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월리

Page 1

태봉고성 아래 집성촌의 마을, 중월리

지가 발달해 있다. 그러나 중월리는 태봉의 깊은 구릉성 산지의 내부에 있어 충적지를 개간한 논은 거의 없다.

-아산면 중월리-

중월리 전체가 구릉성 산지에 있기 때문에 옛날에는 골과 수렁을 이용한 논농사가 발달하였 다. 1990년대 초 경지정리하기 전 상복과 중복의 골은 수렁이 발달해 있어 수랑배미라고도 불렀 이병렬(고창문화연구회 사무국장)

다. 수렁은 충적지의 들판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구릉성의 낮은 산지들 사이로 많이 나타나 는 습지지형이다. 이 수렁은 지표면 가까이 흐르던 지하수가 땅위로 올라오는 현상으로 깊이는 보통 어른 배꼽을 넘지 않아 늪보다는 훨씬 얕다. 천수답이 대부분일 때 수렁배미는 값이 비쌌으나 농업 용수의 발달로 찬 지하수가 일 년 내내 솟아나는 수렁논은 싼 땅이 되었다. 수렁이 많은 이곳 주민 들은 수렁 한 가운데에 나뭇가지 등을 꼽아 수렁이 있음을 표시해 빠지지 않게 하였고 한다. 수렁에

1. 중월리의 역사와 위치

빠지면 여성들이나 아이들은 혼자 빠져나오기도 힘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수렁논은 가뭄이 들면 물

중월리는 청동기시대의 유적인 고인돌이 발견되고 있으며, 삼한시대의 대표적인 유적과 유물 인 고분이 중월리 입구의 봉덕리에서 발견되고 있다. 또한 이곳은 삼한시대 마한의 모로비리 국의 토성으로 추정되는 예지리토성이 마을 뒤에 있다. 중월리 270~2번지는 삼국시대부터 조 선시대까지의 유물인 분청사기편과 기와편, 경질토기편 등이 출토되었으며, 중월리 138번지에 있는 삼한시대의 옹관묘와 토광묘는 물론이고 백제시대의 석관묘 등이 발굴되었다. 이렇게 이른 시기부터 중월리에 사람들이 거주하여 지역문화를 꽃 피운 것은 이 일대가 구릉 성 산지가 널리 발달해 있다는 점, 마을 앞으로는 조금 나아가면 주진천이 만들어 놓은 넓은

이 늘 넘쳐 가뭄을 해결할 수 있다. 겨울엔 논에서 살던 미꾸라지나 드랭이의 서식지이다. 이런 지형은 농업용수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살기가 좋은 자연조건이었다. 그러나 기계화에 의한 농업의 발달은 수렁이 가지는 한계로 인해 농사에 많이 불리하게 되기 도 하였다. 현재 수렁배미는 경지정리하면서 거의 사라졌다. 중월리의 지형은 대체적으로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으며, 마을 주변으로 50m 내외의 구릉성 산지가 발달되어 있다. 관개 시설로는 북서쪽에 상갑소류지(중월리 222번지), 동쪽에 중복소류 지(중월리 143-1번지)가 있다.

충적지를 개간한 넓은 벌(부리, 비리)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 주진천을 따라 뱃길이 발달해 있다는 점, 마을 뒤에 예지리토성이 있어 방어에 유리한 지역이라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 러한 자연환경이 예지리토성을 주변으로 청동기시대 세계최고의 밀집도를 보이는 고인돌을 축 조할 수 있었으며, 봉덕리 일대에 마한의 분구묘가 발달하게 한 요인이었다. 중월리는 본래 고창군(高敞郡) 대아면(大雅面)의 지역으로,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 111호에 따라 월산리(月山里)·월명리(月明里)·신월리(新月里)·상복리(上卜里)·중복리(中卜里)·신사리(新 巳里)·상당리(上堂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중복과 월산의 앞 글자를 따서 중월리라 하여 아산면에 편 입시켰다. 중월리(中月里)에는 중복(中福)과 상복(上福)의 행정리가 있고, 자연취락으로 중복(中 福)·상복(上福)·신월(新月)·월명(月明)·월산(月山)·후동(后洞) 등이 있다. 중월리는 동쪽으로 고수면 우평리, 서쪽으로 주진리, 북쪽으로 봉덕리와 상갑리, 남쪽으로 고 수면 예지리 등과 접하고 있다.

2. 자연지명과 전래지명 고창군 아산면 중월리는 호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와 목포 유달산으로 뻗는 영산기맥이 구황산 500m)에서 갈라져 나와 고수면 평지리와 두평리의 경계를 이루며 남쪽으로 발달하다가 부곡 리 증산을 이루고 멈추었다가 다시 남산리와 우평리를 지나 태봉(110.8m)을 이룬다. 태봉에서 다시 여러 갈래의 구릉성 산지를 이루며 주진천과 고창천에서 멈추었다. 중월리는 태봉을 중 심으로 한 구릉성 산지의 중앙으로 깊은 골이 발달했다. 주변이 대부분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간한 밭농사가 발달했다. 중월리의 입지는 태봉을 중심으로 크게 서쪽과 남쪽으로 주진천, 동쪽으로 고수천, 북쪽으로

<그림> 중월리 항공사진(다음지도)

도산마을 앞에서 고수천과 합수한 고창천이 흐르고 있다. 주변은 고창에서는 가장 넓은 충적

- 1 -

- 2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