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내 동산리(교정)

Page 1

고창 최초의 사액서원이 있었던 동산리(東山里) -성내면 동산리이기화(전 고창문화원장) 이병열(고창문화연구회 사무국장)

1. 마을 유래와 위치 동산리(東山里)는 본래 흥덕군 이동면의 지역으로 동산 밑이 되므로 동산이라 하였다. 1914 년 부군동폐합령에 의해 동(同)면의 구평리, 내동산, 외동산, 월봉촌, 한정리, 안유리 등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동산리라 해서 고창군 성내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동산리의 법정리는 동산리이며, 자연취락으로 외동산(外東山)과 내동산(內東山), 새터, 구평(九平, 龜坪) 등이 있 다. ‘내동산’은 방등산을 되돌아본다는 ‘뒷동산’의 남쪽 기슭에 자리 잡은 동산리의 본 마 을이다. 그리고 내동산 발로 우백호의 등선을 넘어 서남쪽으로 새터마을이 있다. 그러나 현 재는 새터와 내동산이 서로 붙어 있다. 새터의 서북간으로 ‘서낭댕이’등이 있고, 그 북쪽 으로‘구름웃잔등’ 등성이가 있으며, 그 서북간으로 외동산 북쪽 잔등 너머에 ‘숫돌바위 터’가 있다. 숫돌바위터 남쪽으로‘군정청터’가 자리하고 있으며, 외동산마을 바로 남쪽 앞 능선(외동산의 우백호) 아래에 ‘동산서원터’가 있다. 동산서원터 남쪽 앞에는 ‘솟대 청터’가 있고, 그 서남간으로 ‘군정청터’가 있다고 하였으나 이는 ‘군창터’가 와전된 듯하다. 군창터에서 동쪽으로 새터 쪽을 향해 가다보면 중간쯤에‘통치골터’가 자리하고 있다. 또 통치골 남쪽 앞 잔등이 동서로 길게 뻗어있는데 이곳이 바로 ‘고려장등’이다. 고려장등은 그동안 수많은 도굴꾼들이 찾아 든 곳으로, 일제강점기에 수백개소의 고려자기 가 도굴당하였다 한다. 또한 내동산 앞에 있는 마을회관의 남쪽 잔등에는 조선조 이전으로 추정되는‘절터’자리가 있는데, 오랜 세월이 흘러서 절 이름조차 기억해 낼 수 없다. 다만 이곳에서 기왓장, 멧짝(맷돌) 그리고 기둥 초석으로 보이는 돌 수십 개 등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을 김상준 옹이 정원에 옮겨 고스란히 보관하고 있다. 동산리는 동쪽으로 월성리와 양계리, 서쪽으로 동림저수지, 남쪽으로 옥제리와 월산리, 북 쪽으로 신성리와 접하고 있다. <사진 1> 동산의 마을 표지석

2. 자연지명과 전래지명 고창군 성내면 동산리는 노령산맥의 끝 줄기가 서남쪽으로 줄기차게 뻗어 내리다가 우뚝 멈 춰선 곳에 있다. 즉 방등산에서 북쪽 줄기로 이어내린 맥이 서북간으로 10여 리를 달려오다 그 지맥이 힘차게 용틀임하면서 다시 뭉쳐 산 형태를 갖추어 방등산을 되돌아보는 형국이 다. 땅의 표면은 해발 27m이며, 국도 22호선의 서북쪽에 인접해 있고, 마을의 북쪽과 서쪽

- 1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