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 Retail Magazine

Page 1


CONTENTS

RETAIL MAGAZINE VO L . 5 3 0 2020 A P R I L

COVER STORY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코로나19가 유통 현장의 풍경을 단번에 바꿔놓았다. 코로나19 확산에 임시 휴업에 돌입한 오프라인 점포들이 속출하고, 써봐야 산다며 체험 서비스를 늘렸던 매장들은 제품 시연이 나 시식 중단은 물론 외부 행사를 취소하는 등 판촉 활동을 멈춘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들이 건강과 위생에 더 신경 쓰며 기존의 소비패턴도 바뀌는 분위기다. 건강에 대한 투자는 늘고, 소비 활동을 집에서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이른바 홈코노미 (HOMECONOMY)가 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오프라인 유통업에 미치는 부작용은 크지 만, 언제까지 영업부진을 대외 환경 탓으로 돌릴 수만은 없다. 소매 불황기에도 고객을 이 끄는 것은 소매업의 영원한 숙제. 특히 유통업계는 건강과 위생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 와 함께 분위기 반전을 노릴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유통업계가 ‘건강을 제안 하는 매장’이라는 콘셉트를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➊ 소비패턴 및 유통채널 변화

24

➋ 건강・위생시장 확대 현황

28

➌ 일본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34

➍ 미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38

➎ 중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40

➏ 유럽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42

29

37

41


CONTENTS

RETAIL MAGAZINE VO L . 5 3 0 2020 A P R I L

SPECIAL REPORT 46

소비자 직판 모델 D2C 비즈니스 동향 제조업체들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D2C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온라인쇼핑 성장세에 맞춰 과거 브랜드 홍보 수단이나 직원 복지몰로 활용하던 자사몰을 리뉴얼하고, 다양한 혜택을 부여해 회원 수를 늘려가고 있다. 단독상품부터 다른 업체의 상품판매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출 시로, 유통업체를 통해서는 전달하기 어려웠던 브랜드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49

HOT SPOT 68

패션 전문점 ‘코오롱 을지다락’

68

STORE 52

52

지난 3월 수원 광교컨벤션복합단지에 문을 연 갤러리아 광교는 거대한 암석처럼 꾸며진 독특한 외관부터 시선을 강탈한다. 인스타그래머블 마케팅의 시대, 사진 찍기 좋은 공간을 연출하고 명 품과 유명 맛집을 대거 유치해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SNS 핫플레이스 등극을 노리고 있다.

58

편의점 | CU 건대경영관점 CU는 편의점의 기본 가치인 24시간 운영을 위해 고민했고, 그 결과 CU 바이셀프라는 새로운 포맷의 매장을 선보였다. 주간에는 유인, 야간에는 무인 형태로 운영되는 CU 바이셀프는 서비 스 업종 특성상 사람이 운영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론칭 2년만에 바 이셀프 매장 100호점을 오픈한 CU는 출입인증 방법을 늘리고 일반 매장에도 셀프계산대를 도 입하는 등 진입 장벽을 낮췄다.

59

62

63

백화점 | 갤러리아 광교

해외매장 | 퍼블릭스 슈퍼마켓 퍼블릭스는 여러 혜택을 통해 직원의 퇴사율을 낮추고 충성도를 높였다. 그 결과 직원 들은 고객에게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퍼블릭스는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 업의 ‘푸드앤드럭(FOOD&DRUG)’ 부문 1위를 차지했다. 고객에게 만족할 만한 쇼핑 경험을 제공 하면서도 일관된 기업 문화를 유지하는 퍼블릭스는 미국 여러 지역으로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CONTENTS

RETAIL MAGAZINE VO L . 5 3 0 2020 A P R I L

GLOBAL SPECIAL 82

글로벌 250대 소매기업 분석 딜로이트가 조사한 글로벌 250개 소매기업 리스트에서 아마존 순위가 3위까지 올랐다. 크로거 는 5위로 떨어졌지만 상위 10개사에 속한 기업 명단은 전년과 같았다. 업체 규모에 상관없이 신 기술 투자가 이뤄졌으며 인수합병도 활발히 진행됐다. 한편 아프리카・중동, 남미 지역의 소매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곳에서 영업을 하는 소매업체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82

BIZ INSIGHT 72

2020 유통 트렌드 | ➍ 복잡성 관리

74

성공을 부르는 본질 | ➓ 그로스해커 김봉진

78

빅데이터 분석 | ➋ 성공적인 데이터 수익화 전략

MERCHANDISING 96

글로벌 신제품 트렌드 | 프로바이오틱스 드링크

132

Brand New

90

GLOBAL 90

해외동향 | 일본의 디스카운트 SM ‘로피아’

126

해외통신 | 독일 - 드럭스토어 시장 현황

128

해외통신 | 일본 - 이즈미야의 GMS 부활 사례

131

해외동향 | 사진으로 보는 일본 유통매장 3월 판촉 아이디어

126

DATA 141

2020년 3월 대형마트 출점 현황

96


CONTENTS

RETAIL MAGAZINE VO L . 5 3 0 2020 A P R I L

FIELD STUDY 108

점장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점포 운영은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원들에게 운영 철학을 전달 하고 점포의 현황, 상품 및 행사정보 등을 전달하려면 직원들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야 한다. 또한 고객들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 내 모든 행위도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고객과 직원을 대상으로 한 점장의 커뮤니케이션법을 알아본다.

STORE GUIDE 101

판촉캘린더

102

카테고리별 판촉 계획

112

직원관리 | 인상 매니지먼트

108

STRATEGY 88

유통정보 | 농축수산물 유통정보 서비스 ‘KAMIS’

116

벤치마킹 | 미국 독립 소매점 운영 전략

122

벤치마킹 | 돈키호테만의 나홀로 성장 비결 ❶

88

WATCHING 20

글로벌 리테일 뉴스

21

국내 7대 뉴스

CULTURE & LIFE 117

134

기자 추천도서

135

신간소개

136

문화공연

137

편집후기 및 애독자 코너

NEWS 122

99

업계소식 | 유로샵 2020 개최

138

뉴스브리핑


WATCHING

1

글로벌 리테일 뉴스

테스코 모든 아시아 사업 정리

영국 테스코가 지난 달 태국 기반의 CP 그룹 에 자사 태 국, 말레이시아 사업을 10억 6천만 달러에 매각하는 데 합의했 다고 발표했다. 매각 은 테스코 주주총회 의 승인과 각국 정부의 인가를 거친 후 올해 하반기 내 완료될 예정 이다. 테스코는 지난 2월 중국합병회사 게인랜드(Gain land)의 보유 주식 20%를 합병기업인 화룬창업(華潤創業)에 매각하며 중국 시장 에서도 완전히 빠져나왔다. 태국, 말레이시아 사업까지 매각하면서 테스코 사업 영역은 영국, 아일랜드, 중앙 유럽으로 좁혀졌다.

3

2

중국 소매판매액 최초 감소

중국국가통계국이 지 난달 발표한 주요 통 계에 따르면 1~2월 기준 중국 소매판매 액이 전년 대비 20.5%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다. 중국에 서 소매판매액이 감 소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한 소비자들이 상 업시설, 음식점, 영화관 등의 이용률을 대폭 줄인 것이 원인으로 분 석된다. 이외에도 1~2월 기준 광공업생산도 전년 대비 13.5% 감소하 며 1990년 이후 30년만의 대폭적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실업률 역 시 2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마존, 온라인 주문 증가에 10만 명 추가 고용

아마존이 10만 명 추가 고용을 밝혔다. 코로나19 여파로 숙박업, 여행업, 외식업 등의 일자리가 줄어 들며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었다. 반면 온라인 구매는 폭증했고 상황이 정상화될 때까 지 아마존은 물류 처리를 위해 추가 고용 인원을 배송과 창고인력으로 투입한다. 전세계 80만 명 규 모인 아마존 직원은 90만 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아마존은 이번달 말까지 직원들의 시간당 임 금도 올린다.

4

5

이케아, 알리바바 티몰 입점

지난달 10일 오전 이 케아와 알리바 바가 티몰 입점 계약 체결 식을 가졌다. 티몰에 서도 이케아 오프라 인 매장 과 동일한 3,800여 개 제품을 판매하며 배달과 조 립 및 반품 서비스도 적용된다. 우선 상하이와 장쑤성, 저장성 및 안 후이성에서 시작됐으며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한편 이케아는 올해 제품 개발, 서비스 업그레이드, 디지털 혁신을 위해 100억 위안을 중국에 투자할 계획이다.

20

JC페니, 픽업 매장 50개 확장 계획

미국 JC페니가 온라 인으로 주문한 제품 을 픽업하는 ‘스타일 온 더 고(Style on the Go)’ 매장을 50개까 지 확장할 예정이다. 이 매장은 자동차에 서 내리지 않고 제품 을 픽업하는 ‘커브사이드 픽업(Curbside Pickup)’ 서비스다. 상품 구 입시 당일 픽업 또는 인근 매장 운송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픽업 매 장에 예약된 주차 공간에 주차한 후 설치된 표지판에 표기된 번호로 전화나 문자를 하면 직원이 차로 제품을 가져다준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국내 7대 뉴스

1

코로나19로 매장 영업시간 조정

지난달 코로나19 확산이 계속되면서 오프라인 유통업체 들이 매장 영업시간을 단축했다. 홈플러스는 대구・경북 지역 12개 점포에 대해 운영시간을 1시간 축소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7일 부터 전국 백화점과 아웃렛 영업 시간을 30분에서 1시간 30분 단축 했다. 스타필드 역시 기존 오전 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의 영업시 간을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로 2시간 단축했다. 이케아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케아도 지난달 5일부터 15일까지 축소 영업했다. 이같 은 결정은 입점업체의 부담을 완화하면서 직원과 고객의 감염 우려 를 고려한 조치다. 또한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객수가 줄어들면서 업체들이 비용 절감을 하기 위해서였다.

2

빅마켓, 6월부터 비회원제 전환

롯데마트의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 빅마켓이 오는 6월부 터 유료 회원제를 폐지한다. 기존 회원에 대해서는 회원비 잔여 금 액을 전액 환불해준다. 회원 탈퇴는 가입한 점포에서 가능하다. 롯 데마트는 코스트코를 제외하면 비회원제로 운영되는 국내 창고형 할인점 시장에서 연회비를 부담하는 구조로는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판단을 내렸다. 실제로 지난 3년간 빅마켓의 매출 성장률은 2017년 7.8%, 2018년 2.6%, 2019년 1.4%로 하락세를 이어왔다. 따라서 회 원제 폐지와 함께 많은 고객을 빅마켓으로 끌어들여 반등의 기회로 삼겠다는 것이다.

