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지구촌한류현황 II (중)

Page 1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유럽 / 아프리카•중동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유럽 / 아프리카•중동

비매품

이 책자는 외교부 및 전 세계 재외공관의 협조로 제작되었습니다.

ISBN 979-11-5604-156-6 ISBN 979-11-5604-154-2 (세트)


22. 우크라이나

1 개황

•수

도 : 키예프(284만 명)

•인

구 : 4,429만 명(2014년 기준)

•면

적 : 603,500㎢(한반도의 약 3.5배)

•민족구성 : 우크라이나계 77.8%, 러시아계 17.3%, 기타(벨라루스계, 몰도바계 등) 4.9% •종

교 : 우크라이나 정교(모스크바 관구 및 키예프 관구), 카톨릭 등

•시

차 : 우리나라 -6

•언

어 : 우크라이나어(공용어), 러시아어(통용)

•1인당 GDP(’12년 기준) : 3,695미불(PPP 기준 7,404미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2년, 우리기준) : ‌ 총교역 19억 불 (수출 11.4억 불, 수입 7.6억 불)

2 문화적 특성 (1) 동슬라브 문명의 대표 나라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벨라루스와 함께 9세기경 성립된 동슬라브 최초의 도시국가인 ‘키예프 루스’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는

34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우크라이나

동슬라브의 문화, 정치, 종교, 경제의 중심이라는 의미에서 동슬라브의 어머

유럽

니로 불려왔다. ‘키예프 루스’는 13세기 몽골-타타르족의 침략을 시작으로 여러 세력들의 침략을 받으면서 오랜 기간 독립 국가를 이루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가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코자크’라는 집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들은 16세기 폴란드의 지배 를 받던 농민들이 과중한 세금과 노동에서 벗어나 드니프로 강 유역과 동남쪽 의 초원지대에서 결성한 자율적인 군사공동체이다. 이들은 우크라이나를 대 표하는 자유와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자리하게 되었으며 지난 1960년대 초 ‘율 브리너’가 열연했던 영화 ‘대장 불리바’에서 우크라이나의 코자크 민족들이 소개된 바 있다. (2) 동서로 위치한 러시아와 유럽

우크라이나는 크게 “동”과 “서”로 나뉜다. 여기에서 “동”은 동방 정교의 세 계와 비잔틴 문화 그리고 유라시아 유목민의 문화를 의미하고 “서”는 유럽을 의미한다. 현대 우크라이나에서는 “동”과 “서”의 의미가 다소 변화되었는데 “동”은 동방정교의 문화적, 정치적 전통을 계승한 러시아를 의미하고 “서”는 서방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과 “서”에 대한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정치·문화적으로 동과 서가 확연히 구분되어 서부지역이 주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친서 방적이라면 동부지역은 러시아어가 통용되며 친러 성향이 강하게 나타남에 따라 아직까지도 많은 갈등을 겪고 있으며 문화적으로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3) 흑토의 백의민족

국토 대부분이 비옥한 흑토 지대인 우크라이나는 한때 ‘유럽의 빵 바구니’ 또는 ‘소련의 빵 바구니’로 불렸는 바, 이처럼 천혜의 풍요로움이 있기에 그 어 느 민족보다 손님을 융숭하게 대접하고 있다. 전통적인 손님맞이 행사는 우크 라이나는 물론, 러시아 등 다른 동슬라브 지역으로 널리 퍼져 있으며, 공식 환영식이나 전통 혼례식에서 귀한 손님이나 행사의 주인공을 맞이하기 위해

343


빵과 소금 그리고 지역에 따라서는 전통술(보드카)을 준비하고, 대문 앞이나 현관에서 의례를 치른다. 손님은 전통 의상을 정성껏 차려 입은 여인들이 주 는 빵과 소금을 먹고 술을 마시는데, 빵과 소금 그리고 술은 여러 가지로 해석 되지만, 농경사회의 필수품으로서 손님을 환대한다는 의미로 통용이 된다. 우크라이나의 전통 가옥이나 시골집의 벽들은 대부분 흰색이며, 남녀노소 가 즐겨 입는 전통의상은 흰색 바탕에 자수가 놓여 있어 중유럽의 백의민족이 라고 불린다. 또한 음주와 가무를 좋아하는 점과 지정학적으로 여러 문명의 길목에 위치해 있어 무수한 외세의 침입을 받았으면서도 평화를 애호하고 고유의 문화와 언어를 계승·발전시켜온 역사를 보면 우리 민족과 닮은 점이 많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15년은 한-우크라이나 양국 수교 23주년이 되는 해이며, 지금까지 양국은 국제무대에서 어떠한 갈등요소 없이 긴밀히 협력해왔으며, 최근에는 정치·경제 등 다방면 분야에서 협력을 증대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현대자동차 등 우리 기업이 각 분야에서 선두기업의 자리 를 유지하고 있어,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매 우 우호적인 이미지와 감정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대사관이 중심이 되어 개최하고 있는 각종 문화행사(음악회·영화제 등)와 2010년 이후 자생적으로 발생한 K-Pop의 지속적인 인기 상승 등으로 우크라이나 내의 한류는 양적·질적으로 팽창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분야별 현황  K-Pop

현재 우크라이나내의 한류는 K-Pop 중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2010년

34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우크라이나

이후 매년 1~2회 ‘K-Pop의 밤’의 행사 등이 지속 개최되고 있다.

유럽

2012년도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다른 나라에 비해 늦게 우크라이나에 상 륙했으나, 그 인기의 임팩트는 더욱 커 2012년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강남스 타일’을 주제로 한 특집 토크쇼가 방영(채널 ‘우크라이나’)되었다. 또한 K-POP 동호회들은 ‘K-Pop World Festival’ 지역예선에 대거 적극 참여해 매년 확대 개최되고 있으며, 2013년에 창간된 K-Pop 저널 ‘언니 (Onni)’도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는 등 우크라이나 내의 K-Pop은 양적·질적 으로 확대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015 K-Pop World Festival에는 수도 키예프뿐만 아니라 오데사, 니콜라예프, 하리코프 등 우크라이나 전국 각지 에서 참가하여 K-Pop이 우크라이나 전국적으로 확산된 것을 느낄 수 있었 다. 한편, 당관은 2010년 이후 매년 영산그룹 후원 하에 조수미·배일환·김 윤희 등 한국이 자랑하는 클래식 음악가를 초청해 우크라이나 내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을 대상으로 한-우 친선음악회를 지속 개최하고 있으며, 동 행사가 우리 클래식의 저력을 한껏 뽐내고 있다는 평가이다. 2014년에는 김영희 소 프라노, 유희승 바이올리니스트, 정호윤 테너가 우크라이나 내셔널 심포니 오 케스트라와 함께 협연하였다.

 드라마

2008년 이후 주재국 KIEV-TV를 통해 <슬픈연가>, <대장금>, <다모>, <태양의 여자> 등을 방영,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러시아와 미국 드라마가 중심인 주재국에서 이들 드라마 방영은 우리 문화를 알리고 아국 이미지를 높이는데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 영화

우크라이나 내에서 한류 확산과 함께 한국영화의 관심이 매우 늘었으나, 우리 영화가 일반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정도까지는 아직 아니다. 당관은 2008년 이후 거의 매년 수도 키예프에서 한국영화제를 열고 있는

345


바, 다양한 장르의 한국 영화 상영을 통해 한국영화의 저력을 알리고 있다.  한류 파워인물

■ K-Pop : 싸이, 샤이니, 빅뱅, 슈퍼주니어 등  한국어

우크라이나 쉐브첸코 국립대 및 키예프 외대 한국어학과가 있으며, 최근 한국어의 인기 증대로 한국어학과 신입생을 2배 늘리기도 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남부 니콜라예프에 세종학당이 2012.9월에 개설되고, 주 재국 유력 사립대인 ‘우크라이나’ 인재개발대학에 한국어 강좌가 2012.10월 개설되는 등 우크라이나 내 한국어의 위상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다. * 현재 쉬콜라(초중고교) 2개 곳에서 한국어 교육 실시, 한글학교 20개 곳 운영중

 한식

우크라이나에는 고려인들이 3만여 명 이상 거주하고 있어 한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보유한 계층이 존재하나, 아직 한식은 현지인들에게 친근한 음식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내의 일식당이 매우 인기가 있어, 젊은 사람들 사이에 서는 일식을 트렌디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인 바, 우리 한식의 보편화 가능성 도 크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키예프에 한국인이 운영하는 한국식당은 3곳, 고려인이 운영하는 식 당이 1곳이 있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 한국에 대한 정보와 지식

한국을 경제적으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부흥한 나라로 우뚝 일어선 배울 점이 많은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34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우크라이나

또한 최근 한류 팬의 증가, 한국어의 인기 상승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도

유럽

크게 늘고 있어,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 대한(對韓) 호감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 한국에 대한 이미지

우크라이나 내 삼성전자·현대자동차 등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시장 진출 로 한국 기업,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매우 크며, 한국인은 부지런하고 믿을 만하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동북아 나라 중 중국은 질이 낮고 일본은 우크라이나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지 않다는 이미지가 있으나 한국은 좋은 상품으로 우크라이나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우크라이나는 유럽과 러시아 사이에 끼어 있어 이들로부터의 영향력에 자유롭지는 못하나, 우크라이나인(코자크의 후예, 문화민족)라는 자존심이 강한 바, 사회·문화적인 자존심을 세워주는 문화 교류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에 위치하나 손님을 환대하는 등 동양적인 인간 관계를 중요시하는 편인 바, 이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우크라이나 내의 한류 동호회는 주로 K-Pop 동호회이며, 2010년 이후 결 성되기 시작하였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SNS와 인터넷을 통해 한류 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관련 행사를 개최 중이다.

347


(2) 동호회별 현황 단체명

회원수 (명)

Dream high

1,184 기 작성된 국가별 한류 현황 참고

K-BEAT Y Mona Lisa Rise and Shine K-pop Girl's Band Ukrainian K-pop Cover Federation K-POP COVER UA K-POP in UA Lollipop (하리코프) Kingdom (르보브)

활동사항

‘12~14년 3차례 ’K-POP World Festival 661 지역예선 개최 지원 및 SNS를 통한 동 행사 홍보 2014.5 HURRICANE VENUS K-pop party-fest 동호회 행사 개최 2014.11 LOVE SHOT! Party 동호회 행사 244 개최 361

264 플래시몹 위주의 동호회 249

온라인 상에서 주재국 K-Pop 댄스팀들을 모아 정보 공유

온라인 상에서 주재국 K-Pop 댄스팀들을 모아 정보 공유 온라인 상에서 주재국 K-Pop 댄스팀들을 1,755 모아 정보 공유 SKOOL TIME K-POP PARTY 동호회 행사 892 개최 The fifth k-pop party in Lviv 동호회 행사 154명 개최 740

웹사이트 주소 http://vk.com/dream_high http://vk.com/k.beat http://vk.com/ymonalisa_ officialgroup http://vk.com/ riseandshine http://vk.com/kpop.girls. band_cover.group http://vk.com/kpop_fed http://vk.com/kpop_ua http://vk.com/kpop_in_ua http://vk.com/lollipopua http://vk.com/kingdom_lviv

7 2014-2015년 문화행사 (1) 2014 K-Pop World Festival 지역예선(2014.5.24) ■ 댄스 17팀, 보컬 3팀 참가

(2) Korea Week(2014.6.18-22) ■ 마스터 클래스(한식 만들기, 태권도, K-Pop, 부채춤 등)

34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우크라이나

■ 전통놀이 체험(윷놀이, 공기놀이, 제기차기)

유럽

■ 전시회(한국그림, 한복)

(3) 한국영화제 개최(2014.9.19-22) ■ ‌ 건축학개론, 은밀하게 위대하게, 오직 그대만, 캐치미, 마마, 플랜맨 상영

(4) 제5회 한-우 친선음악회 개최(2014.10.9) ■ ‌ 김영희 소프라노, 유희승 바이올리니스트, 정호윤 테너, 우크라이나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 협연

(5) 유소년 대사배 태권도대회 개최(2015.5.1.-3) ■ ‌ Volodymyr Brynzak 우크라이나 올림픽위원회 부회장, 최 블라디미르 키예프태권도협회장 등 참석 ■ 700명 이상의 선수, 35개 팀 참가

(6) 2015 K-Pop World Festival 지역예선 개최(2015.5.30) ■ 댄스 12팀, 보컬 7팀 총 112명 참가, 약 200명 관람

(7) Quiz on Korea 당지 지역예선 최초 개최(2015.6.6, 6.13) ■ 1차 예선 및 본선 개최, 약 50명 참가

(8) 한국영화제(2015.10.15-17) ■ 관상, 원더풀 라디오 등 총 5편의 우리 영화 소개, 약 680명 관람

349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 여행객: 한-우크라이나 양국간 비자 관련 협정에 따라 우리 국민은 무비자 입국 90일 체류 가능하다. 입국시점에서 180일 이내 에 90일까지 체류 가능하며, 국경수비대는 전산망을 통해 외국인 개인별 입출국 기록을 관리한다. ■ 공연 비자:없음

(2) 안전 정보 ■ ‌ 과거 인종 범죄 사건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외국인에 대한 인 종 범죄는 많이 사라졌으며,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도 좋아 대체로 안전 한 편이다. ■ ‌ 하지만 시위 현장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이나 밤에는 외출을 삼가하는 것이 좋으며, 현지 경찰의 불시검문에 대비하여 여권을 상시 소지할 것을 권한다.

35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우크라이나

9 기타

유럽

(1) 시차 ■ 한국보다 6시간 늦음 ※ 섬머타임 미실시시(11월~3월) 7시간 늦음

(2) 날씨 ■ 봄(3월~5월) : ‌ 청명 온화한 날씨. 의복은 춘추복, 스웨터 및 바바리코트 등 필요. ■ 여름 (6월~8월) : ‌ 건조하고 맑은 날이 대부분이며 해가 매우 뜨거움 (선글라스 필요) 의복은 한국의 여름옷이 필요하나, 때에 따라 비오고 스산한 날도 있으므로 겉옷도 간혹 필요. ■가을 (9월~11월) : 점점 흐리고 비오는 날이 많아짐. ■겨울 (12월~2월) : ‌ 거의 흐리고 폭설이 자주 옴. 혹한은 있으며 일조량이 적고 습도가 높아 체감온도는 더욱 낮음.

(3) 환전 ■ 공항, 기차역, 은행, 사설환전소 등에서 쉽게 환전 가능함 ■ 한국 원화는 환전이 어려움

(4) 치안 치안상태는 러시아 등 여타 동구권 국가와 비교할 때 다소 양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야간 단독외출은 가급적 지양함이 바람직함

351


(5) 팁 제도 봉사료 제도는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으며, 보통 현지화로 약간의 정성 표시(호텔 : 1~2미불, 식당 : 음식값의 3~5%정도)

(6) 전력 ■ 220V, 50Hz ■ 텔레비전은 PAL 방식

(7) 교통수단 ■ ‌ 대중교통수단으로는 지하철, 버스, 전차, 전동버스 4종류가 있다. 교통료는 한국에 비해 아주 저렴하다.(1회 승차요금 : 300원 정도) ■ ‌ 상기 외 택시가 있으며 외국인에 대해서는 실요금보다 약간 비싼 요금을 요구하고 있다.(시내요금 약 $10, 시내-국제공항 $40)

(8) 통신 및 전화제도, 인터넷 ■ ‌ 공중전화는 전화카드(카드 1장당 $10불로 30분~1시간 통화 가능)를 이용 하게 되어있으며, 공중전화기로 국제전화 및 장거리 전화는 불가능하다. (국제전화, 장거리 전화는 자택 또는 전화국 이용) ■ ‌ 한국 호출 국제전화(DDD) 8-10-82-2-전화번호 국제통화호출번호-한국Code-서울 Code

(9) 우편 제도 ■ ‌ ‌ 우편제도는 잘 발달되어 있는 편이다.(송달 소요일은 시내 2일, 지방 5일,

35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우크라이나

한국 2~3주정도 소요)

유럽

■ DHL 이용 가능함(한국 5~6일 소요)

10 현지 연락처 (1) 대사관 ■ 주소 : 43, Volodymyrka st., 01901 ■ 전화 : (+380-44)246-3759〜61 ■ FAX : (+380-44)246-3757

(2) KOTRA ■ 주소 : 4th Fl. 19a, Khreschatyk st., 01001 ■ 전화 : (+380-44)495-2951 ■ FAX : (+380-44)495-2950

(3) 우크라이나 내 긴급 연락처 ■ 화재 101 / 경찰 102 / 구급차 103 ■ 보리스 병원 : (+380-44)238-0000 ■ 아메리칸 메디컬 센터 : (+380-44)490-7600

353


23. 이탈리아

1 개황

•수

도 : 로마(Roma, 인구 287만 명)

•인

구 : 6,126만 명(세계 23위)

•면

적 : 301,336㎢(한반도의 1.3배)

•민족구성 : ‌ 이탈리아인(북부에 프랑스계, 오스트리아계, 슬라브계 남부에 알바니아계, 그리스계 등 소수 거주) •종

교 : 카톨릭(87.8%) 등

•시

차 : 우리시간 -8

•언

어 : 이탈리아어

•1인당 GDP(’14년 기준) : 34,960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3년, 우리기준) : ‌ 총교역 85억 불(수출 31억 불, 수입 53억 불)

2 문화적 특성 이탈리아는 유럽 남부에 위치한 장화 모양의 반도국으로 뛰어난 자연 경관과 수많은 건축유산들로 인해 이전부터 아름다운 나라(Bel paese)라

35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불려 왔다. 이탈리아인들은 인위적인 것을 싫어하며 자연미와 실용성을 중시

유럽

하고 세계 최고의 예술성과 장인정신, 염색기술, 첨단기술들을 보유하고 있으 며 조상들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이는 이탈리아가 패션 예술, 디자인, 정밀산업, 관광, 음식 등의 분야에서 높은 명성을 누리는 바탕이 되고 있다. 이탈리아는 서방선진 G7 그룹의 일원으로서 상당한 경제력, 외교력을 지 니며, 국가브랜드(Anholt 지수, 2008년)는 문화·유산 분야 세계 2위, 관광 분야 세계 2위에 오를 정도로 역사·문화적인 전통과 아름답고 매력적인 자 연·관광자원을 자랑하는 국가이다. 또한, 슬로우푸드운동(The Slow Food Movement)의 발상지답게 여가와 전통적인 음식문화를 통해 삶의 여유를 즐 기고, 대화를 중요시하며 개방적이고 박애정신이 강한 민족성을 지니고 있다. ■ 서구문명의 원류

이탈리아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는 나라로 르네상 스를 통해 단테, 복카치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등을 배출, 18세 기까지 서양문명의 주류를 형성하였다. 오늘날에도 문학, 철학, 건축, 미술, 조각, 음악, 패션 등 문화·예술 분야에서 세계문화 주류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현대 이탈리아 문화의 구조적 특성은 분권적 다원주의로 로마, 피렌체, 베 네치아, 나폴리 등이 각기 문화적 분권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정치, 경제, 사회도 공통된 역사의 소산이다. 이탈리아 문화는 자유스러운 표현방식 때문에 진보적 색채가 강하나 한편 그 저류에는 카톨릭 종주국으로서의 강한 보수성이 잠재되어 있다. 1939년 문화재보존관리법 제정, 1974년 이를 관장하는 문화환경부 설치, 1998.12월 정부조직개편에 따라 문화재관리, 문화예술·관광을 총괄하는 문 화부를 설치하여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355


■ 유네스코 문화유산

이탈리아는 예술의 본고장, 세계문화의 수도, 열린 박물관 등 역사와 문화 가 전국 곳곳에 아로새겨져 남아 있는 문자 그대로 ‘전 국토가 문화재’라고 해 도 과언이 아닌 나라이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51개가 등재되어 있어 총 유적지의 14%를 보유 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문화유산의 6%를 차지하는 방대한 양의 문화유산으로 세계 1위이다. 전 세계에서 드물게 국가의 문화유산 보호 의무를 헌법(제9조)에 명시하고 있으며 특히, 베네치아, 피렌체, 페라라, 아씨시, 티볼리의 빌라 데스테, 시에 나 같은 곳은 도시 자체가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고, 2002년에는 시칠리 아섬 남동쪽에 소재하는 후기 바로크 시대의 도시들이 유네스코 문화유산 으로 등재되었다. ■ 스포츠와 축구

이탈리아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는 축구·스키·수영·사이클·자동차경주 등이며, 이중 축구는 최고의 스포츠이다. 축구는 이탈리아인들에게 영원한 사 랑의 대상으로 지역적 충성심의 표출을 넘어 국민적 열정으로까지 승화된다. 빗장 수비로 유명한 이탈리아는 2006년 독일 월드컵을 포함, 통산 4번의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전통의 축구 강국이다. 이탈리아 프로축구 리그는 수준별로 1부(세리에 A), 2부(세리에 B), 3·4 부(세리에 C1·C2)로 구성되는 바, 세리에 A는 영국의 프리미어 리그 및 스페인의 프리메라리가와 함께 세계 3대 리그 중의 하나이다. 이탈리아 축구 클럽은 2만여개, 등록 선수도 14만 여명에 이르며, 클럽간 평준화가 잘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름철에는 수영·요트 등 수상 스포츠와 사이클이 인기 있으며 겨울철에 는 알프스 주변 유럽 최고의 리조트에서 즐기는 스키가 국민 스포츠로 인기 있다.

35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3 한류 현황

유럽

(1) 일반 현황 이탈리아에서 한국의 이름이 크게 각인되기 시작한 해는 2002년이다. 이 탈리아인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인 축구, 그것도 월드컵에서 한국이 이탈리 아를 격파하면서 한국의 이름이 이탈리아인의 뇌리에 깊이 새겨지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한류는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의 한국의 활약으로 한국에 대 한 관심이 시작되고 그 태동은 한국영화에서부터 시작되었다. 2002년 이창동 감독의 베니스영화제 특별감독상, 2004년 김기덕 감독의 베니스영화제 감독 상 수상과 2002년부터 시작된 피렌체 한국영화제 등을 통해 한국영화가 소개 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우디네 극동영화제, 로마 영화제 등을 통해 한국영화가 꾸준히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2012년 에는 최초로 한국애니메이션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이 이탈리아 극장에 개봉 하기도 했다. 영화로 시작된 한국에 대한 관심은 문학작품으로 이어져 다수의 한국작품 이 이탈리아로 번역 출간되었다. 2005년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비롯한 4 편, 2006년 황석영 ‘손님들’을 비롯한 4편, 2007년 3편 및 2011년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2014년 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까지 총 28 편의 한국문학작품이 이탈리아어로 번역 소개되었다. 2009년에는 볼로냐 국 제아동도서전에 한국이 주빈국으로 초청되어 문학관련 한류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이후 나폴리 동양학대학, 로마 사피엔차 대학, 베니스 카 포스카리 대학 동 양학부 등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이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K-Pop이 알려 지기 시작하였으며 로마대학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동호회 ‘소녀시대’를 구성, 주요 계기시 일반대중이나 학생들을 상대로 공연을 하고 있으며 SNS등을 통 해 나폴리, 베네치아 등지의 학생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 다. 이러한 K-Pop의 인기를 바탕으로 2012.5월에는 이탈리아 MTV Award 에서 빅뱅이 베스트팬부문 최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전세계적으로 몰아

357


친 싸이의 열풍은 이탈리아도 예외가 아니어서 2012.11월에는 로마 포폴로 광장에서 3만여명이 참가한 대규모 강남스타일 플래시몹 행사 열렸으며 현지 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지상파 TV채널 ‘SUPER’에서 KBS-TV 드라마 ‘드림하이’를 방영했다(수입원 Merak Film srl). 2013년 9월 1일 21시 첫 방영 이후 매주 월~금 19:40, 재방송은 월~금 16:35에 에피소드 65분의 원 래 길이를 다양한 컷으로 30분 에피소드로 분할하여 방영했다. 또한 2013년 10월 30일~2014년 1월 10일까지는 드라마 시리즈 전용 공식 유투브 채널 에서 매주 3개의 에피소드를 올려 소개했다. 최근, 이탈리아 TV채널 ‘SUPER’에서는 2015년 6월 15일부터 드림하이를 재방송하기 시작했다.  영화

영화는 이탈리아내에 한국을 소개한 한류의 시초로써 베니스영화제에서 2002년 이창동 감독, 2004년 김기덕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하면서 한국영화 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주요서점에 김기덕 감독 영화 DVD 섹션 이 별도로 있을 정도이다. 또한 2002년부터 피렌체에서 피렌체 한국영화제가 시작되면서 매년 한국영화 20~30편을 소개하고 있으며 2012년 제10회 피렌 체 한국영화제에는 송강호 특별전 및 전주영화제와 협력하여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다양한 행사도 개최하였다. 2012년에는 최초로 한국애니메이션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이 이탈리아 70여개 극장에 개봉하기도 했다. 2012년 김기덕 감독의 ‘피에타’가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뒤 현지에서 한국영화에 대한 인지도가 크게 증대되었으며 2012.8월에 로마에서 베니스 영화제 특별전, 2012.10월 볼로냐 영화재단에서 한국영화특별전을 개최하여 김기덕의 ‘피에타’를 상영하여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2013년 제11회 피렌체 한국영화제에서는 50여편의 한국영화를 상영하는 한

35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편 배우 전도연 및 홍상수, 추창민 등 감독들을 초청하여 현지언론의 주목을

유럽

받았다. 2014년은 한-이탈리아 수교 130주년을 맞아 피렌체 한국영화제에서 다양 한 수교기념행사가 열렸으며 2015년 제13회 피렌체 한국영화제에는 약 52편 의 한국영화가 상영되고 배우 안성기가 초청되어 관객과의 만남을 가졌다.  K-Pop

나폴리 동양학대학, 로마 사피엔차 대학, 베니스 카 포스카리 대학 동양학 부 등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이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K-Pop이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로마대학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동호회 ‘소녀시대’를 구성, 주요 계기시 일반대중이나 학생들을 상대로 공연을 하고 있으며 SNS를 통해 나폴리, 베네치아 등지의 학생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K-Pop의 인기를 바탕으로 2012.5월에는 이탈리아 MTV Award에서 빅뱅이 베스트팬부문 최고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전세계적으로 몰아친 싸이의 열풍은 이탈리아도 예외가 아니어서 밀라노, 사르데냐, 시칠리 등의 주요도시 에서 강남스타일 플래시몹 행사가 연이어 열렸으며 2012.11월에는 로마 포폴로광장에서 3만여명이 참가한 대규모 강남스타일 플래시몹 행사가 열려 현지언론에서 큰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2015년 6월에는 처음으로 K-Pop 월드 페스티벌 이탈리아 지역예선이 밀라노 산 페델레 오디토리움에서 개최되었다.  한류의 상륙 시기

2002년 이창동 감독의 베니스 영화제 수상, 2004년 김기덕 감독의 베니스 영화제 감독상 수상 및 2002년 피렌체 한국영화제의 시작으로 영화를 중심 으로 시작되었다. 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소녀시대, 빅뱅, 싸이, 슈퍼주니어, 씨스타 ■ 영화 : 김기덕, 박찬욱, 홍상수 감독

359


 한류 파워인물

씨스타, 빅뱅  한식

한식은 아직 이탈리아 내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나 한국의 인지도 상승으 로 K-Pop 팬들을 중심으로 점차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2012.11월 이탈리 아 요리채널 ‘감베로로쏘’는 한식관련 특별프로그램 4부작을 제작하여 방송하 였다. 2013.9월 배우 이영애와 이탈리아 명품브랜드 구찌 간 공동프로젝트로서 피렌체 구찌박물관에서 한식 만찬을 공동 주최하여 현지 주요인사들에게 우리의 한식문화를 소개했으며 만찬의 준비과정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SBS 스페셜 설날특집 2부작 ‘이영애의 만찬’을 통해 2014.2월에 방영되었다. 2015년 5.1일부터 10.31일까지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엑스포에 한국관을 개설하여 ‘한식, 미래를 향한 제안: 음식이 곧 생명이다’를 주제로 한 전시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한국관내 설치된 한식당에서 ‘조화(Harmony)’, ‘치 유(Healing)’, ‘장수(Health)’ 3가지 주제를 가지고 총 6가지 특별 한식 메뉴 를 선보이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한국어

영화로 시작된 한국에 대한 관심은 문학작품으로 이어져 다수의 한국작품 이 이탈리아로 번역 출간되었다. 2005년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비롯한 4편, 2006년 황석영 ‘손님들’을 비롯한 4편, 2007년 3편 및 2011년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2014년 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까지 총 28편의 한국문학작품이 이탈리아어로 번역 소개되었다. 나폴리 동양학대학, 로마 사피엔차 대학, 베니스 카 포스카리 대학 동양학부 에는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체 약 600여명의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한국어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2011년부터 베니스와 로마 에서 매년 한국어능력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2012년말에는 베니스카 포스카리 대학에 이탈리아에서는 처음으로 세종학당이 설치되어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6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 기타 산업 파급효과

유럽

해당없음

 최근 주요 행사

2011년 10월 주이탈리아대사관은 나폴리시와 공동으로 한국문화주간을 개최하여 태권도 시범, 국립발레단 ‘왕자호동’공연, 해군순양함 관함식, 한국 영화제, 아국 성악가의 성악 공연 등을 공연하여 호평을 받았다. 2011년 3월 23일~31일까지 제10회 피렌체 한국영화제를 개최하여 송일 곤 감독의 ‘오직 그대만’을 비롯한 33편의 영화를 소개하고 송강호 특별전 및 다양한 한국문화소개행사를 동시 개최하여 많은 호응을 얻었다. 2012년 5월 이탈리아조각의 중심도시인 피에트라산타시에서 (사)한국 조각가 협회 주관으로 한국조각가 50인이 참가하여 200여점의 한국조각을 선보이는 “한국조각가전”을 개최하여 호평을 받았다. 2012년 10월에는 대사관과 볼로냐시 공동으로 볼로냐시 일원에서 “한국 문화주간” 행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영화제, 한국미술전, 한-이 합동 콘서트, 한-이관계 특별대담회, 태권도 시범 등 다양한 한국문화를 종합적으로 선보 여 호평을 받았다. 2013.7월 여름밤 문화행사 공간으로 잘 알려진 로마 테베레강에 위치한 티베리나 섬에서 주말을 이용해 ‘한국의 날’을 개최, 한국영화, 사물놀이, 전 통차 시음, 붓글씨 시범, 한국문학 이탈리아어 번역도서 전시 및 한국관광 홍 보 등 다양한 한국문화 소개 및 한인예술가들의 개인전(박한홍, 김영원, 임영 희, 이진형 등), 한-이 현대미술가 공동전시회, 밀라노 디자인 위크기간 중 ‘한국공예의 법고창신전’을 열어 현지언론의 큰 호평을 받았다. 2014년은 한-이수교 1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였다. 한국 국립현대미술관과 로마21세기현대미술관간 협력으로 백남준 이후 우리나라 미디어아트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미디어 아트 전시 ‘The Future is Now!’ 가 2014.12월~2015.3월까지 열려 호평을 받았다. 밀라노에서는 ’한국문화주간’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밀라노 디자인위크 기간 중에는 2013년

361


에 이어 전통과 현대가 융합된 디자인공예 전시전을 개최하였다. 피렌체에서 는 제12회 피렌체 한국영화제가 수교기념으로 성대하게 열렸으며, 1972년 시작된 남성복전문 패션전시회인 Pitti Uomo에서 한국을 주빈국으로 초청하 여, 패션과 문화가 융합된 한국관을 선보였다. 2015년은 이탈리아의 가장 큰 국제행사인 밀라노 엑스포를 중심으로 다양 한 한국문화행사가 열렸다. 2015.4월, 미래의 먹거리 대안을 모색하는 ‘2015 밀라노 엑스포’를 앞두고 로마시와 공동으로 ‘로마, 엑스포를 향하여’ 프로그 램의 일환으로 국립민속박물관이 주최하는 특별전시회 ‘한국 밥상으로의 초 대’전이 열렸다. 이어 5.1일 엑스포 개막식을 시작으로 밀라노 엑스포 한국관 을 6개월 동안 운영하면서 다양한 문화행사를 한국관 중심으로 선보이는 한 편 밀라노시 일원에서도 한국문화주간등의 행사를 연중 개최하였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이탈리아는 서구문명의 요람이라고 불리는 만큼 자국문화에 대한 자부심 이 강하다. 이러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편 이며 이러한 호기심은 상대적으로 유사한 타유럽 국가문화보다 한국과 같은 이국적 동양문화에 대해 관심이 많다고 해석할 수 있다. 기존 중국과 일본 문화는 비교적 많이 알려진데 비해 한국문화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전해줌으로서 관심을 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젊은 세대들이 즐기고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가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김기덕 감독과 같은 색다른 시각의 영화, 한국 젊은 세대 의 역동적인 문화와 K-Pop은 할리우드 문화와는 다른 신선하고 새로운 문화 로 받아들여지고 인터넷에 능숙하고 호기심 많은 일부 젊은 세대들이 좋아하 게 되는 계기로 발전하게 되었다.

36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유럽

이탈리아는 EU국가중 우리의 다섯번째 교역상대국으로서 양국의 경제 규모를 감안할때 향후 교역규모 증대 여지가 크다. 특히 지중해 연안의 반도 국가로서 지중해 시장의 진출거점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지만 시장구조의 복잡 성, 언어장벽 등이 장애요인이다. 경제적 교역증대와 더불어 문화교류도 증대할 여지가 많다. 하지만 이탈리 아는 서구문명의 요람으로 자국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언어적 장벽으 로 인해 접근하기가 쉽지만은 않은 나라이다. 영어가 통용되지 않고 양국언어 에 능통한 인력이 풍부하지 않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와는 다 른 문화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외국영화나 드라마의 경우 자막보다 대 부분 더빙을 하여 상영한다. 또한 남북간의 경제적, 문화적 격차, 도시국가의 전통으로 인한 각 지역별 독특한 문화로 인해 일반적인 접근보다는 지역별, 대상별로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각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와 규모의 축제가 연중 열리고 있으며 오 페라의 본고장답게 지역 유명 극장 중심으로 지역별로 다양한 음악축제가 발 달되어 있어 이를 활용한 문화교류전략도 유용하다. 한편 최근 경제위기로 인 해 문화예술계에 대한 재정지원이 축소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전략적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문화예술관련 한국유학생이 2,000여명 있는 점은 문화교류에서 중요 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특히 국립음악원과 국립미술원을 중심으로 한 음 악관련 유학생과 미술관련 유학생이 다수 있어 이 분야 관련 문화교류에 있어 현지 유학생 및 졸업생들을 고려한 교류협력 프로그램이 유용할 것이다.

363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이탈리아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K-Pop 팬클럽이 대부분이며, 주로 한류 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 K-Pop 성격

한류문화 및 활동소개

웹사이트 주소

http://kpopitalia.net

세부활동 현황

• (온라인) 한류문화 및 활동 소개, 트위터, 페이스북, 유투브를 통한 이탈리아 내 팬클럽 결성.

 K-Pop 성격

K-Pop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kpoptown.forumfree.it

세부활동 현황

• (온라인) 아시아(한국, 일본, 중국)를 사랑하고 좋아하는 드라마를 이탈리아어로 번역, 배포하고자 만든 포럼공간으로 모든 공개자료는 비영리단체인 ‘Creative Commons’이 저작권을 갖고 운영함 • K-Drama, K-Pop, 한류스타 이미지 배너별로 분리되어 있고, 회원가입후 포럼참여 가능 •팬클럽 링크(SS501, 샤이니, 이태민, CNBlue, FT Island, 장근석, 빅뱅)

 K-Drama

364

성격

K-Drama 소개

웹사이트 주소

http://dorama.iobloggo.com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 일본, 중국 드라마 번역게재. 드라마 다운로드 가능.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 K-Pop K-Pop 스타 소개

웹사이트 주소

http://allkpop.forumcommunity.ne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한국 K-Pop스타 소개 •팬클럽 link 연계(가수 비, 2PM, 비스트, 동방신기, SMTown)

Ⅰ 유럽

성격

 K-Pop & K-Drama 성격

유럽 내 K-Pop & K-drama 초청 청원 서명 사이트

회원수

15.8.18일자 90명 사인/5000명 목표

웹사이트 주소

http://www.firmiamo.it/k-pop-and-k-drama-in-europe/list

세부활동 현황

•facebook를 통해 홍보

7 2014-15년 문화행사 ■ 장영혜 중공업 전시회 •시기 및 장소 : 1.17~29 /로마 Auditorium • 로마시 과학페스티벌과 협력, 오디토리움에 한국작가 장영혜중공업 미디어아트 단독전시

■ 로마문학페스티벌 •시기 및 장소 : 3.13~16 / 로마 Auditorium • 로마문학페스티벌 Libri Come와 협력, 소설가 신경숙 초청. 작가와의 대화 등 개최

■ 피렌체 한국영화제 •시기 및 장소 : 3.21~30 / 피렌체 Odeon 극장 • 이탈리아 지방정부 및 현지기업, 한국현지법인 등 10여개기업이 후원하여 10일간 52편의 한국영화를 상영하고 배우 최민식, 감독 허정, 송해성, 김현석, 박명랑, 이용승 감독 등을 초청, 감독과의 대화, 한국문화공연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총 1만여명의 관객이 참가

■ 국기원 태권도 순회시범공연 •시기 및 장소 : 6월 / 로마, 나폴리, 바리

365


•이탈리아태권도협회(FITA)와 협력, 수교기념 국기원 태권도 시범단 초청 순회공연

■ 한인우수성악가 이탈리아순회공연 •시기 및 장소 : 8월~9월 / 아말피, 필리나노, 산타 아가다, 토레쿠소 • 지방자치단체와 협조, 각 자치단체 음악축제에 우리 성악유학생 순회공연

■ 조각가 박은선 조각전 •시기 및 장소 : 9.26~11.30 / 로마 메르카토 디 트라이아노

■ 제3회 한국어말하기대회 •시기 및 장소 : 9.20 / 피렌체대학 인문학과

■ 밀라노 ‘한국문화페스티발’ •시기 및 장소 : 11.23~12.14 / 밀라노 국립음악원 공연장 외 •밀라노 총영사관, 한인회, 밀라노문화협회 등과 협력, 한국문화주간행사 개최

■ 한-유럽 문학포럼 •시기 및 장소 : 12.12 / 로마 사피엔자대학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로마 사피엔자대학과 공동으로 이문열, 이승우, 신경숙, 한강, 조경란 및 유럽문학가(5인) 초청 포럼개최

■ 비보이 쇼케이스 및 워크샵 •시기 및 장소 : 12.18,12 / 로마 쇼핑센터 야외공연장 • 로마 비보이국제대회 계기 주최측과 협력, 로마 대형쇼핑상가 야외공연장에서 쇼케이스 및 워크샵 실시

■ 한-이 수교 130주년 수교기념 특별전시회 ‘The Future is Now!' •시기 및 장소 : 12.17~3.15 / 로마 21세기현대미술관(MAXXI) •MAXXI와 특별전 공동주최

■ 한-이 수교 130주년 수교기념 특별공연 •시기 및 장소 : 12.18,19 / 로마 MAXXI 미술관내 오디토리움 •수교기념 특별전 개막식, 리셉션 개최 및 한국전통음악 및 현대무용공연

■ 제4회 현대그래픽비엔날레 •시기 및 장소 : 14.12.12~15.1.12 / 페루지아 Rocca Paolina 전시관 •한국 이화여대 미대교수 10명의 13작품 초청전시

■ 미디오아트 ‘The Future is Now!’

36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시기 및 장소 : 3.16~5월 / 피렌체 Le Murate 현대미술관

유럽

•피렌체 한국영화제와 연계한 문화행사 일환으로, 전시장 및 홍보프로그램 지원

■ 민병훈 감독의 영화 ‘터치’,‘사랑이 이기다’ 상영 •시기 및 장소 : 2.23,24 / 로마 국립음악원 및 시립상영관(Casa del Cinema)

■ 제13회 피렌체 한국영화제 •시기 및 장소 : 3.20~29 / 피렌체 Odeon 극장 •한국영화 52편 상영, 배우 안성기 초청, 관객과의 만남 등 개최

■ 한국공예전 ‘법고창신’ •시기 및 장소 : 4.14~19 / 밀라노 트리엔날레 전시관 •세계 최고의 디자인 경연의 장인 밀라노 디자인위크 기간에 전통공예 전시

■ 로마, ‘한국 밥상으로의 초대’ 특별전 •시기 및 장소 : 4.23~5.7 / 로마 빅토리아노 박물관 • 로마시 기획, 2015 밀라노엑스포 사전 홍보행사 ‘엑스포를 향한 로마’ 프로젝트 참여, ‘한식의 전통과 미래’ 특별전

■ 2015 밀라노 엑스포 ‘한국관’ 개막 •시기 및 장소 : 5.1~10.31 / 밀라노 엑스포장 • 엑스포 주제 ‘지구 식량공급, 생명의 에너지’ 를 주제로 6개월간 145개국 참가. 한국관은 ‘한식, 미래를 향한 음식이 곧 생명이다’주제하에 전시

■ 서양화가 ‘김민정 개인전’ •시기 및 장소 : 5.7~9.27 / 베니스 Palazzo Ca' Boto • ‘The Light, The Shade, The Depth’라는 주제로 20여점 전시, 문화홍보관 전시홍보

■ ‘현대작가 12인 국경없는 전시’ •시기 및 장소 : 5.7~31 / 베롤리, Sant'Agostino 성당 전시실

367


• 베롤로시 문화협회(Disegni e dispari)주최, 세계평화를 위한 전세계 12개국 현대미술작가 공동전시회, 한국인 조각가 서윤정 참여.

■ 제56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개막 •시기 및 장소 : 5.9~10.30 / 베니스 Giardino di Castello •‘The Ways of Folding Space & Flying’ 주제로 국제미술전 한국관 개막. 홍보지원

■ 서양화가 최영실 전시회 •시기 및 장소 : 5.16~20 / 로마, Motor Village • 로마시 1구역 이동도서관 주최, 아동도서전 및 한국인 서양작가 최영실 개인전 및 아동과 작가와의 만남

■ 라벤나 ‘Beauty of Korea’ 전시회 •시기 및 장소 : 6.21~7.12 / 라벤나 Galleria FaroArte •한국인 화가 5인의 공동전시회

■ 제22회 ‘Fabbrica Europa’ 페스티벌 •시기 및 장소 : 6.6~27 / 피렌체 Cantiere Florida 극장 외 다수 • 무용, 음악, 연극 등 종합예술축제로서 한국의 현대무용가 손혜정(6.6), SIga 컴퍼니(6.6), 국립현대무용단(6.26,27)의 초청공연

■ 2015 밀라노 엑스포 ‘한국의 날’ 행사 •시기 및 장소 : 6.22, 23 / 밀라노 엑스포장, 평화의 문 외 • 밀라노 엑스포 ‘한국의 날(6.23)’ 계기, 엑스포장 기념행사 외에 밀라노 시내에서 케이팝 커버댄스, 비보이팀 공연, 판소리+성악 콜라보, 한복패션쇼, 국립무용단 ‘장고춤’, 태권도시범 및 K-패션쇼 등 한국문화주간 실시

■ 한- 이 조각전 ‘호랑지교’ •시기 및 장소 : 7.8~8.1 / 밀라노, Museo Permanente di Milano

36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 2015 밀라노 엑스포 계기, 한-이 현대조각전으로서 한인작가 13명, 이탈리아작가

유럽

24명 참가

8 여행정보 (1) 정정 상황(전쟁, 내란, 테러 등) 1970년대 초 극좌파 비밀 테러 조직인 붉은 여단이 납치와 살인 등으로 악 명을 떨쳤으나 198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조직이 대단히 약화되었으며 현 재는 활동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붉은 여단의 분파 및 소규모 무정부 주의자 단체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정부기관 및 정부요인에 대한 소포 폭탄 테러 시도가 매우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탈리아가 아프카니스탄, 레바논 등에 군대를 파견하고 있는 관계로 국제 테러 단체에 의한 테러 발생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2) 치안상황(일반범죄 등) 외국인이 여행 중에 살인, 강도, 납치 등 신체 및 생명의 위협을 당하는 등 강력범죄 피해는 거의 없으나, 소매치기 및 절도 등의 단순범죄는 매우 빈번 하게 발생하는 편이다. 최근 동양인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한 절도, 소매치기, 들치기 등 사건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편이다. 늦은 밤·심야, 이른 새벽·아침시간에 뒤따라오는 외국인에 의해 뻑치기 를 당하거나 위협당하여 귀중품을 빼앗기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3) 자연재해 간헐적으로 중·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369


• 09.4.6(월) 라퀼라(아브루쪼 주, 로마에서 115km 위치하고 있으며 차량으로는 1시간 20분 정도 소요)시에서 진도 5.8의 강진 발생함 •2012.5월 북부 모데나 인근지역에서 진도 5~6 사이의 강진 세차례 발생함

(4) 유의해야할 지역 저가형 숙박시설이 많이 몰려 있는 로마 떼르미니역 등 대도시 기차역 주변 은 여행객들을 표적으로 삼는 범죄자들과 부랑자들이 많으므로 가급적 야간에 외출하는 것을 삼가고, 항상 경계심을 늦추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지역을 여행할 때는 다른 지역보다 더 안전에 신경써 야 하며, 특히 나폴리 지역은 치안상황이 매우 좋지 않아 한국인 여행객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니 다음과 같은 점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탈리아 북부의 경우 타지역에 비해 비교적 치안이 좋은 편이나 관광객을 상대로 한 소매치기, 절도 등의 사건·사고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니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베네치아의 경우 관광객 밀집 지역인 산마르코 광장 또는 산타루치아역 근처에서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9 현지 문화 ■ ‌ 관공서, 은행, 레스토랑, 상점 등에서 일처리가 한국에 비해 매우 느리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하다. ■ ‌ 서비스가 제공되는 분야에 대해서 팁 관행이 있으며, 분야별 팁 액수 수준은 다음과 같다. • 호텔 포터 : 2유로 정도 • 호텔 룸 청소 : 1유로 정도 • 음식점 : 청구액의 5~10% 정도 • 미용원, 이발소 : 요금의 5~10% 정도

37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 택시 : 거스름돈의 잔돈 정도

유럽

• 유료 공중화장실 이용시 : 70센트~1유로 정도 - 현재 공중 화장실은 거의 유료로 전환

■ ‌ 성당의 경우 짧은 반바지 등 몸을 많이 드러내는 옷을 입고 입장하는 것을 삼가야 하며, 복장문제로 출입을 제한하는 성당이 있다.(베드로 성당 등) ■ ‌ ‌ 인권이 존중되며, 강력범죄 피의자가 아닌 경우 대부분 불구속 수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 수사기관에서 피의자를 임의동행 형식으로 조사하는 경우 48시간 이상 구금할 수 없음

■ ‌ 마약 및 조직범죄 등 중범죄에 대해서는 처벌을 강하게 하고 있으나, 절도, 소매치기 등 범죄에 대해서는 비교적 경미하게 처벌하고 있다.

10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경찰(Polizia) 긴급전화 : 113 ■ 헌병경찰(Carabinieri) 긴급전화 : 112 • 이탈리아에서는 헌병경찰이 범죄관련 신고접수, 현장 출동 및 검문 등 업무도 수행하고 있음

■ 응급환자 구급차 : 118 ■ 적 자 구급차 : 5510 ■ 화재 : 115 ■ 교통경찰(Polizia Stradale) • 로마 : (06)5577905 • 피렌체 : (055)3283333 • 페루자 : (075)5775353

■ 자동차 견인(ACI) : 116

371


■ 긴급전화 : 197+전화번호 •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 긴급전화를 이용하면, 상대방에게 긴급전화가 걸려온다는 사실을 자동으로 알려줌

(2) 의료기관 연락처 국립 병원에서는 외국인(관광객 포함)이 응급 상황시에 병원 응급실 (Pronto Soccorso)을 찾아가면 무료로 응급조치를 해준다. 부상 정도에 따라 Rosso(빨강), Giallo(노랑), Verde(초록), Bianco(하얀) 티켓을 부여받게 되는데 Verde나 Bianco의 경우 최소한 4시간 이상 기다려 야 한다. • 정밀검사 또는 수술을 받는 경우 치료비가 사후 청구되므로 여행자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바람직함

병원 의사의 경우 대부분 간단한 영어 소통은 가능하나, 간호사들이나 행 정직원들 대부분은 영어 소통이 어렵다. • 응급실에서 영어 소통이 어려운 경우 한국인 이탈리아어 통역사에게 통역서비스를 요청하거나(통역비용은 사용자 부담), 대사관으로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함 ※ 한국인 이탈리아어 통역사 리스트는 주이태리 한국대사관 홈페이지 (http://ita.mofa.go.kr) 공지사항 메뉴에 게재되어 있음

(3)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 주소 및 연락처 • 주소 : Via Barnaba Oriani 30

00197 Roma, Italia • 대표 전화 : (39-06)802461 • 비상 전화 : (39-335)1850714, 6088445 - 비상(위급)사태(상황) 발생시 • 여권 당직전화 : (39-335)1850383 - 여권 분실시

37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 휴일 당직전화 : (39-335)1850499

유럽

- 주말(공휴일) 당직담당 공관원 전화번호 ※ 이탈리아 내에서 전화걸때는 반드시 지역번호(06)와 전화번호(802461)를 눌러야 함

• 팩스 : (39-06)80246259(대표), 80246262(영사과) • e-mail : consul-it@mofa.go.kr

■ 밀라노총영사관 주소 및 연락처 • 주소 : Piazza della Repubblica 11/A

20124 Milano, Italia • 대표 전화 : (39-02) 29062641 • 비상 전화 : (39-331) 9557463

- 비상(위급)사태(상황) 발생시 - 여권 분실시

- 주말(공휴일) 당직담당 공관원 전화번호 ※ 이탈리아 내에서 전화걸때는 반드시 지역번호(02)와 전화번호(29062641)를 눌러야 함

• 팩스 : (39-02) 62911704 • e-mail : milano@mofa.go.kr

■ 민원업무시간 • 월~금, 09:30~12:00/14:00~16:30

11 기타 (1) 날씨 대체적으로 여름철에 고온건조, 겨울철에 온화하고 비가 내리는 지중해성 기후이나, 국토가 남북으로 길기 때문에 지역에 따른 온도차이가 크며 다양한 기후가 나타난다(지중해성 기후, 연평균 15.6℃) ■ 중·남부지방 : ‌ 여름에 매우 덥고 건조하며 겨울에는 평균 7~8℃ 정도 기온을 보이나 습도가 높고 체감온도가 낮음

373


■ 북부지방 : ‌ 여름엔 중·남부와 같이 덥지만 남쪽보다 비가 많으며 겨울엔 우리나라보다 조금 덜 추움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시내 대중교통으로 버스, 지하철, 전차,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 승차권으로 지하철, 버스, 전차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승차권은 Tabacchi 가게(검은색 또는 푸른색 바탕에 흰색 T자 간판, 구멍가게에 해당) 또는 신문가판대에서 구입할 수 있음 • 1장의 승차권으로 횟수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버스, 지하철 및 전차에 탑승할 수 있으며, 탑승시 반드시 승차권을 개찰기계(노란색)에 넣어 개찰하여야 함 - 여행자들이 모르고 승차권을 개찰하지 않아 검표원에게 적발될 경우 무임승차로 간주되어 벌금(50유로~80유로)을 물어야 함 • 로마의 경우, 승차권(1장 1.50유로)으로 100분 이내에 환승시 버스와 전차는 제한없이 사용하며, 지하철은 환승시간에 관계없이 1회 사용만 가능하고, 이외에도 24H(7유로), 48H(12.50유로), 72H(18유로), 1주일권(24유로), 한달권(35유로) 그외 1년정기권(250유로)도 구입·사용할 수 있음 • 밀라노의 경우, 승차권(1장 1.50유로)으로 90분이내에 환승시 버스와 전차는 제한없이 사용하며, 지하철은 환승시간에 관계없이 1회 사용만 가능함 이외에도 1일권(4.50유로), 2일권(8.25유로), 10회권(13.80유로), 일주일권(월~토 사용가능, 8.40유로) 저녁권(20시 이후부터 무제한 사용, 3유로)등이 있으며, 한달 정기권의 경우 신분증을 가지고 밀라노 교통국에 가입비(10유로)를 내고 신청이 가능함 • 버스, 지하철, 전차에서 소매치기가 많이 일어나므로 항상 소지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택시(하얀색 표시)는 미터기가 부착되어 있고 시간·거리 병산제가 적용되며, 모두 콜택시로 운영되고 있음 • 전화로 호출할 수 있으며, 시내 곳곳에 있는 택시승강장에서도 탑승할 수 있음 • 일부 택시 운전원들의 경우 손님으로부터 받은 화폐단위를 속여 거스름 돈을 적게

37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주는 경우가 있으니 요금 정산시 거스름돈을 잘 확인하는 것이 좋음. 기차로

유럽

이탈리아 주요 지역이 연결되며, 승객용 철도 서비스는 유럽 타 국가에 비해 수준이 떨어지며 연착과 지연이 잦은 편이다. • 기차 탑승 전에 표를 구입하고 기차역 플랫포옴에 있는 개찰기(노란색)에서 개찰하고 탑승하여야 함 - 기차표를 개찰하지 않고 탑승하여 검표원에게 적발될 경우, 무임승차로 간주되어 벌금을 물어야 함 • 한국과 이탈리아 사이의 직항 항공편은 인천↔밀라노구간 주4회(월, 화, 금, 일), 인천↔로마구간은 KAL 주3회(화, 목, 토), ASIANA 주3회(화, 목, 토), ALITALIA 주3회(목, 토, 일) 운항되고 있으며, 여러 유럽항공사들이 우리 국적기가 취항하는 유럽 각 도시로 연결편을 제공합니다. - 이탈리아 내에서는 Alitalia와 Air One 항공사가 주요 도시와의 연결편을 제공하고 있음. - 로마의 경우 주요 국제선과 국내선 여객기들이 이용하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국제공항(다른 이름은 Fiumicino(피우미치노) 공항임)과 대부분 저가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Ciampino(참피노) 공항이 있음. • 레오나르도 다빈치 공항 : 로마 테르미니 중앙역 28번 플랫폼에서 Leonardo Express 직행기차 운행(편도 14유로) • 참피노 공항 : 로마 테르미니 중앙역에서 셔틀버스 운행(왕복 8유로) - 밀라노의 거점 국제공항은 말펜사(Malpensa) 공항이며 주로 저가 항공 및 유럽 내 도시에 취항하는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공항으로는 리나테(Linate) 국제공항과 인근 베르가모에 위치한 오리오 알 세리오(Orio al Serio) 국제공항이 있음. • 말펜사 공항 : 밀라노 중앙역 인근에서 셔틀버스가 운행(요금은 편도 7.5유로, 소요시간은 약 1시간 30분, 매2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기차역에서 탑승이 가능한 말펜사 익스프레스(요금은 편도 11유로, 40~50분 소요, 매 30분 간격으로 운행)의 경우 중앙역, 포르타 가리발디역, 까도르나역에서 탑승이 가능함. • 리나테 공항 : 지하철 1호선 산바빌라 역 인근의 꼬르소 에우로파(Corso Europa) 리나테 행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어 일반 승차권으로 탑승이 가능하고, 택시의

375


경우 고정요금이 아니라 미터기로 운행(시내에서 약 20유로 소요). • 오리오 알 세리오 공항 : 밀라노 중앙역 인근에서 셔틀버스가 운행(요금은 편도 10유로, 소요시간은 약 1시간~1시간 30분)되고 있음. • F erry 노선은 이탈리아의 대표 섬인 사르데냐와 시칠리아는 물론, 프랑스의 코르시카 섬, 동유럽의 알바니아 또는 크로아티아, 남유럽의 그리스, 스페인 그리고 아프리카의 튀니지아와 모로코까지 연결된다.

■ 도로교통 도로사정은 좋은 편이며 고속도로와 국도로 전국이 연결된다. •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운전석과 조수석 모두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 되어 있으며, 시내 주행속도는 40km 이내로 제한됨 • 주요 관광지와 도심 밀집지역은 진입 제한구역(안내판에 Zona Traffico Limitato 혹은 Z.T.L. 라는 문구가 있음)으로 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동 구역에 허가없이 자동차로 진입시 과태료(70유로~100유로)가 부과될 수 있음 •로마, 밀라노, 피렌체 등 대도시의 주차공간이 부족하여 주차난이 심각함 • 주차공간은 주차선 색으로 구분되며, 흰색 주차선은 무료 주차구역, 청색은 유료 주차구역, 노란색은 장애인 전용, 외교차량 전용, 해당지역 거주자 전용 또는 버스 정거장을 의미함 • 운전질서를 잘 지키지 않고 난폭하게 운전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오토바이들이 차선을 무시하고 무질서하게 운행하는 경우가 많아 접촉사고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 • 차 안에 있는 물건을 훔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짐을 차안에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 운전 중 이런 저런 이유로 차를 세우게 한 후 차 안의 내용물을 훔치는 소매치기단 을 만날 수도 있으니, 불가피하게 자동차를 세운 경우 차문이 잠겨있는지 확인 하고 주위를 경계하여야 함

고속도로 이용시 통행료를 지불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제한속도는 110~130 km임

37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3) 출입국 관련 정보

Ⅰ 유럽

■ 비자정보 • 무사증 입국 후 90일까지 체류 가능합니다. - 이탈리아 입국시 여권 유효기간은 최소한 3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함.

■ 예방접종 •입·출국시 예방접종이 필요하지 않다. ■ 출입국시 유의사항 •출입국시 입국신고서와 출국신고서를 작성할 필요 없다. • 입·출국 심사시 출입국 직원의 지시에 불응하거나 무례한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 상기와 같은 사유로 위조 한국여권 소지자로 오해받아 입국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

• 이탈리아 입국 심사를 받는 과정에서, 모르는 외국인의 입국 심사를 돕다가 본의아니게 불필요한 오해(밀입국 동행 혐의)를 받아 입국이 거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출입국 입국심사관이 다음과 같은 사유로 방문인의 입국목적이 불명확하다고 판단하여 입국이 거부되지 않도록 유념해야 한다. - 왕복항공권 미소지, 여행경비 부족, 타인명의 신용카드 소지 등 •면세 통관 가능한 휴대품 품목과 한도는 다음과 같다. - 주류 1병(1ℓ), 담배 1보루, 향수 1병(60㎖) - 화장수, 커피, 커피 에센스는 면세한도 금액 내에서 수량제한 없이 반입 가능 ※ 면세한도금액(성인 기준)

■ 공항 또는 항만 이용시 : 480 유로(600불 상응) ■ 육로 이용시 : 300 유로 ※ 15세 미만 미성년자의 경우 150 유로

377


• 10,000 유로까지 반입 및 반출 가능하며, 동 금액을 초과할 경우 신고양식을 작성하여 세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 10,000 유로 이상의 동산에 대하여 미신고시 초과분(10,000 유로 기준)의 40%에 해당하는 금액을 압류하고 벌금을 부과함. •고춧가루는 원칙적으로 반입을 불허하고 압류될 수 있다. - 마 약을 염색하여 고춧가루로 위장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불허하나, 진공포장되어 가공식품(식약청 허가번호 있는 제품)인 경우는 반입 가능.

37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이탈리아

Ⅰ 유럽

379


24. 체코

1 개황

•수

도 : 프라하(Praha, 인구 126만 명)

•인

구 : 1,053만 명(2014년 기준)

•면

적 : 78,864㎢(한반도의 ⅓)

•민족구성 : ‌ 체코인(95.5%), 우크라이나인(1.1%), 슬로바키아인(0.8%), 베트남인(0.6%), 러시아인(0.3%), 독일인(0.2%)등 •종

교 : 무교(39.7%), 가톨릭(39.2%), 기독교(4.1%), 기타(17%)

•시

차 : -3월말~10월말(한국기준 -7시간 : 썸머타임 적용시)

•언

어 : 체코어

-10월말~3월말(한국기준 -8시간) •1인당 GDP(’14년 기준, EIU) : 19,538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4년, KITA) : ‌ 총교역 23.7억 불(수출 18.1억 불, 수입 5.6억 불)

38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2 문화적 특성

유럽

■ 예술의 나라

‘체코인이면 음악인이다(Co Cech, to muzikant)’라는 체코속담처럼 체코 인들은 음악을 사랑하는 민족이다. 세계적인 음악가 스메타나, 드보르작, 야나체크 등을 배출한 체코는 ‘유럽의 음악학원’으로 불리며 음악이 끊이지 않 는 나라이다. 매년 체코의 수도 프라하에서는 체코 민족음악의 창시자로 꼽히 는 스메타나의 기일인 5월 12일에 맞춰 ‘프라하의 봄 국제음악축제(Prague Spri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가 그 화려한 막을 연다. 체코 문학은 슬라브 문학 가운데 가장 오래된 문학으로써, 슬라브인들의 최초 문어인 고대교회슬라브어가 9세기 후반 대모라비아 제국 하의 체코 땅 에서 형성되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로숨의 유니버셜 로봇>이라는 작품을 통해 ‘로봇’이라는 단어를 탄생시킨 카렐 차페 크가 있으며,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는 198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농담>, <불멸> 등의 작품으로 전 세계 적으로 유명한 밀란 쿤데라도 체코 출신 작가이다. 비록 유대계 독일인 작가 이기는 하나 <변신>, <소송>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프란츠 카프카도 작품 속 에 체코인의 정신을 담아낸 체코 출신 작가이다. ■ 맥주의 나라

체코는 전 세계에서 1인당 맥주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 2010년 1인당 맥주 소비량이 145ℓ이었다. 예술을 사랑하는 체코인들에게는 맥주가 “흐르 는 빵”으로 불린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맥주로는 필스너 우르켈, 부드 바르(미국 버드와이저의 원조), 감부리누스, 코젤, 스타로프라멘 등이 있다. ■ 유네스코가 사랑한 나라

체코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12곳(Brno, Cesky Krumlov, Holasovice, Kromeriz, Kutna Hora, Lednice-Valtice, Litomysl, Olomouc, Praha, Telc, Trebic, Zdar nad Sazavou)이 등재된 나라로

381


‘유네스코 초강대국’임을 자부한다. 특히 수도인 프라하는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이며, 조각가 로댕이 “북쪽의 작은 로마”라고 칭송하였고, “건축의 박물관”, “백탑의 도시” 등의 별 칭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할리우드 영화들의 촬영지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2005년 12월 <제1회 아시아영화제>에서 우리나라 영화 22편이 소개된 이래로 체코인들 사이에서 한국영화는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 으며, 현재 체코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류로는 K-Pop과 한국영화, 태권도, 한국어가 있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TV 드라마는 2015년 NOVA 방송국 Cinema 채널에서 ‘프라하의 연인’이 방영되었다.  영화

체코 국영 방송국 채널 CT2에서는 “Film Club”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2005년 12월과 2007년 10월 두 차례에 걸쳐 김기덕 감독의 작품 <섬>을 방 영하였으며 2009년 9월에는 김기덕 감독의 영화 <활>, <사마리아>, <빈집>, <시간>을 방영하였다. 2010년 4~5월에는 2009년에 방영되었던 김기덕 감독의 작품 4편 외에도 <숨>을 추가하여 총 5편을 방영하였다. 체코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는 세계적인 <카를로비바리영화제>에도 매년 우리나라 영화와 영화감독들이 초대되고 있다.

38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체코인들은 인간 내면의 세계를 잘 묘사한 김기덕 감독의 작품과 같은 예

유럽

술성이 뛰어난 한국영화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2012년 6월 봉준호 감독은 체코에서 <설국열차>를 촬영했으며 2013년에는 윤제균 감독의 ‘국제시장’을 촬영한 바 있다.  K-Pop

마니아층(주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B.A.P, 인피니트, 샤이니, 엠블랙, 빅뱅, 소녀시대, 동방신기, JYJ, 2NE1, CN Blue, 원더걸스 등이 인기 있다. 체코 최대 음반 판매점인 Bonton에서 우리나라 K-Pop 음악 CD를 구입 할 수도 있다.  한류의 상륙 시기

2005년 12월 제1회 아시아영화제에서 우리나라 영화 22편이 소개된 것을 시작으로 체코인들 사이에 한국영화는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 가장 인기 있는 한류

■K-Pop : ‌ 미국, 일본, 유럽 등 음악시장에서 우리나라 음악을 접한 후 K-Pop 팬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2천명 이상의 K-Pop 팬들이 팬클럽을 만들어 우리나라 음악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 영화 : ‌ 이창동, 김기덕 감독 작품이 카를로비바리 국제영화제 비경쟁부분 작품으로 초청받았었으며 체코 영화인들은 우리나라 영화를 예술성이 풍부한 영화로 인식하고 있다.  한류 파워인물

싸이, B.A.P, 빅뱅, JYJ, 동방신기, 원더걸스, 카라, 김기덕  한식

체코인들 사이에 한식은 건강음식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중국, 일본 음식에 비 해 다소 비싼 편이라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체코어로 된 한식 요리 책이 발간되고, K-Pop 팬클럽 회원들을 중심으로 한식이 서서히 보급되고 있다.

