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 Ji Won architecture portfolio selected works 2017 - 2023 Simplified version

Page 1

KO JI WON

ARCHITECTURE PORTFOLIO

SELECTED WORKS 2017-2023


INFO

KO JI WON (1998. 08. 01) +82. 10-6653-4189 int08011@naver.com 2014 - 2017. 02 Dong - incheon High School Graduated 2017 - 2021. 08 Seoul Cyber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 Bacheler's degree 2022 - 2024 . 02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 M.arch

CAREER Bareun Design (interior Design) Space I&D model production team The Jiin Architects SI Architects

ABILITY

AWARDS

Auto CAD Sketchup Adobe photoshop Adobe illustrator Adobe inDesign Pro create Enscape twinmotion

2020. 07

2020 1st Citizens Imagine Seoul Urban Architecture Policy Research Contest Participation Prize - Gate Way City

2022. 05

open design compitition for the jeonnam citizen’s square participation prize

2023. 04

-2-

General Assembly, spring annual conference of AIK Selected as an excellent published paper


CONTENTS

MICRO COMPACT CITY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졸업작품

... 04p

SEOUL AGAIN MAKE LAMP

... 20p

서울역 폐쇄램프 재생 활성화 아이디어 공모

다공성 多孔性

... 26p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1학기 설계

배를 엮다

... 38p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학기 설계

-3-


MICRO COMPACT CITY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졸업설계 Project Type :

Academic_Individual

Period :

2023. 09 ~ 2023. 12

Site :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Building Type :

공동주택

Instructor :

김경순 교수님

01

대한건축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우수발표논문상]

-4-


LIVING BIG IN SMALL HOUSE 마이크로 콤팩트 시티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모든 층이 저층이거나 1층이기 때문이다. 지상 에서부터 옥상까지 완만하게 이어지는 공중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지인들을 맞이하는 만남의 광장이 되 어주는 로비와 이웃들이 모여 왁자지껄 즐겁게 떠드는 소리가 나는 전용 라운지도 나오고 더 걷다 보면 헬 스장이 나오고 또 걷다 보면 사람들이 분주하게 움직이는 것이 보이는 코워킹 스페이스가 나온다. 이대로 쭉 걷다 보면 어느새 주변이 전부 보이는 전망 좋은 옥상정원에 도착한다. 이렇게 마이크로 콤팩트시티는 모든 공간이 공중 산책로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우리 집은 5층이지만 1층이다.

STUDY BACKGROUND 1960년 이후 핵가족화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기 시작, 2010 년대에 이르러 핵가족보다 더욱 간소화된 1인 가구가 대두 되기 시작했다. 이후 1인 가구의 수는 지금까지도 지속적으 로 급격히 증가해 왔으며, 앞으로도 이어 질것이 자명하다. 그 러나 기존의 1인 가구를 위한 공공주거는 비좁은 세대를 최 대한 많이 공급하는 것에만 충실하고 커뮤니티 공간의 부제 또는 빈약함과 획일적인 공간구성 방식으로 인해 1인 가구 의 다양한 문제를 해소해 주기에 그 한계는 명확한 상황이다.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지역지구 : 제3종 일반주거지역 대지면적 : 16,514.4 m² 건축면적 : 7,621 m² 연면적 : 63,493 m² 건폐율 : 46.1 % 용적률 : 234.1 %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층수 : 지하5층, 지상8층 최고높이 : 28.8M

-5-


SITE ANALYSIS 대상지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에 위치한다. 교통으로는 아현역, 충정로역이, 그리고 멀지 않은 거리에 서울역이 자리 잡고 있다. 1인 가구 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청년층을 위한 다수의 대학과 직장이 몰려있고 대학 병원급의 대형병원도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하며 서울의 중앙에 위 치하므로 서울의 어디든지 어렵지 않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청년 1인 가구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1인 가구들에도 편리한 위치이다. 대지의 향은 북향을 바라보게 되어있고 북향은 주거에서는 대부분 최근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임대료 측면에서 북향 또한 나름의 장점 을 가지므로 1인 가구 공공주거에게 북향이란 치명적인 단점이라 할 수는 없다.

