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매체적 언어를 활용한 초⋅중⋅고등학교 영화 교육에 관한 고찰* 김계중 성결대학교 연극영화학부 전임강사
1. 들어가며 이번 논문을 통해 다루어질 매체 활용에 관한 영화교육은 초ㆍ중ㆍ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기초 기본 교육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영화 감상 및 제작 교육 커리큘럼의 대부분 은 가장 일반적인 영화의 제작과정을 약소화한 수준에서 답습하고 있 는 실정이다. 대학교의 영화 교육은 충무로 현장의 제작 양식을 부분 적인 모델로 삼아 졸업 후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보 통인데 실질적으로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행해지는 교육도 대학교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1) 따라서 대학교육에서도 간 * 이 논문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주최한 2010년 예술강사 지원사업 하반기 강사연수(학교영화분야)에서 ‘매체활용을 통한 영화교육 워크숍’이란 제목의 강연 록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1) 물론 한국영화학회 영화교육위원회에서 편찬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화 교과서 (‘초등학교 영화’, ‘중학교 영화’, 2005, 도서출판 월인)가 출판되었지만 현실적으 로 예술강사들에 의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 교과서에 다루어진 소주제 목들을 살펴보자면 초등학교 교과서는 크게 세 개의 장 ‘1장: 영화 알기, 2장: 영 화와 노릴, 3장: 영화와 만나기’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영화의 특성과 역사 그리고 영화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움직임으로 구성되는 영화의 원리를 이해시 키는 시도가 담겨 있다. 2장에서는 실제 간단한 영화를 만들어 봄으로써 다양하 고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3장에서는 영화가 사람과 삶을 다룬다는 것을 알려주며 사회적 의미에서 출발하는 예술의 기능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그리고 중학교 교과서는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이 미지란 무엇인가’, 2부는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3부는 ‘영화 만들기를 주비해보
23
과하게 되는 기초소양교육이 만약에 초중등학교 영화 수업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면 새로운 대안적인 고민 위에서 개발되어야 할 것이 다. 그렇지 않다면 단순히 학생들에게 창작활동과 영화 감상을 통해 서 얻어지는 흥미 유발과 창의력을 자극하는 것에만 만족해야 할 것 이다. 그리고 현대의 미디어환경 속에서 더욱더 경계해야 할 점은 미 디어의 홍수 즉 그것의 과잉으로부터 보호하고 근본적인 영화언어에 대한 미학적 고민과 사회적 책임에서 출발해야 함이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이런 소양 교육을 이미 수료했다고 간주하고 바로 주류 영화 의 관습적인 제작 환경으로 안내하는 대학교의 영화교육의 전통이 무 조건적으로 하향 반영된다면 더 깊이 있고 의미 있는 교육의 가능성 을 놓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문은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 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간 실행해온 다양한 주제의 수업을 통해 축적 된 교훈을 바탕으로 한 제안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 감상과 실습이라는 일반적인 두 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감상 을 통해 영화언어의 부분적인 요소를 나누어 짚어보는 것은 이들을 분리시켜 인식해보는 훈련의 과정으로 삼고자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실습 과정은 직접 감상을 통해 익숙해진 양식을 수용하여 개별적으로 돌아가며 발표하는 형식을 택한다.
자’, 4부는 ‘촬영을 해 보자’, 5부는 ‘영화 만들기를 마무리하자’, 그리고 6부 ‘영화 보기와 읽기’로 이어지는데 특별히 중학교 교과서의 내용이 더 기존 대학교 교육 에 가깝다. 물론 좀 더 근본적 소양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시도는 충 분히 높게 평가할만하다. 하지만 본문에서 다루어질 교육에 대한 제안은 매체에 관한 교육의 중요성과 그 실천에 의거한 것이고 교과서에 대한 평가와는 관계없 는 것임을 강조하고 싶다. 더군다나 추가적으로 강조할 점은 일선 강사들이 직접 구성한 커리큘럼에 대한 일반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매체 중심의 영화언어에 관한 교육을 강화하는 강사들의 노력을 외면하자는 것은 아니다.
