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F 2018 ART SEOUL Catalog

Page 1


4 개회사 OPENING REMARKS

6 인사말 GREETINGS

34 섹터

8 축사

SECTOR

CONGR ATULATIONS

36 갤러리

14 화보 프롤로그

PROLO GUE

26 참가화랑 색인

GALLERY INDEX

32 플로어플랜

KIAF 2018 ART SEOUL 도록저작권 © 2018 한국국제아트페어 이 도록은 어떠한 경우에도 저작권자의 서면 허락 없이 전체로나 부분적으로나 복사, 복제 또는 어떠한 형태로든 이용될 수 없습니다. 발행 발행인 기획·편집 디자인

(사)한국화랑협회 (사)한국화랑협회장 이화익 (주)월간미술 studio fnt

Copyright for Catalog © KIAF 2018 ART SEOUL Copyright for works of arts by KIAF 2018 ART SEOUL publisher Published by Publisher Production Design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Hwaik Lee Monthly Art Publications, Inc. studio fnt

본 도록 내지는 한솔제지 뉴백상지 100g 용지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FLO OR PL AN

GALLER Y

354 하이라이 트

HIGHLI

GHT

370 솔로 프로 젝

SOLO P

ROJECT

ARTIST INDEX

SPECIA L E XHIBI TION

4 40 조직도

400 컨버세이

ORGANIZ ATION

RSATIO

INTERVIEW

428 참여작가 색인

390 특별전

CO N V E

408 인터뷰

N

4 42 화랑협회 연혁

HISTORY OF GALLERIES A SSO CIATION OF KORE A


OPENING REMARKS

개회사

KIAF 2018 ART SEOUL Organizing Committee Chairman

I welcome all art fans and interested parties visiting KIAF 2018 ART SEOUL in autumn, the season of clear skies and abundance, and the best season for enjoyment for art.

KIAF 2018 ART SEOUL 조직위원장

Bahk Byongwon

Having started in 2002 and celebrating its 17th year this year, KIAF ART SEOUL has done a great deal to introduce Korean art to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It has also invited numerous foreign galleries to present a variety of foreign works in Korea. We can now proudly say that KIAF ART SEOUL is one of Northeast Asia’s major art fairs.

박병원

I would like to ask the visitors to take notice of the foreign, high–profile galleries that are showing work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rough KIAF 2018 ART SEOUL. The increasing interest of the international art world in Korean art is a very welcome development. This is a result of efforts by established galleries, as well as newer galleries, to make Korean art known. They have worked hard together for years and are now exploring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KIAF ART SEOUL will continue to serve as an international arena of exchange in art. As seen in our special exhibition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Gwangju Biennale, we will collaborate with various art events like the Art Week, Gallery Weekend Korea, and the Busan Biennale, all open during KIAF 2018 ART SEOUL, so that we can be Korea’s largest art festival and market that attracts more artists and art fans. My sincere appreciation goes to all who showed such unwavering support for KIAF 2018 ART SEOUL including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rts Council Korea, the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and joint organizers SBS and COEX as well as the many corporate sponsors and partners and the KIAF ART SEOUL Organizing and Operating Committee members. We will continue to strive to make KIAF ART SEOUL even more exciting and attractive for art lovers the world over.

맑고 풍요로운 등화가친의 계절 가을에 KIAF 2018 ART SEOUL을 찾아주신 미술애호가 여러분과 모든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02년 시작, 올해로 17회를 맞이하는 KIAF ART SEOUL은 외국 화랑을 적극 참여시켜 다양한 해외 작품을 국내에 소개하는 동시에, 글로벌 아트마켓에 한국미술을 알리는 역할을 다해 왔습니다. 그 결과 이제는 동북아의 주요한 아트페어로 자리매김하였다고 자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올해에도 한국 미술시장에 처음 진출하는 수준 높은 해외 갤러리들을 눈여겨보아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미술시장에 대한 세계미술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며, 이는 우리 미술시장과 역사를 함께 해 온 원로 화랑과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젊은 화랑이 어우러져 한국미술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하겠습니다. KIAF ART SEOUL은 앞으로도 세계적인 미술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광주비엔날레를 비롯하여 KIAF 기간에 맞춰 열리는 미술주간, 코리아 갤러리 위켄드, 부산비엔날레와 같은 다양한 미술행사들과 협력하여 더 많은 미술인과 애호가가 자리를 함께하는 국내 최대의 미술축제이자 아트마켓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변함없는 애정으로 2018 한국국제아트페어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애써주신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민체육진흥공단과 공동주최사 SBS와 COEX를 비롯하여 여러 기업 후원사 및 협찬사, 함께 하신 조직위원, 운영위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도 KIAF ART SEOUL을 더욱 세련된 아트페어, 미술 애호가들이 더욱 오고 싶은 아트페어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KIAF 2018 ART SEOUL 조직위원장 박병원

KIAF 2018 ART SEOUL Organizing Committee Chairman Bahk Byongwon

4

5


GREETINGS

Chairman of KIAF 2018 ART SEOUL Operating Committee Lee Hwaik

인사말

Korea’s representative art fair,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KIAF) 2018 ART SEOUL, will be held at COEX from October 4 to October 7. This year marks KIAF’s 17th edition, and since its inauguration in 2002, KIAF has highlighted a wide range of talented artists, galleries, and collectors. This event has served as the foundation of Korea’s contemporary art market and contributed tremendously to introducing Korean art to the world. Moreover, KIAF invites collectors and museum representatives from abroad to showcase the excellence of Korean art. KIAF also plays a major role in helping Korean art firmly establish itself in the rapidly expanding global art market by assisting the entry of Korean artists and Korean art onto the international stage. Beginning with the opening ceremony on October 3, KIAF 2018 ART SEOUL will remain open from October 4 through October 7. With 174 participating galleries from 14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year’s KIAF will surpass its previous exhibitions in terms of quality. In particular, the participation of the world’s leading galleries that drive the global art market demonstrates that interest in Korean art has continued to grow. KIAF aims to respond to this increased attention by focusing more on introducing artists and artworks presented by the exhibiting galleries. Please join us in appreciating the sophisticated exhibitions of major galleries from 14 different countries. KIAF 2018 ART SEOUL will present a special exhibition prepared in conjunction with the Gwangju Biennale, an internationally renowned art event, along with a number of discourses on a wide range of topics. Biennales, Korea Art Week, Gallery Weekend Korea and various other art festivals open to the public will also be held during the same period as KIAF. We hope these associated events will meet the demand of the general public’s heightened interest in art, and expect them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art world and the growth of the Korean art market. We would also like to ask that the Korean government keep pace through endeavors to invigorate the Korean art market, including support for galleries and artists, and more opportunities for their entry into the global art world. The art community will also do its utmost to align itself with the new administration’s directions.

KIAF 2018 ART SEOUL 운영위원장 이화익

한국의 대표적인 아트페어인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2018 ART SEOUL이 10월 4일부터 7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됩니다. 2002년에 문을 열어 올해로 17회째 이어오는 KIAF는 그동안 무수한 잠재력이 있는 작가, 화랑, 컬렉터들을 배출하였습니다. 이는 오늘날 한국 미술 시장의 초석이 되었으며, 세계 속 한국 미술을 알리는데 크게 이바지 하였습니다. 또한 해외 컬렉터 및 미술관 관계자들을 초대하여 한국 미술의 우수성을 소개하고, 우리 작가, 우리 미술의 해외 진출을 도와 급격히 팽창하고 있는 글로벌 미술시장에서 한국미술이 크게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10월 3일 개막을 시작으로 4일부터 7일까지 펼쳐질 KIAF 2018 ART SEOUL은 전 세계 14개국 174개 갤러리의 참여로 그 어느 해보다 수준 높은 전시가 펼쳐질 예정입니다. 특히 세계 미술 시장을 주도하는 리딩 갤러리들의 참여로 한국 미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느낍니다. 이에 KIAF는 참가 갤러리들의 작품과 작가의 소개에 더욱 집중하여 높아진 관심에 답하고자 합니다. 14개국 주요 갤러리들의 수준 높은 전시를 눈여겨 봐주시기 바랍니다. KIAF 2018 ART SEOUL은 세계적인 미술행사인 광주비엔날레와 협업하여 준비한 특별전을 선보이며 다양한 주제의 컨버세이션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같은 기간에는 비엔날레, 미술주간, 코리아 갤러리 위켄드 (Gallery Weekend Korea) 등 온 국민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미술축제도 펼쳐집니다. 일반 대중들의 미술에 대한 높아진 관심에 부응하며 이를 통해 미술의 저변 확대와 한국 미술 시장의 성장을 기대합니다. 이에 발맞추어 우리 정부도 화랑과 작가들의 지원, 해외진출 기회 확대 등 한국 미술 시장의 활성화에 애써주시기 바랍니다. 새 정부의 기조에 맞추기 위해 우리 미술계도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KIAF 2018 ART SEOUL을 아껴주신 미술관계자 및 후원기관, 기업 및 갤러리 여러분의 변함없는 관심과 뜨거운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미술애호가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관심도 함께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우리 KIAF는 기대에 부응하는 국제 아트페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KIAF 2018 ART SEOUL 운영위원장 이화익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ask the art representatives, sponsors, partner companies, and galleries for your unwavering interest and enthusiastic support for KIAF 2018 ART SEOUL. Art lovers, we also ask for your continued enthusiasm. KIAF will continue to strive to be an international art fair that meets all the expectations of our exhibitors and the public.

Chairman of KIAF 2018 ART SEOUL Operating Committee Lee Hwaik

6

7


CONGRATULATION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o Jonghwan

축사

I wholeheartedly congratulate the organizers on the opening of 〈KIAF 2018 ART SEOUL〉. Celebrating its 17th anniversary, Korean International Art Fair (KIAF ART SEOUL) is Korea’s largest art market. It is a grand meeting of leading galleries, artists, and art fans from both home and abroad in one place every year. It is an arena of communication where visitors can catch up with the trends of contemporary art and build an international network. This year sees Gallery Weekend Korea held concurrently, adding to the ambience of an international festival. KIAF 2018 ART SEOUL is more significant in that it is held during Korea’s Art Week (October 2 to 14, 2018), arranged to encourage both the art world and the general public to enjoy art in everyday life. KIAF ART SEOUL will help to promote the public’s interest in comtemporary art to a degree that more of them enjoy and own such artworks. As KIAF 2018 ART SEOUL features a special exhib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Gwangju Biennale, I hope that KIAF ART SEOUL will become an even richer program through collaboration with biennales and art museums across the nation. Thanks to the hard work of art galleries that discover promising domestic artists and introduce them overseas, Korean art is garnering ever greater interest in the international art world. For its part, the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mid– and long–term art promotion plans (2018–2022) concerning art for men. The government will do its best to ensure that all contracts are fair and are truly in the interests of the general public and artists, and create a virtuous cycle of mutual benefit for all in the art world.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gratitude to the KIAF ART SEOUL Organizing Committee,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and the participating galleries and artists from home and abroad. Last but not least, I would like to ask for continued support for KIAF ART SEOUL, a festival that brings us all joy through art.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도종환

올해로 17회째를 맞이하는 한국국제아트페어는 매해 명성 높은 국내외 화랑과 작가, 미술애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술장터입니다. 현대미술의 흐름을 파악하고 세계적 관계망(네트워크)을 쌓을 수 있는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올해는 ‘코리아 갤러리 위켄드’도 같은 기간에 진행되어 국제적인 축제 분위기를 더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미술계와 일반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미술을 즐기며 함께하는 ‘미술주간(2018. 10. 2.~10. 14.)’에 개최되어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한국국제아트페어를 계기로 현대미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자라나고 미술을 향유하고 소장하는 문화가 확산될 수 있을 것입니다. 광주비엔날레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특별전을 포함하여 전국의 비엔날레, 미술관과의 연계를 통해 한국국제아트페어가 더 풍성한 행사로 발전하기를 기원합니다. 잠재력 있는 국내 작가를 발굴하고 그들의 해외 진출을 돕는 화랑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세계 속 한국미술의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최근에 ‘사람이 있는 문화’를 기조로 「미술진흥 중장기계획(2018~2022)」 을 발표하였습니다. 공정한 계약문화로 사람이 중심이 되는, 선순환의 미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행사를 준비해주신 한국국제아트페어 조직위원회와 한국화랑협회 임직원 여러분, 그리고 함께해주신 국내외 화랑 관계자 및 작가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미술로 행복한 축제의 한마당, 한국국제아트페어에 앞으로도 많은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2018. 10. 3.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도종환

October 3, 201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o Jonghwan

8

9




국제 아트페어의 시작,

KIAF

2002년 9월 3일, KIAF는 부산 벡스코에서 ‘동방의 빛’을 주제로 첫 문을 열며 국제 아트페어 의 시작을 알렸다. 참여 국가 수 8개, 화랑수 100개, 관람객 2만 1천여 명, 집계 판매액 8억 원의 소소한 출발이었다. 이후 2회부 터는 서울 코엑스로 무대 를 옮겼 다 . 규모와 질적 성장은 꾸준히 증가 하여 6회 만에 갤러리 수는 약 2배인 208개, 판매액은 약 22배인 175억 원으로 껑충 뛰었다. 페어는 작품을 사고 파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KIA F는 매년 국제 특별전과 심포지엄, 포럼 등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미술 애호가와 관람객에게 호응을 얻었 고, 흥미로운 미술 축제로 자리 잡기 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 다. 국내 최대 아트페어로서 그 영향 력을 입증하며 작년 관람객 수 5만 4천여 명, 집계 판매액 약 270억 원의 성과를 올렸다. KIAF는 가장 큰 국제 아트페어이자 미술 축제 다 .그 현장은 17회를 맞은 올해 에도 어김없이 찾아온다 .


SEOUL, CO E X

매년 KIAF A RT SEOUL이 열리는 코엑 전경. 교통과 스의 비즈니스 인 프 라의 중심지 강남에 위치 인 하며 국제 전 시 및 회의가 개최되는 한 국 최대의 종 합전시관이다 .

16


KIAF ART S

EOUL

KIAF 2017 AR T SEOUL 전경 . 신설 프로그램인, ‘Highlight’와 ‘So lo Project’ 섹터를 선보여 기획력 있는 행 사 로 발돋움했으며 전시 가벽 높이 를 0. 6m 증가하여 편안 한 관람 환경을 조성했다.

18

19


ART FAI

R GALLE

RY


T SEOUL KIAF 2015 AR rs Exhibito

KIAF 2015 AR T SEOUL, Bahk

22

Seonghi, ‘An

Aggregate’ se

ries


GALLERY SECTOR

갤러리 섹터에 서는 글로벌 메 이저 작가들의 작품부터, 아시 아 중견작가 및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을 반 영하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소개 된다. KIAF 2017 AR T SEOUL, Han Youngwook, ‘Face’ series


GALLERY INDEX

참가화랑 색인 BY ALPHABET Gallery List 123 10 CHANCERY LANE GALLERY Hong Kong 182 ARTSPACE Tainan 2448 MOON FINE ARTS 2448문파인아츠 Seoul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Seoul A AKI GALLERY Taipei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Cheonan, Seoul,

Booth

A44 S06 A57 A55

Page

38 372 40 42

A36 A50

44 46

B55 A62 A43 A38 B29 B64 B68 B60 B14

48 50 52 54 56 58 60 62 64

ARTE ALTO Medellin ARTSIDE GALLERY 아트사이드 갤러리 Seoul ASIA SCENE ART CENTER Beijing, Zell a.H ATELIER AKI 아뜰리에 아키 Seoul

B44 A79 A67 B30

66 68 70 72

B BAIKSONG GALLERY 백송갤러리 Seoul BODE GALERIE Nuremberg, Daegu BON GALLERY 본화랑 Seoul BONGSUNG GALLERY 봉성 갤러리 Daegu BRUGIER-RIGAIL GALERIE Paris BRUNO ART GROUP Tel Aviv

A34 B26 B06 A58 A77 B53

74 76 78 80 82 84

Shanghai

ART COLLECTION NAKANO Nagoya ART FACTORY 아트팩토리 Seoul ART OF THE WORLD GALLERY Texas ART PARK 아트파크 Seoul Art SoHyang 아트소향 Busan ART SPACE 3 아트스페이스 3 Seoul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Seoul ART SPACE J 아트스페이스 제이 Seongnam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Seoul

C CHOI & LAGER GALLERY Cologne, Seoul CHOSUN ART GALLERY 조선화랑 Seoul CHUNG ART GALLERY 청화랑 Seoul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Seoul CMAY GALLERY Los Angeles COSMOS GALLERY 코스모스갤러리 Incheon D DADO ART GALLERY 다도화랑 Seoul DAVID ZWIRNER Hong Kong DAVIS KLEMM GALLERY Wiesbaden DER-HORNG ART GALLERY Tainan DIE GALERIE Frankfurt am Main DONGHO GALLERY 동호갤러리 Seoul DONGSANBANG GALLERY 동산방화랑 Seoul DONGSOONG GALLERY 동숭갤러리 Seoul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Daegu DURU ARTSPACE 두루아트스페이스 Seoul E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Seoul EAST GALLERY Taipei F FLOWERS GALLERY London, New York FRANÇOISE LIVINEC Paris

26

HLT07 B22 B56 A41 A80 B72

A35 A13 B13 A64 A51 B65 A31 A70 B70 HLT02

B58 S05

A01 A76

356 86 88 90 92 94

96 98 100 102 104 106 108 110 112 358

114 374

116 118

G g·gallery 지갤러리 Seoul GALERIA LGM Bogota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Seoul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Seoul GALERIE NARDONE Bruxelles GALLERY 2 갤러리2 Seoul GALLERY 41 갤러리41 Seoul GALLERY A–CUBE Seoul, Tokyo GALLERY APPLE 갤러리애플 Jeonju, Seoul GALLERY ART COMPOSITION Tokyo GALLERY ARTPARK KARLSRUHE Karlsruhe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Yangsan GALLERY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Seoul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Seoul GALLERY BUNDO 갤러리분도 Daegu GALLERY CHOSUN 갤러리조선 Seoul GALLERY DATE 갤러리데이트 Busan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Seoul GALLERY DREAM 갤러리드림 Seongnam GALLERY EDEL Osaka GALLERY FINE 갤러리화인 Busan GALLERY FOCUS 갤러리포커스 Seoul, Paju GALLERY GABI 갤러리가비 Seoul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Seoul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Seoul GALLERY IMAZOO 갤러리이마주 Seoul GALLERY JARI ART 갤러리자리아트 Gwangju GALLERY JEON 갤러리전 Daegu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Seoul GALLERY J-ONE 갤러리제이원 Daegu GALLERY JOY 갤러리조이 Busan GALLERY JUNG 갤러리정 Seoul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Seoul GALLERY KICHE 갤러리기체 Seoul GALLERY MAC 맥화랑 Busan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Seoul GALLERY MARE 갤러리마레 Busan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Seoul GALLERY MEE 갤러리미 Seoul GALLERY MIROONAMU 갤러리미루나무 Yeongcheon GALLERY MIZ 갤러리미즈 Seoul GALLERY NOW 갤러리나우 Seoul GALLERY PAKYOUNG 갤러리박영 Paju GALLERY PLANET 갤러리플래닛 Seoul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Seoul GALLERY SEJUL 갤러리세줄 Seoul GALLERY SEOJONG 갤러리서종 Yangpyeong GALLERY SESOM 갤러리세솜 Changwon GALLERY SHILLA 갤러리 신라 Daegu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Seoul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A23 A69 A30 A45 B50 HLT06 B21 B38 B17 HLT04 A08 B69 A65 B42 A11 A12 HLT05 A33 B09 B07 A82 A73 A83 A19 A52 B59 A72 A18 B37 B49 A04 A32 A37 B25 B43 B12 A68 B57 B40 B11 A84 B67 A74 S03 B01 B63 A26 B24 HLT01 B16 A56

120 122 124 126 128 360 130 132 134 362 136 138 140 142 144 146 364 148 150 152 154 156 158 160 162 164 166 168 170 172 174 176 178 180 182 184 186 188 190 192 194 196 198 376 200 202 204 206 366 208 210

S07 A81 B62 B39 A40 A54 A48 A53 A05

378 212 214 216 218 220 222 224 226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Daegu

GALLERY SOSO 갤러리 소소 Paju GALLERY SP 갤러리에스피 Seoul GALLERY SU: 갤러리 수 Seoul GALLERY TOMURA Tokyo GALLERY TSUBAKI Tokyo GALLERY YEH 예화랑 Seoul GALLERY YOON 갤러리윤 Seoul GANA ART GALLERY 가나아트갤러리 Seoul GINZA GALLERY G2 Tokyo H HAKGOJAE GALLERY 학고재 Seoul HANA ART GALLERY 하나아트갤러리 Seoul HITSUJI-GARO Niigata

B19 B04 A59

228 230 232

I IGONG GALLERY 이공갤러리 Daejeon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Seoul

A24 A16

234 236

J J.P. ART CENTER Kaohsiung JEAN GALLERY 진화랑 Seoul JJ JOONG JUNG GALLERY JJ중정갤러리 Seoul JOHYUN GALLERY 조현화랑 Busan, Seoul JOONGANG GALLERY 중앙갤러리 Daegu JULIANA GALLERY 쥴리아나갤러리 Seoul

S04 B61 A28 B20 S08 A14

380 238 240 242 382 244

K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Seoul KIMHYUNJOO GALLERY 김현주갤러리 Seoul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Seoul KWANHOON GALLERY 관훈갤러리 Seoul

B47 S09 A27 S02

246 384 248 386

L LEE & BAE 갤러리이배 Busan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Seoul, Daegu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Seoul LEESEOUL GALLERY 리서울갤러리 Seoul

B03 A17 A22 B66

250 252 254 256

M MASAN ART CENTER 마산아트센터 Changwon MASSIMO DE CARLO Hong Kong MIZUIRO WORKSHOP Tainan MOIN GALLERY 모인화랑 Seoul MOOKJI ART COLLABORATION Shanghai MORI YU GALLERY Kyoto MYUNG GALLERY 명갤러리 Seoul

B54 A39 A63 B36 B10 A60 B71

258 260 262 264 266 268 270

N NA GALLERY 나화랑 Seoul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Gwangju

B08 A21

272 274

O O-WON GALLERY 오원화랑 Daejeon OPERA GALLERY SEOUL Seoul OVER THE INFLUENCE Hong Kong

B05 A15 A07

280 276 278

P PACE GALLERY New York PARK RYUSOOK GALLERY 박여숙화랑 Seoul PERROTIN Paris, Hong Kong, New York, Seoul,

A29 A49 A09

282 284 286

A06

288

PICASSO GALLERY 피카소화랑 Busan PIGMENT GALLERY Barcelona PINK GALLERY 핑크갤러리 Seoul PKM GALLERY PKM갤러리 Seoul PUERTA ROJA Hong Kong PURDY HICKS GALLERY London PYO GALLERY 표갤러리 Seoul

B73 B23 B32 B33 A42 A75 B46

290 292 294 296 298 300 302

R RHO GALLERY 노화랑 Seoul ROW GALLERY 라우갤러리 Gyeongju

B34 B02

304 306

S SASHA D ESPACIO DE ARTE Córdoba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Jeonju SIMYO GALLERY 심여화랑 Seoul SM FINE ART GALLERY New York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Seoul

B45 A71 B15 A46 B28

308 310 312 314 316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Seoul SOUL ART SPACE 소울아트스페이스 Busan STANDING PINE Nagoya STOA GALLERY Malaga SUN GALLERY 선화랑 Seoul

A03 A78 HLT03 A61 B51

318 320 368 322 324

T THE COLUMNS GALLERY 더컬럼스갤러리 Seoul THE PAGE GALLERY 더페이지갤러리 Seoul TOPOHAUS 토포하우스 Seoul

B18 B35 A20

326 328 330

U UM GALLERY 유엠갤러리 Seoul URBAN ART 어반아트 Seoul

B52 S01

332 388

V VIT GALLERY 빛갤러리 Seoul

B48

334

W WALTER BISCHOFF GALERIE Zell a.H WAS GALLERY Shanghai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Seoul WHITESTONE GALLERY Hong Kong, Tokyo, Taipei WOONG GALLERY 웅갤러리 Seoul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Daegu

A02 B31 A85 B41 A47 A66

336 338 340 342 344 346

Y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Seoul YESONG GALLERY 예송갤러리 Daegu YOSHIAKI INOUE GALLERY Osaka

B27 A10 A25

348 350 352

Tokyo, Shanghai

PHOSPHORUS & CARBON GALLERY 피앤씨갤러리 Daegu

27


GALLERY INDEX

참가화랑 색인 BY BOOTH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Gallery List

Booth

Page

HALL A FLOWERS GALLERY London, New York WALTER BISCHOFF GALERIE Zell a.H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Seoul GALLERY JOY 갤러리조이 Busan GINZA GALLERY G2 Tokyo PHOSPHORUS & CARBON GALLERY

A01 A02 A03 A04 A05 A06

116 336 318 174 226 288

A07 A08 A09

278 136 286

A10 A11 A12 A13 A14 A15 A16 A17 A18 A19 A20 A21 A22 A23 A24 A25 A26 A27 A28 A29 A30 A31 A32 A33 A34 A35 A36 A37 A38 A39 A40 A41 A42 A43 A44 A45 A46 A47 A48 A49 A50

350 144 146 98 244 276 236 252 168 160 330 274 254 120 234 352 204 248 240 282 124 108 176 148 74 96 44 178 54 260 218 90 298 52 38 126 314 344 222 284 46

A51 A52 A53 A54 A55

104 162 224 220 42

피앤씨갤러리 Daegu

OVER THE INFLUENCE Hong Kong GALLERY ARTPARK KARLSRUHE Karlsruhe PERROTIN Paris, Hong Kong, New York, Seoul, Tokyo, Shanghai

YESONG GALLERY 예송갤러리 Daegu GALLERY BUNDO 갤러리분도 Daegu GALLERY CHOSUN 갤러리조선 Seoul DAVID ZWIRNER Hong Kong JULIANA GALLERY 쥴리아나갤러리 Seoul OPERA GALLERY SEOUL Seoul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Seoul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Seoul, Daegu GALLERY JEON 갤러리전 Daegu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Seoul TOPOHAUS 토포하우스 Seoul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Gwangju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Seoul g·gallery 지갤러리 Seoul IGONG GALLERY 이공갤러리 Daejeon YOSHIAKI INOUE GALLERY Osaka GALLERY SEOJONG 갤러리서종 Yangpyeong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Seoul JJ JOONG JUNG GALLERY JJ중정갤러리 Seoul PACE GALLERY New York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Seoul DONGSANBANG GALLERY 동산방화랑 Seoul GALLERY JUNG 갤러리정 Seoul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Seoul BAIKSONG GALLERY 백송갤러리 Seoul DADO ART GALLERY 다도화랑 Seoul AKI GALLERY Taipei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Seoul ART PARK 아트파크 Seoul MASSIMO DE CARLO Hong Kong GALLERY TSUBAKI Tokyo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Seoul PUERTA ROJA Hong Kong ART OF THE WORLD GALLERY Texas 10 CHANCERY LANE GALLERY Hong Kong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Seoul SM FINE ART GALLERY New York WOONG GALLERY 웅갤러리 Seoul GALLERY YOON 갤러리윤 Seoul PARK RYUSOOK GALLERY 박여숙화랑 Seoul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Cheonan, Seoul, Shanghai

DIE GALERIE Frankfurt am Main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Seoul GANA ART GALLERY 가나아트갤러리 Seoul GALLERY YEH 예화랑 Seoul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Seoul

28

A56

210

2448 MOON FINE ARTS 2448문파인아츠 Seoul BONGSUNG GALLERY 봉성 갤러리 Daegu HITSUJI-GARO Niigata MORI YU GALLERY Kyoto STOA GALLERY Malaga ART FACTORY 아트팩토리 Seoul MIZUIRO WORKSHOP Tainan DER-HORNG ART GALLERY Tainan GALLERY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Seoul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Daegu ASIA SCENE ART CENTER Beijing, Zell a.H GALLERY MARE 갤러리마레 Busan GALERIA LGM Bogota DONGSOONG GALLERY 동숭갤러리 Seoul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Jeonju GALLERY JARI ART 갤러리자리아트 Gwangju GALLERY FOCUS 갤러리포커스 Seoul, Paju GALLERY PAKYOUNG 갤러리박영 Paju PURDY HICKS GALLERY London FRANÇOISE LIVINEC Paris BRUGIER-RIGAIL GALERIE Paris SOUL ART SPACE 소울아트스페이스 Busan ARTSIDE GALLERY 아트사이드 갤러리 Seoul CMAY GALLERY Los Angeles GALLERY SP 갤러리에스피 Seoul GALLERY FINE 갤러리화인 Busan GALLERY GABI 갤러리가비 Seoul GALLERY MIZ 갤러리미즈 Seoul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Seoul

A57 A58 A59 A60 A61 A62 A63 A64 A65 A66 A67 A68 A69 A70 A71 A72 A73 A74 A75 A76 A77 A78 A79 A80 A81 A82 A83 A84 A85

40 80 232 268 322 50 262 102 140 346 70 186 122 110 310 166 156 198 300 118 82 320 68 92 212 154 158 194 340

HALL B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Seoul ROW GALLERY 라우갤러리 Gyeongju LEE & BAE 갤러리이배 Busan HANA ART GALLERY 하나아트갤러리 Seoul O-WON GALLERY 오원화랑 Daejeon BON GALLERY 본화랑 Seoul GALLERY EDEL Osaka NA GALLERY 나화랑 Seoul GALLERY DREAM 갤러리드림 Seongnam MOOKJI ART COLLABORATION Shanghai GALLERY MIROONAMU 갤러리미루나무 Yeongcheon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Seoul DAVIS KLEMM GALLERY Wiesbaden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B01 B02 B03 B04 B05 B06 B07 B08 B09 B10 B11 B12 B13 B14

200 306 250 230 280 78 152 272 150 266 192 184 100 64

B15 B16 B17 B18 B19 B20 B21 B22 B23 B24 B25 B26 B27 B28 B29 B30 B31 B32 B33

312 208 134 326 228 242 130 86 292 206 180 76 348 316 56 72 338 294 296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Daegu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Seoul

SIMYO GALLERY 심여화랑 Seoul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Seoul GALLERY APPLE 갤러리애플 Jeonju, Seoul THE COLUMNS GALLERY 더컬럼스갤러리 Seoul HAKGOJAE GALLERY 학고재 Seoul JOHYUN GALLERY 조현화랑 Busan, Seoul GALLERY 41 갤러리41 Seoul CHOSUN ART GALLERY 조선화랑 Seoul PIGMENT GALLERY Barcelona GALLERY SESOM 갤러리세솜 Changwon GALLERY KICHE 갤러리기체 Seoul BODE GALERIE Nuremberg, Daegu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Seoul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Seoul Art SoHyang 아트소향 Busan ATELIER AKI 아뜰리에 아키 Seoul WAS GALLERY Shanghai PINK GALLERY 핑크갤러리 Seoul PKM GALLERY PKM갤러리 Seoul

GALLERY IMAZOO 갤러리이마주 Seoul ART SPACE J 아트스페이스 제이 Seongnam JEAN GALLERY 진화랑 Seoul GALLERY SU: 갤러리 수 Seoul GALLERY SEJUL 갤러리세줄 Seoul ART SPACE 3 아트스페이스 3 Seoul DONGHO GALLERY 동호갤러리 Seoul LEESEOUL GALLERY 리서울갤러리 Seoul GALLERY NOW 갤러리나우 Seoul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Seoul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Yangsan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Daegu MYUNG GALLERY 명갤러리 Seoul COSMOS GALLERY 코스모스갤러리 Incheon PICASSO GALLERY 피카소화랑 Busan

B34 B35 B36 B37 B38 B39 B40 B41 B42 B43 B44 B45 B46 B47 B48 B49 B50 B51 B52 B53 B54 B55 B56 B57 B58 B59 B60 B61 B62 B63 B64 B65 B66 B67 B68 B69 B70 B71 B72 B73

304 328 264 170 132 216 190 342 142 182 66 308 302 246 334 172 128 324 332 84 258 48 88 188 114 164 62 238 214 202 58 106 256 196 60 138 112 270 94 290

HIGHLIGHT GALLERY SHILLA 갤러리 신라 Daegu DURU ARTSPACE 두루아트스페이스 Seoul STANDING PINE Nagoya GALLERY ART COMPOSITION Tokyo GALLERY DATE 갤러리데이트 Busan GALLERY 2 갤러리2 Seoul CHOI & LAGER GALLERY Cologne, Seoul

HLT01 HLT02 HLT03 HLT04 HLT05 HLT06 HLT07

366 358 368 362 364 360 356

SOLO PROJECT URBAN ART 어반아트 Seoul KWANHOON GALLERY 관훈갤러리 Seoul GALLERY PLANET 갤러리플래닛 Seoul J.P. ART CENTER Kaohsiung EAST GALLERY Taipei 182 ARTSPACE Tainan GALLERY SOSO 갤러리 소소 Paju JOONGANG GALLERY 중앙갤러리 Daegu KIMHYUNJOO GALLERY 김현주갤러리 Seoul

S01 S02 S03 S04 S05 S06 S07 S08 S09

388 386 376 380 374 372 378 382 384

RHO GALLERY 노화랑 Seoul THE PAGE GALLERY 더페이지갤러리 Seoul MOIN GALLERY 모인화랑 Seoul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Seoul GALLERY A-CUBE Seoul, Tokyo GALLERY TOMURA Tokyo GALLERY MEE 갤러리미 Seoul WHITESTONE GALLERY Hong Kong, Tokyo, Taipei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Seoul GALLERY MAC 맥화랑 Busan ARTE ALTO Medellin SASHA D ESPACIO DE ARTE Córdoba PYO GALLERY 표갤러리 Seoul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Seoul VIT GALLERY 빛갤러리 Seoul GALLERY J-ONE 갤러리제이원 Daegu GALERIE NARDONE Bruxelles SUN GALLERY 선화랑 Seoul UM GALLERY 유엠갤러리 Seoul BRUNO ART GROUP Tel Aviv MASAN ART CENTER 마산아트센터 Changwon ART COLLECTION NAKANO Nagoya CHUNG ART GALLERY 청화랑 Seoul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Seoul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Seoul

29


GALLERY INDEX

참가화랑 색인 BY COUNTRY Gallery List

Booth

Page

ARGENTINA SASHA D ESPACIO DE ARTE Córdoba

B45

308

BELGIUM GALERIE NARDONE Bruxelles

B50

128

CHINA MOOKJI ART COLLABORATION Shanghai WAS GALLERY Shanghai

B10 B31

266 338

COLOMBIA GALERIA LGM Bogota ARTE ALTO Medellin

A69 B44

122 66

FRANCE BRUGIER-RIGAIL GALERIE Paris FRANÇOISE LIVINEC Paris

A77 A76

82 118

GERMANY DIE GALERIE Frankfurt am Main GALLERY ARTPARK KARLSRUHE Karlsruhe DAVIS KLEMM GALLERY Wiesbaden WALTER BISCHOFF GALERIE Zell a.H

A51 A08 B13 A02

104 136 100 336

HONG KONG 10 CHANCERY LANE GALLERY Hong Kong DAVID ZWIRNER Hong Kong MASSIMO DE CARLO Hong Kong OVER THE INFLUENCE Hong Kong PUERTA ROJA Hong Kong

A44 A13 A39 A07 A42

38 98 260 278 298

ISRAEL BRUNO ART GROUP Tel Aviv

B53

84

JAPAN MORI YU GALLERY Kyoto ART COLLECTION NAKANO Nagoya STANDING PINE Nagoya HITSUJI-GARO Niigata YOSHIAKI INOUE GALLERY Osaka GALLERY EDEL Osaka GALLERY ART COMPOSITION Tokyo GALLERY TOMURA Tokyo GALLERY TSUBAKI Tokyo GINZA GALLERY G2 Tokyo

A60 B55 HLT03 A59 A25 B07 HLT04 B39 A40 A05

268 48 368 232 352 152 362 216 218 226

KOREA Art SoHyang 아트소향 Busan GALLERY DATE 갤러리데이트 Busan GALLERY FINE 갤러리화인 Busan GALLERY JOY 갤러리조이 Busan GALLERY MAC 맥화랑 Busan GALLERY MARE 갤러리마레 Busan LEE & BAE 갤러리이배 Busan PICASSO GALLERY 피카소화랑 Busan SOUL ART SPACE 소울아트스페이스 Busan JOHYUN GALLERY 조현화랑 Busan, Seoul GALLERY SESOM 갤러리세솜 Changwon MASAN ART CENTER 마산아트센터 Changwon BONGSUNG GALLERY 봉성 갤러리 Daegu

B29 HLT05 A82 A04 B43 A68 B03 B73 A78 B20 B24 B54 A58

56 364 154 174 182 186 250 290 320 242 206 258 80

30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Daegu GALLERY BUNDO 갤러리분도 Daegu GALLERY J-ONE 갤러리제이원 Daegu GALLERY JEON 갤러리전 Daegu GALLERY SHILLA 갤러리 신라 Daegu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B70 A11 A18 B49 HLT01 A56

112 144 172 168 366 210

S08 A06

382 288

A66 A10 A24 B05 A72 A21 B02 B72 A71 B17 A74 S07 B60 B09 A57 A55 A62 A38 B64 B68 B14

346 350 234 280 166 274 306 94 310 134 198 378 62 150 40 42 50 54 58 60 64

A79 B30 A34 B06 B22 B56 A41 A35 B65 A31 A70 HLT02 B58 A23 A30 A45 HLT06 B21 A65 B42 A12 A33 A83 A19 A52 B59 B37 A32 A37 B25 B12 B57 B40 A84 B67

68 72 74 78 86 88 90 96 106 108 110 358 114 120 124 126 360 130 140 142 146 148 158 160 162 164 170 176 178 180 184 188 190 194 196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Daegu

JOONGANG GALLERY 중앙갤러리 Daegu PHOSPHORUS & CARBON GALLERY 피앤씨갤러리 Daegu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Daegu YESONG GALLERY 예송갤러리 Daegu IGONG GALLERY 이공갤러리 Daejeon O-WON GALLERY 오원화랑 Daejeon GALLERY JARI ART 갤러리자리아트 Gwangju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Gwangju ROW GALLERY 라우갤러리 Gyeongju COSMOS GALLERY 코스모스갤러리 Incheon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Jeonju GALLERY APPLE 갤러리애플 Jeonju, Seoul GALLERY PAKYOUNG 갤러리박영 Paju GALLERY SOSO 갤러리 소소 Paju ART SPACE J 아트스페이스 제이 Seongnam GALLERY DREAM 갤러리드림 Seongnam 2448 MOON FINE ARTS 2448문파인아츠 Seoul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Seoul ART FACTORY 아트팩토리 Seoul ART PARK 아트파크 Seoul ART SPACE 3 아트스페이스 3 Seoul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Seoul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 갤러리 Seoul

ARTSIDE GALLERY 아트사이드 갤러리 Seoul ATELIER AKI 아뜰리에 아키 Seoul BAIKSONG GALLERY 백송갤러리 Seoul BON GALLERY 본화랑 Seoul CHOSUN ART GALLERY 조선화랑 Seoul CHUNG ART GALLERY 청화랑 Seoul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Seoul DADO ART GALLERY 다도화랑 Seoul DONGHO GALLERY 동호갤러리 Seoul DONGSANBANG GALLERY 동산방화랑 Seoul DONGSOONG GALLERY 동숭갤러리 Seoul DURU ARTSPACE 두루아트스페이스 Seoul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Seoul g·gallery 지갤러리 Seoul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Seoul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Seoul GALLERY 2 갤러리2 Seoul GALLERY 41 갤러리41 Seoul GALLERY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Seoul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Seoul GALLERY CHOSUN 갤러리조선 Seoul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Seoul GALLERY GABI 갤러리가비 Seoul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Seoul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Seoul GALLERY IMAZOO 갤러리이마주 Seoul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Seoul GALLERY JUNG 갤러리정 Seoul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Seoul GALLERY KICHE 갤러리기체 Seoul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Seoul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Seoul GALLERY MEE 갤러리미 Seoul GALLERY MIZ 갤러리미즈 Seoul GALLERY NOW 갤러리나우 Seoul

GALLERY PLANET 갤러리플래닛 Seoul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Seoul GALLERY SEJUL 갤러리세줄 Seoul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Seoul GALLERY SP 갤러리에스피 Seoul GALLERY SU: 갤러리 수 Seoul GALLERY YEH 예화랑 Seoul GALLERY YOON 갤러리윤 Seoul GANA ART GALLERY 가나아트갤러리 Seoul HAKGOJAE GALLERY 학고재 Seoul HANA ART GALLERY 하나아트갤러리 Seoul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Seoul JEAN GALLERY 진화랑 Seoul JJ JOONG JUNG GALLERY JJ중정갤러리 Seoul JULIANA GALLERY 쥴리아나갤러리 Seoul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Seoul KIMHYUNJOO GALLERY 김현주갤러리 Seoul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Seoul KWANHOON GALLERY 관훈갤러리 Seoul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Seoul LEESEOUL GALLERY 리서울갤러리 Seoul MOIN GALLERY 모인화랑 Seoul MYUNG GALLERY 명갤러리 Seoul NA GALLERY 나화랑 Seoul OPERA GALLERY SEOUL Seoul PARK RYUSOOK GALLERY 박여숙화랑 Seoul PINK GALLERY 핑크갤러리 Seoul PKM GALLERY PKM갤러리 Seoul PYO GALLERY 표갤러리 Seoul RHO GALLERY 노화랑 Seoul SIMYO GALLERY 심여화랑 Seoul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Seoul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Seoul SUN GALLERY 선화랑 Seoul THE COLUMNS GALLERY 더컬럼스갤러리 Seoul THE PAGE GALLERY 더페이지갤러리 Seoul TOPOHAUS 토포하우스 Seoul UM GALLERY 유엠갤러리 Seoul URBAN ART 어반아트 Seoul VIT GALLERY 빛갤러리 Seoul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Seoul WOONG GALLERY 웅갤러리 Seoul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Seoul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Seoul, Daegu GALLERY FOCUS 갤러리포커스 Seoul, Paju GALLERY SEOJONG 갤러리서종 Yangpyeong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Yangsan GALLERY MIROONAMU 갤러리미루나무 Yeongcheon

S03 B01 B63 B16 A81 B62 A54 A48 A53 B19 B04 A16 B61 A28 A14 B47 S09 A27 S02 A22 B66 B36 B71 B08 A15 A49 B32 B33 B46 B34 B15 B28 A03 B51 B18 B35 A20 B52 S01 B48 A85 A47 B27 A17 A73 A26 B69 B11

376 200 202 208 212 214 220 222 224 228 230 236 238 240 244 246 384 248 386 254 256 264 270 272 276 284 294 296 302 304 312 316 318 324 326 328 330 332 388 334 340 344 348 252 156 204 138 192

SPAIN PIGMENT GALLERY Barcelona STOA GALLERY Malaga

B23 A61

292 322

TAIWAN J.P. ART CENTER Kaohsiung 182 ARTSPACE Tainan DER-HORNG ART GALLERY Tainan MIZUIRO WORKSHOP Tainan AKI GALLERY Taipei EAST GALLERY Taipei

S04 S06 A64 A63 A36 S05

380 372 102 262 44 374

UK PURDY HICKS GALLERY London

A75

300

USA CMAY GALLERY Los Angeles PACE GALLERY New York

A80 A29

92 282

SM FINE ART GALLERY New York ART OF THE WORLD GALLERY Texas

A46 A43

314 52

MULTIPLE CITY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Cheonan, Seoul,

A50

46

A67 B26 HLT07 A01 B38 A09

70 76 356 116 132 286

B41

342

Shanghai

ASIA SCENE ART CENTER Beijing, Zell a.H BODE GALERIE Nuremberg, Daegu CHOI & LAGER GALLERY Cologne, Seoul FLOWERS GALLERY London, New York GALLERY A-CUBE Seoul, Tokyo PERROTIN Paris, Hong Kong, New York, Seoul, Tokyo, Shanghai

WHITESTONE GALLERY Hong Kong, Tokyo, Taipei

31


FLOOR PLAN

플로어플랜 HALL B

HALL A

HALL B

HALL A

32

33




A44

10챈서리레인갤러리는 아태지역의 예술 발전을 기록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 국가별 연구 전시 또는 아티스트 토크, 포럼을 지속해서 개최하고 아시아 예술 발전과 아티스트 개인의 역사적 맥락을 함께 보여주는 출판물을 발간하고 있다. 갤러리는 아태지역에 집중하고 있지만 동시에 전 세계 예술계 동향도 주시하면서 홍콩을 세계 문화의 중심 반열에 올리는 데 노력하고 있다. 10챈서리레인갤러리는 아시아 예술 발전의 증인이 되고자 한다. 지금까지 다수의 뛰어난 큐레이터들과 협업해 왔으며 케이트 드 틸리 명예회장은 홍콩화랑협회 HKAGA 설립자 중 한 명이다.

존 영 John Young, Spectrumfigure IV, 2017, oil on linen, 190x160cm

10 CHANCERY LANE GALLERY

10 CHANCERY LANE GALLERY is committed to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documenting the development of art within the Asia Pacific region by consistently holding survey exhibitions by country or artist talks, forums and publishing books that bring together the individual historical context of the artist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rts within Asia. The gallery focuses on the Asia– Pacific, however, keeps its eye on international opportunities around the world, bringing international cultural appreciation to Hong Kong. 10 CHANCERY LANE GALLERY is committed to playing a role in documenting the development of Asian art. The gallery has worked with many great curators so far. Katie de Tilly is President Emeritus and one of the founders of the Hong Kong Art Gallery Association.

호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홍콩 출신 존 영 작가는 1979년 개인전 이래로 솔로몬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메이저 갤러리, 기관 등 해외 각지에서 주요한 전시들을 광범위하게 선보여 왔다. 후기 모더니즘에 대한 그의 연구는 양–문화적 시점에서 작업에 중요한 측면으로 작용했으며 실루엣 페인팅, 폴리크롬 페인팅, 더블 그라운드(이중접지) 페인팅, 추상회화 등 지난 40년 동안 그의 작품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 갤러리 작가소개 발췌 Since his first exhibition in 1979, Young’s work has been shown extensively in major exhibitions both in Australia and abroad, at institutions including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and major public galleries and institutions throughout the world. His investigation of Western late modernism prompted significant phases of work from a bi–cultural viewpoint, including series of paintings in the last four decades the Silhouette Paintings, The Polychrome Paintings, the Double Ground Paintings and the Abstract Paintings._10chancerylanegallery.co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케이티 드 틸리

구 벤치, 후앙 루이, 왕 케핑, 존 영, 장 쉬에루이

홍콩 중완 센트럴지구 챈서리레인 10번지 G/F 852 2810 0065 info@10chancerylanegallery.com www.10chancerylanegallery.com

Katie de Tilly

Gu Benchi, Huang Rui, Wang Keping, John Young, Zhang Xuerui

G/F, 10, Chancery Lane, Central, Hong Kong 852 2810 0065 info@10chancerylanegallery.com www.10chancerylanegallery.com

38

39


2448 MOON FINE ARTS A57

2448 문파인아츠는 1982년 그림과 공예전문점으로부터 시작, 1989년에 판화 전문 화랑인 문 갤러리 MOON GALLERY를 오픈했다. 그림이 특별한 사람들만 소장할 수 있는 예술품이 아닌 마음의 여유를 가진다면 누구나 가능한 일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국내외 작가들의 판화를 전시 기획하여 왔다. 2006년 10월에는 새로워진 전시장과 2448 문파인아츠라는 새 이름으로 거듭나면서, 풍요로운 삶을 위한 영혼의 양식인 예술이 우리의 일상에 항상 자리하도록 현재 활발히 활동하는 국내의 신진 및 중견작가들과 아직 화단에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 발굴에 힘쓰고 있다. 2448 MOON FINE ARTS started as a specialty store of paintings and crafts in 1982 and opened MOON GALLERY in 1989 which expertized in prints. The gallery exhibited prints from Korean and foreign artists in order to spread the awareness that paintings can be possessed by anyone who can have breath in mind. Since it opened a new exhibition center and changed our gallery name as 2448 MOON FINE ARTS in October 2006, it has made an effort so that art, spiritual food for an abundant life, can be pierced into our daily life by discovering unknown but competent artist in Korea from young and old ages.

안윤모 Ahn Yunmo, Coffee Time, 2018, acrylic on canvas, 50x100cm

호젓한 생활 일면이 감촉되는 그림은 정겹고 따뜻하다. Kang Jiman’s works softly incorporated his experiences derived from living the village life and what he has observed in the village in his fantasies and dreams. His drawings are sceneries that were captured while living an extremely ordinary life, and fantasies or the image of a humble wish that the artist has created. The drawings through which a glimse of a tranquil and quliet life spent in a countryside can be caught are affectionate and warm.

떠올리게 하는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다. A self–styled “painter of dreams and of the poetic past,” Delacroix has devoted five decades to painting a city he calls “the Paris of then,” the magical place where he was born, where he spent his boyhood, and where he continues to live to this date. It is the dream–like place the city became in the 1940’s, during the Occupation, when “we suddenly jumped fifty years into the past. No more cars in the streets, very few lights. Paris suddenly became very quiet, very dark, and though people were afraid, there was a brotherhood and spirit that was very delightful.”

감각적이면서도 친근하게 우리들에게 다가온다. Artist Ahn Yunmo’s work is very warm due to understanding of human mind and expression of love for mankind. His work having personified animals appear and accompanying humor and laugh makes us contemplate that one step a far. It comes up to us sensuously and closely like a modern fable.

강지만 Kang Jiman, 숲속에서 In the Forest, 2018, pigmented and crushed rock on korean paper, 112.1x162.2cm

강지만의 그림은 시골 생활에서 겪는 여러 상황, 그리고 그곳에서 관찰한 것들에 자신의 환상, 꿈 등을 슬쩍 보게 한다. 그것은 지극히 평범한 일상의 동선에서 잡힌 풍경이자 그 안에 작가가 부풀려 낸 환상이거나 소박한 소망의 이미지다. 전원에서 보내는 한적하고

안윤모의 작품은 인간 내면에 대한 이해와 인류애의 표현으로 지극히 따뜻하다. 의인화한 동물을 등장시켜 해학과 웃음이 따르는 작가의 작품은 삶을 한 발작쯤 떨어져 관조하게 한다. 현대의 우화처럼

삶의 아름다운 순간들을 꿈과 같이 담아낸 작품 속에서 우리는 마치 ‘시적인 과거의 시간’과 만난다. 프랑스 파리는 시간을 초월하여 늘 아름다운 도시이지만, 그의 작품 안에서 다시 만나게 되는 그곳은 우리에게 한층 더 특별하게 다가온다. 진정한 파리의 즐거움을 작품에서 만나며 삶의 잔잔한 기쁨을 다시 한번 느낀다. 이상적이면서도 평범하고, 동시에 고요함과 평화로움이 가득한 작품에는 낭만이 가득 차 흐르고 있으며, 무엇보다 보는 이로 하여금 유년 시절을

미셸 들라크루아 Michel Delacroix, 사랑스러운 도시, 파리 Grand Paris, 2017, acrylic on canvas, 110x60cm

2448 문파인아츠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미경

강지만, 배정혜, 미셸 들라크루아, 유미선, 안윤모

06300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24길 48 82 2 554 6106 gallerymoon@hanmail.net www.2448artspace.com

Park Mikyeong

Kang Jiman, Bae Junghai, Michel Delacroix, Yoo Miseon, Ahn Yunmo

48, Nonhyeon–ro 24–gil, Gangnam–gu, Seoul, 06300, Korea 82 2 554 6106 gallerymoon@hanmail.net www.2448artspace.com

40

41


313 ART PROJECT A55

2010년 개관한 313아트프로젝트는 세계 미술의 흐름을 국내에 안착시키고 한국작가들을 해외에 소개하는 역할에 주력해왔다. 다니엘 뷔렌, 소피 칼, 토니 아워슬러, 자비에 베이앙 등 세계 미술사에서 심도 있게 다뤄지나, 한국에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작가들을 국내에 소개하며 기반을 다졌다. 또 박기원, 이완, 제여란 등 자신의 철학을 예술로 승화하는 한국의 역량 있는 작가들을 해외 아트페어와 협업 전시, 국내외 기관들과의 프로젝트를 통해 미술계에 알리며 아시아를 비롯해 유럽 및 미국 등지에서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다.

제여란 Je Yeoran, Usquam Nusquam, 2017, oil on canvas, 162.2x130.3cm

313아트프로젝트

313 ART PROJECT, established in 2010, has been focusing on introducing trends in global contemporary arts to Korea and showcasing emerging Korean artists abroad. The gallery has been continuously growing by successfully introducing artists internationally renowned, yet domestically unknown, such as Daniel Buren, Sophie Calle, Tony Oursler, and Xavier Veilhan. Furthermore, it has been introducing artists who have been building their oeuvres founded on strong personal philosophies such as Park Kiwon, Lee Wan, and Je Yeoran, through global art fairs, collaborations with galleries abroad, and projects with institute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길항작용과 역동성으로 대변되는 제여란의 작품은 하강과 상승, 수축과 팽창, 어두움과 밝음, 분노와 희열 등의 이분법적인 요소들을 강조한다. 각 요소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서로 충돌하며 역동성을 전달하지만, 궁극적으로 상쇄되어 평온함을 가져다준다. 이러한 특색은 시각 미술의 힘은 모든 것인 동시에 아무것도 아니라는 작가의 신념을 반영하며, 〈Usquam Nusquam〉이라는 작품명에 담긴 의미를 전달한다. Je Yeoran’s paintings are represented by antagonism and dynamism. She especially highlights dichotomous values, such as ascent and descent, expansion and contraction, brightness and darkness, delight and anger, and so on… Each value delivers dynamic energy independently, yet, at the same time, it offsets the power rising from other values to bring calm, or peaceful, state. Such characteristics deliver the meaning behind the title, Usquam Nusquam, and represent Je’s attitude that the power of visual arts can be understood as everything but as nothing at the same tim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미금

제여란, 이완, 지지수, 박기원, 이지아, 시드, 플로리앙&미카엘 키스트르베르, 자비에 베이앙

06015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60길 11 K빌딩 5층 82 2 3446 3137 313artproject@gmail.com www.313artproject.com

Lee Mikeum

Je Yeoran, Lee Wan, Gigisue, Park Kiwon, Lee Jia, Sid, Florian&Michael Quistrebert, Xavier Veilhan

K Building 5F, 11 Apgujeong–ro 60–gil, Gangnam–gu, Seoul, 06015, Korea 82 2 3446 3137 313artproject@gmail.com www.313artproject.com

42

43


A36

2002년에 설립된 아키갤러리는 당대 대만 예술의 발전과 육성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국립예술기관, 갤러리, 큐레이터 등과 대형 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명망 높은 유럽 박물관과 수집가들의 선택을 받아왔다. 아키갤러리는 2008년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 갤러리 Top10’ 중 하나로 발전을 거듭했다. 아키갤러리는 대만 최초의 호텔 아트 페어이자 국제 플랫폼인 영 아트 타이페이의 주된 창립 멤버다. 릭 왕 디렉터는 중화민국화랑협회 TAGA 디렉터이자 아태화랑협회연맹 APAGA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아태지역의 예술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AKI 갤러리는 당대 대만 예술을 아태지역과 세계무대로 확장하고자 한다.

Huang Kowei is appraised across international art fairs and has raised attentions among collectors and media. Huang uses bold strokes and flowing pigments to build up the whole image without exquisite realistic depictions. Wandering in different depth of field under reflection of light and swaying dense trees, Huang seems to invite audience to see through layers of shadows and walk closer to find the puzzles hidden behind.

마크 데그랑샴 Marc Desgrandchamps, Untitled(2040),2017, oil on canvas, 55x99cm

황가유 Huang Kowei, Left:Light Layered, Right:Dark Layered, 2018, acrylic on canvas, 80x60cm(each)

Since its inception in 2002, AKI GALLERY has been focusing on building and cultivating Taiwan Contemporary art scene. In past decades, AKI has engaged in major collaborations with national art institutions, galleries, curators, and also been selected into the prestigious Europe museums and collectors. AKI further stepped on the podium of ‘Top 10 The Most Influential Galleries of Asia’ since 2008. AKI is the primary member who built an international platform, the very first hotel art fair, Young Art Taipei in Taiwan. The director of AKI GALLERY, Rick Wang, was elected as the director of the Taiwan Art Gallery Association and appointed as the chairman of Asia Pacific Art Gallery Association Alliance. Holding the key to lead the development of Asia–Pacific Arts, AKI GALLERY extends its vision to shape contemporary Taiwanese art to a broader scale within and beyond the Asia–Pacific area.

황가유는 여러 국제 아트페어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며 컬렉터와 미디어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작가는 세심한 묘사 없이 과감한 붓 터치와 안료의 흐름을 활용하여 전체 이미지를 구축한다. 반사된 빛과 흔들리는 무성한 나무 아래로 또 다른 공간의 깊이를 보여주는 이 작품은 마치 관객들에게 가까이 다가와 여러 층의 그림자 뒤에 숨어있는 수수께끼를 찾아보라고 권하는 듯하다.

곽지굉 Kuo Chihhung, Study of Landscape 85–11, 2018, oil on paper, 74.5x55cm

AKI GALLERY

곽지굉은 세계 각지에서 지속적으로 전시를 열고 있으며, 최근작 ‘풍경 연구’ 시리즈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그 컬렉션 Sigg Collection 등 수많은 컬렉션에 소장되었다. 주로 산을 주제로 작업하며 다양한 질감을 탐구하는 작품을 제작한다. 그가 산을 그리는 것은 다양한 질감을 연구하기 위한 하나의 구실이라 할 수 있다. 곽지굉은 미술 언어로 이 세계를 탐구하는 작가이다. Kuo Chihhung is continuously being invited to show around the world. Kuo’s recent series ‘Study of Landscape’ is collected in numerous collections including the world famous Sigg Collection. On the framework, Kuo utilizes the mountain as the theme. On the texture, Kuo uses the exploration as the main direction. In fact, painting the mountain for the artist is an excuse to symbolize the exploration. Kuo explores this world by the langue of art.

마크 데그랑샴은 유럽 미술계의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이다. 1987년부터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었으며, 수많은 미술관과 주요 갤러리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시간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작가라고도 불리는 데그랑샴은 여행하며 찍은 사진과 필름을 겹쳐 놓고 회화의 형태로 구조화한다. 그는 행동과 정지 사이의 순간을 영원성을 가진 회화의 언어로 묘사한다. Marc Desgrandchamp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ists in Europe. He is invited for solo exhibitions around the world famous museums since 1987, as well as collected by numerous art museums and world essential galleries. Some say that Desgrandchamps is an artist telling a tale of time. He superimposes film, photographs taken during his travels, and structures the monumental with pictorial forms. His painting language depicts a real projection between action and stillness, a quality of eternalit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왕릭

천지윤, 펠릭스 레펠트, 황가유, 코이즈미 사토루, 곽지굉, 마크 데그랑샴, 서은지, 츠치야 요시마사

10369 대만 타이베이 Min–Tsu W 로드 141 886 2 2599 1171 info@galleryaki.com www.galleryaki.com

Wang Rick

Cheon Jiyun, Felix Rehfeld, Huang Kowei, Koizumi Satoru, Kuo Chihhung, Marc Desgrandchamps, Seo Eunji, Tsuchiya Yoshimasa

141, Min–Tsu W Rd, Taipei, 10369, Taiwan 886 2 2599 1171 info@galleryaki.com www.galleryaki.com

44

45


ARARIO GALLERY A50

1989년 창립된 아라리오갤러리는 2002년 천안 지점을 현재의 공간에 재개관한 이래, 아시아를 대표하는 갤러리로서 현재는 서울 2개, 천안 1개, 중국 상해에 1개의 총 4개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다른 갤러리가 시도하지 않았던 해외미술과의 적극적인 연계로 한국 미술계에 혼성성과 다양성을 끌어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전속작가 시스템을 도입하여 한국의 동시대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는 데 앞장서왔다. 현재는 중국 미술계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국내에 소개된 바 없는 인도 및 동남아시아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한국 미술계에 소개한다. 나아가 지속적인 프로모션을 통해 이들 지역의 신진작가를 발굴 및 후원하고 있다. 아라리오갤러리는 우수한 전속작가 시스템과 다양한 국내외 미술관과의 콜라보레이션, 다양한 해외지역 미술의 소개 등을 토대로 한국과 미술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마켓을 선도하는 아시아 대표 갤러리로서 그 역할을 다할 것이다.

자연의 관계를 바라보고자 하는 작가의 순수한 열망을 기록한다. Byun Sooncheol’s work in portraiture explores and portrays people at their most candid. Capturing different individualities, cultures, emotions through portraiture, Byun’s ‘Interracial Couple’ series shows couples of different races and cultures, as well as queer couples. Shot in the most intimate of spaces, diverse cultural attributes and stories tucked away within it, these ‘couples’ show relationships of love crossing racial boundaries and social prejudices in a delicate and frank manner. If ‘Interracial Couple’ brings up the manner with which one views others, then ‘Switzerland‘ series documents the artist’s pure desi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people, and nature, through an even truer and more honest perspective.

코헤이 나와 Kohei Nawa, Trans–Aimilios, 2015, styrofoam, frp, siliconpower, 68x88x55cm

변순철 Byun Sooncheol, 짝–패 Interracial Couple, 2001, archival pigment print, 195x152cm

Founded in 1989, ARARIO GALLERY reopened its current space in Cheonan, and has been running 4 gallery spaces in Cheonan(Korea), Samcheong, Seoul(Korea), Ryse Hotel, Seoul(Korea) and Shanghai(China). ARARIO GALLERY has always endeavored to explore new grounds that have never previously been looked at by other institutions in Korea, promoting hybridization and diversity in regionally localized art world through its active interactions with international art world. Through its artist representing system, the gallery has been to expand out to the global audience by introducing and proclaiming the excellence of Korean contemporary art to the rest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experience in China’s art industry, the gallery currently introduces various works from India and Southeast Asia’s artists which have yet been introduced within the country. Furthermore, the gallery continuously strives to discover, support and promote artists from India and Southeast Asia, and to spread its influence throughout this region. In accordance with its excellent artist representing system and collaborations with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galleries, ARARIO GALLERY is a leading Asian gallery which will continue to devote to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art and the art market of Korea and Asia.

인물사진을 통해 인간의 서로 다른 개성, 문화, 정서를 포착해내는 변순철의 ‘짝–패’ 시리즈는 인종과 문화가 다른 커플, 성 소수자 커플들을 담은 작업이다. 다양한 문화와 이야기가 담긴 매우 사적인 공간에서 찍힌 커플의 모습은 인종의 경계와 사회적 선입견을 뛰어넘은 사랑의 관계를 섬세하고 솔직하게 바라보게 한다. ‘짝–패’ 시리즈가 타인을 바라보는 방식을 끄집어낸다면, 대자연의 모습을 담은 ‘스위스’ 시리즈는 보다 진솔하고 정직한 시선으로 사물, 인간,

이용덕 Lee Yongdeok, Reading 110482–2, 2011, mixed media, 170x110x12cm

아라리오갤러리

일본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코헤이 나와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미술과 기술의 새로운 관계를 탐색한다. 그는 기술발달, 전통, 정체성 그리고 형태의 변형을 자유롭게 구성함으로써 재료가 갖는 무한한 가능성을 실험하며, 동시에 감상자에게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반짝이는 표면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작가가 기획한 퍼포먼스에 출연한 무용수의 모습에서 발전했다. 신체 움직임 속에 자연스럽게 사라진 두상을 통해 정체성을 지워내며, 행위(혹은 신체) 자체를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하게 하는 추상적 인체조각을 제시한다. Representing Japanese contemporary art, Kohei Nawa explores the newfound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through a wide variety of media. Through unrestricted composi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radition, identity, and transformation of form, Nawa experiments with the limitless possibilities of the material and offers the viewer a new sensory experience. The sparkling surface and shape of 〈Trans–Aimilios〉 was developed from the form of a dancer in a performance the artist himself planned. Naturally disappearing into the body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the missing head obscures identity and presents an abstract human sculpture that reads action as a single mass.

이용덕은 ‘역상조각’이라는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했다. 전통조각의 일반적인 개념을 넘어 평면에서 파고들어가는 음각 조각을 창조하는 작가의 작품은 관람객들의 움직임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흥미롭고 다양한 미적 경험을 선사한다. 인간의 절대적인 고독의 순간을 시각적으로 풀어낸 그의 작품에는 존재와 비존재 사이의 경계, 음과 양, 평범한 일상에서 마주친 우연한 사람들로부터 오는 순간의 정체성이 담겨 있다. 그의 작품은 마치 화석처럼 실제 인물이 작품에 존재하다 빠져나간 흔적처럼 보이기도 한다. Lee Yongdeok built an individualistic oeuvre of ‘negative sculpture.’ Surpassing conventional ideas of sculpture, Lee’s work is created by carving into the surface to present an interesting and differentiated aesthetic experience of constant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iewer. Visually unravelling the human moment of absolute solitude, he captures in his work the boundary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light and dark, the momentary identity found in accidental meetings in everyday life. Lee’s work, like a fossil, resembles traces left behind by someone existing and escaping from within i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주연화

변순철, 수보드 굽타, 우지(하한) 한도코 에코 사푸트로, 허은경, 강형구, 김병호, 이석주, 이용덕, 코헤이 나와, 노상호, 백남준, 쑨쉰

31120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 43 03053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길 84 04038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130 라이즈호텔 지하1층 82 2 541 5701 info@arariogallery.com www.arariogallery.com

Joo Henna

Byun Sooncheol, Subodh Gupta, Uji(Hahan) Handoko Eko Saputro, Ruby Unkyung Hur, Kang Hyungkoo, Kim Byoungho, Lee Sukju, Lee Yongdeok, Kohei Nawa, Noh Sangho, Paik Namjune, Sun Xun

43 Mannam–ro, Dongnam–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31120, Korea 84, Bukchon–ro 5–gil, Jongno–gu, Seoul, 03053, Korea Ryse Hotel B1, 130 Yanghwa–ro, Mapo–gu, Seoul, 04038, Korea 82 2 541 5701 info@arariogallery.com 47 www.arariogallery.com

46


아트컬렉션나카노는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망라하며 설립 때부터 근현대 미술에 집중해왔다. 나카노 타카키 관장은 1983년부터 아트 딜러로 활약했다. 갤러리는 미국 팝아트, 유럽미술, 아시아 현대미술 등 다수의 예술품을 성공적으로 거래해왔다.

B55

ART COLLECTION NAKANO feature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works. The gallery has been focusing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ince its foundation. Nakano Takaki, the director of ART COLLECTION NAKANO, has been an art dealer since 1983. The gallery has successfully dealt with a large number of artworks, including American pop arts, European arts and Asian contemporary arts.

알렉스 카츠 Alex Katz, Brisk Day I, 1990, aquatint, 90x72.3cm

곽인식 Quac Insik, Work, japanese paper, sai–boku, canvas, plywood, 83x83cm

야마다 마사아키 Yamada Masaaki, Work B.p 176, 1958, oil on paper, 55x39cm

ART COLLECTION NAKANO

야마다 마사아키 작가는 평생동안 5000점이 넘는 작품을 탄생시켰다. 그는 미술계와 거리를 유지하고 교외에서 일하는 것에 전념했다. 1978년, 작가는 현대미술계에서 대기만성형 작가로 여겨지며 큰 각광을 받은 바 있다. Yamada Masaaki has drawn more than 5000 pcs throughout his life. By keeping a distance from art world, he devoted himself to his work in the suburb. After he entered limelight in the 1978, he was renowned as a late blooming hero in the contemporary art and.

곽인식 작가는 일본과 한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다. 유리와 금속을 이용한 작품들은 1960년대 ‘모노하’ 등 추상 미술에 영향을 끼치며 현대미술의 선구자의 역할을 했다. 이 작품은 오버 글레이즈 기법으로, 알렉스 카츠는 저명한 미국 예술가로, 국제적으로 수많은 갤러리에서 소개된 바 있다. 그의 작품은 대담하고 단순함, 화려한 컬러가

점들을 하나씩 접목하여 그려낸 것이다. Quac Insik gave a great influence for both Japanese and Korean contemporary art. Those artworks using glass plate or metal plate influenced ‘Mono–ha’ in a great deal during the year of 1960’s period. He played a role as a pioneer in a contemporary art. This artwork was painted applying dots one by one by overglaze technique.

특징이며 팝아트의 선구자로 잘 알려져 있다. Alex Katz is an American figurative artist known for his paintings, sculptures, and prints. He is represented by numerous galleries internationally. He is well known for his large paintings, whose bold simplicity and heightened colours are now seen as precursors to Pop Ar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나카노 타카키

알렉스 카츠, 이우환, 무라카미 다카시, 곽인식, 다카노 아야, 야마다 마사아키

460–0008 일본 나고야 나카구 사카에 904 3–27–7 81 52 251 5855 contact@ts–corp.jp www.ts–corp.jp

Nakano Takaki

Alex Katz, Lee Ufan, Murakami Takashi, Quac Insik, Takano Aya, Yamada Masaaki

904 3–27–7, Sakae, Naka–ku, Nagoya, 460–0008, Japan 81 52 251 5855 contact@ts–corp.jp www.ts–corp.jp

48

49


ART FACTORY A62

아트팩토리는 회화, 조각, 판화, 사진 등 미술 작품을 소개하는 전시공간이다. 매년 다양한 장르의 기획전시를 통해 화단의 유망 청년작가 및 신진작가 발굴에 주력을 기울이고, 이슈가 되는 기획전을 통해 작가들을 대내외에 소개한다. 또 전문 갤러리로서 국내외 아트페어 참가, 외부 전시 기획 및 미술 출판 등 다양한 아트프로젝트를 수행한다.

김기수 Kim Kisoo, Moon, 2018, stainless mirror, mixed media, Left:200x150cm, Right:175x150cm

아트팩토리

ART FACTORY is a modern art gallery where you can enjoy all art genres such as painting, sculpture, print, and photograph among others. ART FACTORY has been discovering promising new artists through a variety of art exhibition events every year, and it has also been working on planning exhibition, publishing and participation at Art Fairs around the world.

김기수는 캔버스라는 회화 고유의 재료에서 벗어나 스테인리스 미러라는 공간 속에 자신만의 풍경을 담아내는 작업을 한다. 스테인리스 위에 의도하지 않은 추상적인 형태를 과감하게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상상의 공간을 만들어간다. 흰 보자기는 포장을 의미한다. 비추어진 관객과 풍경의 존재를 포장한다는 뜻이며, 그것을 소중히 간직한다는 의미를 함께 내포한다. Kim Kisoo has moved away from canvas, long the standard medium for painting, and instead uses stainless steel mirrors where he renders his own scenes. The bold and unintended abstractive forms on the mirror constitute an imaginative space. A white wrapping cloth signifies packaging: packaging of the viewer reflected in the mirror and the scene implies cherishing them.

이현열은 붓과 화판을 들고 예정 없이 떠나는 여행지에서 문득 걸음을 멈추고 눈앞에 펼쳐지는 풍경을 그린다. 그래서 그의 그림은 모두 실사를 바탕으로 한 풍경화이다. 마음에 드는 정경을 그 자리에서 담아내고 여행에서 돌아온 후 그때의 감흥을 잃지 않도록 집중하여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렇게 완성시킨 그림들은 설령 여러 번 다녀온 장소일지라도 늘 다르고 새롭다. Lee Hyunyeol spontaneously goes on trips with his drawing board and brushes and paints landscapes that unfurl before his eyes. All of his paintings are of landscapes based on actual sights. He captures what he sees on the spot and completes the work back home while still fully inspired by his feelings of the scene. Every one of his paintings is unique and fresh, even when he depicts the same place again.

공간 속에서, 일상 상상이 만나는 연극의 순간이다. Seo Sangik believes that a person exists at the very moment when everyday life meets imagination. That moment shows one best and marks the beginning of communication. This is why he records such moments: he combines spaces in a mundane, dull life with imagined images. His work is a theatrical moment where everyday life encounters imagination through the medium of painting. 서상익 Seo Sangik, 구부러진 기억 Bended Memory, 2018, oil on canvas, 162.2x130.3cm

이현열 Lee Hyunyeol, 라벤더 언덕 3 Lavender Hill 3, 2018, watercolor painting on korean paper, 91x116.5cm

서상익은 일상과 상상이 만나는 순간에 바로 내가 존재한다고 믿는다. 그 순간이 자신을 가장 잘 보여주고, 소통할 수 있는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일상과 상상이 만나는 순간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건조한 일상 공간 위에 상상 이미지를 결합한다. 그의 작업은 회화의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황성옥

김기수, 서상익, 성낙중, 이현열

04629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22길 11–11 82 2 318 1054 artfactory4u@hanmail.net www.artfactory4u.com

Hwang Sungok

Kim Kisoo, Seo Sangik, Sung Nakjoong, Lee Hyunyeol

11–11, Toegye–ro 22–gil, Jung–gu, Seoul, 04629, Korea 82 2 318 1054 artfactory4u@hanmail.net www.artfactory4u.com

50

51


A43

20년 이상 미술계에서 활동해 온 아트오브더월드갤러리는 전후 근대미술 및 현대미술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북미, 남미와 아시아 출신의 거장, 중견 및 신진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다룬다. 예술품 구매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풍성한 경험으로 만들어 가정, 사무실, 공공장소 등 어디서나 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갤러리 디렉터들은 공들여 작품을 선정함으로써 해당 공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확신한다. 2층 건물에 자리잡은 우아하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의 갤러리로 약 250명을 수용한다.

훌리오 라라즈는 아름다운 작품에 묘사된 사건에 대한 궁금증을

로버트 인디애나 Robert Indiana, LOVE, 1966 – 1998, polished bronze, 45.5x45.5x23cm

ART OF THE WORLD GALLERY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the art business, ART OF THE WORLD GALLERY focuses in modern, postwar and contemporary art. The gallery’s inventory is comprised of masters and mid–career artists from Europe, North America, Latin America and Asia. ART OF THE WORLD GALLERY works directly with art collectors, museums, art galleries, art dealers,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making art available to homes, offices and public places. Based on its integrity and experience, the gallery’s objective is to make the process of acquiring art an enriching and accessible experience for visitors. The gallery strongly believes that choosing the pieces with diligence and careful consider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pac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Moreover, collecting art not only enriches you, but it is also a financial investment.

불러일으키며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작가이다. 색채의 대가인 그는 정치인이나 종교적 인물의 일상적 모습, 바다 풍경, 자연의 아름다움을 다양하고 매력적으로 그려낸다. 〈노부인과 노동자 La Doyenne at La Maestranza〉에서는 우아한 노부인이 나무 테이블에 기대어 위엄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무표정하게 정면을 응시하는 그녀의 존재 자체가 위압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선명한 빨간색 립스틱, 빛을 반사하는 선글라스, 패셔너블한 검은색 재킷은 권위를 상징한다. 고상한 붉은 벽에 프랜시스 베이컨의 유명한 작품이 걸려 있는 단순한 배경이 그녀의 높은 지위를 뒷받침한다. Julio Larraz is a master in provoking curiosity, producing a desire in the viewer to fully understand the events and interactions depicted in his scenic works. Master of color, Julio Larraz is bringing a versatile, attractive depiction of the private life of politicians, aristocrats, religious characters, ocean views and the beauty of nature. In 〈La Doyenne at La Maestranza〉, an elegant mature woman leans on a wooden desk, striking a pose of supremacy and reputation. With an impassive stare, she intimidates with her presence. Her bright red lipstick, reflective sunglasses and fashionable black jacket reflect a state of authority. Her status is supported by the beauty in the simply colored background consisting of the famous artwork of Francis Bacon which hangs on a tasteful red wall.

미국 인디애나주 뉴캐슬에서 태어난 로버트 인디애나는 1954년 뉴욕으로 이주하여 팝 아트 운동에 합류했다. 실존주의와 어우러진

가장 중요한 작가로 자주 언급된다. 세계 일류 작가로서 그의 작품은 독창적 예술 언어를 가졌으며 강렬한 매력을 지녔다. 풍부한 색감 및 과장된 볼륨감, 완전히 자유로운 신체적 비율의 표현 등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왜 뚱뚱한 사람들을 소재로 삼았냐는 질문에 보테로는 답한다. “내가 그리는 것은 뚱뚱한 사람들이 아니다. 나는 현실적인 주제를 통해 일종의 아름다움과 가소성을 표현하고 있다. 예술은 뒤틀어져있고, 과장되어 있다. 그것은 뚱뚱한 사람들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사람들뿐 아니라 내가 그리는 동물, 과일, 악기들이 모두 통통하다.” Fernando Botero, born in Medellin, Colombia in 1932, is frequently mentioned as the world’s most important living Artist. As one of the world’s leading artists, his works have distinct features of artistic language and bring strong visual appeal. They are rich in color, extreme in volume, and are totally free in the expression of physical proportions. When asked why he chooses fat people as the main images in his work, Botero replies: “What I am painting is not fat people; I am expressing through realistic themes a type of beauty and plasticity. Art is deformed and exaggerated; it has no relation to fat people. Not only the people, but the animals, fruit, and musical instruments that I paint are all plump.”

상업미술 접근법을 바탕으로 독특한 이미지를 탄생시켰고, 이는 조각적인 시 Sculptural Poems라고 지칭되는 그의 작품 세계를 형성했다. 인디애나의 작품은 수많은 미술관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그는 과감하고 단순하며 상징적인 이미지로 구성된 작품을 다수 제작했는데, 특히 〈EAT〉, 〈HUG〉, 그리고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기도 한 〈LOVE〉 등 짧은 단어와 숫자를 주로 활용했다. Robert Indiana was born in New Castle, Indiana. He moved to New York City in 1954 and joined the pop art movement, using distinctive imagery drawing on commercial art approaches blended with existentialism, which gradually moved toward what Indiana calls “sculptural poems”. Indiana’s works are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numerous museums. Indiana’s work often consists of bold, simple, iconic images, especially numbers and short words like 〈EAT〉, 〈HUG〉, and, his best–known example, 〈LOVE〉.

훌리오 라라즈 Julio Larraz, La Doyenne at La Maestranza, 2016, oil on canvas, 183x153cm

페르난도 보테로 Fernando Botero, Couple on a Sofa, 1998, oil on canvas, 36x48cm

콜롬비아 메델린 출신 작가 페르난도 보테로는 생존하는 작가 중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마우리치오 발레이오, 릴리아나 몰리나

캐롤 퓨어먼, 크리스토발 토랄, 페르난도 보테로, 하비에르 마린, 히메네스 데레디아, 훌리오 라라즈, 미스터 브레인워시, 라파엘 바리오스, 로버트 인디애나, 소피아 바리

77098 미국 텍사스 휴스턴 웨스트하이머 로드 2201 1 832 419 5592 info@artoftheworldgallery.com www.artoftheworldgallery.com

Mauricio Vallejo, Liliana Molina

Carole Feuerman, Cristobál Toral, Fernando Botero, Javier Marin, Jiménez Deredia, Julio Larraz, Mr. Brainwash, Rafael Barrios, Robert Indiana, Sophia Vari

2201, Westheimer Rd. Houston, Texas, 77098, USA 1 832 419 5592 info@artoftheworldgallery.com www.artoftheworldgallery.com

52

53


ART PARK A38

아트파크는 2003년 삼청동에 개관했으며, 국내외 저명한 아트페어에 참가하여 이들의 예술세계와 작품을 소개하고 전시하는 종합적이고 글로벌한 문화공간이다. 창의적인 예술세계를 추구하는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고 그들의 작품을 기획, 전시한다. 또 과학, 공학, 의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와 협업하여 전시, 문화행사를 기획하는 융합적인 문화교류의 역할을 한다. 국·공립미술관 및 사립 미술관의 예술품 소장, 미술관 건축 그리고 작품 설치 등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기획, 자문하고 있다.

이이남의 작품들은 다양한 역사와 현대적인 미디어 기술, 그들의 문화사 간의 소통으로 이루어진다. 그림의 역사를 논하는 화가나 조각의 역사를 말하는 조각가와는 달리, 이것이 이이남이 미디어 아티스트인 이유이다. 그의 작품에서는 서양의 유화나 동양화, 조각, 영화, TV, 금속, 물, 빛, 전기 등 다양한 매체를 만나게 된다. – 미디어 이론가, 레프 마노비치 〈이이남의 미디어아트〉 발췌

ART PARK opened in 2003 at Samchung–dong, Seoul. It is a global complex cultural space for all the diverse types of artists, curators, and collectors. The gallery tries to find out creative and young artists and introduce their works that reflect their own original art worlds by organizing exhibitions or participating international art fairs. Working cooperatively in a variety of areas such as science, history, and culture, it develops and organizes artistic, architectural, and cultural projects. ART PARK provides consulting services in various fields relating to art museums and exhibitions. Director, Park Kyuhyeong operates ART PARK with her 30 years experiences at museums and galleries.

I hope that my analysis explains that the artworks of Lee Leenam create dialogs between many different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dia technologies, and their cultural histories. This is why he is indeed a media artist as opposed to, for example, a ‘painter’ who is only having a dialog with the history of painting, or a sculptor who only addresses the history of sculpture. Western oil painting and Asian ink painting, sculpture, cinema and TV, metal, water, light, electricity these are just some of the media one encounters in Lee’s art.– Media Theorist, Lev Manovich 〈Media Art of Lee Leenam〉

이이남 Lee Leenam, 만화–병풍2 Cartoon–folding Screen 2, 2018, 55 inch LED TV

아트파크

느낌은 강하고 리얼하게 다가온다. Still lifes provide a rhythm that can move thought. This rhythm, in turn, generates more still lifes. Still lifes generated by still lifes are therefore not restrictive, but predi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under appraisal and the audience does not always depend on fixed principles or rules, nor is it continuous. On the contrary, in terms of the intensity of the feeling concerning the object, the more discontinuous and the more in violation of the visual rules heretofore the relationship is, the more intense and real the feeling gets.

김용진 Kim Yongjin, 기 氣로 가득한 기 器 Porcelain with Full of Energy, 2016, steel on canvas, 117x112x5cm

배준성 Bae Joonsung, The Costume of Painter–Still Life with Roses, 2017, lenticular, 150x120cm

정물화는 생각을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리듬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 리듬은 또 다른 정물들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정물들이 발생시킨 또 다른 정물들은 한정적이지 않고 서술적이다. 평가하는 대상들과 관람자와의 관계는 일정한 원칙이나 룰에 의해 좌우되거나 연속적이지 못하다. 오히려 대상과의 느낌이 강한 정도로 말한다면 그 관계가 불연속적이거나 그간의 시각적 룰에 위배되면 될수록

김용진은 금속 와이어를 다양한 형태로 캔버스 위에 촘촘하게 꽂아 형상을 만든다. 철심 끝의 간격을 일일이 고려하고 밀도와 높낮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질감과 영감, 원근과 명암을 연출한다. 철심은 부드러운 도자기 표면부터 인물의 표정에 이르기까지 섬세한 표면을 표현하는 매개체가 된다. – 미술 평론가, 이주은 〈그림과 입체의 이중주:저만큼 멀리서, 이만큼 가까이서〉 발췌 Artist Kim Yongjin has fallen into the world of his material, wire. Instead of expressing the wire as a long line, he stands it straight up with a form composed of various wire points on a canvas. Ironically the prickly and sensitive wire points create shapes of smooth pottery or a soft face. – Art Critic, Lee Jueun 〈A Duet of Two and Three–Dimensions: Views from Far and Near〉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규형

배준성, 최정유, 김정희, 김용진, 이호철, 이이남, 이상권, 여동헌

030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29 82 2 733 8500, 82 2 3210 2300 ap@iartpark.com www.iartpark.com

Park Kyuhyeong

Bae Joonsung, Choi Jeongyu, Kim Junghee, Kim Yongjin, Lee Hochul, Lee Leenam, Lee Sangkwon, Yeo Donghun

129, Samcheong–ro, Jongno–gu, Seoul, 03049, Korea

54

82 2 733 8500, 82 2 3210 2300 ap@iartpark.com www.iartpark.com

55


Art SoHyang B29

아트소향은 부산의 새로운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인 해운대 센텀지구에서 첫걸음을 내디딘 이후 글로벌 시대에 발맞추어 장르와 형식의 구분 없는 동서양의 미술을 소개하고 있다. 개관 이래 이재효, 권순익, 윌리엄 바르보사 등 다양한 작가의 수준 높은 기획 전시를 통해 정체성을 잘 보여준다. 남은진 아트소향 대표가 설계한 500㎡의 준 미술관급의 크기에 달하는 전시관은 로비를 포함한 총 4개의 전시 공간이 서로 다른 층고를 가지고 있어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며, 작품의 개성에 맞춰 아름다움을 극대화하는 효과적인 전시가 가능하다. Since Art SoHyang opened at Centum city, the new economic and cultural center of Busan, the gallery has dedicated itself to promoting international artists and increasing people’s interest in art. The gallery has organized several exhibitions with promising artists such as Lee Jaehyo, Kwon Soonik, William Barbosa and others. Art SoHyang, which has about 500 square meters and was designed by the director and owner Nam Eunjin, has very unique space. It consists of four exhibition rooms of all different heights and shapes so it inspires artists and is very effective in showing artworks in various forms.

북경중앙미술학원 출신의 감성빈은 사람의 감정이 오롯이 담겨 있는 조각으로 시작해 최근에는 회화 작업으로도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그는 인간의 감정 중 특히 슬픔에 주목한다. 그의 조각과 회화의 인물들에 유독 시선이 가는 이유는 얼굴이 아니라 몸의 제스처 때문이다. 잔뜩 풀이 죽어 어깨가 움츠러든 모습, 서로의 몸에 의지해 간신히 서 있는 듯한 그 형상들은 일반적인 조각에서의 얼굴이 하는 역할 이상으로 슬픔의 감정을 환기해 보는 이의 감정을 직접 건드린다. Gam Seongbin studied at the prestigious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in China. Gam Seongbin is most famous for his figurative sculptures expressing overwhelming grief, although he recently expanded his career even into painting. What makes it so special is not face expressions but gestures. With shoulders drooped and managed to stand by leaning against each other, the figure captures the tone of melancholy, loneliness and great sorrow.

감성빈 Gam Seongbin, 연결고리 Link, 2015, regin, oil painting, stone, 60(h)x15x25cm

김은주 Kim Eunju, 바람 Wind, 2017, pencil on paper, 190x140cm

거대한 크기의 김은주 작업은 연필이 가지는 2차원의 평면에도 불구하고 아우라와 에너지로 가득하다. 오직 연필이라는 하나의 소재로만 완성된 작업은 일반 회화만큼 이미지 자체를 뛰어넘는

권순익 Kwon Soonik, 적연–틈 10 Pile Up & Rub–Chink 10, 2018, mixed media, 41x31.7cm

아트소향

에너지와 삶을 화폭에 노출한다. Kim Eunju’s pencil drawings occupying an entire wall brim with vitality despite the flatness of their two dimensions. Kim’s drawings worked only by pencils are as rich as paintings, employing a deceptively high energies and lives that far beyond images itself.

권순익은 한국 고유의 색과 질감을 현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라틴 아메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유수의 국·시립 미술관에서 초청받아 전시해왔다. 모래나 흑연을 서양의 물감과 함께 쓰는 재료적인 특이성은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색감과 질감으로 구현된다. 순수한 빛과 색으로 이루어진 그의 작품은 반복적으로 마티에르를 두텁게 올리는 과정을 통해 보는 이를 무아의 세계로 이끈다. 계속된 원의 배열과 기하학적 형태는 한국적 추상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Kwon Soonik’s works have been collected by and exhibited in many prestigious museums, especially in Latin America region for the artist’s unique style 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colors in modern ways. His works are often praised for peculiarity of materials, which he makes mixing fine sands and charcoal with the acrylic colors resulting in oriental texture. Being composed of simple but delicate light and color, his works lead the viewers into an ego–free world. His recent works filled with numerous circles and geometric shapes are highly likely to show huge potential for Korean abstract ar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남은진

감성빈, 김은주, 권순익

48058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55 지하1층 82 51 747 0715 sohyang_art@naver.com www.artsohyang.com

Nam Eunjin

Gam Seongbin, Kim Eunju, Kwon Soonik

B1, 55, Centum jungang–ro, Haeundae–gu, Busan, 48058, Korea 82 51 747 0715 sohyang_art@naver.com www.artsohyang.com

56

57


ART SPACE 3 B64

아트스페이스3은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시각으로 다양한 현대 한국 미술을 소개하기 위해 노력한다. 숫자 ‘3’은 예술가와 관람객 그리고 아트스페이스3 세 그룹 간의 조화와 균형을 지향하는 의미를 담았다. 전시공간은 문화재 전시실과 복층 구조로 연결되어 작품뿐만 아니라 16세기 조선 시대의 주거형태를 볼 수 있는 독특한 공간이다. 또 화이트 벽과 시멘트 벽을 동시에 설치했고, 천정의 높이도 4m와 8m로 다양하고 재미있는 전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아트스페이스3은 새롭고 실험적인 작품의 창작활동을 장려하고 예술가들의 목소리가 되도록 지속해서 발전해 나갈 것이다.

최상철의 작품은 그가 설정한 도구와 작업 방식이 유도한 상황에 의해 그려진다. 회화의 메커니즘을 ‘무위’로 돌리기 위해 붓 대신 대나무, 실, 돌 등의 도구를 사용해 작업한다. 그의 작품은 도구에 작용한 동작에 의해 만들어진 우연한 점, 선, 면의 집적이다. 그리는 행위를 무의미한 동작의 반복으로 이행하면서 자아를 비우는 수행 작업이다. 그의 작품은 완성이 아니라 같은 동작을 반복하다가 멈춘 흔적이자 기록물이다. 삶의 한 모습으로, 삶에 종속되며 삶의 길을

ART SPACE 3 is committed to introducing a broad spectrum of contemporary Korean arts with a novel and innovative perspective. Number ‘3’ signifies the aim of ART SPACE 3 to seek a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ree groups: the artist, the audience, and ART SPACE 3. The space has a distinguishing exhibition space, marked by a duplex–type structure linking the art space, and the exhibit space for cultural properties, which invites the audience to see the works in the art space, and a housing type of sixteenth century Joseon–era at the same time. Moreover, the space, consisting of the walls of various finishes white, and cement and the ceilings with different heights of four or eight meters, is designed to enable a wide variety of exhibitions. ART SPACE 3 will continue to promote the creation of new and experimental works, and endeavor to become the cultural voice of artists.

가기 위한 도구라는 동양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최상철 Choi Sangchul, 無物 08–12 Mumool 08–12, 2008, acrylic on canvas, 145.5x97cm

아트스페이스3

His paintings are painted by instruments and situations conditioned by his work methods. He works with tools such as bamboo, thread, and stone in lieu of brush in order to remove any pictorial mechanism. His work is an accumulation of points, lines, and planes engendered by the motions applied to such instruments. This is a performative work to erase his self through a repetition of meaningless actions. His work is not a completion but either the trace or the record of repeating the same motion. Rooted in the Eastern idea that painting is part of life, his art signifies a mere aspect of life. 최상철 Choi Sangchu, 無物 09–10 Mumool 09–10, 2009, acrylic on canvas, 227.3x181.8cm

나점수 Na Jeomsoo, 표면의 깊이 The Depth of the Surface, 2017, wood, mechanism, Left:25(h)x55.5x33.5cm, Right:18.3(h)x27x20cm

나점수는 뿌리로부터 잎의 지향 指向 사이를 생각하는 것이 식물적 사유의 위치라고 생각한다. 사유란 앎의 축적이 아닌 축적된 관념을 무너뜨려 낯선 모름에 도달하는 과정이며 그곳으로부터 생의 현상을 살피는 것이다. 그에게 생의 현장을 지각한다는 것은 삶의 반응일지 모르며, 그 반응의 조각적 상채가 은유하는 지점을 직면하고 있는 것이 자신의 시선이고 실존의 위치일 것이다. The position of ‘botanical thinking’ is perhaps to consider a plant from its roots beneath the ground to its leaves spreading into the air. Thinking is not a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but a process of reaching the new and unfamiliar by shattering accumulated notions, thereby shedding light on the phenomena of life. The artist’s eyes or existential positions face the post its sculptural state impli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숙희

최상철, 나점수

03044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7길 23 artspace3_seoul@naver.com www.artspace3.com

Lee Sookhee

Choi Sangchul, Na Jeomsoo

23, Hyoja–ro 7–gil, Jongno–gu, Seoul, 03044, Korea artspace3_seoul@naver.com www.artspace3.com

58

59


ART SPACE H B68

아트스페이스 에이치는 2008년 4월 창덕궁 옆 북촌에 개관하고, 2016년 5월 성북동으로 이전했다. 북촌에서 신진 작가를 양성하는 데 주력했다면, 성북동에서는 초대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획을 통해 전시의 폭을 확장하여 미술계에 새롭고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고자 한다. 이니셜인 H가 Humanity, Harmony, Happiness를 의미하는 만큼, 작가가 중심이 되는 갤러리에서 아름다운 예술을 통해 모두가 행복해지는 것을 추구한다. ART SPACE H, a member of the Korea Gallery Association, opened in Bukchon near Changdeok Palace in April 2008 and moved to Sungbuk–dong in May 2016. If you focused on cultivating new artists in Bukchon, Seongbuk–dong aims to expand the range of exhibitions through various projects centered on the invitational exhibitions to create a fresh and fresh wind in the art world. The initial H stands for Humanity, Harmony, and Happiness. ART SPACE H will pursue the happiness of all through beautiful art at the artist–centered gallery.

권치규 Kwon Chigyu, Resilience–Forest(Black–White), 2016, stainless steel, 110x10x29cm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의 이미지는 우리의 소울메이트이며, 태곳적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늘 우리 곁에서 감정을 교류하고 소통해왔던 존재다. 정미는 거창하거나 장대한 이야기가 아닌,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일상의 이야기에서 차용하여 재미와 흥미가 살짝 가미된 신화적 상상력을 토대로 새로운

연륜이 쌓이고 그 어떤 경지에 오른 사람일수록 대부분의 일은 예사가 되고, 무엇 하나 수선 떠는 법이 없다. 이러한 점은 하이경이 나아가고 싶은 작업의 방향이기도 하다. 기발하고 남다르고 특이한 것은 다른 이의 몫인 것만 같다. 확신과 체념과 그 중간 어딘가의 상황 겪기를 수없이 반복하며 작업해 나간다. The more people who have accumulated a certain age and have reached a certain level, the more the work becomes the ordinary, and there is no way to do anything. This is the direction of the work Hi Kyoung wants to move on. It seems like something else that is eccentric and different and unique. 하이경 Hi Kyoung, 겹의 풍경 Layers of Scenery, 2018, oil on painting, 72.7x72cm

정미 Chung Mee, 소울메이트 Soul Mate, 2018, mixed media, 72.7x91cm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신화를 창조한다.

“Resilience 회복 탄력성, 아주 재미있는 말을 찾아냈다. 물질의 특성을 묘사하기 위해 쓰이기도 하고, 심리학에서는 이 물리학의 용어를 정신에 빗대어 쓰곤 한다. 물질에 적용될 때는 그 물질이 어떤 변형의 힘을 받을 때 다시 원래대로 회복되려는 힘을 말한다. 나는 이 말을 존재 일반의 힘의 어떤 특성을 묘사하기 위해 쓴다.” –권치규 “Resilience, I found a very interesting word. It is used to describe the properties of matter, and in psychology, it is used in the spirit of this physics term. When applied to a material, it refers to the force that is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material is subjected to any deformation force. I write these words to describe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of being general.” –Kwon Chigyu

The images of animals appearing in mythical works are our soulmates, who have been communicating and communicating with us all the time, from beginning to end, from east to west. Chung Mee will create a new myth on the basis of the mythical imagination that has a little bit of fun and interest, borrowing from everyday stories that anyone can easily sympathize with, rather than a tremendous or grand stor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권도균

정미, 하이경, 김경민, 김리현, 김선진, 권치규

02880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49 82 2 766 5000 artspaceh2008@naver.com www.artspaceh.com

Kwon Dokyun

Chung Mee, Hi Kyoung, Kim Gyungmin, Kim Rihyun, Kim Sunjin, Kwon Chigyu

49, Seongbuk–ro, Seongbuk–gu, Seoul, 02880, Korea 82 2 766 5000 artspaceh2008@naver.com www.artspaceh.com

60

61


ART SPACE J B60

사진전문갤러리 아트스페이스 제이는 2013년 개관한 이래 황규태, 구본창, 구성수, 구성연, 김대수 등 국내 저명한 사진가들과 함께한 전시와 이모젠 커닝햄, 알렉산더 로드첸코, 워커 에반스, 데미안 허스트, 토마스 루프, 마이클 케냐 등 해외 유명작가의 작품을 알리는 전시를 이어오고 있다. 또 국내외 아트페어 등을 통해 참신한 신진작가들을 미술시장에 소개하고 있다. Since its opening in April 2013, ART SPACE J has been continuing to bring the finest photographic works of Korean as well as international artists to the public. As one of the few galleries in the country dealing primarily with photography, ART SPACE J also introduces new and upcoming photography artists to the art market through various art fairs in and out of Korea.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 그래픽 디자이너, 야마구치 노부히로 Photographs do not capture the past or the present as we know them, nor do they reproduce something that doesn’t exist. They only trap what is in front of one’s eyes in the present. They do so as all things, including ourselves, are continually in the midst of disappearing. The work of the photographer is to reveal each moment as it disappears. This is where the work of soap and the work of the photographer meet. Koo Bohnchang has discovered the jewel–like beauty of everyday life. – Graphic Designer, Yamaguchi Nobuhiro

시간이 지나면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결국 사라진다. 사라질 수밖에 없는 존재가 바로 생명이다. 사물도 마찬가지다. 우리의 마음도, 열정도 욕망도 모두 그렇다. 처연하게 녹아 흐르는 설탕과도 같은 것이다. 인생사 모두 속절없고 처연하다. 구성연의 사진은 존재하는 모든 것은 종국에는 사라진다는 자명한 사실, 우리가 보이는 시간은 결코 고정할 수 없으며 다만 흐르고 사라진다는 사실을 우울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동시에 그 소멸의 과정은 역으로

이재용의 의도가 담겨있다. When working with subjects categorized as ‘cultural assets’, Rhee focuses on the objects themselves, not on their value as national treasures; he views them in their true state as objects and thus creates a medium that leads to the past from the present. The process of layering photographs is also one of accumulation, which replicates the rhythmical movements of the subject. In Rhee’s art, the subject’s rhythmical movements do not move toward extinction; rather, the subject is materialized by the process of creating art. 이재용 Rhee Jaeyong, 기억의 시선 2 Memories of the Gaze_Celadon 2, 2015, archival pigment print, 107x88cm

구본창 Koo Bohnchang, 비누 05, 20, 35 Soap 05, 20, 35, 2004–2007, archival pigment print, 39x32cm

한 사진작가가 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것 중에서 비누를 자신의 작품의 대상으로 선택했다. 그 이유는 비누의 존재와 사진이라는 예술 활동의 본질 간에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포착되는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과거나 현재, 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사물이나 현상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포함하여 끊임없이 사라져 가고 있는 것들이다. 사진작가가 하는 일은 사라지는 각각의 순간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 비누와 사진작가의 작업은 공통점을 가진다. 구본창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항상 사용하는 비누에서 보석과 같은

문화유산으로 분류되는 오브제를 다각도로 촬영한 이재용은 긴 세월을 지나 우리 앞에 존재하는 오브제 자체의 시간성에 집중한다.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수많은 이미지를 겹치는 과정은 일정 시간 동안 오브제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기록하고 따라서 그 시간은 작업과정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시각화된다. ‘유물’ 시리즈는 현재는 박물관 유리장에서만 만나볼 수 있는 국보급 유물들을 그들의 현대적 가치로 보는 것이 아닌 청자의 모습 그대로를 촘촘하게 담아내 과거에 살아 숨 쉬던 사진 속 대상의 모습 그대로를 느끼도록 하려는

구성연 Koo Seongyoun, 설탕 01, 2014, light jet c–print, 80x60cm

아트스페이스 제이

이 현재를 충실히 긍정하는 마음으로 기울게 한다. Everything disappears with time. Every living creature, as well as the material, has to disappear. Our emotion, passion, and desire are like sugar which hopelessly melts down and runs on the floor. Life is so futile and sorrowful. The image desperately demonstrates a fact that everything disappears and we are not able to stop and fix the time which passes right now even this moment and just vanishes. Rather, the process of extinction convinces us to be fully positive with present instanc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나정희

구본창, 구성연, 이재용, 한옥란

1355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66 82 32 712 7528 artspacej@hotmail.com www.artspacej.com

Na Junghee

Koo Bohnchang, Koo Seongyoun, Rhee Jaeyong, Han Okran

166, Jeongjail–ro,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13558, Korea 82 32 712 7528 artspacej@hotmail.com www.artspacej.com

62

63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B14

아트웍스파리서울 갤러리는 허경애와 이유와 같이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젊은 한인 작가, 존원 또는 라틀라스 같은 프랑스의 스트리트 작가를 소개한다. 한국 현대 미술의 거장(백남준, 이우환 등) 그리고 에꼴 드 파리(피카소, 뷔페 등) 출신 작가들의 작품 또한 풍부하게 소장하고 있다. 다양한 전시와 함께 프랑스 작가가 바라보는 한국, 또한 유럽에서 활동하는 한인 작가가 보여주는 새로운 표현 방식을 소개하며 파리와 서울을 연결하는 미술 시장 플랫폼 역할을 함께하고 있다. We specialized in the works of the great masters of Ecole de Paris with an emphasis on works on paper and original prints. For some years now, we have developed a specialty in working with Korean artists, either living or having worked in France, modern masters and young contemporary artists. Our inventory is particularly rich in the works of the video artist Paik Nam June. We regularly organize exhibitions of our artists.

허경애 Hur Kyung–Ae, 무제 Untitled, 2018, acrylic on canvas, 22x27cm

After decades of leaving his mark and spreading his work around the world, it comes as no surprise that L’Atlas, this tireless adventurer who combines the respect for ancestral traditions with his own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is now working with stamps on paper. Always searching for faraway cultures and unique craftsmanship in the hopes of establishing a dialogue between the arts and the scriptures, he is now recognized in Seoul, far from his Parisian studio. – Sabina Augusto 〈L’Atlas〉 Solo Exhibition(2018) Catalogue

Hur Kyung–Ae was born in 1977 in Gwangju, South Korea, and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France. In France, she gained a wider scope of artistic creation. She experimented with various media, but eventually her preference for painting prevailed. She returned to it with newfound inspiration: by scratching the pictorial surface of one of her canvases with a sharp blade, she discovered a new vision and sense of wellbeing. This process, which she describes as “awakening”, is both meditative and aggressive, and draws a lot of attention to her work today. She is linked to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Dansaekhwa’ movement and is earning increasing international acclaim. – In 〈Hur Kyung–Ae〉 Solo Exhibition(2018) Catalogue

라틀라스 L’Atlas, Rawflax 25, 2017, chinese ink and lacquer on canvas, 200x200cm

라틀라스 라는 가명으로 활동 중인 프랑스 작가 쥴 드데 그라넬은 문자를 회화 혹은 조형 예술로 재해석한 작업을 선보인다. 그는 여러 나라의 문화와 서예를 공부한 끝에 자신만의 글씨체들을 고안해 냈다. 타이포그래피에 기반을 둔 그의 작업은 특히 형태와 문자 사이의 완벽한 균형, 즉 행동과 의도 사이의 균형을 통한 보편적 조형 언어를 만드는 것에 대한 연구로 이어오고 있다. 조형적 변형으로 인해 글의 해독이 불가능해지는 찰나를 다루는 그의 작업은 미니멀리즘과 추상 회화에 가깝다. – 사비나 어거스토 〈라틀라스〉 개인전(2018) 카탈로그 발췌

허경애는 1977년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프랑스에서 활동 중이다. 작가는 캔버스와 아크릴 물감의 전통적인 회화에 머무르는 것 대신에 매체의 한계를 넓히고, 물감을 해체하는 행위 등으로 창작적 자유를 만끽한다. 여러 물감층을 생성한 후 수술용 칼로 몇 십 겹의 마른 물감을 긁어내고 다시 붙이는 행위를 반복하며 전통적 회화를 뛰어넘는 오브제 회화의 독자적 작품 세계를 창조해낸다. 복수의 문화로부터 받은 예술적 영감뿐 아니라 반복과 몸성의 창작 과정으로 인해 한국의 미니멀리즘 사조인 단색화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평가받는다. – 〈허경애〉 개인전(2018) 카탈로그 발췌

허경애 Hur Kyung–Ae, 무제 Untitled, 2018, acrylic on canvas, 22x27cm

아트웍스파리서울 갤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임채진, 파비앙 마씨코

허경애, 이유, 라틀라스, 존원, 이우환, 백남준, 하종현, 이성자, 파블로 피카소, 마르크 샤갈, 베르나르 뷔페, 무라카미 다카시, 쿠사마 야요이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4길 16 3층 82 70 8114 3645 artworksparis@gmail.com artworksparis.com

Lim Chaejin, Fabien Massicot

Hur Kyung–Ae, Lee Eu, L’Atlas, Jonone, Lee Ufan, Paik Nam June, Ha Chong Hyun, Rhee Seund–Ja, Pablo Picasso, Marc Chagall, Bernard Buffet, Murakami Takashi, Kusama Yayoi

3F, 16, Bukchon–ro 4–gil, Jongno–gu, Seoul, Korea 82 70 8114 3645 artworksparis@gmail.com artworksparis.com

64

65


B44

아르테알토 갤러리는 미술 관련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대중이 여러 방식으로 예술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갤러리는 기존 관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신념으로 전시와 각종 프로그램을 색다른 공간에서 진행하고 있다. 예술을 미식, 음악 등의 경험과 결합하고, 아티스트와의 교류를 주선해 창작과정을 보여주며, 현장에서 시연도 한다. 올해 선보인 전시 〈아르테 아파테 Arte Aparte, (색다른 예술)〉가 그 좋은 예이다. 전시 장소로 메데인의 최고 번화가에 위치한 커다랗고 오래된 집을 선정해 8명의 예술가를 초청했다. 매일 밤 15~20명의 관객만을 초청해 메데인 최고 요리사가 준비한 미식 경험도 함께 제공했다. 아르테알토는 도시에 변화를 일으키고자 하며 새로운 예술 문화를 형성하고 미술 컬렉터들을 육성하고자 한다. ARTE ALTO creates different experiences around art, where the public can interact in many different ways with art. ARTE ALTO thinks that the gallery has to go out of the white box, and for that, it holds exhibitions and experiences in unconventional spaces. The gallery mixes art with gastronomic, musical or different experiences and allows interaction with the artists, where some of them show their process and perform work on site for the attendees. The director of the gallery highlights the exhibition the gallery held this year which was called Arte Aparte. The director used as a location an old and large house located in the best sector of the city and invited 8 artists to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They also invited 15 – 20 people per night to live a gastronomic experience prepared by one of the most known chefs in the city. The gallery wants to be known as a gallery that makes a difference in the city, generating culture around art and helping people to become a new collector of this beautiful world of art.

‘보케론’은 호르헤 오르티즈가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제작한 시리즈이다. 두 개의 산 사이를 이동하는 구름의 움직임을 5분 간격으로 찍은 사진들로 구성된다. 단, 사진의 진짜 주제는 흘러가는

알바로 마린의 작품은 감각과 시간을 표현한다. 색상 배치에만 하루 종일 걸리기도 하지만 작가는 최상의 작품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반복하고, 작품을 완성한 후에도 작품을 관찰한 후 다시 개입하기도 한다. 그의 회화는 서정적이며 추상적이다. 콜롬비아 안티오키아주 출신으로 콜롬비아 추상회화의 선구자 중 한 명인 그는 수년간의 시행착오를 거친 이 시리즈를 통해 자신의 언어를 정교하게 표현할

구름이 아닌 ‘흘러가는 시간’이다. ‘Boquerón’ is the name of the series that Jorge Ortiz made between 1979 and 1980. The images are constructed from captured photos that document the movement of the clouds between two mountains, in an interval of 5 minutes. The real intention here is to photograph time.

수 있는 색상과 형식 코드를 완성했다.

새롭게 구성했다. 호르헤 오르티즈 Jorge Ortiz, From the series ‘Boqueron’, 2018, analog photo, digital print, 100x100cm

나디르 피게로아 Nadir Figueroa, Entramada Densa from series ‘Ciudades Invisibles’, 2018, metal mesh, wire, acrylic, 122x122x7cm

도시는 실재하는 물리적 최소단위로 이루어진, 살아있는 역동적 존재이다. 도시의 참된 본질과 영혼은 셀 수 없는 역사, 사건과 위험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요소들은 혼합되어 강력하고 특이한 성질을 발현한다. 나디르 피게로아의 ‘보이지 않는 도시’는 목판에 금속망 조각들을 겹쳐 만든 시리즈다. 패턴 드로잉에 쓰이던 기존 재료와는 거리를 두면서 그 개념과 방법을 조화로운 방식으로

알바로 마린 Alvaro Marín, Untitled, acrylic on canvas, 150x150cm

ARTE ALTO

The city is a living and dynamic body constituted in a minimum part by physical, tangible elements. Its true essence, its soul, is composed of countless histories, events and hazards, which when mixed powerfully produce their idiosyncrasies. ‘Ciudades Invisibles’ is a series of drawings constructed from the superposition of metallic meshes cuts, grouped, fixed and arranged over a wooden surface. The works that compose it take distance from the conventional materials in which the patterned drawing is solved, to rethink and strengthen in a unison way its concept and the means by which it is solved.

The artistic creation from Alvaro Marín is connected with sensations and moments. It can take all day to match with the colors, or sometimes he finishes his artworks in just a few hours and then resume and intervene to create the best pieces. His work is a lyrical abstraction, by the way in which the painting was executed. He is one of the pioneers of abstraction in Antioquia and with this series he shows years of experimentation, trial and error, until he gets a code, both in colors and forms, to elaborate his languag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펠리페 엔젤, 유지니아 베탕쿠르

알바로 마린, 다닐로 쿠아드로스, 디에고 디아즈, 호르헤 오르티즈, 나디르 피게로아, 넥터 메히아

050021 콜롬비아 마드린 # 7A – 329 크라30 57 312 778 4206 info@artealto.com www.artealto.com

Felipe Angel, Eugenia Betancur

Alvaro Marín, Danilo Cuadros, Diego Díaz, Jorge Ortiz, Nadir Figueroa, Néctor Mejía

Cra 30, # 7A – 329, Medellin, 050021, Colombia 57 312 778 4206 info@artealto.com www.artealto.com

66

67


ARTSIDE GALLERY A79

아트사이드 갤러리는 ‘예술이란 끊임없는 주변의 중심화’라는 실천적 지표를 가지고 1999년 처음 개관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그동안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와 유럽 등지의 역량 있는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세계를 한국 미술계에 소개하는 데 앞장서 왔다. 또 국내외 신진작가들을 지속해서 발굴하여 새롭고 참신한 전시 기획을 선보이고자 노력했다. 앞으로도 해외 미술시장의 경계 없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동서 문화예술의 융합과 발전을 향한 공동 담론의 장을 마련하도록 그 역할을 다할 것이다.

김병주 Kim Byungjoo, 모호한벽–장소 Ambiguous Wall–Scene 0503 80x80x12(1) Ambiguous–wall, 2018, steel, acrylic board, urethane paint, 80x80x12cm

아트사이드 갤러리

ARTSIDE GALLERY first opened in Insa–dong, 1999, with a practical objective of ‘Art is Ceaseless centering of Side’. In 2010, ARTSIDE GALLERY relocated to Tongui–Dong, an area where Korea’s modern history is still intact and has been actively active in both domestic and overseas, grown to have become an influential gallery amongst the world of art. ARTSIDE has been leading the way to introduce able artists and their art from Korea, China and also Europe into Korea’s world of art. Continuously developing and pitching new emerging artists, showing interesting and fresh exhibits. They will then come to suggest a direction for creation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offer viewers the opportunity to let them actively take part in exhibitions.

김병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상의 투시도를 설계한 후, 이를 다시 입체적으로 작업한다. 특히 그의 ‘부조’ 시리즈는 3차원의 입체적 구조물을 2차원적 시각으로 함축하며 새로운 차원의 열린 공간을 창조해내는 것이다. 중첩된 선들은 공간의 안과 밖을 구획하면서도 이를 연결해 모호한 경계를 드러낸다. 선이 지니고 있는 색채 역시 서로의 영향으로 공간을 연결하면서 동시에 해체한다. 안과 밖이라는 양분된 공간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을 추구한다. 더불어 작품에 투영된 빛, 그것에 의해 만들어진 그림자는 구조물의 연장선상으로 표현되며 구조물 안에 갇혀 있던 이미지를 외부 공간으로 확장한다. Kim Byungjoo artwork placed in white space looks like part of the city because of its strong color and protruded shape. That he secures space for his artwork tells us that art is not really about technique. It is important to judge whether he represents a building through his artwork or not. How different and unrealistic his artwork is from the actual architecture, which explains about the autonomy of art. The variance in art is what artists choose to fight against authority. Although the fight seems to be chaotic, he takes a strategy that allows him to harmonize with the order of the space and ignore it freely from time to time. We gaze in awe at him balancing himself on a tightrope made of straight lines and curv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동재

한애규, 김병주, 송진화, 송수민

03044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6길 15 82 2 725 1020 info@artside.org www.artside.org

Lee Dongjae

Hahn Aikyu, Kim Byungjoo, Song Jinhwa, Song Sumin

15, Jahamun–ro 6–gil, Jongno–gu, Seoul, 03044, Korea 82 2 725 1020 info@artside.org www.artside.org

68

69


A67

2015년 4월 설립된 아시아 씬 아트센터(ASAS)는 사회, 역사, 문화, 개인의 시각에서 예술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아시아 지리 및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하고 현장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ASAS는 창작, 심포지엄, 지역 개입을 통해 현대 미술을 선보이고 있다. 또 새로운 예술적 언어의 활기를 통해 기존의 미술관 시스템과 비엔날레에 효과적인 충격을 유발할 수 있는 예술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짱 삔 Zhang Bin, 야간순찰 Night Patrol, 2018, acrylic paint, 70x80cm

ASIA SCENE ART CENTER

Founded in April 2015, Beijing, ASIA SCENE ART SPACE(ASAS) is devoted in constructing art’s “scenic” ecosystem from perspectives of society, history, culture and individuals. Rooted in Asian geography and cultural background, and starting from the concept of scene, ASAS is devoted in unveil contemporary art through creation, symposium and local intervention. It is also looking for new art changes that can cause an effective impact on existing museum systems and biennale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new artistic languages.

The painters’ painting style is reminiscent of the 60s and 70s in China. The artist’s father is a painter who paints posters at old theaters, and he has been influenced by his father since childhood. The artist expresses current China through old painting style. Zhang Bin’s painting style is not familiar to Koreans, but the subject and worries are no different from Koreans.

작품의 배경은 대만과 중국 대륙 사이의 바다다. 작품은 잔잔하지만, 긴장감이 흐른다. 퇴색되고 오랜 느낌의 화면은 작가의 주된 표현 기법이다. 작가는 현재도 진행 중인 그들의 어색한 관계를 잘 표현하고 있다.

Torchka is the Russian word for the position of fire. The word Torchka is now out of the ordinary. The statue on top of Torchka and the warm sunshine go wonderfully well with Torchka. After decades, Torchka has also become a peaceful scene. The artist was praised for his various views and expressions in Venice.

The background of this work is the sea between Taiwan and the Chinese continent. It is calm, but there is tension. A discolored, old–fashioned screen is the artist’s main expression. The artist well expresses their ongoing awkward relationship. 허 쮄 He Jian, 정적 Dead Calm, 2018, Chinese ink on Chinese paper, 34x68cm

허 진웨이 He Jinwei, 토치카의 봄빛 Tochka, 2017, oil painting, 60x50cm

‘토치카’는 사격 진지를 뜻하는 러시아어다. 지금은 생소해진 단어 토치카. 토치카 위의 여신상과 따뜻한 햇볕은 이상할 만큼 토치카와 잘 어울린다. 시간이 흘러 토치카 또한 하나의 평화로운 풍경이 되어 버린 부분이 흥미롭다. 작가는 사물을 보는 다양한 시각과 표현방법으로 베니스 비엔날레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작가의 화풍은 중국의 60, 70년대를 회상하게 한다. 작가의 아버지는 옛 극장의 포스터를 그리는 화공으로 작가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작가는 옛날 화풍으로 현재의 중국을 표현한다. 그의 화풍은 한국 사람에게 익숙하진 않지만, 그가 그리는 주제와 고민거리는 한국인과 별반 다르지 않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허 진웨이, 한준욱

허 진웨이, 짱 삔, 허

100102 중국 북경시 조양구 순백로 318국제예술구 2열 3호 77736 독일 젤 암 하르머스바흐 하우프트스트라세 40 82 10 2220 0340 ostalohan@naver.com www.asiascene.net

He Jinwei, Han Junwook

He Jinwei, Zhang Bin, He Jian

No3, East second line, 318 Internationl art village, Shunbai road, Chaoyang District, Beijing, 100102, China Hauptstrasse 40, Zell a.H, 77736, Germany 82 10 2220 0340 ostalohan@naver.com www.asiascene.net

70

71


ATELIER AKI B30

2010년에 설립된 아뜰리에 아키는 전시 기획과 기업 아트컨설팅 전문 갤러리로서 현대미술을 비롯해 건축과 디자인을 포함한 시각 예술 분야의 교류의 장을 구축하고, 삶의 일부로써의 진취적 예술을 지향한다.특히 최근 런던, 싱가폴, 홍콩 등의 국제 아트페어를 참여함으로써 국내 작가의 국제적 진출을 위한 발판이 되고 있으며, 주요 해외 아트 씬(scene)에서 주목받고 있다. 또 기업 콜라보레이션의 일환으로 KAKAO(다음 커뮤니케이션), 현대백화점, Salvatore Ferragamo, Absolute Vodka 등 국제적 기업과 함께 공공 영역의 특성을 반영한 아트 콘텐츠를 기획하여, 미술의 역할과 그 가능성의 확장에 노력을 기울인다.

이선미 Lee Seonmee, 내 머무름 자리 The Past will Remain Eyeglass Lenses, 2013, copper, glass lens, electrical material, 92x66x76cm

아뜰리에 아키

ATELIER AKI, established in 2010, has always challenged new realms as a young and promising gallery specializing in exhibitions and art consulting for companies in Korea. ATELIER AKI supports cultural exchanges and brings a stream of perspectives in contemporary art while encouraging diversity and variety in the art world. By participating international art fairs in London, Singapore and Hong Kong, ATELIER AKI continues the ambition to establish international platforms for Korean artists. ATELIER AKI has shown and designed unique contents for new art marketing for companies such as KAKAO(DAUM communication of Korea), Salvatore Ferragamo of Italy, Hyundai department store, and Absolute Vodka, whilst broadening the spectrum of how arts can be introduced and challenged further afield.

Kang Junyoung’s work starts from this thought that the choice we face does not always make a right result. We humans choose in the selecting process through Yes(O), No(X) algorithm but the choice does not show to the result the way it is. The symbol itself does not show what right or wrong is. It only divides choice whether selecting(O) or non–selecting(X) for given question. Kang adopted and recorded O, X as a symbol of choice in his work and wants to suggest consideration of the choice that we encounter. Additionally for Kang Junyoung, ‘house’ is a fundamental ground that eventually becomes the subject of hospitality and intimate topophilia, giving comforts and soothing.

강준영 Kang Junyoung, The First Duty of Love is to Listen!, 2016, oil painting on canvas, 116x91cm

강준영 작가의 작품은 인간에게 놓인 선택이 언제나 옳은 결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인간의 선택은 알고리즘의 Yes(O), No(X)를 고르는 과정에서 만들어지지만 그것은 반드시 그대로의 결과를 내지 않는다. 기호 그 자체가 옳고, 그름을 얘기하지 않는다. 단지 주어진 명제에 대해 선택할 것인지(O),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X)를 구분할 뿐이다. 강준영 작가는 작품에서 선택의 상징으로 O, X를 활용해 우리가 접하는 선택에 대해 다시 생각하길 바라고 있다. 더불어 강준영 작가에게 ‘집’은 원초의 집이자 천년의 집으로, 종국에는 안식과 위안을 주는 친밀한 토포필리아 topophilia, 場所愛의 대상이다.

이선미 작가의 작품은 썼다가 버려지는 안경알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하나 하나의 렌즈는 사람에 대치되고 그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안경알로 만들어진 커뮤니티인 지구의 한 가운데 빛을 밝히면 전시 공간 전체에 대륙과 바다의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관객은 멀리서 관찰되는 지구가 아닌 내부에서부터의 지구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빛이 없이 바라보면 그저 쓰여진 안경알로써 썼던 사람들의 생활 흔적이 남아있는 재료가, 작가에 의해 빛이 밝혀지고 이러한 흔적이 사라지며 보석같이 빛나는 공간을 이루게 된다는 점에서 이선미 작가의 작품은 신비롭다. Lee Seonmee’s artworks are made of used and thrown away lens of glasses. Each lens reflects a person and forms a space in which he or she lives in. Lee’s Earth, community composed of these used lens of glasses, lights up and the audience can observe the shadow of continents and oceans. Audience will be able to encounter the earth from inside, rather than that from the distance. Without lights, material is merely used lens of glasses without lights. Then the light comes into scene to conceal the signs of everyday life and the exhibition space gleams like jewel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은경

강준영, 강예신, 권기수, 이선미

04769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2길 32–14(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 1층 82 2 464 7710 aki@atelierkai.com www.atelieraki.com

Kim Eunkyung

Kang Junyoung, Kang Yehsine, Kwon Kisoo, Lee Seonmee

Galleria Forêt 1F, 32–14, Seoulsup 2–gil, Seongdong–gu, Seoul, 04769, Korea 82 2 464 7710 aki@atelierkai.com www.atelieraki.com

72

73


BAIKSONG GALLERY A34

1974년 개관한 백송갤러리는 지난 40여 년간 한국미술 대중화와 해외작가를 국내에 소개하기 위해 수많은 전시를 기획해왔다. 국제미술전에 참여하여 유수의 화랑들과 경쟁했으며, 현재 여러 국가의 갤러리들과 협력하는 화랑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 1992년 백송미술재단을 설립하여 후진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백송갤러리는 개관 이래 한국 근현대미술을 필두로 현대미술 동향을 알리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반세기에 가까운 갤러리의 역사는 한국 현대미술의 역사와 함께 해왔으며 동시대 미술의 급격한 흐름과 같이한다. 백송은 지속적으로 역량 있는 국내외 작가들을 발굴하여 전시를 기획하며, 국제 페어에서 적극 알림으로써 미술계와 미술시장의 활성화 및 저변확대에 앞장서 한국미술의 국제화에 힘을 쏟고 있다. BAIKSONG GALLERY opened in 1974, for 40 years it held many exhibitions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art and introduction of foreign art. The gallery has competed for globalization of Korean art and has cooperated with several galleries abroad. In 1992 the gallery established Baiksong art foundation and fostered the younger generation. BAIKSONG GALLERY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letting people know the trend of contemporary art, starting with Korean modern art, since its opening in 1974. Almost half a century of the history of BAIKSONG GALLERY has a trace with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rt, and today, it shares the rapid flow of contemporary art. BAIKSONG consistently plans exhibitions, discovering competent domestic and foreign artists and strives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art, leading the vitalization of the world of art and the art market and expanding its base by active promotion at the International Art Fairs.

3m의 커다란 화면에 점 하나. 대담한 여백에서 느껴지는 충만하고 압도적인 아우라. 이 작품은 현대미술의 거장 이우환의 〈다이얼로그 Dialogue〉다. 사물과 세계의 관계에 집중하는 작가는 1970년대에 질서정연한 ‘점’, ‘선’ 시리즈에서 1980년대에 흐트러진 듯한 ‘바람’ 시리즈를 거쳐 1990년대 이후 한두 개의 점으로 표현된 ‘조응 Correspondence’ 시리즈로 이어왔다. 이우환은 새로운 것에 대한 무분별한 추구와 인간 중심적인 근대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관계를 논하고, 절제와 공존을 지향하는 예술 세계를 펼친다.

Kim Byungjin draws the space, using iron. The artist shows works of ‘symbols and emblems’ at this fair, who has changed from organic expressions of flowers and plants, following iron wire in his earlier works to various themes, such as persons, still objects, animals and characters that are familiar to us. The work subtitled, ‘A Transition from Symbol to Desire’ is composed of the unit of specific words like ‘love’ and ‘hope’ or signs like luxury brand logos, including ‘Apple’, ‘Chanel’ and ‘Hermés.’ A mass consisting of the accumulation of these signs shows the image of the holistic desire. The artist directly visualizes a substance of desires with the combination of signs, which are the objects of the desires with images having material values and psychological values. He says that the satisfaction of desires is an empty fantasy covered by signs.

The full and overwhelming aura felt from one dot and a bold margin in a 3m large canvas, this work is 〈Dialogue〉 by Lee Ufan, a master of the contemporary art. The artist who concentr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the world has worked on well–ordered ‘dot’ and ‘line’ in the 1970s, disordered ‘wind’ series in the 1980s and the ‘correspondence’ series expressed with one or two dots in the 1990s and later. Lee Ufan has discussed the relationships with intact things and shown the world of art aiming at temperance and coexistence, breaking from the senseless pursuit of new things and a human–centered modernist perspective.

Lee Seungha’s work looks realistic like photo or abstract. The two contrasting canvases, the sea and the sky, harmonize yin and yang, which are implied as a moderate part in the whole universe.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work with limestone powder as a pigment, pouring water and soil and Indian ink on the canvas, shaking them to the left and right or making them stand vertically to mix them. Through this working process, an image of the trace, which is hard to be produced by drawing, and many numerous acts of repetition accumulate various experiences on the canvas. It is a peculiar subjective expression perceived with energy, not really emerged in a shape. It is displaying a seascape which can never express through reproduction and description. 이승하 Lee Seungha, Abstract–Another Sea, 2018, mixed media on canvas, 120x120cm

김병진 Kim Byungjin, Jewel–Love, 2018, stainless steel, car paint, 160×60×200cm

김병진은 철을 이용하여 공간을 드로잉한다. 철선을 이어 꽃과 식물을 유기적으로 표현했던 초기 작업에서 인물, 정물, 동물, 친근한 캐릭터 등 다양한 주제로 변화해온 작가는 이번 페어에서 ‘표상·emblem’ 작업을 선보인다. ‘표상–욕망으로의 이행’이라는 부제의 작업은 ‘love’,‘hope’와 같은 특정 단어나 ‘애플’, ‘샤넬’, ‘에르메스’ 명품 브랜드 로고 등의 기호로 작품 형태를 구성한다. 이러한 기호가 집적으로 이루어진 덩어리는 총체된 욕망의 형상을 보여준다. 욕망의 대상이 되는 기호들과 물질적, 심리적 가치를 지닌 이미지의 결합으로 욕망의 결정체를 직접적으로 시각화한다. 그는 욕망의 충족이란 기호로 덮인 공허한 환상임을 말한다.

이승하의 작업은 사실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추상적이기도 하다. 바다와 하늘 두 가지 상반된 화면은 우주 전체를 함축하며, 음양의 조화를 화폭에서 맞추어 나간다. 작품 제작과정은 석회석 분말을 안료 삼아 수토 水土와 수묵 水墨을 캔버스 위에 부어가며 화면을 좌우로 흔들거나, 수직으로 세워 혼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려서는 나오기 힘든 흔적의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수없이 많은 반복 행위로 다채로운 경험을 화면에 축적한다. 작가의 화면은 형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기운으로 감지되는 독특한 주관적 표현이다. 재현과 묘사를 통해서는 결코 표출해 낼 수 없는 추상적인 바다 풍광을 펼쳐 보인다.

