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개발자를 위한 KEM 2.0 기반의
교육정보서비스 연계 구축 지침 해설서
총괄책임자 : 서대원(한국교육학술정보원) 과제책임자 : 서영석(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 : 조용상(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집필진 : 문지용(스타소프트), 황현중(스타소프트) 검토진 : 김동민(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박세훈(야베스인터넷), 박영일(컴포넌트뱅크), 변완섭(전라북도교육정보과학원), 탁진현(인터정보) 편집진 : 김새롬(한국교육학술정보원), 조경희(서보미디어), 안찬희(서보미디어) 도움 주신 분들 : 김환섭(교육인적자원부), 신호근(교육인적자원부), 정용하(대전광역시교육청)
CONTENTS … Ⅰ. KEM 2.0 통합시스템 구조 설명 1. 연계 구축시 제공되는 시스템 요소 ·····················6 2. 연계 구축후 운영되는 KEM 2.0 통합 DB 운영 방법 ·············7 3. KEM 2.0 통합 시스템 구성 ························8
Ⅱ. KEM 2.0 통합시스템 개발 환경 1. JEUS 설정 ······························12 가. JEUSMain.xml···························12 나. WEBMain.xml ···························14 2. 어플리케이션 복사 ···························15 가. 공통메뉴 ······························15 나. 종합관리도구 ····························17 다. 메타데이터 입력기··························18 3. 어플리케이션 설정 ···························19 가. 공통메뉴 ······························19 나. 종합관리도구 ····························20 다. 메타데이터 입력기··························23 4.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26 5. 설치 및 설정 확인····························27 가. 공통메뉴 ······························27 나. 종합관리도구 ····························27 다. 메타데이터 입력기··························28
1
Ⅲ. AP I 활용방법 1. KEM 2.0 API 사용 예 ·························30
Ⅳ. KEM2.0 메타데이터 설명 1. KEM 2.0 메타데이터 요소 - DB 관계 개요 ················35 2. KEM 2.0 DB 입력 예제·························36 가. ‘KEM_BASIC_INFO’와 ‘GENERAL’테이블 ··············37 3. KEM 2.0 DB 관계 설명·························40
Ⅴ. 분류체계 ver 0.96 설명 1. 분류체계 ver 0.96 입력 예제 ······················51 2. KEM 2.0 분류체계 ver 0.96 ······················54
Ⅵ. KEM 2.0 통합 DB 구조 설명 1. KEM 2.0 통합 DB 관계 다이어그램 ···················58 2. KEM 2.0 주요 테이블 목록 ·······················60 3. KEM 2.0 주요 테이블 정의서 ······················61
2
Ⅶ. KEM 2.0 주요 코드 설명 1. KEM 2.0 주요 코드 목록 ························88 2. KEM 주요 코드 설계서 ·························90
Ⅷ. 연계 구축시 인증부분 연계 방법 1. KEM 2.0 통합 입력기 연계·······················119 2. 종합관리도구연계···························121 가. 사용자 정보 설정···························121 나. 분배 테이블 설정···························122 다. 질관리 코드 관련···························123
3
표 목차 <표Ⅱ-1> inputerService.properties 속성표·················23 <표Ⅷ-1> inputer.htm에 필요한 input Parameter 속성표···········120 <표Ⅷ-2> 종합관리도구에서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변수 속성표········121 <표Ⅷ-3> 질관리 분배 테이블에서 필요한 속성표···············123 <표Ⅷ-4> 메타데이터 상태 코드표 ·····················124 <표Ⅷ-5> 품질관리 상태 코드표 ······················124 <표Ⅷ-6> 질관리 유효성 산출 코드표 ····················125 <표Ⅷ-7> 질관리 평가항목 코드표 ·····················125
그림 목차 [그림Ⅰ-1] KEM 2.0 통합 D B와 현행 공유체제와의 연계 예···········5 [그림Ⅰ-2] KEM 2.0 통합DB 연계시 제공되는 시스템적 요소·········· 6 [그림Ⅰ-3] 연계 구축후KEM 2.0 통합DB 운영 방법···············8 [그림Ⅰ-4] 에듀넷KEM 2.0 통합 시스템 구성도 ················9 [그림Ⅱ-1] KEM 2.0 통합 시스템 설치 과정··················11 [그림Ⅱ-2] 공통메뉴EJB 모듈 복사 예 ····················16 [그림Ⅱ-3] 공통메뉴 웹 어플리케이션의 복사 예················17 [그림Ⅱ-4] 공통메뉴의 정적인 파일을 W E B t o B와 연계하는 예········17 [그림Ⅱ-5] 종합관리도구 웹 어플리케이션의 복사 예··············17 [그림Ⅱ-6] 종합관리도구의 정적인 파일을 W E B t o B와 연계하는 예······18 [그림Ⅱ-7]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어플리케이션의 복사 예 ···········18 [그림Ⅱ-8] 메모장으로 열어본 InputerService.properties 파일 ········24 [그림Ⅱ-9] 메모장으로 열어본 log4j.properties 파일 ·············24 [그림Ⅱ-10] 스키마 다이어그램형식의 server-config.wsdd 파일········25 [그림Ⅱ-11] 공통메뉴의 메인 페이지·····················26 [그림Ⅱ-12] 종합관리도구의 로그인 화면···················27 [그림Ⅱ-13] 종합관리도구의 메인 페이지 화면 ················27 [그림Ⅱ-14] 메타데이터 입력기의 w s d d파일을 웹 브라우저에서 확인한 모습··28 [그림Ⅲ-1] KEM 2.0 API 제공 초기화면···················29 [그림Ⅷ-1]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서비스 페이지 링크·············119 [그림Ⅷ-2] 종합관리도구 인증 관련 페이지 구성···············121
4
Ⅰ. KEM 2.0 통합 시스템 구조 설명 KEM 2.0 통합 DB를 기반으로 개발되는 시스템은 웹서버, 어플리케이션서버, DB서버로 구성되는 3-tier 구조로 구성되며, 기능적인 구조는 KEM 2.0 통합 DB를 기반으로 전국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공통메뉴'와 질관리 도구, 통계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종합관리도구', XML WebService 기술을 이용한 '통합 입력기'로 이루어져 있다. KEM 2.0 통합 DB는 현행 공유체제가 시·도의 기존 운영 DB(Legacy DB)와 분리된 상태에서 연계되었던 것에 비해, 시·도의 교수.학습 DB 재구조화 차원에서 완전 통합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시·도의 교수학습지원센터 DB 재구조화가 일시에 진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행 공유체제와 KEM 2.,0 통합 DB는 어떤 방식으로든 연계가 되어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6개 시·도의 DB재구조화 관련 현재 상황은 2003년에 약 8개 시·도가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이며, 나머지 8개 시·도가 2004년에 재구조화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듀넷 교수.학습 DB
KEM 2.0 통합 DB
단방향 이관
공유체제 DB
양방향 이관
KEM 2.0 기반 교수.학습지원센터
…
현행 전국 공유체제
…
[그림 Ⅰ-1] KEM 2.0 통합 DB와 현행 공유체제와의 연계 예 위 그림과 같이 KEM 2.0 통합 DB와 연계된 시·도의 교수학습지원센터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KERIS라 칭함)에 위치한 KEM 2.0 통합 DB와 전송모듈 등을 이용해서 연계되어 운영된다. 반면, 현행 공유체제와 연계된 시·도의 경우는 지금까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단은 현행 공유체제에 연계되어 있다. 주목할 점은 KERIS에 위치한 KEM 2.0 통합 DB와 공유체제 DB간 양방향으로 각각 변경된 정보에 대한 이관을 5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KEM 2.0 통합 DB로 구축되어 있는 시·도나 현행 공유체제로 연계되어 있는 시·도나 검색자료의 건수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몇가지 차이점은 검색하는 자료의 건수가 아니라, 제공되는 메타데이터의 상세정도 및 질관리 수준, 제공되는 검색메뉴, 질관리 도구, 메타 입력기 등 교수학습지원센터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적 요소들에 있다.
1. 연계 구축시 제공되는 시스템 요소 다음 그림은 KERIS에서 16개 시·도 및 유관기관에 재구조화 및 연계를 위해 초기에 제공되는 시스템적 요소를 보여준다.
공통메뉴(검색)
통합입력기(입력)
KEM 2.0 통합 DB
질관리도구(관리)
KEM 2.0 통합 DB 연계를 위한 전송모듈
[그림 Ⅰ-2] KEM 2.0 통합 DB 연계시 제공되는 시스템적 요소 우선, 공통메뉴는 전국자료 검색을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따라서 KEM 2.0 통합 DB 재구조화한 시·도의 공유하지 않는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지역자료 검색'메뉴1)를 개발하거나 제공된 프로그램을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공통메뉴에서 제공되는 검색방법은 DB에서 직접 검색을 하는 '분류검색'방법과 키워드를 입력해서 검색엔진을 1)
지역자료 검색메뉴가 실질적으로는 시.도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구현하는 UI 구성이므로, 전국자료 검색과 통합되지 않는 것이 차별화된 요소를 강조하기에 더 용이하다.
6
이용하는 '키워드검색'방법 2가지이다. 전국자료를 키워드검색으로 검색할 때 사용하는 검색엔진은 KERIS에 위치한 K2색인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시·도에서 자체 통합 색인을 확보하기 전까지는 전국자료에 대한 색인과 지역자료에 대한 색인 또는 DB 검색결과를 구분해서 검색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야 한다. 통합 입력기는 KEM 2.0에 소개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입력할 수 있고, 대용량의 파일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XML WebService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된 메타 입력기이다. 통합 입력기의 특징은 시·도에서 개별적으로 메타의 요소를 조정할 수 있고, 입력기에 보이는 타이틀 등 시·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확보 및 질관리 정책에 따라 개별화를 시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메타데이터 요소중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초기값을 설정하면 그만큼 입력자의 입력요소는 줄어들게 되는데, 약 5~8가지 요소정도를 사용자가 입력하게 될 것이다. 질관리 도구는 입력기를 통해 입력된 메타데이터 또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확인하여 점검한 결과 오류가 발생한 자료들에 대하여 검증자에게 분배하여 검증토록 하는 일련의 질관리 절차를 구현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질관리 도구에는 URL 확인, 첨부파일 유효성 확인 등과 같은 시스템이 자동으로 점검해주는 기능을 포함하여, 검증자가 내용검증 후, 평가할 수 있는 기능 및 검증통계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제공되는 질관리 도구에서 시·도에서는 확장하여 부가 서비스를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SMS 서비스 등 질관리 도구의 핵심과는 별개로 연계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적 요소들은 모두 KEM 2.0 통합 DB를 기반으로 운영되는데, 연계구축을 위해 사실상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KEM 2.0 통합 DB 설치라고 할 수 있다. KEM 2.0 통합 DB에는 16개 시·도 및 유관기관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코드 및 마스터 정보를 스키마 구조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7차 교육과정상의 단원ᆞ주제 체계나, 분류체계 v0.96코드, 기관ID 등의 코드를 초기 DB 구축시 제공받을 수 있다.
2 연계 구축후 운영되는 KEM 2.0 통합 DB 운영 방법 이제 연계 구축후 운영되는 KEM 2.0 통합 DB의 구조도를 살펴본다. 현행 공유체제의 경우, 공유체제 DB에 탑재되면 무조건 공유되는 구조였으나, KEM 2.0 통합 DB는 이와는 조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7
예) 290,000건
예) 30,000건 시.도 KEM 2.0 통합 DB
전국 KEM 2.0 통합 DB
지역자료 (비공유)
16개 시.도
지역자료 (공유)
공유자료 메타 전송
갱신코드 전송
검증된 전국자료 메타
에듀넷 에듀넷 KEM 2.0 통합 DB
전국 KEM 2.0 통합 DB
[그림 Ⅰ-3] 연계 구축후 KEM 2.0 통합DB 운영 방법 위 그림은 시·도에 위치한 DB 2개와 에듀넷에 위치한 DB 2개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좌측 상단의 시·도 KEM 2.0 통합 DB가 해당 지역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유 및 비공유자료 이다. 공유자료에 대해서 질검증이 끝나면, 전송모듈이 에듀넷 KEM 2.0 통합 DB에 메타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전국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 정보(기관코드, 단원, 주제 등)가 갱신되는 경우, 시·도 KEM 2.0 통합 DB에 전송모듈이 코드값을 수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외에는 전송모듈이 어떠한 시·도의 데이터도 변경하거나 임의로 참조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사용자 인증 및 기본 정보는 시·도에서만 보관하게 되어있으며, 에듀넷과의 연계부분은 전혀 없다. 따라서 입력기 및 질관리 도구 연계시 사용자 인증부분은 각 시·도에서 연계방안에 따라 연계해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듀넷에 전송된 전국자료의 경우, 전국단위의 검증단이 2차 검증을 마치고 나면, 에듀넷의 공통메뉴를 포함해서 16개 시·도에 검증이 끝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3 KEM 2.0 통합 시스템 구성 현재 에듀넷에 개발되어 있는 KEM 2.0 통합시스템 환경은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8
[그림 Ⅰ-4] 에듀넷 KEM 2.0 통합 시스템 구성도 웹서버 및 어플리케이션(미들웨어)는 WEBtoB 와 JEUS 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현행 공유체제와 같이 웹서버는 정적인 html, 이미지 등의 자료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JSP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서버는 DB 연동과 같은 동적인 자료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특히 JEUS 는 통합 입력기 및 전송모듈이 설치되는 곳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곳이다. 색인과 DB 는 현행 공유체제와 같이 K2 와 Oracle 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전송대상으로 인식되는 과정과 색인에 추가 또는 삭제 대상으로 인식되는 과정은 유사한 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먼저 DB 에서 변경이 발생하면 트리거가 작동하여 큐(queue)테이블에 등록을 하게 된다. 전송모듈과 검색엔진 각각의 서버 프로세스가 사전에 설정된 시간 임계치에 도달하면 전송 큐와 검색 큐를 참조하고 전송 또는 색인 생성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지금까지 KEM 2.0 통합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지는 각 장에서는 세부적으로 구현되는 메타데이터 요소, 분류체계, DB 구조, 입력기 및 질관리 도구 연계 방안 등에 대해 다루게 될 것이다.
9
성공적인 연계구축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시스템이 어떤 데이터를 다루는지에 대한 데이터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지침해설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S/W 설치나 이해 보다는 메타데이터 및 분류체계를 먼저 이해하고, DB 구조를 이해한 후에 소프트웨어 구성으로 접근하는 것을 권장한다.
10
Ⅱ. KEM 2.0 통합 시스템 개발환경 앞에서 에듀넷의 KEM 2.0 통합 시스템은 웹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서버(미들웨어)는 WEBtoB 와 JEUS 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설명한 바 있다. 이번 장에서는 에듀넷의 개 발환경 설정방법에 대해 설명하는데 시.도의 개발환경이 차이가 날 수는 있지만, KERIS 에 서 제공하는 시스템요소를 활용하는 경우 참고가 될 것이다.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 로 진행 할 수 있는데 세부적인 내용은 지금부터 살펴보도록 한다.
[그림 Ⅱ-1] KEM 2.0 통합시스템 설치 과정 ▣ JEUS 설정 KEM 2.0 통합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JEUS 서버에 컨테이너 혹은 엔진들을 설정하기 위해서 JEUSMain.xml 파일을 설정하는 과정이 가장 우선이다. 그 다음 KEM 2.0 통합 시스템 설치작업은 WEBMain.xml 파일을 설정이고, 공통 메뉴, 종합관리도구, 입력기 등 응용프로그램의 EJB 모듈을 설치하기 위해서 EJBMain.xml 파일을 설정한다. sample_config 디렉토리에 이 설정들의 예제가 있으므로 참조하기 바란다.
JEUSMain.xml
11
WEBMain.xml
EJBMain.xml
▣ 어플리케이션 복사 KEM 2.0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인 어플리케이션을 복사한다. 복사 대상은 ejb_apps/Sharing.jar 파일과 web_apps/cm_menu 디렉토리, library 디렉토리 의 jar 파일 들이다. ▣ 어플리케이션 설정 KEM 2.0 통합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web.xml 파 일을 설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절에서 설명한다. ▣ WEBtoB 설정 WEBtoB 의 설정 파일인 http.m 파일을 설정한다. 만약 html 이나 이미지 같은 정적인 파일들을 WEBtoB 에서 처리하도록 할 경우 KEM2.0 통합 시스템에 적합할 설정을 추가 로 작성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sample_config 디렉토리의 http.m 예제 파일을 참조하도 록 한다. ▣ 설치 확인 메인 페이지의 URL 을 웹 브라우저에서 확인하고 해당 메뉴들에서 데이터들을 확인한 다. 이 과정에서 KEM 2.0 통합 시스템이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1. JEUS 설정 가. JEUSMain.xml 현재 에듀넷의 KEM 2.0 통합 시스템은 JEUS 라는 어플리케이션서버(WAS : Web Application Server)를 사용하여 구축되었다. 만약 다른 어플리케이션서버를 사용한다 면 해당 서버의 데이터 소스 설정파일을 수정하면 되는데 본 절에서는 JEUS 의 설정을 예 로 든다. JEUS 의 데이터 소스 설정 2)은 JEUSMain.xml 에서 한다. JEUSMain.xml 파일에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하는 데이터 소스를 선언하는 부분이 있다. JEUSMain.xml 의 최상위 요소(root element)는 jeus-system 이다. 최상위 요소 밑 에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가 있고, 그 밑으로 data-source 라는 요소(element) 에 다수의 데이터 소스를 추가할 수 있다. 지금부터 KEM 2.0 통합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별 설정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2)
데이터소스는 어플리케이션서버에서 DB 서버로 접근하기 위한 설정을 하는 일종의 환경파일이다.