3

인천공항 면세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지난달 9일 인천공항공사가 인천공항 면세점 우선협상 대상자를 발표했다. 제1여객터미널 DF3(주류・담배) 사업권에는 신 라면세점이 선정됐다. DF4(주류・담배)에는 롯데면세점, DF7(패 션・잡화)에는 현대백화점면세점이 선정됐다. 하지만 대기업 사업 권 5곳 중 2곳은 참가 업체가 없거나, 기준 미달로 유찰됐다. 유찰 된 2곳 사업권에 대해서는 재입찰이 예정돼 있다. 중소・중견기업 사업권 3곳 중 DF8(전 품목) 사업권에는 그랜드관광호텔이, DF9(전 품목) 사업권에는 시티플러스가, DF10(주류・담배) 사업권에는 엔 타스면세점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선정된 업체들은 인천공 항과 계약 체결 후 특허청 심사를 받아, 오는 9월부터 공항 면세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를 최소화해 지역 생산물 소비 촉진 등 생산과 소비의 선순환 구조 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한편 롯데마트는 로컬채소 매장 중 전 상품 GAP 인증을 받은 상품만 취급하는 ‘GAP 로컬채소 전용매장’도 운 영하고 있다. 지난해 첫 점포를 열고 지난달 기준 60개 매장을 운 영하고 있는데, 올해 100개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반찬 떨어지면 대형마트로

6

일렉트로마트, 카메라 렌탈 서비스 시작

7

삼각김밥 사고 암호화폐로 결제

지난달 4일 홈플러스가 즉석 반찬 전문점 ‘삼청동식탁’을 론칭했다. 삼청동식탁은 나물, 무침, 볶음, 조림, 젓갈, 찌개, 구이 등 다양한 종류의 반찬을 온・오프라인에서 판매한다. 가정에서 소 량으로 조리하기 어려운 밑반찬부터 조리방법이 까다로운 반찬 그 리고 젓갈류까지 총 23종의 반찬이 준비됐다. 고객은 매장에서 조 리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주문시 고객이 원하는 시간대에 집으로 배송해준다. 오후 2시 20분 이전에 결제할 경우 퇴근 시간 에 맞춰 배송 받아 저녁식사로 먹을 수 있다. 삼청동식탁 서비스는 홈플러스 강서점과 잠실점, 홈플러스 스페셜 남현점에서 시범 운영 을 시작했고 상반기 내 80개 점포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마트 일렉트로마트가 지난달 11일부터 영등포점, 스타 필드고양점, 신제주점 등 7개 매장에서 ‘소니 카메라・렌즈 렌탈 서 비스’를 시작했다. 소니의 보급형 모델부터 1,600만 원을 호가하는 고급 모델까지 총 37종에 달하는 카메라 렌즈를 대여해준다. 또한 카메라 본체 10종과 각종 액세서리 15종을 원하는 기간만큼 대여해 사용하고 반납할 수 있다. 이마트가 카메라 렌탈 서비스를 시행하 게 된 계기는 1인 미디어가 발달함에 따라 대여용 카메라 수요가 증 가했기 때문이다. 대부분 카메라 렌탈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이뤄지 고 있기 때문에 일렉트로마트에서 직접 눈으로 보고 시연해볼 수 있는 오프라인 렌탈 니즈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일렉트로 마트는 앞으로 서비스 제공 매장을 확대해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집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롯데마트가 지난달 12일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역

CU가 지난달 3일 통합 결제 비즈니스 업체 다날과 업무 협약을 맺고 지난달부터 페이코인(Paycoin) 결제 서비스를 도입했 다. 페이코인 결제 서비스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로 동일 명칭의 암호화폐 페이코인을 사용한다. 암호 화폐 결제 앱인 ‘페이프로토콜 월렛(PayProtocol Wallet)’에 가입하 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결제시 페이프로토콜 월렛 바코드를 스

에서 소비하는 로컬채소 매장을 전 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로 컬채소 매장은 각 점포와 생산자가 직거래로 운영한다. 점포 반경 50㎞ 이내 우수생산자를 발굴해 점포에서 직접 주문하면 인근 생산

캔하면 되고, 결제 시점의 페이코인 환율에 따라 상품 가격이 환산 돼 차감된다. CU는 결제 수단을 다양화해 고객 쇼핑 편의를 높이 는 한편, 가맹점의 수수료 부담은 낮추기 위해 페이코인 결제를 도

자가 24시간 이내에 수확, 포장, 배송해주는 방식이다. 물리적 거리

입했다.

4

지역 채소는 지역에서 소비하자

2020 APRIL

21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치유 테마’로 소비 불씨 살려라 코로나19가 유통 현장의 풍경을 단번에 바꿔놓았다. 코로나19 확산에 임시 휴업에 돌입한 오프라인 점포들이 속 출하고, 써봐야 산다며 체험 서비스를 늘렸던 매장들은 제품 시연이나 시식 중단은 물론 외부 행사를 취소하는 등 판촉 활동을 멈춘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들이 건강과 위생에 더 신경 쓰며 기존의 소비패턴도 바뀌는 분위기다. 건강에 대한 투자는 늘고, 소비 활동을 집에서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이른바 홈코노미(Homeconomy)가 부상하고 있다. 코로나 19가 오프라인 유통업에 미치는 부작용은 크지만, 언제까지 영업부진을 대외 환경 탓으로 돌릴 수만은 없다. 소 매 불황기에도 고객을 이끄는 것은 소매업의 영원한 숙제. 특히 유통업계는 건강과 위생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 와 함께 분위기 반전을 노릴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유통업계가 ‘건강을 제안하는 매장’이라는 콘셉 트를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CONTENTS

22

1

소비패턴 및 유통채널 변화

2

건강・위생시장 확대 현황

3

일본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4

미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5

중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6

유럽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R E TA I L M A G A Z I N E


2020 APRIL

23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1 소비패턴 및 유통채널 변화

위기 속 가치 증명한 생활밀착 채널 이커머스는 D2C 전문몰 부각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국내 경제와 소비 패턴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국내 경우 소비자들이 외부활동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한동안 온라인 채널로의 쇼핑 플랫폼 전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재고 부족, 배송 제약 등의 한계로 인해 다시 슈퍼마켓,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채널로 소비 수요가 회귀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생활밀착형 채널의 역할이 부각됐다. 글 박지혁 전무・닐슨코리아 소매유통 사업부장

코로나19로 인한 국내외 경제 타격이 심각하다. 국내 첫

외출에 대한 제약과 공포심으로 온라인 채널 구매로 빠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1월 20일을 기점으로 마스크,

르게 전이됐다. 닐슨 옴니채널 인텔리전스(Nielsen

손세정제 등 초기 위생제품 중심으로 오프라인 채널 구

Omni-channel Intelligence)에 따르면, 1월 대비 2월의

매율이 높아졌으나, 확진자 확산이 두드러진 2월부터는

전체 온라인 구매건수는 28%, 온라인쇼핑 앱 이용 시간

도표 1 코로나19 사태 후 오프라인 대형 채널 품목별 매출 성장률 단위: %

요리 관련 품목

위생 관련 품목 생필품 두루마리 화장지

세척 관련 품목

+6

표백제 +3

다용도 세척제 +12

욕실 세척제 +19

김치

")* 천연조미료 패브릭 릭 스프레이 이

".)

액상비누

+5

+200

들기름

커피 관련 품목

바디 워시

")*

보관용기 관련 품목

+5

플라스틱 밀폐용기

비축형 상온 품목 HMR 냉동・냉장 품목 상온 개량숙면 +13

즉석국・탕・찌개

냉동피자

+44

+23

레토르트

+9

미곡 레토르트

+6

라면 +4

캡슐 프로덕트

+26

냉 냉동가스

+18

냉동 국・탕・찌개

+12

캔 캔커피

냉 냉동 후라이

+5

+12 냉동 핫도그

RTD 음료

+4

+4

자료 | 닐슨코리아 마켓 트랙(Nielsen Korea Market Track, Sales Value) 주 | 2019년 1~7주차 대비 2020년 1~7주차 기준

24

유리 밀폐용기

"(,+

R E TA I L M A G A Z I N E

+9 백 백스푸드

+2


1

소비패턴 및 유 통채널 변화

도표 2 코로나19 확산 전후 온라인 결제건수 증가율 단위: %

▒ 2019년 8~9주차 평균(1~7주차 평균 대비) ▒ 2020년 8~9주차 평균(1~7주차 평균 대비)

온라인 포함 채널

20.8 17.8

옥션

18.9

쿠팡

16.4

티몬

13.2

+8.2%P

13.1

위메프 지마켓

9.5

8.2

인터파크

5.1

5.4

11번가 이마트몰 롯데마트몰

전체 연령

20대

30대

40대

50대

홈플러스몰

자료 | 닐슨 채널 다이내믹(Nielsen Channel Dynamics) 주 |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8주차 기준 전후 비교

은 19% 이상 증가했다. 다만 온라인 구매 채널에서 위생

식생활뿐 아니라 재택근무 활성화와 관련된 수요도 증

및 재난 관련 품목의 재고 부족과 배송지역 제약 등으로

가했다. 이후에도 의자나 책상 액세서리 등 스마트 워킹

슈퍼마켓,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채널로 수요가 회귀하

관심사가 이어질 것이다. 그 외 홈 트레이닝, 온라인 동

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위기 상황 속 생활밀착형 채널의

영상 콘텐츠 및 플랫폼 확대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 구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독자와 사용시간도 급증하는 추세다. 이 같은 홈코노미

과거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등의 세계적 전염병 사례

(home+economy) 현상은 이전부터 주요 소비 트렌드로

로 유추해볼 때 금번 코로나19는 최소 6개월 이상의 단기

자리 잡아왔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고착화될 것으로 예

영향과 함께 2~3년 혹은 그 이상의 기간 동안 특정 트렌

상된다.

드를 고착시키는 장기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

특히 주목할 점은 기본 보완재 역할을 하던 카테고리

다. 특히 유통채널 변화뿐 아니라 소비자 생활습관, 소비

들이 일상 필수재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패턴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친 변화에 주목해야 할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비타민, 홍삼 등의 건강기능식품

것이다.

은 삼시 세끼 챙겨 먹듯 습관화되고 있고, 출퇴근 직장인 들의 가방에 손세정제, 핸드크림, 마스크가 필수 아이템

홈코노미 트렌드의 고착화

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반면 집에서의 시간이 늘어나면서

외출 자제가 일상화되고 ‘사회적 거리두기’ 현상이 확산

우울증,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니즈가 강해지고 홈 에스

되면서 집 안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가치도 높

테틱이나 뷰티용품 역시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갈 것

아지고 있다. 손세정제나 액상 비누, 마스크 같은 위생

이다.

관련 품목 성장이 두드러진 것과 동시에 요리 관련 및 보 관 용기 품목, 냉동・냉장 HMR, 즉석 국・탕・찌개 같은

비대면 소비의 확산 계기

비축형 상온 품목, 밀키트, 커피 캡슐 수요도 크게 늘어

코로나로 인해 전세계 이커머스 시장 지형이 빠르게 변

났다(도표 1 참고).

화하고 있다. 언택트, 즉 비대면 소비 선호와 관련 기술

2020 APRIL

25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도표 3 중국 물류・공급망상 변화 공급망

물류 빅데이터

직접 구매를 위한 업스트림 공급업체

크로스보더 배송의 효율 향상

신선식품 저장을 보장하기 위한 콜드체인 기술

즉각적인 재고 확인을 위한 창고 전면 배치

‘무접촉 물류’ 기술의 진화

지속적으로 삶에 침투할 가정 배달 서비스

블록체인

자료 | 닐슨 차이나 애널리시스(Nielsen China Analysis )

확산으로 온라인 유통이 주요 구매 채널로 자리 잡고 있

비 온라인 결제 건수 증가율이 특히 4050세대 이상에서

다. 특히 생애 첫 온라인 장보기로 중장년층의 신규 구매

가파르게 증가했다(도표 2 참고). 특히 그동안 온라인으

자 유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마트 장보기를 고수하

로 쉽게 사지 않고, 구매 주기도 짧은 정육, 우유, 계란

던 소비자도 당일, 익일 배송을 제공하는 온라인 장보기

심지어 생선회에 이르기까지 신선식품군이 다수를 차지

의 편리함에 빠져 코로나19와 상관없이 락인(lock-in)된

했다.

현상도 볼 수 있었다. 실제 구매 데이터를 봐도 전년 대

언택트 소비 확산은 명품 구매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 난 2월 국내 신용카드 지출액이 45% 감소했다. 특히 백 화점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는데, 명품 구매는 오히려 증

도표 4 VR 부동산 경험 사례

가했다. 특히 전체 소비는 줄어든 반면 온라인 직영 및 전문몰의 터치 포인트가 증가해 상대적 보상 심리가 프

VR로 방구하기: 집에서 방보기, 리얼한 실제 환경, 자유로운 인터렉션, 다양한 상황 체험

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공급 사슬 및 물류에 있어서도 기존 판도에 큰 변

비대면 방보기

화가 예상된다. 코로나19 사태로 이커머스 공급망의 한 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외지인들이 방을 구하기 위해 먼거리를 올 필요가 없습니다. 고글을 쓰고 현장에 와있는 듯한 체험을 해보세요!

