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상반기 조사보고서(2권) 1부(3 고창지역)[1(진실화해위원회)]

Page 1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결정사안】 진실규명대상자 이두식 등이 한국전쟁 전후 전북 고창군 일대에서 적대세력에 의하여 희생 및 폭행당한 사건에 대하여 진실을 규명한 사례. 【결정요지】

1. 진실규명대상자 135명과 미신청 피해자 18명 등 총 153명이 1950. 5.~1953. 2. 사이 에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되었으며, 진실규명대상자 1명이 폭행당한 사실을 참고인 진술과 문헌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2.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은 사건 발생시기를 기준으로 ① 인민군 점령 직 전에 일어난 희생사건, ② 인민군 점령 기간과 후퇴 기간에 일어난 희생사건, ③ 군․경 수복 이후이나 치안이 부재한 시기에 일어난 희생사건, ④ 군․경의 완전한 수복 이후 일 어난 희생사건으로 구분된다. 인민군 점령 직전과, 점령 직후에 발생한 희생사건의 경우 희생자들은 주로 총살되었고, 인민군 후퇴기간에는 총살된 희생자도 있었으나 죽창 등으 로 희생된 경우도 많았다. 또한 인민군이 후퇴한 이후, 치안이 부재한 시기에 희생된 피 해자들은 대부분 죽창에 의해 희생되었다. 또한 인민군 점령 전, 인민군 점령 기간, 군․ 경 수복 이후의 기간에는 개별적이고 선별적인 희생사건이 주로 발생했던 것에 반해, 인 민군 후퇴 시기와 후퇴 이후 치안 부재 시기에는 가족 단위의 대규모 희생이 많이 발생했 다.

3. 피해자들은 모두 고창지역 (구)빨치산, 내무서원, 분주소원 및 지방좌익, (신)빨치산 등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되었다. 피해자들은 좌익인사들과 관계가 좋지 않았거나, 대한청 년단 활동 등 우익활동을 하였거나, 면장, 경찰, 군인 등 공직에 있었거나, 마을 이장 등을 역임한 사람이었거나, 그들의 가족이었다.

4.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희생자 수를 면 단위로 구분하면, 공음면에서 가장 많은 63명이 희생되었고, 대산면에서 23명, 무장면에서 18명, 해리면에서 9명, 성내 면에서 8명, 부안면에서 7명, 아산면에서 3명이 희생되었으며, 고창읍, 성송면, 심원면에 서 각각 2명이 희생되었다. 무장면에서는 희생사건 이외에도 폭행사건 역시 발생하였다. 이외에도 각종 문헌자료에서 희생자 명단이 확인되었으므로, 실제 희생규모는 153명보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29


제2권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

문】

【사 건】마-286 외 44건,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신청인】이윤호 외 40명 【결정일】2009. 1. 19. 【주 문】 이 사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진실이 규명되었으므로 ‘진실규명’으로 결정한다. 【이 유】

Ⅰ. 조사개요 1. 사건개요 가. 사건접수 및 처리과정 신청인 이윤호 외 40인은 2006. 11. 30. 진실화해위원회에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공 음면, 대산면, 무장면, 부안면, 성내면, 성송면, 심원면, 아산면, 해리면 등 10개 읍․면에 서 발생한 희생사건 45건에 대하여 진실규명을 신청하였다. 신청내용을 검토한 후 2007. 2. 20. 제25차 민족독립규명위원회에서 45건의 사건에 대 한 조사개시를 결정하였다. 이후 2008. 12. 16. 조사개시된 45건의 사건을 사건이 발생한

10개 면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사건 발생시기, 장소 및 원인이 같은 28개의 사 건으로 재분리․병합하여 사건명을 재지정하였다.1) 사건별로 분류․정리한 신청사건의 현황은 <표 1>과 같다.2)

1) 2대 이상의 직계가족이 동시에 희생된 집단희생사건의 경우 ‘일가’ 희생사건으로, 2대 이내 직계가족의 희 생사건의 경우 ‘가족’ 희생사건으로 명하였다. 2) 사건을 기술할 때에는, 일차적으로는 사건이 일어난 면 단위로 구분하여 서술하였고, 같은 면에서 발생한 사건일 경우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대로 서술하였다.

3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표 1> 고창지역 적대세력사건 접수 현황 및 사건명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조사결과) 사건명

희생사건 고창읍(신청사건 2건, 사건 수 1건) 고창에서 문일환이 문국환 1 ‘06.11.23. 마-7458 인민군에게 희생당 (22세) 한 사건

문일환 (文一煥, 29세)

고창에서 백인기가 이강남 2 ‘06.11.30. 마-9703 인민군에게 희생당 (14세) 한 사건

백인기 (白仁基, 35세)

姉兄

‘07.2.13. ① 고창내무 서 희생사건 ‘07.2.20.

공음면(신청사건 19건, 사건 수 7건) 고창에서 정고봉 외 2인이 지방좌 정재윤 3 ‘06.11.30. 마-8397 익에게 희생당한 (3세) 사건

고창에서 정재화 외 3인이 지역좌 정진택 4 ‘06.11.30. 마-8512 익에게 희생당한 (2세) 사건

고창에서 정균일 외 10인이 지역좌 익에게 희생당한 사건 정영백 5 ‘06.11.30. 마-9521 ※ 정대진의 갓난 (5세) 아기(성명 불상)도 당시 희생되었으 나 신청에서 누락

정동옥 (鄭東玉, 72세)

祖父

정고봉 (鄭高峯, 24세)

박복남 (朴福南, 23세)

정준묵 (鄭準黙, 55세)

祖父

이평전 (李平田, 50세)

祖母

정재화 (鄭在華, 25세)

강판순 (姜判順, 29세)

정균일 (鄭均一, 48세)

祖父

김영녀 (金寧女, 47세)

祖母

정균삼 (鄭均三, 35세)

從祖父

정대진 (鄭大鎭, 31세)

정정숙 (鄭正淑, 24세) 정성진 (鄭聖鎭, 33세)

‘07.2.13.

‘07.2.13. ② 공음면 군 유리 정씨일가 희생사건

‘07.2.13.

母 叔父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31


제2권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신청인 (당시 나이)

고창에서 양영석 외 10인이 지역좌 양종식 6 ‘06.11.30. 마-9669 익에게 희생당한 (2세) 사건

고창에서 양석순 외 6인이 빨치산에 게 희생당한 사건 양태식 7 ‘06.11.30. 마-9635 ※ 양석순의 며느 (출생전) 리(성명불상)도 당 시 희생되었으나 신청에서 누락

3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정정순 (鄭情順, 21세)

姑母

정삼례 (鄭三禮, 21세)

姑母

정말례 (鄭末禮, 10세)

姑母

정순애 (鄭順愛, 12세)

姑母

정필임 (鄭必姙, 6세)

姑母

양영석 (梁榮石, 65세)

祖父

장선옥 (張仙玉, 63세)

祖母

양수진 (梁洙軫, 25세)

정선순 (鄭善順, 27세)

양대중 (梁大中, 35세)

叔父

윤기순 (尹奇順, 36세)

叔母

양수성 (梁洙成, 37세)

叔父

김정례 (金正禮, 28세)

叔母

양정순 (梁貞順, 10세)

從妹

양용식 (梁龍植, 9세)

從兄

양정례 (梁貞禮, 7세)

從妹

양석순 (梁石順, 54세)

祖父

안무순 (安戊順, 53세)

祖母

양수일 (梁洙一, 30세)

伯父

(조사결과) 사건명

‘07.2.20. ③ 공음면 선 동리 양씨일가 희생사건

‘07.2.13.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장복순 (張福順, 28세)

伯母

양판례 (梁判禮, 13세)

姑母

양판순 (梁判順, 12세)

姑母

양수창 (梁洙昌, 9세)

叔父

고창에서 양화성 외 양수석 8 ‘06.11.30. 마-9636 8인이 빨치산에게 (8세) 희생당한 사건

양화성 叔父 (梁化成, 51세) 김선옥 叔母 (金仙玉, 52세) 양수학 再從 (梁洙學, 23세) 박복녀 再從兄嫂 (朴福女, 23세) 양봉순 再從女 (梁鳳順, 20세) 양오례 從妹 (梁五禮, 16세) 양수영 再從 (梁洙榮, 13세) 양수구 再從 (梁洙求, 10세) 양영임 再堂姪 (梁永任, 1세)

고창에서 양수철이 양영규 9 ‘06.11.30. 마-9651 빨치산에게 희생당 (4세) 한 사건

양수철 (梁洙哲, 34세)

고창에서 김재신이 김성회 10 ‘06.11.30. 마-9688 지역좌익에게 희생 (4세) 당한 사건

김재신 (金在信, 29세)

고창에서 김영수가 김영진 11 ‘06.11.30. 마-9690 지역좌익에게 희생 (13세) 당한 사건

김영수 (金永銖, 22세)

叔父

고창에서 이영범이 이종풍 12 ‘06.10.17. 마-5726 인민군에게 희생당 (1세) 한 사건

이영범 (李寧範, 27세)

‘07.2.13.

고창에서 김백회가 김진주 13 ‘06.4.28. 마-3363 좌익에게 희생당한 (2세) 사건

김백회 (金白會, 23세)

‘07.2.13.

(조사결과) 사건명

‘07.2.20. ④ 공음면분 ‘07.2.20. 주소 연행․희 생사건

⑤ 공음면 예 전저수지 희생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33


제2권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고창에서 김대회가 김상회 14 ‘06.11.30. 마-9661 지방좌익에게 희생 (14세) 당한 사건

김대회 (金大會, 20세)

‘07.2.20.

고창에서 김이호가 김용관 15 ‘06.11.30. 마-9659 지방좌익에게 희생 (2세) 당한 사건

김이호 (金二鎬, 32세)

‘07.2.20. 사건

고창에서 김경식이 김용호 16 ‘06.11.30. 마-9660 지방좌익에게 희생 (8세) 당한 사건

김경식 (金慶植, 31세)

‘07.2.20.

고창에서 김준식이 김용업 17 ‘06.11.30. 마-9678 지역좌익에게 희생 (2세) 당한 사건

김준식 (金準植, 25세)

‘07.2.20.

김수현 (金洙鉉, 62세)

祖父

김근호 (金根鎬, 31세)

伯父

전복수 (全卜水, 35세)

伯母

정복현 (鄭福賢, 17세)

叔母

김대순 (金大順, 48세)

김용식 (金鏞植, 20세)

從兄

김계식 (金桂植, 11세)

從兄

고창에서 김원회가 김남회 20 ‘06.11.30. 마-8398 빨치산에게 희생당 (10세) 한 사건

김원회 (金元會, 23세)

⑦ 공음면 선 ‘07.2.13. 동리 김원회 희생사건

고창에서 김창성이 김순례 21 ‘06.8.1. 마-4598 빨치산에게 희생당 (6세) 한 사건

김창성 (金昌成, 31세)

⑧ 무장면 신 ‘07.2.13. 촌리 김창성 희생사건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고창에서 김수현 김용관 18 ‘06.11.30. 마-9679 외 3인이 빨치산에 (1세) 게 희생당한 사건

고창에서 김대순 김양식 19 ‘06.11.30. 마-9680 외 2인이 빨치산에 (출생전) 게 희생당한 사건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07.2.20.

(조사결과) 사건명

⑥ 공음면 선 동리 김씨일가 희생사건

‘07.2.20.

대산면(신청사건 2건, 사건 수 2건)

고창에서 김해원 외 김길종 22 ‘06.11.30. 마-9589 9인이 지역좌익에 (11세) 게 희생당한 사건

3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김영호 (金永鎬, 56세)

祖父

김귀임 (金貴任, 55세)

祖母

김휴덕 (金休德, 27세)

叔母

⑨ 대산면 덕 ‘07.2.13. 천리 김해원 일가 희생사건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김해원 (金瀣源, 26세)

叔父

김필원 (金弼源, 24세)

叔父

김장원 (金樟源, 20세)

叔父

김광원 (金廣源, 19세)

叔父

김효여 (金孝女, 16세)

姑母

유덕순 (柳德順, 22세)

叔母

김애희 (金愛姬, 6세)

內從兄弟

성명미상 아동 (미상, 미상)

內從兄弟

한용순 (韓龍順, 78세)

曾祖母

(조사결과) 사건명

박성환 大姑叔父 (朴成煥, 54세) 최성녀 大姑叔母 (崔姓女, 52세)

고창에서 박재문 외 11인이 인민 박종식 23 ‘06.4.3. 마-2793 군에게 희생당한 (7세) 사건

박삼득 (朴三得, 45세)

從祖父

강옥순 (姜玉順, 30세)

從祖母

강복순 (姜卜順, 38세) 박재문 (朴在玟, 28세)

⑩ 대산면 중 從祖母 ‘07.2.13. 산리 박재문 일가 희생사건 父

고효석 (高效錫, 30세)

박재권 (朴在權, 13세)

叔父

박재현 (朴在鉉, 10세)

叔父

박재옥 (朴在玉, 5세)

從兄弟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35


제2권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박삼례 (미상, 3세)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조사결과) 사건명

姑叔母

무장면(신청사건 8건, 사건 수 6건) 고창에서 이윤호 마-286 외 8인이 인민군 이윤호 24 ‘05.12.20. (1) 에게 피해당한 (19세) 사건

⑪ 무장면 송현리 ‘07.2.13. 이두식 희생 사건

이두식 (李斗植, 47세)

김사홍 (金士弘, 63세)

祖父

김판성 (金判成, 41세)

堂叔

김윤성 (金允成, 39세)

堂叔

김창성 (金昌成, 39세)

김만성 (金萬成, 35세)

叔父

김광식 (金光植, 27세)

김만식 (金晩植, 16세)

고창에서 서판암 서기택 27 ‘06.11.30. 마-9676 이 지역좌익에게 (16세) 희생당한 사건

서판암 (徐判岩, 47세)

伯父

‘07.2.20.

고창에서 서종묵 서귀남 28 ‘06.11.30. 마-9699 이 지역좌익에게 (11세) 희생당한 사건

서종묵 (徐鍾黙, 27세)

‘07.2.20.

김사채 (金四采, 36세)

서병택 (徐丙澤, 35세)

四寸兄

서길택 (徐吉澤, 25세)

四寸兄

서정택 (徐正澤, 23세)

四寸兄

손판덕 (孫判德, 40세)

고창에서 김사홍 외 4인이 빨치산 김범영 25 ‘06.11.30. 마-9646 에게 희생당한 (18세) 사건

고창에서 김광식 과 김만식 형제 김정순 26 ‘06.11.30. 마-9633 가 빨치산에게 (출생전) 희생당한 사건

고창에서 서정택 외 3인이 지역좌 서문택 29 ‘06.11.30. 마-9675 익에게 희생당한 (16세) 사건

고창에서 손판덕 손춘자 30 ‘06.11.30. 마-9685 이 빨치산에게 (15세) 희생당한 사건

3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⑫ 무장면 송 ‘07.2.13. 계리 김사홍 일가 희생사건

⑬ 무장면 월 림리 김광식․ ‘07.2.20. 김만식 형제 희 생사건

⑭ 무장면 백 양리 백양마을 희생사건 ‘07.2.20.

⑮ 무장면 원 ‘07.2.20. 촌리 손판덕 희생사건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고창에서 신기환 신송전 31 ‘06.11.30. 마-9677 이 빨치산에게 (11세) 희생당한 사건

신기환 (申基桓, 18세)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조사결과) 사건명

⑯ 무장면 신 四寸兄 ‘07.2.20. 촌리 신기환 희생사건

부안면(신청사건 4건, 사건 수 4건) 고창에서 허서봉 허수남 32 ‘06.11.30. 마-9697 이 지역좌익에게 (3세) 희생당한 사건

허서봉 (許西烽, 30세)

⑰ 부안면 사 ‘07.2.20. 창리 허서봉 희생사건

고창에서 이상재 이영수 33 ‘06.3.8. 마-2219 가 빨치산에게 (21세) 희생당한 사건

이상재 (李相才, 55세)

⑱ 부안면 송 ‘07.2.13. 현리 이상재 희생사건

고창에서 서병섭 서진석 34 ‘06.3.10. 마-2267 이 빨치산에게 (13세) 희생당한 사건

서병섭 (徐丙燮, 36세)

⑲ 부안면 선 ‘07.2.13. 운리 서병섭 희생사건

박육동 (朴六東, 70세)

임영례 (林永禮, 50세)

박태홍 (朴泰洪, 24세)

최종순 (崔終順, 20세)

兄嫂

고창에서 박육동 외 3인이 빨치산 박태주 35 ‘06.11.30. 마-8503 에게 희생당한 (21세) 사건

⑳ 부안면 운 ‘07.2.13. 양리 박육동 가족 희생사건

성내면

고창에서 황태익 외 7인이 지역좌 황의구 36 ‘06.11.27. 마-8565 익에게 희생당한 (21세) 사건

황태익 (黃泰翼, 52) 황문익 (黃文翼, 45) 황형익 (黃亨翼, 46) 황순익 (黃順翼, 40) 황준구 (黃俊九, 34) 황두익 (黃斗翼, 34) 황은익 (黃銀翼, 32) 김용국 (미상, 미상)

父 叔父 堂叔父 叔父

쇶 성내면 황 쇭 ‘07.2.13. 태익 일가 희 생사건 再從兄弟 堂叔父 堂叔父 이웃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37


제2권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조사결과) 사건명

성송면 고창에서 김차흥 외 3인이 인민군 김재원 37 ‘06.9.25. 마-5271 에게 희생당한 (20세) 사건

김차흥 (金次興, 40세)

김병희 (金炳喜, 32세)

叔父

쇭 성송면 하 쇷 고리 김차흥, ‘07.2.13. 김병희 희생사 건

심원면(신청사건 2건, 사건 수 2건) 고창에서 박태환 박은배 38 ‘06.10.30. 마-9681 이 인민군에게 (16세) 희생당한 사건

박태환 (朴泰煥, 40세)

쇭 심원면 월 쇸 산리 ‘07.2.20. 박태환 희생사 건

고창에서 위용옥 위윤재 39 ‘06.10.19. 마-6036 이 지방좌익에게 (13세) 희생당한 사건

위용옥 (韋龍玉, 41세)

쇹 해리면 동 쇭 ‘07.2.13. 호리 위용옥 희생사건

아산면

고창에서 노귀동 외 2인이 지역좌 노창선 40 ‘06.4.24. 마-3132 익에게 희생당한 (8세) 사건

노귀동 (魯貴童, 40세)

노대동 (魯大童, 37세)

叔父

노진수 (魯鎭洙, 27세)

叔父

쇺 아산면 성 쇭 ‘07.2.13. 산리 노귀동 형제 희생사건

해리면(신청사건 5건, 사건 수 2건) 고창에서 이병갑 이동영 41 ‘06.11.30. 마-9668 이 인민군에게 (5세) 희생당한 사건

이병갑 (李炳甲, 38세)

고창에서 최종웅 과 최종천이 지 42 ‘06.11.30. 마-9670 역좌익에게 희생 당한 사건

최종웅 (崔鍾雄, 39세)

堂叔

최종천 (崔鍾千, 36세)

叔父

고창에서 최종기 최광수 와 최종연이 지 (출생전) 43 ‘06.11.30. 마-9671 역좌익에게 희생 당한 사건

최종기 (崔鍾基, 23세)

叔父

최종연 (崔鍾然, 21세)

叔父

44 ‘06.11.30. 마-9672

고창에서 김임해 와 김숙례가 지

3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김임해 (金壬海, 63세)

쇻 해리면 평 쇭 ‘07.2.20. 지리 이병갑 희생사건

‘07.2.20. 쇭 해리면 하 쇼 련리 최씨일가 ‘07.2.20. 희생사건

曾祖母 ‘07.2.20.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접수일자 번

사건번호

(조사개시 결정 時) 사건명 역좌익에게 당한 사건

신청인 (당시 나이)

진실규명대상자 (한자명, 당시 나이)

신청인과 조사개시 의 관계 결정일

희생

김숙례 (金淑禮, 24세)

祖母

고창에서 최종구 와 최종철이 지 45 ‘06.11.30. 마-9673 역좌익에게 희생 당한 사건

최종구 (崔鍾九, 28세)

叔父

최종철 (崔鍾鐵, 29세)

堂叔

(조사결과) 사건명

‘07.2.20.

폭행사건 고창에서 이윤호 마-286 외 8인이 인민군 이윤호 46 ‘05.12.20. (2) 에게 피해당한 (19세) 사건

이윤호 (李允浩, 19세)

本人

쇽 무장면 송 쇭 ‘07.2.13. 현리 이윤호 폭행 사건

나. 신청내용 신청인 문국환 외 40인(마-286 외 44건)은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전라북도 고창군 일대에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이 발생하였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진실규명을 요 청하였다. 지역 및 사건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진실규명 신청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진실규명 신청내용 연 사건번호 번

신청인

당시 나이 (生年)

사건과 의 관계

신청내용

사건명

희생사건 고창읍 마-7458 문국환

22세 (1929)

2 마-9703 이강남

14세 (1936)

1

시신 수습

1950. 9. 28. 경 신청인의 형 문일환이 ‘반동분자’로 지목되어 당시 고창내무서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① 고창내무 서 희생사건 전문 1950. 8. 16.(음) 경 백인기가 자택에서 연행되어 (傳聞)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공음면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39


제2권

신청인

당시 나이 (生年)

사건과 의 관계

3 마-8397 정재윤

3세 (1947)

1950. 9. 28. 과 1950. 10. 20. 경 부친 정고봉과 전문 조부 정동옥, 모친 박복남이 ‘반동분자’로 지목되어 (傳聞) 공음면 용수리와 군유리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4 마-8512

정진택

2세 (1949)

5 마-9521

정영백

5세 (1946)

6 마-9669 양종식

2세 (1950)

전문 1951. 10. 30.(음) 경 부친 양영석 외 일가족 10인 (傳聞) 이 지역유지였다는 이유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7 마-9635 양태식

출생전 (1954)

8 마-9636 양수석

8세 (1942)

전문 1950. 9. 30.(음) 경 조부 양석순 외 일가족 6인이 ③ 공음면 (傳聞) 공음면 선동리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선동리 양 연행 1950. 9. 30.(음) 경 당숙 양화성 외 일가족 8인이 씨일가 희생 목격 공음면 선동리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사건

9 마-9651

양영규

4세 (1947)

1950. 10. 26.(음) 경 부친 양수철이 공음면 칠암 전문 리에서 좌익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적대세력 (傳聞) 에게 희생됨

10 마-9668 김성회

4세 (1947)

전문 1950. 10. 10.(음) 경 김재신이 ‘반동분자’로 지목 (傳聞) 되어 공음면 원동 뒷산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11 마-9690 김영진

13세 (1938)

12 마-5726 이종풍

1세 (생후 9개월)

전문 한국전쟁 당시 김영수가 군인가족이라는 이유로 공 ④ 공음면분 주소 연행․ (傳聞) 음면사무소 뒤쪽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희생사건 1950. 10. 14.(음) 경 부친 이영범이 공음면 칠암 전문 리에서 대한민국 국군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적대세 (傳聞) 력에게 연행되어 고문당하고 이후 희생됨

13 마-3363 김진주

2세 (1950)

전문 1950. 10. 18.(음) 경 부친 김백회가 선동리 야산 (傳聞) 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14 마-9661

김상회

14세 (1937)

15 마-9659 김용관

2세 (1949)

16 마-9660 김용호

8세 (1944)

연 사건번호 번

4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신청내용

사건명

② 공음면 1950. 9. 28. 과 1950. 10. 20. 경 부친 정재화, 모 군유리 정 전문 친 강판순, 조부 정준묵, 조모 이평전이 ‘반동분자’ 씨일가 희생 (傳聞) 로 지목되어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사건 1950. 9. 28. 과 1950. 10. 20 경 조부 정균일, 조 전문 모 김영녀 외 일가족 8인이 ‘반동분자’로 지목되어 (傳聞) 용수리 삿갓봉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1950. 10. 18.(음) 경 김대회가 우익에 협조했다는 전문 이유로 공음면 예전리 예전저수지에서 적대세력에 (傳聞) 게 희생됨 ⑤ 공음면 1950. 10. 18.(음) 경 마을이장이었던 부친 김이호 예전저수지 전문 가 공음면 예전리 예전저수지에서 적대세력에게 희 희생사건 (傳聞) 생됨 시신 목격

1950. 10. 18.(음) 경 김경식이 좌익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공음면 예전리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신청인

당시 나이 (生年)

사건과 의 관계

17 마-9678 김용업

2세 (1949)

1950. 10. 28.(음) 경 김준식이 군인가족이라는 이 전문 유로 공음면 예전리 황산계곡에서 적대세력에게 희 (傳聞) 생됨

연 사건번호 번

18 마-9679 김용관

1세 (1949)

19 마-9680 김양식

출생전 (1954)

20 마-8398 김남회

10세 (1941)

21 마-4598 김순례

6세 (1946)

신청내용

사건명

⑥ 공음면 1950. 11. 26.(음) 경 김수현 김근호 전복수 정복 선동리 김 전문 현이 공음면 선동리 선동제 주변 계곡에서 적대세 씨일가 희생 (傳聞) 사건 력에게 희생됨 전문 1950. 12. 25.(음) 경 김대순 김용식 김계식이 공 (傳聞) 음면 선동리 함박산 주변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시신 수습

⑦ 공음면 1950. 12. 10. 경 신청인의 형 김원회가 공음면 두 선동리 김 암리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원회 희생사 건

⑧ 무장면 1950. 12. 23.(음) 경 부친 김창성이 보초를 서던 전문 신촌리 김 중 적대세력에게 납치되어 2개월 후 공음면 석교리 (傳聞) 창성 희생사 남동 부락 뒷산에서 사체로 발견됨 건 대산면

22 마-9589 김길종

11세 (1940)

⑨ 대산면 전문 1950. 9. 9.(음) 경 숙부 김해원 외 일가족 9인이 덕천리 김 (傳聞) 분주소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해원 일가 희생사건

23 마-2793 박종식

7세 (1944)

⑩ 대산면 1950. 10. 4. 과 1950. 10. 14. 이틀간 부친 박재문 전문 중산리 박 과 일가족 11인이 대산면 중산리 곡촌마을에서 적 (傳聞) 재문 일가 대세력에게 희생됨 희생사건 무장면

마-286 24 (1)

⑪ 무장면 송현리 이 두식 희생사 건

이윤호

19세 (1932)

전문 한국전쟁 중 이두식이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傳聞)

25 마-9646 김범영

18세 (1933)

⑫무장면 1950. 9.(음) 경 조부 김사홍 외 일가족 4인이 무 전문 송계리 김 장면 송계리, 원촌리와 도곡리에서 적대세력에게 희 (傳聞) 사홍 일가 생됨 희생사건

26 마-9633 김정순

출생전 (1960)

전문 1950년 겨울 즈음 김광식, 김만식이 월림리 창고에 ⑬ 무장면 월림리 김 (傳聞) 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41


제2권

연 사건번호 번

신청인

당시 나이 (生年)

사건과 의 관계

신청내용

사건명 광식, 김만 식 형제 희 생사건

27 마-9676 서기택

16세 (1935)

시신 수습

28 마-9699 서귀남

11세 (1939)

시신 목격

29 마-9675 서문택

16세 (1937)

목격

30 마-9685 손춘자

15세 (1936)

연행 목격

⑮ 무장면 1950. 9. 27.(음) 경 손판덕이 당시 경찰이던 손순 원촌리 손 근의 피신을 도와주다가 적대세력에게 발각되어 무 판덕 희생사 장면 양곡 뒷산에서 희생됨 건

31 마-9677 신송전

11세 (1940)

시신 목격

한국전쟁 중 신기환이 의경대에서 활동하다가 부상 을 당해 무장면의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던 중 선운사에 은신해있던 적대세력이 내려와 병원을 방 화하고 신기환도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1950. 9. 9.(음) 경 서판암이 무장면 양곡리에서 적 대세력에게 ‘반동분자’로 지목되어 희생됨 1950. 10. 2.(음) 경 서종묵이 한국전쟁 중 대한청 ⑭ 무장면 년단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반동분자’로 지목되어 백양리 백 양마을 희생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사건 1950. 10. 7.(음) 경 서정택, 서병택, 서길택, 김사 채가 한청단에서 활동한 것으로 인해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⑯ 무장면 신촌리 신 기환 희생사 건

