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e
April 2013
w
s
l
e t
t
e
r
Vol. 22 No.2
4월 주요행사
April KF Activities
출간도서 소개 New Publications
KF 인터뷰 KF Interview
국제교류자원봉사망 뉴스 KF Volunteer Network News
1
4월 행사 APRIL KF ACTIVITIES 공연 Performance
2013 한국국제교류재단 봄 정기음악회
4/17, 8pm
2013 Korea Foundation Spring Concert 금호아트홀 Kumho Art Hall KF 문화예술교류부
Culture & Arts Department, KF 02) 2151-6520 / www.kf.or.kr 스테이지원 Stage One 02)780-5054 무료 Free * 참가 신청방법은 추후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될 예정입니다.
* Details on how to apply will be announced later through the KF homepage.
2013년 한국국제교류재단 봄 정기음악회가 4월 17일 저녁 8시 금호아트홀에 서 개최됩니다. 한-오스트리아 수교 5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되는 이번 음악 회는 클래식의 본고장인 오스트리아 연주자들과 한국인 연주자의 협연무대로 꾸며집니다. 오스트리아 리히텐탈 트리오의 한국계 피아니스트 디아네 바알, 바이올리니스트 사스키아 록첵과 한국의 첼리스트 김민지가 베토벤, 모차르 트, 멘델스존 등의 곡을 연주할 예정입니다.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젊은 연주 자 3인이 꾸미는 이번 공연은 음악을 통해 양국 간 우정과 화합을 다지는 기회 가 될 것입니다.
This Apr 17 at 8 pm, the Korea Foundation’s Spring Concert will be taking place at Kumho Art Hall. The event will bring together musicians from Korea and Austria – the homeland of classical music – to commemorate 50 years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Korean-born pianist Dianne Baar of Austria’s Lichtental Trio, violinist Saskia Roczek, and Korean cellist Minji Kim are scheduled to perform pieces by Beethoven, Mozart, Mendelssohn, and more. This international trio’s performance is sure to be a great occasion for bringing Korea and Austria closer together through music.
2
전시 Exhibition
FESTIVE DECORATIONS AROUND THE WORLD
4/3-6
세계의 축제장식
전 세계 곳곳에서 일 년 내내 벌어지는 다양한 축제의 모습을 보여주는 전시가 주한 대사부인회 주최로 4월 3일부터 6일까지 KF문화센터 갤러리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화려한 의상, 장인의 손길이 깃든 공예품, 악기, 음식 문화 등 각 지역 의 문화 예술이 다양한 지역 축제 및 종교행사와 어우러져 만들어진 축제장식을 소 개합니다. 브라질 카니발, 이탈리아 베니스 카니발 등 우리에게 익숙한 축제뿐 아니라, 산 자 가 죽은 자를 초대해 삶을 기념하는 멕시코의 죽은 자의 날과 같은 이색적인 축제 도 소개합니다. 많은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로 여기는 결혼식과 추수감사절을 비롯해 가톨릭, 개신교, 동방정교회의 최대 축일인 크리스마스와 부활절, 인도의 빛 축제 디파발리, 라마단 기간의 저녁식사인 터키의 이프타, 스리랑카의 석가탄신 일 웨삭, 스페인의 공현제, 세르비아의 슬라바 등 총 28개국의 주한대사부인들이 본국을 대표하는 축제장식을 선발했습니다.
1
2
본 전시에는 알제리, 브라질, 이집트, 엘살바도르, 인도, 아일랜드, 이탈리아, 케 냐, 쿠웨이트, 말레이시아, 멕시코, 모로코, 오만, 파키스탄, 파라과이,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르완다,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스리랑카, 튀니지, 터키, 영국, 미국(알파벳순)이 참여합니다.