이우환 Lee Ufan, Dialogue, 2007, oil on canvas, 291x218cm

백송갤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백동열

김병진, 이우환, 이승하

031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1–8 82 2 730 5824 artbaiksong@naver.com www.artbaiksong.com

Baik Dongyol

Kim Byungjin, Lee Ufan, Lee Seungha

31–8, Insadong–gil, Jongno–gu, Seoul, 03149, Korea 82 2 730 5824 artbaiksong@naver.com www.artbaiksong.com

74

75


B26

1984년 개관한 보데갤러리는 현대미술과 고전미술 모두에 중점을 두고 있다. 고전미술 작품 중에서는 유럽 모더니티와 전후 모더니티에서 미술사의 주역으로 평가받는 작가들의 작품을 주로 전시한다. 1년 전 뉘른베르크로 이전한 후, 도심의 새로운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개인전과 테마전을 개최하여 작가들의 최신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중에게 현대미술을 알린다’는 갤러리의 창립 철학을 실천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아시아 지역, 특히 한국에서 보데 갤러리의 활동은 더욱 중요해졌다. 대구에 분점을 개설하여 독일 작가들의 최신작을 한국에 소개하고, 마찬가지로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독일에 소개하고 있다. BODE GALERIE, founded in 1984, focuses on both contemporary and classical art. For classical art, it shows graphic works by art historical protagonists of the European modernity as well as of the post–war modernity. In the inner city of Nuremberg, the gallery is showcasing the contemporary artworks of artists to the public in continuous individual presentations and thematic exhibitions. In this way, they made it possible to bring contemporary art accessible to the public, which is one of the principles of the gallery’s corporate philosophy. BODE GALERIE’s engagement in Asia, especially in South–Korea,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during the last ten years. The gallery opened a new space in Daegu. Since then, they have shown contemporary artworks of German artists in Korea and return, the artworks of Korean artists in Germany.

가지가 되었다. Artist Dietrich Klinge is one of the most established German sculpture artists. In his artworks, he aspires the presentation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variety of the human being and the human body. This is a further exemplary out of the Daphne cycle. The sculpture is determined and full of beauty, just as the mythological Daphne was. Because of the difficile headdress, it is cast as a unique. Because of her appearance, she was chased by Apollo and to be relieved from this she begs her father to metamorphose her into a laurel tree. So, her hair was transformed into these branches and her body into the trunk. 디트리히 클링에 Dietrich Klinge, Daphne VIII, 2017, bronze casting patinated, 260cm(h)

막스 아커만 Max Ackermann, Über allen Türmen, 1948, oil, tempera on painting cardboard, 65x50.5cm

막스 아커만은 전후 시대 그리고 근현대 시대에서 가장 대중적인 추상 예술 화가에 속한다. 그의 작업은 제1차 세계대전과 사회주의 국가였던 시절 독일에서 막대한 영향을 받았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그의 작업은 40대 후반까지 사회 비판적 개념을 특징으로 꾸준하게 발전하였고, 객관적인 표현 중심에서 완벽한 추상 작업으로 변모하였다. 특히 이 작품은 막스 아커만이 구성주의 작가인 바실리 칸딘스키와 추상 작가인 빌리 바우마이스터에 의해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 잘 드러난다. 작품은 무작위로 얽혀 있는 형상으로

디트리히 클링에는 뛰어난 독일 조각가 중 하나로, 그는 작품을 통해 다양한 인간성과 군상을 이미지로 표현해왔다. 작품은 다프네 싸이클러스 이야기의 또다른 예다. 디트리히 클링에의 조각은 단호하며,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있다. 무엇과도 쉽게 어울리기 어려울 듯한 머리장식은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신화에서 다프네는 매우 아름다운 여인이었다. 때문에 아폴론이 그녀를 쫓아다니자 그녀는 아버지에게 자신을 월계수 나무로 둔갑시켜달라고 구걸한다. 그래서 그녀의 머리카락은 월계수

우종택 Woo Jongtaek, Memory of Origin, 2017, mixed media on hanji(korean laid paper), 120x90cm

BODE GALERIE

보이지만, 내부 구조에는 숨겨진 조화로움이 드러난다. Max Ackermann belongs to the most popular abstract artists of the post–war era and of the classic modern–era. His work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rld War I and the Third Reich. After World War I his work was strongly characterized by socio–critical ideas, until the late forties, there was steady progress in his artwork. He switched between objective expression and complete abstraction. This artwork, in particular, shows the observer how profoundly influenced Ackermann was by constructivist Wassily Kandinsky and abstract artist Willi Baumeister. The painting is pieced together by geometrical forms, which appear at first glance random, but they reveal a hidden harmony inside the construction.

대한민국 작가 우종택, 그의 표현력과 전위적인 회화는 인간과 관련된 질문 중 하나에 대한 답을 위한 것이다. 그것은 설명되지 않은 수수께끼에 대한 우주의 기원과 우리 모두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질문이다. 우종택 작가는 작품에서 에너지와 자연의 힘을 시각화했다. 작품 앞에서 관람객은 이 힘이 기원이고, 진실하며, 긴장감이 가득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을 알게 된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우주론과 세상의 기원에 대한 작가의 이해는 세상은 안정적이며 끊임없이 지속되는 인식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작가는 은유적인 모티프에서 통제 받지 않는 것을 보여주며, 그것은 오늘날의 지식이 이미 우리 세계의 기원 동안 고착되어 있었음을 드러낸다. The South Korean artist Woo Jongtaek is looking with his expressive and gestic painting for an answer to one of the most relevant queries of the human being. It is the question about an unexplained enigma. The question about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world we all live in. Woo Jongtaek visualizes the energy and the power of nature in his artworks. In front of these works, the beholder becomes aware that this power is origin, genuine and full of tensions as well free from any human influence. In the sense of Plato, in his understanding of cosmology and of the origin of the world, the world is steady and a perpetual idea of cognition. So, the artist shows in his paintings, which are free from figurative motifs, that today’s knowledge was already anchored during the origin of our world.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클라우스 보데

디트리히 클링에, 게오르그 바젤리츠, 기셀라 호프만, 하리 마이어, 막스 아커만, 우종택

독일 뉘렌베르크 로렌츠 거리 2 42453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6길 9–2 49 911 5109200 bode@bode–galerie.de www.bode–galerie.de

Klaus D. Bode

Dietrich Klinge, Georg Baselitz, Gisela Hoffmann, Harry Meyer, Max Ackermann, Woo Jongtaek

Lorenzer Straße 2, Nuremberg, Germany 9–2, Hyeonchung–ro 6–gil Namgu, Daegu, 42453, Korea 49 911 5109200 bode@bode–galerie.de www.bode–galerie.de

76

77


BON GALLERY B06

본화랑은 1988년 인사동에서 시작하여 30여 년을 한결같은 마음으로 한국 미술문화 발전을 위해 그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한국 근현대 회화를 중심으로 활발한 기획전시를 통해 많은 작가를 배출했고, 의미 있고 재미있는 전시를 통해 관객과 함께 호흡해왔다. 또 국내외 아트페어에 꾸준히 참가하며 작가 프로모션 및 미술시장 저변 확대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 새롭게 성장하는 신진작가들을 위한 기획전도 엄선하여 진행하고, 다양한 테마 전시와 소품전 등 전시의 색다른 즐거움을 주고 있다. Ever since its establishment in Insa–dong in 1988, BON GALLERY has invested consistent efforts in the roles and functions as a familiar gallery design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s and culture. The gallery has produced some artists through current special exhibitions focused on modern Korean paintings and has been together with viewers through important and joyful exhibitions. Also, it is making the utmost efforts in promoting artists and expanding the base of the art market by continually taking part in art fairs in Korea and abroad. It is holding special exhibitions for new artists and giving unique joys of exhibitions through various theme displays and props exhibitions.

윤상윤의 작업은 고전 종교화처럼 3단계 층의 구조로 구성된다. 1층은 영역의 텃세, 2층은 이성적인 자아, 3층은 텃세와 권력에 저항하는 개인 또는 이를 비웃는 초자아다. 물로 비유된 자아는 군중을 잠식하거나 투영한다. 장소의 불안감과 무의식적 욕망을 경험하게 되는 군중은 무미한 표정과 몸짓으로 무대의 배우처럼 화면 중앙에 위치한다. 이러한 풍경 안에서 본능과 이성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현대인의 모습과 경험을 불러들인다. The works by Yoon Sangyoon expressed as three–level structure as ancient religious pictures. The first floor is territoriality of the domain, the second floor is reasonable ego, and the third floor is individual resisting territoriality and authority or superego ridiculing it. Id, which is compared to water, infiltrates or projects crowd. The crowd, which experiences the anxiety of place and unconscious desir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like an actor on stage in blank facial expressions and bodily movements. In this landscape, an artist wants to project various scenes and experiences of contemporary men who operate based on instincts and rationality.

이야기를 전달한다. The animal characters Artist make all have the shape of humans. They have the faces of cute animals but bodies of human beings. The cheerful and attractive appearance lets us have a flashback to the time when we were little. He wants to convey the message that someday, animals and people can become one, just like my characters.

윤상윤 Yoon Sangyoon, I Can Only Be Me, 2015, oil on canvas, 193.9x130.3cm

임종두 Lim Jongdoo, 동행 Together, 2018, mineral pigment on korean paper, 97x162cm

〈동행〉은 분별하는 마음이 사라지고 조화를 이룬 세계이다. 자연과 인간의 이미지를 결합하고 그 경계를 흐리고 느슨하게 조율한다. 이상과 현실 사이를 어우러져 오가며 하나 되어 사유를 확대하고 공감한다. 인간만큼 골칫덩이도 없지만 놀랍고 신비한 데가 있는 존재도 없다. 자연 훼손의 대부분은 인간 활동에 의한 것이지만, 생명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와 살아있는 것에 대한 연민, 동정하는 마음은 인간의 놀라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존재의 존귀함에 대한 질문으로서 인간이

노준이 만드는 동물 형태의 조각들은 모두 인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얼굴은 귀여운 동물 캐릭터의 모습이지만, 몸통은 사람의 형상을 닮았다. 밝고 귀여운 외형으로 인해 과거에 잊고 살아왔던 동심을 불러 일으킨다. 귀여운 얼굴의 동물들에게 사람의 몸과 같은 형태를 허락하여 그들과 우리가 어쩌면 하나가 될 수 있다는

노준 Noh Jun, 아름답게 포장하고 싶어 I Want to Wrap It Up Beautifully, 2017, ulethane paint on plastic, 27(h)x21x15cm

본화랑

수천년 꿈꾸어 오던 상생과 어울림의 모습이 동행인 것이다. 〈Together〉 is the world of the absence of distinguishing mind and harmony. It combines the images of nature and men and mediates the boundary vaguely and loosely. It expands thinking and sympathizes b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ideal and reality and becoming one. There is no other existence like humans who have no troubles but have amazing and mysterious things. Most damaged parts have arisen from human activities and they are connected to problems on earth. However, the attitude of acknowledging official value of life, sympathy toward life, and sympathizing mind are amazing parts of human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승훈

최성철, 강순자, 임종두, 노준, 윤상윤

06051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142길 26 82 2 732 2366 bon@bongallery.com www.bongallery.com

Lee Seunghoon

Choi Sungchul, Kang Soonja, Lim Jongdoo, Noh Jun, Yoon Sangyoon

26, Nonhyeon–ro 142–gil, Gangnam–gu, Seoul, 06051, Korea 82 2 732 2366 bon@bongallery.com www.bongallery.com

78

79


BONGSUNG GALLERY A58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거리 중심에 자리 잡은 봉성 갤러리는 100여 평이 넘는 넓고 시원한 공간에 있어 대형 전시 및 그룹·단체전 전시가 가능하다. 또 지방 도시로서는 가장 많은 미술 대학교가 있어 해마다 젊은 화가가 많이 배출되고, 유망한 청년작가들에게 참여 기회를 주고자 노력한다.

이명화 Lee Myeongwha, Thistle–생성 Thistle–Becoming, 2018, oil on canvas, 116x91cm

봉성 갤러리

Located in the center of Bongsan Cultural Street in Jung–gu, Daegu Metropolitan City, BONGSUNG GALLERY is a large and cool space with more than 100 pyeong. In addition, there are the most popular cities in the provincial cities, and many young artists are being released every year and we are trying to give promising young artist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융합하여 재구성한다. Different visual messages about the gap of the times, different personality between the generations, different cultural trends, technical expressions with different media which have been used for different genres, attempts to reconfigure and break down these divisions and fences. However, we take a cautious approach with the burden of having a clear reason for each element of convergence.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 〈더 팩트〉 발췌 I pictured the ‘hope that my father would like to see my strength when I saw mountains’ and ‘comfort to throw to me’. The paintings are completely different in blue color, which contains comforts such as comfort and stability, success and hope. I only changed ‘Green’ to ‘Blue’. The familiar landscapes and nature became bloomed and connected feelings across the boundaries of reality and unrealism. Hope and sadness cross, unfamiliar yet mysterious and cool. Glimse of a tranquil and quliet life spent in a countryside can be caught are affectionate and warm. – from 〈the fact〉 article

산과 들이라면 어디든지 볼 수 있는 것이 엉겅퀴다. 어찌 보면 너무 흔해서 사람들의 주목을 잘 받지 못할 수도 있지만, 이명화에게는 각별한 존재이다. 구름 한 점 없는 산길, 타는 듯한 햇볕이 내리쬐는 길가에 핀 엉겅퀴를 본 적이 있나. 타는 듯한 태양 아래서 가시를 달고 있는 짙푸른 이파리의 엄격함, 화산에서 붉은 용암이 솟아 나오는 듯한 요염한 불꽃 같은 꽃, 농염한 아름다움과 고혹적인 색감에 매료된다. It is a thistle that can be seen wherever mountains are. It may be too common to receive people’s attention, but it is a special existence to me. Have you ever seen a pin thistle on a mountain road without a cloud, burning sunshine, the fierceness of a dark blue fly with thorns under the burning sun, the flame of a sparkling flame–like red lava emerging from a volcano, I am attracted by the aggressive beauty and the alluring color. –Lee Myeongwha

조상연 Ryan Cho, 융합 The Amalgamation, 2018, ceramic, glaze, glass, ink stick, enamel, plastic film, 23x23cm, 25x25cm, 25x50cm, 50x50cm

정영환 Jung Yeonghwan, 그저 바라보기 Just Looking–legacy, 2018, oil on canvas, 145.5x97cm

‘그저 바라보기’ 시리즈가 탄생한 건 작가의 아버지 덕분이다. 작가는 15년 전 뇌졸중으로 쓰러진 아버지와 간호하는 어머니를 위해 산이 있는 양평에 작은 집을 마련해 드렸다. 산과 들을 보면서 아버지가 힘을 내었으면 하는 희망과 작가에게 던지는 위로를 그림에 담았다. 희망과 슬픔이 교차하고 낯설면서도 신비롭고, 서늘한

시대사조의 간극에 따른 시각적 메시지, 세대 간의 개성이 다른 문화적 트렌드, 장르별 구분하여 사용되어 왔던 각기 다른 매체와의 기술적 표현, 조상연 작가는 이러한 구분적 한계와 울타리를 허물고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은집

정영환, 김계환, 이명화, 조상연

41958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49 지하1층

Kim Eunjip

Jung Yeonghwan, Kim Gyehwan, Lee Myeongwha, Ryon Cho

B1, 49, Bongsanmunhwa–gil, Jung–gu, Daegu, 41958, Korea 82 53 752 0752 bongsung5678@hanmail.net bongsung.gallery

82 53 752 0752 bongsung5678@hanmail.net bongsung.gallery

80

81


A77

2001년 에릭 브루지에와 로헝 히가이 두 콜렉터가 개관한 브루지에–히가이 갤러리는 전세계 미술계가 주목하는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을 선보인다. 아직 대중에게 생소할 수 있는 ‘어반아트’ 를 대표하는 갤러리로써 일찌감치 프랑스 파리 미술계에 자리 잡았다. 갤러리는 유망한 젊은 작가들을 지속하여 지원 중이다. 어반아트와 더불어 파비앙 베르쉐르 및 70년대, 80년대 작가들의 작품도 선보인다. 갤러리의 공동대표는 갤러리스트이기 전에 콜렉터이다. 처음에는 단순히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작품을 수집하다가, 점차 규모가 커져 아티스트를 지원할 수 있는 갤러리를 오픈하게 되었다. 갤러리 입구에 들어서면 높은 천장의 열린 공간과 전시 작품들이 한눈에 보인다. 복층 구조는 하나이면서 동시에 구분된 공간이 되어 개인전 혹은 단체전, 다양한 매체의 작품들을 동시에 전시할 수 있는 독특한 구조를 자랑한다.

파비앙 베르쉐르 Fabien Verschaere, Dragon House, 2018, acrylic, watercolor and marker on canvas, 81x60x2cm

소통을 하고 있다. Fabien Verschaere’s body of work explores the human condition. Mingling dream and nightmare, the work of this artist is the world seen through the eyes of a child traumatised by various long stays in hospital. Using imaginary and fantastic codes, with continuous references to pop culture, he projects the public into a child’s dream, a world inhabited by hybrid creatures; monsters and strange animals, fruit of his imagination. Through these creatures he creates his own mythology: a theatre of emotions and intimate experiences, that seems to be animated by a play of contrasts, between beauty and repulsion, death and life, humour and anguish. The public is invited to plunge into this dreamlike world.

스텐실의 대가 닉 워커 작가의 작품에서는 100프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컷과 디테일에 우선 감탄하게 된다. 그리고 뱅크시 등 영국 출신 스트리트작가들처럼 사회비판과 풍자에 대한 메시지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작품에서 작가는 반달리즘의 상징인 수트 입은 남자를 캔버스 전체에 집중시키며 V 표시로 다시 한번 그

존원을 나타내고 있다. In JonOne’s paintings, the space is fully used, the empty or the white do not exist. The color appears as Jon’s vital support, his palette is rich and deep, the tones and contrasts reveal games of subtle nuances, with harmonious composition which appear spontaneous but also designed, the shapes are formed and are deconstructed, curvy or straight. There is symmetry and asymmetry, repetition and unity, his strokes are controlled with precision and flexibility. Each of his paintings is an abstract improvisation, whose brilliance transmits the joy of life. 존원 JonOne, Cactus, 2018, mixed media on hanji and canvas, 150x120x2cm

Among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of contemporary art galleries, GALERIE BRUGIER-RIGAIL has a unique artistic and aesthetic line. At once urban and contemporary, this gallery, created in 2001, is modelled on its two founders. Éric Brugier and Laurent Rigail, both art lovers, started as collectors before becoming gallerists. Only representing personally selected artists and pieces, they support young artists whom they find promising. As two gallerists that had both once dreamed of taking the creative path, the aesthetic line of the gallery naturally takes an old–school route, presenting the pioneers of urban art from the 80’s. The gallery represents Miss Tic, Speedy Graphito, or Robert Combas and JonOne from the French street art scene. Internationally, they represent Shepard Fairey (Obey Giant), Guy Denning, John Crash Matos and Nick Walker. Nevertheless, the two collectors have never ceased to foster contemporary and urban art novices, and are always on the lookout for the curious. Therefore, they support young artists such as Levalet, Nasty, MadC, L’Atlas, Monkeybird and M. Chat. Outside these duties, Éric Brugier and Laurent Rigail also dedicate themselves to inform and guide customers and collectors. Expertise, experience, and ethical transparency are all called for.

작가의 그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아이콘들은 죽음, 소녀, 인어, 별, 새, 천사, 성, 공주 등 보편적인 상징들과 함께, 컴퓨터, 헬멧, 주사기, 비행기, 카드 등 현대사회의 아티콘들까지 매우 다양하다. 작가는 이러한 소재를 미리 구상된 크로키를 바탕으로 그리는 것이 아닌, 순간적인 느낌에 찾은 소재들을 그려가며 캔버스를 채워나가는 방식으로 작업을 한다. 이를 작가는 자동페인팅이라고 설명한다. 유전적으로 얻게 된 불치병으로 신체적 결함을 갖게 된 작가는 죽음을 소재로 작업을 하고 있지만 그의 그림은 기괴스럽거나 공포스럽지 않다. 우리 삶의 모습 혹은 꿈속의 환영 등이 모두 어우러져 캔버스 위에 작가만의 세상을 만들어내며 이를 통해 관객과

스트리트 아트를 넘어 이제는 하나의 아이콘으로 상징되는 존원 작가의 작품에서는 강렬한 색감과 강한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2018년 3월 파리 브루지에–히가이 갤러리에서 개최된 그의 개인전 〈Birth of the Wind〉에서 선보인 이번 작품은 다양한 기법이 한데 어우러져있다. 지난 한국 방문시 매력을 느낀 한지를 캔버스에 배접한 뒤, 아크릴과 잉크 그리고 실크스크린 기법을 적절히 접목하여 완성한 이번 작품들은 기존 작품들과는 또 다른 매력의

닉 워커 Nick Walker, V for Vandal, 2017, spray paint on canvas, 91.5x60.2x2cm

BRUGIER-RIGAIL GALERIE

의미를 강조했다. As a pioneer of the phenomenon of British graffiti, Nick Walker’s work became a model for hundreds of emerging artists. His work is in constant evolution and always innovative, modern and exciting. Nick Walker bases his work on the graffiti energy and images but he manages to combine the freedom that they give him with an excellent mastery of the stencil. The results are very sophisticated and impressive. The methods that he uses keep their strength and their integrity on a traditional support, the canva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에릭 브루지에, 로헝 히가이

파비앙 베르쉐르, 존 크래쉬 마토스, 존원, 라틀라스, 닉 워커, 양문기

75003 프랑스 파리 볼타로 40 33 1 42 77 09 00 contact@galerie–brugier–rigail.com www.galerie–brugier–rigail.com

Éric Brugier, Laurent Rigail

Fabien Verschaere, John Crash Matos, JonOne, L’Atlas, Nick Walker, Yang Mungi

40, rue Volta, 75003, Paris, France 33 1 42 77 09 00 contact@galerie–brugier–rigail.com www.galerie–brugier–rigail.com

82

83


BRUNO ART GROUP B53

호안 미로 Joan Miro, Hommage aux prix Nobel, 1976, lithograph, 76x55.8cm

브루노 아트그룹(이하,BAG)은 세계적인 아트그룹으로 이스라엘 혁신예술의 국제적인 전파를 이끌고 있다. 브루노는 1960년 이스라엘로 이주해 1964년 텔아비브에 브루노갤러리를 개관했다. 그는 문화에 대한 욕구가 강력했던 이스라엘에서 예술을 전파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 20세기 말, 브루노갤러리는 이스라엘 최고 갤러리 중 하나로 부상했다. 현재 BAG는 이스라엘, 싱가포르, 인도, 미국 5개국에 독점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다. 포트폴리오는 마르크 샤갈, 파블로 피카소, 후안 미로 등 천재적 전위파 화가들 작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BAG는 사람들이 예술을 통해 삶의 기쁨을 찾기를 바라며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미술 애호가로 변신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특한 양질의 작품들을 다양한 가격대에 구입할 수 있게 한다. 이들의 모토는 다음과 같다. “당신의 삶을 예술로 바꾸어 드립니다.” BRUNO ART GROUP(BAG) is an international art group and a leader in presenting Israeli art innovation around the world. The first Bruno Gallery was inaugurated in Tel Aviv in 1964. It was one of the very first to promote art in the young, culture thirsty state.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BRUNO GALLERY became one of Israel’s leading art galleries. Today BAG consists of five exclusive galleries in Israel, Singapore, India, and the USA. BAG’s portfolio is comprised of the works of some Avant–garde geniuses like Marc Chagall, Pablo Picasso and Joan Miro. BAG seeks to empower people to fill their lives with happiness through art and encourages a broad audience of art lovers to embrace their passion for art while giving them unique and valuable opportunities to acquire exclusive one of a kind quality artworks at all price ranges. BRUNO ART GROUP’s motto is ‘We Art Your Life’.

찰스 파지노 Charles Fazzino, NYC is the Apple of the World, 2017, 3D serigraph, 37x33cm

마르크 샤갈 Marc Chagall, The Green River–Le Fleuve Vert, 1974, lithograph in color, 36x61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모티 아브라모비치

마르크 샤갈, 요람 친신, 찰스 파지노, 호안 미로,앤디 워홀,로이 야히브, 마리나 즐로신

6350903 이스라엘, 텔아비브 하타루차스트리트 3 972 3 648 8070 office@brunoartgroup.com www.brunoartgroup.com

Motti Abramovitz

Marc Chagall, Yoram Chisin, Charles Fazzino, Joan Miro, Andy Warhol, Roy Yariv, Marina Zlochin

3 HaTaarucha Street, Tel Aviv, 6350903, Israel 972 3 648 8070 office@brunoartgroup.com www.brunoartgroup.com

84

85


CHOSUN ART GALLERY B22

조선화랑은 1971년 서울시 중구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개관하여 47년간 국내 유명 원로작가 및 중견작가의 회화, 조각, 판화 등의 기획전시 및 판매를 주로 하며 400여 회 이상의 국내외 기획전을 실시하였다. 조선화랑은 1991년 청담동을 거쳐 2001년에 코엑스 컨벤션 센터로 이전하여 운영 중이다. 조선화랑 권상능 대표는 한국화랑협회 3,9,11대 회장을 역임하여 대한민국 화단과 미술시장 육성을 위해 봉사한 바 있다. 현재 조선화랑의 차세대 운영자들은 소격동에서 갤러리 조선을 운영하고 있다. Since opening at the Westin Chosun Hotel, Sogong–dong, Joong–gu, Seoul in 1971, CHOSUN ART GALLERY planned, exhibited and sold paintings, sculpture and woodblock print, etc. of famous veteran painters/sculptors and leading painters/ sculptors in the nation. The gallery opened exhibitions as many as more than 400 times. In 2001, CHOSUN ART GALLERY moved to the 2nd floor of COEX (Convention & Exhibition) Bldg at Samsung–dong Seoul and celebrated the 40th anniversary. Kwon Sangneung, the representative of CHOSUN ART GALLERY, took the office of the 3rd, the 9th and the 11th chairman of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to devote himself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painting circles and fine arts market.

화백의 작품 8점과 함께 ‘故 남천 송수남을 생각한다’라는 특별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Painter Song Soonam was a master of ink wash painting who sought to modernize the form in the exploration of ‘Korean beauty.’ From the 1960s, Song used techniques such as light ink–and–wash and made bold colors seep into and spread over paper. He thereby mastered what is now referred to as ‘Namchun Sansu’ (Namchun is the artist’s pseudonym and sansu means landscape in Korean) as well as attempted a number of abstract works. The Chosun Art Gallery presents a special event entitled ‘Remembering Namchun Song Soonam,’ with eight works by this true pioneer of the ink wash painting movement in Korea.

우리 삶은 생명이 있고 희망이 있기에 그 가치가 있다. 삶에 대한 희망, 희망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욕, 그리고 우리들의 꿈과 소망을 다산, 천국, 생명을 의미하는 연을 차용하여 표현하였다. 희망을 내포하는 꽃망울과 끈끈한 생명력의 잉태를 표현하는 수직선과 둥근 잎은 이 모든 내용을 함축하는 소재이다. 특히 여름은 아름다운 연꽃이 만개하는 계절로 생에 희망과 활기를 느끼게 한다. 기법은 한지를 여러 겹 배접하여 차례로 걷어내는 데콜라주 기법과 콜라주 기법을 혼용하여 화면에 변화를 주었다. – 김춘옥 Our lives are imbued with value because life and hope exist. Lotuses, which stand as symbols of fertility, heaven, and life, were used to express the hope for life, the will to realize that hope, as well as our dreams and desires. Lotus buds denoting hope, vertical lines representing the conception of persistent life, and the round lotus leaves all embody these values. The summer, in particular, is when lotus flowers are in full bloom, and one can best sense the hope and vitality of life during this season. Using both the techniques of collage and decollage by overlaying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and then removing it layer by layer, I created variations to the image plane. – Kim Chunok

가까운 자유로운 세계로 인도하고자 한다. – 허진 The theme of my work is eco–friendliness, the concept of maintaining the cyclical natural ecology in which humans and nature exist in harmony. This work, which brings to mind a zoological ecology map, offers colors effectively suited to the theme of the painting, while using the unintended, coincidental notion of unfamiliarity to highlight the sense of emotional resonance and weight found on the image plane. My serial paintings present depictions of vigorous wild animals. Through them, these works aim to draw us away from contemporary life shackled to capital culture and mundane routines, and lead us toward a free world, closer to our original nature. – Hur Jin

김춘옥 Kim Chunok, 자연–관계성 여름 Nature–Relationship Summer, 2018, ink and colors on Korean paper, 89×109cm

송수남 Song Soonam, 숲 Forest, 1990, ink on paper, 65.1×90.9cm

송수남 화백은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찾아 수묵의 현대화를 모색한 수묵회화의 거장이다. 1960년대부터 수묵 담채를 비롯 강렬한 색채를 스미고 번지게 하는 기법으로 이른바 ‘남천 산수’ 를 이룩했으며 추상적인 작품도 다수 시도했다. 조선화랑은 한국 수묵운동의 선구자 송수남

작품은 인간과 자연이 서로 화합하는 순환적 자연 생태관을 지키고자 하는 친환경론을 주제로 제시한다. 동물학적 생태지도를 연상케 하는 이 작품은 주제와 색채를 효과적으로 어울리게 하고 동시에 의도적이지 않은 우연의 이질감을 구사하여 화면에서 느껴지는 울림과 묵직함을 강조한다. 연작 작품은 역동적인 야생동물을 묘사해 자본 문명과 기계적 삶에 예속된 현대의 삶을 탈피하여 자연 본성에

허진 Hur Jin, 유목동물+인간–문명 2016–17 A Nomadic Animal+Human–Civilization, 2016–17, 162×130cm

조선화랑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권상능

하연수, 홍순주, 허진, 권희연, 김춘옥, 송수남

06164 서울시 강남구 영동대로 513 코엑스 컨벤션 센터 2층 110–1 82 2 6000 5880 imagechosun@hanmail.net www.chosunartgallery.com

Kwon Sangneung

Ha Yeonsoo, Hong Soonjoo, Hur Jin, Kwon Heeyeon, Kim Chunok, Song Soonam

COEX 2F, 110–1, 513, Yeongdong–daero, Gangnam–gu, Seoul, 06164, Korea 82 2 6000 5880 imagechosun@hanmail.net www.chosunartgallery.com

86

87


CHUNG ART GALLERY B56

청화랑은 1987년 개관하여 한 달에 한 번 이상 초대전을 하고 있으며, 국내 중견 이상의 탄탄한 실력과 그 위치가 확고한 작가들의 회화, 조각, 사진, 판화, 공예 등 장르에 구분 없이 좋은 작품을 전시하고, 미술에 관심 있는 사람들의 길잡이가 되고자 한다. 해마다 열리는 국내외 아트페어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급변하는 미술시장에 대응하고자 젊고 참신한 작가에게도 꾸준한 관심과 애정을 가진다.

임만혁 Yim Manhyeok, 강릉이야기13–1 Gangneung Story13–1, 2013, charcoal, oriental painting on korean paper, 176x133cm

청화랑

CHUNG ART GALLERY opened in 1987 and holds an invitation more than once a month. The gallery aims to be a guide for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art by exhibiting good works regardless of genre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photographs, prints, crafts, etc., which are solid and well–established in Korea. CHUNG ART GALLERY is participating in the annual art fairs held every year and has a steady interest and affection for young and innovative artist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art market.

박찬걸 Park Changirl, Face, 2012, stainless steel, 50x30x30cm

박찬걸은 지난 10여 년 동안 기존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재구성하는 조각들을 제작해왔다. 그의 조각은 대부분 이상적인 비례와 균형을 갖춘 인체를 형상화한 것으로, 인체의 전형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작가의 집요한 관심과 탐미적 취향이 엿보인다. 각각의 이야기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개인적인 욕망이 반영되긴 하지만, 그에게 이야기보다 중요한 것은 익숙한 이미지가 가진 권력이다. 박찬걸은 창작자보다 편집자로서의 예술가의 입장을 견지하며 강력한 권력을 가진 이미지를 잘게 잘라 재구성하는 포스트 프로덕션의 작업을 수행한다. For the last 10 years, Park Changirl has been producing pieces that have been reconstructed by borrowing existing images. His sculptures are mostly of the ideal proportions and balances of the human body. The artist’s persistent interest in the typical beauty of the human body and his aesthetic taste can be seen. Of course, the process of selecting each story reflects the artist’s desires, but for him, more important than the story is the power of familiar images. Park Changirl is an artist who stays in the position of an artist as an editor rather than a creator, performs post–production tasks that are finely cut and re–contextualized.

임만혁의 최근 작품 주제는 단란한 한 때의 가족 풍경이다. 늦게 아이를 가져 아버지가 된 지금, 가족이라는 테마로 작업하는 작가는 다양한 시점에서 그림을 그리고 밝은 느낌의 작품을 만든다. 스케치는 목탄을 사용해 날카로운 느낌을 살렸고, 현대인의 감수성과 가족 구성원의 성격, 임만혁의 개성을 표현했다. 작품 기법은 전통 동양화 채색 기법이다. 한지 위에 아교칠을 여러 번 한 후, 아주 연하게 200번에서 300번 정도 색을 입혀 서양 유화에 뒤지지 않는 밀도와 완성도를 보여준다. 작품 보관에서도 서양의 캔버스보다 내구성이 훨씬 좋다. The theme of Yim Manhyeok’s work these days is a happy family scene. Recently, a writer who is working on the theme of family has come to paint from various points of view and is working on a work with a bright color. The sketch uses charcoal to create a sharp impression and expresses the sensibility of modern people, the nature of family members, and Yim’s personality. The art of painting is a technique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After a series of coats of archokes on one page, they were painted very lightly, 200–300 times, having a density and perfection that is comparable to that of Western oil paintings. The original paper, made in such a way, is much more durable than the Western canvas, even in its collect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유혜선

김도희, 박찬걸, 송인헌, 이경하, 이상원, 임만혁

06063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147길 4 82 2 543 1663 yu1663@hanmail.net www.chungartgallery.com

Yoo Haesun

Kim Dohee, Park Changirl, Song Inhun, Lee Kyungha, Lee Sangwon, Yim Manhyeok

4, Samseong–ro 147–gil, Gangnam–gu, Seoul, 06063, Korea 82 2 543 1663 yu1663@hanmail.net www.chungartgallery.com

88

89


CHUNGJARK GALLERY A41

청작화랑은 1987년 개관 이래 한국화, 서양화, 조각, 판화 등 연평균 8여 회에 걸쳐 원로, 중견 유명 작가들의 기획전과 초대전을 개최했고, 개관 10주년에 ‘청작미술상’을 제정하여 역량 있는 젊은작가들을 지원했다. 2006년도에는 서울오픈아트페어 SOAF를 창립하여 공동대표로써 미술계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2016년에 청작아트–조형아트서울을 창립, 운영위원장을 맡아 뛰어난 젊은작가의 초대전을 지원했다. 독일 쾰른 아트페어를 비롯하여 뉴욕 Scope, 마이애미 Scope, LA, 홍콩, 시드니, 스페인, 상해 등 해외 아트페어에 약 57회 참여하여 세계 문화 속의 한국 미술과 작가를 알리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stone, and glass, were emphasiz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when trying making the sculpture for the first time. Stone and glass give each other a sense of cold, but the artist himself intended to build the nature and action of matter into a plastic form to give them life. By combin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stone and glass, the collapsible effect is implemented in which elements of the common and heterogeneous relationship are combined to produce an increased aesthetic effect.

신재환 Shin Jaehwan, 그곳을 향하여 Toward the Place, 2018, marble, glass, 62x8x14cm

청작화랑

Since CHUNGJARK GALLERY opened in 1987, the Gallery has annually presented average 8 times of planned exhibitions to help debut not only young artists but also famous artists to the art world. On the occasion of the 10th anniversary, the Gallery created the ‘Chung Jark Art Award’ for the exceptionally talented young artist. Moreover, the representative of the CHUNGJARK GALLERY organized Seoul Open Art Fair (SOAF) as a co–partner in 2006 and founded Plastic Art Seoul (PLAS) as a Chairman of Operation Committee in 2016 to develop art market as well as exclusively supporting promising young artists. Also in the global era, CHUNG JARK GALLERY has participated in many international art fairs (about 57times) including Cologne, Scope New York, Scope Miami, LA, Hong Kong, Sydney, Spain, Shanghai, etc.

이숙자 Lee Sookja, 이브–봄의 환상 Eve–Spring Fantasy, 2013, stonecolor on korean paper, 130.3x162cm

박은숙의 세계는 선각과 빛이 만드는 태초의 세계요, 프랙털의 세계다. 그녀의 근작 세계는 궁극적으로 오늘날 우주 시대의 담론 형상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태초의 세계를 놓고 예술적 상상력과 과학적 상상력의 조우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오늘날 예술과 박은숙의 만남은 이제 태초의 세계, 극미의 세계, 근원의 세계로 눈을 돌려야 한다는 걸 암묵적으로 시사한다. Park Eunsook’s artworld is the world of vision and light, and the world of fractal. Park Eunsook’s modern world is meaningful in that it is ultimately an image of the discourse of today’s space age. The encounter between artistic imagination and scientific imagination is seen. The meeting implicitly suggests that art today and art by Park Eunsook should turn to the beginning, the world of the dramatic beauty, and, in short, the world of the origin. 박은숙 Park Eunsook, Origin–Rejoice(18–1), 2018, mixed media, 60.6x72.7cm

현재 국내에서 유리와 돌을 복합재료로 제작하는 조각의 선례가 아직 없다. 돌과 유리는 서로 생명이 없는 듯한 차가움의 느낌을 주지만, 신재환 스스로 의도한 바에 따라 물질의 본성과 작용을 조형적 형태로 구축해 그 생명력을 부여하고자 했다. 천연 재료인 돌과 인공 재료인 유리를 병립해 공통성과 이질성을 가진 요소들이 감각적으로 융합되어 미적 효과를 드러낸다.

이 작품은 여인의 누드를 다룬 것이다. 단순한 누드가 아니라 추방당한 낙원과 원죄에 몸부림치는 아득한 태고의 풍경, 원색적 풍경으로서의 여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보리밭 속에 이브는 엄격한 데생에 의한 여체의 묘출이면서도 현실감보다는 초현실적 감정에 치우치게 한다. The 〈Eve – Spring Fantasy〉 is about a woman’s nude. It is not just a nude, but a woman who struggles with a exiled paradise and the original sin, a remote and primitive landscape. In the barley field, Eve is the creation of a woman by a strict drawing, but it is also a surrealistic rather than realistic.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손성례

박돈, 전뢰진, 이숙자, 김원자, 박은숙, 신재환, 김영숙, 문지혜

06029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134 타워빌딩 82 2 549 3112 g–chungjark@hanmail.net www.chungjark.com

Shon Sungye

Bhak Dorn, Jeun Loijin, Lee Sookja, Kim Wonja, Park Eunsook, Shin Jaehwan, Kim Youngsuk, Moon Jihye

Tower Building, 134, Apgujeong–ro, Gangnam–gu, Seoul, 06029, Korea 82 2 549 3112 g–chungjark@hanmail.net www.chungjark.com

90

91


A80

씨메이갤러리는 전 세계에 작가들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주력한다. 갤러리는 14년간 미술계에서 활동해 왔으며, 로스앤젤레스는 물론 서울에도 분점을 두고 있다. 씨메이갤러리는 로스앤젤레스와 전 세계 현대미술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는 갤러리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브라이언 레이 Brian Rea, Memories 1982–1992, 2018, ink and acrylic on wood panel, 121.9x121.9cm

CMAY GALLERY

CMAY GALLERY is a contemporary art gallery that focuses on building cultural exchange through its programming that showcases artists globally. With 14 years experience in the art world, and an additional space in Seoul, South Korea, CMAY GALLERY is proud to highlight and promote local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in the Los Angeles community.

에바 알미센 Eva Armisén, En Guardia Standoff, 2017, oil on canvas, 146x89cm

에바 알미센의 작품은 상징으로 넘쳐나며, 그녀는 종종 상징을 통해 주제의식을 표현한다. 그녀의 작품에 항상 등장하는 소녀는 카우보이 부츠를 신고 레이스가 장식된 슬립을 입고 있다. 미국 남서부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바위산 지형인 ‘미튼 Mitten’을 배경으로 서 있는데 양손에 쥔 권총에서는 글자들이 흘러나와, 소녀가 총알이 아닌 말로 싸울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두 미튼 사이에 당당하게 서 있는 소녀는 미국의 정신을 대변하는 새로운 아이콘이 될 준비가 끝난 듯하다. Armisén’s paintings are rich with symbolism, often wielding symbols to tackle big ideas. In this piece, Eva’s signature girl is seen standing in cowboy boots and a lace lined slip, with the iconic American Southwest geological feature ‘the Mittens’ in the backdrop. Letters stream out of the revolvers she holds in each hand, indicating she is ready to fight with words, not bullets. Standing square between the Mittens, she seems poised to become the new icon of the American spirit.

브라이언 레이의 〈Memory 1982–1992〉는 나무의 나이테처럼 어떤 단어들이 끊임 없이 바깥으로 퍼져나가는 모습을 통해, 시간과 경험이 우리 삶의 핵심을 창조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물리적인 노력과 흔적이 남는 이 드로잉에는 작가의 시간, 정체성, 번민이 스며들어 있다. Brian Rea’s list–based artwork, 〈MEMORIES 1982–1992〉, ripples outward like the rings of a tree, making visible the way time and experience create the cores of our beings. This physicality draws a connection between the metaphysical and the corporal, a common tactic in the artist’s practice dealing with time, identity, and vulnerabilit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메이 정

에바 알미센, 브레드 하우, 브라이언 레이

90069 미국 로스앤젤레스 멜로즈애비뉴 8687 B226호 1 310 922 3885 info@cmaygallery.com www.cmaygallery.com

May Chung

Eva Armisén, Brad Howe, Brian Rea

8687 Melrose Ave Ste B226, Los Angeles, CA, 90069, USA 1 310 922 3885 info@cmaygallery.com www.cmaygallery.com

92

93


COSMOS GALLERY B72

코스모스갤러리는 1987년 명동 코스모스 백화점 내에 갤러리로 개관한 이래, 인사동을 거쳐 강화군 내가면에 폐교를 전시공간 및 토탈아트센터로 활용하여 전시했다. 현재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로 이전하여 전시장과 나무스튜디오를 함께 운영 중이다. 30여 년의 역사를 지닌 갤러리답게 한국 미술계에서 근간 화랑으로서의 입지를 굳혔으며, 무엇보다 미술 영역의 발전에 도모하고자 수준 있는 전시기획과 신진작가의 발굴과 지원에 역점을 두고 있다. 특히 국내외 다양한 작가의 교류와 전시를 지속해서 기획하고, 세계시장 속에서 한국 화랑으로서의 위상과 그 역할을 위해 노력한다.

유옥자 Yoo Ockja, 비상 Soaring, 2018, mixed media, 116.8×72.7cm

코스모스갤러리

The COSMOS GALLERY was founded 1970 with a mission to represent the best of contemporary. Art in the Seoul, the gallery primarily focuses on abstraction in paintings, works, on paper, and sculpture. For the past 35years COSMOS GALLERY has specialized in offering fine Korean paintings and prints, Exhibitions of emerging, mid–career and established artists are punctuates, also we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helping young artists launch their careers, the gallery was transferred to the ganghwa–island in 2002, we became to offer visitors more various experience and pleasure than before. Reborn and refreshed before heading back to the urban scene, the gallery provides complete fine art services, including appraisals, framing, conservation and rent of artworks.

조현종의 팝아트 작품 중 하나로, 다양한 색채와 색다른 기법을 사용해 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튼의 특징을 표현했다.

Lee Jongkyoung’s paintings tell the viewers trying to judge in any way the story of pure emotion. In his painting, don’t think about Lee Woohwan’s ‘correspondence’ or Malevich’s Suprematist Painting. When you think of the logic of phenomenology or modernism, you will already lose your communication channel with him. Because what he shows is a sensory sound and touch that you can hear from your heart.

나의 작업은 특정한 의도나 지속적인 주제를 가지고 작업하는 것이 아닌, 대상과 나 사이의 심리적 거리감을 유지해 그 사이에서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사라지는 과정을 반복한다. 우연과 필연이 섞여 발생하는 생명력 있는 순간인 양면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형태다. 예술가는 안테나고, 커뮤니케이터다. 메시지를 전달하고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작업은 은유적이다. – 유옥자 I’m not working with a specific intention or persistently theme. but I working repeat process image are found and disappear naturally from maintenance ‘psychology distance’ between me and subject, that makes it form arouse duplicitous emotion when life force moment happens mixed accident and necessity. I think an artist is an antenna a communicator who transmit a message, arouse inspiration. – Yoo Ockja

조현종 Cho Hyunjong, 에릭 클랩튼–한국 나들이 Eric Clapton–The Outing in Korea, 2018, oil on canvas, 162x130cm

이종경 Lee Jongkyoung, 노랑 위에 녹색과 보라색 스킨 Violet & Green on Yellowgreen Skin, 2018, acrylic on canvas, 116.8x91cm

In 〈Eric Clapton – The Outing in Korea〉, from a series of popular art paintings by Cho Hyunjong, he describes the guitarist Eric Clapton’s figures on a canvas. The painting is characterized by a palette of many different colors and special brushstrokes.

이종경의 그림은 어떤 식으로든 판단해 보려는 시선들에 순수한 감성에 대한 이야기를 걸어온다. 그의 그림에서 이우환의 조응이나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회화를 생각하지 말기 바란다. 현상학이나 모더니즘의 논리를 떠오르게 될 때 이미 그와의 대화 채널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보여주는 것은 마음으로부터 들을 수 있는 감각적인 소리이고 감촉이기 때문이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윤남수

조현종, 김정미, 이종경, 유옥자

23054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해안서로 975 82 32 933 6188 cosmos003@paran.com www.cosmosgallery.co.kr

Yonn Namsoo

Cho Hyunjong, Kim Jungmi, Lee Jongkyoung, Yoo Ockja

975, Haeanseo–ro, Naega–myeon, Ganghwa–gun, Incheon, 23054, Korea 82 32 933 6188 cosmos003@paran.com www.cosmosgallery.co.kr

94

95


DADO ART GALLERY A35

1992년 2월 개관한 다도화랑은 회화, 조각, 도자 등 초대작가 약 300명과 함께 130여 회 이상의 기획초대전을 개최했다. 특히 구상 조각회, 신진양성 기금 마련을 위한 전시회를 기획했으며, 우리 조각의 선구자인 정관 김복진 선생의 자료를 미술사학회 팀과 발굴하여 컴퓨터로 복원, 작품 전시회 및 문집 발간, 추모비 건립 등 문화발전에 노력해왔다. 또 국내 아트페어는 물론 아시아의 주요 아트페어에 참가하여 국내 작품을 세계에 알리고 유망한 국내 작가 발굴에도 힘써왔다. 한국화랑협회의 한 일원으로서 다도화랑은 앞으로도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최근 작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는 생성과 소멸이다. 모든 생명은 삶과 죽음, 유와 무, 즉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 본인은 그간의 오랜 작업 기간 동안 대나무라는 소재를 다루어왔다. 대나무는 작업 속에서 작가의 또 다른 자아를 상징하는 동시에 허정(텅 빌 허, 고요할 정)의 세계로 들어가기 위한 연결 통로로서 존재하고 있다. 허정의 세계를 연구하고 탐구하면서 버닝 기법을 더해 점차 우주의 근본이 되는 생성과 소멸, 즉 무한 반복을 통한 영원성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무에서 유가 되는 과정을 통해 작가는 마음을 비워내고 다시 채워나가는 반복적인 과정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작가에게 수행과도 같다고 하겠다.

이현안 Lee Hyunahn, 6월 June, 2018, oil on canvas, 130x162cm

다도화랑

DADO ART GALLERY was founded in March 1992 by the director Hong Sungmoo, and Lee Sung–hoon. Since then, the gallery has held more than 100 art exhibitions featuring contemporary fine art, sculptures and traditional ceramic art pieces. As a member of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DADO ART GALLERY represents more than 300 emerging and established artists from Korea, Asia, and Europe.

Look at it. A historic space still remains calmly like the small island in a busy city where countless signboards, people, noises and structures make an outcry. And the living figure in the scene, the mismatch, familiar unfamiliarity, empty silence.

김현경 Kim Hyunkyung, Creation & Extinction, 2018, colored Korean ink on paper, burning, 113.5x113.5cm

정현숙 Jeong Hyunsook, Before and Dfter, 2018, acrylic, mother of pearl on canvas, 130x130cm

나를 보라. 아우성치는 수많은 간판과 인파와 소음과 구조물들로 얽혀있는 복잡한 도시 속에 작은 섬으로 고요히 남아있는 과거의 공간. 그 속에 놓인 현재의 인물. 작은 부조화. 낯익은 낯섦. 텅 빈 침묵.

Kim Hyunkyung recently focuses her work on the concept of formation and extinction. Every life repeat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extinction, life and death, something and nothing. She has been dealing with the theme of the bamboo tree for a long time. The bamboo not only symbolizes another ego of her, but it also exists as the way to enter the world of emptiness(the state of calm, silent, and peaceful mind). Recently, she has added the burning technique, and through this process of creating something out of nothing, Kim Hyunkyung experiences the repetition of clearing and filling up her mind, and this kind of practice would be another form of fulfillment to the artist.

작업의 주재료로 자개를 사용해오고 있다. 자개 뒷면에 여러 가지 색의 아크릴 컬러를 칠한 오묘한 빛의 자개를 캔버스 위에 불규칙한 작은 크기의 스퀘어를 만들어가며 붙여나가다 보면, 캔버스의 바탕색에 따라 다른 빛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자개의 빛으로 새로운 색면추상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Jeong Hyunsook uses mother–of–pearl as a main material, a kind of objet, for her works. Erratic forms of nacre which emit subtle lights are affixed to the canvas with various acrylic colors, and according to those colors, various lights from mother–of–pearl are produced. With this kind of light from mother–of–pearl, she tries to a new color–field abstrac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홍성무

정현숙, 김현경, 쿠사마 야요이, 이현안, 무라카미 타카시, 타카사키 모토나오

06031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159길 24 82 2 542 0755 dado@dadoart.com www.dadoart.com

Hong Sungmoo

Jeong Hyunsook, Kim Hyunkyung, Kusama Yayoi, Lee Hyunahn, Murakami Takashi, Takasaki Motonao

24, Nonhyeon–ro 159 gil, Gangnam–gu, Seoul, 06031, Korea 82 2 542 0755 dado@dadoart.com www.dadoart.com

96

97


A13

데이비드 즈워너 갤러리는 뉴욕, 런던 그리고 홍콩에 위치한 동시대 미술을 다루는 갤러리로서, 현재 60여 명의 작가 및 작가 재단들이 소속되어 있다. 1993년도에 개관한 이래, 다양한 매체와 장르를 아우르며 혁신적이며 독특하고 선구적인 전시를 선보이는 갤러리로 손꼽힌다. 1차 미술시장과 2차 미술시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며 오랫동안 광범위하고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예술가 단체의 활동을 지원했고,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다수의 작가들의 커리어를 발전시키는 데 매진하였다. 2014년 독립 출판사, 데이비드 즈워너 북스를 설립하여 카탈로그, 학술 논문, 역사학, 단행본 및 도록 등을 제작하기도 한다.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Untitled, 1988, clear anodized aluminum and red acrylic sheet, 25x100x25cm

DAVID ZWIRNER

DAVID ZWIRNER is a contemporary art gallery in New York, London, and Hong Kong, which currently represents sixty artists and estates. Since opening its doors in 1993, it has been home to innovative, singular, and pioneering exhibitions across a variety of media and genres. Active in both the primary and secondary markets, the gallery has helped foster the careers of some of the most influential artists working today, and has maintained long–term representation of a wide–ranging, international group of artists. In 2014, the gallery launched DAVID ZWIRNER BOOKS, a stand– alone publishing house with international distribution, which produces catalogues, monographs, historical surveys, artists’ books, and catalogues raisonnés.

Few artists have shaped the scope of contemporary art and influenced a younger generation more than Wolfgang Tillmans(1968~). Since the early 1990s, his works have epitomized a new kind of subjectivity in photography, pairing intimacy and playfulness with social critique and the persistent questioning of existing values and hierarchies. Through his seamless integration of genres, subjects, techniques, and exhibition strategies, he has expanded conventional ways of approaching the medium and his practice continues to addres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t means to create pictures in an increasingly image–saturated world. Still lifes are an integral part of Tillmans’s oeuvre.

볼프강 틸만스 Wolfgang Tillmans, Blumenfrau, 2007, inkjet print on paper, clips, 196.9x138.1cm

볼프강 틸만스 보다 젊은 세대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동시대 미술의 범위를 구축해온 예술가는 거의 없다. 1990년 초부터 그는 사진 작업을 통해 새로운 종류의 주제들을 집약적으로 보여주었고, 기존의 가치와 위계에 대해 끊임없이 풍자적인 질문을 던졌다. 그는 장르, 주제, 기술 그리고 전시 기획을 통해 미디어에 접근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확장했고, 점점 더 이미지가 포화되는 세상에서 사진을 만드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 2018 Judd Foundation / Artists Rights Society(ARS), New York. Courtesy David Zwirner, New York/London/Hong Kong

도널드 저드는 전후 미국의 가장 중요한 예술가 중 한 명이다. 스스로는 반대했지만 ‘미니멀 아트’의 가장 대표적인 작가이기도 하다. 도널드 저드의 작품은 꾸밈없이 곧은 형태로 색, 형태, 재료 그리고 공간에 대한 그의 강렬한 관심이 잘 드러난다. 벽걸이형 상자를 연상시키는 작품은 다양한 비율, 재료 그리고 작가의 역사로 되돌아가는 형태다. 산화 처리 된 알루미늄과 붉은 아크릴 시트는 작품의 표면 및 부피, 실내 및 외부 공간 사이의 관계와 같은 선입견을 탐구하는 그의 작업 방식을 드러낸다. 이는 균형과 설치에 관한 작가의 사려 깊은 태도뿐만 아니라 산업 재료 사용에 대한 접근 방식도 보여준다. 이 작품은 스위스의 산업 금속 회사인 Aluminium Menziken AG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는데, 저드는 1986년부터 그가 세상을 떠났던 1994년까지 이 회사의 재료를 사용했다. The work of Donald Judd(1928~1994),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merican artists of the postwar period, has come to define what has been referred to as Minimalist art–a label to which the artist strongly objected. The unaffected, straightforward quality of Judd’s work demonstrates his strong interest in color, form, material, and space. The present work is a wall–mounted box, a form that Judd would return to in various proportions, materials, and configurations over the course of his career. Executed in anodized aluminum and red acrylic sheet, it explores the primary preoccupations of the artist’s body of work, such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surface and volume and interior and exterior space, thus demonstrating Judd’s visionary approach to using industrial material, as well as his considered attitude toward proportion and installation.

ⓒ Wolfgang Tillmans Courtesy David Zwirner, New York/Hong Kong, Galerie Buchholz, Berlin/Cologne, and Maureen Paley, Lond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제니퍼 염

앨리스 닐, 도널드 저드, 프란시스 알리스, 프레드 샌드백, 존 맥크라켄, 리사 유스케이바게, 오스카 무릴로, 리차드 세라, 스탠 더글라스, 수잔 프레콘, 볼프강 틸만스

홍콩 센트럴 80 퀸스로드 H퀸스 5–6층 852 2119 5900 hongkong@davidzwirner.com www.davidzwirner.com.hk

Jennifer Yum

Alice Neel, Donald Judd, Francis Alÿs, Fred Sandback, John McCracken, Lisa Yuskavage, Oscar Murillo, Richard Serra, Stan Douglas, Suzan Frecon, Wolfgang Tillmans

5–6F, H Queen’s, 80 Queen’s Road, Hong Kong 852 2119 5900 hongkong@davidzwirner.com www.davidzwirner.com.hk

98

99


B13

2002년 개관한 다비스클렘 갤러리는 2005년부터 KIAF에 참여하고 있다. 현대미술 특히 대중문화 또는 현대문화를 참조하는 재현예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갤러리는 현대미술을 중점으로 기성 및 신진작가를 아우른다. 2017년에는 전시 목적으로 설계된 신축 건물로 갤러리를 이전했다. 미학적 디자인으로 최근에 독일 ‘아키텍처 데이’에 선정되기도 한 건물로, 부등변 사각형 모양의 1층과 2층 스튜디오다. 화려한 외관과 달리 갤러리 내부는 흰색 벽, 시멘트 바닥, 순수한 느낌의 조명으로 전시 중인 작품에 모든 관심이 집중된다. 갤러리는 매년 6–8편의 전시회를 개최하며 예술계에서 독창적 위치를 차지하고 고유의 예술관을 인정받는 아티스트를 선정한다.

날개짓 하는 나비가 작품에 깊이를 부여한다. Julian Opie has always been interested in portraying movement in his works. 〈Apple Tree〉, from his series ‘French Landscapes’, depicts a blossoming apple tree in spring. The lenticular prints give the illusion of depth – with airplanes flying overhead in the background and a butterfly fluttering by.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Michael Craig–Martin, Plan and Elevation (Ronchamp, France), Diptych, 2017, inkjet with protective silkscreen glaze on somerset paper, 60x60cm(each), edition of 20

줄리안 오피 Julian Opie, Apple Tree, 2013, lenticular prints in frame specified by the artist, 106.2x60.5cm, edition of 35

DAVIS KLEMM GALLERY was founded in 2002. Since 2005, it has been exhibiting in Seoul at KIAF. The focus of DAVIS KLEMM GALLERY is on contemporary art, which in particular, representational art that often refers to as a popular or present–day culture. The gallery represents a mixture of both established and young artists. In 2017, it moved into a new building that was built for exhibition purposes. The building was recently selected for the German ‘Architecture Day’ for its aesthetic design. The shape is an irregular quadrilateral (no two sides are parallel) shape with a ground floor and an upper–level studi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s striking and the inside of the gallery is very minimalistic and subtle. White walls, cement floors, and puristic lighting allow the art on display to be at the center of attention. The gallery shows approximately six to eight exhibitions each year. DAVIS KLEMM GALLERY strives to select artists that have a unique position in the art world and whose works are recognized as ‘one–of–a–kind’.

줄리안 오피는 항상 움직임을 즐겨 그려왔다. 그의 ‘프랑스 풍경 French Landscapes’ 시리즈 중 〈사과나무 Apple Tree〉는 봄에 개화하는 사과나무를 그린 것이다. 관람자의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드러나는 렌티큘러 프린트 작업으로, 하늘 높이 날고 있는 비행기와

티츠 Thitz, Utopian Civilization in the Meadow, 2017, acrylic, paperbags on canvas, 140x100cm

DAVIS KLEMM GALLERY

티츠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화가이다. 주로 분주한 대도시를 그려 온 그가 최근에는 자연과 도시인들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유토피아적 거주공간에 천착하고 있다. 그 주제는 미래사회를 위한 탐구, ‘그린 리빙’이다. Thitz is a painter who likes to tell stories. Besides his portraits of bustling metropolitan cities, he has recently turned his attention to utopian dwellings in which nature and city dwellers merge together to live in harmony. ‘Green living’ is the motto here – the search for a futuristic society.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은 지난 수십 년간 일상 용품과 디자이너 용품의 미학을 탐구해왔다. 동시에 여러 세대에 걸친 젊은 아티스트들의 스승으로 그들에게 끼친 그의 영향은 반론의 여지가 없다. 이 두 폭의 제단화는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프랑스 롱샹의 노트르담 뒤 오 성당을 묘사하고 있다. 크레이그 마틴의 색상과 선은 이 건축물을 새롭게 해석한다. Michael Craig–Martin has been exploring the aesthetics of everyday objects as well as designer objects for decades. His influence as a teacher upon generations of young artists is undisputed. This diptych displays the famous church Notre–Dame du Haut in Ronchamp, France designed by Le Corbusier. Craig–Martin’s use of color and lines gives a new twist to this iconic building.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에리카 다비스 클렘

줄리안 오피, 카타리나 기르라치, 콘라드 빈터,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티츠

55246 독일 비스바덴 슈타이네른 크라우츠 길 22 49 6134 28 69 730 info@davisklemmgallery.de www.davisklemmgallery.de

Erika Davis–Klemm

Julian Opie, Katharina Gierlach, Konrad Winter, Michael Craig– Martin, Thitz

Steinern–Kreuz–Weg 22, Wiesbaden, 55246, Germany 49 6134 28 69 730 info@davisklemmgallery.de www.davisklemmgallery.de

100

101


A64

1993년 개관한 더홍아트갤러리는 타이난에 소재한 현대미술 갤러리이다. 대만 작가 및 해외 작가들과 작업하며 정기적으로 회화, 판화, 사진, 조각, 거리미술, 실험예술 전시를 개최한다. 미술이란 특정 카테고리나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역량 있는 작가를 발굴하고 소속 작가들의 해외 전시를 큐레이팅하고 있다. 더홍아트갤러리는 대만아트갤러리협회 멤버이자 대만현대미술연합 창립기관이다.

이솅 카오는 꽃과 인물을 소재로 한 수묵화 작품으로 현대인의 불안과 외로움을 표현했다. 어두운 배경으로 주제를 강조하고, 색채를 활용하여 평화로운 분위기에 독특한 느낌을 더했다. 작품에 등장하는 모기는 현실 세계의 골치 아픈 문제를 상징하며, 흰 국화는 순수함과 죽음을 나타낸다. 검은색 배경은 존재를 가두는 고인 물과 같다. 일본 설화 〈가구야 공주〉 이야기는 모든 사랑과 미움, 삶의 모순을 간파한 가구야 공주가 달로 돌아가는 이야기이다. 달빛이 국화를 비추는 모습은 인간 세상에 존재했던 공주의

이솅 카오 I–Sheng Kao, Princess Kaguya, 2017, ink and color on paper, 132.5x80.5cm

DER-HORNG ART GALLERY

Founded in 1993, DER–HORNG ART GALLERY is a contemporary art gallery based in Tainan, Taiwan. It works with the artist from Taiwan and abroad and regularly holds exhibitions of paintings, prints, photography, sculptures, street art and experimental arts. The gallery believes art does not limit itself in categories or materials. It discovers the talented artist and provides curatorial assistance to our represented artist to exhibitions abroad. DER–HORNG ART GALLERY is the member of Taiwan Art Gallery Association, and one of the organizers of Taiwan Contemporary Art Link.

다루는 사진 작업을 한다. 정신과 육체의 갈등을 독특한 관점으로 표현하여 일본 사진계의 거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일본 현대 사진을 대표하는 다이도 모리야마의 멘토 역할을 하기도 했다. 1964 년에는 뉴욕에 소재한 쿠사마 야요이의 작업실에서 그녀의 인물사진 시리즈를 작업하기도 했다. 사진 속 젊은 쿠사마 야요이는 자신의 설치 작품 위에 누워 있고, 에이코 호소에는 다중 노출과 다수의 상을 중첩하는 기법으로 그녀의 다채로운 정신세계를 표현했다. 쿠사마 야요이가 정면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모습도 사진으로 남겼는데,

I–Sheng Kao is skilled in flowers and portrait ink wash drawings, expressing the uneasiness and loneliness of modern people. The dark background emphasizes the theme, the tone of the colors add a peculiar air onto the peaceful atmosphere. The mosquito stands for the niggling matters in real life, and the white chrysanthemum represents both pureness and death. The black background is the dead water acts as a cage. The fable of the Princess Kaguya tells a story of how she has penetrated all the love, hate and contradictions in life before returns to the moon. The moonlight shines on the chrysanthemum, implicating the funeral of the past self.

이는 예술에 대한 그녀의 집념을 보여준다. Eikoh Hosoe focuses mainly on the strong contrast of the human body, and the issue of life and death in his photography. His unique perspective expresses the conflict between soul and body, which made him one of the great photography masters in Japan and the mentor of Daido Moriyama, the contemporary photography master. 〈Ordeal by Roses, Kamaitachi〉 and 〈Man and Woman〉 are all his famous works. In 1964, Eikoh Hosoe took a series of precious portrait of Kusama Yayoi at her New York studio. The young Kusama lied on her installation art, the multiple exposures and overlapped visions reflected her numerous states of mind. Eikoh Hosoe captured Kusama’s direct look towards the camera, featuring her determination in pursuing art. It is a stunning work of photography.

쯔주이 후앙은 주로 사회 문제, 정치 및 문화적 모순에 영감을 받아 작업하는 작가이다.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주제를 강조하고 색채의 대비를 보여주며, 강렬하고 독특한 표현 방식을 활용한다. 이 작품은 산업 발전의 이면에 감춰진 대가와 물질적인 것과 참된 삶을 추구하는 것 사이의 갈등을 주제로 드러낸다. Tzu–Jui Huang’s works are usually inspired by social issues, politics and the cultural contradictions. The themes were accentuated and colors contrasted through the artist’s usage of different medium. His works have a strong and curious expression of its own. The theme of this artwork is about the hidden cost behind the profit from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conflicted thoughts of pursuing materials or the true being.

쯔주이 후앙 Tzu–Jui Huang, Paradise–Westward, 2016, ink, gold, color on hemp paper, 80x120cm

에이코 호소에 Eikoh Hosoe, New York 14th Street, Kusama Studio, 1964, silver gelatin paper, 60.9x50.8 cm

에이코 호소에는 주로 인체의 강렬한 대비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장례식을 상징한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치핀첸

쯔주이 후앙, 이솅 카오, 타카히코 스즈키, 에이코 호소에

70043 대만 타이난시 웨스트센트럴디스트릭트 중산로드 No.1 886 6 227 1125 info@derhorng.com www.derhorng.com/en

Chih–pin Chen

Tzu–Jui Huang, I–Sheng Kao, Takahiko Suzuki, Eikoh Hosoe

No.1 Chung–Shan Rd, West Central District, Tainan, 70043, Taiwan 886 6 227 1125 info@derhorng.com www.derhorng.com/en

102

103


A51

피터 펨페는 지난 39년 동안 20세기 예술을 선도하는 갤러리로서 디갤러리의 입지를 다졌다. 디갤러리는 미국은 물론 아시아 지역으로 활동 범위를 확장하며, 지난 14년간 KIAF에 참여하고 4회의 인디아 아트페어에 참가했으며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싱가포르 아트 스테이지에 참여했다. 이는 오랫동안 국제무대에서 거두어 온 성공의 결과다. 디갤러리 프랑크푸르트 본사에서는 매년 약 5회의 전시를 열어 회화 및 드로잉, 조각품을 선보인다. 근대미술, 특히 초현실주의와 코브라의 예술을 중점적으로 취급할 뿐만 아니라, 동시대 구상예술에도 집중하며 이 분야에서 수많은 개인전 및 그룹전을 이끈 작가를 대표하고 있다. 막스 에른스트, 장 뒤뷔페와 같은 작가가 그 예이다. For the past 39 years, the gallerist Peter Femfert has vouched for a sophisticated gallery concept of pioneering developments in the art of the 20th century as well as of promising and multifaceted contemporary positions. The landmark step of expanding the environment of DIE GALERIE’s activities to the United States and especially to Asia by participating in KIAF since 14 years, in the India Art Fair for four years and in Art Stage Singapore 2012–2015, is a consequence of a longstanding and successful international involvement. In DIE GALERIE’s Frankfurt headquarter about five exhibitions a year are organized showing original paintings, drawings and sculptures. The gallery focuses on Modern Art, especially on Surrealism, and CoBrA as well as on contemporary figurative art, which led to numerous solo and group exhibitions comprising renowned artists, such as Max Ernst, André Masson, Jean Dubuffet and others.

이해하는 화가는 샤갈뿐일 것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Marc Chagall, was a Russian–French artist, associated with several key art movements and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successful artists of the 20th century. He created a unique career in a diverse range of artistic media, including paintings, book illustrations, stained glass, stage sets, ceramics, tapestries and fine art prints. Chagall’s haunting, exuberant, and poetic images have enjoyed universal appeal. As a pioneer of modernism and one of the greatest figurative artists of the 20th century, Marc Chagall achieved fame and fortune, and over the course of a long career created some of the best–known paintings of our time. According to art historian Michael J. Lewis, Chagall was considered to be “the last survivor of the first generation of European modernists.” Pablo Picasso remarked in the 1950s, “When Matisse dies, Chagall will be the only painter left who understands what colour really is.”

함부르크 태생 작가 얀 보스는 목재와 종이를 사용해 질감이 돋보이는 뛰어난 콜라주 작품을 만들어낸다. 선과 상징이 서로 얽히고 겹치며 여기에 그가 접어 만든 종이 부조물이 맞물리면서 작품의 조형성은 선적으로 떠오른다. 형과 색상은 합쳐져서 구상의 만화 같은 인물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선 그 자체로부터 싹 트고 흩어진다. 그의 작품에서는 구성과 해체, 혼돈과 질서, 리듬과 휴식이

기운이 생동한다. The oeuvre of Alain Clément is noticeably influenced by the interplay of the rich spectrum of colors cast across the walls of his atelier by the intense sunlight found on bright days in the Southern French town of Nîmes. Clément captures this colorful spectacle in his paintings, works on paper, and sculptures. As a painter, he evolved from the figurative to the nonrepresentational, but as of recent the denotative, the nude has once again begun to resonate within his painting. His current works, from 2016 to 2018, are distinguished by a fascinating evolution: swinging curves and arches erupt and splinter, penetrating the angles and edges of the background while simultaneously reemerging elsewhere. 알랭 클레망 Alain Clément, 17 A 6P, 2017, oil on canvas, 180x150cm

마르크 샤갈 Marc Chagall, Les fiances au cirque, 1982, oil on canvas, 100x73cm

마르크 샤갈은 러시아 출신 프랑스 화가로, 모더니즘의 개척자이자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구상 작가 중 한 명이다. 샤갈은 회화, 삽화, 스테인드글라스, 무대 장치, 세라믹, 태피스트리, 판화 등 거의 모든 미술 재료를 활용하며 자신만의 미술 언어를 구축했다.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생동감 넘치며 시적인 이미지는 강한 인상을 남기며 많은 이에게 사랑받고 있다. 미술사가 마이클 J. 루이스에 의하면 샤갈은 “1세대 유럽 모더니티의 마지막 생존자”라 할 수 있다. 1950 년대에 파블로 피카소는 “마티스가 타계하고 나면 진정으로 색채를

알랭 클레망의 작품세계는 아틀리에 벽에 내리쬐는 프랑스 남부 도시 님 Nîmes의 강렬한 빛이 만들어내는 풍부한 색상에서 받은 영향이 특징적이다. 클레망은 이 화려한 광경을 회화, 종이 작품, 조각에 담는다. 화가로서 그의 예술은 구상에서 비구상 작업으로 진화한 한편, 누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제작된 그의 작품에서는 매혹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곡선과 아치가 튀어 올랐다가 내려가고, 배경의 각과 가장자리를 관통하면서 동시에 다른 곳에서 다시 출현한다. 77세 작가의 최근 작품에는 젊음과

얀 보스 Jan Voss, Followers, 2015, acrylic, oil stick and collage on canvas, 195x130cm

DIE GALERIE

대등하게 자신을 드러낸다. The 1936 Hamburg–born Jan Voss experiments with various techniques and materials; his oeuvre consists of powerfully vibrant works on canvas in saturated colours as well as quiet, narrative works that are more linear than painterly. They contrast sharply with paper reliefs made up collage–like of torn watercolours. What all Voss works, be they canvases, wood or paper reliefs or even watercolours, have in common is an accumulation of diverse colour and form elements which interlock, intersect and are interlinked by lines, drawings and fragments of drawings. At first Jan Voss used this formal idiom for two– dimensional pictures, but from the 1980s he also applied it to three–dimensional objects. Since then everything has counted that serves the process of ‘becoming imag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피터 펨페

마르크 샤갈, 알랭 클레망, 장 뒤뷔페, 요하네스 하이지크, 디트리히 클링에, 안드레 마송, 로베르토 마타, 이고르 미토라이, 파블로 피카소, 얀 보스, 클라우스 질라

60323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그룬버그길 123 49 171 813 3125 info@die–galerie.com www.die–galerie.com

Peter Femfert

Marc Chagall, Alain Clément, Jean Dubuffet, Johannes Heisig, Dietrich Klinge, André Masson, Roberto Matta, Igor Mitoraj, Pablo Picasso, Jan Voss, Klaus Zylla

Grüneburgweg 123, Frankfurt am Main, 60323, Germany 49 171 813 3125 info@die–galerie.com www.die–galerie.com

104

105


DONGHO GALLERY B65

한국 문화예술의 중심지인 인사동 사거리에 위치한 동호갤러리는 쾌적한 전시공간과 넓은 주차장을 겸비하고 있다. 작가들을 위한 완벽한 기획으로 방송, 미술문화잡지 홍보에 최선을 다하고, 국내외 작가들의 초대전과 기획전 등의 대형 전시를 통해 앞서가는 화랑으로서 높은 격조와 품위를 지키며 미술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강화 Lee Ganghwa, 축복 Blessing, 2017, mixed media, 97x97cm

동호갤러리

최숙 Choi Sook, 큰바위얼굴 A Big Rock Face, 2015, acrylic, 61x73cm 송은영 Song Eunyoung, 다리 하나 31 A Leg 31, 2017, linen, 100x180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송태홍

최숙, 이강화, 송은영, 윤미영

031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7길 12 백상빌딩 B 21호 82 2 722 3665 gallerydh@naver.com

Song Taehong

Choi Sook, Lee Ganghwa, Song Eunyoung, Yun Miyoung

Baeksang Building B 21, 12, Insadong 7–gil, Jongno–gu, Seoul, 03149, Korea 82 2 722 3665 gallerydh@naver.com

106

107


DONGSANBANG GALLERY A31

동산방화랑은 1974년 개관 이후 한국 고유의 미감을 간직한 전통 회화와 근대미술, 시대 가치를 반영하는 현대미술로 이어지는 전시를 통해 한국 화랑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근현대미술의 주요 작가의 작품 소개와 더불어 역량 있고 새로운 젊은 작가의 작업을 알리기 위한 기획과 아시아 미술, 특히 그동안 진행해온 중국 미술의 소개에도 최선을 다한다. 앞으로 수준 높은 한국 근현대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을 더욱 넓혀 나갈 것이다. DONGSANBANG GALLERY was established in 1974 by Park Joohwan. DONGSANBANG GALLERY became one of the leading galleries in Korea. DONGSANBANG is specialized in Korean traditional and modern art as well as contemporary art. DONGSANBANG endeavors to reinterpret traditional art highlight the history of the asian art and continuous efforts to find foster emerging artists. DONGSANBANG is always trying to enlarge the population of art connoisseurs and collectors and art–cultural life for the public.

접근하고 있다. Artwork of Chung Munkyu narrows down the human bodies, especially the bodies of women. He held a private exhibition in 1971 with a theme ‘woman’ and his ‘Eve’ series have not changed since then. His pursuit of one theme which is the basis of his work seems like paranoia, showing inversion to bodies of a woman. Likewise, traditional material that has long been used does not concern him at all. He wants to use the material in his own way as well. He has a strong belief that traditional objects or materials should not discourage him to use them. 정문규 Chung Munkyu, EVE, 1980, oil on canvas, 80x65cm

정건모 Chung Keonmo, 연등 Lotus Lantern, 1984, oil on canvas, 72.5x91cm

정건모의 작품세계는 화면 전체를 씨줄과 날줄의 조밀한 그물망으로 덮고 무수하게 생겨난 망 속에다 점획을 가함으로써 작품의 완성을 기한다. 화면에 등장하는 이미지는 평면적으로 펼쳐지면서 나타나지 않고 안에서 밖으로 겹쳐 올라오는 깊이로서의 원근에 의해 나타난다. 화면 자체가 견고한 구조체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어떤 이미지가 짜인다는 것이다. 아마도 정건모가 화면에서 받는 인상의 투명한 깊이감은 이 특징에서 연유함일 듯하다. 마치 엷은 막을 통해 가려진 안의 풍경을 보는 것 같은 걸러냄의 작용도 이 영상의 상쇄작용과 결부될 수 있다. 안료라고 하는 물질성이 걸러지면서 남아나는 투명한 깊이가 구체적인 영상을 중화시키면서 나타나는 현상인 셈이다. 이 투명한 깊이야말로 정신의 원근이 아닐까.

정문규의 작품세계는 인체, 특히 여체로 모인다. 1971년의 개인전에서 ‘여 女’를 주제로 한 이래, 그의 ‘이브’ 시리즈는 이제껏 변함이 없다. 한 가지 주제에 대한 거의 파라노이아 偏執症的한 부단한 추구, 그것도 일종의 여체 도착 女體 倒錯 같은 것이 그만의 기층을 이룬다. 소재 대상이나 표현 재료에 있어 재래적이든, 무엇이든, 그 개념에 구애받지 않겠다는 소신이 확고하다. 그러면서 끝없이 연속적인 집념으로 인간의 문제를 응시하는 주제의 핵심에

황용엽 Hwang Yongyop, 人間 Human, 1979, oil on canvas, 116.8x91cm

동산방화랑

자연관조를 넘어 오는 빛의 울림으로서의 원근 말이다. Chung Keonmo world of work is the screen itself is made of a soli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an image is woven. Images are emerging in a highly controlled organization, but you can find features that appear to be a deeper structure than any other picture because the echo created by the lines and dots replaces the tone. Perhaps the impression received on his screen, transparent depth originates from this feature. The function of filtering, such as seeing the inside scenery hidden through the thin film the opposite things of this image affects each other and the effect disappears can be related to certain things or phenomena. It is a phenomenon that transparency depth appears to neutralize a specific image when materiality called pigment is filtered. This transparent depth is the mind’s perspective. It is the perspective as the sound of light that goes beyond the natural contemplation.

황용엽이 그려내는 인간은 사실 인간 모습의 표현보다는 인간의 죄를 대속한 고행의 그리스도상처럼 보인다. 그러다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냈는데, 인간을 모티브로 두세 사람의 군상으로 처리한다는 것과 1970년대 후반의 인간 표현처럼 처연한 모습만을 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제 그는 좀 더 삶을 관조하는 원숙한 자세로의 인간을 묘사한다. 그의 화면에서 두드러진 또 다른 하나는 화면의 분할이다. 초기에 그의 선들이 병렬적이며 거미줄처럼 다양한 형태였다면, 1980년대 전후의 선들은 형태 감각의 측면에서 구성된다. 그가 1980년 이전에 보여준 불규칙하고 무질서한 선은 다름 아닌 인간을 속박하고 있는 현실적 삶의 고통을 상징하는 것이다. The painting reminds us of suffering image of Christ walking on the weary road in a holy garment. It also reminds us artist’s own image. It’s just like his self–portrait. His’single man image’ has enforced and improved with variety expression. Among them, the most outstanding motif is ‘people’, mostly two or three persons. The weary image of ‘70’s doesn’t appear anymore. Instead, more contemplated and matured image came out. Therefrom, we can find a certain division of space. His earlier work shows paralleled a complicated line. But he changed his technique to stress more on the figure itself. This is the difference the nature of prisoned and distorted image of the man in this cruel realit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우홍

정건모, 정문규, 황용엽

031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9길 35 82 2 733 5877 dongsanbang@hanmail.net

Park Woohong

Chung Keonmo, Chung Munkyu, Hwang Yongyop

35, Insadong 9–gil, Jongno–gu, Seoul, 03149, Korea 82 2 733 5877 dongsanbang@hanmail.net

108

109


DONGSOONG GALLERY A70

동숭갤러리는 1975년 개관한 이래 전시 기획 화랑으로 발전했다. 루피노 타마요, 살바도르 달리, 엔릭 에스떼, 왕환신, 루오왕 등 세계적 거장의 작품전을 유치하여 국내에 소개했다. 또 이중섭 미공개 작품전을 비롯하여 김구림, 이석주 등 회화 작가들과 문신, 민복진, 최기원 등 조각 작가들을 비롯 국내 원로작가와 중견작가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작가, 최고의 작품들을 기획해 개인 및 그룹 초대전을 다수 개최했다. 그룹전 200여 회, 개인전 80여 회, 국제 미술전, 도쿄 아트엑스포, 시카고 아트엑스포, 파리 FICA 등 세계 유명 아트페어에 참가하여 국내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1988년부터는 서울시와 공동 기획하여 동숭동 대학로에 〈도시의 환경 조각전〉을 연례행사로 개최하여 각 언론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김점선 Kim Jomson, 꽃과 말 Flowers and Horses, 2006, acrylic on canvas, 130.5x110cm

동숭갤러리

DONGSOONG GALLERY has developed into an exhibition planning gallery since its opening in 1975. The gallery exhibited artworks of international masters Rufino Tamayo, Salvador Dali, Enrik Hizoeste, Wang Hwansin and Liu Luowang. Also, it held private and group invitation exhibits several times with artworks of the highest level Korean artists, Kim Kulim, Lee Seokju and other painters Moon Shin, Min Bokjin, Choi Giwon and other sculptors including undisclosed pieces of work of Lee Jungseop. DONGSOONG GALLERY showed 200times of group exhibitions, 80times of a solo exhibition, and participated in international art–markets by joining global art fairs such as Tokyo art expo, Chicago art expo, Paris FICA. The gallery had been in the media spotlight for hosting 〈Urban environment sculpture exhibition〉 with Seoul as an annual event in Daehak–ro since 1988.

조부수 Cho Boosoo, 오케스트레이션 Orchestration, 1991, oil on canvas, 200x299cm

간결한 형태와 경쾌한 색채로 자유롭고 파격적인 작품들을 선보이며 미술계 등단과 동시에 큰 주목을 받은 김점선은 1987년과 1988년 2년 연속 한국예술평론가협회가 선정한 미술 부문 올해의 최우수 예술가로 선정되며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대상을 비약적으로 과장하거나 미묘하게 변형한 데포르마숑 Deformation 기법은 꽃과 나무, 말, 오리 등의 자연적 소재들과 어우러져 특유의 조형 세계를 확립한다. 이렇듯 대상의 본질을 향한 작가의 성숙한 예술 철학은 간결하지만 수많은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작품이 주는 깊은 울림은 지금까지도 많은 이의 공감과 사랑을 받고 있다.

조부수는 바닥에 캔버스를 뉘어놓고 큰 붓으로 물감을 뿌리거나 칠하고, 붓는 등 잭슨 폴록 같은 액션페인팅 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이다. 적·청·녹색 등 보색대비를 일으키는 강렬한 색채를 주조로 한 〈오케스트레이션〉 연작이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계산된 조형미와 즉흥적 뿌리기가 혼합되어 특유의 공간감을 만들어 작가만의 역동적인 작품을 만들어낸다.

Kim Jomson became an instant sensation when she debuted in the art world with her free–spirited and truly original works in simple forms and light–hearted colors. She was dubbed the year’s best artist by the Korea Art Critics Association in 1987 and again in 1988. She engaged in ‘déformation’, which involves greatly exaggerating or delicately modifying subjects to establish her own aesthetics of natural subjects like flowers, trees, horses, and ducks. Her mature artistic view directs toward the true essence of subjects and delivers numerous simple yet deeply–resonating narratives that are still loved by many.

Cho Boosoo employs the style of Jackson Pollock’s action painting where paint is poured, splashed, or smeared with big brushes onto the canvas laid down on the floor. The ‘Orchestration’ series is his representative works. They prominently feature intense color effects generated by complementary contrasts of red, green, blue, and more. The aesthetic calculations are combined with spontaneous splashing, resulting in a unique sense of space and dynamis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행로

조부수, 김점선, 김구림, 이두식, 류 루오왕, 여소현

03077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34길 18–5 5층 82 2 745 0012 galleryds@naver.com www.dongsoong.kr

Lee Haengro

Cho Boosoo, Kim Jomson, Kim Kulim, Lee Dooshik, Liu Ruowang, Yeo Sohyun

5F, 18–5, Changgyeonggung–ro 34–gil, Jongno–gu, Seoul, 03077, Korea 82 2 745 0012 galleryds@naver.com www.dongsoong.kr

110

111


DONGWON GALLERY B70

동원화랑은 대지 200㎡와 100㎡ 전시공간, 수장고, 중정홀과 사무실을 갖추고 있다. 중정홀은 크지 않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설계한 것이 특징으로 화랑을 찾는 이들로부터 가장 인간적인 배려가 돋보이는 공간이라는 평을 듣는다. 1982년 개관 이래 대관전시 없이 기획전시만 진행하고, 현재까지 270여 회 기획전시를 통하여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화랑 지명도를

김지아나 Kim Jiana, Black Inside Impact–1701, 2017, porcelain, polyvinyl acetate resin, stain, 91x73x10.5cm

동원화랑

높이고 있다. 동원화랑은 꾸준한 작가 발굴과 컬렉트층의 다양화를 모색하고 환경 미술 컨설팅으로 대구 미술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DONGWON GALLERY opened in 1982. It has managed the invited artist until now has been exhibiting around 270 times. DONGWON GALLERY tries to contribute to scouting for an up–and–coming young artist and advancing of the local culture. It also does much for activation of art markets which gives power for artists to create. The exhibition hall has a floor space of 50 pyeong including a courtyard. DONGWON GALLERY runs planned exhibitions and permanent exhibitions around 10 times a year.

김지아나의 흙의 회화는 묽게 푼 도자 흙을 붓에 듬뿍 묻혀 석고판 위에 그리는 것을 시작으로 초벌, 재벌을 거쳐, 깨고, 붙이고, 붓으로 그리는 과정의 반복을 거쳐 완성된다. 어렵게 얻은 무수한 흙 편들을 일일이 판면에 붙이는 과정과 그렇게 해서 얻어진 색의 계조는 보는 자에게 말할 수 없는 미적 쾌감을 가져다준다. 김지아나는 ‘흙의 예술’에 관한 한 진취적이며 실험적인 예술가의 영역을 개척하고 미래지향적인 작업을 하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 The paintings of Kim Jiana and the artist are complet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baking, breaking, attaching, and drawing with brushes, starting with painting on a gypsum board with plenty of burnt ceramic dirt in a brush.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clay pieces and the resulting gradation of color brings aesthetic pleasure to the audience. As far as soil art is concerned, Kim Jiana and the artist are one of the leading artists who is pioneering the field of progressive and experimental artists and doing futuristic work.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손동환

김창태, 김지아나, 권오봉, 이배, 양성훈, 유주희

41959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42 82 53 423 1300 dw1300@hanmail.net www.idongwon.co.kr

Son Donghwan

Kim Changtae, Kim Jiana, Kwon Obong, Lee Bae, Yang Sunghoon, Yoo Juhee

42, Bongsanmunhwa–gil, Jung–gu, Daegu, 41959, Korea 82 53 423 1300 dw1300@hanmail.net www.idongwon.co.kr

112

113


e.jung gallery B58

이정갤러리는 사람과 사람, 사회 소통과 예술, 사람과 예술의 아름다운 장으로 만들고자 1999년 청담동에서 첫 개관 후, 현 위치에 2009년 이전 재개관했다. 현대미술의 거침없는 다양한 양식을 순수한 수평자로 가늠하여 많은 작가를 국내외 소개하고, 동시대 미술의 단면과 흐름을 짚어 보도록 전시와 기획,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근현대를 망라한 국내외 조각과 회화, 사진, 비디오 등 초대, 기획전으로 한국 미술을 해외에 널리 알리고, 국제미술계의 첨병이 되어 작가와 미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한마당 같은 화랑이 되고자 한다. e.jung gallery was founded in 1999, first settled in Chungdam–dong, and relocated to its current address in 2009. Since opening its door, e.jung gallery has aimed to gather the public and support their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art that will ultimately enrich the Korean art society. The gallery has introduced a large number of artist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cross a variety of media and genres. e.jung gallery offers the audience a great chance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and stream of the contemporary art. Its exhibitions such as invitational and special projects cover a broad spectrum of contemporary artistic practice in Korea and abroad, from modern to contemporary art.

The work of the 〈Red Ox〉 will demonstrate the bold and courageous will of an ox. The 〈Red Ox〉 symbolizes the mankind in the modern society. It is an expression to replace the apathetic wills of the modern mankind with a peaceful image that symbolizes the power and energy.

현상을 암시적으로 표현한다. The artist, Lee Bae, uses a charcoal as his main artistic material for his projects. Charcoal is a material that is highly fragile and easily destructible. For Bae, charcoal refers to the conception of nature, which embeds the notion of reductionism and its destructive quality. In addition, he focuses on the unique texture of the charcoal and emphasizes charcoal’s three–dimensional aspect which changes depending on the lighting effect. As time passes by, his charcoal–based works become more abstract. The works, which are constructed with black lines with a white background, also appear as if they were written on a paper with a Korean ink–stick, which symbolizes the notion of circulation of life and reductionism. 이배 Lee Bae, 무제 Untitled, 2016, acrylic medium with charcoal on canvas, 100x80cm

강하게 표현하고자 했다.

문인수 Moon Insoo, 붉은 소 Red Ox, 2017, painting on steel, 57x106x12cm

이 작품은 소가 뿔로 앞을 헤치며 나아가는 담대한 불굴의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의 인간을 상징하며 무기력한 현대인의 의지를 평화로운 이미지로 표현했다. 힘차고 역동적인 상징성을

이배는 쉽게 깨지고 사그라지는 내구성이 약한 숯을 주재료로 작업한다. 그에게 숯이 의미하는 바는 자연의 소멸이자, 환원 가능성을 내포한 자연 그 자체이다. 숯이 가진 독특한 질감에 관심을 가지고, 빛에 의해 색이 변하는 등 입체적 표면이 두드러지게 그려낸다. 시간이 갈수록 더 추상화되고, 흰 바탕에 검은 선의 획이라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마치 종이에 먹으로 쓴 서체와도 같다. 이는 극도로 절제되고 생략된 채 순환하는 생명의

김태호 Kim Taeho, 내재율 Internal Rhythm, 2014, acrylic on canvas, 163x130cm

이정갤러리

아크릴 물감을 스무 겹 이상 쌓아 올린 컬러풀한 층들의 표면을 끌 칼로 끝없이 깎아내고, 긁어내기를 거듭할 때마다 내부의 미묘한 빛깔을 살짝살짝 드러내며 작품은 끝없는 리듬감을 선사한다. 김태호의 회화는 평면 작품이라기보다는 입체 조각에 더 가까운 느낌을 선사하며, 캔버스의 공간 구조를 새롭게 조작하는 것으로 드러낸다. The artwork, which is constructed with twenty layers of acrylic ink, gets slowly revealed as the corners are carved endlessly. It also shows the rhythmic element. Such qualities make his painting more like a three–dimensional artwork, rather than the flat, two–dimensional one. He re–organizes the space of a canvas in order to construct such qualiti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정희

강미령, 김태호, 김창열, 이배, 문인수, 박서보

06164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24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 지하2층 C–22 82 2 511 6466 up3011@naver.com www.galleryejung.com

Lee Junghee

Kang Miryeong, Kim Taeho, Kim Tschangyeul, Lee Bae, Moon Insoo, Park Seobo

COEX Intercontinental Hotel B2 C–22, 524, Bongeunsa–ro, Gangnam–gu, Seoul, 06164, Korea 82 2 511 6466 up3011@naver.com www.galleryejung.com

114

115


A01

플라워즈갤러리는 안젤라 플라워즈가 1970년 런던 웨스트엔드에 개관한 갤러리다. 이후 1980년대에 갤러리들이 하나둘 생겨나던 런던 이스트엔드로 이전하여 터를 잡았다. 1989년 안젤라 플라워즈의 아들 매튜가 갤러리 운영을 이어받은 후 20년간 뉴욕 첼시에 분점을 개설하는 등 국제적인 갤러리로 발돋움했으며, 런던 메이페어에도 분점을 열었다. 플라워즈갤러리는 다양한 국제 아트페어에 참여하며 미술 출판물도 활발하게 제작하고 있다. 현재 작가들과 아트 컬렉터들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홍콩 오피스를 운영 중이다. 갤러리는 전 세계 미술관에서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40여 명의 작가를 지원한다. FLOWERS GALLERY starting from London West End, was founded by Angela Flowers in 1970. It moved to London East End in the 1980s, become one of the earliest pioneers setting up an art gallery in this area. In 1989, Angela Flowers’s son Matthew Flowers started to operate the gallery, within the following 20 years, gallery gradually becomes more international and open up gallery space in Chelsea, New York and second London gallery location in Mayfair. FLOWERS GALLERY has been participating at various international art fairs and actively producing art publications. Currently, FLOWERS GALLERY set up Hong Kong office, aiming to keep on supporting artists and art collectors internationally. In terms of selecting artworks and artists, the gallery represents more than 40 artists who are practicing in different media and their works have been intensively exhibited in museums internationally.

표현을 강조한다. Born in Daegu, 1955, Boomoon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Seoul and Sokcho, South Korea. Throughout the 1970’s Boomoon passionately recorded the rapid transformation taking place in Korean society, looking at deserted villages and the heightening contrast betwee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Since the 1980’s, he has been engaging with the natural landscape in his work as a means of self– reflection, producing large–format photographs of vast expanses of sea, sky and land. Devoid of human presence, the central emphasis of his work is the experience of the infinity of nature and the representation of its existence.

루시 존스는 인상적이고 도전적인 자화상과 표현주의적인 풍경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녀는 실제로 자연 앞에 화폭을 펼쳐놓고 그림을 그리면서 풍경화를 연습했다. 바닥에 무릎을 꿇고 고통스러울 정도의 불편함을 견디며 집중해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풍경은 작가의 내면이 되었다. 존스는 “나는 그 경험에 너무나 집중한 나머지 시간이 한참 지난 후에야 내가 무엇을 그렸는지 인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스케치에 영감을 받아 작업실에서 유화 풍경화 후반 작업을 진행했다. Lucy Jones is renowned for both her imposing, challenging self–portraits, and for her expressionistic landscapes. Her landscape paintings evolve from hard–earned studies made while in the landscape, placing a board on the ground to make either a drawing or a watercolour. During these intensive, painfully uncomfortable sessions, throughout which she kneels on the ground, the landscape becomes inscape. “I’m so terribly inside the experience that I can’t see what I’ve done until much later on.” These sketches later become the inspiration for oil landscape paintings made in the studio.

만든다. 작품은 전 세계의 공공 및 개인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Julie Cockburn is an artist based in London. Her work is best defined by its delicate craftsmanship and by the transformation of every day and found objects into works of art. Through the combination of second–hand objects and creative labour, Cockburn contradicts the generic and mass–produced with something crafted, imbuing her intellectually and physically worn objects with value. Julie introduces ideas to found objects that generate dialogue about modernity and art history, gender and identity, nature and urban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 and idea. However, it is an instinctive reaction to the found objects that dictates the piece, rather than an underlying intellectual or political viewpoint. Cockburn’s pieces are elaborate, intriguing and beautifully executed, with an autonomy that makes one want to believe their existence. Her work is in both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worldwide.

루시 존스 Lucy Jones, Haven Approaches, 2017, Oil on canvas, 120x150cm

부문 Boomoon, Untitled #5535, Jokulsarlon, 2008, Chromogenic print, 180x240cm (edition of 6)

1955년 대구에서 태어난 부문 작가는 현재 서울과 속초에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1970년대에 그는 버려진 마을과 농촌과 도시의 극명한 대조를 통해 한국 사회의 급속한 변화를 화폭에 담았다. 1980년대부터 자아 성찰의 수단으로 자연 풍경 작업을 시작하여 광활한 바다, 하늘, 땅을 담은 대형 사진 작품을 제작했다. 인간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는 그의 작품은 자연의 무한함과 자연에 대한

런던을 베이스로 활동하는 줄리 콕번의 작품에서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섬세한 기교와 일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오브제의 작품화이다. 누군가가 사용한 물건에 창의적인 노동을 결합해 대량생산 제품과 대비되는 공예품을 만들어 내며, 낡았다고 생각되거나 실제로 낡은 물건에 가치를 불어넣는다. 또 일상 오브제에 현대성과 미술사, 성과 정체성, 자연과 도시성 등 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입힌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을 좌우하는 요소는 작품의 근간을 이루는 지적인 관점이 아니라, 오브제에 대한 본능적 반응이다. 콕번의 작품은 정교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며, 아름답게 제작되어 관객이 그 존재를 믿고 싶어지도록

줄리 콕번 Julie Cockburn, Hazy, 2017, Hand embroidery on found photograph, 25.2x20.2cm

FLOWERS GALLER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조니 데이비스

부문, 제인 에든, 줄리 콕번, 루시 존스, 마이클 울프, 모바나 첸, 타이–샨 쉬렌버그, 톰 해믹

W1S 3LZ 영국 런던 콜크스트리트 21 E2 8DP 영국 런던 킹스랜드로드 82 10011 미국 뉴욕 529 웨스트 20th 스트리트 44 0 20 7439 7766, 44 0 20 7920 7777, 1 212 439 1700 jonny@flowersgallery.com www.flowersgallery.com

Jonny Davies

Boomoon, Jane Edden, Julie Cockburn, Lucy Jones, Michael Wolf, Movana Chen, Tai–Shan Schierenberg, Tom Hammick

21 Cork Street, London, W1S 3LZ, UK 82 Kingsland Road, London, E2 8DP, USA 529 West 20th Street, New York, NY 10011, USA 44 0 20 7439 7766, 44 0 20 7920 7777, 1 212 439 1700 jonny@flowersgallery.com www.flowersgallery.com

116

117


A76

프랑소아즈 리비넥 갤러리는 각기 다른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넘어 프랑스와 국제 작가들 사이의 대화를 잇는 창구역할을 한다. 갤러리는 다양한 시대의 교차점이자 다양한 매체가 공존하는 곳이며, 모든 전시작품은 고요함이라는 시각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파리 소재 갤러리 2개의 관과 브리타니에 위치한 2000㎡ 넓이의 아트스페이스 레콜 드 피여 Artspace L’école des Filles에서 다양한 전시를 선보인다. 에콜 드 피여는 프랑스의 독자적인 프로젝트로, 기획전에 중점을 두며 동시대미술과 근대미술 간의 대화를 전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여름마다 문학 행사와 독특한 전시를 개최한다. The FRANÇOISE LIVINEC galleries open a dialogue between French and international artists, beyond the singularity of their cultures and their anchoring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s. The gallery is the space where different epochs cross, various mediums coexist, and all the exhibited artworks share the same aesthetics of silence. The programming is deployed in the two Parisian galleries and on the 2000㎡ Artspace ‘l’école des filles’ in Brittany. École des filles is a unique project in France, which is dedicated to the organization of thematic exhibitions and creating a dialogue between contemporary and modern art. Each summer it hosts literary events and unique exhibitions.

장광범 Jang Kwangbum, Montagne N(Diptyque), 2018, acrylic on canvas and sanding, 162x260cm

로익 르 그로이멜렉은 작품에 미니멀리즘과 모노크롬 회화를 극단적으로 반영하여 이미지를 통한 모든 형태의 스토리텔링, 심지어는 내러티브 자체를 부정하기에 이른다. 최신 작업인 미로를 형상화한 ‘글씨 Ecriture’ 시리즈는 기원전 4000년경부터 사용되었던 문자에 대한 작가의 기억을 반영한 것이다. The works of Loïc Le Groumellec refer to minimalism, to the monochrome, to a radical form which can lead to the distrust in any form of story–telling through images or to even complete rejection of the narrative. His latest series ‘Ecriture’, mazes or labyrinths, refers to his memories of vocabulary used from the ancient times, almost 4000 BC.

장광범은 캔버스에 아크릴 물감을 반복적으로 덧칠한 뒤 꼼꼼하게 사포로 갈아내어 시간의 흐름을 시각화한다.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통해 관객에게 시간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모네에게서 영감을 받은 그는 리듬과 반추 사이를 오가는 오묘한 대화를 통해 빛의

새로운 무엇인가를 찾기 위해 5~6년 동안 미술계를 떠났던 바비는 풍경의 외부를 조작함으로써 작품에 새로운 시각을 담는다. 풍경은 그에게 화수분 같은 연구 분야로 언제나 열려있고 영감을 준다. 작가는 드로잉에 다큐멘터리 사진의 매체적 특성인 재현의 원칙을 더해 자신의 모습을 강조하여 담는다. 바비는 소재와 접근에 대한 의지를 명상적 무심함을 통해 다루는데, 이는 시각문화와 재현의 메커니즘을 관통하는 일종의 추상화이다. After several years of voluntary hiatus from the artistic scene to find a something new beyond, Thomas–André Barbey puts perspective in his plastic work by playing with the exterior of the landscape, an inexhaustible field for research, open and stimulating. In his work, Barbey combines drawing and some elements of documentary photography with the principle of reproducibility, inherent in this medium, which only highlights his reflection on a drawing. Barbey plays with the subject and the motive to access – through a meditative detachment – a certain form of abstraction that passes through the visual culture and its mechanics of reproduction. 토마스 안드레아 바비 Thomas–Andréa Barbey, Sans Titre, 2015, drawing, ink on paper, 70x50cm

로익 르 그로이멜렉 Loïc Le Groumellec, Lacquer on Canvas, 2007, lacquer on canvas, 90x80cm

FRANÇOISE LIVINEC

광휘를 쫓는다. In his works, Jang Kwangbum wishes to show the passage of time, which leads to accumulation of numerous acrylic paint layers on the same canvas, to then continue a meticulous process of sanding and removal of the material. Beyond the marvelous outcome, it gives a tangible form to time which moves in front of the audience. Being influenced by Monet, Jang Kwangbum chases the radiance of light by a subtle dialogue between rhythms and reflect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프랑소아즈 리비넥

장광범, 로익 르 그로이멜렉, 토마스 안드레아 바비

75008 프랑스 파리 팡티에브르길 24 33 1 40 07 58 09 contact@francoiselivinec.com www.francoiselivinec.com

Françoise Livinec

Jang Kwangbum, Loïc Le Groumellec, Thomas–Andréa Barbey

24 rue de Penthièvre, Paris, 75008, France 33 1 40 07 58 09 contact@francoiselivinec.com www.francoiselivinec.com

118

119


g·gallery A23

2014년 새로운 아트허브 지역인 한남동에 Gexhibition Gallery라는 이름으로 오픈하고, 스튜디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신진 작가의 가능성을 소개했다. 2017년 청담동 g·gallery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이전보다 전문적이고 컬렉터블한 국내외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Opening its door in 2014 as ‘Gexhibition Gallery’ in Hannam dong, a new art hub, introduced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rising artists who actively work based in studio work. It has been relocated to Chungdam–dong in 2017 and is now called ‘g·gallery’ which grows to serve as a platform to introduce collectable Korean and international modern artists with more professional curating.

Michael Scoggins is motivated by raw experiences from childhood, social and political issues which are expressed in spontaneous doodles on paper, the most accessible medium. Scoggins’ work breaks the perception of stereotype invoking strong reaction to the established taboo and ideological recognition. His autograph,’Michael S.’ in his every single work originates from his childhood persona whose writing is exactly identical to a child. His innocent fantasies and experience as a child are fully reflected in his work. He considers sincerity the most essential while trying to describe every aspect with a child’s mind.

Beginning with a quiet and simple existence Robert Moreland pursues minimalism, a “strong desire for less”. He believes in the spontaneous interaction between pure truth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is artworks can appear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ngle and light. From the front, it appears as a perfect square, and at the same time, it looks like an irregular polygon on the side. With different shades of light, it is also seen as a live sculpture while revealing its intrinsic identity.

로버트 모어랜드 Robert Moreland, Untitled Blunted Gradient, 2018, drop cloth on wooden panel with acrylic paint, tacks & leather hinges, 101.6x91.4cm

표현하려 한다.

작품으로 보이기도 하며 내재된 또 다른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마이클 스코긴스 Michael Scoggins, Tick, Tock, Tick, Tock, 2008, colored pencil on paper, 170x129cm

유년의 원초적인 경험이나 사회, 정치적 이슈를 모티브로 작업하는 스코긴스는 그림일기, 즉흥적으로 그린 낙서 등을 이용한 작품을 해오고 있다. 그는 종이라는 흔한 매체를 작품에 불러들여 신선한 시선을 부여한다. 기성품적 요소는 사람들에게 관념적인 인지를 발생시키고 기존의 금기로의 강한 작용을 일으키는데, 스코긴스의 작품은 인지적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역할을 한다. 매 작품에 등장하는 ‘Michael S.’라는 사인은 어린 시절의 페르소나라고 볼 수 있으며, 글씨체도 어릴 때의 것 그대로다. 이처럼 때 묻지 않은 유년 시절 경험과 환상이 그의 작품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그는 작업할 때만큼은 진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기에 동심으로 모든 현상을 보고

정적이고 단순한 것에서 출발하여 선, 색, 형태의 기하학적인 조형성이 두드러지는 작업을 선보이는 로버트 모어랜드는 미니멀리즘 방식으로 최소한의 요소만 남기고 순수한 진실과 주변을 둘러싼 환경의 상호작용을 의도하는 작업을 한다. 그의 작품은 보는 각도와 빛에 따라 모양과 색감이 달라지는데, 앞에서 보면 완벽한 사각형이지만 다른 쪽에서 보면 들쭉날쭉한 다각형으로 보이기도 한다. 빛이 작품을 비추면 다양한 색조를 가진 생동감 있는 조각

쉘비앤샌디 shelby and sandy, Flying Doraemon, 2018, acrylic paint on canvas, 142.2x106.7cm

지갤러리

어릴 적 좋아하던 곰돌이 푸, 스펀지밥과 같은 만화 캐릭터의 이미지, 르브론 제임스와 같은 운동선수, 하워드 스턴과 같은 유명인을 밝고 화려한 색감으로 캔버스에 옮겨 담는 쉘비앤샌디는 8살 터울의 친형제로 구성된 아티스트 팀이다. 그들은 직접 제작한 도구로 섬세한 검은 윤곽선을 그린 후, 바니쉬를 여러 번 덮어 고해상도 디지털 프린트의 느낌을 만들어내는데,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넘나드는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다. 최근에는 아트 컬렉터 및 유명인의 커미션 작업 및 루이비통, 레드불과 같은 기업과의 협업 작업으로 그 유명세를 넓혀가고 있다. shelby and sandy are artist duo and brothers of 8 years age difference. They bring images of cartoon characters such as Winnie the Pooh, Super Mario, and Sponge Bob from their childhood, athletes like Lebron James, and celebrities like Howard Stern into a bright and lively canvas. They melt fresh sentiment of Southern California into American pop culture. They first paint delicate black outlines with their self–made tools then, varnish it multiple times to illustrate digital–print like outcomes. It reflects artists’ background of the times which is in the transitional state of digital and analogue. shelby and sandy’s commission works are requested by prestigious art collectors and celebrities like Jack Efron, Drake, Bradley Cooper, Kylie&Kendall Jenner and corporates such as Louis Vuitton and Red Bull for collaborat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승진

마이클 스코긴스, 스타스키 브리네스, 쉘비 앤드 샌디, 로버트 윌리엄 모어랜드, 테일러 앤톤 화이트, 홀튼 로어, 음하영, 황형신, 이정인, 우국원

06070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748 제이에스하우스 지하1층 82 2 790 4921 info@gexhibit.com www.gexhibit.com

Chung Seungjin

Michael Scoggins, Starsky Brines, shelby and sandy, Robert William Moreland, Taylor Anton White, Holton Rower, Eum Hayoung, Hwang Hyungshin, Lee Jungin, Woo Kukwon

JS House B1, 748, Samseong–ro, Gangnam–gu, Seoul, 06070, Korea 82 2 790 4921 info@gexhibit.com www.gexhibit.com

120

121


A69

갤러리아LGM은 1995년부터 국내외 아티스트들을 대표해 왔다. 루이스 기예르모와 엘비라 모레노 남매가 설립한 갤러리로, 전세계를 무대로 근현대 미술을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갤러리는 스페인과 이태리 예술, 예술품 감정과 평가 및 복원 전문가들을 갖추고 있다. 또한 20년 이상 쌓아온 콜롬비아와 남미 예술의 풍부한 마케팅 경험으로 명망이 높다. 갤러리아 LGM 은 국경을 넘는 문화 교류와 협력 강화에 힘쓰며 혁신을 수용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해 예술계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고자 한다. 이번 KIAF 참가를 통해 많은 방문객과 고객, 특히 남미 예술에 관심이 많은 수집가의 내방을 기대하고 있다.

대담함이 깃들어있다. Born in Moncalieri in 1971. Porzionato is a figurative painter who lives and works within close proximity to nature and art. As a figurative painter, he prefers oil painting on big canvas using photographs of himself or of friends. His look is orientated towards underlining the supremacy of the inner self as opposed to the cumbersome heaviness of flesh. Porzionato’s paintings show strong boldness in contrast with the loneliness and helpless nakedness of their characters as if they were struggling with inner strength.

실비오 포지오나토 Silvio Porzionato, Dreamers, Red Series 09, 2017, oil on canvas, 180x120cm

1971년 이태리 토리노 인근의 몬칼리에리에서 출생한 포지오나토는 구상화가로 자연과 인접한 삶을 살며 예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자신과 친구들의 사진을 이용한 대형 캔버스 유화 작업방식을 선호한다. 그의 예술세계는 무겁고 갑갑한 육체가 아닌 인간 내면의 우월함을 강조한다. 마치 자신의 내면과 갈등을 겪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무력한 캐릭터들에도 불구하고 그의 그림에는 강력한

1962년 콜롬비아 수도 보고타에서 출생한 페데리코 우리베는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조각과 회화에 뿌리를 두었지만 일상용품을 전에 없던 방식으로 짜맞추면서도 고전예술의 흔적 또한 엿볼 수 있다. 그의 작품은 예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구축되어 구상과 추상미술 양쪽의 원칙을 모두 수용한다. 작품과 관객 간의 거리와 인지요소는 그의 작품에서 주요 감상 포인트로 작용한다. Federico Uribe was born in Bogota in 1962. His work resists classification: rooted in the art of sculpture and painting, it arises from interlacing everyday objects in surprising ways, but with a formal reference to classic art tradition. His sculptures are constructed in unpredictable ways, following the canons of figurative and abstract art. Distance and perception are key factors i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his work and its viewers.

제작한다. Gustavo Velez was born in 1975 in Medellin. He studied at Lorenzo de Medici Academy in Florence and concluded his studies in Pietrasanta(Italy) where he performed public art presentations. His works have been shown in galleries and museums of China and Korea as well as in art fairs of those two countries and Singapore. The artist creates abstract sculptures of fluid forms and generally of great dimensions, made of marble, steel or bronze. 구스타보 벨레즈 Gustavo Vélez, Cube 4, 2017, white carrara marble, 166x56x56cm

GALERIA LGM has been dedicated to represent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artists since 1995. Created by siblings Luis Guillermo and Elvira Moreno, its mission is the promotion and market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orldwide. GALERIA LGM has professionals specialized in Spain and Italy, in expert assessment, valuation, appraisal and restoration of artistic heritage. It is also well–known for extensive experience of more than twenty years in the marketing of Colombian and Latin American art. GALERIA LGM also focuses on strengthening cultural ties beyond territorial and intellectual borders, to accommodate innovation and free discernment of ideas, thus enabling the opening of new trails in the art world. The gallery’s expectation of participating KIAF is to receive many visitors, clients and mainly collectors interested in Latin American art.

구스타보 벨레즈는 콜롬비아 안티오키아주 메데인에서 1975년에 출생했다. 그는 피렌체의 로렌초 데 메디치 아카데미에서 수학 후 이태리 피에트라산타에서 학업을 마쳤다. 그곳에서 공공예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중국과 한국의 갤러리와 박물관 및 중국과 한국, 싱가포르의 아트 페어에서 작품을 선보였으며, 대리석, 철, 청동을 이용해 유동적 형태의 추상조각을 만들고 주로 대규모의 작품을

페데리코 우리베 Federico Uribe, Leopard, 2016, bullet shells, natural size

GALERIA LG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루이스 기예르모 모레노,

페데리코 우리베, 구스타보 벨레즈, 실비오 포지오나토

110221 콜롬비아 보고타 오피시나203 #82–91 카레라 13 57 1 256 9688 lgmarteinternacional@gmail.com www.galerialgm.com

Luis Guillermo Moreno, Elvira Moreno

Federico Uribe, Gustavo Vélez, Silvio Porzionato

Carrera 13, #82–91, Oficina 203, Bogota, 110221, Colombia 57 1 256 9688 lgmarteinternacional@gmail.com www.galerialgm.com

엘비라 모레노

122

123


GALERIE BHAK A30

박영덕화랑은 1993년 개관 이래 국내외 역량 있는 작가들의 개인전과 참신한 기획전으로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데 앞장서고, 일찍이 해외 진출을 통해 한국 미술시장의 다변화와 국제화에 기여했다. 해외 유수 작가들을 국내에 소개하고, 주요 국제 아트페어에 지속해서 참가하여 국제미술과 한국미술의 가교역할을 한다.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 원로 작가들의 소개와 더불어 박영덕화랑 〈신인작가공모전〉과 〈한국현대미술제 KCAF〉를 기획·운영하며 다양한 스펙트럼의 작가들을 발굴, 육성하고 미술시장의 활성화와 미술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살루스티아노 Salustiano, 꽃을 든 소녀 Girl with Flower, 2016, oil, natual pigments and acrylic resin on canvas, 120cm(d)

박영덕화랑

Founded in 1993, GALERIE BHAK has been leading the contemporary art scene in Korea. With over 25 years of experience exhibiting prominent contemporary artists, it has been continuously introducing cutting–edge perspectives to the global stage. Playing a vital role in developing international dialogue on the Korean art scene, it has organized exhibitions of internationally renowned artists for local audiences. It has also participated in renowned international art fairs. In a contribution to the worldwide promotion and the rise of the art market, the gallery has introduced established Korean artists including Paik Namjune, Kim Tschangyeul, Park Seobo and Lee Ufan. It also has been representing the most promising ones with potentials like Han Youngwook, Kim Changyoung and Kim Mikyung after organizing projects for emerging artists: 〈Korean Contemporary Art Festival〉 (2001~2012) and 〈Young Artists Contest〉(1996~2002).

Kim Changyoung has worked with sand for more than 30 years. The artist glues actual sand on canvas and paints traces on the sand. He questions the nature of ‘being’ by depicting traces come and go as time goes by. The hyperrealistic description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illusions and interests the audiences. The images of ‘Sand Play’ series comes from the artist’s childhood memories when he played with sand on the beach.

Carole Feuerman is a US hyperrealism sculptor working mainly on ‘swimming’. Healthy tanned skin, sweet repose after swimming, water drops on shoulders and forehead, and wet hair of the artworks provide pleasant moods to the audiences. Her works are popular as public arts, and they can be placed in the open air or even in the water.

눈빛을 통해 보는 이에게 서로 다른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The Spanish artist Salustiano delivers delicate and powerful emotion with a realistic figure on monochrome backgrounds. His works seem like paintings from Renaissance, pursuing academic perfection and using a mixture of natural pigments and acrylic resin, similar to tempera. The artist tries to provoke different ‘sensation’ to audiences with posture, expression, and eyes of models who have uncertain gender, nationality and age.

캐롤 퓨어맨 Carole Feuerman, 다음 여름 Next Summer, 2014, lacquer on resin, 100x138x127cm

상기시켜 작업한다.

스페인 출신의 살루스티아노는 단색의 매끈한 배경 위에 인물을 사실적으로 그려 넣어 섬세하고도 강렬한 감정을 전달한다. 그는 아크릴과 천연 색소를 섞어 템페라 기법과 비슷한 재료로 아카데미적 정확성을 추구한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회화처럼 보이기도 한다. 성별과 국적, 나이가 모호한 모델의 자세, 표정,

김창영 Kim Changyoung, 모래 놀이 1612–L Sand Play 1612–L, 2016, oil, sand on canvas, 343x260cm

김창영은 30년간 모래로 작업해왔다. 이 작품은 실제 모래를 캔버스 위에 얇게 바른 후 그 위에 정밀 화법으로 발자국 등의 흔적을 그린 작품이다. 그는 모래사장에 발자국과 흔적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것을 보며 존재의 생성과 소멸에서 오는 실재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작품에 담았다. 그만의 극사실적 묘사는 트롱프뢰유 기법으로 실제와 허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면서 보는 이의 흥미를 자극한다. ‘모래 놀이 Sand Play’ 시리즈는 작가가 어린 시절 모래 장난을 하던 이미지를

미국 조각가인 캐롤 퓨어맨은 주로 ‘수영’을 주제로 하는 하이퍼 리얼리즘 작업을 선보인다. 작가는 햇볕에 그을린 여성의 건강한 피부, 격렬한 운동 후 노곤함을 달래는 달콤한 휴식의 눈빛, 어깨, 이마에 송골송골 맺힌 투명한 물방울, 땀에 젖어 흐트러진 머리카락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즐거움을 제공한다. 작품들은 물속이나 햇빛에 두어도 변질하지 않는 독특한 소재로 제작되어 다양한 장소에서 공공미술로 많이 활용된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영덕

캐롤 퓨어맨, 조광필, 한영욱, 김창영, 김광현, 김미경, 김세중, 김윤, 이우환, 백남준, 박서보, 살루스티아노

06015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72길 12 갤러리빌딩 지하2층 82 2 544 8481 info@galeriebhak.com www.galeriebhak.com

Bhak Youngduk

Carole Feuerman, Cho Kwangpil, Han Youngwook, Kim Changyoung, Kim Kwanghyun, Kim Mikyoung, Kim Sejoong, Kim Yoon, Lee Ufan, Paik Namjune, Park Seobo, Salustiano

Gallery Building B2, 12, Apgujeong–ro 72–gil, Gangnam–gu, Seoul, 06015, Korea 82 2 544 8481 info@galeriebhak.com www.galeriebhak.com

124

125


GALERIE GAIA A45

갤러리가이아는 2002년 서울 문화의 중심지인 인사동에 문을 열었다. 2층의 전시공간에서 중견 작가뿐 아니라 유능한 젊은 작가의 현대 회화, 조각, 사진 등의 다양한 전시를 선보인다. 또 작가의 작품을 세계 미술 시장에 알리기 위해 서울, 뉴욕, 마이애미, 로스앤젤레스, 런던, 홍콩, 싱가포르, 바젤, 토론토, 휴스턴, 베이징, 상하이 등의 도시에서 열리는 국제 아트 페어에 지속해서 참가한다. 이러한 노력과 헌신으로 인해 갤러리 가이아는 활발한 전시를 기획하는 갤러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GALERIE GAIA opened in 2002 in Insa–dong which is the central culture area in Seoul. It has two–stories showing space and provides various exhibitions focusing on contemporary painting, sculpture, and photograph. In addition, in an effort of promotion for those artworks in the global art market, it has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the various international art fairs in Seoul, New York, Miami, Los Angeles, London, Hong Kong, Singapore, Basel, Toronto, Huston, Beijing, Shanghai etc. Based on all those kinds of effort and devotion, GALERIE GAIA has become one of the most active and qualified galleries in Korea.

His drawings are very unique. They are fantastic, bizarre, and provocative. And yet, they fill the screen with unusual energy and excitement, and they boldly show the cheerful spirit of the raw image itself. 〈Edgewalker〉 is the title of Kim’s series of paintings. He is gazing at the riot inside as he is walking on the edge of enormous space. In the scene, people, the artist encountered in his life, are continuously reenacting the memory of the artist they carved into him, being transformed into comical and strange actors spelled by their inevitable destiny or fragment of cartoon characters. These allegorical combinations are scattered like debris from the explosion in the chaotic space to construct a space of fragmental narration not the perspective space. This operation of extremely personal and universal would be the meaning of Kim’s paintings.

고요하고 명상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Under the title ‘Old Future’, Kwak repeatedly depicts a specific figure’s portrait. As he depicts with airbrush technique, his painting looks almost photograph in texture. Depicting the same person repeatedly, he alludes to a variety of emotional textures which depends on unconscious ego, alter ego or desires. The nude of Western women in his painting functions as a type of fantasy, while the hanbok (Korean costume) intimates his own identity as a Korean or a kind of traditional reality. Fantasy and reality collide in ordinary circumstances and often fantasy is superior to reality. The dual and contradictory impress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traditional and the contemporary, and body and soul swing between nongravitational illusion and weighted reality in his paintings.

이해경은 여성 특유의 섬세함으로 한국 채색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드러내 보이는 작가로, 한국 산하의 다양한 야생화들을 통해 작가가 지향하는 현실 세계를 ‘초록서정’이라는 화두로 투영해낸다. 특히 단순한 초록서정에 대한 감동을 그림으로 재현하는 것만이 아닌, 자연을 통해 삶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오랜 인고와 정성으로 드러낸 것이기에 그 감동은 더욱 깊다. 자연의 조화와 공존의 세계에 대한 예술적 정신은 관념적이고 서사적인 한국화의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인 동시에, 스스로 부여하는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에 대한 의무라는 점에서 한국 미술사에서 주목 받고 있다. Lee Haekyung has exquisitely portrayed the inside of forest using colorization. Forest is a miniature universe where many forms of life carry on their lives in the matrix of paths, and it is also a space filled with a positive and amusing sense of life. Painting forest becomes a tool to indirectly reflect the artist’s spirit and perception of how she sees living things. Vegetation in different forms and variety of living creatures are hidden in the painting like a picture puzzle.

곽승용 Kwak Seungyong, 오래된 미래 Old Future, 2013, acrylic on canvas, 162x112cm

김명진 Kim Myoungjin, Edgewalker, 2016, oil pastel and acrylic on canvas, 162x130cm

김명진의 그림은 드로잉과 낙서, 일러스트의 경계가 지워져 있다. 그것은 온통 그리기의 흔적으로 자욱하다. 환상적이고 엽기적이면서도 도발적이고 대담하고, 그러면서도 화면 전체를 비상한 기운과 흥미로 채우고 있으며 날 것 그대로의 활기를 대담하게 보여준다. 마음과 몸에서 자연스럽게 풀려나오는 낙서나 드로잉으로 내적인 세계를 기호화하거나 세상의 모든 로고와 상징을 조합하고 병렬해 자신만의 기호의 왕국을 만들어나간다. 또 관습적인 모든 기호, 언어에 저항해 그것을 지우고 다른 코드를 만들어 내고자 한다.

곽승용은 누드와 한복이라는 오래된 소재의 만남에서 창작이라는 새로운 미래를 경험한다. 그에게 누드는 창조적 실험의 대상이며, 다양한 재료, 기법, 도구를 반복하며 새로운 이미지를 축적한다. 과거는 현재를 통해 끊임없이 환기되고 재해석되며, 다빈치의 〈모나리자〉, 앵그르의 〈여인들〉 등 오래되고 친근한 고전의 아름다운 여인들은 그의 섬세한 에어브러시 기법을 통해 새로운 아름다움으로 재탄생한다. 이 여인들은 새로움과 더불어 시간의 깊이를 더한

이해경 Lee Haekyung, 초록서정 Green Feeling, 2017, mixed media on korean paper, 140x200cm

갤러리가이아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윤여선

김병종, 이해경, 반미령, 곽승용, 김진숙, 김명진, 데미안 허스트, 로메로 브리또

03145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57–1 82 2 733 3373 galerie–gaia@hanmail.net www.galerie–gaia.net

Youn Yeoseon

Kim Byungjong, Lee Haekyung, Barn Miryung, Kwak Seungyong, Kim Jinsook, Kim Myoungjin, Damien Hirst, Romero Britto

57–1, Insadong–gil, Jongno–gu, Seoul, 03145, Korea 82 2 733 3373 galerie–gaia@hanmail.net www.galerie–gaia.net

126

127


B50

창립자 안토니오 나르도네가 2008년 브뤼셀에 개관한 갤러리나르도네는 패트릭 반 로이, 뱅상 솔레드, 사샤 드러스코이, 폴 뒤몽, 알레산드로 필리피니, 베네딕크 밴 칼로엔 등 동시대 주요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다양한 전시를 기획했다. 특히 조각, 회화, 사진 및 뉴미디어 분야에서 활동하는 벨기에 현대미술 작가들을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미술관 및 공공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작품의 영구 설치를 지원하며, 소속 작가들의 출판물 제작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또한 브뤼셀 미술 애호가들이 가장 사랑하는 갤러리 밀집 지역에 위치한 아름다운 공간이다. Antonio Nardone opened GALERIE NARDONE in Brussels in 2008. The gallery has presented various exhibitions of seminal artists of our time, including Patrick Van Roy, Vincent Solheid, Sasha Drutskoy, Paul Dumont, Alessandro Filippini, and Bénédicte van Caloen. GALERIE NARDONE’s focus is on the primary representation of talented contemporary artists from Belgium who work in sculpture, painting, photography, and new media. The gallery also works closely with museums and public institutions to support the placement of permanent commissions and is active in the production of publications by its artists. GALERIE NARDONE offers a beautiful space in a neighborhood that has taken advantage of the presence of many art galleries, which is one of the favorite areas for art lovers in Brussels.

시각 유산의 흔적: 카멜레온 식물, 야생 들장미, 그리고 야생 당근은 모두 견고하지만 깨지기 쉽고, 쓸모 없지만 아름다우며, 흔하지만 특별하다. 작가는 이러한 모순이 가진 복잡함을 완벽히 구현하기

마틸드 나르도네 Mathilde Nardone, Fpblanche, 2016, photography, 117x85cm

GALERIE NARDONE

위해 고군분투 하였는데 이는 마치 그림과 같다. Traces of a visual heritage: Chameleon plants, field briar and other wild carrots are at once robust yet fragile, weeds yet beautiful, common yet extraordinary. Contradictions that perfectly embody the complexity of the mining areas that the photographer strives to recreate in her images, which resemble paintings.

필 반 뒤넨 Phil Van Duynen, Deer, “Humanimal”, 2016, photography, 110x110cm

사샤 드러스코이 Sasha Drutskoy, Big Sleep, 2012, oil on canvas, 125x180cm

사샤 드러스코이의 작품이 갖는 힘은 관객을 자신의 외면을 넘어서 내면 세계로 이끄는 데 있다. 그것은 절대적인 시간의 부분으로서 역설적이게도, 반복되는 영원한 시간이다. 이는 자기 성찰적이며 확고히 현대적인데, 작가가 말하듯 현실이 수많은 다른 현실과 공명 할 수 있다는, 어쩌면 우리의 내면에 가장 깊이 묻혀있는 질문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은 꿈, 무의식 그리고 시간과 수수께끼에 대한 표현이다. The power of Sasha Drutskoy’s painting lies in its capacity to lead the viewer into internal worlds which are beyond appearances, beyond ourselves. In that sense it is part of imprescriptible Time: perennial and, paradoxically, timeless. It is introspective and resolutely modern because it addresses our deepest, perhaps buried, questions where, the artist tells us, reality can resonate with a multitude of other realities. His painting is of dreams, of the unconscious, an expression of Time and Enigma.