부안면

32 마-9697 허수남

3세 (1948)

⑰ 부안면 1950. 12. 1.(음) 경 허서봉이 ‘반동분자’로 지목되 전문 사창리 허 어 진목마을 저수지 제방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되 (傳聞) 서봉 희생사 었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진실규명을 요청함. 건

33 마-2219

이영수

21세 (1931)

⑱ 부안면 전문 1951. 2. 경 부친 이상재가 고창군 부안면과 심원 송현리 이 (傳聞) 면 경계에 있는 장수강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상재 희생사 건

34 마-2267 서진석

13세 (1939)

시신 목격

⑲ 부안면 1951. 7.(음) 경 부친 서병섭이 부안면 선운리 신 선운리 서 흥마을을 순찰하던 중 적대세력이 투척한 수류탄으 병섭 희생사 로 인해 사망함 건

35 마-8503 박태주

21세 (1929)

시신 목격

1954. 1. 12.(음) 경 부친 박육동, 모친 임영례, 형 박태홍과 형수 최종순이 한국전쟁 중 빨치산 4인을 경찰에 신고했다는 이유로 부안면 운양리 2구 우물 가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성내면

4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⑳ 부안면 운양리 박 육동 가족 희생사건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신청인

당시 나이 (生年)

사건과 의 관계

36 마-8565 황의구

21세 (1930)

시신 수습

연 사건번호 번

신청내용

사건명

쇶 성내면 쇭 1950. 4. 10.(음) 경 부친 황태익과 일가족 7인이 황태익 일가 신대리 참남등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희생사건 성송면

37 마-5271

김재원

20세 (1931)

시신 목격

쇷 성송면 쇭 1950. 8. 16.(음) 경 부친 김차흥 외 일가족 3인이 하고리 김차 성송초등학교 뒷산과 성송면 암치리 저수지에서 ‘반 흥, 김병희 희 동분자’라는 죄목으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생사건 심원면

박은배

16세 (1935)

시신 목격

쇸 심원면 쇭 1950. 8. 16.(음) 경 박태환이 심원면 연화봉 계곡 월산리 박 에서 해방 직후 의용소방대장으로 근무했던 이력으 태환 희생사 로 인해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건

39 마-6036 위윤재

13세 (1940)

시신 목격

쇹 해리면 쇭 1952. 9. 15.(음) 경 부친 위용옥이 예동마을과 정 동호리 위 동마을 사이 논두렁에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용옥 희생사 건

38 마-9681

아산면

40 마-3132

노창선

8세 (1943)

시신 목격

쇺 아산면 쇭 1950. 9. 15.(음) 경 부친 노귀동과 숙부 노대동 노 성산리 노 진수가 아산면 학전리 노적매와 바위 사이 고랑에 귀동 형제 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희생사건 해리면

41 마-9668 이동영

5세 (1945)

쇻 해리면 쇭 전문 1950. 6. 23.(음) 경 부친 이병갑이 당시 해리면장 평지리 이병 (傳聞) 이라는 이유로 적대세력에게 희생됨 갑 희생사건

42 마-9670 최광수

출생전 (1955)

1950. 9. 23.(음) 경 최종웅 최종천이 동생 최종구 전문 의 경찰관 재직 경력으로 인해 철수하던 적대세력 (傳聞) 에게 희생됨

43 마-9671

최광수

출생전 (1955)

44 마-9672 최광수

출생전 (1955)

1950. 9. 23.(음) 경 최종기 최종연이 형 최종구의 쇭 쇼 해리면 전문 경찰관 재직 경력으로 인해 철수하던 적대세력에게 하련리 최 (傳聞) 희생됨 씨일가 희생 사건 1950. 9. 23.(음) 경 김임해 김숙례가 최종구의 경 전문 찰관 재직 경력으로 인해 철수하던 적대세력에게 (傳聞) 희생되었고 당시 김숙례의 9개월 된 복중 태아 역 시 사망함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43


제2권

신청인

당시 나이 (生年)

45 마-9673 최광수

출생전 (1955)

연 사건번호 번

사건과 의 관계

신청내용

사건명

1950. 9. 23.(음) 경 최종구 최종철이 최종구의 경 전문 찰관 재직 경력으로 인해 철수하던 적대세력에게 (傳聞) 희생됨 폭행사건

마-286 46 (2)

이윤호

19세 (1932)

신청인 이윤호 외 일가족 8인은 1950. 9. 9. 경 무 피해자 장면 송현리 자택에서 우익계열에 속한 가족이라는 본인 이유로 적대세력에게 고초를 겪어 그 후유증으로 고통 받았음.

쇭 무장면 쇽 송현리 이 윤호 폭행 사건

2. 조사의 근거와 목적 9․28 수복 전후 고창군 일대에서 일어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과 관련된 내용을 Korean War Crimes(이하 KWC) 등의 문헌자료에서 일부 확인하고, 진실규명신청내용을 검토한 결과, 본 사건이 기본법 제2조제1항제5호 “1945년 8월 15일부터 권위주의 통치시 까지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거나 대한민국을 적대시하는 세력에 의한 테러․인권 유린과 폭력․학살․의문사”에 의거한 진실규명의 범위에 해당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 므로 사건 발생시기․장소 및 규모, 진실규명대상자3)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가해주체 등을 규명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한 과거와의 화해와 국민통합을 목적으로 하 였다.

3. 규명과제 본 사건의 진실규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의 발생시기, 장소 및 희생규모를 규명한다. 둘째, 진실규명대상자와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를 규명한다. 셋째, 사건의 가해주체 및 희생이유를 규명한다. 3)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된 진실규명대상자 135명 이외에도 본 사건으로 다수의 지역민들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진실규명대상자 135명을 ‘진실규명대상자’로, 미신청 피해자는 ‘피해자’로 구분 하여 표기할 것이다. 또한 고창지역 전체의 희생규모는 ‘폭행 피해자’를 제외한 ‘사망 피해자’만을 기준으 로 한 것이며 이들은 ‘희생자’로 표기하였다.

4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4. 조사방법 가. 문헌자료 조사 첫째, 뺷미(美)전쟁범죄 조사단 보고서뺸(이하 KWC) 문서를 검토하였다.4) KWC #177에 기재된 사건의 발생일과 희생지역은 「고창내무서 사건」(마-7458, 마-9703)과 일치하였고,

KWC #1795)에는 한국전쟁 시기의 민간인 희생규모가 적시되어 있으며, KWC #3806)은 사건 발생지역은 다르나 인민군 후퇴 시기의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9․28 수복 당시의 고창군 정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7) 둘째, 해당지역 좌익사범들의 재판기록 121건을 입수․검토하여 한국전쟁 당시 좌익인 사들의 활동과 지역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8) 이중 주요하게 참고한 재판기록은 ○○○ 등 8명의 기록이다.9) ○○○ 등 6명의 재판기록에서 진실규명대상자 서정택(마-9675)의 피해사실에 대한 언급을 확인하였고, ○○○의 재판기록에서 진실규명대상자 김광식․김 만식(마-9633)과 관련된 내용을 파악하였으며, ○○○의 재판기록을 통해 진실규명대상 자 황순익(마-8565)의 피해사실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해당 지방관서 등에 소장되어 있는 사건 관련 자료를 입수․검토하였다. 진실규 명대상자 및 사건 관련자들의 경력을 확인하기 위해 육군본부 인사사령부가 소장하고 있 는 병적 기록을 검토하였고, 전라북도 경찰청과 고창경찰서에서 보관중인 뺷순직 소방관 대장뺸, 뺷요시인명부뺸 등 한국전쟁 및 지방좌익 관련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 외 고창군청, 각 면사무소, 고창문화원 등 지역기관의 협조를 받았다.10) 4)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NARA), RG 153(Office of the Judge Advocate General Army, International Affairs Division: War Crimes Branch; Investigation of Atrocities Against POW's in Korea) 중 KWC #177, 1954; KWC #179, 1954; KWC #380, 1953.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5) KWC #179는 1951. 1. 19. 발생한 미(美) 해군 사망사건을 다루고 있으며, 본 사건과 관련하여서는 자세한 피해사실이 기록되어 있지는 않으나, 1950. 9.~10.에 고창에서 민간인 3천여 명이 좌익에 의해 사망했다 고 해리면 사람들이 진술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6) KWC #380에는 1950. 9. 28. 고창군 아산면 봉덕리에서 주민 9명이 좌익에 의해 희생된 사건이 보고되어 있다. 7) 「고창내무서 사건」과 관련된 KWC #177의 자세한 내용과 분석 결과는 진실화해위원회, 「고창에서 김상용 등이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 뺷2008년 상반기 조사보고서뺸 참조. 8) 검토한 재판기록 121건에 대한 목록은 「고창지역 좌익사범 재판기록 목록」 참조. 9) 이 8명과 관련된 판결문은 다음과 같다.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52」(1951.3.17);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74」(1951.5.16);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2형공161」(1951.5.22); 「전주지방법원 정읍지 원4284형공123」(1951.9.21); 「전주지방법원4284형652」(1951.5.13);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227」 (1951.8.28);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재93」(1951.4.12);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82」 (1951.5.29)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45


제2권

넷째, 각종 인명록에 진실규명대상자들이 등재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 1952년 공보처 통계국 작성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 뺷6․25사변 피납치자 명부뺸11)와 뺷납북자 명단

DB뺸12), 뺷거제도 포로 수용자 DB뺸13), 진실화해위원회 발행 뺷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 희생관련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 결과보고서뺸(이하 피해자 현황조사 용역사업 결과보 고서)14), 자유총연맹 고창군지부 작성 뺷6․25 양민피학살자 명단뺸, 전라북도의회 발행 뺷

6․25 양민 학살 진상 실태조사보고서뺸(이하 전북의회 실태조사)15), 전국순국반공청년운 동자합동위령집행위원회 발행 뺷전국순국반공청년운동자명부(전라북도)뺸(이하 순국명 부)16) 등에 피해자들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는지 확인하였다.17) 뺷6․25 양민피학살자 명 단뺸의 경우 해당 자료의 신빙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해당 명단을 작성한 당시 자유총 연맹 고창군 지부원의 신원을 파악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18) 이밖에도 사건의 정황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십수 건의 출판 문헌19)과 1950.

1.~1952. 12.까지 발행된 신문기사를 검토하였고20), 진실규명대상자의 사망 사실과 사망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해당 인물의 족보 상 기록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21) 10) 지방관서를 통해 피해자들의 제적등본을 입수하여 신원을 확인하였고, 진실규명대상자 이병갑(마-9668) 의 면장 역임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해리면사무소 역대 직원 명단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관서에서 소장 하고 있는 지적도 등을 통해 사건발생지의 주소를 파악하였다. 11) 공보처통계국, 뺷6․25사변 피살자명부(6․25事變被殺者名簿)뺸, 1952; 공보처통계국, 뺷6․25사변 피납치자 명부(6․25事變被拉致者名簿)뺸, 1952․1954.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2) 한국전쟁납북사건자료원, <http://www.kwari.org> 참조. 13)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http://www.imhc.mil.kr> 참조. 14)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진실화해위원회, 뺷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관련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 업결과보고서뺸, 2007. 15) 뺷6․25 양민 학살 진상 실태조사보고서뺸는 1994년 발간된 자료로 전라북도의회 6․25양민학살진상실태조 사 특별위원회가 전북 도내에서 한국전쟁 기간 동안 발생한 양민학살과 관련하여 조사한 자료를 수록하 고 있다. 16) 동(同) 명부는 1963. 1. 28. 청우회 및 내무부가 합동으로 자료를 수집, 조사하여 1964. 1. 5. 완성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총 10,625명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http://www.kkk60.kr, 검색일: 2008. 4. 30) 17) 뺷6․25 사변 피납치자 명부뺸, 뺷납북자 명단 DB뺸, 뺷거제도 포로 수용자 DB뺸에서는 피해자들의 이름을 찾 을 수 없었다. 이 밖의 각종 명부를 통해 확인한 피해자들의 기록은 보고서의 본문에서 다룰 것이다. 18) 해당 명단은 반공연맹 시기에 고창군지부에서 조사하여 발행한 명단으로 타이프라이터로 작성되었다. 1980년대에 반공연맹 고창군지부 사무국장을 역임했던 고창군 고수면 거주 유흥석에 의하면 뺷6․25 양민 피학살자 명단뺸은 1982~1983년 사이에 각 읍면위원장이 이장을 통해 조사한 명단이라고 한다.(2008. 3. 17. 면담) 19) 주요하게 참고한 문헌목록은 「사건관련 주요 문헌자료 목록」 참조. 20) 기사검색을 통해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일어난 희생사건에 대한 기사는 찾을 수 없었다. 21) 진실규명대상자들의 제적등본 상 사망일시가 실제 사망일시와 대부분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족보 상 기록으로 사망 시기에 대한 교차확인이 필요했다. 신청인들의 진술에 의하면 사망신고자가 직계가족이 아 닌 방계가족이어서 사망신고가 늦어졌으며, 신고자가 당시 문맹이어서 신고의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4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나. 신청인 및 참고인 진술조사 신청인 41명과의 면담을 통해 신청인 진술내용과 문헌자료의 내용을 비교․확인하였 다.22) 이들은 모두 진실규명대상자들의 유족으로, 사건 현장을 목격하였거나, 시신을 직 접 수습한 경우도 있어 희생형태, 희생이유, 가해주체, 다른 피해자들의 희생사실 등을 인 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신청인․참고인 간 진술내용 및 진술내용과 문헌자 료의 내용을 비교할 수 있었다. 희생과정과 희생사실을 신청인들의 주장과 비교 확인하고 사건 내용을 좀 더 구체적이 고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당시 상황을 증언할 수 있는 참고인들을 섭외하여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참고인 진술내용의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희생과정 중에 생존한 생환자나 목격자, 시신수습자 등 사건을 직접 경험한 참고 인들의 진술을 우선시하였다. 둘째, 사건을 직접 경험한 생존자가 없을 경우, 전문(傳聞) 진술인의 진술을 통해 사건 내용을 파악하였다. 전문 진술인의 경우에도, 사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진술하며, 사건 경험자로부터 사건 내용을 직접 전해들은 참고인의 진술은 사건을 파악하는 근거로 활용 하였다. 셋째, 신청인과 친족관계에 있는 자는 대부분의 경우 참고인 선정에서 제외하였으나, 집성촌에서 일어났던 사건일 경우 마을 주민 모두가 일족인 사실을 감안하여 진술을 수 집하여 참고하였다. 넷째, 진실규명대상자 거주 마을과 인접한 마을에 거주했으며, 희생사실을 인지하고 있 는 고령자를 면담하여 피해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밖에도 사건 당시 고창지역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향토사학자 이기화와 면담을 실시 하였다.23) 각 사건 별로 면담한 참고인 명단과 주요 진술내용은 아래 <표 3>과 같다.

22) 신청인 김양식은 신청인의 개인사정으로 전화로 면담 및 녹음하였다.(2008. 11. 21.) 23) 이기화는 현재 고창문화원 원장이며 고창군지 편찬위원회 위원직을 역임하고 있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47


제2권

<표 3> 참고인 명단 및 주요 진술내용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진술일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진실규명 사건

문일환 1

고창내무 서 희생사건

2

마을 주민 전문 공음면 (남평문씨 ‘08.10.17. 피해내용 전반 (傳聞) 예전리 자택 집성촌)

○○○ (29, 女)

전문 공음면 마을 주민 ‘08.10.17. 피해내용 전반 (傳聞) 예전리 자택

○○○ (13, 男)

백인기

공음면 군유리 정씨일가 희생사건

○○○ (30, 男)

정균일 김영녀 정대진 정성진 정정순 정균삼 정삼례 정말례 정순애 정정숙 정필임

정고봉 정동옥 박복남

정재화 강판순 정준묵

○○○ (27, 男)

시신 목격

마을 주민 ‘08.7.21.

전문 마을 주민 ‘08.6.11. (傳聞)

부안면 사무소

피해시기: 추석 무렵 피해장소: 고창읍 모양성 인근 가해주체/방법: 죽창 피해이유: 태극기 소지

‘08.11.21.

전화면담

피해시기: (음)8. 20. 경 피해장소: 강호사이버고 인근

전문 인근 마을 ‘08.9.25. (傳聞) 주민

군유리 비석마을 자택

피해장소: 마을 옆 산 가해자: 마을 빨치산 피해이유

마을 주민 (진주정씨 ‘08.9.24. 집성촌)

군유리 군유마을 자택

피해시기: (음)10월 초 피해장소: 마을야산과 공음면 소재지 피해자 신분: 정균일이 이장 시신수습 피해과정

○○○ (11,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4. (傳聞)

고창읍 노인회관

피해장소: 삿갓봉, 마을뒷산 피해사실 피해자 신분

○○○ (18,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5. (傳聞) 주민

군유리 비석마을 자택

피해사실 피해과정

마을 주민 ‘08.9.24.

군유리 군유마을 자택

피해시기: (음)8월 피해장소: 삿갓봉 피해사실(미신청피해자 포함) 피해과정

전문 인근 마을 ‘08.9.25. (傳聞) 주민

군유리 비석마을 자택

피해사실

○○○ (12, 男) ○○○ (18, 男)

○○○ (16, 男)

○○○ (16, 男)

○○○ (18, 男)

4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시신 목격

고창군청

연행 목격

연행 목격

일가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 (16, 男)

○○○ (11, 男) 이평전

3

양영석 장선옥 양대중 윤기순 양수성 김정례 양수진 정선순 양정순 양정례 공음면 양용식 선동리 양석순 양씨일가 안무순 희생사건 양수일 장복순 양판례 양판순 양수창 양화성 김선옥 양수학 박복녀 양봉순 양수영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마을 주민 ‘08.9.24.

군유리 군유마을 자택

피해장소: 마을 야산과 공음면 소재지 미신청피해자 피해사실 피해이유/피해과정/가해주체 시신수습/가해형태

분주소 감금 마을 주민 ‘08.9.24. 목격

고창읍 노인회관

피해과정 피해이유/가해방법 등

연행 목격

진술일

○○○ (14, 女)

연행 목격

마을 주민 ‘08.9.25.

군유리 군유마을 자택

마을상황 피해시기: (음)9. 23 피해과정/시신수습/가해주체

○○○ (21, 男)

시신 수습

마을 주민 ‘08.11.21.

전화면담

사망경위: 정대진 가족 중 정 대진이 먼저 사망 피해규모

○○○ (21, 男)

전문 인근 마을 ‘08.8.21. 안산시 자택 정균일 가족 피해사실 (傳聞) 주민

○○○ (13,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3. (傳聞) 주민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사실 피해자 경력

○○○ (9,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3. (傳聞) 주민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사실/내용

○○○ (15, 女)

전문 마을 주민 ‘08.9.26. (傳聞)

공음면 보건소

○○○ (26, 男)

분주소 마을 주민 ‘08.9.25. 생환

칠암리 칠암마을 자택

○○○ (5, 男)

전문 마을 주민 ‘08.6.16 (傳聞)

무장면 사무소

피해사실/피해 이유 피해시기: (음)9. 29. 경 피해장소: 마을 뒤 여러 곳 피해사실 피해시기: ‘50. 9.~10. 경 피해장소 피해과정: 분주소로 일차로 연행 피해사실 피해내용

1차: 공음면 사무소 피해사실 마을 주민 연행 피해이유 (제주 양씨 2차: 경험 피해시기 집성촌) ‘08.9.23. 해정마을 가해자: 면 빨치산 논두렁 ‘08.7.22.

○○○ (13, 男)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49


제2권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양수구 양영임 양수철

김재신

4

공음면분 주소 연행․ 희생 사건

○○○ (17, 男)

시신 수습

○○○ (28, 女)

시신 수습

일가

진술일

진술장소

‘08.11.21

전화면담

피해자의 ‘08.9.24. 처

피해자 경력: 마을 반장 피해시기/과정/장소 피해시기: (음)10. 9./마을에 서 가장 먼저 연행됨 피해장소/시신수습: 공음면 연 동 인근 구덩이

○○○ (22,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4. (傳聞) 주민

선동리 대정마을 자택

피해시기: ‘50. 10. 경

○○○ (18,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4. (傳聞) 주민

선동리 대정마을 자택

피해시기/과정

○○○ (13,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5.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시기/과정: 혼자 연행됨 시신수습: 김재신의 부인

○○○ (14,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5.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시기/과정/시신수습 등

○○○ (21,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5.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시기/과정 등

○○○ (21, 女)

전문 마을 주민 ‘08.9.23. (傳聞)

선동리 해정마을 자택

시신수습: ‘51년. 양말 데님 을 보고 찾음 피해장소 가해방법: 창에 찔려 사망

○○○ (20,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5. (傳聞)

덕암리 평촌마을 자택

피해시기: ‘50. 12. 경 피해장소: 공음면분주소 피해이유: 형 김현기가 군인. 부 인이 나락 이자 받는 일을 함.

○○○ (18,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5. (傳聞)

덕암리 평촌마을 자택

피해과정: 분주소 연행 피해사실/피해내용 등

선동리 남산마을 이장댁

피해시기: (음) 50.10.14 피해장소: 농협창고 근처 피해과정 시신수습

김영수

이영범

공음면 사무소

주요 진술내용

○○○ (10, 男)

5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연행 목격

마을 주민 ‘08.9.26.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진술일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피해이유: 모임을 만듦 미신청 피해자: 임종생, 이종호

마을 주민 ‘08.9.26.

선동리 남산마을 이장댁

피해이유/과정/시기/미신청 피해자 등

○○○ (22,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4. (傳聞)

선동리 대정마을 자택

피해시기: 50. 10. 경 피해장소: 예전리 예전저수지 방죽 피해이유: 한청으로 오인 피해과정

○○○ (18,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4. (傳聞)

선동리 대정마을 자택

사망장소/시기/이유 등

○○○ (15, 男)

전문 마을 주민 ‘08.8.22. (傳聞)

목동 이대병원

피해사실

○○○ (17, 男)

김백회

공음면 예전저수지 5 희생사건

시신수습 피해사실/내용

○○○ (25, 女)

시신 수습

가족

‘08.5.22. 청주시 자택

○○○ (21, 男)

연행 목격

가족

‘08.8.21. 안산시 자택 피해내용/가해주체 등

○○○ (13,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3. (傳聞) 주민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시기: ‘50. 10.경 피해사실 시신수습/사건배경

○○○ (14,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3. (傳聞) 주민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사실/내용/배경 등

○○○ (21, 男)

전문 인근 마을 ‘08.9.23. (傳聞) 주민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사실/피해시기 등

마을 주민 ‘08.9.23.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사망장소/피해과정/시신수습 피해이유: 마을에서 제일 부유. 군인가족, 좌익에 비협조

○○○ (14,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3.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내용 전반

○○○ (21,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3.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내용 전반

○○○ (13, 男) 김대회 김이호 김경식 김준식

연행 목격

시신 목격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51


제2권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6

7

8

공음면 선동리 김원회 김원회 희생사건

무장면 신촌리 김창성 김창성 희생사건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 (29, 女)

시신 수습

가족

‘08.6.10.

고창군청

피해내용 전반

○○○ (23, 男)

시신 수습

가족

‘08.10.6.

위원회 조사실

피해내용 전반

○○○ (14, 男) 김수현 김근호 공음면 전복수 선동리 정복현 김씨일가 김대순 희생사건 김용식 김계식 김준식

진술일

○○○ (13, 男) ○○○ (21, 男)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시기: (음)10.27, 11.25, 12.13. 피해이유/피해장소: 선동 뒷산 피해과정: 면 창고에 감금 후 저수지에서 사망. 공음 전역에 서 끌려옴 시신수습/희생형태

마을 주민 ‘08.9.23.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사망장소/피해이유 등

전문 마을 주민 ‘08.9.23.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사망장소/피해이유 등

고창군청

피해사실 피해내용 전반

위원회 조사실

피해사실 피해내용 전반

마을 주민 전문 (안동김씨 ‘08.9.23. (傳聞) 집성촌)

시신 목격

○○○ (29, 女)

시신 수습

○○○ (23, 男)

시신 수습

피해자의 ‘08.6.10. 처 가족

‘08.10.6.

○○○ (13,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3.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시기: 선동리에서 제일 늦 음(1951년) 피해장소: 두암리 피해사실 시신수습: 김남회 피해내용: 최연소 피해자임

○○○ (15,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3.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내용/시기/장소

○○○ (22, 男)

전문 마을 주민 ‘08.9.23. (傳聞)

선동리 선동마을 회관

피해내용/시기/장소

한남동 제일빌딩 경비실

피해시기: (음)1950. 11~12. 피해장소: 영선 고등학교에서 공음면으로 연행됨. 피해사실/피해과정

○○○ (26, 男)

5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생환

동료

‘08.10.28.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 (17, 男)

9

김해원 김영호 김귀임 대산면 김필원 덕천리 김장원 김해원 김광원 일가 김효여 희생사건 김휴덕 김애희 유덕순 어린아이

한용순 박성환 최성녀 박삼득 대산면 강복순 중산리 강옥순 10 박재문 박대옥 일가 박삼례 희생사건 박재문 고효석 박재권 박재현

무장면 송현리 11 이두식 이두식 희생사건

무장면 송계리 12 김사홍 일가 희생사건

김사홍 김창성 김만성 김판성 김윤성

생환

동료

진술일

진술장소

‘08.10.24.

남양주시 자택

주요 진술내용 피해사실 피해과정

○○○ (18, 男)

전문 마을 주민 ‘08.10.14. 신촌리 자택 피해사실/피해자 경력/피해장소 (傳聞)

○○○ (13, 男)

피해장소: 대산천 천변 전문 마을 주민 '08.08.12. 덕천리 회관 피해자 경력: 면에서 근무 (傳聞) 피해규모: 11집의 제삿날 동일

○○○ (13, 男)

피해자 경력 전문 피해규모/피해 장소 마을 주민 '08.08.12. 덕천리 회관 (傳聞) 피해자 경력: 마을 유지급으로 부유

○○○ (15, 男)

시신 수습

마을 주민 ‘08.08.11.

전화면담

○○○의 父가 김해원 가족들 이 숨어 지낼 때 밥을 해줌 피해시기: (음)1950. 9. 피해규모/시기/피해자 경력

중산리 곡촌마을 자택

피해시기: (음)1950. 9. 20. 경 피해장소: 동촌 뒷산, 두동 앞산 피해과정/시기/내용 피해규모: 박재문 일가 외에도 마 을에서 총 5집(40~50명)희생 피해장소/시신수습/시신상태 /가해방법/가해주체 등

○○○ (14, 男)

마을 주민 시신목 (무안박씨 '08.08.12. 격 집성촌)

○○○ (15, 男)

피해장소/피해시기 전문 마을 주민 '08.08.12. 중산리 자택 피해규모 (傳聞) 피해과정/시신수습/피해이유

○○○ (23, 男)

피해시기: (음)6. 15. 전문 무장면 피해장소 마을 주민 ‘08.10.15. (傳聞) 송현리 자택 피해자 경력: 수리조합에서 일 꾼들 관리를 함.