계가 드러나고 있다. 신선식품 및 일부 생필품 중심으로 배송 지연, 배송 지역 제약, 품절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제조사와 소비자를 바로 연결하는 D2C(Direct to Consumer) 채널이 보다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전문 식품몰 확대가 대표적인 사례다. 물류에 있어서도 로봇이나 드론 배송처럼 언택트 배송 기술이 주목 받을 것이다. 그동안 사업성 이슈로 기술 발 전 대비 상용화가 더디었는데, 한층 고도화된 모델로 확

26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소비패턴 및 유 통채널 변화

도표 5 VR・AR 쇼핑의 확산

유통채널, 제조업체, 건축, 전시까지 사회 모든 분야에서 VR・AR을 활용한 쇼핑 및 체험이 필수 요소로 포지셔닝 유통채널

제조업체

건축・부동산

전시・박물관

비대면 유통채널인 롯데홈쇼핑뿐 아니라, 오프라인 대면 유통채널인 올리브영도 최근 VR 기술 적용한 신규 쇼핑 서비스 론칭

맥코리아는 뷰티 유튜버 조효진과 아시아 최초로 유튜브 AR 기술을 적용한 영상 공개

홍보관이나 견본주택 현장에서도 VR・AR이 적극 활용되면서, 대면홍보 보완재 차원에서 분양 마케팅의 필수요소로 자리 매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등은 문화 콘텐츠 쇼핑을 즐길 수 있는 VR 전시를 선보이며 온라인 관람 서비스 확대

•GS건설의 무등산 자이와 대우건설 매교역 푸르지오SK뷰 VR 견본 주택

•국립중앙박물관의 VR 전시 ‘가야본성’ 중 ‘피사석탑’

•올리브영 VR 스토어 사례

•MAC의 AR 뷰티 트라이온

•롯데홈쇼핑 VR 스트리트 서비스

콘텐츠 재생시 ‘테스트’ 버튼을 누르면 모바일 기기 전면 카메라가 구동되면서 유튜브 모바일 앱 내에서 AR 체험 가능

산될 계기가 형성됐다. 해외여행 제약 및 불안감으로 해

인화된 형태의 쇼핑을 가능하게 한다. 입체적인 정보 제

외 직구도 지속 성장할 것이다. 특히 전자제품이나 패션

공과 함께 구매 과정, 시간을 줄여줘 이번 사태 이후 다양

액세서리에서 다양한 식품이나 생필품까지 구매 경험이

한 기술 적용이 예상된다. 실제로 외신 뉴스들에 따르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이 2023년 AR 안경 출시를 위해 준비 중이라는 소 식이다. 이 같은 애플의 도전이 지난 수년간 유지된 스마

AR・VR 쇼핑 전환의 트리거 될까

트폰 중심의 쇼핑 폼팩터(form factor ; 하드웨어 외형)

코로나19로 인한 향후 변화 관련해 AR, VR 기술과 유통

변화의 트리거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본다.

채널의 융합을 빼놓을 수 없다. 일례로 부동산 방보기를

코로나19로 인해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면서 소비자들

VR(가상현실)을 통해 손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은 다양한

은 소극적인 구매 행동과 미니멀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속

유통채널로 확장 및 부각될 것이다(도표 4 참고). 특히

적으로 이어갈 수 있다. 집이나 제한된 공간에서 먹고 구

관광, 컨퍼런스,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 비대면

매하고 경험을 누리는 또 다른 세상이 구축되고 촘촘해

경험과 소통이 가능한 VR 기술이 대안으로 작용하고 있

진 물류망과 AR・VR, 신기술이 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다. 이는 결국 가구나 가전제품 같은 내구재를 시작으로

하게 될 것이다. 특히 유통업체와 제조업체는 소비 위축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VR 쇼핑의 트리거가 될 것으로

과 새로운 구매 행태 변화를 입체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예상된다.

이에 대한 단기 대응 및 중장기 전략 체계를 분리 구축하

AR(증강현실) 기술 역시 특정 장소에서 비대면 및 개

2020 APRIL

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27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2 건강・위생시장 확대 현황

바이러스 포비아가 휩쓴 소비시장 건강・위생 특수 이어져 전대미문의 전염병 사태로 전세계 경제가 대공황에 버금갈 정도로 패닉 상태에 빠져 있다. 국내 역시 대규모 감염이 진행되면서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예방 대책과 직접적인 연관 관계에 있는 ‘위생, 건강’ 시장은 꾸준히 규모를 키워가고 있다. 글 장소형 기자・love350748@koca.or.kr

지난 3월 1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바이러스감

1 위생용품 다변화 |

염증-19(이하 코로나19)에 대한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세분화된 위생 니즈에 살균제품 다양화

을 공식 선언했다. 국내 경우 1월 하순경 첫 번째 환자 발

코로나19가 비말, 신체 접촉에 의해 전염된다고 알려지

생 후 집단감염이 이어지면서 확진자 수가 급증하기 시

면서 개인 위생관리의 중요성이 커졌다. 위생관리에 대

작했다.

한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위생용품 종류가 세분화, 다양

코로나19의 위협적인 점은 찰나의 접촉에도 감염될 만

화되고 있다.

큼 전염성이 높다는 것으로, 장기화 조짐이 보이자 외출

코로나19 예방수칙으로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이 꼽히

및 타인과의 대면 교류를 극도로 억제하는 분위기가 심

면서 마스크, 손소독제 수요가 대폭 증가했고 공급이 이

화됐다. 외부활동을 자제하는 분위기와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 증은 소비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직접 매장을 찾는 대신 온라인쇼핑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언택트 소비 가 주요 트렌드로 떠오르기도 했다. 처음 국내에 코로나 19가 확산되던 시기에는 공포에 휩싸인 소비자들로 인해 마스크, 손세정제, 라면, 생수, 쌀 등 위생용품과 생필품 의 사재기가 성행했다. 사재기 폭풍이 지나간 후에는 소 비니즈가 ‘위생, 건강’에 집중되면서 유통・제조업계는 이를 공략하기 위한 특화 매장 운영 및 상품 확대에 나서 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확대되고 있는 ‘위생, 건강, 식품’ 관련 소비 시장 변화를 살펴본다.

28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생활용품 제조업체, 제약회사뿐 아니라 원브랜드숍,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등 뷰티업계도 손소독제 상품을 출시하며 시장 확대에 일조하고 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2

1

2

건강・위생 시장 확대 현황

1 위생습관 브랜드를 표방하는 휘아는 2030 여성층을 공략해 변기, 침구, 아웃도어 전용 살균 미스트 등 상황별로 최적화된 살균제품을 판매한다. 2 이마트 월계점은 최근 리모델링을 통해 특화존 ‘헬시 멀티숍’을 배치하고 건기식 전문 브랜드 GNC, 정관장 등을 한곳에 모았다.

를 쫓아가지 못해 구매 대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실제 롯

준 것이 판매 증가 이유로 분석된다.

데마트는 2월 기준 손소독제 매출이 360% 증가했으며,

한편 마스크 착용이 필수가 되면서 구강위생에 대한

이마트 역시 핸드워시, 소독젤 등의 매출이 580%가량 늘

니즈도 높아지고 있다. 세균이 유입되는 주요 경로 중 하

었다고 밝혔다. 손소독제 경우 코로나 확산 이전에는 위

나인 구강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생용품 시장의 주요 품목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번 사태

칫솔살균기, 구강세정기, 구강청결제 등 구강위생 시장

를 계기로 생활용품 제조업체, 제약회사뿐 아니라 원브

이 확대되고 있다.

랜드숍,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등 뷰티업계도 관련 상품 을 출시하며 시장 확대에 일조하고 있다. 액상형 소독제

2 건강상품 확대 |

뿐 아니라 티슈, 스프레이 등 다양한 유형의 상품이 출시

‘셀프 메디케이션 , ‘홈트족’ 트렌드 대응

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시장이 확대되면서 보다 세분화된 소비자 니즈에 맞춘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관리하는 ‘셀프메디케이션(self

다양한 상품들도 소개됐다. 생활 전반에 걸쳐 상황에 맞

medication)’ 트렌드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춰 사용할 수 있도록 소독 제품군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

부분은 코로나 확산 이후 건강관리 관련 니즈가 주요 소

다. ‘위생습관 브랜드’를 표방하는 휘아(WHIA)는 2030

비층인 중장년층뿐 아니라 2030 밀레니얼 세대로 확장

여성층을 공략해 변기, 침구, 아웃도어 전용 살균 미스트

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잡코리아가 코로나19 확산

등 상황별로 최적화된 살균제품을 판매한다.

후 20~40대 직장인 2,4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

가전 부문 역시 ‘위생 특수’에 따라 살균 기능을 갖춘 제품 판매가 급증했다. 의류관리기부터 살균 기능을 더

문조사에서 92.7%의 응답자가 ‘코로나 이후 건강에 대한 태도가 바뀌었다’고 답했다.

한 건조기, 공기청정기, 식기세척기, 식기소독기, 전해수

특히 면역력 증진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율이

기 등이 해당된다. 해당 제품들은 코로나19 예방에 직접

증가하고 있다. 확장된 소비층에 맞춰 건기식 상품과 매

적인 영향을 준다기보다 소비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장 운영에도 변화가 생겨났다. 다양한 연령층이 부담 없

2020 APRIL

29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셀프케어 맞춤형 매장 ‘온 파머시’

대형마트에 토털 헬스케어숍 등장 벤치마킹해 매장을 기획했으며, 9개월 동안의 준비를 거쳐 문 매장 개요 매장명

온 파머시 롯데마트 양덕점

을 열었다. 1994년부터 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의 드럭스토어 업계는 도심에는 뷰티 특화 매장을, 주거지 상권에는 건강에

개점일

2020년 2월 28일

초점을 맞춘 매장을 출점하고 있다. 미국 월마트도 건강 관련

면적

155㎡

종합 매장 ‘월마트 파머시(Walmart Pharmacy)’를 출점하며 한

상품 수

200SKU

공간에서 건강 관련 모든 서비스와 상품을 원스톱으로 제공하 고 있다. 온 파머시 역시 한 공간에 의료 서비스, 의약품, 건기식, 건강

롯데마트가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양덕점 1층에 토털 헬스케

기기를 통합 배치한 편집 매장을 목표로 설계됐다. 특히 저주

어숍 ‘온 파머시(Own Pharmacy)’를 출점하며 신규 전문 매장

파 마사지기, 혈압계 같은 의료, 건강기기를 자유롭게 체험하

을 선보였다. 약국 의료 서비스는 물론 건기식과 건강기기까지

면서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고객 경험을 강화했다.

한곳에서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건강용품 편집 매장이다.

롯데마트는 “최근 ‘내 건강은 내가 지키자’는 셀프케어가 트렌

한국은 2017년부터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2025년에는 고령

드로 자리잡고 있다는 데 주목해 새로운 형태의 헬스케어숍

인구 비중이 20%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마트는 이

온 파머시를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1호점 오픈을 시작

처럼 급속한 고령화 사회에 맞는 사업모델로 온 파머시를 선

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건강식품 관련 고객니즈에 발맞춰

보였다. 온 파머시는 일본 드럭스토어 업태와 미국 월마트를

온 파머시 매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1

2 3

30

1 롯데마트가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양덕점 1층에 토털 헬스케어숍 ‘온 파머시’를 출점하며 신규 전문 매장을 선보였다. 2 온 파머시는 약국 의료 서비스는 물론 건기식과 건강기기까지 한곳에서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건강용품 편집 매장이다. 3 저주파 마사지기, 혈압계 같은 의료, 건강기기를 자유롭게 체험하면서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고객 경험을 강화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2

1

2

건강・위생 시장 확대 현황

1 롭스는 지난달 롭스 리프레쉬 스토어 강남점에 영국 ‘홀랜드앤바렛(Holland&Barret) 상품을 도입하며 건기식 코너를 3배 가량 확대했다. 2 유통매장들은 건강 관련 소비니즈를 공략하기 위해 요가매트, 폼 롤러, 푸쉬업 바 등 홈트레이닝 용품을 대거 확대 배치했다.