Celebrations of national festivals take place around the world all year round. To show the nature of these festivities, the Spouses of the Ambassadors in South Korea will hold an exhibition Festive Decorations Around the World at the KF Cultural Center Gallery from Apr 3 to 6. A myriad of cultural and artistic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local, religious and secular festivals in the form of amazingly rich and colorful vestments, skillfully crafted objects and structures, musical instruments, delightful gastronomy and others will be shown. The exhibition not only presents familiar festivals like Carnival of Brazil and Carnival of Venice of Italy but also introduces unique the Day of the Dead which shows how Mexican celebrates life by building Altars for the Dead combining Aztec and Hispanic characteristics, where the living welcomes the souls of the dead. In many countries, weddings are considered very important ceremonial events. Thanksgiving festivals are usually associated with harvest season and are a time for joyful family reunion. Christmas and Easter are the most important events in the Christian calendar. Following Orthodox Christian tradition, Romania and Russia consider Easter as a very important holiday. India’s Deepavali or Festival of Lights, Turkey’s fast–breaking dinner in Ramadan, Sri Lanka’s Vesak, commemorating the birth of Buddha, Spain’s Epiphany and Serbia’s Orthodox Christian custom of honoring a patron saint, Slava will also be presented. The 28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is exhibition are: Algeria, Brazil, Egypt, El Salvador, India, Ireland, Italy, Kenya, Kuwait, Malaysia, Mexico, Morocco, Oman, Pakistan, Paraguay, Poland, Portugal, Romania, Russia, Rwanda, Serbia, Slovakia, Spain, Sri Lanka, Tunisia, Turkey,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3
4
1. Sugar Skulls for Dead Altar, Mexico’s Festive decoration 2. Mexican traditional art crafts 3, 4. Brazil brings exotic costumes from a samba school in São Paulo that honored 50 years of Korean immigration during the 2013 Carnival.
KF문화센터 갤러리 전시 관람안내
Visiting the Exhibition
KF문화센터 갤러리(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서관 2층)
KF Cultural Center Gallery (2nd fl., West Tower, Mirae Asset CENTER 1 Bldg.) 월-금 Mon–Fri 11am–8pm, 수 Wed 11am–9pm, 토 Sat 11am– 6pm, 일요일, 공휴일 휴관 closed
Sundays and public holidays
KF 문화예술교류부 Culture & Arts Department, KF
02)2151-6520 / kfcenter@kf.or.kr 무료 Free
3
강좌 Lecture
2013년 정기문화강좌 시리즈 I:
바로크, 로코코 이야기
2013 Cultural Lecture Series I: Baroque & Rococo KF문화센터는 ‘바로크, 로코코’를 주제로 서구문명사에서 국제교류가 활발했던 17~18세기 유럽의 사회·건축·예술 등을 다루는 세계문화 강좌를 개최합니다. KF 문화센터는 2006년부터 우리 국민의 다문화 이해를 돕고자 <이슬람 문화> 강좌를 시작으로 <월드뮤직>, <세계문화유산>, <르네상스 이야기> 등 세계의 역사와 문화 를 지역별, 시대별, 문화권별로 나누어 진행해 왔습니다. 이번 강좌는 작년 <지중 해 이야기>에 이어 유럽의 문화와 역사를 좀 더 넓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The KF Cultural Center is hosting a lecture series on the Baroque and Rococo periods, with talks on European society, architecture, and art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 especially rich period for exchange in the West. Since 2006, KFCC has been working to promote the Korean public’s understanding of world culture through lectures in which experts share their knowledge on various areas of world history, culture, and art. Topics in the past have included Islamic culture, world music, world cultural heritage, and the Renaissance. This latest event, which follows last year’s letcture series “Mediterranean Story,” is a wonderful chance to broaden your horizons on European culture and history. 일시 Date
3.26
강의주제 Topic 지중해 세계의 쇠락 The Decline of the Mediterranean World
4.2
바로크, 로코코 시대의 종교전쟁과 절대왕정 Religious Wars and Absolute Monarchy in the Baroque and Rococo Ages
4.9
바로크 시대의 광장과 궁전 Squares and Palaces of the Baroque Era
4.16
바로크, 로코코 시대 주요 건축물 Major Structures of the Baroque and Rococo Eras
4.23
유럽의 17~18세기 미술 European Art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3/26-5/28 매주 화요일 Every Tuesday 7pm-9pm KF문화센터 세미나실(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서관 19층) KF Cultural Center Seminar Room (19th
fl., West Tower, Mirae Asset CENTER1 Bldg.)
