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공간예술작업 포트폴리오 + article

Page 1

p o r t f o l i o 권


Sang jin Kwon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학사, 2014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졸업전 우수상 수상, 2012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전시 작품 공모 2nd Prize 수상, 2014 개인 수련 및 수행, 2010 ~ 개인 연구 및 작품활동 -

‘sublime’ 작가 - 작품 세계관 구축, 201n ~ ‘공간조형언어 원리 및 체계’ 연구 및 계획, 201n ~ ‘firmament series’ 연구 및 계획, 201n ~ 다수의 ‘series’ 연구 및 계획, 201n ~


작가 - 작품 세계관

작품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어떠함(감명)의 구상, 계산, 설계

+ 의도 1

예술관

[

이론

]

작품

추구 _ 어떠함(감명)

매체 : 예술 / paper architecture / 건축 / 가상현실 -

1-1, 2

예술작품의 정의 1, 2

기본 언어, 요소 / 구성 / 구조, 체계 / 원리, 매커니즘

- 어떠함(감명)의 양상

+ 의도

복합체

2

‘sublime’ _ 내가 추구하는 예술

조합

- 구현 수법 ...

기본

[ A 공간조형언어 ] 이론

[ A 공간조형언어 ] series ∪

전개

[

(가제)

[ [

(가제)

종교, 역사, 인물, 상징 ] 이론 B

[

(가제)

[

firmament ]

대자연 ] 이론

[

[ elements ]

(가제)

(가제)

우주, 원소, 기하학, 물리학 ] 이론

[ 고차원 _ 4차원 ]

B

firmament ] series

대자연 ] series

[ B firmament ] series [

(가제)

우주, 원소, 기하학, 물리학 ] series

[ 고차원 _ 4차원 ] series ...

...

1 예술관

종교, 역사, 인물, 상징 ] series

[ elements ] series

[ B 물 ( ~ firmament ) ] [

모든 작품은 기본적으로 공간조형언어가 사용됨에 따라 본래 의도한 작품 series 에 속함과 동시에 [ 공간조형언어 ] series 에 또한 귀속된다.

~ 향후 순차적 저술 및 발표

1-1 예술작품의 정의 1_성립 : (대략) 작가가 의도를 갖고 작품을 구현하여 이를 예술작품이라 명명하고 관람자가 이를 예술작품으로 인식하고 대응하겠다는 합의를 통해 작품은 예술작품으로 성립된다. 1-2 예술작품의 정의 2_추구 : (대략) 예술작품은 작품이 지시하는 대상의 본질을 드러내어 나타내고 본질은 그것을 향유하는 관람자의 의식 안에서 어떠함(감명)을 자아낸다. (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 속 개념으로부터 ) 2_매커니즘 : (대략) 우리가 있는 (기본적으로 익숙함에 본질이 가리어진) ‘현상의 세계’는 작품을 매체로 하여 그것이 지시하는 ‘낯선 현상의 세계’로 이어지고 ‘낯선 현상의 세계’는 체험자의 사유 속에서 스스로 ‘본질의 세계’를 여는 창이 되어 우리에게로 그 본질을 발현한다. 이 때 비로소 우리는 이를 주목하고 사유하고 느끼고 향유할 수 있게되며 이로써 본질이 인도하는 어떠함(감명)에 다가서게 된다. 2


2 나의 선언, manifesto

‘sublime’ _ 내가 추구하는 예술 예술작품이 드러내는 대상의 본질은 관람자의 내면에서 어떠함(감명)을 자아낸다. 이 어떠함은 대상의 본질 안에 있어 자신을 발산하며 곧 우리 안에서 다시금 감지되고 발현되는 무엇이다 (마치 정보를 전달하는 전파 같이). 그 중 어떤 어떠함은 인간의 의식을 넘어 마음과 영혼 깊은 곳까지 닿아 그를 온통 차지해버리기도 한다. 마치 기존의 현실로부터 분리되어 완전히 다른 차원의 세계에 놓인것 같이. 이같은 순간을 인 류는 ‘영혼의 울림’, ‘무아지경-물아일체’, ‘ecstasy(법열)’ 등 여러 수식어로 불러왔다. 이러한 극한의 단계의 어떠함, 곧 그 자체로 완전하며 온전케 하고 영화롭게 하는 빛, 이것이 바로 the sublime, 숭고(崇高)다. 그렇다면 the sublime(이하 ‘sublime’)이란 무엇인가? 의식의 역사속에서 수많은 성인, 철학자, 종교인, 영성가, 지성인, 예술가 들이 물어왔으며 모든 개개인의 삶속에서 몇몇의 glimpse(일견)로 찾아오는 그것. 그 것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정의와 표현이 있다. 대상이 인간을 압도하는 크기 또는 힘을 갖는 경우, 소위 미적 형식은 상실되며 처음에는 그 형식과 내용의 길항(拮抗)으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지만 곧 그런 느낌이 사라지면서 유한한 감성을 매개로 무한한 것을 표현하려고 한다. 그럼으로써 오히려 인간의 생명 감정이 자극되고 역감(力感)이 앙양되어 대상에 대한 경외, 정서적인 경악이나 황홀경, 즉 넓은 의미로의 ‘미’의 감정을 낳게 된다. 전형적인 것으로서 는 해돋이나 바다와 같은 숭고한 자연(칸트Immanuel Kant), 비극적인 행위의 도덕적 신념(쉴러Friedrich von Schiller) 또는 초기의 인도적, 모하메드적, 유태, 기독교적 시와 신비주의 속에서의 신의 임재(헤겔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가 언급될 수 있다. (세계미술용어사전, 1999) (미학에서) 계산, 측정, 모방 가능한 범위를 뛰어 넘는 물리적, 도덕적, 지적, 형이상학적, 미학적, 영적, 예술적 위대함 (wikipedia, 2020) ......