SITE

SEOUL

MAPO - GU

CONCEPT 15분 도시 또는 콤팩트시티는 거주지에서 도보나 자전거로 15분 이내 거리 안에서 모든 커뮤니티 (일상생활)이 가능한 도시를 의미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본 연구에서 문제 삼은 1인 가구의 문제들을 콤팩트시티를 하나의 건물 단위로 한단계 더 압축하는 개념을 통해 풀어내고, 커뮤 니티 공간이 중심이 되는 1인 가구 공공주거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프로젝트에서는 가까운 거리에 시설이 위치함이 아닌 이들을 연결해 주는 길이라는 것에 주목하고자 한다. 똟

COMPRESSION

COMPACT CITY

MICRO COMPACT CITY -6-


DESIGN PROCESS 본 프로젝트의 매스는 그저 대지의 형태에 의한 최소한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커뮤니티라는 흐름이 지상에서부터 최상층까지 관통하 고 깎아나가며 동시에 뻗어나가기까지 한다. 이는 기존의 획일적인 형태를 붕괴시킨다. 마치 매우 단단한 바위틈을 나무의 뿌리가 파고들어 헤 집어 놓음으로써, 붕괴까지 이어지는 것과 같다. 또한 지금까지 1인 가구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던 기존 방식과 형태를 거부하고 파괴함을 시사한다.

01

02

SITE

BASIC MASS 기본매스 형성

03

04

PENETRATION

MULTIPLICATION

커뮤니티 공간의 침투

커뮤니티 공간의 증식

05

06

DISRUPTION

COMPLETE !

침투와 증식에 따른 기본형태 붕괴

-7-


VERTICAL WALKWAY 본 연구의 프로토타입에는 지상부터 최상층까지 완만하게 매스를 관통하고 깎으며 이어지는, 그리고 6층의 공중정원부터 옥상까 지 이어지는 두 갈래의 공중 산책로가 존재한다. 이 공중 산책로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공간이 배치되며, 콤팩트 시티에서 한단계 더 압축한 마이크로 콤팩트시티의 개념을 구현시켜 준다. 또한 기존 엘리베이터에 의존한 획일적인 공간구성 방식을 깨버리고 일종의 길로서 모든 층을 1층 또는 저층으로 만들어 주는 존재이다.

실외 휴게공간

취미공간 주민 집회실 헬스장

코워킹 스페이스 코어 및 피난계단

라운지 메이커 스페이스 로비

01. 로비

02. 공용 라운지

03. 메이커 스페이스

04. 헬스장

05. 코워킹 스페이스

06. 주민 집회실

-8-


UNIT PLAN 공용주방, 공용거실 등의 생활밀착형 커뮤니티 공간에 의존해 각 방 안에서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일상생활조차 쉽지 않은 극단적으로 비좁은 유닛을 가지는 기존과는 달리 본 프로젝트의 유닛에는 각 타입 면적에 상관없이 기본적인 일상생활에 필요한 요소들을 모두 갖추도록 하여 어쩔수 없이 교류를 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원할 때 자발적으로 편안한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뮤니티 공간의 지속적인 활성화에 일조한다.

TYPE

TYPE

01

02

면적 : 60m2

면적 : 60m2

세대수: 14세대

세대수: 34세대

TYPE

TYPE

03

04

면적 : 41m2

면적 : 34m2

세대수: 262세대

세대수: 9세대

-9-


-10-


-11-


SITE PLAN

SCALE : 1/800 01 옥상정원 02 선큰가든 03 경사녹지(공원)