KF 문화예술교류부 Culture & Arts Department,
KF 02)2151-6520 / kf_lecture@kf.or.kr
강사 Speaker 김응종 충남대학교 사학과
Kim Eung-jong Professor of Histo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김란수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Kim Ran-soo Professor of Architecture, Myongji University
이은기 목원대학교 미술교육과
Lee Eun-gi Professor of Art Education, Mokwon University
김길웅
4.30
5.7
근대화를 둘러싼 두 논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Two Discourses on Modernization: Classical and Romantic
바로크, 로코코 시대 음악가들의 예술세계와 비하인드 스토리 World of Art and Music during the Baroque and Rococo Eras
성신여자대학교 독어독문과
Kim Kil-woong Professor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김영옥 수원대학교 작곡과
Kim Young-ock Professor of Composition, Suwon University
우수진
5.14
5.21
신고전주의 연극과 멜로드라마 Neoclassicism and Melodrama
바로크, 로코코 시대의 실내공간과 장식 Interior Layout and Decoration during the Baroque and Rococo Eras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
Woo Su-jin Professor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Yonsei University
천진희 상명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Chun Jin-hie Professor of Interior Design, Sangmyung University
이영관
5.28
4
바로크, 로코코 시대 이후의 사회상 Influences of the Baroque and Rococo Eras on Society
순천향대학교 국제문화학과
Lee- Young-gwan Professor of International Cultural Studies, Soon Chun Hyang University
해외행사 Overseas Events
독일 프랑크푸르트 실용예술박물관 한국현대디자인전-KOREA POWER
4/26-8/25
KOREA POWER, Frankfurt Museum of Applied Art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지원하는 《한국현대디자인전-KOREA POWER》가 4월 26일부 터 8월 25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 실용예술박물관에서 개최됩니다. ‘역사적 개 요’, ‘현대의 섬들’, ‘변화하는 정체성’ 총 3개의 테마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한국 근현대 산업디자인 제품들과 광고, 포스터, 서적 등 그래픽 아트를 연대순으로 전 시해 ‘한국의 정체성’을 담아낼 예정입니다.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정체 성이 발현되고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특히 이번 전시 는 2012년 6월 27일부터 9월 9일까지 재단이 주최한 《독일박물관 소장 한국유물 특별순회전》의 후속 연계전시로, 지난 전시가 독일 대중에게 신라에서 조선까지 한국의 전통적인 모습을 소개했다면, 금번에는 근현대 한국의 역동적인 모습을 보 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 전시와 더불어 관련 공연 및 강좌가 마련돼 현지인들에게 한국의 다양한 면모를 선보입니다.
The KOREA POWER exhibition will be taking place from Apr 26 to Aug 25 at the Museum of Applied Art in Frankfurt, Germany, with support from the Korea Foundation. Focusing on three themes–“Historic Overview,” “Islands of Contemporary,” and “Changing Identities”– it captures Korean identity through a chronicle of the country’s modern industrial design, including products, advertisements, posters, books, and more. This is a great opportunity to learn how Korean identity has been expressed and transformed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It is also a follow-up to KF’s 2012 special touring exhibition Korea Rediscovered–Treasures from German Collections (June 27–Sept 9, 2012). While the focus for that exhibition was on introducing examples of Korean tradition from the Silla to Joseon eras to the German public, the latest offers a glimpse at a more dynamic modern and contemporary environment. Performances and lectures will also be available to help German visitors discover the diversity of Korea.
문의 Inquiries cultural@kf.or.kr
2013 보스턴유엔협회 Consuls Ball 한국 주빈국 행사
4/26
2013 Consuls Ball, UN Association of Greater Boston
4월 26일 미국 보스턴유엔협회가 주관하는 Consuls Ball 행사에 한국이 주빈국으로 참가합니다. 매년 한 나라를 주빈국으로 하여 그 나라의 공연예술, 음식, 의상 등을 소개하는 본 행사에는 보스턴 현지 외교단 및 정치, 경제, 문화예술, 학술 분야 주요인사들 이 참석합니다. 보스턴 페어몬트 코플리 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되는 올해 행사는 한국국제교류재단 지원으로 한국의 문화예술을 소 개하는 기회가 마련됩니다.