곧 ‘sublime’은 신성(神性)이라는 실체로부터의 아우라, 영기(靈氣)이다. 또한 ‘sublime’을 알고자 한다는것은 바로 그 실체에 가까이 다가섬을 의미한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이 ‘sublime’에 이끌린다. 모든 존재에 는 이 ‘sublime’을 향한 태고부터 내제된 열망이 있다. 그 실체가 우리를, 모든 존재를 자신에게로 끌어당긴다. 그것은 마치 불나방이 불꽃에 이끌려 뛰어듦과 같다. 의식이 ‘sublime’에 자신을 내던질때 그는 더이 상 불태워지고 없다. 이 무아(無我)의 지경에서 본래의 의식은 한없이 겸허해지며 자유로워진다. 그리고 그자리엔 오롯히 타오르는 본연의 실체, 숭고한 신성(神性)만이 있을 뿐이다. 우주는 그렇게 (자신의 산물인 의식을 통해) 자신을 본다. 자신의 어떠함을 느낀다, 그리고 그 자신이 이르고자 하는 무한을 향해 나아간다. 이것이 바로 우주의 산물로써 의식이 추구 할 수 있는 최고의 열망, 도달하고자 하는 최고의 경지, 모든 존재가 본능적으로 향해 나아가는 진화의 궁극적 종착지이다. 그렇기에 이제 생(生)의 숙명, 그 이끌림에 따라 우리 앞의 ‘sublime’에게로 보다 가까이 다가서기위한 여정을 떠나보려 한다. [이론] 그것은 우선적으로 ‘sublime’에 관한 의식적 차원에서의 앎의 탐구에서부터 선행 될것이다. (이성적, 감성적, 심적, 영적 영역을 아울러 나타나는 ‘sublime’의 속성, 원리, 패턴, 매커니즘, 실체 등에 관하여 / 의식적 차원에서의 객관적, 과학적 접근 및 분석을 통해) [작품] 그리고 이 축척된 앎을 바탕으로 예술이라는 (어떠함 자체의 가치를 창조하는) 자유로운 형식의 매체를 통하여 이러한 ‘sublime’의 요소들을 그 원리와 매커니즘에 따라 다양하게 재구성하고 실험하여 다시금 이성적, 감성적, 심적, 영적 영역에서 보다 새롭고 그 본질 - 실체에 가까운 ‘sublime’을 구현하고자한다. 앞으로의 작품세계는 바로 이같은 여정의 기록이자 증언이 될것이다. 그리고 이로부터의 앎은 그것이 모든곳으로부터 흘러 들어온것처럼 다시 모든곳으로 그렇게 흘러 나가며 스스로 영속적인 생명력을 갖고 계 속적인 진화를 거듭하며 이어져 나갈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보다 더 한걸음 ‘sublime’에 다가선다. 그리고 마침내 보게 된다, 모든 존재 안에 깃들어 있는 신의 얼굴, 그 숭고한 현존(現存)을.

19


A [ 공간조형언어 ] series

정의

- 공간조형언어 : 모든 물질적 실체와 그 사이 공(空)의 구현 양상의 총합 및 체계 ( 미립자에서부터 전반적 우주까지 ) - 공간조형언어원리 : 공간조형언어를 운영, 주관하는 법칙, 원리 / 우주를 이루는 근본 법칙 / 기하학, 물리학적 지식에 기반 - [ 공간조형언어 ] project : [이론] 공간조형언어원리 및 이에 따른 공간조형언어의 구현 양상 체계의 연구 및 이론화. [작품] 규정한 공간언어들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재구성, 실체화, 작품화 / 이를 통한 관련 지식체계의 탐구 및 구축 추구_어떠함(감명) : 그 자체로의 순수한, 본질적 공간조형의 정수 및 이의 다양한 조합-발현 가능성 / 공간조형언어의 범주(모든 물질 ~ 공空)의 광대함에서 오는 무한감, 압도감, 절대성 / 우주를 이루는 근본 법칙임에서 오는 절대성, 궁극성, 근본성

- 분류 : 모든 작품은 기본적으로 공간조형언어가 사용됨에 따라 [ 공간조형언어 ] series 에 귀속된다 / [ 공간조형언어 ] series 는 매체상 기본적으로 ‘paper architecture’ 에 속한다.

이론 _ 공간조형언어원리 및 구현 양상 체계 ( 대락적 개요 )

( 차원

)

- 0차원 (점) 1차원 2차원 3차원 4차원

(선) (면) (입체) (4차원입체)

2 표현

- 01 요소 - a 공간요소 (힘 - 체계) -1) ‘직육면체’ 형 힘 - 체계 (힘 x) -2) ‘구’ 형 힘 - 체계 (힘원 - 점) -3) ‘도넛’ 형 힘 - 체계 (힘원 - 점) -4) ‘원기둥’ 형 힘 - 체계 (힘원 - 선) -5) ‘방석’ 형 힘 - 체계 (힘원 - 면) -6) ‘주사위’ 형 힘 - 체계 (힘원 - 입체) - b 물질요소 (⊂ 힘 - 체계) -1) 점 -2) 선 -3) 면 -4) 입체

- 02 구성

- 01 빛 - 밝기

- a 공간요소 (힘 - 체계) -1) 단일 힘 - 체계 -2) 복합 힘 - 체계 - ㄱ 합성 체계 - ㄴ 분해 ( layering ) 체계 - b 물질요소 - 구성유형 1 (⊂ 힘-체계) - 1) 기본요소 - ㄱ 단일위상 단일구성 - ㄴ 단일위상 복합구성 - ㄷ 복합위상 복합구성 - 2) 복합요소 - ㄱ 단일위상 단일구성 - ㄴ 단일위상 복합구성 - ㄷ 복합위상 복합구성 ( 위상 : 선 - x, y, z,... 면 - xy, yz, zx, ... ) ( 복합구성 : (((( 점 -> ) 선 -> ) 면 -> ) 입체 ) ...