383


 한국어

K-Pop, 한국영화 등 한류가 체코인들에게 소개되면서 더불어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에 격년제로 신입생을 선발하였던 체코 프라하 소재 찰스대학교 한국학과에서는 이제는 매년 신입생을 선발하 고 있고 지원자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한국어를 가르치는 어학학원도 생기는 등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2015년에는 팔라츠키 대학교에 한국학 과가 신설되어 신입생을 선발했다. 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제품(삼성, LG,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한국어, 한식 등에 대한 판매도 늘어나고 있다.  최근 주요 행사

2012년 8월 12일에는 주체코대사관 후원으로 “K-Pop World Festival 2012” 지역예선이 개최되었고 동 대회 1위 수상팀(O.M.G.)이 한국 본선에서 커버댄스 부분 1위에 입상하였다. 11월 7일 주체코대사관 주최 제1회 한국어 말하기대회에 참가하였으며, 11월 16일~17일간 제6회 체-한 친선의 날 행사에 참가하여 K-Pop 역사 강의 및 K-Pop 퀴즈대회를 개최하였다. 2013년 “K-Pop World Festival” 지역예선 1위 수상팀 ‘식스 오브 어카인드’ (S.O.A.K)이 한국 본선에서 커버댄스 부분 장려상을 수상했다. 2014년에는 EFFE(X)TION이 한국 본선에서 커버댄스 부분 우수상을 수상 하였다. 2015년 5월 17일 프라하와 5월 24일 브르노에는 “K-Pop World Festival 2015” 체코 예선 사전 선발전을 개최하여 총 38개팀 중 16개팀 (커버댄스 11팀, 노래 5팀)을 선발했다. 박근혜 대통령 방체 계기 2015년 12월 2일 프라하 마리오네트 인형극장 에서 ‘다락에서’ 인형극이 선보였으며, 12월 4일 샤이니, 레드벨벳, 팝핀현준 등이 참여한 체코 첫 K-POP 공연이 개최되었다.

38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유럽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체코인들은 10~20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영화가 지닌 예술성, K-Pop의 높은 완성도와 대중성을 높이 평가하며 자국의 대중문화와는 다른 문화 스타일에 대해 신선한 매력을 느낀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오랜 문화유산을 지닌 체코인들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은 대단한 편이고 아시아 문화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외(특히 유럽)에서 검증을 받은 우리 영화(김기덕)나 K-Pop을 중심으로 서서히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가 주도하는 한류가 아니라 체코인들이 주도하는 한류가 되도록 해야 하며, 우리는 부족한 부분에 대해 측면 지원을 해서 스스로 자생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체코의 K-Pop 팬들은 인터넷, 유투브 등을 통해 음악파일이나 MTV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시청하며 팬 카페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 체코 사람들은 즉흥적인 면이 거의 없으며 상당한 기간을 두고 미리 계획을 세워 진행하는 관행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문화 진출을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계획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체코 내 K-Pop 팬들은 인터넷을 통해 한국음악이나 MTV 프로그램을 다 운받아 시청하고 있으며, 주로 자기가 좋아하는 K-Pop 스타 블로그를 중심 으로 서로 한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 현재 이베이를 통해 K-Pop 관 련 CD나 기타 물품 등을 구입하고 있다. 385


(2) 동호회별 현황  Czech Hallyu Wave 성격

•K-Pop 동호회 •주로 10대에서 20대 초반의 연령대로 대부분 체코인이며 일부는 체코 국적 베트남인과 슬로바키아인이 참여하는 모임

회원수

1,790명

웹사이트 주소

http://czechhallyuwave.com

세부활동 현황

• (온라인) - 최신 K-Pop 정보 교환 - 한류(K-Pop, 한국어 등)관련 행사 안내 - 한류 관련 워크샵 안내 - K-Pop World Festival 2014 체코 예선전 관련 안내 • (오프라인) (2012.11.7) 제1회 한국어 말하기대회 참가 (2012.11.16~17) 제 6회 체·한 친선의 날 행사 참가 (2013.4.14) K-Pop World Festival 2013 체코 예선 선발전 개최(브르노) (2013.4.21) K-Pop World Festival 2013 체코 예선 선발전 개최 (프라하) (2013.8.11) K-Pop World Festival 2013 체코 예선 개최 (2014.8.10) K-Pop World Festival 2014 체코 예선 개최 (2015.7.19) K-Pop World Festival 2015 체코 예선 개최

 Asian Style

386

성격

• 아시아 전반의 음악, 영화, 문화 관련 동호회 • 10대에서 20대 초반의 연령대, 체코와 슬로바키아인이 대부분이지만, 일부는 아시아인으로 구성 • 체코에서 가장 큰 아시아 관련 웹사이트

회원수

2,500명 이상

웹사이트 주소

www.asianstyle.cz

세부활동 현황

• (온라인) - 최신 아시아 음악, 영화, 문화 등에 대한 정보 업데이트 - 음악, 영화 외에 아시아 패션, 음식, 건축 등에 대한 정보 제공 • (오프라인) - 아시아 음악 파티 개최 - 아시아 음식 요리법 강의 및 뷔페 행사 진행 - 영화, 다큐멘터리 상영회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7 2015년 문화행사

유럽

■ 2015.6.16(화) : 한-비제그라드(V4) 문화공연개최(프라하) ■ 2015.7.18(토) : 한류관련 워크숍 개최, 플래쉬몹 ■ 2015.7.19(일) : K-Pop World Festival 2015 체코 예선 ■ 2015.10.3(토) : 한-체 우정콘서트 ■ 2015.12 : 한국영화제 개최 ■ 2015.12.2(수) : ‘다락에서’ 인형극 개최 ■ 2015.12.4(금) : 체코 첫 K-Pop 공연(샤이니, 레드벨벳, 팝핀현준 등) 개최 ■ 2015.12.7(월)-12.9(수) : 한국 영화제 개최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통과여객(TWOV)의 조건

사증면제협정(90일) : 외교관, 관용, 일반

여권 잔여유효기간

비고

사증만료일+90일 이상

 장기 비자(유학, 취업, 기타 장기비자 신청 시 구비서류)

■ 신청서 : www.mzv.cz/visaform ■ 사진 2장 : 흰색 바탕, 3.5x4.5cm 여권용 사진 ■ 여권, 여권사본 : 본인 서명 수, 여권 유효기간 확인 ■ 경제 지불책 입증서류 : 본인 명의의 은행잔고증명서, 신용카드 사본 ■ 거주 목적 입증서류 : • 학생 : 체코 내 학교에서 발급한 체코어 입학 허가서 원본 • 취업 : ‌ 노동청에서 발급한 노동허가서 원본 혹은 체코 공증 사무소에서

387


공증된 사본 • 사업 : 상업등기부등본 • 가족 동반 시 : 가족관계증명서, 부양확인서

■ 거주지 입증서류 : 아파트 임대/구입 증명 서류, 기숙사 발급 서류 등 ■ 해외여행자 보험증 ■ 범죄경력 증명서 ※ 장기비자신청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주한체코대사관 홈페이지(www.mzv.cz/seoul) 참조

 주한체코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 2가 1-121 ■ 전화번호 : (+82) 2 725 6766, 720 6453 ■ 팩스 : (+82) 2 734 6452 ■ E-mail : czvisa@gmail.com ■ 홈페이지 : http://www.mzv.cz/seoul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 (+82) 10 2734 67 65 ■ 민원업무시간 : (월/목) 09:00~11:30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 [전체 지역] 단계

388

색깔

영어

체코어

1

흰색

No Specific travel advice

특별한 권고조치 없음

2

파랑색

Caution

체류 시 유의 당부

3

보라색

Exercise extreme caution

체류 시 각별유의 당부

4

주황색

Avoid non-essential travel

긴급한 용무에 한해서만 여행하도록 당부

5

빨간색

Avoid travel completely

여행회피

6

검은색

Leave immediately

여행회피 및 즉시철수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특정 지역] 색깔

1

노란색

2

갈색

3

분홍색

영어 Some areas may be dangerous Avoid non-essential travel to certain areas Avoid all travel to certain areas

체코어

유럽

단계

특정지역에 대해 위험고조 주의 특정지역을 긴급한 용무에 한해서만 여행 하도록 당부 특정지역 여행을 권장하지 않음

 사건·사고의 현황 가. 테러, 인질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체코는 테러, 인질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 국가에 속한다. 나.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체코는 해마다 관광 성수기가 되면 프라하 및 주요 관광도시에서 소매치기 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사람이 많이 붐비고 주의가 다른 곳에 집중되는 프라하 구시가 광장과 프라하 성 주변, 중앙역, 식당 등지에서 많이 발생한다. 또한 사복차림을 한 가짜 경찰이 외국인 여행객들의 여권과 지갑을 검사하면 서 소지품을 강탈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한다.  자연재해

체코는 전국적으로 큰 비가 내리는 여름철이 되면 간혹 홍수피해가 발생 하나, 홍수예방시설이 비교적 잘 되어 있다. 프라하 시는 홍수대비 훈련을 연 례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홍수범람방지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유의해야할 지역

체코는 안전상 특별히 유의해야 할 지역이 없다. 다만, 여름철이 되면 틱이 라는 진드기로 인한 풍토병이 발생함으로 유의해야 한다. 틱은 뇌염이나 라임 병(진드기가 옮기는 세균에 의한 전염병)을 유발하는 진드기로 주로 수풀이 우거진 곳이나 물가에 서식하며 아침·저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틱이 머리를 살 속에 파묻고 있을 경우, 손으로 잡아떼지 말고

389


jodisol이라는 소독약을 솜에 듬뿍 묻혀 틱을 눌러 죽인 후 떼어내야 한다. 틱이 손으로 떼어낼 수 없을 만큼 깊이 들어간 경우, 오일을 틱 주변에 1~2방 울 떨어뜨려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제거할 수 있다. 틱을 제거하는 핀셋 이나 특별 제작된 카드 모양의 제거 도구와 소독 성분이 함유된 오일은 약국 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9 현지 문화  코를 시원하게 푸는 것이 예의

체코인들은 콧물이 날 경우 훌쩍 대는 것을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상대방 앞에서 코를 푼다고 해서 전혀 당황할 필요가 없다.  일처리는 천천히, 여유롭게

한국인들은 일처리를 빨리 하는데 반해 체코인들은 비교적 천천히, 여유 롭게 일처리를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진행 중에 있는 일을 재촉하는 것은 역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 겉으로는 무뚝뚝한 체코인들

과거 공산주의 시절을 겪었던 체코인들은 보통 낯선 사람과 환경에 대한 두려움으로 처음에 무뚝뚝하고 불친절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계산 시 돈을 던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상대방을 무시해서가 아니므로 불친절 하다고 언짢아할 필요가 없다.  팁 문화

체코에서는 식당 등지에서 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을 표시하는 의미로 팁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개 직원이 영수증을 가지고 와서 테이블 위에 놓고 가는데, 나중에 돌아오면 영수증에 적혀있는 금액만큼만 지불하고 테이블 위 에 팁을 남겨두거나 계산할 때 영수증에 적힌 금액에 팁을 합해서 계산하면 된다. 팁은 영수증 금액의 5% 수준이면 적당하다. 39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10 현지 연락처

유럽

(1) 긴급 연락처 ■ 경찰 : 158 ■ 화재신고 : 150 ■ 응급환자 : 155 ■ 응급의사 : 14123 ■ 응급약 : 15124 ■ 자동차 고장신고 : 1230 ■ 자동차 사고신고 : 1240

(2) 의료기관 연락처 아래 두 병원은 모두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리셉션을 따로 운영하고 있으며 영어 구사가 가능한 인력이 상주해 있다. 리셉션 안내에 따라 등록을 마치면 해당 전문의 혹은 가정의학의를 만나게 된다. 외국인의 경우 등록비 및 보증금 요청을 받을 수 있는데, 등록비는 통상 300크라운 내외이며 보증금은 1,500크라운 정도한다. 체코 내에서 유효한 보험을 소지하고 있지 않을 경우, 자기부담으로 의료비를 결재할 수 있다.  Nemocnice v Motole

■ 주소 : V ´ uvalu 84, 150 06 Praha 5 ■ 대표 사이트 : http://www.fnmotol.cz/uk.html ■ 전화번호 : (+420)224 433 693 ■ 업무시간 : (월~금)07:00~21:00, (토~일)08:00~21:00 ■ 외국인 대상 리셉션 위치 : ‌ 파란색 빌딩(Blue Building) 1층(Ground Floor)

391


 Nemocnice na Homolce

■ 주소 : Roentgenova 2/37, 150 30 Praha 5 ■ 대표사이트 : http://www.homolka.cz/en-CZ/home.html ■ 전화번호 : (+420)257 271 111 ■ 업무시간 : (월~금)07:30~16:30, (토~일)7:00~19:00 ■ 외국인 대상 리셉션 위치 : 건물 5층 상기 병원 이외에도 외국인이 주로 찾는 병원으로는 CMC, UNICARE 등 이 있다.  Canadian Medical Care(CMC)

■ 주소 : Veleslav´ l nska ´1, Praha-Praha 6 ■ 대표사이트 : http://www.cmcpraha.com/ ■ 전화번호 : (+420)235 360 133  UNICARE

■ 주소 : Na Dlouhe´m La´nu 11, 16000 Prague 6 ■ 대표사이트 : http://www.unicare.cz/index.htm ■ 전화번호 : (+420)235 356 553

(3)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 주소 : ‌ Slavickova 5, 160 00 Praha 6-Bubenec, Czech Republic ■ 대사관 전화번호 : (+420)234 090 411 ■ 팩스 : (+420)234 090 450 ■ E-mail : czech@mofa.go.kr ■ 홈페이지 : http://cze.mofa.go.kr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 (+420)725 352 420 ■ 민원업무시간 : (월~금)09:00~16:30

39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11 기타

유럽

(1) 날씨 중부유럽에 위치한 체코는 대륙성 기후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사계절이 존재한다. 여름철에는 홍수피해가 저지대를 중심으로 가끔씩 발생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대도시들을 중심으로 홍수예방시설이 비교적 잘 되어있다.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체코 대중교통은 트램, 버스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으며 지하철은 수도 프 라하에만 있다. 체코 내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회용 교통티켓 을 구매해야 하는데 반드시 최초 승차하는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개찰기를 통해 승차시점을 기록해야 한다. 개찰은 최초로 승차하는 곳에서 한번만 하는 것으로 동일한 교통티켓에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개찰할 경우, 무효 티켓으로 처리된다. 개찰기는 보통 트램과 버스의 경우 차량 내부에 있으며 지하철은 승강장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일회용 승차권은 각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판매기나 신문판매소 (tabak), 인포메이션센터에서 구입할 수 있다. 모든 티켓은 환승이 가능하며 금액별로 정해진 시간 내에서 승차 횟수와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다. <프라하 시내 대중교통 요금 예시> 성인기준

일회용 승차권

30분

24 크라운

90분

32 크라운

24시간

110 크라운

72시간

310 크라운

393


 도로교통

체코의 기본 운송규정은 다음과 같다. ■ 우측운행 ■ 운행 중 안전벨트 의무착용 ■ 연중 전조등 점등 ■ ‌ 150cm 이하 아동은 반드시 아동용 시트에 착석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하며 조수석 착석 금지 ■ 최대 허용속도 : 고속도로 130km/h, 교외 90km/h, 주거지 50km/h ■ 횡단보도의 보행인에게 절대 우선권이 있음. ■ ‌ 운전 중 휴대폰을 손에 들고 있는 것을 금하며 반드시 핸즈프리 셋트를 사용한 통화만 허용됨 ■ 허용 혈중 알코올 농도 0.0% ■ ‌ 운전면허증, 신분증, 차량 관련 서류(차량등록증, 의무보험증서, 그린카드) 항시 지참 ■ ‌ 고속도로 통행 시 전면 유리에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을 증명하는 고속도로 통행 스티커를 부착해야 함. 고속도로통행 스티커는 모든 주유소에서 구매 가능

(3)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체코에서는 교통사고 시 운송을 포함하여 관련 차량들의 피해가 100,000 크라운을 초과하지 않고, 사고를 유발한 가해자가 이를 인정할 경우 경찰을 부르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보험사가 제공한 교통사고에 관한 유럽통일 양식 에 교통사고 내역을 기록한 후 양 당사자는 반드시 자신이 가입한 보험사에 사고 사실을 통보해야 한다. 만약 피해액이 100,000 크라운을 초과하거나 부 상자가 발생하였거나 제3자의 재산에 피해를 입혔을 경우 반드시 경찰을 불 러야 한다. 또한 부상자에 대한 응급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사고 장소를 표시 해야 한다.

39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4) 기타

Ⅰ 유럽

 전력사용현황

체코는 230V, 50Hz의 유럽형 소켓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자제품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환전

■ 통화 체코는 유럽연합 회원국이지만, 아직 유럽단일통화에 가입되지 않은 관계 로 유로화를 사용하지 않는다. 체코 통화단위는 코루나(Koruna)이며 약명은 Kc ˘이다. 동전으로는 1, 2, 5, 10, 20, 50 크라운이 있으며 지폐로는 100, 200, 500, 1000, 2000, 5000이 있다. 실시간 환율은 체코중앙은행 홈페이지 (www.cnb.cz)에서 확인 가능하다. ■ 환전 은행, 호텔, 환전소에서 환전이 가능하다. 은행 환율은 비교적 좋으나 보통 저녁시간과 주말에는 영업을 하지 않는다. 호텔 환율은 좋지 않으나 적은 금액도 언제든지 환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환전소 환율은 환전소에 따 라 큰 차이가 있다. 일부 환전소에서는 환전 수수료가 없으나 불리한 환율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환전에 앞서 미리 얼마를 수령하게 될지 확인이 필 요하다. 국제현금카드가 있을 경우, 현금자동 인출기에서 체코화로 바로 출금 이 가능하다. 시내 상점, 관광지 등지에서는 신용카드 결제가 자유로우며 외 화는 큰 상점이나 관광 상품을 파는 곳을 제외하고는 잘 받지 않는다. 외화를 직접 받는다고 하더라도 그다지 환율이 좋지 않다. 환전 사기꾼이 길거리에 많으므로 환전소보다는 은행에서 환전하는 것이 좋다.

395


 통신

■ 우편 우편요금은 체코우체국 홈페이지(www.ceskaposta.cz)에서 확인 가능하 다. ■ 전화 • 공중전화 : 기본요금 15 Kc ˘ • 콜렉트 콜 : 800-001-182

- 서울 전화 시 : 00-82-2-지역번호를 뺀 나머지 전화번호

- ‌ 대부분 호텔방에서 직접 국제전화가 가능하나, 국제전화요금이 상당히 비싼 편이므로 공중전화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 휴대폰은 GSM 방식이며 체코 국가식별번호는 +420이다.

- ‌ 인터넷(http://en.zlatestranky.cz) 혹은 전화(1188)로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화 안내 서비스 이용 시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슬로바키아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800으로 시작하는 안내전화는 발신자에게 통화료 부과하지 않는다.

■ 인터넷 사용 현황 체코는 브로드밴드, ADSL 등 고속인터넷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식당, 커피숍, 호텔, 기타 많은 장소에서 Wi-Fi 무선연결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 자료원 : 체코통계청, 주체코 대한민국대사관 자체자료, 주한체코대사관 홈페이지, 체코관광청

39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체코

Ⅰ 유럽

397


25. 카자흐스탄

1 개황

•수

도 : 아스타나(인구 82만 명)

•인

구 : 1,794만 명(2014년 7월 기준)

•민족구성 : 카자흐인(63%), 러시아인(26.6%), 우즈벡인(2.9%),

우크라이나인(2.0%), 위구르인(1.4%), 타타르인(1.2%), 독일인(1.4%)

※ 고려인은 약 10만 명(약 1.1%)

•면

적 : 272만㎢(한반도의 약 12배)

•종

교 : 이슬람교(70%), 러시아정교(23%), 개신교(2%), 기타(5%)

•시

차 : 우리나라 -3

•언

어 : 카자흐어(공용어), 러시아어(통용)

•1인당 GDP(’14년 기준) : 12,950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3년 기준) : 총교역 13.3억 불(수출 10.8억 불/수입 2.5억 불)

39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2 문화적 특성

유럽

카자흐스탄은 러시아, 중국 그리고 남으로는 우크베키스탄, 키르키즈, 투르크메니스탄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카스피해에 연하고 있어 바다를 통해 아제르바이잔, 이란과 연결된다. 실크로드의 북쪽 루트인 카자흐스탄 서북쪽의 우랄스크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카자흐스탄은 130여개의 민족이 살고 있는 다민족 국가이다. 카자흐인이 약 60%, 러시아인이 약 26%, 이외 우즈벡인, 우크라이나인, 위구르인, 타타 르인, 독일인 등이 있스며, 고려인은 약 10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다. 많은 카자흐인들은 스스로를 무슬림으로 생각하지만 이슬람에 대한 지식 과 실천은 미약한 편이며, 이슬람은 종교적 기능보다는 생활 규범이자 전통문 화로 서의 의미가 크다. 지역적, 민족적 특성상 카자흐스탄 문화에는 유럽과 동양적 요소가 결합 되어 있다.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고 있으며, 기독 명절과 이슬람 명절 등 각종 종교명절도 공존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경제적 발전과 국제적 위상 강화를 발판으로 중앙아시아 연 합 구성을 주창하며 중앙아시아의 안정과 발전에 있어서 구심점 역할 자처하 고 있다. 2010년 CIS 국가로는 최초로 OSCE 의장직을 수임하여 2010년 12 월 OSCE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등 국가위상을 국제적으로 제고하였다. 이외 에도 카자흐스탄은 세계 종교, 문명 간의 갈등 해소와 이해 진작을 위해 주도 한 “세계 전통종교 지도자회의”를 2003년부터 매 3년마다 개최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문필가로는 철학·과학·수학에 관한 수많은 저술을 남긴 작가 아부 나스르 알 파라비(10세기)와 카자흐어가 문어로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아바이 이브라김 쿠난바예프(1845~1904)가 있다. 아바이는 권위주의적이고 전제주의적 권력자들을 비판했고, 힘으로 약소민족을 정복 하려는 러시아아의 제국주의에 반발했다. 아바이는 러시아의 푸쉬킨, 레르몬 토프 등의 작품뿐만 아니라 이슬람과 페르시아 문학 작품을 카자흐어로 번역 했고 서양철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인본주의적 가치를 담은 그의 시 작품과

399


에세이 형식의 잠언집은 지금도 카자흐인의 정신적 양식이 되고 있으며, 아바이는 카자흐에서 민족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현대 작가로는 시인 잠불 자바예프와 극작가 무흐타르 아우에조프를 꼽을 수 있다. 서사적인 민요시와 서정시를 낭송하는 전통이 여전히 남아 있다. 많은 예술·연극 학교가 있으며 알마티에는 국립 미술관이 있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체제 전환 이후 민족문화 정립을 위해 노력하면서도 외국문화에 대해 배타적이지 않다. 한국과 카자흐스탄 양 민족 간에는 외모상 크게 구별되지 않아 친근감이 있고, 관계 중심적이고 경로사상을 존중하는 문화적 유사성이 있다. 1998년 이후 우리 TV 드라마와 영화가 꾸준히 소개되어 왔고, 인터넷의 발전에 힘입어 젊은 층을 중심으로 K-Pop의 인기가 확산되고 있다. 우리 드라마의 인기가 높아 공중파 TV에서 동시에 4~5편이 동시 방영되기도 하였다. 카자흐인들은 우리 드라마를 재미있어할 뿐만 아니라 그 속에 녹아 있는 어른 공경사상, 가족애 등을 높이 평가한다. 한류가 확산되고 카자흐에 진출한 한국 제품의 우수성과 한국의 발전상이 널리 알려지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양국 관계 확대에 기반하여 한국과 카자흐스탄에서 다양한 문화교류행사 를 추진하고 있다. 2010년에는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카자흐스탄 에 한국문화원을 개설하여 문화·관광·스포츠 분야 등에서의 교류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40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2) 분야별 현황

Ⅰ 유럽

 드라마

1998년 이후 우리 드라마가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다. 특히 ‘주몽’은 선풍적 인 인기를 얻어 시청률 70~80%를 기록할 정도였다. 그 후 ‘허준’, ‘선덕여왕’, ‘대장금’, ‘동이’ 등 역사물에 대한 인기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첫사랑’, ‘가을동화’, ‘겨울연가’, ‘올인’, ‘부자의 탄생’, ‘미안하다 사랑한다’, ‘바람의 화원’, ‘천추태후’, ‘로비스트’, ‘꽃보다 남자’ 등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 가 방영되었다. 2013년에도 ‘최고의 사랑’, ‘광개토대왕’, ‘여인의 향기’, ‘넝쿨 째 굴러 온 당신’ 등 10여 편의 드라마가 지상파 방송을 통해 방영되었다. 한 편, 2014년 들어 한국드라마가 카자흐스탄 TV에 너무 많이 방송되어 카자 흐스탄 자체 방송 제작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한국드라마 방송을 제한하는 조치가 취해지기도 하였다.  영화

한류 확산과 더불어 한국 영화에 대한 인기도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까지는 우리 영화가 일반 영화관에서 상업적 기반에서 상영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알마티의 한국 교육원, 아스타나의 한국 문화원에서 정례적으로 한국 영화 상영회를 갖고 있으며, 2010년 이후 해마다 주요 지방도시에서 한국 영 화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으로의 한국 영화 진출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러시아어 자막 번역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카자흐스탄 젊은 층들은 상당수가 불법 다운 로드판을 통해 최신 한국 영화를 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 K-Pop

우리 드라마로 시작된 한류는 2000년 이후 유투브 등을 통해 우리 가요를 실시간으로 접한 청소년들에 의해 빠르게 퍼져나갔다. 한류 팬클럽이 생겨나 관련 정보를 소개하고 공유하면서 카자흐스탄에 K-Pop 소식을 전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다.

401


한류가 상업적 베이스에서 확산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치 못하여 카자흐 기획사가 높은 비용을 들여 한류가수나 배우를 초청하는 사업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동남아, 일본, 중국과 달리 비행기 편이나 비행거리 등이 상대적으로 불편하다는 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 음반도 카자흐 음반시장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카자흐스탄 국력(GDP)의 지속적 발전으로 한류 수요자들의 구매력이 커지고 있고, 팬클럽 활동이 활성화되는 등 한류 토대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상업적 베이스의 한류 진출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사전 시장조사 등의 과정을 거쳐 음반 판매, 영화 상영, K-Pop 스타 공연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한류의 상륙 시기

한류는 1998년 이후 ‘주몽’ 등 수십 편의 드라마에서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2011년 ‘꽃보다 남자’ 등이 젊은 층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불러일으켰 다. 2005년 이후 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K-Pop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샤이니, 비스트, 비,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빅뱅, 2PM 등 다수 ■ 드라마 : 이민호, 장근석 등  한류 파워인물

샤이니, 비스트, 이민호, 소녀시대, 빅뱅 등  한식

카자흐스탄에는 고려인들이 약 10만여명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고려인 음식이 널리 퍼져있다. 고려인 음식은 현대 한국 음식과는 차이가 많은 편이 지만, 카자흐스탄인들은 김치, 국수, 찰떡 등 고려인 음식으로 인해 한식에 대 한 친근감을 갖고 있다. 또한 한국드라마의 인기로 한국 음식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김치, 잡채, 불고기, 파전 등을 좋아하며, 종교적

40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이슬람) 영향으로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은 대중적으로 전파되기 어렵다.

유럽

알마티에는 한국인이 운영하는 한국 식당이 한국인뿐만 아니라 현지인을 대상으로 수십 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아스타나에는 고려인 식당이 4~5개 정 도 운영 중에 있다. 한국에 대한 인지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전문 조리학원, 조리대학, 조리사 연합회 등에서도 한식 조리법을 배우려는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 한국어

우리나라와의 교류협력 증진, 한류 확산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는 카자흐스 탄인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알파라비 국립대학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등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총 5개 대학에 개설된 한국어과 학생들은 약 500여명이다. 그밖에도 초·중·고등학교에서 약 1,500여명의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알마 티에 위치한 한국교육원은 연간 1,000명 이상의 고려인, 카자흐인 등에게 한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에서도 한국어 학습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늘 어나고 있다. 2011년 9월 유라시아대학에 한국학과가 개설되었으며, 한국 문화원에서도 연간 약 600여명의 카자흐스탄 학생들이 한국어 강좌를 듣고 있다.  최근 주요 행사

주카자흐스탄 한국문화원은 2011년 이후 매년 아스타나와 알마티에서 각 각 케이팝 경연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14년도 아스타나에서는 예년과 같이 카자흐스탄 국립예술종합대학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총 97개팀이 신청하여 예선을 거쳐 3.6 예술종합대학 공연장에서 600여명의 관람객이 보는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알마티 대회는 7.1 ‘학생궁전’에서 개최되었으며, 700 여명의 관객의 환호 속에 남성 7인조 그룹 ‘Mad Men’이 그랑프리를 차지하 여 한국에서 개최되는 ‘World K-POP Festival’에 카자흐스탄 대표로 출전할 예정이다.

403


또한 지난 4월과 5월에 악토베, 알마티, 아스타나, 탈띠쿠르간, 크즐오르 다 주요 5개 도시에서 한국영화 순회 상영회가 개최되었다. 한국문화원은 한국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필름 지원 등에 힘입어 2011년 이래 연례적으로 한국영화제를 개최해 오고 있다. 올해는 ‘나의 파바로티’, ‘그대를 사랑합니다’ 등의 4편의 영화가 상영되어 1,500여명의 관람객에게 한국 영화의 우수성과 한국 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4월 23~25일간 알마티에서는 카자흐스탄 전국의 국립음악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가곡부르기 경연대회’를 최초로 개최하여 우리 가곡 전파에 크게 기여하고,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5월과 6월에는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주카자흐스탄 한국대사관(문화원)이 공동 주관으로 ‘Korea Festival’을 개최하였다. 5월 13일에 국립유라시아 대학에서 ‘한국학 렉처’를 개최하여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 등에 대한 특별 강의가 있었고, 5월 30일에는 재즈공연(말로, 박주원 출연), 6월 6일에는 퓨 전전통공연(‘해금 플러스’ 출연)이 펼쳐졌다. 6월 18일~20일 박근혜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방문을 계기로 카자흐스 탄에서 최초로 한국 현대작가 및 고려인 작가전을 개최하였다. 신순남 등 카 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작가들과 한국 현대 작가들의 ‘사람’을 주제 로 한 회화 및 사진 작품 48점이 전시되었다. 한민족의 눈을 통해 인간의 삶 과 역사, 정체성을 조망한 작품 전시를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제고되 고 문화 교류의 폭이 확대되었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카자흐스탄은 구소련으로부터의 독립 이후 서양문화 등 다양한 문화를 접 할 기회가 늘어났다. 그 중에서도 카자흐인들은 역사적, 문화적 유사성을 지 닌 한국 문화에 대한 선호감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카자흐인들은 한국드라마 가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이지 않고 대신 경로사상, 가족중심, 사랑 등의 카자 흐인들이 좋아하는 전통적인 가치관이 녹아 있어 친근감을 느끼고, 재미있다

40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고 평가한다.

유럽

또한 지난 20년 동안 양국 간에 정치, 경제, 문화, 교육, 과학기술 등의 분 야에서 교류가 증진되고 인적 교류가 늘어나면서 우리나라에 대한 좋은 이미 지를 갖게 된 것도 카자흐인들이 우리 문화를 좋아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조 성하였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우리만의 일방적인 행사 진행은 자제해야 한다. 우리 문화의 우월성을 내 세우거나, 현지의 다양한 층의 시각을 고려하지 않는 일방적인 행사 진행은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낳게 된다. 카자흐스탄과 한국의 정부는 쌍방향적 문화교류를 지향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방향에서 행사나 교류를 기획하고 추진하는 것이 좋다. 카자흐 현지 기 관 및 관계 인사들과의 충분한 사전 협의 과정을 거쳐 공동 개최, 참여, 후원 등의 형식으로 합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자흐스탄 문화에는 전통적 가치를 중요시하고, 종교적(이슬람) 영향 등 으로 보수적인 경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카자흐스탄내 한류 동호회는 2010년 이후 결성되어 회원 수가 증가하고, 활동도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한류 스타(아이돌 그룹), K-Pop 및 드라마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다. 2011년 이후 플래쉬몹, 송년파티 등의 off-line 활동을

405


가시화하고 있으며, 한국문화원과 한인단체가 주관하는 K-Pop 대회 및 한류 페스티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현지 한국문화 전파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2) 동호회 현황 ■ K-Pop Kazakhstan Fans United •회원수 : 2,346 •주요 활동 : K-Pop 팬클럽 •웹사이트 주소 : http://vk.com/kpopkfu ■ KAZAKHSTAN K-POP GENERATION •회원수 : 3,464 •주요 활동 : K-Pop 팬클럽 •웹사이트 주소 : http://vk.com/kpopinkz

7 2015년 문화행사 사업명 K-Pop 경연대회 한식 홍보 행사

기간 3.17 8.28 7.12

장소 아스타나 (예술종합대학교) 알마티 (한국교육원) 아스타나 (코리아하우스)

내용 제5회 아스타나 K-POP 경연대회 개최 제5회 알마티 K-POP 경연대회 개최 2015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한식요리 콘테스트 개최

독도, 아스타나 9.15-17 독도, 동해 사진 전시회 개최 동해 홍보 (세이플린 시립박물관) 9.25-26 순회 영화제

406

카라간다

10.9-10

아스타나

10.17

파블로다르

10.24

코스타나이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문화공연, 사진 전시회 등 개최 병행


카자흐스탄

초청공연

10.1-5

알마티(고려극장),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 공연 개최 아스타나(오페라극장) -노름마치

한국발레 10.24, 31 공연 K-POP 페스티벌

10.31 4.30

한국어

11.4-5 11.14

아스타나

유럽

대사배 10.5-6 태권도대회 관광홍보 10.20설명회 21

대사배 전국 유소년 태권도 대회 개최

한국문화원

현지 여행사 대상으로 한국 관광 설명회 개최

한국문화원

예술의 전당 공연작품(지젤) 상영회 -Sac on Screen

아스타나 (아스타나몰) 아스타나 (유라시아국립대) 아스타나 (유라시아국립대) 한국문화원

2015 K-POP 페스티벌(한국방문위원회) 한국어 글짓기 대회 중앙아시아 지역 한국어교육 워크숍 제2회 한국어 말하기대회 개최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1. 외교관, 관용 : 사증면제협정(90일) 2. 일반인 : 사증면제협정(30일)

여권 잔여유효기간

비고

6개월 이상

훼손 여권은 입국 거부

 공연 비자 : 없음  주한카자흐스탄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 용산구 한남동 271-5 ■ 전화 : 02-391-8906 ■ 홈페이지 : www.kazembassy.org

407


(2) 안전 정보 ■ 시내 중심지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외곽지역은 치안상태가 불안정 ■ 외출시 가급적 2인 이상 이동(여권 상시 소지)

9 현지 문화  미팅

카자흐스탄 정부 고위측 대상 면담 신청은 최소 2주 이전에 하는 것이 좋 다. 정부 인사들과의 면담이나 행사 참석은 며칠 전에 Confirm을 주는 경우 가 많아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 거래 상담을 위한 회의는 보통 자 기 사무실에서 편안한 분위기 아래 진행하기를 희망한다. 면담 장소에서는 간 단한 악수 및 인사말 후에 Host측이 환영 인사하고, 이어 방문자측이 답사하 는 것이 통상적이다.  카자흐 인사 이름 부르기

카자흐인의 성명은 이름-중간 이름(부칭)-성으로 구성된다. 가운데 넣는 부칭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만든다. 윗사람을 부를 때나 회의 같은 공식 적인 자리에서 누군가를 호칭할 때는 이름과 부칭을 이어 부르면 된다. 직함 을 함께 부를 때는 <직함+Full name(또는 부칭 생략 가능) : Chairman ‘Roza Mixailovna Dulshat’> 와 같이 부르도록 한다. 아래 사람이나 친분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만을 부를 수 있으며, 대부분의 이름에는 몇 가지의 애칭형(지소형)이 있어서 그 중의 하나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미하일’이라는 이름만으로 부를 경우, ‘미샤’라는 애칭형으로 부를 수 있다.  식탁문화와 손님맞이

카자흐 민족은 친척이나 친구들이 방문하길 좋아하며, 또한 집에 손님이

40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오는 것을 즐거워하고 이를 복된 일이라고 여긴다. 카자흐인들은 모든 손님은

유럽

신이 보내셨다고 생각하기에 알지 못하는 낯선 사람일지라도 기꺼이 자신의 집에 들여 풍성하게 음식을 대접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 특별한 손님이나 행사 때에는 항상 고기요리를 준비하는데, 특히 말고기는 가장 귀한 것으로 여긴다. 카자흐스탄의 대표적인 전통음식으로는 ‘베스 바르 막’(다섯 손가락이라는 뜻)을 꼽을 수 있는데, 이 요리는 양고기, 말고기의 여 러 부위를 사용하여 만든 음식이며 넓적한 밀가루 빵을 곁들여 먹는다. 중앙 아시아 유목 민족들은 손으로 식사를 했던 전통이 있었으며, 지금까지도 이러 한 문화가 유지되어 특별한 민족행사 때 손을 사용해 베스바르막이라는 전통 음식을 먹곤 한다.  오만찬시

카자흐스탄 초청자측이 오만찬을 대접할 경우 감사의 표시로 리턴 초대 하는 것이 예의이다. Host측의 건배 제의를 시작으로 상호 건배를 제안한다. Host측이 건배를 제의할 때는 최고 선임자나 연장자를 보고 일어나서 양손 으로 술잔을 들며 간단한 덕담을 하는 것이 좋다. 헤어질 때는 참석자들과 악 수하고 감사를 표시하도록 한다.  종교관련

130여개의 민족이 공존하는 카자흐스탄에는 종교 또한 다양하다. 이슬람, 러시아정교, 카톨릭 등 다양한 종교가 있는데, 그중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종교 는 역시 이슬람교이다. 카자흐인들은 스스로를 무슬림으로 생각하지만 이슬람에 대한 지식과 실 천은 상당히 미약한 편이다. 카자흐스탄에서의 이슬람은 종교적 기능보다는 생활규범이자 전통문화의 중요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 고려인 이주와 정착

1937년 9월 스탈린의 강제이주 정책에 따라 약 17만의 극동지역 거주 한인 이주민을 실은 열차가 최초로 우쉬토베라는 카자흐스탄의 한 도시에 도

409


착했다. 현재 카자흐스탄에 거주하는 약 10만 명의 고려인들은 바로 이들 한인 이주자들의 후손이다. 당시 카자흐인들은 강제 이주되어 온 한인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고 현재 도 카자흐스탄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은 카자흐인들이 보여준 당시의 환대와 친절을 잊지 않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은 처음에는 주로 벼농사에 종사하여 카자흐스탄에 논농사를 도입한 민족이 되었고 카자흐스탄이 소련 공화국 중 가장 넓은 논을 가진 나라가 되도록 하는데 기여했다.  팁 문화

팁 문화는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계산서에 봉사비가 포함되어 나오므로 별도로 팁을 주지 않아도 된다.

10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화재 : 101 ■ 경찰 : 102 ■ 응급차 : 103 ■ 가스신고 : 104 ■ 전화번호 안내 : 105

(2) 보건 의료  일반 보건상황

■ 카자흐스탄은 일교차가 매우 심하고, 습도와 기압이 낮아 항상 건강에 유 념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아스타나와 알마티 이외의 지역은 수도 시설이 좋

41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지 않아 청결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유럽

■ 여름 7, 8월 일몰 시간은 22:00경, 겨울에는 17:00경이다. •겨울에는 매우 건조하여 피부 건강에 주의 • 여름에는 강한 햇빛과 자외선으로 모자와 선글라스는 필수적이며, 자외선 차단 크림 사용을 권장

 보건상 주의사항

■ ‌ 수돗물에는 석회성분이 많고 수질이 좋지 않으므로 식수는 생수를 구입하 여 마시는 것을 권장한다. ■ ‌ 지방의 경우 수도 시설이 없는 집도 많고 급수사정도 나쁘나 아스타나나 알마티는 큰 문제가 없는 편이다. ■ ‌ 우유와 유제품은 시장이나 길에서 사는 일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규모가 작은 상점에서는 유효기간을 꼭 확인하고 사야 한다. 특히 께피르 (카자흐 스탄 현지인들이 많이 마시는 발효유), 스메타나(발효크림), 아이스크림 등 은 특히 주의 필요하다. ■ ‌ 특별한 풍토병이 없으나 열악한 의료 환경이나 위생 상태를 감안하여 간염 백신, 독감, 파상풍 등 예방 접종은 반드시 필요하다.

(3)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아스타나) •주소 : ‌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Office No.91, 92, 93 <<Kaskad>> business-centre, Kabanbai Batyr Av.6/1 Astana, 010000 Kazakhstan •전화 : 8(한국에서는 7)-7172-925-591~3 •팩스 : 8-7172-925-596 •비상연락처 : 8-777-306-4844 •일반영사업무 및 사증업무 문의 : (8-7172)925-591~3

411


■ 알마티 분관 •주소: Almaty Office of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Kaldayakov St. 66A, Bogenbai Batyr St. Corner Almaty, Kazakhstan •전화 : 8-727-291-0490, 0049 •팩스 : 8-727-291-0399 •영사(비상시) : 8-777-705-6634 ■ 한국 문화원 •주소 : ‌ Korean Cultural Center 13 Imanov St.(Nursaulet Business Center #2) Astana, 010000, Kazakhstan •전화 : 7-7172-901-113~115 •팩스 : 7-7172-901-116 •E-mail : koreanculture@mail.ru ■ 한국교육원 : 8-727-392-9120 ■ 한국석유공사(아스타나) 전화 : 8-7172-799-622 ■ 한국석유공사(알마티) : 8-727-311-1521 ■ KOTRA : 8-727-311-0637 ■ 광물자원공사 : 8-727-259-0117

11 기타 (1) 날씨 대륙성 기후로 기본적으로 계절간 온도차, 일교차가 크다. 1월 평균기온은 북부는 -18℃, 남부는 3℃이고, 7월 평균기온은 북부는 20℃, 남부는 29℃이다.

41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2) 시 차

Ⅰ 유럽

■ 서울과의 시차는 -3시간이다.

(3) 치안 상황 ■ 시내 중심지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외곽지역은 치안상태가 불안정 ■ 외출시 가급적 2인 이상 이동 ■ ‌ 현지 경찰의 불시검문 대비, 외출시에는 가급적 현지어를 구사할 수 있는 안내자와 동행(여권 상시 소지)

(4) 근무시간 ■ 관공서 : 09:00~18:00(토, 일요일 휴무) ■ 은행 : 09:00~18:00(일부 대형상점 입주 지점은 토, 일요일 근무) ■ 백화점 : 10:00~20:00(토, 일요일 정상영업) ■ 수퍼마켓 : 10:00~22:00(토, 일요일 정상영업) ■ 재래시장 : 09:00~18:00(통상 매주 월요일 휴무)

(5) 환전 ■ 환전은 호텔, 은행, 환전소에서 자유롭게 가능 •카자흐스탄 화폐단위 : 텡게(Tenge, KZT)

■ ‌ 현지에서는 외화를 사용할 수 없고 신용카드 사용업소가 많지 않으므로 항상 현지화 소지 권장

413


(6) 출입국 시 외화신고 ■ ‌ 카자흐스탄은 외화 반출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미화 3,000불 이상 외 화를 소지하고 입국시에는 세관신고서에 총 금액 기재 ■ ‌ 입국시 제출한 세관신고서상 외화신고액보다 출국시 외화소지액이 많을 경우, 소지외환 압수 등의 불이익을 받으므로 외화 초과 소지시 공식적인 해명서 준비 필요

(7) 전압 ■ 220V, 50Hz

(8) 교통  공항 가. 아스타나(수도) 국제공항

■ 아스타나 시내에서 차량으로 약 20분 소요됨. ■ ‌ 주로 국내선이 취항하며 암스텔담, 프랑크푸르트, 모스크바, 이스탄불, 두바이, 아부다비, 타쉬켄트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제선은 알마티 국제 공항에서 취항 ■ 우리나라 항공기는 미취항 나. 알마티 국제공항

■ 알마티 시내에서 차량으로 약 30분 소요 ■ ‌ 인천-알마티간 아시아나, Air Astana 항공이 취항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중국, 우즈벡, 터키, 러시아, 태국, 인도 등 국가와 일부 유럽 주요 도시 (프랑크푸르트, 암스테르담, 런던 등) 취항 중

41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 버스

유럽

■ ‌ 버스 등의 교통수단이 있으나, 노선확인이나 언어소통 문제 등으로 외국인 이 이용하기는 쉽지 않다.  택시

■ ‌ ‘택시’ 표시를 부착하고 공식적으로 영업을 하는 영업용 택시가 있으나 수 가 적어 도로변에서 택시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 거리에는 부수입을 목적으로 자가용으로 영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 차량 이용시 사전에 가격을 흥정한 후 탑승한다.  기차

■ ‌ 특급, 일반 등 등급별 선택이 가능하나 차량 상태가 노후하여 양호한 서비 스를 기대하기 어렵다.

(9) 전 화  국제전화

■ ‌ 카자흐스탄에서 한국 걸때 : 8-10-82(국가번호)-2(서울 지역번호)전화번호 순 ■ 한국에서 카자흐스탄 걸때 : 7(국가번호)-(지역번호) ■ ‌ 호텔에서 국제전화 사용시, 사용료는 분당 4불정도로 높으므로 가급적 전화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 휴대폰의 경우 한국에서 미리 국제전화 로밍 서비스를 받아와서 사용할 수 는 있으나 요금이 매우 비싼 편이다. ■ ‌ 휴대폰 임대 서비스는 없으며, 휴대폰 구입 후 SIM카드 삽입 후 사용 가능 하다.  시내전화

■ 시내전화는 기본요금만 내면 추가 비용 없이 사용 가능하다.

415


■ ‌ 호텔에서 거는 경우, 호텔측이 지정한 번호를 누르거나, 시내 전화번호를 바로 누르면 된다. ■ ‌ 단, 핸드폰으로 전화하는 경우 8번(해외에서 카자흐스탄으로 전화하는 경우에는 7번)을 누르고 전화번호를 누른다.  시외전화

전화번호 앞에 8번과 지역번호를 누른다. ※ 카자흐스탄 주요도시 지역번호

•아스타나 : 7172 •알마티 : 727 •카라간다 : 7212 •침켄트 : 7252

(10) 인터넷 인터넷은 한국보다 느리고 비싸나, 현지 업체를 통해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카자흐스탄의 전화선 자체가 불안정하여, 자주 끊기거나 접속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으나, 차츰 서비스가 개선되어 가고 있고 요금도 내리는 추세이다.

41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카자흐스탄

Ⅰ 유럽

417


26. 크로아티아

1 개황

•수

도 : 자그레브(Zagreb, 약 80만 명)

•인

구 : 429만 명(2011년 인구조사 기준)

•면

적 : 56,594㎢(한반도의 1/4)

•민족구성 : 크로아티아인(89.6%), 세르비아인(4.5%), 기타 •종

교 : 가톨릭(87.8%), 세르비아정교(4.4%), 회교(1%), 기타(6.5%)

‌•시

차 : GMT+1시간(한국시간보다 8시간 늦음) - 썸머타임 적용시 7시간 늦음

•언

어 : 크로아티아어(공용어, 슬라브계 언어로 라틴문자 사용)

•1인당 GDP(’14년 기준) : 21,655미불(2014년 EIU 구매력 기준) ‌•우리나라와의 교역(’14년, 크로아티아 통계청) : 총교역 1억 900만 불 (수출 9,400만 불, 수입 1,500만 불)

41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크로아티아

2 문화적 특성

유럽

■ 서유럽 및 남동유럽, 지중해의 교차로

크로아티아는 유럽과 지중해, 남동유럽을 연결하는 중요한 지점에 위치하 고 있으며 주변 국가로의 육로 및 해상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크로아티아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수도 자그레브를 중심으로 동서로 길게, 아드리 아 해안을 따라 남동쪽으로 길게 뻗어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 문화적 특수성 때문에 자연스럽게 서유럽 문화와 남동유 럽, 지중해 문화의 특성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전통문화는 이 지역에 14세기 이전부터 정착된 로마 가톨릭 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였 고, 민속 풍습 및 의식들이 가톨릭 성일 등과 밀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고 대 일리리야, 그리스, 로마제국 및 주변 강대국의 지배를 받으며 다양한 사회 문화적 생활방식에 영향을 받았으며, 비잔틴, 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등 다양한 시대별 유물들이 혼재한다. 지역별로는 내륙지역은 주로 중유럽의 영향, 해안지역은 이태리와 그리스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건축, 미술, 음악, 식문화 등에 깊숙히 자리하고 있다. 오랜 역사를 통한 주변 강대국들의 압력에도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으며, 복잡한 역사·사회·정치·문화·환경 속에서도 전통 문화유산을 잘 보존하고, 아울러 독창적인 문화와 예술의 가치를 창조해 오고 있다. (3명의 노벨수상자를 비롯하여 수많은 발명가 및 예술가들이 배출됨) ■ 발칸지역에서 가장 높은 문화수준 보유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은 상급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음 악 또는 체육교육을 받아야 하며 오페라, 뮤지컬 등 다양한 공연이 수시로 있 어 문화생활을 할 기회가 많아 국민들의 문화수준이 매우 높다. 또한 크로아티아에서 시작된 나이브(Naive) 예술은 크로아티아적 특색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거울을 이용하여 유리의 한쪽 면에 유화 물감으로 그 림을 그리고, 다른 쪽 면을 통해 그림을 바라볼 수 있게 그려지며, 19세기 중 유럽과 오토만 제국 등에서 유행하였다.

419


3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K-Pop 팬들은 2011년 12월 첫 모임을 자그레브에서 가진 후, 수시로 모 임을 갖고 있다. 그 전까지 일부 팬들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관심을 보였으 나 K-Pop 동호회가 결성되면서부터 보다 체계적으로 모임을 갖고 있으며, 상호 간 정보교환은 페이스북을 통해 하고 있다.

(2) 동호회 현황  K-Pop Town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약 200명

세부활동 현황

•페이스북을 통해 정보교환 •(오프라인) 주기적으로 모임(자그레브)

4 2015년 문화행사 ■ 제2회 K-Pop 노래 및 댄스경연대회(6.27) ■ 제 5회 한국영화주간(10.13~10.25) ■ Korea Symphony 초청 공연(9.30) ■ 제 21회 크로아티아컵 국제태권도 대회 개최지원(11.7) ■ 제 2회 한국대사배 부코바르 태권도 대회 개최지원(11.21) ■ Young Korean Musical Stars Concert 개최(12.3) ※ 겸임국인 보스니아 헤르체코비나와의 수교 20주년 문화공연 개최(10.31)

42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크로아티아

5 여행정보

유럽

(1) 비자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여권 잔여유효기간

1. ‌ 사증면제협정(90일) : 외교관, 관용 2. ‌ 무사증(90일) : 일반(관광 또는 방문)

크로아티아 입국시 여권 잔여유효기간에 대한 특별한 규정은 없으나, 가능하면 유효기간을 6개월 이상 남겨두는 것이 타국여행을 감안시 권장됨

비고

 공연 비자

크로아티아 현지 공연을 위한 방문시 공연 성격 등에 따라 비자 또는 체류 허가의 필요 여부가 결정되므로, 사전에 크로아티아 외교부 또는 내무부에 문의가 필요하다.  주한크로아티아대사관(동경 소재) 연락처

■ 주소 : 3-3-10 Hiroo, Shibuya-ku, Tokyo 150-0012, JAPAN ■ 전화번호 : +81 3 5469 3014 ■ 팩스 : +81 3 5469 3015 ■ 홈페이지 : http://jp.mfa.hr ■ 이메일 : croemb.tokyo@mvep.hr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 : 미분류  사건·사고의 현황

크로아티아는 연 천만 명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국가로서 관광 성수기인 여름철에 국경출입국 사무소, 공항만, 열차, 버스터미널 등에서 여

421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여권 또는 소지품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는 경우가 있 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 관광객 사건·사고의 유형으로는 여권을 본인의 부주의로 분실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드물게 버스 정거장이나 철도역에서 소지품을 도난당하 는 경우도 있다.  자연재해

크로아티아는 태풍이나 허리케인과 같은 재해는 없으나, 지중해 대륙붕 지 역의 지각변동 영향을 받아 해안지역의 경우 간헐적인 지진의 영향을 받고 있 다. 아울러 겨울철 내륙 산간 지역에서는 돌발적인 폭설로 교통이 마비되는 경우가 있으며, 해안지역에서는 지중해에서 불어오는 강풍의 영향을 받아 고 속도로의 차량 통행이 금지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 유의해야할 지역

크로아티아 국민들은 외국인에 대해 친절한 편이며 야간에도 주요 도시에 서 보행이 자유로울 정도이나, 사람들의 보행이 많지 않은 곳이나 Bar 등 클 럽에서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예방 차원에서 다니지 않는 것이 안전하 다.

6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비상시(종합 비상대응 센터) : 112 ■ 경찰서 : 92 ■ 소방서 : 93 ■ 응급환자(앰뷸런스) : 94

42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크로아티아

(2) 의료기관 연락처

Ⅰ 유럽

■ 자그레브 종합병원(KBC Zagreb : Klinicki Bolnicki Centar Zagreb) • 주소 : Kispaticeva 12, 10000, Zagreb • 연락처 : (01)2388-888(한국에서 걸 때 : +385-1-2388-888)

(3)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 주소 : Ksaverska Cesta 111/A-B, 10000 Zagreb, Croatia ■ 대사관 전화번호 • 대사관 대표 : (+385) 01 4821 282 • 영사과 직통 : 상동

■ 팩스 • 대사관 대표 : (+385) 01 4821 274 • 영사과 직통 : 상동

■ E-mail : croatia@mofa.go.kr. koreaembassy@net.hr ■ 홈페이지 : hrv.mofa.go.kr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 당직 : (+385) 091-2200-325 • 사건·사고 : (+385) 091-2200-325, (+385) 091-2200-326 • 일반민원 : (+385) 091-2200-325, (+385) 091-2200-326

■ 민원업무시간 • 월~금요일 09:00~12:00

7 기타 (1) 날씨 크로아티아는 남북으로 긴 국토를 가진 국가로서 남부 해안 지역은 전형적

423


인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는 반면 북부 내륙 지역은 대륙성 기후를 지니고 있 다. 따라서 남부 및 해안 지대는 여름철에 고온 다습하고 겨울에는 비교적 온 난한 기후를 보이나, 수도 자그레브를 중심으로 한 북부내륙지역은 무더운 여 름철과 춥고 눈이 많은 겨울철 날씨를 지니고 있다. ■ 내륙지방 • 봄·가을 : 0℃~15℃ • 여름 : 19℃~39℃ • 겨울 : -10℃~5℃

■ 해안지방 • 봄·가을 : 10℃~20℃ • 여름 : 21℃~39℃ • 겨울 : 6℃~11℃

■ 평균 강수량 : 940mm ■ 날씨정보사이트 : www.metro.hr

(2) 교통정보 자그레브와 주요 도시는 전차와 시내버스 노선이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고 대부분의 도시는 간선도로를 따라 시내버스가 정시 운행되고 있어 크로아티 아는 대중교통이 잘 정비되어 있는 편이라 할 수 있다. 자가 운전시 수도 자그레브를 비롯한 주요 도시의 도로는 여타 유럽 도시 와 마찬가지로 일방통행이 많으며, 노변 주차가 일반적이므로 다소 복잡하고 불편하게 생각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도로 표지판이 크로아티아어로만 표기되 어 있고 지상으로 운행하는 전차 옆을 운전해야 하므로 도로 및 지형에 충분 한 사전 지식이 없는 초행길에는 지형 식별이 쉽지 않다.

42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크로아티아

(3)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Ⅰ 유럽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지는 않으나, 여름철 등 관광 성 수기에는 해안가 물놀이 안전사고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4) 기타  전력사용현황

사용전압은 220V이나 50Hz로 우리나라와의 차이가 있다. (전기 시스템 : 220V/50Hz) 현지 TV 및 Video는 PAL 방식이다.  환전

크로아티아에서는 현지화인 쿠나(KUNA)가 통용되므로, 달러화나 유로화 를 쿠나로 환전해야 한다. 주요 은행, 시내 환전소를 이용하여 환전할 수 있으며, 1달러에 5.8쿠나, 1유로에 7.6쿠나(2014.9) 정도이다. 관광 성수기에 일부 관광지에서 숙박비 등을 유로로 지불할 수 있는 경우가 간혹 있기는 하나, 대부분의 상점이나 식 당 등에서는 쿠나가 통용된다.  통신

■ 전화 • 공중전화는 시내요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국제 전화의 경우는 우체국 내의 전화를 사용하거나 국제전화카드 사용시 값싸게 이용이 가능함 • 국내장거리 전화 : 지역번호+전화번호 • 국제전화 : 00+국가번호+지역번호+전화번호

■ 우편 엽서나 편지를 발송하고자 할 때는, 트램역 등 시내 곳곳에 있는 Tisak에 서 우표(marka)를 구입하여 도처에 있는 노란색 우편함에 넣으면 되며, 한국

425


까지 도착은 1주에서 2주가량 소요된다. DHL 등 속달우편을 포함한 모든 서 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 인터넷 사용 현황 크로아티아 전역에서 전화선 또는 전용회선을 통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 며, 우리나라만큼은 아니지만 인터넷 속도가 빠른 편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의 보급과 함께 자그레브 주요 호텔 등 시내 곳곳에서 무선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지역이 증가하고 있다.

42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크로아티아

Ⅰ 유럽

427


27. 타지키스탄

1 개황

•수

도 : 타지키스탄 공화국(Republic of Tajikistan) ※ ‘타직(Tajik)’이라는 이름은 이슬람 전파(AD 7세기) 이전의 아랍종족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

•인

구 : 840만명(2014년 World Bank)

•면

적 : 14만 3,100㎢(한반도의 2/3크기, 세계 95위)

•수

도 : 두샨베(Dushanbe, 인구 약 75만 명)

•지

형 : 북부의 트란스알레이 산맥과 남부의 파미르 고원을 중심으로 하는

※ 인구성비: 여성 50.3%, 남성 49.7%, 인구증가율: 1.852% (세계 65위) ※ 육지: 142,700㎢, 강·호수: 400㎢

산악지형, 모든 국토가 최저 해발 300m 이상에 위치하며 국토의 93%가 산악지역 •시

차 : 우리시간 -4

•언

어 : 타직어(공식어), 러시아어(공용어) / 인구의 약 25% 정도 우즈벡어 사용 ※ 중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투르크어를 사용하지 않고 페르시아어 계통인 타직어를 사용함

•기

후 : 온화한 대륙성 기후, 무더운 여름, 온화한 겨울이 특징이며, 반건조 기후부터 파미르 고원의 극지성 기후까지 다양

• 경제지표(World Bank 2014 자료) : GDP : U$92억/1인당 GDP : $1,095/ 우리나라와의 교역 : 총 U$5,130만(수출 U$4,849만/수입 U$281만)

42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타지키스탄

2 문화적 특성

유럽

■ ‌ 중앙아시아 실크로드 문화의 영향으로 손님을 극진히 대접하고, 집으로 초 대하거나 접대하는 것을 즐기며, 외국인에게 친절한 편임. 웃어른을 공경 하고 예의를 중시하며, 스승을 부모와 같이 섬김. 구소련이었으나 지형적 으로는 중앙아시아, 페르시아와 인접하고 있어 러시아보다는 동양적 가치 관을 가지고 있음. ■ ‌ 이슬람 문화의 영향으로 가부장적이고 남성 우월사상이 있음. 결혼 후, 여 성의 사회 진출이 낮고, 여성은 주로 가사를 책임. 민족성은 대체로 온화하 고 낙천적이며, 아이는 알라가 내려준다고 믿기 때문에, 다산(多産)을 선호 함 ※ 대가족 중심의 생활, 부모 공경, 가부장적 사회, 남아 선호사상 등

■ ‌ 한-타지키스탄 양국은 동양적 가치관과 실크로드의 문화적 유사성을 바탕 으로 긴밀하게 협력해오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이렇다 할 분쟁이나 충돌 이 없었는 바, 타지키스탄은 국제사회에서도 우리 입장을 일관되게 지지해 오고 있음. ■ ‌ 특히 당지에서 삼성, LG 등 우리 전자 제품의 약진과 소련 시절 거주 고려 인들의 성실한 이미지, 한국의 빠른 경제 성장 등 국민들의 한국에 대한 이 미지는 좋은 편이며, 대체로 우호적임.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 ‌‌ 주재국에는 2007년 한국드라마 ‘대장금’이 시청율 70%를 기록하며 5차례 재방영되었으며, ‘대장금’의 인기로 주재국 대중 교통인 미니버스가 현지 인들 사이에서 ‘당겜(타직어로 장금이)’이라고 불러지는 등 현지에서 폭발 적인 인기를 누림.

429


※ 이후, 드라마 ‘다모’, ‘온에어’, ‘일지매’ 등 K 드라마가 다수 방영됨.

■ ‌ 당지 한국 문화 전파는 한류보다는 주로 대사관이 중심이 되어 개최하는 문화 행사를 통해 주로 이뤄지고 있음. 당지는 진출 아국 기업이 전무하고, 거주 교민수도 적으며(약 100여명), ‘92~97 내전으로 인한 고려인의 이 탈, 한류 유입 경로의 제한성 등으로 한류의 자생적 성장은 미미하고, 한류 저변도 인근 CIS에 비해 매우 낮은 편임. ■ ‌2012년 한-타직 수교 20주년 기념 사업으로 대사관에서 개최한 각종 문화행사에 평소 한류를 자주 접할 수 없었던 주재국민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석하였으며, 2013년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인 타직 국립중앙 도서관 내에 한국관(코리아코너) 개관(‘13.12월) 이후, 주재국민의 우리 문 화 행사에 대한 참여도와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음. ※ 한-타직 수교 20주년 기념 사업(2012년) •한국 문화의 날 •Quiz on Korea •한-타직 수교 20주년 합동 문화공연 •제1회 한국 영화제 개최 •제1회 I love Korea K-Pop 페스티벌

(2) 분야별 현황  K-Pop

■ ‌ 현지 K-Pop은 주로 당지 한국어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전파되고 있으나, 소비층이 많지 않고, 팬층이나 동호회를 형성하지 못하고 영향력이 미미 함. 2012년 싸이 ‘강남스타일’의 세계적인 열풍 가운데, 타지키스탄에도 젊은이들 사이에서 강남스타일이 일부 유행하였으나, 타직 방송보다는 위 성을 통해 접하는 경우가 많고, 폭발적인 수준은 아님. ■ ‌ 2015년 대사관 주최로 ‘타지키스탄 K-Pop 페스티벌’(K-Pop 월드페스 티벌 지역예선)을 개최한 바 있음. 타직 국립외대 한국어과 학생들 중심으 로 21개팀이 출전하였으나, 일부 현지 아마추어 댄스 팀을 제외하고 대부 분 출전자는 한국어과 학생 혹은 한국어 학습자였으며, 타직 전체에 전반

43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타지키스탄

적인 K-pop의 저변은 넓지 않은 편임.

