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지구촌한류현황 (하)

Page 1

지 구 촌

지구촌 한류현황

한 류 현 황

지구촌

한류현황

지구촌

한류현황


Ⅰ 지구촌 한류현황

Ⅲ. 유 럽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독일

러시아

루마니아

벨기에

벨라루스

세르비아

스페인

슬로바키아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영국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체코

카자흐스탄

21 크로아티아

22 터키

23 포르투갈

25 프랑스

26 핀란드

27 헝가리

24 폴란드


1. 그리스

1 한류 현황 (1) 일반현황 그리스는 현재 한류가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아직까지는 한류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정학적 유사성, 가족간 강한 유 대, 식생활 구조, 2차대전 후 공산주의와 내전 경험 등 그리스와 우리나라 와 비슷한 점이 많아 정서적 공감대가 크고, 그리스인들이 한국전 참전 등 을 계기로 한국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점을 감안할 때 그리스에도 한류가 확산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최근 그리스에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K-Pop 팬클럽 결 성, 한국어 수강생의 급증 등 한류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문화 에 대한 현지인들의 관심 증가와 한류확산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한 국문화를 접할 기회는 매우 제약되어 있어 앞으로 드라마, 영화, K-Pop, 태권도, 한국어 등 우리 문화를 더욱 적극적으로 소개할 필요가 있다.

314

지구촌 한류현황


그리스

(2) 분야별 현황

유 럽

드라마

그리스에서는 한국드라마가 TV를 통해 정식으로 소개된 적이 없다. 주그리스대한민국대사관에서 2005년~2006년간 Mega, ERT, Alpha 등 그리스 주요방송사들을 접촉해 한국드라마의 우수성을 적극 설명함과 동 시에 한국드라마를 방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스 내 방송사들도 관심을 보였으나 실제 방영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이후 그리스 경제위기와 이에 따른 그리스 방송사들의 경영난 및 시청률이 보장되지 않은 새로운 프로그 램 방영 기피 현상 등으로 한국드라마 방영관련 협의가 정체된 상태에 있 다. 그러나 한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하여 그리스에 한국드라마를 소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인들과 그리스인들이 정서적으로 가깝고 한국문 화에 심취한 현지인들이 영어 자막이 있는 한국드라마를 시청하는 등 한국 드라마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어 한국드라마가 그리스에서도 붐을 일으 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리스에 한국드라마를 소개하기 위해서는 우리 드라마 샘플의 그리스 어 자막 작업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 국 드라마들이 그리스어 더빙 대신 자막 삽입 후 방영되고 있으며, 한국문 화에 관심이 많고 한국어가 어느 정도 가능하고 영어에 뛰어난 현지인들이 많아 그리스어 자막번역은 문제가 없다. 영화

그리스에서 한류는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다. 한국영화는 그 리스 영화산업 관계 인사, 영화제작 지망 학생, 문화예술계인사 및 일반 시 민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아테네 국제영화제>와 <데살로 니카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가 수시로 초청되어 그리스 영화팬들의 열 렬한 환호 속에 영화 관람표가 매진될 정도로 성황리에 상영되었다. 그리스에서는 특히 김기덕 감독이 유명하다. 김 감독은 2005년 9월 <아테네 국제영화제>에 특별 초대되어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315


<활>, <빈집>, <섬> 등 그의 작품 10여점이 상영되었다. <봄 여름 가을 겨 울 그리고 봄>은 당시 그리스에 수입된 예술영화 중 가장 많은 관객을 동 원하였으며, 김 감독은 그리스 출신의 세계적 영화감독 앙겔로 풀로스로부터 Golden Athina 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데살로니카 국제영화제>에서는 <친절한 금자씨>, <복수는 나의 것> 등 박찬욱 감독의 작품들이 상영되어 현지인들의 높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K-Pop

그리스에서 K-Pop은 소수의 매니아들이 즐겨 듣는 수준으로 K-Pop 팬클럽도 하나만 있어 K-Pop 열풍은 아직 미미하다. 그리스 K-Pop 팬들 은 고등학교, 대학교 여학생들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슈퍼주니어, 샤이니, JYJ, 빅뱅 등 남성그룹들이 인기가 높다. 여성그룹의 경우 소녀시대, 2NE1, 티아라가 인기 있다. 태권도

1968년 Stamatis Kassis에 의해 처음으로 그리스에 소개된 태권도는 1987년 그리스태권도협회(Hellenic Taekwondo Federation)가 설립된 이후에 그리스에 본격적으로 보급되었다. 현재 그리스태권도협회에 등록 된 태권도 도장은 600여개에 이르며 15만명이 태권도를 연마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스는 2000년 시드니올림픽 이후 지속적으로 올림픽에 태권도선수 단을 파견하였으며 시드니올림픽에서 Michalis Mouroutsos 선수가 금메 달을 획득하는 등 그간 태권도 분야에서 4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 또한 그리스는 태권도대회 유치에도 적극 노력해, 1991년 아테네에서 세 계태권도대회 <World Taekwondo Championships Male-Female>를 유 치한 이래 세계태권도대회, 유럽태권도대회 등 크고 작은 태권도대회를 개 최하고 있다. 2011년 11월에는 한-그리스 수교 50주년 계기에 아테네에서 국기원 태 권도시범단의 공연이 있었는데 이를 본 그리스인들은 크게 만족해 공연 관

316

지구촌 한류현황


그리스

련 문의와 매년 태권도 공연을 해달라는 요청이 그리스태권도협회와 주그

유 럽

리스대한민국대사관에 폭주하였다. 2012년 6월에는 유럽청소년태권도대 회가 아테네에서 열려 40여개 유럽국가에서 약 3천명의 태권도선수 및 관 계자들이 참석하였다. 한식

그리스인들은 한국음식을 매우 좋아해 리셉션 때 준비해 놓은 한식이 현 지 음식보다 먼저 동이 난다. 2011년 11월에는 그리스에서 처음으로 그리 스 정부(보건복지부)와 아테네 일리우폴리스시 등과 공동으로 <한국의 맛> 행사를 개최하고, 김치, 잡채, 불고기, 전(3종류), 김밥 등 대표적 한국음식 을 소개했다. 이 행사에는 특히 그리스 전역에서 온 태권도 수련생(300명) 및 그 가족들과 아테네 시민들을 초청하였으며, 행사내용이 Hellas TV, NET TV 등 주요 언론매체에 소개됨에 따라 그리스 내 한식에 대한 관심 제고와 보급 확산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어

최근 그리스에서 한국문화와 K-Pop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 어를 배우려는 그리스인들이 늘고 있다. 현재 한국문화에 심취한 그리스인 수십명이 그리스 대학 및 한글학교에서 한국어를 학습중이며 한국어 수강 자수도 증가 추세이다. 그러나 현지에서 한국어 교재를 구하기 어렵고 교육 기자재가 부족하며 한국어 학습여건이 매우 열악하다. 그리스에 한국어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서는 그리스 대학 및 한글학교 교육 기자재 지원 강화, 우수학생 방한초청, 한국어 경연대회 개최, 장학금 지원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317


2 한류 동회회 현황 Lollikpop

318

성격

•K-Pop 동호회 •2011년 봄 결성

회원수

약 1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Lollikpop

세부활동 현황

•(오프라인) 매월 K-Pop 파티 개최, K-Pop 영상(뮤직비디오 등) 감상, K-Pop 댄스 등

지구촌 한류현황


네덜란드

Ⅲ 유 럽

2. 네덜란드

1 한류 현황 네덜란드는 한류 미성숙국가로서 현재 아리랑(현지 입양인 단체), 라이 덴대학 한국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 모임, 한인학교 외국인반 학생모임 등 우리나라에 관심을 가진 그룹들이 정기 혹은 비정기적 모임을 가지고 있는 정도이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현황 네덜란드 내 한류는 유럽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초기적 단계에 있으므로 정기적, 구체적인 동호회 활동은 아직 미약하다. 그러나 아래 3개의 단체 를 중심으로 한국어를 비롯한 한국문화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 정기 적으로 한국문화 체험 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어 배우기, 한국음식 만들기, K-Pop 따라하기, 한국드라마와 영화 보기 등으로 한국에 대한 궁금증 및 갈증을 해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319


(2) 동호회별 현황 아리랑 성격

종합적 동호회(한인 입양인 협회)

회원수

약 300

웹사이트 주소

www.arierang.nl, www.facebook.com/arierang.nederland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매월 마지막 토요일에 정기모임

레이든대학 한국학과 성격

한국어 동호회

회원수

약 1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koreanstudies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어, 한국문화 관련 정보 교환 •레이든 대학 한국학과 학생 및 한국에 관심 있는 졸업생

암스텔담 한인학교 내 아리랑반 성격

한국어 동호회

회원수

85

웹사이트 주소

없음

세부활동 현황

•(오프라인) 매 주 토요일 한국어 학습과 문화체험 활동 •주말 한국학교 내 입양인 반

320 지구촌 한류현황


노르웨이

Ⅲ 유 럽

3. 노르웨이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노르웨이에서 한류는 아직 생소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일반 노르웨이 국 민들의 경우 노르웨이에서 오랫동안 방영되었던 한국전 관련 전쟁 드라마 <MASH>에서 과거 빈곤했던 한국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국민이 많다. 노르웨이의 라디오나 TV, 신문 등에서도 한국문화를 다루는 일은 그리 많지 않다. 어쩌다가 한국문화가 매체에서 다루어지더라도 일본 문화로 오 인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다만 스포츠와 산업 분야에서는 한국의 브랜 드 파워가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포츠의 경우 한국이라고 하면 스케이팅, 축구, 태권도가 알려져 있다. 특히 태권도는 왠만한 도시에는 태권도 그룹이 형성되어 있을 정도로 저변 인구도 많을 뿐만 아니라 2008년 올림픽 태권도 종목에서는 한국 입양아 출신 노르웨이 여성 선수가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현재 노르웨이 태권도는 한국 팀을 초청할 뿐 아니라 자체적으로도 시범 공연을 하곤 한다. 산업의 경우 스마트폰과 자동차가 브랜드 파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스 마트폰의 경우 삼성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TV의 경우 삼성과 LG 두 회사 상품이 고급 제품으로 꼽힌다. 자동차의 경우 최근 출시된 현대의

321


I-40, I-30 모델이 호평을 받고 있으며 꾸준히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노르웨이에는 한국드라마가 방영된 적 없다. 아직 한국드라마에 대한 인 지도가 낮으며 관심도 저조하다고 볼 수 있다. 영화

노르웨이의 일반 상업 극장에서는 아직 한국영화가 상영된 적이 없다. 다만 최근 들어 여러 영화제를 통해 조금씩 알려지고는 있다. 예를 들어 2004년 10월 Bergen에서 개최된 <Berge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박찬욱 감독의 <Old Boy>가 관객상을 수상한 바 있고, 2010년 10월 Oslo에서 개최된 <Film from the South> 영화제에서는 <하녀>, <여행자>, <김씨표류기>가 Silver Mirror Award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어 2011년에는 <황해>, <시>, <무산일기>, <파란만장>을 출품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영화제에서 반응이 있을 경우 간헐적으로 소극장에서 몇 일간 상영 을 한 적도 있으나 흔한 경우는 아니다. 따라서 아직 한국 영화의 영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K-Pop

한국음악이 노르웨이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아직 미미하다. 유투브 등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한국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있으나 아직 다수는 아니며, 입양인 등을 중심으로 2~3개 정도의 개인 블로그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식

한식은 현지 한식당의 부재로 현지인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일본 식당이나 동남아 식당에서 한국음식을 메뉴에 넣고 있어서 관심 있는 사람들에 한해서 이를 찾고 있는 정도이다. 한식 식재료도 별도의 식료품

322 지구촌 한류현황


노르웨이

점이 있기 보다는 아시아 마트에서 같이 팔고 있는 정도이다. 아직까지

유 럽

노르웨이 내 한식은 현지인들 전체보다는 관심 있는 현지인들과 한식을 일찍 접한 아시아인들 위주로 수요가 있다. 그러나 최근 한식 세계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관광 등을 중심으로 한 양국 국민간 교류가 증대됨에 따라, 노르웨이인들의 한식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어

현재 노르웨이에 운영 중인 재외한글학교는 총 학생수가 27명이며, 이중에 19명이 비한국계로서 한글을 자발적으로 배우고 있다. 그리고 현지인 학교로 Berg고등학교에서 30여명 정도의 학생이 제2외국어 선택과목으로 3명의 교사에게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노르웨이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드물며 현재 활동을 하고 있는 동호회는 1개가 파악되었다.

(2) 동호회별 현황 Bring KPOP to Norway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32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kpopnorway

세부활동 현황

•동호회 대표는 16세 인도계 노르웨이인 여학생으로 양혜림이라는 한국이름을 가지고 있음(주말 한글학교에서 한글을 배우고 있음). •대표에 따르면 약 200명 정도가 실제 활동을 하는 회원이며 연령은 거의 20세 이하라고 함. •(오프라인) 매달 정기적으로 모임을 공원 등에서 가짐.

323


4. 독일

1 한류 현황 (1) 일반현황 “젬퍼 오페라 극장은 수백 명의 소녀들이 질러대는 아우성으로 가득 찼 다. 레인이 왔다. (...) 젬퍼 오레라 극장 안에는 인형들이 무대로 던져지고 소녀팬들은 디지털 카메라를 찍어 댄다.‘I love Rain’ 이라 적힌 티셔츠를 입은 아시아 소녀들이 파티복을 입은 부인들 옆에 앉아 있다. (...) 젬퍼 오 페라좌의 고전적인 레퍼토리를 기대하고 우아한 의상을 걸친 채 앉은 몇몇 사람들의 얼굴에서는 실망감을 읽을 수 있었고, 또 몇몇 사람들은 젊은 관 객들의 환호성에 전염되었다.” 2011년 <드레스덴 음악페스티벌> 계기 첫 유럽 공연을 선보였던 비(정지훈) 에 대한 독일 언론의 보도는 현재 독일의 한류 현상을 잘 보여준다. 한류 K-Pop 가수들의 현지 공연을 열망하는 젊은 팬들은 상당수 존재하며,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한 동호회 활동도 활발하다. 그러나 K-Pop 위주 한류팬들은 아직은 소수의 10~20대 마니아 층에 머물고 있으며, 한국대 중문화는 여전히 낯선 편이다.

324 지구촌 한류현황


독일

한국대중문화의 독일 진출은 영화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04년

유 럽

<베를린영화제>에서 김기덕 감독이 <사마리아>로 감독상을, 2007년에는 박찬욱 감독이 <사이보그지만 괜찮아>로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수상하면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국영화 작 품 뿐 아니라 한국에서 흥행몰이에 성공한 상업영화들 역시 독일 방송을 통해 심심찮게 방영되고 있다. DVD 대여점에서도 한국영화 작품이 빠지 지 않고 게시되어 있다. 유투브 등 인터넷 매체를 통해 한국대중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아지면서 10대 청소년층과 20대 청년층들이 본격적으로 한국 대중문화를‘찾아 가 면서’향유하기 시작했다 유투브를 통해 <커피프린스 1호점> 등의 한국드 라마를 접하면서 젊은이들의 관심은 자연스레 K-Pop, 한국영화 등 다른 한국대중문화로 향했고 영미권 Pop에서 보기 힘든 강렬한 율동과 외모를 앞세운 K-Pop이 최근 한류의 주류로 떠올랐다. 2011년 JYJ 베를린 공연, 2012년 비스트 베를린 공연은 성공적으로 끝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한류드라마가 현지 TV를 통해 직접 방영된 적은 아직 없다. 다만 독립운 동가로 활동하다가 독일로 망명한 이미륵의 삶을 다룬 한독수교 125주년 기념 SBS 특별 3부작 드라마 <압록강은 흐른다>가 바이에른주 방송국(BR) 과 공동 제작하여 2009년 7월 9일 독일 공영 ARD를 통해 방영된 바 있다. 영화

한국영화는 다른 대중문화 분야보다도 해외에서 가장 일찍 알려졌다. 특히 세계 4대 국제영화제 중 하나인 <베를린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가 잇따라 수상하고 경쟁부문에 꾸준히 진출하면서 독일 내에서도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 이 높아졌다. 영화전문가들이 선호하는 예술성이 높은 영화나 실험적 작품뿐 아니라 대중을 상대로 한 상업영화 역시 서서히 인기를 얻고 있다.

325


김기덕 감독이나 홍상수 감독의 특별전이 개최되는 등 한국영화산업에 대 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공영방송에서 심심치 않게 한국영화를 감상 할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아직까지는 대형 영화관보다는 소극장을 중심으로 한국영화가 상영되고 있고 개봉되는 작품 수도 많지 않은 편이며, 극장 개봉을 하지 않은 채 DVD로 바로 출시되는 경우도 있다. K-Pop

아시아권이나 영미권만큼 K-Pop에 대한 열기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인 터넷을 활용한 뉴미디어에 익숙한 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마니아 층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다만 보편적인 문화현상으로까지 자리 잡지는 못하고 있다. 독일의 음반시장에 K-Pop 음반이 아직까지 출시된 적은 없으며 주 로 유투브 등의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서 K-Pop을 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비, JYJ, 비스트 등 K-Pop 그룹의 현지 공연이 이어지면서 K-Pop 의 저변 확대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고 있으나 현지 사정을 충분히 고려하 지 않은 공연기획, 고가의 입장권 문제 등은 향후 K-Pop의 저변 확대를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다. K-Pop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지 유명 기획사와의 협업, 철저한 시장조사를 통한 음반시장 진출, 현지 팬에 대한 배려 등이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한류의 상륙 시기

아직까지 한류를 확인할 수 있는 뚜렷한 문화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방송이나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간헐적으로 한류 열풍에 대해 보도되고 있으나 주로 아시아 지역의 한류 현상에 대한 소개와 분석기사에 머물고 있다. 현재(2012년 5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한류의 최대 수요층인 청소년층에서는 K-Pop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2NE1, 빅뱅 등 K-Pop 그룹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편이다. 음악전 문 케이블 채널에서 매주 실시하는 인기투표 등에 집단적으로 참여하고,

326 지구촌 한류현황


독일

K-Pop 공연 청원 플래시몹을 벌이는 등 현지 K-Pop 팬들의 활동은 매우

유 럽

적극적인 편이다. K-Pop 팬들의 적극적 활동 때문에 한류가 선풍적 인기 를 얻고 있다는 잘못된 판단을 일으킬 수 있는 점은 유의해야 할 것이다. K-Pop 이외 드라마 등을 통한 한류 바람은 미미한 편이다. 2011년 한류 파워 인물

아직까지 파워 인물이라고 지칭할 만한 대중문화예술인은 없으며, K-Pop 팬을 중심으로 2NE1 및 빅뱅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한식

해외 여행경험이 풍부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 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한식이‘건강식’ ,‘다이어트 음식’ 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젊은 여성들이 한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젊은이들 이 자주 찾는 유흥지역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취향에 맞게 교포 2세, 젊 은 유학생들이 한식당을 개점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한식의 정체성에 부합하면서도 현지 취향에 맞는 식당 인테리어 및 현지 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식재료를 이용한 메뉴 개발, 고급화와 대중화의 병행 등은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한국어

초기 한국어 교육은 교포 2세, 유학생 및 주재원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 는 경우가 많았으며, 업무나 사업상의 이유로 한국을 방문하게 되는 현지 인들이나 한국인과 결혼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교육수요가 간헐적으로 존재했을 뿐이다.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양국간 교류가 확대되고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추세이며, 특히 K-Pop 의 인기가 서서히 증가되면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나 고 있다. 현재 주독일한국문화원에서는 주 5일간 8개의 한국어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며 수강인원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327


기타 산업 파급효과

아직까지는 한류로 인해 타 산업 파급효과를 체감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다만‘한류’ 에 의해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한 국기업 및 한국산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효과는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청소년들이 자주 사용하고 구매하는 스마트폰 등의 IT 전자제품을 중 심으로 한국산 상품에 대한 이미지 제고 효과를 얻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1년 <드레스덴 국제음악페스티벌>의 일환으로 가수 비(정지훈)의 드 레스덴 현지 공연이 개최되었으며, 그 해 12월과 이듬해 2월에는 그룹 JYJ와 그룹 비스트의 공연이 이어졌다. 모든 공연은 만석을 기록했으며, 독일 팬뿐만 아니라 프랑스, 폴란드, 체코, 스페인 등 전 유럽의 K-Pop 팬 들이 공연장을 찾았다. 2011년에는 KBS와 해외문화홍보원이 공동주최한 <K-Pop 월드페스티벌> 독일 예선을 주독문화원에서 개최했으며, 현지 팬클럽과 문화원이 공동 주관 한 <제1회 K-Pop의 밤> 행사에는 독일 전역에서 200명 이상의 팬들이 몰 려오는 등 현지의 K-Pop 열기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독일 내 K-Pop을 위주로 하는 한류 관련 모임은 주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한 관련 정보 교환, 플래 시몹 등 행사 개최 준비, 기타 소규모 오프라인 모임 활동이 늘어나고 있 다. 한국문화를 전반적으로 소개하는 웹진을 운영 중인 실력 있는 동호회 도 존재한다. 한류 관련 동호회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중후반에서 20대 초반 정도로 파악된다.

328 지구촌 한류현황


독일

(2) 동호회별 현황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www.k-magazin.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문화 관련 최신 정보 제공 •(오프라인) 회원 정기 모임 개최, K-Pop 플래시몹, K-Pop의 밤, K-Pop Awards 등 행사 진행 •한국문화 전반 최신 소식 전달 웹진

유 럽

K-Colors of Korea

re<mark>able 성격

K-Pop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remarkable.forumieren.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중심 아시아 대중가요 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팬미팅, 플래시몹 등 개최

So loved 성격

K-Pop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www.so-loved.ne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Super Junior, MBLAQ, 2PM, CN Blue, Big Bang 인터넷 팬클럽으로 독일과 유럽 팬들의 정보 교환 창구 역할 •(오프라인) So-loved Awards 등 K-Pop 행사 진행

K-pop Meetings Germany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726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pages/K-Pop-Meetings-Germany/ 167949399909045

세부활동 현황

•한국 가수와 그룹의 독일, 유럽지역공연 정보 교환 •독일내 K-Pop관련 모임 정보 교환

KoME 성격

Kpop에 대한 정보(앨범, 공연, 기사)를 제공하는 사이트 6개 언어로 제공(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등)

웹사이트 주소

www.kome-world.com/de/about-jame.html

세부활동 현황

•K-Pop 관련 정보 제공

329


W.A.N.T.E.D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05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pages/WANTEDKorean/219241268130560

세부활동 현황

•K-Pop 관련 동영상 제작 Kpop Flashmob 제안 및 관련정보 교환

k-popvision.net 성격

주로 K-Pop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한국문화와 여행에 대한 정보도 제공)

웹사이트 주소

redaktion@kpopvision.net

세부활동 현황

•K-Pop 관련 정보 제공

B2st's German B2utys 성격

비스트 팬카페

회원수

79

웹사이트 주소

http://b2stsgermanb2utys.forumieren.de/forum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Cube Family 성격

cube 포럼

회원수

23

웹사이트 주소

http://cube-family.forumieren.com/forum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독일 Block B 성격

Block B 팬카페

회원수

72

웹사이트 주소

http://dogilblockb.com/board/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330 지구촌 한류현황


독일

Germadonna FT아일랜드 팬카페

회원수

120

웹사이트 주소

http://germadonna.forumieren.com/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Ⅲ 유 럽

성격

German Hallyu Project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450

웹사이트 주소

http://z7.invisionfree.com/GermanHallyuProject/index.php

세부활동 현황

•K-Pop 관련 정보 제공

Keksdose 성격

팬카페모음

웹사이트 주소

http://keksdose.forumieren.com/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Rain 비 Germany 성격

비 팬카페

웹사이트 주소

http://www.rainjihoon.com/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7kisses 성격

유키스 팬카페

회원수

44

웹사이트 주소

http://7kisses.co.de/phpBB3/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ss501germany.weebly 성격

SS501 팬카페

웹사이트 주소

http://ss501germany.weebly.com/

세부활동 현황

•팬카페 운영

331


5. 러시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5년 드라마로 시작된 러시아의 한류는 2012년 현재 K-Pop 위주로 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 J-Pop에 열광했던 팬들이 2000년대 후반 부로 접어들면서 J-Pop보다 좀 더 대중적이고 화려한 퍼포먼스가 매력인 K-Pop으로 넘어오게 되었다. 팬들은 자발적으로 한국 아이돌 그룹별로 팬클럽을 만들고, 그들의 춤과 노래를 따라하며 종종 플래시몹을 통해 공 연하기도 한다. 또한 K-Pop 스타들이 출연한 드라마나 그들이 부른 OST 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고 이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며 한국어 를 배우려는 현지인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렇듯 K-Pop으로부터 뻗어져 나가는 형태의 러시아 내 한류는 중국,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 봤을 때 아직 미 성숙한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 열기는 점점 더해가고 있는 상태이며, 팬들의 열정은 활발하게 끓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공중파 방송국을 통한 한국드라마 방영과 음반 시장 진출 등이 이루어진다면 훨씬 더 큰 파급효 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332 지구촌 한류현황


러시아

(2) 분야별 현황

유 럽

■ K-Culture

주러시아한국문화원에서는 러시아 현지 사정을 고려한 한류의 전파와 한류 다양화를 목표로 한‘K-Culture’사업을 진행 중이다. K-Culture 사업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정통 클래식부터 퓨전 국악까지 다루는 K-Classic, 러시아를 비롯한 세 계적인 작품들을 한국식으로 재구성한 연극을 공연하는 K-Drama, 한국 의 다양한 영화작품들을 소개하는 K-Film, 러시아 한류의 주역 K-Pop, 한국음식의 맛과 멋 K-Food, 한국을 대표하는 스포츠 태권도 수업교실 K-Sports, 마지막으로 한복의 현대화 및 한국 패션의 흐름을 알 수 있는 K-Style 등이 있다. 드라마

러시아 내 한류는 드라마로부터 시작되었으나, 현재로서는 그 움직임이 이전에 비해 주춤한 상태이다. 한국드라마의 유입 경로가 인터넷밖에는 없 었고 제대로 된 자막 또한 드물었기 때문에 아시아지역 국가들처럼 사회적 으로 큰 인기를 일으키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나마 지금은 K-Pop 가 수들이 출연하는 작품들 위주로만 인기가 있을 뿐이다. 현지인들은 주로 ‘ 코 리 안 스 페 이 스 ’(http://koreanspace.ru), ‘ 예 스 아 시 아 ’ (http://www.yesasia.ru/)와 같은 사이트를 통해서 드라마를 접하고 있다. 영화

예술에 대한 가치를 높이 사는 러시아인들의 문화 때문인지, 세계 유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국 예술영화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있는 편이다. 주러시아한국문화원에서 매년 주최하는 K-Film 행사에도 현지인들이 매번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K-Film 행사는 K-Shorts와 K-Motion으로 나누어 모스크바를 비롯한 러시아 각 지방을 순회하며 개최되고 있다.

333


■ K-Film 행사 <K-Shorts 행사 현황> 날짜

장소

2012.01.19. 모스크바 ~22 35mm극장

프로그램 및 성과 •개막식 영화상영에 현지 관객 95%, 총관객 700여명으로 총600석인 영화관을 다 채우고 간이의자를 두거나, 서서 영화를 관람하는 현지인들로 성황을 이룸 •유료영화제였음에도 불구, 개막식을 제외한 영화상영일에도 300매가 넘는 티켓 구매율로 현지에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 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 •다양한 장르의 한국단편영화를 한 자리에서 관람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홍효숙 프로그래머와의 Q&A에 현지인들 적극 참 여, 한국단편영화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는 장 마련

•영화상영전 개막식 행사에 k-pop 커버댄스 공연개최 2012.03.16.예카테린 부르크 •2012 한국단편영화제 K-Shorts 모스크바 외 지방 순회 예정 ~18 살류트 영화극장 •모스크바 외 지방에서의 한류문화관심 증가

상트페테르 2012.04.28. 부르크 포뮬라 ~29 키노 갤러리

로스토프 2012.05.24. 나도누 돈스카야 16시, 20시 국립도서관 2회

334 지구촌 한류현황

1 2 3 4 5 6 7 8 9 10

감독, 연출 영화제목 이승민 해피버스데이(Happy Birthday, 2011) 경지숙 너의 결혼식, 나의 결혼식(Chupachups, 2011) 구혜선 당신(You, 2010) 박지연 낙타들(Camels, 2011) 윤성호, 자매품 에피소드. 7 박재민 ‘두근두근 영춘권’Pitpat Wing Chun, 2010) 이승민 넘버 1009(No. 1009, 2010) 이현수 이계도함수(A Function, 2011) 정운설 Cresendo, 2010 조수진 기타와 나(Guitar & Me, 2011) 민병우 도둑고양이들(Stray Cats, 2011)

•1회, 2회 관객수를 합하여 총 300여명이‘K-SHORTS’ 행사에 참가하여 성황리에 끝남. - 1회 상영 시작 당시에는 180여명 정도였으나, 상영 시작 후 꾸준히 관객들이 입장하였음. - 16시라는 이른 상영 시작 시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객들 이 참석하였고, 객석이 가득 메워진 채로 성황리에 끝남.


