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산임수

Page 1

(背山臨水)의 마을 용수리(龍水里) 경수

1.

위치와 연혁

용수마을은 공음면소재지로부터 동남쪽으로 2.5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동네 앞으로는 저수지가 있고 마을 뒤로는 정산(正山)과 옥녀봉이 병풍처럼 마을을 둘러 싸고 있다. 그 형국이 마치 용의 꼬리와 같다고 해서 용수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해발 300m 미만의 높지 않은 산이지만 지금은 소나무와 자작나무 숲이 군락 을 이루고 있다. 산마루 능성이에 오르면 영광군 대마면까지 보이는 질펀한 들녘이 조석으로 매우 아름답다. 이 마을은 지금으로부터 약 350년 전인 1650년대 말쯤에 안동김씨(安東金氏)가 터를 잡아 마을을 형성했고 그후 김해김씨(金海金氏)가 들어와 살게 되었다. 용은 물이 있어야 하는데 물이 없을 때에는 아주 빈곤하게 살다가 청천마을에 저수지를 막고서부터 용수마을이 부유하게 살게 되었다고 한다. 용수리가 속한 공음면은 삼한(三韓)시대에는 마한(馬韓) 땅으로 모노비리국에 속 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국의 상노현에 속하였으며 통일신라 때인 경덕왕 16년에 개명된 장사현의 속지였다.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조 태종 16년(1416년)에 이르기까 지 그대로 이어 왔으나 태종 17년에 서해연변의 방위체제 구축을 위해 무송현(茂松 縣)과 장사현(長沙縣)을 무장현(茂長縣)으로 통합할 때에 이곳은 와공면(瓦孔面)과 동음치면(冬音峙面)으로 나뉘었다. 구한말인 건양원년(1896년)에 칙령 제36호에 의 해 고창, 무장, 흥덕군이 전라북도에 편입될 때에도 변동이 없었다. 그러다가 일제강 점기인 1914년 3월 1일 부군통폐합령에 의해 무장군과 흥덕군이 고창군으로 편입 될 때에 와공과 동음치의 양면이 합병되어 공음면(孔音面)이 되었다. 이때 12개 법 정리가 형성되었는데, 그 가운데 용수리는 용수, 석정, 청천, 계동, 보천, 이렇게 다 섯 마을의 법정리가 되었다.

2. 마을 주변의 지명과 유래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