The Consuls Ball of the United Nations Association of Greater Boston will be organized on Apr 26 featuring a special recognition of Korea. This event selects a different country every year and shares its performing arts, food, costumes, and more. Attendees include local delegation members in the Boston area and major figures from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rtistic, and academic communities. This year’s ball will be held at the Fairmont Copley Plaza Hotel in Boston and feature examples of Korean culture and art, with support from the Korea Foundation. 문의 Inquiries cultural@kf.or.kr 5
인사초청사업 Invitation of Distinguished Individuals
학계 해외인사 초청
4/22-27
Inviting Overseas Scholars & Intellectuals 한국국제교류재단은 4월 22일~27일 5박 6일 동안 15개국 22명의 해외석학, 학계 해외인사를 초청합니다. 이번 방한일정 동안 초청 인사들은 주요 대학, 한국교육개발 원, 국립국제교육원 등 한국의 주요 교육개발기관 등을 방문하고, 우리 학계 인사들 과 상호 관심분야에 대해 관련 지식을 공유하며, 학계 분야에서의 국제교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The Korea Foundation is inviting 22 great scholars and intellectuals from 15 countries for a six-day visit on Apr 22–27. During their stay, they will be stopping at major universities,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other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hare related knowledge on significant area of interst each other and promote 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한국학 증진 Support for Korean Studies
2013 핀란드 한국어말하기 대회
4/26
2013 Korean Speech Contest in Finland 주핀란드대한민국대사관과 투르크대학교 동아시아센터가 공동주최하는 ‘2013 핀란 드 한국어말하기대회’가 4월 26일 투르크대학교 본관 제2강당에서 개최됩니다. 이 번 대회는 한국어말하기대회와 더불어 판소리 등 다양한 문화공연도 함께 진행돼 핀 란드 내에 한국을 알리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동기부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핀란드 투르크대학교 본관 제2강당
Second auditorium, main building, University of Turku, Finland KF 한국학사업부 Korean Studies Department,
KF 02)2046-8581 / jechoi@kf.or.kr
출간도서 소개 New Publications
The Embassy of Finland, Seoul, and the University of Turku Centre for East Asian Studies are joining forces to organize a 2013 Korean Speech Contest in Finland at the university’s second auditorium on Apr 26. The event will also feature performances of pansori and other music, helping to share Korea’s culture with Finnish audiences and motivate Korean language students.
<Koreana> 2013년도 봄호 발간 Spring 2013 Edition of Koreana 한국의 문화 예술 전문 종합 계간지 <Koreana>는 특정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 는 ‘특집 칼럼’을 포함해 한국의 문화, 예술, 인물, 문학, 자연환경 등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1987년 영문판 창간을 시작으로 스페인어, 일어, 중국어, 독어, 불어, 러시아어, 아랍어, 인도네시아어 등 총 9개 국어로 연간 75,000부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서울’을 특집 주제로 역사 고도 서울의 기원과 미래,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은 ‘강남 스타일’의 강남, 전후에 상경해 지금까지 서울 에 살아온 어느 필자의 서울 이야기, <이코노미스트> 서울 특파원의 눈에 비친 오 늘날의 서울, 그리고 서울의 주요 역사적 사실들을 소개하는 칼럼을 실었습니다.
웹진 및 e-book 주소 Web Version & e-Book
www.koreana.or.kr
문의 Inquiries KF 미디어홍보센터 Media and Public Relations
Center, KF 02)2151-6543 / koreana@kf.or.kr 6
Koreana is a quarterly journal that offers information on a diverse range of topics in Korean culture, arts, people, literature, and nature, with featured columns in each issue highlighting a specific topic. Since its first Englishlanguage edition was published in 1987, it has been made available in a total of nine languages (including Spanish, Japanese, Chinese, German, French, Russian, Arabic, and Indonesian), with 75,000 copies printed each year. The latest edition features the city of Seoul, including the origins and future of the historic capital, the Gangnam neighborhood (now world famous from the song “Gangnam Style”), a contributor’s experience of living there since the post-Korean war era, reflections of the contemporary city by a Seoul correspondent for the Economist, and a wealth of valuable historical facts.
7
사진과 어린이 책 일러스트 작가 앤 제임스 인터뷰 호주의 얼굴:
Faces of Australia: Photographs and Children’s Book Illustrations
Ann James of Books Illustrated, Melbourne 유머러스한가 하면 세밀하다. 알록달록 생동감이 넘치는가 하면 파스텔 톤의 그윽한 분위기가 풍긴다.