유럽

 드라마

■ ‌ 2007년 타직에서 방영된 ‘대장금’이 시청율 70%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모은바 있으며, 한국=대장금을 떠올릴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임. ■ ‌ 이후, ‘다모’가 현지 방송에서 3차례 재방영된 바 있고, 우즈벡어나 페르시 아어로 더빙된 ‘가을동화, 겨울연가, 올인’ 등 불법 DVD가 현지시장 에서 일부 유통되고 있으나, ‘대장금’ 만큼의 높은 관심을 끌지는 않음. ■ ‌ 주재국은 대가족 중심이며, 가족들이 모여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거나 TV를 보는 것을 즐겨함. 우리 드라마 배급을 통한 한류 전파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 영화

■ ‌ 2012년 한-타 수교 20주년 기념 제1회 한국 영화제(2012.9월)에는 5일간 매일 2편씩 우리 영화를 상영하여 총 1,800여명의 관람객이 참여하였음.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은 높은 편이나, 현지에서 한국 영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는 매우 제한적임. ■ 2015년 제2회 한국영화제 개최  한국어·한식

■ ‌ 타직국립외국어대학교 내 한국어과(2004.9월 개설)가 운영중이며, 타직국 립사범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복수전공으로 교육하고 있음. ■ ‌ 세종학당(2011.3.1 개설) 두샨베 분원이 2011년부터 운영되고 있음. 2013년 타직 국립중앙도서관내에 개설된 한국관(코리아코너)에서도 세종 학당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및 문화 수업을 시행하고 있음. ■ ‌ 2012년 개최된 제1회 Quiz on Korea에서는 주재국 참가자(타직국립외대 한국어과 조교 Ms. 화르조나)가 서울 KBS홀에서 진행된 한국 본선에 진출하여 준우승 수상

431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 ‌ 주재국은 구소련권 국가이나, 지리적 영향으로 민족은 페르시아에 가깝고 문화와 정서는 유럽보다는 동양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음. 실크로드의 영 향으로 타문화에 대해 전체적으로 개방적인 편이며 영미권, 소비에트권 문화보다는 우리 문화를 더욱 친숙하게 생각함. ■ ‌ 한국 문화에 내포되어 있는 가족적 가치관과 동양관, 한국에 대한 우호 적인 이미지가 주재국민들에게 친근하게 어필하는 것으로 보이며, 우리 드 라마 ‘대장금’의 경우, 한국의 사회상과 예절문화, 음식문화 등을 담고 있 어 주재국에서 많은 인기를 누릴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임. ■ ‌ 한편, 이슬람의 영향으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주재는 기피하는 경향이 있 는 바, 지나치게 선정적인 여성 아이돌의 안무나 B급 정서 혹은 지나치게 잔인한 영화 등은 주재국 대상 한류 수출에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음.

5 문화 교류시 고려해야할 점 ■ ‌ 한류 관련 상품에 외국인을 비하하거나, 이슬람권 민족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된 경우가 없는지 주의할 필요가 있음. ■ ‌ 이슬람 문화의 영향과 동양적인 정서로 웃어른을 공경하고 손님을 극진히 모시는 등 우리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음. 한류 관련 상품 수출시 지나치게 잔인하거나, 자극적인 소재는 피하는 것이 좋음. ※ 일례로 ‘개도국 우리 드라마 무상배급 사업’시 주재국에 전달한 영상물이 자극적인 요소는 없는지, 살인 장면이 지나치게 묘사되어 있지는 않은지, (사극의 경우) 전투 장면이 잔인하게 묘사되어 있지는 않은지, 성적인 묘사가 있는지 등을 방송국 측에서 꼼꼼하게 검토하였음.

■ ‌ 여성 상품화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많은 바, K-Pop 진출시 선정적인 안무가 포함된 상품은 피하는 것이 좋음. 당지 K-Pop 문화 행사 출전팀 중, 한국 가수의 선정적인 안무를 순화하여 공연하기도 함.

43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타지키스탄

6 한류 동호회 현황

유럽

■ 아직은 없음.

7 2008년~2015년 12월 현재 문화행사 (1) ‌ 2008.8.23~29 해외청년문화봉사단 ‘소리울’ 국악 공연팀 국악 공연(두샨베) (2) 2010.5.25 여성실내 국악단 ‘다스름’ 퓨전 국악 공연(두샨베) (3) 2012년도 수교 20주년 기념사업 ■ 한국 문화의 날 행사(2012.5월) ■ 제1회 퀴즈 온 코리아 Quiz on Korea(2012.5월) - 타직국립사범대학교에서 한국학 교수 협의회와 협력하에 행사 개최 - 타직 참가자(타직국립외대 한국어과 조교 Ms. 화르조나)가 본선에 진출하여 서울 KBS홀에서 진행된 한국 본선(8.31)에서 준우승 수상

■ 한-타직 수교 20주년 합동 문화공연 (2012.6월) - 타직 필하모니 극장에서 타직 문화부와 대사관 공동 주최 - 코리안 랩소디 공연단과 타직 필하모니 공연단 합동공연 - 주재국민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

■ 제1회 한국 영화제 개최 (2012.9월) - 수교 20주년 기념, 제1회 한국영화제를 대사관 주최로 개최 - 5일간 매일 2편씩 상영하여 총 1,800여 명의 관람객 참여 - 영화관 로비에 한국관광사진 전시회를 통한 한국 홍보 병행 - 주재국내 K-드라마를 통한 한류에 편승한 한국 문화 보급 및 한국에 대한

호감도 증가

■ 제1회 I love Korea 한국사랑 뽐내기(K-Pop 페스티벌)(2012.12월) • 한-타 수교 20주년 기념, 타지키스탄에서 한류 및 K-Pop에 대한 관심 제고

433


•타직 국립외대에서 개최. 강남스타일 등 17팀 참여

(4) 2013.6.8 제2회 퀴즈 온 코리아 Quiz on Korea

(5) 2013.11.31~12.3 제1회 K-lover 타지키스탄 전국태권도 대회 ■ ‌ 타지키스탄 독립(‘92)이후 최대 규모의 단일 태권도 대회, 타지키스탄 전 지역에서 선수단 약 400여명, 관람객 포함 약 1,000명이 참석. ■ ‌ 주재국 문화계, 스포츠계, 언론계 고위급 인사 참석, VIP 리셉션 병행 친한 인사 구축 ■ ‌ 주재국 주요 방송매체를 통해, 행사 개막식 전체 영상(약1시간) 수차례 재방영하는 등 폭발적인 관심 ■ ‌ 태권도 대회를 통하여, 우리 전통 국기를 알리고, 양국 스포츠 분야 문화 협력의 기틀을 마련

(6) 2013.6.7 한국어 말하기 대회 ■ ‌ 약 100여명의 한국어 학습자 및 교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예선을 거쳐 최종 24명이 본선에 진출 ■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자긍심 고취 및 주재국민들을 대상으로 친한 인사 확보 및 공공 외교에 기여

(7) 2013.12.27 코리아코너 개관 ■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의 타직 국립중앙도서관내 한국관(코리아코너) 개관 ■ ‌ 코리아코너 내 한국 서적 및 연구 자료, 영상 자료를 비치하여 주재국민에 게 한국 문화 홍보와 학습 공간 제공 ■ ‌ 현재 동 코너에서 한국어 교육과 문화 수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당관 주요 문 화 행사(한국어말하기대회, 한국의 날 등)를 개최하는 등 활발하게 운영 중

43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타지키스탄

(8) 2014.7.6 제1회 한국의 날 행사 개최

Ⅰ 유럽

■ ‌ 2012년 수교 20주년 기념 문화 행사, 2013년 전국 태권도 대회 및 한국관 (코리아코너) 개관에 이어, 금년도 한국의 날 행사를 통하여, 한국에 대한 홍보와 주재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공공외교 및 친한인사 확보 등에 기여 ■ ‌ ‌ 행사 전부터 현지 TV 및 신문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약600~ 700여명의 현지 주민이 참석함. 현지 주민들은 가족단위로 참석하여 전통 놀이(윷놀이, 제기차기, 투호, 비석치기 등)를 즐기거나, 한국 전통 만들기 (비즈·실 팔찌, 페이스페인팅, 솟대 만들기, 딱지 만들기 등)를 체험함. ■ ‌ 계명대 개교 60주년 기념, 계명 학생 봉사단 및 의료봉사단 60여명이 당지 봉사활동 계기, 동 행사 공연 및 부스 운영 등 행사 전반을 지원함. 타직국 립 외대 한국어과 학생, 삼성 꿈나무 장학생, 세계 태권도 평화 봉사단 등 이 공연에 참가하여 대사관과 여러 민간 기관과의 협조가 원활히 이뤄어졌 음.

(9) 2014.11.7 제2회 전국 태권도 대회 ■ ‌ 1992년 양국 수교 이래 작년에 이어, 가장 큰 규모의 우리 스포츠 행사로 평가됨. ■ ‌ 2013년 1회 대회에 이어, 제2회 대회에는 오픈 컵으로 외국 태권도 선수 팀의 참여를 늘이고,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이란, 러시아, 아프가니스탄 등 인근국 태권도 대표단 100여명 이상이 참가, 약 500여명의 선수단 포함 전체 800-900명이 관람. ■ ‌ 제1회 대회 개최 이후, 지방 태권도 단체들과의 협조가 강화되고, 네트워 크를 구축한 것은 고무적으로 평가됨

(10)2015.6.12.-13 제2회 한국영화제 ■ ‌ 2012년 수교 20주년 기념 제1회 한국영화제에 이어, 주재국에서 두

435


번째로 개최된 동 영화제에는 편당 평균 200-300여명, 총 1,300여명의 관객이 관람하여 높은 관심을 보임. 평소 한국 문화를 접하기 힘든 주재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외교에 소기의 성과가 있었으며, 영화 상영과 VIP 리셉션을 병행하여, 한국어 전공자 위주의 참석이 아닌 일반인들이 더욱 많이 참석하여 우리 영화를 관람한 것은 매우 고무적으로 평가됨. ■ 특히, 2015년 4월 제7차 세계물포럼(4.12-13/대구)참석 주재국 정상 방한 계기 양국 정상회담 개최, 주한타지키스탄대사관 개설 등 주재국 내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시기에 개최된 동 행사가 자연스럽게 주재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이끌어 낸 것으로 평가됨.

(11) 2015.7.4. 타지키스탄 K-Pop 페스티벌(K-Pop 월드 페스티벌 지역예선)

■ ‌ 21팀(48명) 참가, 약 300명 관람. 주재국에 한류, 특히 K-Pop이 인근 중 앙아 국가에 비해 많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을 감안할 때, 동 K-Pop 대회 에 한국어 전공자가 아닌, 다수의 일반인 현지 댄스 팀이 자체적으로 온라 인을 통하여 대회에 참가한 것은 매우 고무적임. 향후, K-Pop 페스티벌을 통해 한류의 자생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12) ‌ 제3회 타직 전국 태권도 대회(2015.11월) 및 제2회 한국의 날(2015.12월) 개최

8 여행정보 (1) 비자 ■ ‌ 2015.4월 주한타지키스탄대사관이 개설되었으며, 초청기관으로부터 초청 장을 발급받아 비자를 신청하거나 혹은 관광 비자를 신청

43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타지키스탄

■ ‌ 외교관·관용여권 소지자 비자 면제 협정이 체결(‘12.12)되어 외교관·관

유럽

용 여권소지자는 무비자 입국 90일 체류 가능함.

(2) 안전정보 ■ ‌ 치안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야간에 단독 외출을 하는 것은 가급적 지양 하는 것이 좋으며 주재국 내무부에서는 모든 외국인은 여권을 소지하도록 하였는 바, 여권이나 신분증을 소지하여야 함.

9 기타 ■ 주타지키스탄 대사관 연락처 •전화번호 : (992 44) 600-2114 •팩스 : (992 37) 221-2423 • 주소 : 61, Ghani Abdullo Street, Dushanbe City, Republic of Tajikistan •E-mail : - 정치, 경제, 문화 : tajik@mofat.go.kr - 영사, 민원, 사건사고 : tjkorem@mofat.go.kr

437


28. 터키

1 개황

•수

도 : 앙카라(인구 : 약 500만 명)

•인

구 : 7,769만 명(2014년 기준)

•면

적 : 779,452㎢(한반도의 3.5배)

•민족구성 : ‌ 터키인, 쿠르드인(약 1,200~1,400만 명으로 추정), 아랍인(50만 명), 아르메니아인(5만 명), 그리스인, 유태인 등 •종

교 : 전국민의 99% 이슬람교(수니파 다수, 시아파 소수) -기독교, 유태교, 그리스 정교 등(헌법상 정치와 종교 분리)

•시

차 : 7시간(썸머타임 적용시 6시간)

•언

어 : 터키어

•1인당 GDP(’14년 기준) : 10,518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5. 3월, 우리기준) : ‌ 총 교역 894억 불(수출 371억 불, 수입 523억 불)

43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2 문화적 특성

유럽

■ 터키의 기원

터키는 BC2000년에 중앙아시아 동남부에서 기원하였으며, 터키 민족의 조상은 중국 고전에 나오는 “훈”족(혹은 “돌궐”)으로, 기원전 220년에 수립된 테오만 야그부 왕국을 중국 사람들은 “흉노”라고 불렀다. 터키 민족은 중앙 아시아 동남부에서 서서히 서쪽으로 이동하여 서기 10세기 내지 11세기 부터 아나톨리아 반도에 정착했다. 터키 민족은 서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대부 분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아랍문자를 도입하여 사용하였으나 조상 전래의 자연숭배 사상과 풍습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풍습과 근본적 으로 비슷한 면이 적지 않다. 터키어는 한국어와 같은 알타이어계에 속하여 문장구조순서, 모음조화, 어미활용 등에 있어서 같은 원칙을 따르고 있다. ■ 근대 터키의 기원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유발된 오스만제국의 분열로 인해 터키의 정치권력 은 국민당 당수 케말파샤가 이끄는 민족독립운동에 귀속하게 되었다. 케말파 샤는 1920년 4월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1920~1922년간 그리스와의 해방전 쟁으로 그리스군을 이즈밀과 트레이스반도에서 축출한 후 1922년 11월 군주 제를 폐지하고 1923년 10월 29일 터키공화국을 선포하였다. 케말파샤는 공화국 선포 후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되어 해방전쟁에 참가한 2개의 항쟁조직을 결합하여 공화인민당을 창설하고 공화제, 민주주의, 다원 주의 등 종래의 이슬람 전통을 크게 탈피한 서구식 근대화 개혁을 수행하였 다. 또한 국가의 세속화, 이슬람식 종교 재판 및 종교 교육 폐지, 정교분리, 여성해방, 일부다처제 금지와 서양력 채택, 라틴 철자법 도입, 산업개발 등 서 구제도를 도입하였다. ■ 국민성

동양과 서양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터키인들은 수세기에 걸 쳐 유럽과 아시아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왔으며 동서양의 특징을 그들의 사고

439


방식이나 생활양식에 적용해 왔다. 터키인들은 민족의식이 매우 강하며 위계질서를 중요시하고 개인이나 국 가의 명예를 중시하며 무사기질을 존중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인들 삶의 곳곳에 유교의 영향이 녹아있듯, 터키인들 삶의 곳곳에 이 슬람교의 영향이 진하게 남아있다. 비록 공식적으로는 터키인구의 99%가 이 슬람교를 믿는 무슬림이기는 하지만, 각자의 신앙심에 따라 생활패턴이 개방 적인 사람들도 많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요즘 10대~30대 한류팬들은 상대적으로 옛날에 제작 및 종영된 드라마 들만 방영하는 국영방송 및 민영방송을 통해 한국 드라마를 접하는 게 아니 라, 현재 (2015년 8월 기준) 한국에서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를 인터넷으로 통 해 꾸준히 접하고 있다. 한국에서 방영된 후 2~3일 내로 제작된 영어 자막을 터키어로 번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웬만한 한국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한국 드라마를 본 터키팬들이 매우 많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국영방송 TRT에서 <해신>, <대장금>, <주몽>, <이산>, <상도> 등을 방영 하였으며 2012년 청소년 드라마 <드림하이>, 2013년 <꽃보다 남자>, <마 의>, <무사 백동수>가 방영되었다. 한국드라마는 동 방송국에서 방영하는 유 일한 외국 드라마로 외국의 문화를 수용하는 데에 있어서 보수적인 성향이 있 는 터키의 문화로 미루어 볼 때, 한국드라마 수출 성과를 높이 평가할 수 있 다. 민영 방송국인 Kanal D에서는 <겨울 연가>, Meltem TV에서는 <홍길

44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동>, <공주의 남자>, <근초고왕>이 방영되었다.

유럽

 영화

이스탄불 영화제, 앙카라 영화제 등 터키의 영화제에 한국 영화가 초대를 받으며 대중들에게 전해지기 시작했다. 김기덕 감독, 박찬욱 감독 등이 알려 져 있으며 <사마리아>, <올드보이>, <빈집> 등 영화가 인기를 끌었다. TV에 서 방영된 한국드라마로 시작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인터넷을 통하여 드 라마뿐만 아니라 영화로 확산되어 많은 한국 영화 마니아들이 있다. 인터넷 이외 아직 상영관에서 한국 영화를 방영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으나 베니스 국 제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김기덕 감독의 <피에타>가 일부 상영관에 서 상영되었다. 대부분은 영화제 출품이나 TV에서의 방영 등을 통해 한국 영 화를 접하고 있다.  K-Pop

매년 주이스탄불대한민국총영사관과 앙카라 한국문화원이 번갈아가며 주 관하는 K-Pop World Festival 터키 예선전에는 꾸준하게 참가자들의 수가 늘고 있다.  한류의 상륙 시기

2005년 국영 TV 방송국에서 드라마 <해신>을 방영한 이후 TV 및 인터넷 을 통해 한국드라마와 영화로 관심이 확산되면서 한류가 터키에 상륙했다고 볼 수 있다. 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K-Pop : SS501, JYJ, 슈퍼주니어, 빅뱅, 샤이니, CNBLUE 등 ■ 드라마 : ‌ <해신>과 <주몽>의 송일국, <꽃보다 남자>와 <씨티 헌터>의 이민호, <꽃보다 남자>의 김현중, <미남이시네요>의 장근석, <옥탑방 왕세자>의 박유천 등

441


 한류 파워인물

SS501, 슈퍼주니어, JYJ, 빅뱅, 이민호, 장근석, 김수현 등  한식

국영 TRT TV에서 방영된 <대장금>의 인기로 터키인들의 한국 음식에 대 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2010년 트라브존 및 앙카라에서 개최된 한식 홍보 행 사를 통해 터키인들에게 눈으로만 보던 한국 음식을 직접 맛볼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했다. 현재 문화원에서 진행 중인 한식 강좌의 신청자가 많아 선착순으로 선발 하고 있으며 강좌 확대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한식에 대한 열기는 한국 문화원에서 개최된 2014년 한식경연대회로 이어졌다. 예선에 터키 전역에서 약 200여명의 참가자가 참가하여 한식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국어

매년 상·하반기에 걸쳐 치러지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응시하는 참 가자들의 숫자도 꾸준하게 늘고 있으며,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수요는 그 끝을 알 수가 없을 정도이다.  기타 산업 파급효과

한류로 인하여 한국제품 및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터키에 진출한 한국기업(현대자동차, KT&G, 삼성, LG 등)도 한류를 기업 이미지 제고 및 제품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 최근 주요 행사

지난해 8월 31일~9월 22일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이스탄불-경주 세계 문화 엑스포>를 계기로 한국 문화를 터키 내 여러 지역에서 소개하기 위하여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행사들이 다음과 같이 개최되었 다. 2013년 3월 29일~4월 30일 이스탄불 ‘막사발 전시회’, 4월 15일, 17일

44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아다나 및 이스탄불 피아니스트 손정범 피아노 연주회, 6월 12일 ~7월 27일

유럽

앙카라 ‘한-터 전통 보자기 전시회’, 6월 18일 이스탄불 톱카프궁 박물관 한 국문화재 특별전 한식 리셉션, 6월 29일 이스탄불 ‘K-Pop커버댄스 및 노래 경연대회’, 9월~10월 이스탄불, 앙카라, 이즈밀 한국영화제, 9월 14일 이스 탄불 태권도 TAL 공연, 10월 1일, 4일 앙카라, 이즈밀 한-터 국악 앙상블, 10월 9일 앙카라 한국어말하기대회, 독후감대회, 한국어한국학 세미나 등 이다. 2014년도에는 터키지방순회 문화행사인 ‘카라반 한국 문화의 날’을 5월 12일~14일 에스키쉐히르, 이즈밀에서 추진했으며, 5월 24일 제3회 한국어 말하기 대회, 6월 25일 Taste of Korea 한식 경연대회, 8월 9일 K-Pop 경 연대회 등을 개최하였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터키 현지인들이 한류를 좋아하는 이유를 알기 위해 주 이스탄불 대한민국 총영사관 터키어 홈페이지와 총영사관 터키어 페이스북 페이지에 한국/한국 문화/한국어/한국음식 /한국음악 등과 관련된 터키 내 모든 팬클럽을 대상으 로 약 2주간 설문지를 작성해달라고 요청했다. 총 14개 팬클럽에서 설문지를 작성해서 보내왔고, 이들이 공통적으로 대답 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한국을 좋아하는 이유

■ 좋아하는 가수 혹은 연예인이 살고 있는 장소이기 때문 ■ 문화적으로 터키와 비슷하다고 여기기 때문  한국 음악을 좋아하는 이유

■ 터키 음악과는 다른 리듬을 사용해서 ■ 여러 장르의 음악을 하나의 노래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 시각적으로 멋진 무대 장치 및 디자인, 무대 의상, ‘칼군무’를 추는 멤버들

443


이 좋아서  한국 드라마를 좋아하는 이유

■ ‌ 전체 드라마 횟수가 터키 드라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 결론도 빨리 볼 수 있어서  한국 음식을 좋아하는 이유

■ ‌ 한국 드라마/영화를 보면서 등장하는 “보기에 예뻐 보이는” 한국 음식을 보고 먹어보고 싶다는 대답이 많음 ■ ‌ 그러나 실제로 먹어보니, 양념 (특히 마늘) 때문에 한국음식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매우 많았음 (응답자의 거의 대부분이 이런 대답을 했음) ■ ‌ 인스턴트 라면은 먹어보고 싶다는 대답이 많았으나,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기름이 들어가지 않은 라면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함 ■ ‌ (기름에 튀기는 등의 음식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한국 음식 자체가 건강해 보여서  한국어를 배우고싶은 이유

■ 좋아하는 가수 혹은 연예인이 하는 한국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기 때문 ■ 한국 사람들에게 더 가까워질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 ■ 취미로써 배우고 싶음 ■ 언젠가 한국에서 살고 싶어서

5 문화 교류시 고려해야 할 점 ■ K-Pop 관련 음악 앨범이나 DVD 등을 터키에서 쉽게 구하기 어렵다고 함 ■ 인터넷으로 구입하는 것도 문제가 많다고 함 ■ ‌ “2013년도 뮤직뱅크 인 이스탄불”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대규모의 한국

44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가수들이 직접 터키에 와서 콘서트를 여는 경우였기에, K-Pop 가수들의

유럽

터키 공연을 원하는 터키팬들의 수요는 이루 다 말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음 ■ 한국 가수들은 물론, 한국 배우들의 사인회 등을 원하는 수요도 매우 많음 ■ ‌ 한국 화장품에 대한 터키 여성들의 수요 또한 매우 많으나 구할 곳이 인터넷 외에는 없고, 그마저도 세관 등의 이유로 쉽지 않다고 함 ■ 한국 식재료를 파는 곳이 많아지기를 바라는 팬들이 많음 ■ ‌ 같은 맥락에서, 한국 음식을 먹어볼 수 있는 식당들이 터키 전역에 생기면 좋겠다는 목소리가 많음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한국과 관련된 모든 것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는 10대 터키 팬들의 수는 집계가 불가할 정도로 많고 특히 K-Pop과 K-Drama에 열광하는 팬들의 숫자와 관심은 매우 높은 편이지만, 그 목마름을 채울 기회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2013년도 뮤직뱅크 인 이스탄불’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대규모의 한국 가수들이 직접 터키에 왔었던 적을 제외하고는 그 어떤 가수나 배우도 온 적이 없는 걸로 파악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 Korea Fans 성격

종합적 한류 동호회

회원 수

68,500명

웹사이트 주소

http://www.korea-fans.com/forum/

세부 활동 현황

• 한류 관련 라디오 방송 및 잡지 발간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의 터키어 자막 번역, 커버댄스 모임 등 다양한 활동을 주최하고 있음. • 회원이 터키 전역에 분포하고 있어 온라인에서 주로 활동하나 정기적인 오프라인 모임이 있고, 앙카라뿐만이 아닌 타 도시 및 소규모 도시에서도 오프라인 모임을 주도함.(20개 이상 도시에서 오프라인 모임 정기 개최 중)

445


 JYJ Turkey 성격

JYJ 팬클럽

회원 수

1,618명

웹사이트 주소

http://www.jyjturkey.com/

세부 활동 현황

• 주로 온라인으로 JYJ의 소식을 공유하며 활동, 정기적인 오프라인 모임이 있으며, 4.22에 팬클럽 회원들의 단합도모를 위한 소풍을 개최한 바 있음.

 Yeppudaa.com 성격

한국드라마 및 영화 동호회

회원 수

127,449명

웹사이트 주소

http://yeppudaa.com

세부 활동 현황

• (온라인) 한국드라마와 영화를 공유하며, 한류 소식을 전하는 라디오, 잡지가 있음.

 Minoz Turkey 성격

이민호 팬클럽

회원 수

27,302명

웹사이트 주소 세부 활동 현황

http://www.minozturkey.com/

• 주로 온라인에서 활동하며, 이민호의 생일 선물 전달 및 데뷔 6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준비하는 등 활발히 활동

 Koreanturk.com 성격

한국드라마 및 영화 동호회

회원 수

약 56,415명

웹사이트 주소

http://www.koreanturk.com/

세부 활동 현황

•한국드라마 및 영화를 터키어로 번역하여 공유

 Turk-Kore Kultur Iletisim(터-한 문화교류)(이스탄불 지역) 성격

회원 수 웹사이트 주소

키-한국 양국간의 문화 교류를 위해 당지 한인동포가 사단법인으로 터 설립한 터-한 문화교류협회에 소속으로 2007년도에 결성 약 900명 • 동 회원들은 한국문화와 한국어 학습에 관심이 많으며 주요 구성원들은 20~30대의 현지인들로서 20대는 대학생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은 대개 한국 유학을 준비하거나 희망하고 있음 www.koredernek.org

• 동 동호회 회원들은 터한문화교류협회가 주최하거나 협력하는 행사 세부 활동 현황

44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참여와 아울러 이스탄불총영사관에서 주최하는 행사에도 자원봉사자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매월 1회 정기적으로 만나 조식을 함께 하면서 한국 관련 정보 및 문화활동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고 있음


터키

 성격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YSH.fanpage?fref=ts

연락처

이름: Ezgi Bayramog ˘lu 이메일:ezgibyrmgl@hotmail.com

세부 활동 현황

유승호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회원 수 웹사이트 주소 연락처 세부 활동 현황

 성격

K-Pop 동호회 (방탄소년단 팬클럽) 13,817명 https://www.facebook.com/BTSTurkey http://btsturkey.blogspot.com.tr/ 이름: Imran KURT 이메일: btsbangtanturkey@gmail.com 방탄소년단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K-Pop 동호회 (슈퍼주니어 팬클럽)

회원 수

8,906명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sujuelfturkey

연락처

이름: Meryem AKiN 이메일: meryemmerveakin1@hotmail.com

세부 활동 현황

슈퍼주니어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 성격

K-Drama, K-Pop 동호회 (박시후 팬클럽)

회원 수

6,405명

웹사이트 주소

-

연락처

이메일: olumune_kanka_700@hotmail.com

세부 활동 현황

박시후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 성격

유럽

167,000명

 성격

K-Drama 동호회 (유승호 팬클럽)

회원 수

K-Pop 동호회 (신화 팬클럽)

회원 수

5,996명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ShinhwaTurkey

연락처

이름: Zeynep HALICI 이메일: ddtoxx@hotmail.com

세부 활동 현황

신화 관련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447


 성격

1,702명

연락처

이름: Bahar ESNEOGLU 이메일: ilkbahar034@gmail.com

세부 활동 현황

공유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 성격

K-Pop 동호회

회원 수

1,977명

연락처

이름: Cansu Alkanat 이메일: cansuu_k@hotmail.com

세부 활동 현황

전반적인 K-Pop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 성격

한국 문화 동호회

회원 수

28,000명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koresevenler/

연락처

이름: Pelin KOCAMAN 이메일: pelin_0412@hotmail.com

세부 활동 현황

한국 문화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 성격

한국 문화 동호회

회원 수

6,800명

연락처

이름: Senem Biricik 이메일: senem-biricik@hotmail.com

세부 활동 현황

한국 문화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 성격

448

K-Drama 동호회 (공유 팬클럽)

회원 수

한국 문화 동호회

회원 수

5명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feelteamkrtr

연락처

이름: DiLEK ¨ UNSAL 이메일: dlkdeseo@gmail.com

세부 활동 현황

한국 문화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 성격 회원 수

연락처 세부 활동 현황

유럽

웹사이트 주소

한국어 교육, 문화 3,836명 http://turkcekorece.blogspot.com.tr/ https://www.facebook.com/turkceKorece 이름: Halime Oral 이메일: halime1985@gmail.com 한국어 및 문화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7 2015년 문화행사 ■ 2015년 5월 8일: Korea Festival in MIKTA 공연 ■ 2015년 5월 9일: K-Lover Dream Festival ■ 2015년 5월 30일: 한국어 말하기 대회 ■ 2015년 6월 16일: 서울시 현대·전통 국악 공연 및 사진전 ■ 2015년 7월 25일: K-Pop World Festival 터키 예선전 ■ 2015년 7월 29일: 제2회 한반도 평화 및 통일 세미나 ■ 2015년 9월 6일 및 8일: 부산시립무용단 공연

8 여행정보 ■ 일반 비자 (출처: 2014년도 외교백서) - ‌터키의 경우 ‘사증면제협정’이 체결되어 있는 국가로써, 일반 여권 소지 자가 관광 목적으로 터키에 입국하는 경우 별도의 절차없이 90일체류 가능 - 단, 교육·취업·공연 등의 목적으로 입국하는 경우에는 입국 전에 미리 주한 터키대사관에서 사증을 취득해야함 ■ 국가별 공연비자 취득방법 (출처: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체류자격별안내매뉴얼, 2015년 7월 1일 개정)

449


■ 문화예술 (D-1) [사증]

활동범위 및 해당자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학술 또는 예술상의 활동 - 논문작성, 창작 활동을 하는 자 - 비영리 학술활동·예술단체의 초청으로 학술 또는 순수 예술 활동에 종사하는 자 - 대한민국의 고유문화 또는 예술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전문가의 지도를 받으려는 자 (예: 태권도 등 전통무예, 한국무용, 서예, 궁중음악, 참선, 농악 등) ⇨ 체류기간이 90일 이하인 경우에는 단기방문(C-3-1) 자격에 해당

체류기간의 상한

2년 1. 한국국제교류재단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초청을 받아 문화예술활동을 하고자 하는 자에 대한 체류기간 1년 이하의 단수사증 첨부서류

공관장재량으로 발급할 수 있는 사증

① 사증발급신청서 (별지 제17호 서식), 여권, 표준규격사진 1매, 수수료 ② 초청장 ③ 문화예술단체임을 입증하는 서류 - 전문가의 지도인 경우에는 그 자의 경력증명서 ④ 이력서 또는 경력증명서 ⑤ 체류 중 일체의 경비지불능력을 증명하는 서류 재외공관의 장은 입국목적, 초청의 진정성, 초청자 및 피초청자의 자격 확인 등을 심사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첨부서류를 일부 가감할 수 있음

⇨ 상기 이외의 경우에는 모두 사증발급인정서에 의해 사증발급 1. 상기 공관장 재량으로 발급할 수 있는 사증 이외의 경우에는 모두사증발급인 정서에 의해 사증발급 첨부서류

사증발급인정서 발급대상

① 사증발급인정신청서 (별지 제21호 서식), 여권, 표준규격사진 1매 ② 초청장 ③ 문화예술단체임을 입증하는 서류 - 전문가의 지도인 경우에는 그 자의 경력증명서 ④ 이력서 또는 경력증명서 ⑤ 체류 중 일체의 경비지불능력을 증명하는 서류 출입국관리사무소장(출장소장)은 초청의 진정성, 초청자 및 피초청자의 자격 확인 등을 심사하기 위해 첨부서류의 일부를 가감할 수 있음

참고사항

450

전문가라 함은 무형문화재 또는 국가공인 기능보유자 등을 말하며, 순수예술 분야의 연구단체나 해당 분야의 저명한 인사로부터 지도를 받는 자를 포함하나 영리목적의 사설학원에서의 연수자는 해당되지 않음 체류기간이 90일이하의 단기인 경우에는 단기방문(C-3) 자격임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 문화예술 (D-1) [외국인 체류]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학술 또는 예술상의 활동을 하려고 하는 자 (대한민국의 고유문화 또는 예술에 대하여 전문적인 연구를 하거나 전문가의 지도를 받으려는 자 포함)

유럽

자격 해당자 및 활동범위

1회에 부여 할수 2년 있는 체류기간 상한

체류자격 외 활동

1. 체류 외국인이 대한민국의 고유문화 또는 고유예술에 대하여 전문가의 지도를 받거나 대학부설 어학원에서 한국어를 연수하고자 하는 때에는 체류기간 범위 내에서는 별도의 허가절차 불요 2.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자원봉사는 체류기간 범위 내에서 별도의 허가절차 불요 대상 : 국내 체류외국인 허용범위 - 공공기관, 고아원, 양로원, 무료급식소, 자선바자회, 국제전시회, 국제행사 등에서의 자원봉사 - 식비 및 교통비 지급 가능 2. 문화예술(D-1)소지자가 원래의 체류목적을 침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정규교육기관(초·중·고 및 대학)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때는 체류기간 범위 내에서 별도의 허가 절차 없이 활동 가능 3. 주한외국공관원 가족(A-1, A-2 자격)의 문화예술(D-1) 자격외 활동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학술 또는 예술 활동 : 허가 필요 신청서류 ①신청서(별지34호 서식), 여권 원본, 외교관신분증, 수수료 ②외교통상부 추천서 ③대사관의 협조공문 또는 동의서 ④사업자 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 등 관련단체 서류 사본 ⑤해당 입증서류

근무처의 변경·추가

근무처의 변경·추가 신고대상 아님 1. 영리목적이 아닌 아래 체류자격 소지자는 근무처의 변경·추가 신고가 아닌 외국인등록사항 변경신고를 받아 처리(시행규칙 제49조의 2) •문화예술(D-1), 유학(D-2), 일반연수(D-4) 내지 무역경영(D-9) 자격 소지자는 소속기관 또는 단체의 변경(명칭변경 포함)이나 추가 구직(D-10) 자격 소지자는 연수 개시 사실 또는 연수기관의 변경(명칭 변경 포함) •방문취업(H-2) 자격 소지자는 개인·기관·단체 또는 업체에 최초로 고용된 경우에는 그 취업개시 사실, 이미 고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개인·기관·단체 또는 업체의 변경(명칭변경 포함)되는 경우 2. 신청서류 ①신청서(별지 제34호 서식), 여권, 수수료 ②문화예술 단체가 발급한 근무처의 변경·추가 사유서 ③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사업자등록증 등 문화예술단체 입증 서류

체류자격 부여

“해당사항 없음”

451


1. 문화예술(D-1) 체류자격변경이 가능한 경우 해외입양으로 외국국적을 취득한 자 독일인 • 사증면제(B-1) 자격으로 입국한 독일인에 대한 장기체류자격으로 변경 가. 허가체류자격 : 기술연수(D-3), 비전문취업(E-9) 및 관광취업(H-1)을 제외한 모든 장기체류자격 나. 허가기간 : 체류자격별 1회 부여할 수 있는 체류기간의 상한

체류자격 변경허가

6개월 미만 체류하는 캐나다인 • 6개월 미만 체류하려는 캐나다국민 중 다음 체류자격에 해당하는 활동을 하려는 자에 대한 체류자격 변경허가 가. 대상체류자격 : 문화예술(D-1). 종교(D-6), 방문동거(F-1), 동반(F-3), 기타(G-1) 나. 체류기간 : 입국일로부터 6개월 미만

2. 제출서류 필수서류 심사에 필요한 추가서류

①신청서(별지 제34호서식), 여권 원본, 수수료 ②연수기관이 작성한 연수일정표 ③문화예술단체 입증서류(사업자등록증 사본 등) ①초청사유서 ②연수증명서 ③재정관계(학비,체재비)입증서류 (재정입증서류를 제출하지 못하면 신원보증서 징구)

1. 제출서류 체류기간 연장허가

필수서류

추가서류

재입국허가

①신청서(별지 제34호서식), 여권 원본, 외국인등록증, 수수료 ②연수기관이 작성한 연수일정표 ③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사업자등록증 등 문화예술단체 입증서류 ④체류지 입증서류(임대차계약서, 숙소 제공 확인서, 체류기간 만료예고 통지우편물, 공공요금 납부영수증, 기숙사비 영수증 등) ①연수증명서

1. 출국한 날로부터 1년 이내 재입국하려는 경우 면제 - 체류기간이 1년보다 적게 남아있는 경우 체류기간 범위내에서 면제 2. 복수재입국허가 가능(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리비아는 복수재입국제한) - 신청서류 : 신청서(별지 34호서식), 여권 원본, 외국인등록증, 수수료) 3. 재입국허가 면제국가 독일, 프랑스, 스웨덴, 스위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수리남, 칠레(C-3-4, D-7, D-8, D-9)

외국인등록

452

1. 외국인등록 신청서류 ① 신청서(별지34호 서식), 여권원본, 표준규격사진1장, 수수료 ② 사업자등록증 등 문화예술 단체입증 서류 2. 외국인등록사항 변경신고 신고사항 : 성명, 성별, 생년월일 및 국적, 여권의 번호, 발급일자, 유효기간 신고대상 : 소속기관 또는 단체의 변경(명칭변경 포함)이나 추가(‘10.11.16.) 신고기한 : 변경일로부터 14일 이내 신고 신청서류 ① 신청서(별지34호 서식), 여권, 외국인등록증, 수수료 없음 ② 변경사항 입증 서류 : 입학허가서 또는 연수기관 장의 추천서 등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 예술흥행 (E-6) [사증]

활동범위 및 해당자

유럽

수익이 따르는 음악, 미술, 문학 등의 예술 활동 - 창작활동을 하는 작곡가, 화가, 조각가, 공예가, 저술가 및 사진작가 등의 예술가 - 음악, 미술, 문학, 사진, 연주, 무용, 영화, 체육, 기타 예술상의 활동에 관한 지도를 하는 자 (예 :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감독, 오케스트라 지휘자 등)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연예, 연주, 연극, 운동경기, 광고, 패션모델 등으로 출연하는 흥행활동 - 출연형태나 명목을 불문하고 수익을 위하여 개인 또는 단체로 연예, 연주, 연극, 운동 등을 하는 자 (예 :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선수 등) - 스스로 연예, 연주, 연극 등에 출연하려는 자 뿐만 아니라 분장사, 매니저 등 동행하는 자를 포함함 ※ 체류기간 90일 이하인 경우는 단기취업(C-4)의 체류자격에 해당됨 분류기호 및 활동분야 분류기호

활동분야(예시)

E-6-1 (예술·연예)

수익이 따르는 음악, 미술, 문학 등의 예술활동 및 전문 방송연기에 해당하는 자와 공연법의 규정에 의한 전문 연예활동에 종사하는 자 (작곡가·화가·사진작가 등 예술가, 오케스트라 연주·지휘자, 광고·패션모델, 바둑기사, 방송인, 연예인, 연극인, 분장사 등)

E-6-2 (호텔·유흥)

‘E-6-1’에 해당하지 않고 관광진흥법에 의한 호텔업시설, 유흥업소 등에서 공연 또는 연예활동에 종사하는 자 (가요·연주자, 곡예·마술사 등) - 관광진흥법 제3조제1항제6호의 규정에 의한 국제회의시설의 부대시설 종사자 및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업소 중 공연법에 의해 등록된 공연장(예:워커힐 호텔 등)에서 활동하려는 자

E-6-3 (운동)

축구·야구·농구 등 프로 운동선수 및 그 동행 매니저 등으로 운동 분야에 종사하는 자 (축구·야구·농구 등 프로선수, 프로팀감독, 매니저 등)

1회 부여 체류기간의 상한

2년

공관장재량으로 발급할 수 있는 사증

☞ 예술흥행(E-6) 자격은 모두 사증발급인정서에 의해 사증발급 불법체류다발 고시국가(21개국) 및 테러지원국가(4개국) 국민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자국 공관에 사증신청 및 발급 단, 제3국의 영주권 또는 재입국허가서 등을 소지한 경우에는 제3국 소재 자국공관에 사증 신청 및 발급가능

사증발급인정서 발급대상

1. 체류기간 2년 이하의 예술흥행(E-6) 사증발급인정서 발급 공연추천기간, 고용추천기간, 근로계약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적정 체류기간을 부여

453


첨부서류 ①사증발급인정신청서 (별지 제21호 서식), 여권, 표준규격사진 1매 ②사업자등록증 사본 ③고용계약서 사본

사증발급인정서 발급대상

공연법 규정에 의한 공연을 하려는 경우

영상물등급위원회의 공연추천서 ④ (추천제외대상공연은 면제) ⑤ 공연계획서

관광진흥법에 의한 호텔업시설, 유흥업 소 등에서 공연 또는 연예활동에 종사 하려는 경우

④ 영상물등급위원회의 공연추천서* * 관광업소에서의 연주, 가요, 곡예, 마술에 대한 공연추천은 ‘주한 미8군 영내클럽, 관광진흥법상3급이상관광호텔, 관광유람선, 휴양콘도미니엄, 관광극장유흥업, 외국인전용음식점, 국제회의시설의 부대시설’을제외하고추천하지않음 - 단, 관광업소중 공연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된 공연장(예: 워커힐호텔, 부산롯데호텔등)에서의퍼레이드·쇼·뮤지컬 등 가무적 요소를 갖춘 공연과 유원시설(예: 에버랜드, 롯데월드, 서울랜드 등) 및 국제회의시설의 부대시설(코엑스·벡스코 등 무역전시장 및 롯데·하얏트 등 특급호텔)에서의 ‘가무’도 공연추천 ⑤ 연예활동계획서 ⑥ 자격증명서 또는 경력증명서 ⑦ 신원보증서

그 밖의 경우

④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고용추천서* 또는 고용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서류*** 광고·패션모델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고용추천서, 방송출연자등에대한미래창조과학부의고용추천서 등** 프로축구등운동선수·지도자·심판등에대한소속회사 (연맹)의 고용추천서, 주무부처장관의 협조공문, 초청단체(자)의 초청사유서 및 활용계획서또는사업계획서, 상금이걸린운동·바둑·노래 등의 대회참가자에게 주최측이 발급한 참가자 확인서 등

☞ 대리인 신청 시 : 위임장, 대리인 재직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사본 추가 필요 ※ 출입국관리사무소장(출장소장)은 초청의 진정성, 초청자 및 피초청자의 자격 확인 등을 심사하기 위해 첨부서류의 일부를 가감할 수 있음

45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 예술흥행 (E-6) [외국인 체류]

해당자

유럽

활동범위

수익이 따르는 음악, 미술, 문학 등의 예술활동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연예, 연주,연극, 운동경기, 광고, 패션모델 등으로 출연하는 흥행활동 창작활동을 하는 작곡가, 화가, 조각가, 공예가, 저술가 및 사진작가 등의 예술가 음악, 미술, 문학, 사진, 연주, 무용, 영화, 체육, 기타 예술상의 활동에 관한 지도를 하는 자 (예 :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감독, 오케스트라 지휘자 등) 출연형태나 명목을 불문하고 수익을 위하여 개인 또는 단체로 연예, 연주, 연극, 운동 등을 하는 자 (예 :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선수 등) 스스로 연예, 연주, 연극 등에 출연하려는 자 뿐만 아니라 분장사, 매니저 등 동행하는 자를 포함함

1회에 부여할 수 2년 있는 체류기간 상한

체류자격외 활동

1. 합법체류 등록외국인(A-1, A-2, A-3 포함)으로서 방송*, 영화, 모델 활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 비영리목적으로 지상파방송에 게스트 등으로 임시(1회 및 비연속성) 출연하는 경우에는 일상생활의 부수적 활동으로 간주하여 별도의 허가 없이 활동 허용(식비, 교통비 등 실비 수준의 사례금 수령 가능) 가. 제외대상 세부자격 약호 E-6-2 활동에 종사하려는 경우는 체류자격외 활동허가대상에서 제외 나. 제출서류 ①신청서(별지 34호 서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수수료 ②고용계약서 ③공연추천서(문화체육관광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추천 필요) ④사업자등록증 등 단체 등 설립관련 서류 ⑤원 근무처장의 동의서(해당자) ⑥A-1, A-2자격 소지자의 경우 외교부장관(의전외빈담당관)의 추천서 ☞제출서류 및 체류실태 등을 종합 심사하여 허가여부를 결정 2. 체류자격외활동허가 면제범위 확대 원래의 체류목적을 침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정규교육기관(초 중 고 및 대학)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때는 체류기간 범위 내에서 별도의 허가절차 불요(‘09.6.15.부 시행) 3. 고액투자외국인 및 전문인력 배우자에 대한 취업가. 허용대상 고급과학기술인력(SCIENCE 카드) 및 첨단기술인력(GOLD 카드), 정보기술인력(IT카드)자격 소지한 전문 외국인력의 배우자 미화 50만불 이상 투자(법인포함)한 투자자격 소지자의 배우자 전문 외국 인력자격(E-1, E-2, E-3, E-4, E-5, E-6-2를 제외한 E-6, E-7) 소지자의 배우자 나. 허용분야 : 단순노무(D-3, E-9)를 제외한 모든 직종에 대한 체류자격외 활동허가 다. 허가기간 : 배우자의 체류기간까지(계속연장 가능) 라. 제출서류 : 규칙 제76조에 의한 체류자격별 첨부서류(신원보증서 생략) ※ 특정활동(E-7)에 종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E-7자격 사증발급인정서 발급 지침 준용

455


E-6-1(음악, 미술, 문학 등의 예술, 방송연예활동) E-6-3(운동선수, 프로팀 감독, 메니저)

사후 신고대상

1.‘10.11.15.부 사후 신고제로 개정(출입국관리법시행령 제26조의2제1항) 전문인력 활용도 제고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차원에서 전문인력에 대해서는 기존 사전허가를 사후신고만으로 근무처를 변경·추가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법무부고시 제11-510》

근무처의 변경·추가

가. 자격요건 호텔업 시설, 유흥업소 공연활동 종사자(E-6-2)를 제외한 예술흥행(E-6)자격으로 외국인등록을 하고 체류하고 있는 자로 변경·추가되는 근무처에서 활동하는데 필요한 자격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자 ※자격요건을 갖추었더라도 본인 귀책사유로 해고 또는 중도 퇴직한 자로서 원고용주의 이적동의를 받지 못한 자는 제외 나. 신고절차 등 신고의무자(외국인)는 신고사유 발생일로부터 15일 이내에 관할 출입국 관리사무소장에게 신고(대리인의 신고 허용) ※여권에 근무처변경·추가신고 스티커나 신고인을 부착 또는 날인·기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방문신고를 원칙으로 함 (다만, 신고기한 임박 등 긴급한 경우에는 FAX로 선 접수하고 조속히 방문하여 스티커 부착 등의조치를 하도록 안내) 다. 제출서류 ①근무처변경 추가 신고서[별지 제38호의3서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수수료없음 ②사업자등록증 ③원 근무처 장의 동의서 ④고용계약서 ⑤고용추천서 또는 공연 추천서 ※ 사유서와 신원보증서는 원칙적으로 제출 생략※원 근무처 장의 동의서는 계약기간 만료일 또는 쌍방이 근무하기로 합의한 날짜까지 근무한 경우에는 제출을 면제하며, 원 근무처의 휴·폐업 및 임금체불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입증서류 또는 사유서로 대체 가능 E-6-2(호텔업 시설, 유흥업소 등에서의 공연)

근무처의 변경·추가

456

사후 신고대상

1. 세부자격 약호가 E-6-2인 호텔 등 관광유흥업소 종사 연예인으로서 소속된 공연기획사 등이 변경되거나 추가되어 고용주 변동이 있는 경우* * 파견사업자(고용주)의 변동 없이 파견근로자보호법령 절차에 따라 공연장소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것은 근무처변경·추가허가대상이 아니고 고용주 신고사항임 (법 제19조 및 시행령 제24조) 나. 허가요령 근무처변경·추가 사유 발생 시 미리 관할 출입국관리사무소장 등 에게 체류자격 변경·추가허가를 신청 사무소장 등은 첨부서류 등을 심사하여 최대 1년의 범위 내에서 고용계약기간 동안 체류기간을 부여 다. 제출서류 ①신청서(별지 제34호 서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수수료 ②사업자등록증 ③원 근무처 장의 동의서 ④고용계약서 ⑤공연 추천서(영상물등급위원회 발행)⑥신원보증서 원본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체류자격 부여

해당사항 없음

유럽

세부자격 약호 E-6-1 및 E-6-3에 해당하는 경우 제한적으로 허용

☞ 아래 자격변경 대상자를 제외하고 국제적으로 명성이 있는 전문예술·체육인의 경우 본부승인을 얻어 변경 허용 ☞ 허가기간 : 변경허가일로부터 최대 2년의 범위 내에서 근로계약기간 + 1개월 부여 1. 유학(D-2), 구직(D-10)·예술흥행(E-6)자격으로의 변경 가. 자격요건 (아래 ①, ②, ③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함)

체류자격 변경허가

체류자격 변경허가

① 구직(D-10) 자격 또는 유학(D-2) 자격을 소지하고 합법 체류 중인 자 ② 취업활동을 하려는 분야가 교수(E-1)·회화지도(E-2)·연구(E-3)·기술지도(E-4)·전문직업(E5)·예술흥행(E-6)·특정활동(E-7) 체류자격에 해당하고 해당 자격요건 등을 구비하여야 함 ③ 취업하려는 해당 기관·단체 등의 대표자와 고용계약을 체결하여야 함

※유학(D-2) 자격 소지자는 구직(D-10)자격으로 변경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춘 졸업 예정자를 의미 (단, 자국 또는 제3국의 대학에서 이미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하고 필요한 경력요건 등을 갖춘 경우에는 재학 중이라 하더라도 변경 허용) 나. 제출서류 ①신청서(별지 34호서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표준규격사진 1장, 수수료 ② 고용계약서(또는 공연계약서) ③사업자등록증 ④ 고용·공연추천서(문화체육관광부, 영상물등급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프로스포츠 연맹 등 발급)2. 무사증(B-1·B-2자격) 또는 단기사증(C-3자격) 입국자 ·예술흥행(E-6) 체류자격 변경허가 가. 불가피한 사유가 있거나 국익차원에서 필요시에는 자격변경 허용** 입단테 스트등을받기위해입국한운동선수·연주자·무용가및상금이걸린국제대회 참가자 등의 경우 관련 입증자료 등을 제출받아 사무소장 등이 재량으로 체류자격변경허가 (체류기간기산일 기준은 자격 변경일이 아닌 입국일임) * 사무소장 등이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부의 승인을 받아 처리하고, 호텔·흥행(E-6-2) 분야에 해당하는 활동은 체류자격 변경을 금지 3. 일반 체류자격*으로 장기 체류 중인 자가 현재의 체류자격 활동을 그만두고 귀국 전에 단기간 방송출연 또는 모델활동 등을 하려는 경우 예술흥행(E-6) 체류자격 변경허가 * E-6 또는 취업에 제한이 없는 체류자격(F-2, F-4, F-5 등) 소지자 제외 4. 사증면제(B-1) 자격으로 입국한 독일인에 대한 장기체류자격으로 변경 가. 허가체류자격 : 기술연수(D-3), 비전문취업(E-9) 및 관광취업(H-1)을 제외한 모든 장기체류자격 나. 허가기간 : 체류자격별 1회 부여할 수 있는 체류기간의 상한 5. 전문외국인력의 배우자에 대한 전문직자격으로의 변경허가 가. 허가대상 전문외국인력《E-1 내지 E-5, E-6(E-6-2는 제외), E-7》자격소지자의 배우자로서 동반(F-3)자격 소지자

457


체류자격 변경허가

나. 허가분야 전문직 《E-1 내지 E-5, E-6(E-6-2는 제외), E-7》에 해당하는 모든 직종에 대한 체류자격 변경허가 다. 제출서류 ①신청서(별지 34호서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표준규격사진 1장, 수수료 ②고용계약서(또는 공연계약서) ③사업자등록증 ④고용·공연추천서(문화 체육관광부, 영상물등급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프로스포츠 연맹 등 발급) . 대상자 가 근로계약기간 연장, 근무처 변경 등으로 계속하여 체류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E-6자격 등록외국인 나. 허가기준 : 1회 부여 체류기간연장 허가기간 E-6-1, E-6-2 E-6-3

체류자격 연장허가

재입국허가

외국인등록

458

근로계약기간 + 1개월(최대 2년) 공연추천기간 또는 근로계약기간(최대 1년)

다. 제출서류 ① 신청서(별지 34호서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수수료 ② 고용추천서 또는 공연추천서 ※ 추천서 발행기관 : 영상물등급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③ 고용계약서 (또는 공연계약서) ④사업자등록증 사본 ⑤신원보증서(E-6-2자격만 징구) ⑥ 체류지 입증서류(임대차계약서, 숙소제공 확인서,체류기간 만료예고 통지우편물, 공공요금 납부영수증, 기숙사비 영수증 등) ⑦ 기타 심사에 필요한 자료* (필요 시 1 - 2종 제출) * 재직증명서, 외국인 고용현황, 근로소득원천징수부 등 1. 재입국허가 면제 제도 시행(‘10.12.1.자 개정 시행규칙) - 등록을 필한 외국인이 출국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재입국하려는 경우 재입국허가 면제 - 체류기간이 1년보다 적게 남아있는 경우 체류기간 범위 내에서 재입국허가 면제 - 입국규제 등의 사유로 재입국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학생은 체류지 관할 사무소 (출장소)에 재입국허가를 받아야 하며, 재입국허가 수수료는 면제 2. 제출서류 신청서 (별지 34호 서식), 여권, 외국인등록증, 수수료(단수 3만원, 복수 5만원) 1. 외국인등록 신청서류 및 확인사항 가. 신청서류 ① 신청서(별지34호 서식), 여권원본, 표준규격사진1장, 수수료 ②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사업자등록증 사본* * 해당 외국인을 고용한 단체 및 기업 등의 사업자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 등 (직접 고용관계가 없는 경우에는 초청단체 또는 소속 단체 등의 사업자등록증 등) ③ 채용신체검사서* 1부 (E-6-2만 제출) * 공무원채용신체검사서 발급 절차에 따르고, HIV반응 및 마약검사 항목은 필수 검사항목이 아니며, 회화지도(E-2) 강사 등에 대한 지정병원제 규정 비적용 2. 외국인등록사항 변경신고 가. 신고사항 : 성명, 성별, 생년월일 및 국적, 여권의 번호 발급일자 유효기간 나 . 신고기한 : 변경일로부터 14일 이내 신고 다 . 제출서류 ① 신청서(별지 34호 서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수수료 없음 ② 변경관련 입증서류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2) 안전정보

Ⅰ 유럽

 여행경보단계 3단계(여행제한)

동부 5개 주 (하카리/시르트/시르낙/반/디야르바커 주)

2단계(여행자제)

동부 5개 주 (툰셀리/빙골/비트리스/바트만/마르딘 주)

1단계(여행유의)

5개 주 (무스/아그리/엘라직/오르두/오스마니아 주)

■ 여행경보단계별 권고사항 • 1단계 : 신변안전 유의 • 2단계 : 신변안전 특별유의 / 여행 필요성 신중검토 • 3단계 : 긴급한 용무가 아닌한 귀국 / 가급적 여행 취소·연기

 사건·사고의 현황 가. 테러, 인질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터키는 최근 성장하는 경제와 안정적인 정치체제 하에서 비교적 양호한 치 안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간헐적으로 정부기관을 노린 테러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슬람국이면서도 미국·이스라엘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 친서방 정책을 펴왔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근 이슬람 무장 세력에 의한 테러의 표적이 되고 있기도 하다. 나.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터키의 치안은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어 강도 등 강력범죄 발생률이 낮은 수준인데, 최근 좀도둑 등 생계형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관광지 주변에는 소매치기 혹은 호객행위 등이 많은 편으로 주의가 요구된다. 이스탄불 등 대도시는 비교적 치안이 안정되어 있다. 하지만 일부 외국인 을 상대로 지나친 친절을 베풀면서 수면제가 들어있는 음료수를 먹인 후 돈, 여권 및 중요한 소지품을 훔쳐 도주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특히 외국인 비즈니스맨이 주로 투숙하는 이스탄불 최대 번화가 탁심 지역

459


에서는 외국인에게 수입상인 것처럼 접근하여 인근 술집으로 데려가 엄청난 바가지를 씌우는 일도 있다. 일단 당하고 나면 경찰을 불러도 소용없으므로 조금이라도 의심이 되면 절대 따라가서는 안 된다. 경우에 따라 상담을 원한 다면 호텔 로비나 식당에서 하는 것이 좋다.  자연재해

터키 전역에 걸쳐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1999년 이즈밋(Izmit)에 서 발생한 지진으로 18,000여명이 사망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엘라즈으주, 반, 페티예 등의 지역에서 지진이 일어나기도 하였 다. 또한 우기철에는 이스탄불을 비롯한 마르마라해 지역과 에게지역, 흑해지 역에서 집중강우로 인한 홍수피해가 발생한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겨울철 강 한 바람을 동반한 폭풍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 유의해야할 지역

여행경보가 해제된 지역이라고 해도 최근 테러 발생현황, 일반 사건·사고 발생현황 등을 감안하여 우리 여행자들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010년 10월, 2011년 5월 이스탄불 시내에서 폭발물 테러가 발생하였으 며, 2011년 9월에는 앙카라 시내 중심가에서 폭발물 테러가 발생하는 등 대 도시에서의 테러발생 위험이 아직 상존하고 있다. 이스탄불 등 주요 관광지는 절도, 소매치기 등 강력범죄 발생위험에 관해 계속적으로 유의를 촉구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여성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성폭행 위험에 대해서도 주의가 요구된다. 이스탄불 이외 지중해 지역 주요관광지에서의 PKK의 테러 활동은 최근 줄어든 것으로 파악되나, 동 지역에서의 테러 위험성과 성폭행 등 여성 관광 객을 대상으로 한 강력사건 발생 위험은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46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9 현지 문화

유럽

 인샬라!

터키인들이 약속을 정할 때나 자신이 소망하는 바를 말할 때 답변으로 하 는 말이며, 말을 있는 그대로 풀이하자면 ‘신의 뜻이 있다면’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단어는 중동의 시간개념이 터키에 들어온 것을 보여주며, 약속에 약 간 늦거나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때 하는 변명으로도 인식이 되어 터키 문화 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에게는 별로 좋지 않은 인상을 느끼게끔 하는 말이기 도 하다.  윤리관

터키에서는 이슬람교가 전통적 윤리의 근간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서구화 된 일부 계층을 제외하고는 계층 간 윤리관의 차이가 그다지 심하지는 않으며, 대도시의 평범한 시민들보다는 촌락 및 보수적인 소도시의 거주민들이 전 통적 윤리에 더 구속되고 있다. 케말 아타튀르크 초대 대통령은 세속화 개혁 정책을 통해 터키인들의 변화 를 시도하였으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슬람의 가치가 여전히 터키 인들의 사고방식을 좌우하고 있다.  용사(Gazi)

터키인들은 그들이 ‘용사’라고 일컫고 있는 가지(Gazi)의 정신을 윤리의 주 요 덕목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지의 자세는 군인 및 개척자, 신앙의 수호자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정신이며, 이와 더불어 절제 및 용맹, 충성 심, 과감성을 함께 지녀야 한다. 이러한 가지 정신은 터키인들에게 있어서 가 장 이상적인 사회윤리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슬람의 정의구현에 있어서도 필 수적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 관습 및 예절

대부분의 터키인은 집안에 들어갈 때 신발을 벗기 때문에 초대를 받았을

461


경우, 손님은 문 쪽에 신을 벗어 놓고 슬리퍼를 신으면 된다. 그러나 주인은 신발을 벗을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라도 역시 신 발은 벗는 편이 좋다. 터키인을 방문할 경우 사탕이나 과일, 꽃을 선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터 키인들은 손님 접대를 정성껏 하는 편이며, 손님 접대시에는 꽃, 터키 차나 커 피를 대접한다.  세속주의 이슬람교

터키는 정치와 종교가 분리된 세속국가로서 1923년 헌법에서 이를 선언 하였으나 전체 국민의 약 97%가 이슬람교 수니파이다. 터키의 법률이나 사회기구가 이슬람 원리를 따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슬람의 전통과 관행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법의 해석 및 적용에 있어서 종교적 영향을 무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터키는 헌법상으 로 모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1961년 개정된 헌법 제 19조는 “모든 개인은 양심과 신앙과 의견의 자유 를 가지며 모든 종류의 예배나 종교행사 및 의식은 도덕 및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한 자유이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로써 터키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종교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 언어

터키 인구의 약 90% 이상이 터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 시골 및 동 부, 남부의 이주민들 사이에서는 쿠르드어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데 인구의 약 7% 정도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인구의 약 1%가 아랍어를 쓰고 있으며 주로 동남부 아나톨리아 지역 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 이스탄불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극소수의 주민 들에 의해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관청 및 일류 호텔, 항공회사 등에서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이 통용된다.

46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 교육

유럽

터키의 교육여건은 정부의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터키인의 요구에 부응하기에는 아직도 부족한 실정으로서, 도시와 지방간 교육시설 에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1923년 터키공화국이 건국된 당시에는 10명 중 1명만이 아랍어 표기에 의한 책을 읽을 수 있었으나, 현재는 국민의 약 90% 이상이 라틴문자 표기에 의한 책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터키에서는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은 무료이며 남녀공학으로 운영되고 있다. 초중등학교에서는 영어나 프랑스어, 독일어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고등교육을 받고자 희망하는 사람은 국가시험을 치른 후 합격된 자에 한하여 진학할 수 있으며 터키에는 169개의 대학이 있는데, 이 중 가장 오래된 대학 은 1453년에 설립된 이스탄불 대학이다.  관광

터키에는 히타이트 유적을 비롯하여 고대 그리스, 로마, 비잔틴, 셀주크 및 오스만제국 등 동서양 문명의 유적이 전국 각지에 산재하여 있으며, 지중해성 기후 조건 등 관광지로서 최적의 여건을 갖추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관광지 개발 및 외국 관광객 유치 정책으로 에게해, 지중해 연안에 리조트 관광지가 많이 개발되었으며, 비교적 저렴한 관광비용 때문에 유럽 및 아시아 지역의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터키에는 이스탄불, 사프란볼루, 보아즈쿄이, 트로이, 파묵칼레 등 유네스 코가 지정한 세계 자연문화유산이 9개가 있으며, 2009년에는 터키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가 2,700만 명에 이르는 등 관광 대국이라고 할 수 있다.  인사

터키 사람들은 프랑스식의 인사와 같이 볼을 맞대는 인사를 하며 먼저 오 른손을 뻗어 악수를 한 뒤 서로의 볼을 맞대어 인사를 하고, 프랑스식 인사와 조금 다른 점은 먼저 오른쪽의 볼을 서로 맞대지 않고 왼편의 볼을 먼저 맞댄 후 오른편의 볼을 맞대며, 이성간에는 친밀한 관계, 친지 및 가족이 아닌 이상 볼 인사를 하지 않는 것이 예의이다.

463


 차 문화

터키 사람들은 홍차와 비슷한 차를 하루에 수도 없이 마시며 생활한다. 터 키 동북부 흑해지역에서 나는 차가 터키에서 가장 고급으로 인정을 받는데, 흑해 지역은 비가 많이 오고 여름기간 동안 햇볕이 아주 강해 찻잎이 자라기 에 최고의 조건이다. 에스프레소 잔과 비슷하게 생긴 찻잔을 사용하며 한 잔에 각설탕 2~3개를 넣을 정도로 달게 먹는 것을 선호한다.

10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경찰 긴급시 : 155 ■ Ambulance : 112 ■ 화재신고 : 110 ■ 긴급 의료지원(언어소통 문제로 인해, 공관원 또는 현지직원의 지원 필요) • 긴급의료기관 요청 전화 : Cankaya 병원(앙카라, 전화 : 0312-426-1450), Guven 병원(앙카라, 전화 : 0312-468-7220), American 병원(이스탄불, 전화 : 0212-311-2929) • 야간 의사 문의 : 상기 종합병원 등에 요청 • 야간 약국(공휴일 포함) : 휴일에는 약국마다 공휴일 근무 약국 표시함.