12
▣ 공통메뉴: 아래코드는 kcmDS 라는 이름의 데이터소스가 설정되어 있는 JEUSMain.xml 파일의 일부분이다. 공통메뉴가 사용하는 데이터 소스 이름은 kcmDS 라는 이름으로 예약이 되 어 있으므로 반드시 이 이름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resource> <data-source> <database> <vendor>oracle</vendor> <export-name>kcmDS</export-name> <data-source-class-name> oracle.jdbc.pool.OracleConnectionPoolDataSource </data-source-class-name> <data-source-type>ConnectionPoolDataSource</data-source-type> <database-name>db</database-name> <data-source-name> oracle.jdbc.pool.OracleConnectionPoolDataSource </data-source-name> <user>tsunify</user> <password>unifyts</password> <port-number>1521</port-number> <server-name>localhost</server-name> <driver-type>thin</driver-type> <connection-pool> <pooling> <min>5</min> <max>20</max> </pooling> </connection-pool> </database> … … </data-source> </resource>
13
▣ 종합관리도구 종합관리도구가 사용하는 데이터 소스 이름은 komtDS 라는 이름으로 예약이 되어 있 으므로 반드시 이 이름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설정의 예는 위와 같고 이름을 kcmDS 에서 komtDS 로 대체하도록 한다. ▣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가 사용하는 데이터 소스 이름은 kemEditorDS 라는 이 름으로 예약이 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이 이름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설정의 예는 위와 같 고 이름을 kcmDS 에서 kemEditorDS 로 대체하도록 한다. 나. WEBMain.xml WEBMain.xml 은 JEUS 의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사용하는 설정파일이다. 보다 자세한 설정은 JEUS 의 사용자 메뉴얼을 참조하기 바란다. KEM 2.0 통합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WAS)에서 지원하는 인코딩 설정에 의존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자열을 인코딩, 디코딩하는 코드가 필요 없는데, 다음은 인코딩 설 정의 예이다. 굵은 글씨체로 된 부분이 한글 인코딩 설정이다. <context-group> <group-name>tsunifyGroup</group-name> <group-docbase>tsunifyGroup</group-docbase> <context> … </context> <context> … </context> <context> <context-name>cm_menu</context-name> <context-path>/cm_menu</context-path> </context> <session-config> <timeout>30</timeout> <shared>true</shared> </session-config>
14
<encoding> <request-encoding> <default>euc-kr</default> </request-encoding> <response-encoding> <default>euc-kr</default> </response-encoding> <postdata-encoding> <default>euc-kr</default> </postdata-encoding> </encoding> … … </context-group>
위 예제에서는 공통메뉴 어플리케이션의 Context Path 는 cm_menu 로 설정되어 있 다. 다음으로 각 모듈 단위의 설정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물리적인 위치와 실제 서비스될 경로를 고려하여 위의 예와 맞도록 설정한다. ☼ 기타 WEBtoB 와의 연동 및 인증 등의 설정은 JEUS 서버 가이드를 참조하기 바란 다.
2. 어플리케이션 복사 가. 공통메뉴 공통메뉴는 EJB 모듈과 웹 어플리케이션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가지 구성요 소를 구분해서 설명한다. 1) EJB 모듈의 복사 아래의 그림은 공통 EJB 모듈을 복사하는 것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왼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JEUS 의 표준 디렉토리 형식이고 오른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배포된 애플리케이 션의 디렉토리 구조인데, 공통메뉴의 ejb_apps 의 Sharing.jar 파일을 $JEUS_HOME/ web_home/ejb_home 밑에 복사한다. 15
[그림 Ⅱ-2] 공통메뉴 EJB 모듈 복사 예 2) 웹 어플리케이션의 복사 아래의 그림은 공통메뉴의 Web Application 을 복사하는 것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왼 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JEUS 의 표준 디렉토리 형식이고 오른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배포 된 어플리케이션의 디렉토리 구조이다. 공통메뉴의 cm_menu 디렉토리를 $JEUS_ HOME/web_home/servlet_home/tsunifyGroup 밑에 복사를 한다
[그림 Ⅱ-3] 공통메뉴 웹 어플리케이션의 복사 예
16
다음은 정적인 파일을 WEBtoB 에서 처리할 때의 예이다. 성능 측면에서 고려할 때, 아 래의 common 과 img 디렉토리와 같이 이미지나 자바 스크립트 들을 포함한 디렉토리를 잘라내어서 WEBtoB 의 htdocs(WEBtoB 에서 웹 문서를 위치하는 기본 디렉토리)등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그림 Ⅱ-4] 공통메뉴의 정적인 파일을 WEBtoB 와 연계하는 예 나. 종합관리도구 아래의 그림은 종합관리도구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복사하는 것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왼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JEUS 의 표준 디렉토리 형식이고 오른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배 포된
어플리케이션의
디렉토리
구조이다.
종합관리도구의
omt
$JEUS_HOME/web_home/servlet_home/tsunifyGroup 밑에 복사한다
[그림 Ⅱ-5] 종합관리도구 웹 어플리케이션의 복사 예 17
디렉토리를
다음은 정적인 파일을 WEBtoB 에서 처리할 때의 예이다. 공통메뉴의 그것과 마찬가지 로 성능 측면에서 아래의 common 과 img 디렉토리와 같이 이미지나 자바 스크립트들을 포함한 디렉토리를 잘라내어서 WEBtoB 의 htdocs(WEBtoB 에서 웹 문서를 위치하는 기 본 디렉토리)등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그림 Ⅱ-6] 종합관리도구의 정적인 파일을 WEBtoB 와 연계하는 예 다. 메타데이터 입력기 아래의 그림은 메타데이터 입력기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복사하는 것의 예를 나타낸 것이 다. 왼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JEUS 의 표준 디렉토리 형식이고 오른쪽의 디렉토리 구조가 배 포된
어플리케이션의
디렉토리
구조이다.
종합관리도구의
kem_edit
디렉토리를
$JEUS_HOME/web_home/servlet_home/tsunifyGroup 밑에 복사한다
[그림 Ⅱ-7]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어플리케이션의 복사 예
18
메타데이터 입력기에서는 이미지 등 정적인 파일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WEBtoB 에 대한 설정은 생략한다.
3. 어플리케이션 설정 가. 공통메뉴 ▣ web.xml K2 Host: K2 검색엔진이 위치한 곳을 명시한다. 같은 서버에 존재하면 localhost 로 기입한다. 기 본값은 localhost 이다. <context-param> <param-name>k2-host</param-name> <param-value>localhost</param-value> </context-param>
K2 Port: K2 엔진이 사용하는 Port 명을 명시한다. 디폴트는 9997 이다. <context-param> <param-name>k2-port</param-name> <param-value>9997</param-value> </context-param>
Debug Mode 설정: 이 Parameter 의 값이 true 이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쿼리 문장을 표준 출력한다. 만약 false 이거나 아무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context-param> <param-name>sql-debug-mode</param-name> <param-value>true</param-value> </context-param>
19
▣ http.m http.m 은 WEBtoB 에서 사용하는 설정파일이다. 자세한 설정은 WEBtoB 의 메뉴얼을 참조하도록 한다. http.m 파일에서는 URI 절에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설정하여 img 와 common 디렉토 리의 내용을 WEBtoB 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URI first uri second uri … … … uri_cm_menu_img uri_cm_menu_common
Uri = "/cm_menu/img/", Svrtype=HTML Uri = “/cm_menu/common/”, Svrtype=HTML
나. 종합관리도구 ▣ web.xml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설정 : 현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서버가 KERIS 이면 true, 아니면 false 이다. 기본값은 false 이다. <context-param> <param-name>is-keris</param-name> <param-value>true</param-value> </context-param>
K2 엔진 URL: K2 엔진이 위치한 곳을 명시한다. 같은 서버에 존재하면 localhost 로 기입한다. 디폴 트는 localhost 이다. <context-param> <param-name>k2-uri</param-name> <param-value>localhost</param-value> </context-param>
20
K2 엔진 Port: K2 엔진이 사용하는 Port 명을 명시한다. 디폴트는 9997 이다. <context-param> <param-name>k2-port</param-name> <param-value>9997</param-value> </context-param>
메타데이터 편집기 URL: 메타데이터 편집기의 URL 을 명시한다. 질관리에서 이 URL 을 읽어서 편집기를 실행 한다. <context-param> <param-name>kem-editor-url</param-name> <param-value>http://kmt.edunet4u.net:8085/kemedit/editer.htm</param-value> </context-param>
메타데이터 입력기 URL: 메타데이터 입력기의 URL 을 명시한다. <context-param> <param-name>kem-inputer-url</param-name> <param-value>http://kmt.edunet4u.net:8085/kemedit/inputer.htm</param-value> </context-param>
전송 모듈 Base Port : 전송 모듈의 Base Port 명을 기입한다. 기본값은 80 이다. <context-param> <param-name>transfer-module-port</param-name> <param-value>80</param-value> </context-param>
21
전송 모듈 URL: 전송 모듈이 위치한 URL 을 기입한다. 기본값은 localhost 이다. <context-param> <param-name>transfer-module-uri</param-name> <param-value>localhost</param-value> </context-param>
Debug Mode 설정: 이 Parameter 의 값이 true 이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쿼리 문장을 출력한다. 만약 false 이거나 아무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context-param> <param-name>sql-debug-mode</param-name> <param-value>true</param-value> </context-param>
▣ http.m http.m 은 WEBtoB 에서 사용하는 설정파일이다. 자세한 설정은 WEBtoB 의 메뉴얼을 참조하도록 한다. http.m 파일에서는 URI 절에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설정하여 img 와 common 디렉토 리의 내용을 WEBtoB 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URI first uri second uri …
22
… uri_cm_menu_img
Uri = "/omt /img/", Svrtype=HTML
uri_cm_menu_common
Uri = “/omt/common/”, Svrtype=HTML
다. 메타데이터 입력기 메타데이터 입력기의 web.xml 설정은 기본으로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따른 다. 별도로 아래와 같은 설정 파일의 설정이 필요하다. ▣ inputerService.properties inputerService.properties 파일은 WEB-INF/classes 디렉토리 밑에 위치한다. inputerService.properties 파일에는 메타데이터 웹 서비스를 설정하는 설정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첨부파일 업로드 경로, 입력기의 폼 설정, 분류 코드 등을 설정할 수 있는 값 들이 들어있다. <표 Ⅱ-1> inputerService.properties 속성표 Parameter Name Progid
ContentRootPath DBRootPath
FileServerSeqNum
DataTypeNCode
optionConfigNCode
classificationSavePath
dynamicFormConfigPath
23
Description 입력기 웹 서비스가 설치된 서버의 ID 를 이곳에 명시 한다. 이 값은 서버의 Node 명 등을 사용해도 된다. 애플 리케이션 동작 시 제약이 있는 값은 아니다. 입력기를 통해서 전송되는 첨부 파일을 저장하는 Root 디렉토리의 경로를 명시한다. Site 에서 다운로드 받을 시 서버의 URL 다음 경로를 명시한다. 즉, 실제 파일 다운로드 경로 중 중간 경로를 나 타낸다. 데이터베이스의 INST_SERVER_INFO 테이블의 SEQ_NO 를 명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KEM Schema 를 참조한다. Data Type 이 변경되었을 경우 여기에 날짜를 명시한 다. 이 날짜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새로운 설정파일 을 내려 받게 된다. Common Code 가 변경되었을 경우 여기에 날짜를 명 시한다. 이 날짜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새로운 설정 파일을 내려 받게 된다. 분류 정보를 가지고 있는 XML 파일인 clas_code.xml 의 경로를 명시한다. 분류 정보가 변경될 경우 여기에 명 시된 파일(clas_code.xml)을 변경하거나 혹은 다시 넣게 된다. 입력기 클라이언트의 동적 생성을 위한 설정 파일인 dynamicFormConfig.xml 파일의 경로를 명시한다.
아래는 inputerService.properties 파일의 예제를 메모장으로 열어본 것이다.
[그림 Ⅱ-8] 메모장으로 열어본 inputerService.properties 파일 ▣ log4j.properties log4j.properties 파일은 WEB-INF/classes 디렉토리 밑에 위치한다. log4j.propert yes 파일에는 메타데이터 웹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로그를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설정 할 수 있는 파일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수정할 부분은 log4j.appender.LOGFILE.File 로서 여기에 웹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로그를 저장할 파일을 명시한다. 아래의 그림은 log4j.properties 파일의 예를 메모장에서 열어본 것이다.
[그림 Ⅱ-9] 메모장으로 열어본 log4j.properties 파일
24
▣ server-config.wsdd server-config.wsdd 파일은 WEB-INF 디렉토리 밑에 위치한다. server-config. wsdd 파일은 Axis 에서 웹 서비스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등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첨 부(attachment) 설정, 웹 서비스에서 익스포트할 메소드 설정 등 자세한 설정을 할 수 있 다. 아래의 server-config.wsdd 파일의 스키마 다이어그램을 보면 이 파일의 구조를 쉽 게 알 수 있다.
[그림 Ⅱ-10] 스키마 다이어그램형식의 server-config.wsdd 파일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 설치 후, 설정할 요소는 deployment-globalConfigurati on 의 parameter 요소 중 name 속성이 attachments.Directory 인 것만을 수정한다. attachments.Directory 는 통상적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WEB-INF/attachment s 로 지정해 주도록 한다.
4.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JEUS 를 실행하여 공통메뉴 웹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고 WEBtoB 를 실행시켜 JEUS 와 연동하도록 한다. 자세한 사항은 JEUS 메뉴얼과 WEBtoB 메뉴얼을 참조한다.
25
JEUS 의 기동은 $JEUS_HOME/bin/jboot 와 같이 하고, 종료는 $JEUS_HOME/bin/jdown 과 같이 한다. 이 파일은 JEUS 를 설치한 곳에 따라 다른 이름을 수 있다. WEBtoB 의 기동은 $WEBTOBDIR/bin/wsboot 와 같이 하고, 종료는 $WEBTOBDIR/bin/wsdown 과 같이 한다.
5. 설치 및 설정 확인 가. 공통메뉴 공통메뉴 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다음과 같은 URL 을 통해서 확인한다. http://localhost/some_context_path/citysharing/CommonMenuMain.jsp 다음 페이지는 시.도 교육청 공통메뉴의 메인 페이지이다.
[그림 Ⅱ-11] 공통메뉴의 메인 페이지
26
나. 종합관리도구 종합관리도구 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는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서 종합관리도구 메인 페이지로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지를 확인한다. 아래는 종합관리도구의 로그인 화면이다. 여기서 허가된 아이디와 해당 패스워드를 입 력한다.
[그림 Ⅱ-12] 종합관리도구의 로그인 화면 아래와 같은 종합관리도구 메뉴 페이지로 이동하면 설치 및 설정확인이 정상적으로 수 행된 것이다.
[그림 Ⅱ-13] 종합관리도구의 메인 페이지 화면 27
다. 메타데이터 입력기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 에서 공개한 서비스 이름은 KerisMetaService 이다. 이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대기 중인지 는 아래의 URL 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화 면과 같이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가 정상적으로 출력된다면 설 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림 Ⅱ-14] 메타데이터 입력기의 wsdd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서 확인한 모습
28
Ⅲ. API 활용 방법 1. KEM 2.0 API 사용 예 KEM 2.0 통합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현재 API 가 제공되는 시스템은 공통메뉴이다. 연계 구축하는 기관에서 공통메뉴와 관련된 기능 또는 KEM 2.0 통합 DB 에 접속해서 작업하는 특정한 기능들을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이 API 는 JAVA 문서와 같이 HTML 문서로 작 성되어 있으며, KERIS 의 연계구축 지침서 안내 사이트에서 항상 최신버전을 서비스하고 있다. 아래의 그림은 API 가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Ⅲ-5] KEM 2.0 API 제공 초기화면 위 그림에서 좌측 상단에 위치한 ‘Packages’ 부분은 KEM 2.0 API 에서 제공되고 있는 패키 지의 전체 목록이다. 현재는 연계구축기관에서 활용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지속적으로 갱신해 나가고 있으며, 계속 요청에 의해 보완 또는 추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좌측 하단에 나오는 ‘Classes’ 부분은 선택한 패키지에 포함된 클래스 목록을 보여주고 있다. 우측이 선택한 클래스에 대한 상세 내용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전체 목록의 내용을 설명 29
하기에는 지면이 부족한 관계로 본 장에서는 예제로 ‘BaseDao’라는 클래스의 설명내용만을 설명한다.
keris.common.dao
Class BaseDao java.lang.Object | +--keris.common.dao.BaseDao public class BaseDao extends java.lang.Object 최초 작성일: 2003/07/01
Description: DB data 를 access 하기 위한 Base DAO(Data Access Object) class 요구하는정보를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리턴하는 클래스를 DAO(Data Access Object)라 명칭하며 BaseDAO 클래스는 DAO 클래스에서 사용되는 공통적인 기능을 구현한다. 각 기능별 DAO 클래스는 이 BaseDao 클래스를 상속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어떤 클래스(AnyClass)가 BaseDao 클래스를 상속받아 기본적인 메소드를
사용하고 추가로 자신만의 Operation 을 정의하여 구현한 모습을 모여주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이다.