이 구매할 수 있도록 소용량, 합리적인 가격대 제품이 증

멀티숍(Healthy Multy Shop)’을 배치하고 건기식 전문

가하고 있다. 또한 젤리, 파우더, 액상 등 섭취와 흡수가

브랜드 GNC, 정관장 등을 한곳에 모았다. 롯데마트는

용이한 제형이 확대되고 있으며, 스틱, 미니 파우치 등

직매입으로 운영하는 건기식을 현재 180SKU에서 연내

포장 형태 역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200SKU까지 확대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B스

부족한 영양소를 찾아 집중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건

토어 업계 경우 지난해부터 꾸준히 건강 관련 트렌드에

기식이 출시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맞춤형 영양제 서브

주목해오며 건기식 강화를 이어왔다. 롭스는 지난달 롭

스크립션 서비스 ‘필리(Filly)’가 대표적인 사례다. 필리

스 리프레쉬 스토어 강남점에 영국 홀랜드앤바렛(Hol-

온라인몰에서는 실제 약사가 상담하듯 15~20가지 질문

land&Barret) 상품을 도입하며 건기식 코너를 3배가량

을 통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을 파악한 후 이에

확대했다.

맞는 영양제를 월 단위로 보내준다.

한편 뷰티케어, 운동, 취미생활 등을 집안에서 해결하

주요 유통매장에서도 건기식 상품 및 특화 코너 확장

려는 니즈가 강해지면서 홈코노미 소비 범위가 더욱 확

에 힘쓰고 있다. 코로나 확산 전부터 미세먼지, 환경오염

산됐다. 특히 헬스장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꺼리면서

등의 이슈로 규모를 키워가던 건기식 시장이 향후 더욱

집에서 간단한 기구를 활용해 운동하려는 소비자가 증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롯데마트 경

했다. 이에 대형마트는 요가매트, 폼 롤러, 푸쉬업 바 등

우 지난 2월 기준 항산화 관련 제품의 매출이 270%, 비

홈트레이닝 용품을 대거 확대 배치했으며, 수요를 이끌

타민류는 32.4% 늘어나 특히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

기 위한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H&B스토어 역시

는 건기식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요소에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롭스 리프레쉬

이마트 월계점은 최근 리모델링을 통해 특화존 ‘헬시

2020 APRIL

스토어 강남점 경우 매장 초입에 최근 매출 신장세를 보

31


COVER STORY

1

이는 피트니스용품을 별도의 코너로 배치했다. 저주파 마사지기, 아령 등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 제품 위주로 구색했다.

|

2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1 위생 관련 상품 수요가 급증하자 ‘개인위생 추천용품’ 행사 매대를 구성했다. 사진은 롯데마트 서초점. 2 밀키트 등 편리하면서도 건강하게 한끼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식재료가 소비자 지지를 얻으면서 유통업계도 관련 상품을 강화하고 있다.

년 대비 60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유통매장에서도 해당 카테고리 확대 및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마트 월계점의 밀키트 코너는 진열대 길이가 13m에 달한다. 양식, 한식 등으로 구분된 130여 종의 밀

3 편의성 더한 식품 |

키트 제품을 구색했는데, 이는 기존 대비 물량을 2배 이

‘집밥’ 수요에 밀키트 판매 증가

상 늘린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밀

코로나19 영향으로 전국 교육기관의 운영이 중지되고 기

키트 취식 경험이 증가하면서 지속적인 소비 확대로 이

업별로 재택근무를 시행하면서 온 가족이 집에서 세끼

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식사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생겨났다. 외식을 꺼리는

32

소비 심리에 따라 ‘집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했

‘위생, 건강’ 니즈 계속 확대될 것

다. 실제로 이마트에 따르면 ‘집밥’과 관련된 계란, 당근,

코로나19 영향으로 전세계가 일찍이 겪어보지 못했던 상

양파, 고등어 등 기본 식재료 매출이 기존 대비 20~30%

황에 처해있다. 코로나19가 종식된다 해도 국내외 경제

씩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와 소비시장에 깊은 트라우마를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집에서 퀄리티 있는 음

꽤 오랜 시간 동안 대다수 소비자들이 위생용품을 비축

식을 먹고자 하는 수요가 늘면서 신선한 재료가 들어있

해두고 건강관리에 치중할 것이며, 보다 건강하고 간단

고 간단한 조리만 거치면 취식이 가능한 밀키트와 손질

한 식생활을 위해 간편 식재료, 밀키트에 대한 구매를 이

이 완료된 커트 채소 등 간편 식재료에 대한 니즈가 증가

어갈 가능성이 높다. 위생, 건강, 밀키트 시장의 향후 지

했다. SSG닷컴은 지난 1~2월 밀키트 상품의 매출이 전

속적인 성장을 예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3 일본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항균장갑, 종이비누 수요 급증 드럭스토어 매출 향상 코로나19 확산 후 일본 유통업계 실적은 업태에 따라 명암이 갈렸다. 슈퍼마켓 오프라인 매장은 객수 및 매출 감소에 시달린 반면 드럭스토어는 위생・건강용품 판매 증가로 전반적으로 매출 상승세를 보였다. 한편 보드카, 항균장갑, 다양한 형태의 제균제가 인기를 끌고 있다. 글 권윤정・일본 통신원

과거에 없었던 특이한 소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일본도 꾸준히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코로 나19 공포증이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유통업계에 타격을 준 것은 물론, 올

위생용품 수요에 드럭스토어 매출 오름세

해 일본 정부의 경제부흥책 중 하나인 올림픽 개최 여부

AI 기반의 매출 분석 데이터 기업 아베자(ABEJA)에 따

마저 불투명해지고 있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불안감

르면 코로나19 영향으로 식품 등을 취급하는 슈퍼마켓

이 커지며 위생장갑이나 보드카 구매율이 증가하는 등

매출이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표 1 코로나19에 따른 오프라인 슈퍼마켓 실적 하향세(전년 대비 증감률) 객수

10

점주 유동인구 수

점포 매출액

단위: %

6.8 -1.0

0

-4.1

0.2

-8.8

-10

-7.2

-7.5 -9.6

-19.6 -20

-23.5 -28.3

-28.8

-28.6

-31.5

-30

-37.3 -40 -50

-44.3 1월 16일

1월 31일

2월 6일

2월 13일

2월 25일

출처 | 아베자 인사이트 포 리테일(ABEJA Insight for Retail)

34

-43.7

-46.1

R E TA I L M A G A Z I N E

3월 2일

3월 8일


3

일본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1

2

3

1 보습 기능을 더한 손소독용 제균 스프레이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2 이산화염소 발생제가 내장된 목걸이 형태의 제균 제품.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균을 제거해준다는 효능을 앞세워 인기몰이 중이다. 3 이산화염소를 사용한 제균 제품 경우 최근에는 바지 주머니나 와이셔츠 포켓에 넣어 다닐 수 있도록 펜 형태로도 출시됐다.

아베자는 지난 3월 매출 분석 시스템 아베자 인사이트

마스크, 소독제, 휴지 등의 판매가 대폭 증가한 것이 원

포 리테일(ABEJA Insight for Retail)을 도입한 700개

인이다. 웰시아홀딩스의 2월 매출은 전점 기준 전년 동

매장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확대에 따른 매출, 객수 추이

월 대비 25% 증가, 기존점 기준으로는 20.6% 증가세를

를 조사해 발표했다. 점포 내 설치된 카메라와 센서로 내

나타냈다. 기존점 기준 객단가는 2.2% 감소했으나 객수

점객 정보를 파악한 것으로, 일본 최초 감염자가 확인된

는 22.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외에 츠루하홀딩

1월 16일부터 3월 9일까지 객수, 매출액 등 실적 추이를

스의 기존점 매출 역시 7.1% 증가했으며, 스기홀딩스 산

전년과 비교했다.

하의 스기약국은 20.9%, 코코카라파인은 9.7%의 오름

조사 결과에 따르면 1월 16일 이후, 해당 매장들의 내

세를 보였다.

점객수는 전년 대비 20~30% 감소했다. 일본 정부가 재 택근무를 적극 권장하고 스포츠 경기 등 행사들의 연기

소독제 대란에 보드카 품절 현상까지

를 요청한 2월 25일을 기점으로는 객수가 더욱 감소해

코로나19 확산은 유통업태 간 명암은 물론 소비자 생활

전년 대비 46.1%까지 하락했다. 전국 교육기관의 휴교가

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일본 소비자들은 마스크를 구입

시작된 3월 2일 이후에는 객수에 큰 변동이 없었으나 점

하기 위해 지난 1~2개월간 온・오프라인 구분 없이 재고

포 매출은 전년보다 44.9%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

를 찾아다니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마스크 구매가 쉽지

다.

않은 상황이다.

매출 감소 원인에 대해 아베자 관계자는 “각 매장이 영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마스크 사재기 목적의 구입을

업시간을 단축하거나 임시 휴업을 진행한 것이 가장 큰

방지하고, 품귀 현상 해소를 위해 지난 3월 15일부터 전

요인”이라며 “오프라인 대신 온라인에서 대량 구매하는

매를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마스크 공급이 부족해지

방향으로 소비패턴이 변화한 것도 빼놓을 수 없다.”고 답

자 온라인몰 등에서 폭리를 취하는 판매업자들이 증가했

했다.

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이를 위반할 시 1년 이하

반면 대형 드럭스토어의 2월 매출은 급증세를 보였다.

2020 APRIL

징역 또는 100만 엔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35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그러나 이 같은 조치가 내려진 후에도 마스크 품귀 현

효능을 앞세워 인기몰이 중이다. 최근에는 바지 주머니

상은 지속되고 있다. 일본 전국 마스크공업회에 따르면

나 와이셔츠 포켓에 넣어 다닐 수 있도록 펜 형태로도 출

각 제조사들은 1월 하순부터 생산라인을 24시간 체제로

시됐다. 소형 제품으로 한달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그

운영하며 증산에 착수했다. 그러나 3월 중순까지도 공급

러나 이들 제품의 바이러스 억제 효능에 대한 과학적 입

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증은 불충분한 상태로 이산화염소를 일반 살균제로 사용

마스크와 더불어 소독제 등 위생용품에 대한 소비자

할 수는 있으나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형태로 사용해서

관심도 뜨겁다. 이를 반영해 다양한 형태의 제균제가 시

는 안된다는 연구기관 발표가 있어 효능과 유해성에 대

장에 쏟아져 나왔다. 이 중 간편함을 무기로 일본 소비자

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상품이 한 장씩 꺼내 사용

소독제 품귀 현상이 이어지면서 이색제품 판매율이 높

할 수 있는 종이 비누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공공 화

아지는 사례도 발생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알코올 도수

장실에 비치된 비누 사용을 꺼리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

가 96도에 달해 전세계에서 가장 독한 술이라고 불리는

다. 종이 비누는 소형 케이스 안에 종이 같이 얇은 비누

폴란드 보드카 스피리터스의 물량이 부족한 상태다. 보

가 들어 있으며 한 장씩 빼서 사용할 수 있다. 거품도 충

드카를 소독제 대용품으로 사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면

분히 나고 작은 사이즈로 휴대도 간편하다. 제균 티슈와

서 재고가 부족해진 것으로, 스피리터스 수입업체에 따

다르게 쉽게 마르거나 제품이 변질되지 않는다는 점도

르면 코로나 확산 후 예년에 비해 2배 이상의 수요가 몰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린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상에는 스피리터스를 사용해

한편 이산화염소 발생제가 내장된 목걸이 형태의 제균

소독제를 만든 사람들의 후기가 넘쳐나고, 일부 매장에

제품도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균을 제거해준다는

서도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POP를 해당 주류 선반

도표 2 코로나19 확산 후 낫또 매출 추이 단위: 만 엔

1억 6천

1억 5천

1억 4천

1억 3천

1억 2천 1월 6일

1월 13일

1월 20일

1월 27일

2월 3일

출처 | KSP

36

R E TA I L M A G A Z I N E

2월 10일

2월 17일


3

1

2

일본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3

1 도부백화점 이케부쿠로 본점에서는 전철 손잡이 모양의 장식물을 설치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장갑을 낄 것을 홍보하고 있다. 2 ‘마스크 입하 미정’이라는 안내문이 부착된 매장. 3 텅텅 빈 낫또 매대 모습. 코로나19 확산은 먹거리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낫또, 요구르트 상품이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에 부착하기도 했다.

