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Militarism & Environmental Justice
August 2017 Shin Soo-yun / Manager of Peace Action Team, Green Korea United
Tensions are risi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have been rhetoric exchanges of “preventive attack”, “a sea of fire”, “fire and fury”, and “a pre-emptive strike on Guam” between President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as these tensions continue to escalate. Tensions were again heightened before the US-South Korea Ulchi Freedom Guardian military exercise beginning August 21. The US is also preparing to send military assets, including a nuclear aircraft carrier and strategic bombers, to the Korean peninsula. In response, North Korea staged a massive rally to announce plans to strike the US Pacific territory of Guam as a show of defiance against the US. A vicious circle of military provoc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peats each time South Korea holds large-scale military exercises with US forces. With “Stop the war games” as their slogan peace activists staged a one-man protest in front of the US Embassy, are initiating a peace campaign, and marching down the streets.
Military bases cause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problems created by military activities are under the radar in such circumstances as these, but remain very important topics. The citizens of South Korea have already faced a variety of environmental problems for a long time through such activities. These include noise pollution from military aircraft during takeoffs and landings and gunnery practice,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from oil leaks, water pollution through discharges of wastewater, contamination from heavy metals after live-fire artillery exercises while accidental discharges of contaminants continue to cause severe and extensive damage to school and residential areas. Most military bases a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or nearby since South Korea is very small and uses most of its land for living purposes. Shooting accidents caused by stray bullets going through windows and roofs of residents during target practice have occurred several times in Pocheon, Gyeonggi Province. Most military bases that have been returned through consolidation of bases to Pyeongtaek and Daegu have been severely contaminated by oil and heavy metals. Development of these military facilities into parks, schools, and industrial facilities has often led to the discovery of even greater pollutants. In 2014, residents from Chuncheon organized a “radioactivity monitoring group” in response to suspicion of pollutants at US army bases and to 1
express their distrust that the government will clean up the pollution properly. Chuncheon’s Camp Page US Army base was heavily contaminated with oil (with TPH 100 times beyond the permissible level) when it was returned in 2007, while in 2011, a retired US soldier stated that he had buried a nuclear missile leaking radiation to the south of the city.
Environmental Blind Spot: Immunities Information is power. Information asymmetry, which is when only one side has specific information, creates dangerous decisions and moral hazards. Citizens are guaranteed the right to know by law, except in special circumstances. We consider the right to know as a fundamental right backed up by the constitution. However, there is a “sanctuary” against the right to know in our society: military bases. It is difficult to gain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al issues since information related to military bases remains classified for national security reasons and it is even harder to gain information about USFK bases. Limited information is a major reason why there is great public concern and distrust regard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t these bases and serves to protract related societal conflicts. Recently,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over the US deployment of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in South Korea is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aintains an illegal, dogmatic, and secretive attitude about it agreeing to deployment of the system and this continues to intensify controversy over procedural legitimacy, usefulness of the system, and closed-door agreements between Korea and the US, as well as environmental hazards. Indeed, the Defense Ministry classified fundamental documents including terms of reference of the Joint Working Group (JWG) to discuss the deployment, the Final Report of the JWG, the land evaluation report, etc., as ROK-US Secrets and refused to open them to the National Assembly. A ministry spokesperson announced that the deployment site would be smaller than 330,000 ㎡ and that a small 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1 would be carried out after obtaining 1.48 million m² of the Seongju golf course and 700,000 m² of other land for the deployment. US forces entered the Seongju site unannounced with the THAAD equipment on April 26 of this year even before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complete. The system has been deployed and operational testing is being done. As Moon Jae-in officially began his presidential term this past May, he personally ordered a thorough study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the ongoing deployment of THAAD. However, a small and inform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classified as Confidential and not opened to the public. Furthermore, the government has granted permission for more THAAD launchers to be deployed and conflict continu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residents and civic groups. It is
1
This small 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a summary procedure that can be completed within 6 months and does not require resident opinions.