30
사용예: 상속받아 구현하는 클래스에서 사용한다. 위 다이어그램의 AnyDaoClass 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AnyDaoClass anyDaoClass = new AnyDaoClass();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얻어서 설정하기 ConnectionWrapper connectionWrapper = null; Connection con = null; try { connectionWrapper = new ConnectionWrapper(); con = connectionWrapper.getConnection(); //두 operation 이 한 트랜잭션으로 구셩될 경우 con.setAutoCommit(false); anyDaoClass.setConnection(con); anyDaoClass.anyOperation1(); anyDaoClass.anyOperation2(); con.commit(); } catch (SQLException e) { } catch (DaoException e) { } finally { if (con != null) con.close(); }
31
수정 내역: Version: 1.0.0 Author: 장세희
Field Summary protected boolean
bDebug
debug mode protected java.sql.Connection
conn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
Constructor Summary BaseDao()
BaseDAO 의 무인자 생성자 BaseDao(java.sql.Connection connection)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을 Parameter 로 받는 생성자
Method Summary java.sql.Connection
getConnection()
Connection 을 get 한다. java.lang.String
iTOs(int i)
정수를 String 으로 바꾼다. void
setConnection(java.sql.Connection connection)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을 set 한다. Methods inherited from class java.lang.Object clone, equals, finalize, getClass, hashCode, notify, notifyAll, toString, wait, wait, wait
Field Detail 1.1.1 conn protected java.sql.Connection conn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 32
1.1.2 bDebug protected boolean bDebug
debug mode
Constructor Detail 1.1.3 BaseDao public BaseDao()
BaseDAO 의 무인자 생성자 1.1.4 BaseDao public BaseDao(java.sql.Connection connection)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을 Parameter 로 받는 생성자 Parameters: connection -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Method Detail 1.1.5 getConnection public java.sql.Connection getConnection()
Connection 을 get 한다. Returns: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1.1.6 setConnection public void setConnection(java.sql.Connection connection)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을 set 한다. Parameters: connection - set 할 데이터베이스 Connection
1.1.7 iTOs public java.lang.String iTOs(int i)
정수를 String 으로 바꾼다. 사용예: int i = 10;
33
String iString = new BaseDAO().iTOs(i);
Parameters: i - 바꿀 정수
Returns: 변환된 String
34
Ⅳ. KEM 2.0 메타데이터 설명 현행 공유체제 메타데이터는 18 개 요소 3)를 사용하고 있으며, 요소들간의 관계는 수평 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장점은 요소가 적으므로 이해 및 시스템적인 구현 이 용이하다는 것이지만, 반대로 단점은 확장성이 떨어지고 사용하는 기관 마다의 특징적 인 요소를 적용하기가 어려워서 공유되는 자료의 성격이 많아지면서 한계에 부딪친다. 현 행 공유체제 메타데이터의 단점이 KEM 2.0 으로 확장하게 된 배경이 되었으며, 학습자 원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국제적인 흐름에 맞추어서 LOM 과의 호환성을 같이 고려하게 되 었다. KEM 2.0은 학습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인 LOM 1.0의 대부분을 그대로 채 용했으며, 일부 국내 교육환경에 맞는 일부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를 정의 하였다. KEM 2.0이 현행 공유체제 메타데이터와 다른 큰 특징중 하나는 계층구조를 갖 고 있어서 확장성이 있으며, 메타요소는 많지만 구현시 기본값들과 필수요소를 제한하고 있어서 거의 현행 공유체제 수준의 용이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1. KEM 2.0 메타데이터 요소-DB관계 개요 뒤에 나오게 될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이라는 표에 KEM 2.0에서 사용되 는 요소 및 각 요소가 DB에는 어떻게 대응되는 지가 표현되어 있다. 본 절에서는 그 표를 이해하기 위해 사전에 알아야 할 항목들에 대해 설명한다. 분류 : 요소간의 계층관계를 나타내는 돗트(.)표기법을 이용한 식별자이다. 요소명 : KEM 2.0에서 사용하는 컨테이너(container)와 값(value)에 대한 요소이다. 구분 : 각 요소가 컨테이너(C 로 표기)인지 값(V로 표기)인지를 구분한다. 필수 : 각 요소가 필수(M 으로 표기)인지 선택(O 로 표기)인지를 구분한다. 출처 : 각 요소를 LOM에서 차용했는지 KEM(Keris Educational Metadata)에서 확장했는지를 구분한다. 다중성 : 각 요소가 하나의 자원을 표현하기 위해서 최소한 몇번 그리고 최대한 몇번 3)
공유체제 18 개 요소 (1) 제목 (2) 저자명 (5) 자료 설명 (6) 자료 등록일 (9) 자료의 유형 (10) 학교급 (13) 학기 (14) 대단원 (17) 주제어 (18) 썸네일
35
(3) 저자의 소속기관 (7) 자료 내용 유형 (11) 과목 (15) 중단원
(4) 저자의 메일주소 (8) 자료의 크기 (12) 학년 (16) 소단원
발생하는지를 선언한다. 데이터유형 : 각 요소가 표현하는 데이터유형에 대한 선언으로 이것은 다중성과 함께 DB를 설계할 때 참조되는 중요한 정보. 특히 어휘(Vocaburary) 라고 제한된 값만을 사용하도록 선언되어 있는 부분은 어휘에서 제안된 코드를 사용해야 한다. 어휘 : 특정요소에 코드화한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교환되는 메타데이터의 상세정보에 대한 식별에 제한을 두고 있다. DB.논리 스키마 : KEM 2.0 통합 DB erd상에 표현되어 있는 논리모델에서 대응되는 논리 스키마명을 가르키고 있다. 단, 구분에서 값(V로 표기)에 대해서만 대응되어 있는데 컨테이터(C로 표기)는 데이터로서의 의미보다는 XML 바인딩할 때, 식별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BD에서 반드시 표현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DB.논리 칼럼 : KEM 2.0 통합 DB erd상에 표현되어 있는 논리모델에서 대응되는 논리 스키마에 속하는 칼럼명을 가르키고 있다. 역시 값(V로 표기)에 대해서만 대응되어 있다. DB.물리 스키마 : KEM 2.0 통합 DB erd상에 표현되어 있는 물리모델에서 대응되는 물리 스키마명을 가르키고 있다. 역시 값(V로 표기)에 대해서만 대응되어 있다. DB.물리 칼럼 : KEM 2.0 통합 DB erd상에 표현되어 있는 물리모델에서 대응되는 물리 스키마에 속하는 칼럼명을 가르키고 있다. 역시 값(V로 표기)에 대해서만 대응되어 있다. KEM 2.0 메타데이터 요소 중에 최상위요소가 9가지4)를 포함하여 약 80가지 요소가 있다. KEM 2.0 XML 바인딩 예제는 지면관계상 다루지 못할 것 같다. 자세한 설명은 ' 시스템 개발자를 위한 교육정보 메타데이터 지침해설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2. KEM 2.0 DB 입력 예제 KEM 2.0 메타데이터 요소 중에 최상위요소가 9 가지 있다는 것을 앞서 살펴보았다. 그 9 가지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DB 스키마에서는 다중성을 고려하여 10 가지의 메타데이 터를 표현하기 위한 테이블을 사용하게 된다. 기본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부모테이블인 'KEM_BASIC_INFO'라는 테이블과 실제 상위요소별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게 되는 9 가 지 테이블이 그것이다. 그 중에서 첫번째 상위 요소인 'GENERAL'에 대한 테이블처리 예 4) )
KEm 2.0 상위 9 가지 요소 (1) general (4) technical (7) relation
(2) lifecycle (5) educational (8) annotation
(3) meta-metadata (6) rights (9) classification
36
제를 고려해 보도록 한다. 가. 'KEM_BASIC_INFO'와 'GENERAL' 테이블 < KEM_BASIC_INFO 주요 칼럼 > No
컬럼 ID
컬럼명
형태(길이)
PK
NL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TITLE
일반요소_제목
VARCHAR2(1000)
5
AGGR_LVL
일반요소_객체의기능적수준
NUMBER(1)
6
VERSION
생명주기_버전
VARCHAR2(30)
7
STATUS
생명주기_상태
NUMBER(1)
9
COST
저작권_비용
CHAR(1)
10
OTHER_RESTRT 저작권_기타제약
VARCHAR2(200)
18
SHARE_YN
공유_로컬_구분
CHAR(1)
19
USE_TAG
서비스상태태그
CHAR(1)
20
QUAL_MNG_CD
질관리_처리_코드
NUMBER(2)
PK
NL
비고
< GENERAL 주요 칼럼> No
컬럼 ID
컬럼명
형태(길이)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GENR_CATALOG 일반_카탈로그
VARCHAR2(100)
5
GENR_ENTRY
일반_값
VARCHAR2(100)
6
LANG
언어
VARCHAR2(30)
7
DESCRIPTION
개요_또는_설명
VARCHAR2(2000)
9
KEYWORD
검색어
VARCHAR2(1000)
비고
< insert 문> insert into kem_basic_info (org_cd, data_no, title, aggr_lvl, version, status, cost, other_restrict, share_yn, use_tag, qual_mng_cd) 37
values ('A000809001',
-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 ID
1234567,
- 기관에서보유하고 있는 1234567번째 자료
'제목을 입력합니다',
- 자료의 제목
1,
- 자료의 기능적 수준은 '자료', 컨텐츠라면 2를 사용
'KEM v2.0',
- 메타데이터 버전은 'KEM v2.0'
2,
- 자료의 상태는 '최종본'
2,
- 이 자료는 무료로 제공됨
2,
- 이 자료는 기타 제약사항이 없음
'y',
- 이 자료는 전국적으로 공유할 것
'n',
- 아직은 서비스상태가 아님
10 )
- 최초입력상태임을 나타내면서 질관리 대상임을 표시
insert into general (org_cd, data_no, seq, genr_catalog, genr_entry, lang, description, keyword) values ('A000809001',
-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 ID
1234567,
- 기관에서보유하고 있는 1234567번째 자료
1,
- data_no가 1234567번째 자료에 속하는 첫번째 부속 정보
'KERIS METADATA CATALOG', - 예약어로 사용
'A000809001.1234567',
- org_cd.data_no의 조합코드를 입력
'ko',
- 언어는 한국어
'이 자료의 설명을 입력합니다', - 자료에 대한 설명 '검색어1,검색어2,검색어3',)
- 검색어는 여러 개 입력할 수 있으며, ','로 구분
<update 문> update kem_basic_info set description = '수정할 자료의 설명', - 자료의 수정할 설명내용 keyword = keyword||'검색어4'
- 검색어 추가
where org_cd = 'A000809001' and data_no = 1234567 update general set use_tag = 'y',
-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로 수정
38
qual_mng_cd = 40
- 질관리 결과를 '승인'상태로 수정
where org_cd = 'A000809001' and data_no = 1234567 and seq_no = 1 ※ 자료의 수정시, org_cd, data_no외에도 수정할 seq 값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delete 문> delete from general where org_cd = 'A000809001' and data_no = 1234567 delete from kem_basic_info where org_cd = 'A000809001' and data_no = 1234567 ※ 특정자료의 삭제시, 메타데이터 관련 테이블의 자료를 먼저 삭제한 후, 가장 마지막에 kem_basic_info의 자료를 삭제해야만 한다.
39
3. KEM 2.0 DB 관계 설명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 General 1.1. Identifier 1.1.1. Catalog 1.1.2. Entry 1.2. Title 1.3. Sub Title 1.4. Language 1.5. Description Table Of 1.6. Contents 1.7. Keyword 1.8. Coverage Aggregation 1.9. Level 2 Life Cycle 2.1. Version 2.2. Status 2.3. Contribute 2.3.1. Role
18 2.3.2. 19 20 21 22 23 24 25
요소명
Entity
2.3.3. Date 3 Meta-Metadata 3.1. Identifier 3.1.1. Catalog 3.1.2. Entry 3.2. Contribute 3.2.1. Role
작성자 작성일
조용상 2003-08-25
필 수 M M M M M O O M
V
O KEM1.0 메타.일반요소 목차
V V
M LOM1.0 메타.일반요소 검색어 GENERAL O LOM1.0 메타.일반요소 내용범위 GENERAL 일반요소_ O LOM1.0 KEM.기본정보 KEM_BASIC_INFO 객체의기능적수준 M LOM1.0 M LOM1.0 KEM.기본정보 생명주기_버전 KEM_BASIC_INFO M LOM1.0 KEM.기본정보 생명주기_상태 KEM_BASIC_INFO O LOM1.0 LIFECYCLE O LOM1.0 메타.생명주기 기여자구분 메타.생명주기 엔트리_ID ~ LIFECYCLE O LOM1.0 홈페이지 LIFECYCLE O LOM1.0 메타.생명주기 기여일자
version status
M M M M O O
meta_catalog meta_entry
V C V V C V V V C C V V C V
LOM1.0 LOM1.0 LOM1.0 LOM1.0 KEM1.0 KEM1.0 LOM1.0 LOM1.0
DB.논리 칼럼
메타.일반요소 일반_카탈로그 메타.일반요소 일반_값 KEM.기본정보 일반요소_제목 KEM.기본정보 일반요소_부제 메타.일반요소 언어 메타.일반요소 개요_또는_설명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DB.물리 스키마
1.0.1
구 분 C C V V V V V V
출처
DB.논리 스키마
버전 페이지
DB.물리 칼럼
GENERAL GENERAL KEM_BASIC_INFO KEM_BASIC_INFO GENERAL GENERAL
genr_catalog genr_entry title sub_ttl lang description
GENERAL
tbl_of_cont keyword coverage aggr_lvl
contr_role entry_id ~ homepage contr_dt
27 3.2.3.
V
메타.메타정보 메타_카탈로그 메타.메타정보 메타_값 메타.메타정보 메타.메타정보 기여자구분 엔트리_ID ~ O LOM1.0 메타.메타정보 홈페이지 O LOM1.0 메타.메타정보 기여일자
28
V
M LOM1.0 메타.메타정보 메타_스킴
META_METADATA
meta_schm
V C V V V C C V
O M M O M O O O
KEM.기본정보 메타_언어
KEM_BASIC_INFO
meta_lang
메타.기술정보 파일포맷 메타.기술정보 파일용량 메타.기술정보 파일위치정보
TECHNICAL TECHNICAL TECHNICAL
format length location
메타.기술정보 기술 유형
TECHNICAL
tech_type
26 3.2.2.
29 30 31 32 33 34 35 36
Entity
Date Metadata 3.3. Scheme 3.4. Language 4 Technical 4.1. Format 4.2. Size 4.3. Location 4.4 Requirement 4.4.1 OrComposite 4.4.1.1 Type
V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META_METADATA META_METADATA META_METADATA META_METADATA
META_METADATA
contr_role entry_id ~ homepage contr_dt
META_METADATA
40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요소명
37 4.4.1.2 38 39 40
Name Minimum Version Maximum 4.4.1.4 Version Installation 4.5 Remarks 5 Educational Interactivity 5.1. Type Learning 5.2. Resource Type Interactivity 5.3. Level Intended End 5.4. User Role 5.5. Context Typical Age 5.6. Range 5.7. Difficulty Typical 5.8. Learning Time 5.9. Description Language 5.10. Pedagogy 5.11. Teaching 5.11.1. Method Environment 5.11.2 Assessment 5.11.3 4.4.1.3
작성자 작성일
조용상 2003-08-25
구 필 DB.논리 DB.논리 출처 분 수 스키마 칼럼 V O LOM1.0 메타.기술정보 기술 명칭 최저버전 V O LOM1.0 메타.기술정보 최고버전
V
O LOM1.0 메타.기술정보
V
O LOM1.0 메타.기술정보 파일설치정보
C
O LOM1.0
V
버전 페이지 DB.물리 스키마 TECHNICAL TECHNICAL TECHNICAL
1.0.1
DB.물리 칼럼 tech_name min_ver max_ver
TECHNICAL
install_remark
O LOM1.0 메타.교육정보 상호작용유형
EDUCATIONAL
inter_type
V
O LOM1.0 메타.교육정보 학습자원유형
EDUCATIONAL
learn_res_type
V
O LOM1.0 메타.교육정보 상호작용수준
EDUCATIONAL
inter_lvl
V
O LOM1.0 메타.교육정보 이용대상자
EDUCATIONAL
intend_user
V
O LOM1.0 메타.교육정보 문맥교수맥락
EDUCATIONAL
context
V
O LOM1.0 메타.교육정보 이용자연령
EDUCATIONAL
age_range
V
O LOM1.0 메타.교육정보 난이도
EDUCATIONAL
difficulty
V
O LOM1.0 메타.교육정보 학습시간
EDUCATIONAL
learn_time
V V C
O LOM1.0 메타.교육정보 교육_홝용방법 O LOM1.0 메타.교육정보 언어 O KEM1.0
EDUCATIONAL EDUCATIONAL
description lang
V
O KEM1.0 메타.교육정보 교수_교수방법
EDUCATIONAL
tch_meth
V V
O KEM2.0 메타.교육정보 교수_환경 O KEM1.0 메타.교육정보 교수_평가
EDUCATIONAL EDUCATIONAL
tch_env tch_assmt
56 6 57 6.1.
C V
M LOM1.0 M LOM1.0 KEM.기본정보 저작권_비용
KEM_BASIC_INFO
cost
58
V
M LOM1.0 KEM.기본정보 저작권_기타제약 KEM_BASIC_INFO
other_restrt
V V C V C C V V
O O O O O O O O
KEM.기본정보 저작권_만료일자 KEM_BASIC_INFO KEM.기본정보 저작권_설명 KEM_BASIC_INFO
expr_date description
메타.관계정보 관계정보유형
kind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9 60 61 62 63 64 65 66
41
Rights Cost Copyright and 6.2. Other Restrictions 6.3. Expiry Date 6.4. Description 7 Relation 7.1. Kind 7.2. Resource 7.2.1. Identifier Catalog 7.2.1.1 Entry 7.2.1.2
KEM2.0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LOM1.0
RELATION
메타.관계정보 관계_자원_카탈로그 RELATION 메타.관계정보 관계_자원_값 RELATION
rel_res_catalog
rel_res_entry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작성자 작성일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1.0.1
구 분 67 7.2.2. Description V 68 8 Annotation C
DB.물리 스키마 RELATION
69 8.1.
Entity
ANNOTATION
70 8.2.
