나로 통합되는 상업 공간을 형성한다.

문화의 기술성 전통적인 모델을 타파하고, LED 램프를 실내의 주요한 장 식등으로 사용하고 거울을 보조로 응용한다. 또한 , 에너지절 약을 위한 하이테크 조명 디자인을 통해, 조명의 디자인 효 과로 공간의 입체성과 풍부한 차원을 부각시킨다.

문화의 생태성 공간환경에서는 빛을 디자인 테마로 하고, 조명의 종합적인 디자인은 실내 인테리어에서 필요한 많은 재료들의 수요를 보완하고 장식 재료의 원가를 절감하면서 생태 환경 자원을 합리적으로 응용하였다.

4. 베이징 조이시티(Beijing Joy city) 베이징 차오양(朝阳)에 있는 조이시티는 미국의 MARKLAND, 일본의 TANSEISHA가 공동으로 디자인 하였고 젊음, 패션, 트렌디, 품격에 초점을 맞춘 쇼핑, 외

문화의 지역성 전 통 지 역 대 중 기 술 생 태 표 현 특

조이시티는 베이징 차오양구 신흥도시권에 위치해 있 다. 주위에는 고급주택이 밀집해 있고 지하철 1호선과 6호선이 있으며 , 유동량이 많다. 쇼핑 , 외식, 오락 , 레 저, 문화, 교육 등의 여섯 가지 테마를 하나로 모은 공 간의 인테리어는 트렌드와 패션의 결합을 나타낸다.

문화의 대중성 대중 소비층은 18~38세의 신흥 중산층을 주력 시장으 로 포지셔닝하고 있으며, 패션의 달인, 트렌디하고 세 련됨으로 ‘글로벌 청년타운 ’과 같은 상업 공간을 만들어 주요 집단과 하위 집단이 공간의 문화를 공유한다.

문화의 기술성 다양한 장식 공예 기술이 교차되어 표현되고, 공간 내 부의 천장은 친환경 재료를 사용해 만든 예술적 장치이 다. 실내 인테리어는 친환경 페인트 (예: 규조토, 생태 목를 ) 많이 사용하며, 입면의 세부 디자인, 하이z크 기 술이 결합된 장비z예: 전면 강화유리 엘리베이터)z를 운용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문화의 생태성 실내에서 친환경 소재와 인조식물을 비교적많이 볼 수 있고, 계단 바닥, 기둥 주변 장식, 휴게공간 등에 많이 분포하여 작지만 훌륭한 실내 생태계를 조성한다.

5. 항저우 타워(Hangzhou Tower) 항저우 타워 쇼핑센터는 항저우의 상업 핵심 구역에

식, 오락, 문화, 건설, 레저가 하나로 현대화된 대형 쇼핑

위치하고 있으며, 상업건축은 ‘Z’자 형태로 서쪽에 D동

몰이다. 또한, 이곳은 국내 최초의 생태 테마인 실내 생

화저점, 동쪽에 C동 곤하점이 있고 , 환성북로를 두고 B

활구역이 있으며, 그 중‘조이야드(JOY YARD)’는 상권의 핵심 랜드마크가 되었다[18]. 상업건축 공간 중 생활MALL은 최상급의 가정생활, 오 락, 쇼핑의 기능이 있는 센터로 18~35세의 신흥 중산층

동, A동이 걸쳐 있으며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 상업건축 은 쇼핑, 외식, 레저오락, 컨간에는 부티크, 명품 매장이 많이 입점 되어 있으며 국제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들이 많이 모여 있다[12]. 또한 다양한 레스토랑, 슈퍼마켓, 미

을 서비스 대상으로 한다. 전체 상업건축 공간은 지상

용실, 부티크 호텔 등이 갖춰져 있어 세련된 생활을 할

11층, 지하 3층, 총 14층으로 세 가지 테마로 나뉘어져

수 있으며 건축공간 중 로비, 복도 등의 공공공간에서 지

있으며 그것은 자연의 정수인 ‘하늘, 땅, 바다’ 세 가지 원소를 영감으로 현지의 문화적 표현 특성을 결합한다. 또한, 각 층별로 다양한 소비업종 및 브랜드 디자인은 핵 심 테마를 바탕으로, 전체 비즈니스 환경에 풍부하고 다

방 문화의 특성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전통 목재 조 각공예의 표현은 지방 문화와 현대 상업공간의 장식을 교묘하게 결합시킨 것이다[19].

양한 실내공간 장식 경관을 만든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61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표 8. 항저우 타워(Hangzhou Tower)

표 9. 상하이 슈퍼브랜드몰 (ShangHai Super Brand Mall)

문화의 전통성

문화의 전통성

항저우 타워 쇼핑몰은 항저우의 상업 핵심 구역에 위치 하며 , 쑤저우와 항저우 일대의 전통요소가 뚜렷하다 . 항저우의 실크, 차 문화, 서호 문화 등을 실내공간 표현 에 융합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이름난 도시인 항저우 의 전통문화가 뚜렷하게 표현되고 있다.

전 통

문화의 지역성 상업건축은 중국의 동남연해지역 항저우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 중국의 7대 고도이자 유명한 역사문화도시인 항저우의 지역적 특징과 결합한다. 쇼핑몰의 실내 디자 인은 고도의 지역문화를 현대적인 장식으로 처리하고, 하늘은 원이고 땅은 네모라는 고대 중국의 전통적 우주 관)' 과 호응을 맞추고 있다 .

지 역 대 중

문화의 대중성

기 술

실내공간은 대중들이 가정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 는 것을 컨셉으로 공간을 디자인하고 지역 주민들의 생 활과 소비 특성에 맞춰, 한 곳에서 모든 것을 체험할 수 있는 소비패턴을 만들어 낸다.

생 태

문화의 기술성

표 현 특

실내공간 인테리어에, 전통의 나무격자 장식기술을 바 탕으로 신형 금속재질 몰딩, 유리 등을 추가해 조명의 장식과 조화를 맞춰 테크닉감이 강한 실내환경 분위기 를 조성한다.

문화의 생태성

슈퍼브랜드몰 실내공간의 기둥과 복도 장식에 사용 된 색상은 옛 상하이 전통 문화의 특징을 가진 빨간 색 , 회색에 흰색 톤의 배경을 넓게 매치했다 . 전통의 트렌디한 문화적 특색이 상업 실내공간 장식 전체에 걸쳐 있다.

문화의 지역성

전 통

상업건축 프로젝트는‘ 동양의 월스트리트’ 로 불리는 상하이 푸동(浦东) 루지아주이의 황금지대에 자리하 고 있으며 상하이 황푸강의 지역문화를 가지고 있다. 로비에 달린 장식등과 특색 있는 천장 조형물 등 내 부장식을 통해 상하이의 시대문화적 흔적을 볼 수 있 다.

지 역 대 중

문화의 대중성 상업공간의 디자인이 향하는 것은 대중 소비에서 고 급 소비가 일부 포함된 테마 코스로, 인테리어는 시 민들의 생활 , 오락, 레저 , 소비 등의 기능을 결합해 상업화되고 대중적인 쇼핑센터를 형성한다.

기 술 생 태

문화의 기술성 실내공간을 장식할 때 전통적인 공예기술을 완전히 버리지 않고 , 새로운 재료와 기술을 결합해 바닥에 대리석 석재를 사용해 교차 형식의 패턴을 만들고, 내마모성과 미끄럼 방지성을 높이고 , 석고보드, 실리 카보드로 천장을 만들고 , 스테인리스강으로 벽면을 제작했다.

표 현 특

쇼핑몰 실내공간의 복도, 계단 모퉁이, 대형 창문 근처 에는 실내 생태식물 등이 많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식물은 유연하게 이동하고 조합할 수 있고 실내의 공기 질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식효과도 뛰어나다.

문화의 생태성 넓은 면적의 공공공간에서는 철골을 이용하여 반공 의 긴 예술복도를 들어올리고, 긴 복도의 실내에는 수직으로 생태식물들이 심어져 있어 공간에 입체식 생태경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자연생태의 흥미 로운 효과를 더해준다.

6. 상하이 슈퍼브랜드몰(ShangHai Super Brand Mall) 상업건축 공간은 지상 10층, 지하 3층, 총 13층으로 패션 소매점과 특색 음식에서부터 오락체험, e-sports 시설 전시홀, 테마 레스토랑까지 쇼핑, 외식, 레저, 오락 을 하나로 모은 현대화된 대형 쇼핑센터이다[20]. 실내 공간은‘사계절’ 을 주요한 문화의 개념으로 삼아, 현지의 모든 사람들을 위해 서비스하고 있다. 공간 내 소매층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개의 다른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선택되고 디자인된 색상, 재료, 바닥 패턴, 지형

표 10. 6가지 사례의 실내 디자인 특징에 대한 물리적 분석 사례

와 생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공간은 고급 스러운 품위만을 추구하지 않고 절제하면서도 오늘날의 시대적 특색을 잃지 않는 독특한 상업건축의 공간문화를 형성한다.

색채

재료

조명

형태

아 이보리색 , 유리, 금속 , 목재, 전반적으로 빛이 차가운 원형, 부채 사례 1 초록색, 연회 친환경 플라스틱, 편이고 자연광과 간접 조 꼴 타일 색 명, 직접 조명 위주이다 .

사례 2

전반적으로 빛이 따뜻한 화려한 빨간 곡선, 파도 금속, 목재, 타일 편이고 간접 조명과 직접 형 색, 주황색 조명 위주이다. 아 이보리색 ,

전반적으로 빛이 차가운

회색

고 곡선이다.

금속, 목재 , 타일, 편이고 간접 조명 위주이 부채꼴, 원 사례 3 베이지색, 연 벽면 페인트 형

사례 4

디자인 및 기타 시설들은 모두 각 계절의 문화적 특색을 반영하고 있다. 각 소비계층과 다양한 연령 집단의 교류

9

금속, 타일, 알루 전반적으로 빛이 차가운 부채꼴, 네 암홍색, 주황 미늄 합판 , 벽면 편이고 간접 조명 위주이 모 색 페인트 다. 회색, 주황색, 금속, 유리 , 타일, 전반적으로 빛이 밝은 편

사례 5 연한 파란색 목재, 벽면 페인 이고 직접 조명 위주이다. 네모, 원형 트

사례 6

알루미늄 플라스 전반적으로 빛이 베이지 회백색 , 주홍 부채꼴, 선 틱, 유리, 타일, 색에 가깝고 직접 조명 위 색 , 베이지색 형 스테인리스, 석재 주이다.

위의 6개 사례는 모두 다양한 도시의 상업 공간 실내 디자인의 특징을 드러냈고, 공간 문화 표현의 전통성, 지

62


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 모두 각 지역의 경제, 풍습,

지역성

중국 동남 연해도시 상업지역의 개방성과 빠른 발전을 드러낸 다.

대중성

가정 서비스 모델처럼 느껴지는 대량 서비스 소비 공간을 제공 합니다.

기술성

LED의 높은 기술을 응용하여 실내에 풍부한 장식 효과를 조성 한다.

생태성

이 화려하고 곡선 변화가 많은 조형을 사용하였고, 동부

에너지 절약의 차원에서, 공간 속에서 인테리어 재료를 교묘히 통합해 활용하여 자원을 보호하고 충분히 활용하는 효과가 있 다

사례 4

베이징 조이시티(Beijing Joy city)

도시의 상업 공간은 밝은 색채 그리고 네모에서 부채꼴

전통성

상업건축 공간은 베이징 전통의 경사스러움을 나타내는 색조와 패턴을 사용한다.

은 차분한 색상, 원형과 사각형을 교차로 사용하여 뚜렷

지역성

중국 수도의 지역경제적 추세를 나타내며, 북방 상업공간의 완 벽한 문화지역성 장식의 특징을 반영한다.

한 대비를 이루며 중국 각 지역의 특색이 있는 상업 공간

대중성

유행하는 대중예술문화를 만들고, 상품에 있는 문화적 의미를 파헤치며, 그와 관련된 소매판매를 활발하게 만든다 .

기술성

다양한 장식 공예 기술들이 교차되어 표현되며, 공간에서 원재 료가 가지고 있는 재질 표현에 중점을 둔다.

생태성

실내 환경의 조명, 온도, 습도, 공기 움직임의 제한을 돌파하 고, 다양한 식물의 조합으로 쾌적한 실내 생태환경을 조성한다.

지리적 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 상업 공간 실내 디자인의 색깔, 재료, 조명, 조형, 스타일 등의 측면에서 차이를 형 성하였다. 비록 현대의 신소재와 조명 방식에 대한 응용 이 크게 보면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는 각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되었다. 남부 도시의 상업 공간은 색상

형태로 변하는 조형을 하였으며, 북부 도시의 상업 공간

디자인 문화를 형성하였다.

7. 종합분석 이상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 의 문화적 표현특성을 다방면에서 알 수 있었다. 그것은 그 지역의 경제, 역사, 풍습, 사회 환경, 지리적 조건, 심 지어는 그 지역 도시의 개방성과 중요성 등과도 밀접 하 관련되어 있다[표 11]. 표 11. 사례별 종합 분석 사례 1

광저우 k11(Guangzhou K11)

전통성

상업공간에서 영남지역 전통원소의 응용을 중시하고 , 전통문 화의 정수를 부각시킨다.

지역성

상업공간의 장식은 광저우가 위치한 아열대 지역의 환경, 기후 등과 조화를 이룬다.

대중성

미술관을 모델로 실내공간을 디자인하여 대중들이 소비에서 삶 을 구현하고 심신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술성

친환경 건축 설계 및 과학기술을 통해, 폐기된 재료들을 재활 용하여 친환경적인 상업 실내공간을 조성한다.

생태성

실내공간에 인터랙티브 체험을 할 수 있는 생태를 테마로 한 대형 재배단지를 조성하여 특색 있는 생태공간을 조성한다.

사례 2

선전 믹스몰( ShenZhen Mixc Mall)

전통성

남쪽 해안도시의 전통적인 명쾌한 색조와 튀어오르는 이미지의 표현을 계속해서 사용한다.

지역성

중국 연해 경제특구 상업건축 공간 디자인의 트렌디함과 혁신 을 구현한다.

대중성

중국 경제특구의 세련되면서도 전위적인 대중들의 소비패턴을 나타내고 , 공간 디자인은 주로 고급스럽지만 일반대중도 아울 러 고려한다

기술성

PVC, 유리 등의 재료를 사용하고 현대 기술을 결합하여 혁신 적인 공간을 만든다.

생태성

공공공간의 수직적 녹화를 주도하여 자연스럽고 편안한 시각적 효과의 공간을 조성한다.

사례 3

난징 골드이글스(NanJing Golden Eagle)

전통성

상업공간은 난징의 전통 문화와 현대적 요소의 결합을 보여준 다.

사례 5

항저우 타워(Hangzhou Tower)

전통성

공간은 항저우의 전통문화 원소를 응용하여 전통 요소를 보존 하면서 공간을 혁신적으로 돌파하였다.

지역성

유명한 역사적 도시이자 전자상거래가 발달한 항저우의 지역 상업공간의 급속한 발전 특징을 보여준다.

대중성

다양한 장면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을 결합하여, 대중이 수용할 수 있는 실내 활동 모델을 만든다.

기술성

전통 나무 재질에 스테인레스강 기술을 통합해 응용한다.

생태성

쇼핑몰의 실내공간은 전체적으로 이동이 용이하고 조합하기 편 한 실내 생태식물을 많이 배치하는 등 실내 생태문화를 다각도 로 표현하고 있다.

사례 6

상하이 슈퍼브랜드몰(ShangHai Super Brand Mall)

전통성

공간은 전통 상하이의 중서 (中西)원소와 현대 상하이의 현대적 혁신을 융합하고 , 상업공간에서 전통 원소를 잘 사용해 오고 있다.

지역성

동양의 월스트리트인 상하이 푸동의 경제적 발달과 전위적인 지역공간 문화의 특성을 구현한다.

대중성

대중에게 고품격의 서비스 공간을 제공한다.

기술성

현대 스테인리스강 구조 기술을 통해 석재, 타일 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세부적으로 변형된 실내공간을 만든다.

생태성

실내공간에서 생태식물로 수직정원을 만들어 입체식 생태경관 을 형성한다.

6개 사례들의 문화성 특성과 표현방식에도 공통성과 차이점이 나타났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 다[표 12]. 표 12. 전통 ·지역· 대중 기술 ·생태의 종합 분석 문화의 전통성 - 상업공간의 장식에서 혁신적인 돌파를 탐색하는 상황아래, 현지 공공공간의 인 테리어 특징을 결합하여 전통문화의 요소들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 상업건축의 실내장식 시장이 한 유형으로 몰리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 에, 현대 쇼핑몰의 기능과 부합하는 흐름을 유지하려는 상황 아래에서, 공간장식에 서 전통을 구현하고 전통과 현대를 융합한 문화의 전통성이 승화된 표현이다. (사 례5).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63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문화의 지역성

11

다. 문화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중, 상업건축 실내공간

- 현지 문화의 특징을 결합하여 지방성이 있는 지역 문화의 원소와 현대 언어 간 의 대화를 형성한다. - 현대의 국제화된 상업건축 실내장식의 영향으로, 현지문화가 시대의 흐름을 따 라가며 새로운 활력과 지역문화의 특색을 만들고 있다. (사례1, 사례2, 사례3, 사 례5).

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적 표

문화의 대중성

표현특성을 전통성, 지역성, 대중성, 기술성, 생태성 5가

현특성의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상업건축 공간이론에 대 한 관점을 비교했다.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화적 지 평가요소로부터 분석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대중 소비자와 감정적으로 연결된 장식공간으로, 레저, 오락, 소비, 체험이 하나 로 된 기능이 다양한 현대화된 생활공간을 만든다. - 디자인은 각 소비층과 다양한 연령 집단의 교류와 생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중요시하며, 고급스러운 품격이 있는 공간만을 추구하지 않고 대중의 취향을 아울 러 고려한다.

간은 구체적인 지역의 전통요소(풍습 , 관습, 기호, 경관

문화의 기술성

등)를 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문에서 연구한

- 실내장식의 신형 생태재료예 ( : 생태목, 친환경 페인트)와 현대기술의 응용을 중 시하고, 재료가 공간에서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를 중시한다. 또한 , 기능, 미학의 수요를 충족시켜 사회 문화에 적합하다 . (사례 2, 사례 5) - 다양한 인테리어 기술과 표현기법 (빛의 특수효과 , 색채의 응용)의 융통성 있는 조합을 강조하며, 공간을 다양하게 만든다. (사례 3, 사례 6) - 현지 전통 실내 장식 기술(나무 격자무늬)과 현대 실내 장식 기술(유리, 스테인 레스강 기술을 ) 결합하여 현지 장식 기술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사례 5) - 전통장식 공예를 개선 (폐기된 재료의 재활용 )한 기술(사례 1)

문화의 생태성 - 상업공간은 양호한 생태 환경을 중시하고, 실내에 녹색 생태식물을 활용해 시민 들의 시각적 피로를 완화하고 실내의 공기 질을 조절한다. - 현대 생태환경에서 재료자원의 절약을 중시하고, 건축기술 등을 통해 실내공간 에 테마식 생태문화공간을 창조한다 . (사례 1, 사례 2, 사례 3, 사례 4, 사례 6)

각각 다른 지역의 상업건축 실내 디자인이 표현하는 것은 단일한 문화적 특성이 아니고, 간단한 공간의 수요 도 아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 화적 다양성을 탐구해야 하고,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표 면적으로 보이는 장식 효과와 내재된 표현방식에 대해서 자신만의 종합적 기호가 필요하다. 이것은 공간의 표현 은 반드시 독특성을 가져야 하며, 자신의 고유한 본질적 인 특징으로 실내공간 문화의 종합적 표현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 6개의 사례들은 중국의 현대 상업건축에서 발전이 가장 성숙하고 문화적 표현이 뚜렷한 도시의 건축들인 데, 그것들은 개방적인 사상으로 전통문화를 현대의 다 양한 원소들과 융합하고 있다. 또한, 표현 과정에서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각자 특색 있는 상업건축 공간을 형성한다.

첫째, 문화의 전통성 측면에서 보면, 상업건축 실내공

6개의 사례들은 각각 다른 도시의 전통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광저우 k11의 로비 홀과 복도의 공간은 그 지역 전통의 용수(榕树)를 사용하여 실내의 핵심 조형물 로 삼았다. 선전 믹스몰은 국제적인 첨단과학기술 도시 의 특색을 반영해, 그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물결 모양의 패턴을 선진화된 전자기술에 결합시켜 시대 적 감각이 강한 트렌디하고 혁신적인 상업공간을 만들었 다. 또한, 항저우 타워의 사례를 보면 전통적인 나무장식 기호를 계속해서 사용하고, 실내의 입출구나 코너의 위 치를 알려주는 면에 나무 조형을 사용해 현지 전통문화 의 지속가능한 응용을 나타낸다. 둘째, 문화의 지역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은 현지의 경제발전 정도, 역사적 내막, 지리적 환경조건, 기후 등 사회와 자연환경 요인과 연관되어 있어 다양한 지역문화 의 특징이 생겨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광저우 k11, 선전 믹스몰, 베이징 조이시티, 상하이 슈퍼브랜드 몰 이 네 개의 상업건축이 위치한 도시는 중국에서 경제 가 가장 발달한 도시로 연해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지역의 문화성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난징 골드이글스, 항저우 타워는 신1선 도시에 위치하는 중국의 유명한 고 도(古都)의 소재지로, 독특한 지역문화를 형성하고 있으 며 상업공간에서 전통 지역문화와 현대문화가 조화를 이 루고 있다. 셋째, 문화의 대중성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이 사람들 의 생활과 연결된 장소로서 현지의 소비수준, 생활방식, 지리적 위치 등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것

IV. 결론 본문은 중국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대표적인 6개 사례 를 대상으로 문화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

64

은 대중문화의 통합화, 레저화, 오락화 그리고 기호화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베이징 조이시티, 상하이 슈퍼브랜 드몰,

선전

믹스몰의

동양미학

표현공간(MIXC

COLLECTION), 이것들은 실내공간의 장식 디자인을


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통해 대중들의 문화 의식을 유도하고 전승한 사례들이

따라서, 앞으로 중국 현대 상업건축의 실내공간을 표

다. 공간의 장식에서 디자인 테마를 핵심으로 삼으며 주

현할 때는 지역문화를 포용하고 흡수하는 사고를 통해

제를 심화하고 연장한다. 실내공간의 기능을 구분하고

꾸준히 보완해 나가야 한다. 기술을 문화성을 부각시키

장식의 시각적 효과로 공간문화를 탐색하는 것에서부터

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전통 요소를 대중 생활에

대중들이 즐길 수 있는 과정을 촉진하며, 현대의 국제 대

융합시키며 생태 환경 보호의 각도에서 활기 넘치는 공

도시가 대중문화의 흐름을 선도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

간 환경을 조성하여 지역 상업 건축의 문화적 특성을 돋

다.

보이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업건축 실내공간의 문

넷째, 문화의 기술성은 설계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화성을 장기적인 안목으로 내다보며 문화의 침전과 승화

실내 인테리어 시공 방법, 구조 형식(입면, 단면), 재료

를 꾸준히 진행하여, 문화성의 표현을 재활성화

응용을 통해 폐기된 재료, 전통 재료와 현대 기술을 결합

(Revitalize), 재변형(Retransform), 재창조(Recreate),

하고,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공예 ,

혁신(Innovation)할 필요가 있다. 공간의 설계와 문

기술을 실내공간에 융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광저우

화의 사고를 형성하는 ‘3RI’모델은 중국 현대 상업건축

k11, 선전 믹스몰, 난징 골드이글스, 항저우 타워의 실내

실내공간의 문화적 표현 특성의 양호한 지속적 발전을

장식은 폐기된 후 회수된 재료를 다량으로 사용하여 칠

주도한다. 상업 공간 문화의 다섯 가지 특성을 보다 훌륭

하고 가공하는 기술을 통해 처리한다. 또한 전통공예와

하게 나타내고 중국 제3의 공간에 전체적으로 활력을 가

기법을 결합해 전통재료와 교차하여 활용하고, 재활용함

져오고 효과를 한층 업그레이드시킨다.

으로써 창의적이고 시대적 감각이 있는 공간을 형성한

현대 상업 건축 실내공간의 독특한 문화성에 대한 연

다. 실내의 인테리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를 통해, 상업 실내공간이 맹목적인 이익 추구로 서로

폐기품을 보석으로 바꿀 수 있는 효과에 도달하여, 기술

같아지고 특색이 사라지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세계화

성은 보다 교묘하고 포괄적으로 문화를 재표현하고 있

된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는 배경 아래에서 혁신적이고

다.

활력이 가득한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을 창조해야 한

다섯째, 문화의 생태성은 상업건축 실내공간에 식물을

다.

도입함으로써, 장식과정에서 자원을 절약하고 보호하면 서 다양화된 경관을 디자인하고, 이를 통해 건강하고 쾌 적하며 안전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생태성은 실

참고 문헌

내의 장식효과를 위한 디자인 필요이며, 생태환경을 조 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이징 조이시티, 광저우 k11의 사례에서 보면 실내 디자인에서 농장 채소밭 등 을 테마로 한 자연이 살아 숨쉬는 실내 생태공간을 만들 어 냈다 . 난징 골드이글스의 사례에서는 자원 절약이라 는 측면에서 출발해, 조명 효과를 사용하여 일부 천장과 벽면의 장식을 대체해 많은 인테리어 재료를 절약함으로 써 문화 침투의 지속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이러한 실제 사례들을 통해서 상업건축 실내공 간의 문화성은 간단하고 고립된 표현이 아닌 전통, 지역, 대중, 기술, 생태의 다원적 통합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꿔 말하면, 현대 상업건축 실내공간은 각 지역의 발전과 그 전통, 지역, 대중, 기술, 생태가 융합된 결과로 구체적인 지역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한다.

[1] L. Mumford, The Culture of Cities, Building & Architecture Press, p.386, 1970. [2]

중국 백과, 국제 사회 과학 백과전서, China Encyclopedia Press, p.186, 2007.

[3]

구푸바오(顾馥保),

상업건축

디자인,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85, 2003. [4] Harm J. de Blij, Human Geography: Culture,

Society, and Space) , Beijing Normal Univers ity Press, p.155, 1988. [5] 천카이펑( 陈凯峰), 건축 문화학,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p.88, 1996. [6] 안도 다다오 (安藤忠雄), 바이린 역, 건축을 말한다,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41,

200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65


중국 현대 상업건축 실내 공간의 문화적 표현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7] 화이 건축사무소, 구로카와 기쇼(Kurokawa Kisho), C.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53, 1997. [8] 천카이펑( 陈凯峰), 건축 문화학 ,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p.121, 1996. 우량용( 吴良镛 ), 광의건축학(广义建筑学), China

[9]

저자 소개

위 더 셩(DeSheng Yu) 디자인학과( 박사)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66, 1989.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1990. [11] 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 가오샤오링 역, 문화와 사회, Jilin Press, p.379, 2011. [12] 가오징( 高静), 건축 기술 문화에 대한 연구, Xi'an University

of

Architecture

and

Technology,

pp.98-103, 2005. [13]

Julian

HaynesSteward,

Cultural

Change

Theory, Guizhou People's Publ ishing House, pp.132-133, 2013. [14] 류전(刘珍), “생태이론 기반의 실내 디자인 연구,” Architectural Journal, Vol.63, No.8, p.88, 2015. [15] https://gz.k11.com.cn/, 2019.03.19. [16] https://www.themixc.com/#/zh-CN, 2019.04.15 [17] http://www.netge.com/Index.aspx, 2019.01. 13. [18] http://www.beijingcyjoycity.com/, 2019.02.11. [19] http://www.hangzhoutower.com/, 2019. 04.15. [20] http://www.ShangHai Super Brand Mall.com/, 2019.03.18.

66

정회원

▪2018년 3월 ∼ 현재 : 동서대학교

[10] Albert J. Rutledge, 왕츄즈, 가오펑 역, 대중 행위와

공원 디자인, China

13

<관심분야 > : 건축디자인 , 실내디자인, 문화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 Vol.20 No.2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이지엔화, 윤지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Public Art i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 Focused on Taoxichuan in Jingdezhen 이지엔화*, 윤지영**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JianHua Li(346977320@qq .com)*, Ji-Young Yoon(klismos@gdsu.dongseo.ac.kr)** 요약 본 연구는 역사문화지구 퍼블릭 아트의 특징과 아이덴티티를 연구 대상으로 역사문화구역의 퍼블릭 아트에 대한 이론 연구와 조사를 통해 징더전 도계천이 대표하는 역사문화지구 퍼블릭 아트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 공간적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여섯 가지 평가요인인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 예술 성 , 역사성 ,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특성과 아이덴티티를 분석, 평가하였다 . 연구 결과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 한 7개 큰 굴뚝의 퍼블릭 아트는 완전히 보존된 산업역사 건물과 어울린다. 그중 , 환경성 , 공공성 , 상징성 , 예술성 , 역사성이 명확한 구현을 갖추고 있으며 단지의 역사적 상징물로 서 보존 가치와 식별가능성이 높아 일반 퍼블릭 아트의 체험기능을 더하지 않아도 된다. 지역 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 중 퍼블릭 아트의 예술성, 환경성 ,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고 환경성도 중간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 역사성이 높지 않고 , 상호 작용성이 약하다.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한 퍼블릭 아트는 역사 유적 퍼블릭 아트로 산업유산과 도자기 요소로 대중들의 시공간과 소통을 형성하면서 대중에게 정신적 공감을 전달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으며, 지역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는 도계천에 새로운 예술적 정취를 부여하였으나 새로운 아이덴티티는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중심어 :∣퍼블릭 아트∣역사 문화 장소∣아이덴티티∣특성 ∣징더전 ∣

Abstract This study takes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in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the public ar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 s ix evaluation factors that shape spatial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were drawn: Environmental characteri sti cs, publi c characteristics; Symbolic characteristics; Artistic

characteristics ;.Hi stori cal characteristics; Interactivity.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 s of Taoxichuan public art in Jingdezhen was analyzed and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 public art " of seven large chi mneys is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structure of the industry. Among them, environmental, public characteristi cs, symbolic, artistic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ia park have a high degree of preservation value and can be recognized as the historical landmark of the park. In the new public art, the artistic quality of public art, the environment, and the public characteristi c of public art, are also at a moderate level, but it is comparatively weak . Public art recreated as an industrial heritage has formed an identity that can communicate spiritual sympathy to the public by forming a time-space communication between the public with historical relics and ceramic elements, and the new public art for local rehabilitation has given new artistic flavor to the city, but the new identity has not been shown. ■ keyword :∣Public Art∣Historical and Cultural Regions∣ Characteristics∣ JingDeZhen∣

접수일자 : 2019 년 10 월 29 일 수정일자 : 2020 년 01 월 13 일

68

심사완료일 : 2020년 01월 13일 교신저자 : 윤지영 , e-mail : klismos@gdsu.dongseo.ac.kr


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 Vol. 20 No. 2

I.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도시들도 그들이 갖는 여 러 가지 도시 문제와 변화하는 현대 사회 발전에 맞추 어 어떻게 도시 공공 공간을 조정하고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 나갈까 고민하고 있다. 이미 많은 도시들이 1960년대부터 도시 계획에 따라 공공 공간과 공공 디 자인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 선진 도시들의 도시 계획 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흔적을 그대로 보존하면 서 변화하고 있고 이들 도시들의 공공 공간은 그 자체 로 훌륭한 상품이 되어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1]. 또한 도시 문화는 모든 시민들이 장기적 인 삶과 생산 실천에서 함께 만들어 내는 물질과 정신 적 재부이며, 그 내포와 외연의 차이성은 예술의 창작 에 강력한 요소를 제공한다. 1974년 NEA (국가환경국)가 규정한 이후부터, 퍼블 릭 아트 작품과 환경간의 문제는 불가분한 문제가 되었 다[2]. 퍼블릭 아트는 도시문화의 중요한 매개체의 하나 로 도시계획과 건축설계를 결합하여 도시 전체의 이미 지 조성을 도입하고, 도시의 공공공간과 환경 조성에 퍼블릭 아트이 개입하여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3]. 퍼블릭 아트는 스타일과 품질 측면에서 계속 발전하 였고, 대중들에게 심미적 즐거움을 가져다주었다. 조나 단 보롭스키(Jonathan Borofsky)의 ⌜망치질하는 남 자(Hammering Man)나 헨리 무어(Henry Moore)의 몇몇 작품은 복수로 제작되어 전세계 여러 장소에 설치 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차라리 '장소 지정형 미술 (Site-general Art)' 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합하며 갈 수록 장소지정형 미술이 퍼블릭 아트의 적합한 형태로 평가받고 있다 . 환경의 개선은 퍼블릭 아트로 하여금 세계 곳곳으로 나아가게 하였지만, 여전히 조잡한 품질 의 퍼블릭 아트가 존재하며, 퍼블릭 아트와 장소의 의 미 사이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징더전(景德镇) 시는 도자기 산 업으로 중외에 유명한 천년 고성이며 장시(江西)성 중 요한 여행 및 산업 도시이다. 징더전의 도자기 산업은

부 주도 도자기 공장) 중 하나이기도 한다. 또한 이는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전국의 24개 역사문화 명소 및 대외 개방지역이기도 한다. 징더전 시 도계천의 전신이 었던 국가 소유의 우주 도자기 공장은 중국 최초의 산 업유산 중 하나로 공인받았다 . 개조된 후의 도계천은 중국 최초의 도자기 문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 레저 테 마파크“China 팡”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 2017년 11 월, 도계천 박물관은 유네스코 아태 문화유산 보호 부 문 ‘혁신상’ 을 수상하였다[4]. 도계천의 역사 발전의 지표적인 것을 보여주는 일곱 개의 큰 굴뚝들이 새롭게 복원된 후 퍼블릭 아트의 형 태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고 도시의 역사 적 기억을 지닌 기계장비와 새로운 퍼블릭 아트를 설치 하여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가 점차 대중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징더전이라는 역사문화 도시의 퍼블릭 아트를 대표하며, 도시의 문화적 축소판 으로 되어 연구할 가치가 있다. 퍼블릭 아트는 그 시대 의 사회, 정치, 문화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공공 의 설치 미술은 긴장을 완화시키고 효과적으로 메시지 를 전달할 수 있는 매체가 될 수 있으며 도시 정신문명 을 조소(塑造)하고 문화적인 품격을 향상시키고 도시 재생을 위한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도계천에는 도자기 산업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예술적 시설들이 남아 있으며, 2012년에는 입구 상징 조형물로 도계천의 장소성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도자기 문화를 대표하는 징더전 시 도계천을 대상으로 하여 퍼블릭 아트의 현황을 파악하 고 도계천의 역사 문화적 특성과 퍼블릭 아트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퍼블릭 아트는 회화나 조각, 조형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조형적인 설치 작품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된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 호작용성의 관점에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표현 특성 과 아이덴티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문화 장소 에서의 퍼블릭 아트의 표현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역사 문화 요소에 개입하여, 지역 정체성을 표출할 수 있는 가를 고찰함으로서 퍼블릭 아트가 지닌 의미와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중국 역사상 8대 관요(정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69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2. 아이덴티티와 장소성의 개념 아이덴티티( Identity )라는 말은 프로이드로부터 시

첫째, 문헌 고찰로 퍼블릭 아트의 개념, 특성, 구성 요

작하여 에릭슨에 의하여 개념화된 말이다. 원래 라틴어

소 등을 이해하여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또한 선

의 Identicus 에서 유래한 것이며, ‘동일하다는' 뜻에 뿌

행연구를 통해 역사·문화지역의 퍼블릭 아트의 평가요

리를 두고 있다. 그래서 한마디로 표현 한다면 '~는~답

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현장조사와 자료수집으로, 징더

다' 라고 표현 할 수 있다[6].

전시 도계천에서 두달 간 거주하며 퍼블릭 아트 현황을

진정한 도시 정체성은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사성

2012년 지역재생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과 고유한 문화적 특성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 오랜 시

셋째, 징더전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특성을 환경성,

간 축적된 도시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이 도시 디자인의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성의 관점에

기초 뼈대가 되고, 기술과 매체의 발달, 지속 가능한 개

서 분석하였다. 넷째, 평가 결과를 근거로 도계천의 퍼

발 등의 혁신적인 개념과 테크놀노지와 결 합하여보다

블릭 아트의 특성과 지역 문화와의 관련성을 아이덴티

복합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도시 나 특정 지역

티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의 개념을 단순히 지리적, 정치적으로 구 분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과 역사, 문화를 담은 하나의 상품, 나

Ⅱ. 이론적 고찰 1. 역사 문화 장소의 개념 어느 도시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가 있으나, 이러한 광의적 차원의 의미해석은 역사도시와 문화도시의 개 념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마르크스주의는 도시란 인류가 문명 시대에 진입한 시작점이자 주요 상징이라고 주장했다. 도시의 출현은 인류 역사 발전의 필연적인 부분이며, 인류 문명의 시 작에 비교적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도시 발전의 역사 는 인류 역사적 성격과 의미가 가장 풍부하고, 가장 집 중되어 있는 핵심 부분이다. 역사 문화의 명문 도시란 문명의 부가 집결된 곳으로써, 해당 지역에는 역사적 , 문화적 그리고 고차원적인 삼중적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역사문화도시란 역사도시와 문화도시가 융합되어 형성되는 도시라 할 수 있으며, 도시정책과 계획적 측면에서 역사문화도시는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사 적 가치와 문화적 자산의 적극적·창조적 활용을 통 해 궁극적으로는 살기 좋은 도시, 살고 싶은 도시로 도달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측면에서 역사문화도시는 도시가 지닌 역사성뿐 만 아니라 현재성과 미래성을 함께 담보하여야 한 다.[5]

70

아가 공공브랜드의 가치로써 도시의 정체성이 확립된 다[7]. 아이덴티티의 개념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것이다. 하이데거(Martin Heidegger)는 " 우리가 어떤 종류의 존재어디에서, 어떻게 관련을 맺든지 간에, 정체성은 반 드시 생겨나게 된다"라고 설명한다. 케빈 린치 (Kevin Lynch)는 "공간의 정체성은 장소에 개별성을 부여하거 나, 다른 장소와의 차별성 을 제공하며, 독립된 하나의 실체로 인식하게 하는 토대 역할을 한다"고 정의했다 . 도시재생, 지역의 지속가능성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지 역 아이덴티티 형성요소를 분석하여 기여하는 바가 큰 강점을 찾아내고, 유지 보수를 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8]. 장소성은 장소에 의미를 부여받은 상태를 말한다. 즉, 장소는 텅빈 공간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의미를 부여받 아 장소성을 드러내는 것이다[9]. 장소성이란 특정사회 의 구성원들이 집단적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그들 의 생활기반이 되고 장소에 대해 가지는 집단적, 사회 적 의식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장소는 특정 공간과 인 간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물질적, 정신적 영역을 모 두 담아내는 개념으로서 유사 개념인 스페이스(space) 또는 로케이션(location)과는 구별된다.공간을 상징적 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경험 속의 어떤 요소들 즉 대상, 공간, 사건 둥에 대하여 숙고하여 어떤 생각을 정립한 다는 것을 의미 하며이 생각에 어떤 형태를 부여하여


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 Vol. 20 No. 2

최초의 지각적 경험과는 다른 형태로 경험을 밭아들이

거주하고 활동하는 인간의 행위를 통한 장소성을 가지

는 것이다. 이때 결과적으로 얻어진 생각에 지각될 수

기 때문에 설치(installation)의 개념은 이러한 환경의

있는 형태를 부여한 것을 상징이라 부르게 된다. 공간

변화로 인한 작품과 전시 공간의 구성간의 관계를 보여

에서 상징성은 공간의 형태, 재료, 조명, 색등의 공간 구

주는 예이다. 장소의 정체성을 입각한 오브제는 도시

성요소에 의하여 표현 된다 .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공간과 잘 어울리도록 배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

요소외에 표현되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공간은 건축을

브제는 인간의 체험적 속성과 공간의 총합으로 더욱 강

지각하는 중요한 요소인 동에 이를 통하여 사람들은 그

화된다.

건축이 가진 상징을 지각 하며 문화와 분리될 수 없는

대중과 쌍방에 대한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참여하

현실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사회 및 문화의 관련성 에

는 행위 자체를 공간 조형적 관점에서 오브제로 간

서 그 의미와 중요성을 찾아야 한다. 정적인 물리적 환

주한다. 즉, 대중의 행위를 공간속으로 유입, 적극적

경, 활동, 상징적 의미는 장소나 공간의 정체성을 이루

으로 참여시키거나 , 실제 대중의 행위와 대상을 결

는 기본 요소이다. 구성요소들 각각의 비중은 특정 공

합시키고, 작품을 공간 속의 환경으로 즉흥적으로

간의 정체성 정립에 상당히 중요할 수 있다[10].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인간의 참여와 행태의 즉흥성 을 전개로 결과의 우연적 연출을 시도한다[14].

3. 퍼블릭 아트의 개념 및 분석 퍼블릭 아트라는 개념은 근대 이전 건축 및 회화와

5. 선행 연구

조각에 통합되어 있어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김별(2018)의 연구에서는 2000년대부터 경쟁적으로

근대 이후 민주사회의 발전에 따라 건축에서 역할을 구

생겨난 한국의 퍼블릭 아트 특성을 환경성, 능동성, 공

분되면서 퍼블릭 아트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퍼블

공성 , 상징성, 예술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미림

릭 아트의 개념을 간략하게 서술하면 “퍼블릭 아트

(2010)의 연구에서는 퍼블릭 아트 특성을 환경성, 공공

(Public Art)는 공개된 장소에 대중을 위해 설치, 전시

성, 상징성, 예술성, 형태성의 5가지 평가 요소로 분석

되는 작품을 말한다[11]. 기존의 퍼블릭 아트는 공공의

하였다. 장유미(2007)의 연구에서는 퍼블릭 아트의 환

개념을 장소와 관련시켜 작품을 만들고 소통하는데 반

경성, 공공성, 대중성, 기능성의 이행차원으로 분석하였

해, 최근의 새로운 개념으로서의 퍼블릭 아트는 장소를

다. 송천(2019)의 연구에서는 퍼블릭 아트의 공공 공

물리적 장소로 보지 않고 사회적 · 문화적 · 정치적 소

간, 대중 참여, 지속가능성, 지역 문화 및 역사, 사회책

통의 공간으로 간주하며, 그런 의미에 맞는 작품으로

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고우진(2016)의 연구에서는

지역 공동체와 관람객의 참여, 일시적 작업 등을 제안

퍼블릭 아트과 도시공공공간의 장소성의 정신을 분석

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12]. 환경 미술, 환경 조형

하였고, 저우슈메이(2013)의 연구에서는 퍼블릭 아트

미술의 개념을 가진 퍼블릭 아트는 현대 도시 공간 안

특성을 장소성, 공공성, 다원성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팎에서 볼 수 있는 작품들이며 그 작품들은 그 자체로

유보옥(2008)의 연구에서는 징더전 퍼블릭 아트의 지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기능적으

역성과 공공성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맹쥐안쥐안

로 볼 때 퍼블릭 아트의 가치는 도시의 시민들에게 쾌

(2018)의 연구에서는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상징성, 공

적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심미적 측면과, 지역의 문화와

공성, 지역화와 스마트화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역사적 특성을 제고하는 상징적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문헌 고찰과 선행 논문을 통해 퍼블릭 아트 특성을

있다. 이러한 기본적 기능 이외에도 예술과 삶의 일치

평가하기 위해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를 통한 소통의 기능이 요구된다[13].

형태성, 능동성, 장소성, 다원성, 지역성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 [표 1]와 같다.

4. 퍼블릭 아트과 인간의 상호 작용 공공 공간은 공간 그 자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71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표 1. 퍼블릭 아트 특성 분석을 위한 평가요소 선행 연구

환 경 성

공 공 성

김소라 (200 9)

김별 (201 8)

이미림 (201 0)

장유미 (200 7)

송천 (201 9)

능 동 성

맹쥐안 (201 8)

예 술 성

■ ■

형 태 성

다 원 성

■ ■

8

2

5

역 사 성

표 2. 퍼블릭 아트 분석의 틀 종류

개념

환경성

퍼블릭 아트는 작품 그 자체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공간적 관계성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퍼블릭 아트와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의 관계를 말한다.

공공성

도시 공간에서 퍼블릭 아트의 특징은 대중과의 관계이다. 과거의 위압적이고 기념비적인 위치로 설치되었던 퍼블릭 아트 작품은 현 대에는 대중을 감상 주체로서 고려하여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 다.

상징성

공공 공간속에 놓여진 작품은 시각적 인상을 단순화하여 랜드마크 나 공간의 지표 등으로 상징되고 이러한 효과는 공간의 성격을 분 명하게 하고 작품의 존재감을 갖게 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시킨다.

예술성

구체적인 주제 분석에 의한 작가의 개념은 기존 작품들과는 달리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 전개가 필요하다. 면 , 표면, 볼륨, 양감, 색채, 비례 등 기본적 요소들의 질서와 혁신의 관계가 시각적 미적 효과를 나타난다.

역사성

작품이 설치될 장소의 역사와 특징. 공간에 대한 창조적 해석을 통 한 정확한 의미 전달 , 지역 역사 문화의 특징을 구현한다 .

상호 작용성

환경과 작품, 작품과 관람자, 관람자와 관람자 간의 행위, 감정 등 에서 일이나는 상호작용으로 사회적, 정시적 차원에 창조성을 중대 시킨다.

■ ■

지 역 성

저슈메 (201 8)

상 징 성 ■

고우진 (201 6)

유보옥 (200 8)

장 소 성

2

6

3

5

6. 퍼블릭 아트의 사례 분석 5

4

1

1

[표 1]를 통해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역사성, 예술 성이 논문 연구에서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능동적 출현 횟수는 많지 않지만 최근 2년간 연구 논문에서 나타난 특성으로 인해 발전 추세를 보인 다.

세계적으로 도시 현대화의 발전과 새로운 도시 공간 의 출현에 따라, 정신문화에 대한 대중의 필요와 도시 민주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이것은 퍼블릭 아트의 역사적 전개와 급속한 발전을 강력하게 추진한다. 퍼블릭 아트의 유형도 점차 영웅과 미덕을 기리는 기념적인 조각에서 대중적 참여도가 높은 유머 나 새로운 예술적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작품 사례 선정은 작품이나 작가가 수상을 한 경우 또는 전 문서적이나 학술연구에서 우수사례로 언급된 경우 선 정하였다. Florentijin Hofman의 레버 덕은 2007년 프랑스를 시작으로

전세계

각지에

전시되었고,

Lawrence Argent의 big blue bear은 중국사회과학 원 등의 사이트에서 소개되었으며, Anish Kapoor의 Cloud Gate, Jaume Plensa의 Crown Fountain, Calder의 Flamingo, Antony Gormley의 the angle of the North 등은 우수 조형물로 수상을 하였으며, 퍼블릭 아트에 관한 논문 및 전문지에서 수차례 소개되 었다. 그림 1. 퍼블릭 아트의 평가 요소 도출 과정

퍼블릭 아트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평가 요 소를 [그림 1]과 같이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개념은 [표 2]와 같다.

72

현재 외국의 대표적인 퍼블릭 아트의 사례분석을 통 해 퍼블릭 아트는 우선 독특한 조형으로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고, 현장 환경과 주변건축의 스타일에 따라 색채, 소재, 표현 형태를 표현함으로써 공간적 상징성을 지닌 조형물을 형성하여야 한다. 있다. 또한, 퍼블릭 아트는


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 Vol. 20 No. 2

표 3. 퍼블릭 아트 사례 분석

1

명칭

러버 덕

년대

201 3

저자

Florentijin H ofman

명칭

Big Blue Bear

2 년대 저자

Lawrence Argent

명칭

Cloud G ate

3 년대

4

200 5

200 4

저자

Anish K apoor

명칭

Maman

년대

199 9

저자

Louise Bourgeois

명칭

Crown Fount ain

5 년대

200 4

저자

Jaume Plens a

명칭

the angle of the N orth

6 년대

저자

199 8

Ant ony Gormley

러버덕 프로젝트는 국경과 경계도, 어떤 정치적 의도를 가 지고 있지 않는다. 러버덕은 크고 귀여운 것이 특징으로 공공 공간 전체를 차지하여 환경과 상충되면서 사회적인 의미를 지닌다 . ' 즐거움을 전세계에 퍼트리다(Spreading joy around the world)'라는 개념으로 2007년부터 세계 곳곳에 설치되었다. 말 그대로 어릴 적 욕조에 띄워 놀던 고무 오리를 거대하게 만들어 강이나 호수에 띄워 유희성 을 부여하였다. 유희성/ 환경성

네덜란드의 설치 미술가인 플로렌타인 호프만이 제작한 대형 고무 오리 조형물이다. 이 작품은 장난감을 거대화한 것으로 200여 개가 넘는 폴 리염화비닐 (PVC)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들었다 . 러버 덕은 지상과 사슬로 연결된 폰툰 위에 설 치하여 관람객이 볼 때 마치 물에 떠 있는 것처 럼 보인다.

특 성 분 석

40 피트 높이에서 빅 블루 베어는 공식적으로 "나는 당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Lawrence Argent의 예술가들에 의 해 디자인되었다. 미국 덴버 컨벤션 센터의 가 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퍼블릭 아트가 파랗게 된 것은 실제로 사고였다 . A원래 더 부드러운 색감으로 계획된 것이 실수로 디자인이 청색 특 으로 되었지만 더 밝은 색으로 그에게 영감을 주었다. 크 성 고 귀여운 커다란 블루베어가 회의 중 일어나는 모든 것을 분 엿보도록 돕는 작품이다. 러버덕과 마찬가지로 환경과 충 석 돌하면서 사회적 의미를 자기면서 유희성도 부여하였다. 유희성/ 환경성

아니쉬 카푸어의 구름문은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의 밀레니엄 공원에 있는 조형물이다 . 이 작품은 새로운 천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 다 . 사진으로만 봐도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높이 10m, 너비 13m, 무게 1 00톤의 초대형 작품이다 . 이런 ' 구름문 '은 형태적 특성 때문에 콩(bean)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특 성 분 석

독특한 외관이다. 이 작품은 스텐인레스의 반사로 주변의 경치와 표면에 주는 영향으로 소통한다는 느낌을 준다. 작 품은 아래가 움푹 패여있는데 그 깊이는 무려 3.7m이다. 이로 인하여 관람객은 조형물을 통과하는 흥미로운 경험 을 할 수 있다. 이런 특징으로 구름문은 관람객과 조형물 이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는 점에서 참여예술적인 작품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예술성과 상호작용성이 있다 . 예술성/ 상호 작용성

마망(Maman)은 루이즈 부르주아의 조각 작품 이다. 거미를 본 따 만든 것으로, 길이 9.27m, 작 너비 8.91m, 높이 10.24m에 달하는 대형 조 품 각품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조각품이다. 32개의 개 대리석알이 들어있는 주머니로 구성되었고 , 복 요 부와 가슴은 비단결의 청동으로 만들어 졌다. 제목은 프랑스어로 엄마라는 뜻이다.

특 성 분 석

부르주아는 1990 년대부터 거대한 거미를 만들어 왔는데 그에게 거미는 곧 엄마 랍니다. 거미는 실을 잣고 직조를 해서 자녀를위한 먹잇감을 구합니다작품의 . 조형도 크지 만 국부적인 부분도 예술성이 뛰어나 어머니의 강대함을 표현하여 강한 상징성을 띠고 있다. 상징성/ 예술성 /상호 작용성

작 품 개 요

작 품 개 요

작 품 개 요

비디오 기술과 설치 미술이 결합 된 현대 미술 의 한 장르이다. 검정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작 넓은 광장과 15m 높이의 쌍둥이 기둥이 양쪽에 품 서 서로를 바라보고 있다. 스크린에서는 시카고 개 시민 1,000여 명의 얼굴이 LED영상을 통해 흘 요 러나오며 , 여름이면 화면 속 입 부분에서 물줄 기가 나온다.

작 품 개 요

1998년 영국 북동부 게이츠헤드 작은 도시에 높이 20미터 , 폭 54미터 , 무게 100톤에 달하는 초대형 조각 <북방의 천사 (Angel of the North)>를 세워 퍼블릭 아트의 아이콘을 만들 었다. 점보제트기 크기에 맞먹는 이 초대형 조 각상은 ‘영국 최고의 퍼블릭 아트 ’라는 평가를 이끌어내며 영국 내 관심을 집중시켰다.

대중성과 예술성을 접목한 이 분수는 다양한 인정종과 연 령대가 공존하는 시카고의 특성을 잘 표현하였다. 관람자 특 와 작품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흥미로운 퍼블릭 아트로 성 시카고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장소 중의 하나로 강한 에 분 술성 , 상호작용성광 유희성이 있다 . 석 유희성/ 예술성 /상호 작용성 /

특 성 분 석

1998년엔 도시의 ‘아이콘’ 을 만든다는 목표로 ‘천사’ 를 세 웠다. 이 조각상은 직립의 거대한 인간형상에 양 팔이 활 짝 펼쳐진 날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통상의 조각 작품이 골조를 내부로 숨기고 있는 것과는 반대로 형상을 구축하 는 조각의 구조 자체가 외부에 표면을 이루고 있다. 작품 을 보러온 사람들이 40만 명을 넘었고 영국의 10대 문화 아이콘으로 선정되었다는 것은 그의 예술 세계가 이미 미 술계라는 한정된 영역을 훨씬 넘어 문화적 기호로 되면서 강한 예술성이 있다. 예술성/ 환경성 /상징성

도시 퍼블릭 공간의 중요한 부분으로 공간을 즐기는 시

객은 조각 아래에서 거닐 수 있어 상호 작용이 분명하

민들에게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 그 중 사례 3는 독특한 외형을 통해 대중에게 강한

전통 퍼블릭 아트의 단순한 장식적 역할에서 벗어나 시

예술적 가치를 부여한다. 사례 4는 생동한 거미 스타일

민과의 상호작용을 형성하여 퍼블릭 아트의 본질적인

을 통해 근면한 어머니의 사심 없는 헌신을 통해 조각

장소적 의미와 사회적 가치를 구현해야 한다.

에 긍정적 에너지의 상징성을 부여하였다. 사례 5의 시

사례 1과 사례 2는 모두 밝은 색과 귀여운 만화 스타

카고 시민 1000개의 얼굴로 구성된 LED 영상 디자인

일을 특징으로 하였다. 재미있는 조형을 통해 대중에게

과 입에서 물이 나오는 파운틴 디자인은 대중과의 상호

즐거움을 전파하고 바쁜 생활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를

작용을 통해 유희성과 작품의 상업적 가치를 부여하였

완화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의미가 있다. 사례 3과, 4는

다. 사례 6은 산업문화의 기념조형물로, 거대한 날개가

금속 소재로 만든 현대적인 감각의 퍼블릭 아트로 방문

달린 금속재질의 천사조형으로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73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아이콘'의 상징성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7

이 물밀듯이 쏟아졌다.