2
important to ensure that domestic law and regulations are properly adhered to in the process of offering land. The Court experience has shown that US weapons systems also must comply with domestic environmental law and that failing to carry out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unacceptable. Two other controversial incidents bear mentioning. One is that the Pyeongtaek USFK imported anthrax samples and conducted tests on dead anthrax in 2015. After these facts were announced, many civic groups and activists gathered 8,500 signatures citizens in a week and pushed for prosecution of the people in charge. They also gathered signatures from 15,000 people on a petition for the release of details and submitted it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 interview with Defense Ministry officials was requested but denied. Six months later, new revelations revealed that not only had the USFK brought in and tested samples of anthrax and plague bacillus into Pyeongtaek, but had done the same at the Yongsan Garrison in Seoul. Korean and US government officials stated that no one had shown any signs of infection and that the samples had been destroyed immediately. These biological exercises are normally conducted by the US army in desert areas due to the high risk. Despite the fact that deadly exercises were likely conducted in the densely populated capital area (of more than ten million people), no one was held accountable for this. Another environmental issue is oil spills on Yongsan base, which is on about 2.6 million m² in the heart of Seoul. There have been several incidents including the dumping of toxic fluid into the Han River in 2000, an oil leak at Noksapyeong subway station in 2001, as well as another at Camp Kim in 2006, and bringing samples of anthrax bacillus in 2015. Despite the effort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clean up underground water since the oil leak at Noksapyeong Metro Station, benzene – a Group 1 carcinogen – was still being detected at levels over 500 times the threshold. However there is no way to verify the situation inside US military bases, as information related to pollution incidents is not open to the public or the press without “mutual agreement” under annexes (Environmental Information Sharing and Access) of the US-ROK Status of Forces Agreement (SOFA). In April 2017, civic groups, including Green Korea United, obtained and announced information on 84 oil leak incidents that had occurred in the Yongsan Garrison, released through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 (FOIA). These 84 incidents were on the USFK’s Toxic Record for Yongsan between 1990 and 2015, far more than had been reported to the Korean government. In seven cases, at least 3.7 tons (1,000 gallons) of oil were leaked each time, which the military document described as the worst incidents. Thirty-two leaks involved at least 400 liters of oil (110 gallons). There were also 18 oil leaks of unknown volume, described as “unknown”. Before announcing information on these oil leaks, the activists and lawyers in Korea had requested the same data from the Korean government, who in turn confirmed only 5 environmental incidents caused by USFK personnel. The Korean government wasn’t informed of most of the oil leaks that were confirmed by civic groups through the United States’ Freedom of Information Act (FOIA). This also revealed the irresponsible attitude held by USFK in sharing no information, or very little, on oil leaks involving even “worst” or “severe” incidents. 3
As part of the relocation of US forces, Yongsan Garrison will be moved to Pyeongtaek by 2017 but the agreement on solutions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t Yongsan Garrison hasn’t begun. The agreement will focus on clarifying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re before return of the base. However, looking at past cases where the US military has returned other l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ntered into negotiations without concrete criteria for decontamination or proper information and consequently, the US military was able to return the land in its contaminated state. The internationally-recognized “polluters pay” principle that is also documented in domestic law is not applied. Contamination at US military bases should be resolved through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pollution to the public and the press and through public discussion instead of closed-door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ntamination has occurred repeatedly at US military bases around Gyeonggi Province and Seongju where the THAAD system is being deployed. Environmental investigations and open processes for returning land to Korea are far from certain. This environmental blind spot needs resolution.
Who will pay for damages?2 Damage by stationed personnel at military bases is not confined to accidents and specific incidents. For example, daily noise and vibration cause damage of their own. In Korea, there are legal regulations on noise from civilian airports, but military airports and military shooting ranges are excluded. Over a million people who live around such airports and shooting ranges have no choice but to deal with the side effects of having these military facilities nearby.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military bases also occurs in the ocean. Jeju soft coral habitats are near the area where the Jeju naval base is located, despite societal conflict for the last ten years leading up to its construction. The navy received approval to construct the base under the condition that it preserve the habitat for Jeju soft coral. Continuous monitoring by residents and environmental groups reveals that these habitats in the Gangjeong Sea have been noticeably damaged. Large-scale military drills continue to be held and the national defense budget continues to increase, justified by the need for “national security” according to the Korea-US alliance. The government and press disseminate militarist tensions and conflicts in inter-Korean relations. Bryan Farrell in his new book, “The Green Zone: The Environmental Costs of Militarism”, says that “the greatest single assault on the environment, on all of us around the globe, comes from one agency: the Armed Forces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activities release highly toxic and 2
Refer to the Reference Chart for Pollution Status and Cleanup Costs of Returned US Military Bases
4
radioactive substances into ecosystems all over the world. According to domestic studies on the military’s policies on environmental security,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on the impact of militarism on global warming and the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militarism plays a great role i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which further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and the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based on historical data.”3 National defense/military facilities and military vehicles are not targets for greenhouse gas control in the public sector. Similarly they are also excluded from international agreement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btain related data. However estimates of domestic and foreign data reveal a high proportion of the sector’s oil consumption occurs during military activities and operations. Can denying access to information and making token payments for environmental damage after the fact is justified? Furthermore, will such activities be enough to restore environments to their original states? The victims have no choice but to prove the existence of environmental damage under circumstances where the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nd the “polluter pays” principle are ignored. This is environmental injustice itself.