대상부지 진입로 정

04 공중산책로 시작점

GL+11

05 자전거 주차장

03

06 화물, 응급, 소방 전용통로

05 로

GL±0

손 대상부지 진입로 GL-6

주 출입

02 GL-6

GL±0

01

주 출입구

01

GL-0.5 옹벽

04 GL±0

GL-8

옹벽

육교

-12-


손기정로

주 출입구 GL-3

GL-6

손기정로

입구

주 출입구 GL±0

01

주 출입구

01

GL-8 주 출입구

GL-2 옹벽

GL-11

대상부지 진입로

차량 출입구 GL-11

신촌로 [40m 도로}

-13-


ELEVATION SCALE : 1/900

SCALE : 1/700

CROSS - SECTION SCALE : 1/750 주거구역 관통부위 지하상가

-14-


SCALE : 1/700

-15-


FLOOR PLAN

TRANSITION SPACE

SCALE : 1/1000

02

01 로비 02 메이커 스페이스 03 공용 라운지 04 푸트코트 05 화장실 06 입주자 전용 라운지 07 경비실 08 공중 산책로

07

1F

01

03

복도의 역할에 커뮤니티 와 주거 공 간의 전이 공간으로서 좁은 주거유 닛이 확장된 공간으로 이웃끼리 공 유하게 되며, 이곳에 사는 주민들만 을 위한 전용 라운지의 기능을 겸한 다. 본격적인 커뮤니티 공간은 아니 지만 옛날 동네 골목처럼 가벼운 교 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05

주거구역 실외 휴게공간 공중산책로 메인 커뮤니티 공간

06 06

06

04

전이공간 01 01 메이커 스페이스 02 로비 03 입주자 전용 라운지 04 실외 휴게공간 05 공중 산책로

02

2F

05 03

01 입주자 전용 라운지 02 공중 산책로

01 02

3F

01

01

01

4F

01 헬스장 02 입주자 전용 라운지 03 코워킹 스페이스 04 공중 산책로

02

02 03 04

-16-

02


01 헬스장 02 입주자 전용 라운지 03 코워킹 스페이스 04 실외 휴게공간 05 공중 산책로

01

5F 02

02

03

04 05 02

01

01 실외 휴게공간 02 입주자 전용 라운지 03 공중 산책로

03

6F

01 02 01 01

02

03

01

02

01 주민 집회실 02 취미공간 03 실외 휴게공간 04 입주자 전용 라운지 05 공중 산책로

01

7F

02 05

03 04

04

05

01 01 입주자 전용 라운지 02 공중 산책로

8F

02 01 01

02

-17-


-18-


-19-


SEOUL AGAIN MAKE LAMP 서울역 폐쇄램프 재생 활성화 아이디어 공모 Project Type :

Competition

Period :

2020. 08. 06 ~ 09. 14

Site :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

Building Type :

문화 및 집회시설

Team Members : 고지원, 김현태, 오원준

-20-

02


2

서울역은 도시화된 동부와 낙후된 서부로 나뉜다. 대상지인 폐쇄램프는 서부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주변의 낙후를 개선하지 못하면 램프는 방치될 것이다. 따라서 도시재생적 차원에서 지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빛, 물을 사용한 2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이 는 서부에 “빛”과 “사람”을 가 져오는 시발점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폐쇄램프가 활성화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을 마련한다. 내부의 경우, 서울로 , 서부 인근 지 역의 근본적인 문제들부터 접근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상향램프에는 서울로가 는 점에서 “쉼”의 장소 를 마련했다. 또한 “이벤트”가 없는 서부지역에 단순한 쉼을 넘어 공연장, 이벤트홀 등으로 용되는 1층과 함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하향램프에는 서울역과 고가도로 일대가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관련 역사가 외면 받는다는 점에서 이를 위한 전시관을 마련했다.