역사적으로 퍼블릭 아트는 대중과 작품, 작품과 장소 사이의 상호 조화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흘러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사회 문제에 적극 개입하여 실질적인 사 회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행동주의 경향을 보인다. 이러 한 참여 중심적인 퍼블릭 아트에서는 ’상호소통이 ‘ 필수 적이다[14]. 또한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거대한 조형 물과 익살스러운 표현 형식을 가진 퍼블릭 아트는 대중 과의 더 많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고 있다. 퍼블릭 아 트는 단순한 미적 오브제가 아니라 참여와 소통의 매개 체의 유기적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 징더전 도자기 전통과 현대의 조형 스타일

오늘날 징더전 도자기 조형물은 크게 2가지 가 있으 며, 전통적인 양식을 따르는 것과 서양의 스타일을 반 영하는 것이다. 전통 도자기 조형물은 징더전에서 뿌리

Ⅲ. 징더전 시 도계천 퍼블릭 아트 현황 1. 징더전 시 도계천 개요 징더전은 쟝시 동북부에 있으며, 황산과 회옥산맥과 판양호 평원의 중간 지역에 있다. 징더전에서 나는 고 령토는 품질이 우수하고, 이는 징더전 도자기 생산에 훌륭한 천연 조건이 되었다 . 징더전은 유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독특한 도자기 문화를 형성하여 도자기의 도 시로 불린다. 여기서 만들어진 도자기는 오늘날까지 이 어지고 있으며 , 품종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품질까지 우수해 해외까지 널리 수출되고 있다. 징더전에 위치한 도계천은 조각 도자기 공장에서 우주 도자기 공장의 변 화되었다. 도계천 문화 산업계의 등장은 징더전의 "새 로운 비즈니스 카드"가 되었다. 1.1 징더전 시 도자기 예술 문화 20세기 징더전의 도자기 예술을 예술적 스타일에서 고찰해보면 몇 가지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20세 기부터 시작되며 이 시기 중국은 여전히 봉건왕조의 통 제를 받았다, 따라서 여러 계급제도와 문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청대 스타일이 계승되고 있어, 질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1930년대에는 사회가 불안하여 도자 기 문화가 융성할 수 없었으며, 유명 장인들의 노력으 로 새로운 스타일이 생겨나고는 있었다. 1950년대부터 70년대는 징더전 도자기 예술이 새로운 기원에 돌입한 시기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새로운 예술 스타일

74

가 깊으며, 우수한 도자기 예술가는 전통문화를 계승하 여 이를 널리 알려 새로운 예술의 출현에 큰 공헌을 했 다. 또 다른 예술가는 여러 국가의 최신 창작 기법을 받 아들이거나, 기존의 방식을 과감히 버려 중국화의 표의 기법과 같이 추상적이고 과감한 도자기 예술품을 선보 였다[15]. 1.2 징더전 시 도계천의 예술 및 퍼블릭 아트 발전 현황 1958년, 징더전 최초로 기계화 생산을 도입한 신형 도자기 기업인 위저우 도자기 공장이 설립되었다. 그러 나 1990년대 이후, 위저우 도자기 공장을 대표로 한 “10대 도자기 공장 ”은 문을 닫기 시작하였다. 2008년 이지역의 재생과 도자기 산업유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징더전 도자기 문화 관광 그룹과 베이징 칭화통헝 기획 및 설계 연구원 산하유산 보호 및 도농 발전 연구 센터, 베이징 화칭안디 건축디자인 유한회사는 합작을 진행 하였다. 해당 프로젝트 총면적은 866.666㎡에 이르고, 핵심지역인 위저우 도자기 공장의 총 건축면적은 18만 제곱미터에 달하며, 1기공사는 12만 제곱미터에 달한 다. 산업 단지 외부는 보존된 오래된 공장의 기존 스타 일에 현대 디자인 요소를 가미하여, 선명한 아날로그적 느낌을 가진 강렬한 대조를 형성한 동시에 전체적으로 신구의 조화로 디자인되었다. 징더전 시 도계천의 퍼블 릭 아트 디자인을 통해 전통문화자원의 전승을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시대에 도입하여 전통문화자원의 활


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 Vol. 20 No. 2

성화 함으로 도시 생활의 질을 향상하는데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2012년 2월부터 기획되기 시작하 였고, 2013년 4월 프로젝트가 착공되었으며, 2015년 10월에 산업단지 업무 경영이 시작되어, 일부 공장이 운영되었다. 그리고 2016년 10월 전면적으로 개방되었 다. 2017년 12월, 국가에서 운영하는 징더전 위저우 도자기 공장은 산업정보화부가 공포한 첫 번째<국가산 업유산 리스트>에 등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해당 프로

그림 3. 도계천 지리적 위치

젝트는 아시아 태평양 문화유산 창의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몇 차례에 걸쳐 징 더전 도계천으로 가서 해당 지역의 퍼블릭 아트 디자인 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4. 징더전 시 도계천 퍼블릭 아트 발전 연도표 시간

내 용

근대 바우하우스 공업 건축의 특징이 뚜렷한 공장 건물과 7 개의 큰 굴 195 8년 뚝은 퍼블릭 아트의 형성을 위한 밑바탕을 제공하고 있지만 다른 퍼블 릭 아트 조형물은 없음 199 0년 공장 건물과 7 개의 큰 굴뚝은 퍼블릭 아트의 형성을 위한 밑바탕을 제 공하고 있지만 다른 퍼블릭 아트 조형물은 없음

그림 4. 도계천 지리적 평면도

201 2년 7 개의 굴뚝 조형물과 건축물, 배경으로 이루어진 퍼블릭 아트 새로운 퍼블릭 아트가 계속 만들어지고 13 개의 퍼블릭 아트가 제작되 201 6년 어 설치되고, 기존의 기계 설비도 새롭게 정비되어 퍼블릭 아트로서 공 공 공간에 배치되었음

표 5. 도계천 퍼블릭 아트 현황분석 명칭

국제 작업실과 박물관, 예술관 등의 지역 활동이 많아지고 예술가가 창 201 9년 조 한 임시 퍼블릭 아트 5 개가 추가되었고, 어떤 것은 배치 된 시간이 비교적 오래되어 작은 공간의 상징적 조형물이 되었음

징더전 위저우 도자기 공장에는 60여년의 역사가 있 으며, 각 시기의 역사 유적, 예를 들어, 오래된 산업 공

날 만들어진 창업 공간, 예술가들의 작업실 그리고 각

· 년대 ;201 2 · 사이즈 : 6 0m · 색채 :쇠녹색 · 재료 :벽돌

조형이 독특한 큰 7개 굴뚝 은 표면 재처리를 거친 효 과로 그 장소의 대표적인 퍼블릭 아트로 되었음

2 입 구 게이트

· 년대 ;201 5 · 사 이 즈( m ): 4.6×1.4×2.4 · 색채 :구릿빛 · 재료 :금속

바우하우스 산업 양식의 퍼 블릭 아트이자 도계천의 대 문으로 조형은 도계천 옛터 의 벽체와 큰 굴뚝의 형상

3 사 자

· 년대 ;201 6 · 사 이 즈( m ): 0.9×1.4×0.5 · 색채 :구릿빛 · 재료 :금속

잔디 휴식 구역에 있는 크 고 작은 두 마리 금속 사자 의 형상 조각

1 굴뚝

종 상업 모델은 도계천에 새로운 인적 역량을 불어넣어 주었다. 여기서 인적 역량에는 현지 사람, 외지인 등이 포함된다. 그들이 창작한 예술 작품과 역사 문화의 상 호 결합은 전체 공간에 또 다른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

현황분석 공장에서 생산 기능에 사용 되는 큰 7개 굴뚝이 독특한 조형 때문에 퍼블릭 아트의 예술의 기초로 되었음

성된 생활 관련 자료가 보존되어 있으며, 과거 도자기 대를 겪은 사람들이 역사의 산증인으로 남아있다. 오늘

사진

· 년대 ; 1958 · 사이즈 : 6 0m · 색채 :쇠녹색 · 재료 :벽돌

장 건축물,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 생산 설비, 당시 작 공장에서 근무하던 4000여명의 근로자를 포함한 그 시

개요

었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75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년대 ;2016 · 사 이즈 ( m) : 2.5×0.8×0.4 · 색채 : 구릿빛 · 재료 : 유리강

텅 빈 광장에 위치한 움직 일 수 있는 두상의 퍼블릭 아트는 성인의 키보다 훨씬 더 커서 시각적 충격을 줌

· 년대 ;2017 · 사이즈(m): · 색채:쇠녹색 · 재료:금속

입구 옆 잔디밭에 위치한 다섯 개의 길이가 다른 다 양한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파이프 조형의 퍼블릭 아트

6 명상

· 년대 ;2017 · 사 이즈 ( m) : 1.1×0.7×0.7 · 색채: 베이지 +브 라운 · 재료 : 도자기

도요 작업실 옆에 있는 이 동 가능한 인물 조형도자기 는 예술품으로 구워지길 기 다리는 듯한 모양

7 이산

· 년대 ;2017 · 사 이즈 ( m) : 2.0×0.9×1.0 · 색채:베이지+브라 운 · 재료:도자기

국제 작업실 근처의 움직일 수 있는 도자기 인물 조각 상으로 방금 출토된 유물 같음

· 년대 ;2017 8 · 사 이즈 ( m) : 공업 4.1×2.1×0.5 스타일조각 · 색채 : 구릿빛 2 · 재료:금속

잔디밭에 자리 잡은 금속 막대의 조형으로, 교차 조 합된 퍼블릭 아트

9 공업 스타일 조각3

· 년대 ;2017 · 사 이즈 ( m) : :1.2×11×1.8 · 색채:쇠녹색 · 재료:금속

원래의 녹슨 모양과 색채를 그대로 간직하면서 잔디밭 에 자리 잡은 기계 장비로 만든 퍼블릭 아트

10 수호자

· 년대 ;2018 · 사 이즈 ( m) : 2.8×0.4×0.4 · 색채:은회색 · 재료:금속

4 It's me

5 공업 스타일 조각1

11 개구리

· 년대 ;2018 · 사 이즈 ( m) : 2.3×0.5×0.9 · 색채:수묵색 · 재료:유리강

9

2018년 퍼블릭 아트[개구리]가 설치되고 2019년에는 지역의 활성화와 더불어 새로운 예술품이 설치될 예정 이다.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는 모두 굴뚝모양의 조형물로 조형이 독특하지만 형태가 단일하다. 지역재 생을 하면서 새룬게 설치된 신 퍼블릭 아트는 10개로 대부분이 조형이 아름답고 감화력이 있지만 수량이 적 고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지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는 산업유산 굴뚝7 개 , 조형물 10개 총 11개가 설치되어있다. 11개 조형 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었다.

Ⅳ. 징더전 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및 아이덴티티 분석 1.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1.1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 특성 분석 [산업유산-굴뚝 ]의 7개 굴뚝의 퍼블릭 아트의 환경

연장된 신장 효과의 캐릭터 인 퍼블릭 아트는 메탈 소 재와 컬러 효과로 작품의 특색을 살려 공간과 대화하 는 듯한 느낌을 줌

미술관 앞에서의 수묵 스타 일의 색채 효과의 개구리와 사람의 마주봄은 인간과 자 연의 대화를 상징함

성,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모두 선명 하게 구현되고 있다. 7개 굴뚝은 전체 공장 건물의 건 축 스타일과 일치하고 도자기 역사적 문화 환경과 호응 함으로 강한 환경성을 나타낸다. 방문자들은 자유롭게 도계천에서 굴뚝을 감상할 수 있어 공공성이 강하다. 굴뚝은 근대의 바우하우스를 기하학적 건축 양식을 완 전히 보존하여 예술성의 구현이 명확하다. 우주 도자기 공장 전승기의 상징으로서 굴뚝은 전체 공간의 상징물 이 된다. 역사적 구현이 선명한 것은 근대적 도자기의 생산 시 설의 산업 흔적을 단지의 역사적 상징물로 하였기에,

1958년에 특색이 뚜렷한 일곱 개의 큰 굴뚝이 퍼블 릭아트의 형성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뿐 다른 퍼블릭 아트는 없었다. 2012년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지역재 생이 이루어지면서 산업용 굴뚝을 조명설치와 함께 도 계천의 상징 조형믈으로 변모시킨다. 2015년에[입구 게이트]를 설치하며서 도계천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다. 2016년 예술가 작품 [IT is me]가 도계천 에 들어가고, [사자]설치되었으며, 2017년에는 공업[스 타일 조각1]등 퍼블릭 아트가 속속 설치되었다. 연이어

76

높은 보존가치와 인지성이 있다. 따라서 일반 퍼블릭 아트 행사나 체험 기능이 없이도 가능하다. 1.2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종합 분석 작품[입구 게이트]와 작품<공업 스타일[조각1], [조각 3]의 환경성, 상징성, 예술성이 선명하게 나타났다. 전 자는 역사성과 상호작용성이 구현되지 않았고 후자의 역사적 구현은 양자가 모두 명확하게 나타났다. 환경성 의 구현이 명확한 것은 도계천 건물 실루엣과 공장 설


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 Vol. 20 No. 2

표 6.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그림

환경성

·굴뚝의 소재 , 색채와 전 체 공장 건물의 건축 스타 일과 일치함 ·굴뚝의 형식와 징더전의 굴뚝 :7개표면 재처리 를 거친 굴뚝은 그 장 도자기 역사적 문화 환경 과 호응함 소의 대표적인 퍼블릭 아트로 되었음

공공성

상징성

· 기존 건물의 구조로 이 루어진 붉은 벽돌 재료의 굴뚝 조형물은 시민들에 게 소속감을 주고, 대중을 매료시킴

· 굴뚝은 도자기를 구울 때 생성되는 연기를 배출 하는 장치로 , 큰 것은 6 0m에 달함 · 이는 지역의 특성을 가 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랜 드마크임

예술성

역사성

· 굴뚝은 전통적인 붉 · 굴뚝은 공장의 60여 은 벽돌을 보류하여 년의 역사와 흔적을 보 전체공간의 예술적 가 여줌 치를 향상하였음

· 대중들에게 역사를 기억하게 하고 장소의 상징물로서 방문자와 교류 가능하게 함

· 현대적인 기하학적 조형물로 바우하우스 산업 양식을 표현하지 만 , 지역의 도자기 역 사 문화와는 관련 없음

· 입구 게이트 기능 조 형물은 방문객들을 안 내하여 관람하게 하고, 장소의 상징물로서 방 문자와 교류 가능하게 함

· 심플한 기하 형태와 · 입구 조형물은 도계천의 ·독특하고 또 대문의 입구 · 입구게이트는 대표적인 녹이 쓴 재질로 현대 입구 게이트 : 도계천의 건물 실루엣으로 전체적인 조형물로 방문자들의 관 건축 형식과 굴뚝을 원소 시기 공업 건축의 미 람을 유도함 로 한 디자인임 공간 , 환경과 어우러짐 학적 특징이 선명함 대문으로 조형은 도계 천 옛터의 벽체와 큰 굴뚝의 형상으로 구성 되었음

· 조형물 표면에결이 · 사자 테마의 조각의 형 · 설치 위치가 외진데다 · 디자인 형식 , 표현 주 · 공장 구역의 도자기 없고 사자의 형상이 식, 재질 , 색상이 모두 전 부피가 작아 식별이 쉽지 제, 재질 등은 공장 구역 문화와 아무런 관련이 불명확하여 식별성이 사 자:잔디 휴식 구역 체 환경과 공감할 수 없음 않음 과 관련이 없음 없음 낮음 에 있는 크고 작은 두 마리 금속 사자의 조각 임 · 색채가 건물 색채가 서 로 호응함 ·주제는 전반적인 환경과 it is me:광장에 위치 관련이 크지 않음 한 움직일 수 있는 두 상의 퍼블릭 아트임

· 공장 설비품인 파이프조 형물이 자연 환경과 대조 공업 스타일조각 1:다 를 이룸 ·역사문화 주제를 구현하 섯 개의 길이가 다른 여 인문환경과 어울림 다양한 금속 재질로 만 들어진 파이프 조형의 퍼블릭 아트임

· 박물관의 광장 구역에 위치하고 있어 방문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조 형이 독특하고 크기에 반 문객들을 매료시킬 수 있 음

· 위치가 외져 대중의 접 · 구석 공간에 배치되어 근이 쉽지 않지만 조각의 전체적인 공간 배치의 연 공예와 현대적인 디자인 결성이 부족함 이 산 :움직일 수 있는 은 대중들을 매료시킴 방금 출토된 유물 같은 도자기 조각임

· 간단하고 추상적인 금속 조형물은작품의 테마가 명 공업 스타일조각 2:금 확하지 않아 전체 환경과 속 막대의 조형으로, 공감할 수 없음 교차 조합된 퍼블릭 아 트임

· 단순한 장식물일 뿐, 조형으로 대중을 매료 시킬 수 없으며 공간이 나 방문자와의 교류는 없음

· 금속의 질감이 강하 · 심플하고 모던한 디자 게 표현되어 있으며, · 공장지역의 도자기 · 예술가의 개인적인 스 인 스타일과 공간은 강한 간결한 현대 창작 기 역사문화 테마의 전달 타일 조각으로 방문자 대비를 이루며 높은 식별 법으로 인물의 표정과 작용을 갖추지 못했음 와 교류 가능 력이 갖춤 테마 스타일을 표현하 였음

· 입구 쪽 공공 구역에 있 · 거친 녹 표면금속 파 · 산업단지 시기의 파이 어 접근이 쉽지만 잔디위 이프 조형물은 간결하 프를 디자인 요소로 하였 에 있어 가까운 거리에서 면서도 전형적인 근대 음 참관할 수 없음 산업의 느낌을 가짐

· 도자기 재질의 인물 조 형과 공간 , 자연환경, 도자 · 작업실 구석위치가 약간 기 공간과 인문환경이 잘 외지고 부피가 작아 식별 조화되어 어울림과 대조적 이 쉽지 않음 명 상:이동 가능한 도 인 아름다움이 있음 자기인물임

상호 작용성

· 현대 도자기 생산 형 · 단순한 장식물로 방문 식인 산업 파이프 작품 자들과의 의사소통이 을 통해 현대 공업양식 강하지 않음 을 표현하고 있음

· 예술가 개인의 창작 스 타일로 사고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 도자기재질의 사용으로 공간의 소통을 형성하였지만 공장의 상 징적인 요소를 응용하지 않음

· 도자기 인물조각의 소제공법이 엄격하여 보류할 가치가 있으 며, 인물조 형이 익살 맞아 즐거움을 주며, 색채가 자연스러움

· 조각 인물 전체가 도 · 단순한 장식물일 뿐 자기 재질을 사용하여 방문자들과의 의사소 선명한 도자기 문화의 통이 강하지 않음 역사성이 있음

· 예술가의 개인 창작 스 타일을 대표하지만 도자 기자료의 사용과 공간은 공감을 형성함

· 2미터높이의 소제 도자기 조각으로 공예 성이 강함 . 근육질로 파워풀함을 표현하고, 컬러 효과로 , 연대감 을 표현함

· 조각 인물 전체가 도 자기 재질을 사용하여 선명한 도자기 문화의 역사성이 있음

· 조형물은 식별가능성이 · 간단한 금속 재질의 접 · 금속 나열이 너무 제 약하고 위치가 외져 대중 합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멋대로여서 디자인 의 을 매료시키기 쉽지 않고, 전달하지 못함 도가 명확하지 않음 접근이 쉽지 않음

· 도자기 재질의 정밀한 구현은 공간과 상호 작 용을 일으키지만, 구석 이 외지고 대중과의 상 호 작용성이 강하지 못 함

· 주제가 명확하지 않 · 단순 형물일 뿐, 공 고, 도계천 도자기 역 간이나 방문자와의 교 사문화를 구현하지 못 감은 없음 했음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77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부식 된 기계 장비 과 · 기계설비의 빈티지한 거 산업 시대의 무거운 공장의 낡은 기계 개조 느낌으로 방문자의 관 · 산업 생산 시기의 기계 느낌과 농후한 예술적 로 도계천 전체의 공간 람을 끌지만위치가 외 설비를 퍼블릭 아트 테마 분위기가 서로 융합되 져 대중의 접근이 쉽지 로 하였음 환경과 어울림 공업 스타일조각3:원 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않음 래의 기계 장비로 만 있음 든 퍼블릭 아트임 · 조형이 독특하고 휴 · 인물과 공간 대화하는 식공간에 위치하고 있 현대 예술 양식 표현으로 으며 시간제한이 없이 새롭게 개조된 현대 공간 관람이 원활하여 방문 자들의 발길을 멈추게 수호자:메탈 소재와 과 조화됨 함 컬러 효과로 된 캐릭 터 퍼블릭 아트임 · 수묵의 색채 효과, 사람 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 하는 긍정에너지의 테마 개구리 : 개구리와 사 가 미술관의 예술적 숨결 람이 마주 보면서 인 과 잘 어우러짐 간과 자연이 대화를 상징하는 작품임

· 조형이 독특하고 전 시관 입구의 공공공간 에 위치하고 관람에 시 간제한이 없어 관람이 원활하고 사진찍기에 도 편함

·인간과 개구리 사이의 대화 형태, 수묵 스타일 의 색채 효과에 결합되 어 매우 선명한 시각적 느낌을 주고 있음

· 조형 재질과 주제 모두기 지역의 도자기 역사문화와 관련이 없으며 짙은 지역특 색이 없음

· 단순 예술 조형물로 서 방문자들과의 의 사소통이 강하지 않 음

· 사람과 개구리의 귀 여운 자태는 방문자 의 사진 촬영을 유도 할 수 있으며 ,사람들 에게 즐거움, 편안함 과 미적느낌을 줌

비인 배관 그리고 기계 장비의 조형물은 모두 전체 공

의 요구가 엄격하기에 보존 가치가 있다. 공공성 구현

간 환경과 어우러져 있기 때문이다. 공공성의 구현이

은 보통이라고 하는 것은 작품이 작업실 한 구석에 위

명확한 것은 시간제한이 없이 공간 진입이 가능하기 때

치해 있어가 약간 외진데다가 몸집이 작아 인지기 쉽지

문이다. 그러나 [공업 스타일 조각3]은 위치가 약간 외

않다. 상징성과 상호작용성이 구현되지 않은 것은 작품

지고 공공성 구현이 부족해 보이며 작품 [입구 게이트]

이 예술가 개인의 창작 스타일 나타내는 것으로 어떤

는 단지의 대표적인 건축형식과 굴뚝을 디자인 요소로

사고 상태를 표현하지만 공장 구역의 어떠한 상징적인

상징적 구현이 뚜렷하지만 현대적인 간단한 기하학적

요소도 응용하지 않았다.

조형물은 바우하우스 스타일의 근대 산업 양식이기는

작품 [수호자]와 [개구리], [It is me]는 같은 작가의

하나 지역의 도자기 역사문화와 관련성이 없기 때문에

작품이다. 앞의 두 작품은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

역사성의 구현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성이 비교적 뚜렷하게 구현되었다. 메탈 소재의 현대적

작품[사자] 와 [공업 스타일 조각2]은 방문자들이 자

느낌의 [수호자]는 인물과 공간의 대화로 현대적 탈바

유롭게 관람할 수는 있지만, 외진 위치와 조각품의 양

꿈한 공간과 잘 어우러졌다. 미술관 입구에 설치된 [개

이 적어 식별이 쉽지 않으므로 공공성의 구현은 보통이

구리]는 수묵 색채 효과로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긍

다. 환경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성이 모두

정적 에너지 테마로 미술관의 운치와 잘 조화되어 있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사자의 주제와 조형

다. 두 작품은 각각 휴식공간과, 미술관 입구에 위치해

이 불분명한 조각들이 전반적인 환경과 공감할 수 없고

모두 쉽게 관람할 수 있는 구역으로 공공성을 부여하였

형식이나 표현 주제, 재질 등에서 공장이나 도자기 문

다. 늘어진 캐릭터 디자인과 메탈 소재의 사용하여 현

화와도 아무런 관련이 없기 때문에 상징성이나 역사성

대적인 느낌을 표현하고 개구리는 수묵 스타일의 컬러

이 없기 때문이다.

효과를 통해 사람과 개구리의 대화적인 장면을 연출해

작품[명상]과 [이산]은 예술성, 역사성 구현이 명확하 다. 도자기 재질의 인물조형과 공간의 자연환경, 도자기

78

· 과거의 정밀하고 내구성 좋은 , 도태된 기기를 경관 · 역사적 기억을 가진 표지물로 재활용하고 현대 조형물로서 방문자와 디자인과 결합하여 산업 정 공간 교류가 가능함 신을 구현하는 동시에 역사 적 기억을 환기시키고 있음

· 조각의 현대적인 느낌이 매우 강렬하게 표현되고 있 · 예술가의 개인적인 스 · 과장된 늘씬한 인물 으며 , 색채와 소재의 배합 타일을 대표하는 작품으 조각 형태의 변형, 시각 은 공간의 표현력을 크게 로, 자아 사고 상태를 표 적으로 매우 생동한 느 높여 주고 있다. 하지만 지 현함 낌을 주고 있음 역적 특색의 표현 측면에서 는 여전히 부족한 면이 있 음

· 예술가의 개인적인 스 타일을 대표하는 작품으 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 운 공존을 상징하며 공간 과 공감을 형성함

11

예술성을 부여하였지만 역사성과 상호작용성은 구현되 지 않았다.

소제공간의 인문환경이 잘 어우른다. [명상]의 환경성

[It is me]작품의 경우 , 검붉은 계열 유리의 색채가

의 구현은 뛰어나지만, [이산]의 위치는 외진데다가 부

바로 인접한 박물관의 붉은 벽돌과 서로 호응하여 조화

피가 작아, 식별이 쉽지 않아 환경성 구현이 보통이다.

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작퓸의 주제가 전체 환경과 관

두 작품은 모두 도자기 인물 조각으로, 소제 공정 기법

련이 크지 않고 예술가의 개인적인 스타일의 독특한 표


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 Vol. 20 No. 2

현 형식으로, 공장 구역의 어떠한 상징적 요소도 나타

품(산업유산-굴뚝, 입구 게이트, 공업 스타일 조각1,공

내고 있지 않아 환경성과 상징성 구현이 적절하지 않은

업 스타일 조각3)은 주제와 전체적인 환경과 잘 어울리

편이다. 또한 세 작품은 모두 조형물로 소재와 주제가

고, 일부 작품(명상, 수호자, 개구리)은 재질과 창작수법

도계천의 도자기 역사문화와는 관련이 없다.

이 환경과 잘 어울려 환경성이 강하다. 일부 작품(산업 유산-굴뚝 등)에서는 상징적인 표현이 뚜렷하지만 일부

표 7.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 특성 종합 분석 명칭

종합 분석

굴뚝

기존의 건물 구조인 붉은 벽돌 재료를 바탕으로 개조되어, 식별 가능성과 예술성을 지니고 있으며, 대중에게 역사적 기억을 주 면서 전체적인 공간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입구 게이트

현대적인 디자인 기법은과 전통적인 산업 형태가 조화로운 대 조를 이루었지만 역사적 요소를 충분히 나타내지는 못했다.

사자

기존의 건축적 특징과 문화적 요소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했고, 위치가 외지고 식별력이 낮다.

I T is me

현대적이고 심플한 디자인은 공간과 강하게 대비되어, 식별가 능성이 있고, 색채는도 환경과 융합되어 있지만 역사적 특성은 구현되지 않았다.

산업유산 파이프 디자인풍격은 복고적 예술 감을 표현하고 환 공업 스타일 조 경과 어울리지만 역사적 구현은 명확하지 않다 . 그리고 잔디에 각1 위치하여 가까이서 관람할 수 없다.

작품(IT is me)에서는 주제가 명확하지 않아 상징성이 약하며 일부 작품(사자, 명상, 이 산,공업 스타일 조각2) 은 상징성이 없으므로 전체적으로 상징성이 부족하다. 일부 작품(사자, 수호자, 개구리)은 조형적으로 새로운 디자인 감각이 있지만, 주제가 도자기 역사문화와는 관 련이 없어 역사성과 상호 작용성이 약하다. 대중이 공 공조형물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대중들이 감동을 느낄 수 있어야 하는 동시에 즐거움과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명상

2미터 높이의 현대적인 디자인 스타일의 인물 조각은 비록 위 치가 외진 곳에 있지만 전통 공예를 통해 예술의 독특함을 보여 준다.

2.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아이덴티티 분석

이 산

작품은 도자기 문화를 표현하지만 너무 현대적이고 공간과의 역사적 연관성이 크지 않으며, 외진 위치 때문에 관람객들의 시 선을 끌지 못한다.

퍼블릭 아트와 지역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로 도계

높이 솟은 대형 굴뚝 등 산업유산 보존으로 재탄생한

창의성과 미적 감각이 부족하고, 주제가 명확하지 않으며, 상징 공업 스타일 조 성이 부족하여 대중과 공감할 수 없으며, 환경과 융합되지 않는 각2 다.

천의 퍼블릭 아트 이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징

원래의 기계 설비를 기반으로 개조하여 식별가능성과 예술성을 공업 스타일 조 갖추고 대중의 역사적 기억을 심어주며 전반적인 환경과 조화 각3 를 이루지만 위치가 약간 외지다.

산 퍼블릭 아트와 지역 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아트 작

수호자

독특한 조형은 작품에 예술성을 부여하고 환경과 융합하지만, 지역 문화의 독특성은 구현되지 않아 대중과의 시너지는 가능 하지만 강력하지는 않다.

개구리

전체 공간의 품격과 대중과의 시너지를 높였지만 지역 문화의 독특함을 나타내지 못했다.

더전시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를 연구대상으로 산업 유 품의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상호작용 성의 여섯 가지 특성과 연계하여 그 아이덴티티를 분석 하였다. 환경성의 측면에서 보면 환경성은 44로 중상 수준으 로 나타났다. 그 중 두 작품은 배치 위치가 전체 공간

도계천 퍼블릭 아트 작품에 대한 분석을 총괄해 보면 작품[공업 스타일 조각1]이 환경성, 상징성, 예술성, 역 사성 상호작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공업 스타일 조각2]이며, [입구 게이트], [수호자]와 [개 구리] 세 작품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 중 예술성이 가 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공공성, 환경성 상징성, 역 사성 순으로 나타났 으며 상호 작용성이 가장 낮았다. 공업 건축과 도자기 요소를 결합하여 다양한 예술 형식 의 구현하므로 예술성이 잘 부여되었다. 대부분의 퍼블 릭 아트가 장식기능과 심미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중들 이 쉽게 접근하여 감상하고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진 입이 자유로워 공공성 강하다. 퍼블릭 아트가 일부 작

배치와 일관되지 않아 환경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작품 [사자]와 [공업 스타일 조각2]는 주제가 명확하지 않거 나 전반적인 환경과 관련이 없다. 공공성의 측면에서 보면 모든 퍼블릭 아트는 도계천의 공공공간에 있어 수 시로 관람할 수 있다. 그러나 다섯 점의 작품 위치가 좀 외져 눈에 잘 띄지 않았다. 상징성의 측면에서 보면 상 징성은 환경성보다 약하지만, 그 중 여섯 점의 작품은 상징성이 높다. [입구 게이트]는 도계천 건축의 실루엣 을 기반으로 디자인 되어 도계천의 상징적인 건물이 되 었고, [수호자]는 예술가 개인의 창작 스타일로 대중들 에게 긍정에너지로 상징성을 전달하지만 여섯 점의 작 품은 상징성이 없거나 강하지 않다. 예술성의 측면에서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79


역사문화지구의 퍼블릭 아트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과 아이덴티티 연구 - 징더전 시 도계천을 중심으로 -

13

보면 가장 높게 평가할 수 있는데, 작품의 재질은 금속,

의 퍼블릭 아트와 지역재생을 위한 신아트 두 가지 형

도자기에서부터 유리강까지, 스타일은 공업적인 스타일

식에 대해 퍼블릭 아트의 여섯 가지 특성으로 아이덴티

에서 예술가의 개인적인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

티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게 디자인되었다. 역사성의 측면에서 보면 역사성은 약

첫째, 도계천 퍼블릭 아트의 특성에 대한 결론은 다

하게 나타났는데, 단 여섯 점의 작품만 도자기 역사문

음과 같다.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 한 7개 큰 굴뚝의 퍼

화에 대해 강하게 구현되었다. 상호작용성의 측면에서

블릭 아트는 완전히 보존된 산업역사 건물과 어울린다.

보면 상호작용성은 거의 구현되지 않았다. 도계천의 퍼

그중,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이 명확한

블릭 아트는 단순한 장식물로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인

구현을 갖추고 있으며 단지의 역사적 상징물로서 보존

터페이스는 거의 없어 21세기의 퍼블릭 아트가 지향하

가치와 식별가능성이 높아 일반 퍼블릭 아트의 행사나

는 상호작용성의 즐거움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체험기능을 더하지 않아도 된다. 지역 재생을 위한 신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의 아이덴티티 분석을 통하여

퍼블릭 아트 중 퍼블릭 아트의 예술성, 환경성, 공공성

역사 유적으로의 퍼블릭 아트는 역사문화를 표현하는

이 높게 나타났고 환경성도 중간 수준을 보이고 있지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고, 지역 재생을 위한 신 퍼블릭

만, 역사성이 높지 않고, 상호 작용성이 약하다.

아트는 공간과 잘 어우러져 다원문화를 형성하면서 대 중과 공간의 상호 소통을 하면서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둘째, 퍼블릭 아트의 여섯 가지 특성에 대한 아이덴 티티를 분석한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형성하였다. 도계천의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는

산업 유산물로 재탄생한 퍼블릭 아트는 역사유적 퍼

환경성 공공성, 상징성, 예술성, 역사성 등 여섯 가지에

블릭 아트로 산업유산과 도자기 요소로 대중들의 시공

대한 지역 아이덴티티를 확실하게 표현하였다. 높이 솟

간적 소통을 형성하면서 대중에게 정신적 공감을 전달

은 굴뚝은 20세기 중반 바우하우스 형태의 공장 건물

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다. 지역재생을 위해

과 서로 호응하면서 장소와 공간의 차이성을 나타내어

새롭게 설치된 신 퍼블릭 아트는 산업유산으로의 퍼블

공간의 독특함을 부여하였다. 상호작용성이 비교적 약

릭 아트와 같은 역사적 아이덴티티를 지니고 있지는 못

하며 단순히 장소의 상징물로 공간이나 방문자와의 교

하였으며,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한 예술성

감이 없다. 지역재생을 위해 새롭게 설치된 신 퍼블릭

과 상호작용성 등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아트는 산업유산으로의 퍼블릭 아트와 같은 역사적 아

[표 3]의 [마망] 대형 거미 조형물은 주변 환경 및 지

이덴티티를 지니고 있지는 못하나 새로운 의미의 장소

역 역사 문화와 관련이 크지 않지만 작가의 상징성적인

성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확립

모성애의 부여와 방문자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점점

할 수는 있다. 그러나 [사자], [공업스타일 조각2]의 경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게 되었고, 미술관 지역의

우 모든 평가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아이덴티티

상징이 되었다. [클라우드 게이트]는 거울처럼 주위의

와 관련해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례라고 판단된다. 따

환경을 비추면서 도시 및 그 지역의 건축과 결합되어

라서 예술성 측면이나 아이덴티티 측면에서 개선되어

도시를 더 인간적으로 만들고, 세계 각지의 관광객과

야 할 필요가 있다. [표 3] [레버 덕]의 사례 1과 2에서

예술가들을 더 많이 도입하면서 지역 전체의 경제와 문

퍼블릭 아트와 마찬가지로 유희적인 디자인 요소를 첨

화 발전을 이끌었다. 작품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이 점

가하거나 [크라운 파운틴]과 같이 상호작용하는 물의

점 더 잦아짐에 따라, 일부 작품들은 점점 공간 환경과

요소를 추가하여 아이덴티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융합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고 새로운 아이덴 티티를 형성한다.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인간과 인간사이의 실천적 행

Ⅴ. 결론 본 연구는 도계천의 퍼블릭 아트인 산업유산으로서

80

위로서의 참여성, 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인간과 공간과 의 관계인 장소성 , 그리고 인간을 예술의 주체로 부각 시켜야 하며 나아가 예술의 생산자로 직접 참여하는 것


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 Vol. 20 No. 2

을 모색하게 하는 조형성의 조화로운 관계가 드러나게

관한

해야 한다.

No.5, p.175, 1997.

역사문화지구를 중심으로 한 퍼블릭 아트는 재료, 색 채, 형태 등의 연속으로 내재된 문화특성을 표현하지만 현대 퍼블릭 아트는 퍼블릭 아트의 사회적 가치와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 과의 상호관계성을 구축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시 공간의 퍼블릭 아트는 문화적 가치와 삶의 질적 향상을 부여하여 문화 마케팅으로서 의 역할을 도모해야 한다. 퍼블릭 아트는 사람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참여적 작품으로 지향해야 한다.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개

연구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

Vol.32,

[10]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사학위논문 , p.13, 2013. [11] Malcolm Miles, 박삼철, 미술, 공간, 도시 : 공공

미술과 도시의 미래, 단행본( 다권본), 서울: 학고 재, p.2, 2000. [12] 유현정 , 공공미술을 위한 인터렉티브 아트 표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 미디어 학부, 석사학 위논문, p.2, 2000. [13] 심현섭 , 상호소통 과 공동체적 방법론에 의한 공

공미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 사학위논문, p.6, 2016.

입을 통한 소통과 교감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며

[14] 이미림 , 도시 공간에서의 인간과 공공미술의 유

미적 정서를 고취시키고 퍼블릭 아트로써의 정체성을

기적 관계 연구 - 시카고 공공미술 작품 사례 중심

확보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퍼블릭 아트가 공동체에 참여하고 대화하는 것이 바로 퍼블릭 아트의 시대적 역 할이자 궁극적인 가치이다.

[1] 윤정영, 우리나라 도시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국가별 비교와 서울특별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争力, Vol.25, No.6, 2018.

저자 소 개

참고 문헌

중앙대학교

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p.4, 2010. [15] 李欣蔚, 张 帆, “浅析景德镇艺术陶瓷的特色与竞,

pp.1-2,

2013.

이 지 엔 화(JianHua Li)

정회원

▪2008년 9월 : 연산대학교 (석사) ▪2018년 3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대학원 환경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2] 安德里亚, 巴尔蒂尼, 论公共艺术的在地性, 文艺理论研 究, 第2期, 2016. [3] 周秀梅, 城市文化视角下公共艺术整体性设计研究, 武汉 大学, 博士论文, 2013. [4] 장징위 , 윤지영, “역사·문화기반 산업유산 지역의 재생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 집, Vol.28 No.3, p.5, 2019. [5]

刘宝玉,

论历史文化名城的公共艺术设计——以景

德镇为例, 景德镇陶瓷大学, 硕士论文, 2008.

<관심분야 > : 도시재생 , 실내디자인, 환경, 문화

윤 지 영 (Ji-Young Yoon)

정회원

▪2001년 3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전공 교수

[6] 김건희, 이규백 , 안도타다오 종교공간에서 정체성

포헨특성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 2015. [7] 윤지영, 도시 디자인, 공공 디자인, p.52, 2011. [8] 김건희, 안도타다오 종교공간에서 정체성 포헨특성 연

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 2015.

<관심분야 > : 도시재생 , 실내디자인, 환경, 문화

[9] 이석환, 황기원, “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81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 Vol.19 No.10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조우단, 서한석(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19.19.10.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il Graphics of Various Airlines and National Branding Correspondence 조우단, 서한석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Zhou Dan(44654431@qq.com), Han-Sok Seo(shs5829@dongseo.ac.kr) 요약 항공 산업의 발전에 따라 항공사의 기업 이미지에 대한 중요성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항공기는 항공사의 기업 이미지를 전달해줄 수 있고 , 또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는 작용도 한다. 국가브랜드 건설을 통해 국가 이미

지 제고를 위한 식별도와 인지도를 얻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자국이나 다른 나라의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항공사가 늘고 있다. 향후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을 통해 국가브랜드 인지도를 더 잘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글로벌 3대 얼라이언스 멤버 사의 꼬리날개 그래픽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픽 요소와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상관성 을 검토하였다 . 첫 번째로 , 이론적 연구를 통해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 개 위주의 그래픽 요소, 전체적인 컬러 요소 , 항공기 동체의 전체적인 장식과 조합 요소를 요약하였다. 두 번째로,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가설을 제시하고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항공기 이용 승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SPSS 회귀 분석 방 법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 각 경제적 상황과 지역문화에서 발전된 꼬리날개 그래픽이 국가브랜드의 인지

도에 미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데이터 분석 결과, 그 상관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꼬리날개 그래 픽 디자인에 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 형식이나 같은 대륙의 유명 국가의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 형식을 참고하여 국가 특유의 요소를 활용하여 꼬리날 개 그래픽 디자인을 한다면 , 이를 통해 국가브랜 드의 인식도를 높일 수 있다. ■ 중심어 :∣국가브랜드 인지도∣꼬리날개 그래픽∣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 ry, ai rcraft painting design also plays the role of transmitting the national image while conveying the individual image of the ai rline. The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the national image can be obtained by building a national brand. As a result, more and more companies are using the national brand image of their own country or other countries to add value

to the company. Objective: To better reflect the national brand recognition for the design of the tai l fin in the future airc raft painting design. Thi s paper mainly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ail graphic elements of ai rcraft painting design and national brand recognition based on the tail graphics of the three major airline alliance members.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relevant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Second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ssengers using the aircraft,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by the S PSS regression analysis method. Conclusion: Data analysis has a strong correlation. ■ keyword :∣National Brand Recognition∣Aircraft Tail Graphic∣

접수일자 : 2019년 06월 25일 수정일자 : 2019년 09월 16일

84

심사완료일 : 2019년 10월 07일

교신저자 : 서한석, e-mail : shs5829@dongseo.ac. kr


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I. 서 론

연구의 주요 목적은 비행기 도장 디자인 영역 중에서도

1. 연구 배경과 목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세계 3대 항공사 얼

국가브랜드의 확립을 통해 국가 이미지에 대한 인지도 를 높일 수 있다. 또 국가브랜드를 확립하면, 이를 이용 해 국가의 대외적인 정보교류를 진행할 수 있고, 국가 이 미지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더욱 강한 감정적 흡인 력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타국으로부터 더욱 뚜 렷한 가치관과 정체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국가브랜드 는 국가 이미지의 동태를 전략적으로 관리한 결과이다. 이는 한 국가가 정치적 마케팅을 바탕으로 국가를 상품 으로 바라보면서 국제적인 홍보방식을 통해 구축한 세계 최고의 “브랜드”이자, 이렇게 구축한 브랜드는 정치적 마 케팅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 알릴 수 있는 “명패”이기도 하다. 국가 이미지는 회사 브랜드와 연관되어 있어 회사

꼬리날개 그래픽의 요소와 국가브랜드의 인지도 사이의 라이언스 (Alliance)에 소속된 각 항공사들을 상징하는 비행기의 꼬리날개 그래픽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 각 항공사가 소속된 국가들을 그들의 경제발전 상황과 지역 을 기준으로 구분한 뒤, 각 경제적 상황과 지역문화에서 발전된 꼬리날개 그래픽이 국가브랜드의 인지도에 미치 고 있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비행기의 도 장 디자인 영역 중에서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 가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보다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 방법과 범위 본연구의 연구범위는 스카이팀(SKY TEAM), 스타 얼

와 정부가 자원으로 사용하는 경쟁 우위의 원천이 될 수

라이언스 (Star Alliance), 원월드(One World) 등 세계

있고 회사의 마케팅 능력이 될 수 있다[1]. 회사의 브랜

3대 얼라이언스에 소속된 항공사의 비행기 도장 디자인

드가 국가 이미지를 사용하여 증강되거나 브랜드 이미지 를 구분할 때, 회사의 브랜드는 국가브랜드의 가치로부 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2]. 이 때문에 자국이나 다른 나 라의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항 공사가 늘고 있다. 항공 산업의 발전에 따라 항공사의 기업 이미지에 대 한 중요성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항공기는 항공사의 기 업 이미지를 전달해줄 수 있고, 또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

으로 한정 하였다. 3개 얼라이언스에 가입한 항공사는 현재 59곳이며, 각 항공사를 대표하는 비행기의 도장 디 자인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우선 현지 조사 와 인터넷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문헌 조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 로 수집한 데이터를 SPSS를 이용해 분석하여 결론을 도 출하였다.

는 작용도 한다. 항공기는 국내 지역 간에 빠른 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운송수단으로서, 국내에도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해외와 연결하게 해주는 매개 수단이기도 하 다. 항공기 꼬리날개 디자인에서 매우 독특한 기호 자원 은 항공사 브랜드가 만들어내는 특징이자, 지방, 국가 이 미지를 전달하는 독특한 책략이다. 각 항공사는 기체의 지위에 대한 그들의 요구를 강화하기 위해 경쟁해 왔고, 많은 국제 항공사들은 지난 몇 년 동안 자신을 재정비 하 여 시장 통제권을 되찾고 영리 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요 글로벌 참여자로서의 이미지도 넓히고 싶어 한다 [3]. 따라서 국가 간의 이동에 있어서 비행기의 도장 디 자인은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한다. 항공기의 도장 디자인은 다양한 요소를 담고 있다. 본

Ⅱ. 이론 연구 1. 국가브랜드 자신만의 브랜드를 지닌 기업과 마찬가지로 국가도 자 신의 브랜드가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각국은 모두 자신 만의 국가브랜드를 지니고 있다. 국가브랜드는 한 국가 가 추상화된 모습으로, 이 국가의 이미지는 바로 국가브 랜드로부터 보인다. 또한, 그와 동시에 한 국가의 국가브 랜드는 상당 수준 자국의 이미지에 다시 영향을 주기도 한다[4]. 국가브랜드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국제 정치 마케팅 학 위 범주에 속하는 서양 학술계에서 가장 먼저 등장했다. 최초의 국가브랜드 이론은 원산지효과(country of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85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origin effect) 이론에서 탄생하였다. 1969년 유명한 마케팅학자 코틀러(kotler)와 심리학 자 레비(levy)는 전통적인 마케팅 원리가 단체, 개인 또 는 관념을 위한 명성을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 시하였다. 이는 국가브랜드 개념의 초기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후 1996년 영국의 시몬 안홀트(Simon Anholt) 는 국가브랜드를 한 국가의 경쟁력 있는 정체성 (competitive identity)이라 이름 붙이며, 이 이론체계 와 방법론을 국가브랜드의 구축과 관리의 방향을 정하는 데 활용하였다.

외부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연구

3

로고타입의 세 가지 측면을 통해 항공기 도장 디자인을 구체적으로 분석 할 수 있다고 본다.

항공기 도장 디자인을 제안하는 구성요소는 총 5부분으로 , 회사 타이포그라피(corp orate 항공사 이미지 차별화 typogra ghy),로고타입(log otype),심 수단으로서의 항공기 김지은 2 002 벌 (symbol) (글자형 심벌 (typographic 외장 디자인에 관한 symbol), 구상적 연구 심벌(descriptivesymbol)), 시그니쳐 (si gnature) ,워드마크(wordmark)로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도장을 디자인하는 부위는 기본적으로 동 체 끝부분의 대형 후미, 그리고 동체의 중간 또는 전면

2. 항공기 도장 디자인 및 구성요소 항공기 도장 디자인은 주로 기체를 미화하고 위장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민항기 분야든 군용기 분야든

부위인데, 그 이유는 이 부위들의 이용 가능 면적이 크고 가시성이 강해 관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주요 위치는 [그림 1]과 같다[6].

항공기 도장은 항공기의 겉옷이라고 할 수 있다[5]. 민간 항공기 중 일부 대형 항공사가 채택한 동체 도장 디자인 은 이 회사의 좋은 이미지를 대변하며, 독특한 기업문화 의 특성을 나타낸다. 선행 연구에 의한 항공기 도장 디자 인 도출 연구 내용은 [표 1]과 같다. 표 1.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선행연구 저자

테마

년도

주요내용

The effect of travelpurp ose and self-imag e J eong congruency on 논문에서는 항공기 도장 디자인이 주로 min preference toward 2 018 색채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Lee 외 airline liv ery designand p erc eived service quality 중국 항공 항공기 도장 디자인에 대한 연구에서 저자는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중국 항공사 기체 구성을 회사고유색(Corporate color), 유 류 도색디자인의 2 018 로고타입(Log otype), 심벌마크(Symbol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mark),시그니쳐(Signature),워드마크 ( word mark)등 5부분으로 본다 .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요소와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주요 부위에 따라, 본 논문은 항공 기 도장 디자인을 주로 세 부분으로 요약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꼬리날개 위주의 패턴, 두 번째 부분은 전체 위주 의 컬러, 세 번째 부분은 항공기 동체의 전체적인 장식과 조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꼬리날개 위주의 패턴 장 식 요소를 분석하는데, 이를 줄여서 꼬리날개 그래픽이

용 진 경

국내외 저비용 항공 항공기 도장 디자인을 저가항공사의 항공기 동체 그래픽디자인 2 016 이미지 , 로고, 컬러, 특징 등 네 가지로 제안 분석했다.

라고 표기하였다.

뤄허

감성 공학과 심리학적 저자는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구성은 시각에서 비행기 도장 2 015 항공사 명칭, 로고와 동체 배치의 세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디자인에 대해 논하다

3. 항공 얼라이언스 세계 3대 항공 얼라이언스란 협력을 이루고 있는 두

중국 해군문화에 장샤오 기초한 함재훈련기 쉬 외관도장디자인

논문에 설명되어 있듯이 현대 민항기 도장 2 014 디자인은 그래픽 스트라이프, 문자, 로고 , 중점 표기로 구성되어 있다.

개 또는 그 이상의 항공사 중 가장 큰 세 개의 항공 연합

심해군 외

논문에서는 항공기 도장 디자인이 주로 2 011 그래픽과 문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라이언스(Star Alliance), 스카이팀(Sky Team), 그리고

비행기와 예술

김현정 저가 항공사의 항공기 2 009

86

그림 1.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주요 위치

저자는 동체장식의 종합적, 색상과

을 말한다. 세계 3대 항공사 얼라이언스는 각각 스타 얼 원월드(one word)이다. 1997년 설립된 스타 얼라이언


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스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본부를 둔 세계 최초의 글로 벌 항공사 컨소시엄이다. 2000년 6월 22일 에어프랑스, 델타항공, 멕시코 국제항공, 대한항공이 공동으로 설립 한 스카이팀(Sky Team)은 암스테르담의 스키폴 국제공 항에 본부를 두고 있다. 원월드(One world)는 1999년 2월 1일 설립된 국제 항공사 컨소시엄으로 미국 뉴욕시 에 본사가 있다.

원월드(Oneworld) logo

설립 년도

본부

1 999년

뉴욕

설립 회사 아메리칸 항공, 영국항공 , 캐세이퍼시픽 항공 ,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원래의 캐나다 항공 (Canadian Airlines, 지금은 Air Canada에 인수되었다 .) 참여 항공사

표 2. 항공 얼라이언스 회원사 스타 얼라이언스 ( Star Alliance) logo

설립 년도

본부

1 997년

프랑크푸르트

설립 회사 노르딕 항공 , 타이 국제 항공 , 캐나다 항공, 루프트한자, 유나이티드항공 참여 항공사

Ⅲ. 설문 조사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기 도장 디자인에서 꼬리날개 그래픽이 국가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단일 변수를 확 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림 2]와 같이 색상을 모두 제거하고 도형을 흑백으로 나타내었다.

그림 2. 꼬리날 개 그래픽

스카이팀( SkyTeam) logo

설립 년도

본부

2 000년

암스테르담

설립 회사 에어프랑스, 델타항공 , 멕시코국제항공, 대한항공 참여 항공사

우선 각 항공사 소속국가의 경제 발전 상황으로 구분 하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으로 나누고, 서로 다른 경제 발전 수준 국가의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의 관계를 연구하며, 경제 발전 상황이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각 항공 사 소속 국가를 지역별로 구분하고 아시아와 유럽을 예 로 들며 , 지역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의 관계를 연구하고, 지역 문화적 특징을 가진 디자인이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87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항공사가 국가를 지표로 삼고 있었다[10]. Wang(2012)

1. 연구 가설 버니

대학(Universität

Bern)과

리즈

대학

(University of Leeds)의 두 전문가 Thur low와 Aiello는 항공사의 꼬리날개 디자인이 뚜렷한 서양 미학 의 특징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디자인은 동질 화를 강화시키는 것이 결코 아니다. 항공사는 전략적으 로 미학과 자신의 장점을 결합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민족적 우월감과 전 세계적 자본을 지니고 있다고 공언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항공 브랜드가 지닌 통용성과 항공 브랜드가 미학을 주도한다는 특징은 여전히 부유한 국가(서양)들의 경제적 우선순위와 그들 의 우세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디자인 논의과정은 계 속해서 선진국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7]. 이러한 선행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H1-1: 선진국의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 픽은 국가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다. 디자인은 예술성과 경제성을 겸비한 실용 예술 형태이 다. 따라서 이러한 디자인과 경제 발전은 자연스러운 내 재적 관계를 맺고 있다. 전반적인 디자인 수준의 향상은 또한 지방산업과 사회경제의 발전을 촉진한다[8]. 중국 강남대학교(中国江南大学) 수홍뢰(过宏雷)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세계화 과정 속의 정보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창조력은 경제 분야의 국제적 경쟁력을 평가하 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 디자인은 바로 이 창조력이 중점 적으로 나타난 모습이라 할 수 있다[9]. 이러한 선행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H1-2: 선진국의 항공기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 픽은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긍정적인 효과 를 낸다. Airline Tail Colors(Hengi,2000)의 책에 실린 항 공사 561곳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을 기반으로 삼아 Hurlow와 Aiello(2007)의 연구를 살펴본 결과, 26%의

88

5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가 상품의 이미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을 때, 해당 국가의 이미지는 상품 이미지를 대신해 상품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데 활용되어, 직접 적으로 구매 의사에 영향을 미친다. 승객이 생소한 항공 사의 도장 디자인을 보게 되었을 때, 국가를 지표로 삼은 꼬리날개 디자인은 직접적으로 해당 국가에 대한 승객의 인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이 생소한 항공사의 도장 디자인을 볼 때, 국가를 지표로 삼 은 꼬리날개 그래픽은 직접적으로 해당 국가에 대한 승 객의 인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H2: 일부 국가의 꼬리날개 그래픽 또한 국가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비록 각 지방, 심지어 가장 최소단위인 마을도 자신의 이미지가 있지만 모든 국가가 국제무대에서 자신에게 해 당하는 이미지를 가진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국가들은 포 장할 상품이 없어 국제 경쟁 시장에서도 매우 불리하다. 엄격하게 말하자면 고작 한 대륙 안에서도 가장 유명한 국가와 가장 유명하지 않은 국가가 통일된 이미지를 쓰 고 있어 국제적 이미지 경쟁이란 무대에 참여하기 어려 운 셈이다. 이러한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경제가 낙후된 지역에 해당한다. 이 현상을 “대륙 원산지효과”라 부를 수 있다[11]. 같은 대륙에 위치한 각 항공사의 도장 디자 인에 대해서도 대륙 원산지효과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H3-1: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같은 대 륙에 속한 유명 항공사의 항공기 도장 디자인 의 꼬리날개 그래픽은 국가브랜드 인지도에 긍 정적인 효과를 낸다. 일본 도쿄예술대학의 오노보리 세이치(尾豋诚一) 교수 는 “20세기 일본의 디자인은 경제의 디자인이고, 21세


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기의 디자인은 문화의 디자인이다.”라고 말하였다. 비행

설문조사의 주요 내용은 항공기 도장 디자인에서의 꼬

기는 현재 여행업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는 수단이자, 승

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잠재적인

객과 목적지의 가장 중요한 접촉점이다. 팽군(彭军,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3대 항공 얼라이언스 멤버사의

2012)에 따르면, 지역 문화는 표시 디자인 창작의 원천

대표 항공기의 꼬리날개 그래픽에 대하여 세 가지 측면

이다. 이는 여행 자체의 문화적 속성을 나타내는 것 외에

에서 문제를 설정했으며, 모두 8그룹의 꼬리날개 그래픽

도, 여행지의 동질화 현상을 깨뜨려 소비자가 더욱 명확

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하게 자신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결정하게 하는 특징 이 있다[12].

설문지의 측정 방법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했으며, 각각의 질문은 “매우 중요하다”, “중요하다”, “불확실하

이러한 선행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이 본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다”, “중요하지 않다”, “매우 중요하지 않다”라는 다섯 가 지 대답이 있고 , 각각 5, 4, 3, 2, 1점으로 기록한다. 표 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응답자들의 일반적인 사항으

H3-2: 지역 문화의 특징을 지닌 꼬리 날개 그래픽은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긍정적인 효과를 낸

로는 성별, 연령, 직업, 월평균 소득, 항공기 사용 횟수가 포함된다.

다.

4. 설문지 디자인

2. 변수 정의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변수 정의와 테스트 문항은 아 래 [표 3]과 같다 .

브랜드 인지도를 대상으로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 인이 국가브랜드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 문헌 고찰을 하 였고, 이를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분석에 활

표 3. 변수 정의 변수명

변수 정의

꼬리날 개 그래픽

테스트 문항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으로 나누어진 항공기 끝의 수직 꼬리날개에 꼬리날 개 그래픽, 국가 표시가 있는 부착된 도장그래픽 꼬리날개 그래픽, 및 지역 문화적 특색을 가진 꼬리날 개 그래픽

국가브랜드에 대한 승객의 국가 브랜드 국가브랜드 친숙도 및 국가 브랜드 친숙함 정도 및 국가적 특색을 인지도 분별도 분별할 수 있는 정도

3. 설문지의 구성 항공사 도장 디자인의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분석 결과 를 참조하여 설문 조사를 잔행 하였다.

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구체적인 조사 설계 내용은 [표 5]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표 5. 구체적인 조사 설계 구분

조사 내용

설문조사 대상

부산 김해국제공항과 중국 베이징 국제공항을 찾는 1 8세 이상 승객

설문조사 방법

대면 설문조사

설문조사 기간

20 19년 4월 13일~30일

표본크기

총 107 부, 유효 설문지수 9 9부 회수

5. 분석 방법 SPSS 분석 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한

표 4. 설문지의 구성 순서

설문 문항과 내용

문항 수

측정 방법

1-1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꼬리날 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1-2

선진국과 꼬리날개 그래픽

1

5점 리커트 척도

2

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3-1

지역 문화적 특색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3-2

같은 대륙에 속한 유명 국가의 항공사 항공기 꼬리날 개 그래픽

2

5점 리커트 척도

통계 분석 방법은 첫째, 표본 분석을 위한 일반적인 특 성, 둘째, 조사 설문지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셋째, 구체적인 가설분석이다.

6. 설문지의 신뢰성과 타당성 설문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문지의 신뢰성과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89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7

타당성을 분석한다. 이번 설문에서 나타난 모든 제목을

0.05보다 현저히 작으며 ,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크론 바흐(Cronbach) 알파 계수로 분석한 결과, α값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가브랜드 인지도에 현저한

=0.698로 상관계수가 0.6보다 커 제목 간 상관성이 높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데이터에 대해 타당성 분석을 한

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브랜드 인지

결과, 모든 데이터가 예상대로 4개 그룹으로 나누어져

도를 분석한 결과, sig 값=0.00, B값=0.653으로, 선진국

구상에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설문은 어

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가브랜드 인지도에 긍정

느 정도의 신뢰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며, 가설 1-1이 검증을 통과한다 . 데이터는 [표 7]과 같다.

Ⅳ. 구체적인 설문지 분석

표 7. 가설 1-1의 구체적인 수치

1. 표본 특성 본 연구에서 수집한 설문지 중 최종 통계 분석에 사용 된 것은 모두 99건이다. 표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 과 여성의 비율은 비슷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가장 많았고 20대와 40대가 뒤를 이었다. 월평균 소득분포는 100만~200만 원이 가장 많았다. 항공기 탑승 횟수는 연 3회 이상이 61.61% 에 이른다.

성별

0.653

SPSS의 독립 샘플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선진국과 개 발도상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전 세계의 꼬리날 개 그래픽 디자인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분산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sig 값=0.05보다 큰 0.058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나타내는 꼬리날개 그

비율

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전 세계의 꼬리날

남성

53

53.5 4

개 그래픽 디자인을 회귀 분석한 결과, sig 값=0.00, B값

46

46.4 6

=1.278로, 선진국의 꼬리날개 도형 디자인이 전 세계의

99

100

18-25 세

22

22.2 2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26-30 세

30

30.3

31-40 세

20

20.2

41-50 세

14

14.1 4

50-60 세

8

8.08

6 0세 이상

증명하며, 가설 1-2에 검증을 통과한다. 데이터는 [표 8] 과 같다. 선진국의 디자인 양식 영향 범위는 이미 글로벌 디자인 양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5

5.05

99

100

사무직

39

39.3 9

학생

0

0

판매직

18

18.1 8

전문직

37

37.3 7

5

5.05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 표시가 없는 꼬리

99

100

날개 그래픽 디자인의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상호 관련성

자영업 합계

2. 구체적인 분석 SPSS의 독립 샘플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선진국과 개 발도상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브랜드 인지 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다. 결과 sig 값=0.00으로

90

B

0.000

여성

합계

직업

Sig

18.433

명한 영향을 미친다. 빈도

합계

연령

t

H1-1

래픽 디자인은 전 세계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분

표 6. 표본 특성 통계 구 분

가설

표 8. 가설 1-2의 구체적인 수치 가설

t

Sig

B

H1-2

15.10 4

0.000

1.278

SPSS의 독립 샘플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국가 표시가

을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sig 값=0.046으로, 0.05보다 작으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의 국가표시 유무가 국 가브랜드 인지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 다. 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 브


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랜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sig 값=0.000, B값=0.556

전 세계적인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회귀 분석

으로, 국가 표시가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가

을 한 결과, sig 값=0.000, B값=0.605로, 지역문화의 특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

징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전 세계의 꼬리날

며, 가설 2가 검증을 통과한다. 데이터는 [표 9]와 같다.

개 그래픽 디자인이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설 3-2 에 검증을 통과한다. 데이터는 [표 11]과 같다.

표 9. 가설 2의 구체적인 수치 가설

t

Sig

B

H2

15.10 4

0.000

0.556

SPSS의 독립 샘플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같은 대륙에

표 11. 가설 3-2의 구체적인 수치 가설

t

Sig

B

H3-2

15.98 5

0.000

0.605

있는 유명한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의 꼬리날개 그래 픽 디자인과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

대다수 승객은 지역문화의 특징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

다.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예로 들자면 . 결과의 분산이

픽 디자인이 향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의 방향에 영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유럽의 sig 값=0.686, 아시아의

향을 미치리라 생각한다. 항공기의 꼬리날 개 그래픽 디

sig 값=0.055로 모두 0.05보다 크며 , 같은 대륙에서 유

자인에서 지역 문화적 특징을 지닌 디자인이 승객들의

명한 국가와 그렇지 않은 나라를 나타내는 꼬리날개 그

사랑을 더 받기도 한다.

래픽 디자인은 국가 브랜드 인지도에 분명한 영향을 미 친다. 같은 대륙의 유명한 국가를 대상으로 한 항공기 꼬리 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국가브랜드 인지도를 분석한 결 과, 유럽의 sig 값=0.000, B값=1.127이고, 아시아의 sig 값=0.000, B값=1.137로, 같은 대륙의 유명한 국가를 증 명하는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국가브랜드 인 지도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가설 3-1이 검증을 통과한다. 데이터는 [표 10]과 같다.