○○○ (21, 男)

피해시기/피해자 경력 전문 무장면 피해장소: 교흥리 궁동마을 궁 마을 주민 ‘08.10.15. (傳聞) 시거리 회관 동 저수지 근처 구덩이

○○○ (23, 男)

피해시기: (음)9. 8~9. 9.경 전문 인근 마을 무장면 피해장소 ‘08.10.14. (傳聞) 주민 버스정류장 사건배경: 재산이 많았음 / 김 만성이 이장. 논 약 20마지기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53


제2권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무장면 월림리 김광식․ 김광식 13 김만식 김만식 형제 희생사건

서정택 서병택 서길택 김사채 서판암 서종묵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 (22, 男)

전문 인근 ‘08.10.14. (傳聞) 마을 주민

도곡리 양곡마을 자택

사건배경: 김사홍 가족이 부유 피해내용/시신수습 피해장소: 원촌리 망치산, 송 계리. 도산 앞산 등

○○○ (13, 男)

전문 인근 ‘08.10.14. (傳聞) 마을 주민

도곡리 양곡마을 자택

피해자 경력 시신수습 피해내용

○○○ (11, 男)

전문 마을 주민 ‘08.10.14. (傳聞)

송계리 화산마을 자택

사망장소 사건내용: 김사홍 재산을 마을 사람들이 나눠가짐

○○○ (23, 男)

전문 인근 마을 ‘08.10.16. (傳聞) 주민

만화리 논두렁

○○○ (19, 男)

전문 인근 마을 사건배경 ‘08.10.16. 도곡리 자택 (傳聞) 주민 피해사실

피해시기/피해장소 사건배경/피해사실

피해시기: 추석 무렵 피해장소: 우당골 고랑 피해자: 김만식은 본 사건으로 사 망. 김광식은 수원에서 사망. 피해내용/가해주체/피해규모

○○○ (16, 男)

전문 마을 주민 ‘08.10.16. (傳聞)

월림리 용전마을 자택

○○○ (17, 男)

전문 마을 주민 ‘08.10.16. (傳聞)

월림리 용전마을 자택

피해규모: 김씨 4가족 50여 명 김광식은 수원에서 진주할 때 내려오다가 다른 곳에서 죽음. ※ 면담 도중 진술 거부

○○○ (21, 女)

전문 인근 마을 ‘08.7.21. 주민 (傳聞)

고창군청

피해사실: 유가족 김씨에게 사 건 직후 전해 들음. 김씨 일가 총 4가족이 희생됨

○○○ (25, 男) 무장면 백양리 14 백양마을 희생사건

진술일

○○○ (23, 女) ○○○ (25, 男) ○○○ (21, 女)

5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목격

인근 마을 ‘08.7.22. 주민

무장면 사무소

피해사실 희생과정

전문 피해시기: (음)10. 마을 주민 ‘08.10.13. 백양리 회관 (傳聞) 피해이유/장소 인근 마을 ‘08.10.13. 주민

백양리 봉촌마을 자택

김사채가 죽는 장면 목격. 마을사람들 앞에서 학살

생환자 마을 주민 ‘08.10.13. 의 처

백양리 백양마을

서종묵, 서병택, 서길택이 끌 려갈 때 남편 역시 분주소에

목격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진술일

진술장소

자택

무장면 원촌리 15 손판덕 손판덕 희생사건

무장면 신촌리 16 신기환 신기환 희생사건

부안면 사창리 17 허서봉 허서봉 희생사건

부안면 송현리 18 이상재 이상재 희생사건

백양리 백양마을 자택

주요 진술내용 같이 끌려감. 미신청 피해자: 김대욱 피해이유/ 피해시기

○○○ (13, 男)

전문 마을 주민 ‘08.10.13. (傳聞)

○○○ (16, 男)

전문 인근 마을 서정택 학살장면 목격/죽창으 ‘08.10.14. 원촌리 자택 (傳聞) 주민 로 학살됨

○○○ (16, 男)

피해시기: (음)9. 27. 피해장소: 무장면분주소로 끌려 간 뒤 방죽 근처에서 사망 전문 피해이유: 경찰을 숨겨줌 마을 주민 ‘08.10.14. 원촌리 자택 (傳聞) 피해과정/장소 미신청 피해자: 경찰 가족 약 9명, 다른 가족 2명과 같이 사 망/시신수습

○○○ (24, 女)

전문 피해내용: 경찰 손순근(손길수) 마을 주민 ‘08.10.14. 원촌리 자택 (傳聞) 을 숨겨주어서 사망함

○○○ (17, 男)

피해자 이송

○○○ (11, 男)

피해시기: (음)12월 경 전문 피해장소: 선운사까지 잡혀간 마을 주민 ‘08.10.14. 신촌리 회관 (傳聞) 후 부상당해 집에 온 며칠 후 사망

○○○ (6, 男)

피해장소: 사창리 진목마을 저 전문 사창리 진목 마을 주민 '08.08.13. 수지 근처 (傳聞) 마을 자택 가해방법: 총소리가 났다고 함

○○○ (15, 男)

시신수습 피해시기: (음)‘50. 12. 초. 총성 마을 주민 '08.08.13. 사창리 자택 가해방법 확인자 가해자: 마을 좌익들 피해이유

○○○ (30, 男)

피해자: 김판술, 이상재 전문 인근 마을 부안면 피해형태: 물속에 빠뜨려서 시 ‘08.6.11. (傳聞) 주민 선운리 자택 신 못 찾음 피해이유

마을 주민

피해이유/장소/과정

피해과정: 부상당했으나 집에 ‘08.10.14. 신촌리 자택 올 때까지 살아있었음. 며칠 후 사망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55


제2권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부안면 선운리 19 서병섭 서병섭 희생사건

부안면 운양리 20 박육동 가족 희생사건

성내면 황태익 21 일가 희생사건

박육동 임영례 박태홍 최종순

황태익 황문익 황형익 황준구

진술일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 (35, 女)

전문 인근 마을 부안면 ‘08.6.11. 김판술과 이상재의 피해사실 (傳聞) 주민 선운리 자택

○○○ (19, 男)

전문 마을 주민 ‘08.6.11. (傳聞)

부안면 사무소

김판술과 이상재의 피해사실 피해장소: 선운사 가는 인천강 피해과정: 세 명의 마을 유지 가 희생 표적이 됨

○○○ (35, 女)

시신 수습

피해시기: 1951. 9. 2 피해자의 부안면 ‘08.6.11. 피해장소: 신흥마을 대밭 근처 처 선운리 자택 피해내용

○○○ (30, 男)

생환

마을 주민 ‘08.6.11.

당시 현장에서 수류탄 파편을 부안면 맞았으나 생존 선운리 자택 피해내용/피해시기

○○○ (20, 男)

수류탄 소리 마을 주민 ‘08.6.11. 확인자

부안면 사무소

서병섭, 김태완 피해사실 피해내용

○○○ (19, 男)

전문 마을 주민 ‘08.6.11. (傳聞)

부안면 사무소

서병섭, 김태완 피해사실 피해내용

피해장소: 운양리 우물가 인 '08.8.13. 운양리 자택 근 논 피해과정/방법/피해이유

○○○ (15, 男)

목격

○○○ (18, 男)

장례 목격

마을 주민 '08.8.13. 운양리 자택

총성 확인

시신수습: 진술인의 형 ○○ ○이 수습에 참여 피해장소 마을 주민 '08.8.13. 운양리 자택 가해방법: 총살 피해과정: 빨치산들은 모정 밑 에 구덩이를 파고 숨어 지내기 도 했음.

○○○ (16, 男)

일가

피해내용/피해장소 가해자: 방장산 빨치산

○○○ (22, 男)

전문 마을 주민 '08.8.13. 운양리 자택 피해사실 (傳聞)

○○○ (13, 男)

생환/ 목격

○○○ (18, 男)

피해시기: (음)‘50.4.10. 전문 신대리 대천 피해장소: 신대리 참남등 마을 주민 '08.08.13. (傳聞) 마을 자택 가해자/피해이유 가해방법: 대창

5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가족

‘08.8.26.

전화면담

총살장면 목격 피해과정/내용 전반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황두익 황순익 황은익 김용국

성송면 김차흥, 김차흥 22 김병희 김병희 희생사건

24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 (24, 男)

전문 신대리 대천 피해시기/피해규모 마을 주민 '08.08.13. (傳聞) 마을 자택 가해방법/시신수습

○○○ (37, 女)

생환/ 목격

○○○ (4, 男)

생환

피해자의 '08.08.13. 처

가족

신대리 노인회관 성내면 사무소

'08.06.12.

피해현장에 같이 끌려갔다가 가해 장면을 목격한 후 풀려남 가해방법: 죽창 피해사실 피해이유

○○○ (23, 男)

피해자 경력 전문 피해시기/ 피해장소 마을 주민 '08.08.12. 판정리 자택 (傳聞) 시신수습 가해자: 분주소 좌익

○○○ (23, 女)

미신청 가해자 피해자 가해방법: 대창을 들고 옴 마을 주민 '08.08.12. 판정리 자택 미신청 피해자 주식재 연행 장 연행 면 목격 목격

○○○ (28, 男)

피해자 경력 전문 마을 주민 '08.08.12. 하고리 회관 피해시기/피해장소 (傳聞) 가해방법/시신수습

○○○ (32, 男)

심원면 월산리 23 박태환 박태환 희생사건

진술일

장례 목격

마을 주민 ‘08.8.11.

전화면담

피해시기: 추석 무렵 피해자 경력 피해내용 피해시기 가해방법: 죽창/타살 시신수습

○○○ (20, 男)

미신청 전문 피해자 ‘08.6.10. (傳聞) 정재덕의 동생

성송면 사무소

○○○ (26, 男)

전문 인근 마을 ‘08.11.21. (傳聞) 주민

전화면담

○○○ (25, 男)

부상당한 피해자를 집으로 이송 피해자 심원면 피해시기: 8월 마을 주민 ‘08.6.12. 이송 월산리 자택 피해내용: 총상 피해장소: 심원중학교

○○○ (20, 男)

전문 심원면 피해시기/피해내용 마을 주민 ‘08.6.12. (傳聞) 월산리 자택 피해장소

○○○ (26, 女)

전문 경기도 피해이유: 이유 없음 마을 주민 ‘08.10.29. (傳聞) 황성시 자택 가해방법: 칼

피해과정/가해방법 피해시기 등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57


제2권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진술일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피해과정 피해시기: 가을 경

위용옥 희생사건

아산면 성산리 노귀동 25 노귀동 노대동 노진수 형제 희생사건

○○○ (18, 男)

당시 전문 동호국민 ‘08.11.21. (傳聞) 학교 교사

전화면담

피해내용 전반

○○○ (21, 男)

전문 (傳聞)

삼양사 근무

‘08.11.21.

전화면담

피해내용 전반

○○○ (17, 男)

전문 (傳聞)

삼양사 근무

‘08.11.21.

전화면담

피해내용 전반

○○○ (33, 女)

시신 목격

위원회 조사실

피해내용 피해시기: (음)1952. 9. 16. 피해장소: 예동마을

○○○ (21, 男)

피해장소: 노적매 전문 성산리 월성 가해방법: 대창 마을 주민 '08.08.14. (傳聞) 마을 자택 가해자: 박○배 피해이유: 사적감정

○○○ (22, 男)

전문 월성 피해시기/피해장소/방법 마을 주민 '08.08.14. (傳聞) 마을 자택 가해자/피해이유

○○○ (15, 男)

○○○ (33, 女)

해리면 평지리 26 이병갑 이병갑 희생사건

피해자의 ’07.12.4. 처

목격

피해시기/피해장소 월성 피해과정: 3형제가 끌려가는 마을 주민 '08.08.14. 마을 자택 장면 목격 피해이유/가해주체

연행 및 피해내용 피해자의 서울 강남구 시신 목 ‘08.9.10. 피해시기: (음)1950. 9. 15. 처 역삼동 자택 격 추가피해: 나락을 가져감

○○○ (12, 男)

시신 수습/ 함께 기거 ‘08.11.21. 연행 목격

○○○ (21, 男)

피해사실 전문 인근 마을 해리면 ‘08.3.19. 피해이유: 면장 (傳聞) 주민 평지리 회관 피해과정

○○○ (10, 男)

피해시기: 마을에서 제일 먼저 사망.(‘50. 6.) 전문 해리면 마을 주민 ‘08.10.17. 피해이유/피해자 경력 (傳聞) 평지리 회관 가해자 시신수습

5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전화면담

피해형태: 총살(7발) 피해장소/가해주체/경위/시기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 번

사건명

진실 참고인 사건과 진실규명 규명 (당시 나이, 의 대상자와 대상자 性) 관계 의 관계

최종웅 최종천 해리면 최종기 하련리 최종연 27 최씨일가 김임해 희생사건 김숙례 최종구 최종철

진술일

진술장소

주요 진술내용

○○○ (25, 女)

사건 경험, 시신 수습

○○○ (21, 女)

시신수습 전문 해리면 피해규모: 마을에서는 최씨 가 마을 주민 ‘08.10.17. (傳聞) 하련리 자택 족들만 사망 피해시기: (음)‘50. 9.경

일가

피해시기 : 김숙례, 종기, 종 해리면 연, 김임해 등이 집에서 잡혀 ‘08.10.16. 하련리 자택 가는 소리를 들음 피해이유/피해장소

폭행사건 무장면 송현리 28 이윤호 이윤호 폭행사건

○○○ (23, 男)

전문 (傳聞)

이웃

‘08.10.15.

무장면 피해내용: 송현리 자택 구타당함

○○○ (21, 男)

전문 (傳聞)

이웃

‘08.10.15.

무장면 피해내용 시거리 회관

무장면분주소에서

다. 현장조사 2008. 8. 12.~14., 2008. 9. 23.~26., 2008. 10. 13.~17. 세 차례에 걸친 현장조사를 통해 사건발생현장과 희생경로를 확인하였다. 신청인․참고인을 대동하여 희생현장을 답사․ 기록하였고, 고창군청 및 각 면사무소를 통해 사건발생지의 정확한 지명과 주소를 확인 하였다.

Ⅱ. 조사결과 1. 사건배경 고창군은 전라북도의 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북은 정읍시와 부안군, 동남은 전남 장성군과 영광군, 서북부 일대는 서해와 접해 있다. 동북부에는 노령산맥의 끝자락인 방 장산24)이 있어 지대가 높고, 서북부에는 넓은 평야지대가 있으며 토지가 비옥하다. 바다 24) 이 산은 방동산 혹은 방등산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59


제2권

와 접해 있어 어업 종사자들도 있고, 천일염 생산지역도 형성되어 있으나, 주민들의 대부 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림 1]에 전라북도 내 고창군의 위치를 표시하였고, [그림

2]에 고창군 내 14개 읍․면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그림 1] 전라북도 내 고창군의 위치

[그림 2] 고창군 내 14개 읍․면의 위치

연장거리

면적

동→서거리 31.0Km 남→북거리 31.5Km

606.833㎢

유엔군 민사처(United Nations Command Adjutant General's Section, UN Civil

Assistance Command, Korea, UNCACK) 자료에 의하면, 한국전쟁 직전인 1950. 5. 1. 고 창군에는 총 159,363명(29,448가구)이 거주했다.25) 고창군은 인접해 있는 영광군(131,107 명), 부안군(130,216명), 순창군(90,741명) 등에 비해 규모가 큰 군이었다. 고창면26)을 비 롯한 고창군 내 각 면의 전쟁 직전 인구수를 차트로 정리하면 다음 [도표 1]과 같다. 고창지역에는 2007년을 기준으로 약 141개 세거(世居) 성씨들이 골고루 분포해 살고 있다. 그러나 조선조 말까지만 해도 고창지역에는 69개 성씨들이 주로 집성촌을 이루어 살았다.27) 지금도 고창의 각 마을은 각성바지 마을이 아니라 집성촌으로 이루어져 있는

25) 「Population of Cholla Puk-to」. RG 554 United Nations command Adjutant General's Section, UN Civil Assistance Command, Korea(UNCACK) Adjutant General Section, Entry A-1 1303, Team Report, 1951-1953, Box 74, Team Records Misc(3 of 3); Kyongsang Namdo & Pukto, Pusan Radio. 26) 고창면은 1955년 고창읍으로 승격했다. (출처: www.gochang.go.kr) 27) 이기화, 「고창성씨의 입향유래」, 뺷고창문화뺸, 2007년 20호.

6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경우가 많다. 신청인들도

[도표 1] 1950년 고창군 면 단위 인구 통계

한국전쟁 이전부터 현재

1950년 고창군 면 단위 인구 통계

까지 집성촌에서 이동 없이 5대 이상 거주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더

해리면

욱이 한국전쟁 당시에는

심원면

각 면 또는 마을 간 소통 이 활발하지 않았고, 주

성송면

민들의 생활과 활동의

상하면

중심단위는

무장면

‘마을’이었

다.28) 따라서 신청인․ 참고인들은 거주지 이외 지역에서 발생한 빨치산

공음면

10,356 12,261 11,564 8,428 12,054 10,064 9,370 9,290 11,156 12,276 11,390 11,480

인구수

19,850 고수면

9,824

활동이나 정치적 사건들 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지 못했고, 민간인 희생사건에 대해서도 소문으로 전해 들은 경우 가 많았다. 반대로 집성촌 내에서 벌어졌던 일가의 희생사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 은 거주민들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희생의 규모 역시 각성바지 마을보다 집성촌 마을에 서 더욱 컸다. 고창군은 1950. 7.부터 인민군 점령지역이 된다. 인민군 제6사단은 후에 투입된 제4사 단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서해안과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였는데, 인민군 제4사단은 1950.

7. 20. 전주에 입성, 김제를 거쳐 정읍․순창 방면으로 진격해 7. 23.에는 광주까지 함락했 다. 고창경찰서원은 1950. 7. 20. 고창경찰서장의 해산 명령을 받고 동호항을 출발하여 목 포로 후퇴하였다.29) 따라서 인민군 제6사단은 아군의 큰 저항 없이 장항, 군산, 부안을 거 쳐 고창을 점령했다.30) 고창을 함락한 인민군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당 건설 및 인민위원회 건설 사업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하였다.31) 각 면의 면사무소 자리에는 1950. 7. 26.을 전후로 인민위원 28)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4.); 윤택림, 뺷인류학자의 과거여행뺸 역사비평사, 2003, 참고. 29) 전북경찰청, 뺷전북경찰 60년사뺸, 2005, 54~56쪽;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뺷한국전쟁사 제1권뺸, 1967, 736 쪽; 전쟁기념사업회, 뺷한국전쟁사 제3권뺸, 1967, 284~286쪽. 30) 인민군이 고창에 진입한 정확한 시기는 문헌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었다. 31) 서용선 외, 뺷점령정책, 노무운용, 동원뺸, 국방군사연구소, 1995; 「전주지방법원 1951형제361」(1951. 7. 25)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61


제2권

회가 설립되었으며,32) 지서 자리에는 분주소가 설치되었다.33) 분주소에는 인민군 병사들 이 배치되기도 하였다. KWC #380에는 평안남도 안주군 출신 정선모가 1950. 9. 10. 아산 면 봉덕리분주소에 배치되고, 1950. 9. 13. 정치보위부원 정인섭 소위가 파견되었다는 기 록이 있다. 분주소원들은 죽창이나 칼을 들거나,34) 총을 메고 다니기도 했는데, 보통은 엽총이었지만, 99식 5연발총을 들고 다니기도 했다.35) 마을 청년들은 마을 뒷산에 방공호 를 파는 등의 노역에 참여해야 했고, 두세 차례 분주소에 불려가 사상검증을 받거나, 곡 식 등 재산조사를 위해 불려가기도 했다.36) 좌익들은 조사 후 가져간 곡식 등을 “없는 사 람에게 나눠주거나 자신들이 먹거나” 했다.37) 한편 인민위원회 간부 등 좌익들은 당과 사회주의 선전활동에 주력하기도 하였다. “미 제국주의자를 속히 타도하자”, “속히 승리하자” 등의 내용이 담긴 포스터를 배포하고, 토 지개혁 법령 실시, 남녀평등권 법령 실시, 미 제국 타도, 현물세 납부, 비행기 헌납금 모집 등의 내용을 각 부락의 노상이나 시정 사랑방 같은 곳을 다니면서 선전하였고, 뺷인민보뺸 신문을 고창군 내 14개 면에 배부하였다.38) 각 마을의 아이들은 이 시기에 “민청노래”,

“빨치산 노래”, “인민공화국 국가” 등의 노래를 배워 불렀다. 또한 마을마다 소년단이 조 직되었는데, 낮에 죽창을 들고 보초서는 일을 하기도 했다. 저녁에는 좌담회가 열려 인민 위원회에서 나온 사람이 강의를 했는데 이때는 마을사람 모두가 나가야만 했다.39)

1950. 9. 15.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고 인민군의 전세가 불리해지자 노동당은 인민군 전선사령부에 후퇴 명령을 내렸고, 인민군은 부분적으로 철수를 시작하였다. 유엔군은

1950. 9. 20. 전북 군산 앞바다 오식도에 상륙했고, 전북경찰국 선발대(대장 송영주 경감) 는 미 제25사단의 선발정찰대와 협동하여 1950. 9. 28. 오후 3시를 기해 전주를 수복하였 다.40) 이러한 전세 변화에 따라 고창에 주둔하던 인민군 역시 후퇴를 결정하고,41) 인민위 참고. 32) 인민군 통치 시기 인민위원회 설립 시기는 ○○○가 1950. 7. 26. 해리면 인민위원회 호적계원에 임명되었 다는 검찰신문조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전주지방법원 1951형제361」(1951. 7. 25) 참고. 3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3). 3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3. 18),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4284형공14」(1951. 3. 10). 3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3. 19);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3. 1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3. 20);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4284형공425」(1950. 10. 11); KWC #177 중 「참고인 ○○○ 진술조서」(1951. 7. 21). 3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2);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3. 18); 「참고인 ○○○ 진술조서」(2008. 3. 19). 37) 「참고인 ○○○ 진술조서」(2008. 3. 19); 「신청인 김길종 진술조서」(2008. 5. 19). 38) 「전주지방법원4284형공351」(1951. 7. 25). 39) 「신청인 김길종 진술조서」(2008. 5. 19); 「신청인 김재원 진술조서」(2008. 6. 10).

6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원회는 1950. 9. 28. 해산한다.42) 인민위원회가 해산하고, 인민군이 후퇴한 이후에도 고창에서 활동했던 좌익들은 입산 하여 빨치산 활동을 계속하였다. 이들은 선운산, 방장산 등을 아지트로 삼아 활동하며 방 장산에서 정읍 빨치산들과 합류하기도 하였다.43) 고창의 각 지역 마을 사람들은 대발로 마을 주변을 둘러싸고 방위대를 조직하여 자체적으로 마을을 경비했는데, 빨치산들은 이 대발을 뚫고 자주 마을로 내려왔다고 한다.44) 한국경찰은 1950. 11. 고창을 부분적으로 수복한다. 뺷호국경찰전사뺸에 의하면 전북경찰 국 소속 제18전경대대가 고창에 본격적으로 투입된 시기가 1950. 11. 10.로 기록되어 있 다45). 또 뺷전북경찰 60년사뺸에는 고창경찰부대와 제18전투대대가 1950. 11. 11. 고창수복 작전을 시작하여 11. 17.경 흥덕면을, 11. 18. 부안면을, 11. 20. 고창읍을 차례로 수복하였 다고 기록되어 있다.46) 그러나 도로 사정이 취약하고 산간지형이 많은 고창군은 이후에 도 군․경과 빨치산들의 전투가 지속되다가 1951. 3.~4.이 되어서야 완전히 수복되었다.

2. 사건발생시기, 장소 및 희생규모 한국전쟁 전후로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일어난 희생사건을 사건발생시기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① 인민군 점령 직전에 일어난 희생사건, ② 인민군 점령 기간과 후퇴 기간에 일어난 희생사건, ③ 군․경 수복 이후이나 치안이 부재한 시기에 일어난 희생사 건, ④ 군․경의 완전한 수복 이후 일어난 희생사건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중 가 장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시기는 인민군 등 적대세력이 고창지역에서 후퇴하던 1950. 9. 부터 군․경이 고창을 수복하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치안상태가 좋지 않았던 1951. 1. 사이이다. 다음 [도표 2]는 조사결과 확인된 고창지역 희생자 수를 사건이 발생한 시기별 로 나타낸 것이다.47) 40) 「전라북도일지」, 뺷전라북도 50년사뺸, 전북도청 전라북도지편찬위원회, 2000, 366쪽. 41) 1950. 9. 28. 고창내무서에 끌려갔다가 생환한 ○○○은 내무서에서 내무서장과 인민위원장으로부터 인민 군이 잠시 후퇴하였다가 3개월 후 돌아올 것이라고 들었다고 진술하였다.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3). 42) 해리면 좌익사범 ○○○의 검찰조서에는 “4283년 9월 28일경에 군 인위(인민위원회)가 비합(非合)에 들어 가자” 거주지로 들어갔다는 진술이 있다. 「전주지방법원4284형공351」(1951. 7. 25). 4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44) 「신청인 김재원 진술조서」(2008. 6. 10). 45) 윤장호, 뺷호국경찰전사뺸, 도서출판 제일, 1995. 46) 전북경찰청, 뺷전북경찰 60년사뺸, 2005, 70쪽. 47)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한 사건이 발생한 시기도 도표에 표시하였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63


제2권

[도표 2] 사건발생 시기별 희생자 수

90 75 60

희 생 자 수

45

30

15

2.

~

53 . 19

.

~ 19

52 .

11

9.

~

51 . 19

2.

1.

51 .

19

19

51 .

12

.

. 19

50 .

11

10 19

50 .

9. 19

50 .

8. 19

50 .

7. 19

50 .

6.

50 .

19

50 .

19

19

50 .

5.

0

사건발생 시기

※ 2개월에 걸쳐 발생한 사건의 경우 두 번째 달 희생자 수에 포함

희생유형도 사건발생 시기별로 다른데, 인민군 점령 직전과 점령 직후에 발생한 희생 사건의 경우 희생자들은 주로 총살되었고, 인민군 후퇴기간에는 총살된 희생자도 있었으 나 죽창 등으로 희생된 경우도 많았다. 한편 인민군이 후퇴한 이후, 치안이 부재한 시기 에 희생된 피해자들은 대부분 죽창에 의해 희생되었다. 또한 인민군 점령 전, 인민군 점 령 기간, 군․경 수복 이후의 기간에는 개별적이고 선별적인 희생사건이 주로 발생했던 것에 비해, 인민군 후퇴 시기와 후퇴 이후 치안 부재 시기에는 가족 단위의 대규모 희생 이 많이 발생했다. 고창지역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되어 조사 개시된 사건은 고창군 14개 읍․면 중 10개 읍․면에서 발생한 28개의 분리․병합사건이 다.48) [그림 3]에 신청 사건이 발생한 10개 읍․면의 위치와 사건발생시기를 표시하였다.

48) 고창지역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되어 조사 개시된 사건은 45건 (상반기 결과보고 6건, 각하 3건, 이관 4건 제외)이며 이를 재분류․병합한 사건은 총 28건이다.

6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그림 3] 사건발생시기․장소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된 고창지역 적대세력사건 조사결과, 사망사실이 확인되거나 추 정된 신청 피해자는 135명, 미신청 피해자는 18명으로 총 153명의 희생사실이 파악되었 고, 1명의 폭행․피해사실이 확인되었다.49) 그러나 당시 고창 전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이 발생했음은 각종 문헌 기록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신청된 사건 외에도 많 은 희생사건이 한국전쟁 전․후로 발생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발생한 희생사건의 규모는 다음 문헌들에서 확인된다. 공보처 발행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에는 고창군 피해자가 총 2,351명으로 집계되어 있 다.50) 이를 면 단위로 분류하여 보면, 공음면 736명, 대산면 495명, 무장면 321명, 고창읍 49) 희생사실을 확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호적․제적등본을 통해 피해자의 실존인물 여부가 확인되고, 시신을 수습하여 피해자의 사망사실이 확인되며, 참고인의 진술로 희생경위가 획득된 피해자의 경우 희생 사실을 ‘확인’하였고, 시신이 수습되지 못하였거나, 참고인 진술만이 획득된 경우 희생사실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은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피해자들의 희 생사실 판단 근거는 5장에서 자세히 기술하겠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65


제2권

190명, 해리면 155명, 아산면 100명, 고수면 76명, 성송면 53명, 부안면 49명, 흥덕면 43명, 신림면 40명, 심원면 34명, 상하면 28명, 성내면 31명, 기타 구체적인 면 단위로 나타나지 않은 고창군 희생자가 9명으로 나타난다. 또한 고창 외 지역으로 끌려가 희생된 희생자는

115명이다. 이 중 인근 지역인 영광으로 끌려가 희생된 희생자가 68명으로 가장 많았다. 고창군 희생자를 성별로 보면, 남성은 1,573명, 여성은 778명으로 남성이 여성의 두 배에 가까운 희생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진실화해위원회가 발주한 뺷피해자 현황조사 용역사업 결과보고서뺸는 고창지역 한국전 쟁 희생자 총 1,880명 중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자를 972명으로 보고하고 있다.51) 이를 면 단위로 분류한 결과,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공음면이 463명, 대산면과 무장면이 각각 92 명, 아산면 90명, 고수면 72명, 부안면 51명, 신림면과 해리면 각각 25명, 성송면 22명, 심 원면 14명, 성내면 12명, 흥덕면 8명, 상하면 4명, 고창읍 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의회 발행(1994) 뺷전북의회 실태조사뺸는 고창군에서 총 414명이 희생되었다고 적시하고 있다. 이 중 공음면 희생자 수가 150명으로 가장 많고, 부안면 44명, 고수면 41 명, 대산면 36명, 아산면 33명, 고창읍 24명, 상하면 23명, 무장면 19명, 신림면 16명, 흥덕 면 15명, 성송면 13명 순이다. 자유총연맹 발행(1982~83) 뺷6․25 양민피학살자 명단뺸에 기록된 고창군 희생자 수는 총 349명으로, 공음면이 가장 많은 107명, 고수면 43명, 아산면 33명, 해리면 29명, 고창읍

24명, 부안면 19명, 대산면 17명, 무장면 17명, 신림면 16명, 흥덕면 15명, 성송면 13명, 심 원면 10명, 상하면 6명으로 집계됐다.