‘휴머니멀’은 2014년에 시작된 필 반 뒤넨의 세 번째 연구의 일환으로, 사람의 특성이 드러나는 부분을 합성해 각종 요소로 이뤄진 초상화를 구성하여 현재 인간 유형을 탐구하는 ‘Bits & Species’ 프로젝트다. 그의 ‘휴머니멀’ 연작에서는 인간과 동물 사이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춰 이전 작품들을 더욱 확장시켰다. 어슴푸레 인간다움이 비치는 그들의 눈빛은 냉철한 작업방식과 결핍된 표현들을 보정하며, 관람객에게 상처 입은 동물에 관심을 갖도록 상기시킨다. Humanimal is a third part of a study started in 2014: the ‘BITS & SPECIES’ project, exploring current human typologies thru composite portraits, as pieces of the human spieces puzzle. The Humanimal series extends the previous ones by focussing on the similarities between human and animal species. The coldness of the processing and the lack of expression are merely compensated by the gleam of humanity in their eyes, reminding us to care about the wounded animal hidden somewhere in each of u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안토니오 나르도네

브루노 메트라, 장 필립 두보스크, 마리오 다니엘레, 마틸드 나르도네, 필 반 뒤넨, 사샤 드러스코이

1050 벨기에 브뤼셀 세인트조지가 27–29 32 487 64 50 60 info@galerienardone.be www.galerienardone.be

Antonio Nardone

Bruno Metra, Jean Philippe Duboscq, Mario Daniele, Mathilde Nardone, Phil Van Duynen, Sasha Drutskoy

27–29, Rue Saint–Georges, 1050, Bruxelles, Belgium 32 487 64 50 60 info@galerienardone.be www.galerienardone.be

128

129


GALLERY 41 B21

갤러리41은 1993년에 설립된 종로갤러리의 ‘프로젝트 스페이스’로 새롭게 탄생했으며 인사동에 문을 열었다. 현대미술의 다양한 아트스펙트럼의 통합과 재해석을 통하여 보다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전시기획으로 작가, 갤러리 그리고 대중의 생산적인 매개체로서 자유로운 상호 소통의 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박수련 Park Sooryun, No. 305, 2018, ink, acrylic on canvas, 90x60cm

갤러리41

Since it was opening in 1993, JONGRO GALLERY has been dedicated to the progression of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art. Now the gallery has a new title as GALLERY41 continues representation of emerging, mid–career, and established artists who practice in various mediums like paintings, photographs,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박태동 Park Taedong, Growing Gemstone Garden, 2017, stainless steel, copper, 130cm(h) installation

귀하고 소중한 것에 대하여 보석 같다는 표현을 한다. 인간만이 갖고 있는 욕망과 소유에 대한 개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갖고 싶은 것은 비단 값비싼 물건이 아닐 수도 있다. 이 모든 것은 각자의 보석 같은 것이고, 그것은 삶에 제공되는 희망이기도 하다. 광물인 보석이 스스로 개체를 증식하는 경우는 가상의 제안이다. ‘Gemstone Garden’ 시리즈는 감상하는 입장에 따라 각기 다른 해석이 가능한 소중한 것들의 집합체이고, 증식하여 자라나는 설정을 배경으로 한다. 또 정원의 형태를 취해 작품의 내부로 진입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작품이다. People describe things that are rare and precious as if they were gems out of uniquely human desire and possessive nature. Not everything we desire is expensive. People attach different values to things and have their own hopes in life. The artist’s hypothetical proposition is gems that are minerals but proliferate on their own. The ‘Gemstone Garden’ series is a collection of precious things that are interpreted in unique ways by different viewers. They multiply and grow in this setting. The viewer is invited to enter their space since they take the form of a garden.

동양의 수묵과 서양의 추상 표현 회화를 결합한 ‘혼합우연성’이란 이름으로 박수련 작가는 캔버스에 계획적인 전개보다는 즉흥적이고 변화무쌍한 화면구성으로 강렬한 생명력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Park Sooryun does Aleatorik painting, which has features of both Oriental ink– and–wash painting and Western abstract expressionist painting. Park creates spontaneous, dynamic compositions that have extreme vitalit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심재학

박수련, 박태동

0306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22–31 1층 82 2 744 0341 gallery41@daum.net www.gallery41.co.kr

Shim Jaehak

Park Sooryun, Park Taedong

1F, 22–31, Samcheong–ro, Jongno–gu, Seoul, 03062, Korea 82 2 744 0341 gallery41@daum.net www.gallery41.co.kr

130

131


B38

갤러리에이큐브는 2005년 일본(도쿄), 2010년 한국(서울)에 설립됐다. 갤러리는 양국의 다양한 시선을 수용하여 정보를 교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 있는 신진 작가와 중진 작가를 지원함으로써 지속적인 예술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무엇보다 양국에 기반을 두고 각기 다른 색의 미술품을 구매하고 전 세계 미술 애호가들과 소통하여 합리적으로 작품을 선정하고 소유하는 방식을 제시해주는 역할에도 주력한다.

오자와 카나코 Ozawa Kanako, Invisible –Meaning of Eternal Matters –7–, 2018, acrylic, resin, thread on panel, 22x33.3cm

GALLERY A-CUBE

GALLERY A-CUBE Tokyo was opened in 2005, Seoul was opened in 2010. GALLERY A-CUBE is an open space to encourage art and culture for the appreciation of art. The gallery is constantly devoted to looking for promising new talented young emerging artists with great potential each with their own distinctive style and gives them opportunities to work together with exhibit and shares the creative achievements in Korea and Japan. The gallery also handles purchasing, selling and evaluating various arts according to the clients request. 쿠와바라 모리유키 Kuwabara Moriyuki, Correlative Tension 2017(2), 2017, acrylic on paper on canvas, 128x127cm

많은 사람은 보이지 않는 것 혹은 보여주지 않는 것에 대한 미학을 가지면서 한편으로는 그 세계에 대한 반감과 공감을 품고 불안과 안심을 안고 살아간다. 작가 오자와 가나코는 이러한 인간의 미묘한 감정을 마치 얇은 시트 한 장 사이에 놓인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투영시킨다. 이 시트를 놓지 못하는 사람, 이 시트가 일상이 되어 버린 사람, 이 시트를 통해 자신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잊은 사람. 이토록 독특하면서도 모호한 양극의 정서를 작가 오자와 가나코만의 유니크한 감성으로 표현한다. Many of Japanese possess aesthetic perception for the world which we could view and the world which we cannot view. At the same time, they feel both antipathy and empathy, yet uneasiness and relief to such world. That ‘World’ might exist only within a fraction of a thread away. Such sentiment seems both graceful and ludicrous. It might seem as if a child is dragging with a bed sheet over him(her). Those, who cannot separate with such bed sheets. Those, who wear such bed sheets as daily clothes. And those who forgotten that they could not see. To possess such unique and vague bipolar sentiment is plaintive yet heartwarming. The artist would first like to create a work of a ‘world’ which we could ‘see’.

쿠와바라 모리유키는 1960년대부터 동시대 작가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그는 주로 아크릴을 사용하여 종이 또는 캔버스 위에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정확하고 세밀한 원형을 그려낸다. 원형과 원형의 겹침이 무한대로 표면 전체에 퍼지며 ‘제한된 감금을 통한 자유’를 표현한다. 겹겹이 쌓인 선들이 강렬하면서도 세심한 조화를 이루는 쿠와바라 모리유키의 예술세계를 감상하길 바란다. Kuwabara was born in 1942 in Hiroshima, Japan. He has been actively creating since the 1960’s as a contemporary modern artist. His works expresses ‘freedom through the limited confinement’. He uses various mediums but mostly creates on paper, and acrylic on canvas. The artist paints in the repetitive motion, where he creates precise, detailed and complex circular forms. Please enjoy and perusal the world of Kuwabara, the world in which the layers of lines collaborate so intensely and sensitivel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승원, 우에다 츠토무

이마이 류마, 인도 히사시, 쿠와바라 모리유키, 이우환, 문승근, 오자와 카나코

03043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2길 10–13 105–0046 일본 도쿄 시부야 쇼토 1–28–6 1층 82 2 793 1115, 81 3 5453 6333 galleryacube@hanmail.net, gallery@a–cube.org www.gallerya–cube.co.kr, www.a–cube.org

Lee Seungwon, Ueda Tsutomu

Imai Ryuma, Indo Hisashi, Kuwabara Moriyuki, Lee Ufan, Moon Seungkeun, Ozawa Kanako

10–13, Jahamun–ro 12–gil, Jongno–gu, Seoul, 03043, Korea 1F, 1–28–6 Shoto, Shibuya–ku, Tokyo, 150–0046, Japan 82 2 793 1115, 81 3 5453 6333 galleryacube@hanmail.net, gallery@a–cube.org www.gallerya–cube.co.kr, www.a–cube.org

132

133


GALLERY APPLE B17

갤러리애플은 2004년 전통문화의 도시 전주 한옥마을에 문을 열었다. 개관 이후 전라북도 갤러리 중 유일하게 대관 없이 기획초대화랑으로 국내외 현대미술을 소개해 도민들의 문화 향유에 일조해왔다. 또 전북 최초, 이례적으로 〈전북현대미술제〉와 〈전북아트쇼〉 등 대규모 행사를 주최해 지역 문화 발전에 도움을 주었다. 나아가 2012년부터 현재까지 코엑스에서 〈서울아트쇼〉를 개최해 좀 더 혁신적이고 파격적인 페어의 볼거리와 미술시장을 개척하고자 꾸준히 모색해왔다. 앞으로도 참신한 운영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감동을 주는 작가와 함께 갤러리 애플은 세계미술시장 속에 동행하여 예술의 기쁨을 전하기를 열망한다.

국경오 Kug Kyungoh, 한글인 Hangeul Person, 2018, steel, 250x50x50cm

갤러리애플

In 2004, GALLERY APPLE first opened its doors in the ‘hanok village’ of Jeonju, the city of traditional culture. Since its opening, it has been the only gallery in the Jeollabuk–do province to introduce foreign and domestic contemporary art through a planned invitation gallery without renting, contributing to the citizens’ enjoyment of the culture. Also, it held large–scale events such as the 〈Jeonbuk Contemporary Art Festival〉 and the 〈Jeonbuk Art Show〉, which were unprecedented at the time in Jeonbuk, acting as the driving force of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culture. Going forward, starting from 2012 and continuing ever since it has held the 〈Seoul Art Show〉 at COEX, always seeking new ways to pioneer the art market with newer and more novel fairs and sights. GALLERY APPLE desires to accompany artists who move us and excite us with novel management in the world art market and spread the joy of art.

국경오 Kug Kyungoh, 한글인 Hangeul Person, 2018, steel, 300x60x60cm

〈한글인〉은 한글 자음 모음의 24자 실체들을 조각적으로 재해석, 공간 속에 배열하여 인간의 모습을 담아낸 작품이다. 이는 현대의 다원화되는 현상 속에 기하학이 서로 맞물리면서 형상의 본래 모습 너머의 또 다른 지향성을 유발해 그 형상들을 개념적으로 환원하는 과정의 시도다. 다시 말해 우리의 생활 속에 이미 공감되고 지속한 의미의 구조를 조각이 지니는 언어로 극대화하고, 관찰된 조합을 통하여 추상성을 포함한 실존적 구조물로 함축된 형상을 표출한 것이다. 〈Hangeul Person〉 is an art piece in which the 24 creative shapes of the Korean vowels and consonants are reinterpreted as a sculpture and rearranged in space to create the primal human form. This piece can be seen as an attempt of the process to reduce these forms into its conceptual elements, as geometric shapes intertwine in the phenomenon of diversification in contemporary times, and go beyond their original form, inducing a new directionality.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meaning that we already identify within our lives is emphasized by the language of sculptures and expressed as the condensed form of an existential structure that also holds abstractness through observed combination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지혜

지석철, 국경오, 박제경, 송미리내

55041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은행로 49 031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SK허브빌딩 102동 721호 82 63 282 6007 kugoh73812@naver.com www.galleryapple.co.kr

Park Jihye

Ji Seockcheol, Kug Kyungoh, Park Jekyoung, Song Milinae

49, Eunhaeng–ro, Wansan–gu, Jeonju–si, Jeollabuk–do, 55041, Korea SK HUB Building 102–721, 461, Samil–daero, Jongno–gu, Seoul, 03147, Korea 82 63 282 6007 kugoh73812@naver.com www.galleryapple.co.kr

134

135


A08

갤러리아트파크는 신진작가와 주요 작가들에게 공간과 플랫폼을 제공하고 아시아와 유럽의 예술과 문화를 교류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 갤러리는 전시와 소속 작가의 활동을 통해 오늘날 일반적인 미술계의 의식에 도전함으로써 동시대 이슈를 짚는다. 갤러리아트파크는 전 세계 아트페어에 참가하는 것을 주력으로 한다.

최경애 Choi Kyungae, Creation and Extinction, 2018, wrinkle(hanji), 120x120cm

GALLERY ARTPARK KARLSRUHE

GALLERY ARTPARK KARLSRUHE is to provide space and platform for both, emerging and renowned artists and serves as a bridge to create an exchange between Asian and European art and culture. The gallery’s exhibitions and featured artists confront contemporary issues by challenging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oday’s world of art. GALLERY ARTPARK KARLSRUHE’s focus lies on visiting art fairs all over the world.

최자현 Choi Jahyun, Reflection–C17069, 2017, oil on wood panel, 45x110cm

강찬모 Kang Chanmo, Meditation, 2018, hanji, 80x190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문관

오지현, 최경애, 박현옥, 김영재, 이윤령, 최자현, 강찬모, 정혜진

76133 독일 칼스루에, 크릭스스트라세 86 49 160 8740677, 82 10 5960 5330 gallery@artpark.eu www.artpark.eu, www.galleryartpark.com

Moon Park

Oh Jihyun, Choi Kyungae, Park Hyunok, Kim Youngjae, Lee YoonRyoung, Choi Jahyun, Kang Chanmo, Chung Hyejin

Kriegsstrasse 86, Karlsruhe, 76133, Germany 49 160 8740677, 82 10 5960 5330 gallery@artpark.eu www.artpark.eu, www.galleryartpark.com

136

137


GALLERY AURORA B69

양산시 통도사 곁에 자리한 갤러리 오로라(구 스페이스나무)는 갤러리, 한옥, 카페, 자연 등 복합 문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월 열리는 기획전과 공연을 비롯하여 국내외 페어 참가 등 각종 활동을 하며 문화 예술의 발전에 앞장선다. 특히 신진작가 발굴이라는 갤러리 사명을 가지고 발 빠르게 움직이며 작품성, 예술성, 독창성, 앞으로의 기대 등에 충족하는 젊은 작가들을 만나 갤러리 전시뿐 아닌 국내외 아트페어에서 선보이도록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GALLERY AURORA is located next to Tongdosa in Yangsan. It consists of a gallery, a hanok, a cafe, and a cultural complex. It is a place that leads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by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planning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domestic and foreign art fairs. In particular, with the gallery mission of discovering new artists, I will be able to support young artists who meet the artistic talent, creativity, and expectations.

형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There will be another world in which the images in the work are not the only ones seen. It is a work derived from the imagination that The title of the work, Docking, is the connection of such unknown forms to the world, and continues to create a story that has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the straight lines of life. In other words, filling up a screen can be a myriad of unknown expressions of universality. Also, the unknown imaginary animals are new figures made by docking.

권혁에게 항아리는 그 자신을 다스리는 작업이다. 도예가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며 흙을 빚듯 그 또한 참선의 마음으로 욕심을 버리고 머릿속에 맴도는 이미지를 조심스럽게 그려간다. 작가는 붓으로 머릿속에 맴도는 항아리 혹은 접시를 캔버스에 형태를 뜨고, 유약을 바르는 것처럼 색을 칠한다. 오랜 시간 가마에 놓고 좋은 빛깔이 나올 때를 기다리는 것처럼 그 또한 원하는 색이 나올 때까지 수없이 많은 붓질의 덧칠로 마음속의 빛깔을 가진 항아리를 기다린다. For Kwon Hyuk, a pot is a work of governing himself. Just as a potter rules his mind and makes up the soil, he also carefully portrays images of himself wandering in his head, giving up greed in the spirit of the true king. Real potters make their desired shape out of clay, and he also uses a brush to shape and glaze the canvas with a jar or plate that hangs in his head. Just as he puts it in the kiln for a long time and waits for the right color to come out, the artist also waits for the pot with the same color in my mind with countless brush strokes.

넓은 세계와의 교감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노력이다. Kwak Taeim’s work is made using a collagraph technique. Animals such as snakes and birds are expressed in the work, and although they do not have any realistic shape, the shape and geometry of animals such as bags or trains combine with the geometric shape of the house of imagination. The work expressed is to understand and represent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s, and to find the true self. It is also an effort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others and the wider world. 곽태임 Kwak Taeim, The Pyramid of Mind–ll, 2012, collragraph, 2012, 130.4x100.8cm

고석원 Ko Sukwon, Docking, 2018, acrylic on canvas, 53x45.5cm

작품 속 형상들은 눈으로 보이는 세상이 전부가 아닌 또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는 상상에서 비롯되었다. 작품 제목은 알 수 없는 세계와의 접속으로 계속해서 이야기를 창출해 내는데 여기에는 과거, 현재, 미래가 있으며, 공기 중에 유영하는 생명체, 직선의 기계체, 곡선의 유기적 생명체, 알 수 없는 기호들의 만남으로 다른 차원의 그 무엇을 만들어낸다. 즉 화면의 채워짐은 수없이 많은 미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또 미지의 상상 동물들은 도킹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곽태임의 작품은 콜라그래프 기법으로 제작된다. 작품 속에는 뱀이나 새와 같은 동물이 표출되고, 사실적 형태를 가지진 않았지만 가방이나 기차와 같은 형상과 동물 형상이 기하학적 형상과 결합한다. 상상의 집과 자동차, 카누와 같은 사물에서 기하학적인 삼각형의 형상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작품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대변하고자 함이며, 진정한 자기를 찾아가기 위함이다. 또 타인과 더

권혁 Kwon Hyuk, 접시 Dish, 2017, oil on canvas, 72.7x116.8cm

갤러리오로라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전수열

정철, 김봉수, 고석원, 곽태임, 권혁

50504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충렬로 1733 스페이스 나무 82 55 374 3500 galleryaurora@naver.com www.spacenamu.com

Jun Sooyeul

Jung Chul, Kim Bongsoo, Ko Sukwon, Kwak Taeim, Kwon Hyuk

Space Namu, 1733, Chungyeol–ro, Habuk–myeon, Yangsan–si, Gyeongsangnam–do, 50504, Korea 82 55 374 3500 space–namu@naver.com www.spacenamu.com

138

139


GALLERY BANDITRAZOS A65

갤러리반디트라소는 한국 작가뿐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및 스페인 언어권 미술을 전문으로 기획·전시함으로써 한국에서 생소한 라틴 미술의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알리고 다양한 문화적 교류에 힘쓰고 있다. 라틴 문화의 흐름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다양한 문화 교류 및 라틴 미술을 전문적으로 알리는 데 앞장선다. 영미 문화권에 익숙해진 우리에게 활발한 라틴 문화와 예술 교류를 통해 다양하고 풍부한 전시를 선보이고자 노력할 것이다.

장필교 Jang Philkyo, Concert, 2018, acrylic on canvas, 50x50cm

갤러리반디트라소

GALLERY BANDITRAZOS specializes in planning and exhibiting artworks not only by Korean artists but from Spanish–speaking countries including Latin America, in an effort to engage in various cultural exchanges by promoting the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of Latin American art that many Koreans are unfamiliar with. The gallery shares with the public the latest trends in Latin culture, and thus, plays a role in encouraging diverse cultural exchanges. GALLERY BANDITRAZOS will continue to endeavor to present diverse and enriching exhibitions of Latin American artists so as to help broaden the cultural spectrum of the Korean audience.

아우르는 사랑을 받고 있다. Romero Britto, a modern artist whose art has been described as “Matisse channeling Picasso”, creates various styles of art such as cubism, pop art, and graffiti in his own bright and hopeful language. His works, which use vibrant colors, popular themes, and bold patterns to reflect an optimistic view of life such as love, happiness, and hope, are loved by people of all generations and from around the world.

장필교의 ‘명화’ 시리즈 안에서 목각인형들은 명화 속 인물들의 우유를 빼앗아 마시기도 하고, 호수에서 낚시를 하기도 하며, 함께 악기 연주를 하기도 한다. 이처럼 작가에 의해 생명력을 부여 받은 목각 인형들은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매개체로 표현된다. 작가는 직접 명화 도록과 목각인형, 소품들을 배치한 뒤, 캔버스에 사실적으로 담아내는 동시에 그 안에서 목각

통한 반복과 진보를 동시에 나타낸다. William Barbosa applies to the unwieldy material of iron the flexibility and plasticity of volumes, to which he adds purity and creativity in order to create works that blend harmoniously with architectural space. The geometric and structural energy of his delicate volumes and curves has gained more recognition since he became a member of MADI, an international art movement initiated in Latin America. In particular, this work expresses both repetition and progressiveness through arrow–shaped agility and a sense of dynamic rhythm.

인형들이 뛰어 노는 상상력을 가미한 위트 넘치는 그림을 그린다. In the Masterpiece Series by Jang Philkyo, some wooden dolls steal milk from the characters of a famous painting, while others fish in lakes or play a musical instrument. These wooden dolls, which are given life by the artist, are a means to express the way in which we live as members of society. The artist creates witty works by personally arranging the art books, the wooden dolls, and other props, and then drawing them realistically on a canvas as well as adding his own creative touch, like the image of the wooden dolls running around.

윌리암 바르보사 William Barbosa, Folding Endless Rhythmic, 2011, painted aluminium, 156x207x32cm

로메로 브리토 Romero Britto, Russian Beauty, 2018, mixed media on canvas, 152.5x122cm

“피카소에 마티스의 색을 입힌 모던 아티스트” 라는 평을 받는 로메로 브리토는 입체주의 양식에서부터 팝아트, 그라피티 등 다양한 미술 사조를 자신만의 밝고 희망적인 언어로 엮어내는 아티스트다. 경쾌한 색감과 대중적 소재, 강렬한 구성을 바탕으로 사랑, 행복, 희망과 같은 삶에 대한 긍정적 철학을 담은 작품들로 세대와 국가를

윌리암 바르보사는 다루기 힘든 재료인 철을 소재로 작품을 만든다. 작가는 볼륨의 형태와 그것의 개연성을 통해 순수성과 상상력으로 작업을 하며 특히 건축적인 공간 속에 잘 표현해낸다. 섬세한 볼륨과 곡선 등의 기하학적이며 구조적인 에너지는 라틴아메리카에서 형성된 국제적 추상미술운동, 마디에 참여함으로써 더욱 빛을 발한다. 특히 이 작품은 화살 모양의 날렵함과 다이나믹한 리듬감을

Artwork © Britto Central, Inc.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안진옥

다디 세티야디, 장필교, 리 홍보, 모니카 사루미엔토 카스틸로, 피아오 광시에, 로메로 브리토, 썬 진동, 윌리암 바르보사

03020 서울특별시 종로구 백석동 1가길 45 82 2 734 2312 banditrazos@naver.com www.gallerybandi.com

Ahn Jinog

Dadi Setiyadi, Jang Philkyo, Li Hongbo, Monica Sarmiento Castillo, Piao Guangxie, Romero Britto, Shen Jingdong, William Barbosa

45, Baekseokdong 1ga–gil, Jongno–gu, Seoul, 03020, Korea 82 2 734 2312 banditrazos@naver.com www.gallerybandi.com

140

141


GALLERY BATON B42

갤러리바톤은 수준 높은 전시기획과 현대미술의 동시대성을 대변하는 국내외 작가들의 선별적인 전시에 주력하며 한국의 대표적인 갤러리로 자리매김했다. 국제미술계의 동향과 다양성에 대한 균형 잡힌 시선과 전문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설립 이래로 다양한 국적의 주목할 만한 해외 작가를 국내에 소개했고 동시에 유망한 국내 작가들의 해외 진출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해왔다. 또 대안공간 및 레지던시 Chapter II의 공동 운영을 통해 국내 신진 작가의 창작 활동 지원에도 힘써오고 있다. 앞으로도 갤러리바톤은 현대미술의 질적인 외연 확장과 다양성 제고에 기여하고 미술애호가와의 긴밀한 소통에 적극적으로 힘쓸 것이다.

지니 서 Jinnie Seo, 스펠바운드–에버글로우 Spellbound–Everglow, 2018, copper, dimension variable

갤러리바톤

Emerging as one of Korea’s leading contemporary art galleries with dedicated curating and selective exhibitions of artists that represent the contemporaneity of contemporary art, GALLERY BATON presents trends and artists worthy of international attention in order to reactive actively to the various flows of contemporary art. By organizing exhibitions of artists who represent the current state of contemporary art, Gallery to the expansion and diversity of art. At the same time, it strives for close communications with the art community.

지니 서 Jinnie Seo, 원더링 스틸–캐스케이드 Wandering Still–Cascade, 2017, jangpanji, handmade korean traditional paper, dimension variable

지니 서의 작품은 공간적 구성과 시간적 층위를 포괄하는 다차원적 양상으로 나타난다. 공간 구조의 변화가 새로운 시각적, 장소적 해석을 제시하는 반면 그녀가 지닌 한국 고유의 미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선택한 재료와 구성 요소들은 전통과 현대 사이에 연결고리를 만들어 낸다. 작가는 한국 전통 가옥에서 자랐던 어린 시절의 기억을 토대로 작업을 한다. 미닫이문을 넘어 다니며 병풍 뒤에서 숨바꼭질하고, 창호지 위로 나풀거리는 그림자를 포착하던 순간을 몸으로 기억한다. 일상 속 목가적인 순간들은 지니 서가 지닌 비전을 토대로 특유의 고유한 영역을 구축한다. 작업을 통해 움직임의 본질을 포착하는 것과 시간의 흔적을 기록하는 것에 집중한다. 궁극적으로 작품이라는 완전한 표현 활동을 통해 작가 자신의 잠재의식을 향한 통로를 찾아 나간다. Jinnie Seo’s work displays multi–dimensionality in both the spatial compositions as well as the temporal layers. While the variations of her spatial composition suggest new interpretations of space and perspectives, her choice of materials and formative elements inspired by the aesthetic sensibility unique to Korean culture creates a link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contemporary. Seo brings her personal memories of growing up in a traditional Korean house. Her body remembers moving through the sliding doors, playing hide and seek behind the folding screens, and capturing the shadows undulating on the paper screen windows. These idyllic moments of small daily rituals have become the building blocks of Seo’s unique scope of vision. Her primary focus is to capture the essence of motion as well as to record the trace of time. Ultimately, through these pure gestural exercises, she aspires to find passages to her subconsciou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제임스 전

배윤환, 빈우혁, 정치영, 데이비드 오케인, 조르제 오즈볼트, 지니 서, 쿤 반 덴 브룩, 고산금, 리암 길릭, 막신 마시요브스키, 로사 로이, 윤석원

04420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16 82 2 597 5701 info@gallerybaton.com www.gallerybaton.com

James Jeon

Bae Yoonhwan, Bin Woohyuk, Chung Chiyung, David O’Kane, Djordje Ozbolt, Jinnie Seo, Koen van den Broek, Koh Sankeum, Liam Gillick, Marcin Maciejowski, Rosa Loy, Yoon Sukwon

116, Dokseodang–ro, Yongsan–gu, Seoul, 04420, Korea 82 2 597 5701 info@gallerybaton.com www.gallerybaton.com

142

143


GALLERY BUNDO A11

임창민 Lim Changmin, Into a Time Frame_Water Fall4, 2018,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X165cm

갤러리분도는 2005년 1월에 개관한 화랑으로, 기획 초대 전시와 문예 아카데미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기획 초대 전시는 지역의 역량 있는 미술인을 중심으로 기타 훌륭한 외부의 작품을 소개하고, 1년에 7~8회 정도의 전시를 진행한다. 문예 아카데미는 미학 및 인문학 위주의 미술문화 관련 강좌를 내용으로 구성하고, 일반대학원 1~2차 정도의 학습내용으로 진행된다. 1년에 3회 가량 진행하며, 매회 주제를 가지고 명망 있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진행한다.

갤러리분도

GALLERY BUNDO opened in January, 2005. It mainly exhibits contemporary art by invited artists and operates under two distinctive mandates; The exhibitions at GALLERY BUNDO showcase talented local as well as international artists. Cultural academy at GALLERY BUNDO facilitates graduate–level lectures with subjects, such as aesthetics and human science, with renowned guest speakers.

임창민 Lim Changmin, Into a Time Frame_Jeju Ocean View, 2018,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x165cm

임창민은 정지 화상과 동영상을 결합하여 정적인 실내공간을 연출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사진 속 공간은 미술관 로비, 호텔 스위트 룸, 구내식당, 오래된 대학의 복도 등 수많은 사람의 발걸음과 시선이 머물렀던 장소이고, 여기에 창문을 통해 주로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을 끌어들인다. 풍경은 모니터를 정교하게 삽입시켜 보여주는 동영상이지만, 마치 벽에 걸린 그림이거나 시간이 정지된 듯한 표정을 하고 있다. Lim Changmin is known for combining photography and video work to portray a still interior space. The space within the photographs depicts places bearing the footsteps and gazes of countless people, from art museum lobbies, hotel suites, cafeterias, hallways of old universities. Using windows here, he draws in the beautiful scenery of nature. The scenery is portrayed in the video but resembles paintings hanging on walls or expressions frozen in tim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동준

임창민

41952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36–15 82 53 426 5615 gallerybundo@nate.com www.bundoart.com

Pak Dongjun

Lim Changmin

36–15, Dongdeok–ro, Jung–gu, Daegu, 41952, Korea 82 53 426 5615 gallerybundo@nate.com www.bundoart.com

144

145


GALLERY CHOSUN A12

갤러리조선은 2004년 개관 이래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흐름을 소개하고, 창조적이고 유망한 작가들과 함께 한국 시각 문화를 이끌어 간다고 자부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매체와 장르를 아우르는 소통의 장으로서 세계적인 안목을 갖추고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갤러리로 나아갈 것이다. GALLERY CHOSUN opened its new exhibition space in a prime location of Seoul, South Korea in June 2004. Centered aroun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ALLERY CHOSUN introduces the diverse movement of Korean contemporary art. Furthermore, the gallery introduces the emerging Korean artists to the international stage, helping them to participate in the major global art fairs including Art Cologne and Miami Art Basel. GALLERY CHOSUN is committed to becoming an ultimate paradigm of Korean contemporary art, leading the meaningful communication through the vision of creativity and culture regardless of genre.

A single whole – world that can be all shared from Ahn Sanghoon’s painting doesn’t exist since its beginning. It’s because setting itself indicating that the concept of a whole is disrupted or a whole world doesn’t exist does work as an axis supporting the artist’s works. Thick and wide paints passed through a canvas, the circle drawn lightly, brush touch that repeats coming and going in zigzag speedy and various touches and trace of paints added to their front and rear, and both sides compose a single screen. These are an instant gesture and trace of thinking which are owned in order for the artist to make new images and moods from a specific time and location.

Oak Jungho, the artist, has been working on social issues by bringing them into the realm of personal creativity. Although he is dealing with the heavy themes throughout his artwork, he gives us a bright impression and keeps its humor at the same time. He always has his own expression of his ideas about corrupt society in humorous way. Furthermore, he lets us look back at our hidden guilt by illustrating his own struggle in his artwork.

옥정호 Oak Jungho, 훌륭한 자세 Great Posture, 2015, archival pigment print, 100x150cm

사고의 흔적들이다.

죄의식을 스스로 돌아보게 한다.

안상훈 Ahn Sanghoon, I Look Forward To Meeting You and Showing You What a Wonderful Place, 2018, acryic and oil on canvas, 162x130cm

안상훈의 회화에서 모두가 공유 가능한 하나의 ‘전체–세계’는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다. 전체라는 개념을 파기하는 것, 전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설정 그 자체가 작가의 작업을 지탱하는 축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캔버스 위로 진하고 넓게 지나간 물감, 가뿐하게 그려진 동그라미, 속도감 있게 지그재그로 왔다 갔다를 반복하는 붓 터치 그리고 그 앞과 뒤, 양옆에 더해진 다양한 터치와 물감 자국들이 하나의 화면을 구성한다. 이는 그가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새로운 이미지와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지녔던 순간의 몸짓과

옥정호는 사회적으로 쟁점이 될 수 있을 만한 사안들을 개인적 창조의 영역으로 끌어와 희화화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그는 무거운 주제를 작품 안으로 끌어들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미지 자체는 매우 해학적이라는 것이 옥정호 작품의 특별한 지점이다. 언제나 그랬듯 이번 작품에서도 사회의 부패한 부분들에 주목하면서도 긍정적 수사법을 잊지 않았다. 그는 우리에게 개인의 죄의식을 씻어내기 위한 투쟁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짓눌려 있는

정정주 Jeong Jeongju, Tower, 2017, stainless steel, mirror, 270(h)x40x30cm

갤러리조선

정정주는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건축 공간을 개인의 내면으로 은유한다. 건축 공간 내부의 빛은 내면의 생각과 심리적인 상태에 빗대어진다. 작품 〈TOWER〉는 간소화된 공간을 층처럼 쌓아 올렸다. 각 층은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배치로 구성되고, 이러한 변화들이 하나의 탑처럼 쌓여있는 모양새다. 스테인리스 스틸과 거울이 서로를 교차하거나 모방하는 방식은 우리 내면의 모순이나 감정적 변화 양상과 닮아있다. 작품은 마주하는 이들의 동선을 따라 계속해서 새로운 면을 보여준다. 반사되기도 하고, 불투명하게 차단되기도 하며 또한 공간으로 열려 있기도 한 작품의 부분들은 자신의 내면을 반추하도록 유도한다. Jeong Jeongju compares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we face daily to individual’s inner–self. The light coming through the space represents two major points: audience’s inner thoughts and artist’s psychological states. The 〈Tower〉 is expressed in works of layered space. Each floor is made up of similar layouts, and the sum of these layouts forms the tower. The way that the stainless steel and mirror intersects and imitates each other resembles the audience’s internal contradiction and their emotional change. The artist will continue to show new sides along the lines that the audience looks at. He will also lead the audience to reflect on their inner–self by showing the reflected, closed and opened space in his artwork.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권미성

안상훈, 최수인, 정정주, 구명선, 옥정호

03053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길 64 82 2 723 7133, 7134 info@gallerychosun.com gallerychosun.com

Kwon Misung

Ahn Sanghoon, Choi Suin, Jeong Jeongju, Ku Myungseon, Oak Jungho

64, Bukchon–ro 5–gil, Jongro–gu, Seoul, 03053, Korea 82 2 723 7133, 7134 info@gallerychosun.com gallerychosun.com

146

147


GALLERY DOLL A33

갤러리도올은 예술이 우리의 일상과 더 가까워지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노력해왔으며, 1995년 인사동에서 시작하여 2001년 현재의 북촌으로 자리를 옮겼다. 매년 10회 이상의 기획전으로 새로운 시선을 지닌 신진작가를 소개하고, 오랜 시간 동안 예술 활동에 매진해온 중진 작가의 작업을 다시 살펴보는 기회를 통해 한국 미술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전시를 선보이고 있다. 앞으로도 한국 미술계의 탄탄한 기반을 위한 제안은 계속될 것이다.

노현우는 우리가 살아오며 한번은 만났던 적이 있는 풍경을 통해 놀라움, 기쁨, 슬픔, 외로움, 감정의 변화, 신비한 세계를 표현한다. 자연은 빛과 다채로운 색상을 통해서 다양한 감정을 전해주고 사람들의 감성적인 경험, 기억, 느낌이 반영된 결과다. 그는 열망 속에서 평화를 찾는 영혼의 조각을 표현해 왔는데, 창조와 소멸

GALLERY DOLL, to bring more chances to our daily life with art, was established in the year of 1995, Insadong, Seoul and moved to Bukchon in Seoul, 2001. With more than ten exhibitions a year, GALLERY DOLL introduced young artists with new perspectives, rediscovered matured artists’ works of experiences to the viewers to give a look through a stream of art in Korea. The gallery has presented various exhibitions including paintings, printing arts, sculptures, photography, installation arts and Korean ink wash paintings to establish a solid foundation of Korean art.

그리고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진실로 향하는 마음을 드러낸다.

이목을 Lee Mokul, 담담 淡淡–18002, Calm–18002, 2018, pigment print on paper, 90.9x72.7cm

갤러리도올

Roh Hyeunwoo expressed surprise, joy, sadness, loneliness, changing of emotions, the mysterious world, through the landscape that we once met in life. He gives myriad feelings by means of light and various colors which react to him. The artist’s landscape is not just the painting of nature, but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f emotional experience, memories, and feelings of people. Roh Hyeunwoo has expressed that part of the soul that seeks peace in the aspiration to the truth of creation and destruction, and the consciousness to follow the nature without breaking its cycle.

노현우 Roh Hyeunwoo, 무제 2018 Untitled 2018, 2018, oil on canvas, 60.6x91.9cm

노경희 Noh Kyounghee, 숲 2018_01 Forest 2018_01, 2018, pastel on paper, 106×75cm

나무 사이로 투과되어 얼굴에 내려앉는 빛, 사람의 온도, 하늘과 땅과 물의 소리, 흙냄새, 나뭇결과 잎의 촉감 외에는 아무것도 방해하지 않는 숲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작업의 시작점이다. 캔버스 위에 첫 획을 올리고, 종이에 파스텔이 닿는 순간부터 그림은 경험에서 떨어져 나와 다른 것이 되기를 작가는 희망한다. 붓이 캔버스에 닿을 때 손에 전해지는 탄성과 붓을 잡을 때의 느낌, 색을 섞을 때의 감각, 안료가 기름 안에서 자신의 정수를 뿜어내는 영롱함에 대한 감탄은 그림을 그리는 동력이 된다. Nothing but spending time in the forest with falling lights on the face through the trees, a temperature of the wind, sounds of the sky, soil and water, a smell of the soil, a shape of the tree and a feel of leaves is the where Noh Kyounghee’s work starts. The first brush stroke on the canvas and the moment a pastel touches the paper, the painting starts to become something else departed from the experiences. A momentum that her drawing is an elasticity through her hands when the brush touches the canvas and a feeling when the artist holds a brush, a scene when the colors blended, an admire to the brilliance that the pigments in the oil create.

이목을은 최근 들어 사실적이고 섬세한 묘사보다 형태가 잘 드러나지 않는 작업을 선보이고 있으며, 대상을 관찰하여 공간에 담아내는 과정은 작은 요소도 놓치지 않던 과거와 마찬가지로 예리하다. 페인팅이 아닌 카메라로 포착된 사물로서, 작품 안은 조형 요소를 담은 추상이 가득하다. 사물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서 즉각적이고 단순하게 피사체로 드러나는 사물을 통해 독창적인 인식의 경계를 제안한다. Lee Mokul recently presents a process of an observation in a space with the use of shapes with consideration. Objects from the image that we see, taken by a camera instead of painting brushes, are abstractive in the work of art. The artist gives us a question of recognition with a solid result of an instant improvisation instead of a reproduct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신동은

권훈칠, 이행균, 이목을, 노경희, 노현우, 류숙영

03054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87 02 739 1405, 1406 g–doll@hanmail.net www.gallerydoll.com

Shin Dongeun

Kwon Hoonchill, Lee Heanggyun, Lee Mokul, Noh Kyounghee, Roh Hyeunwoo, Ryu Sookyoung

87, Samcheong–ro, Jongno–gu, Seoul, 03054, Korea 82 2 739 1405, 1406 g–doll@hanmail.net www.gallerydoll.com

148

149


GALLERY DREAM B09

갤러리드림은 2002년 개관하여 다양한 기획전 및 초대전을 통해 대중미술 소통의 공간으로 책임을 다해나가고 있다. 앞으로도 좋은 전시의 유치를 통해 작가를 발굴하고 갤러리로써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나강 Na Gang, 벚꽃나들이 Cherry Blossom Outing, 2018, oil on canvas, 150x120cm

갤러리드림

The GALLERY DREAM has been open since 2002, and have paid our duties through various exhibitions and previews as the communicational space of popular culture. The gallery picks out artists by holding terrific exhibitions and do its bests as a favorable gallery in compliance with the above promise.

윤상민 Yoon Sangmin, 모세의 기적 Miracle of Moses, 2017, pigment print, 76.2x50.8cm

김문석의 작업은 현대 회화로서 프레스코화이며, 자유로운 형태로 이동이 가능한 벽면을 이용해 만든다. ‘문명’ 시리즈의 회화는 고대 동·서양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명의 흔적들에서부터 다원주의와 글로벌리즘을 형성하는 오늘날의 시대적인 담론에 이르기까지 시공간을 초월해 다양한 기호로 나타낸다. 기호들은 시간과 공간의 만남 속에서 충돌을 일으키며 동시대 물질 문명의 화려함과 이면의 허상을 동시에 표출한다.

이미지를 만든다. On reflection, it all began when the artist first saw Vincent van Gogh’s painting that looked so alive as if it was soaring to the sky. Yoon Sangmin was shocked at that moment and felt the urge to express something as vividly in photographs. Light is the result of the sun’s love. When that light enters the camera with its pain of parting with the sun, a dream is born. With the eye of patience and loving fingertips, the artist touches the heart of the camera and creates images of dreams.

나강의 예술적 모티프는 제주에서부터 출발한다. 제주도는 훼손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를 간직한 장소이자 25년간 작가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 작업 초기 아이디어들은 바다와 한라산처럼 제주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의 이미지에서 시작했으며, 거듭된 작업 과정을 통해 자연 요소들을 재해석, 재구성함으로써 현대 미학적 관점으로 발전했다. 작품의 메인 테마 또한 제주의 삶으로 확장되어 작품 속에 제주의 자연과 인간성, 영적 에너지를 화면과 공간 속에 담아낸다. The artist’s esthetic motif drives from Jeju island in Korea, which has intact natural landscape and has been her space of real life for 25 years. The first ideas started with the images of nature like the ocean and mountain surrounding Jeju. Afterward, her artworks developed in terms of modern esthetic by reinterpreting and restructuring the natural factors. Also, the main theme of works has been expanded into the life of Jeju, so her own screen could be created by reflecting the nature of Jeju, humanity, and spiritual energy.

김문석 Kim Moonseok, 문명 Civilization, 2018, presco, acrylic on panel, 181x273cm

윤상민 작업의 출발점은 아주 오래전 빈센트 반 고흐의 하늘로 살아서 솟아오르는 생동감 있는 작품을 본 충격적인 순간부터였고, 목표는 고흐 같은 생동감 있는 표현에 있었다. 빛은 태양이 사랑을 실행한 결과물이다. 그 빛이 태양과의 이별을 통해 카메라의 렌즈에 담길 때 하나의 꿈이 탄생한다. 그는 인내로 무장한 눈과 사랑을 품은 손끝으로 카메라의 심장을 건드려 꿈의

Kim Moonseok’s works are frescos as a modern art and he is working with freely shapeable and movable walls. The series of ‘Civilization’ is represented beyond space and time, by a variety of signs from vestiges of ancient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 to the contemporary discussion focusing on Pluralism and Globalism. The signs are presenting a splendid material civilization in this era and an illusion hidden in it, causing a collision in time and spac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완호

김문석, 임승현, 나강, 윤상민

1357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439번길 11 82 2 720 4988 aron0707@empas.com www.gallerydream.pe.kr

Lee Wanho

Kim Moonseok, Lim Seunghyeon, Na Gang, Yoon Sangmin

11, Seohyeon–ro 439beon–gil,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13579, Korea 82 2 720 4988 aron0707@empas.com www.gallerydream.pe.kr

150

151


B07

2004년에 문을 연 갤러리에델은 동시대 일본과 세계미술의 트렌드를 제시해 전시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갤러리에델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전 세계 미술 문화를 소개함으로써 예술 창작과 감상 경험을 강화하는 것이다. GALLERY EDEL was founded in 2004. The gallery is committed to launching a completely new interpretation and perspective on exhibition by presenting a new trend of Japan contemporary art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that is significant to our time. The foremost objective of GALLERY EDEL is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both art making and art appreciation by embracing the worldwide culture of art.

일본이라는 섬나라 특유의 문화 때문인지 일본인은 자기 자신보다 집단이 먼저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개인보다 집단 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나 자신도 일본인으로, 개인적으로는 먼저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싶어 하지만 집단과의 관계를 느끼고 주위 분위기를 의식하여 자신을 숨겨버리는 때가 있다. 그럴 때 나 자신에게 묻고 싶다. 자신을 사랑할 것을. 자신을 소중히 할 것을. 여러 사람을 만나 사고의 폭을 넓히고 생각을 그리는 가운데 사랑이란 무엇인지 모색해 나가고 싶다. – 야마오 타케시

야마오 타케시 Yamao Takeshi, Life – Love Someone to Death, 2018, acrylic on canvas, 33.3x53cm

GALLERY EDEL

사람은 누구나 언제 올지 모르는 ‘죽음’까지 살아간다. 그렇다고 최선을 다해 살려고 하는 것도 아니다. 꽤 많은 사람이 의료가 발달하고 편리하고 안전해진 세상에서 죽음을, 특히 젊으면 젊을수록 ‘죽음’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않고 산다. 내일 죽을 것처럼 오늘을 살자는 말은 결코 긍정적인 메시지가 아니다. 항상 죽음을 의식하며 쓸데없이 짐을 떠안지 말고,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짐을 가지고 살자는 의미다. – 야마오 타케시 야마오 타케시 Yamao Takeshi, Love Yourself – Still Looking for Love, 2018, acrylic on canvas, 50x72.7cm

야마오 타케시 Yamao Takeshi, Lonely Warrior – The·Kuroko–Chan, 2018, acrylic on canvas, 72.7x116.7cm

Due to Japan’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s an island nation, the Japanese tend to prioritize communities and groups over an individual, hence putting much empha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than between individuals. I, myself, sometimes hide my own feelings in consideration of my surroundings and respect for my relationships with other groups of people even though I would like to prioritize my own feelings personally. At times like this, I would like to ask myself to love and cherish myself more. I would like to search for the true meaning of love in the process of meeting many different people, broadening my breadth of thoughts and drawing them out. – Yamao Takeshi

작가는 7살 때 공황 발작을 일으켜 등교하지 않게 되고 그때부터 학교에 갈 수 없게 된다. 당시 학교에 다니는 것이 당연했던 일본 사회에서 학교를 가지 않음에 대한 죄책감과 주위의 매정한 말에 시달리다 14세에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가 되고, 섭식 장애, 우울증, 공황의 괴로움과 고단함에서 현실을 도피하듯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사회의 경멸이나 차가운 눈초리를 느끼고 소수자의 괴로움과 가혹함으로부터 도망치듯 때로는 소수자를 향한 시선에 문제를 제기하며 작품을 그린다.

Even though every human dies, they don’t always put in their best foot forward in life. In today’s world of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people – especially those younger than others – understand less about death. To say “live each day as if it was one’s last” is not a positive message. Rather, it reminds us to always remain aware of death and live with a burden we can mentally handle. – Yamao Takeshi

Following a panic attack at age 7, the artist was no longer able to attend school. With the general consensus in Japan back then that considered attending school a normality, the artist was undone by guilt and judgement and became a hikikomori – a reclusive individual who has withdrawn himself from the society. He then began painting, as if he was running away from the pain of eating disorders, depression and panic disorders. The artist’s works revolt against the society’s perspective toward outcasts, all the while realizing the disdain from the society and fleeing from the agony and asperity of being an outca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호리이 쿠니아키

쿠사마 야요이, 미키, 나라 요시토모, 야마오 타케시

530–0047 일본 오사카 키타구 니시텐마 4–9–1 니시텐마빌딩 105&201 81 6 6131 2155 edelcoltd@aol.com www.edelcoltd.com

Horii Kuniaki

Kusama Yayoi, Miki, Nara Yoshitomo, Yamao Takeshi

Nishitenma Building, 105&201, 4–9–1, Nishitenma, Kita–ku, Osaka, 530–0047, Japan 81 6 6131 2155 edelcoltd@aol.com www.edelcoltd.com

152

153


GALLERY FINE A82

1990년에 출발한 정원화랑이 2006년 4월 12일 갤러리화인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참신하고 의미 있는 기획전을 중심으로 부산 미술문화의 활발한 교류의 장이 되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힘들게 작업하는 작가에게 희망이 되고자 하며, 한국화에 뿌리를 두었던 이력답게 ‘한국의 미, 어울림 전’이라는 타이틀로 독창적인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를 발굴하고 있다.

홍순현 Hong Soonhyun, 새벽 등대 Dawn Lighthouse, 2017, mixed media, 52.7x41cm

갤러리화인

GALLERY FINE, previously known as JUNG WON GALLERY in the 1990s reopened with its new name in 2006. We offer an ideal environment for artists who need support to establish the reputation in the field of art. By promoting artists in this way, GALLERY FINE acts as a platform for artistic dialogue and invites the public to engage with what we feel are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the rapidly growing art world. We hope to be a seminal part of the hub of Busan’s cultural district, with selective exhibitions that are both meaningful and novel. GALLERY FINE always welcome visitors with dynamic and innovative artworks created by some of the most provocative contemporary artists.

Love, longing, and desire for hope, which are the most basic forms of human life, are not only for human but also natural attributes. As such, even in the work of Kim Min– jung, she did not miss this flow as the mixture of emotions and rationalities mixed and shaken, and they exchanged and changed with each other in the fluid. According to various phenomena, the isolation of caring for nature and life can be interpreted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s deeper in terms of modern sense and color, and the sense and choice are free.

밤새 가슴 속에 품었던 등대 위로 희망이라는 백마를 타고 청명한 새벽을 여는 소년의 이미지를 통해

노을 지는 바다 물결의 빛을 24K의 순금으로 조형화한 작품이다. 흘러가는 시간의 영원과 순간의 빛에 관한 명상 공간을 환기해준다. 영구불변의 상징인 순금을 한지 바탕 위에 콜라주와 스크래치 기법을

그리움과 따스한 위안, 기운찬 미래의 기대를 표현했다.

이용해 회화 작품에 적용한 독특한 조형 작업이다.

Over the lighthouse I had in my heart all night Riding a white horse of hope Through the image of a boy opening a clear dawn I expressed my longing, warm comfort, and lively expectations for the future.

This formative work of art is made of 24–kilogram pure gold. It arouses a space of meditation about eternity and instant light of the passing time. It is a unique work created with collage and scratch techniques on Hanji by using pure gold, a permanent symbol. 임영조 Lim Youngjo, 영감의 노래 1487 Epics of Inspiration 1487, 2014, korean paper, gold–leaf(24K), 108x162cm

김민정 Kim Minjung, 숲에서 듣는 노래 Songs in the Forest, 2018, mixed media, 162.2x130.3cm

인간의 기본적 생성 生成인 사랑과 그리움 그리고 희망에 대한 욕구는 자연의 속성이기도 하다. 김민정의 작품에서 삶은 감정과 이성의 혼합물들이 섞이면서 흔들리기도 하고, 유체로 서로 간 교류와 변화를 겪는다. 여러 현상에 따라 자연과 삶에 대한 고찰의 유동화는 현대적 감각과 색감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하며, 느낌과 선택도 더욱 자유로워진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인화

김민정, 김연화, 임영조, 홍순현

48275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수변로 243 1층 82 51 741 5867 jihloveslsj@hanmail.net www.galleryfine.com

Jeong Inhwa

Kim Minjung, Kim Yeonhwa, Lim Youngjo, Hong Soonhyun

1F, 243, Millaksubyeon–ro, Suyeong–gu, Busan, 48275, Korea 82 51 741 5867 jihloveslsj@hanmail.net www.galleryfine.com

154

155


GALLERY FOCUS A73

1991년 강남구 청담동에서 시작한 갤러리포커스는 국내 원로, 작고작가의 현대미술품과 베트남 대표 작가들의 작품을 꾸준히 발굴하고 소개했다. 2004년에는 15년간 수집해 온 인물 관련 미술품 및 각종 역사적 사료를 집대성한 93뮤지엄을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에 개관했고, 국내 대표작가들의 회화 및 판화, 조각전을 기획·전시했다. 2007년 갤러리포커스를 삼성동에 재오픈하여 신진작가들의 작품과 베트남 대표작가의 작품을 전시했고, 2013년 93뮤지엄과 갤러리포커스를 헤이리 예술마을에 통합·이전하여 예전보다 더욱 활발한 기획전시와 함께 헤이리 예술마을의 중심지가 되도록 노력한다. Since its establishment in Chungdamdong, Seoul in 1990 by Mr. Koo Sambon, GALLEY FOCUS has been one of the most highly regarded galleries on specializing in modern art pieces of Korean master artists and Vietnamese famous paintings. In 2004, ‘93 Museum’, a compilation of portrait related historical artworks and masterpieces for the last 15 years, opened in Heyri Art Valley in Paju, moved the gallery to the annex of the museum, and exhibited the paintings, prints, and sculptures of Korean master painters. In 2007, GALLERY FOCUS reopened in Samsung–dong and exhibited local young artists’ artworks and Vietnamese best artists’ artworks. In 2013, GALLERY FOCUS and 93 Museum merged together and moved to Heyri Art Valley. The gallery is doing its best to be the leading gallery in Heyri by various planned exhibitions.

이우환 Lee Ufan, 바람으로부터 With Winds, 1992, mineral ink and oil on canvas, 227x182cm

이우환은 자기 억제와 개념 추구에 한정시킨 ‘점으로부터’와 ‘선으로부터’ 연작을 다년간 제작하면서 절제와 완벽의 절정을 이룸과 동시에 이념과 신체 활동성의 한계를 마주하게 됐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점차 손놀림이나 붓질에 운동감을 주어 자율성을 찾아보고자 시도했다. 이로 인해 ‘바람’ 연작은 해체적이면서도 자유로운 양상을 보여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개별적 영역에 존재하던 붓 터치들이 변화됨으로써 서로 중첩되고 화면에 녹아들어 배경과 함께 합일되면서 가벼운 바람처럼 날아다니는 형식으로 나타난다. From his many years of the creation of the ‘From Point’ and ‘From Line’ series, which he intentionally limited to self–restriction and study of concepts, Lee Ufan fully achieved control and perfection but reached the limits of ideas and physical activity.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se limits and thereby gain autonomy, he added a sense of motion to his fingers and brush strokes. The resulting ‘From Wind’ series evinces deconstruction and yet remains free in some respects. The strokes exist individually at regular interstices and then transform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melt into the screen to become one with the background. And yet they flutter about like light wind.

안창홍의 터치들이 품어내는 두툼한 마티에르는 교향악이 품어내는 수많은 미묘한 토운이 엮어내는 듯한 장중한 깊이를 만들어낸다. 불빛을 약하게 하자 이번에는 보이지 않았던 보라 색조의 색들이 튀어나왔다. 보라색을 띤 붉은색은 형광등처럼 빛났다. 비로소 노랑색이 태양을 닮을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았다. 음울하고 슬프고 고독하고 신비스러운 그 보라색이 바탕을 이루고 있었다. 태양 빛이 강하다는 그림자가 진하다는 말과 동의어이다. 그 아름답고 가볍고 경쾌하고 섹슈얼한 세계의 그림자는 죽음과 파괴와 공포의 타나토스라는 무서운 파괴의 힘이었다. – 미디어 아티스트, 채희석 The thick matière forged by Ahn Changhong’s strokes evokes a solemn depth as if weaved by countless delicate tones of symphonic music. Under the dimmer light, purple tones that did not previously catch the eye stand out. The purplish–red gleams like fluorescent light. Only then does one realize why yellow resembles the sun. It is because the gloomy, sad, lonely, and mysterious purple constitutes the foundation. It is just like the saying that the stronger the sunlight, the thicker the shadow. The shadow of that beautiful, light–hearted, and sexual world is actually the frightening power of destruction, in other words, Thanatos, the embodiment of death, destruction, and terror. – Media Artist, Chae Heeseok

안창홍 Ahn Changhong, 양귀비 Poppy, 2012, acrylic on canvas, 72.7x53cm

갤러리포커스

오세열의 작품은 어린아이의 그림처럼 낙서 같은 그림이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간단하게 그려진 그림이 아니다. 그는 캔버스를 뒤집어 합판을 덧대어 견고하게 바닥 작업을 하고, 무수하게 많은 층을 올리며, 기름을 제거한 물감들을 쌓아 거친 마티에르를 만들어낸다. 송곳이나 칼처럼 날카로운 것으로 긁어내는 방식으로 작업을 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물감의 층과 스크래치가 어우러져 오랜 세월을 보낸듯한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그 위에 덧붙여진 오브제들로 그의 그림은 또 한 번 우리를 과거로 불러들인다. Oh Seyeol’s painting is like a child’s doodles. However, when examined closely, it is far from simple. He attaches plywood to the back of the canvas to make it sturdy and applies numerous layers of non–oil–based paint upon the canvas to produce a rough matière or texture. He then scrapes some of the paint off of the surface with a sharp tool like an awl or knife to create the impression that the work has endured many years. Objets attached to it take the viewer to the past once again. 오세열 Oh Seyeol, 무제 Untitled, 1987, mixed media on canvas, 100x200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구삼본

안창홍, 김창열, 김종학, 이우환, 이창효, 오세열

06600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88 L–113 10859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59–58 82 2 537 2925, 82 31 948 6677 galleryfocus@naver.com www.galleryfocus.co.kr

Koo Sambon

Ahn Changhong, Kim Tschangyeul, Kim Jonghak, Lee Ufan, Lee Changhyo, Oh Seyeol

L–113, 188, Seochojungang–ro, Seocho–gu, Seoul, 06600, Korea 59–58, Heyrimaeul–gil, Tanhyeon–myeon, Paju–si, Gyeonggi–do, 10859, Korea 82 2 537 2925, 82 31 948 6677 galleryfocus@naver.com www.galleryfocus.co.kr 157

156


GALLERY GABI A83

2010년에 개관한 갤러리가비는 현대미술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국내외 작가의 작품을 소개하는데 근본 목적을 두고 있다. 또 작가의 작업과 작품을 지속해서 연구하고 이를 다양한 전시 방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관람객이 향후 좋은 작품을 컬렉팅 하도록 도움을 주는 매개자의 역할을 한다. 특히 아직 주목받고 있지 못하지만 기법과 표현 및 주제의 측면에서 새로운 예술성을 보여줄 수 있는 중견 및 신진 작가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그 예술적 성장을 다양한 방식으로 돕고자 노력한다.

책상에서 바라보는 창문과 스크린. 창밖의 풍경은 황정희의 시선과 늘 수평으로 마주한다. 강렬한 햇빛을 가리기 위해 스크린을 내리면 바깥의 소나무와 계단, 건물의 유리창 등은 단색의 표면으로 덮인다. 생활공간이자 일터의 이 풍경은 어느덧 가장 익숙하고 오래 관찰한 대상이 되었으며, 일종의 습관이 되었다. 그리고 그림으로 덮인

Opening in 2010, GALLERY GABI aims to introduc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and their artworks which lead the direction of a contemporary art scene. It also continues to research artists and works of art, presents them in varied ways of exhibitions, and performs its role as a mediator who helps the audience to improve their collections in the coming years. Notably, the gallery actively discovers both establishing and emerging artists who represent new artistic quality in terms of technique, expression, and theme, thereby help their artistic growth in every possible way.

The artist describes, “The window and curtain screen from my desk. The scenery out of the window always encounters with my gaze horizontally. The pine tree, stairs, windows of the building are covered with the monochrome colored surface if I pull down the screen to avoid the strong sunshine. This scenery – the daily living space or workplace –became a familiar and the observed object for a long time like a custom.” Hwang Jeonghee draws the horizontal lines when she felt that the surface covered with an illusion is meaningless.

황정희 Hwang Jeonghee, Reading Process 3, 2018, acrylic colors on canvas, 72.7x60.6cm

갤러리가비

화면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때 그녀는 수평의 선을 긋는다.

구나영 Gu Nayoung, 마음의 결 no2 The Texture of the Mind no2, 2018, oriental ink on Hanji, 60×80cm

서윤희 Suh Yoonhee, 기억의 간격–망중유한Ⅲ Memory Gap–Take Time Off and RelaxⅢ, 2016, mixed media on korean paper, 80x73cm

서윤희는 작업 과정에서 체득한 자각의 내용을 치유의 과정으로 작품에 녹여 세상과의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이제는 그녀를 치유의 화가라고도 부른다. 자신의 치유가 다 되어 버린 지금, 자신이 중심이 되어 그들을 바라보기 시작한다. 서윤희는 이 제목으로 15여 년 간 회화를 비롯하여 영상 및 설치의 작업을 하고 있다. 자연의 흔적이 만들어져가는 다층적 시공간을 다루는 작업에 염료를 비롯하여 자연재료를 사용해서 시간의 지층을 표현한다. 보는 이에게 응축된 기억 속의 그리움이나 상처를 회화 안에서 자연의 흔적으로 녹여내고, 기억을 정화하는 표현인 것이다. With the lessons learned from all the work process, Suh Yoonhee elevated them into the arts of comforting building a bridge to the world. Now she is recognized as the “healing artist”. After fully recovering herself, she now puts herself in the centre observing them. For about 15 years, Suh Yoonhee has been working with paintings, video and installation arts. With the work to represent the multi– layered space and time where natural traces are made, she uses natural materials (including dyes) to represent the layers of time. It is to heal the scars and the longing within the condensed memories through natural traces, and to comfort their memory.

‘마음의 결’은 옅은 먹과 섬세한 붓질로 내면의 감정들을 예민하게 담는 시리즈다. 어느 날 구나영은 마음이라는 것이 한잔의 유리컵 안에 담긴 흙탕물 같다는 생각을 한다. 휘휘 저으면 탁하지만, 가만히 기다리면 맑은 물이 올라오듯 마음이 차분해진다. 그녀는 마음이 어떠하든 하얀 한지에 그 침전된 감정을 그려낸다. 그 시간 동안 내면을 들여다보고 많은 치유를 받는다. 한지 위에 작은 붓으로 세밀한 먹선을 헤아릴 수 없이 긋는 과정은 마음을 토닥토닥 두들겨 주는 것만 같다. ‘Texture of the Mind’ is a series that delicately carries inner feelings with light ink and subtle brush strokes. One day the artist thought that her mind was like muddy water in a cup of glass. When stirred it up, it was so turbid. However, when quietly waited for it to subside, the mind became calm like clear water welling up from a spring. The artist says, “Whether my heart is quiet and serene or topsy–turvy in confusion, I looked at the white Hanji for a long time before drawing, looking into my heart. And finally, I drew them into the paper after when everything settled down. Sometimes I put the emotions that had already settled into the work.”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노수현

구나영, 황정희, 이은영, 서윤희

0306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윤보선길 69 2층 82 2 735 1036 gallerygabi@gmail.com www.gallerygabi.com

Roh Soohyun

Gu Nayoung, Hwang Jeonghee, Lee Eunyoung, Suh Yoonhee

2F, 69, Yunposun–gil, Jongno–gu, Seoul, 03061, Korea 82 2 735 1036 gallerygabi@gmail.com www.gallerygabi.com

158

159


GALLERY GODO A19

갤러리고도는 시각 예술의 실험을 통해 문화적 본보기를 이룩해온 동·서양 지역의 전통과 정보를 한곳에 소개하고, 새로운 미래를 구상하는 실증적 공간을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이를 위해 문화적, 제도적 환경과 전통에 반응하는 유럽 미술가들과 국내 미술가들의 노력을 전시했고, 그에 따른 시각적 실험들을 가공하고 그 정보를 제공하는 모델을 개발해왔다. 또 새로운 형식의 다양한 실험을 실천하는 젊은 미술가들의 발굴을 통해 다음 세대를 준비한다. 시각예술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아름다움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구현하고 환경친화적인 공공조형물을 제작 및 설치하며, 시각예술계 최근 정보와 다양한 실험을 종합하는 워크숍과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GALLERY GODO has been established to introduce the tradition and information of the East and West based on the experimentation of the visual arts. To do this, the gallery has strived to bring together works of European artists as well as Korean artists, exploring their reaction to cultural, institutional surroundings. The gallery intends to prepare the future by nurturing up–and–coming artists who conduct a variety of experiments. The gallery also makes efforts to embody the beauty and inventiveness of the visual arts and works in the field of supplying regionally appropriat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installation sculptures. It also organizes the workshops and academic seminars exploring latest information on the visual arts.

심리인 탓이다. Jeon Yongeok’s painting is based upon psychological documentation and various situation rather than portrait. The artist aims to express pain and pleasure caused by contemporary communication such as SNS ‘by painting and erasing’ people’ behavior. She directly deals with our desire, and negotiation between individuals. The artist prefers to show contradictory situations as well as emotional collision within people rather covering up them. As an artist, she continuously explores these subjects like struggling human beings in their lives.

작업을 했다. 판유리에 가는 유릿가루로 만든 에나멜 물감으로 그림을 그려 여러 장을 겹치고, 780°C의 가마에서 퓨징하여 만들었다. 유리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두껍지 않은 2차원의 평면 작업에서도 여러 장의 그림을 겹쳐 공간의 깊이를 보여줄 수 있다는 투명성에 있다. 유리가 빛을 품고 있는 것 같지만, 빛을 통과시키는 통로 역할을 할 뿐이며 빛을 통해 더욱 분명한 Choi Jinhee has returned to the world of glass with her latest work. For this piece, enamel made from glass powder was used to paint multiple sheets of glass fused at 780 degrees Celsius. Her work with the planar material expresses depth when layered together through the transparent nature of glass. The glass is transparent; it does not push itself forward to show its being; rather its existence becomes more obvious and real when the light shines onto it. Choi Jinhee describes “Working with the glass taught me a good lesson: Its delicateness would sometimes lead to a total breakage to my dear works. A tiny crack, in the beginning, would grow until it became fatally large to destroy the whole work, and I was left helpless watching its irrecoverable progression of breakage to the end. Maybe, I too am just a fragile being that can crack and shatter like the glass. However, despite my fragile existence as all human being, I am thankful, and through my works, I would rather hope to show my thankfulness for all the things given to me to my audience.”

주제를 본인의 감각으로 충실하게 재창작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The work of this gold leaf shines its power by adding strength to the formality that can be seen monotonously or cliched. This work intuitively made it easy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the intention and emotion of the artist. Human emotions are similar, so the subject and material coming from the classics may be correct. However, many artists are suffering under the great proposition of originality. Therefore, his works focus on recreating the artist’s common theme in his senses faithfully.

최진희의 이번 작업도 유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평면 작업과 반입체

존재감을 드러낸다.

김종삼의 이번 금박 작업은 단조롭게 보이거나 진부하게 보일 수 있는 조형성에 힘을 더하여 빛나게 한다. 직관적으로 그의 의도와 감성을 파악하고 교감하는 것이 쉽도록 제작했다. 인간의 감성은 비슷하여 고전으로부터 내려오는 주제 및 소재가 어찌 보면 정답일 수도 있다. 하지만 독창성을 추구하는 예술이라는 거대한 명제로 많은 작가가 고통을 받는다. 따라서 그의 작품들은 기존의 흔한

김종삼 Kim Jongsam, Flowers, 2018, gold leaf, 116.9x91cm

전영옥 Jeon Yongeok, Figure B–2, 2018, oil on canvas, 90.9x72.7cm

전영옥은 상처 주고 또는 위로받는 것들을 그리기 또는 지우기로 고통은 물론 쾌감까지도 표현하고자 했다. 다수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끊임없이 부딪혀 오는 개인적인 이미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캔버스 안에 펼쳐 보인다. 그것들이 주는 갈등, 욕망, 타협 등을 그리게 되는데 그리는 동안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꾸미지는 않는다. 순간의 부딪힘이나 감정 대립 또는 어울림 등을 눈치 없이 그려내기 때문이다. 그가 그리는 인물은 초상화라기보다는 어떤 상황이고

최진희 Choi Jinhee 바다, 아버지의 마음 Heart of Father, 2018, 2 fused sheet lass, glass enamel, 75x245cm

갤러리고도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율리아

최진희, 전영옥, 김은희, 김종삼, 이상복, 이영

031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SK–HUB 101–B107 82 2 720 2223 gallerygodo@naverl.com www.gallerygodo.com

Lee Julia

Choi Jinhee, Jeon Yongeok, Kim Eunhee, Kim Jongsam, Lee Sangbok, Lee Yong

SK–HUB 101–B107, 461, Samil–daero, Jongno–gu, Seoul, 03147, Korea 82 2 720 2223 gallerygodo@naverl.com www.gallerygodo.com

160

161


GALLERY HYUNDAI A52

갤러리현대는 1970년 개관 이후 동시대 국내외 작가들을 소개하는 선구자 역할을 해왔다. 갤러리 역사와 토대는 김창열, 김환기, 박현기, 백남준, 서세옥, 이건용, 이승택, 정상화 등 국내를 대표하는 작가들이 자리를 잡고 있으며 그들로 인해 갤러리는 세계 미술 시장에 한국의 유산과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곳으로 진화했다. 국내 작가들은 물론 쟝 미쉘 바스키아, 로버트 인디애나, 엘스워스 켈리, 프랑수와 모를레, 앨리스 닐, 토마스 스투르스, 아이 웨이웨이 같은 주요 해외 작가들의 전시를 개최하여 동시에 세계 미술 시장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고자 한다. 50년이라는 깊은 역사를 토대로 갤러리현대는 앞으로도 국내 근현대 작가들을 세계 관람객들에게 소개하는 동시에 세계적인 작가들을 국내 관람객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Since its opening in 1970, GALLERY HYUNDAI has been a pioneer in introducing contemporary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alike. Its history and foundation were solidified by artists that represent Korea including Kim Tschang–Yeul, Kim Whanki, Park Hyunki, Nam June Paik, Suh Seok, Lee Kun–Yong, Seungtaek Lee, Chung Sang–Hwa, and many more, through which the gallery evolved into a channel for introducing Korea’s tradition and contemporary art to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GALLERY HYUNDAI not only organizes exhibitions of Korean artists but also major international figures such as Jean–Michel Basquiat, Robert Indiana, Ellsworth Kelly, François Morellet, Alice Neel, Thomas Struth, Ai Weiwei, reflec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global art world. Based on the extensive legacy of fifty years, GALLERY HYUNDAI wishes to continue presenting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to international audiences, while simultaneously bringing international artists to Korean audiences.

이반 나바로는 빛을 내고 그것을 반사, 확대하는 거울, 네온과 형광등을 사용한 작품을 통해 사회정치적 메시지를 던지는 작업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작가이다. 그의 조각과 설치는 미니멀리즘과 현대 디자인에서 받은 영향을 바탕으로 날카로운 사회정치적 비판을 담고 있다. 칠레, 산티아고에서 태어난 그는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잔인한 군사 독재 아래서 성장했다. 빛으로 대중을 제어하는 어린 시절의 기억은 작가 작품의 주제와 소재가 되었다. 작가는 형광등으로 사형 의자를 제작하고 네온으로 이민자들의 삶을 문자화하는 등 어두운 역사와 현실을 고발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이해하고 그 속에서 지키고자 했던 자유, 진실, 희망에 대한 갈망을 빛으로 표현하고자 네온과 형광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처럼 작가에게 빛은 희망의 상징이다. Iván Navarro is an internationally renowned artist who has shed socio–political messages through works using mirrors, neon and fluorescent lights. Born in Santiago, Chile, the artist grew up under the shadow of Augusto Pinochet’s brutal military dictatorship. The childhood memories of controlling the light became the subject and the material of artist’s work. Making a death chair using fluorescent lights and creating reportage on dark history and reality of the immigrants using neon, he attempts to express the yearning for freedom, truth and hope. Consequently, light is a symbol of hope for the artist.

이반 나바로 Iván Navarro, Webeatme, 2016, neon, drum, mirror, one–way mirror and electric energy, 155.3(Ø)x70.5cm

갤러리현대

정상화 Chung Sang–Hwa, Untitled 85–2–5, Untitled 85–3–1, 1985, acrylic on canvas, 130x130cm(each)

정상화는 1950년대 후반 이후 전개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안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고, 60년대와 70년대를 걸쳐 최근까지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험성과 모험정신이 강한 정상화의 초기 작품 경향은 앵포르멜로 요약되는데, 이후 정상화는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닌 뜯어내기와 메우기라는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작업방식을 통해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정상화의 작품은 본격적으로 격자화되고 규칙화되었으며, 이와 같은 반복성은 현재까지 일관적으로 보인다. 그의 작업은 결과물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는 데에서 의미를 찾는데, 결과로서의 작품 이전에 과정 그 자체가 작품을 규정짓고, 작품으로서의 모든 것을 말해준다. Chung Sang–Hwa played an integral role in the contemporary art movements of Korea following the late 1950s and has proved influential in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throughout the 60s, 70s, and even until now. Chung’s early works can be characterized as Informel with a strong experimentalism and adventurous spirit. Afterwards, he earned international fame for using repetitive and systematic methods of “tearing away” and “filling in” instead of painting on canvas. From the mid– 1970s Chung Sang–Hwa’s works became properly latticized and regularized – this repetitive quality continues to manifest consistently in his current works. His work finds meaning in visualizing the process leading up to a result, where the process preceding the output itself defines the work and narrates all its qualities as a piece of ar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도형태

이성자, 곽인식, 김창열, 정상화, 이우환, 이강소, 신성희, 강익중, 김민정, 유근택, 박민준, 이명호, 양정욱, 김성윤, 로버트 인디애나, 빔 델보예, 이반 나바로, 라이언 갠더

0306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4 82 2 2287 3500 mail@galleryhyundai.com www.galleryhyundai.com

Do HyungTeh

Rhee Seund Ja, Quac Insik, Kim Tschang– Yeul, Chung Sang–Hwa, Lee Ufan, Lee Kang–So, Shin Sung Hy, Ik–Joong Kang, Minjung Kim, Yoo Geun–Taek, Park Minjoon, Lee Myoungho, Yang Jung Uk, Kim Sungyoon, Robert Indiana, Wim Delvoye, Iván Navarro, Ryan Gander

14, Samcheong–ro, Jongno–gu, Seoul, 03062, Korea 82 2 2287 3500 mail@galleryhyundai.com www.galleryhyundai.com

162

163


GALLERY IMAZOO B59

갤러리이마주는 테헤란로에 위치한 안타워 지하1층의 갤러리와 9층의 아카데미 공간, Space G.I가 서로 연계된 복합문화공간이다. 2009년 서용선, 하종현 등의 개관전을 시작으로 개관 이래 수많은 작가의 조사와 심사를 통해 엄선된 작가들의 전시만을 개최했다. 국내외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전시와 신진작가 발굴, 육성에도 힘쓴다. 사진, 조각, 회화, 영상, 퍼포먼스 등 장르의 구별이 없음은 물론 작품을 제외한 어떠한 것에도 비중을 두지 않고 오직 작업으로만 평가하여 미술계의 발전을 도모한다. GALLERY IMAZOO is located in Gangnam, which is the main business district of Seoul, Korea. It is a complex of a gallery and academy which is called “Space G.I.” Since GALLERY IMAZOO opened in July of 2009 with the first exhibition of Suh Yongsun, Ha Chonghyun, and Lee Kangso, GALLERY IMAZOO has held more than 28 influential artists’ solo exhibitions including 23 special group exhibitions. Through various high–quality exhibitions, GALLERY IMAZOO presents not only Korea’s most prominent contemporary artists but also introduces promising artists. IMAZOO will continue to show more new, interesting and striking in exhibitions and try to be a supporter for further development of art and artists.

구자승의 작업을 말하자면 이 시대가 만들어낸 사실주의다. 대상 및 소재를 눈에 보이는 그대로 충실히 묘사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1세기 이전의 사실주의 미학이 지시하는 조형성을 그대로 충족시킨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시각적인 인상만으로도 그의 그림과 사실주의 회화는 차이가 있다. 무엇을 소재로 하고 어떤 관점에서 접근하며 조형적인 원리는 어디에 근거하는가 하는 문제에서 새로운 시각을 가지는 것이다. 그는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이 시대를 사는 자신의 미적 감수성에 솔직하게 반응하기에 더욱 가치를 지닌다. Koo Jasoong is a realist artist of this age. From faithfully portraying the object and the material as it is visible, it can be said to satisfy the formality directed by realistic aesthetics before the first century. However, the visual impression alone makes a difference between his paintings and realistic paintings. It has a new perspective on the question of what is viewed as a material and approaches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and where the formative principle is based. Without being caught up in the past, he is more than worthy of being honest in reacting to his aesthetic sensibility in this age.

정헌조 Jeong Heonjo, 전부는 하나, 하나는 전부 The One is the All, The All is the One, 2018, embossment, graphite on paper, 130.3x162cm

이미경 Me–Kyeoung Lee, 비봉슈퍼 Bibong Supermarket, 2017, pen, acrylic on paper, 122x162cm

이미경은 다양한 색의 아크릴 잉크로 풍경과 정물을 그리는 펜화작가이다. 1997년에 그녀는 퇴촌 관음리로 이사 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산책하면서 작은 구멍가게에 매료되었다. 그때부터 전국의 오래된 슈퍼마켓들을 그리기 위해 찾아다니고 있다. 그녀는 많은 이가 사라져가는 구멍가게들을 추억으로 간주하지 말고 세심하게 응시하였으면 한다. 또 개발이라는 핑계로 혹시 귀중한 가치들을

구자승 Koo Jasoong, 꽃이 있는 정물 Still Life with Flowers, 2017, oil on canvas, 130x162cm

갤러리이마주

잃고 있는 건 아닌지 각자 되돌아보기를 희망한다. Me–kyeoung Lee is a pen–and–ink drawing artist who paints landscape and still life with ink of various colors. In 1997, she got pregnant her second child and moved to a countryside which is called Kwan–um village. Taking a stroll there, she was charmed by a corner store. After that point, she has devoted to seeking out old marts all over the country for drawing them. Many people were touched by veracity in her artwork. Her works have been featured in several newspapers in Korea and were featured on the BBC in the US in May last year. Lee becomes a worldwide sensation. The artist hopes that many people do not regard disappearing small stores as memories but look around considerate.

다양한 크기와 각도를 가지고 위를 향해 열려 있는 용기 형상은 언뜻 항아리나 도자기 같은 형태가 떠오른다. 그것은 섬세한 연필 선에 의해 수많은 층위의 명암이 엇갈리지만, 외계로부터 들어오는 빛의 방향이 불분명하며 바닥에 접촉된 지점이 없이 붕 떠 있는 등 3차원에 굳건히 자리 잡은 일상의 물건과 거리가 있다. 그것은 그릇 같은 개별적 형태이기보다는 무엇인가를 무한대로 담아낼 수 있는 존재 및 정제된 형식에 대한 상징으로 다가온다. Bowl and circle that open upwards at various sizes and angles look like jars or pottery at first glance. But it is distant from ordinary objects that are firmly placed in three dimensions. Light and shade coming from the outer world are unclear, and there is no point of contact with the floor, though the light and shade of many layers are staggered by the delicate pencil line. It comes as a symbol for the existence and the refined form that can carry some thinkings infinitely, rather than a bowl–lik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전인자

정헌조, 구자승, 이미경

06235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길 12 안타워 지하1층 82 2 557 1950 imazoo33@naver.com www.imazoo.com

Jeon Inja

Jung Heonjo, Koo Jasoong, Me–Keoung Lee

AAN TOWER B1, 12, Teheran–ro 20–gil, Gangnam–gu, Seoul, 06235, Korea 82 2 557 1950 imazoo33@naver.com www.imazoo.com

164

165


GALLERY JARI ART A72

갤러리자리아트는 광주광역시 동구 예술길 23–1 예술의 거리에 약 115㎡의 규모로 둥지를 틀고 지역작가 발굴을 중심으로 타 지역작가까지 한국 현대미술을 발굴하고, 미술애호가의 폭넓은 저변 확대를 위하여 모든 영향을 다한다. 최근 해외시장을 개척하고자 스콥 마이애미아트쇼, 뉴욕코리안아트쇼 독일 퀼른21아트페어, 일본 오사카 아트페어에 참가하여 우리 한국미술의 위상을 살리고자 했으며, 이러한 분위기를 토대로 점차 해외에 우리 미술을 전파하려고 노력한다.

멋있는 백마와 신비스러운 자작나무는 어릴 적 동심을 일깨워 주고 거침없이 꿈꾸게 하는 창조의 원천이 되게 한다. 백마가 주는 신비로움, 원숙한 노련미, 안정감을 주는 절제된 세련미에 매료되어 동화 속 요정이 나올법한 자작나무 숲을 보면서 영감을 얻었다. 백마와 자작나무는 어릴 적 꿈꾸었던 형형색색의 꿈을 펼쳐 낼 수

GALLERY JARI ART opened in a 215–㎡ space on the Street of Art in Gwangju City’s Gung–dong district on August 24, 2006. It seeks to identify contemporary domestic artists both locally and in other parts of the country and expand the base of art enthusiasts. It faithfully performs its role as an art gallery by showing works by veteran, deceased, middle–standing, and young artists, and by providing worthy works to multiple collectors.

있는 원동력과 행복을 제공한다.

김숙정 Kim Sookjung, 오랜여행–행복한시간2 Happy Times 2, 2018, acrylic on canvas, 50x72.7cm

무병장수를 꿈꾸며 오래오래 삶을 여행하는 마음으로 표현한다. Motivated from traditional embroidery of Korean ladies, which was elaborately stitched on silk cloths, pillows and folding screen, hoping wealth and prosperity, the painting is thoroughly described with customary symbols such as peony, phoenix, butterfly and rainbow colors, which are considered as traditional core values in Korea. It is reinterpretation of kyubang arts(Korean boudoir arts), delicately illustrated with symbols, which represent various virtues, for instance, wishing honour and longevity of family. The title ‘다복(多福, Great Happiness) is based on intention to reflect desire of aforementioned values describing Moon jar(Traditional Korean white porcelain) full of peony.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그 지역에서 봤던 풍물과 그곳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일들을 그림으로 남긴다. 한 화면에 시간과 공간이 다른 형상들을 나열식으로 표현하는 그림이 여행 스토리다. 이 그림은 네팔 카트만두를 여행하고 나서 그곳의 전통 민속춤과 그곳에서 봤던 사원의 파고다, 파고다 위에서 나부끼는 타르초들을 자유분방하게 그렸다. 색종이를 찢어 붙여놓은 듯한 분위기로 원색의 강렬함과 자유분방함을 표현했다. Inspired from a variety of local customs and events during journey across the world, this work depicts diverse image from different space and time concurrently. It is a story of journey. It is full of freely brushed drawing inspiration from traditional dance of locals, pagoda of temple, and fluttering darchog(flagstaff) above pagoda. As if collage, it layered with expression of intenseness and freeness of primary colours.

정회남 Jing Hoenam, 카투만두 여행스토리 Jorney to Katmandu, 2018, acrylic on canvas, 97x145.5cm

한 땀 한 땀 수를 놓으며 규방 공예품 속 보자기, 베갯모, 자수 병풍 등에 꿈과 미적 감흥을 담은 옛 여인네처럼 여러 의미와 사연이 담긴 모란, 봉황, 나비, 색동을 21세기에 맞게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했다. 이는 복, 부귀영화, 자손 번창, 화목한 가정과 사랑,

This gorgeous looking white horse and mysterious birch trees wake my youth, and they are a source of my vigorous creativity. Admiring qualities of mysterious maturity and sophistication that white horse possesses inspires me. Upright and snow–like birch trees and the white horse provide the driving force and happiness to unfold a colorful dreams of childhood.

강혜정 Kang Hyejeong, 나 어릴 적 My Childhood, 2018, mixed media on canvas, 116.8×45cm

갤러리자리아트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최만길

정회남, 강혜정, 김한영, 김향숙, 김숙정, 박혜정

61474 광주광역시 동구 예술길 23–1 2층 82 62 225 4003 2271333@hanmail.net zariart.itrocks.kr

Choi Mangil

Jing Hoenam, Kang Hyejeong, Kim Hanyoung, Kim Hyangsook, Kim Sookjung, Park Haekeung

2F, 23–1, Yesul–gil, Dong–gu, Gwangju, 61474, Korea 82 62 225 4003 2271333@hanmail.net zariart.itrocks.kr

166

167


GALLERY JEON A18

갤러리전은 2004년 5월 29일 개관하여 기획전 및 초대전 위주로 전시를 진행했고, 올해 개관 12주년을 맞이했다. 그동안 150회가 넘는 초대전 및 기획전을 했고 미국, 마이애미아트페어, 홍콩아트페어 등 해외의 아트페어와 대구아트페어, 부산아트쇼, 호텔페어를 통해 작가를 소개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해왔다. 2004년 청도 각북에 전원갤러리를 표방하고 2010년까지 운영하다 2011년에 수성구 이천동으로 이전했다. 개관전으로는 진달래작가로 유명한 김정수 작가 초대전을 개최했다. 개관 10주년 기념전으로는 이탈리아 추상미술의 거장, 니노 무스티카를 초대했다. 대지 총 4600㎡, 건평 305㎡, 전시장 약 290㎡가 자리하고 아트숍과 사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초대전, 기획전 이외 아트숍에서는 매달 이달의 작가를 선정하여 전시를 진행한다.

양현준 Yang Hyunjun, 어른아이(그건 네 잘못이 아니야) Adult Child(It’s not your fault–jiso), 2018, acrylic on korean paper, 190x130cm

갤러리전

GALLERY JEON before the 29th May 2004 the exhibition has conducted a focused exhibition and Exhibition to celebrate the opening of this year has opened 11 anniversary. In the meantime was the over Invitational and exhibitions 160 times Miami Art Fair, Palm Springs Art Fair, the Hong Kong Art Fair, etc., including art fairs and Daegu Art Fair of Foreign via Busan art show, Hotels pair has a role to introduce and promote the artist. 2004 advocating the power gakbuk Gallery in Qingdao and is operating by 2010 had moved to Daegu Suseonggu yicheondong in 2011. Opening Exhibition invitation to the invited teachers held the attention of the famous artist Kim Jungsoo. Opening Exhibition invited to the 10th anniversary of the maestro Nino Mustica of Italian abstract art. Land total of 1400 is located about 88 showrooms in 92 flat over the flat floor area and consists of office. In the Exhibition, other than exhibition artshop selected by the artist of the month has progressed exhibition.

홍성용 Hong Sungyong, Heuristic #1, lenticular 3D print, 100x100cm

분명 존재하지만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들로 이루어진 세상을 표현해 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작품은 출발한다. 세상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있고 도구를 사용해야만 볼 수 있는 것이 있다. 이 작업을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사람의 눈이나 도구를 사용해도 볼 수 없는 그러나 분명히 실존하는 그 무엇인가다. 우리는 보이지 않는 영원한 곳에서 시작되었다고 믿고 있다. 그렇다면 그 출발점, 우리의 근원과 과정 그리고 거쳐왔던 곳은 과연 어디였을까. 오랜 시간을 거쳤음에도 기억 속 어딘가에 희미하게나마 남겨져 다시 돌아봐 주길, 다시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으리라. 직관적인 능력에 의존하여 그곳을 미리 볼 수 있게 될 거로 생각하지만 어쩌면 지금, 우리의 모습도 완전해질 우리가 되기 위한 아주 작은 기억의 조각 중

양현준 작업에 있어서 근본적인 뿌리는 인간주의 즉, 휴머니즘으로 그 정신에서 파생되어서 작품에 나타나는 이미지가 바로 가족이란 테마 구성이다. 작품에 나타나는 주제적 특징 중의 하나는 어머니란 소재를 통해서 가족이란 이미지가 등장한다는 것인데, 그중에서도 소녀는 어머니를 표현한 것이고 같이 등장하는 동물은 본인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어머니의 어릴 적 모습을 하는 소녀와 동물로 변한 나와 함께 있는 것은 현실에 있을 수 없는 가상의 공간이면서 양현준의 어릴 적 환경을 뜻하며, 자신을 보호해 주는 가족의 의미가 표현된 것이다. 그리고 이 저변에 휴머니즘을 기반으로 세상을 홀로 살아가는 것 같으면서도 항상 누군가를 의지하고 어우러져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라는 철학을 나타내고 싶었다. 그 인생을 살아가는데 가족이라는 공동체는 험난하고 힘든 세상살이에서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 주기도 하고 휴식공간이 되기도 한다는 가족의 소중함을 그렸다. A main root of my works is humanism. An image derived from my works is based on it and a theme is family. One of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 in my works is showing the image of family with mother as material. A girl in my work is representative of my mother and an animal with her is a self–reflection. The little girl who looks like my mother is with the animal which representative of myself in an imaginary world together. This is impossible in real world. The imaginary world means my childhood environment and expresses a meaning of family which takes care of me. And I wanted to express my life philosophy; life is, you feel like live this world alone but apparently you always rely on somebody and be with somebody based on humanity. I revealed a preciousness of family on my works. When the time is hard, the family community is turned to be a strong fence and, when the time is settled, it turned to be a doubtlessly peaceful nest.

한 부분인 것은 아닐까. It begins with a thought of desire to express the world made of things that are seen and unseen even though they truly do exist. There are things in the world that can be seen with our eyes and things that can only be seen by using tools. Through ‘Heuristic’, I wish to tell about things that clearly exist but cannot be seen with our eyes or by using tools. We believe that it all began from the eternal land where it cannot be seen. Where is the starting point? Where is the beginning and where is the path we have been through? It is perhaps waiting to be remembered in somewhere deep in our fainted memories. Waiting for us to look back and come back. We believe that we might see the place ahead depending on our intuitive senses, yet maybe we are just a piece of tiny memories in the process of perfecting u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전병화

홍성용, 정길영, 마크 커질, 양현준

42260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811 82 53 791 2131 gallery373@daum.net www.galleryjeon.co.kr

Jeon Byounghwa

Hong Sungyong, Jung Gilyoung, Mark Kurdziel, Yang Hyunjun

2811, Dalgubeol–daero, Suseong–gu, Daegu, 42260, Korea 82 53 791 2131 gallery373@daum.net www.galleryjeon.co.kr

168

169


GALLERY JINSUN B37

갤러리 진선은 2005년 5월 개관 이후 기획전을 통해 미술의 대중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기획전은 현대 미술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줄 수 있는 전시로 진행된다. 갤러리는 각각의 기획전시에 워크숍, 세미나, 작가와의 만남 등의 프로그램을 함께 기획해 관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작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있다.

김원근 Kim Wonguen, 복서와 스폰서 Boxer and Sponsor, 2017, epoxy, resins, acrylic paint, 70x52x28cm, 69x40x26cm

갤러리 진선

Since its opening in May 2005, GALLERY JINSUN has hosted many special exhibitions intended to bring art to the public at large. Special exhibitions are designed to show the many facets of contemporary art, engaging the audience with additional programs such as workshops, seminars, and meet–the–artists, inviting visitor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artists’ work.

There is Gwangwon–do province in Korea in Jun Youngguen’s artwork. The artist features Gangwon–do’s beautiful nature and its residents’ generous minds and affection deriving from their modest lives. These elements seem to represent his personality. Cars are often seen in his works, harking back to a car trip he took in which he loaded the car down with everything he wanted that was modest, not luxurious. The world he dreams of is extraordinary. His works operate to turn our agony into hope through our imagination. He is like an artist we wish to go on a trip together with. In the village that artist depicted, there is a life story which recalls the feeling of warm affection and dim longing.

레진 에폭시를 재료로 만들어졌으나, 화려하게 채색된 김원근의 인체상은 매우 유머러스하다. 작품은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고 우뚝하니 서 있을 뿐인데 보는 이의 웃음을 자아낸다. 김원근의 조각상은 실제로 이렇게 생긴 인물이 주변에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게 한다. 그의 작품에서 조폭처럼 생긴 남자는 꽃다발이나 강아지를 들고 화려한 셔츠를 걸쳤다. 이 모습은 성인 남성이 아니라 여성이자 아이의 취향으로 간주된다. 그는 어른이 되어도 아이인

시각적 요소를 제공한다. The work of Lim Soosik reconstructs the Chaekgado冊架圖, which is one of the folk paintings in pictures of Choseon period(1392–1910), as a photograph. His work for the Chaekgado冊架圖 begins by photographing bookcases of various people. Bookcases look similar, but books in bookcases are tremendously different depending on tastes and jobs of owners. Moreover, in a bookshelf, books, writing materials and ornaments which are put by the taste of an owner imply various story and flexibility, which provides excellent visual elements.

임수식 Lim Soosik, 책가도 201 Chaekgado 201, 2015, hand stich on pigment hanji, 100x100cm

아련한 그리움이 느껴지는 기분 좋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전영근 Jun Youngguen, 자작나무숲 Birch Wood Forest, 2018, oil on canvas, 162x130.3cm

전영근의 작품에는 강원도가 깃들어 있다. 강원도의 아름다운 자연, 풍요로운 인심, 소박한 생활에서 오가는 정겨움이 느껴진다. 이는 작가의 인성이 아닌가 싶다. 그의 작품에는 자동차가 자주 등장하는데 싣고 싶은 것을 다 실은 듯한 자동차이면서도 호화롭지 않고 소박하며 누구도 부럽지 않은 여행을 생각나게 한다. 작가가 꿈꾸는 세상도 남다르다. 작품 속의 상상만으로도 이미 가지고 있는 고민이 희망으로 탈바꿈 한다. 그의 그림에는 포근하고 따뜻하며

임수식은 조선 후기 회화의 표현양식 중 하나인 민화의 책가도 冊架圖를 사진으로 표현했다. 그의 책가도 작업은 다양한 사람들의 책장을 촬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책장의 생김새는 비슷하다. 하지만 주인의 취향과 직업에 따라 배열되는 책의 종류와 주제는 매우 다양하다. 책장 속 책과 문방구들, 소유자의 관심에 따라 장식되는 물건들은 다양한 이야기와 변화 요소를 내재해 훌륭한

‘키덜트’인 것이다. Kim Wongeun’s body images, which are made of resin epoxy and colored brilliantly, are very humorous. They mostly stand aloft without taking any actions, but make the viewers laugh. The artist’s statue, made with modern materials, allows us to think how such a person is around us. In his works, a man who looks like a mobster,wearing a brilliant shirt, is holding a bouquet of flowers and a puppy. It is regarded as woman’s or child’s preference rather than a male adult’s one. He is still a child even when he grows into an adult, that is to say, ‘Kidul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허선

차종례, 최은정, 전영근, 김원근, 임수식

03054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59 82 2 723 3340 galleryjinsun@hanmail.net www.galleryjinsun.com

Huh Sun

Cha Jongrye, Choi Eunjung, Jun Youngguen, Kim Wonguen, Lim Soosik

59 Samcheongro, Jongno–gu, Seoul, 03054, Korea 82 2 723 3340 galleryjinsun@hanmail.net www.galleryjinsun.com

170

171


GALLERY J-ONE B49

갤러리제이원은 2008년 10월 대구 문화예술의 거리인 봉산문화거리에 대구 시민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대구 미술계의 시대적인 정신을 추구하기 위해 개관했다. 화랑이 중점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대구뿐만이 아닌 국내외의 참신하고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여 전시 소개하는 것을 모태로 삼고, 현 화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동시대 작가들의 활동무대를 넓히는 것이다. 갤러리제이원은 정기적인 신진 작가 발굴전 개최와 대민 문화프로그램 활성화로 한국미술의 저변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키아프, 상하이 아트 페어, 쿤스트 취리히 등 각종 유수 국제 아트페어의 지속적인 참여로 지향하는 바를 실현하고 있다.

박종태는 다양한 책들 문서를 파쇄기에 넣어 잘게 부순 후 동양의 정통재료인 먹을 주로 사용하여 패널 위에 쌓아 올린다. 그의 작업 행위는 지식과 정보의 해체와 재구축을 의미한다. 현대의 문화체계와 지식 정보사회의 허상에 대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면서도 먹이 가진 정신성, 오색을 함축한 현색 玄色이란 재료의 특징적인 개념을 현대적 감각으로 아우름과 동시에 동양의 정신적인 깊이도

GALLERY J–ONE was opened in October 2008 to fulfill the diverse cultural needs of Daegu citizens and to pursue the spirit of the Daegu art world in Bong–san Culture Street, a street of Daegu culture and arts. The gallery aims to find a new and innovative artist not only in Daegu but also at home and abroad. GALLERY J–ONE achieves this through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various international art fairs such as KIAF, Shanghai Art Fair, and Kunst Zurich. Also, GALLERY J–ONE is doing its best to enlarge the base of Korean art by holding a regular excavation exhibition about the young artist and running a popular culture program.

Park Jong–tae crushes various books and documents into a shredder, then piles them on the panel using ink stick, a traditional material of the Orient. His work means th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Contains social message of the current culture system and delus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cluding modern senses and the spiritual depth of the Orient, using an ink stick which has a unique material concept that signifies nature of an object.

권기자 Gwon Ki–ja, 나투라 Natura, 2016, mixed medium,91.9X91.9cm

갤러리제이원

가지고 있다.

박종태 Park Jong–tae, 무제 Untitle, 2017, paper and ink stick,116.8X80.3cm

김창렬 Kim Tschang–yeul, 회귀 Recurrence, 1988, oil on canvas, 116.8X91cm

김창렬은 초기에는 추상화 위주였으나, 1972년부터 물방울이라는 소재를 다루면서 ’물방울 작가‘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대중적인 인기와 함께 국내 및 해외 미술계에서도 미학적 논의와 관심을 불러일으켜 한국 현대미술의 큰 획을 그었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백남준, 이우환 등과 더불어 해외 유수의 미술관에 컬렉션 되어 있고, 더욱이 그가 활동하였던 프랑스에서 매우 중요한 작가로 기록되고 있다. Kim Tschang–yeul was originally focused on abstraction, but since 1972 he has been working on the subject of water droplets and has been called a ‘water drop artist.’ In addition to popular popularity, it is considered to have created a great deal of Korean contemporary art by attracting aesthetic discussion and interest in the Korean and overseas art worlds. His works have been collected in leading museums abroad, as well as Paik Namjune and Lee Ufan, and is recorded as significant artists in France where he worked.

권기자는 물과 기름, 수성과 유성의 반발작용을 이용한 흘리기 기법으로 물감이 섞이고 흘러내리면서 만들어지는 자국들로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한다. 물감의 유기적인 운동성으로 만들어진 흘러내림과 맺힘, 흐르는 채로 굳어진 자국은 시간 개념을 내포한다. 이런 물성을 통해 본인이 생각하는 자연의 이행에 관해 이야기한다. 물감의 다른 맺힘 위치에 따라 생겨난 차이는 나아가, 반복되는 듯하나 똑같이 반복되지 않은, 끊임없는 변화의 와중에 있는 자연의 이행을 이야기한다. Gwon Ki–ja makes a new image formed by the marks created by mixing and flowing the paints, using the principle of oil and water resist one another. Flowing and concluding and marks that paint streaming down firmness, made by motility of the paints, involves the concept of time. Through these properties, the author speaks about the “Movement of nature.”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marks location, which seems to be repeated but not repeated equally, talks about the movement of nature, “in the midst of constant chang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 에스더

김창렬, 권기자, 이태호, 박종태, 허양구, 야마모토 마유카

41959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62 82 10 6508 0404 Jone9949@naver.com www.artjone.com

Jung Esther

Kim Tschang–yeul, Gwon Ki–ja, Lee Taeho, Park Jong–tae, Heo Yanggu, Yamamoto Mayuka

62, Bongsanmunhwa–gil, Jung–gu, Daegu, 41959, Korea 82 10 6508 0404 Jone9949@naver.com www.artjone.com

172

173


GALLERY JOY A04

갤러리조이는 우리의 일상 속 행복한 그림들을 위주로 폭넓고 다양한 장르의 초대전 및 참신한 기획전으로 작가들의 창작 의욕을 북돋워 미술계에 활력을 제공하며, 작품이 자리해야 할 적절한 공간을 찾아내어 작품으로 몸과 마음이 치유될 수 있는 건강한 대중 미술문화를 이끌어 간다. 모든 이에게 열려있고 즐거움을 주는 아름다운 공간, 힐링 아트 갤러리 조이에서 기쁨과 행복을 마음껏 누리기를 바란다.

정춘표 Jung Choonpyo, 축제Ⅰ FestivalⅠ, 2014, bronze, 100x50x40cm

갤러리조이

The GALLERY JOY is a wide variety of works, and invitational exhibitions, the artists are encouraged to create their works, will lead to a healthy public art culture that can cure the body and mind with works by finding the appropriate space where the work should be placed. A beautiful space that is open and fun for all, Please feel free to enjoy and happiness. in GALLERY JOY.

Yi Soongu is a famous artist for the “smiling faces” series, which emphasizes people’s bright smiles. Each piece of artwork fills the canvas with colorful backgrounds and innocent, honest smiles from his characters. These are happy works that deliver messages of joy and love to viewers.

이순구 Yi Soongu, 꽃비 Flower Rain, 2016, oil on canvas, 90.6x60.6cm

이순구는 사람의 깊은 심상을 웃음으로 표현하는 작가이다. 웃음은 사람이 사회 속에서 상호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본능적 반사작용의 하나로, 소통의 측면에서 필요한 기능이기도 하다. 웃음이 갖는 치유의 기능을 회화적으로 극대화한 이순구의 ‘웃는 얼굴’ 시리즈는 사람이 소외된 사회에서 사람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사회로의 회복을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가 담겨 있다. 커다랗게 웃고 있는 입 안 가득 사랑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천진하고 진솔함이 묻어나는 순박한 웃음은 보는 이들을 저절로 웃음 짓게 하며 기쁨에 빠져들게 한다.

정춘표의 구상조각은 여체의 부드럽고 아름다운 곡선을 평화롭고 풍만한 사랑의 생명체로 재탄생 시킨 작품으로, 그의 여인상에는 힘이 느껴진다. 활력 넘치는 건강한 힘이 여인의 사랑스러움과 만나 당당하며, 넘치는 자신감으로 표현되었다. 동적으로 힘 있게 표현된 여체는 마치 살아 숨 쉬는 듯 감정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따뜻한 사랑의 온기로 보는 이들을 행복하게 한다. The sculpture of Jung Choonpyo expresses the curves of a delicate and plump woman with peaceful love, and also shows us the power of her sculpture. With the harmony of health and energy, it shows confidence, elegance, and fearlessness in her artistic production. Not only does it seem alive, but it also leads us to the charm of her sculptur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최영미

정춘표, 이혜형, 이성재, 이순구

48117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달맞이길 65번길 56 CK빌딩 1층 82 05 746 5030 galleryjoy@hanmail.net www.galleryjoy.com

Choi Youngmi

Jung Choonpyo, Lee Hyehyeong, Lee Sungjae, Yi Soongu

CK Building 1F, 56, Dalmaji–gil, 65beon–gil, Haeundae–gu, Busan, 48117, Korea 82 05 746 5030 galleryjoy@hanmail.net www.galleryjoy.com

174

175


GALLERY JUNG A32

나의 작품 세계의 근원은 자연이다. 자연은 나의 작품의 모델이 되어주기도 하고, 나의 정신세계를 정화해주는 감사한 존재이다. ‘Bloom’은 꽃의 만개에서 착안했다. 꽃은 작고 여린 존재지만 생명을 잉태하는 커다란 생명력을 가진 존재라는 점에 의미를 두었고, 단순한 꽃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대자연의 에너지, 더 나아가서는 우주의 무한한 에너지까지 ‘Bloom’에 담아 표현하는 것이 내 한지 작업의 과제이다. – 김희경

김희경 Kim Heekyung, 꽃의 만개 Bloom170, 2017, Hanji, 108x102x14cm

갤러리정은 2001년 서울의 문화 중심지인 광화문에 개관한 이래 수백 회의 초대전과 기획전을 열었고, 중견작가들은 물론 영 아티스트 프로젝트를 통해 신인작가들을 발굴하여 국내외 미술시장에 소개하며 미술문화 발전에 힘쓴다. 더불어 2008년 갤러리정 신사점을 개관했다.

갤러리정

Since GALLERY JUNG opened at Kwang Hwa Moon, the cultural heart of Seoul in 2001, it has held hundreds of exhibitions, promoting Korean contemporary art, and introducing new artists through YAP(Young Artist Project). In 2008, GALLERY JUNG also opened the Sin–sa second gallery.

In a portrait of a man, a woman in a portrait of a woman, and a man in a portrait of a man and a woman symbolizes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male characters (anima, anima) It is a work that symbolizes existing masculinity (animus).

강성욱 Kang Sunguck, 남과 여 Man&Woman, 2018, marble, statuario, 80(h)x60x60cm

신흥우 Shin Heungwoo, 즐거운 우리동네 Funny City, 2018, mixed media, 112.1x145.5cm

남자의 초상 안에 여자가, 여자의 초상 안에 남자가 존재하는 이 작품은 남녀 간의 사랑을 상징화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심리학에서 얘기하는 남성 속에 존재하는 여성성 (anima, 아니마), 여성 속에 존재하는 남성성(animus, 아니무스) 을 형상화한 것처럼 보인다.

The root of my art world is Nature. It becomes the model for artworks and also purifies my soul gratefully. The idea of ‘Bloom’ is from the flower in full bloom. Flower is the one which is little and slender, but it is full of vitality. The goal of my Hanji artwork is not only showing the beauty of flowers, but also expressing infinite cosmic energy through ‘Bloom’. – Kim Heekyung

현시대 대한민국 도시의 거주지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곳이 아파트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닭장같이 좁거나 조금 넓은, 개인의 능력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박스같은 공간이지만 좁은 도시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너무나 편리한 주거공간으로 익숙해져 있다. 만약 요즘 애들에게 고향 풍경을 그려보라고 하면, 내 생각에는 많은 애가 아파트와 자동차를 그려내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나는 이런 현실적인 아파트 풍경에 개개인의 삶의 모습들을 투명하게 표현함으로써 더더욱 재미를 붙여보았다. 투명한 자동차와 비행기 그리고 아파트, 길거리를 분주히 거니는 사람들이 유기적으로 일체를 이루며 우리가 살아가는 2018년의 오늘의 풍경을 표현해 보았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경숙

강성욱, 김희경, 박현옥, 박중하, 신흥우

03175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희궁2길 12 82 2 733 1911 art2001@gmail.com www.galleryjung.com

Chung Kyungsook

Kang Sunguck, Kim Heekyung, Park Hyunok, Park Joongha, Shin Heungwoo

12, Gyeonghuigung 2–gil, Jongno–gu, Seoul, 03175, Korea 82 2 733 1911 art2001@gmail.com www.galleryjung.com

176

177


GALLERY JUYOUNG A37

1995년 종로구 관훈동에서 강남구 청담동으로 이전한 주영갤러리는 개관 이래 한국 근현대 대가들의 회화 작품들을 꾸준히 선보였다. 2005년 박생광 서거 20주기를 맞아 〈박생광 그대로〉, 2006년 〈최영림 Works on Paper & Woodcut〉, 2007년 〈한국 근현대 소장품〉 등 대규모 전시를 기획했다. 2013년에는 기존의 전시장을 확장, 재개관하여 신진 작가들의 전시도 함께 선보인다. 앞으로도 생활 속의 미술 체험공간으로서 미술 저변 확대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

박생광 Park Saengkwang, 토함산 해돋이 The Sun Rising at Mt.Toham, 1980년대, indian ink, color on paper, 75.6x75.5cm

주영갤러리

Since in 1995, GALLERY JUYOUNG has steadily exhibited works of contemporary Korean masters. GALLERY JUYOUNG held a retrospective exhibition 〈Park Saengkwang〉 in 2005, 〈Choi Younglim : Works on paper & Woodcut〉 in 2006, and 〈Korean Modern Collections〉 in 2007. Also, GALLERY JUYOUNG has been participated in KIAF since 2008 and continuously making efforts to develop artistic culture.

여백의 예술로 평가받는 이우환의 작품 중에서도 1980년대 초부터 시작된 ‘바람’ 연작은 마치 바람의 흐름에 따라 춤을 추는 듯한 선들의 움직임으로 화면이 채워진다. 한 번의 붓질로 선을 그려내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캔버스 위에서 작가의 신체 행위 궤적을 그대로 나타내는데, 이러한 선들은 공간 속에 안정적으로 스며든다. 캔버스의 흰색 여백과 대조적으로 펼쳐진 일획 一劃 의 붓 자국들은 단순히 그의 무의식에 기인한 것이 아닌, 철저하게 계산되어 행해진 치열한 고민의 산물인 것이다.

Kusama Yayoi grew up in a plant seed nursery, her grandfather was the first to introduce her to the pumpkin. She immediately fell into a pumpkin because of its shape and its grotesqueness. In the 1980s she began incorporating pumpkins into her dot–motif paintings. “I love pumpkins,” the artist explained in a 2015 interview, “because of their humorous form, warm feeling, and a human–like quality and form. My desire to create works of pumpkins still continues. I have enthusiasm as if I were still a child.”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The sun rising at Mt. Toham〉 is a masterpiece that is evaluated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the artist who can see the grandeur of Gyeongju Tohamsan sunrise (sunrise) by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 of color by overlapping various color. Above all, the emerging ‘Sun’, ‘Tohamsan’ and ‘Clouds’ in the works can be interpreted as the symbol of longevity.

이우환 Lee Ufan, 동풍 East Winds, 1984, oil on canvas, 72.7x60.6cm

쿠사마 야요이 Kusama Yayoi, 호박 Pumpkin, 1991, acrylic on canvas, 45.5x38cm

쿠사마 야요이를 대표하는 호박은 어린 시절 각인된 이미지로, 그녀의 작품에서 작은 점으로 촘촘하게 채워진 귀여운 이미지로 재탄생된다. 귀엽고 유머러스하게 캔버스 위에서 생명력을 얻은 호박은 더는 못생기고 쓸모없는 존재가 아닌, 그 자체로 또 하나의 우주로 볼 수 있다. 또 다양한 크기의 점은 보는 이에게 반복적으로 생성되고 소멸하는 듯한 환각적인 경험을 제시한다.

박생광 화백의 세계관과 조형관이 집약적으로 표현된 작품으로, 불교 (불상, 금강역사 金剛力士)와 민간신앙(봉황, 호랑이)을 소재로 한다. 적 赤, 청 靑, 황 黃, 백 白, 흑 黑 색채가 중첩되면서 색채가 가지는 특징을 극대화하고, 경주 토함산 일출의 장엄함을 볼 수 있는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대작이다. 무엇보다 작품에 등장하는 떠오르는 태양과 이에 어우러지는 토함산, 구름 등은 모두 십장생의 상징으로

〈East Winds〉 is part of a series of works produced by Lee Ufan early 1980’s that was later extended into a related group entitled ‘With Winds (1987–91)’, which feature much looser groupings of brushstrokes. 〈East Winds〉(1984) is a oil painting, which comprises a loose composition of blue marks that have been created using multi–directional brushstrokes. The individual, twisting forms float against a warm cream background and are relatively evenly spaced across the full length and breadth of the canvas’s surface, giving the impression of an infinitely repeating abstract patter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윤채영

백남준, 최승열, 김수수, 김창열, 김환기, 쿠사마 야요이, 이우환, 박생광

06015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80길 26 노아빌딩 지하1층·1층 82 2 543 1048 galleryjuyoung@hanmail.net www.galleryjuyoung.co.kr

Yoon Chaeyoung

Baik Namjune, Choi Seungyeol, Kim Susu, Kim Tschangyeul, Kim Whanki, Kusama Yayoi, Lee Ufan, Park Saengkwang

Noah Building B1·1F, 26, Apgujeong–ro 80–gil, Gangnam–gu, Seoul, 06015, Korea 82 2 543 1048 galleryjuyoung@hanmail.net www.galleryjuyoung.co.kr

178

179


GALLERY KICHE B25

갤러리 기체는 국내외 현대미술 작가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협력함으로써 가깝고, 유연한 공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김하나는 투명도와 불투명도가 적절하게 대비되는 물성을 찾고자 이런저런 첨가물로 새로운 조합을 시도하거나, 그림의 표면을 지우고, 닦고, 흘리고, 긁는 과정 등으로 우연에 의한 미묘한 차이를 끌어내 화면의 색조와 질감을 여러 측면에서 실험한다. 이때 빛, 온도 등 작품이 놓이는 공간과의 상호작용 역시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여기에 더해 캔버스를 부분적으로 해체, 변형하거나, 동판, 종이 등

김하나 Hana Kim, Untitled _ Glacier Landscape Series, 2017, oil on canvas, 150x150cm

갤러리기체

Gallery Kiche seeks to become a dynamic and flexible art venue for Korean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ists to broaden the spectrum of artistic practice.

Hana Kim attempts a fresh and new mixture of elements on canvas and performs uneven brushwork and touch, for example, repeating drawing and removing, scratching and dropping materials, to see how the materials are visualized in various environments. Unintended visual outcomes are what she intends. The effect of spatial environment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is a crucial performer for her work. Transforming canvas itself by deconstructing or modifying is one of the ways that she applies.

이를 회화, 조각, 영상 등 그 매체의 특성에 기반한 미술작품으로 완성한다. 작가의 이런 작업방식은 현대미술에서 일반화된 “전용 appropriation의 예술”이 디지털 정보화 환경에서 얼마나 첨예화되고 있는지를 잘 드러낸다. 그리고 이는 자연스레 ‘저자성 authority’, ‘원본성 originality’ 등 오랜 미학적 이슈에 대한 논의점들을 우리 앞에 펼쳐놓는다. Seungcheol Ok deconstructs and reorganizes cartoon characters into a unique digital image (vector image). He transforms and recreates this image into an art piece existed in a reality such as a painting, a sculpture and a video. His work demonstrates how ‘appropriation of art’ has diversely panned out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drawing some important esthetical issues such as ‘authority’ and ‘originality’.

적지 않은 조각가들이 그들의 숙련된 기술에 안주하는 것을 볼 때 기무라 특유의 나무를 깎은 작품이나, 유화물감을 사용한 조형 작업은 반역학적이다. 작가는 종이, 나무, 유화 물감 등 재료의 폭을 넓히고, 부조, 공간 설치 등 유연한 형식적 접근으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하고 있다. 그것은 지나친 기법의 강조에 의한 사실 조각도, 신념 없는 추상 조각도 아니다. 대중적인 소재를 다루면서도 매체 특유의 성질을 잘 살려내고, 그에 따른 유쾌한 깨달음을 불러일으킨다. – 타카시 이시자키(아이치현 미술관 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 평론글 발췌 Despite of the most sculptors easily sticking to their acquired skill, Kimura boldly does both production of carving and modeling, those defined by the opposite dynamics. This would have shown a remarkable talent of the artist. He has established own style with subtle charm of drawing–like form. It is neither the realism of skill– overemphasis nor abstract sculpture with no beliefs. While treating the motif with wide popularity, Kimura’s work evokes a deep awareness of the existence and stupendous potential of the material.

미츠노리 기무라 Mitsunori Kimura, The Cat’s Walking Pattern, 2013, color on camphor wood, 23x47x13cm

옥승철 Seungcheol Ok, Never Again, 2018, acrylic on canvas, 120x150cm

옥승철 작가는 마치 디제이처럼 만화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입시 미술의 석고상 등에 이르기까지 자신을 둘러싼 여러 이미지를 조합해 재창작한 디지털 원본 vector image을 만들고, 다시

매체에 대한 유연한 접근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윤두현

김미영, 김하나, 옥승철, 미츠노리 기무라

06584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42길 35 2층 82 70 4237 3414 gallerykiche@gmail.com www.gallerykiche.com

Yun Duhyun

Meeyoung Kim, Hana Kim, Seungcheol Ok, Mitsunori Kimura

2F, 35 Bangbae–ro 42–gil, Seocho–gu, Seoul, 06584, Korea 82 70 4237 3414 gallerykiche@gmail.com www.gallerykiche.com

180

181


GALLERY MAC B43

맥화랑은 2007년 3월에 개관한 현대미술 기획 전문 갤러리다. 국내외 활발한 활동을 하는 중견작가와 독창적이고 성장 가능성을 잠재한 신진작가들을 발굴하여 지속적인 지원을 하고,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 소개하는 데 주력한다. 1년에 10여 회 열리는 다양한 장르와 참신한 기획 전시를 통해 미술 애호가들에게 한국 미술시장의 현 흐름을 정확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대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GALLERY MAC, which opened in March of 2007, is a gallery specializing in contemporary art. The gallery focuses on featuring leading international artists as well as discovering and introducing talented young emerging artists. Recently, the gallery is participating at international art–fairs in Korea and abroad for cultural interchanging and interacting. Through various types of exhibitions, GALLERY MAC tries to introduce art lovers to the current trends accurately, and at the same time, makes an effort to offer the public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flow of the market and to appreciate today’s art.

Choi Inho was a rebellious young artist, a misfit in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ho stood against the regime during the hardest times. He left for France to study and put every ounce of his energy into creating existentialistic works. He eventually returned to Korea and settled down in Gapyeong after spending some time in Busan, Paju, and Itaewon. As life is a summation of little moments, he takes them very seriously and records them in paint wherever he is. His works remind us that we exist here and now.

이두원은 전 세계를 돌며 현지에서 느낀 감정과 경험, 자연으로부터 받은 영감과 소재로 작업했다. 공황장애를 겪고 있는 그는 약을 먹어야만 비행기에 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제3국으로 떠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새롭고 낯설며 더욱더 살아있는 작업 재료에 대한 갈망 때문이었다. 그는 캔버스란 가공이 많이 되어있는 죽은 바탕이라고 생각하여 파키스탄, 네팔, 인도 등에서 가공이 덜 된 살아 숨 쉬는 듯한 천연 재료(햄프천, 네틀천, 대나무천, 현지 염료) 등을 구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재료에 대한 연구를 지속한다. 자연과 동물, 인간은 하나라는 우주관을 갖고 작업한다. Lee Doowon works with his experiences and the emotions he feels at any time regardless of wherever he is during his travels around the world and with inspiration and materials he finds in nature. He suffers from panic attacks and needs to take medicine to get on a plane, but leaves for a new country again and again. He is driven by longing for new, strange, and more ‘lively’ materials. To him, the canvas is a dead, overly–processed background. He looks for less–processed, natural materials (e.g. hemp, nettle, and bamboo fiber cloths, local dyes) that seem to be alive and breathe in countries like Pakistan, Nepal, and India, and constantly researches novel materials. He works with his vision of the universe where nature, animals, and humans are one.

자신을 그린 작품이라고도 볼 수 있다. Moon Hyeongtae is loved by many for various colors and fairy tale–like forms and figures in his works. His works capture people’s sympathies by featuring scenes of daily life like a picture diary. Anyone can instantly understand this 〈Insert Coin〉, which is suggestive of a give–and–take relationship as in a game that starts only when a coin is inserted. It was based on the idea that the start of any relationship may be an interaction as in a game, and it can also be viewed as a self–portrait of the artist, the starting point of all relationships. 문형태 Moon Hyeongtae, Insert Coin, 2018, oil on canvas, 116.8x91cm

최인호 Choi Inho, 나들이 Picnic, 2017, acrylic and ashes on canvas, 91x91cm

제도권 교육의 부적응자였고 험난한 시대에 맞서는 반항적인 청년작가 최인호는 프랑스 유학을 선택했고 실존적인 작업에 혼신의 힘을 다했다. 유학 후 부산, 파주, 이태원을 거쳐 현재 가평에 정착했다. 사소한 순간 하나하나가 모여서 삶을 이루듯 그는 어느 장소에 있든 그 사소함을 버리지 않고 묵묵하게 그림으로 담아낸다. 그의 작품은 우리가 존재하는 곳이 언제나 지금, 여기라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문형태는 다채로운 색감과 동화적인 형태로 많은 사람에게 사랑 받고 있는 작가다. 일상의 단면을 마치 그림 일기처럼 풀어내 많은 공감을 얻는다. 이 작품은 모두가 보자마자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그림으로, 작품은 동전을 넣어야만 게임을 시작할 수 있듯 무엇인가 주고받는 관계를 연상케 한다. 모든 관계의 시작이 게임처럼 상호 작용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된 이 작품은 모든 관계의 출발점인 작가

이두원 Lee Doowon, 호박밭 먹새 A Black Bird in the Pumpkin Patch, 2018, mixed media on cloth, 61x61cm

맥화랑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장영호

최인호, 강혜은, 이두원, 문형태, 오순환, 박진성

48117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달맞이길65번길 70 2층 82 51 722 2201 gallerymac@hanmail.net www.gallerymac.kr

Jang Youngho

Choi Inho, Kang Hyeeun, Lee Doowon, Moon Hyeongtae, Oh Soonhwan, Park Jinsung

2F, 70, Dalmaji–gil 65beon–gil, Haeundae–gu, Busan, 48117, Korea 82 51 722 2201 gallerymac@hanmail.net www.gallerymac.kr

182

183


GALLERY MANO B12

2003년 문을 연 갤러리마노는 국내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중진 작가와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업을 하는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여 그들의 역량을 펼치는 기획전시를 하고 있다. 모든 장르의 작품을 다루고 있고, 해외 유망작가들의 전시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예정이다.

김정한 Kim Junghan, InnerSpace#1801, 2018, acrylic gouache on canvas, 162x130cm

갤러리마노

GALLERY MANO, opened in 2003, holds project exhibitions of artworks by Korean representative contemporary artists as well as the young artists who make fresh and creative artworks. The gallery tries to thoroughly review and discover these young artists’ works so that they could have opportunities to exhibit at our gallery. Also, we will continue to have the reputable and up–and– coming foreign artists’ exhibition.

최비오 Choe Vio, Happy Cell, 2018, acrylic on canvas, 130.3x162.2cm

〈내면공간〉은 작가와 타인의 관계 속에서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무의식이나 의식된 감정들을 표현하며 세상과 연결하고 있다. 상징적인 요소들로 화면을 구성하며, 그림과 여백에 대한 고찰의 흔적을 나타낸다.

작가에게 있어서 그림은 무의식의 언어이다. 무의식을 통해 에너지를 느끼고, 눈으로 보이는 것이 아닌, 몸 전체로 느끼는 에너지의 진동을 사전계획 없이 직접 캔버스에 그려나간다. 존재하지만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에너지와의 교감으로 완성된 그의 작품을 통해 관람자들은 사랑의 파동을 느끼게 될 것이다.

〈InnerSpace〉 of Kim Junghan is connected to the world with expressing his subconscious and conscious emotions that are hidd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others. The painting is comprised of symbolic elements, and the production process manifests profound contemplation about space.

For the painter Choe Vio, painting is a language of unconsciousness. He feel the energy through the unconscious. And not the eyes, the vibrations of the energy felt throughout the body are drawn directly on the canvas without prior planning. The audience will feel the wave of love through his work, which is completed by the sympathy with the energy which exists but is not seen by the ey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하미

최비오, 정규리, 게리 흄, 김정한, 이우환, 백남준

06020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46길 71 2층 82 2 741 6030 gallerymano1@naver.com www.gallerymano.com

Chung Hamee

Choe Vio(Vio Choe), Chung Curie, Gary Hume, Kim Junghan, Lee Ufan, Paik Namjune

2F, 71, Apgujeong–ro 46–gil, Gangnam–gu, Seoul, 06020, Korea 82 2 741 6030 gallerymano1@naver.com www.gallerymano.com

184

185


GALLERY MARE A68

갤러리마레는 현대미술을 다양하고 깊이 있는 시각으로 보여주는 역동적인 갤러리다. 전시와 교육, 소장품 수집 활동을 활발히 하며, 관객과 함께 숨 쉬는 살아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대중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미술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발한 주제의 기획전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에서 중요한 작가들의 개인전을 개최하고, 다양한 아카데미 프로그램 등을 마련한다.

안봉균 Bongkyun Ahn, 기념비 Monument, 2018, mixed media, 75x100cm

갤러리마레

GALLERY MARE pursues to serve as a dynamic space portraying modern art from various and in–depth perspectives. In this regard, GALLERY MARE is actively engaged in activities related to exhibitions, educations, and collections so as to take a step closer to viewers. Based on such efforts, it is reaping fruits through temporary exhibitions on novel themes, private exhibitions that mark an epoch in the history of modern art, and academic programs on a variety of items.

The theme of ‘Gokshin’ is derived from the “Goksinbusa” which comes from the Tok–chang era of Lao Tzu, which is said to be “the healing spirit of the valley.” This valley spirit is about nature and life. The health of the good god, healing, and hope are guaranteed. Through his unique Matiere and vibrant colors, he aims to deliver healing and hope, the vitality of life and energy.

있으며 실재감 있어 보인다. Bongkyun Ahn is a writer who addresses the important problems of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text, with his very creative ways of working and technology. A more distinctive visual effect is achieved by using a material called modeling compound to construct text in embossed and insertion, then by coloring it over it, then shaving the image and finally creating point drawings.

움직임을 통해 생명력 있는 원초적 에너지를 담아낸다. Work begins by creating individual abstract patterns. Numerous geometric patterns combine to create new forms of nature, resulting in a single big idea. The flowers and trees of fluid shapes blooming like marblings in the work are a circular symbol of the matrix that gives birth to and heals all life. These fluid images represent the rhythms of life and the circulation of nature, and the artist intends to capture the raw energy of vitality through their free and spontaneous movements.

에밀리 영 Emily Young, Trans Liqud Project 100, 2018, mixed media on canvas, 135x150cm

통해 치유와 희망, 생명의 기운 그리고 에너지를 전달한다.

김석영 Seokyoung Kim, 곡신 God of Valley, 2018, oil on canvas, 116.8x91cm

곡신이라는 주제는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곡신불사 谷神不死 에서 따온 것인데, 이는 ‘골짜기 정신은 죽지 않는다’로 풀이되고 곧 자연과 생명을 잉태하고 순환시키는 자연스러운 치유의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김석영만의 고유한 마티에르와 생명력 넘치는 색채를

안봉균은 자신만의 매우 독창적인 작업 방식과 기술로써 이미지와 텍스트 사이의 관계라는 예술의 중요한 문제를 다룬다. 모델링컴파운드라는 재료를 사용해 양각과 음각의 텍스트를 구축한 후, 그 위에 착색하고 이미지를 깎아내어 마지막으로 포인트 그림을 그려내는데 한층 독특한 시각적 효과를 느낄 수

에밀리 영의 작업은 우선 개별적인 추상 패턴들을 만드는 것에서 시작된다. 수많은 기하학적 패턴이 모여 조화를 이루면서 새로운 자연의 형태를 만들어내고, 결과적으로 이런 추상 이미지들이 하나의 커다란 구상 figuritive 이미지로 변화한다. 작품 속에서 마블링처럼 피어난 유동적인 형상의 꽃과 나무는 모든 생명을 잉태하고 치유하는 모태의 원형적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적인 이미지들은 생명의 율동 및 자연의 순환을 나타내고, 그들의 자유롭고 즉흥적인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사윤주

안봉균, 에밀리영, 김석영, 오관진

48099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296 파라다이스호텔부산 신관 지하1층 82 51 757 1114 gallerymare@naver.com www.gallerymare.com

Yunju Sa

Bongkyun Ahn, Emily Young, Seokyoung Kim, Kwanjin Oh

Paradies Hotel #singwan B1, 296, Haeundaehaebyeon–ro, Haeundae–gu, Busan, 48099, Korea 82 51 757 1114 gallerymare@naver.com www.gallerymare.com

186

187


GALLERY MARK B57

갤러리마크는 현대미술의 형식과 표현을 소개하고, 국내외 미술시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역량 있는 작가들의 전시를 선보인다. 회화, 조각, 사진, 영상 등 다양성을 추구하며 예술과 일상이 함께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미술 아카데미 및 워크숍 프로그램, 아트컨설팅 활동으로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이 더욱 깊이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 있다. GALLERY MARK introduces the mode and its expression of contemporary arts, exhibiting works of capable artists currently active at home and abroad. Seeking after various types of artwork including paintings, sculptures, photographs, media arts, the gallery is dedicated to providing the public with a space for integrating art with everyday life. The gallery operates art educational and workshop programs, which have helped art–lovers understand their cultural and artistic perspectives.

Kim Keetae shoots, developes, and prints on canvas and draws on it. In this process, painting and photography are getting together instead of being distinguished. The image that reminds the things that forgotten, the things that disappeared, the things that puny existence and the things that hazy and dim opens a unexpected place.

Sung Sangwon is well known painter in Brazilian Art Circle as a bug artist. His work represents a plant that does not exist in the world(a new variant), and it expresses a plant but a little bit of an animal feels. The hybrid flower II, which seems to be deeply embedded in the deep sea or in the remote area, using dark purple, blue, red colors to create a splendid, intense, and mysterious feeling. He did not explicitly express the feeling of ‘erotic’, but he at his heart wanted viewers to feel that way. 성상원 Sung Sangwon, Hybrid Flower ll, 2018, oil on canvas, 60x60cm

의외의 지점을 열어놓는다.

그러한 느낌을 받았으면 하는 의도를 담았다.