H 3-1

분석에 따르면 선진국의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 인은 국가브랜드 인지도에 비교적 현저한 긍정적인 영향 작용(B=0.653)을 한다. 아울러 선진국 항공기의 꼬리날 개 그래픽 디자인은 전 세계에 대한 꼬리날개 그래픽 디 자인에도 플러스 역할을 한다. 최초의 “디자인”은 서양의 선진국에서 등장했고,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뻗어 나갔다. 예컨대 독일 의 바우하우스(Bauhaus) 사상의 경우 전 세계의 디자인

표 10. 가설 3-1의 구체적인 수치 가설

3. 분석 소결

t

Sig

B

유럽

1 1.965

0.000

1.127

아시아

1 5.879

0.000

1.137

SPSS의 독립 샘플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지역 문화적 특징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과 지역 문화적 특징이 없 는 꼬리날개 그래픽과 전 세계적인 꼬리날개 그래픽 디 자인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한다. 그 결과, sig 값=0.000 으로, 0.05보다 작다. 따라서 지역문화의 특징을 나타내 는 꼬리날개 그래픽과 지역문화의 특징을 띠지 않는 꼬 리날개 그래픽이 전 세계의 꼬리날 개 그래픽 디자인에 분명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 문화적 특징을 가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과

방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비행기의 도장 디자인 역 시 2차 대전 이후 서양에서부터 발전되어왔고, 디자인이 시작된 시점부터 계속해서 서양 선진국에 의해 디자인 규칙이 정해져 왔다. 또한 선진국들은 경제적 역량이 뛰 어나기 때문에 마케팅 방면에서도 거대한 자본을 지니고 있다. 이는 브랜드를 구축하고 그 가치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승객과 더욱 많은 접촉점을 만들었다. 선진국에서 보이는 꼬리날개 디자인의 특징은 주로 추 상적인 도형, 점, 선을 결합하여 움직이는 듯한 감각을 만들어내고, 국가를 상징하는 요소를 그 안에 응용한다 는 데 있다. 선은 유동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동시 에 일부 추상적인 패턴들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며 속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91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도감을 나타낸다. 하늘, 화살표, 줄무늬는 널리 사용되는 디자인으로 이러한 요소가 가져오는 과학적 느낌과 국제 적 감각은 더욱 강렬하다.

9

(B=0.605)을 한다. 지역문화의 특징을 지닌 디자인은 국가의 민족성과 독 특성이 나타난 모습이다. 승객은 유일무이한 꼬리날개 그래픽을 볼 때 해당 항공사가 속한 국가의 브랜드 이미

표 12. 선진국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의 특징

선진국 꼬리날 개 그래픽 디자인

일 수 있다. 이에 디자인은 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그래픽

특징

지도 연상하게 된다. 이로써 국가브랜드의 인지도를 높 하며 자국의 독특한 스타일을 나타내야 한다. 동질화된

주로 추상적인 도형 , 점 , 선을 결합하여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만든다. 하늘, 화살표, 줄무늬는 널리 사용되는 디자인으로, 국가를 상징하는 요소를 그 안에 응용한다.

국가 표시가 있는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은 국가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작용 (B=0.556)을 한다. 국가의 표시는 국가 이미지의 로고와도 같다. 이는 국 가브랜드에 담긴 의미와 브랜드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 러한 요소가 꼬리날개 그래픽에 응용되면 항공사는 국가 브랜드의 효과와 인지도를 빌려 자사의 브랜드 효과와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해당 국가에 대한 승객들의 인지도도 더욱 높아진다. 그러나 거꾸로 국가의 상징 기

사회 속에서 남들과 다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역문화의 특징이 있는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의 특 징은 주로 추상적인 도형을 많이 활용하고, 자국의 고유 요소를 사용한다. 따라서 동식물, 독특한 문양, 풍경 등 디자인이 주는 이국적인 느낌과 포용, 우호적인 느낌이 더욱 강하다. 또한, 매끈한 라인으로 지역적인 특색을 지 닌 패턴을 구성하여 유니크함이 뛰어나다. 표 14. 지역문화적 특징을 갖는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의 특징 지역문화적 특징을 가진 꼬리날 개 그래픽 디자인

호를 지닌 꼬리날개 그래픽이 국가브랜드의 인지도에 미 치는 영향력은 뚜렷하지 않다. 이는 아마도 해당 국가에 대해 승객이 잘 알지 못하거나, 또는 해당 꼬리날개 디자 인에 사용된 요소가 다른 국가와 흡사하여 승객이 분별 하기에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은 향후 연구에서 분석 계획이다. 국가 표시가 있는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의 특징은 주로 추상적인 그래픽을 많이 사용하여 국가 표 시 요소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도형은 식별하기 쉬운 국 기의 원소가 많다.

동식물 , 독특한 문양 , 풍경 등 자국 고유 원소를 사용 추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은 이국적이고 포용적이며 우호적인 느낌을 준다.

한편 같은 대륙에 속한 항공사의 경우, 항공사 간에는 어떠한 유사성이 있을 수 있다. 국가브랜드에 미치는 영 향의 방면에서 살펴보면, 유명한 항공사의 꼬리날개 그 래픽 디자인은 브랜드 인지도에 양적 작용을 하게 된다. 유럽의 국가를 떠올리게 되면 가장 먼저 영국, 독일, 프 랑스와 같은 유명한 국가가 먼저 생각난다. 이러한 선진 국들의 브랜드 이미지의 영향력은 벨기에나 노르웨이와 같은 국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예컨대 독일의 의 로고로 먼저 사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대부분의 국가도 새의 이미지를 본따서 항공사의 로고로 삼고 있 다. 각 국가에 속한 항공사의 꼬리날개 그래픽은 자국의

국기가 표시된 일부 원소의 활용 추상적인 그래픽

지역문화의 특징을 갖는 꼬리날개 그래픽은 전 세계에 대한 꼬리날개 도형 디자인에서 긍정적인 역할

92

특징

루프트한자(Lufthansa)는 추상적으로 그린 새를 항공사

표 13. 국기가 표시된 항공기 꼬리날개 도형 디자인의 특징 국가 표시를 그래픽 가진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 특징

그래픽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순기능을 한다. 라서 다 양한 각도에서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을 살펴보아야 한 다.


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Vol. 19 No. 10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은 지역문화의 특징을 지닌 디자인이 향후 꼬리날개 그 래픽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 것이라고 여기고 있 다. 각각의 국가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가진 디자인을

인지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각기 다른 경제적 상황,

통해 비행기의 도장 디자인에 활용한다면 , 그리고 이를

지역별 상황, 국가 표시가 있는 경우, 항공기 꼬리날개

전 세계적으로 홍보한다면, 이는 자국의 국가브랜드에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데 매우 훌륭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한, 선행연구에 따라 해당 가설을 제시하고 설문조사의

따라서 향후 꼬리날개 그래픽을 디자인할 때 자국의 특

형식을 통해 데이터를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데이터의 통

색과 그에 소속된 항공사의 특징을 더욱 원활하게 표현

계분석을 수행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은 국가브랜드의 인 지도를 높이는 것을 촉진한다. 향후 꼬리날개 그래픽 디

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지닌 지역문화의 특징과 요소를 디자인에 접목해야만 한다. 같은 대륙에 속한 선진국의 비행기 꼬리날개 그래픽은

자인은 선진국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 형식을 참고해

국가브랜드의 인지도 방면에 있어 촉진적 작용을 한다.

공통점을 찾아 자체 디자인에 적용해야 한다. 선진국은

향후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에서, 같은 대륙에 있는 후

국제적으로도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고, 국민들의 평

진국들은 더 높은 인지도를 얻기 위해 선진국들의 꼬리

균 수입도 높다. 또한 이들 국가의 항공사의 항로 범위도

날개 그래픽 디자인을 참고할 수 있고 디자인 표현의 공

더욱 넓다. 따라서 이들 국가의 꼬리날개 디자인에 대한

통점을 찾아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인지도도 매우 높다. 승객들은 비행기의 꼬리날개 그래

항공기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을 통해 자국의 국가

픽을 보게 되면 자국의 국가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높

브랜드 이미지를 뚜렷하게 나타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아져 선순환적 구조가 형성된다. 그와 동시에 서양의 선

것은 타국의 디자인을 참고하고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진국들은 디자인의 발원지로 전 세계 디자인 영역에 매 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바라보 면, 비행기의 꼬리날개 그래픽 디자인이 여전히 서양 선 진국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자신이 구축하고자 하는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삼아 독특한 지역문화와 특색 요소를 가지고 현대적인 디자인 방법을 통해 꼬리날개 그래픽에 적용하는 것이 다. 승객이 해당 항공사를 보게 될 때 연상하는 것이 단

반대로 국가의 상징적 기호를 지닌 꼬리날개 그래픽은

순한 항공사의 이미지가 아니라, 항공사가 속한 국가가

국가브랜드의 인지도에 뚜렷한 영향력을 보이지는 않지

부여한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떠올릴 수 있도록 해

만 그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각 국가는 국기 와 같이 자신만의 독특한 국가 요소가 존재한다. 자국의 특색을 지닌 도형 요소를 비행기의 꼬리날개 그래픽에 응용하면 국가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일정 수준

야 한다. 항공기의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선, 승객의 구성 비율에 관한 연구의 경우 한국과 중국의 승객을 주

기여할 수 있다. 승객이 체크인을 기다릴 때, 비행기의

요 연구대상으로 삼은 연구가 대부분으로 다른 국가의

꼬리날개 그래픽에 그려진 국가의 이미지 요소를 통해

승객은 고려되지 않아 표본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적다.

목적지의 국가 이미지를 연상하는데 촉진적인 작용이 발

향후 연구에서는 타국의 승객 비율도 추가되어야 한다.

생할 수 있다. 이로써 목적지에 대한 인지도가 강해질 수 있다. 그러나 국가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꼬리날개 그래 픽에 응용할 때는 각국의 항공사와의 유사도를 살펴 승

참고 문헌

객들의 혼란을 야기해서는 안 된다. 지역 문화의 특징을 지닌 디자인은 감각기관을 통해 승객에게 더욱 많은 이국적 정취를 느끼게 하며, 승객이 순식간에 그 이미지를 기억하도록 한다. 대부분의 승객

[1] A. Cuervo-cazurra and A. Un, “Country of origin,

government

and

consumer

based

advantage & disadvantage of foreignness, and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93


11

항공사별 꼬리날개 그래픽과 국가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FDI,” In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2015. [2]

N.

Papadopoulos

and

L.

A.

Heslop,

Product-country Images: Impact and role in international marketing , Abingdon: Routledge, 2014.

저자 소개

조 우 단(Zhou Dan)

정회원

▪2018 년 3월 ~ 현재: 동서대학교 일 반대학원 디자인과(박사과정 )

[3] C. Thurlow and G. Aiello, National Pride, Global

Capital:

A

Social

Semiotic

Analysis

of

Transnational Visual Branding in the Airline Industry, visual communication, 2007. [4] 로버트 휴슨, 채색으로 칠한 세계 민간항공기 모음, 베 이징: 중국민항출판사, 2001. [5] 장샤오쉬 , 국 해군문화에 기초한 함재훈련기 외관도

장디자인, 선양 항공 우주 대학, 석사학위논문, 2014. [6] 백암, 국가브랜드 명품화와 국가이미지, 경제사, 2010. [7] C. Thurlow and G. Aiello, National pride, global

capital:

Asocial

transnational

semiotic

visual

analysis

branding

of

in

the

airlineindustry, Visual Communication, 2007. [8] 정국기, 시각적 전달디자인의 지방경제발전에 대한

<관심분야 > : 시각디자인

서 한 석(Han-Sok Seo)

▪2004년 3월 : 규슈대학교 석사과정 졸업( 예술성보학) ▪2016년 3월 : 규슈산업대학교 박사 졸업( 예술학) ▪2006년 3 월 ∼ 현재 :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실효성 연구 — 운남 매직제품을 예로 들자,” 윈난 예 <관심분야 > : 시각디자인 , 영상 , 인터페이스

술 대학, 석사학위논문, 2016. [9] 과홍뢰 , 글로벌 경제와 국가 디자인 전략, 예술 백가 , 2009. [10] Jeongmin Lee, Jisu Yi, Dawon Kang, and Wujin Chu,

“The

effect

oftravel

purpose

and

self-image congruency on preference toward airline

liverydesign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ASIA PACIFIC J OURNAL OFTOURISM RESEARCH, Vol.23, Np. 6, pp.532–548, 2018. [11] 시모 안호 , 주조 국가, 도시 및 지역의 브랜드: 경쟁

우위 식별 시스템, 갈암역, 2010. [12] 펑군, “ 지역문화가 관광이미지 표시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PACKAGING ENGINEE RING, Vol.33, No. 4, pp.15–18, 2012.

94

정회원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 Vol.20 No.1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The High Line’ 를 중심으로 -

천원리,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The High Line’ 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Landscape Design by Flexibly Using Resilient T heory - Focused On ‘New York High Line Park’천원리, 홍관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Wen-Li Chen(wenliyida110@naver.com), Kwan-Seon Hong(cigahks@naver.com) 요약 도시화 발전이 초래한 환경 문제와 자연의 지진 및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의 영향으로 인해 디자이너들은 환경오염과 자연 재해 앞에서 도시 생태 시스템의 예방능력과 미래 적응 능력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본연구 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도입하여 경관 환경에서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구체적인 실제 응용 및 공간의 리질리언 트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연구하여, 공간이 경제, 문화, 사회 등 가치를 지니게 하여 보다 과학적인 참고 의미를 제공하고자한다. ‘The High Line’을 대상으로 선정한 선행 이론과 실천 사례 고찰에서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성 등 다섯 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또 사례의 경관 공간 리질리언트 전 략의 이들 5개의 구성 요소의 구체적 응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The High Line’ 경관 계획에서의 응용 특징 및 영향 요인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리질리언트 전략은 디자인 과정 및 경관 공간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나타내고,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그 자체만으로 환경의 품질을 강화하며 환경이 외부 충격을 방어하는 수요를 만족시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리질리언 트 디자인은 도시의 지속 적 발전을 강화하고 주 기적 순환 계통을 구축 할 수 있다 . ■ 중심어 :∣리질리언트 이론∣리질리언트 경관∣리질리언트 디자인∣

Abstract As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has ca use some environmental problems and natural disasters s uch as natura l earthquakes and floods have brought about impact, designers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independent prevention ability of urban ecosyst ems in fa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 nd natural disasters, as well as its ability to adapt t o the future. This study introduces ‘ elastic ity t heory’ to discuss the practical a pplication of elast icity design in la ndscape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lasticity in space, which can provide more sc ientific reference meaning to create economic , cultural, and social values for space. After selecting ‘The High Line’ as the object, this paper investigates t he previous theories a nd practica l cases, a nd inf ers ecology, sustainability, diversity, and ada ptability. And then this paper applies five components a nd analyzes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se f ive c omponents of the landscape spatial elastic ity strategy, and summarizes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asticity design in ‘The High Line’ landscape planning. It ca n be known from t he research that elasticity strategy whic h is reflected in the design proc ess is t he systematic mana gement of landscape space. Elast icity design itself can strengthen environment quality and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 he environment to defense external shocks so as t o adapt to environment c hanges. Therefore, the elasticity design can strengt he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 he c ity and establish a periodic recycle system. ■ keyword :∣Resilient Theory ∣Resilient Landscape∣Resilient Design∣ 접수일자 : 2019 년 10 월 08일 수정일자 : 2019 년 12 월 02일

96

심사완료일 : 2019 년 12 월 02일 교신저자 : 홍관선, e-mail : cigahks@naver.com


2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I.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지진과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리질리언트 이

중 하나의 해결책으로 리질리언트 개념이 등장하였다 [2].

경관 계획 분야에서 발표된 기존 연구는 주로 기술과

정책 측면에 집중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주로 경관

론1)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1990

공간의 리질리언트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자신의 상태를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 것에 대한 내용

관련 이론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또

년대부터 시작된 리질리언트 이론은 위기가 닥쳤을 때 이었으며, 이는 오늘날 도시 디자인에 있어 매우 중요

하다고 판단된다. 디자이너는 도시 생태 체계의 자율적

회복능력과 미래적응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의 지 속발전의 형식을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사상이 일반대증에게도 인

식되면서, ‘리질리언트 디자인'2) 이론은 자원의 효과적

인 이용과 인간성과 융합하여, 단순한 건축학의 범주에

서 환경 및 사회라는 전체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이로

써 리질리언트 이론은 경관 디자인의 실천에까지 응용

되었다. 현재의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구체적인 경관 계

획 디자인의 방법론적인 탐구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점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사실 미래 사람들의 각종 수요

변화를 대응하는 한 가지의 사고방식과 전략이다. 시간

적 측면에서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바라볼 때 이는 계획

한 The High Line 경관 디자인 과정에서 리질리언트

다른 실제 적용사례에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어떻게

조정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은 리질리언트 이 론의 관점을 통해 The High Line에 대한 분석을 진행

하였고 리질리언트 이론이 구체적 실천 사례의 활용으 로 발전시키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리질리언트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 참고 가치를 제공한다. 운영 이후 발생

하는 경제적 가치, 공원관리와 보수, 사회적 가치, 문화 적 가치의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뒤 이를 기초로 경관

공간 디자인에서 리질리언트 구성 요소가 사례에서의 표현 특징을 제기하였다. 이는 리질리언트 구성 요소의 심층적 발전과 연구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해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의 개

과 디자인 과정에서 역사적 요소를 융합하여 미래의 불

념 및 리질리언트 디자인에 대한 전체적인 고찰을 진행

리언트 디자인은 경관이 한정된 공간에서 미래 수요에

경관 디자인 영역까지 정리한다. 이를 통해 리질리언트

확실성을 고려하는 것이다. 또한 공간적 측면에서 리질

적합한 공간적 변화와 각종 감각적 효과를 보이게 끔

하는 것이다[1]. T he High Line은 역사적 요소를 이

안에 융합하여 향후 사람들 활동의 가능성과 기호 변화

수요를 고려하며 디자인한 경관 시스템이다. 본 경관 시스템에서 디자인이너들은 전 과정에서 살아남는 자

하여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의 발전에서부터 계획 영역, 경관 디자인의 방향을 분석한다.

둘째, 관련 논문과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여 T he

High Line의 발전 과정과 디자인, 리더십에 대해 상세 하게 조사한다.

셋째,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 고찰을 이용하여 5개의

생능력을 지닌 식생을 고려하고 이 식생 조직들로 리질

실천사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본 연구에 부합하는

시스템을 디자인 및 구축하였다. 이것이 The High

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의 5가지 구성요소를 이용하

21세기 들어 관찰되는 불확실성, 불안정성, 다양한

석한다. 또한 The High Line 공간에서 5개 요소의 개

리언트 개념이 강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은 식생 생태 Line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전략이다.

위협의 등장 등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 기 위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1 ) 이하 ‘리질리언트 이론’ 으로 기슬. 2 ) 이하 ‘리질리언트 디자인’으로 기슬.

디자인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그리고 생태성, 지속 가능

여 The High Line의 디자인 과정 및 특징에 대해 분 념이 발생한 변화를 정리한다.

넷째, The High Line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가

치에 대해 분석하고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경관 계획 영 역에서의 응용 특징 및 영향의 중요 요소를 추출한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97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 한 연구 - ‘T he High Line’ 를 중 심으로 -

리질리언트 이론은 1999년 이후 기획 연구에 심화 적

에 실제적으로 녹아들었다[6].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은

‘friends of the high line’이라는 조직에 의해 설립되

역의 경계를 넘나들게 되었다[7].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

용되기 시작했으며, The High Line은 1999년 었으며, 2010년 처음으로 대중에게 개방되었다. 리질

리언트 이론은 기획과 경관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이는

The High Line과 같은 시간축(时间轴)에서 발전하였 다. 따라서 하이라인파크의 경관 공간을 선정하여 분석

계속 발전하여 생태, 사회, 경제, 기술 등 각종 과학 영 의 변화과정을 다룬 문헌연구에 따르면, 이 발전 과정

은 공학 리질리언트(1973년 이전), 생태 리질리언트 (1973-1988), 사회-생태 리질리언트(1998년 이후) 이

렇게 3단계로 나눌 수 있고, 다시 범주, 핵심 속성, 핵심

하고자 한다. 물리적 범위가 1.6킬로미터에 달하는

지표 등 3개의 내적 특징으로 이 단계들의 차이를 명확

사를 진행한다.

발전에 기여하였다[8].

The High Line 구간의 물리적 공간 디자인에 대해 조

하게 연구할 수 있다. 이 단계들은 리질리언트 이론의

Ⅱ. 이론적 고찰

1.2 연구영역별 리질리언트 정의

1. 리질리언트 이론

Wu J.(2014)에 따르면, 도시생태학 자체가 90년 이

1.1 ‘ 리질리언트(Resilient)’의 개념

리질리언트는 ‘To jump back’, ‘To Rebound’, ‘To

1)도시생태학 분야

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태 학, 지리학, 계획학, 사회학 등을 통합하는 초학문적 분

Recoil’을 의미하는 라틴어 ‘Resilio’가 기원으로, 국내

야로 진화되어 왔다고 한다. 그 중 하나로 인간과 자연

성, 회복력으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용

등장과 함께 리질리언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에서는 탄력성, 복원성, 복원력, 탄력복원성, 회복탄력

되는 단어들의 경우 리질리언트 본래의 함축된 의미를

표현하는데 한계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번역하지

않고 리질리언트라는 용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 다[3]. 그 학술적 배경은 1973년 생태학자 C.S.

Holling이 발표한 논문에 기반한다. Holling은 주로

예기치 못한 외부의 변화와 방해에 노출된 시스템의 동 작을 정량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리질리언트 개념

을 사용하였으며[4], 리질리언스를 ‘변화와 방해를 흡수 하고, 인구나 상태변수 간의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는

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다루려는 시도가 지속가능성의 고 설명하였다. 다시 말해 생태시스템(자연)과 사회시 스템(인간)을 연계하여 리질리언트를 이해 하려는 경향 이 있는 것이다[9].

2)도시계획 분야

리질리언트에 대한 인식이 계속해서 심화되고, 도시

발전이 마주한 위험이 나날이 커지면서, 유연하면서 친

화적이고, 또 즐거운 도시 회복력 체계의 구축 역시 나

날이 도시계획의 기본 사항이 되어가고 있다. 이에 대

시스템의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5].

해 도시계획학자들도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한 노력이 있었고, 도시계획분야에서도 ‘리질리언트

질리언트 이론이 사회학습의 촉진, 창의성 형성, 공정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이 개념을 정의하고 적용하기

시티(Resilient city)’ 또는 ‘도시 리질리언스(Urban

resilience)’로 개념에 대한 접근을 시도해오고 있다.

Goldstein (2009)은 기후변화의 각도에서 접근해, 리 협의 등 방면의 소통 계획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 White(2010)는 위험과 회복력 개념을 종합하여 공

이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기본적으로

간계획이 어떻게 매순간 다변화하는지 세계 속에서 도

환경에서 외부 충격을 견디고 흡수하여 빠르고 안정적

였다[10].

는 스스로 방해에 대처하는 능력, 끊임없이 변화하는

으로 적응하는 능력, 이전보다 더 나은 수준으로 회복

하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리질리언트 시티는 도시발전

98

3

시의 물 사용 문제를 해결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탐구하

1.3 리질리언트 경관의 개념

리질리언트 경관은 미국 하버드대학의 Niall G.


4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Kirkwood교수가 처음 제시하였다. 그는 오늘날 세계

디자인 과정에서 미래의 불확실성 요소를 디자인의 체

아니라 환경, 생태, 경제, 문화, 예술, 나아가서는 정신

발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향후 환경의 발전에

는 이미 환경·경관의 시대에 돌입하였으며, 풍경 뿐 만

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종합적인 체계를 조성해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회복력과 생태체계

를 통한 강한 생명력과 미래에 적응하는 능력을 Niall

G. Kirkwood는 리질리언트 경관이라 이름지었다[11].

‘리질리언트’를 경관 디자인의 영역에 끌어들이면 시

간적·공간적 방면에서 그 모습이 나타난다. 시간적으로

회복력을 추구하는 목적은 경관 디자인의 영역에서 사

전에 인식한 역사적 요소, 미래의 불확정 요소를 디자 인 체계에 적용하여 경관이 역사를 수용함과 동시에 사

회와 인간의 다변하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있다. 즉,

회복력의 사고를 도시계획 디자인, 건축 시공, 운영 유

계에 삽입하여, 다양한 변화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지속 여지를 남기도록 하는, 공간을 측정하고 디자인하는 비

(非)일회성 디자인이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일반적인 디자인과 독립되어 단독으로 존재하는 방법이 아니다.

실질적으로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욕구 변화에 대응하 는 전략으로, 일반적인 디자인 과정 전체에 적용되며,

디자인의 리질리언트 사고를 강조한다. 공간 디자인의

이론을 공간 구축, 사용, 나아가 미래 개조와 재활용의 모든 수명 과정에까지 확장시키며, 실천요소를 공간 디 자인에 삽입한 형태로 존재한다[14].

일부 공간 디자인은 초기에 리질리언트 방면을 고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용 후에도 여전히 사용자의 손

지, 미래의 재활용 등 경관발전의 각 단계에 일괄로 적

에 상당히 강한 기능과 공간상의 적응성이 남아 있었

는 목적은 경관의 구성요소가 제한된 공간 속에서 유연

로 삼았으나, 실질적으로 사용하면서 그가 말한 리질리

용하는 것이다. 한편 공간적으로 리질리언트를 추구하

하게 크기를 조정해 무한한 시각효과와 기능의 변환을 나타내는 데 있다[12]. ‘리질리언트가 ’ 존재하는 도시환

경은 또한 많은 새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 예컨대, 기존

의 문화전통, 사회 습관,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공업, 상 업 등이 그것이다.

다. 반대로, 일부 공간은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출발점으

언트에까지 확장되지는 못하였다[15]. 따라서, 리질리

언트 디자인 자체는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과정을 통해

그 디자인과 원칙과 방법, 응용 정도, 범주 등을 명확하 게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리질리언트 경관 자체만으로 다양한 기능적 욕구를

1.5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의 중요성

하여 기능의 변화에 적응한다. 따라서 리질리언트 경관

향을 받는다. 현대 도시의 빠른 발전, 인구 증가, 문화의

트 경관은 훌륭한 적응성을 갖고 있다. 다양한 기능이

두 도시 경관을 변화시킨다. 특히 계속되는 환경 악화

만족시킬 수 있고, 또 공간 변화를 위한 가능성을 제공 이론은 공간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질리언

한 공간 내에서 동시에 또는 이어져 생성되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역시 자원

을 절약하는 방식이자 환경보호의 원칙에 들어맞는다.

리질리언트 경관은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공간에서 발 생하도록 하며, 기능 간의 관계를 더욱 편리하게 만들

어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공간 흡입

력을 높여준다. 기능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은 바로

인간과 인간과의 교류를 의미한다. 따라서 리질리언트

경관은 인간 간의 교류도 촉진시킨다[13]. 1.4 ‘ 리질리언트 경관’ 의 의의

환경 디자인 영역에서 확장한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경관은 도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언제든지 도시의 영

번영, 경제의 빠른 성장 및 불확실한 정치 요인 등은 모 에 따라 생태 사상이 더욱 중시되고 관심을 받게 되었 다. 이에 따라 조경 설계 체계는 자기 조절, 리질리언트,

적응성 등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미래의 발전 에 대한 예측과 판단을 해 지역의 리질리언트를 확보해

야 한다. 자이쥔(翟俊) 연구원은 ‘순수한 기능 조합 설계 에서 최종 제품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지향하는 개방적 인 동태적 디자인라고 ’ 리질리언트 디자인를 요약했다.

도시 경관 발전은 완전한 발전 과정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단편적인 부분에 고정되어 있어서는 안된다. 사람 의 지식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과정을 완벽하게 예측하거나 완전히 컨트롤할 수 없다. 경관의 계획 디 자인이 미래의 변화에 더 잘 적응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99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 한 연구 - ‘T he High Line’ 를 중 심으로 -

디자이너가 계획 디자인 과정에서 지역 발전의 리질리

언트와 다양성을 반복적으로 고려하고 설계의 틀이 유 도성을 가지게 해야 하며 제한적이게 해서는 안 된다

[16].

다시 말해 경관 계획 디자인은 하나의 과정이다. 디

자인이 경관의 모든 진행 과정에서 효율적이고, 실행가

능하며, 적응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리질리언트 디자 인 개념을 차용해야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개념을

공간의 입장에서 보면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제한적인

공간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 감각을 찾아내는 것

이고, 시간의 입장에서 보면 역사적인 요소를 융합해

미래 발전의 가능성을 통합해 이런 요소를 디자인에 적 용하는 것이다[17].

5

진정은 ( 2014)

적응력, 내구성, 회복성, 자원의 풍부함

도시방재

City Resilien ce Framewo rk ( 2014)

반영성, 내구성, 대체성, 유연성, 포용성, 통합성, 자원동원력

도시계획

웨이팅 ( 2015)

정체성, 적응성, 경제성, 가변성, 재활용

리질리언트 후공업 경관

김정곤 외 ( 2016)

가외성, 내구성, 자원부존성, 신속성

도시재생 지속가능한 도시

주선옥 ( 2017)

적응성, 유연성, 대체성, 포용성, 통합성

정책생태 리질리언트

석설 ( 2017)

정체성, 지속가능성, 호환성, 동적, 리질리언트 경관 생태성

*표희진(2014), 김정곤 외(2016)를 참고하여 저자 재작성

진정은(2014)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재난의 적응방

안에 영향을 미치는 목적, 방법, 범위, 비용적측면의 요

소들을 선정하였다[18]. 김정곤 외(2016)는 리질리언트

개념과의 중복성, 도시계획분야에서의 적합성을 고려하

Ⅲ. 선행연구 분석

여 4개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있다[19].

1. 기존 관련연구 분석

리질리언트 이론은 물리,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영

역에서 외부의 충격과 훼손을 받았을 때 도시시스템을 그 전의 상태로 유지하거나 회복할 능력을 지니고 있다

2. 선행 사례 분석

2.1 사례 선정 기준

본문연구에서는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을 전제조건

는 것이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미래의 수요변화를 대

으로 청계천, Houtan Park(上海后滩公园), Jinhua

에서 역사 요소와 불확정 요소를 고려하여 경관이 유한

Kazan City Kabin Lake Group Waterfront, Long

응하는 사고방식과 전략이다. 디자인을 계획하는 과정

Yanweizhou

Park(金华燕尾洲公园),

Russia

한 공간에서 적응 및 변환능력을 지니게 하는 것이다.

Dock 5개의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리질리언

에서는 이하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 디자이너도 실천

5개의 사례는 모두 버려진 공간을 생태 경관의 목적으

이러한 능력을 진단 및 평가하기 위해서 국내외의 연구

과정에서 현재의 상황에 부합하는 리질리언트 요소를

활용한다. 다음의 [표 1]은 관련이론과 사례실천의 분석

을 통하여 본문 연구에 적절한 요소에 대해 사례분석을 하고 정리한 것이다.

Walke r et al. (2004)

Walk er & Salt (2006) Walk er & Salt (2006)

구성요소

자유도, 저항성, 불안정성, 패나키 다양성, 생태적 변화, 모듈성, 느린 변수에 대한 인정, 피드백, 사회적 자본, 혁신, 거버넌스와 생태계 서비스의 중첩

Van d en Brin k et al. (2011), Gupta et al. 다양성, 학습능력, 자치적인 변화의 여지, 리더십, 자원, 공정관리 (2010)

100

로 복원한 공공 공간이다.

청계천 Chongae River Restoration Projects은

2009년 ASLA3) Professional Awards ‘General design category Honor Awards’을 수상하였고,

Houtan Park(后滩公园)은 2010년 ASLA ASLA P

표 1. 관련연구 리질리언트 이론의 구성요소 연구자

트 경관 디자인의 사례는 많다고 볼 수 없지만 선정한

rofessional Awards ‘General design category

연구 내용

award

of

excellence’을

수상하였고,

Jinhua

사회생태학

생태학 환경 생태학 환경 계획 환경

3) 미국경관디자이너협회 ASLA(A MERICAN SOCIETY O F LANDSCAPE ARCHITECTS )는 1899년에 설립된 지 100여 년 된 세계적인 전문협회로 전미 50개주와 42개주를 대표한다. 경관설계학은 토지의 분석, 계획, 설계, 관리, 보호와 회복에 관 한 과학과 예술로서 건축학, 도시계획학과 함께 인간거 환경을 구성하는 3대 학과이다.


6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Yanweizhou Park(金华燕尾洲公园)은 2015년 WAF 세계 건축제 ‘landscape of the year’을 수상하였고, Long Dock는 2015년 ASLA Professional Awards

‘General design category award of excellence’을 수상하였다.

연구 내용

하천의 복원은 도시주민들이 참여 가능하고 생태성을 지닌 공공생활공간이 되었음. 생태형 도시 복원 지속가능성, 생태성, 경제성, 다양성 경관,복 원와 재활용. 개선을 통해 재생경관이 된 인공습지는 홍수 범람 방지의 기능도 갖게 되었음. 공공생태공원 복원 재활용 디자인, 생태적 시스템, 재생경관, 지 속가능성.

적응형 홍수방지 제방, 식물, 하수로를 설치함 중국 으로써 경관의 생태적 회복력을 실현하였음. Jinhua 경관의 적응성, 홍수예방, 생태적 리질리언트, 사회문 Yanweizhou Pa rk 생태적 복원 화 리질리언트,물친화적인 지속성회복성 , 디 (2010-2013) 자인. Russia Kazan ‘T he Resilient Ribbon’을 중심으로 빗물과 Cit y Kabin La ke 홍수에 적응하고 자연, 문화, 사회를 보호하는 생태빈수공간 G rou p 경관으로 디자인. 복원 Wat erf ron t 생태 빗물 홍수 시설, 자원동원력, 연속성과 (2013-2015) 가용성, 생태계,공업 플랜트 재활용. 미국 Long Dock (2004-2014)

공업폐기지역을 예술거리, 오락, 환경교육을 일체화한 다양하고 자율성을 지닌 경관으로 다양한 생태 개조. 복원 다양성, 생태성, 예술성, 경제, 사회적 지속가 능성.

선행연구는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의 연구자가 제기

한 구성 요소[표 1]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후, [표 2]를

통해 실제 디자인 사례에 대해 고찰을 하였고, [표 3]를 종합 이론과 실천으로 요소 도출을 진행했다. [표 1]과

[표 2]의 구성요소가 언급된 횟수를 정리하고 구성요소 의 특성빈도수가 높은 5게를 선정하였다. 구성요소는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에서의 비

중이 보다 높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5가지 구성요소를 분석요소로 선택하였다. 리질리언트 구성요소 / 빈도수 자원동원력 내구성

1

2

3

● ●

4

5

6

3. The High Line

3.1 The High Line의 선정 기준 및 개요

The High Line을 본문 연구의 중심으로 선정하게

된 기준은 아래와 같다.

첫째,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미래 사람들의 각종

수요 변화를 대응하는 한 가지의 사고방식과 전략이

다. 현재 T he High Line응 경제, 문화, 지속가능한 발전 방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옛 산업유산의 재활용의 연구 측

면에 집중되어 있으며,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을 중 점으로 연구한 논문은 소수에 그쳤다. 따라서 T he

High Line은 지속적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으며, 또 한 경관 디자인과 생태 형태에 더욱 집중한 사례이

기에 본 논문과 연관된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미국경관디자이너협회 ASLA는 리질리언트 디

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는데 그중 한 가지 리질리언트 디

자인 전략이 바로 ‘생물 다양성의 소실’이다. 여기서 생 물 다양성의 소실이 생태계 서비스와 운행에 매우 큰

영향을 일으켰고 장기적 리질리언트 발전 및 인류의 복

지를 교란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때문에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은 인류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고, 생물 다 양성은 시스템 복구와 운행의 핵심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성 소실에 대한 리질리언트 계획의 실행 방식과 야 생 동물 및 토종 식물이 커뮤니티에서 없어서는 안될

구성 요소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여 우선 먼저 생태

표 3. 기존 연구에서 도출한 리질리언트 구성요소

정체성

대체성

설명:1. 구성요소의 귀납 과정에서 의미가 같지만 명칭이 다른 요소를 하나의 단 어로 통일했다.(혜:회복력 → 회복성, 생태성 디자인 → 생태성) 2. 구성요소의 빈도수 통계과정에서 많은 빈도수 중 ‘1’만 있는 요소를 제거했다.

디자인 내용 / 구성요소의 응용

중국 Hout an Pa rk (2007-2009)

적응성

다양성

표 2. 관련 사례의 리질리언트 구성요소 한국 청계천 (2003-2005)

경제성

재활용

2.2 사례실천 구성요소 분석

사례

생태성

지속가능성

7

건강과 식물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20]. The High Line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전략 ‘종의 다양성’은 ASLA

와 부합된다. The High Line에서 풍부한 야생 식물 경 관을 표현하기 위해 디자이너들이 선택한 식물에는 여

러해살이 식물, 초본, 관목 및 나무의 53개과의 139속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01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 한 연구 - ‘T he High Line’ 를 중 심으로 -

263가지를 포함하였다.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응

용한 형식이 새롭다. 각종 식물마다 내한성(耐寒性), 적 응성, 다양성이 있고 계절 변화의 색깔과 결에 대한 고

려와 선택도 있다[21].

셋째, The High Line은 경관계의 권위가 놓은

ASLA에서 두 개의 대상을 받았다. The High Line는 제13회 Veronica Rudge 도시 디자인 녹색상을 수상

하였다. 그 중 Section1의 도시계획 항목은 2010년

ASLA에서 명예상을 수상했고, Section2의 도시계획

항목은 2013년 ASLA PROFESSIONAL AWARD에서 명예상을 수상했다.

The High Line은 1934년부터 1980년까지 맨하튼

2009

Th e High Line 1 차 구간 개장

2011

Th e High Line 2 차 구간 개장

2014

Th e High Line 3 차 구간 개장

7

*이혜주, 서리인 외(2014)를 참고

3.2 The High Line의 디자인

The High Line의 디자인팀은 ames Corner Field

Operations 디자인사무소와 Diller Scoidio+Renfro

디자인사무소가 포함되었고 식물의 디자인은 네덜란드

식물 경관 디자인회사인 Piet Oudolf가 맡았다. The

High Line의 건설은 총 세 부분으로 나눠지며 이하

의 물류 운송 기능을 담당했다. 철도는 뉴욕시의 각기

[표 5]는 이에 대한 정리를 하였다. 세 단계의 전체적인

의 지구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2.3km의 고가 화물철도

로 분석하였다.

다른 개성을 가진 20개의 도시블록을 가로지르며 각각

로서 근대 산업혁명의 시기가 지나자, 그 기능을 다한

고가철도가 폐쇄되었다[22]. 철로가 폐쇄되면서 이곳은 잡초가 우거지고 쓰레기가 난무한 우범지역이 되었고,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철도폐선부지는 지역의 단절을

야기하였다. 토지 소유자들은 철도의 철거와 건축을 요 구하였으며, 운행을 멈춘 폐선에 대해 뉴욕시민은 개발

론자와 보존론자로 양분되었다. 수년을 걸친 소송 끝에 시민들의 큰 지지를 얻은 보존론자의 승소로 개발 위기

에 처했던 하이라인은 친환경 개발을 원칙으로 하여 어

떻게 보존할 것인지 다양한 계획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23]. [표 4] 는 The High Line의 역사적 배경을 정리

한 것이다.

표 4. The High L ine의 역사적 과정 1847

뉴욕시 맨해튼 웨스트 사이드 거리 철도 트랙 건설 사업을 승인

1931

화물선로 철거 한 자리에 고가 선로 건설시작

1908 1933 1980 1991 1997 1999 2004

102

교통 혼잡 및 사고로 인해 10가는 죽음의 ' 거리’라고 불림, 상인들 항의 시위

디자인 이념은 기본적으로 일치하므로, 이를 전체적으

표 5. The High Line의 구역 개요 단계 1차 2차 3차

구역

면적

시간

Ganse voo rt Street 1.13에이커,구역 9개, 길이 2009년 3 차 구 에서 20 번가 0.9 킬로미터 간 개장 20번가에서 30 번가 0.87에이커, 구역 10개, 길 2011년 1 차 구 이 0.8 킬로미터 간 개장

기차역 서부, 30번가 기차역 서부, 30번가에서 34 2014년 2 차 구 에서 34 번가 번가 간 개장

The High Line의 디자인적 요구는 조경 재료적 특

성 측면에서 환경보호 재료와 기술을 첨가하여 공원의

단기 및 장기 보수와 운영을 보장하는 것이다. 원래 산

업 철도였던 곳을 휴양공원으로 개조한 것인데, 이는

하나의 공원이자 공공공간으로 야생식물의 재배, 친밀 한 교류와 사회 활동의 필요에 부응한다[24]. 동시에

The High Line의 자연적 특징을 보존하여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선사하였다. T he High Line은 각 구역을 연

고가 철로의 첫 열차 운행시작

결하여 도시 녹화의 새로운 모범사례를 구축하였으며,

줄리아니 뉴욕시장이 철거론자 지지

인 디자인,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리질리언트 경관의 대

마지막 철도 운행중단 이후 방치됨

이후부터 주변 지역에 현대미술 화랑가가 조성됨

CSX 운송, The High Line 경영권 인수, 지역 계획 협회, 경철 도 나 그린 웨이 권장, T he High Line 보존을 위해 비영리 예술계열 의 'Frien ds o f Hig hlin e' 조직 구축 뉴욕시의 시장 블룸버그를 설득, 뉴욕시에서 5000 만 달러 지원 및 철거 대신 도시재생프로젝트를 실시 2003 년 T he High Line를 디자인 공모전이 개최 및 최종 선정

도시를 자세히 살펴보는 새로운 시각을 만들고 창의적

표적인 아이콘이 되었다. 이는 다른 도시 경관 디자인

에 계발적 의의를 갖는다. 이는 사람들에게 경관이 도

시 생활의 질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25]. 3.3 The High Line의 리더십


8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The High Line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한 비영리

성 조직 ‘friends of the high line’이 운영하고 있다.

1. 구성요소의 기본 개념

본 장은 문헌 고찰을 통해 생태성, 지속가능성, 다양

‘friends of the high line’의 추진 아래 점차 많은 사

성, 적응성, 재활용 요소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

프로젝트 초기부터 The High Line의 보호를 추진하였

요소의 표현 특징과 적응을 분석해 각 요소 별 차이 및

람들이 The High Line을 보호하는 일에 참여하였다.

는데, 프로젝트 중반에는 여러 개의 디자인 방안을 공 시를 통해 공개하여 많은 시민들에게 선택권을 주어 디

자인 방안이 공공의 지지를 받게끔 함으로써 시민의 공

공 이익에 균형을 이뤘다. 프로젝트 후반에는 공공의 예술행사, 학교 교육, 과학 보급 행사, 개인적인 활동 등 을 계획하여 공원의 사용빈도를 높였다. 동시에 High

Line Art Commissions 을 조직하여 정기적으로 T he

High Line에서 노천 음악회, 미술 전시회, 공연 등과 같은 각종 유형의 공공 예술 행사를 주최하였다.

4. 연구적 차별성

리질리언트 이론 부분에 관한 논문에서 생태학, 도시

계획, 도시 방재, 지속 가능한 도시 등 여러 측면에 대

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논 문은 거의 없다. 연구도 주로 이론적 측면에 집중되어

있고 구체적 이론 실천과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다. 때 문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논문과 선행 사례에 대한 종

합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 프레임의 리질리언트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경관 디자인의 관련 연구에 활용한 시작이다. The High

Line에 관한 관련 연구 논문에서 주로 폐기와 개조, 재

활용 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본문은 리질리언트 디자인 사고의 각도에서 T he High Line 사례에 대한

를 바탕으로 The High Line의 디자인 과정에서 5가지 내용을 요약한다.

표 6. 구성요소의 기본 개념 구성요소

개념

생태성은 토지개발이용, 생태, 자원의 보호 및 개발, 경제발전과 생태성 환경 퀄리티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임. 더 나아가 Ecolo gicality 경관생태시스템의 전체기능을 개선하고 사람과 자연의 화합을 달성할 수 있음.

Harrison et al.(2014)은 '예측할 수 없는 변화에 직면했을 때 높은 수준의 리질리언트 또는 적응 능력을 성취할 수만 있다면, 지속가능성 그 시스템은 지속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라고 보았다[26]. 이 Sus tainabilit y 개념에 기초하여 환경적 지속성, 사회적 지속성, 경제적 지속성 의 3가지 기본적인 지속가능성 방면으로 발전하게 됨. 다양성 Div ersity

다양성(Diversity)은 사회생태적 시스템에 존재하는 많은 종류 의 종, 사람 및 제도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유연성 (flexibility)과 연계되는 반면, 효율성(efficiency)의 증가는 다 양성의 감소로 이어진다. 다양성의 결여는 대안 선택을 제한시 키고. 방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키게 됨[27].

시스템의 적응성이 높을수록 변화를 마주할 때 시스템의 리질리 언트는 커지고, 낮을수록 리질리언트가 작아진다. 이 두 가지는 서로 깊은 연관이 되어 있으며 나눌 수가 없다. 적응성은 생태보 적응성 Adap tabilit y 호와 건설발전의 대입현황을 완화활 수 있다. 유연한 계획수단 은 시스템이 방해받아도 빠르게 대응하고 복원할 수 있도록 하 며 시스템의 반발력과 활력을 높일 수 있음[28]. 재활용 Recycling

도시 개발상황에 따라 목적이 있고 계획적인 개선, 종합이용 및 개발행위를 진행해야 하며, 중요한 역사, 건축, 문화가치 특징을 보유하는 동시에 현실에서의 사용기능을 실현하고 경제, 사회, 문화 또는 생태가치를 창조해야 함[29].

2. The High Line의 5가지 구성요소 특징 분석 2.1 생태성

생태성 디자인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생태성은 시민

분석을 진행하였고 The High Line의 디자인 과정 공

의 입장에서만 고려되야 할 문제는 아니다. 리질리언트

구성 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녹지를 보충하는 것이다. 하이라인파크의 리질리언트

간 형태의 탄성 구축을 탐구하였으며 구체적 사례에서 본 연구를 통한 이론이 환경디자인에 적용되어 진다

경관의 생태성은 보편적인 생태관이며, 생태는 일종의

생태 디자인은 하이라인파크라는 버려진 지역을 재생

면 외부의 충격에 훼손되어진 환경이 스스로 일정부분

시켰으며, 오랜 시간을 거쳐 변화했다.

둘 수 있을 것이다.

도시형태에 대한 주목이며 시간의 작용으로 다양성, 유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할 수 있는데에 그 의미를

Ⅳ. The High Line의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 인 구성요소

The High Line의 디자인 속에서 나타날 생태전략은

동성 및 안정성을 나타낸다. 생태는 도시기초시설 회복

의 주요 수단이며 다른 학문과 결합하여 폐기된 도시기

초시설이 점차적으로 생명력을 지닌 탈산업화시대의 도시기초시설로 성장해야 한다.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03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 한 연구 - ‘T he High Line’ 를 중 심으로 -

2.2 지속가능성

9

경관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공간 디자인과정의 각 다

The High Line의 디자인팀은 인위적인 디자인과 변

른 단계에 적응해야 하며. 디자인, 시공, 사용, 개선 등

속가능한 발전’의 생각을 가져야 T he High Line를 디

디자인과 시공단계에서도 개발자와 사용자의 각기

화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지만 ‘지

자인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The High Line의 디자인

각 단계에서도 적응능력을 지녀야 한다.

다른 수요에 따라 비교적 강한 조절능력을 지닌 디자인

사고방식은 ‘지속가능한 발전’은 자연을 방치하는 것이

방안을 확정해야 하고, 디자인이 어느 정도 수요변화의

서 설립되며 발전해야 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디자인의 초기에 자연요소, 공간요소, 문화요소 및 시민

아니라 이는 이 도시의 인문경관과 역사문화를 기초에 2.3 다양성

미국경관디자이너협회(ASLA)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지침서에는 생물다양성의 상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다. 생물다양성의 상실은 생태시스템 서비스와 운영에

큰 영향을 끼치며 장기적인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발전 과 인류의 복지에 방해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

스템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인류생존에 관하

여 매우 중요하다. 생물다양성은 시스템 회복과 운영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야생동물과 본토식물은 도시구역에서 빠질 수 없는

구성요소이다. The High Line의 디자인은 시간변화에

따라 공원 생태환경과 생물다양성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 나타났다. [그림 1][28]은 생동적으로 우리에게 군락

의 안정성이 년 단위로 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The High Line의 건설이 긴 시간

필요에 적응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T he High Line

의 활동요소에 대하여 전면적인 조사연구를 진행하였

다. 그리고 나서 여러 방안의 구상과 디자인을 제안했 으며 장단점을 파악해 가장 나은 방안을 확정하였다.

사용단계에서 장소환경은 공간, 기능의 변화 및 발전

의 수요에 적응해야 한다. 하이라인파크의 풍부한 참여

성 활동의 운형관리는 공공예술 활동, 학교교육 과학

보급 활동, 개인 활동 등을 배치하여 공원의 사용빈도 를 높였다. 공공사용 및 참여는 공원에 보호와 이용을

촉진하였다.

개선단계에서 본래 환경과 결합하고 새로운 수요, 기

술조건에 대해 상응하는 조정을 해야 한다. The High

Line의 지면배치 및 녹화 디자인의 모습은 규칙적으로

변화가 있어야 했다. [그림 2][29] 은 사용률을 보이는

구역(100%경질배치)와 재배환경구역(100% 녹화구역)

이 있다.

동안 그 지역 환경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림 2. 하이라인파크 녹화 디자인

2.5 재활용

The High Line의 재활용은 공동체를 기초로 한 비

영리성 조직 ‘Friend so the high line’를 먼저 설립하

그림 1. 군락의 안정성 변화

2.4 적응성

104

여 고가철도에 대한 보호를 촉진하였다. 이를 설립한

사람은 2명의 현지주민 Joshua David과 Robert Hammond이다. 조사연구를 진행한 후 The High

Line 건설에는 경제적인 실행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 견하게 되었다.


10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철도를 폐기한 후 사용기능은 상실했지만 주변 주민

들한테는 고가철도의 형태는 이미 그들의 생활과 기억

의 일부분이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어떠한 수

념분석을 통해 분석 틀을 구축하여, The High Line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을 통해 폐기된 고가철도를 보호하며 이용하길 바랐

4. 소결

시계획의 통제, 상태의 융합, 생태과 예술의 결합 및 다

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에 대하여 구성

의 처리이용에 대해 중요한 참고가치를 지니고 있다.

High Line 사례 중 5가지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분

다. 리질리언트 개념 속의 재활용 및 개선방침에는 도

학제의 업무 틀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기타 폐기경관

3. The High Line의 5가지 구성요소 적용 분석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이 강조하는 점은 리질리언

트 경관 개념이자, 경관이 빠르게 회복하여 다시 되살

해당 부분의 내용은 우선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생태

요소의 기본적인 개념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T he

석을 진행하여 응용 방식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5가 지 구성요소의 기본 개념에 대한 비교를 진행하며 [표

8]과 같은 소결 내용을 얻게 되었다.

아나게 한다는 것이다. 리질리언트를 구성하는 요소는

5. 하이라인파크의 위한 리질리언트 도시의 역할

이다. 따라서, 아래의 [표 7]에서는 다섯 가지 요소의 개

트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곳으로, 버려진 철로를

공간을 이끄는 리질리언트 디자인 방법과 그 이론 배경

표 7. The High Line 사례 분석 구성요소 생 태 성

지 속 가 능 성

다 양 성

적 응 성

재 활 용

사진

유형

평가를 통해 알 수 있듯, The High Line은 리질리언

내용

- 다년의 생물, 식물 및 이의 배치를 디자인하여 동적인 야생경관을 완성 - 야생식물의 자연스러운 성장은 식물을 유지하는 원가를 낮추고, 4계절에 따라 각 1 . C h e l s ea 다른 경관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는 도시 중앙에 위치한 녹색지붕임 T hicket 2. 도로포장

- 도로 옆의 토지에는 식물과 궤도를 배치하여 빗물이 자연스럽게 심은 식물이 있 는 토양층에 흘러가게 하며 관개 수요를 줄였음 - 이는 생태보호에 부합하는 절약디자인임.

- 하이라인파크는 23개의 구역을 포함하여 공공공원으로 디자인 된 후 각 구역을 1. 직원의 공유 공 치밀하게 연계하여 구역 간의 긴밀성을 강화 - 직원과 주민들이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장소를 제공 간 2.관광객의 여행 - 도시개선항목의 핵심은 ‘ 보호’와 ‘ 재활용’ - 이는 동시에 정치, 생태, 역사, 사회와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지닌 항목임 지 - 현재, 이러한 항목은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여 뉴욕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줌

- 100개의 각 다른 품종의 식물이 있으며 이는 현지 야생식물에서 선정한 것임 - 이는 식물의 다양성을 강화했으며 현지야생식물은 공간의 인위적인 느낌을 줄일 1. 들꽃 재배 지역 수 있고 자연과 사람의 화합을 보여줌 - 개방형식의 배치는 광장과 도로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 2.무장애 디자인 - 이러한 기능의 불확실성과 다양성의 ‘무장애(pathless)’처리방식은 관광객들이 자 신의 생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함 - 다양성의 선택은 사람이 공간에 참여하게이끌고 있음

- 공업소재(예: 시멘트, 내후성 강재, 재활용 목재)를 사용해 배수로를 깔고, 심어놓 은 식물과 철로 궤도가 결합되면서 빗물이 자유롭게 식물의 토양층으로 스며들게 1.공업소재의 운 함 용 - 이로써 관개의 필요성을 줄임 2. 체험 공간

- 공원의 테두리에는 다양한 식물을 심어 곤충과 새의 이상적인 서식지를 조성 - 방문자가 다양한 체험을 하도록 유도 - 철로 궤도의 빈틈에는 야생화를 심어 자연과 인공의 조화로운 모습을 연출

- 고가철도는 공업시기 발전의 산물이며 역사적 기억과 도시건설가치를 지니고 있 음 1. 보류 중인 레일 - 도로배치에는 철로의 디자인을 유지하여 중요한 문화적 가치특징을 유지하는 동 디자인 시에 뉴욕이라는 도시의 특색을 창조

2.26가 관경대 - 폐기된 고가철도는 도시현황에 따라 공원으로 개조되었으며 잃은 기능을 다시 이 용 - 이는 시민들에게 더 많은 야외휴식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주변 토지의 가치를 올려 새로운 취업기회와 경제적 이익을 창조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05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 한 연구 - ‘T he High Line’ 를 중 심으로 표 8. 구성요소 종합 분석의 소결 구성요소

경관 디자인

생태성

- 자연발전의 과정을 존중하고, 에너지와 물질의 순환에 따른 이 용과 장소에서 수반되는 자아를 유지하는 기능을 이끔

-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개념은 생물 - 생물과 환경의 조화로운 통 과 환경의 관계보다는 공간형태에 일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 더욱 주목함 로 공간의 시설에의 관심으로 - 공간 재생은 점진적으로 활력을 바뀌어 감 지닌 공간을 형성함

지속 가능성

- 지속가능성은 특정한 경관이 지 닌 특징으로, 장기적으로 안정된 경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해당 지역의 사람들의 복지적 차원의 종합능력을 유지하고 개선 시킬 수 있음

- 특정한 경관 공간의 서비스 는 기존에는 사람들을 위해 행 해졌지만, 점차 경제, 정치, 사 회 등 전면적인 지속가능성에 더욱 초점을 두게 되었음

-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개념이 강조 하는 지속가능성은 특정 장소의 인 문적·역사문화적 요소를 통해 해당 공간이 정치, 경제, 역사, 사회의 지 속가능성을 갖도록 하며, 도시의 리 질리언트를 증대시킴

선형 공원

- 모든 환경 속의 모든 사물은 다 양성을 지니고 있음 - 경관의 다양성은 생물의 다양성 의 범주에 속함 - 경관의 다양성의 지표는 풍부함 의 정도를 포함함

- 리질리언트의 다양성은 경 관의 다양성에서 파생되는 개 념으로, 그 개념의 의미가 크 게 다르지 않음

- 리질리언트 디자인 개념의 다양성 은 역시 생물의 다양성에 관심을 둠 - 결여된 야생 동물과 현지 식물군 을 분석하여, 해당 공간에 포함된 생 물이 점차 다양해지면서도 순환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디자인함

현지 식물군

적응성

- 적응성은 사람에게 적합한 디자 인임 - ‘경관의 적응성 디자인의 ’ 개념 은 체계적으로 환경과의 조화로움 을 이루어냄

- 환경에서 비롯된 적응성이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되는 각 종 단계와 적응능력, 향후 발 생할 문제를 위한 대응능력으 로 전환되었음

- 리질리언트 디자인 개념의 적응성 은 디자인, 시공, 사용, 개선의 각 단 계에서 일컫는 적응성임 - 이는 요구의 변화, 기능의 변화, 기술의 변화에서 수반되는 적응성을 포함함

휴식 공간

재활용

- 도시계획의 시각에서 다양 - 버려진 장소는 경관 디자인을 한 분과학문을 용합한 틀 속에 통해 충분히 해당 공간의 특징과 장점이 활용되어 개선되어, 결과 서 공간의 재활용과 공간에서 발생하는 효과의 변화를 분석 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하여 해당 공간을 재활용함

- 리질리언트 디자인 개념의 재활용 은 도시계획 통제, 생태와의 융합, 경제적 가능성을 모두 포함- 리질리 언트 디자인의 수단을 통해 공간을 보호하면서 이용할 수 있음

재활용된 관람대

다양성

종합

구성요소의 내용

리질리언트 디자인

11

사진

활력을 지닌 공간

따라서 리질리언트 디자인 이론에 포함된 5가지 요소는 경관뿐 아니라, 다양한 분과학문, 다양한 시각, 다양한 영역, 다양한 차원에서 전면적으로 고려되어 도시의 리질리언트 특징을 강화하였고, 향후 발생할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되었음. 각 요소들은 자신만의 특징을 지니면서도 서로 융합되는 부분도 존재함

물리적·사회적으로 체계화한 능력이 발현된 사례이다.

을 이끌어갈 능력이 있다. 공원의 관리와 유지의 차원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접목된 공간이 구축되었을 때의

트 디자인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사회적 차원에서

The High Line은 비록 가장 최근의 사례는 아니지만,

실효성과 작용에 뚜렷한 결과가 있었기 때문에 충분한 연구가치가 있다. 따라서 The High Line이 리질리언 트 도시에서 맡은 역할을 간단하게 분석하면 다음과 같

다.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 The High Line는 경제성장

106

에서 보면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해 계속해서 리질리언 보면 사회적 요구를 만족시켜 거주민들을 T he High

Line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문화적 차원에서 보

면 다양한 예술활동을 개최하여 다양한 기능을 늘릴 수 있다.


12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표 9. 리질리언트 디자인 후의 역할 분석 분석 내용

경 제 적 가 치

T he High Line를 설립한 후 새로 구역을 나눔. 신구역과 공원의 조합은 이곳이 뉴욕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구역이 됨. 2000년도부터 2010년까지 신구역의 인구는 60%나 성장하였으며 가장 활력있는 구역이 됨. 고가철도와 근접한 항목건설의 허가증은 2배나 증가했으며 적어도 29개의 항목을 개발하고 총 투자는 20억달러를 넘으며 총 12,000개의 일자리가 생김. ‘friends of the high line’ 라는 조직의 년도세무표(Form990)에 따르면 2013년 총 수입은 3,169만달러임. 그 중 기부는 3,001만달러에 달하여 94.7%에 달함. 기부의 중요한 수단은 회원모집임. 공공자금을 공공공간에 투자하여 경제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음.