24
2. 감상 1) 사진 감상 (1) 개념 사진은 실사의 이미지를 통해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가장 먼저 발명 된 매체이다. 이미 수많은 사진들을 통해 영화가 발명되기 이전부터 는 물론이고 이미지를 통한 무언의 발화를 위한 고도의 언어적 활용 이 적용되어왔다. 더군다나 동영상 기능의 디스플레이가 일반화되기 이전에는 광고 이미지를 통한 ‘설득력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사진이 이미지의 가장 강력한 전달매체로 이미 자리잡아왔다. 상품의 사진이 미지에는 우수성과 구매동기가 모두 한 컷의 이미지에 함축되어 있 다. 따라서 그것을 들여다보면서 어떻게 복잡한 이야기의 구성이 가 능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비시간적 몽타주 또는 콜라주가 가진 역할의 극대화된 예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며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영화적인 표현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다.
(2) 지도 포인트 이미지의 구도와 함께 촬영에 대한 기본 원리도 아울러 배울 수 있 다. 보통 광고사진 등에서 볼 수 있는 강한 채도와 초현실적인 구도 를 좋은 이미지의 조건들이라고 여기는 학생들의 고정 관념을 교정할 수 있으며 직접 촬영해온 사진들이 얼마나 자신들이 알고 있는 ‘멋진’ 사진들과 다름을 인식시켜준다. 이 과정에서 무엇을 위해서 어떤 방 식으로 무슨 목적을 가지고 촬영했는지 스스로 깊이 인식하게 해줘야 한다. 왜냐하면 모든 예술은 이야기 또는 이미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것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관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진 또는 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가늠해주는 기준 점을 스스로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25
또한 노출, 심도, 색상 등으로 구성되는 이미지에서 중요하게 여겨 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알게 해준다. 심도를 결정하는 요소들, 광각 렌즈, 망원렌즈, 줌의 활용 그리고 노출의 개념 등은 이미지에 대해 논할 때 필수적인 요소임과 동시에 특정한 메시지 전달을 위한 소통 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해야 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나레이션 또는 텍스트가 추가 되었을 때 발생하는 의미 전달의 층위들에 대한 논의도 병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림 1>과 같이 영국에서 발간되 는 광고잡지인 ‘뤼어쩨르 아카이브(Lürzer’s Archive)’에 소개되는 광 고 사진들은 좋은 본보기이다. 왜냐하면 다층적 이야기를 구성하며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보완적 기능을 뛰어나게 활용하고 있는 사례 를 많이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2)
2) <그림 1>의 사진은 주유소의 광고사진이다. 사진의 하단부에 다음과 같은 캡션 이 적혀있다. “당신의 자동차에 뭍은 먼지를 당신이 뒤집어썼다고 상상해보라; 우리는 당신의 자동차를 보살펴 줄 수 있는 모든 것을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 주 유소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Imagine taking as much shit as your car; We have everything you need to take good care of your car. Welcome to our petrol stations.)” 이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순간적으로 우선 인식하게 되는 일차적인 내러티브는 더러운 옷을 입고 있는 한 남자가 주차공간에 서서 “나를 씻겨줘 (Wash me)”라는 문구가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있는 이미지가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소 황당한 사건의 해프닝으로 보게 된다. 과연 무슨 사건이며 어 떤 일이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은 작게 밑게 보여지는 캡션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당신의 자동차가 안고 있는 먼지를 직접 운전자가 뒤집어 쓰고 있는 장면은 언어적인 표현을 직접 현실의 공간에서 실현해보이면서 다른 차 원의 초현실적인 리얼리티를 강하게 부각시킨다. 그와 동시에 앞에 새겨진 문구는 그 ‘인격화’된 운전자의 심정을 대변해주는 것으로 내러티브를 설명하는데 또한 결 정적인 징검다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단부의 캡션은 위의 모든 수수께끼의 정답을 알려주지만 여전히 복합적인 내러티브 전개와 단계적인 인식의 순서에 따라 안내해준다. 먼저 “당신이 자동차에 뭍은 먼지를......”이라는 문구를 보고 다시 사진의 이미지를 본 후에 그 부가적으로 달려 있는 캡션(“.....우 리는 당신의 자동차를 보살펴 줄 수 있는......”)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며 광고를 하고 있는 주체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언어적인 유희와 대상과 주체 사이의 관계를 흥미롭게 지정해주는 경우이다. 뤼어쩨르 온라인 아카이브에서 사진 발췌 (http://www.luerzersarchive.net/weekly/2010-43/printad.asp)
26
<그림 1> Lürzer’s Archive 온라인 아카이브에서 발췌된 한 광고 사진
(3) 과제 노출, 심도, 색상 등의 촬영에 관한 기본 지식을 쉽게 지도해준다. 광고 사진을 보면서 한 컷의 그림으로 전달 할 수 있는 이야기 를 찾아본다.