김기태 Kim Keetae, Unknown Artist–Sep 22nd 17, 2017, mixed media on canvas, 100.2x80.3cm

김기태는 사진을 직접 찍고, 현상하고, 캔버스에 인화하고, 그 위에 그림을 덧그린다. 그 과정에서 사진과 회화는 서로 구별되기보다는 하나의 결로 스며들고 삼투된다. 잊혀진 것들, 시간의 저편으로 사라진 것들, 존재감이나 실체감이 희박한 것들, 아득하고 아련한 것들을 환기해주는 이미지들은 마치 비물질적 시간에다가 질료와 형태를 부여해준 것 같은, 비가시적 시간을 가시화한 것 같은 어떤

성상원은 브라질 미술계에서 벌레 작가로 잘 알려졌다. 이 작품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식물(변종이 된 새로운 생명체)을 표현한 것으로, 식물이지만 약간의 동물적인 느낌도 있다. 심해나 오지에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을 것 같은 이 작품은 어두운 보라, 파랑, 빨강 등의 색을 사용해 화려하고 강렬하면서도 신비한 느낌을 준다. 에로틱한 느낌을 노골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보는 사람들이

라선영 Lah Sunyoung, Seoulites, 2014, acrylic on wood, 1/6 lifesize

갤러리마크

라선영 작업의 본질은 사람이다. 전 세계 인구의 수 70억 명을 제작하고 싶다는 작가의 바람은 작업해야 하는 인구수에 기함하기에 앞서 개개의 사람들을 모두 다르게 관찰하고 있다는 점이 더 놀랄 만한 부분이다. 게다가 독립된 개체가 아닌 삼삼오오 옹기종기한 그룹들로 산재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나름의 스토리들로 얽혀져 있다. 나무가 지닌 부드러운 수용적 물성이 각기 다른 개체를 표현하는 데 있어 더없이 좋은 재료라고 언급하며 재료에 강한 신뢰를 보인다. 각인각색인 작품 수의 여하를 막론하고 시각적으로 부담되지 않는 이유는 실제 사람 형상에서 6:1 정도 축소된 크기란 점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 The nature of Lah’s work is human. Her wish is to one day sculpt the 7 billion population of the world. The amazing part of this is not just the sheer number of sculptures She will have to work on but also his unique way of seeing and observing people as all different individuals. Her sculptures are also divided in small clusters of people and these clusters all have their own story. They show us our own world and how we live, making storie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artist also relies heavily on using wood and says that wood is such a soft and receptive material and couldn’t be better for sculpting different objects. Despite the large number of sculptures, her work is never visually overwhelming because she uses 6 to 1 human to sculpture rati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천창진

차혜림, 조원강, 김기태, 라선영, 미키 리, 성상원

06576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20길 3 지하2층 82 2 541 1311 info@gallerymark.kr www.gallerymark.kr

Chun Changjin

Cha Hyelim, Cho Wonkang, Kim Keetae, Lah Sunyoung, Miki Lee, Sung Sangwon

B2, 3, Sapyeong–daero 20–gil, Seocho–gu, Seoul, 06576, Korea 82 2 541 1311 info@gallerymark.kr www.gallerymark.kr

188

189


GALLERY MEE B40

갤러리미는 1977년 개관한 이래 유망한 작가를 발굴하고 후원한다. 회화, 조각, 판화 등의 전시와 아트 이벤트 기획 및 국제 전시를 통해 국내 작가 홍보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크리스티와 같은 손꼽히는 옥션에 한국 작가 작품을 출품하여 이들의 글로벌 진출을 후원하고, 국내 아티스트들이 국제적으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한다. 2005년에는 중국 현대미술의 진정한 가치를 살펴보고자 대규모 〈중국 현대미술 특별전〉을 기획, 한국의 작가와 컬렉터에게 중국 현대미술의 이정표가 되었다. 다수의 능력 있는 작가를 지목해내는 특별한 심미안으로 김태정, 사공우, 한기주, 이존수 등을 대표작가로 선정했고, 앞으로도 한국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할 것이다.

한지를 가늘게 잘라 빼곡히 세워 붙인 후 균형을 맞춰 성취되는 사공 우의 작품들은 서로에게 지지대가 되어 이합집산을 거듭하는 형국을 지닌다. 단색조의 색감, 세밀하게 직조되는 물성, 자연의 빛과 어우러져 그사이를 관통하는 보일 듯 말 듯 한 일루전은 양자 간 상부상조하면서 더불어 변화하며 생동감을 만들어낸다. 이 부분은 사공 우 작품의 외형적 변별력을 유지하는 요소이다. 그의 작품에는 질과 형, 소재와 재료라는 조형의 새김을 넘어선 인간 삶에 관한 추적이 녹아 있다.

김일권 Kim Eelkwon, 2018.06.24, 2018, oil on linen, 153x168cm

김일권은 풍경, 대기 그리고 대지에 관한 추상적인 문제에 관하여 다소 고전적인 관념에 기초를 두면서, 대단히 절제된 공간적 틀 안에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각각의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며, 각 작품이 어떻게 아주 다른 감정과 시각적인 감수성을 내뿜는지를 느끼게 한다. 다른 날에, 다른 계절에, 하루 중의 다른 시각에 이런 작업을 했다. 작품 속에서 대기, 혹은 하늘이 땅과 만나는 대지의 풍경이 지닌 두 측면을 경계선을 통해 경이롭게 절제하여 결합하고 있다.

Sagong Woo’s work is completed in a balanced manner. The artist cuts Korean paper into thin strips and sticks them tightly together, repeatedly joining and scattering them, thus creating supporting amongst them. The colors of a single strand, the properties of the detailed weaving, and the light of nature all run through the artwork, creating a visible sense of change. This allows for the apparent outward distinction of Sagong Woo’s work to be maintained. It contains traces of human life beyond the engraving of a shape, subject or material.

신흥우 그림의 주체는 누구나, 아무나, 즉 사람들이다. 모든 인류가 모티브인 셈이다. 이러한 모티브와 작업 과정은 무한대의 사람들을 태어난 시간과 기억의 연관성들을 무시한 채로 아무렇게나 뒤섞고 그들은 그저 한 점의 그림 속 매개체로 운명적인 만남을 이루며 영원히 박제되어 캔버스 안에 구속된다. 항상 수많은 사람으로 가득 채워진 그의 캔버스는 서로 모르는 사람들끼리 뒤섞인 것처럼, 알 수 없는 우리의 운명이자 범 코스모스적인 인간들의 세상인 것이다. The subject of Shin Heungwoo’s painting is ‘everyone’ and ‘anyone’, that is to say, ‘people’. All humanity is the motif of his paintings. This motif and work process randomly mixes infinite numbers of people, ignoring associations of each person’s memories and time of birth, so that they are bound by just a piece of canvas for eternity. His canvas, which is always filled with millions of people, is our unknown fate and our pan–cosmic world of human beings, with strangers mixing together.

신흥우 Shin Heungwoo, Funnycity, 2017, technical mixture, 91x116.8cm

GALLERY MEE was founded in Seoul, Korea in 1977. It has been searching for and supporting talented Korean artists and promoting a wide range of art shows and events in paintings, sculptures, and prints. GALLERY MEE maintains a strong commitment to nurturing Korean artists for them to get global exposures through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auctions such as Christie’s. GALLERY MEE also hosted 〈the Special Exhibition of Chinese Contemporary Art〉 in Korea long before the true value of Chinese contemporary art was recognized. It was the remarkable milestone for opening a gate to Chinese contemporary art for Korean artists as well as Korean art collectors. With an unparalleled eye for spotting outstanding artists in a crowd, GALLERY MEE could select Kim Taejung, Sagong Woo, Han Kijoo, Lee Jonsoo and many more as core artists to represent. Constant efforts to create a better inspiring portfolio of Korean artists will be incessant.

사공 우 Sagong Woo, 무제 No Title, 2018, korean paper on canvas, 6x65x45cm

갤러리미

Kim Eelkwon is working on a very restrained framework, based on classical notions on abstract issues with regards to landscapes, the atmosphere and land. His works reveals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coming and going from one image to another, and making the audience feel how each piece produces a very different feeling and visual sensibility. He did this on different days, in different seasons, and at different times of the day. In his work, he blends the two sides of the Earth’s landscape, where the atmosphere or sky meets the land, using wonderful moderation through a “boundary lin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란영

황승우, 김일권, 사공 우, 신흥우

060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61길 네이처포엠 312호

Lee Ranyoung

Hwang Seungwoo, Kim Eelkwon, Sagong Woo, Shin Heungwoo

Nature Foem Building 312, 461, Apgujeong–ro, Gangnam–gu, Seoul, 06011, Korea 82 2 542 3004 gallerymee@gmail.com www.gallerymee.com

82 2 542 3004 gallerymee@gmail.com www.gallerymee.com

190

191


갤러리미루나무는 한국화랑협회 정회원 화랑으로서 작가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생활 가까이에서 대중들에게 문화 접근의 기회를 제공한다. 작가와 화랑, 대중이 공존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기를 추구한다. 전업 작가를 지향하는 젊고 패기 있는 작가를 발굴, 후원하여 국내 아트페어 참여 기회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 그림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상하이 아트페어, 북경 아트페어를 비롯하여 홍콩, 대만, 일본 등 해외 여러 아트페어에 참가하고 있다.

GALLERY MIROONAMU B11

GALLERY MIROONAMU opened in 1999 and is a member of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GALLERY MIROONAMU pursues to become a cultural space where artists, galleries, and people coexist in harmony. Also, the gallery wants to be an outreach gallery where people can approach easily and comfortably. The gallery devotes to discover and support promising artists. By attending lo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fairs, the gallery devotes to introduce various Korean artworks to the international art world.

“푸치의 표정 좀 보세요!” 새롭게 등장한 나비의 모습에 엄청나게 신기해하며 호기심 어린 눈으로 쳐다보고 있다. 푸치는 아마 오색빛깔의 신비한 날개를 지닌 나비가 신기해 보였던 모양이다. 관심을 보이며 묻는다. “넌 누구니? 넌 어디에서 왔니?” 이 작품은 더욱 익살스러운 자세를 부각했는데, 이마 박영인 자신이 그들의 만남을 보다 해학적인 시각으로 보고 싶었던 듯 하다. 또 작가가 좋아하는 꽃을 등장시킴으로써 보다 조화로운 구성을 시도하려고 했는지도 모른다. “Look at the Poochie’s face!!” She watches butterflies approaching new appearance around her with curiosity. Poochie also thinks it has various color wings not ever seen before. She asks the butterfly, ”Who are you?, Where are you from?” This work focuses on Poochie’s interesting facial expression. Artist would like to see her expression having the humorous point of view. Flowers are secondary matching with this work and artist was willing to attempt harmonious plot also. 박영인 Park Youngin, 넌 누구니? Who are you?, 2017, 2 side enamel painting on stainless steel, 31x35x10cm

김명옥 Kim Myungok, 유토피아 Utopia, 2017, acrylic on korean paper, 80.3x100cm

이종혁 Lee Jonghyuk, 만다라1 Mandara1, 2018, acrylic on canvas, 162x 130cm

갤러리미루나무

이종혁의 작품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비현실성을 주조로 하는 판타지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미술이란 상상에 의해 빚어지고 솜씨에 의해 조절된 정열적 감정이란 말이 그에게 꼭 어울린다. 그는 특유의 몽환적이며 동화적인 분위기를 잃지 않는다. 화려한 문양과 의상을 하고 등장하는 여러 동물은 판타지 영화 속에서나 볼 수 있는 환상적인 세계를 연상시킨다.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Lee Jonghyuk’s work is the fantasy world cast by non–reality. Art means ‘a passionate emotion controlled by imagination and controlled by skill’, which suits him well. The artist does not lose his unique dreamy and assimilative atmosphere. Many animals with colorful patterns and costumes remind us of a fantastic world that can be seen in fantasy movies.

김명옥은 상생을 모색하며 아름다운 꽃의 향연에 초대하여 각박한 현실을 아름다움으로 승화한다. 화면에는 꿈과 희망, 염원, 불가능의 가능 등 추억의 이야기보다는 어쩌면 초현실적 세계를 갈망하며 이야기를 전개한다. 작품에 많이 등장하는 벌나비는 자연과 인간 세계를 오가며 상생의 메신저로서 희로애락을 중화한다. 아직 존재하지 않은 실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Kim Myungok invites human beings to the feast of beautiful flowers to sublimate the rugged reality into beauty. So, the artist is developing the story on the screen, hoping for a surreal world rather than a story of dreams, hopes, aspirations,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and memories. Bee butterfly, which appears in many works, goes through nature and human world and neutralizes happiness as a messenger of mutual growth. It is creating a reality that does not yet exi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선영

최성환, 전영신, 김명옥, 이종혁, 박해강, 박영인

83320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운주산길 96–1 82 54 337 0288 mirooart@hanmail.net

Park Sunyoung

Choi Sunghwan, Jeon Youngsin, Kim Myungok, Lee Jonghyuk, Park Haekang, Park Youngin

96–1, Unjusan–gil, Imgo–myeon, Yeongcheon–si, Gyeongsangbuk– do, 83320, Korea 82 54 337 0288 mirooart@hanmail.net

192

193


GALLERY MIZ A84

1997년도에 개관한 갤러리미즈는 미래지향적인 생각과 이념으로 기획, 초대전시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을 국내외에 소개한다. 현재의 문화이론과 담론을 바탕으로 문화의 새로운 경향을 탐구하고 이를 국내외 전시를 통해 구현한다. 새로운 비전과 전망으로 세계 속에 한국미술 소개는 물론 I ART, KAFnet Korea Painting Awards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 프로그램을 통해 작가 발굴과 새로운 미술시장을 제시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출한다.

백종녀에게 시간의 개념은 무자연 속에 있는 기억의 흔적이다. 시간은 우리를 앞서고, 과거 속 시간은 또다시 미래에 가 있다. 이처럼 시공간을 넘나드는 기억의 흔적을 화면 속에 담는다. 고향의 땅, 대지 속에 내재된 시간의 흐름은 그녀의 화면 속

Founded in 1997, directed itself toward 21c art with field involved in offering a premise for introduction of artworks of distinguished artists active locally and in the overseas offering a premise to search for gifted artists to draw the public attention regarding their mastery skill including their qualities of extraordinary subtlety, sensitivity, respect and purity and along the exhibition plan for international culture exchange by instruction of the art pieces of oriental and western art as well as those of the third world through collaboration so that the gallery will function towing ro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the world.

The concept of time that the artist mainly refers to is a trail of memories inherent in the ruthless sequence. Time is ahead of us, past time is again in the future. As such, there are traces of memory that crosses space and time. The flow of time inherent in the land of the hometown and the earth is expressed by the abstract language in the artist’s screen.

추상적 어법으로 표현된다.

백종녀 Baek Jongyeo, 시공간 Time and Space, 2018, japanese stoneware on hanji, 116x80cm

장정 Jang Jung, 무자연 ‘18 Mushroom’ 18, 2018, oil on canvas, 130.3x130.3cm

장정의 무자연은 파 波라는 존재에 근간하면서 하얗게 부서지는 파도에 이입된 자연을 돌이켜 보게 한다. 시간의 공간 속에 그것은 지금까지 작가가 줄곧 시선을 놓지 않았던 바다와 파도가 있는 우리 곁에 있는 풍광이었다. 제주에 살면서 자주 바닷가를 찾았고, 풍광과 그로부터 느껴지는 심상들을 담아왔다. 그 자연을 다시 무자연으로 캔버스 위에 차곡차곡 풀어냈다.

이명자 Lee Myungja, 영원한 Timeless, 2018, korean tradition paper, 50x50cm

갤러리미즈

주로 시간에 관한 이야기를 표현하는 이명자는 시간의 개념 중에서도 작품 속 시간에 관한 운율을 말한다. 역사 속 표현되는 삶, 때로는 근대사에서 우리 민족이 질곡의 역사처럼 기억의 흔적들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최근 주제는 심상이 깃든 뜨거운 추상과 차가운 추상 속에서 분출하는 인간의 삶을 표현주의적 시각으로 재해석한 전통문양을 얼레짓으로 시간의 개념을 화면에 담고 있다. The artist, who has been working on traditional Korean paper as the main material, mainly contains traces of life inherent in human beings. In the history expressed in history, sometimes, in the modern history, our nation expresses the trace of memory as the work of the vagary. The theme that is being expressed recently includes the concept of time by inserting a traditional pattern that reinterprets human life spouting from a hot abstract and a cold abstract with “image”.

The nature of the artist who will breathe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stones is based on the existence of ‘wave’, which can be recalled to the nature that has fallen into the whitening waves. In the space of time, it was a scenery by our side with the sea and the waves that she has never gazed at all. The artist lives in Jeju and often finds the beach and has captured the scenery and the images that are felt from it. The sensibility of nature again on the canvas over the nature of the unscrewed.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종현

백종녀, 리정, 이명자, 안명혜, 장정

031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SK운현궁 101동 B105호 82 2 722 8005 pallopa@unitel.co.kr www.mizgallery.com

Jung Jonghyun

Baek Jongyeo, Re Jung, Lee Myungja, Ahn Meyounghye, Jang jung

SK Unhyungung 101–B105, 461, Samil–daero Jongno–Gu, Seoul, 03147, Korea 82 2 722 8005 pallopa@unitel.co.kr www.mizgallery.com

194

195


GALLERY NOW B67

현대사진 예술의 새로운 비전을 목표로 가진 사진 전문 갤러리, 갤러리나우는 2006년 4월 문을 열었다. 언제나 열려 있는 공간이자 현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장으로, 미래의 새로운 좌표와 꿈을 제시하고 새로움을 모색하는 공간 역할을 한다. 또 가능성 있는 젊은 작가 발굴 지원 프로그램, 작가 프로모션을 통해 한국 사진의 변화 활로를 여는 데 기여한다. 외국의 여러 유수 갤러리, 세계의 작가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한국사진 작품을 소개하고 널리 알린다.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가하여 기존 아트마켓의 다양한 소비층을 발굴하고 생산에서 소비로 연결해주는 가교를 담당하고자 한다. Since its opening in April 2006 as a photo gallery, GALLERY NOW has developed a reputation for playing a vital role in the field of photography. GALLERY NOW is just the right place to understand the status of Korean photography. GALLERY NOW seeks to provide direction on the future of photographic art and to pursue new ideas by holding unique exhibitions.

The ‘Tree of life’ series by Lee Jeonglok is the result of a communion between the invisible yet existent and the explicit. His tree is not only a gateway linking the visible world with the invisible world but also a kind of fracture. These individual lights symbolize a connection between the visible world and the invisible world. ‘Tree of life’ itself is a manifestation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two worlds, and this is completed by the communion between nature, air, and spirit of trees through lights.

의미의 진폭을 공유하기를 바란다. For Choi Eunjeoung, time is an infinity of moments and a continuity of connection. It has a concept that holds different meaning and depth from the time that physically runs only to the front. The innumerous lines of resin playing all over the work imply a vision found in the last exhausting everyday life the artist has passed through. The flower over those lines is both the phenomenology of the mind and the dialectic of consciousness that means a restoration of the mind, beyond a simple object seen through the lens. 최은정 Choi Eunjeoung, HOPE 1808, 2018, pur uv print led, 가변설치

비로소 완성된다.

이정록 Lee Jeonglok, Tree of Life 6–2–3, 2017, C type print, 120x160cm

이정록의 ‘생명나무’ 시리즈는 눈에 보이지 않으나 분명히 존재하는 무엇과 현시적인 무엇의 교감에 의한 작업이다. 그는 이 작품을 촬영하기 카메라 2대, 삼각대 2개, 나무 모형, 기타 촬영 장비를 들고 길도 나 있지 않은 숲을 헤쳐나갔다. 해가 진 뒤 어둠이 오면 카메라 렌즈를 열고 스트로보를 터트려서 하나하나 생명나무의 불빛들을 만들어낸다. 그의 나무는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잇는 관문이자 일종의 균열이다. 빛은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의 교류를 상징한다. 생명나무는 그 자체로 두 세계 간의 상응을 표징하며 자연, 대기, 나무의 정령이 빛으로 만나는 교감을 통해

최은정에게 시간이란 찰나의 무한대, 이어짐의 연속이다. 물리적으로 앞만 보고 달리는 시간과 의미와 깊이를 가지는 또 다른 개념의 시간이 있다. 작품 속 종횡무진으로 활약하는 수많은 레진의 선은 작가가 지나온 고단한 삶 속에서 찾은 비전의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그 위에 표현된 꽃은 렌즈를 통해 바라본 단순한 피사체를 넘어 정신의 현상학이면서 다시 돌아오게 만드는 의식의 변증법이다. 투명, 반투명한 화면의 교차로 환상적인 공간의 이미지가 차곡차곡 쌓인 레진 타래들 속에는 자신의 감정이 스며있다. 울렁이는 감정과

유리 Yoo Li, Relative boundary, 2018, painting on stainless steel, 63x40cm

갤러리나우

기하학적 형태를 바탕으로 입체와 평면 작업을 병행하는 유리의 작업은 주로 조각적 재료인 스테인리스 스틸, 레진, 일상적 오브제 등으로 이루어지고, 평면과 입체, 추상과 구상, 기하학적 이미지와 실제의 이미지가 공존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세계를 모두 반영하는 초현실적 이미지를 구현한다. 그는 입체감을 가지는 평면 작품과 평면을 점유하는 입체작품들을 통해서 사람들의 시각과 지각을 환기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작업한다. The artworks of ‘Yoo Li’ who work on both solids and planes based on geometric forms mainly consist of sculptural materials (e.g. stainless steel, resin, daily objets, etc.) and realize a supernatural image that reflects both two different, opposite worlds: planes and solids /abstraction and formation /and the coexistence of a geometric image and an actual image. The artist focuses on arousing the visual perception of people through plane artworks that have a feeling of 3D and 3D artworks that occupy plan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순심

이정록, 유리, 윤한종, 최은정

031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39 3층 82 2 725 2930 gallerynow@hanmail.net www.gallery–now.com

Lee Soonshim

Lee Jeonglok, Yoo Li, Yoon Hanjong, Choi Eunjeoung

3F, 39, Insadong–gil, Jongno–gu, Seoul, 03149, Korea 82 2 725 2930 gallerynow@hanmail.net www.gallery–now.com

196

197


GALLERY PAKYOUNG A74

갤러리박영은 1952년 창업한 도서출판 박영사의 문화지원사업이다. ‘박영’은 넓게 인재를 양성한다라는 의미로, 그 뜻을 반영한 갤러리박영은 2008년 파주출판단지 내 1호 갤러리로서 현대미술작가들에게 스튜디오를 제공하고 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나아가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파주출판단지의 미술, 문화, 교육, 예술 콘텐츠 개발에 기여했다. 갤러리박영은 서울에 위치한 갤러리와 다르게 파주의 자연과 문화 단지 안에 자리하고 있기에 많은 작품을 전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GALLERY PAKYOUNG is the cultural support business unit of Pakyoungsa publishing, founded in 1952. ‘Pakyoung’ refers to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the founder, meaning ‘nurturing talents far and wide.’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founder, the gallery acted as the first art institution in Paju Publishing Complex founded in 2008, providing a residence program offering studios and artistic support to contemporary artists. In addition, the gallery plans various exhibitions as a cultural complex,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rtistic, cultural, educational, and other contents. GALLERY PAKYOUNG, which is located in Paju Publishing Park,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galleries in Seoul with its nature–friendly and cultural landscape.

부여하기 위함이다. Color contrasts warm, cold, dark, bright, soft, and hard. These colors dominate the flat screen by maximizing energy within the flat space. The abstract of the theme drives the task, and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screen are implicit in the illustration of the abstract. The convertibility, or convertibility of flat screens, is structured horizontal and vertical with curves and straight lines, to provide an even more energetic floor space.

정영환은 보는 이들이 작품을 자신의 방식 그대로 바라보기를 바란다. 그는 작업 노트에서 작업이 어떤 교감을 형성할 것인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드러냈다. 타이틀처럼 그저 바라보기만 하면 될 뿐이다. 바라보는 견자 見者 입장에서는 재현된 이미지가 실경 實 景인지, 아니면 이곳이 어디일지 마음속으로 물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가본 곳, 보았던 사진 등 다양한 생각을 정리하며 자신의 기억과 추억을 헤쳐 갈 것이다. 그의 작품에서 새벽도 낮도 아닌, 낯설고 차가운 색으로 채색된 자연은 관람객이 작품을 보는 그대로 자신의 기억을 들추어내거나 감추게끔 한다. Chung Younghwan writes in his artist note as following, “I think exploring nature is the universal, very natural thing that we have at birth. It’s hard to tell where my work is. Because as a general landscape painting, there is no place called ‘ Where Is This? ‘ One of the key points in how I express my work is here. My landscape is a planned landscape. The audience exerts a variety of imagination, including where they look, where they have been, and so on. That way, the viewer can hide or reveal their thoughts while watching the piece.”

음과 양, 공간, 무심 無心과 같은 다소 철학적인 개념을 형상화한다. Suh Jeongmin creates grain structures of great diversity by putting tiny paper rolls on a plane surface. These structures appear horizontal, vertical, round, radial, clustered, faulted, or whirling. They seem to shout, mark sound, wind, or the moon. The grains are waves of wind, land, and water. He also represents philosophical concepts with them, such as reincarnation, yin and yang, space, and the absence of desire.

정영환 Chung Younghwan, Just Looking–Resting, 2018, oil on canvas, 112.1x162.2cm

박승순 Park Seungsoon, 도시–풍경(13) Cityscape(13), 2018, oil on linen, 80x80cm

색채는 따뜻함과 차가움, 밝고 어두움, 부드러움과 딱딱함 등 상반되는 느낌을 대비했다. 이러한 색은 평면 공간 안에 에너지를 극대화해 평면 화면을 지배한다. 주제에 의한 추상성이 작업을 주도하며 화면의 구성과 구조는 추상의 조형성으로 함축된다. 화면의 공간성, 즉 회화성은 곡선, 직선과 더불어 구조적으로 수평과 수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더욱더 활기찬 평면 공간을

서정민은 종이 뭉치 토막들을 평면에 집합적으로 부착해 다양한 구조의 평면을 만들어 낸다. 위에서 아래로 차곡차곡 붙여 내려온 세로형 결, 지층을 올리듯 쌓은 가로형 결, 둥근 단면이 드러난 밀집형 결, 둥근 원의 방사형 결, 두 개의 지각이 충돌한 맞배형 결, 단층형 결, 휘몰이 결 등 다양한 결들을 보여주는데, 이 결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배치되는가에 따라 ‘함성’이 되고 ‘소리의 흔적’이 되며, ‘바람’이 되고 ‘달’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그것들은 윤회나

서정민 Suh Jeongmin, 無心–23, 2018, hanji, 120x120cm

갤러리박영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안종만

정영환, 박광성, 박승순, 서정민, 전용환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37–9 82 31 955 4071 gallerypakyoung@hanmail.net www.gallerypakyoung.co.kr

Ahn Jongman

Chung Younghwan, Park Kwangsung, Park Seungsoon, Suh Jeongmin, Jeon Yonghwan

37–9,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10881, Korea 82 31 955 4071 gallerypakyoung@hanmail.net www.gallerypakyoung.co.kr

198

199


GALLERY SEIN B01

갤러리세인은 2011년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서 개관한 이후 참신한 기획전시와 개인전시를 펼치는 기획 전문 갤러리로 성장했다. ‘미술을 통해 행복해지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을 표방하며 ‘세상의 중심은 사람입니다’라는 정신으로 미술을 접하는 사람에게 이로운 공간이 되기를 추구한다. 유명작가부터 중견작가까지 폭넓게 아우르며, 장래성 있는 신진작가를 발굴하는 것은 물론 국외 작가 소개를 통한 국제 문화예술 교류의 가교 구실에도 힘쓴다. 앞으로도 국내외 여러 유명 작가와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소개함으로써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공감하는 기획을 통해 즐거움 속에서 새로운 미술 담론을 만들어가는 데 주력할 것이다. Since its opening in Cheongdam–dong, Gangnam–gu, Seoul in Korea in 2011, GALLERY SEIN has built up a fine reputation for holding original temporary and solo exhibitions. Working toward the ‘Space for those who want to be happy through art,’ GALLERY SEIN always keeps in mind ‘Humans are at the heart of the world’ and pursues to be beneficial to all of them who come in contact with art works. GALLERY SEIN has provided various opportunities for audiences to appreciate works by promising young artists as well as leading artists, and its exhibitions for international artists have acted as a bridge between art and cultural works across the world. GALLERY SEIN will continue to introduce renowned artists and diverse genres of Korea and the world and offer special exhibitions for experts and laymen, which it hopes will lead to new artistic discourses that people pleasantly share.

박종호는 압도적인 상황이나 일상 속에서 인간을 작은 이미지로 표현하기보다 인간을 깊게 관찰하고 더 내밀하게 표현하려고 시도한다. 이 작업은 자신을 내던진 혹은 자신이 내던져진 곳에 대한 은유이며,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존재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다. Rather than portraying humans as small images in overwhelming situations or everyday life, Park Jongho attempts to observe humans profoundly and express them more intimately. These works are metaphors of places where one throws him/herself, or where one is thrown. They are not only extremely personal stories but also represent the interest in and love for existence.

정복수 Jung Bocsu, 기념일 Anniversary, 1990, pictures, acrylics on hardboard, 81.5x101.6cm

박종호 Park Jongho, 불꽃놀이 Fireworks, 2017, oil on canvas, 194x112cm

이유미 Lee Youmee, 그와 같다면 As the Way We Were, 2013, korea paper, iron, gold leaf, 80x37x7cm

갤러리세인

이유미의 이 작품은 해녀의 잠수복에서 영감을 얻었다. 잠수복에서는 오래된 신체의 형상이 떠오른다. 단순한 잠수복이 아닌, 시간과 삶의 과정이 묻어 있다. 잠수복은 또 다른 몸인 것이다. 인간의 몸은 늙고 시간과 함께 껍질처럼 남는다. 보이지는 않지만 사람들의 상처 난 마음은 몸에 그대로 드러난다. 그 몸에 새겨진 상처들은 인고의 시간과 함께 승화되어 반짝이는 별로 남게 된다. 정복수는 잡지에서 떼어낸 여인의 큰 눈과 큰 입술을 마치 욕망을 향해 변주곡을 울리는 모습으로 콜라주 했다. 눈과 입을 강조한 여인들의 군상은 한곳을 응시하며 기념사진을 찍는 듯 보인다. 〈Anniversary〉 is a collage of a feature that represents the desire of the women whose big eyes and full lips were cut off from a magazine. The women seem to play variations for their burning desires. The group of women whose eyes and mouths are emphasized is staring at one place toward desire and taking a commemorative photo.

This work was inspired by the wetsuit of haenyeos. In the wetsuit, the shape of the old body comes to mind. It is not just a wetsuit, but a process of time and life. The wetsuit is another body. The human body has to also grow old and remain like a shell with time. Although not visible, the wounds of people’s mind are exposed to the body. The wounds carved on the body are sublimated with the endless patience and remain as glitter star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영숙

정복수, 고자영, 이유미, 박종호, 성병희, 유현경

06074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503 한성빌딩 204 82 2 3474 7290 gallerysein11@hanmail.net www.gallerysein.com

Jeong Youngsook

Jung Bocsu, Koh Jayoung, Lee Youmee, Park Jongho, Sung Byunghee, You Hyeonkyeong

204, Hansung Building, 503, Hakdong–ro, Gangnam–gu, Seoul, 06074, Korea 82 2 3474 7290 gallerysein11@hanmail.net www.gallerysein.com

200

201


GALLERY SEJUL

최정윤에게 도예란 확장된 조형의 영역으로 나아갈 가능성과 질료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의 원동력이 되어준다. 이러한 실험정신은 검 劍 이라는 존재적 개념에 주목하게 되고, 화 花라는 유기체로 이어지는 변이를 통해 욕망이라는 본질은 변화시키지 않고 다른 사물의 형태를 취하는 철학적 여정을 보여준다. 또 조각은 반드시 수직성을 가져야 한다는 관념의 표본인 양, 작품의 양 끝은 천지 天地를 향해 모든

GALLERY SEJUL is one of the leaders of art culture in pyung–chang area in Seoul. GALLERY SEJUL held 〈Orlan Exhibition〉 which was famous for the reverse of a western standard of the beauty by displaying photographs, 〈Park, Seobo Drawing Exhibition〉which for the creating of his own work style by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and so on. These exhibitions got favorable criticism for the novel planning powers of Sejul. One of them is to make exhibition shared with the spectators which interest the cultural critic. Curating direction of Sejul is to open an exhibition of major artists which have totally successes in establishing their own style and to give a new artist the opportunity to exhibit through careful analysis of the archived portfolio.

Ceramic art to the Choi Jeongyun becomes possibility to forward to the expanded formative realm and motivating force to continuous research on materials. The artist’s such experimental spirits make us focus on the existential concept like 〈sword〉 and show philosophical itinerary which takes different form of things, not change the essence like ‘desire’, through variation leading to the organism like ‘harmony’ from ‘sword’. In addition, the sculpture is gathering it in two points like quantity, sample of concept which needs to have verticality, and like all masses with the both ends of work toward the earth and the sky as the heaven and earth.

(chén), 2018, ceramic, 90x75cm

B63

갤러리세줄은 2001년 개관한 이래 평창동의 미술 문화를 주도하고 있는 화랑 중 하나다. 개관전으로 프랑스 출신의 세계적 전위예술가인 오를랑, 크리스털 설치 작가인 미셸 블롱델, 박서보 등과 같은 작가의 전시로 평단의 주목을 받았다. 또 관람객들과 함께 문화를 공유하고자 장르의 구분 없이 다양하고 참신한 기획을 통해 미술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갤러리세줄은 면밀한 자료 분석을 통해 국내외를 통틀어 확실한 입지를 가진 중견작가와 대규모 화랑에서의 전시 기회가 전혀 없는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업을 하는 30대 안팎의 신진작가의 전시를 주요 방향으로 삼는다.

문평 Wen Ping,

갤러리세줄

질량을 두 점으로 모으고 있다.

최정윤 Choi Jeongyun, 시간의 살 The Flesh of Passage, 2018, stainless steel, lesin, yarn, 가변설치

정보경 Joung Bokyung, 채색된 실내–햇살로 얼룩진 시간들 Painted Inner Space–Sun–Stained Hourd, 2017, oil, acrylic on canvas, 130x193.9cm

정보경은 자신만의 강렬하고 다채로운 색감과 터치로 ‘채색된 실내’ 시리즈를 그린다. 유년 시절 다소 폭력적이고 가부장적인 아버지의 트라우마로 인해 회색빛으로 기억되는 집안을 알록달록 채색하며 본인의 상처를 치유하는 작업이다. Joung Bokyung has continued her ‘Painted Innerspace’ series with her own intense and colorful touch. The inner space in her memory was rather achromatic due to her childhood trauma caused by her somewhat violent and patriarchal father. Accordingly, creating a multi–colored inner space is, in a sense, a healing process for her.

벽은 이야기의 역사다. 각기 애쓰고 사라져 간 이야기들의 퇴적과 풍화를 응시한다. 우리는 각자 애쓰며 살아가지만 결국 어떤 일이 발생하면 또 덮여 가고, 그 토대 위에 또 다음 세대가 살아간다. 문평은 작업을 통해 이루 가늠할 수 없는 시간을 압축적으로 느끼며 한층 한층 흙벽을 쌓아 올린다. 새로운 이야기가 펼쳐지고 파묻히는 과정을 반복하고 반복하며 더 깊고 넓은 눈을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결국 우리는 운명의 불길을 꼼짝없이 통과할 수밖에 없음에도 이후에 살아남을 것들을 위해, 기억하기 위해, 작은 자취를 남기며 매 순간 주어진 힘을 그러모아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하는 존재임을 상기한다. Wall is history of the story. And, we gaze at the deposition and weathering of disappeared stories we left off, trying so hard. We are struggling to live for ourselves, but if at last anything happens, it covers up again. And then, the next generation will live on the foundations made by ourselves. I can compressively feel time that I cannot rationally grasp through my work and pile up the mud–plastered wall each layer. I hope that I will repeat the process as new stories will begin to unfold and be buried, and that I will have deep and wide eyes accordingly. After all, although we cannot help passing the fire of fate I remind of existence to move forward step by step by leaving our small traces behind and gathering up our power which is given every moment for survivors afterwards in order to remember the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성주영

정보경, 도파민최, 최정윤, 문평

03004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0길 40 82 2 391 9171 sejulgallery@empas.com www.sejul.com

Sung Juyoung

Joung Bokyung, Dopamine, Choi Jeongyun, Wen Ping

40, Pyeongchang 30–gil, Jongno–gu, Seoul, 03004, Korea 82 2 391 9171 sejulgallery@empas.com www.sejul.com

202

203


GALLERY SEOJONG A26

갤러리서종은 1998년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경기도 양평에 개관했다. 넓은 야외 전시공간을 갖춘 전원형 갤러리로 국내외 현대미술 작가들의 다양한 전시 행사와 이벤트가 이뤄진다. 개관 이후 여러 장르의 주요 작가 작품들을 폭넓게 전시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기획 전시와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유능한 한국 작가를 발굴하는 데 적극적으로 앞장서 왔으며, 의미 있는 기획전을 개최하려고 노력했다. KIAF, 화랑미술제 등 국내외 아트페어에도 활발히 참가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 작가의 해외 소개에도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이왈종 Lee Walchong, 제주생활의 중도, Golden Mean of Jeju Living, 2016, mixed media on korean paper, 60.6x72.7cm

갤러리서종

GALLERY SEOJONG opened in 1998. Located in Yang Pyeong, Gyeong Gi–Do, which is renowned for its scenic beauty, it is a garden–style gallery with a wide outdoor exhibition area. Many exhibition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ists are held here, along with various events. Since its opening, The gallery has exhibited the works of the major artists of various genres in Korean art scene in particular. The gallery also has been holding exhibitions and running various programs to promote the regional art. Having participated in various art fairs in and out of the country such as KIAF, Korea Galleries Art Fair and many more, We are currently planning to actively introduce the works of Korean artists to the international audiences.

이강소 Lee Kangso, From an Island 06104, 2006, oil on canvas, 130.3x162.2cm

직접적 인상으로도 읽을 수 있고 자동기술적 환기로도 읽을 수 있는 이강소의 회화는 주로 육지보다 물의 경치를 더 많이 다룬다. 그림에는 오리 등의 윤곽이 나타나고 마치 이강소의 서명을 써넣듯 이를 담아낸다. 그는 처음에 옅은 물감으로 넓은 붓질을 상하좌우로 구사한다. 차차 그 리듬이 빨라져 어떤 제스처는 지그재그를 이루고, 물살을 가르는 배처럼 뚝뚝 떨어지고 튕겨진 물방울을 자아내기도 하며, 클라이맥스에 도달한다. Lee Kangso’s painting can be understood as either a direct impression or as automatist stimulation, and features more waterscapes than landscapes. Lee renders minimalist figures of ducks or other such things as his signature. He first wields wide strokes in a light shade up and down and side to side. He then gradually picks up the pace so that some strokes zigzag while others drip or splash like a boat cleaving through the water, before reaching a climax.

이왈종의 생활공간이자 영감의 원천이라 할 수 있는 공간은 서귀포다. 그는 현실 공간이 무릉도원과 같은 낙원의 공간으로 오버랩되면서 현실과 환상이 어우러지는 독특한 세계를 펼쳐 보인다. 그의 필치로 인해 하잘것없는 일상이 무르익어가는 환상의 세계로 탈바꿈된다. The city of Seogwipo on Jeju Island is where Lee Walchong lives and i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him. In his painting, he creates a unique world where a real space overlaps with a paradise and reality and fantasy coexist. He turns an ordinary scene of life into a world of fantas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연주

장희정, 정충일, 이강소, 이왈종

12503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북한강로 711 82 31 774 5530 seojongart@hotmail.com www.seojongart.com

Park Yeonju

Jang Heejeong, Jeang Tchoongil, Lee Kangso, Lee Walchong

711, Bukhangang–ro, Seojong–myeon, Yangpyeong–gun, Gyeonggi– do, 12503, Korea 82 31 774 5530 seojongart@hotmail.com www.seojongart.com

204

205


GALLERY SESOM B24

갤러리 세솜은 한국 및 해외 현대미술의 흐름을 담아내는 다양한 국내외 작가를 초대해 기획전시를 하고 있으며 관람객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시각을 확장하고자 한다.

안영일 Youngil Ahn, WATER SLVG 15, 2015, oil on canvas, 228.6cmx203.2cm

갤러리세솜

GALLERY SESOM is hosting a special exhibition by inviting a variety of artists to reflect the flow of Korean modern fine arts. In addition, the gallery sustains its effort to introduce prestigious foreign artists with global presence to Korea. Through these exhibitions, we seek to provide a variety of opportunities not only for promising artists but also for their spectators and collectors as well.

김동유 Dongyoo Kim, Robert Schumann, 2018, oil on canvas, 46x46cm

안영일의 ‘물 Water’ 시리즈는 바다에서 빛, 물, 안개가 상호 작용하는 무한한 방법을 해석한다. 멀리서 보면 정적인 것처럼 보이고, 각각의 캔버스에서 평평한 표면은 단 하나의 강렬한 색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면, 그 스스로 어른거리는 빛과 모자이크 형태로 보인다. 두껍게 칠한 사각의 작은 점들은 무수한 파편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경계선을 넘나들게 하여 캔버스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역동적인 느낌을 준다. 그림의 표면에 흩어져있는 색의 밝은 부분이 물에 반사하는 빛의 효과를 모방하면서 프리즘 형태의 느낌을 발휘한다.

김동유는 프렉탈 이론 Fractal Theory 의 대가이다. 그의 작업은, 화면 위에서 상징적으로 포개고 나뉘어지다 다시 커다란 하나의 전체로 거듭 태어난다. (… …) 각개의 그릇으로 흩어지고 다시 하나로 거듭되는 소용돌이의 영원한 흐름이 바로 우주의 참모습이고 세상의 실상이자 인간의 삶이다. 작가의 그림은 이러한 지점을 간파하고 있다. – 간송미술문화재단 큐레이터, 이진명 〈부분과 전체가 구성하는 아름다움의 의미에 대하여(2014)〉, 갤러리세솜, 김동유 개인전

Youngil Ahn’s series ‘Water’ attempts to interpret the infinite ways in which light, water, and fog interact on the ocean. From a distance, the paintings appear static, each canvas a flat surface rendered in a single vibrant color. Up close, however, they reveal themselves to be shimmering and mosaic–like. Small squares of thickly applied paint conform to an uneven grid but threaten to spill over their boundaries, casting shadows on the canvas and creating the impression of movement. Bright flecks of color interspersed throughout the paintings’ surfaces lend a prismatic quality to the works, mimicking the refractive effect of light on water.

서문 발췌 Dongyoo Kim is surely the master of the fractal theory. His ability is symbolically combined and divided on the surface and form the whole again in the end. (… …) The artist even see through this point, not by the logical arguments but by the instinct. –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Curator, Lee Jinmyeong 〈About the beauty that the part and the whole compose(2014)〉, GALLERY SESOM, Dongyoo Kim Solo Exhibit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해열

안영일, 김동유

51429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239번길 38 82 55 263 1902 usa3981@hanmail.net www.gallerysesom.com

Jeong Haeyeol

Youngil Ahn, Dongyoo Kim

38, Yongji–ro 239beon–gil, Uichang–gu, Changwon–si, Gyeongsangnam–do, 51429, Korea 82 55 263 1902 usa3981@hanmail.net www.gallerysesom.com

206

207


GALLERY SKLO B16

갤러리스클로는 국내외 유리 조각가와 작품을 소개하기 위해 2003년 개관한 유리 전문 화랑으로, 전문화와 그를 통한 정체성 확보를 운영 철학으로 하고 있다. 장식품으로만 여겨지던 유리에 대한 인식을 진지한 미술문화로 유리미술이 현대미술의 한 분야로 확고히 자리잡는 데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신진 유리 작가를 포함하여 작가 발굴 양성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상민 Lee Sangmin, 조선 백자철화초화당초문 항아리 White Porcelain Jar with Grass and Flower and Scroll Design in Underglaze Iron(Joseon Period), 2017, plate glass engraved, 101.5x99.5x6cm

갤러리스클로

GALLERY SKLO is a specialized gallery in contemporary glass art that opened in 2003 to introduce glass sculptors and works from domestic and abroad, and runs on two major philosophies – specialization and building a solid identity based on unrivaled expertise in glass art. We will play a wider role in helping glass art, once seen as a simple ornament, solidify its standing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and discover artists including emerging artist.

Park Sungwon graduated from Kook–Min University in Seoul majoring in metalwork and graduated from Royal College of Art in London majoring in glass. He is considered to be the 1st generation of contemporary glass art of Korea and have greatly contributed to improve and expand contemporary glass art of Korea. 〈Man Sitting on the Bench〉 belongs to the figurative self–portrait series which began to appear in 2013 among his self–portrait series that passes through all the works of the artist. The face and body were made using a casting technique that makes a delicate expression possible, and the hair was naturally expressed through a blowing technique that utilizes gravity.

겹쳐 놓은 것이다. Choi Keeryong expresses the feeling of ‘unhomeliness’ he felt living in Britain by creating objects that do not belong to Britain nor Korea. His work, the mixture of the porcelain, which Koreans see as the symbol of Britain, and the Korean letters, which the British see as the symbol of Korea, is in fact the mixture of the porcelain, which is not British at all in the British eyes and the Korean letters, which are not Korean at all in Korean eyes.

편의 시와도 같다. The bowls carved in glass go beyond time and turn the moment into eternity and shine on every moment of life. Though it is a material, it is sublimated beyond substance, explores the nature of existence in the world, and creates an infinite experience of art. Lee Sangmin’s work of capturing the most refined moments is like a poem.

최기룡 Choi Keeryong, Korean Glass 18, 2015, blown glass, inlaid coloring technique, manufactured porcelain, 22x17x17cm

기법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했다.

최기룡은 영국 혹은 한국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오브제를 창조함으로써 영국에 살면서 느꼈던 어떤 친숙하지 않은 감정을 표현한다. 한국인이 보기에 영국을 상징하는 도자기와 한국을 상징하는 한글을 겹쳐 놓은 그의 작품은 실은 영국인이 보기에는 영국적이지 않은 도자기와 한국인이 보기에는 한글이 아닌 한글을

박성원 Park Sungwon, Man Sitting on the Bench, 2018, cast, blown and painted glass, steel, 46x50x40cm

박성원은 국민대학교에서 금속공예를 전공하고 영국왕립예술학교에서 유리를 전공하였다. 한국 유리 미술의 1세대 작가로서 조각과 설치 작업을 통해 공예에 머물러 있던 한국 유리 미술의 경계를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작품은 그의 작업 전체를 관통하는 ‘자화상’ 시리즈 가운데 2013년 이후 선보이기 시작한 구체적인 형상에 속한다. 얼굴과 몸은 섬세한 표현이 가능한 캐스팅 기법을 활용해 만들었고, 머리카락은 중력을 활용하는 블로잉

유리에 조각된 그릇들은 시간을 초월하여 순간을 영원으로 바꾸며 삶의 모든 순간을 찬란하게 비춘다. 또 물질임에도 물질성을 뛰어넘어 승화되고 세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며 예술의 무한한 체험을 끌어낸다. 가장 정제된 순간을 담아내는 이상민의 작업은 한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효정

최기룡, 김동욱, 김준용, 김남두, 이상민, 박성원

04591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16길 29 비컨힐빌딩 1층 82 2 2236 1583 sklo@gallerysklo.co.kr www.gallerysklo.com

Kim Hyojung

Choi Keeryong, Kim Dongwook, Kim Joonyong, Kim Namdoo, Lee Sangmin, Park Sungwon

Beaconhill Building 1F, 29, Dasan–ro 16–gil, Jung–gu, Seoul, 04591, Korea 82 2 2236 1583 sklo@gallerysklo.co.kr www.gallerysklo.com

208

209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A56

갤러리소헌은 1991년 대구시 중구 봉산동 문화거리에서 개관한 이래 지난 27년간 대구를 대표하는 화랑으로 회화, 조각,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장르의 미술을 소개하는 기획초대 전문화랑이다. 편협한 컬렉션이 아닌 다양한 콜렉터 층을 위해 한국의 정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에 함께 다가가는 다양한 동시대 현대미술을 소개한다. 현대미술의 세계적 흐름을 살피는 동시에 현재와 미래를 함께 대비하는 화랑이 되고자 한다. 아울러 젊은 신예 작가의 발굴과 후원, 나아가 아방가르드한 작업에 매진하는 중견작가 소개에도 주력한다. Since the opening exhibition of 1991, GALLERY SOHEON has been showing Korean contemporary art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various aspect and remarked individuality of contemporary art. Recently, GALLERY SOHEON has views on the distinguished and looked promising Asian artists of China and Korea in the international biennale and art fairs, and also makes an effort to introduce Korean contemporary art to USA, Europe, etc. through international exchange exhibitions and international art fair. From now on GALLERY SOHEON tries to concentrate on making various network through diverse interchange exhibitions and international art fair.

컬러 밴드의 독창성을 통해 나타낸다.

뉴 델리에 기반을 둔 예술가 파하드 후세인은 ‘가장 복잡한 관계’란 바로 도시 속 소비지상주의와 자본주의 사회에 의해 형성된다고 믿으며, 그의 그림은 이러한 갈등을 중심으로 표현한다. 유머러스한, 때로는 도발적인 인물과 장면들은 본질적으로 모호하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과 늘 가지고 있던 고정 관념에 대한 의문을 갖게 만든다. 역동적인 색상, 그림 속에 나타난 직조 패턴, 밝은 배경은 이 예술가의 트레이드마크. 옷감을 표현하는 템페라 기법은 그의 의도대로 색의 선명함을 두드러지게 한다. 또 구조적으로 그는 미니어처 그림, 칼리가트 패츠, 동양적 디자인, 미디어와 대중문화로부터의 팝적인 이미지와 같은 다방면에 걸친 요소들의 조화를 통해 다양한 작품세계를 선보인다. New Delhi–based artist Farhad Hussain believes that the most complex areas of relationships are nurtured by an urban, consumerist and capitalist society and his paintings bring these areas of conflict at the forefront. The humorous (sometimes provocative) figures and scenes are ambiguous in nature and make us question the concepts and stereotypes we are living in. The vibrant colours, textile patterns and bright backdrops are a trademark of the artist; while tempera on cloth is his medium of choice, as it allows him to achieve the desired vibrancy of colours. Structurally, he incorporates various elements from miniature paintings, Kalighat Pats, oriental designs and images from the media and pop culture to create an eclectic rhetoric on multiple levels.

디터 발처가 작업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어떠한 질서가 그것의 가장 순수한 형태에 다다르지 못할 때나 스스로 붕괴될 것 같은 순간에 집중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그가 자각된, 폐쇄적인 예술가들의 질서를 불신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그는 완벽한 대칭과 통일된 패턴, 색의 부재나 융통성 없는 아카데미즘적 체계에 대한 굴복이 정통성에 대한 필요는 충족시키고 있지만, 더는 현대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A central element of the work is dedicated to research into that moment when order has not reached its purest form or when order itself starts to topple. This is so because of the artist’s mistrust of closed (perceptual) systems. He suspect that total symmetry, completely uniform pattern, the absence of color or its submission to a rigid system fulfill legitimate needs, but are no longer contemporary. 디터 발처 Dieter Balzer, Manga, 2012, MDF, adhersive film, 40×40×5cm(each)

‘Saektti geu–lim’ or ‘color–band’ artist. “Well–known artist as ‘saektti geu–lim’ or ‘color–band’ started her work from originary awareness of essence in abstractive painting and was influenced by Jackson Pollock and painter Ha Indoo. Artcritic Kim Jongkeun commented on her work ”Particularly curved color–band by the hot action–painting of Jackson Pollock and by greatness of noble color field abstract painting by Mark Rothko, and categorically affected by abstract DNA of the famous abstract painter Ha In–doo who is her father“, he said. And her creativity was signified in that the artist expresses message of abstract language through the color and unusual experience of the shape.

하태임 Ha Taeim, 통로 Un Passage No.181001, 2018, acrylic on canvas, 130x162cm

‘색띠 그림’ 혹은 ‘컬러 밴드’로 잘 알려진 하태임. 미술평론가 김종근은 그녀의 작품이 “추상회화의 근원적 인식에서 출발했으며, 잭슨 폴록과 하인두 화백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굽은 색띠는 잭슨 폴록의 뜨거운 액션페인팅과 마크 로스코의 숭고한 색면추상의 위대함으로 만들어졌고, 비구상 화가였던 아버지 하인두 화백의 추상 DNA로부터 절대적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녀는 색을 통해 추상적 언어의 메시지를 표현하고 색다른 조형적 경험을

파하드 후세인 Farhad Hussain, Couple with Horses, 2016, acrylic on cavas, 121.8x182.8cm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원창호, 이옥선

백진, 디터 발처, 파하드 후세인, 하태임, 이계원, 이태경, 박동수, 임소아

41959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34 82 53 426 0621 art422@hanmail.net www.gallerysoheon.com

Won Changho, Lee Oksun

BAEKJIN, Dieter Balzer, Farhad Hussain, Ha Taeim, Lee Kewon, Lee Taekyoung, Park Dongsoo, Yim Soah

34, Bongsanmunhwa–gil, Jung–gu, Daegu, 41959, Korea 82 53 426 0621 art422@hanmail.net www.gallerysoheon.com

210

211


GALLERY SP A81

갤러리에스피는 1989년 국내 최초의 판화 공방인 서울판화공방을 모체로 활동을 시작, 1998 년 강남구 청담동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본격적인 화랑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2006년에는 신사동 가로수길 근처로 이전하여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매체의 현대미술 작품을 전시·기획·판매했다. 현재 이태원동에 위치하여 공간을 탈바꿈하고 있다. 특히 동시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국내외의 중견작가와 신진작가를 중심으로 작품을 전시하고, 국제 아트페어를 통해 이들의 작품을 세계에 알린다. 또 대형 공간에 미술품을 설치하는 등 아트 컨설팅을 수행한다. GALLERY SP started as the Seoul Printmaking Studio, the first printmaking studio in Korea in 1989, and moved to Cheongdam–dong, Gangnam–gu in 1998 to become a full–scale gallery. In 2006, Gallery relocated to the Shinsa–dong boulevard and exhibited, planned and sold contemporary artworks in various media including paintings, sculptures, prints, and ceramics. Now we located in Itaewon. We are focusing on exhibiting works centered on domestic and foreign contemporary art. We are showing their works to the world through the International Art Fair. Since 2000, we have been consulting artworks in large spaces such as hotels, And has been performing art consulting continuously. We prefer works with originality of the work and the identity of the artist. The discovery of new artists has also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keyword, but the recent GALLERY SP has an interest in works of old artists. We are planning an exhibition to connect the young artist who is about to create the discourse of art and the middle artist who is constructing the working world of her own and to re–examine the medium artists who have not been noticed in the art world.

존 발데사리는 회화, 사진, 판화 조각, 영상, 퍼포먼스,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자신의 그림을 불태우는 도발적인 작품을 선보여왔다. 그의 60년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특징은 크게 두 가지다. 대중매체의 이미지를 차용하고, 사진과 텍스트를 조합하는 것이다. 이미지 과잉의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가로서 발데사리는 영화 스틸, 광고, 신문, 잡지, 고전 명화를 수집하고 복제해 확대, 변형하거나

문연욱은 다른 물성을 지닌 재료들의 결합으로 이질적인 부조화에서 오는 관계성을 보여준다. 아름다운 색으로 위장한 개체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개체들이 내포하는 불안정에 대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교묘하게 숨긴다. 이 모든 표현 방식은 유머와 위트로 둔갑하는 과정이며, 두려움이나 불안함을 숨기며 겉으로 표현하지 않은 채

텍스트와 병치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John Baldessari has shown provocative works such as ‘Makeup Project’, ‘Photo Text’ and ‘Text Painting’ which burns his paintings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paintings, photographs, prints, angles, images,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s.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that penetrate the world of his 60s. Borrowing images from the media, and combining photos and text. As an artist who lives in an era of image overload, Baldesari is a strategy to collect, duplicate, enlarge, transform, or juxtapose text with film stills, advertisements, newspapers, magazines and classical movies.

삶의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하는 우리의 모습과도 닮았다. Moon Yunwook shows the relationship of heterogeneous incongru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materials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Individuals disguised as beautiful colors are cleverly hiding the observer from recognizing the instabilities that individuals have. All of these expressions are humorous and witty, resembling ours as we try to balance life without expressing fear or anxiety. 존 발데사리 John Baldessari, Hegel’s Celler, 1986, photogravure, aquatint, spitbite, softground, drypoint sanding, 56x76cm

황용진 Hwang Yongjin, My Landscapo–18223(Art is), 2009, oil on canvas, 91x116.8cm

황용진은 무의식적으로 지나치는 풍경을 간결하고 담백한 시선으로 보여주는데, 이 이미지들은 작가의 물리적 위치 밖에 있는 풍경이며 그가 배제된 풍경이다. 그가 속해 있는 공간이 아닌 그저 스쳐 지나가는 공간이기 때문에 풍경들은 뚜렷하지 않고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황용진은 타자화된 풍경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해, 다른 이의 삶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문연욱 Moon Yunwook, STOP TEASING ME wall poece No.17, 2018, cerramic, wood, stainless, string, 150x150cm

갤러리에스피

The artist unconsciously Shows the passing scenery in a concise and clear view. These images are landscapes that are outside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artist, and the landscapes in which the artist is excluded. The scenery is unclear and contains uncertainty because it is just a passing space, not a space to which the artist belongs. Hwang’s work shows through the typed landscape, he came to think about his life and about the lives of other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은숙

황용진, 시무라 브라더스, 지훈 스타크, 존 발데사리, 마사히코 츠보타, 문연욱

04346 서울특별시 용산구 회나무로 44가길 30 1층 82 2 546 3560 gallerysp@daum.net www.gallerysp.com

Lee Eunsook

Hwang Yongjin, SHIMURA Bros, Jihoon Stark, John Baldessari, Masahiko Tsubota, Moon Yunwook

1F, 30, Hoenamu–ro 44ga–gil, Yongsan–gu, Seoul, 04346, Korea 82 2 546 3560 gallerysp@daum.net www.gallerysp.com

212

213


GALLERY SU: B62

갤러리 수는 2016년 청담동에 처음 개관 이후, 2017년 9월 문화예술의 메카인 삼청동으로 이전하여 국내에서 유일하게 중국 동시대 예술에 대한 차별화된 전문성과 방향성을 가지고 수준 높은 전시를 선보이며 인지도와 영향력을 높여왔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동시대성을 대변하고 국제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국내외 작가들을 선별하여 한국에 소개하고, 장기적이고 전문적인 작가 프로모션과 차별화된 전시 기획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한다. 현대미술의 동향을 파악하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한국과 중국의 역량 있는 차세대 작가들이 국제적인 미술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또 활발한 프로그램과 소통을 통해 급변하는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숙지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도록 국내외 미술 전문가들과 기관 및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소통의 장을 선보이며 글로벌 대중과 교류하고자 한다.

자오이치엔, Zhao Yiqian, Pigeon, 2017, oil on canvas, 90x60cm

갤러리 수

GALLERY SU: was founded by Suhyun Kim who has been actively engaged with exhibition plans and management of Eastern contemporary Chinese artists at the center of the art market in China since the early 2000s. Suhyun Kim, after graduating from the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with a Master’s degree, worked as a curator of Culture Division of E–Land, Head Specialist in Seoul Auction and Director of ARARIO GALLERY in Beijing. She has also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Chinese art market for around 15 years. Currently, she has founded her own gallery in Seoul to represent contemporary Chinese artists as well as Korean/Western artists in Korea based on her experiences of rapid growing Chinese art scenes and global networking. GALLERY SU: will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and provide insights into long–term planning, promotion, collaboration with companies and art consulting for young contemporary Chinese artists in Korea. In particular, GALLERY SU: seeks to introduce next–generation Avant–Garde Chinese artists in Korea as well as other foreign artists.

지엔처, Ce Jian, ASQ Aqua, 2018, acrylic, enamel, marker, oil crayon on canvas, 150x150cm

지엔처는 기술적인 이미지 반영이 구성적인 규칙과 풍부한 도상을 지닌 대상의 클래식 회화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이런 이유로 종종 실제 캔버스 크기나 공간의 상황과 관련해 컴퓨터 모델, 그래픽, 지도뿐만 아니라 미술사를 회화에 연관 지어 분석하고 적용한다. 디지털 데이터와 심상 앞에서 회화라는 매체가 시대착오적으로 보일지라도 페인팅의 평면적인 부동 상태, 물리적 경직, 근본적인 비–정밀성은 작가를 매료시키는 대비를 자아낸다. 기술적인 이미지의 부호화된 형식 체계 그리고 필연적인 회화 요소 간의 접점들 (원근감, 왜상화법, 가상 공간 등)은 그녀의 작업에 있어 중요한 요소다. 기술적인 이미지를 통해 묘출한 개념론적 아이디어(혹은 페인팅 내에서 통제된 기하학적 비율)와 회화가 시각적으로 자아내는 다듬어지지 않은 복잡성(혹은 현실 그 자체) 간의 본질적인 긴장 상태는 끝나지 않을 문제다.

Ce Jian explores the impact of the absorption of technical imagery has on classical pictorial concepts with their compositional syntax and rich iconography. For this, the artist often relates to art history as well as computer models, graphics or maps, analyzing and adopting them in order to build a pictorial structure in correlation with the actual canvas size or room situation. While painting seems even more anachronistic in the face of digital data and visualizations, its two–dimensional inertness, material sluggishness and essential imprecision create contrasts that fascinate her. The intersections between coded formal systems of technical images and logical elements of painting – such as perspective, anamorphosis and virtual space – are important aspects in Ce Jian’s practice. The fundamental tension between the conceptual idea represented in the technical image (or painting’s controlled, geometrical “ratio”) and the untamed complexity of visual phenomena in painting (or “reality” itself) is an inexhaustible problem – it is what makes this analog medium still versatile and interesting for me.

자오이치엔은 개인적인 경험에 기반해 그가 사로잡힌 오브제들과 인간의 감정을 표현한다. 작가는 마치 만화경을 통해 관찰한 듯이 이성적인 분석을 통해 만물의 질서에 접근한다. 그의 작업은 시각적으로 기억을 재현하며, 이미지와 상황, 시공간, 현재와 과거 사이의 관계를 해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작가는 이미지 선별 및 배열을 창작 과정에서 고립시키는 대신 문화적 관계망에 통합하며 회화에 새로운 비유적 의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이미지 사용으로 작가는 형태를 재현하기 보다는, 분열된 이미지를 다시 설계하고 역사적인 이미지와 현실의 스펙터클 사이에 존재하는 일련의 의미들을 밝혀냄으로써 현실에 대한 인식을 역사적 기억과 연결 짓고, 개인 경험과 문화적 풍자를 결합한다. 익숙하지 않은 이미지와 익숙한 이미지를 연결 지으며 새로운 형태의 내러티브를 그려내고자 한다. 작가는 개별적인 회화 양식을 강조하는 동시에 기존 회화에 미사여구를 더하며 내러티브적인 회화 방식을 이끌어낸다. Zhao Yiqian sets out from individual experience to convey obsessions with objects and the warmth of human sentiments. He approaches the order of things with rational understanding and analysis, as if sifting and filtering through a kaleidoscope. His works place great emphasis on the visual re–creation of memory, an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mage and situation, time and space, past and present, and metaphor and reality. In his creative process, his formal selections and arrangements of images are not isolated, but instead aimed at drawing them into a set of cultural relationships, best owing painting with new allegorical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appropriation and revision. Of course, his ‘appropriation’ of images is not to reproduce their form but to recode fragmented images and unearth the chains of significance between historical images and the spectacle of reality, to link perceptions of reality to historical memory, integrate individual experience and cultural allegory, and fuse estranged images with familiar images in order to construct a new form of painted narrative. He drives this visual logic and narrative structure in a way as to emphasize an individual painting form, while also adding to the rhetoric of painting.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수현

김성수, 지엔처, 자오이치엔, 최요셉, 리칭

03054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길 42 82 70 7782 7770 info.gallerysu@gmail.com www.gallerysu.net

Su H. Kim

Kim Sungsoo, Ce Jian, Zhao Yiqian, Choi Joseph, Li Qing

42, Palpan–gil, Jongno–gu, Seoul, 03054, Korea 82 70 7782 7770 info.gallerysu@gmail.com www.gallerysu.net

214

215


B39

갤러리토무라는 1989년 긴자에 설립되어 2006년 교바시로 이전했다. 갤러리는 근현대 미술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나라의 젊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며 그들의 작품을 컬렉터, 기업, 미술관등에 소개한다. 갤러리의 디렉터 토무라 리키야의 아내는 서울에 있는 갤러리를 관리하며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서로 협력한다. 이를 통해 한국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일본과 한국 작가들을 소개한다. 디렉터 토무라 리키야는 “2018 KIAF에 참여하게 된 이유는 2012년, 2013 년 KIAF에 참여했을 당시 큰 만족감을 거두었고, 더 나아가 갤러리의 아티스트들을 한국의 컬렉터들에게 소개하기 위함입니다”라고 전했다. GALLERY TOMURA was established in Ginza, 1989 and has moved to Kyobashi in 2006. The gallery focus o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ALLERY TOMURA presents the exhibition of young artists from various countries to promote their works to collector, company, and museum. The director of the gallery, Rikiya Tomura,’s wife manages a gallery in Seoul, co–working as a business partner. With the close relation to Korea, GALLERY TOMURA introduces Korean/Japanese artists alternately. Rikiya Tomura says, “The reason I am participating in KIAF 2018 is that I participated in KIAF 2012 and 2013 with great satisfaction and wanted to introduce our gallery’s artists to Korean collectors.”

Song Yongwon’s works are to make a specific shape using wire and thread. It resembles a painting act of drawing in an empty space. The drawings drawn by charcoal or conte look like pictures but looking closely,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angled with a number of thread and wire. The painting, of course, exists dimensionally in a space. But it consists of many lines rather than materials with mass or volume. The line is painting element, and the line here approaches to a viewer as a special material while swimming the space and being accumulated. Of course, it is a mass with holes. So eyeing penetrates into the material. It gets out of the shape far away. Eyeing cannot sit on the surface of material and gradually escapes the holes, thus hitting the wall. Lines accompany time and illuminate the whole process of work relatively transparently. The arduous process of welding wires with black threads is a work that shows a boundless time passage.

모리무라 치시는 1988년 일본 사이타마에서 태어나 2009년 조시비미술대학 유화과를 졸업했다. 그녀는 캔버스 대신 강가에 떠밀려온 표류목에 작업하며, 작업에 쓸 표류목은 강가에서 직접 구해온다. 작가는 표류목을 잘라 단면을 보면서 작품 이미지를 구상한다. 그녀의 작품은 아시아에서 특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송용원 Song Yongwon, Being in The World+Corset, 2016, hot glue, wire welding, stitching, thread, wire netting, urethane coating, 24x9x8cm

다카마츠 카즈키 Takamatsu Kazuki, Let’s Get Started, 2018, acrylic, acrylic gouache, medium, gesso, giclee on tarpaulin, 72.7x60.6cm

다카마츠 카즈키는 1978년 일본 센다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드로잉, 에어브러쉬, 과슈 등 고전적인 재료를 컴퓨터 그래픽과 결합하는 독특한 깊이 매핑 depth mapping 기법을 개발하여 한번 보면 쉽게 잊혀지지 않는 흑백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며, 이를 통해 죽음과 사회라는 내러티브를 탐구한다. 최근에는 해외에서 주로 작업하며 12개국 30개 이상의 도시에서 전시에 참여했다. 지난 5월에 로마, 6월에는 런던에서 개인전을 마쳤으며, 내년 1월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인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송용원은 철사와 실을 사용해 구체적인 형상을 만들어 보인다. 마치 빈 공간에 드로잉을 하는 듯한 그의 행위는 회화적인 행위와 닮았다. 작품은 목탄이나 콘테로 그린 드로잉처럼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수많은 철사와 실로 뒤엉킨 입체로 존재한다. 그의 작품을 이루는 선은 공간을 유영하고 축적되어 구체적인 물질로 다가온다. 관람객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그 물질을 관통한다. 때론 선 너머로 시선이 옮겨져 시선은 물질의 표면에 안착하지 못하고 구멍 사이로 조금씩 빠져나가 벽에 부딪힌다. 이렇듯 선은 시간을 동반하고 작업의 전 과정을 비교적 투명하게 비춘다. 철사와 실을 사용한 일련의 과정은 끝없는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

모리무라 치시 Morimura Chishi, Treat, 2018, acrylic, shell powder, cheesecloth on draft wood, 19x30x8cm

GALLERY TOMURA

Takamatsu Kazuki was born in Sendai, Japan in 1978. Takamatsu’s haunting black and white imagery explores narratives of death and society, through a unique depth mapping technique that he developed, in which classic medium such as drawing, airbrush and gouache painting are combined with computer graphics. Recently, his work field is mainly abroad and he has participated in exhibitions in more than 30 cities,12 countries. He has finished the solo show at Rome in May and London in June. He will hold the solo show at LA in January, 2019.

Morimura Chishi was born in 1988 in Saitama, Japan. She graduated the department of oil painting at Joshibi college of art and design in 2009. She paints on the driftwood instead of the canvas and she goes to the river to find the driftwood by herself. Morimura Chishi gets the image when she cuts the wood and sees the section of it. Her work is well received, especially in Asia.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토무라 리키야

다카마츠 카즈키, 모리무라 치시, 송용원

104–0031 일본 도쿄 추오구 교바시 2–8–10 마루차빌딩 지하1층 81 3 3564 0064 info@gallery–tomura.com www.gallery–tomura.com

Tomura Rikiya

Takamatsu Kazuki, Morimura Chishi, Song Yongwon

Marucha Building B1, 2–8–10 Kyobashi, Chuo–ku, Tokyo, 104–0031, Japan 81 3 3564 0064 info@gallery–tomura.com www.gallery–tomura.com

216

217


A40

도쿄에서 1983년 문을 연 갤러리츠바키는 매년 약 30개의 프로젝트를 전시해 주목할만한 아티스트들을 소개하고 있다. 잘 알려진 기성작가뿐 아니라 신진 유망작가들에게도 기회를 주고자 디렉터의 날카로운 감식안으로 선별한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갤러리츠바키는 끊임없이 변하는 트렌드에 좌우되지 않고 그 가치가 변하지 않는 아티스트와 작품들을 소개한다. 시간을 뛰어넘는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디렉터는 제1회 KIAF에서 개최되었던 〈일본현대미술특별전〉이 특히 기억에 남아 2018년 KIAF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아사기 나츠메는 풍부한 색과 무거운 질감을 통해 약간의 열병을 앓고 있는 여성을 그린다. 여러 층으로 칠해진 색과 마티에르 때문에 작품은 엄숙하면서도 고요하다. 마치 배경에 녹아들 듯이 묘사된 사람들은 완전한 형체를 갖지 않으며 표정과 세부적인 모습은 명확히 볼 수 없다. 그림은 관객으로부터 저 너머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것을 일깨우며 의식이 짙은 색감 속에 흡수되는 듯한 느낌을 준다.

GALLERY TSUBAKI was founded in 1983 in Tokyo. Every year, the gallery exhibits around 30 projects to introduce remarkable artists. The gallery sees it as its duty to not only present well known established artists bu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skilled and promising artists. The exhibited artists are chosen based on the director’s keen ability. GALLERY TSUBAKI introduces artists and works that seem to be goo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current trend because trend always changes. The gallery aims for aesthetics with universality and attractiveness beyond the times. The director of the gallery says that the Japan 〈Contemporary Art Special Exhibition〉 held at 1st KIAF is one of the memorable episodes for the gallery, which is the reason the gallery is participating in KIAF 2018.

Asagi Natsume draws a female having a slight infatuation, using abundant colors with heavy Matière. Due to the matière and the colors that have been made with multiple layers, the work has grave yet serenity. The people drawn are not perfectly drawn: it is as if they are melt into the background, so the expression and the details are not clear. It makes us realize that something exists out there and also makes us feel the sense that our consciousness is absorbed by rich colors.

Mayuka Yamamoto is drawing a boy as if the boy were fused into animals. Her work continues to change little by little. In her work shown in this exhibition, the boy has been more deformed and a three–dimensional effect is observed from the outline of the face and the shadow appearing on the eyeball. Her work makes us stop and reminds us a sense of incongruity and cuteness at the same time. When we face the gaze of the boy in the work, various emotions should be evoked.

아사기 나츠메 Asagi Natsume, Nights Out –Savage–, 2017, oil on canvas, 91×65.2cm

속 아이의 얼굴을 보면 다양한 감정이 생겨난다.

마유카 야마모토 Mayuka Yamamoto, Blue Bear Hat, 2018, oil on canvas, 116.7x90.9cm

마유카 야마모토가 그리는 남자 아이는 마치 동물에 융화된 것처럼 보인다. 그녀의 작업은 계속해서 조금씩 변화해간다. 본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 속 남자아이는 더욱 변형되었으며 얼굴의 윤곽과 안구에 맺힌 그림자를 통해 보다 입체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작업은 관객을 멈춰 세우며 부조화와 귀여움을 동시에 떠올리게 한다. 그림

치카 핫토리 Chika Hattori, Be My Last, 2010, oil on canvas, 91x72.7cm

GALLERY TSUBAKI

핫토리 작품의 특징은 과감한 배치에서 사물을 이끌어내는 기술과 색채의 그러데이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작품 속 꽃은 그러데이션으로 색과 빛을 드러내기 위해 표현되었으며 세부적인 묘사는 배제되었다. 이 작품은 민감한 색감을 통한 빛에 대한 묘사로 볼 수 있다. 아름다운 색의 향연 속에서 관객은 그려지지 않은 디테일한 면까지 보게 될 것이다. The feature of her work lies in the technique of raising things out of bold placement and color gradation. In this work the flower is expressed in order to exhibit colors and lights by gradation and the details are omitted. Her work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on of light by a sensitive sensation to color. In the beautiful colors, we will be able to see even details that are not draw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히로야 츠바키하라

치카 핫토리, 김태혁, 이윤복, 아사기 나츠메, 마유카 야마모토, 유우키 야나기사와

104–0031 일본 도쿄 추오구 교바시 3–3–10 1층 81 3 3281 7808 gtsubaki@yb3.so–net.ne.jp www.gallery–tsubaki.net

Hiroya Tsubakihara

Chika Hattori, Taehyuk Kim, Yunbok Lee, Asagi Natsume, Mayuka Yamamoto, Yuuki Yanagisawa

1F, 3–3–10 Kyobashi, Chuoh–ku, Tokyo, 104–0031, Japan 81 3 3281 7808 gtsubaki@yb3.so–net.ne.jp www.gallery–tsubaki.net

218

219


GALLERY YEH A54

예화랑은 1978년 개관한 이래 한국 근현대미술의 역사와 함께한다. 강남 지역 최초 갤러리로 문화의 중심지이자 최신 트렌드를 이끄는 가로수길의 발전과 함께 했다. 창의적 예술가들과의 전시 기획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대중과의 교감에 힘써왔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적으로도 한국 미술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다.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기업과의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통해 미술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키는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최근 2018 평창동계올림픽 문화 ICT관에서 열린 〈라이트 평창 빛〉 전시 연출을 했다.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은 컵, 의자, 시계 등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하고 익숙한 사물들을 몇 개의 단순한 선과 순도 높은 원색을 사용하여 특별하고 매력적인 대상으로 바꾸어 친근하면서도 감각적인 화면을 구성한다. 현대사회의 대량생산품을 소재로 하되, 각 사물이 가진 공통적인 성질을 추려내어 보편적인 형상으로 환원한 그의 작품은 사물 자체보다는 사물에 대한 개념에 집중하도록 한다.

Founded in 1978, GALLERY YEH has been walking alongside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s the first gallery established in Garosu–gil, Gangnam area, the hub of Gangnam culture well–known for leading the latest trends, it embodies expertise in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through diverse shows and programs. It also contributes to fostering the latest cultural streams, and striving to inform Korean art to the world among global networks. It also has been working on public arts and collaborative projects with corporations as part of its marketing activities. In 2018, GALLERY YEH curated a special exhibition entitled 〈Light PyeongChang〉, at the Culture ICT Hall, a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Michael Craig–Martin creates works composed of simple ordinary objects in our lives, such as cups, chairs and watches. These common and familiar objects are transformed into unusual and unique objects with minimal lines and vivid colours. Mass production of modern society is not only the targets of his work progression but also extracts common features from each of them. His works make audiences consider the original form of the object in all of its aspects.

Yi Hwankwon’s sculptures are skewed figures and objects in contrast to normal surroundings. His sculptures of elongated bodies give out the impression of movies – sizes of which are reformatted for another form of media. As such, his way of expression is to invoke a sense of oddity and dizziness while he reveals the border of perceptions between the real and virtual realms.

나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 중 하나는 도넛이다. 그 형태의 단순함과 맛은 나에게 어린 아이 같은 행복의 순간을 안겨준다. 또한 도넛은 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가장 완벽한 도구이기도 하다. – 김재용 One of the few things that brings me joy is a donut. The simplicity of its shape and expression of taste gives me a brief moment to indulge in childlike happiness. It is here in this simple donut that I find the perfect vehicle for my message. – Jae Yong Kim 김재용 Jae Yong Kim, 400% Milk CoCo, 400% Raining Yellow, 2018, f.r.p urethane hand painted, 1000x940x 360cm(each)

이환권 Yi Hwankwon, 중학생 지성 Middle School Student Ji–Sung, 2018, pigment hand painted f.r.p, 141.5x20x27cm

이환권의 왜곡된 형태의 인물 조각은 일상 풍경에서 낯선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 사람을 세로로 길게 늘인듯한 그의 조각은 영화 화면을 텔레비전에서 보여줄 때 바뀐 포맷으로 인해 일그러진 형태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의 표현방식은 실제 세계와 가상세계를 구분하는 인식의 경계를 넘나들며 관람자에게 보는 시점에 따른 기묘함과 어지러움을 느끼게 한다.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Michael Craig–Martin, Coffee Cup(fragment), 2015, screenprint, 90x90cm

예화랑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승희, 김방은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김재용, 이환권

06028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2길 18 82 2 542 5543 yehgallery@hanmail.net www.galleryyeh.com

Lee Seunghee, Kim Bangeun

Michael Craig–Martin, Jae Yong Kim, Yi Hwankwon

18, Apgujeong–ro 12–gil, Gangnam–gu, Seoul, 06028, Korea 82 2 542 5543 yehgallery@hanmail.net www.galleryyeh.com

220

221


GALLERY YOON A48

법관 Bup Kwan, 선 Zen, 2018, acrylic on canvas, 162x130cm

1980년에 부산에서 ‘지음당 화랑’으로 출발했고, 1998년 서울 인사동으로 이전하면서 갤러리윤으로 재개관했다. 갤러리윤은 오랜 경륜을 기반으로 전통과 현대를 구분하지 않고 서로 다른 시대가 교차하며 다양한 작업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갤러리윤

The gallery first opened its doors in Busan in 1980 as JIEUMDANG GALLERY, later reopening as GALLERY YOON in 1998 after moving to Insa–dong in Seoul. Based on its years of experience in the art world, GALLERY YOON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nd it is a space where different eras intersect and a wide range of artworks coexist in harmony.

법관의 단색화 작업은 청색이나 적색, 회색 등 단색을 통해 순수한 추상의 세계에 육박해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세상을 완상하는 가운데 잡다한 세속의 그림자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그의 예술의지는 오로지 투명한 세계를 관철시킴으로써, 유명 有名에서 무명 無名을 얻으려 함일 것이다. 그의 작품에 드러난 형 形들이 그러하니, 과연 가로와 세로로 무수히 겹쳐 포개진 선들의 수많은 다발은 그것을 그을 때 기울인 공력도 공력이거니와, 그 시각적 결과 또한 장엄하다 할 것이다. – 미술평론가, 윤진섭 The dansaekhwa, or monochrpmatic painting technique of Ven. Bup Kwan means an approach to a pure world of abstraction via an only and single color, like blue, red or gray. Amidst the appreciation of the world, the will of the monk painter who struggles to escape from the shadows of the miscellaneous mundane world would exclusively by attaining a transparent world. So do the forms which are revealed in his pieces. A slew of bundles of the overlapping stacks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in countless numbers is the by–product of his hard endeavor made when drawing those lines. Also, its visual outcome would be also mafnific. – Art Critic, Yun Jinseob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윤용철

법관, 조현애

03146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0길 7 82 2 738 1144 yoongallery@hanmail.net www.galleryshilla.com

Yoon Yongchull

Bup Kwan, Cho Hyunae

7, Insadong 10–gil, Jongno–gu, Seoul, 03146, Korea 82 2 738 1144 yoongallery@hanmail.net www.galleryshilla.com

222

223


GANA ART GALLERY A53

1983년에 설립된 가나아트센터는 지난 35년 동안 국내외에서 다양한 기획전시를 진행했을 뿐 아니라, 국제적인 행사에도 꾸준히 참여하며 미술문화의 발전과 한국미술의 국제화를 위해 노력했다. 특히 한국의 대표적인 현대미술갤러리로서 대중에게 국내 미술가들의 실험적인 작품을 소개하고, 세계적인 미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함으로써 한국 미술문화 발전에 지속해서 기여하고 있다. 오랜 기간 성공적인 전시를 기획해온 가나아트센터는 전시의 영역을 실내에서 실외공간으로 확장한 공공미술 프로젝트 또한 기획한다.

박영남 Park Yungnam, Cloudy and Cool, 2017, mixed media on paper, 76x56cm

Park, light is color. Composing his picture–planes only with colors, rather than representing figures, he explores the origins of nature through abstraction. According to the artist, his paintings absorb all the sunlight during the day, and beam out that light in the dark, like the moon. As for his act of painting with his hands, he calls it “talking to the world.” Also known as the “finger painting artist,” Park makes this exploration with the most primitive tool—his hands. In this process he feels the canvas surface texture directly on his fingertips, and this allows him to complete the natural interaction among the painting, spectators and himself by focusing on and revealing the materiality of paint and canvas.

Youn Myeungro attempted to seek harmony between different media by using acrylics and traditional ink together in the same work. By exploring the materiality of paint and the act of paint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ttempting to graft past and present, and East and West, Youn Myeungro has presented an expanded world of painting. As revealed in his comment, “I paint between Cezanne and Gyeomjae,” Youn wants to position his work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East and West. 윤명로 Youn Myeungro, Windy Day MXV–207, 2015, acrylic, iridescence on linen, 181.5x227cm

Founded in 1983, GANA ART GALLERY is one of the first major art galleries established in Korea. We remain one of Korea’s most prestigious and influential art institutions today. GANA ART GALLERY is primarily a contemporary art gallery. Yet, we have curated exhibitions covering a wide range of genres including modern/ impressionist, contemporary, and various art scenes from established to emerging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GANA ART GALLERY also organized public art projects, that is, suggesting outdoor sculptures, arranging installation works. GANA ART GALLERY continues to develop and make efforts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in the global art market.

박영남은 형상을 재현하지 않고 오로지 색채만을 활용한다. 이러한 추상적 화면은 빛 그 자체이자 자연의 근원이다. 그는 햇빛을 잔뜩 머금은 자신의 그림을 가리켜 어둠 속에서는 달과 같이 그 빛을 내뿜는다고 말했다. 핑거 페인팅 화가로 불리는 그는 가장 원시적인 도구, 바로 손을 사용하여 자연의 근원에 다가가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작가는 캔버스 표면의 요철을 손끝으로 느끼며 물감과 캔버스 자체의 물성 物性에 집중하는데, 이는 그림과 자신 그리고 관객과 자연스러운 상호 교류를 완성하기 위해서이다.

윤명로는 아크릴 물감과 수묵을 함께 사용하여 매체 간의 조화를 시도한다. 오랜 기간 물감의 물성,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탐구함으로써 과거와 현재 그리고 동양과 서양의 접목을 시도하며 확장된 회화를 선보인다. 그는 세잔과 겸재 사이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듯이 이 작품은 서양과 동양, 그 접점을 표상한다.

오수환 Oh Sufan, Dialogue, 2016–2017, oil on canvas, 227x182cm

가나아트갤러리

오수환의 작업은 동양 철학에 바탕을 두고 있다. ‘무위’라는 노자의 말처럼 동양과 서양을 오가고 순환하며, 보편적 정서와 새로운 경험 사이를 오간다. 추상적인 드로잉은 40년 동안 이어지는 화업의 시간 속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무위’의 세계인 것이다. 한편 추상화면은 질감이 드러나도록 두껍게 발린 물감과 화면 전체가 색면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유럽의 앵포르멜을 연상시킨다. Oh Sufan’s work reveals elements of East Asian philosophy. Thus his paintings are always circulating, like Laozi’s concept of “non–doing,” coming and going between East and West, universal sentiment and new experience. Ultimately, Oh Sufan’s abstract drawings are a world of “non–doing,” continued without end over a period of four decades. On one hand, Oh’s paintings remind us of Western Modernism, because they resemble European Art Informel, in that paint is applied very thickly to reveal its texture, and the entire picture–plane consists of color field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정용

최종태, 전병현, 에단 쿡, 김병기, 고영훈, 오수환, 박항률, 박영남, 윤명로

03004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0길 28 82 2 720 1020 info@ganaart.com ganaart.com

Lee Jungyong

Choi Jongtae, Chon Byunghyun, Ethan Cook, Kim Byungki, Ko Younghoon, Oh Sufan, Park Hangryul, Park Yungnam, Youn Myeungro

28, Pyeongchang 30–gil, Jongno–gu, Seoul, 03004, Korea 82 2 720 1020 info@ganaart.com ganaart.com

224

225


A05

국내 화단에 집중하는 다수의 일본 아트 갤러리들과 달리 긴자갤러리는 항상 해외 화단에 대한 관심을 잃지 않고 있다. 2004년 개관 이후 전세계 다양한 아트페어와 아트쇼에 참가해왔다. 외국과의 문화교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갤러리 공간 규모는 작지만 양질의 작품들을 다루고 있다. 디렉터에 따르면 후대에까지 그 가치가 이어질 작가를 섭외하고자 매 작품마다 고심하며, 섬세하게 이를 성취하는 아티스트들을 모색한다.

조영선 Cho Youngsun, Document, 2018, oil on canvas, 72.7x72.7cm

GINZA GALLERY G2

Many galleries in Japan stay in domestic exhibitions, but GINZA GALLERY G2 always looks to the world. The gallery was founded in 2004, participating in various art fairs and art shows over the world. The gallery cherishes cultural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The space of the gallery is small but handles high quality works. When choosing the artist, the director of the gallery says they look for the artists who wish to create works that will remain in posterity and think carefully of all the works, carefully making in detail.

모리시타 카즈 Morishita Kazz, Raging Wave, 2018, printed on metal, 55x200cm

삶은 우리에게 매 순간 선택을 요구한다. 갈등이 따르는 순간의 결정은 각자의 삶의 기록을 보여준다. 내면의 상반된 감정과 갈등은 화면에서 춤추듯 연결되는 면과 색채의 유희를 통해 자유를 찾는다. 그리고 여기에 자신의 견고한 안식처를 찾아가는 작가의 여정이 있다.

Put a small chair next to a tree on the sidewalk, a small park in the middle of a city or on top of a tree on top of a faraway mountain. Unload a piece of your heart and lay it on the chair. It doesn’t matter if it’s windy, chilly or a deep into the night. Although it may seem a bit fragile, or lonely, try looking at the sky and slowly rocking with the passing wind in a place where there’s only you and the moving air. It can be a short while, yet it will be a small piece of solace for you to face your own self wherever, whenever. – Min Yul

Life demands us to constantly make choices. Each moment choices are made, followed by conflicts, portray different records of different lives. The contrasting emotions and conflicts on the inside finally find freedom through play of surfaces and colors connecting atop canvas as if they were dancing. The artist’s journey for her own haven also can be found there.

민율 Min Yul, The Chair on the Tree, 2018, oil on canvas, 50x72.7cm

‘웨이브’ 시리즈에서 파도는 기쁨, 슬픔, 분노, 흥분 등의 다양한 표현을 지닌다. 파도는 우리에게 깊은 감정을 가르쳐주지만, 그다음 순간에 그것은 마치

길가의 나무 혹은 도심 공원의 작은 숲, 멀리 보이는 산의 나무 위에 작은 의자를 하나 올려놓는다. 그리고 잠시 마음 한 조각 덜어내 그 의자 위에 놓아둔다. 바람이 불거나 비가 와도, 서늘하거나 어두운 밤이어도 좋다. 조금은 위태로워 보이고 쓸쓸해 보이지만 당신과 떠도는 공기만 있는 그곳에서 그때그때의 하늘을 바라보며 지나가는 바람과 함께 천천히 흔들려보기를 바란다. 아주 잠깐이어도 좋다. 그것이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이 되어 외로운 당신에게 작은 위로가 될 것이다. –민율

인생처럼 곧 사라질 것이다. 멋진 시간을 즐기자! – 모리시타 카즈 One of the ‘Wave’ Series. The wave has the various expressions. The joy, sorrow, anger, excitement and so on. It teaches the deep emotion to us. However, at the next moment, it’ll soon disappear, like a life. Let’s catch the brilliant time! – Morishita Kazz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타마키 카노

조영선, 민율, 모리시타 카즈

104–0061일본 도쿄 긴자 추오구 1–9–8 오쿠노빌딩 1층 81 3 3567 1555 G2@art–project.jp artprojectg2.jimdo.com

Tamaki Kano

Cho Youngsun, Min Yul, Morishita Kazz

Okuno Building 1F, 1–9–8 Ginza Chuo–ku, Tokyo, 104–0061, Japan 81 3 3567 1555 G2@art–project.jp artprojectg2.jimdo.com

226

227


HAKGOJAE GALLERY B19

학고재라는 이름은 〈논어 論語〉의 ‘옛것을 배워 새것을 창조한다 溫故而知新’라는 이념에서 따왔다. 옛것을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과거 지식을 쌓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근대화에 뒤져 식민지 경험을 하고, 남북분단의 비극을 겪은 한국에서 옛것을 배우는 것은 무엇보다 처절한 자기반성을 동반하는 것이다. 그 바탕 위에서 당당하게 자신을 열어 세계의 문화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게 온고지신의 정신이다. 그 이념과 지향이 오늘날 학고재를 전통과 현대, 지역과 세계를 잇는 매우 독보적인 갤러리가 되게 했다.

이진용 Lee Jinyong, 타입 Type, 2017, mixed media, 200cm(d)

학고재

The gallery’s name, HAKGOJAE derives from the saying, “to review the old to learn the new”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but gaining knowledge of the past is not necessarily equivalent to studying of historical facts in this case. In fact, the process of learning the history of Korea is an excruciating self–reflection, a country where sentiments from colonialism and division of the country are still very much alive. Nonetheless, to be able to confidently reach out to readily participate in the global cultural flow despite its past struggles is the true philosophy behind the saying, “to review the old to learn the new.” This is the very ideology and orientation that makes HAKGOJAE unique, which brings together the old and the new, and connects the region to the world.

이진용은 ‘타입’ 시리즈를 시작한 2014년을 기점으로 재료와 외형의 크기 변경, 작가 내면의 변화와 생각의 전환 등 많은 변화를 겪었다. 작가는 이 시리즈를 활자의 배열, 본을 뜨는 과정, 굳히는 과정, 수성 에폭시를 바르고 말리는 과정, 석분을 뿌리고 물로 씻어내는 과정 그리고 표면을 닦아내고 광을 내는 과정 등 2–3개월에 걸쳐 완성한다. 이런 밀도 있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 작품들은 마치 땅에서 꺼낸 화석이나 수십 년간 같은 자리에서 사람의 손때 묻은 나무

Nam June Paik is a pioneer in contemporary art. He combines the technology of his times, history and traditions, and his imagination to create unique and witty works. In 〈Dharma Wheel Turns〉, Paik uses phonograph records, audio cassette, headphones, etc. to embody a form of a person (robot) listening to music. He depicts the Dharma Wheel through the phonograph records and portrays the meditating Buddha through the robot, quietly sitting down listening to music.

백남준 Nam June Paik, 법륜은 돌아가네 Dharma Wheel Turns, 1990, mixed media, 40(h)x39x30cm

형상으로 나타냈다.

Since Lee Jinyong has started creating the ‘Type’ series in 2014, he has transformed constantly through materials, size, ideas and inner changes, etc. To create ‘Type,’ Lee follows numerous phases that require painstaking efforts including: arranging letter types, modeling the types, solidifying the model, applying and drying epoxy multiple times, applying stone powder and rinsing the surface, and burnishing the surface. Completing a single piece takes about 2 to 3 months. Through the intricate and meticulous processes, Lee is able to create works that resemble ancient remains allow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passage of time.

나무와 꽃들도 핑크색으로 염색했던 퍼시 대왕은 하늘의 색만큼은 자신의 힘으로 바꿀 수 없음을 깨닫고 좌절한다. 그의 충신이 묘책으로 건넨 핑크색 안경을 통해 퍼시 대왕은 비로소 온 세상을 핑크색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고, 마침내 행복을 찾았다. 이 동화는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에 관한 이야기다. 안경 하나를 바꾸어 쓰자 세상 전체를 다른 색상으로 바라볼 수 있었던 퍼시 대왕처럼, 새로운 시각을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익숙한 프레임을 바꾸어 보는 시도와 용기가 필요하다. 작품은 작가가 관람객에게 건네는 퍼시 대왕의 안경과도 같다. Kim Hyunsik’s “Percy the Color” series derive from Colin West’s “Percy the Pink” (2003); a British children’s book. The story is about Percy the King, who wished everything in his kingdom to be pink. However, despite of all the efforts, no one was able to change the color of the sky. Then a loyal servant recommends the king to simply wear a pair of pink glasses, so that everything appears to be pink from his view. This story is about the frame for viewing the world. Like Percy the king, who was able to view his world in a different color, courageous attempt to change the frame one is accustomed to, is required to gain a whole new perspective. Kim Hyunsik is suggesting a new pair of colored glasses; a new frame to view the world to his audience.

김현식 Kim Hyunsik, 퍼시 더 컬러 Percy the Color, 2016, acrylic on epoxy resin, wooden frame, 82(h)x82x6cm(10pcs)

손잡이를 보는듯해 시간의 깊이를 경험하게 한다. 백남준은 현대미술의 개척자로서 당시의 기술, 역사와 전통 그리고 자신의 상상력을 결합해 특유의 재치 있는 작품을 만들었다. 이 작품에서는 축음기판, 카세트테이프, 이어폰 등 음악과 관련된 재료로 마치 음악을 듣고 있는 듯한 사람(로봇)의 형상을 만들었다. 동양의 법륜을 서양의 돌아가는 축음기판에 비유하고, 명상 속에 잠긴 부처를 조용히 앉아서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는 듯한 로봇의

김현식의 〈퍼시 더 컬러〉 연작은 영국의 동화작가 콜린 웨스트의 동화 『퍼시 더 핑크』(2003)에서 제목을 따왔다. 백성의 옷은 물론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우찬규

강요배, 김현식, 이진용, 이우성, 마류밍, 오명희, 오세열, 백남준, 팀아이텔, 윤석남

03053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50 82 2 720 1524 info@hakgojae.com www.hakgojae.com

Woo Chankyu

Kang Yobae, Kim Hyunsik, Lee Jinyong, Lee Woosung, Ma Liuming, Oh Myun Hee, Oh Se–yeol, Nam June Paik, Tim Eitel, Yun Suknam

50, Samcheong–ro, Jongro–gu, Seoul, 03053, Korea 82 2 720 1524 info@hakgojae.com www.hakgojae.com

228

229


HANA ART GALLERY B04

송지호 Song Jiho, 달콤한 거래 Sweet Deal, 2017, acrylic on canvas, 122x122cm

1990년 새롭게 문을 연 하나아트갤러리는 고객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미술의 대중화와 보급에 일조한다. 꾸준한 전시기획을 통해 현 미술 경향을 선보이고, 손안의 예술이라 불리는 아트상품 개발과 아트 컨설팅을 통해 생활 속에 예술 문화가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한다. 또 전문성과 대중성의 결합을 통해 대중에게 다양한 문화를 보급하는 대중 친화적인 문화 메신저로서 아트숍 체인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나아트갤러리

HANA ART GALLERY, a new compound cultural space, that newly opened up in 1990 is contributing to popularization and proliferation of fine arts. Through consistent exhibition plans, the gallery presents the recent trends of fine arts, and through product development and consulting of arts in hand, it promotes the natural spread of art culture in life. HANA ART GALLERY will settle itself as a leading medium in creating new contents by combining expertise and popularity.

차연우는 민속적이며 자연적인 이미지를 차용한 작품들로 자신만의 서정적 미학을 구축해왔다. 유화를 베이스로 모래와 분채 粉彩화법을 이용해 겹겹이 쌓아 올린 화려한 색채는 그녀 특유의 감각적 구성으로 화폭 위에 입체적으로 구현된다. 이처럼 섬세한 마티에르는 다양한 선과 색의 변화와 어우러져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평면을 역동적으로 변화시키며, 꽃이 뿜어낼 수 있는 향기를 화폭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낸다. 동화적인 상상력을 발휘하여 일상에서 느끼는 소소한 행복을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토끼를 주인공으로 정하고 물리적 가치가 아닌 햇살이 좋은 날 느끼는 따스함,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감사함 등 마음에서 시작되는

Cha Yeonwoo has developed her own lyrical aesthetics by adopting folklore and natural images in her works. She uses oil painting as the base and lays down splendid colors using sand and famille rose enamel. She presents these colors three– dimensionally in her own unique, sophisticated compositions. The resulting delicate matière is fused with various changes of lines and colors that give the otherwise uninteresting plane a sense of dynamism. In the end, the scent emitted by the flowers fills the canvas.

행복의 가치를 표현했다.

차연우 Cha Yeonwoo, 축제 Festival, 2018, oil on canvas, 97x162.2cm

This painting evinces fairy–tale like imagination, and it metaphorically expresses little moments of happiness one feels in daily life. With rabbits as main characters, it shows values of happiness from one’s heart, not material values, like the warmth one feels on a sunny day and gratitude for being together with a loved on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신재승

차연우, 김점선, 김정숙, 이호철, 송지호

03148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0길 2 단성빌딩 82 2 736 7877 hanaartss@hanmail.net www.hanaartgallery.com

Shin Jaeseung

Cha Yeonwoo, Kim Jomson, Kim Jongsuk, Lee Hochul, Song Jiho

Dansung Building, 2, Insadong 10–gil, Jongno–gu, Seoul, 03148, Korea 82 2 736 7877 hanaartss@hanmail.net www.hanaartgallery.com

230

231


A59

일본 니가타시에서 1978년 개관한 히츠지–가로 화랑은 주로 일본 현대미술 작품을 선보여왔고, 1990년대부터는 극동 러시아 화가들과 유럽 화가들의 작품도 전시하고 있다. 현재는 해외 아트페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와타나베 메이 WATANABE Mei, Makoto, 2018, acrylic, watercolors, colored pencils putty on panel, 91cm(diameter)

HITSUJI-GARO

HITSUJI–GARO has started since 1978 in Niigata city, Japan. The gallery mainly has exhibited Japanese contemporary arts. HITSUJI–GARO also has made exhibitions of European artists and far eastern ones of Russia since the 1990’s. These days the gallery attempts to participate in foreign art fairs.

물질성에 대한 재인식을 드러낸다.

나는 할머니께서 수집한 인형들을 보며 자라왔고 이는 나의 창작의 원천이 되었다. 나의 많은 작품은 반라 여성 이 등장해 성적인 요소가 있지만, 나는 얼굴 부분이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이건 얼굴을 만들기 위해 제작된 것 같아’라고 말할 수 있다. 관객이 만약 나의 인형 작업을 만지면 저주받을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실감나는 작품을 만들고자 한다. – 아라이 에이 I have been grown up seeing my grandmother’s doll collection, which became the origin of my creation. Many of my works are sexual, such as half–naked women, but the most interesting thing to me is the face, you can almost say ‘The work is done to create faces’. I would like to make the work which has the existence, for example, viewers would feel if they would be cursed if they touched my doll. – ARAI Ei

심화한다. – 와타나베 메이 I mainly produce portrait works. The “world” that we recognize is the accumulation of personal memories and the joint of imagination. That “world” does not exist and does not belong to an individual: no one can see the exact same scenery. The deformed existence is actually different from reality, but because it is aggregation of fragments, it gives the opportunity to catch the glimpse of the each “world”. Using a technique to scratch a putty with a needle, its tactile production technique deepens the reality of the motif. – WATANABE Mei

아라이 에이 ARAI Ei, Buck Shot, 2018, mixed media, 53.8(h)×29.8×17.5cm

The ‘Off’ series is a work, attempting to break out of the method of developing the paint which we have used conventionally, that is, the method of painting or raising the paint with the brush or the knife on the supporter. This is intended to provide the concept of paint, which is the re–recognition of a property of matter along with the formative interest in painting, by intending to place the paints / pigments on transparent lines and to appear in space.

김태혁 KIM Taehyuk, Off–180327012735, 2018, mixed media on fluorocarbon line, 162x112cm

‘오프Off’ 연작은 그림을 그리는 방식, 붓이나 나이프 등을 이용해 색을 올리는 방식 등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던 전통적인 회화 방식에서 탈피하고자 한다. 작가는 물감이나 안료를 투명한 선 위에 놓아 공간에 나타낸다. 이로써 회화의 조형성에 대한 관심과

우리가 인식하는 세상은 개인의 기억과 상상이 축적되어 이루어진다. 그 세상은 존재하지도, 독립적으로 속해있지도 않기에 그 누구도 정확히 똑같은 장면을 보진 못한다. 변형된 존재는 실제와 다르다. 하지만 이것은 부분들의 집합이기에, 각 세계를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바늘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긁어내는 방식은 촉감적인 제작 기법으로서 주제의 현실성을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호리 카즈오

아라이 에이, 다케타 카즈키, 와타나베 메이, 김태혁

951–8063 일본 니가타 추오 와드 후루마치 8–1438 81 25 224 1397 hitsuji@ecatv.home.ne.jp www.hitsuji–garo.com

HORI Kazuo

ARAI Ei, TAKEDA Kazuki, WATANABE Mei, KIM Taehyuk

8–1438, Furumachi, Chuo Ward, Niigata, 951–8063, Japan 81 25 224 1397 hitsuji@ecatv.home.ne.jp www.hitsuji–garo.com

232

233


IGONG GALLERY A24

이공갤러리는 1999년 7월 개관 이래 500여 회 이상 전시를 개최했다. 대전에서 주로 활동하는 작가 개인과 단체의 작품 발표뿐 아니라 기획전과 초대전 등을 통해 미술계에 의미 있는 발언들을 소개했다. 또한 꾸준한 해외 교류를 통해 작가들의 해외 진출을 돕고, 동시대의 국제적이고 우수한 작품들을 지역 화단에 선보였다.

임재광 Rim Jaikwang, 골드 Gold, 2018, acrylic on wood, 24.5×24.8cm

이공갤러리

IGONG GALLERY has shown more than 500 exhibitions since its opening in July 1999. We have introduced meaningful remarks to the art world through not only presenting the works of artists and groups that are mainly active in Daejeon, but also through the planning exhibition and the invitation exhibition. Through steady overseas exchanges, we helped artists to advance overseas and present contemporary international and excellent works to local arts sector.

삶의 공간을 지배하는 시각이미지는 직선과 평면 그리고 기하학적 도상과 단순화된 색상이다. 자연은 가까이 있지 않다. 눈 뜨면 보이는 것은 누군가에 의해 디자인되어 생산된 단순화된 색채의 직선과 평면들이다. 나의 작업은 이러한 현대의 시각적 상황과 요소를 혼합하여 현시적으로 드러내는 일이다. 작업과정은 회화와 판화의 중간쯤 된다. 채색한 면과 테이핑 한 선이 한겹 한겹 쌓이면서 다층의 레이어가 형성된다. – 임재광 The visual image that dominates the space of life is a straight line, a plane, a geometric icon, and a simplified color. Nature is not near. What you see when you open your eyes are straight lines and planes of simplified colors that are designed and produced by someone. My work is a mixture of these modern visual situations and elements, presenting them poetically. The work process is the middle way between painting and engraving. The colored and taped lines are piled one by one and a multi–layered layer is formed. – Rim Jaikwang

어떤 애매한 지점 위에 작업이 세팅되는 것이다. – 고충환 글 발췌 To the artist, manual labor is a natural labor(sensible labor) to be invested in the work, and because of the labor, the work is only granted the right as a work. The work guarantees some degree of media specificity(such as semantic nature) as it proceeds as preserving the traits of paper, but its specificity is considerably offset by the process of making the ball. Above the boundaries between material traits(such as paper) and media specificities(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work is set on any ambiguous point that is not reduced to either side but simultaneously encompasses all of them.

미시세계와 거시세계의 공존과 상생을 그림에 표현하기 위하여 공간의 구축성과 사실적 기법, 점묘법, 드로잉 등 종합적인 기법을 사용한다. 점묘로 입자와 파동을 표현하고, 구축적인 구조의 각기 다른 면과 연결된 경계에 색과 점이 넘나들어 경계 간의 분리를 드나든다. 이는 노자의 경계 간 포용의 무유상생을 나타내며 일란성 쌍둥이처럼 양자역학의 양자얽힘에서 또 다른 세계의 한 쌍의 존재를 나타낸다. In order to express the co–alives and coexistence of micro and macro worlds, we use comprehensive techniques such as space construction, realistic techniques, pragmatics, and drawing. It expresses particles and waves in a dotted form and embraces the separation between the boundaries by connecting the color points to the boundaries connected to the different planes of the constructive structure. This represents a mutual survival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presence and absence of Lao–Tzu, and represents the same aspect of another world as in the case of quantum entanglement of quantum mechanics as an identical twin.

정용일 Chung Yongil, 빛.무.자연–공존 Light.Shamsn. Nature–Coexistence, 2018, acrylic and oil on canvas, 182x260cm

이지현 Lee Jihyun, 018MA14101 꿈꾸는 책꽂이 018MA14101 Dreaming Bookshelf, 2018, book pluck off, 247x180x31cm

작가에게 수작업은 작업에 투자해야 할 당연한 노동(물론 감각적 노동)으로서, 그 노동으로 인해 비로소 작업으로서 당위성을 부여받는다. 작업이 종이 형질을 보존하면서 진행되는 만큼 어느 정도 매체적 특수성(이를테면 의미론적인 성질)도 함께 보장되지만, 공작성의 과정으로 인해 상당할 정도로 상쇄된다. 소재 고유의 형질 (이를테면 종이)과 매체적 특수성(이를테면 신문과 잡지)과의 경계 위에, 어느 쪽으로도 환원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이 모두를 아우르는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전형원

임재광, 이지현, 신중덕, 정용일

34920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로139번길 36 82 42 242 2020 jhw0821@naver.com www.igongart.co.kr

Jeon Hyungweon

Rim Jaikwang, Lee Jihyun, Shin Jungdeok, Chung Yongil

36, Daeheung–ro 139beon–gil, Jung–gu, Daejeon, 34920, Korea 82 42 242 2020 jhw0821@naver.com www.igongart.co.kr

234

235


인사갤러리 INSA GALLERY A16

인사갤러리는 1994년 3월 개관 이후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미술의 작품전과 국내외 아트페어를 통해 국내의 원로, 중견, 신진 작가 및 해외 아티스트들의 현대미술품을 대중에게 소개하는 곳으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2015년 2월 합정동으로 이전한 새로운 전시공간에서 좀 더 체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해 대중과 한국 현대미술의 소통 장을 마련하고, 국내 및 해외 현대 미술 흐름에 발맞추어 획기적이며 앞서가는 기획전시로 다가가고자 한다.

행복, 사랑, 낭만을 시각적으로 느끼도록 표현한 정일은 이 같은 감성적 단어가 물질주의에 가려 점점 그 의미의 진정성을 잃어가는 동시대에 작품을 통해 소중함을 일깨우는 감미로운 표현주의자이다. 의미를 직접 드러내기보다는 새, 촛대, 모자, 피아노 등 친숙한 사물들로 상징화하여

After the opening in March 1994, INSA GALLERY has been establishing a solid foothold as the space for introducing modern arts of Korean senior, major, and new artists through representative Korean modern art exhibition and domestic and overseas art fair. In February 2015, INSA GALLERY moved to Hapjeong–dong and introduced a more structured system to arrange the sp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public and Korean modern arts. INSA GALLERY also aims to keep up with domestic and overseas modern art trend and approach the public with innovative and leading special exhibitions.

Chung Il expresses the happiness, love, and romance visually. He is a gentle expressionist. He awakens the preciousness of emotional words that are losing the true meaning due to the materialism of this era. Instead of the direct expression of emotional words, he symbolizes the words in familiar objects such as bird, candlestick, hat, and piano. Such symbolization helps people appreciate the work to recall the memories of potential medium and brings them to another world, wonderland.

잠재된 매개체의 기억을 떠올리며 감상자를 또 다른 세계로 이끈다.

정일 Chung Il, 추억 Reminiscing, 2018, oil on canvas, 91x73cm

박미연 Park Meyoun, 무제 Untitled, 2018, oil on canvas, 45.5x45.5cm

박미연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과의 독특한 변성을 포착하여 평면 속에 해체하여 표현했다. 과일이나 꽃 같은 대상을 배경화하면서 반복적인 색면 조각의 분열된 형태로 화면 앞으로 나간다. 이렇게 해체되어 추상화하는 대상과 배경이었던 색면의 대응은 시각적 긴장감을 조성하여 눈을 감아도 환영처럼 충돌한다. 그녀는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기묘하게 관통하면서 작품의 조형성보다 탈각된 색을 통해 형상과 배경의 시공간적 의미층에 주목한다. Park Meyoun’s work captured the unique changes of an ordinary apple by the lapse of time and expressed the change by breaking it up on a plane. The artist used subjects such as fruits or flowers as background and advances toward the screen through the fragmented form of repetitive color pieces. The fragmented and abstracted subject and background color create visual tension, and they clash like illusions even after closing the eyes. Park Meyoun penetrates the boundary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in uniquely. Her works focus on the temporal and special meanings of figuration and background through uncoated colors, instead of formativeness of work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최광원

정일, 김경옥, 김성일, 이희중, 박일용, 박미연, 신호식

04036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45 메세나폴리스 2층 82 2 735 2655 insa94@unitel.co.kr www.insagallery.net

Choi Kwangwon

Chung Il, Kim Kyongok, Kim Sungil, Yi Heechoung, Park Ilyong,Park Meyoun, Sin Hosik

Mecenatpolis 2F, 45, Yanghwa–ro, Mapo–gu, Seoul, 04036, Korea 82 2 735 2655 insa94@unitel.co.kr www.insagallery.net

236

237


JEAN GALLERY B61

양정화 Yang Junghwa, 언타이틀드 피겨 Untitled Figure, 2017, gouache, charcoal on canvas, 90.9×72.7cm

진화랑은 1972년 10월 개관 이래 한국 현대 작가를 일본 각지에 알리고, 일본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을 국내에 선보이는 전시를 마련해왔다. 그러한 노력의 대표적 일환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 작가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을 유일하게 국내에 보급하는 화랑으로서 활동했다. 세계적인 예술 행사인 Flac’84에 한국 화랑으로서는 처음으로 참가했고, 로스앤젤러스 아트쇼, 멜버른 아트페어, 도쿄 아트 엑스포, NICAF에 꾸준히 참가하면서 다양한 작품 교류를 통해 국제 전시 경험을 쌓고 해외 진출의 기반을 다졌다. 1991년 9월 진아트센터를 설립해 더욱 대중적인 작품 보급과 국내 시장의 다양화를 추구했다.

진화랑

JEAN GALLERY, established on October 1st, 1972, has been a cultural and artistic bridge between Korea and Japan introducing Korean modern artists in Japan and holding Japanese exhibitions in Korea. As a representative part, JEAN GALLERY served as the only gallery in Korea to distribute the works of Kusama Yayoi, a renowned Japanese artist. By hosting several exhibitions where Kusama Yayoi meets Korean artists, JEAN GALLERY enlarged the domestic fan base of Kusama Yayoi while expanding the venue for the exchange of Korean and Japanese art. JEAN GALLERY was the first Korean gallery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art event of Flac ‘ 84 and consistently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exhibitions of Art LA, Melbourne Art Fair, Tokyo Art Expo and NICAF. In September 1991, the gallery established ‘Jin Art Center’ to promote more popular works and diversify the domestic market.

새로운 에너지를 화면 또는 공간 위에 생성시킨다.

양정화 작품의 중요한 소재 중 하나다. Something like memory often echoes the present and all of a sudden returns to the past. Some memories react to the body in the moment of being brought to mind, irrespective of one’s will. Some sensuous memories pertaining to sound, smell, and touch are often reproduced in our bodies. In this process, our hearts display a variety of reactions to the emotions aroused by our memories. The heart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otifs of the artist’s work.

김도희는 2017년 개인전 〈뿌리〉에서 조선소와 어시장과 관련한 유년의 기억을 감각적으로 소환하여 미학적 가치를 탐구하는 시도를 했다. 이 작업은 진화랑의 1층 벽을 낡은 선박의 녹을 벗겨내듯 갈아낸 것이다. 엄청난 소음과 먼지를 동반한 작업 후에 먼지를 벽 아래에 쓸어 모으고 작품의 이름을 붙였다. 작가의 몸에 녹아 있는 경험과 리듬은 진화랑의 몸통을 만나 심지 깊은 서사로 드러난다. 1세대 화랑인 진화랑의 역사성을 그대로 간직한 벽이라는 점에서 유일하다. Kim tried to study the aesthetic value of her sensibility of childhood memories related to shipyards and fish market in 2017 solo show 〈Tongue Roots〉. This work is a Jean gallery’s wall which was made in the same way as removing the rust from the shipyard. After a tremendous amount of noise and dust, the artist swept the dust under the wall and named it ‘The Beach under the Skin’. The experience and rhythm in the artist’s body went through the body of Jean gallery and became a deep narrative. This unique work retains the history of Jean gallery, the first– generation gallery of Korea.

김도희 Kim Dohee, 살갗아래 해변 The Beach Under the Skin, 2017, ground wall of a gallery, 45x104cm

Park Hyunsu’s interests are the experiments that return light into color. It can be simply explained as expressing accumulated images of preceding memories as a complex form of pop and abstraction on a flat surface. The experiments here express dualism which implies an internal, external and also a complex symbolic meaning. Internally, they express the cultural clash, conflict and fusion of the East and the West, which the artist has directly experienced for a long period. Externally, they express the behavioral process of practicing the repetition of free dripping and ‘digging’ which requires extreme concentration, In other words, by confronting the beauty of moderation on one canvas which is the figures made by carving paintings, it is creating a new kind of energy on a canvas or space.

박현수 Park Hyunsu, 다중원형 Multiple Circular, 2013, oil on canvas, 150x150cm

박현수의 관심은 빛을 색으로 환원해내는 실험들이다. 선행한 기억 속에 축적된 이미지를 팝과 추상의 복합적 형식을 취해 평면에 나타내는 것이라 간단히 말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이중성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다. 내적으로는 오랜 시간 직접 체험한 동서 문화의 충돌, 갈등과 융합의 문제를 다룬다. 외적으로는 자유로운 드리핑의 반복과 극단적인 집중을 요하는 디깅, 즉 페인팅을 깎아내며 형체를 만드는 절제의 미를 한 화면에 대치시킴으로써

기억은 현재와 공명하면서 갑자기 회귀되고는 하는데, 어떤 기억은 소환되는 순간, 의지와 상관없이 몸이 바로 반응한다. 과거의 소리, 냄새, 촉감 등 감각적 기억이 현재의 몸에 흡사하게 재생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기억이 불러오는 감정에 따라 다양하게 반응하는 심장은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유재응

김도희, 이종철, 남홍, 백윤조, 박현수, 양정화

03044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25 82 2 738 7570 jeangallery1972@hanmail.net jeanart.net

JJ Yoo

Kim Dohee, Lee Jongchul, Nam Hong, Paek Yunzo, Park Hyunsu, Yang Junghwa

25, Hyoja–ro, Jongno–gu, Seoul, 03044, Korea 82 2 738 7570 jeangallery1972@hanmail.net jeanart.net

238

239


JJ JOONG JUNG GALLERY A28

JJ중정갤러리는 동시대 미술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역량 있는 작가를 소개하고자 2011년에 강남구 청담동에서 설립되었다. 강남의 중심가에서 수차례의 기획전시 및 국내외 아트페어 참가, 신진작가 발굴 등으로 많은 미술 애호가들의 꾸준한 관심과 기대를 받았고, 전시 개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예술작품을 통한 공간의 변화와 삶의 질 향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2017년 JJ중정갤러리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며 자연환경을 접할 수 있는 종로구 평창동으로 이전했다. 자연을 가까이한 공간에서 삶을 되돌아볼 수 있는 순간을 제공하고, 보다 다이나믹한 공간에서 상상력과 창조성을 극대화하는 전시를 선보이고 있다.

박찬우의 ‘Engram’ 연작은 인류 보편의 지식을 집대성해온 백과사전을 오브제로 삼아 세상 모든 것을 한 장의 사진으로 나타내겠다는 아이디어로 시작되었다. 나아가 개인적인 혹은 특정 집단의 지식 및 경험의 보고인 책장, 선반, 작업대 등을 비우고 채우는 과정을 중첩함으로써 개인의 역사를 한 프레임 속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재생한다.

최영욱 Choi Youngwook, Karma 20184–12, 2018, mixed media on canvas, 180x160cm

최영욱은 실존하는 특정한 항아리를 묘사, 재현하는 것이 아닌 작가의 마음속에 있는 달항아리이자 측은지심을 그린다. 작품의 빙열 역시 추상적 표현으로서 만났다가 헤어지는 사람의 인연과 인생사를 그려낸 것이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보는 이들이 각자 마음속의 달항아리를 떠올리며 본연의 선량한 마음으로 소통할 수

Park Chanoo’s Engram series started with the idea of using an encyclopedia that has been compiled from universal human knowledge as an object to show the whole world as one picture. In addition, it reproduces the history of an individual in a frame at the same time by overlapping the process of emptying and filling the bookshelf, the shelf, the workbench, which is a report of personal or specific group knowledge and experience.

있기를 바란다. Choi Youngwook does not recreate a specific jar of existence but draws a moon jar and sympathy in his mind. The cracks of the work are abstract expressions. It is to draw the relationship of a person who meets and breaks up and life history. The artist hopes that those who see his works can remind themselves of the moon jar in their hearts and communicate with them in their own good heart.

그림은 과거에 머물러 있다. 이 아이러니를 역설적으로 표현한다. Plum. But it is not just plum. Choi Junkun dismantles the cultivated plum, changing traditional concepts and expressions as a whole. It is not a brush, but a thin pen. It abstracts the petals one by one, and the stems and branches by china ink, or simply reduces them to ordinary trees. There is no past plum blossom that the precious spirit and dark aroma are floating, and now plum is consumed as a sight. But most plum paintings have stayed in the past. He expresses this irony paradoxically. 최준근 Choi Junkun, Blossom, 2014, mixed media on canvas, 200x200cm

JJ JOONG JUNG GALLERY was established in Cheongdam–dong, Gangnam–gu in 2011 has been proactively responding to the contemporary art flow and introduce competent artists not only in Korea but also overseas. We’ve organized several exhibitions in the center of Gangnam, participated in domestic and overseas art fair, and unearthed new artists. Numerous art lovers have shown steady interest and expectation to our effort. We are not just holding exhibitions; we have been trying to make more people experience the changes in space and quality of life through sophisticated artworks. In 2017 JJ JOONG JUNG GALLERY moved to Pyeongchang–dong, Jongno–gu, seeking new changes offering moments to look back on life in a space close to nature, and displaying exhibitions that maximize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a more dynamic space.

매화다. 그러나 그냥 매화가 아니다. 최준근은 문화적 코드가 분명한 매화를 해체해 전통적인 개념들과 표현 방식 전체를 바꾼다. 붓이 아니라 가느다란 펜으로 꽃잎을 일일이 그리고, 줄기와 가지들을 먹으로 추상화하거나 그냥 보통 나무로 환원한다. 과거의 매화는 없고, 지금의 매화는 구경거리로 소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매화

박찬우 Park Chanoo, Engram–mi1610, 2016, archival pigment print, 135x200cm, edition 1 of 7

JJ중정갤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진이

최준근, 최영욱, 황승우, 지석철, 박찬우, 박진규

03011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10길 7–12 82 2 549 0207 galleryjj@naver.com www.jjjoongjung.com

Jung Jinyi

Choi Junkun, Choi Youngwook, Hwang Seungwoo, Ji Seokchul, Park Chanoo, Park Jinkyu

7–12, Pyeongchang 10–gil, Jongno–gu, Seoul, 03011, Korea 82 2 549 0207 galleryjj@naver.com www.jjjoongjung.com

240

241


JOHYUN GALLERY B20

올해로 29주년을 맞이한 조현화랑은 2005년 부산 해운대에 새로운 전시공간을 옮겨 상징적인 미술 거리를 만드는 데 앞장섰다. 한국 현대회화의 선구자 역할을 이끈 박서보, 정창섭, 윤형근 등 단색화 화단의 대표적인 작가들의 전시,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인 백남준 전시, 추상적 구상화로 독보적 화풍을 지닌 김종학 전시 등 한국 현대미술사의 중요한 흐름을 짚은 전시를 개최해왔다. 이어 클로드 비알라, 베르나르 프리츠, 필립 꼬네 등 세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을 국내에 소개함으로써 국내외 미술계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김종학 Kim Chonghak, 무제 Untitled, 2005–2018, acrylic on canvas, 410x300cm

조현화랑

For over 29 years, JOHYUN GALLER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acclaimed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to Busan audiences. Relocated to the current location at Haeundae, Busan in 2005, the gallery has shown the Korean artists who are the leaders of their generation: Park Seobo, Chung Changsup and Yun Hyongkeun, celebrated Dansaekhwa artists; Paik Namjune, the pioneer video artist, Kim Chonghak, beloved abstract figurative artist. JOHYUN GALLERY also exhibited many of globally renowned artists: Claude Viallat, Bernard Frize, Philippe Congnée.

김종학에게 자연은 재현된 자연이 아닌 형태가 와해된 무질서하며 환상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특히 2018년 신작에서 보이는 더욱 과감하고 거친 필력은 의식이나 의도가 없이 손이 움직이는 대로 그려진 몸의 기억이다. 즉흥적인 색의 무리가 2차원 화면 위로 펼쳐진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기 작품이 자연의 원초적인 생명력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서사적 구조로 보여주었다면 신작은 실재하는 자연이 아닌 색의 근원과 형상이 혼재된 시공간을 초월한 추상의 세계로 안내한다. ‘대혼돈 Pandemonium’ 시리즈는 처음 설악산에서 마주했던 자연의 민낯, 색의 근원과 맞닿아 있는 듯 파격과 정제가 오가는 즉흥적인 표현으로 담아내며 원근법을 무시하고, 방향을 잃은 꽃의 형상과 강렬하고 두터운 색은 가상공간에서 춤추듯 뒤섞여 새로운 조형 언어로 재탄생된다. 81세라고 보기 힘든 강인한 에너지와 색의 향연으로 뜨거운 찬사를 받는 그의 작품 속 거친 마티에르는 그리기에 대한 자유로움의 갈망이 여실히 투영되어 있다. For him, the features of nature depicted in his paintings are made up of intangible, disorganized, and illusory images; not reproduced nature. In particular, his new works in 2018 show an even bolder brush stroke than before and such has been embedded in his works without any intention or consciousness. His new art works from this year guide us through an abstract world, which transcends a mix of time and space, with the source and form of the color not currently existing in Nature. His ‘Pandemonium’ series captures the beautiful imagery that he first experienced at Mt. Seorak, depicting the refined and exceptional colors that reach deep into the roots of the flowers and does away with perspective. Also, the shape of the lost flower and the strong, thick color reconstruct new and influential languages in the virtual world. Despite him being 81 years old, his powerful, youthful energy and color incite innumerable praises and compliments from audiences and his matiere reflects his desire of freedom in painting.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조현

김종학, 박서보, 이배, 이광호, 이소연, 조종성, 강강훈, 안지산, 클로드 비알라, 필립 꼬네, 피터 짐머만, 다니엘 놀

48117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달맞이길 65번길 171 03004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길 204 82 51 747 8853 info@johyungallery.com www.johyungallery.com

Johyun

Kim Chonghak, Park Seobo, Lee Bae, Lee Kwangho, Lee Soyeun, Jo Jongsung, Kang Kanghoon, Ahn Jisan, Claude Viallat, Philippe Cognée, Peter Zimmermann, Daniel Knorr

171, Dalmaji–gil, 65beon–gil, Haeundae–gu, Busan, 48117, Korea 204, Pyeongchang–gil, Jongno–gu, Seoul, 03004, Korea 82 51 747 8853 info@johyungallery.com www.johyungallery.com

242

243


쥴리아나갤러리 JULIANA GALLERY A14

쥴리아나 갤러리 Juliana Gallery (1F), 게르하르트 리히터 Gerhard Richter, 앤디 워홀 Andy Warhol

쥴리아나갤러리는 레드스톤과 티타늄스텐으로 어우러지는 외관과 환상적인 내부공간, 그리고 큰 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채광과 함께 열린 공간은 아름다운 설치작품을 연상케 한다. 청담동 명품거리 중심에 위치한 쥴리아나갤러리는 기획 전문 화랑으로서 현대미술의 중요한 국내 외 작가들을 Solo Exhibition으로 선보였으며, 기념비적인 한국작가들의 전시는 물론 솔르윗, 앤디워홀, 후안 미로, 안토니 타피에스 등 다수의 세계 Top 작가들의 국제전을 장르별로 기획, 세계 미술계의 흐름을 동시간대에 소개하였다. 그리고 매년 New Art 젊은 작가들을 선정하여 전시는 물론 세계무대에서 미술관과 갤러리 그리고 국제 아트페어에서 활동영역을 확장시켜 나아가고 있다. 이렇듯 쥴리아나갤러리는 우리의 전시문화의 틀을 바꾸는 계기와 대한민국 예술문화의 선진화를 위해 큰 역할을 선도한 메이저 화랑으로서 한국 현대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 결과 쥴리아나갤러리 대표 Juliana Park은 전세계 문화예술분야에서‘대단한 노력을 한 자’에게 수여하는 스페인국왕 카를로스의 문화훈장을 한국 최초로 수여받았다. Juliana Gallery proudly stands as an independent building with its harmonious red stone and titanium stainless external structure. Dazzling sunlight through the window and spacious exhibition spaces of the building make the viewers feel as if they are inside the artistic installation itself. Located at the hub of the luxurious street in Cheongdam–dong, Juliana Gallery presents its own specially organized exhibitions of the artists from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Solo exhibitions include Sol LeWitt, Andy Warhol, Joan Miro, Antoni Tapies and other various top international and domestic artists of the world. Through organizing exhibitions by genre and introducing the world’s art trend simultaneously, it not only draws passion from art lovers, but also arouses deep interest from the public. In addition, Juliana Gallery is continuously expanding its field to the global stage while it selects and presents new artist every year to the international art fairs, museums and galleries. Thus, as a major gallery, Juliana Gallery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concept of art and culture by narrowing down the gap between Korean contemporary art and advanced art market Recognizing the effort, the president of Juliana Gallery, Juliana Park, received the Order of Merit from Carlos of Spain in 2005 as a first Korean.