-21-


-22-


-23-


SITE ANALYSIS 서울로7017 서울로7017은 옛 고가도로를 2017년에 개.보수하여 만 들어진 공원이다.서울역 일대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려고 단절된 서부지역 연결을 통한 상권의 활성화를 기대했지 만 단순한 왕래 그 이상 의 가치를 이룩하진 못했다. 서울역과 롯데마트 대한민국 철도의 중추역으로써 서울역의 상징성은 매우 깊다. 그러나 서울역 앞 서울스퀘어는 전국 최대 노숙자 거리이기도 하다. 구 서울역사를 대신해서 새로지어진 선 상역사가 있다. 서울역 일대 건물 상황 서울역의 서부와 동부는 건물에 관해서도 큰 격차를보인 다. 동부는 서울스퀘어, 몬화역284, 서울의 환승 센터 등 의 랜드마크 이외에도 고층 건물들의 개발이 고도로 진행 되었다. 반면 서부는 물류창고, 노후한주택, 저층 건물과 함께 서울에서 손꼽히는 낙후지역 으로 남아있다. 중심 도로와 골목길 서울역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청파로가 동쪽으로는 후 암로와 한강대로가 있다. 두 중심도로를 연결하는퇴계로 가 있지만 보행으로써는 적합하지 않다.서부동부 두 일대 모두 골목길들이 많은데 서울시는 이를서울로 7017 중 심으로 골목들을 보행문화거리로 정비하기 위해 준비중 이다. 서울역 서쪽과 동쪽 일대 서울역을 중심으로 나누어지는 서부와 동부는 경제,문화, 관공 등 많은 분야에 걸친격차를 보인다. 특히밤이 되면 고층 빌딩이 불빛으로 밝혀지는 동부와 듬성한 가로등의 불빛만이 깜빡거리는 서부의 대비가이를 증명한다. 서울역 일대 서울역은 중구와 용산구의 경계에 있는 서울의 중앙역이 자 주요 간선 노선들의 시종착역이라 연간 1억510만명 으로 한국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철도역이다. 현재 서 울역 일대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분류되어 있어 역 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과도기 시기에 놓여 있다.

CONCEPT

NO LIGHT

ADD LIGHT

ADD LAMPSHADE

ADD GREENERY & POND

-24-


PROGRAM 하향 램프 하향램프는 서울로 7017과 직접 연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옥상과, 지상 둘을 합쳐 총 세곳으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다. 위로는 옥상정원, 아래로는 인 공연못과 연결되기 때문에 사람들도상향 램프보다 더 많이사용 될 것으로 예상이 된 다.그러므로 뭔가 특별한 프로그램을 넣기 보다는 서울로 7017과 어울리는 분위기 로 램프에서 걸으면서 아래 보이드 공간을 내려다 보고 관람하기 쾌적한 환경으로 최대한 깔끔하게 디자인 했다. 대신 하향램프는 구석에 작은 물길을 내서 램프를 따 라 물이 흐르게 하고 마지막은 인공연못으로 모이도록 한다. 그리고 이 물길은 여름 에 더운 느낌을 더는데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한다.

상향 램프 상향 램프는 옥상과 지상 둘만 연결되므로 접근성이 하향 램프에 비해 떨어진다. 또 한 서울역 서쪽일대구석진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시민들이 자연스러운 유입이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주변 상황들을 고려할 때 상향 램프를 사람들이 찾아 올만한 프로 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서울역은 깊은 역사를 자랑하고 서울역 역사는 우리 근대 민족의 역사이다. 그러나 이런 중요한 장소에 대한 설명과 기념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상향램프에 사람들이 걸어 올라가면서 서울역의 역사를 배우고 새로운 경험 을 할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보이드 공간 폐쇄램프 중앙에 위치한 둥근 보이드 공간은 하향램프와 상향램프가 서로 공유한다. 공간의 가장 아랫부분은 램프의 길이가 너무 깊어 빛이 들어오지 못해 어두운 분위 기를 내고 있다. 이에 둥근 공간의 바닥을 1층 높이의 슬라브로 덮어 슬라브 상부까 지는 빛이 들어와서 밝은 분위기가 만들어지므로 평소 사람들이 쉬는 공간이 되거나 작은 공연장이 형성된다. 무대 바로 앞에서 관람 할수도 있고 상향, 하향램프에 뚫려 있는 창으로 오르 내리는 동안에도 공원을 내려다 보며 관람을 할 수 있다.