2) 무성영화 사운드 끄고 보기 (1) 개념 무성영화는 일차적인 의미 그대로 소리가 없는 영화이다. 영화사 초 창기의 싱크된 대사는 물론이고 소리를 녹음하여 필름에 입힐 기술조 차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영화를 영사할 때는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 자와 피아노 또는 오르간이 실재의 음원이었고 변사가 중간자막을 대 신 또는 보조하여 이야기 전달과 극적 효과 향상의 역할을 담당했다.3) 3) 데이비드 보드웰, 김숙ㆍ안현신ㆍ최경주 역, ‘영화스타일의 역사’, 한울, 2002, 60-63쪽, 이 책에서 언급된 사운드의 도래에 관한 역사적 관찰을 살펴보면 무성
27
사운드 트랙 뿐 아니라 아무 소리도 존재하지 않는 묵음에 대한 거 부감은 여전히 무성영화시절에도 존재했기 때문에 완전한 침묵 속에 서 영화를 감상했던 경험은 흔치 않았다. 이는 영화 언어가 언제나 사운드가 이미지의 발전과 더불어 중요한 상호보완적인 요소로 발전 되어 올 수 있었던 동기의 일부분으로 작용해왔다. 그리고 무성영화 에서 대사 또는 사운드를 이용한 구체적인 표현적 발화의 행위는 존 재하지 않았지만 사운드를 시각적인 상상계에 위치시키는 시도는 활 발하게 진행되었다. 무성영화가 가지고 있는 순수하고 고유한 아름다움을 느껴보도록 한다. 무성영화는 스토리텔링을 위해 고안된 여러 가지 영화적 장치 를 가지고 있지만 사운드에 의존하는 것과는 달리 순수한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무언의 표현이 가장 중요하게 간주된다. 수많은 광고사진이 무언 또는 극소수의 정보를 가지고 스토리텔링을 시도하는 경우를 많 이 볼 수 있다.
(2) 지도 포인트 이미지를 통해 전달되는 메커니즘과 더불어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시켜 주고 이러한 특징을 잘 살려서 간 단한 이야기를 창작하여 들려주도록 한다.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이 나 사진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면 사적인 일상의 경험을 이용하여 이야 기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미래에 우리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더 많은 영화적 아이디어를 찾아낼 수 있는 잠재력을 충 분히 강조한다.
(3) 과제 무성영화 음악 끄고 감상 예) F. W. 무르나우(F. W. Murnaw) <일출(Sunrise)>4)(1927), 제 영화에서 유성영화의 시대로 전환되는 시기에 영화 사운드를 둘러싼 다양한 미 학적, 산업적 논쟁의 표면들을 살펴볼 수 있다.
28
르망 뒬락(Germaine Dulac)의 <테마와 변주(Thème et variations)>(1929)5), 프릿츠 랑(Fritz Lang) 감독의 <마부제 박사의 유언(Das Testament des Dr. Mabuse)>(1933)6) 무성영화 음악과 함께 감상 예) 찰리 채플린(Charlie Chaplin)의 <시티 라이트(City Light)>(1931)7)
3) (영화의) 사운드만 들어보기 (1) 개념 영화의 사운드만 들어보는 것은 사운드의 추상성과 구체성의 관계 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영화의 사운드트랙에 담긴 어느 특정한 소리는 영화의 이미지와 만날 때 소리의 추상성이 구체성으로 변환되 4) <일출>은 무르나우 감독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무성영화에서 결핍된 사운드의 시각화의 근원적 욕망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카메라 움직임을 이용한 다중 시점의 활용을 비롯하여 긴 롱테이크로 한 쌍의 연인의 뒤를 따라가는 트 랙킹 쇼트에서 발견되는 혼잡한 차도의 소음을 그들의 시점으로 묘사하는 등은 유성 영화 시대에서야 본격적으로 발전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영화언어를 이미 실현하고 있다. 또한 노를 지어 폭풍이 몰아치는 강을 배로 가로질러 가는 숨가 쁜 순간의 거친 이미지들은 사운드가 없이 훌륭하게 유성적 감수성의 인상을 심 어주기에 충분하다. 5) 앙리 아젤 저, ‘영화 미학’ 조병옥 역, 연구당, 1989, 17쪽, 제르망 뒬락은 프랑스 초기 아방가르드학파의 일원으로 인상주의적 경향을 지닌 영화의 대표적인 감독 이다. 위 작품 뿐 아니라 운동의 리듬과 감동적인 요소와 감각적인 요소로 나누며 이미지와 사운드의 (시각적) 인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영화들을 다수 제작하였다. 