러시아

<K-Motion 행사 현황> 날짜

장소

프로그램 및 성과

유 럽

•러시아 영화기획사‘Coolconnections’ 와 함께 유료 한국영화제 시도 •유료 영화제임에도 불구 모스크바를 비롯하여 5개 지방 한국영화제 관람 순수 현지관객 90% 모스크바, 이르쿠츠크, 2011.09월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한국영화제에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11월 시민들 사이(특히 청년층)에서 한국영화 마니아들이 노보시비리스크, 생겨나면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 증가 하바롭스크, 카잔 등 •영화제 개막식에 한국전통국악공연, K-POP 커버댄스 공연, 한식 리셉션 개최

K-Pop

K-Pop은 앞서 말했듯이 러시아 내 한류 중 제일 인기가 높은 분야이다. 특히 10~20대의 젊은 러시아인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 K-Pop 가수들의 음반은 아직 러시아 음반시장에 진출하지 않은 상태며, 방송국을 통한 방 영 역시 거의 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지 팬들은 인터 넷을 통해 K-Pop을 접하고, 자발적으로 동호회를 만들며 정보를 공유하 고 있다. 주러시아한국문화원에서 주최・후원하는 K-Pop 관련 행사 역시 이들의 뜨거운 관심으로 항상 성황리에 마치고 있는 상황이다. <K-Pop 행사 현황> 날짜

행사명

K-Pop 2012.01.25 Music Show ‘Wave K’

장소

프로그램 및 성과

•2012년 1월 15일 수요일 현지시간 13시 30분 (한국시간 18시 30분) 한국 아리랑 TV 음악 프로그램 ‘Wave K'의 촬영이 한국관광공사 모스크바지사에서 진행 한국관광공사 •브라이언과 이루의 MC로 진행된 이 프로그램 모스크바지사 에서 모스크바 현지 K-POP팬 10명과 한국 신인아이돌그룹 ’ 쇼콜라 ‘와의 화상 인터뷰 •현지 팬들 모두 한국의 새로운 신인아이돌 그룹을 만나게 되어 반갑고, 아이돌스타에게 꼭 모스크바를 방문해달라는 요청으로 마무리를 하며 화기애애한 시간을 보냈음

335


K-Pop 플래시몹

2012.04.14

•현지 K-POP 팬들 400여명이 한류스타를 러 시아에 보내달라는 취지로 자체적으로 준비한 플래쉬몹 개최 모스크바 •최광식 문화체육부장관 모스크바 방문 환영 트레챠콥스카야 및 트레챠콥스카야 갤러리 앞, 늪 광장에서 갤러리 앞 좋아하는 아이돌 가수 팬들이 그룹을 이루어 K-POP 춤과 노래를 선보임 •현지 한류열기의 지속적인 관심을 볼 수 있었음

•제19회째 개최되는 한민족 큰잔치에 3천여 명의 현지거주 한인과 현지인들이 모여 다양한 모스크바 쩨에 한국의 전통문화(놀이)를 체험 제 19회 스카(육군중앙 2012.06.12 한민족큰잔치내 •사물놀이, 부채춤, K-POP 공연 등 다양한 스포츠클럽) K-Pop 공연 공연마당에 현지 젊은이들의 참여 증가, 특히 육상, 축구 K-POP 커버댄스 공연에는 300여명의 순수 실내경기장 현지인들로 이루어진 팬들의 공연 무대로 한류의 열기를 느낄 수 있었음

한류의 상륙 시기

러시아 내에서‘까레이스카야 볼나’ ‘한류’ ( 의 러시아어 표현)가 본격적 으로 시작된 시기는 2005년부터라고 볼 수 있다. 러시아 내 한류의 시초 는 드라마이다. 2005년에 <내 이름은 김삼순>을 시작으로 <건빵선생과 별사탕>, <마이걸>, <베토벤바이러스> 등 수많은 드라마들이 인터넷을 통해 러시아 인들과 만나게 되었다. 방송국을 통한 공식적인 경로가 마련되지 않은 상 황에서 한국드라마 열풍은 자발적으로 생겨났다. 현재는 드라마에 대한 관 심은 이전에 비해 조금 낮아진 상태며, K-Pop이 새로운 한류의 중심으로 급부상한 상태이다. 현재(2012년 6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빅뱅, 슈퍼주니어, 동방신기, JYJ, 비스트, 샤이니 외 다수 •드라마 : JYJ 멤버 박유천 주연 <옥탑방 왕세자>, K-Pop 아이돌들이 다수 참여한 드라마 <드림하이 2> 등

336 지구촌 한류현황


러시아

2012년 한류 파워인물

유 럽

빅뱅, 슈퍼주니어 등 한식

러시아는 고유의 음식문화가 미미한 편이다. 블린, 벨멘 등 전통음식이 라고 하는 음식들도 알고 보면 중앙아시아나 동쪽 어딘가에서 넘어온 음식 들이다. 게다가 러시아인들은 음식은 음식일 뿐, 문화로 생각하는 경향이 드물다. 따라서 음식도 문화의 한 갈래로 여기는 우리네 문화가 이들에게 는 신선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주러시아한국문화원에서는 K-Food 행사의 일환으로 <한식 마스터 클래스>, <한국의 맛과 멋>이라는 행사를 통해 현지인들에게 한식을 소개하는 시간 을 여러 번 가졌다. 현지 언론들도 관심을 많이 보였으며, 한국음식의 다채 로운 색깔과 그 맛에 놀라워했다. 이 외에도 모스크바 식품대학, 28번 기 술학교 등에서 한식 클래스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2년 최초로 4명의 수 료생을 배출해냈다. <K-Food 행사현황> 날짜

행사명

2012.03.12 한식 2012.03.31 마스터클래스

2012.04.19 ~20 한국의 맛과 멋 2012.06.01

장소

프로그램 및 성과

모스크바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문화원 관계자 및 한국학 전공자 10여명, K-Pop 관계자 30여명을 대상으로 불고기와 닭찜을 소개하였다. 또한 현지인들의 입맛을 고려하여 퓨전 샐러드도 함께 선보였다.

모스크바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주러시아 외국대사관 무관부 70여명, 언론인들 대상으로 양향자 세계음식문화연구원장의 한식 홍보가 있었으며, 6.1 행사에는 서규용 농림 수산식품부 장관이 한식강좌 수료생들에게 기념패와 감사장을 전달하였고, 러시아 내 기업인들과 언론인들도 초청 후 비빔밥 책 배포 등 한식 홍보에 힘썼다.

337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교민이 많은 도시에는 한식당이 여러 개 있긴 하지만, 러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있는 스시집(일식당)에 비하면 그 수가 턱없이 적은 편이다. 한식의 홍보는 물론, 러시아 내 보편화를 위해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다. 한국어

2012년 2월 11일 주러시아한국문화원에서는 한국어수업 오리엔테이션 이 열렸다. 이 때 신규 등록자가 300여명에 달했으며, 초급Ⅰ 5개 반, 초 급Ⅱ 4개 반, 중급 2개 반, 고급 1개 반 등 도합 12개 반으로 6월 초 종강까 지 학생들이 꾸준히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연령대는 10대~20대가 제일 많았는데, K-Pop에 대한 관심이 한국어 수강으로까지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자신의 뿌리를 찾기 위해 한국어를 배우려 마음먹었 다는 고려인 3, 4세들과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이 많아 한국어를 배우 러 왔다는 중년의 러시아인들도 있었다. 각기 다른 이유로 모였지만 한국어 를 배우겠다는 열정만큼은 하나같았던 수강생들은, 종강 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시험을 본 뒤 합격자들에 한해서 수료증을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4월 5일~7일까지 국립국어원 박지순 학예연구사와 이동은 국민대 국제교육원 한국어교육센터장을 초청하여 한국어 강의법을 주최하였다. 주러시아한국문화원 및 원광 세종학당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열린 이 강연의 주된 내용은 보다 나은 수업을 위한 전문적인 조언 및 수업방법이 었으며, 이는 강좌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 K-Drama(연극)

사실 러시아에는 극장이 정말 많고, 발레나 연극공연 또한 다양하다. 이 런 환경 덕분에 러시아인들은 어릴 때부터 극장에서 여러 공연을 접하곤 한다. 이러한 특성에 착안하여, 주러시아한국문화원에서는 한국의 극단을 러시아로 초청하여 한국의 연극을 선보이는 K-Drama 행사를 주최하였

338 지구촌 한류현황


러시아

다. 특히 고골, 체홉 등 러시아 작가의 작품을 토대로 구성된 연극은 현지

유 럽

인들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한류 열풍이 연극 분 야에서도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K-Drama 행사 현황> 날짜

2011.06.12

행사명

‘밑바닥에서’ - 극단 물결

장소

모스크바 예르몰로비

프로그램 및 성과 •막심 고리키의 사실주의 작품을 신체움직임과 대사언어를 통합한 형태의 공연 예술로서 각색 •대사와 사실적인 움직임으로 한정되기 쉬운 기존 연극 표현법을 탈피, 새로운 제 3의 표현법을 발견하고자 함 •장면, 장면을 미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일차원적인 표현법을 넘어 이미지화시키는 것에 중점

•안톤 체홉의 사실주의 작품을 신체움직임과 대사 언어를 통합한 형태의 공연예술로서 각색한 작품 •공연장 총 327석을 다 메우고도 보조의자를 배치하는 등 관객 400여명 관람으로 성황을 이룸, 관객 대부분 현지인 •공연 티켓 대부분 모스크바 시내 공연 티켓 구매소에서 판매, 전석 매진 ‘5분간의 청혼’모스크바 극장 2012.04.08 •일반적인 연극공연과 달리 언어 외에 다양한 - 극단 물결 ‘루늬’ 예술(연극, 무용, 음악, 미술, 문학, 영상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감성을 효율적으로 표현, 연극무대의 새로운 트렌드 제시 •현지관객은 공연 관람 후 러시아 작품을 한국 사람들이 공연을 하는 부분이 참 흥미로웠고, 아름다우며, 한국연극 수준에 대한 놀라움을 표하며 감사인사를 전하였음 •현지 명성 있는 사브레멘닉 극장에서의 최초 한국 극단 공연 •공연 당일 사브레멘닉 극장(드루가야 스쩨나) 모스크바 200석 만석 및 입석으로 많은 관객이 공연 ‘내가 죽어 2012.06.19., 누워있을 때’ ‘사브레멘닉’ 관람을 하며 성황을 이룸 23, 26 ‘비밀경찰’ 극장 •공연 전 현지 평론가, 기자 대상 공개 리허설 ‘테레즈라켕’ 진행 - 스타니슬라브스키 잡지, 모스크바 Time Out 잡지, 리아노보스찌 등 극단‘동’ 에 대한 기사 게재

339


■ K-Classic

앞서 말했듯이, 러시아는 예술을 사랑하는 나라다. 자국의 예술에 대한 자부심은 곧 자신의 자존심과도 같다. 그렇다고 외국에서 건너온 예술을 무시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외국의 예술일지라도 그 수준이 높다면 인정하 고 아낌없는 찬사를 보낼 줄 아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특히 사랑받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클래식이다. 한국이 IT기기, 자동차 같은 산업분야와 KPop같은 대중음악뿐만 아니라 클래식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낸다는 것 을 보여주고자 마련한 사업이 바로 K-Classic이다. 또한 클래식 외에도 퓨전 국악을 선사하여 러시아인들에게 한국 전통의 소리를 소개하고자 했다. <K-Class 행사 현황> 날짜

행사명

장소

프로그램 및 성과

•차이코프스키 국립음악원에서의 보기 드문 한국인 초청공연으로 음악원 라흐마니노프스키 홀에서의 독주회 개최 모스크바 피아니스트 •짧은 기간의 홍보에도 불구, 공연장에 150여명 차이코프스키 2012.01.17 안미현 독주회 의 관객 입장 국립음악원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한-러 클래식 교류를 위한 K-클래식 행사 지원 필요 •한국 연주자의 우수성을 소개하는 계기 마련

2012.02.19 ~21

340 지구촌 한류현황

칼루가, 모스크바, 상트페테르 부르크

•서울바로크합주단의 첫 러시아투어 공연 개최 도시였던 칼루가州 공연장 735석 만석 •칼루가州 문화부장관 축사로 서울바로크합주단 공연에 대한 감사와 존경을 표하며 훌륭한 연주에 대해 극찬, 추후 또다시 방문 공연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전함 •3번의 커튼콜, 차이코프스키 세레나데, 경복궁 타령, 모차르트 레퀴엠등 앵콜곡 연주, 관객전원 기립박수로 성황리 공연 마침 •공연언론보도 다수(1-러시아방송 인터뷰 및 방영) •2.18(토), 11시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2층 홀 기자 회견 개최 •언론:이타르타스 통신사, 라디오‘오르페이’ (러시아클래식 방송라디오), 음악포털 ‘클론다이 크 ‘, 모스크바잡지社


러시아

2012.03.17

2012.05.15

해설이 있는 봄 음악회

피아니스트 백건우 모스크바 공연

2012.05.19 한국전통국악 공연

2012.05.23 스톤재즈 공연 ~24

모스크바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모스크바 한인회와 차이코프스키 한인 학생회가 주최, 주러 한국문화원이 후원한 이 행사는, 러시아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음악회를 통한 교민들의 화합을 위한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 되었다. 차이코프스키 국립 음악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 20여명의 연주로 진행되었다.

모스크바 돔 무지끼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네셔널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연주, 존 넬슨의 지휘로 진행된 이 공연은 모스크바 돔 무지끼 스베틀라노프스키 홀에서 열렸다. 공연 프로그램으로는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어느 예술가의 생애의 에피소드>,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op.30이 있다.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국립음악원

•모스크바 차이코프스키 국립음악원에서 매 해 개최되는 국제음악페스티벌‘세계의 소 리’초청 한국전통국악공연단(거문고-오석신, 가야금 - 백은선, 대금-이항윤, 피리-최 병호, 장구 김용호) 공연

로스토프 나도누, 모스크바

유 럽

•모스크바 돔무지키 공연에 관객 400여 명 관람 •공연 후 관객 전원 기립박수로 성황리에 공연 을 마침

•기본 재즈 트리오 구성(피아노(기타), 콘트라 베이스, 드럼)에 국악(가야금, 해금, 피리)을 접목시킨 한국의 퓨전재즈밴드 스톤 재즈를 초청하여, 러시아 현지인들에게 한국 전통의 소리를 재즈라는 친숙한 장르를 통하여 소개하였다. •5.23. 로스토프나도누 공연 - 220석 만석인 공연장에 450여명의 관객 이 몰리면서 성황리에 공연을 마쳤음. - 좌석이 부족하고 냉방시설도 미비하였으나, 관객들은 공연이 끝날 때 까지 자리를 지켰음. •5.24. 모스크바 공연 - 100석 만석인 공연장에 150여명의 관객이 공연 관람. 로스토프나도누 공연과 마찬가지 로 성황리에 마침. - 피아노 대신 기타로 연주하여 일반적인 재즈 연주와는 다른 특색 있는 공연을 선보였음.

341


■ K-Sports

태권도는 대표적인 한민족 고유의 무술이자, 세계적으로도 널리 보급된 투기 스포츠이며 대한민국의 국기(國技)이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부 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부터 세계인들의 이목을 더욱 더 끌었으며, 관 심 또한 높아졌다. 이와 같은 흐름에 동조하여, 러시아 내 태권도 보급에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자 주러시아한국문화원에서는 태권도 수업 강좌 를 개설하였으며, 매년 최소 두 차례씩 태권도 정기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K-Sports 행사 현황> 날짜

행사명

제4회 주러시아 2012.03.01 한국문화원 태권도 정기심사

장소 모스크바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프로그램 및 성과 •문화원 태권도 수련생 38명, 한인어린이 8명, 러시아어린이 8명 등 총 54명이 참가하였으며, 이희권 한국학교 교장, 이정권 한민족협회 회장, 태권도 선교사 김영락, 하종혁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태권관장이 심사하였다.

■ K-Style

K-Pop이 인기를 끌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K-Pop 스타들의 세련된 패션이다. 스타들이 입는 옷, 착용하는 악세서리 하나하나에 팬들은 열광 하고 있다. 그렇지만 K-Pop 스타들의 옷 그 이상으로 아름다운 스타일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우리 전통 한복이다. K-Pop으로 인해 한국을 알게 된 팬들은 한국 전통의상인 한복을 보고 한 번 더 놀라며 감탄하고는 한다. 주러시아한국문화원은 2010년 <이상봉 패션쇼>를 통하여 한글과 패션의 조합, 그리고 한국 현대의 미를 소개하였으며, 2011년 <한복패션쇼>에서는 전통한복을 통하여 한국 전통의 미를 알렸다. 이렇듯 패션 분야의 한류를 전파하는 K-Style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될 예정이다.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6월 12일 모스크바 쩨에스까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제19회 한

342 지구촌 한류현황


러시아

민족큰잔치> 중 K-Pop 커버댄스 프로그램은 300여명의 순수 현지 팬들

유 럽

이 모여 공연하였다. 또한 2012년 6월 19일, 23일, 26일 3일에 걸친 극단 동의 공연은 모스크바의 명성 있는 극장 사브레멘닉에서 열렸으며, 윌리엄 포크너의〈내가 죽어 누워있을 때>, 니콜라이 고골의 <비밀경찰>, 에밀 졸 라의 <테레즈 라켕> 공연 모두 200석 만석의 결과를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쳤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러시아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주로 특정 가수 별 팬클럽이 대부분이며, 한류 관련 행사가 있을 때 마다 연대를 형성하여 함께 동참한다. 또한 각 동호회는 한류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특히 대표적인 배우나 K-Pop 가수들이 연기한 드라마나 영화를 중심으로 소규모 동호회가 조직되어있 는 것으로 보인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중 후반에서 20대 초반이다.

(2) 동호회별 현황 빅뱅 공식 팬클럽 성격

빅뱅 팬클럽

회원수

20,300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official_bigbang

세부활동 현황

•회장 : 토마 아흐메도바 •기사 모음 •커뮤니티 운영

343


슈퍼주니어 성격

슈퍼주니어 팬클럽

회원수

20,192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superjunior

세부활동 현황

•회장 : 카리야 쉬마트코 •사진, 동영상자료 공유 •기사모음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동방신기 팬클럽 TVXQ │ DBSK │ JYJ 성격

동방신기/JYJ 팬클럽

회원수

16,445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dbsk_jyj

세부활동 현황

•회장 : 올랴 엡슈코바 •사진, 동영상자료 공유 •기사모음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Korean Tv-Show 팬클럽 KTS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4,276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korean_tv_show

세부활동 현황

•회장 : 크리스티나 타라소바 •한국 k-Pop 방송 자체번역 및 팬활동

비스트 공식 팬클럽 성격

비스트 팬클럽

회원수

11,740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official_beast

세부활동 현황

•회장 : 크슈나 지다노바 •사진, 동영상자료 공유 •기사모음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344 지구촌 한류현황


러시아

|SS501|Kim Hyun Joong 김현중(SS501) 팬클럽

회원수

10,119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kimhyunjoong_club

세부활동 현황

•회장 : 레나 크리비츠카야 •김현중에 관한 모든 기사 및 사진게재 및 사이트내 활동

Ⅲ 유 럽

성격

We ♥ F.T Island 성격

FT 아일랜트 팬클럽

회원수

10,101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ftisland

세부활동 현황

•회장 : 줄리나 구치모바 •사진, 동영상자료 공유 •기사모음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CNBLUE-BOICЕ-In my head 성격

씨앤블루 팬클럽

회원수

9,575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cnblue

세부활동 현황

•회장 : 올랴 카프타시예자 •관련 기사수집 및 번역공유 •사진, 동영상자료 공유

SHINee in Russia, Moscow 성격

샤이니 팬클럽

회원수

6,571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shinee_in_russia

세부활동 현황

•2011.9.6. 모스크바 k-Pop 커버댄스 페스티벌 관련 정보공유사이트 •샤이니 모스크바 방문 동영상을 비롯 사진 및 현지 팬들의 플래시몹 등 정보공유

345


대한민국 ALL about KOREA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6,244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club220078

세부활동 현황

•한류, 한국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공유 •k-Pop 뿐 아닌 한류자체, 한류팬클럽

K-POP ADDICTS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5,999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k_trava

세부활동 현황

•회장 : 김 아나스타시야 •한국 k-Pop 가요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포탈 사이트 •k-Pop 팬들의 가요 및 가사 공유사이트

Official Group JYJ_JaeJoong☆ Yoochun☆Junsu 성격

JYJ 재중, 유천, 준수 팬클럽

회원수

5,886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jyj_official

세부활동 현황

•회장 : 율리아 멜니코바 •사진, 동영상자료 공유 •기사모음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K-Pop In Russia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2,162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kpoprussia

세부활동 현황

•러시아 내 K-Pop행사홍보 및 플래시몹 개최, 활발한 한류 기타 팬 활동 •K-Pop 현지 댄스동아리

Boise Ru 성격

씨앤블루 팬클럽

회원수

617

웹사이트 주소

http://www.boice.ru/

세부활동 현황

•드라마 번역, 인터뷰 기사, 소식, 팬 프로젝트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346 지구촌 한류현황


러시아

Aigoo Russia K-Pop 동호회

회원수

1,010

웹사이트 주소

http://vkontakte.ru/club14918660

세부활동 현황

•정기적인 한국 파티 주최 •k-Pop 가요, 댄스, 한류에 큰 관심을 가진 순수 현지인들의 정기적인 모임과 파티개최 •최근 한국 DJ Big Brothers 초대 및 파티개최

Ⅲ 유 럽

성격

러시아 E.L.F Forum 성격

슈퍼주니어 팬클럽

회원수

2,485

웹사이트 주소

http://superjunior.ru/index.php

세부활동 현황

•2009.7.22. 활동시작 •정기 오프라인 모임 •봉사활동(2011.10.22. 모스크바근교 고아원 월동준비)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팬프로젝트, 기사 번역, 비디오, 인터뷰 수집 등을 통한 정보교류

러시아 샤이니 월드 성격

샤이니 팬클럽

회원수

484

웹사이트 주소

http://shinee-world.ru/

세부활동 현황

•비디오, 인터뷰, 기사번역, 팬프로젝트를 통한 정보교류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TVXQ 성격

동방신기 팬클럽

회원수

1,386

웹사이트 주소

http://tvxq.ru/

세부활동 현황

•회원들 자체 내 영화, 기사 및 인터뷰, 음악 공연, 트위터 정보, 쇼, 뉴스, 가요, 최신 기사등 번역 및 공유

347


SM Town RUSSIA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3,400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smtown.russia

세부활동 현황

•전 러시아적 k-Pop 댄스 동호회 모임 정보공유 •2011년 페이스북 개설하여 현재까지도 꾸준한 활동

Taemin(SHINee) Russia 성격

태민(샤이니) 팬클럽

회원수

6,832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pages/Taemin-SHINee-Russia/18784 4674597085?sk=info

세부활동 현황

•2011.5.15. 결성 •태민에 관련된 모든 정보공유 •음악, 사진, 활동 전반

KoreanSpace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20,000

웹사이트 주소

http://koreanspace.ru/index.php

세부활동 현황

•전 러시아적, 중앙아시아를 비롯한 활발한 한류문화 정보공유사이트 •한국의 문화, 음식, K-Pop, 드라마, 영화 등 전반적인 정보포탈 •한류관련 행사공지

한류뉴스 yesasia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하루 평균 2,000명 이상의 방문자

웹사이트 주소

http://www.yesasia.ru/

세부활동 현황

•현지 사이트 회원들의 자체 드라마, 영화, 연예인 인터뷰기사 번역을 통한 정보 공유 •한류관련 행사공지 •한류 문화관련 사이트로 가장 활동이 활발한 사이트

348 지구촌 한류현황


루마니아

Ⅲ 유 럽

6. 루마니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대장금>을 효시로 우리 드라마를 루마니아에 소개한 국영 방송사에서 지속적으로 우리 사극을 방영하고 있고, 동 방영의 성공을 계기로 민영 방 송사에서도 점차 우리 드라마 방영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사극뿐만 아니라 <천만번 사랑해>나 <꽃보다 남자> 등 현대물도 본격 방영되는 등 우리 드라마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날로 더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드라마가 주로 중장년층의 인기를 얻고 있다면 K-Pop의 경우 장르 성격상 루마니아 청년층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데, 2008년부터 한국 대중음악 아티스트 팬클럽이 서서히 형성되기 시작하여 현재 약 50개 팬 클럽이 활동 중에 있다. 전체 회원규모는 약 5천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각 팬클럽들은 상호 정보 공유 등을 위해 2010년 연합체 성격인 "루마니아 한류팬 클럽” (KFCR)을 결성, 주루마니아대한민국대사관과 유기적 협조 아래 2010년 8월 전국 각지의 동호인 1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최초의 K-Pop 행사인 <코리아 팬미팅>을 성황리 개최하였으며, 2012년 9월 더 욱 확대된 규모의 2차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349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대장금>이 2009년 7월 최초로 루마니아 국영 TVR1(우리의 KBS1에 해당)의 전파를 타 당초의 부정적 전망을 극복하고 최고 인기 드라마로 성 공적인 데뷔를 장식하였으며, 이를 효시로 <이산>, <선덕여왕>, <허준>, <김수로>를 거쳐 현재에도 <주몽>, <짝패>가 매일 평일 방송 중에 있다. 또한 최대 민영방송그룹 Euforia TV는 현대물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내일이 온다면>을 방영하면서 현대극을 소개하고 있다. 영화

루마니아 주요 영화제인 <트랜실바니아 영화제> 및 <부카레스트 영화제> 등에 임권택, 김기덕, 송일곤, 박찬욱 감독 등의 작품이 지속적으로 소개되 는 등 주로 작가주의 감독들의 영화에 관심이 많으며, 최근 한국 영화 마니 아층이 형성되고 있다. K-Pop

2011년 8월부터 슈퍼주니어 등 우리 K-Pop 아티스트들의 뮤직비디오가 당지 최대 TV 뮤직비디오 채널인‘Music Channel’ 에서 저녁 8시 30분 이후 황금시간대에 소개되고 있고, 다른 뮤직채널인‘UTV’에서도 간헐 적으로 우리 K-Pop을 소개하고 있다. 2011년 한류 파워인물

빅뱅, 슈퍼주니어, 2NE1, 장근석 등 한국어

최근 한류 영향으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한 학년의 학생 수가 채 10명이 안되던 부카레스트대학과 바베시보여이대학의 한국어학과 학 생이 2011년과 2012년 신입생의 경우 30~40명으로 크게 증가되었다.

350 지구촌 한류현황


루마니아

2 한류 동호회 현황

유 럽

(1) 일반 현황 2008년부터 한국 대중음악 아티스트 팬클럽이 서서히 형성되기 시작하여 현재 약 50개 팬클럽이 활동 중이다. 전체 회원규모는 약 5천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2NE1 Romania 성격

2NE1 팬클럽

회원수

약 100

웹사이트 주소

http://2ne1romania.net/

Super Junior Romania 성격

슈퍼주니어 팬클럽

회원수

약 300

웹사이트 주소

http://s6.zetaboards.com/supajunia/index/

세부활동 현황

•모든 팬미팅 참석

HALLYUDEX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약 800

웹사이트 주소

http://hallyudex.net/

세부활동 현황

•전반적 한류 정보 공유 •세차례의 오프라인 모임을 가짐

Korean Cultural Club Romania 성격

종합적 한류동호회

회원수

약 200

웹사이트 주소

http://kcc-ro.forumgratuit.ro/

세부활동 현황

•2012년부터 한국어 프로그램 시작 •2011년 팬 미팅 참석

351


K-World Romania [KWR]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알 수 없음

웹사이트 주소

http://kworldromania.wordpress.com/

세부활동 현황

•한국문화 전파 •매달 한류 온라인 매거진 발매

Big Bang Romania 성격

빅뱅 팬클럽

회원수

약 300

웹사이트 주소

http://bigbangromania.net/

B2UTY Romania 성격

비스트 팬클럽

회원수

약 150

웹사이트 주소

http://beastromania.forumgratuit.ro/forum

Mirotic Crystal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루마니아 내 가장 오래된 한류 팬클럽(2008년 창설)

회원수

약 330

웹사이트 주소

http://romaniangodess-tvxq.forumgratuit.ro/

세부활동 현황

•세차례의 팬미팅을 개최

Primadonna Romania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루마니아에서 규모가 가장 큰 팬클럽, 2번째로 오래되었음

회원수

약 400

웹사이트 주소

http://fti-romania.forumest.ro/ ∧

Eels Romania 성격

장근석 팬클럽

회원수

약 600

웹사이트 주소

http://janggeunsukromania.myforumgratuit.ro/

352 지구촌 한류현황


루마니아

Lee Jun Ki Romania 이준기 팬클럽

회원수

약 350

웹사이트 주소

http://leejunkiromania.myforumgratuit.ro/

Ⅲ 유 럽

성격

Triple S Romania 성격

SS501 팬클럽

회원수

약 250

웹사이트 주소

http://tsr-fanclub.forumhit.ro/

Hottest Romania 성격

2PM 팬클럽

회원수

약 30

웹사이트 주소

http://hottestromania.wikiforum.ro

4Nia Muzik 성격

4MINUTE 팬클럽

회원수

약 60

웹사이트 주소

http://romaniahuh-4minute.forumgratuit.ro/porta

Clouds Romania 성격

비 팬클럽

회원수

약 50

웹사이트 주소

http://clouds.forumgratuit.ro

Boice Romania 성격

CNBlue 팬클럽

회원수

약 60

웹사이트 주소

http://boiceromania.forumstory.org

F(x) Romania 성격

F(x) 팬클럽

회원수

약 50

웹사이트 주소

http://fx-romania.forumz.ro/

353


7. 벨기에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아시아 및 중동 지역과 달리 벨기에 한류는 K-Pop 또는 한국드라마가 아닌 클래식 음악, 한국영화, 한국어, 태권도 등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 클래식 한류는 2000년 이후 한국 젊은 음악인들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기 시작하면서부터다. 특히 2011년 동 콩쿠르 성악 부문에서 소프라노 홍혜란이 영예의 1등상을 수상하면서 한국 클래식 음 악의 성장 배경 및 원인 등에 대한 벨기에인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한국영화는 <브뤼셀 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FF)>에 매년 3~4편의 한 국 영화가 출품되면서 관심의 폭을 넓혀 가고 있다. 2011년에는 동 영화제 에서 김지운 감독의 <악마를 보았다>가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편, 2010년 2월 브뤼셀 세종학당을 개원하고 한국어 및 한국문화 보급 에 노력하고 있다. 최근 유럽 내 K-Pop 등 한류 확산, 2011년 7월 한-EU FTA 발효 등으로 현지인들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원조 한류라고 할 수 있는 태권도 또한 한국문화 확산에 한 몫하고 있다. 벨기에 태권도 인구는 약 1만 명(성인 3천명, 학생 3천명, 어린이 4천명)으 로 태권도 인구의 저변은 탄탄하다고 할 수 있다.