도시폐기고가절도경관을 개조한 후의 환경은 자율통제, 조정, 균형의 자연 관리통제과정이 있지만 종합적으로 추후 생길 수 있는 인위적 행위, 문화, 생태 등 요소를 고려함 반드시 인위적 관여를 통해 관리와 통제를 진행하고 자연 자체의 순환회복 능력을 강화해야 함. 관리와 통제는 도시 폐기철도경관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중요한 단계임. 와 환경감독은 관리통제의 주요 수단 중 하나이며 이는 경관의 추후 보수를 보 위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수 데이터정보디자인 관측과 관리과정에서 가장 직접적인 피드백 작용을 하며 끊임없이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보완하는 작용이 있음. 공 원 관 리

사 회 적 가 치

T he High Line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은 생태성을 지닌 역사문화공공공 간을 만들었으며 공업폐기지역 주변의 주민들에게 더 많은 교류, 활동, 오 락공간을 제공함. 해당 지역의 문화생활 수준을 올리고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유치하고 공공 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함. T he High Line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응용은 경관공간이 사회와 사람의 변화수요를 충족함. The High Line는 개방적이면서도 아직까지 이의 리질 리언트 작용을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가치를 지님.

T he High Line는 공공예술을 유입하며 <예술위원회>를 설립하여 정기적 문 으로 하이라인파크에서 각종 유형의 공공예술활동 예를 들면 야외음악회, 화 그림 전시회, 콘서트 등을 주최함. 적 T he High Line 디자인팀은 공원 근처의 폐기공장 및 창고에 대해 계획과 디자인을 하여 공공예술관과 예술업무구역으로 개선하여 새로운 기능을 부 가 여함. 치 공공예술활동은 The High Line과 서로 영향을 끼치며 성장하고 구역경제 의 발전을 촉진함.

Ⅴ. 결론 및 제언 현재 도시는 더 많은 환경문제와 경제문제를 마주하

고 있고, 이는 생태환경, 사회구조, 생활방식 등의 방면

에서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나 도시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도시공공공간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

는 주로 공간의 단일화, 기능의 경직화, 적응성의 상실

에서 엿볼 수 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전통적인 디자

본 연구의 취지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결합하여 리질

리언트 디자인의 실천공간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는 것 이다. 각종 문제와 압력 하에서 하이라인파크 자체의

리질리언트 능력을 판단하고 디자인 속의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 등의 5가지 리질리언트

디자인요소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공

간에 리질리언트를 부여하였으며, 도시의 경제, 사

회, 문화, 구역, 사람에게 모두 발전가치를 지니게 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The High Line의 역사, 디자인 및 리질리

언트 관련 이론과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T he

High Line’은 방치된 지 20여 년 동안 끊임없이 철거 논란이 일어났고 심지어 몇 차례 완전 철거될 위기에

몰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와중에 1999년 결성된 ‘friends of the high line’이라는 조직의 적극적인 보 호로 최근 대중에게 개방되는 공원으로 개발되었다.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을 기반으로 The High Line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과정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버려진 The High Line은 긍정적인 효익을 창출 할 수 있으며 리질리언트를 보유한 공공 공간으로 형성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아래 몇 가지 요소에서 찾 을 수 있다.

첫째, 다양성과 생태성은 상호 작용하고 있다. The

High Line은 고가 도로 위의 공원으로 지면과 맞닿아

있지 않다. 그러므로 다양성을 갖고 있는 야생동물과 현지 식물을 선별하여 이러한 동식물을 기존의 자발적

으로 조성된 경관 위에 이식한다. 그리고 이를 관개를 줄이고 리사이클이 가능한 식생과 궤도로 디자인한다.

이를 통해 시간에 따라 점차 유지 보수 투자를 줄일 수

있고 유연하면서도 안정적인 생태 시스템으로 형성될 것이다.

둘째, 지속 가능성 디자인 측면에서 The High Line

은 역사 문화 및 인문경관에 착안하여 23개의 구역을

인 방식이 변화하는 상태, 외래변화요소에 대한 고려가

가진 철로 노선 구조를 보존하고 이를 보행 공간으로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 방식은 효과적으로 이러한 문

Line은 공공 공간에서 당대 예술의 역할을 확장하였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미래의 발전변화에 여지를 남겨야

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는 ‘전면적 디자인’과 ‘무(無)디

자인’ 사이를 고려하는 사고방식이다. 공간의 리질리언

트능력을 부여하고 장기적인 생명력을 실현해야 한다.

디자인하여 23개의 구역을 연결하였다. The High

데, 여기서 정기적으로 공연활동 및 예술 프로젝트가 개최되었다. 이는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건강

하고 편안한 공공 생활을 창출하였다. 동시에 정치 경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07


13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 한 연구 - ‘T he High Line’ 를 중 심으로 -

제적 측면에서 공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유지시켰다.

타낸 특징이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응용 여건과 사회 여

공공의 참여는 큰 역할을 하였다. The High Line 건설

질리언트 디자인이 프로젝트에서의 적용 범위와 관리

안은 더욱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바뀌었다. 후반에는

한 관리와 통제를 확보하고, 자연 자신의 순환 복원 능

셋째, The High Line 건설 초기 및 건설 과정에서

초기의 공공 참여로 인해 경쟁을 통한 계획 디자인 방

The High Line을 관리하던 ‘friends of the high

line’이 다채로운 활동을 주최하여 공원의 이용 빈도를

높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The High Line의 성공

건을 만족시키는 여부를 고찰해야 한다. 이를 통해 리 제도를 수립하는 배치를 명확히 하여 인문이 환경에 대

력을 강화하며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작용을 끊임없이 보완해야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도시 리질리언트를 강

을 촉진하였다. The High Line을 본보기로 삼아 현재

화하는 것을 중심으로, 경관 설계 측면에서 공간의 적

적 배경, 사회적 인식 등은 차이가 있지만 여전히 중요

버려진 역사 공간의 리질리언트 건설에 대한 구체적 방

한국의 도시 건설 및 경관 발전을 비교하면 비록 문화 한 참고적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통해 공간의 리질리언트를 강화하여 미

응형 사이클 (The adaptive cycle) 문제를 이해하고 향성을 제기할하고자 한다.

래의 충격을 대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래

몇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구성 요소는 공간과 상호작용

을 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하지만 다른 공간에

서 리질리언트 디자인 요소의 구성은 변화할 수 있으며 구성 요소의 개념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리질리언트 경

관 영역 요소의 개념 변화는 다른 영역과 구별되며 중

요한 의의를 갖는다.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 요소는 경관 디자인의 디테

일과 리질리언트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다. 이러한 경관 디자인의 강화와 경관에 대한 유기적 시스템 관리는 단

기적으로는 일정한 경제적 투자를 증가시키지만, 이러 한 지속가능한 경관은 장기적으로는 공원 자체 또는 주

변 환경 발전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의 본질은 지속가능한 디자인

에 속하며 주기적 순환성을 보인다. 디자인에서 장소기

능 디자인의 확장성 탐구, 재생가능 자원 에너지원의 재이용과 재개발, 공공기초설비시설의 내구성 및 현지

식물의 회복과 보호 등을 중요시해야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일반적인 디자인 방법 외에 흔

히 일반적인 디자인 방법과 어우러져 보다 디자인의 리

질리언트 사고를 강조하고, 디자인 과정 및 디자인 완

성 후 해당 환경의 변화 추세에 더욱 주목한다. 서로 다

른 공간에 대한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적용 범위도 다소 차이가 있고, 디자인 초기에 환경의 각 구성 요소가 나

108

참 고 문 헌 [1] 段亚丽, 弹性设计理念指导下的郑州市树木园景观 规划, 河南农业大学, p.9, 2014.

[2] 표희진, 도시의 리질리언스(Resilience) 강화를 위한 전략과 도시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p.3, 2017.

[3] Kegler 2014; Karrholm, Nylund & dela Fuente, 2014; Christmann et al. Vol.44, No.2, pp,60-66, 2011.

[4] 김정곤, 임주호, 이성희, 리질리언스( Resilience)

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p.6, 2016.

[5] C. S. Holling, “Res ilienc 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J],”

Annual review of

ecology a nd systematics, Vol.4, No.1, pp,1-23, 1973.

[6] R. J. T. Klein, R. J. Nicholls, and F. Thomalla, “ Resilience to natu- ral hazards: How useful is t his concept?,” Environmental Haza rds, ISSN: 1464-2867, pp,35-45, 2003.

[7]

B.

WALKER,

C.

S.

HILLING,

S.

R.

CARPENTER, and Ann Kinz ig , “Resilience, Ada pta bility

SocialEcological

and

Tra nsf ormability

syst ems[J],”

Ecology

Society, Vol.9, No.2, pp,25-27, 2004.

in

and

[8] J. Wu, “Urban ecology and s ustainability: The


14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20 Vol. 20 No. 1 state-of-the-science and future directions,”

[24] https://www.asla.org/2013awards/524.html, 2013.

pp.209-221, 2014.

[26]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 艺术与设计(理论),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125,

[9] 刘丹, 弹性城市的规划理念与方法研究, 浙江大学, p.48, 2015.

[10] Niall G. Kirkwood, “Resilient Landscapes— Dimensions of Future Landscape Architectural Practi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106, No.3, pp,221-229, 2012.

[11] P. Olsson, C. Folke, and F. Berkes, “Adaptive comanagement

for

building

resilience

in

social-ecological systems [J],” Environmental management, Vol.34, pp,75-90, 2004.

[25] 지속가능 발전법 제2 조 1 항

ISSN:1008-2832 , pp.81-82, 2010.

[27] 胡中慧, 基于弹性理念的苏南乡村景观规划策略研 究, 苏州科技大学, p.15, 2017.

[28] 倪文岩, 广州旧城历史建筑再利用的策略研究, 华 南理工大学, p.8, 2009.

[29] https://backspace.com/notes/topic/high%20line, 2002.05.

[30] https://www.pinterest.co.kr/pin/26810560270 004401/, 2011.11.

[12] 袁磊, 基于弹性思维视角的城市滨水景观设计策略 研究, 华中科技大学, p.25, 2016.

[13]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 艺术与设计(理论), 2010.

[14] 田雪, 可变性景观空间设计研究, 大连工业大学, p.6, 2016.

저 자 소 개

천 원 리(Wen-Li Chen)

정회원

▪2017 년 8 월 : 동서대학교 디자 인학과(석사)

[15] 翟俊, 基于景观都市主义的景观城市, 建筑学报,

▪2017년 9 월~ 현재 : 동서대학

2010.

교 디자인학과(박사과정)

[16] 段亚丽, 弹性设计理念指导下的郑州市树木园景观 规划, 河南农业大学, p.12, 2014.

[17] 진정은, “연안도시의 홍수적응방안의 탄력성 평 가-뉴욕, 로테르담,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O’

Rourke,

Interdependencies,

“Crit ica l and

Bridge-Washington-national

Infrast ructure, Resilience,”

Academy

Engineering,” Vol.37, No.1, pp.23-29, 2007.

[19]

of

< 관심분야> : 환경디자인, ‘리질리언트’ 이론, 리질리 언트 디자인, 도시재생

홍 관 선(Kwan-Seon Hong)

정회원

▪1993년 :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건축학과 학사

https://www.asla.org/biodiversityloss .as px,

2011.02.

▪1995년 : 국민대학교 대학원 건

下的高线公园植物造景,” 南京林业大学学报(人文社

▪2014년 : 국민대학교 대학원 건

[21] 구본섭, 도시재생을 위한 산업유산 활용방향에

▪2001년~현재 : 동서대학교 디자

[20] 唐桂兰, 李小茹, “派特· 欧多夫及其生态智慧视角

축학과 석사 축학과 박사

会科学版), ISSN:1671-1165, p.87, 2015.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4,

2008.

[22] 강성중, “도시재생을 위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의 산업유산 활용 사례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12, 2011

인학부 환경디자인전공 교수

< 관심분야> : 건축디자인, 환경디자인, 도시재생, CPTED

[23] https://baijiahao.baidu.com/s?id=16288106203 57358395, 2019.03.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09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통권 95호)

서비스 청사진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의 최적화 연구 천추안완, 이성필(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투고일_2019.08.10

심사기간_2019.09.01-14

게재확정일_2019.09.16

서비스 청사진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의 최적화 연구 Research on Service Contact Optimization of Chinese Homestay Based on Service Blueprint 천추안완_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 이성필_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Chen ChuanWan, Design Graduate School of Dong seo University / Lee, Sung Pil, Byoung Jin College of Design, Dong seo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민박 개술 2.1. 민박의 개념 2.2. 민박 서비스 모델의 변천사 2.3. 민박 서비스의 내용 2.4. 민박과 다른 숙박 시설의 내용 및 특징에 대한 비교 3. 중국 민박의 발전 현황 및 문제 분석 4. 서비스 접점과 서비스 청사진에 대한 개술 4.1. 서비스 접점 개술 4.1.1. 서비스 접점의 정의 4.1.2. 서비스 접촉의 구성 관계 4.1.3. 서비스 접점의 설계 원칙 4.2 서비스 청사진에 대한 개술 5. 서비스 청사진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에 대한 최적화 실천 6. 결론 참고문헌

112


서비스 청사진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의 최적화 연구 Research on Service Contact Optimization of Chinese Homestay Based on Service Blueprint 천추안완_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 이성필_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Chen ChuanWan, Design Graduate School of Dong seo University / Lee, Sung Pil, Byoung Jin College of Design, Dong seo University

요약 중심어 서비스 접점 서비스 청사진 최적화 중국 민박

ABSTRACT Keyword service encounter service blueprint optimization Chinese homestay

민박은 새로운 숙박 시설 임대 서비스로서 숙박 시설과 고객 사이에서 유연하고 적극적이며 밀접한 상호작용 관계를 구축하는 데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중국 민박수는 최근 몇 년 사이 서비스 체험 부족과 서비스 접근 동질화로 고객의 항의가 빗발쳤다. 한편으로는 민박업계의 국가 차원의 법적 규제와 정책적 보장이 부족하 고, 위생, 안전, 서비스의 질량 등 민박의 지속운영이 불가능할 정도로 민박 관리와 경영에 허점이 많다는 것이 다. 한편으로 민박집의 스타일과 서비스 내용, 지리적 위치가 너무 같은 구도로 구성되어 있어 동질화 서비스 문제로 인해 '고경쟁 저경쟁력'에 빠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민박을 선택하고 민박에서 체크아웃할 때까지 모든 단계에서의 접촉 환절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여 중국 민박의 서비스 접촉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국 민박의 서비스 체험 과정에 대하여 최적화 건의를 제기하면서 전반적인 서비스 과정을 더 욱 인성화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 전반적인 숙박 시장에서 중국 민박의 영향력을 높이였다. 서비스 접촉의 기본 디자인 원칙을 기초로 하고 중국 민속의 서비스 체험, 이익 관련자 방문 그리고 오프라인과 온라인 시장에 대한 비교 분석 등 방법을 통해 서비스 청사진을 이용하여 중국 민속의 서비스 접촉을 전개하고 정리하며 서비 스를 운영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존재하는 문제점을 정리하고 이를 착안점으로 하여 최적화 연구를 전개하였 다. 최적화 결과에 기초하고 시간의 흐름, 서비스 체험 흐름과 반사실적 사유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서비스 접촉 에 관련된 5개 디자인 원칙을 제기하고 4부분에 대한 최적화 실천을 거쳐 최종적으로 중국 민박 서비스 접촉의 문제점을 통찰하며 민박 서비스의 6개 단계에 대하여 디자인 최적화를 실시하고 새로운 접촉 원소와 방안을 제 기하여 중국 민박에 대한 선택, 민박으로 출발, 민박에 입주, 민박에서 체크아웃 등 서비스 접촉점에 적극적인 최적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중국 민박의 서비스 질량을 높이고 시장 경쟁력을 확장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제 공하였다. As an emerging house rental service, guesthouse provide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flexible, positive and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accommodation services and customers. However, due to poor service experience and frequent homogeneity of service encounter, China’s homestay is protested by customers. On the one hand, the homestay industry is lack of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s well as relevant policies for safeguard, but it even has lots of loopholes about homestay management and operation, such as sanitation, safety and service quality, and so on. In this way, it is impossible for homestay to realize sustainable operation.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excessively similar homestay styles, service contents, and geographic position, the issue of homogeneity makes homestay get caught in the dilemma of “high competition with low competitiveness”. This study deeply examines every link from consumers’ choosing a homestay to leaving it, aiming to optimize the service encounter of the Chinese homestay industry. By providing advice for optimizing the service experience of Chinese homestay, it helps to make the entire service process more humane and improve consumer satisfaction, thereby enhancing the influences of Chinese homestay in the entire homestay market. Following the design principle of the service encounter, this paper first concludes the service experience of Chinese homestay, interviews stakeholders, and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online and offline markets. Next, it reviews the service encounter of Chinese homestay through service blueprint and concludes the difficulties of each link in service and operation. Next, it conducts the optimized study from this perspective. According to optimized results, the paper puts forward five design principles from such perspectives as time flow, service experience flow, and counterfactual thinking. Next, it concludes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service encounters of Chinese homestay through four optimization practices. It then puts forward new encounter elements and solutions for optimizing such service encounter points as selecting, going to, living in, and leaving Chinese homestay. The paper thus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Chinese homestay and enhancing its market competitiveness.

62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13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16년 말에 들어오면서 중국 중앙정부 경제업무회의에서 처음으로 '집은 거주용이지 투기대

상이 아니다'라는 정책 기조를 제시한 후에 중앙정부에서 여러 정책을 잇따라 발표해 부동산기 업의 융자, 부동산 구매자의 신용 대출 행위를 규제했다. 한편, 중국 2.4억의 유동인구와 2억

가까운 미혼 인구가 있어 중국의 부동산 임대 시장이 황금 발전기를 맞이했다. 2030년에 시장 규모가 4만 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1). 민박은 인터넷 플랫폼과 관광 시장을 수반하여 나타난 단기 주택 임대로서 중국 주택 임지 시장에 있어 향후 10년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이에 관련해 국가관광국은 2017년에 최초의 국가 업계 기준인 <관광 민박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와 평가>를 발표하여 민박 시장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중국 민박이 신속히 발전할 수

있는 까닭은 첫째, 중국 관광산업이 고도속도로 발전하는 단계에 있기 때문이다. 세계관광기구 는 중국이 2020년에 전 세계 첫 번째 큰 관광 목적지와 네 번째 큰 표적 시장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2). 다른 한편, 중국 인터넷 생활 모델의 신속한 보급도 그 이유 중 하나이다. 공업

및 정보화부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 이동 인터넷 사용자가 2017년에 11.2억에 달했다. 앞으로 국내의 잠재적인 민박시장이 어떻게 해야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확보하며 경쟁력 있는 서비

스를 제공하고 민박 브랜드 문화를 나타내는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느냐가 민박 서비스 향후 발전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민박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조회한 결과 민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정책의 제정, 마케팅 전략이나 특색이 있는 디자인 등에 중심을 두고 있음 을 알 수 있다3)4)5). 그러나 민박은 전형적인 임대 서비스로서 서비스의 측면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이 매우 적다. 일부 학자들은 서비스 장면이 고객 행위에 대한 영향을 연구했고6), 일부

학자들은 민박 서비스의 질에 대한 평가를 연구했다7). 현재까지 중국 민박의 서비스 체험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한 사람이 아직은 없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고는 서비스 설계의 측면에서 중국 민박의 섭시스 접점에 대해 연구를 하고 서비스 접점과 관련된 이론 및 디자인 전략을 바탕으로 서비스 청사진 등 방법을 통해 중국 민박 서비스의

접점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이로써 서비스 청사진을 토대로 중국 민박의 서비스 접점에 대한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여 향후 중국 민박 서비스의 최적화에 서비스 설계와 관련된 이론 지도와 사례 참고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2. 민박 개술 2.1. 민박의 개념

민박의 개념은 유럽에서 유래되었는데 외국에서 “Homestay”, “Family hotel”이나 “Guest

house”이라고 불린다. 그 어근을 보면 민박은 가정과 관련된 것으로 여객과 한 가정이 같이

거주한다는 개념이다8). 민박은 관광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주택 상품9)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현지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현지 문화를 이해하는 체험 서비스로10)도 여겨진다. 민박의 1) 사략특, 프라이스워. 임대 아프트 시장 & 부동산 업체의 구조에 대한 도전 및 대응전략[R].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중국, 2018. 2) 서의덕. 문여지산: 다음의 골든 10년을 열자 [R]. 북경: 중국 상업부동산연구센터, 2017. 3) 이민용, 이나. 민박 설계 표준화와 특색화 연구[J]. 미와 시대(도시 버전), 2017, 11: 023. 4) 유양. '인터넷+' 배경에서 객전 민박의 마케팅 전략 연구 - 여강을 중심으로[J]. 중국 시장, 2017, 34: 102-104. 5) 막연림, 사소진, 마려경. 공유 경제 배경에서의 민박 발전 대책 연구[J]. 강소상론, 2017 (2): 20-24. 6) 리만, 마친하이, 짜오샤오위. 인터넷 서비스 장면이 고객 행위와 의향에서 수행하는 작용에 대한 연구: 초시 신뢰의 시각에서[J]. 마 케팅과학학보, 2014, 10(2): 44-58. 7) 장시, 양야시. 국내 민박산업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 연구[J]. 호주사범대학학보, 2017, 39(1): 59-66. 8) Richardson K. International education: The quality of homestay services[C]//17th IDP Australian International Education Conference. 2003: 21-24. 9) Clarke J. Farm accommodation and the communication mix[J]. Tourism management, 1996, 17(8): 611-616. 10) Timothy D, Teye V. Tourism and the lodging sector[M]. Routledge, 2009.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114

623


개념은 흔히 민박 관광(Homestay tourism)과 관련되는데 생태 관광은 지역 사회를 바탕으로

(Community-based) 하는 상품 및 서비스와 관계를 맺어 관광객, 환경과 관광 활동의 공존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11)고 강조한다. 이러한 민박 시스템(Homestay system)은 어느

정도에 현지 관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현지의 전통 문화와 자연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익과 일자리를 창출하여 현지인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현지의 관광산업이 사람과 자연을 조화롭게 발전하도록 돕는다. 2.2 민박 서비스 모델의 변천사

민박은 보통 B&B(Bed and Breakfast)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회와 기술의 제약을 받아 서로 다른 단계에 민박은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통해 B&B를 관광객에게 제공한다. 인터넷이 나타 나기 전에 민박은 호텔에서 독립된 C2C 서비스 모델이었다. 이러한 서비스 모델은 서양 국가

의 성지 순례 활동에서 기원되었다. 현지 주민들이 찾아온 수많은 순례자의 숙박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그들에게 숙박 시설과 음식을 제공했다12). 초기의 C2C는 민박에 충족하고 안정된

고객을 제공할 수도 없고 마케팅 수단도 없어서 민박은 관광지 주민들이 부업 소득을 증가하는 수단 밖에 되지 못했다. 그 뒤로 정보통신기술(ICT)이 보급되면서 민박의 서비스 모델은 C2C 에서 C2B, 그리고 B2C로의 발전을 거쳤다. C2B 단계에 민박 경영자는 공급 업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OTA(Online Travel Agency)을 도입하고 플랫폼을 통해 고객을 대접했다. Priceline 관광서비스 사이트는 바로 한 예이다. C2B의 서비스 모델은 관광객과 민박 경영자에게 소통하 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민박의 업무량을 크게 늘렸다. B2C단계에 인터넷 플랫폼(Aribnb,

씨트립 등)이 민박 경영자와 합작 관계를 맺었고 민박에 대한 감독과 홍보를 실시했다. C2B와 달리 B2C의 경우 인터넷 플랫폼에서 민박 정보를 발표하고 민박 수요를 가진 사용자를 매칭하 고 배정한다. 사용자는 플랫폼을 통해 해당되는 할인과 혜택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플랫 폼에서 민박의 서비스의 질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그림1 참고.

<그림 1> 민박 서비스 모델의 변천사

2.3. 민박 서비스의 내용

관광객이 민박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없어서는 안 될 것인 만큼 만족할 만한 서비스 체험은

관광객의 충성도를 높이고 새 고객을 유치하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민박과 관련된 문헌과 자료를 조회한 결과 보통 민박 서비스는 관광객에게 다음과 같은 7가지의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13).

고객에게 시골의 다양한 문화와 주민의 친절한 태도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전에 겪어보지 못했던 것, 특히 새로운 현지 음식을 맛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창구에서 현지인의 생활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직접적으로 교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11) Ismail M N I, Hanafiah M H, Aminuddin N, et al. Community-based homestay service quality, visito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J].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6, 222: 398-405. 12) 왕웨이취안, 짜오리핑. 국내외 민박 발전 역사 연구[J]. 강서건재, 2017 (1): 30-30. 13) Bank N R. A Study on Dallagaon Homestay and Its Sustainability[J]. 2015. 62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15


제공한다.

민박 가정의 구성원이 되어 소박한 생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 현지 주민을 통해 그 지역의 환경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현지의 경제 발전과 도움이 필요하는 사람에게 직접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취업 기회를 가져 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그 지역의 환경 보호 활동에 동참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2.4. 민박과 다른 숙박 시설의 내용 및 특징에 대한 비교

민박의 등장은 시골 관광 및 레저 관광과 갈래놓을 수 없는 관계를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민박과 농가락, 객잔 등 여타의 숙박 시설은 비슷한 점을 많이 가진다. 한편, 민박은 농가락,

객잔과 똑같이 모두 개인이 운영한 것으로 환경 및 지역 사회와 호혜의 관계를 가진다. 그 중에서 민박은 지역 사회 환경에 의존되고 농가락은 마을 환경에 의존되며 객잔은 관광지의

환경에 의존된다. 다른 한편, 민박, 농가락과 객잔은 모두 주택을 개조하는 특색을 가지고 현지 문화를 적극적으로 융합시켜 이곳을 찾은 고객에게 현대 호텔, 여관과 다른 거주 경험을 제공 한다. 비록 이들이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민박은 규모와 서비스 내용에 있어 농가락과 객잔에 비해 더욱 유연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민박은 한 칸의 방이나 몇 개의 침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민박의 핵심 서비스인 B&B(Bed and Breakfast)의 제공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 문헌 자료를 정리함으로써 본고는 민박과 기타 숙박 서비스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표1로 요약한다.

<표 1> 민박과 기타 숙박 시설의 차이점 유형

호텔

객잔

농가락

민박 자영업 여관

서비스 내용

특징

① 전문적이고 통일된 서비스 규범을 가진다. 음식, 오락, 숙박, 쇼핑, 운동, ② 주로 비즈니스 목적의 고객을 대상으로 한 회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다. ③ 가격이 비교적 비싸다. ④ 고객의 다양한 할 수 있다.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① 주로 옛도성, 옛도시 등 관광지에 의존된다. 실질적으로 개인이 운영한 여 ② 역사 문화 체험을 위주로 한다. ③ 운영 상황 관으로 숙박을 위주로 하고 음 은 관광지의 고객 수량에 의존된다. ④ 서비스 식과 오락 시설을 갖춘다. 의 질이 각각 다르다. ① 대부분은 현지 농민들의 주택을 개조한 것이 시골 관광과 결합하여 정원 풍 다. ② 운영 상황은 생태 환경의 우열과 밀접한 경, 음식과 생활을 하나로 합 관계를 가진다. ③ 실외 활동의 장소를 제공할 친다. 수 있다. ④ 시골 음식을 매력으로 한다.

분포

대표

도시

포시즌스 호텔

관광지

여강고성객잔

마을

장록농장

현지 문화를 중심으로 민박, ① 현지 생활을 체험할 수 있다. ② 문화 교류를 도시, 마을, 음식과 관광 안내 등 서비스를 할 수 있다. ③ 현지 음식을 제공한다. ④ 규모 관광지 제공한다. 는 15칸 방 이내로 한다.

모간산민박

숙박

도시 초대소

① 가격이 저렴하다. ② 단기간 묶는 고객을 대 상으로 한다. ③ 인프라 시설과 서비스의 질이 비교적 낮다.

도시, 마을

3. 중국 민박의 발전 현황 및 문제 분석

현재 중국 민박의 주류 소비층은 주로 70년대와 80년대 후 태어난 사람들이고 중간 수준의

소득과 높은 학력을 가진 것이 그들의 중요한 특징이다. 조사에 따르면 중국 민박은 고속도로 발전하는 '초기 단계'에 처하고 있다. 2016년 중국 민박은 무려 53852에 달했고 짧은 2년 동안 무려 78%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비록 민박의 수량이 전체적으로 증가했지만 과거에

민박이 모였던 관광지와 옛촌락에서 민박 수량이 줄어든 현상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윈난성

따리는 2017년에 약 700군데 줄어들었고 푸젠성 샤먼시는 264개 감소했다. 그 이유는 한편, 민박 업계가 국가 차원의 법률과 규정, 정책의 보장을 받지 못해 위생 문제, 안전 문제, 서비스

의 질 문제 등 대량의 민박이 관리와 경영의 결점이 생겼다. 이런 이유로 민박이 지속적인 운영을 하지 못한다. 다른 한편, 민박의 스타일, 서비스 내용과 지리적 위치가 너무 똑같고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116

625


동질화된 서비스 문제로 인해 대량의 민박이 '치열한 경쟁에서 경쟁력이 없다'는 곤경에 빠졌 다. 본고는 문헌 자료를 수집하여 기존 중국 민박에 존재한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표 2> 중국 민박에 존재한 문제점

4. 서비스 접점과 서비스 청사진에 대한 개술 4.1. 서비스 접점 개술 4.1.1. 서비스 접점의 정의

서비스 접점(service encounter)이란 '진실 순간(moment of truth)'이라고도 불린다14). 여러

개의 접점(Touch points)으로 구성된 서비스 사건으로서 고객의 인간관계 접점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유형이나 무형 서비스 요소의 접점도 포함한다15)16). 협의적인 서비스 접점은 고객 과 서비스 직원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가리키는데 일종의 이차원 접촉이다17). 그러나 서비스

과정의 복잡성이 늘어나면서 서비스 접점은 더 광범위한 접점 요소, 예를 들어 서비스 환경,

서비스 시설 등도 포함하게 된다. 그러므로 광의적인 서비스 접점은 서비스 소통 및 전달과

관련된 모든 접점을 포함하는데 고객이 서비스 과정에서 조직과 고객 간의 모든 사람과 물리적 인 상호작용으로 나타난다18). 그림 2와 같이 서비스 접점은 주로 세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19).

<그림 2> 민박 서비스 모델의 변천사

14) Norman. Service management: Strategy and leadership in service organizations[J]. Journal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Association, 1984, 34(2):90-95. 15) Lockwood A. Using service incidents to identify quality improvement points[J].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1994, 6(1/2): 75-80. 16) Bitner M J.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J]. the Journal of Marketing, 1990: 69-82. 17) Surprenant C F, Solomon M R. Predictability and personalization in the service encounter[J]. the Journal of Marketing, 1987: 86-96. 18) 덩청렌. 접촉 서비스 접점[J].장식, 2010 (6): 13-17. 19) 샤오이난. 서비스 접점에 대한 연구[J].길수대학학보: 사회과학판, 2017 (S1): 50-54. 626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17


4.1.2. 서비스 접촉의 구성 관계

20세기 90년대에 Bateson은 서비스 접점의 참차원모델(Service Encounter Triad)20)을 제기

하면서 서비스 접점은 고객, 직원과 서비스 조직으로 구성되고 고객과 직원은 서비스 조직이

정의한 상황에서 서비스 과정을 통제하는 3위1체라고 지적했다. 이 모델은 서비스 조직이 서

비스 전달 과정을 설계하고 통제하는 데 편리하지만 다른 접점 요소를 무시했다21). 스마트화 수준의 향상과 IoT 기술의 보급에 따라 서비스 환경과 셀프 서비스 장비는 과거에 직원들만

가지는 서비스 능력을 갖추었다. 따라서 본고는 3차원모델은 고객, 서비스 제공자(직원, 셀프 서비스 장비와 환경 포함)과 서비스 조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이는 그림 3과 같다. 그

중에서 고객 기대와 서비스 제공자가 상호작용을 하여 더 많은 통제감을 얻고 효율적인 서비스 를 체험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조직이 지정한 방식으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

함으로써 서비스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객과의 통제권 전환 문제를 조율해야 한다. 서비스 조직 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충분한 자율성을 부여함으로써 효율을 높이고 고객에게 충분한 통제권 을 부여하여 만족도를 얻도록 한다.

<그림 3> 민박 서비스 모델의 변천사

4.1.3. 서비스 접점의 설계 원칙

상기에서 분석한 서비스 접점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는 이에 관련된 설계 사례와 문헌을 수집하 고 정리한 결과 고객이 서비스 접점에 있어 그 만족도는 실질적으로 시간 흐름(Flow of time),

서비스 체험 흐름(Flow of the service experience), 사후 가정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 와 관련된 것을 알 수 있다.

22)그

중에서 시간 흐름은 고객의 시간 지각과 관련되는데 시간

지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비스 내용, 체험 정서와 태도 등을 포함한다. 내용이 풍부하고

흥미로운 서비스 장면과 적극적인 정서가 시간을 빨리 흐르게 하고 반면에 느리게 흐르게 한 다. 체험 서비스 흐름은 고객이 체험에서 느끼는 감정을 나타낸다. 행위학자들은 사람들이

고통이나 기쁨에 대한 정리가 누적된 것이 아니라 서열 있는 추세를 보인다고 지적했다.23)

쉽게 말하자면 순수한 기쁨에 비해 고객들은 시간의 추이에 따라 체험을 개선하는 것을 좋아한 다. 즉, 고통에서 기쁨으로 바뀌는 것이다. 사후 가정 사고는 고객의 이성적인 사고에 관한

것인데 쉽게 말하자면 '만약에 이렇게 한다면?'이다. 고객이 서비스 접점에서 불쾌감을 느낀다 면 작은 일이라도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편이 연착되면 고객은

다른 항공편을 탔으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 세 가지 20) Bateson J E G. Perceived control and the service encounter[J]. The service encounter: Managing employee/ customer interaction in service businesses, 1985: 67-82. 21) 왕젠링, 류스펑, 우줘민. 서비스 접점 이론과 그의 최신 연구 동향[J]. 기업 경제, 2008 (1): 84-86. 22) Cook L S, Bowen D E, Chase R B, et al. Human issues in service design[J].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002, 20(2): 159-174. 23) Ariely D, Carmon Z. Gestalt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The defining features of summarized events[J].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2000, 13(2): 191.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118

627


관건적인 요소를 서비스 접점에 관한 5가지 설계 원칙으로 확대할 수 있다.

서비스 접점은 시종일관해야 한다. 고객이 서비스의 개선을 선호하는 경향을 가지고 서비스의

시작과 종료는 고객의 눈에는 똑같이 중요하다. 서비스가 시작될 때 반드시 만족할 만한 기본

적인 수준에 이르러야 고객이 전체 서비스 과정에서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가 비교적 약한 수준에서 시작하다가 상대적인 성장폭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좋은 시작과 일반 수준의 종료보다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서비스 접점의 초기 단계에 사람을 불쾌하게 만든 서비스 체험을 없앤다. 행위연구에 따르면 고객이 좋은 소식을 받기 전에 나쁜 소식을 받는 것을 선호한다.

즐거운 체험을 분리하고 고통스러운 경험을 모인다. 서비스 접점을 분리하기 어렵지만 즐거움

이 분리되면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 체험이 더 오래 지속된 것 같아서 고객이 손실과 수익의 비대칭을 지각하게 된다. 즉, 즐거움이 많고 고통이 적다는 것이다.

고객에게 더 많은 선택을 주어 서비스 과정을 컨트롤한다. 고객으로 하여금 한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통제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서비스 접점에 대한 만족도를 높인다.

서비스 접점의 규범화와 의식을 주의한다. 사후 가정 사고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서비스 규범 에서 벗어나면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전문 서비스의 경우 더욱 그렇다. 전문 서비스

과정과 결과는 고객이 정한 것이 아니므로 규범을 지키는 것은 사용자가 서비스의 우열을 평가 하는 핵심이다.

4.2. 서비스 청사진에 대한 개술

서비스 청사진(Service Blueprint)이란 미국 유명 서비스 관리학자인 G. Lynn Shostack가 제기한 서비스 관리 방법이다.

24)이는

서비스 중의 각종 요소와 관계로 구성되는데 시각화된

방식으로 서비스 과정에서 모든 단계의 접점, 서비스 내용과 고객 경험을 상세하게 논술한다.

주로 장면, 인원, 도구, 절차 등을 포함한다. 품질관리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s)

이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부호(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BPMN)에 비해 서비스 청사진이 더욱 직관적이다. 직접적으로 집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별한 기교나

대량의 시간으로 그릴 필요가 없다25). 서비스 청사진은 서비스를 파악하는 데 특히 중요하고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보완해야 할 점을 객관적으로 지적하고 번잡된 내용을 없앨 수 있다. 특히 섭시스 과정에서 접점과 Service Fail Point를 최적화하는 기회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업계 권위적인 사용자 체험 연구 및 테스트 기구인 Nielsen Norman Group이 서비스 청사진에 대한 분석을 참고하여 서비스 청사진의 관건 요소를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고객 행위(Customer actions)는 고객과 서비스가 상호작용할 때 이루어지는 절차, 선택, 활동과 대화이다. 이러한 행위를 통해 고객은 특정한 목표를 이룰 수 있다. 보통 고객 행위

는 고객여정지도(customer journey map)에서 유래하는데 고객이 접점에 대한 체험을 포 착하는 도구이다. 고객이 무엇을 하는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무엇을 느꼈는지 포착 하는 서비스 설계 도구이다.

(2) 앞무대 행위(Frontstage actions)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인 부분으로 고객이 지 각할 수 있는 절차와 활동이다. 이런 행위는 사람과 사람, 또는 사람과 기기의 상호작용일 수도 있다. 사람과 사람의 상호작용은 고객과 서비스 직원 간에 이루어진 것이다. 고객과

셀프 서비스(예를 들어 모바일 앱이나 ATM)이 상호작용을 할 때 사람과 기기의 상호작 용이 이루어진다.

(3) 백스테이지 행위(Backstage actions)는 뒤에서 이루어진 절차와 활동으로 주로 앞무대에

서 이루어진 행위를 지원한다. 이러한 행위는 백스테이지에 있는 직원(예를 들어 주방에 있는 요리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앞무대에 있는 직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24) Lynn Shostack G. How to design a service[J].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982, 16(1): 49-63. 25) Calabrese, A., & De Francesco, F. (2014). A pricing approach for service companies: service blueprint as a tool of demand-based pricing. Business Process Management Journal, 20(6),906-921. 628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19


그들은 고객이 볼 수 없는 일(예를 들어 서비스 직원이 주방 시스템에 들어가 주문을 찾는 다)을 한다.

(4) 프로세스(Processes)는 전체 서비스의 앞뒤 순서와 행위의 상호 관계를 정리하는 데 사용

한다. 하나의 서비스 청사진에서 서비스 요소는 그룹으로 구성되고 세 개의 라인에 의해 세 개의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 분류된다. 상호작용 라인(line of interaction) 안에 있는 프로세스는 고객과 조직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묘사한다. 가시적인 라인(line of

visibility)은 고객이 보이는 서비스 행동과 보이지 않는 행동을 구분하는 데 사용한다.

앞무대 행위는 이 라인의 위에 있고 백스테이지 행위는 이 라인의 아래에 있다. 내부 상호

작용 라인(line of internal interaction)안에 있는 프로세스는 고객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발생하지 않는 행위를 묘사하는 데 사용한다.

(5) 증거(Evidence)는 서비스 청사진의 특유한 요소이다. 서비스의 형성은 물리 대상과 관련 되지만 이를 진정한 제품 요소로 분류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을 '증거'라고 부른다. 증거는

서비스 존재와 완료를 검증하는 데 관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쉽게 말하자면 접점에

해당된다. 증거는 장비 자체, 간판, 오프라인 가게, 사이트, 교육 영상이나 전자 메일 등을 포함한다.

청사진은 상기에서 말한 관건 요소를 제외하고 다른 보조적인 요소도 포함시킬 수 있는데 그들 은 시간, 화살표, 감정, 법규나 정책, 원가 등이 있다.

5. 서비스 청사진을 바탕으로 하는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에 대한 최적화 실천

본고는 문헌 검색과 자료 정리를 통해 서비스 접점의 개념과 내용에 대해 전면적인 인식을

형성했다. 그리고 중국 민박의 현황과 존재하는 문제점을 대체적으로 파악했다. 다음은 서비스 청사진이 중국 민박의 서비스 프로세스에서의 접촉 체험에 대해 최적화 실천을 할 것이다.

전체적인 최적화 과정은 4부분으로 나뉜다. (1) 중국 민박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그리고 서비

스 접점 간의 관계를 밝힌다. (2) 접점에 존재한 문제점과 필요없는 내용을 조사하고 분석한 다. (3) 서비스 접점의 설계 원칙을 중심으로 중국 민박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최적화시킨다.

(4) 최적화된 내용을 토대로 서비스 청사진에 대해 중국 민박의 서비스 접점과 프로세스를 다시 정리한다.

최적화 과정의 첫 번째 부분에서 필자는 B2C 모델에서 중국 민박의 서비스 프로세스와 서비스 접점에 대해 정리하고 요약한다. 먼저, 현장 조사(On-site visit)를 통해 필자는 5개 사로 다른 민박을 체험했다. 조사 과정에서 같은 가격대의 민박들은 인프라 시설과 서비스 내용에 있어

대체적으로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직원이나 집주인은 일반 호텔의 서비스 직원보다 더욱 친절하고 열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고객에게 기본적인 아침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들의

차이점은 주로 동호회 가입, 현지 음식 만들기 등 민박 활동과 부가 서비스에 나타난다. 그

다음에 경쟁자 분석(Competitor studies)을 통해 Aribnb, 씨트립, 취나얼, 투뉴를 비롯한 호텔 예약 사이트를 비교한 결과 민박 예약 전의 서비스 프로세스는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고객이 민박에 체크인한 후에 각 민박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에 따라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Aribnb는 가장 전문적인 민박 서비스 사이트로 민박의 수량과 종류에 있어

다른 사이트보다 앞장서고 서비스 종료 후의 고객 평가와 후기도 중시한다. 반면에 씨트립,

취나얼과 투뉴는 종합적인 호텔 예약 사이트로서 여행과 관련된 서비스에 있어 고객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비행기표 예약, 환전과 안내 서비스 등이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본고는 중국 민박의 서비스 프로세스와 서비스 내용을 통합하고 서비스 접점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 청사진을 그렸다. 다음의 도4와 같다.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120

629


<그림 4> 중국 민박의 서비스 청사진

최적화 과정의 두 번째 부분에서 서비스 접점에 존재한 문제에 대해 고찰해야 한다. 필자는

인터뷰를 하는 방식으로 8명의 고객과 이야기를 나누고 다음과 같은 인터뷰 내용을 기록했다. 그 중에서 인터뷰 대상을 선택할 때 응답자의 연령을 20~40대 사이(중국 민박의 주요 소비

층)로 정했다. 또한 이들은 5번 이상 서비스를 체험한 고객이어야 한다. 전체 인터뷰 과정은

일주일 걸렸고 1인당 평균 인터뷰 시간은 30분 정도이다. 인터뷰 내용에 의하면 민박을 선택 한 고객들은 대체적으로 야외 스포츠, 건강한 생활 습관, 문화와 체육 활동을 즐긴다는 등

비슷한 취미를 가진다. 그들은 새로운 사물을 잘 받아들이고 새로운 서비스를 체험하고자 하는

생활 태도를 보였다. 그들의 민박 경험은 주로 2015-2017년에 집중되고 민박 서비스를 선택 한 이유는 호기심, 저렴한 가격, 편리함 때문이다. 인터뷰 과정에서 우리는 그들에게 서비스 청사진을 보여주었고 그들에게 서비스 접점에 존재한 문제점과 불필요한 내용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문제점과 불필요한 내용을 파악하고 정리한 후에 우리는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과

관련된 다섯 가지 페인포인트(pain points, 불편함)를 요약해서 다음 단계의 최적화에 사용하 기로 했다. 이는 표 3와 같다.

최적화 과정의 세 번째 부분에서 서비스 접점의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시간 흐름, 서비스 체험

흐름과 사후 가정 사고 이론을 이용하여 이 다섯 가지 페인포인트(pain points, 불편함)에 대해 최적화 방안을 제기함으로써 중국 민박의 서비스 접점 체험을 개선하도록 한다. <표 3>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에 대한 최적화 방안 페인포인트

원칙

민박 시설을 선택하는 단계에 사용자 후기에 부정적인 내용이 잘 없 고 뚜렷한 선별 흔적이 있기 때문에 참고 가치 가 부족하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선 택을 제공하여 서비스 프로세스를 컨트롤한다. 즐거운 체험을 분리하고 불쾌한 경험을 모인다.

최적화 내용

-불평과 제안 기능 1. 고객은 불평 후기를 포함한 모든 평가 내용을 조회하여 우려를 없앨 수 있다. 2. 불평(불쾌한 경험)을 한 군데에 모인다. 3. 집주인이 불평 후기에 대해 대답 하고 이를 수정(보완 후의 사진 을 올린다)한다.

방안 사례

630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21


페인포인트

원칙

민박으로 이동하는 단 계가 플랫폼에서 벗어 났기 때문에 사용자와 체험에 대해 상호작용 을 할 수 없다.

투숙 단계에는 서비스 의 질에 대한 감독과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하는 경로가 결여된다.

투숙 단계에 추가 서비

스나 전문적인 서비스 를

제공하거나

경로가 없다.

받는

최적화 내용

- 여정 일기장 기능 서비스의 접점은 일관 성을 가져야 한다.

이동하는 각종 경험과 즐거움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2. 이동 단계와 민박 서비스 간의

- 서비스의 실시간 피드백 기능

서비스 접점의 규범과 1.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서비스 의식을 주의한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선

수요를 피드백하는 경로를 제공 한다.

택을 제공하여 서비스 2. 인터넷 플랫폼은 피드백 내용에 프로세스를 컨트롤한다.

서비스 접점의 초기에 사람들을 불쾌하게 만 드는

서비스

없앤다.

체험을

사용자에게 더 많은 선 택을 제공하여 서비스 프로세스를 컨트롤한다.

이나 서비스 직원과의 서비스 접점의 규범과 냉 의식을 주의한다.

대를 받는다는 느낌이 서비스의 접점은 일관 들고 전체적인 서비스 성을 가져야 한다. 인상에 영향을 준다.

1. 사용자가 플랫폼에서 민박으로

접점 공백을 메울 수 있다.

떠나는 단계에 집주인 관계가 멀어지면서

방안 사례

따라 서비스를 감독하고 고객을 장려한다.

- 제3자 서비스 중개 제공

1. 고객에게 더 많은 부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제3자 기구와 합작 관계를 체결 한다.

3. 고객이 수요를 제기하는 초기 단

계에 민박 서비스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 집주인과 고객이 체험 소감을 나누도록 한다

- 서로 이별 선물을 준다

최적화 과정의 네 번째 부분에서 상기에서 말한 최적화 내용에 따라 완선된 중국 민박의 서비 스 접점을 정리하고 서비스 청사진을 다시 그려서 고객, 민박과 인터넷 플랫폼 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보여준다. 다음의 그림 5와 같다. 서비스 청사진을 통해 최적화 방안이 민박 서비스

접점에 다양한 상호작용 내용을 제공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민박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투숙 단계에 있어 최적화 방안은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 선택과 상호작용을 제공하 여 그들의 체험 수요를 만족시켰다. 제3자 서비스 플랫폼과 협력함으로써 다양화된 민박 서

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의 부가 가치를 증가하도록 했다. 체크아웃과 떠나는 단계에서 최적 화 방안은 민박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과 고객 간의 접촉에 기회를 제공하여 쌍방이 헤어지는

어색함을 완화하고 좋은 서비스 체험으로 전 과정을 관통시켜 고객들이 민박 서비스에 일관 성이 없다는 인상을 주지 않게 한다. 민박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최적화 방안은 고객이 민박

서비스의 실제 상황을 알아보는 데 전면적인 정보와 네트워트, 통제권을 제공해 주었다. 이는 고객이 플랫폼에 대한 불신을 없앨 뿐만 아니라 고객이 서비스의 질을 더욱 잘 평가할 수 있게 도와준다.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122

631


<그림 5> 서비스 접점이 최적화된 후 중국 민박의 서비스 청사진

6. 결론

본 연구는 서비스 설계의 측면에서 서비스 청사진을 통해 중국 민박의 섭시스 접점을 최적화시 키는 데 목적을 둔다. 서비스 접점 이론의 시간 흐름, 서비스 체험 흐름과 사후 가정 사고 등 관점에 따라 본고는 서비스 접점과 관련된 5가지 설계 원칙을 제공했는데 그것이 바로

서비스의 접점이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서비스 접점의 초기 단계에서 불쾌한 서비스 체험을 없애고 즐거운 체험을 분리하며 고통스러운 경험을 집중시킨다. 고객에게 더 다양한

선택을 주어 서비스 프로세스를 통제하고 서비스 접점의 규범과 의식을 주의한다. 설계 원칙에 따라 본고는 중국 민박의 서비스 접점을 연구했다. 네 부분의 최적화 실천을 통해 중국 민박

서비스 접점과 관련된 다섯 가지 페인포인트를 밝히고 민박의 6가지 단계에서 서비스 최적화 를 실현하도록 한다. 고객의 민박 서비스 체험을 완선하기 위해 본고는 새로운 접점 요소와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불평과 제안 기능, 관광 일기장 기능, 서비스의 실시간 피드백 기능,

제3자 서비스 중개, 집주인과 고객의 소감 나눔, 이별 선물 서로 증정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중국 민박 서비스의 최적화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중국 민박의 폭발적인 발전으로 인해 민박의 서비스 체험, 특히 서비스 접점이 동질화되고 있다. 그러나 민박 인터넷 플랫폼과 민박 서비스의 제공자는 서비스 설계의 측면에서 민박 서비스의 최적화를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서비스 설계 응용이 중국 민박의 서비스 접점을 최적화시키고 서비스 체험을 향상시키는 데

특히 중요하다. 본고는 향후 중국 민박 서비스의 구조 전환과 최적화에 필요한 이론적 지도와 실천 사례를 제시했다.

63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23


참고문헌 사략특, 프라이스워. 임대 아프트 시장 & 부동산 업체의 구조에 대한 도전 및 대응전략[R].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 스 중국, 2018. 서의덕. 문여지산: 다음의 골든 10년을 열자 [R]. 북경: 중국 상업부동산연구센터, 2017. 이민용, 이나. 민박 설계 표준화와 특색화 연구[J]. 미와 시대(도시 버전), 2017, 11: 023. 유양. '인터넷+' 배경에서 객전 민박의 마케팅 전략 연구 - 여강을 중심으로[J]. 중국 시장, 2017, 34: 102-104. 막연림, 사소진, 마려경. 공유 경제 배경에서의 민박 발전 대책 연구[J]. 강소상론, 2017 (2): 20-24. 리만, 마친하이, 짜오샤오위. 인터넷 서비스 장면이 고객 행위와 의향에서 수행하는 작용에 대한 연구: 초시 신뢰의 시각에서[J]. 마케팅과학학보, 2014, 10(2): 44-58. 장시, 양야시. 국내 민박산업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 연구[J]. 호주사범대학학보, 2017, 39(1): 59-66. Richardson K. International education: The quality of homestay services[C]//17th IDP Australian International Education Conference. 2003: 21-24. Clarke J. Farm accommodation and the communication mix[J]. Tourism management, 1996, 17(8): 611-616. Timothy D, Teye V. Tourism and the lodging sector[M]. Routledge, 2009. Ismail M N I, Hanafiah M H, Aminuddin N, et al. Community-based homestay service quality, visito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J].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6, 222: 398-405. 왕웨이취안, 짜오리핑. 국내외 민박 발전 역사 연구[J]. 강서건재, 2017 (1): 30-30. Bank N R. A Study on Dallagaon Homestay and Its Sustainability[J]. 2015. Norman. Service management: Strategy and leadership in service organizations[J]. Journal of the Air Pollution Control Association, 1984, 34(2):90-95. Lockwood A. Using service incidents to identify quality improvement points[J].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1994, 6(1/2): 75-80. Bitner M J.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J]. the Journal of Marketing, 1990: 69-82. Surprenant C F, Solomon M R. Predictability and personalization in the service encounter[J]. the Journal of Marketing, 1987: 86-96. 덩청렌. 접촉 서비스 접점[J].장식, 2010 (6): 13-17. 샤오이난. 서비스 접점에 대한 연구[J].길수대학학보: 사회과학판, 2017 (S1): 50-54. Bateson J E G. Perceived control and the service encounter[J]. The service encounter: Managing employee/customer interaction in service businesses, 1985: 67-82. 왕젠링, 류스펑, 우줘민. 서비스 접점 이론과 그의 최신 연구 동향[J]. 기업 경제, 2008 (1): 84-86. Cook L S, Bowen D E, Chase R B, et al. Human issues in service design[J].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002, 20(2): 159-174. Ariely D, Carmon Z. Gestalt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The defining features of summarized events[J].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2000, 13(2): 191. Lynn Shostack G. How to design a service[J].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982, 16(1): 49-63. Calabrese, A., & De Francesco, F. (2014). A pricing approach for service companies: service blueprint as a tool of demand-based pricing. Business Process Management Journal, 20(6),906-921.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통권95호)

124

633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기초조형학연구 21권 1호(통권 97호)

중국 구도심지역 노인 생활관찰을 통한 Aging in Place 수요항목 조사연구 판단단, 김세화(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중국 구도심지역 노인 생활관찰을 통한 Aging in Place 수요항목 조사연구 Research on the Needs for Aging in Place Project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Living of the Elderly in Chinese Old Downtown 판단단,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김세화(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디자인학부 Dan Dan, Fan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 Hwa, Kim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차례

1. 서론 2. 중국 인구노령화와 국가정책 3.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 3.1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개념 3.2 커뮤니티 디자인의 적용 4. Aging in Place 4.1 AIP 의미 4.2 AIP 형성 조건 4.3 AIP 세부 항목 5. 노인생활 관찰조사 5.1 중국 구도심지역 노인 주생활의 특징 5.2 관찰조사방법 5.3 생활관찰을 통한 노인 수요조사 5.4 중국 구도심 AIP 수요항목 도출 결과종합 6. 결론 참고문헌

기초조형학연구 논문

126

1


요약

중국 사회에서 인구노령화가 심화되어감에 따라 노인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들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노

중심어 에이징 인 플레이스 중국 구도심지역 커뮤니티 디자인 고객 여정 맵 노인 수요

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대도시 구(舊)도심지역의 노후화된 주거환경은 안전과 위생 문제뿐 만 아니라 주거환경이 열악하여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진행되는 도시재생 사업의 우선 대상이다. 이 지역에 거주하 고 있는 노인들의 대부분은 197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로 이동한 사람들로, 지금 까지 이 지역에 살 아왔으며 앞으로의 여생도 본인들이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 이로 인해, 이 지 역의 도시재생 사업에 있어서는 안심하고 지속가능한 Aging in Place(AIP) 지역재생 커뮤니티 개발전략 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 그런데 선행된 연구에서 검토된 AIP 형성을 위한 기준들은 중국 노인들의 생활 상과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중국 구도심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에게 적합한 AIP 개발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하여, 복지 선진국가의 AIP 형성 조건들에 대한 검토와 함께, 중국 구도심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생활관찰과 인터뷰를 통해서 수요(needs)를 조사하여 종합 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구도심지역의 AIP 형성을 위한 기준 조건으로는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주거조건, 이동조건, 건강 및 돌봄 조건, 사회참여조건, 사회소통조건과 더불어 지역소속감을 추가하여 6가지로 정 의할 수 있으며, 이 조건들을 구성하는 수요항목으로 14개 환경의 33개의 세부요소들을 설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AIP 세부요소들 외에도, 중국 구도심 거주 노인들의 사회 경제적 상황에 적합한 22개 의 새로운 AIP 세부요소들을 추가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ABSTRACT Keyword Aging in Place Chinese Old Downtown Community Design Customer Journey Map Aging Needs

As the aging of the Chinese society grows, societal issues related to the elderly have been highlighted. In particular, the aging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old downtown, where many elderly people live, is not only a safety and hygiene problem but also a priority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re led by the government due to poor living conditions. Most of the elderly living in this area are people who moved to the cit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and have lived in the area from this time until now. As a result, the city's urban regeneration business required a strategy for developing a sustainable and sustainable Aging in Place (AIP) regional regeneration community. However, the criteria for AIP formation reviewed in the preceding studies did not fully reflect the life and needs of Chinese elderl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IP development standard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old downtown of China. For the purpose, the needs were examined through th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old downtown of China, along with a review of the AIP formation criteria of countries developed in social welfa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AIP in the old downtown of China can be defined as six conditions by adding local sense of belonging together with housing condition, mobility condition, health and care condition, social participation condition and social communication condition which were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33 details of 14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et as demand

동서대학교 items that constitute these conditions. In the proces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AIP details,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22 new AIP details were found that were suitable for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력양성업팀에 의해 지원elderly in urban center of China. 본

연구는

되었습니다.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27


1. 서론 노인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하거나 65 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7%를 차지하는 사 회1)을 노령화 사회라 한다. 복지 선진국들은 이미 1980년대에 노령화 사회에 진입했지만, 최 근 개발도상국의 노인 인구가 높은 증가세 보이고 있고, 앞으로 20~30년간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2) . 중국의 경우도 2050년부터는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에 해당하는, 약 4억 명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중국통계국 , 中國統計局). 현재 중국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은 주로 구(舊)시가지를 중심으로 모여살고 있다. 현 재 이 지역의 생활시설들은 매우 낙후되어 위생상, 안전상에 많은 문제가 있다.< 그림 1>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긴 하나, 단순히 벽을 새로 칠하거나 거리를 정리하는 등 환경미화 차원에서의 개선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노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 는데 한계가 있다.