PERSPECTIVE

-25-


多孔性 [다공성]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1학기 설계 Project Type :

Academic_Individua

Period :

2022. 03 ~ 2022. 06

Site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2가 2-299 번지

Building Type :

단독주택

Instructor :

김경순 교수님

-26-

03


03 多孔性

[다공성]

있는데 없는 경계, 이웃들과 뒤섞여 하나되다 오래되어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집들 사이에 있는 이상한 집, 여러 사람들이 다 같이 작은 골목같이 생긴 마당에 모여 앉아 모임을 가지고 있다. 이 집의 가족만 있는 게 아닌 것 같은 것을 보아 근처에 사는 이웃들도 같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요즘 들어 도시에서는 쉽게 보기 힘든 광경이다. 정글짐 같은 구조물에 박스들이 들어가 있는 듯한 이 집은 분명 경계가 명확하게 보이기는 하는데 그 경계가 있으나 마 나 해서 이웃들을 거부감없이 받아들이고 이웃들은 부담 없이 오간다. 마치 스펀지 같은 포러스함으로 주변을 빨아들이고 뒤섞여 함께 살아 간다.

e편한세상 아파트

1호선

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2가 2-299번지 일대

적 : 430 ㎡

도 : 준주거지역

인근 대중교통 : 1호선 용산역 4호선 삼각지역 신용산역

-27-

각 삼

벽산 아파트

고물

구역

물류센터


CLIENT ANALYSIS 두 가족의 아버지들은 어린 시절부터 친구 사이였다. 같은 골목에서 놀고 같은 초중고를 나왔으며 언제나 함께 살던 골목에서 놀고 자랐다. 당연히 두 조부모님도 자연스럽게 가까이 지내셨다. 이후 시간이 지나 두 가족은 흩어져 서로 다른 곳에서 살던 중, 집을지어 이전에 골목에서처럼 함께하던 시절 로 돌아가고자 한다.

가족1

가족2

CONCEPT 스펀지는 형태와 경계가 명확하게 보인다. 하지만 물 위에 스펀지를 두면 주변 물을 거부반응 없이 빨아들인다. 스펀지의 경계는 있으나 마나 한 애매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집도 마찬가지로 이런 스펀지처럼 이웃과 주변을 거부감없이 받아들여 함께 뒤섞여 살아갈 수 있다.

DESIGN PROCESS 가로, 세로, 높이 3M의 박스를 기본 픽셀로 정하고 이들을 거주 가능한 구조물에 필요에 따라 배치해 공간을 구성한다. 이 거주 가능한 구조물에 의지 해 픽셀 단위로 구성된 공간은 흔히들 보던 공간들과는 다른 매력적인 공간을 만들 수 있다. 거주 가능한 구조물은 공간들을 지탱하는 동시에 우리가 흔히 경계에 이용하는 담장을 대신한다. 시각적으로 형태와 경계는 명확하게 보여주지만 스펀지처럼 경계가 없것이나 마찬가지라, 주변 풍경과 이웃 을 거부감없이 받아들인다.

거주 가능한 구조물

픽셀 단위로 공간구성

3x3 슬라브로 또다른 실외공간 형성

3x3 슬라브 3x3x3 기본 픽셀

-28-


FACADE DESIGN PROCESS

ZONING

사무실 식당/주방 가족 1 거주 가능한 구조물을 제거한 매스

가족 2

욕실/화장실 거실 세탁실

공유공간

계단실 복도

-29-


옥상으로 가는 계단 3층까지는 각 세대의 계단실로 오르내 려 동선이 겹치지 않지만, 3층과 옥상 을 오갈때는 두 가족이 공유하는 실외 공간의 계단을 함께 이용하게 되어 동 선이 겹치게 된다.

마당 좁은 골목처럼 되어있는 마당은 평상과 텃밭이 있고 두 가구의 가족들이 함께 이용하는 공간중 하나다. 과거 함께 지내던 그시절, 골목에서의 기억이 생생해진다.

사무실 가족1의 아버지가 요구한 사무실, 인 테리어 디자이너가 직업인 가족1의 아버지가 일을 하시는 업무공간이다. 일상생활과 업무의 분리를 위해 직접 적으로 집안과 연결되있지 않다.