Date
필 DB.논리 DB.논리 출처 수 스키마 칼럼 O LOM1.0 메타.관계정보 자원_설명 O LOM1.0 엔트리_ID ~ V O LOM1.0 메타.주석 홈페이지 V O LOM1.0 메타.주석 주석일자
ANNOTATION
entry_id ~ homepage annot_date
V C V C V C
O M M O O O
주석_설명
ANNOTATION
description
분류목적
CLASSIFICATION
연번 분류
71 72 73 74 75 77
요소명
8.3. Description 9 Classification 9.1. Purpose 9.2. Taxon Path 9.2.1 Source 9.2.2. Taxon
LOM1.0 메타.주석 LOM1.0 LOM1.0 메타.분류 LOM1.0 LOM1.0 LOM1.0
78 9.2.2.1
Id
V
O LOM1.0 메타.분류
79 9.2.2.2
Entry
V
O LOM1.0 메타.분류
V V
M LOM1.0 메타.분류 M LOM1.0 메타.분류
80 9.3. 81 9.4.
Description Keyword
분류구분코드/ CLASSIFICATION 자료유형코드 분류구분코드명 / 자료유형코드명 분류_설명 CLASSIFICATION 분류_검색어 CLASSIFICATION
DB.물리 칼럼 description
clas_div_cd / data_type_cd
description keyword
42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1 1 2 1.1.
요소명 General
구 필 출처 분 수 C M LOM1.0
Identifier
C
M LOM1.0
3 1.1.1.
Catalog
V
M LOM1.0
4 1.1.2.
Entry
V
M LOM1.0
5 1.2.
Title
V
M KEM1.0
6 1.3.
Sub Title
V
O KEM1.0
7 1.4.
Language
V
O LOM1.0
8 1.5.
Description
V
M LOM1.0
9 1.6.
Table Of Contents
V
O KEM1.0
10 1.7.
Keyword
V
M LOM1.0
11 1.8.
Coverage
V
O LOM1.0
작성자 작성일
조용상 2003-08-25
다중성
버전 페이지
데이터유형
1.0.1
어휘
0 또는 1 0 이상(최소허용 최대값:10) CharacterString(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0 자) CharacterString(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0 자) LangString(최소 허용 0 또는 1 최대값: 1000 자) LangString(최소 허용 0 또는 1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최대값: 10} 허용 최대값:100 자)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10} 최대값:2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10} 최대값:2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10)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10) 최대값: 1000 자) 학습 객체의 기능적인 수준 학습 객체의 기능적인 수준 IEEE LOM 어휘:
12 1.9.
13 2 14 2.1.
15 2.2.
Aggregation Level
V
O LOM1.0
0 또는 1
Life Cycle
C
M LOM1.0
0 또는 1
Version
V
M LOM1.0
0 또는 1
Status
0 또는 1
Vocabulary (Enumerated) (ADL 주: 제한적)
1:자료 2:강의(1 차시분량) 3:강좌(동일한 주제의 여러 개 강의의 집합) 4:과정(가장 높은 레벨, 예:수료증 취득을 위한 일련의 코스)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50 자)
Vocabulary(State) (ADL 주: 제한적)
V
M LOM1.0
C
0 이상(최소 허용 O LOM1.0 최대값: 30)
학습 객체의 완료 상태 또는 조 건에 대한 정보 IEEE LOM 어휘: 1:draft 2:final 3:revised 4:unavailable
16 2.3.
43
Contribute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요소명
구 필 분 수
출처
작성자 작성일 다중성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데이터유형
1.0.1
어휘 KERIS KEM 어휘: 1:저자
17 2.3.1.
Role
V
O LOM1.0
0 또는 1
2:개발기관 3:용역업체 Vocabulary(State) 4:기술검수 (KERIS 주: 최고 모델) 5:내용검수 6:서비스제공자 7:사업주관기관 8:관할교육청
19 2.3.3. Date 20 3 Meta-Metadata
V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VACRD(ID, 이름,연락처, 소속, O LOM1.0 최대값: 40) 허용 최대값: 1000 자) 이메일, 홈페이지) O LOM1.0 0 또는 1 DateTime
C
M LOM1.0
21 3.1.
Identifier
C
M LOM1.0
22 3.1.1.
Catalog
V
M LOM1.0
23 3.1.2.
Entry
V
M LOM1.0
Contribute
C
O LOM1.0
18 2.3.2.
24 3.2.
Entity
V
0 또는 1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 10) CharacterString(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0 자) CharacterString(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 10) 위 존재의 역할 종류 데이터 요소 인스턴스 중 단 1 개만 “ creator” 의 값을 가질
25 3.2.1.
Role
V
O LOM1.0
0 또는 1
Vocabulary(State) 수 있다. (ADL 주: 최고 모델)
IEEE LOM 어휘: 1:creator 2:validator
26 3.2.2.
Entity
V
O LOM1.0
27 3.2.3.
Date Metadata Scheme
V
O LOM1.0
V
M LOM1.0
Language
V
O LOM1.0
Technical
C
M LOM1.0
31 4.1.
Format
V
M LOM1.0
32 4.2.
Size
V
O LOM1.0
33 4.3.
Location
V
M LOM1.0
28 3.3. 29 3.4. 30 4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VACRD(ID, 이름,연락처, 소속, 최대값: 10) 허용 최대값: 1000 자) 이메일, 홈페이지) 0 또는 1 DateTime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최대값: 10} 허용 최대값:30 자) CharacterString(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100 자) 0 또는 1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최대값: 40) 허용 최대값:500 자) CharacterString(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30 자)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최대값: 10) 허용 최대값: 1000 자)
44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34 4.4
35 4.4.1
요소명
Requirement
구 필 분 수
C
OrComposite C
출처
O LOM1.0
작성자 작성일
조용상 2003-08-25
다중성
버전 페이지
데이터유형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 40)
0 이상(최소 허용 O LOM1.0 최대값: 40)
1.0.1
어휘 현재 학습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요건 여러 개의 요건이 존재할 경우 모든 요건이 필수 요건이 된다. 즉 논리 연산자 AND 로 연결된다. 다수의 요건을 그룹으로 묶는 방식. 결합된 요건은 구성 요건 중 하나만 충족되어도 만족된다. 즉 논리 연산자 OR 로 연결된다. 현재 학습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유형(예: 하드웨어,
36 4.4.1.1
Type
V
O LOM1.0 0 또는 1
Vocabulary(State) 소프트에어, 네트워크 등) (ADL 주: 최고 모델) IEEE LOM 어휘: 1:operating system 2:Browser 현재 학습 객체를 사용하기 위 해 필요한 기술의 명칭 IEEE LOM 어휘: 1:필요 기술 유형이 “ operating system” 인 경우: o pc-dos o ms-windows o macos
37 4.4.1.2
Name
V
O LOM1.0 0 또는 1
Vocabulary(State) o unix (ADL 주: 최고 모델) o multi-os o none 2:필요한 기술 유형이 “ browser” 인 경우: o any o o o o
38 4.4.1.3 39 4.4.1.4 40 4.5 41 5
45
Minimum Version Maximum Version Installation Remarks Educational
CharacterString(최소 현재 학습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허용 최대값:30 자) 필요한 기술의 최저 버전 CharacterString(최소 현재 학습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허용 최대값:30 자) 필요한 기술의 최고 버전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1000 자)
V
O LOM1.0 0 또는 1
V
O LOM1.0 0 또는 1
V
O LOM1.0
C
0 또는 1 O LOM1.0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 100)
0 또는 1
netscape communicator ms-internet explorer opera amaya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42 5.1.
요소명
구 필 분 수
Interactivity V Type
43 5.2.
Learning V Resource Type
44 5.3.
Interactivity V Level
45 5.4.
Intended End User Role
V
46 5.5.
Context
V
47 5.6.
Typical Age Range
V
48 5.7.
Difficulty
V
출처
O LOM1.0
작성자 작성일 다중성
0 또는 1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데이터유형
Vocabulary(State) (ADL 주: 제한적)
1.0.1
어휘 현재 학습 객체에서 지원하는 주 된 학습 모드 IEEE LOM 어휘: 1:active 2:expositive 3:mixed 학습 객체의 구체적인 유형. 가장 주된 유형이 가장 먼저 등장한다.
다음의 어휘는 학습 자료의 구체적인 목적에 따라 선택된다. IEEE LOM 어휘: 1:exercise 2:simulation 3:questionnaire 0 이상(최소 허용 Vocabulary(State) 4:diagram O LOM1.0 최대값: 10) (ADL 주: 최고 모델) 5:figure 6:graph 7:index 8:slide 9:table 10:narrative text 11:exam 12:experiment 13:problem statement 14:self assessment 15:lecture IEEE LOM 어휘: Vocabulary(Enumerate 1:very low 2:low O LOM1.0 0 또는 1 d) 3:medium (ADL 주: 제한적) 4:high 5:very high IEEE LOM 어휘: 1:teacher 0 이상(최소 허용 Vocabulary(State) 2:author O LOM1.0 최대값: 10) (ADL 주: 제한적) 3:learner 4:manager IEEE LOM 어 0 이상(최소 허용 Vocabulary(State)(AD 휘:1:school2:higher O LOM1.0 최대값: 10) L 주: 최고 모델) education3:training4:other
O LOM1.0
O LOM1.0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5) 최대값: 1000 자)
0 또는 1
IEEE LOM 어휘: Vocabulary(Enumerate 1:very easy 2:easy d) 3:medium (ADL 주: 제한적) 4:difficult 5:very difficult
46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요소명
구 필 분 수
출처
49 5.8.
Typical V Learning Time
O LOM1.0
50 5.9.
Description
V
O LOM1.0
51 5.10.
Language
V
52 5.11.
Pedagogy
C
53 5.11.1.
Teaching Method
54 5.11.2
Environment V
55 5.11.3
Assessment
56 6 57 6.1.
V
작성자 작성일 다중성 0 또는 1
Rights
C
Cost
V
M LOM1.0
0 또는 1
Vocabulary(State) (ADL 주: 제한적) Vocabulary(State) (ADL 주: 제한적)
O KEM1.0
59 6.3.
O KEM2.0
0 또는 1
60 6.4.
Description
V
O LOM1.0
0 또는 1
C
O LOM1.0
47
Relation
Kind
V
어휘
Duration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최대값: 10) 허용 최대값:500 자) M LOM1.0 0 또는 1 -
V
0 또는 1
62 7.1.
데이터유형
1.0.1
KERIS KEM 어휘: 1:정보탐색 2:정보분석 3:정보안내 0 이상(최소 허용 Vocabulary(Enumerated) 4:웹토론 O KEM1.0 최대값: 10) (KERIS 주: 제한적) 5:협력연구 6:전문가교류 7:웹펜팔 8:웹정보작성 KERIS KEM 어휘: 0 이상(최소 허용 Vocabulary(Enumerated) 1:1 교실 1PC O KEM2.0 최대값: 10) (KERIS 주: 제한적) 2:1 모둠 1PC 3:1 인 1PC
M LOM1.0
61 7
버전 페이지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10)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CharacterString(최소 O LOM1.0 최대값: 10) 허용 최대값:100 자) O KEM1.0 0 또는 1 -
Copyright and Other V Restrictions Expiry Date V
58 6.2.
조용상 2003-08-25
O LOM1.0
IEEE LOM 어휘: 1:yes 2:no IEEE LOM 어휘: 1:yes 2:no
DateTime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 100)
0 또는 1
현재 학습 객체와 대상 학습 객 체(7.2:Relation.Resource 로 식 별됨)의 관계 특성 IEEE LOM 어휘: 1:ispartof 2:haspart 3:isversionof Vocabulary(State) 4:hasversion (ADL 주: 최고 모델) 5:isformatof 6:hasformat 7:references 8:isreferencedby 9:isbasedon 10:isbasisfor 11:requires 12:isrequiredby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연번 분류 63 7.2.
요소명 Resource
구 필 출처 분 수 C O LOM1.0
64 7.2.1.
Identifier
C
O LOM1.0
65 7.2.1.1
Catalog
V
O LOM1.0
66 7.2.1.2
Entry
V
O LOM1.0
Description V
O LOM1.0
67 7.2.2. 68 8
Annotation
C
O LOM1.0
69 8.1.
Entity
V
O LOM1.0
70 8.2.
Date
V
O LOM1.0
71 8.3.
Description
V
O LOM1.0
Classification
C
M LOM1.0
72 9
73 9.1.
Purpose
V
M LOM1.0
74 9.2.
Taxon Path
C
O LOM1.0
75 9.2.1
Source
V
O LOM1.0
작성자 작성일
조용상 2003-08-25
다중성
데이터유형
버전 페이지
1.0.1
어휘
0 또는 1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 10) CharacterString (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0 자) CharacterString(최소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 (최소 허용 최대값: 10)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30) CharacterString(최소 VACRD(ID, 이름,연락처, 소속,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0 자) 이메일, 홈페이지) 0 또는 1 DateTime LangString(최소 허용 0 또는 1 최대값: 1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40)
0 또는 1
해당 학습 객체의 분류 목적 KERIS KEM 어휘: 1:discipline 2:idea 3:prerequisite Vocabulary(State) 4:educational objective (KERIS 주: 최고 모델) 5:accessibility 6:restrictions 7:educational level 8:skill level 9:security level 10:competency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15)
0 또는 1
입력 예) 1:keris 7thcurriculum 2:keris EM taxon 주 1) keris 7thcurriculum 은 아 래와 같은 분류체계를 따른다 (1)userlevel(학년학기단원) (2)coursename(교과명) LangString(최소 허용 (3)subjectname(교과목) 최대값: 1000 자) (4)courselevel(교과구분) (5)largeunitname(대단원) (6)middleunitname(중단원) (7)smallunitname(소단원) (8)objectname(학습주제) (9)classperiod(차시) (10)textbookpage(교과서쪽수)
48
KEM 2.0 메타요소-DB 관계 설명 요소명
구 필 분 수
76 9.2.2.
Taxon
C
O LOM1.0
77 9.2.2.1
Id
V
O LOM1.0
78 9.2.2.2
Entry
V
O LOM1.0
연번 분류
출처
79 9.3.
Description
V
M LOM1.0
80 9.4.