6) 미셀 시옹 저, 박선주 역, ‘영화의 목소리’, 동문선, 2005, p17, <마부제 박사의 유 언(Das Testament des Dr. Mabuse)>(1933)의 켄트가 보스의 현존을 위장하는 기계장치를 폭로하는 순간에 사용되는 커튼 뒤에 숨어 있는 사운드의 발화체는 미셀 시옹(Michel Chion)이 말하는 음성기계가 장소의 ‘온 사방(tout-autour)’에 놓여있다. 전지적 시점의 목소리의 존재를 학생들에게 다른 시점의 목소리들과 구별지어주는 방법은 그러한 상상계의 존재를 인식시켜 주고 사운드를 통해 하 나의 시점이 공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사려를 제안하기에 충분하다. 7) 찰리 채플린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시티 라이트>는 음악적 효과와 충분한 보 완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유성영화 시대에서 무성영화 제작을 고집했던 채플린 은 자신이 직접 음악을 작곡하며 자신의 마임이 포함된 연기에 담겨진 풍부한 운율적 요소를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했다.
29
어 하나의 연상적인 의미를 가지고 내러티브의 보조적 요소로 발전된 다. 인간의 실생활에서 경험하는 사운드도 영화 사운드트랙에서의 그 것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통해 인간에게 인식되기 때문에 사운드트랙 에 그 존재가치를 부여받기 이전의 사운드는 매우 추상적이다. 그 추 상적인 상태의 사운드만 따로 분리하여 감상하면서 연상을 통한 시각 적인 상상계를 자극하는 독자적인 프로세스를 경험하는 것은 사운드 의 기본성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2) 지도 포인트 주위 환경의 소리나 음악을 눈을 감은채로 듣고 연상되는 이미지나 내러티브를 발표의 형태로 완성한다. 최소한 5분 이상 또는 더 긴 시 간동안 청각을 통한 자신만의 인식과정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가 져야 한다. 반드시 고립된 장소일 필요는 없으며 주위의 일상적인 환 경 속에서 평소에 이미 익숙한 사운드의 환경도 충분하다. 여기서 핵 심은 소리를 들어보면서 다른 상상계로 인식의 주체를 새롭게 위치시 켜 보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3) 과제 환경음만으로 구성된 사운드아트 음악을 감상한다. 예) 크리스 왓슨(Chris Watson)8), 프란시스코 로페즈Francisco Lopez9),
8) 크리스 왓슨은 주로 자연을 찾아가서 새소리나 폭풍소리 등을 녹음하여 편집을 최소화한다. 그의 앨범들은 듣기 훈련을 통한 세계의 경이로움을 깨닫게 해준다. 그 경이로움이란 단지 아름다운 소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풍부한 소리 의 질감과 음악적인 요소들로 가득차 있는지를 단순한 제시의 방법으로 깨닫게 해준다. (http://www.chriswatson.net) 9) 프란시스코 로페즈의 앨범 <무제(Untitled)>는 묵음처럼 들리는 사운드이지만 크게 볼륨을 키워서 청취하면 화이트 노이즈가 들리는데 이를 유심히 듣다보면 청취자가 위치한 공간의 앰비언트 사운드를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마치 영화의 촬영 현장에서 한 씬의 촬영을 마무리하고 반드시 룸톤을 녹음하는 개념와 일부 분 맞닿아 있다. 그의 음악은 환경 소리에 대한 재인식을 해주는데 집중된다. (http://www.franciscolopez.net)
30
아키 온다(Aki Onda, 恩田晃)10)의 음악 눈을 감고 강의실이나 야외에서 5분 동안 사운드를 듣고 그림을 그려본다.11)
3. 실습 1) 사진 또는 그림만 활용한 평면 작업 발표 (1) 개념 앞에서 설명된 이미지의 스토리텔링이 지닌 함축적 기능을 활용하 여 그림을 이용해 동화를 구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을 따라야한다. 여기서 단 한 컷이라는 제한 역시 중요한 요소인데 그 이유는 보통 소비적인 이미지의 세계 속에서 자라온 학생들은 피상적인 이미지의 1차적인 스토리텔링에만 익숙해져있고 선형적인 이야기는 시간적 흐 름 속에서 완성되는 몽타쥬의 구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선입관이 매우 강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지된 한 컷의 이미지를 가지고 선형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다층적인 의미의 구 조의 가능성을 깨달을 수 있다.