4

- 02 색 - 03 재질 ...

-

1. 구축


A

개인 연구 Project : 공간조형언어 Series

1

LIGHT CATHEDRAL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개인 작품, 2016年]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작품 program _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 #공간조형, #paper architecture, #art

2

SPIRAL _ O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요소 series #1A [개인 작품, 2017年]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작품 program _ 미술: 설치오브제, 건축: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 #공간조형, #paper architecture, #art

3

MULTI-DIMENSION 공간조형언어 series #1-C, 구성 series #1A [개인 작품, 2017年]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C 작품 program _ 미술: 설치오브제, 건축: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 #공간조형, #paper architecture, #art

4

FIRMAMENT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전시 작품 기획안 공간조형언어 series #2-A, 표현 series #1A [개인 작품, 2014年]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2-A 작품,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전시 작품 공모 2nd Prize 수상 program _ 미술: 공간설치 오브제 / #공간조형, #공간예술, #atmosphere



A4 FIRMAMENT, 穹蒼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전시 작품 기획안 공간조형언어 series #2-A, 표현 series #1A

하늘, 본질의 세계

01 기본 개념

FIRMAMENT

본 작품은 ‘예술작품이란 대상의 본질이 가려진 일상적 현상의 세계속에서 대상의 본질이 드러나는 본질의 세계로 향한 창, 열린 경계‘라는 예술관에서부터 귀의한다.

땅, 현상의 세계

program _ 미술: 공간설치 오브제

이 같은 예술관은 그와 유사한 일맥을 갖는 firmament(궁창)이라는 고대인의 세계관을 통하여 작품으로 구현된 다. 작품은 땅(현상의 세계)와 하늘(본질의 세계)를 잇는 2중의 열린 경계,궁창으로 이루어진다. 작품에서 현상 의 세계는 실제 궁창(궁창1)을 경계로 그 위의 낯선 현상의 세계와 이어지고 낯선 현상의 세계(궁창2)는 체험자 의 사유 속에서 스스로 본질의 세계를 여는 궁창, 열린 경계가 되어 우리의 의식에 대하여 본질의 세계를 연다.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2-A 작품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전시 작품 공모 2nd Prize 수상 site _ 서울시 중구 산림동 서울대학교 미술관 #공간조형, #공간예술, #atmosphere

작품명 : firmament, 궁창 작품유형 : 설치 및 영상 크기 : 5.4m x 5.4m x 0.35m 재료 : 아크릴판, 거울아크릴, 합판, 물 외 기타철물

[개인 작품]

이때 두 번째 궁창인 낯선 현상의 세계는 대체적으로 본질의 세계에 대하여 활짝 열려있다. 그러나 첫 번째 궁 창인 현상의 세계와 낯선 현상의 세계를 잇는 실제 경계, 궁창은 일반적으로 닫혀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경계, 궁창의 일상성, 불변동성에 의해 낯선 현상의 세계가 낯설게 보이지 않고 익숙한 현상의 세계와 같게 보여 낯 선 현상의 세계를 주목할 수도 경험할 수도 없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곧 이 첫 번째 궁창을 여는 것 은 궁창 이면의 낯선 일상의 세계를 충분히 주목하고 체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낯선 일상의 세계 를 주목하게 하는 것은 경계, 궁창이 자신의 일상성, 불변동성을 깨고 오히려 흔들리고 변동함을 통하여 낯선 현상의 세계를 더욱 낯설게, 새롭게 보이게 하며 이러한 두 세계 사이의 충돌, 긴장을 고조시킨다는 것과 같다. 따라서 실제궁창(궁창1)의 열림은 실제적 궁창의 흔들림을 통해 생성되는 (‘낯선 현상의 세계’의 낯설어짐에 대한) 체험적 주목으로 이뤄진다.

FIRMAMENT 현상의 세계와 본질의 세계를 잇는 경계 but 일반적으로 닫혀있다. WORK OF ART 본질을 비추는 창, 현상의 세계와 본질의 세계를 잇는 흔들리는, 긴장 so 열린 경계 ‘FIRMAMENT’ AS A WORK OF ART = WAVING SO OPEN ‘FIRMAMENT’


0m

5m

10m

a) b) c) d) e) f)

A) 파원발생기

3) 2) 1)

1) 아크릴판(5T)

AUDITORIUM PLAN

2) 거울아크릴(3T)

3) 철제프레임(50T)

a) 연결조인트1, b) 체인(16T), c) 연결조인트2(70x70), d) 연결조인트3(70x70), e) 와이어로프(Φ16), f) 스파이더kamp

