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s h
Mo Ms
Mi n i s t r y o f Mo t h e r s
여성사역 MoMs(ministry of mothers)
여성사역의 목적은 하나님 안에서 배움과 나눔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고 건강한 자아상을 찾는데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여성으로서 그리스도 안에 건강한 자아 를 찾고(自己愛), 남편과의 온전한 소통을 통해 작은 천국을 이루며(夫婦愛), 자녀를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 굳건히 세우기(子女愛)를 소망합니다.
> ‘삶
돌아보기’는 지난 한 주간 실천한 것을 구체적으로 나눠보는 시간입니다.
> ‘마음열기’는 다른 사람의 실예를 통해 그동안 잊고 있었던 내 자신에 대해 생각
해 보는 것으로 닫힌 마음을 활짝 열고 하나님 앞에 한발 더 나아가는 시간입니다. > ‘메시지’는 주제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핵심내용으로 참고 서적을 발췌하거나 주제
에 맞게 재구성 했습니다. > ‘적용하기’는 메시지의 내용을 읽고 내 삶에 적용해 보는 것으로 과의 주제에 대
해 깊이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 ‘실천해
보기’는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 한 주간 동안 직접 해볼 수 있는 몇 가지
예를 든 것입니다. > ‘함께
기도하기’는 과의 나눔이 끝난 후 소장과 소원들이 각자의 기도 제목을 내
고 중보기도를 하는 것입니다. > ‘기도문’은 오늘의 깨달음을 삶으로 이어가기 위하여 간구하는 것입니다. > ‘엄마노트’는 ‘메시지’에 담아 낼 수 없는 세부사항을 첨부한 것으로 각 과에 도움
이 될 만한 읽을거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Prologue
제목 Relationship은 ‘~사이의 관계’ 라는 뜻입니다. 부부사이, 모녀&고부사이, 자녀사이를 되돌아보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현숙한 여 인의 향기를 전달하는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 이 교재의 목적입니다. 먼저 남편과의 온전한 소통을 통해 작은 천국을 이루겠다는 소망으로 부부사이를 살폈고, 나와 남 편의 원가족을 통해 서로를 더 잘 이해해 보려는 마음으로 어머니와 시어머니를 살 폈으며, 청지기로서의 부모가 되어 자녀를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 세우기 위해 자녀 사이를 살폈습니다.
‘부부사이’ 1과에서는 만남과 결혼을 통해 부부사이를 돌아보고자 했습니다. 서로 다르게 성장 한 두 사람이 만나 가정을 이루는 모습 속에서, 서로를 가장 소중히 여기며 사랑으로 채워가는 변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2과에서는 전쟁과도 같은 삶의 모습을 통해 갈등해소를 위해 내가 먼저 변해야 할 점을 알아 보고자 했습니다. 3과에서는 어떤 남편과 결혼했어도 하나님의 은혜가 족하다는 사실을 믿음으로 받 아들여 결혼 생활의 변화가 나 자신에게서부터 시작될 수 있음을 이야기 하고 있습 니다. 4과에서는 행복한 부부로 거듭나기 위해 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처럼 하루 하 루 남편을 최고로 사랑 할 수 있게 해달라는 간구로 끝을 맺고 있습니다.
‘모녀&고부사이’ 5과에서는 늘 주고도 아픈 어머니와, 받기만 하고도 모자라다고 느끼는 자녀를 통 해 어머니와 자녀를 서로의 눈으로 바라보고자 했습니다. 6과에서는 옛 여인들의 모습을 통해 시어머니도 누군가의 며느리였음을 되돌아보며 서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습니다.
2
Prologue
‘자녀사이’ 7과에서는 자녀가 ‘잔인한 인생의 십자가 인가?’ ‘하나님의 선물 인가?’를 되돌아 보며 소중한 자녀를 바르게 양육하기 위한 부모로서의 전략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8과에서는 사춘기의 자녀와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공감을 강조하며 자녀 와의 소통을 돕고자 했습니다. 9과에서는 주님을 신뢰함으로 부모 스스로 경계하며 선한 청지기로서의 역할을 감 당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현숙한 여인’ 10과에서는 1~9과까지의 관계를 통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진주보다 귀한 현숙한 여인이 되기 위한 사랑과 지혜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3
Contents
제1과 만남과 결혼
5
제2과 사랑과 전쟁
12
제3과 남편 이해하기
20
제4과 행복한 부부의 비결
27
제5과 주고도 아픈…, 받고도 모자란…
35
제6과 나의 또 다른 부모?!
42
제7과 너를 처음 만난 그 때
49
제8과 자녀 이해하기
57
제9과 삶으로 가르치기
65
제10과 현숙한 여인의 향기
72
4
1_ 만남과 결혼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 아담과 그 아내 두 사람이 벌거벗었으나 부끄러워 아니하니라. 창세기 2:24~25
> 삶 돌아보기 1. 남편과 어떻게 만나서 결혼하게 되었나요?