Tasks for Korean Society & Its Options “US MILITARY FACILITIES” and “TRESPASSING PROHIBITED” on the wall of military bases show that they are forbidden areas. Physical access to the military bases is denied. From the early to mid-2000s, the related system changed once the grav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was exposed when many US military bases were returned, when insiders reported illegal environmental activities, or when incidents were not contained within the bases. Incidents over the past ten years related to US military bases show that this system change is broken. Even though investigation and verification of contamination should lead to an admission of responsibility, substantial recompense and payment for cleanup, land has repeatedly been returned in a contaminated condition due to inadequate investigations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evasion of responsibility by the US government. Similar incidents will continue unless the system is changed radically. Revision of the environmental clauses and relevant operational regulations in the US-ROK Status of Forces Agreement (SOFA) is absolutely necessary. Minimum requirements and standards for reasonable cleanup and remedy, proper procedure and measures should be clearly defined based on reciprocity, equity,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nd excluding political interference with such contamination.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stronger authority and clearer jurisdiction over the US military bases. Some concrete actions:
3
Jae-gap Bae, Role of Military in Policy Enforcement of Environment Security, (Industrial school of Chodang University: Military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Military Administration 2014)
5
First, a legal obligation to restore land to its original state according to the “polluters pay” principle should be specified in the SOFA. USFK claims that it is not legally obliged to restore the land to its original condition when it returns a military base according to Article 4 of the SOFA.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stated that environmental subject is not regulated under Article 4 of the SOFA.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vironmental cleanup provisions should be enacted not “additionally” but “independently” to the agreement to be legally binding regulations on the US military. In domestic and foreign cases, environmental pollution has often been found after US military bases were returned because the contamination is continuous and widespread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is also difficult to estimate possible contaminated areas clearly with insufficient data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facilities inside US military bases. Therefore the source of contamination found after the return of such land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thorough investigation. If the contamination was caused by the USFK, then it should be clearly specified so that the US military is obliged to take legal responsibility. Second, the US military should be obliged to inform the Korean government about environmental incidents when they occur and the right of the Korean government to investigate the scene of an incident guaranteed. Korea and the US need to exchange relevant information when an “environmental incident that requires mutual notification occurs” or “US military bases are returned or offered”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of SOFA4. USFK should also be obligated to infor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is also necessary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such incidents from spreading outside the base. Local governments should identify and investigate pollution outside military bases, which will require onsite inspections. Third,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should be disclosed to the public. It has been specified that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pollution be open to the public through joint approval from committee leaders of the Environment Subcommittee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nde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haring and access procedure” in annexes to the ROK-US SOFA. In general, the US doesn’t approve of opening such information to the public or the press. However, sinc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lth and security of local residents, this is a necessity. Only public opinion will be able to create change. Fourth, criteria for cleanup should be clearly specified.
4
Refer to the “Joint Environmental Information Exchange and Access Procedures (2002)” and “TAB A TO THE JOINT ENVIRONMENTAL INFORMATION EXCHANGE AND ACCESS PROCEDURES - PROCEDURES FOR ENVIRONMENTAL SURVEY AND CONSULTATION ON REMEDIATION FOR FACILITIES AND AREAS DESIGNATED TO BE GRANTED OR RETURNED (2003)”
6
There has been debate about determining the level of clean up needed for contamination found during the returning process of military-use land. US military officials insist on “Known, Imminent & Substantial Endangerment to human health: KISE” stated in SOFA regulations as the sole determining factor in assessing cleanup responsibility, but the corresponding criteria and review reports have not been opened. Negotiations ove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cannot continue with undetermined cleanup standards. These need to be clearly specified to prevent repetition and delay of negotiations on return. In this regard, the「Supplementary Agreement to the NATO Status of Forces Agreement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Rein-Main Base Closure Agreement」 are good references with their specified clear responsibility for and costs of decontamination f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ir concrete and detailed cleanup standards and procedures. Fifth, local governments in the area of the US military bases should be granted more authority. Last July, the Gyeonggi Provincial Council legislated “Environmental Incid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Regulations on USFK Bases in Gyeonggi Province.” These regulations define the right to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n USFK bases for local governments and were passed with a sweeping majority of 71 of 72 members. Incidents including the bringing of samples of anthrax bacillus onto Osan Air Base in Pyeongtaek in 2015 and oil leaks at Camp Humphreys served as the momentum to enact such regulations. These regulations clearly state that “environmental information” covers “status of environmental security facilities, routine maintenance records, programs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and various biochemistry laboratory notebooks belonging to USFK bases”. They also clearly and concretely specify the roles of heads of local governments. It is very encouraging that local governments have begun stepping up to aggressively interpret SOFA’s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resolve environmental neglect by the US military. The authority and clearer jurisdiction of local governments over the US military bases should be strengthened for daily monitoring, protection of the right to know, and urgent action in emergencies.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is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strengthening the authority and jurisdic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These authority and jurisdiction over the US military bases should be clearly specified as the main subject in SOFA provisions. Improving the environmental situation is as important as bringing a stable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Both governments destroy ecosystems and end life while they continue to conduct war games to preserve peace. They also waste resources and destroy the environment during military activities. If we do not take action, there will be no environmental justice or real peace. This is why anti-war and environmental activists should unite. All these questions are a matter of justice.
