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 ) 1–˙ (
Ӿ-⾫ )
2007.1.13 11:11 AM
˘
` 1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재외국민용 〔영어판〕
한국인의 생활 Ⅰ 윤리∙민속∙예절편
kor ˛(¿ ) 1–˙ (
Ӿ-⾫ )
2007.1.13 11:11 AM
˘
` 3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차
례
Ⅰ. 윤
리
1 . 대한 민국 …………………………………………………………………………………… 2 2.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 4 ⑴ 태 극 기 …………………………… 4
⑶ 무 궁 화 ……………………………… 8
⑵ 애 국 가 …………………………… 7
3. 나는 한국인 ……………………………………………………………………………… 10 ⑴ 한 핏줄 …………………………… 10
⑵ 우리말, 우리글 …………………… 11
4. 한국의 윤리 사상 ……………………………………………………………………… 14 ⑴ 한국 윤리 사상의 원류 ………… 14
⑶ 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 ………… 36
⑵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 19
Ⅱ. 가족 제도와 가정 의례
1 . 바른 예의 범절 ………………………………………………………………………… 42 2. 가족 제도와 가정 생활의 규범 …………………………………………………… 44 ⑴ 가족의 형태와 가족 구성 ……… 44
⑵ 가정 생활의 규범 ………………… 48
3. 분가와 재산 상속 ……………………………………………………………………… 52 ⑴ 분
가 …………………………… 52
⑵ 재산 상속 ………………………… 54
4. 친족 제도 ………………………………………………………………………………… 57 ⑴ 친족의 종류 ……………………… 57
⑶ 당내와 문중 ……………………… 62
⑵ 친족의 범위와 계촌법…………… 58
⑷ 족 보 ……………………………… 65
kor ˛(¿ ) 1–˙ (
Ӿ-⾫ )
2007.1.13 11:11 AM
˘
` 5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5. 일생의 의례 ……………………………………………………………………………… 69 ⑴ 출
생 ……………………………… 69
⑷ 회갑과 그 밖의 수연 …………… 78
⑵ 백일과 돌 ………………………… 72
⑸ 상
례 ……………………………… 80
⑶ 혼
⑹ 제
례 ……………………………… 83
례 ……………………………… 74
6. 예절의 기본 태도 ……………………………………………………………………… 91 ⑴ 공
수 ……………………………… 92
⑶ 절하는 법 ………………………… 93
⑵ 읍과 의 …………………………… 93
⑷ 절에 대한 예절 …………………… 97
⑼ 줄다리기 ………………………… 158
⑾ 고 싸 움 …………………………… 162
⑽ 동채싸움 ………………………… 160
⑿ 윷 놀 이 …………………………… 163
Ⅴ. 의식주 생활
1 . 의 생 활 ………………………………………………………………………………… 170 ⑴ 남자 한복 ………………………… 170
Ⅲ. 신앙과 종교
⑵ 여자 한복 ………………………… 175
2. 식 생 활 ………………………………………………………………………………… 184 ⑴ 일상 음식 ………………………… 185
⑶ 별 식 ……………………………… 192
⑵ 의례 음식 ………………………… 190
1 . 고유 신앙 ………………………………………………………………………………… 100 2. 점복과 풍수 …………………………………………………………………………… 106 3. 유∙불∙도 삼교 ………………………………………………………………………… 113 4. 서학과 동학 …………………………………………………………………………… 119 5. 신종교와 종교의 역할 ……………………………………………………………… 123
Ⅳ. 세시 풍속과 민속 놀이
1. 세시 풍속 ………………………………………………………………………………… 126 ⑴ 설 ………………………………… 128
⑶ 단
오 …………………………… 138
⑵ 한
⑷ 추
석 …………………………… 139
식 …………………………… 136
2. 민속 놀이 ………………………………………………………………………………… 145 ⑴ 널 뛰 기 ………………………… 146
⑸ 팽이치기 ………………………… 152
⑵ 그네뛰기 ………………………… 147
⑹ 제기차기 ………………………… 153
⑶ 놋다리밟기 ……………………… 149
⑺ 연날리기 ………………………… 154
⑷ 강강술래 ………………………… 150
⑻ 씨
름 …………………………… 157
3. 주 생 활 ………………………………………………………………………………… 195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Ⅰ. 윤
리
1. 2. 3. 4.
대한 민국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나는 한국인 한국의 윤리 사상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후, 근 반만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유구한 역사를 이어 오면서
1 . 대한 민국
독특하고 찬란한 문화를 이룩해 왔다. 일찍이 상고 시대에는 고 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한반도에서 세력을 다투었으나, 신라
사람은 누구에게나 조국이 있다. 나의 조국은 대한 민국 (大韓民
가 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이후 고려, 조선의 왕조를 거쳐 오
國) 이다. 대한 민국을 줄여서 한국이라고 하기도 한다. 대한 민국
면서 단일 민족 국가로 발전해 왔다. 20세기 초에 일본 제국주의
은 아시아 대륙의 동북부에
의 침략을 받아 국권을 강탈당하는 수난을 겪기도 하였으나, 끈
자리잡고 있는 한반도와 그
질긴 독립 투쟁으로 35 년간의 일제 식민지 통치에서 벗어나,
주변 섬들을 영토로 하고
1948년에 독립 국가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있으며, 한반도는 사계절
‘대한 민국’은 일제의 침략에 반대하여 중국 상하이에 세운 임
이 뚜렷하고 산천이 아름다
시 정부의 국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며,‘ 대한’ 은 우리 나라의 고
워, 예로부터 금수 강산이
유한 이름이고,‘민국’ 은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민주 공화국이란
라 일컬어져 왔다.
뜻이다.
우리 민족은 기원전 2333 년에, 시조이신 단군 (檀君) 아시아 대륙 동북아에 위치한 한국
우리는 우리의 조국인 대한 민국을 아끼고 사랑하여,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나라로 가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처음으로 나라를 세우신
Everyone has his own motherland. Our motherland is Korea. We call it Taehan Minguk, or simply Hanguk(Korea). Situated in the northeast of the Asian continent, Korea consists of a peninsula with surrounding islands. The Korean peninsula has from ancient times been referred to as Ku ˘msu Kangsan or “land of embroidered rivers and mountains” for its four distinct seasons and beautiful scenery. Tangun, the father of our nation, founded the country in 2333 B. C. Since then we have made creative and flamboyant culture achievements through nearly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In an ancient era, three kingdoms — Koguryo ˘, Paekche and Shilla — competed to dominate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time Shilla eventually succeeded in unifying the three kingdoms, our people have maintained a homogenous nation through the Koryo ˘ and Choso ˘n Dynasties. In the early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we experienced the ordeal of having our sovereignty stolen and being occupied by Japan. But in 1948, after 35 years of persistent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we were reborn as a sovereign nation. “Taehan Minguk(Republic of Korea)” was the new name of our country, inherited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hich had opposed the Japanese occupation. “Taehan” is a historical name for our country, while “Minguk” means a republic in which sovereignty resides with the people. With love and sincerity, we strive to make our motherland one of the greatest countries in the world.
— 2—
— 3—
1. THE REPUBLIC OF KOREA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2 .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1) 태 극 기 대한 민국의 국기는 태극기이다. 태극기는 흰 바탕 한가운데에 붉은색과 푸른색의 태극 (太極) 이 있고, 네 귀퉁
이에는 검은색 줄무늬의 괘 (卦) 가 대각선으로 마 주 보게 그려진, 아름다
국기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제 경기에서 한
운 모양을 하고 있으며,
국 선수들은 태극기를 앞세우고 나가 힘껏 싸우며, 응원하는 동
평화와 광명, 창조와 무
포들도 태극기를 흔들며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함성을 지른다.
궁을 염원하는 우리 겨 레의 마음이 담겨 있다.
태 극 기
태극기를 앞세우고 경기장에 입장하는 선수단
태극기가 우리의 국기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00여 년 전 조선 말부터이며,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겼을 때에는 독립 운동의 상징
˘KKI, NATIONAL ANTHEM, 2. TAEGU THE ROSE OF SHARON (1 ) Taegu ˘kki The national flag of Korea is called the Taegu ˘k flag. The Taegu ˘k flag has a white background, with two comma-shaped figures colored red and blue in the central area. In the four corners, four black symmetrical lines are drawn. The Taegu ˘k flag represents the mind of our people, symbolizing peace, light creativity and eternity.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our athletes follow the flag and strive with all their ability, while our compatriots wave the flag and cheer out in united support. The Taegu ˘k flag has been used as a national flag for over one hundred years since the end of the Choso ˘n Dynasty. Serving as a symbol to our people’s independence
— 4—
— 5—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 되기도 하면서, 그 동안 겨레와 더불 어 기쁨과 슬픔을 함 께 해 왔다.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송하는 모습
(2) 애 국 가 애국가는 대한 민국의 국
4 대 국경일인 삼
전을 기원하는 국민들의 뜻
일절, 제헌절, 광복
이 담겨 있기 때문에, 우리
절, 개천절에는 집
는 의식을 행할 때마다 애
집마다 대문에 태극
국가를 부르며 나라 사랑하
기를 달고 경축하
는 마음을 되새긴다.
며, 이 밖에 설날, 한글날, 국군의 날에도 국기를 게양하고, 현충
애 국 가
가이다. 나라의 무궁한 발
동 남 가 이
애국가도 태극기와 마찬
해 산 을 기
물과 위에 하늘 상과
백 저 공 이
두 소 활 맘
산이 나무 한데 으로
하 바 밝 괴
느님 이 람서 리 은달 은 로우 나
보 우-하 불 변-함 우 리-가 즐 거-우
무
-궁 화
삼
사 은 슴 나
마 르고닳 철 갑을두 높 고구름 충 성을다
우 우 일 나
도 른 없 하
리나라만 리기상일 편단심일 라사랑하
록, 듯, 이, 여,
세. 세. 세. 세.
가지로, 지금으로부터 100
일에는 조기를 단다. 또, 어떤 모임에서나 의식을 행할 때에는 국기에 대한 경례로
여 년 전에 만들어져 불리
부터 시작한다. 이 때, 참가자들은 오른손을 왼쪽 가슴 위에 얹
기 시작하였다. 지금의 곡
고, 사회자는‘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송한다.
은 안익태 선생이 작곡한
후 렴
대 한사 람
-천 리
대 한-으 로
화려강 -
산,
길 이보전하
세.
곡으로, 간결하면서도 장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aegu ˘k flag together with our race has shared great joy and sorrow. During our four main festivals — March First Holiday, Chehonjo ˘l(constitution day), Kwangbokcho ˘l(liberation day), Kaech’o ˘njo ˘l(national founding day) — we celebrate by hoisting the Taegu ˘k flag onto the gate of each house. In addition, the flag is hoisted on So ˘llal(New Year’s day), Hangu ˘llal (the Korean alphabet day) and Armed Forces Day. On memorial Day(Hyo ˘nch’ungil), we hoist a mourning flag to give homage to the deceased. Certain events and rituals also are begun with the hoisting of the flag. In these cases, participants place their right hands over their heart as the presider reads “a pledge to the national flag.”
Aegukka, literally meaning the song of patriotism, is the national anthem of Korea. It is sung with spirit and blesses the nation’s everlasting glory. Whenever we perform ceremonies, we pledge our love to the country. The Aegukka as well as the Taegu ˘k flag were created about one century ago. Composed by An Ik-t’ae, its melody is simple and grandiose.
— 6—
— 7—
(2) National Anthem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중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나 보랏빛, 흰색으로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이기 때문에, 수많은
올림픽 경기에서 한국 선수가 금메달을 땄을 때, 태극기가 올 라가면서 울려 퍼지는 애국가의 장엄한 곡조는 우리에게 가슴 벅 찬 감동과 함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절로 우러나게 한다.
시련을 겪으면서도 꿋꿋하게 살아 온 우리 민족의 정기를 나타낸 다고 생각되어, 우리 겨레의 오랜 사랑을 받아 왔다. 태극기를 다는 깃대의 깃봉도 무궁화 꽃봉오리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정부와 국회, 법원의 표장도 무궁화 모양으로 되어 있다.
(3) 무 궁 화
그리고 한국의 최고 훈장도 무궁화라는 이름이 붙은 무궁화 대훈
무궁화는 대한 민국의 나라꽃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연분홍이
무 궁 화
장이다.
국회 표장
When our athletes won gold medals at the Olympics, it was truly a moving experience to see our national flag hoisted and to hear the grandiose melody of the national anthem. (3) The Rose of Sharon The Rose of Sharon is the national flower. It can be found in colors of pink, violet
— 8—
and white and blooms from spring until autumn. Because it represents the righteousness of our people who have overcome repeated difficulties and hardships, we loved the Rose of Sharon from days of old. The top of the flag pole bearing the Taegu ˘k flag is in the shape of the Rose of Sharon, and the emblems of the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and the courts of law are all modelled on the Rose of Sharon.
— 9—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것을 보면 수치심으로 얼굴이 화끈해진다. 왜 그럴까? 그것은 우
3 . 나는 한국인
리가 모두 한 핏줄을 이어받은 한 겨레이기 때문이다.
(2) 우리말, 우리글 (1) 한 핏줄
세계에는 자기 나라 말과 글을 가지고 있지 못한 나라도 많지
나는 한국인의 핏줄을 이어받아 이 세상에 태어났다. 같은 핏 줄을 이어받았으면 사는 곳이 어디이든 한 동포요 한 겨레이다. 한반도에는 우리 동포가 6000만이나 살고 있고, 세계
여러 나라
에 흩어져 살고 있는 동포도 500만이나 된다.
만, 우리는 자랑스럽게도 말하기 쉽고 쓰기 쉬운 우리말, 우리글 을 가지고 있다. 우리말은 몽골 어, 터키 어 와 함께 알타이 어계에 속하
우리는 어느 나라에서 살든지 간에 우리 동포를 만나면 그렇게
며, 말하는 상대에 따라 높임
반가울 수가 없다. 서로 인사를 나누며 고향을 묻다가 보면 한
말, 예사말, 낮춤말이 있고,
형제 같은 따뜻한 정이 오가고,“피는 물보다 진하다.”라는 말을
사람의 감정이나 느낌을 나타
실감하게 된다.
내는 말이 다양하고 풍부하
국제 경기에서 한국 선수가 이기면 솟구쳐 오르는 쾌감과 흥분
여, 다른 나라 말로는 표현하
을 억누를 수 없고, 한국 사람이 외국인 앞에서 잘못을 저지르는
기 힘든 것도 잘 나타낼 수
3. I AM A KOREAN (1 ) Consanguinity
즐거운 대화
press our excitement and joy. But, in the cases when we see Koreans make mistakes in front of foreigners, we become red faced in disgrace. Why is this so? Because we are an ethn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nation. (2) Korean Language and Alphabet
Koreans are ethn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number nearly 60 million and Koreans living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mount to another five million. When we Koreans meet other Koreans in foreign countries, we become most excited. After greeting one another and asking about each other’ s hometowns, we feel close to one another, truly experiencing the meaning of the idiom, “blood is thicker than water.” When Koreans emerge victoriou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we cannot sup-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countries which do not have their own language or alphabet. We take pride in our easily spoken and conveniently written alphabet. Our language, along with Mongolian and Turkish, belongs to the Altaic language group. It has honorific forms, usual expressions, and humbel expression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speaker’s relationship with the addressee. The Korean language contains a wide variety of expressions which represent the emotions and feelings of people, and can express that which may be difficult to indicate in other languages.
— 10—
— 11—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고, 쓰기에 편할뿐더러 모양이 아름답다. 말과 글에는 그 민족의 혼이 깃들여 있다고 한다. 우리는 어디 에서 살든지 우리말, 우리글을 잊지 않도록 노력하여, 우리 민족 의 혼을 잘 간직해야 할 것이다.
훈민정음의 자모와 동국정운
있다. 우리는 고유한 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지만, 이 것을 적을 수 있는 고유한 글을 가지고 있는 것을 더욱 자랑스럽 게 생각한다. 우리글은 한글이라고 부르며, 지금부터 약 550 년 전 세종 대왕 께서 만드신 소리 글자로서, 펴낼 당시는 자모가 28 자였으나, 지 금은 24자로 되어 있다. 한글은 짜임이 과학적이어서 배우기 쉽
불굴의 한국인상
While taking pride in our language, we are even more proud of our own alphabet. We call our characters “Hangu ˘l” — an alphabet invented by the great King Sejong. The 28 vowels and consonants which were first promulgated 550 years ago have now been reduced to 24. Due to the scientific structure of Hangu ˘l they
are easy to learn and write and, moreover, they are aesthetically pleasing. It is often said that the spirit of a nation can be found in its language and alphabet. Thus, wherever we live, we should cherish the spirit of the nation by endeavouring not to forget either our language or our alphabet.
— 12—
— 13—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고 있었다.
4 . 한국의 윤리 사상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자연은 혼령을 가지 고 있으며, 위대한 힘으
(1) 한국 윤리 사상의 원류
로 인간의 운명을 지배하
우리 민족은 한반도에 터전을 잡고 반만 년의 오랜 세월 동안
고 있다고 믿었다. 자연
살아 오면서 고유한 문화와 생활 양식을 발전시켜 왔다. 오늘날,
에 비해 인간의 힘은 너
우리들의 생활 양식 가운데 우리가 지키고 있는 규범과 예절은
무도 미약하여 자기의 힘
모두 우리 조상들의 인간관과 세계관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하겠
으로는 다가오는 액운을 막을 길이 없고, 오로지 자연 속에 숨어
다. 그러면 우리 조상들은 인간과 세계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했
있는 혼령의 힘에 의존함으로써만 살아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
을까?
리하여 큰 나무, 큰 바위, 높은 산에 공물을 바치고 제사를 지냈
원시 신앙
사람들은 생각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 나는 무엇 이며, 내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무엇인가에 관해서
의문을 가지게 된다. 아득한 옛날, 아직도 부족 국가가 형성되기 이전에, 우리 조상들은 자연에 대해서 아주 두려운 생각을 가지
자연 숭배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고인돌
는데, 이것들을 숭배하는 의식을 통해 복을 빌고, 불안과 두려움 을 해소했던 것이다. 단군 신화
우우리 조상들은 자연계의 모든 대상들이 영혼과 놀라운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지만, 그 중에서
4. KOREAN ETHICAL THOUGHT
Having inhabited the Korean peninsula for half a mellenium, our people have developed a unique culture and created a unique style of life. The various forms of norms and etiquettes which we observe today are rooted in the philosophical views of our early ancestors. What, then, were the views of our ancestors in regards to humanity and the world? Primitive Beliefs Since human beings first began to think, we have wondered about the questions of personal identity and the nature of the world we live in. In ancient times, before the Tribal States appeared, our ancestors stood in awe of
nature. They believed that all natural objects contained their own spirits which could determine the destiny of people. Such a belief system is today referred to as animism. In these times, people also believed that in comparision to nature, humanity’s ability was greatly limited, especially in terms of preventing misfortune or calamity. Thus only by depending on the power of the spirits found in Nautre, they believed, could they ensure their existence. Such beliefs lead them to conduct sacrificial and memorial services to tall trees, large boulders and towering mountains in the belief that they would receive blessings and be protected from disasters. Tangun Myth Although during this age all kinds of natural objects were believed to have their own spirits, our ancestors revered Heaven the most. This was
— 14—
— 15—
(1 ) The Origins of Korean Ethical Ideals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도 하늘을 으뜸으로 여기
거리는 다음과 같다.
고 공경하였다. 하늘에
아득한 옛날, 하늘의 임금인 환인 (桓因) 은 그의 아들 환웅 (桓
대한 공경은 인간을 포함
雄) 이 인간 세계를 그리워함을 알고 지상을 내려다보니, 멀리
하여 모든 자연을 하늘이
동쪽 태백산이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한지라, 환웅에게 하
지배하고 있다고 믿는 것
늘의 도장과 무리 3 천을 주어
에서 온 것이며, 원시 농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내리게
경 사회에서는 하늘의 모
하였다. 이에 환웅은 신시 (神
양이 풍년과 흉년을 갈라
市) 를 열고, 바람과 비와 구름
놓으므로 자연스러운 것이라 하겠으나, 하늘의 밝음과 그 밝음이
을 다스리는 신을 거느리고 곡
주는 평화에 대한 우리 민족의 소망이 담겨 있다고 하겠다.
식과 사람의 목숨, 질병, 형벌
참 성 단
하늘에 대한 공경과 신앙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 우리 나라
을 다스리면서 인간 세상을 하 늘의 이치로 교화하였다. 그러
건국 설화인 단군 신화이다. 어느 민족이든 건국 설화 속에는 그 민족의 인간관, 세계관이
던 중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투영되어 있으므로, 우리는 단군 신화를 통해 고대 우리 조상들
마리가 사람이 되기를 간절히
의 가치관과 인간관, 세계관을 알아볼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줄
원하므로, 환웅은 그들에게 쑥
단
군
based on the belief that heaven ruled all of Nature, including humankind. It is natural for primitive societies to believe that Heaven presides over the bountifulness or dearth of the harvest, but our people’s hope for peace and enlightenment was also included in this belief system. We can find a specific case which reveals our admiration for and belief in Heaven in the founding myth of our country, the Tangun myth. Because one can detect the value system and world view of any people in their foundation myth, we can discover our ancestors beliefs in the Tangun myth. A
synopsis of the Tangun myth follows ; In a very ancient time, Hwanin(god of heaven) discovered that one of his sons(Hwanung) desired to live on earth as a human being. Looking down and surveying the earth, Hwanin found the T’aebaek Mountain in the east to be the place that would most benefit mankind. Hwanin, giving the heavenly signet to the Prince, selected 3000 heavenly helpers to escort Prince Hwanung and sent them to lofty Mount T’aebaek near Shindansu(a divine altar tree). Upon arrival, Hwanung built Shinshi (literally, “Divine City”) and led the spirits that controlled the wind, rain and clouds. Governing over crops, disease and punishments, Hwanung enlightened the human world with the principles of Heaven. One day a bear and a tiger came to Hwanung and expressed their desire to
— 16—
— 17—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과 마늘을 먹으면서 굴 속에서 100일 기도를 드리도록 시켰는
이치로 교화한다는 재세 이화
데, 호랑이는 참지 못해 중도에 그만두고, 곰은 참고 견디어 여
(在世�化)의 의미는, 바로
자가 되었다. 환웅과 이 여자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났으니, 이
지상에 하늘 나라와 같은 살
름을 단군 왕검 (檀君王儉) 이라 하였다.
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는
단군이란 제사장을 뜻하고, 왕검이란 임금을 뜻하는 말로서,
것을 뜻한다.
우리는 그 당시가 샤머니즘을 기초로 한 제정 일치 (祭政一致) 의
셋째, 단군 신화는 우리의
시대였음을 알 수 있으나, 이 이야기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조상
민족 의식을 북돋워 주어, 우
들의 인간과 세계에 대한 생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리 겨레가 하나의 공동체로
첫째, 단군 신화는 인본주의 사상을 근본으로 하고 있다. 인간
단합하게 해 주었다. 단군을
삼일 정신상
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홍익 인간 (弘益人間) 의 이념에는, 인간을
정점으로 하여 형성된 민족 공동체 의식은, 우리 겨레가 역사상
무엇보다도 소중히 여기고, 나보다도 남을 먼저 생각하여 도와
숱한 외적의 침략을 겪으면서도 민족 주체성을 지키면서 이를 이
주려는 인간 존중 사상이 깔려 있으며, 동시에 모든 사람을 차별
겨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다.
없이 대하고 사랑하는 평등 사상과 박애 정신도 깃들여 있다. 둘째, 단군 신화는 하늘 나라와 인간 세계를 조화시켜 살기 좋
(2)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은 세상을 만들려는 뜻을 품고 있다. 이 세상에 있으면서 하늘의
상고 시대의 원시 신앙과 단군 신화에 근원을 둔, 하늘을 공경
become humans. So Hwanung ordered them to pray in a dark cave for one hundred days, eating only garlic and mugwort. While the quick-tempered tiger could not withstand the trial, the bear successfully endured the difficulty and became a woman. Hwanung married the woman and a son named Tangun Wanggo ˘m was born. “Tangun” means presider of ancestral rituals, while “Wanggo ˘m” means king. From these two words, we can understand that in this period the responsibilities of king and ancestal worship, based on Shamanism, were jointly held by a single person. What does the Tangun myth tell us about our ancestor’s view of life and the world ? First, the fundamental thought of the Tangun myth consists of humanism. In the ideal of Hongik Ingan — maximizing the welfare of humanity — we can find notions of altruism, equal rights and philanthropy.
Second, the Tangun myth contains the basic goal of creating a utopia by making the heavenly and earthly worlds harmonious. To enlighten the world of heavenly principles, in short, is to create another heaven on earth. Third, the Tangun myth has helped raise our people’s national consciousness and unify our race into a single entity. Although repeatedly suffering from external invasion, Koreans have emerged victorious, maintaining their national identity and feeling of independence largely due to the Tangun myth.
— 18—
— 19—
(2) The Development of Korean Ethics Based on the primitive religious beliefs and the Tangun myth previously mention-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2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하고 인간을 존중하는 우리 겨레의 윤리 사상은, 고대 국가인 고
며, 사나이다운 기개를 드높이고 인격을 도야하기 위해 산수(山
구려, 백제, 신라가 유교, 불교, 도교를 받아들이면서 더욱 풍요
水) 좋은 곳을 즐겨 찾았고, 노래와 춤을 즐기기도 하였다. 그리
로워지고 틀이 잡혀졌다. 외래 사상인 유교, 불교, 도교를 그냥
하여 어질고 충성스러운 신하와 빼어난 장수가 여기서 나왔고,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원시 신앙과 단군 신화에 드러난 우리 민
신라 사람들의 기풍을 새롭게 떨치게 하여 삼국 통일의 위업을 이
족 고유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그 위에 외래 사상을 받아들여
룩하게 하였다.
토착화시켰다. 그리하여 통일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당시 신라의 유명한 학자였던 최치
오랜 세월 동안 우리 겨레의 윤리 생활을 지배해 왔으며, 개화기
원 (崔致遠) 은, 화랑의 한 사람이었던
에 크리스트 교가 들어오면서 서구 사상과도 융화하게 되었다.
난랑 (�郞) 의 비석에 다음과 같은 글을
이제, 신라 시대의 화랑 정신,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의 한국
남겼다.
불교 사상, 조선 시대의 한국 유교 사상과 실학 사상, 그리고 동
우리 나라에는 현묘한 도가 있으
학 사상과 개화 사상의 순으로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과정을 살
니, 이를 풍류라 한다. 이 가르침을
펴보기로 하자.
설치한 근원은 이미 선사 (仙史) 에 자 우화랑은 신라 진흥왕 때에 조직이 정비된 청소년
세히 쓰여 있거니와, 그것은 실로
들의 수양 단체이자 군사 훈련 단체였다. 화랑들
유∙불∙선 (儒佛仙) 3 교를 포함한 것
은 몸과 마음을 단련하고 무예를 연마하여 애국심을 함양하였으
으로서, 모든 생명과 접하여 이를
화랑 정신
최 치 원
ned, our ethical ideals have revered heaven, and respected humanity. As the Kingdoms of Koguryo ˘, Paekche and Shilla adopted Confun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scope of our ethical ideals expanded. Yet these foreign thoughts were not simply imported without change, rather they were indigenized, intermingling with distinctive native thoughts such as the primitive religious ideals and the Tangun myth. This composition of ideals dominated ethical life through the unified Shilla Kingdom, as well as the Koryo ˘ and Choso ˘n Dynasties. Later,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to the peninsula, it too was harmonized with indigenous beliefs. Now, let’s study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Korean ethical thoughts in the order of Hwarang spirit in Shilla Kingdom, Buddhism in unified Shilla and Koryo ˘ era, Confucianism in Choso ˘n Dynasty, and Shirak, Tonghak and Enlightenment in modern Choso ˘n.
The Hwarang was a martial arts corp that practised self‐ discipline. Hwarang youth cultivated their patriotism by training their body and spirit through the practice of martial arts. Visits to scenic spots also contributed to this training. Out of the Hwarang emerged many wise and loyal ministers as well as flamboyant generals who contributed magnificently t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this era, the famous scholar Ch’oe Ch’i‐won left an epitaph on the tombstone of a Hwarang cadet named Nallang, which reads as follows; Our country had a profound truth refinement. The origins of this teaching were detailed in the History of Immortals. Contain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 20—
— 21—
The Hwarang Spirit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2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감화하였다. 또, 이들은 집에 들어가서는 부모에게 효도하고
취지를 거기에 조화시킨 것이라 할 수
밖에 나와서는 나라에 충성하니, 이는 공자 (孔子) 의 가르침이
있다.
며, 모든 일을 억지로 하지 않고 묵묵히 실행하니, 이는 노자
화랑 정신은 원광 법사 (圓光法師) 가
(�子) 의 가르침이며, 악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행실만 신봉하
화랑들에게 지어 준 세속 오계 (世俗五
고 행하니, 이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이다.
戒) 에 잘 드러나 있는데, 충으로써 임
화랑의 집(화랑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청소년 수양관)
이 글로 미루어
금을 섬기고〔事君以忠〕, 효로써 어버이
보아, 화랑도는
를 섬기며〔事親以孝〕, 믿음으로 벗과
단군 신화에 담겨
사귀고〔交友以信〕, 싸움에서는 물러나
있는 신비로우면
지 않으며〔臨戰無退〕, 살생은 가려서
서도 인간을 존중
한다〔殺生有擇〕는 것이 그 내용이다.
하는 우리 겨레의
또, 화랑이 갖추어야 할 세 가지 덕
전통 사상에 그
으로 겸허 (謙虛) , 검소 (儉素) , 순후 (淳
뿌리를 두고, 새
厚) 를 꼽았는데, 이것으로도 우리는 화랑 정신의 참 모습을 알아
로이 받아들인 유
볼 수 있다.
임신 서기석
교, 불교, 도교의
Taoism, it makes a deep impression on all living things. The Hwarang, when at home, were filial to their parents and when outside were loyal to the king just as in the teachings of Confucius. They did not force matters but allowed them to unfold naturally as in the teaching of Lao Tzu. They did not commit evil acts, only good ones, as prescribed by Buddha. Thus, we can see that the Hwarang was characterized by the traditional ideals of respecting human beings as well as the valu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central spiritual ideals of the Hwarang were contained in the “Five Precepts of the Mundane World(Sesok Ogye),” first promoted by the Buddhist priest Wongwang. These five precepts were; to be loyal to the kind, to be kind obedient to one’s parents, to develop strong friendships based on trust, not to retreat in battle, and not to kill indiscriminately. In addition, the Hwarang promoted three kinds of virtue; modesty, frugality and generosity. These virtues manifest the true nature of the Hwarang.
— 22—
— 23—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한국 불교 사상
˘
` 2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우불교는 중국을 거쳐 삼국 시대에 우리 나라
있겠다.
에 전래되었다. 먼저, 고구려에 들어와 백제
통일 신라 시대의 원
와 신라에 퍼졌으며, 그 후 1600여 년 동안 우리 겨레의 윤리 생
효 (元曉) 는, 당시 불교가
활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본에 전파시
경전의 교리를 중시하는
켜서 일본의 문화 형성에 기초를 만들
교종(敎宗)과 깨달음을
어 주기도 하였다.
위한 수도를 중시하는 선
한국 불교는 개인의 해탈보다 중생
종(禪宗)으로 갈라지고
의 구원을 중시하여 자비 (慈悲) 의 실천
다시 여러 종파로 나누어
에 힘쓰는 대승 불교 (大乘佛敎) 로서,
진 것을, 각 종파의 이론을 인정하면서도 보다 높은 차원에서‘하
우리 겨레의 전통적 인간 존중 사상과
으로 귀일시키는 화쟁 (和諍) 이론을 제시하여, 원 나의 마음〔一心〕’
도 일치하는 것이다.
융의 한국 불교가 자리잡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당시 귀
한국 불교의 특색은 서로 다른 이론 이 융통하여 하나로 모아지는 원융 (圓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족들에게만 퍼져 있던 불교를 널리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알려서 대승 불교의 참 뜻이 드러나게 하였다.
融) 에 있다. 이는 조화를 추구한 우리
고려 시대의 의천 (義天) 도,“교를 배우는 사람은 마음을 버리고
조상들의 슬기가 나타난 것이라 할 수
대상만 구하며, 선을 익히는 사람은 외부의 대상은 잊고 마음 속
Buddhism, arriving in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was accepted first by Koguryo ˘ and subsequently by Paekche and Shilla. Since then not only has Buddhism continued to play a great role in our national ethical life over the last 1600 years, but after being transmitted to Japan. Buddhism also formed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Japanese culture. Buddhism in Korea has put more value on the redemption of ordinary people than on individual enlightenment. Korean Buddhism is called Mahayana, and endeavours to practice a benevolence that corresponds with the Humanism found in our traditional ideals. Another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is the harmonious unification of various differing theories — a trait which reveals the wisdom of our ancestors who sought to promote harmony. In the unified Shilla Kingdom era, Buddhism was divided into two main sects ;
the non-So ˘n Buddhism, or sutra oriented teaching: and, So ˘n Buddhism or meditation oriented doctrine of enlightenment. Wonhyo, a great Buddhist priest, eastablished his own form of Buddhism based on the theory of harmony and difference. Although focusing on one spirit, he recognized the doctrines of many other sects. Until this age Buddhism was largely the belief of the aristocratic classes, however Wonhyo clarified the true meaning of Mahayana Buddhism by evangelizing at the grassroot levels of society as well. ˘ ich’o ˘n Buddhism only emphasizes the In the Koryo ˘ period, U ˘n stated “non-So study of the sutra, while So ˘n Buddism only seeks spiritual awakening through
— 24—
— 25—
원
효
Korean Buddhism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2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의 깨달음만 찾으니, 모두가 한쪽으로 치우쳤으므로 안팎을 고루
교라는 점이다. 이미 통일 신라 시대에, 백성들이 편안하고 나라
갖추어 (內外兼全)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하면서 교선 일치 (敎
가 태평하기를 비는 마음을 실어서 사원을 짓고 탑을 세웠으며,
禪一致) 를 주장하였다.
