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action Business
PROJECT BOOK
Subway Beacon Service
1
2
3
4
PROJECT BOOK
Subway Beacon Service 5
Hongjo 디지털컨텐츠학과 2012286021 박지선 디지털컨텐츠학과 2012286033 유지현 커뮤니케이션학과 2012286042 이수연
6
Table of Contents
7
WEEK14
Discover
WEEK 2
최종발표
Basic research
/Competitive analysis WEEK 3
Define
Research planning
WEEK 4
Town research
WEEK 5
User interview
WEEK6 WEEK7
Affinity diagram
Persona
Persona’s journey map WEEK8
Develop
Define
중간발표+Strategy
WEEK9-10 HMWs
/ Ideation
WEEK11
Framework sketch
WEEK12
Key screen 1
WEEK13
Key screen 2
최종발표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Discover 34
WEEK 2
Basic research / Competitive analysis
WEEK 3
Research planning
WEEK 4
Town research
WEEK 5
User interview
35
36
Basic Research
Week 2
Subway Travel의 개념
Backgraound_지하철 •1974년 8월 지하철이 첫 개통된 이래 1일 평균 450만명의 승객을 수송함으로써, 지하철은 서울 및 수도권 시민들의 삶에서 한시도 때어놓을 수 없는 필수 생활공간이 됨. •지하철 1~4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1995년부터 2001년까지 5~8호선이 차례로 개통, 2009년
5월 지하철 9호선이 개통되어 서울에서 지하철로 가지 못하는 곳은 없다고 할 만큼 지하철은 시민들의 일상이 됨. •또한 서울 지하철(서울 메트로)은 교통수단으로만 인식되었던 삭막한 지하 공간에 문화공연과, 이벤트 등 다양한 활동을 더하여 지하철이라는 공간을 교통과 문화와 예술 그리고 나눔의 실천이 함께하는 공간으로 만듦.1
Subway Travel(가제)의 개념 Subway Travel은 지하철을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승객들이 자신이 늘 이용하는 노선에 있는 역에 여행지를 추천받는 APP을 의미
Subway Travel(가제)의 Key Feature 크게 비콘 이용 요소와 핀(저장), 그리고 sns적 요소로 이루어져있음 • 지하철을 타고 목적지에 가는 도중에, 스쳐 지나가는 역들에 있는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비콘의 위치 기능을 이용하여 내가 원하는 장소에 대한 알람을 받을 수 있음 •제공된 여행지가 사용자의 마음에 들 경우 여행지를 저장해 둘 수 있음 • 퇴근할 때 또는 하교 할 때 여행지에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여행지를 선택해두고 그 시간대에 맞춰 알람을 받을 수 있음 • 지속적인 사용자의 경우 쌓여있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주로 다니는 동선에서 여행지를 추천하거나,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장소 등을 추천함. • 또한 사용자가 그날의 기분이나 테마를 설정할 시 그에 해당하는 장소를 사용자가 가는 길 안에서 찾아 추천함. • 여행지에 대한 리뷰와 사진을 남길 수 있어 app 사용자들에 의한 여행지 평가와 업그레이드가 가능함.
Subway Travel(가제)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항상 오가던 지하철 노선, 사용자가 도착지를 가기 위해 지나쳐온 역에서 새롭게 기분 전환을 할 수 있음 •내가 살고 있는 공간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잘 모르는 공간을 조금씩 알아갈 수 있음
1 서울메트로 홈페이지(http://www.seoulmetro.co.kr/main.action)
Subway Travel 관련 리서치 개요
리서치 목적 Subway Travel의 사용자 예측 Subway Travel의 시장성 예측
리서치 방법 및 범위 문헌연구: 논문/ 기사 중심 서울 지하철을 중심으로
20대~30대 연령대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여행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중심으로
논문 및 기사, 산업동향
박세화, 「체류시간을 고려한 개인화된 여행 일정 추천 시스템 = Personalized itinerary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stay time」, 서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8 , p. 10-13 • 2000년대 후반부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gps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급격히 증대됨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이 가능. • 개인화 여행 일정 추천시스템은 이를 바탕으로 여행지에서의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
하고 각 POI(Point of Interest)에 대한 개인별 선호도를 추론해 가장 선호도가 높을 것으 로 예상되는 여행 일정을 추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비콘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러한 개인화된 여행 일정 추천 시스템이 더욱 용이함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사용자의 여행 경비, 한정된 시간 등의 제약 사항을 고려해
여행 목적지에서 최대한 많은 인기 지역을 포함하는 일정을 추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 력 받은 선호 장소들을 잇는 가장 짧은 경로를 추천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인화된 여행일정 추천 서비스에 대한 연구 부족 • 제안 시스템은 개인의 만족도를 최대화 하지 못하는 기존 여행 일정 추천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사용자의 체류시간을 고려함으로써 개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행 일정 을 추천하도록 구성.
김화영, 「국내여행 목적지 선택요인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 :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7.2, p.1-3 • 2004년 1년동안 우리나라 만 15세 이상 국민의 국내여행 총 경험률은 95.8%이며,
국내 숙박여행 경럼률은 81.8%, 국내 당일여행 경험률은 76.8% : 국내여행에 대한 일반 적 의미는 국민의 대다수가 여행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여행이 이제는 일상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선택되고 즐기며 떠나는 시기가 됨.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여행 목적지 선택 요인 중요도와 유형 선호도에 대하여 인구 통계학
적 변수와 근무 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와 여행 동기에 따른 국내여행 목적지 선택 요인 중요도와 유형 선호도에 차이점을 살펴보았고, 추가적으로 인구 통계학적 변수와 근무형 태에 따른 국내여행 목적지 선택 요인 중요도와 유형 선호도에 차이점 살펴봄.
37
• 본 연구에서 요인 분석 결과 여행 목적지 선택 요인 중요도에 대하여는 5개의 공통요인이 추
출되었는데, 각각 안전성, 다양성, 접근성, 자원성, 편리성이라고 명명함. 5가지 항목 중 지하 철을 타고 갈 수 있는 여행지라는 점에서 접근성과 편리성의 요인이 충족된다.