연출에도 전철 손잡이를 활용해 코로나 감염 방지책 중 하나로 장갑을 구매할 것을 소구하고 있다.

항균 기능 더한 장갑 구매율 급증 위생 개념에도 변화가 생겨났다. 전철 손잡이, 엘리베이

유산균 풍부한 ‘낫또, 요구르트’ 인기

터 버튼 등을 만진 후 바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로 소독하

코로나19 확산은 먹거리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대표적인

기란 쉽지 않다. 특히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

사례가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낫또, 요구르트 매출이 증가

라면 누구나 이 같은 고민을 한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세를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식품 데이터 분석업체 KSP

일본 내에서는 장갑 관련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방한 용

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확대에 따라 지난 1월 둘째 주

도가 아니라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바이러스가 손

에서 2월 셋째 주까지 요구르트 판매율이 전년 동기 대비

에 묻는 것을 막기 위한 방책이다.

4% 증가했고, 낫또는 11% 늘어났다고 밝혔다.

실제로 도부백화점 이케부쿠로 본점에서는 이런 수요

KSP 관계자는 “낫또, 요구르트, 김치 등에 함유된 유

를 이끌기 위해 장갑 매장을 확대했다. 장갑 성수기인 겨

산균이 면역력 향상, 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

울철이 지나고 따뜻한 봄이 왔지만 장갑 관련 수요가 전

다고 알려져 있어 판매율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혀 줄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월 한달간 판매

밝혔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해당 제품들이 면역력

량이 전년 대비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을 높여준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지적한다. 사람별

코로나 사태 이후 인기 상품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과

건강 상태에 따라 면역력이 향상될 가능성은 있으나 직

거에는 장갑의 디자인, 보온성에 중점을 뒀다면 현재는

접적인 효과를 입증한 사례는 없다는 설명이다. 관련 상

면 소재로 물세탁이 가능하고 항균 기능까지 더한 제품

품의 판매율 증가는 결국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에 대

의 판매율이 높다. 매장 관계자는 “2~3개를 동시에 구입

한 뚜렷한 대책이 없는 현재, 불안감에 기인해 취하는

하는 고객이 대부분”이라고 밝혔다. 위생관리에 각별히

방어적 소비패턴 중 하나로 분석된다. 끝이 보이지 않는

신경쓰기 시작하면서 매일 세탁해 사용하기 때문에 한번

코로나19 바이러스와의 싸움으로 일본 소비시장의 명암

에 여러 개를 구입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매장은 상품

이 갈리고 있다.

2020 APRIL

37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4 미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공급문제로 위생용품 품귀, 외모 대신 건강 챙기기 열중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상황이 전세계로 확장되며 개인 위생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미국에서는 팬데믹 팬트리라고 하는 사재기 현상이 발생하면서 위생용품은 물론 생활용품 재고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웰빙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했는데, 국내에는 금지돼 있지만 미국 연방법상 합법화된 CBD 상품이 급부상하기도 했다. 글 황지영・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마케팅부 교수

미국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락스, 손 세정제 등의 품절 현

확산 우려가 적었던 2월 16일부터 22일 일주일 간 전년

상이 두드러졌다. 이미 온라인에서 관련 상품 구매가 힘

대비 마스크 판매량이 급증했다. 카테고리별로 메디컬

들어진 상태에서 코로나19에 대한 위기감이 오프라인 매

마스크가 319%, 가정용 마스크가 262% 증가했다. 에어

장도 강타한 것이다. 다른 국가보다 늦은 편이긴 하지만,

로졸 소독제품은 47%, 온도계는 32% 증가했다. 특히 감

지난 3월부터 대학교와 교육기관이 휴교 또는 온라인 교

염자 수가 늘기 시작한 샌프란시스코 지역 마스크 판매

육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개인 위생, 사회적 거리두기

량은 평균을 훨씬 웃도는 541% 증가했다.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소비 행동에도 큰 변화가 생 겼다.

식품 경우 콩 제품의 판매는 10.1%, 냉동 과일 판매는 7%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트코, 월마트 등

시장조사기관 이마케터(eMarketer)에 따르면 2020년

에서는 손 위생 관련 상품들과 소독 물티슈, 가정용 세

3월 기준 미국 소비자의 27%가 공공장소를 꺼린다고 밝

제, 락스의 재고가 떨어졌다. 물, 쌀, 저장기간이 긴 파스

혔다.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매장 방문을 자제하면서 쇼

타와 다양한 통조림 역시 품절 위기를 겪고 있다. 이와

핑 수요는 온라인으로 넘어갔다. 그로 인해 아마존 프라

같은 제품들은 미국 소비자들이 코로나 감염이라는 만일

임 나우와 아마존 프레시, 인스타카트, 월마트 배송 서비

의 사태에 대비해 챙겨 놓는 팬데믹 팬트리(Pandemic

스는 모두 잦은 지연 사태를 겪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도

Pantries) 품목들이다.

2주간 자가 격리에 대비해 생활용품, 특히 휴지가 품절

반면 이러한 상황에서 폭리를 취하려는 판매업체들이

되기도 했다. 반면 세포라, 에스티로더, 로레알 같은 뷰

등장했다. 아마존은 코로나19 특수를 노린 상품 100만여

티업체들은 매출 하락을 겪고 있다.

가지를 웹사이트에서 철수시키는 강력 대응을 실시했다. 마스크 판매업자들이 가격을 평소 대비 4~5배 올린 것

38

위생용품 사재기, 타 카테고리로 확산 우려

은 물론 배송비를 마스크 가격보다 더 높인 사실을 발견

개인위생에 가장 중요한 마스크는 전세계적으로 품귀 현

했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 아마존 입점 판매업체는 상

상이 발생했다. 닐슨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코로나19

품 가격을 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와 관련된

R E TA I L M A G A Z I N E


4

1

2

3

미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1 코로나19 사태로 위기가 고조되면서 미국에서 위생・건강용품 품절 현상이 발생했다. 2 천연성분을 함유한 마누카 꿀은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건강식품이다. 3 2018년 팜빌 법안이 통과되면서 CBD 상품이 등장했다.

상품으로 폭리를 취하려는 행위를 아마존은 자사 공정

낙 인기가 많다보니 판매되는 상품의 수도 엄청나다. 아

가격 규칙에 어긋난다고 결론지었다.

마존에서 마누카 꿀을 검색하면 검색 결과 페이지만 80페

이제까지 미국 상황의 주요 시사점은 패닉바잉(panic buying)으로 인한 리플 효과(ripple effect)가 발생할 수

이지, 별점 5점 중 4점 이상 상품만 추려도 51페이지, 상 품 수는 1천여 개가 넘는다.

있다는 사실이다. 즉 마스크나 손 소독제 이외에도 통조

일반 제조업체들은 위생에 초점을 맞춘 상품들을 속속

림, 밀가루, 설탕, 물 같이 위급시 대비 품목을 넘어 비타

론칭했다. 세균방지 브랜드로 알려진 디톨(Dettol)은 파

민, 응급 처치함 등으로 번져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라벤과 염색 성분이 없는 비누와 손 세정제를 출시했다.

맥킨지를 비롯해 컨설팅 업체들이 이번 사태로 소매

한편 최근 가장 눈에 띄는 트렌드로 CBD 상품의 부상

수요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특히 온라인

을 들 수 있다. CBD는 칸나비디올이라는 의료용 대마 성

유통업계가 재정비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

분을 말한다. 지난 2018년 팜빌(Farm Bill)이라는 농업

가한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유통업계에 어떤

법이 통과되면서 연방법에서 대마의 일종인 헴프(hemp)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하기에는 시기상조로 보인다. 사실

추출물에 대한 규제가 완화됐다. 그 결과 대마 성분 중

유통보다 생산에서의 문제가 심각했기 때문이다. 중국

향정신성 화학작용을 일으키는 THC(Tetrahydrocan-

공장의 생산 라인이 중단되면서 생산 공정에 차질이 생

nabinol)가 초극소량(0.3%) 미만인 CBD 상품이 등장했

겼을 뿐 아니라 중국에서 이동하는 물류가 지연되며 공

다. CBD 오일 외 화장품, 바디용품, 식용류와 커피, 차,

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코스트코나 크로거 같이 패키징

스낵, 음료, 맥주, 파스타 등 식품까지 확장했다.

재료나 기본 종이 상품에 중국의 역할이 크다. 이 문제는

CBD 상품은 피부 보습 같은 미용 효과와 함께 근육통,

4월 중순 최고조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중국 대부분 공

염증 완화, 불안감 감소 등 의학적 효과가 알려지면서 주

장이 3월 초 다시 생산을 재개한 것은 긍정적이다.

목받았다. 물론 아직까지 효용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 상태이며, 미국의 각 주법상 허용 정도가 다르다. 아마존

식품 영역으로 확장 중인 합법 대마

에서는 CBD 상품 판매가 금지돼 있다. 반면 애버크롬비

위생과 개인건강 영역에서는 ‘내추럴(natural)’이 대두되

(Abercrombie&Fitch)는 2019년 6월부터 CBD 오일, 바

며 천연성분과 재료의 투명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천

디로션, 립밤 등을 매장에서 판매했다. 또한 CBD 전문

연 항생제라고 알려진 마누카 꿀의 판매가 꾸준하다. 워

온라인몰이 생겨나는 추세다.

2020 APRIL

39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5 중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웰빙 강조 카테고리 확산 약국 배달 서비스도 지원 예기치 않은 바이러스 확산으로 소비형태가 광범위하게 변화했다. 소비자들은 위생, 건강용품뿐 아니라 가전제품 구매시에도 건강을 고려하기 시작했으며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비 트렌드 변화는 장기화 될것으로 예상돼 유통업체들은 이에 미리 대비하고 있다. 글 주진영・중국 통신원

2020년 시작과 함께 등장한 바이러스로 전세계 유통시

소발생기 등으로 의료 보건과 가전까지 다양한 품목이

장에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중국 유통업계도 양분화 양

포함됐다. 집에 이러한 위생용품을 구비하면서 위생습관

상을 띄었는데, 기존 오프라인 매장은 영업이 중지되며

과 건강의식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특히 하이신(海信)의

큰 피해를 본 반면 온라인 업체들은 바쁜 시기를 보냈다.

에어컨이 생활가전에서 크게 주목받았다. 이 제품은 공 기정화 기능과 산소발생 기능을 강조하며 2만 5천 대의

가전제품에도 적용된 ‘건강’ 키워드

판매 기록을 세웠다. 이를 통해 중국 내 에어컨 시장 점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 방호복, 소독제 등이 인기상품

유율 17.6%를 달성했다.