(2) 지도 포인트 우선 사진 감상을 통한 스토리텔링을 접한 후에 행하는 것이 적절 10) 아키 온다는 최근에 백남준 아트센터에서 공연한바 있다. 그의 음악은 드론(drone) 과 피드백(feedback)등의 아날로그적 효과를 구체적인 연상을 지닌 사운드에 적 용한다. 주로 카세트 테이프에 직접 녹음한 현장 사운드를 혼합하여 사운드 간의 몽타쥬를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허구적 집단 기억을 불러내며 사운드만으로 시 각적인 경험을 제시한다. (http://www.akionda.net/index1.html) 11) 실제로 예술강사 워크샵이나 대학교에 행한 워크샵 수업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 과물들을 보여주었다. 다수의 학생들이 풍부한 상상력을 발휘하여 눈을 감고 집 중해서 발견해내는 이미지와 인상 그리고 현장 사운드의 청취로 발생하는 연상 을 통해서 다양한 이야기를 발표 할 수 있었다.
31
한 순서이다. 특정한 이미지에 텍스트를 부여하여 특정한 내러티브 또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주의 깊게 살펴볼 수 있도록 유도하고 반드시 무대나 강단 위에서 특정한 대상 을 향해 퍼포먼스 형태로 발표해야만 한다. 또한 파워포인트 또는 큰 종이나 오브제를 활용할 수 있다.
(3) 과제 그림이나 사진을 들고 나와 목소리나 소리를 재생시켜 시연해본다. 컴퓨터를 통해 화면을 띄어 놓는 시연도 가능하다.
2) 사진과 사진 위 텍스트만 활용 (동영상) 제작 (1) 개념 1)에서 시도한 방법을 더 발전시켜 동영상으로 제작한다. 편집의 과정 없이 파워포인트로 제작하여 시연하면 동영상이 가진 시간성이 부여되며 나중에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영상제작을 하기 위한 전단계 이며 평면적 이미지에 시간을 부여하는 작업을 발전될 수 있다. 그리 고 대사를 포함한 소리를 포함시켜 스토리텔링에 시간과 사운드를 부 여한다. 시간이 추가되는 것은 이야기의 선형성을 강화시키며 평면적 이고 단면적인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이야기 구조를 좀더 심층적으로 강화시킨다. 그리고 순간적으로 포착된 정지된 이미지 또는 선형적 몽타주 둘 중 어느 것 하나에만 주된 의미전달의 역할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서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2) 지도 포인트 이미지에 텍스트를 부여하여 특정한 내러티브 또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를 수평적으로 유도하고 정보의 유 무 등을 통해 이미지만으로 모자란 부분 또는 텍스트만으로 모자란 부분 등을 출발점으로 삼고 이것의 긴장 관계를 효과적인 전달의 방 법으로 승화시키는 방법을 고안해보도록 한다. 영화에서 이야기-대사-
32
보충적 이미지-음악-사운드로 이어지는 상하적 질서를 새롭게 각인 할 수 있도록 소리와 이미지의 관계를 수평적으로 유도해야한다. 하 지만 움직이는 실사가 아닌 정지된 그림 또는 사진만 활용한다.
(3) 과제 정지된 이미지 또는 사진에 음악 또는 대사를 활용하여 간단한 동영상을 제작해본다. 정지된 이미지 또는 사진에 무성으로 간단한 동영상을 제작해본다. 정지된 이미지 또는 사진에 환경음 또는 사운드이펙트만 사용하 여 간단한 동영상을 제작해본다.
3) (사운드를 배제한) 무성영화 만들기 (1) 개념 대사나 사운드 이펙트가 배제된 영화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영화의 제작방식과는 다른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대사를 제외한 연기와 몽타주만을 이용하여 스토리텔링을 지속 시켜야 하는 과제이다.