고려 시대에 몽고군이 쳐들어왔을 때에는 적을 물리쳐 달라는 염
같은 고려 시대의 지눌 (知訥) 도 부처의 마음이 선이고, 부처의 말씀이 교이므로, 교와 선은 본래 하나여서 어느 한 쪽을 물리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깨달음은 홀연히 오고 닦음은 오 래 걸리는 것〔頓悟漸 修〕 이나 익히는 것과
원을 담아 팔만 대장경을 새겼고, 조선 시대에 왜군이 침략했을 때에는 승려들이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쫓아 내는 데 앞장 섰다. 한국 유교 사상
우중국의 공자로부터 비롯된 유교가 우리 나 라에 건너온 것은 불교와 마찬가지로 역시 삼
국 시대였다. 고구려에서는 태학 (太學) 을 설치하여 유교의 경전
깨닫는 것은 서로 떨 어질 수 없고 앞뒤가 없으므로 함께 닦아 야 한다〔定慧雙修〕고 주장하였다. 한국 불교의 또 하 신라 최대의 호국 사찰이었던 황룡사 모형
나의 특색은 호국 불
전통 유교 제례
meditation.” He urged that these two sects be unified so as to achieve a harmony between the sutra and meditation. His contemporary, Chinul, believed that the two could not be separated since originally the sutras were a record of the Buddha’s words and So ˘n a record of his mind. According to his assertion, enlightenment is achieved in spite of oneself, requiring self‐cultivation over a long time and through many hardships so that spiritual awakening and self‐cultiva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Another special trait of Korean Buddhism was its role in the protection of the
nation. In unified Shilla, many Buddhist temples and pagodas were built in the hopes that these would bring blessings and peace to both the nation and the people. When the Mongols invaded in the Koryo ˘ Dynasty, our ancestors published the Tripataka(the complete Buddhist sutras carved on wooden blocks) published in the belief it would help them drive out the invaders. In the Choso ˘n Dynasty, warrior corps of monks were organized to defeat Japanese invaders. Korean Confucianism Originating from the teachings of Confucius, Confucianism entered Korea in the same period as Buddhism,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gur yo˘ the T’aehak school was founded for the teaching of the
— 26—
— 27—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2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을 가르쳤으며, 백제의 아직기 (阿直岐) 와 왕인 (王仁) 은 일본으로 건너가 천자문과 논어를 가르쳐, 일본 사람들을 깨우쳐 주기도 하였다. 인 (仁) 을 근본으로 하여 인격을 닦고 백성을 다스리는 수기 치 인 (修己治人) 의 원리를 밝혀 주는 유교 사상은, 조선 시대에 들어 와 국가의 통치 이념이 되었고, 교육의 내용이 되었으며, 또 우 리 겨레의 윤리 생활에 내면화되어, 오늘날까지도 정신적인 지주 이
가 되어 있다.
황
도산 서원
유교 사상 중에서 이 (�) 와 기 (氣) 의 두 가지 개념으로 우주의
어서, 이가 작용하고 기가 이에 따르면 선한 성품인 인∙의∙예∙지
본체와 인간의 본성을 밝혀 보려는 주자 (朱子) 의 성리학 (性理學)
(仁義禮智) 의 사단 (四端) 이 나타나고, 기가 작용하여 이가 그 위에
이 고려 말에 우리 나라에 들어와, 조선 중기의 퇴계(退溪) 이황
타면 선할 수도 있고 악할 수도 있는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
(�滉) 과 율곡 (�谷) 이이 (�珥) 에 의해 크게 발전되어, 유교 문화
〔哀〕, 즐거움〔�〕, 사랑〔愛〕, 미움〔惡〕, 욕심〔慾〕의 칠정〔七情〕이
의 꽃을 피우게 되었다.
나타난다고 하면서 주리론 (主理論) 을 폈다.
이 (�) 는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하며, 기 (氣) 는 현상으
한편 율곡은, 기를 작용하게 하는 원인은 이이며, 따라서 이는
로 드러나는 것을 말하는데, 퇴계는 인간의 심성을 구명함에 있
스스로 드러날 수 없고, 기가 작용할 때 그 위에 타는 것만이 옳
Confucian classics. The Paekche scholars Ajikki and Wangin crossed over to Japan and enlightened them to the truth of Confucianism by teaching them the Thousand Character Classic(Cho ˘njamun) and the Analects. By the time of the Choso ˘n Dynasty, Confucian thought, as embodied in the “Sugi Ch’iin” principle of first cultivating oneself then ruling the nation, became the ruling ideology of the nation as well as the heart of education. Internalized by the people, it has today become the spiritual pillar of the nation. At the end of the Koryo ˘ Dynasty, Chu-t’zu’s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from China. Neo-Confucianism sought to delve into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the nature of man with two concepts : “I” and “Ki.”(in Chinese: Li and Ch’i) In Korea during the middle of the Choso ˘n Dynasty Yi Hwang(pen-name: T’oegye), and Yi I(pen-name : Yulgok) greatly developed Neo-Confucinism, leading to the blossoming of Confucian culture.
“I” inherently means the Patterning or formative element, while “Ki” is the concretizing or energizing element. In investigating the nature of man, T’oegye advocated the primacy of “I.” Explaining that when “I” functions and “Ki” is subordinate the four virtues arise(benevolence, justice, etiquette and wisdom), while in contrast when “Ki” functions and “I” is subordinate, then the seven feelings — which could be good or bad — appear(joy, anger, sadness, pleasure, love, hatred and greed). Yulgok, on the other hand, asserted the primacy of “Ki.” Believing that “Ki” was the basic force, he asserted that “I” could not appear on its own, but could only arise when “Ki” was functioning, only then in a subordinate role.
— 28—
— 29—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3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한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 였다. 율곡의 개혁 사상은 후에 실 학 (實學) 사상이 싹트는 데 영향을 끼쳤다. 실학 사상
우조선 후기에 들어 서면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큰 난리를 겪으며 사회 이
이
이이가 어릴 적에 살던 오죽헌
다고 하면서 주기론 (主氣論) 을 폈다.
는 어지러워지고, 백성들의 살림은 어려워졌는데, 종래의 성리학은 이
격몽요결(이이의 아동 교육용 교재)
퇴계와 율곡은 이와 같이 학문적 입장은 서로 달랐지만, 인간
론과 대의명분에 치우쳐 논쟁만 일삼아, 어려운 시대를 타개할
의 심성을 밝혀 유교의 이상인 도덕적인 인간과 덕으로 다스려지
힘이 없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이 등장한 학문이
는 나라를 실현하고자 하는 뜻은 같았다. 퇴계는 자기의 학문을
실학이다.
실천에 옮겨, 한평생을 삼가고 조심하는 태도를 일관하여 모든
이미 이웃 청나라에는 서양의 문화가 들어와 경험적이고 실증
사람의 모범이 되었고, 율곡은 잘못된 제도를 고치고, 백성들의
적인 학문이 일어나 있었으며, 이에 영향을 받아 우리 나라에도
말문을 넓혀 주며, 경제를 안정시키고 국방을 튼튼히 하여 부강
현실적 사실에서 진리를 찾는 실사구시 (實事求是) 의 새로운 학풍
Shirak(Practical Learning)
As mentioned above, though T’ oegye and Yulgok didn’ t agree with each other on the academic opinions, they had similar intentions to investigate the good nature of man in order to realize the morality on not only the character building but the state governing. T’ oegye lived such a discreet life practicing his academic theory that he became a good example to others. Yulgok persisted in striving for national wealth and power through the reform of system, the extension of speech, the stabilization of economy and the completion of national defense. His ideal of reform had an effect on the appearance of Shirak.
The large scal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subsequent Ching raid in 1636 caused great social confusion in the late Choso ˘n Dynasty, creating economic hardships for the people. Neo-Confucianism, submerged as it was in debates on theory and justice, did not have the capacity to solve these problems. Thus, in response the demands of the period, a new form of scholarship — Shirak or Practical Learning — appeared. Exposed to the new learning of the west, Ching(China) had developed a brand of positivistic and empirically based scholarship. Influenced by this, Choso ˘n scholarship produced a new trend of investigation which sought truth from concrete reality. This we today call Shirak.
— 30—
— 31—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3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 생겨났는데, 이를 실학이라 한다. 실학자들은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을 연구하여 가난을 몰아 내고 문란해진 사회 질서를 바로잡으려고 하였다. 그들은 토지 제도와 조세 제도를 개혁하여 농민들의 생활을 안 정시키려고 애썼고, 상공업을 진흥시키고 기술을 혁신하여 나라 를 부강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또 민족적 자주성을 지키 기 위해서는 우리 나라를 바르게 이해해 야 된다고 생각하여, 우리 나라의 역사 와 지리를 연구하고 지도를 그리기도 하 였다. 실학을 대표하는 학자인 다산 (茶山) 정 약용 (丁若鏞) 은 성리학과는 달리, 인간의 심성을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성
정 약 용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채색 필사본(19세기)
의지나 실천 행위를 중시하였다. 동학 사상
우조선 말기에 이르러 서구의 세력과 문물이 밀려 들어와 전통적 윤리를 기반으로 하는 우리 사회가
질로 보고, 타고난 도덕성보다 스스로
크게 흔들렸을 때, 수운 (水雲) 최제우 (崔濟愚) 에 의해 비롯된, 민
선악을 판단하여 실천하고자 하는 실천
족의 주체성을 지키려는 새로운 종교 사상이 동학이다.
Shirak scholars endeavoured to research practical matters, dispel poverty, and reaffirm social order. They also proposed to improve the livelihood of farmers by reforming the land and tax systems while constructing a strong and wealthy nation by stimulating commerce and manufacturing as well as improving technology. Moreover, in order to preser ve our nation’s self-reliance, they striv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nation through research of the nation’s history and geography as well as the drawing of maps. One representative scholar, Cho ˘ng Yak-yong(pen-name : Tasan) in contrast to 〔n.b. this the Neo-Confucianists, believed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sentence is historically inaccurate. Neo-Confucians such as Chu-t’zu believed in the goodness of humanity’ s primal nature!〕 . He placed more emphasis on the will to practice and act.
At the end of the Choso ˘n Dynasty, when our nation’s traditional ethics were being severely challenged by the arrival of occidental influences, Ch’oe Che-u(pen-name : Suun) established a new religious ideology designied to preserve the national identity on the traditional basis of humanism. This new thought was Tonghak or Eastern Learning.
— 32—
— 33—
Tonghak(Eastern Learning)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최 제 우
˘
` 3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동학은 ‘사람이 곧 하늘(人乃
개화파들은 갑오개혁을 주도하면서, 하루바삐 근대화를 이루어
天) ’이니, ‘사람을 섬기기를 하늘
힘있고 튼튼한 나라를 만들려고 애썼으나, 결국 외세를 이기지
는 전통적 과 같이 하라〔事人如天〕’
못해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말았다.
인본주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한편, 개화기에 우리 나라에 들어온 크리스트 교는 사랑의 실천
‘내 마음이 곧 네 마음〔吾心卽汝
을 강조하면서 학교와 병원을 세워, 우리 나라의 근대화에 이바
心〕’이므로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
지하였다. 크리스트 교가 지닌 인도주의 정신은 우리 겨레의 전통
는 생각에서, 당시의 양반들이 지
적 인간 존중 사상과도
배하는 봉건 사회의 모순을 타파
어긋나지 않았으므로 널
하려 했다. 이와 같은 동학 사상
리 퍼지게 되었다.
은 억눌려 가난하게 살아온 농민
들에게 널리 퍼져 동학 농민 혁명을 일으키게 하였다.
우리 나라의 근대화 과 정에서 받아들인 서구의
우개화 사상은, 조선 말기에 서구 문화와 더불
근대 사상은 우리의 전통
어 일본 제국주의 침략 세력이 우리 나라에 뻗
사상과는 달리, 합리주
쳐 왔을 때, 실학 사상의 개혁 정신을 이어받아 서구의 제도와
의 정신과 자유 민권 사
과학 기술을 받아들여 우리 나라를 근대화시키려고 한 사상이다.
상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Tonghak’s main idea is that since “Man is God(Innaech’o ˘n)” then “one must treat others as though one was serving God.” Tonghak also sought to breakdown the contradictions of “Yangban” centered feudal society by promoting the notion of equality of all people. Such Tonghak ideals spread widely among the persecuted farmers and inspired the Tonghak Farmer Uprising. Enlightenment and Christianity During the last years of the Choso ˘n Dynasty, when western culture was imported and imperialistic forces invaded, Enlightenment thought adopted the spirit of Practical Learning, and by adopting western institutions and scientific technology strived to modernize the countr y. The
Enlightenment Party, in leading the Kabo reforms attempted to modernize and strengthen the countries, but in the end they were unable to defeat the foreign powers, allowing the Japanese imperialists to rob us of our sovereignty. Christianity entered the country in this same period. Christianity emphasized the practice of love and devoted itself to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by building many schools and hospitals. The humanism evident in Protestantism was so similar to our own traditional humanism that the religion rapidly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The modern western thoughts, which were characterized as rationalism and humanism based on freedom in contrast with our traditional ideals, alterned our
— 34—
— 35—
개화 사상과 크리스트 교
이화 학당의 전경(1886년)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3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서 우리 겨레의 가치 의식과 생활 양식을 크게 바꾸어 놓았으나,
히 여기는 사상은 오늘날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이기도 하며, 환
우리는 전통 사상의 바탕 위에 슬기롭게 받아들여 오늘날의 민주
경 오염과 전쟁의 공포에서 인류를 구제할 수 있는 도덕성의 기
주의 정치와 경제적 발전을 이룩할 수 있게 되었다.
반이 된다. 둘째, 백성을 나라의 근본으로 생각하고 백성을 위하는 민본주
(3) 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
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민본주의는 인간 존중 정신을 정치 제
우리는, 상고 시대의 원시 신앙과 단군 신화에 근원을 둔 윤리
도로 구현시키려는 통치 윤리로서, 이미 신라 시대에 왕권을 제
사상이 우리의 전통 사상의 원줄기가 되고, 거기에 외래 사상이
한하는 합의 기관으로 화백 (和白) 이 있었고, 조선 시대에는 의정
들어와 융합되면서 더욱 큰 줄기를 이루어 오늘에 이른 전개 과
부 (議政府) 가 있었으며, 백성들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상소 제도,
정을 대강 살펴보았다. 그러면 이제 우리의 전통 윤리 사상이 지
인재를 널리 구하는 과거 제도, 복지 제도인 환곡 (還穀) , 탐관 오
니고 있는 특징과 그 특징들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
리를 잡아 내는 암행어사 등, 모두가 민본주의를 실현하려는 제
고 있는가 알아보기로 하자.
도였다. 이와 같은 민본 사상은 홍익 인간의 이념에서 비롯된 것
첫째, 하늘을 공경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인간을 소중하게 여기
으로, 유교 사상과 결합하여 왕도 정치 (王道政治) 의 이상으로 발
고자 하였다. 단군 신화에서 홍익 인간의 이념으로 나타난 인간
전하였다. 민본 정치 제도는 오늘날의 민주주의와 모양은 달라도
존중 사상은 유교, 불교와 결합하여 더욱 뚜렷해졌고, 성리학,
그 이념은 같은 것이다.
실학, 동학 사상에서도 일관되게 이어져 내려왔다. 인간을 소중
셋째, 개인 윤리를 가족 윤리, 사회 윤리로 넓혀, 전체적인 조
value and life patterns drastically. We have managed to accommodate western ideals with our traditional thoughts and achieved the present status of development in democracy and economy.
It is difficult to define our culture as a product of our indigenous elements. The main stream of Korean traditional ideal consists of primitive religions, the Tangun myth and foreign ideals. What follows may give a little insight into the traits of our traditional ethnical ideal and its implications for modern society. First, the ancient Koreans regarded human beings as precious to the degree they worshipped the God. Humanism originating from the philanthropical concern for all in the Tangun myth has left its indelible impact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which had been brought from outside. The mix of the traditional and alien ideals
engendered practical learning in late years of Choso ˘n Dynasty and manifested itself in Tonghak Movement(popular movement designed to disclose the fallacies of traditional ideals and institutions). The humanistic-oriented goal is what we are seeking through democracy. Second, Koreans regarded man as the basic element of a nation and the political system as nothing but an institution intended to realize humanism. Since humanism was the essential element of political institutionalization, there have been attempts to control the king’ s unlimited power. A parliamentary council called‘Whabaek” had existed during the period of the Shilla Kingdom. Besides, there were the legislative branch to bring debate over major political issues, appelation office to enable people to air their voices and grumblings and the Royal Inspection Commissioner who were bent to eradicate corrupt officials. The diversity of the ruling system was a product of humanistic concern for the welfare of all peoples. The
— 36—
— 37—
(3) The Traits of Korean Ethics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3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화 속에서 공동체의 윤리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유교 사상에 나
체성을 지키게 하여 단일
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간의 착한 심성을 잘 간직하기 위하여
민족 국가를 유지하고 발
삼가고 조심하는 개인 윤리는, 가정에서는 효도와 우애를 실천하
전시킬 수 있도록 해 주
고, 밖에 나가서는 웃어른을 공경하며, 이웃끼리 서로 돕는 공동
었다.
체 윤리로 확산시켰고, 불교 사상도 자비의 실행으로 자신과 더
우리 나라는 지정학적
불어 중생을 함께 구원하고자 하
위치 때문에 이민족의 침
였다. 우리 겨레의 효도 정신이
입을 수없이 받아 왔으
나, 계 (契) 와 향약 (鄕約) 등의 상
나, 전통적 윤리 사상은
부 상조하는 풍습으로 나타난 공
우리 겨레에게 민족적 자
동체 윤리는, 오늘날 산업 사회에
부심을 가지게 하여 침략 세력을 물리칠 수 있게 해 주었고, 외
서 핵가족이 낳은 노인 문제를 해
래 사상도 전통 사상의 바탕 위에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게 하여
결하고, 이기주의를 극복하여 인
독특한 단일 민족 문화를 이어 올 수 있게 하였다.
정미 넘치는 사회를 회복하는 데 힘이 될 것이다.
남한 산성
오늘날, 우리가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적 긍지를 가지고 국제 사 회에서 떳떳이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우리 민족이 고난을 이기고
넷째, 우리 겨레에게 민족의 주
지켜 온 우리 조국이 있고, 우리가 이어받은 우수한 민족 문화가
philanthropic concern of traditional thoughts was combined with the functionally oriented confucianism. Third, Koreans attempted to ensure harmony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al ethics by extending the former into family and the community. The individual ethics is simply an end of a continuum extending into family and the society. When extened into communical ethics, the individual ethics became a norm of mutual aid. In the ideal of Confucianism self-restraint and character building are extended into filial piety, harmony and respect for old members at the family. The ideal of Buddhism which is intended to save mankind by practicing benevolence is also reflected in the communical ethics. The actual embodiment of communical ethics were “Kye(a cooperative organization)” and “Hyangyak(local system of mutual aid).” If this communical ethics are restored, it will do a lot to do away with problems spawned in the dust of nuclear family in modern Korean society.
Fourth, the meritorious traditional values enabled Koreans to maintain their national identity as a homogeneous people through numerous foreign incursions and social disturbances following them. The strong sense of old moral values also helped Koreans become the master of alien cultures on the basis of their traditional cultures.
— 38—
— 39—
이이의 해주 향약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4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있기 때문이다. 간혹 어떤 사람은, 우리의 전통 윤리 사상이 너무 형식적이고 보수적이어서 버려야 할 전근대적 유산이라고 비판하는 경우가 있으나,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대 민주 시민 사회의 윤리와 는 갈등 관계가 아니고 조화를 이루거나 상호 보완하는 관계이므 로, 우리의 전통 사상을 새롭게 이해하여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지혜로 삼가야 할 것이다.
Nowadays, our traditional ethics are turned off and even discarded by a few Koreans simply because they are archaic, irrelevant and behind the times. It should be noticed, however, that there are still some precious elements worthwhile to be preserved even at great cost. When old things encounter new things in a harmonious blend, we can be confident that we, as the nation, can sur vive hardships, whatever they may be.
— 40—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1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Ⅱ. 가족 제도와 가정 의례
1. 2. 3. 4. 5. 6.
바른 예의 범절 가족 제도와 가정 생활의 규범 분가와 재산 상속 친족 제도 일생의 의례 예절의 기본 태도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4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전이라 여겼다. 그만큼 가정 생활은 개인의 성장과 인격 형성에
1 . 바른 예의 범절
대하여 큰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되었던 것이다. 또, 전통 사회에서는 개인의 일생의 각 단계마다, 또는 중요한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예절을 잘 지키기로 이름이 났다. 그
고비마다 각종의 의식 (儀式) 과 전례 (典禮) 가 가족과 친족 집단의
래서 중국 사람들은 한국을 가리켜 흔히‘동방 예의지국’이라 일
주관으로 베풀어졌다. 이러한 관혼상제 (冠婚喪祭) 의 의례 (儀禮) 에
컬었다.
참여함을 통하여 각 개인들은 사회 생활의 법식과 절차를 배우고
선인들은 일상 행동에서 예의 범절이 반듯하였는데, 이것은 어 릴 적부터 유교의 가르침을 받고 자라, 어른이 되어서도 그것을 충실히 따른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익히며, 상부 상조 (相扶相助) 의 기풍을 드높이고, 서로 간의 유대 를 두텁게 해 나갈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 문화와 예법, 그리고 전래의 생활 방식
유교 윤리에서는 가족과 가정 생활을 매우 중시하였다. 사람은
을 이해하고 배우기 위해서는, 먼저 전통적인 가족 및 친족 제도
누구나 가족에 소속되게 마련이며, 가족이 평안을 누려야 나라도
와, 또 가족 및 친족 중심으로 행해지던 주요 의례들을 살펴보는
평화롭고 융성해진다고 가르쳤다. 사회는 거대한 하나의 가족과
것이 좋을 것이다.
같고, 가정 생활에서의 행동 양식이 사회 생활로 확대, 연장된다 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가정은 사람이 사람답게 되어 가는 원초적인 터
1. THE RIGHT RULES OF ETIQUETTE Since ancient times, our ancestors have been well known for their good manners. Thus the Chinese people called our land “the Eastern Nation of Good Manners.” The proper deportment and decorum of Koreans is attributed to the teaching of Confucianism which were passed on to Koreans early in childhood under the surveilance of elderly family members who ensured that youngsters practiced its tenets in daily life. In Confucian ethics, the family was considered ver y impor tant, Ever yone belongs to a family and each member of family was well aware that the family should, in the first place, be peaceful, if the nation was to be peaceful and prosperous. Society was regarded as an aggregation of families and an individual behav-
ioral pattern shaped at home was believed to form the basis for social life. The concept of the home had a physical and cultural connotation, acting as the vehicle for the cultivation of a humane character. This means that life at home determines one’s chracter. Also in our traditional society, man’s growth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each marking a conspicuous physical change. Each stage was accompanied by ceremonies or rituals involving all family member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eremonies or rituals, one becomes familiar with social norms and the resultant appreciation of mutual aid strengthened solidarity. In order to understand and learn about our traditional culture and life style, we should first look at the traditional family, kinship relations and the major rituals performed in the daily life of traditional society.
— 42—
— 43—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4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삼게 되고, 또 아버지 쪽의 혈통을 계승하여 장남 위주로 대 (代)
2 . 가족 제도와 가정 생활의 규범
를 이어 가는 방식을 취하게 된 것이다. 그 시대의 대가족은, 제일 웃어른인 할아버지와 그 아들 형제 들, 또 그들의 자녀들이 각각 부인과 자녀들을 거느리고서 모두
(1) 가족의 형태와 가족 구성 가족은 기본적으로 남녀 간의 혼인에 의한 부부 관계와 부모 자
한 울타리 안에서 살아가는 것이었다. 조부 혹은 증조부로부터 손자 혹은 증손자에 이르기까지, 3대 혹은 4대에 걸치는 많은 가
식 간의 혈연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가족이
족이 한 집에 살려면
구성되는 방식과 형태는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불편한 점도 있었을
우리 나라에서 가족이란, 한 솥 밥을 먹고, 한 지붕 밑에서 자
것이다. 그러나 한
며, 살림을 같이하는 한 핏줄의 집단을 뜻하였다. 그러나 그 구
핏줄로 이어진 식구
성되는 모습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 왔다.
들이라면 모두 한 집
오늘날, 전통적인 가족 제도라고 이해되고 있는 것은 조선 시
에 모여 살면서, 농
대에 뿌리내린 유형을 말한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 유교 규범의
사일은 물론이고 크
영향이 사회 구석구석에 미치게 되고부터, 가족의 구성 범위와
고 작은 길∙흉사를
규모를 예전보다 훨씬 늘려 잡는 대가족을 이상적인 가족 형태로
서로 거들며 화목하
대가족(1920년대 말)
2. THE FAMILY SYSTEM AND ITS RULES
Basically, the family is a body of relations which is first formed by marriage. The rel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s further elaborated by adding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offspring and between the offspring themselves. However, the way in which a family is formed differs from period to period and from society to society. In Korea, the family often has a reference to “living on meals cooked in the same pot” or “living under one roof.” In short, the family members are related by blood. However, the family structure based on blood relatives has changed over time.
The so-called traditional family, as we see today, is the one which was prevalent in the Choso ˘n-Dynasty. During this era, Confucian influence penetrated all aspects of social life and the extended family, which brought together all family members of two or three generations, was considered the ideal. To ensure the perpetuance of the family lineage, the oldest son was chosen to succeed the father as the head of the family, showing the emphasis on the paternal line of the family. Members of a large family included grandparents, their immediate offspring, daughters-in-law, and grand children, all living under one roof. In extreme cases, even four generations could be found living in one house. The concept of “family” reflected an implicit attempt to bring all sanguineous relatives together to share a common destiny in life, for good or for bad. They worked together in farms and
— 44—
— 45—
( 1 ) Family Structures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4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게 지내는 것을 가장 바람직하게 여겼던 것이다. 더욱이, 대가족
부 가족은 자녀들이 장성해서 장남이 결혼을 하게 되면 바로 직
속에서 지내는 동안에 젊은이들은 인생 경험이 풍부한 어른들로
계 가족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전통 가족에서의 부부 가족은
부터 이런저런 삶의 지혜를 수시로 배우고 전해 받을 수 있었던
그 부부가 살아 있는 동안에 직계 가족으로 변할 소지를 지닌 매
것이다.
우 일시적인 형태였다.
그러나 대가족의 생활을 유지하려면 기본적인 의식주 비용만도
그러므로 오늘날의 핵가족과 겉모습은 흡사하나 내적 구성 원
매우 큰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소수 양반 계층을 제외한
리는 아주 다르다.
대부분의 가족의 그 재산 규모나 경제적 능력은 그런 비용을 감
핵가족 역시 부부와
당하기에 벅찬 정도였다. 따라서, 대가족의 변형된 모습인 직계
그 미혼 자녀만으로
가족 (直系家族) 형태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루어지는 일종의
직계 가족이란, 부부가 부모를 모시고 자기의 자녀들과 더불어
부부 가족이나, 자
3대가 함께 사는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결혼한 형제와는 함께
녀가 결혼을 하면 무
살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가족과 다르다. 전통적인 직계 가족에서
조건 부모 곁을 떠나
는 장남이 부모를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살림을 따로 하는 점
이 때, 부모를 모시지 않고 분가하여 부부와 그 미혼 자녀만이
에서 부부 가족과 차
함께 사는 가족은 부부 가족의 형태를 띠게 된다. 그렇지만 이 부
이가 난다.
whenever family was in crisis situation, gave help to one another. Teenagers also had the advantage of learning the wisdom of life from their experienced, older family folks. The extended family system is a product of a collaborative attempt to meet the basic needs of human beings, that is, food, clothing and dwelling. With few exceptions, the majority of middle and lower class people had difficulty in maintaining this style of family life. Few were given properties or resources which yielded income large enough to feed all members of their extended family. This fact alone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extended family into the direct line family. The direct line family consists of a couple, their children and not infrequently the husband’s parents. This type of family differs from the extended one in that a couple in the former no longer has to live with the husband’s brothers or sisters who have married. In the traditional family, the oldest son had the responsibility
of caring for his parents and this tradition has continued down to today. Therefore, the direct line family is allowed to take in three generations along its immediate line. This is the point in which it differs from the nuclear family. When the oldest son gets married, he lives with his spouse separately from his parents and creates a family. The family starts with a couple and it gives way to the direct line family, as the couple has children.
— 46—
— 47—
오늘날의 핵가족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4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모를 대하고, 아침 저녁으로 문안을 드리며, 매사에 부모의 의견
(2) 가정 생활 규범 효 친
을 여쭙고 가르침을 좇았다. 뿐만 아니라, 부모님이 연세가 드셔
우예로부터 우리의 가정 생활에서 가장 중시되고, 또
서 기동이 불편해지시면 기꺼이 시중을 들며 편안하게 모심은 물
한결같이 지켜지던 생활 규범은 효친이었다.
론, 돌아가신 후에도 정성과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고 제사를
‘효’ 는 자식이 부모 섬기는 도리를 말하는데, 어버이의 뜻을 받
지냈다.
들어 그에 어긋나지 않게 행동함을 자식되는 도리의 으뜸으로 친
나아가, 아우는 형을 존경하며 따르고, 젊은이는 노인을 공경
것이다. 부모는 자기 생
하여 예로써 대함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이에 대해, 윗사람은
명의 근원이며, 자기를
아랫사람의 모범이 되면서 아랫사람을 보호하고 바른 길로 지도
길러 주셨을 뿐 아니라
해 나가고자 하였다.
생활의 근거를 마련해 주 시기도 하였으므로, 그
안팎의 구분
우가정 내에서 부부는 각각 주된 생활 공간과 역 할을 달리하였다.
은혜에 보답하는 뜻에서
전통 가옥의 구조는 보통 안채와 바깥채로 나뉘어 있었는데,
도 자식은 효도를 다하고
안채는 부인이 거처하는 공간이고, 바깥채는 남편이 생활하는 공
자 애썼다.
간이었다.
늘 공경하는 태도로 부
남편은 사랑채에서 손님을 맞거나 글을 읽는 등의 일을 하고,
Hyoch’in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household norms. “Hyo” means respect for parents; it implies subordinating oneself to one’s parents while heeding their teachings and words with utmost attention. This has been a decisive factor in shaping social behaviors. Parents are the source of life, who gave birth to us and nourished our growth. Our indebtedness to our parents presupposes a sense of obligation to make their life pleasant with deference and piety. Upon return from work, we inquire after parents or meet with them for a chat over what we experienced that day and solicit their opinions about how we should go about resolving problems facing us. We receive their wishes with utmost attention and do our best to make them come true. When our parents became decrepit
and are hardly able to get around on their feet, we stand by to give them hands. Our respect to our parents should survive their death and our worship for our ancestors should be eternal. The younger brother follows and obeys the older brother and young people are respectful and courteous to old people. In turn, old people love the young and try to be exemplars, exhibiting model behavior. Doing so, they become guardians against wrong doings and guides who lead youth in a righteous direction. Within and Without the House Husband and wife are strictly distinguished in their role and social place. This sexual differentiation is also reflected in the struc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The traditional house consists of the inner and the outer quarters. The outer quarter was for men to receive and entertain guests and to idle away
— 48—
— 49—
부모를 모시는 가정의 한 모습
(2) Norms of Home Life Hyoch’in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5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부인은 안채의 안방과 부엌을 중심
반면에, 주부는 가족에게 거르지 않고 끼니를 제공하고, 어린
으로 하여 집안 살림을 해 나갔다.
자녀를 키우며, 철따라 입을 옷을 장만하는 등의 가사를 도맡아
그런 가운데, 가족의 생계를 유지하
하였다. 주부는 권리보다는 의무나 책임의 부분이 훨씬 컸다고
고 재산을 관리하며 가족을 보호하
할 수 있으나, 어떻든 전통 가족에서 부부의 역할은 이렇듯 엄격
는 등의 책임은 주로 남편이 지게끔
하게 나뉘어 행해졌었다.
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자녀에
아울러, 부부는 서로의 지위와 영역을 존중하여 상대편의 일에
대해서는 아버지이고, 아내에 대해
간섭하기를 삼갔고, 품위 있는 어법으로 서로를 공대했다. 그런
서는 지아비인 존재가 가족의 중심
가운데 가장의 권한과 책임, 주부의 권한과 책임이 서로 보완되
이 되었던 것이다.
고 조화를 이루면서 가정의 일들이 처리되어 나갔다.
