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리포트 2019] 01호 '50+의 일자리 가능성을 열다

Page 1

2019년 01호 Volume 14

5 0 + 리 포 트 2019

50+리포트는 서울시 50+세대가 새로운 인생 2막을 설계하고 제2의 전성기를 보낼 수 있도록 최신 국내외 50+동향과 다양한 오피니언을 전달합니다.

50+의 일자리 가능성을 열다 Issue

발행일 2019년 4월 | 발행처 서울시50플러스재단 | 발행인 김영대

주소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1길 21 서울복지타운 3층

자료문의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센터 02-460-5035 | 홈페이지 50plus.or.kr

100세 시대, 우리는 지금 이 시대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지하고 시대에 부합하는 삶의 좌표를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50+세대의 삶의 전환과 사회참여를 돕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전환을 앞둔 50+세대의 삶에 희망이 되고, 50+세대의 경험과 지혜가 사회의 신동력이 되도록 우리 재단이 든든한 동반자로 함께 나아가겠습니다.

이슈 & 트렌드

50+세대를 위한 ‘돌봄 서비스’ 일자리 지원

02

서울시50+세대의 귀농·귀촌

04

고령화와 사회적 환경의 변화는 서비스 분야와 일자리 측면에서 다양한 시대적 답안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현 시대에 부합하는 ‘돌봄 서비스’는 균형적인 발전과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인포그래픽

오피니언

귀농·귀촌, 나만의 성공 방정식 찾기

현장 전문가들이 귀농·귀촌은 ‘사회적 이민’이라고 규정하는 만큼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06

상담하고, 귀농·귀촌교육을 받으며 나와 가장 알맞은 귀농성공방정식을 찾아가야 한다.

도농 상생전략으로서의 50+ 귀농·귀촌

귀농·귀촌 관련 지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예비 및 기존 귀농·귀촌인, 농촌 지역사회 원주민 등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귀농·귀촌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화가 필요하다. 글로벌 트렌드

칼럼

50+ 정책네트워크 뉴스

ISSN 2635-7615 9 772635 761007

50+세대 고용을 위한 독일 이익집단의 활동 사례 ● 독일 50+세대가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는 방법 ● 스웨덴 기업의 중·고령자 인생2막 지원 사례 ● 일본

07

08 09 10

우리는 50+세대의 가능성에 응답해야 한다

11

국내의 50+세대를 위한 교육과 행사 소식

12

100세 시대가 상상이 아닌 현실이 된 지금, 국내외 50플러스 정책에 힘쓰는 기관, 사람들의 경험과 지식을 적극적으로 서로 공유하고 발전시켜 확산한다면 지혜롭게 고령화시대를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91

리포트 내용은 본 재단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