(2) 지도 포인트 사운드트랙이 묵음으로 처리된 무성영화를 만들어본다. 이미지, 행 동 등만을 이용하여 이야기 전달이 가능한지 시도해보는 작업은 마치 마임 연극이 가진 스토리텔링을 경험해보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영화에서 대사가 없는 장면들도 같이 살펴볼 수 있으며 이 미지만으로 특정한 감정이나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집요하게 요구해야 한다. 이미지만으로 구성된 이야기가 덜 재미있고 구체적이 라는 선입관을 버릴 수 있도록 여러 번 반복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 다. 연기된 이미지나 자료화면 또는 사진 등도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33
(3) 과제 아예 사운드를 배제한 상태에서 간단한 세팅과 이야기를 이용하 여 영화 형식의 (실사) 동영상을 만들어 본다.
4) 라디오 드라마 만들기 (1) 개념 라디오 드라마는 시각적인 요소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대사와 사운드 이펙트로만 구성되는 드라마이다. 단편적인 이미지에 국한되 는, 앞서 언급된, 실습과는 달리 스토리텔링의 측면에 있어서는 오히 려 영화의 선형적 구조에 가장 가까운 구성방식이기 때문에 이야기 구성을 자유롭게 전개 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에 대한 부담 없이 자 신들의 상상을 담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지도 포인트 추상적인 사운드의 세계를 경험해보면서 영화의 사운드가 추상적인 지점에서 출발하여 이미지와 결합하면서 구체적인 것으로 완성된다는 메커니즘을 배워볼 수 있다. 미리 대사와 사운드 이펙트를 현장에서 한번에 녹음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과제 휴대폰이나 MP3의 녹음기능을 사용하여 정해진 대본을 확보한 후에 리허설을 해보고 녹음을 시도한다. 마이크를 사용하면 더 욱 좋다. 대사 위주가 아닌 사운드 이펙트를 사용하여 간단한 툴을 활용하여 사운드 편집을 이용하여
34
을 시도한다. 을 시도해본다.
5) 카메라 편집 (1) 개념 카메라 편집은 컴퓨터 또는 편집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작되는 과 정을 경험하기 위한 테크닉이다. 사전에 무엇을 촬영할지에 대한 계 획을 충분히 수립한 후에 촬영에 임해야 하며 이 계획에는 연속적인 쇼트를 통해 구성되는 내러티브와 더불어 극적인 효과의 디테일을 살 려내기 위한 커팅포인트에 대한 배려도 아울러 따라와야 한다. 다시 말해서 커팅포인트와 이야기의 순서가 하나의 퍼포먼스의 개념으로 인식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실수가 있었을 때 다시 처음부터 촬영 해야 하는 제약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언제나 시간의 순서대로 촬영 하면서 정확하게 극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부담은 오히려 긍정적인 결과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 과제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리허설을 거쳐서 5개 (내외의) 쇼트로 구 성된 영화를 촬영해본다. (실수가 발생할 경우 반드시 처음부터 재촬영을 하도록 권고한다)
(3) 지도 포인트 시간 순서대로 발생하는 사건의 흐름을 살리도록 유도하여 영화가 가지고 있는 시간성을 경험해볼 수 있다. 인서트 등의 쇼트를 최대한 배제하도록 유도하면서 장면들이 시간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권유한 다. 반면에 영화의 편집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공부하기 전에 손쉽 게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과 친숙함을 얻을 수도 있다.
6) 완성한 영상을 UCC웹사이트에 올려 서로 공유해보기 (1) 개념 블로그나 UCC웹사이트에 자신이 제작한 영상을 업로드하여 선보
35
이는 행위는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 사이의 차이점을 확실히 인 식하고 체험하는데 도움이 된다. 사실상 영화를 구상하고 제작하는 과정은 학생에게 매우 사적인 행위로 인식된다. 따라서 단순히 자신 의 결과물이 공적인 장소에서 소통의 주체로 인식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이 주체가 되어 직접 상영의 형태를 가진 웹상의 채널을 구성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왜냐하면 공적인 공간 과 사적인 공간의 차이를 극복하고 사적인 영역도 공적인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체험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 은 지극히 주관적인 목적을 가진 창작의 활동도 충분히 공적인 공간 에서, 다소 낯선 대면이기는 하겠지만, 다른 공적인 것들과 동등하게 어울릴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실제의 이야기든 아니든 간에 공적인 공간에 남들이 볼 수 있는 내러티브가 담긴 결과 물을 스스로 만들어 올려놓은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이다.
(2) 지도 포인트 자신이 만든 동영상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과제의 근본적인 취 지는 자신이 제작한 자신만의 사적인 소유물이 다른 이와 공적인 공 간에서 타자와 소통하는데 사용되는 과정을 경험하기 위함이다. 블로 그에 자신의 이야기를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올려보는 것도 추가적 인 과제가 될 수 있다.