■ 차량수리 : 시내 외곽 정비소 단지에 차량종별 정비소 소재 ■ 전화고장시 : 우체국(PTT)에 고장신고(121) ■ 수도, 전기 등 고장시 : 187(가스), 418 0622(전기), 185(수도) ■ 열쇠를 두고 잠근 경우 : ‌ 열쇠가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 나, 아파트의 경우 관리실에서 마스터 키를 보관 하는 경우도 있다. ■ 분실물센터 : 없음

46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2) 의료기관 연락처

Ⅰ 유럽

고급 사립 병원을 제외하고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의사가 많지 않으므 로 공관원 또는 현지직원의 통역 지원이 필요하다. 앙카라 Cankaya 병원 및 Guven 병원, 이스탄불 American 병원에서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의사가 있으므로 타 병원에 비해 진료를 받기에 수월 하지만 진료비가 비싼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 진료비는 약 10만원, 각종 검사비는 약 40만원정도 이므로 터키에 오기 전 한국에서 여행자 보험에 가입 하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진료 후 병원비를 영문 영수증으로 받을 수 있다. 일부약품(감기약, 지사제 등)은 처방전 없이도 구입이 가능하나 전문적인 치료약의 경우에는 처방전이 있어야만 구입이 가능하다. 의료 수준이 한국에 비교해 볼 때 낮은 편은 아니나 의료 서비스 체계는 미비한 편이라 장시간 대기, 검사결과가 늦게 나오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3) 대사관 연락처 ■ ‌ 주소 : Alacam Sok(알라참 소칵) No.5, Cinnah Caddesi(진나 잣데시), Cankaya(찬카야), Ankara 06690, Turkey(대통령궁 인근 Cankaya구에 소재한 Cinnah Caddesi 진입 후 150m 우측골목) ■ 전화번호 : +90-312-468-4821~3 ■ Fax(대표) : +90-312-468-2279 ■ 영사업무 Fax : +90-312-426-7872 ■ 대표 E-mail : turkey@mofa.go.kr ■ 비상연락처(사건사고 등) : +90-533-203-6535 ※ 한국문화원

■ 주소 : Paris cad. No. 74 Kavaklidere, Cankaya, Ankara ■ 전화번호 : +90-312-468-3050 ■ Fax : +90-312-468-2059

465


■ 홈페이지 : tr.korean-culutre.org ※ 주이스탄불총영사관

■ 주소 : KAPTANPASA MAH. PIYALEPASA BULVARI NO.73 ˇU PLAZA KAT:18 OKMEYDANI 34484 SI S L I/ ORTADOG ISTANBUL-TURKEY ■ 전화 : +90-212-368-8368 ■ Fax : +90-212-320-7413 ■ 대표 Email : Istanbul@mofa.go.kr ■ 비상 연락처 : +90-533-651-0752

11 기타 (1) 날씨 내륙지방은 대륙성 기후이며 해안지방은 해양성 기후이다. 지중해 및 에게 해 연안은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로서 여름은 대체로 고온 건조하며 겨울은 온화하고 습하다(연평균 기온 18℃~20℃). 흑해연안은 온화한 해양성 기후로서 연중 고른 분포의 강우량(연평균 2,500mm)을 기록하고 있으며, 기온의 월교차가 거의 없다.(연평균 22℃~ 24℃). 북동부 및 아나톨리아 고원지대는 대륙성 기후를 보이고 있어서 여름 에는 고온 건조하며,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 1~2월이 가장 추우며, 겨 울철 평균기온은 0℃~10℃ 이다.

(2)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터키의 운전문화는 세계에서 가장 거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시내에서 도 상당히 빠른 속도로 달리는 차량이 많기 때문에 여행자들은 항상 조심하여

46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터키

보행하여야 한다.

유럽

좌우 방향표시 등을 켜지 않은 채 차선을 바꾸거나 차량 간 안전거리를 무 시한 채 달리는 차량이 많으므로 운전에 매우 유의하여 운전하여야 한다.

(3) 기타 ■ 환전 호텔 및 고급레스토랑 이외에는 달러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어려우며, 시 내 곳곳에서 DOVIZ라고 불리는 환전소에서 환전을 할 수 있다.

467


29. 포르투갈

1 개황

•수

도 : 리스본(시내 50만 명, 수도권내 210만 명)

•인

구 : 1,082만 5,000 명(2013말 현재)

•면

적 : 92,141.5㎢(한반도의 약 2/5)

•민족구성 : 이베리아족, 켈트족, 라틴족, 게르만족, 무어족 등의 혼혈 •종

교 : 카톨릭(90% 이상)

•시

차 : 우리시간 -9(썸머타임 적용시 -8(3월 말~10월 말))

•언

어 : 포르투갈어

•1인당 GDP(2014년 기준) : 16,638유로 • 우리나라와의 교역(’14년, 한국기준, 한국무역협회 자료):총교역 6.74억 달러 (수출 4.93억 달러, 수입 1.81억 달러)

2 문화적 특성 포르투갈 문화는 역사적으로 켈트·이베리아·게르만·로마·아랍 등 여 러 문명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특히 포르투갈이 최고 전성기를 구가했 던 15~16세기 대항해시대에 동양, 아프리카, 남미 국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46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여러 문명의 문화가 건축·민속·음악·예술·문학·음식 등 다방면에 걸쳐

유럽

유입되어 오늘날까지 이러한 영향이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타 문화에 대한 관용적인 수용은 오늘날 포르투갈을 찾는 이민자, 외국인, 또는 관광객들에 대한 포르투갈 국민들의 우호적인 태도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 주요 분야별 특징

•건축 포르투갈의 건축은 유럽의 일반적인 건축양식 외에 15세기 대항해시대에 나타난 포르투갈만의 독창적인 건축양식인 마누엘(Manuel) 양식을 가지고 있다. 마누엘 양식은 후기 고딕양식에서 르네상스 양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서 생겨난 것으로 신대륙 발견에서 영감을 얻어 해양을 주제로 한 장식 모티 브가 특징이며 리스본시의 벨렝탑, 제로니무스 수도원을 비롯하여 전국에 걸 친 유명 문화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랍 건축양식에서 영향을 받은 타 일(아줄레주, Azulejo)은 많은 성당 건물의 내외부와 주요 유적지들을 장식 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 문화자산 중의 하나이다. •음악(파두, Fado) 파두는 ‘운명’을 뜻하는 라틴어 ‘fatum’에 어원을 두었으며, 검은 의상을 입 은 가수가 포르투갈 고유의 기타(guitarra) 반주에 맞춰 부르는 전통가요이 다. 서민들의 사랑, 슬픔, 그리움, 격정 등의 감정을 포르투갈 특유의 멜로디 에 실은 것으로 20세기 들어 아말리아 로드리그스(Ama′lia Rodrigues, 1921 -1999)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현재는 신세대 대표적인 파 두가수 마리자(Mariza) 등이 세계무대를 누비며 Fado를 전파하고 있다. (파두는 2011년 11월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음식 포르투갈의 음식은 지중해와 대서양의 영향을 받아 빵, 올리브유, 포도주, 야채와 생선을 위주로 한다. 대항해시대를 거치면서 향료와 이국적인 요리재 료들을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동양, 아프리카, 남미 요리들이 포르투갈

469


요리에 영향을 끼쳐서 매운 음식도 많고, 마늘과 쌀을 다른 유럽 국가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소비한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포르투갈의 한류팬들은 아직 K-Pop 동호회를 중심으로 커버 댄스, 가사 외우기 등의 활동을 하는 정도에 불과하나, 이제 확고한 기반을 내리고 점차 저변을 확대해 가고 있다. 또한 K-Pop에서 시작된 동호회의 관심이 점차 한국어, 한식,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한류팬이 크게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2013년 2월부터 포르투갈 양대 케이블 및 위성방송 공급회사 Zon과 Meo 사가 KBS 월드를 방영함에 따라 포르투갈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드라마를 볼 수 있어 한류팬과 한국문화 애호가의 저변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영화

2001년 영화 <쉬리>가 우리 영화 최초로 개봉된 이후, 현재까지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취화선”, “실미도”, “마더”, “시”, “설국열차” 등 총 26편의 우리 영화가 상영되었으며, 이중 2007년 개봉한 영화 <괴물>이 최대 관객(약 10만명)을 동원하였다. 홍상수 감독은 포르투갈 전문 영화인들의 가 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포르투갈 최대 국제영화제인 Fantasporto를 통해 2001년부터 거의

47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매년 소개되어 오고 있는 한국영화중 김기덕 감독의 “섬”(2001년), 김지운 감

유럽

독의 “장화홍련”(2005년),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2005년)와 “친절한 금자 씨”(2006년), 임필성 감독의 “헨젤과 그레텔”(2009년), 박찬욱감독의 “박 쥐”(2010), 김지운 감독의 “악마를 보았다”(2011년), 임상수 감독의 “하 녀”(2011년), 김기덕 감독 “피에타”(2013년)가 그간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 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 K-Pop

현재 포르투갈에 확산되고 있는 한류는 K-Pop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한류 동호회도 K-Pop에 기반을 두고 시작하여 한국어, 음식 등 한국문화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2014년 7월 한국 K-Pop 그룹으로는 최초로 Lunafly의 공연이 포르투갈 에서 개최되었으며 특이한 점은 K-Pop팬 7여명이 현지 공연기획사를 거치 지 않고 자발적으로 공연을 성사시켰다. 한류팬들에 따르면 유투브나 페이스 북 등 및 친구의 소개를 통해 처음 K-Pop을 접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 한류의 상륙 시기

구체적인 시점 파악은 어렵다. 다만 유투브, facebook 등이 널리 보급되기 시작한 2007년경부터 K-Pop 위주로 한류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가장 인기있는 한류

■ K-Pop : ‌ 방탄소년단, 슈퍼주니어, 2NE1, 빅뱅, 비스트, 샤이니, 소녀시대, 엑소, 씨스타, 씨크릿, 블락B, 4Minute, 데프콘, Lunafly 등 ■ 영화 : 홍상수 감독, 박찬욱 감독, 김기덕 감독

471


 한류 파워인물

■ K-Pop : 슈퍼주니어, 빅뱅(G-드래곤), 2NE1, 김현중, 윤아 등 ■ 배우 : ‌ 김수현, 이민호, 박신혜, 장근석, 이종석, 소지섭, 전지현, 유인나, 안재현 등 ■ 개그맨 : 신보라, 김지민, 박명수  한식

K-Pop 팬 증가 및 우리나라의 대외이미지 제고에 따라 한식에 호기심을 갖는 현지인들도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포르투갈에는 한국음식점이 전무하 여 아쉬운 상황이다. 다만 리스본 시내 2~3곳의 아시아 요리 전문식당 메뉴에 비빔밥과 불고기 가 포함되어 있으며 중국 및 아시아 식품점에서 한국 과자, 라면 및 장류를 판 매하고 있다. 주포르투갈대사관은 2013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한국 문화주간 을 통해 한식 워크샵, 김치 워크샵 등 한식홍보 행사를 해 오고 있다.  한국어

현재 포르투갈 리스본의 신리스본 대학교 세종학당과 언어센터(ILNOVA) 및 한인회 한국어학교에서 한국어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 세종학당(수강생 : 30명) ■ ILNOVA(수강생 : 5명) ■ 한인회 한국어학교(수강생 : 25명)  기타 산업 파급효과

포르투갈의 경우 한류 확산의 초기 단계인 만큼 기타 산업 파급효과를 언급하기는 시기상조다.  최근 주요 행사

2014년 7월 29일 한국 K-Pop 그룹 최초로 Lunafly가 리스본 Paradise Garage Entertainment 에서 콘서트를 가졌다.

47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유럽

포르투갈의 TV 프로그램 및 문화공연 등을 살펴볼 때, 주로 장년층 위주의 전통적인 문화가 지배하고 있으며 청소년층의 호응을 얻기 어려운 상황임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상황에서 포르투갈 청소년들은 K-Pop을 통해 문화적 갈망 을 해소하며, 또한 K-Pop을 좋아하는 이유는 첫째, 지금까지 접해온 음악과 는 많이 다른 신선함과 독특함, 둘째, 화려한 비쥬얼과 뛰어난 퍼포먼스, 셋째, 아이돌 가수들의 수년간 훈련과 노력을 통한 결정체를 보면서 받게 되는 정신 적 자극과 격려, 넷째, 국가, 언어, 인종의 벽을 넘어 노래를 통해 젊은이들이 지구촌 한 가족의 일원으로 갖는 일체감 등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포르투갈인들이 직접 설명한 한류를 좋아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 ‌ RRenata Valente Barbosa : “K-Pop은 단순히 음악을 듣는 즐거움만이 아닌 아시아 전역을 비롯하여 미국과 유럽까지 확산된 문화운동이다. 한류 는 음악뿐만 아니라, 언어, 문화, 역사, 관습부터 각 나라에 존재하는 작은 차이 까지를 좋아하는 것이다. 한류는 이미 아주 중요한 내 인생의 한 부분 이 되었고, 인터넷을 통해서만 알고 있는 한국에서 장래 꼭 살고 싶고 일하 고 싶다.” ■ ‌ Maria Ferreira : “K-Pop은 음악 스타일만이 아닌 삶의 스타일이기도 하 다. 다른 음악과 다른 점은 음악과 가사를 통해 전하는 느낌이 국가, 언어, 인종과 상관없이 팬들을 큰 가족처럼 화합시킨다는 것이다. 슈퍼주니어의 노래 가사는 나의 목표 달성에 많은 격려가 되고 있다.” ■ ‌ Rita Saraiva : “무엇인가 또는 누군가를 좋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단어 가 없다고 항상 얘기하는데 한류에 대한 나의 사랑과 애정이야말로 한 마 디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K-Pop은 음악이 세계를 화합시킨다는 하나의 본보기이다.” ■ ‌ Carla Aguiar : “K-Pop은 음악을 통해 모르는 사람까지 단결시키는 능 력을 갖고 있다.”

473


■ ‌ Carina Arau ´joa : “한국드라마 팬으로 인터넷을 통해 약 100편 이상 시청 했다. 한국드라마를 보기 전까지 한국에 대해 전혀 몰랐기 때문에 처음에 는 모든 것이 충격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싹트기 시작해 한국어를 공부하고 한국에 대해 더 공부하게 되면서 한국 문화에 매료되고 있다.” ■ ‌ Felipa Rodrigues : “한류와 K-Pop을 좋아하는 이유는 서양에서 듣고 보 고, 판매되고 있는 것과 너무 달라서 신선하다는 점이다. 한류를 홍보하는 사람들의 일과 노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그들처럼 본인의 목적을 최대 한으로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싶도록 해준다. K-Pop과 한류의 환 상적이고 긍정적인 영향 없는 내 인생을 상상할 수 없다.” ■ ‌ Ca′tia Mota:“K-Pop은 내 성격을 바꿔주었고 숨겨져 있다고 생각했던 꿈을 믿게 해 주었다. 먼 거리와 언어장벽과 무관하게 그들과 연결되어 있 음을 느꼈다. K-Pop을 알게 되어서 더 많은 영감과 꿈을 갖게 되었고 K-Pop에 열정을 바쳐 헌신하면 멀리 갈 수 있겠다는 것을 배웠다.” ■ ‌ Ana Raquel Martins : “K-Pop은 본인에게 현실로부터의 도피이다. 경 쾌한 음악과 춤은 전염성이 있어서 슬플 때는 좋아하는 가수들이 참가하는 연예 프로그램을 보며 위안을 얻는다. K-Pop은 이미 내 인생의 일부이다.” ■ ‌ Cristina Ferreira : “한국 가수들의 재능에 매료되어 삶이 변했고 진정한 나를 발견하였으며, 나와 동일한 취향을 가진 여러 사람들을 알게 되었고 한국문화에 대해 더 알게 되어 스스로의 자부심도 향상되었다.” ■ ‌ Gabriel : “K-Pop의 매력은 환상적인 비디오클립, 그리고 비트가 빠른 음악뿐만 아니라 슬프고 더 잔잔한 음악을 만드는 능력도 소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1년부터 한국드라마와 영화를 보기 시작하면서 도시, 문화, 음 식 등 한국에 관한 모든 것에 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 ‌ Ine ^s Pinheiro : “K-Pop을 3년 전 알게 된 이후, 멜로디와 공연, 가사 등 에 매료되었으며, 또한 한국 문화, 역사, 왕조, 음식, 포르투갈과는 다른 요리 맛과 재료, 전통, 의식, 축제, 윤리관 등 모든 면에 매료되었다.”

47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유럽

포르투갈 한류팬은 10대와 20대 연령의 젊은 K-Pop 팬이 주가 되고 자 칫 한국문화를 K-Pop으로 등식화하는 오류에 빠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K-Pop을 산출한 우리문화의 다양성과 깊이를 소개하여 이들의 관심을 한국 문화 전반으로 확대시키고 연령대를 초월한 저변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유럽인들의 경향과 같이 포르투갈 사람들도 자국문화에 대한 자 긍심이 강하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데에 약간 더디고 보수적인 경향이 있 어 인내심을 갖고 사전 충분한 시간을 갖고 철저한 기획을 통해 행사를 준비 할 필요가 있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포르투갈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주로 K-Pop을 중심으로 하는 동호회이 며 온라인에서는 주로 가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오프라인에서는 플래시 몹, 댄스경연 등의 행사를 통해 회원들 간 교류하고 있다. 회원들의 연령대는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파악된다.

(2) 동호회별 현황  Movement I Love K-Pop 성격

K-Pop 동호회

회원수

1273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MovimentoILoveKpop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회원들에게 K-Pop 관련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 제공 •(오프라인) K-Pop 및 한국문화 홍보 연례행사 개최(12월)

475


 KPOPT PT 성격

한국문화 및 K-Pop 홍보

회원수

2147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kpopt.pt#!/kpopt.pt/timeline

세부활동 현황

• (온라인) K-Pop 관련 공연소식,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 제공 및 회원 간 교류

 Block B Club Portugal 성격

블락비 팬클럽

회원수

436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blockbustersportugal.blogspot.pt/ •https://www.facebook.com/pages/Block-B-Club-Portuga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블락비 관련 동향, 사진,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 간 교류

 BEAST Portugal 성격

비스트 팬클럽

회원수

217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2stportugal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비스트 관련 동향, 사진,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 간 교류

 SHINee Portugal 성격

샤이니 팬클럽

웹사이트 주소

•http://shineeshiningportugal.blogspot.pt/ •https://www.facebook.com/shineshiningportugal?sk=wall •https://twitter.com/SHINeePortugalF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SHINee 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 간 교류

~

 2NE1 - Fa s Portugal

476

성격

2NE1 팬클럽

웹사이트 주소

http://portugal2ne1.blogspot.pt/ https://www.facebook.com/ shineshiningportugal?sk=wall#!/2NE1.pt

세부활동 현황

•(온라인) 2NE1관련 동향, 동영상 등 정보 제공 및 회원간 교류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7 2014년 문화행사

유럽

■ 제 1회 ‘에세이온 코리아’ 콘테스트(대사관 주관) •시기 : 2.24, 인터넷 접수 •우수상 3작품 및 참가상 9작품 선정

■ 제 2회 한국문화주간(대사관 주관) •시기 및 장소 : 6.23-27, 동양박물관 • 한식, 보자기, 서예, 한글, 태권도, 한지공예, 한복 체험행사, 영화(왕의 남자) 상영회 및 한국문화 강연회

■ 퀴즈온 코리아 지역예선 개최(대사관 주관) •시기 및 장소 : 6.28, 신리스본대학 •K-Pop 팬등 30여명이 출전, Joana Silva가 1위를 차지하여 최종 본선에 진출

■ 청주시립무용단 Casa da Musica 초청 공연 •시기 및 장소 : 7.19, Casa da Musica(Porto) •전통무용, 사물놀이, 판소리 등 공연

■ K-Pop팀(Lunafly) 공연 •시기 및 장소 : 7.27, Paradise Garage Entertainment •주재국 K-Pop팬 7명이 자발적으로 한국 기획사를 접촉, 공연성사

■ K-Pop 월드페스티벌 지역예선(대사관 주관) •시기 및 장소 : 8.3, 동양박물관 •가창 및 퍼포먼스 부문 21개팀 경선, 이중 Filipa Cardoso양이 최종 본선 진출

■ 한국문화공연(대사관/KF 공동주관) •시기 및 장소 : 12.1, Tivoli 극장

477


•비보이, 팝핀 및 전통타악 그룹공연

■ 한국문화 애호가의 밤(대사관 주관) •시기 및 장소 : 12.12, 대사관 회의실 •대사관 공공외교활동 소개 및 한국 방문자 소감발표 등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여행객

외교관, 관용, 일반여권에 대해 쉥겐협약에 따라 사증면제협정(90일)이 적용되며, 여권 잔여유효기간은 체류기간에 3개월을 합산한 것이다. (예를 들 어, 1개월 체류시 잔여유효기간은 4개월이어야 함)

 공연비자

비수익 공연을 위한 방문의 경우, 일반여행객과 같이 90일 사증면제가 적 용된다. 수익 공연을 위한 방문의 경우, 취업비자를 받아야 하며, 동 비자로 6개월까지 체류 가능하다. 6개월 이상 체류해야 하는 경우에는 취업비자를 갱신하거나 거주중으로 변경해야 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주한포르투갈 대사 관에 문의하도록 한다.  주한포르투갈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원서동 171 원서빌딩 2층 ■ 전화 : 3675-2251 ■ 근무시간 : 오전 9시~오후 5시(점심시간 12시~1시) ■ 홈페이지 및 이메일 : www.portugalseoul.com, embport@chol.com

47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2) 안전정보

Ⅰ 유럽

 여행경보단계 : 미분류  사건·사고의 현황

포르투갈에는 아직까지 테러가 발생한 적이 없다. 그러나 포르투갈 정부는 테러대응을 위해 총리 직속 보안정보국(SIS)을 두고 있으며, 대테러 공동대응 차원에서 유럽연합(EU)과도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포르투갈의 치안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하나, Lisbon, Porto, Faro 등 주요 관광지역에서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날치기, 소매치기 등 범죄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관광객이 많이 붐비는 주요 관광지와 주요관광지 를 운행하는 버스와 전차 내에서 소매치기범죄가 많이 발생하므로 소지품 간 수에 유의하여야 한다. ※ 우리 여행객 주요 방문도시 중 안전 유의 지역 • Lisbon 시 : Santa Apolo′nia, Entrecampos, Oriente 등 기차역, Rossio, Baixa, Alfama, Bele′m 등 주요 관광지(주요 관광지 순회 28번 Tram 전차 포함)내 소매치기 다발 지역, Intendente 및 Martim Moniz 등 매춘 및 마약 밀매지역 • Porto 시 : Bairo de Sa ˜o Joa˜ ode Deus, Bairro de Pinheiro Torres, Bairro da Pasteleira, Bairro do Aleixo 등 마약 밀매지역 • Fatima 성지 : 순례객들이 많이 운집해 있는 성당 내부 및 광장

신용카드로 현금 인출시, 모르는 사람이 친절한 어조와 행동으로 접근해 도움을 주는 척하면서 절도 또는 소매치기를 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차량 여행 시, 주차차량에서 물건이 보이는 경우 유리창을 깨고 이를 훔쳐 가는 사건이 빈발하므로, 귀중품과 소지품을 출발 전 또는 도착 전 휴게소에 서 트렁크내에 보관토록 하고 카메라, 핸드백, 네비게이션 등은 하차시 가급 적 소지하거나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좌석 밑에 두는 것이 좋다. 대중교통 승·하차시 가방 및 소지품을 꼭 앞쪽으로 매고 잘 잡고 있는 습

479


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자연재해

포르투갈에는 태풍, 지진, 해일 등의 일반적인 자연재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2010년 2월말 마데이라섬(대서양에 위치)에서 강풍과 폭우로 산사태와 홍수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고, 2010년 12월 중부 Tomar 지역에 토네이도가 강타한 적이 있다. 2014년 1월에는 전국에 걸쳐 대서양 연안 지역에 강풍과 해일성 파도가 발생하는 기상 이변이 있기도 했다. 또한 최근 몇 년 사이 본토에서 1,500Km 떨어진 아쏘레스 군도에서 진도 2~5도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9 현지 문화  단체 여행자

포르투갈의 치안법령은 선진국 수준이며 안전한 편이다. 현지에서 외국인 단체여행객의 관광지 방문시 공인가이드가 필히 동행토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어 이를 어길시 벌금이 부과된다. 포르투갈은 카톨릭 국가로 전국에 걸쳐 유적지에 성당이 많으므로 성당 방문 계획이 있다면 짧은 반바지나 몸을 많이 드러내는 옷, 모자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일 처리가 한국에 비해 시간이 걸리므로 인내심을 갖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 대인관계

포르투갈인들은 잘 아는 사이인 경우, 만나서 인사할 때 여성끼리 또는 남녀간은 볼에 입맞춤을 하고, 그리 친한 사이가 아닌 경우에는 악수를 한다. 또한 상대방과 말할 때 몸을 건드리거나 접촉하는 것을 예절바르지 못한 행동으로 간주한다. 포르투갈인들은 “고맙습니다(ovrigado), 미안합니다(Desculpe), 안녕하 세요(Bom dia, Boa Tarde, Boa Noite 등)”의 사용이 몸에 배어 있으므로,

48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호의를 받았거나, 결례를 끼쳤을 때, 모르는 사람이더라도 엘리베이터 안이나

유럽

닫힌 공간에서 마주쳤을 때 위와 같은 표현의 사용을 권유한다.  종교관련

포르투갈은 카톨릭 국가이며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고, 종교 활동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역사적으로도 아랍, 아프리카, 동양권 국가들과의 교류가 활발 했고, 1970년대 초반 구식민지국가로부터 대거 역이민이 행해져 리스본시내 에 이민자들을 위해 설립된 무슬림사원, 힌두사원도 있으며 종교차별이나 큰 갈등 없이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다.  포르투갈 이름 읽기

영미식으로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뒤에 쓰는데, 이름+어머니 성+아버지 성 의 순서대로 쓰므로 이름과 성이 각각 여러 개인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주로 이름은 제일 앞에 오는 것을 부르고, 성은 제일 끝 1개나 끝의 2개를 함께 부 른다. (예:Paulo(이름) Lopes Pinheiro(성))  호칭

호칭은 일반적으로 남성은 Senhor, 여성은 Senhora인데, 남성의 경우, “Senhor+성”을 사용하나, 여성의 경우“Senhora+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 징이다.(여타 호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또한 공식적인 자리에서의 호칭은, 대학 이상의 학력 소지자에게는 Dr.(남) /Dra.(여)를 사용하고, 대학교수의 경우에는 Professor(남)/Professora (여)를 사용하며, 박사학위 소지자에게는 대학에서의 강의 여부와 상관없이 Prof. Doutor(남)/Prof. Doutora(여)를 사용한다.  팁 문화

의무적인 팁 문화는 아직 정착되지 않았다. 팁이 반드시 음식 값이나 이미 용 서비스 요금의 몇 %가 되어야 한다는 암묵적으로 정해진 기준이 있지 않으

481


므로, 손님이 만족하는 경우 원하는 만큼 지불하면 되고, 또한 팁을 지불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10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포르투갈은 유사시에 대비하여 긴급 상황 통합대응센터(112)를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범죄·교통사고·화재·응급환자·재해 등 상황 발생시 112로 신고하면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신고를 접수하면 국가경찰(PSP)이 1차 접수 후 직접 처리하거나 해당기관으로 연결하여 처리한다.

(2) 의료기관 연락처 포르투갈의 의료체계는 잘 갖추어져 있으나 검진, 검사, 수술 등 시술을 받 는데 대기시간이 긴 애로사항이 있다. 진료를 원할 경우, 일반진료의 경우 사전 예약이 필요하며, 진료시 의사소 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진료 예약시 영어가 가능한 의사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환자는 예약 없이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명

병원명 Hospital Santa Maria(국립)

리스본

Hospital da Luz(사립) Hospital CUF Descobertas(사립) ˜o Joa ˜o(국립) Hospital de Sa

뽀르뚜 Hospital CUF Porto(사립)

48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주 소 Av. Prof. Egas Monis, 1649-035 Lisboa Av. Lusl′das 100,1500-650 Lisboa Rua Mario Botas,1998-018 Lisboa Alameda Prof. Herna^ni Monteiro, 4200-319 Porto Estrada da Curcunvalaca ˜o 14341, 4100-180 Porto

전화번호 21 780 5000 217 710 4400 21 002 5200 22 551 2100 22 003 9000


포르투갈

단기여행객의 경우 소화제, 진통제, 연고 등의 비상 상비약을 준비하는

유럽

것이 좋다. 약국은 통상 09:00〜20:00까지 운영하며,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 공휴일 은 휴무한다. 항생제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감기약, 소화제, 진 통제 등은 처방전 없이 구입이 가능하다. 야간·휴일은 비상시에 대비하여 구 역별로 당직 약국을 24시간 운영한다. 당직 약국은 모든 약국 정문에 게시될 뿐만 아니라, www.farmaciasdeservico.net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3) 대사관 연락처 ■ 주소 및 연락처 • 주소 : Av. Miguel Bombarda 36, 7 1051-802 Lisboa Portugal •전화 : + 351 21 793 7200 •팩스 : + 351 21 797 7176 •E-mail : embpt@mofa.go.kr •홈페이지 : http://prt.mofa.go.kr

■ 근무시간 및 비상 연락처 • 9:00〜12:30/14:00〜17:30(점심시간 12:30〜14:00) •근무시간 외 비상 연락처 : + 351(국가번호) 91 873 7446

11 기타 (1) 날씨 포르투갈의 기후는 대서양, 지중해 및 대륙성 혼합기후이며 하계 건기(5~ 10월)와 동계 우기(11~4월)로 구분된다. 계절별로 봄·가을은 15〜20℃, 여 름은 27〜37℃, 겨울은 2〜10℃의 기온대를 보인다. 아침과 저녁 일교차가 큰 편이다. 7~8월에는 햇빛이 매우 강하므로 여행

483


시 자외선 차단크림과 챙이 넓은 모자 및 선글라스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 항공 국제선, 국내선 연발착은 보통 드물고 공항이 시내에서 근접해 있으며 2시 간전 공항에 도착해 출국을 준비하면 된다. 참고로 리스본 공항버스는 공항과 시내 Cais do Sodre 기차역간을 운행하는 Aerobus와 공항과 Oriente 역-Sete Rios 시외버스 터미널간을 운행하는 Aeroshuttle 두 종류가 있으며 매일 7시~23시까지 매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 철도 철도는 포르투갈 철도청(CP)에서 관장하는 안전한 교통수단이다. 리스본 에서 타도시로 이동시 Santa Apolonia역(중앙역) 및 Oriente역(동역)을 이용 하면 된다. • 국제선 - Sud Express : 리스본(St. Apolonia역)-프랑스 Hendaye간 운행 - Lusita^nia Comboio Hotel : 리스본-스페인 마드리드간 운행 • 국내선 : 열차 서비스의 질, 운행속도, 요금에 따라 3종류로 나뉨 - Alfa Pendular(특급열차) : Braga, Porto, Coimbra, Lisboa, Faro 등 주요 5개 도시 운행 - Intercidades : 전국 주요 9개 도시간 운행 - Regional : 전국 19개 도시간 운행되는 완행열차 • Interail 및 Eurail Pass도 운행되고 있으며, 포르투갈내 Eurail Portugal Pass도 사용 가능

■ 버스 버스는 공항버스(Aerobus), 시내버스, 시외버스, 장거리버스 등으로 구분 된다. 리스본 시내버스는 총 152개 노선이 운행되며(www.carris.pt/en/home)

48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장거리 운행버스는 리스본시내 지하철 Sete Rios역과 연결된 터미널에서

유럽

출발하여 Porto, Braga, Evora, Fatima, Coimbra등 주요 관광도시와 연결 운행된다. ■ 지하철(Metro) 리스본 시내에는 4개 노선이 운행 중에 있고 1~2구간으로 나뉘어 있다. (대사관은 황색 또는 적색라인의 Saldanha 역에서 하차 도보로 5분 거리에 위치) ■ Ele′ctrico(일렉뜨리꾸 : 리스본 전차/트램) 리스본 시내 총 5개 노선 (번호: 12, 15, 18, 25, 28번)이 운행되고 있으 며, 노선 수는 버스에 비해 훨씬 적지만 모든 노선이 중심가나 관광지를 중심 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운치가 있어 관광객에게 인기가 많다. 승차권은 리스본시내 버스표와 동일하며, 사전구입 또는 탑승 후 기사 로부터도 구입 가능하다. 매표소에서 1일권을 구매하면 첫 탑승순간부터 24 시간 이내 버스, 지하철, 전차 등 모든 공공 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 다. 전차는 또한 리스본시내 구시가지 또는 전통지구 언덕길의 승강기로도 사용되며 총 4개가 운행되고 있다. (괄호안은 운행 구간) ■ Elevador de Santa Justa(Rua do Ouro - Largo do Carmo) ■ Ascensor da Gloria(Praca dos Restauradores - Bairro Alto) ■ Ascensor da Bica(Rua de Sao Paulo - Largo de Calhariz.) ■ Ascensor do Lavra(Largo da Anunciada - Rua Camara Pestana) ■ 택시 리스본의 택시는 대체로 매우 낡았지만 요금은 다른 유럽국가에 비해 매우 저렴한 편이다. 리스본시내 각 지역별로 택시 정류장(남색 푯말에 Taxi라고 표기)에 대기 중인 빈 택시를 이용하거나 콜택시(Radio Taxis ☎ 21-811-9000, Taxiking

485


Phone ☎ 218-598-693, Autocoope ☎ 21-793-2756) 이용시에는 호텔 또는 커피숍에 호출을 부탁하는 것이 편리하다.  도로교통

포르투갈의 도로망은 전반적으로 잘 되어 있으나 각 지역을 여행하다보면 교통 표지판이 잘 안 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간혹 애를 먹을 수도 있다. 시내 주행시 제한속도는 시속 50km로 제한되어 있고 도심 여러 군데에 속도감지 기가 설치되어 있어 속도위반시 벌금이 부과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고속도 로 제한속도는 시속 120km이다. 운전자들이 과속, 급한 차선 변경, 방향 전환 신호 없는 운전 등 교통법규 를 잘 지키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방어운전이 필요하며 특히 보행자들의 무단횡단도 빈번하므로 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반면 보행자들이 보도에 발을 들여 놓는 순간 의무적인 차량의 정지는 잘 지켜지고 있는 편이다. 운전 중 가벼운 접촉 사고시에도 자신의 명백한 과실도 인정하지 않는 운 전자도 많고, 특히 과실여부 판단이 어려울 경우에는 교통 혼잡 초래에도 개 의치 않으며 사고위치에 그대로 차를 세워두고 경찰이 올 때까지 기다리는 운 전자들이 많다.

(3)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차량 및 오토바이가 차선 변경 신호 없이 갑자기 끼어드는 경우가 많으므 로 반드시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운행해야 한다. 특히 포르투갈에는 교차로 대 신 로터리가 설치된 곳이 많으며 로터리내에 있는 차량이 우선권을 가지므로 진입시 주의하고,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가 많으니 특히 커브길 및 교차로 진 입시 주의가 필요하다.

48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포르투갈

(4) 기타

Ⅰ 유럽

 전력사용 현황

사용전압은 220V/50Hz로 우리나라(220V/60Hz)와 차이가 있으므로 모 터를 사용하는 전기제품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핸드폰과 노트북 배터 리 충전 에는 문제가 없음)  화폐

유로화 사용

487


30. 폴란드

1 개황

•수

도 : 바르샤바(Warszawa, 인구 170만 명)

•인

구 : 3,848만 명

•면

적 : 312,683㎢(한반도의 1.4배)

•민족구성 : 폴란드인(98.7%), 독일,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유태인 등 •종

교 : 가톨릭(95%), 신교, 러시아 정교 등 기타 5%

•시

차 : 한국기준 -8시간(썸머타임 적용시 -7시간)

•언

어 : 폴란드어(polish)

•GDP(’14년 기준) : 5,346억불(1인당 13,893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3년, 우리기준) : 총교역 46.23억 불(수출 38.5억 불, 수입 7.73억 불)

2 문화적 특성 ■ 과거 러시아, 프러시아, 오스트리아, 스웨덴 등 주변 강대국들의 침략, 100년 이상 나라를 상실한 경험(1795-1918년) 및 독립을 위해 외세지배에 지속적으로 항거한 역사를 가지고 있어 민족적 자긍심이 높으며, 전국민의 대

48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다수가 가톨릭 신자로서 교황 요한바오로 2세에 대한 존경심이 매우 높은 관

유럽

계로 역사 문제, 종교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 태도가 필요함 ■ 역사적으로 많은 갈등관계를 빚어온 러시아(구 소련)에 대한 반감이 다소 있고, 폴란드의 지리적 위치를 ‘동유럽’으로 언급하는 것보다는 ‘중부유럽 (Central Europe)’으로 호칭하는 것을 선호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한류 콘텐츠 중의 하나인 영화가 2004년 <폴란드 국제영화제>에서 소개 되면서 홍콩, 일본 영화의 아류작으로 취급되었던 한국영화가 중·동부 유럽 영화 비평가와 관객들의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 후 지속적으로 한국 영 화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유지되어 왔고, <폴란드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의 좋은 소식이 들려오곤 한다. 2004년 국제 영화제를 통해 얻은 한국영화에 대한 명성이 한류의 첫 시발점이라 할 수 있겠다. 그 이후로 2010년,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폴란드 케이블 방송사에서 한 국드라마가 방영이 되었고, 현재 폴란드 유아채널 미니미니에서는 <뽀로로> 가 방영되고 있다. 한국문학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출판사가 생겨나 매년 꾸준 히 한국문학 및 한국 관련 정보 책자가 발간되고 있으며, 올해는 ‘한류’ 잡지가 발간될 예정이기도 하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에서 한류는 폴란드에 자리하고 있다. 물론, 동남아시아에 비해 중·동부 유럽, 폴란드에서의 한류는 확산 정 도에서 일정부분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11년 바르샤바에서 개 최된 <K-Pop 콘테스트>와 K-Pop팬들이 자체적으로 주최한 한국가수 성 공 기원 플래시몹, 폴란드 유력 주간지의 한류 특집 기사 등을 통해 폴란드 에도 분명한 한류가 존재하고 있고, 미디어 또한 이를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가 있 다. 다른 문화(예, 중국, 일본 등)를 좋아하는 팬들에 비해 한류팬들은 굉장히 적극적인 활동을 보인다. 겨울이 길고 엔터테인먼트적 놀이 문화 요소가 적은

489


폴란드 문화적 환경에서 미국과 영국의 락 음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폴 란드 음반 시장, 다소 호흡이 길고 느린 폴란드 드라마에 지친 폴란드 한류팬 들에게 한류 콘텐츠는 그들(젊은층 10대 중반~20대 중반)에게 일종의 즐거 운 취미이자, 다른 나라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인 것이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현재까지 폴란드에서 케이블 방송사(Tele 5)를 통해 방영된 한국드라마는 2편이 있다. 2010년 10월 4일부터 11월 24일까지 <추노>가 방영되어 한류팬 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고, 이듬해 5월에서 7월까지 <아이리스>가 방영된 바 있다. 최근에는 공중파 채털 TVP2에서 <기황후>가 2015년 11월 9일부터 새롭게 방영을 시작했다. 현지 케이블 방송사가 적극적으로 두 차례 한국드라마를 처음으로 수입하 여 방영하였다는 점과 두 한국드라마 모두 케이블 방송사로서는 긍정적인 시청률과 시청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어 추후 지속적인 한국드라마 방영 을 계획 중이라는 점에서는 고무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케이블 방송사의 한 계점(예산, 미디어의 관심도 등)과 시청자들로부터 가장 큰 문제사항으로 지 적되었던 폴란드어 자막문제, 너무 많은 등장인물로 인해 스토리 전개를 따라 가지 못한다는 점 등을 고려하였을 때, 공중파 방영은 좀 더 장기적으로 지켜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폴란드 내 한국드라마 방영현황> 제 목

추 노

아이리스

기황후

방송사

Tele 5

Tele 5

TVP2

방영일시

2010.10.4~11.24

2011.5.9~7.18

2015.11.9~

폴란드 미디어의 다소 저조한 한국드라마 관심도와는 달리 한류팬들 사이 에서 점차적으로 한국드라마의 인기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여느 팬들과

49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다름없이 이들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드라마를 시청하고 있다. 팬들은 자체

유럽

적으로 소규모 동호회활동을 하거나, 직접 한국드라마를 폴란드어 자막으로 번역하기도 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지만, 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를 시청한 다는 한계가 있다. 드라마 방영을 양지로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폴란드 내 한국 드라마 관심도와 한계 등을 타파할 수 있는 행사의 일환으로 바르샤바 센터 중심부에 위치한 영화관에서 MBC드라 마 <커피 프린스 1호점>이 상영 행사가 개최되었다. 200석 규모의 상영관을 가득 메운 현장에는 기존 한류팬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를 전혀 모르는 일반 관객들 또한 참여하였는데 남녀노소, 나이를 불문하고 좋은 호응을 얻었다. 한편, 2012년 3월부터 한국 애니메이션(뽀로로)가 폴란드 내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채널(Minimini)에서 인기리에 방영 되고 있다.  영화

한국영화는 영화강국인 폴란드에서 한류 콘텐츠 중 가장 큰 관심을 받는 부문이다. 한국영화 소개 및 대중적 관심은 2004년 현지 국제 영화제를 통해 본격적으로 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동유럽에서 규모 있는 영화제로 손꼽히 는 1)<뉴호라이즌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특별전>을 통해 처음으로 개최 되었고, 많은 관객들과 영화 평론가들은 ‘아시아의 작은 용’이라는 극찬을 아 끼지 않았다. 이전까지만 해도 홍콩, 일본 영화의 아류작으로 평가받았던 한 국영화에 대한 평가와 이미지가 180도 바뀌게 된 계기가 되었고 폴란드 영화 시장은 한국영화의 시장성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한국영화에 대 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 2009년 <바르샤바 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특집 이라고 불리울 만큼 가장 많은 편수의 한국영화가 소개 되었고, 더불어 2011년 4월 <오프플러스 국제 독립영화제>에서 박정범 감독의 <무산일기>가 대상 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6월, 뉴호라이즌 국제 영화제에서 김기덕 감독의 <아리 랑>이 예술 영화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 6월, 뉴호라이즌 국제영화제에 다시 한 번 또 한편의 한국영화 1) 뉴호라이즌 국제 영화제(New horizon international film festival)는 바르샤바 국제영화제, Camerimage 영화제와 더불어 폴란드 3대 국제영화제 중 하나이다.

491


(김경욱 감독, 줄탁동시)가 경쟁부문에 진출하여 영화팬들의 이목을 끌었고, 9월에는 바르샤바 국제영화제에서 김진만 감독의 ‘오목어’가 애니메이션부문 에서 대상을 수상하여 국산애니메이션의 저력을 보여준바 있다.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은 이 뿐만 아니다. 2009년 아시아 영화 전문 비평가인 피오트르 클레토브스키(Piotr Kletowski) 교수가 『아시아의 영화(Kino Dalekiego Wschodu)』책에서 한국영화의 개괄적인 역사와 김기덕, 박찬욱 감독을 집중 소개하였으며, 이후 폴란드 영화잡지에는 꾸준히 새로운 한국영화에 대한 기사도 종종 엿볼 수가 있다. 폴란드 주요 방송사에서는 심야시간을 이용하여 한국영화를 방영하는 등 현지에서 한국영화에 대한 수요는 다른 콘텐츠들에 비해 높은편이라 할 수 있다. 2014년 10월 바르샤바 국제영화제에서 김경묵 감독의 <이것의 우리의 끝 이다>가 경쟁부문에 출품되었고, 11월 바르샤바 아시아 영화제에서는 장진 감독의 <하이힐>이 개막작으로 선정되어 매진사례 속에 관객들의 호평을 받 은 바 있다. 또한 최근 2015년 10월 제31회 바르샤바 국제영화제에서는 이진우 감독 의 <울보>, 안국진 감독의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가 각각 경쟁부문에 출품 되는 등 한국 영화에 대한 현지 관객들의 꾸준한 관심이 이어져 오고 있다. 이 어 12월 포즈난에서 열린 폴란드 국제 청소년 영화제에서 김성호 감독의 <개 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이 심사위원 대상인 황금염소상과 선생님 심사위원상 등 3관왕에 오르는 쾌거를 이뤘다.  K-Pop

폴란드 K-Pop 팬들은 K-Pop을 알게 된 경로가 2가지로 나뉜다. 이미 철 저히 현지화 된 일본문화를 즐기던 젊은층들이 우연찮게 K-Pop을 접하게 되 어 일본문화팬에서 한류팬으로 바뀌게 된 일종의 Brand Switch가 된 경우와 유투브를 통해 접하게 된 화려한 K-Pop 영상에 매료되어 K-Pop을 알게 되고 좋아하게 된 경우이다. 여타 다른 아시아 문화를 향휴하는 팬들 중에서 K-Pop 팬들이 가장 적극적인 활동을 보인다. 2011년 7월 30일에는

49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바르샤바의 상징인 문화과학궁전에서 한국 가수의 폴란드 공연을 기원하는

유럽

플래시몹이 K-Pop 팬들에 의해 자체적으로 개최되어 중·동부 유럽에도 한류 열기가 뜨겁다는 것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 이후로 크고 작은 플래시몹이 바르샤바 및 폴란드 지방에서 개최되기도 하였으며, 이는 유투브 영상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다. 2012년 1월에는 현지 유력 주간지 브프로스트(Wprost)에서 ‘한류’라는 제목으로 세계적인 한류 현상(K-Pop 위주의)이 한국 기획사의 체계적인 시스템, 다른 나라 가수들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국 가수의 팬서비스 등 다양한 시각에서 한류를 집중 소개하였다. 이처럼 폴란드 언론에서도 점차 K-Pop 및 한류에 관심을 나타내기 시작하고 있다. 2014년에는 그동안의 K-Pop 인기에 힘입어 중동부 유럽에서 최초로 K-Pop 가수 상업 콘서트가 바르샤바(프로그레시아 공연장)에서 연이어 2건 이 개최 되었다. 8월 30일 남성 아이돌 그룹 ‘레드애플(Led Apple)’ 공연이, 이어서 9월 14일 ‘빅스(VIXX)’ 공연이 열리는 등 중동부 유럽 내에서 상업콘 서트의 잠재력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2015년 3월초에는 아이돌 그룹 ‘블락비 (Block B)’의 공연이 만원사례를 이루며 성황리에 개최되었고, 7월말에는 ‘보이프렌드 (Boyfriend)’ 그룹이 1,800여명의 관객을 동원, 10월 초에는 그 룹 ‘인피니트(Infinite)'가 800여명의 관객으로 공연장을 가득 메운 채 콘서트 를 진행하는 등 K-POP 콘서트가 연이어 열려 한국 음악에 대한 현지의 관심 이 점차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 잡지 <브라보(Bravo)> 2015년 10월호에 ‘K-POP에 대한 7가지 상식’이라는 글이 실리면서 메인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고, 폴란드 국영라디오채널4에서는 2015년 10월 22일부터 매주 목요일 저녁 8시 ‘지금 은 K-POP'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음악 소개는 물론, K-POP 가수들 의 근황 등 새 소식을 다루는 내용이 전파를 타고 있다.  문학

폴란드에서 한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번역해 출판하는 ‘동양의 꽃’이라는 출판사를 통해 한국 문학 또한 현지에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한국문학

493


및 한국에 대한 정보가 폴란드어로 총 24권이2) 출판되었으며(2014년 10월 기준), 다양한 한국 문학 소개 행사도 개최되고 있다. 특히, 2011년 6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끌었던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 또한 폴란드어로 번역 출간되어 직접 작가가 폴란드를 방문해 바르샤바와 크라쿠프에서 <작가와의 만남>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후 <엄마를 부탁해>는 폴란드의 가장 큰 대형 서점인 엠픽(Empik)에서 베스트셀러 20위권 내에 진입하기도 하였으며, 현지 문학잡지에 우수 외국 문학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하였다. 한편 2012년 5월에 번역 출간된 황선미 작가의 <마당을 나온 암탉>은 현지 문학 전문 온라인 커뮤니티가 주관한 ‘2012년 봄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 는 등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 어 현재 동양의 꽃 출판사에서는 다양한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종합잡지 <한류>를 발간 준비 중에 있다.  한류 상륙 시기

폴란드에서 가장 첫 번째로 소개된 한류 콘텐츠는 영화이다. 앞서 소개한 <뉴호라이즌 국제영화제>에서 2004년 <한국영화특별전>을 통해 한국영화가 집중적으로 소개되면서 중·동유럽 영화강국으로서 자존심이 높은 폴란드 관객들에게 한국영화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되었다. 이로써 한류 콘텐츠 중 하나가 소개가 되었으며, 점차적으로 그 관심도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K-Pop의 상륙시기는 슈퍼주니어 팬클럽과 빅뱅 팬클럽의 폴란드 창단시기인 2008년경으로 추정된다.  가장 인기 있는 한류

■ 영화 2)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박태원), 김영하 단편소설전, 김치 먹을까요?(레나 시비아덱), 새(오정희), 오정희 단편소설전, 빛의 제국(김영하), 엄마를 부탁해(신경숙), 검은새(이수지), 클라라와 하은이(이현경), 마당을 나온 암탉(황선미), 한국의 브로드밴드(콘라드 고들레브스키), 한국에서(안나 사빈스카),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신경숙), 통일된 한국-기능성인가 유토피아인가?(안제이 보베르), 채식주의자(한강), 한국 유교사상의 역사(금장태), 한국 사람과 손잡고(안나 사빈스카), 사람의 아들(이문열), 고은시집(고은) 등

49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작가주의 영화를 선호하는 현지 관람객의 특성상 영화배우보다는 감독(김

유럽

기덕, 박찬욱, 김지운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한편 한국문화를 종합 적으로 접하는 다수의 한류팬들은 주로 로맨틱 코미디, 멜로 등을 주로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K-Pop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K-Pop 동호회는 샤이니, 슈퍼주니어, 빅뱅 의 동호회가 있으며, 최근에는 방탄소년단, B.A.P 등 비교적 신생 그룹들의 인기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이와 더불어 크고 작은 규모의 다양한 K-Pop 동호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15년 8월 기준으로 K-Pop 동호회 회원수는 총 34,908명으로 집계되었다.  한국어

한국 기업의 현지 투자가 매우 높아 한국어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급 증하고 있는 추세이다.3) 2015년 현재 바르샤바와 포즈난에 세종학당이 개설 되어 있으며, 한국문화원내에 위치한 바르샤바 세종학당에는 2015년 하반기 강좌에 6개반(기본3, 중급2, 고급1)이 개설되어 총 90여명의 학생이 한국어 를 배우고 있다. 더불어 바르샤바대학교, 포즈난대학교, 크라쿠프대학교에는 한국학과가 개설되어 매년 50~80명가량의 학생이 학과 입학을 하고 있다. 바르샤바 대학교 내 한국학과는 기존에 동양학부 내에 일본학과와 통합 운영 되고 있었으나, 2015년 하반기부터 별도의 독립학과로 개편 운영될 예정이 다. 특히, 그동안 폴란드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이 시행되지 않고 있 었으나, 2015년 11월 한국 국립국제교육원과 크라쿠프 야겔로니안대학 간 MOU를 체결하고, 2016년 하반기부터 폴란드에서도 TOPIK 시험이 시행되 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3) 폴란드는 한국의 EU 국가 중 5위 수출 대상국이다. 4) 2011 아시아 영화제 - 한국 특별 섹션 중 직접 인터뷰

495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폴란드에서는 쇼비즈니스 사업이 아직 활성화되어 있지 않거나 미비한 상태임과 동시에 엔터테인먼트적 놀이문화 요소가 매우 적은 실정이다. 게다가 폴란드 음반시장에서는 자국 가수의 음반보다 대부분 영국 및 미국 의 락 음악이 가장 높은 차트에 랭킹 되어있고, 드라마 또한 자국 드라마 보다 는 미국 드라마가 가장 많이 방영되고 있어, 이에 질린 폴란드 문화 콘텐츠 수 용자들은 또 다른 새로운 것을 찾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자국의 대중문화 시장이 발달하지 않은 상황에서 다양하고 화려한 K-Pop, 드라마 등을 접한 폴란드의 한류팬들이 하나같이 입을 모아 하는 말 은 ‘질리지가 않는다, 다양하다’이다. 더불어 ‘서비스’라는 개념에 익숙치 않은 폴란드인들에게 한국 가수들이 보여주는 ‘팬서비스’는 그들로 하여금 한류에 대한 충성도를 더 굳건하게 해주는 것이다. 영화의 경우는 폴란드 국민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폴란드인이 한국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는 폴란드 아시아 영화제 위원장 야쿱 크룰리코브스키 씨와의 인터뷰에서 정확하게 엿볼 수 있다. ‘폴란드인들이 왜 한국 영화를 좋아하는가?’라는 질문에 4)“폴란드 사람들 은 상대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데 소극적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국 영화에 서 보여지는 인간 감정의 표현 방법은 우리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법임과 동시에 그러한 요소를 통해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게 아닐까 한다. 이 것이 바로 폴란드인이 한국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라고 답하 였다. 더불어 폴란드에서 또한 한류가 급속도로 퍼질 수 있었던 계기는 바로 SNS 사용 증가량이 가장 큰 요인이 된다. 엔터테인먼트적 놀이 요소가 부족 한 주재국 문화 환경 탓에 남녀노소 불문,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주재 국민들은 유투브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접하고 있다. 심지어 바르샤바에서 택시를 운전하고 있는 66세 노년의 택시 기사 또한 스마트폰으로 유투브를 시 청하는데 전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채널을 검 색하던 도중 한국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을 접하게 되었다. 한국 오디션 프로 그램의 포맷이나 주재국 또는 전세계적으로 방영되고 있는 한국 오디션 프로

49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그램의 정형화된 포맷은 똑같으나, 더 다양하고 풍부한 스토리텔링, 관객 반

유럽

응, 화면에서 보여지는 무대 효과, 자막 효과 등이 눈과 귀를 사로잡아 그 후 로 오디션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 또한 시청하게 되었다고 하였 다. 노년의 택시 기사의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폴란드는 다소 정적이고 보수 적인 풍토의 TV 프로그램으로부터 더 새로운 것을 찾고자하는 문화 수용자 들이 많다. 이러한 문화적 분위기는 한국 문화, 또는 한국의 대중문화를 더 많 이 찾게 되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5 문화 교류 시 유의해야 할 점 문학 및 클래식 음악의 수준은 여느 유럽에 못지않게 높은 수준을 자랑하 는 만큼 폴란드인들은 자국의 문화·예술에 대한 큰 자긍심을 가지고 있어 전 통 및 클래식 공연에 대한 수용자들의 입맛은 수준 높고 매우 까다로운 편이 다. 게다가 문화 수용자들의 기호가 세대 간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 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문화콘텐츠가 필요하다. 이를 감안하였을 때, 폴란드 한류 팬 들을 제외한 전 대중을 대상으로 폴란드에 한류 콘텐츠를 소개하고 진출할 때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앞서 서술한, 자국의 문화·예술에 대한 높은 자부심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에서 주목할 만한 문화적 특수성은 타문화를 수용하는데 있어서 매우 개방 적이라는 점이다. 점차적으로 여러 국제 행사가 개최되고, 공공기관에서 부터 상업 영화관에 이르기까지 타문화 관련 행사에 대한 현지 관계자들의 마인드 는 매우 열려 있는 편이다. 그러나 여느 다른 유럽과 다르지 않게 대관 행사 진행시 최소 1년 전부터 진행을 할 필요가 있으며, 서면 계약을 중요시하는 폴란드 관행상 작은 것 하나까지도 계약서를 쓰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유 의해야 한다. 개방적인 문화 수용 태도와 문화·예술적으로 높은 수준을 자 랑하는 분위기와는 달리 한류가 침투 가능한 문화산업 인프라는 다소 열악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폴란드에서는 한류가 상업적 성공을 거두기에는 시기상 조이며, 향후 몇 년간 한류팬 및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한류

497


콘텐츠를 노출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폴란드 내 한류 관련 동호회는 대부분 K-Pop 가수들의 팬클럽이 대부분 이며,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K-Pop 폴란드동호회, 샤이니, 슈퍼주 니어, 빅뱅의 팬클럽 외 소규모의 다양한 가수 팬클럽이 존재한다. 이들 대부분은 2008년, 2009년에 생겨났으며, 회원들의 연령대는 10대 중반에서 20대중반으로 파악된다. 주로 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수의 베트남인들도 함께 활동하기도 한다. 더불어, 20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의 열풍으로 K-Pop 회원수가 2012년초 통계 대비 약 2배가량 상승했다.

(2) 동호회별 현황(‘14.9월 기준)  샤이니 폴란드(Polish Shinee World)

498

성격

샤이니 팬클럽

회원수

7,000명

웹사이트 주소

•http://replayteam.hpu.pl/news.php •http://pl-pl.facebook.com/replayteam

세부활동 현황

• 샤이니 팬클럽 회장이 지난 2011년 7월 주도적으로 K-Pop 콘서트 개최 기원 플래시몹 진행 •K-Pop 관련 정보교류, 지역 동호회 활성화, 소규모 K-Pop 파티 진행 등 •지역 동호회 개최, 공식 팬레터 및 선물 공동 준비 •유럽에 있는 다른 팬클럽과 활발한 교류도모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 K-Pop Poland K-Pop 폴란드 동호회

회원수

4,438명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groups/kp0pp0land/

세부활동 현황

• 주로 SNS를 통해 활발한 정보 교류, 동영상 업데이트 및 실시간 댓글 활성화 • 빅뱅, 슈퍼주니어, 엠블랙, 동방신기 등 서브 그룹으로 나누어 3개월에 한 번씩 지역 정모개최 •방학을 이용하여 전국 정기 모임 개최

Ⅰ 유럽

성격

 폴란드 엑소 동호회 성격

엑소 동호회

회원수

4,417명

웹사이트 주소

http://www.facebook.com/exopl

세부활동 현황

•K-POP 관련 정보교류, 지역 동호회 활성화, 소규모 K-POP 파티 진행 등 •지역별 모임 개최, 공식 팬레터 및 선물 공동 준비

※ 이밖에도 슈퍼주니어, 빅뱅, 인피니트, 방탄소년단 외 다수의 팬클럽이 활동 중임

7 2015년 문화행사 ■ 폴란드 박물관의 밤 계기 문화원 개방 행사 - 기간 : 2015.5.16(토), 18:00 – 5.17(일) 02:00 - 장소 : 주폴란드 한국문화원 - 참석자 : 폴란드 외교부 차관 노박 파르(N.Far) 가족, 주재국민 남녀노소 1,800명 - ‌ 내용 : 태권도 시범, 한국의 역사·문화 강연 (홍지인 대사), 국악 공연 Duo Momentum, 한글 서예로 이름쓰기, 목판화 찍기 체험 , 한복 입기, 청사초롱 만들기, K-POP 콘서트 DVD 상영회

■ Korea Festival 2015 - 일자 : 2015.6.13(토), 11:00-19:00

499


- 장소 : 바르샤바 시내 아그리콜라 공원 - ‌ 참석자 : 주재국 주요 인사, 외교단, 바르샤바 일반 시민, 한국기업, 한인동포 등 18,000명이 참석 - ‌ 내용 •식전 행사 : 태권도 시범, 사물놀이, K-Pop 댄스

•개막식 및 본공연 : 폴란드 전통 음악 그룹 “수타리”, 창작국악 공연단 “고래야”, 진조크루 B.boy 공연 등

• 부대행사 : 전통문화체험 부스(한복, 전통악기, 판화, 태권도, 노래방 등), 한국관광 사진전, 한국 농식품 체험, 한식 판매, 한국 주요기업 홍보관 운영 등

■ 유라시아 친선특급열차와 함께하는 K-Pop Festival - 일자 : 2015.7.29(수) - 장소 : 바르샤바 팔라디움 극장 - 주최/주관 : 문체부, 외교부/주폴란드 대사관 한국문화원, 한국콘텐츠진흥원 - 참석자 : 폴란드 한류팬, 친선특급 방문단, 한인동포 등 총 1,800여명 - ‌ 내용 : (1부) K-Pop 댄스 경연대회, (2부) K-Pop 아이돌 그룹(보이프렌드) 공연, (3부) K-Pop Summner Night

■ 바르샤바 월드뮤직 페스티벌 한국 특집 ‘Center Stage Korea’ - 기간 : 2015.9.21-9.29 - ‌ 장소 : 바르샤바 월드뮤직페스티벌 야외 무대(문화과학궁전), 브로츠와프 필하모니 극장 - ‌ 내용 : 한국공연단 초청공연(노름마치, 거문고팩토리, 바라지), 한국 전통문화 체험행사, 폴란드 지방도시(브로츠와프) 추가공연 등

■ 제1회 폴란드 바르샤바 한국 영화제 -기간 : 2015.11.30-12.4 - 장소 : 바르샤바 도심 극장 (키노 쿨투라, 키노 무라누프, 키노테카) - ‌ 주최 : 주폴란드 대사관 한국문화원, 한국 영화진흥위원회, 폴란드 예술영화협회,

50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폴란드 영화제작자협회 등

유럽

- ‌ 내용 : 주요 한국 영화 상영(개막식 - 화장, 폐막식 - 국제시장), 한국 영화 세미나, 한·폴 영화인들과의 만남(김대환 감독, 이종훈 감독, 배우 김새벽 등), 리셉션, 폴란드 지방도시(브로츠와프) 순회 상영 등

8 여행정보 (1) 비자 ■ 비자 한국은 폴란드와 비자 면제 협정(1993.12.24 발효)을 체결했기 때문에 대 한민국 국민은 비자 없이 폴란드에 입국하여 90일까지 체류할 수 있다. 따라 서 단기(90일 내) 방문의 경우에는 비자가 필요하지 않다. 단, 한-폴 비자 면제 협정은 현지 취업과 같은 영리 목적의 입국에는 해당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취업, 주재원 파견 등 영리 등을 목적으로 입국하거나 90일 이상 체류할 때는 적절한 비자와 임시 거주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사증면제협정(90일) : 일반, 외교관, 관용

통과여객(TWOV)의 조건 여권 잔여유효기간 별도 조건 없이 통과

별도 규정 없음

비고 겐 가입국으로 셴 자유롭게 출입국 가능

 공연비자

사례금을 받는 상업적 공연의 경우 공연비자가 필요하나, 별도 사례금이 없이 문화교류 차원의 공연을 위한 입국시 공연비자 불요  주한폴란드대사관 연락처

- 주소: 서울 종로구 사간동 70번지

501


- 전화: 723-9681 - 홈페이지: http://www.seul.polemb.net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 : 안전  사건·사고의 현황 가. 테러, 인질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폴란드는 안정적인 정치체제 하에서 정상적인 공권력이 작용하는 국가로 서 양호한 치안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테러 가능성은 적은 편이나, 나토 회원 국으로서 아프가니스탄 파병중인 관계로 테러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나.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역, 공항, 도심 등 사람이 붐비는 곳에서의 절도, 소매치기, 폭행 등 각종 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나, 강력범죄 발생률은 높지 않은 편이며 비교적 치안이 안전한 국가로 분류된다. 관광지에서는 외국인을 상대로 하는 소매치기와 절도가 있을 수 있으며, 외국인이 많이 묵는 호텔 주변에서의 호객행위에 의한 바가지요금과 택시 운전사들의 고의적인 돌아가기 등을 유의하여야 한다.  자연재해

지진, 쓰나미 등 대규모 자연재해는 없다.  유의해야할 지역

주로 외국인과 관광객들이 많이 모이는 유명 관광지·쇼핑지역 등에서의 절도, 소매치기 등을 유의하여야 한다. 바르샤바의 경우 도시를 남북으로 가 로지르는 비스와 강 동쪽 편은 범죄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으로 구분

50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폴란드

되고 있어 주의를 요한다.

유럽

여름 관광 철에는 도시간 야간열차에서 승객이 잠이 든 틈을 타서 가방, 지갑 등을 절도하는 범죄가 간혹 발생하기도 한다.