이런 뜻에서, 집안의 기둥이자 어 른으로서의 가장 (家長) 이라는 개념 은 당연히 남자의 지위를 중심으로 사 랑 방
해서 성립되었고, 그는 가족을 통솔
하고, 집안 식구들의 언행을 감독하며, 외부에 대하여 가족을 대 표하는 권한도 가지게 되었다.
time by reading books and pursuing passtimes. The inner quarter was inhabited by women working in the kitchen and doing domestic chores and rearing children. While the wife exercised an absolute authority in the inner quarter. The husband performed his role as the bread earner and the manager of properties. He never trespassed on the inner quarter which remained the women’s sanctuary. His role featured an authoritarian rule over the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wife was never slack in her duties to feed family members and to rear children and to make clothes which changed with season. The wife’s responsibility was staggering, quite out of proportion to the few rights given to them. But her role at home was of crucial importance as the symbol of harmony and peace at home — a role recognized and appreciated by the husband. As the husband did not interfere with her role, so did the wife by no means interfere with her husband’s role. Husbands and wifes mutually respected one another with proper decorum and elegant language.
— 50—
— 51—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5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는 집안의 여건에 따라 그 시기가 일정하지 않아, 결혼 후 10년
3 . 분가와 재산 상속
이 넘게 부모 곁에서 함께 사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근래에는 늦게 나이가 차서 결혼하는 추세를 반영해서인지, 결혼과 동시에 분가가 이루어짐이 대부분이다.
(1) 분 가
분가를 시킬 때에는 집 장만 비용이라든지 생활 비용의 일부를
조선 시대 이래의 전통 가족 제도는, 장남이 부모를 모시고 살
부모와 형이 보태 주는 것이 통례였다. 분가해 나가면, 그 때부
고, 차남부터는 부부와 미혼 자녀만으로 가족을 이루는 형태였음
터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엄연히 독립된 가구 (家口) 를 이루게
은 이미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된다.
그러나 차남 이하의 아들들도 결혼하고 나서 얼마 동안은 부모
그런데 제사나 웃어른의 생신, 또는 아우나 누이의 혼사 등의
및 맏형 식구와 같이 대가족을 이루고서 살았다. 그 동안에 새 며
주요 행사는 거의 모두가 맏형의 집 (부모가 살아 계신 경우는 부모
느리는 시집의 풍습을 익힘과 더불어, 나중에 따로 나가 살 경제
의 집이기도 함.) 에서 행해지게끔 되어 있었다. 그래서 그런 때에
적 준비를 부부가 조금씩 해 나갔다. 그러다가 얼마 간의 시간이
는 분가한 아우나 자녀들이 모두 맏형의 집으로 모이게 된다. 그
라 지나고 나면 이윽고 따로 나가 살게 되는데, 이를‘분가 (分家) ’
라 하고, 분가한 아우 러므로 장남의 집을‘큰집’또는‘본가 (本家) ’
한다.
들의 집을‘작은집’ 이라 하여, 서열을 짓고 구별하였다.
분가는 보통 부모가 살아 계실 적에 하는데, 지역과 시대, 또
큰집과 작은집 사이에는 굳이 집안 행사 때문만이 아니더라도
As mentioned earlier, the traditional family held the oldest son responsible for living with his parents while his brothers and sisters were allowed to live with their spouses and their children, separate from their parents. Nevertheless, even among those brothers other than the oldest one, it was customary to live with their parents after they got marr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this time, new daughters-in-law learned the customs and rituals of the husbands’ family, while preparing for their eventual move out of the parents’ home. Living separately from their parents meant setting up a branch family for
themselves. The branch family was set up while one’s parents were still alive. The period which they spent with their parents differed widely depending on the status and location; some newly-wed couples stayed up to ten years but such cases are difficult to find today. Setting up a branch family required that many other things should be done. In the first place, they had to find a new place to live in. This usually required that a house be purchased or rented. This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parents offer of money, a sum often matched by the oldest brother. Such august occasions as ancestor worship or the wedding of a sibling used to take place at the oldest brother’s house. If the parents lived there, it was called the home of the parents. These occasions brought together branch families. The oldest brother had a control over his other brothers and this was why his house called
— 52—
— 53—
3. BRANCH FAMILIES AND THE INHERITANCE OF PROPERTY ( 1 ) Branch Families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54 (1,1)
Happy n Co
형제가 모여 성묘하는 모습
- Kcom HP- A3 600DPI 60LPI
W
부모와 자식, 형과 아우
에 대한 제사, 남은 식구들을 돌보는 일을 전적으로 책임지고 물
라는 원초적 관계에 의한
려받았다. 그러나 재산만큼은 자식들이 나누어 물려받는 것이 통
끈끈한 정이랄까, 심정
례였다.
적 유대가 남아 있게 된
그러나 재산이 모든 자녀들에게 균등하게 상속되는 것은 아니
다. 그래서 좋은 일, 궂
었다. 딸보다는 아들에게 더 큰 비율로, 또 아들들 가운데서도 맏
은 일 가림이 없이, 크고
아들에게 더 큰 비율로 상속됨을 원칙으로 하였다.
작은 일이 있을 때마다
장남을 우대하여 상속하는 이유는, 장남은 부모를 모시어 노후
서로 돌보고, 경제적 도
봉양을 하고,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일을 전담하며, 장례니 제사
움을 주면서 협력하여 일을 치러 나가곤 하였다.
니 잔치니 하여 드나드는 손님을 접대하는 등 할 일이 많으므로, 비용 부담이나 경제적 손실이 클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점
(2) 재산 상속
에서도 선인들의 합리적 사고가 은연중에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전통 가족에서는, 부모가 일정한 연령에 이르거나 노쇠하여 더
있다.
이상 집안일을 통솔하고 관리하기 어려워지면 맏아들과 맏며느리
그러나 상속 비율이 일률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었으
에게로 가장과 주부의 권한을 넘겨 주는 것이 통례였다. 그리고
며, 장남 우대의 원칙에 융통성이 없는 것도 아니었다. 물려줄 재
웃어른인 가장이 돌아가시게 되면, 장남이 대를 잇는 일과 조상
산이 많지 않은 경우는 재산 상속이 장남에게 집중되는 경향이었
In the traditional family, it was common for the oldest son and his wife to take over the responsibility for family affairs when parents reached the age of retirement. When the father passed away, the oldest son became the head of the family,
responsible for ancestor worship and family rituals as well as looking after other members of the family. The distribution of the father’s properties among offspring was not equitable in so far as the sons received a greater share of real estate than the daughters. Among brothers, the oldest son was entitled to the majoriy of the assets. One reason that the eldest son received a larger share of properties was that he took responsibility for continuing the ancestor whorhip rituals together with the other duties attendant to his role as pillar and guardian of the family. Despite the fact that the practice of entitling the oldest son to a larger share of inherited properties became standard practice, there was no legal provision which fixed the distribution percentage of properties, leaving room for a flexible sharing of properties between the family members, When the family was left with scarcely and wealth, the oldest son took the lion’s share. But abundant fortunes were split
— 54—
— 55—
“big house” while those of the others were referred to as “small houses.” It was not only that the members of the big and smaller houses got together on such occasions ; the sense of solidarity among brothers was strengthened due to blood ties. In good and bad times, mutual assistance dominated the relations between brothers and sisters. (2) Inheritance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5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고, 물려줄 재산이 많은 경우에는 비교적 균등하게 상속이 이루
4 . 친족 제도
어지는 경향이었다. 재산 상속은 조선 시대 초기만 하더라도 균등 상속이 관례적이 었는데, 17 세기 중엽에 이르러 직계 가족 제도가 확립되면서 장 남 우대 상속으로 관습이 바뀐 것이다.
(1) 친족의 종류 사람은 어느 한 가족의 구성원으로 그치지 않고, 출생과 혼인 과 출산이 되풀이되어 일어나는 가운데, 이를 매개로 하여 다른 가족들과 서로 관계를 맺게 된다. 이처럼 혈연은 물론 혼인의 관 계에 의해 연결되는 사람들의 무리 전체를 친족 (親族) 이라고 하는 데, 일상어에서는 오히려‘친척’ 이라고 더 많이 쓰이고 있다. 친족의 종류에는 한 개인을 기준으로 하여 아버지 쪽, 어머니 쪽, 배우자 쪽의 세 부류가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중 국식 이름을 좇아 아버지 쪽〔父系〕 친족을 본족 (本族) 혹은 종족 (宗族) , 어머니 쪽〔母系〕 친족을 외척 (外戚) 혹은 모족 (母族) , 아
내 쪽〔妻系〕 친족을 인척 (姻戚) 혹은 처족 (妻族) 이라 불러 왔다.
4. RELATIVES ( 1 ) Identification of Relatives
among the family members on a more equitable basis, although the oldest son still retained the largest share. In the early part of Choso ˘n Dynasty, equal share of assets among brothers was the common practice but after the 17th century the oldest son came to be favored over his brothers in the inheritance of properties.
Everyone is a part of the family which establishes relations with other families by birth and marriage. Those who are related to one another by either blood or marriage are called “relatives.” Relatives consist of three components, namely ; paternal relatives, maternal
— 56—
— 57—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5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궁중 사극이나 역사책에 이따금씩 나오는 말인‘삼족’ 이란, 바로 이들‘세 부류의 족’ 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 시대에 들어와, 특히 중기 이후에는 친족 관념에
계촌법에 따르면, 자기 위아래로 바로
고 조 모
이어지는 직계 친인
서 부계 친족을 유달리 중시하고 우러르게 되었는데, 이는 직계
척의 경우에는 한 세
가족의 원리에 의해 집의 혈통을 아버지 쪽을 따라 계승해 갔던
대당 한 촌씩 멀어진
것과 깊이 관련된다.
다. 그래서 아버지나
증 대 고 모 대 고 모 부 고 모 부
아들과는 1 촌, 조
(2) 친족의 범위와 계촌법
부나 손자와는 2 촌,
친족의 범위는 혈연과 혼인 관계의 연속선을 따라 위, 아래, 옆 의 여러 갈래로 무한히 확장될 수가 있다. 그러나 어느 사회이건
증조부나 증손자와
내 종 자 매
내 종 형 제 수
대 고 모
고
자 형 매 부
생 생 질 질 녀 부
자
조
모
부
생 질
서
자
여
백 숙 모
부
형 제 수
기
자
부
종 조 모
자
처
매
증 조 부
조
모
모 내 종 형 제
증 조 모
고 조 부
질
질
질
서
녀
부
친족의 실제 범위는 서로의 친밀도와 거리에 따라 일정하게 한정
현손자(玄孫子)와는
지어 놓고 있다.
4 촌이 된다. 한편,
우리 전통 사회에서는 친족 관계의 멀고 가까움을 촌수 (寸數) 로
형제 자매뻘에 해당
( 이란 우리말의‘마 표시하였는데, 이를 계촌법 (計寸法) 이라 한다‘촌’
하는 방계친 (傍系親)
디’ 에 해당하는 한자말이다.).
인 경우에는 해당 세
외 손 손 손
증 손 서
증 손 녀
증 손 부
현 손 녀
종 손 녀
손
손 서 녀 부
증 손
종 증 손 녀
종 손 부 종 증 손 부
제
질
는 3촌, 고조부나 외 외 손 손 녀 부
형
종 손
종 질 녀 재 종 손 녀
종 자 매
종 형 제 수
종 질 부 재 종 손 부
백 숙 부 재 종 자 매
종 형 제
종 질
종 고 모
재 종 질 녀
재 종 질 부
종 숙 모
재 종 형 제 수
종 조 부
종 숙 재 종 형 제
재 종 질
재 종 손
종 증 손
현 손
친
족
relatives and in-laws. We often encounter the word “three relatives” in the history of Korea and the history of the Royal Court, which refers to the relatives in these three areas. Only after the middle part of Choso ˘n Dynasty was the decisive role of paternal relatives as heir to the family lineage affirmed. (2) The Range of Relatives The range of blood relatives expands with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However, the range which actually links people by blood is strictly limited. Since the earlier stage of traditional society, a unit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relatedness of family members — a unit called the “Ch’on.” This literally means a unit of length in Chinese ideographs.
According to the law which pertains to the identification of relatedness, one chon means the relatedness of parents whith their offspring. A son is “one Ch’on” away from the father and the relation between a couple is marked by no Ch’on. The relation between the grandfather and his grandson is marked by two Ch’ons. As such, each Ch’on accompanies each generation. Horizontally, two Ch’ons represent the relation between brothers or between a brother and a sister. On this basis, my
— 58—
— 59—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6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대 직계친의 촌수에다 두 촌씩이 첨가된다. 그래서 친형제와는 2
는 3 촌뻘 아저씨와 5 촌뻘 아저씨의 호칭 구분이 없고, 여자 쪽,
촌, 아버지의 형제인 백∙숙부 (伯叔父) 와는 3 촌, 조부의 형제인
남자 쪽의 구분이 없이 같은 호칭을 사용하는데, 우리의 친족 호
종조부 (從祖父) 와는 5 촌이 되며, 그 자녀들과는 다시 그 촌수에
칭은 극히 세분되어 있다.
다 1 촌씩이 첨가된 사이가 된다. 예컨대, 백부나 숙부의 아들은
이는 곧, 우리 사회가 친족의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나 그 친
나와 4 촌 관계에 있게 되는 것이다. 촌수가 얼마가 되든지 간에
밀도를 판정함에 있어 미국 사회와 다른 독특한 원칙을 세워 두
같은 세대의 형제뻘이면“항렬 (行列) 이 같다.”고 말한다.
고 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렇듯 세밀한 촌수 계산법은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우리 나라 고유의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친족의 범위는 최근까지 모계나 처계보다는 부 계 쪽을 훨씬 넓게 잡아 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부계 쪽으로
외척이나 인척의 경우에도 이 계촌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촌수
는 고조부를 같이하는 모든 자손들 및 그 부인들, 촌수로 말하
를 정할 수가 있는데, 다만 그 경우에는‘외×촌’ ,‘처×촌’하는
면 8 촌까지를 친족이라 여겼다. 이 부계 친족의 범위를 당내친
식으로 외가 쪽의 친척, 처가 쪽의 친척임을 호칭에서 나타낸다.
(堂內親) 이라고 하였다. 반면에, 모계 쪽은 4 촌까지만을 친족의
친족의 범위는 친족 호칭이 친족 관계의 어느 선까지 정립되 어 있느냐와도 거의 일치한다. 미국에서는 조부 이상의 어른에
범위로 정했다. 처계 쪽은 그보다도 훨씬 더 좁혀서 처의 부모, 곧 장인, 장모만을 친족의 범위에 포함시켜 왔다.
대해서는 특별히 구분하는 호칭이 없는 반면, 우리 사회에서는
그러나 최근에 개정된 민법에서는 부계 8 촌, 모계 6 촌, 처의
최소한 고조부까지는 명백히 구분하여 호칭한다. 또, 미국에서
4 촌 혈족 (血族) 까지를 친족의 범위로 규정하고 있어, 모계와 처
father’s brother or his sister is three Ch’ons away. The first cousin is four Ch’ons away and the second cousin six Ch’ons away. That is why the second cousin is often called “six Ch’ons brother” or “six Ch’ons sister.” “Hangnyo ˘ l,” which refers to a row of a hierarchical matrix, is a special term used to denote the same generation of one vertical matrix. There is no such parallel of differentiating the relatedness of family members in other countries. The same unit of identifying relatedness applies to the maternal side, the prefix “Oe” or “Ch’o ˘ ” indicating that the relation is on the maternal side. In other words, paternal and maternal sides are distinguished by a prefix, while one unit of “Ch’on” is added for each move away from the immediate family line. There is a way of using honorifics in referring to grandparents, a custom related with the tradition of paying respect and deference tto elderly members of the family.
These honorifics distinguishes the Korean family system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The range of kinship differes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sides. In the former, the sphere of kinship extends up to third cousins, whereas in the latter, the kin folks include relatives up to second cousins. The relatives within the sphere of kinship are identified by titles given to their position within the family. Up to great-great grandfather, we have the title by which one is identified.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re is no such a title to differentiate between forefathers preceding the great-grand father. One has only to add “great” to represent the previous generation. Nor is there distinction in American words for the father’s brother or the father’s cousin brother. In contrast, Koreans have specific names to identify the former from the latter. The precise way in which relatives are named in Korea shows the closely-knit nature of the family structure.
— 60—
— 61—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6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계 쪽의 친족 범위가 예전에 비하면 상당히 넓게 잡아지고 있음
고 사는 경우에도 대체로 같은 동네나 가까운 거리의 지역에서 생
을 볼 수 있다.
활하고 있으면서 일상 생활에서 빈번하게 접촉하였다. 당내의 친족들은 무엇보다도 조상의 제사에 같이 참여한다. 맏
(3) 당내와 문중
형이 부모의 제사를 지낼 때에는 아우들이 반드시 이에 참여하
흔히들‘일가(一家)’ 니‘집안’ 이니 하는 말을 쓰는데, 이는 8 촌
고, 맏손자가 조부모의 제사를 지낼 때에는 그의 4 촌들까지 이에
범위까지의 부계 친족을 일컫는 말로, 당내친과 같은 뜻으로 쓰
참여한다. 또, 장손이 증조부모의 제사를 지낼 때에는 그의 6 촌
는‘집 인다.‘당내 (堂內) ’
형제들까지, 장손이 고조부모의 제사를 지낼 때에는 그의 8 촌 형
안’ 의 한자말이다.
제들까지 이에 참석하는 것이다.
당내친은, 고조부는
고조부모까지는 설날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 때에도 차례 (�禮)
같고 증조부의 형제들이
를 올렸다. 그러나 고조를 넘어서 그 이상은 시제 (時祭) 라고 하
분가하여 그 자손들로 이
여, 매년 한 차례 음력 10월 초순이나 중순에 하루 날을 잡아 한
루어진 친족 집단이다.
꺼번에 제사를 지냈다.
그러므로 대가족에서는
시제를 올리는 대상이 될 조상의 수는 엄청나게 많을 수도 있
모두 한 집에 살 수 있었
는데, 실제로는 그 모든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
고, 독립된 가구를 이루
다. 그래서 높은 벼슬을 했거나 유명한 학자였던 분, 혹은 자손
We often hear words like “one family” or “within the household,” terms denoting relatives up to the third cousins on the father’s side of the family. Another synonym is Tangnae, which means “within the house” in Chinese ideographs. In other words, the relatives referred to by “Tangnae” are all the offspring descended from the great-great grandfather. At one time, all of them used to live under one roof. Although they had to branch off the mainstream family when they got married, they chose to live nearby, taking part in worship rituals for their ancestors.
The oldest son presided over ancestor worship rituals with his younger brother present. When the oldest grandson performed a religious service for his grandparents, all of his relatives up to the second cousin took part. The participants are also extended to include the third cousins when performing a ritual for the greatgreat grandparents. “So ˘llal(New Year’s Day)” and “Ch’uso ˘k(Korean Thanksgiving Day)” are auspicious occasions to observe ancestor worship rituals. Among the deceased ancestors to be worshipped in the rituals the great-great-grandparents and those following them were included. The ancestors before the great-great grandparents are remembered once a year in October of the lunar calendar and this ritual is called “Shije.” The ancestors to be remembered through rituals were so great in number that it was not possible to conduct rituals for ever yone of them. Therefore, prominent ancestors, usuall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or scholars of outstanding
— 62—
— 63—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가묘
(3) Tangnae and Munjung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6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들이 지금 살고 있는 지역에 맨
(同姓同本) 의 집단이 된다. 그러나 이 범위에 이르게 되면 이미
처음 이주해 온 분 등 따로 한
사는 지역도 많이 다르고, 그 숫자도 수만 내지 수십만에 달하
분을 정하여 중시조 (中始祖) 또
여, 평소에 아무런 상호 교류가 없는 경우가 많다.
는 파시조 (派始祖) 로 삼고, 그
그러나 적어도 동성 동본이라면 어떻든 한 조상에서 유래하였
로부터 비롯되는 자손 모두를
다고 보아, 서로 간에 결혼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부계
문중 (門中) 이라 하여 시제의 조
친족과는 결코 혼인하지 않는 관습이 확대 적용되어 엄격한 규범
직 단위로 삼았다.
으로 내려온 것이다.
그러므로 문중은 당내친의 범 위를 넘어선 부계의 혈연 집단
문중의 시제 행렬
(4) 족 보
으로, 조상의 제사와 씨족의 결
조선 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16 세기 이후로는 어느 성씨 어느
속을 위하여 형성된 조직체라
문중을 막론하고 족보 (族譜) 를 펴내는 일이 하나의 불문율처럼 되
할 수 있다. 문중에서는 직계
었다.
자손 중에 대대로 이어 온 장손을 종손 (宗孫) 이라 하여 문중의 대 표로 내세운다.
족보란, 집안의 계보를 낱낱이 밝혀 적어 후세에 전하는 책자 로서, 거기에는 한 성씨의 내력과 가문의 주요 역사, 조상의 발
부계의 혈연을 문중보다 더 넓은 범위로 확장시키면 동성 동본
자취와 업적이 인물의 흐름을 따라 세세하게 기록되었다. name are no longer limited to clan villages; they spread over different local areas and their number reaches into hundreds of thousands. Generally, there is no interaction between these people. Neither are they allowed to marry one another since they considered to have descended from the same progenitor. (4) Chokpo(Family Pedigree)
standard were seclected to be worshipped on a regular basis. These ancestors were regarded as the founder of the family clan and all their descendants are referred to as “Munjung.” The sphere of the munjung is greater in size than “Tangnaech’in.” Greater in size than the Munjung is the “Tongso ˘ng Tongbon,” which literally means “the same family name from one origin.” The relatives with the same family
Around the 16th century, there began a strong trend for each family to trace its origin and compile a genealogical table as the family legacy to be passd down to succeeding generations. These records contain the history of one’s family, records of important historical events and achievements of ancestors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as officials or scholars.
— 64—
— 65—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족
보
˘
` 6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족보의 형태는 동성 동본 씨족
남자의 경우에는, 이름과 자 (字:어릴 때 부르던 이름) , 호 (號:
의 어느 한 조상으로부터 시작하
이름 외로 부르던 다른 이름) , 태어난 날과 죽은 날, 거쳐 간 벼슬,
여 그 자손을 빠짐없이 기재하는
국가에서 주관한 시험의 합격 기록, 남긴 저서와 문집, 무덤의 소
것이 일반적인데, 시조로부터 기
재지와 머리 방향, 형태 등을 일목요연하게 기록하였고, 아울러
재하면 대동보(大同譜)라 하고,
부인의 성씨, 본관, 부, 조부, 증조부의 관직명, 출생 및 사망 연
중시조 또는 파시조로부터 기재하
월일을 간략히 덧붙여 기록하였다.
면 파보 (派譜) 라 하였다. 그냥 족
어쨌든, 족보를 통하여 후손들은 자기의 뿌리를 확인하며, 친
보라고 할 때에는 대개 이 파보를
척간의 멀고 가까운 관계를 알게 될 뿐 아니라, 집안의 좋은 역
말하는 것이다.
사를 되살리거나 이어받으려는 의욕을 새삼 다졌던 것이다.
족보는 보통 문중의 대표자들이
지금까지의 내용을 가지고서도 한국의 전통적인 가족 제도 및
주관하여 30 년마다 한 번씩 새로
친족 제도가 가졌던 특징들과 그 밑바탕에 흐르던 기본 정신을 어
다듬어 펴냈다. 한 세대마다 한 칸씩 배당하여 같은 항렬은 같은
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을 것이다.
칸에 차례대로 기재하고, 한 세대 내려오면 아래칸에 내려 쓰는
또, 그 제도들이 사회 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가지 중요한 기
식으로 작성하였다. 족보에는 각 개인별로 그의 신원 및 생애와
능을 수행하고,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음도 알게 되었을 것이다.
배우자에 관한 사항을 일정한 형식에 담아 약술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복잡해지고 영역별로 전문화됨에 따라, 오늘날에
According to the regular format, the genealogical table starts with the originator of a family name and continues into its later generations. This is called “Taedong bo.” The type which starts with the forefather of a family branch is called “P’abo.” When people talk of Chokpo, it usually refers to the latter. Chokpo is updated every 30 years by Munjung. Each family is given a space for recording the personal data of the family head in greater detail, juxtaposed with his spouse. The following generation is recorded thereafter. In this way, the family table functions as a vertical record of generations forming a family line.
The recording of new entries into Chokpo follows a given format. In the case of a man, his name(child name or pen-name included, if any), his dates of birth and death, government positions occupied, scholarly works in the form of essay or poem which verifies that he passed the high civil examination and grave site are clearly written down. Paralleling these are the records of his spouse, including her family name and its place of origin, government positions, occupied by her father or grandfather, the dates of her birth and death, etc. Chokpo is the unique product of historically conscious Koreans. They perceive the family in a boundless time line which dates back to a remote past and looks to the immortality of the family. It is through Chokpo that one confirms the history of ones family and renews determination to ensure its continuity into the future. The family system and institutions related there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daily life of Koreans to such an extent that they mold the cognitive pattern of the
— 66—
— 67—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6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는 가족 및 친족 제도의 역할이나 기능이 현저히 줄어들고 약화
5 . 일생의 의례
되었음도 부인할 수 없다. 그렇지만 아무리 분화되고 전문화된 현대 사회라 할지라도, 개 인이 가족이나 친족 관계로부터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오히 려 차츰 더 기계화되고 비인간화되어 가는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 가족과 친족 제도가 가졌던 여러 가지 미풍을 되살려, 친족 간의 상호 유대와 상부 상조의 정신을 계속 북돋워 가야만 할 것이다.
(1) 출 생 우리의 전통 사회에서는 남녀가 혼인을 하고 가정을 이루면 당 연히 자녀를 두는 것으로 알았다. 특히, 아들을 많이 두는 것을 이 상으로 여겨, 여자는 혼인하면 아 들을 낳아서 남편의 가계를 계승 하고, 조상의 제사를 받들도록 하 는 것이 임무였다. 그런데 자식이 란 마음먹은 대로 둘 수 있는 것 이 아니어서, 아들을 낳지 못하거 나 아예 자식을 낳을 수 없는 아
기 자 석
5. IMPORTANT CEREMONIES IN LIFE people. As contemporary life has become more complicated, Koreans’ awareness of family institutions has become more relaxed. However, they cannot escape the complicate web of relationships which form their sphere of kinship. They are inevitably bound to ancestor rituals and family customs in one way or another. As modern society continues to lose its humane character, there is a renewed desire to restore what remains of precious value once prevalent in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Every Korean has a bit of misgiving about the possible termination of Korean tradition amid the massive influx of foreign cultures.
When a man and woman married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social norms required that they gave birth to as many boys as possible. A family blessed with an abundance of male offspring was envied. Apparently, sons were prefferred since they guaranteed the continuance of the family line and ancestor worship rituals. Women who were not able to give birth to boys or who were barren lived miserable lives.
— 68—
— 69—
(1 ) Birth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7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내는 불행해지는 경우도 있었다.
금씩 달랐다. 인줄은 부
그래서 아들을 낳기 위하여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풍습이 있었
정한 것의 출입을 막고자
는데, 자식은 삼신 할머니가 점지해 주신다고 생각했다. 삼신 할
하는 것으로, 인줄을 친
머니는 출산을 담당하는 신으로, 잉태에서부터 출산, 육아에까지
집에는 함부로 가지 않는
영향을 주는 여신으로 여겼다.
것이 예의로 되어 있었
여인은 잉태를 하면 여러 가지 금기를 지킨다. 부정한 일을 하 지 않고, 부정을 가까이하지 않았으며, 살생을 하지 않고, 새끼 줄을 넘지 않았으며, 미워하는 마음을 가지지 않고, 마음과 몸을
다. 이 인줄은 대개 21 일 동안 쳐 놓았다. 인
출산 후 산모에게는 첫
줄
깨끗하고 단정히 했다. 물론, 가족들도 이 금기를 지키는 데 협
국밥을 해 주는데, 흔히 삼신상에 놓았던 쌀과 미역으로 밥과 미
력했다. 이러한 금기를 어기면 태내에서나 출산 후 아기의 성장
역국을 끓여 먹인다.
에 불행한 일이 있을 것이라고 믿고 지켰다.
아기가 태어나서 3 일째 되는 날 아침에 산모는 쑥물로 몸을 씻
산월이 되어 진통이 있게 되면, 가장 깨끗하고 좋은 방을 산실
고, 아기도 따뜻한 물로 목욕을 시켰다. 한 이레(7 일째 되는 날)
로 정하고 아기를 낳았다. 출산을 하면 바로 대문에다 인줄 (금줄)
가 되면 싼 것을 벗기고 깃 없는 옷을 입히며, 두 이레가 되면 깃
을 매었는데, 아들인 경우에는 고추와 숯을 달고, 딸인 경우에는
이 있는 옷을 입히고, 세 이레부터는 일상의 옷을 입혔다. 세 이
숯과 백지를 달아 매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습은 지방에 따라 조
레 이후에는 이웃 사람들이 아기를 보러 오기도 하였다.
Very often, these women resorted to invoking the benevolence of Divine Nature. They sought a son by praying to Samshin goddess, who was supposed to govern conception and child birth. When a woman got pregnant, she was expected to observe certain taboos. She was advised to be specially careful lest she commits licentious, adulterous or illintended behaviors, for fear that failure to do so would invite misfortunes on the child. She was not supposed to kill living things or jump over straw ropes. Neither was she allowed to bear grudges or hatred and she had to keep her mind and body clean and neat. As the woman was expecting a bady, a sanitary room was arranged for the delivery of a child. A sacred straw rope was hung over the gate posts when the child was born. If the child was a boy, some pieces of charcoal and red peppers were fastened to the straw rope. If a girl baby was born, pieces of charcoal and green
pines were fastened instead. This taboo rope symbolized protection against evils and illness and visitors were not permitted to enter houses with this straw rope for at least 21 days. The first meal offered to a new mother consisted of “Pap(steamed rice)” and “Miyo ˘ kkuk(seaweed soup)” that had been laid on a table used for praying to the Samshin goddess. On the third day after the child’s birth, the woman washed her body with mugwort-steeped water and the baby was bathed in warm water. On the 7th day, the cloth that covered the baby was removed and colorless gown was put on the baby. A week later, the baby was dressed in a gown with a collar and dressed in normal clothes from the third week after his birth, when he was shown to neighbors.
— 70—
— 71—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7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는 날을 돌날이라고 한
(2) 백일과 돌
다. 의술이 발달되지 못
아기가 태어나서 백 일째 되는 날에는 백일이라 하여 자그마한
하고 병원이 널리 보급되
잔치를 벌인다. 백일은, 아기가 위험한 고비를 넘은 것과 산모가
지 못했던 옛날에는 태어
건강을 다시 찾은 것을 축하하는 날이 된다.
난 지 만 1년 사이에 유
백일에는 흰무리, 수수팥떡을 쪄서 백 사람에게 나누어 주면
아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
아기가 잘 자란다고 해서
에, 돌잔치는 돌이 지나
이웃에게 떡을 나누어 준
건강에 안심이 되어 축하
다. 떡을 받은 집에서는
하는 뜻이 있었다. 돌에는 백일보다 더 큰 잔치를 벌인다. 돌날
실타래나 쌀 또는 돈을
에는 아기에게 돌상을 차려서 축하한다. 돌상에는 떡, 과일 등을
그릇에 넣어 준다. 실타
차려 놓고, 특히 책, 종이, 연필, 돈, 바늘, 실 등을 놓아 아기
래는 장수하라는 뜻이 있
가 무엇을 먼저 집는가를 보고 장래를 점치기도 하였다. 돌날에
고, 쌀과 돈은 부자가 되
는, 남자 아기의 경우에는 전복을 입히고 복건을 씌워서 도령의
라는 뜻이 있다.
복장을 해 주고, 여자 아기의 경우에는 치마와 색동저고리로 곱
태어나서 만 1 년이 되
흰무리와 수수팥떡
돌
상
게 단장해 준다.
The one hundredth day after the birth of child is commemorated with festivity. On this occasion, the baby is congratulated on having sur vied the dangers of illness and the mother on having restored her health. It is said that the baby will grow up healthy if pieces of white rice cake and millet cake are distributed to one hundred neighbors. In response to the given cakes, neighbors put a hank of yarn, rice or money in the bowl which had carried the rice cakes. The hank of yarn symbolizes a long life and rice or money means wealth.
The one year anniversary of a birth is called “Tol.” In the old days when medical service was poor and hardly available, infant mortality was so high that the Tol banquet was held to congratulate the baby on its good health. By doing this, the baby’s family felt much relieved in anticipation of a continued smooth and healthy childhood. The Tol banquet is more sumptuous than the Paegil banquet and a special table displaying many varieties of food is offered to the one-year old baby. The adults derive some pleasure as the child choses from among a book, a pencil, money, needle and a hank of yarn set on a table in front of him. If the baby is a boy, he is dressed in “Cho ˘ nbok” and “Pokko ˘ n,” the traditional full dress for a bachelor. If the child is a girl, she wears a Hanbok which consists of a traditional long skirt and a colorful jacket.
— 72—
— 73—
(2) Paegil and Tol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7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혼인 절차에서는, 먼저 신랑 쪽에서 신부 쪽에 사주를 보낸다.
(3) 혼 례
사주란 신랑의 생년, 생월, 생일, 생시를 적은 것으로, 신부집에
우리 조상들은, 남녀가 혼인하여 부부가 되는 것을 음과 양이 합하여 삼라 만상을 창조하는 대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일이라 고 생각했다.
