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1
005 175Line 2540DPI 175LPI
CHUNG YOOJEONG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blow
2013.10.28 2:41 PM
mixed media
페이지2
91× 72.7cm
005 175Line 2540DPI 175LPI
2013
도록저작권 ⓒ 2013 정유정 이 작품집은 어떠한 경우에도 저작권자의 글로 적힌 동의가 없이는 전체로나 부분으로나 복사, 복제 또는 사진 및 기타 정보기기에 의해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표지 seeing is believing mixed media 145.5 ×97cm 2013 전시기획 갤러리 도스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 115-52 / Tel. 02 737 4678 / www.gallerydos.com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3
005 175Line 2540DPI 175LPI
blow Ⅱ
mixed media
91× 72.7cm
2013
MEMORY OF WIND
정유정 2013. 11. 6. Wed +11. 12. Tue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shadow
mixed media
페이지4
91× 117cm
005 175Line 2540DPI 175LPI
2011
찰나의 집성이 말해주는 것 윤채원 / 갤러리 도스 바람이 부는 날의 풍경은 때론 형태를 잃어가는 것 같은 착시를 일으킨다. 하나의 고정된 형상에 머무르지 않고 그 다음으로 변형의 단계를 거치는 시공간으로의 집중에서부터 정유정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시간차로 변하는 풍경 앞에서 작가는 과거의 잔여물과 미래의 전조(轉調)가 공존하는 현상을 발견한다. 그 현상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하게 되는 과정 에서 시각을 비롯한 인간이 느끼는 감각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게 되는데, 이는‘현장감(現場感)’이라는 결과물을 이끌어 낸다. 작가의 포커스는 주인공이 아닌 다른 것들에 맞춰진다. 무의식적으로 지나치는 구석이나 그림자 같은 생략 가능한 요소들을 오히려 더 깊은 관심을 갖고 바라보는 것이다. 사소해도 결국은 존재하는 것들을 전부 인정하는 것이 작가만의 풍경을 관찰하는 방식인 셈이다. 그 이유로 작가는 풍경이 갖고 있는 생명력을 제시하는데, 이는 동시에 왜 풍경인가? 라 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기도 하다. 정유정에게 풍경이란 무대배경 같은 주변요소가 아닌 하나의 독립된 주체이다. 상호 교 류가 가능한 존재로서 영감을 제공하고, 또 감정을 투영할 수 있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바쁜 현실에서 풍경은 잠시 걸음 을 멈추고 숨을 돌리는 은밀한 방공호로서의 기능과 동시에 모든 것이 영원하지 않다는 생명의 유한성도 암시하는 이중 적 면모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런 예고된 상실 앞에서 작가가 얻는 감정은 두려움이 아닌 역설적인 안도감이다. 이는 생 명의 가장 확고한 증거이기 때문이다. 과도기적 시공간에서 시작과 끝의 혼재는 마찰을 일으키고, 그 양극의 틈에서 생겨 나는 불꽃은 삶에 대한 의지라는 이름을 갖게 되는지도 모른다. 변화의 단편을 표현하기 위해 작가는 속도와 습도, 두 요 소를 중심으로 작품을 구성한다. 가늠할 수 없는 시간 속에서, 다양한 정도의 수분을 머금은 풍경의 지층들은 그 농도에 따라 시공간의 여러 모습들을 표방하면서 하나의 가변적인 집합체를 만들어간다. 그렇게 생동하는 풍경에서 우리는 풍경 과 인간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동행(同行)의 정의를 재해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정유정의 풍경에는 찰나(刹那), 즉 수많 은 생성과 소멸의 순간들이 숨겨져 있다. 예술이라는 창을 통해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과거로의 회상과 현재의 가능성, 미래로 향하는 의지에 대한 메시지들이 하나씩 전해지는 경험이 될 수 있길 바란다.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5
005 175Line 2540DPI 175LPI
graduation
mixed media
65× 53cm
2012
What Does Collection of Moments Tell Us? Gallery DOS / Chaewon Yoon
Landscape of a windy day sometimes causes an optical illusion of losing shapes around us. Chung Yoojeong's story begins with concentration on the space of time that goes through a next phase of transformation, instead of remaining at a fixed shape. Before the landscape changing moment by moment, the author finds the phenomenon of coexistence between the past remnants and future preludes. In the process of compiling information about the phenomenon, she uses the human senses including sight to maximum, which results in the output of 'ambience.' The author focuses on other things than the hero. She rather looks on omissible elements, such as the usually neglected corner