여행 관련 기사, 산업동향
38
국내여행 장려 분위기
<외국인 관광객 2000만명 시대 열자_내국인이 찾아야 외국인도 온다. 국내여행 활성화 먼저> 문화일보 / 2016.03.10
1
• 한국을 재방문 하는 외국인 관광객 비율이 크게 늘고, 유커의 여행패턴이 달라지면서 기존의
관광지에서 벗어나 내국인들이 자주 찾는 명소들로 외국인 관광객이 움직이고 있음. • 국내 관광 활성화가 답: 외국인 관광객들의 이동 동선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관광지 개발과 함
께 숙박, 교통 등의 인프라 투자가 과제로 떠오름. 내국인들의 여행 소비를 통해 매력적인 관광 지가 발굴되고 인프라에 재투자가 이뤄지면 이를 기반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받아들여야 한다 는 것. 이는 소비 진작을 통한 지역 경기 활성화와 국민복지 증진의 효과도 거둘 수 있음. • 내국인들의 국내 관광 참여는 지난 2007년을 정점으로 하향곡선을 긋다가 2012년 이후에는
제자리걸음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인한 인접 분야의 경기는 좋아졌지만, 정작 관광 경쟁력의 핵심인 관광
관련 산업의 성장은 뒷걸음질. 2
<2016 내나라 여행 박람회> 2016.03.10~03.13 코엑스
• 지역경제발전 도모: 지방관광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 발전 도모 • 국내여행 수요 증가: 박람회를 통하여 해외여행 수요를 국내여행으로 전환 •국내관광 활성화: 여행 수요자, 공급자간 정보교류, 기획 확대로 국내 관광 활성화 • 삶의 질 향상: 국민들의 여행욕구 충족을 위한 삶의 질 향상
20~30대의 여행 욕구 3
•<직장인 10명 중 3명 연차 사용할 때 거짓말> 이데일리/ 2015.12.23 4
•<선구매 후휴가 여행풍속 바꾼 LCC> 이데일리/ 2016.02.03
5
•< 해외여행 떠나려 여행과외까지 받는 직장인들 > TV조선/ 2016.03.05 •< 여행꿈에 부분 30대 직장인, 여행몰 먹여살린다고 전해라 >
6
1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031001031212048002 2 http://www.naenara.or.kr/expo/expo_purpose.asp 3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11&newsid=01968006609601472 &DCD=A401&OutLnkChk=Y
4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31&newsid=01334966612546912 &DCD=A00303&OutLnkChk=Y
5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05/2016030590118.html 6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1/20/20160120003454.html?OutUrl=naver
7
•<대학생 겨울방학 로망1위 해외 배낭여행> •여행에 대한 욕구가 큼 •휴가시 해외여행 비율이 늘어나는 추세
8
•짧은 휴가 기간 동안 해외여행을 가기때문에 한 국가만 집중 여행하는 '모노 9
데스티네이션' 선호
생활 속 휴식의 욕구
39 10
•<직장인 퇴근 후 저녁시간>
11
•<직장인들은 퇴근 후 어떤 생활 꿈꿀까?>
12
•<직장인 나홀로족, 회식보다는 혼술 좋아> 13
•<동네여행. 대중교통여행. 쉼표여행>
14
•<책과 사람을 이어주는 동네 책방으로 떠나는 여행>
지하철 관련 기사, 산업동향
네이버에 '지하철' 검색 시 •지하철 역사 30곳 상가.승강기, 안전감사 착수 •출근길 지하철 1호선, 흉기난동 50대 노숙인 징역 •숨시귀도 힘든 출근길 지하철....혼잡비용 연 7247억 •혼잡 지하철 타는 여성 "신체접촉. 나쁜손 겁난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지연, 출근길 대란 발생 지하철은 시민들의 출퇴근, 등하교를 책임지는 생활과 밀접한 대중교통이지만, 지하철 안에서 시민 15
들이 경험하는것은 부정적인 것이 더 많아 보임. 그래도 버스보다는 지하철에 만족도가 더 높음.
서울 지하철 이용객 16
<서울지하철 이용객 19년째 강남역 1위.....홍대입구역 5위권 진입> 아주경제/ 2016.03.06 •서울시 교통카드 데이터 분석: 지하철역별 승하차 이용객 기록 분석
•강남역 지난해 지하철역별 승하차 최대 이용객 기록: 연간7465만명/ 하루평균 20만4508명
7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426618 8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B11&newsid=01636726609438128 &DCD=A10101&OutLnkChk=Y
9 http://travel.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14/2016011401325.html 10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411250923562341 11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242534 12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203922 13 http://www.nocutnews.co.kr/news/4559158 14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453&yy=2016 15 대중교통 이용자 지하철 만족, 시내버스 글쎄.../교통안전공단, 2012년도 대중교통 만족도 조사 결과 발표/교통안전공사/보도자료: 통계/http//dl.nanet.go.kr/SearchDetailList.do
16 http://www.ajunews.com/view/20160306101311350
•강남역 승차3700만명/ 하차3760명 : 환승 없는 단일 호선이지만 인근에 사무실과 유흥 시설 밀집으로 인하여 •2위: 3,7,9호선 환승 고속터미널역 연간6922명/ 3위: 2,8호선 환승 잠실역 연간 16만9062명 / 4위: 2,4호선 환승 사당역 연5641만명/ 5위: 2,공항,경의선 환승 홍대입구역 5531만명 / 2014년 4위 기록했던 서울역은 이용객 9%이상 감소로 5위 밖으로 밀려남 / 9호선 마곡나루역과 5호선 마곡역은 지난해 이용객이 전년보다 각각 125.7%와 47.2%증가
: 마곡지구 개발로 인함. 40 17
<만성적자 지하철...."철도+부동산 통합개발로 수익개선"> 아시아투데이 / 2015.06.02
•서울 지하철의 만성적인 적자 해결과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 역세권 개발을 통한 자산 임대 및 운영사업 필요. •홍콩지하철: 역세권 개발에 따른 이득을 통해 수송원가 낮추고 철도 개발자금 조달하는 방식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부채는 총 4조 2000억원/ 적자규모 4245억원 •현재 시행하고 있는것: 상가개발_임대수익(감소하는 실정)
지하철 문화 마케팅
이창욱, 「지하철이용 고객의 고객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지하철 노선을 중심으로」, 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2 , p.25 - 28
•지하철 역사에 미술관을 설치하고 다양한 이벤트와 프로그램을 개체: 문화지하철 표방 • 낡고 지저분한 공간이 아니라 우리 일상속에 가까이 자리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
- 서울메트로 문화한마당 홈페이지: 공연정보, 지하철 문화전시공간에서 전시회등 홍보, 이벤트
•<서울도시철도 공사 - 하나투어 세계여행 테마공간 조성협약>헤럴드경제 / 2015.10.0819 20
• <하나투어, 지하철 7호선에 '세계여행열차 운행'> 스포츠경향/ 2016.03.03 - 지하철 7호선 열차 내부를 라오스, 시드니, 체코 등 세계 곳곳의 인기 여행지 이미지로 래핑한 광고테마열차 - 7호선 열차는 총 8칸으로 1~6칸에는 칸별로 한곳씩 총 6개 도시를 소개하고, 7번째 칸은 허니 문, 8번째 칸은 골프,트래킹을 테마로 꾸밈 - 열차 내부 디자인은 3개월마다 교체/ 1년간 도봉산역에서 부평구청역까지 하루 평균 5~6회 운행
Subway Travel의 사용자 예측 회사, 대학가, 유흥가가 밀집된 지역이 높은 지하철 이용률을 보이는 통계를 통해 우리 서비스가 사용자로 지정하고자 하는 20~30대가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음. 또한 기사를 통해 이들의 여행에 대한 욕구도 확인할 수 있었음.
17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601010000302 18 http://dl.nanet.go.kr/SearchDetailList.do 19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1008000146&md=20151008092415_BL 20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
id=201603031102333&sec_id=561050&pt=nv http://www.newsis.com/pict_detail/view.html?pict_id=NISI20160229_0011406817
시사점 및 결론
Subway Travel의 사용자 예측 회사, 대학가, 유흥가가 밀집된 지역이 높은 지하철 이용률을 보이는 통계를 통해 우리 서비스가 사용자로 지정하고자 하는 20~30대가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음. 또한 기사를 통해 이들의 여행에 대한 욕구도 확인할 수 있었음.