SECTION A

SECTION B

02 개념 구현 작품 속 실제궁창(궁창1)은 ‘흔들리는 그리하여 열린 경계, 궁창’으로써 실제 거울과 그 윗면의 흔들 리는 물의 파면으로 이루어진다. 거울은 위의 일상적 현상의 세계(오디토리움 공간)를 반사하고 계속해 서 변동하는 물의 파면은 이를 굴절,산란을 통해 끊임없이 낯설게 재해석하여 거울 아래 이면에 낯선 현 상의 세계(낯선 오디토리움 공간)를 연다. 이 같은 궁창 아래 낯선 현상의 세계는 이를 체험하는 자로 하 여금 일상 속 현상의 세계(오디토리움 공간, 나아가 미술관 공간)의 본질을 새롭게 발견하고 사유하게 하 는 또 다른 창, 열린 경계가 되어 우리의 의식 속에서 본질의 세계(오디토리움 공간, 나아가 미술관 공간 의 본질의 세계)를 연다.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오디토리움 공간, 나아가 미술관 공간’의 본질은 오디토리움 공간 자체의 bigness(공간, 질, 분위기, 빛, 등)일수도 있고, 작품공간이 반영하는 미술관 중앙 아틀리에의 핵,자궁 공간 일수도 있고, 작품공간이 또다시 반영하는 미술관과 주위의 하늘을 잇는 천창일수도 있고 그 밖에도 체험 자에 따라 수없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어떤 것일 수도 있기에 여기선 그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작품에선 궁창표면으로 다양한 빛 source(자연광, 프로젝터영상, 조면)등을 비추어 이 빛들이 궁창을 통 해 굴절, 반사, 산란하며 공간내로 확산되면서 낯선 빛의 세계를 연다. 또 작품에선 궁창표면위에 다양한 오브제(꽃잎, 작은공, 기름띠)를 띄우거나 궁창(물)안에 물고기를 풀 어놓거나 또는 다른 색의 물을 궁창 안으로 퍼지게 하여 궁창 자체의 존재감을 강조하며 이 같은 경계, 궁창 자체의 낯설게 함을 통해 궁창 위 낯선 현상의 세계 또한 다시한번 새롭고 낯설게 하여 낯선 현상 의 세계를 더욱 연다.

PROPOSAL : WAVING SO OPEN ‘FIRMAMENT’ 일상적 공간(현상의 세계)에 묻혀진 본질(본질의 세계)를 발견, 체험, 사유하게 하는 ‘흔들리는 so 열린 경계’, 창窓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 요소1

A1 LIGHT CATHEDRAL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 요소1, reverse

00 공간조형언어 series 개요 1 공간언어의 작동 원리, 구조 체계의 대략적 규정 ( = 공간조형언어 체계 )

program _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작품 site _ 정해지지 않음 #공간조형, #paper architecture, #art

공간조형언어 series는 일종의 paper architecture 프로젝트로써 1 먼저 공간언어의 본질적 작동원리와 구조에 관한 이론을 파악, 체계화 하고 2 다시 이에 기반하여 규정한 공간언어들을 다양하게 재구성, 실체화해봄으로써

[개인 작품]

1 구축 > 01 요소 > a 공간요소 (힘-체계) -1)‘직육면체’형 힘-체계 (힘 x) -2)‘구’형 힘-체계 (힘원-점) -3)‘도넛’형 힘-체계 (힘원-점) -4)‘원기둥’형 힘-체계 (힘원-선) -5)‘방석’형 힘-체계 (힘원-면) -6)‘주사위’형 힘-체계 (힘원-입체) 1 구축 > 01 요소 > b 물질요소 (⊂ 힘-체계) -1) 점, 2) 선, 3) 면, 4) 입체

1 구축 > 02 구성 > a 공간요소 (힘-체계) -1) 단일 힘-체계 -2) 복합 힘-체계 - ㄱ 합성 체계, ㄴ 분해 layering 체계 1 구축 > 02 구성 > b 물질요소 (⊂ 힘-체계) -1) 단일 공통 위상, 2) 복합 다중 위상 (위상: 선 - x,y,z,... 면 - xy,yz,zx,...) 2 표현 > 01 빛-밝기, 02 색, 03 재질, etc.

2 공간조형언어 체계 기반, 규정된 공간언어들의 재구성, 실체화 => 공간조형언어 series

보다 순수한, 본질적인, 깊이있는, 다채로운 질의 공간과 그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험하며 찾아가보는 프로젝트이다. - 1st 각 공간언어들의 요소, 구성 정보를‘공간조형언어 체계’내에서 좌표화, 파악

- 2nd 공간조형 방식-원리 세부사항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 요소1&2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 요소1&2, reverse

01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2 공간조형 방식-원리 세부사항

1‘공간조형언어 체계’내 좌표 [1] 1 구축 > 01 요소 > a 공간요소 (힘-체계) -‘구’형 힘-체계 1 -‘구’형 힘-체계 2

요소 1 요소 2~4

1 구축 > 01 요소 > b 물질요소 (⊂ 힘-체계) 요소 1~3 -면 요소 4 - 입체

1 구축 > 02 구성 > a 공간요소 (힘-체계) 체계 1 (요소 1) - 복합 힘-체계 > 분해 layering 체계 + 체계 2 (요소 2~4) 체계 2 (요소 2~4) - 단일 힘-체계 1 구축 > 02 구성 > b 물질요소 (⊂ 힘-체계) 면 zx, xy 입체 x+y - 복합 다중 위상

요소 요소 요소 요소

1 2 3 4

>>>> >>> >> >

[2] FORM : 축ㅇ x 축ㅇ - 면구성 - [ z x x ] 1 -[zxx]2 -[xxy] FORM : 축ㅇ - 선구성 - [ x + y ]

체계 1

1힘 요소 1 (체계 1) 요소 2 (체계 2) 요소 3 (체계 2)

요소 4 (체계 2)

힘원 a + 광원 a

- 힘원 a,b , 광원 a = 끌어당기는 힘 (≈ 중력), 초대 - 역광 b = Mass 무게감 up, 누르는 힘 = 끌어당기는 힘, 초대

ㄱ ㄴ

2

2 힘-운동 -

1

운동 ( to 체계2 > 힘원b , to 역광b ) -> : 공간위치 이동 (실제적, 물리적 운동)

2

운동 ( to 체계1 > 힘원a , to 광원a ) : 시선 방향 이동 (힘 받고있는 상태)