354 지구촌 한류현황


벨기에

(2) 분야별 현황

유 럽

클래식 음악

벨기에의 클래식 한류는 바로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와 불가분의 관계 에 있다. 이는 2000년부터 유럽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소프라노 임선혜 등 한국 젊은 음악인들이 동 콩쿠르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 기 시작하면서부터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폴란드의 <쇼팽 콩쿠르>, 러시아의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와 더불어 세계 3대 음악 콩쿠르로 알려 져 있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1937년‘이자이 콩쿠르(Ysaye Competition)’ 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으며,‘퀸 엘리자베스’ 란 이름은 벨 기에의 왕비 Elisabeth von Wittelsbach의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것은 2011년 소프라노 홍혜란이 아시아인으로는 처음으로 동 콩쿠르 성악 부문에서 1등상을 수상했다는 점이다. 이는 70여 년이 넘는 연륜을 지닌 동 콩쿠르에서 한국 음악인들의 역량과 재능을 다 시 확인하는 전기가 되었다. 한편, 2012년 5월 19일 및 5월 27일 양일간 벨기에 최고의 불어 공영방송사 RTBF에서 <한국 음악 불가사의(Korean Music Mystery)>란 다큐멘터리를 방영 한국 음악인들이 국제무대에서 두 각을 나타내는 이유를 집중 조명한 바 있다. 동 다큐멘터리는 한국 음악인 들이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주요 요인으로서 첫째, 한국종합예술 학교 설립 등 한국정부의 문화예술에 대한 투자 및 지원 둘째, 음악 영재들 을 조기 발굴해서 육성하는 교육 시스템 셋째, 한국인의 타고난 예술적 재 능 넷째, 치열한 경쟁 다섯째, 유교적 전통으로 인한 부모와 스승에 대한 존경 및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높은 관심 등을 조명하였다.

355


<2000년 이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한국인 역대 수상자 현황> 연도

부문

2000년

성악

2001년

바이올린

2003년

피아노

수상자 임선혜(7위), 데이비드 동규 리(8위) 백주영(7위) 박종경(9위), 손민수(11위)

2004년

성악

손혜수(11위)

2005년

바이올린

권혁주(6위)

2007년

피아노

2008년

성악

2009년 2010년

바이올린 작곡 피아노 작곡

2011년

성악

2012년

바이올린

임효선(5위), 이미연(10위), 윤홍천(12위) 임창한(9위), 윤정난(12위) 김수연(4위), 윤소영(6위), 최예은(9위), 박지윤(11위) 조은화(1위) 김태형(5위), 김다솔(6위), 김규연(8위), 박종해(10위), 선우예권(12위) 전민재(1위) 홍혜란(1위), 이응광, 황인수(결선 진출) 신현수(3위), 에스더 유(4위, 한국계 미국인), 김다미(결선 진출)

영화

한국영화는 <브뤼셀 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FF; Brussels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를 통해 꾸준히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다. 약 30 년의 역사를 지닌 동 영화제는 스페인 시체스, 포르투갈 오포르토와 함께 세계 3대 판타스틱영화제로 꼽힌다. 2001년에는 한국을 주빈국으로 선정해 한국영화를 집중 상영한 바 있으며, 동 영화제에서 김기덕 감독의 <섬>(2001년),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2004년), 김지운 감독의 <악마를 보았 다>(2011년)가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편 2010년에는 브뤼셀 시내 영 화관에서 이창동 감독의 <시> 및 봉준호 감독의 <마더>가 상영되는 등 한 국영화가 점차적으로 저변을 넓혀 가고 있다. 한국어

2010년 2월 브뤼셀 세종학당 개원 이후 유럽 내 K-Pop 등 한류의 확 산, 2011년 7월 한-EU FTA 발효 등으로 인해 벨기에 내 한국어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현재 브뤼셀 세종학당에는 초급 3개반, 중급 2

356 지구촌 한류현황


벨기에

개반에 약 70명의 벨기에 학생과 직장인 및 EU 직원 등이 한국어를 수강

유 럽

하고 있다. 브뤼셀이 EU의 수도인 관계로 수강자들의 국적이 벨기에, 프 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으로 다양한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브뤼셀 세종 학당은 한국어 교육과 함께 국악, 한식 등 프로그램도 제공 폭넓게 한국문 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2011년 12월에는 한-벨기에 수교 11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한국어 학습의욕을 고취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제1회 한 국어말하기 대회>를 개최하여 좋은 호응을 얻은 바 있다. 벨기에 내 학교 중 별도의 한국학 또는 한국어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 학교는 없으며, 루벤대학교 일본학과 내 2학년 과정에 기초회화 수준의 한 국어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태권도

벨기에 태권도 인구는 약 1만 명(성인 3천명, 학생 3천명, 어린이 4천명) 으로 태권도 인구의 저변은 비교적 탄탄하다. 벨기에에는 약 240여 개의 태권도 클럽이 활동 중에 있으며, 학생 대상 약 200여개의 태권도 교실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안트워프와 나뮈르 소재 체육고등학교에 태권도학과 가 설치되어 있어, 잠재력을 지닌 벨기에 태권도 인재를 양성 중이다. 그리고 30여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벨기에오픈태권도대회>가 1979년 부터 매년 열리고 있어 벨기에 태권도 인구 확산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 으며, 약 50개국 1,500명의 태권도 선수가 참가하는 유럽 내 최대 태권도 대회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벨기에태권도협회는 약 20명의 태권도시범단을 구성해 <벨기에챔 피언전> 등 벨기에 내 주요 태권도 행사에서 겨루기, 격파, 품새 등 태권도 시범을 보여주고 있으며 10여개의 벨기에 공립학교에 직접 강사를 파견해 태권도교실 운영을 지원하는 등 벨기에 태권도 인구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드라마

드라마패션이라는 한국드라마 인터넷 보급 업체가 최신 한국드라마를

357


불어 자막 처리해 한국드라마를 소개하고 있다. 드라마패션 인터넷사이트 는 www.dramapassion.com이며 약 3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한식

한식 홍보대사이자 벨기에 내 유명 스타 셰프인 상훈 드장브르를 적극 활용하여 벨기에 내 한식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나가고 있다. 2011년 12월 에는 <Korean Culinary Lab>을 개최하고 유럽의 탑 셰프들이 한국음식 조리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한국음식을 홍보하는 성 과를 거두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벨기에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K-Pop 2개, 국악 1개가 활동 중이다. K-Pop 동호회는 한류 스타 공연 정보를 공유하며,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 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국악 동호회는 국악 공연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벨기에인을 대상으로 판소리, 장구 등 소규모 워크샵을 개최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K-Pop BELGIUM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5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KpopBelgiu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 스타 공연 정보 교류 •(오프라인) 연 2~3회 모임

358 지구촌 한류현황


벨기에

K-Pop fans in Belgium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3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K-Pop-fans-In-Belgiu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 스타 공연 정보 교류

Ⅲ 유 럽

성격

국악 동호회 성격

국악 네트워크

회원수

약 100

세부활동 현황

•북문화센터 관장 Jacques-Yves Le Docte 중심 국악 네트워크 구성, 활동

359


8. 벨라루스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10년경부터 벨라루스의 청소년, 대학생을 중심으로 K-Pop과 드라마를 인터넷을 통해 개인적으로 시청하는 등 한국 대중문화(한류)가 소개되어 왔으나, 아직은 소수의 K-Pop 동아리를 중심으로 마니아층이 형성되고 있는 단계이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2010년 벨라루스 공중파 8TV에 <바람의 화원>이 방송되었으며, 2012년 5월 28일부터 <태양의 여자>를 8TV에 방영중이다. 영화

2007년 11월 <제14회 민스크 국제영화제>에서 <밀양>이 작품상과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였고, 주벨라루스대한민국대사관에서 2008년 1월 한국영 화제를 개최하여 <내 머릿속의 지우개>, <허브> 2편을 소개하였다. 2011년

360 지구촌 한류현황


벨라루스

11월 <제18회 민스크 국제영화제>에서는 <하녀>가 초청되어 상영되었으며,

유 럽

영화제 계기에 대사관에서 <한국영화특별전>을 개최하여 <7급공무원>, <맨발의 꿈>, <워낭소리> 3편을 벨라루스 국민들에게 선보였다. K-Pop

벨라루스 내 K-Pop은 현재 5개 동아리 60여명의 회원들이 주 1~2회 자체 활동과 연습을 하고 있으며, 많은 동호인(현재 1,000여명 회원)들이 페이스북과 유사한 러시아권의‘Vkontakte’ 를 통해 K-Pop에 관한 정보 를 공유하고 있다. ※ 동호회 활동 •2011.10, 민스크 아시아문화페스티벌에 K-Pop 동호회‘Seoul Mates' 참가 •2012. 2, K-Pop 행사(클럽 활용, 동호인 30명 출연, 250명 참관) •2012. 5, K-Pop 행사(클럽 활용, Cover Dance 7개팀・가라오케 5명 등 40명 출연 , 250명 참관)

한류의 상륙 시기

2010년 즈음하여 러시아어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한국 대중문화(한류)가 벨라루스 내에 소개되기 시작하여 왔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동호회를 중심으로 소녀시대, 샤이니, 슈퍼주니어 등이 가장 인기가 높다.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소녀시대, 샤이니, 슈퍼주니어 한식

벨라루스 내에는 한식당이 현재 없으며, 한국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는 곳도 매우 드물어서 벨라루스인들에게 한식은 생소한 외국음식으로 인식 되고 있다.

361


한국어

벨라루스국립대 국제관계학부 동양어 및 동양학과에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 과정이 개설되어 현재 운영(학생 23명, 교사 3명 : 2명은 한국인 전임 강사 및 한국국제교류재단 파견 강사)되고 있고, 민스크국립언어대 동양어 학과에 한국어 제2전공 과정이 운영중(학생 26명, 교사 1명)이다. 또한 고 려인협회 산하에 한글학교가 어린이반, 초급반, 중급반으로 80여명의 수 강생을 대상으로 우리 유학생들이 강사로 참여하여 운영되고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류로 인한 한국제품의 판매 증진 등 큰 영향은 없으나, 동호회 회원들을 중심으로 K-Pop 가수들의 패션 등을 모방코자 하는 흐름이 커지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한국기획사를 통한 K-Pop 가수나 그룹의 방문 행사는 아직 없으나, 벨 라루스 기획사가 대사관으로 샤이니 초청 공연을 추진코자 한국 기획사의 연락처를 문의해 와 이를 주선하여 준 바가 있으며, 가수 김현중 콘서트의 인터넷 생중계를 희망하는 회사의 문의가 있어 한국 관계자를 소개해 준 바 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벨라루스 내 한류 동호회는 주로 K-Pop 동호회로서 자체 활동과 연습 을 통해 K-Pop을 즐기고 있으며, 주로 클럽을 활용하여 활동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 교류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청소년층이 참가하고 있다.

362 지구촌 한류현황


벨라루스

(2) 동호회별 현황

유 럽

K-Pop in Belaus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1000

웹사이트 주소

Vkontakte(http://vk.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관련 정보교환

Seoul Mates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7

연락처

kansai08@yandex.ru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정기모임을 동해 K-Pop 자체 활동과 연습

Neverland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3

연락처

marina.evitihevich@gmail.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정기모임을 동해 K-Pop 자체 활동과 연습

YoKan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8

연락처

Dasha.takk.min@gmail.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정기모임을 동해 K-Pop 자체 활동과 연습

363


Yunjae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5

연락처

mikansei_luv@hotmail.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정기모임을 동해 K-Pop 자체 활동과 연습

Kugatsu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22

연락처

hiroto93@list.ru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정기모임을 동해 K-Pop 자체 활동과 연습

아리랑가무단 성격

한국 전통 춤 및 음악 단체(고려인협회 산하)

회원수

20

연락처

See_an_angel@tut.by

세부활동 현황

•(오프라인) 각종 행사 계기 공연

364 지구촌 한류현황


세르비아

Ⅲ 유 럽

9. 세르비아

1 한류동호회 현황 POD JEDNIM NEBOM(한 하늘 아래) 성격

베오그라드대 한국어 강좌를 이수한 어문학부 학생을 중심으로 조직된 단체

회원수

약 100(한국어, 한국영화 등 한국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진“대학생” 층이 중심으로 회원이 구성되었으며,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

웹사이트 주소

http://www.pod-jednim-nebom.blogspot.com/

세부활동 현황

•한국어 배우기 : 한국어에 관심있는 회원에게 한국어강좌 제공 (강사: Tomasevic 장) •한국영화 함께보기 : 한국영화를 통한 회원들간 친목을 도모하는 행사를 정기적으로 개최 •최근 행사 : 3.12-26“엽기적 그녀” 등 한국영화 3편 감상회 개최 •기타 자선 활동

365


10. 스페인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0년대 중반까지도 스페인 사람들에게‘한국’ 이라고 하면 태권도의 나라, 중국 옆에 있는 나라, 특히 남과 북으로 나누어진 나라 정도였으나 최근에는‘한국’ 하면 K-Pop, 영화, 드라마 등에 대해 아는 젊은이들이 늘 어나고 있으며 특히, 젊은층에서 K-Pop 팬들이 확산되고 있어 현지 언론에 서도 관심을 가져주며 K-Pop이 무엇인지 뉴스에 가끔씩 보도되기도 한다. 특히 2011년에는 아이돌 그룹 비스트와 JYJ의 스페인 공연으로 K-Pop 팬들이 꽤 늘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은 한국드라마가 방영된 적이 없고 프랑스나 영국에 비해서는 한류팬이 많지 않은 편이며 한류팬 중에는 남미 출신 젊은이들이 꽤 섞여 있어 순수한 스페인 젊은이들로 구성된 한류팬이 일반화된 수준은 아니나 꾸준히 한류팬 층이 늘어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영화

2004년도에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가 <칸느영화제>에서 심사위원

366 지구촌 한류현황


스페인

대상을 수상하면서 스페인에도 한국영화가 독특하고 재미있어서 한국영화

유 럽

팬들이 많이 생겼다. 임권택, 김기덕, 이창동, 홍상수, 봉준호 감독 등은 인 지도가 상당히 높으며 이들의 작품이 스페인 영화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 다. 또한, 최근에는 연간 1~2편의 한국영화가 극장에서 개봉되고 있으며 2012년에는 그 동안 한국영화 DVD 배급을 주로 하던 Media3라는 현지 배급업체가 연초에 나홍진 감독의 <황해>를 극장 상영을 하였으며 5월에 는 이정범 감독의 <아저씨>를 극장 상영하였다. K-Pop

당초 스페인은 교민 및 한국유학생이 많지 않고 프랑스 등 타유럽 국가 에 비해 한류팬 저변이 얇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2011년 <한국방문의 해> 가 추진한 <K-Pop 커버댄스 페스티벌>에서 온라인 신청 응모팀 가운데 스페인이 53개 팀으로 총 65개 국가 중 8번째로 많이 신청해 유럽지역(러 시아 제외)에서는 가장 많은 팀이 신청한 나라였다. 또한 대륙별로 개최한 유럽지역 본선 경연대회를 2011년 9월에 스페인에서 개최하여 행사장에 2일간 총 2,000여명의 한류팬들이 참석하여 각 국가 참가팀의 노래를 따 라하고 춤을 추면서 그룹 비스트의 심사평 한마디 한마디에 박수와 환호 를 보내는 즐거운 축제 분위기로 경연대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2011년 10 월에는 바르셀로나에서 JYJ가 유럽투어 첫 콘서트를 개최하여 3,000명 넘는 관중이 야외무대를 꽉 채웠다. 콘서트를 관람하기 위해 프랑스, 스위 스 등 타 유럽국가에서도 온 팬들도 있었다. 그 이후로도 스페인의 K-Pop 팬들은 또 다른 아이돌 그룹을 초청하기 위해 온라인 팬카페 결성 등의 활 동을 벌이고 있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4년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 영화에서 스페인 내 한류가 시작되 었다고 볼 수 있으며 2011년 아이돌그룹 비스트와 JYJ 공연으로 K-Pop 팬이 증대하고 있다.

367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비스트, JYJ, 슈퍼주니어 •영화 : 박찬욱 감독, 김기덕 감독, 홍상수 감독 등의 영화 2011년 한류 파워인물

비스트, JYJ, 슈퍼쥬니어 한식

스페인에는 한국 식당이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에 각각 10개 정도로 그 리 많은 편은 아니며 일부 한국식당은 현지식에 맞게 퓨전화 되어있다. 아 직은 한식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고 '그저 맵다'라는 정도이나 여러 차례 한식을 먹어본 사람들의 반응은‘재료나 요리법이 건강식이며 맛도 좋다’ 라며 한식 팬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2012년 2월에 개최된 세계 최대 음 식축제중 하나인 <Madrid Fusion> 박람회에 한국이 주빈국으로 참여하 여 한국의 유명한 쉐프들이 현지에서 직접 요리 시연을 하였고 한식이 한 국식당과 함께 현지 언론에 소개되었다. 한국어

현재 스페인에서는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그리고 말라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기관이 있다. •바르셀로나 EOI(escola oficial de idiomas)(수강생수 : 118명) •마드리드 콤픔루텐세대학 어학센터(CSIM)(수강생수 : 41명) •주스페인한국문화원(수강생수 : 31명) •말라가대학 동양학과(수강생수 : 6명) •살라망까 대학(수강생수 : 120명) 기타 산업 파급효과

스페인의 K-Pop 팬들 중 대부분은 한국에서 직접 한류를 느끼기 위해 또는 한국을 자세히 알기 위해 한국에 가보고 싶다는 팬들이 증가하고 있다.

368 지구촌 한류현황


스페인

현지 한인 여행사에서는 한류 콘서트관련 한국여행상품을 판매중이며 삼

유 럽

성, LG, 현대차, 기아차 등에 대한 인지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어 한국상품 판매 증가에도 일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주요 행사

2011년 9월에 <K-Pop 커버댄스 페스티벌>의 유럽지역 본선에 비스트가 심 사위원으로 참석하여 마드리드에서 개최되었으며 비스트가 심사위원으로 참석 하였다. 2011년 10월에는 바르셀로나에서 JYJ 유럽 첫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스페인 내 한류동호회는 대부분 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에서 페이지를 그룹별로 개설하여 운영되고 있다. 또는 한국의 음악뿐 아니라 한국음식, 영 화, 생활방식, 정치, 관광 등에 대해 소개를 해주는 블로그 여러 곳이 운영되 고 있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초반에서 30대 중반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SM 성격

SM 소속가수 동호회

회원수

3,8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SM활동 관련 정보교환

369


Coreano por gusto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4,900

웹사이트 주소

www.coreanoporgusto.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관광, 한식, 영화 등 관련 정보교환 및 관련 영상 직접 제작

Paella de kimchi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1,833

웹사이트 주소

www.paelladekimchi.com

세부활동 현황

•한식, 관광, 한국 사회, 스포츠 등에 관한 정보 수집

Super Junior in Spain 성격

슈퍼주니어 팬클럽

회원수

9,045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SuperJuniorSpain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연 3~4회 모임(회원 생일파티, 동방신기 콘서트를 상영)

SHINee Spain 성격

샤이니 팬클럽

회원수

4.880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SHINeeSpain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연 3~4회 모임

BIG BANG Spain 성격

빅뱅 팬클럽

회원수

4,797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BigBangSpain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연 3~4회 모임

370 지구촌 한류현황


스페인

BEAST Spain 비스트 팬클럽

회원수

4,136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BeastSpain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연 3~4회 모임

Ⅲ 유 럽

성격

Asian-Club 성격

K-Pop 및 J-Pop 동호회

회원수

약 3,000(회원연령은 10대~30대로 주로 스페인 국적자)

웹사이트 주소

www.asian-club.es

세부활동 현황

•회장등 간부진들이 대부분 바르셀로나에 거주하며 활동중 •과거 J-Pop에 심취하였으나 최근 K-Pop위주로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해 활동 •2011.9월 바르셀로나 JYJ 공연시 자원봉사자로 동호회 다수 회원들이 활동 “를 설치하여 한국문화 소개활동 등 •Japan Weekend 행사에 "한류 부스

Siesdestino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3,171(10대~20대)

웹사이트 주소

www.siesdestino.com

Holacorea 성격

한국 관련 정보공유 동호회

회원수

450(20대~50대)

웹사이트 주소

www.holacorea.com

371


11. 슬로바키아

1 한류 현황 슬로바키아 내에서의 한류는 주로 K-Pop에 집중되어 있다. 아시아 대 부분의 나라에서 느껴지는 드라마, K-Pop, 영화들에 걸친 전반적인 한류 열풍과는 다르게 슬로바키아에서는 한국드라마에 대해서 아는 이는 거의 없다. 한류에 관심이 많은 동호회 또한 음악에 관련된 동호회가 전부이며, 해당 동호회의 회원들이 한국드라마나 영화 등에 대해 조금 알고 있을 뿐 주기적으로 시청하거나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동부 유럽에서 인지도가 높은 김기덕 감독 작품 중 <영화는 영화다>, <풍산개> 등이 알려져 있으며,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 등이 그나마 잘 알려져 있다. 슬로바키아 내 수도 브라티슬라바에 위치한 코멘스키대학 아 시아학부에 2012년 9월 학기를 시작으로 한국어과가 개설될 예정이며, 현 재 일본어과 등은 이미 개설된 지 몇 해가 되어 한국문화 보다는 일본의 문 화컨텐츠가 더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주슬로바키아대한민국대사관에서 개최한 <한국어 말하기 대회>, <한식요리 경연대회> 등으로 한국문화의 관심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가는 단계이다. K-Pop 가수 중에는 슈퍼주니어, 2PM, 소녀시대, 빅뱅, 2NE1, 씨스타, 원더걸스, 비스트 등의 아이돌가수들이 인기가 많으며, 이들의 음반을 구 하기 위해 대사관으로 구입처를 묻는 경우도 있다. 이에 주슬로바키아대사

372 지구촌 한류현황


슬로바키아

관에서는 인터넷 구입처 등을 안내하거나 대사관 주최 각종행사에서 상품

유 럽

으로 한국가수들의 음반이나 한국을 상징하는 기념품을 증정하기도 한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슬로바키아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주로 특정가수(그룹의 경우 각 멤버) 별 팬클럽이 대부분이며, 주로 한류 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그 외 한국과 슬로바키아 양국관련 문화행사를 홍보하는 문화교류 동호회가 있으며, 한국드라마나 영화에 관련된 동호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2) 동호회별 현황 K-pop Slovakia & Czech fans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204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K-POP-Slovakia-Czech-Fans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K-pop slovakia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58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Kpop-Slovakia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 가수 정보 공유

Oasis: Korean & Slovak Cultural Exchange Project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9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rojectoasis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슬로바키아 양국간의 문화행사 정보 교류

373


12. 아일랜드

1 한류동호회 현황 트리니티대학 한국동호회(Trinity College Dublin Korean Society) 성격

아일랜드의 최고 명문 대학인 트리니티 대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한국 동호회

회원수

120(회원들은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로 구성)

웹사이트 주소

http://koreansociety.wordpress.com

세부활동 현황

•일차적으로 K-Pop, 한국 영화, 한국드라마 등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 및 열정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나, 한복, 한국 음식 등 한국문화 전반으로 관심 영역 확장 추세 •정기 회동(매달 1-2회)시 한국 영화 상영회, 한식 체험 행사 및 한식 조리 교습 등 개최 •온라인(koreansociety.wordpress.com)상 한국드라마, 영화, K-Pop 등에 대한 감상평과 한복, 한식 등 한국문화에 대한 활발한 정보 공유

K-Pop Ireland 성격

아일랜드의 청소년(대다수가10대)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한국 동호회

회원수

248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kpopireland, twitter.com/#1/kpop_ireland

세부활동 현황

•일차적으로 K-Pop, 한국 영화, 한국드라마 등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 및 열정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나, 한복, 한국 음식 등 한국문화 전반으로 관심 영역 확장 추세 •정기 회동(매달 1회)시 한식 체험 행사, K-Pop 음악 및 댄스 연습 등 실시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통해 한국드라마, 영화, K-Pop 등에 대한 감상 평 및 공연 관련 정보 공유

374 지구촌 한류현황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Ⅲ 유 럽

13. 아제르바이잔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아제르바이잔의 여대생 중심으로 자생조직을 통해 젊은층 중심으로 한 류가 확산되고 있다. 일부 대학생들은 터키 인터넷 사이트에서 한류드라 마, 음악, K-Pop 등을 접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류에 매력을 느낀 학생들 을 중심으로 최초의 한류 동호회인 KFA(Korea-Fans Azerbaijan)이 조 직되었다. 주요회원 150여명 이외에도 KFA 페이스북 접속 등을 통하여 한류에 관심을 보이는 인원은 아제르바이잔 전역에 약 500여명 정도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2012년 6월 한-아제르바이잔 수교 20주년 문화행사가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의 최대 극장인 헤이다르 알리예프 사라이에서 개최되어 한사모를 중심으로 한 젊은층들은 우리의 퓨전국악과 비보이, 비 트박스를 직접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동 공연은 아제르 젊은 층들 의 전폭적인 성원을 받았다. 다만, 아제르바이잔의 자국문화(이슬람 문화 권)에 대한 자긍심 및 해외문화의 자국문화내로의 전파에 대한 보수적 인식 등을 감안시 우리의 K-Pop, 드라마 등 한류 스타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한 한류가 급속도로 확산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1년 12 월 22일 자국 문화유산 보호 및 자국 국민의 정신적, 윤리적 가치 보호를 위

375


해 금년 5월 1일부터 아제르바이잔 전역에 방송되는 해외드라마의 상영을 금지한다는 취지의 결의안을 채택하고 현재 시행중이다. 현재로서는 아제르 바이잔 내의 두드러진 한류 전파 동향은 감지되지 않고 있으나 한류 전파의 중심층이 젊은 여대생이며 이들을 중심으로 저변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 등을 고려시 지속적으로 한류 전파의 추동력을 확보해 나갈 필요가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아제르바이잔의 공중파 LIDER TV에서 2006년 <불새> 방영, i-TV에서 <다모> 방영을 시작으로 Xazar TV에서 <내조의 여왕>, <종합병원>, <나쁜 여자 착한여자>, <에어시티>, <일지매>, <뉴하트>, <히트> 등 7편을 2010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방영하였다. 그러나 금년 5월1일부터 아제르바이잔 전역에 방송되는 해외드라마의 상영을 금지한다는 취지의 결의안이 시행 중이어서 앞으로 드라마를 통한 한류확산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 연도별 아제르바이잔 공중파TV의 한국드라마 방영건수 >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Total

2

-

-

-

8

8

18

영화

2005년 10월 바쿠에서 제1차 한국영화제를 개최하여 <8월의 크리스마스> 등을 상영하였고 2006년 8월 제2차 한국영화제를 개최하여 <엽기적인 그녀> 등을 상영하였다. 2011년 11월에는 <한국영화의 날>을 지정하여 갠자시에서 한국영화 5편, 다큐1편을 상영하여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K-Pop

아제르바이잔 공중파 방송을 통해서 K-Pop을 접할 수는 없으나 인근 터키 인터넷 사이트 등 웹사이트를 통해서 정보를 얻고 페이스북 등 SNS

376 지구촌 한류현황


아제르바이잔

활동을 통해 공유하고 있으나, 이미 K-Pop이 문화코드로 자리 잡은 일본,

유 럽

동남아 등에 비해 아제르바이잔의 K-Pop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형편이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6년 드라마 <불새>를 시작으로 한국드라마의 방영은 시작되었으나 한류의 움직임은 터키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한류드라마, 음악, K-Pop등을 접한 일부 대학생들로부터 2011년경 시작되었다. 현재(2012년 6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JYJ, 빅뱅, 동방신기, 씨앤블루 등 •드라마 :다모, 일지매, 내조의 여왕 등 한식

아제르바이잔 내에는 한식당이 한 곳 뿐이며 아제르인들이 한식을 접하 는데 어려움이 있어 한식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한국 연수 경 험 등을 통해 혹은 대사관이 주최하는 한식 행사를 통해 한식을 접한 아제 르 사람들은 김밥, 부침개, 잡채, 불고기 등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 는 것으로 파악된다. 2012년 10월에는 아제르바이잔 요리사 협회와 협력 하여 한식 세계화 행사를 바쿠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한국어

1994년 아제르바이잔 세계언어대학교 내에 한국학과 개설, 2007년 국립 바쿠대학교 한국학과 개설에 이어 최근 헤제르대학, 경제대학 내에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었으며, 나흐치반대학교 내에 한국센터(Korea Center)가 개 설되었다. 아제르바이잔 내 한국 기업의 진출 등을 이유로 한국어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KOICA 연수프로그램, 정부초청장 학생, 정부초청연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한국어를 접하고 공부 하는 학생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류동호단체인 한사모를 중심으 로 한 젊은 층의 경우, 자발적으로 한국어를 공부하고, 한글 말하기 대회 참 가, 한국어 검정시험 참가 등을 통해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377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6월 21일 헤이다르 알리예브 사라이 공연장에서 양국 수교 20 주년을 기념하여 한국의 광개토 사물놀이 예술단이 아제르측 공연단과 합 동공연을 펼쳤으며, 참석한 2,000여명의 관객들로부터 많은 박수 갈채를 받았다. 특히, 퓨전타악 메가드럼, 사물놀이 판굿, 부채춤 등은 참석한 아 제르 국민 및 외교단들로 하여금 우리 음악의 역동성을 실감케하였고, 피 날레에서의 아리랑 협연은“한-아제르 국민의 조화” 라는 공연 제목 답게 멋진 하모니를 연출하였다. 또한, 2012년 7월 1일 쉐키시에서 개최된 <제3 회 국제음악페스티발>에 충남 부여군 소속 국악단이 참가하여 살풀이, 판 소리를 선보여 참석한 200여명의 관객들로부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아제르바이잔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한사모’모임이 유일하다. 한국의 역사, 문화, K-Pop,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정보를 교류하고 모임 을 가진다. 회원은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한사모(Korea-Fans Azerbaijan)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정회원 150(관심층 : 약 500)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페이스북을 통해 정보 교환 •(오프라인) 한달에 한번 모임 •한국어, 한국역사, 문화, 음식 등 한국에 대해 전반적으로 함께 공부 •K-Pop, 한국드라마, 영화 관련 정보 공유 •2102.5.26 한사모 주최로“한국문화의 날”행사 개최

378 지구촌 한류현황


영국

Ⅲ 유 럽

14. 영국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영국 내 한류는 아직 시작단계로 2000년대 초반 한국영화가 영국에 소 개되면서 시작되었다. 현재까지의 최고 흥행작은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 다. 참고로 영국관객은 감독주의 성향이 깊어 배우보다는 감독을 보고 관 람하는 경향이 있으며, 임권택, 박찬욱, 김기덕, 봉준호, 김지운 감독 등이 알려져 있다. K-Pop의 경우 온라인상에서의 동호회를 중심으로 알려지다가 2011년 샤이니 공연, 유나이티드큐브 공연(비스트, 지나, 포미닛), 영국 최대 음반 판매회사 HMV의 K-Pop CD 판매 등 오프라인으로 확장되고 있다. 한국 애니메이션 <뽀로로와 친구들>이 영국에 수출, 공중파 방송에서 상영 되어 영국 어린아이들 사이에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아직까지 한국드라마가 영국에서 방영된 사례는 없다. 참고로 영국인 블

379


로거가 BBC에 아시아를 강타한 <대장금>을 상영해 달라는 청원을 지속적 으로 요청하고 있다. 영화

많은 한국영화 판권이 현지에 판매되고 있으나, 정식으로 극장에 개봉되 는 것은 1년에 1~2편 정도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DVD로 출시되고 있다. K-Pop

온라인에서 활동하던 K-Pop 팬들이 2011년 런던한국영화제 개막공연 <샤이니 인 런던>(전석 매진)을 계기로 오프라인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유나이티드큐브 공연(약 3,500여명 참석)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식

영국은 뚜렷한 전통음식이 없어 모든 나라의 음식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한식당도 대형화, 전문화, 다양화되어가는 추세이다. 한국어

소아스대, 킹스컬리지 등 대여섯 기관에서 한국어강좌가 초급, 중급, 고급반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으며,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국영화 DVD, K-Pop 음반, 한국 캐릭터 상품 등이 판매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1년 12월 유나이티드큐브엔터테인먼트사 소속가수(비스트, 지나, 포미닛)의 K-Pop 공연이 있었다.