Subway Travel의 시장성 예측 정부의 국내여행 활성화 정책과 비콘 기술의 발전 그리고 사용자들의 여행에 대한 욕구가 만나
Subway Travel가 APP으로 만들어진다면 시장성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
41
Competitive Analysis
42
경쟁사 개요 조사
조사 목적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현재 우리에게 부족한 점을 알고 사용자에게 더 필요한 것을 생각해내기 위해 조사 방법 경쟁사 어플리케이션 사용과 웹사이트 조사 대상 •앱: 트래블라인, 위시빈, 여행노트 •웹: 대한민국 구석구석 행복여행, my real trip, 여행박사 조사 내용 •경쟁사의 특징 •주요 화면
경쟁사 개요 조사 요약
App. 트래블라인 •제주 랭킹과 오늘의 추천을 보여주는 Home 화면 •얼마나 이 장소를 가고 싶어 하는지, 가보니 어땠는지 알 수 있음
• 추천 일정에서 얼마나 있을지, 관광지와 식당이 어떻게 되는지 간단하게 알 수 있음 • 여행톡으로 실시간으로 채팅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간 반응을 볼 수 있음
43
•자신이 원하는 장소를 선정해 담아두는 것이 가능. •자신이 담은 장소를 한 번에 볼 수 있음 •테마 키워드가 다양하고 얼마나 분위기를 좌지우지 하는 지 알 수 있음
•이용하는 곳의 자세한 정보도 알 수 있음 •사용자 간의 리뷰처첨 사용되는 여행팁 존재 •다음카카오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길찾는 것이 쉬움
44
주요 특징
- 여행 장소에 대한 소개와 그 곳의 이용 정보까지 폭넓게 포함 - 사용자의 취향 선택 가능 : 추천하는 여행지와 일정을 평점과 담는 순(북마크)으로 보기 가능 : 장바구니 형식의 마이페이지로 자신의 관심사를 모아서 볼 수 있음 장점
- 테마의 키워드 다양 : 분위기 좋은, 아기자기한, 트랜디한, 인증샷유발 등 - 커뮤니케이션 : 여행팁(댓글)과 여행톡으로 사람들과 원활한 소통 단점
- 휘발성 높은 소통 : 여행톡으로 어떤 말을 했을 때, 사용자가 많은 시간일 경우 대화를 주고 받기 어려움
App.위시빈 •명소를 테마별로 알려주는 Home 화면
45
•다른 기업의 스페셜 에디터가 존재해 사용자들에게 조금 더 믿음이 가는 자료를 줌
46
•여행 일정과 전체 명소, 주변 명소를 알 수 있음 •나와 가장 가까운 명소를 방문할 수 있음
주요 특징
- 스페셜 에디터 : 유사 서비스를 가진 기업이 에디터로 활동해 관련 내용을 집필 장점
- 주변 명소 소개 : 자신이 기준이 되어 가장 가까운 여행지 안내 단점
- 여행 일정 검색 어려움 : 블로그 형식으로 되어있어 이 사람이 어떤 일정으로 얼마나 돌아다녔는지 보기 어려움
App.여행노트 • 다양한 테마와 이야기를 담고 있는 Home화면 • 여행 일정에서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생각해보게 해줌
47
• 일년 전에 다른 사용자는 어떤 여행을 있는지 볼 수 있음 • 관광 사진만 모아 볼 수 있는 기능
• 일정을 자세히 안내할 수 있고 순서대로 따라가는 듯한 느낌을 줌
48
주요 특징 - 블로그 형식의 리뷰 : 자신의 일정을 더 자세하게 기록 가능 - 관광 사진 모음 : 여행지의 이름이 있는 사진을 모아볼 수 있는 기능 장점 - 다양한 이야기 : 여행지 일정과 추천 뿐만 아니라 관광지에 담긴 역사와 계절 별로 보는 관광지 등을 볼 수 있음 단점 - 블로그 형식으로 된 톡방 : 제대로 구분이 가지 않는 여행기와 T톡
Web.대한민국 구석구석 행복여행 Home - 많은 카테고리와 하위 카테고리 - 일정한 사진을 반복하여 정보를 제공 - 방대한 정보를 매번 일정한 디자인으로 보여주어서 금방 정보를 잊고, 다시 찾기 어려우며 기억에 남는 곳이 없다.
49
매달 제공되는 여행지 관련 읽을거리: 추천 가볼만한 곳 -한국관광공사 추천으로 매달 가볼만한 곳을 제공 -새출발, 사라진 옛 절, 전통 시장 등 한가지 주제로 5-7개의 장소를 소개 -꼭 여행을 가지 않아도 스토리만으로도 흥미를 끔 -이야기와 대중교통정보, 숙박 등 여행정보도 제공함
다양한 여행코스: 무장애 여행 -장애와 비장애를 떠나 모두에게 여행을 제공하기위한 취지 - 여행정보가 장애인, 영유아가족, 어르신 등으로 여행을 할 때 불편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카테고리를 나눠 맞춤 여행 제공
50
다양한 여행코스: 테마 여행 -계절을 큰 카테고리로 다양한 테마로 여행을 소개함. - 신선한 테마들이 많다. ex) 전통음식요리사, 농촌 체험 여행 등 -테마여행이라는 컨셉으로 여행정보도 해당 테마 컨셉에 맞게 디자인
다양한 여행코스: 금주의 추천 플래너 -사진, 코스와 소요시간 등을 정리하여 여행 플랜을 추천 -이 웹사이트에서 제공된 여행코스 중 가장 보기좋게 정리
51
주요 특징 한국관광공사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대한민국의 여행지를 소개한다. 장점
- 정말 방대한 여행지와 테마 - 코스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매달 주제가 있는 여행지를 소개 - 서포터즈를 통하여 꾸준히 좋은 정보들이 업데이트 되고있으며 접근성이 좋은 카톡이나 페이스북을 활용하여 한국의 구석구석을 홍보.
- 출력 아이콘이 눈에 띄는 곳에 있어서 웹 상의 정보를 출력하여 여행할 때 휴대용이 단점
-컨텐츠는 많지만 많은 정보를 위계질서있게 보여주지 못함 -많은 컨텐츠를 많은 테마로 보여주고 있어서 사용자가 여행을 결정하고자 할 때 고민의 시간이 많이 듦.
Web.My Real Trip - 여행지 가이드 매칭서비스 / 주 고객층 20-40대 해외 여행자 - 현지 가이드와 커피를 마시며 여행 코스를 안내받고 스스로 여행 - 좋은 레스토랑을 예약해주는 서비스, 프랑스 약국에서 화장품 구매만 도와주는 서비스
52
일상 속 여행
- 해외가 아닌 일상에서도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패키지 투어가 있음. - 전동 킥보드로 함께하는 맛집투어, 고려대학교 투어 등 - 여행에 따라 일정 인원이 모이면 투어가 가능 -가이드가 직점 코스를 소개하고 모임시간과 장소를 제시 -해당 가이드를 받은 고객은 별점과 후기를 남길 수 있음 -예약제
주요 특징 여행지 가이드 매칭서비스로 국내 외에서 현지가이드에게 여행코스 안내를 받음 장점
- 각 국의 다양한 가이드들이 웹사이트에서 자신의 코스를 소개한다는 점이 신선 - ‘일상 속 여행’ 컨텐츠에서 전동 킥보드, 고려대, 스윙댄스 등 신선한 여행소재 - 직접 가이드 받은 후기를 보고 서비스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 가능 단점
-해당 날짜에 필요한 인원이 모이지 못하면 투어를 받을 수 없다는 점 -국외 컨텐츠는 많지만 우리가 하고자하는 일상 속 여행의 컨텐츠는 많지 않음.