배도수 Dosoo Bae, 장생도 Tenacious, 2018, oil+gold(99.9%) on canvas, 91x116.8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미현

앤디워홀, 솔르윗, 쿠사마 야오이, 요시토모 나라, 정상화, 이우환, 류호열, 배도수

06015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79–4 쥴리아나빌딩 82 2 514 4266, 4267 julianagallery@gmail.com www.artjuliana.com

Juliana Park

Andy Warhol, Sol LeWitt, Kusama Yaoyi, Yositomo Nara, Sanghwa Jung, Woohwan Lee, Hoyeol Ryu, Dosoo Bae

79–4, Juliana Building, Chungdam–dong, Gangnam–gu, Seoul, 06015, Korea 82 2 514 4266, 4267 julianagallery@gmail.com www.artjuliana.com

244

245


KEUMSAN GALLERY B47

금산갤러리는 1992년 개관 이래 현대미술 중심의 회화, 설치, 미디어, 조각, 사진, 판화 등의 전시를 기획·소개하며 현대 미술의 전 장르를 다루고 있다. 또 현대미술을 해외에 알리는 데 앞장서고, 다수의 해외 교류전을 통해 등 해외의 손꼽히는 작가들을 국내에 소개한다. 특히 금산갤러리는 미술을 매개로 한 아시아 여러 나라와 문화교류를 추진하여 아시아를 하나로 모으는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일찍이 한국, 일본, 미국, 홍콩, 중국 등 다수의 국제 아트페어에 참가함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을 해외 미술 무대에 활발하게 소개했다. Since KEUMSAN GALLERY in Seoul opened in 1992, it has dealt with all mediums of contemporary art by directing and introducing exhibitions with painting, installation, media art, sculpture, photograph, and printing. In addition, the gallery has endeavored to be the leader in introducing contemporary art overseas, and has continued to introduce well–known overseas artists to Korea. KEUMSAN GALLERY seeks to unite Asian culture by promoting cultural exchange among various Asian countries, with ‘art’ as a medium. Moreover, KEUMSAN GALLERY has continuously represented Korean artists in international art market from early on, by participating in many overseas art fairs taking place in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USA, Hong Kong, and China.

이동수는 단순히 그릇, 컵, 책 등을 다시 그리는 것을 떠나 사물의 의미를 표현한다. 물질과 자신, 물질과 시간 그리고 물질과 공간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이것은 영원함과 한순간의 연결점인 동시에 한정된 것과 무한한 것의 경계선이다. 이런 이중성은 모든 것에는 모순적인 면모가 숨어있고, 이것들이 다양한 관계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물건은 이상적인 복제에 맞춰 표현된다. 투명한 캔버스에 붓칠하고, 순간적인 감수성이나 이와 같은 것을 표현하려 함과

권용래 Yong R. Kwon, The Eternal Flame–Light, 2018, stainless steel on canvas, 97x180cm

금산갤러리

동시에 말로 형용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한다. Lee Dongsu tries to depict something relating to the meaning of things, not to reproduce bowls, cups, books, etc. The artist tries to capture the momentary communication that things and himself, things and time, things and space, etc., such as are met. It is the intersection of eternity and mo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boundary of finite and infinite(unestablished boundary–duality). Using the translucent canvas by brushwork on it, the artist intend to express a momentary sensitivity or something like that, simultaneously hiding and showing things that cannot be expressed verbally. 이동수 Lee Dongsu, Flow Bowl, 2018, oil on cavas, 65.1x90.9cm

권대훈 Kwon Daehun, Chalna–the Girl Mailing by the Postbox BW&C, 2017, resin, acrylic paint, linen, steel, wooden board, 170x130x32cm

권대훈은 찰나의 순간, 특히 그의 기억 속에 각인된 그 찰나 刹那의 깨달음의 순간을 담는다. 심리적이고 감정적인 요소, 새로운 것의 발견 혹은 경험과 반대되는 요소 등으로 인해 각인된 찰나의 순간을 담았으며, 그 상황이 발생한 현재의 시간적 개념을 담기 위해 인체 조각 위에 상황 그대로의 명암과 채색을 칠해 표현했다. The work is an attempt to capture an instant moment of the moment(刹那, chalna) especially those moments of enlightenment imbued in the artist’s memory. In his work, Kwon Daehun tried to embody the imprinted moments formed with psychological altitude, emotional element, discovery or an opposing element of experienced. Moreover, to have the temporal concept of the ‘present’ in which the circumstances occurred expressed as an artwork, the contrast and coloration extracted from the ‘present’ were transferred on the sculpture of human body.

권용래는 요즘 스테인리스 스틸을 작업 도구로 사용한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차갑고, 냉철하며 순수하다. 그는 그 차갑고 단단함을 좋아한다. 도시적이며 현대적이고 지적이다. 스테인리스 스틸 유닛이 하나하나 캔버스에 부착되는 순간, 오랜 시간 잘 갈아진 먹물을 흠뻑 적신 붓으로 화선지에 일 획을 그어 내리는 듯한 희열을 맛본다. 화선지 위의 먹이 발묵하듯 일 획의 유닛들이 그어진다. 발묵한다. 그 농염함 속에 빛을 담아낸다. Recently, Yong R. Kwon has been using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is cold. It is cool–headed. And it is pure. It is urban and modern and intellectual. The artist says, “When I apply the steel units on my canvases, I feel a euphoria similar to when I first emit a brushstroke on rice paper with a brush dipped in thoroughly pulverized ink.” The smallest unit is sketched like ink seeping across the rice paper. It seeps through. Amidst the ripeness there is light, light is manife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황달성

강국진, 권대훈, 권용래, 이동수, 남여주, 박현주, 손문자

04631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46 남산플래티넘 B–103 82 2 3789 6317 keumsan@empas.com www.keumsan.org

Hwang Dalseung

Kang Kukjin, Kwon Daehun, Yong R. Kwon, Lee Dongsu, Nam Yeojoo, Park Hyunjoo, Sohn Moonja

Namsan Platinum B–103, 46, Sogong–ro, Jung–gu, Seoul, 04631, Korea 82 2 3789 6317 keumsan@empas.com www.keumsan.org

246

247


KUKJE GALLERY A27

이현숙 회장이 설립한 국제갤러리는 1982년 개관한 이후 다양한 국제 아트페어에 참가했다. 1998년부터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인 아트 바젤에 참가, 한국 미술 작가들을 적극적으로 소개하며 해외 미술관과 컬렉터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장 미셸 바스키아, 빌 비올라, 아니쉬 카푸어, 폴 맥카시, 로니 혼 등 세계적인 작가들의 전시를 개최하며 한국 대표 화랑으로서 국내외 작가들을 소개하는 가교 구실을 한다. 단색화의 미학과 미술사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해 해외 전시 및 아트페어에서 하종현, 박서보, 이우환 등 주요 작가들을 지속적으로 소개했다.

로니 혼 Roni Horn, Remembered Words—(Orally), 2012–2013, watercolor, graphite and gum arabic on paper, 38.1x27.94cm(each)

국제갤러리

KUKJE GALLERY was founded by Hyun–Sook Lee in 1982. Since its opening, KUKJE GALLERY has been participating in major international art fairs including Art Basel from 1998, actively employing these global platforms to introduce prominent Korean artists and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 museums and collectors from around the world. Specializ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UKJE GALLERY has been very often the first venue in Korea to introduce visionary artists such as Jean–Michel Basquiat, Anish Kapoor, Bill Viola, Roni Horn, and Paul McCarthy. In conjunction with its focus on international artists, KUKJE GALLERY is strongly committed to promoting Korean artists abroad. To encourage a wider appreciation of the art historical and aesthetic importance of Korean Dansaekhwa, KUKJE GALLERY has continued to promote artists such as Ha Chong–Hyun, Park Seo–Bo, and Lee Ufan at important exhibitions and art fairs.

자연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을 해학적으로 담아낸다. Based on an incisive observation of familiar subjects and materials, the work allows viewers to enter the work without bias, as if seeing these things for the first time. 〈blue red orange yellow green mountain〉is a tower of five colorful boulders. By juxtaposing the rough boulders, a conventional sculptural medium and also a product of nature, with fluorescent colors evoking popular culture, the work interweaves the past and the present as well as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우고 론디노네 Ugo Rondinone, blue red orange yellow green mountain, 2018, painted stone, stainless steel, pedestal, 183.5x29.2x29.2cm(sculpture), 15x40x40cm(pedestal)

우고 론디노네는 사물에 대한 명민한 관찰을 통해 익숙한 주제와 재료를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하고, 보는 이로 하여금 어떠한 편견도 끼어들지 않는 시각으로 작품과 조우하게 한다. 이 작품은 각각 다른 형광 안료를 칠한 돌덩어리 다섯 개를 쌓아 올려 제작한 것으로, 조각의 전통적인 매체이자 원시적인 소재인 돌과 현대 대중문화를 대변하는 인공적이며 화려한 색채를 대치시킴으로써 과거와 현재,

ⓒPhoto by Allard Bovenberg

이 작품은 3x3 격자로 배열된 아홉 점의 드로잉으로 구성된다. 모두 동일한 크기의 각 드로잉은 수채 물감으로 그린 원들을 담고, 각각의 원은 격자 패턴을 이루며 바로 아래 쓰인 단어들과 함께 나열되거나, 좀 더 율동감 있게 여기저기 흩어진 단어들로 무질서한 집합체를 이룬다. 마치 과학적 분류나 법의학적 단서의 나열처럼 보이기도 하는 동그라미와 표기법의 정돈된 배열은 작품 제목에 종속되지 않고 서로 논리적이면서도 동시에 무한한 연상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Remembered Words〉 is a composite of nine parts arranged in a 3x3 grid of framed drawings. Each drawing contains hand– painted circles in watercolor. These circles are either presented in a grid–like pattern with words written beneath them or appear in disorderly clusters with words jumping in and out in a more rhythmical manner. Resembling something like a scientific taxonomy or a display of forensic clues, these ordered constellations of circles and notations loosely correspond to their title and each other, building in correlations that are at once logical and mind–boggling.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현숙

아니쉬 카푸어, 빌 비올라, 칸디다 회퍼, 하종현, 장–미셸 오토니엘, 줄리안 오피, 김용익, 권영우, 이우환, 박서보, 로니 혼, 우고 론디노네

03053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54 82 2 735 8449 kukje@kukjegallery.com www.kukjegallery.com

Hyun–Sook Lee

Anish Kapoor, Bill Viola, Candida Höfer, Ha Chong–Hyun, Jean– Michel Othoniel, Julian Opie, Kim Yong–Ik, Kwon Young–Woo, Lee Ufan, Park Seo–Bo, Roni Horn, Ugo Rondinone

54, Samcheong–ro, Jongno–gu, Seoul, 03053, Korea 82 2 735 8449 kukje@kukjegallery.com www.kukjegallery.com

248

249


LEE & BAE B03

2010년 부산 해운대에 개관한 갤러리이배는 국내외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수준 높은 기획 전시를 선보이며, 시각 예술의 전 분야를 아우르는 다양한 전시 기획으로 예술 공간으로서의 본연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2010년부터 ‘이배 패트런 프로젝트’를 통해 작가에게 적극적이며 지속적인 후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작품 활동 지원 프로그램인 ‘이배 젊은 시각’ (현 ‘이배 주목 작가’)을 운영하여 2년마다 부산 및 경남 지역 젊은 작가를 선정하고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또 연구공간으로서 ‘이배 아트랩’을 운영하며 국내외 약 2만여 명의 작가 정보 아카이브, 미술 관련 서적 및 잡지, 도록 등 다양한 도서를 갖추고 있다.

허미회 Her Mihei, 두–사이 Entre–deux, 2018, photo, plexiglass, film, 131.5x87.5x10.5cm

갤러리이배

The LEE & BAE opened in Haeundae, Busan in 2010 and since then has held exhibitions of prominent artists from home and abroad. By holding such exhibitions which covers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modern fine art paintings, sculptures, lithography, photography and so on, LEE & BAE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itself as art space for all forms of art. We have started ‘Lee & Bae Patron Project’, ‘Lee & Bae Young Artists’(‘Lee & Bae Outstanding Artists’) with the goal of finding and sponsoring new artists. Within the ‘Lee & Bae ArtLab’ are an archive saving information of 20000 artists from home and abroad as well as a library which holds various art–related books and magazines.

Lee Seunghee’s work centers on empty space. He mixes clay, which is the basis of porcelain, with water to a consistency similar to paint, and paints once every day on top of the surface of a flat board which is also made from clay. As the clay dries, the repetitive painting allows layers to accumulate, giving the surface a depth. He scrapes off the surface to create the figures and the empty space. His artistic purpose is not so much to make a statement, but more on the side of questioning his identity as an artist as well as a person who lives in this world.

허미회는 이미지, 텍스트, 일상적 오브제의 필름을 투명한 아크릴 상자에 붙이거나 조합시켜 다양한 이미지가 겹쳐지고 반사되는 설치작업을 한다. 필름을 아크릴에 붙이는 것은 높은 난이도의 숙련된 수작업이 요구되어 마치 동양화의 배접과 거의 동일하다. 텍스트와 이미지가 반영된 투명 상자 속의 이미지들은 서로 겹치면서 안과 밖, 현실과 허구, 이미지와 물체, 글씨와 형상, 나와 타인의 경계를 유동적으로 만든다. Her Mihei’s artwork, most often printed on transparent film that covers the box. It easily shows and can read the fragments of the intimate diary of the past and the images of routine so we could see today of ‘it was’, as well as could see today of words that share with friends or neighborhood around directly or indirectly or today of neighborhood and street saw through the window.

입체적인 조각의 성질을 지닌다. Peter Demetz’s installations push beyond the framework of daily life, capturing the simple gestures and unique poses of his subject, who are often large, balding, and overtly masculine men. His female subjects are presented down to the smallest detail, bringing out the inherent femininity of their accessories, hair, and clothing. Both his male and female subjects are carefully wrought to underline their average statu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indicating their age or social class are underplayed to allow the observer to focus on their essential being, or soul. 피터 데메츠 Peter Demetz, 라 코페르티나 La Corpertina, 2017, linden wood, acrylic, LED light, 65x55x15.5cm

이승희 Lee Seunghee, Tao, 2018, ceramic, 88x88cm

이승희는 흙물을 수없이 올리는 방법을 통해 평면(부조)방식의 입체적인 도자기를 만든다. 도자기의 기능성을 배제하고 회화적인 느낌을 살려 도자의 색채나 선들을 미적 아름다움으로 표현한다. 유약 없이 구워진 흙 그 자체를 느낄 수 있는 배경과 고전의 도자기 그대로를 재현한 부분은 이원적인 구분이 불가능하다. 물성 탐구에 관한 노력은 도예가의 상상력에서 화가의 영역으로 옮겨가는 전환점을 만들어낸다.

이탈리아 작가 피터 데메츠는 수공으로 나무를 깎아 작품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약 20~50inch에 이르는 조각 작품은 우리 주변에서 마주치는 평범한 남녀와 아이들로 형상화되고, 단순한 색면을 배경으로 한다. 생생한 옷감의 결, 느슨하게 묶은 머리칼에서 그만의 정서를 느낄 수 있다. 작품은 회화와 조각이 만나는 지점에 있으며, 특정한 관찰자의 시점을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매우 회화적인 동시에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배미애

배상순, 허미회, 이승희, 피터 데메츠, 요코미조 미유키

48119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47 D동 112호 82 51 746 2111 galleryleebaekorea@gmail.com www.galleryleebae.com

Bae Miae

Bae Sangsun, Her Mihei, Lee Seunghee, Peter Demetz, Yokomizo Miyuki

D–112, 47, Marine city 2–ro, Haeundae–Gu, Busan, 48119, Korea 82 51 746 2111 galleryleebaekorea@gmail.com www.galleryleebae.com

250

251


LEEAHN GALLERY A17

리안갤러리는 2007년 1월과 2013년 1월에 각각 리안 대구와 서울을 설립함으로써 현재 2개의 갤러리로 운영되고 있다. 리안갤러리는 서울의 대표적 문화지역인 서울 서촌과 한국 근대 미술의 요람으로 불리는 대구에서 다양한 전시를 개최함으로써 보다 많은 작가와 관람객의 소통을 이루어왔다. 리안갤러리는 한국의 대표적인 중장년 작가 및 젊은 작가들의 전시를 끊임없이 선보이고,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충실히 소개하고 있으며 저명한 해외작가들의 개인전을 국내에서 개최하여 대중에게 중요한 전시 관람의 기회를 제공한다. 더불어 소속 한국 작가들의 해외 진출을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앞으로도 리안갤러리는 한국 미술 시장의 활성화와 세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남춘모 Nam Tchunmo, Spring 17–106, 2017, cloth, polycoat, acrylic on canvas, 115x100cm

리안갤러리

LEEAHN GALLERY currently operates two branches in two cities: Seoul, and Daegu of South Korea. LEEAHN Seoul, established in 2013, is located at Seocheon, so– called the cultural hub of Seoul. LEEAHN Daegu, established in 2007, is based in Daegu–the cradle of Korean modern art. Since their establishments, LEEAHN GALLERY has strive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public and artists by holding diverse and compelling art exhibitions. LEEAHN GALLER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introducing contemporary art trends by showcasing the artworks of emerging and renowned Korean masters. Furthermore, LEEAHN GALLERY has ceaselessly held solo exhibitions of notable international artists. LEEAHN GALLERY continues various effort t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omoting Korean artists in the global art world. LEEAHN GALLERY will continue to discover and foster promising artists from Korea and abroad, contributing to the vitalization of the Korean art market and globalization.

이건용 Lee Kunyong, Bodyscape 76–1–2018, 2018, acrylic on canvas, 171x151cm

다양한 매체를 구사하는 이건용의 예술에서 회화는 그가 무엇보다 중시하는 퍼포먼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이건용은 1960 년대부터 회화에서 작용하는 작가의 신체를 냉정히 드러내는 작업을 이어왔다. 그에게 그림이란 기본적으로 그리는 이가 행한 육체행위의 결과이다. 그의 신체적 회화 중 가장 대표적인 ‘신체 드로잉’ 연작에서 첫 번째에 해당하는 이 작품은 작가의 키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진 170cm 정도의 캔버스 뒤에서 앞면 쪽으로 손을 뻗어 반복적으로 선을 그은 후, 그려진 부분만큼의 캔버스를 접어 동일한

남춘모의 작업은 입체 회화 또는 부조 회화라는 측면에서 재료와 방법적으로 여타의 작가들과 차별화된다. ‘ㄷ’자 형태의 나무틀에 천을 감싸 그 위에 합성수지를 붓으로 바른 후 말려 뜯어내면 그의 작품의 기본적인 재료인 ‘ㄷ’자 형태가 완성된다. 이것을 공간이나 캔버스 화면에 다양한 배열을 이루어 붙이고 그 위에 아크릴 등으로 칠하거나 선을 더한다. 어릴 적 시골 자연 풍경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남춘모는 전통적인 의류 소재와 산업 소재를 병합하여 작가만의 독특한 조형 언어로 그 이미지를 표현한다. Nam sets himself apart from his predecessors in that he strives to combine three–dimensional elements with two–dimensional elements in his beam series. More often than not, he utilizes “ㄷ–shaped hardened resin, traditional ink and hand dyed fabric to achieve such feat. His elaborate artworks would strike the spectator. The light and shade collides and continuously changes its form in different angles or circumstances.

행위를 반복해 완성하는 작품이다. Lee’s unconventional ideas about painting are best exemplified by his ‘Body Drawing’ series, which began in 1976. For the first work in this series, Lee stood behind a canvas that was about 1.7 meters tall, matching his height. Blindly reaching around to the front of the canvas, he drew many lines and then folded the drawn area to repeat. Because of his position behind the canvas, he could initially only reach the outside edges of the front side. But as he continued folding, the canvas became lower, allowing his drawn lines to cover more of the screen. From 1976, Lee created an extensive series of drawings and drawing event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human body methodically. Lee’s drawing lines ultimately represent evidence of the fundamental act of drawing.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안혜령

최만린, 디자인(카를로스 로롱), 이미 크뇌벨, 제이콥 카세이, 제니퍼 스타인캠프, 정직성, 김승주, 이건용, 남춘모, 윤희

03043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2길 9 41956 대구광역시 중구 이천로 188–1 82 2 730 2243, 82 53 424 2203 info@leeahngallery.com www.leeahngallery.com

Ahn Hyeryung

Choi Manlin, Dzine(Carlos Rolon), Imi Knoebel, Jacob Kassay, Jennifer Steinkamp, Jeong Zikseong, Kim Seungjoo, Lee Kunyong, Nam Tchunmo, Yoon Hee

9, Jahamun–ro 12–gil, Jongno–gu, Seoul, 03043, Korea 188–1, Icheon–ro, Jung–gu, Daegu, 41956, Korea 82 2 730 2243, 82 53 424 2203 info@leeahngallery.com www.leeahngallery.com

252

253


LEEHWAIK GALLERY A22

2001년 인사동에 개관한 이화익갤러리는 2005년 현재의 송현동으로 이전하면서 본격적으로 미술계의 영향력 있는 화랑으로 발돋움했다. 국내에서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중진 작가들을 중심으로 전시를 기획하고 홍보하면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창의성과 역량이 돋보이는 젊은 작가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발굴,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또 해외 유수 갤러리들과의 교류 및 아트 마이애미, 아부다비 아트, KIAF와 같은 각종 국제 아트페어의 지속적인 참가, 크리스티, 소더비 등 해외 유명 옥션의 참여를 통해 국내 작가들의 해외 진출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세계 미술 시장의 흐름에 발 빠르게 동참한다.

김창열 Kim Tschangyeul, 물방울 Waterdrops, 2016, acrylic and oil on canvas, 162x130.5cm

이화익갤러리

Since its opening in 2001, for over 17 years of time, LEEHWAIK GALLERY has beco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galleries in Korea. LEEHWAIK GALLERY now represents leading figures in the Korean contemporary art with exhibitions and promotes artists to galleries and dealers worldwide. At the same time, it unwearyingly discovers and supports rising artists in Korea. LEEHWAIK GALLERY continuously participates in the international art fairs such as Art Miami, Abu Dhabi Art and KIAF, also in the auctions by Christie’s and Sotheby’s to promote Korean artists to the international viewers. Such opportunities enable the artists to enter the global art markets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contemporary art market.

김창열은 초기에는 추상화 위주였으나 1972년부터 물방울이라는 소재를 다뤘다. 대중적인 인기와 함께 국내 및 해외 미술계에서도 미학적 논의와 관심을 불러일으켜 한국 현대미술의 큰 획을 그었다고 평가 받는다. 그의 작품은 해외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더욱이 그가 활동하였던 프랑스에서 매우 중요한 작가로 기록되고 있다. 2016년 9월에는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이 개관하여 다양한 기획 전시와 소장품 전시를 선보이고 있다. Kim Tschangyeul focused on abstract paintings in his early career and become as the ‘Artist of Water Drops’ as he used water drops as the medium for his work beginning in 1972. Apart from being a highly popular artist, he also marked a milestone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by provoking discussion of aesthetics and interest in the world of art both abroad as well as in Korea. Leading museums of art internationally have collected Kim’s work. He is also known as a very important artist in France, where he lived and worked. In 2016, The Jeju Kim Tschangyeul Museum of Art has opened showing various special exhibitions and collections.

오치균 Oh Chigyun, Fall has come, 2018, acrylic on canvas, 130x194cm(each)

오치균은 붓이 아닌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리는 작가로 유명하다. 그는 주로 그가 생활해온 주변 풍경이나 인물들을 캔버스에 담는다. 풍경이라는 형태감을 형성하는 오치균의 화면은 실상 가까이서 보면 무수한 반복에 의하여 구축적으로 매워진, 형태를 가늠하기 힘든 추상적인 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졌다. 이번에 출품하는 신작은 반추상 형태의 풍경화로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하는 그의 노력이 깃들어져 있다. Oh Chigyun is a Korean artist best known for his ‘finger works’ in which he applies ink onto canvas using his hands. He mainly draws scenery and characters around him. Oh Chigyun’s canvas conveys the formal qualities of scenery, but when seen up close, it is composed by a combination of indiscernible abstract colors pileup the canvas through innumerable repetition. His new work to exhibit this time shows his efforts to constantly make new attempts with the landscape of semi–abstract for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화익

최영걸, 한운성, 정보영, 정소연, 김동유, 김덕용, 김미영, 김창열, 이정은, 이기영, 오치균, 임동식

03062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67 82 2 730 7818 leehwaik@gmail.com www.leehwaikgallery.com

Lee Hwaik

Choi Yeonggeol, Han Unsung, Jeong Boyoung, Jeong Soyoun, Kim Dongyoo, Kim Duckyong, Kim Meeyoung, Kim Tschangyeul, Lee Jungeun, Lee Kiyoung, Oh Chigyun, Rim Dongsik

67, Yulgok–ro 3–gil, Jongno–gu, Seoul, 03062, Korea 82 2 730 7818 leehwaik@gmail.com www.leehwaikgallery.com

254

255


리서울갤러리 LEESEOUL GALLERY B66

조은아 Eunah Cho, Timeless1820, 2018, mixed media with hanji paper on canvas, 91.45x91.45cm

인사동 네거리에 자리 잡은 리서울갤러리는 국내외 현대미술 작가와 작품을 소개하고 전시한다. 한국 미술을 이끌어가는 중견작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공모전 등을 통해 유망 신진작가를 발굴한다. 신진작가 공모 프로그램인 New Thinking, New Art를 통해 지금까지 100여 명의 신진작가를 발굴하고 그들의 작품을 전시했다. 해외 유명 갤러리 및 작가와 교류하며 여러 국제 아트페어와 옥션에도 출품한다. 개관 7년 차인 2018년부터는 전속작가제 도입 등 새로운 도약을 시도한다. LEESEOUL GALLERY, located at the crossroad of Insadong, introduces and exhibits works of both Korean and foreign contemporary artists. The gallery exhibits works of veteran artists who are the leading figures of Korean art, and also finds new promising artists through holding art competitions. The program ‘New Thinking, New Art’ held at LEESEOUL GALLERY has found more than 100 new artists and exhibited their works. LEESEOUL GALLERY enters the international art scene by not only communicating with renown galleries and artists abroad but also submitting works at numerous international art fairs and auctions. Now entering its 7th year, the gallery now takes a leap further by adopting the system of exclusive contract between the gallery and the artist.

질서가 함께하는 우주의 일부라고 말한다.

화면에 등장한 새는 희망, 자유, 영감을 내포하고, 잘린 작은 화면은 새로운 화면으로 재탄생시키듯 거듭남으로 영생을 얻기 위함이다. 이 꿈을 제시하기 위해 조은아는 새로운 예술적 미학으로 다가갔다. 먼저 한지에 먹, 동양화 물감, 아크릴과 착색제 등을 사용하여 강렬한 색채의 대비와 다양한 선과 모양으로 화면을 채웠다. 그리고 모양을 자른 뒤 재조합하여 새로운 캔버스에 붙여넣었다. Eunah Cho describes her work, “I believe that living with dreams and hope for the future gives us meaning and a happy life. Living in a society where we are burdened with limited time, I visualised what it means to live a timeless life. I present birds; birds symbolise hope, freedom, and inspirational imagination which connect my thoughts with the artwork. To present this dream, I have created a new aesthetic form of art. First, I painted on Hanji (Korean traditional handmade paper) with black ink, oriental water color, acrylic, and various pigments. I employ the ideas of contrast in colors, lines, and shapes. Then cut this painting into small pieces of rectangles and rearrange them on a new canvas.”

Kwon’s figures seem suspended in time, arrested in a sort of ageless androgyny. They are beautiful, and yet unspecific, functioning more like symbolic emblems than individual subjects. The figure becomes a literal instrument of psycho–spiritual expression through which she explores universally relatable, though intensely personal, themes of femininity, sexuality, death, libidinal impulse, transformation, and ego. 권경엽 Louise Kwon, Surreal Memory, 2016, oil on canvas, 62x62cm

Artist Sunny Kim’s ‘Universe’s Dream’ series depicts the wide and infinite universe. Compared to the vast universe, the human species is small. Yet the mind of the human looking at the universe expands enormously and is of immeasurable depth. Hong comments that, although the art piece looks abstract, it may be seen as illustrating the form of the universe. Hong further notes that she attempts to symbolize and express the universe through the use of dots, lines and colors. Not only is Hong herself one of the dots constructing the universe, the eyes and the minds of the audience viewing the work is also a part of the universe.

홍선애 Sunny Kim, Cosmic Dream 17–III, 2017, acrylic on linen, 180x137cm

홍선애의 ‘우주의 꿈’ 시리즈는 넓고 무한한 우주가 표현된 작품이다. 광활한 우주에 비해 인간은 작은 물질이고 유한한 존재이다. 그러나 우주를 바라보는 인간 마음의 세계는 무한하게 깊고 확장된다. 그녀는 우주를 점과 선, 색채로 표현한다. 그리고 그 작업을 하는 그녀 자신 또한 우주를 구성하는 한 점이고, 작품을 바라보는 사람의 눈과 마음도 우주의 일부분이 된다. 그래서 우리 모두 카오스와

권경엽의 작품 속 인물들은 양성의 정체성에 갇혀 시간 안에 정지된 상태로 영원히 늙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 인물들은 아름답지만 아직 불특정적이고 개인적인 대상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표상으로서 기능한다. 지극히 개인적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일반적인 관련성이 깊은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여성성, 섹슈얼리티, 죽음, 리비도의 충동, 변형, 자아 등을 탐구한다. 이 과정을 거쳐 그녀에게 인물은 심리를 조형화한 정신적인 표현의 도구가 된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조운조

홍선애, 조은아, 권경엽, 김지희

03163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22–2 82 2 720 0319 leeseoul@hanmail.net www.leeseoul.com

Cho John

Sunny Kim, Eunah Cho, Louise Kwon, Kim Jihee

22–2, Insadong–gil, Jongno–gu, Seoul, 03163, Korea 82 2 720 0319 leeseoul@hanmail.net www.leeseoul.com

256

257


MASAN ART CENTER B54

마산아트센터는 1981년 송하갤러리 간판으로 개관하여 문신, 송혜수, 전혁림, 추연근 초대전 등 20여 년 동안 약 120여 회의 기획전시를 개최했고, KIAF, 쾰른아트페어, 북경아트페어, 타이페이아트페어 등 국내외 아트페어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2004년 창원, 진주, 통영의 중간지점에 폐교를 리모델링하여 마산아트센터로 재개관했고 현재까지 전시회, 공연, 레지던스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박은수 Park Eunsoo, 삶을 사유하다 Think about Life, 2018, mixed media on canvas, 228x163cm

마산아트센터

MASAN ART CENTER was originally started as a Songha Gallery in 1981 and held about 120 invitational exhibitions for prominent artists including Moon Shin, Song Hyesu, Jun Hyukrim and Choo Yonkeun over 20 years. The gallery also has been participati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fairs such as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logne Art Fair, Beijing Art Fair and Taipei Art Fair. In 2004, an obsolete school building was renovated at a location in the middle of southern three cities, Changwon, Jinju and Tong Young, and Songha Gallery has re–opened as MASAN ART CENTER. Currently, in addition to showcasing its artists through international art fairs and offering a view of permanent art collections to visitors, the MASAN ART CENTER is a home for various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emerging artist residence programs.

김학일 Kim Hakil, 自然–感 Nature–Feeling, 2018, after jelly coloring, 91.5x121cm

김학일은 동양미학의 바탕 위에 ‘자연–감 感’이라는 주제로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해왔다. 펄프를 겹겹이 쌓아올려 자연과 시간의 축적을 나타내고, 수묵의 미묘한 아름다움으로 물들인 각기 다른 여러 개의 홈을 통해 세월의 역동적인 흐름을 표현했다. 그가 두드리고 말리기를 수차례 반복하는 작업을 거치면 마침내 변화를 무상으로 이끄는 시공간, 그만의 섬세함이 살아 숨 쉬는 무위자연이 펼쳐진다. Kim Hakil has been organizing his own world of works with the theme of ‘the nature–emotional intutive feeling’ on the base of the oriental esthetics. Piling wood pulp up layer upon layer, he indicates the accumulation of the nature and the time. And also, he expresses the dynamic flow of time using numerous grooves of which size is different each other, melted with the beauty of the quiet oriental ink painting. Through the works of repeating scutching and drying, finally, ‘space–time leading a change to a transience’, the nature of quiet and peaceful idleness spreads out where the artist’s delicacy is breathing alive.

박은수는 최근 삶의 본질에 대한 치열한 사유와 성찰을 통해 자기만의 회화방식을 구축했다. 즉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그 주변까지 표현의 중심에 두고 있다. 그는 삶의 흔적을 의미 있는 퇴적층으로, 은유하는 인간으로, 보편적 방식을 벗어난 기준을 가진 생산자로 남고 싶어 한다. 언제나 그래왔듯 작품에서 무엇을 표현할 것인가를 고민하지 않고 무엇을 표현하지 않을 것인가를 고민한다. 이는 바쁘게 살아가는 우리에게 삶을 뒤돌아보게 한다. Park recently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painting through intense reasons and reflection on the essence of life. In other words, not only what is visible but also what is invisible is at the center of expression. He wants to remain a deposit meaning a mark of life, a metaphorical human being, as a producer with criteria that go beyond the universal method. As always, the writer is agonizing over not what to express but waht not to express in his work. This brings us back to our busy liv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창수

공태연, 정근찬, 김학일, 이미영, 박은수

51795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팔의사로 361 82 55 271 5150 shgallery@hanmail.net www.mac2004.or.kr

Kim Changsu

Gong Taeyeon, Jeong Keunchan, Kim Hakil, Lee Miyoung, Park Eunsoo

361, Paruisa–ro, Jinjeon–myeon, Masanhappo–gu, Changwon–si, Gyeongsangnam–do, 51795, Korea 82 55 271 5150 shgallery@hanmail.net www.mac2004.or.kr

258

259


A39

1987년 밀라노에서 문을 연 마시모 드 칼로 갤러리는 창립 때부터 알리기에로 보에티, 루돌프 스팅겔, 마우리치오 카텔란, 얀 페이–밍 등 당대의 신진 유망작가들을 대표해왔다. 국제적으로 성공한 이들을 후원한 덕분에 갤러리 또한 계속해서 성공을 구가해 왔다. 지난 30년 동안 마시모 드 칼로는 국제 미술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작품들을 이태리에 들여오고, 이태리 예술가들을 국제무대에 소개하는데 앞장서 왔다. 이를 통해 아티스트와 국내외 기관간의 교류를 촉진하고, 갤러리, 큐레이터 및 컬렉터 사이를 연결해 주었다. 2012년과 2016년, 런던과 홍콩에 지점을 개설했다.

야니스 쿠넬리스 Jannis Kounellis, Installation View of Jannis Kounellis at Massimo De Carlo, Hong Kong, 2018

MASSIMO DE CARLO

파올라 피비 Paola Pivi, I wish you can touch me, 2017

엘름그린 & 드락셋 Elmgreen & Dragset, Side Effect, No.9, 2015

카스텐 휠러 Carsten Höller, Installation View of Double at Massimo De Carlo, Hong Kong, 2017

MASSIMO DE CARLO gallery was founded in Milano in 1987. Since the beginning, MASSIMO DE CARLO gallery program included young and prominent artists such as, among others, Alighiero Boetti, Rudolf Stingel, Maurizio Cattelan, and Yan Pei–Ming. The global affirmation of these and the other artists of the gallery has favoured its on–going success. For 30 years MASSIMO DE CARLO has been playing a fundamental role in bringing the most interesting voices of international art to the Italian scene, and Italian artists into the global arena. This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a vital dialogue between the artists a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encouraging relationships between galleries, curators, and collectors. MASSIMO DE CARLO opened an outpost in London in 2012, and recently in Hong Kong in 2016.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클라우디아 알베티니

카스텐 횔러, 엘름그린&드락셋, 존 암리더, 야니스 쿠넬리스, 마시모 바르톨리니, 귄터 푀르크, 루치오 폰타나, 파올라 피비, 리우 샤오동, 맥아더 비니온, 얀 페이–밍

홍콩 12페더스트리트 No. 301&302A 페더빌딩 3층 852 2613 8062 albertini@massimodecarlo.com www.massimodecarlo.com

Claudia Albertini

Carsten Höller, Elmgreen & Dragset, John Armleder, Jannis Kounellis, Massimo Bartolini, Günther Förg, Lucio Fontana, Paola Pivi, Liu Xiaodong, McArthur Binion, Yan Pei–Ming

Pedder Building 3F, No. 301&302A, 12 Pedder Street, Hong Kong 852 2613 8062 albertini@massimodecarlo.com www.massimodecarlo.com

260

261


A63

2013년 대만 타이난시에 문을 연 미즈이로 워크숍은 타이난 운하를 따라 가장 아름다운 수변 공간에 자리잡고 있다. 총면적 400㎡에 육박하는 2개 공간에서 최고 수준의 예술품을 방문객에게 선보인다. 미즈이로 워크숍은 기획전시, 음악 공연, 실험극, 아트 토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해 미술 분야에서 타이난시의 위치를 장기간 공고히 하고자 한다. 올해로 3번째 열리는 〈블러바드 아트 페스티발 타이난〉의 일환으로 운하를 주제로 한 작품을 제작할 아티스트들을 전세계에서 초청 중이다.

첸 산 쿠오는 회화 작품을 통해 무의식의 시각적 이미지와 독특한 풍부함을 묘사한다. 그는 정신의 단면을 포착하여 반추상화 작품으로 시각화하고자 한다. 멀리서 보면 그의 작품은 대부분 풍경의 형태이며, 그 속에 미묘한 상징과 텍스처가 함께 어우러져 인간의

치아 잉 창 Chia Ying CHANG, Dr.Monkey’s Secret Experiment, 2018, acrylic on canvas, 130x162cm

MIZUIRO WORKSHOP

치아 잉 창은 설득력 있는 화자–발표자와 무표정의 청자–관객 역할을 모두 맡는 커다란 눈의 상징적 캐릭터를 창조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그림들은 대부분 매우 큰 사이즈로 제작되어 첫 눈에 경이롭고 흥미로워서 관객의 시각적 열망을 충족시킨다. 하지만 작품에 가까이 다가가 관객을 빤히 바라보는 인물의 눈길, 캔버스 주변 일견 무관해 보이는 배경과 오브제를 바라보면 관객은 그 무엇도 정해진 것 없는 작가의 초현실적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Chia Ying CHANG has created an iconic character – the doe–eyed figure that plays both roles of a persuasive teller/presenter and a blank listener/viewer. Her paintings, usually coming in surprisingly large size, are being described as wondrous, colorful at first glance that satisfies the viewers’ cravings. However, when looking closely at the everlasting gazes from the figure(s), and those seemingly irrelevant settings and objects around the canvas, viewers are invited to enter artist Chia Ying CHANG’s surreal world in which nothing is defined.

Artist Chen San KUO has depicted a subconscious visual and unique richness in his paintings. The artist tries to grab that glimpse of the unpredictable soul that finally dwells to capture and visualize the moment in his semi– abstract paintings. KUO’s works mostly are in the form of landscaping when seen from a distance, within which subtle symbols and textures are yet weaved into, to remind us of our nature being rational and sentimental. 첸 산 쿠오 Chen San KUO, Red Ink Landscape, 2018, oil on canvas, 162x130cm

Founded in 2013, Tainan City, Taiwan, MIZUIRO WORKSHOP is an art space established on the most scenic bank of Tainan Canal. MIZUIRO WORKSHOP currently possesses two venues of nearly 400㎡ in total to bring best art scene between artworks and viewers. The core mission of MIZUIRO WORKSHOP is to provide a platform for a wide range of curated exhibitions, music performances, experimental theatre and art talks, hoping to bring to Tainan long and splendid prosperity in the art field. 〈Boulevard Art Festival Tainan〉 has met its third session last year, in which the gallery invites artists from all around the world to create artworks for landscaping the canal.

합리적이고 감성적인 본성을 일깨운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밍시아 린

치아 잉 창, 첸 산 쿠오, 루오 신 우, 종 지아 양

대만 700 타이난 웨스트센트럴디스트릭트 황허스트리트 No. 31 Ln. 129 886 6 221 6806 mizuiro1214@gmail.com

Ming Hsia LIN

Chia Ying CHANG, Chen San KUO, Ruo Hsin WU, Zong Jia YANG

No. 31, Ln. 129, Huanhe Street, West Central District, Tainan City, 700, Taiwan 886 6 221 6806 mizuiro1214@gmail.com

262

263


MOIN GALLERY B36

1988년 개관한 모인화랑은 종로구 인사동에 있다. 미술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젊은 작가의 기획전 및 중견작가, 대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판매한다. 특히 국내외 아트페어에 적극 참가해 신진작가의 발굴 및 수준 높은 작품을 전시한다. 모인화랑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와 오랜 경험을 가진 전문인의 안목으로 화랑의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 Established in 1988 was MOIN GALLERY which is placed in Insa–dong, famous for the streets of galleries and traditional artifacts. MOIN has been planning and exhibiting numerous modern paintings and sculptures of the great and top ranks artists. The gallery also has focused on the young and emerging artists. The quality of the arts itself, not by the name of the artists is the point when we plan the special exhibition. With the abundant experiences and the creativities, the gallery participates in the international art fairs and promotes the emerging artists and established top ranks artists of Korea.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발전상을 보면서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빅데이터나 로봇공학, 인공지능, 3D 프린터의 발전으로 많은 영역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예술의 영역도 확대될 뿐 아니라 산업발전에 따른 자동화의 연결성, 위험성도 동시에 예측되는바, 이것이 바로 박병근이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를 작품화하면서 홀로그램 표현을 감추거나, 다 드러내지 않는 은유의 화법으로 시간과 데이터를 작품에 담아낸다. While witnes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ing over time, Park Byunggeun could not help but question the nature of human being. As many boundaries will disappear due to the rise of big data, robot engine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3D printers, the new era will open ways for new artistic spheres. To this end, his artistic endeavors expanded towards the poster bo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By using the latest holographic technology, the artist aimed to portray time and data, rather than blurring the artistic boundaries or going beyond them. 박병근 Park Byunggeun, Bigdata–18202, 2018, acrylic on hologram panel, 100x100cm

김창열 Kim Tschangyeul, 물방울 Water Drops, 2015, oil on hemp cloth, 53x73cm

김태호 Kim Taeho, Internal Rhythm, 2009, acrylic on canvas, 162.8x131cm

모인화랑

김태호의 지움과 드러냄은 관념의 유희가 아니라, 그의 몸의 동인과 관련된 실천적 과제였다. 거꾸로 말해 그가 몸의 실천과 각인에 의해 일구어낸 은폐와 개시의 방법은 우리의 문화맥락에서 찾아볼 수 있는 끊임없는 건립과 직조, 나아가서는 온갖 성형의 방식과 궤를 같이한다고 예단할 수 있다. 자신이 내재율의 선례로 언급하고 있는 한옥의 창문과 직물에서 보여지는 그리드는 서구의 그것이 아니라, 우리 고유의 세계 구성의 인습적 원리임이 분명하다. 이 점에서 그는 우리의 고유한 형성 원리의 하나를 자신의 것으로 전유함으로써 은폐와 개시라는 이원성을 개인사적 시각으로 풀어내고 있음이 틀림없다.

김창열의 물방울은 극도로 사실적인 이미지로, 만지고 싶은 충동을 일으킨다. 그의 1972년까지 새로운 ‘워터 드롭’ 작품들은 존재의 질을 시각화하는 것으로 보이는 현상 시리즈로, 대조적으로 상당한 개념적 변화를 보여준다. 캔버스에 물방울이 떨어진 것은 더는 혼자가 아니었다. 모든 규모에서 물방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는 현실을 아름다움으로 바꾸고 삶의 가벼움과

The act of erasing and revealing does not remain at a conceptual level but is elevated as an essential task in relation to Kim Taeho’s body. As one can see from the window frame of traditional Korean building and weaved fabric which he named as two main influences to his ‘internal rhythm’ period, the ‘grid’ is not a concept borrowed from western culture but a conventional principle unique to Korean way of organizing the world. From this perspective, Kim reveals, for sure, the duality of disclosure and opening from the personal perspective.

존재의 경이로움을 반영한다. The water drops give the extremely realistic impression made out of fiction, enticing people to touch them. By 1972, new Waterdrops works revealed a substantial conceptual shift as opposed to the ‘Phenomenon’ series which appeared to visualize the quality of existence. Water drop on Kim Tschangyeul’s canvas was no longer alone. The number of water drops radically increases in all sizes, which turns reality into beauty and reflects the lightness of life and the wonder of existenc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진화

정직성, 김정은, 김태호, 김창열, 박병근

03146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0길 13 청아빌딩 2층 82 2 739 9292 moingallery@hanmail.net www.moingallery.co.kr

Kim Jinhwa

Jung Zikseong, Kim Jungeun, Kim Taeho, Kim Tschangyeul, Park Byunggeun

Chunga Building 2F, 13, Insadong 10–gil, Jongno–gu, Seoul, 03146, Korea 82 2 739 9292 moingallery@hanmail.net www.moingallery.co.kr

264

265


B10

2015년 설립된 묵지아트콜라보레이션은 현대예술 분야 중 회화와 조각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갤러리는 여러 분야와 관점에서 신진작가를 발굴하고 동시에 진보적인 경향을 명확히 드러낸다. 중견 및 열정적인 젊은 작가를 후원하고 신흥 작가들의 데뷔를 돕는 묵지아트콜라보레이션은 주요 국제전시에 참여하는 국제적인 아티스트와 협업하고 있다. 현대 및 고전예술 컬렉션 확대를 지원하며 미국, 한국, 두바이, 싱가포르, 홍콩, 그리스, 벨기에, 파리, 스위스 바젤, 중국, 영국 등 세계 각지에서 다수의 개인 컬렉터들에게 작품을 제공해 왔다.

스테판 마스 퍼슨 Stefan Mas Persson, On the top of the World, 2018, acrylic on wood, 71x55cm

MOOKJI ART COLLABORATION

Founded in 2015, MOOKJI ART COLLABORATION engages in contemporary art that specializes in a variety of paintings and sculptures. The gallery’s new artist discovery draws upon a diverse range of disciplines and intellectual perspectives while maintaining a clear progressive thread. Supporting mid–career and enthusiastic young artists, as well as launching emerging artists, MOOKJI ART COLLABORATION works with global artists who participate in leading international exhibitions. Spurring a growth of collection for contemporary as well as classic works, the gallery has placed pieces at many art collector’s private collections around the World such as USA, Korea, Dubai, Singapore, Hong Kong, Greece, Belgium, Paris, Basel, China, UK.

율 Yul, Paradox, 2018, oil on canvas, 130.3x130.3cm 도미니크 벤후라 Dominic Benhura, Swing Mama, 2017, spring stone, 1400x2200x800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순 푸루이, 데이빗 정

도미니크 벤후라, 피디아 팔라쉐티, 스테판 마스 퍼슨, 율

중국 상하이 쑹장구 북길 900레인 No.940 82 10 2436 6797 mookjiart@gmail.com www.mookjiart.com

Sun Furui, David Jung

Dominic Benhura, Fidia Falaschetti, Stefan Mas Persson, Yul

No.940, 900 Lane, Sanxin North Road, Songjiang District, Shanghai, China 82 10 2436 6797 mookjiart@gmail.com www.mookjiart.com

266

267


A60

모리유갤러리는 일본 교토에 자리한 현대미술을 전문으로 하는 상업화랑으로 기성 및 신진작가 모두를 대표한다. 자신만의 확고한 예술관을 갖고 있는 갤러리 아티스트들은 한때의 유행에 휩쓸리지 않는다. 이들은 작품활동을 통해 기억에 기반한 이미지를 가능한 가장 생생하게 재구성한다. 모리유갤러리는 평면, 입체, 사진 등의 장르와 상관없이 능란하고 맑고 명확한 첫인상을 주는 작품을 선호한다. 예술 작품은 미술사의 전통적 맥락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함과 영속성을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카와이 마사유키 Kawai Masayuki, Video Feedback Configuration no.5 Mirrored, 2018, video processors, video mixer, monitor, cables, stainless, wood, iron, 150×100×40cm

MORI YU GALLERY

MORI YU GALLERY is a contemporary art commercial gallery based in Kyoto, dedicated to promoting young and well–established artists. The gallery’s artists possess their own languages which would not let them get carried away with the present fashion. The artists reconstruct images on memory as liveliest impressions as possible in their works through physical actions. It would be easy to express beauty and clarity with one’s sharp, cold, and minimal sense. But the gallery considers that the work with its extrusive sense which tastes slick and crystalline momentarily until it melts down again would be excellent,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wo–dimensional, three–dimensional or photographic. The gallery believes it is desirable that an artwork has as much diversity and timelessness, unbound to traditional contexts of art history.

코야나기 히토시 Koyanagi Hitoshi, Landscape, 2017, acrylic on canvas, 116.7×116.7cm

후지와라 야스히로 Fujiwara Yasuhiro, Mountain in Between, 2018, acrylic on panel, 49.6×116.5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모리 유이치

카와이 마사유키, 쿠로다 아키, 코야나기 히토시, 무라기시 마나부, 후지와라 야스히로

606–8357 일본 교토 사쿄구 쇼고인 4–19 렌게조쵸 81 75 950 5230 info@moriyu–gallery.com www.moriyu–gallery.com

Mori Yuichi

Kawai Masayuki, Kuroda Aki, Koyanagi Hitoshi, Muragishi Manavu, Fujiwara Yasuhiro

Rengezo–cho, Shogoin, 4–19 Sakyo–ku, Kyoto, 606–8357, Japan 81 75 950 5230 info@moriyu–gallery.com www.moriyu–gallery.com

268

269


MYUNG GALLERY B71

채기선 Che Giseon, 한라산 Halla Mountain, 2018, oil on canvas, 91x116.8cm

김중식 Kim Joongsik, 파리 야경 Night View in Paris, 2012, acrylic on canvas,130x 192cm

1980년 문화의 거리 인사동에 백마화랑으로 개관, 이후 1988년 명갤러리로 상호를 변경했다. 초대전 300회 이상 6대 작가전을 시작하여 명미술관 개관으로 명미술관, 명갤러리 등을 운영하였다. 서양화 초대전을 시작으로 남관 초대전, 박영선 초대전, 채영림 초대전, 황유업 초대전, 조병덕 초대전, 홍종명 초대전을 기획했다. 현재는 인사동에서 서양화, 동양화, 조각 분야의 전시를 초대·기획한다.

명갤러리

하나의 캔버스에 도자기 등을 활용해 이중적으로 그리는 나의 주된 작업 방식으로 도시의 야경을 표현했다. 이중적 기법으로 다양한 소재를 접목할 수 있어 흥미롭다. 파리의 멋진 야경을 나만의 방식으로 화폭에 옮기고 싶었다. 꿈 많던 유학 시절 파리에서의 추억을 되새기며 화폭에 담아본다. – 김중식 I expressed the night view of the city with my main work style, drawing double pictures using ceramics on a canvas. It is interesting as it can apply variety of materials through dual techniques. I wanted to draw the beautiful night view of Paris to the canvas in my own way. When I was studying abroad, I remember my memories in Paris and put them in a canvas. – Kim Joongsik

반려동물인 고양이를 소재로 일상의 소소한 삶을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그려나간다. 경쟁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내면을 직설적 화법이 아닌 우회한 감정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의인화된 고양이를 통해 작은 행복과 편안함을 선사하고 싶다. – 박경희 I draw a small story of life in a storytelling way by using a companion animal cat. I want to express the inside of modern people with detours rather than direct speech. I want to give a little happiness and comfort through a personified and cuddly cat. – Park Kyunghee

박경희 Park Kyunghee, 나비야 놀자 Play with Butterflies, 2018, oil on canvas, 91x106.5cm

섬은 꿈을 꾸게 한다. 섬이 마음에 다가와 신비를 느끼게 한다. 섬은, 풍경은, 신비와 행복을 표현하는 나의 친근한 소재이다. Island arouses my dream. Island touches my heart, making me feel mystique. Island and sceneries are the themes of my art to express mystique and happines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안종린, 최안순

채기선, 한혜경, 김중식, 김옥경, 김영옥, 박경희

03163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16 향정빌딩 82 2 720 4716 myunggallery@hotmail.com www.myunggallery.com

An Jongrin, Choi Ansoon

Che Giseon, Han Hyekyeong, Kim Joongsik, Kim Okkyoung, Kim Youngok, Park Kyunghee

Hyangjeong Building, 16, Insadong–gil, Jongno–gu, Seoul, 03163, Korea 82 2 720 4716 myunggallery@hotmail.com www.myunggallery.com

270

271


NA GALLERY B08

1987년에 개관한 나화랑은 유명 작가들의 회화, 판화, 디자인 그리고 사진 작품들을 포함한 훌륭한 작품들을 전시하면서 큰 노력을 기울였다. 주로 현대미술에 초점을 맞춰왔고, 작가들의 독창성을 바탕으로 한 광범위한 활동들을 제공하면서 유능한 소질을 갖춘 아티스트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왔다. 한층 더 차별화된 방법과 경로를 통하여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한국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다양한 계획을 하고 있다.

김진희 Kim Jinhee, 일기 Diary, 2017, acrylic on canvas, 73x85cm

나화랑

Ever since the opening of NA GALLERY in 1987, the gallery has been making a great effort in producing exhibitions of art pieces including oil paintings, prints, industrial arts and photographs created by the well–known and distinguished artists. NA GALLERY, which has chiefly focused on contemporary art, has also devoted its sensitive attention to the talented artists by offering a broad range of activities to nurture their originality. The gallery is now planning to update the methods and channels of the introduction of fine arts including Korean contemporary art, both locally and overseas.

이혜인 Lee Heiin, 길 The Road, 2018, acrylic on canvas, 41x81.9cm

세상 어느 것도 머물러 있는 것은 없다. 꽃은 피어나고 시들고 씨앗으로 영글고 우리도 태어나서 늙어가고 죽어간다. 그녀를 지나간 그 기나긴 시간 속에서 자신은 무엇이었을까. 어떤 의미였을까. Things pass. There’s nothing stays the same. Flowers bloom, wither away and become seeds to bear fruit. We all are born, get old and die. What was the artist through the long passing time? What would have it meant? ‘길’ 연작은 살아가는 길, 바람의 길, 소리의 길, 생각의 길 등 모든 길에서 만나는 기억과 인연과 꿈을 표현했다. 이혜인은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는 색과 더불어 놀고, 화면을 구성하고 선을 긋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노래를 하며 타르초를 만들어 간다. 그녀의 작품 뿌리는 티베트 여행길에서 시작되었다. 진리와 인간의 염원이 바람을 타고 세상 곳곳에 이르고 하늘에 닿기를 바라는 타르초에 담긴 마음이 작품 안으로 들어온 것이다. The series of ‘The Road’ expresses the road of life, the road of the wind, the road of sound, the road of thought, the memories, ties and dreams that meet in all the road. Lee Heiin says, “It is the work of making my Tharchog with the most primitive song of a human being through the process of playing, constructing the screen, and drawing the line with the color expressing my experience and emotion. My work began on a trip to Tibet, where the heart of Tarchog, which hopes that truth and human desire will reach all over the world and reach the sky in the wind, has entered my work.”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유길자

김진희, 김민주, 김영신, 이혜인

03330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29길 34–14 지하1층 82 2 732 8846 nagallery79@naver.com www.na–gallery.com

Yoo Gilja

Kim Jinhee, Kim Minjoo, Kim Youngshin, Lee Heiin

B1, 34–14, Yeonseo–ro 29–gil, Eunpyeong–gu, Seoul, 03330, Korea 82 2 732 8846 nagallery79@naver.com www.na–gallery.com

272

273


NINE GALLERY A21

나인갤러리는 1994년 한국 광주 예술의 거리에 양승찬 대표에 의해 개관하여 현재 260㎡의 전시장과 60㎡의 작품 수장고를 가지고 있다. 1996년에 첫 기획전 〈누드로 만나는 16인전〉을 시작으로 매년 10여 회의 초대전과 기획전을 통해 역량 있는 작가들을 발굴한다. 2001년 나인 아트컨설팅을 개설하여 미술 전문가와 함께 국내외 공공기관, 골프장, 병원 등을 위한 미술 컨설팅을 진행했다. 그 외 2006년 뉴욕 아트페어를 시작으로 매년 10여 회의 국제적인 아트페어에 참가해 유망한 작가들을 세계 미술시장에 알리고 작품 유통뿐만 아니라 작가 보급에도 힘쓴다. NINE GALLERY is located at Art Street in Gwangju, Korea since 1994. It is managed by Director Yang Seungchan. It planned the first exhibition 〈16 Artists’ Exhibition with Nude〉 in 1996. Since 2001, the gallery has been art consulting for public places. Annually, NINE GALLERY has been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art fair over 10 times with excellent results and high evaluation. Not only, the gallery looks for good artists who have much potential but also, promotes artists to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NINE GALLERY, recognized as the typical gallery of Gwangju, showed successful exhibitions and led public relations of hidden promising artists to exhibit their works.

김현숙의 작품에는 꿈과 환상으로 예술적 감성을 자극하는 풍경으로 가득하다. 작품 내용은 자연과 인물로 나뉘어 신선한 영감을 준다. 자연은 꿋꿋하게 서 있고, 인물은 끊임없이 움직이며 인간의 가치가 넘치는 새 세상을 모색한다. 한국적 정서와 미감을 담은 이 작품에서 소녀의 꿈 꾸는 삶은 현실의 고통을 딛고 환상의 세계로 질주한다. 그 뒤에 딸의 삶을 묵묵히 지키며 존재하는 엄마의 모습과 소박한

서승연 Seo Seungyeon, Life, 2017, acrylic on canvas, 45.5x91cm

나인갤러리

풍경이 있다. An established painter, Kim Hyunsuk,’s works of art are filled with scenery which stimulates artistic sensitivity through a dream and a fantasy. Her artworks throw the fresh inspiration to us by dividing into a nature and a person. Nature stands firm and person move continuously and seeks a new world full of human worth. A girl who has Korean emotion and a sense of beauty is very happy due to mother and sky. She dreams, overcoming agony in reality and runs to the world of fantasy. Beyond a girl, mother’s figure protecting her daughter and daily simple landscape get along and give peace and warmth together.

서승연의 작업은 만물의 근원인 물방울을 통하여 성장과 소멸, 재탄생의 순환과정을 거치면서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생명력의 표현이다. 도시는 많은 인구가 모여 살며 일정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인류가 이룩한 도시는 새로운 꿈을 시도하고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발전했다. 그래서 물방울의 의미는 꿈을 주는 매개물로써 그녀의 작업에 꼭 필요한 조형 언어로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아닐까 싶다. Woo Byungchul is interested in combining a digital image with a form of analogue. It gives a subtle sense through just only position by lying a middle zone of reality or a photo between a drawing. Even though traditionally paintings classify a subject and a subtitle, he expresses clearly things in a distant view with the same line removing all halftone in canvas frame. He thinks that it is a way of seeing a world and objects with another viewpoint through his delicate lens.

김현숙 Kim Hyunsuk, 딸과의 산책 Walk with Daugther, 2018, oil on canvas, 72.7x53cm

Seo Seungyeon’s artworks express the vitality that enriches human life through the cycle of growth, extinction, and rebirth, which is the source of all things. A city is a place where many people live and that becomes the center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a certain area. The human race developed by numerous trial and error attempts and trials. So, the meaning of water droplets is a tool that gives a dream to send a hopeful message by the form of language, which is essential for Seo Seungyeon’s artwork.

우병출은 디지털 이미지를 아날로그적 방법으로 융합하는 작업에 관심을 가진다. 그것은 극사실 또는 사진과 드로잉의 중간지대에 위치함으로 포지션만으로도 미묘한 느낌을 준다. 전통적인 회화는 주제와 부제의 구분이 명확하다. 그렇지만 그는 캔버스 프레임 안의 모든 망점을 제거하고 원경의 사물까지 같은 선으로 명확히 표현했다. 근경 같은 원경, 원경 같은 근경, 단순한 듯하지만 복잡하고 건조한 듯하지만 나름 섬세한 감정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우병출 Woo Byungchul, Seeing, 2018, oil on canvas, 45x241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양승찬

다나 박, 정세훈, 김현숙, 이돈아, 서승연, 우병출

61474 광주광역시 동구 예술길15번길 14 82 62 232 2328 nine9000@hanmail.net www.ninegallery.co.kr

Yang Seungchan

Dana Park, Jung Sehun, Kim Hyunsuk, Lee Donah, Seo Seungyeon, Woo Byungchul

14, Yesul–gil 15beon–gil, Dong–gu, Gwangju, 61474, Korea 82 62 232 2328 nine9000@hanmail.net www.ninegallery.co.kr

274

275


O-WON GALLERY B05

오원화랑은 중부권 미술문화의 진일보한 발전과 지역에 기반을 둔 우수작가 발굴 및 육성을 목적으로 1975년 5월 중부권 미술계의 산실이자 예술문화의 중심인 대전 대흥동에 개관했고, 한 단계 도약을 위해 2007년 둔산동으로 이전했다. 개관이래 조선 시대 작품전을 비롯하여 근대 6대 작가전과 현대 원로작품전, 중견작가전 등 크고 작은 전시회를 600여회 가량 개최하였으며, 〈오원미술〉을 발간하고 오원미술상을 제정하는 등 작가에게는 물론이고 미술 애호가들에게도 다양한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 작품전시 수준 향상을 위해 화랑미술제와 KIAF 등의 각종 아트페어에도 지속해서 참여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대전지역 중견작가들의 작품전과 원로작가의 작품전 등을 개최하여 지역미술계 발전에도 작은 보탬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O–WON GALLERY was opened in May 1975 in Daeheung–dong, the cradle of art and the center of the arts and culture in the central region, and has been leading to the present Dunsan–dong era to take another step forwar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promoting excellent artists based on local development of the central art and culture. Since its opening, it has held over 600 exhibitions, including six modern artists exhibitions, contemporary senior artists’ and major artists’ exhibitions. It publishes 〈O–won Art〉, and establishes O–won Art Prize. It gives various appreciation opportunities to aesthetes as well as artists and also has been participating in various art fairs including 〈Hwarang Art Festival〉 and KIAF,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an exhibition. In recent years, O–WON GALLERY has been making efforts to b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art world by holding exhibitions of major artists from Daejeon area and exhibitions of senior artists.

드러내고자 하였다. The brushstroke, like the wind, runs through the entire screen without permission. The brush strokes created by the repetitive movements of the artist have appeared as if they were erased, but appear again, and it becomes a free gesture that deviates from all boundaries of figurative and abstract, through the process of refilling. Tension and balance are kept in the picture through restrained colors and simple composition and overwhelm viewers’ eyes. The artist focus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expresses the resonance and energy of nature, and uses a broom to expand the lines and rhythm further. The occasional flashbacks and ladybugs are not depicted for a realistic reproduction of nature, but to express the transcendence of form and space, as the artist places them in the space of his own deep thought and memory.

개체성으로서 통일이란 형식논리로 전달된다. – 박경범 My work is organized by the logic of unplanned contingency through overlaying and erasing, scratching, and repetition of lines using a stretcher and roller. The contingency is not limited to autonomy, but it is implemented as a coordinator for relative autonomy through constant dialogue with the screen, and pursues an autonomous configuration of the screen, out of the reproduction of the unique conceptual nature, structure, and ideational concept. Passing through the stages of restraint and semantical notions of the physical world, free and unplanned production methods are carried out with appropriate formation of each compartment. Appropriate arrangements of lines, colors, and faces are combined with the diversity of matters to find a certain unity. The objective grounds of the composition method are based on the autonomy and contingency of the screen, the comprehensive screen composition and diversity, and the abstract nature image is transmitted as the individual logic of the work as the formal logic of unification. – Park Kyoungbum

이영우의 작품은 인간본질에 대한 탐구와 인간존재에 대한 애정의 표출이다. 인간에 대한 넓은 관조와 깊은 애정은 작가가 천성적으로 지니고 있는 휴머니즘의 소산이다. 작가가 형상화한 인간상은 다양한 선, 면, 구조, 양상으로 표출되었다. 굵고 가는 선으로 인간의 형상을 보여주기도 하고 백색과 그 대조 색으로 배경을 배치하기도 하는데, 인간의 몸짓과 표정은 명랑하고 정겹다. 얼굴과 몸짓을 과장하고 희화화하여 거칠고 낯선 감이 있고 이국적 정서를 환기한다. 그는 개성 있는 필치로 덧칠을 하고 깎아내고 동공을 새겨, 모든 인물에 금방 친숙한 인물, 동화적 인상, 고대 벽화의 주인공, 청동기에 새겨놓은 이미지가 떠오르며 부조를 보는 듯한 새로운 느낌을 준다. Lee Youngwoo’s art world begins with representing human beings. Most of his earlier works are closely related with seeking the fundamentals within human creatures and representing his affection to them. The human images formalized by the painter consist of such various aspects as lines, phases, and unique structures. The gesture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figure delineated with thick and slim lines, together with white and contrastive backgrounds look happy and friendly. Those exaggerated comic toughness, even the sense of exotic estrangement. with the painter’s elaborate touches of addition, cutting, and creating eyes, however, this peculiar atmosphere suddenly jumps into another aesthetic world as if we were looking at such friendly images as certain familiar acquaintance, fabled faces, objects in ancient wall– paintings, carvings of Bronze Age, and old reliefs.

박경범 Park Kyoungbum, 순수의 단초 The Onset of Purity, 2018, oil on canvas, 150x210cm

강구철 Kang Koocheul, 사색 Think, 2018, korean painting, 210x150cm

바람결 같은 붓 자국이 무심하게 화면 전체에 흐른다. 작가의 반복적 움직임이 빚어낸 붓질은 지워지는 듯 다시 나타나고 비우려 하지만 다시 채워지는 과정을 거쳐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몸짓이 된다. 작품은 절제된 색채와 단순한 구성을 통해 화면 속 긴장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한다. 작가는 전통 한국화가 가진 물성에 주목하며 자연의 울림과 에너지를 표현했고, 빗자루를 이용해 더욱 확장된 필선과 리듬을 구사했다. 간간히 등장하는 방아깨비와 무당벌레는 자연의 사실적 재현을 위한 묘사적 대상이 아닌 작가의 기억으로 이들을 자신의 안식처이자 깊이 있는 사유의 공간에 담아 형상과 여백을 초월한 사의적 표현을

본인의 작업은 긴 붓과 롤러 등을 이용하여 덧칠과 지우기, 긁기, 선의 반복을 통한 우연성의 논리로 정리된다. 우연성은 자율성에 국한되지 않고 화면과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상대적 자율성을 위한 협조자로서 화면구성에 이행되며, 고유한 관념적 자연이나 구조, 이지적인 개념의 재현단계를 벗어나 화면의 자율화된 구성을 추구한다. 물상의 구속과 의미화된 관념의 단계를 지나 자유로운 제작방법은 적당한 각각의 구획 형성으로 이행된다. 선과 색 그리고 면의 적절한 안배는 마티에르의 다양성과 어우러져 일정한 통일성을 찾게 되며, 구성방식의 객관적 근거들은 화면의 자율성과 우연성을 기조로 종합적 화면구성과 다양성, 추상적 자연이미지는 본인 작품의

이영우 Lee Youngwoo, 여행 이야기 Travel Story, 2018, mixed media on canvas, 72.5x72.5cm

오원화랑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진원

강구철, 이영우, 박경범

35240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중로78번길 36 청우빌딩 82 42 489 8778 onong@korea.com

Kim Jinwon

Kang Koocheul, Lee Youngwoo, Park Kyoungbum

Cheongwoo Building, 36, Dunsanjung–ro 78beon–gil, Seo–gu Daejeon, 35240, Korea 82 42 489 8778 onong@korea.com

276

277


OPERA GALLERY SEOUL A15

1994년 질 디앙 Gilles Dyan 회장이 설립한 오페라갤러리는 파리를 본점으로 하여 런던, 뉴욕, 제네바, 홍콩 등 전 세계 13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하여 재개관한 서울 지점은 도산공원 앞에 지상 3층과 루프탑을 갖춘 단독 건물로 이전하여 오페라갤러리의 국내외 전속작가들의 기획전을 선보인다. Founded by Gilles Dyan in 1994, Opera Gallery is one of the leading international dealers and representativ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pera Gallery is established worldwide with galleries in prime locations in New York, Miami, Aspen, London, Paris, Monaco, Geneva, Zurich, Singapore, Hong Kong, Seoul, Beirut and Dubai. Since its inception, Opera Gallery has strived to offer museums, foundations and private international art collectors unique access to a divers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through an exciting program of curated exhibitions and high profile art fairs. In addition to the extensive and varied curated program of exhibitions within our gallery network, Opera Gallery secures and protects the heritage of established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through collaborations with museums, art centres and foundations around the world.

유봉상 Yoo Bongsang, PPEN 20180725, 2018, headless pin, acrylic on wood, 60x120cm

유봉상 작가는 캔버스에 끊임없이 못질하며 기나긴 시간의 노동을 통해 작품을 완성한다. 작가가 수십, 수만 개의 핀을 반복해서 박은 못의 그림자가 그려내는 장면은 보는 이를 깊은 명상의 세계로 초대한다. 작품에서는 문명의 역사에 내재한 인간의 인내와 끈기가 느껴진다. Yoo Bongsang represents a scenery by nailing on a wooden board enduring long hours of labor. Like a meditator, he repeatedly nails tens of thousands of nails and pins. His artwork is a metaphor for the power of civilization fighting against nature through labor.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구나윤

베르나르 뷔페, 조성희, 김일화, 이길래, 마르크 샤갈, 신건우, 유봉상, 유승호

06021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54길 18 82 2 3446 0070 seoul@operagallery.com www.operagallery.com

Koo Nayoon

Bernard Buffet, Cho Sunghee, Kim Ilhwa, Lee Gilrae, Marc Chagall, Shin Gunwoo, Yoo Bongsang, Yoo Seungho

18, Eonju–ro 154–gil, Gangnam–gu, Seoul, 06021, Korea 82 2 3446 0070 seoul@operagallery.com www.operagallery.com

278

279


A07

오버더인플루언스는 지난 2015년 홍콩에 개관했다. 국제적으로 촉망받는 작가, 특히 미술시장을 탈피한 작품을 선보였던 신진작가들을 위해 뛰어난 전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유일무이한 플랫폼으로서 자리매김해 왔다. 갤러리에는 기존 미술시장에서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낸 디자이너, 건축가, 포토그래퍼, 그래피티스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작가들이 소속되어있다. 올해 갤러리는 로스앤젤레스에 170여 평의 새로운 전시 공간을 확충했다. 이는 좀 더 대중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순수 미술과 현대 문화의 다리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클레온 피터슨 Cleon Peterson, Fine People On Both Sides, 2018, acrylic on canvas, 182.9x182.9cm

OVER THE INFLUENCE

Launched in Hong Kong in 2015, OVER THE INFLUENCE has served as a unique platform in Asia for an ambitious exhibition program of internationally acclaimed artists focusing on emerging and mid–career artists whose work has been categorized outside of the traditional art market. OVER THE INFLUENCE’s artists come from design, architecture, commercial photography, and graffiti backgrounds, carving out a strong presence in the traditional art market. In 2018, the gallery expanded to Los Angeles with a new 6000 square foot exhibition space with the goal of offering a popular program of institutional value emphasizing the bridge between fine arts and contemporary culture.

알렉산드레 파토 a.k.a.빌스 Alexandre Farto a.k.a. VHILS, Contingency 14, 2015, hand carved and laser–cut advertising posters, 188x126cm

그래피티 아티스트 ‘빌스’로 알려진 알렉산드레 파토는 런던에 위치한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대학에서 예술을 전공했다. 최근 리스본, 포르투갈, 홍콩에서 활동하고 있다. 빌스는 CAFA중국 예술학교, 미국 샌디에고현대미술관 등 여러 미술관에서 개인전 및 그룹전을 가졌다. 그는 장소 특정적인 작업과 다양한 상황에서 예술 프로젝트를 창안하여 전 세계 30 개국 이상 자신의 발자취를 남겼다. 한국 현대아트콜렉션,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현대미술관, 미국 샌디에고 현대미술관, 미국 마이애미페레즈미술관, 영국 런던 빅토리아앤알버트뮤지엄 등을 비롯한 많은 공공 및 사설 기관에서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Alexandre Farto a.k.a VHILS attended the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 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of Art and Design. He currently divides his time between Lisbon, Portugal and Hong Kong. Vhils has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cluding at the CAFA Art Museum – China Academy of Fine Arts (Beijing), DP Foundation(Lisbon), and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n Diego(CA). He has created site–specific art interventions, artistic events and projects in various contexts, bringing his footprint to over 30 countries around the world. His works are included in numerous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internationally including Hyundai Art Collection(Korea), Museu de Arte do Rio de Janeiro(Brazi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n Diego(USA), Perez Art Museum Miami(USA), Urban Nation Museum for Urban Contemporary Art(Germany), and Victoria & Albert Museum(UK).

클레온 피터슨은 디트로이트의 크랜브룩예술아카데미에서 미술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파사데나 아트센터컬리지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했다. 그는 최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올해 피터슨은 덴버현대미술관에서 〈Shadow of Men〉이라는 제목으로 개인전을 가졌다. 전시는 그의 최신작을 위주로 선보였으며 그동안 미술관에서 과소평가되었던 작가의 혁혁한 예술 성과를 드러냈다. 이번 개인전은 사회의 근본적인 요소를 강조하기 위한 폭력성을 보여준다. 피터슨의 작업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개인 컬렉션에 소장되어있다. Cleon Peterson received his MFA from the Cranbrook Academy of Art in Detroit, Michigan and BFA in Graphic Design at Art Center College of Design in Pasadena. He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Los Angeles, California. Peterson’s recent solo exhibition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Denver in 2018, titled Cleon Peterson: Shadow of Men, focused on this current in Peterson’s work and showcases the artist’s aesthetic mastery, long under–recognized by the museum field. This solo presentation also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representing violence to highlight a disturbing though fundamental element of society. Peterson’s work is in a number of notable private collections worldwid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줄리아나 최

알렉산드레 파토 a.k.a.빌스, 클레온 피터슨, 인베이더, 조니 치트우드, 마이크 리, 노부요시 아라키, 니디아 블라스, 론 아라드, 스콧 캠벨, 셰퍼드 페어리

홍콩 센트럴 헐리우드로드 159–163 1층 CA 90013 미국 로스앤젤레스 833이스트 3rd스트리트 852 2617 9829 hk@overtheinfluence.com www.overtheinfluence.com

Julliana Choi

Alexandre Farto a.k.a. VHILS, Cleon Peterson, Invader, Jonni Cheatwood, Mike Lee, Nobuyoshi Araki, Nydia Blas, Ron Arad, Scott Campbell, Shepard Fairey

1F, 159–163 Hollywood Road, Central, Hong Kong 833 East 3rd Street, Los Angeles, CA 90013, USA 852 2617 9829 hk@overtheinfluence.com www.overtheinfluence.com

280

281


A29

페이스갤러리는 모던아트와 컨템포러리아트 분야에서 20세기와 21세기의 가장 주목받는 세계적인 작가들을 대표하는 최정상급 갤러리다. 마크 글림쳐 대표의 주도 하에 예술계에서 핵심적인 위상을 떨치며 현대미술의 역사 형성, 창작과 참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1960년 아니 글림쳐 회장의 설립 이래 대가들과 활발하고 헌신적인 관계로 그들의 유수한 유산을 성장 시켰다. 갤러리 창립 60주년으로 접어들며, 페이스갤러리의 임무는 계속해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혁신적인 작가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꾸준히 그들을 지원하며 세계의 모든 사람들과 함께 그들의 선구적인 작업을 공유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페이스는 역동적인 글로벌 프로그램, 획기적인 전시 기획, 아티스트 프로젝트, 공공 설치, 기관 협력과 학예 연구를 통해 그 역할을 발전시킨다. 현재 페이스는 세계적으로 열 지점, 뉴욕 3지점, 런던, 팔로 알토, 북경, 홍콩에 2지점, 제네바 그리고 서울에 위치한다. 2019년 가을에 뉴욕에 새로운 본점이 완공 될 예정이다. 2016년부터 페이스는 협력기관 및 기업의 미래에 포커스를 맞춘 전시를 통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선보이는 Future/Pace 공공 브랜드를 런칭하는 등 전 세계 문화예술기관과의 지속적인 콜라보레이션에도 앞장서고 있다. 페이스갤러리 서울은 2017년 3월 용산구 이태원로 262에 개관 했다.

로버트 라우센버그 Robert Rauschenberg, Special Place (Waterworks), 1995, vegetable dye transfer on paper, 74.9x105.4cm

PACE GALLERY

PACE is a leading contemporary art gallery representing many of the most significant international artists and estates of the twentieth and twenty–first centuries. Under the leadership of President and CEO Marc Glimcher, PACE is a vital force within the art world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shaping the history, creation and engagement with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ince its founding by Arne Glimcher in 1960, PACE has developed a distinguished legacy for vibrant and dedicated relationships with renowned artists. As the gallery approaches the start of its sixth decade, PACE’s mission continues to be inspired by our drive to support the world’s most influential and innovative artists and to share their visionary work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PACE advances this mission through its dynamic global program, comprising ambitious exhibitions, artist projects, public installations, institutional collaborations, and curatorial research and writing. Today, PACE has ten locations worldwide: three galleries in New York; one in London; one in Palo Alto, California; one in Beijing; two in Hong Kong; one in Geneva; and one in Seoul. A new flagship gallery in New York is anticipated for completion in fall 2019. In 2016, PACE joined with Futurecity to launch Future Pace – an international cultural partnership innovating multidisciplinary projects for art in the public realm. PACE GALLERY in Seoul inaugurated its flagship gallery at Itaewon–ro 262, Yongsan–gu in March 2017.

로버트 라우센버그는 1943년, 텍사스대학교에서 잠시 수학하고 제2차세계대전 당시 미국 해군에 복무했다. 이후 캔자스시립미술학교에 입학했으며 1948년, 파리 줄리앙예술대학에서 수강했다. 그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블랙마운틴 대학에서 조셉 앨버스의 학생이였고, 평생 함께한 친구들인 존 케이지, 머스 커닝햄, 그리고 데이비드 튜더를 만났다. 라우센버그는 여러 가지 재료와 물건들을 회화와 통합한 작품인 ‘콤바인 페인팅’으로 저명하다. 판화, 회화, 사진, 조각, 그리고 실크스크린을 모두 활용한 다양한 매체들의 병치와 상호 작용이 그의 주요 관심사였다. 감각적인 그의 작품세계는 실험과 기회를 담아낸다. 〈특별한 공간〉은 이전에 ‘Day Lights and Night Sights’로 제목 붙여진 ‘워터워크 Waterworks’ 시리즈 중 하나다. 작가는 염료 잉크젯을 사용한 아이리스 프린터로 출력한 사진으로 디지털 프린트 작품을 제작했다. 이후 이미지는 물과 석판공의 인쇄기를 활용해 종이로 옮겨졌다. Robert Rauschenberg briefly attende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in 1943 and served in the U.S. Navy during World War II prior to studying art. Upon being honorably discharged in the summer of 1945, Rauschenberg enrolled at the Kansas City Art Institute and later at the Académie Julien in Paris before studying with Josef Albers at Black Mountain College in North Carolina, where he formed life–long friendships with John Cage, Merce Cunningham and David Tudor. Rauschenberg received acclaim for his Combine sculptures, works that incorporated painting and a variety of found objects. The juxtaposition of different media (lithography, painting, photography, silk–screening and sculpture) and their interplay comprise Rauschenberg’s chief interests, and throughout his career, his work has been marked by a sense of experimentation and chance. This series of paintings, usually in acrylic and enamel, includes images silkscreened onto panel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galvanized steel. 〈Special Place〉is one example from the ‘Waterworks’ series, formerly titled ‘Day Lights and Night Sights.’ Rauschenberg made digital prints from his photographs with an Iris printer using inkjet dyes. The images are then transferred to paper using water and a stone lithographer’s pres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마크 글림처

로버트 라우센버그, 알렉산더 칼더, 존 챔벌린, 나탈리 뒤 파스퀴에, 장 뒤뷔페, 폴 그레이엄, 솔 르윗, 로버트 맨골드, 요시토모 나라, 케네스 놀란드

04400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62 82 70 7707 8787 seoul@pacegallery.com pacegallery.com

Marc Glimcher

Robert Rauschenberg, Alexander Calder, John Chamberlain, Nathalie du Pasquier, Jean Dubuffet, Paul Graham, Sol LeWitt, Robert Mangold, Yoshitomo Nara, Kenneth Noland

Itaewon–ro 262, Yongsan–gu, Seoul, 04400, Korea 82 70 7707 8787 seoul@pacegallery.com pacegallery.com

282

283


PARK RYUSOOK GALLERY A49

박여숙화랑은 강남에 일찌감치 터를 잡고 1983년 개관, 이곳을 대표적인 화랑가로 변모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국내외 거장들의 전시는 물론 젊고 역량 있는 작가 발굴 및 대중화에도 앞장서 왔다. 기획전은 언제나 좋은 평가를 받으며 한국 현대 미술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한국의 손꼽히는 작가들이 박여숙화랑과 더불어 성숙해 갔다. 국내에서의 활발한 전시 활동과 더불어 1991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아트 콜론, 아트바젤, 아트바젤홍콩 등과 같은 국제 아트페어에 참여하여 한국 작가들을 해외에 소개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승희 Lee Seunghee, TAO, 2017, ceramic, 101x101cm

박여숙화랑

For more than 30 years, PARK RYUSOOK GALLERY has been introducing contemporary art to bo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Founded 1983, The gallery is recognized as the pioneer of creating what is now a vibrant contemporary art scene in Gangnam area of Seoul. The Gallery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careers of some of Korea’s most important artists,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modern, contemporary artists to today’s most promising artists. Consequently, the gallery has been committed to promoting Korean contemporary art in overseas b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art fairs including Art Cologne, Art Basel and more.

작업을 펼친다.

한순간 지고 사라지는 인생의 허무함을 상징하기도 한다. One of the most striking features of Park Jongpil’s paintings is that the material property and texture that surround the surface of the flowers smoothly and delicately. Park Jongpil combines the human–made beauty of artificial flowers with real flowers, which naturally blends in harmony. As if guaranteeing permanency, a plastic flower does not wither away. But his floral works are so ‘nature’ or ‘trompe I’oeil’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fake.

이승희는 도자 표현에 있어서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 조선 시대 도자기를 부조형식으로 제작하고, 빈 자기 토 타일 위에 70여 겹의 백자 흙물을 천천히 건조하며 쌓아 올린다. 조선 시대 도자기의 원본 크기를 기준으로 비율을 조절하여 형상을 깎아 만든 후 그 표면을 원본과 같이 채색한다. 탁월한 유약 선택을 통해 광택과 무광택의 표면 부드럽고 거친 질감으로 시각적인 깊이 감을 추구한다. 현혹할 만큼 단순하고 쉬워 보이는 작업이지만, 실제로 이승희의 작품은 제작과정이 절대 단순하지 않으며 손재주와 경험 그리고 인내심이 요구된다. – 큐레이터, 로잘리 김 Lee Seunghee has an unusual approach to ceramics where he recreates famous examples of Joseon dynasty porcelain in the form of low–relief ceramic tiles. Starting with a flat porcelain blank, he applies up to seventy thin layers of kaolin slip which are left to dry between one application and the next. Lee shaves down the layered surface to create a low–relief version of the original vessel, which he then decorates accordingly. His clever use of glaze, contrasting glossy, matt, smooth and crackled finishes on one surface, imparts a visual depth to its pictorial composition. Although looking deceptively simple, Lee’s works are in fact very complex to make, requiring a combination of dexterity, experience as well as patience. – Curator, Dr. Rosalie Kim

박종필 Park Jongpil, Between the Fresh No.88, 2018, oil on canvas, 100x100cm

This iconic series of works by Choi Jeonghwa epitomize the essence of Choi’s artistic practice of stacking and rearranging humble objects made with plastic resembling the wish–making ritual of building a stupa. By assembling ‘spectacularly trivial’ objects made of plastic and other cheap materials found in local markets, Choi creates great spectacles, constructing a new visual language of his own.

것처럼 부패되지 않는 속성을 보여주지만, 그의 꽃 작품에서는 무엇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눈으로 파악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자연스럽다. 그의 꽃은 화려한 순간을 반영하지만 피는 꽃은

최정화 Choi Jeonghwa, Alchemy, 2018, mixed media, 100x100x204cm

최정화는 급속한 근대화와 경제 성장의 시기를 거친 세대로 대량생산과 물질주의, 소비문화, 오리지널과 복제 등의 주제를 다루며 작가 특유의 유머러스한 태도와 신념을 유지해왔다. 작가는 인조 꽃, 알록달록한 소쿠리, 로봇 인형, 구슬 등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평범한 물건들을 이용해 보는 이에게 예술이 결코 저 높은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곁의 일상임을 일깨워주는

박종필의 작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회화적 특징은 꽃의 표면을 감싸고 있는 물성과 텍스처의 느낌이 잔잔하고 섬세하게 그려져 있는 점이다. 특히 조화라는 인위적인 아름다움을 반영한 꽃을 생화와 배치해 자연스럽게 섞어 놓는다. 인위적인 꽃은 영원성을 보증하는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여숙

빌베클리, 최정화, 정창섭, 김성호, 김창열, 구본창, 권대섭, 이승희, 박종필, 박서보

060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61 네이처포엠 309–310호 82 2 549 7575 info@parkryusookgallery.com www.parkryusookgallery.com

Park Ryusook

Bill Beckley, Choi Jeonghwa, Chung Changsup, Kim Sungho, Kim Tschangyeul, Koo Bohnchang, Kwon Daesup, Lee Seunghee, Park Jongpil, Park Seobo

Nature Poem 309–310, 461, Apgujeong–ro, Gangnam–gu, Seoul, 06011, Korea 82 2 549 7575 info@parkryusookgallery.com www.parkryusookgallery.com

284

285


PERROTIN A09

다니엘 아샴 Daniel Arsham, Patch 3, 2018, quartz, hydrostone, 218.4x203.2x5.1cm

엠마누엘 페로탱은 1989년 21세의 나이에 처음으로 갤러리를 설립했다. 그 후 작가들의 작품을 경험할 수 있는 보다 활기차고 창의적인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15개 이상의 분점을 열었다. 소속작가들과 긴밀히 협업하고 작가들이 야심 찬 꿈과 작업을 실현하도록 지원하며, 일부 작가들과는 25년이 넘도록 함께 작업하고 있다. 2012년 5월에는 홍콩, 2013년 9월에는 뉴욕에 분점을 개설했다. 2016년 개설한 서울 분점에서는 단 1점만 제작된 에디션 작품과 갤러리에서 발행한 책자를 진열한 서점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파리, 홍콩, 뉴욕, 서울, 도쿄에 이어 올가을에는 상하이에 새로운 전시공간을 오픈할 예정이다. Emmanuel Perrotin founded his first gallery in 1989 at the age of 21. He has opened since then over 15 different spaces, with the aim of continuing to offer increasingly vibrant and creative environments to experience artists work. He has worked closely with his roster of artists, some for more than 25 years, to help fulfil their ambitious dreams and projects. In May 2012 PERROTIN opened the Hong Kong gallery and in September 2013, the New York gallery. In 2016, PERROTIN inaugurated a new space in Seoul that includes a bookshop displaying unique editions and books published by the gallery. Following Paris, Hong Kong, New York, Seoul, and Tokyo, PERROTIN is pleased to announce in fall 2018 the opening of its new space in Shanghai.

Daniel Arsham, since 2013, has transformed a variety of modern cultural objects – with obsolescence built into their DNA – into crumbling relics. Through the evolution of his ‘Fictional Archeology’ series, Arsham established his signature sculptural style which employs a unique casting technique to produce objects made from earthly substances including volcanic ash, obsidian, carbon dust and rose quartz.

Courtesy the artist and Perrotin, Photo Credit Guillaume Ziccarelli

다니엘 아샴 Daniel Arsham, Patch 14, 2018, quartz, hydrostone, 127x78.7x5.7cm

오브제로 만들어내는 고유의 조형 스타일을 확립했다.

다니엘 아샴 Daniel Arsham, Blue Calcite Eroded Bear, 2017, blue calcite, hydrostone, 48.3x48.3x43.2cm

다니엘 아샴은 2013년부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부해질 수밖에 없는 현대문화의 다양한 오브제를 마치 허물어져 가는 유물처럼 변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는 기존의 ‘가상의 고고학 Fictional Archeology’ 시리즈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 화산재, 흑요석, 탄소 분진, 장미석영 등 흙의 성질을 지닌 물질을 독특한 주조 기법을 통해

Courtesy the artist and Perrotin, Photo Credit Guillaume Ziccarelli

Courtesy the artist and Perrotin, Photo Credit Guillaume Ziccarelli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엠마누엘 페로탱

다니엘 아샴

03054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길 5 82 2 737 7978 seoul@perrotin.com www.perrotin.com

Emmanuel Perrotin

Daniel Arsham

5, Palpan–gil, Jongno–gu, Seoul, 03054, Korea 82 2 737 7978 seoul@perrotin.com www.perrotin.com

286

287


PHOSPHORUS & CARBON GALLERY A06

피앤씨갤러리는 1970년대 한국 근현대미술의 본고장인 대구에서 2012년 개관했다. 개관전 〈최병소〉전을 시작으로 중견 작가들과 젊은 작가들의 창의적인 작업을 소개하며 국내는 물론 해외 작가 전시와 미술관 레지던시 교류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 2015년 프랑스 파리 기메 국립동양미술관의 〈이배〉전을 후원하였고, 2016년 3월에는 경기도미술관과 협업하여 프랑스 케르게넥미술관의 〈한국의 단색화〉전을 기획하였다. 피앤씨갤러리는 70년대 한국 현대미술 운동의 정신을 계승하며 예술가가 던지는 동시대를 향한 질문과 예술의 숭고한 가치를 소중히 생각한다. PHOSPHORUS & CARBON GALLERY opened in February 2012 in Daegu, Korea where the Korean avant–garde movement was born in the 1970s. Focusing on promoting both emerging and internationally renowned Korean artists and Korean diaspora, PHOSPHORUS & CARBON GALLERY hopes to keep the legacy of the avant–garde spirit alive and to serve as a medium between Korea and the international art scene.

곽훈 Kwak Hoon, 다완 Tea Bowl, 2017, mixed media on paper, size variable

앙드레 마르팡은 술라쥬, 하르퉁, 클라인과 함께 프랑스 전후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다. 신중하면서 부드럽고 금욕적이면서도 섬세한 마르팡의 검정은 물질성이 강한 술라쥬의 검정과 대비되며 말년으로 갈수록 백색 빛의 공간으로 나아가는 것이 특징이다. 술라쥬, 자오우키등 전후 프랑스 미술작가들과 교류하였으며 폴리아코프, 메사지에 등과 함께 1962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프랑스

야노스 베르는 헝가리 출신 작가로 1957년부터 파리에 정착하여 작업하고 있다. 시몬 한타이, 샘프란시스와 교류하였고 선과 색, 서예로 정의되는 독창적인 작업이 특징이다. 2018년 에르메스의 콜라보레이션 작가로 선정되어 꺄레Carré 스카프를 출시하였다. 마티스미술관, 케르게넥미술관, 키셀리미술관 등 국제적인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바 있다. Janos Ber lives and works in Paris since 1957. His meeting with Simon Hantaï and his discovery of the American post– war school of painting marked a turning point in his art, as did the paintings and writing of Matisse. He collaborated with Hermes 2018, held solo shows in prominent museums such as Matisse Museum in France, Domaine de Kerghehennec, Kiscelli Museum in Budapest. 야노스 베르 Janos Ber, Untitled, 2017, acrylic, hanji paper on canvas, 100x100cm

앙드레 마르팡 André Marfaing, Untitled, 1956, oil on canvas, 162x114cm

피앤씨갤러리

대표작가로 참여하였다. 곽훈은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 작가 중 한 명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활동한다. 영겁, 기, 주문 등 샤먼 적이고 원시 종교적인, 영감의 세계관을 표현주의적인 회화로 표현한다. 1995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윤형근, 전수천, 김인겸과 함께 한국 대표작가로 참가하였고 2000년에는 한국 작가 최초로 북경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대표작으로는 〈다완〉, 〈겁, 소리/마르코폴로가 남기고 간 것은 무엇인가〉 등이 있다. Kwak Hoon is one of the pivotal figures in Korean abstract painting, constitutes the unparalleled aesthetic mainstay of contemporary Korean art. In 1995, Kwak presented his work at the Korean pavilion’s inaugural exhibition. In 2000, he became the first Korean artist to hold a solo show at the National Museum of Art in Beijing.

Towards the end of his career,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and black became inverted, and the artist gave more and more space to light. André Marfaing represented France at the Venice Biennale alongside Poliakoff, Messagier, Guitet and Manessier. “Alongside Soulage, Hartung and Kline, Marfaing is one of the greatest artists to work in black after the Second World War, but he also gently approaches this shade with prudence, tenderness and firmness.” – Frédéric Edelman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지원

야노스 베르, 미셸 뒤포르, 장재민, 곽훈, 이배, 앙드레 마르팡, 박형근, 심문섭

42028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21 82 53 742 1989 info.pncgallery@gmail.com www.pncgallery.com

Lee Jiwon

Janos Ber, Michel Duport, Jang Jaemin, Kwak Hoon, Lee Bae, André Marfaing, Park Hyunggeun, Shim Moonseop

2421, Dalgubeol–daero, Suseong–gu, Daegu, 42028, Korea 82 53 742 1989 info.pncgallery@gmail.com www.pncgallery.com

288

289


PICASSO GALLERY B73

피카소화랑은 1993년 부산 중구 중앙동에서 시작해 현재의 해운대로 이전, 부산 지역 예술을 선도하는 화랑으로 성장했다. 피카소화랑은 지역 작가의 창작지원 및 발굴을 먼저 고려한다. 젊은 신진작가는 물론 원로작가에 대한 전시도 꾸준하게 기획하여 세대 간의 소통과 균형을 고려하고 지역 예술의 창조적 발전을 도모한다. 또 작품성과 작가로서의 성장 가능성에 큰 비중을 두고, 작가별 작업 경향과 특성을 감안해 전체적인 밸런스를 고려한다.

김대윤 Kim Daeyeun, 레드카펫 Red Carpet, 2018, oil on canvas, 162.1x259.1cm

피카소화랑

PICASSO GALLERY started in 1993 in Jungang–dong, Jung–gu, Busan, and moved to Haeundae, where it has grown into a leading art gallery in Busan. PICASSO GALLERY takes priority on supporting and exploring local artists. By steadily planning exhibitions of not only young new artists but also senior artists, it considers communication and balance among generations and promotes creative development of local art. It also puts great emphasis on creativity and growth potential as a painter and considers the overall balance of work for each artist.

이상열 Lee Sangyeol, 은행나무집 The House of Ginko Trees, 2016, oil on canvas, 80.3x116.7cm

김대윤의 작품은 그리 만만하지 않다. 천진난만한 어린이의 그림 같다거나 내러티브가 위트 넘치고 해학적이라고 치부해버릴 위험천만한 그림이다. 물론 어린이들의 그림처럼 천진하고 해학의 아이러니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그의 그림에는 사람이 많이 등장한다. 그들은 모두가 주인공이기도 하지만 또 모두가 조연이다. 익명의 캐릭터들은 너나 할 것 없이 화면을 향해 포즈를 취하며 앞으로 달려든다. 산은 무수한 표정을 지닌 우주다. 이 작품은 오랫동안 산을 관찰하며 또 산이 계절적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이미지화 해 조형적으로 구성했다. 이것은 겨울과 봄 사이 산의 모습으로 산이 지닌 어떤 계절의 표정보다 심상적으로 와닿는 표정을 지녔다. 산의 허리는 유연한 곡선이며 앙상한 나무들은 간결한 직선으로 적절히 어울리고,

Kim Daeyeun’s paintings are not easily accessible. At a glance, we fall into a trap and easily discount them as naive and childish: albeit with witty or humorous narratives. Of course, his work really is naive, childlike and portrays humorous irony, but this is far from the whole story. Many people appear in his paintings, but all are both main and supporting characters. Anonymous figures seems to rush forward, without exception, posing for us on the canvas.

봄의 생기는 여유로운 조화다. Mountains are a universe with countless facial expressions. The work(the image of a mountain waiting for spring) has been around for a long time. Bae Myeonghee watched the hill and watched it turn seasonal. It is a sculpture that was reintroduced in the image. This is a mountain between winter and spring. More touching than any other seasonal expression on the mountain. 배명희 Bae Myeonghee, 풍경–2018–2 Landscape–2018–2, 2018, mixing indian ink, acrylic, 27.3x40.9cm

화면은 온통 유화물감으로 뒤범벅이 되고, 으깨고 덧칠되어 덩어리진 물감이 온통 화면을 채운다. 이상열은 자신이 나무를 그릴 때 나무를 그린다기보다 화폭 속에서 나무를 키운다. 손끝으로 밀면 그때마다 나무가 가지를 뻗고 가지 끝에서 꽃을 피운다. 때로는 그 가지 끝에서 과일이 영글기도 한다. 그는 때로 노란 물감을 풀어 흘리고, 때로 붉은 물감을 풀어 흘린다. 화폭 속에서 나무들은 물감을 자양분으로 삶을 키운다. Oil colors are completely mixed with one another on the canvas and it is filled with layers of paints and lumps of paints. When Lee Sangyeol is painting tree, he is growing a tree on canvas rather than painting it. At the pushing through the tips of his hand, the branches of the tree branches out and flowers blossom at the end of them. Also, fruits bear at the end of the branches at times. The trees on the canvas are cultivated by using the paints as their nutrient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강경희

배명희, 조혜숙, 김대윤, 이상열

48097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순환로 473 해운대로데오아울렛 1층 82 51 747 0357 b–picasso@hanmail.net www.gallerypicasso.com

Kang Kyunghee

Bae Myeonghee, Cho Hyesook, Kim Daeyeun, Lee Sangyeol

Haeundae Rodeo Outlet 1F, 473, Jwadongsunhwan–ro, Haeundae– gu, Busan, 48097, Korea 82 51 747 0357 b–picasso@hanmail.net www.gallerypicasso.com

290

291


PIGMENT GALLERY B23

에드가 플랜즈 Edgar Plans, Street Artist, 2018, oil on canvas, 46x55cm

피그먼트갤러리는 2016년 바르셀로나에서 문을 열었다. 피그먼트는 물감에 색상을 부여하는 색소를 의미한다. 그 어원은 라틴어의 ‘pigment’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는 동사 ‘pingere (그리다)’와 접미어 ‘–mento(결과)’가 결합한 단어이다. 간단하면서도 화랑에 딱 맞는 이름이라 할 수 있다. 피그먼트갤러리의 페란 호사 디렉터는 유럽 최고 갤러리에서 17년간 일했다. 덕분에 기성과 신진작가 모두를 선정하는 기량이 매우 탁월하고 구상부터 순수 추상회화까지 다양한 현대미술을 다루고 있다. 국내외 신진작가를 홍보하고 국내외 모두에서 이들의 작품을 알리기 위해 전 세계 각종 아트페어에 참여한다. The PIGMENT GALLERY launched in Barcelona in 2016. A pigment is a matter that gives color to paint. Its etymological origins come from the Latin word ‘pigment’, which is formed by the verb ‘pingere’(paint) and the suffix ‘–mento’(result). This simple term was ideal as a name for the gallery. PIGMENT GALLERY differs from the rest of the galleries due to the fact that the director, Ferran Josa, has worked in the oldest gallery of Europe for seventeen years. The gallery has a high capacity to choose artists, from the previously worked artists to the new ones. PIGMENT GALLERY promotes and publicizes contemporary art, within a line that ranges from modern figurative to the purest abstract art. To promote new artists from both home and abroad, and to present their work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gallery participates in various art fairs around the world.

라몬 엔리히 Ramon Enrich, SHA 10, acrylic on canvas, 150x150cm

저스틴 라이언스 Justin Lyons, Untitled, 2018, mix media on canvas, 75.5x80.5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페란 호사

에드가 플랜즈, 저스틴 라이언스, 라몬 엔리히

08036 스페인 바르셀로나 로셀로 193 34 93 452 81 62 info@pigmentgallery.es www.pigmentgallery.es

Ferran Josa

Edgar Plans, Justin Lyons, Ramon Enrich

193, Rosselló, Barcelona, 08036, Spain 34 93 452 81 62 info@pigmentgallery.es www.pigmentgallery.es

292

293


PINK GALLERY B32

핑크갤러리&아트컨설팅은 서초동, 예술의 전당을 중심으로 한 서초동 음악문화지구에 위치한다. 2011년 3월 개관 이후 102회의 기획전을 해왔고, 신선하고 좋은 전시를 위해 늘 새로운 작가 발굴에 개방적이다. 전시작품 기준은 핑크라는 이름처럼 관객에게 행복 바이러스를 안겨주거나, 삶의 에너지 또는 평온의 지혜를 안겨주는 작품을 위주로 한다. 오픈 초기에는 외국 작가를 많이 선보였으나, 현재는 국내 작가 위주로 오래전부터 유튜브 동영상,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페이스북, 핑크갤러리 웹사이트로 홍보하며 미술 한류를 위해 노력 중이다.

그레이스 림 Grace Rim, 인연따라 흐른다 Flow with the Destiny, 2018, acrylic and collage on wood panel, 107x91cm

핑크갤러리

PINK GALLERY & Art Consulting is located in Seochodong Music Cultural District nearby Seoul Arts Center in Gangnam. Since 2011, when the gallery has been opened, there have been 102 exhibitions which include many emerging artists’ artworks. The selection for the artworks is mostly which give a happy and wonderful virus to the art lovers, and which give great energy, and nice wisdom of tranquility. In the beginning, PINK GALLERY was showing many foreign artists’ artworks, but nowadays, mostly Korean artists’ artworks have been showing. PINK GALLERY is dreaming and working on to be a great global fine art gallery in order to introduce many wonderful Korean artists’ artworks to the world.

When Kim Yongil was a kid, there was a market opened in every 5 days. And at ‘Sinjak–Ro Ssang Ssang Restaurant’ there was always a singing comes out from the place, as the place was the hottest place in the market. His paintings are about the artist memories of his childhood friends and neighbors. The artist paints external things and objects, but viewers get to see the internal lifestyle and emotions of the time. In his paintings, people get to see Korean people’s old hometowns in the 70s and get to feel the sweetness, peace and homesickness.

살아 있다면 반복되는 날마다 주어진 시간 속에서 우리는 모두 행복을 추구한다. 그리고 그중 사랑을 가장 최고로 생각한다. 계속되는 인간의 많은 욕심과 욕구 중에 부와 권력은 나누면 줄어든다지만 사랑은 늘, 나눌수록 더욱 커져간다. 이러한 이유로 그레이스 림은 본인 작품에 사랑을 주제로 하는 걸 즐긴다. 강물이 시간처럼 흐르고 좋은 만남과 좋은 시간, 좋은 인연 안에 행복하길 소망하며 작품화했다. 행복과 사랑으로 충만한 인연 그리고 좋은 인연 따라 인생이 흐르길 기원하며 나무 판넬 위에 아크릴과 콜라주로 완성했다. 그녀는 주어진 시간에 감사하고, 시간의 흐름을

작품이 생겨났다. It is rare to find a Korean sculptor in his middle age, who makes grotesque and bizarre artworks. From his New York artists period, he made ecological installation works. Then recently, he shows the aesthetics of reversal by weaving clay objects and structural paradox. For example, in fact, from 〈Mother and son Apple〉, he drew animal body organs on the cross–section of an apple, which meant he was warning human genetic derangement. But then, one day his collector ordered him to clean the surface of apple clean and nice. That is how his pop art sculpture pieces came out.

김인태 Kim Intae, 돈오점수(먼저 깨치고 나서 뒤에 수행한다) I Enlighenment I, 2017, bronze, 53x64x45cm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친구들이나 친지, 이웃과의 회상이 깃들어있다.

김용일 Kim Yongil, 신작로 쌍쌍식당 Sinjak–Ro Ssang Ssang Restaurant, 2017, acrylic on canvas, 162.2x130.3cm

김용일의 어린 시절, 오일장이 열릴 때마다 쌍쌍식당에서는 노랫소리가 흘러나왔다. 술에 건하게 취한 목소리들이 때로는 흥겹게 때로는 구슬프게 넘쳐흘렀다. 그렇게 하루가 저물어 갈 즈음엔 낮보다 더 시끌벅적한 싸움 소리가 장터를 가득 메웠다. 오일장의 가장 명소였던 이곳은 보색 대비를 이용한 색상과 재미있는 소품을 통해 그날의 분위기를 전한다. 그의 그림들에서는 유년 시절 이후

한국의 중견작가 중에 그로테스크하고 엽기적인 성향의 작가는 흔하지 않다. 김인태는 뉴욕 작가 시절부터 생태학적 설치작품을 해왔으며, 최근에는 점토 오브제를 엮어서 구조적인 역설, 즉 반전의 미학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그를 기억하게 하는 〈사과 모자상〉도 사실은 사과의 단면에 동물적인 신체 기관을 그려 넣어 인류의 유전자 교란을 경고하는 작품이었다. 그러나 한 컬렉터의 요청으로 징그러운 단면을 지우고 말끔하게 색칠해 가히 새로운 팝

받아들이며, 마음에 평화를 주는 작업을 한다. As long as we are alive, 24 hours are given to all of us every day. Within the sequence of time, our best interest is happiness. As the most precious, and important value for the happiness is love. Wealth and power, which we desire and greed most will get less if we share them with others. However, love will grow much bigger if we share it with others. Therefore, Grace Rim often would like to use ‘love’ for the theme of her artwork and express about her own experiences. In 〈Flow with the destiny〉, the artist is appreciating the time which is given to her and accepting the flow of time. So, this is painting for the happiness and lov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임정욱

김인태, 황나영, 김용일, 그레이스 림

06710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33 2층 82 70 8887 6388 infopinkgallery@gmail.com www.pinkgallery.org

Jungwook Grace Rim

Kim Intae, Hwang Nayoung, Kim Yongil, Grace Rim

2F, 33, Banpo–daero, Seocho–gu, Seoul, 06710, Korea 82 70 8887 6388 infopinkgallery@gmail.com www.pinkgallery.org

294

295


PKM GALLERY B33

2001년 종로구 화동에 개관한 PKM갤러리는 지금까지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첨예하게 담아내는 국내외 유수 작가들 중심의 전시 프로그램을 일관되게 운영했다. 2008년에는 PKM 트리니티갤러리를 패션과 문화의 중심지 강남구 청담동에 개관했다. 600㎡가 넘는 순수 전시 공간과 최첨단 전시 시설을 갖추고, 이상남의 대규모 개인전을 시작으로 국내외 대형 작가들의 전시를 이어갔다. 2015년 4월 PKM갤러리는 개관 14주년을 맞이하여 전통과 현대가 아름답게 공존하는 유서 깊은 문화구역 삼청동 지역에 새 공간을 마련하여 화동과 청담동의 갤러리를 통합, 이전했다. 총 지상 2층, 지하 2층으로 이루어진 삼청동 PKM 갤러리는 전체면적 900㎡의 규모, 270㎡의 순 전시면적을 갖추고 있으며 5.5m의 높은 천정고가 특징이다. Since its foundation in 2001 in Hwa–dong, PKM GALLERY has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leading contemporary art galleries in the world, representing prominent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through its creative programs in the context of global contemporary art. PKM Trinity Gallery, located in Cheongdam–dong, the cultural hub of Seoul, opened in 2008 as the second venue of PKM GALLERY which has its focus on representing world–renowned artists in its impeccable exhibition space measuring more than 6,000 square feet. Celebrating its 14th anniversary this year, PKM GALLERY opened a new space in the historically rich cultural quarters of Samcheong–dong, where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oexist in beautiful harmony. The new space, comprised of two ground–levels and two underground floors, occupies a lot area of 576.5㎡ and a total floor area of 721.54 ㎡, bringing the total exhibit space to approximately 250㎡ with a remarkably high ceiling of 5.5m. PKM GALLERY plans to lead the paradigm in contemporary art with more expansive and experimental exhibitions in the future.

풀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Kwang Young Chun’s ‘Aggregation’ series in particular, consist of small triangular shapes wrapped in hanji, of which are then dyed with natural colors, and these densely clustered triangular shapes form a piece of work as an ‘aggregation’. Through this work process, the artist has succeeded in unravelling his Korean identity with his universal language of aesthetic that has strongly empathized with the international art world. By making reference to different histories of the individual and the many within the Korean society that ultimately ‘aggregate’ the disaggregated stories from innumerable time periods with a unique Oriental sense of embracement, Chun’s work is materialized into a beautiful piece of Aggregation.

윤형근에게 군청은 ‘하늘 天’이요 암갈색은 ‘땅 地’의 빛깔이며, 두 색의 물감을 섞어 한지나 면포, 마직물 위에 죽 내려그은 획 사이로는 무한한 공간이 열린다 門. 오랜 시간 고초를 견디고 만45 세의 나이에 비로소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한 그의 작업은 제작 방법부터 결과까지 담대하고 우아한 선비정신을 닮았다. 윤 화백은 이처럼 한국 전통의 미학을 머금은 유화 작품으로 세계 미술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아 왔다. 올해 8월부터 12월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는 단색화 작가로는 최초로 그에게 헌정된 대규모 회고전이 개최되고 있다. For Yun Hyong–keun, the color of blue is referred to as ‘heaven’, umber as ‘earth’, and when these two colors are mixed and painted in lines on hanji, cotton or linen, a limitless ‘gate’ is open. Enduring a long hardship before starting out as a professional painter at the age of forty– five, Yun’s paintings embody the audacious yet graceful Seon–bi spirit. Yun’s paintings that inhere the traditional virtues of the Korean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the art world across the globe. A major retrospective show, dedicated to the artist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which runs from August to December 2018, is the first solo exhibition of a Dansaekhwa artist held at the museum.

점에서 특별하다. Danish–Icelandic artist Olafur Eliasson has become world–renowned for his socially engaged artwork through the scientific implementation of the various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light, air, water, and moss.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s an important motif in Eliasson’s work, and in defining his artistic practice, Eliasson expressed that “If people can respond to a certain aspect of the space which holds the work, this sensorial consequence creates various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made in glass and mirror that infinitely diffuse the shape of viewers on its surfaces is unique in that they actively lead to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work. 올라퍼 엘리아슨 Olafur Eliasson, Commitment Window, 2018, stainless steel, coloured glass (yellow, blue, green, orange, pink, transparent), colour–effect filter glass(green, orange, yellow), mirror, gold, paint(dark grey), 85x85x30cm (version 3 of 4, unique)

전광영 Kwang Young Chun, 집합17–AU058 Aggregation17–AU058, 2017, mixed media with korean mulberry paper, 188x164cm

전광영의 ‘집합 Aggregation’ 시리즈는 한지로 섬세하게 싸고 묶은 작은 삼각 오브제들을 천연 염색 기법으로 물들인 후 촘촘하게 커다란 하나를 이루는 집합체로 형상화한 작업이다. 이러한 제작 과정을 통하여 작가는 한국 사회 속 개인과 집단이 경험한 다양한 역사적 사실들 즉, 무수한 시공간에 해체된 이야기를 동양 특유의 ‘포용’적 사고로 다시 ‘결집’하여 그 총체적 아름다움을 구현함으로써 한국적 정체성을 국제 미술계가 공감하는 보편적 미학의 언어로

덴마크–아이슬란드 출신의 올라퍼 엘리아슨은 빛, 공기, 물, 이끼 등 여러 자연환경을 과학적으로 구현한 사회 참여적 작업으로 세계적 거장의 반열에 올랐다. “사람들이 작품이 설치된 환경의 특정 부분과 교감한다면 그러한 감각의 결과는 다양한 차이를 만든다”는 작가의 언급처럼 ‘관람객의 참여와 지각’은 그의 작품의 주요한 모티브인데, 특히 표면에 보는 이의 형상을 무한히 확산시키는 유리, 거울 재질의 설치 작업은 관객과 작품의 실시간적 상호작용을 적극 이끈다는

윤형근 Yun Hyong–keun, Burnt Umber&Ultramarine Blue, 1990, oil on linen, 207.7x80cm

PKM갤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경미

백현진, 코디최, 전광영, 정희승, 올라퍼 엘리아슨, 김홍식, 김지원, 이불, 이정진, 신민주, 브랜트 웨든, 윤형근

030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7길 40 82 2 734 9467 info@pkmgallery.com www.pkmgallery.com

Park Kyungmee

Hyunjin Bek, Cody Choi, Kwang Young Chun, Heeseung Chung, Olafur Eliasson, Kim Hong Shik, Jiwon Kim, Lee Bul, Jungjin Lee, Shin Minjoo, Brent Wadden, Yun Hyong–keun

40, Samcheong–ro 7–gil, Jongro–gu, Seoul, 03049, Korea 82 2 734 9467 info@pkmgallery.com www.pkmgallery.com

296

297


A42

아드리아나 알바레즈 니콜에 의해 지난 2010년에 설립된 푸에르타 로자 갤러리는 아태 지역에서 현대 라틴아메리카 또는 기존의 스페인 예술가와 신진작가를 홍보하는 데 앞장서왔다. 푸에르타 로자의 프로그램은 라틴아메리카 작가들이 세계적인 예술 운동 발전에 기여하였음을 알리고, 아태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해서 관련된 주제로 활동하는 작가들을 선정하여 함께 전시 활동을 한다. 홍콩에 기반을 둔 푸에르타 로자는 지역 생태계 그리고 더 나아가 지역을 문화적으로 발전 및 확장시키는 데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갤러리는 저명한 컬렉터들과 깊은 유대관계를 가지며 더 나아가 홍콩, 인도네시아, 타이완, 대한민국 그리고 호주에서 열리는 아트페어에서 높은 국제적 입지를 다져왔다. 푸에르타 로자는 국내외로 활동하는 갤러리 및 예술 단체들과 공동으로 협력을 추진하여 지역사회단체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역 공공의 차세대 예술 애호가를 육성하고 있다.

로랭 마틴 로 Laurent Martin ‘Lo’, What a Small World!, 2018, smoked bamboo, Taiwanese lacquer, titan braid thread, leads, ceramic balls, steel base, 295x165x130cm

PUERTA ROJA

Founded in 2010 by Adriana Alvarez–Nichol, PUERTA ROJA pioneers the promotion of established and emerging contemporary Latin American and Spanish artists in Asia–Pacific. PUERTA ROJA’s programme focuses o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Latin American artist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art movements, selecting artists whose discourse remains relevant to the Asia Pacific. Firmly rooted in Hong Kong, PUERTA ROJA prides itself in developing cross–cultural bridges furthering the regional and local ecosystems. Focused on the Asia Pacific, the gallery has developed deep relationships with established collectors across the region and brings top international standards to art fairs in Hong Kong, Indonesia, Taiwan, Korea and Australia. PUERTA ROJA fosters collaboration partnering with galleries and art organisations locally and internationally. Its community engagement and educational programme nurture the next generation of art enthusiast and the local public.

더해지거나 반사되고 또 줄어들기도 하며 새로운 공간을 창조한다. Carlos Cruz–Diez has dedicated his life to the research of colour, line and perception. As one of the founding and leading figures of the Optical and Kinetic art movement from the 1950s his work is considered a canon in the contemporary art stage. Cruz–Diez describes his discourse as “Art of Real Movement and Space”. His research into the additive, reflective, and subtractive effects of colour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a chromatic phenomenon does not rely on a form. Beyond formal research, for the artist, colour is an experience in itself that can be perceived and enjoyed without interpretation or knowledge. Through interaction, the viewer becomes an accomplice to the artist, an essential participant in the artwork itself. The 〈Physichromie〉 structure is carefully designed to create a “light trap” where colour frames transform each other as they are seen from different angles. As the viewer moves, colour dissolves and oscillates from one chromatic range to another, generating virtual colours not present in the support.

리듬을 만들어내고 장엄한 흔적을 드러낸다. Since representing Chile at the 54th Venice Biennale, Fernando Prats, resident in Barcelona since 1990, has reached international acclaim for devising a new and deeply personal pictorial system. Far removed from the instruments of the painter, his process generates unconventional and unpredictable images. Fernando Prats records on smoked surfaces fleeting natural actions, from the movements of animals, powerful waves, seismographic vibrations and even imprints of geysers shooting water from the ground. French theorist Paul Ardenne, describes Prats work as initiating “a new way of painting”, exposing not only the beauty of nature but also the violent and destructive reality of our fluctuating environment. For his ‘Paintings of Birds’ series, the artist’s hand gives way to the free and fleeting beating of the bird’s wings making a rhythmic and majestic imprint on the smoked surface. 페르난도 프랫츠 Fernando Prats, Affatus 3, 2018, smoke and bird–wing beat on canvas, 195x130cm

카를로스 크루즈 디에즈 Carlos Cruz–Diez, Physichromie RVB Dos, Paris 2014, chromography with plexiglass and dibond, 91.5x91.5cm

카를로스 크루즈 디에즈는 색, 선 그리고 인식에 관한 연구에 헌신적으로 전념하는 데에 삶을 바쳤다. 1950년대부터 옵–아트와 키네틱 예술 운동의 선구자 중 한 사람으로 알려진 그의 작품은 동시대 예술 세계에서 규범으로 간주되며 전 세계 예술 문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크루즈 디에즈는 그의 담론을

“실제 움직임과 공간의 예술”로 표현했다. 그의 연구는 색채의 가색, 반사, 감법 효과에 대한 색채 현상의 인식이 형태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공식적인 연구를 넘어서 작가에게 색은 해석이나 지식 없이도 인식하고 즐길 수 있는 경험 그 자체이다. 상호 작용을 통하여 관객은 작품에 참여함으로써 예술가의 동반자가 된다. 〈Physichromie〉은 관람객의 움직임과 빛의 강도에 따라 공간의 색이 변하도록 설계된 작품이다. 색은 상황에 따라

페르난도 프랫츠는 제54회 베니스비엔날레에서 칠레 작가로 참여했다. 1990년부터 바르셀로나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의 새로운 그림 체계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화가의 도구와는 거리가 먼 그의 작업 과정은 독특하고 예측하기 힘든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작가는 그을린 지표면의 변화, 동물의 움직임, 강한 파도, 지진의 진동 그리고 땅에서 물을 뿜는 간헐적인 흔적들을 기록한다. 프랑스 이론가인 폴 아르덴은 프랫츠의 작업물을 그저 자연의 아름다움이 아닌, 변동이 잦은 환경의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현실을 드러내는 “새로운 방식의 회화”라 묘사한다. ‘새들의 그림들 Paintings of Birds’ 연작에서 작가는 검게 그을린 화면에 새의 자유로운 날갯짓의

중력에 구애받지 않는 대나무 조각물인 작품은 공중에서 선회하며 중국 서예의 우아한 필적 같은 드로잉 곡선을 남긴다. 작품은 신체적이며 감각적인 물질의 아름다움으로 관람객을 몰입시킨다. 식물 섬유의 매듭과 낚싯대의 장력을 이용한 형태로 짜임새 있게 만들어졌다. 단단한 줄기부터 얇게 굴절되는 모양의 대나무를 사용했으며 빛이 비칠 때 실루엣을 만들어낸다. 작품은 그 자체뿐 아니라 무형의 빈 공간, 의도적인 그림자와 실루엣으로 존재한다. 유연성과 단단함, 가득함과 공허함, 빛과 그림자, 움직임과 고요함 같은 반대 성질을 통해 섬세한 조화를 만들어 낸다. The gravity–defying bamboo sculptures by Laurent Martin ‘Lo’ swing in the air, drawing curves of harmony like the gracious strokes of Chinese calligraphy. His creations immerse the viewer in the physical and sensorial virtues of the organic material. Closely bound to the forces of nature, Lo follows the knots and fibres of the plant, the sculptures’ structure is shaped using tension and fishing rods. His manipulation of the bamboo plants from solid canes to thin and articulating contours creates mobile sculptures where the artwork consists of not only the bamboo itself but also the intangible hollow space within and the shadows and silhouettes they project. A fragile harmony is achieved through opposites: flexibility and strength, fullness and void, light and shadow, movement and quietnes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아드리아나 알바레즈 니콜

카를로스 크루즈 디에즈, 페르난도 프랫츠, 로랭 마틴 로, 하비에르 레온 페레즈, 마리아 가르시아 이바네즈

홍콩 셩완 189 퀸즈로드 웨스트 소호 아트레인 189 1층 852 2803 0332 info@puerta–roja.com www. puerta–roja.com

Adriana Alvarez–Nichol

Carlos Cruz–Diez, Fernando Prats, Laurent Martin ‘Lo’, Javier León Pérez, María García Ibánez

1F, Soho189 Art Lane, 189 Queen’s Road West, Sheung Wan, Hong Kong 852 2803 0332 info@puerta–roja.com www. puerta–roja.com

298

299


A75

1995년 이스트 런던에서 문을 연 퍼디힉스갤러리는 런던 사우스 켄싱턴의 빅토리아&앨버트 뮤지엄 인근 현 위치로 2년 전 이전했다. 갤러리는 회화와 사진 작품에 집중하며 현대미술의 경계를 확대하고자 한다. 아라이 타카시, 배찬효, 조나단 델라필트 쿡, 수잔 더지스, 랄프 플렉 등의 아티스트 작품들을 선보인다. 갤러리는 펄스 마이애미, 패리스 포토, 포토 런던, 언신 암스테르담과 KIAF 등 다수의 아트페어에 참여하고 있다. 런던의 빅토리아&앨버트 뮤지엄, 뉴욕 현대미술관 및 로스앤젤레스 폴 게티 미술관 등의 일류 컬렉션에서 퍼디힉스갤러리가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구입한 바 있다. PURDY HICKS GALLERY was established in 1995 in East London, moving two years ago to its present location in South Kensington close to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The Gallery specialises in showing painting and photography, with the Gallery pushing the boundaries of contemporary practice, showcasing the work of artists including Takashi Arai, Bae Chanhyo, Jonathan Delafield Cook, Susan Derges, Ralph Fleck, Samuel Fosso, Tom Hunter, Jorma Puranen, Awoiska van der Molen and Bettina von Zwehl. The Gallery participates in a number of fairs including Pulse Miami, Paris Photo, Photo London, Unseen Amsterdam and KIAF. Work by artists represented by PURDY HICKS GALLERY has been acquired by many major collections including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London,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and The Getty, Los Angeles.

랄프 플렉 Ralph Fleck, Seestuck 3 IV, 2018, oil on canvas, 100x150cm

PURDY HICKS GALLERY

랄프 플렉은 실질적 세계와 그의 눈으로 관찰한 세계, 그 사이에의 미묘함을 포착해내며 고유한 회화적 언어를 정립했다. 그림 속 표면에는 중요한 의미가 녹아 있으며 모두 같은 강도와 집중도로

랄프 플렉에게 ‘도시’가 갖는 의미는 빈 캔버스를 채워나가는 것에 대한 일종의 모험과 도전으로서 일련의 사상과 감정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만들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 Pierre Bergian studied Art History and Archaeology, and combined with his fascination for architecture his paintings explore space and structure and make use of the presence of architectural components. Bergian’s work looks at rooms and spaces that are often almost empty, bar a small selection of furnishings and objects. His interiors are often filled with pictures whether they are hung on the walls or piled against an easel on the floor, often being depicted as no more than a square shade of colour upon the wall, possessing little detail. By doing so Bergian ensures our attention is focused on the composition and presence of his work rather than what is displayed within the scene.

그림을 좋아한다. 그리스의 시인인 시모니데스는 “그림은 침묵의 시”

데이빗 퀸 David Quinn, Sift Painting Number 12, 2018, acrylic, gouache and based pencil on paper on paper, 20.5x13.5x1.9cm

않다. 이는 작가가 관람자로 하여금 그림 속에 무엇이 있는지 보는 것보다 작품 자체로서의 인식과 구도에 좀 더 집중할 수 있게

Ralph Fleck has created his own painterly language which involves movement between moments of close observation and of objective distance. Every inch of a painting’s surface is important to him and each is painted with the same absorption and intensity. It is vital that the brush marks are both raw and immediate. When he paints a mountain or a city it is the idea of a mountain or a city; something of their essence, rather than their particularity that is captured in paint. His cityscapes do not depict a real city, full of history and contemporary bustle, nor are they contemporary versions of impressionism or expressionism; like all his subjects, they detonate a series of ideas and emotions that allow him to take on the challenge of the empty canvas.

피에르 벨지안 Pierre Bergian, Veduta, 2018, oil on panel, 35x42cm

공간을 응시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한다. 공간 속 그림들조차

발상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내가 좋아하는 작품들은 대부분 크기가 작다. 그리고 오래된 러시아 성상화와 미니어처 페르시안

David Quinn writes of his work, ‘I went to art college to study design and photography but while I was there I kept lots of notebooks in which to put down ideas often with no goal or particular brief in mind. After a while, I realised that these were more interesting than the more finished projects I produced, and so I figured, why not present them as objects/paintings, in their own right. I didn’t set out to be an ‘artist’ but it seemed the most obvious route to take if I wanted to keep doing my own thing. I have made larger pieces as well, but I always keep returning to the notebook scale as it allows me to try things out and it matters little if it doesn’t work out. Most of my favourite works of art are small. I love old Russian icons and miniature Persian paintings. Simonides said “painting is silent poetry” and I see these small pieces of mine as visual haikus. They remind me of old paperback books, which I love.’

비롯한다. 작품 속 도시의 모습은 역사와 분주함이 가득 찬 실제

벽에 걸려 있든 이젤에 얹혀있든 네모난 형태만 있을 뿐 디테일하지

아티스트가 되고 싶다는 생각보다는 나만의 어떤 것을 만들고 싶다는

비슷해 보인다. 그것들은 내가 좋아하는 문고본을 연상시키곤

도시의 모습이 아니며 인상주의나 표현주의 그 어떤 것도 아니다.

공부했다. 그의 작품은 건축적 구성 요소들을 활용하여 공간과

흥미로웠다. 그래서 그 아이디어를 실현해보고 싶었다. 처음부터

한다. – 데이빗 퀸

도시를 그린다는 것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본질에 대한 발상에서

구조를 탐구한다. 작품 속 공간은 최소한의 가구를 배치해 비어있는

있었는데, 이는 내가 여태껏 완성해왔던 어떠한 프로젝트들보다

라고 말했다. 이러한 점 때문인지 나의 작품은 일본 고전 시 하이쿠와

표현되었다. 붓 터치는 생동감과 즉흥성이 넘친다. 작가가 산맥이나

피에르 벨지안은 건축에 대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미술사와 고고학을

나는 디자인과 사진을 배우기 위해 예술 대학에 다녔다. 별다른 의도 없이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노트 위에 글을 적는 습관이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레베카 힉스, 니콜라 셰인

안나 레베이라, 베티나 폰 즈벨, 데이빗 퀸, 피에르 벨지안, 랄프 플렉, 산테리 투오리

영국 SW7 2LQ 런던 설로스트리트 25 44 0 207 401 9229 contact@purdyhicks.com www.purdyhicks.com

Rebecca Hicks, Nicola Shane

Anna Reivila, Bettina von Zwehl, David Quinn, Pierre Bergian, Ralph Fleck , Santeri Tuori

25, Thurloe Street, London, SW7 2LQ, UK 44 0 207 401 9229 contact@purdyhicks.com www.purdyhicks.com

300

301


PYO GALLERY B46

표갤러리는 국제적인 마인드와 경영방침으로 새로운 예술문화를 주도하고, 국내 작가를 국제적으로 알리며, 국내는 물론 국외 문화 발전에 힘쓴다. 김창열, 천경자, 박서보, 이우환 등 한국을 대표하는 최고 작가들의 작품 전시뿐만 아니라 신진작가를 발굴 및 양성한다. 또 국내외 다양한 아트페어도 참가한다.

김용익 Kim Yongik, 가까이 더 가까이, Closer... Come Closer..., 1993, mixed media on canvas, 100x80cm

표갤러리

PYO GALLERY was opened in the heart of Seoul in 1981, establishing itself as the leading venue to display works by the most promising artists in the Korean and international art scene. Over the years, the gallery has been fortunate to exhibit works by Lee Ufan, Kim Tschangyeul, Park Seobo, and Chung Changsup. Also, it has actively continued to search for the most promising Korean artists over the past few years, to herald a new phase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결과보다는 그리는 과정을 강조한다. In his work, a dot calls for a new dot then continues to be a line. In a sense, everything is a collection of dots and lines, and at the same time, a scene of spawning. Existing is a dot, and living is a line–thus, the artist is also a dot and a line. To Lee, the point and line series function as an Eastern term ‘Ki’ and a foundation of vitality. Therefore, he puts an emphasis on the process of painting rather than a visual outcome.