380 지구촌 한류현황


영국

2 한류 동호회 현황

유 럽

(1) 일반 현황 영국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주로 특정가수 혹은 그룹별 팬클럽이 대부 분이며, 주로 한류 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UK Big Bang 성격

빅뱅 팬클럽

회원수

4,997

웹사이트 주소

www.ukbigbang.com

세부활동 현황

•웹사이트와 트위터(@UKBigBang)를 통해 빅뱅에 관련된 기사 및 소식 전달

Kpop Team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4,668

웹사이트 주소

www.kpopteam.com

세부활동 현황

•런던의 클럽에서 K-Pop 음악을 틀어 운영하는 단체 •한달에 2-3차례 클럽행사 진행

T-ara Eunjung UK 성격

티아라 은정 팬클럽

회원수

3,116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HamEunjungUK

세부활동 현황

•티아라 특히 함은정에 관련된 기사 및 사진들을 정기적으로 게재

381


Kpop Music UK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2,294

웹사이트 주소

www.kpopmusic.co.uk

세부활동 현황

•K-Pop에 대한 정보와 소식을 수시로 게재하고 영국 내 K-Pop 행사 일정 홍보

SM Town in UK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898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smtownlondon

세부활동 현황

•SM엔터테인먼트 소속가수를 영국으로 부르고자 하는 목표로 창립된 동호회

United Kpop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781

웹사이트 주소

www.unitedkpop.com

세부활동 현황

•정기 E-magazine으로 소식 전달

K-pop Concerts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382

웹사이트 주소

www.kpopconcerts.com

세부활동 현황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K-Pop에 대한 소식과 정보를 공유 •K-Pop뿐만 아니라 한국드라마 및 패션에 관한 정보도 공유

382 지구촌 한류현황


영국

Kim Heechul Petals UK 성격

김희철(슈퍼주니어) 팬클럽 1,199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Kim-Heechul-Original-Flower-BoyPetals-UK/

세부활동 현황

•슈퍼주니어, 특히 김희철에 관련된 기사 및 사진들을 정기적으로 게재

유 럽

회원수

Bring YG Family to the UK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034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BringYGfamilytoUK

세부활동 현황

•YG엔터테인먼트사에 소속된 가수들에 관련된 정보 및 기사 공유

2PM Taecyeon UK 성격

2PM 옥택연 팬클럽

회원수

887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OkTaecyeonUK

세부활동 현황

•2011년 2월 13일에 창립 •2PM, 특히 옥택연에 관련된 기사 및 사진들을 정기적으로 올림.

383


15. 오스트리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오스트리아의 한류는 아직 발아기 정도의 수준으로 일부 젊은 층을 중심 으로 한 K-Pop에 대한 관심이 한류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공중파의 한국드라마 상영은 없었으며 한국영화도 몇 차례 소개되었으나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하였다.

(2) 분야별 현황 K-Pop

오스트리아 음악시장에서 K-Pop은 비주류 음악으로 분류되며 Oestereich 3 등의 정규 음악방송에서도 소개되지 않고 있다. K-Pop은 유투브 등 인터넷을 통해 소개되고 공유되며 이를 통해‘Ai-like’ 라는 K-Pop 동호회가 형성되어 활동 중이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10년경 유투브를 통해 K-Pop이 전파되기 시작하고 이를 기초로 초 보적 수준의 동호회가 결성되었다.

384 지구촌 한류현황


오스트리아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한류

유 럽

•K-Pop :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등 한식

한식은 한류 상륙 훨씬 이전부터 비엔나에 정착되기 시작하여 현재 약 40여개의 식당이 교포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불고기는 웬만한 젊은 이들 사이에 알려져 있는 음식이 되었다. 초기에는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최근 일부 식당은 현지인 손님들 중심으로 한식당이 운영될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매우 높다. 한국어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우리의 경제적 성장과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 지역 전반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한류의 상륙 이전부터 학문적, 어학적 차원에서 접근되어 왔으며 비엔나대학에는 한국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K-Pop 동호회원들 사이에서는 한글 가사를 따라 부르려는 노력 등을 통 해 한글이 보다 친숙해졌고 한글 학습 동기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류의 발아기 또는 초기 단계로서 현 단계에서 기타 산업 파급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4월 30일 Ai-like 주관으로 K-Pop 콘테스트가 비엔나 공대 인근 클럽에서 개최되어 약 400여명이 동 행사에 참여하였다.

385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오스트리아 내 한류 동호회는‘Ai-like’ 라는 K-Pop 동호회가 유일하다. 주로 오스트리아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헝가리, 폴란드 등 가까운 중 유럽지역 학생도 일부 참여하고 있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20~30대 젊은 층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AI LIKE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400

웹사이트 주소

http://www.ai-like.net

세부활동 현황

•2011년 10월 및 2012년 4월 비엔나 시내 클럽에서 K-Pop 콘서트 및 경연대회 개최

386 지구촌 한류현황


우즈베키스탄

Ⅲ 유 럽

16. 우즈베키스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우즈베키스탄에는 과거 스탈린시대에 극동지역에서 강제 이주된 고려인 동포 약 17만명이 살고 있다. 척박한 땅에서 근면하게 삶을 가꾸고 교육에 남다른 열성을 보여 우수한 민족으로 인정을 받아 우즈벡에서 한민족문화 가 낯설지만은 않으나 현재의 한국문화와는 상당히 다르며 고려인동포들 은 한국을 그리워하고 있다. 우즈벡에서는 1998년 드라마 <별은 내 가슴에>를 통해 한국문화가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으며 <겨울연가>가 시청률 60%를 기록하면서 최고 기록 을 경신한 바 있다. 또한 <이브의 모든 것>, <주몽>, <대장금> 등이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일일 평균 7편의 한국드라마가 TV를 통해 방영되는 등 우즈벡 국민들의 한국드라마 선호도가 높다. 아울러 우즈벡 국영TV는 한 국의 발전상 및 문화관광지 등에 대해 수차례 방영하여 청년들에게 코리안 드림의 열기를 높였다. 다만 한국드라마가 내용이 유사하여 식상하다는 평 가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가족중심의 생활, 부모에 대한 공경, 가부장적 사회 등 한국과 우즈벡의 문화적 유사성으로 한국드라마에 대해 친근감을 느끼고 있다.

387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드라마 <겨울연가>가 시청률 60%를 기록하면서 최고 기록을 경신한 바 있고, <별은 내 가슴에>, <이브의 모든 것>, <주몽>, <대장금> 등이 상당한 인기를 얻었으며 일일 평균 7편의 한국드라마가 TV를 통해 방영되는 등 우즈벡 국민들의 한국드라마 선호도가 높다. 이는 삼성, LG 등이 홍보 전 략의 하나로 방송국 광고비 대신에 드라마 방영권을 우즈베키스탄에 제공 함으로써 한류 열풍 확산에 일조한 면이 있다. 영화

주우즈베키스탄대한민국대사관은 타쉬켄트 시내 극장에서 <한국영화제> 를 개최해 최신 영화를 소개하는 행사를 해 오고 있다. 2010년에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식객>, <워낭소리>, <7급 공무원>, <과속 스캔들>을 소개하였고, 2011년에는 <국가대표>, <복면달호>, <킹콩을 들다>, <전우치>, <맨발의 꿈>을 소개하여 고려인동포들을 격려하고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면서 영화 속에 등장한 한국산 자동차, 휴대폰 등 전자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효과도 거양하였다. K-Pop

우즈벡에서는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K-Pop에 큰 관심 을 가지고 있으나 대규모 공연이 개최되기에는 현지 실정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주우즈베키스탄대한민국대사관은 한-우 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2012년 5월 23일 <한국어 노래자랑대회(K-Pop)>를 개최하여, 우즈벡 젊 은 층과 고려인동포들을 격려하였다. 아울러 고려인동포를 대상으로 2012년 상・하반기 <한국어 노래자랑대회>를 개최해 한국어 실력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한류를 고취하고 있다.

388 지구촌 한류현황


우즈베키스탄

한류의 상륙 시기

유 럽

1998년 <별은 내 가슴에>에서 시작하여 <겨울연가>, <여름향기>, <올인>, <다모>, <천생연분>, <파리의 연인> 등 수십 편의 드라마가 방영되었고, 특히 <대장금> 등 대 히트를 치며 한류의 인기가 높아졌다. ※ 외국드라마중 시청률 1위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 다수 •드라마 : 이병헌, 송일국, 송승헌, 김태희 등 2011년 한류 파워인물

비, 소녀시대, 빅뱅 등 한식

우즈베키스탄에서 방영된 드라마 <대장금>이 인기를 얻고 주우즈벡대사 관이 2010년 <한국영화제>에서 한식을 소재로 한 영화 <식객>이 상영되고 문화행사시 한국음식이 소개되면서 우즈벡인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 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한국어

2011년 8월 현재 타쉬켄트시 57개교, 타쉬켄트주 34개교, 기타 지방도시 31 개교 총 122개 초중고교에서 12,000여명의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또한 한국교육원 및 동방대학, 니자미사범대, 사마르칸트외대, 세계경제 외교대, 세계언어대, 세종한글학교 등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드라마에 나온 패션, 화장술(미용)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휴대폰, 컴퓨터, 냉장고, 에어컨 등 한국 전자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특히 높다.

389


최근 주요 행사

2011년에는 한국문화재청의 중요무형문화재공연, 한국영화제 및 미술 전시회를 성황리에 개최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2012년에는 한-우 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5월 22일에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공연, 5월 23일 한국어 노래자랑대회(K-Pop 경연대회) 및 6월 2일 한국퀴즈 경연대회가 연이어 개최되어 우즈벡 국민들과 고려인 동포들의 열띤 환호를 받았으며, 한-우 양국 우호친선 협력을 크게 증진시켰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우즈벡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타쉬켄트 한국교육원에서 한국어수업 일 환으로 진행되는 노래반이 초급반과 중급반으로 편성 운영되고 있으며, 이 를 통해 한국어공부도 하고 한류 스타 관련 정보도 공유하고 있다. 회원들 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기타 한국어학 과 개설대학 내 사물놀이, 부채춤을 배우는 학생들이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즐거운 한국어 노래반 성격

한국어/K-Pop 동호회

회원수

45

웹사이트 주소

없음

세부활동 현황

•(오프라인) 주2회 교육원에서 한국어수업 일환으로 모임

390 지구촌 한류현황


우크라이나

Ⅲ 유 럽

17. 우크라이나

1 한류동호회 현황 드림하이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040

웹사이트 주소

vk.com/dream_high

세부활동 현황

•2011.6.26 프라임(홀)에서 K-Pop 팬 200여명 참가한 <제1회 K-Pop의 밤> 행사 개최 •2011.8.28 키예프 시내 중심가 마이단 광장에서 140여명의 K-Pop 회 원들이 참가한 <K-Pop 플래시몹> 행사 개최 •김황식 총리 우크라이나 방문시(2011.9.29) 총리 숙소(인터콘티넨탈 호텔) 앞에서 K-Pop 회원 100여명이 환영행사를 개최 •2011.12.3 크바르다트(홀)에서 K-Pop 팬 250여명 참가한 <제2회 KPop의 밤(콘테스트)> 행사 개최 •2011.7월 이후 한인회 중심으로 K-Pop 회원을 위한 한글학교를 운영중 (현재 3개반 80여명이 수강중)

391


18. 이탈리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이탈리아에서 한국의 이름이 크게 각인되기 시작한 해는 2002년이다. 이탈리아인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인 축구, 그것도 월드컵에서 한국이 이탈리아를 격파하면서 한국의 이름이 이탈리아인의 뇌리에 깊이 새겨지 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한류는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의 한국의 활약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고 그 태동은 한국영화에서부터 시작되었다. 2002년 이창동 감독의 <베니스영화제> 특별감독상, 2004년 김기덕 감독의 <베니스영화제> 감독상 수상과 2002년부터 시작된 <피렌체 한국영화제> 등을 통해 한국영화가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우디네 극동영화제>, <로마영화제> 등을 통해 한국영화가 꾸준히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2012년에는 최초로 한국애니메이션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이 이탈리아 극장에 개봉하기도 했다. 영화로 시작된 한국에 대한 관심은 문학작품으로 이어져 다수의 한국작 품이 이탈리아로 번역 출간되었다. 2005년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비 롯한 4편, 2006년 황석영 <손님들>을 비롯한 4편, 2007년 3편 등 2011년

392 지구촌 한류현황


이탈리아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까지 총 21편의 한국문학작품이 이탈리아어로

유 럽

번역 소개되었다. 2009년에는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 한국이 주빈국 으로 초청되어 문학관련 한류를 형성되는데 기여하였다. 이후 나폴리 동양학대학, 로마 사피엔차대학, 베니스 카포스카리대학 동양 학부 등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이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K-Pop이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로마대학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동호회‘소녀시대’ 를 구성, 주요 계기시 일반대중이나 학생들을 상대로 공연을 하고 있으며 페이스북 을 통해 나폴리, 베네치아 등지의 학생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활발히 활동 하고 있다. 이러한 K-Pop의 인기를 바탕으로 2012년 5월에는 이탈리아 MTV Award에서 빅뱅이 베스트팬부문 최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2) 분야별 현황 영화

영화는 이탈리아 내에 한국을 소개한 한류의 시초로써 <베니스영화제> 에서 2002년 이창동 감독, 2004년 김기덕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하면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주요 서점에 김기덕 감독영화 DVD 섹션이 별도로 있을 정도이다. 또한 2002년부터 피렌체에서 <피렌 체 한국영화제>가 시작되면서 매년 한국영화 20~30편이 소개되고 있으며 2012년 <제10회 피렌체 한국영화제>에는 송강호 특별전이 열렸고, 또한 전주영화제와 협력하여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다양한 행사도 개최하였다. 2012년에는 최초로 한국애니메이션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이 이탈리아 70여개 극장에서 개봉되었다. K-Pop

나폴리 동양학대학, 로마 사피엔차대학, 베니스 카포스카리대학 동양학 부 등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이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K-Pop이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로마대학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동호회‘소녀시대’ 를 구성해 주요 행사시 일반대중이나 학생들을 상대로 공연을 하고 있으며 페이스북

393


을 통해 나폴리, 베네치아 등지의 학생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활발히 활동 하고 있다. 이러한 K-Pop의 인기를 바탕으로 2012년 5월에는 이탈리아 MTV Award에서 빅뱅이 베스트팬부문 최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2년 이창동 감독의 <베니스영화제> 수상 및 2002년 <피렌체 한국영 화제>의 시작과 더불어 영화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소녀시대, 빅뱅 •영화 : 김기덕 감독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소녀시대, 빅뱅 한국어

영화로 시작된 한국에 대한 관심은 문학작품으로 이어져 다수의 한국작 품이 이탈리아로 번역 출간되었다. 2005년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비 롯한 4편, 2006년 황석영 <손님들>을 비롯한 4편, 2007년 3편 등 2011년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까지 총 21편의 한국문학작품이 이탈리아어로 번역 소개되었다. 폴리 동양학대학, 로마 사피엔차대학, 베니스 카포스카리대학 동양학부 에는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체 약 600여명의 학생 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한국어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2011년부터 베 니스와 로마에서 매년 한국어능력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1년 10월 주이탈리아대한민국대사관은 나폴리시와 공동으로 <한국 문화주간>을 개최하여 태권도시범, 국립발레단 <왕자호동> 공연, 해군순

394 지구촌 한류현황


이탈리아

양함 관함식, 한국영화제, 한국성악가의 성악공연 등을 진행하여 호평을

유 럽

받았다. 2011년 3월 23일부터 31일까지 <제10회 피렌체 한국영화제>를 개최하여 송일곤 감독의 <오직 그대만>을 비롯한 33편의 영화를 소개하고 송강호 특별전 및 다양한 한국문화 소개행사를 동시 개최하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2012년 5월 이탈리아조각의 중심도시인 피에트라산타시에서 (사)한국 조각가협회 주관으로 한국조각가 50인이 참가하여 200여점의 한국조각을 선보이는 <한국조각가전>을 개최하여 호평을 받았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이탈리아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K-Pop 팬클럽이 대부분이며, 주로 한류 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 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K-Pop Italia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kpopitalia.ne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문화 및 활동 소개, 트위터, 페이스북, 유투브를 통한 이탈 리아 내 팬클럽 결성.

395


K-Pop Town 성격

K-Pop/K-Drama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kpoptown.forumfree.it

•온라인) 아시아(한국, 일본, 중국)를 사랑하고 좋아하는 드라마를 이탈리 세부활동 현황

아어로 번역, 배포하고자 만든 포럼공간으로 모든 공개자료는 비영리단 체인‘Creative Commons’ 이 저작권을 갖고 운영 •K-Drama, K-Pop, 한류스타 이미지 배너별로 분리되어 있고, 회원가 입후 포럼참여 가능 •펜클럽 링크(SS501, Shinee, 이태민, CNBlue, FT Island, 장근석, 빅뱅)

Dorama 성격

한국, 일본, 중국 드라마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dorama.iobloggo.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 일본, 중국 드라마 번역게재. 드라마 다운로드 가능.

All K-Pop 성격

K-Pop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allkpop.forumcommunity.ne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 K-Pop스타 소개. •펜클럽 link 연계(가수 비, 2PM, Beast, 동방신기, SMTown)

K-Pop & K-drama in Europe 성격

유럽 내 K-Pop & K-drama 초청 청원 서명 사이트

회원수

현재(2012.6.9) 67명 서명(5000명 목표)

웹사이트 주소

http://www.firmiamo.it/K-Pop-and-k-drama-in-europe/list

세부활동 현황

•페이스북를 통해 홍보

396 지구촌 한류현황


체코

Ⅲ 유 럽

19. 체코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5년 12월 <제1회 아시아영화제>에서 우리나라 영화 22편이 소개된 이래로 체코인들 사이에서 한국영화는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인식이 확산되 었으며, 현재 체코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류로는 K-Pop과 한국영화가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TV 드라마는 주재국 주요 방송사들과 방영을 협의 중에 있다. 영화

체코 국영 방송국 채널 CT2에서는 "Film Club"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2005년 12월과 2007년 10월 두 차례에 걸쳐 김기덕 감독의 작품 <섬>을 방영하였으며 2009년 9월에는 김기덕 감독의 영화 <활>, <사마리아>, <빈집>, <시간>을 방영하였다. 2010년 4~5월에는 2009년에 방영되었던 김기덕 감독의 작품 4편 외에도 <숨>을 추가하여 총 5편을 방영하였다.

397


체코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는 세계적인 <카를로비바리영화제>에도 매년 우리나라 영화와 영화감독들이 초대되고 있다. 체코인들은 인간 내면의 세계를 잘 묘사한 김기덕 감독의 작품과 같은 예술성이 뛰어난 한국영화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2012년 6월) 봉준호 감독은 체코에서 <설국열차>를 촬영 중에 있다. K-Pop

우리나라 드라마가 아직 체코 내에서 방영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일본, 유럽 등 음악시장에서 우리나라 음악을 접한 후 K-Pop 팬들이 생겨 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1천명 이상의 K-Pop 팬들이 인터넷 카페를 만들어 우리나라 음악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마니아층(주로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빅뱅, 소녀시대, 동방신기, JYJ, 2NE1, CN Blue, 원더걸스 등이 인기 있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5년 12월 제1회 아시아영화제에서 우리나라 영화 22편이 소개된 것을 시작으로 체코인들 사이에 한국영화는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인식이 확산 되었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빅뱅, 소녀시대, 동방신기, JYJ, 2NE1, CN Blue, 원더걸스 등 •영화 : 이창동, 김기덕 감독의 영화 2011년 한류 파워인물

빅뱅, JYJ, 동방신기, 원더걸스, 카라, 김기덕 한식

체코인들 사이에 한식은 건강음식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중국, 일본 음식에 비해 다소 비싼 편이라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체코어로 된

398 지구촌 한류현황


체코

한식 요리책이 발간되고, K-Pop 팬클럽 회원들을 중심으로 한식이 서서

유 럽

히 보급되고 있다. 한국어

K-Pop, 한국영화 등 한류가 체코인들에게 소개되면서 더불어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에 격년제로 신입생을 선발하였던 체코 프라하 소재 찰스대학교 한국어과에서는 이제는 매년 신입생을 선발 하고 있고 지원자도 늘어나고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제품(삼성, LG,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한국어, 한식 등에 대한 판매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1년 8월 1일에는 체코 내 K-Pop 팬들이 자체적으로 모여 K-Pop 플래시몹, K-Pop 경연대회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10월 22일에는 주체코 대한민국대사관 주관으로 <K-Pop 경연대회>가 개최되었고, 동 대회 1위 수상자가 한국에서 개최된 <K-Pop 경연대회> 본선에 참가하였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체코 내 K-Pop 팬들은 인터넷을 통해 한국음악이나 MTV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시청하고 있으며, 주로 자기가 좋아하는 K-Pop 스타 블로그를 중심으로 서로 한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현재 이베이를 통해 K-Pop 관련 CD나 기타 물품 등을 구입하고 있다.

399


(2) 동호회별 현황 Czech Hallyu Wave 성격

•K-Pop 동호회 •주로 10대에서 20대 초반의 연령대로 대부분 체코인이며 일부는

회원수

558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CzechHallyuWave

체코 국적 베트남인과 슬로바키아인이 참여하는 모임

•(온라인)

세부활동 현황

400지구촌 한류현황

- 최신 K-Pop 정보 교환 - 웹사이트상(www.petice.net/korea-v-cr) 한국문화 지지 서명운동 전개 중 •(오프라인) (2011.08.01) K-Pop 미팅 행사 개최 (2011.10.22) K-Pop 콘테스트 개최 (2012.04.28) K-Pop 팬 소규모(10-30명) 모임 (2012.07.30-31) 한류팬클럽 정기모임 개최 예정


카자흐스탄

Ⅲ 유 럽

20. 카자흐스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체제 전환 이후 민족문화 정립을 위해 노력하면서 도 외국문화에 대해 배타적이지 않다. 한국과 카자흐스탄 양 민족 간에는 외모상 크게 구별되지 않아 친근감이 있고, 관계 중심적이고 경로사상을 존중하는 문화적 유사성이 있다. 1998년 이후 한국드라마와 한국영화가 꾸준히 소개되어 왔고, 인터넷의 발전에 힘입어 젊은 층을 중심으로 K-Pop의 인기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의 인기는 공중파 TV에서 동시에 4~5편이 동시 방영될 정도이다. 카자흐인들은 한국드라마를 재미있어할 뿐 만 아니라 그 속에 녹아 있는 어른 공경사상, 가족애 등을 높이 평가한다. 한류가 확산되고 카자흐에 진출한 한국 제품의 우수성과 한국의 발전상이 널리 알려지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양국은 정상간 합의를 통해 2010년과 2011년을 양국 교류의 해로 지정 하여 한국과 카자흐스탄에서 다양한 문화교류행사를 추진하였다. 2010년 에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카자흐스탄에 한국문화원을 개설하

401


여 문화・관광・스포츠 분야 등에서의 교류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1998년 이후 한국드라마가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다. 특히 <주몽>은 선풍적인 인기를 얻어 시청률 70~80%를 기록할 정도였다. 그 후 <허준>, <선덕여왕>, <대장금>, <동이> 등 역사물에 대한 인기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첫사랑>, <가을동화>, <겨울연가>, <올인>, <부자의 탄생>, <미안하다 사랑한다>, <바람의 화원>, <천추태후>, <로비스트>, <꽃보다 남자> 등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가 방영되고 있다. 영화

한류 확산과 더불어 한국영화에 대한 인기도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까지는 우리 영화가 일반 영화관에서 상업적으로 상영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알마티의 한국교육원, 아스타나의 한국문화원에서 정례적으로 <한국영화 상영회>를 갖고 있으며, 2011년 <카자흐스탄에서의 한국의 해> 등을 계기로 주요 지방도시에서 <한국영화 페스티벌>이 개최된 바 있다. 카자흐스탄 젊은 층들은 상당수가 불법 다운로드 판을 통해 최신 한국영화 를 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K-Pop

한국드라마로 시작된 한류는 2000년 이후 인터넷전용선이 일반화되면서 유튜브 등을 통해 K-Pop를 실시간으로 접한 청소년들에 의해 빠르게 퍼 져나갔다. 한류 팬클럽이 생겨나 관련 정보를 소개하고 공유하면서 카자흐 스탄에 K-Pop 소식을 전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아이돌 그룹의 초청공연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류가 상업적 베이스에서 확산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치 못하여 카자흐 기획사가 높은 비용을 들여 한류가수나 배우를 초청하지 못하고 있다. 동남아, 일본,

402 지구촌 한류현황


카자흐스탄

중국과 달리 비행기편이나 비행거리 등이 상대적으로 불편하다는 점도 부

유 럽

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 음반도 카자흐 음반시장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카자흐스탄 국력(GDP)의 지속적 발전으로 한류 수요자들의 구매력 이 커지고 있고, 팬클럽 활동이 활성화되는 등 한류 토대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상업적 베이스의 한류 진출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사전 시장조사 등의 과정을 거쳐 음반 판매, 영화 상영, K-Pop 스타 공연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류의 상륙 시기

카자흐에서 한류는 1998년 이후 <주몽> 등 수십 편의 드라마에서 시작 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2011년 <꽃보다 남자> 등이 젊은 층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2005년 이후 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K-Pop의 인기도 높아 지고 있다. 현재(2012년 5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샤이니, 비스트, 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 다수 •드라마 : 이민호, 장근석 등 2012년 한류 파워인물

샤이니, 비스트, 이민호, 소녀시대, 빅뱅 등 한식

카자흐스탄에는 고려인들이 약 10만여명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고려인 음 식이 널리 퍼져있다. 고려인 음식은 현대 한국음식과는 차이가 많은 편이지 만, 카자흐스탄인들은 김치, 국수, 찰떡 등 고려인 음식으로 인해 한식에 대 한 친근감을 갖고 있다. 또한 한국드라마의 인기로 한국음식에 선호도가 높 아지고 있다. 특히 김치, 잡채, 불고기, 파전 등을 좋아한다. 다만 종교적(이슬 람) 영향으로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은 대중적으로 전파되기 어렵다.