KF문화센터 갤러리에서 3월 7일까지 열리는 《호주의 얼굴》 전시회장을 둘러보며 든 생각이다. 개막식 직전, 전시회의 공동주최자이자 출품 작가이기도 한 앤 제임스를 만났다. 올해 예순하나인 그는 20년 넘게 동심의 세계에서 살아온 덕분인지 눈이 반짝반짝 빛나는 것이 동화 속의 지혜롭고 착한 할머니 같은 인상이었다. 전시회 성격에 대해 물었더니 자부심에 찬 답이 흘러나왔다. 세계적 아동도서전인 볼로냐아동도서전에 지난해 출품한 전시를 옮겨온 것이다. 호주 아동문학계관작가 앨리슨 레스터의 삽화를 비롯해 호주 대표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최근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일러스트레이터로 알려진 그가 이번 전시회에 관여하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10년간 미술 교사로 활동하다 1988년 앤 해이든과 함께 멜버른에서 어린이 책 전문서점이자 갤러리인 북스일러스트레이티드를 열었다. 북스일러스트레이티드가 이번 전시회의 공동주최처가 되어 작품 선정 에 참여하게 됐다. “그림을 통해 이야기와 아이들을 연결해주는 작업이 흥미롭고, 아이들을 좋아해서” 본격적인 일러스트 레이터로 활동한 지 25년, 그는 70여 권의 책을 출간했다고 한다. 자신의 대표작으로 『아기낙타 험프 티』, 『캄캄한 밤에 아기들은 무엇을 할까?』, 『나는 더러운 공룡』을 꼽았는데 그의 작품세계에 반한 영 국 작가가 직접 요청해 작업한 적도 있다고 했다. 보통은 출판사 편집자의 요청을 받아 작업을 하는데 한국 출판사의 의뢰도 있다고 귀띔했다. 글 작가를 거의 만나지 않는다는 그에게 일러스트의 아이디어를 어떻게 얻는지 물었다. 꼬집어 말하긴 힘들지만 좋은 일러스트는 스토리를 잘 전달하는 것이라 믿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이야기 내용 자체에 충실하려고 한다. 그리고 다른 작가의 전시회도 열심히 보러 다닌다. 한국 일러스트레이터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할까. 많이 보지는 못했지만 한국 일러스트의 수준은 아주 높다. 볼로냐아동도서전에서도 여럿 수상한 것으로 안다. 기억나는 작가로는 미국에서 활약하는 이수지가 떠오른다. 일러스트레이터로 오래 활동하다 보면 스스로 글을 쓰고 싶은 욕심이 들지 않나 싶어 슬쩍 떠봤더니 손사래를 친다.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티스트와 작가의 길은 서로 다르다. 게다가 호주 각지에서 순회전시회를 하면서 갤러리 운영에도 관여해야 해서 너무 바쁘다. 솔직히 5년 전에 소설을 써보려고 시도한 적이 있 었는데 몇 달 쓰다가 내버려둔 상태다. 지난해만 세 차례나 호주 각지를 돌며 순회전시회를 가졌다니 작품 활동하랴 전시회 준비하랴 ‘딴생각’ 할 틈이 없어 보이긴 했다. 게다가 그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워크숍 활동에도 열심이어서 중국, 한국 등도 여러 차례 방문했다고 한다. 한국 방문도 이번이 여덟ㅇ번째로 작년에는 파주 출판단지에서 개최 된 ‘북소리 페스티벌’에 참여해 워크숍을 열었다. 이번에도 어린이와 일러스트레이터 지망생을 위한 두 차례의 워크숍을 가질 예정인데, 참가 희망자가 많다는 한국국제교류재단 실무자의 귀띔에 기대에 찬 표정이었다. “책 일러스트는 기본적으로 미술의 한 분야인 동시에, 이야기의 감동을 키워주고 이해를 돕는 이미지를 만드는 일이어서 늘 도전하는 느낌”이라는 앤 제임스. 번뜩이는 재치와 미소를 자아내 는 아름다운 터치로 유명한 그의 작품세계의 비밀을 엿본 느낌이었다. 8
김성희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겸임교수
Kim Sung-hee Adjunct Professor of Communication & Media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F 인터뷰 KF Interview
Humorous but meticulous. Swirling with vivid colors, rich with mellow pastel tones. Those were my impressions while viewing the works on display at the Faces of Australia exhibition, staged through Mar 7, 2013 at the KF Cultural Center Gallery. Just before the event’s opening ceremony, I met up with Ann James, the well-known Australian illustrator who contributed a number of her works to this exhibition. James, who turns 61 this year, has been working in the children’s illustration world for more than two decades. With her sparkling eyes, she seemed every bit the friendly, wise grandmother right out of a fairy tale. On her pride in the quality of the exhibition: “I brought in works that were shown last year at the Bologna Children’s Book Fair, which is one of the world’s biggest children’s book events. You can see a lot of the top work from recent years, including illustrations by Alison Lester, one of Australia’s Children’s Laureates.” On how she came to take part in the exhibition as someone known for her illustrations: “I was an art teacher for 10 years until 1988, when Ann Haddon and I opened the children’s bookstore/ gallery, Books Illustrated, in Melbourne. Books Illustrated took part in the selection of works as co-organizer for this exhibition.” James has contributed to the publication of some 70 books in the 25 years since she started working in earnest as an illustrator–a career