or shades, with a deeper interest. It is the way of the author's own to accept all beings, however trivial they might look, when she observes the landscape. The author explains it for the life force of landscape, which is also her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landscape. For Chung Yoo-jeong, a landscape is an independent subject rather than a secondary element like stage settings because, as the being open to mutual exchange, this subject can give inspiration and project emotions. In this busy reality, a landscape appears in a double face that both functions for a secretive dugout to halt and catch breath for a while and indicates the finiteness of life that nothing exists for ever. Before this forecast loss, the author comes not by fear but by paradoxical relief in her feelings. It is because this nature is the most solid proof of life. It may be that in a transitional space of time, coexistence of the beginning and the end brings conflicts and that flames that occur from the gap between those extremities are coined as the will toward life. To express the fragments of change, the author composes her wok focusing on the two elements of speed and humidity. In unfathomed time, layers of her landscape represent many images of space of time according to their density in the process of making a variable aggregate. From such a lively landscape, we should be able to reinterpret the definition of traveling together by which the landscape and man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Chung Yoo-jeong's landscape, there are numerous moments of creation and termination hidden. It is hoped that the author's messages about recollection of the past, possibility of the present and will toward the future could be experienced and delivered to the viewers through the window of arts.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blow Ⅲ
mixed media
페이지6
100× 80.3cm
005 175Line 2540DPI 175LPI
2013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7
005 175Line 2540DPI 175LPI
정유정 개인전에 부쳐 김인선
피곤한 대도시의 일상 속에서 많은 이들이 전시장을 찾아다니며 미술 작품을 보는 이유는 자신이 살고 있는 반복 적이고 뻔한 삶 속에서 항시 느끼는 것과 다른 특별한 감각을 깨워주는 타인의 특이한 어떤 것을 보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래서 일상적인 무언가를 특별한 시선으로 바라보도록 해 주는 작품을 만나게 되 면 작가의 머릿속에서 어떻게 나와 다른 그런 생각이 가능한지 궁금해진다. 풍경을 다루는 많은 작가들 중에서 2013년 ‘동방의 요괴’심사 당시 만났던 정유정 작가의 작업에서의 가장 특이한 점은 화면에서 드러나는 독특한 질감이었다. 작가는 여러 사람들에게 화면 속에서 바람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도 한다. 물기를 거의 남기지 않는 건조한 채색 방식은 화면 위를 쓸고 지나간 붓의 한 오라기까지 그 흔적을 남기게 된다. 화면에서 보이는 건조함 에서 들려올듯한 서걱거림처럼 이러한 붓질의 자국들은 풍경의 건조한 질감을 만들고 메마른 늦가을의 끝자락처럼 황 량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때로는 마른 풀숲을 밟는 발자국 소리가 들릴 듯 하고, 때로는 횡한 바람소리가 공허하게 지 나가는 듯 하다. 화면을 더욱 황량하게 만드는 것은 화면 속의 인물이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작가는 인물을 넣지 않는 이유가 풍경 자체에 대한 시선을 강조하고자 하기 위함이라고 하였다. 특정 상황 혹은 인물의 배경이 되었던 풍경이 라는 요소가 그 자체 그대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하여 될 수 있으면 인물은 배제하거나 사건을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의 아주 작은 부분으로서 드물게 등장케 하기도 한다. 이는 전통 동양화를 떠올리게도 하는데, 풍경 속에서의 인물을 자연 의 일부로 파악하는 동양의 사상과도 통하는 지점이다. (실제로 작가는 동양화의 풍경화를 좋아한다고 말한다.) 정유 정은 주변의 흔한 장소를 작업 대상으로 선택한다. 작품 <운동장>의 풍경을 선택할 당시의 그 장소는 한창 졸업식이 열리고 있는 학교였다. <그림자>는 동네의 흔한 골목길이다. 