403


알마티에는 한국인이 운영하는 한국 식당이 한국인뿐만 아니라 현지인을 대상으로 수십 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아스타나에는 고려인 식당이 4~5개 정도 운영 중에 있다. 한국어

우리나라와의 교류협력 증진, 한류 확산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는 카자흐 스탄인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알마티에 있는 알파라비국립대학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등에서 한 국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교육원은 연간 1,000명 이상의 고려인, 카자 흐인 등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아스타나에서도 한국어 학습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2011년 9월 유라시아대학에 한국학과가 개설되었으며, 한국문화원에서도 연간 약 600여명의 카자흐스탄 학생들이 한국어강좌를 듣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3월 10일 한국대사관(문화원)과 카자흐스탄 예술대학이 공동주 관한 아스타나 <제2차 K-Pop 경연대회>가 개최되었으며, 5월 19일에는 <제2차 알마티 K-Pop/커버댄스 경연대회>가 개최되었다. 5월 26일에는 양국간의 수교 20주년을 축하하는 문화공연이 2,500여명 의 관객이 참석한 가운데 아스타나‘카자흐스탄’중앙콘서트홀에서 성황 리에 개최되었다. 한국 공연팀(아리랑 파티)은 태권도 시범공연, 전통 무용, 타악 연주, 비보이 공연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수준 높은 공연을 보여줬으며, 관객들과 현지 언론사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404 지구촌 한류현황


카자흐스탄

2 한류 동호회 현황

유 럽

(1) 일반 현황 카자흐스탄 내 한류 동호회는 2010년 이후 결성되기 시작해 회원 수가 증가하고, 활동도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한류 스타(아이돌 그룹), K-Pop 및 드라마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2011년 이후 플래시몹, 송년파티 등의 오프 라인 활동을 가시화하고 있으며, 한국문화원과 한인단체가 주관하는 K-Pop 대회 및 한류 페스티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현지 한국문화 전파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2) 동호회 현황 K-Pop for Kazakhstan(아스타나) 성격

K-Pop 동호회(10-20대)

회원수

444

웹사이트 주소

http://vk.com/club22309150

세부활동 현황

•2010.12.14 결성 •K-Pop 커버댄스 강좌 운영(11.10월-현재, 한국문화원 주1회) •한 샤트레 쇼핑몰 K-Pop 댄스 공연

K-Pop KAZAKHSTAN Fan Club(알마티) 성격

K-Pop 및 영화 동호회(10-20대)

회원수

1,307

웹사이트 주소

http://vk.com/kpopkfu

세부활동 현황

•2010.2.10 결성 •한국드라마, 영화 상영(매주 금요일) •한국어 교육(자체 운영) •알마티 K-Pop 플래시몹(11.7.9) •페이스북, 유튜브, 컨탁트를 통한 K-Pop 정보교류 •‘한국의 해’폐막식 자원봉사 등 •K-Pop 페스티발 자원봉사

405


SHINee in KAZAKHSTAN(알마티) 성격

샤이니 팬클럽(10-20대)

회원수

606

웹사이트 주소

http://vk.com/shineeinkz

세부활동 현황

•샤이니 신곡 음원 전파 및 샤이니 콘서트 요청

406 지구촌 한류현황


크로아티아

Ⅲ 유 럽

21. 크로아티아

1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K-Pop 팬들은 2011년 12월 첫 모임을 자그레브에서 가진 후, 수시로 모임을 갖고 있다. 그 전까지 일부 팬들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관심을 보였으나 K-Pop 동호회가 결성되면서부터 보다 체계적으로 모임을 갖고 있으며, 상호 간 정보교환은 페이스북을 통해 하고 있다.

(2) 동호회 현황 K-Pop Town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200

세부활동 현황

•페이스북을 통해 정보교환 •(오프라인) 주기적으로 모임(자그레브)

407


22. 터키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5년 국영방송 TRT TV에서 드라마 <해신>의 방영이 터키 내 한류의 시작이 되었다. 이후로도 TRT에서 <대장금>, <주몽>, <이산>, <선덕여왕>, <상도> 등 사극을 지속적으로 방영하고 있으며 현재(2012년 6월) 청소년 드라마 <드림하이>와 <동이>를 방영 중이다. 한국드라마에 대한 관심이 젊 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 확산되었다. TV에서 방영된 한국 사극을 넘어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 TV에 방영되지 않은 <꽃보다 남자>, <시크릿 가든> 등의 현대극으로도 관심이 확산되었다. 한국드라마로 시작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은 K-Pop으로도 확대되었 고 한국어 학습, 한국음식, 한국 유학 등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으로 확대되었다. 2007년 이후 인터넷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한류동호회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인기 연예인의 팬클럽 등이 만들어져 정보 공유, 선물 보내기 등 활발히 활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408지구촌 한류현황


터키

(2) 분야별 현황

유 럽

드라마

국영방송 TRT에서 <해신>, <대장금>, <주몽>, <이산> 등을 방영하였으며 2012년 6월 <서동요>와 청소년 드라마 <드림하이>가 방영 되었다. 한국드 라마는 동 방송국에서 방영하는 유일한 외국 드라마로 외국의 문화를 수용 하는 데에 있어서 보수적인 성향이 있는 터키의 문화로 미루어보아 한국드 라마 수출 성과는 높이 평가될 수 있다. 민영 방송국인 Kanal D에서는 <겨울연가>가 방영되기도 하였다. 영화

<이스탄불영화제>, <앙카라영화제> 등 터키의 영화제에 한국영화가 초 대를 받으며 대중들에게 전해지기 시작했다. 김기덕 감독, 박찬욱 감독 등 이 알려져 있으며 <사마리아>, <올드보이>, <빈집> 등 영화가 인기를 끌었 다. TV에서 방영된 한국드라마로 시작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인터넷 을 통하여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로 확산되어 많은 한국영화 마니아들이 있다. 다만 영화관에서 한국영화가 상영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영화제 출품이나 TV에서의 방영 등을 통해 한국영화를 접하고 있다. K-Pop

터키의 음악 방송 채널에서 K-Pop을 적지 않게 볼 수 있으며, 앙카라 터키 한국문화원의 K-Pop 연습실은 주말마다 예약자가 줄을 선다. 2011 년 11월에 개최된 <K-Pop 경연대회>를 통해 K-Pop에 대한 터키인들의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었다. 32팀이 지원하여 총 11팀이 본선 에 올랐으며 아이돌 그룹 음악, 드라마 OST 등 다양한 장르로 지원하였 다. 또한 2012년 2월 앙카라에서 열린 <JYJ 김재중 팬미팅>에서는 600석 의 티켓이 30분 만에 매진되었으며 2천명 이상이 참가 신청을 하는 등 터 키에서의 K-Pop 열기를 잘 보여주었다.

409


한류의 상륙 시기

2005년 국영 TV 방송국에서 드라마 <해신>을 방영한 이후 TV 및 인터 넷을 통해 한국드라마와 영화로 관심이 확산되면서 한류가 터키에 상륙했 다고 볼 수 있다. 현재(2012년 6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SS501, JYJ, 슈퍼주니어, 샤이니, 2NE1, 빅뱅 등 •드라마 : <해신>과 <주몽>의 송일국, <꽃보다 남자>와 <씨티 헌터>의 이 민호, <꽃보다 남자>의 김현중, <시크릿 가든>의 현빈 등 20111년 한류 파워인물

SS501,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이민호 한식

국영 TRT TV에서 방영된 <대장금>의 인기로 터키인들이 한국음식에 관심을 가지지 시작했으며, 2010년 트라브존 및 앙카라에서 개최된 한식 홍보 행사를 통해 터키인들에게 눈으로만 보던 한국음식을 직접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 후 몇몇 TV 요리 프로그램에서 김치, 신선로 등 을 소개하는 등 한국음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어

현재 터키 내 2개 대학(앙카라대학, 에르지에스대학)에 한국어문학과가 설치되어 매 학년 50명(앙카라대학 20명, 에르지에스대학 30명)이 한국어 를 배우고 있다. 일반인 대상 한국어 교육은 터키 내 4개 세종학당에서 담당하고 있다. 2010년 11월 앙카라대학교 부설 언어전문기관인 TOMER와 주터키 한국 대사관간 협력 MOU 체결로 앙카라에 세종학당이 설립된 이후 이스탄불 (2011년 1월), 이즈밀(2012년 3월) 세종학당이 세워졌고, 2011년 10월 개 원한 주터키한국문화원 세종학당에서도 한국어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수

410 지구촌 한류현황


터키

강생은 각 학당별로 60~70명에 이른다. 이외 한류팬이 많은 트라브존 등

유 럽

다른 도시에서도 세종학당 개설 요구가 크다. 또 한국어를 배우려는 대학 생들의 수요가 많아 앙카라 중동공과대학, 이스탄불 보스포러스대학에는 한국어강좌가 개설되었으며 빌켄트대학교 등 다른 대학교에서도 한국어 강좌 설립 움직임이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류로 인하여 한국제품 및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터키에 진출한 한국기업(현대자동차, KT&G, 삼성, LG 등)도 한류를 기업 이미지 제고 및 제품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2월 <JYJ 김재중 팬미팅>이 앙카라에서 개최되었고, 5월 28일 ~6월 3일에는 지방 중심도시인 에르주룸과 트라브존에서 <한국문화의 날> 행사가 개최되어 한식, 영화, 막사발, 붓글씨, 한복, 관광사진전, 사물놀이 등 전통 공연 등이 선보였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K-Pop 스타 연예인들의 팬클럽 외에 5만 명이 넘는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는‘코레 팬즈’ 가 있다. 코레 팬즈는 드라마, 영화, K-Pop 등 한국의 대 중문화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넘어서 한국의 관광, 전통 문화, 사회 등 한 국 전반적인 분야의 정보로까지 확대되어 공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라 디오, 잡지 등을 운영하며 터키에서의 한류를 주도하고 있는 동호회이다.

411


장르

명칭

회원수

SS 501 JYJ 가수

15,000

슈퍼주니어

5,827

샤이니

3,436

2NE1, 빅뱅

1,549

소녀시대

연기자

•사진, 동영상 등 자료 공유 •기사 모음 •커뮤니티 게시판 운영

555

이민호

6,569

송일국

6,000

김현중

5,000

현빈

4,500

김재중

4,000

한국드라마

•작품 추천 •작품 관람 20,429 •소감 교류 •인터넷 잡지, 일간신문, 라디오 존재, 51,000 •전국 15개 주요도시에서 정기모임 개최 •관리자가 200명 •자체 번역팀도 있음 6,561 •라디오 운영 35,514

영화 및 드라마 한국영화

Korea Fans

일반

연혁(회장이름) 및 활동내역

9,596

Korean Turk Kore Sevenler Toplulugu

4,936

Kore Severler Dernegi

1,310

(2) 동호회별 현황 Korea Fans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수

51,000

웹사이트 주소

http://www.korea-fans.com/forum/

•한류 관련 라디오 방송 및 잡지 발간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의 터키어 자막 번역, 커버댄스 모임 등 다양한 활동을 주최하고 있음.

세부활동 현황

•회원이 터키 전역에 분포하고 있어 온라인에서 주로 활동하나 정기적인 오 프라인 모임이 있고, 앙카라뿐만이 아닌 타 도시 및 소규모 도시에서도 오 프라인 모임을 주도함.(20개 이상 도시에서 오프라인 모임 정기 개최 중)

412

지구촌 한류현황


터키

JYJ Turkey JYJ 팬클럽

회원수

15,000

웹사이트 주소

http://www.jyjturkey.com/

Ⅲ 유 럽

성격

•주로 온라인으로 JYJ의 소식을 공유하며 활동, 정기적인 오프라인 모임 세부활동 현황

이 있으며, 4.22에 팬클럽 회원들의 단합도모를 위한 소풍을 개최한 바 있음.

Yeppudaa.com 성격

한국드라마 및 영화 동호회

회원수

49,895

웹사이트 주소

http://yeppudaa.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드라마와 영화를 공유하며, 한류 소식을 전하는 라디오, 잡 지가 있음.

Minoz Turkey 성격

이민호 팬클럽

회원수

5,682

웹사이트 주소

http://www.minozturkey.com/

세부활동 현황

•주로 온라인에서 활동하며, 이민호의 생일 선물 전달 및 데뷔 6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준비하는 등 활발히 활동

Koreanturk.com 성격

한국드라마 및 영화 동호회

회원수

약 14,000

웹사이트 주소

http://www.koreanturk.com/

세부활동 현황

한국드라마 및 영화를 터키어로 번역하여 공유

413


Kore Sevenler Toplulugu(한국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스탄불 지역) 성격

한국드라마에 관심이 많은 현지인 젊은이들이 2009.11월 자체적으로 결성 한 자생단체

회원수

6,367(2012.4.25 기준)

웹사이트 주소

www.koresevenler.com www.facebook.com/Koresevenlertoplulugu

•한국드라마 뿐만 아니라 K-Pop, 한국영화, 한국 전통문화, 한식 및 한 국어 등 한국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관심

•대부분은 중,고,대학생으로 이들은 대부분 한국 유학을 동경하고 있어 세부활동 현황

한국어 학습에 대한 열의가 강해, 자체적으로 한국어 교사를 초빙하여 매주 한국어를 배우고 있음. •김밥 페스티벌, 가라오케 한국가요 경연대회, 한국 민속의날(설날) 행사, 컵 라면 페스티벌, 한국영화주간, 한국 최신가요 배우기, 한국 청년들과 의 교류 등을 개최 및 참여

Turk-Kore Kultur Iletisim(터-한 문화교류)(이스탄불 지역) 성격

터키-한국 양국간의 문화 교류를 위해 당지 한인동포가 사단법인으로 설 립한 터-한 문화교류협회에 소속으로 2007년도에 결성

회원수

약 900(2012.4월 현재) • 동 회원들은 한국문화와 한국어 학습에 관심이 많으며 주요 구성원들 은 20-30대의 현지인들로서 20대는 대학생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 며 이들은 대개 한국 유학을 준비하거나 희망하고 있음.

웹사이트 주소

www.koredernek.org

•동 동호회 회원들은 터한문화교류협회가 주최하거나 협력하는 행사 참 세부활동 현황

414

지구촌 한류현황

여와 아울러 이스탄불총영사관에서 주최하는 행사에도 자원봉사자로 적 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매월 1회 정기적으로 만나 조식을 함께 하면 서 한국 관련 정보 및 문화활동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고 있음.


포르투갈

Ⅲ 유 럽

23. 포르투갈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아직 포르투갈의 한류팬들은 K-Pop 동호회를 중심으로 댄스 따라하기, 가사 외우기 등의 활동을 하는 정도에 불과하나, 한국드라마 방영과 같은 특별한 계기없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또한 K-Pop에서 시작된 동호회의 관심이 점차 한국어, 한식,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본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포르투갈에서는 아직 한국드라마가 공중파 혹은 케이블에서 방영된 적이 없다. 그러나 한류팬들의 경우 최근 다양한 온라인 매체를 통해 한국 드라마를 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415


영화

2001년 영화 <쉬리>를 시작으로 2011년 <악마를 보았다>까지 총 24편의 우리나라 영화가 상영되었다. 이중 2007년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괴물> 은 약10만명(추정치)의 관객을 동원했다. K-Pop

현재 포르투갈에 확산되고 있는 한류는 K-Pop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한류 동호회도 K-Pop에 기반을 두고 시작하여 패션, 한국어, 음식 등까지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포르투갈에서는 아직까지 K-Pop 콘서트 등이 개최된 적은 없으며, 한류 팬들에 따르면 유튜브나 페이스북 등 및 친구의 소개를 통해 처음 K-Pop 을 접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한류의 상륙 시기

한국드라마가 방영된 적이 없어 구체적인 시점 파악은 어렵다. 다만 유 튜브, 페이스북 등이 널리 보급되기 시작한 2007년경부터 한류 확산이 조 금씩 시작된 것으로 추정은 가능하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으로 소녀시대, 빅뱅, 2NE1, 2PM, 슈퍼주니어, 티아라 등 한국 에서 있기 있는 아이돌 가수들이 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소녀시대, 2PM, 슈퍼주니어, 티아라 등 한식

K-Pop 팬 증가 및 우리나라의 대외이미지 제고에 따라 현지인들로부터 한식당에 대한 문의가 대사관으로 종종 접수되고 있기는 하나, 포르투갈에 는 한국음식점이 전무하여 이러한 관심에 호응하지 못하고 있어 아쉬운 상

416

지구촌 한류현황


포르투갈

황이다. 다만 일부 일본과 중국 슈퍼마켓에서 한국 과자 및 라면류를 판매

유 럽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지인들에 한식을 소개하고자 주포르투갈대한민국대 사관은 2010년 1월과 11월 국경일 리셉션 행사시 <한식워크샵> 및 <한식 홍보행사> 등 두차례에 걸쳐 한국음식행사를 개최하였는데, 반응이 매우 좋아 앞으로 한식 확산 잠재력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어

신리스본대학교 및 뽀르뚜대학교에서 한국어강좌가 운영되고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포르투갈의 경우 한류 확산의 초기 단계인 만큼 기타 산업 파급효과를 언급하기에는 이른 시기이다. 최근 주요 행사

한류 동호회의 자체 행사 외에 한국 가수의 포르투갈 방문 콘서트 등의 행사는 전무하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포르투갈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주로 K-Pop을 중심으로 하는 동호회 이며 온라인에서는 주로 가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오프라인에서는 플래시몹, 댄스경연, 퀴즈대회 등의 행사를 통해 회원들간 교류하고 있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417


(2) 동호회별 현황 Movement I Love K-Pop 성격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K-Pop 동호회 150(추정)

•http://ILoveKpop.forumaqui.com •www.facebook.com/movimentoILoveKpop •(온라인) K-Pop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플래시몹, 댄스경연대회 등 부정기 개최

KPOPT 성격

K-Pop 및 여타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630(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http://kpopt.pt.vu •www.facebook.com/groups/grupokpopt •(온라인) K-Pop・드라마・패션・음식・여행・한국어 관련 자료 수시 게재 및 회원간 교류

•(오프라인) 회원・운영자간 소규모 부정기 모임 및 플래시몹 등의 자체 행사 부정기 개최

Cube Portugal 성격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가수 팬클럽

회원수

238명(포르투갈 국내 및 해외 포함)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http://cubeportugal.wordpress.comowww.facebook.com/ UnitedCubePortugal

•(온라인) 큐브 엔터테인먼트 소식 게재 및 회원간 교류 •(오프라인) 회원・운영자간 소규모 부정기 모임

Luso-Hallyu 성격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418 지구촌 한류현황

K-Pop 및 한국드라마 동호회

•http://luso-hallyu.pt.la •www.facebook.com/LusoHallyu •(온라인) 웹사이트에 Kpop 및 드라마 관련 자료 수시 게재


폴란드

Ⅲ 유 럽

24. 폴란드

1 한류 현황 (1) 일반현황 한류 콘텐츠 중의 하나인 영화가 2004년 <폴란드 국제영화제>에서 소 개되면서 홍콩, 일본 영화의 아류작으로 취급되었던 한국영화가 중・동부 유럽 영화 강국 비평가와 관객들의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 후 지속적 으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유지되어 왔고, <폴란드 국제영화제> 에서 한국영화의 좋은 소식이 들려오곤 한다. 2004년 국제 영화제를 통해 얻은 한국영화에 대한 명성이 한류의 첫 시발점이라 할 수 있겠다. 그 이후 로 2010년,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폴란드 케이블 방송사에서 한국드라마 가 방영이 되었고, 현재 폴란드 유아채널 미니미니에서는 <뽀로로>가 방영 되고 있다. 한국문학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출판사가 생겨나 매년 꾸준히 한국문학 및 한국 관련 정보 책자가 발간되고 있으며, 올해(2012년)에는 ‘한류’잡지가 발간될 예정이기도 하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에서 한류는 폴란드에 자리하고 있다. 물론, 동남아시아에 비해 중・동부 유럽, 폴란드 에서의 한류는 미비한 수준일지 모른다. 하지만 지난 2011년 바르샤바에 서 개최된 <K-Pop 콘테스트>와 K-Pop팬들이 자체적으로 주최한 한국가 수 성공기원 플래시몹, 폴란드 유력 주간지의 한류 특집 기사 등을 통해 폴

419


란드에도 분명한 한류가 존재하고 있고, 미디어 또한 이를 인지하고 있음 을 알 수가 있다. 다른 문화(예, 중국, 일본 등)를 좋아하는 팬들에 비해 한 류팬들은 굉장히 적극적인 활동을 보인다. 겨울이 길고 엔터테인먼트적 놀 이 문화 요소가 적은 폴란드 문화적 환경에서 미국과 영국의 락 음악이 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폴란드 음반 시장, 다소 호흡이 길고 느린 폴란드 드 라마에 지친 폴란드 한류팬들에게 한류 콘텐츠는 그들(젊은층 10대 중반 ~20대 중반)에게 일종의 즐거운 취미이자, 다른 나라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인 것이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현재까지 폴란드에서 케이블 방송사(Tele 5)를 통해 방영된 한국드라마는 2편이 있다. 2010년 10월 4일부터 11월 24일까지 <추노>가 방영되어 한류 팬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고, 이듬해 5월에서 7월까지 <아이리스>가 방영된 바 있다. 현지 케이블 방송사가 적극적으로 두 차례 한국드라마를 처음으로 수입하여 방영하였다는 점과 현지 케이블에서는 두 한국드라마 모두 케이블 방송사로서는 긍정적인 시청률과 시청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어 추후 지속적인 한국드라마 방영을 계획 중이라는 점에서는 고무적으 로 평가된다. 그러나 케이블 방송사의 한계점(예산, 미디어의 관심도 등)과 시청자들로부터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되었던 폴란드어 자막문제, 너무 많은 등장인물로 인해 스토리 전개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 등의 문제들을 고려하였을 때, 공중파 방영은 좀 더 장기적으로 지켜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폴란드 내 한국드라마 방영현황> 제 목

추 노

아이리스

방송사

Tele 5

Tele 5

방영일시

2010.10.4-11.24

2011.5.9-7.18

420 지구촌 한류현황


폴란드

폴란드 미디어의 다소 저조한 한국드라마 관심도와는 달리 한류팬들 사

유 럽

이에서 점차적으로 한국드라마의 인기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여느 팬 들과 다름없이 이들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드라마를 시청하고 있다. 팬 들은 자체적으로 소규모 동호회활동을 하거나, 직접 한국드라마를 폴란드 어 자막으로 번역하기도 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지만, 인터넷을 통해 드 라마를 시청한다는 한계가 있다. 드라마 방영을 양지로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바르샤바 센터 중심부에 위치한 영화관에서 MBC드라마 <커피 프린스 1호점>이 상영 행사가 개최되었다. 200석 규모의 상영관을 가득 메운 현장에는 기존 한류팬뿐만 아니라 한국문화를 전혀 모르는 일반 관객들 또한 참여하 였는데 남녀노소, 나이를 불문하고 좋은 호응을 얻었다. 영화

한국영화는 영화강국인 폴란드에서 한류 콘텐츠 중 가장 큰 관심을 받는 부문이다. 한국영화 소개 및 대중적 관심은 2004년 현지 국제 영화제를 통해 본격적으로 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동유럽에서 규모 있는 영화제로 손꼽히는 1)<뉴호라이즌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특별전>을 통해 처음 으로 개최되었고, 많은 관객들과 영화 평론가들은‘아시아의 작은 용’ 이라 는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전까지만 해도 홍콩, 일본 영화의 아류작으로 평가받았던 한국영화에 대한 평가와 이미지가 180도 바뀌게 된 계기가 되 었고 폴란드 영화 시장은 한국영화의 시장성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 2009년 <바르샤바 국제영화제> 에서 한국영화 특집이라고 불리울 만큼 가장 많은 편수의 한국영화가 소개 되었고, 더불어 2011년 4월 <오프플러스 국제 독립영화제>에서 박정범 감독 의 <무산일기>가 대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6월, 뉴호라이즌 국제 영화 제에서 김기덕 감독의 <아리랑>이 예술 영화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한국

1) 뉴호라이즌 국제 영화제(New horizon international film festival)는 바르샤바 국제영화제, Camerimage 영화제와 더불어 폴란드 3대 국제영화제 중 하나이다.

421


영화에 대한 관심은 이 뿐만 아니다. 2009년 아시아 영화 전문 비평가인 피오트르 클레토브스키(Piotr Kletwoski) 교수가『아시아의 영화(Kino Dalekiekiego Wschodu)』 책에서 한국영화의 개괄적인 역사와 김기덕, 박찬욱 감독을 집중 소개하였으며, 이후 폴란드 영화잡지에는 꾸준히 새로운 한국영화에 대한 기사도 종종 엿볼 수가 있다. 폴란드 주요 방송사에서는 심야시간을 이용하여 한국영화를 방영하는 등 현지에서 한국영화에 대한 수요는 다른 콘텐츠들에 비해 높은편이라 할 수 있다. K-Pop

폴란드 K-Pop 팬들은 K-Pop을 알게 된 경로가 2가지로 나뉜다. 이미 철저히 현지화 된 일본문화를 즐기던 젊은층들이 우연찮게 K-Pop을 접하 게 되어 일본문화팬에서 한류팬으로 바뀌게 된 일종의 Brand Switch가 된 경우와 유튜브를 통해 접하게 된 화려한 K-Pop 영상에 매료되어 K-Pop 을 알게 되고 좋아하게 된 경우이다. 여타 다른 아시아 문화를 향휴하는 팬 들 중에서 K-Pop 팬들이 가장 적극적인 활동을 보인다. 2011년 7월 30일 에는 바르샤바의 상징인 문화과학궁전에서 한국 가수의 폴란드 공연을 기 원하는 플래시몹이 K-Pop 팬들에 의해 자체적으로 개최되어 중・동부 유 럽에도 한류 열기가 뜨겁다는 것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 이후로 크고 작은 플래시몹이 바르샤바 및 폴란드 지방에서 개최되기도 하였으며, 이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다. 2012년 1월에는 현지 유력 주간지 브프로스트(Wprost)에서‘한류’ 라는 제목으로 세계적인 한류 현상이 한국 기획사의 체계적인 시스템, 다른 나라 가수들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 국 가수의 팬서비스 등 다양한 시각에서(K-Pop위주의) 한류를 집중 소개 하였다. 이처럼 폴란드 언론에서도 점차 K-Pop 및 한류에 관심을 나타내 기 시작하고 있다. 문학

폴란드에서 한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번역해 출판하는‘동양의 꽃’ 이라는 출판사를 통해 한국 문학 또한 현지에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한국문

422 지구촌 한류현황


폴란드

학 및 한국에 대한 정보가 폴란드어로 2)총15권이 출판되었으며(2012년 5월

유 럽

기준), 다양한 한국 문학 소개 행사도 개최되고 있다. 특히 2011년 6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던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 또한 폴 란드어로 번역 출간되어 직접 작가가 폴란드를 방문해 바르샤바와 크라쿠 프에서 <작가와의 만남>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후 <엄마를 부탁해>는 폴란 드의 가장 큰 대형 서점인 엠픽(Empik)에서 베스트셀러 20위권 내에 진입 하기도 하였으며, 현지 문학잡지에 우수 외국 문학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하였다. 한편 2012년 5월에 번역 출간된 황선미 작가의 <마당을 나온 암탉 >은 현지 문학 전문 온라인 커뮤니티가 주관한‘2012년 봄 최고의 책’ 으로 선정되는 등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 이다. 더불어 현재 동양의 꽃 출판사에서는 다양한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종합잡지 <한류>를 발간 준비 중에 있다. 한류 상륙 시기

폴란드에서 가장 첫 번째로 소개된 한류 콘텐츠는 영화이다. 앞서 소개한 <뉴호라이즌 국제영화제>에서 2004년 <한국영화특별전>을 통해 한국영 화가 집중적으로 소개되면서 중・동유럽 영화강국으로서 자존심이 높은 폴란드 관객들에게 한국영화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되었다. 이로써 한류 콘텐츠 중 하나가 소개가 되었으며, 점차적으로 그 관심도는 꾸준히 유지 되고 있는 추세이다. K-Pop의 상륙시기는 슈퍼주니어 팬클럽과 빅뱅 팬 클럽의 폴란드 창단시기인 2008년경으로 추정된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한류

•영화 : 작가주의 영화를 선호하는 현지 관람객의 특성상 영화배우보다는 감독(김기덕, 박찬욱, 김지운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한

2)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박태원), 김영하 단편소설전, 김치 먹을까요?(레나 시비아덱), 새(오정 희), 오정희 단편소설전, 빛의 제국(김영하), 엄마를 부탁해(신경숙), 검은새(이수지), 클라라와 하은이(이현경), 마당을 나온 암탉(황선미), 한국의 브로드밴드(콘라드 고들레브스키), 한국에 서(안나 사빈스카) 등

423


편 한국문화를 종합적으로 접하는 다수의 한류팬들은 주로 로맨 틱 코미디, 멜로 등을 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K-Pop :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K-Pop 동호회는 샤이니, 슈퍼 주니어, 빅뱅의 동호회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크고 작은 규모 의 다양한 K-Pop 동호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12 년 5월 기준으로 K-Pop 동호회 회원수는 총 4,572명으로 집 계되었다. 한국어 3)한국

기업의 현지 투자가 매우 높아 한국어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문화원 세종학당에서 2010년부터 2011년까 지 수강한 학생들은 약 3,000여명으로 집계되었으며, 2012년 상반기 강좌 에는 7개 반이 개설되어 총 150여명 가량의 학생이 수강하였다. 2012년 2월 에는 사설 한국어 학원(가나다 학원)이 개소하여 점차 높아져가고 있는 한국어 수요를 보여준다. 더불어 바르샤바대학교, 포즈난대학교, 크라쿠프 대학교에는 한국학과가 개설되어 매년 50~80명가량의 학생이 학과 입학 을 하고 있다.(바르샤바대학교의 경우 격년제로 학생을 선발함.) 최근 주요 행사

주폴란드한국문화원 주관으로 다음의 행사가 개최되었거나 개최예정이다. ■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 상영회

2012년 4월 바르샤바 시내 중심부인 문화과학궁전 내 영화관에서 우리 드라마 <커피 프린스 1호점>이 상영되었다. <커피 프린스 1호점>은 폴란드 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드라마 중 하나이자 아리랑 TV가 진행한 설문조사 에서 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드라마 5위로 뽑힌 외국인들로부터 선호도 가 높은 드라마이다. 이 행사는 폴란드 시청자 및 폴란드 주요 방송국 관계 자들에게 구체적인 피드백을 전달하여 한국드라마의 가능성 확인을 목적 3) 폴란드는 한국의 EU 국가 중 5위 수출 대상국이다.