she chose because of her love of children and the enjoyment she gets from bringing stories and children together through pictures. Her best-known work includes the illustrations for Little Humpty, The Midnight Gang, and I’m a Dirty Dinosaur. She also recalled being asked to contribute to a project by a British writer who loved her work. Explaining that she typically works at the request of publishing company editors, James noted that she has received some inquiries from Korean companies. On how she comes up with illustration ideas even when she doesn’t have a chance to meet the writer: “It’s a bit tough to explain in words, but I try to stay true to the story. I believe that good illustrations are ones that convey the story clearly. I also travel around a lot to exhibitions by other artists.” Her thoughts on Korean illustration: “I haven’t seen much of their work, but what I have seen has been very high quality. I believe they won a number of prizes at the Bologna Children’s Book Fair. One who does come to mind is Suzy Lee, who is well known in the US.” On whether her career as an illustrator has inspired her to take up writing as well: “I’m not completely uninterested, but artists and writers work in very different ways. I’m also extremely busy with the gallery, which organizes a traveling book fair all over Australia. To be honest, I did try writing a book five years ago, but I gave up after a few months.” Last year, the traveling book fair made no fewer than three treks around the country, leaving James with little time to think about much else. She is also very busy with professional workshops, which have taken her to such places as China and Korea. Now in Korea for the eighth time, she recalled holding a workshop last year at the Booksori Festival at Paju Bookcity in Gyeonggi Province. During this visit, she is scheduled to conduct two workshops for children and aspiring illustrators. She seemed excited to hear from the KF staff about the large number of people who had registered to attend her workshop sessions. “At its root, illustration is a branch of the arts,” she said, “but it’s also always a challenge, because you’re creating images to spark children’s emotions and help them understand.” It was as though she was sharing the secret of her art–its characteristic sparkling humor, its knack for producing a smile.
9
| 한국문화교실 Korean Culture Class |
K-Pop 댄스배우기 – 싸이 ‘강남스타일’ / 정월대보름 ‘부럼깨기’ Learning K-Pop Dances: PSY’s “Gangnam Style” & Jeongwol Daeboreum “Nutcracking” K-Pop 댄스배우기 행사가 2월 23일 ING댄스아카데미에서 진행됐습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땀 흘려 배운 참가자들이 선생님의 당부처럼 ‘말춤’ 하나만큼은 제대 로 출 수 있으리라 기대해봅니다. 24일에는 정월대보름에 ‘부럼깨기’를 할 수 있도록 서로 부럼을 나누고 연하장을 주고받았습니다.
A K-Pop dance workshop was held on Feb 23 at the ING Dance Academy. After an intensive session with PSY’s “Gangnam Style,” the participants should be able to horse dance with the best of them, as their teacher hoped. The following day, the event finished with an exchange of New Year’s cards and nuts for the traditional “nutcracking” on the Jeongwol Daeboreum (first lunaryear full moon) holiday.
KFVN 기자 정주희 | by Chung Ju-hee
| 기획행사팀 Planning & Events Team |
한국에서 만나는 세계 - 말레이시아, 인도 편 Meeting the World in Korea: Malaysia and India 3월 ‘한국에서 만나는 세계’는 청운아동복지관을 찾아가 인도와 말레이시아를 알리 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인도의 아미트 씨 부부는 인도에 대한 열정적인 강의를 펼쳤고, 아이들과 함께 전통음식 사모사를 맛보고 인도식 보드게임을 즐겼 습니다. 말레이시아의 윌리엄 씨는 인사말 배우기, 말레이시아 국기 색칠하기, 전 통놀이 등을 준비해 알찬 시간을 보냈습니다.