7
[Reference Chart] Pollution Status and Cleanup Costs of Returned US Military Bases
Division 1
Base Name
Year of Return
Paju Edwards 2007
Returned Area (㎡)
Contaminated Area (㎡)
251,549
7,609
TPH, zinc
Investigation Result (Soil Contaminants Exceeding Standard)
Cleanup Period
2
Paju Garry Owen
2007
284,229
16,823
TPH, BTEX, lead, zinc, cadmium
3
Paju Howze
2007
636,088
12,624
TPH, lead, zinc, cadmium
4
Paju Stanton
2007
271,000
8,341
TPH
Aug. 2009
5
Paju Giant
2007
171,179
8,043
TPH
~ Nov. 2012
6
Camp Cray Annex
2007
8,660
1,500
TPH, BTEX
7
Yongsan UN Compound
2007
53,458
785
8
Chuncheon Page
2007
639,342
12,410
TPH, BTEX
2007
58,274
2,120
TPH
9
Dongducheon Nimble Uijeongbu LaGuardia
2007
136,782
1,310
TPH, BTEX, zinc, nickel
11
Uijeongbu Kyle
2007
145,183
12,649
TPH
12
Uijeongbu Sears
2007
95,080
8,270
TPH, BTEX, lead, zinc
13
Uijeongbu Essayons
2007
207,637
18,020
TPH, BTEX
Uijeongbu 2007 Falling Water
49,586
1,432
TPH, BTEX, lead, zinc, nickel, copper
15
Hanam Colbern
2007
306,772
1,052
TPH, BTEX, zinc, nickel
16
Maehyang-ri Shooting Range
2007
23,717,140
4,690
TPH, BTEX, lead, zinc, cadmium, copper, nickel
17
Paju Greaves 2007
236,778
1,099
TPH, BTEX, lead, copper
143,052
2,102
TPH, lead, zinc
18
Paju JSA (Bonifas)
2007
19
Paju JSA 2007 (Liberty Bell)
66,404
323
TPH, lead
20
Paju Charlie Block
2007
28,000
85
TPH
Paju Freedom 2007
57,750
197
TPH
21
778
TPH
10
14
Budget (KRW 100 million)
8
Sep. 2009 ~ Nov. 2012
944
Jan. 2012 ~ Nov. 2014
29.8
Jul. 2012 ~
2.7
Bridge
Nov. 2013
22
Namjeju McNabb
2007
49,810
618
23
Busan Camp Hialeah
2010
534,939
50,234
24
Dongducheon 2015 Camp Castle
TPH, BTEX, cadmium, arsenic, Apr. 2011 ~ lead, zinc Jul. 2012 TPH,
156,261
Sep. 2009 ~ Sep. 2010
TPH
33,539
benzene,
4.9 143.5
toluene, May 2015
ethylbenzene, xylene, cadmium, fluorine
~ Nov. 2015
197
Total
2,099.9
* This essay is the third essay written for the 2017 English Peace Report Project of the Civil Peace Forum, under the sponsorship of Friedrich-Ebert-Stiftung Korea Office.
9
한국의 군사주의와 환경 정의
2017년 8월 신수연 녹색연합 평화생태팀 팀장
지금 한반도는 위험하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예방 전쟁, 불바다, 화염과 분노, 괌 타격 등의 말폭탄을 주고 받으며 한반도 전쟁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8월 21일 시작하는 한미 군사연습 을지프리덤가디언(UFG)을 앞두 고 긴장은 최고조에 있다. 미국은 핵 항공모함, 전략 폭격기 등 미군 전력의 한반도 투입을 준비하고 있다. 북한 역시 대규모 집회를 통해 괌 포위 사격 계획을 발표하 는 등 주민들에게 대미 항전의지를 선전하고 있다. 대규모 군사연습이 진행될 때마 다 남북한 간 군사적 갈등과 위기가 고조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평화활동가들은 전쟁연습 중단하라 는 슬로건으로 미 대사관과 거리에서 1인 시위와 캠페인, 행진 을 벌이고 있다.
군사기지로 인한 광범위한 환경문제 이러한 상황 속에 군사 활동으로 인한 환경 문제는 주목받지 못하지만 중요한 주제 이다. 한국의 시민들은 이미 오랜 기간 군사주의로 인해 다양한 환경 문제로 위협 받고 있다. 군용기의 이착륙과 사격훈련으로 인한 소음, 기름 유출로 인한 토양 지하 수오염, 폐수 방류로 인한 수질오염, 실탄 포격으로 인한 중금속 오염, 오격 사고, 또 이로 인한 교육 및 주거환경 훼손 등 그 피해는 심각하고 광범위하다. 한국은 국토 면적이 작고 토지이용률이 높아 대부분의 군사기지는 주거지역과 함께 있거나 거리 가 가깝다. 실제로 경기도 포천 지역에서는 군 사격연습 중 총탄이 주민 집의 창문 과 지붕을 뚫고 들어가는 일이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또한, 미군기지를 평택, 대구 에 집중시키는 과정에서 돌려받은 대부분의 군사기지는 기름과 중금속에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었다. 반환 받은 미군기지는 보통 공원, 학교, 산업시설 등으로 활용하는 1
데 개발하는 과정에서 더 큰 오염원이 발견되는 일도 흔하다. 2014년에는 춘천에서 시민들이 미군기지 오염물질에 대한 의혹과 정부의 정화작업에 대한 불신으로 방사 능 생활감시단 을 결성하기도 하였다. 춘천의 미군기지 캠프페이지는 2007년 반환 당 시 유류 오염이 심각(TPH오염도가 기준치의 100배 이상)했고, 2011년 퇴역 미군이 방 사능이 누출된 핵미사일을 춘천시 남쪽에 묻었다는 증언을 한 적이 있다.