424 지구촌 한류현황


폴란드

으로 개최되었다. 200석 규모의 상영관을 가득 메운 폴란드 관객들이 한

유 럽

국드라마를 관람하였으며 기존의 한류팬층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를 전혀 모르던 일반 관객들로부터도 긍정적인 평가를 얻어 지속적으로 폴란드 방 송 관계자들에게 우리 드라마 관련 피드백을 전달할 예정이다. ■ <Korea Festival>

한국의 전통문화와 대중문화를 한자리에서 느낄 수 있는 행사를 바르샤바 내 가장 큰 공원에서 진행할 예정이다(2012년 9월 8일). 전통공연, 한국기 업 브랜드 전시회, 한국문학, 한식, 태권도, K-Pop 대회, 관광 사진 전시 회, 한국 기업 채용 설명회 등이 동시에 개최된다. Korea Festival은 한국 문화를 종합적으로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폴란드에서 개최되는 첫 번째 행사이며, 현지 주요 인사 초청하여 오피니언 리더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하여 한류의 저변확대를 꾀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제1회 한국영화제> 및 <K-Pop 3D 상영회>

현지에서 가장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는 영화와 K-Pop을 보다 많은 이들 이 즐길 수 있도록 관련 행사를 진행 예정이다. 한국영화제는 현지 유력 배 급사와 공동 기획하며, K-Pop 3D 상영의 경우, 우리나라 가수의 폴란드 초청 가능성이 희박함을 감안하여, K-Pop 팬들의 갈증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현지 극장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폴란드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대부분 K-Pop 가수들의 팬클럽이 대부 분이며,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K-Pop 폴란드동호회, 샤이니,

425


슈퍼주니어, 빅뱅의 팬클럽 외 소규모의 다양한 가수 팬클럽이 존재한다. 이들 대부분은 2008년, 2009년에 생겨났으며, 회원들의 연령대는 10대 중반에서 20대중반으로 파악된다. 주로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수 의 베트남인들도 함께 활동하기도 한다. 폴란드어로 한국 영화 관련 자료 를 제공하는 한국 영화 클럽인 koreafilm.eu은 지속적으로 한국 영화 관 련된 정보를 제공 및 공유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샤이니 폴란드(Polish Shinee World) 성격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샤이니 팬클럽 2,509

•http://replayteam.hpu.pl/news.php •http://pl-pl.facebook.com/replayteam •샤이니 팬클럽 회장이 지난 2011년 7월 주도적으로 K-Pop 콘서트 개 최 기원 플래시몹 진행

세부활동 현황

•K-Pop 관련 정보교류, 지역 동호회 활성화, 소규모 K-Pop 파티 진행 등 •지역 동호회 개최, 공식 팬레터 및 선물 공동 준비 •유럽에 있는 다른 팬클럽과 활발한 교류도모

K-Pop Poland 성격

K-Pop 폴란드 동호회

회원수

1,042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kp0pp0land/

•주로 SNS를 통해 활발한 정보 교류, 동영상 업데이트 및 실시간 댓글 활성화

세부활동 현황

•빅뱅, 슈퍼주니어, 엠블랙, 동방신기 등 서브 그룹으로 나누어 3개월에 한 번씩 지역 정모개최

•방학을 이용하여 전국 정기 모임 개최

426 지구촌 한류현황


폴란드

폴란드 슈퍼주니어 동호회 슈퍼주니어 팬클럽

회원수

721

웹사이트 주소

http://replayteam.hpu.pl/news.php http://pl-pl.facebook.com/replayteam

세부활동 현황

•K-Pop 관련 정보교류, 지역 동호회 활성화, 소규모 K-Pop 파티 진행 등 •지역별 모임 개최, 공식 팬레터 및 선물 공동 준비

유 럽

성격

폴란드 빅뱅 동호회 성격

빅뱅 팬클럽

회원수

300

웹사이트 주소

http://bigbangpl.wordpress.com/tag/vips/ http://pl-pl.facebook.com/people/BigBang-Poland/ 100001663650953

세부활동 현황

•2011년 10월 팬들끼리 모여 빅뱅 콘서트 개최 기원 플래시몹 개최 •상・하반기 나누어 지역 정모 개최 •주로 7월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전국에 있는 모든 팬들이 정기모임 •지역별 미팅개최, 공식 팬레터 및 선물 공동 준비

koreanfilm.eu 성격

한국영화 동호회

회원수

1,982

웹사이트 주소

http://www.koreafilm.pl/

세부활동 현황

•한국영화 관련 정보(감독 및 배우) 제공 및 교류 •신작 한국영화 소개 등

427


25. 프랑스

1 한류 현황 초기 영화를 시작으로 불기 시작한 한류의 바람은 2000년대 후반에 들어 드라마, 가요 등으로 장르를 넓혀가고 있다. K-Pop의 경우 2011년 SM콘 서트를 시작으로 프랑스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확산되면서 현지 언론 에서 K-Pop이 보도되는 등 한국의 대중문화를 매우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위 공연을 계기로 온라인상에서 존재하는 K-Pop 팬 들의 규모를 실질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최고 14만 명의 수요가 있는 것으 로 분석된다. 25세 이하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K-Pop을 접한 후 드라마, 영화, 전통문 화 순으로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K-Pop 싱글/그룹 가수 중 그룹 가수를 선호하는 젊은이의 층이 두터우며, 특히 10대 청소년일수 록 그룹가수에 대한 선호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조사된다. 2011년 관광공 사 리서치에 따르면 K-Pop 가수 중 남자 그룹가수로는 빅뱅, 슈퍼주니어, 샤이니, 비스트, 2PM순, 여자 그룹가수 중에서는 2NE1, 소녀시대, Miss-A, F(X)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난다.

428 지구촌 한류현황


프랑스

※ 최근 주요행사

유 럽

■ SM콘서트(2011년 6월 10-11일, 2회 공연)

•SM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적인 한류 가수 소녀시대,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샤이니, f(x) 5개 그룹 공연 •2회 공연티켓 모두 매진, 7천석 규모 공연장에서 이틀에 걸쳐 1만 4천여 한류팬들이 공연 관람, 성황리에 마무리 ■ 뮤직뱅크 인 파리(2012.2.8)

•도쿄돔과 미국에서 성공리에 개최된 뮤직뱅크 해외투어 일환으로 개최. 소녀시대, 샤이니, 유키스, 2PM, 비스트, 티아라, 씨스타, 포미닛 등 8개의 팀이 출연 •1회 공연, 15,000여석 티켓 매진, 한류팬들이 공연 관람, 성황리에 마무리 ■ 슈퍼주니어 단독 콘서트(2012.4.6)

•유럽 최초 슈퍼주니어 단독 콘서트 개최 •1회 공연, 7천석 규모 공연장이 매진되었으며 성황리에 마무리

2 한류 동호회 현황 Koreanconnection 성격

한국문화 애호가 동호회

회원수

약 4,000

웹사이트 주소

www.koreanconnection.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다양한 한국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매년 1회 한국문화축제 주최, 문화원에서 여름 한국어교실 운영

429


Kachi to Korea 성격

한국문화 애호가 동호회

회원수

300(운영진 15명)

웹사이트 주소

http://kachitokorea.org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다양한 한국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월 1회 오프라임 정기모임, Kachi’s week 행사(전시, 공연, 아틀리에 등) 개최

O’ Korea 성격

파리외국어대학교(Inalco) 학생중심 한국문화 애호가 협회

회원수

약 50

연락처

asso.okorea@gmail.com

세부활동 현황

•(오프라인) 이날코 대학 내 한국문화 행사 개최

430 지구촌 한류현황


핀란드

Ⅲ 유 럽

26. 핀란드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핀란드에서 한류의 인기는 아직 그리 높지 않다. 하지만 2008년 한국과의 핀에어 직항로 운항이 시작된 이후, 공연단의 상호방문 등 문화적 교류가 증가하고 있으며 핀란드의 IT환경이 좋아 인터넷을 통해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및 영화

핀란드는 인구가 적고 자체 시장이 협소하여 TV드라마를 따로 제작하기 보다는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해서 자막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2010년부터 Elisa, Sonera와 같은 대형 핀란드 케이블방송국이 24시간 아리랑TV를 방영하고 있다. 따라서 핀란드인들이 드라마와 한국 프로그 램을 접하게 되는 경우는 대부분 아리랑TV를 통해서라 할 수 있다. 그간 핀란드 케이블TV에서 방영되었던 일부 한국영화들은 다소 괴기스럽고 컬트적인 것(최근 방영된 한국영화 사례 : 문성근・추자연 주연의‘실종’ )

431


이 대부분이었다. 핀란드인들은 백야가 계속되는 여름에는 야외에서 생활 하고, 영화나 드라마는 흑야가 계속되는 겨울에 주로 시청하는데 분위기 때 문인지 다소 우울하면서도 괴기스러운 것들을 더욱 선호하는 분위기이다. 아울러,‘백마탄 왕자와 가난하고 예쁜 아가씨’ 의 로맨스를 내용으로 하 는 국내에서 인기 있는 한국드라마는 핀란드인 취향과는 다소 거리가 먼 콘텐츠라 생각된다. 특히 핀란드 여성들은 데이트할 때도 비용을 각자 나 눠서 부담하고, 남자친구(심지어 남편)가 무엇을 이유 없이 사주거나, 집까 지 바래다주거나 하는 것에 대해서 무척 부담스러워하는 등 독립심이 강하 다. 그렇기 때문에 예쁘고 약한 여성이 능력 있는 남성과 사랑에 빠져서 행 복해하는 내용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핀란드인들은 가볍고 밝은 내용만으로 이뤄진 코미디나 멜로 영화에는 별로 흥미를 느끼지 않는 것 같다. 그간 핀란드인들이 주목했던 한국영화들 은 <달팽이의 별>. <즐거운 우리집>과 같은 다큐멘터리영화나 단편 독립영 화와 같은 것들이었으며, 한국의 상업영화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2010년 10월 주핀란드대한민국대사관 주최로 <한국영화 페스티벌 (Korea Movie Festival)>을 개최하여 <국가대표>, <우리생애 최고의 순간>, < 과속스캔들>을 상영한 바 있는데 핀란드인들보다 헬싱키 인근에 거주하는 한류에 대해 친숙한 동남아, 일본인들이 더 많은 관심과 호응을 보내왔다. 따라서 현재 핀란드에서 한국드라마나 영화를 키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 법은 아리랑TV에서 종종 흥행에 성공한 한국영화를 방영하고, 인기가 높 았던 드라마도 방영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영화진흥원 등에서 아리랑TV 에 좋은 한국영화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 면 한다. K-Pop

K-Pop과 관련하여 핀란드 청소년들을 중심으로‘안녕파티(Annyeong Party)’ 라는 것이 발전하고 있다. 구글이나 유튜브에 검색해도 찾기 쉬울 정도로 헬싱키 젊은 층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은 파티로 K-Pop을 좋아하 는 젊은이들이 아이돌의 노래와 춤을 따라서 연습하고 대중 앞에서 공연하 는 파티이다.

432 지구촌 한류현황


핀란드

동 파티를 주최하는 동호회는 Jrocksuomi(Suomi는 핀란드어로 핀란

유 럽

드를 지칭하는 말)라는 단체로 2004년 일본음악 동호회로 결성되었는데, 2009년 12월 K-Pop에도 관심을 갖고 동 파티를 개최하였으며 그 반응이 폭발적이어서 현재는 일본음악보다는 K-Pop에 더 집중하고 있다.(웹사 이트 : http://jrocksuomi.fi 참조) 2012년 6월 현재까지 총 8회의 안녕파티를 개최하였으며, 매번 그 참가 인원이 증가하여 평균 700명이 동 파티에 모인다고 한다. 2011년 한류 파워인물

2NE1, 빅뱅, 슈퍼주니어 한식

한국 교민수가 300여명이고, 한식당이 1개뿐인 이유로 아직까지 한식이 그렇게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한식당을 찾는 고객 상당수는 핀란드인 단골이다. 2008년 한-핀간 핀에어 직항이 매일 운항되면서 한국을 방문하는 핀란드인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핀에어에서도 비빔밥 등 한식을 기내 식으로 제공함에 따라 최근 한식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아직까지는 한식이 일본의 스시의 인기를 넘지 못하고 있으나 2011년 Gaijin이라는 현지 아시아 퓨전 식당에서 한식메뉴를 선보이면서 그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2012년 7월 한 교민이 한식당을 개업하려고 준비 중에 있다. 한국어

현재 핀란드에서 한국어강좌를 제공하는 곳은 헬싱키대학이 유일했으나, 2012년 하반기부터는 투루크대학에서도 한국학 수업을 개설할 예정이다. 아울러 최근 한국어 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2013년부터는 헬 싱키대학에서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을 받아 1명의 한국어 보조교사를 추가 채용하려고 추진 중이다. 대학생이 아닌 일반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는 적으나, 최근 일

433


부 지방단체의 문화센터에서 여름공개강좌(Summer School)의 형태로 한 국어 및 한국문화 강의를 개최하면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핀란드인들 을 강사로 초청하여 강의를 열고 있는 추세이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Annyeong Party(안녕파티) 성격

Jrocksuomi라는 단체에서 주도하는 한류 정기모임 (2004년 일본음악(J-rock) 동호회로 시작한 Jrocksuomi에서 2009년 12 월부터 개최해오고 있는 K-POP 댄스 경연대회 모임)

회원수

약 500

웹사이트 주소

http://jrocksuomi.fi

•공연장을 임대하여 K-POP 그룹의 춤・노래 등을 따라하며, 일반인들 세부활동 현황

에게 同 파티의 입장권을 판매하기도 함.

•2009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총 7차례의 경연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이들 의 공연 동영상은 주로 유투브 등에 올라와 있음.

434 지구촌 한류현황


헝가리

Ⅲ 유 럽

27. 헝가리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한국드라마 <대장금>, <선덕여왕>, <동이>와 매년 정례적으로 개최하는 <한국영화주간> 행사 등을 통해 한류문화가 헝가리에 빠르게 확산됨에 따 라 헝가리 현지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콘텐츠에 대한 욕구로 자발적인 스터디 그룹과 한국문화 동호회가 조직・운영되고 있으며 K-Pop 팬클럽 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헝가리에서 한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콘텐츠를 단순히 보고 즐기는 수준 에서 한국문화를 체험하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헝가리에서도 아시아 문화에 대한 유행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한국문화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 고 있다. 특히 2012년 헝가리 내 한국문화원 개원을 계기로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2008년 유럽에서는 최초로 TV 미니시리즈 <대장금>을 헝가리 국영방

435


송국인 MTV가 4차례에 걸쳐 방영한 후 2010년 10월부터 <선덕여왕>을, 2011년 2월부터 <동이>를 잇따라 방영하였다. <대장금>은 2008년도에는 아침과 점심시간대에 방영되었고 시청률이 올라가자 2009년 9월~11월, 2010년 1월~3월 각각 프라임 시간대 방영이 되었으며, <선덕여왕>과 <동이> 는 주 5회 저녁 황금시간대에 방영되었다. 헝가리인들이 유독 사극을 좋아 하는 이유는 아름다운 한복과 하나의 예술작품과도 같은 한국음식 때문이 라고 한다. 2012년에는 사극 <이산>, 현대물 <찬란한 유산> 및 <파스타>의 방영을 추진하고 있다. 영화

지난 2007년 최초로 <한국영화주간> 행사 개최 이후 2009년, 2010년, 2011년 연이어 <한국영화주간> 행사가 개최되면서 현지인들에게 큰 호응 을 얻고 있다. 2007년 <태극기 휘날리며> 등 8편, 2009년 <밀양> 등 10편, 2010년 <국가대표> 등 10편, 2011년에는 <워낭소리> 등 5편이 각각 상영 되어 영화를 통해 현지 관객들에게 우리 문화와 정서를 알리는데 기여하고 있다. <왕의 남자>, <집으로> 등 한국적인 정서가 담긴 영화는 헝가리 관객 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한국영화 관객 수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해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영화 애호가 수의 증가로 자발적인 한국영화 동호회(꼬레어이 필름클럽)가 조성돼 정기적으로 한국영화 시사 회를 열고 있으며 헝가리 문화 블로거(http://namhanman.blog.hu/)들이 한국영화를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헝가리 독립영화협회 회장이자 우라니 아 국립영화극장 극장장 EDIT는 한국영화 상영을 전국적으로 확대해 각 주요 대도시의 국영극장에 디지털 방식으로 상영할 것을 제의한 바 있다. 이처럼 한국영화는 단순한 홍보차원을 넘어 상업적 가치를 갖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K-Pop

지난 6월 초 프랑스 파리에서 확인된 것처럼 유럽에서 K-Pop 열풍이 거센 가운데 이곳 헝가리에서도 몇 년 전부터 K-Pop에 대한 수요가 꾸준

436 지구촌 한류현황


헝가리

히 증가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그 동안

유 럽

J-Pop 중심의 아시아권 음악을 즐겨왔던 헝가리 대중음악 애호가들은 최근 K-Pop을 더 선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팬클럽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온라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는 <K-Pop 대회> 를 개최해 많은 애호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대회는 수백 명이 참가 할 정도로 성황리에 개최돼 K-Pop의 현지 자생력을 키우는 데 견인차 역할 을 하고 있다. 인터넷과 유투브의 발달로 실시간 한국의 신곡들을 줄줄이 링크해서 한국을 알리는 K-Pop 팬 사이트도 자생적으로 생겨났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7년 슈퍼주니어가 헝가리인들에게 알려지면서 한류열풍이 돌기 시작 했으며 현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류 동호회는 비스트, 빅뱅, 샤이니, 소녀시대, JYJ(K-POP) 및 꼬레어이 필름클럽(영화)이며, 한국의 아이돌 그룹 비스트, 빅뱅, 샤이니, 2NE1이 헝가리 한류팬들에게 가장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한식

2008년 헝가리에서 방영된 <대장금>의 인기로 많은 헝가리인들이 한국 음식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다. 한국영화제, 문화원 개관행사, 지역 축제 등 주요 문화행사와 연계하여 한식을 소개함으로써, 한식 보급을 점 차 확대하고 있다. 특히 2010년 Marriott 호텔에서 개최한 국경일 행사를 겸한 <Taste of Korea 2010> 행사에서는 한식 리셉션과 함께 호텔 내 식당에 한식판매 코너를 운영하고 음식전문기자들을 초청하여 시연회를 가졌으며, 지상파방송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한식을 홍보함으로써 단순 히 1회성으로 우리 음식을 소개하는 종래의 관행에서 벗어나 한국음식의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고급요리로서의 한식 이미지를 각인시 키는 효과를 거두었다. 주헝가리한국문화원에서 상설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요리 수업>은 폴란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 대기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고추와

437


마늘을 즐겨 사용하는 등 한국과 입맛이 비슷한 헝가리인들은 거부감 없이 한국음식을 즐기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2008년 부다페스트 엘떼(ELTE)인문대학 내 한국학과 설립 이후 꾸준히 한국학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학을 배우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한국문화에 심취해 전공을 선택한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설학 원이 있을 정도로 한국어의 인기는 대단하다. 현재 문화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글교실은 120여명의 학생들이 초・중・고급반으로 나누어 공부하 고 있다. 그들은 인터넷을 통해 한국친구들을 사귀기도 하고 한국드라마나 노래를 들으며 한국어 실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드라마 <선덕여왕>의 원작소설인 류은경 작가의 책이 헝가리어로 번역 되어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또한 헝가리가 K-Pop 음원 구매율이 높다 는 것도 눈여겨 볼 일이다. 헝가리인들 사이에서는 인터넷으로 한국 의류 를 구입하거나 한국 화장품을 사기도 하는데, 특히 한국의 비비크림의 인 기는 대단한 것으로 보인다. <대장금>의 여파인지 한국식품점에도 많은 헝 가리인들이 방문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7월 14일에 헝가리에서 <K-Pop Cover Dance Festival>의 해외 본선대회가 개최되고 10월에는 <한국영화주간>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438 지구촌 한류현황


헝가리

1 한류 동호회 현황

유 럽

(1) 일반 현황 헝가리 내의 한류 동호회는 가수, 연기자뿐만 아니라 영화, 드라마로 나누 어져 있다. 이들은 주로 온라인상으로 만나며, 각종 소식, 사진 등을 올리고 가사를 헝가리어로 번역하기도 한다.

(2) 동호회별 현황 빅뱅 동호회 성격

빅뱅 팬클럽

회원수

36,465

웹사이트 주소

http://bigbanghun.net/

세부활동 현황

•2009.5.15 결성 •소식, 사진, 가사 번역 등

비스트 동호회 성격

비스트 팬클럽

회원수

45,327

웹사이트 주소

http://majimak-kiss.net/

세부활동 현황

•2009.12.30 결성 •소식, 사진, 가사 번역 등

한국 영화・드라마 성격

한국영화/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121,538

웹사이트 주소

http://namhanman.blog.hu/

세부활동 현황

•소식, 기사 등

439


동방신기/JYJ 동호회 성격

동방신기/JYJ 팬클럽

회원수

51,320

웹사이트 주소

http://hms.yaoi.hu/

세부활동 현황

•2008.5.1.결성 •소식, 사진, 가사 번역 등

김남길 팬클럽 성격

김남길 팬클럽

회원수

1,703

웹사이트 주소

http://hu-hu.facebook.com/kngfchun

세부활동 현황

•2011.2.22 결성 •소식, 사진 등

한효주 팬클럽 성격

한효주 팬클럽

회원수

2250

웹사이트 주소

http://starity.hu/sztarok/han-hyo-joo/

세부활동 현황

•기사, 사진 등

Shinshoku Fever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386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groups/111204315582610

세부활동 현황

•K-Pop 파티 정기 개최

Korean-Hungarian Student Friendship Association 성격

대학생 한류 동호회

회원수

202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groups/201241166563740

세부활동 현황

•한국 방문 경험 발표회 등 개최

440 지구촌 한류현황


헝가리

Korean TV-drama Fanpage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15,590

웹사이트 주소

http://doramamajom.wordpress.com

세부활동 현황

•한국드라마 헝가리어 자막 제작, 활용

Ⅲ 유 럽

성격

SHINee Fansite 성격

샤이니 팬클럽

회원수

220,806(방문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hinee.gportal.hu

세부활동 현황

•샤이니 관련 정보공유

U-KISS Fansite 성격

유키스 팬클럽

회원수

71,076(방문자수)

웹사이트 주소

http://ukisshun.zxq.net

세부활동 현황

•유키스 관련 정보공유

Hungarian K-pop Website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7,925(방문자수)

웹사이트 주소

http://kpop-daily.com

441


Ⅰ 지구촌 한류현황

Ⅳ. 아프리카�중동


나이지리아

레바논

리비아

모로코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요르단

우간다

이라크

이란

이집트

카타르

케냐

쿠웨이트

튀니지


1. 나이지리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한국과 나이지리아간 문화교류는 2008년까지는 매우 미미한 상황이었 으며, 1982년 한국 대통령의 나이지리아 방문을 계기로 나이지리아 전통 예술단이 한국을 방문하여 공연을 가진 것이 전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다 가 2008년 9월 아프리카 대륙 최초로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에 한국문화 원을 신설하기 위해 문화원장이 부임하면서 양국 간 문화교류는 매우 활성 화 되고 있다. 2008년 10월 2일에 힐턴호텔에서 개최된 국경일 행사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사진 영상전>을 개최하였고, 이어서 10월 20일 ~25일까지 연방수도부(FCT) 문화센터에서 동 전시회를 개최하여 수많은 시련을 극복하고 이룩한 한국의 발전상을 보여 줌으로써 한국에 대한 이해 와 이미지를 제고하였다. 2009년 9월 29일 국경일 행사에는 국립남도국악원 공연단이 수도 아부자 쉐라톤 호텔에서 주요인사 등 850여명의 관객이 참석한 가운데 남도 굿거 리, 살풀이, 사물놀이, 아쟁 및 대금산조, 판소리 춘향가, 아리랑 메들리, 판굿 등 우리나라 전통 문화를 선보여 많은 박수갈채를 받았다. 같은 해 12월 1일~5일까지는 <제1회 한국대사배 서부아프리카 국제태권도 대회>를 처음

444 지구촌 한류현황


나이지리아

으로 아부자 국립경기장에서 토고, 니제르, 말리, 라이베리아, 나이지리아

아프리카•중동

등 서부아프리카 6개국 대표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하였 으며, 동 대회는 2010년 12월 1일~4일까지 제2회 대회가 열렸고, 2011년 12월 1일~4일까지 제3회 대회가 열렸으며 이와 같은 태권도대회를 통해 서부아 프리카 지역 태권도가 크게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0년은 한국과 나이지리아 수교 30주년이 되는 해로서 양국 간 문화교 류가 획기적으로 이루어진 한해였다. 우선 아프리카 대륙 최초로 한국문화 원이 설립되어 2010년 5월 24일 개원하였다. 문화원 개원식 행사는 나이지 리아 문화관광부장관과 연방수도부차관, 상원외교위원장 등 주재국 주요 인사와 외교사절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문화원에서 개 최된 개원식 행사에 이어 5월 25일에는 쉐라톤 호텔에서 남원민속국악원, 비보이, K-Tigers, wHool 등 4개 팀 40여명의 한국 공연단과 나이지리아 국립공연단 20여명이 함께 공연을 가져 1,000여명의 관객을 매료 시켰으 며, 한국공연 후 중국 공연단의 힐턴 호텔 공연을 관람한 주재국 인사들은 한국 공연이 훨씬 매혹적이고 문화적 수준이 높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또한 2010년 6월 1일~11일까지 나이지리아 국립미술관 주최로 서울 국 제교류재단 전시관에서 33명의 나이지리아 현대미술전이 나이지리아 한 국문화원과 국제교류재단 후원으로 개최되었다. 2010년 9월 28일에는 나 이지리아 연방수도부 공연단이 한국의 국립극장에서 공연을 가졌으며 다 음날인 2010년 9월 29일에는 한국의 국립국악원 공연단이 아부자 힐턴 호 텔에서 연방수도부 공연단과 함께 한-나 수교 30주년을 기념하고 나이지 리아 독립 50주년을 축하하는 공연을 가졌다. 한국문화원은 이외에도 2010년 4월 26일~6월 29일까지 수도 아부자 지역 20개 초등학교가 참가한“한국 이미지 그리기 대회” 를 개최하여 자 라나는 어린이들에게 한국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미래에 친한 인사 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30개 중학 교가 참여하는 제2회 대회를 개최하였고 2011년에는 40개 초등학교가 참 가한 가운데 제3회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와 함께 한국문화원과 영화진흥 위원회의 공동 주관으로 <제1회 한국영화제>가 2010년 8월 16일부터 20일

445


까지 실버버드 엔터테인먼트 극장에서 개최되었으며 동 영화제에서는 <국가대표>, <영화는 영화다>, <황진이>, <왕의 남자>, <식객> 등 5편의 영화를 상영하여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2011년 11월 21일 ~24일까지 라 고스에서 라고스분관과 한인회 공동으로 제2회 대회를 개최하였다. 문화원 전시관에서는 황종구, 조정현, 이부웅, 정진원, 김명란, 임진호, 김종인, 윤주일, 이은주, 손은정 작가 등, <한국 유명 도자기 작가 10인 초 대전>이 수연갤러리와 한국문화원 공동 주최로 2010년 5월 24일부터 2011년 5월 24일까지 개최되었으며 방문객들로부터 한국 도자기의 아름 다움과 창의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2012.5.24~12.20까지 <고색한지 공예전시회> 가 열리고 있다. 한국문화원은 매년 다양한 문화행 사를 개최하여 양국 간 문화교류를 증진시켜 국가이미지를 높이고 양국 간의 협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 민간차원에서 양국 간 문화교류는“가나화랑”주최로 나이지리아 미술가들의 작품 전시회가 서울에서 개최된 바 있으며, 문학 분야에서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나이지리아 요루바 민족 작가인 월레 소잉카(Wole Soyinka)가 대상문화재단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한류드라마 <대장금>이 나이지리아 최초로 2008년 7월 20일부터 매주 일요일 09:00~10:00에 나이지리아 민영방송인 AIT TV에서 방영되었다. <대장금>이 방영된 후 한류드라마가 많은 인기를 모았으며 한국인 가정에 서 일하고 있는 젊은 여성들이 매우 좋아해서 이들을 통해 드라마가 홍보 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나이지리아 최대 국영 TV인 NTA TV에서 <겨울연가> 드라 마가 주 2회 토요일과 일요일에 방영되고 월요일에 재방되었으며, 주나이지 리아한국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는 시에라리온에서는 <대장금>이 인기리에 방영된 바 있다. 또한 민영방송 AIT TV에서 <바람의 화원>이 방영되었다.

446 지구촌 한류현황


나이지리아

2011년 11월부터 2012년 7월까지는 국영방송 NTA TV에서 <내이름은

아프리카•중동

김삼순> 드라마가 방영되고 있다. 영화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에서 2010년 8월 16일 ~ 20일까지 5일 동안 <제1회 한국영화제>가 개최되어 처음으로 한국영화를 소개하는 행사를 가 졌다. 아부자 실버버드 엔터테인먼트 극장에서 <국가대표>, <영화는 영화다>, <황진이>, <왕의 남자>, <식객> 등 5편이 상영되었으며 이 중 <식객>이 가장 관람 관중이 많았다. 2011년 11월 21일 ~ 24일 동안 한국문화원, 라고스 분관과 한인회 공동으로 라고스 시네마 극장에서 <국가대표>, <식객>, <맨발의 꿈>, <과속 스캔들> 등 4편의 영화를 상영하였으며 동 영화제에는 LG전자 라고스 법인 협찬으로 민관 협력 사업으로 추진하여 관람객 증가에 기여하였다. 2012년도에는 다시 수도 아부자에서 11월경에 <제3회 한국영 화제>를 개최할 계획이다. K-Pop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아직 K-Pop 열풍이 시작 단계에 있다. 주나이지 리아한국문화원이 2010년 5월에 개원한 후 한국문화원의 지원으로 2011년 남자 15명, 여자 15명의 K-Pop팀이 구성되어 문화원 주관 각종 행사시 공연을 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처음으로 <한국 방문의 해> 지원단과 MBC 공동 주최로 개최된 <K-Pop 로드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온라인 경쟁부문에서 세계 1위를 차지, 서울 본선대회에 참가한 바 있다. 2012년에는 지난 3월 1일부터 문화원 주관으로 <제1회 K-Pop 댄스대회>를 추진하고 있으며 6월 8일~9일에 고등부와 성인부 예선전을 개최하였고 6월 23일 결승전을 개최하여 1위 팀은 한국에서 개최되는 <K-Pop 세계 페스티벌>에 참가하게 된다. 문화원은 동 대회가 현지TV방송에 중계되도 록 지원하였다.