<그림 1> 중국 도시 구도심지역 노인 생활환경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은 여생을 본인들이 살던 지역을 떠나지 않고 계속 거주를 희망하기 때문에 , 이 지역에 대해서는 전면적 재개발보다는 이 지역에 적합한 지 역재생 커뮤니티 개발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 선행된 연구들과 복지 선진국에서 운용되는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 AIP)에 대한 개념과 수요조건을 (needs) 비교 검토하여 기본 조건 들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중국 대도시 구도심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일상생활 관찰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노인들의 수요(needs)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중국 구도심지 역에 적합한 AIP 형성 조건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중국 인구노령화와 국가정책 중국의 인구노령화에 대한 국가 정책의 변화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중국 인구노령화 관련 정책변화 1) 国家统计局. 中国2010年第六次人口普查数据[EB/OL]. http: //www. st ats. gov. cn /tjsj /pcsj /r kpc /5rp /index. htm

2) Following common practice, the “developed regions” include Europe and Northern America plus Australia, New Zealand and Japan, while the “developing regions” include all other parts of the world. 기초조형학연구 논문

128

3


2008 년부터 중국이 실질적 노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중국 정부는 본격적으로 노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를 위해 ‘인구노령화에 대한 국가적 전략 연구(國家應對人口老齡化戰略研究)’를 진행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아직까지 진행된 인구노령화 사업들의 진행경과를 정리하고 해외의 성 공 사례들을 참고하여 중국의 실정에 맞는 인구노령화 전략과 과제를 수립하고자 한 것이다. 북경에서는 ‘9064’라는 노인복지(양로체계) 전략을 수립하였는데 , 2020년 정도부터는 90% 정 도의 노인은 아직까지 살던 집에서 여생을 보내고, 6%는 정부가 운영하는 지역복지기관에서, 4%는 사설기관에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계획한 것이다. 2017년에는 ‘국무원판

공청’에서 제13 차 5개년 계획으로 ‘노령화 산업의 발전과 연금제도 구축 계획(十三五國家老 齡事業發展和養老體系建設規劃)’과 ‘노인복지 서비스 개발과 시행에 대한 의견(關於制定 和實

施老年人照顧服務項目的意見)’을 진행하는 등 노인들의 복지증진을 위해 기초양로정책과 기초 의료보장법을 개선하였다. 또한 2018년에는 ‘중국주택도시건설부’에서 ‘노인 돌봄 시설의 시설 물 설계 표준(老年人照料 設施建築設計標準)’ 을 발표하는 등 정부와 사회에서 노인의 주거 환 경과 주거 시설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3.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 3.1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개념 커뮤니티는 상호교류가 진행되고 있는 개인들의 모임 또는 하나의 동일한 목표를 지향하기 위한 개인들의 모임을 의미한다3) . 생물학적 관점에서의 커뮤니티는 동일한 환경을 공유하면 서 상호작용하는 유기체의 모임을 의미한다. 사회학적 관점에서 커뮤니티는 동일한 공간을 공유하면서 상호작용하는 가정보다 큰 사회적 단위의 모임을 의미하는데, 구성원들은 한 지역에서 특정 장소를 공유하면서 사람- 사람, 사람 -자연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과 사회적 연대감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발전 된 개념인 ‘지역사회 커뮤니티’라는 표현은 공통의 지역 또는 공간에 거주하며 공공서비스 시 설과 기관을 공유하는 사회적 단위 조직의 주거 생활 및 활동 공간을 의미한다. 이처럼 공간 을 기반으로 한 생활과 주민들 간에 상호소통이 진행되면서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는 지역사 회에 대한 정체성과 소속감이 형성된다. 3.2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의 적용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은 1960년대 이후 미국의 도시 설계 과정에서 대규모 재건축을 중 심으로 진행되는 재개발 방식을 비판하며 시작된 운동으로, 이후 이론적 체계를 갖추면서 현 대 디자인 분야의 새로운 운동으로 발전하였다4). 아시아에서는 일본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는 데, 사토 마사루(佐藤優, 2005)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협력과 참여를 이루고 다양한 디자인 의 통합을 통해 인간 ·사회·자연의 유기적 관계를 모색하는 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즉 ,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은 기호, 사 물, 장소와 같은 지역 공동체의 동질감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지역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정체 성 확립을 목표로 하는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은 , 실천 과정에서 지리적 환경보다는 행위 환경에 중점을 두어야 하고 지역사회 공간의 상징적인 가치도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야마자키료(山崎亮, 2012)는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을 ‘사람과 사람을 잇는 디자인’으로 정의하고, 인간관계에 형성되는 소통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며 참여를 강조하였다. 이는 지역 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은 거주자들에서부터 시작하여 그들의 내적 욕구를 이해하고 파악하여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즉, 중국 노령화 사회의 도 시 구도심 커뮤니티 디자인을 위해서는 실제 노령자 주민의 생활에 참여하여 소통하고 공감 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3) 송준호, 「지역사회연계를 고려한 도시형 노인복지주택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 사논문, p.35, 2013. 4) 이호상,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지역사회디자인 제안 , 한국과학예술포럼, Vol.29, 2017, pp. 305-318.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29


4. Aging in Place 4.1 AIP 의미 ‘Aging in Place(지역 내 계속 거주, 이하, AIP)’라는 단어는 노인학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 된 것으로(Pastalan, 1990), 노인학 사전에서는 AIP를 ‘자신이 살던 집에서 이사하지 않고 계 속적으로 거주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5) . 여기에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첫째 는 노인이 여생을 자신의 집에서 계속 거주하는 이상적인 정책으로 , 노인의 주거지 및 지역사 회의 익숙한 환경을 포함하는 노인 스스로의 주거 공간 선택권을 존중하는 것이다. 둘째는 노 인이 나이가 들어서도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인간과 환경 사이 의 조정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6) . 권오정 외 (2014) AIP는 기존의 집에서 계속 거주하거나 지 역사회의 다른 주거 공간으로 이동하더라도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기존의 물리적·심리적·인 적 네트워크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정의하였다. 이는 타지생활에 의한 고독감과 정 신적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의 건강한 삶의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서유진(2018)은 AIP가 한 개인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신체적 노화와 사회적 노화(경제력의 변화, 사회적 지위의 상실 등)에 상관없이 자신의 집과 친근한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이고 편안 한 삶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종합하였다7) . 이와 같이 세계적으로 AIP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지역사회에서의 자체적 노인 돌봄 을 통해 증가되고 있는 노인복지 수요에 대한 재정적 부담을 완화하고 노인 개인의 삶의 질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선진국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퍼져 나가고 있다. <표 1> AIP의 정의 연구자

정의

Pastalan (1990)

-자신이 살던 집에서 이사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것

Cutchin (2003)

-노인의 주거지 및 지역사회의 익숙한 환경을 포함하는 노인의 주거 공간에 대한 선택권 -노인이 나이가 들면서 독립적인 생활 능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인간과 환경 사이의 조정

권오정 외 (2014) 서유진 (2018)

-집에서 계속 거주하거나 지역사회의 다른 집으로 이동하더라도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기존의 물리적·심리적·인적 네트워크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범위. -한 개인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신체적 노화와 사회적 노화( 경제력의 변화, 사회적 지위의 상실 등)에 상관없이 자신의 집과 친근한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이고 편안한 삶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

본 연구에서 AIP의 목표는 중국의 도시 거주 노인들이 기존의 친숙한 주거환경에서 지역사회 의 사회적 관계와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립적이고 편안한 여생을 지속할 수 있 도록 하는데 있다. 4.2 AIP 형성 조건 한국의 AIP관련 연구에서 김수영 외(2014)는 물리적 환경, 건강과 보호, 사회통합과 소통, 사 회참여 네 가지 측면에서 노령화 공동체 개발 지표를 제시했다. 이어서 AIP의 개념에 따라 주 로 어디서 살 것인가? 누구와 살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세 가지 측면에서 이동조건, 주거 조건, 건강 ·돌봄조건, 사회참여조건, 사회소통조건과 같은 다섯 조건들을 기준으로 노인의 AIP 주거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했다(김수영 외, 2019)8) . 사람과 공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장소에 기반을 둔 정서적 교감에 의해 형성되는 소속감은 5) Harris, D. K. 『Dictionary of Gerontology』, New York, NY: Greenwood Press, 1988 6) Cutchin, Malcolm P. The process of mediated aging-in-place: A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based model, Social science & medicine 57.6, pp.1077-1090, 2003 7) 서유진, 「도시재생에 있어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 서비스 주거 연구」, 서울大學校建築學科, 박사논문 , p.154, 2018 8) 김수영, 문경주, 오찬옥. 『노령화 지역의 Aging in Place에 영향을 주는 조건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탐색』, 지역사 회연구, Vol.23.2, p. 144, 2015. 기초조형학연구 논문

130

5


노인의 삶에 만족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Jacobs, 1992; 徐磊青, 楊公俠, 2002) AIP 조건 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선행된 AIP 연구에서는 지역에 대한 소속감을 간과한 면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소속감을 추가하여, 노인의 AIP 수요 조건를 주 거조건, 이동조건, 건강돌봄조건, 사회참여조건, 사회소통조건, 지역소속감 6가지로 정의하였 다. 주거조건

이동조건

건강·돌봄조건

사회참여조건

사회소통조건

ㅣ----------------------------------- 김수영 외, 2019 --------------------------------- ㅣ

지역소속감 ㅣ---- 추가 ---- ㅣ

<그림 3> AIP 수요 조건

① 주거조건 주거조건은 AIP 조건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노인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활동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노인이 생활하는 주택의 형태와 질, 집의 위치, 아파트 주변 커뮤니티 의 시설은 노인이 생활 만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9) . 특히 노후화되고 불편한 주 거환경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매우 심각한 문제로 다가온다. 직접적인 생활환경에는 우 선 실내 공간, 실내 시설의 편의성, 쾌적성, 안전성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다음으로는 주 거 공동체의 실외 환경인데, 대다수 노인들의 일상 활동은 집과 지역사회 근처에서 진행되며, 지역사회 시설이 안전한지, 주변생활 여건의 편리성, 그리고 공공공간의 여부 등은 중요한 요 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조건을 실내 공간, 실외 공간으로 정의하였다 . ② 이동조건 이동과 외출은 노인들의 심리적 건강과 관련이 있다. 이동이 감소함에 따라 고립감을 느끼게 되면 외로움과 우울증이 증가하고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 외출을 편리하 게 하여 사회로부터 격리되지 않도록 하여 신체 및 심리적 건강 등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더 많은 외출을 통해 사회와 접촉을 빈번하게 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구 하이린(張旭, 2016) 의 ‘AIP 개념에 있어서 지역사회 공공공간의 개선 연구’에서 노인 외출 시 이동방법은 52%정도가 보행, 28%가 대중교통, 20%가 운전을 이용한다고 조사되었기 때문 에10) , 본 연구에서도 이동조건의 세부조건으로 대중교통 , 보행환경, 운전으로 정의하였다. ③ 건강·돌봄조건 세계보건기구의 ‘노령친화 도시 지침’을 바탕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노인을 대상으로한 AIP 주거 상황에 대한 조사에서 야외 공간, 교통, 주택, 사회참여, 존중과 사회포용, 시민참여, 지역 사회 지원서비스와 의료서비스, 소통과 정보 총 8개 차원에 대한 중요도 조사결과, 지역사회 지원서비스와 의료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11). 또한, 빠르게 노령화 사회로 진행 되고 있는 프랑스에 대한 연구에서 , 노인들의 주거 만족도는 녹지로부터 근접도와 관계가 있었 다12) . 스페인에서 Rojo-Perez와 그의 동료들은(2011) 도시공원과 녹지는 노인의 주거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소라는 것을 발견했다13) . 이러한 녹지공간과 자연환경은 노인의 건강과 주 거생활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과 돌봄에 대한 세부조건으로 지원서비스, 의료서비스, 자연환경으로 정의하였다. 9) 곽인숙, 「노인의 자녀와 동거희망과 지속거주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2권 제6호 , 2011. 10) 張旭, 「基於老年人行為模式的居住環境建構研究」, 天津大學, 博士論文, 2016 11) https://www.theguardian.com/cities/2018/oct/10/what-would-an-age-friendly-city-look-like 12) Muratet, Audrey, et al. 『Perception and knowledge of plant diversity among urban park user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pp. 95-106, 2015 13) Prieto-Flores, Maria-Eugenia,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loneliness of noninstitutionalized and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pp. 177-194, 2011 6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31


④ 사회소통조건 노인은 사회활동에 참여를 희망하고 다양한 세대의 사람들과 함께 하고 싶어 한다(WHO, 2005). 타인들과 함께 공공 개방공간과 같은 도시의 공공 생활환경을 사용하여 사회적 소통활 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은 안정감, 소속감, 지역에 대한 애착을 형성할 수 있다 (Lager외, 2013). 또한 세대 간 소통은 노인에 대한 선입견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노인 들은 젊은이에게 지식과 경험을 전수하고 , 젊은이들은 노인들에게 정보통신과 같은 새로운 기 술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상호공존 관계를 만들 수 있다(WHO, 2005).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사회소통조건을 정보통신, 세대 간 교류로 정의하였다. ➄ 사회참여조건 2002 년 UN 제2차 세계노령대회에서는 노인들에게 그들이 소속된 사회의 경제, 정치, 사회와 문화생활에 참여할 것을 권장하였다.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은 다양한 발전 기회를 공평하게 누 리고, 사회에서 자신의 새로운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와 경제가 조화롭게 발전하 는 도시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가족과 함께 사회문화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노인 들은 서로 관계를 맺고 유지하며 자신의 능력을 검증하고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노인들이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 활동단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의 내용 뿐 아니라, 교통수단과 활동시설 및 활동에 대한 정보획득 여부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 사회참여조건을 경제적 자립과 사회활동으로 정의하였다. ⑥ 장소소속감 장소는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사람들 간에 정서적 교감인 공감을 형성한다. 또한 장소에 대한 사람들 간의 심리적 연결과 지역 커뮤니티와 공간에 대한 정서적 만족은 삶의 만족을 이끌어 낸다(徐磊青, 楊公俠, 2002).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장소소속감을 공간과 지역사회에 대한 공감 과 정서적 만족으로 정의하였다. 4.3 AIP 세부 항목 연구에서 제시하는 AIP 조건과 세부 항목은 중국의 다양한 도시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국가의 인구노령화 및 도시환경 정책을 검토하고 2 회 이상 중복된 항목을 선정하여 총 33개의 세부 항목을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2> 지역사회 공간 항목 선정 조건

환경 실내

실외

지역사회 시설의 접근성 편리한 주변생활 여건 오픈스페이스

주거조건

이동조건

버스 정류장 대중교통 편리한 버스 내부 시설 이용 대중교통의 접근성 보행환경 운전

건강과 돌봄 조건

세부 항목 실내 시설의 편리성 주택의 안전성 프라이버시 보호 실내 및 실외 환경의 접근성

걷기 편리한 평평한 길 보행로에 쉴 수 있는 의자

조건

사회소통 조건

사회참여 조건

지역사회 일상생활 지원, 지역사회 보조 간호 서비스

진료

만성질병 조기발견과 치료

자연환경 녹색 공간

장소 소속감

세부 항목

정보

신문 보기 (오프라인 정보) 스마트폰의 이용(온라인 정보)

교류

가족과 젊은 세대와의 교류 친구와의 교류 노인활동센터

경제적 자립

명확한 교통지시와 표지

지역 지원

환경

사회활동

노인 참여 프로그램 노인을 위한 재취업 확대 자원봉사 오락활동 ( 평생) 공부

지역에 공감

살던 지역에 대한 애정 이웃 공동체 익숙한 지역사회 환경

정서적 만족

추억이 있은 집, 이웃 존중

기초조형학연구 논문

132

7


<그림 4> 노인들의 하루일과 관찰을 통한 고객여정맵

8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33


5. 노인생활 관찰조사 5.1 중국 구도심지역 노인 주생활의 특징 중국 구도심은 70 년대 도시 성장 초기에는 이들 거주지는 빠른 경제 성장의 중심지였다. 여기 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령자들의 다수는 신(新)중국이 성립된 이후 경제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면서 경제적으로 중산층에 도달한 사람들로, 이때부터 지금까지 이 지역에 살아왔 으며 앞으로의 여생도 본인들이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하고자 한다. 그리고 중국의 1자녀 정책으로 인해 노인(4 인)-부모(2인 )- 자녀(1인) 의 가족구조를 이룬다. 다 수의 노인이 주거여건으로 인해 자녀의 집과 근거리에 독립해 거주하면서 손주의 통학과 방과 후 보육을 돕고 있으며, 이후로도 가족과 가까이에서 계속 여생을 보내길 희망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의 구도심의 노인 주거 상황은 다른 국가와는 다른 도시 주거환경의 특징을 보인 다. 그러므로 복지 선진국들에서 진행된 AIP 수요항목에 대한 직접적 적용만으로 충분하지 않 다. 따라서 이와 함께 중국의 도시 노인들의 생활을 분석하여 중국의 특징에 맞는 AIP 수요항 목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5.2 노인생활 관찰조사방법 노인의 실제 생활을 관찰하기 위하여 조사는 2018년 12월 25일 -2019년 3월 5 일에 진행되었 다. 먼저, 노인의 생활공간과 노인의 하루 일과에 대한 관찰기록과 함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고객여정맵(Customer Journey Map, CJM)을 작성하였다 . 고객여정 맵에서는 노인의 일상생활에서 이용 중인 공간과 시설의 이용 접점을 분석하고 노인의 행동과 정을 도식화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구도심지역에서 3년 이상 생활해왔고 앞으로도 계속 살 계획이 있는 60세 이 상의 노인들로 하였다. 중국 대도시의 구도심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구성은 퇴직자 노인들 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자영업을 하고 있는 노인들이라는 조사결과와 구성비율에 근거하여(陳 建蘭, 2018), 조사대상자들로 직장 퇴직자 남녀 4인과 상업종사자 남녀 2인, 총 6 명의 중산층 노인을 섭외하였다. 5.3 생활관찰을 통한 노인 수요 조사 관찰한 각 노인의 하루일과는 <그림 4> 고객여정맵에 정리하였다. 1:1 인터뷰와 관찰을 통해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인 A는 매일 집에서 900m 떨어진 곳에서 버스를 타고 시장에 가서 채소를 산다. 보통은 걷 거나 자전거를 타는 것을 좋아하나, 도로에 차가 많고 전용 보행도로도 전동차가 점거하고 있 어서 위험하다고 생각되어 버스를 탄다. 주거조건으로는 자택 내에 난방 시스템이 없고 지역 커뮤니티 시설이 열악하고 동네사람들끼리 왕래가 적다는 점을 아쉬워한다. 노인 B는 시장에서 장을 봐 식사를 준비하고,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고, TV를 보거나 신문을 읽는 등 하루 활동량이 많다. 생활환경에 있어서, 아파트 복도의 조명이 어둡고 출입구에 계단 이 있는데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에게 낙상의 위험이 높았다. 또한 자주 산책하는 공원의 거리 가 약간 멀고 지역사회 내에 보건시설이 없다는 점은 노인이 느끼는 불편사항이었다. 노인 C는 다리에 장애가 있어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낸다 . 노인 은 절에 가는 것을 좋아하지만 2년 전 다리 통증이 생긴 후부터는 외출이 힘들어 1 년에 한 번 밖에 갈 수 없어 아쉽다고 하였다. 노인의 집 화장실에는 손잡이가 없어 노인이 화장실에서 움 직일 때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고혈압이 있어 매일 약을 먹어야 하나, 노인은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를 잘하고 있지 않았다. 노인 D는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일하며 보낸다. 노인을 일을 한다는 점에서 자긍 심을 갖고 있었으며, 직장을 기반으로 사회 참여와 소통이 진행되고 있었다. 노인은 자가용을 이용하지만 주차 공간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하였다. 또한 산책을 즐기지만 공기의 질이 좋지 기초조형학연구 논문

134

9


않아 환경문제가 많이 걱정된다고 하였다. 노인 E의 하루 일과는 집에서 1.5km 이내의 구역에서 진행된다. 노인은 버스를 타고 자주 외 출하는 편인데, 버스 정류장에 쉴 수 있는 휴게시설이 없어서 다소 불편하다고 하였다.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 주택은 노후화된 건물로 계단이 불편하고 아파트 주변의 시설들은 매우 낡아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노인 F가 거주하는 아파트 단지에는 산책 공간이 없어서 노인은 조금 먼 공원에서 산책한다. 그러나 가는 길가의 도로에는 장애물이 많고 길이 고르지 않다. 노인의 생활은 은퇴 전에 비해 시간이 자유롭고 생활도 다채로우나, 만성질환 건강관리는 번거롭다고 하였다.

<표 3> 노인들의 수요조사 정리 조건

노인 A

주거 조건

실내의 쾌적성, 가구의 편리성, 주변생활 편리함, 오픈스페이스, 2-3세대 주거 공간

노인 B

노인 D

노인 E

노인 F

편리한 인접한 시장과 주변생활 화장실에 공원, 실내 여건, 노인활동센터, 편리성, 시설의 실내 시설의 지역사회 근접 운동 장, 2~3세대가 편리성, 실내 편의성, 배송 시설이 2~3 대가 및 실외 서비스를 제공 공동 거주하는 안전성, 거주 공간 환경의 공간 지역사회 배송 접근성 서비스를 제공

이동 조건

보행 시 장애물 길이 평평하여 없음 걷기 편리함

건강 돌봄 조건

자연에 가까운 자연에 가까운 환경, 만성질병 환경, 소규모 조기발견과 노인 지원 치료 인프라

사회 소통 조건

가족의 교류, 친구 간의 교류

사회 교회활동에 참여, 참여 자신의 취미를 발휘함 조건

노인 C

평탄한 길

입에 맞는 음식, 익숙한 지역 주택소유, 추억이 지역사회 있는 집 소속감 환경, 좋은 생활 태도

상하 대중교통 보행로에 두 사람 이상이 보조 시설, 동시 대중교통의 통과가능, 편리성, 보행 시 장애물 보행 시 없음 장애물 없음

가족의 보살핌, 지역사회 보건 서비스, 긴급 환경 보호, 상황 지원, 지원 서비스 만성질병 조기발견과 치료

가족의 교류, 사회에 일에 친구의 관심과 관심, 신문 교류, 보기, 가족의 스마트폰의 교류 이용 오락 활동, 노인 참여 프로그램

노약자 전용 주차장, 자가차 보유함

자기 가치 실현, 오락활동

노인 간의 교류 노인을 위한 취업기회 확대, 자기 가치 실현

주택소유, 추억이 있은 가족의 관심, 집, 이웃 입에 맞는 공동체, 살던 음식 지역에 대한 애정

수요 2~3세대가 공동 거주 공간, 주택의 쾌적성, 화장실의 편리성, 인접한 공원, 지역 내 배송서비스 제공 대중교통 승하차 보조시설, 보행 시 장애물 없음, 두 사람 이상이 동시 통과 가능한 보행로, 노약자 전용 주차장, 자가용 보유

소규모 노인 지원 인프라, 소규모 노인 긴급 상황의 지원, 지원 인프라, 병원과 가까움, 진료의 긴급 상황의 편리함, 지원 환경 보호, 자연과 가까운 환경 스마트폰 이용, 신문 보기, 청소년 세대 교류, 가족의 젊은 세대와의 교류, 교류, 친구 간의 교류

사회변화에 많은 관심

오락활동, 오락활동, 자기 자기 가치 실현, 자기 가치 취미를 자신의 취미를 발휘함, 실현, 노인 발휘함, 중교활동 참여 참여 (평생)공부 프로그램 익숙한 인간관계, 이웃 지역사회

익숙한 지역사회 환경, 이웃 공동체

입에 맞는 음식, 주택소유, 좋은 생활 태도, 이웃 공동체

5.4 중국 구도심 AIP 수요항목 도출 결과종합 <그림 5>에서는 노인들이 생활에서 즐거움과 불쾌함을 느끼는 상황을 찾아내고 ,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AIP 수요조건에 대입하였다.

10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35


<그림 5> 노인의 즐거움 & 불쾌함 추출과 시사점

선행연구들의 조사 분류를 통해 중국 구도심지역의 AIP 형성을 위한 6 조건의 14개 환경에 대 한 33 개의 세부요소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중국 구도심 주거 노인의 생활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22개의 새로운 AIP 세부요소들을 추가적으로 발견하여 중국의 사회 경제적 상황에 적합 한 55개 세부 수요항목을 <표 4>에서 정리하였다. <표 4> 최종 도출된 AIP 수요항목 조건 (6개 )

*중국 노인생활 관찰조사를 통해 추가된 항목

환경 (14개)

실내 주거조건

세부요소 실내 시설의 편리성

주택의 안전성

프라이버시 보호

실내 및 실외 환경의 접근성

2~3세대가 공동 거주하는 공간*

주택의 쾌적성*

화장실에 편리성*

실외

지역사회 시설의 접근성 편리한 주변생활 여건 지역사회 배송 서비스를 제공*

오픈스페이스 인접한 공원*

기초조형학연구 논문

136

11


대중교통

이동조건

보행환경

운전

건강과

보행 시 장애물 없음*

길이 평평하여 걷기 편리함

보행로에 쉴 수 있는 의자 있음

보행로에 두 사람 이상이 동시 통과가능*

명확한 교통안내와 표지 자차 보유*

노약자 전용 주차장*

긴급 상황의 지원*

진료

병원과 가까움* 만성질병 조기발견과 치료

진료가 편리함*

자연환경

환경 보호* 자연에 가까운 환경*

녹색 공간

사회에 일에 관심*

신문 보기 (오프라인 정보)

교류

사회활동 지역에 공감

장소 소속감

상하 대중교통 보조 시설*

지역사회 보조 간호 서비스

경제적 자립 사회참여 조건

대중교통의 접근성

지역사회 일상생활 지원

정보/통신 사회소통 조건

버스 내부 시설은 이용하기 편리함

소규모 노인 지원 인프라*

지역 지원

돌봄조건

버스 정류장

정신의 만족

스마트폰의 이용(온라인 정보) 가족의 교류 친구 간의 교류

젊은 세대 간의 교류 노인활동센터

노인 참여 프로그램

노인을 위한 재취업 확대

자기 가치 실현*

자신의 취미를 발휘함*

중교활동에 참여* 자원봉사

오락활동 ( 평생) 공부

살던 지역에 대한 애정

이웃 공동체

익숙한 지역사회 환경

입에 맞는 음식*

주택소유* 추억이 있는 집

좋은 생활 태도* 존중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기존 33개의 세부 항목에 추가적으로 22 개의 항목을 추가로 도출하였는 데, 신규 추가된 항목들은 현재 중국 노인과 관련된 주요 사회적 이슈문제와 관심정도를 반영 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지역사회 내에서 배송서비스 제공, 편리한 진료 서비스, 노인의 컴퓨 터 사용, 스마트폰 등 정보기기의 사용 등은 현재 중국 사회의 변화로 의해 필요로 하는 새로 운 수요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부 항목은 중국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2~3 세대가 공동 거 주하는 공간에 대한 수요는 중국의 대다수 노인이 손주를 돌보는 역할을 맡는 중국사회에서 육아의 상황을 반영한다. 주택소유에 대한 수요는 토지에 바탕을 가족주의와 ‘편안하게 살면서 즐겁게 일하자(安居樂業)’라는 중국의 전통사상이 반영되었다고 해석될 수 있다 .

6. 결론 과거 중국 구도심지역의 지역재생 사업은 주거지를 전부 철거하여 새로운 건축물을 짓는 방식 으로 진행했었다. 이로 인해 지역의 장소성이 파괴되고 노인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부적응, 그 리고 원(原) 거주 주민들 간의 인적교류가 끊어지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근 이러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부 개선을 통해 기존의 장소성을 유지하는 방식의 지역재생 커뮤니티 디자인 사업이 적극적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실제 생활환경 관찰에 기반을 두고 노인의 주거공간에 대한 구체적 수 요를 조사하여, AIP 지역사회 커뮤니티 디자인을 위한 6조건 55개의 세부요소와 같은 구체적 인 가이드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서 , 다른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AIP 항목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 중국 사회의 독특 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AIP 세부요인 다수 도출되었는데, 이 결과들은 중국의 현실에 좀 더 적합한 AIP 지역사회 커뮤니티 정책을 수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37


이후의 연구에서 이 수요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고 가중치 추가함으로써, AIP 지역사 회 커뮤니티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와 체크리스트를 완성하여 실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 AIP 지역사회 커뮤니티 정책가이드와 체크리스트의 활용은 사회 공공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공공 재정의 부담을 완화하고, 지역사회의 삶의 질 개선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사토마사루, 『 커뮤니티디자인 』, (서울 : 디자인로커스 , 2005), pp.13,16-17. Harris, D. K. 『 Dictionary of Gerontology』, New York, NY: Greenwood Press, 1988. Jane Jacobs, 『 The Death an 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 , Vintage, 1992 徐磊青, 楊公俠, 『環境心理學』 , 同濟大學出版社, 2002 陳曉虹,「 日常生活視角下舊城復興設計策略研究」 , 華南理工大學,博士論文, 2014 吳春, 「 大規模舊城改造過程中的社會空間重構-以北京市為例」, 清華大學, 博士論文, 2010 姚棟, 「 老齡化趨勢下特大城市老人居住問題研究」, 同濟大學, 博士論文, 2005. 張旭, 「 基於老年人行為模式的居住環境建構研究」, 天津大學, 博士論文, 2016. 김수영, 문경주, 오찬옥. 『고령화 지역의 Aging in Place에 영향을 주는 조건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탐 색 』, 지역사회연구, Vol.23.2, 2015, p.144. 김수영, 장수지, 오찬옥, 최성희, 『 고령친화 공동체 구축을 위한 지표 개발』 , 한국여생학회, Vol.34 No.3, 2014, p.561. 김영은 , 류승완. 『 전시서비스 관람객 경험향상에 관한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 2017, pp. 23-49. 서유진, 「도시재생에 있어 Aging in Place를 위한 노인 서비스 주거 연구 」, 서울大學校建築學科, 박 사눈문, 2018, p.154. 송준호, 「지역사회연계를 고려한 도시형 노인복지주택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박사논문, 2013, p.35. 곽인숙, 『노인의 자녀와 동거희망과 지속거주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제 22 권 제 6호, 2011. 권오정, 이용민, 하해화, 김진영, 염혜실, 『노년층의 지역 내 계속 거주 이유에 관한 연구』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2권 제3호 , 2014, 陳艷玫, et al. 『 2015—2050年中國人口老齡化趨勢與老年人口預測.” 中國社會醫學雜誌,

2018,

pp.45-48. 陳建蘭, “ 空巢老人的養老意願及其影響因素——基於蘇州的實證研究”, 『 人口與發展』, 2018 李小雲, 田銀生, 陳錦棠, “ 老齡化社會背景下對我國城市規劃的思考”, 『熱帶地理』 , 2011, 第31卷. 第 6期 陶希東,

“中國城市舊區改造模式轉型策略研究——從‘經濟型舊區改造’走向‘社會型城市更新’,『城市

發展研究』, 2015, Vol.22(4) Cutchin, Malcolm P. 『 The proce ss of mediated aging-in-place: A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based model 』, Social science & medicine 57.6, 2003, pp.1077-1090. Golant, Ste phen M, 『The quest for re sidential normalcy by older adults: Reloc ation but one pathway, Journal of Aging Studies, Vol.25, 2011. Kahana, Eva, et al. 『Person, environment, and person-environment fit as influence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elders 』, Environment and behavior, 2003, Vol.5(3). McMillan, David W., an d David M. Chavis. 『Sense of c 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1), 1986. Muratet, Audrey, et al. 『Perception and knowledge of plant diversity among urban park user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2015, pp.95-106. Prieto-Flores,

Maria-Eugenia,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loneliness

of

noninstitutionalized and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1, pp.177-194. Silver, Hilary, 『 The Centrality of Public Space』, City &Community, Vol.13, 2014. 國家統計局. 中國2010年第六次人口普查數據[EB/OL]. http: // www. stats. gov. cn /tjsj /pcsj 기초조형학연구 논문

138

13


/rkpc /5rp /index. htm. https://www.theguardian.com/cities/2018/oct/10/what- would-an-age-friendly-city-look -like.

1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39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지 게재논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 Vol.19 No.9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의 제품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 해변 벤치 이용자 대상의 자기-보고법을 중심으로 황차오,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의 제품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 해변 벤치 이용자 대상의 자기- 보고법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applicability of experientially emotional measurement method in product design - centred on Self-report taking seaside seat users 황차오*, 고정욱**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Chao Huang(huangchao319@qq.com)*, Jung-Wook Go(gjw@dongseo.ac.kr)**

요약 현재 수많은 새로운 기술과 재품을 급속히 발전하는 시대에서 제품과 사용자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이 중요 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하지만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자 감성 측정 방법의 활용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해변공간은 사람들이 도시 레저문화생활에서 감성적 즐거움을 높여주는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인간, 경관, 환경시설 간의 감각적 정보의 소통이 빈번히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 적용성 및 장단점을 도출하기 위해 해운대 해변 벤치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험적 감성 측정법인 자기- 보고법(self-report) 을 실행하였다. 해변 벤치 이용자 감성을 측정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영향력 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 보고법 실험은 사전 조사와 본조사 2 단계로 구성하며 가설을 설정하여 SPSS를 통하 여 단순, 다중 회귀분석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기-보고법 실험을 통해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 에서의 적용성 및 “경제적이며 특별한 장비가 없어도 광범위한 감성 측정이 가능하다”, “자신의 감성을 제대 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의도적으로 감성을 숨길 가능성이 높다” 등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 적용성 및 장단점을 기반으로 제품 디자인에 적용하는 감성 측정 방법 개발의 기초 자료로 기대된다. ■ 중심어 :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자기-보고법∣제품 디자인∣

Abstract In t he era of th e rapid d evelopment of a tremen dous n umber of n ew techno logies and prod ucts, t he emo tiona l commun icat ion b etw een p rodu cts and us ers has b ecome an importan t r es earch topic. How ever, th e u ser’s emot ional meas urement meth ods have no t been w idely u sed in th e field of produ ct design. Besid es, as a n impo rtant space that ca n improv e people’s life quality a nd urban en terta in ment at t he emotion al level, seasid e spa ce also creates a n at mos phere of freq uent emotion al co mmu nicatio n amon g tour ists, lan dscape and enviro nmental facilities. To ded uce t he ap plicability an 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xp erient ial emotional meas urement meth od in prod uct d esign, th is paper took th e seasid e seat users of Haeun dae as t he ob ject an d carried o ut th e S elf -r eport of the exper ientia l emot ional measur ement met hod. Sp ecif ica lly, th e experiment of S elf -report was d ivided into two sta ges: pr ior s urvey and subs equ ent ma in inves tigatio n. Th en th e h ypoth es is w as verif ied by u sing Bivariate Regression and Mu ltiple Regr es sion thro ugh SP SS. Fur thermore, th rou gh th e experiment of th e S elf -report, t he applicability an d advanta ges an d disadvantages of exper iential emotion al meas urement method in p rodu ct design wer e derived. In t he f utur e, based on th e app licabilit y, advanta ges an d disadvanta ges of th e exp erien tial emot ional meas uremen t meth od der ived in th is stu dy, it is expected to become t he fu ndamental and r eliabl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mot ional meas urement method s that can be su itable for produ ct design. ■ keyword : ∣E xp erient ial E mot ion M eas urement M eth od∣Self-rep ort∣Produ ct D esign

* 142


I. 서 론

2단계는 해변 벤치 이용자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조사 결과에 바탕으로

1.연구 배경 및 목적

해당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 검증과정은 설문지를 구

오늘날 4 차 산업혁명의 급변하는 사회배경 속에서 감 성디자인은

인간과

제품

간의

감각적

정보의

communication 수단으로써 더욱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감성 측정에 관한 연구는 심리학이나 신경학 등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지만 특히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분야에서 활용도가 낮은 것은 대체적이다. 그 러므로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해

성, 조사하여 통계프로그램인 SPSS12.0을 이용하였으 며, 각 가설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감성 측정 실험을 통해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서 의 적용성 및 장단점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 사전조사 및 본조사의 연구 범위는 부산광역 시 해운대 해수욕장 해변 벤치의 성별, 연령과 무관한 이 용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야 하는가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제품 디자인에서 실제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감성 측정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 경험적 측정 방법이 제품을 이용하는 환경에 서의 장단점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해변공간은 사람들이 도시 레저문화생활에서 감 성적 즐거움을 높여주는 매우 중요한 공간이다. 특히, 해 변 환경시설물은 사람들의 해수욕장 이용 감성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공적인 요인이다. 그 중 해변 벤치는 사람들이 가장 쉽게 접근하며,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해변 환경시설물이다.

Ⅱ. 이론적 고찰 1. 감성의 정의 감성이라는 용어는 여러 의미로 사용되어 한 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기계 설계 공학적 입장에서 보면 [ 그림 1] 과 같이 ‘외계의 물리적 자극에 부응하여 생 긴 감각과 지각으로 사람의 내부에서 야기되는 고도의 심리적 체험’이라고 할 수 있다[1].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의 제품 디자인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해변 벤치 이용자 를 대상으로 자기- 보고법(self-report)을 활용하여 감성 측정 실험을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해변 벤치 이용자의 감성측정 측면으로 “해변벤치 이용 자 감성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그 영향력은 얼마 만큼 미치고 있는가?” 발견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그림 1. 감성의 생성 모형

Pekrun은 감성을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표현적, 신 경 생리적 과정들을 포함하는 정신적 하부조직의 통합된 프로세스 또는 다중 요소"[2] 로 정의하였다.

본 논문은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 대

따라서, 감성의 형성 요인은 외부자극(인간이 시각, 청

한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경험적 감성 측

각, 촉각, 후각, 미각) 과 내부자극( 과거에 접촉한 사물이

정 방법인 자기- 보고법을 이용하여 해변 벤치 이용자를

나 사건에 대한 회상)으로 나눌 수 있었다.

대상으로 감성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조사는 2간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감성 측정방법은 생 리적, 행위적, 경험적 3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경 험적 측정방법인 자기-보고법(self-report)을 선정하여 감성어휘를 활용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2. 감성 디자인의 정의 감성 디자인은 기능적, 조형적 감성반응 뿐만 아니라 환경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얻어 지는 상징적 감성반응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43


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04 Vol. 4 No. 4 정서적 만족감을 주는 동시에 문화적 의미와 상징을 만 들어 나가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감성 디자인의 목 표는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여 인간과 대상 환경과의 다 양한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3]. 따라서, 감성 디자인은 객관적인 해석을 토대로 측정 평가해서 인간의 특성과 오감을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 다. 또한, 제품디자인 측면에서 감성 디자인은 사용자와 제품의 접촉, 즉 사용자가 외부자극과 내부자극을 통하 여 사용자와 제품 간의 감각적 정보의 communication 이 이루는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3. 감성 측정 방법의 선행연구 본 논문은 선행연구에서 “감성측정”을 키워드로 RISS, KISS, NDSL, DBpia 등에서 검색하여 6490권 논문 중 관련도가 높은 7편의 감성측정 방법을 다음 [표 1] 과 같 다. [표 1] 에 따라 기존 감성 측정 방법은 경험적, 생리적, 행위적 3가지 방법으로 나고 있다고 알 수 있다. 표 1. 감성측정 방법[4] 제목 저자 출처 측정 방법 제목 저자 출처 측정 방법 제목 저자 출처 측정 방법 제목 저자 출처 측정 방법 제목

144

제품 사용 환경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5] 이재화, 이건표

감성과학, Vol.13, No.1, 2010, pp.111-120 * 생리적 측정방법: EDA, Elec trocardiog ram, P upillo me try * 행위적 측정방법: Facial Acition Codin g System, Elect romyog raphy, 말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 경험적 측정방법: 감성형용사를 활용한 의미 분별법, Verbal P rotocol, I nterview & Self -report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6] 정상훈 감성과학, Vol.10, No.3, 2007, pp. 403-410 * 생리적 측정방법 * 심리적 측정방법: 형용사 체크리스트

저자 출처 측정 방법 제목 저자 출처 측정 방법 제목 저자 출처 측정 방법

정상훈, 이건표 감성과학, Vol. 9, No. 3, 2006, pp. 167-177 * 생리적 측정방법 * 심리적 측정방법

감성 측정을 위한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10]

박미자, 신수길, 한광희, 황상민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 1, No.2, 1996, pp.1-11 * 생리적 방법: 침분비, 전기피부반응(GSR) * 의미의 일반화나 학습전이를 사용한 학습방법. * 지각적 방법, 연상방법, scaling met hod 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11] 정상훈, 이건표 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Socie ty of Design Scie nce, 통권 제 64호, Vol.19, No. 2, 2006, p p.346- 348 * 심리적 측정방법: Self-rep ort, Interview * 생리적 측정방법 * 제품 사용중 표출되는 사용자 감성 측정방법

4.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 선행연구에서 경험적 측정방법은 심리적 측정방법으 로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경험적 측정방법은 감성 측정 연구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경험적 감 성 측정 방법은 언어적, 비언어적 측정 방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기- 보고법(Self-Report), SAM(Self-Assessment-Manikins), PrEmo(Product Emotion Measure -ment), 및 Russell (1989)의 Affect Grid 모델 등 방법 을 포함한다. 자기-보고 법은 언어적 감성 측정 방법 중 대표적인 방 법이다. 자기- 보고법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감성 어휘, Semantic Differential 등 방법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참여자들에게 자극에 대해 어떻게 느 끼는지를 측정하고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서 유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여러 질문들을 제시한다[12].

감성 진단칩(Emotio n-o n-a-chip, EOC):인간 감성측정을 위한 바이오칩기술의 진화[7] 정효일, 길태숙, 황유선

Ⅲ. 사전 조사

* 언어 표현을 측정 * 생리적 신호를 측정

1. 사전 조사 설문지 구성

감성과학, Vol.14, No.1, 2011, pp.157-164

감성측정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8] 이창윤, 조영환, 흥훈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2015, pp.629-632 * 자기보고식 감성측정 * 생리적 신호 기반의 감성측정 * 행동적 반응 기반의 감성측정 감성어휘 로깅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품 사용중 사용자의 감성변화 연구[ 9]

해운대 해수욕장 해변 벤치 이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사전조사 설문지는 질문 2 개로 구성되었다. 질문 1은 벤치 이용자의 감성 상태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이다. 질문 2 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감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표본

서비스 컴포넌트 구현

어휘(“불편하다- 편하다”, “슬프다-기쁘다”, “초조하다평온하다”, “지루하다-재미있다”, “답답하다-상쾌하다”) 5점척도법을 활용하여 벤치 이용자의 감성 상태를 측정 하는 설문이다.

13

Ⅳ. 연구 설계 1. 연구 가설 사전조사 결과를 빈도분석으로 활용하여 “벤치 주변의 경관”과 “벤치 디자인”이 이용자 감성에 영향을 미칠 수

2. 사전 조사 과정 및 결과 분석

있는 것을 확보할 수 있지만 영향력은 얼마만큼 인지 알

사전 조사는 2018년 10월 14일-15일 해운대 해수욕장 에서 해변 벤치 이용자(성별, 국적, 연령 등 무관) 를 대상 으로 총 설문지 98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으며 이중 정 보 부족한 응답은 제외 유효한 자료 92부만 결과 분석에 활용하였다. 사전 조사의 현장 사진은 다음 [ 그림 2] 와 같 다.

아볼 수가 없다. 따라서 본조사에서 해변벤치 디자인과 형태, 재질, 색상, 크기 각 디자인 요인에 대한 만족도는 벤치 주변 환경에 대한 감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벤치 주변의 경관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 성 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해변벤치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 성 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1. 벤치 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벤치 재질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그림 2. 사전 조사 장면

사전

조사

설문2의

신뢰도를

분석하였으며

Cronbach’s α 값이 0.789 로 나타나 신뢰도를 확인하였 다.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3. 벤치 색상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4. 벤치 크기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표 2. 신뢰도 검증(5개의 문항) Cronbach’s α

항목수 .789

5

질문 1의 조사결과에 따라 벤치 이용자 감성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 “벤치 주변의 경관”이 35.9% 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벤치 디자인”이 5.4% 로 나타냈다. 또한, 질문 2는 “불편하다-편하다”, “슬프다-기쁘다”, “초조하다-평온하다”, “지루하다-재미있다”, “답답하다

2. 조사 대상 및 연구 방법 제품 디자인 사용 환경에서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인 자기-보고법을 진행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 하여 해운대해수욕장 일반 벤치 이용자( 성별, 국적, 연령 등 무관)를 대상으로 2019년 1월 9일-15일 까지 150부 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누락된 답변과 불성실한 답변을 제거하여 총 145 부가 실제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본조 사의 현장 사진은 다음 [ 그림 3] 과 같다.

-상쾌하다”와 같이 부정적- 긍정적인 감성어휘 5 점척도 법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감성을 측정하였다. 사전 조사 결과에 따라 긍정적인 감성이 부정적인 감성보다 상당히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벤치 이용자는 긍정적인 감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 본조사 장면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45


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04 Vol. 4 No. 4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기-보고법의 설문

감성 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 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시실하기

문항은 아래와 같다.

전에 다음 [ 표 6] 처럼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상관 계수를 분석하였다.

표 3. 설문 문항 구분 벤치 주변 환경

문항 벤치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조 사(5점 등간척도) 벤치 전체디자인 및 형태, 재질, 색 상, 크기 4가지 요소에 대한 만족 도 조사(5점 등간척도) 이용자 감성상태 조사 (100점 등간척도)

벤치 디자인 이용자 감성상태

문항수 표 6. 단순 회귀분석 기술통계량 및 상관계수

1

변인 감성상태 주변경관

5 1

사례수 145 145

표준편차 11.119 .669

상관계수 .683

위의 표에 따라 해변벤치 이용자들이 “벤치 주변경관” 에 대한 만족도는 3.79 점으로 나타나고 이용자의 감성상

Ⅴ. 가설 검증 및 경험적 방법 장단점 도출

태는 76.92점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변인의 상관계 수는 0.683 으로 나타나며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1. 타당성 검증 본조사 설문 문항의 타당성 평가를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KMO(Kaise-Mayer–Olkin) 값이 다음 [표 4] 와 같이 0.729로 나타내고 변수선정의 타당성을 확보

높다고 볼 수 있었다. 표 7. 단순 회귀분석 회귀계수와 분산분석 비표준화계 수

할 수 있었다. 표 4. KMO와 Bartlett의 검증(7개의 설문문항) 표준형성 적절성의 Kaiser-Meyer-Olkin 측도 Bartlett의 구형성 근사 카이제곱 검정 자유도 유의확률

모 형

.729 323.612 21 .000

모형 요약

표준화 계수

t값

유의 확률

9.2 80

.000

11.1 85

.000

B

표준 오차

(상수)

3 5.19 0

3.7 92

주변 경관

1 1.02 3

.985

.683

분산 분석

F 통계량

유의확률

1 25.1 13

.000

R제 곱 .467

β

a.종 속변수: 감성상태 b.예 측값:(상 수), 주 변경관

2. 신뢰도 검증 변수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일관성을 분석 할 수 있는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하였다. 벤치 디자인 요소에 관한 항목에 대한 신뢰도 검증에 서 Cronbach’s Alpha값이 다음 [ 표 5] 와 같이 0.719이 므로 높은 신뢰가 있다고 볼 수 있었다.

Cronbach’s α

0.467로 나타나고, 즉 설명력은 46% 나 되었다. 또한 유 의확률은 .000인데다가 베타 값도(β=0.683) 매우 높아 회귀계수가 유의미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벤치 주변 경관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 감성 상태에 유의적

2) 가설2. 해변벤치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항목수 .719

[표 7] 과 같이 단순 회귀분석 결과에 따라 R제곱 값은

인 영향을 마친다는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표 5. 벤치디자인 요소에 관한 신뢰도분석 6

3. 가설 검증 1) 가설1. 벤치 주변의 경관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146

평균 76.92 3.79

감성 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1. 벤치 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벤치 재질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표본

서비스 컴포넌트 구현

2-3. 벤치 색상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15

다중 회귀분석 결과에 따라 위 회귀식은 전체데이터의 약 43%(R 제곱=0.436) 을 설명해 주고 있다. F값이

2-4. 벤치 크기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 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7.088, 유의확률 0.000<0.05이므로 이 다중 회귀분석 은 신뢰할 수 있다. 또한, 다중회귀계수표를 살펴보면 유

가설2를 검증하기 위하여 먼저 벤치의 형태, 재질, 색

의확률이 다 유의미하게 나타나며 벤치디자인 4 가기 요

상, 크기 4 가지 디자인 요소와 이용자 감성상태 변인들의

소는 이용자 감성 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기술통계량 및 상관계수를 정리하였다.

수 있다. 하지만, 표준화계수 β값을 통하여 각 디자인 요 소가 이용자 감성상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칠 수 있 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가설2 해변벤치 디자인에 대

표 8. 다중 회귀분석 기술통계량 평균 76.92 3.43 3.50 3.43 3.42

감성상태 형태 재질 색상 크기

표준편차 11.119 .609 .708 .753 .654

사례수 145 145 145 145 145

감성생태

친다는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4.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의 장단점 본 연구는 해변 벤치의 실제적인 이용 환경에서 경험 적 감성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벤치 이용자의 감성을 측

표 9. 다중 회귀분석 상관계수 감성 상태 형태 재질 색상 크기

한 만족도는 이용자의 감성 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

형태

재질

색상

크기

정하고 이용자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영향력을 검증하여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서의

1.000 .499** .343** .416** .399**

1.000 .174* .213** .228**

1.000 .108 .274**

장단점은 다음 [ 표 11] 을 도출할 수 있다. 1.000 .234**

1.000

표 11.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의 장단점

( **는 p<.01, *는 p<.05인 경우임 )

위의 다중 회귀분석 상관계수에 따라 이용자 감성상태 와 벤치디자인요소 간의 상관관계가 밀집하며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바탕으로 다중

장 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10. 다중 회귀분석 회귀계수와 분산분석 비표준화계수

모 형

t값

유의 확률

3.2 20

.002

B

표준 오차

(상수)

18.4 37

5.72 6

형태

6.62 8

1.21 4

.363

5.4 61

.000

재질

3.11 6

1.04 3

.199

2.9 86

.003

색상

4.03 8

.978

.273

4.1 27

.000

3.19 8

1.16 2

.188

2.7 52

.007

분산 분석

F 통계량

유의 확률

27.0 88

.000

크기 모형 요약

표준화 계수

R제곱 .436

β

단 점

1.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정량조사가 가능하다. 2. 경제적이며 특별한 장비가 없어도 광범위한 감성 측정이 가능하다. 3. 어떤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라도 볼 수 있고 혼합 된 감정이나 미묘한 감정들도 평가할 수 있다. 4. 구성이 간단하고, 참가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 며, 결과 분석이 어렵지 않다. 5. 활용 가능성이 높고 다른 방법과 같이 융합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1. 주관적 정서 경험을 표현하는 언어들은 사람에 따 라 그 의미 내용이 다를 수 있다. 2. 한 개인에 있어서도 심리적 상태나 무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준다. 3. 자신의 감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의도적 으로 감성을 숨길 가능성이 높다. 4. 자신의 감성을 말로 정확하게 표현한다는 것이 쉽 지 않다는 것이다. 5. 감성 어휘 속에 함축된 의미가 모호하다. 6. 감성이 시간에 따라 다르게 경험된다. 7. 시간이나 공간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a.종속변 수: 감 성상태 b.예측값 :(상수), 형태 , 재 질, 색상, 크기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47


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04 Vol. 4 No. 4 Ⅵ. 결론 본 논문은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을 실 제적 사용 환경에서의 적용성을 도출하기 위해 자기-보 고법을 통해 해변 벤치 이용자의 감성을 측정하였다. 또 한, 해변 벤치 이용자 감성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험적 감성측정 방 법인 자기- 보고법을 이용하여 사전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벤치 이용자 감성 상태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소 는 “벤치 주변 경관”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어휘와 5점 척도법을 활용하여 해변 벤치 이용자의 감성상태는 주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벤치 주변 경관”과 “벤치디자인”이 이용자 감 성 상태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가 설 2개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와 통계프로그램인 SPSS

사용자 과거의 경험을 기반으로 감성을 측정 하는 방법 이라서 관찰법 및 인터뷰 등 방법과 같이 활용하여 측정 정확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제품 디자인에 접합하는 감성 측정 방법의 개발 방향은 “고가 장비와 특정한 실험 실이 없어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피험자에게 부자 연스러운 심리 부담과 신체 부담감을 없애져야 한다”, “측정 방법에 대한 많은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 없어야 한 다”라고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른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의 사용 환경에서 사용자 감성을 측정하여 측정 방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품 디 자인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감성 측정 방법 개발 연 구의 기초 자료로 기대된다. 참 고 문 헌

12.0을 통해 각 가설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가설1에 서 벤치 주변의 경관은 이용자 감성 상태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신뢰감( β값)은 0.683 으로 나타났다. 가 설2에서 벤치 디자인 요소는 이용자 감성 상태에 부분적 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중에 벤치 형태의 신뢰 감(β=0.363) 은 가장 높은 요소로 나타났다.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을 실제적인 사 용 환경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고가의 장비나 실험 실이 없어도 감성 측정이 가능하다”, “감성 어휘를 이용 하여 혼합된 감정이나 미묘한 감정을 측정할 수 있다” 등 장점이 있으며, 반면에 “사용자 자신의 감성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의도적으로 감성을 숨길 가능성이 높 다”, “사람에 따라 감성 어휘에 대한 이해는 다를 수 있 다”라는 단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보고법 실험을 진행하여 도출된 장단점을 바탕으 로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이 제품 디자인에 적용성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사용성을 강조하는 제품에 비해 감성

[1] 정상훈,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 한 자기- 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감성과학, Vol.10, No.3, p.404, 2007 [2] R. Pekrun,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corollaries, educational

emotions: and

Assumptions,

implication s

research

and

for

pract 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 18,

No.4, 2006, pp.315-341 [3] 최은신,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2016, pp.587-598

[4] 황차오 , “제품디자인을 대상으로 한 감성 측정 방법 비교 분석 ,” 한국기초조형학회 국제학술발 표대회 논문집, p.320, 2018.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며 사용자에게 감성 자극이 강한

[5] 이재화, 이건표, “제품 사용 환경의 사용자 초기

제품에 더 적용한다. 둘째, 제품 실제 사용 환경에서 사

감성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감성과학, Vol.

용자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품뿐만 아니라 환

13, No. 1, 2010, pp.111-120

경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제품 실제 사용 환경에

[6] 정상훈, “제품 사용 중 사용자의 감성 측정을 위

서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을 실행하려면 주변 환경 방해

한 자기- 보고 질문지형 척도 개발”, 감성과학,

요인을 없애져야 한다. 셋째, 경험적 감성 측정 방법은

Vol. 10, No. 3, 2007, pp. 403-410

148


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표본

서비스 컴포넌트 구현

[7]

정효일,

길 태숙,

황유선,

“감성

진단칩

(E motion-on-a-chip, EO C): 인간 감성측정을 위한 바이오칩기술의 진화”, 감성과학, Vol. 14, No. 1, 2011, pp.157-164 [8] 이창윤, 조영환, 흥훈기, “감성측정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2015, pp.629-632 [9] 정상훈, 이건표, “감성어휘 로깅 소프트웨어를 이

저 자 소 개

황 차 오(Chao Huang)

정회원

▪2015 년 3월 ∼ 2017 년 2월 : 동서 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2017 년 3 월 ∼ 현재 :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용한 제품 사용중 사용자의 감성변화 연구”, 감 성과학, Vol. 9, No. 3, 2006, pp. 167-177 [10] 박미자, 신수길 , 한광희, 황상민, “감성 측정을 위한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 Korean Journal of The S cience of E mot ion & S ensibility, Vol, 1, No.2, 1996, pp.1-11 [11] 정상훈, 이건표, “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 의 감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 연구, Vol. 19 No.2, 2006, pp.343-354 [12] Cathrin e V. Jansson-Boyd, 양병화 옮김, “소 비자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0, p.81

< 관심분야> : 산업디자인, 감성디자인, 감성 측정

고 정 욱(Jung-Wook Go)

정회원

▪2011 년 ∼ 현재 : 대한민국 디자 인전람회 초대디자이너 ▪2006 년 ∼ 현재 : 동서대학교 일 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교수 ▪2004 년 ∼ 현재 : 한국산업디자 이너합회(KAID) 정회원 < 관심분야> : 산업디자인교육, 제품디자인방법론, 디자 인의사결정, 산업조형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49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디자인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기회요인 김현정, 고정욱(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디자인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기회요인 Business Types and Opportunities for Design Startups. 김현정_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고정욱(교신저자)_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Kim, hyun jeong_Graduate School Design Dept in Dongseo University / Go, Jung Wook(Corresponding author)_Design Department in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산업디자인 디자인 창업 비즈니스 모델

최근 다양해진 소비자의 취향과 욕구에 맞춰 기술과 아이디어를 활용한 벤처·창업에 대한 관심 이 급증하면서, IT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창업이 디자인 창업으로까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 고 있다.1) 다양한 영역간의 융합은 고객에게 더욱 양질의 서비스와 편의를 제공하는 산업의 형태로 변화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맞춤형 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자인 창업이 증가하고

Keyword

있다.

<표 1> 트렌드 영향력 증대에 따른 변화요인

Industrial design Design start-up research trend business model

구 분

트렌드 영향력 증대

소비자 변화 급변하는 소비자 취향 소비자 선택의 능동적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산업적 변화 신기술 발전과 혁신적인 상품의 폭증 사업경계 소멸과 경쟁 심화

고객가치 지향적 산업구조 변화

또한 2017년도 우리나라의 전문 디자인 업체 수는 총 5,502여 곳으로 작년 대비 1.4% 증가하

였다.2) 또한 전문 디자인 업체의 사업체 수를 살펴 본 결과 디자인 창업의 업체 수는 매해

증가하고 있었다. 하지만 창업진흥원이 8,000여 곳의 창업기업 업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1년 차 기업이 가장 높은 24.3%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2년 20.6%, 3년 16.0%, 4년 12.6%,

5년 10.2%, 6년 8.8%, 7년 7.5% 순으로 나타났다.3) 이를 통해 창업 3년 후에는 약 35%가 폐업을 하고, 6년 후에는 약 70%의 폐업률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2.1. 비즈니스 모델

대기업과 NPO 법인의 기획 및 서비스 컨설팅을 하고 있는 소로소로의 대표 곤도데쓰로는

어렵고 복잡한 경영 전략과 비즈니스 모델을 누구하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설명하 는 ‘비즈니스 도해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비즈니스 도해 연구소에서는 ‘비즈니스×도해’를

콘셉트로 사업이나 서비스, 기획, 디자인, 소셜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컨설팅 사업을

하고 있다. 《한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에서 곤도데쓰로는 그림을 이용하여 비즈 니스 모델 100가지를 해설 하였다. 곤도데쓰로는 위 책을 통해 우리가 세 가지 통찰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 첫 번째로는 ‘인식’으로, 많은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여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다고 하였다. 비즈니스의 가시화를 통해 지금까지 접하지 못한 업계의 비즈니스를

발견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상식에 얽매이지 않고 타 기업의 비즈니스를 보면서 사고의 폭을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 1플 러스 해양디자인 인력양성사업 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넓힐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학습’으로, 도해의 내용을 반복해서 읽으면 모델을 이해하는데

서서히 익숙해진다고 하였다. 또한 기업의 모든 사례의 도해를 3×3의 똑같은 틀로 만들어

기업들의 비즈니스 구조의 공통점과 차별점을 분석할 수 있다. 세번째로는 ‘실천’이다. 위 도해 를 통해 업무를 할 때 위 그림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사례들을 보고 아이디어들 1) 중소기업청, 2016 2) 한국디자인진흥원, 산업디자인통계조사, 2018 3) 창업진흥원, 창업기업실태조사, 2018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2

261


을 얻을 수도 있으며 직접 적용시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 <표 2> 비즈니스 모델의 세 가지 이점

인식

많은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여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실천

자신의 업무를 설명할 때 그림을 이용할 수 있다.