)에 따르

징동닷컴은 마스크 등 방역용품 수요가 급증한 것에

면 지난 1월 1일부터 21일까지 판매된 마스크 판매건수

대해 적극적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빠른 배송과 플랫폼

는 36만 3천 건으로 전년 대비 310% 증가했다. 발포비타

관리로 공급과 가격을 안정시키고자 했다. 예를 들어 마

민C도 13만 건 집계되며 전년 대비 162% 상승했다. 이

스크 생산업체 3M, 허니웰과 협력해 공장 생산라인과 징

밖에도 락스, 식초, 해열제 등 위생과 면역 관련 상품 판

동의 물류창고를 직접 연결했다. 이로써 상품을 소비자

매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핀뚜어뚜어는 이러

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었다.

이 됐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뚜어뚜어(

40

한 특수상황에 마스크, 소독제, 체온계 같은 코로나19 방

타오바오 역시 플랫폼 내 모든 마스크 업체 가격 급등

역 및 위생상품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과도하게

에 대해 강력 제재할 것을 공지했다. 또한 우한을 비롯해

높은 가격을 책정할 경우 플랫폼에서 퇴출시키고 있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청두 등 대도시를 대상으로 고

또한 코로나19 전문 코너를 마련해 관련 상품을 적절한

객이 타오바오 앱에 마스크 같은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

가격에 제공한다.

면 집 근처 오프라인 약국으로 연결, 재고상황을 파악하

가전전문점 쑤닝 역시 건강 관련 상품에 대해 전면 모

고 방역용품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징동 역

니터링을 실시했다. 대상 품목은 마스크, 소독제, 소독

시 동일한 서비스를 시작해 고객이 약국을 방문하지 않

액, 공기청정기, 방역소독기, 냉각기, UV자외선램프, 산

아도 주문 후 30분만에 상품을 받아볼 수 있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5

1

2

3

중 국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1 사람 간 접촉을 피하면서 배송로봇, 택배함, 무인매장 등 언택트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2 공기정화와 산소발생 기능을 강조한 하이신의 에어컨. 3 식품이력 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과자 브랜드 ‘라이픈’의 배송 주문이 증가했다.

중국의 주요 온라인 유통업체들은 유통과 의료를 결합

가했다. 각지에서 외출을 자제하고 대부분 지역이 봉쇄

한 온라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병원을 방문하지

식 관리에 들어가며 거리에는 배달차량만 분주하게 오갔

않아도 온라인으로 기본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었다.

다. 허마센셩은 신선식품 전문이라는 장점을 발휘해 신 선 식료품을 곳곳에 배달하기 시작했다. 우한은 봉쇄되

제조과정 투명한 간식 매출 급증

고, 베이징은 대설로 조건이 악화된 가운데 허마는 기존

냉동식품과 레트로트 식품은 춘절 연휴와 이어진 코로

방식에서 공동구매 방식으로 전환했다. 쑤닝은 춘절기간

나19 사태로 매출이 급상승했다. 대부분 식당이 영업을

베이징에서만 온라인 주문이 전년 대비 245% 증가했다.

중지하고 외출이 제한되며 집에서 식사하는 횟수가 늘어

이들 업체는 모두 택배함, 로비 수령 등 언택트 방식으로

나자 소비자들은 HMR을 대량 구입했다. 구체적으로 티

소비자 불안과 감염 확산을 최소화했다.

몰에서 1월 말부터 한 달간 매출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코로나19 확산으로 다수 오프라인 매장이 온라인으로

컵라면이 57%, 물만두 및 완탕류가 78%, 훠궈가 144%,

이동하고 있다. 이전에도 온라인 소비가 대두됐지만 전

육류가 264% 증가했다. 어묵 매출은 67만 위안으로 전

체 시장에서는 오프라인 매장 소비가 큰 부분을 차지했

년 대비 1,675% 증가했다.

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9년 4사분기 전국 사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말린 과일, 견과류, 쿠키 같은 간식류도 인기 상품이 됐다. 간식 브랜드 라이픈

회소모품 매출총액에서 전자상거래 비중은 20.7% 이르 렀으며, 온라인 소비는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은 사스가 유행하던 시기에도 매출이 급증했던

또한 바이러스 영향으로 언택트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

전례가 있다. 이번에도 배송 주문이 급증하며 2,800개

다. 언택트 배송, 언택트 구매 등 관련 키워드를 소비현

매장에서 언택트 배송 서비스를 실시했다. 또한 라이픈

장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대면하지 않고 이뤄지는 소비행

은 2016년부터 식품이력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소비자가

위에 고객이 점차 익숙해지고 있다. 무인커피머신, 스마

상품 생산의 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토

트 음료수령함은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탄생한 아이템으

질, 비료, 농장 등 모든 정보가 포함됐다. 이로써 소비자

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주문과 결제를 하고

들이 위생이 염려되는 시기에도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

비대면으로 음료를 수령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온・오

었다.

프라인 융합 소비와 언택트 방식은 계속해서 널리 이용

(

음식배달 플랫폼도 코로나19 영향으로 매출이 크게 증

2020 APRIL

될 것으로 보인다.

41


COVER STORY

|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6 유럽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유럽도 집어삼킨 ‘코로나19 팬데믹’ 언택트・위생용품 소비 증가 전례 없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이 유럽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매장 쇼핑보다 온라인 구매 후 드라이브 스루에서 픽업하는 사례가 급증했고 손소독제 품귀 현상이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고객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쇼핑 카트 손잡이를 자동으로 소독해주는 시스템을 새롭게 도입한 유통업체도 등장했다.

아시아를 중심으로 확산되던 코로나19가 3월을 기점으

손소독제 대란, 천연・유아용 제품 인기

로 이탈리아 등 유럽 전역으로 퍼지기 시작했다. 프랑스

영국에서는 3월 초부터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격히 증

경우 수만 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휴교령, 국경 통제,

가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불안감이 커지기 시작했고

다중이용시설 영업금지령 등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위생용품 판매가 급증했다. 칸타월드패널은 “미디어가

증가하는 확진자에 불안감을 느낀 소비자들은 패션, 뷰

연일 코로나19 관련 뉴스를 보도하면서 소비자들이 질병

티 등 외모 관련 소비를 줄이고 생필품, 위생용품, 건강

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

기능식품 관련 소비를 늘리고 있는 양상이다.

고 설명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중에도 영국인들은 마스크 사용

영국 | 바이러스 불안감에 프리미엄 위생용품 확대 글 김샛별・영국 통신원

에 여전히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대신 손소독용 제품 들은 업태를 막론한 모든 매장에서 품절돼 구하기 힘든 상품이 됐다. 칸타월드패널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영 국 손소독제 상품의 판매량은 225% 증가했다. 영국 유통

42

건강한 삶을 중요시하는 영국인들은 전세계에 코로나19

업체들은 소독제 공급을 늘리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밟

가 확산되자 개인 위생관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특

아가고 있다.

히 손소독제 수요가 급증하면서 천연 원료를 사용하거나

이 같은 현상은 코로나19 예방에 마스크 착용보다 손

보습 효과를 더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

씻기가 효과적이라는 영국 정부의 권고와 BBC뉴스 보도

고 있다.

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영국 최대 드럭스토어 부츠

한편 건강 관련 소비자 니즈를 공략해 가공식품 진열

(Boots) 매장에서는 비누와 알코올 핸드젤이 연일 매진

과 할인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주

됐으며, 개점 시간 전부터 소독젤을 사려는 소비자들이

는 신선식품 위주의 레이아웃을 적용한 슈퍼마켓이 등장

긴 줄을 이뤘다. 부츠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코로나19

해 주목받고 있다.

감염 방지에 도움되는 위생 관리를 소개하고 다양한 손

R E TA I L M A G A Z I N E


6

1

2

3

유럽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1 소독용 젤을 구매하기 위해 아침부터 부츠 매장 앞에 줄을 선 소비자들의 모습. 2 밀턴의 손소독젤은 100% 천연 재료로 만들어 신생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3 러쉬는 공공 서비스의 일환으로 누구나 자사 비누와 세면대를 이용해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매장을 개방했다.

소독용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있는데, 이미

최근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모든 제품이 품절된 상태다. 이처럼 손소독제 수요가 급증하면서 프리미엄, 유아용

누구나 손 씻을 수 있도록 매장 개방한 러쉬

제품 등 다양한 소독 제품이 재조명을 받고 있다. 영국의

영국의 친환경 화장품 브랜드 러쉬(Lush)는 공공 서비스

천연 화장품 브랜드 닐스야드(Neal’s Yard)는 여행용으

일환으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언제든 러쉬 비누

로 기내에 구비하거나 지갑 속에 넣어 다닐 수 있는 유기

를 이용해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무료로 매장을 개방했다.

농 손소독용 스프레이를 출시했다. ‘오가닉 디펜스 핸드

매장 밖에 ‘들어와서 손을 씻고 가세요’라는 문구를 부착

스프레이(Organic Defense Hand Spray)’란 이름의 제

하고, 본래 자사 제품 시연을 위해 매장에 설치했던 세면

품으로 유기농 허브 에센셜 오일에 피부 재생 기능과 월

대에서 누구나 손을 씻고 갈 수 있도록 했다.

등한 항균력을 자랑하는 생약 성분 ‘위치하젤’이 첨가됐

러쉬의 최고 경영자 마크 콘스탄틴(Mark Constan-

다. 알코올 향이 독하지 않고 손을 건조하게 만들지도 않

tine)은 “겨울철은 다양한 감기 바이러스 영향으로 특히

아 젊은 여성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연일 매진 행렬을

손 위생이 중요한 계절인데, 최근 코로나19 영향으로 주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는 구하기 힘든 제품이 됐다.

기적인 손 씻기 습관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며

영국 세정제 제조업체 밀턴(Milton)은 유아가 사용해

이번 매장 개방 이유를 설명했다. 개방과 더불어 매장 내

도 무해한 손소독제와 청소용품들을 대표 제품으로 내세

영국 국민보험(NHS)과 전세계 건강 관련 단체들이 공통

워 자녀를 둔 영국 부모들의 코로나19 예방용 필수 제품

으로 권장하는 ‘손 씻기 가이드 라인’도 부착해 올바른 손

이 됐다. 특히 밀턴의 손소독젤은 100% 천연 재료로 만

씻기 문화를 전파하고 있다.

들어 신생아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탕 소독

러쉬의 이 같은 매장 개방은 SNS를 통해 공유되면서

대신 찬물로도 젖병의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젖병 살균기

“러쉬를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또 생겼다.”라는 평

와 언제 어디서나 유아용품을 세척할 수 있는 외출용 미

가를 받는 등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니 소독기 등을 대표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간편하게 박테리아를 제거할 수 있어 어린 자녀를 둔 고객에게 큰

건강 전문가가 디자인한 슈퍼마켓

호응을 얻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후 주가 상승세를 이어

건강한 삶에 대한 영국 소비자들의 니즈가 증가하면서

가고 있는 영국 세정제 브랜드 데톨(Dettol) 역시 언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점포가 등장하고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벨트나 가방 등에 매달고 다

있다.

닐 수 있는 휴대용 핸드젤을 판매하는데, 이 제품 또한

2020 APRIL

영국 왕립공중보건학회(Royal Society for Public

43


COVER STORY

|

Health; 이하 RSPH)는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해 비

동식품 경우 9.4%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사태

만을 야기하는 일반 슈퍼마켓 레이아웃 대신 건강 전문

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공포로 인해

가가 제안하는 동선으로 탈바꿈한 슈퍼마켓 ‘헬스 온 더

프랑스인들의 소비는 위생, 식료품에 치중됐으며 이에

셸프(Health on the Shelf)’의 팝업스토어를 런던에 오

반해 의류와 뷰티 관련 소비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바뀐 소비시장

|

픈했다. RSPH 조사에 따르면 영국 성인의 3분의 1 이상이 세

외출 자제, 생필품 온라인 구매 급증

일 행사에 따라 계획에 없던 과자나 케이크 등을 추가로

지난달 닐슨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프랑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RSPH는 비만을 방지하

스 소비자들의 구매형태가 온라인과 드라이브 스루 구매

고 건강한 식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는 슈퍼마켓 레

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드라이브 스루 이용

이아웃을 소개하며 유통업체들이 솔선수범해 적용하기

률 경우 작년 대비 13% 증가했으며 배달서비스 역시

를 권장하고 있다.