이우환 Lee Ufan, 선으로부터 From Line, 1978, pigment suspended in glue on canvas, 90.9x65cm

그의 작업에 있어 하나의 점은 새로운 점을 불러오며 그것이 반복되어 선이 된다. 어떤 의미에서는 모든 것이 점과 선의 집합이며 동시에 산란의 한 장면이 된다. 존재하는 것은 점이며 살아있는 것은 선이다. 따라서 이우환 또한 점이며 선이다. ‘점과 선’ 시리즈는 활력의 기초 역할을 하며, 시각적

“진리는 아무런 거리낌 없이 시원스럽게 내뱉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절제하고 자기 유보적인 목소리를 가지는 것이 더욱더 상대방에게 섬세하게 다가갈 수 있고 자연스럽게 흡수될 수 있다.” 뚫린 화면 뒤로 보이는 비워진 공간까지도 작품 일부가 되는, 더 나아가서는 작품과 관계된 모든 공간까지 작품으로 수용하는 김용익은 이렇게 말한다. 형식적 모더니스트 회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의미를 부여해온 평면성과 회화성의 문제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과도 같다. 이것은 또한 그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끊임없는 전복적 삶의 자세와도 많이 닮아있다. “Truth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spontaneously expelled without any hesitation. It is more and more accessible to the opponent to be attentive and naturally absorbed. Even the empty space behind the open screen is a part of the work.” The artist’s attitude, which accepts all space areas related to painting, is a challenge to the problems of ‘planarity’ and ‘conversationality’, which have given the most important meaning in formal modernist painting. It also resembles the constant overturning of lif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arti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표미선

이우환, 김용익, 최수환, 우국원, 하정우

03175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희궁길 36 82 2 543 7337 info@pyogallery.com www.pyogallery.com

Pyo Misun

Lee Ufan, Kim Yongik, Choi Soowhan, Woo Kukwon, Ha Jungwoo

36 Gyeonghuigung–gil, Jongno–gu, Seoul, 03175, Korea 82 2 543 7337 info@pyogallery.com www.pyogallery.com

302

303


RHO GALLERY B34

노화랑은 1977년 서울 인사동에 송원화랑으로 개관했고, 1996년 현재 종로구로 신축·이전하면서 이름을 바꾸어 재개관했다. 지금까지 노화랑은 한국미술시장의 정립과 발전, 한국미술문화의 형성과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 〈미술로 본 20세기 한국인물(1966)〉개관기념전을 시작으로 한국미술과 미술시장에 영향을 끼친 전시회를 150회 이상 개최했다. 특히 한국 근·현대미술을 주도한 대표적인 작가 변관식, 이상범,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 도상봉, 이수동, 오지호를 비롯해 박서보, 이강소, 이왈종, 김태호, 한만영, 이석주, 오치균 등의 작품전을 열었다.

이강소 Lee Kangso, From an Island 02106, 2002, oil on hemp cloth, 227.3x181.8cm

노화랑

RHO GALLERY first opened as Songwon Gallery in the Insa–dong area of Seoul in 1977. It assumed its present name when it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Jongno–gu in 1996. It has strived to establish and develop the art market in Korea as well as Korea’s art culture. Starting with 〈Twentieth Century Korean People Through the Arts〉, it has held more than 150 exhibitions that have had an impact on Korea’s art and art market. The gallery has shown works by master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such as Byeon Gwansik, Lee Sangbeom, Park Sugeun, Lee Jungseop, Kim Whanki, Do Sangbong, Lee Soodong, Oh Jiho, Park Seobo, Lee Kangso, Lee Walchong, Kim Taeho, Han Manyeong, Lee Seokju, and Oh Chigyun.

이강소의 화면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 공존한다. 어느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영상이 잡히는가 하면, 어느 부분의 영상은 화면 속에 자취를 감춘다. 현실의 풍경적 요인을 지니면서 언제나 기억의 공간 속을 부유하게 한다.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과의 간극으로 인해 화면에는 긴장이 넘친다. 이 대비적인 요소는 정적과 격정으로도 구현되어 나온다. 빈 배가 떠 있는가 하면 오리들이 한가롭게 물 위를 유영해간다. 한편으론 비구름이 몰려오고 벼락이 치며 격렬하게 소나기가 쏟아붓고 있다. 정제된 하나의 선으로 자연이 묘출되는가 하면 격렬하게 요동치는 붓 자국에 우주의 기운이 강하게 뿜어져 나온다. – 미술평론가, 오광수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노승진

권기수, 김동유, 김태호, 박훈성, 서승원, 오치균, 윤병락, 이강소, 이석주, 이수동, 이왈종, 이원희, 한만영

03146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54 82 2 732 3558 rhogallery@hanmail.net www.rhogallery.com

Rho Seungjin

Kwon Kisoo, Kim Dongyoo, Kim Taeho, Park Hoonsung, Suh Seungwon, Oh Chigyun, Yoon Byungrock, Lee Kangso, Lee Sukju, Lee Soodong, Lee Walchong, Lee Wonhee, Han Manyoung

54, Insadong–gil, Jongno–gu, Seoul, 03146, Korea 82 2 732 3558 rhogallery@hanmail.net www.rhogallery.com

304

305


ROW GALLERY B02

2009년 오픈한 라우갤러리는 경주에 있다. 경주시가 추진하는 문화사업에 사설 갤러리로서는 유일하게 참여하여 각종 자문에 응하며 경주 시민을 위한 문화강좌와 그림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또 동국대학교 경주 캠퍼스와 협의로 각종 전시회와 강좌 등 미술의 저변을 넓히고자 노력하고, 경주 시민의 문화공간으로서 다양한 작품과 전시를 통해 대중과 함께하는 신뢰받는 갤러리로 거듭나고자 한다. 특히 갤러리 초기 때는 한 달에 두 번씩 작가초대전을 했으며, 2011 년부터 한 달에 한 번씩 작가 초대전을 진행한다. ROW GALLERY opened in November 2009 and is located in Gyeongju. The gallery is trying to broaden the base of art and offer a variety of cultural venues to everyone. As a cultural space for the public, the gallery aims to become a place where people can easily come and enjoy the exhibition. Since 2011, the gallery has been shown a wide range of exhibition every each month.

일상의 행복을 함께 하고자 한다. The lemon that always appears in Kim Sunhee’s work expresses the desire of modern people. When people bite into a fresh lemon, they ask for it, and the betrayal is sourness, which can be shared with other people. The artist wanted to bring out a section of everybody’s memories, to sympathize with the painting for a while, and to share the happiness of everyday life that everyone gets into memories.

김선희 Kim Sunhee, 삶의 일상 Everyday Life, 2016, oil painting, 115x90cm

김선희 작품에 항상 등장하는 레몬은 현대인의 욕구를 표현한 것이다. 갈증과 목마름에 상큼한 레몬을 한입 깨어 물었을 때 그 이율배반적인 시큼함과 통쾌함을 현대인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누구나 겪는 기억 속 단면을 끄집어내어 잠시 함께 공감하며

정선진은 도시의 건물들을 낮에도 밤에도 항상 새롭게 바라본다. 감정이 드리워져 경직된 도시의 건물들은 추상적 구성으로 하나의 표정을 가진다. 고독하고 무미건조한 그리고 매일 반복되는 생활에서 도피하지 않고 솔직한 태도로 바라본 것이며, 건물이면 건물대로 그대로 느끼고 표현한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마음에 미래를 향한

유명 셀럽들의 옷차림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청춘의 우상인 셀럽의 본질은 패션이라고 말한다. 시기와 장소에 따라 변화무쌍해지는 그들의 차림새를 추종하는 전 세계 청춘들로 인해 대규모 자본시장인 패션산업의 흐름을 주도하며 도시남녀, 욕망을 대변하고 있음을 표현한다. It is a work that embodies the fashion of famous self– clothes, which says the essence of the young idol is fashion. Youths around the world follow their changing appearance at different times and locations represent the trend of the fashion industry, a significant capital market, serving urban men and women and desires. 박주경 Park Jukyung, 도시남녀(컬렉션 룩), Urban Men and Women(collection look), 2018, acrylic and farbic collage on canvas, 162x130.3cm

정선진 Chung Sunjin, 컴포지션 Composition, 2014, color on korean paper, 167x130cm

라우갤러리

소망과 사랑을 간직한 채 살아간다. Chung Sunjin says, “In the middle of the city, my gaze is always looking at buildings that are always visible, both day and night. In a turbulent city, I see it as a lonely absolute feeling. My feelings are lifted and the buildings of the rigid city become one with an abstract composition. It is a lonely, dull, and everyday life without fleeing, but with a straightforward attitude. But I live in my heart with the light and love of future hop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송휘

정선진, 지우, 김선희, 이기성, 박주경

38089 경북 경주시 알천북로 1 경주예술의전당 지하1층 82 54 772 9556 songart@hanmail.net www.rowgallery.co.kr

Song Hwi

Chung Sunjin, Jiwoo, Kim Sunhee, Lee Giseong, Park Jukyung

Gyeongju Arts Center B1, 1, Alcheonbuk–ro, Gyeongju–si, Gyeongsangbuk–do, 38089, Korea 82 54 772 9556 songart@hanmail.net www.rowgallery.co.kr

306

307


B45

갤러리 운영 방침을 결정짓는 미학적 지침은 창작을 위한 아티스트의 열정과 헌신에 연관된다. 이와 관련해 사샤 디 아트스페이스는 기성 및 신진작가들 간의 교류에 기여해 신구 컬렉션 모두를 풍성히 하고자 한다. 갤러리는 국내외 샘플을 정리하고 저서와 카탈로그를 편집하는 등 미술품 전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드로잉, 회화, 조각, 판화, 사진 등 다양한 현대미술 분야의 아티스트들을 홍보하기 위함이다. 지역 간 문화 교류는 미술작품 소비를 진작하고 미학적 관점을 끊임없이 변화시킨다. 갤러리의 남미 미술은 뛰어난 아티스트들의 기량과 그들이 보여주는 내면의 깊이가 특징적이고, 유럽미술의 영향도 엿보인다. 형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에서 비롯된 드로잉 스타일과 색상 사용이 눈에 띈다. The aesthetic guidelines that identify the management of the gallery are linked to the commitment of the artists with the creativeness and the passion. For this direction, it is important to contribute to the nexus between consecrated and young artists with new tendencies to achieve an enriching dialogue in the new and historical collecting. The gallery develops work programs for the dissemination of artworks by organizing samples, editing books and catalogs in different states of the region and other countries. This oriented to the promotion of artists enrolled in different disciplines including drawing, painting, sculpture, engraving, and photography, which are mostly enshrined and linked as contemporary artists. In this globalized world, the exchange of different cultures among regions generates growth in art consumption, as well as a constant transformation in the way different aesthetics are viewed. Latin American art is characterized by the quality of the artists and the deep inner perception they convey, where the influence of European art is also displayed. The drawing styles and the use of colors result from the investigation and study of forms.

madman〉을 통해 아르헨티나의 ‘탱고’를 표현했다. Dávila compounds concepts and affections. The painting evokes an incidental impression or, better yet, a spontaneous impression. When the craft of the painter is unfolded,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matter flows, and when it does, there is an irrevocable commitment with the fragment. Philosophy teaches us that faithfulness to a thought is not possible when the intention is to capture it in its wholeness, because this is equivalent to immobilizing it, preventing it from being another one. The only thing we can demand from the fragments is that they reach consistency in the composition. In this work Dávila represents the Argentine ‘Tango’, and he does it through the famous lyrics of Astor Piazzolla’s “Balada para un loco” (Ballad for a madman).

꿈과 환상은 의식을 할수록 현실을 깨닫게 한다. 무의식과 상상은 지배력을 갖고 우리의 존재를 비현실적인 순간으로 전환시키기도 한다. 이 작품은 거대한 우주에서 우리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를 표현한 작품이다. 눈 깜짝할 사이에 다른 방법으로 이것들을 결합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 다른 관점에서 그것을 연결하면 어떻게 되는걸까? 작가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보통 사진 촬영을 진행하며 리서치 작업을 병행한다. 연구와 조사는 작업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 결과는 이 작품에서 보여질 것이다. Dream and fantasy, the object of both places us in a reality that runs parallel to the conscious one. Un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take control, turning our existence into moments of unreality. This line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huge fragility we have as beings; we are formed by a universe of perfectly assembled mini–parts. What happens when we join them together in different ways with a simple blink? What happens when we connect them from another point of view? In the plane of the pieces and work materiality, the work stems from photography, and the study and investigation of supports and assemblies take a critical role, but they detour to other purposes that draw them near to an objectual work. 〈ILZE〉 is the conclusion.

언급하기도 했다. His work represents the most thorough manifestation of abstract expressionism. Its interaction with the spectator will result in the roofs that the artist begins to make in 1963, and in the Toys, toy–objects, of geometrical thoroughness, with chalk and glue cover, and painted with synthetic lacquer, showed this time in KIAF. The concept of partial or complete architectural intervention is a consequence of the painting’s three–dimensionality, which projects itself to occupy the space and, hence, the physically recognizable environment. Internationally, the 〈Roofs〉 and the 〈Toys〉 have been specially mentioned by leading figures such as Shusaku Arakawa and Philip Jonson, who, in front of the MOMA maquette said that “To his knowledge the Project for which this maquette was made represented an original concept, the like of which he had never seen”.

하비에르 벨로모 Javier Bellomo, ILZE, 2017, printing of pigmented inks on textured paper, 240gr, 140x100cm

미구엘 다빌라 Miguel Dávila, Walls of the City, 1997, acrylic on canvas, 200x200cm

다빌라는 이성과 애정을 다해 작품을 만드는데, 그의 작품은 부수적인 인상 보다 더욱 즉흥적인 인상을 더욱 불러일으킨다. 화가의 실력은 주제에 따라 드러나고, 그 흐름을 쫓을 때, 이 부분은 뗄 수 없는 관계가 형성된다. 철학은 의도가 전체를 담아낼 때, 다른 것이 존재하는 것을 막고 동등하게 머물게 하기 때문에, 생각에 대한 충실함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우리가 요구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한결같은 구성에 도달 한다는 것이다. 다빌라는 이 작품에서 유명한 노래인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Ballad for a

루이스 웰스의 작품은 완벽한 추상표현주의를 보여준다. 작품은 공간에서 펼쳐지며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만들어 나가는데, 이는 1963년부터 작가가 분필과 접착제로 만든 것으로 이번 KIAF 에서 전시된다. 건축학적 개입을 통한 작품은 공간을 활용하는 프로젝트로, 물리적 인지가 가능한 환경이다. 이 혁신적인 컨셉의 작품은 아르헨티나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대중에게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MOMA를 이끄는 아라카와, 필립 존슨은 그의 작품에 대해 “그의 작업은 전혀 보지 못했던 독창적인 컨셉이다”라고

루이스 웰스 Luis Wells, Toys, 2017, polychrome wood, 60x60x13cm

SASHA D ESPACIO DE ART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알레한드로 다빌라

에두아르도 스투피아, 하비에르 벨로모, 후안 레쿠오나, 루이스 웰스, 미구엘 다빌라

5009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프링글스 1553 54 9 351 15 6450684 alejandrodavila@sashadavila.com www.sashadavila.com

Alejandro Davila

Eduardo Stupia, Javier Bellomo, Juan Lecuona, Luis Wells, Miguel Dávila

Pringles 1553, Córdoba, 5009, Argentina 54 9 351 15 6450684 alejandrodavila@sashadavila.com www.sashadavila.com

308

309


SEOSHIN GALLERY A71

전주시 완산구에 있는 서신갤러리는 전주를 대표하는 갤러리로 올해 개관 21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서신갤러리는 누구나 미술문화를 누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초대전, 대관전과 다양한 기획전시를 통해 작가 지원과 발굴에 힘쓰는 한편, 관람객들에게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지역작가들과 함께 성장해 나가며, 작가와 관람객의 만남이 더욱 쉽고 즐거워지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SEOSHIN GALLERY, located in Jeongsan–dong, Wansan–gu, Jeonju, is a representative gallery of the Jeonju city and celebrates its 21st anniversary in 2018. SEOSHIN GALLERY is an open space where anyone can enjoy art. The gallery gives pleasure to the audience through a variety of works. The gallery will continue to grow with local artists, and also make it easier and more enjoyable for artists to meet with visitors.

앞에 펼쳐져 있는 것이다. The artist recalls the regret and sympathy of the past years in the form of flowers. Many of the concepts that you have believed and sought to be right are expressed through bright colors. Lee Hiechun’s spring is restoring some of the hidden emotions that have been forgotten.

갑자기, 그들은 위대한 숲을 흔들고 있는 강한 바람 속에서 삶의 역사를 듣는다. 바람에 흔들리고 결코 부서지지 않는 숲. 때로는 기쁨에 좌절감과 소망이 있으며, 고통스러울 때 그들의 영혼과 삶은 희망으로 채워진다. Suddenly, they hear the history of their lives in the strong wind shaking the Great Forest. The forest that is shaken by the wind but never breaks down. Sometimes, there is a sense of frustration and hope in joy, and when they are in pain, their souls and their lives are filled with hope.

그 사람의 모습이나 내면을 유추할 수 있다. 〈You Including Myself Episode〉 portrays the double– sided aspects of modern–day people, by making data collection of the aspects of you including me, who are all in the restricted frame of the modern society passing through the transition. By simplifying humans, this work expresses the images of modern–day people who are in the quadrangular frame, and the figures of simplified humans are absent from their arms. Though arms and legs can serve as a means to express our emotions in general, they do not appear in the artwork but the motion or position of legs of the person helps viewers analogizing the aspect or inner state of the person. Moreover, the surface based on the melted aluminium is to draw the inner side of the person and makes it possible to find the appearance and facial expression of the person.

이기홍 LEE KIHONG, 바람–대숲 Wind–Bamboo, 2012, acrylic on canvas, 80x 117cm

이희춘 Lee Hiechun, 화양연화 Spring, 2015, oil paint on canvas, 74x62cm

작가는 지나버린 시절에 대한 후회와 연민을 꽃의 형상으로 불러온다. 그것은 가지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일 수도 있고 허무에 대항하는 나르시즘일 수도 있다. 캔버스에 나이프 작업으로 한겹한겹 쌓아 올리며 옳다고 믿고 추구해온 여러가지 개념들을 화려한 색감을 통해 표출한다. 이희춘의 화양연화는 잊고 지나쳤던 내밀한 감정들을 복원하고 있다. 생의 정점은 지난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 화폭

작품은 현대인의 이중적인 모습과 과도기인 현대 사회의 규제된 틀에 속해있는 자신을 비롯한 타인의 모습을 데이터로 수집하여 이야기를 담아낸 작업이다. 문민은 인간을 단순화하여 사각형 틀 속에 있는 현대인의 모습을 담았으며 작품의 단순한 인간 형태에선 팔이 등장하지 않는다. 팔과 다리는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지만,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팔이 등장하지 않고 다리의 동세나 자세를 통해

문민 MUN MIN, 나를 비롯한 그대들 에피소드, 2017, aluminium, 120x110x600cm

서신갤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혜경

차현주, 최지윤, 전경화, 강용면, 김순철, 이기홍, 이희춘, 문민

54950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로 38 지하1층 82 63 255 1653 seoshingallery@hanmail.net www.seoshingallery.com

Park Heakyoung

Cha Hyunju, Choi Jeeyun, Jeon Kyunghwa, Kang Youngmeon, Kim Sooncheol, LEE KIHONG, Lee Hiechun, MUN MIN

B1, 38, Seosin–ro, Wansan–gu, Jeonju–si, Jeollabuk–do, 54950, Korea 82 63 255 1653 seoshingallery@hanmail.net www.seoshingallery.com

310

311


SIMYO GALLERY B15

같이 느끼는 사람들과 만나기를, 늘 마음이 한결같기를 바래서 심여 心如다. 작지만 큰 세상을 향하겠다는 초심대로 가다 보니 어느덧 27년이 되었다. 중국, 베트남, 미얀마를 거쳐 이제는 역량 있는 한국 작가들과 함께 가고 있다. 그림의 힘은 유명세나 인지도에 있지 않다. 세상 어디서나 통하는 그림, 그런 그림들과 함께하고자 한다.

로드리고는 멕시코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조각가로 건축이 전공이지만 조각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은 멕시코 곳곳에서 거리 조각으로 만날 수 있다. 그는 디모테오라는 일상의 소시민을 캐릭터화해 작품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크게 성공했다. 디모테오는 금전적으로 어렵고 고된 일에 시달리는 백성을 표현한

로드리고 데 라 시에라 Rodirigo de la Sierra, 비행에 대한 갈망 Deseo de Volar, 2016, bronze, 185x65x65cm

심여화랑

SIMYO GALLERY has been working on finding great artworks not commonly treated, from artists and places rarely discovered yet competent for the past 25 years. The Gallery first opened its door in Seoul, in 1991, hoping to communicate with people throughout the world by artworks. SIMYO has been a pioneer in introducing Korean contemporary art to global market, most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art fairs like Singapore Art Fair, Scope Basel, LA Art Show, Art Palm Springs, Affordable Art fair in Milan to name a few. Simyo Gallery currently focuses on presenting and promoting the leading and emerging Korean artis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Rodrigo de la Sierra is a sculptor who is an up–and–coming artist in Mexico. His artworks, called ‘Timoteo’, are characterized by the petit bourgeois in daily life, the artist wants to talk about the little details that we live day in and day out, and oftentimes go unnoticed. Timo, the nickname of all of us, which was also used by his friends to refer the artist, represents a common and ordinary individual–grass root. People get warm–hearted and take courage from his friendly creatures.

특징이 잘 살아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Fernando Botero is a Colombian figurative artist and sculptor. His signature style, also known as ‘Boterismo’, depicts people and figures in large, exaggerated volume, which represents political criticism or humor, depending on the pieces. He is considered the most recognized and quoted living artist from Latin America. The painting Simyo Gallery represents is the one which Botero drew his lawyer friend when he was living in New York. Among his artworks, the focus on figures is greater on this artwork where his trademark ‘oversize’ can be seen well.

‘블루’ 사진으로 알려진 김태균의 작품들은 밝음이 어둠에 자리를 내어주었다. 다시 돌아오기 전까지의 바다의 모습을, 눈에 보이는 어둠에 가린 블루를 담고 있다. 늘 같은 장소에서 마주하는 매번 다른 얼굴의 바다를 ‘블루’라는 이름 아래 변주한다. 같은 듯 다른 블루들로 선보였던 그가 이번에는 조금 다른 시선으로 바라본 블루를 선보인다. His name is ‘blue’. Some people call him the ocean, but he wants to be called as ‘blue’. Blueness, waves, the sky, the horizon, the moon, and the ocean that he created with his vision and sensibility look the same at a glance, but they are different. Still, they become one under the name of ‘blue’ and develop tranquil rhythms, which make the audience take pleasure in the calm rhythms.

김태균 Kim Taikyun, If You Go Away, 2015, photograph(hasselblad stella, ISO100), 95x145cm

페르난도 보테로 Fernando Botero, 변호사 Un Abogado, 1967, oil on canvas, 90x87cm

콜롬비아의 대표적인 작가인 보테로가 뉴욕에 거주할 때 그린 작품으로 친구 변호사를 그린 것이다. 소장자는 미국의 유명 코미디언 밥호프이다. 볼륨 업이 특징인 그의 작품 중 인물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초기의 수작으로, 요즘 작품보다 단순하면서 그의

것으로, 풋풋하게 살아가는 모습에 대중은 힘을 얻는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성은경

페르난도 보테로, 김태균, 카타리나 그로스, 이은, 이희용, 로드리고 데 라 시에라

03062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1길 40–3 82 2 739 7517 sunnysimyo@gmail.com www.simyogallery.com

Sunny Sung

Fernando Botero, Kim Taikyun, Katharina Grosse, Lee Eun, Lee Hiyong, Rodrigo de la Sierra

40–3, Yulgok–ro 1–gil, Jongno–gu, Seoul, 03062, Korea 82 2 739 7517 sunnysimyo@gmail.com www.simyogallery.com

312

313


A46

SM파인아트갤러리는 국제적인 근현대 아티스트들을 전문으로 다룬다. 로버트 인디애나, 알투로 디 모디카와 오세열 등 미국과 아시아의 블루칩 아티스트들을 대표하고 있으며, 국제무대에서 활동 중인 중견 및 신진작가들과도 협업 중이다. 또 마르크 샤갈 등 근대작가들의 작품도 다루고 있다. SM파인아트갤러리는 자신만의 미술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는 수집가와 고객들을 위한 전문적인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한다.

줄리안 오피 Julian Opie, Melbourne Statuettes, 2018, a series of 7 freestanding patinated black bronze statuettes on a crema grey light stone base, various size

SM FINE ART GALLERY

SM FINE ART GALLERY is a high–quality fine art gallery specializing in international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The gallery represents blue–chip American artists as well as Asian artists including Robert Indiana, Arturo Di Modica, and Oh Seyeol. The gallery collaborates with international mid–career and emerging artists as well. The gallery also specializes Modern artists such as Marc Chagall. SM FINE ART GALLERY provides a professional consultant to various collectors and clients who wish to build up their art collections.

제프 쿤스 Jeff Koons, Balloon Dog(magenta, orange, yellow), 2015, porcelain, 26.7x26.7x12.7cm(each)

로버트 인디애나 Robert Indiana, HOPE Red–Light Blue, 2009, fabricated painted aluminum, 91.4x91.4x45.7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사이먼 권

알투로 디 모디카, 제프 쿤스, 줄리안 오피, 김태호, 김창열, 나라 요시토모, 오세열, 백남준, 박서보, 로버트 인디애나

10038 미국 뉴욕 스위트202 풀톤스트리트 139 1 646 869 0303 smfineartgallery@gmail.com www.smfineartgallery.com

Simon Kwon

Arturo Di Modica, Jeff Koons, Julian Opie, Kim Taeho, Kim Tschangyeul, Nara Yoshitomo, Oh Seyeol, Paik Namjune, Park Seobo, Robert Indiana

139, Fulton Street, Suite 202, New York, 10038, USA 1 646 869 0303 smfineartgallery@gmail.com www.smfineartgallery.com

314

315


SONG ART GALLERY B28

송아트갤러리는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세계가 깊이 전해지도록 예술 언어를 중의적 감각으로 전하고, 현대미술의 깊이 있는 이해와 예술을 즐기는 순간들을 위해 조력하고자 한다. 예술의 본질에 다다르고자 한 국내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드러내고자 하며, 국제 미술계와 소통하여 확장된 미술 세계 안에서 미니멀한 추상 중심의 컨템포러리 아트를 선보인다. 이를 통해 동시대에 비중 있게 조명되어야 할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소통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백남준 Paik Namjune, Joseph Beuys, 1990, mixed media on canvas, 143x190x8cm

송아트갤러리

SONG ART GALLERY communicates the art of language through an impartial voice in hopes that the artistic world of local and international artists may be communicated in their true profoundness. In this context, the gallery seeks to present the artistic world of local artists who have sought to reach the essence of art itself an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tional art scene so that the gallery can present contemporary and minimal abstract art in the broader art scene. SONG ART GALLERY strives to be a channel of communication that expresses the artistic world of contemporary artists who deserve recognition.

박종규 J. PARK(Park Jongkyu), 미로–20165121 Maze–20165121, 2016, acrylic on canvas, 116.8x91cm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코드화된 디지털 이미지는 박종규의 독특한 스타일이다. 그는 실제 세계의 한 장면을 포착해, 그 이미지를 프로그래밍한 픽셀을 확장하고 자르고 늘어뜨리고 조작해 점과 선으로 변환하는 것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이러한 작업 과정은 실존하는 이미지에서부터 파생되어 추상적인 방법으로 표현된 다차원적인 시각 레이어를 만든다. 다시 말해 그는 실제의

백남준은 미디어 아트 개척자로서 1960년대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 함께 플럭서스 운동의 중심에서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퍼포먼스와 전시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새로운 예술 구성으로 TV를 전략적으로 선택한 그는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로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예술의 정의와 범위를 확대했다. 그의 작품이 지닌 시각적이고 철학적인 영향은 오늘날까지 전 세계인에게

이미지에서부터 그와 다른 또 다른 현실을 만들어낸다.

영감을 준다.

Park’s unique incorporation of digital forms using the coded computing system is his signature style. Park begins his work with an impression taken from the real world which he then digitally deconstructs into pixels and planes. This process allows him to create multidimensional virtual layers which, while derived from imagery, take on their own abstract representation. In essence, the artist creates a new reality disconnected from the original image.

Paik Namjune, widely known as the father of video art, was a artist who played an integral member of the Fluxus movement alongside with artists from various fields in the 1960s. His avant–garde experimental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caused a huge sensation in the past and his decision to use television and other various media as a new form of art tool expanded the definition and expression of art. The visual and philosophical influences through his work still remain with us to this day by giving people all around the world endless artistic inspirat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송학수

백남준, 이우환, 박서보, 이강소, 윤희, 프랑수아 패로딘, 노경화, 박종규

06600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88 아크로비스타 아케이드 B133 82 2 3482 7096 haksoosong@naver.com www.songartgallery.co.kr

Song Haksoo

Paik Namjune, Lee Ufan, Park Seobo, Lee kangso, Yoonhee, François Perrodin, Noh Kyunghwa, Park Jongkyu

Acrovista Arcade B133, 188, Seochojungang–ro, Seocho–gu, Seoul, 06600, Korea 82 2 3482 7096 haksoosong@naver.com www.songartgallery.co.kr

316

317


SOPHIS GALLERY A03

소피스갤러리는 2016년 개관한 이래 참신한 기획 전시를 통하여 동시대 시각 예술 분야의 실력 있고 유망한 작가들을 선보였다. 잠재력을 지닌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고 소개해왔으며, 중견 작가들을 재조명하는 전시를 적극적으로 기획해 현대미술 문화의 발전에 지속적인 노력을 해왔다. 특정 장르와 매체를 지향하기보다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자신만의 색채를 지닌 작가에 주목하고, 다양한 영역을 교차하는 실험적인 작가의 작품에 관심을 가진다.

홍정욱 Hong Jungouk, Infill, 2017, acrylic color, wire and wire clothing on circle–birch, 56x48x12cm

소피스갤러리

Since its opening in 2016, SOPHIS GALLERY has been presenting works of competent and rising artists in contemporary visual art through innovative exhibitions. The gallery continues its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cultural development in contemporary art, by programming exhibitions that both discover young artists with potential and refocus on established artists. A specific genre and medium in art are not pursued but artists who have their own unique sense in the scene of contemporary art are focused on. The work of experimental artists who are not afraid to cross diverse genres is our main interest.

그의 작품은 조형 예술의 근본을 직시하는 것이다.

박광성은 화면을 압도하는 절제된 색채와 대상의 단순화를 통해 형상을 실험한다. 실존주의 철학에 기반을 둔 그의 회화는 인간의 ‘소유’와 ‘존재’에 대해 근본적인 화두를 던지며 작가 특유의 회화적

Hong Jungouk starts his painting from experiments on the limitation of painting and the standardization of a rectangular frame. He dismantles the basic components of a canvas, the wood and canvas, and creates his own three– dimensional painting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ay of making a painting by reconstructing them. The artist’s painting – filled with lines, planes, and diverse shades within them – confronts the basis of visual arts.

기법인 스푸마토 기법으로 풀어낸다. Park Kwangsung experiments with images by restraining colors and simplifying forms which result in overwhelming scenes. Based on existentialism the artist’s painting asks a basic question on the meaning of ‘to–have’ and ‘to–be’ in the unique style of the artist, the sfumato technique.

이헌정 Lee Hunchung, A Potter’s Room or An Architect’s Vessel, 2018, glazed ceramic, wood, glass, 260x250x270cm

박광성 Park Kwangsung, To Have and To Be, 2012, oil on canvas, 117x91cm

홍정욱의 작품은 회화의 한계와 정형화된 사각 프레임에 대한 실험에서 시작된다. 캔버스의 기본 구성인 나무, 천을 해체하여 재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 회화와는 전혀 다른 그만의 ‘입체적 회화’를 제작한다. 선과 면 그리고 그 속에 다채로운 색상이 가득한

이헌정 작가는 흙이란 재료를 통해 설치, 아트퍼니처, 디자인, 회화, 조각과 같은 작업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다양한 형식으로 작품을 선보여왔다. 그의 작품은 도자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들여다 보도록 제작된다. 도자의 재료 특성 내부와 외부가 상호작용하는 관계를 통해 형태가 유지되며 관람객은 이를 직접 경험할 수 있다. Lee Hunchung freely moves across the fields of installation, art furniture, design, painting, and sculpture by using soil as a medium for his art practice. His work is designed to look inside and outside of the ceramics. Due to the nature of ceramics, the shape is maintain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viewer directly experiences thi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희수

차승언, 박형지, 홍정욱, 지석철, 이헌정, 박광성

06227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 218 지하1층 82 2 555 7706 info@sophisgallery.com www.sophisgallery.com

Lee Heesoo

Cha Seungean, Park Hyungji, Hong Jungouk, Ji Seokcheol, Lee Hunchung, Park Kwangsung

B1, 218, Yeoksam–ro, Gangnam–gu, Seoul, 06227, Korea 82 2 555 7706 info@sophisgallery.com www.sophisgallery.com

318

319


SOUL ART SPACE A78

2005년 개관한 소울아트스페이스는 가능성 있는 신진작가들을 발굴·지원하고 중견작가들의 작품을 지속해서 선보임과 동시에, 공신력 있는 해외 아트페어 참여를 통해 국내 작가들을 국제무대에 소개하며 변화하는 미술시장에 대한 감각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힘쓴다. 접근성 있는 최상의 전시 환경 구현과 차별화된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자 해운대와 금정구에 두 개의 공간을 운영하며 아트 포럼, 작가와의 대화, 소장품 관리 연구 및 전시와 연계한 영화 상영회, 음악회, 워크숍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SOUL ART SPACE was established as a gallery for promising artists in 2005 and has continuously been organizing, in its two branches, novel exhibitions that emphasizes the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 to Busan. SOUL ART SPACE conducts residential artist supporting programs, workshops, and exhibition information sessions. The gallery has also participated in several famous art fairs. In addition, it has generated creative platforms for dialogue and interactions through music concerts and film showings in collaboration with art exhibits.

김덕용 Kim Duckyong, 옛날의 그집 The Old House, 2018,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 112x112cm

세심하게 조각된 나무 위에 시적인 그림을 그리는 김덕용의 작품은 전통문화와 강한 유대관계를 가진 동시대 한국인의 잔잔한 내면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오래된 나무가 가지는 고전적인 느낌과 삶의 무게가 느껴지는 작품의 질감은 작가가 관심을 가지는 시간성의 상징적 고리이기도 하다. 종이가 아닌 나무 위에 단청채색이나 자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과 각고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익명의 인물, 강아지, 정원에 조용히 흔들리고 있는 작은 잎들을 그리는 김덕용의 그림은 소박하지만 그 내용은 견실하다. Kim Duckyong’s work which consists of a poetic painting on a meticulously sculpted wood enables viewers to experience the calm inner world of contemporary Koreans who still maintain strong ties with their cultural tradition. The classic feeling embodied in the wood and the passage of time conveyed by the texture of the painting act as symbolic links to the artist’s expression of temporality. To perfect a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ing and inlaying mother of pearl on wood instead of paper, an extraordinary degree of technique and hard work are required. Kim’s paintings which contain people, dogs, and softly wavering leaves in a garden are simple in their subject matters but their underlying messages are robust and creatively expressed on hardwood.

최영욱은 달항아리의 심미적 실용성과 변용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조형적으로 탐색하며 과거와 현재, 자신과 타자를 아우르며 소통의 통로를 찾는다. 입체 항아리를 평면 캔버스에 세필로 조심스럽게 옮겨 오면서 환한 달처럼 드러나는 달항아리는 밑그림을 그린 후 물감과 돌가루, 젯소를 혼합하여 칠한 후 다시 물감을 수십 회에서 수백 회 올려 형상을 만들고, 건조되면 달항아리 표면에 얼룩과 숱한 빙렬 등 세월의 흔적이라 할 수 있는 자국들을 새겨 넣으면서 완성된다. 달항아리의 미세한 선들은 이어졌다 다시 갈라지기를 반복하며 연 緣과 업 業을 나타냄으로써 삶의 질곡, 애환, 웃음과

김덕기는 가족과 함께하는 일상에서 행복의 요소를 발견하여 작은 것의 소중함을 일깨운다. 슬픔이 없는 그의 그림에는 그림자가 없고, 집 내부 풍경은 외부에서도 훤히 들여다보이는 투명한 구조에, 인물뿐 아니라 강아지, 새 등 모든 캐릭터가 정겹게 짝을 이룬다. 색색의 아크릴 물감을 점으로 촘촘히 찍어 완성된 작품은 누구든지 캔버스 속 가족처럼 행복할 수 있다는 소박하지만 열정적인 메시지를 담는다. Kim Dukki finds happiness from the daily lives of families and allows viewers to appreciate the little things in life. Void of sadness, his artworks contain no shadows and instead, portrays houses that are completely transparen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ll characters inside his works including people, flowers, and animals are all paired up in a joyful manner. Overall, Kim’s works embody his simple but passionate message that anyone can be as happy as the characters inside the canvas. 김덕기 Kim Dukki, 가족 – 함께하는 시간 Family – Time Spent Together, 2018, acrylic on canvas, 53x72.7cm

최영욱 Choi Youngwook, Karma 20184–80, 2018, mixed media on canvas, 68x62cm

소울아트스페이스

슬픔을 아우르는 인간의 생을 비유한다. Taking inspiration from the moon jars of the Joseon Dynasty, Choi Youngwook expresses the memory and story of unadorned life in his unique calm and soft manner. By exploring a moon jar’s simplistic yet infinitely malleable quality, Choi aims to find harmony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the others and ‘I.’ The surface of the jar is completed with engraving marks, stains, and other irregularities which can be seen as the traces of time. The crackled seams of the jar’s surface converge and diverge as though speaking of the vagaries, the joys, and the sorrows of lif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선영

최영욱, 엔조, 제제, 김덕용, 김덕기, 이정록

48090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30 82 51 731 5878 info@soulartspace.com www.soulartspace.com

Kim Sunyoung

Choi Youngwook, Enjo, Jeje, Kim Duckyong, Kim Dukki, Lee Jeonglok

30, HaeundaeHaebyeon–ro, Haeundae–gu, Busan, 48090, Korea 82 51 731 5878 info@soulartspace.com www.soulartspace.com

320

321


STOA GALLERY A61

STOA GALLERY opened in 2006, located in the Marina of Estepona. It is near City Hall, which gives it a magnificent location and visibility. The gallery holds four to five exhibitions and participates in 6–7 international art fairs a year. One of the elements that differentiate STOA GALLERY is the fact being actively involved in the cultural life of the local area. Sometimes the gallery organizes visits for students from local schools and participates in the route of murals of the city. The gallery offers an intense curatorial profile, working with the artists intense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of creation, the gallery helps and supervises the elaboration of artworks. In other cases, if the works are finished, the gallery curates it, which includes organizing, synthesizing, and sometimes relegating others so that the narration is complete and exalted.

Conchi Alvarez’s works belongs to figurative painting, full of vibrant color and powerful. The urban landscape is particularly relevant in her production, consolidating a series that the artist calls ‘Urban Daydreams’. It is never the city, but ’her’ city, and always the historic center, where urban history is concentrated, where they overlap, as layers, essences and experiences that explode in her paintings, in a metamorphosis of color that does not affect the forms, because corners and streets are recognized. Moments and solitary spaces, without people, but laden with absent humanity. Her passion for archeology explains her creative process: spaces loaded with an incommensurable code of forms, lights and colors only accessible and interpretable by its discoverer who, stratum to stratum, unravels, studies, in a vital itinerary because the artist’s gaze towards the city becomes a mirror of its own existence, or of its own yearning.

작업의 주제는 인터레이스로, 정확히는 A.I(Animal Interlace)다. 작품은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는 환경 오염과 흑사병 의사 가면에서 영감을 얻은 새부리 가면, 조류 인플루엔자 등 여러 면을 담고 있다. 애니멀 인터레이스는 영국과 북유럽에서 7–12세기에 금속이나 목각, 룬석, 십자가 등에 들어가던 평면 동물장식 스타일을 말한다. ‘인터레이스’는 전적으로 인간의 기준으로 동물에 대한 필요성 여부를 정하고 활용하고 파괴한다는 의미의 시리즈다. ‘인터레이스’ 시리즈에서는 동물의 탈과 장식을 쓰면 그 능력을 갖게 되며 화려하고 멋있어 보일 것 같은 착각을 제공하는 오브제로서 동물 형상이 존재한다. 동물은 가지고 있지만, 인간은 가지지 못한 초자연적 힘을 소유하길 욕망했던 인간은 동물의 사체를 자신의 몸에 맞춰 입으며 자연을 파괴한다. 작가는 현대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현상에 관심을 갖고 작품을 통해 타인과 대화를 나누고자 한다. The topic of this work is ‘interlaced’, precisely A.I (Animal Interlace). There are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lobal pollution, bird watching inspired by the black pandemic, and avian influenza. Animal Interlace refers to the 2D decoration style that used animal in England and Northern Europe between the 7th and 12th centuries. ‘Interlace’ is a series of animal decorations meant to determine, utilize, and destroy the necessity of animals entirely by human standards. In the series, there is always the shape of an animals with the illusion that if someone uses an animal, the mask of the animal shape is used as a fashion item to look cool out of its essence. As a member of modern society, the artist talks to other people with interest in the contemporary social phenomenon.

작품을 만들어낸다. This sculpture belongs to the new series in which the French sculptor, now living in Spain, Eric Aman, is working on. The original idea comes from the book 〈Iconology〉 by Cesare Ripa, the great classic of the seventeenth century on the theory of images, essential to enter the world of allegories, as well as the reason of the images in a determined context. Eric takes Ripa´s text as a starting point to elaborate his own mythology, in which anthropomorphic beings represent concepts, states of mind, virtues, vices, passions...For Ripa, any allegory must be enigmatic, and it should not be easily understood. Faithful to that advice, Eric endows his works with enigmatic letters and signs. As Ripa used for his book numerous sources of information, emphasizing the classic mythology, Eric recurs to multiple channels, product of his formation, eminently classic. 에릭 아만 Eric Aman, Gea, 2017, lost wax bronze, unique piece, 48x21x22cm

시선이 자신의 경험 또는 동경을 비추기 때문이다.

콘치 알바레즈 Conchi Alvarez, Towards the Picasso Museum(Malaga), 2018, acrylic on panel, 100x75cm

콘치 알바레즈는 구상회화 작가로 그의 작품은 강렬한 색상과 에너지가 특징적이다. ‘도시 백일몽’ 시리즈에서 볼 수 있듯이 작가는 도시 경관을 주로 다룬다. 아무 도시가 아닌 작가의 도시를 주제로 도시 역사가 여실히 느껴지는 역사적 명소를 즐겨 그린다. 그녀의 그림에서는 역사의 층위, 정수, 경험이 변형된 색상으로 표출되지만, 그 형태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아 거리와 길모퉁이를 알아볼 수 있다. 등장인물이 없는 쓸쓸한 공간과 순간이더라도 사람의 흔적이 여실히 묻어난다. 고고학에 대한 작가의 열정을 알면 그녀의 창작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비교할 수 없는 형태, 빛, 색상의 코드로 가득 채워진 공간은 발견자만이 접근하고 해석할 수 있다. 발견자(관객)는 활기찬 여정을 통해 겹겹이 쌓인 지층을 탐구하게 된다. 도시에 대한 작가의

작품은 프랑스 출신 작가 에릭 아만의 새로운 시리즈에 속한 조각작품이다. 알레고리의 세계와 이미지의 맥락을 설명한 17세기의 명작, 체사레 리파의 〈도상학 Iconology〉에서 영감을 얻었다. 에릭 아만은 이 책을 근거로 자신의 신화를 발전시켰고 의인화된 존재들로 개념, 심리상태, 선악, 격정 등을 표현해 낸다. 리파의 주장에 따르면 알레고리는 수수께끼와 같아 쉽게 이해할 수 없어야 한다. 그 조언에 따라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서 불가사의한 문자와 기호를 즐겨 사용한다. 리파가 책에서 수많은 출처를 언급하며 고전적 신화를 강조했던 것처럼, 작가도 여러 채널을 이용해 고전적이면서도 출중한

홍일화 Hong Ilhwa, Interlace Year, 2017, oil on linen, 162x130cm

2006년 문을 연 스토아갤러리는 에스테포나시 마리나에 위치해 있다. 매년 4–5회의 전시를 개최하고 6–7회의 국제아트페어에 참가한다. 타 갤러리와 스토아갤러리의 차이점 중 하나는 현지 문화 활동에 활발히 참여한다는 것이다. 현지 학생들을 초청하고 도시 벽화사업에도 참여한다. 스토아갤러리는 유망한 큐레이터 인력을 갖추며 아티스트들과 긴밀한 협업을 자랑한다. 갤러리는 아티스트들의 창작 과정을 그 시작부터 돕는다. 작품이 완성되면 전시를 통해 이를 적극 홍보해 많은 이에게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한다.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알바레즈

아스트리드 소머, 콘치 알바레즈, 에릭 아만, 홍일화

29680 스페인 말라가 에스테포나 푸에르토솔 24 에스테포나 항구 34 951318426 info@stoagallery.com www.stoagallery.com

Alvarez

Astrid Sommer, Conchi Alvarez, Eric Aman, Hong Ilhwa

Port of Estepona, Edificio Puertosol, Of.24, Estepona, Malaga, 29680, Spain 34 951318426 info@stoagallery.com www.stoagallery.com

322

323


SUN GALLERY B51

선화랑은 1977년 故 김창실 대표에 의해 종로구 인사동 현재 위치에 개관하여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41년 동안 회화, 조각, 판화, 공예 분야 등에 걸쳐 작고작가, 원로작가, 중진작가, 신진작가, 해외작가 등 다양한 작가의 작품을 엄선하여 450여 회 이상의 전시를 개최했다. 또 해외 아트페어 참가, 선 미술상 제정 및 시상, 〈선 미술〉 발행(1979–92) 등 한국 현대미술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해 온 명문화랑으로 공인받고 있다. 특히 2003년에는 현재 위치에 5개 실의 전시실 규모를 갖춘 건물을 신축, 개관함으로써 다양하고 폭넓은 작품들을 수용하는 복합 전시 공간으로 거듭났다.

김정수는 어렵고 힘든 시절 절망을 딛고 자식을 위해 헌신했던 이 땅의 모든 어머니를 위한 마음을 진달래로 표현했다. 문학적 소재 진달래는 김정수의 탁월한 감각으로 한국의 감성으로 재탄생했고,

이정지 Lee Chungji,

선화랑

작품에 사랑하는 이의 앞날을 위한 축복의 메시지를 담았다.

–무제

Kim Jungsoo expressed his mind for all the mother of this land, who has devoted to his child in difficult and stressful times, with his azaleas. The literary material azalea was reborn with the sensibility of Korea with the excellent sense of Kim Jungsoo’s artistic taste, and the artist put a message of blessing for the future of beloved people.

정영주 Joung Youngju, 황혼녘 Dusk, 2018, paper on canvas, acrylic, 80x117cm

여류화가 이정지는 모노크롬 작업에 서체를 도입, 자신만의 독자적인 단색화 작업 세계를 가지고 있다. 그녀는 안료를 덧칠하고 긁어내는 작업을 반복하는 기법을 50년 넘게 구사해왔다. 긁고, 쓰고, 지우고, 깔기를 반복해 궤적을 만들고, 이 궤적은 작가가 의식적으로 숨겨놓은 시간의 흔적을 드러낸다. 이정지의 ‘O’ 시리즈는 자연의

김정수 Kim Jungsoo, 진달래–축복 Azalea–Blessing, 2017, oil on canvas, 100x80cm

–Untitled, 2016, oil on canvas, 180x150cm

SUN GALLERY opened in 1977 and has been operated by Kim Changsil since the opening year. SUN GALLERY is proud to be one of Korea’s best–known galleries to art lovers and has shown more than 450 exhibitions. Participating in the many international art fairs, SUN GALLERY has introduced most influential and promising Korean artists to the foreign art lovers. In May 2003, SUN GALLERY had constructed and completed a new building. The space of five exhibition spaces allows a sufficient gallery space for major exhibition.

법칙 중 순환의 원리를 담은 전 우주적인 의미를 포함한다.

정영주는 도시 빌딩 숲 사이에 숨겨져 있는 판자촌을 발췌하여 풍경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한다. 한지를 캔버스에 붙여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채색하는 파피에 콜레 기법을 응용한다. 재료가 갖는 독특한 물성, 빛을 흡수하여 따뜻하게 발색하는데 부조 기법을 혼용해 작품을 더 촉각적으로 강조하고 따뜻한 느낌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다. 한지가 빛을 흡수하듯이 따뜻한 마을의 모습을 통해 이 작품을 보는 이들에게, 언제든 지치거나 힘들 때 돌아가면 받아주는 마음속 고향 같은 따뜻함과 고요한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인간에게

Female artist Lee Chungji has established her own unique monochrome art world by introducing calligraphy in her paintings. For more than fifty years, she has been working by applying paint on the canvas, scraping it off, and repeating this process a number of times. Through the process of scraping, writing, erasing and painting, Lee creates a trace on her canvas–a trace that reveals the path of time that she intentionally concealed.

진정으로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를 한 번쯤 생각하게 한다. Artist Joung Youngju’s work portrays a shanty town hidden among the packed buildings in the city. The artist pastes korean handmade paper on canvas and paints on it, using a technique similar to ‘papier collé’. Joung considers such technique as the best way to emphasiz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handmade paper, the ability to well–reflect and absorb all colors. For the artist, her identity is a collection of the fragments of her memories in the pa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원혜경

정영주, 전명자, 김정수, 이정지, 이만나, 이영지, 미유키 요코미조, 문형태, 박은선, 송지연

031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5길 8 82 2 734 0458 sungallery@hanmail.net www.sungallery.co.kr

Won Hyekyung

Joung Youngju, Jun Myungja, Kim Jungsoo, Lee Chungji, Lee Manna, Lee Youngji, Miyuki Yokomizo, Moon Hyeongtae, Park Eunsun, Song Jiyeon

8, Insadong 5–gil, Jongno–gu, Seoul, 03149, Korea 82 2 734 0458 sungallery@hanmail.net www.sungallery.co.kr

324

325


THE COLUMNS GALLERY B18

더컬럼스갤러리는 전시 개최를 비롯해 세계적인 거장들의 대표 작품을 소장하고 현대미술작가들의 발굴과 양성에 힘쓴다. 갤러리는 다양한 문화 행사를 아우르며 현대미술의 대중성과 예술성이 공존하는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더불어 국내외 작가의 교류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수많은 아트페어에 참가하면서 국제적인 미술 흐름에 동참한다. 앞으로도 더컬럼스갤러리는 작가와 대중 간의 활발한 미술 교류의 장으로, 국내외 미술계의 교두보로 작가 발굴과 양성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서 해나갈 것이다. 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미술 문화의 정착과 많은 이들의 감성을 깨울 수 있는 새로운 예술 세계를 형성해 대중에게 조금 더 다가설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자 한다.

로버트 샤베르 Robert Schaberl(b.1961), ZF Turquoise and Light Ultramarine Dance with Light Lilac, 2016, acrylic on canvas, 160x160cm

더컬럼스갤러리

THE COLUMNS GALLERY has firmly fixed its reputation as one of the most powerful galleries in Korea. With numer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occasional gallery talks, THE COLUMNS GALLERY aims at introducing both emerging and established artists to the Korean art scene. The gallery also seeks to enhance the presence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in the international art world by participating in art fairs and biennials worldwide. Most importantly, THE COLUMNS GALLERY strives to connect the Korean art scene with the global reality and become a leader in the exchange of contemporary art internationally. As the potential of art to enhance life is limitless, THE COLUMNS GALLERY seeks to bring the global art scene to a broader public creating a space for international art to directly affect people.

악 惡으로 형상화 시키고 있다. Heri Dono’s large painting 〈The loyal Barong〉 is sequel to The Last Sarimin a painting that he featured in his 2008 solo exhibition entitled Nobody’s Land. It shows the mythological Balinese creature that protects humans from evil spirits, trying to drive away a King Kong–like character. The artist states that he tries to address the notion of monumentality not only in the form or dimension of the painting, but through his moral conviction that “truth or good should continue to struggle without end throughout human life”. In case you might be wondering, Sarimin the most common name of macaques that are abused to perform for the benefit of panhandling activities on city streets on Java. Of course, in his paintings Sarimin is no longer the macaque, but a representation of all the cruel and greedy who manipulate, abuse and take advantage of weak victims.

오스트리아 출신 로버트 샤베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관람객들로 하여금 작품 앞에서 움직이며 오랜 시간 감상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관람자의 동선과 조명의 위치에 따라 작품은 하늘색에서 보라색, 자주색으로 변하는 섬세하고 다채로운 색상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이처럼 숨겨진 색의 풍요로움을 체험할 수 있는 로버트 샤베르의 작품은 무지개 빛깔 혹은 한 순간의 섬광에 가깝다. 원형 속에 표현된 독특한 광학적 특성은 영원하고도 무한한 우주 혹은 태양의 형상을 상징한다. 자연의 중심인 나무의 나이테와 같이 표현된 것도 이와 비슷한 맥락이다. 하나의 중심을 구축하여 캔버스 내부에서 외부로 무한히 확장하는 화면은 유기적인 형태를 내포하며 작품과 공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이루는 빛의 속성과도 연결된다. Robert Schaberl is best known for his ‘Zentralformen’ series, sleek paintings of circles that at first appear to be monochromatic. Upon closer inspection, the compositions reveal delicate layers of multi–colored paint—Schaberl often uses 50–70 shades of different pigments—that shift in the viewer’s eye, according to their position in relation to the work. His paintings can take on a somewhat extraterrestrial appearance, like abstracted photographs from the lens of the Hubble Space Telescope. The artists says, “I see my paintings as objects in space, objects without a clear color–definition. The colors I want to achieve are always undefinable, never just blue or red or yellow or green, but always unseizable.”

그의 작품은 늘 자유롭게 경계를 넘나든다. For several long seconds one feels as if in transit between the realm of fairy tales and that of daydreams. The personnel in her pictures love to listen to time with closed eyes. Franziska Fennert employs the knowledge of transformation and the foundations of a chosen homeland. Some pictorial signals come from far away, others are nourished from distant regions of the soul. It is the Eastern world that she travels through on the paths of slowness and has absorbed into herself: China, Java, countries in transition. She has cast out her anchor off the islands of hope. The origins of her ideational richness are heaven and earth, what is soft, and the swinging line, out of which emerges a color–saturated universe of its own. Asian ink painting tradition and neo–expressionism overlap. Franziska Fennert is right to refuse to let her liberal boundary–crossing be limited by a genre label.

프란지스카 페너트 Franziska Fennert(b.1984), The Tiger Monitors the Lactating Doe, 2014, acrylic and ink on canvas, 155x290cm

헤리 도노 Heri Dono(b.1960), The Loyal Barong, 2012, acrylic on canvas, 200x300cm

헤리 도노의 대작 〈The Loyal Barong〉 은 그의 2008년 개인전 ‘Nobody’s Land’ 에 전시되었던 작품 〈The Last Sarimin〉 의 후속작이다. 작품에 나타나는 형상은 발리 민속 문화에 나오는 신화 속의 수호신으로, 킹콩과 같은 모습의 괴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진실 혹은 선 善이 인간의 삶 속에서 끝없이 쟁취되어야 한다”는 개인적 신념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고백하며 비록 실제 작품의 거대한 크기의 도움은 있지만 작품 그 자체의 주제만으로도 기념비적인 영향력이 느껴지길 바라는 마음이 녹아있다고도 밝혔다. 사리민Sarimin은 원래 자바섬 곳곳에서 보이는 원숭이들에게 지어진 흔한 이름 중 하나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구걸하는 목적으로 착취되고 있는데, 작가는 그 이미지를 원숭이가 아닌, 탐욕적이고 무자비하며 약한 이들을 착취하는

프란지스카 페너트의 작품을 가만히 응시하다 보면 동화와 백일몽 사이 어딘가에 들어가 있는 기분이 든다. 작품 속 인물은 지그시 눈을 감고 시간의 흐름에 귀 기울이기를 즐긴다. 작가는 옛 고향 독일과 새로운 삶의 둥지가 된 자바에서 얻은 경험을 소재로 작업한다. 작품 속 장면들은 작가가 중국과 자바섬과 같은 동아시아 지역을 여행하며 마음속에 새긴 모습이다. 페너트는 하늘과 땅, 부드러운 촉감과 경쾌한 선을 기반으로 만지면 물감이 묻어날 듯한 풍부한 색채로 세상을 표현한다. 동양의 수묵 기법을 차용하면서도 표현 양식에서는 신표현주의가 엿보인다. 작가 스스로 특정 장르에 국한되길 거부하듯,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장동조

프란지스카 페너트, 헤리 도노, 로버트 샤베르, 소니 이라완

04350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27길 31–2 82 02 3442 6301 webmaster@columns.co.kr www.columns.co.kr

Chang Dongjo

Franziska Fennert, Heri Dono, Robert Schaberl, Soni Irawan

31–2, Itaewon–ro 27–gil, Yongsan–gu, Seoul, 04350, Korea 82 02 3442 6301 webmaster@columns.co.kr www.columns.co.kr

326

327


THE PAGE GALLERY B35

더페이지갤러리는 현대미술의 흐름과 세계미술의 시대적 경향을 동시에 수용하며 회화, 설치, 조각, 디자인 등 다양한 전시를 선보인다.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작가들뿐 아니라 세계 미술시장을 대표하는 미국, 영국, 독일, 중국 등의 작가들을 소개하며, 동시대 미술의 주요한 흐름의 가닥을 소개하는 데 앞장서 왔다. 앞으로 기획되는 전시들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미술계에서 형식과 개념 그리고 가치의 전면적인 방향을 전환하고자 한다. 국내외 작가를 대중에게 알리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소통의 창구로서 발전적인 미술계의 플랫폼을 만들 것이다. THE PAGE GALLERY has worked perilously to keep up with leading the flow of contemporary art exhibition trends and keep up with the epoque of the market. Our exhibition planning does not exclude any medium or style. The global network of THE PAGE GALLERY provides famed, established, and rising artists all around the world. The art world has been seeking new paradigms for decades now. We are one of the striving forces in finding new possibilities. Gallery has to show the future and to understand other views.

넘어서 그의 예술적인 혼과 사상을 대변하는 깊이를 나타낸다. His basic ways of working process include the movement of a subject onto a canvas, flatness of thick paints onto it, or mixture and scratching. Yin Zhaoyang explains his techniques as ‘challenge’ he faces working his paintings. As the challenging action expressed intact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artist and various thoughts and emotions toward the world he bears, the world that the artist expresses is confined to a limited canvas, but he put great energy in the painting. His paints piled up in thick on a canvas go beyond simple artistic techniques, representing profound deepness speaking for his artistic soul and idea. 인 자오양 Yin Zhaoyang, 枯木

독창적인 추상의 경계를 경험하게 된다. Park Eunsun has a unique way of employing marble materials. He finds perfect balance and order within nature. The enlightenments are then applied to fuse the energy of nature with coincidental effects. It is widely acclaimed and praised that his work follows the formality of Eastern abstraction rather than Western abstract modernism. There is an uncanny tension between finely processed marble surfaces and roughly shattered parts. The composition planning is done in a perfectionist manner but the artist means to express the essence of humanity through the work. His work process blends scientific artificiality with natural beauty, and through this process, he is characterized as an artist setting a new standard in the world art scenes.

Dead Wood, 2013, oil on canvas, 250x200cm

박은선 Park Eunsun, Simmentria Combinazione, 2014, black and green granite, 420x160x160cm

박은선 작품은 화강석과 대리석이라는 재료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사용하면서 완벽한 균형과 질서 속에 자연의 에너지와 우연의 효과를 담아낸다. 작가는 서양 모더니즘의 추상조각과는 차별화되는 동양적 추상 조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주목 받아왔다. 거칠게 파괴된 돌과 정교하게 표면이 처리된 돌 사이의 긴장, 그 둘의 완벽한 구성 안에 인간의 본질에 대한 메시지가 공존하는 작가의 작업을 통해 우리는 자연스러운 아름다움과 인공적인 것, 과학적인 엄격함이 공존하는

인 자오양의 작품 활동 방식은 하나의 피사체를 캔버스에 옮겨낸 후, 그 위에 두껍게 발라진 물감을 깎고 혹은 비비거나 긁는 과정을 통해서 탄생된다. 이러한 기법에 대해 그는 자신의 매 작품 활동은 곧 도전과 같다고 설명한다. 이 도전적인 행위는 자신이 지닌 세상을 향한 감정과 정서 또는 여러 가지 사상들이 본인과 결합하여 그대로 표출되기 때문에, 그가 표현하고자 하는 세상이 지극히 제한된 캔버스 일지라도 그 속에 커다란 에너지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캔버스 위에 두텁게 올려지는 그의 물감은 단순한 예술적 기법을

최명영 Choi Myoungyoung, 평면조건 09–20 Conditional Planes 09–20, 2009, acrylic on canvas, 181.8x229.3cm

더페이지갤러리

최명영 작품은 평면의 캔버스 위에 검은색, 흰색, 파란색, 황색 등의 단색을 올려놓은 후, 캔버스에 지문을, 한지에 송곳 그리고 캔버스에 롤러를, 캔버스에 브러시를 사용하여 각기 다른 평면의 조건들을 만든다. 평면 위에 수 차례 쌓여 나가는 자기 성찰적 작업 방식을 통해 고요하고 깊은 그의 평면을 만들었고, 그 작품 속에는 일기처럼 그의 시간과 순간의 감정이 함께 한다. 나아가 그만의 예술적 통찰과 개념이 함축적으로 담겨 고스란히 숨 쉰다. The working process of Choi Myoungyoung who moves towards a flat surface encompasses the methods of putting solid colors of black, white, blue, and yellow on canvas and making the various flat conditions with a drill on a traditional Korean paper, a fingerprint, a roller, a brush on the canvas. Through the working process of self–reflection piling up several times on a flat surface, the artist a created calm and deep plane, and his artwork itself shares his time and emotions of the moment, which also gives breath to work with his artistic insight and concept by implicat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성지은

최명영, 헬무트 뉴튼, 김춘수, 이교준, 박은선, 리차드 프린스, 무스타파 훌루시, 왕은라이, 인 자오양

04769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2길 32–14 갤러리아포레 G205 82 2 3447 0049 info@thepage–gallery.com www.thepage–gallery.com

Jane Sung

Choi Myoungyoung, Helmut Newton, Kim Tschoonsu, Lee Kyojun, Park Eunsun, Richard Prince, Mustafa Hulusi, Wang Enlai, Yin Zhaoyang

Galleria Foret G205, 32–14, Seoulsup 2–gil, Seongdong–gu, Seoul, 04769, Korea 82 2 3447 0049 info@thepage–gallery.com www.thepage–gallery.com

328

329


TOPOHAUS A20

2004년 건축가 정진국 교수의 설계로 지어진 토포하우스는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전시 기능의 최적화된 내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설계의 중심 생각은 ‘기적의 상자’이다. 독립된 3개의 전시실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작품의 성격에 따라 매번 새로운 모습을 연출한다. 특히 2층 전시실은 4.8m의 높은 천정고를 가지고 있으며, 천장에서 떨어지는 자연채광으로 시간에 따른 빛에 의해 작품을 더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다. 미술을 넘어서 춤, 음악, 문학 등 여러 장르가 모이는 장소, 예술이 꽃피우는 장소, 좋은 사람들이 만나는 장소가 되기를 기대한다.

강은숙에게 그림이란 소멸하는 기억이나 감정의 추억이다. 고독의 커튼을 젖혔을 때 마주하는 창밖의 밤 풍경들, 어두운 강을 건너는 차들의 불빛, 마일즈 데이비스가 토해내는 트럼펫의 열정, 쳇 베이커의 몽환적 속삭임. 살아서 몸짓으로 느끼고 기억하는 모든 뜨거운 순간순간을 표현하고 추억한다.

장용주 Jang Yongju, 눈 내리는 세한도 Snow Falling ‘Sehando’, 2017, mixed media on canvas, 60x110cm

Painting is a memory of remembering and emotions that disappear to Kang Eunsuk. The nights of outside the windows pulled the curtains of solitude, the lights of cars crossing the dark river, the trumpet passion of Miles Davis, the dreamy whisper of Chet Baker… She wants to express and memorize all the hot moments that She live and feel and remember.

인식에서 자유롭게 해주는 ‘무’한한 공간이다. After 30 years is as a fashion designer, I was longing to paint which was the dream of my youth when the pleasing yet challenging process of creating ‘something’ from ‘nothing’ didn’t award me the complete freedom. The ‘finite’ canvas gives me unique joy, freedom and energy with ‘infinite’ possibilities. My works are ‘infinite’ space where one can be free from recognition. – Park Choonmoo 박춘무 Park Choonmoo, 무제 Untitled, 2017, acrylic on canvas, 117x91cm

TOPOHAUS opened in 2004, as a space dedicated to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re are three exhibition spaces and on the top floor, is an office that is opened to all public. For TOPOHAUS, the architectur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The three–story black brick building was designed by Jeong Jinkouk, professor of architecture at one of the top architecture school in Korea. Its minimalistic and modern look is by itself a work of art. Especially the spacious high ceiling second–floor exhibition room is very much loved by all, artists and visitors. Natural lights come from windows placed on the high ceiling, giving the art a different look at the natural light changes during the day.

패션디자이너로서의 30년을 보낸 박춘무에게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과정은 도전이고 즐거운 일인 동시에 완벽한 자유를 느끼기 힘들었던 시간이었다. 그러던 중 젊은 시절 꿈이었던 그림을 그려보고 싶어졌다. ‘유’한했던 캔버스는 ‘무’한한 가능성으로 그에게 새로운 설렘과 자유 그리고 에너지를 준다. 박춘무의 작업은

강은숙 Kang Eunsuk, 영원한 로맨스 Forever Romance, 2016, acrylic on canvas, 53x100cm

토포하우스

전통적인 소재와 기법에 충실한 모사 작업을 통해 습득한 고전적 표현과 감성을 현대적 기법과 재료를 총동원해 장용주만의 표현으로 완성했다. 그의 그림은 과거와 현재의 만남, 동양과 서양의 만남 등이 기법적, 재료적 측면에서 고스란히 녹아 있다고 할 수 있다. Artist concludes that my work provides a stage in which the past is brought together with the past and present, and in which the East meets West regarding both materials and techniqu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오현금

강은숙, 박춘무, 장용주, 정샤샤, 최재영, 한정혜

03145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1길 6 82 2 734 7555 topohaus@hanmail.net www.topohaus.com

Oh Hyungum

Kang Eunsuk, Park Choonmoo, Jang Yongju, Chung Shasha, Choi Jaeyoung, Han Junghye

6, Insadong 11–gil, Jongno–gu, Seoul, 03145, Korea 82 2 734 7555 topohaus@hanmail.net www.topohaus.com

330

331


UM GALLERY B52

1990년 무심갤러리 개관을 시작으로 2002년 유엠갤러리의 갤러리는 개관까지 십 수 년 간 화랑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시로 국내외 작가들을 소개하고, 기획 공모를 통해 젊은 작가 발굴에도 힘쓰고 있다. 국내외 아트페어의 꾸준한 참가로 국내 작가를 해외에 선보이면서 한국 미술이 숨 쉴 수 있는 문화예술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또 기업과의 제휴로 공공미술프로젝트, 미술품 대여 서비스, 아트 인테리어 등 여러 분야에서의 예술과의 만남을 이루고, 인터넷 갤러리 오픈으로 각 작가의 작품을 더욱 쉽고 다양하게 제공하고자 한다. Started with opening UM GALLERY in 1990, based on this experience, UM GALLERY is a project–centered–gallery which introduces domestic, international artists with variable exhibitions, provides artistic background through inviting artists to join in a prize contest for the best artworks, and aims at art space which let Korean Arts breathe internationally with vigorous participation in art fairs domestically, internationally. Also, UM GALLERY offers public art project, art rent service, art interior design with security of cooperation with enterprises, and also internet exhibition to provide much wider exhibition space for artists accessible.

신비를 태초의 시선으로 몰입하게 한다.

삶을 떠나가는 길목에 신발이 놓인다. 흔히 물에 몸을 던져 이 세상을 등지는 사람이 신발을 가지런히 벗어놓는다는 것은 이승과의 하직을 고하는 의식이기도 하다. 사자 밥 옆에도 신발이 놓인다. 벗겨진 신발은 실종과 상실의 기억이며, 존재의 껍질, 허물로서 부재와 이탈의 비유가 되어온다. 흥미를 갖는 탈바꿈의 껍질로 이탈과 순환, 존재와 부재 사이를 잇는 허물의 느낌은 역시 손보다는 발의

하고 부분적으로 왜곡되기도 한 표현적인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The subject of Hwang’s works deals mainly with the female nude and the manifold expressions of a woman’s face. The women on Hwang’s canvases are endowed with special momentum more from the artist’s own complex and deep reflections than as simple outer figures. Revealing the multifarious images assimilated into his inscape. Seen in this context, Hwang’s works necessarily take the characteristic of autobiography. Accordingly, the flickering images on her canvas, though based on the physicality of female nude and face, compose an expressionistic world, partly effacing or distorting them. 황영자 Hwang Youngja, 추억의 초대 A Memory Invitation, 2001, acrylic on canvas, 90x130cm

김구림 Kim Kulim, 음양 7–S 168 Yin and Yang 7–S 168, 2007, digital print, acrylic on canvas, 146x112.5cm

김구림은 동양철학의 ‘음과 양’이라는 일관된 주제로 현재까지 작업 중이다, 일상의 소재인 자연, 기구, 사람, 꽃 등 실제의 이미지를 등장시켜 이것들을 지우고 부각하는 방법을 통해 우주의 근원과 Kim Kulim’s work has always been based on the concept of ‘Yin and Yang’, which originates from Oriental art. He also presents subject matters from everyday life, such as nature, instruments, human beings, flowers, etc. He erases, then stresses them to look at the mystery and origin of the universe through the eyes of the beginning.

황영자가 주로 다루는 내용은 여체와 여인들의 다양한 표정을 담은 얼굴들로 압축된다. 그의 화면에 등장하는 여인들은 단순한 객관적 대상이기보다 자신을 중심으로 한 여인들의 다양하고도 풍부한 내면의 일기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래서 이 내면의 일기는 자신의 심상 표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바로 그런 점에서 그의 작품을 자전적 요소가 짙은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에 명멸하는 이미지는 구체적인 대상으로서의 여체와 여인의 얼굴들이지만, 부분적으로 지워지기도

홍명섭 Hong Myungseop, 탈제 De–Titled, 1995–2016, hanji on jangji / single casting, 145x113x16cm

유엠갤러리

모습에서 찾게 되었다. – 홍명섭 Shoes are put on a passageway to death. Those who are going to drown themselves often put their shoes neatly beside the water, which is also seen as a ritual symbolizing a departure from this life. In the Korean traditional funeral, shoes are also used in ‘sazabap’, a ritual of bidding farewell to the deceased. When shoes are taken off, it is done in memory of the missing and the loss. And as the skin of existence, the surface of being, they become a metaphor of non–being and departure. What interests me is that the outer skin implies a departure and circulation and a passage from being to non–being, and I see that this can be associated with the foot, rather than with the hand. – Hong Myungseop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엄은숙

김구림, 이건용, 황영자, 홍명섭, 이재효, 박계훈, 장재록, 송현주

06029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2길 25 3층 82 2 515 3970 umgallery@hanmail.net www.umgallery.co.kr

Um Eunsook

Kim Kulim, Lee Kunyong, Hwang Youngja, Hong Myungseop, Lee Jaehyo, Park Gyehoon, Jang Jaerok, Song Hyunju

3F, 25, Apgujeong–ro 12–gil, Gangnam–gu, Seoul, 06029, Korea 82 2 515 3970 umgallery@hanmail.net www.umgallery.co.kr

332

333


VIT GALLERY B48

동시대적인 미술을 바탕으로 건강하고 밝은 미술문화 선도라는 비전을 가지고 개관한 빛갤러리는 예술적 역량과 한국적인 감성과 영성을 조화롭게 겸비한 미술인들의 활동 장이자, 일반인과 예술가의 나눔과 교류의 장이다. 그 일환으로 찾아가서 보여주는 전시를 기획함으로 잠정적인 신진 애호가들을 발굴해낸다.

손선형 Son Seonhyung, 물고기를 옮기는 또다른 방법

빛갤러리

VIT GALLERY opened with the vision of ‘Leading healthy and bright art culture based on contemporary art’. VIT GALLERY is a venue for the activities of artists who combine artistic prowess with Korean sensibilities and spirituality. It is a place of sharing and exchanging between the public and the artists. As part of this process, it is the window to discover potential new enthusiasts by planning exhibitions that visit and display.

변재희 Byun Jaehee

갈영의 회화는 환영적인 동시에 에너지의 흐름을 일으킨다. 화면은 불가사의한 힘에 점유되어 있다. 날카롭고 단호한 직선과 두텁고 부드러운 곡선이 대비적으로 화면을 채우면서 긴장감을 조성한다. 대비되는 톤과 붓질의 방향, 추상적인 형태와 날카롭고 부드러운 선의 대조가 화면 전체에 모종의 흐름과 기운의 파장을 형성한다. 정지한 화면에 기이한 움직임을 안겨준다. 그래서 생성된 상황성을 감촉시키는 한편 무척 역동적인 속도와 시간, 공간의 힘, 번져 나오는 빛으로 충만한 기운이 감지된다. 미묘한 색채 차이와 결합, 운동 등이

가장 평범한 일상과 순간의 소중함을 느끼기를 바란다. The artist writes in his artistic note, “All the ups and downs that I have gone through turned into reminiscence. After being middle–aged, things that I finally get to see are not the things of a fancy life but rather of the simple and ordinary daily life. The preciousness of the everyday life and the things I want to protect are the primary materials and topics of my pieces. I started my work to remember the moment which I have sent indifferently and to leave it as the most shining moment. To put across the natural expression and actions of a child to the audience, the work of art is inspired by the existing objects. Through the figure of a child, not only we can recollect the memories of our childhood and regain the innocence, but also be consoled with the natural beauty of human be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sharing each other’s feeling through the innocence of childhood could be a way of overcoming the intense situations that are existent. I, through my work, hope to regain the short happiness of the precious and quick moments of every day passing by me. I hope you feel the preciousness of the simplest daily life and moments. “

모여 매혹적인 색채 추상을 유지한다. Kal Ryung’s painting that is illusory brings out a particular type of energy. Mysterious forces possess the screen. Sharp and straight lines and thick, soft and organic curved lines contrasting against each other fill up the screen and create tension. Opposing color tones and direction of brush strokes, abstract shape and the contrast between sharp and soft lines drives the entire screen into a certain flow or a wave of energy. It hands over a mysterious movement into an unmoving and fixed screen. Nonetheless,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colors, fusion and movements work together to maintain an attractive color abstract art. 갈영 Kal Ryung

연작의 제목인 ‘Color Phantasmagoria’는 작가가 추구해 온 ‘색에 대한 매혹’을 잘 보여준다. 판타스마고리아는 그리스어로 ‘환상 phntasm’과 ‘집합체 agora’의 합성어로 마술환등 魔術幻燈을 뜻한다. 색채라는 마술환등을 통하여 희망의 환상을 보여주고자 한다. 화려한 색채의 향연 속에서 무한히 변형되는 형상들은 화면을 가로지르며 마법처럼 펼쳐진다. 강렬한 컬러와 희망의 생명력으로 가득 찬 이미지들이 조응하며 감각적인 울림을 자아낸다. 색 色이 형 形이 되고, 형이 색이 되는 작품들은 리드미컬한 붓놀림으로 미끄러지듯이 전개된다. 음악적인 요소들이 가득한 작품의 화면은 색과 형태의 하모니와 엇박자, 역동적인 스타카토의 단절음과 유장한 레가토로 이어지는 차분한 구획 등으로 화면에 내재된 고유의

“내가 통과하였던 삶의 모든 우여곡절이 추억이 되어버렸다.”고 그는 말한다. 손선형은 추억의 순간을 만들어낸다. 중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화려한 삶보다는 가족과 함께하는 소박하고 평범한 일상, 그 일상의 소중함, 지켜주고 싶은 것들이 손선형 작업의 주된 소재이자 주제다. 그는 무심히 흘려보낸 삶의 가장 평범하고 소박한 순간들을 기억하고, 그 순간을 아름답고 빛나는 순간으로 남기기 위해 작업을 시작했다. 아이의 꾸밈없는 표정과 동작을 보는 이에게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실존하는 대상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아이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잊고 지냈던 동심을 찾을 뿐 아니라, 인간 본연의 순수한 아름다움으로 지친 마음을 위로받을 수 있게 된다. 늘 불안하고 바쁜 현대인에게 티 없이 맑고 작은 아이들은 또 다른 희망이며, 치유의 대상이다. 그는 자신의 작업을 통해 스쳐 지나가는 일상 속 소중한 행복의 순간을 되찾고자 한다. 사람들이

음악으로 가득하다. The title of series ‘Color Phantasmagoria’ shows the fascination of the color pursued by Byun Jaehee. The phantasmagoria is a Greek word for phantasm and agora. The artist wants to show the illusion fantasy of hope. In the feast of colorful colors, infinitely deformed shapes spread across the canvas and spread like magic. The images filled with intense colors and the vitality of hope resonate and emit a sensuous resonance. Works whose color becomes a shape and a shape becomes a color are developed as slippery with a rhythmic stroke. The canvas full of musical elements is full of music embedded in the canvas, including the harmony of color and dynamic staccato and the calm compartment leading to the legat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한수경

변재희, 하인선, 갈영, 박구환, 손선형

03021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45길 11 82 2 720 2250 vitgallery@hanmail.net

Han Sookyung

Byun Jaehee, Ha Insun, Kal Ryung, Park Guhwan, Son Seonhyung

11, Jahamun–ro 45–gil, Jongno–gu, Seoul, 03021, Korea 82 2 720 2250 vitgallery@hanmail.net

334

335


A02

발터비숍갤러리는 특히 추상화를 중심으로 현대미술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보다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을 추구하게 되면서 사진, 팝 아트, 조각, 구상화 작품도 전시 및 영구 소장하고 있다.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작품을 최우선 순위로 두며, 국제적으로 명성 있는 작가들은 물론 신진작가들과도 함께 작업하고 있다. The focus of the WALTER BISCHOFF GALERIE has always been on contemporary art with a focus on abstract painting. However, the stylistic orientation has greatly expanded in recent years: photography, pop art, sculpture and representational painting have found their way into the exhibitions and the permanent collection. The demand to work qualitatively at a high level is the top priority. The WALTER BISCHOFF GALERIE relies on internationally renowned artists as well as on newcomers.

공간을 체험하게 해준다. It conveys the message of life to modern people who freely imagine and think in their own works and live contemporarily with their fresh formative language. Instead of focusing on the reproduction of a specific place, the space in the work concentrates on the abstraction of the place embedde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artist – aesthetic. The greatest feature of the work is the development of a boldly subdivided divided screen, escaping from the principle of perspective, allowing views to experience a space that is both dreamy and mysterious rather than realistic feeling.

나의 작업은 자연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 안에서 끝없이 내 삶을 여행한다. 이미지는 당신의 눈 앞에 펼쳐진다. 넓은 평야와 산, 신비로운 바다, 그리고 계절마다 펼쳐지는 색의 향연은 한순간도 머물지 않고 변화하면서 매 순간 감동을 주며 마치 아련한 추억들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작업 속 이미지들은 분명 경험한 이미지임에도 관객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언젠가 보았던 기억을 되살려 보는 듯한, 재현해 보고자 하는 힘이 만들어지리라 생각할거다. 이때 재현이란, 대상을 그대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와 같은 어떤 다른 것으로 대체함을 의미한다. – 정차석 “My work starts from nature. And I travel through my life endlessly in it. The images spread out in front of you. The wider plains and mountains, the mysterious sea, and the seasonal festivals. They do not stay at any moment, but they feel like they are watching the memories while they are changing and changing every moment. Even though the images in the painting are obviously experienced images, the audience will think that it will create the power to reproduce, which seems to revive the memories that they have seen some time.” – Jeong Chaseok

주제로 작업을 해 온 작가는 자연에서 줍는 행위를 통하여 줍는 주체와 수집 당하는 물질인 객체, 시간과 장소성에 대하여 다의적 관심사인 자연을 표현해왔다. 그리고 그 관심은 최근 몇 년 사이 즉흥적으로 어떤 이미지들을 제거해나가는 일명 ‘긁기’라는 독창적인 표현기법으로 한층 심도 있게 발전하였다. 작가는 작품 속 불필요한 모든 요소를 지움으로써 또 다른 이미지를 그려낸다. 작가에 의하여 대상이 된 그 공간이나 이미지들은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작가의 개입을 통하여 일상 이미지를 닮은 모호한 상상력의 결과물로 재창조된다. The work is calm and quiet. The artist’s work, which seems to have stopped at a time, stops the viewer’s eyes and feet. The artist has been working on the subject of nature for many years. She has expressed nature as a subject of collecting through nature picking from nature and nature as object of collecting, time and place, and a matter of concern.

정차석 Jeong Chaseok, Venezia, 2018, mixed media on canvas,61x73cm

한증선 Han Jeungsun, Aesthetic Point of View, mixed media on canvas, 91x116cm

자신의 작품 속에서 자유롭게 상상하고 사유하며 그만의 신선한 조형 어법으로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삶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작품 속 공간은 특정 장소의 재현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작가의 의식에 내재한 장소의 미학적 관념에 집중한다. 작품이 가진 가장 큰 특징은 대담하게 분할된 화면이다. 이는 원근법적 원칙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느낌보다는 몽환적이고 신비스럽기까지 한 어떤

작품은 차분하고 조용하다. 마치 시간이 멈춰 있는 듯한 그의 작품은 보는 이의 눈과 발길을 멈춰 서게 한다. 수년간 ‘자연 nature’을

김정숙 Kim Joungsook, Communication, mixed media on canvas, 72.7x60.6cm

WALTER BISCHOFF GALERI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발터 비숍, 한증선

한증선, 정차석, 김정숙, 신인수

독일 젤 암 하르머스바흐 암파크 1 49 07835 549987 villa–haiss–museum@t–online.de www.museum–vill–haiss.de

Walter Bischoff, Han Jeungsun

Han Jeungsun, Jeong Chaseok, Kim Joungsook, Shin Insoo

Am Park 1, Zell a H, German 49 07835 549987 villa–haiss–museum@t–online.de www.museum–vill–haiss.de

336

337


WAS GALLERY B31

마리화 Ma Lihua, Empty 006, 2018, oil on canvas, 100x80cm

원아트스페이스는 한중 아티스트 간의 교류를 위해 2014년 설립되었다. 갤러리는 다수의 전시를 조직하고 국제아트페어에 참여해 왔으며, 공공미술, 미술품 대여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문화교류를 위해 한국과 중국 아티스트들과 협업하고 세계무대에서 중국 아티스트들을 알리고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전시와 아트페어에 참여해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Won Art Space(WAS) has established 2014 for a series of cultural exchange with Korean and Chinese Artists in China and Korea. WAS has organized many exhibitions and participated in global art fairs. The gallery also runs the business in public art, art rental, and art consultant. As a cultural exchange, WAS cooperate with Korean and Chinese artists and focuses on how to promote Chinese artists in the world. The gallery exposes the works of artists by participating in many exhibitions and art fairs.

쥐안치 Ju Anqi, Untitled, 2017, acrlic on canvas, 100x100cm 거즈위 Ge Ziyu, Space Series 3, 2017, mixed media, 55x55cm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원지현

쥐안치, 거즈위, 마리화, 총 리칭, 김석중, 신철, 이담, 김대성, 권영실

중국 상하이 민항디스트릭트 402 우중로드 1빌딩 No.1217 86 0 21 5422 1591 was_gallery@naver.com wonartspace.com

Rose Won

Ju Anqi, Ge Ziyu, Ma Lihua, Zhong Lexing, Kim Seokjung, Shin Cheol, Lee Dam, Kim Daesung, Kwon Youngsil

402, 1 Building, No 1217, Wuzhong Road, Minhang District, Shanghai, China 86 0 21 5422 1591 was_gallery@naver.com wonartspace.com

338

339


WELLSIDE GALLERY A85

샘터화랑은 1978년 설립된 이래 순수한 안목과 진실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근현대미술을 선도하는 화랑으로 성장했다. 한국 현대미술사의 정립이란 사명감을 가지고 진정성 있는 거장들의 전시를 개최해왔다. 앞으로도 샘터화랑은 유망한 국내외 작가들을 꾸준히 발굴하고 소개함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의 국제화를 선도해 나갈 것이며, 세계 속에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정상화 Chung Sanghwa, Untitled 81–3–B, 1981, oil on canvas, 81.2x65cm

샘터화랑

WELLSIDE GALLERY has been one of the leading galleries in Korea, presenting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to Korean art audiences. The gallery has held numerous solo exhibitions of significant artists whose works reflect their lives and philosophies with authenticity and sincerity. WELLSIDE GALLERY will continue to make an effort to discover and promote talented artists at the forefront of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손상기 Son Sangki, 공작도시–아현동에서(귀가) Artificial City–Ahyundong(go home), 1985, oil on canvas, 112x146cm

계속해서 캔버스를 채우고 비우는 과정은 현대인의 일상과 숨결과 흡사하다. 작품 표면의 거칢은 우리의 굴곡진 삶을 표현한다. – 정상화 음악은 슬퍼야 하고 그림은 소박해야 하는데 박수근 이후로 가장 소박한 작가가 손상기다. – 윤형근

The process of filling and emptying the canvas continuously is much like the everyday breath of a modern man. The roughness of the painting represents our lives with various ups and downs. – Chung Sanghwa

Music should express sadness and painting should describe simplicity. Son Sangki is the simplest artist after Park Sookeun. – Yun Hyoungkeu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엄중구

정상화, 김흥수, 김창열, 이승조, 박서보, 손상기, 윤형근

06593 서울특별시 서초구 고무래로8길 4 82 2 514 5122 info@wellsidegallery.com www.wellsidegallery.com

Eum Joongku

Chung Sanghwa, Kim Sou, Kim Tschangyeul, Lee Seungjo, Park Seobo, Son Sangki, Yun Hyongkeun

4, Gomurae–ro 8–gil, Seocho–gu, Seoul, 06593, Korea 82 2 514 5122 info@wellsidegallery.com www.wellsidegallery.com

340

341


B41

Founded in the heart of Tokyo in 1967, WHITESTONE GALLERY has been actively involved in Japanese art scene and introduced from historical art movements such as Gutai to aspiring young talents. The year 2015 saw a new development for the gallery with the opening of the first overseas space in Hong Kong and then continues to expand its space in Taipei designed by world–renowned architecture Kengo Kuma. The gallery’s focus has also been expanded from mainly Japanese artist to a cluster of multinational artists with various media. For KIAF 2018 edition, WHITESTONE GALLERY has prepared a group show with emerging young artists. At the same time, the gallery dedicates small parts of the booth to established artists like Kusama Yayoi, Lee Ufan, Nara Yoshitomo. It will focus to introduce established artists with their finest creations for matured collectors in Korea. March of 2018, WHITESTONE GALLERY’s Hong Kong space had been relocated to HQueen’s. Since then, WHITESTONE GALLERY has been organizing innovative exhibitions including multiple media sculptures, media art incorporation with science. The gallery will continue its evolution and expansion of its scope to introduce more interesting and timely artists and artworks.

독일 작가 크리스 스코의 ‘지그재그’ 시리즈는 그의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은 이로부터 사랑을 받는다. 그는 이번 전시에서 처음으로 한국에 작품을 선보인다. German artist Christ Succo’s the most celebrated ‘Zig Zag’ series work.It will be the first time to introduce this emerging German artist in Korea. Succo has created this piece specifically for KIAF 2018 edition. 크리스 스코 Chris Succo, Untitled, 2018, oil, lacquer on linen, 101.5x76cm

화이트스톤갤러리는 1967년 도쿄의 중심가에 설립된 이래 지금까지 일본 미술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해온 갤러리로 구타이와 같은 역사적인 예술 운동 그룹에서부터 열정적인 신진작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재능 있는 작가들을 소개하고 있다. 2015년 홍콩에 지부를 개장할 만큼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어서 대만에까지 활동영역을 확장했다. 갤러리가 주목하는 작가의 범위 또한 일본 예술가에서부터 다양한 미디어를 다루는 전세계의 예술가로 확대하였다. 2018년 3월 화이트스톤갤러리 홍콩지부가 HQueen’s로 이전하였고 그 이후 미디어 조각, 과학을 접목한 미디어 아트 등 혁신적인 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화이트스톤갤러리는 KIAF 전시를 위해 신진 예술가들의 그룹 전을 준비했다. 동시에 한국의 컬렉터를 위해 부스 일부를 중진 작가들의 최상의 창작물을 소개하는 데 할애할 예정이다.

최아희 Choi Ahhi, Untitled(AH–96), 2018, acrylic on canvas, 162x130.5cm

WHITESTONE GALLERY

이우환 Lee Ufan, From Line, 1979, mineral pigment, oil on canvas, 129.5x193.6cm

최아희는 재일교포 작가로 간사이 지역에 거주하면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강렬한 선과 패턴이 구상과 추상의 영역을 넘나들며 대담하고 혈기가 넘친다. Choi Ahhi is a Japanese–Korean artist based in Kansai area in Japan. His pieces are bold and young spirited with strong abstract lines and patterns navigating in–between of figurative and abstract.

이우환의 역사 깊은 ‘선으로부터’ 시리즈는 1979년 시작되었다. 작가는 이 연작을 가마쿠라 화랑에서 처음 선보였다. Lee Ufan’s historic ‘From Line’ work from 1979. The artist had created this work for his solo exhibition at Kamakura Galler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코에이 시라이시

최아희, 크리스 스코, 플로렌틴 호프만, 이노쿠마 카츠요시, 코마츠 미와, 쿠사마 야요이, 이우환, 마루오 유코, 나라 요시토모, 오카니시 유우나, 타로, 테츠오 미즈, 양용량

홍콩 센트럴 퀸스로드 80 HQueen’s 7–8층 104–0061 일본 도쿄 추오구 긴자 5–1–10 대만 타이베이 114 네이후구 지허로드 No.1 1층 852 2523 8001 info@whitestone–gallery.com www.whitestone–gallery.com

Koei Shiraishi

Choi Ahhi, Chris Succo, Florentijn Hofman, Inokuma Katsuyoshi, Komatsu Miwa, Kusama Yayoi, Lee Ufan, Maruo Yuko, Nara Yoshitomo, Okanishi Yuuna, Taro, Tetsuo Mizu, Yang Yongliang

7–8F HQueen’s, 80, Queens Road Central, Hong Kong 5–1–10 Ginza, Chuo–ku, Tokyo, 104–0061, Japan 1F, No. 1, Jihu Road, Neihu District, 114 Taipei City, Taiwan(R.O.C) 852 2523 8001 info@whitestone–gallery.com www.whitestone–gallery.com 343

342


WOONG GALLERY A47

웅갤러리는 1987년 신사동에서의 개관을 시작하여 현대미술 전시에 중점을 두고 신진작가와 중견작가의 창의적이며 실험적인 작품세계를 대중들에게 알리며, 현대미술을 심도 있게 조망해 볼 수 있는 기획전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2000년 논현동으로 이전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세계를 구축한 작가들을 미술시장에 소개했고, 미술전문가와 대중들에게 좀 더 쉽고 즐겁게 다가갈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국내외 현대 작가들을 발굴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지원과 교류를 바탕으로 꾸준히 현대미술의 지식과 아름다움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할 것이다. WOONG GALLERY was founded in 1987 in Sinsa–dong and has communicated creative and experimental works of new and prominent contemporary artists to audiences with focusing o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lso, WOONG GALLERY has worked as introducing and exhibiting space where audiences can overview contemporary art intensively. In 2000, WOONG GALLERY moved its location to Nonhyun–dong and had introduced artists who have established their characteristic fields to the art market. It has been born again as an exhibition space which can be more efficiently and more pleasantly accessible to art critics and audiences. The gallery is very proud of its continuous efforts to discover foreign, domestic new and prominent contemporary artists. Moreover, it promises to introduce and promote the knowledge and beauty of contemporary art to audiences through consistent support and exchange.

The time in this artwork is used just like the material of painting. In fact, the artist uses daily newspapers as materials for his work, and he grasps them, tears them, sticks them almost like pieces, and uses them variously. Throughout the process, the types of newspapers are covered in glue, ink, or charcoal, and most of them can not be read. Through these innumerable acts of being torn down and covered, the artist presents a rhythm that reveals layers of memories in line with the everyday rhythm of the newspaper, the place where instantness stifles into memory.

Orient ancient thought saw the world as a large organism, made of particles with continually changing and evolving vitality. It shapes an organism with self–deploying capabilities, either by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r diffusion along the sphere. At the same time, they are identical beings in succession, but each is an individual entity. Each with organic life energy emphasizes the interconnectedness of nature through the linkage of natural life and the work of harmony as a whole, providing causes and consequences for each other. So we see these spheres as being very simple, but also organic, energy. 신한철 Shin Hanchul, 구 Sphere, 2005, stainless steel, urethane paint, 48x36x60cm

리듬을 화면에 나타낸다.

유기체적인 에너지를 갖고 있는 존재로 느껴진다.

박인혁 Park Inhyuk, 시간의 껍질 Skin of Time, 2018, mixed media on canvas, 162x130cm

이 작품에서의 시간은 마치 회화의 재료와 같이 사용된다. 실제로 작가는 매일 발행되는 신문을 작업의 재료로 사용하는데, 그것들을 구기기도 하고 찢기도 하고 거의 조각처럼 단단해지도록 배접하기도 하며 다양하게 이용한다. 그 과정을 거쳐 신문의 활자들은 풀이나 잉크 혹은 목탄에 덮여 대부분 읽을 수 없게 된다. 겹쳐지고, 덮어지는 이러한 무수한 행위들을 통해 그는 순간성이 기억으로 굳어지는 장소인 신문의 일상적인 운율에 맞추어 기억의 층이 드러난

동양의 고대 사상에서는 세계를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이자 끊임없이 변화하며 생성되는 생명력을 가진 입자들로 이루어진 생명체로 보았다. 구 Sphere를 기조로 증식과 분열 혹은 확산을 통해 스스로 체제를 구성하며 자기 전개능력을 가진 하나의 유기체를 형상화 한다. 서로 연속되는 동일한 존재들인 동시에 하나하나가 개성을 가진 독립물들이다. 유기적 생명의 에너지를 가진 각각의 개체들은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전체로서 조화를 이루는 작품을 통해서 수많은 요소들이 서로 원인과 결과를 제공하는 자연의 상호연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이 ‘구’들은 매우 단순하지만 동시에

장광범 Jang Kwangbum, 반영 R Reflection R, 2015, acrylic on canvas, sanding, 100x100cm

웅갤러리

장광범은 시간을 형상화한다. 그에게 시간은 요동치며 흐르는 강물로 인해 오랫동안 바위들에 여러 겹으로 새겨진 단층의 흔적이다. 작가는 굉장히 독창적인 테크닉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을 구상화한다. 그는 캔버스 위에 다양한 색깔들을 겹겹이 쌓아 올린 후 자신만의 테크닉으로 이를 깎아낸다. 장광범은 어느 날 겹겹의 페인트가 벗겨진 낡은 벽을 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물질과 존재가 낡아가는 흔적을 발견했다. 또 그는 나무의 나이테와 대리석 단층의 물결무늬로부터 과거 지나간 시간의 영원한 흔적을 찾아낸다. 그의 작품은 물 위로 떨어진 기름 한 방울이 계속해서 둥글게 퍼지며 형태를 달리하는 현재의 한시성을 보여준다. 보이지 않는 시간의 에너지, 진동, 격렬한 흐름을 가시화하여 시간을 새롭게 표현한다. Jang’s paintings are composed of two distinct processes: the application and the removal of paint. First, he covers the whole surface of a plain canvas with white paint, and then he alternates this application with layers of colored paint. This phase represents ‘materialisation’ of time. The artist then proceeds to the removal of the material. By putting round objects of different curves and contours, one by one, behind the canvas, he sands the front side until the layers of color appear, if not until the white layers. This way, he creates compositions with intertwined circles, always in different sizes and shapes. The result is breathtaking: everything is in movement, everything seems liquid, everything moves swiftly and subtly, even if fixed materially on a canvas, on the wall. Very surprisingly, Jang manages to capture time, and with his finished work, he represents its essence, he manages to create this ‘impossible’ unity between time and visibility. His creation requires imagination, sensibility and subtlety of the aesthetic and culture of Korea, combined with western culture to create such a unique work of ar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최웅철

장광범, 강희건, 강진식, 김용경, 남기호, 박인혁, 박관욱, 신한철

06054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150길 34 82 2 546 2710, 548 7371 woong–art@hanmail.net www.woonggallery.co.kr

Choi Woongchull

Jang Kwangbum, Kang Heegun, Kang Jinsik, Kim Yongkyoung, Nam Kiho, Park Inhyuk, Park Kwanwook, Shin Hanchul

34, Eonju–ro 150–gil, Gangnam–gu, Seoul, 06054, Korea 82 2 546 2710, 548 7371 woong–art@hanmail.net www.woonggallery.co.kr

344

345


WOOSON GALLERY A66

우손갤러리는 2012년 개관 이래 토니 크랙의 개인전을 시작으로 우리 시대의 현대 미술계를 주도하고 있는 션 스컬리, 야니스 쿠넬리스, 데니스 오펜하임, 정상화, 하종현, 이강소, 최병소 등 국내외의 거장들을 소개했다. 또 국내에서 소개되지 않은 유망한 해외 신진작가들을 소개하고, 새로운 국내작가 양성은 물론 국제적으로 그 위치를 다져 나가도록 해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우손갤러리는 국내외 미술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수준 높은 전시를 기획함으로써 국내 미술 애호가들에게 풍부한 경험과 전문적 지식을 제공하고, 미술 수집가 스스로가 작품 구매에 대한 판단과 결정을 하도록 지식구축에 목표를 둔다.

최병소 Choi Byungso, Untitled 0170528, 2017, ballpoint pen and pencil on newspaper, 108x80x1cm

우손갤러리

In the spring of 2012, WOOSON GALLERY inaugurated the new space with the exhibition of the world’s leading sculptor, Tony Cragg, the artist’s first solo exhibition at a gallery in Korea. Including Tony Cragg, WOOSON has introduced numerous important international leading contemporary artists such as Sean Scully, Jannis Kounellis, Dennis Oppenheim, Hubert Scheibl, and Barthelemy Toguo in Korea. Consequently, WOOSON has been committed to promote Korean masters and young artists through diverse international venues such as art fairs and museum exhibitions abroad. Its museum–quality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aim to enlighten clients and visitors so they can make their own decisions when they appreciate and acquire contemporary art works.

정상화 Chung Sanghwa, Untitled 87–1–27, 1987, acrylic on canvas, 92x60cm

정상화의 작품을 생각하면 우리는 모두 모자이크식의 작은 네모꼴들이 온통 화면을 메운 모노크롬의 캔버스를 떠올린다. 단조로운 기하학적 패턴들만이 빛에 따라 엷게 드러나는 단색 화면의 형상과 이미지에 익숙해진 현대인에게는 매우 단순하고 똑같아 보일 수도 있다. 그것은 작가의 일관성 있는 꾸준한 제작 방식과 규칙적이고 끊임없이 반복되는 미세한 삼각형과 사각형의 패턴 때문에 드는 생각일 것이다. 그러나 캔버스 화면에 뚜렷하게 그려진 대상물도 없이 모두 같아 보이는 그의 작품은 비슷하지만, 결코 똑같지 않다. 작품마다 캔버스에 존재하는 수많은 네모꼴의 면도 어느 하나같은 것이 없다. 이처럼 그가 하는 작업은 보이지 않는 것, 시간과 노동을 캔버스 담아내는 것이다. 작업의 시작점인 고령토가 모두 없어지면 새로운 화면의 작품이 탄생한다. 즉 ‘시간’이 걸려 고령토가 벗어지고, 그 자리를 ‘노동’으로 하나하나 매우면 하나의 작품의 탄생하는 것이다. ‘캔버스의 모든 것이 비워져야 새로운 것이 나타난다’는 것이 그의 그림의 핵심이다. 또 그는 캔버스의 표면을 채우고 지우는 반복적인 작업이야말로 현대인의 반복적인 일상의

최병소는 우리의 삶 속에 가장 오랫동안 밀접하게 존재해온 대중 매체인 신문지를 소재로 삼아 그 위에 볼펜과 연필을 이용하여 선을 긋고 또 그어 신문의 전면이 까맣게 그은 선들로 덮고, 마찰로 얇아져서 군데군데 찢어질 때까지 이 일에 몰두하며 작업해왔다. 이와 같은 작업은 1970년대 초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40여 년을 지속한 지금까지도 결코 간소화되거나 단축되지 않는 원시적 노동으로 집약되어, 신문지 위에 시간의 축적을 통해 어느새 신문지가 아닌 전혀 다른 물질의 결과물로 보여준다.

숨결과 같다고 말한다.

Choi Byungso uses as a medium, newspaper which is a kind of mass media that has been closed to the public for decades. He focuses on drawing lines on newspaper with ballpoint pen then covering it with pencil again until the surface is torn and it looks like a rag. He adheres to this process for more than 40 years since the early 1970’s. With this never simplified or shorten the process, his time and primitive labor has been integrated on newspaper, which is turned out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Chung Sanghwa’s monochromatic planes achieve infinite temporality and universality. Through the repetitive labor in the method of making, the endless repetition of removing and repainting, which requires patience and persistence, Chung attempts to manifest something invisible on the canvas. The rigorously repetitive labor through his lifetime does not mean an exercise in craftsmanship but does his devotion to a passion for the nature of artistic action itself. In other words, there is no point of beginning or end of a piece of work, which means the process itself becomes an art work.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은아

이배, 최병소, 로라 랑캐스터, 마루야마 나오후미, 산드라 바스케즈 델 라 호라, 이상원, 정상화, 토니 크랙, 이우환, 오유경, 야니스 쿠넬리스

41959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72 82 53 427 7736,7737,7739 info@woosongallery.com www.woosongallery.com

Kim Eunah

Lee Bae, Choi Byungso, Laura Lancaster, Maruyama Naofumi, Sandra Vasquez de la horra, Lee Sangwon, Chung Sanghwa, Tony Cragg, Lee Ufan, Oh Youkyeong, Jannis Kounellis

72, Bongsanmunhwa–gil, Jung–gu, Daegu, 41959, Korea 82 53 427 7736,7737,7739 info@woosongallery.com www.woosongallery.com

346

347


YEASUNG GALLERY B27

1987년 예성화랑은 외국 대가들의 진품을 국내에 수입 공급하고, 유럽 미술계 소식을 화단에 소개하여 한국 화단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지금까지도 초심을 이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또는 유망한 근현대 미술작가들의 작품을 발굴하여 다양한 기획전을 통해 국내에 소개함으로써 전문성을 지닌 미술가뿐만 아니라 많은 미술 수집가, 애호가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 또 외국의 미술재단과 협력하여 유럽의 신진 작가와 중견 작가는 물론 국내의 신진 화가들을 발굴하여 국내외에 소개한다. In 1987, in the era where foreign masterpieces could be seen only on the textbook, YEASUNG GALLERY imported and distributed artworks of European masters together with trend news of the European art world to Korea. YEASUNG GALLERY continues with professionalism to serve as the bridge between European and Korea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nd modern arts by uncovering talented artists, either European of Korean, and introducing them through various exhibitions to collectors as well as to art–loving people. For this, the gallery cooperates with foreign art foundation to discover young painters and introduce them at home and abroad.

뮬렘은 리얼리즘의 대가로 1980년대에 ‘가상 미술관’ 시리즈를 창시했다. 미술관의 그림을 주시하는 관객으로서의 여인을 원작과 함께 그림으로써, 그림을 보는 이의 모습을 누군가가 다시 바라보는 순차적으로 그림 내부를 해킹하고 그림으로의 여정을 떠나는 멀티 비전적 그림 시리즈다. 그 여인이 오늘은 초대받지도 않은 상태에서 그림 안으로 몰래 잠행을 한다. 이제는 그림의 구성요소 자체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은 대담성과 많은 연구와 구조에 관한 이해를 요구한다. 잠행이지만 원 주제와 서로의 존재를 느끼며, 무언의 감정이입을 느껴야 완전한 조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e Imaginary Museum taken up in the eighties, Mulhem has introduced classical, modern as well as contemporary artworks that woman contemplates. The Artist showed the emotional tie burgeoning between the art piece and the woman. The concept was watching–watched where a masterpiece is hung on a museum wall, and a woman is watching the masterpiece under the collective vision of watchers. A woman watches the masterpiece, people the woman and the masterpiece, and this latter the woman, the people and the museum hall. That’s a mirror of fractal.

핑크 다이아몬드를 비롯하여 8601개의 완벽한 다이아몬드가 박힌 18세기 인간의 두개골에 백금을 씌워 제작했다. 두개골 정면에 박힌 핑크색 다이아몬드는 Skull Star Diamond라 불리며, 두개골의 치아는 오리지널이다. 작품은 인간의 삶은 영원한 것이 아니라 언젠가는 죽음에 이른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현재 전시된 이 작품은 2012년에 제작한 3D 홀로그램 인쇄 버전이다. 〈For the Love of God〉 is a sculpture produced in 2007. It consists of a platinum cast of an 18th–century human skull encrusted with 8,601 flawless diamonds, including a pear–shaped pink diamond located in the forehead that is known as the Skull Star Diamond. The skull’s teeth are original and were purchased by Hirst in London. The artwork is a memento mori or reminder of the mortality of the viewer. The present version is a 3D lenticular printed version in 2012. 데미안 허스트 Damien Hirst, 신의 사랑을 위하여 For the Love of God, 2012, 3D lenticular printing, 120x180cm

베르나르 뷔페 Bernard Buffet, Gien, La Chateau et le Pont, 1969, oil on isorel, 54x73cm

뷔페의 작품은 제2차세계대전 후 어려운 시대를 대변하듯이 대체로 암울한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지만, 이 작품만은 다른 분위기를 자아낸다. 안정적이고 평화로우며 찬란했던 과거와 미래를 비출 것 같은 색감이 인상적이다. 15세기에 축조한 이 성은 루아르 지역에 위치하고 주로 왕과 왕족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루이 14세가 어린 시절을 보냈고, 잔 다르크가 1429년에 샤를

이 작품은 2007년에 제작된 조각품으로, 이마에 위치한 배 모양의

도미니크 뮬렘 Dominique Mulhem, Soleil Levant, 2018, oil on canvas, 80x100cm

예성화랑

7세를 처음 만난 곳이다. Bernard Buffet was a French expressionist painter. Best known for his representational work, Buffet’s paintings are often figurative, graphic, and central in their compositions. Located in the Loire region, the fifteen century castle served as mainly Kings’ or Royal families residence. Joanne of Arc met Charles VII for the first time in 1429. Contrary to other Buffet’s oeuvres, this painting gives a high feeling of peace and astonishing atmospheric luminary expression.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한영희

앙드레 브라질리에, 베르나르 뷔페, 데미안 허스트, 도미니크 뮬렘, 프랭크 스텔라, 장피에르 카시뇰, 호안 미로, 샘 프란시스

03149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9길 31 82 2 738 3630 yeasunggallery@daum.net www.yeasunggallery.com

Han Younghee

André Brasilier, Bernard Buffet, Damien Hirst, Dominique Mulhem, Frank Stella, Jean– Pierre Cassigneul, Joán Miró, Sam Francis

31, Insadong 9–gil, Jongno–gu, Seoul, 03149, Korea 82 2 738 3630 yeasunggallery@daum.net www.yeasunggallery.com

348

349


YESONG GALLERY A10

대구의 문화중심지대인 봉산문화거리에 1992년 서양화 전문화랑으로 개관했다. 미술에 대한 시민의 심미안을 심화하고 새로운 경향의 작품을 소개함으로써 인식의 폭을 확장하는 것을 운영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전시회는 기획, 초대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중견작가의 품격 있는 작품과 실험성 높은 작업을 하는 신진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YESONG GALLERY was opened in 1992 on the Bongsan Culture Street, which is the cultural core of Daegu city. The gallery is specialized in western paintings. The purpose of managing gallery is to deepen citizens’ aesthetic sense about painting art and to branch out their recognition of art deeply with introducing new art trends. So the exhibitions focus on planning premier previews, and they have special programs with works of medium standing’s creative painters. The gallery also has a speciality in scouting and supporting for young of painters of great originality.

신석필 Shin Sukpil, 사랑 Love, 2016, oil on canvas, 60.6x72.7cm

2017년 98세로 작고한 신석필은 북한 황해도 도립해주미술학교를 졸업하고, 1951년 1.4 후퇴 때 남쪽으로 피란 와서 대구에 정착했다. 그래서 신석필의 작품에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뼈저린 이산의 아픔이 녹아 있다. 그는 살기 위해 그림을 그렸다. 왕성한 창작 활동기이던 1950~60년대 그는 전후 피폐한 현실에서 본능적으로 어려운 삶을 지탱해 나가는 여인상을 화폭에 담았다. 여인상은 전후 남성들이 비운 가장의 자리를 대신하는 여성 가장의 현실을 작품에 담은 것으로, 고달픈 상황 속에서 경험한 생존의 치열함과 모성애의 희생정신을 적나라한 인간상으로 표현했다. Shin Sukpil who died in 2017 at the age of 98, graduated from the Provincial Art School in Hwanghae–do, North Korea, and came to Daegu in 1951 when 1.4. So, Shin’s work reflects his longing for his hometown and the pain of his painful legacy. He drew a picture to life. In the 1950s and 1960s when he was a prolific creative activity, he captured a portrait of a woman who supported a difficult life instinctively. The statue describes the reality of a woman’s head instead of a posthumous head of men in the postwar era and describes the intensity of survival and the spirit of motherhood as a human being.

이계련에게 무언가를 그리고 싶은 욕구의 출발점은 깨끗하게 빗자루로 쓸어놓은 이른 아침의 빈 마당에서였다. 특히 어머니가 쓸어 놓아 비어있는 정갈한 마당의 포용력에 매료되어, 그 한 귀퉁이에 무언가를 그려놓곤 했다. 감히 마당 전체에 그리지는 못했다. 한 사람의 노고에 대한 미안함이기도 했을 것이고 너무 큰 공간을 어린 그녀가 소유하면 안 될 것 같은, 막연한 두려움이 일렁였던 것 같다.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sire to paint something for Yi Gyereon was in the empty courtyard of the early morning, swept clean with a broom. Her mother, in particular, used to draw something on one corner. She didn’t dare to paint the whole yard. She might have apologized for one’s hard work and had a vague fear that she shouldn’t have had too much space as a child.

김애란의 작품 안에 거칠고 두터운 질감이 만들어내는 힘차고 둔탁한 나이프 터치는 쾌감을 수반한다. 더구나 순색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발색이 화려하고 시각적인 호소력이 강하다. 여기에 색채배열에서 보색 대비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더욱 강렬하게 느껴진다. 그래서인지 실제의 꽃보다도 한층 화려하고 풍부한 시각적 이미지를 보여준다. The dull but vigorous touch from rough and thick texture gives aesthetic pleasure. On the other hand, pure colors show glamour and strong appeal. With effective complementary contrast, intensity can be shown in the painting. These expressions draw even more splendor and rich visuals of the actual flower. 김애란 Kim Aeran, 파도가 머무는 자리에는 Where the Wave Stays, 2017, oil on canvas, 116.8×80.3cm

이계련 Yi Gyereon, 아침인상 Serendipity, 2018, acrylic color on fabric, 65x65cm

예송갤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상래

김애란, 이병준, 신석필, 이계련

41959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56 82 53 426 1515 sr000777@hanmail.net www.yesongart.com

Lee Sangrae

Kim Aeran, Lee Byungjun, Shin Sukpil, Yi Gyereon

56, Bongsanmunhwa–gil, Jung–gu, Daegu, 41959, Korea 82 53 426 1515 sr000777@hanmail.net www.yesongart.com

350

351


A25

요시아키 이노우에 갤러리는 오사카의 번화가 신사이바시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철 역과도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다. 이노우에 갤러리는 건물 내 두 개 층에서 전시실 두 곳을 운영 중이다. ‘현 시대를 반영하는’ 작품들과 오늘날 현대 미술이 갖는 의미를 전달하는 미술 작품을 주로 소개한다. 이 작품들 속에는 우리 시대를 증언하고 반영하는 미술사의 흐름이 담겨 있다. 이노우에 갤러리는 ‘표현’과 ‘창의성’을 중요한 가치로 삼고 있으며, 창작 활동을 통해 이 두 가지 가치를 접목할 수 있는 예술가들을 끊임없이 찾고 있다. YOSHIAKI INOUE GALLERY is settled right in the heart of Osaka, in the very animated area of Shinsaibashi, and is easily accessible from the subway station. The gallery has two exhibition spaces, displaying works of arts on two floors. YOSHIAKI INOUE GALLERY focus on works that ‘reflect the present time’, on an art that conveys an idea of what contemporary art is in today’s world. These works inscribe themselves in the flow of art history as witnesses and as reflects of our time. ‘Expression’ and ‘creativity’ are very important points to us, and he is endlessly in search of artists whose creations successfully merge these two characteristics.

작품을 완성해냈다. Working in collusion with terracotta clay, Kitagawa Hiroto has delivered into the world an entirely new kind of sculpted human figure. He has burst into the established lineage of ceramic figure art in Japan. Kitagawa started the coloring with glaze in 2012. Depending on the way the glaze is used, the resulting texture is not one of glass but one that has retained the unglazed quality. Moreover, because this coloring with glaze can produce the heavy feeling as pottery, his range of expression has expanded.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glaze, the temperature of the kiln at 1200 degrees or more is necessar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mplete. But Kitagawa‘s technique has made it possible.

추상화를 잇달아 발표하였다. Motonaga Sadamasa was a Gutai member from 1955 to 1971. Motonaga experimented with abstract painting early in his career and made experimental sculptures using various natural and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wood, stones, water, nails, and plastics. His early paintings from the Gutai era which employed the nagashi(wet on wet) techniques. In New York(1966–67) he encountered the new painting utensils of the air brush and his style of work underwent significant change, coming to present work which was concerned with form. As of this painting, in later years he created his humorous, lighter side and began painting a series of warmly abstracted images.

타이라 히사야 Taira Hisaya, Coffee Shop, 2018, acrylic on canvas, 53x72.7cm

모토나가 사다마사 Motonaga Sadamasa, Oval Shapes and Streams of Red, 2006, acrylic on canvas, 60.6 x72.7cm

모토나가 사다마사는 1955년부터 1971년까지 구타이 그룹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작품 활동 초기에는 실험적인 추상화 작업에 몰두했고, 이후에는 나무와 돌, 물, 못, 플라스틱 같은 각종 자연 재료와 산업용 재료를 이용해 실험적인 조각 작품을 제작했다. 구타이 그룹 시절의 초기 작품에서는 ‘나가시’라 불리는 ‘웨트 온 웨트’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1966년부터 1967년까지 1년간의 뉴욕 체류 기간 동안 에어브러시라는 새로운 회화 도구를 접하게 되면서 작업 방식이 크게 바뀌었고, 형식을 주제로 한 이번 작품에도 그러한 작업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는 이 작품을 기점으로 자신이 가진 밝고 해학적인 면을 부각시키기 시작했고, 따뜻한 느낌의

키타가와 히로토는 테라코타 점토를 활용해 기존에 볼 수 없던 인체 조형물을 대중들에게 선보여왔다. 일본의 기성 도자 조형 예술계에 혜성처럼 등장한 키타가와는 2012년부터 유약으로 작품에 색을 입히기 시작했다. 유약 사용 방식에 따라 단순한 유리의 느낌이 아닌 유약을 바르지 않은 듯한 질감을 만들어낼 수 있다. 작가는 또한 유약 채색을 통해 중후한 느낌을 도자기에 더함으로써 표현의 지평도 넓힐 수 있었다. 유약의 종류에 따라 가마의 온도를 1200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제작이 까다롭지만 그는 자신만의 기법으로

키타가와 히로토 Kitagawa Hiroto, TU1704–ivory,girl, 2017, glazed ceramic, 46x10x8cm

YOSHIAKI INOUE GALLERY

포토리얼리즘 회화 작가인 타이라 히사야는 현대적 풍경을 사진에 담은 뒤 미세브러시를 이용해 사진 속의 선들을 캔버스에 그대로 묘사한다. 작가는 사진과 그림의 경계를 허무는 이미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을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경험으로 바꿔주는 이미지를 추구해 왔다. 작품 속의 장소를 모른다고 해도 한 번쯤 지나친 적이 있다는 익숙한 느낌을 받게 된다. The paintings by Taira Hisaya are produced through the means of photorealism where he takes photographs of modern landscapes and traces the lines with fine brushwork on canvas. Taira seeks images that transcend the boundary between photography and painting, images that turn personal and subjective experience into something abstract and universal. Even if you don’t know the places in these paintings you may feel as if you have passed through them sometime in the pa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노우에 요시아키

타쿠마 아키히토, 키타가와 히로토, 타이라 히사야, 모토나가 사다마사

542–0085 일본 오사카 추오구 1–3–10 신사이바시스지 이노우에빌딩 81 6 6245 5347 Info@gallery–inoue.com www.gallery–inoue.com

Inoue Yoshiaki

Takuma Akihito, Kitagawa Hiroto, Taira Hisaya, Motonaga Sadamasa

Inoue Building, 1–3–10 Shinsaibashi–suji, Chuo–ku, Osaka, 542–0085, Japan 81 6 6245 5347 Info@gallery–inoue.com www.gallery–inoue.com

352

353



CHOI & LAGER GALLERY HLT07

Co–founded by Choi Sunhee, Choi Jinhee, and Jari Lager in Cologne, Germany in 2012, CHOI & LAGER GALLERY has mainly been active in Europe including London, Paris, and Cologne. Since 2002 director Choi Sun–hee has worked as a curator, art consultant, and contributor who writes essays pertaining to art both in Europe and Korea. She has assumed an advisory role in introducing foreign artists to Korea, Korean artists to other countries, and offering advice and information on contemporary art to multinational collectors. Jari Lager has run a gallery in London since 1998 and has mainly worked in Europe. Director Choi Jin–hee has been in charge of managing CHOI & LAGER GALLERY, Cologne and has primarily stayed active in the German art scene. They have curated quality art shows featuring multinational artists in the German gallery, have co–curated exhibitions with European art museums, and have extended the territory of their programs through art fairs in Germany, America, England, France, Hong Kong, Korea, and more. CHOI & LAGER GALLERY opened its branch in Seoul in 2016 and has been active in introducing works by European artists to the Korean art world.

안드레아스 블랑크 Andreas Blank, Monument 22, 2018, marble, alabaster, basalt, serpentinite, 58x52x77cm

초이앤라거 갤러리는 2012년 최선희와 최진희 그리고 야리 라거가 독일 쾰른에 설립하였고 런던, 파리, 쾰른을 거점으로 유럽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선희 대표는 2002년부터 유럽과 한국을 오가며 독립 큐레이터, 아트 컨설턴트, 미술과 관련한 글을 집필하는 기고가로 활동하면서 해외 작가를 한국에 소개하고 한국 작가를 해외에 알리며 다국적 컬렉터들에게 자문 역할을 해왔다. 야리 라거는 1998년부터 런던에 갤러리를 운영하면서 지금까지 유럽을 주 무대로 활동해왔으며, 최진희는 독일 미술계에서 활동하며 초이앤라거 쾰른 갤러리의 경영을 담당한다. 이들은 독일 갤러리에서 수준 높은 전시를 기획해왔다. 유럽 미술관들과 전시를 공동 기획하고 독일, 미국, 영국, 프랑스, 홍콩, 한국 등 세계 무대에서 열리는 국제 아트페어에 참여해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있다. 초이앤라거 갤러리는 2016년 서울에도 자리를 잡으며 유럽 작가들의 작품을 국내에 활발히 소개하고 있다.

얀–올레 쉬만 Jan–Ole Schiemann, Synth. Hor.–Tongue, 2018, ink and acrylic on canvas, 200x250cm

얀–올레 쉬만은 1983년 독일의 북부 도시 킬 Kiel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카셀 예술대학에서 순수미술을 시작하여 이후 뒤셀도르프 예술학교로 옮겨 2013년 안드레아스 슐쩨 교수의 지도하에 졸업하였다. 현재는 쾰른에서 작품 활동을 하며 미국 LA와 뉴욕을 비롯한 전 세계의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전시를 하고 있는 촉망받는 젊은작가다. 얀–올레 쉬만의 초기 회화 작품에 영감이 된 것은 우리에게도 친근한 베티 붑, 뽀빠이 등 1920년대 미국 애니메이션들이다. 작가는 만화가 주는 미학에 깊은 인상을 받고 만화 속의 사실적인 형태들을 추상적으로 변형시키고 이 변형된 요소들을 자신만의 상상력을 이용하여 캔버스에 재구성하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회화 스타일로 발전시켰다. A clue to understanding Jan–Ole Schiemann’s works are 1920’s American cartoons, such as ‘Betty Boop’ and ‘Popeye’. Schiemann is profoundly captivated by the aesthetics of these cartoons. Through his unique vision he transforms,directly onto the canvas, these stills and characters into abstracted images. Schiemann mirrors the mediums used in classical cartoon production: black ink and acrylic primary colours. From a simple primed canvas Schiemann transforms his canvases by building up significant layers via the use of bold lines, repetition of patterns and the illusion of collage. The works appear to be living, breathing and ever changing, almost like a film sequence. This effect of a ‘kinetic’ or ‘moving’ painting i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the artist’s intention, triggering complex tensions between the figurative and abstract.

1976년생의 안드레아스 블랑크는 2009년 영국의 주요 방송사인 채널4와 사치갤러리가 공동 선정하는 미래의 작가상 ‘뉴 센세이션’ 의 파이널리스트가 되면서 더욱 주목받았다. 그는 전통적인 테크닉과 재료로 매우 현대적인 조각 작품들을 창조해왔다. 그가 주로 사용하는 재료들은 대리석, 석고, 현무암, 석회암 등이다. 고대 그리스 조각의 주재료인 전통적인 재료들을 블랑크는 종이 비행기, 플라스틱 봉투, 하얀 와이셔츠 등 일상적인 오브제로 탈바꿈시킨다. 완성된 조각품들은 겉으로 보기에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방금 주워다 놓은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그 물건들이 실제로는 차가운 돌로 이루어진 걸 깨닫는 순간 보는 이들은 일상 사물이 지니는 본질적인 ‘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또 대리석이나 석회암 등 영구적인 소재들로 짧은 수명과 소모적인 성격을 지닌 현재의 일상적인 오브제를 다루는 점은 ‘영원’과 ‘불멸’ 에 반대되는 인간의 더없이 짧은 삶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 낸다. Born in 1976, Andreas Blank received a lot of public attention after he was nominated for the ‘New Sensations Award’ in 2009 which was established to award the artists of the future by the Saatchi Gallery and Channel 4. Blank creates sculptures in contemporary context using traditional sculptural techniques and materials; which include marble, alabaster, basalt, and limestone. Blank sculpts with such material and turn them into objects we often use or find in our everyday surroundings, such as paper planes, plastic bags or white shirts. Because his sculptures look so real that create an illusion for us as if they are actual objects from our surroundings. As soon as his audience realizes they are in fact a sculpture made out of stone, they come to think about intrinsic beauty underlying the everyday objects. The use of eternal materials such as marble and limestone to make ephemeral and consumptive quotidian objects draws reflection on our extremely short transient lives contrary to eternity and immortality.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야리 라거, 최선희, 최진희

안드레아스 블랑크, 얀–올레 쉬만

03054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길 42 50677 독일 쾰른 보름스 스트라세 23 82 70 7739 8808 49 2 21 16 99 25 40 info@choiandlager.com www.choiandlager.com

Jari Lager, Choi Sunhee, Choi Jinhee

Andreas Blank, Jan–Ole Schiemann

42, Palpan–gil, Jongno–gu, Seoul, 03054, Korea Wormserstrasse 23, Cologne, 50677, Germany 82 70 7739 8808 49 2 21 16 99 25 40 info@choiandlager.com www.choiandlager.com

356

357


DURU ARTSPACE HLT02

두루아트스페이스는 2002년 개관 이래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기획전시하는 갤러리다. 2006 년부터 강형구, 유선태, 김선두, 박영근, 이길우 등 우수한 작가들을 해외 아트페어와 전시에 소개함으로써 해외 미술 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했다. 앞으로도 역량 있는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홍보하고 기획하고자 한다. Since 2002, DURU ARTSPACE has supported a selected group of emerging and established artists DURU ARTSPACE is committed to promoting artists whose works are challenging, compelling and immersive and endeavours to support those industries who continue to push the boundaries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한지선이 재현하고 있는 장면은 특정 장소는 아니다. 허구적인 풍경이자 상상된 장소에서 모종의 사건이 전개되고 있다. 이처럼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는 경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형성하고 특징 짓는다. 모든 장소란 인간 행위가 벌어지는 무대이자 특정한 시대 정신이 주입된 환경을 말한다. 그녀에 의해 가설된 이 허구의 장소는 세계와 현실을 대하는 은유적인 태도가 반영된 공간이다. The scene that Hahn Jeesun reconstructs is not a specific place. Some sort of an event is being unfolded in a fictional landscape and an imaginary place. The area where the event takes place forms and characterizes our understanding experience. Every site refers to a stage where a human action takes place and a setting in which a specific spirit of an age is injected.

박영근 Park Younggeun, 양귀비

한지선 Hahn Jeesun, Resetting, 2017, acrylic on canvas, 130x140x10cm

랑 강 Lang Kang, Dali, 2013, mixed media on wood panel, 120x100cm

두루아트스페이스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인류의 오래된 성찰은 랑 강 작품에도 중요 주제이다. 그중에서도 이미 드러나 있는 것(표면적인 것)과 그것에 대비되는 보이지 않는 것(심리)의 가치를 생각한다. 삶의 이면에 존재하는 이야기와 말, 행동이야말로 개인을 포함하여 인간이 어떠한 존재인지를 드러내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작품 속에서 얼굴이나 말풍선 또는 기호 등은 마스크나 드러나지 않은 이야기의 은유 역할을 한다. There is old meditation of mankind. “What is a human being?” It is also an important topic in Lang Kang’s art work. The artist thinks about the value of what is already exposed (Surface) and the invisible (psychological) contrast. The artist believes that the stories, words, and actions that exist in the back of life provide important grounds for revealing what humans are, including individuals. In Lang Kang’s work, faces, speech bubbles, or symbols play a metaphor for ‘masks’ or ‘A hidden story.’

시간과 속도는 현대 이미지의 본성이다. 박영근의 회화는 움직임, 속도, 소리를 지닌다. 박영근은 석고 데생처럼 사실적 묘사와 강한 음영 대비, 선명한 입체감을 담았다. 사물에 생명감을 부여함으로써 사물들의 입체감을 포착한다. 또 형상 너머에 보이지 않는 생태적 관계망을 환기한다. Time and speed are qualities of the contemporary image. His painting portrays realistic rendering sharp contrast of shadow and precise definition of form. We could see and recognize how the world is turning around for both human and earth through his painting.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정숙

한지선, 랑 강, 박영근

0370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맛로 17–18 82 2 720 0345 durugallery@hanmail.net www.duruartspace.com

Kim Jeungsook

Hahn Jeesun, Lang Kang, Park Younggeun

17–18, Yeonhuimat–ro, Seodaemun–gu, Seoul, 03707, Korea 82 2 720 0345 durugallery@hanmail.net www.duruartspace.com

358

359


GALLERY 2 HLT06

2007년에 개관한 갤러리2는 장르에 상관없이 한국 현대미술의 다양한 작품을 소개한다. 작가와 갤러리 간의 깊은 신뢰와 파트너십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작가의 창작 활동을 지속하도록 함께 고민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갤러리의 역할은 가치 있는 작품의 상업 가능성을 모색하여 현대미술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고 이를 실천한다.