> 마음 열기 아내들의 전쟁 중세 독일, 바바리아 제국과 스와비아 제국간에 전쟁이 벌어져 와인스버그에서 치열 한 접전이 있었습니다. 스와비아 군대에 의해 와인스버그 성은 곧 함락 될 위기에 놓 였습니다. 스와비아 제국의 국왕 콘라드는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항복하면 더 이 상 공격하지 않겠다는 내용으로 사절을 보냈습니다. 와인스버그의 성주는 더 이상 싸워봐야 승산이 없음을 알고, 그 사실을 성안의 모든 사람에게 알렸습니다. 그리고 항복 문서를 작성하면서 성 안에 있던 여인들에게 그들 의 팔에 안고 나갈 수 있을 만큼의 재산을 허락하라는 것을 조건으로 제시 하였습니 다. 콘라드 대왕은 조건을 수락하고 항복 문서에 서명하였습니다. 문서가 교환되고 성문을 나오는 여인들에게는 가장 소중한 것 한 가지를 가지고 나 올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습니다. 그런데 성문이 열리자 나오는 여인들은 모두 그들 의 남편을 팔에 안고 성 밖으로 나오는 것이었습니다. 결혼하지 않은 여인은 아버지 와 형제를 안고 나왔습니다.
5
자신의 남편을 팔에 안고 걸어 나오는 여인들을 바라보며 콘라드 대왕과 군사들의 눈가에는 승리의 기쁨 대신 감동의 눈물이 맺혔습니다. 그리고 그날 밤, 승리의 파티 에는 와인스버그의 여인들과 그들의 남편들이 초대되었습니다. 그날은 승자와 패자 가 없었습니다. 모두가 한 가족이었습니다. 그들은 적군이 아니라 한 여자의 남편이 고 한 남자의 아내일 뿐이었습니다.
김흥식,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중에서
2. 내가 생각하던 결혼생활과 결혼하고 난 후의 생활은 어떻게 다른가요?
> 메시지 아내에게 있어 가장 소중한 것은 옷과 장식품이 아니라 바로 남편입니다. 남편에게 있어 가장 소중한 것은 일이나 성공이 아닙니다. 남편에게는 아내보다 소중한 것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소중하지 않은 사소한 물건들과 일 때문에 서로에 게 상처를 주며 살고 있습니다. 서로 다르게 성장한 두 사람이 만나서 가정을 이루고 그 가정은 사회의 기초를 이 룹니다. 사회를 유지하는 것은 바로 이 가정의 힘입니다. 가정의 기초는 부부의 사 랑입니다. 부부는 서로 사랑할 때 가장 아름답습니다. 부부가 서로를 사랑하고 돌보는 것은 이 기적인 것이 아닙니다. 부부의 사랑은 두 사람만을 행복하게 하지 않습니다. 그 사랑의 관계를 통해 든든한 가정이 만들어지고 그 가정을 통해 아이들이 성장하 며 그 아이들이 다시 새로운 가정을 만들어 나갑니다. 그리고 그 가정을 기초로 건강 한 사회가 만들어집니다. 부부가 화목할 때 가정이 화목하고 세상이 편안해 집니다. 부부의 사랑은 세상을 사 랑으로 채우는 씨앗이며, 서로 사랑하는 부부를 바라보는 모두에게 기쁨이 됩니다.
김흥식,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중에서
6
> 적용하기 3. 내가 꿈꾸는 가정은 어떤 곳인가요?
> 실천해 보기 * 남편과 함께 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계획해 보세요.(여행, 영화, 둘만의 외식 등)
*가 족을 위하여 힘든 직장생활을 견뎌내는 남편의 수고에 대한 고마움을 가족이 모 인 자리에서 표현 해 보세요.