KWC 문서에도 한국전쟁 기간 중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고창지역 희생자 수가 명시 되어 있다. KWC #179에는 1950. 9.~10. 사이에 고창에서 민간인 3천여 명이 적대세력에 의해 사망했다고 해리면 사람들이 진술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또 KWC #380에는

1950. 9. 28. 고창군 아산면 봉덕리에서 주민 9명이 좌익에 의해 희생되었고, 아산면 전체 적으로 약 100여 명이 희생되었다고 보고되어 있다. KWC #177에는 「고창내무서 사건」 의 희생규모를 40명으로 진술한 김성대의 진술조서와, 김성대로부터 한 장소에서 80명이 희생된 사실을 전해 들었다고 진술한 이한규의 진술조서가 포함되어 있다. 이외에도 뺷향토수호사뺸에는 한국전쟁 중 고창군 신림면에서 100여 명, 해리면에서 75

50) 공보처통계국, 뺷6․25사변 피살자명부(6․25事變被殺者名簿)뺸, 1952. 51)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진실화해위원회, 뺷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관련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 업결과보고서뺸, 2007.

6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명, 공음면 동촌 신평리에서 150여 명의 우익인사들이 희생되었다고 명시되어 있다.52) 또 한국전쟁 생존자들에 의해 쓰여진 수필 뺷꽃피는 산하뺸에는 부안면에서만 우익인사 130여 명이 희생되었다고 적혀 있다. 따라서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희생자 수 는 153명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네 명부인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 뺷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 결과보고서뺸, 뺷전북의회 실태조사뺸, 뺷6․25 양민피학살자 명단뺸에 등재된 고창지역 희생규모와, 조사 를 통해 파악된 희생자 수를 읍․면 단위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표 4>와 같다.53) <표 4> 고창지역 각 읍․면별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자 수 (단위 : 명) 6․25사변 피살자명부 (1952)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결과보고 서(2007)

전북의회 실태조사 (1994)

6․25 양민 피학살자명단 (1982~83)

신청사건 조사결과

고수면

76

72

41

43

-

고창읍

190

2

24

24

2

공음면

736

463

150

107

63

대산면

495

92

36

17

23

무장면

321

92

19

17

18

부안면

49

51

44

19

7

상하면

28

4

23

6

-

성내면

31

12

-

-

8

성송면

53

22

13

13

2

신림면

40

25

16

16

-

심원면

34

14

-

10

2

아산면

100

90

33

33

3

52) 전북향토사단, 뺷향토수호사뺸, 1983, 137쪽. 53)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와 뺷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 결과보고서뺸에 기재되어 있는 희생자 명단을 교차 확인하여 본 결과 두 명단에 모두 등재된 희생자는 총 297명(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는 제외)이 었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67


제2권

6․25사변 피살자명부 (1952)

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결과보고 서(2007)

전북의회 실태조사 (1994)

6․25 양민 피학살자명단 (1982~83)

신청사건 조사결과

해리면

155

25

-

29

9

흥덕면

43

8

15

15

-

합계

2351

972

414

349

153

진실화해위원회는 접수된 신청사건을 기준으로 조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조사를 통 해 밝혀진 희생규모와 기존의 각종 명부에 기록된 규모와는 큰 편차가 있다. 그러나 앞의 표를 비교하여 보면 공통점 역시 발견할 수 있다. 즉, 고창군 대부분의 지역에서 희생사 건이 발생했으며, 특히 공음면에서 가장 희생사건이 많았다는 것이다. 또한 조사결과 파악된 153명의 피해자를 성별 및 연령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109명, 여 성이 42명, 기타(성별미상 갓난아이) 2명으로 남성의 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 피해자가 48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대 피해자가 41명이었다. [도표 3]에 고 창지역 피해자 153명에 대한 성별, 연령별 피해 현황을 나타내었다. [도표 3] 고창지역 피해자 성별 현황 및 연령별 현황 고창지역 피해자 성별 현황(단위: 명)

고창지역 피해자 연령별 현황(단위: 명)

60 기타, 2, 1%

50

여, 42, 27%

남 여 기타

40 30 20

남, 109, 72%

10 0 영유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28건에 대한 사건발생시기, 장소 및 규모를 표로 정리하면<표 5>와 같다.

6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표 5>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발생시기․장소 및 희생자 수 연 번

희생자 수(153) 사건명

시기

발생장소

신청 (135)

미신청 (18)

비고 (사건 발생 지역)

희생사건 1 고창내무서 희생사건

1950. 9. 28. ~29.

고창읍 내무서 인근

2(확인)

고창읍

2

공음면 군유리 정씨일가 군유리 산 19-8번지 인근 1950. 10.~ 11. 희생사건 용수리 산 - 79번지 인근

17(확인) 1(추정)

1(확인) 6(추정)

3

공음면 선동리 양씨일가 건동리 894번지 인근 1950.10.~ 11. 희생사건 칠암리 617-4번지 인근

26(확인) 2(추정)

1(추정)

4

칠암리 556-2 공음면분주소 연행․희생 1950.11.~ 12. 칠암리 산92번지 인근 사건 칠암리 612-1번지 인근

3(확인)

2(추정)

5 공음면 예전저수지 희생사건 1950. 11. 27.

예전리 491번지 예전저수지 방 4(확인) 죽 인근

6

공음면 선동리 김씨일가 1950. 12. 희생사건 ~1951. 1.

선동리 781번지 주변

8(확인)

7

공음면 선동리 김원회 희 1951. 1. 29. 생사건

두암리 619번지 인근

1(확인)

8

무장면 신촌리 김창성 희 1951. 1. 30. 생사건

공음면 석교리 산67-1

1(확인)

9

대산면 덕천리 김해원 일 1950. 10. 19. 가 희생사건

덕천리 54번지 대산천 천변

10(확인) 1(추정)

대산면 중산리 박재문 일 10 1950. 10.~11. 중산리 601번지 두동마을 앞산 가 희생사건 무장면 송현리 이두식 희 1950. 7. 29. 생사건

교흥리 736번지 인근

1(확인)

12

무장면 송계리 김사홍 일 1950. 10. 경 가 희생사건

도곡리 양곡 산36-1번지 원촌리 금곡마을 산11-7번지 도곡리 도산재 462-3번지

5(확인)

13

무장면 월림리 김광식, 김 1950.9.~10.경 월림리 용전 68번지 만식 형제 희생사건

1950.10.~11.

도곡리 성내리 무장리 만화리

양곡마을 86-4번지 293번지 431-1번지 봉촌마을 311전

1(추정)

대산면

11(확인) 1(추정)

11

무장면 백양리 14 백양마을 희생사건

공음면

무장면 2(확인)

6(확인)

1(확인) 1(추정)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69


제2권

연 번

희생자 수(153) 사건명

시기

발생장소

신청 (135)

미신청 (18) 1(추정)

15

무장면 원촌리 손판덕 희 1950. 11. 6. 생사건

도곡리 145-13

1(확인)

16

무장면 신촌리 신기환 희 1950. 12. 초 생사건

신촌리 494번지

1(확인)

17

부안면 사창리 허서봉 희 1951. 1. 8. 생사건

사창리 진목마을 441-2번지 인근

18

부안면 송현리 이상재 희 1951. 2. 11. 생사건

심원면 용기리 수대동 근처

부안면 선운리 서병섭 희 19 1951. 9. 2. 생사건

저수지

1(확인) 1(추정)

1(추정) 부안면

선운리 신흥마을 192번지 인근

1(확인)

20

부안면 운양리 박육동 가 1953. 2. 25. 족 희생사건

운양리 14번지 우물가 인근 논

4(확인)

21

성내면 황태익 일가 희생 1950. 5. 27. 사건 과 8. 2.

신대리 참남등 196번지

7(확인) 1(추정)

22

성송면 하고리 김차흥, 김 1950. 9. 28. 병희 희생사건

암치리 389-1번지 암치리 204-1번지

2(확인)

23

심원면 월산리 박태환 희 1950. 10. 10. 생사건

월산리 252번지

1(확인)

24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 1952. 11. 3. 생사건

심원면 고전리 819-4번지

1(확인)

25

아산면 성산리 노귀동 형 1950. 10. 25. 성산리 819번지 인근 제 희생사건

3(확인)

26

해리면 평지리 이병갑 희 1950. 8. 6. 생사건

1(확인)

해리면 하련리 최씨일가 27 1950. 10. 27. 희생사건

비고 (사건 발생 지역)

1(추정)

성내면 2(확인)

성송면

심원면

평지리 600번지 하련리 527번지 하련리 466번지 하련리 460번지

아산면

해리면 8(확인)

폭행사건 28

무장면 송현리 폭행사건

이윤호

1950. 9. 9.

7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무장면분주소

(1)

무장면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3. 희생사건 고창지역은 각 면마다 인민군 점령․후퇴와 군․경 수복시기가 달라 사건의 규모나 성 격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고창지역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사건이 발생한 각 면을 중심으로 분류한 후 사건이 발생한 시간 순서대로 서술하였다.54)

가. 고창읍 발생사건 고창읍은 고창의 다른 면에 비해 군․경 수복이 빨랐던 지역 중 하나이다. 따라서

1950. 11. 20. 고창읍이 수복되고 난 후, 수복이 늦었던 공음면, 대산면 등의 주민들이 고 창읍으로 피난을 나와 머물기도 했다.55) 고창읍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희생사건은 인민군 후퇴시기에 일어난 희생사건이다. 인 민군 후퇴시기인 1950. 9. 28.경, 고창군 각 면의 우익인사들이 고창읍내무서로 끌려가 인 근 산에서 희생되었는데, 이러한 유형의 「고창내무서 희생사건」은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이미 결정된 사건에서 자세히 다루었다56). 따라서 본 조사는 공음면 문일환(마-7458)과 성내면 백인기(마-9703)가 고창내무서에서 희생된 사실에 대한 조사이다.

1) 고창내무서 희생사건(마-7458, 마-9703) 공음면 예전리 상여마을의 문일환은 1950. 9. 29. 고창읍내무서(읍내리 241-1)로 끌려간 후 인근 모양성(읍내리 126번지) 인근에서 내무서원 등 적대세력에 의해 죽창으로 희생 되었다. 참고인 진술에 의하면 문일환은 좌익활동을 하다가 배신하였다는 이유로 희생되 었다.57) 성내면 부덕리 엄동마을의 백인기는 1950. 9. 28. 고창읍내무서 인근 모양성 앞 구덩이

54) 고창지역 적대세력사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건이 발생한 각 면을 중심으로 사건을 서술하였으나, 각 사 건의 일련번호는 총 28개 사건과 일치하도록, 소제목의 구분과는 별도로 연속적으로 부여하였다. 55) 「신청인 김재원 진술조서」(2008. 6. 10). 56) 「고창내무서 희생사건」의 배경, 경위, 희생규모, 희생장소 등은 진실화해위원회, 「고창에서 김상용 등이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 뺷2008년 상반기 조사보고서뺸 참조. 57) 참고인 ○○○(69세), ○○○(73세)은 문일환이 경찰에 의해 희생되었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과 ○○○은 사건에 대해 전해 들은 사람들이며, 당시 군․경에 의한 희생사건이 공음면에서 많이 발생했기 때문에 문일환 역시 군․경에 의한 희생자로 잘못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신청인이자 시 신을 수습한 문국환과, 시신을 목격한 ○○○ 등 참고인들은 문일환이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되었다고 주 장하였으므로 문일환은 내무서원 등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신청인 문국환 진술조서」 (2008. 6. 18);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7),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7).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71


제2권

(덕산리 17번지 인근)에서 내무서원들에 의해 총살되었고, 시신은 가족들에 의해 수습되 었다. 백인기는 전주에서 일을 하다가 추석을 맞아 고향에 와 있었는데, 외지에서 온 사 람은 모두 조사를 받아야 한다는 이유로 몸수색을 당했고, 그 과정에서 태극기가 발견되 어 1950. 9. 27. 내무서로 끌려가 다음날 희생되었다.58)

나. 공음면 발생사건 공음면은 고창군에서 군․경 수복이 가장 늦은 지역이었다.59) 전라남북도의 경계에 위 치하고 있는 공음면에는 9․28 수복 이후에도 미처 후퇴하지 못한 빨치산들이 여러 경로 를 통해 집결하였다60). 따라서 공음면에서는 인민군 후퇴시기인 1950. 9. 말부터 고창군 대부분의 지역이 수복된 1951. 1. 말까지도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이 발생했다. 한편,

1951. 1. 5. 남아 있던 적대세력을 소탕하기 위한 군․경 수복작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일 명 ‘선산포위작전’으로 불리는 이 수복작전의 결과로 또 다른 민간인의 희생이 발생하기 도 했는데,61) 희생자들 중에는 우익 가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62) 공음면에서 지역민들의 희생이 주로 일어났던 장소는 ① 인민위원회 주변, ② 마을에 서 가장 부유한 정판묵, 정판기 집의 창고, ③ 저수지 인근 등이었다. 피해자들의 시신수 습은 대부분 군․경 수복 후인 1951년 봄, 남아 있던 부역자, 좌익인사 등을 대동하여 이 루어졌다.63)

[그림 4]에 공음면 희생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시간순서대로 표시하였다.

58)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1. 21). 59) 고창면이 가장 먼저 수복되었고, 이후 무장면, 대산면, 공음면 순서로 수복이 되었다. 이 때문에 공음면 사 람들은 대산면, 무장면 등지로 피난을 떠나기도 하고, 빨치산들의 교란 작전에 동원되어 집단으로 마을 밖 으로 피난을 나가 옮겨 다니기도 했다 한다. 「신청인 김용호 진술조서」(2008. 7. 23); 「참고인 ○○○ 진술 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6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61) 진실화해위원회, 「고창 11사단사건」, 뺷2008년 상반기 조사보고서뺸 참조. 62) 「신청인 김길종 진술조서」(2008. 5. 19). 6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6); 공음면 희생자들의 시신수습 장면은 [별첨 3 :공음면 희생자 수습 장면] 참조.

7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그림 4] 공음면 사건발생장소

①-1 군유리 산 19-8번지

①-2삿갓봉 (용수리 산 - 79번지 인근)

① 공음면 군유리 정씨일가 희생사건

①-1 건동리 894번지 인근

①-2 칠암리 617-4번지 인근

② 공음면 선동리 양씨일가 희생사건

③-1 공음면분주소 연행․희 생사건(칠암리 556-2)

③-2 칠암리 산92번지 인근

③-3 칠암리 612-1번지 인근

⑦ 무장면 신촌리 김창성 희생사건 (공음면 석교리 산67-1)

⑥ 공음면 선동리 선동마을 김원회 희생사건 (두암리 619번지 인근)

⑤ 공음면 선동리 김씨일가 희 ④ 공음면 예전리 예전저수 생사건(선동리 781번지 주변) 지 희생사건(예전리 491번지 예전저수지 방죽 인근)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73


제2권

2) 공음면 군유리 정씨 일가 희생사건(마-8397, 마-8512, 마-9521) 진주 정씨 집성촌인 군유리 군유마을의 정씨 일가는 1950. 10.부터 1950. 11. 사이에 공 음면분주소 근처 ‘삿갓봉’(용수리 산-79번지 인근)과 군유마을 인근 산(군유리 산 19-8번 지 인근)에서 지방좌익에 의해 희생되었다. 본 사건으로 진실규명대상자 18명과 미신청 피해자 7명이 희생되었다. 희생된 진실규명대상자는 정대진, 정균일, 김영녀, 정성진, 정 정순, 정균삼, 정삼례, 정말례, 정순애, 정정숙, 정필임, 정고봉, 정동옥, 박복남, 정재화, 강 판순, 정준묵, 이평전이다. 또한 미신청 피해자로 호적신고를 미처 하지 못했던 정대진의 갓난아이, 정준묵의 딸 정점순, 같은 마을의 정판묵, 정중묵, 정인묵, 정근기, 정삼룡 역시 희생되었다. [가계도 1]에 제적부 등 문헌자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파악한 정씨 일가의 피해현황을 정리하였다.64) 군유마을 정씨 일가 중 가장 먼저 희생된 사람은 집안의 가장격인 정고봉, 정재화, 그 리고 미신청 피해자 정판묵이다. 이들 세 사람은 모임을 조직한다는 오해를 받아 분주소 로 끌려갔다가 1950. 10. 7. 공음면 용수리 달터 근처 ‘삿갓봉’에서 희생되었다. 정고봉, 정재화, 정판묵이 죽고 난 후, 이들의 가족들이 마을에서 희생되었다.65) 마을에 서 가장 부유하고 큰 가옥은 정판묵의 가옥이었는데, 적대세력이 주도권을 잡고 나자 그 의 집은 “빨치산 본부”로 활용되었다. 피해자들은 “새끼줄로 서로 엮여서” 정판묵의 집 창고에 감금되었다가 1950. 11. 2. 오후 3시경 인근 산으로 연행되어 희생되었다. 이때 정 고봉의 부 정동옥, 처 박복남이 희생되었고, 정재화의 부 정준묵, 모 이평전, 처 강판순, 그리고 여동생 정점순(미신청 피해자)이 희생되었다.66) 마을에서 가장 마지막에 희생된 가족은 정균일의 가족이다. 1950. 11. 중순경(음 1950.

10. 초) 정균일의 아들 정대진이 공음면 소재지로 끌려가 희생된 이후 1950. 11. 29.경 정 균일의 가족이 희생되었다.67) 이들은 정판묵 집 창고로 1차로 끌려갔던 다른 가족들과 달리 군유리 군유마을 인근 산으로 곧바로 끌려가 희생되었다.68) 64) 가계도 내 사망/생존의 구분은 사건의 발생 당시를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미신청 피해자 역시 가계도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각 일가의 총 희생자 수는 미신청 피해자를 포함하여 적시하였다. 65) 당시 희생된 정판묵의 가족은 정판묵을 포함하여 총 6인이었다.(「참고인 ○○○ 진술조서」(2008. 11. 21)) 이들의 피해사실은 뺷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 결과보고서뺸에도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조사를 통해 이들 의 정확한 신원을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6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1. 21). 67) 정균일의 가족은 같이 희생당한 추가 피해자가 없으며 당시 마을에 없었던 가족과 갓난아이였던 신청인 정영백 이외에는 생존 가족이 없어 정확한 피해시기를 확정할 수는 없었다. 다만 참고인들의 진술을 통해 피해시기를 50. 10. 20(음)로 추정하였다.

7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가계도 1] 정씨일가 中 희생자 20명

갓난아이들만 겨우 목숨을 부지했던 본 사건 이후 피해자들의 시신은 친지와 마을 주 민들에 의해 수습되었다. 시신들은 목이 새끼줄에 휘감기고 두 손은 묶인 상태로 창에 찔 려 여러 구덩이에 가족 단위로 묻혀 있었다고 한다.69) 68)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21).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75


제2권

피해자들의 시신은 정대진을 제외하고 모두 수습되었다. 정대진의 희생사실은 문헌자 료와 참고인의 진술을 통해 추정하였다 상기 피해자들 이외에도 문헌자료와 참고인 진술을 통해 같은 마을의 정중묵, 정인묵, 정근기, 정삼룡의 희생사실을 추정하였다. 또한 참고인들은 미신청 피해자들의 가족70)과 마을 주민 약 20~30여 명이 추가로 희생되었다고 진술하였다.71)

3) 공음면 선동리 양씨 일가 희생사건(마-9669, 마-9635, 마-9636, 마-9651) 제주 양씨 집성촌인 공음면 선동리 해정마을에서는 양씨 일가 29명이 1950. 10.~11. 사 이에 해정마을 후등(건동리 894번지 인근)과 공음면 소재지 분주소(칠암리 617-4번지) 인근에서 지방좌익에 의해 집단으로 희생되었다. 본 사건은 앞의 군유리 군유마을 희생 사건과 그 발생시기, 과정 및 성격이 유사하다. 해정마을에서 희생된 피해자로는 양영석, 양화성, 양석순의 일가와 개별적으로 희생된 양수철이 있다. 조사결과 진실규명대상자 28명 중 26명의 희생사실을 확인하였고, 시신을 수습하지 못한 2명의 희생사실을 문헌자료와 참고인 진술로 추정하였다. 또 미신청 피해 자로 성명 미상자 1명의 희생사실을 추정하였다. [가계도 2]에 제적부 등 문헌자료와 신 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파악한 양씨일가의 피해현황을 정리하였다.

1950. 11. 5.~6.(음. ‘50. 9. 26~27.)경 오후 6~7시쯤 15세 이상의 마을사람들은 모두 공음면 지방좌익들에 의해 새끼줄로 묶여 해정마을에서 가장 큰 양영석의 집 마당에 연 행되었다가 다시 공음면분주소로 연행되어 조사를 받았다. 마을사람들이 분주소로 잡혀 간 후 식구들이 언제 오는지를 기다리며 학생들이 마을마다 보초를 섰는데, 1950. 11. 7.

(음 9. 28) 저녁 늦게 해정마을 사람들이 풀려났다는 소식이 공음면 소재지에서부터 용산 마을, 달터, 선산마을, 남산마을, 해정마을 순서로 전달되었다.72) 이때 마을사람들 대부분 이 풀려났으나 양영석, 양석순, 양화성, 양수학, 양수일은 풀려나지 못하였고, 이후 보건소 뒤 숲에서 시신이 발견되었다. 이들의 사망시기는 마을사람들이 풀려난 전․후일 것이라 는 참고인 진술로 미루어 1950. 11. 7.~9.로 추정된다.

6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70) 참고인 ○○○은 정근기의 가족 약 6~7인과, 정삼룡의 가족 3명, 정한각의 딸 등이 이때 희생되었다고 진 술하였으나, 이들의 정확한 신원은 파악할 수 없었다.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1. 21). 71) 일가족 희생사건의 경우 사건을 경험한 생존 일가가 대부분 사망하여 피해이유를 증언해줄 수 있는 생존 일가 및 참고인의 증언을 수집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7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7. 22).

7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가계도 2] 양씨일가 中 희생자 29명

마을로 돌아온 피해자들의 식구들은 다시 마을 뒷산으로 끌려가 희생되었다. 대부분의 참고인들은 양씨 가족들이 희생된 시기가 1950. 11. 8~9. 사이라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양석순 일가의 제삿날은 11. 8.이나 양영석의 일가는 11. 11.이며 최초 연행일 일주일 정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77


제2권

도 후에 마지막 피해가 있었다는 참고인의 진술이 있었다.73) 따라서 참고인 진술과 제삿 날을 기준으로 사망시기를 추정하면 양씨 일가 중 대부분은 1950. 11. 7.~11. 사이에 희 생되었다. 피해자들의 시신은 군․경이 공음면을 완전히 탈환한 후인 1951. 4.경에 수습 되었다.74) 양영석 일가는 논 200여 마지기와 소, 일꾼들까지 거느린 부농이면서 많이 배웠으나 좌 익들에게 협조적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양영석의 아들 양수진은 상황이 좋지 않 은 것을 알고 아내와 아들을 친정으로 보냈으나, 사건 당시 아내까지 친정에서 끌려와 가 족들과 함께 희생되었다.75) 양수진의 시신은 수습하지 못하였으나 가족들이 모두 몰살된 것으로 미루어 양수진 역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양영석의 동생인 양석순 일가는 아들 양수권이 군인이며76), 한청단원의 친척이라는 이 유로 연행되어 희생되었다고 한다.77) 양수권의 처 역시 당시 사망하였는데 혼인신고가 안 되어 있어 이름을 아는 이가 없었다.78) 양영석․양석순과 먼 친척인 양화성 일가는 양화성의 아들 양수학이 한청단원으로 오 해를 받아 희생되었다고 한다. 양화성 가족의 시신은 모두 수습하였으나 양오례의 시신 은 수습하지 못하였고, 행방을 아는 사람이 없었으나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79) 마을에서 가장 마지막에 희생된 사람은 양수철이다. 부농이었고, 좌익에 협조하지 않았 던 양수철은 1950. 11. 25.(음 10. 16.)에 공음면분주소 옆 창고(칠암리 612-1번지, 사진

3-3)로 연행되어 이틀 후인 11. 27.(음 10. 27)에 칠암리 칠암저수지(칠암리 617-4번지) 인 근에서 희생되었고, 가족들에 의해 시신이 수습되었다고 한다. 양수철의 집안에서는 양수 철 한 명만 희생되었으나 양수철의 희생 당시 사망현장에는 다른 피해자들이 많았다고 한다.80) 7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9). 7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7. 22). 75) 「신청인 양태식 진술조서」(2008. 6. 16); 「신청인 양종식 진술조서」(2008. 5. 30);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7. 2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9). 76) 양수권이 군인이었다는 신청인․참고인 진술에 따라, 2008. 10. 27. 육군본부 인사사령부 병적과에 양수권 의 병적기록 확인 요청을 하였고, 2008. 11. 20. 양수권의 병적기록을 회신하였다. 양수권(梁洙權)은 1927. 10. 21. 생으로, 군번은 5203714, 입대일자는 1949. 1. 25.이었다. 양수권은 1사 통신대에서 군 생활을 하다 가 1955. 8. 27. 탈삭(탈영삭제: 탈영한 이후 군 인원 수 에서 빼버리는 것을 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77) 「신청인 양태식 진술조서」(2008. 6. 1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6. 19). 78) 양수권은 사건 이후 조영례와 재혼하였고, 신청인 양태식은 양수권과 조영례의 자(子)이다. 79) 양화성의 딸 양오례의 사망사실을 인지하는 참고인은 없었으나 문헌자료를 통해 피해사실을 추정할 수 있었다.