환경사각지대: 군대는 늘 예외 정보는 권력이다. 쌍방 중에 한쪽만이 특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정보 비대칭 상황은 잘못된 선택과 도덕적 해이를 만든다. 법률에서 정한 특별한 예외 상황이 아니면 시 민들은 알 권리를 보장받도록 되어 있다. 우리는 알 권리를 헌법적 가치를 가진 기 본권으로 여긴다. 하지만 우리 사회 알 권리 영역에는 성역(聖域)이 존재한다. 군사기 지이다. 군사기지 관련 정보는 국가 기밀로 취급되기 때문에 환경문제라고 하더라도 정보를 얻기 어렵다. 특히나 주한 미군기지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군사기지로 인 한 환경오염에 대해 시민들의 우려와 불신이 크고, 사회적 갈등이 장기화되는 것은 정보가 제한된 탓이 크다. 최근 가장 큰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THAAD) 배 치문제를 둘러싼 환경영향평가이다. 국방부는 불법, 독단, 비공개의 태도를 일관한 채 사드 배치 사업을 진행했다. 그로 인해 절차적 정당성, 사드무용론, 한미 당국의 이면합의설, 환경위해성 등의 논란이 계속 증폭되었다. 또한 사드 배치 협의를 위한 한미 공동실무단 구성 약정서, 한미 공동실무단 운영 결과보고서, 부지 평가보고서 등 기본적인 문서를 한미2급 비밀로 지정하여 국회에도 비공개하였다. 특히 성주골 프장 전체면적 148만㎡을 취득하고 주한미군에 공여할 사드 부지가 70만㎡임에도, 사드포대가 들어설 땅 면적이 33만㎡보다 작다고 소규모환경영향평가1를 실시하겠다 고 발표하였다. 환경영향평가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 4월 26일 사드 핵심 장 비를 군사작전 하듯 성주 지역에 반입시켰으며, 야전 배치하여 시험가동 중이다. 지 난 5월, 문재인 정부가 새롭게 집권하면서 사드 배치 관련 국내법 절차인 환경영향 평가를 제대로 적용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편법적으로 진행된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서는 내용 자체가 3급 군사비밀로 비공개되었고, 정부가 사드 발사대 추가배치를 지 시하면서 주민, 시민단체와의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주한미군에 공여할 부지라고 해
1
한국의 소규모환경영향평가는 6개월가량의 시간에 마칠 수 있고 주민의견을 수렴하지 않아도 되는 약식 절차이다.
2
도 국내법 절차가 적용되어야 하는 건 당연하다. 법원 판례에서도 주한미군의 무기 체계라 하더라도, 국내 환경법을 준수하여야 하며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지 않으면 위법하다고 한 바 있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란 외에도 두 가지 큰 사건이 있다. 하나는 2015년 평택 주한 미군기지 내 탄저균 반입 및 실험 사건이다. 치명적인 대량살상무기로 사용되는 탄 저균이 반입, 실험, 훈련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진 후, 여러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네트 워크를 만들어 1주일 만에 8,500명의 시민 동의를 받아 한국과 미국의 책임자들을 고발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정보 공개를 요구하며 1만 5천여명의 서명을 받아 국방 부에 전달하고 면담을 요청하였지만 거부당했다. 6개월이 지난 후 주한미군이 평택뿐 만 아니라 서울 용산미군기지에서도 탄저균과 페스트균 샘플을 반입하여 실험 및 훈 련을 실시한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한미 정부는 샘플을 안전하게 폐기했으니 문제 가 없다는 입장이다. 위험하기 때문에 미국은 사막에서 하는 실험과 훈련이, 인구 천 만 이상이 밀집해있는 수도권에서 진행됐지만 책임지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또 다른 사건은 용산 미군기지 유류오염 문제이다. 서울 정중앙에 80만평의 규모를 차지하고 있는 용산 미군기지의 경우 2000년 한강 독극물 방류, 2001년 녹사평 지하 철역 기름 유출 사고, 2006년 캠프 킴 기름 유출 사고, 2015년 탄저균 반입 사실 확 인 등 여러 차례 크고 작은 환경사고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1년 녹사평역 기름 유 출 사고 이후, 서울시는 지금까지도 오염 지하수 정화 작업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1 군 발암물질 벤젠이 기준치의 500배 이상 검출되고 있다. 하지만 미군기지 내부가 어떤 상황인지 확인할 길이 없다.