체계 2

3 작동,효과 - 구축 >구성 >단일 힘-체계 (각 체계1,2) = 단순, 직관, 보편 + 강렬, 압도적, 힘 (= 추상) - 구축 >구성 >복합 힘-체계 (체계1+2) = 다양성(다양한 관계), 서사성 - 표현 >빛-밝기 (광원a, 역광b) = 강렬, 압도적, 힘

힘원 b + 역광 b

1


SECTION

0m

5m

10m


1

4

2

3

3

1

Light Cannon

2

Central Objet

3

Thermal

4

Main Loop

4

MAIN FLOOR PLAN (BF)

0m

5m

10m


01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요소 series #1A 1‘공간조형언어 체계’내 좌표 [1] 1 구축 > 01 요소 > a 공간요소 (힘-체계) -‘구’형 힘-체계

요소 1~4

1 구축 > 01 요소 > b 물질요소 (⊂ 힘-체계) -선 -면

요소 1~3 요소 4

1 구축 > 02 구성 > a 공간요소 (힘-체계) - 단일 힘-체계

요소 1~4

1 구축 > 02 구성 > b 물질요소 (⊂ 힘-체계) -단일 공통 위상 -복합 다중 위상

요소 1,2,4 요소 3

[2] FORM : 축ㅇ x 축ㅇ main(선) > 배치방향축

- 선구성 - [ x+y > z ]

요소 1

- [ z > x+y ]

요소 2

[ x+y > z ] + [ z > x+y ]

요소 3

- 면구성 - [ (x+y) x z ]

요소 4

x+y

요소 1

z

요소 2

요소 3

요소 4

A2

SPIRAL _ O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요소 series #1A

program _ 미술: 설치오브제, 건축: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작품 site _ 정해지지 않음 #공간조형, #paper architecture, #art

[개인 작품]

공간조형언어 series는 일종의 paper architecture 프로젝트로써 1 먼저 공간언어의 본질적 작동원리와 구조에 관한 이론을 파악, 체계화 하고 2 다시 이에 기반하여 규정한 공간언어들을 다양하게 재구성, 실체화해봄으로써 보다 순수한, 본질적인, 깊이있는, 다채로운 질의 공간과 그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험하며 찾아가보는 프로젝트이다. 요소 series #1A - 요소4 - #3, 반투명 아크릴, 1000x1000x1000(cm)


#1

#2

#3

elev. #1

#2

#3

plan

axo.

요소 series #1A - 요소4 - #4’ - a3, 혼합재료, 10000x10000x10000(cm)

#1-a

elev.

요소 series #1A - 요소4 - #2 - a, 혼합재료, 10000x10000x10000(cm)

요소 series #1A - 요소4 - #4’ - a2, 혼합재료, 10000x10000x10000(cm)

02 요소 series #1A - 요소4, 매체:미술(오브제) plan

program _ 미술: 설치오브제, (제품: Lighting)

작품기호 index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요소 series #1A - 요소4 작품 요소 4

#1 #2 #3 #4

: : : :

날-면 날-면 날-면 날-면

‘:

[1] 1 구축 > 01 요소 > a 공간요소 (힘-체계) -‘구’형 힘-체계

1 구축 > 02 구성 > a 공간요소 (힘-체계) - 단일 힘-체계 1 구축 > 02 구성 > b 물질요소 (⊂ 힘-체계) - 단일 공통 위상

날-면 간 길이 차

[2] FORM : 축ㅇ x 축ㅇ - 면구성 - [ (x+y) x z ]

1 구축 > 01 요소 > b 물질요소 (⊂ 힘-체계) -면

1개 2개 3개 4개

-a -a1 -a2 -a3

: : : :

중심 중심 중심 중심

뚫림 뚫림 뚫림 뚫림

axo.

(기본) (유형1) (유형2) (유형3) 요소 series #1A - 요소4 - #5, 1000x1000x1000(cm)

#2-a

#3-a


#2’

#4’

elev.

axo.

#2’ - a1

#4’ - a1

#2’ - a2

#4’ - a2

#2’ - a3

#4’ - a3

elev.

axo.

요소 series #1A - 요소4 - #2’ - a1, 혼합재료, 10000x10000x10000(cm)

요소 series #1A - 요소4 - #3 - a, 반투명 아크릴, 1000x1000x1000(cm)

elev.

axo. 요소 series #1A - 요소4 - #4’ , 1000x1000x1000(cm)

요소 series #1A - 요소4 - #4’ - a2, 1000x1000x1000(cm)

요소 series #1A - 요소4 - #4’ - a1, 1000x1000x1000(cm)

2 공간조형 방식-원리 세부사항

2 요소4

1힘 - 힘원 a, 광원 a = 끌어당기는 힘 (≈ 중력), 초대 for - 힘원 a = 구심력 for

2

운동

1

운동

z

체계 1

x+y

힘원 a + 광원 a

2 힘-운동 -

1

요소 series #1A - 요소4 - #2, 혼합재료, 1000x1000x1000(cm)

운동

z ( by/to 체계1 > 힘원a , 광원a )

= 운동

z

(힘=운동)

: 직선 가속 운동 by 끌어당기는 힘 ( 힘원a, 광원a ) ㄴ 운동방향 = 힘방향 3 작동,효과

-

2

운동

= 운동

1

x+y ( by 체계1 > 힘원a (=구심력) ) x

elev.

(힘ㅗ운동)

: 원운동 by 구심력(=힘원a) ㄴ 운동방향 ㅗ 힘방향 +

- 구축 >구성 >단일 힘-체계 (체계1) = 단순, 직관, 보편 + 강렬, 압도적, 힘 (= 추상)

운동

- 표현 >빛-밝기 (광원a) = 강렬, 압도적, 힘

: 원운동 by 구심력(=힘원a) ㄴ 운동방향 ㅗ 힘방향

y

(힘ㅗ운동)

=

운동

x+y

(힘ㅗ운동)

: 나선 원운동 by 구심력(=힘원a) ㄴ 운동방향 ㅗ 힘방향

axo.