9 현지 연락처 ■ 주폴란드 대사관 (청사) - 주소 : ul.Szwolezerow 6, 00-464, Warsaw - 전화 : +48 22 559 2900 - e-메일 : koremb_waw@mofa.go.kr - 홈페이지 : http://pol.mofa.go.kr - 긴급전화 : (사건사고업무) +48 601 165 600 (일반영사업무) +48 601 328 893

■ 주폴란드 한국문화원 - 주소 : ul.Kruczkowskiego 8, 00-380, Warsaw - 전화 : +48 22 525 0930 - e-메일 : kulturakoreanska@gmail.com - 홈페이지 : http://pl.korean-culture.org

503


31. 프랑스

1 개황

•수

도 : 파리(Paris, 인구 1,170만 명)

•인

구 : 6,535만 명

•면

적 : 543,965㎢(한반도의 2.5배)

•종

교 : 가톨릭(69%), 개신교, 유대교, 이슬람교등

•시

차 : 한국 -7

•언

어 : 불어

•1인당 GDP(’12년 기준) : 41,141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2년, 우리기준) : 총교역 75억 불(수출 26억 불, 수입 49억 불)

2 문화적 특성 ■ 풍부한 문화유산과 발달한 문화관광산업

프랑스는 다수의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을 갖고 있으며, 각종 박물관등이 소재하여 세계 최대의 문화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1년 세계관광기구가

50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집계한 방문객기준 세계 제1위 방문국으로 8천만 명이 프랑스를 방문했다. ※ 주요 통계

유럽

•문화산업 : 총기업수는 16만여개, 연간 290억유로의 부가가치, 30만여명 고용 •관광산업 : 총업체수는 24만여개, 연간 336억유로의 부가가치, 63만여명 고용

■ 국민들의 높은 문화수준과 수요

앙드레 말로, 자크 랑등 유명한 문화부장관이 활동한 데서 알수 있듯이, 프랑스는 오래전부터 문화정책을 중시해 왔다. 파리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미술관들이 다수 소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축제 가 프랑스 전역에서 연중으로 개최되는 바, 프랑스인들은 어렸을때부터 다양 한 문화예술분야를 접해와서 문화예술수준이 비교적 높고 이에 대한 수요가 큰 편이라고 볼수 있다. 지중해, 대서양에 접한 지정학적 위치, 과거 해외식민지 경영등으로 오래 전부터 외국문물이 활발히 수입되어, 외국 문화와 문물에 대한 수용성이 높은 편이다. ■ 문화다양성(Cultural Diversity)

프랑스의 문화정책상 중요 가치는 “문화다양성”인 바, 이는 영화 등 오락시 장 에서의 영미권의 독점에 저항하고자 하는 측면도 있으며, 이민자들이 국민 의 1/6에 해당하는 프랑스 사회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성격을 감안할 때, 사 회의 안녕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프랑스는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을 주도하고, WTO내 문화예외관련 규 정을 주장해오고 있는 바, 국내적으로도 방송심위등에서 TV 프로그램에 다양 성 기준을 정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 프랑스 연간 문화행사 • 멀티미디어 시청각 축제(FIPA, Festival International des Programmes Audiovisuels)

- 매년 1~2월경, Biarritz, 주관기관 FIPA, 웹사이트 www.fipa.tm.fr

505


• 디지털 아트 축제(Festival international des arts numeriques)

- 매년 6월 중순, Enghien-les-bains, 주관 Centre des arts Enghien-les-bains - 웹사이트 : www.bainsnumeriques.fr • 앙굴렘 만화 축제(Festival International de la Bande Dessinee) - 매년 1~2월경, Angouleme,

주관 9e+ bureau du festival a Angouleme - 웹사이트 : www.bdangouleme.com • 몽펠리에 국제무용제(Festival Montpellier Danse)

- 매년 6월말경, Montpellier, 주관 Montpellier Danse A l’agora, - 웹사이트 : www.montpellierdanse.com • 리용 무용제 (Biennale de la Danse) - 2012년 하반기(격년제), Lyon, 주관 les Biennales de Lyon - 웹사이트 : www.biennale-de-lyon.org • 아비뇽 연극 축제(Festival d’Avignon) - 매년 7월, Avignon, 주관 Bureau du Festival d’Avignon, - 웹사이트 : www.festival-avignon.com • 일드 프랑스 축제(Festival d’Ile de France) - 매년 9~10월, Paris, Ile de France, 주관 Festival d’Ile de France - 웹사이트 : www.festival-idf.fr • 베장송 세계음악제

(festival Int’l de Musique Besancon Franche Comte) - 매년 9~10월, Besancon, 웹사이트 : www.festival-besancon.com • 재즈 페스티벌 (Reims Jazz Festival) - 매년 11월, Reims, 주관 Reims Jazz Festival - 웹사이트 : www.djaz51.com • 국제현대미술전(Foire Internationale d’Art Contemporain) - 매년 10월경, Grand Palais, Paris, 주관 FIAC(Foire Internationale d’Art Contemporain), 웹사이트 : www.fiac.com • 아를르 사진의 국제만남(Rencontres Internationales de la Photographie)

50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매년 7~9월, Arles, 주관 Maison des Rencontres

유럽

- 웹사이트 www.rencontres-arles.com • 깐느국제영화제(Festival de Cannes) - 매년 5월, Cannes, 주관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 웹사이트 : www.festival-cannes.com • 끌레르몽페랑 국제단편영화제(festival International du Court Metrage) - 매년 1월~2월, Clermont-Ferand 주관 La Jetee - 웹사이트 : www.clermont-filmfest.com • 브줄 아시아 영화제(Festival International des Cinemas d’Asie) - 매년 2월, Vesoul, 주관 Festival International des Cinemas d’Asie - 웹사이트 : www.cinemas-asie.com • 도빌 아시아 영화제(Festival du film asiatique de Deauville) - 매년 3월, Deauville 주관 Le Public Systeme Cinema, - 웹사이트 : www.deauvilleasia.com • 낭뜨 3대륙 영화제(Festival des Trois Continents) - 매년 11월, Nantes, 주관 les 3 continents - 웹사이트 : www.3continents.com

3 한류 현황 1993년 퐁피두센터에서 개최된 초대형 한국영화 특별전을 계기로 일기 시작한 프랑스 내 한류는 2000년대를 지나며 서서히 정착되었으며, 이후 한국 영화 개봉작 수가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2000년 대 후반에 들어 영화 뿐 아니라 드라마, 가요 등으로 그 장르가 확대되었다. K-Pop의 경우 2011년 SM 콘서트를 시작으로 프랑스뿐 아니라 유럽 전역에 잠재되어있던 팬들의 수요(최고 14만 명 예상)가 드러나기 시작했고, 이후 K-Pop에 대하여 현지 언론에서 보도되는 등 한국 대중문화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특히 2012년 말

507


싸이(PSY)의 트로카데로광장 이벤트에 2만 여명의 군중이 운집했다. 한류의 루트는 보통 인터넷을 통하여 접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25세 이하 젊은이들은 드라마, K-Pop을 접한 후 영화, 한식, 전통문화의 순으로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그에 반해 판소리, 한복 등의 전통예술 혹은 한식을 먼저 접한 후 영화, 드라마, K-Pop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예도 적지 않다. [최근 주요행사]

■ K-Pop 콘테스트 <떠오르는별> (2012.8.31) • 프랑스 내 K-Pop을 좋아하는 젊은이들의 재능을 소개하고 이들이 오프라인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됨 • 우승팀인 F.J.K가 한국 네티즌들의 투표에 따라 한국에서 개최되는 케이팝 월트페스티벌에 참가함.

■ 한국문화 대학축제 <한국으로의 시선> (2012.11.12~16) • 파리도핀대학에서 한국문화 축제를 5일간 개최, 이자람 <사천가>공연, 전통공예특별전, 전통문화 아틀리에, 전주비빔밥 한식퍼포먼스, 한식, 한류 컨퍼런스, 영화 및 드라마 상영을 통하여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넓은 스펙트럼의 문화 행사를 개최함

■ 강산에 콘서트(2012.12.5) • 파드디유협회와 함께 강산에 콘서트를 개최하여, 전석이 매진됨. 부대행사로 파리소재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쇼케이스, 주불문화원에서 기자간담회 겸 미니콘서트를 개최함

■ 틴탑 단독 유럽투어 일환 프랑스 공연(2013.2.7) • 한국 아이돌 그룹 “틴탑” 유럽 순회공연 일환으로 파리 트리아농 극장에서 공연을 개최(독일, 영국, 스페인 순회공연 개최 총 5회)하였으며, 이에 앞서 주불문화원 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함 (프랑스 공연 전석 매진)

50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나윤선 샤틀레 단독공연 (2013.3.25)

유럽

• 파리 시립극장인 샤틀레 극장(3,000석)에서 단독 초청 콘서트를 개최하여, 프랑스 관객들에게 사랑받는 최고 재즈 아티스트 중 하나로 인정받음. (전석 매진)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프랑스 젊은이들은 K-Pop이 그들에게 익숙한 음악이면서, 거기에 이국적 인 터치가 가미되어 이전에 알고 있는 음악과는 다른, 새로운 것을 보여주며, 특히 단편적이면서 중독성 있는 리듬의 반복이 매력적이라고 평가한다. 더불어 수려한 외모, 뛰어난 가창력과 춤실력을 지닌 아이돌들의 매력에 음반, 뮤직비디오 뿐 아니라 그들의 사진이 실린 포스터 등의 제품을 구입하 고 있다. 영화의 경우, 서구 여느 영화들과 다른, 한국영화만의 독특한 주제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리듬, 그리고 독자적인 스토리라인에 국제주요영화제 뿐 아니라 일반 영화관객들의 관심이 크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프랑스 내 K-Pop팬들의 경우 대부분이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학생들로 구성되므로 낮은 구매력을 고려, 공연티켓 가격을 현 실정에 맞추어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지 기획사 선정 시 공연기획과 홍보 능력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기획사 나 전문가를 통한 현지시장조사를 우선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509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현황 프랑스 한류 동호회는 2000년대 초, 한류에 관심 있는 이들의 개인적인 활동이 그룹화 되어 동호회 형식으로 발전하여, 2000년대 말에는 공식협회로 등록하고 활동하는 단체들이 생겨나고, 이를 기반으로 규모 있는 한국문화관 련 행사들이 개최되기 시작했다. 2011년 4월 파리에서 개최된 한국문화축제는 문화원 한국어 수강생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협회와 타 협회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룬 첫 번째 대규 모 행사로서 그 의미가 크며, 이를 계기로 온라인상에 흩어져있던 한류관련 단체, K-Pop동호회들이 한자리에 모여 교류의 장을 마련하였으며, 미래 한 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된다. 2013년 상반기 한국문화전반에 관한 협회는 15개, K-Pop 동호회는 80 여개가 활동하고 있으며, 프랑스 협회 성격상 30명 이내의 운영진을 중심으 로 하는 소-중규모 협회가 대부분이다. 공식 협회로 등록하고 활동하는 한류관련 단체들은 기존 아시아관련 행사 참여, 단독행사개최 등의 형식을 통하여 사물놀이, 택견, 태권도와 같은 한국 전통예술을 비롯하여 영화, 드라마, K-Pop 등 다양한 분야를 소개하고 있으 며, K-Pop 동호회들은 한국문화협회와 공동으로 K-Pop Daily Party와 같이 음악과 춤을 중심으로 행사를 개최중이다.

51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2) 동호회별 현황

Ⅰ 유럽

가. 협회  Kachi to Korea 성격

한국문화

회원수

20명(운영진) / 751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KachiToKorea

세부활동 현황

• 2012. 1주일간 가치투윅 핵사 개최(4월) 한복디자인 경연대회(12월)를 개최, 수상 작품은 직접 제작, 문화원내 시상 및 전시회 개최 •한국문화 관련 행사 꾸준히 진행, 문화원 행사시 자원봉사자 지원 등 협력 •창립 : 2011년 / 회장 : Kwala ABED

 NABI 성격

한국문화

회원수

10명(운영진) / 168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KachiToKorea

세부활동 현황

•2013년 2월 한국문화축제(문화원), K-Pop 커버댄스 교실(주 1회) •2013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초청 한국어강좌 여름학기 프랑스학생 교류 •창립 : 2012년 11월 / 회장 : Hannah LOGAN

 O’Korea(INALCO(국립동양어문화대학)학생협회 성격

한국문화

회원수

10명(운영진) / 270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okoreasso

세부활동 현황

•2012년 3월 한국의 날 개최 (매년 3월말 정기행사) •2013년 3월 29일 한국의 날 개최 •창립 : 2012년 2월 / 회장 : Delphine DETRE

511


 Olala Korea 성격

한국문화

회원수

10명(운영진) / 982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olalakorea.fr

세부활동 현황

•INALCO에서 진행된(2012.11) 아시아문화행사 파트너로 참석 • K-Pop 등 대중문화 중심의 활동. 협회 홈페이지에서 문화원 행사 등 한국문화관련 이벤트 및 문화교실 홍보 협력 •창립 : 2012년 5월

 Annyeong France 성격

프랑스, 벨기에 등 연합 / 한국여행프로젝트/ KPOP

회원수

495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http://annyeongfrance.forumactif.com https://www.facebook.com/AnnyeongFrance •KPOP, 한국여행 등 한국문화에 관한 정보 공유 •한국문화 관련 행사개최

나. K-Pop 동호회 현황  Bonjour Hanguk 성격

K-Pop 팬클럽

회원수

676명(페이스북) http://bonjourhanguk.xooit.com https://www.facebook.com/pages/Bonjour-Hanguk/106182712752956 http://youtube.com/user/bonjourhanguk http://dailymotion.com/user/bonjourhanguk http://twitter.com/bonjourhanguk •한국문화에 관한 정보 공유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51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BigBang France-Page francaise 빅뱅 팬클럽

회원수

1,022명(페이스북) / 3,656명(트위터) http://bigbangfrance.overblog.com https://www.facebook.com/pages/BigBang-France-PageFran%C3%A7aise/311027885613807 http://www.dailymotion.com/fandepechemode83 https://twitter.com/BigBangPageFr • 페이스북, 트위터, 데일리모션 등 각종 SNS 사이트를 통하여 공연정보 및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공유 •K-Pop 관련 최신 정보 제공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Ⅰ 유럽

성격

 United French VIP 성격

빅뱅 팬클럽

회원수

1,397명(페이스북) / 1,247명(트위터)

웹사이트 주소

http://unitedfrenchvip.net https://twitter.com/UnitedFrenchVIP https://www.facebook.com/UnitedFrenchVIP

세부활동 현황

•빅뱅 관련 최신 정보 제공 (기사, 사진, 동영상) • 포럼을 통해 빅뱅, K-Pop 가수 관련 정보를 교환하며 팬클럽 회원간 의견 교류가 활발히 진행

 2NE1 France 성격

2NE1 팬클럽

회원수

16,223명(페이스북) / 6,476명(트위터)

웹사이트 주소

http://2ne1france.wordpress.com https://www.facebook.com/2ne1.france.page.officielle/info https://twitter.com/2NE1FRANCE1 http://www.dailymotion.com/2ne1-France

세부활동 현황

• 프랑스 내 2NE1 공식 팬사이트로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등 다양한 SNS 사이트를 활용하여 공연소식,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 제공

513


 Tablo & Epik High France 성격

에픽하이 팬클럽

회원수

271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tabloepikhighfr.wordpress.com https://www.facebook.com/TabloFrance

세부활동 현황

• 프랑스에서 첫번째로 개설된 타블로와 에픽하이 멤버들의 팬사이트로서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등 다양한 SNS 사이트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 제공 (공연소식, 사진, 동영상 등)

 YG Family concert in France 성격

와이지 패밀리 팬클럽

회원수

1,296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ygconcert.wordpress.com https://www.facebook.com/ygfamilyfrance

세부활동 현황

• 프랑스에서 첫번째로 개설된 와이지 패밀리 팬사이트로서 공연정보, 음악,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며, 오프라인 만남을 통해 각종 이벤트를 기획

 Hello Venus Francophone 성격

헬로비너스 팬클럽

회원수

331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https://www.facebook.com/pages/Hello-Venus-France http://me2day.com/hellovenus • 프랑스에서 첫번째로 개설된 헬로비너스 팬페이지로서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 제공

 B1A4 France

514

성격

B1A4 팬클럽

회원수

1,296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www.b1a4-france.com/

세부활동 현황

• 페이스북, 트위터, 포럼 등의 SNS 사이트를 통해 비원에이포 멤버들의 최근 소식 전달, 다양한 자료 공유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MYNAME France 성격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유럽

회원수

마이네임 팬클럽 1,344명(페이스북) http://www.mnff.net https://www.facebook.com/pages/MYNAME-France • 마이네임의 팬포럼 사이트로서 회원들 간 다양한 자료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 French E.L.F Line 성격

슈퍼주니어 팬클럽

회원수

2,932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frenchelfline.bbfr.net https://www.facebook.com/FrenchElfLine https://twitter.com/#!/FrenchELF_Line

세부활동 현황

• 온라인 :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등의 SNS 사이트를 활용하여 회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팬포럼을 통한 의견교류 활발 • 오프라인 : 팬레터, 선물 전달, 현수막 제작. 동영상 촬영 등 다양한 이벤트 개최

 SNSD Europe 성격

소녀시대 팬클럽

회원수

2,485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SnsdEurope

세부활동 현황

• 소녀시대 팬페이지로서 멤버들의 최근 소식 및 사진, 음악,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공유

 F(x) france 성격

에프엑스 팬클럽

회원수

174명

웹사이트 주소

http://www.fxflowersfrance.com/

세부활동 현황

• 에프엑스 팬포럼 사이트로 회원간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515


 SHINee France 성격

샤이니 팬클럽

회원수

66,592명(페이스북), 16,470명(트위터)

웹사이트 주소

http://www.shineefrance.net http://www.shineefrance.com http://shinee-source-france.skyrock.com/ https://twitter.com/SHINeeFrance

세부활동 현황

• 온라인 :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 사이트를 통하여 공연소식, 사진, 동영상 자료 등 다양한 정보 제공 • 오프라인 : 멤버들에게 펜레터, 선물 전달, 티셔츠 제작, 팬미팅 개최 등 활발한 활동 진행

 EXO France 성격

엑소 팬클럽

회원수

61,620명(페이스북), 8,839명(트위터)

웹사이트 주소

http://exofrance.net/forum https://www.facebook.com/EXOFranc https://twitter.com/EXOFrance http://ask.fm/exofrance http://www.youtube.com/user/EXOFrance https://www.youtube.com/user/EXOFranceTV http://exofrance.tumbl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357567464269939 http://www.dailymotion.com/EXOFrance https://www.facebook.com/EXOK.KAIFrance.ObsessionKai

세부활동 현황

• 프랑스 내 엑소 공식 팬사이트로서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등 다양한 SNS 사이트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며, 포럼을 통해 회원들의 비공식적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음

 France BoA Kwon 성격

516

보아 팬클럽

회원수

448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oaKwonFrance

세부활동 현황

•보아의 팬페이지로서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TVXQ France 동방신기 팬클럽

회원수

5,526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www.tvxqfrance.com

세부활동 현황

• 동방신기 팬포럼 사이트로서 회원들간 다양한 자료를 공유하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Ⅰ 유럽

성격

 ZE:A’style FR 성격

제국의 아이들 팬클럽

회원수

448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Zea-style.com

세부활동 현황

• 5명의 소녀가 운영하는 제국의 아이들 팬포럼 사이트로서 운영진이 직접 각종 소식을 번역하여 회원들에게 공유하며,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 French Boice 성격

CNBLUE 팬클럽

회원수

455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www.blueimpact.org

세부활동 현황

• 씨앤블루의 팬포럼 사이트로서 회원들에게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

 FrenchTreasure / FTIslandFR 성격

FTIsland 팬클럽

회원수

1,207명(페이스북)

웹사이트 주소

http://www.frenchtreasure.net

세부활동 현황

• 애프티아일랜드의 팬포럼 사이트로서 회원들에게 멤버정보, 공연소식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

517


 4Minutes france 성격

포미닛 팬클럽

회원수

2,346명(페이스북), 1,915명(트위터), 133명(유투브)

웹사이트 주소

http://4minute-france.blogspot.fr https://www.facebook.com/4MinuteFrance https://twitter.com/4MINUTE_FRANCE

세부활동 현황

•프랑스 내 포미닛 공식 팬사이트로서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

21 TEEN TOP France 성격

틴탑 팬클럽

회원수

4,168명(페이스북), 1,442명(트위터), 133명(유투브)

웹사이트 주소

http://www.teentop-france.com https://www.facebook.com/teentopfrance http://teentop-france.tumblr.com http://teentopfrench.wordpress.com https://twitter.com/FR_TEENTOP

세부활동 현황

•프랑스 내 틴탑 공식 팬사이트로서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

22 Boyfriend France 성격

보이프렌드 팬클럽

회원수

177,549명(페이스북), 2,551명(트위터), 503명(유투브)

웹사이트 주소

http://www.boyfriend-france.com https://www.facebook.com/BoyfriendFrance https://twitter.com/BoyfriendFrance http://www.youtube.com/user/BoyfriendFrance

세부활동 현황

• 프랑스 내 보이프렌드 공식 팬사이트로서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며, 팬클럽 회원들의 오프라인 활동이 활발

23 JYP Nation in France

518

성격

제이와이피 소속사 팬클럽

회원수

1,251명(페이스북), 655명(트위터)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JypNationInFrance https://twitter.com/JYPNationFr

세부활동 현황

•제이와이피 소속 가수들의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24 Infinite France 인피니트 팬클럽

회원수

8,941명(페이스북), 9,662명(트위터)

웹사이트 주소

http://infinite-france.com https://www.facebook.com/InFiniteFrance https://twitter.com/Infinite_France

세부활동 현황

• 프랑스 내 인피니트 공식 팬사이트로서 페이스북, 트위터, 포럼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팬클럽 회원들의 오프라인 활동이 활발

Ⅰ 유럽

성격

25 Shinhwa Changjo France 성격

신화 팬클럽

회원수

2,528명(페이스북), 4,066명(트위터)

웹사이트 주소 세부활동 현황

https://fr-fr.facebook.com/ShinhwaChangjoFrance https://twitter.com/SHCJ_FRANCE • 프랑스 내 신화 공식 팬사이트로서 페이스북, 트위터를 통해 사진,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

7 2013년 문화행사 ■ ‌ K-Classic과 함께하는 유엔젤보이스(Uangel Voice) 신년 음악회 (1.9, 문화원) ■ ‌ Cine´ Core´e “1990년대 멜로 영화”, “여인의 향기” 등 영화 상영 (연중 18회, 문화원) ■ 한국 요리 정기 시연회(1.11~12.8 년9회, 문화원) ■ 주목할 만한 작가전 박능생 < Cityscape > 전시회 (1.23~2.20, 문화원) ■ ‌ 제 40회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 한국 만화 특별전 <Spe、cial Core、e> (1.31~2.3, 앙굴렘) ■ 제 19회 브줄 국제 아시아 영화제(2.5~12, 브줄) ■ ‌ 아이돌 그룹 <틴탑> 유럽 순회 공연, 계기 기자회견 개최 (기자회견 2.6, 문화원, 공연 2.9 트리아농 극장) ■ 방혜자 화백의 <우주의 빛> 전시(2.6~3.30, Galerie Guillaume)

519


■ ‌ 군사박물관 ‘뮤직알프’ 클래식 공연시리즈 개최 (2.11~25, 2회공연, 앵발리드) ■ 제 30회 국제 환경 영화 페스티벌(2.19~2.26, Cinema des Cineastes) ■ 캐롤린 존스턴 연주회(2.20, 문화원) ■ ‌ 깨브랑리 민속 박물관 살롱 드 뮤직 일환 <이정주와 마티아스 델플랑크> 콘서트 개최(2.23, 깨브랑리 박물관) ■ ‌ 류춘수 건축가 <붓, 펜, 그리고 컴퓨터> 드로잉 전시회 (2.27~3.20, 문화원) ■ ‌ 로렌지방 <세계의 문화-한국> 한국 문화 행사 개최 (3.5~4.20 라필로쉬 미디어도서관) ■ 제15회 도빌 아시아 국제 영화제(3.6~10, 도빌 CID) ■ <한국의 문화와 문명>컨퍼런스 시리즈(3.13~4.24, 총7회, 문화원) ■ <문정희> 시인과의 만남(3.22, 문화원) ■ ‌ 주목할 만한 작가전 권인경 <L’e ´chappe ´e belle> 전시회 (3.27~4.24, 문화원) ■ <Sunrising> 콘서트-조범준 첼로솔로 공연(3.27, 문화원) ■ <판소리> 공연-컨퍼런스 개최(3.25, The ´a^tre du Chaudron) ■ 한국전통무용워크샵 개최(4.22~26 10회, 문화원) ■ 김명남 작가 전시(4.20~5.18, Gallery Jacques Levy) ■ ‌ 제5회 주 프랑스 한국 대사배 태권도 대회 (5.4, Georges Carpentier스포츠 경기장) ■ <보자기와 우리의 옷> 이미석 작가 전시(5.3~15, 문화원) ■ <한국 문학의 밤> 천운영, 김언수 작가와의 만남(5.6, 문화원) ■ 재불 청년작가협회출범 30주년 기념 전시회(5.21~6.1, 파리 국제예술촌) ■ <한국의 얼> 김경상 작가 다큐멘터리 사진전(5.22~6.19, 문화원) ■ <Sunrising> 콘서트-조은희 피아니스트 독주회(5.22, 문화원) ■ <재즈 콘서트> 마틴 제이콥슨 쿼텟(5.23, 문화원) ■ 낭트 <한국의 봄> 축제(5.27~6.16, 낭트 전역) ■ 파리상상축제 <김영기 가곡> 공연(5.30, 6.1 세계 문화의 집)

52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민혜성 판소리 강습(6.17~28, 문화원)

유럽

■ 아비뇽 <한국관> 개관(7.5~15, 아비뇽 생미쉘 성당) ■ 한식경연대회 개최(6.29, 파리 아틀리에드쉐프) ■ ‌ 파리 여름축제 <Paris quartier d’e ´te ´> 개최 (7.14~8.11, 앵발리드, 루브르 등 파리 시내 중요문화기관) ■ 프랑스 K-Pop 컨테스트 <떠오르는별>(7.26, 파리 아디아 공연장) ■ ‘설국열차’ 특별전(9.4~.26, 문화원) ■ 세계 문화의집 송순섭 판소리 공연(10.4, 파리세계문화의 집) ■ 한국문화 대학축제 <한국으로의 시선>(10.7~.12, 파리도핀대학교) ■ 제 8회 파리 한국영화제(10.28~11.4, 파리 생앙드레데자르 극장) ■ ‘동의보감’ 편찬 400주년 특별전(11.5~23, 문화원) ■ 제 8회 루앙아고라 한국영화제(일시/장소 : 11.6~10, 루앙 파테영화관) ■ 프랑스 문화유산박람회(11.7~10, 루브르 박람회장) ■ 어린이 페스티발 <어린이들의 꿈Re^ves d’enfants>(11.18~20/문화원)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무사증 (90일)

통과여객(TWOV)의 조건 여권 잔여유효기간 하기 참조

-

비고 훼손 여권은 입국 거부

■ 경유 비자 • 프랑스 공항으로 입국하여 “국제구역(International Zone)”를 이탈하지 않고 출국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유비자가 불요

521


■ 프랑스 공항 경유 및 비자 구비 요건 ❶ 프랑스 공항으로 입국, 여타 프랑스 공항 또는 셍겐역내 공항으로 이동

• 입국한 프랑스 공항에서 입국심사가 이루어지며, 무사증 협정 체결 국가가 아닌 경우 단기 입국 비자 필요 예1) CDG공항에 입국 후 니스, 보르도, 마드리드, 베를린에 가는 경우 예2) ‌ CDG공항에 입국 후 암스테르담으로 가는 비행기로 갈아탄 후, 암스테르담에서 뉴욕으로 가는 경우(암스테르담까지는 셍겐구간이므로 프랑스에서 입국심사) ❷ 프랑스 공항으로 입국, 동 공항 내 “국제구역(international zone)”을 이탈하지 않은

채 셍겐역 외 공항으로 이동 ❸ 프랑스 공항으로 입국, 동 공항 내 “국제구역(international zone)”을 이탈, 셍겐역 외

공항으로 이동 • 예) 파리에서 공항을 바꾸는 경우(CDG공항에서 Orly공항으로), 연결편이 같은 날 출발하지 않아서 공항 밖으로 나가야 하는 경우, 비행기 편이 아니라 기차 등 다른 교통편으로 이동하는 경우(CDG공항에 내려서 Eurostar로 런던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 • 이 경우 여행자는 국제구역을 벗어나게 되는바, 입국 관련 비자가 필요

 공연비자

일반적으로 공연자가 영리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노동허가증이 필요없지 만, (한국인인 겨우 프랑스에 3개월 무비자체류 가능) 입국 시 편의를 위해 공 연기획사 등 초청기관에서 발행하는 비영리활동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음 프랑스 내에서 영리활동을 하는 경우(공연자 사례비 지급 등) 노동허가가 필요하므로, 공연기획사등이 노동허가를 관장하는 La DIRECCTE(경제, 경 쟁, 소비, 노동 및 고용국)으로부터 공연자를 위한 노동허가비자를 발급받아 야 함(1~2달소요) ※ ‌ DIRECCTE(Direction regionale des entreprises, de la Concurence, de la Consommation, du travail et de l'emploi)는 지자체별로 소재하고 있으며, 통상 공연기획사가 소재하거나 공연이 개최하는 지역에 소재한 DIRECCTE로부터 발급

52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주한프랑스대사관 연락처

유럽

■ 주소 : 서울시 서대문구 합동 30 ■ 전화번호 : (02)3149-4300 ■ FAX : (02)3149-4310  출입국시 유의사항

■ 솅겐 국경법(Schengen Borders Code)에 따라 유럽연합(EU) 회원국 및 솅겐 지역 구성 국가 내의 체류기간과 프랑스 체류기간을 합산하여 90일을 초과하여 체류할 수 없음 • 예로, 네덜란드에서 1개월을 체류하였다면 프랑스에서는 2개월만 체류가 가능 • 영 국은 솅겐 조약 가입국이 아니므로 자유통행이 불가능하며,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입국시 출입국 심사가 엄격하다. 영국에서 체류하다가 유럽연합을 관광하고 다시 영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입국거부되는 경우가 많은바, 이 경우에는 불법체류 가능성을 의심하기 때문에 흔히 발생하므로 영국 체류증을 갱신한 후나 유효기간이 충분히 많이 남은 상태에서 출국을 하는 것이 좋다.

(2) 안전정보  테러위협

■ ‌ 프랑스는 국내 정치가 매우 안정되어 있고 주변국과도 특별한 마찰이 없어, 전쟁·내란·테러와 같은 대형사건 발생확률이 비교적 적은 국가 이다. ■ ‌ 다만, 2010년부터 과격 이슬람주의자, 코르시카·바스크 지역의 분리독립 주의자와 같은 극단주의자들에 의한 테러의 위험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2010년 9월에는 에펠탑을 폭파하겠는 협박전화가 2차례 발생, 관광객들 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으며, 2011년 5월 빈 라덴 사살이후 테러 위협이 더 한층 증가되어 프랑스 정부도 테러 경계수준을 ‘오렌지 단계 (경계강화)’를 유지중이다.

523


 소매치기, 날치기, 강도 급증

■ ‌ 파리·마르세이유등 대도시에서는 소매치기 등 절도와 총기 강도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파리의 경우, 생 드니 등 북동부 및 그 외곽 지역, 몽마르뜨 등 주요 관광지, 지하철 등에서는 관광객을 상대로 한 소매 치기·날치기 등 절도와 강도가 많이 발생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 2012년 프랑스에 입국한 약 40만 명의 한국국민중 535명이 각종 범죄 피해를 입었으며, 이중 대다수가 소매치기·날치기 등 절도와 강도 피해 이고, 피해자중 20~30대 젊은층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 피해자도 과반수가 넘는다.  빈번한 사건·사고 유형 및 대처요령

■ 주요 피해 사례 • 차량으로 공항에서 시내로 들어올 때 교통체증으로 차량이 일시적으로 정차시 오토바이로 접근, 차유리창을 깨고 운전석 옆자리 착석자가 갖고 있는 가방을 훔쳐 도주 •식당이나 카페에서 좌석 등받이에 가방을 걸쳐 놓아 분실 • 지하철 입구쪽에 위치해 있을때 소매치기범들이 차량 출발 직전 가방을 훔쳐 역내로 도주 •샹젤리제 등 관광지등에서 2~3명이 다가와 길을 물어보면서 가방을 훔쳐 도주

■ 장소별 유의사항 (도착 및 출발) • 프랑스 입국시 장시간 비행 및 시차로 인해 주의력이 떨어지고, 긴장이 풀리는 점을 이용한 소매치기범(2~3인조)들의 접근에 각별한 경계가 요망됨 • 차량 탑승 때까지 수하물이나 손가방 등이 신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일행이 있을 경우 교대로 이를 지키면서 공중전화 사용이나 화장실을 이용해야 함 - 또한, 출국시 여정을 다 마쳤다는 생각에 긴장을 풀게 되는 점을 노린 도난사고가 급증하고 있는바, 특히, 대한항공이나 에어 프랑스 등 우리 국민들이 많이

52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사용하는 항공기의 이착륙 시간에 맞추어 전문 소매치기 범들이 출몰함

유럽

(공항↔시내 이동) • 차량으로 시내 이동시 오토바이를 이용한 2인조 강도가 지하터널 등 차량정차 구간에서 창문을 깨고 핸드백을 탈취하는 사례 다수 발생함 • 운전석 옆자리나 뒷자리에서 핸드백, 가방 등을 갖고 타지 말고, 트렁크에 보관하는 것이 절대 안전함 • R ER(외곽 고속 지하철)내에는 항상 2~3명씩 조를 짜서 활동하는 소매치기 범들이 아시아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범죄가 빈발함 • 야 간에 공항으로부터 버스가 도착하는 오페라 지역에는 밤늦게 도착하는 승객들을 대상으로 한 소매치기 범죄가 빈발함

(숙소 이용시) • 호텔 도착시 체크인하는 과정에서 로비에서 가방이나 소지품을 도난 당하는 예가 많은 바, 호텔 도착 후에도 중요 소지품은 수중에 간직하고, 일행이 있을 경우 교대로 소지품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함

(유명 관광지) • 몽마르뜨 언덕은 파리내 최대 사고 다발 지역으로 도로변에서는 단체여행 시에도 항상 보행시 주의해야 함 •특히 2~3명의 그룹이 접근하는 경우, 신체적으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음 • 에펠탑, 루브르 궁전, 베르사이유 궁전 등 파리의 유명 관광지와 주요도시인 마르세이유, 리용, 칸느 및 니스 등도 사고가 빈발함

(기차역) • 기차역에서 2~3명 무리를 지어 다가오는 외국인을 경계해야 하며, 대개 한사람이 친절한 태도로 접근하여 호의를 베푸는 척하면서 다른 사람이 소매치기를 하기 때문에 아예 근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임

(지하철 이용) • 지하철(특히 1호선)은 소매치기들의 온상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소매치기 범들은 열차가 출발하려는 순간 갑자기 문을 열고 밖으로 도망치기 때문에 일단 지하철에 승차하면 출입구 쪽에서 있지 말고 가급적 빈 좌석에 (창쪽으로) 앉는 것이 바람직함

525


(도로 보행) • 차도쪽이 아닌 건물 방향으로 보행하도록 하고, 일행이 있을 경우 서로 감시가 되는 위치로 걷는 것이 바람직함 •특히 횡단 보도를 지나는 경우 2명이 탄 오토바이가 다가올 경우 경계가 요망됨

(경관 사칭 소매치기범) • 노상에서 2인조로 경관을 사칭하면서 접근, 여권 등 신분증 제시를 요구하면서, 이를 가지고 달아나는 사기범들이 증가하고 있음 •경찰 신분증 제시를 요구하고, 지나가는 행인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이 바람직함.

(은행이나 현금 인출기 사용) • 은행에서 현금을 인출하거나 현금 인출기 사용시 부근에 있을 수 있는 2~3인조 소매치기범들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

(악덕 유흥업소 출입) • 몽마르뜨, 피갈지역 등 유흥업소가 많은 곳에서 호객 행위를 하는 업소는 계산시 터무니없는 금액을 청구하는 사례가 많은 바, 일단 출입을 자제하고, 비정상적 요금 청구시 인근 관할 경찰서에 신고하는 것이 좋음

 특히 주의해야 할 곳

■ ‌ 파리는 물론 파리 외곽지역 및 니스, 칸느와 같은 남 프랑스의 해안 도시 등으로 관광객이 많은 지역 ■ ‌ 공항-파리 간 급행지하철을 비롯한 모든 지하철 차량 내와 지하철 역은 물 론이며 특히, 많은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샤틀레 레알역, 오페라역, 북역(Gare du Nord), 몽파르나스역 ■ ‌ 관광객이 많은 공항, 루브르 박물관, 베르사이유 궁전, 백화점, 개선문과 콩코르드 사이의 샹제리제 거리, 몽마르트, 생미셸 광장, 에펠탑, 노틀담 성당, 라데팡스 지역주위  현지 관습

■ ‌ 프랑스인들은 규정에 얽매이는 것을 싫어하며, 남의 일에 나서는 것은 참 견이고 실례라고 생각하여 타인들을 도와주는 것은 꺼려하는 경향이 있음

52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 프랑스에서 담배꽁초 등 쓰레기 무단투기, 무단횡단 등 사소한 법규를 잘

유럽

지키지 않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음 ■ ‌ 모든 생활에서 시간적 여유를 즐기는바, 공적인 부분에서도 민원업무처리 가 매우 느리며 (도난사건 신고시 경찰서에서 1시간 이상 기다리는 것은 보통임), 모든 것이 서류로 제시되어야 하고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산처리 보다는 아직도 일일이 손으로 처리하는 업무가 많음. 또한 근무시간내 업 무처리가 기본원칙이며 공휴일 업무처리는 거의 없음  치안 법령

■ ‌ 프랑스는 한국과는 달리 경찰력이 상당히 강한 나라로 가벼운 사안의 경우에도 체포 및 구금이 가능하며, 경찰에게 저항하거나 지시에 따르지 않을 경우 별도의 범죄 즉, 공무집행 방해 혐의가 추가될 수도 있음 ■ ‌ 범죄에 연루 되었을 경우에는 일단 경찰의 지시에 응하고,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대 흥분하지 말고, 논리적으로 차분히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언어소통 불가 등으로 도움이 필요할 경우 지인 또는 대사관에 연락해 줄 것을 요구해야 함 ■ ‌ 지하철·버스 무임승차 등 한국에서는 가볍게 여길 수 있는 사안도 범죄를 구성하고 체포되거나 벌금을 물게 될 수도 있는 만큼, 프랑스 현지 법령과 공중도덕을 철저히 준수하는 자세가 중요함

9 현지 문화 (1) 엄격한 공사(公私)구분 및 사생활 보호 ■ ‌ 프랑스 사회는 공사를 엄격히 구분하고, 개인의 사생활 보호에 대한 전통 이 강한 국가로, 남녀를 구분하고 친한 사이가 되기 전에는 나이·결혼 여 부에 대한 질문은 결례임 ■ ‌ 프랑스는 동거혼인(PAC)제도, 언론에 노출된 유명인들의 자유분망한 남녀

527


관계로 잘 알려져 있으나, 개인의 사생활에 해당되는 주제에 대한 발언을 가급적 삼가는 것이 바람직함

(2) 대인관계 및 업무스타일 ■ ‌ 프랑스는 게르만 문화와 라틴문화가 혼재되어, 공식적인 업무협의시 예의 를 갖추는 것을 중시하며, 대체적으로 원칙을 준수하고 합리적으로 대응하 는 편이나, 영미권 국가들에 비해 비교적 유연한 사고방식을 갖고 있어「ca de ´pend」(경우마다 다르다)는 인식이 있음 ■ 외국인에 대해 의식적으로 친절한 태도는 영미권에 비해 낮은 편이고, 급속도로 친밀도를 쌓기 어려운편이나, 몇 차례의 접촉 이후 친밀도가 쌓이면 관계가 돈독해지는 경향이 있음

(3) 이름 표기 및 호칭 ■ ‌ 프랑스에서는 <이름 + 성>으로 표기하며, 친한 사이가 아닌 경우, 남성의 경우 <Monsieur +성>, 여성의 경우 <Madame +성>으로 부름 ■ ‌ 대사, 장관 등 고위직인 경우는 직함을 언급하나, 대체적으로 호칭시에는 직함을 언급하지 않는 것이 관례임 • 대사, 장관의 경우 Monsieur Ambassadeur, Monsieur Ministre등 <Monsieur/ Madame + 직함>으로 호칭

■ ‌ 여성차별 철폐차원에서 미혼의 젊은 여성을 의미하는 Mademoiselle은 법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나, 관행적으로는 아직도 널리 사용되고 있음

(4) 대화 주제 및 불어구사 ■ ‌ 프랑스인들은 이야기하는 것을 매우 좋아하며, 문화·요리·역사·철학

52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등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개인적 성과, 돈에 대한 이야기를

유럽

저속한 것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큼 ■ ‌ 또한, 강한 공화국 전통으로, 정교분리, 개인의 자유 및 인권 존중, 남녀평등을 주된 가치로 중시하므로, 종교에 대한 질문, 남녀 차별적 발언, 유명인의 사생활에 대한 간섭, 인권침해 소지가 있는 주제는 삼가도록 주의해야 함 ■ ‌ 또한 불어구사의 특성상 표현방식이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바, 가급적 미사 어구 또는 연결어구 등을 사용하여 표현을 부드럽게 하는 것을 선호함 ■ ‌ 프랑스인들의 상당수가 영어에 익숙해져 있는데다, 프랑스 사회에서도 점 차 영어 구사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는바, 대부분의 경우 영어로 간단한 의 사소통이 가능하지만, 불어로 대화가 가능한 경우 불어 표현을 일부 언급 하면 좋아함

(5) 종교관련 ■ 인구의 ‌ 69%가 카톨릭신자이나 실제로 일요미사에 정기적으로 참석하는 사람은 10%정도로 많지 않으며, 공화국 전통에 따라 강력한 「세속주의」 제도를 채택하여, 개인의 종교의 자유는 인정되나, 공공장소에서 부르카 착용 금지, 공무원의 종교적 표식 착용은 금지하는 등 정교를 엄격히 분 리함

(6) 오·만찬 ■ ‌ 프랑스인들은 업무시간 외에는 자신 및 가족들을 위한 시간에 할애하기 때문에 업무적으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만찬보다는 오찬을 선호하는 편임 ■ ‌ 보다 친밀해진 이후에는 만찬을 초대하는 경우도 많으나, 이 경우 외부 식당보다는 서로의 집으로 초청하는 것이 일반적임

529


(7) 팁 문화 ■ ‌ 카페·식당 : 계산서에 15%의 봉사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팁을 줄 필요는 없으나, 통상 카페는 0.50=C, 식당은 2~3=C정도 잔돈을 남겨 놓음 ■ 미용실 : 2~8=C ■ 호텔 포터 : 짐 1개당 1=C ■ 호텔 룸메이드 : 2=C

10 현지 연락처 (1) 주프랑스대한민국대사관 ■ 일반전화 : 01)4753-0101 ■ 영사과 : 01)4753-6987 ■ 당직전화 : 06)8028-5396(24시간) ■ 주소 : 125 rue de Grenelle 75007 Paris(지하철 13번선, Varenne 역) ■ 웹사이트 : http://fra.mofa.go.kr ■ 페이스북 : www.facebook.com/ambcoreefr ■ 팩스번호 : 대사관 대표 : 01)4418-0178, 영사과 : 01)4550-4028 ■ E-mail : con-fr@mofa.go.kr ■ 업무시간 •민원 : 월~금 09:30~12:30, 14:00~18:00 •여권, 공증, 가족관계등록부 : 월~금 09:30~12:30, 14:30~16:30 •비자 : 월~금 09:30~12:00

※ 외교부 본부 24시간 콜센터 •일반전화 : 00-800-2100-0404 •웹사이트 : http://www.0404.go.kr

53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2) 사건사고 발생

Ⅰ 유럽

 사건사고 발생시, 우선 인근 경찰서에 신고 지역별 경찰서 연락처

■ 1구 주소 : 45/51, place du Marche ´ Saint-Honore ´ 전화번호 : 01 47 03 60 00 지하철역 : M7 Pyramides M1 Tuileries

■ 2구 주소 : 18, rue du Croissant 전화번호 : 01 44 88 18 58 지하철역 : M3 Sentier-Bourse

■3구 주소 : 4 bis/6, rue aux Ours 전화번호 : 01 42 76 13 00 지하철역 : M4 Etienne Marcel Rambuteau

■4구 주소 : 27, boulevard Bourdon 전화번호 : 01 40 29 22 00 지하철역 : M1, 5, 8 Bastille

■5구 ´ve 주소 : 4, place de la Montagne Sainte-Genevie 전화번호 : 01 44 41 51 00 지하철역 : M0 Maubert-Mutualite ´

■6구 주소 : 78, rue Bonaparte 전화번호 : 01 40 46 38 30 지하철역 : M4 Saint-Sulpice

531


■7구 주소 : 9, rue Fabert 전화번호 : 01 44 18 69 07 지하철역 : M8, RER(C) Invalides

■8구 ´ne ´ral Eisenhower 주소 : 1, avenue du Ge 전화번호 : 01 53 76 60 00

´lyse ´es - Cle ´menceau 지하철역 : M1 Champs-E

■9구 주소 : 14 bis, rue Chauchat 전화번호 : 01 44 83 80 80 지하철역 : M8,9 Richelieu-Drouot

■10구 주소 : 26, rue Louis Blanc 전화번호 : 01 53 19 43 10 지하철역 : M7 Louis-Blanc

■11구 주소 : 12/14, passage Charles-Dallery 전화번호 : 01 53 36 25 00 지하철역 : M8 Ledru-Rollin M9 Voltaire

■12구 주소 : 80, avenue Daumesnil 전화번호 : 01 44 87 50 12 지하철역 : M & RER(A,D) Gare de Lyon

■13구 주소 : 144, boulevard de l’Ho^ pital 전화번호 : 01 40 79 05 05 지하철역 : M5, 6, 7 Place d’talie

53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14구

유럽

주소 : 114/116, avenue du Maine 전화번호 : 01 53 74 14 06 ´ 지하철역 : M13 Gal^te

■15구 주소 : 250, rue de Vaugirard 전화번호 : 01 53 68 81 00 지하철역 : M6 Vaugirard

■16구 주소 : 62, avenue de Mozart 전화번호 : 01 55 74 50 00 지하철역 : M9 Ranelagh

■17구 주소 : 19/21, rue Truffaut 지하철역 : 01 44 90 37 17 전화번호 : M2 Place de Clichy ou Rome

■18구 주소 : 79/81, rue de Clignancourt 지하철역 : 01 53 41 50 00 전화번호 : M4 Marcadet-Poissoniers

■19구 주소 : 3/5, rue Erik Satie 지하철역 : 01 55 56 58 00 전화번호 : M5 Ourcq

■20구 주소 : 3/7, rue des Ga^tines 지하철역 : 01 44 62 48 00 전화번호 : M3 Gambetta

533


 여권분실시 대사관에 연락, 재발급 또는 여행증명서 발급  여행경비 분실시, 대사관에 연락, “신속 해외송금제도”를 통해 경비 지급

(3) 기타 연락처 ■ 긴급전화(무료사용, Dial만 누르면 됨) •경찰 : 17, 구급차 : 15, 화재 : 18 ※ SOS Medicine(24시간 긴급출동 의료진)

•전화 : 01 47 07 77 77 ※ 앰블란스 호출 : 01 45 67 50 50

´s) ■ 분실물 신고 센터(Objets Trouve •주소 : 36 rue des Morillons 75015 •전화 : 08 21 00 25 25

■ 공항 안내 번호 •샤를 드골 공항 : 3950 •오를리 공항 : 3950 •대한항공(공항) : 01 48 62 61 61 - 출발안내 : 01 48 62 61 62 - 도착안내 : 01 48 62 61 63 - 예약문의 : 00-800-0656-2001 •아시아나(공항) : 01 48 16 66 00-5 - 파리지점 : 01 53 43 33 91 - 예약문의 : 08 00 10 20 99 •에어 프랑스(공항) : 01 48 64 20 93

■ 파리 관광국(여행안내소) ´es 75008 •127 Av. des Champs-Elyse •전화 : 08 92 68 30 00

53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24시간 영업 약국(Pharmacie Dhery)

유럽

´es 75008 •주소 : 84 Av. des Champs-Elyse •전화번호 : 01)4562 0241

■ 영어사용 병원(아메리칸 종합병원(Hospital Americain)) •주소 : 63, boulevard Victor Hugo, 92200 Neuilly-sur-Seine •전화번호 : 01 46 41 25 25

11 기타 (1) 날씨 ■ ‌ 프랑스의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해양성,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음 ■ ‌ 우리나라와 비교할때 여름기온과 겨울기온의 기온차가 보다 완만하며, 습도는 적음 ■ 우리나라에 비해 일교차가 비교적 큰 편이므로 환절기에 주의가 필요함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 대중교통수단 • 파리, 리옹, 마르세이유, 뚤루즈등 대도시에는 지하철, 버스, 트램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있으며, 요금체계와 운행시간들은 지역별로 다름

■ 기차 • 프랑스 주요 지역에 기차로 이동이 가능함 •기차 관련 연착, 취소 등이 자주 발생하므로 출발전 사전 확인이 필요함. • 기차표 구입은 온라인으로 구입하거나 주요 역 창구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535


온라인으로 기차표를 구입한 경우, 역내 위치한 자동기계를 통해 탑승권을 발부받음 •검표원이 탑승권을 확인하기 때문에 반드시 탑승권을 소지하고 있어야 함 • 파리 기차역 - Gard du Nord(영국, 유로스타, 벨기에 방면) - Gare de l’Est(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방면) - Gare de Lyon(니스, 마르세이유, 리옹방면) - Gare St.Lazare(노르망디, 브르타뉴지방방면) - Gare d’Austerlitz(보르도, 루아르 지방 방면) - Gard Montparnasse(노르망디, 루아르 방면 TGV)

■ 파리시 대중교통 • 파리 지하철(Metro de Paris) - 14개 노선, 377개역으로 파리 시내 및 인근 대부분을 연결 - 특히 6번선은 지상노선으로 파리 시내 조망 가능 - 운행시간 : 05:30~01:15(종착역) - 요금체계(2013.5월기준) : 1장 1.70=C, 10장 묶음 13.30=C • 지하철 이용시 유의사항 - 개 표후부터 출구까지 지하철표를 보관 해야함(검표원이 불시 무임승차 여부검사) - 야간에는 소매치기에 각별히 유의(특히 RER선) - 대부분 자동문이 아니므로 내릴 때 레버를 올리거나 버튼을 눌러야 문이 열림 - 파리시내 지도 및 지하철 노선도는 호텔 또는 지하철역에서 쉽게 입수 가능 • 파리 버스 - 지하철표와 버스표의 구분이 없음 - 특히 69번노선은 앵발리드, 루브르 등 주요 관광명소를 지나가는 노선 - 운행시간 07:00~23:00 - 승차시 운전석 입구 검표기에 표를 개찰하고, 하차시에는 기둥에 있는 단추를 눌러 하차를 알림

53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 파리 택시

유럽

- 원칙적으로 택시정류장에서만 탑승이 가능 - 공항, 기차역 및 시내곳곳에 택시 정류장이 설치 - 호텔 리셉션 등을 통해 호출 가능(Call Taxi) • Call Taxi 연락처 - Alpha Taxi : 01 45 85 85 85 - Taxi Bus : 3609(파리지역) - Taxi G7 : 01 47 39 47 39

 도로교통

■ ‌ 운전 규칙은 우리나라와 유사하나 오른쪽에서 진입하는 차량이 우선이므 로 주의할 필요가 있음 ■ ‌ 프랑스 대도시에는 일방도로가 많고, 프랑스인들은 운전을 거칠게 하는 편 이며, 양보운전 관행이 많지 않은바, 초행시에는 주의가 필요함 ■ ‌ 프랑스 고속도로(A1~A89)는 총 11,100km, 이중 유료도로가 8,000km 이며, 고속도로 최고속력은 130km/h로 제한됨 ■ ‌ 연휴, 휴가철에는 고속도로 통행량이 급증, 정체가 심해지는 바, 관련정보 (Bison Fute′)를 사전에 확인해야 함

(3)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 ‌ 도로가 좁아 소형차량운행이 많으며, 주차장이 부족하여 도로변 주차가 잦은 편인바, 주차시 차량 훼손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 파리 같은 대도시에는 오토바이, 자전거 운전자들이 많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 ‌ 프랑스 도로 교통사고는 2010년 한해 7만여건으로 이중 사망자가 발생한 수는 4천여건에 이름

537


(4) 기타  한국과의 시차 : 한국보다 7시간 느림  전력사용현황 : 220~230V, 50Hz  언어 : 불어(관광지역에는 일부 영어 통용)  환전 :

■ ‌ 2002년 1월 부터 유로화 전면 통용되고 있으며, 2013년 5월 기준 환율 : 1$ = 0.75=C ■ ATM(현금인출기)에서 대부분 카드 사용 가능 ■ 대부분의 호텔, 상점, 식당에서 신용카드(직불카드) 사용 일반화 ■ ‌ 대도시 및 주요 관광지에는 환전소(bureau de change)가 소재하고 있는봐, 환전소마다 환율 및 수수료의 차이가 있으므로 2~3군데를 비교한 후 환전하는 것이 유리  통신

■ 전화 • 국제전화 : 00(국제전화코드)-82(한국코드)-2(서울코드)-전화번호 • 시내전화 : 지역코드-전화번호(8자리)(파리와 근교 지역번호는 01) • 핸드폰 번호는 지역에 관계없이 06 또는 07로 시작 • 콜렉트 콜(한국 교환원 연결) • 한국통신 : 0800-99-0082 • 데이콤 : 0800-99-0182

■ 인터넷 사용 현황 인터넷 접속 가구 수는 63%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파리, 마르세이유 주요 관광지에는 중심가에 Internet cafe가 있다.

53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프랑스

Ⅰ 유럽

539


32. 핀란드

1 개황

•수

도 : 헬싱키(Helsinki, 인구 59.6만 명)

•인

구 : 540만 명

•면

적 : 338,145㎢(한반도의 1.5배)

•민족구성 : 핀란드인(93%), 스웨덴인(6%) 등 •종

교 : 루터복음교, 그리스정교

•시

차 : 우리시간 -7(서머타임 적용시 -6)

•언

어 : 핀란드어(93%), 스웨덴어(6%)

•1인당 GDP(’14년 기준) : 40,455미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3년 우리 기준 KITA) : 총교역 16.96억 불(수출 3.4억 불, 수입 13.56억 불)

2 문화적 특성 ■ 오랫동안 외세의 지배 속에서도 살아남는 지혜를 터득한 민족

12세기 초부터 19세기까지는 「스웨덴 왕국시대」로 스웨덴 기독교포교 원 정대가 핀란드 남서부지역에 진출하였고, 13세기 말경 대부분의 핀란드 지역

54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핀란드

이 스웨덴 왕국의 일부로 존속되었다. 승리하여 핀란드 지역을 점령, ‘대공국’이란 자치령으로 핀란드를 통치하였고, 1812년에는 수도를 투르쿠에서 헬싱키로 이전하여 핀란드 지역을 지배하였 다. 핀란드는 수 백년간 스웨덴과 러시아의 지배를 받아왔음에도 불구하고 민 족의 언어를 잃지 않았고, 프랑스 대혁명 등의 영향에 힘입어 19세기말부터 민족 자각운동과 민족의식이 고조되어 1917.10월에 러시아 혁명을 계기로 1917.12.6 마침내 독립국가로 탄생하였다. 그 후 1918~19년간 내전을 치루고 공화제 및 이원집정부제의 국가를 설 립해 나갔으나 1939~1944년간 러시아와의 2차례에 걸친 전쟁을 치르면서 많은 영토를 상실하고 전쟁보상금을 내야만 했다. 그리고 1945년부터 러시아의 요구에 따라 전쟁보상을 현물로 상환하는 과정에서 방직, 기계 등 산업을 발전시킨 것이 결국 핀란드를 산업선진국으로 거듭나게 한 원동력이 되기도 하였다. 핀란드가 오랜 피지배 생활 속에서도 언어와 문화를 잃지 않고, 독립 후에 도 스웨덴과 러시아 사이에서 안정적인 국가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강대국 사이에서 현실에 대한 빠른 판단을 기초로 실리를 추구하는 외교 전략 을 추진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 성실함과 인내심의 민족

핀란드어에 ‘씨수(SISU)’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우리의 ‘인내와 끈기’에 해당되는 말로서 핀란드인의 성격을 가장 잘 대표하는 말이다. 핀란드는 나무 외에는 천연자원이 거의 없는 열악한 자연환경과 스웨덴, 러시아와 같은 강대국 사이에 끼여 있는 지리적 약점을 갖고 있다. 흡사 우리나라와 비슷한 여건 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핀란드인들은 이러한 환경을 성실한 국민성 으로 딛고 일어섰다. 핀란드인 대부분은 매우 성실하고 근면하다. 타인과의 약속시간을 무척 잘 지킬 뿐 아니라 업무 중에 별도 중식과 쉬는 시간이 없을 정도로 업무집중력

Ⅰ 유럽

나폴레옹의 대영국 전쟁기간중인 1809년, 러시아는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이 높다. 따라서 근로자의 평균 업무시간이 길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핀란드의 생산성과 경쟁력은 항상 상위권을 차지한다. 또한 핀란드인은 인내심이 강하다. 추운환경에서 성장하면서 강인한 체력을 키우려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추운 날씨에 아이가 적응하도록 겨울에 아이를 베란다에서 재우고, 어릴 때부터 사우나에 데리고 들어가는 것이 전통이기도 하다. ■ 산타의 나라

핀란드 북쪽지역인 라플란드(Lapland)에 로바니에미(Rovaniemi)라는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 산타마을이 있다. 이곳이 바로 산타클로스의 전설이 시작된 곳이다. 이곳에는 크리스마스 시즌이 아니어도 산타할아버지를 만날 수 있고 전 세계에서 산타클로스에게 보낸 편지와 엽서가 모이는 산타우체국이 있다. 핀란드는 이 산타를 관광 상품으로 꾸준하게 발전시켜 왔고, 유럽을 넘어서 최근에는 중국 등 아시아 관광객들이 이곳을 많이 찾는다. 2010년에는 시진핑 국가부주석도 이 산타마을을 다녀간 바 있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핀란드에서 한류의 인기는 아직 그리 높지 않다. 하지만 2008년 한국과의 핀에어 직항로 운항이 시작된 이후, 공연단의 상호방문 등 문화적 교류가 증가하고 있으며 핀란드의 IT환경이 좋아 인터넷을 통해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54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핀란드

(2) 분야별 현황

Ⅰ 유럽

 드라마 및 영화

핀란드는 인구가 적고 자체 시장이 협소하여 TV드라마를 따로 제작하기 보다는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해서 자막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2010년부터 Elisa, Sonera와 같은 대형 핀란드 케이블방송국이 24시간 아리랑TV를 방영하고 있다. 따라서 핀란드인들이 드라마와 한국 프로그램을 접하게 되는 경우는 대부분 아리랑TV를 통해서라 할 수 있다. 그간 핀란드 케이블TV에서 방영되었던 일부 한국영화들은 다소 괴기스럽 고 컬트적인 것(최근 방영된 한국영화 사례 : 문성근·추자연 주연의 ‘실종’) 이 대부분이었다. 핀란드인들은 백야가 계속되는 여름에는 야외에서 생활하 고, 영화나 드라마는 흑야가 계속되는 겨울에 주로 시청하는데 분위기 때문인 지 다소 우울하면서도 괴기스러운 것들을 더욱 선호하는 분위기이다. 아울러,‘백마탄 왕자와 가난하고 예쁜 아가씨’의 로맨스를 내용으로 하는 국내에서 인기 있는 한국드라마는 핀란드인 취향과는 다소 거리가 먼 콘텐츠 라 생각된다. 특히 핀란드 여성들은 데이트할 때도 비용을 각자 나눠서 부담 하고, 남자친구(심지어 남편)가 무엇을 이유 없이 사주거나, 집까지 바래다 주거나 하는 것에 대해서 무척 부담스러워하는 등 독립심이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예쁘고 약한 여성이 능력 있는 남성과 사랑에 빠져서 행복해하는 내용 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핀란드인들은 가볍고 밝은 내용만으로 이뤄진 코미디나 멜로 영화에 는 별로 흥미를 느끼지 않는 것 같다. 그간 핀란드인들이 주목했던 한국영화 들은 <달팽이의 별>, <즐거운 우리집>과 같은 다큐멘터리영화나 단편 독립영 화와 같은 것들이었으며, 한국의 상업영화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2010년 10월 주핀란드대한민국대사관 주최로 <한국영화 페스티벌(Korea Movie Festival)>을 개최하여 <국가대표>,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과속 스캔들>을 상영한 바 있는데 핀란드인들보다 헬싱키 인근에 거주하는 한류에 대해 친숙한 동남아, 일본인들이 더 많은 관심과 호응을 보내왔다. 따라서 현재 핀란드에서 한국드라마나 영화를 키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543


은 아리랑TV에서 종종 흥행에 성공한 한국영화를 방영하고, 인기가 높았던 드라마도 방영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영화진흥원 등에서 아리랑TV에 좋은 한국영화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면 한다. 2014년 8.28~30간 대사관 주최로 헬싱키시 문화센타(CAISA)에서 한국 영화 페스티벌(Korean Movie Festival)을 개최하여 <파파>, <페이스 메이커>, <울지마 톤즈>, <건축학개론>을 상영하였다.  K-Pop

K-Pop과 관련하여 핀란드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안녕파티(Annyeong Party)’라는 것이 발전하고 있다. 구글이나 유투브에 검색해도 찾기 쉬울 정 도로 헬싱키 젊은 층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은 파티로 K-Pop을 좋아하는 젊 은이들이 아이돌의 노래와 춤을 따라서 연습하고 대중 앞에서 공연하는 파티 이다. 동 파티를 주최하는 동호회는 Jrocksuomi(Suomi는 핀란드어로 핀란드를 지칭하는 말)라는 단체로 2004년 일본음악 동호회로 결성되었는데, 2009년 12월 K-Pop에도 관심을 갖고 동 파티를 시작하였으며, 2014년 6월말까지 현재 총 12회의 안녕파티를 개최하였다.(웹사이트 : http://jrocksuomi.fi) 2014년 6월 7일 대사관과 Jrocksuomi 공동으로 헬싱키 Gloria에서 K-Pop World Festival 핀란드 지역 예선을 개최하였다. 400여명 관중의 환 호 속에 12팀의 열띤 공연이 펼쳐졌으며, 지역예선 댄스 1위팀은 한국 본선에 서도 동 부문 최우수상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2015년 6월 13일에도 지역예선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KBS 취재진이 방문, 전 행사과정을 녹화하였다. 2015년 3월과 5월에는 인기그룹 블락비와 보이프렌드의 콘서트가 핀란드 K-Pop 팬의 열광적인 호응 속에서 개최되었다.  한류 파워인물

2NE1, 빅뱅, 슈퍼주니어, 방탄소년단

54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핀란드

 한식

유럽

체류 국민이 500여명(유학생 200여명 포함)이고, 한식당이 1개뿐인 이유 로 아직까지 한식이 그렇게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한식당을 찾는 고객 상당수는 핀란드인 단골이다. 2008년 한-핀간 핀에어 직항이 매일 운항되면 서 한국을 방문하는 핀란드인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핀에어에서도 비빔밥 등 한식을 기내식으로 제공함에 따라 최근 한식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아직까지는 한식이 일본 및 중국 음식에 비하여 덜 선호되는 것으로 파악 되고 있으며, 2012년 10월 한교민이 식당(한식,일식)을 개업하였다. 2014년 5.12~18간 신효섭 한식 스타 셰프를 당지로 초청 핀 국영방송사 (yle)와 공동으로 한식 5가지 테마(김치, 길거리음식(떡볶이), 쌀(비빔밥), 육 류(불고기), 면(닭칼국수) 특집방송을 촬영하였으며, 이를 5.23일, 6.6일, 6. 12일 3회에 걸쳐 방영하여 한식 세계화에 기여하였다.  한국어

현재 핀란드에서 한국어강좌를 제공하는 곳은 헬싱키대학이 유일했으나, 2012년 하반기 부터 투르크 대학에서도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였다. 2013년 4월에는 한·핀 수교40주년 기념행사의 하나로 대사관, 투르크대 학, 한국국제교류재단 공동주관으로 투르크 대학에서 한국어 말하기 대회를 개최하고, 2015년 5월에도 동 대학에서 2차 대회를 개최하는 등,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4년 4.14 신경숙 소설가를 헬싱키로 초청 한국문학행사를 개최하였으 며 이후 2015년 4월 신경숙 작가 작품 <엄마를 부탁해>의 핀어본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2015년 6월 신경숙 작가를 초정, 서점 북콘서트, 언론 인터뷰, 기념 리셉션 등 출판 기념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한국문화를 소개하는데 기여 하였다.  공연

2013년에 한·핀 수교 40주년을 기념하는 축하 공연이 2회 개최되었으며,

545


이후 매년 클래식 공연 등을 개최하고 있는데, 동 공연을 통해 한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난타 공연(2013.5.28(화), 사보이극장, 주관 : 대사관,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 오프스 클라식 연주 콘서트(2013.6.17.(월), 암석교회, 주관 : 대사관, 한국국제교류재단) 2014년에 한.핀 문화 교류증진을 위한 공연 및 콩쿠르 개최 ■ ‌ 가곡의 밤(2014.4.28(월), 암석교회, 주관 : 대사관, 한국국제교류재단) : 핀란드 거주 예술인을 활용한 공연으로 핀란드 국립오페라단 단원 한동훈 성악가가 한국가곡, 핀란드 가곡, 독일 가곡 등 노래했다. ■ ‌ 정명훈 지휘 서울시향 투르크 뮤직페스티발 공연(2014.8.21.19:00~21:00, 투르크 콘서트홀) :정명훈 지휘, 피아니스트 김선욱이 협연하였고, 참석 관객(800여명)의 환 호와 뜨거운 반응이 있었다.