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하위문서(환경정보 공유 및 접근절차)에 의해 한미 양측이 상호 합의 없이 오염사고 관련 정보를 대중과 언 론에 공개하는 것을 금하고 있어, 오염사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기 때문이 다. 2017년 4월, 녹색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는 미국 정보자유법(FOIA) 절차를 거쳐 용 산 미군기지 내부 환경사고 84건의 정보를 취득하여 발표하였다. 미 국방부가 외국 인인 한국 시민에게 알려준 용산 미군기지 내부 유류유출사고 세부 기록(1990-2015) 은 그동안 알려진 오염사고의 횟수와 규모를 훨씬 능가한다. 주한미군 자체 기준으 로 최악의 유출량으로 분류되는 3.7톤(1,000갤런) 이상의 기름 유출 사고가 7건, 심각 한 유출량에 해당하는 400리터(110갤런) 이상의 사고가 32건이 발생하였다. 유출량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되지 않는 unknown' 표시 사고도 18건이 있었다. 해당 자료를 발표하기 전 한국 정부에 동일한 자료를 청구했지만 정부가 지금까지 주한미군 측으 로부터 파악한 환경오염 사고는 단 5건에 불과했다. 미국의 정보자유법을 통해 시민 단체가 확인한 오염사고 정보를 한국 정부는 모르고 있었다. 주한미군이 자체 기준 으로도 최악의/심각한 규모가 다수 포함된 유류유출사고 사실을 우리 정부에 제대 3
로 공유/통보 하지 않은 무책임한 행태도 드러났다. 미군기지 재배치 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할 예정인 용산 미군기 지는 아직 협상이 시작되지 않았다. 반환을 앞둔 용산 미군기지의 환경오염문제를 누가 책임질지 여부가 협상의 핵심이다. 하지만 과거 반환 미군기지의 사례를 돌이 켜보면, 구체적인 오염 치유 기준이 없고 환경부가 제대로 된 정보 없이 반환 협상 에 들어간 탓에 오염된 상태 그대로 돌려받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통용되고, 국내법 에도 규정된 오염자 부담의 원칙 이 적용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미군기지 오염문제 의 해결은 한미 간 밀실협상이 아니라, 오염 정보를 공개하고 공론의 장에서 해결해 야 한다. 용산 미군기지 사례는 지금도 경기도 곳곳의 미군기지, 사드가 배치되는 성주 지역 에서도 반복되고 있다. 미군에게 공여/반환하는 지역에 대한 환경조사, 절차는 여전 히 불투명하다. 환경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
피해에 대한 비용을 누가 지불하는가?2 군사기지 주둔/운용으로 인한 피해는 사건, 사고로만 나타나지 않는다. 예컨대 매일 반복되는 소음, 진동 피해도 존재한다. 한국에는 민간 공항으로 인한 소음에 대한 규 제와 법률이 있지만 군 공항, 군 사격장은 예외이다. 군 공항, 군 사격장 주변에 살 고 있는 1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은 고스란히 그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 군사기지로 인한 환경적 피해는 바닷속에서도 일어난다. 지난 10년간 사회적 갈등 속에 건설된 제주 해군기지의 경우, 해상 공사하는 지역 주변에 멸종위기 종이자 천 연기념물인 연산호 군락이 서식한다. 해군은 천연기념물인 연산호 서식지가 훼손되 지 않는 조건하에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허가 받았다. 하지만, 몇 년간 주민들과 환 경단체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결과 연산호 서식지는 눈에 띄게 파괴되었다. 국가 안보, 한미 동맹이라는 명분 하에 대규모 군사연습을 실시하고 국방예산을 늘 리는 일이 계속 된다. 정부와 언론은 한반도의 긴장과 갈등 관계 속에 군사주의를 유포한다. ‘군사주의의 환경비용 에 대해 연구하는 브라이언 파렐(Bryan Farrell)은 전 세계에 서 환경에 가장 큰 위해를 주는 것은 미국 군대라고 했다. 전 세계에서 벌어지는 각
2
반환 미군기지 오염현황 및 정화비용은 참고표 참조
4
종 군사활동은 생태계에 독성물질과 방사능을 남긴다. 또한 군의 환경안보 정책에 대한 국내 연구에서도 군사화가 지구온난화와 오존층 파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적은 없으나, (과거 자료를 토대로 추정컨대) 커다란 역할 을 하고 있음은 틀림없는 사실 3이라고 한다. 국방/군사시설, 활동 차량 등은 공공부 문 온실가스 관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고, 이는 국제협상에서도 마찬가지라 관련 데이터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군사 활동과 전쟁에서 사용되는 석유소비량 등에 대한 국내외 추정 자료를 보면, 그 비중이 무척이나 높다. 정보 접근이 차단되고 다양한 환경 피해에 대해 사후에서야 제한적으로 지불하는 것 은 정의로운가? 그리고 과연 환경 피해를 온전히 복원할 수 있을까? 정보접근권, 사 전 예방의 원칙, 오염자 부담의 원칙의 사각(死角)지대에서는 피해자가 그 피해를 입 증해야 한다. 환경 부정의(不正義), 그 자체이다.