요소 series #1A - 요소4 - #2’ , 혼합재료, 1000x1000x1000(cm)


3

1

2

ELEVATION

0m

1m

5m

1

구형 나선 램프

2

나선형 지면 진입로

3

구 중심 아트리움

구형 나선 램프

구 중심 아트리움

요소 series #1A - 요소4 - #3 - a, 반투명 아크릴, 1000x1000x1000(cm)

main work .1

program _ 미술: 공간설치, 건축: 파빌리온 요소 series #1A - 요소4 - #3 - a 변형 혼합재료, 3000x3000x3000(cm)

요소 series #1A - 요소4 - #3 - a

Sequence ㄱ - 중심 아트리움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올려다본 광경

Sequence 1 - 건축적산책로1, 나선팔 아랫면을 따라 구 중심 아트리움으로의 진입, 아트리움 내부의 점진적 드러남


3

1

2

SECTION

0m

1m

5m

1

구형 나선 램프

2

나선형 지면 진입로

3

구 중심 아트리움

건축적 산책로 1

건축적 산책로 2

공간 클라이막스

( 나선형 지면 진입로 )

( 구형 나선 램프 )

( 구 중심 아트리움 )

Sequence 2 - 절정, 구 중심 아트리움 내부의 전체 광경, 건축적 산책로의 클라이막스

SITE PLAN

1

2

3

PLAN

1

구형 나선 램프

2

나선형 지면 진입로

3

구 중심 아트리움

0m

10m

15m

Sequence 3 - 건축적산책로2, 나선팔 윗면 램프를 따라 구 정상으로의 상승, 아트리움 내부 풍경의 점진적 변화


Sequence 1 - 중정 내부에서 중앙램프를 향해 올려다본 광경

03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요소 series #1A - 요소1, 매체:건축

program _ 건축: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B, 요소 series #1A - 요소1 작품

[1] 1 구축 > 01 요소 > a 공간요소 (힘-체계) -‘구’형 힘-체계

[2] FORM : 축ㅇ x 축ㅇ main(선) > 배치방향축

- 선구성 - [ x+y > z ] 1 구축 > 01 요소 > b 물질요소 (⊂ 힘-체계) -선 1 구축 > 02 구성 > a 공간요소 (힘-체계) - 단일 힘-체계 1 구축 > 02 구성 > b 물질요소 (⊂ 힘-체계) - 단일 공통 위상

요소 1


SITE PLAN (IN)

Sequence 2 - 최내부 중앙램프에서 수직방향으로 올려다본 광경

0m

5m

10m

A

BRIDGE FLOOR PLAN

2 공간조형 방식-원리 세부사항

2 요소 1

1힘 - 힘원 a, 광원 a = 끌어당기는 힘 (≈ 중력), 초대 for - 힘원 a = 구심력 for

2

운동

1

운동

z

체계 1

x+y

힘원 a + 광원 a

2 힘-운동 -

1

운동

z ( by/to 체계1 > 힘원a , 광원a )

= 운동

z

(힘=시선 방향)

: 시선 방향 이동 by 끌어당기는 힘 ( 힘원a, 광원a ) ㄴ 시선 방향 = 힘방향 (힘 받고있는 상태) 3 작동,효과

-

2

운동

= 운동

1

x+y ( by 체계1 > 힘원a (=구심력) ) x

(힘ㅗ운동)

: 원운동 by 구심력(=힘원a) ㄴ 운동방향 ㅗ 힘방향 +

- 구축 >구성 >단일 힘-체계 (체계1) = 단순, 직관, 보편 + 강렬, 압도적, 힘 (= 추상)

운동

- 표현 >빛-밝기 (광원a) = 강렬, 압도적, 힘

: 원운동 by 구심력(=힘원a) ㄴ 운동방향 ㅗ 힘방향

y

(힘ㅗ운동)

=

운동

x+y

(힘ㅗ운동)

: 나선 원운동 by 구심력(=힘원a) ㄴ 운동방향 ㅗ 힘방향


Sequence 3 - 중앙램프입구에서 가운데 중앙램프를 향해 이동시 광경

Sequence 4 - 최외각 중앙램프에서 중심의 최내부 중앙램프를 향해 내려다본 광경


1

A

B-1

2

B

B-2

3

C

1 2 3

NORTH ELEVATION

0m

5m

10m

Shell Core Base

A B C

기둥-보 및 트러스 구조 for Shell (내부 무주공간) 케이블 구조 for Core (중앙집중형 하중 전달) 켄틸레버 구조 for Core


Sequence 5 - 최외각 중앙램프의 입구에서 중심의 최내부 중앙램프를 향해 이동시 광경

SECTION - A Sequence 6 - 최외각 중앙램프에서 중심의 최내부 중앙램프를 향해 올려다본 광경

0m

5m

10m

A


A3 MULTI-DIMENSION 공간조형언어 series #1-C, 구성 series #1A

01 공간조형언어 series #1-A

02 구성 series #1A - 요소1,2, 매체:미술(오브제)

1‘공간조형언어 체계’내 좌표 program _ 미술: 설치오브제, 건축: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1] 1 구축 > 01 요소 > a 공간요소 (힘-체계) -‘직육면체’ 형 힘-체계 (힘 x )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C 작품 site _ 정해지지 않음 #공간조형, #paper architecture, #art

[개인 작품]