많은 이들이 오가는 장소에서 유독 작가의 눈길이 닿은 곳은 사람들 너머의 한적한 곳이다. 하나의 공간 속에서 특별히 외진 곳에 시선을 두고, 가장 중요한 일이 벌어진다고 생각되는 사건 혹은 대상보다는 그 이면을 굳이 화면 속으로 끌고 들어오는 것이다. 그래서 운동장을 묘사한 그 당시 의 풍경 속은 사실 공허한 바람 소리가 맴돌기보다는 시끌벅적한 사람들의 웅성거림과 음악 소리 등등이 번잡하게 들 려오고 있는 시간이었다. <그림자> 역시 한낮의 동네에서의 일상적인 모습이다. 이 그림 속 이미지는 집이라는 실체의 대상을 비껴가 바닥의 그림자를 통하여 대상의 특징을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화면 전체를 차지하는 장면은 땅바닥이 며 실제 건물은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뭔가 다른 이면의 특징을 바라보고자 하는 태도는 정유정 작가의 개인적인 성격이나 경험에서 나오는 성향 인 듯 보인다. 어릴 때부터-대부분 우리는 그렇게 자라왔지만, 그리고 개인적으로 각자의 경험이 다 다르겠지만- 자신 의 감정과 상관없이 정해진 규칙에 얽매이고 이를 지키려고 노력하는 동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유로운 감성을 박 탈당하고 있다는 생각이 유독 강했다고 한다. 뭔가에 얽매이고 전전긍긍하고 억지로 해야만 하는 모종의 규율의 압박 속에서 작가는 어느 순간부터 이를 털어내기 시작했던 듯하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자유로움에 대한 갈망이 무디어 가 고 오히려 스스로를 구속하는 장치를 만들곤 하는 아이러니한 우리의 삶 속에서 이제 막 활동을 시작한 어린 작가는 모 종의 해방감을 맛보기 시작하고 있다고 한다. 이제야 막 반드시 정해진 것만이 다가 아니었다는 것을 깨달아 가면서 작가는 이면의 어떤 것을 바라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탈을 갈구하는 모종의 위안을 자연 속에서 받고 있다. 풍경에서 받는 위안은 시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아무리 깊은 감정이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감각이 서서히 사라지듯 항상 그 자리에 존재하면서 조용히 변해가고 있는 풍경이 작가에게는 자신을 넓은 마음으로 감싸주 고 있는 위안이 되는 존재와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작가는 풍경 자체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세월을 지내며 나이를 먹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8
005 175Line 2540DPI 175LPI
어가는 유기적인 생명체처럼 느껴진다고 말한다. 오랜 세월동안 산전수전 다 겪은 노인처럼 결국엔 우리의 버둥거림 의 이면에서 어차피 고요함을 다시 경험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작가만의 현자의 모습인 주변 풍경을 그리고 자 하는 것이다. 작가는 그러한 풍경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시간의 흔적을 화면 속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래서인지 정유정 작가의 풍경화는 아련해 보이기도 하다. 원하는 풍경을 사진으로 기록하여 이를 캔버스로 옮기 는데 이 장면을 자세히 묘사하지는 않는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한 순간을 작가와 공유하고 있는 그 순간의 풍경이 사 진 속에 있지만 붓을 들고 이를 그려나가는 순간에도 그 곳은 세월을 맞이하고 이에 반응하며 천천히 변해가고 있다. 작가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주름살이 늘어가듯, 이 풍경들이 품고 있는 세월의 흔적을 아주 빠른 붓놀림으로 기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작가의 작업은 초기에는 좀 더 날카롭고 보다 건조하고 많은 색채들이 겹쳐지면서 다소 무거운 분 위기를 자아냈다. 채도가 낮으면서 여러 가지 색채가 겹쳐진 화면은 마치 흐린 날씨의 불길한 공기를 드러내듯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도 드러냈다. 이것은 시각 뿐 아닌 복합적인 감각을 깨운다. 화면 질감의 건조함에서 드러나는 질감을 느끼도록 하는 촉각, 그 속에서 들릴 것 같은 사각거리는 청각, 때로는 불길해 보일 정도로 습한 공기의 느낌들이 동시 에 나타나면서 보는 이를 삭막한 풍경의 감각 속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그것은 작가가 바라보았던 그 당시의 풍경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동시에 그 때의 감흥과 심정 등 작가의 감성을 충분히 담기 위하여 온갖 감각을 동원하여 애쓴 흔 적의 기록이기도 하다. 작가의 개인전을 3주 정도 앞두고 방문한 스튜디오에서 본 최근의 작업은 그 기법은 같았으나 보다 푹신하고 부드 러운 질감을 보여주고 있었다. 색채는 훨씬 단순하면서도 산뜻하고, 선택된 풍경은 사람이 지나다니지 않는 고즈넉한 곳이었다. 그것은 또 색달랐다. 붓자국에서 나온 색채들을 들여다 보니 풍경이라는 특정 장소를 대상으로 그린 그림을 본다기 보다는 작가의 변화된 마음을 엿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사진을 찍을 때의 심정은 더 이상 불안해 보이지 않았 고, 이것을 화폭에 담을 때에는 왠지 보다 가볍고 수월한 마음으로 그렸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화면 위의 색채들이 캔버스의 질감과 표면에 동화되면서 하나의 레이어로 된 색채평면으로 드러나고 있다. 