한국 사회의 과제, 그리고 대안 이러한 미군기지 담벼락의 미 군용시설 무단출입금지 표지는 그곳이 금단의 땅이라 는 걸 드러낸다. 물리적으로도 환경 영역에서도 접근할 수 없도록 막혀있다. 2000년 대 초중반, 미군기지가 대거 반환되어 오염의 심각성이 드러나거나 내부자의 환경 범죄에 대한 제보가 있을 때, 또 기지 바깥으로 오염 사고가 드러나는 경우 관련 제 도에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10여 년간의 미군기지와 관련한 사건을 확인해 보 면, 제도 변화의 실효성이 없다. 오염조사와 확인을 통해 미국 측의 실질적인 배상과 책임 인정, 정화 조치 실시, 비용 부담으로 이어져야 함에도 부실한 조사, 미국 측의 책임 회피, 오염된 상태 그대로 기지를 반환받는 일은 반복되고 있다. 제도를 근본적 으로 변화시키지 않으면, 유사한 사건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한미 SOFA 환경조항 및 관련 운영규정의 전면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미군기지 환경문제가 정치적 영향 을 받지 않도록 상호주의와 형평성, 국제법 원칙에 바탕을 둔 합리적인 정화ㆍ치유 의 최소 요건과 기준, 적절한 절차와 방법이 명확하게 규정되어야 한다. 또한 미군기 지가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SOFA 본 협정에 오염자 부담원칙에 따른 원상복구의무 규정이 명시되어야 한 다.
3
배재갑, 환경안보 정책추진에 대한 군의 역할,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군사행정학과 군사행정학 2014)
5
미국이 군사기지 반환 시 원상복구의무가 없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SOFA 제4조에 환경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는 것이 아님 을 밝히는 내용이 명시되어 야 한다. 또한 환경보호조항, 환경정화조항 등을 본 협정에 환경조항을 부가적 인 내 용이 아니라 독립적 인 내용으로 신설하여 미군측이 이행해야 할 구속력 있는 규정 으로 만들어야 한다. 국내외 사례들을 보면, 미군기지 반환 이후에도 환경오염이 발 견되는 경우가 많다. 환경오염의 특성 상 지속적이며 오염범위 역시 광범위하기 때 문이다. 미군기지 내 시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자료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명확한 오염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추정하기 어려운 문제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 반환 이후 에 발견되는 오염에 대해서도 철저한 조사를 통해 오염원인을 파악하고 미군에 의해 발생했다면 그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명시해야 한다. 둘째, 환경오염사고 발생 시 통보를 의무화하고, 사고 현장에 대한 조사권을 보장해 야 한다. 현행 SOFA 규정상 상호 통보가 필요한 수준의 환경오염사고 발생 또는 미군기지를 반환 공여 할 경우에 한미 간 관련 정보를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4 기지 내부에 환경사고가 발생한 경우 주한미군은 반드시 지자체와 환경부에 사고 사실을 통보하도록 의무화해야 한다. 이는 기지 내부의 사고로 인한 피해가 외부로 확산되 는 것을 막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기지 외부 오염을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는 지자체 로서는 오염원을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한 기지 내부 조사는 필수적이다. 셋째, 환경오염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해야 한다. 한미 SOFA 부속서인 환경정보공유 및 접근절차 에는 한미 양측 환경분과위원회 위 원장의 공동승인을 통해 환경오염 정보를 공개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통상 미군 측 이 승인하지 않아 환경오염 정보를 대중과 언론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 환경오염 정 보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 안전과도 직결된 문제이기에 기밀로 다룰 것이 아니라 마 땅히 공개해야 하는 것이다. 공론의 장에서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넷째, 정화의 기준을 분명히 명시해야 한다. 미군기지의 반환 과정에서 발견된 환경오염을 어느 수준으로 정화할 것인지 논쟁이 벌어진 바 있다. 미군측은 SOFA 규정에 명시된 인간건강에 대한 널리 알려진 급박
4
위 내용은 환경 관련 SOFA 규정 중 ‘환경 정보 공유 및 접근 절차(2002)’와 ‘환경정보 공유 및 접근 절차 부속서 A - 미군 반환/공여지 환경조사와 오염치유 협의를 위한 절차 합의서(2003)’ 참조.