공간조형언어 series는 일종의 paper architecture 프로젝트로써 1 먼저 공간언어의 본질적 작동원리와 구조에 관한 이론을 파악, 체계화 하고 2 다시 이에 기반하여 규정한 공간언어들을 다양하게 재구성, 실체화해봄으로써 보다 순수한, 본질적인, 깊이있는, 다채로운 질의 공간과 그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험하며 찾아가보는 프로젝트이다.

program _ 미술: 설치오브제

[2] FORM : 축ㅇ x 축ㅇ 요소 1,2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C,

main(면) > 배치방향축

요소 1,2

- 면구성 - [ (x x y) > z ] - [ (y x z) > x ] - [ (z x x) > y ]

요소 1,2 요소 1,2 요소 1,2

1 구축 > 02 구성 > a 공간요소 (힘-체계) - 단일 힘-체계

요소 1,2

FORM : 축ㅇ x 축ㅇ x 축ㅇ - 입체구성 - [ x x y x z ]

요소 1,2

1 구축 > 02 구성 > b 물질요소 (⊂ 힘-체계) - 복합 다중 위상 (면 차원)

요소 1,2

1 구축 > 01 요소 > b 물질요소 (⊂ 힘-체계) - 입체

요소 1 요소 2 요소 2’ (변형)

> >> >>>

구성 series #1A - 요소1,2 작품

작품기호 index #1 : 구성1 - 요소1개 #2 : 구성2 - x+y+z 방향, 일정 간격으로 ∑요소 배치-구성 #3 : 구성3 - x+y+z x ( x + y + z ) 방향, 일정 간격으로 ∑요소 배치-구성 ‘ : 배치-구성 간격 거리 차


구성 series #1A - 요소1 - #1

구성 series #1A - 요소1 - #2 ( ≈ 요소2’ - #2 )

구성 series #1A - 요소1 - #3 ( ≈ 요소2’ - #3 )

구성 series #1A - 요소2’ - #1

구성 series #1A - 요소2’ - #2 ( ≈ 요소1 - #2 )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 ≈ 요소1 - #3 )

( axo.1 )

( axo.1 )

( axo.1 )

( axo.1 )

( axo.1 )

( axo.1 )

( axo.2 )

( axo.2 )

( axo.2 )

( axo.2 )

( axo.2 )

( axo.2 )

( prsp.1 )

( prsp.1 )

( prsp.1 )

( prsp.1 )

( prsp.1 )

( prsp.1 )

강철, 100x100x100(cm)

강철, 100x100x500(cm)

강철, 500x500x500(cm)

강철, 100x100x100(cm)

강철, 100x100x500(cm)

강철, 500x500x500(cm)


- (가상)힘원a + 광원a (자연광)

공간조형 방식-원리 세부사항 힘-운동 : 가상 힘-운동 ( 실제 힘(o)-체계에 의한 실제 힘-운동 x / 해당 힘-체계 : 직육면체 형 힘(x)-체계 )

2 ∑2

2 2

2

2 1

요소1 - #1

-

A

-

- (실제)체계1

2

1

요소1 - #2 ( ≈ 요소2’ - #2 )

운동

-

- (실제)체계1

1, ∑ 2

운동

- (가상)체계1 > (가상)힘원a, 광원a (자연광)

(눈 ->) 투시도성에 의한 (가상) 힘-운동 : 눈을 통한 인식과정에서 눈의 투시도성에 의해 변형되어 인식되는 가상 힘(o)-체계에 의한 가상 힘-운동 => 인식되어지는 장면-평면(정면)

∑2

2 2 2

인식되어지는 장면-공간(단면)

1

운동

실제 동일 크기선 보이기 동일 크기선

기존 실제 힘(x)-체계

+

= (실제)체계1

a, b, c

인식(변형)

a

b

c

a

+

b

=

c

(= elevation)

(가상)체계1

인식 가상 힘(o)-체계

(가상)힘원a

1

= (가상)체계1 = 구 형 힘 (o)-체계 ㄴ 힘원(점) = (가상)힘원a

c’ b’ a’

1

+

∞ a’

b’

a’

c’

+

b’

=

(= perspective)

c’

중심을 향해 일정 리듬, 비율로 크기,간격이 줄어드는 반복구성 -> 중심방향으로의 집중성

-

B

(물체 ->) 미끄러지는 (가상) 힘-운동 : (수평 면,입체에서) 물체 주위에 형성되는 힘(x)-체계 안에서 길이방향(긴방향)을 따라 유도 되어지는 등속 직선 운동 (가상 힘-운동, 힘x) ~> ∑ 2 운동

f x

2

=f

f y

2

x+y+z

f z 요소1 - #1 ( 1요소 )

구성 series #1A - 요소2’ - #1’

구성 series #1A - 요소2’ - #2’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 axo.1 )

( axo.1 )

( axo.1 )

( axo.2 )

( axo.2 )

( axo.2 )

f x =f

2 2

f y

2

x+y+z

=f

=f

2

x+y+z

x+y+z

x+y+z

f z - (실제)체계1 -

=f

∑2

요소1 - #2 ( ∑요소 ( x+y+z 방향으로 반복구성 ) ) ( ≈ 요소2’ - #2 )

운동

2 2 2

f x+y+z f x+y+z f x+y+z - (실제)체계1

- 연쇄 합성 미끄러지는 힘-운동 ( ∑ f x+y+z = ∑ 2 운동 ) : 각 요소의 f x+y+z 의 x+y+z 방향으로 반복구성, 연쇄작용

- 합성 미끄러지는 힘-운동 ( f x + f y + f z = f x+y+z = 2 운동 ) : x , y , z 방향의 각 단일 미끌어지는 힘-운동 합성 => x+y+z 방향 미끄러지는 힘-운동 ( 등속 직선 운동 (가상 힘-운동, 힘x) )

- how to :