서는 사주를 받아서 혼인 날짜를 정하고, 궁합을 보아서 신랑과 신부의 장래를 점치기도 하였다. 사주도 좋고 궁합이 맞으면 정혼을 하고, 정한 날에 혼례식을
예전에는 남자는 12 세, 여자는 16 세쯤이 되면 혼인을 했다. 그
올리게 된다. 신랑집에서는 혼인 날 2, 3 일 전에 신부집으로 예물
래서 신부가 신랑보다 나이가 많은 경우가 많았고, 농촌의 살기 어려운 사람 중에는 30 세가 넘도록 장가를 가지 못하는 노총각도 있었다. 유교의 가르침에 철처했던 예전에는“남자와 여자는 일곱 살이 되면 한 자리에 앉지 못한다.”하여 남녀가 함께 있는 것을 엄하 게 규제하였기 때문에, 서로 사랑하고 연애할 수 있는 기회가 없 었다. 따라서, 중매쟁이가 중매를 서서 신랑의 부모가 며느릿감 을 보거나, 신랑 신붓감이 서로 맞선을 보아서, 마음에 들면 혼 인 절차를 밟게 되는 것이 상례였다.
사주단자
함
(3) Marriage Our ancestors thought that marriage was law of nature which created the world ˘m). by matching the male element(Yang) and the female element (U A 12-year old boy was considered a perfect match for a 16-year-old girl. There were also men in the countryside who were unable to get married because they were too poor. Confucianism offered codes of conduct for daily life including one which banned young boys and girls from sitting together after they reached the age of seven. Love affairs were by no means conceivable before marriage. The selection of a spouse was mediated by a professional match maker. A meeting was arranged for prospective partners to meet each other but parents had absolute authority to decide their children’s future spouses. If the concerned families found a matching agreeable,
they hastened to take the necessary steps toward marriage. To initiate this process, the groom sent the bride’s family a piece of paper(Saju) on which the groom’s birthday and birth time were written. On the basis of this information, the bride’s family then examined the prospects of matching the young couple. If all went well, the families promised to marry their children and set up a date for the wedding. Two or three days before the wedding took place, the groom sent wedding gifts to the bride, including a gold ring and some clothes. The box which
— 74—
— 75—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7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을 보내는데, 함 속에 넣어서 보내므로 함을 보낸다고 한다. 예
저 신랑과 신부가 절
물은 금반지와 같은 패물과 신부의 옷감 등이다. 함진아비가 함
을 하는 상견례로 시
을 신부집에 전하는데, 마땅히 전해야 할 귀한 예물인데도 쉽게
작해서, 술을 입에
넘겨 주려 하지 않고 함값을 내라 하면서 장난을 한다. 함이 전
대는 의식을 거쳐 혼
달되고 나면, 함진아비 일행은 후한 대접을 받으며 수고한 대가
례는 이루어진다.
로 금일봉을 받기도 한다.
신랑은 옛날 문관 복
예전에는 신랑이 신부집으로 가서 그 곳에서 예식을 올렸다.
장을 하고, 신부는
이를 신행 또는 초행이라 하고,“ 장가든다 (신부댁에 간다) .”고 했다.
원삼을 입고 족두리
혼례식을 치를 때에는
를 쓰며, 얼굴에는
마당에 차일 (遮日) 을 치
전통 혼례
연지와 곤지를 찍어서 예쁘게 단장한다.
고 자리를 깐 다음 가운
혼인식을 올리고 난 후 첫날밤은 신부집에서 자게 되는데, 첫
데에 상을 놓고, 상 위에
날밤에는 간단한 주과상을 마련하여 신랑과 신부가 축배를 나누
목안 (나무로 만든 기러기)
며, 신부는 신랑이 족두리를 벗길 때까지 다소곳이 앉아서 기다
과 청실 홍실을 놓으며,
려야 했다.
촛불을 밝혀 놓는다. 먼
신부집에서 2, 3 일 지낸 후 신랑은 신부를 가마에 태워 자기 집
contained these gifts was called “Ham.” The carrier of the Ham was called “Hamjinabi,” the man who would deliver the Ham to the bride. The Hamjinabi started with an exorbitant demand for something to trade the Ham for and played tough in this bargaining. He tried to create an impression that the bride should pay dearly for his transpor t of the box of valuable gifts. The bride’s family responded by treating the carrier and his companions to a sumptuous dinner and giving some money to each laborer. Then, the Hamjinabi grudgingly handed the box over to the bride. On the wedding day, the groom used to go to the bride’s home to hold the ceremony referred to as “Shinaeng” or “Ch’ohaeng.” To perform the ceremony a canopy was set up and a straw mat was unrolled on which a table was put in the center. “Mogan(a wild goose made of wood)” and blue and red threads were laid on the table along with a candle. The wedding began with
an exchange of bows between the groom and the bride and lastly a lip-touch on a wine-filled cup sealed their relationship as a couple. The groom was dressed like a traditional civil officer while the bride dressed in “Wonsam” and put “Chokturi” on her head and “Yo ˘nji and Konji(dark stains)” on her cheeks. The couple spent their wedding night in the bride’s house. A table loaded with a variety of foods awaited the groom in the room where the couple was left alone to spend the first night. As the night deepened, the groom began undressing the bride, starting with the Chokturi on her head. After spending two or three days in the bride’s home, the groom took his wife back home. It was quite common in earlier days to carry her home in a palanquin.
— 76—
— 77—
목
안(나무 기러기)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7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으로 데리고 가는데, 이를 신행이라 하고, “시집 간다”고 한다.
자가 함께 앉아 상을 받는다. 상을 높이 잘 차릴수록 효성을 다
신랑집에서는 신부를 맞아 친척과 동네 어른들을 모시고 잔치를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벌인다. 신부는 일가 친척 어른들께 인사를 하고, 며느리로서, 아내로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된다. 신랑은 신부에게 예물을 보내고, 신부는 친정의 살림 정도에 따라 시부모를 비롯하여 시형제들에게 예물을 드린다. 초대하는
상을 차리고 회갑을 맞이한 부부가 앉으면, 아들딸들이 차례로 절을 하고 술을 올린다. 이 때, 손아래 친척도 절을 하고 술을 올 리며, 친지들도 술을 권하며 즐겁게 지낸다. 회갑 잔치에 초대받은 사람은 축하의 뜻으로 선물이나 축의금
하객들은 축의금을 전달하며, 일가 친척은 제각기 나름대로 부조
을 전달하는 것이 예
를 하고, 헌신적으로 잔치를 도와 준다.
로 되어 있다. 그 밖에 만 61 세
(4) 회갑과 그 밖의 수연(壽宴)
가 되면 진갑이라 하
만 60 세 되는 생일날을 회갑 (回甲) 이라 한다. 예전에는 60 세를
고, 회갑이 지나 덤
살면 장수하는 셈이었다. 그래서 자손들이 잔치를 준비하고, 많
으로 얻은 나이라 해
은 이웃과 친척을 초대하여 부모가 건강하고 장수한 기쁨을 서로
서 작은 잔치를 벌인
나누며 경축했다.
다. 그리고 만 70 세
회갑날에는 큰상을 차려 놓고, 회갑을 맞이한 사람과 그 배우 The bride’s passage to her husband’s home is called “Shinaeng.” The groom’s family was bustled to prepare for a festive gathering where the bride would greet all relatives and neighbors on the first day of her arrival at the groom’s home. Thr groom gave gifts to the bride who, taking her turn, handed out presents to her in-laws. The type of gifts given to the groom’s family indicated the social standing of the bride’s family. The invited guests and relatives left some money to the couple and some remained to help the groom’s family throughout the banquet.
회갑 잔치
가 되면 고희 (古稀)
Great significance is attached to the 60th birthday called “Hoegap.” Turning 60 years of age meant that one had completed one zodiacal life cycle — no doubt an auspicious occasion in the old days when few lived long enough to reach this age. A sumptuous banquet was held to celebrate this family event. Sons and
daughters take enormous pleasure in celebrating their father’s or mother’s 60th birthday and entertaining guests on this special day. The subject of the celebration received a table piled up with many varieties of foods, and sons and daughters made formal bows and offer drink in the order of their age. Subsequently, relatives and friends also bowed and offered drinks. It is customary for the invitees to the banquet to bring some gifts or money as tokens of congratulation. When reaching one’s 61th birthday called “Chingap,” he or she deserved a small party for having reached an extra year beyond Hoegap. When one turned 70 years of age, which is called “Kohu ˘i,” another festive banquet is held to celebrate one’s longevity.
— 78—
— 79—
(4) Hoegap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8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라 해서, 장수를 축하하는 큰 잔치를 베푼다. 예전에는 장수하는 일이 드물었기 때문에 장수를 크게 축하했 으나, 오늘날에는 장수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이러한 잔치가 차차 줄어들고 있다.
근신하며, 호상소를 설치하여 장 례에 필요한 일을 맡게 한다. 향물이나 쑥물을 마련하여 시신 을 씻기고 나서 수의를 입히며, 시신이 흐트러지지 않게 삼베로
(5) 상 례
묶어서 관에 안치한 다음, 붉은
임종이 가까워 보이면 환자를 깨끗한 옷으로 갈아 입히고, 방
비단으로 명정을 만들고, 죽목으
을 깨끗이 치우며, 요와 이불을 깨끗한 것으로 바꾸어서, 방의
로 장대를 만들어 명정을 달아 영
북쪽에 머리를 동쪽으로 하여 뉜다. 유언이 있으면 침착한 마음
좌 앞에 세운다. 그리고 나서 상
으로 기록하거나 녹음해 두고, 가족과 가까운 친족은 모여서 마
제들은 상복으로 갈아 입고 성복
지막 운명을 지켜 보는데, 이것을 임종이라 하며, 부모님의 임종
제를 지낸다.
을 지켜 보는 것을 자식의 도리로 여긴다.
성복제를 지내고 나면, 상제들
명
정
숨을 거두었음이 확인되면, 유족들은 슬픔을 참고 예를 갖추어
은 외래 문상객을 맞는다. 부고를 받은 사람들은 정성껏 부의금
장례를 치를 준비를 해야 한다. 친척과 친지들에게 부고를 내어
을 마련하고 찾아와 문상을 한다. 문상할 때에는 영좌 앞에서 향
부모님이 돌아가셨음을 알린다. 상제들은 복장을 간소하게 하고
을 피우고 재배하여 돌아가신 분의 명복을 빌고, 상제들에게도
These celebrations were significant when few lived long enough to reach these ages in the earlier days. However, in modern society where more people live to the age of 70 and beyond, these celebrations are diminishing in importance.
When a person verged on death, his family dressed him in clean clothes, cleaned the room and changed the sheets and blankets. The family members kept him on the northern part of the room with his head facing the east. If there was a will, it was written down or recorded in the presence of all family members. This was called “Imjong.” All immediate family members were called upon to witness the final moments of their parents and display their last act of filial piety. After death, the family of the deceased should choke back their grief and prepared the funeral. The death should be made known to all relatives and friends
so that all of those closely affiliated with the deceased could share the grief of the deceased family members. This gathering once again acted as an indicator of the man’s social standing. The corpse was bathed with perfumed water or mugwort-steeped water and dressed in a shroud. It was bound with hemp cloth and is laid out straight within a coffin. The top of the coffin is covered with a red brocade, on which is written in white letters “so-and-so holy coffin.” The children of the dead man were dressed in mourning clothes made of hemp cloth and sit on a straw mat outside the room where the coffin was placed. The guests who came to offer condolence, burned the incense put on table placed before the coffin and bowed twice with two palms brought together to pray for a repose of the deceased. Offering condolence is an extremely important part of human life and neglecting this ritual would result in alienation from the circles of
— 80—
— 81—
(5) Funderal Rites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8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절을 하며, 애도의 뜻을 표하고 위로한다. 예로부터 3 년상이 끝
장지까지 운구를 했다. 명정과 초상을 앞세우고, 요령을 잡은 소
날 때까지 문상을 하지 않으면 절교를 해도 좋다고 할 정도로, 문
리꾼이 부르는 슬픈 만가를 따라 부르면서 장지로 간다.
상하는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할 예의이며 교양이었다. 물론, 상제
지리에 밝은 지관이 장지를 정하고 묘혈을 만들면, 하관 시간
는 감사히 여기고, 이후에 그들 가정에 애∙경사가 있으면 반드시
에 맞추어 묘혈에 관을 내리고 흙을 덮어 다진 다음 봉분을 한다.
찾아가야 한다.
초우제, 재우제, 삼우제를 차례로 지내고, 1 년 뒤에는 소상을,
장례는 집안 살림 형편이나 가족 구성, 그리고 돌아가신 분의
2 년 뒤에는 대상을 지내 탈상을 했다.
사회적 지위에 따라, 3 일장, 5 일장, 7 일장, 9 일장 등으로 치르
상제는 부모에 대한 효심으로 예를 갖추어 정중하고 정성껏 장
며, 어느 의례보다도 엄
례를 치를 뿐 아니라, 탈상할 때까지 철저히 근신하는 것을 도리
격한 격식에 따라 예를
로 삼는다.
갖추고 슬퍼하는 가운데 치른다.
꽃 상 여
(6) 제 례
예전에는 마을마다 담
우리 선인들은 돌아가신 조상 섬기기를 살아 계신 조상 모시듯
상계가 조직되어, 동네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제사란, 돌아가신 조상에 대하여 효도를
청년들이 자진해서 상여
계속하는 의식이며, 나 자신이 살아 있는 동안 계속해야 하는 일
를 꽃으로 곱게 꾸미고,
이라 했다. 유교의 가르침에서 유래한 이 제사는 오늘날에도 계
to its burial place. They volunteered to carry a picture of the deceased together with banners in honor of him during the procession toward the grave site. A geomancer chose a place for burial in favor of a site which was believed to be auspicious for the future of the deceased’s family and his descendants. The coffin was lowered into a pit and earth was scattered and piled into a mound.
intimates and relatives. The mourners should then express their appreciation of the visitors’ condolence and reciprocate if they in turn were in mourning. Today, the funeral lasts three days. In the old days, it used to last 5, 7 or even 9 days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the death of a king or royal family member. Mourning beyond three days is considered no longer appropriate but rather ostentatious in modern society. The funeral rite was more formal than other rituals. In the old days, a mutual aid association for funeral rites was organized in each village and young men voluntarily decorated the coffin with flowers and carried it
Our progenitors though that their filial piety to parents should continue beyond their presence in the mundane world. Deceased parents should be served with the same attention and sincerity as they deserved while alive. Deeply rooted in Confucianism, Chesa is observed even today, though its ritual has been simplified
— 82—
— 83—
(6) Memorial Ceremony(Chesa)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8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속되고 있으나, 지방에 따라 또는 가문에 따라 그 준비와 절차에
(紙榜) 을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낸다. 요즈음에는 사진을 모셔 놓고
는 차이가 있다.
제사를 지내며, 사진이 없는 경우에는 지방을 써서 신위를 삼는
전통적인 제사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오늘날에도 행해지고
다.
있는 차례는 명절 아침에 지내는 제사이고, 기제는 돌아가신 분
제사를 모시는 주인과 주부는 적어도 제사 전날부터 몸을 씻어
의 돌아가신 날 자시에 지내는 제사로서, 여기서는 기제를 중심
깨끗이 하고,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며, 제사에 참가할 자손들에
으로 제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게 제사가 있음을 알리고, 특히 주부는 정성껏 제기를 닦고 제수
기제는 고조 (高祖) 까지 5 대를 집에서 지냈으며, 흔히 제사라 하면 기제를 말한다. 장
신
주(신위를 베푼 나무 패)
를 마련한다. 제수는 종손의 형제들이 나누어 준비하기도 하고, 형제의 부인들이 종가에 모여서 함께 준비하기도 한다.
손은 5 대조까지의 신위
제수는 제사에 쓸 음식과 물건들로서, 음식으로는 메 (밥) , 갱
(神位) 를 사당에 모시고
(국) , 나물, 나박김치, 간장, 꿀 또는 조청, 편(떡), 포∙유과류,
있으며, 제삿날이 되면
생실과류, 제주 (술) , 숭늉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물건으로는 수
해당되는 신위를 모셔 놓
저와 제기, 모사, 사진이나 지방, 향로, 촛대 등이 마련되어야 한
고 제사를 지내게 되는
다. 특히, 제수 음식에는 고춧가루와 파, 마늘 등을 쓰지 않는 것
데, 사당이 없고 신위패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아가신 분이 생전에 특히 좋아했던 음
가 없는 경우에는 지방
식을 차려 놓는다.
considerably. There are a few differences in the ritual and its conduct between provinces and families. Chesa has a broad connotation encompassing such subconcepts as “Ch’arye,” which is performed in the morning of a festive day, and “Kije” which is performed at one o’clock in the morning on the day of the elder’s death. Among the various traditional services, we attach greater importance to Kije. Kije were conducted for deceased forefathers stretching back over the last five generations. When we mention “Chesa,” more often than not we actually mean Kije. The oldest son preserves the spirit tablets of the last five generations of forefathers and obser ves rituals with the respective tablet singled out on the anniversary of the death. Tablets are preserved at a shrine. In the absence of a shrine or a spirit tablet, “Chibang(spirit paper)” functions as a substitute.
On the day before a ritual service is performed, the oldest son and his wife wash their bodies and are prudent about their behavior. Daughters-in-law busy themselves with cleaning brass bowls and utensils which are used to contain food on the altar. The preparation of the food is a collaborative effort of the daughters-inlaw who congregate together at the oldest son’s house. Chesa foods include “Me(steamed rice),” “T’ang(soup),” “Namul(herbs),” “Nabakkimch’i(pickled-sliced radish),” soy sauce, honey or molasses, “P’yo ˘n(rice cake),” “P’o(dried-sliced fish),” rice candies, fruits, wine, scorched rice water, etc. Placed beside the food on the table are a spoon, a pair of chopsticks, a wine bowl, a picture of the deceased, Chibang, an incense-burner, and candle sticks, etc. It is common to use brass utensils. In preparing ritual food, the use of red pepper powders, scallions and garlics is generally prohibited. It is customary to fix the ritual table with the favorite foods of the deceased.
— 84—
— 85—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8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제사상에 제수를 배열하 는 방법 (진설법) 에는 엄격 하고 복잡한 격식이 있다. 제상의 규모는 돌아가신 분 의 생전의 벼슬이나 사회적 지위 또는 제사를 모시는 종손 집의 살림 정도에 따 라 3 탕상, 5 탕상으로 구분
② 어류는 동쪽 (향해서 오른쪽) 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漁 東肉西〕.
③ 생선은 머리를 동쪽으로 하고 꼬리를 서쪽으로 하여 놓는다 〔頭東尾西〕.
④ 과일이나 과자류의 경우 붉은색은 동쪽으로 놓고 흰색은 서 쪽으로 놓는다〔紅東白西〕. ⑤ 과일 중에서 대추, 밤, 배, 감은 서쪽으로부터 차례로 놓는 다〔棗��枾〕.
된다. 3 탕상이란 소탕, 육
제사를 지내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탕, 어탕의 세 종류의 탕을
① 강신 (降神) :제주 (제사를 주관하는 장손) 를 중심으로 제사에
올리는 상이고, 5 탕상은 3
참가하는 모든 사람이 나란히 선 뒤에 제주가 앞에 나아가
탕상에다 육탕을 세 종류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로 분류하여 추
꿇어앉아 분향한 다음, 잔에 제주 (술) 를 받아 이것을 모사 (茅
가하는 큰 상이다. 제수를 진설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격식에 맞
沙) 에 세 번으로 나누어 붓고, 일어나서 두 번 절을 한다. 이
추어 올려 놓는다.
는 당일 제사에 모시는 조상의 신을 맞아들이는 의례이다.
제 사 상
① 포는 왼쪽에 놓고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左脯右醯〕.
The foods on the table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 strict rule which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amount of ritual foods on the table speaks for the status of the deceased and the income of the oldest son. The tables prepared for ancestor worship ritual are of two kinds, depending on the kind of foods, namely ; the three-soup and five-soup tables. The former consists of “Sot’ang(soup of radish ˘ t’ang(a soup of fish).” and bean curd),” “Yukt’ang(a soup of beef)” and “O In the five-soup table, pork and chicken soups are added to the three-soups listed above. The performance of a ritual follows fixed rules, as given below ; ① Place “P’o” to the left and “Shik’ye(sweet rice punch)” to the right.
— 86—
② 참신(參神):강신을 마친 후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이 동시에
② Place fish to the east and meat to the west. ③ Place fish with its head toward the east. ④ Place fruits and candies of red color to the east and those of white color to the west. ⑤ Place jujubes, chestnuts, peaches and persimmons, starting from the west. Chesa is usually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 ① Kangshin : All participants line up before the ritual table, with the oldest son at the center of the line. He advances, kneels to burn the incense, offers a drink and bows twice. This is a ritual to welcome the ancestral spirit. ② Ch’amshin : After Kangshin, all participants bow twice.
— 87—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8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두두 번 절을 한다. ③ 초 헌 (初 獻 ), 독 축 (讀 祝) :제주 (종손) 가 첫번
째 술잔을 올리는 것을 초헌이라고 하며, 축문 을 읽는 것을 독축이라
잔을 채운다. ⑦ 삽시 정저 (揷匙正箸) :메에 숟가락을 똑바로 꽂고 젓가락을 적이나 나물 그릇에 걸어 놓는다. ⑧ 합문 (闔門) :제사에 참가한 사람이 모두 나가고 문을 닫거 나, 모두 잠시 엎드려 있는다. ⑨ 계문 (啓門) :제사에 참가한 사람들이 세 번 기침을 하면서
한다.
문을 열고 들어가거
제주가 잔을 드리고 물
나 일어선다.
러 앉으면 집사자가 축문
⑩ 헌다(獻茶): 숭늉
을 읽는다. 집사자가 축문을 다 읽으면 제주는 일어나서 두 번
을 국과 바꾸어 올리
절을 한다.
고, 메를 조금씩 세
축문 읽는 모습
④ 아헌 (亞獻) :차손이 잔을 드리고 두 번 절을 한다.
번 떠서 숭늉에 말아
⑤ 종헌 (終獻) :차차손이 잔을 드리고 두 번 절을 한다.
놓고 수저를 걸쳐 놓
⑥ 첨작 (添酌) :제주가 다시 잔을 드린다. 이 때에는 잔을 비우
은 다음, 엎드려 있
고 따라 올리지 않고, 종헌을 드린 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다가 기침을 하고 일
③ Ch’oho ˘n and Tokch’uk : Ch’oho ˘n means the head performer circles a wine cup over the incense smoke. Tokch’uk is the celebratory message to be read aloud by a third person. After this reading, the head performer bows twice. ④ Aho ˘n : The second son offers a drink and bows twice. ⑤ Chongho ˘n : The third son offers a drink and bows twice. ⑥ Ch’o ˘mjak : At this time, the head performer offers his second drink after refilling his wine cup in three drops.
— 88—
전통적인 제사 의식
⑦ Sapshi Cho ˘ngjo ˘ : A spoon is put into the Me(steamed rice) and a pair of chopsticks on the herbs or boiled beef. ⑧ Hammun : All participants go out and close the door. ⑨ Kaemun : Coughing three times, all participants rise to their feet and enter the room. ⑩ Ho ˘nda : The soup is replaced with scorched rice water. A spoonful of steamed rice is put into the scorched rice water. Chopsticks are placed over the bowl. ⑪ Ch’o ˘lshi Pokpan : The spoon on the water bowl is removed and the lid is
— 89—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9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어선다.
6 . 예절의 기본 태도
⑪ 철시 복반 (徹匙覆飯) :숭늉 그릇의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 의 뚜껑을 덮는다. ⑫ 사신 (辭神) :모두 두 번 절을 하고 제사를 마친다.
사람은 스스로 사람다움을 지니기 위하여 예절이 필요하며, 이
⑬ 철상 (撤床) :제상을 물려 정리한다.
때 자기 자신에게 작용하는 마음은 정성스러운 마음이다. 또, 사
⑭ 음복 (飮福) :제사에 참가한 사람 모두가 제사에 쓴 음식을
람은 다른 사람과 원만하게 어울리기 위하여 예절이 필요하다.
나누어 먹는다. 이 음식은 조상이 주시는 음식이라 해서 음
이 때는 정성스러운 마음이 밖으로 나타나야 하는데, 이 때의 마
복이라 한다.
음은 공경스러움과 사랑이다.
전통 제사는 이처럼 격식이 엄격하고 복잡하나, 그 뜻은 오늘
정성스러운 마음을 사랑과 공경으로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날에도 지켜지고 있다. 제사에 자손들이 모여 함께 조상의 음덕
태도가 절을 하는 것이다. 곧, 절은 상대방에게 공경을 나타내는
을 기리고, 같은 자손으로서 자랑스러움을 나누어 지니며, 서로
기본이 되는 태도이다. 절은 공경하는 사람에게만이 아니라, 국
어려운 점을 도와 대를 이어 나가는 것은 우리의 소중한 생활 양
가, 돌아가신 조상의 표시, 신앙의 상징, 본받을 만한 옛 어른의
식이다.
상징 등에도 한다. 절을 받는 사람은 대답으로서의 절을 하는 것 이 예의이다.
placed on the steamed rice bowl. ⑫ Sashin : All participants bow twice to finish the ritual. ⑬ Ch’o ˘lsang : The table with foods is emptied and removed. ˘ mbok : On finishing the ritual, participants indulge in the food which has ⑭U ˘ mbok,” which means been removed to a different table. The food is called “U the ancestors’ blessing. As we noticed, the traditional ritual for the deceased ancestors was observed in accordance with strict rules and a complicated sequence of stages. Even today, we cherish the ancestor worship as a means of keeping the memory of our ancestors fresh in our minds and of reaffirming our filial piety. Nowadays, many think that the ancestor worship ritual is redundant and bothersome, but they never underestimate the value of the worship ritual as something to be preserved and continued into succeeding generations.
People of proper bearing and decorum have humane character and are honest and upright. In order to maintain harmonious relations with others, people should be well mannered. The minds of such people should display respect and love for others, Greetings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display respect and love. Greetings apply not only to seniors in age or those who are admired and respected. They are a sort of manners which one has to show in relation to the country, the deceased ancestors and a religion. In these cases, greetings change into patriotism for the country, worship for ancestors and belief in religion. Those receiving greetings reciprocate and it is through the exchange of greetings that we maintain harmonious relations.
— 90—
— 91—
6. DEPORTMENT AND DECORUM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9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앉았을 때에는 아랫배 부위, 여자는 오른쪽 다리 위에 놓는다.
(1) 공수(拱手) 공경의 뜻을 표하고자 하는 상대에 대해서 공손함을 보이는 자
(2) 읍(揖)과 의(儀)
세로서, 손을 맞잡는다. 손가락을
공수 외에 공경의 뜻을 나타내는 동작으로 읍과 의가 있다. 공
가지런히 붙여서 두 손을 앞으로
수한 손을 뻗는 동작을 읍이라 하고, 뻗은 손을 거두어들이는 동
모아 포갠다. 이 때, 엄지손가락
작을 의라 한다. 읍과 의는 절을 할 수 없는 장소에서 절을 해야
은 깍지를 끼고, 나머지 손가락은
할 대상을 만났을 때, 절 대신으로 예를 표하는 동작이다.
포갠다. 위에 있는 손의 네 손가 락은 아래에 있는 새끼손가락 쪽 을 지그시 싸 쥐어도 된다. 평상시에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잡는
공
수(여자)
(3) 절하는 법 절에는 평절과 큰절이 있는데, 남녀가 하는 방법이 다르다. 평 절은 일상의 문안이나 세배 때 하는 간편한 절이고, 큰절은 혼례 나 제례 등의 의식 때 하는 근엄한 절이다.
다. 흉사시에는 평상시의 반대로
절을 하는 방법은 지방마다, 가문마다 조금씩 다르므로 꼭 이
잡는다. 서 있을 때에는 맞잡은
렇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는 힘드나, 현재 널리 행해지고 있는
손의 위치를 배꼽에 닿게 하고,
방법은 다음과 같다. ˘ p and U ˘i (2) U
( 1 ) Hand Signal for Greeting People in general put their hands together in a gesture to show respect to the person he addresses. In such a situation, he holds two hands before his abdomen and covers one hand’s fingers with those on the other hand, the two thumbs gripping each other. They usually rest their left hand on the right one. In the case of women, the two hands are held the other way around. In the case of offering condolence, one holds one’s hands in the opposite way. When one rises to one’s feet one places both hands near the navel. When sitting down, one places both hands on the lower part of the abdomen.
— 92—
˘ p and U ˘ i” are also signs of Besides the way of holding hands together, the “U ˘ p means a gesture of reaching out the two hands and U ˘ i is respect for others. U ˘ p and U ˘ i are alternative ways withdrawing the hands from the extended position. U of greeting or showing respect when or other physical gestures of greeting are impossible. (3) Bow There are two types of bowing, the informal bow and the formal traditional bow, and beside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exes in the form of bowing. The informal bow is a convenient salute in everyday life when visiting or as a New Year’s greeting, and the formal traditional bow is a solemn salute performed in big
— 93—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9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① 남자의 평절
바닥을 짚고 절한다.
�두 손을 가볍게 마주 잡고 약간 들며, 한 쪽 발을 뒤로 밀 고 다리를 구부려 무릎으로 방바닥을 짚는다. �다른 한 쪽 다리도 같이 구부려 두 무릎을 가지런히 하고, 엎드리며 손을 내려 방바닥을 짚고 절한다. �활발히 하면서도 질서 있고 정중한 몸가짐을 해야 한다. �일어서서 마주 잡은 두 손을 약간 올렸다가 내리며 두어 걸 음 뒤로 물러나서, 두 손 을 모아 잡고 어른의 분 부를 기다린다. ② 남자의 큰절 �평절과 같으나, 마주 쥔 두 손을 눈 높이까지
남자의 큰절(제례시)
올렸다가 내린다. �큰절은 혼례 때나 제사 때에 한다. ③ 여자의 평절 �왼쪽 발을 약간 뒤로 밀고 조용히 앉으면서 뒤로 민 다리 의 무릎을 꿇고 오른쪽 다리는 세운다. �팔은 자연스럽게 따라 내려가서 방바닥을 짚 는다. �완전히 앉으면 고개를 숙여 절한다.
올렸다가 몸을 구부리며
�이 때에 손은 몸 앞에
동시에 앞으로 내려, 방
놓이며, 손끝은 바깥
ceremonies like wedding or funerals. It is hard to determine the correct form of bowing because it differs a little in each province and family. But the most common way which is done today in Korea is as follows ; ① Ordinary Male Bow �Raise two hands up to the eyes, put one leg one step back and bend knees to touch the floor. �Stoop until the hands touch the floor and bend the head over one’s hands. �Make these actions with gentleness and refinement. Try to keep a decent bearing and deportment. �Rise to one’s feet and move one or two steps back. With two hands put together, one awaits words from the senior who one bowed to.
— 94—
�절을 마치고 일어설 때도 마주 잡은 두 손을 눈 높이까지
여자의 평절
② Traditional Male Bow �Raise both hands eye-high and bend the body until the hands touch the floor. �Bend the arms until the head comes close to the floor. �Rise to one’s feet, raise both hands eye-high and let them down. �The traditional bow is generally performed in wedding ceremonies and during ancestor worship rituals. ③ Oridinary Female Bow �Put the left leg one step back and setting up the right knee, sit down on the floor smoothly. �The hands go down to touch the floor as if they were to prop up the body.
— 95—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9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쪽을 향한다.
절을 해야 할 때도 있으므로, 어떤 사람들은 여자의 평절이나 큰
�절이 끝나면 오른쪽 발을 뒤로 밀며 조용히 일어서 두 발
절을 모두 두 무릎을 꿇고 하기도 한다. 무릎을 꿇을 때는 왼쪽
을 모은다.
무릎을 먼저 꿇고, 이어서 오른쪽 무릎을 꿇으며, 발등을 서로 포
④ 여자의 큰절
개어 앉는다. 윗몸을 굽힐 때의 손의 위치는 위에 설명한 방법과
�두 손을 펴서 모아 잡고 눈 높이로 든다.
같다.
�손을 눈 높이로 둔 채 양쪽 발의 뒤축을 서로 붙여 앉는다. �모아 잡은 손을 그대로 둔 채 고개를 숙여 절하고, 일어서
절은 어떻게 하느냐 하는 방법보다 웃어른을 공경하는 마음가 짐과 그것을 드러내는 공손한 태도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면서 손을 모아 잡은 채 조용히 눈 높이까 지 들어올렸다가 내 려서 마주 잡고, 그 자리에 서서 어른의 분부를 기다린다. 여자의 경우 요즈 여자의 큰절
음은 양장 차림으로
�Bend the head as a gesture of salution. �Rise to one’s feet and line up both legs as if one tried to bring oneself to attention. ④ Traditional Female Bow �Raise both hands eye-high �Keeping one’s hands at eye level, and sit down with both heels put together. �Bend one’s body as much as possible with eyes facing the floor. �Rise to one’s feet and straighten up one’s body with both hands kept at eyelevel. Let the hands down and bring oneself to attention. �Face the senior one bowed to with head slightly bent, as if one is awaiting instructions. In the case of female bow, both the informal bow and the traditional bow are
— 96—
(4) 절에 대한 예절 ① 절은 바닥에 내려앉았을 경우에 하는 것으로, 웃어른을 밖 에서 만나면 방에 들어와 앉으신 다음 절을 해야 한다. ② 제사, 혼례, 회갑 때에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큰절을 한다. ③ 절 받을 어른에게 “앉으세요.”, “절 받으세요.” 하는 것은 예가 아니다. sometimes performed in the attitude of kneeling as a woman is dressed in Western style at times today. When kneeling down, she must go down on her left knee first, and then on her right, crossing her both instep. The position of her hands when bending her upper body is the same as descrived above. But the respectful attitude towards elders is more important than how to bow. (4) The Etiquette of Bow ① “Cho ˘ l(traditional bow)” is always performed indoors before a senior. When meeting a senior outside, one should accompany him to a room and bow as soon as he sits down. ② Men make the traditional bow twice and women four times in ancestral worship rituals, wedding ceremonies and 60th birthday celebrations. ③ It is unbecoming to say “please sit down,” and “receive my bow.”