학습

비즈니스 모델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이처럼 비즈니스 모델 도해를 활용하면 비즈니스 자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때문에 위 도해

를 통해 디자인업계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해를 가시화 시켜보므로서 현상을 살펴보고, 위 현상 을 다시 구조화하여 비즈니스의 기회가 있는지 도출해 보고자 한다. 위 책에서 비즈니스 모델

은 ‘물건, 돈, 정보, 사람’이라는 네가지 부류로 나누어져 있는데, 물건, 돈, 정보, 사람은 본래

경영자원의 4요소이다. 이 중 ‘물건’은 ‘물건으로서 새로운 ‘핵심가치’를 제공한다.’라고 정의되 어 있으며, 상품이나 서비스 공간의 가치를 시대의 변화에 맞춰 본질적인 가치로 재 정의한

사례의 장이다. 아이디어로 역설을 만들어 낸 장이며 그 예시는 무수히 많지만 그 중 ‘프라이 <그림 1> 프라이탁 예시

탁’이 디자인업계의 성향과 알맞으며, 디자인 업계의 비즈니스 모델 또한 ‘물건’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디자인 창업의 모형화 3.1. 조사개요

본 연구는 제품 디자인 업계구조도를 분석하기 위해 사업을 유지하는 과정이나 개발과정에서 필요한 비즈니스캔버스에 대입하여 조직의 자원 및 전략요인, 산업 환경요인의 유사점과 차별 점을 식별하고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표 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항목

항목

<그림 2> 기업 비즈니스 모델

인터뷰

핵심활동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을 위한 활동은 무엇인가요?

핵심자원

사업 유지를 위해 투입하고 있는 자원의 종류는 무엇인가요?

핵심파트너

사업을 실행함에 있어 맺어지는 핵심파트너십은 어느 분야에서 맺어지나요?

고정지출비용

매달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지출은 무엇이며, 어느 시점에 큰 지출이 발생하나요?

고객세분화

자사의 매력을 평가하는 주요 소비 고객층은 누구 인가요?

공급채널

고객에게 어떠한 방식의 공급채널(온, 오프라인)을 제공하고 있으신가요?

유통채널

제품을 유통시킬 때 각 유통사별로 수수료가 다른데 이를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디자인 비즈니스 캔버스의 항목은 사업활동의 골자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설계도이다.4)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돈을

벌겠다는 아이디어를 말한다. 비즈니스 모델이 중요한 이유는 사업 모델의 현실성 및 사업성을 점검할 수 있으며, 사업 추진과 운영에 필요한 모든 측면을 제대로 검토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의 ‘지속가능성’의 여부와 ‘수익창출활동’을 한번 더 검증할 수 있는 사고의 실험으로 심층 인터뷰의 항목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3.2. 조사결과

인터뷰를 통하여 각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의 구조를 파악 하였으며, 이를 <그림 2>를 통해 모형화하고 인터뷰를 통해 나온 시사점들은 해당 카테고리에 맞도록 정리해 보았다. <표 4> 심층인터뷰에 따른 시사점 도출

질문 시사점

초기 사업의 핵심 자원 -

유통 플랫폼을 통한 비즈니스 시작함 전시 활동을 통한 비즈니스 시작함 R&D협력을 통한 상품개발을 통한 비즈니스를 시작함 국가지원사업을 통해 시제품 개발비용을 확보하여 사업을 시작함 국가지원사업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있음

4)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2010 26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53


질문

시사점

질문

시사점

질문

시사점

질문

시사점

질문 시사점

-

지원사업을 통해 멘토 네트워킹등의 정보를 습득함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 운영에 대한 정보를 습득함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통한 클라이언트 확보함 지인을 통한 클라이언트 확보함 초기 창업멤버의 전문분야와 다양성이 요구됨

-

디자인 공예기반의 기술사업형태임 디자인기반 기술창업의 형태임 자체상품개발을 하고 있음 기업의 디자인 컨설팅을 대행해주는 업무를 하고 있음 기관 및 업체와의 콜라보를 통한 상품개발을 하고 있음 R&D협력을 통한 상품개발을 하고 있음 한정적인 인원으로 인한 개개인의 멀티테스킹 능력이 요구됨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프로토타입 테스트 과정을 거침

-

지인을 통해 업체를 발굴함 직접 발품을 팔아 업체 발굴함 자사가 직접 생산을 진행하는 시스템 위탁생산을 통한 생산 시스템 중국 위탁생산을 통한 생산 시스템 일부는 자사가 직접 핸들링하고 있음 프로덕트 매니저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공장에 자사만의 기술력 확보하고 있음 공장 자체적인 컨설팅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제품의 생산과정 중 예상치 못한 각종 문제들이 발생하게 됨 바이어를 통한 제품 매입 방식임 클라이언트 및 주요 협력사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함 kc인증을 통한 제품을 검증하고 있음 상표등록과 디자인권등록을 위한 지식재산권 확보하고 있음

-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음 오프라인 매장은 브랜드를 홍보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음 유통 플랫폼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광고를 활용하고 있음 SNS 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기반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음 네이버 검색 키워드 광고를 활용하고 있음 디자인 매거진을 통한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포트폴리오를 통한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국내 외 디자인 전시를 통해 소비자나 바이어들을 만나며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해외수출 관련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음 기업의 컨설팅을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음 강연, 외부행사를 통해 기업을 홍보하고 있음 마케팅을 대행해주는 업체를 이용하고 있음 크라우드펀딩은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음 마케팅을 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함

-

오프라인을 통한 위탁판매에 주력하고 있음 온라인을 통한 위탁판매에 주력하고 있음 협력사(MD, 유통사)를 통한 위탁판매를 이용하고 있음 자사가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자사가 온라인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음 자사 내부에 유통 담당자를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음 국내 전시를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음 국외 전시를 활용하여 제품을 해외에 납품하고 있음 국내외 전시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해외수출을 통해 제품을 대량으로 납품하고 있음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제품을 납품하고 있음 유통에 대한 정보의 부족을 느끼고 있음

-

사업초기 기업 운영에 대한 정보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음 마케팅 및 영업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 자금의 확보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 인력을 고용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함 파트너사와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발생함

사업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

제품 생산

고객에게 제공하는 공급 마케팅 채널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긴 위한 유통채널

그 외 사업의 애로사항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4

263


- 개인의 멀티테스킹 능력이 요구됨 - 동종업계의 제품 카피 - 국내의 경우 예술쪽에 투자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 공예기반 디자인 창업의 경우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지원사업을 참여하고 있지만 관련 지원사업이 한정적임

3.3. SWOT분석

인터뷰를 통해 정리 된 시사점을 SWOT분석을 통해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자인 비즈니 스의 강점, 약점, 기회, 위험요소를 정리하였다. Strengths (강점)

Weaknesses (약점)

-

자체상품개발, 디자인컨설팅 업무의 다양성 제조기반의 노하우 축적 디자인 전문 인력의 다중처리 능력 3D 프로토타입을 통한 시간과 비용의 절감

-

-

소비자 니즈의 다양화 해외 전시 지원을 통한 수출의 확대 지식재산권 보호의 강화 제조업계의 국가지원사업의 확대

- 국내시장의 경쟁 심화 우려 - 국내 제조업의 불황

Opportunities (기회)

인력 고용을 위한 자금의 부족 전반적인 회사 운영에 대한 정보의 부족 내수시장의 한계 투자의 저조 Threats (위험)

4. 결론

최근 국내의 경우 많은 사업체들이 생겨나고 사라지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는 실제 업체를

방문하여 현장을 탐구하는 심층 인터뷰 방식을 통해 디자인 창업의 실증적인 비즈니스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 디자인창업의 비즈니스를 모형화하여 시사점과 SWOT를 정리하였

다. 하지만 위 분석법은 현상만을 나타내고 있고, 국가의 시대적인 상황이나 환경을 내포하지

않으며 추상적이며, 간결하고, 함축적이다.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반으로 조금 더 큰 범위에서의 기회요인을 도출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하여 현상을 객관화 하는 것이 실질적 인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국내 디자인전공 CEO나 예비 창업자들에 게 업계의 정보를 제공 할 수 있기를 바라며, 제조 기반 디자인창업자들이 성공적인 창업의 밑거름 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의 디자인 창업 준비를 위한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자료로서 이를 활용하는 것에도 큰 목적이 있다.

참고문헌 곤도데쓰로, 『한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 2019 알렉산더 오스더왈더, 『비즈니스모델의 탄생』, 2010 중소기업청, 2016 한국디자인진흥원, 산업디자인통계조사, 2018 창업진흥원, 창업기업실태조사, 2018 최동은,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성균관대하교, 2018 https://blog.naver.com/whyble/220650085873

26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55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춘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시너제틱스(Synergetics)에 의한 디자인 경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전원(田園)복합체를 중심으로 두보위,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시너제틱스(Synergetics)에 의한 디자인 경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전원 (田園)복합체를 중심으로A Research on the Design Management System based on Synergetics - Focused on the Rural Complex 두보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홍관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Du, Bo Yu_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 Hong, Kwan Seon_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1. 서론

중심어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너제틱스 순서 매개 변수

Keyword Rural complex Design Management Synergetics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중국 도시와 농촌의 차이는 더욱 증대되었다 . 도시와 농촌 간의 이원 화된 차이를 좁히고, 공동 번영을 실현하기 위하여 2017년 중앙 1호 문건은 농민 협동조합을 주요 매개체로 한 조건부 농촌 건설 사업을 제기하였다.1) 전원 복합체는 도시와 농촌의 관계 가 “이원분할” 형태로부터 경제 공동체로 전환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어떠 한 사물에 관한 연구는 그 사물의 구조의 구성 방식을 발견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듈의 협동 방식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도 포함된다. 시너제틱스는 1975 년 독일 물리학자 Herman Haken에 의해 창제된 학문 분야로서, 시스템 안의 각 서브 시스템 간의 자체적인 조직 법칙

Order Parameters

을 연구하는 학과로서 학문 분야를 넘나들며 경제학 및 경영학을 비롯한 사회과학 분야에 널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징을 연구하고,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 속의 순서 매개 변수를 찾아냄으로써 전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연구시각을 넓힐 수 있다.따라서 본 연

인력양성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리 응용되었다. 2) 시너제틱스의 관점에서 복잡한 시스템의 내부적 협동 메커니즘과 진화의 특

구는 기초이론에 대한 분석 및 유도를 통해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순서 매개 변 수 프레임워크를 구축함으로써 ,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 발전과정의 특징과 법칙을 반영 하였다 . 또한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 발전의 관점에서 기술적,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하여 의사결정자에게 포괄적인 의사결정 기초를 제공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전원 복합체의 디자인 경영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문헌 조사를 통해 전원 복합체와 디자인 경영의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의 개념을 제시한다. 그리고 시너제틱스 순서 매개 변수와 디자인 경영 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복잡한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순서 매개 변수 프레임워크를 단계 별로 구축 한다. 연구대상은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 시너제틱스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연구 범위는 이에 한정된다. 2. 이론적 고찰 2.1. 전원(田園)복합체 전원복합체는 중국의 공업화, 도시화가 일정 수준 발전한 이후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구도 및 농업 공급측구조개혁의 배경 아래 생겨난 현대 농업, 레저 관광 및 전원 커뮤니티 등의 산업 을 아우르는 새로운 복합 발전 모델이다. 이 모델은 현지 농업 특색 자원을 핵심으로 농업 생

<그림1>중국우시(无锡)전 원복합체

산 공간, 주민 생활공간, 관광객 관람 공간과 문화 경관 공간 등의 기능을 통합하고 공간 계 획, 건설 운영에 대한 일체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전원복합체는 신형 생태종합계획구역으 로 산업구조 다원화, 산업기능 복합화 발전에 중점을 두고 있다. 1) 2017 년 중국 중앙 1호 문건, 2017.02.06. http://www.moa.gov.cn/ztzl/yhwj2017/zywj/ 2) Herman Haken. Visions of Synergetics. J. Franklin. Inst. 1997, Vol.334, p.759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춘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8

1


2.2 전원 복합체의 디자인 경영 디자인경영이란, 기업이 디자인이라고 하는 지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디자인 조직 및 인력을 기본요건으로 하는 디자인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디자인분야의 주요자원들을 최적하게 배분ㆍ활용함으로써 디자인의 경영적 공헌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실현을 위해 디자인을 기업 경영활동 가운데에 효과적으로 침투시키고 그 효과를 이 끌어 내는데 필요한 디자인의 정책ㆍ전략ㆍ평가기준ㆍ프로세스, 그리고 설비 및 환경 등의 물적 지적인 자원들을 합리적ㆍ체계적으로 구축 또는 구비하여 운영ㆍ관리하는 일련의 지식 체계이다.3) 다시 말해 디자인 경영은 디자인 시스템 전반에 걸쳐 관련 절차와 참여 주체를 조정하고 재분배하는 운영 프로세스를 통해 디자인 가치 극대화의 목표를 실현하는 것이다. 디자인 경영의 중점은 조직의 전략 목표를 파악하고, 디자인이 어떻게 목표 달성을 추진하는 구성 부분이 되는지를 이해하며, 나아가 다양한 수단, 도구, 인원을 통해 수요를 기획하고, 디 자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있다. 4) 다음은 디자인 경영 관점에서 전 원 복합체의 작동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은 전원 복합체의 디자인과 전체 실행 과정에 대한 관리 및 통제이다 . 디자인 과정의 각 참여 주체와 복합 산업 사슬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전원 복합체 공간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및 최적화 발전을 실현한 다. 2.3. 시너제틱스와 순서 매개 변수 시너제틱스는 독일 물리학자 Herman Haken에 의해 1975년에 공식 제기되어, 평형에서 먼 상태의 복잡한 시스템이 외부 물질 또는 에너지 교환의 조건 하에서 어떻게 시스템 내부의 시너지 작용을 통해 시간, 공간 그리고 기능적으로 질서 있는 상태를 만들어 내는지를 연구하 였다.5) 후에 복잡한 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고 분석하는 이론으로서 사회과학과 경영학에 의해 광범위하게 응용되었다. 시너제틱스의 핵심적 개념은 순서 매개 변수이다. 순서 매개 변수는 복잡한 시스템의 진화 과정에서 시스템이 새로운 구조, 조직과 기능을 생성하는 것을 명시 및 결정하는 결정적 변수로서, 시스템의 전반적인 행위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매크로 변수이 다. 시스템 초기 또는 불안정 임계점에 가까운 경우, 그 활동 흐름은 시스템 내부의 하나 또 는 몇 개의 순서 매개 변수에 의해 공동 지배되므로 순서 매개 변수는 복잡한 시스템의 진화 과정을 지배하는 능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6) 3.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 프레임워크 전원 복합체는 여러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협동하는 복잡한 시스템이므로, 단일한 순서 매개 변수가 시스템 전체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거의 없다.7) 각 주체 간의 상호관계를 조율하고 다차원적인 내부 구조를 총괄하여, 궁극적으로는 포괄적이고 질서적이 며 효율적인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운영시스템을 형성한다. 따라서 여러 요소들이 서로 제 약하는 상황을 방지하고, 요소 간 협동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 스템의 순서 매개 변수를 협동이론적 시각에서 정리하고 틀을 구축하여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 발전을 이루고, 나아가 사회 , 경제, 공간 가치의 극대화를 실현한다. 이 밖에도 전원 복합체의 디자인과 도시 디자인은 내용과 성질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기 때문 에, 전원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은 도시 디자인 경영 시스템 관련 연구로부터 방법론적 기 3) 이수봉,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p.46 4) Kathryn Best, 『Design Management』, AVA Pulishing, 1st edition 2006, p.12 5) H.Haken, 「Synergetics Are Cooperative Phenomena Governed by Universal Principles」, Naturwissens

chaften 67,1980 6) Jingya Qiao, Mo Wang, 「Synergetic Development Assessment of Urban River System Landscapes」, Sustainablility 2017(9) 7) Herman Haken, Introduction and Advanced Topics, Springer Pulishing, p.5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59


초를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순서 매개 변수에 대한 탐색 또한 시너제틱스 이론 및 도시 디자인 경영 시스템과 그 서브시스템 그리고 순서 매개 변수로부터 단계를 구성해야 한다. 3.1 전략 디자인 경영 법률과 정책 시너제틱스에 기초한 인지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완전한 협동 경영 운영 시스템은 안정적인 환경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협동 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외부 불안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완전한 제도적 보장과 거시적 정책 통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8)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에 대한 보장 제도 메커니즘의 수립은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운 영활동을 규범화하기 위한 일련의 법적, 정책적 보장 조치이다. 거시경제적 규제와 통제란 정부가 정책 조치 실행을 통해 사회경제 전반을 조절 및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시장 작동을 규범화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자원의 분배를 최적화한다.9) 전원복합체 디자인 경영에 대한 정책 거시경제적 통제 시스템은 주로 정부나 기획관리부서가 예산, 조세 또는 정책보조 등의 통제 수단 운용을 통해 형성한 정책기획 및 가이드라인 등으로서, 복합체 공간자원의 배치를 최적화한다 . 디자인 전략 전원 복합체는 현지의 특색 있는 문화자원이나 농업생태자원에 의존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농 업, 문화콘텐츠산업, 관광레저산업을 결합하여 산업을 연동하는 복합적인 프로젝트를 형성하 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전략 제시 시 현지의 자연자원, 역사문화, 사회경제적 배경을 종합 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자료정리 분석과 평가를 통해 디자인 대상과 지역 환경의 내적 관계 및 제한조건을 탐색함으로써 디자인 목표의 확립 및 방안 구상에 객관적인 기반을 제공 한다. 대량의 조사에 기초하여 대상 지역이 지닌 제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예측하여 전체적인 전략적 목표를 확립한다. 이에 더해 프로젝트 디자인 경영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구축함으로 <그림 2> 디자인경영의 단계

써 목표 결정의 기초를 마련하고 전체 실행 과정을 지도한다.10) 목표 결정을 확립하는 과정 에서는 주로 프로젝트 수립 원인, 프로젝트 요구사항, 외부 제한 조건, 기대 효과 등의 측면 을 고려한다 . 목표를 정한 후에는 전문 기술부서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뒤따른다. 전 원 복합체의 제기 목적은 농촌 산업구조의 다변화를 통해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도시와 농촌 의 공간 가치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경제적 효과 및 실행 가능성 에 대한 분석 평가는 특히 중요해 진다. 3.2.과정 디자인 경영 디자인 팀 구성 전원 복합체 산업 사슬의 복잡함으로 인해, 전원 복합체의 공간에 대한 분석, 정합 및 이용은 토지 허가, 경제 투자 및 산업 운영, 공간 계획 그리고 건설 관리와도 연관된다. 따라서 전원 복합체 디자인 팀은 국가 공무원, 도시기업, 디자인사, 부동산 개발업자 및 현지 주민 등을 포함한 여러 이익 주체를 포함하며, 이들은 전체 시스템에서 각기 다른 권책귀속과 이익소구 를 지닌다. 그렇다면 디자인 팀이 협업을 통해 디자인 목표를 달성하는 것, 즉 팀워크는 디자 인 경영 시스템 협동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효율적인 디자인 팀은 대개 전 문 역량을 갖춘 우수한 팀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원은 협업 능력과 기대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 이처럼 팀의 전문 기술력은 구성원 간의 협업을 실현하는 기초가 된다. 조직 과정 조직과정이란 디자인과정에 대한 적절한 조직과 기획 배치를 통해, 지역적 특성, 주민수요, 8) Wang Jianfeng, 「Research on Synergy Mechanism of Urban Design Management」,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학위 논문, 2016,p.74 9) 宏观调控,wikipedia ,https://zh.wikipedia.org/wiki/宏观调控,2019.06.01 10) Liu Wan,『Urban Design in a Social Approach』,China Architecture Building Press,2006,p.140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춘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60

3


디자인미학, 경영 메커니즘 등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전략 목표를 절차가 명확하고 조작 가능 한 디자인 과정으로 해체하는 것이다. 디자인 조직 과정은 일반적으로 디자인 목표의 확립, 개념적 방안 구상, 디자인 방안 수립 등의 단계를 포함한다. 디자인 목표에 따라, 자료에 대 한 종합적인 고찰을 기반으로 개념적 방안을 구상할 수 있다. 디자인 구상을 완료한 이후 디 자인 의도 및 개념을 전문가 또는 의사결정권자가 평가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전환하여 텍스트, 도면, 멀티미디어 위주의 형식으로 표현한다. 아울러 프로젝트 발생 환경, 경제, 사회 등 방면 의 가치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3.3.실시 디자인경영 평가 결정 완전한 평가 결정 과정은 평가 참여 주체의 선택 및 평가 내용 작성 두 부분을 포함한다. 이 중 평가 결정 참여 주체는 정부 주무부처, 부동산 투자자, 디자인회사, 대중 및 분야별 학자 들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을 비롯한 각 계층의 이해를 대변해야 한다. 평가 내용 작성은 과학 적이고 합리적이므로 전원 복합체의 발전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제시할 수 있다 . 리우완 <그림 3>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

(2006)이 주장한 바에 따르면, 도시 디자인 평가 요소 시스템은 도시 전체의 이익과 대다수 주민의 이익을 반영해야 하며, 프로젝트 실행 과정에서 도시의 효능, 환경, 경제, 사회, 문화 등에 초래될 변화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예측해야 한다. 이에 더해 왕지엔펑(2016)은 평가 결 정 요소로서 기능구조 , 공간형태, 교통시스템, 환경경관, 역사문화 및 정책적 동기부여 등 6 가지 측면을 추가하여 심화시켰다. 프로젝트 실시 프로젝트 실시란 환경종합조직에 대한 디자인의 의도를 도시건설활동을 인도 및 통제함으로 써 실현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건설과 시공을 통해 디자인 의도를 실 물화하는 과정이며 그 결과

물이 바로 구체적인 공간과 환경이 된다. 따라서 어떻게 하

면 디자인 방안을 프로젝트 실시 중 조작할 수 있는 내용, 즉 디자인 방안의 실시 효용으로 전환할 것인지는 마찬가지로 디자인 경영 시스템이 프로젝트 실행 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다. 또한 전원 복합체는 일정한 지역 공간 내에서 농업생산, 주민생활, 관광 등의 기능을 결 합한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각 분야의 토지 사용 및 건축 디자인 방안 계획에 기획승인 과정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Kathryn Best 의 디자인 경영 시스템 및 도시 디자인 경영 시스템에 입각하여, 시 너제틱스 이론의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 순서 매개 변수 프레임워크를 참고로 하여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발전 과정의 특징과 법칙을 반영하였다. 최종적인 순서 매개 변수 프레임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1>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 프레임워크 목표계층

기준 계층 서브시스템

전략 디자인 경영 Strategic Design Management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발전

과정 디자인 경영 Process Design Management 실시 디자인 Implementation Design Management

이차적인

기준 계층 법률과 정책 디자인전략 디자인 팀 구축 조직과정 평가 결정 프로젝트 실시

지표 계층

(순서 매개 변수) 제도보장 유효성 거시적 정책 통제 능력 종합 조사 전략적 목표 의사결정 실행 가능성 팀워크 전문 기술력 디자인 목표의 명확성 개념적 방안 구상 디자인 방안 및 가치평가 참여 주체의 선택 평가 내용 작성 디자인 방안의 실시 효용 기획승인 과정

4. 결론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발전은 전략 디자인 경영, 과정디자인 경영 및 실시디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61


자인 경영의 협동에 의존한다. 이 중 전략 디자인 경영은 법률정책의 규범과 통제 그리고 전 반적인 디자인 전략의 기획과 평가를 포함한다. 과정 디자인 경영은 전문적인 디자인 팀의 구 성과 디자인 과정 조직을 포함한다. 실시 디자인 경영은 의사결정 참여주체의 선택과 평가내 용의 작성 그리고 기획관리 부문의 제약 하에 프로젝트 실시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브시스템의 불안정은 전체 시스템의 진화 프로세스를 좌우한다. 전원 복합체 디자 인 경영 시스템 내의 순서 매개 변수가 명확해지면서 각 순서 매개 변수가 시스템 전체에 영 향을 미치는 정도와 순서 매개 변수 간의 협동 정도에 대한 탐색 그리고 전원 복합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의 협동발전을 실현하는 데에 큰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참고문헌 Herman Haken, 『 Introduction and Advanced Topic s』 , Springe r Pulishing, p.5 Kathryn Best, 『 Design Management』 , AVA Pulishing, 1st edition, 2006 Liu Wan ,『 Urban Design in a Social Approach 』, China Architecture Building Press , 2006 Herman Haken. 「 Visions of Synergetics」 , J. Franklin. Inst, 1997 Herman Haken, 「Synergetics

Are Cooperative Phenomena Governed by Universal

Principles 」, Naturwissenschaften 67, 1980 Jingya Qiao, Mo Wang, 「 Synergetic Development Assessment of Urban River System Landscapes 」, Su stainablility Vol.9 , 2017 Wang Jianfeng, 「 Research on Synergy Mechanism of Urban Design Management」 , H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학위 논문, 2016 이수봉,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05 https://zh.wikipedia.org/ wiki/宏观调控 http://www.moa.gov.cn/ztzl/yhwj2017/zywj/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춘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62

5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에코 뮤지엄 역할에 관한 연구 - 중국 귀주성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을 중심으로 류서,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에코 뮤지엄 역할에 관한 연구 - 중국 귀주성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Role of Eco-Museum for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 Focus on Buyi Eco-Museum in Guizhou Province, China 류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Liu, Shu_Dongseo University / Chang, Ju young_Dongseo University 중심어 에코 뮤지엄 중국 에코 뮤지엄 지역문화 진흥

1. 서론 중국의 소수민속 마을은 독특한 문화와 풍부한 민족적 특성으로 많은 관광객을 끌고있다. 관 광 개발은 마을 주민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어 그들의 수입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경 제 향상과 항께 외래문화의 영향으로 현지 민속문화가 바뀌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후 에코 뮤지엄 이념을 도입한 후, 마을 주민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현지의 매력이 독특한 민족 역사 와 문화적 관습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정보사회에서 민족을 발전시키면서 독립성을 보존하

Keyword Eco-Museum Chinese Eco-Museum Revitalizing Local Culture

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자기 민족의 과거를 절실히 알고 싶어 하며, 미 래 비전을 구상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 중국 귀주성(貴州省) 전산(鎭山)마 을의 포의족 (布依族) 에코 뮤지엄은 비교적 일찍 마을의 정체성 보호 구상과 실천에 나선 사 례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마을의 포의족 에코 뮤지엄을 예로 하여 지역문화 진흥에 있어 에코 뮤지엄 건설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에코 뮤지엄 건립 전후 상활을 비교하여 지 역문화 진흥을 위한 에코 뮤지엄의 역할에 관해 정리를 하였다 . 분 연구는 전통 촌락의 지역 문화 진흥에 도웅이 되는 사례로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 영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 2. 러스

에코뮤지엄(Eco-Museum)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업 2.1.

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개념

에코 뮤지엄 이념은 1970 년대 프랑스에서 제기되었다. 기존 뮤지엄학과 달리 신흥 뮤지엄학 의 대표주자인 에코 뮤지엄의 이념은 문화의 원생지(原生地)에서 문화재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현지 민중이 자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문화재의 원생환경과 문화재를 동시에 보 호한다는 개념이다 . 에코 뮤지엄의 이념이 기존보다 개방적이고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문 화재 보호에 대한 새로운 사상을 제시했으므로 널리 전파되었다. 국제 박물관 협회 자연 역사 위원회, 프랑스 정부 부처도 에코 뮤지엄에 대한 정의를 내렸는 데 그들이 내린 정의의 공통점은 에코 박물관이 문화기구로서 문화유산과 환경 보호에 참여 하고, 커뮤니티의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는 데 있다. 프랑스 정부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에코 뮤지엄을 박물관을 통한 보호가 아니라 유산 그 자체의 보호라는 개념으로 더욱 분명하게 규 정했다.1) 2.2. 전통적 박물관과의 차이점 에코박물관은 문화 본거지, 문화의 주인이 스스로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새로운 박물관학 운동이 전통적 박물관학을 비판하는 이유는 전통적 박물관이 소장품과 그것이 탄생한 조건 및 환경을 분리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르네 리바드(Rene Rivard)는 에코뮤지엄과 전통적 박물관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한 후, 1988년 아래와 같은 간결한 공식을 도출하였다.2)

1) 쑤동하이 (苏东海), 「국제에코 뮤지엄 운동 술략 및 중국의 실천」, 중국 박물관, 2001, p.4 2) 쑤동하이 (苏东海), 「에코뮤지엄에 관한 사고 」, 중국박물관, 1995, p.3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64

1


<표 1> 르네 리바드의 비교 공식 전통 뮤지엄 에코 뮤지엄

건축 + 소장품 + 전문가 + 관람객 지역 + 전통 + 기억 + 주민

또한 전통박물관과의 특징을 비교 정리하면 아래의 도표와 같다. <표 2> 에코뮤지엄과 전통박물관의 차이 비교내용 활동범주 활동자 활동 소장품 관리

전통박물관 박물관 건물 내 소장품

에코뮤지엄 박물관 내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까지 포함

박물관 전문연구원

문물 수집 정리, 과학적 연구, 전시, 사회 교육 이동 가능한 문물 하향식 관리

지역사회 주민, 상주 전문 연구원, 관련 분야 학자와 전문가 지역사회 조사→지역사회 전시→별관, 과학연구, 전시기획, 사회교육 지역 문화, 지역 풍속, 지역 환경 등 완전히 사유화된 연합회 기구가 관리

2.3. 중국 의 에코 뮤지엄 중국에서 에코 뮤지엄 이론에 관한 연구는 1986 년부터 시작되었다. 1995년 중국 귀주성은 다양한 소수민족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해 소수민족 지역에서 에코 뮤지엄의 설립 을 먼저 시도하였다. 현지 조사 분석에 따르면, 귀주성 소수민족의 문화재가 잘 보존된 마을 은 대체로 가난하고 낙후된 산간지역에 분포하여 외부와 단절된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여기 서 주민들의 관심사는 생존의 문제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주민들에게 지방 문화재 보호를 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1998년 중국 최초의 에코 뮤지엄이 귀주성 류즈시(六枝市) 쑤오까마을(梭嘎鄉)에서 건립된 것은 중국 에코 뮤지엄 연구가 이론에서 실천으로 옮겨졌음을 의미한다. 뒤이어 광시(廣西), 내몽골 등에 민족 에코 뮤지엄이 잇따라 나타났다. 지금은 중국 각지에 16개 의 에코 뮤지엄 이 건설되어 있다 . 전산마을은 귀주성 귀양시에서 겨우 21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도 시와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외래문화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귀주성이 가진 소수민족의 민 속 문화는 가장 심각한 수준의 유실 사태3) 를 겪었기에 에코 뮤지엄 설립 후 현지 문화를 부 흥시키는 효과도 매우 두드러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을 사례로 한다. 3. 에코 뮤지엄 건설의 역할 3.1. 에코 뮤지엄 건립 이전 전산마을의 상황 전산(鎭山)마을은 전형적인 포의족 (布依族) 마을 로, 마을이 작고, 지형이 굴곡이 심하여 예전에 이곳 주민들은 외부와 소통이 뜸하였다. 포의족 은 민족 문자가 없으므로 한문을 사용해왔으나 문화예술은 화려하고 다채롭다 . 대외개방도의 확대에 따라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마을 대부 분의 젊은 사람들은 자기 민족 언어를 거의 잊 어버리게 되어 마을에서 포의어 (布依語)를 사용 <그림 1> 전산마을

하여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대다수는 60세 이상의 노인이며 , 대부분 젊은이는 포의어는 커

녕 자기 민족 복식을 입을 일도 거의 없다. 또한, 명절 축제도 민족의 전통적인 특성을 잃었 다. 소수민족 문화가 사라지면서 관광객들은 자신들이 본 광경으로 포의족 민속 마을과 다른 마을을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 외래문화의 침입으로 인해 뮤지엄의 전통문화와 인프라는 큰 위협을 받았으며, 한때 자신의 발전 방향까지 잃었다. 이는 두 가지로 표현되고 있는데, 첫째 는 문화 소유자의 자각과 민족적 자신감이 부족함으로 관광 수요를 맞추기 위해 전통에 따르 3) 장숴( 张帅), 「관광경제발전에 따른 부이족 민족문화의 위기—진산마을에서 온 조사보고」, 원생태 민족 문화 학술 지, 2009, pp.117-120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65


지 않고 끊임없이 건물을 지어 환경이 파괴되었다. 둘째는 민족문화가 점차 외래문화로 대체 되면서 민족 언어, 민족 복식 , 민족 풍습 등이 사라져갔다. 3.2. 귀주성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의 건설 노르웨이 에코 뮤지엄 학자 존·제스트론(John Jastron)는 중국 에코 뮤지엄 학자 쑤둥하이(蘇 東海)와 함께 여러 차례 귀주성를 찾았는데, 에코 뮤지엄의 건설은 바로 그가 귀주성에서 먼 저 제안한 것이다. 1995년 존 · 제스트론은 전산 야외 민속 뮤지엄을 처음 시찰하였는데, 귀 국 후 그는 귀주성에 에코 뮤지엄을 건립하는 노르웨이 정부 무상지원 프로젝트 신청에 성공 하였으며, 그 후 2000 년에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이 본격적으로 세워졌다.4) <표 3>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 개황 사업

사진

내용

설립 2000년

장소 중국 귀주성

소장품 1. 포의족의 전통문화 2. 명나라( 明王朝)의 둔보문화(屯堡文化) 3. 지역 전통 건축

활동자 1. 정부 부처 2. 연구자 3. 마을 원주민

특징 전산마을은 물을 따라 지어졌으며 마을 전체가 마치 돌로 된 성채처럼, 그 안에는 돌로 된 성루, 성벽, 돌집, 석판로(石板路) 등이 있다. 디딜방아(碓), 맷돌(磨), 사발(钵), 탱크(槽), 항아리缸()와 같은 가정 생활 도구까지도 모두 돌을 깎아서 만든 것으로, 포이족의 특성이 짙게 나타나 있다.

에코 뮤지엄에 자료정보센터를 설치하여 오래 된 마을의 전통문화 특징 및 발전과정을 기록하 고 보호함으로써 이 커뮤니티 내의 독특한 유형 문화재와 무형문화재가 역동적인 역사 과정 속 에서 보존전승, 그리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하였 다. 마을 내에서는 매년 정월 초하루에 ‘티오창 (跳廠)’이라는 행사가 열리는데, 참가자는 인근 일대의 포의족, 묘족 주민들이며, 참가 인원수 <그림 2> 생황 연주

는 만여 명에 달한다. 행사 내용은 생황 연주하 기, 춤추기, 투작(鬪雀) 등이 있다. 음력 6월 6

일은 포의족의 전통 명절로, 산채 내에 무대를 만들어 산거 (山歌, 일문일답식 노래)

5) 등

전통

행사를 연다. 그리고 정부는 원주민들과 함께 명나라가 남긴 성벽과 전통 건축물을 보수하였 다. 또한, 노르웨이와 중국 전문가들은 교육을 시행하여 이 지역의 젊은이들이 농한기와 저녁 시간을 이용하여 역사와 문화를 민족 언어로 말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원주민들에게 자 신의 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하도록 하고 , 문화의 수집과 정리 작업을 젊은 사람들의 손에 맡겨 그들이 문화를 진정으로 계승하게 한다. 3.3.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에코 뮤지엄의 역할 <표 4>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 설립 전후 비교 비교내용 문화 환경 관리 교육

설립 전 민족문화가 외래문화에 의해 대체되면서 민족

설립 후 에코 뮤지엄에서 자료정보센터를 설립하여 옛 민속 전

심각한 수준으로 훼손 마을 위원회에서 일괄 관리 문화 및 교육이 부족하여 주민들이

전통 건출물을 유지 보수 정부, 연구원과 원주민이 공동 관리

언어, 민족 의상, 민족 풍속 등이 대거 소실 전통에 따라 건축물을 짓지 않아 기초 시설이

현지에 남아있기를 원치 않음

활동

명절 축제에 민족의 전통적 특색이 부재

경제

경제적 수입 형태가 단일적

통문화의 특징 및 발전 역사를 기록하고 보관 정부와 토착민이 함께 명나라부터 전해 내려온 성벽과

노르웨이와 중국 전문가가 공동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민족 언어를 사용하여 역사 및 문화를 강의 매년 정월 초하루 “도광” 활동, 음력 6월 초엿새 “대가” 활동 등 전통 민속 활동 개최 경제 수입 형태의 다양화

4) 종징우에(钟经纬), 「중국 민족지역 에코 뮤지엄 연구」, 푸단대학교, 2008, p.12 5) 민간 가곡의 일종인 “산가 (山歌)”는 주로 고원 , 내륙, 산촌, 어촌 및 소수민족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매우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함의가 풍부하다. 산가는 중국 민가의 기본 장르 중 하나이다.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66

3


위의 표를 보면 전산마을에 에코 뮤지엄이 건립되기 전과 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귀주성의 건립은 정부와 외부인에게 현지 문화를 알리고 보호와 전승을 더욱 중시하도록 하였으며 중 국 에코 뮤지엄 연구에 있어 참고할 가치가 있다. 이상을 종합하면, 지역 문화 진흥을 위한 에코 뮤지엄의 역할을 5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 첫째, 현지 자원을 이용하여 문화, 농업 위주의 생태관광으로 민속 마을의 발전과 항께 마을 경제를 활성화 시킨다. 둘째. 독특한 마을 정취와 전통적이고 고풍스러운 마을 특성 , 그리고 민속 마을 건축의 풍모 를 비론하여 지역 문화를 보존 , 계승, 발전시킨다. 셋째. 에코 뮤지엄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에코 뮤지엄 건설에 현지 마을 주민의 적극적인 참 여를 유도하여 그들의 건설 및 관리에 대한 능동성을 높이며, 민족문화에 대한 마을 주민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그들이 스스로 민속 마을의 전통문화 보호와 전승을 강화하도록 유도한 다. 네째. 마을 문화의 전승인(傳承人)을 보호하고, 살아있는 전승을 실현한다. 다섯째. 마을 주민을 상대로 홍보와 교육 등 활동을 전개하여 민족문화의 가치와 자기 민족문 화 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쌓게 하고, 주민들의 문화적 자부심을 높이며, 나 아가 민족문화를 보호한다는 자각을 심어준다. 4. 결론 쑤동하이(蘇東海)는 “에코 뮤지엄은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유형문화재, 그리고 무형문화재를 보호, 현지보호, 발전 속의 보호와 주민 자주적 보호의 방식으로 보호함으로써 사람과 사물, 그리고 환경을 고유한 생태 관계에 놓이게 하며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새로 운 이념이자 방법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6) 문화 진흥은 이미 중국 농촌 발전의 중요한 방 향이 되었다. 도시화, 현대화를 꾸준히 추진하면서 농촌의 사회적 특성 , 문화적 배경과 발전 이념의 융합 등에 대한 재조명과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조화로운 발전의 전제하에서 지역 문화의 진흥을 실현하는 방법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고 에코 뮤지엄의 건립을 그 해결방법의 하나는 본 연구에서 초정을 두었다. 본 연구는 우선 에코 뮤지엄을 건립하기 전 전산마을의 상황과 그 후의 변화를 정리하고, 그 를 바탕으로 건립 이후의 전반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전산마을 에코 뮤지엄의 실 제 운영 상황에 따라 5가지 에코 뮤지엄이 지방문화 진흥에 미치는 역할을 추려냈다 . 본 연구 는 전통 촌락의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에코 뮤지엄의 역할에 대한 창고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를 든다. 참고문헌 김봉채, 이병민,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적용 연구』 , 인문콘텐츠, 2017 Alain Joubert, 『 프랑스의 에코 뮤지엄』, 중국 박물관, 2005 Georges Henri Riviere, 『에코 뮤지엄ㅡ진화하고 있는 정의』, 중국 박물관, 1995 Kenneth Hudson, 『The dream and the reality』, Museums Journal, 1992 Peter Davis, 『Ecomuseums:A Sence of Place』, Leicester: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99 Rene Rivard, 『Ecomuseums in Quebec』, Museum International(UNESCO, Paris), 2001 쑤동하이 (苏东海), 『 국제에코뮤지엄 운동 술략 및 중국의 실천』 , 중국 박물관, 2001 쑤동하이(苏东海), 『에코뮤지엄에 관한 사고 』, 중국 박물관 , 1995 단지샹 , 『 에코 뮤지엄의 원생태(原生態) 환경보호에 관해 연구』, 중국명성, 2011 종징우에, 『 중국 민족지역 에코 뮤지엄 연구』, 푸단대학교, 2008

6) 쑤동하이(苏东海), 「에코뮤지엄에 관한 사고」, 중국 박물관, 1995, p.3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67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북유럽 및 아시아 공공 자전거 주차 시설의 활용 요인에 관한 연구 - 덴마크, 일본, 중국에서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을 대상으로 마추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북유럽 및 아시아 공공 자전거 주차 시설의 활용 요인에 관한 연구 - 덴마크 , 일본, 중국에서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Factors of Public Bicycle Parking Facilities in Northern Europe and Asia - Focus on the Urban Public Bicycle System in Denmark, Japan and China 마추화, 동서대학교 대학원 MA, CHU HUA_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공공디자인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공공 자전거

"도시 공공 자전거"는 특정 유형의 자전거를 나타내는 이름이다. 동시에 "도시 공공자전거"는

요인 연구

삶을 사랑하고 삶을 즐기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형용사이기도 한다. 도시 공공자 전거는 평균 15개의 부품만 조립되는 반면 동급의 산악자전거 부품은 30 개이며, 이 수준의 산악자전거 부품 수는 40 개가 넘다.1) 논문의 목적은 3개국의 도시 자전거 시스템 연구를 통해 영향은 요인을 도출하는 데 있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교통 환승 체계, 문헌 및 사례 조사를 통해 세 나라의 자전거 정책 및 이용사례를 조사한다. 사례조사를 통해 자전거 환승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자전거의 기 존 대중교통 체계와 환승에 대한 활성화.2)

Keyword

Public design Public bicycle Factor research

첫째, 자전거 교통의 특성을 대상 국가별 자료를 통해 분석한다.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대상 국가 자전거 이용실태 및 이용시설 현황을 검토한다. 둘째, 교통수단과 자전거 수송 사용률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셋째, 대상 국가에서 실행 중인 공공자전거의 운영사례를 수집 검토하며, 국외 공공자전거 운 영사례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한다. 넷째, 환승 체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현황과 정책을 검토한다. 2. 덴마크 - 코펜하겐 1970년대의 에너지 위기 이후, 덴마크는 자동차 사용을 제한하고, 자전거 개발을 장려하고, 자전거 타는 사람들을 위한 더 나은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덴마크 북유럽 국가의 총인구는 겨우 540만 명에 이르며 자전거는 420만 개가 넘고 거의 모 두가 자전거를 가지고 있다. 자전거는 덴마크 사람들의 기본 교통수단이다. 수도 인 코펜하 겐 시민들은 연간 900킬로미터를 여행한다. 국회의원의 86%는 자전거로 통근하며, 또한 다

< 그 림 1> 덴마 크 지 리 적 위치

국적 기업의 많은 고위 관리자는 자전거로 통근한다. 이 나라의 평균 2명은 자전거 1 대를 소 유하고 있다. 코펜하겐은 미국의 지속 가능성 연구 전문가인 트리 허가 (Tree hugger) 가 선정한 최고의 자전거 도시로 선정되었다. 코펜하겐에서 , 자전거 차선은 총 410km이다. 사무원의 3분의 1 은 자전거로 통근한다. 매일 600,000명(코펜하겐 주민의 총인구는 약 170 만 명) 이상의 코 펜하겐 시민이 자전거를 탄다. 총 주행 거리는 120 만 킬로미터에 달할 수 있는데 이는 지구 와 달 사이를 거의 두 번 앞뒤로 왕래하는 것과 같다.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1) 'China Dialogue' & 'Friends of Nature', 「도시 공공 자전거 연구 보고서 」, 2012 2) 유상훈 ,「자전거에 의한 대중교통 환승할인정책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of a bicycle transfer discount i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2013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70

1


2.1. 대표적인 시설 덴마크는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Bicycle Sharing System)을 홍보한 최초의 국가이다. 그리고 "공유"개념의 실현과 도시 건설의 통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Gobike"라고 하는 공공 자전거 시스템으로, 계획에서 구현까지 10년 동 안 사업을 해왔다. "Gobike" 시스템은 2012 년에 지어졌으며 2013년 6 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코펜하겐의 2016년 통계에 따르면 "고비 캐 (Gobike)"시스템의 총 차량 수는 1,860대로 100개의 통합 주차 공간과 2,790개의 공동 주차 공간이 설립되었다 .3)

<그림 2>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Bicycle Sharing System) “Gobike“ 시스템

3. 일본 - 도쿄 일본은 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국가이므로 도시의 토지 가격이 매우 비싸고 지방 정부가 매우 밀집되어 있고 도로가 매우 좁아서 독특한 자전거 문화를 형성하였다. 대부분의 일본, 아니 자전거 도로의 부분에서 , 우선, 이전에 자전거 차선이라는 것이 허락된다 . 1970 년대에는 교통사고로 사망자 수가 급증했다. 그래서 일본 교통부는 자전거가 보도에서 걸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한다. 도쿄는 2020 년 도쿄 올림픽을 환영하기 위해 2017 년 자전거 도로 건설을 시작하여 자전거 타기를 통해 올림픽 개최지와 관광 명소를 둘러보았 <그림 3> 일본 지리적 위치

다.4) 도쿄에는 일본 최대 규모의 자전거 문화 센터가 있지만 , 도쿄의 도시 공공 자전거 인기 는 여전히 낮다. 전체 시스템이 일본의 "신용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예를 들어, 신차 나 중고차를 불문하고 자전거를 구입 한 경우 소매점에서 침해 등록 카드를 처리하려면 구매 증빙 자료를 사용해야 하였다. 3.1. 대표적인 시설 일본은 매우 심각한 국가이다. 제한된 토지 면적과 많은 인구로 인해 자원과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촉진되었다. 일본에서는 78%의 가정이 적어도 하나의 자전거를 가지고 있다. 도쿄와 같이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에서는 사무원의 14%가 지하철역과 회사 사이를 자전거로 통근한다. CNN 에 따르면, 2013 년에 수만 대의 자전거를 관리하기 위해 정부는 도쿄의 자전거 지하 주차장을 만들기 시작했다 . 지상 40피트 아래의 주차장은 비가 내리지 않도록 자전거를 보호하였다. 그리고 많은 지진 때문에 정부는 내진을 보장하기 위해 400 만엔 이상을 썼다. 현재 일본에는 50개의 주차 부스가 있으며, 각 부스에는 약 200대의 자전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달 동안의 주차 요금은 약 25$이며, 주차하는 데 약 10 초 정도 걸린다.5)

<그림 4> ECO지하 자전거 주차 타워 3) http://www.youtube.com/watch?v=JN7OXZ5kU3w 4) http://japan.people.com.cn 5) http://www.youtube.com/watch?v=pcZSU40RBrg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71


4. 중국과 대표 도시 선택 중국은 한때 네덜란드와 함께 세계 2대 자전거 왕국이었다 . 1950년대 이래로 평범한 노동자 를 위한 몇 달간의 임금을 받는 자전거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세 가지 주요 요소(당시 중국 에서 가장 비싸고 품위 있는 가정용 시설 중 세 가지인 자전거, 라디오와 시계 ) 중 하나에 속 한다. 1948 년 베이징에 176,970 대의 자전거가 있었는데, 이는 베이징 시민들에게 중요한 교 통수단 중 하나가 되었다. 1980 년대까지 경제 도약으로 시간당 20킬로미터의 자전거가 마침 <그림 5> 중국 지리적 위치

내 사라졌다. 2008 년 "녹색 올림픽"을 통해 베이징 시민들은 처음으로 도시 공공 자전거를 보게 되었다. 2012 년까지 베이징 공공 자전거 프로젝트는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 베이징 올림픽 기간 동안 약 200개의 복합상가, 8,000개 자전거와 중국인 및 외국인 관광객 을 위한 100,000명 이상의 승객을 보유한 Beko Blueprint는 2010 년까지 12개의 네트워킹 포인트를 유지하면서 임대 용 자전거는 불과 수백 대 남았다. 이 회사는 결국 폐쇄되었다. Beko Blueprint 청사의 Bai Xiuying 매니저는 "도시 공공 자전거는 공공복지 사업이 미흡하 며 상업적 수단으로 공공 자전거 대여를 촉진하기에는 너무 비싸다. 도시 공공 자전거는 어느 정도 공공시설이다." 무한 도시 공공 자전거의 특징은 정부가 직접 투자를 하지 않고 기업이 광고 및 기타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는 것인데, 기업은 공공 자전거의 건설 및 관리를 위한 독립

<그림 6> 2012 년에는 "China Dialogue"와 "Friends of Nature"가 영국 북경 항저우 우한과 런던의 공공 자전거 서비스에 대한 심도있는 조사를 위해 협력하여 《도시 공공 자전거 연구 보고서》를 획득했다.

적 인 운영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조건으로 기업의 부담은 여전히 너무 무겁다. 초기 투자는 매우 커서 일반 기업에는 어려움이 있다.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및 정책 지원이 효과적일 것이다. 비교하면, 항저우는 완전한 정부 "협정"이다; 국영 기업이 공공 자전거 프로젝트를 위해 설립 되었다. 항주 도시 공공 자전거 운송 서비스 개발 유한 공사 (버스 그룹의 자회사)는 공공 자 전거 시스템의 건설 및 관리를 담당한다. 정부는 기금, 토지 이용 및 자전거 권리와 관련하여 지원을 제공했다. 런던의 2017년 6월 13 일에 항주 공공 자전거 운송 서비스 시스템 (SFC) 이 그린 에너 지에 대한 탁월한 기여 - Ashden 지속 가능한 교통 프로젝트 상을 수상했다.6) 4.1. 대표적인 시설 항주는 중국에서 가장 밀집된 도시 공공 자전거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으며 , 공용 자전거 대여 지점이 100 미터마다 평균적으로 1대가 하루에 다섯 번 이상 대여될 수 있다. 2008 년 5월 1 일에 항주의 시스템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에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은 도시 대중교통 시스 템의 일부로 명확하게 간주되었으며 레이아웃은 공공 서비스 위치에 따라 계획되었다. 2018 년 3 월 말까지 86,600대의 자전거로 3,855개의 도킹 서비스 포인트가 사용되었으며 일일 사 용량은 약 230,000회였다. 하루 최대 인원수는 473,300이며 누적 수는 8억 5600만이었다. 전체의 96%는 무료이며 , 이는 거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을 준다.7)

<그림 7> 항주 공공 자전거 주차 시설

6) 'China Dialogue' & 'Friends of Nature', 「도시 공공 자전거 연구 보고서 」, 2012 7) http://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27&v=hNn-fg4r-YQ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72

3


5. 결론 5.1. 코펜하겐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활용 요인: 1) 사설 자전거의 가치와 비교;2013년에는 항저우 데일리가 코펜하겐 공공 자전거 프로젝트 의 언론 담당관인 러쉬 린홀름 (Rush Linholm)을 인터뷰했다:”코펜하겐 시내에 거주하는 51 만 9000명 중 자전거 수는 56만 명이었다. 대중을 위해 개인 자전거는 픽업 및 주차 시 공용 자전거보다 더 편리하다. 그들은 또한 가장 편안하고 개인화된 느낌의 자전거를 골라낼 수 있 다. 즉, 공공 자전거는 자전거를 도난당한 후 일시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한 거의 사용되지 않 다." 2) 공공 자전거 도킹, 수리 문제; 주차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버려진 자전거의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2008 년부터 코펜하겐은 버려진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장소를 열었다. 3) 자전거 차선 및 운전 우선권; 코펜하겐은 도심에서 10km에서 20km 떨어진 곳에 사는 사 람들을 유치하기 위해 "자전거 전용 도로"를 건설할 준비를 하고 있다. 그것은 고속도로에서 완전히 격리될 것이다. 교외에서 시내 중심까지는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기차를 타는 것보다 빠르다. 5.2. 도쿄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활용 요인 1) 자전거 도킹 사이트 최적화; 도쿄의 "ECO 지하 자전거 주차 타워"사례를 통해, 발견 될 수 있다. 바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지상에 시설을 설계하는 것이 유일한 표준은 아니다. 2) 도시의 특성에 대해 생각하고;"ECO 지하 자전거 주차 타워" 는 일본의 토지 부족에 따른 바닥 공간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지진의 지리적 요인을 고려하여 내진 시설을 강화하였다. 3) 자전거 출행 규정; 일본의 작은 땅 때문에, 코펜하겐과 같은 자전거 전용 도로는 더 건설 할 수 없다. 따라서 자전거 여행 규정을 강화해야 하며, 이 규정에 따라 자전거 문화를 안전 하고 질서 있게 펼칠 수 있다. 5.3. 항저우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활용 요인: 1) 기업 운영 공공 자전거 프로젝트 및 정부 운영 공공 자전거 프로젝트; 중국의 3개 도시에 서 사업 운영을 비교함으로써 각 도시마다 공공 자전거 시스템을 누가 운영할 것인지를 알아 야 한다. 2)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과 도시 교통 시스템 통합하는 'Hangzhou Public Bicycle Transportation System' 은 성공적인 통합의 한 예이며, 도시 공공 교통국의 다른 도시보다 더 많은 도킹 서비스 지점을 구축 할 수 있다. 3)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에서 돈 프로젝트 및 공공 서비스 만들기: 수익성은 공공 자전거 시스템의 운영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며 동시에 공공 서비스는 사회와 국가에 긍정적 인 긍정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도시 공공 자전거 시스템에서 두 사람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참고문헌 유상훈, 「자전거에 의한 대중교통 환승할인정책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of a bicycle transfer discount i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서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2013 'China Dialogue' & 'Friends of Nature', 「도시 공공 자전거 연구 보고서」, 2012 http://www.visitdenmark.cn http://japan.people.com.cn http://www.y outu be.c om/watch?v=JN7OXZ5kU3w http://www.y outu be.c om/watch?v=pcZSU40R Brg http://www.chinadialogue.net http://www.y outu be.c om/watch?time_continue=27&v=hNn- fg4r-YQ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73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Research on the Improvementof Retail Strategy of Chinese Local Fashion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Thinking 요가혜, 김세화(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Retail Strategy of Chinese Local Fashion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Thinking

요가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김세화(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디자인학부 Jiahui, Yao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 Hwa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Introduction

디자이 생각

retail operation model, the retail industry is caught in the dilemmas of high

새 소매 모델 사례연구

Keyword Design Thinking

New Retail Model Case Study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 플 러스 해양디자인 인력양성업팀 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With the progr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subversion of the traditional

operating costs and severe customer loss under the impact of online platforms,

which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Chinese fashion industry. In 2013, China rose to the largest online shopping country, but the growth rate of online retail

sales slowed down. The era with an average growth rate of 200% has ended. With

the upgrading of consumer demand, the operating costs of online and offline customer flow are also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experience consumption of

offline space returns to the vision of the capital market again.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alize the retail transformation and experience upgrade of

offline stores of Chinese local fashion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thinking. The case study method is adopted to interpret the operation strategies of the retail stores of the existing quality fashion brands. Based on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New Retail” model1)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 retail strategies of Chinese local fashion brands centered on satisfying the customer need under the motivation of technology.

2. Theory Background

2.1. New Retail Model and Design Thinking

“Data-driven pan-retail format centered on customer experience.” Jack Ma, the chairman of Alibaba Group’s Board of Directors, proposed the concept of “New Retail” in 2016. Driven by high-tech, cloud computing, and other high-tech, "New Retail is an all-channel

model characterized by mastering customer need to

achieve integration of online and offline retail without borders. Tim Brown, the IE DO founder, put forward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which focuses on satisfying the customer need, and changes customer value based on the feasibility

of the technology and the profitability of business models, thus resulting in an innovative experience of business models.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and the “New Retail” format theory are overlapped

on the satisfaction of customer need. An industry source pointed out that “in order to break the traditional retail model, we must break through the original business model centered on enterprise efficiency and find a new retail model 1) 《阿里研究院新零售研究报告》,2017

176

2018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


centered on user experience.” Lang Xianping, a world-renowned economist, also suggested that to expand the industrial chain and go international, the retailer must always be based on customer need. On the other hand, these two concepts

both referred to technology drive and model innovation as the strong support for fulfilling customer demand.

<Picture 1> the comparison between New Retail Model & Design Thinking Frame

3. Case Study

3.1 Multi-channel Integrated Operation Strategy based on Satisfaction of Emotional

Experience Demand

As a senior department store in the retail industry, Galeries Lafayette seamlessly

integrates their online and offline resources, builds sound emotional connections with

their customers,

and

realizes

multi-channel

integrated

retail

operation

strategy. Staffs of the luxury stores are proficient in fashion collocation and social

media and good at interacting with customers. As private consultants or stylists

for their customers, they make the physical stores the first place to attract and contact with customers. In the meanwhile,

the store adopts

online artificial

intelligence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and recognize the potential customer

demand. In addition, the digital assisting tools that customers use at checkout can help shop assistants effectively “remember” customer information and preferences in order to better customize the marketing approach.

In the era of experience economy, shopping is an emotional experience. When stepping into physical

stores, customers no longer seek to simply purchase

commodities, but more to satisfy their emotional demand on the social or spiritual levels.

The provision of customized services is another way

to satisfy the

emotional experience demand. 70% of Chinese customers believe that personalized marketing is important to their overall shopping experience. Under the “New Retail”

circumstance,

an

increasing number

of

social

media

and

we-media

platforms closely cooperate with the physical retail, realizing the integration of

both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nd effectively interpreting the concept of mass retail. With "New Retail" model more centered on customer need, the definition of customers,

commodities,

technology development.

and

spaces

are

infinitely

extended

based

on

the

3.2 Experience Retail Operation Strategy based on the Digital Businesses

As one of the top luxury brands in the world, based on the basic attributes of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77


physical retail, PRADA enhances the retail experience of physical stores with advanced technology.

Specifically,

the traditional

price tags

are replaced by

sensors, while the product information scanners are plac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retail store so that the store guides can scan the commodities that

customers want to purchase, which enables customers to conveniently understand the product properties and records the purchasing preferences of costomers.

<Picture 2> the process of how to use the special sensor2)

In the high-tech fitting rooms, different 3D scanning devices are designed for

different types of clothing products. The upper body effect with the clothing products can be understood from the electronic screens in the fitting room in real-time.

The color-changing glass

doors

of

the

fitting rooms

solve the

embarrassment of having to go out of the fitting rooms frequently and seeking the opinions of others on their own dressing effect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 time-lapse camera technology of the “magic mirror” in the fitting rooms fully

solves the trouble that customers cannot see the dressing effects from behind for personal dressing.

<Picture 3> the operation of the "magic mirror"3)

<Frame 1> Case Study of the Prada Retail Strategy No. 1

2

Technology

Customer Card

Staff Device

Details Basic Customer Information

Case Study To let the customer feel valued, that they

preferred styles, sizes, etc. Data gathering and management.

1) One to one service are provided, the

Access Database of customer’s

48 units distributed on sales floor for random access by staff. Merchandise RF tag scanner Video display controller Laser pointer

3

Closet Display

4

Changing Room

5

Magic mirror

are concerned.

customer preference data are collected. 2) Interesting & high-tech shopping experience will leave a deep brand image for customer. The screen clicks can realize full interaction

3-D scanners read all RF tags in closets Touch-screen access to detailed information about merchandise. Liquid-crystal glass becomes

opaque at a touch of switch. Switching to transparent allows for other outside to reviews. Plasma screen embedded in mirror for multi-angle viewing. 3-second delay helps to see how

between customers and products. To let them know all the details about the

production process, from the draft, fabric

material to the show time, the market. Thus, it will make the brand more convinced and enhance the value of the product as well. These are recurrent problems often

happened during the shopping time. Through the observation methodology, and Questionnaire, or think aloud, that we can understand their needs they even don’t know by themselves.

fabric flows in motion.