Keyword
V
M LOM1.0
49
작성자 작성일 다중성
조용상 2003-08-25 데이터유형
버전 페이지
1.0.1
어휘
0 이상(최소 허용 최대값:15) CharacterString(최소 7 차 교육과정 단원.주제 코드 / 0 또는 1 허용 최대값: 100 자 자료유형코드 LangString(최소 허용 7 차 교육과정 단원.주제코드명 / 0 또는 1 최대값: 500 자) 자료유형코드명 LangString(최소 허용 0 또는 1 최대값: 2000 자) 0 이상(최소 허용 LangString(최소 허용 최대값: 40) 최대값: 1000 자)
Ⅴ. 분류체계 ver 0.96 설명 현행 공유체제 메타데이터는 4 개의 상위분류 5)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 3 단계까지 총 45 개의 내용 분류코드를 가지고 있다. 메타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분류체계도 교육정보가 시ᆞ도 및 유관기관에서 계속 확대됨에 따라 현행 공유체제의 내용 분류체계에 대한 확장 및 재분류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KEM 2.0 통합 DB 에 서는 시스템상으로는 4 단계까지 구성된 분류체계 0.96 버전 6)을 채택하여 적용하게 되 었으며, 관련연구는 현재 1.0 이 완성된 상태이다. 시.도의 교수학습 지원센터 개발일정 및 시스템 개발일정상 분류체계 0.96을 기준으로 구현이 되었으나, 자료의 확보시기나 수준 및 량에 따라 일괄 이관할 시기가 계획될 것 같 다. 현재 공유체제에서 유통되고 있는 자료의 분류나 량으로 보았을 때, 분류체계 0.96은 거의 문제가 없으므로 0.96으로 구현하는 시.도나 유관기관에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행 공유체제의 내용분류와 분류체계 0.96간에는 1:1 대응이 가능하므 로 자료의 이관도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다. 시.도 교육청의 시스템은 에듀넷과 연계가 잘되어 있는 편이어서, 분류체계 0.96에서 1.0으로 이관하는 작업에서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전송모듈이 관련 코드들의 확장을 자동으로 수행해 주기 때문이다. 유관기관이라면 분류체계 0.96과 1.0에 대한 대응코드 를 미리 준비한 후, 분류체계 1.0으로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확장성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분류체계 v0.96에는 8개의 1단계 분류가 있다. 그 중에서 첫번째 분류인 '교과'에 대한 코드와 개요를 고려해 보도록 한다. 여기에 참고된 내용 및 전체 분류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은 '교육정보 분류체계 지침해설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5)
공유체제 1 단계 내용분류 (1) 교수-학습자료 (2) 연구-지원자료 (3) 연수자료 (4) 교육행정자료 6) 분류체계 0.96 1 단계 내용분류 (1) 교과 (2) 교과외 (3) 유아교육 (4) 특수교육 (5) 영재교육 (6) 연구/장학 (7) 연수 (8) 학교경영 (9) 직업훈련 (분류체계 1.0 에서 추가됨. 0.96 에는 없었음)
50
1. 분류체계 v0.96 입력 예제 앞서 KEM 2.0 메타데이터 요소 중에 최상위요소가 9 가지 있다는 것을 앞서 살펴보았다. 그 9 가지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DB 스키마에서는 다중성을 고려하여 10 가지의 메타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테이블을 사용하게 된다. 이 장에서는 기본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부모테이블인 'KEM_BASIC_INFO'라는 테이블과 실제 상위요소별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게 되는 9 가지 테이블중 참고사이트가 저장되는 'RELATION' 테이블을 고려해 보고, 단원.주제를 참고하는 방법도 함께 예제로 다룬다. 가. 'KEM_BASIC_INFO'와 'RELATION' 테이블 < KEM_BASIC_INFO 주요 칼럼 > No
컬럼 ID
컬럼명
형태(길이)
PK
NL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TITLE
일반요소_제목
VARCHAR2(1000)
5
AGGR_LVL
일반요소_객체의기능적수준
NUMBER(1)
6
VERSION
생명주기_버전
VARCHAR2(30)
7
STATUS
생명주기_상태
NUMBER(1)
9
COST
저작권_비용
CHAR(1)
10
OTHER_RESTRT 저작권_기타제약
VARCHAR2(200)
18
SHARE_YN
공유_로컬_구분
CHAR(1)
19
USE_TAG
서비스상태태그
CHAR(1)
20
QUAL_MNG_CD
질관리_처리_코드
NUMBER(2)
PK
NL
비고
< RELATION 주요 칼럼> No
컬럼 ID
형태(길이)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KIND
관계정보유형
NUMBER(2)
7
REL_RES_ENTRY
관계자원 값
VARCHAR2(200)
< insert 문> 51
컬럼명
비고
insert into kem_basic_info (org_cd, data_no, title, aggr_lvl, version, status, cost, other_restrict, share_yn, use_tag, qual_mng_cd) values ('A000809001',
-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 ID
1234567,
- 기관에서보유하고 있는 1234567번째 자료
'제목을 입력합니다',
- 참고사이트의 제목
1,
- 자료의 기능적 수준은 '자료', 컨텐츠라면 2를 사용
'KEM v2.0',
- 메타데이터 버전은 'KEM v2.0'
2,
- 자료의 상태는 '최종본'
2,
- 이 자료는 무료로 제공됨
2,
- 이 자료는 기타 제약사항이 없음
'y',
- 이 자료는 전국적으로 공유할 것
'n',
- 아직은 서비스상태가 아님
10 )
- 최초입력상태임을 나타내면서 질관리 대상임을 표시
insert into relation (org_cd, data_no, seq, kind, rel_res_entry) values ('A000809001',
-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 ID
1234567,
- 기관에서보유하고 있는 1234567번째 자료
1,
- data_no가 1234567번째 자료에 속하는 첫번째 부속 정보
7,
- 관계유형이 참고사이트임을 지정
'www.edunet4u.net')
- 참고사이트의 주소를 입력
<update 문> update relation set rel_res_entry = 'www.edunet4u.net'- 수정할 참고사이트의 주소 where org_cd = 'A000809001' and data_no = 1234567 and seq_no = 1 ※ 자료의 수정시, org_cd, data_no외에도 수정할 seq 값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52
<delete 문> delete from relation where org_cd = 'A000809001' and data_no = 1234567 and seq_no = 1
- 이 부분은 옵션으로 해당자료 전체를 지울 때는 불필요한 구분
<select 문> select a.title, 'http://'||b.rel_res_entry , d.lvl1_clas_nm, d.lvl2_clas_nm, d.lvl3_clas_nm, d.lvl4_clas_nm, d.lvl5_clas_nm, d.lvl6_clas_nm, d.lvl7_clas_nm, d.lvl8_clas_nm from kem_basic_info a, relation b, classification c, clas_code d where a.org_cd = b.org_cd and a.data_no = b.data_no and b.org_cd = c.org_cd and b.data_no = c.data_no and c.clas_div_cd = d.clas_div_cd and a.org_cd = 'A000809001' and a.data_no = 1234567 결과집합 예: 1) 선택한 제목이 조회
- 제목
2) http://www.edunet4u.net
- 참고사이트
3) 초등학교
- 학교급
4) 1학년
- 학년
5) 바른생활
- 과목
6) 1학기
- 학기
7)
- 대단원
8) 알아서척척
- 중단원
9)
- 소단원
10) 즐거운 현장학습이 되려면
- 주제
53
2. KEM 2.0 분류체계 ver0.96 KEM 2.0 분류체계 ver 0.96 1 차 분류 1.교과
2 차 분류
작성자 작성일
3 차 분류
구덕회 2003-08-25 4 차 분류
1.1 교수학습과정안
1.4 멀티미디어요소자료
1.5 교육용 SW
세부 검색기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차시
1.3.1 수행평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3.2 총괄평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3.3 기초학력평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5.1 그림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쪽
1.5.2 사진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쪽
1.5.3 소리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쪽
1.5.4 모듈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쪽
1.5.5 애니메이션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쪽
1.5.6 동영상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쪽
1.5.7 문서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쪽
1.6.1 교수용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6.2 학습용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6.3 보조용
학교급,학년, 과목
1.6 학습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7e-Book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8 수준별학습
1.9 지역학습자료
1.10 수업관련정보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학교급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1.10.1.참고사이트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10.2 수업아이디어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10.3 수업이론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10.4 수업연구자료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10.5 동영상수업사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10.6 교육용 S/W 수업사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10.7ICT 활용교육수업사례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1.10.8 교육현장우수사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
례 2.교과외
0.96
학교급,학년,과목,학기,대단원,중단원,소단원,주제,차시
1.2 ICT 활용교수학습과정안 1.3 평가자료
버전 페이지
2.1 교과재량활동
학교급,학년,과목 민주시민교육,인성교육,환경교육,
2.2 창의적재량활동 2.2.1 범교과학습
경제교육,에너지교육,근로정신함 양교육,보건교육,안전교육,성교육, 학교급 소비자교육,진로교육,통일교육,한 국문화정체성교육,국제이해교육, 해양교육,정보교육
54
KEM 2.0 분류체계 ver 0.96 1 차 분류
2 차 분류
작성자 작성일
3 차 분류
구덕회 2003-08-25
버전 페이지
4 차 분류
0.96
세부 검색기준
학습하는방법의학습,주제탐구,자 유연구,소집단공동연구,프로젝트 학습,체험학습,학교행사관련활동, 학교급 2.2.2 자기주도적학습 학교특수시책구현활동,특정영역학 습,지역행사관련할동,특별교육프 로그램 2.3 특별활동
2.3.1 자치
학교급
2.3.2 적응
학교급
2.3.3 계발
학술문예활동,보건체육활동,실습 노작활동,여가문화활동,정보통신 학교급 활동,청소년단체활동
3.유아교육 3.1 평가
2.3.4 봉사
학교급
2.3.5 행사
학교급
3.1.1 유아평가
학교급
3.1.2 교사평가
학교급
3.1.3 교육과정운영평 가
학교급
3.1.4 시설환경평가 3.2 교육과정편성운영
학교급 1 차,2 차,3 차,4 차,5 차,6 차
3.3 교수학습
주제구분, 영역 구분 운영계획,간식,급식,시설/설비,프
3.4 종일반운영 3.5 부모교육
4.특수교육 4.1 진단/평가
로그램운영
55
학교급
3.5.1 유아교육이해
학교급
3.5.2 유아발달특성
연령 구분, 발달영역 구분
3.5.3 놀이감선정기준
연령 구분, 발달영역 구분
3.5.4 문제행동지도
학교급
3.5.5 건강과안전
학교급
4.1.1 장애선별도구
학교급
4.1.2 장애진단도구
학교급
4.1.3 진로/직업평가도 구
학교급
4.2 교육과정편성운영 4.2.1 특수학교
4.3 교수학습
학교급
시각장애,청각장애,정신지체,지체부자 학교급 유,정서장애,학습장애
4.2.2 특수학급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교급
4.2.3 통합학급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교급
4.2.4 재택순회교육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교급
4.3.1 시각장애
국어,도덕,사회,수학,과학,실과(기술가 학교급 정),체육,음악,미술,영어
4.3.2 청각장애
국어,도덕,사회,수학,과학,실과(기술가 학교급 정),체육,음악,미술,영어
4.3.3 정신지체
국어,사회,수학,과학,건강,예능,직업
학교급
KEM 2.0 분류체계 ver 0.96 1 차 분류
2 차 분류
작성자 작성일
3 차 분류
구덕회 2003-08-25
버전 페이지
4 차 분류
세부 검색기준
4.3.4 지체부자유
국어,도덕,사회,수학,과학,실과(기술가 학교급 정),체육,음악,미술,영어
4.3.5 정서장애
국어,사회,수학,과학,건강,예능,직업
4.3.6 학습장애
국어,도덕,사회,수학,과학,실과(기술가 학교급 정),체육,음악,미술,영어
학교급
4.4 치료교육
학교급
4.5 재량활동
학교급
4.6 특별활동
학교급
4.7 진로/전환교육
학교급
4.8 부모교육
학교급
4.9 자료활용
학교급
4.10 성취도평가 5.장학/연구 5.1 연구
0.96
학교급 5.1.1 교육이론
학교급,학년,과목 현장교육연구대회, 교육자료전, 교
5.1.2 연구대회
실수업개선실천사례연구대회, 열 린교육연구발표대회, 초등교육연 구대회, 학교체육연구논문발표대 회, 인성교육실천사례연구발표대 학교급,학년,과목 회, 학생작품지도논문연구대회, 교 원발명교육연구대회, 과학교육연 구대회, 농업교사현장연구대회, 교 육방송연구대회, 교육용소프트웨 어공모전
5.1.3 연구ㆍ시범학교
5.2 장학
ICT 활용, 교육과정, 교육행정정보, 도서관 활용, 실업계통합형고, 양성 평등, 영재교육, 진로정치, 창의성 개발, 통일교육, 학교모형, YP 운 영, 경제교육, 교육방송, 발명교육, 봉사활동, 비즈쿨, 안전교육, 에너 지 절약, 연극교육, 통계교육, 학부 모봉사단, 환경교육, 흡연예방
지정(교육부, 시도,기타 기관)
5.2.1 진로/상담
학교급
5.2.2 생활지도
학교급
5.2.3 특기/적성
학교급
5.2.4 민주시민/인권
학교급
5.2.5 통일
학교급
5.2.6 인성
학교급
5.2.7 독서
학교급
5.2.8 경제
학교급
5.2.9 환경
학교급
5.2.10 양성평등/성
학교급
56
KEM 2.0 분류체계 ver 0.96 1 차 분류
6.연수
2 차 분류
6.1 자격
작성자 작성일
3 차 분류
구덕회 2003-08-25 4 차 분류
학교급
5.2.12 국제이해
학교급
5.2.13 창의성/발명
학교급
5.2.14 봉사활동
학교급
5.2.15 영재
학교급
5.2.16 문화
학교급
5.2.17 학교교육과정
학교급
5.2.18 창의적재량활동
학교급
5.2.19 특별활동
학교급
5.2.20 주 5 일수업
학교급
6.1.1 교장
학교급
6.1.2 교감
학교급
6.1.3 정교사
6.3 자율
학교급 원장,원감,교사
학교급
6.2.1 집합
학교급
6.2.2 원격
학교급 학교급
7.학교경영 7.1 교육정책
학교급
7.2 교육법규
학교급
7.3 교육통계
학교급
7.4 행정서식
학교급
7.5 학교교육계획
학교급
7.6 학교운영위원회
학교급
7.7 학교회계
학교급
7.8 학부모자료
학교급
8.학급경영 8.1 학급경영문서
57
0.96
세부 검색기준
5.2.11 안전지도
6.1.4 유치원 6.2 직무
버전 페이지
학교급,학년
8.2 환경구성
학교급,학년
8.3 놀이활동
학교급,학년
8.4 생활지도
학교급,학년
8.5 진학지도
학교급,학년
Ⅵ. KEM 2.0 통합 DB 구조 설명 1. KEM 2.0 통합 DB 관계 다이어그램
58
59
2. KEM 2.0 주요 테이블 목록 작성자 조용상 작성일 2003-08-25 시스템명 교수학습 기능강화 서비스 부시스템
테이블 목록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테이블 ID ANNOTATION BESTDOWN BESTKEYWORD CLASSIFICATION CLAS_CODE COMN_CODE CURRICULUM DATA_MRG_LOG DATA_TYPE DOWN EDUCATIONAL ETC_INFO GENERAL INST_SERVER_INFO KEM_BASIC_INFO KEYWORD LIFECYCLE METADATA_ESTM META_METADATA ORG_CODE QUAL_VERIF_ERROR RELATION TECHNICAL TECH_REL_ERROR VALID_OUT
테이블명 메타.주석 인기다운 인기검색 메타.분류 분류코드마스터 공통코드마스터 교과목마스터 자료통합처리로그 자료유형마스터 다운자료 메타.교육정보 메타.기타정보 메타.일반정보 교육청복수서버정보 메타.기본정보 검색어 메타.생명주기 질관리평가 메타.메타정보 기관코드 질검증오류 메타.관계정보 메타.기술정보 기술및관계요소오류 유효성산출
버전 페이지
1.0.1 1/1
비고 KEM 2.0
KEM 2.0
KEM 2.0 KEM 2.0 KEM 2.0 KEM 2.0 KEM 2.0 KEM 2.0
KEM 2.0 KEM 2.0
60
3. KEM 2.0 주요 테이블 정의서 작성자 작성일 메타.주석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1/ ANNOTATION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ENTRY_ID
엔트리_ID
VARCHAR2(1000)
5
ENTRY_NM
엔트리_이름
VARCHAR2(1000)
6
ENTRY_TEL
엔트리_연락처
VARCHAR2(40)
7
ENTRY_BLNG
엔트리_소속
VARCHAR2(256)
8
ENTRY_E_ML
엔트리_이메일
VARCHAR2(100)
9
ENTRY_HOMEPG
엔트리_홈페이지
VARCHAR2(100)
10
ANNOT_DATE
주석일자
DATE
11
DESCRIPTION
주석_설명
VARCHAR2(1000)
12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3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4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중 주석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 설 명
61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작성자 작성일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인기다운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형태(길이)
1.0.1 2/ BESTDOWN
버전
페이지
PK NL
비고
1
CITY_TYPE_CD
시도구분코드
VARCHAR2(10)
1
N
2
DOWN_DATE
다운일자
VARCHAR2(10)
2
N
3
ORG_CD
기관코드
CHAR(10)
3
N
4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4
N
5
TECHNICAL_SEQ_NO
순번
NUMBER(6)
5
N
6
TRANS_CITY
전송도시
VARCHAR2(10)
6
N
7
DOWN_CNT
다운수
NUMBER(10)
8
TRANS_FLAG
전송 FLAG
VARCHAR2(1)
9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0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1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DOWN 테이블로부터 산출된 인기 다운로드 통계 데이터의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TRANS_CITY 는 해당 통계 데이터를 전송한 시.도 - DOWN_CNT 는 해당 데이터의 다운로드 건수
62
작성자 작성일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인기검색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3/ BESTKEYWORD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CITY_TYPE_CD
시도구분코드
VARCHAR2(10)
1
N
2
SRCH_DATE
검색일자
VARCHAR2(10)
2
N
3
SRCH_WORD
검색어
VARCHAR2 (200)
3
N
4
TRANS_CITY
전송도시
VARCHAR2(10)
4
N
5
SRCH_CNT
검색건수
NUMBER(10)
6
USE_YN
사용여부
CHAR(1)
7
TRANS_FLAG
전송 FLAG
VARCHAR2(1)
8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9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0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YWORD 테이블로부터 산출된 인기 검색어 통계 데이터의 테이블
설 명
63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RCH_DATE 는 검색이 된 날짜 - TRANS_CITY 는 해당 통계 데이터를 전송한 시.도 - SRCH_CNT 는 해당 검색어의 검색 건수 - SRCH_WORD 는 검색어