7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4) 공음면분주소 연행․희생사건(마-9688, 마-9690, 마-5726) 공음면 소재지는 칠암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인민군 점령 당시 주요 활동거점이 되었 던 곳은 분주소(칠암리 556-2번지), 농협창고(칠암리 612-1번지) 등이었다. 위의 두 사건 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을 인근에서의 학살이 발생하기 전, 일차적으로는 분주소, 인민위 원회, 농협창고 등 공음면 소재지로의 우익인사 연행과 학살사건이 발생하였다.81) 그러 나 본 보고서에서는 신청사건 중 일가족 몰살사건을 제외하고 개별적으로 공음면 소재지 로 끌려가 희생된 진실규명대상자 3인에 대한 사건만을 「공음면분주소 연행․희생사건」 으로 분류․병합하였다. 공음면 소재지에서는 김재신, 김영수, 이영범이 희생되었다. 공음면 선동리 선동마을 김재신은 1950. 11. 18.(음 10. 9) 공음면 칠암리 연동 뒷산(칠암리 산 92번지 인근)에서, 덕암리 김영수는 1950. 12.경 인민위원회(現 공음면 사무소, 칠암리 556-1번지) 인근에서, 선동리 남산마을 이영범은 1950. 11. 23.(음 10. 14) 농협창고(칠암리 612-1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이외에도 참고인 진술과 문헌자료를 통해 미신청 피해자 이종호와 임종생 등 2명이 피해를 입은 사실을 추정할 수 있었다. 김재신은 ‘대한’이 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 좌익을 반대하는 포스터를 붙이고 다니다가 면 소재지로 잡혀가 희생되었다고 한다.82) 옆구리가 창에 찔려 사망한 김재신의 시신은 김재신의 처 ○○○에 의해 1951년 봄 수습되었다.83) 현역 군인 김현기84)의 동생이었던 김영수는 동지가 지난 1950. 12.경 공음면분주소로 끌려갔다가 이듬해 봄 인민위원회 인근에서 시신이 발견되어 피해자의 모(母), 처(妻) 등 일가에 의해 수습되었는데 포승 상태로 가마니에 덮여 있었고, 팔이 부어 있었다고 한다.85) 8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9. 2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1. 21); 「참고인 ○○○ 진술조서」. 81) 이곳에서는 신청 피해자 이외에도 많은 피해자의 시신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8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8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5). 84) 김영수의 형 김현기가 현역 군인이었다는 신청인․참고인 진술에 따라, 2008. 10. 9 육군본부 인사사령부 병적과에 병적기록 확인 요청을 하였고, 2008. 11. 6 김현기의 병적기록을 회신하였다. 김현기(金鉉奇)는 1916. 12. 20. 생으로 전북 고창군 공음면 덕암리 156번지에 거주했으며 군번은 14879, 입대일자는 1950. 5. 23.이었다. 따라서 김영수의 형 김현기가 사건 당시 군 근무 중이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85) 김영수의 사망경위에 대해서는 인민위원회 앞 우물에 스스로 빠져 죽으려 했다는 진술과 우물에 버려졌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79


제2권

이영범은 선산마을 이종호, 임종생 등과 공모하여 군․경 수복 시의 환영회를 준비하 고 있다가 발각되어 1950. 11. 16.(음 10. 7) 공음면분주소로 끌려가 동월 11. 23(음 10. 14) 농협창고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이영범의 시신은 1951. 봄 이영범의 처가 옷을 보고 식별 하여 수습하였다. 미신청 피해자 이종호는 이영범과 같이 잡혀가 같은 날인 1950. 11. 23. 사망하였고, 임종생은 1950. 9.경 분주소로 잡혀가 희생되었다.86)

5) 공음면 예전저수지 희생사건(마-3363, 마-9661, 마-9659, 마-9660) 공음면 예전리 예전저수지 인근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공음면 예전리 예전 저수지 방죽 인근에서는 1950. 11. 27.(음 50. 10. 18.) 선동리 대정마을의 김백회, 선동리 선동마을의 김대회, 김이호, 김경식 등 4인이 분주소원 및 지방좌익에 의해 희생되었다. 예전저수지 인근에서는 이들 4인 이외에도 공음면 전역에서 끌려온 약 20여 구의 시신이 발견되었다고 한다.87) 피해자들은 1차적으로는 공음면분주소 혹은 예전리에서 가장 부유 했던 정판기의 가옥 창고로 연행되었다가 다시 예전저수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피해자 의 가족들은 피해자가 감금되어 조사를 받는 기간 동안 몇 번 밥을 가져다주기도 했는데,

11. 27. 면회를 갔을 때 더 이상 오지 말라는 소식을 접했으며, 그날 소탕시켰다는 소문이 돌아 사망사실을 알았다고 한다.88) 김백회는 일꾼과 가정부까지 두는 논 60여 마지기의 부농이었고 고창고보를 나왔다. 그는 정당활동 혹은 우익정치활동을 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활발한 성격의 소유자였다고 한다. 김백회는 1950. 11. 12.경(음 50. 10. 3.) 1차로 잡혀가 일주일 후 돌아왔으나 다시

1950. 11. 26. 2차로 공음면분주소로 끌려갔다가 예전리 예전저수지 방죽 인근에서 희생 되었다. 당시 여러 마을에서 약 24명 정도의 주민들이 분주소로 잡혀가 조사를 받았는데, 김백회는 풀려나오지 못하고 희생되었다. 김백회의 시신은 피해자의 동생 ○○○와 피해 자의 처 ○○○ 등 가족들에 의해 이듬해인 1951. 3.경 수습되었다. 시신은 부패되어 양말 을 보고 찾았다고 한다.89) 다는 진술이 있었다. 86) 「신청인 이종풍 진술조서」(2008. 5. 1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6);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9. 26). 87) 이들의 시신은 김용호, ○○○ 등 마을 주민들에 의해서 수습되었다.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2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신청인 김용호 진술조서」(2008. 7. 23). 88)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2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21);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6. 10) 등. 8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4);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8. 2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2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8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김대회, 김이호, 김경식은 공음면 선동마을에 거주했는데, 예전리 정판기의 집 창고로

1950. 11. 25.경 동시에 잡혀갔다가 예전리 예전저수지 인근에서 1950. 11. 27. 희생되었고 시신은 이듬해 봄 수습되었다.90)

6) 공음면 선동리 김씨 일가 희생사건(마-9678, 마-9679, 마-9680) 예전리 예전저수지에서 선동리 선동마을의 김대회, 김이호, 김경식이 희생된 이후 마을 에 남아 있던 김이호, 김경식의 가족 김수현, 김근호, 전복수, 김준식, 정복현, 김대순, 김 용식, 김계식 등 8명이 공음면 지방좌익에 의해 마을 뒷산(선동리 781번지 인근)과 공음 면 황산(번지 미상)으로 끌려가 1950. 12. 6., 1951. 1. 2., 1951. 1. 20.에 대창에 찔려 희생 되었으며, 시신은 이듬해 봄 3~4월경 수습되었다. 김삼차의 두 번째 부인 역시 희생되었 다는 진술이 있었으나 이름을 확인할 수 없어 희생사실을 추정하였다. [가계도 3]은 제적 부 등 문헌자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파악한 김씨 일가의 피해현황을 가계도 로 정리한 것이다. 김이호, 김경식이 희생된 이후, 당시 군인이었던 김수현의 넷째아들 김항식91)에 의해 김삼차, 김수열은 피신하였고, 마을에 남아 있던 김수현 등 7명은 희생되었다. 가장 먼저 김준식이 1950. 12. 6. 희생되었고, 김수현, 김근호, 전복수, 정복현은 1951. 1. 2. 희생되었 다. 김대순, 김용식, 김계식은 1951. 1. 20.경 희생되었다. 시신은 1951. 3~4월경 좌익들 중 다치거나 도망가다 잡힌 사람들을 데리고 찾은 후, 합동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김대순, 김용식, 김계식의 시신은 선동마을 뒷산의 구덩이에서, 김수현, 김근호, 전복수, 정복현의 시신은 또 다른 구덩이에서 발견되었으며, 김준식의 시신은 공음면 예전리 시묘부락 인 근의 황산 근처에서 발견되었다.92) 이후 김씨 일가는 인명피해 이외에도 김수현의 가옥이 경찰에 의해 소각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 김수현의 가족들이 죽은 후 빈 집에서 빨치산들이 은거를 했었는데, 경찰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5. 22). 90) 「신청인 ○○○ 진술조서」(2008. 8. 22). 91) 김항식이 군인이었다는 신청인․참고인들의 진술에 따라 2008. 10. 9. 육군본부 인사사령부 병적과에 병적 기록 확인을 요청하였고, 2008. 11. 6. 김항식의 병적기록을 회신하였다. 전북 고창군 공음면 선동리 780-1 번지에 거주했던 김항식(金恒植)은 1929. 9. 24. 생으로, 군번은 6801529, 입대일자는 1950. 8. 1.로 확인되 었다. 92) 「신청인 김용관 진술조서」(2008. 6. 10); 「신청인 김용업 진술조서」(2008. 6. 17);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6. 1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 진술조서」(2008. 9. 23).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81


제2권

수복 당시 빨치산의 흔적이 발견되어 가옥 전체가 소각되었다 한다.93) [가계도 3] 김씨 일가 중 희생자 11명

7) 공음면 선동리 김원회 희생사건(마-8398) 김원회는 1951. 1. 17. 행방불명되어, 1951. 1. 29. 두암리 두암마을 619번지 인근 구덩이 에서 지방좌익에 의해 희생되었고, 그의 동생 김남회에 의해 그해 3~4월경 수습되었다. 김원회의 시신은 두암리 인근 구덩이에서 5인의 사체와 함께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창에 찔린 흔적이 있는 다른 시신들과 달리 김원회의 사체는 흰 천에 목이 묶여 있었고 다른 부위는 깨끗했다고 한다.94)

9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6). 9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23);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9. 23).

8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8) 무장면 신촌리 김창성 희생사건(마-4598) 무장면 신촌리 석동마을에 거주하던 김창성은 1951. 1. 30. 빨치산에 의해 희생되어 공 음면 각동마을(석교리 산67-1번지) 인근 골짜기에서 시신이 수습되었다. 당시 군․경 수복이 되지 않았던 무장면으로부터 공음면을 지키기 위해 지서를 주축으 로 자율방위대가 구성되었고, 김창성 역시 ○○○, ○○○, ○○○, ○○○ 등 4명과 함께 영선중고등학교 근처에서 보초를 섰다. 당시 3명이 한 조가 되어 2교대로 보초를 섰는데,

1951. 1. 30. 빨치산의 급습을 받고 김창성은 공음면 방향으로 도망을 가다가 사망하였고, 같이 보초를 섰던 2명은 다른 방향으로 도망가 생존하였다. 김창성의 시신은 피해자의 가 족들에 의해 2개월 후 공음면 석교리 각동마을 인근에서 수습되었다.95)

다. 대산면 발생사건 대산면에서는 총 두 건의 희생사건이 신청되었으며, 모두 집성촌에서 일어난 일가족의 희생사건이었다. 다음 [그림 5]에 대산면 희생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시간순서대로 표시하 였다. 대산면에서 일어난 희생사건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9) 대산면 덕천리 김해원 일가 희생사건(마-9589) 대산면 덕천리 김해원 일가 11인은 1950. 10. 19. 대산면 덕천리 대산천 천변(덕천리 54 번지)에서 지방좌익들에 의해 희생되었다. 김영호, 김귀임, 김해원, 김휴덕, 김필원, 유덕 순, 김장원, 김광원, 김효여, 김애희 등 10인은 문헌자료와 참고인 진술로 희생사실이 확 인되었고, 당시 호적신고가 되어 있지 않았던 김필원의 아이 1인은 희생사실을 추정하였 다. [가계도 4]에 제적부 등 문헌자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파악한 김해원 일 가의 피해현황을 정리하였다. 사건 당시 면사무소에서 근무했고 경찰 일을 보기도 했던 김해원96)은 1950. 10. 7. 분주 소로 연행되었다가 구타당한 후 풀려나 집에 왔으며, 가족들과 숨어서 지냈는데, 결국

1950. 10. 19. 가족들과 함께 희생되었다.97) 9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28);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24);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10. 14). 96) 김해원(金瀣源)이 경찰관이었다는 참고인 진술에 따라 전라북도지방경찰청 경무과 인사계에 김해원의 전 사 자료를 요청하였으나 해당 인물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08.11.13. 요청, ’08.11.18. 회신) 97) 「신청인 김길종 진술조서」(2008. 5. 19);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8. 11); 「참고인 ○○○ 진술조서」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83


제2권

시신은 1951. 2~3월경 강공임과 김길종 등 남은 가족들에 의해 수습되었다.98) 참고인 들의 진술에 의하면 대산천 천변의 모래사장에는 당시 약 2~3미터의 높이와 넓이의 구 덩이 4~5개가 있었는데 이곳에서 김해원 일가를 포함한 약 40여 구의 시신이 발견되었 다 한다.99) [그림 5] 대산면 사건발생장소

① 대산면 덕천리 김해원 일가 희생사건 (대산면 덕천리 54번지 대산천 천변)

② 대산면 중산리 박재문 일가 희생사건 (대산면 중산리 601번지 두동마을 앞산)

(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98) 신청인 김길종의 가족은 피해자들과 같은 집에 거주하지 않았고, 바느질일을 하기 위해 옆집에서 따로 나와 살았기 때문에 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 한다. 김길종의 부 김병원은 사건 이전 병사했다.(「신청인 김길종 진술조서」(2008. 5. 1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서) (2008. 8. 11) 99) 「신청인 김길종 진술조서」(2008. 5. 1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1);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 진술조서」(2008. 6. 10).

8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가계도 4] 김해원 가족 중 희생자 11명

10) 대산면 중산리 박재문 일가 희생사건(마-2793) 무안박씨 집성촌인 대산면 중산리 곡촌마을의 박재문100) 일가 12인(한용순, 박성환, 최 성녀, 박삼득, 강복순, 강옥순, 박대옥, 박삼례, 박재문, 고효석, 박재권, 박재현)은 1950.

10. 2.~11. 2. 대산면 중산리 두동마을 앞산(중산리 601번지 인근)과 동촌마을 뒷산에서 지방좌익들에 의해 희생되었다. 이 중 박삼례는 당시 나이가 어려 호적신고가 되어 있지 않아 희생사실을 추정하였다. [가계도 5]에 제적부 등 문헌자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확인한 박재문 일가의 피해현황을 정리하였다.

100) 마을사람들이 인지하는 박재문의 이명은 박재민이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85


제2권

[가계도 5] 박재문 가족 중 희생자 12명

희생된 박재문의 일가 3가족은 각기 다른 날 가족 단위로 잡혀갔는데, 이들의 희생시기 를 정확히 기억하는 진술인은 없었다. 다만, 1950. 10.경 희생되었고 가장 먼저 잡혀간 가 족이 박삼득의 가족이며, 다음으로 박성환의 가족, 마지막으로 박재문의 가족이 잡혀갔다 는 진술과,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 제적등본 등 문헌자료에 등재된 사망일, 제사일(10.

30.) 등을 통해 추정한 결과, 박삼득, 강복순, 강옥순101)이 1950. 10. 2.에, 한용순, 박성환, 최성녀, 박재옥, 박삼례가 1950. 10. 4.에, 박재문, 고효석, 박재권, 박재현이 1950. 11. 2.경 에 희생된 것으로 파악된다. 박재문 일가는 마을에서 잘사는 편이었고, 군인(박재문) 가 101) 제적등본을 통해 확인한 결과, 강옥순은 사건 전 사망한 박동지의 둘째부인이며, 박동지의 첫째부인이었 던 이점순 역시 사건 전 사망했다.

8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족이었으며,102) 박삼득 등이 마을 좌익들에게 인심을 잃어 희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가 장 먼저 희생된 박삼득 가족의 시신은 동촌마을 뒷산에서, 이외 가족들의 시신은 두동마 을 앞산 근처에서 수습되었는데, 철삿줄에 두 손이 묶이고 창과 칼 등에 찔린 흔적이 있 었다 한다. 박재문의 일가 이외에도 마을에서는 약 40~50명이 희생되었다고 한다.103)

라. 무장면 발생사건 무장면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위원회에 신청된 사건은 총 8건이며 이를 6개의 사건으로 재분류․병합하였다. 다음 [그림 6]에 무장면 희생사건이 발생한 장 소를 시간순서대로 표시하였다.

102) 육군본부 인사사령부 병적과를 통해 박재문(朴在玟)의 병적기록을 검색하였으나 그의 기록을 찾을 수 없 었다. (2008. 11. 13 요청, 2008. 11. 20 회신) 103) 「신청인 박종식 진술조서」(2008. 6. 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 진술조서」(2008. 8. 12).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87


제2권

[그림 6] 무장면 사건발생장소

② 무장면 송계리 김사홍 일가 희생사건 ①-1 무장면 송현리 이두 식 희생사건(궁동 저수지 ②-1. 김판성 김윤성 사망 ②-2. 김만성 희생장소 ②-3. 김사홍, 김창성 희생 -교흥리 736번지 인근) 장소(무장면 도곡리 양곡 (금곡마을 뒷산(망치)- 장소(도곡리 도산재 산36-1번지)

무장면 원촌리 금곡마을 산11-7번지)

462-3번지)

⑤ 무장면 신촌리 신기환 희생사건 (무장면 신촌리 494번지)

③ 무장면 월림리 김광식, 김만식 형제 희생사건 (무장면 월림리 용전 68번 지)

⑥ 무장면 원촌리 손판덕 희생사건 (무장면 도곡리 145-13)

④-1. 서판암 희생장소 (도곡리 양곡마을 86-4번지)

④-2. 서종묵,서병택, ④-3. 서정택 희생장소: ④-4. 김사채 희생장소 서길택 희생장소 영선중고등학교 (무장면 만화리 봉촌마을 (무장면 성내리 293번지) (무장면 무장리 431-1번지) 311전)

④ 무장면 백양리 백양마을 희생사건

8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11) 무장면 송현리 이두식 희생사건(마-286(1)) 무장면 수리조합장을 지낸 무장면 송현리 이두식은 1950. 7. 29. 무장면 교흥리 궁동 저 수지(교흥리 736번지) 인근에서 분주소원 등에 의해 희생되었고 시신은 가족들에 의해 수습되었다.104)

12) 무장면 송계리 김사홍 일가 희생사건(마-9646) 무장면 송계리 김사홍, 김창성, 김만성, 김판성, 김윤성 등 5인은 1950. 10.경 분주소원 및 지방좌익에 의해 희생되었다. 김판성과 김윤성은 무장면 도곡리 양곡마을 산 36-1번 지 인근에서, 김만성은 무장면 원촌리 금곡마을 망치산(원촌리 산11-7번지) 인근에서, 김 사홍, 김창성은 무장면 도곡리 앞산 도산재에서 각각 희생되었다.

[가계도 6]은 제적부 등 문헌자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확인한 김사홍 일 가의 피해현황을 가계도로 정리한 것이다. [가계도 6] 김사홍 가족 중 희생자 5명

104) 「신청인 이윤호 진술조서」(2008. 7. 2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5);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10. 15).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89


제2권

이들은 각각 다른 날에 잡혀갔는데, 정확한 피해시기를 몰라 음력 9. 22.(양 11. 1.) 합동 제사를 지낸다 한다. 그러나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에는 사망일이 9. 27.로 기재되어 있 으므로 이들은 1950. 9. 27.에서 1950. 11. 1. 사이에 희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마을 이장을 역임했던 김만성은 가장 먼저 분주소로 잡혀갔다가 금곡마을 망치산 인근에서 사망했으 며, 이후 김판성과 김사홍, 김창성과 김윤성이 순서대로 잡혀가 양곡마을 산 36-1번지 인 근과 도곡리 앞산 도산재 인근에서 칼과 죽창에 찔려 사망했고 시신은 가족들에 의해 수 습되었다.105)

13) 무장면 월림리 김광식․김만식 희생사건(마-9633) 무장면 월림리 용전마을의 김만식은 1950. 9.~10.경 무장면 용전마을 입구 구덩이(월 림리 68번지 인근)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되었고, 김광식은 피난 중에 희생되었다.106) 김만식은 그의 일가 50~60여 명과 함께107) 김종식의 창고에 감금되어 있다가 인근 구 덩이에 끌려가 대창 등으로 학살되었고108), 시신은 당시 정읍에 있어 피해를 면했던 피해 자의 부친 김태욱에 의해 수습되었다.109) 본 사건으로 월림리 용전마을의 김씨 가족은 2 가족만 생존하고 모두 사망했다.110) 한편 김광식은 수원에서 학교에 다니다 피난을 내려 오는 와중에 희생되었다고 한다.111)

105) 「신청인 김범영 진술조서」(2008. 7. 2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4);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10. 1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4). 10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6); 「참고인 ○○○ 진술 조서」(2008. 10. 1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7. 21); 「 신청인 김용식 진술조서」(2007. 9. 11); 「참고인 ○○○ 진술조서」(2007. 9. 19). 107) 본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피해 유족이며, 당시 현역 경찰이었던 ○○○에 의해, ○○○이 김씨 일가의 가 해주체로 인지한 죽림마을 천씨 일가가 1951. 4. 희생되었고, ○○○은 이 사건으로 실형을 선고받았다. 그의 검찰조서에 첨부된 월림리(용전마을) 양민 피살자 명단에는 총 53명의 희생자 이름이 적시되어 있 다. 그러나 ○○○은 사건 당시 마을에 없었고, 마을 주민들 역시 가해자들을 정확히 알지 못했다. 따라서 김광식 일가의 구체적인 가해주체에 대해서는 명확히 판단할 수 없으나, 이들은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두 마을 사이의 갈등이 희생의 한 이유가 되었고, 그러한 갈등관계가 여전히 지속 되고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전주지방법원 단기 4284 형 제652호」(5.13); 「참고인 ○○○ 진술․녹 음」(2008. 10. 16.); 진실화해위원회, 「고창 월림 집단희생사건」, 뺷2007년 하반기 조사보고서뺸 참조. 108) 희생장소에 대해서 참고인들은 각각 정동마을 야산(○○○), 방죽(○○○), 용전마을 앞 구덩이(신청인 김정순)로 다르게 진술했다. 109) ○○○의 판결문에 수록된 월림리 양민 피살자 명부는 [별첨 4 : 월림리 양민 피살자 명부] 참조. 110) 무장면 월림리의 김만식 가족이 희생된 사실은 뺷꽃피는 산하뺸, 뺷조봉암과 1950년대(하)뺸, 뺷좌익사건실록뺸 등 여러 문헌자료를 통해서도 확인되며, 다큐멘터리로 제작되기도 하는 등(KBS, 뺷해방뺸 등) 방송․언론 에서도 주목했던 사건이었다. 11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6.); 「참고인 ○○○ 진술․녹음」((2008. 10. 16.).

9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14) 무장면 백양리 백양마을 희생사건(마-9676) 이천서씨 집성촌인 무장면 백양리 백양마을의 진실규명대상자 서정택, 서병택, 서길택, 김사채, 서판암, 서종묵 등 6명과 미신청 피해자 김대욱112), 박항곤은 1950. 10.~11. 사이 에 분주소원과 지방좌익에 의해 희생되었다. 특히 서정택의 피해사실은 판결문에서도 확 인할 수 있다.113) 이들은 모두 무장면분주소로 1차로 끌려간 이후 서로 다른 곳에서 희생되었다. 마을에 서 가장 먼저 희생된 서판암은 미신청 피해자 박항곤과 함께 1950. 10. 19.경 무장면 면사 무소에서 가까운 도곡리 양곡마을 참재다리 인근(도곡리 86-4번지)에서 희생되었다. 서 종묵, 서병택, 서길택은 1950. 11. 15.경 무장면 성내리 내등 전등(성내리 293번지) 인근에 서 사망하였고, 1950. 11. 16., 김대욱은 목우리에서, 김사채는 만화리 봉촌마을 회의당에 서(만화리 311 전 인근), 서정택은 영선중학교(무장면 무장리 431-1번지)에서 사망하였 다. 김사채는 옆 마을로 끌려가 마을사람들 앞에서 희생되었고, 서정택 역시 궐기대회 도 중 공개적으로 죽창에 찔려 사망했다. 서판암은 마을 이장을 지냈고, 서정택은 좌익활동을 하다가 군․경 수복 소식을 듣고 군․경에 제공할 목적으로 우익인사들의 명단을 작성하여 가지고 다니다 좌익에게 발각 되어 희생되었다. 서종묵은 우익활동을 하였고, 김사채는 우익들에게 회의장을 제공해주 었다는 이유로 희생되었다. 이밖에 서병택, 서길택 등 피해자들은 서정택이 연행된 후 취 조과정에서 우익활동 가담자로 지목되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114) 시신은 무장면 수복 이후 마을사람들과 생존한 좌익 부역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사건현 장을 찾아 수습하였다고 한다.115)

112) 김대욱의 희생사건(마-9656)은 신청인 박춘림이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하여 조사개시 되었으나, 신청인 의 의사에 따라 2008. 11. 16 각하하였다. 113)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2형공161」(1951.5.22)에는 “4283년 9월 중순경 빨지산이 살해한 소위 반동분 자 거면 백양리 서정택의 사체를 자위대장 ○○○의 지시로 부락민 수명과 같이 동교 후산에 운반 매장 하여 적을 자진 방조”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외에도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재12」 (1951.7.31);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74」(1951.5.16);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82」 (1951.5.29);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재93」(1951.4.12);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123」 (1951.9.21) 등에도 서정택의 사망사실이 기재되어 있다. 114) 「신청인 서기택 진술조서」(2008. 7. 22)); 「신청인 서귀남 진술조서」(2008. 7. 22);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7. 2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3); 「참 고인 ○○○ 진술조서」(2008. 10.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3). 115) 「신청인 서기택 진술조서」(2008. 7. 22); 「신청인 서문택 진술조서」(2008. 7. 22).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91


제2권

15) 무장면 원촌리 손판덕 희생사건(마-9685) 무장면 원촌리 신기마을의 손판덕은 1950. 11. 6. 무장면 도곡리 양곡마을 뒷산(도곡리

145-13번지 인근) 구렁에서 경찰 손순근116)을 숨겨주었다는 이유로 분주소원에 의해 총 살되었고, 미신청 피해자 손순근 역시 희생되었다.117) 손판덕의 시신은 1951. 4.경 양곡마 을에 거주하는 일가 ○○○의 도움으로 확인․수습되었다.118)

16) 무장면 신촌리 신기환 희생사건(마-9677) 무장면 신촌리 신기환은 1950. 12. 초 마을 자경활동을 하다가 빨치산의 총을 맞고 자 택(신촌리 494번지)에서 사망하였다. 신기환은 무장읍성 근처에서 좌측 옆구리에 총을 맞 고 집으로 실려 왔는데, 상처가 치유되지 않아 3일 후 사망하였다.119)

마. 부안면 발생사건 부안면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위원회에 신청된 사건은 총 4건이다. 이 중 3건은 개별사건이며, 1건은 일가족 희생사건이다. 다음 [그림 7]에 부안면 희생사건 이 발생한 장소를 시간순서대로 표시하였다.

116) 손순근이 경찰이었다는 참고인 진술에 따라 전라북도지방경찰청 경무과 인사계에 손순근의 전사 자료를 요청하여 관련 기록을 회신하였다.(‘08. 11. 13. 요청, ’08. 11. 18. 회신) 고창경찰서 인사기록 상 손순근 은 1930. 8. 5. 생으로 고창경찰서 경찰관으로 재직하다 1950. 9. 30. 사망하였다 한다. 117) 손판덕, 손순근이 희생되기 전에도 손순근의 가족 및 마을 일가 등 10여 명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신기마을에서는 당시 약 12명이 희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18) 「신청인 손춘자 진술조서」(2008. 7. 2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4);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10. 14). 119) 「신청인 신송전 진술조서」(2008. 10. 1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4); 「참고인 ○○○ 진술 조서」(2008. 10. 14).

9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그림 7] 부안면 사건발생장소

① 부안면 사창리 허서봉 희생사건 (사창리 진목마을 저수지 441-2번 지 인근)

③ 부안면 선운리 서병섭 사건 (선운리 신흥마을 192번지 인근)

② 시신 미확인/사망장소 추정

④-1. 부안면 운양리 우물가 (부안면 운양리 14번지)

④-2. 우물가 인근 논

④ 부안면 운양리 박육동 일가 희생사건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93


제2권

17) 부안면 사창리 허서봉 희생사건(마-9697) 부안면 사창리 진목마을의 허서봉은 1951. 1. 8. 부안면 사창리 진목마을 저수지 인근 제방(사창리 441-2번지)에서 지방좌익들에 의해 희생되었다. 참고인들의 진술에 의하면 지방좌익들은 평소 허서봉과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수복 이후 보복을 당할까 두려워 허 서봉을 학살한 것이라 한다. 허서봉은 이웃마을 지방좌익 ○○○의 주도로 잡혀가 총살 당했는데 총소리가 마을에도 들렸다고 한다.120)

18) 부안면 송현리 이상재 희생사건(마-2219) 부안면 송현리 안현마을의 이상재는 1951. 2. 11. 미신청 피해자 김판술121)과 함께 부안 면과 심원면 경계 장수강(심원면 용기리 수대동 근처)에서 빨치산에 의해 희생되었다. 이 상재는 당시 안현마을 이장이면서, 염전 사업을 하는 논 2천여 평을 소유한 마을 유지였 고, 김판술 역시 마을의 유지였다고 한다. 이들은 같은 날 함께 잡혀가 희생되었으나, 시 신을 수습하지 못하였으므로 희생사실은 문헌자료 및 참고인 진술로 추정하였다.122)

19) 부안면 선운리 서병섭 희생사건(마-2267) 부안면 선운리 신흥마을의 서병섭은 1951. 9. 2. 선운리 신흥마을 대밭 근처 고랑(선운 리 192번지 인근)에서 빨치산이 투척한 수류탄에 맞아 희생되었다. 또한 당시 서병섭과 함께 미신청 피해자 김태완 역시 사망하였다. 이들의 시신은 마을사람들과 친척들에 의 해 사건발생 다음날 수습되었다. 서병섭은 ○○○, ○○○, ○○○ 등과 마을 자경활동을 하던 중 ○○○의 집에 빨치 산 1인이 침입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확인하러 갔다가 빨치산이 투척한 수류탄 파편 에 맞아 사망하였다. 동행했던 ○○○은 파편을 맞았으나 상처가 크지 않아 생존하였으 며, ○○○ 역시 당시 생존하였다. 그러나 김태완은 그 자리에서 즉사하였고, 서병섭은 겨드랑이 쪽에 수류탄을 맞고 500미터 정도 떨어진 곳까지 걸어갔으나 부상이 심해 사 망했다.123) 120) 「신청인 허수남 진술조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8. 13). 121) 참고인들은 피해자 ‘김판술’을 이명인 ‘김윤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122) 「신청인 ○○○ 진술조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1). 12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1); 「신청인 서진석 진술조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1).