Web.여행박사 -업계 최초로 고객의 관심 여행지에 맞춰 상품을 추천해주는 ‘개인화 맞춤상품 추천서비스’와 ‘연관상품 추천 서비스’를 홈페이지에 도입
- 관심 여행지에 맞춰 추천해주어서 정보습득 용이 - 원하는 정보를 간편하게 찾을 수 있음 - 사용자가 최근 클릭한 상품을 기준으로 가격, 거리 등의 연관성이 높은 ‘이 상품을 본 고객이 많이 본 다른 상품’을 보여줌
53
패스 자동판매기
-패스를 구입하면 홈페이지 가격보다 10%를 할인 -묶어서 판다는 점이 흥미로움
54
주요 특징 관심 여행지에 맞춰 상품을 추천해주는 ‘개인화 맞춤상품 추천서비스’와 ‘연관상품 추천서비스’ 장점
- 각 사용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택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 편리 - 할인과 함께 상품을 묶음 판매하여 구매 유도 단점
- 관심사 외의 정보는 다른 사이트보다 접근성이 더 떨어질 수 있음
Insight
웹진을 통한 새로운 장소 소개, 유도
: 흥미로운 주제를 통하여 웹진처럼 새로운 장소를 소개하고, 사용자가 다양한 곳을 다녀볼 수 있도록 유도 지하철 여행지 패스
: 지하철 여행지 패스를 만들어 새로운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정보를 인지하기 쉬운 디자인
: 여행 컨텐츠처럼 비슷한 정보가 계속해서 비슷한 디자인으로 제공된다면 정보를 찾거나 기억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
: 여행지나 일정을 둘러볼 때 어느 장소를 이동하는지 한 눈에 볼 수 있는 디자인이 편리함 사용자들 간의 소통
: 실시간으로 사용자들 간의 소통하는 공간이 있다면 즉각적인 반응으로 느끼고 있는 감정을 공유할 수 있음 새로운 체험
: 전동 킥보드, 고려대처럼 여행지로 잘 가보지 않는 곳과 체험의 장소를 소개하는 것은 어떨까
1day 코스 : 짧은 시간 동안 가볍게 즐길 수 있는 1day 코스를 다른 여행 어플과의 차별점 중 하나가 될 수 있음 사용자 후기
: 후기가 있다면 사용자에게 더 신뢰를 줄 수 있을 것 테마 키워드
: 사용자가 관심 가질 만한 테마를 선정하고, 그 장소의 분위기가 얼마나 차지하는지 나누어 알려준다면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을 것
55
56
Research planning
Week 3
Town watching/ Observation Plan
장소
: 2호선, 9호선, 7호선 관찰
: 호선당 분위기, 역에 내려서 또는 역안에서 사람들이 집중하는 무언가, 어느 역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지, 호선비교-특징, 일반&급행, 시간대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변화, 역마다 내리는 사람들의 연령, 이외의 관찰하고 싶은 것
In-depth interview 질문지 1차
기본
: 나이, 성별, 취미, 직업 지하철
1. 지하철은 얼마나 자주 타나요? 2.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역은 어디인가요? 그 역을 이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3. 지하철 이용 시 많이 하는 행동이나 생각은 무엇인가요? 직장
4. 평균 출, 퇴근시간은? 5. 주로 받는 업무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여가 시간
6.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나요? 6-1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가요? 7. 일주일에 여가 생활을 즐기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7-1. 보통 어디에서 누구와 즐기나요? 7-2. 여가 생활을 잘 못한다면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콘 알람
8. 평소 어플 알람 서비스를 이용하나요? 8-1.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9. 내가 평소에 지나다니는 곳에서 나와 맞는 장소를 알림으로 알려주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Town research
Week 4
observation & experience
지하철 관찰
7호선 부평구청 - 고속터미널 : p.m 3시 50분 출발 - 4시35분 도착 7호선 고속터미널 - 인천지하철 작전역 : p.m 6시 10분 탑승 - 7시 도착 1호선 부평 - 3호선 경복궁 : p.m 1시 30분 출발 - 3시 40분 도착 3호선 경복궁 - 고속터미널 : 6시20분에 탑승 - 7시 고속터미널 도착 9호선 김포공항 - 고속터미널 (급행) : p.m 2시 40분 출발 - 3시 20분 도착 9호선 고속터미널 - 샛강역(일반) - 신길역(1호선) - 부평역-pm 5시 30분 출발 - 9시 도착
- 사람들은 이야기, 핸드폰, 잡지(신문) 보는 사람들이 많음. - 핸드폰 보는 사람들은 주로 혼자 있는 사람들. - 2,30대 사람들은 이어폰을 끼고 핸드폰. - 40대 이상은 핸드폰을 많이 보지만 이어폰X. 검색창, 뉴스를 봄. - 광고를 많이 보진 않는 듯. 지하철에 타면 자기 할 일만 함. - 퇴근하는 직장인들은 눈을 감고 쉬고, 함께 퇴근한 사람들과 이야기함.
57
지하철 가상체험 출발역: 인천 시청-도착역: 경복궁 출발역: 안국-도착역: 고속 터미널 월요일 점심시간에 지하철 탑승 3가지 선택 사항 중 신도림에 내려 카레 우동을 점심으로 먹기로 함
58
지하철 가상체험 후기
- 식사, 디저트, 산책으로 추천이 분산 되어 있어 고르기 좋았음 - 음식에 대한 정보, 후기, 가격을 알고 싶었음 - 지하철에 내리면 바로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식사를 하러 잠깐 들리기에 좋았음 - 많은 음식점 중 골라야 하는 게 아니라, 이미 갈 곳을 정해 놓고 들어가서 마음이 편했음. 안 가본 식당을 가본 것도 재미있었음
지하철 가상체험 2 출발역: 고속터미널-도착역: 가산 디지털 단지 출발역: 가산 디지털 단지-도착역: 작전역 토요일 점심시간과 저녁시간에 지하철 탑승
3가지 선택 사항 중 가산 디지털 단지에 내려 아울렛 구경
59
지하철 가상체험 후기
- 지하철 역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와 어떻게 가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 - 긴 교통 시간 후 돌아다니는 곳이라 쉽게 피곤해짐 - 추천을 해준 것들 중 오늘 정말 가고 싶은 장소가 나오지 않아서 고민함
지하철 가상체험 3 출발역: 검암역-도착역: 고속터미널 출발역: 고속터미널-도착역: 부평역 세가지 중 샛강 다리를 선택, 9호선 샛강역에 내려 샛강다리를 보러 가기로 함 토요일 점심시간과 저녁시간에 지하철 탑승
60
지하철 가상체험 후기
- 7시 30분경 무서웠던 샛강다리… - 네이버 지도를 키고 찾아갔는데 나중에 보니 더 밝은 길이 있었음 - 샛강역에서 내려 샛강다리를 찾아갔지만 가보니 신길역이 더 가까웠음 - 처음 가봤던 곳이라 설레였음 - 잠깐 기분전환하기에 좋았음
Insight
공통 인사이트
- 새로운 곳을 가보는 것이 좋았음. 다만 취향을 잘 잡아줘야 할 듯. - 필터 기능을 세분화: 감성적인 필터, 구체적인 필터 - 알람 횟수를 어떻게 해야할까? 모든 역에서 알람이 울리면 스팸이 될 듯. 랜덤 또는 인기순_ 랜덤이라면 역이 두세개 간격으로?
전체 인사이트
- 역에서 알람을 즉각적으로 알려주는 것과 미리 가는 길에 있는 장소를 추천해주는 두 가지 파트가 있어도 좋을것 같음.