작성자 작성일 메타.분류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4/ CLASSIFICATION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 (6)
3
N
4
DATA_TYPE_CD
자료유형코드
NUMBER(10)
5
CLAS_DIV_CD
분류구분코드
NUMBER(10)
6
CLAS_DIV_TYPE
분류구분유형
VARCHAR2(10)
7
DATA_TYPE_DEPTH
자료유형깊이
NUMBER(1)
8
PAGE_TIME
쪽수_또는_차시
VARCHAR2(10)
9
PURPOSE
분류_목적
NUMBER(2)
default : 11
10
DESCRIPTION
분류_설명
VARCHAR2(1000)
default : "제7차교육과정 기준 분류코드체계"
11
KEYWORD
분류_검색어
VARCHAR2(1000)
12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3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4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중 분류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 DATA_TYPE_CD 는 내용상 자료유형코드. DATA_TYPE 테이블 참조 - CLAS_DIV_CD 는 세부검색기준 코드. CLAS_CODE 테이블 참조 - CLAS_DIV_TYPE 은 세부검색기준의 유형 코드. CLAS_CODE 테이블 참조 - DATA_TYPE_DEPTH 는 내용분류가 몇 단계까지 인지를 나타내는 깊이 - PAGE_TIME : ICT 교수학습과정안인 경우 차시, 멀티미디어 요소자료인 경우 쪽수를 입력하고 그 외에는 해당 없음 - KEYWORD 는 학교급~입력 가능한 범위(과목 또는 주제)까지 코드명을 ","로 구분해서 입력
64
작성자 작성일 분류코드마스터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5/ CLAS_CODE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1
CLAS_DIV_CD
분류구분코드
NUMBER(10)
2
CLAS_DIV_TYPE
분류구분유형
NUMBER(2)
3
CLASSIFICATION_NAME
분류구분이름
VARCHAR2(200)
4
LVL1_CLAS_CD
1 차 분류코드
NUMBER(10)
5
LVL2_CLAS_CD
2 차 분류코드
VARCHAR2(10)
6
LVL3_CLAS_CD
3 차 분류코드
VARCHAR2(10)
7
LVL4_CLAS_CD
4 차 분류코드
NUMBER(10)
8
LVL5_CLAS_CD
5 차 분류코드
NUMBER(10)
9
LVL6_CLAS_CD
6 차 분류코드
NUMBER(10)
10
LVL7_CLAS_CD
7 차 분류코드
NUMBER(10)
11
LVL8_CLAS_CD
8 차 분류코드
NUMBER(10)
12
LVL9_CLAS_CD
9 차 분류코드
NUMBER(10)
13
LVL1_CLAS_NM
1 차 분류명
VARCHAR2(200)
14
LVL2_CLAS_NM
2 차 분류명
VARCHAR2(200)
15
LVL3_CLAS_NM
3 차 분류명
VARCHAR2(200)
16
LVL4_CLAS_NM
4 차 분류명
VARCHAR2(200)
17
LVL5_CLAS_NM
5 차 분류명
VARCHAR2(200)
18
LVL6_CLAS_NM
6 차 분류명
VARCHAR2(200)
19
LVL7_CLAS_NM
7 차 분류명
VARCHAR2(200)
20
LVL8_CLAS_NM
8 차 분류명
VARCHAR2(200)
21
LVL9_CLAS_NM
9 차 분류명
VARCHAR2(200)
22
CURI_CD
교과코드
CHAR(3)
종합코드 43 번
23
SERV_CD
서비스분류코드
CHAR(3)
종합코드 44 번
24
SORT
정렬번호
NUMBER(6)
25
SHARE_YN
공유여부
CHAR(1)
26
USE_YN
사용여부
CHAR(1)
65
1
비고
N 공통코드 36 번
y: 전국코드 n: 지역코드 y: 사용 n: 사용안함
27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28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29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설 명
- KEM 2.0 중 분류에서 사용하는 과목 및 단워.주제에 해당하는 코드 테이블
66
작성자 작성일 공통코드마스터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6/ COMN_CODE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DIV_CD1
구분코드 1
VARCHAR2 (3)
1
N
상위코드
2
DIV_CD2
구분코드 2
VARCHAR2 (10)
2
N
세부코드
3
KOR_NM
코드명_한글
VARCHAR2 (100)
4
KOR_SHTN_NM
코드명_한글_축약
VARCHAR2 (50)
5
ENG_NM
코드명_영문
VARCHAR2 (70)
6
ENG_SHTN_NM
코드명_영문_축약
VARCHAR2(20)
7
REF1
참조코드 1
VARCHAR2 (3)
8
REF2
참조코드 2
VARCHAR2 (3)
9
REF3
참조코드 3
VARCHAR2 (3)
10
REF1_NM
참조코드 1 이름
VARCHAR2(40)
11
REF2_NM
참조코드 2 이름
VARCHAR2(40)
12
REF3_NM
참조코드 3 이름
VARCHAR2(40)
13
DESCRIPTION
용어설명
VARCHAR2(200)
14
SORT
정렬번호
NUMBER(6)
15
USE_YN
사용여부
CHAR(1)
y: 사용 n: 사용안함
16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7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8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통합 DB 에서 사용하는 공통코드 마스터 테이블 설 명
67
- DIV_CD1 '$'인 것은 코드 유형을 나타내는 상위코드 - DIV_CD2 는 실질적인 코드를 의미하는 세부코드 - REF1,2,3 는 관련된 코드들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
작성자 작성일 교과목마스터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7/ CURRICULUM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SUBJ_CD
과목코드
VARCHAR2 (10)
1
N
2
SUBJ_NM
과목명
VARCHAR2 (200)
2
N
3
SUBJ_NM_ENG
과목명_영문
VARCHAR2 (8)
4
SCHL_GRD
학교급
VARCHAR2 (10)
공통코드 37 번
5
CURI_CD
교과
CHAR(3)
공통코드 43 번
6
SERV_CD
서비스분류코드
CHAR(3)
공통코드 44 번
7
NOTE
비고
VARCHAR2 (1000)
8
SORT
정렬번호
NUMBER(6)
9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0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SYSDATE
11
UPDATE_DT
수정일자
DATE
프로그램 ID
- 교과목코드를 생성하고 해당교과 및 서비스교과를 대응시키는 마스터 테이블 설 명
68
작성자 작성일 자료통합처리로그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8/ DATA_MRG_LOG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MRG_ORG_CD
통합대상_기관코드
CHAR(10)
4
MRG_DATA_NO
통합대상_자료번호
NUMBER(10)
5
MRG_NO
통합대상_순번
NUMBER(3)
6
MRG_DT
통합대상_처리일자
DATE
7
NOTE
비고
VARCHAR2(1000)
8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9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0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N
- 중복자료 발생시 여러 개의 자료를 통합할 때, 처리결과를 저장하는 테이블 설 명
69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작성자 작성일 자료유형마스터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컬럼명
형태(길이)
1.0.1 9/ DATA_TYPE
버전
페이지
PK NL 1
비고
1
DATA_TYPE_CD
자료유형코드
NUMBER (10)
N
2
DATA_TYPE_NM
자료유형이름
VARCHAR2 (100)
3
CLAS_DIV_DEPTH
자료유형깊이
NUMBER(1)
4
CLAS_DIV_TYPE
분류구분유형
NUMBER(2)
5
LVL1_TYPE_CD
1 차 유형코드
NUMBER (10)
6
LVL2_TYPE_CD
2 차 유형코드
NUMBER(10)
7
LVL3_TYPE_CD
3 차 유형코드
NUMBER(10)
8
LVL4_TYPE_CD
4 차 유형코드
NUMBER(10)
9
LVL1_TYPE_NM
1 차 유형이름
VARCHAR2(100)
10
LVL2_TYPE_NM
2 차 유형이름
VARCHAR2(100)
11
LVL3_TYPE_NM
3 차 유형이름
VARCHAR2(100)
12
LVL4_TYPE_NM
4 차 유형이름
VARCHAR2(100)
13
SORT
SORT 여부
NUMBER(6)
14
USE_YN
사용여부
CHAR(1)
y: 사용 n: 사용안함
15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6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7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분류체계 V0.96 의 내용상의 분류체계코드를 관리하는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70
작성자 작성일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다운자료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10/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DOWN PK NL
비고
1
DOWN_DATE
다운일자
CHAR(10)
1
N
2
SEQ_NO
순번
NUMBER(6)
2
N
3
ORG_CD
기관코드
CHAR (10)
4
DATA_NO
자료번호
VARCHAR2 (10)
5
TECHNICAL_SEQ_NO
기술문서_순번
NUMBER (6)
6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7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8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다운로드 삽입된다. 설 명
71
통계의
로우
데이터
테이블.
다운로드가
될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때마다
이
테이블에
작성자 작성일 메타.교육정보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11/ EDUCATIONAL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INTER_TYPE
상호작용유형
NUMBER(1)
공통코드 7 번
5
LEARN_RES_TYPE 학습자원유형
NUMBER(2)
공통코드 10 번
6
INTER_LVL
상호작용수준
NUMBER(1)
공통코드 8 번
7
INTEND_USR
이용대상자
NUMBER(2)
공통코드 12 번
8
CONTEXT
문맥교수맥락
NUMBER(1)
공통코드 13 번
9
AGE_RANGE
이용자연령
NUMBER(3)
공통코드 38 번
10
DIFFICULTY
난이도
NUMBER(1)
공통코드 9 번
11
LEARN_TIME
학습시간
VARCHAR2(10)
12
DESCRIPTION
교육_활용방법
VARCHAR2(500)
13
LANG
언어
VARCHAR2(30)
14
TCH_METH
교수_교수방법
NUMBER(1)
공통코드 11 번
15
TCH_ENV
교수_환경
NUMBER(1)
공통코드 14 번
16
TCH_ASSMT
교수_평가
VARCHAR2(500)
17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8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9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중 교육적 활용방법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72
작성자 작성일 메타.기타정보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1.0.1 12/ ETC_INFO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STDY_ELEM
멀티_학습요소
VARCHAR2(8)
5
DVLP_KIND_CD
멀티_개발종류코드
CHAR(1)
6
PAGE_CNT
멀티_쪽수
NUMBER(4)
7
T_KIND_PUP_N_PAGE_CNT 멀티_2종출판사명쪽수
VARCHAR2(600)
8
REL_CNTN_NO
멀티_관련내용번호
NUMBER(10)
9
SUMM
멀티_적요
VARCHAR2(500)
10
COLAB_DSCS_DIV
주제_협동토론구분
VARCHAR2(2)
11
COLAB_DSCS_DTL 주제_협동토론상세
LONG
12
STDY_DATA_TYPE_DIV
연구자료유형구분
VARCHAR2(2)
13
QUAN
평가_분량
NUMBER(3)
14
QUES_CNT
평가_문항수
NUMBER(3)
15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6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7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에서 공유.유통 대상이 되지않는 관리성격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테이블 설 명
73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 에듀넷에서 사용하는 관리용 목적이므로, 그 외의 기간에는 해당 없음
작성자 작성일 메타.일반요소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1.0.1 13/ GENERAL
PK NL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비고
default : "KERIS METADATA CATALOG" default : 자료의 org_cd.data_no 값 default : "ko"
4
GENR_CATALOG
일반_카탈로그
VARCHAR2(100)
5
GENR_ENTRY
일반_값
VARCHAR2(100)
6
LANG
언어
VARCHAR2(30)
7
DESCRIPTION
개요_또는_설명
VARCHAR2(2000)
8
TBL_OF_CONT
목차
VARCHAR2(2000)
9
KEYWORD
검색어
VARCHAR2(1000)
10
COVERAGE
내용범위
VARCHAR2(1000)
11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2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3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에서 공유.유통 대상이 되지않는 관리성격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 KEYWORD 는 검색어를 ","로 구분해서 입력
74
작성자 작성일 교육청-복수_서버_정보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14/ INST_SERVER_INFO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SEQ_NO
순번
NUMBER(6)
2
N
3
SVR_ADDR
교육청_서버_주소
VARCHAR2(100)
4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5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6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에서 공유.유통 대상이 되지않는 관리성격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테이블 설 명
75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SEQ_NO 는 해당기관에 서버가 여러 대 있을 경우를 대비한 일련번호 - SVR_ADDR 은 해당서버의 도메인명 또는 IP 를 저장 예) http://www.edunet4u.net 또는 mms://192.192.192.3
작성자 작성일 메타.기본정보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컬럼명
1.0.1 15/ KEM_BASIC_INFO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TITLE
일반요소_제목
VARCHAR2(1000)
4
SUB_TTL
일반요소_부제
VARCHAR2(1000)
5
AGGR_LVL
일반요소_객체의기능적수준
NUMBER(1)
종합코드 17 번
6
VERSION
생명주기_버전
VARCHAR2(30)
default : "KEM v2.0"
7
STATUS
생명주기_상태
NUMBER(1)
종합코드 2 번
8
META_LANG
메타_언어
VARCHAR2(50)
9
COST
저작권_비용
CHAR(1)
10
OTHER_RESTRT
저작권_기타제약
VARCHAR2(200)
11
EXPR_DATE
저작권_만료일자
DATE
12
DESCRIPTION
저작권_설명
VARCHAR2(512)
13
REF_CNT
자료_참조수
NUMBER(7)
14
DL_CNT
자료_다운수
NUMBER(7)
15
RCMD_DISP_YN
자료_추천_표시여부
CHAR(1)
16
RCMD_CNT
자료_추천수
NUMBER(7)
17
RCMD_MAN_CNT 자료_추천인수
NUMBER(7)
18
SHARE_YN
공유_로컬_구분
CHAR(1)
19
USE_TAG
서비스상태태그
CHAR(1)
20
QUAL_MNG_CD
질관리_처리_코드
NUMBER(2)
종합코드 16 번 default : 2 종합코드 16 번 default : 2
y: 표시함 n: 표시안함
y: 공유자료 n: 비공유자료 종합코드 100 번 y: 사용함 n: 사용안함 10: 승인대기 20: 입력처리 30: 승인처리 40: 승인완료 50: 거절완료 60: 반송처리
76
21
QUAL_MNG_DT
질관리_처리일자
DATE
22
QUAL_MNG_RCMD_CNT
질관리_추천수
NUMBER(7)
23
QUAL_MNG_CMMT
질관리_코맨트
VARCHAR2(2000)
24
SIM_EXT_YN
질관리_유사자료_유무
CHAR(1)
25
KEMUUID
KEM_UUID
VARCHAR2(32)
26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27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28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에서 메타데이터의 기본이 되는 관리 테이블 설 명
77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SEQ_NO 는 해당기관에 서버가 여러 대 있을 경우를 대비한 일련번호
y: 유사자료 있음 n: 유사자료 없음 입력기에서 부여하는 UUID
작성자 작성일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검색어 컬럼 ID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컬럼명
버전
1.0.1 16/ KEYWORD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INSERT_DATE
입력일자
DATE
1
N
2
SEQ_NO
순번
NUMBER(6)
2
N
3
KEYWORD
검색어
VARCHAR2(200)
4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5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6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검색화면에서 사용된 키워드 검색어들을 저장하는 테이블
설 명
- INSERT_DATE 는 검색어가 입력된 날짜 - SEQ_NO 는 일련번호 - KEYWORD 는 검색어
78
작성자 작성일 메타.생명주기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17/ LIFECYCLE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CONTR_ROLE
기여자구분
NUMBER(1)
5
ENTRY_ID
엔트리_ID
VARCHAR2(1000)
6
ENTRY_NM
엔트리_이름
VARCHAR2(1000)
7
ENTRY_TEL
엔트리_연락처
VARCHAR2(40)
8
ENTRY_BLNG
엔트리_소속
VARCHAR2(256)
9
ENTRY_E_ML
엔트리_이메일
VARCHAR2(100)
10
ENTRY_HOMEPG 엔트리_홈페이지
VARCHAR2(100)
11
CONTR_DT
기여일자
DATE
등록일 또는 수정일
12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3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4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종합코드 3 번 default: 1
- KEM 2.0 중 생명주기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
설 명
79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 ENTRY_로 시작되는 칼럼에는 자료 등록자 또는 수정자 정보를 저장 - 평가지(평가문항 여러 개의 조합)와 같은 경우, ENTRY_ID, ENTRY_NM 을 ","로 구분하여 모든 출제자정보를 저장
작성자 작성일 질관리평가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18/ METADATA_ESTM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ESTM_CD
평가코드
VARCHAR2(10)
3
N
4
VALUE
평가값
NUMBER
5
CHAR_VALUE
검증단코맨트
VARCHAR2(3000)
6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7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8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질관리 도구에서 검증단이 평가한 결과를 관리하는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80