-30-


옥상 두 가족이 공유하는 옥상이다. 공간이 넓기때문에 하고 자 하는것은 텃밭이나, 바베큐파티, 아니면 그냥 휴식 등 다 할수 있다. 곳곳에 농막처럼 다른 층과 마찬가지로 픽 셀단위 공간이 들어가서 비가오거나 눈이 올때도 옥상을 이용할 수 있다

뒷뜰 집의 뒷편인 남측에 있는 작은 정원이다. 1층에서만 주로 생활 을 하시게될 조부모님을 위한 공간이다.

홈 트레이닝

취미방

가족2의 어머니가 요구한 운동공간, 간단한 운동기구들이 있으며 붙어 있는 야외공간과 같이 이용하고 두 가족이 함께 이용하는 공유공간이다.

가족2의 아버지가 요구한 오디오를 두기위한 취미방, 오디오 말고도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다른 취미생활을 할 수있다. 운동공간과 마찬 가지로 두 가족이 함께 이용이 가능한 공유공간이다.

-31-


540

12T 방화석고보드

목재 반자틀

19X140 구조목

140T 우래탄폼 단열

12T 합판

2T 필름난방

10T 강마루

방수 실링 테이프 L형 강 x4

15T 방화 석고보드 19X89 구조목 80T 우래탄폼 단열 12T 합판 스타코 플랙스 마감

CROSS SECTION

-32-


-33-


FLOOR PLAN 1F

SCALE : 1/150

P P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주차 평상 텃밭 현관 주방 팬트리 식당 조부모님 침실 드레스룸 욕실 화장실 실외기 뒷뜰 자전거 주차 사무실

P

06

P

05

05

04

04

03

01

P

06

03

10

10 09

02 08

09

07

07 12 11

12 11

08

13

2F 01 02 03 04 05 06 07

14

세탁실 거실 부모님 침실 드레스룸 욕실 화장실 홈 트레이닝

02

01

01

02

07 06

04

03 05

04

-34-


3F

01 02 03 04 05

자녀 침실 드레스룸 취미공간 욕실 화장실

02

03

01

05

02

02 01

04 01

02

01

ROOF 01 02

창고/다목적 공간 옥상 텃밭

01

01

01

02

-35-


-36-


-37-


배를 엮다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학기 설계 Project Type :

Academic_Individua

Period :

2022. 09 ~ 12

Site :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 22-6 서강대학교

Building Type :

도서관

Instructor :

공순구 교수님

-38-

04


04 배를엮다 서강대학교 분관 도서관

대학은 수많은 지식과 진리에 닿을 수 있는 학문의 바다 ‘학해’ [學海]이며 도서관은 그 학문의 바다를 건널 수 있게 하는 배이다, 사람이 있어야 비로소 진정한 도서관 이 완성되듯이 학문의 바다를 건너는 도서관이라는 배는 학생들이 있음으로써 비 로소 진정한 도서관이라는 배가 완성된다, 학생들은 학문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 시 간이 오래 걸림에는 개의치 않고 끊임없이 도서관이라는 배를 엮어간다. 언젠가는 그 배를 타고 학문의 바다를 건너는 날이 올 것이다,

-39-


-40-


SITE ANALYSIS 위치 : 서울특별시마포구대흥동22-6 (서강대학교) 지목 : 학교용지 면적 : 2,860m2 구역 : 제2종 일반주거지역 대상부지는 서강대학교의 후문쪽에 위치 하고 있다. 남측으로는 서강대학교의 공 대 건물들이 접하며 북측으로는 서강대학 교의 기존 도서관인 로욜라 도서관을 접 한다. 동측과 서측은 각각 편의시설이 있 는 곤자가 플라자와 후문, 대운동장을 접 한다. 실내에 학생들이 마땅히 머물만한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이번 대상부지는 서강대학교 캠퍼스 내에서의 메인 거리에 위치하므로 기존 도서관의 분관과 학생들 의 휴식공간으로서 적합한 위치이다.