손동현 Son Donghyun, Master Correspondence, 2015, 8 panel folding screen, ink and color on paper and silk, 130x371cm, overall(full mounted) 182x390cm

갤러리2

Since 2007, GALLERY 2 has introduced Korean contemporary artworks across diverse genres. GALLERY 2 has strong faith in growing alongside our artists, through good faith and robust partnerships. We are constantly seeking best practices to support our artists’ creative endeavors, and our mission is to identify and appreciate outstanding works, thereby fostering and maintaining a rich, thriving ecosystem for contemporary art.

베를린, 독일(2009),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후쿠오카, 일본 (2005)에서 소개된 바 있다. Lee Dongi is most widely recognized for his Atomaus series of creations starting in 1993, featuring a mash–up of animation characters: Mickey Mouse from the US, and Atom from Japan. The uncanny heterogenic splicing of images from modern, yet disparate contexts, encourages the viewer to consider the conscious–unconscious and the subject–object entanglement. They are also cynical allusions to the myth of solitary genius, of engendering novel figurative styles. His works have been introduced around the world, including MOCA Inchwan (2016, Inchwan, China), Gallery Michael Schultz (2009, Berlin, Germany), and Fukuoka Asian Art Museum (2005, Fukuoka, Japan).

손동현은 전통적인 초상화 양식을 활용하지만, 영화 〈스타워즈〉의 다스 베이더와 같은 가상의 인물이나 마이클 잭슨과 같이 하나의 형상으로 규정할 수 없는 실존 인물을 작품의 소재로 선택했다. 그리고 근작에서는 중국의 사혁이 주장한 그림의 육법 六法, 먹의 물성, 산수화의 표현 기법을 인물의 성격이나 외형으로 치환해서 새로운 인물을 탄생시켰다. 그는 인물을 재현한다기보다는 초상화의 형식을 통해서 동북아시아 회화의 전통적인 기법과 매체의 특성을 담아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Son Donghyun works in the style of traditional portraits, but his subjects are either fictional characters such as Darth Vader, or actual personalities who are complex and multifaceted, and cannot be by a single image. His most recent works overlook Xie He’s six points to consider when judging a painting (繪 六法), physical properties of ink, and even expressive techniques of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s in favor of character personality traits and other aspects of external appearance. This style is less of a reproduction, and more of his interpretation of the Northeast Asian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and the idiosyncrasies of the medium.

Kim Suyeon paints what her interests are at the moment; thus far her interests have covered catalogue–like images of birds, plants, encyclopedic illustrations, and licentious art. The artist was at first drawn to the question of what she would paint if she were to present something indecent. As her ideas developed, she added classical aesthetics of sculpture and floral arrangements to express the ephemeral nature of love, and the immortalized subject of pleasure. A disconnection of perspectives is presented by a disconcerting arrangement of lighting and missing cut– outs from the original image.

김수연 Kim Suyeon, 〈구호x김수연 스퀘어〉 전시 전경 〈KUHOxSuyeon Kim Squre〉 exhibition view, 2018

이동기 Lee Dongi, A의 머리를 들고 있는 A, A with the Head of A, 2012, acrylic on canvas, 200x150cm

이동기는 1993년에 창조한 캐릭터 ‘아토마우스 Atomaus’–일본과 미국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아톰과 미키마우스를 결합한–가 등장하는 일련의 작품들로 알려져 있다. 현대사회에서 생산된 다른 맥락의 이질적 이미지를 재조합하는 그의 작품은 의식과 무의식, 주체와 대상의 복잡한 관계를 암시한다. 또한 ‘독창적 조형 양식의 창조’와 같은 예술의 작가주의적 신화에 대한 냉소적 태도도 담겨 있다. 그의 작품은 인촨현대미술관, 인촨, 중국(2016), 마이클슐츠갤러리,

김수연은 조류도감, 식물도감, 백과사전, 춘화 등 관심이 가는 주제를 그림으로 그려낸다. ‘내가 만약 춘화 화가라면 어떤 그림을 그릴 것인가?’라는 설정에서 시작한 춘화 작업은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담고 있는 조각 작품과 장식용 꽃을 이용해 영원할 수 없는 인간의 사랑과 순간이지만 쾌락 속에 존재하는 상대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표현했다. 그림 안에서 이미지가 갖는 각기 다른 시점과 빛의 방향 그리고 원본 이미지에서 사물만을 남겨 놓고 주변을 잘라낸 흔적은 각각의 사물이 다 다른 시공간에서 존재했음을 암시한다.

©삼성물산패션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재호

김수연, 이동기, 손동현

03004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길 204 82 2 3448 2112 info@gallery2.co.kr www.gallery2.co.kr

Jung Jaeho

Kim Suyeon, Lee Dongi, Son Donghyun

204, Pyeongchang–gil, Jongno–gu, Seoul, 03004, Korea 82 2 3448 2112 info@gallery2.co.kr www.gallery2.co.kr

360

361


HLT04

2007년 도쿄에서 문을 연 갤러리아트컴포지션은 신진작가의 발굴과 홍보를 위해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가하고 있다. 갤러리의 대표 아티스트 중 한 명인 이나바 토모히로의 인기는 전 세계적으로 더욱 높아졌다. 또 새롭게 발굴한 아티스트 마사요시는 뉴욕 아트페어, 런던 갤러리 등에서 전시를 열고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일본 전통미술의 중요한 부분인 판화기술의 발전과 계승을 위해 우키요에 판화와 현대미술의 합작 프로젝트인 우키요에 스튜디오를 런칭했다. 이를 통해 일본 전통예술과 기술을 보존하고 국내외 전파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처럼 신진작가를 등용하고 전통미술을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예술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The GALLERY ART COMPOSITION was founded in Tokyo in 2007. Participating in the art fairs both in Japan and abroad, the gallery focuses on the discovery and promotion of new artists. Tomohiro INABA,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of the gallery, has seen a further rise in popularity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offers from all over the world. Also, the new artist Masayoshi NOJO carries out exhibitions at the art fair in New York, the gallery in London, expanding the range of its activities.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woodblock prints technology, which can be said as Japanese traditional art, GALLERY ART COMPOSITION established Ukiyo–e Studio, a joint project of Ukiyo–e and contemporary art. The gallery preserves Japanese traditional arts and techniques and actively introduces it not only to domestic but also to the world. Introduction of new artists, as well a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art, GALLERY ART COMPOSITION refining the gallery‘s dissemination capabilities.

수준 높은 드로잉 실력을 갖춘 신진 조각가 토모히로 이나바는 철선으로 3차원 드로잉 같은 조각을 만들어낸다. 그의 작품에서는 마치 붓으로 획을 그린 듯한 속도감이 느껴진다. 조각에 여백을 남겨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작가는 예술의 역할 중 하나로 관객이 볼 수 없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믿는다. “분명히 볼 수 있는 바가 보이지 않는 것들을 보여준다는 전통 일본 정원의 미학에 기반한다”고 작가는 말한다.

Masayoshi NOJO, born in 1989, completed his MA in Japanese Paintings in 2015. He combines contemporary visual languages with Japanese aesthetic concept: the depiction of the passage of time. During his studies, he became interested in collective memory. To help audiences remember it, he selects mixed media, including photography, to eliminate the arbitrariness of creation. He abstracts form and colors from photographs as the minimum constituent elements of an image in memories. Silver reflects time’s passage as it changes in color through oxidization. This silver stream became a traditional motif for the passage of time, and its influence can be found among many European artists, including Klimt. 마사요시 노조 Masayoshi NOJO, Mirage #7, 2015, cotton on panel, acrylic, silver foil, aluminum foil, 150x220cm

히로시 센주 Hiroshi SENJU, Metalfalls, 2007, etching, 91x91cm

1995년 제46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특별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시아 아티스트인 히로시 센주는 〈Waterfall〉과 〈Cliff〉 작품으로 유명하다. 작품에서 ‘공동 空洞’을 강조하는 그는 “공동이 우주이며 부처의 가르침에 나오는 무 無, 즉 궁극의 세계”라고 말한다. 동양철학에 기반해 일본 전통미술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작가는 2017년 이사무 노구치상을 수상한 바 있다. Hiroshi SENJU, the first Asian artist who received the Honorable Mention Award at the 46th Venice Biennale in 1995, is famous for his paintings of 〈Waterfall〉 and 〈Cliff〉. He emphasizes the void in his artworks, saying “The void itself is the universe, and is the emptiness of Buddha’s teaching, that is to say the ultimate world.” With the eastern philosophical concept, he is expanding the sphere of Japanese traditional art. He has received Isamu Noguchi award in 2017.

1989년생인 마사요시 노조는 2015년 일본회화 석사과정을 마쳤다. 그는 현대 시각언어를 일본 고유의 미학과 결합해 시간의 흐름을 작품에 담는다. 작가는 공부 중에 ‘집단기억’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는 기억 이미지의 최소 구성요소로서 사진의 형태와 색상을 추출해 사용한다. 그의 작업에서 산화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은색은 시간의 흐름을 상징한다. 이러한 은빛 줄기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전통적 모티브로 그 영향은 클림트 등 많은 유럽 아티스트들에서 비롯되었다.

토모히로 이나바 Tomohiro INABA, Repeating World no.2, 2018, iron, urethane paint, 184x109x55cm

GALLERY ART COMPOSITION

Tomohiro INABA, an emerging sculptor with a sophisticated drawing capability, is able to create sculpture as tridimensional drawings with iron wires, expressing speed and infection of stroke of drawings. He is aiming to stimulate imagination of audiences by ‘blank space’ he intentionally makes in his sculptures. He thinks that one of the roles of art is offering an opportunity for audiences to enjoy imagining what is invisible. He commented The idea is based on an aesthetic represented by authentic Japanese Gardens: “What one can see clearly shows invisible things to the ey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유키코 미즈타니

히로시 센주, 마사요시 노조, 토모히로 이나바

104–0051 일본 도쿄 추오구 1–11–8 츠쿠다 피에르웨스트스퀘어 1층 81 3 5548 5858 info@galleryartcomposition.com www.galleryartcomposition.com

Yukiko MIZUTANI

Hiroshi SENJU, Masayoshi NOJO, Tomohiro INABA

Pier West Square 1F, 1–11–8, Tsukuda, Chuo–ku, Tokyo, 104–0051, JAPAN 81 3 5548 5858 info@galleryartcomposition.com www.galleryartcomposition.com

362

363


GALLERY DATE HLT05

갤러리데이트는 2009년 이동엽 작가의 전시를 시작으로 국내외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 중심으로 기획하고, 평론이 포함된 도록을 발간하고 있다. 나아가 창의성 있는 젊은 작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며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대중과 호흡하는 갤러리로 KIAF, 아트센트럴 홍콩 등 각종 페어에 참여하여 국내 작가들의 해외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세계 미술 시장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갤러리데이트는 21세기가 요구하는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자 힘쓰며 그 역할을 다할 것이다.

윤상렬 Yoon Sangyuel, 침묵 Silence, 2018, sharp pencil on paper, digital printing on acrylic, 121.5x91.5cm

갤러리데이트

GALLERY DATE has presented contemporary artists from home and abroad, starting with an exhibition of works by Lee Dongyeop in 2009. It organizes exhibitions for the artists and produces catalogues with critiques. The gallery also identifies and supports promising young artists and participates in art fairs including KIAF and Art Central Hong Kong to engage with the public, help domestic artists advance abroad, and keep abreast of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GALLERY DATE aspires to recreate itself as a cultural space for the 21st century.

윤상렬의 ‘침묵’ 시리즈는 종이 위에 다양한 굵기와 농담의 샤프심으로 선을 그어 화면을 채우는 아날로그적 방식과 디지털 프린트를 통한 디지털 방식이 층을 이루어 레이어 중첩을 보여주는 환영 작업이다. 이 작업은 진실과 거짓에 관한 근원적 물음을 행위의 반복성, 현시대 재료사용으로 드러내는 과정 그 자체가 작품의 주요 방식이다. 작품의 시각적 울림은 침묵이라는 단어와 함께 증폭되어 투명한 빛의 울림을 느끼게 한다. 그 울림은 청각으로 듣는 소리가 아니라 시각으로 듣는 소리라는 점에서 시각적 착각을 경험할 수 있다. The ‘Silence’ series by Yoon Sangyuel features illusions created by layers upon layers of lines drawn manually on paper with mechanical pencil leads at different thicknesses and levels of intensity as well as digitally by the digital printer. The creative process itself wher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ruth and falsehood are revealed through the repetitive action and use of contemporary materials is an important aspect of the work. Its visual resonance amplifies together with the title ‘Silence’ so that the viewer feels the transparent reverberation of light. Such reverberation is a sound heard by the eye, not by the ear, which produces visual illusion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경애

최병소, 구자현, 윤상렬

48099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298번길 24 팔레드시즈 2층 27 82 51 758 9845 gallerydate@naver.com www.date–gallery.com

Kim Kyungae

Choi Byungso, Koo Jahyun, Yoon Sangyuel

PALLEDECZ 2F 27, 24, Haeundaehaebyeon–ro 298beon–gil, Haeundae–gu, Busan, 48099, Korea 82 51 758 9845 gallerydate@naver.com www.date–gallery.com

364

365


GALLERY SHILLA HLT01

갤러리신라는 현대미술 전문 기획화랑으로서 동시대 미술을 표방하고, 미래지향적이고 진보적인 현대미술의 활성화를 위하여 1992년 5월 개관하여 현재까지 일관된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1992년 개관전으로 한국의 단색화 작가들의 그룹전시를 필두로 하여 한국의 아방가르드적 작가의 작품들을 국내외에 지속해서 소개했다. 한국 현대미술의 중심작가들을 국내외에 소개했고, 해외에서 활동하는 새롭고 참신한 경향의 현대미술 작가들도 국내에 꾸준히 소개하여 많은 호응과 주목을 받았다. 갤러리신라가 소개한 한국 작가와 외국 작가는 국내외 예술계에서 핵심적인 위치에서 세계 현대미술을 이끈다. 그들은 상업적 성공보다는 예술가로서 예술의 진정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진정한 예술가들이다. 우리는 이러한 훌륭한 작가들의 작품을 국내외 미술계에 소개하고자 한다.

서용선 Suh Yongsun, Punishment, 1998–1999, oil on canvas, 259x194cm

갤러리신라

GALLERY SHILLA, a contemporary art space for the art of our time, has consistently opened exhibitions to promote the futuristic and progressive art scene since it’s opening in May 1992. Since the first opening exhibition of ‘Dansaekhwa’ of Korean contemporary art, GALLERY SHILLA has discovered and introduced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Our exhibitions have introduced principal artists of Korea, such as Paik Namjune, Park Seobo, Lee Kangso, Suh Seungwon and Yun Hyongkeun to the world. At the same time, we have introduced new and trendy international artists, such as Kishio Suga, the key artist of Mono–ha from Japan, Tadaaki Kuwayama works and lives in New York, Niele Toroni of Swiss and Alan Charlton from England, to Korea. Most of the artists that GALLERY SHILLA has presented are leading the contemporary art scene of the world. They are the kind of artists who enthusiastically pursue the sincerity of art and not the commercial success.

로버트 배리 Robert Barry, Horizontal 4 Part Light Blue–Grey Painting Works, 2016, acrylic on canvas, 152.4x152.4cm(each)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을 주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로버트 배리는 현존하는 개념미술가 중 가장 지적인 작가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4개의 150cm 정사각형 캔버스 연작 중 일부이다. 밝은 하늘색의 캔버스 바탕을 통해서 시각적 이미지를 제시하면서 동시에 화면 속 흰색으로 그려진 단어들의 조합을 통하여 보는 이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보이지 않는 심리적 현상을 순간적으로 일깨운다. Robert Barry who is artist works on the subject of ‘invisible’ and ‘visible’. He is regarded as the most intelligent artist among conceptual artists. 〈Horizontal 4 Part Light Blue– Gray Painting with Words〉 is a 150 centimeter square canvas (Four) series. The visual image is presented through the light blue color of the canvas and at the same time instantly reminds the ‘invisible psychological phenomenon’ that occurs inside the spectator through a combination of white drawn words on the screen.

서용선 작가는 1979년, 그림을 시작한 이래 줄곧 자신의 경험과 인지에 기초한 대중, 사회, 정치적인 이슈를 담은 작품을 선보였다. 역사화, 기록화 시리즈 중 하나인 〈거열형〉은 200호 캔버스 화면에 단순하고 강렬하게 표현된 인물을 속도감 있게 보여주고 있다. Suh Yongsun has been reflecting the public, social and political content based on his own experience and awareness Since his inception in 1979. One of Artist’s historical and documentary series 〈Punishment〉. Expresses a simple and intense expression on the canvas screen, expressing punishment, which is now one of the abolished penalties.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광호

최명영, 서용선, 로버트 배리

41954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로 200–29 82 53 422 1628 gshilla@gmail.com www.galleryshilla.com

Lee Kwangho

Choi Myoungyoung, Suh Yongsun, Robert Barry

200–29, Daebong–ro, Jung–gu, Daegu, 41954, Korea 82 53 422 1628 gshilla@gmail.com www.galleryshilla.com

366

367


HLT03

스탠딩파인은 2009년 일본 나고야에서 설립되었다. 갤러리는 주로 신진 일본 작가들을 지원하며 음향, 비디오, 사진, 설치 등 미디어아트의 떠오르는 가치를 홍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미학적 아름다움, 일본인의 섬세한 묘사, 기술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을 담고 있으면서도 현대 사회에 대한 영향력 있는 개념과 중요한 메시지를 내포하는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갤러리 개관 이후 전시 기획, 국제 아트페어 및 세계적인 예술 현장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국내외 다양한 관객에게 혁신적이고 재능 있는 예술가를 홍보하는데 전념하고 있다.

작가는 수많은 인형을 작은 조각들로 자르고 녹이고, 압축시킨다. 인형은 원래 모습, 정체성을 잃고 2차원의 작품으로 변화했다. A large number of figure dolls are cut into small pieces, melted, and compressed. All the identity of figure dolls is removed and they are transformed into an inorganic two dimensional piece.

STANDING PINE was founded in 2009 in Nagoya, Japan. It mainly supports emerging Japanese artists and focuses on promoting an emerging value of media art including sound, video, photography, installation and so on. It represents works which themselves contain an aesthetic beauty and intrinsic attention to fine detail and technique that is seen as typically Japanese, yet with a strong concept and significant messages to the modern society, hidden and embedded behind it. Since the gallery opened, through curated exhibitions, international art fairs, and various projects in the global art scene, it has been devoted to promoting innovative and talented artists to the wide audience in Japan and the world.

쓰리 Three, 43V type 87.zip, 2017, figure, wood, alumi, pvc, 52.8(h)x93.6(w)x4.1(d)cm

STANDING PINE

스기야마 겐지 Sugiyama Kenji, I.I.M. The Third Eye(Eyeball), 2015, mixed media(picture of past works, paper, mirror, glass), 7.5cm(diameter)

스기야마 겐지 Sugiyama Kenji, I.I.M. Outside(Frame), 2015, mixed media(picture of past works, paper, mirror, glass), 184x87x49cm

스기야마 겐지의 작품은 미술관을 압축한 형태로 보여진다. 개인 미술관은 기억에 의해 만들어졌고, 미술관 속 관람객은 정지되어 있다. 작품을 보는 이들은 그 작품의 일부가 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The private museum drawn from memory and the viewers are portrayed. The viewers are made to feel integrated as part of the work.

7.5cm의 안구 속에서 아름다운 미술관 공간이 속속 펼쳐진다. 관람객과 작품의 물질적 거리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내부를 자세하게 들여다볼수록 관람객은 자신을 위한 완전한 ‘프라이빗 공간’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A beautiful museum space spreads out inside a 7.5cm eyeball.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viewer and the artwork is almost non–existent and on peering inside, one perceives a completely private museum space all for him/herself.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다테마쓰 다케시

스기야마 겐지, 쓰리

460–0003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쿠 니시키 2–5–24 에비수빌딩 파트2 3층 81 0 52 203 3930 info@standingpine.jp www.standingpine.jp

Tatematsu Takeshi

Sugiyama Kenji, Three

Yebisu Building Part2 3F, 2–5–24, Nishiki, Naka–ku, Nagoya–City, Aichi, 460–0003, Japan 81 0 52 203 3930 info@standingpine.jp www.standingpine.jp

368

369



182 ARTSPACE S06

앨릭 후 Alick Hu, Two Pine Trees, 2017, iron, image transfer, 146x25x40cm

2013년에 문을 연 182아트스페이스는 대만 타이난시에 위치한 독립 예술공간이다. 다수의 유령 목격담으로 유명한 역사적인 ‘라이스 로드 Rice Road’에 위치한 50년 된 건물을 밝은 공간으로 개조해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을 선보일 수 있게 한다. 옛 공간을 창조적으로 사용해 타이난 등 옛 도시를 현대적인 타이베이와 차별화하며 이곳의 갤러리들을 명소로 만들고 있다. 182아트스페이스는 신진 작가와 큐레이터들에게 작품을 선보이고 대중과 소통할 기회를 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전시는 보통 6주간 열리고 사진, 설치예술, 일러스트레이션, 그림 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섭렵하고 있다. Opened in November 2013, 182 ARTSPACE is an independently run art space in Tainan City. In the historical setting of ‘Rice Road’, a place famed for it’s numerous stories of ghost encounters. The 50 year old building has been converted into a bright, light and welcoming space for artists to show their work. This creative use of old space is what sets traditional cities like Tainan apart from modern Taipei, making the galleries worth seeing. 182 ARTSPACE opened with the intention of giving young artists and curators a way to show their work to the public. The shows usually run for 6 weeks and hosts a wide range of artistic genres including photography, installations, illustration and painting.

앨릭 후 Alick Hu, Departure, 2017, iron, cypress, 121(h)×17×35cm

앨릭 후 Alick Hu, Trace, 2016, iron, earth, 130×10.5×22cm

앨릭 후는 금속을 주요 소재로 사용해 관객의 촉각을 자극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작품은 중국 수묵산수화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작가는 뚜렷한 의도를 드러내 보이지는 않지만 관객은 그의 작품을 영혼의 매개체, 계기 또는 자양물로 받아들이게 된다. In Alick Hu’s work, he uses metal as main material to lead the viewer’s tactile sensation, and bring up the imagination with brush and ink in Chinese style shan shui. Even he didn’t reveal a strong ambition in his work, the viewer still can perceive his work as a medium through their spirit, or as a trigger, or as a sustenanc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잭첸

앨릭 후

701 타이완 타이난시 웨스트 센트럴 디스트릭트 신메이 스트리트 182 886 6 223 0968 182artspace@gmail.com www.facebook.com/182artspace

Jack Chen

Alick Hu

No.182, Xinmei Street, West Central District, Tainan City, 701, Taiwan 886 6 223 0968 182artspace@gmail.com www.facebook.com/182artspace

372

373


EAST GALLERY S05

EAST GALLERY is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Taipei, established in 1987. EAST GALLERY’s founder, Liu Huan–Hsien, has been a gallerist and art dealer for 40 years. Albert Hsiao, gallery’s general manager, has focused on curation for 22 years. The gallery continuously introduces master artists and their most important artworks to the public. It has established an international reputation while being a witness to the changes of the past hundred years of Taiwan’s art history. EAST GALLERY also continues working with young and upcoming artists who are moving into the future on the art world’s main stage. Since 2003, the gallery has participated in overseas art fairs starting with KIAF 2003 in Seoul, Shanghai Art Fair in 2007, Art Osaka 2008, and so on. As part of the contemporary art world, East Gallery presents famous Asian artists overseas.

친치아 리앙은 정물화를 전문으로 하는 작가이지만 초상화를 그리거나 신체 묘사를 훌륭하게 하기도 한다. 리앙은 현실적인 모델링 역량과 예리한 관찰력을 갖추었으며, 평범한 일상 오브제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재능을 가졌다. 센세이션 리얼리즘은 그의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정표다. Chin–Chia Liang specializes on still life painting but also as good as portraits and the body art. He has realistic modeling capabilities and a pair of keen observation eyes. He is talented in discovering the beauty in plain and ordinary objects. ‘Sensation Realism’ is the most critical milestone in his personal artistic life.

친치아 리앙 Chin–Chia Liang, Crabs, 2017–2018, oil painting on canvas, 40.5x60.5cm

친치아 리앙 Chin–Chia Liang, Woman with Her Hair Up, 2016, oil painting on canvas, 130x89.5cm

친치아 리앙 Chin–Chia Liang, Blue Scarf, 2017, oil painting on canvas, 116.5x72.5cm

1987년 개관한 이스트갤러리는 타이베이 동부에 위치해 있다. 갤러리 창립자인 리우 후안시엔은 40년간 갤러리스트이자 아트 딜러로 활동했으며, 총괄 매니저 앨버트 시아오는 22년 경력의 큐레이터이다. 이스트갤러리는 거장들의 중요한 작품을 지속적으로 대중에게 소개하고 있으며 지난 100년간 대만 미술사에 일어난 변화를 보여주면서 국제적으로 명성을 쌓았다. 향후 미술계의 주류 무대에 진출할 젊은 신진작가들과 지속적으로 작업하며, 2003년 KIAF를 시작으로 2007년 상하이아트페어, 2008년 아트오사카 등 해외 아트페어에도 참가하고 있다. 또 현대미술계의 일원으로서 해외에서 활동하는 유명 아시아 작가들을 소개한다.

섬세하게 표현된 친치아 리앙의 작품은 향수를 주제로 작업하는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 구별되는 독특함이 있다. 특히 그의 최근 작품은 풍부한 리듬감을 가진다. 평범한 배경의 전면에 놓인 복잡한 오브제가 작품의 전체 구도를 잡아준다. 대만의 계절 과일은 가볍지만 풍부한 ‘향수의 맛’을 느끼게 한다. 관객들은 그의 작품에서 새콤함, 달콤함, 씁쓸함과 향신료의 맛을 느낄 수 있다. 눈으로 즐기는 삶의 축제인 셈이다. 〈게〉는 정물화이다. 오른쪽은 붉은색, 배 쪽은 회색을 띤 크고 살이 꽉 찬 주황색 게가 묘사되어 있다. 두꺼운 흰색 비닐봉지에 들어 있어 형체를 겨우 알아볼 수 있는 게는 두꺼운 노끈으로 묶여 있다. 작품은 마치 ‘수산 시장에서 방금 사온 신선한 게에 좋은 와인과 식초를 곁들이면 훌륭한 주말 저녁이 된다’고 말하는 듯하다. 〈Crabs〉 is a still life painting with seafood. It is solid big orange clip crab with red on the right side and grey on the reverse side. It shows faintly discernible in the thick white plastic bag and tied them up with a thick rope to put those crabs on the table. The artist created a scene that seems to tell you, ‘Strong and fresh crabs just buy from a fish market and served by good wine and vinegar then it is a wonderful weekend night.’

Liang’s work stands out from those painters of nostalgia and is unique, with its delicate presentation. Especially in his recent works, his paintings beat a rich rhythm. Complicated objects in the foreground with a plain background hold and organize the composition. Seasonal Taiwanese fruit makes you feel the light yet rich ‘taste of homesickness.’ While viewing Liang’s work, viewers will experience the tastes of sour, sweet, bitter, and spice— life’s visual fea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리우 후안시엔

친치아 리앙

대만 타이베이 충효로드 이스트지구 218–4 8층 886 2 2711 9502 east.gallery@msa.hinet.net www.eastgallery.com

Liu Huan–Hsien

Chin–Chia Liang

8F, 218–4 Chung Hsiao E. Rd., Sec. 4, Taipei, Taiwan 886 2 2711 9502 east.gallery@msa.hinet.net www.eastgallery.com

374

375


GALLERY PLANET S03

이경미 Lee Kyoungmi, Other Planes of the Moon and Solar System at the Moment, 2017, oil on constructed birch panel, 55x55x7cm(each)

2013년에 개관한 갤러리 플래닛은 시대적 공감을 끌어내면서도 차별화된 접근으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보여주는 동시대 작가들을 소개한다. 역량 있는 한국 작가들을 다루고, 해외 유망 작가들 또한 국내에 소개해 세계 미술의 흐름에 앞서고자 한다. 태양을 중심으로 돌면서도 서로 충돌하지 않는 행성처럼, 갤러리 플래닛은 다양한 미술 주체들과 공존하면서도 동시에 자신만의 색깔과 궤적을 가지고 보다 풍요로운 미술의 장을 만들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다.

갤러리 플래닛

Opened in 2013, GALLERY PLANET is to introduce contemporary artists who demonstrate the world of their creative works that bring out sympathy of the times with differentiated approach. Revolving around capable Korean artists, we would take a step forward to the flow in global art sector by introducing promising foreign ones into the country as well. Like planets that do not crash each other turning around the sun, GALLERY PLANET will do the best to build a richer forum for art with our own colors and traces while coexisting with various artistic entities.

이경미 Lee Kyoungmi, Sanfrancisco on the Table–Adriadne, 2018, oil on constructed birch panel, 90x90x8cm

작가의 신작, ‘달’과 ‘행성’ 시리즈는 미지의 우주를 향한 작가의 동경이 구현된 작품 연작이다. 관람객들은 작가의 우주 앞에서 지구를, 행성을 그리고 푸른 우주와 유토피아를 상상하게 될 것이다. Lee’s latest series, ‘The Moon’ and ‘Planet’ is an attempt to visualize the artist’s yearning to explore the unknown universe. The viewer will begin to imagine the earth, planets, and the blue utopian universe when confronted with Lee’s universe.

이경미, Lee Kyoungmi, Between Seasons– CheWhaJeong, 2018, oil on constructed birch panel, 40x30x6cm(each)

이경미의 그림 속에 자주 등장하는 고양이 나나는 각별하다. ‘Street’ 시리즈에는 자신의 아이덴티티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나나의 눈을 통해 암울했던 유년 시절이 그려져 있고 그 시절이 키워준 무의식의 전경이 담겨있으며, 성장한 이후 여행하며 생활했던 세계의 도시들, 달 여행과 공상

이경미의 풍경에는 실재하는 풍경과 상상 속의 풍경이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속의 공간까지 나나와 함께한 기억이 그려져 있다.

작품 속에서 우리의 일상은 낯선 세계가 되고, 낯선 세계는 일상의 풍경처럼 다가온다.

Nana, the cat that makes frequent appearances in Lee’s works, is a very special cat. In her ‘Street’ series, the artist projects her bleak childhood and the panorama of her subconscious(which was cultivated in her childhood) through the sad eyes of her cat.

Lee’s drawings involve realistic depictions of both the imaginary and the actual world. Her Paintings render our ordinary world a strange one, and a strange world a familiar one.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이현정

이경미

06010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71길 14 2층 82 2 540 4853 info@galleryplanet.co.kr www.galleryplanet.co.kr

Lee Hyunjung

Lee Kyoungmi

2F, 14, Apgujeong–ro 71–gil, Gangnam–gu, Seoul, 06010, Korea 82 2 540 4853 info@galleryplanet.co.kr www.galleryplanet.co.kr

376

377


GALLERY SOSO S07

김을 Kim Eull, Twiligtzone Studio 18–03, 2018, mixed media, 310x240x366cm

2007년 5월 개관전을 시작으로 2018년 현재까지 매년 약 6회의 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공간에 대한 예리한 해석과 통찰력을 보여주거나 작업에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작가들과 전시를 하고 있다. 2013년 Art13 London 참가를 시작으로 한국을 기반으로 작업하는 작가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해외(유럽, 미국, 중국)에 소개하고 있다.

갤러리소소

GALLERY SOSO has organized about six exhibitions annually starting from the opening exhibition in May 2007 to the latest one in 2018. The gallery exhibits works of artists that show sharp interpretation and insights on space or make their own story to tell personally or through artworks. GALLERY SOSO has continuously introduced works of artists based in Korea to the world (Europe, USA, and China), starting from its participation in Art13 London in 2013.

〈Twilight Zone Studio〉는 오랜 창작의 여정 속에서 언제나 함께했던 김을의 스튜디오 별칭이라 할 수 있다. 이 안에서 오랜 세월 동안 자신의 온몸과 정신을 집어넣고 온갖 상념과 진실들, 자신과 그의 외부세계 사이에서 눈에 띈 보석같이 아름다운 것들과 생의 순간들 등 심지어 악마의 부드러운 노랫소리까지, 이 모든 것들을 녹여내고 두드려서 허술하고 애처로운 모습으로나마 종이 위에 혹은 사진으로, 작은 덩어리로, 때로는 페인팅으로 드러내 왔다. 김을이 스튜디오 자체를 작품화하게 된 동기는 오랜 세월을 수많은 경계선으로 얽혀있는 중간지대의 스튜디오에 묻혀서 창작하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는 그 안에서 제작된 개별 작품보다는 그 작품의 산실인 스튜디오가 더욱 명쾌하고 진솔하게 예술세계 전체를 아우르는 의미 있는 작품으로 다가와서였다. 스튜디오 작품은 현재의 실제 스튜디오의 건물을 바탕으로 외관 및 구조가 짜이고, 이전의 세 곳의 스튜디오의 구조나 분위기가 가미된 다양한 버전의 형식으로 콘셉트와 형태가 다변화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 앞으로 새로운 콘셉트의 작품의 한 형식으로 발전시켜서 작품의 진폭을 확장하는 성과를 기대한다. My twilightzone studio is a nickname for my studio which has been always with me in my creative journey for long. I have put my whole body (psychic even, of course) in along with all types of thoughts and truths, the beautiful as noticeable as gemstones in the world between me and the outside world, and important moments in life – even soft singing sounds of a devil. All of these are melted and tapped to be revealed in such forms as paper, photography, small chunks and sometimes paintings, albeit crude and pitiable. The exterior and structure of my studio work is based on the building of the current studio I have been working in, and its concept and forms might be diversified based on various forms where the structure and atmosphere of the three previous studios are attached. Furthermore, the scope of my work could hopefully be expanded by developing it as a form of my work in a new concept.–Kim Eull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금혜원

김을

10859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92 82 31 949 8154 sosogallery@gmail.com www.gallerysoso.com

Lina Keum

Kim Eull

92, Heyrimaeul–gil, Tanhyeon–myeon, Paju–si, Gyeonggi–do, 10859, Korea 82 31 949 8154 sosogallery@gmail.com www.gallerysoso.com

378

379


1987년 문을 연 J.P.아트센터는 초기에는 보석류와 골동품을 다루었다. 1992년부터는 사업을 확장해 예술·회화와 인장 담당 부서를 새롭게 만들었고 명칭을 현재처럼 바꾸었다. 대만 남부에서 개인이 운영하는 화랑 중 가장 큰 규모의 전시 공간을 자랑하고 미술 애호가들이 소통하며 예술에 대한 열정을 공유할 수 있는 공동의 장소를 제공한다. 뛰어난 아티스트들을 발굴하고, 그들의 작품을 대중에 소개함으로써 중국 현대미술의 최근 움직임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진정한 명작은 시간의 흐름도 비켜 간다’는 확신과 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컬렉터들의 가슴 속 깊은 곳까지 울림을 전하는 작품을 찾는다. 올해 KIAF에서는 건담 토이 모델 부품을 이용해 조각과 회화의 독특한 교집합을 만들어 내는 린춘핀 작가의 작품을 선보인다. J.P.아트센터는 위대한 예술은 사람들에게 말을 걸며 영감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S04

Established in 1987, J.P. ART CENTER focused its business in jewellery and antiques in the early phases. Beginning in 1992, the company expanded its operations to include art/painting and seal stone departments and changed its name to J.P. ART CENTER. The Center has one of the largest exhibition spaces among privately owned galleries in Southern Taiwan and provides a common place for art enthusiasts to communicate, exchange their passion for art. J.P. ART CENTER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recent movement in Chinese contemporary art by discovering and presenting exquisite artists and their work to the public. Through the gallery’s passion for art, J.P. ART CENTER holds a firm belief that true masterpieces withstand the testament of time. J.P. ART CENTER is providing a gateway for art collectors to find the artwork that connects to their innermost world. For this edition of KIAF, the gallery is bringing several works by Lin Chun Pin, who uses components from Gundam toy models to create artworks that is a unique blend of sculpture and painting. J.P. ART CENTER believes that great art speaks to the people and inspires people.

The traditional Chinese landscape mimics nature by bringing the natural elements such as trees, rocks and rivers inside a man–made garden. In his work, 〈The Surrealistic Landscape – A New State of Holiness〉, the artist recreates the traditional Chinese landscape using ‘Gundam’ toy model components which itself is a byproduct and symbol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 consumption era. It distorts the line between old versus new, tradition versus innovation and what is real versus fictional.

〈Lunar Eclipse〉에서 리춘핀은 기존에 보여줬던 3차원적 구성 방법으로부터 탈주하여 평면적인 구성을 사용했다. 그러나 복잡한 구조들이 없을지라도, 작가는 2차원적인 레이아웃으로 엄청난 깊이감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선보인다. In this work, 〈Lunar Eclipse〉, the artist deviated from his typical three dimensional compositions and created a flat plane layout instead. But even with the two–dimensional layout, the artist was able to showcase his ability to create a tremendous depth of field without complicated structures. 린춘핀 Lin Chun Pin, Lunar Eclipse, 2016, mixed media–plastic components sourced from gundam toy models, 50x60cm

린춘핀 Lin Chun Pin, Van Gogh’s Battlefild in Starry Nights, 2015, mixed media–plastic components sourced from Gundam toy models, 50x63x10cm

작품의 첫인상은 원작 명화를 복제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보다 가까이서 관찰하면 관객은 그것이 작은 군인들의 전쟁터가 숨겨진 그림임을 깨닫게 된다. 이 작품은 정면에서 반 고흐의 그림으로 보이지만 측면에서는 전쟁터의 지형이 드러난다. 그림 속 전쟁터는 관객과 예술가 사이의 이념 충돌로 이루어진, 소통을 통한 교전을 상징한다.

전통적인 중국조경은 나무, 바위, 강과 같은 자연물을 정원에 가져와 자연을 모방하는 특징이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산업혁명과 포스트 소비시대의 부산물로 상징되는 ‘건담’ 장난감 부품들을 사용해 중국조경을 재해석한다. 작가는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전통과 혁신 그리고 사실과 허구 사이의 경계를 왜곡한다.

린춘핀 Lin Chun Pin, The Surrealistic Landscape – A New State of Holiness, 2017, mixed media–plastic components sourced from Gundam toy models, 120x50x17cm

J.P. ART CENTER

At first glance, 〈Van Gogh’s Battlefield in Starry Nights〉 seems to reproduce a masterpiece by the world renowned artist, but upon closer observation the viewer will notice it is a battlefield with small soldiers hidden inside. From the front, it is Van Gogh’s masterpiece, but from the side, it is a battlefield in the topography. The battlefield represents the engagements through communication, which involves the clashing of ideology between the viewers and the artis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폴양

린춘핀

대만 801 가오슝 우푸 3 로드 No.63 8층 886 7 215 0010 jpartcenter@gmail.com www.jpart.tw

Paul Yang

Lin Chun Pin

8F, No.63, Wufu 3rd Road, Kaohsiung , 801, Taiwan 886 7 215 0010 jpartcenter@gmail.com www.jpart.tw

380

381


중앙갤러리 JOONGANG GALLERY S08

중앙갤러리는 1987년 개관하여 매년 다수의 국내 유명 원로, 중견작가의 기획전과 초대전을 열고, 역량 있는 작가를 발굴하여 대중적으로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또 미술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해 작가와 애호가 사이에 실리 있는 교량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서양 문화에 가려 가볍게 다루어지거나 혹은 잊혀 가는 한국 근대회화를 주목하며 취급하고 있다. JOONGANG GALLERY was launched as a member of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in 1987. It has been having a number of veteran artists exhibition and makes an effort to discover new talented artists in the art world. JOONGANG GALLERY comprehends information on the art and plays a vital role between artist and a devotee and also deals with modern Korean paintings consistently which is getting forgotten in our mind.

김광호 Kim Kwangho, 사군자 The Sagunja, 2018, steel, stone

조각에 대한 창의적 발상의 표현성–사군자 조각 평면적인 수묵화의 사군자를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며 철과 자연석 소재를 결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김광호의 이 조각은 평면성의 입체화가 돋보이고, 철과 자연석의 결합을 통한 재료적 측면의 자연스러움으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The Expression of Creative Ideas on Sculpture – Sculpture of Sagunja The combination of the new perspective and the material, iron and natural stone, it is a three– dimensional representation. Kim Kwangho’s sculptor 〈The Sangunja〉 is a combination of iron and natural stone, along with the stereoscopicization of planes. The naturalness of the material aspect is enhancing the perfection of the work.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정대영

김광호

41959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34 82 53 425 0808 joonganggallery@nate.com www.joonganggallery.com

Jung Daeyoung

Kim Kwangho

34, Bongsanmunhwa–gil, Jung–gu, Daegu, 41959, Korea 82 53 425 0808 joonganggallery@nate.com www.joonganggallery.com

382

383


KIMHYUNJOO GALLERY S09

김현주갤러리는 2005년 국내 원로, 중견 작가 및 국외 작가들을 한국에 소개하여 국내 현대미술의 현시점을 탐험하는 전시를 개최했다. 2006년부터 새로운 한국 작가들을 소개하며 미술애호가 및 신진작가들에게 미술시장의 무대로서 화랑의 정체성을 정립해왔다. 2012년 개관 8주년 기념전으로 쿠사마 야요이의 에피소드전을 기획하는 등 일관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또 청년 작가들을 소개하고 함께 발전해 나가며, 현대미술의 다양성은 물론 한국 미술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김기민 Kim Kimin, 당신 You, 2017, frp, led, glass, gravel, stainless steel, 140x56x21cm

김현주갤러리

2005 KIMHYUNJOO(KHJ) GALLERY first established itself introducing the pioneers and the backbones of Korean art as well as representing international artists to ponder the modern prospect of Korean art. Since 2006, KHJ GALLERY has dedicated its purpose in bringing light to the rising artists as well as creating a market for art enthusiasts in and out of the country, confirming its stance as a platform for the Korean art market. 2012, on the 8th anniversary of the gallery, ‘Kusama Yayoi’ exhibition demonstrated the gallery’s continued pride in providing a modern art. KHJ GALLERY’s adventurous and passionate strive for Korean art’s breakthrough in the modern world is the potential and future of Korean art in itself.

표현방식으로 채택하여 캐릭터의 순수한 마음을 드러낸다. Kim Kimin is renowned for implementing raw, natural materials to express humankind’s oneness with nature. At KIAF, the gallery exhibits Kim Kimin’s new ‘Wearing Nature’ series. The character wearing clothes seems to gaze into the viewers as they move. Through this new series, one will be able to get a glimpse of the innocent yet a primitive instinct of adopting empathy as an expression.

김기민 Kim Kimin, 자연의 옷을 입다 Wearing Nature, 2018, frp, glass, led, wood, 35x23x20cm

김기민은 자연과 일체되는 인간을 표현하기 위해 실제 자연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이번 전시에서 ‘자연에 속한 존재로서의 나’를 표현하기 위한 연출로써 동물 옷을 입은 캐릭터 시리즈를 선보인다. 이 시리즈는 직접적이고 설명적인 감정이입을

작가 자신을 닮은 캐릭터는 인류를 대변하며, 자연과 공생하는 모습을 희극적으로 표현한다. 관람객의 관점을 의식한 힘없는 캐릭터의 눈동자는 보는 이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듯한 착시를 일으키며, 자연을 지켜야 하는 당위성을 조용히 호소하는 듯하다. The character that resembles the artist himself represents the humankind, the very essence of empathy and expresses the comical scene of coexistence with nature. The eyes of the powerless character seem to follow the viewer’s movement, and seem to be appealing silently to protect the environment.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김현주

김기민

03054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7길 19–9 82 2 732 4666 khjgallery@hanmail.net www.khjgallery.com

Kim Hyunjoo

Kim Kimin

19–9, Samcheong–ro 7–gil, Jongno–gu, Seoul, 03054, Korea 82 2 732 4666 khjgallery@hanmail.net www.khjgallery.com

384

385


KWANHOON GALLERY S02

관훈갤러리는 1979년 개관한 이래로 서울의 요지인 인사동이 문화와 전통, 예술의 중심거리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총 3200 스퀘어피트가 넘는 갤러리 공간에서 지난 10 년 동안 700여 이상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비롯하여, 7000여 명 이상의 한국과 해외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했다. 관훈갤러리는 다양하고 실험적인 신진작가들의 쇼케이스 역할과 동시에 에꼴드서울 the Ecole de Seoul movement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새로운 세대의 예술가들에게 대안공간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한국 현대미술 작가들이 한국과 동시에 해외에도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많은 국제 아트페어를 통해 열었고, 최근에는 온라인 미술시장의 선두그룹으로 세계의 유수한 갤러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The KWANHOON GALLERY, located in the heart of Seoul Insadong, first opened its doors in 1979. Its birth served as catalyst, as others soon joined KWANHOON to create Seoul’s thriving gallery district. KWANHOON GALLERY now consists of six exhibition spaces within three buildings totaling over 3,200 square feet. In the past ten years alone the gallery has shown over 7,000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through over 700 solo and group exhibitions. KWANHOON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art through its embrace of the Ecole de Seoul movement, as well as a wide variety of artistic approaches by experimental and emerging artists. It has provided a solid ground for the new generation of artists and has played a major role in promoting Korean contemporary art both within Korea and internationally through many international art fairs as well as the online sales platforms cooperating with notable galleries world–wide.

반사되는 호일이 씌워진 ‘미러 캔버스’의 표면이 날카롭게 찢겨져 있다. 호일의 재질 때문에 거울의 표면은 절단된 가장자리를 따라 물결이 치는 것처럼 보인다. 이탈리아의 거장, 루치아 폰타나의 ‘슬래시’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예페 하인의 ‘미러 캔버스’ 시리즈는 캔버스 평면의 ‘입체감’에 대한 의문을 드러내며, 회화를 3차원 조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이미지의 인식을 넓힌다. A slash cuts through the surface of a mirror canvas, composed of mirror foil mounted on a frame. Due to the materiality of the foil, the mirror surface ripples along the edge of the cut, giving the mirror a wavelike appearance. Alluding to Lucio Fontana’s slash series, the Mirror Canvas series broadens the perception of an image by affording a narrow view into the depth of the canvas, transforming the flat surface into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한 면은 빨간 네온의 패턴, 다른 한 면은 파란 네온 패턴으로 구성된 원형의 오브제가 천정에 매달려 있다. 네온 튜브는 특정 각도에서 완전히 적색 또는 청색으로 반사되어 빛나며 물체를 바라보는 이들에게 착각을 일으킨다. Two patterned hemispheres of red and blue neon tubes are mounted on opposite sides of a circular mirror and hung from the ceiling. Viewed from a specific angle the reflection of the neon tubes creates the illusion of an entirely red or blue spherical light object. 예페 하인 Jeppe Hein, Double Enlightenment, 2012, neon tube, transformers, mirror, aluminium, high–grade steel, Ø 80 cm

예페 하인 Jeppe Hein, Left Diagonal Cut, 2017, mirror foil on aluminium frame, 110x80x4 cm

관훈갤러리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권도형

예페 하인

03145 서울 종로구 인사동11길 11 82 2 733 6469 info@kwanhoongallery.com www.kwanhoongallery.com

Kwon Dohyoung

Jeppe Hein

11, Insadong 11–gil, Jongno–gu, Seoul, 03145, Korea 82 2 733 6469 info@kwanhoongallery.com www.kwanhoongallery.com

386

387


1995년에 설립된 어반아트는 국내외에서 영향력 있는 현대미술 작가와 작품들을 소개하는 데 주력해 온 화랑이다. 1998년에 미국 소더비즈의 공식 딜러로 선정된 이후, 20여 년간 세계 미술시장에서 쌓은 신뢰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미술계의 중심에서 일하고 있다. 또 이상적인 공공미술 사업을 실현하기 위해 대기업의 파트너로서 미술품 설치 컨설팅을 한 바 있으며, 젊은 작가들이 예술가로서 첫걸음을 내딛도록 지원하기도 했다. 폭넓은 미술계의 스펙트럼을 만들어가는 어반아트는 한걸음 나아가 미술관들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규모 있고 혁신적인 전시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한국미술계의 일익을 담당하는 화랑의 역할을 다할 것이다.

어반아트 URBAN ART S01

Since 1995, URBAN ART has focused on introducing influential artists in contemporary art and their works. As the Sotheby’s official dealer, the gallery worked on the basis of trust and networking established in global art market. And it also provided consulting services in public art field, and supported young artists to build their career. URBAN ART is going to develop further initiative contents of exhibition based on consortium with museums to broaden spectrum of art world.

김지명 Kim Jimyung, 여름축제 2018 Summer Festival 2018, 2018, acrylic paint on shaped canvas, 10x61.5x70cm

여러 조각의 캔버스를 조합하여 하나의 큰 작품으로 완성되는 김지명의 작품은 평면에서 벗어나 입체를 추구하는 그만의 작품 철학을 잘 보여준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평면회화가 아닌 부조와 같다. 이번 작품은 그러데이션 된 색과 직선들을 더해줌으로써 움직이는 듯한 착시효과를 주고, 회화의 한계성을 넘고자 하는 실험정신을 나타낸다. Kim’s work is combined several pieces of canvases to complete one large piece. This work shows Kim’s philosophy that seeks out a three dimension that is off the plane. Therefore, her work is like relief, not plane painting. This work gives optical illusion of motion by adding gradated colors and straight lines and it shows her experimental spirit to overcome limit of painting.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Director

Artist at KIAF

Info

박명숙

김지명

04344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44길 7 82 2 511 2931 urbanart@chol.com www.urbanart4u.com

Park Myungsook

Kim Jimyung

7, Sowol–ro 44–gil, Yongsan–gu, Seoul, 04344, Korea 82 2 511 2931 urbanart@chol.com www.urbanart4u.com

388

389


KIAF 2018 AR T SEOUL 특별전 ‘ARTIST PROJE 참여 작가들이 CT’는 2018광주 역사성과 문화 비엔날레 적 맥 락으로 작품을 ART SEOUL과 제작, 이를 KIAF 연계하여 전시 2018 를 선보인다. 세 광주비엔날레와 계 미술의 중심 KIAF ART SEO 축이 되고 있는 U L의 만 남은 동시대 미 미술시장의 흐 술담론과 역동 름을 한 자리에 하는 서 조우할 수 있 것이다. 본 전시 다는 점에서 색 는 레이스 마이 다른 현장이 될 라 (브 라 질 ), 마크 살바투스 (한국), 민성홍 (한국) 작가의 (필리핀), 김아 작품을 선보인 영 다. As the KIAF 20 18 ART SEOUL ’s special exhi Biennale pres bition, Gwan ents ‘ARTIST gju PROJECT’, sh artists partic owcasing wor ipating in th ks by four is ye ar Biennale’s hi ’s biennale. G storical signifi iven Gwangj u cance and its internationa presence in th l art scene, th e e special colla SEOUL provid bo ration with KI es a unique in AF ART tersection w contempora ith discussion ry art and th s around e ar t market. Feat artworks by uring installa Lais Myrrha (B tion razil), Mark Sa Ayoung Kim lvatus (Philip (Korea), and pines), Sunghong M exhibition sh in (Korea) th owcases new e special works that ar engage with e porous in th history and ea e ways they ch cultural co ntext. Sunjung KIM

, Gwangju Bi

ennale, Presid ent 김선정, 광주비 엔날레 대표


김아영 AYOUNG KIM

김아영은 광주비엔날레에서 선보인 ‘다공성 계곡, 이동식 공극’ 작품을 통해서 ‘마이그레이션’과 ‘다공성’을 주요 키워드로 영상과 설치작품을 선보인다. Ayoung Kim will present a video and an installation work, ‘Porosity Valley’, ‘Portable Holes’ that centers around the concepts of “migration” and “porousness”.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 Porosity Valley, Portable Holes, 2채널 비디오 설치, 약 19분, 2분 2–Channel Video Installation, Approx. 19min and 2min, 2017, 2018

멜버른 페스티벌 커미션, 호주 프랑스 브레티니현대미술센터, 일민미술관 공동제작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Commissioned by Melbourne Festival, Australia Co–produced by CAC Brétigny, France and Ilmin Museum of Art, Korea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

392

393


Lais Myrrha, Double Standard 2016 Compacted soil, wood, bamboo and palm fiber / Concrete, metal, brick, mortar, wood, roof tile, PVC tubes, conduits, wires and glass, 8m x 2.90m x 2.90m

Lais Myrrha, Geometria do Acidente (Geometry of the accident) 2014, Model (approximately 2:1), painted drywall modules and footbridge, Variable dimensions

395 394

Lais Myrrha’s installation crosses cultural borders by incorporating Korean modernist architecture with forms of Brazilian tombs.

LAIS MYRRHA

레이스 마이라는 브라질 전통과 한국 모더니즘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설치 작업을 진행한다.

레이스 마이라


마크 살바투스 MARK SALVATUS

마크 살바투스는 도시화와 사회경제적 기반의 관계성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Mark Salvatus will develop work questio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Mark Salvatus, Gates, 2015 HDV projection, Dimensions variable

Mark Salvatus, Claws, 2016 Wooden tables, books, catnip, Dimensions variable

396

Mark Salvatus, Gates, 2015 HDV projection, Dimensions variable

397


SUNGHONG MIN

민성홍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환경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여 작업해오고 있다. 그는 사물들의 재조합 과정을 통해 개별 정체성이 추상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의 작업은 제도와 거대 시스템에 의한 삶의 유리나, 관습적 사고에 대응하여 인식의 성찰을 촉발하는 매개체로서 기능한다.

민성홍 Sunghong Min, 바닥에 구르다 Rolling on the ground, 2017, found object, landscape painting, wood, wheel, mirror, sound system, Installation view

민성홍

Sunghong Min has been working on the relation between one individual and another, and between an individual and an environment. He shows that individual identity can be abstractly constructed through recombination of objects. His works represent lives alienated by institution and gigantic systems and function as a medium that fuels introspection against conventional thinking.

민성홍 Sunghong Min, 중첩된 감성 : 다시락(多侍樂) Overlapped Sensibilty : Playing with everyone, 2016, found object, ceramic, paper, acrylic on wood, wheel, light, Dimension variable

398

민성홍 Sunghong Min, 중첩된 감성 : 작은 전투 Overlapped Sensibility Carousel, 2015, ceramic, found object, acrylic on wood, steel, motor, light, sound, 310(h)x340x340cm

민성홍 Sunghong Min, 중첩된 감성 : 다시락(多侍樂) Overlapped Sensibilty : Playing with everyone, 2016, found object, ceramic, paper, acrylic on wood, wheel, light, Dimension variable

399



강연프로그램 LECTURE & CONVERSATION

컨버세이션 KIAF 2018 ART SEOUL CONVERSATION UL SEO T KIAF 2018 AR

5 Fri

4 Thu 11:00

6 Sat

Session I, 11:00~1 2:30 미술과 건축. 공간 과 예술의 관계 Art & Architectu re. Thinking Spac es for Art

12:00

장소 Venue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층 402 4F Conference Room(South) 402, COEX, Seoul

Session III, 11:00~12:30 오늘 미술 시장의 주요 인물과 트렌드 Key Figures and Trends in the Art Market Today

15:00

18:00

언어 Language 한국어, 영어, 중국어 Korean, English and Chinese

Pre–registration via website (www.kiaf.org) & on–site registration

Session I, 14:00~15:30 개인 컬렉션의 철학, 새로운 아카이빙 The Philosophy of Private Colle ction & Contemporary Archiving

~15:30 Session II, 14:00 의 예술과 디자인 AI(인공지능) 시대 l in the AI(Artificia Art and Design Intelligence) Era

Session I 10.4 Thu 14:00~15:30

Session IV, 14:00~15:3 0 오늘날의 컬렉팅 방법 Ways of Collecting Art Tod

개인 컬렉션의 철학, 새로운 아카이빙 ay

The Philosophy of Private Collection & Contemporary Archiving Moderator 알렉산드라 세노, Asia Art Archive, 디렉터 Alexandra A. Seno, Asia Art Archive, Head of Development

16:00

17:00

Listen to the pathway and motivation toward collecting, method and purpose of collecting from world’s leading collectors. This session will especially focus on their own ways of archiving their collection.

접수방법 Registration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접수 및 당일 현장접수

13:00

14:00

전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컬렉터들로부터 컬렉터의 길로 들어서게 된 계기와 과정, 컬렉팅의 방법과 목적에 대해 들어본다. 특히 그들만의 컬렉션을 아카이빙 하는 방식에 대해 들어보며 아카이빙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배워본다.

0 Session II, 16:30~18:0 갤러리 관과 미술 , 기능 관의 미술 seum: Art Mu Art of n The Functio Museum & Gallery

Session III, 16:30~18:0 0 미니멀리즘 나우 What is Minimalism Now

?

Session V, 16:30~18:00 예술계에서 소통하기 Art World: How Communicating in the effectively to Promote your Project

Speakers 실바인 레비, DSL 컬렉션, 설립자 Sylvain Lévy, DSL Collection, Founder 오이홍 지엔, OHD 미술관, 설립자 Oei Hong Djien, OHD Museum, Founder Speaker 실바인 레비 Sylvain Lévy

KIAF 2018 ART SEOUL 컨버세이션 KIAF 2018 ART SEOUL Conversation

K–ART 컨버세이션 K–ART Conversation

Moderator 알렉산드라 세노 Alexandra A. Seno

402

Speaker 오이홍 지엔 Oei Hong Djien

403


Session II 10.4 Thu 16:30~18:00

개인 컬렉터로 시작해 중국을 대표하는 컨템포러리 미술관 설립자이자 디렉터로 활동 중인 미리암 선과 루 썬으로부터 미술관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미술품 컬렉팅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들어보고 미술시장에서 그들의 역할과 시너지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미술관의 기능, 미술관과 갤러리 The Function of Art Museum: Art Museum & Gallery Moderator 김선정, 광주비엔날레 대표 Sunjung Kim, Gwangju Biennale, President Speakers 미리암 선, 상하이 MOCA 미술관, 설립자 Miriam Sun, MOC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hanghai), Founder 루 썬, Si Fang 미술관, 설립자 Lu Xun, Si Fang Museum, Founder

Listen to Miriam Sun and Lu Xun, director and founder of China’s leading contemporary art museum who started as private collectors, ab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alleries and art museums, as well as their synergies on art market.

Session III 10.5 Fri 16:30~18:00 미니멀리즘 나우 What is Minimalism Now? Speakers 제니퍼 염, 데이비드 즈워너 갤러리 홍콩, 디렉터 Jennifer Yum, David Zwirner Gallery Hong Kong, Director 태현선, 리움 삼성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Hyunsun Tae,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nior Curator

미니멀리즘은 20세기 현대미술사의 아주 중요한 획을 그은 무브먼트 (movement) 중 하나로 널리 인식되어 있다. 현대미술사 정전(正典) 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미니멀리즘은 디자인, 패션, 라이프스타일에도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다시 한 번 미니멀리즘의 양극성과 특이성을 되돌아 볼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이번 토론은 미니멀리즘의 대표 작가들인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댄 플래빈 (Dan Flavin) 외 다수의 작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미니멀리즘과 유사한 성격을 띠고 있는 포스트– 미니멀리즘 (Post– Minimalism)/과정미술 (Process Art) 에 관하여 다룰 예정이다. 이러한 무브먼트들의 역사적인 중요성 뿐 만 아니라 전문적인 분석을 통하여 21세기 미술계와의 연관성 또한 찾아볼 예정이다. Minimalism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 movements of the 20th century. With its place firm in the art historical canon, its wide influence has entered the mainstream in design, fashion, and style. This effect and the passage of time, point to the need to reassess the movement, and to reclaim the polemical and singular nature of Minimalism. This talk will discuss the context of works by Donald Judd, Dan Flavin, and other Minimalist artists, as well as consider the Post–Minimalist/Process Art. Further, it will focus on historicity of the movement and connoisseurship of the objects to assert relevance in the 21st century art landscape.

Moderator 김선정 Sunjung Kim

Speaker 루 썬 Lu Xun

Speaker 제니퍼 염, Jennifer Yum

Speaker 태현선 Hyunsun Tae Speaker 미리암 선 Miriam Sun

404

405


K–ART 컨버세이션 K–ART Conversation

〈K–ART 컨버세이션〉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와 (사)한국화랑협회가 스페인의 토킹갤러리즈 Talking Galleries와 파트너쉽을 맺고 개최하는 국제 패널토크이다. 초청받은 해외 및 국내 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들이 시각예술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를 통해 대담을 펼치며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려줄 것이다. 컬렉팅, 미디어, 아트마켓리포트, 건축, 디자인 등 5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강연을 들을 수 있다. 〈K–ART Conversation〉 is an international panel talk program hosted by the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 and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in partnership with Talking Galleries. Panels made up of foreign and Korean experts will hold conversations on various subjects related to visual arts. The lecture will consist of five sessions: Collecting, Media, ArtMarket Reports, Architecture and Design.

미술관 및 갤러리는 단순히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을 넘어서 도시의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되어 국제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이 있다. 그들의 건축 스튜디오는 외부와 내부의 완벽한 융합을 통해 작품 설치를 위한 이상적인 공간을 창조한다. 이러한 공간을 건축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과 기준은 무엇이고, 이런 건축물들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Museums and galleries are not just buildings that contain artworks. Many of them get into a sort of rivalry with the artworks it hosts and reach the status of iconic landmark in their city, generating special international focus, e.g. Bilbao’s Guggenheim Museum. Their architectural studios pour all their wisdom into the creation of an ideal spatiality for installing art, designing the perfect fus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What are the main factors and criteria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creating such spaces? How do they conceptually conceive the building?

4F Conference Room(South) 402, COEX, Seoul 언어 Language 한국어, 영어

Art and Design in the AI(Artificial Intelligence) Era Moderator 김광혁, 토탈컨텐츠 랩, 소장 Kwang Hyuk Kim, Total Contents Lab, Director

Korean and English 접수방법 Registration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접수 및 당일 현장접수 Pre–registration via website (www.kiaf.org) & on–site registration 주최 Host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재)예술경영지원센터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주관 Organizer (사)한국화랑협회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파트너 Partner 토킹갤러리즈 Talking Galleries

Session I 10.5 Fri 11:00~12:30 미술과 건축, 공간과 예술의 관계 Art & Architecture. Thinking Spaces for Art

406

Speakers 징 리우, SO – IL architects 설립자 파트너 및 대표, 뉴욕 Jing Liu, Founding Partner and Principal, SO–IL architects, New York 타테오 나카지마, Arts, Culture & Entertainment ARUP, 대표 Tateo Nakajima, Principal of Arts, Culture & Entertainment ARUP

Key Figures and Trends in the Art Market Today: From the Global Scene to the Asian/Korean Context Moderator 조지나 아담, Art Market 작가 겸 저널리스트, The Art Newspaper and Financial Times Georgina Adam, Art Market Author and Journalist

Speakers 마렉클라센, 전무이사, ArtFacts.Net Group Marek Classen, Managing Director, ArtFacts. Net Group 헨리뉴엔도프, 보조 편집자, artnet News Henri Neuendorf, Associate Editor, artnet News

Session II 10.5 Fri 14:00~15:30 AI(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디자인

장소 Venue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층 402

Session III 10.6 Sat 11:00~12:30 오늘 미술 시장의 주요 인물과 트렌드: 글로벌 아트씬에서 아시아 / 한국의 컨텍스트까지

Speakers 김재엽, 마이크로소프트 미국 시애틀 본사, AI & Research 그룹, 인터렉션 리드 디자이너 Jae Yeop Kim, Microsoft, AI & Research Group, Interaction Lead Designer 이석우, SWNA 대표, 산업디자이너 Sukwoo Lee, SWNA Founder, Industrial Designer 엘리엇 우즈, 김치앤칩스, 공동설립자, 아티스트 Elliot Woods, Kimchi and Chips, Co–founder & Artist 민세희, 데이터 시각화 아티스트, 서강대 아트 & 테크놀러지 교수, 랜덤웍스 대표 Sey Min, Data Visualization Artist, Art & Technology Professor, Sogang University 이이남, 이이남 스튜디오, 미디어 아티스트 Lee Nam Lee, Lee Lee Nam Studio, Media Artist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급속도로 진화하는 AI(인공지능)시대에 예술과 디자인의 관계와 역할은 무엇인가. 인간만의 고유 능력으로 여겨지던 창조적 행위 영역이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디자인 실무 전문가들과 국내외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대담을 통해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한다. What is the relationship and role of art and design in the age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rapidly evolves in the wak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look for possibilities and directions through the conversation between design experts and media artists. We will discuss how creative area, that was considered to be human’s own ability, is changing in the new era. 주관: (사)한국화랑협회 Organizer: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결과, 통계 및 주요 추세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미술시장보고서에 기반하여 국제 미술 무역의 현황에 대한 전망을 논의하며, 이를 통해 글로벌 미술계와 지역 및 한국 미술계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 An outlook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ernational art trade through the analysis of results, statistics and main trends put together in annual reports, aiming to draw the picture from the global scene to the regional and Korean art landscape.

Session IV 10.6 Sat 14:00~15:30 오늘날의 컬렉팅 방법 Ways of Collecting Art Today Moderator 조지나 아담, Art Market 작가 겸 저널리스트, The Art Newspaper, Financial Times Georgina Adam, Art Market Author and Journalist, The Art Newspaper and Financial Times Speakers 한 네프켄스, 한 네프켄스 제단, 암스테르담/ 바르셀로나 Han Nefkens, Han Nefkens Foundation, Amsterdam/ Barcelona 프랭크 양, Frank F. Yang Art and Education 재단 설립자, 심천 Frank Yang, Founder of Frank F. Yang Art and Education Foundation, Shenzhen 라몬사우마(설립자)와 크리스티안 아니나테 (수석 디렉터), Colección Ca. Sa, 산티아고 Ramón Sauma (Founder) & Cristián Aninate (Executive Director), Colección Ca. Sa, Santiago de Chile 21 세기 예술을 수집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오늘날의 수집가들은 그들의 역할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오늘날의 컬렉터는 소유하고 있는 것보다 공유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컬렉터들은 단순 예술 작품의 수집을 넘어 예술적 과정에 개입하여 후원, 생산 또는 제도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예술가, 큐레이터,

고문, 박물관 및 기타 종사자들과 함께 새로운 관계와 역동성을 창출하고 있다. What does it mean to collect art in the 21st century? How do collectors envision their role today? Collectors nowadays are more focused in sharing than in possessing, so what does collecting mean today? It no longer entails the mere acquisition of artworks; many collectors now are getting involved in the artistic processes and become engaged with patronage, production or institutions; thus, generating new relationships and dynamics with the artists, curators, advisors, museums and other fellow collectors.

Session V 10.6 Sat 16:30~18:00 예술계에서 소통하기: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방법 Communicating in the Art World: How to Promote your Project effectively Moderator 변홍철, 그레이월 디렉터, 동덕여대 큐레이터학과 겸임교수 Hongchul Byun, Graywall, Director, Adjunct Professor of Dongduk Univ Speakers 레베카 테일러, 부회장, FITZ & CO 런던 Rebecca Taylor, Executive Vice President, FITZ & CO London 에리카 시우, 보조 VP 겸 디렉터, SUTTON PR, 홍콩 Erica Siu, Assistant VP And Director, SUTTON PR, Hong Kong 벨 나티비다드, 마케팅, 소셜 미디어 담당, MACBA 바르셀로나 Bel Natividad, Head of Marketing and Social Media, MACBA Barcelona 킹슬리 자야세케라, 디렉터, 서구룡 문화 지구 마케팅, 고객 경험, 홍콩 Kingsley Jayasekera, Director, Marketing and Customer Experience of West Kowloon Cultural District, Hong Kong 소통은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로젝트의 내용이 왕이라면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만드는 사람과 방법을 아는 것은 성공적인 캠페인의 열쇠이다. 박물관, 상업 갤러리, 비영리 단체 또는 미술 박람회 모두 소통은 프로젝트마다 신중하게 계획되어야 하며 조정된 전략을 필요로 한다. 예술 기관이나 독립적인 PR 기관에서 일하는 선도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과 함께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팀을 조정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Communication is vital to construct a project. The content is king and knowing who and how to address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is a key for a successful campaign. Communicating in the art world involves a carefully planned and tailored strategy for each project –whether it is a museum, a commercial gallery, a non– profit organization or an art fair. Leading communication experts, both working in art institutions or in independent PR agencies, will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in coordinating marketing and communication teams.

407


어든다. 미술계는 축제에 접 리는 아트위크 동안 를 레 날 해마다 KIAF가 열 월은 굵직한 비엔 OUL이 열리는 10 피플의 트 아 계 KIAF 2018 ART SE 개최되며 전 세 와 행사가 연달아 미술과 간 월 는 비롯 흥미로운 전시 다. 올해 KIAF 지는 시기이기도 하 미술 및 터 발걸음이 더욱 바빠 렉 큐레이터, 컬 장 활발히 활동하는 었다. 물 해 대 함께 미술계에서 가 운 ‘아트씬’에 동시대 가장 흥미로 애호가, 비평가에게


김희근 Kim Heegeun

기업인, 벽산엔지니어링 회장 CEO of Byucksan Engineering

김희근 회장은 기업인이자 예술 애호가, 미술 컬렉터, 적극적인 문화예술 후원자로 오랫동안 활동했다. 그는 기업인으로서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것들이 문화예술이고, 그 힘의 원천이 꾸준한 관심과 애정에 있음을 알고 있다. Kim Heegeun is a long–time entrepreneur, art lover, art collector and passionate supporter of arts and culture. He knows that, as an entrepreneur, what he can contribute to the society is art and culture, and that the source of its strength originates from his steadfast interest and affection for art.

마이애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공업경영학과 졸업 및 마이애미대학교 명예박사. 벽산엔지니어링 회장이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나무포럼 회장, 세종솔로이스츠 이사장, 예술경영지원센터 이사장, KIAF 조직위원이다. 2010년, 벽산문화재단을 설립하여 기업의 메세나로서 문화예술 후원에 적극적인 행보를 펼쳐왔다. 제22회 몽블랑 문화예술 후원자상, 2011년 메세나대상 메세나인상을 수상했으며 저서로는 자서전 〈사막에서 인생을 배우다〉가 있다. Kim received his Bachelor’s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from the University of Miami, Master’s degree in Industrial Management from Hanyang University, and honorary doctorate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Miami. He is the president of Byucksan Engineering and the Chairman of Arts Council Korea’s Artistree Forum, as well as the head director of Sejong Soloists and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Kim is also the Organizing Committee member of KIAF. Kim founded the Byucksan Cultural Foundation to actively support art and culture as a corporate mecenat. A recipient of the 22nd Montblanc de la Culture Arts Patronage Award and the 2011 Mecenat Award, Kim wrote about his life in his autobiographical work “Learning Life in the Desert.”

회장님은 기업인이면서 예술 애호가, 미술 컬렉터, 적극적인 문화 예술 후원자로 오랫동안 활동하셨습니다. 기업인으로서 예술이 도움이 되는 때가 있을까요? 점점 많이 생깁니다. 이제는 ‘대한민국’이라는 경계가 의미 없는 시대가 되었죠. 글로벌적인 관계가 일상이 된 지금, 국제적인 사교 활동을 원활하게 하려면 예술적 소양을 기본으로 갖춰야 합니다. 외국인과 만나는 어느 자리건, 문화나 예술을 주제로 대화하는 것은 피할 길이 없습니다. 모르는 사람끼리 처음 나누는 대화에서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도는 서로를 판단하는 기준이기도 하지요. 돈 이야기, 사업 이야기 혹은 사적인 테마로 대화를 이끄는 것은 주로 한국에만 국한된 특이한 현상 같아요. 한국의 보수적인 남성 기업인들이 예술을 남자답지 못한 것이라 여기는 경향이 더러 있지요. 문화에 수많은 기금을 투자하면서 정작 자신은 전시회나 음악회에 시간 내서 가지는 않아요. 저는 ‘기업인’이란 타이틀을 단 그 또래 남자치고는 좀 특이하는 말을 듣지만, 그렇게 ‘특이하다’는 판단 자체가 구시대적인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기업인들도 이제 예술을 향유하는 시대가 되어야 합니다.

원래 그림에 관심은 있으셨는지요? 예술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어떻게 커져왔는지 궁금합니다. 처음 ‘예술’이란 것을 접한 것은 대학 1학년 때 ‘휴머니티’라는 수업에 들어갔을 때입니다. 그때 음악은 어떻게 듣는 것이고 그림은 어떻게 보는 것인지, 일반적이고 기초적인 강의를 들었습니다. 예술을 받아들이는 최초의 경험이었죠. 그 후로 숱한 세월이 지났고, 어느새 예술은 내 일상이 되어버렸습니다. 걷지도 못하는 아이들을 데리고 세계 각지의 박물관을 돌아다녔는데, 그때 보고 느낀 감각이나 정서가 아이들에게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저 역시 논–프로핏(None Profit) 갤러리를 직접 운영하기도 했는데 IMF 때 문을 닫았죠. 제 자신이 그림을 좋아하고 가족도 모두 그림을 공부했고, 그래서 자연히 관심과 애정이 생겼습니다. 제 젊은 시절, 1960년대 당시 재능 있는 여성 친구들은 대체로 미대나 음대를 많이 갔어요. 시간이 지나 해외에서 그들을 만나면 전시회나 음악회에 와달라는 요청을 많이 했고, 그들과 교류하면서 예술과 구체적인 접점이 생겼습니다. 어렵다고 해서 도와준 것이 취미가 되었고 이제 은퇴 이후 주된 생활이 되었죠. 예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제 생활입니다. 라이프, 커뮤니케이션의 대부분이고요.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미술도 좋아합니다. 요즘 와인 붐이 일고 있는데 비싼 와인을 즐기고 지식으로 아는 것이 전부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와인에 맞는 음식을 즐길 줄 알고 자기 생활과 조화되게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예술도 마찬가지예요. 삶과 어우러져야 진정 내게 가치 있는 예술이 되는 겁니다. 한편으론 예술을 조금 다른 측면으로도 볼 수 있어요. 어떤 면에서 제 목적은 예술 그 자체보다 예술이 나를 교화하는 효과에 있는 것도 같습니다. 예술의 아름다움을 자주 접하고 감동하면 이른바 교양 있는 사람, 상대방을 배려하는 사람이 됩니다. 모든 사람에게 그렇지 않을까요? 교화가 이루어지면 그다음엔 나눔이 이어질 거고요. 아직 정리가 안 된 우리 사회에 예술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술은 종합적이기 때문에 사회가 건강해지는 데 큰 도움이 되지요.

그동안 다양한 직책을 맡으면서 문화 예술계에 공헌하셨습니다. 실제로 관련 행정 정책 일을 보게 된 것은 20여 년 전에 예술의전당 이사를 처음 맡으면서였습니다. 그 후 10년 뒤에 문화예술위원회

410

3기 위원으로 기금운용심의회에 있었죠.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이사장에도 임명됐었고요. 지금은 문화예술위원회 예술나무포럼의 회장을 맡고 있습니다. 또 현대미술관회라고 국립현대미술관을 돕는 사단법인이 있는데 곧 40주년이 됩니다. 거기 멤버가 된 지도 30년이 되고 지금 회장으로 있습니다. 얼마 전에는 예술경영센터 이사장직도 맡게 되었습니다. 주어진 시간의 80% 이상은 문화예술 정책과 조직 활성화에 관한 일을 하고 있지요. 무척 바쁘게 지내오셨습니다. 그런 열정에 원동력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IMF 이전엔 30대 재벌로서 여러 사업을 펼쳤는데, IMF 이후로 해외 10여 개 되는 사업을 접고 회사에서도 물러나게 됐습니다. 갤러리도 문을 닫고 한동안 그림도 사지 않았어요. 그러면서 기업은 앞으로 내가 직접 할 일이 아니라 전문 경영인이 잘 운영하도록 터를 닦고 회사의 문화를 만들어야겠구나, 마음먹었습니다. 그러면 나는 이제 무엇을 하고 살 것인가 고민을 많이 했지요. 그 결론이 문화예술에 대한 후원입니다. 내가 자식과 후손들이 잘 자라도록 표본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게 제일 좋겠다 싶었죠. 할 수 있는 만큼 후원을 해주고 시간을 내야겠다고 정했습니다. 제가 지금 이런 일을 하는 근본적인 목적이랄까요. 그것은 배우고 가진 사람, 축복받은 사람이 사회에 많이 환원해야 한다고 생각해서입니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그런 선순환적인 의도가 없으면 제대로 된 자본주의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저는 기업인으로서 경영적인 면이나 시스템에 대해 알고 있는 것들이 있고, 주변에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가능한 하려고 하는 겁니다. 돈 많은 재벌들은 저보다 100배는 예술에 돈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시간을 내는 경우는 드물죠. 그렇게 해서는 변화가 없어요. 예술 기관 대부분을 준공무원들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제가 컨트롤하고 기여할 수 있는 게 있지 않겠나 싶어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술이 좋고 훌륭한 것을 아니까 다 같이 나누고 싶은 거죠. 지금 제 사무실에 꾸며놓은 갤러리는 회사가 산 것이 아니라 거의 제 개인 작품입니다. 회사 직원들도 보고 함께 즐길 수 있게 하려고 만든 겁니다. 직원 누구나 자유롭게 볼 수 있는 오픈 라이브러리에는 여러 훌륭한 미술 책들을 구비해놓았죠. 시간이 되면 직원들이 찾아보고 향유할 수 있게 기회를 주는 거죠.

여러 정부 지원 정책이나 기업 메세나 운동 등이 문화예술계에 힘을 실어주고 있지만, 여전히 어렵고 열악한 곳도 많다고 합니다. 한 개인이나 국가의 척도는 이제 문화 수준에 따라가는 것 같습니다. 문화예술이 경제력만큼 큰 힘이 된 거죠. 그런데 우리는 기본적으로 나라가 문화예술이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요. 저는 그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입니다. 나라가 지원하는 자금은 결국 국민의 세금입니다. 국립오페라단, 오케스트라, 현대미술관 등 모두 예산이 나랏돈으로 운영되고 있지요. 하지만 국가 예산에만 의지하다가는 문화나 예술의 융성을 따라가기 힘이 듭니다. 통계를 보면 100만 달러가 넘는 미술 작품들이 보통 15% 가격이 상승했어요. 양이 한정된 옛날 작품들은 꾸준히 오르고 있죠. 그 가격을 언제까지나 정부가 감당할 수는 없어요. 그러니 국민 개인의 관심과 기부로 예술이 운영되어야 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우리도 국민소득 3만 불 시대이지 않습니까? 소비 수준은 무척 높아졌지만

411


예술에 대한 소비는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아요. 기부 문화가 비교적 잘 조성되어 있는데도, 불우이웃이나 어려운 나라를 위해 보내는 기금도 미국 다음으로 높지만, 예술에 대한 (개인의) 지원은 드뭅니다. 기부자 입장에서 내는 돈에 비해 혜택, 쉽게 말해 생색이 안 나기 때문이죠. 이런 점을 개선해야 합니다. 예술이 정말 좋아서, 팬으로서 사랑해서 기금을 조성하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하죠. 나라 지원이 부족하다고 언제까지나 기다리고만 있어서야 되겠어요? 예술계 자체가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무언가를 만들고, 보여주도록 노력해야죠. 전 세계 미술관을 보면 우리처럼 퍼블릭 펀드, 정부 기관의 기금이 30%를 넘는 곳이 없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시선이 조금씩 바뀌어서 예술 기금을 기업에서 조성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있었죠. 이른바 메세나입니다. 그런데 기업도 잘될 때가 있고 잘 안될 때가 있어요. 그 부침에 따라 가장 쉽게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게 문화예술계에 대한 지원입니다. 한마디로 기업의 지원에만 매달리기도 불안한 거죠. 하지만 외국은 많은 예술기관들이 대학처럼, 개인들의 기부금으로 꾸준하게 운영되고 있어요. 문화예술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이 높기도 하고, 존중심이 있어서 가능한 것이죠. 우리 현대사는 그동안 어떻게 하면 돈을 잘 벌어서 성장할까 골몰하는 데만 치우쳐 있었어요. 지금도 큰 변화는 없지요. 이제는 문화예술 자체도, 그에 대한 의식도 성장해야 할 때입니다.

회장님의 생애 첫 소장 작품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가장 애착이 가는 작품도 궁금합니다. 아주 오래전 일이라 정확하게는 기억이 나지 않네요. 가장 오래된 것은 아마도 우리 집 응접실에 항상 걸려 있는 살바도르 달리의 판화가 아닌가 싶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있는. 아주 간결한 터치의 작품이지요. 1986년에 구입했는데, 당시 형편상 판화 작품 정도 겨우 살 수 있었어요. 부사장 시절에 인사동에서 맛있는 점심을 먹고 30분 정도 화랑에 다니는 모임이 있었어요. 그 친구들과 함께 그림을 많이 보러 다니면서 조금씩 사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애착을 갖는 작품은 없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면서 좋아지는 것이 계속 변합니다. 모르던 것, 안 보던 것을 보면 그것이 좋아져요. 계속 변하죠. 2차원의 평면적인 작품만 보다가 아무것도 아닌 애들 장난감 같기도 한 작품을 보고서는 ‘새롭다’, ‘그것 참 아이디어다’ 하고 감탄합니다. 예술, 비주얼 아트의 또 하나의 장점이 바로 창조성이에요. 내가 갖지 못한, 평생 기업 일만 하던 사람으로서 창의력에 한계가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독창적인 작품을 보면 즐겁고 깨닫는 것이 있죠. 예술을 보고 ‘저게 뭐지?’에 대한 정해진 답은 없다고 합니다. 작가의 마음은 있겠지만, 감상자는 ‘메시지가 뭘까? 색다르네?’ 하는 의문을 구하고 자기 나름대로 상상하고 느끼는 것이죠.

컬렉터로서 어떤 기준으로 작품을 구입하시나요? 〈콜렉터〉라는 책을 보면 그러지 말라고 하지만, 저는 첫인상이 중요합니다. 처음 딱 보고 어떤 느낌이 와서 마음에 좋은 게 있으면 구입하죠. 아까 애착이 가는 것이 딱히 없다고 했는데... 마음에 들어 사서 가져왔는데 너무나 좋다고 주변에서 갖고 싶다는 작품들이 있었어요. 그래서 몇 점 준 그것들이 아쉽긴 아쉽네요.(웃음) 곁에서 떠나니까 더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제 마음에 드는 작품은 대개 새로운 가치를 주는 거예요. 호기심을 자극하죠. 요즘은 홀로그램이나 냄새 나는 것, 연주를 하거나 음악을 따라가는 것처럼 예전엔 도저히 상상하기도 힘들었던 작품들이 나옵니다. 옛날에 알던 그 미술이

412

아니죠. 지금 현대미술관에서 〈예술과 기술의 실험〉이라는 전시를 해요. 1960년대 벨 연구소의 엔지니어와 로버트 라우션버그 같은 예술가가 모여 과학 기술과 예술을 융합하는 실험을 한 결과물을 볼 수 있죠. 1960년 당시 난 그런 게 있는 줄도 몰랐지만, 이제 와서 새롭게 배워갑니다. 시대가 흐를수록 그처럼 새로운 것들이 계속해서 시도되고 탄생하기 때문에, 내가 좋아하는 것 역시 계속해서 바뀝니다. 이런 기준 역시 언젠가 바뀔 수 있겠죠. 지금은 ‘이렇게까지 갈 수 있구나’ 하는 새로움에 지르는 감탄이 즐겁습니다. 본인만의 심미안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아름다움이란 회장님에게 무엇입니까? 기본적으로 컬러풀한 작품을 좋아합니다. 조형적인 균형이나 화려함을 가진 작품을 보며 마음의 기쁨, 만족감을 얻죠. 그것이 원초적인 아름다움이 아닐까요? 그런데 아름다움이라는 인식도 자꾸 바뀝니다. 예를 들어 사무실에 있는 저 루이즈 부르주아의 수채화는 처음 보면 너저분하고 정리가 안 돼 있는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거기에는 작가의 불행한 유년의 기억과 인생이 담겨 있지요. 그것을 알고, 자꾸 보다 보니 이제는 아름다워 보입니다. 화려하고 예쁜, 감각적인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작가의 일생이 깃든 작품에도 아름다움이 있다는 것을 알아가고 있습니다. KIAF의 조직위원을 맡고 계십니다. KIAF와 첫 인연은 어떻게 맺게 되셨는지요? 2009년부터 KIAF 조직위원을 시작했습니다. 내가 작품도 많이 사고, 갤러리도 운영해봤으니 조직위를 운영해달라고 제안했죠. 그때부터 조직위원을 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조직위원회에서 지금의 아내를 만나 결혼을 하기도 했으니, KIAF와는 꽤나 인연이 깊다 할 수 있겠지요. 앞으로 KIAF가 나아갈 방향, 바라는 점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아트페어는 한 장소에서 여러 작품을 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런 구실은 옥션도, 뮤지엄도 하지 못하죠. 그래서 보통 갤러리보다 아트페어에서 작품이 잘 팔립니다. 새로운 작가를 새롭게 발굴하기도 좋고 작가가 스스로를 알리는 좋은 기회도 됩니다. 그러니 일단 KIAF에서도 좋은 작가들이 많이 오게 하고, 그래서 그림의 판매가 왕성해야 합니다. 이제 국내에도 제법 그림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긴 했지만, 국내가 아니라 해외로 나가서 사는 경향이 많습니다. 한국에서 구입하면 훨씬 더 싸고 구입 과정도 수월한데도 그래요. 행사가 끝나면 바로 받아볼 수도 있는데 막대한 비용과 위험을 감수하죠. 그 이유가 뭘까요? 아직까지 국내 아트페어가 컬렉터의 마음을 이끌 만한 매력이 부족한 건 아닐까요? 사고 싶은 그림, 작가의 작품이 더 많이 들어올 수 있게 노력해야 합니다. 아트바젤의 경우 홍콩, 싱가포르, 타이완 등으로 입지를 넓혔죠. 세계적인 작가들이 찾습니다. KIAF도 다각적인 벤치마킹을 통해 더욱 전략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야 할 것입니다. 글: 민소연, 사진: 이승재

You have a long career as an entrepreneur, art lover, art collector and an active and passionate contributor and sponsor in art and culture. Have there been times when art is helpful as an enterpriser? Yes, increasingly so. The boundary of ‘Korea’ is not very meaningful today when global relationships have become a commonplace in daily life. What lies as a basic attribute to facilitating international social activities today is to have artistic literacy, as conversations on culture and art are inevitable when talking with foreigners on any occasion. One’s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 is also a criterion in gauging the other when meeting and conversing with them for the first time.

Have you always been interested in painting? How has your interest and passion in art been nurtured? The first time I ever encountered ‘art’ was in my first–year university when I took a ‘humanities’ course. It was a basic lecture on how music should be listened to and how paintings should be viewed. It was my first experience reading art. Many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and art has naturally become my everyday life. I visited museums all over the world with my children who weren’t even old enough to walk at the time, and I think that my children were influenced by the sensibility or inspirations we saw and felt at the time. I also ran a non–profit gallery but it shut down during the IMF crisis. I liked painting myself and everyone in my family studied painting, so I naturally grew the interest and affection for it. Art is my life now. It’s most of my life and communication. In a way, the purpose in art for me lies more on how it reforms me rather than in art itself. The more one encounters the beauty of art and becomes moved by it, the more cultured and considerate of others one becomes. I think this applies to everyone. When one is reformed, it’s followed by sharing. Art plays a pivotal role in the Korean society which still has some way to go in development in many ways. Art helps tremendously in the society’s healthy growth, because it’s so comprehensive.

Until now, you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assuming various position. The first time I actually became involved in arts administration was 20 some years ago when I was first appointed the Chairman of the Board at Seoul Arts Center. Ten years later, I was in the fund policy team as the 3rd member at Arts Council Korea, and also appointed the director at Korean Symphony. Now, I’m the president of Artistree Forum at Arts Council Korea. There’s an association called the Membership Society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which support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The association is celebrating its 40th anniversary this year. I’ve been a member of the association for 30 years, and now I’m the president of it. Not long ago, I was also appointed Director of the Arts Management Center. I’d say I spend more than 80% of my time working for the revitalization of art and culture policies and organizations.

You have been very busy. Wha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such passion? It would be the fundamental purpose behind my work, which is the conviction that those who are enlightened and blessed enough should return as much as possible to the society. I believe that without the will for the cycle of such virtuous intention in a capitalistic society, there wouldn’t be proper capitalism. As an entrepreneur, I’m equipped both with knowledge and manpower in management and system, so I try to find things that I’m capable of doing and contributing. I wish to share art with everyone because I know how good and wonderful it is. The gallery in my office was not purchased by the company, but consists of my own collection. I set up a gallery space in order for the employees of the company to come and view and appreciate art together. In the open library, there are many great art books available for anyone from the company to freely browse through. These facilities are meant to offer the employees of our company the opportunity to enjoy art in their own free time and will. While various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corporation mecenat and movements have given a boost to the cultural arts community, there are still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many aspects. It seems that an individual or nation is judged by their cultural level. This means that art and culture is as powerful as economic power. We tend to think that fundamentally, the nation must support the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I take a critical stance on this. The funding provided by the nation is ultimately all from taxes of ordinary people. All budget for the National Opera, Orchestra and contemporary art museum is operated with national mone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ommodate thriving art and culture just by relying only on the national budget. Statistics show that art works over $ 1 million have risen in price by 15%. The price of older works of limited quantity is steadily rising, and the government can’t afford the rise in price forever. Therefore, I believe that art should be operated through the interest and donation of individuals. What we need to establish is a culture of individuals raising funds purely out of their love for art. Like universities, many art institutions abroad are operated consistently with donations from individuals.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ublic consciousness and respect for art and culture is higher than in Korea. Our society in the modern history has placed much more weight on making money and growing financially. This is still pretty much the case. Now, it’s time for art and culture itself and the public consciousness of it to grow. What was your very first acquisition? And is there a work that you’re attached to the most? It was so long ago so I don’t remember it exactly, but as far as I remember, the oldest work in my collection would be an etching by Salvador Dali, which hangs in our living room. It’s a very simple work depicting Jesus hanging on the cross. I purchased this work in 1986, when I was the vice president, and was financially just able to purchase one print work. Back in those days, my friends and I would periodically meet

413


for a delicious lunch in Insadong and browse through art galleries in the area for about thirty minutes. We saw a lot of art works together and I began to gradually purchase art. There aren’t any specific works that I’m attached to the most. As time passes and I get older, my taste also changes. When I see something I don’t know or haven’t seen, I begin to like it. What I like constantly changes. After constantly viewing flat, 2–dimensional works, I would be moved and inspired by a simple toy–like work. I think that strength of art lies in creativity. As a lifetime entrepreneur, I am somewhat limited in creativity; so when I see an innovate work of art, it’s a true pleasure and enlightenment for me. In art, there is no right answer in determining what an art work is. While there may be the intention of the artist, it’s more about asking what message it’s trying to convey, and imagining one’s own interpretation of it.

What directions or hopes do you have for KIAF? The biggest advantage of art fairs is that it presents many works of art in one place. This isn’t possible in auctions or museums, so a lot more art works are sold in fairs than in museums or galleries. Art fairs provide a great way of discovering new works and for artists to put themselves and their works out there in the open. Therefore, it’s important to get as many good artists involved in KIAF as possible and to really invigorate art sales. We must make the effort to get more good works by artists. Art Basel has expanded its foothold to Hong Kong, Singapore and Taiwan., and it’s sought after by internationally acclaimed artists. KIAF must also adapt a more strategic and active attitude through versatile benchmarking. Editor: Min Soyeon, Photographer: Lee Seungjae

What criteria do you follow in purchasing art works as a collector? Although the book Collector advises the reader not to do this, I follow my first impression and instincts. When I’m touched by a work of art the first moment I see it, I buy it. Works that intrigue me usually endow new values in me. They stimulate my curiosity. There are works being produced today that weren’t even imaginable in the past, such as works that take on the form of a hologram or a scent, or perform and follow music. They’re not works of art as I knew them in the past. As new attempts are constantly being made and new ideas are born with the passing of generations, things that I like also change constantly. My criteria might also change some day. These days, I’m delighted by the sense of newness in how far works of art can go. Describe your own eye for beauty. What is beauty to you? Fundamentally, I like colorful works. I am delighted when I see works with formative balance or splendor. Perhaps that’s beauty in primitive sense. However, my recognition of what is beautiful also changes. For example, the water painting by Louise Bourgeois in my office may seem messy and chaotic at first. However, this work captures the artists’ unfortunate childhood memories and life. Knowing that, the work is beautiful. I’m realizing that there is beauty not only in what is splendid and visually pleasing, but also in works that capture the very life of its creator. You’re the organizing committee member of KIAF. How did you become involved in KIAF in the first place? I became an organizing committee member at KIAF since 2009. I suggested that I run the committee because I have experience purchasing art and running galleries. I’ve been in organizing committee since then. My involvement with KIAF is very meaningful because I also met and married my wife through the organizing committee.

414

컬렉터의 심미안과 열정이 배인 컬렉션은 일상에서 큰 보람을 가져다 준다. 김희근 회장의 집무실 겸 응접실은 하나의 컬렉션 갤러리로, 크리스토프 앤 쟌느 클로드(Christo & Jeanne Cluade)의 〈The Mastaba〉, 토마스 러프(Thomas Ruff)의 〈Substrat 23 II〉, 프레처 벤톤(Fletcher Benton)의 〈Balanced/Unbalanced U〉, 브리짓 코완즈(Brigitte Kowanz)의 〈Untitled〉 (아래 작품)를 비롯 다양한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415


실바인 레비

컬렉터

Sylvain Lévy

Collector

실바인 레비는 프랑스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슈퍼컬렉터다. 그가 꾸려가는 DSL컬렉션은 E–BOOK(이북)과 디지털 매거진을 넘어 VR(가상현실)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과 소통한다. 스타트업의 기민함을 닮고자 하는 그의 혁신적인 행보는 오늘날 디지털 환경에서 컬렉션의 범위와 영향력이 얼마나 넓어질 수 있을지 가능성을 보여준다. Sylvain Lévy is a French–based super collector. DSL Collection, which he manages, is able to communicate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through virtual reality (VR) beyond E–BOOK and digital magazine. His innovative move to resemble the agility of a startup shows the potential to broaden the scope and influence of the collection in today’s digital world.

34년이라는 시간 동안 컬렉터로 살아오셨습니다. 컬렉팅을 시작한 계기는? 그리고 가장 의미 있는 가치는 무엇입니까. 아내 도미니크와 고전주의 예술품을 처음 접하면서 시작했고 이후 디자인 분야의 컬렉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론 아라드, 마크 뉴슨, 로낭·에르완 부훌레크 형제와 수많은 이탈리아 디자이너의 작품을 수집하기 시작했죠. 13년 전부터는 파격적인 변화를 시도했는데 중국 현대미술에만 집중하기 시작했어요. 최신 인터랙티브 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넓은 관객층이 컬렉션에 접할 수 있도록 변화를 주었습니다. DSL컬렉션의 시작이죠. 컬렉터로서 가장 의미 있는 것은 컬렉션 활동이 우리의 삶을 변화시킨다는 거죠.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주었고 새로운 문화를 발견하며 호기심과 개방적인 자세를 갖추게 했습니다.

2005년 시작한 DSL컬렉션은 유럽에서 보기 드문 중국 현대미술 컬렉션입니다. 아이웨이웨이나 정판츠 같은 대표적인 작가 외에도 송위엔위엔 같은 젊은 작가들도 당신의 컬렉션에 포함되어 있죠. 중국 현대미술의 어떤 점이 그토록 매력적이었나요? 일각에서 ‘예술은 사회를 비추는 거울과도 같은 것’이라 하지요. 중국은 그런 방면에서 극적인 요소가 많은 나라입니다. 판도라의 상자와 같다고 할 수 있죠. 예술가, 건축가, 작가에게 중국은 새로운 사회질서 속에서 현대 예술의 역할을 재해석하기에 매력적인 맥락을 제공해준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중국 현대미술’을 컬렉팅한다는 것은 공산주의 시대 이후 중국이라는 나라가 겪은 혼돈과 모순을 풀어보고자 하는, 매우 시의적절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을 비롯해 아시아 전반의 미술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 안에는 한국 현대미술도 포함되어 있는데, 컬렉터로서 한국의 미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한국과 중국 모두 20세기 후반 급격한 변화를 걸쳐간 ‘능동적인 문화’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중 예술가들은 이미 글로벌 미술 시장에서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있죠. 한국의 미술은 매우 다양하고 깊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수한 갤러리, 작가, 미술관, 컬렉터가 있고, 탄탄한 미술 생태계가 뒷받침하고 있죠. 작업 당시 사회적 배경에 고착되었던 중국 작품에 비해 한국 작가들의 작품은 사회 반경을 넘어선, 보다 자유롭고 실험적인 면모를 보여왔습니다. 영국 헤이워드 갤러리에서 열린 이불 작가의 개인전을 감상한 적이 있는데, 매우 인상적인 경험이었죠.

개인 컬렉션은 보통 나 자신을 위해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온라인상에서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으시죠. 생애 기간 동안 컬렉션을 완성한 뒤 공공 기관에 기증하여 대중과 함께 향유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에서의 ‘공유’를 선택하셨습니다. 실바인 레비는 중국 현대미술 분야의 주요한 컬렉터로, DSL컬렉션을 운영하고 있다. 상하이 대학 미술사 및 예술 경영 초대 교수, 테이트 모던 국제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컬렉터로서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416

Sylvain Lévy is a French–based super collector. He is a leading collectors of Chinese contemporary art. He is a visiting professor of Art History and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of Shanghai and guest lecturer at various leading universities. He is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ate Modern.

미술은 공유하기 위해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작품을 감상하는 것은 결코 혼자 하는 경험이 아닙니다. 문화 예술은 세계관이 극단적으로 다른 사람들일지라도 함께 모여 하나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우리 사회의 몇 안 되는 분야입니다. 컬렉션을 공유한다는 것은 우리의 직관성, 불확실성, 창의력을 독려하게 되고, 또 새로운 아이디어를 지속해서 찾아나가도록 해준다고 생각해요. 그 때문에

컬렉션이란 단순히 여러 물건의 집합이 아니라 문화가 성장하는 단계, 혁신, 브랜딩, 콘텐츠, 사회적인 관계망, 전시와 엮인 창조적 사업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DSL컬렉션은 ‘Less is more(간결함 속에 더 많은 것이 있다)’를 기치로 삼고, 작품 수를 350점으로 제한합니다. 매년 10%가량 작품을 교체하여 동시대성을 유지하는 한편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유기적인 컬렉션이라고 할 수 있죠. 저는 미켈란젤로와 로댕의 ‘non finito(미완성)’ 정신을 본받아 완벽함에 집착하지 않아요. 오히려 혁신적인 변화에 민감한 컬렉션이라고 할 수 있어요. 스타트업 기업이 가진 민첩함과 유연성에서 영감을 얻습니다. 컬렉션 사업의 성공 지표는 작품의 수치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오리지낼리티, 영향력, 파괴성 등 다방면의 가치를 포함해야 해요. 동시대의 흐름에 맞춰 나아가기 위해서는 ‘묵상’의 세계로부터 ‘경험’의 세계로 발진해나가야 합니다. 스티브 잡스도 ‘미치도록 멋진 경험’을 만들어나가자고 한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의 작품을 공유하고 토론하기 위해 모이게 되면 서로의 차이점과 서로에 대해 더 관대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미술에 대한 소통을 통해 서로의 정체성을 더욱 잘 파악하고 ‘우리’라는 개념을 더욱 확장해나갈 수 있겠지요.

말씀하신 것처럼 DSL컬렉션은 E–Book을 넘어 VR 환경을 구축하는 등 디지털 환경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모든 분야에 해당하는 이슈겠지만, 세대와 장르를 빠르게 허물며 다변하는 디지털 환경은 예술 컬렉션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요? DSL컬렉션의 웹사이트(dslcollection.org)가 개설된 것은 2005년입니다. 당시 배경을 설명하자면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탄생한 해로, ‘온라인 컬렉션’이라는 개념이 제법 혁신적인 발상이었던 때죠. 우리는 디지털 환경이 새로운 종류의 ‘경험’을 창출하고 있음을 알아챘고, 시대의 흐름을 빠르게 인식했어요. 물론 작품을 직접 감상하는 경험 자체를 대체하려는 노력은 아니었으나, 새로운 종류의 경험을 만들어내고 더 많은, 특히 젊은 관객층에게 작품을 나누고자 한 것입니다. 온라인 가상 세계인 ‘세컨드라이프’에 최초로 미술관을 개장한 것도 우리였습니다. 그 후 디지털 기술 발전의 흐름을 주시하며 가상 체험의 다음 단계인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웹사이트를 통해 많은 경험을 할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 ‘미술 세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컬렉션을 시작했던 과거에 비해 최근 어떤 점이 가장 변화했다고 생각하나요. 미술 컬렉션 분야는 34년 전 우리가 컬렉팅을 시작할 때에 비해 급격히 변했어요. 당시에는 작가가 한 곳의 갤러리에서 한평생 커리어를 쌓아오던 시절이었고, 아트페어도 많지 않았으며 경매 시장도 작았습니다. 반면 오늘날 미술 시장은 작품의 상품화, 유료화, 브랜드화 같은 요소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미술 시장도 더욱 글로벌화되었고요. 컬렉터의 경우, 요즘은 예전에 비해 컬렉션을 구축하는 데 인내심이 덜한 것 같습니다. 또 작품의 금전적인 가치, 작가와 갤러리의 브랜드 가치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417


한국에서는 가족이 함께 컬렉팅을 하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부부가 함께, 또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들여 컬렉션을 만들어나간다는 것은 굉장히 근사한 일인 것 같습니다. 아내와 함께 컬렉팅하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입니다. 부부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함께 만들어나가며 타협점을 배워나갈 수 있는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내외는 이 프로젝트를 자녀에게도 물려주고 싶어요. 우리 딸, 캐런도 컬렉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기 또래의 밀레니얼 세대가 겪고 있는 이슈를 다루고 있죠.

2016년부터 KIAF에 꾸준히 방문하고 계시죠. 개인적으로 어떤 인상인지 궁금합니다. 저에겐 한국 미술 작품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고 또 흥미로운 아트페어인 것 같습니다. 컨버세이션 프로그램에서 진행하는 강연, 토론도 감명 깊게 들었고 또 한국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죠. 아, 서울에는 미술관, 갤러리, 식당 등이 넘치는 것 같네요.

한국에 방문할 때 꼭 방문하는 곳이 있나요? 혹은 추천해주고 싶은 곳은? 서울에서 미술 투어를 한다면 박물관과 미술관부터 꼭 들러보라고 할 거예요. 특히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적극 추천합니다. 다음으로 문화역서울284, 디 뮤지엄, 아트선재센터, 삼성미술관 리움 등 사립 미술관도 추천합니다. 물론 상업 갤러리도 꼭 방문해야 하고요. 하지만 서울에서 가장 전율이 돋는 작품을 보려면 무엇보다 미술관 밖에 있는 서울의 길거리를 느껴보라고 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컬렉터로서 하고 싶은 말씀은. 딱 한마디만 덧붙이자면, 이 말을 하고 싶어요. “컬렉팅은 평범한 사람에게 특별한 삶을 선사합니다.” 글: 이소진, 사진: DSL Collection 제공

You’ve been a collector for 34 years. How did you get into collecting, and what is the most meaningful value in it? With my wife Dominique we approached collecting more than thirty years ago through classical art and then design; Ron Arad, Marc Newson, Ronan and Erwan Bouroullec, as well as many Italian designers. It was thirteen years ago that we decided to make a strong and decisive shift, to focus solely on contemporary Chinese art, and make the collection available to a wider public using the most advanced and interactive technologies. The dslcollection was founded. Our collecting journey has totally transformed our life. It has given us a new meaning to it. It made us we discover new cultures. It has encouraged curiosity and openness.

Founded in 2005, the DSL Collection is one of the rare Chinese contemporary art collections in Europe, featuring works by leading figures like Ai Weiwei and Zeng Fanzhi as well as by younger artists such as Song

418

Yuanyuan. What excites you the most about Chinese contemporary art? One says art is a mirror of society. There is no doubt that China is extreme in every way. China is a Pandora’s Box whereby an immediate meltdown may happen any minute. It offers an engaging context for artists, architects and writers alike to redefine the role of contemporary art relative to a new social order. It follows that to assemble a collection of “contemporary Chinese art” in hope of unravelling the complexities/contradictions of a post–communist state is more than timely.

I head that your interest goes beyond Chinese art, to the art of Asia in general including Korea. As a collector, what do you think of Korean contemporary art? Korean and Chinese cultures are often described as dynamic for the rapid changes they went through during the la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ir artists have already established themselves in the global art market. Korean art is very diverse and very rich. It is also supported by a very strong art ecosystem made of excellent galleries, artists museums and collectors. As opposed to the Chinese artists’ works, which were rooted deep in the social grounds they were born into, the Korean artists displayed more free–thinking experiments taking place beyond the social realm. I have seen Lee Bul exhibition at the Hayward Gallery. A memorable experience!

While a private collection is usually considered something personal and private, you made your collection public online, open to everyone. You have chosen a different meaning of ‘sharing’ your collection, taking a different approach from completing a collection throughout one’s life, then donating it to a public institution to share with the public. Art is made to be shared. Engaging with art is not simply a solitary event. The arts and culture represent one of the few areas in our society where people can come together to share an experience even if they see the world in radically different ways. Opening the collection also encourages us to cherish intuition, uncertainty, and creativity and to search constantly for new ideas. That is why we do believe that collection should be not just a collection of objects but also an entrepreneurial project that fosters cultural growth, invests in customer–focused innovations, branding and content, social networks and exhibitions.the DSL Collection project is “Less is more”. The collection is limited to 350 works, adding and subtracting 10% of the works every year to constantly keep it contemporary. DSL Collection is an organic collection that consistently renews itself. It is inspired by the concept of “the non–finito spirit” of Michel Angelo and Rodin which is about unfinished works and the refusal of the sole quest of perfection. It is influenced by the revolution of new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working practices, inspired by the agility and flexibility of start–ups; the affluent society, its cult of happiness and the search for simplicity and self–awareness; and the process of humanization that is leading us to focus on our humanity. It has fixed new metrics of success not only related to

numbers but on the quest of being authentic, singular, influential disruptive and close to the people. Keeping up with our time is also to go from a world of contemplation to a world of experience. Steve jobs speak of creating “Insanely great experiences”. I am also convinced that by bringing us together to share and discuss, a work of art can make us more tolerant of difference and of one another. The encounter with art – and with others over art – can help us identify with one another, expand our notions of we. From E–Book to VR environment, DSL Collection has a strong digital presence with your online platform. While this idea applies to all fields, how has the digital environment, which instantly collapses generations and genres, affected the art collection? To put it in context 2005 is the beginning of YouTube, it was quite innovative at this time to put a collection on the internet. Very quickly we noticed that the digital world was creating new types of experiences. Naturally, it was not about replacing looking at an artwork in the flesh, it was about creating new types of experiences and allowing it to reach much more people, especially a young audience. This is how we went from a 2D museum to the museum. We were the first to open a museum in Second Life. After, because we were surfing the digital waves, we went into VR since VR is the next step. People will experience a certain number of things, but also the art world. This is how we went into VR.

Is there anywhere special you visit when you come to Korea? Or is there anywhere you recommend people to visit? The first stop on any contemporary art tour of Seoul should be the museums: The National Museum of Art and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condly the private collections like station museum, D museum, Art sonje and Samsung Museum Leeum. Naturally visiting the commercial art galleries is a must. But To really get a feel for Seoul’s most thrilling artworks, you have also to get outside of the museums and onto the city’s streets.

Last thing you wish to say to the readers as a collector? I shall add just one sentence, “Collecting can make an ordinary person have an extraordinary life”. Editor: Lee Sojin, Photo: courtesy of DSL Collection

What do you think has changed the most, compared to the past when you first started collecting? Collecting art has drastically changed since we began to collect 34 years ago. At that time an artist made all his career in one gallery. There were few art fairs and the auction market was small. Today art is strongly impacted by the commodification, the monetisation, the branding of artworks. All the more the art market has become global. As for collectors, they are less patient to build their collection and they seem to privilege the monetary aspect and branded artists and galleries.

In Korea, families rarely collect together. It’s so great that you, Dominique, and even your children are creating this collection together as a family. Collecting with my wife is s great adventure. It allows the couple to build a common project, to learn the art of compromise. We intend to transmit this project to our children. Today Karen our daughter is managing the collection and addressing the issues of her millennial generation.

You’ve been coming to KIAF since 2016. What do you think of KIAF?

DSL컬렉션의 가상현실 미술관은 세계 최초의 개인 VR 미술관으로, 실바인과 도미니크 레비가 컬렉션한 중국 현대미술 작품을 소개한다. 가상 속 공간을 돌아보며 페인팅, 영상, 설치 작품을 감상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I think it is an interesting fair. You can discover the art created in Korea. In terms of the talks I have attended, I have found them very inspiring. It also gives me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Korean lifestyle: The city center brims with museums, galleries and restaurants.

419


유진상 Yoo Jinsang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과 교수, 미술 비평가, 전시 기획자

유진상 교수는 25여 년의 시간 동안 평론가이자 전시 기획자로 활동해왔다. 변화하는 미술계와 아트페어의 역사를 지켜봐온 그에게 미술 시장이 나아갈 길과 전망을 물었다.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Intermedia Arts at Kaywon Art University, an Art Critic and Curator

An art critic and curator for the last 25 years, Professor Yoo Jinsang at Kaywon Art University is a living witness of the changing history of the art world and art fairs. Here, Yoo speaks his mind on the future directivity and propsect of the art market in Korea.

서울대학교 서양학과 졸업, 파리 국립장식미술학교 및 파리 국립 제1대학 조형예술학 및 제8대학 철학 연구심화학위(D.E.A)를 졸업했다. 1993년부터 평론가, 전시 기획자로 활동해왔으며 2013년 대구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우주보다 더 좋은 Better than Universe〉 전시감독, 2013년 KIAF Art Flash 〈내가 백남준에 대해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 제 7회 서울국제미디어아트 비엔날레 〈너에게 주문을 건다 Spell on you〉 총감독,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전 〈추상하라! Abstract it!〉, 2008년 제 1회 아시아프(ASYAAF) 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현재 예술경영지원센터 비상임 이사, KIAF 운영위원, 광주비엔날레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다수의 비평을 출간했으며, 역서로는 질 들뢰즈의 〈영화1 : 운동– 이미지〉가 있다. Yoo graduated from with a BFA in Western Pain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also studied Plastic Arts at L’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Arts Décoratifs and Université Paris 1, and received his D.E.A (Master’s degree) in Philosophy at Université Paris 8. A critic and curator since 1993, Yoo was appointed the chief curator for 2013 Daegu Media Art Festival 〈Better than Universe〉, the director of KIAF Art Flash 〈2 or 3 Things I Know About Nam June Paik〉 and the 7th Seoul International Media Art Biennale 〈Spell on You〉. He was also the chief director of the 2010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ollection Highlight Exhibition 〈Abstract it!〉 and The 1st ASYAAF in 2008. Currently, Yoo is the non–executive director of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 steering committee member of KIAF, and an advisor to the Gwangju Biennale. He has published numerous critical writings, and translated Cinema 1: The Movement Image by Gilles Deleuze.

교육인이자 미술 비평가, 전시 기획자로도 폭넓은 활동을 해오셨습니다. 최근 어떻게 지내셨는지 궁금합니다. 늘 그렇듯 학교에 나와 강의하고 여기저기 칼럼도 쓰고요. 갤러리 다녀오고, 전시 보고 리뷰 쓰고 그렇게 지냈네요. 곧 프랑스의 한 기관에서 한국 미술을 주제로 하는 〈메이드 바이 코리아〉라는 도록이 나오는데, 그 출판 작업의 공동 책임 기획을 맡고 있습니다. 한국 현대미술을 해외에, 특히 유럽에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드는 책이에요. 몇만 부 찍어서 미술 관련 기관에 무상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나름 의미 있는 작업이지요. 또 뭐가 있을까요. 예술경영지원센터 비상임 이사, KIAF 운영위원, 비영리 기관인 아마도 예술공간 운영위원, 광주비엔날레 자문위원 등 여러 일들을 맡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가급적 개인적인 연구 프로젝트에 신경을 더 쓰려고 하고 있어요. 미술 시장 쪽 연구도 그렇고요.

미술 시장 이야기를 하셨는데, 교수님께서 보는 앞으로의 국내 미술 시장의 전망은 어떨까요? 저는 우리나라 미술 시장이 ‘이렇게 나아가면 참 좋을 텐데’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어요. 먼저 국내 미술 시장이 1조 원대 규모로 진입하는 것. 2017년 아트바젤이 발표한 전 세계 미술 시장의 규모는 566억 달러, 약 60조 원입니다. 이 중 미국이 약 40%, 영국이 21% 그리고 중국이 20%를 차지합니다. 세 나라가 80%의 비중을 차지하는 거죠. 지금 우리나라 미술 시장은 약 3500억 원에서 4000 억 원 규모입니다. 세계 시장에서 0.6%를 차지하고 있는데, 세계 GDP 순위나 경제 규모와 비교했을 때 턱없이 낮은 수준입니다. 최소 1조 원 규모는 되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지금보다 3배는 커져야 하는 거죠. 두 번째는 글로벌 아트 씬에서 활동하는 메이저 갤러리가 더 많아져야 한다는 것. 아트바젤이나 프리즈 아트페어 등 국제 행사에 참여하는 갤러리가 더 늘어야 합니다. 세 번째는 한국의 젊은 작가들이 해외로 뻗어나갈 수 있는 ‘채널의 다변화’입니다. 해외 기관에서 작가에게 컨택트할 수 있는 폭이 너무 비좁아요.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큰데 창구가 조금 더 다변화된다면, 특정 갤러리나 단체에 편중되는 현상이 점차 해소되겠죠. 작가가 각자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인 거죠.

조금 더 해야 할 숙제들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 세계 미술 시장의 매출 가운데 50% 이상이 현대미술 (contemporary art)이라는 점은 짚어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지금으로부터 10년 혹은 20년 이내에 세상에 나온 작품들이 미술 시장 매출의 절반이라는 사실이죠. 제2차세계대전 이전의 근현대미술, 즉 모던 아트는 23%, 인상주의와 후기 인상주의 회화는 12%, 고미술이나 기타가 10%를 차지합니다. 예전에는 근현대미술이 시장의 주류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현대미술이 단연 그 위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국내 미술시장이 현대미술에 대해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갤러리 역시 현대미술에 특화된 프로모션이나 비즈니스 전략을 짜야 하고요.

국내 미술 시장이 크려면 해외에 나가야 한다고 늘 강조하셨습니다. 아시아를 넘어 북미 및 유럽권에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K–Pop 현상’이 미술계에도 올까요?

420

영화, 음악, 게임 등 문화 산업은 해외에서 수입을 벌어들이는 구조가 되었어요. 관광 산업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해외 관광객 유치는 중요한 사안이죠. 미술은 아직 준비가 필요해 보여요. 로컬을 지향하는 것도

좋지만, 아시아를 향한 컬렉션이 필요한 때입니다. 저는 그런 점에서 약 4000억 원 규모의 아시아 아트를 컬렉팅하고 있는 홍콩 엠플러스 (M+) 갤러리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똑같이 따라 한다기보다는 ‘아시아’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거죠. 홍콩과 상하이 그리고 싱가포르는 ‘아시아’와 ‘동시대 콘텐츠’를 키워드로 하는 공공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정책은 아시아 미술관, 문화관광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과 맞물려 있다고 봅니다. 교수님께서는 KIAF 운영위원으로도 활동하고 계십니다. 2013 년 행사 때는 ‘아트 플래시 Art Flash’ 프로그램을 통해 백남준의 예술 세계를 조망하는 특별전, 〈백남준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두, 세 가지 것들〉을 선보이셨고요. 누구보다 KIAF의 특징이나 영향력 등에 대해 잘 아실 것 같습니다. KIAF가 국내 최대의 아트페어로서 갖는 위치와 영향력이 분명 있습니다. 아트페어도 ‘쇼’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 흥미로운 기획들을 보여줬고요. 예를 들어 작년에는 김노암 전시 기획자를 초빙해 다양한 미디어 인스톨레이션(2017 KIAF 특별전 〈너의 언어로 번역되지 않는 것들 Ineffable Things〉) 을 보여주었고, 회랑을 넓히고, 관람 동선을 심플하게 개선해 관람객이 갤러리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고요. 바람이 있다면, 이런 부대 행사나 기획들이 더 빛을 볼 수 있는 공간적 자유로움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에요. 지금 코엑스는 서울에서 가장 크고 좋은 전시 공간이지만 앞으로 더 흥미로운 컨벤션 센터가 생기면 좋지 않을까요. 아트바젤 홍콩의 경우 페어 기간에 갤러리들이 자체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부대 전시들이 열리고, 스폿성으로 열리는 기획전들이 관람객의 흥미를 끌거든요. 라운지나 카페테리아가 잘 운영되고 있는 점도 행사의 퀄리티를 높이고요. KIAF가 열리는 기간은 광주 비엔날레, 부산 비엔날레 등 전국적으로 큰 미술계 행사가 열리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교수님께서 이 기간에 가장 눈여겨보는 이슈는 무엇일까요? 주요 미술 행사가 열리는 기간이지요. 한편으로는 그런 생각을 합니다. 상파울루 비엔날레가 지역아트페어와 함께 행사를 기획해 시너지를 냈던 것처럼 KIAF도 비엔날레와 함께 아트 위크 동안 대대적으로 무언가를 진행해보면 좋겠다. (인터뷰를 하고 몇 일 뒤, 올해 KIAF가 광주비엔날레와 함께 공동 기획한 특별전을 선보인다는 소식이 들려 왔다.)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는 순간 가장 ‘핫한’ 문화가 바로 미술입니다. ‘한류 열풍’만큼이나 파급력이 있죠. 아트페어나 비엔날레 등 미술 행사가 열리는 기간은 온 도시가 미술 축제로 뜨겁게 달아오릅니다. 행사 분위기가 도시 전체에 흘러넘치고요. 해외 아트페어 주변에는 위성 아트페어나 언리미트 페어가 열리는데, 그런 페어들이 꽤 재밌고, 도시 곳곳에서 공공미술 가까운 행사들이 열립니다. 축제 간의 네트워킹이 시너지를 일으키는 느낌이 필요해요. 관계자들이 오는 행사를 지향하기보다는 누구나 참여하고 싶은 흥미로운 에너지가 살아나야 합니다. 유럽을 예로 들면, 예전에는 교회가 도시의 중심 구실을 했지만, 지금은 미술관이 그 역할을 합니다. 도시를 찾는 사람들을 미술관이 빨아들이고 있는 것이죠.

421


뾰족한 지적들을 해주셨지만, 그만큼 국내 미술시장이 가진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생깁니다. 여러 분야에서 미술은 점점 더 그 영향력을 뻗칠 것입니다. 우리가 한동안 인문학에 푹 빠져 있던 것처럼요. 콘텐츠의 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에 맞는 미술 교육이 필요합니다. 미술은 심도 있는 철학을 요구하고, 존재의 가치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할 겁니다. 미술시장은 날 선 감각을 유지하고, 고급 콘텐츠를 유통시켜야 하는 곳입니다. 그런 역할을 KIAF가 해주기를 바랍니다.

글: 이소진, 사진: 이승재, 도움: 계원예술대학교도서관

You have led an expansive career as an educator, art critic and exhibition curator. What have you been up to lately? As I have always done, I’ve been teaching at the university, writing columns here and there, visiting galleries and writing exhibition reviews. I recently co–organized Made by Korea, a catalogue on Korean art published by an organization in France. The catalogue was published with the objective of presenting Korean contemporary art to the international audience, especially in Europe. We hope to publish tens of thousands of this catalogue and distribute them for free in art–related organizations, so it’s quite a meaningful project. What else? I’m also a non–executive director of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 KIAF executive committee member, an administration committee member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AMADO Art Space, and an advisor to the Gwangju Biennale. Recently, I’ve been trying to focus as much as possible on my personal research project, as well as on art market research.

Seeing how you mentioned art market research, what is your outlook on the future of Korean art market? I have a few personal hopes in terms of the directions the Korean art market should take. First, I hope for the domestic art market to enter the scale of 1 trillion won market. In 2017, Art Basel announced that the global art market is worth $56.6 billion, or about 60 trillion won. US accounts for about 40% of the global art market, while UK 21% and China 20%, meaning that three countries dominate 80% of the global art market. Presently, the art market in Korea is about 350 to 400 billion won. It accounts for 0.6% of the world market, which is extremely low compared to its GDP ranking and economic scale. The art market should be worth at least 1 trillion won, which means it has to be three times larger than it is now. Second wishful thinking is that more major galleries become involved in the global art scene. There should be more galleries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Art Basel and Freeze Art Fair. Third hopeful direction that the Korean art market takes is the ‘diversification of channels’ through which young Korean artists can expand their practices abroad. It’s presently too difficult and narrow for overseas organizations to contact artists. Opportunities are likely to be opened up, but the problem of global focus only on the specific galleries or organizations in Korea should gradually expand once the

422

window becomes more diversified. I believe that artists should be able to select their own options.

held in galleries that partake in the fair on their own, and exhibitions that spring up on the spot attract the visitors. Well–managed lounges and cafeterias also enhance the quality of the event.

It sounds like you’re staying there’s still some room for improvement. It’s important to note that over 50% of the global art market sales is contemporary art. This means that works produced in the last 10 or 20 years take up half of the art market sales. 23% of the sales is modern art works produced after the second World War, while 12% is Impressionist and Post–Impressionist paintings, and 10% is classical art and other works. While modern art was the mainstream in the market in the past, contemporary art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the market today. This phenomenon illustrates that Korean art market must pay more attention to contemporary art, and that galleries also need to make promotions and business strategies specializing in contemporary art.

You have emphasized that the Korean art market must venture out globally in order for it to grow. Do you think Korean art world can ever influence beyond Asia, to North America and Europe like ‘K–Pop’? Cultural industries such as films, music and game, etc., have become a structure that generates profit overseas. So has the tourism industry; thus, attracting foreign tourists is an important matter. I think the Korean art world, though, still has some way to go. It’s good to look locally, but what we need now is a collection for Asia. In that respect, I think it’s necessary to benchmark (M +) Gallery in Hong Kong which boasts a collection of about 400 billion won of Asian art. I just mean that we must keep ‘Asia’ in mind, rather than follow what they’re doing. Hong Kong, Shanghai and Singapore are building a public collection with the keywords ‘Asia’ and ‘contemporary content’. In the long rum, such policies are in line with the strategies to take over museums and cultural tourism markets in Asia. As a steering committee member of KIAF, you presented the special exhibition “2 or 3 Things I Know About Nam June Paik”, which shed a light on the art world of Nam June Paik through the ‘Art Flash’ program in 2013. How do you see the status and power of KIAF in the Korean art world? KIAF certainly holds a definite status and power as the largest art fair in Korea. Art fairs have an element of ‘show’ in them, so interesting projects are generated in that aspect. For example, we invited the exhibition curator Noam Kim and presented various media installations in 2017 KIAF special exhibition Ineffable Things last year. We’ve also been making persistent efforts to facilitate the public approach to the gallery, such as widening the space and simplifying the flow of visitor’s traffic in the exhibition space. One thing that I hope is for there to be the spatial freedom that makes these extra events and projects more special. Although COEX may currently be the largest and best exhibition space in Korea, wouldn’t it be nice if a more interesting convention center opened up in the future? For instance, during Art Basel Hong Kong, diverse extra events and exhibitions are

The period when KIAF is held is also when large art events like Gwangju Biennale and Busan Biennale are held throughout Korea. What are some issues you focus on during this period? It’s a period of major art events. On one hand, I think how nice it would be if KIAF can show something much bigger along with the biennales during the art week, just like how Sao Paolo Biennale organizes events with the art fair and produces synergy effect. That’s must my wishful thinking. (A few days after the interview, there was news that KIAF will unveil a special exhibition organized by Gwangju Biennale this year.) Art becomes the ‘hottest’ culture the moment a nation joins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It’s as powerful and influential as the ‘Korean wave’. The entire city becomes passionate with art festivals during the period of art fairs and biennales as the city brims with energy and passion. Satellite art fairs and unlimited fairs spring up around international art fairs in other countries. They’re quite interesting and fun, and other pubic art events open up throughout the city. What must be produced is a synergy effect through networking during the festival period. Rather than being an event for those involved, it must generate energy that’s fascinating and absorbing enough for everyone. While the church played the center of the city in the past in Europe, it’s now the art museum which plays that role. The art museum draws in those who seek the city.

Your points of criticism are as sharp as they’re hopeful, reminding us of the potential for growth in the Korean art market. Art will continue to increasingly expand its influence and power in various areas, just like there was a popular trend in humanities for a while in Korea. Art education matching the increased level of complexity in art content is needed. Art demands deep philosophy, and will endlessly question the value of existence. The art market is site which must keep its sharp sensibility and continue the circulation of exceptional content. And I hope for KIAF to do just that. Editor: Lee Sojin, Photographer: Lee Seungjae

423


김현진

큐레이터, 비평가

Kim Hyunjin

Curator, Writer(Art Critic)

비엔날레의 왕좌에서 내려온 적 없는 베니스비엔날레. 국가관 전시가 열리는 베니스 지아르디시 공원에 1995년 입성한 한국관은 2019년에는 김현진 큐레이터와 3명의 작가(남화연, 정은영, 제인 진 카이젠)가 참여해 꾸며지게 됐다. 한국관을 책임질 김현진 큐레이터를 만나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 대한 구상과 국내외 미술동향, 그리고 미술시장 등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는 자리를 가졌다. The Venice Biennale has always ranked the top art biennale in the world. In 2019, curator Kim Hyunjin and 3 artists (Hwayeon Nam, Eunyoung Jeong and Jane Jean Kaizen) will take over the Korean Pavilion, built in 1995 in the Giardini Park in Venice where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opens. Here, Kim talks about her conception on the Korean Pavilion in Venice Biennal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trends, and her outlook on the art market.