2) Prada Epicenter New York 2. https://www.youtube.com/watch?v=bwBixT1Tdas 3) Prada Epicenter New York 2. https://www.youtube.com/watch?v=bwBixT1Tdas

2018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8

3


With the advent of the 5G era,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retail model

requires more attention to how to effectively accommodate customer experience

demand in the physical retail stores, which will be an effective guarantee to create the most powerful technology. Sensors and the Internet of Things are effectively

applied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sensors, global positioning

systems, and laser scanners, etc. Through the sensing devices, all the items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the domain name in the Internet of Things according to

the agreed protocols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Internet"- connected to each other is extended to all the items.

4. Conclusion

There are still many cases of quality physical retail for fashion brands. As a preliminary

research,

the

author

proposes

1)

the

multi-channel

integrated

operation strategy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emotional experience; 2) the user experience retail operation strategy based on digital business for the physical

stores of the Chinese local fashion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thinking and

considering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 basic guiding significance of

“new

retail”

format.

design thinking theory

The

paper

from the

dimensions of user need experience, digital technology, and business model. In

future research, the author will apply the human-centered design methods, and propose more in-depth systematic retail strategies based on the two research directions in the case study of this paper. Reference

1] Ali institute New Retail Report, 2017

2] Tim Brown, Change by Design: How Design Thinking Transforms Organizations and Inspires Innovation,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2011

3] Ma Jun, Research of the consumer need and market operation at the experience economy era[D].NanJin Polytechnic University,2005.

4] Nathan foer, Andrew cipilo. Digital transformation doesn't mean disruption[J]. Sales and 5] 6]

Management,2019(09):106-113.

Prada (2009). Prada. Milano: Progetto Prada Arte.

Prada Epicenter New York 2. https://www.youtube.com/watch?v=bwBixT1Tdas

7] Wang Qian. New Retail: From material classification to people by groups[J]. BMR, 2016(12): 48-49

8] Da Yixuan.Dandong shoes industry super mode of innovation breakthrough road[J]. Westleather, 2017(39): 4-5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79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제3공간개념의 TSUTAYA BOOKS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쿄의 GINZA TSUTAYA BOOKS를 중심으로 우 리, 홍관선(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제3공간개념의 TSUTAYA BOOKS 특성에 관한 연구- 도쿄의 GINZA TSUTAYA BOOKS를 중심으로Research on the Tsutaya Books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concept - Focused on the Ginza Tsutaya Books in Tokyo 우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홍관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Wu Li_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Hong, Kwan Seon_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제3의 공간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츠타야 서점

경제와 정보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배경 아래, 우리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가 나타났

라이프스타일 숍

는데, 이는 시대에 따라서 발전하고 또다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삶의 질이

디자인

향상되어, 사람들의 소비욕구가 커지고 다양화되었다. 이에 뒤따라 소비 공간도 변하면서, 단 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종합적이고 다양하게 발전하여, 일상생활에 바쁜 현

Keyword The Third Place TSUTAYA BOOKS Lifestyle store Design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대인들이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나 편안해 질 수 있는 제3의 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제3의 공간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한 공간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최근 변화되고 있는 서점공 간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빠른 발전과 경제 성장에 따라, 책을 통해 지식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책을 판매하는 경로 역시 시대의 발전에 순응해 변화가 생겨났다. 소비자들 은 오프라인 매장뿐 만 아니라 온라인의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고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서점은 소비자들이 책을 선택하는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고 있는데, 그것은 책을 팔고 지식을 제공하는 장소이자, 일정한 책임을 지는 사회경제 단위이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TSUTAYA BOOKS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긴자의 TSUTAYA BOOKS 사례를 통해 현대 서점 공간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 서점 공간 특성의 구성요소를 검토하고 현대 서점의 공간 디자인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사이의 잠재적인 관계를 밝힌다. 또한, 제 3의 공간의 가치를 발휘하는 동시에 현대 서점을 조성하는데 이론적 지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1. 연구의 범위 첫째,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먼저 제3의 공간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그 공간의 발전과 변 화에 대해 정리했으며, 레이 올든버그(Ray Oldenburg)를 대표로 하는 학자 6명의 제3 의 공 간 개념에 대한 정의를 요약하고 이것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범위를 한정하였다. 둘째,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0년 이후 개업한 ‘서점 +’ 운영 모델의 복합형 서점으로 한정되고, 공간적 범위는 건물 내 서점, 대형 쇼핑몰과 함께 운영되는 서점으로 한정된다. 마지막으로,본 논문은 도쿄의 대표적 서점으로 2017년 개장한 GINZA TSUTAYA BOOKS 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1.2.2. 연구의 방법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로 제3의 공간 개념 및 특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여, 본고를 위 해 실용적인 이론적 기초로 삼는다 . 둘째, 현장조사로 GINZA TSUTAYA BOOKS의 개념 , 기능, 구성요소, 유형 등에 대해 전체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82

1


적인 이해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도출한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 선행연구와 논문답사를 통해 여기에 제3의 공간의 접목 해 포괄적인 분석을 하고, 최종적으로 상호작용성, 개방성 등 6가지 공간적 특성을 추출해 서점의 공간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연구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제3 의 공간 19세기에 들어 이미 자리를 잡게 된 ‘제1의 공간’은 집주인만의 미학적 가치를 지닌 주거 공간의 개념을 의미한다. 1960년대에 들어서 등장한 ‘제2의 공간’이라는 개념은 작업환경이 근로의욕을 북돋운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일터가 또 다른 거주 공간으로 인식되면서부터 사 용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0년대 들어서 대중적인 시설을 개인의 공간처럼 안락하고 편 안하게 느껴지는 내 집과 같은 공간으로 연출하고, 체험을 중요시하는 체험 마케팅이 확산 되면서 ‘제3의 공간’ 개념이 자리 잡았다 .1) 본 연구에서는 Ray Oldenburg ,Christian Mikunda ,Howard Schulze,Edward Soja, 김수근,Henri Lefèbvre의 제3 의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3의 공 간(The third space)’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 제3공간의 정의와 그 특징을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제3 의 공간의 개념 정리 연구자

내 용

관점

Ray Oldenburg

! ‘제3의 장소’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요구하고 외로움을 달래며 사람과 사람의 대 화를 통해 현실의 감각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 ! 집과 같이 편안한 비공식적 공공 장소, 활기차고 즐거운 커뮤니티 공간

사회학적 개념

Christian Mikunda

! ‘내 집과 같은 공간’으로 인위적으로 연출한 체험 공간 ! 일시적이지만 자기 집처럼 느낄 수 있는 정서적 부가가치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

마케팅적 개념

Howard Schulze

! 집과 같이 느끼며 집과 직장의 틈새에서 안식처와 같은 오아시스가 되기를 희망

사회학적, 개념

김수근

! 인간적인 공간, 그것은 창작 활동을 위한 공간, 명상하는 공간, 인간의 정신생활 을 풍부하게 해주는 여유의 공간을 의미 ! 공간 개념은 공간, 시간, 인간이라는 세 가지 요소들의 함수 관계로 설명

공간적 개념

Henri Lefèbvre

! 공간을 ‘개념화된 공간’과 ‘서술적인 공간’으로 구분 ! 일상생활의 이면에 소외를 극복하는 축제나 창작활동 등의‘ 자발적 순간’들이 있고, 창조적 자발적인 재생산을 통해 탈소외가 가능

사회의 과공간적 개념

! 인간이 본질적으로 공간적인 존재로서 집합적 행동을 통해 사회의 공간성을 구성

사회의

Edward Soja

해 왔음을 주장

공간성

2.2. 서점(bookstore) 서점이란 사전적 의미로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라는 의미이다.2) 서점경영자는 상행위를 한다는 점에서는 상인일 수밖에 없으나, 1959년 런던에서 개최된 제1회 국제서적상 인대회에서 채택된 결의문처럼 가치 있는 정신문화재의 선택보급 장려라는 주된 목표를 실천 하는 정신적 중개자이기 때문에 다른 직업과 구별된다.3) 3. 제3의 공간 개념으로서의 현대서점 특성 도출 3.1 제3 의 공간 1) 冯静,甄峰, 王晶, 西方城市第三空间研究及其规划思考[J], 国际城市规划,2015,30(05):16-21, p16. 재정리 2) 이완희, ‘일본 츠타야 T-SITE의 마케팅 전략과 방법을 적용한 서점공간디자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4 3) 이두영, 출판상황론, 청한 , 1991, p182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83


제3의 공간 특성은 제3의 공간의 개념 및 정의에 기초한 것으로 연구자에 따라 강조하는 특 성이 다르며 이것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2] 제3의 공간의 특성 연구자 특성

상호작용성 비생산성 개방성 창조성 가변성

유희성 복합성 다양성 편안성 편의성

레이 올덴버그

크리스티안 미쿤다

하워드 슐츠

김수근

앙리 르페브르

에드워드 소자

빈도

6

◉ ◉ ◉ ◉ ◉ ◉

◉ ◉

평등성

◉ ◉

체험성

비일상성

◉ ◉

1 1

◉ ◉

1 4

◉ ◉

3 1 5 4 1 2 1

1

이상 연구자들의 개념의 정리를 통해 제3의 공간의 연구를 상호작용성, 비생산성, 개방성, 창 조성, 가변성, 유희성, 복합성, 다양성, 편안성, 편의성, 평등성,체험성,비일상성등 13개 특 성를 바탕으로 분석했다.13 개 특성에서 상호작용성 , 개방성, 유희성, 다양성, 편안성, 평등성 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성 , 개방성 , 다양성 , 편안성, 평등성, 유희성의 여섯 가지 특성으로 제3의 공간인 서점에 대해 사례분석을 전개하고자 한다. [ 표 3] 제3의 공간의 특성 정리 특성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다양성 (diversity)

내 용 제3의 공간은 상호작용적 공간이다. 상호작용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가능하다. 언어. 4) 제3의 공간은 다양성을 가진 공간이다. 제3의 공간은 사용자, 프로그램, 이벤트 등에 따른 여러 가 지 복합적인 행위에 의해 휴식공간, 여가 및 커뮤니티 공간, 문화 공간, 창작의 장소 등 그 공간의 성격이 변화되는 가변적이며 복합적인 다양한 공간의 특성을 가진다.

개방성 (openness)

제3의 공간은 물리적· 비 물리적‘개방성’을 가진 공간이다. 물리적 개방성은 접근의 편의성, 개방시

편안성5)

(comfort)

제3의 공간은 편안성을 가진 공간이다. 제3의 공간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특성은 이용자들이 공간을 집과 같이 편안한 곳으로 인식한다는데 있다.

유희성 (playfulness)

제3의 공간은 유희성을 가진 공간이다. 제3의 공간은 여가를 보내는 곳으로 놀이에 관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희적 공간이다.

평등성6)

(equality)

간, 개방적 공간구성 등이 해당되며, 비 물리적 개방성은 회원 제도나 공간의 분위기 등이 해당된다.

제3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과 구별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은 평등성인데, 여기에서는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의 구분이 없고 사람과 사람 사이는 평등하다. 평등은 차별 없이 독자 사이의 신분의 제 한을 타파하고 모두 동일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4. 사례 분석 4.1. 사례 선정 기준 본 논문의 사례 부분에서는 일본 도쿄 긴자의 TSUTAYA BOOKS를 선택해 분석했다. 첫째, 시간적 범위에서 이 서점은 2010년 이후 개업한 서점이고, 공간적 범위에서 대형 쇼 핑몰 안에 있는 서점이다. 둘째。문헌 검색과 사례에서 다섯 번 이상 언급되었기 때문이다. 4) naver,“상호작용성”,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47280&cid= 50814&categoryId=50814 5) ‘편안성이 ’ 라는 용어는 학문적으로 정립된 개념의 용어는 아니지만 본 논문에서는 comfort와 convience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제3의 공간’ 이용자의 심리적 관점에 관한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6) 李品庆, “第三空间”视角下高校图书馆的定位及其构建措施”, 『新世纪图书馆』, 2015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84

3


셋째, 도쿄 긴자 TSUTAYA BOOKS에서 제안하는 것은 ‘예술을 융합한 생활’이다 . ‘예술’과 ‘일본 문화’이 두 개가 포인트이다. 넷째, 이 서점의 지리적 위치는 우월한데, 긴자는 도쿄의 가장 유명한 상업지구로 도쿄의 ‘심장’ 이라고 불린다 . 4.2. TSUTAYA BOOKS의 개요 일본의 TSUTAYA BOOKS는 가장 빠르게‘서점+’의 업무 경영 방식을 시험하는 것에 성공하 고 활력 있게 발전한 현대 서점이다. 영화, 음악, 운동, 교육, 정보의 다섯 가지 측면을 통해 서 소비자를 위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 초기에는 일본의 젊은 소비층을 대상으로 디자 인한 서적+음반 +비디오테이프가 간단히 복합된 공간이었고, 점차 고정 음식 브랜드(스타벅스) 와 합작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전 연령 소비층을 대상으로 만든‘Book & Cafe’서점은 대표적 으로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디자인한 체험형 문화생활공간이다. [표 4] GINZA TSUTAYA BOOKS의 개요 GINZA TSUTAYA BOOKS 게요 위치

긴자의 TSUTAYA BOOKS는 책으로 예술, 일본 문화와 생활을 연결하며, 고객을 위해“예술이 있는 생활” 을 제공한다. 카페 및 갤러리가 마련되어 있어, 예술품을 감상하거나 예술 서적을 보면서, 커피를 마실 수 있다. 도쿄 GINZA SIX 6F

운영시간

10:00~22:30

규 모

면적 : 700평

년 도

2017

사진

제1 구역: 잡지, 문예, 건축과 디자인, 사진, 일본미술, 서양미술, 예술, 문

공간 구성 및 내용

구, VINTAGE BOOK, 대형 BIG BOOK. 제2 구역: 일본문화의 도쿄, 민속, 생활, 예능 네 가지 큰 방향을 포함하 는 일본문화 전문구역.

4.3 제3 의 공간의 특성 분석 [표 5] 제3의 공간의 특성 분석

특성 상호작용성

사진

내용 ·공간 내에 진열된 예술품들은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서점 내 스타 벅스의 휴식존은 소비자들에게 휴식과 사고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자아 의 내적 요구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전체 공간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개방성

·서점은 공간이 넓고 오픈 시간이 충분하여 물리적 개방 표현이 강하다. ·서점은 회원 제도를 실시하여 T-card를 판매하고 회원과 비회원의 대우가 다르 다.

다양성

·공간 다양성이 있어 열독 공간, 휴식 공간, 전시 공간 등 여러 공간이 있다. 게 다가 공간에 복합적 특징이 있다.

편안성

·‘ 집’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낮은 천장판을 사용했는데, 이렇게 하면 고객들에 게 더 개인적인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빛은 따뜻한 색조를 위주로 한다.

평등성

·모든 독자들은 평등하게 서점을 이용할 권리를 가지며, 이 평등한 정보공간에는 신분상의 차이가 없다.

유희성

· 운영의 중심을 "예술" 분야에 두고, 핵심 이념은 "Art of Living" 으로, 예술형 서점, 카페, 전시홀, 활동장소로 구성되며, 소비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예술 플랫 폼을 창조한다.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85


[표 6] 특성 요소 분석표

4.4. 종합 분석 TSUTAYA BOOKS의 사례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성, 다양성, 편안성 , 유희성의 4 가지 공간

구분

정 도

상호작용성

개방성

다양성

있도록 유도하며 공간의 인터랙션을 강화했기 때문에, 상호작용성의 표현이 더 강해졌다. 편

편안성

안성과 유희성 측면에서 보면 서점에는 스타벅스 등의 브랜드가 있어 소비자들에게 휴식과

평등성

독서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서점은 소장 도서의 양이 많은 상황에서, 인성화된 책 진

유희성

( 약함 : ○ 중간 :◎ 강함: ● )

특성 표현이 강한 것을 관찰 수 있었다. 서점의 공간이 넓고 공간의 구역과 기능을 다양화했 기 때문에, 다양성의 표현이 더 강해질 수 있었다. 또한, 서점에 아트 갤러리를 설치해 정기 적으로 사람들이 예술을 관람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가 공간의 활동에 참여할 수

열 방식과 전문 도우미 서비스를 도입해, 소비자가 원하는 책이나 제품을 보다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해 공간을 더 유쾌하고 편안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서점은 독자 신분에 대한 제한 없어 동등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예 평등성을 강하게 포현했다. 그러나 개방성 특징은 표현상에 있어서 중간 수준에 머물러있다. 물리적 개방의 측면에서 보 면, 지리적 위치의 영향으로 인해 GINZA SIX를 지나 6층까지 올라가야 해서 입구가 제한되 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시각적·신체적으로 모두 한 눈에 목표를 발견하고 접근할 수가 없 다. 비물리적 개방의 측면에서 보면, 서점의 회원제도는 서점 회원들에게 더욱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비회원에게는 어떤 혜택도 없다. 3. 결론 본 연구는 제3의 공간 개념에서 현대 서점의 특성 요소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현대 서 점은 소비자의 수요를 위주로 하고 사람과 서점 공간의 연계를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 다. 디자인에서 쾌적하고 유쾌한 공간 분위기를 조성하며 운영 모드에서는 `서점 +'의 다원화 모드를 제창한다. 새로운 시대의 발전 구도 아래에서, 현대 서점이 독서와 문화를 둘러싸고, 라이프스타일이라는 이 방향으로 더 많이 뻗어나가면 독서를 좋아하고 생활의 질을 높이려는 소비층에게 더 많은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서점의 발전 추세는 다양성과 복합성 등 두 가지 공간 특성에 종합적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 다. 공간 구성과 경영 모델의 다원화, 기능 복합화에 따라 서점의 가치 이념도 한층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많은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소비자 수요에 보다 적합한 정책을 기획하고, 심층적 분석을 통해 라이프 방식에 대한 다양한 연령대 집단의 수요를 발굴하며 서점을 이를 통해 공간 구성과 경영 방식, 판매 형식의 다양성 등에 대해 맞춤형으로, 목적을 뚜렷한 디자 인을 진행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공간 체험을 최대한 향상시키고 서점 브랜드를 부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서점은 경제와 문화의 공동 발전을 연구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다양화 수요 를 만족시켜 선순환을 이룬다. 제3 공간의 개념 하에 현대 서점은 여러 개의 실험 공간의 기 초 플랫폼 역할을 하면서 아주 큰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며, 모두가 알고 있는 제3공간 사회와 문화 의미 및 가치를 구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문근이, 「 ‘제 3의 공간 ’으로서 카페의 공간 연출 전략」,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이완희, 「 일본 츠타야 T-SITE의 마케팅 전략과 방법을 적용한 서점공간디자인」 ,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冯静,甄峰,王晶, 西方城市第三空间研究及其规划思考[J],

国际城市规划,2015

李品庆, “第三空间” 视角下高校图书馆的定位及其构建措施”, 『 新世纪图书馆』 , 2015 이정미, ‘제3의 장소에 대한 실증적 조사와 유형별 공간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 학회 논문집, 통권 94호, 2012 https://terms.nave r.com/entry.nhn?docId=1047280&cid= 50814&categ oryId=50814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86

5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도교를 기반으로 한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연구 유덕천,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도교를 기반으로 한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연구 Study on Cultural Goods of City God Temple in Shanghai, China 유덕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Liu, De chuan_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 Lee, Myung hee_Design College,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문화상품

1. 서론 ‘성황(城隍)’은 수천 년 동안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민족 신앙체계를 형성해 왔으며, 지금도

성황묘

일상생활 속에서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신앙형식이다.1) 본래 민간신앙에서 기원했지만

지역성

도교에 의해 흡수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도교’는 중국에서 생성되고 발전된 중국인의 민족종교로서 전통문화로 존재하여 현대 중국인 들의 일상생활 속에 잠재되어 있다. 설날의 제사, 각 지역에 존재하는 성황묘 등에서 모두 도 교 문화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Keyword cultural goods

중국 남방지역 장강(長江)의 3대 사원 중 하나인 상하이 성황묘는 명나라 영락 (永樂) 연간 (1403-1424)에 세워져 600년의 역사를 가졌으며, 동원 (東園)과 서원(西園, 예원(豫園))을 포

city god temple

함하여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특히 상하이의 관광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예원을

locality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아짐에 따라 성황묘를 방문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문화상품은 영화, 방송 , 음악 등 지적이거나 창의적이고 정서적 인 정보와 의미를 담고 있는 생산물이 상품화된 것을 말한다. 오늘날 문화상품은 다양한 분야 의 문화와 현대인들의 생활을 결합시키는 새로운 수단으로서 활발히 발전하고 있으며, 지역 에 따라서도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어 경제성장을 촉진 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소비자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문화적 요소가 체화(體 化)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상품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현대 중국의 시장경 제에 따라 상업적이며 오락적인 기능이 부각되어 발전한 상하이 성황묘를 중심으로 중국의 민족종교로서 도교의 문화상품에 주목하고자 한다. 2. 중국의 성황묘와 도교 2.1. 중국의 성황묘 중국의 성황묘는 성황신 신앙에서 유래된다. 중국 종교문화에서 보편적으로 숭상하는 중요한 신(神) 중 하나로, 중국 민간과 도교가 마을의 수호신으로 신봉한다. 성황신은 마을을 지키고, 권선징악을 관장하고, 한 지방 백성의 생사(生死)와 화복(禍福)을 주관한다. 중국 고대에 성황 묘는 제사 기능을 담당하는 공간의 기능과 세속성을 가진 공공건축물로서 여러 도시에 존재 하였다 . 넓은 중국의 지역적 특색에 따라 각 도시마다 성황묘도 짙은 지역특색을 띠고 있다. 중국 서안성(西安省)의 장안왕곡 성황묘(長安王曲城隍廟)는 한나라 기신(紀信) 대장군을 모신 다. 성황신이 태어난 날에는 제사를 지내는데, 서안지방의 특색을 가진 서안고악(西安鼓樂,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인류비물질문화유산)을 연주한다. 한편 상하이 성황묘는 초우션시(酬 神戯, 수신희)라는 상하이 지방의 특색 극으로 성황신의 태어난 날을 축하한다 . 이처럼 각 지 역마다 성황신의 제사 활동은 다양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2) 성황신이 될 수 있는 사람은 크게 네 분류다. 첫째, 정치적 업적이 있는 지방 관리로 사망 후 그 지방 백성은 그의 공적을 표창하여 성황신으로 모신다. 둘째 , 국가의 공신으로 생전에 국 가와 백성을 구한 적이 있는 사람이다. 셋째, 청렴하고 정직한 벼슬을 지낸 사람이다. 넷째, 1) 박정숙, 「중국 성황묘의 현대적 계승 양상과 그 의의」, 중국어문학논문집 73호, 2012, p.407 2) 王曉如, 『西安非物质文化遗产研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5, p.112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88

1


선행을 많이 하는 사람이 성황이 될 수 있다. 현재의 성황묘는 도교의 종교행사 장소로서 지 역의 특징적인 묘회( 廟會) 와 기복(祈福) 행사 등을 거행하여 설이나 명절이 올 때마다 주민들 이 성황묘에 가서 분향하고 복을 빈다.3) 2.2. 중국의 성황묘와 도교의 관계 도교의 시조는 노자이며 중국 원시사회의 귀신 숭배 관념과 춘추전국시대의 신선방술 및 음 양오행 등의 사상을 결합시켜 형성됐으며 도를 근본 신앙으로 삼는다. 중국 전통의 3 대 종교 인 유교, 불교, 도교 중에 도교는 중국 본토 종교로서 불교에 비해 중국 본토 신앙의 민족성 을 제현하고 유교에 비해 중국 본토 신앙의 대중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성황은 본래 민간신앙에서 기원하였지만 도교에 의해 흡수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 성황 신을 도교의 신령체계로 도입한 이후 성황신은 점차 도교에서 신봉하는 명계의 신령으로 받 들어졌다. 당나라 때부터 성황신이 국가의 신격으로 상승했다는 것은 당시 사람들의 정신세 계에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4) 2.3. 중국 상하이 성황묘의 이해 상하이 성황묘는 상하이 구도시의 오래된 도교 사원으로 상하이에서 가장 번화하고 유명한 예원(豫園)과 나란히 있다. 상하이 지역의 중요한 도교궁관 (道教宮觀)으로 명나라 영락(永樂) 연간에 세워졌으며 지금까지 600년이 넘었다. 전전(前殿)은 한나라의 대장군 호광(霍光)에게 제사를 지내고, 정전(正殿)은 성황신인 진유백(秦裕伯)을 모시고 있다 . 대부분의 성황묘가 한 명의 성황신만을 모시는 것과 달리 상하이 성황묘에는 ‘일묘삼성황(一廟三城隍)’이라는 말이 있다. 지금의 사원 안에 모신 성황신은 호광(霍光)대장군과 원조 말 명조 초기의 유명인사 진 유백, 외적의 침략에 맞서 용감하게 전사한 진화성(陳化成) 장군을 모신다. 오늘날 성황묘는 상하이의 수많은 명소 중 가장 인기 많고 전통적인 곳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말하는 성황묘는 성황묘 관광단지를 말하는 것이다. 성황묘 관광단지는 성황묘, 예원 및 먹거리와 중국 전통 문화상품 시장 등 큰 구 역을 포함하고 있다. 상하이 통계국 자료에 이 르면 2018 년 1 년 동안 내국인 관광객은 31,845 만 명, 외국인 관광객은 8,731만 명이었다. <그림 1> 상하이 성황묘

상하이를 처음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성황묘 관광단지는 상하이를 이해하는 첫 번째 장소라

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상하이 성황묘는 다른 지역의 성황묘에 비해 천혜의 관광 조건을 갖추 고 있다. 따라서 상하이 성황묘는 중국의 전통 민족 신앙인 도교 문화를 국내외에 알리는 창 구가 될 수 있다. 3. 성황묘 문화상품 사례분석 3.1. 광저우 및 잉탄시 용호산의 성황묘 문화상품 사례 광저우 두성황묘(廣州都城隍廟)는 광저우시(廣州市)에 있는 도교 사원이다. 중국 오대십국(五 代十國) 때 광저우지역에서 남한(南漢)을 세운 류공(刘龑, 유엄)을 성황신으로 모신다. 광저우 두성황묘는 현지의 특색 있는 풍습인 ' 다디치(打地氣)'를 원형으로 옷 디자인을 했다. 다디치는 사람들이 성황신이 태어난 전날 밤 성황묘의 성황전 바닥에 앉았다 누우며 다음날 이 밝을 때까지 성황신의 앞에서 분향하면서 복을 기원하는 것 이다. 옷에 다디치의 글자, 덕 담, 태극, 성황묘의 이름 , 그리고 귀여운 캐릭터를 이용해서 젊은 사람들을 많이 끌어들인다. 용호산 천사부(龍虎山天師府)는 중국 장시성(江西省) 잉탄시(鷹潭市)의 용호산(龍虎山)에 있 는 도교사원이다. 용호산 천사부에는 천사봉함서부(天師封缄署符)라는 부적을 사용하여 문화 3) 彭倩, 「益阳城隍庙奉道特供荼包装设计」, 中南林業科技大學, 碩士學位論文, 2016 4) 박정숙, 「중국 성황묘의 현대적 계승 양상과 그 의의」, 중국어문학논문집 73호, 2012, p.425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89


상품이 있다. 천사봉함서부는 대동법록(大洞法籙)에 기록되어 있는 부적이며, 도사들이 병의 입구를 밀봉할 때나 봉투를 봉할 때 쓰는 부적으로 부적이 상징하는 의미를 차용하여 종이테 이프를 문화상품으로 만들었다. <표 1> 광저우 두성황묘(廣州都城隍廟)와 용호산 천사부(龍虎山天師府)의 문화상품 ① 광저우 두성황묘(廣州都城隍廟)

② 용호산 천사부(龍虎山天師府)

특 광저우두성화묘의 특색적인 풍습을 바탕으로 개발한 문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테이프의 기능과 도교 부적의 의미 징 화상품 를 결합하는 문화상품

사 진

<그림 2> 다디치(打地氣) 티셔츠

<그림 3> 천사봉함서부(天師封缄署符) 테이프

3.2. 대만의 성황묘 문화상품 사례 대만은 아시아 지역 중 도교가 가장 번창한 지역 중 하나로, 도교 신앙 인구 및 영향력이 상 당히 크기 때문에 대만에는 관련 문화상품도 많이 있다. 신죽두성황묘(新竹都城隍廟)는 대만 신죽시(新竹市)의 도교사원으로 이곳에서는 성황신의 제사를 모실 때 평안부(平安符) 부적과 성황신의 이름( 尊稱) 을 이용한 수건을 판매한다. 하지만 이 제품은 신죽두성황묘의 특징이 잘 표현되지 않았고 단지 부적 문양만을 인쇄한 수건이라는 것이다. 노주수현궁(蘆洲受玄宮)은 대만 신북시(新北市) 의 궁묘(宮廟)이며, 모시는 신은 지방에서 귀신 을 쫓는 현천상제(玄天上帝)이다. 도교신앙을 결합하여 현제자배(玄帝瓷杯)라는 컵을 문화상 품으로 출시했다. 현제자배는 수현궁(受玄 宮)의 가장 큰 특색인 '청정수부(清净水符)'를 컵에 인쇄하고, 물을 마시면 몸을 깨끗하게 해 주는 효과가 생긴다는 믿음과 결합하였으며 컵의 외 면에는 현천상제 신의 이미지를 귀여운 캐릭터로 그렸다. <표 2> 신죽두성황묘(新竹都城隍廟)와 노주수현궁(蘆洲受玄宮)의 문화상품 ① 신죽두성황묘(新竹都城隍廟)

② 노주수현궁(蘆洲受玄宮)

특 신죽두성황묘의 특징이 안 들어가고 단지 평안부 부적 도교 사상과 일상생활 용품의 결합을 통해 ' 상선약수(上善若 징 의 문양을 프린트한 문화상품 水)'의 의미를 더 많이 느끼게 한 문화상품

사 진

<그림 4> 부적 수건

<그림 5> 현제자배( 玄帝瓷杯)

3.3.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상하이 성황묘에서 판매하고 있는 문화상품은 크게 네 가지 로 나눌 수 있으며 팔찌 , 부적, 신상(神像), 실내 장식품 등이 있다. 상하이 성황묘 문화상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교의 문화적 특징이 부족하다. 장식품의 경우 단지 <그림 6> 상하이 성황묘 수호부 문화상품

중국 매듭에 태극 팔괘 문양이 인쇄되어 있는 향주머니이며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90

3


팔찌도 팔괘 문양이 찍혀 있을 뿐이고, 심지어 일본 신사(神社)에서 판매된 오마모리 (御守り) 도 판매하고 있었다. 둘째, 실용성과 미학성이 부족하다. 조롱박의 외형으로 만든 장식품은 단순이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빨간색과 금색을 칠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도교 신도나 도사 에게 파는 상품으로 편향되어 있다. <표 3>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 팔찌

신상(神像)

실내 장식품

부적 응용상품

특 행운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도교 신도가 집에서도 모 팔괘와 태극문양과 중국 매듭 도교의 부적을 이용해서 만든 징 이용해서 만드는 문화상품 실 수 있는 신상 을 결합하는 문화상품 메탈 스티커

사 진 <그림 7> 팔찌

<그림 8> 신상

<그림 9> 실내 장식품

<그림 10> 부적 응용상품

4. 결론 성황신은 도시와 그 주민을 수호한다고 믿어진 신으로 각 도시에 설치되어 사람들의 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관계를 가졌던 사당이다. 넓은 중국의 지역적 특색에 따라 각 도시마다 성황묘 도 짙은 지역의 특징을 띠고 있다. 따라서 지역을 상징하는 예술성 , 창의성, 대중성 등을 문 화적 요소로 하는 문화상품의 디자인이 기대된다. 중국과 대만의 도교사원과 상하이 성황묘의 문화상품을 살펴 본 결과, 지역의 특징을 적극적 으로 반영한 상품이 몇 가지 존재 했지만 이미지의 단순 복재에 불과한 상품이다 . 중국의 민 족 신앙으로 현대 생활에도 잠재되어 있는 도교문화가 반영된 문화상품은 현대인들의 문화적 기호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도교문화가 표상하는 의미를 소비하게 되는 것 이다. 이후 연구하게 될 도교적 성황묘의 문화상품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게 될 것 이다. 첫째, 문화상품을 디자인 할 때 도교사원의 특징인 지역의 개성이 녹아들어야 한다. 도교사원 인 성황묘에서 모시는 성황신이 마을의 수호신이므로 지역의 개성이 표현되는 문화상품을 개 발할 수 있다. 둘째, 현대디자인 관점에서 문화적 경험을 소비하게 되는 실용성이 있어야 한 다. 도교문화에서 부적의 의미나 상징적인 문양을 일상생활 용품에 접목시켜 사람들이 도교 의 문화상품을 사용할 때 도교문화를 느낄 수 있게 되어야한다. 셋째, 도교문화를 다양하게 이해해야 한다. 도교문화는 부적뿐만 아니라 신선문화, 도교철학, 도교의학 등 다양하다. 이 를 폭넓게 이용하면 더 많은 문화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하이 성황묘의 다양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국내외의 관광객에게 중국적 도교문화를 알리는데 기여 할 것이라 기대한다. 참고문헌 牟钟鉴, 『论儒道互补』, 华文出版社, 1999 王曉如, 『 西安非物质文化遗产研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5 박정숙 , 「중국 성황묘의 현대적 계승 양상과 그 의의」, 중국어문학연구회 , 중국어문학논문집 73호, 2012 조흔, 「중국 도교 문화 관광지의 디자인 마케팅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9 황지현 , 「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버내큘러디자인의 실험적 적용」,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13권 3호, 2012 彭倩, 「 益阳城隍庙奉道特供荼包装设计」, 中南林業科技大學, 碩士學位論文, 2016 周月, 「 永乐宫文化创意产品设计应用研究」, 北京服裝學院, 碩士學位論文, 2016 http://shchm.org/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91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중국의 교육환경을 고려한 아동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 제안 윤우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중국의 교육환경을 고려한 아동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 제안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esign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hina 윤우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Yoon, Woo Lahm_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창의성 아동 미술 교육 디자인 교육

현대 산업사회에서 창의성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제품의 기획, 생산, 유동의 방식이 고도화됨에 따라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프 로슈머 (Prosumer)의 개념이 대두되었으며, 이후에 크리슈머(Cresumer) 즉, 창조적 소비자 들이 나타나 제품의 기획을 주도하고 시장 판도를 재편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올랐다.1)

Keyword Creativity Children’s Arts Education Design Education

주요 공업국들의 생산능력이 상향평준화됨에 따라, 미래의 시장 경쟁에서는 차별화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브랜드와 디자인적 요소가 매우 중요하다 . 그러므로 장기적으로 국가의 경쟁 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존의 창조적 생산자의 역할과 더불어 디자인적 소양을 갖춘 창조 적 소비자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될 것으로 생각된다.2) 현재 중국의 공교육에서 미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다. 또한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인식은 시각디자인에 편중되어 있으며, 교육 방식의 낙후, 불명확한 교육 목표 , 체계와 내용의 확립 부재 등의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다.3)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초등 미술 교육 과정에서 디자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인 교육의 필요성을 규명하고, 이에 기반하여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원되었습니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인력양성사업팀에 의해

첫째, 선행이론연구를 통해 창의성, 아동 미술교육, 디자인 교육의 주요 개념 및 중요성에 대 해 고찰하고 정리하였다 . 둘째, 중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인식, 이해도 및 기대효과 등에 대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 앞선 이론적 연구와 조사 연구의 내용에 기반하여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복수의 학습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셋째, 학습지도 계획 중에서 선정한 방안을 토대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아동들에게 수업을 진행한다 . 최종적으로 공신력 있는 창의성 평가 방법을 통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전후로 대상 아동들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 를 검증한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 대상은 Lowenfeld의 아동 미술 표현 단계 중에서 디자인적 개념이 생겨 나는 또래집단기 (Gang age, 만9~11세)의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인터뷰 조사 및 프 로그램 검증은 중국의 톈진시(天津市)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체 연구의 초기 단계로써 개략적인 이론고찰 및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계획을 실 행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1) 유초롱, 「크리슈머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p.6-13 2) 현은령,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 현황과 과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vol.14 no.2, 2014, pp.90-97

3) 장문혜, 「중국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디자인 교육의 특성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7, pp.6-8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94

1


<그림 1> 전체 연구 프로세스 요약

2. 이론적 고찰 2.1. 디자인 교육의 개념 보편 교육으로서의 디자인 교육은 디자인을 특정한 전문적 분야가 아닌 사회, 경제, 과학, 인 문, 예술 등 광범 위한 학문영역과 통합하고자 하는 수많은 연구와 시도의 산물이다.4) 디자인 교육은 전문적 디자이너 교육 대상자가 아닌 보편적 교육대상자 즉, 일반 초중등 공교육대상 자들을 그 대상으로 한다 . 디자인 교육은 일반교육적인 접근을 통해 이들의 디자인적 소양과 의식을 향상시킴으로써 향후 이들이 성장한 후에 보다 수준 높은 디자인을 향유하고 평가하 며, 더 나아가 디자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소양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5) 2.2. 디자인 교육 해외 사례 초기 디자인 교육의 효과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선진국 들은 공교육 과정에서부터 디자인적 사고를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 하고 있다. 해외 선진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디자인 교육의 특징은 창작 활동의 체험 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교육, 아동의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을 통한 문제 해결능력 개발이 있 었다. 또한 디자인 그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 아니며, 아동의 창의성 배양을 목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디자인 선진국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간략히 요약한 내용은 아래의 <표 3>와 같다. <표 1> 디자인 선진국의 디자인 교육 사례 국가

영국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프로그램

Design & Technology

K-12

Art and Craft

Arts Plastiques

-

-

시작년도

1960

1989

1990

-

1945

-

대상연령

5~16

5~13

6~12

6~12

7~19

0~12

교육목표

창의성 증대

문제해결 능력개발

생활력 함양

개성 발달

질서 의식 추구

창의력 증진

교육방법

4 단계의 Key stage

체험교육

조혈 활동 체험

기초, 심화 교육

교사 중심 교육

오감 체험

특징

일상생활 속 직접 실천

도서관, 미술관의 특별 프로그램 개발

함께 하는 조형 활동

교사의 절대적 권한

인간다운 조형교육

정부의 지원으로 문화시설 이용

6)

3. 조사연구 3.1. 인터뷰 조사 개요 본 연구의 인터뷰 조사는 중국 톈진시(天津市)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 아 4) 현은령,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

널, 29, 2014, p3 5) 홍혜경, 김준교, 「초등 디자인교육 현황 및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 디자인학연구, vol.24 no.3, 2011, pp.321-338 6) 고정욱, 권지은, 「한국 문화 콘텐츠 기반의 디자인 조기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2012, p.7, <표 5>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95


동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앞서 어떠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인터뷰 조사는 2019년 8 월 21일부터 2019년 8월 31 일까지 중국 톈진 시의 난카이구(南开区), 허핑구(和平区)에서 면대면(face-to-face) 심층인터뷰 방식으로 진행 되었다. 인터뷰 참여자의 구성은 아래의 < 표 2>와 같다 . <표 2> 인터뷰 참여자 개요 구분

연령

성별

아동연령

아동성별

학부모 A

37세

만 10세

학부모 B

43세

만 10세

학부모 C

40세

만 10세

학부모 D

43세

만 10세

학부모 E

41세

만 10세

학부모 F

36세

만 9세

학부모 G

36세

만 9세

학부모 H

38세

만 9세

학부모 I

35세

만 9세

학부모 J

37세

만 9세

3.2. 인터뷰 결과 분석 본 연구는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얻은 정보 중에서, 향후 중국 아동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내 용들을 추출 하여 아래의 <표 3>으로 정리하였다 . <표 3> 인터뷰 결과 요약 구분

중국 아동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학부모 의견 a: 들어봤다.

학부모 A

b: 아이의 성장과정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 c: 아이의 상상력과 창조적인 능력을 충분히 자극하고 이끌어 내는 것.

d: 중국 전통의 도덕과 가치관, 그리고 중국 전통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소양 등을 키워주는 것이 필 요하다. a: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

학부모 B

b: 아이가 독립적이고 창의적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

c: 아이가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할 수 있게 해주는 것. d: 아이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필요한 능력과 더불어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에 대해 두루 배울 수 있으면 좋겠다. a: 조금 알고 있다.

학부모 C

b: 어릴 때부터 틀에 박힌 생각보다는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면 좋겠다. c: 아이가 자신감 있게 스스로의 생각을 표현하고 발산하는 것. d: 가정에 성실하고 감사할 줄 아는 인성 함양이 필요하다.

a: 들어본 적 없다. 학부모 D

b: 아이가 타고난 모습 그대로 모든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능력. c: 아이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일을 계획하고 행하는 것.

d: 아이가 창의력을 발휘할 때에도 스승과 노인을 공경하는 중국 민족의 전통적인 미덕을 잊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학부모 E

a: 들어봤다. b: 아이의 창의성을 개발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c: 아이가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명확한 계획을 스스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 d: 매사에 감사할 줄 알고 선생님을 존경하는 등 사회성 개발.

학부모 F

a: 알고 있다. b: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c: 자신의 흥미를 찾아가는 미술교육. d: 아이들의 부모님 세대, 할아버지 세대가 그랬던 것처럼 다음 세대에 헌신하는 마음가짐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196

3


a: 들어봤다. 학부모 G

b: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스스로 찾아가는 것 같다. c: 세상을 보는 시야를 확장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 d: 도교, 유교적인 중국 전통의 도덕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a: 들어본 적 없다.

학부모 H

b: 잘 모르겠다.

c: 아이가 즐겁게 할 수 있는 활동, 자신을 발산할 수 있는 활동.

d: 서양의 디자인이나 예술에 대해 이해하듯이 중국 고유의 디자인과 예술에 대해 더 많은 이해가 필 요하다고 생각한다. a: 잘 알고 있다.

학부모 I

b: 아이가 나름대로 상황에 맞게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을 스스로 시도해보는 태도라고 생각한다. c: 아이가 스스로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공부할 수 있는 과정.

d: 중국의 다양한 전통문화 요소들을 이용해서 전통의 어떠한 가치관들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학부모 J * a: b: c: d:

a: 들어봤다. b: 타고나는 부분이 크다고 생각한다. c: 아이에게 많은 감각적 자극을 주고 생각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수업. d: 중국 전통의 발명품, 예술품 등 콘텐츠의 내용을 중국의 것으로 변형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다.

디자인교육, 창의성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가? 아동의 창의성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가?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면 가장 기대하는 효과는 무엇인가? 중국의 교육환경에 맞는 디자인 교육은 어떤 특성들이 필요한가?

4.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본 연구는 중국 아동을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앞서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 로 심층인터뷰 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대부분 디자인 교 육에 대해 대략적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나, 그 자세한 교육방법이나 맥락에 대해서는 충분히 숙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아동의 창의성 증진이라는 목적에 대해서 큰 관 심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이 반영된 디자인 교육이 필요 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조사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후속 연구에서 다음 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할 예정이다. 첫째,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인터뷰 조 사를 바탕으로 현지 교육 환경에 맞는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학습지도방안을 수립한다. 둘째, 채택된 학습지도방안을 토대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셋째, 수업 진행 전후로 공신력 있는 평가 방법을 통해 아동 창의성 검사를 진행하여,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다 . 참고문헌 고정욱, 권지은, 「한국 문화 콘텐츠 기반의 디자인 조기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2012 유초롱, 「크리슈머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8 장문혜, 「 중국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디자인 교육의 특성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건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현은령, 「 예술융합 중심 초등학교 STEAM 교육의 효과성: 미술교과의 학습성과 인식을 중심으 로」, 디자인지식저널, 29, 2014 현은령, 「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 현황과 과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2014 홍혜경 , 김준교, 「초등 디자인교육 현황 및 창의적 문제해결법을 활용한 수업설계 – 초등학교 3~4 학년을 중심으로-」 , 디자인학연구, vol.24 no.3, 2011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197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중국 전통 경극에서 검보(脸谱)의 특징 연구 - ‘삼국지연의(三国演义)’속 ‘차동풍(借东风)’을 중심으로 -

장 단,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중국 전통 경극에서 검보(脸谱)의 특징 연구 - ‘삼국지연의(三国演义)’속 ‘ 차동풍(借东风)’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tern of the make-up of Characters i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of Peking Opera Focus on ‘Jie Dong Feng’ 장단,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Zhang, Dan_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 Lee, Myung Hee_Design College,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검보 삼국지연의

중국에서는 전통연극과 현대 연극을 통틀어 희극(戱劇)이라 한다. 희극의 하위 장르는 희곡

경극캐릭터

(戱曲)과 곡예(曲藝)가 있고, 희곡은 노래 위주로 일정한 규모의 극적 형식을 갖춘 연극을 말 하는데 중국 전통극을 특정해 일컫는 말이다. 이 표현은 근대 이래로 중국 전통극의 문화를 통 칭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 중국의 전통극은 종류가 300가지가 넘을 뿐만 아니라 양식의 다양 성에서도 세계 최고를 자랑하지만 주로 민간 가무(歌舞,노래와 춤), 설창(说唱, 운문과 산문으

Keyword pattern of the make-up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peking opera characters

로 꾸며져 있는 민간 문예로 말하기도 하고 노래하기도 함), 골계희(滑稽戱,상하이(上海)·장 쑤(江苏)·저장(浙江) 일부 지역에서 유행한 희극)라는 세 가지의 장르를 종합해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베이징오페라(Peking Opera)라는 이름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경극(京劇)은 곤극(崑劇, 난방을 대표하는 지방극), 천극(川劇, 쓰촨(四川)지역을 대표하는 전통 지방극), 월극(越劇, 여 성 배우들이 공연하는 지방극)과 함께 중국 4 대 지방극이다. 공연예술이면서 시각예술로까지 일컬어지는 경극은 관람자에게 등장인물의 성격을 직접적으 로 보여주기 위해 얼굴 분장을 하였는데, 이 분장은 경극에서 배역의 성격을 표현하는 중요 수단으로 일정한 격식에 따라 그려진다. 이 격식을 검보(脸谱)라고 하는데 경극의 검보는 중 국 민간 예술의 색채 사용법과 패턴의 과장된 변형 기법을 적용하여 인물의 선악과 같은 등장 인물 성격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인물의 성격을 암시함으로써 관객이 캐릭터를 칭찬하거나 비판하면서 극의 내용에 몰입하여 관람할 수 있게 한다.2) 이렇듯 경극은 중국문화의 결정체로 고전 희곡의 대표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검보는 경극의 구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때로는 중국의 상징 이미지가 되기도 한다. ‘삼국지연의(三国演义)’는 중국 고전 4대 명작 중 하나로 경극의 무대뿐만 아니라 드라마나 영화로도 애용되는 이야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지연의 중 ‘차동풍(借东风)’ 장면을 사례 로 검보의 시각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검보의 시각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을 상징 하는 시각적 정체성을 추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고전문헌에서부터 최근 발표된 전문서적과 연구논문까지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경극 검보의 개념과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 하여 이해한다. 둘째, ‘삼국지연의’ 중 ‘차동풍’ 속 인물의 검보를 시각적으로 분석한다. 2. 검보의 이해 2.1. 검보의 특징 검보는 색과 패턴을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직접적으로 알려준다 . 무대 위 인물들의 이미지를 분명하게 보여주며, 관객들은 더 이상 추측이나 추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 경극의 검보는 중국 문화의 특색을 살린 특수한 분장으로 공연 시 사실적인 표현과 상징이 결 합된 예술적 과장을 통해 인물의 면모를 선명하게 표현한다. 예를 들어, 행당(行当, 희곡에 있 1) 리샤오추( 李小球), 천광중(陈光中), 『고등학교 학생 어문학 시험 필수용 책 제 6차 개정( 高中语文学考必备用书 第6 次修订) 』, 호남대학교 출판사 , 2011.08, p.236

2) 궈사오이(郭绍义), 천웨(陈越), 「경극 검보 원소의 당대 시각전달 디자인에 관한 응용연구」, 『Design』, 중국공업설 계학회, 2015, Vol.15, pp.127-128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00

1


어서 배우들의 배역 종류)에 따라 검보의 모습이 다르다. 행당은 크게 생(生), 단(旦), 정(凈), 축(丑)의 네 종류가 있으며 희곡 속 검보는 주로 ‘정각(净角, 성격이 거칠거나 강직한 남자 배 역)’의 얼굴 그림을 가리키는데, 정각과 축각(丑角, 희극 배우 중의 어릿광대)의 얼굴 그림은 복잡하다. 특히 ‘정각’은 검보의 내용이 풍부하고 패턴이 복잡해 ‘화롄(花脸, 얼굴을 여러 가 지 물감으로 분장한 배역)’ 이라고 부른다. ‘축각‘은 콧등에 흰색을 살짝 발라 속칭 ‘샤오화롄 (小花脸, 희곡 중의 어릿광대 역)’이라고 부른다. ‘생각(生角, 전통극의 남자 배역)’, ‘단각(旦 角, 전통극의 여자 배역)‘은 화장이 간단하고 분장이 과하지 않아 ‘쑤몐(素面, 분장하지 않은 얼굴)’이라고 한다. 또한 생각(生角)은 홍생 (红生, 전통극에서 얼굴을 붉게 분장하는 남자 배 역)과 몇몇 무생(武生,중국 전통극의 남자 무사 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분장을 하지 않는다. 이는 등장인물의 성격을 감추기 위해 검보를 그리지 않으며 그린다고 하더라도 분장이 대체 로 같은 것이 특징이다. ‘단각(旦角)‘의 경우에도 그 배역을 맡은 배우들 모두 비슷하게 그린 다. 이에 따라 ‘생각(生角)‘ 과 ‘단각(旦角)‘의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나이는 주로 연기나 의상 등 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검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 번째는 설명성이다. 검보의 설명성은 각 캐릭터의 피부색과 얼굴 패턴을 직접 알려주는 것 을 말한다. 두 번째는 상징성이다. 검보의 상징성은 두 가지로 나누는데 , 그 하나는 색으로 인 물의 기본 성격을 상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작은 패턴이나 기호를 그려 인물을 상징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성격성이다. 성격성은 검보의 분류 및 패턴에서 인물의 내면적인 성격, 신 분 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네 번째는 평가성이다. 관객들은 검보를 통해 등장인물의 정의로 움, 사악함, 선량함, 충성심, 교활함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다섯 번째는 상형성이다. 동식물을 요정, 요괴의 얼굴 등에 표시해 이들이 자연계의 존재임을 관람자들이 확실히 알게 한다.3) 2.2. 검보를 그리는 법 경극 배우들의 분장은 크게 기초분장과 색조분장으로 나뉜다. 기초분장은 ‘흰 얼굴’ 또는 연 지화장‘이라고 부른다. 먹으로 눈 화장을 하고 연지로 얼굴을 발라 간단한 화장으로 아름다움 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생과 단 역의 배우들이 많이 하며, 분장 순서도 비교적 간 단하다. 색조 분장은 검보를 그리는 것이다. 검보를 그리는 기법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 러우롄(揉脸)은 배우가 손으로 색을 찍어 얼굴에 골고루 문 지르는 것을 말한다. 또 이목구비의 선과 결을 흑백으로 그려 인물의 이미지와 표정을 부각시 킨다. 두 번째, 모롄(抹脸)은 먼저 흰색을 얼굴에 바른 뒤 검은 회색 양색으로 눈썹과 눈, 얼 굴 근육의 결을 그리는 것을 말한다. 세 번째, 얼거우롄(勾脸)은 배우가 흰색으로 얼굴의 이목 구비 위치를 그려주고, 뇌문 등 다양한 문양을 그려 넣은 뒤 여백에 주요 색을 채우는 것을 말 한다. 러우롄이나 모롄이 아닌 정각의 얼굴은 모두 얼거우롄이다.4) 네 번째 , 푸어(破)는 러우 렌, 모렌, 얼거우렌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얼굴의 좌우를 다르게 그리는 분장법이다 . 이것은 부정적인 인물을 그려내는데 적합한 분장이다. 이와 같이 검보의 분장법은 배역의 성격에 맞 게 정해지므로 어떻게 분장했는가에 따라 관객은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3. ‘삼국지연의(三国演义)’ ‘차동풍 (借东风)’의 검보 분석 ‘삼국지 (三國志)’는 진 (晋)나라 학자 진수(陈寿)가 기전체(纪传体)로 쓴 위(魏)·촉(楚)·오(吴) 3 국 간의 정사(正史)이고 ‘삼국지연의’는 원나라 때 소설가 나관중(罗贯中)이 ‘삼국지’를 바탕으 로 쓴 소설책이다 . 이 ‘삼국지연의’는 중국 고전 4대 명작 중 하나이자 장회체 (장편 소설 체 제의 하나로 전편을 여러 회로 나누어 서술하며 , 매 회마다 제목이 붙어 있음)의 역사연의 소 설이다. 중국 삼국시대(동한말~서진초)를 모티브로 했으며 군웅할거(群英割据,여러 영웅이 각 기 한 지방씩 차지하고 위세를 부림)의 난세에 위 ·촉·오 3국 간의 정치군사적 투쟁을 영웅을 중심으로 요약적으로 묘사했다. 그 중 ‘차동풍(借东风)’은 ‘적벽대전(赤壁之战)’의 중요한 전제 3) 위의 책, pp.23-24 4) 톈유량(田有亮), 『바이시쳰푸(百戏千谱) 』, 중국 서점 출판사 , 2012.10, p.29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01


가 되는 장면으로 ‘동풍을 부른다’라는 뜻을 가진다. 3.1. ‘차동풍’의 내용과 인물의 성격 차동풍의 내용은 다음과 같 다. “차오차오(曹操,조조)는 오나라를 토벌하기 위해 장강 위에 진 을 쳤다. 팡퉁(庞统)은 ‘연환계(차례차례 교묘하게 짠 계책)’를 통해 조조가 선박을 서로 고정 하도록 유도했다. 문제는 겨울엔 동풍이 불지 않아 불기운을 조조의 선단으로 돌리기 어려웠 다는 것이었다. 오나라 군의 지휘관 주유(周瑜)는 이 문제를 걱정하다가 병이 났다. 이에 주거 량(诸葛亮, 제갈량)은 갑자일(甲子日, 간지역법이라 불리는 중국의 전통 날짜를 기록하는 방 법)에 반드시 동풍이 불 것이라고 확신하고 병문안 기회를 빌어 주유에게 자신이 동풍을 일으 키겠다고 간언하였다. 주유가 남병산(南屏山)에 제단을 쌓고 주거량이 법을 행하자 동풍이 과 연 예정대로 찾아왔다. 주유는 주거량의 재능을 질투해 서성을 보내 주거량을 암살하려 했으 나 일찌감치 이를 눈치채고 도피할 준비를 한 주거량은 조운의 도움을 받아 샤커우 (夏口, 옛 마을의 이름)로 돌아왔다.”5) 등장인물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차오차오( 曹操, 조조)는 위나라 황제로 천성적으로 의심이 많고, 악랄하고 잔인하다. 그리고 매우 간사하는 사람이다. 황가이(黄盖, 황개)는 오나라의 명 장으로 용맹스럽고 싸움을 잘하며 , 충성심이 강하여 늙어도 기력이 왕성하다. 쉬성(徐盛, 서 성)은 오나라의 명장으로 지용을 겸비하고 배짱도 있고 지혜도 있는 사람이다 . 서우타이퉁쯔 (守台童子, 수대 동자)는 겁이 많고 일을 두려워하며 잔꾀를 부리는 사람이다 . 주거량(诸葛亮, 제갈량)은 병법에 정통하고 계략에 능한 사람이다. 자오윈(赵云, 조운)은 충직하고, 신용을 지 <그림 2>

키며 정이 깊고 의리를 지키는 사람이다.

