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송리

Page 1

효심과 애경의 마을 서동진

1.마을의 위치와 유래 법정리인 신림면 벽송리는 행정리인 벽송리와 서월리로 이루어져 있고, 이 중 벽송리의 자연부락은 용교동과 사실터마을이 있다. 서월리의 자연부락은 평월리, 대포리, 세터, 서 당촌이 있다. 본래 흥덕군 일서면의 지역으로서, 벽송, 오월리, 또는 오동촌이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산직동, 세월리, 평월리, 서당촌, 덕림촌, 용교동의 각 일 부와 이서면의 신림촌, 마산리의 각 일부 지역을 벽송리로 병합이 되었다. 이후 고창군 벽사면에 편입되었다가, 1935년 벽사면이 폐면됨에 따라 고창군 신림면에 편입이 되었 다. 1)벽송리 신림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3㎞ 지점에 1650년경 천안 전씨가 터를 잡아 입촌 하였 다. 이후 흥덕군 일서면의 지역으로서, 벽송, 오월리 또는 오동촌이라 불렸다. 조선조 제21대 영조 때 효자 송와(松窩) 전덕수(全德秀)(전배수-全培秀)의 8대조(代祖)) 가 마을 뒷산에서 시묘 살이를 하고 있을 때 묘 근처의 소나무들이 송충이로 인하여 죽 어가므로 애통하여 울었더니, 갑자기 까치와 까마귀가 날아와 벌레들을 잡아먹었다. 서기 1764년경 이곳을 지나던 흥덕현졸(興德縣倅) 안집이 이 소리를 듣고 마을이름을 벽송(碧 松)으로 고치게 하였다. 마을주민들은 천안 전씨 · 창녕 조씨 · 여산 송씨 등이 살고 있 다. <그림>벽송마을 전경 2)용교동 벽송리의 두 번째 쯤 생긴 마을로, 벽송리에서 동북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 15호 정도의 작은 마을이 형성되어 되었다. 마을 앞에 수랑 논과 샘물이 솟아 마을과 마을을 건널 때 불편하여 다리를 설치한 것이 유래가 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 수랑 논은 끊임 없이 샘물이 솟아서 주민들은 이 샘물을 이용했다. 주민은 여산 송씨 · 려양 진씨 · 남원 양씨 · 함평 노씨 · 수원 백씨 · 청주 한씨 · 등이 살았으나, 이후 천안 전씨도 정착하였다. 이 용교동의 지형은 구룡농주(九龍弄珠) 형국이 다. <그림>용교마을전경 3)사실터 일명 대강리(대흥리)라고도 한다. 벽송리에서 약 3㎞ 쯤 서쪽으로 두엄바위 밑과 원 치산 아래 형성된 부락이다. 일제 때 원치산 한천동에 김두연씨가 임야를 개간하여 과실수를

- 1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벽송리 by IYOC UNION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