- [가본 곳/또 가고 싶은 곳/다시 안가도 됨]처럼 나눌 수 있는 건 어떨까 : 안가본 곳을 더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 음식 평가 링크가 이어져 있으면 좋을 듯, 가격도 미리 알 수 있도록. - 역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도 알려주면 좋을 듯 ex. 500m 떨어진 곳 또는 걸어서 5분 - 역에서 가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간단한 글, 사진 등) 있으면 좋을 것 같음 - 사용자에 대한 취향을 제대로 알고 추천을 해주는 것이 중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보아야 함 - 저녁, 퇴근 시간을 가는 점을 고려하여 안전문제도 신경을 써야할 듯 - 기존의 정보보다 더 가까운 역이 있을 수 있다. 맵의 거리를 고려해 추천 필요 - 장소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어떨까 ex) 샛강다리에서는 무엇을 챙겨가세요. 샛강다리에서는 주로 이런 것들을 해요.
61
62
User Research
Week 5
User Research 개요
인터뷰의 목적
1. 우리의 서비스를 주로 사용할 지하철의 상황과 인식에 대해 알아봄 2. 사용자에게 어떤 서비스가 더 필요하고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3. 우리의 서비스에 문제되는 것은 없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터뷰의 방법을 결정
- 간접조사 (lower cost, higher risk): 회상 - In-depth interview/Contextual interview
구분
연령대
20대 중후반
성별
무관
직업
각각 다른 분야에 있는 직장인
특징
지하철을 자주 이용함
인터뷰 진행자
공통
인터뷰 기록자
공통
인터뷰 기간
2016.03.20~2015.03.29
인터뷰 장소
인천, 홍대 입구
질문지 링크
링크
인터뷰 스크립트
링크
1 2
성명
성별
나이
메모
문경x
남
28
1·2호선을 이용, 영상 편집회사의 인턴
김민x
여
26
1호선을 이용, 국제 물류 관련 일을 함
정다x
여
24
공항 철도를 주로 이용함. 공항에서 일함
최민x
여
24
경의·중앙선을 주로 이용함. 전자 계열 회사인
주사용자
1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UjiRNl61BvNCBFp6mORZiPWfNV0e7znfGiMdf8 Mti18/edit
2 https://docs.google.com/document/d/1k6xy1cx9zcCdelys4KhdBSlWQYmVhAFa2pTAqi9aQw/edit
63
In-depth Interview 1
인터뷰 대상
문경x
나이
28
출퇴근
동암역 - 홍대입구역 (1호선 2호선 이용)
지하철 이용 시간
약 1시간
특징
영상 기자 (자동차관련 촬영,편집해서 유튜브 업로드).
7시 출근, 보통 오후 7시~8시 퇴근, 야근하면 10시 퇴근. 야외 촬영이 많아 외근(출장)도 꽤 있는 편.
지하철 1. 지하철 이용 시 많이 하는 행동이나 생각은 무엇인가? 없다. ( 아..오늘도 회사에 가는구나.../아! 퇴근이다...) 지하철보다는 버스를 선호. 지하철은 서서 가야 하고 부대끼면서 가야하는 단점 있다. 버스는 앉아서 갈 수 있지만 배차 간격이 20~25분이기 때문에 일찍 일어나지 않으면 못 탄다. 버스를 놓쳤다면 바로 지하철을 타러 가야한다.
업무 1. 출퇴근 시간이 고정되어 있나요? 평균 출, 퇴근 시간은 몇 시 인가요? 출근은 고정되어있다. 집에서 7시에 나와서 간다. 퇴근은 불규칙하다. 웬만하면 7시에서 8시, 촬영이 많다면 10시.
2. 주로 받는 업무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집에서 잔다. 아무래도 피로가 풀리면 스트레스도 좀 풀린다. 차 끌고 나가서 세차하거나 돌아다니면 서 사진 찍는다. 사진 찍으러는 주로 북촌에 간다. 북촌 중에도 사람이 없는 곳을 찾아다닌다.
(스트레스 받는 이유는 직장 상사로 인한 것)
인터뷰 대상
문경x
나이
28
출퇴근
동암역 - 홍대입구역 (1호선 2호선 이용)
지하철 이용 시간
약 1시간
특징
영상 기자 (자동차관련 촬영,편집해서 유튜브 업로드).
7시 출근, 보통 오후 7시~8시 퇴근, 야근하면 10시 퇴근. 야외 촬영이 많아 외근(출장)도 꽤 있는 편. 64
지하철 1. 지하철 이용 시 많이 하는 행동이나 생각은 무엇인가?
여가생활 1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나요? 평일에는 운동을 하고 잠자면 하루가 끝난다. 주말에는 주로 친구들을 만나 카페에서 노닥거린다.
1-1 그 여가시간은 보통 몇 시에 즐기시나요? 시간은 마음대로이다. 평일에 운동은 규칙적인편이다. 퇴근 후 오후 9시에서 11시.
(헬스장이 11시에 끝)
1-2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가요? 연애!!!!! 둘이 놀러가고 싶다.
2 일주일에 여가 생활을 즐기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지칠 때까지. 주말에 약속 잡히면 밤 늦게 까지 놀고 열두시 전에 들어간다. 차도 막히고 나도 힘들기 때문에. 평일에는 거의 11시 반이면 잔다.
2-1. 보통 어디에서 누구와 즐기나요? 혼자, 친구들(3-6명)
2-2. 여가 생활을 잘 못한다면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평 타 정도의 여가 생활을 즐긴다.
3 sns나 인터넷 서핑을 통해 가보고 싶은 곳을 발견하면 주로 어떻게 행동하나요. (캡쳐 해놓는다/메모해둔다/공유한다/외워둔다) 캡쳐. 다녀오면 캡쳐 사진을 지운다. 하지만 보통 놀러 갈 때 즉각적으로 검색한다.
기타 1. 평소 여행, 관광 어플이나 웹사이트를 이용하시나요? 없다.
1-1. 쓰지 않으신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때그때 검색해서 본다.
1-2. 쓴다면 어떤 것을 쓰시나요? 아직 사용은 못해봤지만, 데일리 호텔은 다운 받아서 가끔 본다. 스트레스 풀고 싶은 날 혼자 있고 싶을 날 쓰려고 받아두었다.
In-depth Interview 2
인터뷰 대상
김민x
나이
26
출퇴근
주안역-영등포구청역
지하철 이용 시간
편도 40-45분
특징
투잡을 하고 있으며 퇴근 후 댄스 학원, 운동 등을 즐김
지하철 1. 지하철 이용 시 많이 하는 행동이나 생각은 무엇인가? 항상 아무 생각이 없고 핸드폰으로 책이나 영화를 본다. 자리에 앉을 생각도 한다
2. 당신이 회사를 가는 길에 어떤 유명한 곳, 놀만한 곳이 있는지 아시나요? 대충은 안다.
2-1 얼마나 가보셨나요? 환승하는 신도림역에서 가끔 밥먹는다.(디큐브센터), 영등포구청(도착지)에서 맛있는 초밥에 가끔 간다.
3. 평소 보관함을 이용하시는지? 있다. 놀러갔을 때 짐이 많다면 이용한다.
업무 1. 출퇴근 시간이 고정되어 있나요? 평균 출, 퇴근 시간은 몇 시 인가요? 출근 9시, 퇴근은 6시, 야근할 때는 열시 전에는 퇴근
2. 주로 받는 업무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많다. 아무래도 수입화물 받는 일이다보니 수입자들의 컴플레인 등 거래처들과 의사소통 안될 때 받는다.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퇴근하는 동시에 까먹으려고 노력을 한다. 친구들과 놀거나 음악 을 듣거나 여가생활을 한다.
3. 반차나 월차는 주로 어떤 목적으로 언제 사용하시나요? 쉬기 위해 사용한다. 쉴 때는 집에서 빈둥대거나 가족들과 놀거나 데이트함
4 보통 회사갈 때 짐이 얼마나 되는지? 가방 하나. 가져갈게 없다.