74%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다수의 소비자가 오프라

RSPH는 소비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슈퍼마켓이 솔선

인보다 온라인쇼핑으로 생필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

수범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채소와 과일은 출입문 인근

는데, 이들은 주로 즉석요리, 밀가루, 쌀, 파스타 등을 구

에 위치해야 하며, 주류, 케이크, 과자 등은 최소한의 공

매한 것으로 조사됐다.

간만 차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직원이 음식을 직

손세정제를 포함한 위생용품 경우 136%의 폭발적인

접 조리하고 시식행사를 진행해 음식을 건강하게 먹는

판매 증가세를 보이며 재고가 부족한 사태까지 발생했

방법을 소비자에게 알려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건강에

다.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사태 때보다 더욱 가파른 증

도움이 되지 않는 식품을 매장에서 모두 없앴는데 이는

가율이다.

소비자 선택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의 건강

손소독제 상품 점유율 2위 기업인 길버트(Gilbert)는

증진을 위해 건강한 식품을 더 많이 선택할 수 있도록 도

2019년 한해동안 판매한 손세정제가 80만 개였는데, 코

움을 주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로나 확산 후 6주 만에 170만여 개가 판매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 매장에 들어서면 채소, 과일, 우유, 요거트

다른 손세정제 제조업체 역시 판매율이 150% 증가하는

등 건강 관련 식품 코너가 가장 먼저 눈에 띈다. 과자류

등 프랑스 전역에서 손세정제 품귀 현상이 발생했다. 공

는 세제와 주방용품 사이 작은 공간에만 진열돼 있다. 주

급 물량이 급증한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자 가격이 한시

류는 매장에서 가장 구석진 곳에 위치하며, 계산대 옆에

적으로 폭등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는 초콜릿 같은 스낵류 대신 물, 과일, 채소 등 건강한 식 품을 배치했다. 또한 건강한 상품에만 세일가를 적용해

자동 소독 기능 탑재한 ‘키오스크, 문 손잡이’ 출시

판매한다.

코로나 사태가 확산되자 유통업체들은 매장 청결에 만전 을 기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내점객이 사용하는 쇼핑 카

프랑스 | 신종플루 넘어선 공포에 드라이브 스루 이용률 증가 글 배혜진・프랑스 통신원

트 경우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주기적인 소독이 필요하 다. 슈퍼U(Super U)는 카트 자동 소독 시스템 ‘하이퍼클 린(hyper clean)’을 도입했다. 매장 외부 주차장에 마련 된 소독 코너에 카트를 모아 놓으면 하이퍼클린 시스템

44

프랑스도 휴지, 비누 등 위생용품 소비가 코로나19 사태

이 소독제를 자동으로 발포해 카트를 소독한다. 태양광

이전 대비 12% 증가했으며, 오랜 기간 보관할 수 있는 냉

에너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소독제

R E TA I L M A G A Z I N E


6

1

2

유럽 현황 및 건강시장 트렌드

3

4

1 슈퍼U는 카트 자동 소독 시스템 ‘하이퍼클린’을 도입했다. 2 자동으로 세균을 소독하는 기능을 탑재한 문 손잡이 ‘스쿤 스마트 핸들’. 3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레미라큘류는 구기자 열매, 금영화, 석류, 레몬밤, 비타민 등을 혼합해 뷰티, 수면, 에너지 활성화 등에 도움을 주는 영양 젤리를 판매한다. 4 ‘빠미에마리’ 매장 모습. 최근 면역력 증진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면서 천연 항생제라 불리는 프로폴리스와 로열젤리가 인기를 끌고 있다.

를 닦아내거나 헹굴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슈퍼U 외에

잡이에 묻은 세균과 먼지를 닦는다. 스쿤 스마트 핸들에

르끌레르, 인터마르쉐 등도 자동 카트 소독 시스템 도입

는 500여 번까지 청소할 수 있는 소독제가 들어 있고 재

을 준비하고 있다.

충전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위생을 강화한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도 출시되고 있다. 리옹에 본사를 둔 꼬메트(Comete)는 키오스크 등

천연 항생제 프로폴리스 인기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액정 필름을 제조해 판매

건강을 중시하는 고객니즈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대다수

한다. 최근 많은 매장에서 키오스크를 활용하고 있다. 하

의 프랑스 소비자들은 건강기능식품이 건강 문제를 예방

지만 스크린 표면을 자주 청소해도 여러 사람이 사용하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는 만큼 세균 오염 등 위생 문제가 꾸준히 거론됐다. 이

났다. ‘빠미에마리(Famille Mary)’는 1921년부터 100년째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꼬메트는 ‘소클린

양봉업을 해오고 있는 전통 있는 기업이다. 유럽의 청정

(Soclean)’이라는 안티 박테리아 키오스크를 개발했다.

자연에서 친환경 공법으로 생산한 꿀 관련 제품을 생산

특허를 받은 안티 박테리아 키오스크는 유리 표면에 이

하는데, 특히 최근 면역력 증진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면

온이 포함돼 있어 99.9%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서 천연 항생제라 불리는 프로폴리스와 로열젤리가 인기

사람 피부에는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5년간 제균 기

를 끌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레미라큘류(Les

능이 유지된다.

Miraculeux)는 구기자 열매, 금영화, 석류, 레몬밤, 비

스쿤(Skoon)은 자동으로 세균을 소독하는 기능을 탑

타민 등을 혼합해 뷰티, 수면, 에너지 활성화 등에 도움

재한 문 손잡이, ‘스쿤 스마트 핸들(Skoon Smart Han-

을 주는 영양 젤리를 판매한다. 100% 식품 기반 원료만

dle)’을 개발했다. 사람 손이 닿는 부분에 검정색 고리가

을 사용한 자연친화적 상품을 제공해 프랑스 소비자들의

장착돼 있는데 이 부분이 움직이며 소독제를 뿌리고 손

지지를 모으고 있다.

2020 APRIL

45


SPECIAL REPORT

소비자 직판 모델 D2C 비즈니스 동향

단독과 타사 제품 공존 제조업체 자사몰 범위 확장 제조업체들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D2C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온라인쇼핑 성장세에 맞춰 과거 브랜드 홍보 수단이나 직원 복지몰로 활용하던 자사몰을 리뉴얼하고, 다양한 혜택을 부여해 회원 수를 늘려가고 있다. 자사 및 타브랜드 상품 판매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출시로, 유통업체를 통해서는 전달하기 어려웠던 브랜드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글 이제만 기자・smash20@koca.or.kr

46

D2C(Direct to Consumer) 비즈니스는 패션이나 스타

‘트래픽 증가’ 집중한 자사몰 운영

트업에서 많이 선택하는 모델이다. 하지만 최근 제조업

제조업체들이 자사몰 운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체들도 자사몰을 새롭게 론칭하거나 리뉴얼하면서 소비

효과는 고객 데이터 확보다. 자사몰을 통해 직접 상품을

자에게 다가가고있다.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고객에

판매하면 고객이 구매한 상품, 금액, 시간 등 쇼핑 정보

게 직접적인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부터 나이, 성별 같은 고객 정보를 직접 얻을 수 있다.

대부분 제조업체의 자사몰은 두 자릿수 성장률을 이어

제조업체들은 이렇게 얻은 데이터를 향후 상품개발, 판

가고 있다.

촉계획 수립 등 판매 전략에 활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R E TA I L M A G A Z I N E


아직까지 제조업체 자사몰의 매출 수준과 이용객수가

‘나만의 김치’ 서비스가 있다. 양념부터 용량까지 직접

많지는 않다. 2007년 오픈한 이래 더반찬 인수, 새벽배

선택하는 서비스로 고객 입맛에 맞는 김치를 만들 수 있

송 도입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인 동원F&B의 자사

다. 액젓, 고춧가루 양에 따라 어떤 맛을 더할 수 있는지

몰 ‘동원몰’의 회원 수는 94만 명이다. 거래액이 매년 평

설명이 나와 어렵지 않게 선택할 수 있다. 기호에 따라

균 50% 이상 성장하고 있지만, 2019년 기준 연간 주문

젓갈 강도, 매운 맛 정도를 본인 입맛에 맞게 조절할 수

량은 90만 건 정도다.

있다. 재고 없이 고객 주문 후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고

따라서 제조업체는 고객이 자사몰을 이용할 이유를

객은 자신만을 위한 제품이라는 인식을 받을 수 있다.

만들어 주문량과 방문자 수 증가를 위한 전략 구축에 들

단독상품 유형 두 번째는 테스트 성격이 짙은 상품으

어갔다. 자사몰은 단독상품, 콘텐츠로 고객 방문을 이끌

로 저렴한 가격, 독특한 콘셉트로 무장한 상품이다. 이

고 구매를 유도하고 있으며, 타사 제품과 큐레이션, 유

경우 자사몰 판매를 거쳐 오프라인 매장 혹은 온라인쇼

료 멤버십 등으로 추가 매출까지 노리고 있다. 이렇게

핑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실제로 삼양에서 지난해 선보

상품부터 서비스까지 자사몰에서만 제공할 수 있는 가

인 ‘불타는 고추짜장’ 경우 자사몰에서만 월 10만 개가

치를 창출해 충성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다.

판매됐고, 오프라인 출시 요청이 이어지며 편의점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자사몰 단독상품, 오프라인 역진출

한편 자사몰에서 자사 제품뿐 아니라 타 제조업체, 외

제조업체는 자사몰을 통해 제품을 빠르고 저렴하게 제

식업체 또는 유통업체 상품까지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공하고 있다. CJ제일제당과 대상 경우 신제품 출시 후

실제로 CJ제일제당의 자사몰 ‘CJ더마켓’에서는 그룹 계

자사몰에서 가장 먼저 판매를 시작한다. 또한 단독상품

열사인 CJ프레시웨이가 공급하는 식자재와 제품도 구

도 운영하는데, 자사몰에서 구입할 수 있는 단독상품은

입 가능하다. 정원e샵에는 대상 계열사 이외에도 매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고객 한 명을 위한

유업, 웅진식품, SPC 등의 다양한 상품을 구입할 수 있

고객 맞춤 상품이다.