7
> 함께 기도하기
>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가정이 되기 위한 기도문
참 좋으신 사랑의 하나님! 귀한 남편을 만나 가정을 이루게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남편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아내가 되기 원합니다. 우리 가정을 향하여 품으신 하나님의 뜻을 깨달아 남편을 존중 하고 격려하는 아내가 되게 해 주세요. 결혼 할 때의 처음 사랑을 항상 기억하는 부부가 되게 해 주세요. 주께서 저에게 주신 남편을 새로운 눈, 새로운 사랑, 새로운 마음으로 보게 해 주세요. 주님께 대한 그리 고 서로에 대한 사랑이 날마다 더 깊어지기를 기도합니다. 주님이 우리 가운데 계심으 로 우리 두 사람이 하나 되게 해 주시길 간구합니다. 우리 부부가 굳게 연합해서 축복이 될 자녀들을 사랑으로 양육하게 도와주세요. 우리 부부를 통하여 하나님이 복주시기 원하시는 많은 믿음의 후손들이 이어지고, 대 를 이어 주님의 일꾼들이 길러지는 복을 받기 원합니다. 우리 가정을 통하여 이 땅 위에 하나님의 나라가 확장되는 은혜가 임하게 해 주세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8
엄 마 노 트1
우리들 대부분은 결혼생활이 안식처, 피난처, 활력의 근원이길 바란다. 결혼생활 속에서는 여 러 힘든 문제가 일어난다. 어려움도 생기며 부부끼리 의견다툼도 생기는 일들 속에 실망도 하 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결혼생활에서 직면하는 어려움들은 사실 중요한 ‘기회’이다. 나는 결혼생활에 서 일어나는 우리의 능력으로 해결될 수 없는 문제들이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하도록 한다고 믿는다. 결혼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은 오히려 우리에게 힘을 불어넣어 주고 우리를 성장시 켜 줄 기회가 될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결혼생활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통해서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살 도록 도우신다. 문제로 인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이 우리 안에 나타나고 성령님께서 우리 를 통해 역사하신다. 결코 결혼생활에서 야기되는 문제들로부터 도망가지 말라.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행복하고 건 강한 결혼생활을 하도록 도와주시려고 준비하고 계신다.
데이빗 필드, 『결혼의 일곱까지 얼굴』 중에서
9
엄 마 노 트2
건강한 가정에서 나타나는 5가지 특징
1. 가정에 우선순위가 있다.
2.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이 많다.
3. 가족 간에 대화가 많다.
4. 감사와 사랑의 대화가 많다.
5. 영적으로 하나 되어 있다.
나는 가족이 세상을 압축해 놓은 소우주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세상을 이해하려면 가 족을 연구하면 된다. 힘과 친밀감, 자율과 신뢰, 소통방법 같은 이슈들은 우리가 세상을 살 아가는 방식에 기초가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세상을 바꾸고자 한다면 가족을 바꾸면 된다. 가정생활은 마치 빙하와도 같다. 대다수 사람들은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일의 10분의 1밖에 알지 못한다. 겉으로 들리고 보이는 게 10분의 1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비록 더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을지 모른다고 의심하는 사람들조차 그게 무엇이고 어떻게 찾아내야 할지 알지 못 한다. 그래서 가족은 위험한 길로 빠져들 수 있다. 뱃사람의 운명이 거대한 빙하가 수면 아래 에 있다는 사실을 아느냐 모르느냐에 좌우되듯이, 가족의 운명도 일상적인 가정생활 밑바닥 에 깔린 감정과 욕구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다. 문제 있는 가족의 분위기는 쉽게 감지된다. 그런 가족과 함께할 때면 불편함이 감지된다. 그 들 사이에는 때로 얼음처럼 차가운 기운이 흐른다. 매우 정중한 분위기인데도 지루함을 느끼 는 게 빤히 들여다보인다. 마치 팽이처럼 끊임없이 도는 듯한 느낌을 주는 가족도 있다. 폭풍 전의 고요함처럼 언제라도 천둥 번개가 내려칠 것 같은 불길한 분위기를 풍기는 가족도 있다. 양육적인 가정에서는 활기, 솔직함, 사랑이 감지된다. 따뜻한 가슴과 영혼이 있음이 느껴지 기도 한다. 그런 가정에서는 서로가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배려한다. 고통과 불만뿐만 아니 라 사랑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위험을 감수하는 데는 실수가 따를 수 있고, 실수는 곧 성장 하고 있는 신호임을 모든 가족이 알고 있기 때문에, 두려움 없이 과감하게 위험을 감수한다. 서로가 가족 한 사람을 인정하고 소중히 여기며 사랑한다고 느낀다. 적절한 경우 유머와 웃 음으로 상황을 넘기는 데 주저함이 없다. 이런 사람들이 생활하는 집은 밝은 빛과 색감이 넘 친다. 이런 집은 이웃에게 자랑하기 위한 곳이 아니라, 가족들이 편안함과 즐거움을 얻는, 이 른바 사람 사는 곳이다.
버지니아 사티어, 『가족힐링』 중에서
10
엄 마 노 트3
앞에 있는 그대를 사랑합니다
김흥식 지금 이곳에
내 앞에 있는 그대를 사랑합니다.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어떤 길을 걸어가야 하는지 알 수 없지만 내 앞에 있는 그대를 사랑합니다. 지금 이 순간 내게 있어 가장 소중한 사람은 이 시간을 사랑으로 함께 채워나가는 그대입니다. 우리가 다시 만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랑을 그대에게 드리겠습니다. 우리의 만남이 오늘뿐이라면 앞으로 드릴 모든 사랑을 모아 지금 당신께 드립니다. 내 앞에 옆에 뒤에 있는 그대를 온 마음을 다해 사랑합니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