여가생활 1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나요? 못잔 잠 자기. 데이트, 친구들과 놀기, 가족들과 지내기 놀 때는 주로 카페에서 얘기하고 바람쐬고 맛잇는 음식을 먹는다.
1-1 그 여가시간은 보통 몇 시에 즐기시나요? 평일은 거의 못 놀고 평일엔 자는 것이 노는 것. 주말에는 오전 10시 이후에 사람 만나서 논다.
1-2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가요? 운동, 수영! 그런데 시간이 없다. 자전거 타기. 광합성을 받고 싶다.
2 일주일에 여가 생활을 즐기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투잡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일이 많이 들어오면 많이 못쉬고 일이 적으면 많이 쉰다. 그래서 여가 생활을 즐기는 시간은 유동적. 일주일의 한번은 반나절동안 논다.
65
2-1. 보통 어디에서 누구와 즐기나요? 주로 부평에서 친구들과
2-2. 여가 생활을 잘 못한다면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간이 없고 피곤해서
App 1 SNS 외에 어떤 어플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중국 어플(QQ), 위챗(중국의 카카오톡) 66
2 지하철에서 많이 사용하는 어플이 있나요? 멜론. 음악을 듣는다. 팟빵. 법률스님 강좌를 듣는다. 고릴라. SBS 라디오를 듣는다.
2-1. 어떤 이유로 사용하시나요? 지하철에서 이동시간에 뭔가를 듣기위해.
3 sns나 인터넷 서핑을 통해 가보고 싶은 곳을 발견하면 주로 어떻게 행동하나요? (캡쳐 해놓는다. 메모해둔다. 공유한다. 외워둔다) 캡쳐하고 가고싶은 사람에게 말하거나 페이스북에서 친구들을 태그.
4. 평소 어플 알람 서비스를 이용하나요? 이용하려고 하는 건 아닌데 자꾸 저절로 온다.
기타 1. 평소 여행, 관광 어플이나 웹사이트를 이용하시나요? 그때그때 검색한다.
1-1. 쓰지 않으신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따로 사용하지 않고 갈 때만 검색해보기 때문에
1-2. 쓴다면 어떤 것을 쓰시나요? (사용하지 않음)
In-depth Interview 3
인터뷰 대상
정다x
나이
24
출퇴근
김포공항역 - 버티고개역
지하철 이용 시간
약 40분
특징
공항에서 스케줄 근무로 일하고 있어 출퇴근 시간이 오전 근무와 오후 근무로 나뉨. 직장 동료들과 일과 끝 간단하게 자주 놀러 다님김
지하철 1. 지하철 이용 시 많이 하는 행동이나 생각은 무엇인가? 멍을 많이 때리는 것 같다. 음악을 주로 듣고, 빨리 집에 가고 싶다는 생각을 주로 한다.
(출근길, 퇴근길 모두)
2. 당신이 회사를 가는 길에 어떤 유명한 곳, 놀만한 곳이 있는지 아시나요? 공항 철도를 주로 타기 때문에 쉽게 갈 수 있는 홍대를 많이 간다. 가까운 곳에 무엇이 있는지 잘 모르고, 없는 것 같다.
2-1 얼마나 가보셨나요? 쉬는 날 포함해서 2-3번 정도 간다.(스케줄 근무)
업무 1. 출퇴근 시간이 고정되어 있나요? 평균 출, 퇴근 시간은 몇 시 인가요? 스케줄 근무이긴 하지만 고정되어 있다. 오전 근무는 새벽 6시- 오후 3시. 오후 근무 아침 10시, 오후 8시이다. 오전 근무 때 애들이랑 놀기 편하다.
2. 주로 받는 업무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말하는 직업이다 보니 억지로 웃어야 하는 일도 많고 똑같은 소리를 계속 하게 된다. 직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이직을 하기 전에도 똑같이 힘들었지만, 이직 후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를 좀 덜 받 는다.] 직장 동료와 날 잡아서 여행가거나 홍대에서 맛집, 술집 탐험한다.
3. 반차나 월차는 주로 어떤 목적으로 언제 사용하시나요?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요즘은 계약직도 의무적으로 쓰도록 한다. 보통 놀러 다니고 가족 행사 에 사용한다. 주변에서 봤을 때,직장인들 요즘 들어서 정말 많이 놀러 다닌다.
5 보통 회사갈 때 짐이 얼마나 되는지? 핸드백 하나만 가져간다. 화장품 등을 넣고 다니는 간단한 핸드백이다. 회사 사물함에 보통 넣어 다니고 서류가 많기 때문에 들고 다니기도 그렇고 들고 나가야 한다면 usb를 이용한다.
여가생활 1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나요? 사회 초년생일 때는 많이 힘드니까 대부분이 자는 편이었다. 그나마 익숙해지고 참을 만 해지고 난 후 놀러 다간다. (위에서 말했 듯 2-3번에서 홍대, 이태원 등 많이 가서 친구들과 노는 편이다.)
1-2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가요? 딱히 아직까지 없었던 것 같다. 공부를 해야 하는 것, 스포츠를 즐기는 것. (회사 분위기, 전문적인 일, 내 커리어 등 공부해야 할 것이 많은데 주변에 자격증을 쉬면서 공부하고 따는 것이 대단하 다. 연봉 협상을 하기 위해서는 직장 내 목표치 달성(70%)과 내 계획(30%)이 필요한데 내 계획 을 이루기 위해서도 공부를 해야 한다. 스케줄이 왔다 갔다 불규칙한 일정이라 하기 어렵다.
2 일주일에 여가 생활을 즐기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일주일에 2-3번. 그날 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5시간정도이다.
App 1 SNS 외에 어떤 어플을 주로 사용하시나요? 인터넷 커뮤니티(카페), 인터넷 쇼핑
3 sns나 인터넷 서핑을 통해 가보고 싶은 곳을 발견하면 주로 어떻게 행동하나요? (캡쳐 해놓는다/메 모해둔다/공유한다/외워둔다) 보통 페북을 이용하고 친구를 댓글로 태그한다.
4. 평소 어플 알람 서비스를 이용하나요? 사용하지 않는다.
4-1.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광고가 많다. 이것을 이용하려면 위치 설정을 해야 하는데 배터리가 엄청 빨리 닳는다.
67
In-depth Interview 4
인터뷰 대상
최민x
나이
24
출퇴근
임학역 - 일산역
지하철 이용 시간
약 1시간
특징
스케줄 근무로 일하고 있어 출퇴근 시간이 바뀌고 회사 주변에서 자주 놀고 남자친구와 데이트를 많이함
지하철 68
1. 지하철 이용 시 많이 하는 행동이나 생각은 무엇인가? 핸드폰을 주로 한다. 페이스북, 게임, 웹툰, 카톡
2. 당신이 회사를 가는 길에 어떤 유명한 곳, 놀만한 곳이 있는지 아시나요? 집 근처 보다 회사 주변에서 주로 놀게 되는 것 같다. 가는 곳만 가게 된다. 일산, 파주, 김포 (일산 을 자주 가고, 파주를 그 다음으로 많이 간다.(일산, 금촌, 금릉, 헤이리마을 그 주위 큰 아울렛들)
3. 평소 보관함을 이용하시는지? 자주 이용한다. 옷을 주로 보관한다.
업무 1. 출퇴근 시간이 고정되어 있나요? 평균 출, 퇴근 시간은 몇 시 인가요? 스케줄 근무이다. 따라서 항상 다르다.