(3) 과제 직접 손수 인터넷을 이용해 앞서 제작한 영상을 블로그나 동영 상 사이트에 직접 업로드해보도록 한다. 이 후에 지인들이 감상 할 수 있도록 그들과 공유해본다. 앞서 제작한 사이트에 자신 또는 자신이 속한 그룹의 고유한 채 널을 만들어 직접 제작한 영상들을 정리해본다. 블로그에 사진 또는 그림과 글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볼 수도 있다.
36
8) 핸드폰으로 영화 만들어보기 (1) 개념 최근에는 디지털카메라나 핸드폰 등에 동영상 기능이 포함되어 있 는 녹화기의 홍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과 같이 접근성이 용 이한 여러 가지 동영상 녹화기의 기술과 기능이 상ㆍ하향 평준화 되 어 있는 시대에 이제 더 이상 녹화는 특별한 권한의 소유자만의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화기를 일반 전통적인 영화의 포맷을 유지하여 생산하는 일에는 아직 누구에게나 여전히 부담스러운 일이 다. 이러한 부담감과 거부감에 담겨 있는 선입관을 멀리할 수 있는 방법은 오히려 반대로 가장 기초적이고 초보적인 영상 녹화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여전히 일상적인 사건을 기록하는 기능이 지배적 이면서도 고화질의 기능을 통한 단순한 기록의 목적을 넘어서지는 않 는 점을 이용한다. 다시 말해서 가장 간편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기능 을 사용하여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영화 제작을 시도해보는데 그 의 미를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하이-파이(hi-fi)’ 기술만을 지향하는 구조는 영화사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지배적으로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 왔다. 아울러 기술의 발달이 부분적으로는 오히려 예술적인 창 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 왔다는 사실 또한 널리 인식되어왔다.
(2) 지도 포인트 충분히 좋은 화질을 가지고 있는 요즘의 핸드폰도 영화를 촬영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의 인식변화까지는 아직도 길이 멀다. 따라서 이런 실습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핸드폰 영상에 대한 선입관 을 새로이 재편하는 데 일부분 목적을 두고 있다. 드라마가 포함된 영화를 핸드폰으로 직접 촬영하고 오히려 낯선 제작환경을 이용하여 상기적인 효과를 얻어내도록 한다.
(3) 과제 직접 자신의 핸드폰이나 다른 이의 것을 활용하여 소리가 담긴
37
영상을 촬영해본다. 스토리보드를 만들어 준비하여 촬영한다. 방식은 카메라 편집 방식을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경우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한 편 집도 아울러 시도해본다.
9) 파워포인트 영화 만들기 (1) 개념 그래픽 계열의 프로그램인 ‘파워포인트’ 또는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 으로 동영상의 형태를 가진 결과물이 생산될 수 있다. 그래픽을 바탕 으로 하여 그 위에 텍스트를 덧붙일 수 있는 기능을 최대한으로 활용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것은 현대 미디어에서 멀티미디어 그리고 기 존의 매체간의 혼합과 결합 등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대해서 직접 몸 소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이다. 특히 TV 프로그램 등에서 발견되는 비실사 이미지의 효과나 간막의 영상들이 그래픽 툴로 만들어지고 있 다는 사실과 더 나아가 이제는 네트워크의 발달로 짤막한 모션그래픽 을 비롯한 다양한 양식의 영상 콘텐츠들이 무궁무진한 유통망을 타고 떠돌고 있는 환경은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 바라볼 수 있다. 이에 발 맞추어 직접 단순한 툴을 가지고 영상을 제작해본다는 것은 그런 맥 락에서 중요하다. (2) 지도 포인트 워크샵을 통해 주로 학생들이 사용하는 기법은 빈 화면을 그래픽으로 채워 넣고 음악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음악 대신에 녹음한 대사 등을 사용하여 일반적 영화의 양식을 상당 부분 따라 해볼 수 있다. 그리 고 ‘카메라가 없는 영화(cameraless film)’12)의 개념과 일맥상통한다. 12) ‘카메라가 없는 영화(cameraless movie)’란 애니메이션의 제작 기법에서 유래한 용어로 실사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만들어진 영화를 말한다. 애니메이션을 예로 들면, 필름 스트립(셀룰로이드)의 표면 위에 직접 그림을 그 리거나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이미지를 만들어내었다. 대표적인 감독으로는 뉴
38
(3) 과제 기존의 화면이나 그래픽에 사운드나 애니메이션 기능을 첨가하 여 손으로 직접 속도를 조절해가며 상영의 형태로 시연한다. 파워포인트의 자동화면 전환 기능을 사용하여 완전한 상영 형태 의 영화에 가까운 영상의 포맷으로 시연해본다. 다양한 화면 전환 기능과 애니메이션 기능을 사용하여 시도해본다.