447


한류의 상륙 시기

한류드라마 <대장금>이 나이지리아 최초로 2008년 7월 20일부터 나이 지리아 민영방송인 AIT TV에서 방영된 시점을 한류상륙시기로 볼 수 있 다. 아직 미디어가 많이 보급되어있지 않고 도시 이외의 지역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현지방송매체를 통해 한류콘텐츠를 접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2012년 6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컨텐츠

•K-POP : 슈퍼 주니어, 2PM, 소녀시대, 원더걸스 순이다. •드라마 : 김선아, 현빈 주연의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이 국영 TV인 NTA TV 엔터테인먼트 채널에서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저녁 8시에 방영되고 있으며 월요일 오전에 재방영되고 있는데, 방송사측에 따르면 상당히 인기가 있다며 후속작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아직 한류 파워 인물로 내세울 수는 없으나 젊은 층에서는 슈퍼 주니어와 2PM, 소녀시대 멤버들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한식

나이지리아에는 한식당이 없는 관계로 한식에 대한 수요도 없는 실정이다. 물론 드라마 <대장금>의 영향으로 한식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현지인들이 실제로 접할 수 없어서 다른 나라처럼 한식광고 등은 아직은 생 각해 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주나이지리아대한민국대사관은 2012년도 10월 국경일 행사를 계기로 수도 아부자 쉐라톤 호텔과 서울 뉴 쉐라톤 호 텔과의 상호 협력을 통해 <Korean Food Week>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국어

한국문화원에서 2010년부터 초급반과 중급반 한국어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매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수업을 하고 있

448 지구촌 한류현황


나이지리아

으며, 현재 초급반은 25명이 등록되어 있고 중급반은 12명이 등록되어 한

아프리카•중동

글을 공부하고 있다. 현재까지 한글강좌 수강인원은 200여명 수준이다. 그러나 한글을 배워서 취직을 한다거나 하는 실생활적인 수요는 없기 때문에 한글강좌 운영에 애로사항이 많은 실정이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국문화원에서는 문화행사에 한국기업의 협찬을 적극요청하고 있으며 기업들도 적극 호응해주고 있어 문화행사를 통한 산업 파급효과를 높여나 가고 있다. 현재 <한국영화제>와 <한국대사배 서부아프리카 국제 태권도 대회>는 LG전자 나이지리아 법인이 협찬하고 있으며, 초중등 학교 대상 <한국문화 그림그리기 대회>와 <K-Pop 경연대회>, <고교생 장학퀴즈대회> 는 삼성전자 나이지리아 법인이 후원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고색한지 전시회>가 한국문화원 개원 2주년 기념행사로 5월 24일부터 12월 20일까지 개최된다. 또한 연방수도부 산하 40개 초등학교 대상 <한국문화 그림그리기 대회>가 지난 2월 13일부터 6월 14일까지 4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K-Pop 경연대회>가 6월 8일에 예선전이 개최되었고 6월 23일에 최종 결승전이 있다. 6월 28일부터 7월 7일까지 나이지리아 국립 미술관 초청으로 한국, 이태리, 프랑스, 스페인, 나이지리아 등 <5개국 현대 미술전>이 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된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현재 드라마 동호회는 없으며, K-Pop 동호회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 세이다. 앞으로는 아프리카지역 특성상 신규 드라마 방영 시 동호회 결성

449


을 지원해 나가고 K-Pop 동호회도 대사관이나 문화원 주도로 지원해 나가야 동호회 운영이 활성화될 것으로 본다.

(2) 동호회별 현황 K-Pop 동호회는 이번 <제1회 K-Pop 경연대회>를 계기로 16개 팀이 조직되어 대회에 참가하였다.

450 지구촌 한류현황


레바논

Ⅳ 아프리카•중동

2. 레바논

1 한류 현황 레바논에는 아직은 한류동호회를 결성하여 활동하는 단체는 없지만, 한국에 유학하거나 동명부대의 방한 프로그램에 의해 한국에서 경험을 한 학생이나 예술인, 언론인들 위주로 한류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2005년 이후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의해서 한국을 다녀온 학생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서로 한류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일부 대학교(USEK : Holy Spirity University of Kaslik)의 학생들 중에서 한류에 관심이 많아 학교에서 개최하는 <국제 문화의 날> 행사에 한국을 소개하기도 했다. 레바논 남부에 주둔하는 동명부대의 매년 2차례(2월, 8월) 방한 프로그램으로 참가하는 학생, 언론인 등을 통해 한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레바논 사람들은 한국의 문화를 접하는 기회가 적었던 점이 아쉽다. 레바논에서 한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가장 영향력이 있는 접근 방법은 TV드라마를 들 수 있겠고, 그 외 대규모 공연 등 각종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면 레바논인들에게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451


3. 리비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리비아는 한국과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거리가 떨어져 있었고 카다 피에 의한 장기간 독재를 거치는 동안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배타적 정책을 취해왔기 때문에 리비아인들은 한국문화를 접할 기회가 절대적으 로 부족해 사실상 한류의 불모지나 다름이 없는 상황이다. 최근 정보통신 및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리비아의 젊은이들 사이에 K-Pop 이나 한국드라마 마니아들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주리비아대한 민국대사관에서 개설한(대사 명의의) 아랍어 페이스북을 매개로 <Korea Street>라는 한류동호회가 형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현재까지 리비아 공중파TV에 한국드라마가 방영된 적은 없으며, 리비 아인들은 다른 아랍국가의 위성TV채널(특히 이집트의 Korea TV)을 통해 한국드라마를 접하고 있다.

452 지구촌 한류현황


리비아

K-Pop

아프리카•중동

한국 가수의 리비아 공연 실적은 없으며, 젊은이들 중 일부가 유투브 등을 통해 K-Pop을 접하고 있다. 최근 형성된 한류동호회‘Korea Street’ 를 통해 K-Pop 및 한국문화에 대해 정보교환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현재 리비아 내에 생성되는 있는 한류 마니아는 대부분 IT와 SNS에 친숙한 청소년 및 대학생 등 젊은 층이며, 한류동호회로는 K-Pop과 한국드라마 등을 즐기는‘Korea Street’ 가 유일하다.

(2) 동호회별 현황 Korea Street 성격

K-Pop, 한국드라마 등 다양한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약 4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3148688550496/korean embassy in libya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 한국드라마, 한국영화 등에 대해 정보 교환 •(오프라인) 카페 등의 장소에서 부정기적으로 모임 개최

453


4. 모로코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8년 한국드라마 <슬픈연가> 방영이 모로코에서 한류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009년 <제9회 마라케쉬 국제영화제>에 한국이 주빈국으로 초청되어 총 42편의 한국영화가 상영되면서, 한국 사회 및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최근 들어서는 모로코인들이 쉽게 접해왔던 서구 음악이나 모로코 음악보다 다양한 장르를 가진 K-Pop이 젊은층(10대~20대) 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자생적으로 팬클럽이 조직되고 있는 등 새로운 도약을 맞이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모로코공중파TV(SNRT), 위성채널(2M)에2008년<슬픈연가>와<내이름은 김삼순>이 방영된 이후 2012년 현재까지 총 22편의 드라마가 방영되었으며 특히 높은 시청률을 보인 <슬픈연가>, <풀하우스>, <별은 내가슴에>, <미안하다, 사랑한다>, <상도> 등이 재방송을 하는 등 한국드라마가 모로

454 지구촌 한류현황


모로코

코에 한국의 음식, 한복 등 전통문화를 알리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최근에는

아프리카•중동

<대장금>이 인기리에 방영된 바 있다. < 연도별 모로코 방송사의 한국드라마 방영건수 > 2008

2009

2010

2011

2012

Total

2

12

5

2

1

22

영화

2000년부터 모로코 내 국제영화제에 한국영화가 소개되었지만, 큰 반응을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2009년 <제9회 마라케쉬 국제영화제>에 한국이 주빈국으로 초청되어 총 42편의 <한국영화 특별전>이 개최되었고 이를 계기로 한국에서 배우, 감독, 배우들이 대거 참석하면서,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었다. 이후 <제10회 마라케쉬 국제영화제>에서 <무산일기>로 황금 별상(대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또한 매년 모로코의 주요 도시에서 한국영화 3~4편을 상영하는 <한국 영화제>가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K-Pop

모로코에는 10대~20대를 중심으로 자생적인 K-Pop 동호회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국 주요대학의 동아리가 매년 <한국문화의 날> 행사 계기에 자체적인 K-Pop 경연대회를 개최하면서, K-Pop에 대한 관심이 날로 확산되고 있다. 한식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모로코 내 5개 (카사블랑카 1개, 아가디르 2개, 마라케쉬 1개, 탄탄 1개)의 한국 식당이 운영 중이다. 한국어

모로코는 2001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하에 모하메드 5세 대학에서

455


첫 한국어 강의가 개설된 이후 수강생들이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하산2세 대학, 이븐 토파일대학, 라바트국제대학 등 4개 대학에서 한국어 강의가 진행되고 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모로코 내 한류 동호회는 특정 가수나 아이돌 그룹에 경도된 단순한 팬 덤이 아니라 종합적으로 영화, 가수, 드라마, 교육, 한식, 정치경제 등 한국 사회 및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깊은 회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전반적인 한국문화, 한류 스타, 영화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20대부터 3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Moroccan Fans of Korea 성격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약 2,000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mfkorea •정식 협회 등록(주소지 물색중)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 전 분야에 관한 정보교환 •(오프라인) 매월 1회 모임(참가자 15-20여명), “Korea Now and Then”행사 개최

CAMCO(Club d’ Amitie Maroco-Coreenne) 성격

ESCA(경영대학)대학 내 한국 동아리

회원수

25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camco.morocco.korea

세부활동 현황

•매년 한국문화의 날 행사 개최(자체적인 K-Pop경연 대회도 개최)

456 지구촌 한류현황


모로코

모로코 한국문화센터 설립 지지 모임(아랍어) 한국문화센터 지지 모임

회원수

700

웹사이트 주소

아랍어 페이스 북 활용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문화 전반에 대한 정보교환

Ⅳ 아프리카•중동

성격

Association des Amities Marocco-Coreenne 성격

Fes대학 한국문화 동아리

회원수

70

웹사이트 주소

페이스북 준비중

세부활동 현황

•연 2회 한국문화의 날 행사 개최

Korean Fans in Morocco 성격

한국문화 동호회(주로 K-Pop 관심)

회원수

약 1,0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Korean-fans-in-morocco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K-Pop활동 관련 정보교환

※ 이외에도 모로코에는 K-Pop 아이돌 그룹의 개별 팬클럽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추청된다.

457


5. 바레인

1 한류 현황 바레인에서 한류는 아직 주목할 만한 흐름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바레인에도 국영 바레인TV사가 있기는 하지만 시청률이 높지 않고 대부 분은 케이블이나 위성을 통해서 외국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데 그런 경로로 한국드라마를 접하고 있다. 지난 12년간 바레인에 우리나라 상주 대사관이 없어서 우리나라 문화가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어려웠던 점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간간이 태권도 시범 단이 다녀가기는 하였고, 2011년 상주 대사관 복귀 직후 우리나라 전통무용, 한복패션쇼, 사물놀이, 비보이 등으로 구성된 <한-아랍 우호친선카라반>의 공연팀이 바레인을 방문하여 오랜만에 우리나라 문화를 소개하기도 하였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아직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동호회는 알려져 있지 않다.

458 지구촌 한류현황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Ⅳ 아프리카•중동

6. 사우디아라비아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8년부터 <대장금>, <식객> 등 한국드라마가 사우디 공중파TV채널 에서 방영됨에 따라 한류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K-Pop도 젊은 층에서 좋은 반응을 얻기 시작했다. 그러나 사우디 사회가 타 문화에 대해서는 배타적 인식을 갖고 있어, 한류가 광범위하게 확산되 지는 못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2008년 <대장금>, 2009년 <식객>이 사우디 공중파TV채널에서 방영되었 으며, 이후 이집트에 기반을 둔 위성채널 Korea TV에서 한국드라마를 방영 함에 따라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 팬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영화

사우디에는 영화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459


K-Pop

K-Pop이 사우디에서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어가고 있는 것을 사실 이나, 비공식, 음성적으로 전파되는 수준에 그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8년 사우디 공중파TV채널에서 <대장금>을 방영한 이후로 추정된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동방신기,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 • 드라마 : <시크릿가든> 한식

2009년 <식객> 방영 이후 서서히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여전 히 미약한 상황이다. 한식당은 리야드에 1개, 담맘에 1개, 젯다에 1개씩 있다. 한국어

2011년 2월부터 주사우디대한민국대사관 내에서 자원봉사자 교사가 가르 치는 한국어 수업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진행 중에 있다. 한국어 수업 중 우리 문화, K-Pop, 드라마를 수업교재로 활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한류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사우디인들이 스스로 결성한 한류 동호회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다만 2010년 주사우디대한민국대사관이 주도하여 만든‘한글사랑’ 이라는 동호회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한국대사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사우디인들이 주로 활동하였으며, 미약하지만 현재에도 운영되고 있다.

460 지구촌 한류현황


사우디아라비아

(2) 동호회별 현황

아프리카•중동

HangeulSaMo 성격

한국어 학습 동호회

회원수

약 100

웹사이트 주소

http://groups.live.com/P.mvc#!/HangeulSaMo/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어 학습 정보 교환, 한류 관련 정보 교환

461


7. 세네갈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아직까지 우리 한류에 대한 인식은 미비하나, 2010년 4월 우리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불어 자막)이 최초로 세네갈에서 방영된 이후 2012년 3월부터 <내조의 여왕>(불어 더빙)이 매주 수요일 저녁(10시)에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으며, 2012년 한-세네갈 수교 50주년 기념행사 계기 퓨전국 악팀 소리아와 세계적인 비보이팀 Extreme Crew 공연이 세네갈 소라노 국립극장을 가득매운 천여명의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세네갈 내 에서 한류가 점진적으로 인식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이 세네갈 국영방송(RTS)에서 2010년 4월 방영된 이후 2012년 3년 14일 부터 <내조의 여왕>이 매주 수요일 저녁 10시에 인기 리에 방영되고 있다.

462 지구촌 한류현황


세네갈

한국어

아프리카•중동

2011년 11월 세네갈 다카르 고등대학원(ISM)에서 한국어강좌가 개설되어 3개 학급에서 100여명의 학생 및 일반인이 수업을 듣고 있으며, 세네갈 제2대학인 Gaston-Berger 대학에서도 지난 2011년 11월 한국어강좌가 개설되어 10여명의 학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5월 4일 한-세네갈 수교 50주념 기념 개막식행사에서 퓨전극악팀 ‘소리아’및 비보이팀‘Extreme Crew’ 가 세네갈 국립발레단 합동으로 소라노 극립극장에서 공연하였다. 아울러 2012년 5월 19일 <대사배 태권 도대회> 개최를 통해 국기원 태권도 시범단이 부드러운 우리 전통음악에 맞춘 절도 있고 조화를 이룬 품세 및 격파 시범으로 행사에 참관한 세네갈 고위인사 및 관중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463


8. 아랍에미리트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4년 이후 이집트를 거쳐서 한류드라마 <가을동화>, <겨울연가>, <대장금> 등이 중동지역에 전파되어 한류드라마가 인기를 끌었다. 이와 함 께 K-Pop 음악이 인터넷을 통하여 중동지역의 젊은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아랍에미리트에도 고정적인 한류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중동지역의 젊은이들은 점차 중동지역의 보수적인 문화와는 다른 어느 정도 자유롭고 역동적인 문화를 찾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지나치게 개인주의적이고 자본주의적이며 노골적으로 성(性)적 노출이 많은 서구문 화에 대하여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알려지기 시작한 한국드라마는 지나치게 선정적이지 않으면서 가족들을 중시하고 연장자와 여성을 세심하게 배려하는 내용들 을 담고 있어서 중동지역의 보수적인 문화와 조화되는 측면을 가지고 있고 거기에 스토리의 흥미진진함이 더해져서 인기를 끌게 되었던 것이다. 한류 드라마의 인기에 더하여 K-Pop의 흡인력 있는 음악과 멋진 댄스 등이 아 랍에미리트 젊은이들을 K-Pop에 빠지게 하였다.

464 지구촌 한류현황


아랍에미리트

(2) 분야별 현황

아프리카•중동

드라마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TV에서 2007년 7월 <겨울연가>, 2008년 1월 <대장금>을 방영하였는데, 방영시간이 오후 4시라서 시청률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나 같은 이슬람문화권의 터키드라마가 강세를 보이는 아랍에 미리트에서 처음으로 현지 방송국이 한국드라마를 방영한 것은 의미가 크다. 현지 위성방송 채널에서 KBS World의 한류드라마, 오락 프로그램 등 각종 프로그램을 24시간 매일 방송하고 있으나, 아랍에미리트 사람들은 인지도가 높은 두바이 MBC나 아부다비TV, 두바이TV 등의 채널을 주로 시청하고 있다. 이 방송국들은 주로 같은 이슬람문화권의 터키드라마 등을 아랍어로 방영하고 있으며, 서구문화권으로는 미국이나 영국의 드라마나 영화를 아랍어 자막으로 방영하고 있다. KBS World는 아랍에미리트에서 채널 및 방송 인지도가 낮아서 터키드라마나 미국드라마 등에 비하여 시청 률이 낮은 상태이며, 한류팬들 일부가 제한적으로 시청하고 있다. 2011년 11월에 국내 방송국들이 두바이 MBC 방송국과 한국드라마 현지 방영에 대하여 협의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두바이 MBC 방송국에서 현재 <꽃보다 남자>, <아가씨를 부탁해> 두 편에 대한 현지 방영을 검토하고 있다. 영화

2009년 12월에 <두바이 필름페스티벌>에서 영화제의 일환으로 <엄마> 를 상영한 바 있으며, 2011년 10월에 <아부다비 필름페스티벌>에서 영화제 의 일환으로 <황해>를, 2012년 5월에는 현지 상영관에서 <7광구>를 각각 상영한 바 있다. 두 영화에 대한 반응은 그리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보수적이고 여성 보호적인 아랍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의 경우에는 가급적 지나치게 폭력적이거나 성적 노출이 심한 영화는 피하는 것이 좋다. 2011년 12월에 아부다비여자대학에서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맨발의 꿈>, <과속스캔들>을 상영하였는데, <과속스캔들>과 같은 소프트한 로맨틱코미 디가 젊은 여성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고 <맨발의 꿈>과 같은 휴먼드라

465


마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아랍에미리트는 다수의 외국인들이 거주하는 국가라서, 마케팅 측면에 서 판단할 때는 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하는 다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할 것 인지, 아랍에미리트 국민들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 고려하여야 한다. K-Pop

현재 K-Pop 음반 CD가 아랍에미리트 내 음반 상점에 진열되어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한류팬클럽들은 K-Pop CD 등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유투브나 인터넷 동영상을 통하여 K-Pop을 접하고 있다. K-Pop 공연 실 적을 보면, 2011년 11월 F1 전야제 행사에 서인영, 나인뮤지스가 아부다비 에서 공연한 바 있다. 2012년 4월에는 제국의 아이들이 두바이에서 팬미 팅 싸인회를 하였고, 아부다비에서 쇼케이스 공연을 하였는데 아랍에미리 트 젊은이들이 행사장을 가득 채운 가운데 성공적으로 행사를 마쳤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4년 <대장금>, 2005년 <겨울연가> 등 한류드라마가 이집트를 통하여 중동지역으로 알려지면서, 중동지역에서 외국 문화의 유입이 가장 빠른 UAE에서도 여학생들을 중심으로 한류가 퍼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슈퍼주니어, 샤이니, 빅뱅, 2PM, 2NE1, 소녀시대 • 드라마 : 현재 상영 중인 <더 킹 투 하츠>의 이승기, <사랑비>의 장근석, <드림하이>의 택연과 우영, 박유천 등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슈퍼주니어, 샤이니, 빅뱅, 한식

일반적으로 한식을 알지 못하는 아랍에미리트 국민들은 한식에 대하여

466 지구촌 한류현황


아랍에미리트

소극적으로 반응하나 김밥, 불고기, 잡채 같은 음식을 일단 시식을 해보고

아프리카•중동

나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한류클럽 학생들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한식 선호 열기가 확산되고 있 으며, 홀리데이인 아부다비 호텔에서는 매주 목요일 저녁을 한식 뷔페로 제공하는 등 꾸준히 한식 인지도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어

한류클럽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 열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ZAYED대학에서는 한글교육기관인 세종학당을 운영하고 있고, 아랍에미 리트대학은 2012년 2월에 한국어 과목을 정규 학점 과정으로 개설하였다. 다른 대학들은 학생 과외 활동(Activity)으로 한국어 과목을 인정하고 있 으나, 비공식적으로 한국어 강사 파견을 요청하는 사례가 점증하고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아랍에미리트 젊은이들이 한류드라마와 K-Pop 등을 좋아하게 되고 그 젊은이들이 한류팬클럽으로 오래 동안 활동함에 따라 한국 상품에 대한 선 호도 증가하고 한국 관광 방문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 간의 상품 교역과 관광인구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4월 21일 아부다비에서 <제국의 아이들 쇼케이스> 공연이 있었다. 이날 행사는 공연장 객석을 모두 채운 700여명의 여학생들이 제국의 아이 들의 노래와 춤에 열광적으로 환호하는 가운데 성공적으로 끝났으며 중동 지역에서도 열광적인 K-Pop 팬들이 있음을 보여주는 자리였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아랍에미리트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주로 대학별 한류클럽이 대부분이며,

467


한류 스타, 한국드라마, 한국영화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이 클럽 들은 인터넷커뮤니티를 만들어서 한류 문화행사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며 서로 한류 문화행사 참석을 권유한다.

(2) 동호회별 현황 UAE University 성격

Arirang Club, 한류 동호회

회원수

6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Arirang.Club.UAEU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문화 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연 12회 모임 •2008년부터 매년 Korean Week 개최하여, 한국영화 상영, 부채춤 공연, 태권도 시범, 한식 시식 등 행사

ZAYED University(Abu Dhabi) 성격

Korean Club, 한류 동호회

회원수

2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The-Korean-Club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문화 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연 12회 모임- 매년 한류 행사 개최 - 2011.12. Korea Film Week 개최 - 2011.3. 우리 영부인, 동 대학 방문 한류 행사 개최 - 2012.4. Korea Film Week 개최,“들소리”공연단 초청

ZAYED University(Dubai) 성격

Korea Club, 한류 동호회

회원수

40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문화 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연 12회 모임 - 매년 한류 행사 개최 - 2011 한국음식 소개 행사, 한국문화강연 행사 - 2012.3 한국 가야금 연주 행사 - 2012.4 한국문화 행사‘Korea Town’ (한국어 배우기, 한복입기, 투호 등) 개최

468 지구촌 한류현황


아랍에미리트

ABU DHABI WOMEN’ S COLLEGE ADWC Korean Club, 한류 동호회

회원수

10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uaeloveskorea.friendhood.ne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문화 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연 8회 모임 - 2011.12. Korea Film Week 개최 - 2012.5. 한국 전통공연단 공연

Ⅳ 아프리카•중동

성격

KHALIFA UNIVERSITY 성격

Han Club, 한류클럽

회원수

7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uaeloveskorea.friendhood.ne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류문화 관련 정보 교환 •(오프라인) 연 8회 모임 - 2011.5. Korean Day 행사 - 2012.3. 한식 시식 행사 - 2012.4. 한식 Cooking Class 행사(호떡, 김치전, 해물파전 직접 요리)

ABU DHABI UNIVERSITY 성격

Korean Club, 한류 동호회

회원수

30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개인 이메일로 서로 한류문화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연 5회 모임 - 2012.5. 한식 시식 행사

UAE LOVES KOREA 성격

한국사랑 동호회

회원수

1,126(2012.4.26 기준) (게시물수 : 9,660건(2012.4.26 기준))

웹사이트 주소

http://uaeloveskorea.friendhood.net

세부활동 현황

•K-Pop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한국, 한국어, 한국음식, 한국 패션, 한국 예술 및 전시회 등 한국과 관련된 모든 것들에 대한 정보 공유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음. •동 커뮤니티 회장(Ms. Eman Al Alawi)은 최근 중동지역 최초의 K-Pop 행사(제국의 아이들 팬미팅 및 쇼케이스)를 민간업체와 공동 주관하여 회 원들과 함께 성공적으로 행사를 진행하였음.

469


9. 알제리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소수의 알제리 청년층에서 K-Pop 및 한국어에 대한 온라인 한류 동호 회(186명) 조직되어 2012년 6월 현재 회원수가 231명으로 증가하였다.

(2) 분야별 현황 한류의 상륙 시기

2000년 초 인터넷을 통한 접촉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 다수 2011년 한류 파워인물

비, 소녀시대, 빅뱅, 슈퍼주니어

470 지구촌 한류현황


알제리

한국어

아프리카•중동

2012년 세종학당의 개설로 한국어 수업이 알제2대학의 외국어센터 내에서 진행 중이다. 최근 주요 행사

한류 팬클럽 회원 K-Pop 경연대회 및 한국영화제 개최(2012.3.17)되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한류, 특히 K-Pop 및 한국어에 대한 관심으로 조직된 동호회(facebook) 존재한다.

(2) 동호회별 현황 Fans de Culture Coreenne 성격

K-Pop

회원수

231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pourque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비정기적 모임

Let’learn Korean 성격

한국어

회원수

75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168371629957873/members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일주일 2회 수업 •(오프라인) 비정기적 모임

471


10. 요르단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요르단의 한류는 아직 초기 단계로 수년전 Korea TV 등을 통한 위성 채널 에서 이제는 요르단 정규 지상파 방송인 요르단 TV등으로 유통채널이 확대 되고 있다. 인터넷 매체와 소규모 동아리 등이 결성되기 시작했지만, 정기 적으로 활동을 하고 가시적인 성과가 보이는 모임은 아직 거의 없는 수준이다. 또한 인구나 경제규모가 적은 요르단은 걸프국가나 북아프리카처럼 순식간에 한류가 방한이나 한류스타 초청 등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요르단의 한류에 대한 전망은 밝다. 먼저 자동차, 전자제품 등을 통해 구축된 한국제품에 대한 긍정적 평판으로 한국에 대한 전체적 이미지 가 좋게 형성되어 있다. 90년대부터 개설되기 시작한 대학교 내의 한국어 교양강좌는 이제 한국어과 2회 졸업생을 배출하고 많은 학생들이 한국에서 수학 중이다. 요르단 대학교 총학생회 주체 <세계민속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부스는 늘 한국관이다. 요르단의 한류는 내재적인 요인과 함께 외부적 요인에 지대한 영향을 받 는다. 국영방송인 요르단 방송보다는 주로 걸프지역에서 송출된 위성방송을 더욱 즐겨보는 요르단인에게는 위성방송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선정하느냐도

472 지구촌 한류현황


요르단

매우 중요하다. 아직은 터키나 미국드라마가 안방극장 외화 시장의 대다수를

아프리카•중동

점령하고 있지만, 중동전문 한국 위성방송인 Korea TV의 각종 예능프로와 드라마는 요르단에서도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작년 요르단 국영방송에서는 드라마 <대장금>을 방영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다른 드라마들이 방영될 예정이다. 이란과 이라크 등 문화권이 비슷한 국가에서 사극들이 기록적인 인기를 구가하는 현실을 볼 때, 요르단의 한류 확대는 분명해 보인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요르단 방송을 통해 나간 한국드라마는 <대장금>이 아직 유일하다. 이 드라 마는 상당한 인기를 얻었지만 한 가지 아쉬운 부분이 있다. 먼저 시골이나 고령층의 문맹자를 고려하여 더빙을 입힌 방송이 송출되었는데 이 더빙 부분이 화면과 어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터키나 미국에 비해 인물과 문화가 더 이질적인 한국의 콘텐츠와 어울리게 더빙을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일회성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한국 콘텐츠가 전파될 수 있도록 후속 작품의 방영이 요구된다. 또한 Korea TV 등이 상당한 인기를 얻었지만 아직은 사우디의 MBC, 레바논의 LBC 등에 비하면 그 고정 시청자수가 상당히 떨어진다. 이런 중동 지역 전체에서 압도적 시청률을 가진 방송사를 통해 한류문화를 전파한다면, 요르단 역시 한류의 규모가 커질 것이다. 영화

주요르단대한민국대사관은 매년 개천절을 전후해 <한국 주간> 행사를 개최중이고 이 기간에 한국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이 행사 외에 한국영화가 따로 스크린을 통해 상영된 적은 없다. 한국대사관에서 상영하는 영화의 경우 영어자막이 제공되어 빠르게 영어를 해석하면서 영화를 볼 수 있는 계층을 제외하고는 영화를 소화해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대사가 많지 않으

473


면서 내용을 이해하기가 쉬운 작품들이 보다 폭넓은 관객확보에 더 적합할 듯하다. 하지만 한국영화 자체는 인기가 있다. 요르단은 다른 중동권과 마찬가지로 저작권 개념이 매우 열악하다. 암만 시내에 많은 비디오 가게에는 불법복제 영화가 많은데 이 중 일부는 한국영화이다. 제작편수가 한국보다 많은 일본과 중국 영화보다 한국영화 복제품이 더 많은 것은, 그 인기가 적지 않음을 보여준다. 요르단은 생활수준에 비해 영화관이 매우 비싼 편이라 관람객의 수가 그리 많지 않다. 또한 상영비중도 역시 할리우드 영화가 아랍이나 기타 문화권 에서 제작된 영화를 압도하고 있다. 따라서 당분간 영화관에서 한국영화를 상영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이며 DVD 등의 콘텐츠 역시 정품보다는 해적판을 통해 유통될 것이다. 우선은 <한국주간> 행사를 통해 한국영화를 홍보하면서 위성채널이나 요르단 방송 등을 통해 한국영화를 선보이는 것이 현실적으로 보인다. K-Pop

요르단은 음반시장이 매우 작고, 산업화 단계도 아직은 발아기에 가깝다. 대중가요시장은 전통적으로 이집트, 레바논 음악이 주류를 차지했고, 팝음악 등도 일부의 젊은 층에서 듣고 있다. K-Pop은 위성방송을 통해 전파되었 는데 걸그룹 보다는 남성아이돌의 인기가 압도적이다. 요르단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수는 단연 그룹 슈퍼주니어이고, 이어 다른 남성 아이돌 그룹 들이 뒤를 잇는다. 한국음악이 발매되거나 콘서트를 가진 적은 없고 한국음악과 스타들의 사진 등은 인터넷과 위성방송 등을 통해 주로 전파된다. 하지만 이 인기는 상당해서 중고등학생들이 소규모 모임을 결성하기도 하고 장기자랑으로 K-Pop 커버댄스를 선보이기도 한다. 한류의 상륙 시기

한류가본격적으로성행한것은2008년Korea TV 송출에서부터로볼수있다.