2. 주로 받는 업무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보통 남자친구와 데이트를 하면서 푼다. 놀러 가서 맛있는 거 먹는다.
3. 반차나 월차는 주로 어떤 목적으로 언제 사용하시나요? 가족 여행을 갈 때 사용하거나 남자친구와 놀러갈 때 사용한다.
5. 보통 회사갈 때 짐이 얼마나 되는지? 주로 많이 들고 다니는 편은 아니지만 종종 종이백 제일 큰 것을 들고 간다.
여가생활 1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나요? 집에 매일 사는 것이 아니라 따로 살기 때문에 밀린 집안일을 주로 한다. 친구들이나 남자친구를 만나서 논다. 남자친구를 더 많이 만난다.
1-2 업무 시간 외에 평일, 주말엔 각각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가요? 흥미가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 요즘은 요리 배우는 활동을 하고 싶다.
2 일주일에 여가 생활을 즐기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독서 등 혼자 여가 생활을 즐길 때는 하루에 3시간 정도. 친구들과 놀 때는 좀 더 오래 있는다. 일주 일에 1-2번정도인 것 같다.
2-1. 보통 어디에서 누구와 즐기나요? 밤에 혼자 즐기거나 쉬는 날 남자친구와 즐긴다.
2-2. 여가 생활을 잘 못한다면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회사가 외진 곳에 있어서 교통이 불편하다.
App 2 지하철에서 많이 사용하는 어플이 있나요? 페북과 게임(세븐나이츠)
2-1. 어떤 이유로 사용하시나요? 시간 떼우기 용으로 사용하고, 게임은 남자친구랑 같이 하기 위해 한다.
3 sns나 인터넷 서핑을 통해 가보고 싶은 곳을 발견하면 주로 어떻게 행동하나요? 캡쳐를 할 때도 있고 외운 다음 바로 남자친구에게 공유할 때도 있다. 보통 외워두고 공유했 을 경우 약속을 잡는 경우가 많다.
기타 1. 평소 여행/관광 어플이나 웹사이트를 이용하시나요? 페이스북 여행 홈페이지를 본다. 고속버스 모바일을 이용한다.
1-1. 쓰지 않으신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람들이 있는지 잘 모른다. 가고 싶은 곳이 생겼을 때, 검색하거나 블로그를 본다. 그때그때 찾아서 가는 편이다.
Online Servey
시행 기간: 2016.4.05~4.07 참여 인원: 15명 응답 총 문항 수: 10 문항
69
70
나이
성별
직업
23
남
설계사무소 직원
24
여
디자이너
24
남
군인
24
여
디자이너
24
여
편집 디자이너
25
여
영양사
25
여
알바생
25
여
연구원
26
남
프리랜서
26
여
전문직
27
남
디자이너
28
남
디자이너
28
여
조교
29
남
취준생
29
남
사무직
- 앉고싶다는 생각을 많이하며 스마트폰을 많이 봄 - 주로 출근 9시 퇴근 6시 - 주로 받는 업무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은 술, 음식, 대화, 운동 게임 등이 있음 - 평일에는 주로 집에서 휴식(티비, 수면, 스마트폰, 독서 등), 운동이였으며 주말에는 주로 데 이트와 지인들을 만남
- 하지 못하지만 하고싶은 여가활동으로는 여행, 운동하기, 데이트등이였으며 기타 취미생활, 공부, 전시회 등이 있었음
- 여가생활을 즐기는 곳은 주로 카페, 술집, 맛집이였으며 그외에 집, 영화관, 피시방 등이 있었음 - 여가생활을 못하는 이유는 시간이 없는 것이 가장 큰 이유
Insight
출퇴근 시간이 바뀌는 스케줄 근무 자신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시간대를 설정이 하나 이상 가능해야 하고 그 시간대를 고려한 추천 서비스가 되어야 함 사무직의 직장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하루 중 앉아있는 시간이 많아 건강을 위해 취미 활동으로 운동과 관련된 활동을 주로 함 직장과 직장 사이 장소 소개 퇴근 후 친구와 약속을 잡을 때 서로의 직장 사이에서 만날 장소를 추천해주는 것도 좋을 듯 주변에 놀만한 곳이 없다고 생각 집 주변이나 회사 주변, 가는 길에 대해 잘 모르고, 모르는 것을 놀만한 곳이 없다고 생각함 색다른 알림 생각해보기 일반 알림보다는 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일으킬만한 색다른 알림은 어떨까?
ex: 감성적이거나 자극적인 코멘트
광고 같지 않은 알림 생각해보기 어떤 스타일의 문체와 정보를 주어야 사람들이 광고가 아닌 정말 필요한 정보라고 생각할지 고민해 봐야함
알림을 받는 요일을 생각해보기 월요일이나 야근이 많은 날처럼 놀기 부담스러운 날 받는 알림보다 놀기 편한날이 다가오는 때에 받 는 알림이 더 좋지 않을까 71
Interview Pattern
Define 72
WEEK6
Affinity diagram
WEEK7
Persona
Persona’s journey map WEEK8
중간발표+Strategy 73
Affinity diagram
74
Week 6
75
Persona
76
주 퍼소나
Week 7
부 퍼소나
77
Persona Persona's journey map
78
79
80
81
중간발표
82
중간발표 PPT
Week 8
목차
83
서비스 컨셉
타겟층 리서치
경쟁사 조사_APP, WEB
84
경쟁사 조사 인사이트
서비스 가상 체험
85
지하철 관찰
사용자 인터뷰
86
사용자 인터뷰 인사이트
사용자의 목소리로 정리 및 기록
87
퍼소나
퍼소나 저니맵
88
전략
89
Develop 90
WEEK9-10
HMWs / Ideation
WEEK11
Framework sketch
91
HMWs / Ideation
92
Week 9-10
수업시간
HMWs 모음
어떻게 하면
어떻게 하면 선택한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장소를 쉽게 기억하고
비콘 알람이
장소를 정확하게
찾게 할 수 있을까?
스팸처럼 보이지
찾을 수 있을까?
않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어떻게 하면
추천받은 장소를
선호하는 장소를
회사 주변일 때
실제로 도전하게
친구들에게 효과적으로
거부감/스트레스를
할 수 있을까?
공유(연결) 해줄 수
줄여줄 수 있을까?
있을까?
Ideation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장소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을까?
93
어떻게 하면 선택한 장소를 쉽게 기억하고 찾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비콘 알람이 스팸처럼 보이지 않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추천받은 장소를 실제로 도전하게 할 수 있을까?
94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소를 친구들에게 효과적으로 공유(연결) 해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회사 주변일 때 거부감/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을까?