6. 맺는말 초ㆍ중ㆍ고등학교에 구비된 매우 한정된 영화제작 관련 기자재만을 활용하여 학생들을 지도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주어진 매체를 이용한 다양한 학습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더욱 더 의미 있는 일이다. 더 나 아가 영화제작에 있어 복잡한 기술로만이 세련됨을 만들어내는 필수 조건이 아니라 극히 단순한 테크닉만으로도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 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진정한 ‘좋은’ 영화란 영화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출발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줄 수 있다. 대부분 몇 대의 캠코더에 의존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언제나 완성도 측면에서 어설픈 실습 작품을 양산할 수밖에 없는 당연한 한계에 부딪히고 만 다. 심지어는 여러 이유로 인해 아무런 기자재가 확보되지 않은 곳도 적지 않다. 이런 환경에서 매체의 한계를 오히려 효율적인 지도를 위 한 조건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할 것 이다. 사실상 현실적으로 강의실에서 가능한 매체는 카메라와 컴퓨터 그리고 인터넷뿐이다. 조명을 이용한 촬영을 통해 이미지를 가공하거 나 복잡한 그래픽 툴을 사용한 이미지간의 합성과 결합 등이 초보자 에게는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주어진 매체 안에서 그것의 언 질랜드 출신의 렌 라이(Len Lye)로 아름다운 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많은 애니 메이션 영화를 제작하였다. 실험영화의 대표적인 작가인 스탠 브랙키지(Stan Brakhage)는 직접 표면에 나방의 날개를 붙이기도 했다.
39
어를 주의 깊게 활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방법들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이에 맞추어 영화 언어의 요소별로 접근되는 구조적인 방법으로 커 리큘럼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고려해볼만 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 미지와 사운드에 대한 심사숙고, 각각의 요소가 만나거나 충돌할 때 생성되는 의미와 내러티브의 다양한 변종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 은 매우 유익한 작업이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환경 속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맥락을 경험하는 것은 미래의 주인공인 어린 학생들에게 유익 한 기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저학년의 학생일수록 교수법에 대한 고 민과 영화의 매체적이고 미학적인 연구가 더욱 더 깊게 수반되어야 할 것을 재차 강조하고자 한다.
40
참고문헌 데이비드 보드웰 저, 김숙/안현신/최경주 역, ‘영화스타일의 역사’, 한울, 2002 미셀 시옹 저, 박선주 역, ‘영화의 목소리’, 동문선, 2005 (사)한국영화학회 영화교육위원회, ‘초등학교 영화’, 월인, 2005 (사)한국영화학회 영화교육위원회, ‘중학교 영화’, 월인, 2005 앙리 아젤 저, <영화 미학> 조병옥 역, 연구당, 1989 http://www.franciscolopez.net/ http://www.chriswatson.net/ http://www.akionda.net/index1.html http://www.luerzersarchive.net/weekly/2010-43/printad.asp
41
Abstract
An Methodogical Consideration on Cinema Education in Utilizing Medium-specific Language of Cinema Kim, Gye-joong Full-time lecturer / Film & Video Dept., Sungkyujl University It is very valuable procedure to devise various pedagogical methods utilizing the medium by overcoming the limited list of given working circumstance to teach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inema class. Furthermore, educators should be able to make student realize that it is indispensable condition of having to use sophiticated skills or technology in order to complete a mode of main stream cinema production. Also what could â&#x20AC;&#x2DC;goodâ&#x20AC;&#x2122; film should start from deep understanding of filmic language. Only available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mostly camcoders and computer with internet connection.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manipulation of image through cinematography using lighting or compositing of images by graphic tools, it is necessary to try to maximize creative ideas by studying the fundamental language of given medium. Therefore, it should be productive approach to contemplation on image and sound and variations of meaning systems created when the cinematic elements being put together or conflict each other. And it will be critical enlightment for students to experience of
42
observing how their results is perceived and presented in media environment constructed up network. Key word: filmmaking education, film language, film sound, film & video workshop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