9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20) 부안면 운양리 박육동 가족 희생사건(마-8503) 부안면 운양리에서는 박육동, 임영례, 박태홍, 최종순 등 4명이 1953. 2. 25. 빨치산들에 의해 운양리 우물가 근처(운양리 14번지)에서 희생되었다. 박육동 가족의 희생이유는 빨치산 신고에 따른 보복성 성격이 짙다. 박태홍은 현직 군 인이었고, 부 박육동, 모 임영례, 처 최종순, 동생 박태주, 박태수와 함께 마을 바깥쪽인 대밭 근처에서 살았다. 그의 집은 근처에 대밭이 있어 빨치산들이 숨어 있기 좋은 집이었 다고 한다.124) 사건발생 전인 1952. 12.경, 빨치산 4명125)이 방장산으로 이동 중 하루 자 고 가게 해달라며 들렀는데, 이들을 최종순이 신고를 하였고, 빨치산들은 경찰에게 총살 되었다. 다음해 1953. 2. 25. 빨치산들은 휴가를 받아 마을에 와 있던 박태홍을 마을 사랑방에서 먼저 연행하여 갔고126), 이후 박태홍의 가족들을 연행하여 마을 앞 우물가에 집결시킨 후, 바로 옆 논에 일렬로 세워 총살하였다. 막내아들 박태수는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신청인 박태주는 당시 친구 집에서 자고 있어서 피해를 면했다고 한다. 박태수가 쫒아가 서 가족이 총살되는 장면을 목격했는데, 박태홍이 가장 먼저 총살되었고, 빨치산들이 “4 명을 죽게 했으니 4명을 죽인다”고 말했다. 이때 신림면 출신 빨치산 ○○○과 북한출신 인민군 등 약 7~8명이 학살현장에 참여했다. 사건 직후 피해자의 시신은 경찰과 마을사 람들에 의해 수습되고 장례가 치러졌다.127)

바. 성내면 발생사건 성내면은 고창군의 북쪽에 위치하여 정읍시와 인접해 있다. 인근에 내장산과 연결되는 방장산이 있어 여러 지역에서 모인 빨치산들이 자주 출몰했으며, 마을사람들은 빨치산들 의 명령에 의해 짐을 날라다주거나, 곡식과 이불 등을 제공하기도 했다.128) 성내면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위원회에 신청된 사건은 「성내면 황 124) 「참고인 ○○○ 진술․녹취」(2008. 8. 13). 125) 이들 4명 중 2명은 총에 맞아 부상 중이었고, 북한 말을 쓰는 사람이 2명 있었고, 권총 한 자루와 긴 총을 두 자루 가지고 있었다 한다.(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26)) 126) 육군본부 인사사령부 병적과를 통해 박태홍의 병적기록을 검색하였으나 그의 기록을 찾을 수 없었 다.(2008. 10. 27 요청, 2008. 11. 14. 회신) 127) 「신청인 박태주 진술조서」(2008. 5. 2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참고인 ○○○ 진술․ 녹취」(2008. 8.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참 고인 ○○○ 진술조서」(2008. 8. 26). 128) 「신청인 황의구 진술조서」(2008. 6. 12).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95


제2권

태익 일가 희생사건」 1건이다. 다음 [그림 8]에 성내면 희생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표시하 였다. [그림 8] 성내면 사건발생장소

① 성내면 황태익 일가 희생사건 (성내면 신대리 참남등 196번지)

21) 성내면 황태익 일가 희생사건(마-8565) 성내면 신대리에서는 1950. 5. 27.과 8. 2., 황태익 일가 7명과 같은 마을의 김용국 등 8 명이 (구)빨치산과 분주소원에 의해 희생되었다. 황태익, 황문익, 황형익, 황준구, 황두익, 황은익, 김용국은 1950. 5. 27. 성내면 신대리 참남등 근처(신대리 196번지)에서 희생되었 고, 황순익은 1950. 8. 2. 성내면분주소에서 희생되었다. 황태익 일가 7명의 희생사실은 문 헌자료와 참고인 진술로 확인하였고, 김용국의 희생사실은 호적 상 기록을 통해 생존인 물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여 참고인 진술로 추정하였다.129) [가계도 7]에 제적부 등 문헌 자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확인한 황태익 일가의 피해현황을 정리하였다.

9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가계도 7] 황태익 일가 중 희생자 7명

황태익 등 7인은 1950. 5. 27. 빨치산130)들에 의해 집에서 500~600미터 떨어진 참나무 잔등으로 연행되어 갔다. 황문익, 황태익 등 피해자들을 연행한 이후에 그들의 부인들도 끌고 가, 부인들이 보는 자리에서 죽창으로 남자들을 학살하였다. 시신은 학살 다음날 마 을사람들에 의해 수습되었다.131) 황순익은 1950. 8. 2. 분주소원들에 의해 분주소로 잡혀가 몽둥이에 맞아 사망하였다. 시신을 가져가라는 통보를 받고 가족들이 찾으러 갔는데 몸이 부어서 옷을 벗길 수가 없 었다 한다. 황순익의 분주소 감금 기록은 ○○○의 판결문에도 나와 있다.132) 피해자들의 129) 김용국의 호적 및 제적등본을 입수하기 위해 필요한 호주 및 생존 일가친척의 정보를 찾을 수 없었다. 130) 참고인 진술에 의하면 이때 마을에 왔던 빨치산들은 장성출신 남로당 노병두 부대라 한다. 노병두는 이 후 경찰에 의해 생포되어 나무위에 매달려 불태워져 죽었다 한다.(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131) 「신청인 황의구 진술조서」(2008. 6.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2);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8.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3). 132) ○○○의 판결문에는 그가 “단기 4283년 8월 1일경 동 집단 산하 거면 치안대장이 되어 …(중략)… 동면 신대리 황순익[黃順翼] 등을 수일간 동 대 유치장에 감금하여서 적을 자진 방조”하였으나 “공소 사실 중 피고인이 판시 ○○○, ○○○, ○○○, 황순익 등을 공비 ○○○에게 인도 살해케 하였다는 점은 그 증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97


제2권

사망 이후 황순익과 황문익의 가옥은 좌익들에 의해 불에 타 소각되었다.133) 신대리 대천마을은 평해 황씨 집성촌이었는데, 마을 주민 중 특히 황태익 일가는 기와 집에 살고, 연간 쌀 300석을 수확하는 부농이며 양반 집안으로 유명했다. 황태익의 차남 황문익은 사회활동도 활발했는데, 1948년에는 한민당 백관수의 제헌국회 선거운동134)을 도와주기도 했다. 또 황순익은 신대마을의 이장을 지냈다.135)

사. 성송면 발생사건 성송면은 고창군의 남부에 위치하고, 전남 장성군과 인접해 있어 장성 빨치산들의 활 동이 활발했다.136) 성송면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위원회에 신청된 사 건은 「성송면 김차흥, 김병희의 희생사건」 1건이다. 다음 [그림 9]에 성송면 희생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표시하였다.

22) 성송면 김차흥, 김병희 희생사건(마-5271)137) 성송면 하고리 김차흥과 김병희는 1950. 9. 28. 성송면 암치리 성송 초등학교 뒷산(암치 리 389-1번지 인근)과 초등학교에서 500미터 떨어진 암치리 저수지 부근(암치리 204-1번 지)에서 지방좌익들에 의해 희생되었다.138) 또한 미신청 피해자 정재덕139)과 주식재 역 시 희생되었다.

명이 충분치 못하므로 무죄이지만 판시 사실과 연속범으로서 기소되었다고 인정하여 주문에서 특히 무 죄의 언도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4284형공227」(1951.8.28). 133) 「신청인 황의구 진술조서」(2008. 6.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2). 134) 성내면 덕산리 출신인 백관수는 1948. 5. 10. 제헌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국회 초대 법사위원장 및 헌법 기초위원을 지냈으며, 1950년 원남동 자택에서 공산군에 의해 납북되었다.(출처: 성내면사무소 홈페이 지). 135) 「신청인 황의구 진술조서」(2008. 6.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2); 「참고인 ○○○ 진술조 서」 (2008. 8. 13). 136) 신청인 김재원에 의하면 장성 빨치산 8중대가 저녁마다 지서 인근을 습격하고 가축 등을 가져갔다고 한 다.(「신청인 김재원 진술조서」(2008. 6. 10)). 137) 본 사건은 신청인 김재원이 김차흥, 김병희 외에도 같이 끌려간 정재덕 등 2인을 추가로 신청하였으나 신청인 진술조사 결과 진실규명신청한 사람은 김차흥, 김병희 2인뿐이라는 진술에 따라 진실규명대상자 를 2인으로 한정하였다. 138) 참고인들은 성송면 소재지 암치리의 암치 저수지에서는 진실규명대상자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 었다고 진술하였다.(「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참 고인 ○○○ 진술조서) (2008. 8. 12)). 139) 마을사람들에게 불리는 정재덕의 이명은 정재복이다.

9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그림 9] 성송면 사건발생장소

① 성송면 김차흥, 김병희 희생사건 ①-1. 김차흥 사망장소 (성송초등학교 뒷산-성송면 암치리 389-1번지)

① 성송면 김차흥, 김병희 희생사건 ①-2. 김병희 사망장소 (성송면 암치리 저수지 인근-성송면 암치리 204-1번지)

성송면사무소에서 농산계장으로 근무했던 김차흥과 경방단(소방대)에서 근무했던 김 병희140)는 1950. 9. 27. 마을좌익들에 의해 분주소로 연행되었다가 9. 28. 김차흥은 성송면 분주소가 있던 성송초등학교 뒷산에서, 김병희는 암치골저수지에서 사망하였다. 김차흥 140) 김병희(金炳喜)가 성송면 소방대장을 역임하였다는 참고인 진술에 따라 ‘08. 11. 13. 전라북도지방경찰청 경무과 인사계에 전사 자료를 요청하였으나 신림면 출신의 동명이인의 자료만을 찾을 수 있었다.(’08. 11. 18).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99


제2권

은 대창으로 학살되었고, 김병희는 몽둥이에 맞아 타살되었다.141) 사건 이후 이들의 살림 등도 빼앗겼다고 한다.142) 시신은 2~3일 후 마을사람들에 의해 수습되었다.143) 아. 심원면 발생사건 심원면은 당시 고창에서 가장 규모가 작은 면이었지만 좌익들의 활동은 활발했던 지역 이어서 51년 봄이 되어서야 군․경에 의해 수복되었다 한다. 심원면에서 발생한 적대세 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된 사건은 「심원면 월산리 박태환 희생사 건」과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생사건」 등 총 2건이다. 다음 [그림 10]에 심원면 희생사 건이 발생한 장소를 시간순서대로 표시하였다. [그림 10] 심원면 사건발생장소

① 심원면 월산리 박태환 희생사건 (심원면 월산리 252번지)

②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생사건 (심원면 예동마을 논둑심원면 고전리 819-4번지) 141) 「신청인 김재원 진술조서」(2008. 6. 1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참고 인 ○○○ 진술조서」(2008. 8. 11). 14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143) 「신청인 김재원 진술조서」(2008. 6. 1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8.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0).

10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23) 심원면 월산리 박태환 희생사건(마-9681) 심원면 월산리의 박태환은 1950. 10. 10. 심원중학교 뒷산(심원면 연화산 연화봉 계곡) 에서 분주소원에 의해 총상을 입은 뒤 거주지인 심원면 월산리 252번지에서 과다출혈로 사망하였다 심원면 소방대 대장을 맡았던 박태환144)은 1950. 9. 27. 호를 파기 위해 마을사람들과 함께 차출되어 나갔다가 1950. 10. 10. 분주소 근처인 심원중학교 뒷산(심원면 연화산 연 화봉 계곡)에서 분주소원 등 지방좌익에 의해 총을 맞았으나 즉사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박태환은 마을 주민들이 발견하여 집으로 데려온 이후 과다출혈로 곧바로 사망하였다. 당시 박태환 이외에도 마을 주민 7명이 끌려가 사망하였다 한다.145)

24)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생사건(마-6036) 위용옥은 1952. 11. 3. 심원면 고전리 예동마을 논둑(고전리 819-4번지 인근)에서 빨치 산에 의해 희생되었다. 위용옥은 평안남도 진남포시 출신이나 1949년 월남하여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삼양사 염전 지부장으로 부유하게 살고 있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위용옥의 가족은 삼양사에 서 일하던 북한 출신자들과 함께 고창을 떠나 목포로 피난을 갔다가 1951년 다시 돌아와 고창읍에 거주하며 빨치산 토벌에 얼마간 참여했고146), 이후 동호리 삼양사로 돌아와 염 전 일을 하고 있었다. 1952. 11. 2. 저녁, 염전 일꾼 ○○○의 집(심원면 고전리 예동마을

1943번지)에 방문했다 돌아오는 길에 심원면 빨치산 2명에게 잡혀 예동마을 논둑에서 희 생되었다. 시신은 해리면지서 동호리출장소의 직원이자 삼양사 경비인 ○○○이 수습하 였는데, 칼에 찔리고 구타당한 흔적이 역력했다 한다.147)

자. 아산면 발생사건 아산면은 고창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높이 336미터의 선운산이 위치해 있다. 아산면에 144) 박태환(朴泰煥)이 심원면 소방대 대장이었다는 참고인 진술에 따라 전라북도지방경찰청 경무과 인사계 에 박태환의 전사 자료를 요청하였으나 해당 인물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08. 11. 13. 요 청, 08. 11. 18. 회신). 14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6. 12);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11. 21); 「신청인 박은배 진술조서」(2007. 12. 4). 146) 삼양사 직원들은 모두 토벌에 참여해야 했다. 「참고인 ○○○ 진술조서」(2007. 12. 4). 147)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2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29); 「참고인 ○○○ 진술 조서」(2008. 11. 2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1. 21); 「참고인 ○○○ 진술조서」(2007. 12. 4).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01


제2권

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된 사건은 「아산면 성산 리 노귀동 형제 희생사건」 1건이다. 다음 [그림 11]에 성송면 희생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표시하였다. [그림 11] 아산면 사건발생장소

①아산면 성산리 노귀동 형제 희생사건 (아산면 성산리 노적매- 성산리 819번지 인근)

25) 아산면 성산리 노귀동 형제 희생사건(마-3132) 아산면 성산리 월성마을의 노귀동, 노대동, 노진수 형제는 1950. 10. 25. 지방좌익에 의 해148) 아산면 학전리 노적매(성산리 819번지 인근)로 끌려가 대창에 찔려 희생되었고, 시 신은 다음날 마을 어른들에 의해 수습되었다.

3형제 중 첫째 노귀동은 빨치산이 숨어 있는 장면을 목격하고 경찰에 고발한 일이 있 148) 참고인들이 공통적으로 지목한 가해 주동자 ○○○는 이후 배신 가능성이 있는 자라는 이유로 역시 좌익 들에게 맞아 죽었다 한다.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1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4).

10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으며, 셋째 노진수는 보초를 서라는 마을좌익의 명령을 거절한 적이 있어 좌익들과 사이 가 좋지 않았다 한다.149) 사건 당일 첫째 노귀동은 자택 큰방에서 자고 있었고, 둘째 노대 동은 옆집, 셋째 노진수는 참고인 ○○○과 함께 사랑방에서 자고 있었다. 1950. 10. 25. 밤 약 10여 명의 장정들이 와서 서너 명씩 나뉘어 3형제를 찾았고, 각자 따로 자고 있었 던 형제들이 집 앞으로 끌려나와 감나무에 함께 묶였다가 학전리 노적매로 끌려가 희생 되었다.150)

차. 해리면 발생사건 해리면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중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된 사건은 총

5건이며, 이를 사건의 발생시기 및 성격별로 2건으로 병합하였다. 다음 [그림 12]에 해리 면 평지리 이병갑 희생사건」과 「해리면 하련리 최씨 일가 희생사건」이 발생한 장소를 시 간순서대로 표시하였다.

149)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4). 150)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8. 14);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8. 1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9. 10).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03


제2권

[그림 12] 해리면 사건발생장소

① 해리면 평지리 이병갑 희생 사건(평지리 600번지)

②-1. 최종구, 최종섭 사망장소 (백두채-하련리 527번지)

②-2. 최종기, 최종연, 최종천, 김임해, 김숙례 사망장소(하련리 저수지 뒷산-하련리 466번지)

②-3. 최종웅 사망장소 (안장굴-하련리 460번지)

② 해리면 하련리 최씨일가 희생사건

26) 해리면 평지리 이병갑 희생사건(마-9668) 해리면 평지리 평지마을의 이병갑은 1950. 8. 6. 해리면 평지리 수락마을 앞(평지리 600 번지 인근)에서 해리면분주소원 및 지방좌익에게 총살되었다. 해리면 면장151)이었던 이 151) 이병갑이 해리면장을 1948. 11.부터 1950. 6.까지 역임한 사실은 해리면사무소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병갑 의 면장 역임 사실은 해리면 인터넷 홈페이지에도 기재되어 있다.

10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병갑은 사건 이전에도 지방좌익들에게 심하게 구타당하여 치료 중이었는데, 1950. 8. 6. 수락마을로 오라는 연락을 받고 거동이 불편한 이병갑을 마을사람들이 데려다주었다 한 다. 수락마을에 이병갑을 데려다주고 마을사람들이 돌아가던 중 총소리가 나서 가보니 이병갑이 목에 총을 맞고 숨져 있었다 한다.152)

27) 해리면 하련리 최씨 일가 희생사건(마-9670, 마-9671, 마-9672, 마-9673) 해리면 하련리 최씨 일가 중 최종구, 최종철은 1950. 10. 27. 해리면 하련리 백두채(하 련리 527번지 인근)에서, 최종웅은 1950. 11. 3. 하련리 저수지 옆 안장굴(하련리 460번 지 인근)에서, 최종천, 최종기, 최종연, 김임해, 김숙례는 1950. 11. 3. 하련리 저수지 뒷산

(하련리 466번지 인근)에서 지방좌익에 의해 희생되었다. [가계도 8]은 제적부 등 문헌자 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토대로 확인한 최씨 일가의 피해현황을 가계도로 정리한 것이다. [가계도 8] 최종웅 일가 중 희생자 8명

152)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1. 21); 「참고인 ○○○ 진술조서」(2008. 3. 19); 「참고인 ○○○ 진술조 서」(2008. 10. 17).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05


제2권

참고인 진술에 의하면 최종구는 당시 경찰이었고,153) 최종철은 지서에서 소사 일을 했 는데, 최종구와 최종철을 죽이고 보복이 두려워 남은 가족들까지 죽인 것이라 한다.154)

4. 폭행사건 28) 무장면 송현리 이윤호 폭행사건(마-286(2))155) 1950. 7. 29 희생된 무장면 수리조합장 이두식(마-286-1)의 아들 이윤호는 1950. 9. 9. 무장면분주소로 끌려가 분주소원들과 지방좌익들에게 고문을 당했다.156)

5.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문헌자료와 신청인․참고인 진술을 통해 진실규명대상자 135명의 신원과 희생사실을 확인․추정하였고, 미신청 피해자 18명의 희생사실을 확인․추정하여 총 153명의 희생사 실을 파악하였다. 진실규명대상자와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은 제적등본, 족보, 판결문, 각종 명부 등 문헌자료와 참고인 진술을 통해 확인하였다. 진실규명대상자 135명 중 정대진(마-9521), 양수진(마-9669), 양오례(마-9636), 김필원 의 아이(성명미상, 마-9589), 박삼례(마-2793), 이상재(마-2219), 김용국(마-9665) 등 7명 은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였거나(정대진, 양수진, 양오례, 이상재), 호주 및 생존 일가친척 을 찾을 수 없어 호적 상 기록을 확인하지 못하였거나(김용국), 나이가 어려 호적신고 자 체가 되어 있지 않아(김필원의 아이, 박삼례) 참고인 진술과 각종 명부를 통해 사망사실 을 추정하였다. 또 미신청 피해자 18명 중 김대욱(마-9676), 정재덕․주식재(마-5271), 정 점순(마-6512) 등 4명의 희생사실은 제적등본, 각종 명부, 참고인 진술을 통해 확인하였 고, 이 외 14명의 희생사실은 제적등본을 확보하지 못했거나157), 시신을 수습하지 못해

(김판술, 마-2219) 참고인 진술과 문헌자료를 통해 추정하였다. 총 피해자 153명 중 113명에 대한 기록을 각종 명부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 뺷6․25사 153) 최종구(崔鍾九)가 경찰관이었다는 참고인 진술에 따라 전라북도지방경찰청 경무과 인사계에 전사자료를 요청하였으나 해당 인물에 대한 기록이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08. 11. 13. 요청, ’08. 11. 18. 회신). 15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7). 155) 신청인 이윤호는 조사 개시 당시 본인과 그의 일가 8명이 폭행당했다고 주장했으나, 이후 신청인 진술조 사 및 전화면담조사(08. 10. 24) 결과, 폭행 피해자로 신청한 인물은 본인 1인뿐이라고 진술하였다. 156)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5); 「참고인 ○○○ 진술조서」(2008. 10. 15). 157) 해당 면사무소에 공문으로 미신청 피해자 18명의 제적등본을 요청했으나(2008. 11. 20~21 협조요청) 5명 의 제적등본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변 피살자 명부뺸에서 81명, 뺷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 결과보고서뺸에서 82명, 뺷6․25 양 민피학살자 명단뺸에서 20명, 뺷전북의회 실태조사뺸에서 18명, 뺷순국명부(전라북도)뺸에서 3 명에 대한 기록을 확인하였고, 진실규명대상자 서정택과 황순익에 대한 언급은 판결문에 서도 확인하였다. 피해자 중 정준묵, 정중묵, 정인묵, 양수성, 양석순, 양수일, 양화성, 김 경식, 김준식, 김만식, 정재덕, 주식재 등 12인의 이름은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 등 4개 의 명부에서 모두 발견되었고, 이상재의 희생사실은 5개 명부 모두에 기록되어 있었다. 진실규명대상자와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와 확인근거는 <표 6.>과 같다.158) <표 6> 진실규명대상자와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및 확인근거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1

마-74 고창내무 문일환 文一煥 29, 男 58 서 사건

2

마-97 03

3

마-83 97

4

˝

확인근거 문헌조사 결과 족보상 사망일 (음력)

O 확인

1956.7.24.

백인기 白仁基 35, 男

O 확인

1950.9.30.

공음면 정고봉 鄭高峯 24, 男 군유리 정씨일 가 희생 사건

O 확인

1950.9.28.

X

O 확인

1963.2.22.

X

˝

˝

정동옥 鄭東玉 72, 男

X

6․25 사변 피살자 명부 X

1950.8. O(10.3. 17. 고창읍 경찰서 사망)

전북 의회 실태 조사 X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O(50.9.28. 고창경찰서)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X

O

○○○ (전문) ○○○ (전문) ○○○ (시신 목격)

X

O(성내면 부덕리 거주, (음)50.6.19. 성내분주소 사망)

X

8.16.

O

○○○ (전문) ○○○ (시신 목격)

O(10.3. 군유리 뒷산사망)

X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9. 군유리 사망)

O (공음면 군유리 거주)

X

O

○○○ (전문) ○○○ (연행 목격) ○○○ (전문)

X

O (공음면 군유리)

X

X

X

O

○○○ (감금 목격) ○○○

158) 다만 뺷순국명부(전라북도)뺸에서는 김용식(마-9680), 김해원(마-9589), 이상재(마-2219) 등 피해자 세 명 에 대한 기록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판결문을 통해서는 김광식․김만식(마-9633), 서정택(마-9675), 황 순익(마-8565)의 희생사실만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표 6>에 표기를 생략하였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07


제2권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연행 목격) ○○○ (시신 수습) ○○○ (전문)

5

˝

˝

박복남 朴福南 23, 女

O 확인

1950.10.20.

6

마-85 12

˝

정재화 鄭在華 25, 男

O 확인

1956.6.28.

1950.8. O(50.8. 26. 군유리)

X

7

˝

˝

강판순 姜判順 29, 女

O 확인

1956.6.29.

1950.9. 23.

X

8

˝

˝

정준묵 鄭準黙 55, 男

O 확인

1973.10.24.

1950.9. O(10.3. 23. 군유리 뒷산)

9

˝

˝

이평전 李平田 50, 女

O 확인

1950.5.8.

1950.9. 23.

10

˝

˝

정점순 鄭点順 15, 女

x

확인

1959.5.9.

X

11

마-95 21

˝

정균일 鄭均一 48, 男

O 확인

1955.12.1.

X

12

˝

˝

김영녀 金寧女 47, 女

O 확인

1950.9.20.

X

10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X

X

X

X

O O(공음면 (공음면 군유리 거주, 군유리) (음)50.9. 군유리 사망)

O (공음면 군유리 거주)

X

O

˝

O(공음면 군유리 거주, 50.8. 군유리 사망)

X

8.25.

O

˝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9.20. 군유리 사망)

X

9.22.

O

˝

O (대산면 율촌리)

9.22.

O

˝

O O(공음면 (공음면 군유리 거주, 군유리) (음)50.9.20. 군유리 사망) X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9.20. 군유리 사망)

X

9.22.

O

˝

X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9.20. 군유리 사망)

X

X

O

˝

X

X

O(공음면 용수리 거주, (음)50.9.28. 삿갓봉 사망)

X

X

O

˝

X

X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10. 군유리 사망)

X

X

O

˝

O(10.3. 군유리 뒷산)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13

˝

˝

정대진 鄭大鎭 31, 男

O 추정

1950.9.20.

X

14

˝

˝

정성진 鄭聖鎭 33, 男

O 확인

1951.5.1.

X

15

˝

˝

정정순 鄭情順 21, 女

O 확인

1951.5.2.

16

˝

˝

정균삼 鄭均三 35, 男

O 확인

17

˝

˝

정삼례 鄭三禮 21, 女

18

˝

˝

19

˝

20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10. 군유리 사망)

X

X

X

˝

X

X

X

X

X

O

˝

X

X

X

X

X

X

O

˝

1948.5.4.

X

O(12.1. 군유리 뒷산 사망)

X

X

X

X

O

˝

O 확인

1950.10.5.

X

O(12.1. 군유리 뒷산 사망)

X

X

X

X

O

˝

정말례 鄭末禮 10, 女

O 확인

1950.9.2.

X

X

X

X

X

X

O

˝

˝

정순애 鄭順愛 12, 女

O 확인

1949.6.4.

X

X

X

X

X

X

O

˝

˝

˝

정정숙 鄭正淑 24, 女

O 확인

1952.4.1.

X

O(10.11. 군유리 뒷산 사망)

X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10. 군유리 사망)

X

X

O

˝

21

˝

˝

정필임 鄭必姙 6, 女 O 확인

1952.4.1.

X

X

X

X

X

X

O

˝

22

˝

˝

성명불 상아기

X

미상

x

추정

X

X

X

X

X

X

X

O

˝

23

˝

˝

정판묵

X

x

추정

X

X

X

X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8.삿 갓봉 사망)

O (공음면 군유리 거주)

X

O

˝

24

˝

˝

정중묵

X

x

추정

X

X

O(11.26. 군유리 뒷산 사망)

O (공음면 군유리 거주)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11.1 3. 후등 사망)

O (공음면 군유리 거주)

X

O

˝

25

˝

˝

정인묵

X

x

추정

X

X

O(10.22. 대산면 덕천리 사망)

O (공음면 군유리 거주)

O(공음면 군유리 거주, (음)50.10.2 0. 예전리 사망)

O (공음면 군유리 거주)

X

O

˝

족보상 사망일 (음력)

O(12.1. 군유리 뒷산 사망)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09


제2권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X

X

X

O

˝

X

X

X

X

O

˝

O (공음면 용수리 거주)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사망일자 미기재, 선동리 사망)

X

10.26.