즉 다양한 색채들이 겹쳐지면 서 구현되었던 밀도감에서 표현되었던 무게감이 사라지고 마치 흔적만 남겨진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는 듯한 화면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작가는 그러한 변화에 대해 스스로 인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고 있 다. 그의 그림을 바라보는 나 또한 판단을 유보하고 있다. 확실한 것은 이 작가의 작업이 매우 예민하고 민감하게 스스 로의 감정 상태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 때문에 이 작가의 작업 시기가 중요해 보인다. 일반적으로 작가의 초기 작업에서는 종종 작가의 심리가 솔직하게 그대로 투영되곤 한다. 그 감성이 작품으로서 제작되는 동안 드러나는 화면 이 사실은 자신을 반영하고 자신을 기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젊은 작가로서 만끽하는 감정에 대한 충 실한 자기 표현을 작가도 관객도 충분히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 김인선 김인선은 현재 윌링앤딜링 아트컨설팅 대표로서 전시공간을 운영하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대안공간루 프와 국제갤러리 큐레이터, 대림미술관 학예실장, 인터알리아 아트디렉터 및 부산비엔날레(2000)와 광주비엔날레 (2002)코디네이터,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2005) 사무국장, 부산비엔날레(2012) 프로듀서 등을 맡았다. 2000년 부산광역시장상, 2002/2005년 문화부장관상, 2007년 국무총리상 수상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9
005 175Line 2540DPI 175LPI
seeing is believing Ⅱ
mixed media
100× 80.3cm
2013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seeing is believing Ⅲ
페이지10
mixed media
005 175Line 2540DPI 175LPI
72.7× 60.6cm
2013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11
005 175Line 2540DPI 175LPI
seeing is believing Ⅳ
mixed media
72.7× 60.6cm
2013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playground Ⅲ
페이지12
mixed media
005 175Line 2540DPI 175LPI
91× 91cm
2012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13
005 175Line 2540DPI 175LPI
playground Ⅰ
mixed media
162× 130cm
2011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playground Ⅱ
mixed media
페이지14
005 175Line 2540DPI 175LPI
91× 73cm
2011
정유정 E-mail cuj23-@nate.com 2010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2013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수료 2012 CAYAF 2012 in KINTEX 제5회 인사미술제 INSAF 2012 작가선정 아라아트센터
개인전 2013
MEMORY OF WIND, 갤러리 도스, 서울
2011 Insa Art Festival 'ART to DESIGN' <인사아트센터> 2010 경향미술대전 입상
단체전 및 수상
하이서울 아트페어
2013 Hong Kong Art Fair in Island Shangri - La
장흥 Art Market JJAM
NCHAF 2013 - NEW CALEDONIA HOTEL ART FAIR Art in Culture 동방의 요괴 작가
유망신진작가전 Seoul Art Center 2009 제2회 ASYAAF 작가 선정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1 PM
페이지15
005 175Line 2540DPI 175LPI
playground Ⅳ
mixed media
90.9× 72.7cm
2013
Chung Yoojeong E-mail cuj23-@nate.com 2010 B.F.A. Department of Fine Art, Sejong University, Seoul 2013 M.F.A Department of Fine Art, Sejong University, Seoul SOLO EXHIBITION 2013 MEMORY OF WIND, Gallery DOS, Seoul GROUP EXHIBITION & AWARDS 2013 Hong Kong Art Fair in Island Shangri - La NCHAF - New Caledonia Hotel Art Fair Art In Culture 東邦妖怪 Dongbang Yogui Artist 2012 CAYAF 2012 in KINTEX INSAF in Ara Art Center
2011 Insa Art Festival 'ART to DESIGN' <Insa Art Center> 2010 東邦妖怪‘Hi Seoul Art Fair' Hangang Park, Seoul Jangheung Art Market. 'JAM' THE 6th KYUNG HYANG FINE ARTS EXHIBITION Seoul Art Center Exhibition 2009 THE 2TH ASYAAF Artist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 115-52 / Tel. 02 737 4678 / www.gallerydos.com
정유정-갤러리도스 수정
2013.10.28 2:42 PM
페이지16
005 175Line 2540DPI 175LPI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 115-52 / Tel. 02 737 4678 / www.gallerydo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