— 97—
kor ˛(¿ ) 1–˙2(041-098)
2007.1.13 11:15 AM
˘
` 9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④ 직계의 어른이 아니라면 아랫사람이 절을 해도 같이 답배를 한다. ⑤ 절 받을 어른이“절하지 마라.”하면 절을 안 해도 된다. ⑥ 절은 절 받을 사람의 정면에서 하고, 절이 끝나면 뒷걸음으 로 옆으로 비켜 선다.
④ The recipient of the bow responds by bowing at the same time as the junior does. This response is not always necessary in cases when the senior is in the immediate family line. ⑤ If the senior doesn’t want the bow, it is able to not make the bow. ⑥ When bowing has been completed one steps aside in a gesture of respect to the elder.
— 98—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Ⅲ. 신앙과 종교
1. 2. 3. 4. 5.
고유 신앙 점복과 풍수 유∙불∙도(儒佛道) 삼교(三敎) 서학과 동학 신종교와 종교의 역할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0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니, 이름하여 풍류 (風流) 라고 한다. 이는 유교, 불교, 도교가 받
1 . 고유 신앙
아들여지는 근본이 되고 있다.”이러한 기록은, 다른 나라에서 종 교가 들어오기 이전에 이미 우리에게 훌륭한 고유 신앙이 있었다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가진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고유한 신앙을
는 것을 말해 준다.
가지고 있었다. 특히, 도 (道) 에 관한 신앙이 있었다는 것이 여러
한국의 고유 신앙은 매우 높고 깊은 사상과 함께 조화로운 힘
기록에 보이고 있다. 신라 시대의 대문장가인 최치원이 쓴 비문
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어떠한 사상이나 종교도 한국에 들
에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오고 있다. “나라에 높고 깊은 도가 있으
어오면 충돌을 일으키지 않고 사상적으로나 신앙적으로 오히려 많은 발달을 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의 토착적인 신앙이 매우 동 적 (動的) 이어서, 다원주의를 포괄할 수 있는 관용과 조화의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전통 신앙에는 고등 종교뿐만 아니라 무속 신앙 (샤머니 즘) 도 있었다. 무속 신앙의 샤먼들이 행하는 굿의 종류에는 사업
이 번창하고 재수가 있게 해 달라는 재수굿, 병을 낫게 해 달라 는 병굿,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는 지노귀굿 등이 있다. 1. 풍류를 즐기는 우리 민족(무용총 무용도)
굿에 등장하는 신 (神) 들 가운데 바리 공주는 대표적인 신이다.
From ancient times, Koreans have lived with their own set of distinct beliefs as old as their history itself. The epitaph for Ch’oe Ch’i-won, the renown scholar of the Shilla Kingdom, presents undisputable evidence that a unique concept of “Tao” existed as a creation of Koreans. The epitaph reads : “Our country has its own way of life, with a lofty goal, the pursuit of which is called “P’ungnyu,” which literally
means elegant pursuits. The Koreans’ belief in this value was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to the country.” The Korean religious tradition was one of tolerance of and harmony with other alien religions. Any religion, once introduced into Korea, could make remarkable progress without hindrance. In short, our beliefs were dynamic, generous and harmonious enough to accommodate diversity. Our traditional beliefs not only promote lofty goals. They also include other, more secular dimensions, namely : to pray for good fortune, cure disease and wish for speedy recovery. Consoling the dead soul developed into a well-sequenced ritual. What is distinct about shamanism is the belief that there are many deities, each responsible for one of the aforementioned needs. A shaman is a woman who is allegedly the mediator between the deities and human beings. She performs a ritual to invoke the deities to intervene in human affairs.
— 100—
— 101—
1. NATIVE BELIEFS IN KOREA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굿을 하는 무당
˘
` 10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바리 공주는 왕의 일곱째 막내딸
굿에는 조상거리라는 것이 있어서 조상의 영혼을 위로한다. 무
로 출생하였으나, 왕은 계속 딸만
속 신앙은 불행을 불러 오는 것을 부정 (不淨) 하다고 하여, 이를
낳는 것을 싫어하여 바리 공주를
씻어 내고 행복을 불러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한 의식 (儀
버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왕이 병
式) 이다.
들어 죽게 되자, 효성이 지극한
무속 신앙 가운데 터주나 서낭, 삼신 할머니가 많이 나온다. 터
바리 공주는 저승에 가서 죽은 사
주는 집터를 지키는 수호신으로서, 항아리에 쌀을 담고 백지를
람을 살릴 수 있는 약수를 길어다
덮은 것을 놓고, 그 위에 짚단을 세워 항아리를 가린 것이다. 터
왕을 소생시켰다. 그리고 공주는
주 옆에는 재산을 지키는
죽은 사람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
신으로서 업이 항상 같이
도하는 신이 되었다. 죽은 사람의
있다. 업은 싸리나무를
영혼을 위로하는 지노귀굿에는 반
평평하게 놓고, 그 위에
드시 바리 공주가 등장한다. 부모
집을 세운 것이다.
님이 살아 계실 때는 효도를 하고, 돌아가시면 영혼이 좋은 나라
서낭은 마을로 들어가
에 가서 살 수 있도록 바리 공주를 불러 저승으로 인도를 부탁하
는 길가에 돌을 쌓아올린
는 것이다.
것으로서, 길을 지켜 주
Princess “Pari,” born as the seventh daugher of a king, was frequently invited to intervene in wordly affairs. Her father, the king, having awaited a son, had been exasperated by the birth of six daughers in a row. After her birth, his grumbling turned into anger. When the king was dying of disease, Princess Pari was not disturbed. Rather she was stirred to greater filial piety. So overwhelmed by her desire to recover her father, Pari tried almost everything which was reputed to be favorable for the illness. She finally managed to get hold of holy water which was only obtainable from the world of the dead. Given this water, the king revived and experienced a new cycle of life. Princess Pari became a deity who guided the dead to heaven. So Princess Pari appears on every “Chinogwigut,” a ritual for the dead. Kut is an invitation to Princess Pari when one of the family members passes away and asks her to find the dead a new place to repose.
“Chosanggo ˘ry” is a kind of kut performed to console dead forefathers. Misfortunes or disasters are attributed to people’s unclean, ill-intending minds and they turn to kut to wash their minds of any such contaminants. Spectators will find other names such as “To o˘ju,” “So ˘nang,” “Samshin goddess” mentioned frequently in shamanistic rituals. To˘ju is a guardian deity of houses, usually represented by a jar full of rice covered on the top with a piece of white ˘ p,” a sheaf of straws paper and a sheaf of straws. Besides the To˘ju is placed an “O erected on flat bush clovers, which is the guardian deity of one’s assets. So˘nang, a pile of stones located at a village entrance, is the guardian deity responsible for a smooth passage of travellers through the village. The shape of
— 102—
— 103—
터
주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0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습 두 가지가 있으며, 서로 마주 보고 서 있다. 남자의 몸체에는 이라 새기고, 여자의 몸체에는‘지하여장 ‘천하대장군 (天下大將軍)’ 군 (地下�將軍) ’이라고 새겨 놓는다. 삼신 할머니는 출산을 도와 주는 신으로, 해산할 때에 왔다가 아이가 10 살이 되면 가는 신이다. 삼신 할머니는 아이가 병을 앓 거나 다치지 않고 잘 자라도록 보호해 준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 들은 아이들이 위험한 곳에 가도 삼신 할머니가 돌보아 주시므로 다치지 않는다고 믿는다. 그래서 아이를 기르는 사람들은 삼신 서 낭 당
장
승
할머니를 지성으로 섬긴다.
는 신이다. 돌무더기를 쌓아 탑 모양으로 한 마을도 있고, 돌을 던져서 아무렇게나 쌓아 놓은 곳도 있다. 길을 지나가는 사람들 은 돌을 주워서 하나씩 올려놓으며 자신의 소원을 빌게 된다. 마을 입구에 오면 장승이 서 있는데, 이 장승은 이정표인 동시 에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이다. 수염을 달고 모자를 쓴 남자의 모습과, 비녀를 꽂은 여자의 모
So˘nang, varies; sometimes, a tower made of carefully piled stones or in some cases merely a heap of stones placed randomly. Travellers halt by the stones to pray for their wishes to come true. Placing or throwing a stone on the heap of stones precedes praying. Just beyond the So˘nang, one finds Changsu ˘ng, a pair of wooden edifices erected at the entrance of villages. Changsu ˘ng is the guardian deity of villages. The male edifice resembles a bearded man wearing a hat. Inscribed on its stem
are five Chinese ideographs, Ch’o˘nha Taejanggun(great general under heaven). The female Changsu ˘ng is called “female general underground” and again this is indicated by the five Chinese ideographs inscribed on its stem. She has a hair knot in the back, which is secured by a traditional hair pin. Samshin is the famale deity who governs the conception and birth of children. She leaves the child to take care of himself when he turns 10 years old, but until that time, she protects the child from illness and injury. Her vigilant care of children puts parents at ease and this is why they serve her with utmost care and attention.
— 104—
— 105—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0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풍수는, 산이나 땅의
2 . 점복과 풍수
모양이 사람의 길흉 화복 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복은, 인간의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해서 미리 알아보기 위
사상이다. 풍수는 자연
한 것이다. 점복을 통하여 나쁜 일이 일어난다는 예언을 받으면
의 재해나 전쟁, 화재 등
미리 이를 막는다.
을 막을 수 있는 좋은 땅 을 택하여 나라를 세우고 명 당 도
집을 지어야만 건강과 부
귀를 누리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신앙이다. 좋은 땅에 집을 짓거나 도읍을 정하면 집안이 잘살게 되고 나라가 부흥하지만, 좋지 않은 땅을 고르면 집안이 재해를 받거나 나라가 멸망하게 된 다고 한다. 특히, 한국의 건국 신화에서는 점복과 풍수에 관련된 이야기가 여러 가지 입체 부작
소원 성취, 만사 대길부
매우 많다.
복을 구하는 인간의 끊임없는 염원을 나타내 주는 부작들
“Cho˘mbok” which translated into fortune-telling predicts what may happen to an individual in the future.
P’ungsu(geomancy) is based on the belief that one’s luck or misfortune has much to do with the shape of mountains and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the concerned locality. P’ungsu was initially devised as a means to selcet a site for establishing a new nation’s capital or building a house, in which local terrains were taken into account. Selecting an auspicious site was believed to ensure the prosperity of a nation or household. Any state whose capital is located in an inauspicious place is believed to be heading for an eventual demise. The mythologies surrounding the founding of our nation abound with stories about fortune-telling and geomancy.
— 106—
— 107—
2. FORTUNE-TELLING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0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삼국유사’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천지가 개벽한 이래로, 이 땅에는 아직 나라의 이름도 없고
다. 처음으로 나온 동자를 수로(首露)라고 하여 가야국의 왕으 로 삼았다.
군신의 칭호도 없었다. 많은 사람들이 산과 들에 모여 살면서 생활을 했는데, 어느 날 거북이처럼 생긴 구지봉 (龜旨峰) 에서
신라를 계림 (鷄林) 이라고 하는 유래도 이와 비슷하다.
사람을 부르는 소리가 났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곳에 모
어느 날 밤 왕은, 서울인 금성 (�城) 의 서쪽 숲 속에서 닭이
이니, 하늘에서 “여기에 사람이 있느냐?” 하고 묻는 소리가
우는 소리를 듣고 이상히 여겨 조사를 해 보니, 한 그루의 나
났다. “우리들이 여기에 있습니다.”하고 대답하니, “너희들이
무 밑에 흰 닭 한마리가 울고 있었다. 나뭇가지에는 금으로 된
이 곳에서 춤을 추면서‘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지 않으면
작은 상자가 매달려 있었다. 그 상자를 열어 보니, 남자 아이
머리를 구워 먹으리라.’하면 훌륭한 대왕을 맞이하게 될 것이
가 나타났다. 그래서 왕은 크게 기뻐하여 성 (姓) 을 김씨 (金氏)
다.”고 하였다. 사람들이 기뻐하면서 춤을 추며 노래를 부르
라 하고, 이름을 알지 (閼智:어린아이라는 뜻) 라고 지어 주었으
니, 하늘에서 붉은색의 줄에 매달린 황금으로 된 상자가 내려
며, 나라 이름을 계림이라고 했다.
왔다. 사람들이 상자를 열어 보니, 해와 같이 둥글고 빛나는 알 이 여섯 개가 들어 있었다. 이 알에서 씩씩한 동자가 여섯 명 이 나왔는데, 열흘 후에는 키가 구 척(270cm)이나 되었다. 이 들의 얼굴은 마치 용과 같았고, 눈동자는 영롱하게 반짝거렸 A paragraph from the “Samguk Yusa(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reads; At the infant stage of nation-building, this country had neither its name nor titles by which the ruler and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Most people lived a communal life in the mountains and plains. One day, a voice came down from “Kujibong(a turtle-shaped mountain)” to look for a man. When people were assembled there, another voice came down from Heaven, asking if there was anyone to receive his order. When the congregated people answered, a third voice came down, asking them to dance while shouting ‘turtle, turtle, why don’t you stick out your head. If not, I will eat your head. If you continue to shout, you will have a great king rule the country.’ When they danced, a golden box fastened by red ropes came down from Heaven. They opened the box to find six eggs glistening in the sun. Six male babies came out of the eggs and grew to be about 270 centimeters tall ten days later. Their faces were similar to those of dragons
— 108—
점복 가운데 꿈에 관한 신앙은 매우 널리 퍼져 있다. 꿈은 인 간의 미래를 미리 예시하여 준다는 것이다.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는 왕이 되기 전에 이상한 꿈
and their eyes twinkled brightly. The first of the six babies, named Suro, became the king of Kaya. The following story shows how the Shilla Kingdom was called “Kyerim” in its earlier day. one night, the king heard a hen crow in the western wood of the capital and approached there to find a white hen under a tree. A small golden box was left where the hen was. When the king opened the box, to his amazement, he found a baby boy in it. The king was so much overwhelmed by the unexpected pleasure that he gave him the name Kim Al-ji(a baby) and the wood was named after the hen, Kyerim or “the wood of the hen.”
— 109—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1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스님은, “그 꿈은 임금이 될 꿈입니다. 수만 마리의 닭이 운 것은 고귀한 자리를 축하하는 소리이며, 다듬이질 소리는 그것 이 가까워졌음을 의미합니다. 꽃이 떨어지면 열매를 맺고, 거 울이 깨지면 소리가 나며, 세 개의 서까래를 진 것은 임금을 뜻 하는 왕 (王) 자의 표시입니 다.”라고 하였다. 태조는 크게 기뻐하여 이 곳에 석왕사라는 절을 짓 고, 해몽을 해 준 무학 스 무학 대사
석왕사 입구의 조계문
님을 국사로 삼았다.
을 꾸었다. 꿈에 수만 마리의 닭이 동시에 울고, 천 집에서 다
이와 같이, 좋은 꿈을 꾸고
듬이질 소리가 들려 오는데, 그가 오래 된 낡은 집에 들어가 서
해몽하는 것은 우리 나라 신
까래 세 개를 지고 나오니, 갑자기 꽃이 떨어지고 거울이 깨졌
앙에서 매우 중요하다. 꿈 속
다. 그래서 그는 스님을 만나 꿈 이야기를 하고 해몽을 해 달
에서 용을 보거나, 봉황이 날
라고 부탁하였다.
아오거나, 부처님을 보는 것
토정비결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is yet another way to foretell the future of an individual. Many Koreans still believe that dreams are a reliable indicators of the good fortune or bad luck that is in store for an individual. Yi So˘ng-gye, the founder of the Choso˘n Dynasty, has a strange dream before he became the king of the dynasty. In the dream, he heard thousands of roosters crowing in unison, together with the sound of thrashing clothes from thousands of houses. Then as he entered an old house and carried out three rafters on his shoulders, blossoms suddenly fell and a mirror broke. After waking up, he visited a Buddhist monk and asked him to interpret his dream.
The monk answered, “The dream means that you will become a king. Roosters’ crowing is a metaphor for congratulations on ascendance to a noble position and thrashing clothes indicates that you are approaching this glory. Fallen flowers give room for fruits and the broken mirror necessarily creates a sound heralding the imminet arrival of an important event. The three rafters on your shoulders make the Chinese ideograph for “king.” Yi So˘ng-gye rejoiced in expectation of becoming a king and built a temple named So˘gwangsa. He appointed a renown monk-scholar to manage the temple. The monk scholar later served him in founding the state. Dreams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s’ belief system and interpreting dreams is still quite common among Koreans today. The dream in which one sees a dragon or the Buddha foretells that something auspicious is coming or that one’s wishes will soon be realized.
— 110—
— 111—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1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은 모두 소원을 성취할 길몽으로 생각한다.
3 . 유∙불∙도 (儒佛道) 삼교 (三敎)
이 밖에, 까치가 날아와 남쪽에 있는 나무에서 울면 좋은 일이 생긴다고 믿는다. 또, 일 년 동안의 재수를 알아보는 토정비결, 얼굴의 모습으로
유교와 불교와 도교는 외래의 신앙으로서, 일찍이 우리 나라에
미래를 예측하는 관상, 손에 있는 손금으로 점치는 수상 (手相) 등
들어와 고유한 신앙이 되었다. 유교는 인 (仁) 을 근본으로 하고,
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사를 가거나, 결혼과 같이 인생의 중요
“자신을 수양한 후에 남을 다스린다〔修己治人〕.”는 것을 이상 (�
한 변동기나 중요한 일을 결정할 때에는 점을 많이 치게 된다.
想) 으로 한다. 개인의 도덕적인 완성을 통하여 가족과 사회와 국
가의 행복을 이룬다는 것이다. 불교는 자비 (慈悲) 를 근본으로 하고,“모든 행위는 반드시 갚음 을 받는다〔因果應報〕.”는 사상에 입각하여 스스로 깨달음을 성취 하고, 마침내 모든 괴로움이 없는 해탈 (解脫) 에 도달하는 것을 이 상으로 한다. 도교는 자연의 대도 (大道) 를 따르는 것을 근본으로 하며,“모든 인위적인 거짓을 버리고 자연과 하나가 된다〔無爲自然〕.”는 것을 이상으로 한다.
3.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f we hear a magpie crowing on the top of a tree, we can anticipate good luck. Besides these, there are other ways of fortune telling. The most typical one is to read “T’ojo˘ng Pigyo˘l(Yi T’o-jo˘ng’s Secrets of Fortune-telling)” to tell the year’s fortune. The lunar day and the time of one’s birth are taken into account in locating a relevant paragraph showing one’s fortune. Kwansang is a popular way of telling one’s fortune by reading one’s physiognomy, particularly facial features or wrinkles on one’s left palm. When it comes to making an important decision at a crucial juncture in one’s life, such as marriage and career choice, Koreans turn to fortunetellers for answers and advic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date back two millennial and have taken root in the minds of Koreans. In many ways, they have become the social norms, customs and religion of Koreans. The essential principle of Confucianism is selfcultivation, the motive for individual growth which emphasized the nurturing of one’s own character based on an ideal morality before attempting to rule over others. Individual growth based on morality is considered the foundation for social health and prosperity. Buddhists believe in a cyclical relation of cause effect; one is rewarded for good deeds and punished for wrong doings. There is no escap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a wrong doing once it has been committed. What one is today is attributed to
— 112—
— 113—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1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신라 시대에는 원효, 의상, 무상 (無相) 선사 등과 같은 훌륭한 승려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원효 대사는“모든 진리는 마음을 따 라서 일어난다.”고 가르치며, 신분의 차별 없이 누구나 깨달은 사람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의상 대사는“우주의 모습은 복잡 하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진리에서 나왔다.”는 화엄 (華嚴) 철학 으로 유명하다. 무상 선사는“마음에 나쁜 생각을 일으키지 않는 해인사 대장경판
해인사 경판고
것은 참다운 진리의 실천이다.”라고 가르쳤으며, 중국과 티베트 의 불교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리 나라의 불교는, 진리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는 인간의 신 분 차별이 있을 수 없다는 평등 사상에 주로 입각하고 있다. 신라와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았다. 특히, 고려는 종교적인 목적 이외에도 외적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대장경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 가운데서‘팔만 대장경’ 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하고 정 화 엄 사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확한 불경으로서, 우리 나라의 자랑거리가 되고 있다. 불교로 나
what one had done before one was born into this world. This presupposes that there is another world that one has gone through prior to entering this world. Selfawakening is what ever y Buddhist aspires to achieve, since it leads one to the stage of “nirvana” which transcends the vicious cycle of worldly affairs. Taoism teaches that one should follow the path of nature and any alternative path, whatever it might be, defies nature and invites disaster. According to its tenets, human beings should be accommodative of and adaptive to nature, thereby becoming part of it. In short, man should live within nature and should not attempt to master it. During the Shilla period, Buddhism consolidated its theoretical base with a succession of renown sages. Wonhyo taught that every truth is found where one’s mind goes and that every one can become an enlightened person irrespective of ˘ isang is well known for his Hua-Yen philosophy, which asserted one’s status. U
that although the universe looks complicated, it can be essentialized to be a derivative of a single truth. Zen Priest Musang taught that avoiding harmful or immoral intentions is the way to become a man of truth. His teaching had a profound impact on Chinese and Tibetan Buddhism. The essence of Korean Buddhism is equality.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everyone can obtain the truth of Buddhism regardless of one’s social status. The Shilla and Koryo˘ Dynasties adopted Buddhism as their state religion. The Koryo˘ Dynasty in particular left many historical relics which represent the golden days of Buddhism. Amongst these the wooden blocks carved to print the Buddha scripture are conspicuous. The carved wooden blocks, consisting of 80,000 pieces, are called the Korean “tripitaka.” In addition to the arduous undertaking of carving wooden blocks, Koreans were the first in the world to invent a movable metal type, 200 years before Gutenberg did. This undertaking was awesome in
— 114—
— 115—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1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라를 지킨다는 호국 불교 (護國佛敎) 는 우리 나라 불교의 가장 큰
위험할 때에는 의병 활동에 앞장섰다. 그러나 가문을 중요시하였
특징이다.
기 때문에 족벌과 당파 싸움의 위험성도 가지고 있었다. 유교의
조선 시대에는 유교가 국교로 신봉되었다. 특히, 이퇴계와 이
이러한 경향은 삼국 시대부터 나라를 다스리는 학문의 역할을 해
율곡은 신유학 (新儒學) 의 성리학을 크게 발전시켰다. 유학의 발달
왔다. 오늘날까지도 유교는 우리 나라 사람들의 윤리 생활에 커
로 충효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유교의 윤리관이 조선 시대의 일
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상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유교에서는 가족 질서와 혼례와
도교는 고구려에서 깊이 신봉되었다. 특히, 고구려의 연개소문
제례가 대단히 중시되었다. 조상을 위하여 제사를 지내거나, 장
은 도교를 깊이 숭상하여, 도사들의 힘으로 나라를 부강하게 하
례식을 화려하게 하고,
려고 했다. 도교에서는‘병이 없이 건강하게 오래 사는 무병 장수
결혼식을 성대히 하는 것 등은 유교의 영향이다. 또, 유교는 교육에 힘 을 쓰고, 예의를 중시하 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의리 (義理) 와 학문을 숭 종묘 제례
상하기 때문에, 나라가
도교의 사상을 나타내 주는 여러 가지 문양
magnitude and nowhere was it rivalled in the 12th century. This invention might not have been possible, had it not been for the devout religious devotion of Koreans to invoke Divine protection against numerous foreign incursions. The Choso˘n Dynasty adopted Confucianism as the state religion. Yi T’oe-gye and Yi Yul-gok distinguished themselves by their contributions to Neo-Confucianism. Ancestor worship engendered elaborately sequenced family rituals and funerals. Sumptuous wedding banquets were another product of Confucian-oriented rituals. Loyalty and filial piety, among others, were the backbone of Koreans’ social norms. Confucian emphasis on learning and education invites serious debates on whether this thought system accelerated or hindered national development. Confucian
emphasis on self-sacrifice made it easier to stir up Koreans to patriotic and heroic deeds when the nation was endangered by foreign invasion. This fact is illustrated by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large numbers, of Korean peasants in militia fighting against Japanese invading forces in the 16th century. Much of Neo-Confucianism was not so much metaphysical speculation as a practical learning of statemanship and administration. It produced specific tenets and code of conducts required of those aspiring to administer the state and rule others. In this sense, Confucianism has made an enormou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s intended to maintain the status quo of traditional society. Confucianism has penetrated the inner layer of the Korean psyche, acting as a guide to behavior and everyday life. Belief in Taoism was stronger in Koguryo˘ than any of the other three kingdoms. There was a tendency among the rulers to turn to Taoist priests for assistance and
— 116—
— 117—
kor ˛(¿ ) 1–˙3(099-124)
2007.1.13 11:16 AM
˘
` 11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無病長壽) 와 신선 (神仙) 이 되기’ 를 추구하였으므로, 거북, 학, 사
4 . 서학 (西學) 과 동학 (東學)
슴 등과 같이 오래 사는 생물을 숭상하였다. 유교와 달리 약한 여 자와 어린이들의 생명력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복지를 증진시 키기에 힘을 썼다.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생활을 좋
근대 개화기를 맞이하여 서양의 전도사들이 중국에 많이 와서
아하였으므로, 엄격한 유교의 질서 생활과 충돌이 일어나기도 하
새로운 학문과 기술을 전하였다. 중국에 사신으로 갔던 사람들은
였다.
이러한 새로운 문명에 접하고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이들을 통하여 서양의 학문과 종교가 자연스럽게 전파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서구 사상은 한국의 전통적인 유교 제례와 많은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보수적인 지배 계층에서는 서구의 사상과 신앙이 한국의 사회 질서와 전통적인 예절 생활을 위태롭게 한다 고 생각하였다. 근대의 유명한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도 천주교를 신봉하면서 새로운 학문을 이용하여 빈곤하고 무지한 사회를 개혁하려고 했 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보수적인 왕실과 충돌하게 되어 천주 교인의 탄압을 초래하였다.
4. OCCIDENTAL STUDIES AND ORIENTAL STUDIES advice in charting a new strategy for the well-being of the state. Animism wa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aoism : it esteemed animals with long life expectancy, such as the turtle, crane and deer and used them as the symbol for the good health and longevity of the people. Unlike Confucianism, Taoism was interested in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women who were socially disadvantaged. The Taoists enjoyed a greater latitude of behavior free from many of the restrictions and injunctions, which confined others. No doubt, they often collided with the Confucianists who tended to be dogmatic, stubbornly following specific codes of conduct.
At the turn of the century, Christian missionaries set their eyes on the East, particularly China, as a new frontier for the spreading of the gospels. At that time, Korea remained isolated, the so-called “hermit kingdom,” giving no entrance whatsoever to outsiders. Nevertheless, Korean officials dispatched to China came into contact with missionaries and learned something through them about this “new world” that they had never before encountered. These contacts helped them to open their eyes wide to new types of learning and soon they began to doubt the absolute truth of Confucian dogma including its claim to be the sole vehicle for ruling the state. However, the new Western thought were strange to average Koreans and were
— 118—
— 119—
kor ˛(¿ ) 1–˙3(099-124)
2007.1.13 11:17 AM
˘
` 12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절두산 성지
W
천주교는 정부로
는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러한 때
부터 박해를 받게 되
에 최제우는 전통적인 민족 신앙과 유
었 고 , 19세 기 에 들
교, 불교, 도교를 토대로 인내천의 가
어와 몇 차례에 걸친
르침과 인간의 평등을 내세워 동학을
박해로 서양의 신부
창시하였다.
와 많은 천주교인들
동학을 일으킨 최제우는 “나라를 지
이 처형을 당하였으
켜 백성들을 편안히 하고 백성을 널리
며, 이에 분노한 프
구제한다〔輔國安民 廣濟蒼生〕.”고 하면
랑스는 함대를 보내어 항의를 하기도 했다.
서, “사람이 바로 하느님과 같다〔人乃
이와 같이 사회가 혼란하고 민심이 불안한 가운데 청나라와 러
天〕.”는 교리를 널리 폈다. 그는 하느
시아,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등이 통상을 요구하였다. 이제
님을 모시는 것〔侍天主〕은 사람을 공경
한국도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된 어지러운 상
하고 받드는 것이기 때문에, 어린아이
황에서, 서양의 사상과 종교에 대한 비판과 우리의 고유 신앙과
와 여자들은 하느님과 같으니 꾸짖거나 때리지 말라고 하였다.
전통 사상에 대한 반성이 일어났다.
천도교 교회
이러한 개혁 사상은 근대의 종교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편,
특히, 서양의 과학 문명과 동양의 사상을 조화롭게 결합시키려
크리스트교는 조선 말기에 미국에서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와
prohibited by the rulers on the ground that they might weaken traditional value. Some rulers were so concerned that they would erode the social fabric of Korean society that they pursued a ruthless persecution of Roman Catholics. Catholics were martyred in waves as the royal edicts ordering the execution of Christians were promulgated. Cho ˘ng Yak-young was a great Neo-Confucian scholar who ascended through the hierarchy of bureaucracy, and received the special favor of the king. He was among a few renown scholars who were awakened to the logic and practicality of Occidental studies and who later converted to Catholicism. Deploring the inert society and illiterate people, he devised innovative measures to combat the invalid society. However, his innovative ideas earned him enemies amongst those who clung to the old status quo. Later, Cho ˘ng himself was a victim to factional strife and was banished to the south coast.
The Royal Court’s crack down on Roman Catholicism continued to intensify, culminating in two separate massacres of Christian believers, including several Western priests. France dispatched its naval fleet in protest against the persecution. At the same time, Korea’s rulers failed to cope with foreign affairs, Korea became immersed in a vortex of internal disturbances. Emasculated, the penetration of Western influence into Korea was imminent. Russia,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forced Korea to open its door and conclude commercial treaties. At the grassroot level, however, there was a renewed movement to restore traditional values and harmonize them with Western thought. Their slogan was “Know yourself first before you learn alien culture.” Ch’oe Che-u founded Tonghak(Eastern Studies) which espoused “equality” and
— 120—
— 121—
kor ˛(¿ ) 1–˙3(099-124)
2007.1.13 11:17 AM
˘
` 12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전도 활동을 시작하면서 전파되었다. 그리하여 크리스트 교 단체를 중심으로 교육, 의료, 봉사 활동
5 . 신종교와 종교의 역할
의 각 분야에서 근세 한국의 근대화를 주도하였으며, 크리스트 교 의 박애와 봉사, 계몽 정신은 근대 한국에서 크리스트 교가 급성
근대와 현대에 들어와 많은 종교들이 일어나게 되었는데, 이들 을 신종교 (新宗敎) 라고 부른다.
장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여러 가지 종교 의식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is new religion was a cr ystaliz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traditional beliefs. He further insisted that people, regardless of their social standing, deserve the same respect and care as given to God, and that children and women in particular were in need of protection, since they were susceptible to discrimination. This movement was tragically shortlived. Protestant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1860s by American misionaries.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s were the more immediate concern than spreading the gospels. Since they addressed more urgent problems of the people, they did not follow the thorny path that Roman Catholicism had taken. In short, they attempted to seek harmony with Korea’s traditional thoughts. For this reason, Protestantism has surpassed Roman Catholicism in terms of its number of believers.
In recent years, new religions have sprung up and expanded their sphere of influence. Some have been in conflict with others or complemented the growth of others.
— 122—
— 123—
5. NEW RELIGIONS : THEIR ROLE IN MODERN SOCIETY
kor ˛(¿ ) 1–˙3(099-124)
2007.1.13 11:17 AM
˘
` 12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무속 계통과, 유교, 불교, 도교, 크리스트교 등에서 파생된 것 과, 이들을 혼합한 것, 외국에서 들어온 것들이 있다. 이들은 현 대인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실용성을 위주 로 한다. 초월적인 힘이나 능력을 통하여 정신적인 만족감과 행 복한 미래를 얻으려는 신종교는, 사회, 교육, 문화 등 여러 측면 에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현대 사회는 다원화 사회이다. 다원화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종교와 서로 다른 의견들이 함께 조화를 이루면서 발전을 하게 된 다. 한국 문화 안에서 종교적인 신비한 힘의 인식, 영원한 행복 의 획득, 유한한 시간의 초월 등을 실현하는 창조력으로서 종교 의 힘은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다.
Some originated from traditional beliefs, while others evolved from one religion or a mixture of several religions. Although they differ in their goals, we can identify one common trend : their beliefs are generally concerned with the secular world, that is, curing illness, realizing one’s wishes and becoming immortal. All of these amount to an act of funneling the transcendental power of Almighty God to human needs spawned in the dust of daily life. Modern society should be accommodative of new and diversd religions, since it has room for pluralism. It is absurd, on the part of the state, to defend one religion to the exclusion of others. In a situation where diverse religions exist, it is important to explore a way of living in harmony with other religions. The people who seek to appreciate wonders of religion, acquire a permanent happiness and transcend the limits of time should be assured of a haven in religion. Religion should bring itself to serve these desires of secularized mortals.