1

운동

각 요소들이 반복구성방향 x+y+z 로 열려있다 => 다음 요소들로 이어짐 ( 다음 요소를 볼 수 있고, 이동 할 수 있다 )

x+y+z

2 힘-운동 ( prsp.1 )

( prsp.1 )

( prsp.1 )

강철, 100x100x100(cm)

강철, 100x100x500(cm)

강철, 500x500x500(cm)

- ∑ 2 운동

- 단일 미끄러지는 힘-운동 ( f x , f y , f z ) : x , y , z 방향의 각 물체를 따라 유도되는 각 등속 직선 운동 (가상 힘-운동, 힘x)

1 힘 : 힘원 a, 광원 a (자연광) = 끌어당기는 힘 (≈ 중력), 초대 for

1

운동

x+y+z ( by/to (가상)체계1 > (가상)힘원a , 광원a )

: 직선 등속 운동 by 끌어당기는 힘 ( (가상)힘원a, 광원a ) ㄴ 운동방향 = 힘방향

- ∑ 2 운동

x+y+z ( by (실제)체계1 > (가상)힘-운동 ∑ f x+y+z )

: 연쇄 직선 등속 운동 = 미끌어지는 힘-운동 ( = (가상)힘-운동, 힘x ) ㄴ 운동방향 = 힘-운동 방향

3 작동,효과 - 구축 >구성 >단일 힘-체계 ( (가상)체계1 / (실제)체계1 ) = 단순, 직관, 보편 + 강렬, 압도적, 힘 (= 추상)

- 표현 >빛-밝기 (광원a) = 강렬, 압도적, 힘

∑2


main work .1

main work .2

구성 series #1A - 요소1 - #3 변형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변형

( ≈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변형 )

강철, 1000x1000x1000(cm)

강철, 1000x1000x1000(cm)

구성 series #1A - 요소1 - #3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 개념 - elev. )

( 개념 - axo.2 )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 개념 - elev. )

( 개념 - axo.2 )


( a2 )

( p1 )

->

main work .1

( p2 )

->

( sA )

( sB )

( sC )

( axo.3 )

( a2 : axo.2 )

( p1 : prsp.1 )

( p2 : prsp.2 )

( prsp.3-정면 )

( sA : sqnc.A-내부1 )

->

( sB : sqnc.B-내부2 )

->

( sC : sqnc.C-내부3 )


main work .2

( a2 )

( p1 )

( p2 )

( sA )

( sB )

( sC )

( axo.3 )

( a2 : axo.2 )

( p1 : prsp.1 )

( p2 : prsp.2 )

( prsp.3-정면 )

( sA : sqnc.A-내부1 )

->

( sB : sqnc.B-내부2 )

->

( sC : sqnc.C-내부3 )



0m

10m

0m

30m

10m

20m

03 구성 series #1A - 요소1,2, 매체:건축

main work .1

program _ 건축: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main work .2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C, 구성 series #1A - 요소1,2 작품

program _ 건축: 건축 오브제, art, cultural 개인 연구 project _ 공간조형언어 series #1-C, 구성 series #1A - 요소1,2 작품

미술 > main work.1 ( 구성 series #1A - 요소1 - #3 변형 ) -> 건축화

구성 series #1A - 요소1 - #3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미술 > main work.2 (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변형 ) -> 건축화

( ≈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변형 )

개념 (elev.)

개념 (axo.2)

( axo.2 )

구성 series #1A - 요소2’ - #3’

개념 (elev.)

개념 (axo.2)

( axo.2 )


main work .1


->

sqnc.A-내부1

->

sqnc.B-내부2

stair-bridge ( connecting build.1,2,3 )

building 1

sqnc.C-내부3

building 2

building 3


1

1 A

2

A

A

A

3

A

A

A

B

A

A

B

A

A B

A

B

B

A

A

A

B

A

A B

A

B

B

B

A

A

B

A

A

B

A

3

2

2

1

1

A

B

B

B

A

B

B

A

B

A

B

A

A

B

B

B

A

B

B

B

A

B

B

B

B

A

B

B

A

B

B

B

A

B

B

B

B

A

B

B

MAIN FLOOR PLAN

B

B

B

A

SOUTH ELEVATION

A

B

B

30m

A

B

A

B

A

A

A

0m 10m

B

A

B

A

A

A

B

3

A

B

A

B

A

A

A

A

B

A

B

A

A

A

A

A

SITE PLAN

B

B

A

2

A

A

B

3

A

B

B

A

SECTION A

B

A

1

BUILDING 1

1

BUILDING 1

1

BUILDING 1

1

BUILDING 1

2

BUILDING 2

2

BUILDING 2

2

BUILDING 2

2

BUILDING 2

3

BUILDING 3

3

BUILDING 3

3

BUILDING 3

3

BUILDING 3

A

CORE pt. ( public )

A

CORE pt. ( public )

B

BRIDGE pt. ( private )

B

BRIDGE pt. ( private )



main work .2


sqnc.A-내부1

sqnc.B-내부2

building 1 - in

sqnc.C-내부3

building 2

building 1 - out


1

1

2

A

B

A

B

A

B

A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B

A

A

B

A

B

A

B

A

B

1

1

2

2

2

A

B

B

B

A

B

A

B

0m

10m

20m

1

BUILDING 1

2

BUILDING 2

SOUTH ELEVATION

1

BUILDING 1

2

BUILDING 2

MAIN FLOOR PLAN

A

B

A

B

SITE PLAN

B

B

B

B

B

A

B

A

B

A

B

SECTION A

1

BUILDING 1

2

BUILDING 2

1 2

BUILDING 2

A

CORE pt. ( public )

A

CORE pt. ( public )

B

BRIDGE pt. ( private )

B

BRIDGE pt. ( private )

BUILDING 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