작성자 작성일 메타.메타정보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19/ META_METADATA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CONTR_ROLE
기여자구분
NUMBER(1)
5
META_CATALOG 메타_카탈로그
VARCHAR2(100)
6
META_ENTRY
메타_값
VARCHAR2(100)
7
ENTRY_ID
엔트리_ID
VARCHAR2(10)
8
ENTRY_NM
엔트리_이름
VARCHAR2(70)
9
ENTRY_TEL
엔트리_연락처
VARCHAR2(40)
10
ENTRY_BLNG
엔트리_소속
VARCHAR2(256)
11
ENTRY_E_ML
엔트리_이메일
VARCHAR2(100)
12
ENTRY_HOMEPG 엔트리_홈페이지
VARCHAR2(100)
13
CONTR_DT
기여일자
DATE
14
META_SCHM
메타_스킴
VARCHAR2(30)
15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6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7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중 생명주기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 설 명
81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 ENTRY_로 시작되는 칼럼에는 메타데이터 등록자 또는 검증자 정보를 저장
종합코드 4 번 default: 1 default : "KEM METADATA ID" default : 자료의 org_cd.data_no 값
등록일 또는 검증일 default : "KEM v2.0"
작성자 작성일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기관코드 컬럼 ID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컬럼명
버전
1.0.1 20/ ORG_CODE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1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N
2
ORG_DIV
기관구분코드
NUMBER(5)
종합코드 25 번
3
BLNG_CITY_CD
소속_시도코드
NUMBER(2)
종합코드 23 번
4
BLNG_EDU_INST_CD
소속_교육청코드
CHAR(10)
ORG_CODE에서참조
5
SCHL_GRD_CD
학교급_코드
NUMBER(2)
종합코드 37번
6
SCHL_AFFL_CD
학교계열_코드
NUMBER(2)
종합코드 40번
7
SCHL_NM
기관이름
VARCHAR2(50)
8
SCHL_SHR_NM
기관약칭
VARCHAR2(50)
9
SCHL_STF_CNT
교직원_수
NUMBER(4)
10
STUD_CNT
학생_수
NUMBER(4)
11
CLSS_CNT
학급_수
NUMBER(3)
12
SCHL_ADDR
기관_주소
VARCHAR2(100)
13
SCHL_URL
기관_홈페이지_주소
VARCHAR2(100)
14
SCHL_IP
기관_서버_주소
VARCHAR2(100)
15
SCHL_E_ML
기관_이메일_주소
VARCHAR2(100)
16
SCHL_STAT
기관_상태
NUMBER(12)
17
HOSTING_TAG
호스팅여부태그
CHAR(1)
18
USE_YN
사용여부태그
CHAR(1)
19
REMARK
학교/교과연구회_구분태그
CHAR(1)
20
ALIVE_TAG
기관서버_접속가능태그
CHAR(1)
21
ONLINE_STAT
기관서버_온라인_접속상태
NUMBER(20)
22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23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24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INST_SERVER_INFO로대체
- 교육정보를 공유.유통하고 있는 교육청, 연구회, 유관기관 등의 기관코드 관리 테이블 설 명
- BLNG_EDU_INST_CD 는 ORG_CODE 테이블에서 재참조되는 코드인데, 해당 기관이 소속된 교육청 또는 교육부를 나타내는 코드이며, 소속 교육청이 없을 경우 NULL 처리
82
작성자 작성일 질검증오류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21/ QUAL_VERIF_ERROR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QUAL_VERIF_ERR_CD
질검증오류코드
CHAR (2)
5
QUAL_VERIF_MNG_CD
질검증처리코드
CHAR (2)
6
VERIF_DT
검증일자
DATE
7
NOTE
비고
VARCHAR2(1000)
8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9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0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질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질검증 오류코드 및 그에 대한 처리결과 테이블 설 명
83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작성자 작성일 메타.관계정보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컬럼명
버전
1.0.1 22/ RELATION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KIND
관계정보유형
NUMNER(2)
5
REL_RES_CATALOG
관계_자원_카탈로그
VARCHAR2(100)
6
REL_RES_ENTRY 관계_자원_값
VARCHAR2(200)
7
DESCRIPTION
자원_설명
VARCHAR2(1000)
8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9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0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종합코드15번 default: 7 관계정보유형영문명: 종합코드 15번
- KEM 2.0 중 관계정보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 KIND 에는 해당자료의 참고사이트 또는 선.후속학습 여부를 구분 - REL_RES_CATALOG 에는 관계정보유형코드에 대한 영문명을 저장 - REL_RES_ENTRY 에는 해당자료의 참고사이트 또는 선.호속학습자원 ID 저장
84
작성자 작성일 메타.기술정보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컬럼명
1.0.1 23/ TECHNICAL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SVR_SEQ_NO
기관서버번호
NUMBER(6)
INST_SERVER_INFO의 SEQ_NO
5
FORMAT
확장자
VARCHAR2(30)
파일 확장자
6
LOCATION
디렉토리
NUMBER(10)
디렉토리 정보
7
INSTALL_REMARK
인스톨주의사항
VARCHAR2(200)
8
FILE_NM
서버파일명
VARCHAR2(1000)
파일 물리명
9
FILE_PHY_NM
사용자파일명
VARCHAR2(1000)
파일 논리명
10
FILE_TYPE_CD
파일유형코드
NUMBER(2)
종합코드 5 번
11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2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3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중 관계정보에 해당되는 메타데이터 관리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 SVR_SEQ_NO 는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서버의 도메인정보가 저장된 INST_SERVER_INFO 테이블의 SEQ_NO 를 저장 - LOCATION 에는 도메인과 파일명 사이의 "/directory1/… /"정보를 저장 - FILE_NM 은 서버에 실제로 저장되는 물리명을 저장(입력기가 파일명을 변경) - FILE_PHY_NM 은 사용자가 업로드할 때 사용한 논리명을 저장(UI 에서 조회용) ※ 주소(URL)조합규칙 : 도메인(INST_SERVER_INFO.SVR_ADDR) 파일명(TECHNICAL.FILE_NM)
85
+
디렉토리(TECHNICAL.LOCATION)
+
작성자 작성일 기술 및 관계요소오류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1.0.1 24/ TECH_REL_ERROR
버전
페이지
형태(길이)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 (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SEQ_NO
순번
NUMBER(6)
3
N
4
DATA_ERR_CD
자료오류코드
CHAR (2)
5
DATA_MNG_CD
자료처리코드
CHAR (2)
6
EXAM_DT
검사일자
DATE
7
NOTE
비고
VARCHAR2(1000)
8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9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0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 KEM 2.0 중 파일정보에 오류가 있을 경우, 자동확인 한 결과를 기록하는 테이블 설 명
- ORG_CD 는 자료가 위치한 곳의 교육청 또는 연구회 등의 기관코드 - DATA_NO 는 기관에서 보유한 자료를 식별하는 단순 증가 번호 - SEQ 는 해당자료에 여러 개의 관련자료가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순번
86
작성자 작성일 유효성산출
테이블 정의서 논리명 No
컬럼 ID
컬럼명
조용상 2003-08-25 물리명 형태(길이)
1.0.1 25/ VALID_OUT
버전
페이지
PK NL
비고
1
ORG_CD
기관코드
CHAR(10)
1
N
2
DATA_NO
자료번호
NUMBER(10)
2
N
3
OUT_DIV_CD
산출유형구분코드
VARCHAR2(15)
3
N
4
DATA_ORDER
자료우선순위
NUMBER(9)
5
STAT_DIV_CD
상태구분코드
VARCHAR2(10)
6
TOTAL_CNT
전체건수
NUMBER(9)
7
REG_CNT
등록건수
NUMBER(9)
8
OK_CNT
정상건수
NUMBER(9)
9
VALID_DIV_CD
유효성구분코드
VARCHAR2(10)
10
FIX_YN
확정여부
CHAR(1)
11
YEAR
년도
VARCHAR2(4)
12
VALID_DATE
유효일자
VARCHAR2(4)
13
BLNG_CITY_CD
소속시도코드
NUMBER(3)
14
USER_ID
사용자 ID
VARCHAR2(10)
로그인 ID
15
UPDATE_DT
수정일자
DATE
SYSDATE
16
PROG_ID
프로그램 ID
VARCHAR2(20)
프로그램 ID
설 명
87
Ⅶ. KEM 2.0 주요 코드 설명 1. KEM 2.0 주요 코드 목록 작성자 조용상 작성일 2003-08-25 시스템명 교수학습 기능강화 서비스 부시스템
코드 목록
N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코드명 기관코드 과목코드 분류구분코드 자료유형코드 기여자구분코드 파일포맷코드 파일설치정보코드 LOM.상호작용유형코드 교수방법코드 이용대상자코드 학습환경코드 관련정보유형코드 유료여부코드 소속시도코드 소속교육청코드 기관구분코드 분류구분코드 학교급코드 이용자연령코드 학교계열코드 학년코드 학기코드 내용교과코드 서비스교과코드 사용여부 질관리평가코드 메타데이터상태코드 품질관리상태코드
버전 페이지
1.0.1 1/2
테이블 ID
칼럼 ID
비고
ORG_CODE CURRICULUM CLAS_CODE DATA_TYP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COMN_CODE
ORG_CD SUBJ_CD CLAS_DIV_TYPE DATA_TYPE_CD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DIV_CD2
구분코드:3 구분코드:5 구분코드:6 구분코드:7 구분코드:11 구분코드:12 구분코드:14 구분코드:15 구분코드:16 구분코드:23 구분코드:24 구분코드:25 구분코드:36 구분코드:37 구분코드:38 구분코드:40 구분코드:41 구분코드:42 구분코드:43 구분코드:44 구분코드:100 구분코드:95 구분코드:96 구분코드:97
88
작성자 조용상 작성일 2003-08-25 시스템명 교수학습 기능강화 서비스 부시스템
코드 목록
No
코드명
29 품질관리산출코드
89
테이블 ID COMN_CODE
버전 페이지
칼럼 ID DIV_CD2
1.0.1 2/2
비고 구분코드:98
2. KEM 2.0 주요 코드 설계서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코드 설계서 업무명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비고
하위업무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
기관_코드 기관(조직)의 유일한 식별을 나타내는 코드
C1
C2
C3
C4
C5
C6
C7
C8
C9
C10
C1~C3 : 시도교육구 + C4~C5 : 기관구분 + C6~C10 : 일련번호 기관코드(ORG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공통코드만 해당됨 의미조합 문자코드 A000000001 : 교육부 B100700001 : 서울특별시교육청 C100700001 : 부산광역시교육청 D100700001 : 대구광역시교육청 E100700001 : 인천광역시교육청 F100700001 : 광주광역시교육청 G100700001 : 대전광역시교육청 H100700001 : 울산광역시교육청 J100700001 : 경기도교육청 K100700001 : 강원도교육청 M100700001 : 충청북도교육청 N100700001 : 충청남도교육청 P100700001 : 전라북도교육청 Q100700001 : 전라남도교육청 R100700001 : 경상북도교육청 S100700001 : 경상남도교육청 T100700001 : 제주도교육청
- 모든 메타데이터 테이블의 기본키값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 - 시도교육구 참조 - 기관구분(공통코드 24 번) 참조 ※ NEIS 조직코드체계를 따른다. 단, 코드부여 순서는 독립적이다.
90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비고
91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과목_코드 제 7 차 교육과정의 2 종 교과서까지의 과목코드
C1
C2
C3
C4
C5
C6
C7
C1~C3 : 교과 + C4 : 학교급 + C5~C7 : 일련번호 교과목마스터(CURRICULUM) YES NO 코드종류번호 공통코드만 해당됨 의미조합 문자코드 영어(ENG)교과 : ENG2001 : 초등영어 ENG3001 : 중등영어 ENG4001 : 고등영어 국어(KOR)교과 : KOR2003 : 말하기.듣기 KOR2004 : 읽기 KOR2005 : 쓰기 KOR2006 : 말하기.듣기.쓰기 KOR3001 : 국어 (중학교 국어) KOR4002 : 국어(상) (고등학교 2 학년 국어)
- 분류구분마스터(CLAS_CODE)에서 사용 - 교과코드 참조 - 학교급코드(공통코드 37 번) 참조
1.0.1 2/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3/
분류구분_코드 제 7 차 교육과정의 학교급, 과목, 단원.주제코드
C1
C2
C3
C4
C5
C6
C1~C2 : 분류구분타입 + C3~C6 : 일련번호 분류구분마스터(CLAS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공통코드만 해당됨 의미조합 숫자코드 학교급_주제(3) 분류 : 30001 : 학교급 – 초등학교 학년 - 1 학년 과목 - 바른생활 학기 - 1 학기 대단원 중단원 – 현장학습 가는 날 소단원 주제 - 즐거운 현장학습이 되려면
사용예 학교급_과목(4) 40020 : 학교급 학년 과목
분류 : – 초등학교 - 1 학년 - 수학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분류(CLASSIFICATION)에서 사용 - 분류구분타입코드 참조 비고
92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자료유형_코드 KEM 2.0 의 분류체계(ver 0.96)의 내용상의 분류체계코드
C1
C2
C3
C4
C5
C6
C7
C8
C1~C2: 1 차 + C3~C4: 2 차 + C5~C6: 3 차 + C7~C8: 4 차 자료유형마스터(DATA_TYPE) YES NO 코드종류번호 공통코드만 해당됨 의미조합 숫자코드 1000000 : 1 차 분류 – 교과 2 차 분류 3 차 분류 4 차 분류 1040000 : 1 차 2차 3차 4차
분류 분류 분류 분류
– 교과 – 멀티미디어 요소자료 -
1040010 : 1 차 2차 3차 4차
분류 분류 분류 분류
– 교과 – 멀티미디어 요소자료 – 그림 -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분류(CLASSIFICATION)에서 사용 비고
93
※ 분류체계 ver 0.96 표 참조
1.0.1 4/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5/
기여자구분_코드 KEM 2.0 의 생명주기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 (LOM 의 contributor 의 vocabulary 값과 다른 코드 사용)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저자 2 : 개발기관 3 : 용역업체 4 : 기술검수 5 : 내용검수 6 : 서비스제공자 7 : 사업주관기관 8 : 관할교육
3
※ 기본값으로 1 을 사용하며, '저작권자'로 인식한다.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생명주기(LIFECYCLE)에서 사용 비고
※ KEM 2.0 규격표 참조.
94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파일포맷_코드 탑재되는 자료의 파일포맷을 서비스용도로 구분하기 위한 코드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그림/사진 2 : 문서 3 : 동영상 4 : 모듈 5 : 웹사이트 6 : 소리 7 : 에니메이션 8 : 기타
5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기술(TECHNICAL)에서 사용 비고
95
1.0.1 6/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7/
파일설치정보_코드 파일 확장자를 파일포맷코드로 대응시킬 수 있는 코드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3 : jpg - 그림/사진(1)과 대응 5 : bmp – 그림/사진(1)과 대응 10 : hwp – 문서(2)와 대응 15 : avi – 동영상(3)과 대응 18 : exe – 모듈(4)와 대응 21 : wav – 소리(6)과 대응 23 : swf – 애니메이션(7)과 대응 24 : zip – 기타(압축)(8)과 대응
6
사용예
※ 공통코드 테이블의 ref1 칼럼에 대응되는 파일포맷코드 참조 비고
96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LOM.상호작용유형_코드 KEM 2.0 의 상호작용유형을 나타내는 코드 (LOM 의 Interactivity Type 의 vocabulary 값과 동일한 코드사용)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능동적 2 : 설명적 3 : 혼합형 4 : 비결정형
7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교육정보(EDUCATIONAL)에서 사용 비고
97
1.0.1 8/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9/
교수방법_코드 KEM 2.0 의 교수방법을 나타내는 코드 (LOM 의 Teaching Method 의 vocabulary 값과 다른 코드 사용)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정보탐색 2 : 정보분석 3 : 정보안내 4 : 웹토론 5 : 협력연구 6 : 전문가교류 7 : 웹펜팔 8 : 웹정보작성
11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교육정보(EDUCATIONAL)에서 사용 비고
98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이용대상자_코드 KEM 2.0 의 이용대상자를 나타내는 코드 (LOM 의 Intended End User Role 의 vocabulary 값과 동일코드 사용)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교사 2 : 저작자 3 : 학습자 4 : 관리자
12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교육정보(EDUCATIONAL)에서 사용 비고
99
1.0.1 10/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1/
학습환경_코드 KEM 2.0 의 학습환경을 나타내는 코드 (LOM 의 Environment 의 vocabulary 값과 다른 코드 사용)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1 교실 1PC 2 : 1 모둠 1PC 3 : 1 인 1PC
14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교육정보(EDUCATIONAL)에서 사용 비고
100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관련정보유형_코드 KEM 2.0 의 자원간의 관련정보를 나타내는 코드 (LOM 의 Kind 의 vocabulary 값과 동일 코드 사용)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7 : 참고사이트 9 : 선수학습 10 : 후속학습
15
※ 기본값으로 7 을 사용하며, '관련사이트'로 인식한다.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관계정보(RELATION)에서 사용 비고
101
1.0.1 12/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3/
유료여부_코드 KEM 2.0 의 비용의 유.무료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 (LOM 의 cost 의 vocabulary 값과 동일 코드 사용) C1 C1: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무료 2 : 유료
16
※ 기본값으로 1 을 사용하며, '무료'로 인식한다.