— 124—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Ⅳ. 세시 풍속과 민속 놀이
1 . 세시 풍속 2. 민속 놀이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2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력으로 전승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조선 말에 양력을 받아들여
1 . 세시 풍속
오늘날 양력이 생활화되었으나, 세시 풍속만은 음력으로 지켜지 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명절이라 할 수 있는 설과 추
한반도는 자연의 경관이 아름답고 날씨가 온화하며 땅이 기름 져서, 아득한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 곳을 삶의 터전으로 삼 고 농사를 지으며 살아 왔다.
농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계절이나 24절기가 태양의 운행 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지만, 우리 민족이 달의 운행에 맞추어 만
우리 조상들은 일찍부터 벼농사
들어진 음력을 생산력으로 삼고 농사를 지어 온 까닭은, 음력이
를 짓기 시작하였는데, 봄에는 씨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권의 역법이었을 뿐 아니라, 불을 밝히
를 뿌리고, 여름에는 가꾸어 주
는 수단이 별로 없었던 옛 농경 사회에서, 달 밝은 밤은 모두 모
며, 가을에는 거두어들이고, 겨울
여 한낮의 피로를 풀고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며, 또 달은 신비롭
에는 갈무리하며 쉬는 삶을 되풀
고 아름다운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하는 가운데, 철따라 하는 일들 이 세시 풍속으로 굳어졌다. 한편, 우리 민족은 예부터 음력 세시 풍속도(달맞이)
석도 음력에 맞추어 공휴일로 정해져 있다.
을 써 왔으므로, 모든 명절이 음
우리 조상들이 지켜 온 세시 풍속은 철따라, 그리고 다달이 구 분해서 살펴볼 수 있으나, 여기서는 지금까지도 뜻깊게 전승되고 있는 설, 한식, 단오, 추석 등의 4 대 명절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자 한다.
The Korean peninsula is blessed with beautiful scenery, a mild climate and fertile soil. Koreans have inhabited this propitious land for several millenia, depending on agriculture as the major means of livelihood. Rice has been and still is the staple grain of Koreans. From ancient times they have sowed seeds in the spring, nurtured rice plants in the summer, harvested crops in the autumn and preserved cereals through the winter. This cycle of farming has become part of Korean culture and influenced many of the customs of the Korean people. While engaging in agriculture, Koreans developed annual events and found it convenient to observe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It was at the turn of the
century that the Gregorian calendar was introduced to Korea, setting the standard for all official events, yet some events and customs of traditional origin are still observed on lunar days. So ˘l(New Year Day) and Ch’uso ˘k(Korean Thanksgiving Day) are the most typical of the traditional events observed by the lunar calendar. The length of the four seasons, composed of 24 solar terms, is determined by the orbital motion of the earth around the sun, but for ancient Koreans the position of the moon around the earth was much important, for it marked the season’s change and important dates for agriculture. The moon has been a familiar companion of people, playing its role as a guide in the farming schedule and illuminating dark nights to invoke an aesthetic sensitivity to mother nature. Among the important dates that Koreans observe by the lunar calendar, four stand out as an important part of Koreans’ customs. They are Hanshik(a day of cold food), Tano, Ch’uso ˘k(Korean Thanksgiving Day) and New Year Day.
— 126—
— 127—
1. ANNUAL CUSTOMS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2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서 안방 벽에 걸어 두는 풍습이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1) 설
설날 아침에는 몸을 깨끗이 하고, 아이들은 설빔으로 마련해
정월 초하루인 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명절 중의 명절이며, 사람마다 나이를 한 살씩 더 먹게 되는 경사스러운 날이다.
준 새 옷을 차려 입고 먼저 차례를 지내게 된다. 설날 아침에 제 일 먼저 차례부터 지내는 뜻은, 새해를 맞이하여 조상에게 인사
설 전날, 즉 섣달 그믐날에는 세찬을 장만하고, 집 안 청소를
드리고 은혜에 감사하기 위해서이며, 자손들이 장손 집에 모두
하고 목욕으로 다음 날 아침, 즉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면서
모여 한 자리에서 함께 차례를 지낸다. 우리 나라에서 설날을 사
묵은 해를 보내게 되는데, 마
흘 연휴의 공휴일로 정한 것은, 도시에 나와 살고 있는 젊은 사
음은 이미 설날의 기쁨으로
람들이 부모님이나 형님이 살고 계시는 시골로 돌아가서 차례에
설레게 되므로 ‘작은설’ 이라
참례할 수 있도록 해 주기 위해서이다.
고도 한다.
설날의 차례에는 떡국을 제수로 꼭 갖추며, 차례가 끝난 다음
섣달 그믐날 밤에 자면 눈
에는 자리를 정리하고 집안의 어른들에게 새해 첫인사로 세배를
썹이 희어진다고 하여, 아이
드린다. 세배가 끝나면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여 앉아 차례상에
들은 밤새 잠을 자지 않으려
제수로 올린 세찬과 떡국으로 아침 식사를 한다.
고 애쓰며, 자정이 넘어 새해
아침 식사 후에는 일가 친척과 이웃 어른들을 찾아 세배를 드
아침이 다가오면 복조리를 사
리게 되는데, 세배를 드릴 때에는“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는
New Year Day, the so-called“So ˘l,”is the most festive day of the year. Everyone gets one year older on this day, irrespective of one’s birthday. On the eve of the New Year Day, a variety of foods are prepared for ancestral ceremonies. Koreans in the past were so overwhelmed by the anticipation of the upcoming year that they used to keep awakes for the entire night to receive the New Year. This custom developed into a playful joke warning against sleep :“if you fall
asleep, you will get your eyebrows turn white.”Even today many Koreans customarily hang ladles on the wall to pray for good luck in the new year. On the morning of New Year Day, all family members dress in their best clothes called“so ˘lbim(new clothes of So ˘l)”and gather for an ancestral ceremony at the eldest son’s house. In the case where the eldest son lives in a rural area, family members residing in other areas take great pains to get to the eldest’s home so as to pay obeisance to their parents and ancestor. The desire of Koreans to reunite with the family on this occasion is so strong that a three day holiday is granted to allow time for a visit to one’s hometown. On the New Year Day, rice cake soup called“Tto ˘kkuk”is the feature of table foods prepared for the ancestor worship ritual. Before the altar, all members and relatives pay obeisance to the deceased ancestors. When the ancestral ritual is over, they sit around the table to indulge in the foods displayed for the ceremony.
— 128—
— 129—
복 조 리
(1 ) So ˘l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3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말과 함께 절을 올리고, 세배 를 받는 어른은“새해에는 꼭 소원을 성취하게.” 라는 덕담
은 연을 날리고, 여자 아이들은 널뛰기를 한다. 그리고 어른들은 편을 갈라 윷놀이를 하는데, 남자들은 밖에서 멍석을 깔고 놀며, 여자들은 집 안에 모여 논다.
을 건네 주신다. 세배는 보통
윷놀이는 긴박감 넘치고
초사흘까지 다 마치게 되나,
흥겨운, 한국의 대표적 민
멀리 떨어져 사시는 어른께는
속 놀이로서, 지금도 설에
대보름까지 찾아뵙고 세배를
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널리
드리면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행해지고 있다.
것이 된다. 그리고 세배를 온
설날을 상징하는 음식은
사람에게는, 어른이면 술과 음식을 대접하고, 어린아이이면 떡이
바로 떡국이다. 떡국은, 멥
나 과일과 함게 세뱃돈을 준다.
쌀가루를 쪄서 큰 안반 위
세
배
이와 같이, 새해를 맞이하여 아랫사람이 웃어른께 세배를 드리
에 놓고 나무로 만든 메로
고, 서로 덕담을 나누며 축복해 주는 아름다운 풍경은, 지금도 우
쳐서 부드럽게 하여 떡가래
리 한국의 어느 집, 어느 마을에서나 볼 수 있는 미풍 양속이다.
를 만든 후 썰어 놓았다가
이윽고 설날 오후가 되면 민속 놀이가 시작된다. 남자 아이들
안반과 떡메
상을 차릴 때 끓이기만 하
떡메로 떡을 치는 모습
Customarily, elders receive visits and greetings from their offspring, relatives and neighbors. In return. they visit and give greetings to their elders. The junior members of the family solicit virtuous words from their seniors by performing formal bows. The seniors usually respond by saying“My best wishes for the realization of your dreams this year.”This encounter occasionally leads the seniors to tell their own or others’ stories about persons who have been rewarded for their virtuous deeds.“Sebae(New Year’s bows)”are performed within three days of the New Year Day. But the exchange of greetings is allowed until the 15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in cases where offspring live far away from parents. Adult visitors are given wine and food, and children are given pocket money for doing Sebae. They regard such annual greetings as a precious legacy which should be preserved by all means. Visits to family elders who perform ancestral ceremonies are still
common place in Korea. Folk games begin in the afternoon of New Year Day. Boys fly kites and girls play on a seesaw called“No ˘lttwigi”in Korean. Young couples dressed in their colorful Hanbok dot the streets of large cities. They are hurrying to the eldest’s home to pay obeisance to their ancestors.
— 130—
— 131—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3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면 되는, 지금의 인스턴트 식품과 같은 것이다. 요즈음은 방앗간
로는 색동저고리를 입기도 한다.
에서 다 만들어 주므로 떡판이나 떡메는 민속 박물관에나 가야
설빔으로 화려하게 차려 입고 널
볼 수 있게 되었다.
을 뛰는 처녀들의 모습을 담 너머
또, 설을 위해 준비하는 음식물로는 콩이나 깨를 엿과 버무려
로 바라보면, 벌써 봄이 되어 백
만든 강정을 들 수 있고, 달콤하고 시원한 식혜와 수정과도 빼놓
화가 만발한 듯한 느낌을 준다.
을 수 없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도 해마다
설날을 가장 명절답게 해 주는 것이 여자 아이들의 설빔이다.
정초에는 한복을 아름답게 차려입
보통 다홍 치마에 연두색 저고리 혹은 노랑 저고리를 입으나, 때
고 세배 길에 나선 젊은 부부와 아이들로 거리는 온통 꽃밭처럼 화사해진다. 설날부터 시작된 갖가지 축제
설빔 차림의 나들이 모습
행사는 정월 대보름까지 계속된다. 대보름날은 새해 들어 처음으 로 보름달을 맞이하는 즐거운 명절로서, 아침 일찍 부럼을 깨무 는 일부터 시작된다. 아침에 일어나면서 호두, 잣, 밤, 은행과 같 강
정
식
혜
은, 껍질이 딱딱한 열매를 깨물어 까 먹으면 1년 내내 종기나 부
Although the official New Year holiday lasts three days, festive mood grips people well into Taeboru ˘ m, the first full-moon day of the new year. The first fullmoon day marks an important day on the lunar calendar, since it is occompanied by many customs. One familiar custom is to crack nuts with one’s teeth —— a practice which is believed to keep one’s teeth healthy for the year. On the first full-moon day, the market is full of a variety of nuts, notably walnuts and peanuts, with crowds and peddlers blocking the streets.
In the countryside, people ascend mountains, braving cold weather, trying to catch the first rise of the moon, carrying torches in their hands as a gesture of welcome. It is said that the first person to see the moon rise would have many good tidings all year round. With the full moon rising out of the reddened east sky, torches are laid down on the ground and people put their palms together to wish for the realization of their dreams. Farmers pray for bumper crops : a young lass wishes for a handsome groom; and elderly people wish for the spirits of their ancestors to guard their families against evil forces. Koreans used to foretell the year’s harvest by the shape of the moon and the color of the moon-lit halo. Red spoke of a drought and white of a flood. A thick halo predicted poor crops for the year.
— 132—
— 133—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3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스럼을 앓지 않는다고 한다. 지금도 보름이 가까워지면, 시장은
이 두꺼우면 풍년이 들고
호두나 땅콩을 사는 사람들로 붐빈다.
얇으면 흉년이 들 징조라
대보름날 저녁은 달맞이를 한다. 한겨울 저녁의 추위가 매섭지
고 한다.
만, 사람들은 남보다 먼저 달을 보기 위해 횃불을 들고 뒷산으로
대보름날 아침에는 쌀
올라간다. 동쪽 하늘이 붉어지고, 드디어 한 아름이나 되는 보름
과 조, 수수, 콩, 팥을
달이 떠오르면, 사람들은 횃불을 땅에 꽂고 두 손 모아 합장하며
섞어 오곡밥을 지어서 이
제각기 소원을 빈다. 농부는
웃끼리 서로 나누어 먹는
풍년이 들기를 빌고, 도령은
풍습이 있고, 지난해 말
과거에 급제하기를 빌며, 총
려 둔 고사리, 도라지 등
각은 장가 가기를, 처녀는 시
의 산채와 콩나물, 숙주나물로 나물을 요리하여 먹는다. 그리고
집 가기를 기원한다. 그리고
대보름의 별식이라고 할 수 있는 약식은, 찰밥에 대추, 밤, 잣을
달빛이나 달의 윤곽을 보고 1
섞고 간장과 참기름을 부어 찜솥에 넣고 쪄서 만든다.
정월 대보름의 달맞이 불놀이
정월 대보름의 상차림
년 농사를 먼저 점치기도 하
또, 대보름에는 개를 굶기는데, 이는 음식을 먹이면 여름에 파
는데, 달빛이 붉으면 가물고,
리가 끓고 토하기 때문이라고 한다.“개 보름 쇠듯 한다.” 라는 속
희면 장마가 들며, 달의 윤곽
담은 여기서 나왔다.
For breakfast on Taeboru ˘ m, a five-grain bap is prepared to ser ve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The five-grain bap consists of rice, millet, Indian millet, beans, and red beans. It is served with various herbs which have been dried and preser ved during the preceding year. One of the special foods on this day is “Yakshik”which is made of glutinous rice, chestnuts, pinenuts, honey, sauce and sesame oil.
On this day, Koreans do not give any food to dogs because they believe that dogs which eat on this day will contract gad flies and vomit a lot in the coming summer. There is an old saying“like a dog fed on Taeboru ˘ m”and this refers to a person weak and susceptible to summer heat and other diseases. Various folk games are played from New Year Day to Taeboru ˘ m. Kite flying is quite popular, played by both children and adults. On the last day, the string is cut,
— 134—
— 135—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3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대보름에는 또한 설날부터 시작한 여러 가지 놀이를 마감한다.
한식에 찬 밥을 먹는 풍습은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했다고 하나
연날리기도 연줄을 끊는 연싸움으로 끝을 내고, 윷놀이도 마을
지금은 이름뿐, 없어진 풍습이다. 오늘날 한식의 의미는, 얼었던
사람들이 모두 모여 최종 결승전을 벌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땅이 풀리는 계절을 맞이하여 돌아가신 조상을 기억하고, 무덤을
박력이 넘치는 경기는, 한 고을을 동서로 나누어 대항하는 줄다
돌보는 데 있다. 이 날은 조상의 산소를 찾아 성묘하고, 무덤이
리기이다. 달맞이와 동신제가 끝나고 나서, 온 동네 사람들이 다
헐었으면 잔디를 다시 입히며, 묘지 둘레에 나무를 심기도 한다.
동원되어 벌이는 줄다리기는 협동심과 애향심을 길러 주는, 농경
한식은 마침 우리 나라
사회의 대표적 놀이로서, 함성이 하늘을 찌르는 웅장한 경기이
의 식목일과 겹치므로,
다. 그 밖에도 지방에 따라 남자들의 경기인 고싸움, 동채싸움
공휴일을 맞이하여 많은
(차전놀이) , 여자들의 놀이인 놋다리밟기 등이 있다.
사람들이 가족 단위로 성 묘 길에 나서기 때문에,
(2) 한식(寒食)
묘지가 있는 교외로 나가
한식은 24 절기의 하나인 청명 다음 날이고, 동지로부터는 105 일째 되는 날로서, 양력으로 4월 5일경이 된다. 이 무렵은 하늘
는 길은 온통 사람들로 한식날의 성묘
붐비게 된다.
이 맑아지고, 들에는 새싹이 돋아나며, 농촌에서는 봄갈이를 시 작하고, 채소 씨를 뿌리는 희망에 부푸는 때이다. freeing the kite, and letting it fly high into the air until it disappears. Yunnori is another popular game which all family members enjoy on the festive day. The most thrilling game is a tug of rope which sets the unified force of the people of a village against one another. There are other folk plays, including Kossaum(loop fighting), Tongch’aessaum(wheel fighting), Nottaribalkki(human bridge stepping) and Kanggangsullae(a circle dance).
Hansik, literally meaning“cold food”, falls on the 105th day after the winter solstice, corresponding to fifth of April by the Gregorian calendar. At this time of year, the sky becomes clearer and buds sprout in the field. Farmers sow various seeds and supply water to their rice paddies. It is the time for everyone to be refreshed by new hopes after the long doldrums of winter.
The custom of eating cold food on this day is believed to originate from a Chinese legend, but recently this custom has dissppeared. Today the new version of Hansik is to welcome warm weather thawing frozen lands. One this day, rites to worship ancestors are observed early in the morning, and the family visits the tombs of their direct ancestors and tidy up the tombs. Hansik offers people an opportunity to look after the tombs of their ancestors. Since this day coincides with Arbor Day, public cemeteries are crowded with visitors planting trees around the tombs of their ancestors.
— 136—
— 137—
(2) Hansik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3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다가 녹음 사이로 사라지곤 하는 풍경은 마치 선녀들의 놀음과도
(3) 단오(端午)
같다.
단오는 음력으로 5월 초닷새이다. 이 날, 여자들은 창포 삶은
한편, 모래판에서 사나이들이 서로 힘을 겨루는 씨름은 늠름한
물에 머리를 감았는데, 이렇게 하면 머리카락에 윤기가 흐르며
기상을 드러내는 가장 사나이다운 민속 놀이이며, 지금도 우리
빠지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런 풍습은 얼마 전까지만
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경기로 꼽히고 있다.
하더라도 시골에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없어졌다. 오늘날, 단오는 그네 뛰기와 씨름 등의 민속
그 밖에, 지방에 따라서는 탈을 쓰고 향촌 사회를 풍자하는 탈 춤을 추는 곳도 있었는데, 단오에 이처럼 활기에 찬 놀이들이 성 행한 것은 아마도 계절 탓이었을 것이다.
놀이로써 명절의 전통을 이어 오고 있다.
단오의 풍속도(신윤복, 조선 시대)
(4) 추석(秋夕)
여자들의 놀이인 그네
추석은 음력으로 8월 보름이고, ‘한가위’ 라고도 하며, 설과 더
뛰기는 무척 흥겹고 율
라는 말 불어 우리 나라 최대의 명절이다.‘한가위’ 는‘가배 (嘉俳) ’
동적인 놀이이다. 화려한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신라 시대에 여섯 고을의 여자들이 달
빛깔의 치맛자락을 바람
밝은 밤에 대궐 뜰에 모여, 임금님을 모시고 두 편으로 갈라져 베
에 날리며 하늘로 치솟았
짜기 내기를 한 후 여흥을 즐긴 데서 나온 말이라 전한다. most popular sports in Korea. In addition, mask dance used to be popular among peasants due to its penchant for satirical lyrics flouting local aristocrats.
(3) Tano
˘k (4) Ch’uso
Tano falls on the 5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On this day, women once washed their hair in water boiled with“Ch’angp’o(calamus plants which was believed to make the hair shiny).”This custom has now disappeared even in the countryside. The persisting folk plays of Tano are manifested in“Ku ˘ne(swing)”and“Ssiru ˘m (Korean wrestling).” Ssiru ˘m, in which men contest in power and skill by toppling opponents, is the most typical folk play demonstrating masculinity. Nowadays it is regarded as the
The 15th day of the 8th lunar month is called Ch’uso ˘k(the harvest moon) or Hangawi in pure Korean. Since this day marks the harvest time, it is regarded as the equivalent of American Thanksgiving Day. And it is celebrated as enthusiastically as the New Year Day. Hangawi originated from the word“Kabae.” In the Shilla Kingdom era, the capital was divided into six divisions. Women in the six divisions were organized into two competing groups to contest their skills in weaving hemp clothes in the presence of the king. Following the contest, they enjoyed a banquet and various pastimes. This day was called Kabae.
— 138—
— 139—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4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들썩해지고, 시골로 가는 모든 도로는 귀성하는 사람들의 승용차 로 붐비게 된다. 추석에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은 송편이다. 송편은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햇콩이나 참깨로 소를 넣어 두 손가락으로 질끈 눌러 모 양을 다듬은 후 솔잎을 사이사이에 넣어 찐 것으로, 차례상에도 올리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기도 한다. 무르익은 햇과일
추석에는 햇곡식으로 송편과 술을 빚어 햇과일과 함께 상을 차
한국 사람이면 누구나 어릴 때 가족이 모여 앉아 송편을 빚은 추억을 가지고 있을 만큼, 송편은 추석을 대표하는 떡이다.
리고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그리고 산소를 찾아 한여름 동안 무성해진 풀을 베고 성묘를 한다. 이 날은, 한 해 동안 땀 흘려 얻은 수확을 조상의 은혜로 돌리고 감사드리는, 말하자면 우리 나라의 추수 감사절인 것이다. 이와 같은 아름다운 풍습은 지금도 잘 지켜지고 있어서, 추석 은 설날과 마찬가지로 사흘 연휴의 공휴일로 되어 있으며, 해마 다 이 때가 되면 고향을 찾아가는 사람들로 우리 나라 전국이 떠
송
편
온 가족이 둘러앉아 송편 빚는 모습
Nowadays, early this morning, Koreans perform an ancestor worship ritual with an offer of food made of new crops, visit the tombs of their immediate ancestors and trim the plants of the tombs. Har vest crops are attributed to the blessing of ancestors and Ch’uso ˘k offers an unique opportunity to refresh the memory of our gratitude to ancestors. The Korean concept of hometown is distinct because of its af filiation with ancestor worship and its impact on the mode of observing Ch’uso ˘k. The hometown is not only the place where one is born or grows up. It is also the place for enshrining the spirits of one’s ancestors. Leaving one’s hometown means departure from one’s ancestors. This fact alone accounts for the flocking of Koreans to hometowns for reunion with relatives and the spirits of their ancestors on festive days like Ch’uso ˘k and the New Year Day.
Songp’yo ˘n, a crescent-shaped rice cake, is one major food prepared on Ch’uso ˘k. Ever y Korean cherishes childhood memories of making Songp’yo˘n with other family members. Ch’uso ˘k is favored over other festive days by fine weather, the full, bright moon and an abundance of foods made of new crops and various folk plays creating a festive mood.
— 140—
— 141—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4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또, 추석은 날씨 가 선선하고 먹을 것
리 조상들이 살아온 삶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풍부하며 달이 휘
이제 그 특징을 알아보면, 첫째로는 조상을 공경하고, 경로 효
영청 밝아서 한 해
친하는 정신을 들 수 있다. 이는 명절의 차례와 설날의 세배에 잘
중 가장 좋은 시기이
나타나 있다.
므로, 가장 큰 명절
둘째로는, 서로 돕고 사는 공동체 생활의 윤리를 들 수 있다.
답게 지방마다 여러
음식은 함께 나누어 먹고, 놀이를 같이하면서 명절의 즐거움을
가지 민속 놀이가 성
나누었다.
행했다. 사자놀이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민족의 세시 풍속은 바로 우
고을마다 풍물을
치며 춤을 추는 농악의 요란한 광경을 볼 수 있고, 중부 지방에
셋째로는, 자연과의 조화를 들 수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이 마 음 속에 투영되어 명절날의 복장과 놀이에 색채와 율동으로 표현 되었다.
서는 소먹이놀이, 서북부 지방에서는 사자놀이, 경상도 지방에서
넷째로는, 고대 무속 신앙의 흔적을 들 수 있다. 초자연적인 힘
는 줄다리기, 전라도 지방에서는 강강술래 등, 온 나라가 축제 분
에게 재앙을 피하고 풍요를 가져다 주도록 비는 고대 사회의 소
위기 속에 파묻힌다.
박한 제사 의식이 근대화에 밀려 자취만 남아 있다. 오늘날, 산업 사회에서 자연은 훼손되어 인간의 생존이 위협받
A variety of folk games are played on Ch’uso˘ k, but it varies depending on locality. A lion dance is conducted in the north-western province, a tug of rope in the Kyo ˘ngsang Province and Kanggangsullae in the Cholla Province. For all the variation of games, the farmer’s musical band is prevalent in all provinces.
We have taken a glimpse into the unique life patterns of Koreans through their traditional events and customs. The characteristic highlights of Koreans’ life patter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we appreciate in ancestor worship rituals and So˘ llal’s greetings, Koreans set great store in ancestor worship, filial piety to parents and respect for elders. Second, There is a strong sense of community ethics that emphasizes the virtue of sharing foods and work with neighbors. Cooperative ventures and promoted through folk games played on festive days. Third, Harmony with nature is an consistent point of emphasis, as reflected in the mode of traditional costumes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traditional house and the rhythm of folk plays. Four th, Ancient shamanism has left its legacy in the form of belief in the
— 142—
— 143—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4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고 있고, 인간 관계는 형식화되어 인간성을 상실해 가고 있는 이
2 . 민속 놀이
때, 우리 민족의 세시 풍속에 나타나 있는 정신은 이러한 병폐를 막아 주는 방패 구실을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우리는 세계 어느 곳에서 살고 있을지라도 한국인의 전통적 미
우리 조상들은 단조로운 일상 생활을 벗어나 흥겹고 즐거운 한
풍 양속인 세시 풍속을 잘 전승하여, 쾌적하고 인정미 넘치는 사
때를 보내고, 명절의 축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기 위해 여러
회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가지 놀이를 해 왔다. 이와 같은 놀이는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사 람들에게 전승되어 오면서 민속 놀이로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우리 민족은 역사가 오랜 만큼 민속 놀이도 다양하여, 지금까 지 널리 행해지고 있는 것이 많다. 윷놀이처럼 한 사람씩 하는 놀 이가 있는가 하면, 줄다리기처럼 여러 사람이 함께 어울려 하는 놀이도 있고, 널뛰기, 그네뛰기, 놋다리밝기, 강강술래처럼 여자 들만의 놀이가 있는가 하면, 씨름, 동채싸움, 고싸움처럼 남자들 만의 놀이도 있다. 또, 민간 신앙의 제사 의식으로 행해졌던 무당의 굿이나 광대 놀이도 구경하는 이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흥겨운 놀이라고 할 수
supernatural power as the guardian against natural disasters. Shamanism has maintained its precarious existence amid the onslaught of modern civilization and technology. Koreans are confronted with unprecedented problems. Nature has been impaired by the upalatable concomitants of industrial society. Human relations are losing the warmth of heart and individuality is lost in the gigantic machine oriented toward ruthless objectivity. The traditional norms and rituals that Koreans have preserved through its turbulent process of modernization are considered an antidote to problems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recognized merit of Koreans’ heritage awaken Koreans to a new mission imposed on them, that is, to spread their traditional values and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humanism. Koreans stand ready to join in the Herculean task of creating a better world to live in.
Koreans have developed various folk games to escape from the mundane affairs of life and to make festive days more enjoyable and delightful. Some of these games have disappeared, while others have survived the tortuous path of Korean history. Some are as old as the history of Korea itself. The folk games which we seek today are of various types. Yunnori(4 wooden block game) is played to entertain all family members ; the tug of rope is a kind of contest between two rivaling teams ; No ˘lttuigi requires two girls to play on a wooden board; Kanggangsullae is a mass game which combines dancing and singing ; Ssiru ˘m is a match of physical strength between two contesting men ; and Kossaum(loop fight) is a king of contest matching the unified power of two
— 144—
— 145—
2. FOLK GAMES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4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있고, 농민들의 소박한 정서를 가무로 표현한 농악과 탈춤은 오
달하고 격렬한 운동이지만, 담 너머로 바라보이는 처녀들의 널뛰
늘날 단순한 놀이의 수준을 넘어 전통 예술로 계승되고 있다.
는 모습은 율동적이고 아름답다.
여기에서는, 명절의 세시 풍속으로 정착되어 지금도 잘 전승되 고 있는 민속 놀이들을 여자들의 놀이부터 시작하여, 남자들의 놀이와 남녀 공통의 놀이 순으로 알아보기로 하겠다.
놀이 도구우우너비 30 cm, 길이 3 m, 두께 5 cm 가량의 두꺼운 널빤지 중간을 짚 묶음으로 괸다. 놀이 방법우우널 양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교대로 뛰면, 내 리딛는 반동으로 맞은편 사람이 공중으로 높이 치솟게 되며, 널
(1) 널 뛰 기
밖으로 떨어지면 다른 사람과 교대한다. 널뛰기는 정초에 우리 나라 어느 지방에서나 볼 수 있는
(2) 그네뛰기
여자들의 놀이이다. 유래는
단오가 되면 우리 나라 어느 지방에서나 널리 행해진 그네뛰기
잘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우
는 널뛰기와 함께 우리 나라 여성들의 대표적인 놀이이다. 원래,
리 민족의 고유한 놀이이며,
북방의 유목민들이 가볍고 날랜 몸가짐을 익히기 위해 하던 놀이
다만 일본 오키나와에 비슷한
가 중국과 우리 나라에 들어와 여성들의 놀이로 자리잡혔다고 한
놀이가 전해지고 있다 한다.
다. 싱그러운 초여름의 푸른 숲을 배경으로 제비처럼 잽싸게 곡
여자들의 놀이로서는 매우 활
선을 그으며 날아오르는 우아한 풍경과는 달리, 강인한 의지력과
rivaling teams. Mudang’s kut(Shaman ritual), which is observed as a form of folk religion and Kwangdaenori(clowns play) give fun and pleasure to onlookers. Farmer musical bands and mask dances have developed into a kind of traditional art, apart from games for pastime, by offering outlets for peasants’ feelings.
A wooden board, 3m long, 30cm wide and 5cm thick, is placed with its center buttressed by a bundle of straws. Game Method Two girls stands at opposite ends of the board. As one stamps her feet on the board, the other soars into the air. As one descends, the other rises up. Taking turns, the two partners continue to seesaw until one of them fails. For a neighbor lad, girls soaring into the air, with their baggy skirts fulltering in the wind, sighted above fences, must have been a long-awaited sight. It requires special skill in balancing oneself at the moment of soaring and descending to the rhythm of the board.
널 뛰 기
Game Implement
˘lttwigi (1 ) No
˘ne (2) Ku
On the New year Day, No ˘lttwigi is the most lively and dynamic play for women. Its origin has not been identified but it is said that it has its equivalent in Okinawa.
On Tano,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women and children in new clothes flock together in search of amusement. Among the amusements of this day,
— 146—
— 147—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4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지구력을 필요로 하는 힘
방울을 발로 차서 높이뛰기의 내기를 한다. 그네는 혼자서 뛸 수
드는 놀이이다.
도 있고, 한 그네에 둘이 마주 보는 자세로 타고 뛸 수도 있다.
놀이 도구우우농촌에서 는 오래 된 버드나무나 느티나무 가지에 밧줄을
(3) 놋다리밟기 놋다리밟기는 경상 북도 안동 지방의 부녀자들에게 전승되고
U 자 모양으로 무릎 높
있는 정월 대보름의 놀이
이까지 늘어지게 매고,
이다. 놋다리는 인다리
막대기 두 개를 새끼로
〔人橋〕라는 말이며, 고려
엮어 발판으로 올려놓았
말 공민왕이 난리를 피해
으나, 알맞은 나무가 없는 도시에서는 높이 10 m 정도의 기둥을
이 곳에 왔을 때 동네 젊
두 개 세우고, 그 위에 통나무를 가로질러 고정시킨 다음 그넷줄
은 여자들이 몸으로 다리
을 맨다.
를 만들어, 왕비인 노국
그네뛰기
놀이 방법우우두 손으로 그넷줄을 꽉 잡고 팔과 허리와 다리를
공주가 개천을 편히 건널
놀리면서 두 발을 구르면, 그 반동으로 그네의 흔들리는 폭이 넓
수 있게 해 주었다는 전
어져 높이 날아오르게 된다. 경연 대회에서는 장대에 높이 매단
설에서 유래한다. 노래
놋다리밟기
(3) Nottaribalkki the greatest is swinging. The Korean swing originated from the nomad people of North Asia, who used it for physical training and it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a. In old days many women had been secluded in their homes all year round, but on this day they came out in beautiful colored dresses to sway to and fro like swallows. Their beauty was enhanced when they played against a backdrop of thick greenery tucked away from town centers. Game Implement In the countryside people hang long ropes from the branches of tall trees, especially willow trees or elm trees. Game Method Often a contest begins where those who fly up the highest and kick a bell hung on a pole are declared the winners. The swing is played by a single or doubles standing face to face.
This is a folk game played by young women especially in an area called Andong in the Northern Kyo˘ ngsang Province on the 15th day of the first full moon. “Nottari”means a bridge made of human bodies and“Palkki”means stepping. When these two are put together, it carries a connotation of“stepping over a human bridge.”The story about the origin of this game goes like this ; Around the end of the Koryo ˘ Kingdom, King Kongmin and his wife, escaping a peasants’ rebellion, were passing through Andong and its vicinities. When the king and his wife arrived at a stream, women in a nearby village came out and huddled together in a row with their backs forming stepping stones, over which the queen crossed the stream. Later, this developed into an amusement game accompanied by singing.