SITE

CONCEPT 이번 프로젝트에서 도서관의 컨셉은 '도서관은 학문의 바다를 건넌는 배' 이다. 학문의 바다는 대학이며 도서관의 주 이용자가 될 학생들에 의해서 완성될 배 이다. 언제 완성될지 모르고 엉성할 수는 있어도 학문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 각자 스스로의 힘으로 바다를 건널 배를 만 들어간다는 것은 그 어떤것보다 비교할 수 없는 가치를 가질것이다.

-41-


DESIGN PROCESS 서강대학교의 새로운 분관 도서관은 '학문의 바다를 건너는 배' 의 컨셉에 맞춰 앞뒤가 수직이 아니라 앞으로 기울어진 배처럼 기울어진 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서관의 정면과 동측 서측에 둘어진 수평 루버는 컨셉 삽화에서 볼 수 있듯이 학생들이 직접 배를엮을때 사용될 잡다한 재료들의 모 습을 상징한다.

01

02

03

04

05

DONE!

SITE PLAN

교수 연구실 ENT

8M 도로

IN OUT

대운동장 ENT

곤자가플라자

ENT 옥상정원 ENT 야외 휴게공간 정문방향

8M 도로

-42-

후문방향


ISO METRIC 이용자 코어 직원전용 코어

ROOF 옥상정원

4F 열람실, 서고, 사무실

3F 열람실, 서고, 사무실

2F 휴게공간, 사무실, 강의실

1F 휴게공간, 커뮤니티계단, 갤러리, 메이커스페이스, 사무실

-43-


커뮤니티계단 뒷공간 북적이는 커뮤니티계단 전면과 단절되어 아늑한 분 위기에서 캠퍼스의 대운동장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 할 수 있는 공간

열람실 가동식 수평루버이 일사량 조절이 되어 남측과 서측을 접해 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고 캠퍼스의 메인거리와 대운동장 을 내려다볼 수 있는 열람공간

1층 휴게공간과 커뮤니티 계단 캠퍼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새로운 먼남 의 광장이 되어 북적거릴 커뮤니티 계단과 그앞의 휴게공간,

보이드 공간 별도의 조명 없이도 건물내부에 자연광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해주고 갑갑하지 않은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보이드공간

-44-


열람공간의 보이드 책장이 가득해 갑갑할 수 있는 열람공간을 옥상까지 관통하는 보이드를 두어 열 람공간에 자연광이 내려오도록 하고 갑갑함을 덜 느끼도록 해준다.

개인 캐럴 좀더 집중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공간, 다른 열람공간들에 비해 폐쇄적이어서 아늑하고 남의 시선을 느낄 필요없이 집중 할 수 있다.

작은 갤러리 캠퍼스를 오가며 갤러리에 들러 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감상을 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 미술관련 전공을 하는 학생들이 본인들의 작품을 전시할 수도 있다.

3층 열람공간 中1 학생들의 각자 본인들의 공부를 하며 노고산의 자연 과 외부공간에 조성된 수공간을 보며 심신의 안정을 취한다.

-45-


PERSPECTIVE SECTION

횡 단면도

종 단면도 -46-


FLOOR PLAN 01 02 03 04

SCALE : 1/300

1F 02

03

05 사무실 06 작은갤러리 07 휴게공간

커뮤니티 계단 여자화장실 남자화장실 메이커스페이스

04

05

01

06 07

2F 02

03

04

05

01

06 04

06 -47-

01 02 03 04 05 06

커뮤니티 계단 여자화장실 남자화장실 휴게공간 사무실 강의실


3F 02

06

03

01

01 02 03 04 05 06 07

개인 캐럴 여자화장실 남자화장실 열람공간 사무실 서고 대출대

01 02 03 04 05 06 07

개인 캐럴 여자화장실 남자화장실 열람공간 사무실 서고 대출대

05

07 04

04

4F 02

06

03

01 05

07 04

04

-48-


-49-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