For this March, Meeting the World in Korea visited the Cheongun Children’s Welfare center for a meaningful experience with some visitors from India and Malaysia. Amit, from India, gave an enthusiastic talk on his country, made traditional samosas with the center’s children, and shared Indian board games. William, from Malaysia, taught some local greetings, led the children in coloring in a Malaysian flag, and introduced some traditional games. It was a rich experience for everyone.
KFVN 기자 나종태 | by Na Jong-tae
퀴즈 “한국에서 만나는 세계” 는 매월 퀴즈를 통해 독자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Meeting the World in Korea holds a monthly quiz to share its activities with more of our readers. Q 한국에서는 ‘만두’, 이탈리아는 ‘라비올리’, 터키는 ‘만티’라고 부르는
이 음식을 인도와 네팔에서는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Korea has mandu, Italy has ravioli, and Turkey has manti. But what is this form of food called in India and Nepal? 3월호 정답 발표
Answers to the March Quiz
문제의 정답을 이름, 연락처와 함께 이메일(kfvngood@naver. com)로 보내주세요.정답은 다음 달 뉴스레터에서 확인가능하며, 퀴즈 정답자는 개별통보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Send an email with the correct answer, your name, and your contact information to kfvngood@naver.com. The correct answer will be given in next month’s newsletter. The winning entry will be announced separately. We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Q. 고대 로마에서는 1월이 아닌 이 달이 한 해의 시작이었다고 합니다. 로마 ‘전쟁의 신’ 마르스의 이름을 딴 이 달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In Ancient Rome, the New Year didn’t start on January 1. In what month did it fall? It takes its name from Mars, the Roman god of War.
A. 3월 (March)
10
Quiz
국제교류자원봉사망 뉴스 KF Volunteer Network News
새롭게 선출된 교육홍보팀, 기획행사팀 팀장과 부팀장 간단포부! KFVN’s New Education & Publicity/Planning & Events Team Directors & Deputy Directors Speak Out! 교육홍보팀 팀장, 부팀장 이름이 공교롭게도 모두 ‘혜미’인 관계로. 전국의 혜미 씨 언제나 환영! By coincidence, the director and deputy director of the Education & Publicity Team are both named Hye-mi. We always welcome Hye-mis, wherever they’re from! 최혜미 졸업 후 처음으로 직급이 아닌 멋진 직책을 갖게 됐어요. 칼 같은 시간 관념과 바다 같은 포용력 그리고 햇살 같은 따뜻한 마음으로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김혜미 새로운 친구를 만나는 즐거움과 진심 어린 위로를 나누자는 초심을 잊지 않고 올해도 신명나게 봉사하렵니다. Choi Hye-mi It’s a great first job after graduation, even if it doesn’t have a salary rank. I plan to be as sharp as a tack with time management, as all-embracing as the sea, and as warm as the spring sunshine! Kim Hye-mi I want to have a great time volunteering this year and never let myself forget the way it felt the first time I made new friends and helped others through volunteering.
기획행사팀 따뜻한 기획행사로 여러분을 찾아가겠습니다. The Planning & Events Team plans to bring you some heartwarming activities in the coming year. 김보경 봉사하면서 봉사 받는 기획행사팀 함께 만들어요. 모두 행복하세요! ^^ 김지연 아이들의 환한 웃음 속에서 함께 커가는 행복을 팀원들과 나누는 한 해를 만들겠습니다. Kim Bo-kyung We’re creating the kind of Planning & Events Team that gets as much out of serving as the people we serve. I hope everyone has a wonderful time! ^^ Kim Ji-yeon This is going to be a year about sharing the happiness of smiling children with the other team members.
2013년 4월 일정 안내
KFVN Events To Be Held in April
일시 Dates
4.13 4.20 4.27
KFVN 기자 김효은 | by Kim Hyo-eun
주제 Topic 교육홍보팀 - 제 61기 소양교육 | Education & Publicity Team, 61st Training 기획행사팀 - 특별행사(폼아트) | Planning & Events Team, Special Event (Foam Art) 한국문화교실 – 봄소풍 | Korean Culture Class, Spring Picnic * 자세한 사항은 kfvngood@gmail.com으로 문의바랍니다. | Email kfvngood@gmail.com for more details.