— 148—
— 149—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5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와 유희로 우애와 화합을 다지는 즐거운 집단 놀이이다.
들의 애국심과 함께 한
놀이 장소우우넓은 마당이면 아무 데라도 좋다.
국 무용의 아름다움을
놀이 방법우우사람들이 모이는 대로 흥겹게 합창하며 놀다가,
보여 주는 놀이이다.
모두 일렬로 서서 허리를 굽혀 앞 사람의 허리를 끌어안고 머리
놀이 장소우우바닷가의
를 왼쪽으로 숙여 놋다리를 만든다. 그러면 공주가 좌우 양편에
모래밭이나 넓은 풀밭이
서 부축하는 두 사람의 시녀 손을 잡고 등 위로 천천히 걸어간
좋다.
다. 이 때, 한 사람이 질문 형식의 앞소리를 부르면 모두들 합창 하여 뒷소리로 대답하면서 밤늦도록 흥겹게 논다.
놀이 방법우우여러 사 람이 손에 손을 잡고 둥 근 원을 만든 후, 목청이
(4) 강강술래
강강술래
빼어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모두 함께“강강술래”라고 뒷소
강강술래는 전라 남도 남해안 일대에 전승되어 오는 놀이로,
리로 받으면서 춤을 춘다.
추석 명절 달밤에 부녀자들이 곱게 단장하고 추는 민속 무용이
노래는 처음에 느린 가락으로 시작해서 차츰 빨라지고, 춤도
다. 이 놀이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적들에게 해안을 지
노래에 따라 알맞게 변해 간다. 손은 편한 대로 잡고, 발은 보통
키는 우리 군사의 수가 많은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달밤에 부
걸음으로 디디며, 뛰게 될 때는 힘껏 뛴다.
녀자들을 해안에 모아 춤을 추게 한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선조
Young women gather at a village square singing songs merrily and line up in a row. Then they bend forward, each holding the waist of the one in front with both hands and the line becomes a long stretched bridge. A girl stepping over the bridge initiates singing to be accompanied by the group’s antiphony. Game Method
This dance was performed on the night of the eighth full moon in the coastal areas in the south. A story has it that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16th century, young men were in short supply to fight battles against Japanese along the southern coasts. Women clad in soldier’s uniforms were deployed to show off such a massive manpower that scared away the Japanese.
A sands of seashore or a wide grass field Game Method Kanggangsullae is a kind of dance in which a large number of women form a ring and, linking their hands, turn around in circle under the full moon. A woman with a big and beautiful voice leads a song to which the others respond by singing“Kanggangsullae,”the traditional melody of korea. The starting melody of the song is slow but it becomes gradually faster, and a dance is performed to the song.
— 150—
— 151—
Game place
(4) Kanggangsullae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5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5) 팽이치기
(6) 제기차기
팽이치기는 남자 아이들이 즐기는 겨울철 놀이로서, 추운 날씨
겨울철에 소년들 사이에서 성행하는 제기차기는 그 기원이 아
때문에 방 안에서 생활하기 쉬운 때 좋은 운동이 된다.
주 오래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놀이 도구우우팽이는 지름 5 cm 정도의 나무를 원뿔 꼴로 깎아
고대 중국에서 무술을 연마하기 위해 가죽 주머니에 털이나 헝
만들고, 팽이채는 30 cm 정도의 막대기 끝에 알맞은 길이의 끈을
겊을 넣어 발로 찬 것이 시초라고 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이미 삼
매단다.
팽이치기
국 시대에 이런 놀이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오늘날의 제기
놀이 방법우우팽이를 팽이
차기로 놀이의 형태가 갖
채의 끈으로 말아 힘차게 잡
추어지기는 근대의 일인
아당기면서 팽이를 돌린 후,
것 같다. 이 놀이는 다리
팽이가 쓰러지지 않도록 계속
운동도 되지만, 정신 집
팽이채로 친다.
중력도 길러 준다.
얼음판에서 놀면 더욱 좋
놀 이 도 구 우 우한 지 를
고, 오래돌리기, 맞부딪치기
엽전 구멍에 끼워 잘게
로 겨룰 수 있다.
쪼개서 종이 술을 만든
제기차기
(5) Top-spinning Top-spinning is one of the favorite sports of boys, giving an escape from the doldrum of winter. Game Implement The top is made of wood, about 5cm in diameter, cut in a cone shape. A whip made of a kind of rope 30cm long is fastened by one end to a wooden stick. Game Method To spin the top, it takes a lot of whipping in the beginning. Once it has gotten into a self-driven motion, it needs to be whipped at a certain interval to keep it spinning. Playful boys spend hours outdoor, contesting to see who can spin the top for the longest time. The frozen rice paddies or ponds offer the best place to spin the top.
Shuttlecock kicking is very popular among boys. It is said that shuttlecock kicking originated in the practice of kicking a leather bag stuffed with furs and clothes so as to develop skills for a martial arts. Some records date its origin as far back as the Three Kingdom era, but it was only in recent years that the game took the shape that we see today. This game helps people strengthen their legs and enhance their concentration. Game Implement To make a shuttlecock, a piece of Hanji(traditional Korean paper) is wrapped around a coin, its trips inserted through the coin hole.
— 152—
— 153—
(6) Shuttlecock Kicking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5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다. 구멍이 없을 때는 실로 묶는다.
군을 지휘하던 김유신 장군이 큰 연을 만들어 그 밑에 횃불을
놀이 방법우우한 발은 땅에 고정시키고, 다른 발의 안쪽 옆면으
달고 이를 한밤중에 높이 띄우면서, 어제 떨어진 별이 다시 하
로 제기를 차 올린다. 제기를 계속 차 올리기 위해서는 차기 전
늘로 올라간다고 널리 알려, 이를 본 관군의 사기가 다시 올라
에 발로 땅을 딛는 것이 원칙이며, 떨어뜨리지 않고 오래 차는 내
이 난을 무사히 평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
기를 한다.
한국 연은 날렵한 모양과 뛰어난 탄력성으로 날리는 사람이 다 양한 기교를 구사할 수 있게 해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모
(7) 연날리기
양도 가지가지이나, 대표적인 것은 방패연과 가오리연이다.
연날리기는 동양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볼 수 있으며, 설 무렵 이 되면 우리 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남자 아이들은 물론이고 어 른들도 즐기는 놀이이다. 연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는 많으나, 모 두 고대의 전쟁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 중 신라 김유신 장군의 연 과 관련된 이야기는 유명하다. 신라 선덕 여왕 16년(647), 대신 비담 등이 난을 일으켰을 때 한밤중에 큰 별이 월성에 떨어졌다. 이를 본 관군은, 이는 자기 들이 패전할 조짐이라 하여 크게 사기가 떨어졌다. 이 때, 관 The strips are split into numerous pieces which retard the rising and descending of the shuttlecock. With one leg fixed on the ground, the shuttlecock is kicked by the inner ankle of the other. In contests, the winner is determined by the most number of kicks one makes in succession without letting the shuttleneck hit the ground.
방 패 연
가오리연
얼
레
Game Method
Kite flying is a common pastime played in the east and the west. On the New Year holiday, kite flying is popular not only among youngsters but among adults as well. The origin of kite flying in Korea dates back to the Shilla Kingdom. Its association with General Kim Yu-shin is a well-known fact. When a coup d’eta broke out by a traitor named Bidam under the reign of Queen So ˘ndo ˘k(A.D. 647), a big star fell down in Wolsong Country at midnight.
At this unexpected incident, the government soldiers believed that an ominous incident was imminent so their morale sank low. The commander in chief, Kim Yu-shin, made a big kite which carried a torch and let it soar into the air at midnight, illuminating the dark sky. His soldiers were told to believe that the star which had fallen the other day was ascending. At the sight of the rising star, the soliders’ morale was boosted so high that they quelled the rebellion. The Korean kite is designed so as to encourage the kite flyers to demonstrate their skills in flying a kite high, and the bendability of its frame leaves room for the employment of various flying skills. The Pangp’aeyo ˘n(shield kite) and Kaoriyo ˘n (stingray kite) are just two of the many different types of kites.
— 154—
— 155—
(7) Kite Flying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5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놀이 도구우우방패연의 규격 비율은 태극기와 같다. 가운데 방 구멍도 태극과 같은 비율이다. 종이는 한지를 쓰며, 연살은 대나
(8) 씨 름
무를 깎아 쌀미 (米) 자 모양으로 붙인다. 연 윗부분이 뒤로 조금
씨름은 가장 역사가 오래 된 투기이다.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
휘어지게 머릿줄을 매고, 세 가닥의
씨름의 그림이 있는 것을 보면, 이미 삼국 시대에 널리 보급되었
목줄을 매어 얼레에 감긴 실에 연결
음을 알 수 있다. 단오뿐 아니라 여름철 농한기에 경향 각지에서
한다.
널리 행해진 씨름은 농촌 사회의 젊은이들에게 활기를 불어넣어
놀이 방법우우연은 바람을 타고 올
연날리기
주었고, 우승한 장사에게는 황소가 상품으로 주어졌다.
라가는 것이므로 바람이 흐르는 방
지금은 민속 씨름
향으로 연을 띄워야 하며, 바람의
으로 계승되어 기라
흐름과 풍압에 맞추어 실을 풀어 주
성 같은 장사들이 많
거나 감아 주어야 한다. 연놀이로는
이 나타났고, 대중
높이띄우기, 끊어먹기 등이 있다.
들의 사랑을 받는 인
끊어먹기는 연을 서로 교차시켜 연
기 스포츠가 되었
실을 끊는 경기로서, 연실의 강약보
다. 한국 씨름은 둘
다 조종 기술이 승패를 좌우한다.
이 한 몸으로 밀착되
씨
름
(8) Ssiru ˘m
To make a kite, a piece of bamboo is split along its length into fine bendable sticks. These are glued together in the shape of 米 resembling a Chinese ideograph meaning“rice” , and then placed within a square or a triangular frame. Hanji is pasted over the glued bamboo sticks. Game Method It is designed so as to face the wind. The stronger the wind, the higher the kite soars. In kite flying contest the winner is determined by“who flies their kite the highest.”Apart from the wind, the strength of string is another determinant for the height of a flying kite. On the last day of kite flying, the string is cut and the kite is allowed to float freely away.
Among Korean flok games, Ssiru ˘m boasts the longest history. It is depicted in 660 A.D.), wall paintings in the royal tombs of the Koguryo ˘ Kingdom(37 B.C. showing that Ssiru ˘m dates back as early as the pre-Three Kingdom era. Ssiru ˘m is a popular game on Tano(5th day of the fifth month) and tournaments are held in the summer and autumn. Since Ssiru ˘m tests the physical strength of youngsters, it is a show of masculinity and vitality. In the past, the winner was awarded a young bull, the most valuable asset in pre-modern agricultural society. Ssiru ˘m wrestlers, particularly participants in a contest, are called“Changsa” which means“the strongest under heaven.”It is not only physical strength that determines the winner of the contest; a variety of skills are also used to take advantage of the strength of one’s opponent. The wrestler who shows tenacious
— 156—
— 157—
Game Implement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5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어 힘을 겨루기 때문에, 투지와 함께 강한 연대감을 갖게 해 주 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섬세한 기교가 많다. 놀이 장소우우씨름판은 지름 7 m의 원형으로 되어 있고, 모래 바닥의 높이는 50 cm이다.
나 추석에도 했다. 한국의 줄다리기가 일본의 ‘쓰 나히키’와 다른 점은, 승부에 집 착하지 않고 힘의 조화를 찾아 공
놀이 방법우우앉아서 오른쪽 다리와 허리에 두른 샅바를 서로
감대를 형성하는 데 있다. 금방
잡고 어깨를 맞대어 일어난 후, 심판의 신호에 따라 경기를 시작
끝내지 않고, 상대편의 힘이 달리
한다. 먼저 상대편을 넘어뜨리는 쪽이 이긴다. 씨름 기술은 매우
면 늦추어 주고 강해지면 잡아당
다양하나, 배지기, 돌려치기, 안다리걸기, 바깥다리걸기 등이 대
기면서 오래 겨룬다.
표적인 것이다.
놀이 도구우우마을을 동서로 나 누어, 집집에서 짚을 모아 각각
(9) 줄다리기
줄을 만든다. 먼저, 새끼를 꼬아
줄다리기는 동남 아시아 해안 지대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
여러 번 합사해서 동아줄이 되면
줄다리기
을 보면, 농경과 어로를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공동체 의식을
손잡이 줄을 무수히 매달고, 머리는 고리 모양이 되게 한다. 줄
일깨우고,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행한 놀이로 믿어진다. 우리 나
이 다 되면 수레에 감아서 놀이 장소로 운반하여 펴 놓는다.
라에서는 남쪽 지방에서 정월 대보름에 성행했으나, 때로는 단오
놀이 방법우우동서 양 편 줄의 고리를 교차시켜 통나무로 비녀
fighting spirit is praised, even in the case that he loses th match. Game place The wrestling ground is a round sand stage, 7 meters in diameter and 50cm in height. Game Method Two players face each other, sit on their knees and hold the opponent’s“Sappa(a thick cloth band to be gripped by hands),”the right hand holding the waist band and the left hand holding the upper right thigh. They rise to their feet and begin the contest at the signal of a judge. The player who topples his opponent or causes him to touch the sand floor first is declared the winner.
Considering that the tug of rope was prevalent both in farming and coastal areas it may be pre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a ritual encouraging mutual aid amongst farmers and fishermen. The tug of rope used to be played on the 15th of
the lunar month and sometimes on Tano(5th day of the 5th month) and Ch’uso ˘k (15th day of the 8th lunar month). The Korean tug of rope is different from“Tsnahiki”of Japan in that the former puts greater emphasis on fostering the solidarity of villagers, while the latter is played for victory. Game Implement The youths of a village are divided into two teams, the eastern and the western. Every inhabitant is required to contribute straws to make a rope. Individual contributors are formed into a team, as others join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main rope. The head of each rope has a looped end. The woven rope is wound around wheel and carried to the play ground. Game Method The two ropes, one from the eastern and the other from the western team, are unfolded and their looped ends are connected by inserting an oak stick through the loops. The playground is pompously decorated with flags, gongs
— 158—
— 159—
(9) Tug of Rope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6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처럼 꽂아 연결하면, 온 마을 사람들이 모두 나와 줄다리기가 시
께 협동심, 애향심을 길러 주는 놀이이다.
작된다. 풍물 소리 요란하고 깃발이 나부끼는 가운데, 경기는 쉬
놀이 도구우우길이 7 m 정도의 참나무 두 개의 끝을 X자 모양
어 가면서 사흘 동안 계속된다. 당겼다 놓아 주었다 하다가 마지
으로 묶고, 가운데에 판자를 얹어 그 위에 방석을 깔아 동채를 만
막 날 오후가 되면 경기는 절정을 이루어, 마침내 승부를 낸다.
드는데, 동채란 수레의 방언이다. 동채를 만들 나무를 산에 가서 미리 물색하여 두고, 잘라 올 때까지 부정을 타지 않도록 새끼줄
(10) 동채싸움
을 쳐 둔다. 동채싸움은 경상 북도
놀이 방법우우인원 수는 제한이 없고, 머리꾼과 동채꾼으로 나
안동 지방에서 정월 대보
누어 경기를 하는데, 머리꾼은 피라미드형으로 대열을 지어 팔짱
름에 행해진 놀이로서,
을 끼고 적을 막으며, 동채꾼은 대장이 탄 동채를 메고 대장의 손
차전놀이라고도 한다.
짓에 따라 적을 공격한다.
유래는, 후삼국 시대
동채 머리를 위로 올려 적의 동채 머리를 눌러 땅에 닿게 하면
에 안동 성주가 왕건을
이긴다. 이긴 쪽은 상대편 대장이 앉은 방석을 뜯어 던지며 환호
도와 견훤을 물리친 것을
한다. 수백 명이 함성을 지르며 격전을 벌이는 경기 장면은 매우
기념한 데서 비롯되었다
웅장하다.
고 한다. 상무 정신과 함
동채싸움(차전놀이)
and cymbals to urge in a fighting spirit. When the two teams are evenly matched, it takes a couple of days to determine the winner. When the game slows down, the combatants take breaks, but they must be steady and tenacious in order to win the game.
The wagon war called“Ch’ajo ˘nnori”is a folk game which has been transmitted down to today in Andong District, once a territory of the Shilla Kingdom, It was played on the 15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 rumour has it that the first game of its kind was played in honor of the victory of Wanggon, the founder of the Koryo ˘ Dynasty, in defending Andong Castle from Kyo˘nhwon, the king of Later Paekche. This contest cultivates fighting spirit, mutual cooperation and local patriotism of the participants.
This folk game is also called Tongch’aessaum. Tongch’ae means a wagon in local dialect. When it comes to making an immitation wagon, villagers locate suitable oak trees in the mountain and mark the area with a straw rope. An immitation wagon is constructed by crossing two oak trees, each 7m long. On the spot where the two trees cross, a wooden board is placed with a rug placed on it. Youths from one village engage those from a nearby one. Game Metho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players. Two wagons dash forward at the order of the commander in chief sitting at the haed of the wagon. Where the two teams are bumped against each other, each is trying to get the better of the other. The contest is fought until one of the teams touches the ground and the winner should snatch away the rug from the loser and show it to the public. Good luck is believed to visit the village of the winning team all year round. The dramatic victory is followed by the thunderous roar of the watching crowd.
— 160—
— 161—
(10) Wheel fighting or the Wagon War
Game Implement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6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에 멜 수 있도록 가랫장을 달면 고가 완성된다.‘고’ 라는 말은 옷
(1 1) 고싸움
고름처럼 매듭 위로 빼낸 고리를 말한다.
고싸움은 전라 남도 광산 지방에서 전승되고 있는 정월 대보름
놀이 방법우우동군, 서군 양 편은 각각 자기네들의 고를 메고 달
의 놀이이다. 유래는 풍수설에서 나왔으며, 황소 모양을 한 지세
밝은 밤에 횃불을 앞세워 놀이 장소로 온다. 한동안 서로 어르다
의 거센 기운을 누르기 위해 하는 놀이라 한다. 패기와 투지가
가 줄패장의 명에 따라 멜꾼들이 고를 밀어 맞부딪치면, 고의 대
넘치는 경기이다.
가리는 하늘로 치솟고, 줄패장은 밀치고 밀리며 싸움은 무르익는 놀 이 도 구 우 우대 나 무 한 다발을 둥글게 휘어 새끼줄을 감아 고의 대가 리를 만들고, 지렛대를
고 싸 움
다. 농악대의 풍물 소리와 나부끼는 깃발은 열기를 부채질한다. 상대편 고의 대가리를 땅바닥에 주저앉게 하면 싸움은 끝난다.
(12) 윷놀이
여기에 연결하여 새끼를
우리 나라 고유의 민속 놀이로 알려진 윷놀이는 남녀 노소와 귀
감아 고의 몸뚱이를 만든
천의 구별 없이 가장 보편화된 정초의 놀이이다. 이 놀이의 기원
후 고의 대가리를 세운
은 잘 알 수 없으나, 이미 삼국 시대부터 행해진 것으로 추측된
다. 고의 몸둥이에 두 가
다. 설날의 정취에 어울리게 우애와 화목을 도모해 주는 건전한
닥의 꼬리를 달고, 어깨
대중 오락으로서, 지금도 설이 되면 동네 어른들이 골목에 멍석 Two contesting teams are formed, one representing the eastern part and the other representing the western part of a village. The contestants arrive at the play ground, carrying torches on the night of full moon. After a preparatory show-down, the team dashes forward with their Go at the captain’s signal. When the two Go’s collide, the heads of the Go’s rise high up in the ai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Go fighting produces much excitement. The vehement contest reaches its climax when it is coupled with signal flags and the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interspersed with gongs, horns and hand drums. The team which knocks its opponent to the ground is the winner. Game Method
(1 1) Gossaum Gossaum(loop fighting) has been transmitted in Kwangsan district of SouthWestern Province as a folk game performed on the 15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Go means a loop of a string which is fastened to another on the jacket of Hanbok. This game has a geomancy-related origin. According to geomancy, bullshaped terrains harbour fierce spirits, thus local people have developed rituals to appease the evil spirits of this type of area. Loop fighting is one of rituals serving this purpose. Game Implement Bamboos are bent to form rings. A bundle of bamboo rings are tied together by straw ropes to form a loop. This loop is connected to a long log, which forms the frame. Go is completed when the frame and the loop are mounted on bars to be shouldered by people.
— 162—
(12) Yunnori Yunnori(four wooden blocks game) is the most popular folk game which entertains everyone, regardless of age, occupation and gender. Presumably, the first of
— 163—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6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을 깔고 흥겹게 윷을 노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놀이 도구우우윷은 보통 박달나무나 통싸리나무로 만든다. 지름 3 cm 정도의 줄기를 15 cm 정도의 길이로 두 개를 잘라 반 쪽을 내어 네 가락을 만든 후 잘 다듬어, 색깔을 칠하여 모양을 낸다. 윷판은 규격에 맞게 종이에 그리고, 윷말은 한 편에 네 개씩, 편 을 구분할 수 있도록 모양이나 빛깔을 달 리하여 준비한다.
판
윷놀이 도구
놀이 방법우우놀이
개가 잦혀지면‘개’ , 세 개가 잦혀지면‘걸’ , 네 개 모두가 잦혀지
인원은 두 사람 이상
면‘윷’ , 모두 엎어지면‘모’ 라고 한다. 윷놀이의 규칙을 몇 가지
여러 사람이 편을 지
적어 보면 다음과 같다.
어 놀 수 있다. 윷을
① 두 편에서 한 사람씩 나와 번갈아가며 논다.
던졌을 때, 윷짝 네
②‘도’ 는 1 밭,‘개’ 는 2 밭,‘걸’ 은 3 밭,‘윷’ 은 4 밭,‘모’ 는 5밭
개 중에서 한 개만 윷 놀 이
윷
잦 혀 지 면 ‘ 도 ’, 두
을 간다. ③‘모’ 나‘윷’ 이 나오면 한 번 더 논다
its sort was played in the Three Kingdom era. Today, we can obser ve elders playing this game with much amusement. Game Implement Yut utilizes four wooden blocks, each block measuring six inches long and one inch wide and having one flatside and one round side. Game Method The players are divided into home and visiting teams. Each player throws the yut two or three feet in the air, letting the four pieces fall on a mat. One of the following five combinations of blocks results : one flat, three
round ; two flat, two round ; three flat, one round ; four flat ; or four round. The first counts like a single base hit in baseball, the second a double hit, the third a triple hit, the fourth and fifth home runs. The game board consists of a circular diagram drawn on a mat and, as each player throws the yut with a yell, the result is recorded by advancing a token around the circle in a race to reach“home”first. The“four flat”or the“four round”gives the player a right to cast the blocks once again. The team whose four tokens reach home first is the winner.
— 164—
— 165—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6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④ 어느 한 편에서 먼저 말 네 개가 윷판을 돌아 시발점이자 종 착점인‘참’ 을 빠져 나오면 이긴다. ⑤ 말이 윷판의‘모’ 나‘뒷모’ ,‘방’ 에 다다르면 지름길로 갈 수 있다. ⑥ 상대편 말이 있는 점에 오면, 이를 잡고 한 번 더 논다. ⑦ 자기 말이 있는 점에 오면, 두 동, 석 동, 넉 동으로 동무 하여 함께 갈 수 있다. 전통 민속 놀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우리에게 전승되고 있는 민속 놀이에는 우리 민족의 지혜와 정서, 삶의 즐거움이 담겨 있다. 이제 그 특징을 꼽아 보면, 첫째로, 공동체에 대한 강한 소속 감을 들 수 있다. 함께 어울려 서로 힘을 모아 놀이를 진행해 가 는 가운데 강한 유대감을 가지게 된다. 둘째로는, 서로 함께 살아가는 넉넉한 마음의 여유를 들 수 있
통해 서로 하나가 되는 뿌듯한 만족감을 더 중시한다. 셋째로는, 밝고 건전하면서 은근한 재미를 들 수 있다. 순간적 인 쾌감은 적을지 몰라도, 여운이 오래 남아 생활을 순화시켜 주 기도 한다. 넷째로는, 슬기와 재주를 들 수 있다. 놀이 도구의 제작은 민 속 놀이가 가진, 놀이 이외의 다른 한 면의 가치를 보여 준다.
다. 편을 갈라 경기를 해도 상대편을 이기는 것보다 힘의 균형을
오늘날, 각종 서구식 스포츠가 판을 치고 있고, 배금주의와 감
We have briefly studied a few Korean folk games which have been passed down by many generations. Through these plays, we may derive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Koreans’ way of life as follows; First, Koreans attach a great significance to the solidarity of their village. Second, The village itself is regarded as an extended family and its inhabitants are treated with the same degree of understanding, compassion and love as their own family members.
Third, Each of the folk plays has a moral concern, apart from the physical aspect. Goals are clearly manifested in the games. Fourth, Koreans show their inherent skill and bright wisdom in the process of the folk plays and by making implements for them. Today various foreign sports have penetrated Korean society. Its concomitants
— 166—
— 167—
kor ˛(¿ ) 1–˙4(125-168)
2007.1.13 11:18 AM
˘
` 16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각적 쾌락의 추구로 인간의 정신 세계까지 황폐해 가고 있는 현 대 사회에서, 우리의 전통적 민속 놀이의 계승과 재현은 놀이 문 화의 타락을 막아 주는 데 큰 구실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도 조상들의 귀중한 문화 유산인 민 속 놀이를 배우고 익혀, 외국인들에게 한국인의 멋과 건강한 모 습을 보여 주어야 하겠다.
are worship for material wealth, superficialism and sensualism which may turn out to be detrimental to our own values. At this time, the revival of the traditional folk games is crucially important as a way to seek harmony with new cultures. Koreans overseas should learn and develop a new awareness of their own precious heritage so that they actually par ticipate in the promotion of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on the part of foreigners with whom they are brought into daily contact.
— 168—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Ⅴ. 의식주 생활
1. 의 생 활 2. 식 생 활 3. 주 생 활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7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겨울철에는 솜 바지, 솜 저고리와 같은 핫옷을 입고, 봄, 가을
1. 의 생 활
에는 겹옷을 입으며, 여름에는 홑옷을 입었다. 그러나 현재는 핫 옷은 거의 입지 않고, 겹옷을 만들어 입는 것이 보통이다.
춘하추동 사계절의 구분이 뚜렷한 한국에서는 옷도 그 절기에
남자 한복의 재료 (옷감) 는, 겨울에는 명주, 노방주와 같은 고급
맞게 만들어 입었다. 한복은 우리 민족의 생활 양식에 알맞게 만
품은 주로 부유층에서 사용하고, 서민층에서는 무명, 광목 등을
들어진 옷으로, 우리 문화의 상징이며, 우아한 곡선미가 몸 전체
썼다. 여름에는
에 흐르게 된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옷을 입는 사람이 자신의
모시, 안동포,
몸에 잘 맞도록 맵시 있고 예의바르게 입지 못하면, 한복 특유의
삼베 등 통풍이
아름다움을 살릴 수가 없게 된다.
잘 되고 몸에 붙
우선, 한복을 예쁘고 품위 있게 잘 입으려면, 때와 장소, 옷의 형태, 착용 목적에 맞게 입어야 한다.
지 않는 시원한 천으로 옷을 만 들어 입었으며,
(1) 남자 한복 평 상 복
서민층에서는 주
우남자의 한복은 바지저고리가 기본이 되며, 저고리
로 삼베옷을 입
위에는 조끼와 마고자를 덧입는다.
었다.
바지저고리
남자의 평상복(마고자 입은 모습)
1. CLOTHING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called“Hanbok”vary with the distinct weather of the four seasons. As a symbol of our traditional culture, the development of the Honbok mirrors the changing patterns of Korean life. It is well known for the characteristic beauty of its curving around the figure. The unique beauty of the Hanbok is further highlighted by a harmonious match of a jacket and skirt. If the Hanbok is to look elegant and dignifie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 occasions in which Koreans wear ceremonial clothes. (1 ) Male Hanbok Ordinar y Clothes
The male Hanbok basically consists of a“Paji(trouser)”
— 170—
and a“Cho ˘gori(jacket).”They often come with“Chokki(vest)”and“Magoja(overjacket).” In winter Koreans used to wear thick clothes like cotton-padded trousers and jackets. In spring and autumn they wore thin double-layered clothes. Single-layered ones were favored in summer. Nowadays men scarcely wear the cotton-padded clothes because of their preference for double-layered clothes. Men’s wears were made of high quality silk for the rich and cotton for the commoners. They also made summer outfits with a thin cloth which let air in and out to dry out perspiration. Hemp clothes used to be quite popular for ordinary people in summer.
— 171—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예 복
˘
` 17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우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 입는 예복에는 평례복과 대례복이 있고, 상례 때에 입는 옷에는 상복이 있
다. 평례복은 평상복에 두루마기를 갖추어 입고, 머리에는 갓을 썼으나, 근래에는 갓은 쓰지 않게 되었다. 대례복은 전통적인 혼례를 올릴 때에 입는 옷으로, 단령을 입 고 관대를 두르며, 사모를 쓰고 목화를 신는다.
상례 때에는, 상주는 바지저고리에 중단과 제복을 입고, 머리 에는 굴건을 썼다. 이것을 굴건 제복이라고도 한다. 속
옷
부 속 품
우속저고리, 속적삼, 속바지, 속고의 등이 있었으 나, 근래에는 메리야스 내의를 입는다. 우버선, 대님, 허리띠, 사모와 목이 올라온 신 등의 부속품을
사용하였다. 근래에는 모두 양말을 신고 대님을 매며, 허리에는 허리띠 또는 혁대를 매고 구두를
목
화
사
모
신는다. 남자의 한복 입는 순서 는 다음과 같다. ① 속옷을 입는다. 남자의 대례복(관복)
굴건 제복
② 바지를 입고 허리의
허 리 띠
Koreans were required to wear special clothes on such occasions as banqute, festive days and funerals. Ceremonial dresses were divided into ordinar y and grand ritual outfits. When it came to going out, they wore “Turumagi(overcoat)”and“Kat (a horse-hair hat).”These were ordinary outfits in the past but today none of Korean youngsters wears the Kat. The grand ceremonial dresses were intended for traditional wedding ceremonies. They consisted of a set of formal dresses for a civil official, a hat, belt and a pair of deer-skin boots.
At the funeral ritual, the eldest son of he bereaved family wore a funeral robe and a mourning hat made of hemp cloth, together called“Kulgo ˘njebok.” Undergarments Each outfit entails its respective underwear, including undershirt, under-trouser and so forth. It was indeed redundant to wear the prescribed outfits and their under-garments in old days. As time passed, the redundant wears have fallen out of use. Wears have been simplified into a common style and today cotton-made wears are used widely. Accessories The accessories for the traditional costume included“Po ˘so ˘n (traditional Korean socks).” “Taenim(ankle bands),”a belt, a horse-hair hat and high-neck shoes. It was only in recent years that Koreans began to wear regular socks, leather belts and leather shoes. It was not only that Koreans were fastidious about the kinds of wears and accessories to be used on ceremonial occasions ; they paid as much attention to the way they were worn.
— 172—
— 173—
Ceremonial Costume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7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
(2) 여자 한복
하고 허리띠를 맨다. ③ 저고리를 입고, 동정니가 잘 맞게 여며 고름을 맨다. ④ 버선이나 양말을 신고 대님을 친다. 대님을 칠 때에는, 먼
평 상 복
우여자의 한복은 옷맵시가 풍성 하면서도 선이 곱고 침착하여
저 마루폭의 솔기를 발목 안쪽 복사뼈에 댄 다음, 발목을 싼
정적인 아름다움을 잘 나타내 준다. 한복을
끝이 복사뼈에 닿도록 해서 대님을 발목에 대고 두 번 돌린
입으면 저절로 몸짓이 다소곳해지고 조용해
후,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고, 나머지로 고를 만들어 맨
지며, 걸음걸이 또한 천천히, 조용하게 걷게
뒤에 바지 끝을 내려 마무리한다.
되어, 우아한 품위를 드러내게 된다.
⑤ 조끼를 입는다.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
평상복으로는 치마저고리가 기본이 되는 데, 나이가 어렸을 때에는 다홍 치마에 회장
록 한다. ⑥ 마고자를 입는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
을 단 노랑 또는 연두색 저고리를 입는다. 중년이 되면 남치마에 노랑 또는 연두색 저
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고리에 회장을 달아 입고, 노년으로 접어들
⑦ 두루마기를 입는다. 남자의 두루마기는 의례적인 옷이므로, 외출을 하거나 예 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반드시 입어야 한다.
In general, Hanbok is put on in the following sequence ; ① Wear underwear. ② Wear a trouser, tighten the baggy trousers by folding at a point giving a slight grip around the waist and fasten a belt ③ Wear an inner jacket and tie coat strings at the point giving a line-up of two collars around the neck ④ Wear Po ˘so ˘n or socks and tie ankle bands. ⑤ Wear a vest. At this time, be careful not to let the jaket slip out of the vest. ⑥ Wear a“Magoja.”Make sure that the jacket’ s sleeves do not slip out of the Magoja. ⑦ Wear“Turumagi”when attending ritual or ceremony.