사용예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기본정보(KEM_BASIC_INFO)에서 사용 비고
102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103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소속시도_코드 기관 및 사람의 지역적 구분을 의미하는 시.도 코드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서울특별시 2 : 부산광역시 3 : 대전광역시 4 : 대구광역시 5 : 인천광역시 6 : 울산광역시 7 : 광주광역시 8 : 경기도 9 : 강원도 10 : 충청북도 11 : 충청남도 12 : 전라북도 13 : 전라남도 14 : 경상북도 15 : 경상남도 16 : 제주도 17 : 에듀넷
- 기관코드(ORG_CODE)에서 사용 비고
조용상 2003-08-25
23
1.0.1 14/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5/
소속교육청_코드 기관이 소속된 시.도 교육청 코드 (교육부 및 유관기관 등은 소속 교육청 코드를 사용하지 않음)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서울특별시교육청 2 : 부산광역시교육청 3 : 대전광역시교육청 4 : 대구광역시교육청 5 : 인천광역시교육청 6 : 울산광역시교육청 7 : 광주광역시교육청 8 : 경기도교육청 9 : 강원도교육청 10 : 충청북도교육청 11 : 충청남도교육청 12 : 전라북도교육청 13 : 전라남도교육청 14 : 경상북도교육청 15 : 경상남도교육청 16 : 제주도교육청 17 : 에듀넷
24
- 기관코드(ORG_CODE)에서 사용 비고
104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기관구분_코드 기관의 성격상 구분이 되는 유형을 정의한 코드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0 : 계열구분없음 1 : 유치원 2 : 초등학교 3 : 중학교 4 : 고등학교 5 : 특수학교 6 : 교과연구회 7 : 시도교육청 9 : 지역교육청 10 : 유관기관 11 : 연구대회 99 : 에듀넷
- 기관코드(ORG_CODE)에서 사용 비고
105
※ 기관코드 생성시 참조되는 코드
24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6/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7/
분류구분_코드 분류구분마스터에서 사용하는 분류구분유형 코드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36 일련번호 3 : 학교급_학년_과목_학기_대단원_중단원_소단원_주제 4 : 학교급_학년_과목 6 : 학교급 7 : 주제,영역 8 : 연령,발달영역 9 : 지정 12 : 시도
사용예
- 분류코드마스터(CLAS_CODE)에서 사용 비고
※ 자료의 성격상 요구되는 세부입력기준이 다르므로, 분류체계 VER 0.96 표 참조
106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학교급_코드 분류구분마스터에서 사용하는 학교급 코드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유치원 2 : 초등학교 3 : 중학교 4 : 고등학교 5 : 특수학교 6 : 실업학교 7 : 기타
사용예
- 분류코드(ORG_CODE)에서 사용 비고
107
조용상 2003-08-25
37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8/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19/
이용자연령_코드 KEM 2.0 의 이용자 연령을 나타내는 코드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0 ~ 4세 2 : 5 ~ 7세 3 : 8세 4 : 9세 5 : 10 세 6 : 11 세 7 : 12 세 8 : 13 세 9 : 14 세 10 : 15 세 11 : 16 세 12 : 17 세 13 : 18 세 14 : 19 세 15 : 20 ~ 29 세 16 : 30 ~ 39 세 17 : 40 ~ 49 세 18 : 50 ~ 59 세 19 : 60 세 이상
38
- 메타데이터 테이블 중, 메타.교육정보(EDUCATIONAL)에서 사용 비고
108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학교계열_코드 학교의 설립구분(계열)을 나타내는 코드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0 : 계열없음 2 : 인문계열 3 : 공업계열 4 : 상업계열 5 : 예술계열 6 : 농업계열 7 : 체육계열 8 : 과학계열 9 : 종합 11 : 수산/해운계열 12 : 가사/.실업계열 13 : 외국어계열 14 : 국제계열 15 : 정보통신계열 99 : 기타
- 기관코드(ORG_CODE)에서 사용 비고
109
조용상 2003-08-25
40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0/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1/
학년_코드 학년을 나타내는 코드
C1
C2
C1~C2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1 학년 2 : 2 학년 3 : 3 학년 4 : 4 학년 5 : 5 학년 6 : 6 학년 10 : 공통학년
41
사용예
- 분류코드마스터(CLAS_CODE)에서 사용 비고
110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학기_코드 학기를 나타내는 코드
C1 C1 :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 1 학기 2 : 2 학기 10 : 공통학기
42
사용예
- 분류코드마스터(CLAS_CODE)에서 사용 비고
111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2/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3/
내용교과_코드 제 7 차 교육과정상의 내용상의 교과 분류 코드
C1
C2 C3
C1~C3 : 영문약어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43 영문약어 문자코드 AGR : 농업 MAR ART : 미술 MAT BIO : 생물 MOR BUS : 가사.실업 MUS CHE : 화학 PHC CHI : 한문 PHY COM : 상업.컴퓨터 PLE COR : 바른생활 SCI DIS : 재량활동 SOC EAR : 지학 SPE ENG : 영어 TEC ENT : 예능 ETC : 기타 FOR : 외국어 GEO : 지리 HIS : 역사 IND : 공업 INT : 슬기로운 생활 KIN : 유치원 KOR : 국어 - 분류코드마스터(CLAS_CODE)에서 사용 - 교과목마스터(CURRICULUM)에서 사용
: : : : : : : : : : :
수산.해운 수학 도덕 음악 물리 체육 즐거운 생활 과학 사회 특별활동 기술가정
비고
112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비고
113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서비스교과_코드 제 7 차 교육과정을 웹화면에서 서비스하기 위한 교과 분류 코드
C1
C2 C3
C1~C3 : 영문약어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44 영문약어 문자코드 AGR : 농업 MO1 AR1 : 미술과 생활 MOR ART : 미술 MU1 BUS : 가사.실업 MUS CH1 : 한문고전 PH1 CHI : 한문 PH2 COM : 상업.컴퓨터 PHY COR : 바른생활 PLE DIS : 재량활동 SC1 ENG : 영어 SCI ENT : 예능 SO1 ET1 : 우리들은 1 학년 SOC ETC : 기타 SPE FOR : 외국어 TEC HIS : 사회 IND ; 공업 INT : 슬기로운 생활 KIN : 유치원 KO1 : 국어생활 KOR : 국어 MA1 : 실용수학 MAR : 수산.해운 MAT : 수학 - 분류코드마스터(CLAS_CODE)에서 사용 - 교과목마스터(CURRICULUM)에서 사용
: : : : : : : : : : : : : :
시민윤리 도덕 음악과 생활 음악 체육과건강 교련 체육 즐거운 생활 생활과 과학 과학 인간사회와 환경 사회 특별활동 기술.가정
1.0.1 24/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5/
사용여부_코드 해당코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
C1 C1 : True or False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영문소문자 문자코드 y : 사용함 n : 사용안함
100
사용예
- 코드마스터 및 메타.기본정보(KEM_BASIC_INFO)에서 사용 비고
114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사용예
조용상 2003-08-25
115
1.0.1 26/
질관리평가_코드 품질 관리에서 자료에 대한 평가 값
C1
C2
C3
C4
C1: 평가 항목 C2: 중앙, 시.도 구분 C3~C4: 일련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95 의미조합 문자코드 VC01: VC02: VC03: VC04: VC05: VC06: VC07: VC08: VC09: VC10: VL01: VL02: VL03: VL04: VL05: VL06: VL07: VL08: VL09: VL10: PC01:
메타데이터검증-충실성(중앙) 메타데이터검증-정확성(중앙) 메타데이터검증-진실성(중앙) 메타데이터검증-윤리성(중앙) 메타데이터검증-저작권(중앙) 메타데이터검증-자료분류(중앙) 자료검증-안정성(중앙) 내용검증-타당성(중앙) 내용검증-신뢰성(중앙) 내용검증-윤리성(중앙) 메타데이터검증-충실성(시.도) 메타데이터검증-정확성(시.도) 메타데이터검증-진실성(시.도) 메타데이터검증-윤리성(시.도) 메타데이터검증-저작권(시.도) 메타데이터검증-자료분류(시.도)
자료검증-안정성(시.도) 내용검증-타당성(시.도) 내용검증-신뢰성(시.도) 내용검증-윤리성(시.도) 주요검토사항-제목(중앙)
PC02: PC03: PC04: PC05: PC06: PC07: PL01: PL02: PL03: PL04: PL05: PL06: PL07: TC00: TL00: CMSG: LMSG:
주요검토사항-자료설명(중앙)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대상(중앙)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방법(중앙)
주요검토사항-완성도(중앙) 주요검토사항-편리성(중앙) 주요검토사항-효과성(중앙) 주요검토사항-제목(시.도) 주요검토사항-자료설명(시.도)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대상(시.도)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방법(시.도)
주요검토사항-완성도(시.도) 주요검토사항-편리성(시.도) 주요검토사항-효과성(시.도) 종합평가(중앙) 종합평가(시.도) 평가의견(중앙) 평가의견(시.도)
- 질관리도구에서 자료의 내용 평가에서 사용 비고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7/
메타데이터상태_코드 메타데이터의 관리 상태 코드 값
C1
C2
C1~C2 : 일반 숫자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대역별 구분코드 10: 승인대기 20: 입력처리 30: 승인처리 40: 승인완료 50: 거절완료 60: 반송처리
96
사용예
- 질관리도구 및 전송 모듈에서 메타데이터의 상태를 구분할 때 사용 비고
116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품질관리상태_코드 메타데이터의 품질 관리 상태 코드 값
C1 C1 : 일련 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일련번호 1: 산출 초기 상태 2: 반송 등록 3: 유사 자료 등록 4: 정상 등록 5: 평가 승인
사용예
- 질관리도구에서 품질 관리에서 사용 비고
117
97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8/
코드 설계서 업무명
하위업무
코드명 설
명 코 드 체 계
테이블 공통코드 부여규칙
작성자 작성일 작업단계
조용상 2003-08-25
버전 페이지 상세수준
1.0.1 29/
품질관리산출_코드 품질관리 산출기에서 사용하는 코드
C1
C2
C1 : 영문 C2: 일련 번호 공통코드마스터(COMN_CODE) YES NO 코드종류번호 의미조합 문자코드 A1: B1: C1: C2: C4:
98
URL 검사 산출 파일 검사 산출 중복 자료 산출 (URL + 타이틀 + 파일명 + 파일용량) 중복 자료 산출 (타이틀 + URL) 중복 자료 산출 (파일명 + 파일용량)
사용예
- 질관리도구에서 자동으로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작업구분 코드 비고
118
Ⅷ. 연계 구축시 인증 부분 연계 방법 KEM 2.0 통합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는 연계구축 기관의 사용자 정 보와 연계해야 하는 부분인 통합 입력기와 종합관리도구 두 가지가 있다. 사용자 정보는 연계 구축기관의 고유한 부분이므로 KERIS 에서 제공하는 KEM 2.0 통합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이 사전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증부분과 연계하는 것이 복잡한 작업은 아니며, 지금까지 설명된 DB 구조나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해만 되어 있다면 큰 어려움 없이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1. KEM 2.0 통합 입력기 연계 입력기 클라이언트는 다음 그림과 같이 기존 웹 어플리케이션에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의 페이지를 링크를 통해서 Add-On 한다.
[그림 Ⅷ-1]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서비스 페이지 링크 예를 들어, 기존의 웹 애플리케이션 Context 가 ‘Legacy’라는 이름에 ‘legacy’라는 path 로 구성되어 있고 설치된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Context 는 ‘kemEditorServices’라는 이름에 ‘kemEditorServices’라는 path 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입력기를 사용할 페이지는 http://localhost/legacy/main.jsp 이고, 입력기 페이지는 이와 같이 위치한다고 하자. http://localhost/kemEditorServices/inputer.htm 119
이 때 main.jsp 에서 inputer.htm 페이지를 요청할 때 inputer.htm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값들을 설정하여 준다. 아래는 inputer.htm 에서 필요로 하는 Input Parameter 들을 설명한 표이다. <표 Ⅷ-1>inputer.htm 에 필요한 Input Parameter 속성표 Parameter Name Description id
입력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name email
입력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
onlyShow
kerisURL serverURL
입력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email 이 Parameter 는 조회 및 수정기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이 Parameter 의 값이 1 이면 수정 버튼이 나타나고 2 라면 버튼이 나타나지를 않아 조회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 의 URL(endpoint)
해당 시.도 교육청의 메타데이터 입력기 웹 서비스의 URL(endpoint) 해당 시.도 교육청의 org_cd. KEM Schema 를 참조한다. serverORGCODE
dataNumber orgCode
kem_basic_info 의 data_no. KEM Schema 를 참조한다. kem_basic_info 의 org_cd. KEM Schema 를 참조한다.
다음은 이 Parameter 들과 값들의 적용 예이다. <FORM name="INPUTERPARAM" > <INPUT type="hidden" name="name" value="hong gil dong"/> <INPUT type="hidden" name="id" value="coreaup"/> <INPUT type="hidden" name="email" value="coreaup@starsoft.co.kr"/> <INPUT type="hidden" name="kerisURL" value="http://kmt.edunet4u.net:8085/edumetainput/services/KerisMetaService"/> <INPUT type="hidden" name="serverURL" value="http://kmt.edunet4u.net:8085/edumetainput/services/KerisMetaService"/> <INPUT type="hidden" name="serverORGCODE" value="B100700001" /> <INPUT type="hidden" name="dataNumber" value="10000" /> <INPUT type="hidden" name="orgCode" value="99999" /> </FORM>
120
2. 종합관리도구 연계 KERIS 의 종합관리도구의 인증은 에듀넷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게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계구축기관에서는 연계할 때는 사용자 인증 및 분배에 관련된 부분을 수정해야 한다. 인증에 관한 부분은 현재 쿠키 방식으로 구현이 되어 있으나, 이를 세션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사용자 인증 및 분배 수정후 확인은 개발환경 설정 부분에서 설명되어 있는 순서대로 작업하면 확인할 수 있다. 가. 사용자 정보 설정 아래의 그림은 종합관리 도구 페이지 중 인증과 관련된 페이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각 메뉴의 메인 페이지는 상단에 include 지시어를 사용하여 main_Hinclude.jsp 파일은 포함한다. main_Hinclude.jsp 파일은 사용자 정보를 얻어와서 변수에 설정하는 페이지로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HTML Tag 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그림 Ⅷ-2] 종합관리도구 인증 관련 페이지 구성 아래의 표는 종합관리도구에서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변수들을 설명한 것이다. <표 Ⅷ-2> 종합관리도구에서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변수 속성표 Variable Description Name 종합관리도구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아이디 k_id name roleType
email 121
종합관리도구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 종합관리도구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role 의 type. 10 이면 검증단(검증하는 모든 사람), 11 이면 관리자(분배 작업자)이다. roleType 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어야 하거나 혹은 다른 View 등을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종합관리도구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email
아래는 종합관리도구 웹 어플리케이션의 Context Root 패스 밑의 main_Hinclude.jsp 파일의 부분 코드이다. 현재는 이와 같이 쿠키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정책에 따라 세션 변수를 사용하도록 변경하여도 된다.
사용자 정보가 main_Hinclude.jsp 에 설정이 되면 개발환경 설정 부분에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와 로그인 후 보이는 초기메뉴화면과 같은 페이지를 볼 수가 있다.
나. 분배 테이블 설정 분배 테이블이란 질관리 대상이 되는 자료를 질관리를 위한 검증단 한사람 한사람에게 분배를 하기위해 설정하는 테이블을 말한다. 이 테이블은 종합관리도구의 질관리에서 사용하는 테이블이므로 반드시 생성하여 사용해야 한다. 다음은 분배 테이블에서 필요한 필수 필드명과 이를 설명한 표이다.
122
<표 Ⅷ-3> 질관리 분배 테이블에서 필요한 속성표 Field Name K_ID SEQ NAME ROLETYPE INTSCHOOL INTGRADE INTSUBJECT EMAIL USE_YN
Description 검증자의 아이디를 나타낸다. 검증자가 할당 받은 분배 작업의 시퀀스이다. 1 부터 1 씩 증가한다. 검증자의 이름을 나타낸다. 검증자의 역할을 나타낸다. 문자열 데이터로서 “10”이면 검증단, “11”이면 관리자를 나타낸다. 검증자가 할당 받은 작업 대상 자료의 학교급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검증자가 할당 받은 작업 대상 자료의 학년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검증자가 할당 받은 작업 대상 자료의 교과목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검증자의 이메일 주소를 나타낸다. 현재 검증자가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y 또는 n 값이 들어간다.
다음은 분배 테이블을 생성하는 DDL 이다. 추가로 활용해야 하는 필드가 있다면 연계 구축기관에서 확장하여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단 메타데이터 관련 테이블은 가급적 확장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 질관리 코드 관련 다음은 질관리에서 사용하는 코드들의 이름과 부여된 값, 그리고 간략한 설명을 넣은 표들이다. 코드정의서에 대부분 표기가 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정보는 테이블 정의서 및 123
코드 정의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 메타데이터 상태 kem_basic_info.qual_mng_cd 필드에 이 코드 값이 부여된다. <표 Ⅷ-4> 메타데이터 상태 코드표 Code Code Description Name Value 입력을 끝내고 승인처리 대기중인 상태(품질관리 산출이 승인대기 10 입력처리 승인처리
20 30
승인완료
40
거절완료
50
반송처리
60
접근할 수 있는 상태) 입력기를 통해 신규로 입력 또는 수정중인 상태 품질관리 산출을 통해 품질관리중인 상태(전송모듈이 접근할 수 없다. 품질관리를 마치고 정상적인 자료로 승인완료 된 상태(전송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상태) 품질관리를 마치고 반송처리 된 상태(전송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상태 서비스되고 있던 자료 중에 신규 입력된 메타데이터와 중복자료로 판명되어 반송처리 된 상태(전송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상태)
▣ 품질관리 상태 valid_out.stat_div_cd 필드에 이 코드 값이 부여된다. <표 Ⅷ-5> 품질관리 상태 코드표 Code Code Description Name Value 초기 품질관리산출을 통해 자동으로 설정되는 상태 산출초기상태 1 반송등록
2
유사자료등록
3
정상등록
4
평가승인
5
URL 검사, 파일검사, 중복검사, 평가처리를 통해 반송자료로 등록된 상태 유사자료검사를 통해 유사자료로 등록된 상태 품질관리산출에 의해 검사대상자료로 등록되었으나 정상적인 자료로 판명되어 정상자료로 등록된 상태 정상자료에 대한 평가처리가 완료된 상태
▣ 산출 코드 valid_out.out_div_cd 필드에 이 코드 값이 부여된다. 산출코드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124
산출코드(아래의 코드 값과 같이 2 자리) + 연도(2 자리) + 월(2 자리) + 일(2 자리) + 순번(최대 7 자리) <표 Ⅷ-6> 질관리 유효성 산출 코드표 Code Name URL 검사산출
Code Value A1
Description
파일검사산출 중복자료산출
B1 C1
파일의 존재 유무 검사
중복자료산출
C2
타이틀 + URL
중복자료산출
C3
작성자 + 기관
중복자료산출
C4
파일명 + 파일용량
URL 유효성 검사 기관 + 타이틀 + 파일명 + 파일용량
▣ 평가코드 metadata_estm.estm_cd 필드에 아래의 코드 값이 부여된다. 메타데이터검증, 자료검증, 내용검증과 관련된 코드들은 적합 또는 부적합에 해당하는 값(1 or 2)이 metadata_estm.value 에, 주요검토사항에 관련된 코드들은 상,중,하(1 or 2 or 3)의 값이 metadata_estm.value 에, 종합평가에 관련된 코드의 값은 별 하나에서 별 다섯 개까지의 점수가 metadata_estm.value 에 들어간다. metadata_estm.char_value 에 평가에 관련된 검증자의 코멘트가 저장된다. <표 Ⅷ-7> 질관리 평가항목 코드표 Code Name
125
메타데이터검증-충실성(중앙)
Code Value VC01
메타데이터검증-정확성(중앙) 메타데이터검증-진실성(중앙)
VC02 VC03
메타데이터검증-윤리성(중앙)
VC04
메타데이터검증-저작권(중앙)
VC05
메타데이터검증-자료분류(중앙)
VC06
자료검증-안정성(중앙)
VC07
내용검증-타당성(중앙)
VC08
내용검증-신뢰성(중앙)
VC09
내용검증-윤리성(중앙)
VC10
주요검토사항-제목(중앙)
PC01
주요검토사항-자료설명(중앙)
PC02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대상(중앙)
PC03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방법(중앙)
PC04
주요검토사항-완성도(중앙)
PC05
주요검토사항-편리성(중앙)
PC06
주요검토사항-효과성(중앙)
PC07
종합평가(중앙)
TC00
평가의견(중앙)
CMSG
메타데이터검증-충실성(시.도)
VL01
메타데이터검증-정확성(시.도)
VL02
메타데이터검증-진실성(시.도)
VL03
메타데이터검증-윤리성(시.도)
VL04
메타데이터검증-저작권(시.도)
VL05
메타데이터검증-자료분류(시.도)
VL06
자료검증-안정성(시.도)
VL07
내용검증-타당성(시.도)
VL08
내용검증-신뢰성(시.도)
VL09
내용검증-윤리성(시.도)
VL10
주요검토사항-제목(시.도)
PL01
주요검토사항-자료설명(시.도)
PL02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대상(시.도)
PL03
주요검토사항-자료활용방법(시.도)
PL04
주요검토사항-완성도(시.도)
PL05
주요검토사항-편리성(시.도)
PL06
주요검토사항-효과성(시.도)
PL07
종합평가(시.도)
TL00
평가의견(시.도)
LMSG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