큐레이터, 비평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현진은 1999년 대안공간 루프 큐레이터를 시작으로 제7회 광주비엔날레 공동 큐레이터(2008), 아르코 미술관장(2014~2015)을 역임했고, 현재는 카디스트(KADIST, 샌프란시스코 소재) 아시아 지역 수석큐레이터로, 20여 년 전시기획의 최전선에서 활동한 내공을 가진 큐레이터다. 주요 전시로는 〈2 or 3 Tigers〉(베를린 세계문화의 집, 2017), 〈Tradition (Un)Realized〉(아르코미술관, 2014), 〈탁월한 협업자들〉(일민미술관, 2013), 〈십 년만 부탁합니다–이주요 위탁 프로젝트〉(계원갤러리 27, 2007), 〈사동 30–양혜규〉 (인천 사동, 2007) 등이 있다. Curator and writer(Art critic), Kim Hyunjin is an extraordinary curator with a career that spans over 20 years at the forefront of curatorial practice, beginning with her experience as the curator of Alternative Space Loop in 1999, to working as the co– curator of the 7th Gwangju Biennale (2008) and the art director of Arko Art Center (2014– 2015). Currently, she is the chief curator in Asian region for KADIST (based in San Francisco). She curated numerous exhibitions and projects including 〈2 or 3 Tigers〉, Haus der Kulturen der Welt(Berlin, 2017); 〈Tradition (Un)Realized〉, Arko Art Center(Seoul, 2014–2015); 〈The Brilliant Collaborator〉,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3); 〈Ten Year, Please〉 with Jewyo Rhii. Incheon, Sadong 〈Sadong 30–Yang Haegue〉

듣기로는 얼마 전까지도 계획한 프로젝트와 전시준비로 독일 일정을 소화하시느라 아직 여독도 풀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일단 근황을 묻는 것으로 인터뷰를 시작하죠. 말씀하신대로 최근 한달 독일 함부르크, 베를린에 다녀왔습니다. 전 뉴뮤지엄 큐레이터이자 현재 바드 CCS프로그램 디렉터 로렌 코넬 (Lauren Cornell)과 공동기획하고 있는 바드 칼리지(Bard College) 헤셀미술관 전시를 위해 여러 가지 논의를 했어요. 또,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작가 제인 진 카이젠(Jane Jin Kaisen)과의 미팅이 베를린에서 있었죠. 함부르크에선 호 추니엔(Tzu–Nyen Ho) 작가와 〈Internationales Sommerfestival Kampnagel〉에서 열린 작가와의 대화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3~4년간 아르코미술관 관장직에서 물러난 이후로는 전시기획을 위주로 한 독립큐레이터로 활동했어요. 작년에 베를린 세계문화의 집 디렉터 안젤름 프랑케와 전시를 기획했어요.(〈2 or 3 Tigers〉, 베를린 세계문화의집, 2017〉) 올해 초부터 카디스트 아시아지역 수석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는데 이 포지션을 통해 3 년 동안 작가 작업을 커미션하고 최종적으로 기획전을 2020~2021 년 사이에 아시아 기관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개최할 예정입니다. 카디스트는 샌프란시스코와 파리를 거점으로 하는 비영리기관으로 정치 사회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소장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큐레이터의 관점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데 저는 그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아시아 미술의 리서치, 컬렉션 추천, 신작 커미션 등을 담당하고 있어요. 카디스트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아시아의 다양한 기관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확장할 수 있는 여건이 주어질 것이라 기대합니다. 무엇보다 3년간 안정적이면서 긴 안목으로 작가와 대화하면서 작품을 프로덕션 할 수 있고 전시도 긴 호흡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됐죠.

알려졌다시피 2019년 5월에 개막하는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큐레이터로 선임되셨습니다. 선임 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은 김 큐레이터에게 어떤 의미였나요? 그리고 큐레이터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한국관 전시를 기획하고 싶은 열망이 있을 것 같은데 지원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실 최근 20여 년 큐레이터로 쉼 없이 활동하면서 좀 지쳤는데 올 초 좀 쉴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주로 최근 프로젝트가 해외기관들과 만들어지는 것이라서 국내현장과 일하는 기회를 좀 더 만들고 싶기도 했고 국내 활동을 위해 뭔가 워밍업을 하는 김에 한국관 큐레이터 공모가 있어 지원하게 됐죠. 한국관은 뭐랄까, 국가대표(?) 뽑는 느낌이 드는데, 선정과정은 운이 많이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웃음) 사실 한국의 작가들과 미술현장이 갖고 있는 장점은 아시아에서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간 국내외에서 제 입장에서는 의미있는 프로젝트들이 꽤 있었다고 생각하는데 대중적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의 대중적인 인지도 덕분에 큐레이터를 맡게 되니 생각지 못한 호응과 지지를 많이 받아 놀라웠습니다. 개인적으로 열심히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일의 수월함을 경험하게 되는 좋은 점이 있기도 합니다.

그간 열린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의 전시는 어떻게 보셨나요?

424

2003년부터 한국관을 봐왔지만 분명히 어떤 잠재성을 가진 현장인데 국제 현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기엔 부족한 느낌을 받았어요. 좀 더 나아가 주류 국제 현장이라는 기존 인식이 강해 젊은 세대의 제안들을

들고 나오는 다른 국가관들의 변화에 비해서는–미술전의 한국관–은 조금은 보수적으로 운영되지 않았나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전시운영 예산 등의 지원은 차츰 늘어나 여건이 나쁘지 않다고는 생각하며 큐레이터들이 이를 기반으로 좀 더 존재감을 드러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를 어떻게 구상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함께 참여하는 3명 작가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전시에 있어 그들이 구현할 생각 등을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 남화연 작가는 역사적인 인물을 통해 그들의 신화가 어떻게 구축되는지, 여성을 둘러싼 기록의 문제와 어떻게 결부되는지를 탐구할 예정입니다. 정은영 작가는 오랜 리서치로 알려졌듯 여성국극을 연구하고 작업해 왔으며, 전통, 동시대, 젠더 수행의 다양한 퍼포머들을 통해 좀 더 퀴어(queer) 미학적 차원에 집중하고 있는데 현재 베니스를 위한 작업 계획을 세우는 중입니다. 제인 진 카이젠 작가는 제주에서 태어나 덴마크에 입양된 경험을 통해 여성디아스포라 문제, 경계와 국경으로서의 Boader를 다룹니다. 모두 여성 작가로 구성됐는데 동아시아 역사담론과 여성과 퀴어와 같은 타자의 위치에 대한 이들의 시각을 전달할 것입니다. 전시가 여성작가들로 이루어진 것은 남성을 배제시키겠다는 것이 아니라 이번에는 아시아의 역사적 구성을 통찰하고 개입하는 여성적 서사에 오롯이 ‘집중’해보자는 의도를 담을 것입니다. 이들을 선정한 배경은 이미 유명세를 떨치는 작가보다는 국제무대를 경험하여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작가를 선정한다는 데 무게를 두었습니다. 앞으로 나아갈 준비된 작가의 등을 밀고 끌어 나아가는 계기가 될 수 있는 것이 한국관입니다. 최근 다시 국제 미술판이 과거의 어젠다를 지향하면서 다시 보수화되고 있다는 인상은 여러차례 받았습니다. 계속해서 이러한 방향성을 견제할 활동이나 제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19년 한국관은 베니스 비엔날레 총감독의 기조나 방향성에 부합하기보다 저라는 큐레이터의 지정학적 위치와 그로부터 바라보는 시각에서 제 방식의 게임을 과감히 제안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그간 기획하신 전시를 보면 비상업적 성향이 짙습니다. 그래서 막연히 미술시장에 그리 관심이나 눈길을 주지 않을 것 같다라는 짐작을 하게 합니다. 오히려 굉장히 상업적인 필드에서 실험적인 작업이 돋보이는 경우도 있어요.(웃음) 그래서 작가 리서치를 위해 종종 아트페어를 관람하기도 합니다. 상업적인 기조가 강한 곳에서는 오히려 그와 다른 작업의 특이한 결들이 드러나지요. 2006년 인천의 한 폐가를 전시장으로 해 〈사동 30번지전〉을 기획했는데 그 전시를 함께 한 양혜규 작가가 2017년 바젤아트페어 〈아트 언리미티드(Art Unlimited)〉에 출품했고, 2017년 함께 전시했던 니나 카넬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작가였는데 그 다음해 또 〈아트 언리미티드〉에 나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나름대로 상업성을 보는 눈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웃음) 생각해보면 한국만큼 시장과 현장의 간극이 큰 미술현장도 없는 것 같아요. 메이저 갤러리도 국제적인 활동을 하는 작가와 일하는데 주저함이 많아요. 저는 메이저 갤러리가 개인뿐만 아니라 국내외 기관과도 컬렉션에 대해 논의를 많이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사이에서 큐레이터의 조언들도 중요할 거라 생각합니다. 개인과 기관 등 컬렉팅 주체에게 비평에 기반한 현장성이나 전문적 의견을 통해

425


소장활동을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하도록 전달해야 하니까요. 그런 점에서 KIAF가 미술계 생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합니다. 갤러리나 컬렉터들이 실험적인 작업을 하는 작가를 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거죠. 저 역시 그런 취지에서 몇 번 상업 갤러리에서 전시를 기획하기도 했습니다.(〈Two Hours–박이소, 정서영, 김범〉, 티나킴 갤러리 2016, 〈Grided Currents전〉, 국제갤러리, 2017) 물론 시장의 방향에 맞춰 전시를 기획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장이 실험적 작가를 수용하고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봐요.

최근 한국미술계의 동향은 어떻게 보고 계신지도 궁금합니다.

서울 현장은 아시아 내에서는 한마디로 장점이 많은 곳이에요. 현장의 규모가 굉장히 크고 물리적인 전시공간이 양적으로 많아서 아시아의 큐레이터들이 상대적으로 인프라 구조를 부러워하기도 합니다. 이와 더불어 작가 작업들에서 정치, 미학적 다양성이 있을 뿐 아니라 역동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작업이 구현하는 세계관이 점차 국지적으로(domestic) 한정되어 가는 경향이 있거나 여전히 서구 대도시의 경향에만 관심을 두는 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신생공간처럼 자신들의 환경을 변화시키려는 긍정적 에너지를 가진 움직임이 없는 건 아니죠. 그러나 저와 교류가 있는 작가들이나 큐레이터들이 10년 전 파리와 도쿄 아트씬에 대해 국제성이 부족하고 작가들의 작업 양상이 자국 지역씬에서 맴도는 국지적 경향을 보인다는 평가를 내렸던 것과 같은 상황이 점차 우리에게도 재연되는 느낌입니다. 물론 한국 미술과 관련 산업적 규모나, 활동 규모가 양적으로 팽창해서 국내 활동으로도 충분히 내부에서 분주하고 자족적으로 지낼 수도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작업하는 작가의 세계관은 지협적이고 단일하게 한계지워지고 교착되지 않도록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과거 동시대 미술의 글로벌 현장이 제도와 예술적 내용에서 어떠한 역사를 가지고 변모해 왔는지도 좀 더 상세한 이해들을 통해 과거 역사와 논쟁하고 개입했던 어떤 구체적인 역사들과 정신적인 연대감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같이 일했던 찰스 에셔(Charles Esche) 나 오쿠이 엔위저(Okwui Enwezor)도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같은 개념들을 통해 ’북반구 주류 서구 미술의 헤게모니가 야기한 내용적, 제도적 문제를 자신들의 실천적 영역에서 끊임없이 제기하고 논쟁하면서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는 관점과 방법들을 심각하게 고민했죠. 그들의 이러한 논쟁과 관점은 저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고, 실제 현장에서의 문제들을 바라보고 활동 방식을 고민하는 계기도 되었습니다. 현장의 구조나 제도에 대한 철저한 비판적 이해와 큐레이터의 퍼포먼스에 대한 정치, 윤리적 고민들이 동반되기 마련입니다. 미술계의 변화는 세대가 바뀐다고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기 보다는 과거를 철저히 이해하고 세대간에 접점을 이루면서 생산적 논쟁과 세계관의 확장을 통해 이행해가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과거의 문제를 더 깊게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위해 우선 지난 20–30년간의 국내외 예술 현장의 과거를 잘 살펴봐야 하고, 이전 세대가 가진 경험과 시각이 잘 이후 세대에게 수혈되도록 세대간에도 더 적극적인 교차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에서 젊은 세대들은 자신이 가는 길에 좌표가 되어줄 수 있는 것들을 발견할 수도 있고, 윗세대에서도 자신들을 다르게 비추는 필수불가결한 젊은 거울들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글: 황석권, 사진: 이승재

426

It sounds like you are still exhausted from your projects and exhibitions at Germany. Let’s begin by asking how you’ve been. Recently, I had a meeting with Lauren Cornell, the former curator of New Museum to talk about the exhibition at the art museum in Bard College which we’re co–curating, and I also had a discussion with Jane Jin Kaisen, one of the artists showing in the Korean Pavilion in 2019 Venice Biennale. In Hamburg, I partook in the open artist talk with Tzu–Nyen Ho at the Internationales Sommerfestival Kampnagel. Prior to all these events, I’d resigned from the directorial position at Arko Art Center and had been working as an independent curator. Last year, I co–organized the exhibition 2 or 3 Tigers (Haus der Kulturen der Welt, 2017) with Anselm Franke, the director of Haus der Kulturen der Welt in Berlin last year. Presently, I’m the senior curator for Asian region at KADIST through which I commission works to artists for 3 years and organize an exhibition at the end of the term. A non–profit organization based in San Francisco and Paris, KADIST boasts of a reputation for its collection of works capturing sociopolitical content. The organization is fully supportive of the curator’s perspective, so in partnership with the organization, I’m in charge of the research in Asian art. While there aren’t many female artists with research–based practice, my aspiration is to excavate female artists who do practice research–based art, foster them,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exhibit their work. Fortunately, I was able to expand my practice while working as a curator at KADIST. Most importantly, I’m given sufficient time to get into in–depth conversations with artists, which allows me to carry out mid and long term projects rather than short ones.

As we know, you are appointed the curator of the Korean Pavilion at the 2019 Venice Biennale opening in May of 2019. What significance did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have for you before you were appointed? While it would be a goal for any curator to organize an exhibition at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what was your specific reason for applying? I’d actually felt a little burnt out after working as a curator without taking any breaks for the last 20 years. I was taking a bit of a break, and I felt quite distant in my practice in my own country. So I guess as a warm–up to get fully involved in my practice, I decided to apply to the open call for the Korean Pavilion curator. The whole process felt like selecting a national team player (laughs). Working internationally, I realized that the Korean art scene is quite high in terms of class and quality. My activities as the Korean Pavilion curator are helping me both psychologically and pragmatically in realizing my exhibition concept.

What’s your evaluation on the Korean Pavilion exhibitions at the Venice Biennale so far? I’ve been looking into the Korean Pavilion since 2003, and while there was always potential in the site, I felt a sense of lack in its leadership. In fact, I felt that the Korean Pavilion was operated in quite a conservative manner, despite

sufficient budget. So I hope for it to demonstrate a stronger sense of presence.

How are you mapping out the 2019 exhibition in the Korean Pavilion? Can you talk briefly about the three artists being featured, and what their conceptualizations are for the exhibition? Let me introduce the works of the participating artists. Hwayeon Nam explores historical figures to see how their myths are constructed, and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documentation surrounding women. As many already know, Eunyoung Jeong explores more queer gender issues through female actors in classical opera of women. And Jane Jin Kaisen, born in Jeju and adapted to a family in Denmark, deals with the issues of female diaspora. All three artists in the exhibition are women, not to exclude men from the content, but intentionally so in order to focus on the female perspective on history, specifically East Asian historical discourse. These artists, rather than artists who are already established and famous, were selected for their potential to grow through their experience of the international stage. In a way, this opportunity is like a diving board for well– prepared artists. I’ve seen how the international art world would assume a conservative attitude and direct at an agenda of the past, and I refuse to conform to this. So, I’m trying to emphasize that the Korean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in 2019 will propose my own way of play through my own perspective, rather than conforming to the tone of the chief director.

There seems to be a strong sense of non–commercial aspect in your works so far, so it’s easy for one to assume that you wouldn’t be all that interested in the art market.

that opportunities for the art market to accommodate experimental artists should be made.

How do you see the recent trends in the Korean art world? Simply put, I see a lot of strengths. It’s quite large in scale and there is diversity in exhibition spaces, so it has a pretty good infrastructure. On top of this, the range in the political and aesthetic diversity of the artists’ works is expansive and deep. What does worry me, however, is the tendency for the worldview conceived by the works to be somewhat local. Of course there are positive movements and energy generated by new spaces that attempt at new changes. But it does feel somewhat similar to a time back when my fellow artists and curators made the claim ten years ago that the art scene in Paris and Tokyo lack dynamicism and thus demonstrate local trends. Therefore, if worldviews cannot be reformed, it’s easy to end up deadlocked. One could obviously be perfectly content within the walls of the art world in Korea because the art scene and its related industries are big enough. However, I feel that it’s imperative for the artist’s worldview to expand (internationally). What’s also important is for curators, who are the actual people that must deal with the issues on site, to wake up. Charles Esche and Okwui Enwezor, whom I worked with, thought deeply about the ways of initiating and dealing with institutional problems as a result of the power game in the main stream art world through exhibitions. What lies as the basis of such questioning i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cene. Likewise, changes in the art field are possible onl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immediate past and the intimate communication with generations of contact. The past is not always conservative; more intersections with it must definitely be made. Editor: Hwang Sukkwon, Photographer: Lee Seungjae

You can actually find very experimental works in a very commercial field sometimes. (laughs) So I go to art fairs for artist research and find works that shine through their unique layers. An example would be the time when I organized Sadong 30 Beonji in 2006 at an abandoned house in Incheon, Korea, with artist Haegue Yang, who then showed this work in 2016 Art Basel exhibition Art Unlimited. If you think about it, there seems to be no other art scene where the gap between the market and the field is as great as that in Korea. Even major galleries hesitate to work with artists who show internationally. I think that major galleries should talk a lot about collection not only with individual artists but also with organizations in Korea and abroad. The curator’s role in between is important, because they must convey to the collecting subject, whether it’s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the atmosphere of the field and the critical reality. In that respect, KIAF plays a pivotal role in the art world ecology. The galleries and collectors must provide opportunities for external parties to access artists who produce experimental works, and this is precisely the reason why I organize exhibitions in commercial galleries, such as Gridded Currents at Kukje Gallery in 2017. This obviously doesn’t imply that the exhibition should be organized in compliance with the directions of the art market, but I think

427


ARTIST INDEX

참여작가 색인 Artist List A Ahn Changhong 안창홍 GALLERY FOCUS

Booth

Page

A73

156

B20 A84 A12 A57

242 194 146 40

갤러리포커스

Ahn Jisan 안지산 JOHYUN GALLERY 조현화랑 Ahn Meyounghye 안명혜 GALLERY MIZ 갤러리미즈 Ahn Sanghoon 안상훈 GALLERY CHOSUN 갤러리조선 Ahn Yunmo 안윤모 2448 MOON FINE ARTS 2448문파인아츠

Alain Clément 알랭 클레망 DIE GALERIE Alex Katz 알렉스 카츠 ART COLLECTION NAKANO Alexander Calder 알렉산더 칼더 PACE GALLERY Alexandre Farto a.k.a. VHILS 알렉산드레

A51 B55 A29 A07

104 48 282 278

A13 S06 B44 B27

98 372 66 348

GALLERY 예성화랑

André Marfaing 앙드레 마르팡 PHOSPHORUS &

A06

288

CARBON GALLERY 피앤씨갤러리

André Masson 안드레 마송 DIE GALERIE Andreas Blank 안드레아스 블랑크 CHOI & LAGER

A51 HLT07

104 356

GALLERY

Andy Warhol 앤디 워홀 BRUNO ART GROUP Andy Warhol 앤디워홀 JULIANA GALLERY

B53 A14

84 244

A27

248

A75 A59 A46

300 232 314

국제갤러리

Anna Reivila 안나 레베이라 PURDY HICKS GALLERY ARAI Ei 아라이 에이 HITSUJI–GARO Arturo Di Modica 알투로 디 모디카 SM FINE ART GALLERY

Asagi Natsume 아사기 나츠메 GALLERY TSUBAKI Astrid Sommer 아스트리드 소머 STOA GALLERY B Bae Joonsung 배준성 ART PARK 아트파크 Bae Junghai 배정혜 2448 MOON FINE ARTS 2448

A40 A61

218 322

54 40

B73

290

B03 B42 A84 A56

250 142 194 210

A37

178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Baik Namjune 백남준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Barn Miryung 반미령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Bernard Buffet 베르나르 뷔페 ART WORKS PARIS

A45 B14

126 64

A15 B27

276 348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Bernard Buffet 베르나르 뷔페 OPERA GALLERY SEOUL Bernard Buffet 베르나르 뷔페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Bettina von Zwehl 베티나 폰 즈벨 PURDY HICKS

A75

300

A41 A49

90 284

GALLERY

Bhak Dorn 박돈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Bill Beckley 빌 베클리 PARK RYUSOOK GALLERY 박여숙화랑

Bill Viola 빌 비올라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Bin Woohyuk 빈우혁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Bongkyun Ahn 안봉균 GALLERY MARE 갤러리마레 Boomoon 부문 FLOWERS GALLERY

428

A27

248

A42

298

국제갤러리

Carlos Cruz–Diez 카를로스 크루즈 디에즈 PUERTA

A43

52

A30

124

A39 B57 A71 B37 A03 B04

260 188 310 170 318 230

Charles Fazzino 찰스 파지노 BRUNO ART GROUP Che Giseon 채기선 MYUNG GALLERY 명갤러리 Chen San KUO 첸 산 쿠오 MIZUIRO WORKSHOP Cheon Jiyun 천지윤 AKI GALLERY Chia Ying CHANG 치아 잉 창 MIZUIRO WORKSHOP Chika Hattori 치카 핫토리 GALLERY TSUBAKI Chin–Chia Liang 친치아 리앙 EAST GALLERY Cho Boosoo 조부수 DONGSOONG GALLERY Cho Hyesook 조혜숙 PICASSO GALLERY 피카소화랑 Cho Hyunae 조현애 GALLERY YOON 갤러리윤 Cho Hyunjong 조현종 COSMOS GALLERY

A27 B42 A68 A01

248 142 186 116

Cho Kwangpil 조광필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Cho Sunghee 조성희 OPERA GALLERY SEOUL Cho Youngsun 조영선 GINZA GALLERY G2 Cho Wonkang 조원강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Choe Vio(Vio Choe) 최비오 GALLERY MANO

B35

328

B64 A37

58 178

Chon Byunghyun 전병현 GANA ART GALLERY Chris Succo 크리스 스코 WHITESTONE GALLERY Chung Changsup 정창섭 PARK RYUSOOK GALLERY Chung Chiyung 정치영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Chung Curie 정규리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Chung Hyejin 정혜진 GALLERY ARTPARK KARLSRUHE Chung Il 정일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Chung Keonmo 정건모 DONGSANBANG GALLERY

208 136 252

B27

348

A13 B24 B63 A14 A17

98 206 202 244 252

B23 B45

292 308

A64

102

A39

260

A68 A78 A61 A53

186 320 322 224

Eum Hayoung 음하영 g·gallery 지갤러리 Eunah Cho 조은아 LEESEOUL GALLERY 리서울갤러리 Eva Armisén 에바 알미센 CMAY GALLERY

A23 B66 A80

120 256 92

F Fabien Verschaere 파비앙 베르쉐르 BRUGIER–

A77

82

A56

210

A69 A36 A43

122 44 52

B15

312

A42 B10

298 266

B41

342

A55

42

A13 B28

98 316

B27

348

B18

326

A13 A60

98 268

B29

56

A28

240

GALLERY 리안갤러리

A78

320

A53

224

E Edgar Plans 에드가 플랜즈 PIGMENT GALLERY Eduardo Stupia 에두아르도 스투피아 SASHA D

B41 A49

342 284

B42 B12 A08 A16 A31

142 184 136 236 108

B68 A31

60 108

A52

162

A85

340

COLLABORATION

Dominique Mulhem 도미니크 뮬렘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Donald Judd 도널드 저드 DAVID ZWIRNER Dongyoo Kim 김동유 GALLERY SESOM 갤러리세솜 Dopamine 도파민최 GALLERY SEJUL 갤러리세줄 Dosoo Bae 배도수 JULIANA GALLERY 쥴리아나갤러리 Dzine(Carlos Rolon) 디자인(카를로스 로롱) LEEAHN

ESPACIO DE ARTE

Claude Viallat 클로드 비알라 JOHYUN GALLERY

A66

346

Emily Young 에밀리영 GALLERY MARE 갤러리마레 Enjo 엔조 SOUL ART SPACE 소울아트스페이스 Eric Aman 에릭 아만 STOA GALLERY Ethan Cook 에단 쿡 GANA ART GALLERY

Farhad Hussain 파하드 후세인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A20 B02 A24 A74

330 306 234 198

WORLD GALLERY

B20

242

심여화랑

A07 B33 A61 A43

278 296 322 52

Federico Uribe 페데리코 우리베 GALERIA LGM Felix Rehfeld 펠릭스 레펠트 AKI GALLERY Fernando Botero 페르난도 보테로 ART OF THE Fernando Botero 페르난도 보테로 SIMYO GALLERY

조현화랑

Cleon Peterson 클레온 피터슨 OVER THE INFLUENCE Cody Choi 코디최 PKM GALLERY PKM갤러리 Conchi Alvarez 콘치 알바레즈 STOA GALLERY Cristobál Toral 크리스토발 토랄 ART OF THE WORLD

DE CARLO

RIGAIL GALERIE

샘터화랑

Chung Shasha 정샤샤 TOPOHAUS 토포하우스 Chung Sunjin 정선진 ROW GALLERY 라우갤러리 Chung Yongil 정용일 IGONG GALLERY 이공갤러리 Chung Younghwan 정영환 GALLERY PAKYOUNG

GALLERY

가나아트갤러리

동산방화랑

Chung Sanghwa 정상화 WELLSIDE GALLERY

Eikoh Hosoe 에이코 호소에 DER–HORNG ART Elmgreen & Dragset 엘름그린&드락셋 MASSIMO

갤러리박영

B16 A08 A17

266

254

동산방화랑

Chung Mee 정미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Chung Munkyu 정문규 DONGSANBANG GALLERY

Chung Sanghwa 정상화 WOOSON GALLERY

214 240

B10

갤러리바톤

A22

박여숙화랑

우손갤러리

B62 A28

76 104 142

106 302 146 78 192

가나아트갤러리

124 276 350 188 184

54 202 160 224

B26 A51 B42

Dietrich Klinge 디트리히 클링에 BODE GALERIE Dietrich Klinge 디트리히 클링에 DIE GALERIE Djordje Ozbolt 조르제 오즈볼트 GALLERY BATON

B65 B46 A12 B06 B11

소울아트스페이스

A30 A15 A05 B57 B12

A38 B63 A19 A53

210

JJ중정갤러리

Chung Sang–Hwa 정상화 GALLERY HYUNDAI

342 364 346 196 170 182 330 136 310 284

A56

Dominic Benhura 도미니크 벤후라 MOOKJI ART

이화익갤러리

갤러리현대

B41 HLT05 A66 B67 B37 B43 A20 A08 A71 A49

Dieter Balzer 디터 발처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갤러리미루나무

290 222 94

Fernando Prats 페르난도 프랫츠 PUERTA ROJA Fidia Falaschetti 피디아 팔라쉐티 MOOKJI ART COLLABORATION

Florentijn Hofman 플로렌틴 호프만 WHITESTONE GALLERY

Florian&Michael Quistrebert 플로리앙&미카엘

GALLERY

키스트르베르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D Dadi Setiyadi 다디 세티야디 GALLERY BANDITRAZOS

A65

140

Francis Alÿs 프란시스 알리스 DAVID ZWIRNER François Perrodin 프랑수아 패로딘 SONG ART

A45

126

Frank Stella 프랭크 스텔라 YEASUNG GALLERY

GALLERY 송아트갤러리

갤러리반디트라소

JJ중정갤러리

Choi Keeryong 최기룡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Choi Kyungae 최경애 GALLERY ARTPARK KARLSRUHE Choi Manlin 최만린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Choi Sook 최숙 DONGHO GALLERY 동호갤러리 Choi Soowhan 최수환 PYO GALLERY 표갤러리 Choi Suin 최수인 GALLERY CHOSUN 갤러리조선 Choi Sungchul 최성철 BON GALLERY 본화랑 Choi Sunghwan 최성환 GALLERY MIROONAMU

B73 A48 B72

가나아트갤러리

Choi Joseph 최요셉 GALLERY SU: 갤러리 수 Choi Junkun 최준근 JJ JOONG JUNG GALLERY

366

주영갤러리

84 270 262 44 262 218 374 110

박여숙화랑

Choi Jeongyu 최정유 ART PARK 아트파크 Choi Jeongyun 최정윤 GALLERY SEJUL 갤러리세줄 Choi Jinhee 최진희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Choi Jongtae 최종태 GANA ART GALLERY

Choi Sangchul 최상철 ART SPACE 3 아트스페이스 3 Choi Seungyeol 최승열 GALLERY JUYOUNG

B53 B71 A63 A36 A63 A40 S05 A70

갤러리마노

Choi Ahhi 최아희 WHITESTONE GALLERY Choi Byungso 최병소 GALLERY DATE 갤러리데이트 Choi Byungso 최병소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Choi Eunjeoung 최은정 GALLERY NOW 갤러리나우 Choi Eunjung 최은정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Choi Inho 최인호 GALLERY MAC 맥화랑 Choi Jaeyoung 최재영 TOPOHAUS 토포하우스 Choi Jahyun 최자현 GALLERY ARTPARK KARLSRUHE Choi Jeeyun 최지윤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Choi Jeonghwa 최정화 PARK RYUSOOK GALLERY

Choi Myoungyoung 최명영 THE PAGE GALLERY

Choi Youngwook 최영욱 SOUL ART SPACE

박영덕화랑

Carsten Höller 카스텐 횔러 MASSIMO DE CARLO Cha Hyelim 차혜림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Cha Hyunju 차현주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Cha Jongrye 차종례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Cha Seungean 차승언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Cha Yeonwoo 차연우 HANA ART GALLERY

HLT01

더페이지갤러리

Choi Youngwook 최영욱 JJ JOONG JUNG GALLERY

GALLERY

Carole Feuerman 캐롤 퓨어맨 GALERIE BHAK

Choi Myoungyoung 최명영 GALLERY SHILLA 갤러리 신라

Choi Yeonggeol 최영걸 LEEHWAIK GALLERY

ROJA

코스모스갤러리

A38 A57

피카소화랑

Bae Sangsun 배상순 LEE & BAE 갤러리이배 Bae Yoonhwan 배윤환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Baek Jongyeo 백종녀 GALLERY MIZ 갤러리미즈 BAEKJIN 백진 GALLERY SOHEON & SOHEON

C Candida Höfer 칸디다 회퍼 KUKJE GALLERY

동숭갤러리

문파인아츠

Bae Myeonghee 배명희 PICASSO GALLERY

92 296 92 128 222 334 46

하나아트갤러리

쥴리아나갤러리

Anish Kapoor 아니쉬 카푸어 KUKJE GALLERY

A80 B33 A80 B50 A48 B48 A50

아라리오갤러리

Carole Feuerman 캐롤 퓨어먼 ART OF THE WORLD

파토 a.k.a.빌스 OVER THE INFLUENCE

Alice Neel 앨리스 닐 DAVID ZWIRNER Alick Hu 앨릭 후 182 ARTSPACE Alvaro Marín 알바로 마린 ARTE ALTO André Brasilier 앙드레 브라질리에 YEASUNG

Brad Howe 브레드 하우 CMAY GALLERY Brent Wadden 브랜트 웨든 PKM GALLERY PKM갤러리 Brian Rea 브라이언 레이 CMAY GALLERY Bruno Metra 브루노 메트라 GALERIE NARDONE Bup Kwan 법관 GALLERY YOON 갤러리윤 Byun Jaehee 변재희 VIT GALLERY 빛갤러리 Byun Sooncheol 변순철 ARARIO GALLERY

Damien Hirst 데미안 허스트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Damien Hirst 데미안 허스트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B27

348

Dana Park 다나 박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Daniel Arsham 다니엘 아샴 PERROTIN Daniel Knorr 다니엘 놀 JOHYUN GALLERY 조현화랑 Danilo Cuadros 다닐로 쿠아드로스 ARTE ALTO David O’Kane 데이비드 오케인 GALLERY BATON

A21 A09 B20 B44 B42

274 286 242 66 142

A75 B44

300 66

갤러리바톤

David Quinn 데이빗 퀸 PURDY HICKS GALLERY Diego Díaz 디에고 디아즈 ARTE ALTO

Franziska Fennert 프란지스카 페너트 THE COLUMNS GALLERY 더컬럼스갤러리

예성화랑

Fred Sandback 프레드 샌드백 DAVID ZWIRNER Fujiwara Yasuhiro 후지와라 야스히로 MORI YU GALLERY

G Gam Seongbin 성빈 Art SoHyang 아트소향

429


ARTIST INDEX

참여작가 색인 Gary Hume 게리 흄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Ge Ziyu 거즈위 WAS GALLERY Georg Baselitz 게오르그 바젤리츠 BODE GALERIE Gigisue 지지수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Gisela Hoffmann 기셀라 호프만 BODE GALERIE Gong Taeyeon 공태연 MASAN ART CENTER

B12 B31 B26 A55 B26 B54

184 338 76 42 76 258

마산아트센터

Grace Rim 그레이스 림 PINK GALLERY 핑크갤러리 Gu Benchi 구 벤치 10 CHANCERY LANE GALLERY Gu Nayoung 구나영 GALLERY GABI 갤러리가비 Günther Förg 귄터 푀르크 MASSIMO DE CARLO Gustavo Vélez 구스타보 벨레즈 GALERIA LGM Gwon Ki–ja 권기자 GALLERY J–ONE 갤러리제이원 H Ha Chong Hyun 하종현 ART WORKS PARIS SEOUL

B32 A44 A83 A39 A69 B49

B14

294 38 158 260 122 172

64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Ha Chong–Hyun 하종현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Ha Insun 하인선 VIT GALLERY 빛갤러리 Ha Jungwoo 하정우 PYO GALLERY 표갤러리 Ha Taeim 하태임 GALLERY SOHEON & SOHEON

A27 B48 B46 A56

248 334 302 210

B22 A79 HLT02

86 68 358

B71 A02 A20 B34 B60 A22 A30 B25 B26 A67 A67 B33 B35

270 336 330 304 62 254 124 180 76 70 70 296 328

B49 B03 B18

172 250 326

B68 HLT04

60 362

두루아트스페이스

Han Hyekyeong 한혜경 MYUNG GALLERY 명갤러리 Han Jeungsun 한증선 WALTER BISCHOFF GALERIE Han Junghye 한정혜 TOPOHAUS 토포하우스 Han Manyoung 한만영 RHO GALLERY 노화랑 Han Okran 한옥란 ART SPACE J 아트스페이스 제이 Han Unsung 한운성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Han Youngwook 한영욱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Hana Kim 김하나 GALLERY KICHE 갤러리기체 Harry Meyer 하리 마이어 BODE GALERIE He Jian 허 ASIA SCENE ART CENTER He Jinwei 허 진웨이 ASIA SCENE ART CENTER Heeseung Chung 정희승 PKM GALLERY PKM갤러리 Helmut Newton 헬무트 뉴튼 THE PAGE GALLERY 더페이지갤러리

Heo Yanggu 허양구 GALLERY J–ONE 갤러리제이원 Her Mihei 허미회 LEE & BAE 갤러리이배 Heri Dono 헤리 도노 THE COLUMNS GALLERY

A23 A61 A03 B52 A82 B22

120 322 318 332 154 86

A18 A14 A36 A44 B22 B14

168 244 44 38 86 64

조선화랑

Hong Sungyong 홍성용 GALLERY JEON 갤러리전 Hoyeol Ryu 류호열 JULIANA GALLERY 쥴리아나갤러리 Huang Kowei 황가유 AKI GALLERY Huang Rui 후앙 루이 10 CHANCERY LANE GALLERY Hur Jin 허진 CHOSUN ART GALLERY 조선화랑 Hur Kyung–Ae 허경애 ART WORKS PARIS SEOUL

A23 A83 B32 B40

120 158 294 190

A81 A31

212 108

B52 B33

332 296

Jeon Yongeok 전영옥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Jeon Yonghwan 전용환 GALLERY PAKYOUNG Jeon Youngsin 전영신 GALLERY MIROONAMU

102 104 162 132 252 132 342

Invader 인베이더 OVER THE INFLUENCE Iván Navarro 이반 나바로 GALLERY HYUNDAI

278 162

갤러리현대

A17

252

A54 A51 HLT07

220 104 356

A01 A26

116 204

리안갤러리

Jae Yong Kim 김재용 GALLERY YEH 예화랑 Jan Voss 얀 보스 DIE GALERIE Jan–Ole Schiemann 얀–올레 쉬만 CHOI & LAGER GALLERY

Jane Edden 제인 에든 FLOWERS GALLERY Jang Heejeong 장희정 GALLERY SEOJONG Jang Jaemin 장재민 PHOSPHORUS & CARBON

A06

288

B52 A84 A76 A47 A65

332 194 118 344 140

GALLERY 피앤씨갤러리

Jang Jaerok 장재록 UM GALLERY 유엠갤러리 Jang jung 장정 GALLERY MIZ 갤러리미즈 Jang Kwangbum 장광범 FRANÇOISE LIVINEC Jang Kwangbum 장광범 WOONG GALLERY 웅갤러리 Jang Philkyo 장필교 GALLERY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Jang Yongju 장용주 TOPOHAUS 토포하우스 Jannis Kounellis 야니스 쿠넬리스 MASSIMO DE

Jeong Keunchan 정근찬 MASAN ART CENTER

Jannis Kounellis 야니스 쿠넬리스 WOOSON Janos Ber 야노스 베르 PHOSPHORUS & CARBON

Jeong Zikseong 정직성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Jeppe Hein 예페 하인 KWANHOON GALLERY

Javier León Pérez 하비에르 레온 페레즈 PUERTA ROJA Javier Marin 하비에르 마린 ART OF THE WORLD

B45

308

A42 A43

298 52

Jeff Koons 제프 쿤스 SM FINE ART GALLERY Jeje 제제 SOUL ART SPACE 소울아트스페이스 Jennifer Steinkamp 제니퍼 스타인캠프 LEEAHN

John Chamberlain 존 챔벌린 PACE GALLERY John Crash Matos 존 크래쉬 마토스 BRUGIER–

A47 B30 B20 B05 B47 B58 B06 A32 B30 B19 A71

344 72 242 280 246 114 78 176 72 228 310

B13

100

B15

312

A60 A29 A10 B69 A50

268 282 350 138 46

A34 A45 A79

74 126 68

A53

224

B70 A30

112 124

B20 B22

242 86

B31 B73 B56 B61 B16 A22

338 290 88 238 208 254

258

A22

254

A17 S02

252 386

A41 B17 A03 A28

90 134 318 240

B62 A81 A43

214 212 52

A72

166

B42 B33 B02 B20 B53 B27 A51 A39 A81

142 296 306 242 84 348 104 260 212

A29 A77

282 82

A13 A44 A07

98 38 278

B14

64

A77 B44 B63 B51 B31 B45

82 66 202 324 338 308

B13 A27

100 248

A46 A01 A43

314 116 52

B51 B37

324 170

KARLSRUHE

Jonone 존원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JonOne 존원 BRUGIER–RIGAIL GALERIE Jorge Ortiz 호르헤 오르티즈 ARTE ALTO Joung Bokyung 정보경 GALLERY SEJUL 갤러리세줄 Joung Youngju 정영주 SUN GALLERY 선화랑 Ju Anqi 쥐안치 WAS GALLERY Juan Lecuona 후안 레쿠오나 SASHA D ESPACIO

248

Julian Opie 줄리안 오피 DAVIS KLEMM GALLERY Julian Opie 줄리안 오피 KUKJE GALLERY

A26

204

국제갤러리

A46 A78 A17

314 320 252

Julian Opie 줄리안 오피 SM FINE ART GALLERY Julie Cockburn 줄리 콕번 FLOWERS GALLERY Julio Larraz 훌리오 라라즈 ART OF THE WORLD

Kang Hyungkoo 강형구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Kang Jiman 강지만 2448 MOON FINE ARTS 2448문파인아츠

Kang Jinsik 강진식 WOONG GALLERY 웅갤러리 Kang Junyoung 강준영 ATELIER AKI 아뜰리에 아키 Kang Kanghoon 강강훈 JOHYUN GALLERY 조현화랑 Kang Koocheul 강구철 O–WON GALLERY 오원화랑 Kang Kukjin 강국진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Kang Miryeong 강미령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Kang Soonja 강순자 BON GALLERY 본화랑 Kang Sunguck 강성욱 GALLERY JUNG 갤러리정 Kang Yehsine 강예신 ATELIER AKI 아뜰리에 아키 Kang Yobae 강요배 HAKGOJAE GALLERY 학고재 Kang Youngmeon 강용면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Katharina Gierlach 카타리나 기르라치 DAVIS KLEMM GALLERY

Katharina Grosse 카타리나 그로스 SIMYO GALLERY 심여화랑

Kawai Masayuki 카와이 마사유키 MORI YU GALLERY Kenneth Noland 케네스 놀란드 PACE GALLERY Kim Aeran 김애란 YESONG GALLERY 예송갤러리 Kim Bongsoo 김봉수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Kim Byoungho 김병호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Kim Byungjin 김병진 BAIKSONG GALLERY 백송갤러리 Kim Byungjong 김병종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Kim Byungjoo 김병주 ARTSIDE GALLERY 아트사이드 갤러리

GALLERY

Jun Myungja 전명자 SUN GALLERY 선화랑 Jun Youngguen 전영근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Kang Eunsuk 강은숙 TOPOHAUS 토포하우스 Kang Heegun 강희건 WOONG GALLERY 웅갤러리 Kang Hyeeun 강혜은 GALLERY MAC 맥화랑 Kang Hyejeong 강혜정 GALLERY JARI ART 갤러리자리아트

INFLUENCE

A27

갤러리서종

40

B54

DE ARTE

GALLERY 국제갤러리

A57

146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GALLERY 예성화랑

Jean–Michel Othoniel 장–미셸 오토니엘 KUKJE

Jinnie Seo 지니 서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Jiwon Kim 김지원 PKM GALLERY PKM갤러리 Jiwoo 지우 ROW GALLERY 라우갤러리 Jo Jongsung 조종성 JOHYUN GALLERY 조현화랑 Joan Miro 호안 미로 BRUNO ART GROUP Joán Miró 호안 미로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Johannes Heisig 요하네스 하이지크 DIE GALERIE John Armleder 존 암리더 MASSIMO DE CARLO John Baldessari 존 발데사리 GALLERY SP

RIGAIL GALERIE

348

46

A12

갤러리자리아트

John McCracken 존 맥크라켄 DAVID ZWIRNER John Young 존 영 10 CHANCERY LANE GALLERY Jonni Cheatwood 조니 치트우드 OVER THE

B27

A50

336 96

WORLD GALLERY

288

NARDONE

Jean–Pierre Cassigneul 장피에르 카시뇰 YEASUNG

Jian Ce 지엔처 GALLERY SU: 갤러리 수 Jihoon Stark 지훈 스타크 GALLERY SP 갤러리에스피 Jiménez Deredia 히메네스 데레디아 ART OF THE

A06

42 104 282 128

330 344 182 166

A02 A35

갤러리에스피

A55 A51 A29 B50

A20 A47 B43 A72

봉성 갤러리

JJ중정갤러리

346

GALLERY

Je Yeoran 제여란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Jean Dubuffet 장 뒤뷔페 DIE GALERIE Jean Dubuffet 장 뒤뷔페 PACE GALLERY Jean Philippe Duboscq 장 필립 두보스크 GALERIE

Jeun Loijin 전뢰진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Ji Seockcheol 지석철 GALLERY APPLE 갤러리애플 Ji Seokcheol 지석철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Ji Seokchul 지석철 JJ JOONG JUNG GALLERY

A66

DE ARTE

334 136

254

이화익갤러리

330 260

GALLERY 피앤씨갤러리

B48 A08

A22

마산아트센터

A20 A39

CARLO

K Kal Ryung 갈영 VIT GALLERY 빛갤러리 Kang Chanmo 강찬모 GALLERY ARTPARK

192

갤러리조선

Jing Hoenam 정회남 GALLERY JARI ART

갤러리서종

264 296 292

B11

관훈갤러리

J Jacob Kassay 제이콥 카세이 LEEAHN GALLERY

B36 B33 B23

160 198

Jung Bocsu 정복수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Jung Choonpyo 정춘표 GALLERY JOY 갤러리조이 Jung Chul 정철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Jung Gilyoung 정길영 GALLERY JEON 갤러리전 Jung Heonjo 정헌조 GALLERY IMAZOO 갤러리이마주 Jung Sehun 정세훈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Jung Yeonghwan 정영환 BONGSUNG GALLERY

다도화랑

Jeong Jeongju 정정주 GALLERY CHOSUN

Jeong Soyoun 정소연 LEEHWAIK GALLERY A07 A52

Jung Zikseong 정직성 MOIN GALLERY 모인화랑 Jungjin Lee 이정진 PKM GALLERY PKM갤러리 Justin Lyons 저스틴 라이언스 PIGMENT GALLERY

A19 A74

갤러리미루나무

Jeong Chaseok 정차석 WALTER BISCHOFF GALERIE Jeong Hyunsook 정현숙 DADO ART GALLERY

200 174 138 168 164 274 80

310

이화익갤러리

A64 A51 A52 B38 A17 B38 B41

B01 A04 B69 A18 B59 A21 A58

A71

갤러리박영

Jeong Boyoung 정보영 LEEHWAIK GALLERY I I–Sheng Kao 이솅 카오 DER–HORNG ART GALLERY Igor Mitoraj 이고르 미토라이 DIE GALERIE Ik–Joong Kang 강익중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Imai Ryuma 이마이 류마 GALLERY A–CUBE Imi Knoebel 이미 크뇌벨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Indo Hisashi 인도 히사시 GALLERY A–CUBE Inokuma Katsuyoshi 이노쿠마 카츠요시

GALLERY 리안갤러리

430

Jeon Kyunghwa 전경화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동산방화랑

Hwang Youngja 황영자 UM GALLERY 유엠갤러리 Hyunjin Bek 백현진 PKM GALLERY PKM갤러리

Jeang Tchoongil 정충일 GALLERY SEOJONG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Hwang Hyungshin 황형신 g·gallery 지갤러리 Hwang Jeonghee 황정희 GALLERY GABI 갤러리가비 Hwang Nayoung 황나영 PINK GALLERY 핑크갤러리 Hwang Seungwoo 황승우 GALLERY MEE 갤러리미

Hwang Yongjin 황용진 GALLERY SP 갤러리에스피 Hwang Yongyop 황용엽 DONGSANBANG GALLERY

Javier Bellomo 하비에르 벨로모 SASHA D ESPACIO

COMPOSITION

Holton Rower 홀튼 로어 g·gallery 지갤러리 Hong Ilhwa 홍일화 STOA GALLERY Hong Jungouk 홍정욱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Hong Myungseop 홍명섭 UM GALLERY 유엠갤러리 Hong Soonhyun 홍순현 GALLERY FINE 갤러리화인 Hong Soonjoo 홍순주 CHOSUN ART GALLERY

240

GALLERY 우손갤러리

더컬럼스갤러리

Hi Kyoung 하이경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Hiroshi SENJU 히로시 센주 GALLERY ART

A28

WHITESTONE GALLERY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Ha Yeonsoo 하연수 CHOSUN ART GALLERY 조선화랑 Hahn Aikyu 한애규 ARTSIDE GALLERY 아트사이드 갤러리 Hahn Jeesun 한지선 DURU ARTSPACE

Hwang Seungwoo 황승우 JJ JOONG JUNG GALLERY JJ중정갤러리

Kim Byungki 김병기 GANA ART GALLERY 가나아트갤러리

Kim Changtae 김창태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Kim Changyoung 김창영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Kim Chonghak 김종학 JOHYUN GALLERY 조현화랑 Kim Chunok 김춘옥 CHOSUN ART GALLERY 조선화랑

Kim Daesung 김대성 WAS GALLERY Kim Daeyeun 김대윤 PICASSO GALLERY 피카소화랑 Kim Dohee 김도희 CHUNG ART GALLERY 청화랑 Kim Dohee 김도희 JEAN GALLERY 진화랑 Kim Dongwook 김동욱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Kim Dongyoo 김동유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431


ARTIST INDEX

참여작가 색인 Kim Dongyoo 김동유 RHO GALLERY 노화랑 Kim Duckyong 김덕용 LEEHWAIK GALLERY

B34 A22

304 254

Kim Myoungjin 김명진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Kim Myungok 김명옥 GALLERY MIROONAMU

A78

320

A78 B40 S07 A19 B29 A58

320 190 378 160 56 80

Kim Namdoo 김남두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Kim Okkyoung 김옥경 MYUNG GALLERY 명갤러리 Kim Rihyun 김리현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Kim Sejoong 김세중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Kim Seokjung 김석중 WAS GALLERY Kim Seungjoo 김승주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Kim Sookjung 김숙정 GALLERY JARI ART 갤러리자리아트

B68

60

서신갤러리

이화익갤러리

Kim Duckyong 김덕용 SOUL ART SPACE

Kim Sooncheol 김순철 SEOSHIN GALLERY

갤러리

Kim Gyungmin 김경민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Kim Hakil 김학일 MASAN ART CENTER 마산아트센터 Kim Hanyoung 김한영 GALLERY JARI ART

B54 A72

258 166

갤러리자리아트

Kim Heekyung 김희경 GALLERY JUNG 갤러리정 Kim Hong Shik 김홍식 PKM GALLERY PKM갤러리 Kim Hyangsook 김향숙 GALLERY JARI ART

A32 B33 A72

176 296 166

갤러리자리아트

Kim Hyunkyung 김현경 DADO ART GALLERY

A35

96

B19 A21 A15 B32 B70 B66 S01 B08 A45 A70

228 274 276 294 112 256 388 272 126 110

다도화랑

Kim Hyunsik 김현식 HAKGOJAE GALLERY 학고재 Kim Hyunsuk 김현숙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Kim Ilhwa 김일화 OPERA GALLERY SEOUL Kim Intae 김인태 PINK GALLERY 핑크갤러리 Kim Jiana 김지아나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Kim Jihee 김지희 LEESEOUL GALLERY 리서울갤러리 Kim Jimyung 김지명 URBAN ART 어반아트 Kim Jinhee 김진희 NA GALLERY 나화랑 Kim Jinsook 김진숙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Kim Jomson 김점선 DONGSOONG GALLERY 동숭갤러리

Kim Jomson 김점선 HANA ART GALLERY

Kim Tschang–yeul 김창렬 GALLERY J–ONE

156 160 230

갤러리포커스

A02 B71 B16 B36 B12 A38 B72 B51 B57 S09

336 270 208 264 184 54 94 324 188 384

이화익갤러리

A62 A70

50 110

B52 S08

332 382

A30 A16 A22

124 236 254

A30 B08 A82 B09

124 272 154 150

Kim Tschangyeul 김창열 GALLERY JUYOUNG

A71

310

A85 A49

340 284

A16 B62 A52

236 214 162

B02 B68 A37 HLT06 B58 B36 B34 A46 A59 B15 A52

306 60 178 360 114 264 304 314 232 312 162

B49

172

Kim Tschangyeul 김창열 MOIN GALLERY 모인화랑 Kim Tschangyeul 김창열 PARK RYUSOOK GALLERY

Klaus Zylla 클라우스 질라 DIE GALERIE

142

B01 B42 A50

200 142 46

Koo Jahyun 구자현 GALLERY DATE 갤러리데이트 Koo Jasoong 구자승 GALLERY IMAZOO 갤러리이마주 Koo Seongyoun 구성연 ART SPACE J 아트스페이스 제이 Koyanagi Hitoshi 코야나기 히토시 MORI YU GALLERY Ku Myungseon 구명선 GALLERY CHOSUN Kug Kyungoh 국경오 GALLERY APPLE 갤러리애플 Kuo Chihhung 곽지굉 AKI GALLERY Kuroda Aki 쿠로다 아키 MORI YU GALLERY Kusama Yaoyi 쿠사마 야오이 JULIANA GALLERY

264 284

A46 A85

314 340

364 164 62 268 146

B17 A36 A60 A14

134 44 268 244

B14

64

A35

96

B07 A37

152 178

B41 B38

342 132

A06

288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Kusama Yayoi 쿠사마 야요이 DADO ART GALLERY 다도화랑

Kusama Yayoi 쿠사마 야요이 GALLERY EDEL Kusama Yayoi 쿠사마 야요이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Kusama Yayoi 쿠사마 야요이 WHITESTONE GALLERY Kuwabara Moriyuki 쿠와바라 모리유키 GALLERY

Kwak Seungyong 곽승용 GALERIE GAIA

B36 A49

HLT05 B59 B60 A60 A12

쥴리아나갤러리

Kusama Yayoi 쿠사마 야요이 ART WORKS PARIS

Kwak Hoon 곽훈 PHOSPHORUS & CARBON

254

44 342 100 62 284

갤러리조선

GALLERY 피앤씨갤러리

A22

A36 B41 B13 B60 A49

박여숙화랑

178

A45

126

B69 B33

138 296

A68 B68

186 60

갤러리가이아

Kwak Taeim 곽태임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Kwang Young Chun 전광영 PKM GALLERY PKM 갤러리

Kwanjin Oh 오관진 GALLERY MARE 갤러리마레 Kwon Chigyu 권치규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Kwon Daehun 권대훈 KEUMSAN GALLERY B35

328

금산갤러리

A37 B37 A41 A82 A27 B46 B32 A38 A47 A30 A08 B71 B08 A41

178 170 90 154 248 302 294 54 344 124 136 270 272 90

박여숙화랑

A25

352

A51

104

Kwon Daesup 권대섭 PARK RYUSOOK GALLERY Kwon Heeyeon 권희연 CHOSUN ART GALLERY

B47

246

A49

284

B22

86

Kwon Hoonchill 권훈칠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Kwon Hyuk 권혁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Kwon Kisoo 권기수 ATELIER AKI 아뜰리에 아키 Kwon Kisoo 권기수 RHO GALLERY 노화랑 Kwon Obong 권오봉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Kwon Soonik 권순익 Art SoHyang 아트소향 Kwon Youngsil 권영실 WAS GALLERY Kwon Youngwoo 권영우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Laura Lancaster 로라 랑캐스터 WOOSON GALLERY

A33 B69 B30 B34 B70 B29 B31 A27

148 138 72 304 112 56 338 248

A66

346

A42 B70 B58 B20 A06

298 112 114 242 288

A66 B33 A10 A73

346 296 350 156

B51 B31 A21 HLT06 B47 A70

324 338 274 360 246 110

B43 B14

182 64

B15 A83 B65

312 158 106

A15 B02 A45 A33 B08 A71 B15 A38 B04

276 306 126 148 272 310 312 54 230

A03 A04 A35 A62 B52 B67 A78

318 174 96 50 332 196 320

A55 A24 B19 B61 B11

42 234 228 238 192

B72

94

A22 A23 A52 A26 B34 B28 A56

254 120 162 204 304 316 210

A71 A22 A17 B52

310 254 252 332

우손갤러리

Laurent Martin ‘Lo’ 로랭 마틴 로 PUERTA ROJA Lee Bae 이배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Lee Bae 이배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Lee Bae 이배 JOHYUN GALLERY 조현화랑 Lee Bae 이배 PHOSPHORUS & CARBON GALLERY 피앤씨갤러리

Lee Bae 이배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Lee Bul 이불 PKM GALLERY PKM갤러리 Lee Byungjun 이병준 YESONG GALLERY 예송갤러리 Lee Changhyo 이창효 GALLERY FOCUS 갤러리포커스

Lee Chungji 이정지 SUN GALLERY 선화랑 Lee Dam 이담 WAS GALLERY Lee Donah 이돈아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Lee Dongi 이동기 GALLERY 2 갤러리2 Lee Dongsu 이동수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Lee Dooshik 이두식 DONGSOONG GALLERY 동숭갤러리

Lee Doowon 이두원 GALLERY MAC 맥화랑 Lee Eu 이유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Lee Eun 이은 SIMYO GALLERY 심여화랑 Lee Eunyoung 이은영 GALLERY GABI 갤러리가비 Lee Ganghwa 이강화 DONGHO GALLERY 동호갤러리

Lee Gilrae 이길래 OPERA GALLERY SEOUL Lee Giseong 이기성 ROW GALLERY 라우갤러리 Lee Haekyung 이해경 GALERIE GAIA 갤러리가이아 Lee Heanggyun 이행균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Lee Heiin 이혜인 NA GALLERY 나화랑 Lee Hiechun 이희춘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Lee Hiyong 이희용 SIMYO GALLERY 심여화랑 Lee Hochul 이호철 ART PARK 아트파크 Lee Hochul 이호철 HANA ART GALLERY 하나아트갤러리

Lee Hunchung 이헌정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Lee Hyehyeong 이혜형 GALLERY JOY 갤러리조이 Lee Hyunahn 이현안 DADO ART GALLERY 다도화랑 Lee Hyunyeol 이현열 ART FACTORY 아트팩토리 Lee Jaehyo 이재효 UM GALLERY 유엠갤러리 Lee Jeonglok 이정록 GALLERY NOW 갤러리나우 Lee Jeonglok 이정록 SOUL ART SPACE 소울아트스페이스

Lee Jia 이지아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Lee Jihyun 이지현 IGONG GALLERY 이공갤러리 Lee Jinyong 이진용 HAKGOJAE GALLERY 학고재 Lee Jongchul 이종철 JEAN GALLERY 진화랑 Lee Jonghyuk 이종혁 GALLERY MIROONAMU 갤러리미루나무

Lee Jongkyoung 이종경 COSMOS GALLERY

조선화랑

코스모스갤러리

Lee Jungeun 이정은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Lee Jungin 이정인 g·gallery 지갤러리 Lee Kang–So 이강소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Lee Kangso 이강소 GALLERY SEOJONG 갤러리서종 Lee Kangso 이강소 RHO GALLERY 노화랑 Lee kangso 이강소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Lee Kewon 이계원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L L’Atlas 라틀라스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B14

64

A77 B57 HLT02

82 188 358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GALLERY

432

Koizumi Satoru 코이즈미 사토루 AKI GALLERY Komatsu Miwa 코마츠 미와 WHITESTONE GALLERY Konrad Winter 콘라드 빈터 DAVIS KLEMM GALLERY Koo Bohnchang 구본창 ART SPACE J 아트스페이스 제이 Koo Bohnchang 구본창 PARK RYUSOOK GALLERY

A37

청작화랑

Kitagawa Hiroto 키타가와 히로토 YOSHIAKI INOUE

B42

아라리오갤러리

A–CUBE

더페이지갤러리

Kim Whanki 김환기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Kim Wonguen 김원근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Kim Wonja 김원자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Kim Yeonhwa 김연화 GALLERY FINE 갤러리화인 Kim Yong–Ik 김용익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Kim Yongik 김용익 PYO GALLERY 표갤러리 Kim Yongil 김용일 PINK GALLERY 핑크갤러리 Kim Yongjin 김용진 ART PARK 아트파크 Kim Yongkyoung 김용경 WOONG GALLERY 웅갤러리 Kim Yoon 김윤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Kim Youngjae 김영재 GALLERY ARTPARK KARLSRUHE Kim Youngok 김영옥 MYUNG GALLERY 명갤러리 Kim Youngshin 김영신 NA GALLERY 나화랑 Kim Youngsuk 김영숙 CHUNGJARK GALLERY

Koh Jayoung 고자영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Koh Sankeum 고산금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Kohei Nawa 코헤이 나와 ARARIO GALLERY

114 156

샘터화랑

Kim Tschoonsu 김춘수 THE PAGE GALLERY

138 224

갤러리바톤

B58 A73

박여숙화랑

Kim Tschangyeul 김창열 SM FINE ART GALLERY Kim Tschangyeul 김창열 WELLSIDE GALLERY

B69 A53

가나아트갤러리

주영갤러리

Kim Tschangyeul 김창열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Kim Mikyoung 김미경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Kim Minjoo 김민주 NA GALLERY 나화랑 Kim Minjung 김민정 GALLERY FINE 갤러리화인 Kim Moonseok 김문석 GALLERY DREAM 갤러리드림

Koen van den Broek 쿤 반 덴 브룩 GALLERY BATON

갤러리현대

A73 A19 B04

중앙갤러리

Kim Kwanghyun 김광현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Kim Kyongok 김경옥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Kim Meeyoung 김미영 LEEHWAIK GALLERY

208 270 60 124 338 252 166

갤러리현대

Kim Sunhee 김선희 ROW GALLERY 라우갤러리 Kim Sunjin 김선진 ART SPACE H 아트스페이스 에이치 Kim Susu 김수수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Kim Suyeon 김수연 GALLERY 2 갤러리2 Kim Taeho 김태호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Kim Taeho 김태호 MOIN GALLERY 모인화랑 Kim Taeho 김태호 RHO GALLERY 노화랑 Kim Taeho 김태호 SM FINE ART GALLERY KIM Taehyuk 김태혁 HITSUJI–GARO Kim Taikyun 김태균 SIMYO GALLERY 심여화랑 Kim Tschang–Yeul 김창열 GALLERY HYUNDAI

Kim Tschangyeul 김창열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Kim Tschangyeul 김창열 GALLERY FOCUS

동숭갤러리

Kim Kulim 김구림 UM GALLERY 유엠갤러리 Kim Kwangho 김광호 JOONGANG GALLERY

B16 B71 B68 A30 B31 A17 A72

박여숙화랑

Kim Sungil 김성일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Kim Sungsoo 김성수 GALLERY SU: 갤러리 수 Kim Sungyoon 김성윤 GALLERY HYUNDAI

230

김현주갤러리

Kim Kisoo 김기수 ART FACTORY 아트팩토리 Kim Kulim 김구림 DONGSOONG GALLERY

Kim Sou 김흥수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Kim Sungho 김성호 PARK RYUSOOK GALLERY

B04

하나아트갤러리

Kim Joungsook 김정숙 WALTER BISCHOFF GALERIE Kim Joongsik 김중식 MYUNG GALLERY 명갤러리 Kim Joonyong 김준용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Kim Jungeun 김정은 MOIN GALLERY 모인화랑 Kim Junghan 김정한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Kim Junghee 김정희 ART PARK 아트파크 Kim Jungmi 김정미 COSMOS GALLERY 코스모스갤러리 Kim Jungsoo 김정수 SUN GALLERY 선화랑 Kim Keetae 김기태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Kim Kimin 김기민 KIMHYUNJOO GALLERY

Ko Sukwon 고석원 GALLERY AURORA 갤러리오로라 Ko Younghoon 고영훈 GANA ART GALLERY

갤러리제이원

하나아트갤러리

Kim Jonghak 김종학 GALLERY FOCUS 갤러리포커스 Kim Jongsam 김종삼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Kim Jongsuk 김정숙 HANA ART GALLERY

126 192

갤러리미루나무

소울아트스페이스

Kim Dukki 김덕기 SOUL ART SPACE 소울아트스페이스 Kim Eelkwon 김일권 GALLERY MEE 갤러리미 Kim Eull 김을 GALLERY SOSO 갤러리 소소 Kim Eunhee 김은희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Kim Eunju 김은주 Art SoHyang 아트소향 Kim Gyehwan 김계환 BONGSUNG GALLERY 봉성

A45 B11

L’Atlas 라틀라스 BRUGIER–RIGAIL GALERIE Lah Sunyoung 라선영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Lang Kang 랑 강 DURU ARTSPACE 두루아트스페이스

LEE KIHONG 이기홍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Lee Kiyoung 이기영 LEEHWAIK GALLERY 이화익갤러리 Lee Kunyong 이건용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Lee Kunyong 이건용 UM GALLERY 유엠갤러리

433


ARTIST INDEX

참여작가 색인 Lee Kwangho 이광호 JOHYUN GALLERY 조현화랑 Lee Kyojun 이교준 THE PAGE GALLERY 더페이지갤러리 Lee Kyoungmi 이경미 GALLERY PLANET 갤러리플래닛 Lee Kyungha 이경하 CHUNG ART GALLERY 청화랑 Lee Leenam 이이남 ART PARK 아트파크 Lee Manna 이만나 SUN GALLERY 선화랑 Lee Miyoung 이미영 MASAN ART CENTER

B20 B35 S03 B56 A38 B51 B54

242 328 376 88 54 324 258

마산아트센터

Lee Mokul 이목을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Lee Myeongwha 이명화 BONGSUNG GALLERY 봉성

A33 A58

148 80

A52 A84 A19 A38 B16 B56 A66 B73 B30 A34 B03 A49

162 194 160 54 208 88 346 290 72 74 250 284

갤러리

Lee Myoungho 이명호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Lee Myungja 이명자 GALLERY MIZ 갤러리미즈 Lee Sangbok 이상복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Lee Sangkwon 이상권 ART PARK 아트파크 Lee Sangmin 이상민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Lee Sangwon 이상원 CHUNG ART GALLERY 청화랑 Lee Sangwon 이상원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Lee Sangyeol 이상열 PICASSO GALLERY 피카소화랑 Lee Seonmee 이선미 ATELIER AKI 아뜰리에 아키 Lee Seungha 이승하 BAIKSONG GALLERY 백송갤러리 Lee Seunghee 이승희 LEE & BAE 갤러리이배 Lee Seunghee 이승희 PARK RYUSOOK GALLERY

A85 B34 A41 B20 B34 A50 A04 B49 A56

340 304 90 242 304 46 174 172 210

B55 B14

48 64

A34 A30 B38 A73 A52 A37 B12 A27 B46 B28 B41 A66 A26

74 124 132 156 162 178 184 248 302 316 342 346 204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Lee Ufan 이우환 BAIKSONG GALLERY 백송갤러리 Lee Ufan 이우환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Lee Ufan 이우환 GALLERY A–CUBE Lee Ufan 이우환 GALLERY FOCUS 갤러리포커스 Lee Ufan 이우환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Lee Ufan 이우환 GALLERY JUYOUNG 주영갤러리 Lee Ufan 이우환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Lee Ufan 이우환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Lee Ufan 이우환 PYO GALLERY 표갤러리 Lee Ufan 이우환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Lee Ufan 이우환 WHITESTONE GALLERY Lee Ufan 이우환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Lee Walchong 이왈종 GALLERY SEOJONG 갤러리서종

Lee Walchong 이왈종 RHO GALLERY 노화랑 Lee Wan 이완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Lee Wonhee 이원희 RHO GALLERY 노화랑 Lee Woosung 이우성 HAKGOJAE GALLERY 학고재 Lee Yong 이영 GALLERY GODO 갤러리고도 Lee Yongdeok 이용덕 ARARIO GALLERY

B34 A55 B34 B19 A19 A50

304 42 304 228 160 46

아라리오갤러리

Lee YoonRyoung 이윤령 GALLERY ARTPARK

A08

136

B01 B51 B05 A65

200 324 280 140

KARLSRUHE

Lee Youmee 이유미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Lee Youngji 이영지 SUN GALLERY 선화랑 Lee Youngwoo 이영우 O–WON GALLERY 오원화랑 Li Hongbo 리 홍보 GALLERY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434

142 144 214 78 150 170 154 380 98 110

Liu Xiaodong 리우 샤오동 MASSIMO DE CARLO Loïc Le Groumellec 로익 르 그로이멜렉 FRANÇOISE

A39 A76

260 118

B66 A39 A01 B45

256 260 116 308

LIVINEC

Louise Kwon 권경엽 LEESEOUL GALLERY 리서울갤러리 Lucio Fontana 루치오 폰타나 MASSIMO DE CARLO Lucy Jones 루시 존스 FLOWERS GALLERY Luis Wells 루이스 웰스 SASHA D ESPACIO DE ARTE M Ma Lihua 마리화 WAS GALLERY Ma Liuming 마류밍 HAKGOJAE GALLERY 학고재 Marc Chagall 마르크 샤갈 ART WORKS PARIS SEOUL Marc Chagall 마르크 샤갈 BRUNO ART GROUP Marc Chagall 마르크 샤갈 DIE GALERIE Marc Chagall 마르크 샤갈 OPERA GALLERY SEOUL Marc Desgrandchamps 마크 데그랑샴 AKI GALLERY Marcin Maciejowski 막신 마시요브스키 GALLERY

B31 B19 B14

338 228 64

212

HLT04

362

A39

260

B50

128

98 132

P Pablo Picasso 파블로 피카소 ART WORKS PARIS

B14

64

A51 B61 B14

104 238 64

A30 B12 A46 B28

124 184 314 316

A50

46

A39 B36 B56

260 264 88

A28

240

A20 A56

330 210

B54

258

A41

90

B51 B35

324 328

B48 B52 B11

334 332 192

A72

166

A53

224

B34 A06

304 288

A03 B47 A08 A32 B61 A16 A47 B17 A28

318 246 136 176 238 236 344 134 240

48

B14

64

A35

96

아라리오갤러리

B35

328

Paola Pivi 파올라 피비 MASSIMO DE CARLO Park Byunggeun 박병근 MOIN GALLERY 모인화랑 Park Changirl 박찬걸 CHUNG ART GALLERY

Pablo Picasso 파블로 피카소 DIE GALERIE Paek Yunzo 백윤조 JEAN GALLERY 진화랑 Paik Nam June 백남준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Paik Nam June 백남준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Paik Namjune 백남준 GALLERY MANO 갤러리마노 Paik Namjune 백남준 SM FINE ART GALLERY Paik Namjune 백남준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Paik Namjune 백남준 ARARIO GALLERY

Park Chanoo 박찬우 JJ JOONG JUNG GALLERY

B44 A77 A07

66 82 278

B06 A33 B28

78 148 316

A50

46

Nydia Blas 니디아 블라스 OVER THE INFLUENCE

A07

278

O Oak Jungho 옥정호 GALLERY CHOSUN

A12

146

A22

254

B34 A08

304 136

Néctor Mejía 넥터 메히아 ARTE ALTO Nick Walker 닉 워커 BRUGIER–RIGAIL GALERIE Nobuyoshi Araki 노부요시 아라키 OVER THE

B25 B13

180 100

Noh Jun 노준 BON GALLERY 본화랑 Noh Kyounghee 노경희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Noh Kyunghwa 노경화 SONG ART GALLERY

A54

220

송아트갤러리

Nathalie du Pasquier 나탈리 뒤 파스퀴에 PACE

Noh Sangho 노상호 ARARIO GALLERY

갤러리조선 이화익갤러리

Oh Chigyun 오치균 RHO GALLERY 노화랑 Oh Jihyun 오지현 GALLERY ARTPARK KARLSRUHE

Park Choonmoo 박춘무 TOPOHAUS 토포하우스 Park Dongsoo 박동수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Park Eunsoo 박은수 MASAN ART CENTER 마산아트센터

Park Eunsook 박은숙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Park Eunsun 박은선 SUN GALLERY 선화랑 Park Eunsun 박은선 THE PAGE GALLERY 더페이지갤러리

Park Guhwan 박구환 VIT GALLERY 빛갤러리 Park Gyehoon 박계훈 UM GALLERY 유엠갤러리 Park Haekang 박해강 GALLERY MIROONAMU 갤러리미루나무

Park Haekeung 박혜정 GALLERY JARI ART 갤러리자리아트 가나아트갤러리

Park Hoonsung 박훈성 RHO GALLERY 노화랑 Park Hyunggeun 박형근 PHOSPHORUS & CARBON GALLERY 피앤씨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Oh Chigyun 오치균 LEEHWAIK GALLERY

JJ중정갤러리

Park Hangryul 박항률 GANA ART GALLERY

INFLUENCE

308 278 152 188

A13 B38

B55

282

260 164

B45 A07 B07 B57

Oscar Murillo 오스카 무릴로 DAVID ZWIRNER Ozawa Kanako 오자와 카나코 GALLERY A–CUBE

310 268

A29

A39 B59

288

296

PKM갤러리

A71 A60

150 58 66 238 228 344 252 246 152 314 342

GALLERY

A06

B33

Olafur Eliasson 올라퍼 엘리아슨 PKM GALLERY

116 52

B09 B64 B44 B61 B19 A47 A17 B47 B07 A46 B41

76 218

120 116 40

342

GALLERY

청화랑

N Na Gang 나강 GALLERY DREAM 갤러리드림 Na Jeomsoo 나점수 ART SPACE 3 아트스페이스 3 Nadir Figueroa 나디르 피게로아 ARTE ALTO Nam Hong 남홍 JEAN GALLERY 진화랑 Nam June Paik 백남준 HAKGOJAE GALLERY 학고재 Nam Kiho 남기호 WOONG GALLERY 웅갤러리 Nam Tchunmo 남춘모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Nam Yeojoo 남여주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Nara Yoshitomo 나라 요시토모 GALLERY EDEL Nara Yoshitomo 나라 요시토모 SM FINE ART GALLERY Nara Yoshitomo 나라 요시토모 WHITESTONE

B26 A40

A23 A01 A57

B41

Okanishi Yuuna 오카니시 유우나 WHITESTONE

A01 A43

PARIS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Murakami Takashi 무라카미 타카시 DADO ART

228 228 314 156 182 224 346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NAKANO

Murakami Takashi 무라카미 다카시 ART WORKS

B19 B19 A46 A73 B43 A53 A66

Oh Myung Hee 오명희 HAKGOJAE GALLERY 학고재 Oh Se–yeol 오세열 HAKGOJAE GALLERY 학고재 Oh Seyeol 오세열 SM FINE ART GALLERY Oh Seyeol 오세열 GALLERY FOCUS 갤러리포커스 Oh Soonhwan 오순환 GALLERY MAC 맥화랑 Oh Sufan 오수환 GANA ART GALLERY 가나아트갤러리 Oh Youkyeong 오유경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GALLERY

CARBON GALLERY 피앤씨갤러리

Miguel Dávila 미구엘 다빌라 SASHA D ESPACIO DE ARTE Mike Lee 마이크 리 OVER THE INFLUENCE Miki 미키 GALLERY EDEL Miki Lee 미키 리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MUN MIN 문민 SEOSHIN GALLERY 서신갤러리 Muragishi Manavu 무라기시 마나부 MORI YU

A81

ARTS 2448문파인아츠

Michel Duport 미셸 뒤포르 PHOSPHORUS &

182 324 114 90 132 212 216 226 352

더페이지갤러리

GALLERY YEH 예화랑

Michael Scoggins 마이클 스코긴스 g·gallery 지갤러리 Michael Wolf 마이클 울프 FLOWERS GALLERY Michel Delacroix 미셸 들라크루아 2448 MOON FINE

B43 B51 B58 A41 B38 A81 B39 A05 A25

WORLD GALLERY

84 128 168 342 346

KLEMM GALLERY

Michael Craig–Martin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140

INOUE GALLERY

B53 B50 A18 B41 A66

갤러리이마주

Meeyoung Kim 김미영 GALLERY KICHE 갤러리기체 Michael Craig–Martin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DAVIS

A65

GALLERY 다도화랑

TSUBAKI

McArthur Binion 맥아더 비니온 MASSIMO DE CARLO Me–Keoung Lee 이미경 GALLERY IMAZOO

Moon Hyeongtae 문형태 GALLERY MAC 맥화랑 Moon Hyeongtae 문형태 SUN GALLERY 선화랑 Moon Insoo 문인수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Moon Jihye 문지혜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Moon Seungkeun 문승근 GALLERY A–CUBE Moon Yunwook 문연욱 GALLERY SP 갤러리에스피 Morimura Chishi 모리무라 치시 GALLERY TOMURA Morishita Kazz 모리시타 카즈 GINZA GALLERY G2 Motonaga Sadamasa 모토나가 사다마사 YOSHIAKI

Mustafa Hulusi 무스타파 훌루시 THE PAGE GALLERY

NARDONE

Max Ackermann 막스 아커만 BODE GALERIE Mayuka Yamamoto 마유카 야마모토 GALLERY

Monica Sarmiento Castillo 모니카 사루미엔토

298

CARLO

Mathilde Nardone 마틸드 나르도네 GALERIE

324

카스틸로 GALLERY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A42

COMPOSITION

Massimo Bartolini 마시모 바르톨리니 MASSIMO DE

B51

선화랑

Murakami Takashi 무라카미 다카시 ART COLLECTION

갤러리에스피

Masayoshi NOJO 마사요시 노조 GALLERY ART

Miyuki Yokomizo 미유키 요코미조 SUN GALLERY

84 104 276 44 142

GALLERY 우손갤러리

Masahiko Tsubota 마사히코 츠보타 GALLERY SP

162 226 180

갤러리기체

B53 A51 A15 A36 B42

PUERTA ROJA

Marina Zlochin 마리나 즐로신 BRUNO ART GROUP Mario Daniele 마리오 다니엘레 GALERIE NARDONE Mark Kurdziel 마크 커질 GALLERY JEON 갤러리전 Maruo Yuko 마루오 유코 WHITESTONE GALLERY Maruyama Naofumi 마루야마 나오후미 WOOSON

A52 A05 B25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María García Ibánez 마리아 가르시아 이바네즈

Minjung Kim 김민정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Min Yul 민율 GINZA GALLERY G2 Mitsunori Kimura 미츠노리 기무라 GALLERY KICHE

Movana Chen 모바나 첸 FLOWERS GALLERY Mr. Brainwash 미스터 브레인워시 ART OF THE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SOHEON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Lee Ufan 이우환 ART COLLECTION NAKANO Lee Ufan 이우환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B42 A11 B62 B06 B09 B37 A82 S04 A13 A70

동숭갤러리

박여숙화랑

Lee Seungjo 이승조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Lee Soodong 이수동 RHO GALLERY 노화랑 Lee Sookja 이숙자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Lee Soyeun 이소연 JOHYUN GALLERY 조현화랑 Lee Sukju 이석주 RHO GALLERY 노화랑 Lee Sukju 이석주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Lee Sungjae 이성재 GALLERY JOY 갤러리조이 Lee Taeho 이태호 GALLERY J–ONE 갤러리제이원 Lee Taekyoung 이태경 GALLERY SOHEON &

Liam Gillick 리암 길릭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Lim Changmin 임창민 GALLERY BUNDO 갤러리분도 Li Qing 리칭 GALLERY SU: 갤러리 수 Lim Jongdoo 임종두 BON GALLERY 본화랑 Lim Seunghyeon 임승현 GALLERY DREAM 갤러리드림 Lim Soosik 임수식 GALLERY JINSUN 갤러리 진선 Lim Youngjo 임영조 GALLERY FINE 갤러리화인 Lin Chun Pin 린춘핀 J.P. ART CENTER Lisa Yuskavage 리사 유스케이바게 DAVID ZWIRNER Liu Ruowang 류 루오왕 DONGSOONG GALLERY

Park Hyungji 박형지 SOPHIS GALLERY 소피스갤러리 Park Hyunjoo 박현주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Park Hyunok 박현옥 GALLERY ARTPARK KARLSRUHE Park Hyunok 박현옥 GALLERY JUNG 갤러리정 Park Hyunsu 박현수 JEAN GALLERY 진화랑 Park Ilyong 박일용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Park Inhyuk 박인혁 WOONG GALLERY 웅갤러리 Park Jekyoung 박제경 GALLERY APPLE 갤러리애플 Park Jinkyu 박진규 JJ JOONG JUNG GALLERY JJ중정갤러리

435


ARTIST INDEX

참여작가 색인 Park Jinsung 박진성 GALLERY MAC 맥화랑 Park Jong–tae 박종태 GALLERY J–ONE 갤러리제이원 Park Jongho 박종호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Park Jongkyu 박종규 SONG ART GALLERY

B43 B49 B01 B28

182 172 200 316

A49

284

송아트갤러리

Park Jongpil 박종필 PARK RYUSOOK GALLERY 박여숙화랑

Park Joongha 박중하 GALLERY JUNG 갤러리정 Park Jukyung 박주경 ROW GALLERY 라우갤러리 Park Kiwon 박기원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Park Kwangsung 박광성 GALLERY PAKYOUNG

A03

318

갤러리현대

Robert Indiana 로버트 인디애나 SM FINE ART A47 B05 B71 A16 A52 A37

344 280 270 236 162 178

A27 B58 A30 B20 A49

248 114 124 242 284

Q Quac Insik 곽인식 ART COLLECTION NAKANO Quac Insik 곽인식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R Rafael Barrios 라파엘 바리오스 ART OF THE WORLD

갤러리현대

Roberto Matta 로베르토 마타 DIE GALERIE Rodrigo de la Sierra 로드리고 데 라 시에라 SIMYO Roh Hyeunwoo 노현우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Romero Britto 로메로 브리또 GALERIE GAIA

A24 HLT01 A43

234 366 52

A52

162

A46

314

A29 A29

282 282

B18

326

A23

120

A51 B15

104 312

B11

192

A53

224

A29 B03 B20

282 250 242

B50 B20

128 242

A33 A45

148 126

A65

140

A07 A27 B42 B53 A50

278 248 142 84 46

A63 A52

262 162

A58 A33

80 148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Ron Arad 론 아라드 OVER THE INFLUENCE Roni Horn 로니 혼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Rosa Loy 로사 로이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Roy Yariv 로이 야히브 BRUNO ART GROUP Ruby Unkyung Hur 허은경 ARARIO GALLERY

140

A75

300

Sanghwa Jung 정상화 JULIANA GALLERY

B40 A30 B27 A66

190 124 348 346

A14

244

A75 B50 A07 A36 A62 A21 A68 B25 A23 A65

300 128 278 44 50 274 186 180 120 140

쥴리아나갤러리

B55 A52

48 162

A43

52

A75 B23 A84 B60 A52

300 292 194 62 162

Santeri Tuori 산테리 투오리 PURDY HICKS GALLERY Sasha Drutskoy 사샤 드러스코이 GALERIE NARDONE Scott Campbell 스콧 캠벨 OVER THE INFLUENCE Seo Eunji 서은지 AKI GALLERY Seo Sangik 서상익 ART FACTORY 아트팩토리 Seo Seungyeon 서승연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Seokyoung Kim 김석영 GALLERY MARE 갤러리마레 Seungcheol Ok 옥승철 GALLERY KICHE 갤러리기체 shelby and sandy 쉘비 앤드 샌디 g·gallery 지갤러리 Shen Jingdong 썬 진동 GALLERY BANDITRAZOS

A07 A06

278 288

GALLERY 피앤씨갤러리

SHIMURA Bros 시무라 브라더스 GALLERY SP Shin Cheol 신철 WAS GALLERY

234 296 350 162 42 122 236 246 244 282 360 340 334 106

B52 B56 B04 A79

332 88 230 68

Takasaki Motonao 타카사키 모토나오 DADO ART

A35

96

A59 A25

232 352

B41 A23

342 120

B41 B13 A76

342 100 118

HLT03 B19 A01 HLT04

368 228 116 362

A66 A36 A64

346 44 102

A27

248

A50

46

B35

328

A44 A59 B63 A65

38 232 202 140

A52

162

A13 A21 B26 A23 B46 A14

98 274 76 120 302 244

A55

42

B55

48

B49

172

B07 A39 A18 A52

152 260 168 162

B61 A77 B70

238 82 112

B41

342

GALLERY 다도화랑

TAKEDA Kazuki 다케타 카즈키 HITSUJI–GARO Takuma Akihito 타쿠마 아키히토 YOSHIAKI INOUE GALLERY

Taro 타로 WHITESTONE GALLERY Taylor Anton White 테일러 앤톤 화이트 g·gallery 지갤러리

Tetsuo Mizu 테츠오 미즈 WHITESTONE GALLERY Thitz 티츠 DAVIS KLEMM GALLERY Thomas–Andréa Barbey 토마스 안드레아 바비 FRANÇOISE LIVINEC

Three 쓰리 STANDING PINE Tim Eitel 팀아이텔 HAKGOJAE GALLERY 학고재 Tom Hammick 톰 해믹 FLOWERS GALLERY Tomohiro INABA 토모히로 이나바 GALLERY ART COMPOSITION

Tony Cragg 토니 크랙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Tsuchiya Yoshimasa 츠치야 요시마사 AKI GALLERY Tzu–Jui Huang 쯔주이 후앙 DER–HORNG ART GALLERY

Song Jiyeon 송지연 SUN GALLERY 선화랑 Song Milinae 송미리내 GALLERY APPLE 갤러리애플 Song Soonam 송수남 CHOSUN ART GALLERY

B51 B17 B22

324 134 86

조선화랑

Song Sumin 송수민 ARTSIDE GALLERY 아트사이드

Sophia Vari 소피아 바리 ART OF THE WORLD GALLERY Stan Douglas 스탠 더글라스 DAVID ZWIRNER Starsky Brines 스타스키 브리네스 g·gallery 지갤러리 Stefan Mas Persson 스테판 마스 퍼슨 MOOKJI ART

A79

68

B39 B18

216 326

A43 A13 A23 B10

52 98 120 266

A81

212

Uji(Hahan) Handoko Eko Saputro 우지(하한)

W Wang Enlai 왕은라이 THE PAGE GALLERY

A50

46

HLT03 A74

368 198

B34 HLT01 A83 A50 B01 A62 B57 B66 A13

304 366 158 46 200 50 188 256 98

Wang Keping 왕 케핑 10 CHANCERY LANE GALLERY WATANABE Mei 와타나베 메이 HITSUJI–GARO Wen Ping 문평 GALLERY SEJUL 갤러리세줄 William Barbosa 윌리암 바르보사 GALLERY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COLLABORATION

Sugiyama Kenji 스기야마 겐지 STANDING PINE Suh Jeongmin 서정민 GALLERY PAKYOUNG

국제갤러리

더페이지갤러리

갤러리

Song Yongwon 송용원 GALLERY TOMURA Soni Irawan 소니 이라완 THE COLUMNS GALLERY

U Ugo Rondinone 우고 론디노네 KUKJE GALLERY

한도코 에코 사푸트로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갤러리

Wim Delvoye 빔 델보예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Wolfgang Tillmans 볼프강 틸만스 DAVID ZWIRNER Woo Byungchul 우병출 NINE GALLERY 나인갤러리 Woo Jongtaek 우종택 BODE GALERIE Woo Kukwon 우국원 g·gallery 지갤러리 Woo Kukwon 우국원 PYO GALLERY 표갤러리 Woohwan Lee 이우환 JULIANA GALLERY 쥴리아나갤러리

갤러리박영

Suh Seungwon 서승원 RHO GALLERY 노화랑 Suh Yongsun 서용선 GALLERY SHILLA 갤러리 신라 Suh Yoonhee 서윤희 GALLERY GABI 갤러리가비 Sun Xun 쑨 쉰 ARARIO GALLERY 아라리오갤러리 Sung Byunghee 성병희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Sung Nakjoong 성낙중 ART FACTORY 아트팩토리 Sung Sangwon 성상원 GALLERY MARK 갤러리마크 Sunny Kim 홍선애 LEESEOUL GALLERY 리서울갤러리 Suzan Frecon 수잔 프레콘 DAVID ZWIRNER T Taehyuk Kim 김태혁 GALLERY TSUBAKI Tai–Shan Schierenberg 타이–샨 쉬렌버그 FLOWERS

A40 A01

218 116

A25

352

A64

102

B39

216

B55

48

GALLERY GALLERY

Takahiko Suzuki 타카히코 스즈키 DER–HORNG ART Takamatsu Kazuki 다카마츠 카즈키 GALLERY

X Xavier Veilhan 자비에 베이앙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Y Yamada Masaaki 야마다 마사아키 ART COLLECTION NAKANO

Yamamoto Mayuka 야마모토 마유카 GALLERY J– ONE 갤러리제이원

Yamao Takeshi 야마오 타케시 GALLERY EDEL Yan Pei–Ming 얀 페이–밍 MASSIMO DE CARLO Yang Hyunjun 양현준 GALLERY JEON 갤러리전 Yang Jung Uk 양정욱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GALLERY

Yang Junghwa 양정화 JEAN GALLERY 진화랑 Yang Mungi 양문기 BRUGIER–RIGAIL GALERIE Yang Sunghoon 양성훈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Yang Yongliang 양용량 WHITESTONE GALLERY

TOMURA

갤러리에스피

436

Song Hyunju 송현주 UM GALLERY 유엠갤러리 Song Inhun 송인헌 CHUNG ART GALLERY 청화랑 Song Jiho 송지호 HANA ART GALLERY 하나아트갤러리 Song Jinhwa 송진화 ARTSIDE GALLERY 아트사이드

Taira Hisaya 타이라 히사야 YOSHIAKI INOUE

갤러리반디트라소

Shepard Fairey 셰퍼드 페어리 OVER THE INFLUENCE Shim Moonseop 심문섭 PHOSPHORUS & CARBON

A24 B33 A10 A52 A55 A69 A16 B47 A14 A29 HLT06 A85 B48 B65

아라리오갤러리

호라 WOOSON GALLERY 우손갤러리

A65

Shin Jungdeok 신중덕 IGONG GALLERY 이공갤러리 Shin Minjoo 신민주 PKM GALLERY PKM갤러리 Shin Sukpil 신석필 YESONG GALLERY 예송갤러리 Shin Sung Hy 신성희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Sid 시드 313 ART PROJECT 313아트프로젝트 Silvio Porzionato 실비오 포지오나토 GALERIA LGM Sin Hosik 신호식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Sohn Moonja 손문자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Sol LeWitt 솔 르윗 JULIANA GALLERY 쥴리아나갤러리 Sol LeWitt 솔 르윗 PACE GALLERY Son Donghyun 손동현 GALLERY 2 갤러리2 Son Sangki 손상기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Son Seonhyung 손선형 VIT GALLERY 빛갤러리 Song Eunyoung 송은영 DONGHO GALLERY

Subodh Gupta 수보드 굽타 ARARIO GALLERY S Sagong Woo 사공 우 GALLERY MEE 갤러리미 Salustiano 살루스티아노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Sam Francis 샘 프란시스 YEASUNG GALLERY 예성화랑 Sandra Vasquez de la horra 산드라 바스케즈 델 라

276 344 176 190 336 90

더컬럼스갤러리

갤러리현대

Ryon Cho 조상연 BONGSUNG GALLERY 봉성 갤러리 Ryu Sookyoung 류숙영 GALLERY DOLL 갤러리도올

A15 A47 A32 B40 A02 A41

동호갤러리

갤러리가이아

Romero Britto 로메로 브리토 GALLERY

Shin Gunwoo 신건우 OPERA GALLERY SEOUL Shin Hanchul 신한철 WOONG GALLERY 웅갤러리 Shin Heungwoo 신흥우 GALLERY JUNG 갤러리정 Shin Heungwoo 신흥우 GALLERY MEE 갤러리미 Shin Insoo 신인수 WALTER BISCHOFF GALERIE Shin Jaehwan 신재환 CHUNGJARK GALLERY 청작화랑

GALLERY 심여화랑

Ruo Hsin WU 루오 신 우 MIZUIRO WORKSHOP Ryan Gander 라이언 갠더 GALLERY HYUNDAI

GALLERY

Ralph Fleck 랄프 플렉 PURDY HICKS GALLERY Ramon Enrich 라몬 엔리히 PIGMENT GALLERY Re Jung 리정 GALLERY MIZ 갤러리미즈 Rhee Jaeyong 이재용 ART SPACE J 아트스페이스 제이 Rhee Seund Ja 이성자 GALLERY HYUNDAI

98 254

g·gallery 지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BANDITRAZOS 갤러리반디트라소

Pierre Bergian 피에르 벨지안 PURDY HICKS GALLERY

A13 A22

GALLERY 더컬럼스갤러리

130 208 130 358

조현화랑

Piao Guangxie 피아오 광시에 GALLERY

Robert Schaberl 로버트 샤베르 THE COLUMNS

B21 B16 B21 HLT02

조현화랑

Phil Van Duynen 필 반 뒤넨 GALERIE NARDONE Philippe Cognée 필립 꼬네 JOHYUN GALLERY

328

GALLERY

314 316 340 198

가나아트갤러리

Paul Graham 폴 그레이엄 PACE GALLERY Peter Demetz 피터 데메츠 LEE & BAE 갤러리이배 Peter Zimmermann 피터 짐머만 JOHYUN GALLERY

Robert Mangold 로버트 맨골드 PACE GALLERY Robert Rauschenberg 로버트 라우센버그 PACE

A46 B28 A85 A74

갤러리미루나무

Park Yungnam 박영남 GANA ART GALLERY

B35

GALLERY

Robert William Moreland 로버트 윌리엄 모어랜드

두루아트스페이스

Park Youngin 박영인 GALLERY MIROONAMU

Rim Jaikwang 임재광 IGONG GALLERY 이공갤러리 Robert Barry 로버트 배리 GALLERY SHILLA 갤러리 신라 Robert Indiana 로버트 인디애나 ART OF THE WORLD Robert Indiana 로버트 인디애나 GALLERY HYUNDAI

갤러리박영

Park Sooryun 박수련 GALLERY 41 갤러리41 Park Sungwon 박성원 GALLERY SKLO 갤러리스클로 Park Taedong 박태동 GALLERY 41 갤러리41 Park Younggeun 박영근 DURU ARTSPACE

Richard Serra 리차드 세라 DAVID ZWIRNER Rim Dongsik 임동식 LEEHWAIK GALLERY

GALLERY

박여숙화랑

Park Seobo 박서보 SM FINE ART GALLERY Park Seobo 박서보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Park Seobo 박서보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Park Seungsoon 박승순 GALLERY PAKYOUNG

64

더페이지갤러리

176 306 42 198

주영갤러리

Park Seo–Bo 박서보 KUKJE GALLERY 국제갤러리 Park Seobo 박서보 e.jung gallery 이정갤러리 Park Seobo 박서보 GALERIE BHAK 박영덕화랑 Park Seobo 박서보 JOHYUN GALLERY 조현화랑 Park Seobo 박서보 PARK RYUSOOK GALLERY

Richard Prince 리차드 프린스 THE PAGE GALLERY

A32 B02 A55 A74

소피스갤러리

Park Kwanwook 박관욱 WOONG GALLERY 웅갤러리 Park Kyoungbum 박경범 O–WON GALLERY 오원화랑 Park Kyunghee 박경희 MYUNG GALLERY 명갤러리 Park Meyoun 박미연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Park Minjoon 박민준 GALLERY HYUNDAI 갤러리현대 Park Saengkwang 박생광 GALLERY JUYOUNG

B14

이화익갤러리

갤러리박영

Park Kwangsung 박광성 SOPHIS GALLERY

Rhee Seund–Ja 이성자 ART WORKS PARIS SEOUL GALLERY 아트웍스파리서울갤러리

B31

338

Takano Aya 다카노 아야 ART COLLECTION NAKANO

437


후원사 & 협찬사 & 파트너사

참여작가 색인

SUPPORTERS & SPONSORS & PARTNERS Yeo Donghun 여동헌 ART PARK 아트파크 Yeo Sohyun 여소현 DONGSOONG GALLERY

A38 A70

54 110

A10 A16 A54 A04 B56 A56

350 236 220 174 88 210

B35

328

B03

250

B47

246

A15 A52

276 162

Official Paper Partner

B70 B67 A57

112 196 40

Exclusive Online Partner

B72 A15 B34 B67 A17 B28 B09 B06 HLT05 B42 B53 A29 A14

94 276 304 196 252 316 150 78 364 142 84 282 244

B01 A53

200 224

B24 B10 B33 A85 B65 B19 A40 A40

206 266 296 340 106 228 218 218

동숭갤러리

Yi Gyereon 이계련 YESONG GALLERY 예송갤러리 Yi Heechoung 이희중 INSA GALLERY 인사갤러리 Yi Hwankwon 이환권 GALLERY YEH 예화랑 Yi Soongu 이순구 GALLERY JOY 갤러리조이 Yim Manhyeok 임만혁 CHUNG ART GALLERY 청화랑 Yim Soah 임소아 GALLERY SOHEON & SOHEON CONTEMPORARY 갤러리소헌&소헌컨템포러리

Yin Zhaoyang 인 자오양 THE PAGE GALLERY

Organized by Managed by Supported by

더페이지갤러리

Yokomizo Miyuki 요코미조 미유키 LEE & BAE 갤러리이배

Yong R. Kwon 권용래 KEUMSAN GALLERY 금산갤러리

Yoo Bongsang 유봉상 OPERA GALLERY SEOUL Yoo Geun–Taek 유근택 GALLERY HYUNDAI

Sponsor

갤러리현대

Yoo Juhee 유주희 DONGWON GALLERY 동원화랑 Yoo Li 유리 GALLERY NOW 갤러리나우 Yoo Miseon 유미선 2448 MOON FINE ARTS 2448문파인아츠

Yoo Ockja 유옥자 COSMOS GALLERY 코스모스갤러리 Yoo Seungho 유승호 OPERA GALLERY SEOUL Yoon Byungrock 윤병락 RHO GALLERY 노화랑 Yoon Hanjong 윤한종 GALLERY NOW 갤러리나우 Yoon Hee 윤희 LEEAHN GALLERY 리안갤러리 Yoon hee 윤희 SONG ART GALLERY 송아트갤러리 Yoon Sangmin 윤상민 GALLERY DREAM 갤러리드림 Yoon Sangyoon 윤상윤 BON GALLERY 본화랑 Yoon Sangyuel 윤상렬 GALLERY DATE 갤러리데이트 Yoon Sukwon 윤석원 GALLERY BATON 갤러리바톤 Yoram Chisin 요람 친신 BRUNO ART GROUP Yoshitomo Nara 요시토모 나라 PACE GALLERY Yositomo Nara 요시토모 나라 JULIANA GALLERY

Partners Media Partners

쥴리아나갤러리

You Hyeonkyeong 유현경 GALLERY SEIN 갤러리세인 Youn Myeungro 윤명로 GANA ART GALLERY 가나아트갤러리

Youngil Ahn 안영일 GALLERY SESOM 갤러리세솜 Yul 율 MOOKJI ART COLLABORATION Yun Hyong–keun 윤형근 PKM GALLERY PKM갤러리 Yun Hyongkeun 윤형근 WELLSIDE GALLERY 샘터화랑 Yun Miyoung 윤미영 DONGHO GALLERY 동호갤러리 Yun Suknam 윤석남 HAKGOJAE GALLERY 학고재 Yunbok Lee 이윤복 GALLERY TSUBAKI Yuuki Yanagisawa 유우키 야나기사와 GALLERY TSUBAKI

Z Zhang Bin 짱 삔 ASIA SCENE ART CENTER Zhang Xuerui 장 쉬에루이 10 CHANCERY LANE GALLERY Zhao Yiqian 자오이치엔 GALLERY SU: 갤러리 수 Zhong Lexing 총 리칭 WAS GALLERY Zong Jia YANG 종 지아 양 MIZUIRO WORKSHOP

438

A67 A44 B62 B31 A63

70 38 214 338 262

Hotel Partners F&B Partners Official Shipping Agents

439


ORGANIZING COMMITTEE

조직도 조직위원회

운영위원회

조직위원장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명예회장

운영위원장 이화익 이화익갤러리

조직위원 구정모 ㈜대구백화점 대표이사

부운영위원장 최웅철 웅갤러리

김희근 ㈜벽산엔지니어링 회장

권미성 갤러리조선

박재갑 한국세포주연구재단 이사장 변양호 보고펀드 고문 윤영달 ㈜크라운해태홀딩스 회장 이방주 ㈜JR AMC 대표이사 회장 이봉훈 한국삼공 부회장 이상준 ㈜호텔프리마 대표이사 이성낙 가천대학교 명예총장 이호정 KIAF 2018 ART SEOUL 조직위원 장태평 더푸른미래재단 이사장 조봉연 베어링브라더스 전이사 조정일 코나아이 대표 주원석 미디어윌 회장 도미니크, 실바인 레비 DSL 컬렉션 설립자

총무이사 이은숙 갤러리에스피 재무이사 박규형 아트파크 감정이사 박려숙 박여숙화랑 윤용철 갤러리윤 사업이사 김은아 우손갤러리 백동열 백송갤러리 국제이사 김방은 예화랑 이정용 가나아트갤러리 기획이사 김정숙 두루아트스페이스 홍보이사 안진옥 갤러리반디트라소 장동조 더컬럼스갤러리 지역이사 강금주 갤러리이듬

440

이광호 갤러리신라

Organizing Committee

Operating Committee

운영위원 김노암 아트스페이스휴 대표

Chairman of Organizing Committe Byongwon BAHK Korea Employer’s Federation

Chairman of Operating Committee Hwaik LEE LEEHWAIK GALLERY

Organizing Committee No Am KIM Director of Art Space HUE

김복기 아트인컬처

Organizing Committee Jungmo KOO Daegu Department Store

Vice Chairman of Operating Committee Woongchull CHOI WOONG GALLERY

Boggi KIM President of Art in Culture

김성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교수 박영택 경기대학교 예술학과 교수

Higgin KIM Byucksan Engineering Co., Ltd. Jaegahb PARK Korean Cell Line Research Foundation

서진수 강남대학교 경제세무학과 교수

Yangho BYEON Vogo Investment

유진상 계원예술대학교 교수

Youngdal YOON Crown Haitai Holdings Co., Ltd.

윤진섭 미술평론가 이준희 월간미술 편집장

Bangjoo LEE JR AMC Co., Ltd.

Sangjun LEE Hotel Prima Seoul

Yongcull YOON GALLERY YOON

대표 이화익

Hojung LEE KIAF 2018 ART SEOUL Organizing Committee

팀장 장은경

Taepyong CHANG The green Future Foundation

과장 박준수

Finance Director Kyuhyeong PARK ART PARK

Bonghoon LEE HANKOOKSAMGONG

Sungnack LEE Hon. President, Gachon University

차장 김보라

General Director Eunsook LEE GALLERY SP

Director of Appraisal Ryu–Sook PARK PARK RYU SOOK GALLERY

KIAF 사무국

팀장 김동현

Misung KWON GALLERY CHOSUN

Director of Business Eunah KIM WOOSON GALLERY Dongyol BAIK BAIKSONG GALLERY

Bongyeon CHO BARING BROTHERS

Director of International Affairs Angela Bangeun KIM GALLERY YEH

Jungil CHO KONA I Co., Ltd.

Jung LEE GANA ART

Wonsuk JOO Mediawill

Director of Planning Jeungsook KIM DURU ARTSPACE

Dominique and Sylvain Lévy DSL Collection

대리 이기찬

Director of PR & Marketing Jinog AHN GALLERY BANDITRAZOS

대리 박윤나

Dongjo CHANG THE COLUMNS GALLERY

대리 제영모

Regional Director Kumjoo KANG GALLERY IDM

사원 유지은 권지은 남다현

Kwangho LEE GALLERY SHILLA

Sungwon KIM Professo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Youngtaik PARK Professor of Kyonggi University Jinsu SEO Professor of Kangnam University Jinsang YOO Professor of Kaywon University of Art & Design Jinsup YOON Art Critic Junhee LEE Chief editor of Monthlyart

KIAF OFFICE Chairman Hwaik LEE Senior Manager Eunkyung CHANG Senior Manager Donghyun KIM Finance & Accounting Manager Bora KIM KIAF Manager Junesoo PARK Associate manager Kichan LEE / Operation Yunna PARK / PR & Gallery relation Youngmo JE / PR & Marketing PR & Design Jieun YU Gallery Relations June KWON Dahyun NAM

441


HISTORY OF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화랑협회 연혁 1976년

화랑경영자 상호간의 친목과 공동의 이해를 증진하여 건전한 미술시장 형성을 위해서 동산방, 명동, 양지, 조선, 현대 5개 화랑대표가 모임(5월) 서울시내의 12개 화랑이 조선호텔에서 한국화랑협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회장에 김문호 (명동화랑)를, 이사에 박주환, 문선호, 권상능, 박명자, 감사에 유택환을 선출하고 정관을 제정함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1987년

(12월 27일)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5년

1986년

442

협회 창립 이후 회원의 변동과 조직의 미비로 협회활동이 저조함에, 임원회의는 새 체제의 화랑협회 결성을 결의함(12월 5일) 한국화랑협회 제2차 창립총회가 현대화랑에서 개최되고 회장에 박주환(동산방화랑)을 추대하고 동시에 김문호를 명예 초대회장으로 추대함(12월 18일) 제2차 정기총회를 개최 (12월 13일)/ 문화공보부 사회단체 등록(등록번호 제 356, 3월 6일)/ 협회지 미술춘추창간호(정기간행물 등록 비–818 호 계간, 4 X 6배판) 발간함(4월 30일)/ 제1회 한국화랑협회전 개최(10월 18일) 한국화랑협회 부산지회 결성(6월 30일)화랑협회 선정작가를 중심으로 한 제2회 한국화랑협회전 개최(현대화랑과 희화랑)(11월 24일) 제4차 정기총회 개최(2월 14일, 선화랑), 제 3대 회장 권상능(조선화랑)을 선출, 임원 개선과 정관의 일부 개정(2월 14일) 협회 독립 사무국 개설 (종로구 관훈동, 3월)/ 현대미술관건립 기금 조성전 한국미협과 공동주관(5월 23일)/ 작품보증서 발행에 관한 규칙제정(9월 26일)/ 제3회 81화랑협회전 개최(12월 3일) 제5차 정기총회 개최(협회 회의실), 미술품 감정기구 운영에 관한 규칙제정 (전문5장 25조) 및 감정위원회 발족회 가입 및 징계에 관한 규칙제정(2월 20일)/ 미술품 회원 교환전 실시 (협회 회의실), 협회지 『화랑춘추』 총 7권 발행 제6차 정기총회 개최(2월 26일, 협회 회의실), 제4대 회장에 김태성(예화랑)이 선출되고 임원 개선(2월 26일) 미술시장 유통질서 개선을 위한 세미나가 문예진흥원에서 미술관계인 및 회원 다수 참석하에 개최됨(11월 26일) 제8차 정기총회 개최(협회 회의실), 제5대 회장에 김창실(선화랑)이 선출되고 임원 개선(2월 16일)/ 제4회 한국화랑협회전 개최(9월 2일), IBRD/IMF 총회 문화행사에 참여, 출품(9월 11일) 제9차 정기총회 개최(힐튼호텔) 화랑협회전의 수준향상 계획과 협회 양식의 전시계약서 사용을 합의(2월 22일)/ 제5회 한국화랑협회전을 제1회 한국화랑협회 미술제전(영문 명칭 SEOUL ART FAIR)으로 개최(8월 28일부터 9월 17일까지

1976

제10차 정기총회 개최(협회 회의실), 제6대 회장에 박주환(동산방)이 선출되고 이사 6인으로 정관을 개정, 임원 개선(2월 20일)/ 제6회 87한국화랑협회미술제 개최(9월 4일부터 13일까지 호암갤러리)/ 제1회 화랑협회 경매전 백암미술관에서 개최(12월 19일 경매실시, 12월 12~19일)

1988년

제11차 정기총회 개최, 준 회원제를 채택(12월 27일) 『화랑춘추』 계간으로 변경(등록번호 바–1095, 3월 26일)

1989년

제12차 정기총회 개최, 제 7대 회장에 박명자 (현대화랑) 선출, 임원개선(2월 25일)/ ’미술진흥을 위한 세미나’ 개최(호암갤러리, 6월 24일)/ 제7회 89화랑미술제 개최(호암갤러리, 9월 2일)/ 사랑의 미술품 대바자회 개최, MBC TV와 공동주최로 생방송 경매실시(12월 26일)

1990년

제8회90화랑미술제 개최(호암갤러리, 9월 7일)

1991년

제14차 정기총회 개최, 제8대 회장에 김창실 (선화랑) 선출(2월8일)/ 사단법인 설립등기(5월 1일)/ 미술문화 공개념과 유통질서 확립 세미나 개최(7월 13일)/ 제 9회 91화랑미술제 개최 (예술의 전당 미술관, 9월 5일)

1992년

1994년

제17차 정기총회 개최, 제9대 회장에 권상능 (조선화랑) 선출, 회장단 선거에 관한 규칙 (경선제도) 제정(2월 5일)/ 미술의 대중화와 국제화 시대의 대응 세미나 개최(조선화랑, 4월 27일)/ 제12회 94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Held the 6th regular general meeting(The office of the association, 16th of February) Elected Taeseong Kim(Yeh Gallery) as the 4th chairperson Launched the artworks appraisal organization Held a seminar on improving the order of distribution in the fine arts market(The Korea Culture & Arts Foundation, 26th of November)

1985

Held the 8th regular general meeting(The conference room of the association, 16th of February) Elected Changsil Kim(Sun Gallery) as the 5th chairperson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Garam Gallery, Gallery Mee, Songwon Gallery, Sun Gallery, 2nd~7th of September) Participated the cultural events of the IBRD/IMF general meeting and submitted artworks to the exhibition(11th of September).

1979

Held the 2nd regular general meeting(13th of December) Registered as a social organization in the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6th of March) Published the first issue of the association magazine “Gallery choonchoo” Held the first Korea Galleries Art Fair(Munhwa Gallery, Sun Gallery, 18th~24th of October)

1986

Held the 9th regular meeting(Hilton Hotel, 22nd of February) Reached and agreement on the plan of upgrading the Korea Galleries Art Fair and the use of the exhibition contract from defined by the association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at Deoksu Palace, 29th of August~14th of September)

1980

Established the Busan Branch of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30th of June) Held the second Korea Galleries Art Fair(Hyundai Gallery, Hee Gallery, 24th~30th of October)

1987

1981

Held the 4th regular general meeting(Sun Gallery, 14th of February) Elected Sangeun Gwon(Chosun Gallery) as the 3rd chairperson and revised the articles of the association partially Opened the executive office(Gwanhun–dong, jongno–gu, March) Held the fundraising exhibition for buil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ith the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23rd~29th of May) Established the regulations on issuing fine art guarantee letters(26th of September)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8th~12th of December)

Held the 10th regular general meeting(The Conference room of the association, 20th of February) Elected Juhwan Park(Dong San Bang Gallery) as the 6th chairperson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Hoam Gallery, 4th~13th of September) Held the 1st auction(Baekam Museum, 12th~19th of December)

1988

Held the 11th regular general meeting, Adopted the associate membership system(27th of February) Changed “Gallery Choonchoo” into a quarterly magazine(26th of March)

1989

Held the 12th regular general meeting(25th of February) Elected Myeongja Park(Hyundai Gallery) as the 7th chairperson Held seminar for “the Promotion of fine arts”(Hoam Gallery, 24th of June)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 (Hoam Gallery,

8월 18일) 1995년

1983

The board of directors decided to organize a new galleries association because of changes in members and slackened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since the establishment (5th of December) Held the second inaugural meeting of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Elected Juhwan Park(Dong San Bang Gallery) as the 2nd chairperson, and Munho kim as the honorary chairperson(Hyundai Gallery, 18th of December)

제10회 92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미술관,

제11회 93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미술관, 8월 19일)/ 미술품에 대한 양도 소득세 제도가 신설됨에 협회는 국회에 청원서를 제출하고 이 제도의 실시를 95년도까지 유예시킴

5 sections ad 25 articles, 2 additional rules) and regulation on the board of charter members of the art works appraisal committee Held the exchange exhibition of artworks among the members(The office of association)

1978

8월 20일) 1993년

The representatives of five galleries, Dongsanbang, Myeongdong, Yangji, Chosun and Hyundai had a meeting aiming at the promotion of mutual friendship and understanding among galler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fine arts market(May) 12 galleries in Seoul held the inaugural meeting of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Where Mun–ho Kim(Myeongdong Gallery) was appointed as the chairperson, Juhwan Park, Seonho Mun, Sangneung Gwon and Myeongja Park as director, and Takhwan Yoo as the auditor, and the articles of the association was established(Chosun Hotel, 27th of December)

‘미술의 해’ 조직위원으로 위촉(문화관광부)/ 제18차 정기총회 개최(2월 27일)/ ‘5월 미술축제’ 개최(전국 117개 화랑 참가, 5월 2일)/ 미술품 양도소득세 폐지 운동 실시 및 동법 폐지, 종합소득세로 전환됨. 협회는 이 제도를 의원 입법으로 2년간 유예시킴/ 제13회 95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전당, 8월 25일)/ 화랑협회 공로상 제정, 고 명동화랑 김문호사장 부인에게 추서함. 1982

Held the 5th regular general meeting(The office of the association, 20th of February) Established the regulation on operating the artworks appraisal organization(preamble,

443


HISTORY OF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화랑협회 연혁 1996년

1997년

1998년

‘미술시장 개방에 따른 유통구조 개혁’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2월 27일)/ 제19차 정기총회 개최 (2월 27일)/ ‘5월 미술축제’ 개최(전국 100여 화랑 참가)(5월)/ 제14회 96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미술관, 7월 5일)/ 96 FIAC ‘한국의 해’ 14개 화랑 참가 주관(파리, 프랑스, 10월)/ 96 서울 국제 미술제(SIAF)COEX와 공동주최(12월) 제20차 정기총회 개최(조선호텔), 10대 회장에 노승진(노화랑) 선출(2월 24일)/ 제15회 97화랑미술제(예술의 전당, 2월 24일)/ 미술품 종합소득세 실시를 3년간 유예시킴

(6월 1일)/ 작가와의 전시계약서 제도 실시(협회 공동양식 배부)/ 제16회 98화랑미술제 SEOUL ART FAIR (예술의전당 75개 화랑)/ 경매제도 실행의 타당성 세미나 개최(프레스 센터) 1999년

2000년

2001년

화랑협회 미술품경매제도 실시(정기 경매 4회 실시)/ 협회 정보지 ‘아트갤러리’ 4회 발행/ 정부로부터 국제 아트페어 지원사업비로 2억을 지원받아 24개 화랑이 국제 아트페어 참가(시카고, 바젤, 피악, 쾰른, 니카프)/ 제17회 화랑미술제 개최 (예술의 전당, 10월 2~10일)/ 동경 NICAF 99 ‘한국의 해’로 결정 14개 화랑 참가(Korea Festival 특별이벤트를 함)/ 국제화 지원사업을 위한 제 1회 신진작가 공모, 심사 선정하여 화랑미술제와 NICAF에 초대 출품함 제23차 정기총회 개최(신라호텔, 2월 15일), 제12대 회장에 임경식(이목화랑) 선출정부로부터 국제아트페어 지원사업비 2억원을 지원 받아 12개 화랑이 국제아트페어 참가(시카고,바젤,퀼른, 피악 등 9개 아트페어)/ 제18회 화랑미술제 개최 (예술의 전당, 9월 16~24일)/ 미술품 중소세 3년 유예화랑협회 홈페이지 구축 제24차 정기총회 개최(엠버서더호텔, 3월 8일)/ ‘5월 미술축제–한집 한 그림 걸기’ 개최(전국 107 개 화랑 참가, 5월 11~17일)/ 갤러리가이드북 발간/ 제19회 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전당, 10월 18~24 일) 정부로부터 국제아트페어 지원사업비 2억원을 지원 받아 12개 화랑이 국제아트페어 참가(시카고, 바젤,퀼른,피악 등 7개 아트페어)/ 임시총회 개최 (엠버서더호텔, 12월 28일)

2002년

444

2003년

2004년

제25차 정기총회 개최(엠버서더호텔, 2월 4일)/ 미술품감정위원회 20주년 기념사업으로 1만여 점의 미술품감정 Database 구축/ 2002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부산 BEXCO, 9월 3~8

제26차 정기총회 개최(엠버서더 호텔, 2월10일), 제13대 회장 김태수(맥향화랑) 선출/ 2003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6월 25~ 29일)/ 제21회 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11월 6일~12일)/ 정부로부터 국제아트페어 지원사업비 2억원을 지원 받아 화랑 별 참가 지원

1990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Hoam Gallery, 7th~16th of September)

1991

Held the 14th regular general meeting(8th of February) Elected Changsil Kim(Sun Gallery) as the 8th chairperson Registered the incorporation of the association(1st of May) Held a seminar on “the public concept of fine ar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istribution order”(13th of Jul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5th~11th of September)

제27차 정기총회 개최(엠버서더호텔, 2월 10일)/ 2004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6월 22~27일)/ 제22회 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11월 6~12일)/ 정부로부터 국제아트페어 지원사업비 2억원을 지원 받아 화랑 별 참가 지원예정

제21차 정기총회(노승진)회장 사임(2월 16일)/ 임시총회 회장보궐선거 11대 회장에 권상능 (조선화랑)(3월 16일)/ 5월 미술축제 ’화랑얼굴전’ 개최(3월 16일)/ 임시총회(예화랑) 협회주관 미술품 경매규정 및 조형물 사업규정을 인준함

2nd~10th of September) Held the great charity bazaar of artwork and executed an auction broadcasted live jointly with MBC(Hyundai Gallery, 26th of December)

일)/ 제20회 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10월 2~8일)/ 정부로부터 국제아트페어 지원 사업비 2억 원을 지원받아 화랑 별 참가 지원

2005년

제28차 정기총회개최(엠버서더 호텔, 2월 15일)/ 2005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6월 22~27일)/ 임시총회 개최(예술의 전당 오페라하우스, 9월 8일)/ 제 23회 화랑미술제 개최

1992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20th~30th of August)

1993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19th~29th of August) The transfer income tax system was enacted on artworks, The association deferred the enforcement off the system until 1995

1994

Held the 17th regular general meeting(5th of February) Elected Sangneung Gwon(Chosun Gallery) as the 9th chairperson Established the regulations on Chairperson election Held a seminar under the title “Response the popularization of fine art and the age of globalization”(Chosun hotel, 27th of April)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18th~28th of August)

1995

Appointed as a member of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tear of fine arts”(the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Held the 18th regular general meeting(27th of February) Held the Fine Art Festival of May(2nd~8th of May) Conducted a campaign to abolish the transfer income tax on artworks and the relevant law, the tax turned into composite income tax The National Assembly deferred the enforcement of system for 2 years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25th of August~3rd of September) Established the Galleries of Association Prize for merit, and awarded it to the wife of the late president Munho Kim of Myeongdong Gallery

1996

Held the 19th regular general meeting(27th of February)

(예술의전당, 11월 3~8일) 2006년

2007년

제29차 정기총회 개최(세종문화회관, 2월 24일)/ 제14대 회장 이현숙(국제갤러리) 선출/ 임시총회 개최(조선호텔, 3월 9일)/ 2006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5월 26~30 일)/ ‘미술시장에서의 화랑과 경매회사의 역할’ 세미나 개최(국회도서관, 7월18일)/ 제24회 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9월 20~24일) 제30차 정기총회 개최(한국언론재단, 2월 28일)/ 2007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5월 9~13일)/ 제25회 화랑미술제 개최(예술의 전당, 10월 11~16일)/ ‘건전한 미술시장을 위한 세미나’ 개최(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10월12일)

2008년

제31차 정기총회 개최(앰버서더 호텔, 2월 28일)/ 제26회 화랑미술제 개최(부산 벡스코, 3월 6~ 10일)/ 2008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9월 19~23일)/ ‘한국미술시장의 진흥과 과제–2008세제개편안의 파장과 대안’ 세미나 개최 (한국언론재단 20층 내셔널 프레스클럽, 9월 30일)/ 2008년 임시총회 개최(앰버서더 호텔, 10월 16일)

2009년

제32차 정기총회 개최(앰버서더 호텔, 2월 3일)/ 제15대 회장 표미선(표 갤러리) 선출/ 제27 회 화랑미술제 개최(부산 벡스코, 3월 19~23일)/ 2009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9월18~22일)

Held a symposium under the title “Reforms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opening of the fine arts market”(27th of February) Held the Fine Art Festival of May(1st~5th of Ma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5th~11th of July) Sponsored 1996 FIAC “the Year of Korea“ with the participation of 14 galleries(paris, France, 2nd~7th of October) Held the Seoul International Art Fair(Seoul KOEX, 2nd~10th of December) 1997

Held the 20th regular general meeting(Chosun Hotel, 24th of February) Elected Seungjin Rho(Rho Gallery) as the 10th Chairperson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22th~28th of May) Deferred the enforcement of composite income tax on artworks for 3years until 2000

1998

Held the 21st regular general meeting and the Chairperson resigned(Rho Gallery, 16th of February) Elected Sangneung Kwon(Chosun Gallery) as the 11th Chairperson(16th of March) Held the Fine Art Festival of May(15th~21st of April) Hel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and Approved the regulation on artworks auctions and sculpture busines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association(Yeh Gallery, 1st of June) Enacted system of exhibition contract with artists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30th of October~5th of November) Held a seminar on the validity of the enforcement of the auction system(Korea Press Center, 11th of December)

1999

Launched the fine art auction system 24 galleries took part in international fairs with the governmental aid of 200million won (Chicago, Basel, FIAC, Cologne and NICAF) Held the Art Festival of May(1st~8th of Ma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2nd~10th of September) NICAF 1999 in Tokyo set years as “the Years of Korea” and 14 galleries took part in the fair As a part of support for globalization, there was the 1st public contest for new artist, and selected artworks were exhibited in Korea Galleries Art Fair and NICAF

445


HISTORY OF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화랑협회 연혁 2010년

제33차 정기총회 개최(프라자호텔, 2월 23일)/ Korean Art Show 개최(뉴욕 La.venue, 3월 2~ 7일)/ 제28회 화랑미술제 개최(부산, 벡스코, 3월 25~29일)/ 2009년 임시총회 개최(프리마호텔, 6월 14일)/ 2010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 (서울 COEX, 9월 9~13일)/ ‘한국 미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방안’ 세미나 개최(백범 김구 기념관, 11월 4일)

2011년

2000

Held the 23rd regular general meeting(Shilla Hotel, 15th of February) Elected Gyengsik Lim(Yeemock Gallery) as the 12th Chairperson 12 galleries took part in international fairs with the governmental aid of 200million won (9 art fairs including Chicago, Basel, Cologne and FIAC)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16th~24th of September) Deferred the enforcement of composite income tax on art works for 3 years Developed the homepage of the association

2006

Held the 29th regular general meeting(Sejong Center, 24th of February) Elected Hyunsook Lee(Kukje Gallery) as the 14th Chairperson Hel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Chosun Hotel, 9th of March) Held the 2006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26th~30th of May) Held a seminar under the title “Roles of galleries and auction co. in art market”(National Assembly library, 18th of Jul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 (Seoul Art Center, 20th~24th of September)

2001

Held the 24th regular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8th of March) Held the Art Festival of May(11th~17th of May) Published the “Gallery Guide Book”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18th~24th of October) Published the Gallery 12 galleries took part in international fairs with the governmental aid of 200million won(7 international fairs including Chicago, Basel, Cologne and FIAC) Hel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28th of December)

2007

Held the 30th regular general meeting(Korea Press Foundation, 28th of February) Held the 2007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9th~13th of Ma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11th~16th of October) Held a seminar under the title “Sound art market”(Seoul Art Center, 12th of October)

2008

Held the 31st regular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28th of Februar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Busan BEXCO, 6th~10th of March) Held the 2008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19th~23rd of September) Held a seminar under the title “The ways to further boost Korea’s Art Market– Repercussions of the 2008 tax reforms and measurements”(Korea Press Foundation, 30th of September) Hel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16th of October)

2009

Held the 32th regular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3rd of February) Elected Misun Pyo(Pyo Gallery) as the 15th Chairperson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Busan BEXCO, 19th~23rd of March) Held the 2009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18th~22nd of September)

2010

Held the 33rd regular general meeting(Plaza Hotel, 23rd of February) Held the Korean Art Show(New York, U.S, 2nd~7th of March)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Busan BEXCO, 25th~29th of March) Hel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Prima Hotel, 14th of June) Held the 2010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9th~13th of September) Held a seminar under the title “The ways to boost Korea’s Art Market”(Kim Koo Museum & Library, 4th of November)

5일~10일) 2018년

2018 제41차 정기총회 개최(그랜드 하얏트 호텔, 2월 22일) / 제36회 화랑미술제 개최(서울 코엑스, 2월28~3월4일)

제34차 정기총회 개최(프라자 호텔, 2월 21일)/ 제29회 화랑미술제 개최(서울 COEX, 2월 11~14 일)/ Korean Art Show 개최(뉴욕 2F 82 Mercer Street, 3월 3~6일)/ 2011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9월22~26일)

2012년

Korean Art Show 개최(미국 마이애미 비치, 12월

2012 제35차 정기총회 개최(프라자 호텔, 2월 13일) 제16대 회장 표미선(표 갤러리) 선출/ 제 30회 화랑미술제 개최(서울 COEX, 2월 23~ 26일)/ Korean Art Show 개최(뉴욕 Soho, 3월 8~11일)/ 2012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9월13~17일)

2013년

2014년

2013 제36차 정기총회 개최(프리마 호텔, 2월 14일)/ 제31회 화랑미술제 개최(서울 COEX, 3월 14~17일)/ Korean Art Show 개최(미국 휴스턴, 9월 19~23일)/ 2013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10월 3~7일)

2015 제38차 정기총회 개최(더플라자호텔, 2월 12일)/ 제17대 회장 박우홍(동산방화랑) 선출/ 제 33회 화랑미술제 개최(서울 코엑스, 3월 20~24 일)/ Korean Art Show 개최(스위스 바젤, 6월 16일~21일)/ KIAF 2015 / ART SEOUL 개최(서울 COEX, 10월 7일~11일)/ Korean Art Show 개최 (미국 마이애미 비치, 12월 1일~6일)

2016년

2017년

446

Held the 25th regular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4th of February) Built a database for 10,000 artworks appraisal by the association Held the Korea International Art Fair(Busan BEXCO, 3rd~8th of September)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2nd~8th of October)

2003

Held the 26th regular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10th of February) Elected Taesoo Kim(Maekhyang Gallery) as the 13th Chairperson Held the 2003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25th~29th of June)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6th~12th of November)

2014 제37차 정기총회 개최(전국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 2월 12일)/ 제32회 화랑미술제 개최 (서울 COEX, 3월 6~9일)/ Korean Art Show 개최(미국 뉴욕 브릿지햄튼, 7월 10~13일)/ 2014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개최(서울 COEX, 9월 25~29일)/ Korean Art Show 개최(미국 마이애미 비치, 12월 2~7일)

2015년

2002

2016 제39차 정기총회 개최(더플라자호텔, 2월 18일)/ 제34회 화랑미술제 개최(서울 코엑스, 3월 3~6일)/ KIAF 2016 / ART SEOUL 개최(서울 COEX, 10월 12일~16일)/ Korean Art Show 개최(미국 마이애미 비치, 11월 29일~12월 4일) 2017 제40차 정기총회 개최(서울 웨스틴 조선 호텔, 2월 8일)/ 제18대 회장 이화익 (이화익갤러리) 선출/ 제35회 화랑미술제 개최 (서울 코엑스, 3월 10~12일)/ KIAF 2017 ART SEOUL 개최(서울 COEX, 9월 12일~16일)/

2004

2005

Held the 27th regular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10th of February) Held the 2004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22nd~27th of June)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Art Center, 6th~11th of November) Held the 28th regular general meeting(Ambassador Hotel, 15th of February) Held the 2005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22nd~27th of June) Held an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Seoul Art Center, 8th of September)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 (Seoul Art Center, 3rd~8th November)

447


화랑협회 연혁 2011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COEX, 11th~14th of February) Held the 34th regular general meeting(Plaza Hotel, 21st of February) Held the Korean Art Show(New York, U.S, 3rd~6th of March) Held the 2011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22nd~26th of September)

2012

Held the 35th regular general meeting(Plaza Hotel, 13th of February) Elected Misun Pyo(Pyo Gallery) as the 16th Chairperson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COEX, 23rd~26th of February) Held the Korean Art Show(New York, U.S, 8th~11th of March) Held the 2012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13th~17th of September)

2013

Held the 36th regular general meeting(Prima Hotel, 14th of Februar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COEX, 14th~17th of March) Held the Korean Art Show(Huston, U.S, 19th~22nd of September) Held the 2013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3rd~7th of October)

2014

Held the 37th regular general meeting(Korea Federation of Banks, 12th of February) Held the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COEX, 6th~9th of March) Held the Korean Art Show(New York, U.S, 10th~13th of July) Held the 2014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25th~29th of September) Held the Korean Art Show(Miami, U.S, 3rd~7th of December)

2015

Held the 38th regular general meeting(Plaza Hotel, 12th of February) Elected Woohong Park(Dong San Bang Gallery) as the 17th Chairperson Held the 2015 Korea Galleries Art Fair(Seoul COEX, 20th~24th of March) Held the Korean Art Show(Basel, Switzerland, 16th~21st of June) Held the 2015 Korea International Art Fair(Seoul COEX, 7th~10th of October) Held the Korean Art Show(Miami, U.S, 1st~6th of December)

2016

Held the 39th Regular General Meeting (THE PLAZA HOTEL SEOUL, 18th of February) Held the 2016 Korea Galleries Art Fair (COEX, Seoul, 2nd ~ 6th of March) Held the 2016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 Seoul, 13th ~ 16th of October) Held the 2016 Korean Art Show (Miami, USA, 29th of November ~ 4th of December)

448

2017

Held the 40th Regular General Meeting (THE WESTIN CHOSUN SEOUL, 8th of February) Elected Hwaik Lee (LEEHWAIK Gallery) as the 18th Chairperson Held the 2017 Korea Galleries Art Fair (COEX, Seoul, 10th – 12th of March)

2018

Held the 40th Regular General Meeting (GRAND HYATT HOTEL SEOUL, 22th of February) Held the 2018 Korea Galleries Art Fair (COEX, Seoul, 28th of February – 4th of March)

449





















T 82 2 766 3702~4 F 82 2 733 3701 E kiaf@kiaf.org, kiaf@daum.net www.kiaf.org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