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ing_20100416

Page 1

2010. 4. 16. 금요일 No. 485 www.ieve.kr

퇴근길 행복충전 -이브닝

합동조사단 일문일답 민군합동조사단의 박정이 윤덕 용 공동조사단장은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천안함 함미 인양 현장조사 결 과 발표를 통해 선체 근처에서 폭발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파편을 수거해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이다 손상 형태가 어떠하기에 외부폭 발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인가?

바닥면 근처 큰 힘이 작용해서 안쪽으로 휘어있고 우측에 파손 열린 우측에서 보면 우측에서 폭발이 난 것처럼 보인다 그러 한 경우 외부 폭발에 의해 일어 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 어뢰에 직접적으로 맞은 흔적은 없다 버블제트의 흔적 아닌가?

접촉 폭발도 가능하지만 접촉하 지 않고 선체 근처에서 폭발했 을 가능성도 검토하겠다

천안함 침몰 원인은

! = 6# . "5/> - , 6# 4/ 1 + ? @A ,B CDE F#*@ 8)< GH I0 JK* L MNOP QR STU

조기 걸린 군인아파트

8)< (73 &' ;: < 2& )9%* ) 9V WX 0Y 0 Z[\*] 6 ^ _`/R STU

선체 접촉 않고 폭발 가능성 합동조사단 어뢰 등 외부 충격 후 버블제트 언급파편 일부 발견 정밀 분석 천안함 침몰사고를 조사중인 민군 합동조사단의 윤덕용 공동단장은 16 일 국방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전문가들의 판단으로는 접촉도 가 능하지만 접촉 없이 선체 근처에서 폭발했을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고 말했다 # 그는 함미 바닥면 근처에는 좌측 에서 큰 힘이 작용해 선체를 포함한 철판들이 안쪽으로 휘어있고 우측에 는 파손이 생겨 열려있다 며 우측에 서 보면 마치 우측에서 폭발이 일어 난 것처럼 보이지만 그런 형태의 파 손은 외부 폭발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 이라고 설명했 다 이는 어뢰나 기뢰가 선체에 접촉 하지 않고 수중에서 폭발해 그 압력 으로 선체를 파괴하는 버블제트 가

능성을 언급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합조단은 전날 밤샘 조사에서 선 체가 구멍이 나지 않았고 절단면이 아래에서 위로 솟구친 것 등 다양한 현상을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근거로 합조단은 함미 탄약 고와 연료탱크 디젤엔진실에 손상이 없었고 가스터빈실의 화재흔적이 없 었다는 것을 입증했다 전선피복 상 태가 양호하고 선체의 손상형태로 미뤄 내부폭발에 의한 가능성은 낮 은 것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또 초계함을 단번에 침몰시킬 수 있는 수중무기는 경어뢰와 중어뢰 기뢰 등을 꼽을 수 있지만 기뢰 가능 성은 낮다는 것이 군과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기뢰를 설치하려면 단발이 아닌 여러 발을 설치해야 목적을 이

룰 수 있다 특히 망망대해에서 단발 의 기뢰로 88m 길이의 초계함을 명 중시키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 다 이 때문에 탄두중량 270여 의 경어뢰나 300여 이상의 중어뢰에 의해 가격당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선체가 파공되지 않았기 때 문에 직격(직주)어뢰 보다는 함정의 스크루 소리를 따라가는 감응식 어 뢰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감응식 어뢰가 선체 아래 수심에서 폭발 물기둥(버블제트)을 형성한 힘 으로 선체를 밀어올리면서 동강나 침몰했을 가능성을 말한다 최종적으로 외부충격 특히 어뢰 에 의한 폭발일 경우 어뢰가 어느 나 라 제품이며 어느 나라의 잠수함 등

공격수단에 의해 발사됐는지가 앞으 로 합조단이 규명해야 할 핵심과제 로 꼽힌다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안보현실을 감안하면 북한을 일차적으로 의심할 수 있지만 이를 입증하는 파편 등 단 서를 확보해야 한다 합조단 공동단장인 박정이 합참 전력발전본부장은 직접적인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파편 일부를 발견했 고 어제 현장감식을 하면서 다수를 채취해 현재 분석작업 중 이라며 현재 사건이 일어난 원점에서부터 무인잠수정과 소나(음탐기) 등을 이 용해 정밀탐색하고 해저의 흙까지 채취할 정도의 세심한 계획과 배려 로 증거물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고 밝혔다 40$ 3

다국적팀 구성 미군 전문가팀 들이 어떤 일을 하게 되나?

미국팀은 4개 분과로 나눠 조사 활동했다 우리 전문가들과 같이 선체구조팀 폭발물 등 전문 분과 에서 공동 조사했고 호주도 마 찬가지다 함수 인양 후 파악할 수 있다고 했는데

파악 기간 얼마나 걸리나 단정 할 수 없다 문제가 되는 것은 증 거물 확보로 현재 함수가 인양 되야한다 그리고 파편과 조각 들을 채취해 원인을 제공한 폭 발물 잔해물 등을 수거하기 위 해 모든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천안함 말고 다른 파편도 있나

수거물 공개 돼 있음 직접적인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조각도 발견 파편 분석에 착수했다 폭 발 당시의 원점과 그 당시 조류 폭발 내지 사건이 일어난 원점지 점 함미가 떠내려간 지점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어도 함 등을 투입해 무인 탐사정 소 나 등으로 해저부분을 탐색해 떨 어져 있을지도 모를 증거물들을 채취 원인규명 위해 노력할 것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