O

○○○ (전문) ○○○ (전문) ○○○ (전문) ○○○ (분주소 생환) ○○○ (연행경 험) ○○○ (시신수 습) ○○○ (전문)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51.10.3 0. 해정뒷산 사망)

X

10.2.

O

˝

X

X

X

X

X

O

˝

X

X

X

X

X

O

˝

1963.3.14.

X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대정뒷산 사망) X

X

X

O

˝

1948.10.18.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사망일자 미기재, 선동리 사망)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X

O

˝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26

˝

˝

정근기

X

x

추정

X

X

27

˝

˝

정삼용

X

x

추정

X

X

28

마-96 51

공음면 선동리 양씨 일가 희생 사건

양수철 梁洙哲 34, 男

O 확인

1965.10.8.

29

마-96 69

˝

양영석 梁榮石 65, 男

O 확인

1950.10.28.

X

30

˝

˝

O 확인

1955.9.20.

X

31

˝

˝

장선옥 張仙玉 63, 女 양대중 梁大中 35, 男

O 확인

1958.7.6.

32

˝

˝

윤기순 尹奇順 36, 女

O 확인

33

˝

˝

양수성 梁洙成 37, 男

O 확인

11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O(1.2. 군유리 뒷산 사망) O(10.3. 군유리 뒷산 사망)

1950.10 O(10.1. .27 선동리 뒷산 사망)

O(9.16. 선동리 뒷산 사망)

O(9.16. 선동리 뒷산 사망)

O (공음면 용수리 거주)

진술조사 결과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X

X

X

X

O

˝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양)1950.11 .20. 대정 뒷산 사망)

X

X

X

˝

X

X

X

X

O

˝

X

X

X

X

X

O

˝

X

X

X

X

X

X

O

˝

X

X

X

X

X

X

O

˝

O (공음면 용수리 거주)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50.11.8. 해정뒷산 사망)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9.29.

O

˝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50.11.8. 해정뒷산 사망)

X

9.29.

O

˝

O (공음면 용수리 거주)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50.11.8. 해정뒷산 사망)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9.29.

O

˝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50.11.8. 해정뒷산 사망)

X

9.29.

O

˝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8. 해정뒷산 사망)

X

9.29.

O

˝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34

˝

˝

김정례 金正禮 28, 女

O 확인

1948.10.18.

X

35

˝

˝

양수진 梁洙軫 25, 男

O 추정

1955.6.24.

X

36

˝

˝

정선순 鄭善順 27, 女

O 확인

1961.2.3.

X

37

˝

˝

양정순 梁貞順 10, 女

O 확인

1959.1.6.

X

38

˝

˝

양정례 梁貞禮 7, 女 O 확인

1959.10.8.

39

˝

˝

양용식 梁龍植 9, 男 O 확인

1960.8.6.

40

마-96 35

˝

양석순 梁石順 54, 男

O 확인

1950.9.30.

1950.9. O(9.16. 30. 선동리 뒷산 사망)

41

˝

˝

안무순 安戊順 53, 女

O 확인

1955.9.20.

1950.9. 30.

42

˝

˝

양수일 梁洙一 30, 男

O 확인

1956.9.8.

1950.9. O(9.16. 30. 선동리 뒷산 사망)

43

˝

˝

장복순 張福順 28, 女

O 확인

1963.1.8.

1950.9. 30.

44

˝

˝

양판례 梁判禮 13, 女

O 확인

1955.1.2.

1950.9. O(9.16. 30. 선동리 뒷산 사망)

족보상 사망일 (음력)

O(9.13. 예전리 뒷산 사망)

X

X

진술조사 결과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11


제2권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45

˝

˝

양판순 梁判順 12, 女

46

˝

˝

47

마-96 36

48

O 확인

확인근거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1961.1.6.

1950.9. 30.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대정뒷산 사망)

X

9.29.

O

˝

양수창 梁洙昌 9, 男 O 확인

1958.10.10.

1950.9. 30.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8. 해정뒷산 사망)

X

9.29.

O

˝

˝

양화성 梁化成 51, 男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O (공음면 용수리 거주)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8. 해정뒷산 사망)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9. 28.

O

˝

˝

˝

김선옥 金仙玉 52, 女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8. 해정뒷산 사망)

X

X

O

˝

49

˝

˝

양수학 梁洙學 23, 男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O(9.16. 선동리 뒷산 사망)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대정뒷산 사망)

X

X

O

˝

50

˝

˝

박복녀 朴福女 23, 女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O(9.28. 선동리 뒷산 사망)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해정뒷산 사망)

X

X

O

˝

51

˝

˝

양봉순 梁鳳順 20, 女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대정뒷산 사망)

X

X

O

˝

52

˝

˝

양오례 梁五禮 16, 女

O 추정

사망 신고 無

X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해정뒷산 사망)

X

X

X

˝

11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O(9.16. 선동리 뒷산 사망) X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53

˝

˝

양수영 梁洙榮 13, 男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O(9.16. 선동리 뒷산 사망)

54

˝

˝

양수구 梁洙求 10, 男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O(9.16. 선동리 뒷산 사망)

55

˝

˝

양영임 梁永任 1, 女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56

˝

˝

성명 미상

X

족보상 사망일 (음력)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3. 대정뒷산 사망)

X

X

O

˝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대정뒷산 사망)

X

X

O

˝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1.10. 해정뒷산 사망)

X

X

O

˝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미상

X 추정

X

X

X

X

X

X

X

O

˝

57

마-96 공음면분 김재신 金在信 29, 男 88 주소 연행 ․ 희생사건

O 확인

1965.5.20.

X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50.10.1 0. 원동뒷산 사망

X

X

O

○○○ (시신수 습) ○○○ (전문) ○○○ (전문) ○○○ (전문) ○○○ (전문) ○○○ (전문) ○○○ (전문)

58

마-96 90

˝

김영수 金永銖 22, 男

O 확인

1956.12.10.

X

X

X

O(공음면 칠암리 거주, (음)50.12. 면사무소뒤 사망

X

X

O

○○○ (전문) ○○○ (전문)

59

마-57 26

˝

이영범 李寧範 27, 男

O 확인

1950.10.14.

1950.11 .23.

X

X

X

X

10.13.

O

○○○ (연행 목격) ○○○ (연행 목격)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13


제2권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60

˝

˝

이종호

X

X 추정

X

61

˝

˝

임종생

X

X 추정

X

X

62

마-33 63

공음면 예전 저수지 희생 사건

김백회 金白會 23, 男

O 확인

1951.2.10.

63

마-96 61

˝

김대회 金大會 20, 男

O 확인

64

마-96 59

˝

김이호 金二鎬 32, 男

O 확인

11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950.11.13. 선산마을)

X

X

O

˝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951.1.5. 선산마을)

X

X

O

˝

1950.10 .18

X

O (공음면 용수리 거주)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950.10.18. 사망)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10.2

O

○○○ (전문) ○○○ (전문) ○○○ (전문) ○○○ (시신 수습) ○○○ (연행 목격) ○○○ (전문) ○○○ (전문) ○○○ (전문)

1950.10.21.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50.10.3. 예전리 뒷산 사망)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950.10.18. 예전리에서 사망)

X

10.17.

O

○○○ (전문) ○○○ (전문) ○○○ (전문) ○○○ (시신 수습) ○○○ (시신 수습)

1952.2.9.

X

X

X

O(공음면 예전리 거주, 1950.10.18. 저수지에서 사망)

X

10.17.

O

˝

족보상 사망일 (음력)

1950.11 O(10.13. .23. 예전수리 조합)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950.10.18. 예전 저수지에서 사망)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10.17.

O

˝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 1950.10. 25. 사망)

O (공음면 선동리 거주)

10.27.

O

○○○ (전문) ○○○ (전문) ○○○ (전문) ○○○ (시신수 습) ○○○ (시신수 습)

1950.11 O(공음면 .25. 선동리 거주, 10.28. 예전리 뒷산에서 사망) 1950.11 X .25.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 1950.11. 25. 마을 뒷산에서 사망)

X

11.25.

O

˝

X

X

X

11.25.

O

˝

족보상 사망일 (음력)

65

마-96 60

˝

김경식 金慶植 31, 男

O 확인

1952.2.10.

X

66

마-96 78

공음면 선동리 김씨 일가 희생 사건

김준식 金準植 25, 男

O 확인

1952.2.10.

X

67

마-96 79

˝

김수현 金洙鉉 31, 男

O 확인

1954.12.25.

68

˝

˝

김근호 金根鎬 35, 男

O 확인

1952.11.25.

69

˝

˝

전복수 全卜水 35, 女

O 확인

1950.12.25.

1950.11 .25.

X

X

X

X

11.25.

O

˝

70

˝

˝

정복현 鄭福賢 17, 女

O 확인

사망 신고 無

1950.11 .25.

X

X

X

X

11.25.

O

˝

71

마-96 80

˝

김대순 金大順 48, 女

O 확인

1955.6.5.

X

X

O(공음면 거주, 음. 1950.9.30. 참샘골에서 사망)

X

12.13.

O

˝

72

˝

˝

김용식 金鏞植 20, 男

O 확인

1956.6.10.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1.25. 예전리 뒷산에서 사망)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 1950. 공음면에서 사망)

X

12.13.

O

˝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1.25. 예전리 뒷산에서 사망) O(공음면 선동리 거주, 10.3. 예전리 뒷산에서 사망)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15


제2권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73

˝

˝

74

˝

˝

75

마-83 98

76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김계식 金桂植

확인근거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11, 男

O 확인

1956.4.5.

X

X

X

O(공음면 선동리 거주, 음. 1950. 공음면에서 사망)

X

12.13.

O

˝

미상

X 추정

X

X

X

X

X

X

X

O

˝

공음면 선동리 김원회 희생 사건

김원회 金元會 23, 男

O 확인

1950.10.10.

마-45 98

무장면 신촌리 김창성 희생 사건

김창성 金昌成 31, 男

O 확인

1950.10.5.

X

77

마-95 89

대산면 덕천리 김해원 일가 희생 사건

김해원 金瀣源 26, 男

O 확인

1950.9.11.

X

78

˝

˝

김영호 金永鎬 56, 男

O 확인

1950.9.11.

X

79

˝

˝

김귀임 金貴任 55, 女

O 확인

1950.9.11.

80

˝

˝

김필원 金弼源 24, 男

O 확인

81

˝

˝

김장원 金樟源 20, 男

O 확인

성명 미상

X

11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1950.11 O(10.28. .11 예전리 뒷산 사망)

X

O((음)50.12 .22. 공음면 에서 사망)

X

12.21.

O

○○○ (전문) ○○○ (전문) ○○○ (전문)

X

O(음)50.12. 23. 석교리 에서 사망

X

12.23.

O

X

O(대산면 덕천리 거주, 50.10.30. 덕천리 사망)

X

X

O

○○○ (목격) ○○○ (목격) ○○○ (전문) ○○○ (전문) ○○○ (전문) ○○○ (시신수 습)

O(10.2. 대산면 덕천리에 서 사망)

X

X

X

X

O

˝

X

O(10.2. 대산면 덕천리에 서 사망)

X

X

X

X

O

˝

1950.9.11.

X

O(10.2. 대산면 덕천리에 서 사망)

X

X

X

X

O

˝

1950.9.11.

X

O(10.2. 대산면 덕천리에 서 사망)

X

X

X

X

O

˝

O(10.2. 무장면 파출소 사망)

X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X

X

X

X

O

˝

X

X

X

X

X

O

˝

O(10.2. 대산면 덕천리에 서 사망)

X

X

X

X

O

˝

O(10.2. 대산면 덕천리에 서 사망)

X

X

X

X

O

˝

X

X

X

X

X

O

˝

X

X

X

X

X

O

˝

X

O(대산면 중산리 거주, (음)50. 10. 중산리 사망)

X

9.20.

O

○○○ (시신 목격) ○○○ (전문)

X

X

X

9.20.

O

˝

X

X

X

9.20.

O

˝

X

X

X

X

9.20.

O

˝

X

O(10.4 사망)

X

X

X

9.20.

O

˝

1950.10.4.

X

O(10.4. 부안면 중흥리 사망)

X

X

X

9.20.

O

˝

1950.10.4.

X

X

X

X

9.20.

O

˝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82

˝

˝

김광원 金廣源 19, 男

O 확인

1950.9.11.

X

83

˝

˝

김효여 金孝女 16, 女

O 확인

1950.9.11.

X

84

˝

˝

김휴덕 金休德 27, 女

O 확인

1950.9.11.

X

85

˝

˝

김애희 金愛姬 6, 女 O 확인

1950.9.11.

X

86

˝

˝

유덕순 柳德順 22, 女

1950.9.11.

X

87

˝

˝

X

X

88

마-27 93

대산면 중산리 박재문 일가 희생 사건

박재문 朴在玟 28, 男

O 확인

1950.10.14.

X

89

˝

˝

고효석 高效錫 30, 女

O 확인

1950.10.14.

X

90

˝

˝

강옥순 姜玉順 30, 女

O 확인

1950.10.14.

X

91

˝

˝

박재권 朴在權 13, 男

O 확인

1950.10.14.

X

92

˝

˝

박재현 朴在鉉 10, 男

O 확인

1950.10.14.

93

˝

˝

최성녀 崔姓女 52, 女

O 확인

94

˝

˝

박재옥 朴在玉 5, 男 O 확인

성명 불상 아동

미상

O 확인

미상 O 추정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O(11.19. 대산면 중산리 사망)

X O(11.2. 대산면 중산리 사망)

X

진술조사 결과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17


제2권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X

X

9.20.

O

˝

X

X

X

9.20.

O

˝

X

X

X

9.20.

O

˝

X

X

X

X

9.20.

O

˝

X

X

X

X

X

9.20.

O

˝

X

X

X

X

6.15.

O

○○○ (전문) ○○○ (전문)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95

˝

˝

박성환 朴成煥 54, 男

O 확인

1954.5.19.

X

96

˝

˝

한용순 韓龍順 78, 女

O 확인

1950.5.20.

X

97

˝

˝

박삼득 朴三得 45, 男

O 확인

1941.11.16.

X

98

˝

˝

강복순 姜卜順 38, 女

O 확인

사망 신고 無

X

99

˝

˝

박삼례

X

미상 3, 女 O 추정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O(10.22. 중산리 사망) X O(10.22. 중산리 사망)

진술조사 결과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100 마-28 6

무장면 송현리 이두식 희생 사건

이두식 李斗植 47, 男

O 확인

1954.4.20.

X

101

마-96 46

무장면 송계리 김사홍 일가 희생 사건

김사홍 金士弘 63, 男

O 확인

1951.9.22.

X

O(9.27. 해리면 왕촌리에 서 사망)

X

X

X

X

O

○○○ (전문) ○○○ (전문) ○○○ (전문) ○○○ (전문)

102

˝

˝

김창성 金昌成 39, 男

O 확인

1951.9.11.

X

O(9.27. 월림리 뒷산에서 사망)

X

X

X

X

O

˝

103

˝

˝

김만성 金萬成 35, 男

O 확인 1955.8.7.제적 , 사망일 미상(1969.4. 15)

X

O(9.27. 원촌리 뒷산에서 사망)

X

X

X

X

O

˝

104

˝

˝

김판성 金判成 41, 男

O 확인

1957.4.6.

X

O(9.27. 송계리 산골짜기 에서 사망)

X

X

X

X

O

˝

105

˝

˝

김윤성 金允成 39, 男

O 확인

1957.2.4.

X

X

X

X

X

O

˝

11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X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번

사건 번호

106 마-96 33

107

˝

108 마-96 76

사건명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무장면 김광식 金光植 27, 男 월림리 김광식, 김만식 형제 희생 사건

확인근거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O 확인

1950.9.30.

X

O(9.21. 월림리 정동 뒷산 사망)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진술조사 결과

X

X

X

X

O

○○○ (전문) ○○○ (전문) ○○○ (전문) ○○○ (전문) ○○○ (전문)

O (무장면 월림리)

X

O

˝

X

9.8.

O

○○○ (목격) ○○○ (전문) ○○○ (목격) ○○○ (전문) ○○○ (전문) ○○○ (전문)

˝

김만식 金晩植 16, 男

O 확인

1953.10.5.

X

O(9.21. O O(무장면 월림리 (무장면 월림리 거주, 정동 뒷산 월암리 50.9. 사망) 거주) 중순이후 용전마을 사망)

무장면 백양리 백양 마을 희생 사건

서판암 徐判岩 47, 男

O 확인

1950.11.28.

X

O(10.1. 무장학교 사망)

109

˝

˝

박항곤

X 추정

X

110

마-96 99

˝

서종묵 徐鍾黙 27, 男

O 확인

1950.12.17.

111

˝

˝

김대욱 金大郁 23, 男

X 확인

1950.10.2.

112

마-96 75

˝

서정택 徐正澤 23, 男

O 확인

1950.10.7.

X

X

X

X

O(무장면 백양리 거주, (음)50.9. 무장면 삼재 사망)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X

X

X

X

O

˝

X

O(무장면 백양리 거주, 사망일자와 장소 미기재)

X

X

O

˝

O(9.29. 목우리 사망)

X

X

X

X

O

˝

1950.10 O(10.1. .7. 무장학교 사망)

X

O(무장면 백양리 거주, (음)50.10.7. 영선중고사 망

X

10.6.

O

˝

1950.10 O(10.1 .1 무장학교 사망) X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19


제2권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113

˝

˝

서병택 徐丙澤 35, 男

O 확인

분가로 제적

114

˝

˝

서길택 徐吉澤 25, 男

O 확인

분가로 제적

115

˝

˝

김사채 金四采 36, 男

O 확인

분가로 제적

X

116

마-96 85

무장면 원촌리 손판덕 희생 사건

손판덕 孫判德 40, 男

O 확인

1952.12.5.

117

˝

˝

손순근

X 추정

118

마-96 77

신기환 申基桓 18, 男

119

마-96 97

무장면 신촌리 신기환 희생 사건 부안면 사창리 허서봉 희생 사건

120 마-22 19

121

˝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O(무장면 백양리 거주, (음) 50.10.7 내동 뒷등 사망)

X

10.1.

O

˝

X

O((음)50.10 .7. 내동 뒷등)

X

10.1.

O

˝

O(12.2. 무장면 옥산리)

X

O(무장면 백양리 거주, (음) 50.10. 7. 만화리 봉천 사망)

X

10.6.

O

˝

X

O(10.9. 망상산 밑 사망)

X

X

X

9.26.

O

○○○ (전문) ○○○ (전문)

X

X

O

˝

X

O (무장면 원촌리) X

X

1952.5.19.

O (무장면 신촌리) X

X

O 확인

O(9.9.망 상산 밑 사망) X

X

O

허서봉 許西烽 30, 男

O 확인

1962.12.5.

X

X

12.1.

O

부안면 송현리 이상재 희생 사건

이상재 李相才 55, 男

O 추정

1951.2.20.

X

O(1951.1 .6. 심원면에 서 사망)

O (부안면 송현리 거주)

1.5.

x

˝

김판술 金判述 50, 男

X 추정

1951.3.20.

X

O(부안면 송현리 거주, 8.16. 심원면 사망)

X

X

O

○○○ (피해자 이송) 김선웅 (전문) ○○○ (전문) ○○○ (총성 확인) ○○○ (전문) ○○○ (전문) ○○○ (전문) ˝

X

12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족보상 사망일 (음력) X

X

1950.10 O(10.1. .2. 무장학교 사망)

X

X

X

O(부안면 중흥리 거주, (음)1950.12 .1. 진목마을 에서 사망)

O O(부안면 (부안면 선운리 거주, 송현리) (음)51.2. 부안면 사망)

X

X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번

사건 번호

122

마-22 67

123

˝

124 마-85 03

사건명

부안면 선운리 서병섭 희생 사건

1952.7.6.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X

X

X

X

진술조사 결과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8.1.

O

X 추정

X

X

X

X

X

X

X

O

박육동 朴六東 70, 男

O 확인

1969.1.2.

1953.1. 12.

X

X

O(부안면 운양리 거주, (음)1954.1. 12. 운양리 사망)

X

1.11.

O

임영례 林永禮 50, 女 박태홍 朴泰洪 24, 男 최종순 崔終順 20, 女

O 확인

1969.7.24.

X

X

X

X

1.11.

O

O 확인

1969.7.5.

1953.1. 12. X

X

X

X

X

1.11.

O

˝

O 확인

1962. 11. 5.

X

X

X

X

X

1.11.

O

˝

성내면 황태익 일가 희생 사건

황태익 黃泰翼 52, 男

O 확인

1947.4.10.

1950.4. O(6.3. 11. 성내면 신대리 사망)

X

O(성내면 신대리 거주, 음 1950.4. 12. 신대리 대촌마을 사망)

X

4.10.

O

˝

황문익 黃文翼 45, 男

O 확인

1947.4.11.

1950.4. O(6.3. 11. 성내면 신대리 사망)

X

O(성내면 신대리 거주, 음 1950.4. 12. 신대리 대촌마을 사망)

X

4.10.

O

○○○ (전문) ○○○ (전문) ○○○ (목격) ○○○ (경험) ˝

˝

˝

126

˝

˝

127

˝

˝

˝

O 확인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부안면 운양리 박육동 가족 희생 사건

˝

129

서병섭 徐丙燮 36, 男

확인근거

○○○ (목격) ○○○ (시신 수습) ○○○ (전문) ○○○ (피해 음성 확인) ˝ ○○○ (목격) ○○○ (장례 목격) ○○○ (총성 확인) ○○○ (전문) ○○○ (목격) ˝

125

128 마-85 65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김태완

X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21


제2권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130

˝

˝

황형익 黃亨翼 46, 男

O 확인

1950.5.9.

1950.4. O(6.3. 11. 성내면 신대리 사망, 황현익으 로 기재)

131

˝

˝

황준구 黃俊九 34, 男

O 확인

1950.5.9.

132

˝

˝

황두익 黃斗翼 34, 男

O 확인

133

˝

˝

황순익 黃順翼 40, 男

134

˝

˝

135

˝

˝

136 마-52 71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O(성내면 신대리 거주, 음 1950.4. 12. 신대리 대촌마을 사망)

X

4.10.

O

˝

1950.4. O(6.3. 11. 성내면 신대리 사망, 황중구로 기재)

x

O(성내면 신대리 거주, 음.50.4.12.대 촌마을 사망, 황준익으로 기재)

X

4.10.

O

˝

1949.4.10.

1950.4. 11.

X

O(성내면 신대리 거주, 음 1950.4. 12. 신대리 대촌마을 사망)

X

4.10.

O

˝

O 확인

1950.7.30.

1950.6. O(10.3. 19. 성내면 성내파출 소 사망)

X

X

4.10.

O

˝

황은익 黃銀翼 32, 男

O 확인

1954.4.8.

1950.4. 11.

X

X

X

4.10.

O

˝

김용국

O 추정

X

X

O(김영국, 金永國 6.3.성내 면 신대리 사망)

X

O(성내면 신대리 거주, 음 1950.6. 19성내 분주소 사망) O(성내면 신대리 거주, 음 1950.4. 12 대촌마을 사망) X

X

4.10.

O

˝

성송면 김차흥 金次興 40, 男 하고리 김차흥, 김병희 희생 사건

O 확인

1950.9.20.

X

X

X

8.16.

O

○○○ (전문) ○○○ (일부 목격) ○○○ (전문) ○○○ (장례 목격) ○○○ (전문)

미상

12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족보상 사망일 (음력)

X

1950.8. O(9.29. 17. 사내리 사망)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X

X

X

8.16.

O

˝

O O(성송면 (성송면 산수리 거주, 산수리) 50.8.4. 사망장소 미상)

O (성송면 산수리)

X

O

˝

O O(성송면 (성송면 판정리 거주, 판정리) (음)50.8. 산수리 산 사망)

O (성송면 판정리)

X

O

˝

O(심원면 월산리 거주, 사망일자 미기재, 계명산 총살)

X

8.28.

O

○○○ (전문) ○○○ (피해자 이송) ○○○ (전문)

X

X

X

9.15.

O

○○○ (전문) ○○○ (전문) ○○○ (전문) ○○○ (전문) ○○○ (시신 목격)

X

O(아산면 성산리 거주, (음)50.9.15. 아산면 월성동 사망)

X

9.14.

O

○○○ (전문) ○○○ (전문) ○○○ (연행 목격) ○○○ (연행/ 시신목 격)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137

˝

˝

김병희 金炳喜 32, 男

O 확인

1970.11.20.

138

˝

˝

정재덕 鄭載德 28, 男

X 확인

1950.9.27.

X

O(고창읍 읍내리 거주, 8.16. 성송면 사망)

139

˝

˝

주식재 周植在 44, 男

X 확인

1950.9.30.

X

O(성송면 산수리 거주, 10.1. 성송면 판정리 사망)

140 마-96 81

심원면 월산리 박태환 희생 사건

박태환 朴泰煥 40, 男

O 확인

1953.8.30.

X

O(8.3. 심원면 도천리 사망)

X

141

마-60 36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생 사건

위용옥 韋龍玉 41, 男

O 확인

1977.4.4.

X

X

142

마-31 32

아산면 성산리 노귀동 형제 희생 사건

노귀동 魯貴童 40, 男

O 확인

1950.8.29.

X

X

족보상 사망일 (음력)

1950.8. O(8.3. 17. 신림면 무림리 사망)

진술조사 결과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23


제2권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143

˝

˝

144

˝

˝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확인근거

족보상 사망일 (음력)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진술조사 결과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노대동 魯大童 37, 男 노진수 魯鎭洙 27, 男 이병갑 李炳甲 36, 男

O 확인

1952.10.25.

X

X

X

X

X

9.14.

O

˝

O 확인

1950.10.9.

X

X

X

X

X

9.14.

O

˝

O 확인

1950.8.12.

X

O(7.25. 해리면 고슬고개 에서 사망)

X

O(해리면 평지리 거주, 음50.6.23. 수락마을 사망)

O (해리면 평지리 거주)

6.22.

O

145 마-96 68

해리면 평지리 이병갑 희생사건

146 마-96 70

해리면 하련리 최씨 일가 희생 사건

최종웅 崔鍾雄 39, 男

O 확인

1950.10.20.

X

O(최종관, 10.22.해 리면 고습고개 사망)

X

O(해리면 하련리 거주, (음)50.9.23. 저수지 사망)

X

9.16/9. 23

O

˝

최종천 崔鍾千 36, 男

O 확인

1965.9.23.

X

X

X

X

X

O

148 마-96 71

˝

최종기 崔鍾基 23, 男

O 확인

1949.3.20.

X

X

X

O

˝

˝

최종연 崔鍾然 21, 男

O 확인

1950.9.10.

X

X

X

O

˝

150 마-96 72

˝

김임해 金壬海 63, 女

O 확인

1950.9.10.

X

O(11.2. 해리면에 서 사망)

X

O(해리면 하련리 거주, 음 50.9.23. 저수지 사망) O(해리면 하련리 거주, (음)50.9.23. 저수지 사망, 최종영으로 기재) X

X

149

O(10.22. 고습고개 에서 사망) O(10.22 고습고개 에서 사망) O(11.2. 해리면 고습고개 사망)

○○○ (연행/ 시신목 격) ○○○ (전문) ○○○ (전문) ○○○ (연행/ 시신목 격) ○○○ (전문) ˝

X

X

O

˝

151

˝

김숙례 金淑禮 24, 女

O 확인

1950.9.22.

X

O(11.2. 해리면에 서 사망)

X

O(해리면 하련리 거주, (음)50.9.23. 저수지 사망)

X

X

O

˝

˝

최종구 崔鍾九 28, 男

O 확인

1950.9.16.