차오차오(曹操)

<그림 3> 황가이( 黄盖)

<그림 1> 경극 ‘삼국지연의( 三国演义) 중 차동풍(借东风)’에 등장하는 인물( 왼쪽으로부터 차오차오, 황가이, 쉬성, 서우타이퉁쯔, 주거량, 자오윈) 출처:www.bilibili.com

3.2. ‘삼국지연의(三国演义)’ 중 ‘차동풍(借东风)’의 검보 분석 차동풍에는 차오차오, 황가이, 쉬성, 서우타이퉁쯔, 주거량, 자오윈 총 6명의 캐릭터가 등장한 다. 본 연구에서는 보식(검보의 양식) 얼굴색, 이마, 눈썹, 눈, 코와 같이 얼굴의 특징적인 주요 <그림 4> 쉬성(徐盛)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표 1 >인물 검보의 분석 유형

캐릭터

보식(검보 양식) 정롄(整脸, 피부색을

과장하기 위해 얼굴에 차오차오 전체적으로 한 (曹操, 조조) 가지 색을 사용) <그림 5> 서우타이퉁쯔

(守台童子) 출처 : 『바이시쳰 푸(百戏千谱)』

정각 (净角)

얼굴색 수백색(水白色,

이마 나오먼원

눈썹

헤이메이(黑眉 졘옌워(奸眼窩 만비(满鼻 윗

음흉하고 교활 (脑门纹, 칼 검은색 눈썹) 한 성격의 사람 문양) 혹은 들에 사용하는 셰푸원(斜蝠纹 색) /모롄( 抹脸) 박쥐 문양)

역할이 음험 할 수록 눈이 더 가늘어짐)

입술과 코 사이의 여백을 진한

배우 본인의 입 (原本的嘴形)

색으로 칠함)

류펀롄(六分脸 이마와 적색(红色) 황가이 얼굴을 4:6으로 나누는 (黄盖, 황개) 양식)

눈썹을 이마까지 확대

뎬메이(点眉, 눈썹 중간에 검은 점)

배우 본인의 눈매 (原本的眼形)

위안바오롄(元宝脸 쉬성 (徐盛, 서성) 배우 본인의 피부색을

붉은색 이마

즈메이(直眉,

냐오옌워(鸟眼 검은 코구멍

흰색(白色)

(红色的脑门)

삼각뿔, 위는

窝, 새둥지

(黑鼻孔)

5) 百度知道(https://zhidao.baidu.com/)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02

3


유지하거나, 러우롄이나 얼거우롄으로 빨간색을 칠하고, 볼은 하얗게 칠하는양식 ) 어릿 광대 (丑角)

서우타이퉁쯔 원처우롄 (守台童子 (文丑脸, 얼굴이 수대동자) 두부와 같은 양식) 주거량

생각 (生角)

( 诸葛亮, 제갈량)

쑤몐(素面, 피부

본연의 색의 양식)

쑤몐(素面, 피부 자오윈 본연의 색의 양식) (赵云, 조운)

넓고 아래는 좁은 모양)

같은 문양)

수백색 (水白色)

배우 본인의 이마 (原本的额头)

바쯔메이 (八字眉, ‘八’ 자 모양)

처진 눈매 (下垂的眼睛)

검은 코구멍 (黑鼻孔)

배우 본인의

화라쳰(化蜡扦 번메이(本眉,

배우 본인의

배우 본인의

배우 본인의 피부색(原本的

인슝쳰(英雄扦 번메이(本眉 화라쳰의 배우 본인의

늘씬한 아이라인

배우 본인의 입(原本的嘴

피부색 (原本的肤色)

肤色)

붉은색 이마)

다른 이름)

배우 본인의 눈썹)

눈썹)

눈매(原本的眼 입(原本的嘴 形) 形)

(高挑的眼线)

形)

차오차오(조조) 검보의 얼굴색은 수백색으로 , 차오차오의 간사한 성격을 나타내며 정롄(整脸) 은 그의 능글맞은 성격을 잘 드러낸다 . 잔주름은 차오차오가 자주 눈을 가늘게 뜬다는 점을 강조한 것인데, 그가 꾀가 많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마의 도형은 칼이다. 그가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이다. 눈썹과 콧구멍 모두 검은색이며 같은 색의 가짜 수염을 하고 있다. 황가이(황개)의 검보는 전형적인 류펀롄(六分脸)으로 눈썹 아래는 적 색, 위는 흰색이고 눈썹 부분에 검은 점(点眉)이 있다. 적색의 꼿꼿한 콧대도 특징적이며 나이 가 들어 보이도록 외모를 그렸다. 충직한 성격도 드러나며 나이가 많은 인물이기 때문에 하얀 가짜 수염을 가지고 있다. 쉬성( 서성)의 검보는 전형적인 위안바오롄(元宝脸)으로, 꼿꼿한 눈 썹은 서성이 겉으로는 강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나약한 성격을 드러냈다. 검은색 눈썹과 콧구 멍, 가짜 수염을 하고 있다 . 서우타이퉁쯔(수대동자)의 검보는 어릿광대 얼굴로 팔자 모양의 눈썹을 통해 연약하고 담이 작은 그의 성격을 표현했다. 주거량(제갈량)의 검보는 주거량이 노생(老生, 중년 이상 남자로 분장하는 배우)이기 때문에 이마에 붉은색을 발라(化蜡扦) 비교 적 둥글고 온화한 모양을 하고 있다. 자오윈 검보는 무생(武生, 남자 무사 역)이기 때문에 이 마에 인슝쳰(英雄扦, 화라쳰의 다른 이름)을 하나 가지고 있다. 모양이 비교적 날카롭고 색이 진하다. 늘씬한 눈썹은 그가 용맹스럽고 싸움을 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주거량과 자오윈은 모두 생각(生角)이어서 검보를 그리지 않는다 . 3. 결론 본 연구는 경극 ‘삼국지연의’ 중 ‘차동풍’의 등장인물 검보를 보식, 얼굴색, 이마, 눈썹 , 눈, 코 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과 나이를 판단할 수 있었다. 더불어 색과 문양에 따라 다른 의미를 표현하고, 다양한 형식을 통해 인물의 전체적인 특성을 표현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보를 이해함으로서 완전한 공연을 보지 않아도 등장인물에 대한 정 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검보의 특징을 분석ㆍ정리함으로써 검보의 시각 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전통적인 것을 현대화하는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데에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후 다양한 검보의 조형적 특징 및 색을 분석하여 중국의 정체성을 보유하는 현대화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송철규, 『경극』 , 살림, 2004 리샤오추 (李小球), 천광중(陈光中), 『고등학교 학생 어문학 시험 필수용 책 제6차 개정(高中语文 学考必备用书 第6次修订)』 , 호남대학교 출판사, 2011 궈사오이(郭绍义), 천웨(陈越), 「 경극 검보 원소의 당대 시각전달 디자인에 관한 응용연구」, 『De sign 』 Vol.15, 중국공업설계학회, 2015, 톈유량(田有亮), 『 쳰시바이푸(千戏百谱)』, 중국 서점 출판사 , 2012 https://baike.baidu.com/item/‘三国演义’ https://zhidao.baidu.com/‘借东风’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03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제품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사용자 신체 기능 측정 방법 현황연구 장지파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제품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사용자 신체 기능 측정 방법 현황연구 Current Research on User Capability Measurement Approaches from Product Inclusive Design Perspective 장지파, 동서대학교 대학원 Zhang Jifa_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포용적 디자인

디자인된 제품이 더 많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포용적 디자인이 서로

능력-수요 이론 신체기능 측정방법 비교분석

다른 사용자의 능력 수준을 제품의 디자인 과정에 고려하는 것을 점점 기업과 디자인 연구원 에게 인식되고 중시된다. 디자인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에 대한 제품의 접근 용이 성(Accessibility)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자의 수요를 파악하기와 사용자의 관련 데이터 획득하기를 필요하다. 가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와 같은 전형적인 사용자 중심 (Human-centered Design)의 리서치 방법은 많은 시간과 경비를 쓸 것이다. 1) 또한 인터뷰

Keyword

와 전문가 평가 등은 조사 결과에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 편견을 개입시킬 수 있다.2)

Inclusive Design

이상의 배경을 근거하여 본 연구는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효과적이고 시간이 소모가 적

Capability-Demand

고 실행이 용이한 사용자 능력 측정법을 개발하기위해 선행연구를 통해서 기존의 신체기능

Theory Capability Measurement

Comparison Analysis

측정방법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2. 포용적 디자인 개념의 능력-요구 이론 능력- 요구 이론(Capability-Demand Theory,2003 )에서는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 제품은 사용자의 신체적 능력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3) 이론에 대한 자세한 설 명은 아래 그림<1>과 같이 보여 준다. 제품이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대한 요구가 사용자 자 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보다 높을 때, 즉 사용자를 제품 사용자 그룹에서 제외시킬 것이다. 이 에 따라 제품의 포용성도 떨어진 걸 보여 준다.

<그림 1> 능력- 요구 이론

3.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신체기능 측정방법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신체기능 평가는 제품 사용이 사용자 능력에 대한 요구의 높낮이 를 평가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제품의 포용성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자인한 제품이 사용자의 신체 기능에 대한 요구가 낮을수록 제품의 포용성은 더 높아진다 . 의학 분야에서 유래한 신체 기능 측정 방법보다는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신체기능 측정방법이 더 직관적이다. 사용 자 신체 기능 측정 방법은 디자이너 또는 제품 연구원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측정 기준과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사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1) Françoise Darsesa & Marion Wolff, 『How do designers represent to themselves the users’ needs?』, 2)

Applied Ergonomics, 2006, pp.758 Martin

Maguire,

『Methods

to

support

human-centred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2001, pp.589 3) Umesh Persad & Patrick Langdon & John Clarkson, 『Characterising user capabilities to support inclusive design evaluation』,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2007, pp.121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06

1


결과는 쉽게 이해되고 디자인 평가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기존 문헌 조사를 통해서 제품 포용성 평가를 관련된 신체 기능 측정방법의 현황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표 1> 신체기능 측정방법 방법이름 Exclusion

Calculator Inclusive Design

Toolkit4)

연구기관 /

제출시간

2019

University

(웹

사이트를 방문 시간)

of

예시도

케임브리지대학교 제안한 Exclusion Calculator 방법은 제품 사용이 사용자 능력에 대해 요구 높

낮이를 평가함으로써 얼마나 인구가 이 제품을 사용할 수 없다고 예측하는 것 이다. 예측 데이터

Cambridge 는 영국 Disability Follow-Up to the 1996/97

Family Resources Survey 에 기초하여 계산되었 다.

신체생활기 능 평가 체계 개발5)

방법 설명

연구자

2015

김태선

손조작의 정교도와 근력 및 상·하체 운동범위 기 능과 근력에 따른 사용자 운동기능 평가체계 개 발했다.

없음

동제대학교의 포용적 디자인 연구 센터는 사용자 중국 고령자 능력 측정6)

Tongji University

2013

데이터를 얻기 위해 데이터 수집 도구를 구축했 다. 도구란 주로 헤드폰( 청력 테스트), 노인용 휴

대폰( 모바일 제품 사용 테스트 ),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집는 능력 테스트), 집게손가락 둘레

측정기, 악력 측정기(악력 테스트), 초시계 등을 포함한다.

3.1. 신체 기능 측정의 세부 항목 기존의 신체 기능 측정에서 측정 항목은 주로 사람의 감각, 인지 및 행동의 세 가지 측면의 능력을 포함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아래 < 표 2>의 각 문헌은 세 가지 측면의 능력 측정 세부 항목을 제공한다. 감지 측면의 능력 측정 내용은 주로 시력과 청력을 포함한다. 인지적 측면 의 능력 측정 내용은 주로 주의력, 기억력 및 이해 능력을 포함한다. 행동 측면의 능력 측정 내용은 주로 손 조작의 정교성 능력, 상체와 하체의 행동 능력을 포함한다. 각 논문에서의 연 구대상과 제출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각 측정 방법에는 서로 다른 점이 있다. 예를 들어 마찬 가지로 사용자의 주의력 집중정도를 측정하지만 측정의 방식과 세부항목은 다르다. <표 2> 신체기능 측정방법의 세부항목 번 호

논문제목

Exclusion Calculator 1 Inclusive Design Toolkit

제 출 시 간 2 0 1 9 ( 방 문

측정의 세부항목 (감각적) Sensory

1.시력 흐릿한 정도 / 2.글꼴의 크기별 읽는 능력 / 3.다른 수준의 소음배경에 시 서의 청력 간 )

(인지적)

Cognitive

( 행동적) Motion

1.좌우 손으로 물건을 집는 능력 1.주의력 집중 능력 / 2.장시 / 2.좌우 손의 조작 정교성 / 3.좌 간 글자를 기억하는 능력 / 우 손으로 높은 곳으로 닿는 능력 3.문자를 읽고 이해하는 능 / 4.좌우 손으로 아래로 닿는 능 력 / 4.문자를 듣고 이해하는 력 / 5.보행능력 / 6.계단 오르는 능력 / 5.문자로 교류와 표현 능력 / 7.서서 균형을 맞추는 능 능력 력

4) http://calc.inclusivedesigntoolkit.com/ 5) 김태선,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신체 생활기능 분류 및 평가체계 개발」, 이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pp.107-112 6) Dong Hua, 『Inclusive Design: Chinese Archive』,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2019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07


1.작은 물건을 집는 능력(12개의

Design and

delivery of a 2 national pilot survey of capabilities7)

2 0 1 3

1.원거리 시력 / 2. 1.( 단시간/장시간) 단어 기억 근거리 시력 / 3.배 능력(20단어를 회상함으로써 ) 경 소음 없이 강도 / 2.( 글자) 시각적 검색 속도 별 볼륨에 대한 청 / 3.( 글자) 시각적 검색 효율 력 / 4.배경 소음의 / 4.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 수준이 다르고 같은 력 / 5.계산 능력 볼륨에 대한 청력

작은 물건을 줍는 시간 ) / 2.( 남/

여) 능숙한 손의 극한 악력 / 3.

(남 /여) 능숙한 손의 편안한 악력 / 4.손의 일상적인 정교성 작업 완료 능력 / 5.팔을 앞으로 그리 고 위로 펴는 능력 6.손으로 힘을 빌림 없이 의자에서 일어나는 난 이도 / 7.손으로 힘을 빌려서 의 자에서 일어나는 난이도 / 8.지면 에 완전히 서는 능력

Towards a

capabilities database to inform inclusive design: Experimental 3 investigation of effective survey-based predictors of human-product interaction8)

A comparison of

methods 4 currently used in inclusive design9)

2 0 1 2

1.일반거리 시력 / 2.원거리 시력 / 3. 근거리 시력 / 4.시 각 예리함 정도 / 5. 시각 대비 민감도 / 6.정상상황에서의 청 력 / 7.배경 소음에 서의 청력 / 8.원거 리 청력 / 9. 청력 한계(최소 볼륨)

2 0 1 2

1.( 단시간/장시간) 단어 기억 1.손가락 움직임 능력 / 2.물건을 능력 / 2.미래 기억력 / 3.심 집는 능력 / 3.물건을 묶는 능력 볼(Symbol)에 대해 학습능력 / 4.물건을 돌리는 능력 /
5.물건 / 4.( 글자 )검색 속도 / 5.( 글 을 비트는 능력 / 6.손가락 조작 자)검색정확도 / 6. 글을 읽 의 정교성 고 쓸 줄 아는 능력

1.이름을 기억하는 능력 / 2. 끄는 것을 기억하는 능력 / 3.타인을 이해하는 능력 / 4. 자기표현의 능력 / 5.글을 쓰 1.읽는 능력 / 2.시 는 능력 / 6.기사를 읽는 능 각 식별 능력 / 3.언 력 / 7.메시지를 기억하는 능 어에 대한 청력 / 4. 력 / 8.TV 를 시청하는 능력 소리에 대한 청력 / 9.대화를 나누는 능력 /

1.한 손으로 물건을 집는 능력 / 2.양 손으로 물건을 집교 능력 / 3.한 손으로 조작 정교성 / 4.양 손으로 조작하는 손가락의 정교성 / 5.단시간 한 팔을 사용하는 능 력 / 6.장시간 한 팔을 사용하는 능력 / 7.단시간 양 팔을 사용하 는 능력 / 8.장시간 양 팔을 사용 10.계산력 / 11.시간을 알려 하는 능력 / 9.허리를 굽히는 능 주는 능력 / 12.긴 시간의 력 / 10.보행 능력 / 11. 발을 드 주의력 / 13.똑똑히 생각하 는 능력 / 12.신체 평형 능력 는 능력

3.2. 신체기능측정의 방식 Raji Tenneti와 Daniel Johnson등 연구자가 논문에서 포용적 디자인 관점에서의 신체 기능 측정의 다른 방식을 진술하고 실시중의 차이를 비교했다.10) 이 논문에서 자아 리포트 측정 (Self-report Measurement), 대리 리포트 측정(Proxy-report Measurement)과 기능 표형 에 따른 측정 (Performance-based Measurement) 세 가지 측정 방식을 정리했다. 각 측정 방식의 진술과 비교에 기초하여 아래 표에 세 가지 측정 방식의 데이터 획득 경로와 그들의 장점과 단점이 요약된다. 각 측정 방식의 특징을 이해하면 디자이너가 적절한 측정 방식을 선 택할 수 있다는 것은 앞으로 포용적 디자인에 도움을 준다. 7) Raji Tenneti & Joy Goodman-Deane & Patrick Langdon & Sam Waller & Kai Ruggeri & P. John Clarkson & Felicia A. Huppert, 『Design and delivery of a national pilot survey of cap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2013, pp.19-20 8) Raji Tenneti & Daniel Johnson & Liz Goldenberg & Richard A Parker & Felicia A. Huppert, 『Towards

a capabilities database to inform inclusive desig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ffective survey-based predictors of human-product interaction』, Applied ergonomics, 2011, pp.719-720 9) Joy Goodman-Deanea & James Warda & Ian Hoskinga & P. John Clarkson, 『A comparison of methods currently used in inclusive design』, Applied ergonomics, 2013, pp.891 10) Daniel Johnson & P. John Clarkson & Felicia A. Huppert, 『Capability Measurement for Inclusive Design』, Journal of Engineering Design, 2009, pp.279-284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08

3


<표 3> 신체기능 측정방식의 비교분석 측정방식

경로

! 면접 자아 리포트 측정 ! 전화 방문 (Self-report Measurement) ! 설문 조사 대리 리포트 측정 (Proxy-report

Measurement) 기능 표형에 따른 측정 (Performance-based Measurement)

! 간병인 또는 전문 기관

장점

단점 !

! 걸리는 시간이 적음 ! 실시 비용이 적음 ! 관리가 더 간단함

영향된다

사를 완성할 수 없는 경

!

비해서 정확성이 더 높

! 테스트

자아 리포트 측정보다 정확성이 더 낮다

! 참여자 주관적인 판단을 !

! 관찰

정확성은

참여자의 교육정도, 문 화, 언어 등 요인으로

! 참여자가 독립적으로 조

을 통해 정보 제공

측정결과의

참여자의

기능표현은

임무 테스트와 실제생 활의 사이에 차이 있다

4. 결론 본 논문 연구에서는 포용적 디자인의 이념 및 신체 기능 측정 방법의 개발의 필요성을 설명 하였다. 첫째는 기존의 신체 기능 측정 방법을 정리한 것으로 측정 방법의 직관성, 조작 용이 성 및 객관성을 추출한 것이다. 다음으로 포용성 디자인에 관한 문헌 조사를 통해 신체 기능 측정 방법에 대한 세부 측정 항목을 정리했다 . 마지막으로, 세 가지 측정 방식의 경로와 각각 의 장단점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본 현황조사 연구에 기초하여 다음에는 제품의 교호작용 유형 및 능력결함의 사용자유형을 정리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품의 포용적 디자인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신체 기능 측정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참고문헌 Dong Hua, 『 Inclusive Design: Chinese Archive』, Shanghai: Tongji University Press, 2019 Daniel Johnson & P. John Clarkson & Felicia A. Huppe rt, 『 Capability Measurement for Inclusive De sign 』 , Journal of Engineering Design, 2009, pp.279-284 Françoise Darsesa & Marion Wolff, 『How do designe rs represent to themselve s the users’ nee ds?』 , Applied Erg onomics, 2006, pp.758 Joy Goodman-Deanea & James Warda & Ian Hoskinga & P. John Clarkson, 『 A comparison of methods currently used in inclusive design』, Applied ergonomics, 2013, pp.891 Martin Maguire, 『 Methods to support human-centred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 s, 2001, pp.589 Raji Tenneti & Daniel Johnson & Liz Goldenberg & Richard A Parker & Felicia A. Huppert, 『Towards a capabilities database to inform inclusive desig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ffective

survey-based

predic tors

of

human-product

interaction』 ,

Applied

ergonomics, 2011, pp.719-720 Raji Tenneti & Joy Goodman- Deane & Patrick Langdon & Sam Walle r & Kai Ruggeri & P. John Clarkson & Felicia A. Huppe rt, 『 Design and delivery of a national pilot survey of capabilities 』, Inte rnational Journal of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2013, pp.19-20 Umesh Persad & Patric k Langdon & John Clarkson, 『 Characterising user capabilitie s to support inclu sive design evaluation 』 ,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2007, pp.121

김태선, 「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신체 생활기능 분류 및 평가체계 개발 」 , 이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pp.107-112

http://calc.inclu sive designtoolkit.com/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09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과학관 체험 프로그램의 분석 -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을 중심으로 -

진 시,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과학관 체험 프로그램의 분석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Experience Pro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with Busan Science Center 진시,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명희(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Chen, Shi_Graduate School of Dongseo University / Lee, Myunghee_Design College,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과학기술

최근 중국에서는 과학관 교육과 사회발전 사이의 관계가 날을 거듭할수록 밀접해지고 있다.

체험 프로그램

특히 중국의 학교 교육에서는 수험교육, 주입식 교육이 청소년의 창의력을 제약하고 있는 상

교육 효과

황에서 많은 사람들은 과학관이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는 데 특별한 도움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과학관 교육활동에는 큰 발전이 있었으나 , 여전히 과학 관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과학관은 국민의 과학 소양을 향상시키고, 국가의 혁신 능력을 강화시키는데 중요한 작용을

Keyword science and technology experience program education-effectiveness

한다. 2007년 중국 건설부와 발전개혁위원회에서 반포한 『과학기술관 건설 표준』1) 에서는 “관람객이 참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과학기술 보급 전람회와 교육활동은 과학기술관의 핵 심적 기능”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과학관에서의 대다수 관람객들은 무질서하고 임의적이며 맹목적인 학습목적을 지닌 단순한 관람 , 휴식, 오락 행위로 간주하고 있다 . 상하이과학기술관은 중국의 중요한 과학교육 기지이다. 국가 5A급 과학보급 관광지이자 전국 초중고생 학문연구 실천교육의 기지로서 대표성과 전형성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계 과학관 역시 왕성한 발전을 이뤘으며, 과학관 교육은 각국의 관 심을 끌고 있다. 상하이과학기술관은 중국 21세기 과학기술 분야의 대표주자로 그 발전은 중 국 과학기술교육사업에 있어 중요한 의의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하이과학기술관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과학 체험 프로그램의 내용과 시설물 및 공간은 과학기술관 이용자들에게 보다나 은 과학적 정보와 지식의 서비스를 경험하게 하는 매개가 될 것이기 때 문이다 . 연구 대상은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으로 하여 각 기술관의 시사점을 도 출하여 중국 과학관에서 제공하게 될 체험프로그램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 과학관의 체험프로그램 분석 2.1. 과학관의 이해 한국의 국립중앙과학관에 의하면 과학관의 역할을 과학 원리와 기술을 전시, 교육하며 첨단 과학기술의 혁신으로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추어 정보를 수집 ·보존·연구하여 과 학문화발전에 기여한다고 하였다.2) 또한 과천과학관은 기초과학, 천문우주, 생명과 자연에서 전통과학, 첨단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과학과 기술을 쉽게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전시장이자,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행사를 펼치는 과학문화 확산의 공간이라고 소개하고 있다.3) 상하이과학기술관은 중국의 중요한 과학보급교육 기지이며, 중국의 가장 대표성 있는 과학기 술관이다. 11개의 스타일이 각기 다른 테마 부스, 4개의 하이테크 특수 영화관, 3개의 중국과 내외의 저명한 과학자와 그들의 발자취를 그린 예술 회랑, 2개의 테마 전시관과 몇 개의 임시 전시홀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람객들에게 “자연, 인간, 과학기술”이라는 주제를 제시하고 있 1) 중국과학기술협회, 『과학기술관 건설 표준』, 건설부와 발전개혁위원회, 2007 2) 국립중앙과학관 https://www.science.go.kr/ 3) 국립과천과학관 https://www.sciencecenter.go.kr/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12

1


다. 여기에는 우리들의 집 지구, 정보시대, 로봇세계, 탐구의 빛, 인간과 건강, 우주세계 등 여 섯 개의 전시 홀이 포함되어 있으며 , 각각의 과학적 요소와 재미요소를 세계적 수준까지 끌어 올리고자 하고 있다. 부산과학체험관은 학생과 시민이 과학 세계를 공유할 수 있는 최고 체험 과학관으로 빛, 전 자, 소리와 파동, 지구와 생명, 열과 역학, 수학과 융합과 같은 여섯 가지 테마의 기초과학 체 험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수학, 과학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제2의 학교이자 과학 교실 역할을 하고 있으며, 흥미 있는 체험 위주의 기초과학 체험물로 구 성되어 국내 다른 과학관과 차별화되고 특성화 공간창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과학에 흥 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과학 장치를 제공하여, 기초과학과 생활과학의 개념과 기본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험을 통해 과학 원리를 체득하고 즐겁게 학습을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력과 합리적인 심성을 함양할 수 있다.4) 2.2.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의 체험프로그램 분석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의 과학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데스크리서 치로서 ‘과학관’ 과 ‘과학 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후 각 홈페이지를 통해 양 과학관의 목표를 이해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체험 프로그램의 실체를 확인하였다. 2019 년 4 월 4 일에는 부산과학체험관, 2019 년 7 월 21 일에는 상하이과학기술관의 현장조사를 진행하였 다. 양 과학관에서 공통으로 운영되는 체험 프로그램 주제인 ‘물리와 지구 ’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표 1> 상하이과학기술관 체험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목적

체험 방법

학습 효과

액체패턴

액체 역학 현상이 실연을 통한 이해

위로 흐르는 액체가 중간에 각종 장애물을 만났을 때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과정 관찰

액체 역학 원리 이해

에너지 왕복머신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 간의 에너지 교환 실연

작은 공이 여러 가지 모양의 궤도에서 여러 모양으로 움직이는 것 관찰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 간의 에너지 교환 학습

<그림 1>

<그림 2>

고공 자전거

드롭 해머의 중력 원리 이해

자전거 밑에 드롭 해머를 달면 중심이 와이어 케이블 밑으로 가게 되어 오뚜기처럼 되며, 쉽게 “고공 자전거”

중력 원리 체험, 물리에 대한 흥미 향상

서커스를 할 수 있음

<그림 3>

지진 모험

지진 공간 체험을 통해 지진의 원리 이해

지진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에서 지진 과정을 현실적으로 경험

지진의 과정을 현실적으로 경험

카르스트 동굴

동굴과 그 특징 이해

카르스트 동굴 공간 관찰

대자연이 만들어 내는 지질학적 경관 감상

<그림 4>

<그림 5>

4) 부산과학체험관 홈페이지 체험관 소개 https://scinuri.pen.go.kr/(2019. 07)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13


<표 2> 부산과학체험관 체험 프로그램 분석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목적

체험 방법

학습 효과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면 미끄럼틀

역학 원리에서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 이해

속력이 증가하므로

운동에너지는 증가함

<그림6>

구슬 발사대 만들기

실포물선 궤도를 통해 포물선의 원리 이해

<그림 7>

대형 만화경 <그림 8>

재미있는 5음색 실로폰 연주

화산주위에 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튀어 오르는 쇠공의 궤도가 포물선 궤도가 됨을 높이가

다른 고리의 위치로 확인 할 수 있음

천정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4면의 벽에 평면거울을 설치하여 거울에 반사된 다양한 무늬를 체험

간단한 음색 원리를 배움

재질에 따라 실로폰 소리가 다름을 알고 다섯 세트의 장치를 다른 이와 함께 연주함으로써 비트와 멜로디를 합성하는 효과를 체험

화산지형을 만드는 모습과 바람의 세기를 따라 모양과 패턴이 달라짐을 관찰

높이에 따라 속도가

달라짐을 체험함으로써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됨을 알 수 있음

발사한 공이 받침대

고리를 통과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공의 궤도가 포물선의 궤도라는 것을 알 수 있음

거울의 반사 법칙을 이용하여 빛의 직진과 반사작용의 이해

<그림 9>

<그림 10>

높이가 감소하므로 위치에너지는 감소하나 , 미끄럼틀을 타고 내려오는

체험물의 공기 조절 버튼을 조종하여 모래 아래쪽에서 공기를 쏘아 올리면, 공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지형 형태를 관찰

만화경을 통해 빛의 원리에 대한 지식을 얻고 광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 일으킴 사람이나 악기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나고 같은 악기라 하더라도 재질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남, 소리가 상황과 재질에 따라 일어나는 다른 변화를 경험

화산활동의 과정과 그에 따른 현상을 이해

3. 과학 체험 프로그램 조사 결과의 시사점 현재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과학 체험 프로그램 중 ‘물리와 지구’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상하이과학기술관은 공간의 활용 면에서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공 자전거’ 프로그램의 경우 체험시설이 있는 공간의 높이를 특별히 높여 중력 원리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카르스트 동굴’ 프로그램은 실사이즈로 재현된 석회암동굴의 모습을 통해 이용자가 실제 동굴에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그러나 체험 효과를 최대한 부각시키고자 한 반면 그 속에 있는 과학적 함의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은 부 족했다. 상하이과학기술관의 프로그램 중 “지진 모험”은 소리, 전기 , 공간 등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한 대형 시뮬레이션 체험 공간이다 . 이러한 설비와 장치는 관람객들이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함 으로서 현실감과 몰입감을 부여해 지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체험은 단순한 호기심 유도에만 머무르고 , 관람객이 지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지식을 학습 하게 하는 것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부산과학체험관의 “화산 활동” 체험 프로그램은, 체험 과정에서 땅에서 공기가 분출되어 공 기 흐름의 방향과 공기 흐름의 세기를 형상과 이미지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화산 활동 과정과 화산활동이 가져오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고, 그 속에 담긴 지질학적 지식을 학 습할 수 있다. ‘지진’에 대한 동일한 체험이지만 “지진 모험”은 지진에 대한 현상만을 체험하 는 것이라면 “화산 활동” 프로그램은 화산활동의 원리로부터 심층적이면서 직접적인 내용으 로 체험자가 구체적인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하이과학기술관’과 ‘부산과학체험관’이라 는 명칭에서도 ‘기술관 ’과 ‘체험관’으로 무엇을 중점적으로 여기는지 알 수 가 있다.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14

3


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Museum of Science and Industry)은 서구 최대의 과학박물관이자 미국의 대표적인 과학박물관이다. 시카고 과학산업박물관의 체험 프로그램은 다양한 연령과 주제에 맞추어 단순 현장학습 경험인 견학부터 3D프린트 체험, 전기회로 조작으로 조명 만들 기 체험, 항공기의 비행을 제어하고 우주를 유영하는 VR 체험 등 매우 다양한 주제와 관람자 의 관점에서 운영되고 있다. 과학관에서는 기초과학에서부터 전통과학, 첨단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과학 원리 와 기술을 쉽게 보고 느끼고 체험하고, 현대의 과학기술의 힘으로는 제어할 수 없는 자연 재 해나 질병 등의 관심사항에 대해서도 정확한 과학적 정보와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4. 결론 과학기술 산업의 빠른 발전에 발맞추어 과학관의 체험 교육 프로그램 역시 발전이 요구된다. 과학 체험 프로그램은 과학기술 지식을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실 체적인 체험을 통하여 과학에 대한 열정과 흥미를 불어넣을 수 있어야 한다. 과학관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기지로, 단순히 과학기술 전시관이나 실험실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관람객은 대부분 단순한 흥미 위주의 효과를 체험하는 것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와 지구’라는 주제에 한정된 분석이었지만 , 상하이 과학기술관은 체험 프 로그램 교육을 중요시하지만, 과학적 지식의 효과적인 학습효과를 위한 경험의 제공이 부족 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진 모험”과 같은 형식의 체험은 과학적 지식의 학습효과 보다는 지진이 발생한 현상만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상하이 과학기술관은 관람객을 위해 “지진모험”과 같은 체험 프로그램을 만드는 동시 에 그 속에 내재된 과학적 정보에 대한 심층적인 발굴이 있어야만 더욱 효과적인 과학적 정 보와 지식의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지속되는 연구에서는 현재의 청소년 중심의 과학기술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성인 대상의 과학기술 지식과 정보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에 주목하고,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과 학관에서 제공되는 과학기술 체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람과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최적의 경험을 주기위한 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진행하고자 한다. 교육철학자인 존 듀이(John Dewey)가 『경험으로서의 예술』에서 언급한 진정한 경험으로 분류한 기억에 남는 경험, 삶을 충만하게 하는 경험, 주변 사람과 환경 사이에 조화를 이루는 경험으로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 기 위한 과학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진우 , 『 서비스경험디자인 』, 안그라픽스 , 2017 중국교육과학연구원, 『2017년 중국 STEM 교육백서』 , 중국교육과학연구원 , 2017 중국과학기술협회 , 『과학기술관 건설 표준』, 건설부와 발전개혁위원회 , 2007 Leonie

Rennie &

Te rence

McClafferty, 『 Using vi sits to interactive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s, museums, aquaria, and zoos to promote learning in science 』, Journal of Science Teache r Education, 1998 어우야거, 「미국 과학 기술 박물관의 발전 추세를 가볍게 논하다」 , 자연과학 박물관의 연구, 2016 과학보급연구 2007년 2월호 과학보급연구 2009년 5월호 국립중앙과학관 https://www.science.go.kr/ 국립과천과학관 https://www.sciencecenter.go.kr/ 부산과학체험관 https://scinuri.pen.go.kr

Museum of Science and Industry https://www.msichicago.org/ 上海科技馆 http://www.sstm.org.cn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15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디자인공동 창조를 위한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에 관한 연구 - 필요요소와 방법의 제안 천타오,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디자인공동 창조를 위한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에 관한 연구-필요요소와 방법의 제안 Research on Designing a Community Knowledge Platform - Suggestions on Necessary Elements and Methods 천타오,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장주영(교신저자),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Chen, Tao_Dongseo University / Chang, Ju yong_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서비스 디자인에서는 디자인이 점차 유저, 디자이너와 이해관계자 등이 함께 창조하는 쪽으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 필요요소

로 바뀌고 있다. 커뮤니 티는 사회혁신 실천의 기본단위로서 커뮤니티를 가이드로 하여 아래 로부터의 참여식 디자인을 펼쳤다 . 현재의 사회적 수요 다양성과 문제의 복잡성을 해결할 수

방법

있는 효과적인 경로이다. 그러나 커뮤니티 공동 창조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소통의 비용과 신 뢰의 위기, 문화적 편견 등의 문제에 직면했다. 따라서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 구축은 다자간 협력을 위한 소통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혁신적인 디자인의 발생과 지속을 촉진하는 데 유

Keyword community

knowledge

platform necessary elements methods

리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지식 이론에 대한 배경 고찰을 통해 플랫폼 구축 의 4 가지 필요요소를 도출하고 나아가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안 얻어 냈다. 커뮤니티를 가이 드로 하는 사회혁신 연구에서 하나의 체계적이고 순환적인지식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참고 를 제공한다. 2.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 2.1. 이론적 배경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은 현재 하나의 통일된 정의 없이 그 내용과 목적의 관점에서만 정의되 고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은 하나의 로컬 자원(자연자원, 문화자원, 행동자원, 사회자본)을 수집, 분석 및 통합하고 로컬 생활 방식과 사회 형태의 지식 축적이다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이론에 따르면 ‘권력은 어떤 개체에 내재된 능력이 아니라 일종의 상호작용 효과로 사람과 사물이 조합된 이질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1) (Foucault, 1979)푸 코는 더 나아가 자기의 테크놀로지(technologies of the self) 이론을 제시한다. ‘개인이 자신 의 수단이나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몸, 영혼, 생각, 행위와 존재 방식에 대해 약 간의 조작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을 변화시켜 어떤 행복 , 지혜, 완벽한 상태에 도달하게 한다.’ 디자인은 창조적인 사회 실천으로서 하나의 구조 유형(권력)과의 결합이 필요하다. 디 자이너는 ‘외래자 ’로서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 구축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커뮤니티 주민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일으켜 쌍방의 신뢰감을 점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인 구조 유형의 참 여를 획득할 수 있다. 유저는 소비자만이 아니라 로컬 자원과 지식의 공동 생산자이기도 하 다. ‘소비자 생산’(Prosumer)이 되어 공동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한다.(Kotler Philip, 198 6)주민은 '현지인'으로서 협업에 참여하여 현지인의 지혜를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자신이나 디자이너의 협조를 통해 지역 문화와 가치를 재발견하고 현지 지식을 기여함으로써 커뮤니티 의 명예감과 성취감을 획득한다. 따라서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 구축 과정에서 각방의 참여자 간의 '신뢰감'과 '자기효능감'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대부분의 커뮤니티 지식은 지역의 독특한 문화 자원에서 나온다. 1.현지 지식; 한편으로 현지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전 설과 같은 무형의 자원으로부터 오고 한편으로는 현지 건물, 자연환경과 같은 유형의 자원으 로부터 온다. 2.로컬 컨텍스트; 한편으로 지역 주민, 기업, 정부와 협회 조직에서 오고 한편으 1) Michel Foucault, 『 The Subject and Pow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18

1


로는 디자인 연구자의 직접적인 관찰에서 온다.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에서 지역 문화의 독특 성을 어떻게 존중하고 지켜나가는지, 어떻게 공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지, 그리고 공동으로 참여하는 조직들 사이에서 신뢰, 호혜와 규범 등 사회자본을 구축하는 것이 모두 지식 플랫폼 의 민주성을 수립하고 유지하는 데 관건이 될 것이다. 2.2. 디자인에서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의 의미 사회적 수요의 다양성이 커뮤니티 문제의 복잡성을 야기하여 단일한 학문적 지식으로는 더 이상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이제 학제간 연구를 조직해야 한다. 이때 공동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을 구축하여 디자이너, 건축가, 사회학자 등 학제간 분야 전공자들에게 하나의 통일된 의사소통 기반을 제공한다. 로컬 자원, 학제간 지식과 업무 방식을 통합하여 하나의 현지 지식 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한편으로 조직 간의 커뮤니 케이션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기타 외부의 힘이 커뮤니티에 다시 들어가 사회혁신지도에 참여할 때 본 커뮤니티의 생활방식과 로컬 지식, 사회상황에 대한 빠른 이해를 얻을 수 있어 사회혁 신의 발생과 지속성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3.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 의 필요요소 이상의 이론에 근거하여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에 다음과 같은 4가지 필요요소들을 정리할 수 있다. 3.1. 신뢰감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서로를 알게 되고 함께 일하기로 결정하든 모든 참여자들은 반드시 그 사람이 자신의 노력을 존중할 것이라고 믿어야 하고 서로를 신뢰해야 한다.’(Ezio Manzini, 2015)2) 사실, 상호 신뢰는 어떤 형태의 협업 그리고 사회 조직의 기초 요소이다. 자발적 참 여(전통 또는 강제가 아닌) 에 기반한 조직이 많을 수록 , 생존 환경이 더 복잡해질수록(주로 낯선 사람을 만날 때), 신뢰 요소가 더욱 중요해진다 .3) 지식 플랫폼은 커뮤니티 내부 커뮤니 케이션 도구로서 정보 제공, 연계 및 인터랙티브 등 참여자 사이의 숙지도를 강화할 수 있다. 주민과 디자이너의 교류는 물론 정부, 기업, 기타 조직과의 교류를 위한 유익한 도구로 참여 의사를 가진 협력적 조직과 사람들 사이에 신뢰를 쌓을 수 있다. 이 요소는 인류학 각도를 통 해 민족지학 연구에서 유리한 방법들을 제공할 수 있다. 3.2. 사회자본과 정체성 ‘사회자본은 사회생활의 특징으로 네트워크(networks), 규범(norms)과 신뢰(trust)를 포함하 고 참여자와 보다 효율적으로 협력하고 공통된 목표를 추구하도록 촉진할 수 있다 . 요컨대 사 회자본이란 사회적 연결과 그에 수반되는 규범과 신뢰를 말한다.’(Robert Putnam, 1994) 사회자본은 민주주의를 세우고 유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으로 사회자본은 커뮤니티나 개인 간의 신뢰와 호혜의 정도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사회자본은 사회적 응집력과 개인이 커뮤니 티에 대한 투자이다.(LJ Hanifan, 1916)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상호 접촉을 통해 사 회자본을 축적하고 사회적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전체 커뮤니 티의 생활 조건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커뮤니티는 하나의 총체로서 모든 참여 합작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것이다. 지식 플 랫폼은 현지 지식 시스템에 대한 정리를 통해 다학과 참여자 교류 협력의 기반이고 구축 과 정에서 디자이너가 커뮤니티 발전에 참여할 권리를 획득함으로써 커뮤니티 발전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하나의 신분과 능력에 대한 공감을 얻을 수 있다. 관계 유지에 있어서는 지역 주 민, 정부, 기업과 업계 협회를 폭넓게 접촉하여 각 조직간의 상호 신뢰와 호혜적인 사회자본 을 축적하고 나아가 지속가능한 사회혁신적인 발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이 요소는 사회학 과 이해관계자 각도를 통해 다자간 이해관계를 저울질하는 데 있어 상응하는 해결책을 취할 2) Manzini Ezio, 『Design, when everybody designs』, The MIT Press Cambridge, 2014, PP.173-174 3) McEvily B, 「Trust as an Organizing Principle」, Organization Science, 2003, PP.91–103. 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19


수 있다. 3.3. 지역 문화의 독특성 지역 문화는 전통문화가 아니 라 각종 문화가 우리 민족의 관습과 사고방식을 거쳐 침전된 결 정체로서 새롭게 해석되는 문화이고 독특성과 민족성, 순수성을 지니 고 있다. 독특성은 지역 의 독창적인 문화형식으로 희소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현지 생활환경의 특수한 지역문화 기호에 기반하여 전통문화와의 통합발전을 위한 일종의 지역문화형식이다. 커뮤니 티 지식의 구성에서 대부분의 출처는 지역의 독특한 문화 자원이며 이러한 자원은 지역 건축, 생활 기물과 같은 유형의 자원 및 관습, 전설과 신앙과 같은 무형의 자원을 포함한다. 커뮤니 티 지식을 수집, 분석 및 통합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독특성을 존중하고 현지 주민과 화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조직 관계를 구축하여 커뮤니티 주민 참여의 동질감을 불러일으키고 공동 창 조에서 지역 문화의 독특성을 발양하고 전승한다. 이 요소는 디자인 실천의 각도를 통해 본 지역 문화자원의 발굴과 정리를 위한 효과적인 실시방안을 취할 수 있다. 3.4. 유저의 자기효능감 ‘사람들이 자신이 가진 기량으로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 (Albert Bandura, 1977)4) 자기효능감이란 개인이 자신이 어떤 행위를 완수할 능력이 있는지에 대 한 추측과 판단을 의미하며 자기효능감 형성요인에는 감정적 각성과 광경이 포함된다. 커뮤 니티 지식 플랫폼 구축 과정에서 현지 지식에 대한 기여는 주로 로컬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고 이를 공유한 데서 비롯된다. 커뮤니티 지식 수집과 분석 과정에 서는 광경 설정과 감정적 각성을 통해 유저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나아가 지역 주민들이 자 발적으로 커뮤니티 문제를 해결하는 선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촉진한다. 이 요소는 디자인 실 천과 기술적 각도를 통해 사용자의 적극성과 성과 공유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 다. 4.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방법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의 이론과 필요요소를 결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시각에서 플랫 폼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4.1. 인류학적 관점 커뮤니 티는 지역에 기반을 둔 인류 생활 공동체이다. 사람들은 일정한 규범에 기초해 생활, 문화와 이익 등 각 방면의 "사회관계"가 생긴다. 커뮤니티는 인정이 많은 사회 집단이어야 하 며 커뮤니 티를 구성하는 단체들은 친밀하고 서로 도우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Ferdinand Tönnies, 1887) 이러한 관계는 사람들이 종종 특정한 사회적 상황에 처하게 하고 이 특정한 광경은 또 지역의 독특한 지식 자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뮤니티 지식 플랫 폼은 지역 주민과 디자이너가 ‘공동 참여’하여 구축하고 사회학과 인류학을 본받는 방법으로 지역 지식을 얻는다. 민족지학은 디자이너들에게 가치 있는 연구 방법이다. 민족지학은 사람 들의 생활을 관찰하거나 참여함으로써 사람들을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연구 유형 이다.(Madden, 2010 )다양한 문화와 하위문화 (사람들의 관점과 행위), 그 주변의 환경(소 리, 광경, 공간, 장소 등)에 대해 풍부하고 포괄적인 견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식 수집 과정 에서의 방법은 사람들과 이야기하기, 행동 관찰, 사람들과 함께 하기, 그리고 문화 탐구를 포 함한다. 4.2. 디자인 실천적 관점 커뮤니 티 지식에 기초한 현지화 디자인과 ‘문화를 근본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관련 성이 있으며 모두 문화라는 무형의 자원의 운용과 재창조 차원에서 현지 경제와 문화의 지속 4) Albert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1982 기초조형학연구 학술대회 논문

220

3


가능한 발전에 힘쓴다. 로컬 컨텍스트, 현지 지식, 그리고 학제간 분야의 관련 지식 배경이 다원적 지식 플랫폼을 구성한다. 이러한 자원을 획득하는 방식은 주민, 현지 정부, 기타 단체 에 대한 인터뷰, 현지 관찰, 또는 현지의 컨텐츠가 담긴 역사, 서적과 이야기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학제간 팀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과 이해, 사회혁신 실천에 다양한 여건을 제공함 으로써 기타 혁신 역량을 끌어들여 교류와 합작에 참여할 수 있다. 방법에는 Workshop, 조 사 보고 및 토론 등이 포함된다. 4.3. 이해관계자 의 관점 조직에 관심이 있거나 주목하고 있는 개인, 단체 또는 조직이다. 이해관계자는 조직의 행위, 목표 또는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ost, Preston, Sachs, 2002)커뮤니티 지식의 수 집, 분석 및 통합 과정에서 다자간 참여자는 정보공개의 투명함과 평등한 교류를 유지하고 이 해관계자 간의 개방과 교류는 다원화된 팀워크를 더욱 촉진하고 커뮤니티 지식의 다원화를 위해 보완한다. 참여 구성원은 현지 주민, 정부 등과 여러 차례 협의하여 본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에 적합한 행위 기준, 목표 원칙과 정책 등을 마련하여 후속 디자인 실천의 전개와 영 역을 초월한 협력을 위한 근거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방법은 탐방 조사, 다자간 논의와 회의 토론 등이다. 4.4. 기술적 관점 빅 데이터와 인터넷과 같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커뮤니 티 지식의 수집과 통합 효율성이 향 상되었다. 인터넷 기술 자체는 비지역성 , 비시간성, 개방성 등의 특징 때문에 커뮤니티 지식 은 통합, 분석, 비축 과정에서 시간과 물리적 공간의 제약 없이 끊임없이 갱신되고 가상공동 체는 지식 플랫폼 구축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리글드(Rheingold)는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의 정의를 제기했다. ‘주로 적유컴퓨터 네크워크로 서로 소통하는 사람들이 서로 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어느 정도의 지식과 정보를 나누고 친구처럼 서로 배려하면서 생긴 단체이다.’가상공동체 지식 플랫폼은 이미지, 문자, 레코딩 및 동영상의 다양한 미디어 방식으로 교류하고 구축한다. 모바일 인터넷과 모바일 앱의 성숙된 보급으로 현지 주민과 디 자이너가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식 플랫폼에 최신 지식과 성과 공유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네트워크와 지식 플랫폼 체계를 구축하였다. 5. 결론 로컬 자원 수집, 분석 및 통합하여 하나의 로컬 커뮤니 티 지식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커뮤니 티 디자인에 참여하는 다자간 조직 간의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커뮤 니티 혁신 프로젝트에 외부 역량이 다시 참여할 때 로컬 자원과 커뮤니티 컨텍스트의 상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 혁신적인 디자인의 발생과 지속성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현지 지식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은 지역의 자원 가치를 다시 발굴하고 연구하여 지역 발전의 독특성을 보존할 수 있다.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 구축 과정은 디자이너가 커뮤니티 실천에 참 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내부 관점으로 본 지역 지식 자원 통합에 동참함으로써 디자인 방 안이 커뮤니티 수요와 문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커뮤니티 지식 플랫폼 구축은 커뮤니티를 가이드로 하는 서비스 디자인 연구와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Michel Foucault, 『 The Subject and Pow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 2) Manzini Ezio, 『Design, when everybody designs』, The MIT Press Cambridge, 2014 3) McEvily B, 「Trust as an Organizing Principle」, Organization Science, 2003 4) Albert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1982 4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21



Asia Design Archive 05 2019 학년도 2학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중국 노령화 사회를 위한 노인 수요에 대한 연구

판단단, 김세화(교신저자)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중국 노령화 사회를 위한 노인 수요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needs of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of China 판단단_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김세화_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디자인학부 Dan Dan, Fan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 Se Hwa, Kim_Department of Design, Dongseo University

중심어

1. 서론

에이징 인 플레이스

의 30%이상 되는 비율이다. 이러한 인구 구성의 변화는 도시 정책에 있어서 양로, 주택, 공공

고객 여정 맵 노인 수요

2050년에 중국은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4억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전체 인구 위생, 의료보건, 환경, 생활시설과 사회지원 시스템 등에 질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도시에서 노인의 주거비율이 높은 지역은 구시가지인데, 이 지역들은 안전에 있어 많은 위험과 각종

시설들의 노후화로 인해 노인의 생활환경의 질을 떨어드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노인의 Keyword

주거 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지역사회 재생에서 노인의 문제와 요구를 발견하기 위한 노인들의

Aging in Place

부터 도출되는 문제로부터 수요를 도출하기 위해 면대면 인터뷰와 노인들의 하루 여정을 관찰

Customer Journey Map

수요를 조사하고 해당 지역 환경에서 요구되는 항목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노인들의 생활에서 하고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인 생활환경을 조사하였다.

Aging Needs

2. 노인 대상선정

중국 도시의 노인은대부분 1949년 신(新)중국이 성립된 이후 경제활동에 참여한 세대로 기본 적인 생활수준이 안정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노후에 일정한 저축을 가지고 있으며 다년간의 생활환경에 익숙하면서도 삶의 질에 대하여 일정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 세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중산층 노인 6명을 선택했는데, 60세 이상의 한 도시지역에서 3년 이상 생활해 왔고 앞으로도 계속 소재지에서 노후를 보내고 싶다는 노인을 대상으로 선정,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1> 조사 노인의 상황 나이

A 65 (여성)

B 91(남성)

C 72(여성)

D 68(남성)

E 69(여성)

F 81(남성)

관찰조사 보고서

나이

관찰조사 보고서

본 연구는 동서대학교 BK21플러스 해양디자인인력양성업팀에 의해 지원 되었습니다. 2019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24

151


3. 노인 수요에 대한 조사

<그림 1> A와 B 노인의 고객 여정 맵

노인 6명의 인터뷰와 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노인의 Needs는 다음과 같다. 실내 시설의

편의성, 실내의 쾌적함, 편리한 주변생활 여건, 지역 사회 시설의 안전성, 배송 서비스, 2~3세 대가 공동 거주하는 공간, 편리한 보행 환경, 자연과의 접근성, 상하 대중교통 보조 시설, 보행

시 장애물 없음, 노약자 전용 주차장, 친구 간의 교류, 가족 간의 교류, 취미 활동, 종교 활동

참여, 오락 활동, 컴퓨터나 스마트폰 이용, 익숙한 지역사회 환경, 추억이 있는 집, 입에 맞는 음식, 주택소유, 좋은 생활 태도의 22개 항목의 수요가 있다. 수요의 발생 장소와 그 작용에 따라 <표 2>와 같이 네 분류로 나눌 수 있다. <표 2> 조사를 통해 도출된 노인의 요구 실내 시설의 편의성 실내의 쾌적함 편리한 주변생활 여건 지역 사회 시설이 안전성 배송 서비스 2~3세대가 공동 거주하는 공간

편리한 보행 환경 자연과의 접근성 상하 대중교통 보조 시설 보행 시 장애물 없음 노약자 전용 주차장

주거환경

교통과 환경조건

친구 간의 교류 가족 간의 교류 자신의 취미를 발휘 종교 활동에 참여 오락 활동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이용

익숙한 지역사회 환경 추억이 있는 집 입에 맞는 음식 주택소유 좋은 생활 태도

사회조건

지역성

4. 결론

본 연구는 중국 60세 이상 노인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관찰조사를 통해 4개 부문 22개

요구 항목을 총결하였으며, 이 22개 항목은 노인의 실생활에서의 노인활동과 수요를 반영하였 다. 항목의 도출은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생활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노인을 위한 지역재생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참고문헌 이승훈, 『AIP(Aging in Place)에 대한 주관적 기대와 의미』 , 한국공공사회학회논문집, 2017. 김수영, 문경주, 오찬옥. 『노령화 지역의 Aging in Place에 영향을 주는 조건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탐색』, 한국사회학회논문집, 2015. 张旭, 「基于老年人行为模式的居住环境建构研究」, 天津大学博士论文, 2016. 李小云, 「面向原居安老的城市老年友好社区规划策略研究」, 华南理工大学博士论文, 2012. 152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25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2020 전기 석•박사학위 청구논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디자인 전문대학원

박사

조탄제

시각

이진호

이론논문

NCS기반 패션디자인 학습 경험의 상호작용 연구

논문명

Interaction Study of NCS-Based Fashion Design Learning Experience

논문 키워드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

조희숭

서비스

임성필, 임백빈

이론논문

동기유발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건강걷기운동 사례연구

논문명

The service design case study on enhance self motivation of health promotion walking exercise

논문 키워드

서비스디자인, 건강걷기, 퍼소나, 브레인스토밍, KJ법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강샤오멍

영상

김세화

이론논문

이모티콘 이용동기 형성에 있어서 문화적 규범의 영향 -화(和)와 예(禮)를 중심으로-

논문명

The influence of cultural normative on the formation of emotions’ motivation -Focused on Hwa(和) and Ye(禮)-

논문 키워드

이모티콘, 사용동기, 개인적 수준, 개인주의 가치관, 집단주의 가치관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판단단

영상

김세화

이론논문

중국 노령화 사회를 위한 주거지 도시재생 정책가이드 개발

논문명

A Study on Policy Guide for Aging Society in China Urban Residential Regeneration

논문 키워드

도시재생, 노령화 사회,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지역사회 디자인, 노인 수요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화루후이

영상

김해윤

이론논문

중국적 인지방식 특성에 따른 광고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중국 시장에서의 해외 브랜드 중심으로 -

논문명

A Stud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Advertising Communication Effect of Chinese Consumers

논문 키워드

정보화 시대 광고 커뮤니케이션, SIPS모델, 중국 인지방식특성, 한국 화장품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하오동민

서비스

이성필

이론논문

사용자 커뮤니티 단체 구매의 의향에 관한 연구

논문명

Research on purchasing intention of user’s community group buying

논문 키워드

커뮤니티 공동구매, 커뮤니티 공동구매 단장(커뮤니티 대표CL), 구매의향, TPB, 감지 가치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함연

이론

장주영

이론논문

논문명 논문 키워드

226

국가직무능력표준, 패션디자인, 학습상호작용, 인지형성, 학습경험효과

UX 디자인에서 어린이 사용자 경험(Kid-UX) 요소 프레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id-UX Element Frame in UX Design 공동경험, 어린이 사용자 경험, 경험 요소 프레임, 경험 요소, 어린이 사용자 경험 요소 프레임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2020 전기 석•박사학위 청구논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장펑

서비스

이성필

이론논문

서비스 설계 관점에서 본 소매 모델에 관한 연구

논문명

Research on the design proposal of new retail concept service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논문 키워드

운영 모델, kano모델, 잠재적 고객 만족도 개선 지수(PCSI지수)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양린

영상

이동훈

이론논문

중국 광고의 서사 전략이 브랜드 공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마이크로 영화 광고를 중심으로 -

논문명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narrative strategies of Chinese advertising on brand resonance : Focus on micro film advertising in China

논문 키워드

중국 광고, 서사 전략, 브랜드 공명, 서사설득 모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허순핑

환경

홍관선

이론논문

페미니스트 지리학에 기반한 여성친화적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논문명

A Study on Woman-friendly Urban Regeneration Based on Feminist Geographies

논문 키워드

페미니스트 지리학, 도시재생, 여성친화도시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푸쟈빈

영상

김해윤

이론논문

한국과 중국 실화영화의 소재 및 표현양식에 있어서의 리얼리즘 분석

논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Realism in the Material and Subject and Expressing form of Korean and Chinese True Story

논문 키워드

리얼리즘, 실화영화, 소재, 주제, 표현양식, 바쟁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왕양

서비스

이성필

이론논문

Mobility as a Service (MaaS)기반의 제품 – 서비스 시스템 모델 개발

논문명

Model development of Product – service System based on Mobility as a Service(MaaS)

논문 키워드

Mobility as a Service (MaaS), 제품-서비스 시스템, 모델개발, 지능형 교통, 중국 시장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류양

시각

안병진

작품논문

중국 심양고궁 박물관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논문명

A Study on the Cultural Product Design Using World Cultural Heritage of Shenyang Palace Museum in China

논문 키워드

세계문화유산, 심양고궁 박물관, 문화상품 디자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박사

장징위

환경

윤지영

이론논문

논문명 논문 키워드

커뮤니티 디자인 중심의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 개발 및 적용 연구 - 중국 징더전시 도계천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Elements for Urban Renewal Projects of Community Design 도시재생사업, 커뮤니티 디자인, 평가지표,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적용 연구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27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2020 전기 석•박사학위 청구논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리스윈

영상

김세화

이론논문

학습 참여 위한 MOOC플랫폼 웹UI 디자인 개선 연구 - 중국대학MOOC의 사례를 중심으로 -

논문명

The improvement of MOOC website web UI design for learning engagement -focusing on the case of MOOC in Chinese universities-

논문 키워드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이슈에링

영상

김세화

이론논문

4차 산업혁명 시대 모바일 영어 단어 학습 앱에 대한 UI디자인 개선 연구 - 중국 영어 단어 앱 중심으로 -

논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I Design for Mobile English Words Learning App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 Focused on the Chinese English Words App -

논문 키워드

모바일 영어단어 학습, 기억모델, 증강현실, 인공지능, UI 디자인 제안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차오셴웨

영상

김세화

이론논문

보행 안전을 위한 스마트폰 UI 연구

논문명

A Study on the Smartphone UI for Pedestrian Safety

논문 키워드

스마트폰, 보행 안전, 서비스 프레임워크, 스몸비(Smombie),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이철

시각

서한석

이론논문

MOBA 게임을 통한 GUI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LOL, DOTA2, 폭풍의 영웅 게임중심으로 -

논문명

A study on GUI interface design through MOBA game -LOL, DOTA2, Storm Hero game referee-

논문 키워드

MOBA게임, GUI인터페이스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티엔쥔

시각

서한석

이론논문

중국내 재스민 차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연구 - 중국 10대 재스민 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

논문명

A Study on the Preference Degree of Jasmine Tea Package Design in China: Focused on China’s Top 10 Jasmine Tea Brands

논문 키워드

패키지디자인, 소비자선호도, 재스민 차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왕지아

영상

김세화

이론논문

베이징 고궁박물관의 가상박물관 개발에 관한 연구

논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Museum in Beijing Palace Museum

논문 키워드

자금성, 현장탐방 경험학습, AR서비스, 게이미피케이션, 역사 스토리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윤우람

산업

고정욱

이론논문

논문명 논문 키워드

228

중국대학MOOC, MOOC플랫폼, 학습참여, 웹사이트UID, 사용성 테스트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 체험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Arts Experience Program for Chinese Children’s Creativity 창의성교육, 아동 미술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2020 전기 석•박사학위 청구논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김현정

산업

고정욱

이론논문

디자인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유형과 기회요인

논문명

Business types and Opportunities for Design Startups

논문 키워드

디자인 스타트업, 디자인 비즈니스,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조우원위안

영상

류도상, 김해윤

이론논문

장이머우 영화공간에서의 빛과 색의 시각적요소에 관한 연구 - 여성 3부작을 중심으로 -

논문명

Research on the Visual Elements of Light and Color in Zhamg Yimou’s Movie Space - Centered on the female trilogy -

논문 키워드

영화 공간, 공간적 특성, 시각적 표현, 색, 형태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경리

환경

윤지영

이론논문

도시역사문화거리의 보존 및 재생에 관한 평가 연구 - 중국 쑤저우의 평강로를 중심으로 -

논문명

Evaluation Study on the Presence and Regeneration of Urban History and Culture Street - Focused on Pinggang Road in Suzhou, China -

논문 키워드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지구, 거리보존 및 재생, 지속 가능한 개발, 헤리티지 프레즌스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석우초

시각

서한석

이론논문

중국 역사문화 관광지의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국 닝원고성 관광지 사인디자인 제안을 중심으로 -

논문명

Research on the Sign Design of Historical Culture Tourist Attractions - Focused on the Sign Design of Ningyuan Ancient City in China -

논문 키워드

관광지, 사인시스템, 정보전달, 닝원고성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유천

영상

김형우

이론논문

문화 기반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관한 연구 - 중국 모바일 홍바오(红包)를 중심으로 -

논문명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Culutre-based Mobile Easy Payment System - Focused on China Mobile Hongbao -

논문 키워드

모바일 간편 결제 시스템, 통합기술수용이론 모형, 사용의도, 위챗 홍바오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조정정

시각

안병진

작품논문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문화 채도를 응용한 현대 문화상품 디자인 작품 연구

논문명

Research of the modern cultural cmodity about the Majiayao cultural painted pottery in China Neolithic

논문 키워드

중국 신석기시대 마가요(马家窑) 문화 채도, 문화상품 디자인

소속

학위

이름

전공

지도교수

논문유형

일반대학원

석사

향가흔

산업

고정욱

이론논문

논문명 논문 키워드

HMD 마니아를 위한 디자인 제안 HMD Design Proposal for Game Mania HMD, VR, 게이머, 발전

아시아디자인 아카이브 05 229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