4 한류 동호회 현황  Annyeong Party(안녕파티)

546

성격

Jrocksuomi라는 단체에서 주도하는 한국음악 동호 모임(2004년 일본음악(J-rock) 동호회로 시작한 Jrocksuomi에서 2009년 12월부터 개최해오고 있는 한국음악 공연 모임)

회원수

약 500명

웹사이트 주소

http://jrocksuomi.fi

세부활동 현황

• 공연장을 임대하여 K-Pop 그룹의 춤·노래 등을 따라하며, 일반인들에게 동 파티의 입장권을 판매하기도 함 • 2009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총 16차례의 K-Pop 관련 공연을 하였으며, 이들의 공연 동영상은 주로 유투브 등에 올라와 있음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핀란드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유럽

한류 전파 사업에 있어서 그 나라의 문화와 국민의 기호에 맞는 문화상품 을 선별하는 작업에 심혈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핀란드인의 경우 자연, 휴식, 고요함 등을 선호하는 만큼 K-Pop과 화려한 드라마에 집중한 한류 프로그램보다는 한복, 한식, 유교철학과 같은 주제가 더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과거 한국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핀란드인들은 최근의 화려한 한류바람 으로 인하여 유교적이고, 깊이 있는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핀란드에서도 최근 한국관광, 한국음식 등에 대한 기사가 현지 언론에서 다뤄지는 등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일부 자극적인 소재(성형수술, 쇼핑, 유흥업소 등)를 다루는 경향이 있어 다소 우려된다. 따라서 청소년들과 일부 젊은이들이 좋아한다는 이유로 외모 지상주의 적 이고, 소비 지향적인 이미지가 한류의 이미지에 오버랩 되는 것을 방치하지 않도록 콘텐츠 개발에 좀 더 유의해야 할 것이다.

6 여행정보 (1) 비자 : 쉥겐 무비자 누적 90일 (2) 안전정보 시내에서는 야간 도보여행에 문제 없을 정도로 치안상 안전한 편이다. 단, 유럽관광 성수기인 5월~9월 사이에는 여행객이 많이 모이는곳(마켓 광장, 기차역, 호텔로비, 식당 등)에서 소매치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휴대품 (여권, 현금 등)에 주의 하여야 한다.

547


7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범죄, 화재, 환자신고 : 112 ■ 헬싱키 경찰서 : 071.878.0131 ※ 한국식당(한국관) : 09)135-7158

(2)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 주소 : Erottajankatu 7 a, 00130 helsinki, Finland ■ 대사관 전화번호 • 대사관 대표 : 09) 251-5000

■ 팩스 • 대사관 대표 : 09) 251-50055

■ E-mail : korembfi@mofa.go.kr ■ 홈페이지 : //fin.mofa.go.kr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 040-903-1013 또는 040-903-1012

■ 민원업무시간 • 월~금요일 09:00~17:00

8 기타 (1) 날씨 사계절이 있으나 봄(4~5), 여름(6~9), 가을(10), 겨울(11~3) 과 같이 겨 울이 매우 길고 여름에는 자정까지 해가지지 않는 백야현상이 겨울에는 10시

54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핀란드

이후에 해가 떠서 3시경에 해가 지는 흑야현상이 나타난다.

유럽

여름에는 30도 가량 온도가 오르나 습하지 않아서 체감온도가 높지는 않으며 겨울에는 -20도 이하로 종종 내려가고 11월부터 내린 눈이 통상 4월 초까지 녹지 않는다. 자연은 매우 청정하여 대부분 가정에서 수돗물을 그냥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헬싱키 시내에는 버스, 트램, 지하철 등 대중교통이 매우 발달되어 있으며 중앙역에서 기차로 지방도시 및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그(기차로 3시간 30분소요)까지 갈 수 있으며, 항구에서 페리 이용 시 인근 국가인 에스토니아 까지 2시간 가량이 소요된다. 헬싱키 시내에서 공항까지는 약 30분 소요되며, 택시를 탈 경우 비용이 35~40유로 정도이며 중앙역에서 공항셔틀버스를 이용할 경우 6유로 정도이 다.  도로교통

헬싱키 시내는 도보로 주요관광지를 다 둘러볼 수 있을 만큼 작으며, 자전 거 도로가 매우 발달되어 있어 자전거로 관광할 경우 2시간 정도면 헬싱키의 주요 관광지를 모두 돌아볼 수 있다.

(3) 생활물가 스웨덴, 노르웨이과 달리 유로(euro)를 사용하고 있어 환전에 대한 불편 함이 없다. 물가는 노르웨이보다는 싸지만 서유럽보다 약간 더 비싼 수준 으로 맥도날드에서 빅맥 햄버거 1개에 4.49유로(비교 : 우리나라 3.76유로, 미국 0.64유로, 노르웨이 5.65달러) 정도이다.(2015.7월 기준)

549


33. 헝가리

1 개황

•수

도 : 부다페스트(Budapest, 인구 : 약 174만 명)

•인

구 : 988만 명

•면

적 : 93,031㎢(한반도 223,170㎢의 42%)

•민족구성 : 헝가리인(Magyar, 92.3%), 집시(1.9%), 기타(5.8%) •종

교 : 로마 카톨릭(54.5%), 개신교(19.5%), 그리스 정교 등

•시

차 : 우리시간 -8, 섬머타임 적용시(4~10월) : -7

•언

어 : 헝가리어

•1인당 GDP(’13년 기준) : 13,344미불 •우리나라와의 교역(’13년, KITA) : ‌ 총교역 25.7억 불(수출 21.1억 불, 수입 4.6억 불)

2 문화적 특성 ■ 헝가리는 19세기 오스트리아 헝가리 이중제국의 역사적 문화적 유산을

이어받아 서유럽과 유사할 정도로 높은 문화수준을 자랑하고 있으며, 현재의 헝가리 문화 역시 이 시기에 형성된 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19세기 헝가

55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리는 경제적 발전에 힘입어 ‘동방의 파리’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문화가 융

유럽

성하였고, 음악, 미술, 문학, 사진, 영화 등에서 뛰어난 예술가들을 상당수 배출했다. 헝가리는 문화적 인종적으로 아시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도 서기 1000년경 기독교를 국교로 수용하면서 서유럽의 기독교 문화가 유입 되어 ‘유럽과 아시아의 문화적 교차로’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 음악으로는 뛰어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던 프란츠 리스트, 현대음

악의 대가 벨라 바르톡, 민속음악 수집가이자 세계적인 음악교수법의 창시자 인 졸탄 코다이 등이 대표적이며, 인상주의 화가인 미하이 문카치, 촌트바리 등이 잘 알려진 헝가리 미술가이다. 영화로는 영화사의 걸작 <붉은 시편>을 만든 미클로쉬 얀초, 영화이론가이자 감독인 벨라 발라즈, <토리노의 말>을 만든 벨라 타르 등이 대표적인 헝가리 출신 영화인들이며, 전쟁사진 작가로 유명한 로버트 카파, 그리고 앙드레 케르테스 등이 있고, 2002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케르테스 임레도 헝가리인이다. ■ 헝가리는 19세기에 형성된 높은 수준의 문화적 인프라와 일반 국민들이

가진 뛰어난 문화적 소양에 바탕하여 중동부 유럽의 대표적인 문화강국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립 오페라하우스(1,200석), 예술궁전(1,700석) 등 세계적 수준의 공연장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파인아트 뮤지엄, 현대미술 중심의 루드비히 뮤지엄, 공예미술관 등이 대표적인 미술관이며, 도서관은 전국적으 로 1만개에 이르고 1802년 국립박물관이 개관된 이래 전국적으로 800여개의 박물관이 있다. ■ 헝가리의 문화정책은 국가적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

하에 구사되고 있으며, 현 집권 피데스당 체제하에서 문화의 국가주의적 성격 은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과거 사회주의 시기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은 국제 금융계의 거물이자 헝가리 출신인 조지 소로스가 출연하여 만든 ‘소로스 재단’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나, EU 가입 이후 유럽연합의 지원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 기금을 운용하는 국립문화기금은 문화 예술인들의 창작활

551


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따라서 민간부문에서 정부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 헝가리의 문화외교전략은 1차 대전 이후 방대한 영토와 인구를 상실하

게 되면서 주변국에 흩어진 헝가리인들을 문화적으로 포용하고, 민족적 동질 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민족문화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지 게 나타나고 있으며, 1989년 체제전환 이후 과거 사회주의 시기에 형성되었 던 ‘구체제의 문화’를 청산하는 작업 역시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해외에 헝가리의 문화외교를 담당하는 기구로서 해외의 헝가리 문화원이라할 수 있 는 ‘발라시인스티튜트’를 17개 국가, 19곳에 설치, 운영하고 있다. ■ 헝가리의 문화예술은 클래식 음악, 연극, 회화, 문학 등 기초 예술에 집

중되어 있으며, 영화, 드라마, 콘텐츠 등 문화산업은 해외 자본의 진출과 자체 제작 기반의 붕괴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음악가를 보유했던 국가답게 클래식 음악 등에서는 꾸준히 세계 적인 뮤지션이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며, 그중 이반 피셔의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는 세계적 수준의 오케스트라로 각광받고 있다. ■ 또한, 문학 등에서는 산도르 마라이, 요제프 아틸라, 아고타 크리스토프

등 세계 문학계의 거장이 다수 등장한 바 있으며, 2002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인 케르테스 임레와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자인 나더쉬 피테르 등 현대의 거장 들도 상당수다. 영화를 비롯한 콘텐츠 산업은 상당히 위축되어 있음에도 불구 하고, 2015년 칸느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한 라즐로 네메스 등 독 립적으로 활동하는 젊은 영화감독들이 지속적으로 출현하여 과거 영화 강국 의 영광을 잇고 있다.

55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3 한류 현황

유럽

(1) 일반 현황 ■ 헝가리는 2009년 유럽 최초로 공중파에서 <대장금>을 방영한 이래 <동

이>, <이산>, <선덕여왕> 등의 사극이 잇따라 방영되었으며 최근에는 현대극 인 <파스타>가 방영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대장금>의 경우 전체 헝가리 인 구의 51.6%가 시청하는 등 현지의 한류붐 형성에 크게 기여했다. 드라마와 함께 K-Pop 관련 동호회 등 젊은층을 중심으로 K-Pop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으며, 매년 개최되는 헝가리 한국영화제에 관객이 크게 몰리는 등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가 지속적으로 형성,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 최근 헝가리의 한류는 K-Pop, 드라마, 영화와 같은 대중문화 한류에서

점차 세분화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어 교육 수요 증대, 전통무용 및 전통음악 등 전통문화 한류에 대한 관심증대, 한국학과 지원 학생 수의 증가 등의 양상 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대별로 볼 때, 40대 이상은 <대장금> 등으로 형성된 한국 드라마 팬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10대와 20대에는 K-Pop을 중심 으로 한 한류가, 20-30대에는 한국영화 팬들이 상대적으로 다수를 이루고 있다. 2012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한국문화원이 개설되면서 지속적으로 한국문화를 전파하고, 양국간의 문화교류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헝가리 한국문화원은 한국어, 태권도, K-Pop, 전통 무용, 국악, 전통

수공예, 바둑, 한식 등 10여개 정규강좌를 열어 평균 200여명 안팎의 수강생 을 확보하고 있으며, 매월 2-3차례씩 공연 및 전시 등의 한국문화 행사를 열 어 현지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에는 분야별, 지역별로 한국문 화 관련 동호회가 크게 늘면서 현지인 커뮤니티에 의한 한국문화 행사가 이뤄 지고 있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대표적으로 헝가리인 여성 14명으로 구성 된 ‘무궁화 무용단’은 뛰어난 기량을 갖춰 현지 한국문화 행사에 다수 출연하 였으며, 2015년 7월 서울의 국립국악원과 전주에서 두 차례 공연을 갖기도 했다.

553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2008년 유럽에서는 최초로 TV 미니시리즈 <대장금>을 헝가리 국영방송국 인 MTV가 4차례에 걸쳐 방영한 후 2010년 10월부터 <선덕여왕>을, 2011년 2월부터 <동이>를 잇따라 방영하였다. <대장금>은 2008년도에는 아침과 점 심시간대에 방영되었고 시청률이 올라가자 2009년 9월~11월, 2010년 1월~ 3월 각각 프라임 시간대 방영이 되었으며, <선덕여왕>과 <동이>는 주 5회 저 녁 황금시간대에 방영되었다. 헝가리인들이 유독 사극을 좋아하는 이유는 아 름다운 한복과 하나의 예술작품과도 같은 한국음식 때문이라고 한다. 금년 에는 우리사극 <이산>, 현대물 <파스타>의 방영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 영화

지난 2007년 헝가리에서 처음으로 <한국영화 주간> 행사를 개최한 이래 매년 한국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2007년에는 <태극기 휘날리며> 등 8편이 상 영되었고, 2009년에는 <밀양> 등 10편, 2010년에는 <국가대표> 등 10편, 2011년에는 <워낭소리>등 5편, 2012년에는 김기덕 감독의 작품 5편, 2013년 에는 <광해> 등 5편이 상영되었고, 2014년에는 영화 편수와 상영관을 크게 확대하여 부다페스트, 페치, 세게드 등 3개 도시, 5개 상영관에서 모두 27편 의 한국영화가 상영되어 큰 인기를 모았다. 2014년에 한국영화제에는 <혜화, 동>의 민용근 감독과 배우 정연주씨가 참여하여 관객과의 대화를 갖기도 하였다. 헝가리에서 한국영화는 드라마틱한 전개. 화사한 영상미, 이국적인 소재 등으로 관객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감독으로는 독특한 영화세계를 보여주는 김기덕 감독과 홍상수, 박찬욱 감독등의 팬이 상대적으로 다수이며, 장르로는 현대극보다 사극에 대한 인기가 더 높은 편이다. 한국영화 팬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에는 4,500여명이 한국영화제에 참여하였으며, <타이타닉 영화제> 등 현지 영화제에서도 꾸준히 한국영화가 소개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영화 동호회도 구성되어 이들에 의해 격주로 한국영화제

55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코리아 무비로드)가 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평균 70여명이

유럽

관객이 참여하고 있다.  K-Pop

2015년 현재 헝가리에는 온라인 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K-Pop 댄스 및 K-Pop 관련 팬클럽 67개가 존재하고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은 편이다. 주로 10-20대 젊은 층에서 Kpop에 대한 인기가 높으며, 최근들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과거 일본 J-pop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이같은 흐름은 몇 년 전부터 K-Pop으로 바뀌어 압도적 다수를 형성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들 팬 클럽들이 헝가리 한류 팬클럽 연합회(이름 : Idolater)를 구성하여 헝가리 현 지에서의 K-Pop 관련 행사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매년 개최되는 K-Pop 월드페스티벌 헝가리 지역 예선에서는 15-20여개 팀이 참가하여 뛰어난 댄 스와 노래 솜씨를 보여주고 있으며, 해마다 500-600여명의 관객이 참여하여 헝가리에서의 한류 붐을 지속시켜 가고 있다. 이들은 유투브 등을 통하여 한국 K-Pop 그룹의 활동을 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노래와 율동을 배워 연습하고 있다. 한국문화원에서 운영되는 K-Pop 댄스 교실에도 3개 반이 구성되어 운영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 한류의 상륙 시기

2007년 슈퍼주니어가 헝가리인들에게 알려지면서 한류열풍이 돌기 시작 했으며 현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류 동호회는 비스트, 빅뱅, 샤이니, 소녀시대, JYJ(K-Pop) 및 꼬레어이 필름클럽(영화)이며, 한국의 아 이돌 그룹 비스트, 빅뱅, 샤이니, 2NE1이 헝가리 한류팬들에게 가장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 한식

2008년 헝가리에서 방영된 <대장금>의 인기로 많은 헝가리인들이 한국 음식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다. 한국영화제, 문화원 개관행사, 지역 축 제 등 주요 문화행사와 연계하여 한식을 소개함으로써, 한식 보급을 점차 확

555


대하고 있다. 특히 2010년 Marriott 호텔에서 개최한 국경일 행사를 겸한 <Taste of Korea 2010> 행사에서는 한식 리셉션과 함께 호텔 내 식당에 한식판매 코너를 운영하고 음식전문기자들을 초청하여 시연회를 가졌으며, 지상파방송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한식을 홍보함으로써 단순히 1회성으로 우리 음식을 소개하는 종래의 관행에서 벗어나 한국음식의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고급요리로서의 한식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 주헝가리한국문화원에서 상설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요리 수업>은 헝가리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 대기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고추와 마늘을 즐겨 사용하는 등 한국과 입맛이 비슷한 헝가리인들은 거부감 없이 한국음식을 즐기는 것으로 보인다. 주 헝가리 한국문화원에서는 2014년 11월 한식 페스티벌을 주최하여 궁중 음식 재현 등의 행사를 가졌으며, 이 페스티벌에는 250여명의 현지인들이 참 여할 정도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2015년 5월에는 농식품부가 주관하는 한식 세계화를 위한 안테나숍인 ‘K-food’ 부다페스트 지점이 개설되었다. 한 국문화원의 한식 정규 강좌는 매주 3개 반이 운영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누 리고 있으며, 헝가리인들이 상대적으로 매운 음식을 선호하고, 마늘을 즐겨 먹는 등 우리와 식성이 유사하고, 한식이 건강식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어서 인기가 높은 편이다.  한국어

2008년 부다페스트 엘떼(ELTE)인문대학 내 한국학과 설립 이후 꾸준히 한국학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학을 배우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한 국문화에 심취해 전공을 선택한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설학원이 있을 정도로 한국어의 인기는 대단하다. 현재 문화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글 교실은 220여명의 학생들이 초·중·고급반으로 나누어 공부하고 있다. 그들 은 인터넷을 통해 한국친구들을 사귀기도 하고 한국드라마나 노래를 들으며 한국어 실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55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기타 산업 파급효과

유럽

드라마 <선덕여왕>의 원작소설인 류은경 작가의 책이 헝가리어로 번역되 어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또한 헝가리가 K-Pop 음원 구매율이 높다는 것 도 눈여겨 볼 일이다. 헝가리인들 사이에서는 인터넷으로 한국 의류를 구입 하거나 한국 화장품을 사기도 하는데, 특히 한국의 비비크림의 인기는 대단한 것으로 보인다. <대장금>의 여파인지 한국식품점에도 많은 헝가리인들이 방 문하고 있다.  최근 주요 행사 2015년

<전시> ■ 한국, 아시아의 숨은 진주 사진전(4.2-4.24) - 전 주한 헝가리 대사 렌젤 미클로쉬의 한국 사진전

■ 안나 아담 설치 미술전-한국무용 퍼포먼스 (5.6) - ‌ 헝가리 예술가 안나 아담의 설치 미술과 한국 예술가 유지수의 퍼포먼스가 결합된 전시 및 무용 복합 공연 - 한-헝 문화예술인 교류의 일환으로 전개, 110명 공연 참여 및 관람

■ 한국현대 미디어 아트전시회 : 미래는 현재다(5.19-8.19)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미디어 아트 19점 전시.

■ 한-헝 문화교류 사진전 : 두 도시 이야기(5.28-6.26) - ‌ 헝가리 사진작가 샤츠마리 게르게이와 한국 사진작가 김진석의 서울-부다페스트 사진전

<공연> ■ K-classic week - 한국계 독일 첼리스트 이상 앤더스 첼로 독주회(1.28, 부다페스트뮤직센터)

557


- 재 독일 바이올리니스트 양윤정 독주회(1.30, 게오르그솔티홀)

■ 페이스 오브 아트 현대무용 공연(2.5, 한국문화원) - 한국 무용수와 헝가리 유력 무용단인 중유럽 현대무용단의 현대 무용 교류 공연

■ 한국문화원 개원 3주년 기념 ‘울림’ 공연(2.18, 한국문화원) - ‌ 프랑스 거주 한인 예술단 ‘울림’의 국악, 클래식, 한국무용이 혼합된 퓨전 전통예술 공연

■ 정가악회 공연(3.11, 두나펄로타) - 퓨전 국악 그룹 정가악회 초청, 부다페스트 두나 펄러타 공연 개최

■ 중부유럽 댄스컴퍼니 한-헝 현대무용 콜라보 공연(3.19, MOM 센터) - 현지의 대표적인 무용단인 중부유럽 댄스 컴퍼니와 한국 무용수들의 합동 공연

■ ‌ 다원 퍼포먼스 ‘비잉 파우스트(Being Faust)’ 공연 개최(5.10-11, 카토나 요제프 극장) - ‌ 한국문화원과 주헝가리 괴테인스티튜트(독일문화원)과 협력으로, 한국의 ‘놀공발전소’의 ‘비잉파우스트(파우스트 되기) 퍼포먼스 개최

■ 헝가리 무궁화 무용단 한국공연(7.5, 국립국악원, 7.10 전주 한벽극장) - 헝가리인 14명으로 구성된 한국무용 동호회의 서울, 전주 공연

■ 전통예술중동부 유럽 투어(7. 22- 8.2) - ‌ 퓨전국악팀, 전통무용팀 등의 헝가리 베스프렘 페스티벌, 밸리오브아트페스티벌, 루마니아 브라쇼프 공연

■ 헝가리 페치시 한국문화 주간 행사(9월 중순) - 헝가리 페치시 정부 후원으로, 태권도, 한국무용, 한식, 한국 합창단 공연 개최

55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2015년 부다페스트 한국문화 페스티벌(10.3-10.12)

유럽

- 한국문화원 및 부다페스트 시립 문화센터 등지에서 국경일 리셉션, 국악원 공연, Kpop 공연, 한국기업 홍보 이벤트 등을 개최하는 한국문화 종합 이벤트

■ 2015년 헝가리 한국영화제(11월 중순) - 부다페스트, 세게드, 페치 등 5개 도시에서 한국영화 30여편 상영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헝가리인들이 한국문화를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 특유의 역동성과 서사의 힘에 있다. 이들은 한국의 K-Pop이 풍부한 율동과 리드미컬한 움직 임 을 제공하는 다이내믹한 춤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같은 특성은 특히 젊 은층 들에게 크게 어필하여 지속적으로 팬클럽을 만들어내는 자양분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보여주는 ‘이야기’는 이들에게 대단히 매력 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헐리우드 영화의 문법과는 다른 독특한 상상력과 색다른 이야기의 전개가 현지 관객들에게 크게 어필하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이들 콘텐츠가 보여주고 있는 독특한 시각적 체험(화면 구성과 사극의 화사한 복식 등)도 인기의 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이같은 한국문화 콘텐츠의 매력은 K-Pop 뿐만 아니라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작용하고 있다. 두 번째 이유로는 유사한 역사적 경험과 문화적 뿌리에 기반을 둔 정서적 동질감이다. 헝가리는 몽골, 오스만 투르크,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 나 찌 독일, 구 소련 등으로부터 지속적인 침략과 식민지배를 당하는 등 오랜 외 침과 저항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동부 유럽의 전략적 요충지(로마 카톨릭 과 정교회, 아시아와 유럽 문화의 교차점)라는 지정학적 요소에 말미암아 역 사적 부침을 거듭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와 유사한 정서를 갖게 된 것이 다. 여기에는 이들 문화의 아시아적 뿌리라는 요소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세 번째는 한국문화가 가진 상대적 신선함이다. 일본과 중국에 비해 한국

559


문화는 새롭고도 트렌디 문화로 인식되고 있다. 한식은 육류 중심의 현지인들 에게 새로운 의미의 건강식을 의미하며, 한복은 화사한 색감을 가진 이색적인 옷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문화를 알고 체험한다는 것은 현지인들에 게 이국적(exotic)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면서 새로운 문화적 변화를 수용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매우 강하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헝가리에서 드라마를 배급할 경우에는 헝가리어 더빙이 필수이며, 일반적 으로 20회 이상 장편은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회당 방영시간이 보통 30~40 분인 점을 알아야 한다. 또한 헝가리인들과 교류할 시에는 서두르거나 인간적 인 측면을 무시하지 말고 배려심을 가지고 기다릴 필요가 있다. 헝가리인들은 직설적인 편이라 싫어하는 것을 표현해도 기분 나빠하지 않으며, 정직을 중요 한 가치로 생각하기 때문에 사실대로 이야기하는 편이 좋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헝가리의 한류 동호회는 K-Pop 팬클럽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K-Pop 댄스 동호회, 영화 및 드라마, 한국어 동호회 등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이 들은 주로 온라인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으며, 오프라인 모임이나 일년에 12차례씩 독자적인 이벤트 등을 개최하기도 한다.

56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2) 동호회별 현황

Ⅰ 유럽

1. Dance  Home Made Asia 성격

K-Pop 댄스 동호회

회원수 3,089 (페이스북 회원수) 설립일

2012년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pages/YEHET-DanceGroup/1479127298968562

연락처

homemadeasia@gmail.com

 B-Team Projects 성격

K-Pop 댄스 동호회

회원수 437 (페이스북 회원수) 설립일

2013년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teamprojects/timeline

 YEHET Dance Group 성격

K-Pop 댄스 동호회

회원수 327 (페이스북 회원수) 설립일

2014년 04월10일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pages/YEHET-DanceGroup/1479127298968562

 Rhythmix-Dance Cover Team 성격

K-Pop 댄스 동호회

회원수 124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Rhythmix-Dance-Cover웹사이트 주소 Team/794195947361033

561


 Mugunghwa 성격

한국전통무용 동호회

회원수 138 (페이스북 회원수) 설립일

2013년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pages/mugunghwa/259448987115686? sk=timeline

연락처

mmdance.hu@gmail.com

2. K-Pop and Korean Culture  Hungarian Hallyu Headquarters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712 (페이스북 회원수) http://hunhallyuhq.hu/news.php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hunhallyuhq/timeline 연락처

hunhallyuhq@gmail.com

 K-POP.Hungary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2049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K-POPHungary/481915941896850? 웹사이트 주소 sk=timeline ´czia ´s Johanna (http://kwacho.blogspot.hu/) 대표 Ko

 K-Pop Hungary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295 (페이스북 회원수)

562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353280681416073/?ref=ts&fref=ts

대표

´Krisztina Szabo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K-Pop Hungary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유럽

회원수 259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91792927550145/?ref=ts&fref=ts

대표

Monori Ivett

´ti Ta ´rsasa ´g ※ 한헝친선 협회  Magyar- Koreai Bara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2612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koreanhungaryfriend/

대표

´losfai Gaby Ga

´ny De ´l-Korea  Ira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851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702150399840773/

대표

´Pesti Bea ´ta Ujne

 koreai nyelvi blog (korean language blog)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80 (페이스북 회원수) http://koreainyelviblog.blogspot.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koreainyelviblog/ 대표

Simon Anita

 헝.한 그룹 :) Magyar-Koreai csoport :)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747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528822957349519/ ´k Veronika, Putnoki ´ ´sztor Aniko ´ 대표 Sina Aron, Pa

563


 South Korea fan club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3269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South-Korea-fan웹사이트 주소 club/521696227942156?sk=timeline

 Indeed Korea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2180 (페이스북 회원수) http://indeedkorea.com/ 설립일 https://www.facebook.com/groups/indeedkorea/ ´dudvari Ja ´nos 웹사이트 주소 Na 연락처

indeedkorea@gmail.com

 This is My Korea Blog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1116 (페이스북 회원수) http://popofkorean.blogspot.hu/ 설립일 https://www.facebook.com/ThisIsMyKoreaBlog/timeline ´pi Vikto ´ria 웹사이트 주소 Hala 연락처

haliviki@gmail.com

´lis Egylet  Debreceni Koreai Kultura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207 (페이스북 회원수)

564

웹사이트 주소

http://koreaindebrecen.blog.hu/ https://www.facebook.com/pages/Debreceni-KoreaiKultur%C3%A1lis-Egylet/1378424819154668?sk=timeline

연락처

lelkembenkorea@gmail.com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K-Pop Hungary

Ⅰ 유럽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1913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K-Pop-Hungary/ 웹사이트 주소 440768199296717?sk=timeline

 K-Pop World Hungary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1933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K-Pop-World-Hungary/1095815625 웹사이트 주소 44278?sk=timeline ´th Evelin (evelin0406@citromail.hu) 대표 Horva

 Xiaolongimnida 성격

K-Pop 및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2227 (페이스북 회원수) http://xiaolongimnida.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Xiaolongimnida 대표

Baksa Timea

연락처

info@xiaolongimnida.hu

´rsasa ´g  Magyar-Koreai Ta 성격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102 (페이스북 회원수) http://hukor.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MagyarKoreaiTarsasag ´ ´Andrea 대표 Dr. Szea 연락처

eurasiaconcept@gmail.com

565


 민들레 성격

한국전통음악 가야금 동호회

회원수 6 (페이스북 회원수) 설립일

2015년

 봄바람 성격

한국전통음악 단소 동호회

회원수 5 (페이스북 회원수) 설립일

2013년

3. Korean Drama and Movie  South Korea in Hungary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1103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대표

https://www.facebook.com/groups/354127261330900/ ´da ´m Damu A

¨CSOPORTJA  Dae Janggeum 대장금 A palota ékköve MAGYAR NYELVU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210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대표

566

https://www.facebook.com/groups/491749190849024/ ´da ´m Damu A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Doramafan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유럽

회원수 2114 (페이스북 회원수) https://doramafan.wordpress.com/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34818123225435/ 대표 Kalocsai Marianna, Gömöri Anita, Péter André

 Koreai film- és drámaközösség 성격

한국 영화 동호회

회원수 1555 (페이스북 회원수) http://koreaifilmdrama.blog.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koreaifilmdrama/timeline 연락처 koreaifilmdrama@gmail.com

 Doramafan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626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pages/Koreai-sorozatok%ED%95%9C%EA%B5%AD-%EC%8B%9C%EB%A6%AC%EC% A6%88/282133371973001?sk=timeline

 Keleti Szél 성격

한국 영화 동호회

회원수 460 (페이스북 회원수) http://asiafan.hu/categories/KOREA/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asiafan/timeline

567


 PengSang Team (music video and dorama fansub) 성격

한국 드라마 및 뮤직비디오 동호회

회원수 728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PengSang웹사이트 주소 Team/699395613408835?sk=timeline

 lilo's hunsubs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s://liloshunsubs.wordpress.com/

연락처

lilohunsubs@freemail.hu

 New Tales of Hayako Fansub (personal blog about kdramas and music) 성격

한국 드라마 및 음악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newtalesofhayakofansub.blogspot.hu/

연락처

ukrancsaj97@gmail.com

 Ázsia ékkövei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2316 (페이스북 회원수) http://azsiaekkovei.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azsiaekkovei 연락처

contact@azsiaekkovei.hu

 Az én végtelen történetem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161 (페이스북 회원수)

568

웹사이트 주소

http://azenvegtelentortenetem.blogspot.hu/

연락처

jackimi@freemail.hu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Hallyu Stars 한국 드라마 및 한류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desertqueensub.blogspot.hu/

연락처

lillatitanilla67@gmail.com

Ⅰ 유럽

성격

 Whalemények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587 (페이스북 회원수) http://amyolvas.blogspot.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whalemenyekblog/timeline 대표

Vonák Barbara, Vonák Alexandra , Bereczk Zsófi

연락처

whalemenyek@gmail.com

 Kagylóhéj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웹사이트 주소

http://birikorea.blogspot.hu/

 Panda Dorama 성격

한국 드라마 동호회

회원수 404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lorddorama.blogspot.hu/ https://www.facebook.com/pages/Panda-Dorama/436756849772813? sk=timeline

569


4. Fan clubs 1) B.A.P 팬클럽

 B.A.P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6823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aphungary

대표

Hajdu Virág , Barabás Réka

2) 방탄소년단 팬클럽

 BTS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717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BTS-Hungary/472741622811867?sk 웹사이트 주소 =timeline 대표

Aoi Tatsu & Shin Hyo Joon

 Bangtan Boys Hungary♥ [BTS] 성격

팬클럽

회원수 757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761785880530448

대표

Szemerédi Regina, Holicza Hanna

 Bangtan Boys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3019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570

https://www.facebook.com/BTS.HUN.Fan.Page/timeline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Bangtan Hungary 성격

팬클럽

웹사이트 주소

유럽

회원수 2819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BangtanBoysHungary/timeline

 Bangtan Boys Hungary ♥ 성격

팬클럽

회원수 718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14631252081362

대표

JóNikolett, Virág Renáta

 BTS love is not over♥ army♥ bangtan boys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328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410992932442325/

대표

Berki Veronika

3) F(x) 팬클럽

 f(x)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650 (페이스북 회원수) http://www.fx.gportal.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pages/Fx-Hungary/278168902235684 대표

fxhungarysub@gmail.com

571


 f(x)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60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85198591646839/?ref=ts&fref=ts

대표

Tóth-GodóAdrienn

4) GOT7 팬클럽

 IGOT7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346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761785880530448/

대표

Szilágyi Vanda , SzanyóFanni

5) 소녀시대 팬클럽

 Girls' Generation (SNSD) Hungary fansite 성격

팬클럽

회원수 713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Girls-Generation-SNSD-Hungary-fansit 웹사이트 주소 e/289813534377034?sk=timeline

6) 빅뱅 팬클럽

 BigBang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566 (페이스북 회원수)

572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886921291346309/

대표

Horváth Nikolett, Kim ChooHee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BigBang Hungary 성격

팬클럽

유럽

회원수 1845 (페이스북 회원수) http://bigbanghungary.blogspot.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hungarianVIPs/timeline 연락처

ygfamilyhungary@gmail.com

7) 소년공화국 팬클럽

 Boys Republic Hungary – 소년공화국 성격

팬클럽

회원수 779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oysRepublicHungary/timeline

8) 인피니트 팬클럽

 INFINITE Hungary - Hivatalos Csoport 성격

팬클럽

회원수 279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723482391092279/

대표

KmetyóKitti, Gömöri Anita

 Infinite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374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Infinite-Hungary/487686404592792?sk 웹사이트 주소 =timeline

573


 ♥ ~Infinite Hungary~♥ ~인피니트 헝가리♥ ~ 성격

팬클럽

회원수 462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516436025053395/

대표

Barabás Réka

9) T-ara 팬클럽

 T-ara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40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tiarahungary/timeline

대표

Mikula Szilvi, Gáll Laura

10) 블락비 팬클럽

 Block B_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343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lockBHungary/timeline

대표

Bárándi Rita Lina, Szilágyi Gabriella

11) 비(Rain) 팬클럽

 Cloud Hungary: Incredible RAIN / 헝가리구름: 대단한 비 성격

팬클럽

회원수 992 (페이스북 회원수)

574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IncredibleRAIN/timeline

연락처

cloudhungary@gmail.com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12) iKON 팬클럽

성격

유럽

 iKON Hungary 팬클럽

회원수 567 (페이스북 회원수) http://ikonhungary.blogspot.hu/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iKONHungary/timeline 대표

Berec Anna

연락처

ygfamilyhungary@gmail.com

13) 엑소 팬클럽

 EXO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767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ExoHungary/timeline

 EXO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377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477219572296573/

대표

Dobos Kriszti, Tatai Eszti

 EXO Planet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68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477219572296573/

대표

HanóRenáta, Tóth-GodóAdrienn, RuhánéPapp Dóra

575


14) 배우 김남길 팬클럽

 “ALL ABOUT KOREA! / Minden, ami Korea!” - the official group of KNG FC HUN (Kim NamGil) 성격

팬클럽

회원수 729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81004058633151/

대표

CsehnéSzabóKatalin, Sándor-Sarkadi Veronika, Juan Lee

15) CN BLUE & F.T Island 팬클럽

 CN BLUE & FTIsland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350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cnblueandftislandhungary/timeline

16) CN BLUE 팬클럽

 CNBLUE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5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CNBlueHungary/

대표

Xirta Nixon

17) F.T Island 팬클럽

 FT Island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821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576

https://www.facebook.com/FtIslandHungary/timeline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FT Island Hungary 성격

팬클럽

유럽

회원수 222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09032315832042/

18) 슈퍼주니어 팬클럽

 Super Junior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574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Super-Junior-Hungary/2024953897629 웹사이트 주소 66?sk=timeline

 Super Junior(SuJu)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663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Super-JuniorSuJuHungary/2276153572 웹사이트 주소 48671?sk=timeline

 Super Junior Yesung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3123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yesungkimjongwoonyesung/timeline

577


19) 샤이니 팬클럽

 SHINee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971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pages/SHINee-Hungary/191676660884634 ?sk=timeline https://www.facebook.com/groups/208792859175777/

대표

Tóth-GodóAdrienn, SzanyóFanny

20) SS501 팬클럽

 SS501 Fans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857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ss501.hungary/timeline

21) 가수 이준 팬클럽

 Lee Joon Hungary - 이준 헝가리 성격

팬클럽

회원수 539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leejoonhungary/timeline 웹사이트 주소 http://leejoonhungary.blogspot.hu/ 대표

leejoonhungary@gmail.com

22) BESTie 팬클럽

 BESTie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08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BESTie-Hungary/ 웹사이트 주소 645185765505537?sk=timeline

57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23) 틴탑 팬클럽

성격

유럽

 Teen Top Hungary 팬클럽

회원수 792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Teen-Top-Hungary/ 웹사이트 주소 1438407303073219?sk=timeline

 Teen Top Hungary ~ Comeback* 성격

팬클럽

회원수 1295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Teen-Top-Hungary-Comeback/ 웹사이트 주소 246170165449448?sk=timeline

 Teen Top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9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359817620714102/

대표

Zöldi Dorina

24) 가수 현아 팬클럽

 HyunA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459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HyunA-Hungary/ 웹사이트 주소 1390543957827507?sk=timeline

579


25) 세븐틴 팬클럽

 Seventeen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453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Seventeen-Hungary/ 웹사이트 주소 633452113395191?sk=timeline

 Seventeen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64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549121745156457/

대표

Sassák Szandi

26) 유키스 팬클럽

 U-KISS(유키스)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588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U-KISS%EC%9C%A0%ED%82%A4%EC% 웹사이트 주소 8A%A4- Hungary/288564817823601?sk=timeline

 U-Kiss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477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U-Kiss-Hungary/ 웹사이트 주소 332654600078502?sk=timeline

58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U-Kiss Hungary 성격

팬클럽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29300240521078/

대표

¨, Rusz Réka, Vaszilev Stefi Mészár Eniko

유럽

회원수 278 (페이스북 회원수)

 U Kiss Magyarország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271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UKissMagyarorszaghungary/timeline

대표

Fogas Nóra, Park Yeon Rin

27) LC9 팬클럽

 LC9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47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LC9Hungary/timeline

 LC9 (League of Competition #9 )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14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51672851681502/

대표

Pilik Rita, Virág Renáta

581


28) Lunafly 팬클럽

 Lunafly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496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LunaflyHungary/timeline

 Lunafly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56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97983880329261/

대표

Kiss Adraa

29) VIXX 팬클럽

 Lunafly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169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pages/VIXX-Hungary/475827385804530?s k=timeline https://www.facebook.com/groups/325625634187229/

대표

Tokodi Ágnes, Bárány Dorina

30) 비스트 팬클럽

 Beast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920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east.hungary/timeline

대표

58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 Beast Hungary 성격

팬클럽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452129528143908/

대표

Marczi Detti , Karacs Petra

유럽

회원수 186 (페이스북 회원수)

 BEAST / B2ST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303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2sthungary/timeline

대표

Horváth Nikolett

31) 2NE1 팬클럽

 2NE1 Hungary Fan Page 성격

팬클럽

회원수 2323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2ne1hungary.fan.page/timeline

 2NE1 Hungary <3 성격

팬클럽

회원수 346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371456376238173/

대표

Budai Henrietta

583


 2NE1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49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183425801733738/

대표

Besenyei Laura

 2NE1 magyar rajongói oldal 성격

팬클럽

회원수 781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2ne1.magyar.rajongoi.oldal/timeline

32) 헬로비너스 팬클럽

 HELLOVENUS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61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HelloVenusHungary/timeline

33) Sistar 팬클럽

 Sistar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646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Sistar-Hungary/ 웹사이트 주소 149046961873807?sk=timeline

58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34) 2PM 팬클럽

성격

유럽

 2PM Hungary Fans 팬클럽

회원수 78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2pmHungaryFans/timeline

 2PM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54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66421333385325/

대표

Kacsanovszki Beatrix

35) 씨크릿 팬클럽

 Secret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438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Secret-Hungary/273796852680222? 웹사이트 주소 sk=timeline 대표

Pfeifer Vivien, Koskár Alexandra

36) 보이프렌드 팬클럽

 Boyfriend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44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bfhungary/timeline

대표

Liao Linda

585


37) Miss A 팬클럽

 Miss A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981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Miss-A-Hungary/ 웹사이트 주소 468652379874853?sk=timeline

38) B1A4 팬클럽

 B1A4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757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B1A4-Hungary/ 웹사이트 주소 291387060916618?sk=timeline

39) Nu'est 팬클럽

 Nu'est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992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NuestHungary/timeline

40) M.Pire 팬클럽

 M.Pire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439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pages/MPire-Hungary/165663106954089? 웹사이트 주소 sk=timeline 대표

586

Barabás Réka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41) BTOB 팬클럽

성격

유럽

 BTOB (Born To Beat) Hungary 팬클럽

회원수 1425 (페이스북 회원수) https://www.facebook.com/BornToBeatHungary/timeline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54760647948773/ 대표

Kiss Évi, Papp Adraa

42) 배우 이종석 팬클럽

 Lee Jong Suk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792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65651713603212/

대표

Rusz Réka

43) 탑독(ToppDogg) 팬클럽

 ToppDogg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26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54089358075000/

대표

렉사박

44) 엠블랙 팬클럽

 MBLAQ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341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07638275957270/

대표

Juhász Noémi

587


45) 동방신기 & JYJ 팬클럽

 TVXQ/JYJ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123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228884537201865/

대표

Osztopányi Judit, Foki Dóra

46) Winner 팬클럽

 Winner Hungary 성격

팬클럽

회원수 505 (페이스북 회원수)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WinnerHungary/timeline

7 2014년 문화행사 ■ 아리랑 사진 전시 및 양반전 공연(1.15) ■ Lunar New Year’s Day 문화행사(2.1) ■ 수원 시향 헝가리 공연(2.9) ■ 한-헝 수교 25주년 기념 ‘한국 전통문화의 밤’(2.15~2.17) • 한복 2천년 패션쇼, 한국 천 년의 소리, 한식 리셉션 및 다도 시연, 인문학 포럼 등

■ Galerie 89 Paris/파리 방혜자 화백 전시(2.20~3.20) ■ Do 댄스 창작무용 공연(2.20~2.21) ■ 한-헝 음악회(2.25) ■ 문화원 피아노, 플루트 협연 콘서트(3.6) ■ 부다페스트 공대 International Fair of Bute 참가(3.12~3.13) ■ 재 오스트리아 피아니스트 이승윤 콘서트(3.27) ■ 서울시 무형문화재 전시회(4.23~6.10)

58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서울시 지정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24종목 150여점의 작품 전시

유럽

■ 소설가 이문열 ‘헝가리 독자와의 만남’(4.24) ■ 전통 자수가 박필순 작품 전시회(4.25~5.11) ■ 단국대학교 한국 전통문화 공연(6.21~6.22) •헝가리의 세계적 바이올리니스트 마거 졸탄(Maga Zoltan)과 협연

■ 2014 대사배 태권도 대회(5.31) ■ 국립합창단 헝가리 공연(6.11~6.12) ■ 국가보훈 문화협회 전시(6.23~7.4) ■ 한국 전통 천연염색 전시 및 워크샵(7.9~7.25) ■ Valley of Art Festival 한국 퓨전 음악 및 전통무용 공연(7.25~8.1) •헝가리 최대 순수 문화예술 축제

■ 영 아티스트 피아노 연주회(7.25) ■ KBS주최 K-Pop 경연대회 헝가리, 루마니아 지역 예선(8.2) ■ 서울첼로 앙상블 오페라 하우스 공연(9.1~9.3) ■ 대구미술협회 한-헝 미술 작가 교류전(9.3~9.13) ■ 세게드(Szeged) 필하모닉, 한국 솔리스트 협연 한-헝 수교 25주년 음악회(9.28) ■ 유럽지역 바둑 선수권 대회(10월) ■ 한국어능력시험 TOPIK(10.11) ■ 부다페스트 한국 영화 주간(11월) ■ 모자이크 코리아- 국악 퓨전 공연팀 초청(11월)

589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여행객

헝가리-한국간 비자 면제협정의 발효로 90일까지 까지 무비자 입국, 체류 가 가능하나, 90일 이상 체류하고자 할 시, 비자가 발급이 필수적이다. 공동 구비서류 • 신청한 비자의 유효기간 만료 후 최소 3개월 이상의 유효기간이 남은 여권 • 6개월 이내 촬영된 여권용 사진 2매 •비자 신청서 •의료보험증명서 •항공권 예약증

노동비자 •노동허가서 •고용계약서 •헝가리의 거주지 증명 • 헝가리 혹은 한국의 은행잔고증명서 영문

유학비자 •입학허가서 •헝가리의 거주지 증명 • 헝가리 체류비 조달에 대한 증빙서류 • 학비를 납입했을 경우 납입 증명서

 주한헝가리대사관 연락처

■ 주소 : 서울시 용산구 동빙고동 1-103(주한 헝가리 대사관) ■ 전화 : 02-792-2105 ■ 팩스 : 02-792-2109 ■ 업무시간 : 월~금 9:00~10:00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 : 미지정  사건·사고의 현황 가. 휴대품 절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란치드다리(사자다리), 부다왕궁, 영웅광장, 세체 니 온천, 기차역 등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모르는 사람이 친절하게

59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접근해 오면 경계심을 갖고 대응하며 특히 자신의 휴대품에 주의해야 한다.

유럽

또한 공항이나 호텔에서도 가방 등 휴대물품을 잠시 놓아두고 자리를 떠난 사이에 날치기 당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휴대품은 잠시라도 방치하면 안 된다. 나. 호텔 내 절도

중급 이하의 호텔은 경비가 불충분하며 외부로부터의 침입이 더욱 용이하 기 때문에 귀중품 보관에 주의해야 한다. 체크인 전 및 체크아웃시 수하물은 반드시 시선이 닿는 곳에 놓아두어야 한다. 또한, 분실했을 때를 대비, 여권번 호, 신용카드번호, 컴퓨터, 카메라 등 상품명을 기재해 놓으면 분실 신고시 도 움이 된다. 다. 수면제를 이용한 강도 행위

헝가리에 입국하는 기차내(주로 비엔나-부다페스트간)에서 범행 목표를 정해 유창한 영어로 접근, 대개 본인들도 외국에 거주하는 헝가리인이라 소개 하며 부다페스트 및 숙소 안내 등을 도와준다는 빌미로 자연스럽게 동행을 요 구한 후, 어느 정도 친밀감을 형성한 후 시내 관광을 시켜주고 관광 후 근처 아는 친구 집에 가서 시간을 더 보내자고 유인하여 수면/마취제가 탄 음료를 권하여 범행(소지품 강탈, 폭행 등)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대비해 모르는 사람이 접근하면 경계심을 늦추지 말 것이며 음식물, 음료수를 권할 경우 절대로 입에 대지 않는 것이 좋다. 라. 가짜 경찰

주요 관광지에서 경찰관을 사칭하고 휴대품 검사를 한다며 핸드백 내 현금 을 갈취하는 피해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특히 주요 관광지인 세체니 다리나 겔레르트 언덕, 기차역 주변 관광시에는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경찰관이 여권조사를 하는 경우는 있으나 통상 경찰관은 노상에서 휴대품 검사를 하지 않는다. 가짜 경찰은 경찰관 제복을 입은 경우도 있고 사복인 경우도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검문 요구를 받을시 어느 소속경찰인지, 경찰 신분증 을 보여 달라는 등의 요구를 하거나 대사관에 문의 후 검문에 응하겠다는 식

591


의 답변을 하는 것이 좋다.  자연재해

헝가리는 지진 등의 심각한 자연재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다뉴브 (Duna)강과 티써(Tisza)강에서는 매년 주로 3월 말과 5월 말에 강물이 범람 하여 교통통제 등의 피해가 발생한다. 그러나 2009년 6월 말에 1주일 동안 범람하는 등 그 시기가 불규칙적으로 변하고 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여름철 돌풍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36~38도의 폭염이 며칠간 지속되다가 갑작스러 운 돌풍과 함께 한랭전선이 형성되어 기온이 20~25도로 떨어지고, 돌풍으로 인해 가로수, 도로가 파손되고 물놀이 중이던 사람이 실종되는 등의 인명 피해도 발생한 바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유의해야할 지역 【바치(Vaci) 거리】

■ ‌ 관광 명소인 구바치 거리와 신바치 거리는 소매치기, 들치기, 사기주점 등이 있다. ■ ‌‌ 야간 출입은 사기주점 및 날치기 강도의 표적이 되기 쉬우니 삼가는 것이 좋다. 【켈레티(동부), 누거티(서부) 기차역】

■ ‌ 국제선과 국내선의 중심지인 켈레티 역과 누거티 역에는 집시 및 부랑자들 의 거소로, 소매치기의 표적이 되기 쉬우니 야간 출입을 피하는 것이 좋다.

9 현지 문화  일반 문화

특별한 인사법은 없으나 친한 사이끼리는 양 볼을 서로 맞대기도 한다. 남 자와 여자가 악수를 할 때, 일반적으로 여성이 손을 내밀기 전까지 남성들은

59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기다린다.

유럽

 종교 관련

헝가리도 오랜 카톨릭 국가로 예배당 출입시 경건을 중시하여 남자는 모자 를 벗어야 하고, 여자는 짧은 치마를 입거나 나시 옷을 입어서는 안 된다.  팁 문화

식당, 호텔 등의 요금계산서에 팁(경우에 따라 10~15%)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팁을 주기 전에 계산서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수증에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팁(5~10%)을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호텔에서 짐을 운반하는 보이 또는 체크아웃하기 위해 객실을 나올 때는 1유로(300포린트) 정도 팁을 주는 것이 예의다.

10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경찰(일반) : 107 ■ 소방서 : 105 ■ 일반 분실신고 : 061-322-6613 / 061-317-4961 ■ 카드 분실신고 : 061-367-2020 ■ 부다페스트 응급센터 : 104 ■ 24시간 응급치료 : 061-318-8212 ■ 자동차 고장신고 : 061-369-1831 / 3714 ■ 자동차 견인요청 : 061-357-2811 ■ 항공기 도착안내(2B) : 061-296-5052 ■ 항공기 출발안내(2B) : 061-296-5883

593


(2) 의료기관 연락처 ■ 주재국 의료체계는 국립병원과 개인병원이 있다. • 국립병원의 진찰료는 1회 10유로 이상이다. • 개인병원의 진찰료는 1회 20유로 이상이다. • 여행 출발 전에 한국에서 여행자 보험을 가입할 것이 좋다. • 약국에서 항생제 등 약을 구입하려면 우리나라처럼 의사의 처방전을 구비하여야 한다.

가. 부다페스트 내 종합병원 1) Ja′nos Ko′rha′z - 주소 : 1125 Budapest, Dio′s a′rok 1-3. - Tel : 061-458-4500 2) Rozsakert Medical Center - 주소 : 1026 Budapest, Ga′bor A′ron u. 74-78/a - Tel : 061-392-0505 3) Szent Imre Ko′rha′z - 주소 : 1115 Budapest, Te′te′nyi u′t 12-16. - Tel : 061-464-8600 ※ 유의사항 - 미예약시 진료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등 불이익을 당할 수 있으므로 예약 후 방문 권장한다. - 병원 방문시 여권을 지참해야 한다.

나. 약국 • 헝가리의 약국에는 한국과 동일하게 처방전이 있어야 구입 가능한 약품과 처방전이 없어도 구입 가능한 약품이 있다. 1) Aranyhorgony Gyo′gyszerta′r - 주소 : IV. ker. 1043 Budapest Pozsonyi u′t 19. - Tel : 061-379-3008

59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2) Szent Margit Gyo′gyszerta′r

유럽

- 주소 : II. ker. 1026 Budapest Frankel Leo′ u. 22. - Tel : 061-212-4311 3) Tere′z Gyo′gyszerta′r - 주소 : VI. ker. 1067 Budapest Tere′z krt. 41. - Tel : 061-311-4439

(3)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 주소 : H-1062 Budapest, Andrassy ut 109 ■ 대사관 전화번호 • 대사관 대표 : (06-1)462-3080 • 영사과 직통 : (06-1)462-3097

■ 팩스 • 대사관 대표 : (06-1)351-1182

■ E-mail : hungary@mofa.go.kr ■ 홈페이지 : http://hun.mofa.go.kr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 일반민원 : (06-30)982-9463 / (06-30)824-3106

■ 대사관 업무시간 • 월~목요일 09:00~17:00 / 금요일 09:00~16:00

■ 민원업무시간 • 월~목요일 09:00~17:00 / 금요일 09:00~16:00

595


11 기타 (1) 날씨 헝가리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기후로 사계절이 있고, 여름에는 기온은 높으 나 건조하여 불쾌지수가 낮은 편이고, 겨울은 바람이 차고 우리나라보다 더 춥기 때문에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헝가리의 대중교통은 지하철, 트램, 버스, 택시 등으로 볼 수 있다. 가. 지하철(Metro)

헝가리에는 4개의 지하철 노선이 있다. M1(노란색), M2(빨간색), M3(파 란색), M4(초록색)이다. M1은 유럽대륙에서 최초로 건설되었으며 영웅광장, 시민공원, 세체니 온 천, 오페라하우스 등과 연결되어 있다. M2는 부다와 페스트를 연결하며 M3 ‥ld 역에서 는 페스트 지역만 연결되어있다. M4는 2014년 5월 개통, Kelenfo 부터 동부역까지 연결된다. 나. 트램(Villamos), 버스

수십개의 노선이 있으며 탑승료는 버스기사가 받지 않으며 표를 구입해 개 찰기계에 넣어 사용해야 한다. 트램이나 버스에서는 자주 불심검문을 실시 하는데, BKV 안장을 찬 검표원들이 표를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한 표를 바로 버리지 않는 것이 좋다. 1회권은 환승이 적용되지 않으며, 탑승할 때마다 사용해야 한다. • 1회권 350HUF, 10회권 3,000HUF, 24시간용 1,650HUF, 72시간용 4,150HUF, 30일용 9,500HUF(영수증 미발급시/10,500(영수증 발급시)

59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다. 택시

유럽

헝가리는 거리에서 택시를 잡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콜택시보다 가격이 비싸다. 기본요금은 450HUF이며 km당 280HUF가 부과된다. 호텔 택시와 개인택시 및 거리에서 택시를 이용할 경우 3~4배 요금이 비싸므로 가능한 콜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공항과 시내 구간은 공항전용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거리에 따라 정액제로 운행된다. ..

<공항전용택시 Fo Taxi 정액제> • City Taxi : 211-1111 • Fo Taxi : 222-2222

 도로교통

시내에서는 시속50km 이하, 일반국도는 시속 80km 이하, 2차선 고속 도로는 시속 100km 이하 4차선 고속도로에서는 시속 130km 이하로 운전해 야 한다. 속도위반 단속을 자주하는 편이며 위반시 5,000~20,000HUF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헝가리에는 10개의 고속도로가 있으며, 중간에 요금소가 없이 주유소나 인터넷에서 고속도로 통행스티커를 구입해야 한다.

(3) 기타  전력사용현황

■ 전기 및 전자제품 • 현지TV 및 Video 방식 : 한국과 다른 PAL • 현지전기시스템 : 220V / 50Hz • 한국전자제품 현지 사용가능 여부 • 컴퓨터, 정밀 오디오 제품, TV등 ※ TV, VIDEO 등이 MULTI 방식인 경우 사용 가능, 한국제품 중 220V, 50〜60Hz의 전자 제품을 가져오는 경우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다.

597


 환전

헝가리 화폐는 포린트(Forint)화이며 은행, 호텔 환전소에서 외화를 포린 트화로 교환할 수 있다. 환전소에서 환전하는 경우에는 환율 차이에 유의해야 하며 바찌거리 환전소가 가장 유리하다. ※ 1USD=약 222Ft(2013.6월 기준 )

 통신

■ 우편 헝가리에서 우편물은 우체국(Posta)을 이용한다. 헝가리내 우편 이용 요금 은 무게에 따라 달라진다. ※ 헝가리-서울간 우편 배달 소요 일수 •일반국제우편: 7~14일 / DHL : 2~3일 / EMS : 5~8일

■ 우편요금 무 게

국 내

국 외

50g 미만

150

450

100g 미만

205

730

250g 미만

245

1,220

500g 미만

445

2,030

2000g 미만

920

6,150

무 게

국 내

국 외

1kg

3,790

12,825

5kg

6,145

18,095

10kg

6,825

24,765

■ EMS 우편 요금

■ 전화 • 국내전화 : ‌ 시내 전화요금은 1분당 15(HUF)이면 다른 지역으로 연결할 때의

59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헝가리

요금은 30HUF, 가정에서 휴대전화로 걸 때는 70HUF이다.

유럽

•국제전화 : ‌ 부다페스트-서울 유선요금의 경우는 분당 100HUF 정도 이며 휴대전화를 사용할 경우 200~350HUF 정도이다.

■ 인터넷 사용 현황 ADSL/ISDN/모뎀/무선 방식으로 인터넷 이용이 무난하다.

599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Ⅱ. 아프리카•중동


 가나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공화국  레바논

 르완다

 리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 세네갈

 모로코

 바레인

 수단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에티오피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우간다

 이란

 이스라엘 25

 이라크

21 이집트 22 카타르

쿠웨이트 26 튀니지

23 케냐


1. 가나

1 개황

•수

도:아크라(Accra, 229만 명)

•인구 인구(2014년 기준):2,575만 명 •면

적:238,537㎢(한반도 1.1배)

•민족구성: Akan족, Ewe족 등 •종

교:기독교(71.2%), 회교(18.4%)

•언

어: 영어(공용어, 70%), Gha, Fante, Ewe, Twi, Haousa, Dagbawi, Nzima 등 7개 언어

•독

립: 1957.3.6 영국으로부터 독립

•시

차: 우리시간 - 9(일광시간 절약제 비적용)

•화폐단위:가나 세디(Cedi) ※US$1=3.27GHC(2015.7월 현재) • 1인당 GDP(2014년 기준):1,871불 •교역규모(2014년 기준):총 258백만 불(수출 : 220백만 불, 수입 38백만 불)

2 문화적 특성 가나는 60개 이상의 종족, 수백개의 방언이 존재하는 다종족 국가이며

60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가나

종족별로 각기 다른 문화를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종족은 가족 공동체적

아프리카•중동

가치를 중시하며, 결혼·장례식 등 가족 행사를 매우 중요시한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현재 가나에는 한류를 확인할 만한 뚜렷한 문화현상이 나타나고 있지 않으 나, TV를 통해 방영된 한국드라마를 통해 일반인들 사이에 한국 영상물의 수 준이 높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시장점유율이 높은 한국 핸드폰, 자동차의 역할로 한국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방송과 언론을 통한 한국 문화 소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한류가 점진적으로 확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접촉면을 넓히는 일이 가장 급선무인 것으로 판단된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겨울연가>, <호텔리어>, <주몽>, <대장금> 등 약 10편의 우리 드라마가 현지방송국(TV3 GTV)에서 방송된 바 있으며, 2014년 10월부터 한국컨텐츠 진흥원의 우리 드라마 무상배급사업에 힘입어 <내 이름은 김삼순>, <성균관 스캔들>이 TV3에서 방영되었다. 현재 가나 중·고등학생, 대학생들 사이에 서 인터넷을 통해 우리 드라마를 접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특히 <꽃보다 남자>, <대조영> 등의 작품이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 영화

지금까지 6회에 걸친 한국영화제를 통해 <미녀는 괴로워> <식객>, <맨발 의 꿈> 등이 상영되었다. 2015년 4월에는 대사관 주관으로 “한국 영화의 달”

603


행사를 개최하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연가시>, <키친> 등 다양한 주제의 최신 한국영화를 상영한 바, 현지 관람객들에게 높은 호응을 었었다.  K-Pop

가나인들이 K-Pop을 접할 기회가 적은만큼, K-Pop 장르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렸던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뮤직 비디오가 CF 배경화면으로 나오고 가나 가수가 번안곡을 부를 정도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  한식

아직 현지인들에게 한국음식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음식점은 우리 교민들이 거주하는 테마(수도 아크라에서 1시간 거리)에 수 개 있는데 한국인, 중국인, 한국음식을 먹어본 경험이 있는 타국 외교관 등이 주로 찾는다.  한국어

한국기업, 종교단체의 활동, 한국드라마 방송을 통하여 현지인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중고차 상인, 태권도 수련생, KOICA 연수생, 한국정부장학생 등을 중심으로 한국어가 소개되고 있다. 아직 현지에서 한국 어를 배울 수 있는 기관이나 학교가 없으며 학습교재를 구하기도 어려운 상황 이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를 좋아하는 이유 한국드라마의 소재나 내용이 선정적이지 않고 정서가 풍부하며 가족 중심 의 스토리가 많은 것이 가나의 가족 중심문화와 유사한 점이 많아 공감을 얻 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한국의 경제적 성장과 국제적 위상이 알려지 면서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60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가나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아프리카•중동

문화교류사업 추진시 현지 업무처리 속도 및 관행이 한국보다 더디고 복잡 하기 때문에 인내심이 필요하며 한국에서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야 한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가나 내에서 활동하는 한류 동호회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7 최근 문화행사 ■ 2014.12월 2014 코리아컵 태권도대회 ■ 2015.4월 한국 영화의 달 ■ 2015.12월 2015 코리아컵 태권도대회 개최 예정

8 여행정보 (1) 비자 사증면제 협정은 체결되어 있지 않으며, 입국비자는 주한 가나대사관에서 받을 수 있다. 황열병 예방 접종카드를 소지해야 입국할 수 있다. 비자 취득을 위해서는 여권 잔여 유효기간이 최소 6개월 이상이어야 한다. 장기체류비자 는 주재국 입국후 체류목적을 증명할 수 있는 각종 서류를 준비하여 이민국에 별도 신청해야 한다. 체류비자 신청시, 가나 이민국에서 국내 ‘무범죄경력증 명서’를 요청하고 있는바, 한국 출국전 경찰서에서 동 서류를 발급받아 두었

605


다가 입국 후 주가나한국대사관의 확인을 받아 제출할 것을 권장한다(가나에 서 대사관을 통하여 신원조회 후 범죄경력증명 확인서를 발급받는 데에는 2~4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 주한 가나대사관 주소 : 서울 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5-4 우편번호 : 140-210 전화 : (02)3785-1427 / 749-8982 / 749-8983 팩스 : (02)3785-1428 홈페이지: http://www.ghanaembassy.or.kr/kor/index.html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 : 미분류  여행자 안전

기본적으로 치안상황은 양호한 편이나, 아크라 시내 및 해변가 등을 중심 으로 야간에 외국인 대상 강도사건 등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 만큼, 개인 신변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도로 사정이 열악(교통체증 심각, 부실공사로 노면 불량, 교통법규 불준수) 하고 인도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가운전 및 보행시 각별한 주의를 요 한다. 가나인은 국민성이 온순하고 외국인에 대해 친절하나 자존심이 강하므로 현지 문화를 존중하고 예의바르게 행동해야 한다.  풍토병

지역 및 시기에 따라 말라리아, 콜레라 감염 위험이 증가되는 만큼, 모기약 상비, 필요시 말라리아예방약 복용, 길거리음식 불매, 생수 및 위생적으로 조 리한 음식 섭취 등 개인 보건·위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수도를 떠나 지방으로 갈수록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증가하며, 콜레라의 경우 주로

60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가나

우기에 수도 아크라 및 해변 지역을 중심으로 발병하고 있다. 충분한 휴식과

아프리카•중동

수면을 통해 평소 면역력을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9 현지 연락처 (1) 긴급연락처 ■ 경찰서 : 191 ■ 화재신고 : 192 ■ 응급환자(앰뷸런스) : 193 ■ 이민국 : 0302-213401,674125,221667,224445

(2) 의료기관 연락처 의료시설 및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 외국인이 이용하기에 비교적 양호한 Nyaho Medical Center, Akai Clinic 등의 시설은 대기시간이 길고 치료비가 비싸다. 감기약 등 기초약품은 약국에서 의사 처방 없이 구입 가능하다. ※ 아크라내 주요 의료기관 37 Military Hospital

0302-776111, 776115

Korle-Bu Hospita

302-665401, 2673033

Nyaho Medical Centre(양호)

302-775341, 2775291

Lister Hospital & Fertility Centre

0302-812325/6

Kumoji Hospital

0302-778905, 778998

Akai House Clinic(양호)

0302-784772~4,6

The Trust Hospital

0302-761974~78

607


(3) 대사관 연락처 ■ ‌ 주소 : P.O. Box GP 13700, No. 3 Abokobi Rd. East Cantonments, Accra, Ghana ■ 전화 번호 : (+233-30) 277-6157, 7533 ■ 팩스 : (+233-30) 277-2313 ■ E-mail : ghana@mofa.go.kr ■ 홈페이지 : http://gha.mofa.go.kr ■ 민원업무시간 : 월~금요일 08:30~12:30, 14:00~16:00

10 기타 (1) 기후 가나의 기후는 열대기후로 남동해안은 온난 건조, 남서해안은 고온 다습하 며 북부지방은 고온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27℃, 강우량은 1,500mm 내외 이며, 대체로 4~9월은 우기, 10~3월은 건기에 해당한다. 우기에는 밤낮의 일교차가 심하므로 체질에 따라 춘추복이 필요하다. 하마탄(Harmattan) 시즌이라 불리는 1~3월은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먼지를 동반한 건조한 바람의 영향으로 대기상태가 좋지 않다.