— 174—
면 옥색이나 연회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 또 는 옥색 저고리에 회장을 달아 입는다.
젊은 여자의 평상복 차림
(2) Women’s Hanbok Women’s Hanbok was made to cover as much of the woman’s body as possible. The dexterously curving line along the sleeve gave a touch of elegance and serenity. The baggy skirt, which extended down to the floor led its wearer to take careful steps, producing a dignified look. The women’s basic clothes consiste of a“Ch’ima(high crimson skirt)”and “Cho ˘gori(a yellow or light soft green jacket with colorful strings).” The middle-aged women often wore a blue skirt and a yellow or light green jacket with colorful strings. The elderly women wore a light bule or a light grey skirt and jade green jacket, with colorful strings. Ordinar y Clothes
— 175—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7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 넓게 퍼지게 만들어 진 긴 치마를 입는다. 예
복
우우리 나 라 여자의
예복으로는 적의, 원삼, 활옷, 당의가 있다. 혼례 때 신부는 노랑 삼회장 저고리에 다홍 치 마, 초록 당의를 입고, 중년 여자의 평상복 차림
노년 여자의 평상복 차림
현대적 감각의 한복
그 위에 원삼이나 활옷을
겨울에는 솜저고리, 누비저고리를 입고, 봄, 가을에는 겹저고
입으며, 화관이나 족두
리, 박이저고리를 입으며, 여름에는 깨끼저고리나 적삼을 입는
리를 쓰고, 노리개로 장
다. 현재에는 겨울에도 솜옷을 거의 입지 않고 겹옷이나 깨끼옷
식한다. 적의는 왕비의 대례복이다.
적
의
활
옷(혼례복)
그러나 편한 서양 의복을 입고 사는 요즈음에는 한복 그 자체
을 입는다. 또, 활동복으로 짧은 통치마가 있고, 행사 때나 파티에서는 폭
가 예복화되어 가고 있으며, 한복도 새로운 디자인이 많이 개발,
Women’s wears showed seasonal changes ; cotton“Cho˘ gori”and quilted “Cho ˘gori”in winter ; a double-layered“Cho ˘gori”in spring and autumn ; and a silk“Cho ˘gori”or an inner vest-typed skirt in summer. Nowadays, women hardly wear quilted clothes. Double-layered or silk clothes are favored over traditional types. A short-seamless skirt is quite popular, for it is designed to give free action and mobility. Long skirts are used for ceremonial and festive purposes.
The ceremonial clothes for Korean women break down into various kinds, depending on the purposes for which they are intended, To name a few ;“Cho ˘gui(queen’ s grand ceremonial outfit),” “Wonsam(a ceremonial costume with red stripes on the sleeves on a background of light green),” “Hwarot(a grand ceremonial costume for princesses),”Tangu ˘i(a full dress with soft green on the outside and pink on the inside),” etc. For wedding ceremonies, the bride wore these ceremonial clothes including a yellow“Cho ˘gori,”a red“Ch’ ima,”and“Chokturi(a black crown).”
— 176—
— 177—
Ceremonial Clothe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7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었다. 대슘속치마와 무지기는 예복용 속옷이다. 요즈음에는 한복용 속바지를 입고 그 위에 속치마를 입는다.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약간 짧게 입으며, 파티용 폭넓은 치마에는 페티코트를 입어 실루엣을 살린다.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는 연한 색의 얇은 옷감으로, 겉저고리보 여러 가지 혜
나 막 신
유행되고 있어, 옷의 형태나 색채, 무늬, 옷감의 재질도 차츰 현
다는 전체적으로 조금 짧게 하여 여름에도 입는다. 장 신 구
대적 감각이 가미되어 변하고 있다. 상복이나 문상복으로는 흰 옷이나 검은 옷을 입는다.
여자가 사용한 장
신발에는 비단에 꽃 무늬를 수놓아 만든 당혜, 가죽으로 만든
신구로는, 옷고름에
가죽신, 비 올 때에 신는 나막신, 짚으로 만든 짚신이 있었다. 지
다는 노리개가 있고,
금은 대부분 고무신을 신으며, 구두를 신기도 한다.
쪽진 머리에 꽂는 여
우겉옷은 속옷을 제대로 입어야 맵시가 난다. 전통
러 가지의 뒤꽂이가
적인 옷차림에서, 여자 속옷으로는 다리속곳, 속속
있다. 비녀도 일종의
곳, 단속곳을 입고, 외출할 때에는 단속곳 위에 너른 바지를 입
장신구로 여겨져, 값
속
옷
여러 가지 장신구
As Koreans have begun to favor Western style clothes, the use of Hanbok has been reduced to ceremonial occasions. The color and style of Hanbok have also begun to mix with modern fashions. On the occasion of mourning and offering condelence, Koreans wear white or black dresses and robes. The traditional shoes divide up into“Tanghye(emberoided flowers on silk),” “Chipshin(shoes woven with straws),”leather shoes and“Namakshin(clogs for rainy weather).”Today Koreans wear rubber and leather shoes. Undergarments The elegance of traditional outfits is displayed when they are put over proper undergarments. Korean women wore lingerie, a slip and underpants in the traditional attire. When they went out, they wore a panty bloomer over these underwears. The inner skirt and inner bloomer were the underwear put on for ceremonies.
Nowadays, men wear inner pants for the Hanbok, and women inner skirts. The women’s inner skirt is a little shorter than the outer skirt. At banquets, the broad skirt is covered by a petti-coat. An undershirt and inner jacket are made of thin cloth with light colors and, by and large, they are shorter than jackets and are worn even in the summer. Ornaments and Accessories Women were fond of“Norigae(trinkets)”which were fastened on the strings of coats and various hair pins which were inserted in their plaited hair. They also regarded“Pinyo˘ (an ornamental hairpin)”as a precious asset indicative of one’s social standing. Today Korean women no longer wear Pinyo ˘. Therefore, Pinyo ˘ and other ornaments which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Pinyo ˘ have disappeared except for a
— 178—
— 179—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지고 좋은 비녀를 갖기를 소망했다. 현재는 쪽진 머리를 거의 하지 않아 비녀와 뒤꽂이는 차츰 사 라져 가고 있으나, 노리개는 많이 착용하기도 한다.
시 있고 품위 있게 보인다. ⑦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하고, 깃고대와 어깨 솔기가 뒤로 넘 어가지 않게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다. 치마허리가 저고리
여자의 한복 입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치마 끝으로 버선이 보이지
① 기본 속옷을 입고 속바지를 입는다.
않도록 정리한다.
② 속치마를 입는다. 폭넓은 치마일 경우, 페티코트를 입는다. ③ 치마를 입는다. 뒤가 트이는 풀치마일 경우에는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7cm쯤 겹쳐지게 입는다. 치맛자락을 여미는 방법 은 일반적으로 겉자락인 오른쪽 자락이 위가 되도록 여며서 왼쪽이 트이게 입는다.
⑧ 노리개를 달 때에는 저고리의 긴 고름에 노리개의 고리를 끼 워 놓고 고름을 맨다. 또는, 치마허리 끈에 끼워 달기도 한 다. ⑨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 위에 목도리를 단정하게 맨다.
④ 속적삼을 입는다.
한복의 미는 저고리의 깃이 구부러지는 곡선과 버선코를 세우
⑤ 버선을 신는다. 버선 솔기가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 게 신는다.
는 수눅선에 있다. 한복의 이러한 곡선미를 건축과 대비하여, 저고리의 깃과 버선
⑥ 저고리를 입는다. 먼저 동정니를 맞추어 안고름을 매고, 다
의 선은 기와집 추녀 끝이 위로 솟아오른 모습이고, 치마의 주름
음에 겉고름을 맨다. 고름을 바르게 매야 고름 맨 모습이 맵
은 기왓골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한국인이 지닌 심
few trinkets. Women wear Hanbok in the following order ; ① Wear inner underwears and an inner bloomer. ② Wear an inner skirt. In the case of a baggy skirt, wear a pettycoat. ③ Wear a skirt. In the case of a long skirt which is split in the back, tighten the skirt by having the right hem over the left one. It is proper to have the right hem overlap the left one. ④ Wear an inner lingerie. ⑤ Wear“Po ˘so ˘n(the socks),”with its curving nose pointed upward. ⑥ Wear“Cho ˘gori (a jacket)”and make sure that one collar lines up with the other before fastening the strings. The way of fastening strings adds elegance and a dignity to the look of the Hanbok.
⑦ Ensure a proper setting of Chogori so that it covers the white (upper) seam of a skirt. The long skirt should be allowed to go down its full length to cover Po ˘so ˘n, since Po ˘so ˘ns are not supposed to be visible. ⑧ When it comes to wearing trinkets, fasten a loop of trinkets on a coat string before fastening it with another string. It is also proper to fix trinkets to a waist string of the skirt. ⑨ Wear“Turumagi(overcoat)” . When it comes to going out, it is proper to wear a muffler neatly around the neck. The beauty of the Hanbok consists in the cur ving lines of the collars on the jacket and the pointed nose of Po ˘so ˘n. The Hanbok is comparable to a traditinal tile house.
— 180—
— 181—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미감이 옷으로 표현된 것이 한복이
뿐만 아니라, 키가 크고 작음도 주름의 좁고 넓음으로 잘 조절하
고, 가옥으로 표현된 것이 기와집이
게 된다.
라는 것이다.
곱게 빗어 쪽진 머리에 옥비녀를 꽂고, 하얀 모시 치마저고리
한복 저고리의 동정은 옷 전체의
를 입은 젊은 여인의 모습은 백의 민족인 한국 여인의 고전미의
균형을 바르게 잡아 주면서, 옷이
전형이다. 여기에 태극선 부채라도 살짝 곁들여 들면, 시원한 한
비로소 옷답게 눈부신 아름다움을
폭의 미인도 (美人圖) 가 된다.
발휘하게 만드는 부분이다. 만약, 한복 저고리에서 이 동정이 없다면, 그야말로 굴레 벗은 말의 꼴이 되고 말 것이다. 특히, 여자의 한복은 유려한 곡선 미의 극치라 할 만한 것이다. 날렵 한 저고리의 도련선 아래로 풍신한 주름이 잡힌 긴 치마는, 뚱뚱하거나 미 인 도
여윈 몸집의 흠을 모두 잘 가려 줄
The collar of“Chogori”and the pointed nose of poson resembles the upwardly curving eaves of a tile-roofed house, and the pressed lines of chima corresponds to the concave lines of the tile roof. In this sense, one can say that the Hanbok and the tile-roofed house are a subject for aesthetic appreciation in Korean culture. By the way in which the two white collars on the jacket dovetai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jacket is put on with balance. Apart from its usefulness in determining proper wearing of attire, the white collar illustrates the beauty of the curving line in the Hanbok.
Ch’ ima with its pressed lines is designed to fit the fat and the slim by allowing itself to expand or shrink to cover the body, defying physical differences. A young woman dressed in Hanbok made of white ramie, with a jade hairpin locking the hair knot in the back, is an ideal profile of a Korean woman. Holding a fan in her hands, she might have become an object for oriental painting.
— 182—
— 183—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고 말할 수 있다.
2. 식 생 활
한국은 삼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음식에 사용되는 재료로 어패 류, 해조류 등 해산물이 많으며, 산이 많아 산채류도 많다.
우리의 식생활은 쌀을 주식으로 하면서도 계절, 지역에 따라
재료가 다양한 것 못지않게 조리법 또한 우리 겨레 특유의 것
많은 종류의 음식이 발달하였다. 상차림과 취사에 쓰이는 기구는
을 많이 발전시켰다. 발효법을 창안하여 간장과 된장을 만들고,
그 종류가 많아, 가내 도구의 대부분이 식생활과 관계되어 있다
이어 식품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포와 젓갈을 만들게 되었다. 또,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키는 김치법을 창안하였는데, 김치 는 우리 겨레 특유의 갖가지 양념을 넣고 담근, 독특한 맛과 색 조미를 가진 한국의 고유 음식으로, 지금은 외국인들까지도 즐겨 먹는 음식이 되고 있다.
(1) 일상 음식 우리 나라는 쌀로 밥을 지어 주식으로 하고, 여러 가지 식품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하여 반찬으로 만들어 먹는다. 밥은 쌀을 여러 가지 김치
김치광(오가리)
2. FOOD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알맞게 물을 붓고 가열하여 짓는다. 밥 Due to the presence of many unique ingredients for food, Korea has developed its own way of cooking distinct from those of its neighbor countries. Most of Korean dishes are fermented. Soy bean sauce, bean paste and Kimch’i are the products of having explored ways to keep foods fresh. Dried and salted fish illustrate another way to preserve foods. Kimch’i pickled with salt, red pepper, garlic, spring onion and condiments is the most common food in Korea and is gaining popularity in other countries. (1 ) Diet
Rice is the staple grain and there are many varieties of subsidiary dishes, which change with season and locality. There are so many kitchen utensils that they constitute a large part of a household’ s belongings. Since Korea is a peninsula, it has an abundance of seafoods such as fish, clam and seaweeds.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side dishes made of herbs.
Steamed rice is served with various siede dishes altogether on one table. Having been washed in water two or three times, the rice is put into a water-filled pot and heated. To make a tasty“Pap.”it requires a specific skill of adjusting a fire torch and the time heating.
— 184—
— 185—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 제맛을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뜸을 잘 들여야 하며, 따라서
에 담는다. 더운 음식으로,
밥을 잘 짓는 데는 기술이 필요하다.
찜은 합에 담고, 국수는 반병
반찬은 산채, 야채, 민물고기, 꿩, 닭, 돼지, 쇠고기, 달걀 등
두리, 김치는 보시기에 담으
의 식품으로 만든다. 반찬의 맛을
며, 찌개는 조치보, 장류는
내는 데는 소금, 간장, 된장, 고
종지에 담는다.
추장, 젓국 등이 쓰이며, 깨소금,
음식을 그릇에 담고, 그 위
참기름, 들기름, 꿀, 식초, 후추,
에 시각적으로 식욕을 돋굴
파, 마늘, 생강, 계피, 겨자 등
수 있게 장식을 하는데, 이를
향신료를 양념으로 첨가하여 갖가 지 특이한 맛을 내게 된다. 또, 음식을 담는 그릇은 그 모
여러 가지 모양의 주발과 대접
고명 얹은 음식(대합 구이)
‘웃기’또는‘고명’ 이라 한다. 이 장식은 음양 오행설(陰陽五行說) 에 따라 백(白), 황(黃), 홍(紅), 흑(黑), 청(靑∙�)의 다섯 가지 색깔로 장식한다.
양과 크기에 따라 알맞은 음식을
또, 날로 먹는 생식(生食)과 익혀 먹는 숙식(熟食)이 있는데,
담게 된다. 밥은 바리, 주발에,
예를 들면 생채(生菜)와 숙채(熟菜), 육회(肉膾)와 수육(수육∙편
국은 갱기, 탕기에, 숭늉은 대접
육) 등이다. 조리하는 방법에 따라 국(탕), 찌개, 찜, 선, 조림,
에, 반찬은 쟁첩이나 또는 평접시
볶음, 구이, 저냐, 나물, 생채, 쌈, 생회, 수육, 김치, 장아찌,
The side dishes are made of vegetables, fresh-water fish, pheasants, chicken, pork, beef, eggs, and almost anything edible. To make the side dishes more tasty, Koreans use such seasonings as salt, soy sauce, 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pickled fish. Condiments are prepared with a varying assortment of spices, sesame, sesame oil, perilla oil, honey, vinegar, pepper, scallion, garlic, ginger, cinnamon, mustard, etc. Containers of foods vary depending on the kinds of dishes as follows : Rice : a brass rice bowl Soup : a flat bottomed brass soup bowl Water : a large bowl Steamed food : a brass bowl with a lid Side dishes : small flat plates Kimch’i : a small brass or porcelain bowl Noodle : a flat bottomedlarge platter Stew : a small low brass bowl Red pepper paste : a small brass bowl
To raise the visual effect of foods, Koreans put a decoration on the top of dish, the so-called“Ukki or Komyo ˘ng.”This decoration has five colors, viz., white, yellow, red, black and blue, in accordance with the five forces of the cosmic matrix. Koreans usually eat vegetables raw, though there are special vegetables which need to be cooked. Most foods other than vegetables are cooked. The regular diet of Koreans consists of“Pap,” “Kuk(soup)”and a varying assortment of pot stews called“Tchige,” “Tchim(boiled food),” “Chorim(hard‐boiled food),” “Pokku ˘m (parched food),” “Kui(broiled meat),” “Cho ˘nya(fried food),” “Namul(herbs),” “Suyuk(boiled meat),” “Saengch’ ae(raw vegetables),” “Ssam(lettuce),” “Saenghoe(sliced raw fish),” “Kimch’ i(pickled vegetables),” “Changatchi(slices of radish dried and seasoned with soy sauce),” “Cho ˘kkal(pickled fish),” “P’o(slice of dried
— 186—
— 187—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젓갈, 포, 자반, 족편, 묵 등 여러 가지 음식이 있다.
첩으로 차렸다.
한국 음식에는 김치류, 장류, 젓갈류 등 발효 식품이 발달되었
현재는 식생활 개
으며, 그 밖에 술담그기도 일찍부터 개발되어 양조법이 발달하였
선 등 생활 양식의
다. 술 담그는 재료는 오곡이 다 사용되고, 계절에 따라 나는 꽃
변화로 그런 격식이
잎이나 열매, 과일, 뿌리 등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봄에 진
많이 간소화되어 가
달래 꽃잎으로 담그는 진달래술(두견주), 가을에 국화 꽃잎으로
고 있다.
담그는 국화주도 유명하거니와 앵두술, 딸기술, 매실주, 솔잎으
밥상에는 오른쪽
로 담근 송엽주, 인삼주, 더
에 수저를 놓고, 앞
덕주 등 풍류면에서도 매우
면 왼쪽에 밥그릇, 오른쪽에 국그릇을 놓는다. 구이나 조림, 나
낭만적이었다.
물 등 기타의 반찬은 제2열에 놓는다. 그리고 간장 종지는 밥상
한국의 밥상 차림에는 밥,
5 첩 반상
수 라 상
가운데에 놓는다.
국, 김치, 간장을 꼭 놓는다.
하루 세 끼 식사를 하되, 점심은 간단히 먹고, 아침과 저녁은
그 밖에 반찬의 종류에 따라
제대로 갖추어 차려 먹는다. 식사를 할 때에는 집안의 제일 웃어
3 첩 반상, 5 첩 반상 등이 있
른이 밥상을 받고 앉아 먼저 수저를 들어 식사를 시작하면, 어
는데, 임금님의 수라상은 12
른, 아이의 순서로 수저를 들게 된다.
fish),” “Chaban(salted fish),” “Chokp’yo ˘n(squeezed pork),” “Muk(jelly of acorn or buckwheet),”etc. Koreans have also developed ways of brewing grains to make wine. Popular materials for brewing are the five grains (rice, barley, wheat, millet and bean), flower petals, fruits and roots, etc. Each season different varieties are produced from materials then available. Koreans prefer wines which reflect seasonal change, like wine made from azalea’s petals in spring and chrysanthemun wine in autumn. There are cherr y wines, strawberr y wines, apricot brandies, pine tree wines, jinseng wines and so forth. On the dinner table, Pab(boiled rice) and Kuk(soup), Kimch’i and Kanjang(soy sauce) are essential ingredients. The status of the dinner table is identified by the number of side dishes; the dinner table for commoners consists of three or five side dishes while the king’s dinner table included 12 side dishes.
The stipulated fromalities relating to diet and table decorum have been simplified due to changes in life style and the improvement of dieting patterns. Koreans regularly set the dinner table by placing dishes from left to right in the front row in the order of rice, soup and spoon. The broiled meat, hard-boiled food and various herbs are placed in the second row and the small bowls of soy sauce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table. The breakfast and dinner tables are heavy with many side dishes. Lunch is light. In the presence of senior members of th family, juniors are reserved about beginning the meal. It is normal for them to wait until the senior takes a spoon. It is important to observe table manners.
— 188—
— 189—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밥을 먹을 때에는 필요 없는 말을 삼가며, 젓가락으로 반찬을 뒤적거리거나 맛있는 반찬만 고르지 말고, 입 안의 음식이 보이 지 않게 천천히 잘 씹어 먹는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잡아 서는 안 되며, 식사 후 숭늉을 마실 때 이외에는 그릇을 상에서 들어올려서는 안 되는 것이 식사하는 예절이다.
반찬을 잘 장만하여 차려 드린다. 혼례를 마치고 신부가 처음으로 시댁 식구에게 인사를 올리는 폐백상에는 편포 또는 육포와 대추를 차린다. 회갑 때에는, 큰상에 음식을 높게 괴어 쌓아 담는 고배상을 차 린다. 제사상 차림은 집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밤, 대추, 곶
(2) 의례 음식 아기의 백일, 돌, 어른의 생신, 결혼, 회갑, 제사 등 가정의 의 례 때에는 의례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음식을 차린다. 백일 때에는, 무병 장수를 빌고 잡귀를 막는 뜻에서 백설기와 수수 경단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돌 때에는, 무병 장수와 부귀, 다복을 비는 뜻에서 돌상을 차 린다. 돌상에는 백설기, 송편, 수수 경단, 찹쌀 경단 등의 떡과 쌀, 국수, 돈, 대추, 실, 붓, 책, 무명, 활 등을 올려놓는다. 어른의 생신 때에는, 어른을 봉양하는 뜻에서 전래의 격식대로 While dining specially in the presence of a senior, one is not supposed to talk a lot. Absence of conversation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attitude. Neither is one supposed to stir the neatly arranged foods with chopsticks. While taking a meal, attention should be taken lest foods within the mouth are visible. Koreans seldom hold spoon and chopsticks at the same time. Finally, one is not permitted to raise the bowl over the table except when one is drinking scorched-rice water.
폐 백 상
고 배 상
Ceremonial foods prepared on special occasions are different from the everyday diet, for their varieties are stipulated for each occasion. On the 100th day after the birth of a baby, Koreans prepare rice and millet cakes to share with neighbors and to wish the baby a healthy growth free from illness. On the first anniverssary of baby’s birth, the boby receives a table full of a great
variety of foods as a prayer for future good health. The varieties placed on the table include rice cakes, Songp’yo ˘n (half-moon shaped rice cake), millet cakes, rolled-rice cakes, glutnious rice cakes, Pap(steamed rice), noodles, money, jujubes, needle and thread, brushes(or pencils), books, cotton cloths, etc. As such, non-food stuffs are displayed on the table together with foods for the child to choose. By what is taken by the child, people guess what he or she will become in the future. On the birthday of a senior within the family, offspring offer a dinner table loaded with a great variety of foods as a token of their continuous filial piety to their elders. The wedding ceremony is followed by a ritual where the bride salutes her immediate in-laws by offering a table containing“P’yo ˘np’o(sliced dried beef)”or “Yukp’o(slices of dried meat)”and jujube. On the 60th birthday, a sumptuous food table is prepared to celebrate the
— 190—
— 191—
(2) Ceremonial Food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감, 배 등의 과일, 약과, 다식 등의 과자를 괴어 담고, 탕, 적,
온 진달래꽃잎을 얹어 화전을
편, 포, 나물, 전 등을 차린다.
부쳐 먹는 ‘화전놀이’는, 공 동체끼리 친선을 꾀하는 운치
(3) 별 식
있는 풍류 놀이로서도 유명한
의례시에 만드는 떡, 계절에 따라 먹는 절식(節食), 지방마다 특별한 음식을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별식이 있다.
것이다. 여름에는 콩국이나 냉면 등
계절에 따른 음식으로, 봄에는 햇쑥을 넣어 만든 쑥떡, 쑥버무
이 있다. 냉면은 차게 하여
리가 있고, 진달래 꽃잎을 넣
주로 더운 계절에 먹지만, 평
어 부친 화전이 있다.
안도에서는 추운 겨울 뜨거운 방에서 얼음이 든 냉면을 별식으로
진달래꽃이 온 산을 붉게
삼복 때의 냉면상
먹는다고 한다.
물들일 때, 일가 친척 또는
가을에는 추석에 빚어 먹는 송편이 있고, 겨울에는 동지에 쑤
가까운 친구들이나 이웃들과
어 이웃 간에 서로 나누어 먹는 팥죽이 있다. 그리고 정월 대보
같이 산에 올라가 준비해 온
름에는 오곡밥과 여러 가지 나물을 만들어 먹는데, 아홉 가지 나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
물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작하게 빚어, 산에서 갓 따
호두, 잣, 밤, 은행 등 부럼을 이로 깨물어 치아의 튼튼함을 시험
auspicious occasion. The offspring offer drinks to their parents who turn 60. While the immediate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offer drinks, guests indulge in foods on the table. For the ritual of ancestor worship, a table is prepared with various fruits (chestnuts, jujubes, dried-persimmons and peaches), rice cakes(sweet spiced cooky), T’ang(hot soup), Cho ˘k(skewered boiled beef), P’yo ˘n(rice cake), P’o(slices of dried meat), Namul(herbs), Cho ˘n(fried flour), etc.
While rice is the staple grain, side dishes vary widely according to season and region. Among seasonal foods, mugwort cake mixed with flour and“Hwajo ˘n(azalea’s petals)”is quite common is spring.
In the past when the mountains were tinted with red azaleas, inhabitants of a village went out on an excursion. They made glutinous rice powder into oval and flat dough shapes and put azalea’s petals on the cut dough. These were then baked in oil and shared among friends and neighbors who assembled for the outing. This was the so-called“Hwajo ˘nnori,”a traditional outing which purportly nurtured the sense of solidarity among the villagers. In summer,“K’ongguk(cold bean soup)”and“Naengmyo ˘n(cold noodle)”are favorite foods among Koreans. The cold noodles are not only a popular food for a hot season : the people in the Pyo ˘ngan Province in North Korea enjoy the cold noodles as a special food in winter. Songp’yo ˘n(half-moon shaped rice cake) is made from the new rice harvest in the autumn. Red bean porridege is shared with neighbors in winter. On the 15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called“Taeboru ˘ m”a table of five‐grain“Pap”is prepared
— 192—
— 193—
화
전(진달래꽃전)
(3) Special Food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하기도 한다. 이 날 새벽에 청주를 한 잔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
3. 주 생 활
고 하여, 귀밝이술을 마시기도 하였다. 이 밖에, 지방에 따른 음식으로 평양의 냉면과 전주의 비빔밥 을 들 수 있고, 일상적인 별식으로는 수정과와 식혜(감주) 등이
우리 나라는 전통적으로 지붕에 기와를 얹은 기와집과 볏짚을 얹은 초가집을 많이 짓고 살았다.
있다. 이들 별식을 보면, 특히 우리 조상들의 음식 문화에 깃들인 지 혜를 엿볼 수 있다. 곡물이나 채소, 과일 등은 제철에 가장 맛이 좋고, 영양가가 최고로 높다. 이러한 음식을 제때에 충분히 먹게 하여, 자칫 잃기 쉬운 식욕을 돋우며, 더위와 추위를 이길 수 있 도록 하였던 것이다.
기 와 집
초 가 집
with side dishes made of foods believed to help people stand the heat of the coming summer. They also demonstrate the strength of their teeth by biting various nuts (walnuts, pine nuts, chestnuts, peanuts). In the early morning on Taeboru ˘m Koreans drink a special rice wine called“Ch’o ˘ngju”in the belief that the Ch’o ˘ngju will improve one’s hearing. Naengmyo ˘n which originated from Pyo ˘ngyang(the capital of North Korea) and “Pibimbap(rice mixed with herbs and spices)”are renowned local foods. Koreans enjoy“Sujo˘ nggwa(a punch made of honey, dried persimmons, pinenuts and cinnamon)” “Shik’ye(sweet , rice drink)”as a special deserts after meals. The cereals, vegetables and fruits keep their nutrients and unique tastes special in their seasons. Through a varying assortment of foods available in each season, Koreans developed ways of overcoming hot and cold weather.
The most typical Korean house is made of wood and clay, with its roof made of straws or tiles.
— 194—
— 195—
3. Housing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러한 집이 모여 이룬 마을은 산이 많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풍경을 이루었다.
한국의 정원은 창덕궁 의 정원인 비원처럼 자연
기와집의 지붕은 마치 새가 날개를 펴고 나는 듯이 완만한 곡
의 지형을 잘 다듬어 꾸
선을 이루고 있고, 초가집은 작은 동산처럼 둥글둥글하다. 기와
며 자연스런 풍경을 재현
집 울타리는 토담으로 두르고, 그 위에 둥글둥글한 기와를 덮었
하는 형식이며, 양반 집
으며, 초가집은 싸리나무나 개나리 등으로 생울타리를 하였다.
주택에 맞는 독특한 정원
일반 서민의 주택에는 대개
이 있기도 하지만, 지붕
앞마당이 있고, 안채 뒤꼍 양
의 모양, 울타리, 뜰 등
지바른 곳에 장독대가 있다.
이 모두 자연과 조화되도록 꾸몄다는 것은 공통된 특징이다.
장독대에는 간장, 된장, 고추
한국의 기후는 계절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심하다. 여름에는
장 등이 담긴 항아리가 놓여
30。C가 넘는 더위가 있고, 겨울에는 영하 20。C 이하의 추위가
있고, 그 둘레나 마당 가장자
있다. 그러므로 우리 전통 가옥의 구조는 계절에 따라 기온이나
리에 봉선화나 맨드라미 같은
습도의 변화에 맞도록 되어 있다.
꽃을 심어 정원다운 운치를 장 독 대
비원의 부용정
자아낸다.
주택의 생활 공간으로는 방과 마루가 있다. 방바닥은 온돌로 하여,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열이 구들을 데우고, 그 열기로 방
Such houses are perched on escalated terrains, making a good match with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pastoral scenery. The ridges of tiled roofs slowly slope upward like the wings of a bird flying into the sky. The straw-thatched roofs of peasants’ houses look like earthen mounds or hills. The fences of tile-roofed houses are made of round tiles stuck on a mud wall alongside thickets of forsythias and bush clovers. Nearly every Korean house has an inner yard and a back yard, with a terrace placed in the latter to keep jars and countainers of bean and red-pepper pastes and other fermented foods. The terrace, surrounded by balsam and cockscomb, creates an air of a little garden.
The Korean’s garden characteristically represents a miniature version of nature, as can be seen in the Piwon(Secret Garden) of Ch’angdo˘k Palace. It is hardly distinguishable from its surrounding, since it is designed to be in perfect harmony with nature. Korea is known for wide fluctuations in temperature. Summer is almost unbearable, reaching temperatures as high as 35� C. In winter, the temperature plummets to a freezing 20�C below zero. Korean houses are designed so as to protect its inhabitants from hot and cold weathers.
— 196—
— 197—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안의 공기를 따뜻하게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알맞은 햇빛을 방에 들이게 하였
한다. 계절에 따라 불 때
다.
는 일을 조절함으로써 방 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마루에는 대체로 남쪽
겨울에는 문 사이로 들어오는 찬바람을 막기 위하여 창호지를 길게 오려 문풍지를 붙였다. 특히 평면상 구조를 보면, 기후에 따라 그에 적응하는 독특한 구조를 하고 있다.
과 북쪽에 창이나 문을 내어, 여름에는 활짝 열 어서 시원한 바람이 잘
누마루가 있는 한옥
통하도록 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더위도 막는다. 방이나 마루의 문은 두 겹으로 만들어서, 추운 겨울이나 밤에는 덧문까지 닫아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또, 벽은 흙을 이겨서 붙여 만들었는데, 흙벽은 추운 때는 따 뜻하고 더운 때는 서늘하며, 문은 격자창으로 하여 여닫이나 미 닫이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문에는 창호지를 발라서 자연적인
중부 지방의 가옥
A common prototype of the Korean house consists of a living room, another room and a kictchen, with a toilet set apart and away from the living quarters. Each room has an ondol floor which is heated via sub-floor level flues by burning firewood from the kitchen stove or an outdoor hearth.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burning firelogs. Koreans placed paper window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sides of the“Maru (a wooden floored room).”By opening the windows wide, cool air blows away humidity and heat. The doors to rooms were made in two layers-the inner and outer doors. The walls were made of mud due to its effectiveness for insulating against cold and heat. The doors were of a sliding of a pull/push type.
The Ch’anghoji(Korean window paper) is pasted on the lattrices of windows to allow the ventilation of air and the penetration of sunlight. Koreans in the past did not attempt to seal off crevices between a window and its frame: more often, they covered them with flimsy strips of window paper, which trembled and rumbled with the blow of cold winds. For Koreans who had been away from their home towns in the countryside, nostalgia for old days was triggered by this rumbling of windows. But today, this scene has become a distant memory of elderly people. The Korean house has a structural feature that facilitates its adaptation to fluctuating weather. Climatic characteristics are also manifest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s of houses.
— 198—
— 199—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20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추운 북쪽 지방의 주택은 찬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방이 모여 붙어 있는 밭전 (田) 자 모양의 구조로 밀폐성이 강조되고 있다. 더운 남쪽 지방의 주택은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한일 (一) 자 모양 으로 되어 있어서 개방성이 강조되고 있다. 중부 지방의 주택은 ㄱ자나 ㄷ자 모양으로 되어, 개방과 밀폐 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
Korean houses in northern provinces have their rooms densely clustered, as if they were huddled against unseasonable climates. On the other hand, those in southern provinces have their rooms lined up straight to allow for a free passage of air across the house. Those in the middle part of Korea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styles : they are ㄱ or ㄷ shaped.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