6
하고 실질적인 위험(KISE) 을 정화 기준으로 주장하였으나, 해당 기준의 실체와 검토 보고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정체를 알 수 없는 기준으로는 환경오염을 둘러싼 협상 을 진행할 수 없다. 반환 협상이 동일한 논쟁으로 반복 지연되지 않도록 정화의 기 준을 분명히 명시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오염에 대한 명확한 책임소재와 비 용부담의무, 구체적이고 상세한 정화 기준과 절차 등을 명시된 독일의 「NATOSOFA 독일보충협정」과 「라인마인기지 반환협정」은 좋은 참고사례이다. 다섯째, 미군기지가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 작년 7월, 경기도의회는 경기도 주한미군기지 및 공여구역 환경사고 예방 및 관리 조례안 를 제정하였다. 지방정부의 주한미군기지에 대한 환경조사권 등을 규정한 해 당 조례는 참석의원 72명 중 찬성 71명의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하였다. 2015년 평택 오산기지 내 탄저균 반입사건, 캠프 험프리 내 기름 유출 사고가 조례 제정의 계기 가 되었다. 조례상 환경정보 는 주한미군기지 등의 환경안전시설 현황, 정기점검 실 적, 환경적 악영향 최소화 계획 프로그램, 각종 생화학 실험노트 등 을 포함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장들의 역할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 다. 그동안 방치되어온 미군기지 환경문제에 지방정부가 먼저 나서서 한미SOFA 환경 조항을 적극적으로 해석한 조례를 제정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지역의 특수성, 일 상적 감시, 주민들의 알 권리 보호, 사고시 긴급 대처 등을 위해 지자체에 역할과 권 한이 강화되어야 하며 조례 제정은 그 시작이 되는 선언이라 할 수 있다. SOFA 조 항 역시 사고시 정보를 통보받는 대상만이 아니라 주체로서의 역할과 권한 역시 명 기되어야 한다. 환경과 관련한 제도 개선만큼 중요한 것은 한반도 내 평화가 정착하는 것이다. 각국 정부가 평화 를 지키겠다며 생태계를 파괴하고 생명을 살상하는 전쟁 연습을 계속 한다면, 각종 군사활동으로 자원을 낭비하고 환경을 파괴한다면, 그리고 우리가 그것 을 막지 못한다면 우리에게 환경 정의 도 진짜 평화 도 없다. 반전 평화운동과 환경 운동이 연대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 모든 질문에 정의 의 문제가 있다.
7
[참고표] 반환 미군기지 오염 현황 및 정화비용 구분
기지명
반환 연도
반환면적 (㎡)
1
파주 에드워드
2007
251,549
7,609 TPH, 아연
2
파주 게리오웬
2007
284,229
16,823 TPH,BTEX, 납, 아연, 카드뮴
3
파주 하우즈
2007
636,088
12,624 TPH, 납, 아연, 카드뮴
4
파주 스탠톤
2007
271,000
8,341 TPH
5
파주 자이언트
2007
171,179
8,043 TPH
6
캠프그레이에넥스 2007
8,660
오염면적 (㎡)
조사결과 (토양오염 우려기준 초과 물질)
’09.8〜 ’11.12
용산 유엔컴파운드
2007
53,458
8
춘천 페이지
2007
639,342
12,410 TPH,BTEX
9
동두천 님블
2007
58,274
2,120 TPH
2007
136,782
1,310 TPH,BTEX, 아연, 니켈
의정부 라과디아
785
의정부 카일
2007
145,183
12,649 TPH
12
의정부 시어즈
2007
95,080
8,270 TPH,BTEX, 납, 아연
13
의정부 에세이욘
2007
207,637
18,020 TPH,BTEX
14
의정부 폴링워터
2007
49,586
1,432 TPH,BTEX, 납, 아연, 니켈, 구리
15
하남 콜번
2007
306,772
1,052 TPH,BTEX, 아연, 니켈
16
매향리 사격장
2007
23,717,140
17
파주 그리브스
2007
236,778
1,099 TPH, BTEX, 납, 구리
18
파주 JSA(보니파스)
2007
143,052
2,102 TPH, 납, 아연
19
파주 JSA(리버티벨)
2007
66,404
323
TPH, 납
20
파주 찰리블럭
2007
28,000
85
TPH
2007
57,750
197
TPH
파주 자유의다리
778
TPH
11
21
예산 (억원)
1,500 TPH,BTEX
7
10
정화기간
4,690
’09.8〜 ’11.12
944
TPH, BTEX, 납, 아연, 카드뮴, 구리, 니켈
’12.1〜 ’14.11
’12.7〜 ’13.11
8
29.8
2.7
22
남제주 맥냅
2007
49,810
618
TPH
23
부산 캠프 하야리아
2010
534,939
50,234 TPH,BTEX,카드뮴,비소,납,아연
24
동두천 캠프 캐슬
2015
156,261
33,539
’09.9〜 ’10.9
4.9
’11.4〜 ’12.7
143.5
TPH,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카드뮴, ’15.5〜 불소 ‘15.11 총계
197 2,099.9
* 이 보고서는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Friedrich-Ebert-Stiftung) 한국사무소의 지원으로 시민평화 포럼이 진행 중인 ‘2017 영문보고서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