(2) 교통정보 ‘트로트로’라고 불리는 12~15인승 중고승합차가 주된 대중교통 수단 (시내는 70페소~1세디, 시외는 2.5~3.0세디(1세디=100페소=한화 300원, 2014년 9월 기준)으로 정해진 운행시간이 없이 불규칙적으로 운행된다. 택시 (대부분 수입중고차로 마티즈, 구형 프라이드 등을 빈번히 볼 수 있다)는 미터 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탑승전 요금을 흥정해야 한다(5km이내의 거리는

60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가나

약 4~7세디, 30km 정도 거리는 약 30세디).

아프리카•중동

(3) 환전 대형호텔, 면세점, 항공사, 고급식당 등에서 신용카드 사용이 가능하나 가 급적 현금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달러, 유로 등 외화가 통용되지 않으므로 은행, 호텔 및 사설 환전소에서 세디화로 환전하여야 한다. 은행 ATM기에서 VISA, MASTER 등 신용카드로 세디화 현금인출이 가능하다. ※ 은행 업무시간 : 8:00 ~ 16:30 (월~금) ※ 환전소 업무시간 : 사설 환전소 9:00 ~ 17:00 (월~토), 호텔 환전소 7:00 ~ 21:00 (월~일)

(4) Tip 제도 의무적이지는 않으나 주요 식당에서 보통 2세디~5세디 정도의 팁을 준다.

(5) 전력 현황 전기수급이 고르지 않아 단전이 잦기 때문에 개별 발전기 사용이 일상화되 어 있다. 컴퓨터 등 업무용 전자기기 사용시 무정전전원장치(UPS) 사용을 권 장한다. 전압변동도 심하므로 정밀 전자기기 사용시에는 전압안정기를 사용 하여야 한다. 사용전압은 220V(50Hz)이다.

(6) 통신  우편

우체국사서함(P.O.Box)이 있어야 우편물을 받을 수 있다. 한국으로 엽서 나 편지를 수발신하는 데 약 2주가 소요된다.

609


 전화

유선전화망은 열악하며 무선전화망이 더 발달되어 있다. 한국에서 사용하 던 전화기에 심카드만 교체하면 현지 사용이 가능하다. 심카드는 1~2세디에 살 수 있고 요금은 대부분 선불제이며 회선을 개통하려면 각 통신사에 신분증 을 가지고 가서 등록해야 한다. 가나에서 한국으로 발신시, 각 통신사별로 가 격의 차이는 있으나 1세디(300원)에 2분 정도 통화할 수 있다. 공중전화는 거 의 존재하지 않는다.  인터넷

아프리카 지역 국가 중 인터넷 사정이 매우 양호한 편이다. 최근 LTE 서비스도 개시되었다.

61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가나

Ⅱ 아프리카•중동

611


2. 나이지리아

1 개황

•인

구:약 1억8,000만 명(2014년 추정)

•면

적:923,768㎢(세계 32위, 한반도 4.2배)

•민족구성: 하우사-플라니족(30%, ‌ 북부), 요루바족(20%, 서부), 이보족(20%, 동부) 등 250여 부족 •종

교:헌법상 국교지정 금지-이슬람교(50%, 북부), 기독교(40%, 남부), 원시종교

• 국내 총생산(GDP):$ 5,943억(2014년, 아프리카 1위) - 산업별 구성비:농업 31.9%, 공업 32.9%, 서비스업 35.2%(2010년 기준) •1인당 GDP(구매력평가시):$2,794(2013년 추정) •회계연도:1.1~12.31 •화폐단위:1 Naira(N) = 100 Kobo ※ 공식환율 $1=N157(2013년 1사분기 평균) • 한-나 교역(2014년): - ‌ 2014년 대나이지리아 수출 1,378백만불로 전년 1,570백만불 대비 12.2% 감소 - 천연가스, LPG, 원유 등 3대 주요수입품목의 급속한 수입증가에 따라 2014년 대 나이지리아 수입은 3,095백만불로 2013년 대비 34.2%의 증가

61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12 문화적 특성

아프리카•중동

위치상 대륙횡단 이주로의 합류점에 놓여 있어, 민족과 문화가 매우 다양 하다. 전국에 250여 종족이 살고 있으며, 각각 고유의 관습과 전통, 언어를 갖고 있다. 10대 종족, 즉하우사·요루바·이보·풀라니·이비비오·카누 리·에도·티브·이조·누페족이 나이지리아 전체 인구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종족은 19세기에 자신들을 정복한 소수의 플라니족 과 융합한 북부의 하우사족으로,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는다. 인구가 2번째로 많은 종족은 서남부 지역의 요루바족이며, 동남부 지역의 이보족이 그 다음으 로 인구가 많다. 이어 이보족 인근에 사는 이비비오족과 베닌시티의 에도족 순으로 인구가 많다. 나이지리아의 중앙부에는 서로 다른 종족들이 밀집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티브족과 누페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각 종족은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그중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는 하우사어인데, 이는 하우사·풀라니족이 정치적으로 나이지리 아를 장악해 온 데서 기인한다. 그밖에 요루바어, 이보어, 이비비오어, 카누리 어, 티브어, 이조어 등의 순으로 많이 쓰인다. 공용어인 영어는 주로 도시지역 에서만 사용된다.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이슬람교를 믿으며, 나머지는 그 리스도교를 믿거나 애니미즘을 신봉한다. 나이지리아의 도시들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카노, 카치나, 자리아의 경우 역사가 1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베닌시티도 16세기 말부터 발달했다. 주요 인구밀집 지역은 중남부의 열대우림지대, 라고스와 포 트하커트 사이의 해안 저지, 그리고 북서부지대이다. 반면 광대한 중부지역과 차드 호 저지, 크로스 강 동쪽 유역에는 사실상 사람이 살고 있지 않다. 나이지리아는 비교적 풍부한 역사적·문화적 유산을 지금도 전승하고 있 다. 최고의 것은 북부 조스 고원에서 발견된 BC 3〜2세기의 철기문명인 녹문 화가 있으며 또한 라고스국립박물관에는 전국의 역사적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아랍과 서부 유럽 문화의 영향을 받았거나 나이지리아 토착문화로부터 직접 생겨난 풍부하고도 다양한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다. 전통예술은 독립 이 후 새로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오요족의 호리병박 조각품과, 베닌시티족, 아우

613


카족, 이코트족의 가면 및 흑단 나무로 만든 두상(頭像), 샤가무족의 가시나무 조각, 나이지리아 풍물을 주제로 한 유화 등이 부유층의 집을 장식하고 있으 며, 주민들도 수입품 대신 현지에서 직접 짜고 염색한 옷을 즐겨 입는다. 이바 단 대학교와 이페 대학교에 부설된 아프리카학 연구소는 자리아와 이바단에 있는 미술, 드라마 학교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민속무용과 시(詩)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 이를 널리 알리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학 활동도 활발하고 영어로 쓴 소설과 희곡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C. 아체베·A. 투투올라·T.M. 알루코 등의 작가가 있다. 극작가로는 아프리카 인으로서 최초의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숲속의 춤》의 작가 W. 소잉카와 J.P. 클라크가 있다. 일간지는 THISDAY, THE GUARDIAN 등 주요한 것만도 10개를 헤아린다. 또 나이지리아 통신(NAN)·국영나이지리아 라디오(FRCN)· 국영나이지리아 텔레비전(NTA TV) 등이 있다. 음악으로는 펠라 쿠티(Fela Kuti)라는 전통적인 요루바족의 음악에 자유로운 재즈를 적절하게 혼합한 형태로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소니 아데 (Sonny Ade)는 주술음악, 소니 오코순(Sonny Okosun)는 아프로-레게, 사데(Sade)는 소울 뮤직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지리아에서 스포츠가 주목을 받은 것은 1950년대이며, 1952년 헬싱 키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1962년 국립스포츠협회가 창립되었고 1971년 국립스포츠위원회가 창립되어 국내 스포츠 경기의 활성화를 위해 노 력하고 있다. 1945년 창설된 나이지리아축구연맹은 영국 식민지 시대의 조 직체계와 분위기를 바꾸었고 1990년에 프로축구를 도입하였다. 국제대회에 나이지리아 축구팀이 참가한 것은 1960년이었으나 자격 미달로 경기에는 참석하지 못했고 1970년에 멕시코 월드컵에 출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 에서 축구 우승을 차지하여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였다. 또한 나이지리아 축구대표팀은 최근 2013년 2월에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 스컵에서 19년만에 우승을 차지하여 축구강국임을 거듭 확인하였으며, 현재 나이지리아 출신의 많은 선수가 유럽빅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태권도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이후 무도종목중 최고로 인기가 있으며, 전국에 걸쳐 약 500개 가까운 클럽이 있고

61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1,500명 이상이 단증을 보유하고 있다.

아프리카•중동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 한국과 나이지리아간 문화 교류 등 일반 현황 한국과 나이지리아간 문화교류는 2008년까지는 매우 미미한 상황이 었으며,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의 나이지리아 방문을 계기로 나이지리아 전통 예술단이 한국을 방문하여 공연을 가진 것이 전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2010년 한국과 나이지리아 수교 30주년 계기, 2010.5.24. 한국문화원이 아프리카대륙 최초로 개원되면서 양국 간 본격적인 문화교류의 토대가 이루어졌다. 2011~2012년은 한-나 양국문화교류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해로서 그전에 전통문화 교류 위주에서 K-Pop과 같은 현대 한류로 확대되고 문학, 영화, 드라마, 한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문화교류가 이루어지고 있 다. 특히 2012.8.7 체결한 한-나이지리아 문화 및 교육협력에 관한 협정이 2013.7.25 정식으로 발표되면서, 양국 간 문화교류가 질적, 양적으로 확대되 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한류드라마 <대장금>이 나이지리아 최초로 2008년 7월 20일부터 매주일요일 09:00~10:00에 나이지리아 민영방송인 A I T T V에서 방영되었다. <대장금>이 방영된 후 한류드라마가 많은 인기를 모았으며

615


한국인 가정에서 일하고 있는 젊은 여성들이 매우 좋아해서 이들을 통해 드라마가 홍보되기도 했다. 이러한 한류드라마의 인기에 힘입어 2010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나이 지리아 최대 국영 TV인 NTA TV에서 <겨울연가>, <내이름은 김삼순>, <마지 막 스캔들> 및 <성균관 스캔들> 드라마가 주 2회 연속적으로 방영되었다. 또한 동 기간중 민영방송 AIT TV에서도 <바람의 화원>, <내이름은 김삼순>과 <마지막 스캔들>이 인기리에 방영되었다. 최근에는 NTA TV 엔터테인먼트 채널에서 ‘일지매’, ‘착한남자’ 및 ‘드림하 이’를 방영하고 있거나, 방영을 계획하고 있다. 한국문화원은 지속적인 시청자 반응을 조사하여 드라마 지원정책에 반영 해 나가고 있다.  영화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에서 2010년 8월 16일부터 20일까지 5일 동안 “제1회 한국 영화제”가 개최되어 처음으로 한국 영화를 소개하는 행사를 가졌 다. 아부자 실버버드 엔터테인먼트 극장에서 “국가대표”, “영화는 영화다”, “황진이”, “왕의 남자”, “식객” 등 5편이 상영되었으며 이 중 “식객”이 가장 관 람 관중이 많았다. 2011년 11월 21일~24일 동안 한국문화원, 라고스 분관과 한인회 공동으로 라고스 시네마 극장에서 “국가대표”, “식객”, “맨발의 꿈”, “과속 스캔들” 등 4편의 영화를 상영하였으며 동 영화제에는 LG전자 라고스 법인의 협찬으로 민관 협력 사업으로 추진하여 관람객 증가에 기여하였다. 2012년도에는 수도 아부자에서 11월27일~30일 동안 아부자 실버버드 엔터테인먼트 극장에서 “맨발의 꿈”, “과속 스캔들”, “천하장사 마돈나”, “조선 명탐정” 등 4편이 인기리에 상영되었다. 관람한 영화에 대한 관객설문조사 평가에서 ‘매우 훌륭했음’(35건,41.2%), ‘좋았음’(48건, 56.5%), ‘평균수준’(1건, 1.16%), ‘결정못함’(6건, 6.67%)으로 응답해 전체적으로 한국영화가 우수하다는 의견이 97.7%로 나타났다. 2013년에는 제4회 한국영화제를 한국문화축제에 묶어서 개최하였는데,

61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기담”, “복면달호”, “영화는 영화다” 등 4편이 11.

아프리카•중동

21부터 11.23까지 아부자 실버버드 극장에서 상영되었으며, 3일간 총 614명 이 관람하였다. 영화관람객 대상 설문조사 결과 87.1%가 만족하였고, 대부분 응답자들이 지금보다 더 자주 한국 영화 상영을 희망하였다. 2014년에는 나이지랑 날리우드 영화의 본고장인 라로스 Genesis Deluxe Cinemas에서 11.11~13까지 개최하였다. ‘미녀는 괴로워’, ‘전우치’, ‘8월의 크리스마스’, ‘킹콩을 들다’ 등 4편이 상영되었으며, 총 786명이 관람하여 역대 최고로 많은 관람객수를 기록하였다. 영화 관람객 대상 설문조사 결과 약 80%가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에 만족하였고, 일부 응답자들은 “나이지리아 영화산업도 한국의 높은 기술력과 문화수준을 배워야 한다”라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2015년에는 한국문화축제 기간 중 수도 아부자 실버버드 극장에서 11.19 ~21까지 제6회 한국영화제를 개최하였다. ‘도둑들’, ‘파파로티’, ‘고지전’ 및 ‘내 아내의 모든 것’ 등 4편이 상영되었으며, 총 562명이 관람하였다.  K-Pop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아직 K-Pop 열풍이 시작 단계에 있다. 나이지리아 한국문화원이 2010년 5월에 개원한 후 2012년 처음으로 한국문화원 K-Pop 팀을 남자 15명, 여자 15명으로 구성하여 K-Pop 확산을 위하여 문화원 주관 각종 행사시 공연을 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한국 방문의 해 지원단 과 MBC 공동 주최로 개최된 K-Pop 로드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온라인 경쟁 부문에서 세계 1위를 차지, 서울 본선대회에 참가한 바 있다. 2012년에는 3월 1일부터 문화원 주관으로 “제1회 K-Pop 댄스대회”를 개 최 하였다. 이 행사에는 고등부 및 성인부에서 총 19개팀이 참가하여 열띤 경 쟁을 벌였으며, 성인부 최우수팀인 ‘엘리베이터즈’는 한국본선에서 당당히 3 위로 입상하였다. 2013년과 2014년 및 2015년에는 한국문화원과 국영방송인 NTA TV공동 으로 주관하여 대회 전과정을 엔테테인먼트 채널로 중계함으로써 주재국에 K-Pop을 널리 알리는데 기여하였다.

617


특히, 2015년 나이지리아 지역 예선 2위팀인 '퍼시픽스타즈'가 K-Pop 월 드 페스티벌인 창원 2015 한국 본선에서 전세계 80여개국에서 예선을 거치고 올라온 쟁쟁한 14개팀을 제치고 대상을 차지하여 한국 관계자들을 놀라게 하였다. 2014.11월 부터는 아리랑TV의 ‘Simply K-Pop’프로그램이 NTA TV엔터 테인먼트 채널에서 매주 3회 정기적으로 방영되고 있어 주재국 한류팬들이 더욱 가깝게 K-Pop을 시청 할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원의 노력과 싸이 의 ‘강남스타일’의 영향으로 미디어와 모바일폰이 보급된 대도시 지역중심으 로 K-Pop의 인기가 크게 확산되고 있다.  한류의 상륙 시기

한류 드라마 <대장금>이 나이지리아 최초로 2008년 7월 20일부터 나이지 리아 민영방송인 AIT TV에서 방영된 시점을 한류상륙시기로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싸이 등 K-Pop스타들의 영향으로 아부자, 라고스 등 대도시 지 역의 젊은 층 중심으로 한류콘텐츠의 인기가 확산될 조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미디어가 많이 보급되어 있지 않고 도시 이외의 지역에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방송매체를 통한 한류열풍이 그다지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가장 인기 있는 한류 컨텐츠

주재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류 콘텐츠는 태권도, K-Pop, 드라마, 영화 순이다. 태권도는 무도종목 중에서 최고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수련인구가 매년 증 가하고 있다. K-Pop은 주재국 젊은이들이 빠른 템포의 음악과 힘 있고 다이나믹한 율동 을 선호하는 측면이 있어, 싸이, 샤이니, 빅뱅 등 파워풀한 가수와 그룹을 좋 아한다. 드라마는 대장금, 겨울연가, 내 이름은 김삼순 등이 주부들에게 인기를 끌었 으며, 한국의 색다른 문화, 아름다운 풍광과 재미있는 스토리 등이 시청자들

61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을 매료시키고 있다. 다만, 시청자들이 자막보다 영어 더빙 방영을 원하고 있

아프리카•중동

다. 영화는 로맨틱 코미디, 액션물을 좋아하며, 한국 영화수준을 매우 높게 평가 하고 있다.  2014년 한류 파워인물

‘강남스타일’의 영향으로 싸이가 가장 인지도가 높으며, 다음으로 샤이니, 비스트 등 춤이 힘 있고 빠른 남성그룹들을 선호하는 편이다.  한식

드라마 <대장금>의 영향으로 한식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아직 한식당이 없어 현지인들이 한국음식을 실제로 접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사관과 문화원은 서부아프리카 최초로 2012년 10월에 코리안 푸드위크를 1주일간 개최한데 이어 2013년과 2015년에는 대대적으로 한국문화축제(공연, 한식, 영화)를 통하여, 주재국 주요인사에게 한식설명과 시식회, 국경일에 외교단 및 주재국 관계자들에게 한식 뷔페제공 및 호텔에서 한식판매, 한식워크숍 등 행사를 통하여 나이지리아에 한식의 우수성을 알리고 저변을 확대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지속적인 한식소개 행사를 통하여, 금년 내 아부자에 한식당이 개설되고, 힐튼호텔 오리엔탈 식당에 별도 잡채, 불고기 등 한식코너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 한국어

한국문화원에서 2010년부터 초급반과 중급반 한국어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매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수업을 하고 있으 며, 현재 초급반은 40명이 등록되어 있고, 중급반은 10명이 등록되어 한글을 공부하고 있다. 현재까지 한글강좌 수강인원은 200여명 수준이다. 최근 젊은층 중심으로 K-Pop, K-드라마, K-영화 등 한류의 영향으로

619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한국어 교실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문화원은 매년 6월, 12월에 한국어말하기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그러나 주재국 치안불안 및 높은 임차료의 주택 등 문제로 한글을 전문교 원이 아닌 행정원이 가르치고 있고, 한글을 배우면 취직을 하거나 실생활의 수요가 없기 때문에 한글강좌 운영에 애로사항이 많은 실정이다.  태권도

태권도는 나이지리아에서 최고로 인기 있는 대표 한류 브랜드중 하나이다. 전국에 태권도를 배우는 인구가 30만명, 태권도 클럽이 250개가 되고 태권도 유단자가 1만5천명에 이른다. 특히 치카 추쿠메리제 선수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무제한급에서 동메달을 딴 후 태권도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태권도의 인기에 힘입어 주재국 체육부에서는 복싱, 레슬링, 육상 등과 함께 태권도를 5대 중점전략종목으로 선정하고, 한국 태권도 사범을 초청하는 등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문화원에서도 국립학교 태권도 시범학교를 지정운영하고 있고, 매년 대사 배국제태권도대회를 개최하며, 문화원내에 태권도 교실을 어린이반, 성인반 으로 나누어 주4회 운영하고 있다.  기타 산업 파급효과

나이지리아 내 한류가 현재 확산단계에 있으나, 열악한 문화 인프라와 대다수 절대 빈곤층으로 인하여 아직 한류상품과 연관 산업의 수출로 이어지 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 나이지리아가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치고 아프 리카 내 1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고 있어, 미래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문화원은 한류이미지가 연관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노 력하고 있다. 2013년도 2015년 한국문화축제 개막식 겸 국경일 리셉션을 개최하면서 삼성전자, LG전자가 TV, 스마트폰 등 첨단 제품을 선보이고 현대, 기아자동 차의 새 브랜드 자동차도 함께 전시하여 한류와 함께 우리진출기업의 홍보에

62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도 성과를 거두었다 .

아프리카•중동

한국문화원에서는 문화행사에 한국기업의 협찬을 요청하고 있으며 기업들 도 적극 호응해주고 있어 문화행사를 통한 산업 파급효과를 높여나가고 있다. 2014년, 2015년에는 ‘한국이미지 그리기 대회’, ‘한국대사배 서부아프리카 국제 태권도대회’는 LG전자 나이지리아 법인이 협찬하고 있으며, ‘K-POP 경연대회’, ‘한국영화제’는 삼성전자 나이지리아 법인이 후원하였다. 대우건설 및 한국전력도 한국문화행사에 수시로 협찬을 지원하고 있다.  최근 주요 행사

2015년에 상반기에는 설날 맞이 행사(2월), 제5회 한-나 우정의 시쓰기 대회(3월), 어린이 놀이프로그램 워크숍(4월), 제6회 한국이미지 그리기대회 (5월), 제2회 한국어말하기대회(6월) 등이 개최되었다. 2015년 하반기에는 제4회 K-POP대회, 제2회 한국문화축제 주간, 한류 팬들이 주관하는 Korea Love Day, 5개국 우정 미술 전시회, 제6회 서부아프 리카 대사배태권도대회, 민화 전시회, 제6회 한국영화제 등이 개최되었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문화원이 설립된 초기에는 현지인들이 주로 태권도, K-Pop, 드라마를 좋아하였으나, 최근에는 한글, 한식, 영화, 한복, 전통무용, 관광 등 K-Culture 전반으로 선호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한국드라마의 경우, 소재와 구성이 매우 큰 흥미를 유발시키고 아프리카 정서와 또 다른 한국문화 특유의 새로움이 주요 이유로 여겨지며, 특히 아프 리카 지역의 드라마 제작시설이 낙후하여 조명장비와 녹화시설이 열악함에 따라 한국드라마와는 질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도 한 이유가 되고 있다고 본다. K-Pop의 경우, 역동적인 댄스동작이 아프리카의 흥겨운 정서에 부합되는 측면이 있고, K-Pop 스타들의 예쁘고 잘생긴 외모도 인기를 끄는 주요 요인

621


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한식, 한복 등의 경우, 깊은 맛과 아름다운 멋 그리고 문화 스펙트럼 의 다양성이 한국문화에 매력을 느끼는 주된 이유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한국과 나이지리아간 문화교류는 2008년까지는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2010년 한국문화원 개원을 계기로 상당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2009년부터 한국문화공연단공연이 시작되어 2010년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양국 공연단이 상대국을 방문하여 공연을 갖는 등, 한국문화에 대해 상당히 호의적이다. 특히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국가를 제외하고는 다른 외국의 문화공연이 많지 않은 관계로 외국 문화 공연에 대해 큰 제재를 가하거나 거부감이 없는 편이다. 다만 동남아와 마찬가지로 현지 방송국에서 한류 드라마를 방영하고 있지만, 모두 대사관이나 문화원에서 국내 방송사측의 협조를 받아 무료로 지 원하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는 이들 방송사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방영할 수 있는 체제로 가도록 권유해 나가야 할 것이다. K-Pop의 경우, 아프리카 지역이 시장성이 없기 때문에 국내기획사에서 K-Pop공연은 할 수 없는 상황이다. K-Pop 확산을 위해 방송국에 K-Pop DVD를 제공하여 방영토록 해야 되는데, 방송사측은 무료로 주면 방영은 하 지만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면 방영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기 획사들은 현재의 이익보다는 아프리카 지역에 K-Pop을 확산시켜 미래의 이 익을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 그러나 아직은 아 프리카 국가들이 한국문화 상륙에 큰 제한은 없지만, 향후 점점 자국문화 보 호를 위해 법과 제도 등을 정비해 갈 것으로 예상되는 바, 우리문화의 일방적 진출인상을 주지 않도록 상대방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바탕에서 문화교 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62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6 한류 동호회 현황

아프리카•중동

(1) 일반 현황 현재 한국문화 특히 K-Pop을 좋아하는 팬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아프리 카 지역의 교통과 통신 인프라가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조직적인 움직임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한국문화원은 우선 수도권 지역의 20개 고등학교 학생 200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Korean Culture Club Nigeria(KCCN) 출범식을 지원해 주는 등 활동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K-Pop 동호회는 이번 K-Pop 댄스경연대회를 계기로 20여개 팀이 조직되어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또한 20개 고등학교 200명의 학생이 2013년 2월 27일에 Korean Culture Club Nigeria(KCCN)을 결성하여 매주 수요일 K-Pop, 한글 및 태권도 배우기 등 활동을 하고 있다. 문화원은 앞으로 이들 동호를 잘 활용하고 지원하여 아프리카 지역에 K-Pop열풍이 불도록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KCCN은 2014년과 2015년에 클럽 회원과 한류를 좋아하는 팬들 300여 명이 참가하는 Korea Love Day를 개최하는 등 활동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다. ■ <참고> 코리안 컬처 클럽(KCCN) 성격

한류동호회

회원수

20개교 200명

세부활동 현황

- 연1회 코리아 러브데이 행사 개최 매주 1회 한국 문화 체험(한복 패션쇼, 태권도 체험, K-Pop 연습 등)

연락처

- 중등교육위원회 및 회원학교

623


7 2015년 문화행사 ■ 한국문화원 주관 2015년 문화행사는 표와 같다. 기간

문화원 주요행사 일정

2월

•설날맞이 행사(2.19) •40개 중학교 교사초청 워크숍 개최(2.4~5) •사립 초중고등학교 26개교 문화원 방문행사(2.25~6.30)

3월

•한나 문학교류행사(시쓰기) 시상식(3.20)

4월

•어린이 놀이 프로그램 Let's Play With YOO!(4.13~22) •한국이미지 그리기 대회 본선 (4.4~4.23)

5월

•한국이미지 그리기 대회 수상자 시상식(5.26)

6월

•나이지리아 어린이날 기념 학생 초청 축하 문화행사 (6.2) •제2회 한국어 말하기 대회(6.30)

7월

•아부자 대학 특강행사(7.1) •찾아가는 문화행사(사립2개교 졸업식) •미디어 기자 초청, 문화와 언론의 역할을 주제로 워크숍 개최(7.29~30)

8월

•제4회 케이팝 대회(8.1)

9월 10월

11월

12월 매월

•코리아 러브 데이(9.29) •한-나이지리아 풍물사진 전시회(9월 말) •아세안 5개국과 한국문화원 영화제 개최(10.7~14) •5개국 우전의 미술전시전 개최(10.20~27) • 제2회 한국문화축제 개최(11.17~21) ※ ‌ 개막 리셉션 한식뷔페, 한식 워크숍, 한식판매, 한나 풍물사진 전시회, 한국 전통음악 공연(모듬북, 퓨전국악, 비보이 등)

•제6회 한국영화제 개최(11.19~21) •제5회 대사배 태권도 챔피언쉽(12.10~12) •K-컬처 서포터즈 발대식(12.17) •한국영화 상영행사

8 여행정보 (1) 입국비자 ■ 입국 전 반드시 비자를 받아야 한다.

62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 ‌‌ Visa는 2개월 미만의 단기일 경우 주한 나이지리아 대사관에서 받을 수

아프리카•중동

있으며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 해당 국가의 취업비자 또는 장기체류비자를 가지고 있을 경우 해당 국가 소재 나이지리아 대사관(또는 총영사관)에서도 사증 취득이 가능하나 초청장 등의 제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한국 에서 받아 가는 것이 무난하다. ■ 주한 나이지리아 대사관 •주소:서울시 용산구 동빙고동 310-19 •전화:797-2370, 팩스:796-1848

(2) 예방접종 ■ ‌ 입국조건으로 황열병 예방접종은 필수적이며, 가급적 콜레라 및 파상풍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출입국 심사 ■ ‌ 입출국시 공항 내 세관 및 이민당국의 조사가 까다로우며, 금품을 노리는 불법 Agent도 많으므로, 당지 교민에게 입국 일정을 사전 통보 후 안내 협조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 ‌ 세관 및 이민당국이 한국 사람이라면 이유 없이 조사를 한다거나 사소한 잘못을 범해도 억류 등 심한 징벌을 가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바, 이 경우 대부분 금품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출입국자들의 말이 있음

※ ‌ 세관 당국이 한국인 여행자에게 외환을 확인해야 한다며 소지하고 있는 달러를 제시하여 줄 것을 요구한 뒤, 동 달러를 들고 사라지는 경우도 있었다 함.

※ ‌ 공항에서 Lagos 시내로 들어오는 경우 반드시 사전에 약속된 차량(친지 혹은 회사차 등)을 이용하여야 하며, 택시 등은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공항 - 시내 간 리무진 버스는 없음)

9 현지 문화  종교 문화

■ ‌ 나이지리아의 기독교 및 이슬람교는 통합체이거나 단일 교리가 아니라 여

625


러 종파 및 분파로 나뉘어져 있으며, 전통신앙에서 유래한 신념과 의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일부다처제 같은 문화적 관습을 인정하고 있다. ■ ‌ 나이지리아의 남부 지식인은 거의 기독교인으로, 남서부는 성공회나 감리 교와 같은 서구의 전통적인 교회, 남동부는 가톨릭 성당이 분포되어 있다. ■ ‌ 나이지리아 전통종교는 오늘날 많이 쇠퇴하였지만 그 존재 자체는 소멸되 지 않았으며, 오히려 나이지리아인의 세계관으로 위치하고 있다. ■ ‌ 이슬람과 기독교의 종교 갈등이 문제가 되고 있는바, 북부의 이슬람 신자 와 남부의 기독교 신자간의 종교 갈등이 폭력사태로 번지는 경우가 일어나 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정부는 북부의 이슬람 지역에 외국 선교사의 공공 집회를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부의 기독교 신자들이 중부 지 역의 소수 민족들을 대상으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을 비 롯한 외국 선교사들 역시 중부 지역에서 집중적인 사역을 하고 있다. ■ ‌ 나이지리아의 종교 분쟁은 특히 북부 지역으로 이주한 남동부의 이보족과 북부 지역의 하우사, 풀라니족 간의 폭력사태가 주로 표출되고 있는데 이 러한 종교적 갈등은 나이지리아 연방정부의 예산 분배에도 논란을 일으 키고 있으며, 이슬람 신자들의 성지 순례를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것에 반 발하는 일부 기독교 신자들은 동일 액수를 기독교 신자들이 예루살렘 성지 를 순례하는데 지원해 달라는 주장을 제기하기는 사례도 있다.  다문화 환경과 문학 및 예술

■ ‌ 나이지리아에 현존하는 종족 집단이 얼마나 되는 가는 정부나 학계 모두 일치된 자료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나 나이지리아의 사회학자인 오타이 트는 374개의 종족 집단이 존재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다른 학자들은 450 개의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다. 종족 집단의 수가 명확하지 않 은 이유는 종족 집단을 규정하는 학문적 정의가 다양한 면도 있지만 나이 지리아의 정치 문화에서 독자적인 민족 정체성을 주장하는 정체성의 정치 가 만연한 탓도 있다. ■ ‌ 나이지리아 연방정부 역시 자국에 존재하는 종족 집단을 명확하게 규정하 지 않고 있어, 나이지리아에는 흔히 약 300여 종족 집단이 존재한다고

62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추정 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정치가 계속되는 군사 쿠데타로 점철된 이

아프리카•중동

유 중의 하나는 나이지리아의 주요 구성 종족들의 권력 투쟁이 비효율과 부패, 사회 적 갈등을 조장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 ‌ ‌‌ 나이지리아의 다종족 현실은 개별 종족의 언어와 문화를 존중하고 보장 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권장하며 실제 다른 종족이 함께 모이는 행사에서는 반드시 공용어인 영어를 사용하며, 서로 상대방을 배려하는 언어 관습을 권 장하고 있다. 또 지역에서는 종족별 고유 언어로 뉴스를 진행하고 각 학교 에서는 공용어인 영어 외에 민족별 언어를 교육시키기도 한다.  나이지리아 문화의 역동성

■ ‌ 종교와 민족의 다원성은 정치적 갈등이나 정체성의 정치만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나이지리아의 문화적 다양성과 풍요로움에 긍정적 기여를 하는 측면도 있다. 식민 초기 기독교 선교의 영향으로 위축되었던 전통 조각과 예술은 아프리카 예술의 르네상스라는 별칭을 받으며 유럽과 북미의 미술계에 새롭게 진출하고 있다. 나이지리아 문화계는 유럽의 예술가들과 전통 예술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 신화나 의례와 같은 전통 종교의 요소들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한 목각 과 회화 작품은 북미와 유럽의 미술관과 수집가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으 며, 나이지리아 문학은 노벨 문학상 등 국제적인 문학상 수상자 다수 배출 하여 국제적으로 평가 받고 있다. 나이지리아가 경험한 민족갈등, 비아프 라 내전과 같은 비극적 역사는 나이지리아 작가들의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 했으며, 그 결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웰레 소잉카(Wole Soyinka), 전 세 계 대학의 영문학과와 비교문학과의 교재로 선택된 치누아 아체베(Chinua Achebe), 나이지리아 여성의 삶을 묘사한 부치 에메체다(Buchi Emecheta) 등 세계적인 문학상을 수상한 작가들을 배출하였다. ■ ‌ 나이지리아의 사회적 현실을 비판하는 실천적 문학운동도 활발하다. 1990년대 중반 군부 정권하에서 남동부 유전지대의 환경오염과 지역 주민 들의 열악한 생활실태를 고발하며, 국제적인 저항운동에 참여한 켄 사로 위와(Ken Saro-Wiwa)는 전 세계 문학인들의 탄원에도 불구하고 나이

627


지리아 군사정부로부터 사형이 집행되었다.  나이지리아의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 ‌ 나이지리아인의 대중문화 향유는 주로 대중음악과 비디오 영화에 집중되 어 있다. 나이지리아 영화를 Nollywood라고 별칭으로 불릴 만큼 서아프리 카지역 국가들 중에서는 비디오 영화 제작이 활발하다. 그러나 영화를 상 영하는 극장이 적어서 대부분 집에서 비디오 영화를 보는 편이다. 나이지 리아 영화관련 인프라는 최대도시 라고스에 밀집되어 있다. 주로 비디오용 영화제작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평균 제작비가 1,500만원 정도로 연간 1천편이상이 제작되고 있다. 시장규모는 연 2억 5천불 가량인 것으로 추산 된다. ■ ‌ 대중음악 산업은 1970년대부터 서구의 대중음악과 나이지리아의 전통음 악을 조화시킨 새로운 장르를 개척함으로써 경쟁력을 구축해 가고 있는 상 황이다. 매년 라고스와 아부자에서 국제영화제가 개최되고 있어 영화산업 발전을 리드해 가고 있다.  기타 문화적 특성

■ ‌ 미팅문화로는 사무실 방문, 오만찬시 미팅은 사전에 예약을 하고 약속시간 에 앞서 자주 확인을 해야 한다. 약속을 해 놓고도 약속 일자를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장차관과의 약속 시간도 약속 시간에 맞추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도 변경하는 예가 있다. 약속시간 보다 1시간 내지 2시간 늦게 오 는 경우도 있다. 인내를 가지고 기다릴 수밖에 없으며, 현지인들은 이 경우 “This is Nigeria.”라며 웃어넘기는 경우가 많다. ■ ‌ 음주 및 음식 문화는 남부의 경우, 기독교인이 많은 지역이라서 맥주나 와 인 등을 마시지만, 주량은 많지 않다. 북부는 이슬람교도가 많은 지역으로 전혀 술을 마시지 않는다. 수도 아부자시는 오만찬시에도 거의 술을 마시 지 않는다. ■ ‌ 이슬람교도들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므로 음식을 대접할 경우에는 사전 에 문의해 보고 준비하는 것이 좋다.

62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10 현지 연락처

아프리카•중동

(1) 긴급 연락처 ■ ‌ 주나이지리아 대사관:+234-(0)9-461-2701,+234-(0)9-4612702(팩스), +234-(0)816-985-8556(영사 대표번호) No.9 Ovia Crescent, off pope John Paul II St, Maitama, Abuja in Nigeria emb-ng@mofa.go.kr ■ ‌ 주라고스 분관:+234-(0)1-271-6295 No.10 A.B Layi Ajayi Bembe Street, Parkview Estata, Ikoyi, Lagos koremb_lagos@mofa.go.kr ■ KOTRA무역관:+234-(0)1-280-5890, 448-5999 ■ ‌ 한인회:정인환 한인회장(+234-(0)90-9697-4657) 국내 포탈 Daum 카페에 나이지리아 한인회 홈페이지 참조

(2) 한인 운영 숙박업소 한인이 운영하는 숙박업소는 수도 아부자에는 없으며, 거의 모든 숙박업소 는 라고스에 집중되어 있다. 주요 한인 숙박업소는 아래와 같으며 숙박요금은 1일 $100에서 $150내이다. ■ 코리아나 게스트 하우스:강경희 사장 •전화번호:+234-(0)1-764-6631, E-MAIL: khkanglgs@hotmail.com •주소:No.11. Niger Street, Park View Esate, Ikoyi, Lagos, Nigeria

■ ARIRANG Hotel(구-킴스 게스트 하우스):김태철 사장 •전화번호:+234-(0)1-776-0647~8, E-MAIL:tckim2000@yahoo.co.kr •주소: Block 117, Plot2, T.F.Kuboye Road, Lekki Phase 1, V/1,Lagos

■ TANTAN GLOBAL CONCEPT:김민정 사장 •전화번호:+234-(0)1-790-6680, E-MAIL:minjung179@hotmail.com

629


•주소: 13.Adekunle Fajuyi Crescent, Adeniyi jones Ave, Ikeja, Lagos

11 기타 (1) 유의사항 ■ ‌ 무장 강도(Armed Robber)가 한꺼번에 20여명 이상이 습격하기도 하는 경우가 있으며, 노상강도(Area boy)에 의한 금품 강탈 및 강간, 살인이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 때로는 피해자의 시신이 며칠씩 도로에 방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 ‌ 치안이 어려운 지역이나 교통 혼잡이 심한 곳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밤늦게 돌아다니는 것은 삼가는 것이 안전하다. 현지 경찰은 절대적인 인 력부족, 낮은 급여 수준(경우에 따라서는 월급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함)에 따른 사기저하 등으로 사명감이 부족하여 신뢰하기 어려운 경 우가 많으며, 간혹 경찰이 강도로 돌변하기도 한다고 한다. ■ ‌ 무장 강도에 의한 현지 은행 습격 사건이 수시로 보도되고 있으며, 한 외국 인 사업가의 경우 최근까지 매년 1~2회씩 무장 강도가 주택에 침입, 금품 을 강탈당하는 경우가 보도되고 있다. ■ ‌ 그러나 외국인들의 경우 반항하지 않으면 인명을 살상하지는 않는다고도 한다. 도로상에서 무장 강도를 만났을 경우, 반항하거나 차를 돌려 도망하 려 하지 말고 순응하여 원하는 것을 주는 것이 안전하다고 전하고 있다. 앞 차가 무장 강도에 의해 강탈하는 것을 눈치 채고 차를 후진하여 피하려다 가 총으로 무장된 강도에게 생명을 잃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현지에서 사 업을 하고자 하는 교민을 현지 경찰이 뇌물을 목적으로 갖은 이유를 대며 체포하여 감금하는 경우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 ‌ 나이지리아발 국제금융사기에 특히 조심과 유의 필요하다. (상세내역 공관 홈페이지 공지사항 및 자료실 참조) ■ ‌ 라고스에는 중국식당이 10여개 있으나 한국식당은 없다. 물론 수도 아부

63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나이지리아

자에도 한국식당이 없어 국내에서 오신 방문객이나 현지교민에게도 어려

아프리카•중동

움이 있다. ■ ‌ 백화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부르는 값의 40~50%를 할인하여야 하며 물가도 한국보다 높은 편이다. 전화, 통신시설이 미비하고 고장이 잦으며, 전기사정이 좋지 않아 대부분의 외국인과 부유층은 가정에 설치된 자가 발전기를 수시 사용하고 있다. ■ ‌ 환전은 시중 환전소나, 호텔 등에서 가능하며, 은행에서는 거의 환전을 하 지 않고 있다. 호텔보다는 시중 환전소가 좀 유리하나 안전에 유의해야 한 다. 2015년 7월 기준 시중 환전소 환율은 1US$ 당 210~230나이라 수준 이다.

(2) 의료체계 ■ ‌ 나이지리아는 의료 환경이 매우 열악하나, 대체적으로 아래 병원에서 기본 적인 응급조치가 가능하다. 필요시 본국 출국 전, SOS 의료보험 www.internationalsos.co.kr 가입을 추천한다. ■ 아부자 시내 주요 병원은 아래와 같으며 영어 사용이 가능하다. • Nizamiye Hospital(터키계 병원) : 09 291 51 73 •Dr. Hassan Clinic(인도계 병원) : 081 0368 5559, 070 6686 2500

■ 라고스 시내 주요 병원은 다음과 같다. • Reddington Hospital:01 271 5341 (앰뷸런스 이용 가능) • St. Francis Hospital:01 269 2305 • St. Nicholas Hospital:01 260 0070

■ ‌ 일반약품 구입 시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으나 일부 약품은 처방전이 필 요하며, 병원 최초 방문 시 약 100불정도가 소요되므로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631


3. 남아프리카공화국

1 개황

•수

도: Pretoria(행정), Cape Town(입법), Bloemfontein(사법) ※ 최대도시:Johannesburg

•인

구:5,310만 명(2014년 기준)

•면

적:1,219,090km2(한반도의 5.5배, 남한면적의 12배)

•민족구성: 흑인(80.2%), 백인(8.4%), 혼혈인(8.8%), 아시아/인도(2.5%) •종

교: 기독교(79.8%), 이슬람(1.5%), 힌두교(1.2%) 등

•시

차:우리시간 -7

•언

어: 영어, 아프리칸스 및 9개 흑인부족어(Zulu, Xhosa, Sesotho어 등) 총 11개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

•1인당 GDP(’14년 기준):6,477USD(PPP 11.523USD) •수출입 현황(’14년): 수출:978억 불(백금류, 금, 석탄, 철광, 승용차 등) 수입:1,032억 불(원유, 자동차, 항공기, 무선송신기기 등)

63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남아프리카공화국

2 문화적 특성

아프리카•중동

■ 일곱 빛깔 무지개의 나라

사냥과 채집을 하고 살았던 산족(부시맨), 유목생활을 하는 코이족(호텐 토트), 사하라 사막화와 함께 대규모로 남하하여 정착한 반투족 등의 부족 전통 문화와 15세기 희망봉 발견 이후 진행된 백인들의 대규모 이주로 형성된 백인 문화가 공존하는 문화적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개 나라이다. ■ 문화적 이중구조

높은 소득 격차, 더딘 인터넷 통신망 보급, 빈약한 대중교통 수단 등으로 문화수요가 일부 부유층에 편중되어 있고 아직 형성중인 중산층이 빈약하여 국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계층은 문화행사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삼성, 현대 등 한국 기업의 비교적 높은 시장 점유율, 연 500~700명이 매 년 원어민 교사로 한국을 방문 및 체류하는 등 한국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류에 대한 인식은 제한적인 수준이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일부 젊은 층 사이에 한국드라마를 인터넷을 통해 시청하는 애호가들이 생 기고 있으나, 대부분의 남아공 국민들은 한국드라마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지 못하며 열악한 인터넷 사정으로 인해 주민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들의

633


한국드라마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 영화

더반 영화제, 케이프타운 영화제 등 남아공이 주최하는 주요 국제영화제에 한국영화가 꾸준히 출품되는 등 영화 전문가들 사이에 인지되어 있으며 대학 의 영화관련 학과에서 소개되는 정도이다. 2014년 들어 현지 영화학교(Open Windows Film Art)와 대사관 공동으 로 Korean Film Night를 개최하고 있으며, 매년 Korean Film & Food Festival을 개최하는 등 한국영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K-Pop

남아공에서 한류중 그래도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K-Pop이다. 학생층과 원어민 강사 출신 등 한국을 알고 있는 젊은 층에서 K-Pop를 즐기는 애호가 들이 소수나마 형성되고 있는 단계이다. 최근 K-Pop 동호회가 결성되어 국제적인 관광도시인 케이프타운에서 자 체 행사를 개최하는 수준까지 발전하고 있다.  한류의 상륙 시기

아직 한류가 본격적으로 상륙했다고 보기는 힘든 단계이다. 원어민 강사 유경험자, 태권도 수련생 등을 중심으로 한류가 소개되고 있다. 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한류

해당사항 없음  한류 파워인물

해당사항 없음  한식

최근 몇 년간 증가하는 원어민 교사의 한국 방문으로 한국 음식에 관한

63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남아프리카공화국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 맞본 음식을 가족들과 나누기 위해 남아공 내

아프리카•중동

한국 음식점을 방문하거나 직접 조리를 위해 요리법을 문의하는 경우도 있다. 2014년 한식행사가 유력 일간지에 전면 소개되었다.  한국어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매우 미미하나 K-Pop 애호가, 태권도 수련생, 한국 에서 원어민 영어교사 경험자 등을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을 희망하는 학생들 이 증가하고 있다.  기타 산업 파급효과

아직 초기단계로서 산업상의 파급효과를 논할 단계가 아니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아직은 외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에서 소수의 애호가가 생기고 있는 편이며, 원어민 영어교사, 한류 동호회 회원들의 점진적 증가 등으로 한국에 대한 이 해도 자연스럽게 높아지고 있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다양한 인종과 민족으로 구성된 남아공은 각각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문화교류에 앞서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형태의 문화교류를 해야 할지 사전조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문화 향유층은 고소득 백인들로 이들은 오랜 유럽 문화의 영향으로 고급문화에 대한 갈망이 어느 곳보다 강하다. 2012년 국내 ‘유니버셜발레단’의 성공적인 공연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수준 높은 공연이 가능한 다양한 규모의 공연장이 있으나 대관을 위해서는 통상 1년 전에 예약

635


을 해야 한다. 남아공 흑인들은 아직 대부분 소득수준이 낮고 문화 향유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그러나 타악, 흥겨운 춤 공연에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본능적 으로 반응하며 공연단과 하나가 되어 뜨거운 반응을 만들기도 한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1) 일반 현황 정기적인 동호회 활동은 아직 미약하며 K-Pop을 중심으로 몇 개의 동호 회가 온라인을 통해 상호 정보를 교환하는 수준이다. 이중 K-Pop 동호회는 2013년 및 2014년에 K-Pop Dance Festival을 개최하는 등 비교적 적극적 으로 활동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 Hallyu Wave CT * CT는 Cape Town을 말함 성격

K-Pop 중심의 한류 동호회

회원수

200여명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399232030135706/

세부활동 현황

•K-Pop 중심으로 한류 관련 정보교환 •대사관 주관 행사 공유 및 참가 •K-Pop Dance Festival 개최(2013, 2014)

 Explore Korea - South Africa

636

성격

종합적인 성격의 한류 동호회

회원수

250명

웹사이트 주소

https://www.facebook.com/groups/ExploreKoreaSA/

세부활동 현황

•한식, K-Pop 등 한류 관련 정보교환 •대사관 주관 행사 공유 및 참가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남아프리카공화국

 Korean Movie Club

한국영화동호회

회원수

50여명

웹사이트 주소

Hallyu Wave CT그룹과 공유

세부활동 현황

• 월간 korean Film Day 운영, 11~12월 케이프타운에서 야외 한국영화 상영행사 주관(대사관 공동)

아프리카•중동

성격

7 2014년 문화행사 ■ 한국영화의 밤(Korean Film Night) : 월 1회 ■ Korean Ballet Youth Stars 공연(2월, 요하네스버그, 케이프타운) ■ 한국 현대무용 Africa 특집 공연(6월, 요하네스버그) ■ ‌ Global Taste of Korea Contest(6월, 프리토리아), 비빔밥 유랑단 남아공 프로젝트(7월, 프리토리아 3회) 등 한식행사 개최 ■ ‌ K-Pop World Festival 남아공 예선전(8월) 개최, Korea Culture & KPop Festival 개최(11월, 케이프타운 ) ■ Korean Film & Food Festival(10월 프리토리아) ■ 대사배태권도대회(10월, 프리토리아)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통과여객(TWOV)의 조건

무사증(30일): 일반(귀국 또는 제3국행 항공권소지 필요)

1. ‌ 확정된 티켓 소지, 최종 도착국가 사증 소지, 24시간 이내 출국 2. 환승구역내 체류

여권 잔여유효기간

6개월 이상

비고 014년 10월 1일 2 18세 이하 방문객은 부모 동의서등 별도 문서 휴대 필요

637


 공연비자  주한남아공대사관 연락처

■ 주소: South African Embassy, Seoul 1-37 Hannam-dong, Yongsan-gu, Seoul 140-885, South Korea ■ 연락처:+82 (0)2 792 4855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

외교부는 남아공에서 범죄가 감소하고 치안상황이 개선되는 점을 감안하 여, 2011. 3. 24. (목)로 남아공 전역을 여행경보단계 2단계(여행자제)에서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하였다.  사건·사고의 현황

■ 테러, 인질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테러와 인질극 발생은 극히 드물지만 주변국에서 넘어온 불법체류자에 의해 사업 파트너를 빙자한 납치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남아공은 절도, 강도, 차량강탈, 살인 등 범죄가 빈발하고 있어 치안이 열악한 실정인 바, 상시 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준비자세가 필요하다. 다만, 인터넷에 유포되어 있는 이른바 ‘남아공 괴담’은 매우 과장된 것으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2010년 월드컵 대비 범죄와 전쟁을 선포하고 경찰 인력 증원 등 치안에 주 력하였다. 2010.04.01.~2011.03.31. 통계에 의하면 총 2,071,487건의 범 죄가 발생하여 전년대비 2.4%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유형별 범죄도 대부분 감소하는 추세이다.

63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남아프리카공화국

 자연재해

아프리카•중동

남아공은 대체적으로 지반이 안정되어 있어 대규모 지진이나 화산폭발같 은 자연재해는 발생하지 않으나, 간헐적인 소규모의 지진이 국수적으로 발생 하기도 하지만 피해규모는 미비하다. 태풍의 영향권에 미치지 않지만 우기에 지역적인 홍수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 유의해야할 지역

요하네스버그 다운타운인 Park Station(국제버스터미널) 및 Berea, Yeoville, Hillbrow 지역 등에서는 강도사건 발생이 빈발하고 있다. 이 지역 은 요하네스버그 중심부에 위치해 있고, 남아공 주변국 및 남아공 내 주요도 시와의 연결 수단인 고속버스가 출발, 도착하는 국제고속버스터미널이 위치 해 있으며, 흑인과 불법체류자들이 밀집해 있는 대표적인 우범지역이며 여행 객 대상 강도사건이 대부분 발생한 지역이기 때문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9 현지 문화  미팅

미팅 일정은 충분한 시간과 간격을 두고 정하며 최소 2주전에 알려주는 것 이 좋다. 미팅 1~2일 전에 재확인을 하고 약속시간에 절대 늦지 말아야하고 최소 5분전에 도착해서 만남을 준비해야 한다. 미팅 장소는 일반적으로 자기 사무실에서 편안한 분위기를 희망한다. 남아공의 휴가가 집중되는 12월 중순 부터 1월 중순 사이에는 되도록 미팅 일정을 잡지 않는 것이 좋다. 대부분 남아공 사람들은 악수를 청하는 것이 관례이다. 악수를 할 때는 시 선을 마주하며 웃으며 청하며 여성의 경우 가볍게 악수를 청하며 손을 잡고 흔들어서는 안 된다. 남성이 여성에게 인사할 때 잘 아는 사이일 경우 볼에 살 짝 키스를 해도 좋다. 대화중에 상대방의 말을 끊고 대화를 이어가는 것은 무례한 행동이며, 주머니에 손을 넣거나 팔짱을 끼는 행동, 하품할 때 손으로 입을 가리지 않거 나 손가락을 물어뜯는 행동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639


 남아공 인사 이름 부르기

남아공에서 이름을 부를 때는 Mr. 또는 Ms(Mrs).+Surname을 부르는 것이 통상적이다.  이름표기 방식

일반적으로 First Name+Surname으로 기재되며, 공문 작성 시 타이틀과 풀네임을 함께 작성하고 직함과 근무지의 주소를 함께 기재하는 것이 관례 이다.  첫 만남

남아공에서 첫 만남은 개인적인 친분을 형성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자리이 다. 일반적으로 작은 선물을 주고받거나, 상대방의 국적을 알고 해당언어의 인사말을 나누면 친밀감을 높일 수 있다. 너무 비싼 선물을 주는 것은 상대방 으로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한국관련 기념품 또는 꽃다발이 무난하다. 단 카네이션은 장례식에 사용되므로 카네이션 꽃다발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선물을 줄 때에는 양손 혹은 오른손을 사용해야 하며, 왼손을 사용하는 것은 무례한 행동이다. 만남 이후 편지 혹은 이메일을 통해 만남에 대한 소감과 감사의 내용 및 다음 만남을 기약하는 것이 관례이다. 남아공에서는 특히 인종관련 표현에 주의해야 한다. 피부색을 나타내는 표현이나 아프리카너에게 ‘Dutchmen’ 이란 표현은 불쾌한 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비즈니스 관계형성

지속적인 비즈니스 관계 형성을 위해서 사업적인 만남 이외에 개인적인 친분을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남아공 사업자의 경우 업무와 사적인 부분을 별도로 여기며 사업이전에 깊은 인간관계를 요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사업 가들은 오랜 기간 함께할 사업 관계자를 찾고, 협상에 오랜 시간을 소요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지위가 낮은 사람보다는 실질적인 위치의 사람과 협상 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64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남아프리카공화국

만약 남아공에 잘 알려지지 않은 회사라면 남아공 내 인지도 있는 회사의

아프리카•중동

소개로 비즈니스 만남을 이어가는 것이 관계 형성에 도움을 준다. 비즈니스 대상자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소통 방식에 차이를 보이며, 대부분의 경우 조화로운 협업관계를 선호하고 대치되는 대립양상은 피한다. 남아공 사람들은 핵심을 설명하는 데 비유적인 표현을 자주 사용하며, 이메일이나 전화보다는 인종과 민족에 상관없이 직접 대면하는 미팅을 더욱 인간적인 면이라 생각하며 선호한다.  명함 수수

명함을 건넬 시에는 나이가 어리거나 지위가 낮은 사람이 먼저 건네고 받 은 즉시 주머니에 넣거나 구기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 오만찬시

남아공은 식사와 함께 와인을 곁들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위가 높거나 연장자에게 먼저 와인을 따라 건네거나 호스트가 건배를 제안하는 것이 좋다. 자리 배정은 호스트를 기준으로 귀빈이 호스트의 맞은편에 배치하는 것이 좋고 이후 좌우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식사 시 빵을 나이프로 자르는 대신 작은 접시에 조각내서 먹고, 되도록 음 식을 남기지 않고 먹는 것이 예의이다.  종교관련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남아공에서는 공공장소에서 종교적 집회나 모임이 가능하다. 포교활동 역시 가능하며, 여러 민족이 함께 어울려 사는 곳인 만큼 종교의 다양성 또한 존중해 준다.  팁 문화

남아공의 팁 문화는 일반화 되어 있으며, 식당의 경우 총금액의 10%~20% 정도가 적당하다.

641


10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범죄신고:10111 ■ 화재신고:10177 ■ 응급환자(앰뷸런스):10177(프레토리아), 999(요하네스버그) ■ 프레토리아 이민국: 0800-601-190(남아공 국내), +2711-461-9252(해외) ■ 긴급 경찰 요청:10111

(2) 의료기관 연락처 ■ 요하네스버그 •Johannesburg Hospital:+27-(0)11-488-4911 •Momingside Medi-Clinic: +27-(0)11-282-5000, +27-(0)11-282-5126~7

■ 프레토리아 •Little Company of Mary Hospital : +27-(0)12-424-3600 •Pretoria Academic Hospital:+27-(0)12-354-2243 •Wilgers Hospital:+27-(0)12-807-0019

■ 포트엘리자베스 •Livingstone Hospital:+27-(0)41-405-9111 •Life St George’s Hospital:+27-(0)41-392-6111

■ 더반 •Umhlanga Hospital:+27-(0)31-311-2803.

■ 케이프타운 •Tigervalley Hospital:+27-(0)21-943-3500 •City Park Medical Center:+27-(0)21-480-6111

64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남아프리카공화국

(3) 대사관 연락처

Ⅱ 아프리카•중동

■ 대사관 주소: G reenpark Estates #3, 27 George Storrar Drive, Groenkloof, Pretoria 0181 ■ 대사관 전화번호 •대사관 대표:+27-(0)12-460-2508 •영사과 직통:+27-(0)12-346-2026

■ 팩스 •대사관 대표:+27-(0)12-460-1158 •영사과 직통:+27-(0)12-460-1159

■ E-mail:embsa@mofa.go.kr ■ 홈페이지:http://zaf.mofa.go.kr/korean/af/zaf/main/index.jsp ■ 페이스북 : http:// www. facebook.com/koreanembassysouthafrica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당직:071-474-7458 •사건·사고:072-136-7615 •일반민원:071-474-7458

■ 민원업무시간:월~금요일 08:00-16:00

11 기타 (1) 날씨 남아공은 아열대성 기후로 동부지역이 서부보다 온난 다습(연평균 기온 섭씨 17℃)하고, 남반구에 위치해 있어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이며 11월~3월 의 여름과 6월~9월의 겨울, 그 사이에 짧은 봄과 가을이 있다. 기후는 지역에 따라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로서 내륙고원은 건조하며 일교차가 크고 여름은 우기, 겨울은 건기를 보이며 산간지역의 경우 겨울에 눈이 내리기도

643


한다. 해안에 위치한 도시의 경우 더운 여름과 포근한 겨울 날씨로 겨울에 비 가 내리는 경우가 많다. 요하네스버그와 프레토리아가 위치한 Gauteng주의 경우 대체로 청량한 기후로 일조시간이 길며 여름은 20℃~30℃ 전후, 겨울은 영하 2℃~영상 20℃의 큰 일교차와 건조한 날씨를 보인다. 남단 Cape Town은 지중해성 기 후로서 연중 10℃~25℃의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국토의 절반가량이 연평균 강수량 380mm 이하로 국토 곳곳에 인공댐을 조성하여 가뭄에 대비하고 있다. (연평균 강우량:드라켄스버그지역 1,500mm로부터 칼라 하리 지역의 100mm까지 분포)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남아공은 대중교통수단이 미비하여, 주로 자가용을 이용하여 이동하고, 서 민들은 8인승~14인승 봉고차를 주된 이동 수단으로 이용한다. 출퇴근 시간 대에 시내버스가 다니지만 주 이용층은 서민에 한정되어 있다. 외국인의 경우 대부분 콜택시를 이용하며, 콜택시 수가 적어 도로변 이용은 불가하며 전화 호출 이용해야 한다. 요금은 시내 이용 시 약 US$ 20 정도 지불한다. 수도 프 리토리공항까지 콜택시 요금은 US$40~80 정도이다. 최근 요하네스버그와 프레토리아를 연결하는 고속전철 ‘Gautrain’과 전철 역을 연결하는 ‘Gautrain Bus’노선이 신설되어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 도로교통

남아공은 N1처럼 N+숫자로 표기된 주요 고속도로와 R로 시작하는 지방도로에 이르기까지 남아공 전역의 도로망은 잘 발달되어 있다. 자가 차량 을 이용하는 운전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대도시를 중심으로 출퇴근 시간대 에는 극심한 차량정체 현상을 빚게 된다.

64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남아프리카공화국

강수가 집중되는 우기를 기점으로 노후 된 도로가 파이는 ‘PotHole’로

아프리카•중동

인해 타이어 파손 등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운전 시 각별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3)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2011년 남아공 통계자료에 의하면 사고율은 전년대비 10,948(2010년 통 계)에서 10,845(2011년 통계)로 0.94% 감소하였다. 남아공 교통사고의 주원 인은 음주운전이며, 특히 연휴가 시작되는 부활절 시즌과 크리스마스 시즌에 사고율이 높다. 그 외 사고 원인은 과속과 차량 노후로 인한 사고가 그 뒤를 잇고 있다.

645


4. 레바논

1 개황

•수

도:베이루트(약 1백 50만 명)

•인

구:410만 명(2008년 기준)

•면

적:10,425㎢(경기도 크기)

•민족구성: 인구의 절반을 약간 넘는 이슬람교도들의 경우 대부분 아랍족이며 기독교도는 유럽 등 혼혈계인종 •종 교: 기독교(마로나이트 카톨릭, 아르메니아 정교, 그리스 정교 등), 이슬람(수니, 시아) 드루즈(시아의 분파) 등 17개 종파 •시

차:우리시간 -7시간, 썸머타임 기간(4월 말~10월 말)에는 -6시간

•언

어:아랍어(공용어), 불어, 영어의 3개 언어가 통용

•1인당 GDP(’12년 기준):14,203불 •우리나라와의 교역 (’12년 기준):총교역 약 3억 6,400불

64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수출 3억 7백만 불, 수입 5,700만 불)


레바논

2 문화적 특성

아프리카•중동

■ 여러 종파가 한데 어우러진 다양한 문화

레바논은 역사적으로 7세기 후반부터 시리아의 피압박 종파 및 소수민족 의 피난처로서의 기능을 갖고 성장하였다. 각 피난 집단은 수세기동안 정치 적, 사회적, 종교적으로 상호분리, 고립되어 독자적인 사회와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여 왔다. 레바논은 1920년 불란서가 위임통치 기간 중에 마로나이트 카톨릭의 우위를 기초로 한 서구지향의 독립 국가를 구상하면서 각 지역별로 다수종파의 이해를 반영하고 공존을 보장해 줄 종파별 안배주의 (Confessionalism)를 채택하였다. 베이루트 시내에 가면 모스크(Al Omari Mosque)와 성당(St. Georges's Cathedral)이 한데 어우러져 있는 종파간의 공존을 보여주는 모습을 자연스 럽게 볼 수 있다. 레바논 사회는 종교와 혈연, 지배가문에 충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다. 대체로 생활관습은 종파간 종교관습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나 기독교 계통은 일반적으로 개방적이고 이슬람 및 드루즈(일종의 이슬람) 계통 은 보수적 성향을 띄고 있다. 이란 및 중동의 22개국 아랍연맹 국가중에서는 레바논이 종교 및 언론의 자유가 가장 잘 보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레바논 의 인구는 1932년 이래 조사를 시행한 바 없어 정확한 인구통계와 크리스천 과 무슬림의 종파별 인구구성이 파악되고 있지 않다. 레바논은 기독교와 이슬 람교도간 절반 정도씩 나누어져 있어 상대방 종교에 대한 비판을 자제해야 한다.