X

O(10.2. 해리면 백두고개 에서 사망)

X

O(해리면 하련리 거주, 음 50.9.16. 칠곡방앗간 뒤 사망)

O (해리면 하련리 거주)

X

O

˝

147

˝

˝

˝

152 마-96 73

12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X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번

사건 번호

사건명

153

˝

˝

진실규명대상자 및 미신청 피해자의 희생사실 여부 진실규명대상자 희생 신청/ 사실 나이/ 미신 추정 제적 등본 상 성명 한자명 성별 청 ․ 사망일 확인 최종철 崔鍾鐵 27, 男

O 확인

1950.10.6

확인근거

족보상 사망일 (음력) X

문헌조사 6․25 사변 피살자 명부 O(최종섭, 11.2. 해리면 고습고개 사망)

결과 전북 의회 실태 조사 X

진술조사 결과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사업

6․25 양민피 학살자 명단

O(해리면 하련리 거주, (음)50.9.16. 칠곡방앗간 뒤 사망)

X

시신 제사일 수습 진술인 (음력) 여부 X

O

˝

※ 자료 상 등재여부, 진실규명 신청, 미신청자 여부는 O, X로 표기함. ※ 호적에 등재되어 있으나 사망신고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망신고 無”로 표시하였고, 호적․제적등본 자 체를 입수하지 못한 경우 X로 표기함.

6. 가해주체 및 이유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은 대부분 인민군 점령기 및 후퇴시기에 일 어났다. 따라서 인민군 점령 전 (구)빨치산들에 의해 발생한 「성내면 황태익 일가 희생사 건(마-8565)」 1건과, 군․경 수복 이후 입산한 빨치산들에 의해 발생한 「부안면 선운리 서병섭 희생사건(마-2267)」,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생사건(마-6036)」, 「부안면 운양리 박육동 가족 희생사건(마-8503)」 3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인민군이 지역을 점령한 이후 각 면에서 활동한 분주소원 및 지방좌익과, 인민군 후퇴시기와 치안이 부재하던 혼란기 에 후퇴하던 좌익인사 및 빨치산들에 의해 발생하였다. 인민군이 지역을 점령하고, 각 면에 인민위원회가 설립되자 분주소원과 지방좌익들은 반동 숙청이라는 명목으로 지역 내 우익인사들을 처형하거나 그들의 토지를 몰수하기도 하였다.159) 이후 1950. 9. 15.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고 인민군의 전세가 불리해지자 노동 당은 인민군 전선사령부에 후퇴 명령을 내리는 한편, 각 지방당에 “유엔군 상륙시 지주

(支柱)가 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라고 지시하였다.160) 그러나 인민군 점령시기 우익인 사들의 숙청은 물론, 후퇴시기의 처형과 관련되어서도 학살을 “당에서 파견되는 지도위 원과 협의하여 각급 당 책임자의 책임 아래 실행”161)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마을 주 159) 국방군사연구소, 뺷한국전쟁연구 ‘점령정책’뺸, 1995, 20쪽;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1). 160) 김남식, 뺷남로당연구뺸, 돌베개, 1984, 455쪽. 161) 이 명령문은 9. 28. 전북 옥구군 미면 신관리 192에 사는 인민위원장 겸 노동당 세포위원장이었던 ○○○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25


제2권

민들을 잘 아는 지방좌익들의 역할이 중요했다. 따라서 인민군 점령시기 및 후퇴시기에 이루어졌던 희생사건에는 분주소원, 면에서 활동하던 지방좌익, 마을에서 활동한 지방좌 익 등 다양한 가해주체들이 참여했다. 참고인들 대다수는 가해주체에 대해 증언할 때, 마 을 빨치산, 면 빨치산, 분주소원, 인민군 등 가해주체를 중복․혼용하여 진술하였는데, 이 러한 이유 역시 학살에 대한 결정과 명령 이후 그것의 실제 집행과정에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했기 때문이었다. 피해자들 중에는 대한청년단 등 우익활동을 한 사람도 있었고, 면장, 이장 등 대한민국 정부와 관련된 일을 한 사람도 있었다. 또 피해자 중에는 경찰 및 군인의 가족들도 있었 다.162) 그러나 학살을 실제로 집행하는 주체들이 다양하면서도 불명확했고, 희생의 대상 이 명확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대상 선정의 기준은 그 대상을 가까이에서 지켜본 사람들 의 손에 의해 작성되었고, 그들이 학살의 집행에 일정 정도 참여했기 때문에 피해자에 대 한 평상시 감정이 어느 정도 작용하기도 했다. <표 5>에 진실규명대상자들이 희생된 이 유를 그들의 사망 전 활동과 직업 등을 토대로 추정하여 정리하였다. 인민군이 후퇴한 이후 고창지역 적대세력들은 당을 “비합법적인 지하당으로 개편하 고”, “입산경험자와 입산활동이 가능한 자들을 입산시킬 것, 기타 간부는 후퇴할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당의 지시에 따라 정읍 또는 방장산을 지나 내장산으로 후퇴하거나, 산발적으로 흩어졌다가 1950. 11. 20. 고창에 군․경이 주둔하자 입산하여 빨치산활동을 하게 되었다.163) 그러나 입산하여 지역에서 빨치산활동을 계속했던 빨치산들도 이후 아 군에 의해 대부분 토벌되었다고 한다.164) 이 소지했던 것이다. 옥구군 미면의 경우, 학살은 “야간을 이용”하여 “즉시 실행”하고, “당원이 핵심체가 되어서 열성분자를 모아 학살조직체를 가질 것”이며 “학살방법에 대하여서는 분주소장과 연락하여 실 행”하고 “학살대상자 문제에 대하여서는 각 리별로 책임구역을 담당 책임자 자량대로 반동가족을 일체 학살”하라는 지령을 옥구군 당위원회로부터 받았다. 따라서 고창지역에도 유사한 내용의 명령이 전달되 었을 것이다.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1952형공540」(1952. 4. 2); 안용현, 뺷한국전쟁비사 2뺸, 경인문화사, 1992, 357~358쪽; 뺷좌익사건실록뺸제11권, 대검찰청 수사국, 1975, 61쪽. 162) 고창에서 군경 가족이나, 면장․이장들이 희생된 내용은 수필 뺷꽃피는 산하뺸에도 기록되어 있다. “북괴 군들은 경찰의 가족들도 무참히 살해… 이장까지도 반동분자라는 죄목으로 처형, …면장을 지냈거나 이․반장을 지냈던 인사들까지 전부 새끼줄로 10명씩 엮어” (전라북도 경찰국, 뺷꽃피는 산하뺸, 1980, 7 9~99쪽). 163) ○○○의 검찰조서에는 ‘4283년 9월 28일경에 군 인위가 비합(非合)에 들어가자’ 거주지로 들어가 거주하 고 있다가 1950. 11. 20.까지 곧 인민군이 승리할 것이라는 내용의 선전을 하였고, 군경이 진주함과 동시 에 입산하여 빨치산활동을 계속했다고 적혀 있다. 「전주지방법원4284형공351」(1951. 7. 25). 참고인 ○○ ○ 역시 인민군으로부터 그들이 정읍을 거쳐 내장산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들었다고 진술했으며(2008. 2. 13), KWC #177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김성대의 진술조서에도 인민군들이 정읍, 내장산을 지나 강원도까 지 이동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126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표 7> 가해주체 및 추정 피해이유 연번

사건명

시기

사건번호

피해자

가해자

추정 피해이유

희생사건 1

고창내무서 희생사건

1950. 9. 28.~29.

마-7458 문일환

내무서원

감정적 이유

마-9703 백인기

내무서원

태극기 소지 정대진의 이장 경력 면사무소 호적계 임시 근무

마-8397 정고봉 일가 2

3

4

5

공음면 군유리 정씨일가 희생사건

공음면 선동리 양씨일가 희생사건

공음면분주소 연행․희생사건

1950. 10.~11.

1950. 10.~11.

1950. 11.~12.

공음면 예전저수지 1950. 11. 27. 희생사건

마-8512 정재화 일가

공음면 선동리 김씨일가 희생사건

1950. 12.~1951. 1.

모임 조직

마-9521 정균일 일가

정균일의 이장 경력

마-9669 양영석 일가

지주집안/좌익에 비협조

마-9635 양석순 일가

아들 양수권이 군인 한청으로 판단

마-9636 양화성 일가

공음면 지방좌익

양수학을 한청으로 판단

마-9651 양수철

부농(논 100여 마지기) 좌익에 비협조

마-9688 김재신

좌익 반대 활동

마-9690 김영수

분주소원 지방좌익

군인 가족

마-5726 이영범

좌익 반대 활동

마-3363 김백회

우익활동

마-9661 김대회 마-9659 김이호 마-9660 김경식

6

공음면 지방좌익

마-9678 마-9679 김씨 일가 마-9680

분주소원 지방좌익

좌익에 비협조

군경 가족

공음면 지방좌 군경 가족 익 좌익에 비협조

164) 「참고인 ○○○ 진술조서」(2008. 2. 12).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27


제2권

연번

사건명

시기

사건번호

피해자

가해자

추정 피해이유

7

공음면 선동리 김원회 희생사건

1951. 1. 29.

마-8398 김원회

공음면 지방좌 모름 익

8

무장면 신촌리 김창성 희생사건

1951. 1. 30.

마-4598 김창성

빨치산

9

대산면 덕천리 김해원 일가 희생사건

1950. 10. 19.

마-9589 김해원 일가

대산면 지방좌 전직 경찰 익 면사무소 근무

1950. 10.~11.

마-2793 박재문 일가

대산면 지방좌 경찰 가족 익 감정적 이유(비협조)

대산면 중산리 10 박재문일가 희생사건 11

무장면 송현리 이두식 희생사건

1950. 7. 29. 마-286(1) 이두식

분주소원

무장면 송계리 12 김사홍 일가 희생사건

1950. 10.경

분주소원 지방좌익

무장면 월림리 13 김광식, 김만식 형제 희생사건

1950. 9.~10.경

14

무장면 백양리 백양마을 희생사건

마-9646 김사홍 일가

마-9633

김광식, 식

김만

마을 순찰

수리조합 활동 감정적 이유 및

지방좌익

마을 이장/부유

감정적 이유

마-9676 서판암

이장

마-9699 서종묵

우익활동

서정택

1950. 10.~11. 마-9675

서병택

분주소원 지방좌익

감정적 이유 우익활동

서길택

우익활동

김사채

회의장 제공/우익활동

15

무장면 원촌리 손판덕 희생사건

1950. 11. 6.

마-9685 손판덕

분주소원 지방좌익

16

무장면 신촌리 신기환 희생사건

1950. 12. 초

마-9677 신기환

빨치산

빨치산과 충돌

17

부안면 사창리 허서봉 희생사건

1951. 1. 8.

마-9697 허서봉

지방좌익

좌익에 비협조 감정적 이유

128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경찰을 숨겨줌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연번

사건명

시기

사건번호

피해자

가해자

추정 피해이유

18

부안면 송현리 이상재 희생사건

1951. 2. 11.

마-2219 이상재

빨치산

지역 유지/이장

19

부안면 선운리 서병섭 희생사건

1951. 9. 2.

마-2267 서병섭

빨치산

빨치산과 충돌

마-8503 박육동 일가

빨치산 김태 복 등 7~8명 군인 가족 (방장산 빨치 빨치산 고발에 대한 보복 산/인민군 포 함)

부안면 운양리 20 박육동 가족 희생사건

1953. 2. 25.

성내면 황태익 21 일가 희생사건

1950. 5. 27. 과 8. 2.

마-8565 황씨 일가

황순익이 신대마을 이장 ( 구 ) 빨 치 산 , 황문익이 제헌국회 선거 분주소원 운동 부농(연 300석)

성송면 하고리 22 김차흥, 김병희 희생사건

1950. 9. 28.

마-5271 김차흥, 김병희

분주소원 지방좌익

및 면사무소 근무 소방대 근무

23

심원면 월산리 박태환 희생사건

1950. 10. 10.

마-9681 박태환

분주소원

소방대장

24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생사건

1952. 11. 3.

마-6036 위용옥

빨치산

감정적 이유

마-3132 노귀동 형제

지방좌익

부농

마-9668 이병갑

분주소원

면장

마-9670 마-9671 최씨 일가 마-9672 마-9673

해리면 지방좌 경찰 가족 익

아산면 성산리 25 노귀동 형제 희생사건 26

해리면 평지리 이병갑 희생사건

1950. 10. 25.

1950. 8. 6.

해리면 하련리 27 1950. 10. 27. 최씨일가 희생사건

폭행사건 28

무장면 송현리 이윤호 폭행사건

1950. 9. 9.

마-286

이윤호

분주소원

좌익에 비협조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29


제2권

Ⅲ. 결론 및 권고사항 1. 결론 가. 희생사건 진실화해위원회에 신청된 사건을 조사한 결과, 진실규명대상자 135명과 미신청 피해자

18명 등 총 153명이 한국전쟁 전후로 고창지역에서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실을 확인 하였다. 희생자 수를 사건이 발생한 면 단위로 구분하면, 공음면에서 가장 많은 63명이 희생되었고, 대산면에서 23명, 무장면에서 18명, 해리면에서 9명, 성내면에서 8명, 부안면 에서 7명, 아산면에서 3명이 희생되었으며, 고창읍, 성송면, 심원면에서 각각 2명이 희생 되었다. 이외에도 공보처 발행 뺷6․25사변 피살자 명부뺸등 각종 명부를 통해 최소 349명 에서 최대 2,351명의 희생자 명단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한국전쟁 전후 고창지역 적대 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의 실재 희생규모는 153명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건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창내무서 희생사건(마-7458, 마-9703) : 문일환(文一煥)은 1950. 9. 29. 고창읍 내 무서(現 판소리박물관, 고창읍 읍내리 241-1)로 끌려간 후 인근 모양성 근처(고창읍 읍내 리 126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고, 백인기(白仁基)는 1950. 9. 28. 모양성 앞 구덩이(고창 읍 덕산리 17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2) 공음면 군유리 정씨 일가 희생사건(마-8397, 마-8512, 마-9521) : 진실규명대상자 정대진(鄭大鎭), 정균일(鄭均一), 김영녀(金寧女), 정성진(鄭聖鎭), 정정순(鄭情順), 정균삼

(鄭均三), 정삼례(鄭三禮), 정말례(鄭末禮), 정순애(鄭順愛), 정정숙(鄭正淑), 정필임(鄭必 姙), 정고봉(鄭高峯), 정동옥(鄭東玉), 박복남(朴福南), 정재화(鄭在華), 강판순(姜判順), 정 준묵(鄭準黙), 이평전(李平田), 미신청 피해자 정대진의 아이(성명 미상), 정점순(鄭点順) 등 정씨 일가 20명과, 같은 마을의 미신청 피해자 정판묵, 정중묵, 정인묵, 정근기, 정삼룡 등 총 피해자 25명은 1950. 10.부터 1950. 11. 사이 공음면분주소 근처 ‘삿갓봉’(공음면 용 수리 산-79번지 인근)과 군유마을 인근 산(공음면 군유리 산 19-8번지 인근)에서 희생되 었다. 진실규명대상자 중 정대진(鄭大鎭)은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여 희생사실을 추정하 였다.

(3) 공음면 선동리 양씨 일가 희생사건(마-9669, 마-9635, 마-9636, 마-9651) : 진실규

130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명대상자 양수철(梁洙哲), 양영석(梁榮石), 장선옥(張仙玉), 양대중(梁大中), 윤기순(尹奇 順), 양수성(梁洙成), 김정례(金正禮), 양수진(梁洙軫), 정선순(鄭善順), 양정순(梁貞順), 양 정례(梁貞禮), 양용식(梁龍植), 양석순(梁石順), 안무순(安戊順), 양수일(梁洙一), 장복순

(張福順), 양판례(梁判禮), 양판순(梁判順), 양수창(梁洙昌), 양화성(梁化成), 김선옥(金仙 玉), 양수학(梁洙學), 박복녀(朴福女), 양봉순(梁鳳順), 양오례(梁五禮), 양수영(梁洙榮), 양 수구(梁洙求), 양영임(梁永任)과, 미신청 성명 미상 피해자 1명 등 양씨 일가 29명은 1950.

10.~11. 사이에 공음면 군유리 해정마을 후등(공음면 건동리 894번지 인근)과 공음면 소 재지 분주소 인근(공음면 칠암리 617-4번지 인근)에서 집단으로 희생되었다. 진실규명대 상자 중 양수진(梁洙軫)과 양오례(梁五禮)는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여 희생사실을 추정하 였다.

(4) 공음면분주소 연행․희생사건(마-9688, 마-9690, 마-5726) : 진실규명대상자 김재 신(金在信)은 1950. 11. 18. 공음면 칠암리 연동 뒷산(공음면 칠암리 산 92번지 인근)에서, 김영수(金永銖)는 1950. 12. 경 공음면 인민위원회 인근(공음면 칠암리 556-1번지)에서, 이영범(李寧範)은 1950. 11. 23. 공음면 농협창고 인근(공음면 칠암리 612-1번지)에서 희 생되었다. 이영범(李寧範)과 함께 미신청 피해자 이종호와 임종생 역시 희생되었다.

(5) 공음면 예전저수지 희생사건(마-3363, 마-9661, 마-9659, 마-9660) : 김백회(金白 會), 김대회(金大會), 김이호(金二鎬), 김경식(金慶植)은 1950. 11. 27. 공음면 예전리 예전 저수지 방죽(공음면 예전리 491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6) 공음면 선동리 김씨 일가 희생사건(마-9678, 마-9679, 마-9680) : 진실규명대상자 김준식(金準植)은 1950. 12. 6. 공음면 황산 인근에서, 김수현(金洙鉉), 김근호(金根鎬), 전 복수(全卜水), 정복현(鄭福賢)은 1951. 1. 2. 김대순(金大順), 김용식(金鏞植), 김계식(金桂 植) 등 7명은 1951. 1. 20. 공음면 선동리 선동마을 뒷산(공음면 선동리 781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미신청 피해자인 김삼차의 둘째부인은 이름을 확인할 수 없어 희생사실을 추정하였다.

(7) 공음면 선동리 김원회 희생사건(마-8398) : 김원회(金元會)는 1951. 1. 29. 공음면 두암리 두암마을 인근 구덩이(공음면 두암리 619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8) 무장면 신촌리 김창성 희생사건(마-4598) : 김창성(金昌成)은 1951. 1. 30. 공음면 석교리 인근 골짜기(공음면 석교리 산67-1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9) 대산면 덕천리 김해원 일가 희생사건(마-9589) : 진실규명대상자 김영호(金永鎬), 김귀임(金貴任), 김해원(金瀣源), 김휴덕(金休德), 김필원(金弼源), 유덕순(柳德順), 김장원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31


제2권

(金樟源), 김광원(金廣源), 김효여(金孝女), 김애희(金愛姬), 김필원의 아이(성명 미상) 등 김해원 일가 11명은 1950. 10. 19. 대산면 덕천리 대산천 천변(대산면 덕천리 54번지)에서 희생되었다. 당시 호적신고가 되어 있지 않았던 김필원의 아이 1인은 희생사실을 추정하 였다.

(10) 대산면 중산리 박재문 일가 희생사건(마-2793) : 한용순(韓龍順), 박성환(朴成煥), 최성녀(崔性女), 박삼득(朴三得), 강복순(姜卜順), 강옥순(姜玉順), 박재옥(朴在玉), 박삼 례, 박재문(朴在玟), 고효석(高效錫), 박재권(朴在權), 박재현(朴在鉉) 등 박재문 일가 12 명은 1950. 10. 2.에서 11. 2. 사이에 대산면 중산리 두동마을 앞산(대산면 중산리 601번지 인근)과 동촌마을 뒷산에서 희생되었다. 당시 호적신고가 되어 있지 않았던 박삼례는 희 생사실을 추정하였다.

(11) 무장면 송현리 이두식 희생사건(마-286(1)) : 이두식(李斗植)은 1950. 7. 29. 무장면 교흥리 궁동 저수지(무장면 교흥리 736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12) 무장면 송계리 김사홍 일가 희생사건(마-9646) : 김사홍(金士弘) 일가 5명은 1950. 10. 경 무장면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김판성(金判成), 김윤성(金允成)은 무장면 도곡 리 양곡마을(무장면 도곡리 산 36-1번지) 인근에서, 김만성(金萬成)은 무장면 원촌리 금 곡마을 망치산(무장면 원촌리 산11-7번지) 인근에서, 김사홍(金士弘), 김창성(金昌成)은 무장면 도곡리 앞산 도산재(무장면 도곡리 462-3번지)에서 희생되었다.

(13) 무장면 월림리 김광식, 김만식 형제 희생사건(마-9633) : 김만식(金晩植)은 1950. 9.~10.경 무장면 용전마을 입구 구덩이(무장면 월림리 68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고, 김 광식(金光植)은 피난 중에 희생되었다.

(14) 무장면 백양리 백양마을 희생사건(마-9676) : 진실규명대상자 서판암(徐判岩)은 미신청 피해자 박항곤과 함께 1950. 10. 19.경 무장면 도곡리 양곡마을 참재다리 인근(무 장면 도곡리 86-4번지)에서 희생되었다. 진실규명대상자 서종묵(徐鍾黙), 서병택(徐丙澤), 서길택(徐吉澤)은 1950. 11. 15.경 무장면 성내리 내등 전등(무장면 성내리 293번지) 인근 에서 희생되었다. 진실규명대상자 김사채(金四采)는 만화리 봉촌마을 회의당에서(무장면 만화리 311 전 인근), 서정택(徐正澤)은 영선중학교(무장면 무장리 431-1번지)에서, 미신 청 피해자 김대욱(金大郁)은 무장면 목우리에서 1950. 11. 16. 희생되었다.

(15) 무장면 원촌리 손판덕 희생사건(마-9685) : 손판덕(孫判德)은 1950. 11. 6. 무장면 도곡리 양곡마을 뒷산(무장면 도곡리 145-13번지 인근) 구렁에서 희생되었고, 미신청 피 해자 손순근 역시 희생되었다.

132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16) 무장면 신촌리 신기환 희생사건(마-9677) : 신기환(申基桓)은 1950. 12. 초 무장면 신촌리 494번지에서 희생되었다.

(17) 부안면 사창리 허서봉 희생사건(마-9697) : 허서봉(許西烽)은 1951. 1. 8. 부안면 사창리 진목마을 저수지 인근 제방(무장면 사창리 441-2번지)에서 희생되었다.

(18) 부안면 송현리 이상재 희생사건(마-2219) : 진실규명대상자 이상재(李相才)는 1951. 2. 11. 미신청 피해자 김판술(金判述)과 함께 부안면과 심원면 경계 장수강(심원면 용기리 수대동 근처)에서 희생되었다. 이들의 시신은 수습되지 못하여, 정확한 희생장소 를 파악할 수는 없다.

(19) 부안면 선운리 서병섭 희생사건(마-2267) : 서병섭(徐丙燮)은 1951. 9. 2. 부안면 선운리 신흥마을 대밭 근처 고랑(부안면 선운리 192번지 인근)에서 미신청 피해자 김태 완과 함께 희생되었다.

(20) 부안면 운양리 박육동 가족 희생사건(마-8503) : 박육동(朴六東), 임영례(林永禮), 박태홍(朴泰洪), 최종순(崔終順) 등 일가족 4명은 1953. 2. 25. 부안면 운양리 우물가 근처

(부안면 운양리 14번지)에서 희생되었다. (21) 성내면 황태익 일가 희생사건(마-8565) : 황태익(黃泰翼), 황문익(黃文翼), 황형익 (黃亨翼), 황준구(黃俊九), 황두익(黃斗翼), 황은익(黃銀翼) 등 황태익 일가 6명과 같은 마 을의 김용국은 1950. 5. 27. 성내면 신대리 참남등(성내면 신대리 196번지) 근처에서 희생 되었고, 황순익(黃順翼)은 1950. 8. 2. 성내면분주소에서 희생되었다.

(22) 성송면 하고리 김차흥, 김병희 희생사건(마-5271) : 진실규명대상자 김차흥(金次 興), 김병희(金炳喜)와 미신청 피해자 정재덕(鄭載德), 주식재(周植在)는 1950. 9. 28. 성송 면 암치리 성송 초등학교(성송면 암치리 389-1번지) 뒷산과 암치리 저수지(암치리 204-1 번지) 부근에서 희생되었다.

(23) 심원면 월산리 박태환 희생사건(마-9681) : 박태환(朴泰煥)은 1950. 10. 10. 심원중 학교 뒤 연화산 연화봉 계곡에서 총상 후 거주지인 심원면 월산리 252번지에서 과다출혈 로 희생되었다.

(24) 해리면 동호리 위용옥 희생사건(마-6036) : 위용옥(韋龍玉)은 1952. 11. 3 심원면 고전리 예동마을 논둑(심원면 고전리 819-4번지)에서 빨치산에 의해 희생되었다.

(25) 아산면 성산리 노귀동 형제 희생사건(마-3132) : 노귀동(魯貴童), 노대동(魯大童), 노진수(魯鎭洙) 형제는 1950. 10. 25. 아산면 학전리 노적매(아산면 성산리 819번지 인근) 로 끌려가 희생되었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33


제2권

(26) 해리면 평지리 이병갑 희생사건(마-9668): 이병갑(李炳甲)은 1950. 8. 6. 해리면 평 지리 수락마을 앞(평지리 600번지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27) 해리면 하련리 최씨 일가 희생사건(마-9670, 마-9671, 마-9672, 마-9673) : 최종구 (崔鍾九), 최종철(崔鍾鐵), 최종웅(崔鍾雄), 최종천(崔鍾千), 최종기(崔鍾基), 최종연(崔鍾 然), 김임해(金壬海), 김숙례(金淑禮) 등 최씨일가 8명은 1950. 10.에서 11. 사이에 해리면 하련리 인근에서 희생되었다. 최종구(崔鍾九), 최종철(崔鍾鐵)은 1950. 10. 27. 해리면 하 련리 백두채(해리면 하련리 527번지) 인근에서, 최종웅(崔鍾雄)은 1950. 11. 3. 하련리 저 수지 옆 안장굴(하련리 460번지) 인근에서, 최종천(崔鍾千), 최종기(崔鍾基), 최종연(崔鍾 然), 김임해(金壬海), 김숙례(金淑禮)는 1950. 11. 3. 하련리 저수지 뒷산(하련리 466번지) 에서 희생되었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은 사건이 발생한 시기별로 희생형태, 규모, 장소 등 희생의 유형이 다르다. 인민군 점령 직전과, 점령 직후에 발생한 희생사건의 경우 희 생자들은 주로 총살되었고, 인민군 후퇴기간에는 총살된 희생자도 있었으나 죽창 등으로 희생된 경우도 많았다. 한편 인민군이 후퇴한 이후, 치안이 부재한 시기에 희생된 피해자 들은 대부분 죽창에 의해 희생되었다. 또한 인민군 점령 전, 인민군 점령기간, 군․경 수 복 이후의 기간에는 개별적이고 선별적인 희생사건이 주로 발생했던 것에 반해, 인민군 후퇴시기와 후퇴 이후 치안 부재 시기에는 가족 단위의 대규모 희생이 많이 발생했다. 희 생이 발생한 장소 역시 사건이 발생한 시기에 따라 다른데, 인민군 점령기간과 후퇴시기 에는 주로 분주소 및 면 소재지 인근에서 희생사건이 발생했던 반면, 인민군 후퇴 이후 치안 부재 시기에는 대부분 거주지 인근에서 희생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들은 모두 고창지역 (구)빨치산, 내무서원, 분주소원 및 지방좌익, (신)빨치산 등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되었다. 피해자들은 좌익인사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거나, 대한청년 단 활동 등 우익활동을 하였거나, 면장, 경찰, 군인 등 공직에 있었거나, 마을 이장 등을 역임한 사람이었거나, 그들의 가족이었다. 고창지역 적대세력 사건은 9․28 수복 이후에 도 치안이 부재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우익인사의 가족과 군경 가족의 희생사건이 많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나. 폭행사건 (1) 무장면 송현리 이윤호 폭행사건(마-286(2)) : 이윤호(李允浩)는 1950. 9. 9. 무장면분 주소로 끌려가 분주소원들과 지방좌익들에게 고문을 당했다.

134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제 1 부 민족독립규명위원회 사건

2. 권고사항 첫째, 국가는 유족들이 원할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해 가족관계등록부 상 사망일시를 정 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기관자료(고창군지 등)에 누락되어 있는 한국전쟁 당시의 지역사를 바르게 기술하고, 교육기관은 지역의 역사를 학생들에게 알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창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13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