474 지구촌 한류현황


요르단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아프리카•중동

• K-Pop :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SS501, 샤이니 • 드라마 : <대장금> • 현재는 다소 수그러들었지만, 가장 인기 있던 방송은 예능프로 <스타킹> 이었다.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한식

요르단 내 한국 식당은 역사가 짧고 아직은 중식이나 일식에 비해 규모나 인지도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상류층과 외국인들을 시작으로 한식의 건강, 맛, 영양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면서, 느리지만 점차 이용객이 늘고 있다. 다만 현지 한식당의 상당수는 아직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고 한식당의 가격구성 또한 요르단 중산층에게는 상당히 높아서 대중화보다는 특정 소비층을 대상으로 할 수 밖에 없다. 중산층 이하로는 식당을 통하기보다는 <대장금> 등 영상매체와 올해 <난타 공연> 기간에 진행한 한식리셉션 등과 같은 무료 시식회 및 홍보물, 한국어과나 학교 축제 등에서 협찬 등을 통해서 제한적으로 전파되고 있다. 또한 한식의 일부인 주류와 돼지고기 등이 금지되는 현지 문화로 인해 한식 전파에 다소 제한이 있지만, 최근 이슬람 율법에 맞도록 제작된 라면 등의 가공 식품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한식의 접촉범위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한국어

정식 한국어 교육과정은 요르단 대학교 한국어과와 일부 대학의 한국어 교양과목이 있다. 이 외에 외국인을 위한 한글학교나 세종학당, 사설 한국어 교육기관 등은 없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책자나 프로그램 등 한국어 교육 교재는 오프라인 상에는 거의 없다. 한국어는 학교에서 배우거나 방송이나

475


매체를 통해 스스로 습득하여 방송에 자주 등장하는 간단한 한국말을 구사 하는 젊은이들을 종종 볼 수 있으나, 아직은 한국인에게 중국어로 인사를 건네는 사람들이 더 많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주로 한국제품을 통해 한국을 접하던 요르단 사람들에게 한국문화의 접 촉이 늘어나는 것은 분명 긍정적이다. 한중일의 경계가 모호했던 이들에게 한국에 대한 확실한 이미지를 심어 주는 것은 한국에 대한 관심과 친밀도를 높여주는 파급효과가 있다. 또한 한국을 돈을 벌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여기고,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최근 주요 행사

• 2011년 10월 <한국영화제 > • 2012년 4월 수교 50주년 기념 <뷰티풀 마인드 자선콘서트> • 2012년 5월 수교 50주년 기념 <난타공연>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요르단은 아직까지 한류 관련 동호회가 생성되는 시기이며 최근 젊은이들 층 사이에 페이스북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개인적인 관심에서 한류 스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동호회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 동호회는 주로 10~20대 여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 아이돌 남자가수들에 대한 정보 및 관심을 공유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아랍의 연예인들과는 큰 차이가 나는 귀여운 남성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요르단 국영 방송의 <대장금> 방영을 시작으로 앞으로 한국 인기배우들에 대한 동호회들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476 지구촌 한류현황


요르단

(2) 동호회별 현황

아프리카•중동

Jordan kpop lover 성격

K-Pop, 한국드라마, 연예인 동호회

회원수

842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Jordan.kpop.lover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오프라인) 연 3~4회 모임

477


11. 우간다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아직 한류 미성숙으로 활발히 활동 중인 한류단체가 없다

(2) 최근 주요 행사 6월 15일~17일간 한국영화제가 국립극장에서 개최되었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현재 파악되고 있는 동호회가 없다.

478 지구촌 한류현황


우간다, 이라크

Ⅳ 아프리카•중동

12. 이라크

1 한류 현황 ■ 이라크(쿠르드지역 제외) 특별한 사항이 없으며, 최근 한류 팬카페가 등장해 관심을 끌고 있다. ■ 쿠르드지역 (1) 일반 현황 쿠르드지역은‘한류’ 라고 할 정도는 아니나, 한국드라마의 선풍적인 인기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지역이다. 2004년 자이툰부 대의 아르빌 주둔으로 시작된 한-쿠르드 관계는 4년간의 치안유지활동 뿐만 아니라, 의료지원, 취약계층지원, 쿠르드어 교실운영, 태권도교실 운영, 한-쿠르드 우정의 날행사, 스포츠교류, 도서관 건립 등 다양한 문화지원활 동을 수행하여 쿠르드인들에게 자이툰부대는‘신이 주신 선물’ 이라는 찬사 를 받았다. 또한 우리정부의 이라크 재건사업의 일환으로 KOICA를 통해 쿠르드지역에 다양한 원조사업을 하고 있고, 특히 쿠르드 공무원 등 1,100 여명이 한국 연수를 경험한 바 있어 쿠르드 지역에 한류를 확산하는데 매우 좋은 기반이 형성되어 있다. 최근 주이라크대한민국대사관 및 주아르빌대

479


한민국사무소에서는 이라크 지역 한류확산을 위해 쿠르드지역에서 다양한 우리문화 소개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한-이라크 수교 이후 2011년에 최 초로 개최된 대형 문화행사인 <제4회 한-아랍 소사이어티 카라반 행사> 와 <김석태 사진작가 전시회>, 2012년 한류 스타(드라마 <허준>의 주인공 탤런트 전광렬)의 방문, 그리고 지속적인 한국드라마 방영을 위한 측면 지원 등이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쿠르드지역에서는 그간 드라마 <허준>을 비롯하여 총7편의 한국드라마 가 방영되었으며, 2012년 6월 Kurdsat TV에서 <선덕여왕>, Kurdistan TV에서 <주몽>을 방영하는 등 경쟁적으로 한국드라마를 방영하였다. 초기에는 자이툰 부대의 도움으로 Kurdistan TV에서 <겨울연가>, <슬픈연가>, <자명고>3편을 자막을 넣어 방영하였으나 인기가 저조하였다. 2010~11년도 Kurdsat TV가 <대장금>, <동이>, <이산>을 쿠르드어로 더빙 해 방영하면서 시청률 80~90%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한국드라마의 폭발적인 인기 배경에는 가족들이 함께 볼 수 있는 드라마라는 점과 특히 사극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유교적 성향과 가족 가치존중 등이 쿠르드 민족 성향과 잘 부합되었기 때문이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4년 9월 자이툰 부대가 아르빌에 주둔하면서 다양한 민사활동, 한국 문화 소개 활동을 시작하였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드라마 : <허준>, <주몽>, <선덕여왕> • 가 수 :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f(x)

480지구촌 한류현황


이라크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아프리카•중동

전광렬, 한효주, 한혜진, 송일국 등 한국드라마 주연 배우 최근 주요 행사

한-이라크 수교 이후 최초의 대형 문화행사인 <제4회 한-아랍 소사이 어티 카라반> 행사가 2011년 10월 개최되어 우수한 우리의 공연 문화를 선보였으며, 2012년 12월 현지 한국인 사진작가를 활용해 <김석태 사진전> 을 술레이마니아, 아르빌에서 개최하여 쌍방향 문화 교류를 전개하였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이라크(쿠르드지역 제외)에는 현재 1개의 한류 팬카페(특정 가수 또는 연예인 팬카페가 아닌 한류 연예인 종합 팬 카페)가 개설 되어, 카페 내에서 팬들이 요청 하면 좋아하는 가수의 게시판이 신규 개설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쿠르드지역에서는 현재까지 한류동호회가 결성되어 있지 않다.

(2) 동호회별 현황 KOREAN-LOVERS 성격

한국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아랍어로 되어 있으며, 다국적 아랍인 참여, 비회원도 참여가능)

회원수

1,285(동시접속자수 : 평균 30명)

웹사이트 주소

http://korea-lovers.ba7r.org/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 드라마, 연예인 관련 정보교환 •전체 게시글수 : 45,790

481


13. 이란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한국과 페르시아의 문화 교류는 멀리 1,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실크로드를 타고 페르시아 문화가 통일신라에 유입된 것이다. 신라 향가 <처용>의 주인공이 페르시아 상인이라는‘학설’ 도 있다. <아라비안 나이트>에 나오는 이야기들이 페르시아 설화라는 주장도 많다. 그 당시 페르시아가 아니었다면 도대체 어떤 나라 어떤 민족이 그토록 많은 설화를 보유하고 집대성할 수 있었겠느냐는 것이다. 우리나라와의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1962년 10월 23일 수립됐다. 2012년은 두 나라 수교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중동진출 과정에서 이란 내 건설시장에 적극 참여 했다. 당시 2만명 이상의 한국인이 밤낮없이 흘린 피땀이 양국관계의 기반을 닦고, 우리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두 나라는 이런 우호 관계의 상징으로 1977년 서울과 테헤란에 각각‘테헤란로’ 와‘서울로’ 를 지정했다. 2002년은 두 나라 수교 40주년이었다. 이를 계기로 테헤란에 한국광장 (2002)과 서울공원(2003)이 만들어져 매우 드물게도 이란의 수도 테헤란 한복판에 우리나라 도로, 광장, 공원의 명칭이 지어졌다. 두 나라는 2012년

482 지구촌 한류현황


이란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서울과 테헤란에서 각종 문화행사를 벌이고 있다.

아프리카•중동

2006년~2007년간 주 1회 주말 저녁에 한국드라마 <대장금>이 이란국 영방송국의 전파를 탔다. 공식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시청률이 90%를 기록 했다고 한다. 이란에서 한류가 시작된 기점이다. 실제 지금도 많은 이란인 들이 현지어 제목이었던 <양금>에 대해 깊은 추억과 기억을 갖고 있다. 양국 고위 관계자들이 공식 회의를 시작할 때도 인사를 주고받은 뒤 <대장금> 이야기를 몇 마디 나눈 다음 본론으로 들어가곤 한다. <대장금> 이후 한국 기업의 상품이 이란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소프트파워(문화, 국격 등)와 하드파워(기술경쟁력, 정보력 등)가 절묘하게 만나 대한민국의 스마트파워를 보여준 사례다. 하지만 이란 헌법 제44조에 따르면 미디어(TV와 라디오)는 정부 영역에 서만 운영할 수 있고 민영방송을 금하기 때문에 이란 국영방송(IRIB)을 통해 전파를 탄 한국드라마만 합법적인 한류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적지 않은 이란인들이 위성방송(1995년 3월‘위성기구 사용 금지에 관한 법률’ )이나 인터넷 다운로드를 통해 한국의 대중문화를 즐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류와 관련해 정보와 자료를 교환하는 젊은이도 일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를 배워 실시간으로 한국의 방송을 즐기는 마니아도 있다. 그러나 테헤란에 소녀시대나 원더걸스는 없다. 그들이 히잡을 쓰고 팔다 리와 둔부를 다 가린 채 뮤직비디오를 새로 찍지 않는 한, 한류가수의 뮤직 비디오는 이란에 공식적으로 없는 것이다. 다만 지하비디오나 해적판CD 들이 유령처럼 출몰할 뿐이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대장금>4)은 이슬람권에 본격 진출한 최초의 사극이다. 2006년말 이란 에서 처음 방송됐다. 이란에서는 1970년대에 일본드라마 <오싱>이 방영됐다. 당시 시청률 60%를 기록하였다. 이후 유럽의 질 낮은 액션드라마가 들어와

483


외국드라마의 인기가 주춤했다. 이슬람 혁명 이후 30여년간 이란 자체 드라마나 외국 드라마는 이란인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해주지 못했다. <대장금>은 탄탄한 스토리와 아름다운 영상미로 이란인의 정서에 녹아 들어갔다. 54편으로 구성된 <대장금>의 마지막 두 편은 라마단 금식기간 중에 스페셜로 NG 모음과 제작과정을 방영해 주었다. DVD로도 판매돼 많은 수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인공인 이영애는 이란에서‘한국의 모나리자’ 로 떠올랐다. 이후 사극 <해신>, <상도>, <주몽>이 방영됐다. <해신>의 주인공 최수종도 스타가 됐다. <주몽>의 주인공인 송일국 역시 이영애에 버금가는 스타다. 현재(2012년 6월)는 드라마 <동이>가 방영되고 있다. 영화

2003년 이란영화사가 <친구>를 수입해 상영했다. 또 영화 <쉬리>와 <친구>가 이란어 자막과 함께 VCD 형태로 시장에서 판매됐다. 2012년 한류 파워인물

이영애, 송일국 한식

테헤란에 마한호텔, 페르세폴리스, 코리안 바비큐 등 3개 한식당이 있다. 하지만 현지인 및 외국인에게 어필하고 있지는 못하다. 한국어

한류드라마 덕분에 우리 문화와 한국어 학습에 대한 이란인의 관심이 뜨거운 편이다. 하지만 이란어로 배울 수 있는 한국어 학습교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 이들을 가르치는 교육기관도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이란 현지의 문화 관련 전문가도 찾아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란 내에서의 한류 관련 행사는 일회성 또는 전시성 행사에 그쳐 문화적 경험과 지혜가 축적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484 지구촌 한류현황


이란

2 한류 동호회 현황

아프리카•중동

한류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몇몇 소모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이 압도적이며, 주로 여성인 것으로 보인다.

485


14. 이집트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이집트에서는 한국과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1995년부터 한국문화가 서서히 전파되기 시작했다. 1996년부터 주이집트대한민국대사관은 대사관 내에 한국어강좌를 개설하여 무료로 이집트 국민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강의하기 시작하였다. 2005년에는 이집트 아인샴스대학교 알순 대학에 한국어과를 개설하여 주재국 및 아랍권의 최초로 정규 대학 내에 한국어 전공학과를 만들었다. 또 이집트 국영 방송을 통하여 한국드라마 <가을 동화>(2004), <겨울연가>(2005), <대장금>(2006) 등이 방영되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이집트 국영 방송의 지상파를 통해 <가을동화>를 시작으로 한국드라마가 처음으로 소개되기 시작했다. 특히 <가을동화>가 방영되었을 때에는 이집트 의 많은 젊은이들이 드라마에 매료되었고 한국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기를 원했다. 이어 방영된 <겨울연가>는 이집트 국민들의 사랑을 많이 받은

486 지구촌 한류현황


이집트

한국드라마로 여겨진다. <겨울연가>가 방영되자 이집트 젊은이들은 한국에

아프리카•중동

더욱 호기심을 갖고 한국문화를 좋아하게 되었다. 이후 <대장금>과 <내이 름은 김삼순>이 지상파를 통해 방영되어 인기를 끌었다. 현재 이집트의 한 류팬들은 위성채널로 아리랑 TV, 코리아 TV, KBS World 등을 통해서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최신 한국드라마를 시청하는 이집트 젊은이들도 있다. 영화

드라마는 집 안에서 여성들이 텔레비전을 통하여 자유로운 시청이 가능 하나 극장과 같이 특정 장소에서 방영되는 영화는 여성들의 자유로운 출입이 어려운 까닭에 드라마에 비하여 호응을 얻고 있지 못하다. 또 한국영화가 이집트 국민들에게 소개되는 기회도 적다. K-Pop

한국노래가일반대중에게많이알려지지는않았지만젊은대학생들을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 및 주재국 한국어교육기관 등에서 한국어를배우는학생들을중심으로최근2년동안빠르게퍼져나가고 있다. 한국의 아이돌 가수 중 원더걸스, 소녀시대, 동방신기, 2PM 등의 노래를 좋아하고 즐겨 부르고 있으며, 이집트 젊은이들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노래를 다운받아 서로 공유하여 듣고 있다. <제1회 K-Pop 대회>가 2011년 7월에 열려 이집트 젊은이들의 K-Pop에 대한 애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류의 상륙시기

한국드라마 <가을동화>(2004), <겨울연가>(2005)가 이집트 지상파 국영방송에 방영된 이후부터이다. 현재(2012년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동방신기, 씨앤블루, 비스트, 티아라, 아이유 등

487


• 드라마, 영화 : 배용준, 최지우, 현빈, 이민우, 장근석, 원빈 2011년 한류 파원인물 : 이민우, 권상우 한식

아직까지 한국음식이 이집트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한국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집트인들 중심으로 카이로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한국 식당을 방문하여 김치, 불고기, 잡채 등을 시식하고 있다. 소수이기는 하지만 한식을 직접 만들어 유투브 등에 올려 한국음식에 관심 있는 사람들 간에 의견을 교환하는 기회를 갖는 모임들도 있다. 한국어

이집트에서의 한국어 교육기관은 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 헬르완대학교 관광학부 교양과목, 포트사이드 청소년센터, 룩소 관광고등교육원, 알렉산 드리아 관광고등교육원, 한국대사관이 있다. 특히 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는 독립된 전공학과(2005)로 대학원 석사 과정(2009)이 개설되어 현재 이집트 젊은이 90여 명이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다. 그리고 대사관 한국어 무료강좌에 최근 몇 년간 800여명 이상이 지원하여 150명을 선발하여 초급반을 운영하고 있다.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국기업의 자동차, 핸드폰, TV 제품에 대한 호감도가 증폭되고 있다. 최근 주요행사

이집트 내 지방 도시로의 한류확산 일환으로 제2의 도시인 알렉산드리 아에서 <한국문학의 밤> 및 <한국문화 페스티벌>(전시회 및 사진전)을 개최하였다.

488 지구촌 한류현황


이집트

2 한류 동호회 현황

아프리카•중동

(1) 일반 현황 이집트 내 한류 동호회는 소셜 네트워크(페이스북)상으로 정보를 교류하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대학생층을 중심으로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U-Know Yunho 성격

Yunho 팬클럽

회원수

211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YunhoEgyptianfans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11.9.27 개설)

HERO Jaejoong Egyptians 성격

Jaejoong 팬클럽

회원수

434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HERO-Jaejoong-Egyptian-F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11.9.17 개설)

We Want JYJ in Egypt(Opera House) 성격

JYJ 팬클럽

회원수

788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We-Want-JYJ-in-Egypt-Opera-house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11.4.28 개설)

489


We want korean idols in Egypt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695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We-want-korean-idols-in-Egyp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11.7.3 개설)

KPOP In Egypt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522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KPOP-In-Egyp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11.9.7 개설)

Micky Yuchun Egyptian FANS 성격

미키유천(박유천) 팬클럽

회원수

16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riNce.YooChun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11.20.1 개설)

Max Changmin Egyptian Fans 성격

Yunho 동호회

회원수

76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pages/Max-Changmin- Egyptian-Fans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12.2.7 개설)

Korea Drama & Culture Lovers(korean Cuisine) 성격

한국드라마 및 한식 동호회

회원수

187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KoreanWorldLovers/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활동(2009.9.5 개설)

490 지구촌 한류현황


카타르

Ⅳ 아프리카•중동

15. 카타르

1 한류 현황 근래 한국드라마, K-Pop을 좋아하는 젊은 카타르여학생들이 증가하여, 간간히 만나게 되는 젊은 여성들의 경우 설사 본인이 한국드라마를 즐겨보는 것은 아니더라도 그러한 친구들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한류 동호회는 아직 없다.

491


16. 케냐

1 한류 현황 케냐인들은 한국의 뛰어난 전자제품과 IT기술, 축구선수 박지성, 우리 드라마 <대장금>이나 <주몽>에 대해서 알고 있으며, 일부 케냐인들은 소녀 시대와 같은 우리의 K-Pop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 임은 개인적이고 자발적인 초기 단계로서 한류 동호회라 부를 수 있은 조직 적이고 체계적인 모임은 현재로서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다만,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 연수생 동창회와 나이로비 세종학당을 통해 한국어를 배우려는 케냐 학생들은 다수 존재한다

2 한류 동호회 현황 KOICA Alumni Kenya Chapter(KAKC) 성격

KOICA 연수생 동창회(2008.5월 설립) (KOICA 연수생간 화합 도모 및 한・케냐 양국 우호 증진)

회원수

365

세부활동 현황

•임원 정기모임 및 특별모임 개최 •현재 홈페이지 구축 및 아웃리치 프로그램 추진중

492 지구촌 한류현황


케냐

세종학당 세종학당 학생 모임(현지 학생 대상 한국어 수업 시행)(2011.9월 개원)

회원수

80

세부활동 현황

• ‘아프리카 사랑 모임’ 이라는 당지 교민이 자발적으로 운영하던 한국어 교실이 세종학당(문화관광부 지원) 지위를 획득 •월, 수 : 초급 3개반/화, 목 : 중급/금요일 특별반 한국어 수업 시행

Ⅳ 아프리카•중동

성격

493


17. 쿠웨이트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KBS world, Korea TV, Arirang TV를 위성채널로 시청하면서 우연한 계기에 한국문화를 접하게 되어 한류팬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재까지 한류스타가 쿠웨이트를 다녀간 적은 없다. 열혈 한류팬의 경우 인터넷 등 여러 경로를 통해 <해를 품은 달>과 같은 최근 드라마도 시청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공중파 TV를 통해 드라마가 방영된 적은 없으나, 쿠웨이트 국민들 대부분 위성TV를 시청하고 있어 KBS world, Korea TV, Arirang TV 채널을 통해 한국드라마를 시청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여성과 중년 여성층에서 인기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영화

드라마에 비해 한국영화는 상대적으로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면이 있어

494 지구촌 한류현황


쿠웨이트

이로 인해 대중적으로는 선호하지 않는 추세이며, 쿠웨이트인들은 영화관

아프리카•중동

에 가기보다 집에서 TV를 시청하는 것을 더 선호하여 영화는 드라마나 K-Pop에 비해 성공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K-Pop

샤이니,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이 인기가 있으며 팬들은 인기 그룹 멤버의 세부사항을 줄줄 외울 정도이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샤이니,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 다수 • 드라마 : 위성 방송의 경우 지나간 드라마를 간헐적으로 상영하고 있으며, 팬들은 몇몇이 추천하는 드라마를 다운 받거나, CD를 돌려보며 시청하고 있어 현재 공통적으로 인기 있는 드라마는 파악이 불가하다. 2011년 한류 파워인물

소녀시대, 빅뱅, 슈퍼주니어 등으로 예측 한식

주쿠웨이트대한민국대사관이 주도하고 있는 <한국문화디와니야>(한국사 랑동호회 모임) 행사시에 지속적으로 한식을 소개하고 있고, 2012년 5월에도 <한식세계화> 행사를 개최하여 한식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는 단계이다. 한국어

한류팬들이 자연스럽게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 작년 숙명대학교와 연결하여 한국어를 가르치는 e-learning 코스의 정원이 20명이었으나 예상보다 많은 40명이 신청하였다. 동 인들을 기반으로 대사관은 <한국문화 디와니야>를 2012년 2월 출범하였다.

495


기타 산업 파급효과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드라마에 나온 패션, 화장술(미용)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서 한국화장품, 한복 등 한국 소품, CD 및 DVD를 구매하고자 하는 층이 형성되고 있으나 쿠웨이트 내 이러한 제품을 판매하는 곳은 현재 없다. 최근 주요 행사 : <한국문화디와니야> 정기 모임(월1회 또는 격월)

2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쿠웨이트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딱히 없는 상황이며, 한국문화를 종합적 으로 이해하는 <한국문화디와니야>가 대사관 주도로 2012년 2월 2일 구성 되었다. 그외에는아시아문화에관심있는층들이대체로한국드라마, K-Pop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파일을 돌려보며 드라마를 시청하는 수준이다. KBS World 등 위성방송으로 인해 한국드라마 등은 많이 알려져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한국문화 디와니야 성격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약 360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322692144454630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문화, 한류 등에 대한 의견 교환 •(오프라인) 월 1회 대사관에서 한국문화 공유 모임개최 - 5월 <한국주간> 행사시 다수 회원이 자원봉사자로 행사에 기여

기타

상기 외에는 일본, 중국, 한국 POP을 공통으로 소개하는 www.Jpopasia. com에 한국 K-Pop을 소개하는 코너가 있다. ※ 쿠웨이트 내에서 아직 한국문화가 독자적인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지는 못하며, 일본 및 중국 문화에 관심 있는 층들이 한국문화도 함께 관심을 가지는 정도이다.

496 지구촌 한류현황


튀니지

Ⅳ 아프리카•중동

18. 튀니지

1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7년 말경 튀니지 국영 TV가 한국드라마 <슬픈연가>를 방영하면서 튀니지 국민들은 한국의 드라마 및 문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후 <대장금> 등 여러 편의 한국드라마가 연이어 방영되었으며 <슬픈연가>의 주인공 권상우의 인기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슬픈연가>의 방영이 튀니지에서 한류가 싹트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튀니지는 위성TV인 Korea TV(이집트에 본사를 둔 위성방송사로 한국드라마 및 쇼프로그램을 아랍어로 자막방송)를 시청하는 사람의 수가 중동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많은 나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이 Korea TV는 튀니지에서의 한류 확산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게다가 2011년 K-Pop 프랑스 공연을 계기로 K-Pop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수의 K-Pop 동호회가 결성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드라마

2007년 말 튀니지 공중파TV에 <슬픈연가>가 방영된 이후 <대장금>,

497


<미안하다 사랑한다>, <종합병원>, <내 이름은 김삼순> 등의 한국드라마가 연이어 방영되었다. 튀니지 방송사측은 한국드라마 방송 이유를 프로그램 다양화 차원에서 풍습과 전통이 다른 나라들의 드라마를 소개하기 위한 것 이며, 또한 해외위성방송(Korea TV)을 통해 한국드라마를 시청하는 튀니 지사람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K-Pop

2011년 여름 K-Pop 프랑스 공연 이후 K-Pop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수가 갑자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다수의 K-Pop 동호회가 결성되어 온라인 상은 물론 실제 오프라인 모임을 갖고 한국노래 따라부르기, 한국 아이돌 그룹 춤 배우기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튀니지 라디오나 TV에서 K-Pop을 방송하고 있지는 않다. 한류의 상륙 시기

2007년 말 한국드라마 <슬픈연가>가 방송된 이후부터로 볼 수 있다. 한류 팬들은 지금도 주인공 권상우를 잊지 않고 있다. 현재(2012년 2월)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 다수 2011년 한류 파워인물

비, 소녀시대, 빅뱅 한국어

튀니지에는 마누바대학교, 수스대학교, 스팍스대학교 및 부르기바스쿨에서 약 200여명이 한국어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튀니지에서의 한국어 수요는 현재로서는 정체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젊은층 중심으로 한국문 화, 특히 한국드라마나 K-Pop 등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와 같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은 한국어 학습의욕으로 이어져 향후에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의 수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98 지구촌 한류현황


튀니지

2 한류 동호회 현황

아프리카•중동

(1) 일반 현황 튀니지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대부분 K-Pop 동호회이다. K-Pop 동호 회들은 특정가수별 팬클럽은 아니고 주로 거의 모든 아이돌 가수들을 좋아 하는 팬클럽이며, 한류 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노래를 따라하는 장이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한국드 라마나 영화 동호회는 없다.

(2) 동호회별 현황 Korea Club in Tunisia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150

웹사이트 주소

http://www.kctm.co.cc

세부활동 현황

•K-Pop 그룹들의 콘서트영상 관람, 활동정보 교환

Let’ s make Korean Bands and Stars come to Tunisia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2,100

웹사이트 주소

facebook.com/groups/kpoptunisia

세부활동 현황

•페이스북을 통해 K-Pop등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의견 및 정보 교환

Bizerte K-Pop Fighting 성격

종합 한류 동호회

회원수

약 30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매주 오프라인 모임을 갖고 한국알기 프로그램 진행

499


I love Korea 성격

K-Pop, 드라마, 영화 동호회

회원수

63

웹사이트 주소

facebook.com/groups/339185612804510

세부활동 현황

•K-Pop, 드라마 및 영화 감상, 한국어학습

SM Town in Tunisia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660

웹사이트 주소

facebook.com/groups/smtownintunisia

세부활동 현황

•K-Pop 감상, K-Pop에 대한 정보 교환, K-Pop 가수들의 튀니지방문 성사가 주목적

We want SM Town in Tunisia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220

세부활동 현황

•K-Pop 가수활동 관련 정보교환

100000 fans to make korean band come to Tunisia 성격

K-Pop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100000.fans.korea

세부활동 현황

•주로 facebook을 통해 K-Pop 등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의견 교환 •한국 K-Pop 스타들의 튀니지 방문 성사가 주목적

500지구촌 한류현황


튀니지

Ⅳ 아프리카•중동

501



지구촌 한류현황 인

2012년 9월 28일

2012년 9월 28일

발 행 처

한국국제교류재단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센터 10층

편집 및 인쇄

(주)엔씨엘피플스(☎02-2024-2300)

본 책자의 내용에 관한 문의사항이 있으실 경우 한국국제교류재단 (☎02-2151-6542 FAX:02-2151-6592)으로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책은저작권법에따라보호받는저작물이므로무단전제와무단복제를금합니다.



지 구 촌

지구촌 한류현황

한 류 현 황

지구촌

한류현황

지구촌

한류현황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