3 한류 현황 레바논에는 아직은 한류동호회를 결성하여 활동하는 단체는 없지만, 한국 에 유학하거나 동명부대의 방한 프로그램에 의해 한국에서 경험을 한 학생이 나 예술인, 언론인들 위주로 한류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2005년 이후 교환 학생 프로그램에 의해서 한국을 다녀온 학생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서로 한류

647


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일부 대학교(USEK:Holy Spirity University of Kaslik)의 학생들 중에서 한류에 관심이 많아 학교에서 개최하는 <국제 문 화의 날> 행사에 한국을 소개하기도 했다. 레바논 남부에 주둔하는 동명 부대의 매년 2차례(2월, 8월) 방한 프로그램으로 참가하는 학생, 언론인 등을 통해 한류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레바논 사람들은 한국의 문화를 접하는 기회가 적었던 점이 아쉽다. 레바논에서 한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가장 영향력이 있는 접근 방법은 TV드라마를 들 수 있겠고, 그 외 대규모 공 연 등 각종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면 레바논인들에게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4 문화 행사  2012년:국제문화 행사

■ 일시:2012년 4월 23일 ■ 장소:USEK(Holy Spirity University of Kaslik) 대학교 캠퍼스 ■ 행사 참여국가:미국, 일본, 중국 등 30여개 국가 ■ 행사내용 한국관 부스를 설치하여 한국에 관한 홍보자료, 관광홍보 사진, 징, 북 등 전통 악기 등을 전시하고 각종 홍보 자료(한국소개 책자, 유학안내, 엽서 등)를 배포하며 우리 문화를 소개하였다. 특별히 마련한 무대에서는 현지 인들로 구성한 태권도 시범단의 태권도 시범을 보여 큰 호응을 받았다.  2013년:뷰티플 마인드 공연

■ 일시 및 장소: •2013년 1월 30일(수) AUB대학 Assembly Hall •2013년 1월 31일(목) 티르 아사드 문화센터 •2013년 1월 31일(목) 사회복지 재단 공연장

64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레바논

■ ‌ 참석인원

아프리카•중동

AUB대학:600여명, 티르 아사드 문화센터:350여명, 사회복지 재단 공연장:450여명 ■ 공연내용 매 공연마다 가득찬 관객들에게 고전 및 현대의 조화를 이룬 공연을 통해 우리 나라가 수준 높은 문화강국임을 홍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감동적인 스토리 전개로 모든 관객들에게 꿈과 희망을 불어주며 가슴을 뭉클하게 만들었다.

5 여행정보 (1) 비자 레바논 정부는 2004년 8월 30일부터 관광 목적으로 입국하는 모든 우리 국민에 대해서 베이루트 국제공항 및 여타 국경에서의 입국비자 발급을 허용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여권을 소지하고 관광 목적으로 레바논을 방문하는 경우, 1개월 체류까지 비자 수수료가 면제되며, 레바논의 베이루트 공항이나 그 밖 의 국경에서 ‘입국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입국절차가 개선되었다. 관광 목적이 아닌 상용, 유학, 취재, 취업, 공연 등으로 레바논 입국시는 주한 레바논 대사관 또는 해외 주재 레바논 대사관에서 비자를 발급받아야 한 다. 이 경우, 비자 발급에 소요되는 시일이 최소 2주 이상 소요된다. 참고로 이스라엘은 레바논의 적성국가로 분류되어 여권에 이스라엘 출입 국 스탬프가 있을 경우 입국이 거부되므로 주의를 요한다.

649


(2) 안전정보 레바논의 여행경보단계는 지역에 따라 나누어 지정하고 있다. 리타니강 이남, Tripoli시, 12개 팔레스타인 난민촌 지역은 제3단계 ‘여행제한’ 지역 이다. 긴급한 용무가 아닌 한 귀국하거나 가급적 여행을 취소 또는 연기 할 것 을 권고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외 지역은 제2단계 ‘여행자제’ 지역으로 신변안 전에 특별히 유의를 하고 여행 필요성에 대해 신중히 검토를 요한다. 관광시 유의사항으로는 이스라엘과 접경지역 및 남부레바논 지역, 헤즈볼 라 동조자들의 주거지역인 베이루트 남부교외 지역, 헤즈볼라 근거지인 동부 베카의 일부지역, 팔레스타인 난민촌 인근지역 등은 여행을 삼가는 것이 좋다. 특히 군사기지나 팔레스타인 난민촌에서의 사진 촬영은 금지된다.

6 현지 문화  레바논의 민속춤 - 답키

답키는 여러 명이 손을 마주 잡고 일정한 스텝을 밟아가며 흥겹게 추는 춤 이다. 답키는 숙성한 포도향내가 물씬 나는 레바논의 9월에 마을 사람들이 모 여 수확의 기쁨을 나누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포도는 레바논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왔는데 포도로 포도주를 빚을 뿐 아니라 포도에서 식초와 아락(레바 논식 소주)등도 만들어 낸다. 또한 포도잎 요리로서 그 안에 고기와 쌀을 넣어 김밥처럼 말아 먹는 ‘와라 아리쉬’가 유명하다. 답키의 흥을 더욱 돋우기 위해 곡조가 만들어지는데 이를 ‘달루나’라고 한 다. ‘달루나’는 답키를 출 때 즉흥적으로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동일한 곡조 에 그때그때 상황과 기분에 따라 가사를 지어서 부른다. ‘달루나’는 세월이 흐 르면서 수없이 많은 곡조가 나왔다. 답키는 레바논의 명물로 사랑을 받으며 그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오늘 날은, 단순히 포도를 수확하는 장소에서만이 아니라, 결혼식과 같은 각종 잔 치 때 단골로 등장하는 메뉴가 되었다. 레바논 사람들은 ‘달루나’ 곡조에 어우

65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레바논

러지는 답키의 가락이 흘러나오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팔이 올라가고 어깨

아프리카•중동

가 들썩거리다. 이내 자리를 박차고 나온다. 그리고 한 사람의 리더를 따라 순 식간에 긴 답키 행렬을 이루며 흥겨운 답키 스텝을 밟는다.  TIP 문화

레바논에서 서비스업에서에서의 팁 문화는 일반화 되어 있다. 식당에서는 음식 값의 3-5%, 호텔 짐군은 $1, 이발사는 $2정도로 팁을 주고 있다.  기독교, 이슬람교 종교 공존

레바논은 기독교(마로나이트 카톡릭, 아르메니아 정교 및 그리스 정교 등) 및 이슬람(수니, 시아) 드루즈(시아의 분파) 등 여러 종파로 구성된 국가로 대 통령, 총리, 국회의장이 1989년 TAIF협약에 의해 대통령은 기독교에서 총리 는 수니파, 국회의장은 시아로 권력을 균점하고 있다. 따라 레바논은 기독교 와 이슬람교도간 절반 정도씩 나누어져 있어 상대방 종교에 대한 비판을 자제 해야 한다.  국민성, 인사방법

레바논은 중동에서 가장 개방적이고 자유롭게 비판하거나 의견을 개진하 는 국가이나, 종교에 대해서는 상대방 종교에 비판을 자제하여야 한다. 레바 논은 상당히 서구 지향적으로 아랍식 인사보다는 악수가 일반화되어 있다. 하지만 이슬람의 사원을 출입시에는 정숙한 복장을 착용해야 한다.  레바논의 독특한 종교

■ 마로나이트 - 레바논의 크리스챤 마로나이트(Maronites)는 레바논의 크리스챤 계열 중 다수를 차지하는 종파이다. ‘마로나이트’의 유래와 관련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으나, 일반적 으로는 4세기경 시리아의 오론테스(Orontes) 강변에서 수도생활을 하였던 마 론(St. Maron)의 추종 무리를 가리킨다. 마론의 추종자들은 마론 사후 그의 무덤 위에 수도원(Monastry)을 세우고 마론의 가르침을 전파하였다. 마로나

651


이트는 당시 이단으로 여겨졌던 단의론(Monothelitism)을 받아 들였다. 예수 에게 한 의지(Will)가 있어 예수 안에 있는 신성(divine)과 인성(human)을 하 나로 묶어 움직이게 했다는 주장인데, 이는 로마 카톨릭의 인정을 받지 못하 였다. 마로나이트는 비잔틴 시대부터 계속적인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9세기 이슬람 압바스(Abassids) 왕조 때 핍박이 거세어지자 많은 수의 마로 나이트들이 시리아에서 레바논의 산간 지대로 이주하였다. 그들은 레바논의 험산준령에 공동체를 구성하고 성자 마론(St. Maron)의 삶을 본받아 수도 생활에 정진하였다. 그러다가, 1608년 로마 카톨릭과 화해하게 되면서 로마 카톨릭의 한 분파(a branch of Roman Catholicism)로 인정받게 되었다. 마로나이트는 1943년 레바논이 프랑스로부터 독립할 시점에 프랑스의 지원 하에 마로나이트에게 유리한 협약이 만들어졌다.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요직이 마로나이트에서 선출되는 이 합의에 따라, 마로나이트는 권력의 우위 를 점하게 되었으며, 크리스챤 계열 중 가장 큰 종파로 발전하게 되었다. 마로나이트는 매년 2월 9일 성 마론의 탄신일(St. Maron’s Day)을 기념한 다. 마로나이트 수장(Patriarch of Antioch and the East)은 주교 회의에서 선출되며 후에 로마 교황청의 추인을 받는다. ■ 드루즈 - 신비의 종교 드루즈는 이슬람 시아의 한 분파로서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종교이다. 드루 즈의 기원은 11세기 이집트 파티마(Fatimid) 왕조 치하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슬람 내에서 개혁 운동이 활발하던 1017년, 당시 칼리프(Caliph)였던 ‘알 하킴’(Al Hakim)이 자신이 마지막 ‘성육신된 하나님’(Incarnated God) 이라고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알 다라지’(Al Darazi) 라고 하는 ‘알 하킴’의 충실한 제자가 교리를 정립하여 포교를 시작하였다. 드루즈(Druze)라 는 명칭은 바로 다라지(Darazi)에서 비롯된 것이다. 드루즈의 교리는 여전히 베일 속에 가려져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일신 신앙 과 정교 분리, 일부일처제, 영혼의 전이 등을 담고 있다. 이 중 특이한 것은 죽은 사람의 영혼이 다시 어린아이로 태어난다는 영혼의 전이(transmigration)

65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레바논

에 대한 믿음으로 일례로 ‘알 하킴’이 70회나 다른 사람의 모습으로 전이되었

아프리카•중동

다고 믿는다. 드루즈에게는 2개의 상징물이 있다. 부정적인 세계를 상징하는 송아지(Calf)와 긍정적인 세계를 상징하는 별(Druze Star)이다. 드루즈 스타(Druze Star)는 5가지 색깔(녹, 적, 황, 청, 백)로 만들어지는데, 각각의 색깔에는 상징하는 의미가 있다. 드루즈의 집회는 매주 목요일 마을 회당(할 르위 Cell)에서 이루어진다. 그들은 꾸란 대신 Hikma(히크마 Wisdom)라고 불리는 경전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아담, 아브라함, 예수를 모두 선지자로 믿는다. 그러나 최후의 Incarnated God으로 여겨지는 ‘알 하킴’에게 최고의 권위를 부여한다. 그들은 ‘알 하킴’이 마지막 날에 재림하여 세상을 정의로 다 스릴 것이라고 믿고 있다. 드루즈는 폐쇄적이고 단결력이 강한 공동체를 구성하여 개종은 물론이고, 외부인과의 결혼도 좀처럼 반기지 않는다. 드루즈의 포교자 다라지(Darazi) 는 정통 무슬림의 핍박으로 레바논의 산간 지대로 피신을 하였었다. 그 결과, 드루즈는 레바논과 인근 시리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7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경찰:112, 01-425250 ■ 응급실:140, 05-453500,467112 ■ 화재:175 ■ 베이루트 공항:01-628500/580211-6 ■ MEA 항공사:01-629310, 629143-4

(2)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 주소: Diplomat Bld. 2F, Presidential Palace Street, Baabda P.O.Box 40-290 Baabda, Lebanon 653


■ 대사관 전화번호:(961)- 5-953167~9, ■ 팩스:(961)-5-953170 ■ E-mail:lbkor@mofa.go.kr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 영사:(961)-3-732625 • 부영사:(961)-71-411552

■ 민원업무시간:월~금, 08:00~16:00(12:00~13:30 점심시간)

8 기타 (1) 날씨 레바논의 기후는 아열대성 기후(고지대 한냉, 해안지방 지중해성)이다. 우리나라에 비하여 온화하며 여름은 긴 편이다. 여름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으며 겨울철은 우기로 11월말에서 시작되어 4월말까지 계속된다. 전반적으 로 맑은 날씨가 많으며 연평균 기온이 20.7℃이며 연평균 강우량은 890mm 정도 된다.

(2) 교통수단 레바논의 주교통 수단은 택시이다. 공용버스가 극소수 운행되고 있으나, 노선이 많지 않다. 택시는 안전 등을 고려하여 콜택시(Allo Taxi) 이용이 바람 직하다. 택시 이용시 승차전에 일정구간을 운항하는 합승택시인지, 손님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가는 일반 택시인지 확인해야한다. 합승택시와 일반택시는 외형상 구분이 없고 승객과 운전사간에 합의에 따라 구분되며 일반택시는 합승택시 요금의 약 3-5배 비싸므로 주의를 요한다.

65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레바논

(3) 라디오 및 TV

Ⅱ 아프리카•중동

레바논은 내전 종식후 각종파 및 정파가 자체 홍보, 선전의 필요에 따라 방송국을 우후죽순격으로 설립함으로써 100개에 가까운 사설방송국과 45개의 사설 TV방송국이 난립했었으나 98년 Hariri 내각이 설립요건을 크게 강화한 방송법을 제정, 상당수가 축소되었다. 레바논은 중동지역에서 가장 많은 30개 일간지와 100개 이상의 주간지, 월간지가 발간되나 신문 또한 각 정·종파의 입장만을 대변하는 경우가 많다.

(4) 기타  전력사용현황

TV는 PAL 방식이며 전기시스템은 220V이나 50HZ로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어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제품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전기시스템 :220V/50Hz)  환전

레바논의 화폐단위는 LEBANON POUND이나, 호텔, 식당, 상가 등에서 달러 사용이 가능하며, 현지화 필요시 은행이나 환전소에서 환전이 가능 (1US$=1,500 LL 정도)하다.  병원

병원 시설은 서구화되어 있으며, 의사들의 수준도 양호한편이다. 그러나 의료 진료비는 비싼 편이며 처방약값을 제외한 1회 진료비는 $30〜$50 정도 로 의료보험 가입이 바람직하다.  공휴일

공휴일은 New Year’s Day(1월 1일), Labor Day(5월 1일) 및 Independence Day(11.22)이며, 기타 13개 종교휴일이 있다. 레바논은 다른 아랍국가와는 달리 일요일이 공휴일이다.

655


 교육

외국인 학교는 AMERICAN COMMUNITY SCHOOL (유치원, 초, 중, 고 과정)이외에 미, 프랑스계 학교 다수 있다. 입학절차는 여권, 이전학교의 재학 증명서, 성적증명서 등을 제출하고 지정된 날짜에 입학시험을 거쳐서 최종 결 정한다. 주요 대학교로는 AUB(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대학, Saint Joseph University(불어) 및 Lebanese University(국립대학)이 유명 하고 입학요건은 여권, 이전 학교기록 제출과 입학시험(SAT, TOFEL, 전공 시험) 거쳐 결정한다. 한국학교의 재학증명서,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등 (한글로 된 경우 영어로 번역)은 외교통상부 영사과 및 주한 레바논대사관 에서 필히 공증을 받아야 한다.  통신

한국과 레바논간 항공우편은 7~15일이 소요되고 긴급시에는 DHL, UPS 이용도 가능하다. 우편물은 사서함을 이용해야 하며 우편물 배달제도가 없다. 우체국 영업시간은 08:00~14:00이고 일요일은 휴무이다. 핸드폰 사용이 일반화 되어 있고 인터넷 사용은 DSL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65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레바논

Ⅱ 아프리카•중동

657


5. 르완다

1 개황

•수

도:키갈리(Kigali, 약 100만 명)

•인

구:1,200만 명(2014년)

•면

적:26,338 ㎢(남한의 약 1/4)

•민족구성: 후투족(84%), 투치족(15%), Twa족(1%) •종

교:카톨릭(56%), 기독교(26%), 재림교(11%), 이슬람교(5%), 무교(1%)

•언

어:영어, Kinyarwanda어, 불어

•기

후:열대성 기후

•독립일:1962.7.1.(벨기에로부터 독립) •국내 총생산(GDP):80억 불(2014년) •1인당 GDP(’14년 기준):721불 •수출입 현황(’14년) : 3 0억불 - 수출 : 6억 불(커피, 차, 광물 등) - 수입 : 24억 불(식량, 기계류, 원유, 강철 등)

65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르완다

2 문화적 특성

아프리카•중동

■ 제노사이드의 발발과 회복 노력

르완다는 1994년 4-7월간 종족간 분쟁으로 인해 100일만에 인구의 10% 이상이 피살된 제노사이드가 발생한 나라다. 제노사이드가 종식된지 20여년 이 지났지만, 르완다 국민들의 마음에는 여전히 깊은 상처가 자리잡고 있다. 매년 4월 제노사이드 추모기간이 되면 나라 전체가 큰 슬픔에 빠진다. 제노사 이드로 인해 당시 르완다의 경제상황은 더욱 악화되어 국가기반시설 대부분 이 무너지고 전 국토가 황폐해졌다. 그러나 카가메 대통령을 비롯한 전 국민 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오늘날 르완다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나라가 되었다. 현 정부는 부패없는 국정운영과 높은 원조 효과성으로 국제사회에서 많은 칭송을 받고 있으며 부족명을 언급하는 것 조차 금기시하 며 강력한 국민 통합 정책을 추진한 결과 20년 이상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 ■ 르완다의 다양한 언어

르완다의 국어는 킨야르완다(Kinyarwanda)어, 공용어로는 영어와 불어로 지정되어 있다. 1996년부터 공용어로 지정된 영어는 사용하는 인구로 따지 자면 불어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2008년 의회에서 모든 교육을 영어 로 실시하겠다는 법안을 통과시킨 이후 영어 사용자는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 다. 단, 지방으로 갈수록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밖에도 키룬 디(Kirundi), 스와힐리(Swahili) 같은 아프리카 언어도 일부에서 사용하고 있 다. 이러한 다양한 언어로의 접근성 때문에 교육 수준이 높은 르완다 사람들 은 대부분 2개(킨야르완다, 영어 또는 불어) 이상의 언어를 하며, 3개, 4개 이 상의 언어를 하는 사람도 쉽게 만나볼 수 있다. ■ 르완다의 새마을 정신: 우무간다

르완다에는 ‘새마을 운동’과 매우 유사한 마을 단위의 공동 근로 활동인 ‘우무간다(Umuganda)’가 있다. 르완다는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지역사회를 위한 노동을 공동으로 하는 풍습이 있었다. 과거 ‘우부레톼(Uburetwa)’라는

659


작은 노동동원 단위가 있었으며, 5일에 한 번 2일 동안 주로 마을회관 청소, 밭 관리, 야간경비 등을 하며 지역사회에 기여했다. 식민지 시절에는 이러한 전통을 공공근로와 연계해 저렴한 노동력으로 활용하는데 이용하였다. 이러 한 공공근로는 1974년 하비야리마나(Habyarimana) 대통령이 우무간다를 창안하는데 활용되었다. 식민시대에 억눌렸던 르완다의 전통을 부활시켜 국가를 재건한다는 점을 내세워 우무간다의 핵심가치를 ‘발전을 위한 노동력 의 집중’으로 정하였다. 주로 학교, 도로, 하수시설, 보건소, 사회기반시설 유지보수와 같이 경제발전을 목적으로 인력을 투입하였다. 또한 수직적인 명령관계에서 벗어나 농민, 관리자, 지식인 모두가 같은 장소에서 함께 일함 으로써 국민들을 결속시키려는 목적도 있었다. 하지만 매주 진행되던 우무간다가 집단화되고 세력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자 카가메(Kagame)대통령 은 각 지방대표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게 하거나 우무간다를 토론의 장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현재 우무간다는 전국규모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매달 마지막 주 토요일로 지정되어 있다. 주민들 자신이 사는 섹터에 모여서 공공근로를 하는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르완다 내 한국에 대한 우호적 인식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 문화 상 품에 대한 수요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그러나 한국문화를 접해본 적이 있는 현지인들은 한국문화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문화 를 접하는 창구는 주로 인터넷과 TV이며, 정기간행물이나 책으로도 종종 접 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 중 K-Pop, 한국영화, 한국드라마를 좋아하는 사람이 다수고, 일부는 한식이나 한복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66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르완다

(2) 분야별 현황

Ⅱ 아프리카•중동

가. K-Pop

공식적인 K-Pop 동호회나 팬클럽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나, 일부 10대20대 청년들이 유투브 등을 통하여 한국 음악 등을 즐기고 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유행하면서 현지 언론의 관심을 받은 바 있으며, 다수 청년들 은 가수 싸이와 노래 강남스타일을 알고 있다. 현지 대중은 토속음악과 Rock, Blues, R&B가 혼합된 아프리카 대중음악에 대한 수요가 크고, 상대적으로 팝음악에 대한 수요는 낮은 편이다. 그러나 르완다인의 음악과 춤에 대한 애 정이 크다는 점을 감안 시 마케팅을 잘하면 K-Pop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 한국드라마

한국드라마는 2008년부터 르완다의 유일한 지상파 TV인 ‘Rwanda TV’에서 방영되어 왔다. <대장금>을 시작으로 <주몽>, <내조의 여왕>에 이르 기까지 역사물과 현대물이 방영되었으며, 한국드라마의 인기로 방영 당시 현 지인들이 사극 대사를 따라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다. 한국 영화

르완다에는 수도 키갈리에 있는 ‘Century Cinema’가 유일한 영화관이다. 수도 부근에 있는 현지인들이 주로 찾으며, 아직까지 한국영화가 상영된 적은 없다. 다만 르완다 주재 우리나라 대사관에서 매달 첫째 주 ‘한국영화상영제’ 를 개최하여 역사물부터 현대물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관 객은 주로 대학생 신분의 현지인이며, 20대 중반에서 30대 사이의 연령대를 확보하고 있다. 관객들은 한국 영화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한번 온 관객이 꾸준히 방문하는 편이다. 주로 가족애, 스포츠 등을 주제로 한 영화를 좋아하며 사극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661


라. 한식

현지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한식을 맛보고 싶어 하 는 현지인들이 늘고 있다. 2012년 ~2014년 키갈리에서 열린 ‘세계 음식 박람 회’에 한식이 매년 소개된 바 있으며, 그 인기가 다른 나라 음식에 비해 단연 높았다. 현지 한식당(2개 업소)을 찾는 현지인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 이다. 마. 태권도

르완다에서는 현재 1,500명의 태권도 수련인구(등록 기준)가 있다. 르완다 에 태권도가 최초로 소개된 때가 불과 12년 전임을 고려한다면 상당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르완다 내 태권도는 꾸준히 영향력을 키우고 있 는데, 르완다태권도협회가 2010년도에 설립이 되면서 태권도 보급이 더욱 조 직화됐으며, 2012년에는 동아프리카에서 최초로 전자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까지 이르렀다. 주르완다대사관은 2013년부터 매회 대사배 태권도대회를 개 최하고 있는데 이 대화에는 인근국인 케냐, 탄자니아, 브룬디 등에서도 많은 선수들이 출전하고 있다. 르완다 대표팀의 기량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르완다는 2013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World Taekwondo Championship)’ 에서 아프리카 내 6위(Top 40위 국가에 포함)를 차지했으며 현재 아프리카 내 4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최근 2015년 8월 대한민국 평택에서 개최된 ‘세계태권도한마당대회’에서 르완다 대표팀은 금메달을 10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는 선전을 하였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한국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 한국인의 근면성실함과 협동심을 엿볼 수 있고, 한식과 한복을 통해서는 다양한 색상의 멋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어 좋다고 한다. 특히 영상 콘텐츠의 경우,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여 한국의 영상기술을 배우고 싶어 하는 현지인도 있다.

66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르완다

5 문화 교류시 고려해야할 점

아프리카•중동

제노사이드의 상처가 아직 채 아물지 않은 르완다인들은 제노사이드를 언급하는 것 자체를 부담스러워 한다. 아픔을 극복하려는 르완다인들에게 후투족과 투치족을 분리해서 언급하는 것은 하나의 국민으로 인식하려고 노력하는 르완다인들에게 큰 실례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6 한류 동호회 현황 현재 결성되거나 활동하고 있는 동호회는 없는 것으로 파악

7 2015년 문화행사 ■ 8월 28일~29일 대사배 태권도 대회 ■ 10월 14일 한국의 날 ■ 9월 30일 한국어말하기 대회 ■ 매월 첫째 주 금요일 한국영화상영회

663


8 여행정보 (1) 비자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 사증 필요 한·르완다간 사증면제협정 미체결 된 상황이므로, 르완다 입국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 비자획득 필요 • 상용비자, 방문/관광비자 주한 르완다 대사관에서 신청 및 발급 가능하며, 방문목적에 따라 그 종류와 구비서류가 달라지므로, 주한 르완다 대사관을 통해 입국 전 사증취득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함

통과여객(TWOV)의 조건 ⓛ 72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르완다를 통과하는 경우 ‘통과사증’ 발급 ② 필요시 1회에 한하여 72시간 연장 가능 ③ 르완다대사관 또는 영사관, 이민국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④ 단, 다음과 같은 경우는 면제

여권 잔여유효기간

6개월

※ 르완다 공항을 경유하여 통과하지만 동 비행기로 여행을 계속하는 외국인 ※ 다음 행선지로 이동하기 위하여 3일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동안 르완다 공항에서 연결 항공편을 대기하고 있는 외국인

※ 주한 르완다 대사관 연락처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20길 13 수영빌딩 5F (우 140-886) •전화번호 : 02-798-1052 •팩스번호 : 02-798-1054 •이메일 : info@rwanda-embassy.or.kr

 공연비자 : 해당 없음.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

■ 남색경보(여행유의) : 황색경보 이외 여타 지역 ■ ‌ 황색경보(여행자제) : 콩고민주공화국, 부룬디 접경지역(기세니, 키부예, 창구구 제외)

66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르완다

 사건·사고 현황

Ⅱ 아프리카•중동

■ 테러, 인질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2013년 수도 키갈리의 키미롱고, 냐부고고, 키추키로 지역에서 대중을 목 표로 하는 수류탄 공격 사고가 일어난 바 있으며, 2014년 무산제 지역에서도 수류탄 폭발 사건이 발생하였다. 주로 현지인들이 붐비는 장소인 버스정류장, 재래시장, 데모 및 집회장소 등에서 잘 발생하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특히 저녁시간대에는 위와 같은 장소 출입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전반적으로 치안에는 문제가 없으나 대중들이 많이 모인 장소나 호텔에서 날치기, 좀도둑으로 인한 단순 절도(분실·도난) 등이 종종 발생한다. 차량 내 귀중품 또는 차량 부속의 절도도 종종 일어난다.  자연재해

특별한 자연재해는 없으나, DR콩고와의 접경지역에서 간헐적으로 지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화산활동지로 알려져 있으며, 진도 5~7사이의 지진이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수차례 발생한 바 있다. 가장 최근에는 2015년 8월 르완다와 콩고 접경지역에서 진도 5.6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르완다 서부의 루시지(Rusizi) 지역 주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이 지진은 진앙지에서 약 250km 떨어진 수도 키갈리에서도 확실히 진동을 느낄만한 규모였다. 화산활동의 경 우, 2002년 르완다 국경 인근 DR콩고의 도시 고마(Goma)에서 Nyiragongo 화산이 분출한 바 있다.  유의해야할 지역

특별히 위험한 지역은 없으나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는 수류탄 테러 등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더불어 기세니, 키부예, 창구구 지역을 제외한 DR콩고와 부룬디 접경지역은 여행을 자제해야 한다.

665


9 현지 문화  식사 문화

르완다의 음식은 가정식과 외식으로 나누어진다. 가정식은 일반적으로 주 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해 만들며 간단하다. 주된 재료로는 아 보카도, 이비토키(Ibitoki; 열대산 요리용 바나나), 망고, 파파야 등의 과일과 감자, 고구마, 카사바(Casca) 등이 있다. 외식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으 로 ‘멜랑제(Melange : 불어로 mix라는 뜻)’와 ‘브로셰트(Brochette)’이 있다. 멜랑제는 르완다 식민지 시대에 들어온 음식으로 대부분 뷔페식으로 제공된 다. 감자, 볶음밥, 삶은 콩, 면 등을 함께 섞어 먹는다. 브로셰트은 염소, 닭, 소, 생선 등을 이용한 꼬치요리이다. 르완다에서는 손님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면 식사를 대접하는 문화가 있 다. 이때 대접 받은 음식과 술을 거절하면 매우 무례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남기게 되더라도 먹는 편이 좋다. 또한, 주인은 식사를 대접하기 전에 요리를 맛보고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통적으로 르완다인들은 공식적인 행사 가 있는 경우에만 공공장소에서 식사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집에서 식사를 한다. 하지만 요즘엔 공공장소에서 식사하는 현지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 종교

르완다 전체인구의 약 56%가 카톨릭을 믿고 있으며, 26%는 기독교, 11% 는 재림교, 5%는 이슬람교, 1%는 무교이다. 현지 곳곳에 기독교 교회가 있으 며 대부분 킨야르완다어로 예배를 진행한다. 하지만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의 상당수가 토착신앙 의식에도 참여하고 있다. 르완다의 토착신앙은 지역별로 다른데 크게 남쪽지방과 북쪽지방으로 나뉜다. 남쪽지방의 토착신앙은 량곰 베(Lyangombe), 북쪽지방은 냐빈기(Nyabingi)라고 불린다.  음악과 춤

르완다 주민들은 음악과 춤을 좋아한다. 전통음악의 경우, 주로 북 합주와

66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르완다

현악기 연주가 어우러진다. 북 합주에는 7~9개의 북이 사용되며 북 크기별로

아프리카•중동

역할이 각각 다르다. 가장 작은 북은 소프라노 역할, 그 다음부터는 테너, 알토,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 등으로 나눠진다. 8개의 줄로 연주하는 현악기인 ‘이낭가(Inanga)’는 북 합주의 상대역이 되거나 노래와 춤의 배경 음악으로도 쓰인다. 전통춤의 경우, 대내외적으로 ‘인토레(Intore)’가 많이 알려져 있다. 창, 활, 방패 등을 이용하여 안무를 구성하고 춤을 춘다. 이 외에도 르완다의 영웅 들과 신화를 소개하는 ‘이키님바(Ikinimba)’라는 뮤지컬 형식의 춤 공연도 있다.  공연 및 행사

르완다의 주요 국가 행사로는 ‘제노사이드 추모일(Memorial Day)’, ‘르완 다 전승기념일(Liberation Day)’, ‘고릴라 이름 짓기(Kwita Izina)’가 있다. ‘제노사이드 추모일’은 매년 4월 7일 제노사이드의 희생자를 기리는 날이며, ‘르완다 전승기념일’은 매년 7월 4일로 제노사이드의 종식을 선포한 날이다. 두 날 모두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국에 있는 각 스타디움에서는 상당한 규모의 추모행사를 개최한다. 특히 키갈리의 아마호로 스타디움에서는 군사 퍼레이드가 열린다. ‘고릴라 이름 짓기’는 매년 6월 말 무산제 지역에서 열리 며 르완다 관광산업에 큰 기여를 하는 행사이다.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마운 틴 고릴라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국가적인 행 사로 알려져 있다. 르완다의 주요 문화 행사로는 르완다 주재 우리나라 대사관에서 매달 첫째 주에 개최하는 ‘한국영화상영제’와 2013년부터 간헐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한국영화제(Korean Movie Week)’가 있다. 또한, 매년 개최되며 전 세계의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세계 음식 박람회(International Food Fair)’, 2년마다 개최되는 ‘Pan African Dance Festival(FESPAD)’라는 댄스 축제도 있다. 민간 축제로는 뮤지크 비어 페스티벌(Mutziq Beer Festival)이 있으며, 매년 현지 음악과 팝 위주의 야외스탠딩 공연을 개최한다.

667


 공예

르완다는 수공예가 발달한 나라로, 특히 르완다의 바구니 세공은 독특한 문양과 정교함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도자기, 전통 목각술 등 다양한 종류의 공예가 있다.  문학

르완다의 문학은 대부분 구전동화로 이루어져 있다. 크게 왕실문학과 대중 문학으로 나뉘며 다양한 장르를 가지고 있다. 킨야르완다(Kinyarwanda) 어로 쓰인 것보다도 불어로 쓰인 문학작품이 더 많다.

10 현지 연락처  긴급 연락처

■ 일반사고 112 ■ 교통사고 113 ■ 앰뷸런스 912 * 키갈리 내에서만 사용 가능, 주로 이동수단의 역할만 하며 약품 등 의료수단이 없을 수 있음.

 의료기관 연락처

르완다에는 응급의료상황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병원이 많지 않다. 르완다의 의료시설(치과 포함)은 제한적이고 약품도 부족하기 때문에 심각한 병에 걸렸을 경우 케냐나 남아공으로 가야한다. ■ 킹 파이잘 종합병원 (King Faisal Hospital) +250-78-830-9002 +250-78-830-9003 (24시간 응급실, 의료진 대기) ■ MTN센터 치과 +250-78-856-7141

66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르완다

 대사관 연락처

아프리카•중동

■ 주소 : Plot No. 10050, Golf Course Road, Nyarutarama, P.O.BOX 6404, Kigali, Rwanda ■ 대표번호 : +250-252-577-577 ■ E-mail : koremb-rwanda@mofa.go.kr ■ 홈페이지 : http://rwa.mofa.go.kr ■ 근무시간 (현지기준) •월요일~목요일 : 08:00~12:00, 13:30~17:00 •금요일 08:00~12:00, 13:30~15:00

■ 근무시간 외 비상연락처 : 078-838-4343 (전종화 영사) 078-230-0309 (한장희 행정직원)

11 기타 (1) 기후 ■ ‌ 르완다는 적도 바로 아래 위치해 있지만 높은 해발 때문에 비교적 온화한 기후이다. 소건기(1~2월), 소우기(3~5월), 건기(6~8월)와 우기 (9~ 12월)로 나뉜다. ■ ‌ 1년 내내 느끼는 체감온도는 거의 일정한 편이다. 새벽과 밤에는 다소 추 위를 느낄 수 있으며 우기에는 일교차가 커지고 지역에 따라서 우박이 내 리기도 한다. ■ ‌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건기에 비가 내리거나 우기에 건조한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669


(2) 통신 ■ 전화 르완다에서는 대체적으로 전화사용이 용이하다. 수도 키갈리와 기타 대도 시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인터넷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기 기 이용자의 경우 Country Lock을 반드시 해제해야 현지 USIM으로 교체했 을 때 사용이 가능하다. 르완다의 대표 통신사로는 MTN rwanda, Tigo rwanda, Airtel rwanda 가 있으며, 이 중 MTN rwanda의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다. ■ 인터넷 르완다는 3G 이동통신 서비스를 보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KT는 르완다 정부와 협력하여 4G LTE망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G LTE는 가격이 비싸 현지인들의 사용률은 아직 낮은 편이나, 부유한 현지인들과 외국 인들이 자주 찾는 레스토랑, 카페에서는 4G LTE 와이파이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3) 교통 ■ 오토바이 택시 모토(Moto)라고 불리며, 아무 곳에서 잡아 탈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편이 열악하므로 르완다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대중교 통수단이다. 단, 오토바이에 대한 전용노선이 없기 때문에 도로에서 차들과 함께 주행하여 사고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조끼와 헬멧에는 기사들의 등록 번호, 운행지역, 전화번호가 적혀있다. 요금은 거리에 비례하며, 기본요금은 200~300르완다프랑(Rwf)이다. ■ 시외버스 시외버스 터미널은 각 시외버스 회사의 이름으로 구분된다. 키갈리 종합

67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르완다

터미널이 건설되지 않아 통일된 터미널이나 매표소는 없고 각 회사의 터미널

아프리카•중동

이 시내에 몰려 있다. 가격은 행선지에 따라 다양하며 30분쯤 걸리는 수도 인 근 지역은 1,000르완다프랑(Rwf) 내외이다. 보통은 매표소에서 표를 구입한 후 탑승한다. ■ 시내버스 마타투(Matatu)’라는 버스로 봉고크기의 승합차를 말한다. 요금은 200 ~250르완다프랑(Rwf)으로, 전 좌석이 채워져야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르완다에서는 정비되지 않은 차량이나 빠른 속도로 달리는 차량, 부주의한 운전자 등에 주의해야 한다. 가끔 차량의 헤드라이트가 없거나 켜지 않고, 운전자들이 방향지시등을 잘 사용하지 않아 위험할 때가 있다.

(4) 전력사용현황 ■ ‌ 사용전압은 220V, 50Hz이나 전기 공급이 안정적이지 않아 정전이 자주 발생한다. ■ ‌ 1인당 한해 평균 전력소비량은 41kWh로, 개발도상국의 1인당 한해 평균 전력소비량 1,155kWh인 것에 비해 한참 낮다. 이는 가계 수입부족으로 전기 구매력이 없는 현지인들의 사정이 반영된 것이다.

671


6. 리비아

1 개황

•수

도:트리폴리(Tripoli, 인구 112만 명, 2014)

•인

구:620만 명(2014)

•면

적:1,759,540㎢(한반도의 8배)

•민족구성: 아랍족(약 48%), 베르베르족(약 20%), 투아레그족(약 12%), 아프리카계 흑인(약 15%), 유럽계 혼혈인(약 5%) •종

교:이슬람(리비아인의 97%가 수니파)

•시

차:우리시간 -7

•언

어:아랍어

•1인당 GDP(’14년 기준):15,888불 •수출입 현황(’15년 10월, 우리기준):총교역 658억 불(수출 475억 불, 수입 183억 불)

2 문화적 특성 ■ 아랍적 특색이 강한 문화

리비아는 지리적으로는 아프리카에 속해있지만 언어, 종교, 문화 등의

67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측면에서 보면 중동적 색채가 강한 나라다. 공식 언어가 아랍어이고 이슬람교

아프리카•중동

(국민의 97%가 수니파)가 국교인 관계로 이슬람에서 규정하는 생활원리에 충 실한 편이다. 리비아지역의 원주민은 베르베르인이었지만, 오늘날 리비아인 의 절대 다수인 63% 정도는 7세기부터 10세기에 걸쳐 아라비아, 이집트 등에 서 이주해 온 아랍계 인종이거나 그들과 원주민들간 혼혈인들이다. 리비아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인종으로는 아랍계 외에도 북아프리카 백인계 원주민인 베르베르인과 사하라사막지역 원주민인 투와레그인 등이 있다. 리비아인들의 생활과 의식구조는 모두 이슬람 교리에서 비롯되고 있으며, 그들은 ‘신의 존재를 의식하고 신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는 마음의 상태’를 말 하는 타구와(Taqwa)가 삶에 있어 인간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라 생각 하고 있다. 따라서 리비아인들은 우주만물을 창조한 유일신으로서 전지전능 한 알 라와 늘 공존한다고 굳게 믿고 있으며, 여기서 의식하고 행동하는 생활의 원 동력이 생긴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리비아인들의 의식주 생활, 결혼 등 생활 풍속은 아랍적 특색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 ■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교차한 역사적 경험

리비아는 북아프리카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국토의 북단은 지중해와 면한 1,820km의 긴 해안선으로, 내륙은 광대한 사하라사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쪽으로는 이집트와 수단, 남쪽으로는 차드와 니제르, 서쪽으로는 알제리와 튀니지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리비아는 북아프리카의 중앙, 해안과 내륙의 교차 등 지정학적, 문화적 특수성 때문에 고대부터 지중해 중개무역의 거점으 로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유입되었으며,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스페인, 오 스만 투르크, 이태리 등 계속되는 외세의 침략으로 오랜 식민지 역사를 경험 하였다. 기원전 10세기 경 페니키아인들이 무역거점을 찾아 리비아 서부지역 해안 에 진출하였고 기원전 7~8세기경에는 3개의 식민도시(Sabratha, Oea, Leptis Magna)를 건설하였고, 기원전 7세기경에는 그리스인들이 리비아 동 부지역에 식민도시(Kyrene)를 건설하였다. 기원전 86년부터 기원후 4세기까 지는 로마 지배를 받으며, 올리브, 포도, 밀, 보리 등 농산물을 로마에 공급하

673


는 곡창지대로 번성하였으며, 193년에는 리비아의 중요도시인 렙티스 마그나 (Leptis Magna) 출신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Septimius Sebellus)가 로마황 제에 등극하기도 하였다. 서로마제국의 멸망으로 리비아는 439년 게르만족인 반달(Vandal)족에 의해 정복과 도시파괴를 경험하였고, 5세기 동로마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Justinianus)황제에 의해 재정복되기도 하였으나 원주민들 의 반란으로 사실상 무정부 상태가 되었다. 그 뒤 리비아는 643~645년 아랍군의 제2차 마그레브지역 원정 때 정복되 어 이슬람 세계에 편입되었으며, 11세기 들어 이집트로부터 바니 힐랄(Bani Hilal) 부족과 바니 살렘(Bani Saliem) 부족이 대거 이주함으로써 아랍화가 급속하게 진전되었다. 1551년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는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911년 지중해 건너편의 이태리가 리비아를 침공해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전까지 식민지로 지배하였다. 이태리의 리비아 점령은 19세기 후반 급격한 인구증가에 따른 농업문제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리비아 서부지역에 9만, 동부지역에 5만 등 약 14만 명의 이태리 농민들이 리비아에 이주하였다. 리비아는 현재 주류 민족인 아랍족을 제외하고도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반달, 비잔틴, 오스만 투르크, 이태리 등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교차한 역사적 경험과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3 한류 현황 (1) 일반 현황 리비아는 한국과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거리가 떨어져 있었고 카다피 에 의한 장기간 독재를 거치는 동안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배타적 정책을 취해왔었기 때문에 리비아인들이 한국 문화를 접할 기회가 절대적으로 부족 해 사실상 한류의 불모지나 다름이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최근 정보통신 및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리비아의 젊은이들 사이에

67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K-Pop이나 한국드라마 매니아들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주리비아

아프리카•중동

대사관에서 개설한 페이스북과 공관 아랍어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과 한류에 대한 정보를 서로 교환, 습득하고 있다.

(2) 분야별 현황  드라마

주리비아대사관에서 MBC프로덕션을 통해 조달한 아랍어 자막처리 “대장금”이 2012년 12월 리비아 민영 방송사인 ‘AL ASSEMA TV’에서 방영 되어 리비아 국민들 사이에 큰 호응을 얻은바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아랍 국가의 위성TV채널(특히 이집트의 ‘Korea TV’)및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한국 TV드라마를 접하고 있다.  K-Pop

한국 가수의 리비아 공연 실적은 없으며, 젊은이들 중 일부가 유투브, KBS World 등을 통해 K-Pop을 접하고 있으며, 리비아 민영 FM라디어 “Radio Zone”, “Tripo FM”에서 K-Pop을 방송하고 있다. 특히 2012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된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시발점으로 K-Pop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어 다 양한 장르와 가수와 대한 팬층이 형성되고 있다.  한국 영화

현재 리비아에는 영화관객을 대상으로 정상 운영되는 극장이 전무할 뿐만 아니라, 2012년 12월 주리비아대사관 주관으로 ‘한국영화주간’ 행사가 개최 되기 전까지 한국 영화가 소개된 실적이 없었다. ‘2012 한국영화주간’ 행사를 통해 ‘웰컴 투 동막골’, ‘태극기 휘날리며’, ‘선생 김봉두’, ‘우리 생애 최고의 순 간’ 등 4편의 한국 영화를 대학생 등 젊은 층에 소개하였으나, 아랍어 자막이 나 더빙이 없이는 내용이나 감동의 전달에 한계가 노정되었으므로 앞으로는 아랍어 더빙 또는 자막 처리가 된 한국영화를 소개할 필요성이 있다.

675


 한국어 및 한국문화 강좌

현재 리비아 내 한국어를 가르치는 공설 또는 사설 기관은 전무하다. 주리 비아 대사관에서 2013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한국어 및 한국문화 강좌 를 운영하여 약 80여명의 학새들이 한국어를 배웠으며, 리비아 치안사정으로 운영이 중단된 현재는 개별적으로 인터넷 혹은 TV 프로그램을 통하여 한국어 를 배우고 있다.

4 현지인들이 한국문화(한류)를 좋아하는 이유 리비아 젊은 층으로서는 접해보지 못한 한국 대중문화의 활력과 발랄함, 이국적인 정서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

5 문화 교류 시 고려해야 할 점 리비아는 국민들 대다수가 이슬람을 신봉하고 종교적 생활방식을 고수하 고 있으므로 이슬람 윤리에 어긋나거나 선정적인 내용의 한류콘텐츠를 유통 시킬 경우, 이슬람 원리주의자, 보수층의 반발 등 갈등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 또한, 리비아인들은 자존심이 강하고 다른 민족이나 국가와 비교해 우 월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므로, 리비아적인 문화를 비하하거나 일방적으 로 한류콘텐츠만 유통시킬 경우 거센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한 류가 리비아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하려면 중장기적 관점에서 한·리비아간 쌍방향적인 문화 교류와 소통이 중요하다.

67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6 한류 동호회 현황

아프리카•중동

(1) 일반 현황 현재 리비아 내에 생성되고 있는 한류 매니아는 대부분 IT와 SNS에 친숙 한 청소년 및 대학생 등 젊은 층이며, 한류동호회로는 K-Pop, 한국드라마 등 을 즐기는 ‘Korean Street’가 있으며 그 외에 ‘Korean ~fans ~drama~kpop in Libya’, ‘Korean wave fans in Libya’, ‘Libyan Kpop Fan Club’. 등 온 라인 상에서 크고 작은 커뮤니티가 생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이 중 ‘Korean Street’는 한국 드라마와 K-pop 이외에도 일상적인 한국문화 소개도 함께 하 고 있다. 현재 이 동호회는 주리비아대사관 공식 페이스북을 매개로 서로 정 보와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2) 동호회별 현황  Korea Street 성격

K-Pop, 한국드라마 등 다양한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수

약 2,903명

웹사이트 주소

www.facebook.com/KoreaStreetinLibya

세부활동 현황

• facebook을 통해 상호 연락하면서 K-Pop, 한국드라마, 한국영화 등에 대해 정보 교환 •(오프라인) 카페 등의 장소에서 부정기적으로 모임 개최

7 문화행사 리비아에 한국 문화 및 한류가 소개된 역사가 일천하여 한국 문화와 한류를 확산시키거나 홍보하는 민간단체는 소수이나, 외국 문화의 유입을 통제하던 카다피 정권의 몰락 이후 위성TV 채널,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한국 문화와 한류가 유입이 되어 청소년 및 대학생 등 젊은 층의 관심과 호기심이 빠르게

677


고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2012년부터 2013년 말까지 주리비아 대사관 주관으로 ‘한국영화주간’, ‘K-Pop 댄스 경연대회’, ‘한국음식체험’ 등 한국 문화 및 한류 소개 행사가 개최되었고, 청년 단체 ‘Tomoh Libya’에서 주최하는 국제 문화 교류 전시회에 참가해 한국의 문화를 다양한 계층에 소개한 바 있다.

(1) 2012~2014년 주요 문화행사 개최 실적  ‘2012년 한국영화주간’

주리비아대사관의 주관으로 2012년 12월 10일 ~ 13일간 ‘2012 한국영화 주간’ 행사가 개최되어 한국영화 4편(‘웰컴 투 동막골’, ‘태극기 휘날리며’, ‘선 생 김봉두’,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 소개되고 트리폴리대학교 학생 등 총 800여명이 관람하였다. 금번 행사를 통해 리비아에 최초로 한국 영화가 소개 되었으며, 관람객들이 한국 문화와 역사, 한국인의 정서 등에 대한 이해를 높 이는 뜻 깊은 계기가 되었다.  K-Pop 댄스경연대회

싸이의 ‘강남 스타일’을 필두로 하여 리비아 젊은 세대의 K-Pop에 대한 관 심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 주리비아대사관 주관으로 2012년 12월 10일 트리폴리대학교에서 ‘K-Pop 댄스경연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총 4개팀 이 참가해 K-Pop 등 배경음악에 맞추어 힙합댄스와 브레이크댄스를 선보여 약 350여명의 관객들의 열띤 호응을 이끌어 내었었다.  한류소개 관계자 및 한류동호회 회원 초청 리셉션 개최

사실상 한류의 불모지대인 리비아에서 한국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활발하게 활동하는 한류소개 관계자 및 한류동호회 회원들을 2012년 12월 13일(목) 주리비아대사 관저에 초청, 동 관계자 및 회원들을 격려하는 리셉션 행사를 개최하였다.

67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 한국음식체험 행사

아프리카•중동

2013년 12월 약 80여명의 한국어 강좌 수강생들을 초청, 리비아에서 접하 기 힘든 한국음식을 선보여 그동안 수강생들 사이에서 사진으로만 보던 한국 음식을 직접 맛보고 리비아 음식과 비교체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한 국음식의 맛과 멋을 소개하였다.

(2) 향후 주요 문화행사 개최 계획 2014년 7월 이후 급격히 악화된 리비아 치안사정으로 현재 문화행사 개최는 불가하다.

8 여행정보 (1) 비자 ※ ‌ 2014.7.30 리비아가 여행금지국으로 지정되어, 리비아 입국을 희망하는 우리 국민은 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을 필요가 있다.

 일반여행객 사증 필요 여부

통과여객(TWOV)의 조건

1. 한ㆍ리비아간 사증면제협정 미체결된 상황이므로, 리비아 입국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 비자획득 필요 2. 비자취득에 장기간(경우에 따라 1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리비아 해외공관은 비자 발급시 대부분 본국으로부터 승인(일명 비자케이블)을 받은 후 형식적 발급 절차만 취함.

1. ‌ 확정된 티켓 소지, 최종 도착국가 사증 소지, 24시간 이내 출국 2. 환승구역내 체류

여권 잔여유효기간

비고

3개월 이상

훼손 여권은 입국 거부

679


 공연비자

리비아 내 공연을 위해서는 공연비자를 받아야 하며, 아울러 공연에 대해 리비아 유관기관으로부터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공연장소 및 계획서 등 서류를 준비해 리비아 외교부의 승인을 얻을 경우, 공연허가와 함께 비자 케이블이 주한리비아대사관으로 송부되어 공연비자를 받게 된다.  주한리비아대사관 연락처

■ 주소: 서울시 용산구 희나무로 53번지(구주소: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210-71번지) ■ 전화:(02)797-6001~3 ■ 팩스:(02)797-6007

(2) 안전정보  여행경보단계:여행금지국  사건·사고의 현황

■ 테러, 인질 등에 대한 상황 및 정세 2011년 리비아 내전 발발 이후 부족간 충돌, 각 지역 민병대간 총격전 및 주요 국가시설물 점거 등 대규모 무력충돌이 여전히 빈발하고 있으며, 이외에 도 총기를 소지한 민간인들의 총기 발포, 무장 강탈, 테러기도 등 치안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어서 항상 주의가 요망된다. ■ 범죄현황 등 치안상태 리비아 기관정부의 치안관리통제의 한계로 인해 각 지역 무장민병대들이 자신들의 구역을 분할 점령, 이익 집단화하여 국가 주요시설물 점거, 이권을 둘러싼 민병대간 무력충돌, 국가과도정부에 도전 등 폐해와 치안불안을 가중 시키고 있다. 또한 내전과정에서 방출된 총기가 회수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종전 후 이완된 사회분위기와 맞물려 술과 마약을 복용한 상태에서 횡포를 부

680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리거나 총기를 발포하는 사례와 아울러, 최근에는 내전이후 일자리를 잃은 일

아프리카•중동

부 젊은이들의 생계형 약탈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자연재해

리비아는 특별한 자연재해는 없었으나, 겨울철 우기가 끝나는 3월~5월간 사막에서 불어오는 미세모래를 함유한 바람에 호흡기 등이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유의해야할 지역

군사시설 및 보안시설 등 사진촬영금지구역에서 사진을 촬영하지 말아야 하며, 일반 사람들을 상대로 사진을 찍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동의를 구해서 사진을 촬영해야 한다. 현재 리비아는 여행금지국으로 지정 되어 있으므로, 리비아 입국을 희망하는 우리 국민은 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 아야 한다. 또한, 리비아인에게 한국대사관으로 안내를 요청할 경우 북한대사 관으로 안내하는 수도 있으므로, 가르가리쉬(Gargaresh) Street에 위치한 한 국대사관임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9 현지 문화  리비아인 이름

다른 아랍국가와 마찬가지로 남, 여를 불문하고 대부분 세 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처음 이름은 본인의 이름, 두 번째 이름은 아버지의 이 름, 세 번째는 할아버지의 이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아흐마드 알리 칼리드 (Ahmad Ali Khalid)라는 이름은 Ahmad(본인 이름)+Ali(아버지 이름)+ Khalid(할아버지 이름)으로 구성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름을 부를 때는 본 인 이름만 부르며, 세 번째 이름으로 부족의 이름이나 출신지역을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681


 리비아인의 시간관념

리비아인에게 시간 엄수라는 것은 그리 중요한 일로 인식되지 않는다. 시 간에 대한 융통성이 큰 편이고 정해진 일을 연기하는 것(bukra)도 습관적일 경우가 많다. 조급함은 나쁜 매너나 자신감의 결여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으 며, 도시거주자들의 시간 할애는 하루에 다섯 번 있는 기도시간과 밀접히 관 련되어 있으므로 약속을 할 때는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 결혼과 이혼

남자, 여자 모두 18세의 나이부터 결혼을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남자 는 28세, 또 여자는 26세 전후로 결혼을 하고 있으며, 결혼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남자측의 소득이 적거나 유산이 없을 경우에는 결혼이 지연되는 경향도 있다. 결혼 풍습으로는 아직도 남자가 여자 측의 부모에게 신부 몸값 을 지불하는 제도가 남아있으며, 친족 간의 결혼이 성행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아랍관습에 의하면 이혼할 수 있는 권리는 남자에게만 주어졌 으나, 1973년의 법이 개정되어 여자에게도 남자와 같이 이혼할 권리가 인정 되고 있다. 이혼 방법은 바로 증인 앞에서 “나는 너와 이혼한다.”라고 3회 반 복 선언하면 이혼이 성립된다고 한다. 다만 이혼한 남자는 외국인 여자나 리 비아 외의 다른 아랍여자와 결혼을 하지 못하며, 외국인 여자와 결혼한 남자 는 정부기관 및 정부소속기관에 취업을 하기 어려운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 음식 문화

리비아인들에게 양은 최상의 음식으로서 옛날 유목생활 때부터 신에 대한 제물과 주식으로 이용된 중요한 음식이며, 양 가죽은 옷 또는 신발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어 왔다. 닭고기와 함께 주식으로써 양고기는 양질의 올리브유 를 많이 사용한 부침이나 볶음요리, 밥 등에 사용된다. 또한, 과거 이태리의 점령으로 인해 파스타나 마카로니와 같이 음식이 다른 아랍국가보다 보편화 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음식인 쿠스쿠스(couscous)는 기장이나 밀 등의 곡물을 넣 고 끓인 요리이며, 고기와 감자가 주재료이나 간혹 해산물을 넣어 요리하기도

682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한다. 또 다른 리비아의 대표음식으로 쿠프타(kufta)가 있는데, 고기와 양파

아프리카•중동

를 함께 조리한 요리이다. 종교로 인하여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며, 양고기를 선호하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닭고기를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리비 아 스프인 샤르바(sharba)는 다양한 향신료로 맛을 낸 야채고기 스프이다. 간식으로는 당도가 높은 대추야자나 말린 무화과를 많이 먹으며, 리비아산 과자나 초콜릿은 거의 없고 주로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이집트, 이탈리아 등 에서 수입한 것이다.  비지니스 거래 및 상관습

리비아에서의 비즈니스 거래의 기본은 인맥관리이다. 제도나 시스템보다 는 인간관계에 의해 모든 비즈니스가 결정되기 때문에 인맥관리를 잘 못하면 애써 쌓아 놓은 비즈니스망이 무너지게 된다. 리비아 정부에서 발주하는 입찰 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입찰 정보를 입수해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다른 중동국가와 마찬가지로 정부 입찰 관계자들이 상당히 보수적이라 이미 공개된 입찰 정보조차 잘 알려주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전 발주처에 인맥을 구축해 놓아야 한다. 다른 아랍국가와 같이 이슬람 문화의 영향으로 인샬라(Insha Allah, 책임 지기 싫어하고), 부크라(Bukra, 조금 귀찮거나 어려운 일은 미루고), 말리쉬 (Maa Lish, 적당히 넘어가는) 사고방식이 뿌리깊이 남아있다. 시간관념이 희 박하여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사회관습으로 간주하 여 상대방에 대해 불평이나 불쾌감을 자제하고 인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 적으로 부족중심 유목생활의 영향으로 복잡한 것을 싫어하고 상하관계와 격 식을 따지지 않는 등 심성이 비교적 단순한 것이 특징이다. 경제적으로는 오 랜 사회주의체제의 영향으로 피동적이고 국가에 모든 것 의존하는 습성이 강 하다.

683


 카페와 가십문화

리비아인들의 최대 여가 활동은 가십이라 할 정도로 리비아인들은 길거리 카페에서 친구 또는 이웃들과 삼삼오오 모여 가십과 물 담배를 즐긴다. 리비 아인들의 주요 가십거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가족문제, 동네이야기 등이지만 비즈니스 정보교환도 빠질 수 없는 이야깃거리 중 하나다. 인터넷 등 정보통신이 잘 발달되지 않은 리비아에서 길거리 카페는 정보의 장으로 활 용되고 있다.  라마단과 이슬람 축제

이슬람에서 제일 중요한 축제는 두 가지로서 이드 알-아드하(Id AlAdha, 희생제라고 번역됨)와 이드 알-피트르(Id Al-Fitr, 단식 종료절 또는 파제절이라고 번역됨)이다. 라마단은 무함마드에게 계시되었고 무슬림이 메카에서 메디나로 천도한 후 메카 우상숭배자들과의 첫 번째 전투인 바드르(Badr)에서 승리한 달이며, 이슬람의 완성인 메카 정복이 이루어진 뜻있는 달로서 대부분의 시간을 기도 에 할애하고 코란을 낭송하는 특별히 성스러운 시기이다. 단식은 검은 실과 흰 실을 구별할 수 있는 이른 아침부터 모든 음식, 마실 것, 흡연 등을 금하며 해가 수평선 아래로 사라질 때까지 계속된다. 사람들은 해가 지면서 음식을 들고 거리와 시장을 나가고 친구들과 친척들을 방문한다. 라마단 월 기간 동 안 저녁과 밤은 평상시의 낮 시간처럼 활동적으로 보내며, 많은 사람들이 밤 을 새기도 하며 해뜨기 전에 식사를 한번더 하기도 한다. 라마단 월 마지막 날 에 이뤄지는 축제를 이드 알-피트르라고 부르며 보통 3일간 지속된다. 이 축 제 기간에는 새 옷을 입고 친구들과 친척들을 방문하며 가난한 이들에게 돈이 나 물건을 나누어 주는 것이 관례이다. 남녀를 불문하고 모든 무슬림은 평생 한번 이상 정해진 기간에 메카와 메 디나 순례(Hajj)를 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이것을 대 순례라고 하며 정 해진 기간이 아닌 경우에 메카 순례를 하면 이를 소 순례라고 한다. 이슬람력 12월 10일에 이뤄지는 축제를 이드 알-아드하라고 하며, 4일간 지속된다. 이 축제의 이름은 순례 종료를 기념하기 위해서 희생양(또는 염소)을 바치고

684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먹는 관습과 관련되어 있다.

아프리카•중동

 생활예절

리비아인들은 서로 인사할 때 악수하는 것을 좋아하고 집안 식구 모두의 안부를 물어보며 오랜만에 만났을 경우 반가운 표시로 양볼에 키스하는 등 적 극적인 친근감을 표시하나, 유럽, 아시아 등 외국인들에 대해서는 악수를 나 누는 정도로 인사를 교환한다. 여성들은 이슬람 계율에 따라 외출시 히잡이라 불리는 천으로 머리카락을 감싸고 다니며, 일반적으로는 외부인의 가정 방문 을 꺼리나 손님을 초대했을 때는 최대의 환대를 베푼다. 리비인의 가정에 초 대를 받은 경우 조그만 선물을 가져가는 것이 좋으며, 주인은 손님이 차려 놓 은 음식을 많이 먹을수록 좋아한다.  금기사항

리비아에서 남의 여자나 부인을 쳐다보거나 접근하는 것은 금기사항이다. 유일신을 신봉하므로 다른 종교를 이야기하거나 이슬람의 문제점 등을 화제 로 삼지 말아야 한다. 아울러 리비아인들은 자존심이 강하고 낙천적이므로 문화가 뒤떨어졌다거나 못산다고 비판하는 언행은 삼가야 한다. 또한, 리비아 인들은 다혈질적이고 변덕스러우며 남의 일에 관여하기 좋아하는 면도 있으 므로, 사소한 말다툼으로 곤욕을 치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마약·음주 는 적발시 매우 엄격하게 처벌을 받으며, 라마단 기간 중에는 사람들의 신경 이 예민해져 운전이 난폭해지고 사소한 일에도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 로 운전 및 대화 등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685


10 현지 연락처 (1) 긴급 연락처 ■ Ghout Shaal 경찰서(주리비아한국대사관 관할지역):(021)483-5255 ■ 소방서:(021)444-8111~5 ■ 응급환자(앰뷸런스):(021)350-2141~4 ■ 중앙우체국:(021)361-9011 ■ 트리폴리박물관 :(021)333-0292

(2) 의료기관(트리폴리 소재) 연락처 ■ Central Hospital:(021)360-5001 ■ Medical Center:(021)462-3701 ■ Metiga Hospital:(021)350-2325 ■ El Khadar Hospital:(021)490-0753 ■ Tajura Cadiac Hospital:(021)369-0511 ■ Optical Hospital:(021)340-3047~50

(3) 대사관 연락처 ■ 대사관 주소: P.O. Box 4781/5160 Abounawas Area, Gargaresh Street, Tripoli, Libya ■ 주튀니지 임시사무소 : ‌ Chaabouni Monef Res Corth C VB AP04, Gammarth, Tunis ■ 주튀니지 임시 사무소 연락처 •(216) 23 640 086 •(216)0 50 598 680

686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 주튀니지 임시 사무소 근무 시간외 비상연락처

아프리카•중동

•(216) 22 575 924

11 기타 (1) 날씨 리비아는 광대한 국토에 높은 산맥이나 산악지형 등 장벽이 거의 없이 지 중해와 사하라사막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는 기후를 가지고 있어 일기변화 가 매우 심한 편에 속한다. 해안지역은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로 겨울철 (12월~2월, 우기)에는 비가 많고 강한 바닷바람으로 인해 기온이 빙점 가까 이 내려가는 경우도 있으며, 여름철에는 고온저습한 건기로 트리폴리 등 서부 해안지역(Tripolitania)은 40℃~45℃까지 기온이 상승하는 반면 동부해안 지역(Cyrenaica)은 27℃~32℃로 비교적 시원하나 습도는 높은 편이다. 리비아 내륙의 페잔(Fezzan)지역은 사막기후로 연간 강우량이 10mm를 넘지 않아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극히 한정된 지역에만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 으며, 낮에는 기온이 50℃이상으로 상승하고 밤에는 여름철에도 10℃이하로 내려가 일교차가 매운 심한 편이다.

(2) 교통정보  대중교통

대도시에는 개인택시와 합승택시가 운행되고 있다. 시내버스는 운행회수 가 적고 구간이 짧아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역할이 미미하며, 시외버스는 인근 국가를 왕래하는 직행버스와 리비아 내 각 도시를 연결하는 버스가 있으나 차량이 노후화된 편이다.

687


 도로교통

리비아는 대중교통수단이 미미하고 휘발유 가격이 저렴해 개인차량을 많 이 이용하고 있는 관계로 도시지역은 도로교통이 혼잡한 편이다.

(3)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리비아는 안전을 우선시하는 운전문화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운전자 중 상 당수가 습관적으로 과속 및 난폭 운전을 일삼고 있으므로, 외국인 운전자는 차량운전시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방어운전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교통신호 등, 횡단보도, 육교 등 도로교통인프라가 열악한 점도 안전하고 선진적인 도로교통시스템 구축 및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4) 기타  한국과의 시차

한국이 7시간 빠르다.  전력사용현황

사용전압은 230V이나 50Hz로 우리나라와의 차이가 있어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제품은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언어

아랍어(공용어)  환전

리비아 디나르(Dinar)만 통용 ※ 환율:US$1 = 1.3LD(2015년 12월 기준)

688

2015 지구촌 한류현황Ⅱ


리비아

 통신

아프리카•중동

■ 우편 소지역 단위로 우체국이 있으며 근무시간은 대개 07:00~14:00이며, 우편 배달원이 없기 때문에 사서함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다. 2011년 리비아 내전 으로 인해 현재 한국-리비아간 일반우편은 불통상황이고 DHL 등 특급우편 서비스만 이용이 가능하다. ■ 전화 공중전화는 전화국(우체국)에 설치된 공중전화기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국제전화를 희망하는 외국인 방문자는 시내 곳곳에 설치된 전화국을 이용할 수 있다. 각 가정에서 D.D.D를 이용하거나 국제전화카드를 이용해서 한국으 로 전화할 수 있으나 국제전화요금이 상당히 비싸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 인터넷 사용 현황 트리폴리 시내에서는 전화회선을 이용한 ADSL, 무선망을 이용한 Wimax, 위성인터넷 등의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나 리비아의 기간인터넷망의 용량이 적어 인터넷 속도가 느리고 인터넷요금이 비싼 편이다.

689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