한국어교실 프로그램 Korean Language Classes 시간 Time
월요일 Mon
4-6 pm
7-9 pm
수요일 Wed
금요일 Fri
한글반 l Hangeul 중급3반 l Intermediate 3 예비고급반 l Pre-Advanced 초급1-A반 l Beginner’s 1-A 초급1-B반 l Beginner’s 1-B 초급3-B반 l Beginner’s 3-B
중급1반 l Intermediate 1 중급2반 l Intermediate 2 고급반 l Advanced
- 한국어교실의 수강료는 무료입니다. 다만 교재는 본인이 구입해야 합니다. (한국어교실은 “열린 한국어” 교재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 각 반별 수강생은 20명으로 제한합니다(고급반은 제외). - 수강신청자는 레벨테스트를 받아야 합니다. 레벨테스트는 KF문화센터 세미나실(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서관 19층)에서 실시됩니다. - 자세한 사항은 volunteer@naver.com 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초급2-A반 l Beginner’s 2-A 초급2-B반 l Beginner’s 2-B 초급3-A반 l Beginner’s 3-A
- The Korean Language Class is offered free of charge. However, students are required to purchase textbooks. (Classes will be using the Yeollin Korean textbooks.) - The class size is limited to 20 students. (Advanced Class excluded.) - Applicants must take a level test. The test will be held in the KFCC Seminar Room (19th fl., West Tower, Mirae Asset CENTER 1). - Email volunteer@naver.com for more details.
2013 레벨테스트 일정 Level Test Schedule 3.29(금) / 5.13(월) / 6.26(수, 28일 수업 없음) / 8.12(월) / 9.30(월) / 11.13(수) / 12.27(금, 30일 수업 없음)
Friday, Mar 29 / Monday, May 13 / Wednesday, June 26 (no class on June 28) Monday, Aug 12 / Monday, Sept 30 / Wednesday, Nov 13 / Friday, Dec 27 (no class on Dec 30) 11
안내 Notice
Connecting People, Bridging the World Korea Foundation
세계와 소통하는 국제교류 선도기관
KF Homepage
Koreana
한국국제교류재단
Korea Focus
KF Facebook
경부고속도로 Gyeongbu Expressway
한국국제교류재단 137-863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58 외교센터 10층
137-863 10th fl., Diplomatic Center Building, 2558 Nambusunhwanno, Seocho-gu, Seoul
하나은행 Hana Bank 서초IC Seocho Interchange 예술의전당 Seoul Arts Center
• Tel:
02) 2046-8500 02) 3463-6075 • E-mail: webmaster@kf.or.kr • Homepage: www.kf.or.kr
양재역 3호선 12번출구 Yangjae Stn., Line 3 12 외교안보연구원 Institute of Foreign Affairs & National Security
한국국제교류재단 Korea Foundation
• Fax:
KF Cultural Center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1호선 종각역 Jonggak Stn., Line 1 4 5 보신각
Boshingak
100-210 서울시 중구 을지로 5길 26 미래에셋 센터원 빌딩 서관 갤러리(2층), 세미나실(19층)
100-210 Mirae Asset CENTER 1 Building West Tower, 26, Eulji-ro 5-gil, Jung-gu, Seoul Gallery: 2nd fl., Seminar Room: 19th fl. • Tel:
02) 2151-6500, 2151-6520 • Fax: 02) 2151-6590 • E-mail: kfcenter@kf.or.kr
서초구청 Seocho-gu Office
신한은행
Shinhan Bank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 Korea Foundation Cultural Center 한화빌딩
Hanhwa Building
3
서울시청
4
Seoul City Hall
1 2호선 을지로3가역 Euljiro 3-ga Stn., Line 2
2호선 을지로 입구역 Euljiro 1-ga Stn., Line 2
페이스북 Facebook
트위터 Twitter
유튜브 YouTube
www.facebook.com/koreafoundation
@koreafoundation
www.youtube.com/user/thekoreafoundation
뉴스레터 등록번호: 서울라11191 | 발행일: 2013. 3. 25 | 등록일자: 2006. 6. 19 | 발행인/편집인: 김우상 | 디자인: (주)서울셀렉션 | 인쇄: (주)이펙피앤피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