비콘 이용 서비스
95
투표
Framework sketch
96
Week 11
Ideation & Framework Idea
필터설정 ▼ 알림
▼
Framework Idea sketch
장소기록
97
▼ 장소공유
▼ 나들이 계획
▼ 체험후기
UX Principle 각각의 장소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B 폴더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를 개인별로 맞춤 분류
98
(폴더 선택시)
장소 정리를 위한 폴더 기능,
선택한 폴더 내 장소 진열, 장소를 누르면
안 가본 곳과 가본 곳 폴더 하단에 고정
장소에 대한 부가적인 기능이 나옴
UX Principle UX Principle 사용자가 여행을 떠날 때 쉽게 떠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D 날씨 정보와 장소에 대한 정보, 후기, 팁을 제공
상단에 날씨정보 제공
시안1
시안2
상세 정보창에 예약하기
상세 정보창 상단에 역 관련 아이콘 안내
기능으로 비콘 결제 기능
지도보기와 길찾기 기능으로 장소에 대한 길 안내
UX Principle 사용자의 여행 일정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F 사용자와 상대방이 잡은 일정을 보여주기
99
시안1
시안2
마이페이지 메뉴 내에
약속잡은 구체적인 날짜 캘린더로 팝업 안내
약속잡은 구체적인 날짜 D-day 안내
UX Principle 알람을 못봐도 지난 알람을 확인 할 수 있어야한다. G 지난 알람을 모아서 보여주기
시안1 오늘의 알람이 아닌 지난 알람을 타임라인 형식으로 확인
UX Principle 광고성 알람처럼 보이지 말아야한다 H 친구같은 친근한 알람을 제공
100
-알람을 사용자에게 말을 거는 듯이 알림 -지난 알람과 다른 페이지로 오늘의 알람 안내 -상단에 사용자의 알람 설정 기능
UX Principle 함께 가고싶은 장소를 지인들에게 쉽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I SNS를 연동하여 상대방에게 장소를 공유
친구 리스트 중 즐겨찾는 친구 상단에 고정 친구 선택 시 친구와 약속 잡는 기능 안내
마이페이지 내에 친구가 추천한 장소 알람 기능
UX Principle 어플을 지속적으로 사용할만한 재미요소가 있어야한다 J 친구간의 모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로의 친밀도 제공
101
추천한 장소에 대해 호감도 체크 후
친구와 쌓인 데이터를 토대로
결과 확인 가능
친밀도 정보제공
Define 102
WEEK12
Key screen 1
WEEK13
Key screen 2
103
Key screen 1
104
Menu structure
IA
Week 12
Home 1
특징
- 화면을 크게 써서 각각의 알람에 집중도를 높임
- 화면에 바로 드러난 후기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를 끌어낼 수 있음
좌우 swype - 세로로 긴 카드형식 - 카드를 누르면 장소 상세정보 창으로 이동
105
- 큰 이미지를 중심으로 보여줌 - 후기를 바로 볼 수 있도록 카드 형태로 제시 - 퍼소나 보이스 광고성 글이 아닌 장소를 다녀온 사람들의 후기를 보고 싶다(홍다정)
Home 2 - 도착 역과 날씨 정보 제공 - 오늘의 지하철 여행 장소 알람 장소 터치 시 상세한 장소 창으로 연결
특징
- 핀하기와 저장하기가 하단에 고정되어 장소 선택 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함
- 자신이 선택한 필터에 맞는 장소 추천을 보여줌
Home 3 - +플러스 버튼을 누르면 각각의 알람카드에 설명 캡션이 나타남
-카드를 한 스크린에 정리하여 한번에 보기 쉽게 함
설명 캡션이 뜨지 않을 시 카드가
106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짐
특징
- 한 스크린에 작은 카드형식으로 정리하여 한눈에 쉽게 알람을 모아서 볼 수 있음
Home 4 오늘 추천 받은 지하철 여행 장소 알람 정보
나에게 추천해준 알람과 관련된 장소나 같이 가면 좋을 곳을 추천
특징
- 추천 받은 장소와 관련되거나 어울리는 장소를 추가로 알 수 있음 - 아래 스크롤 시 오늘의 추천 장소 가 줄어들어 하단의 컨텐츠를 더 많이 보여질 수 있게 함
Drawer 1-1 자신이 선택한 필터와 앱 내에서 습득한 뺏지를 보여줌 검색을 통해 장소와 친구를 찾을 수 있음
최근 다녀온 곳에 대한 정보 안내
107
특징
- 추천받은 장소에 가면 자동으로 체크인 되어 최근 다녀온 장소를 보기 편리함
Drawer 1-2
친구가 가지고 있는 배지를 통해 친구의 취향을 알 수 있음
“같이가요” 버튼을 누르면 연동된 SNS채널을 이용하여(ex:카카오톡) 친구에게 나들이장소 정보를 전달하고 함께 가자는 메세지를 남길 수 있음
특징
- 친구들의 취향을 파악하여 함께 나들이를 가자고 연락을 취할 수 있음 - 배지를 프로필에 공개하여 배지 획득 욕구를 향상시킴 - 퍼소나 보이스_"sns 활동을 활발히 한다"(홍다정)
Drawer 1-2 -사용자의 주 배지와 총 여행한 횟수를 볼 수 있음
날짜가 제한되어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 안내
108
ex: 전시회, 축제 등… 퍼소나 보이스_꼼꼼하고 다이어리를 기록하는 습관이 있다 (이재영)
특징
- 사용자가 놓칠 수 있는 날짜가 제한된 여행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 사용자의 여행 계획을 도와줌
Spot 1-1
- 앱에서 선정한 테마에 대한 안내 테마에 대한 사진으로 첫 화면 보여줌 터치 시 구체적인 역과 장소가 나옴
- 사용자가 다녀온 곳을 기반으로 좋아할 만한 장소 추천
특징
- 실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추천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우면서 만족스러운 장소를 추천할 수 있음 - 테마 여행에 대한 정보로 다양한 역에 대한 테마를 볼 수 있음
Spot 1-2
-테마 여행의 구체적인 역과 테마 장소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9
특징
- 다양한 역의 테마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사용자가 선택할 지하철 노선을 고려할 수 있게 도와줌
Spot 1-3 해당 역의 정보를 보여줌 역내에 있는 시설과 개수를 아이콘으로 보여줌 역과 관련된 이야기들과 역에서 꼭 해봐야 할 것에 대한 간단한 안내
역 주변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아간 장소 상위 3개를 보여줌
특징
- 역에 대한 시설 정보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줌 - 역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로 소소한 재미 요소를 제공
Filter 1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필터 110
특징
- 카드 형식으로 이루어져 카드 형식인 홈 화면과 조화롭게 보이게 함 - 장소에 대한 분류가 아닌 자신의 기분이나 원하는 분위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해 추천 받을 장소에 대한 호기심을 일으킴
Filter 2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장소 분류에 대한 필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필터
특징
- 자신의 기분과 가고 싶은 장소를 구체적으로 선택해 자신이 원하는 곳을 정확히 추천 받을 수 있음
Alarm 1 친구가 추천해준 장소에 대한 알람 메세지
특정 날짜에 대한 알람을 다시 보여줌 111
최근에 받은 알람 모아보기
특징
- 친구가 나와 같이 가고 싶은 장소를 볼 수 있게 하고, ‘상세 장소 보기’버튼으로 장소 선택 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
- 다양한 알람에 대한 정보를 화면 내에서 분리하여 제공함 - 친구의 사진과 장소 사진 자신의 사진, 간단한 메세지로 ‘같이’ 라는 느낌 확대
Alarm 2
- 친구가 나와 같이 가고 싶은 장소를 한 눈에 둘러볼 수 있게 하고, ‘상세 장소 보기’버튼이 있어 장소를 선택 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
특징
- 친구가 나와 같이 가고 싶은 장소를 한 눈에 둘러볼 수 있게 하고, ‘상세 장소 보기’버튼이 있어 장소를 선택 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
Alarm 2
특정 날짜에 대한 알람을 다시 보여줌 장소에 대한 사진과 장소 이름 제공
112
최근에 받은 알람 모아보기 장소에 대한 간단한 정보
특징
- 특정 날짜에 대한 알람과 최근에 받은 알람을 분리하여 제공함
Alarm 3 알람을 작은 카드형태로 보여줌 상단에는 미리보기 사진과 하단에는 간단한 설명을 넣는다.
날짜 순으로 지난 알람들을 보여줌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