으며 그 품목을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상의 ‘정원e샵’에서 제공하는 종가집의

자사몰에서 타사 제품을 취급하는 이유는 고객 만족

도표 1 제조업체 자사몰의 기회와 위협 요인

운영

상품

고객

기회 요인

•고객 데이터 확보 가능 •두 자릿수 성장률 유지 중

상품 운영의 유연성 장착

기존 충성고객의 락인 효과 기대

위협 요인

•소자본 창업 가능해 경쟁업체 증가 우려 •중장기적 전략 수립 및 투자 필요

타깃 고객 고려하지 않은 상품군 확장

차별화 포인트 소구 필요

2020 APRIL

47


SPECIAL REPORT

소비자 직판 모델 D2C 비즈니스 동향

제조업체 자사몰 사례 ‘대상 정원e샵’

자사몰 개요

운영특징

오픈일

2012년 10월

① 온라인 전용상품, 자사몰 단독상품 운영

취급품목 수

5,900SKU

② 계열사 및 타사 제품 취급

연 매출목표

140억 원

③ 자주 사용하는 제품 정기 배송 지원

내 입맛에 딱 맞는 김치를 매달 받아본다 대상은 기존에 운영하던 자사몰 ‘종가푸드샵’을 2012년 ‘정원e샵’으로 리뉴얼했다. 그리고 2017년 5월 다시 한 번 전면 리뉴얼을 단행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25% 성장한 125억 원이며, 누적 주문건수는 23만여 건에 달한다. 유료 멥버십 ‘정원 클래식’ 회원은 4,200명이다. 수도 권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이 주요 고객이다. 정원e샵의 주요 상품은 온라인 전용 브랜드 ‘집으로ON’이다. 고객이 집에서 간편하면서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상품을 선보 였는데, 정원e샵을 비롯한 온라인 채널에서만 구입할 수 있다. 이곳에서만 구입할 수 있는 ‘나만의 김치’도 있다. 양념과 용량 을 고객이 직접 선택해 입맛에 맞는 김치를 즐길 수 있는 전용 서비스다. 한편, 초록마을, 대상웰라이프, 복음자리 같은 계열 사 브랜드와 매일유업, 웅진식품, 농협식품, SPC 등 타 업체 상품도 입점해 있으며 제품군은 계속 확대될 예정이다. 정원e샵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는데 정기배송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다. 이 서비스는 제품을 고객이 정한 날짜 에 맞춰 정기적으로 배송해주는 서비스다. 자주 이용하는 제품을 정기배송 등록하면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큐레 이션 서비스도 제공한다. ‘나만의 쉐프’ 코너에서는 소비자 특성에 맞는 가장 적절한 제품을 추천해준다. 우리아이 건강식단, 다이어트관, 맞벌이 부부 맞춤밥상 같은 상황을 제시한다. 유료멤버십 정원 클래식은 가입선물 패키지부터 추가 적립금, 전 용쿠폰 증정 같은 혜택을 제공한다. 앞으로도 대상은 정원e샵을 통해 청정원, 종가집 등의 다양한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해 나간다. 또한 제품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하고, 온라인 전용 상품을 계속 개발해, 고객들이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자사몰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48

R E TA I L M A G A Z I N E


및 인식 변화다.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채우기 위해 다

지난 3월 기준 가입자는 2만 명 정도이며 지속적으로 증

양한 업체 상품을 함께 판매하면서, 자사몰을 단순히 해

가하고 있다. 가입시 2만 원 상당의 웰컴 기프트를 제공

당 제조업체 제품을 파는 공간이 아니라 독립된 쇼핑몰

하고 상시 할인 혜택, 추가 할인 그리고 그룹사의 문화

로 인식하게 만들려는 것이다.

행사 관련 할인 혜택을 부여한다. 게다가 고객 맞춤형

동원몰에서는 밴드배송이라는 묶음 배송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다. 동원 제품들은 물론 코스트코 같은 유통업

큐레이팅 서비스도 제공한다. 구매 행태와 동향을 종합 적으로 분석해 소비자 요구에 맞는 상품을 추천한다.

체 제품까지 판매하며, 동원몰에서 밴드배송 마크가 붙

정원e샵은 2017년 리뉴얼을 통해 정기배송 서비스를

어있는 제품 1만여 종이 대상이다. 부피나 수량 관계없

도입했다. 고객이 원하는 날짜를 설정해 두면, 제품을

이 합배송이 가능해 무거운 생활용품을 구매하기 좋다.

해당 날짜에 맞춰 정기적으로 배송해준다. 판매가보다

게다가 동원F&B에 따르면 다양한 업체의 상품을 소량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며 고객이 신청한 기간, 횟수를

씩 구입할 수 있어 1~2인 가구의 만족도가 높다.

채우면 포인트도 적립해준다. 또한 해외여행에 챙겨갈

한국야쿠르트는 지난해 10월 자사몰 ‘하이프레시’를 리뉴얼하고 자사 제품 외 본죽, 종가집 등 다양한 HMR

김치, 반찬을 공항으로 가져다주는 ‘공항배송’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제품을 도입했다. 이유식, 죽부터 농협안심한돈의 정육,

한편 제조업체 자사몰에서 자사 상품을 활용한 레시

고추장, 채소까지 인기 제품 50여 종을 선보였다. 한국

피를 공유하거나 라이프스타일 관련 콘텐츠를 생산해

야쿠르트는 자사 밀키트 상품과 타사의 HMR 상품의 시

노출하고 있다. 고객의 쇼핑몰 체류 시간을 늘리고 콘텐

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츠 속에 자사 제품의 사용법을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콘텐츠로 제품 홍보와 고객 체류 효과 높여

유한킴벌리는 자사몰 ‘맘큐(mamQ)’에서 육아포럼을

다양한 서비스는 재방문의 이유가 된다. 제조업체는 정

운영한다. 육아 전문가를 직접 만나 소통하는 시간으로

기배송, 유료 멤버십 같은 쇼핑 관련 서비스에 자사 제

올바른 육아법 교육이 목표다. 또한 육아정보 콘텐츠를

품 관련 콘텐츠를 더해 고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고 있다.

운영 중인데, 임신부터 유아기까지 먹거리, 놀이, 교육,

CJ더마켓은 유료 멤버십 ‘더프라임’을 운영하고 있다.

안전 등 다양한 육하 노하우를 제공한다. 그리고 콘텐츠

1

2

1 동원몰은 자사 제품들과 유통업체 제품 등을 묶어서 배송하는 밴드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2 유한킴벌리는 육아 관련 콘텐츠를 제공해 고객의 자사몰 방문을 유도한다.

2020 APRIL

49


SPECIAL REPORT

소비자 직판 모델 D2C 비즈니스 동향

도 도입했다. 2018년 7월에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로부 터 2억 4천만 달러의 자금조달을 받으며 화제를 모았다. 취급상품 영역을 확대하고 웰니스를 추구하며 ‘아마존 에 대응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3월 직원 13%를 일시 해고했으며 창립 자 티나 샤키(Tina Sharkey)도 사임했다. 3달러 균일 가는 낮은 객단가를 초래했는데 브랜드리스는 흑자화 를 위해 고단가 상품을 도입했다. 이는 브랜드리스의 초기 전략에 반하는 것으로 결국 비전펀드는 1억 4천만 달러의 융자를 회수했고 브랜드리스는 사업 중지를 결 정했다. 캐스퍼는 압축포장 기술로 매트리스의 일반배송을 가 능하게 만들어, 매트리스 업계 패러다임을 바꿨다. 물류 혁신을 통해 무료 배송, 무료 반품 서비스를 지원하며 영역을 확장했다. 2017년 5월에는 타깃과 제휴를 맺고 1,2 브랜드리스, 캐스퍼는 D2C 비즈니스 기반으로 성장했으나 장기적 대책 마련에 실패했다.

1 2

매장 판매를 시작했다. 지난해 3월 자금 조달시 기업가치 11억 달러 평가를 받으며 유니콘 기업이 됐다. 그러나 2019년 3사분기 결

속에 유한킴벌리의 제품을 적절하게 녹여내며 제품 홍

산 보고에 누적 매출 3억 1,200만 달러 대비 6,700만 달

보 역할도 하고 있다.

러 손실을 냈다. 매출은 증가했으나 손실 역시 늘어나며 IPO 가격이 12~13달러까지 떨어졌다.

차별성 없는 D2C는 무너진다 D2C 비즈니스는 보다 저렴한 가격, 독자적인 상품 가치

투자에 무리하면서 흑자전환이 예상보다 길어졌다는 것

와 서비스 같은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며 새로운 비즈니

이다. 또한 D2C 비즈니스는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기 때

스 모델로 성장하고 있다. 해외에도 온라인 D2C 비즈니

문에 경쟁업체가 증가한 것도 실적 하락의 요인이었다.

스를 기반으로 성장한 다양한 브랜드가 있다. 와비파커

실제로 캐스퍼 이후 미국 온라인 매트리스 시장에 175개

(Warby Parker), 보노보스(Bonoboss) 등 초기에 성공

나 되는 업체가 생겼다. 결국 비슷한 업체와 차별화하기

한 브랜드에 이어 캐스퍼(Casper), 렌트더런웨이(Rent

위해서는 고객에게 특별한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데 두

the Runway) 같은 기업이 자사몰로 이름을 알렸다. 이

업체는 이에 실패한 것이다.

들의 성공과 실패 과정을 살펴보면 향후 자사몰 운영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0

브랜드리스와 캐스퍼의 공통된 문제는 마케팅과 개발

이처럼 D2C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한 자사몰은 중장 기적인 전략 수립과 투자가 동반돼야 성공할 수 있다.

미국 D2C 브랜드 브랜드리스(Brandless)는 밀레니얼

초기에 성과를 내더라도 유통업체, 경쟁 제조업체의 자

세대를 타깃으로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을 바탕으

사몰 그리고 스타트업과의 경쟁은 계속된다. 따라서 방

로 식품이나 생활용품을 3달러 균일가에 제공하는 서브

문자 수를 늘려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스크립션 모델로 운영됐다. 사회공헌을 중시하는 밀레

그 속에서 자사만의 차별화 포인트를 고객에게 소구해

니얼 세대 니즈에 맞춰 매출 일부를 기부하는 프로그램

야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STORE

백화점

갤러리아 광교

지난 3월 수원 광교컨벤션복합단지에 문을 연 갤러리아 광교는 거대한 암석처럼 꾸며진 독특한 외관부터 시선을 강탈한다. 인스타그래머블 마케팅의 시대, 사진 찍기 좋은 공간을 연출하고 명품과 유명 맛집을 대거 유치해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SNS 핫플레이스 등극을 노리고 있다. 글 박영임 기자・scribe@koca.or.kr

사진 김장현・한화갤러리아 제공

명품, 감성 공간, 맛집… 층마다 ‘인스타그래머블’ 갤러리아 광교(이하 광교점)는 한화갤러리아가 2010년 천안에 문을 연 센터시 티점 이후 10년 만에 선보이는 신규점으로, 2016년부터 한화건설과 함께 컨소 시엄으로 참여한 광교복합개발사업의 일환이다. 광교복합개발사업은 광교컨벤 션센터를 비롯해 호텔, 백화점, 주거용 오피스텔, 상업시설 등을 조성하는 대규 모 프로젝트다. 지난해 개관한 광교컨벤션센터를 시작으로, 올해는 호텔, 백화 점이 문을 열고 10월에 아쿠아리움도 개장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한화갤러리아는 지난 2월 기존에 운영하던 수원점을 폐점하고 인 력과 입점 업체들을 광교점으로 승계했다. 하지만 광교점이 단순히 수원점을 이전 개점한 것만은 아니다. 수원점의 기존 고객뿐 아니라 용인, 분당, 동탄, 판 교 상권까지 섭렵하는 경기 남부권을 대표하는 명품관을 표방하고 있다.

52

R E TA I L M A G A Z I N E


점 포 개 요

2020 APRIL

개점일

2020년 3월 2일

주소

경기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124

연락처

031-5174-7114

점장

이현진

연면적

15만㎡

영업면적

7만 3천㎡

초년도 매출 목표

5천억 원

53


STORE

1

백화점

갤러리아 광교

2 3

1,2 광교점은 최고의 명품 라인업을 갖춰 수원은 물론, 용인・동탄・분당 등 경기 남부권의 명품 수요를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3 갤러리아 루프를 따라 네덜란드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갤러리아 루프, 백화점에 창을 내다

문화의 공간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연면적 15만㎡에 영업면적 7만 3천㎡, 지하 1층부

총 540m의 갤러리아 루프를 따라 걷다보면 곳곳에서 유명 작가

터 지상 12층 규모의 광교점은 독특한 파사드로

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데, 3월에는 네덜란드 더치 디자인을

주목을 끌어온 한화갤러리아의 매장답게 외관부

주제로 네덜란드 아티스트들의 작품과 고흐의 대형 월데코 등

터 강렬한 인상을 준다. 이는 중국 베이징의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선보였다. 또한 3층과 10층의 계단형

CCTV 본부, 미국 시애틀 중앙 도서관 등을 설계

광장 ‘루프 스퀘어’는 강연이나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는 공간이

하고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

며, 8층에서 9층으로 올라가는 구간의 ‘스카이 브릿지’는 발밑부

상자인 렘 콜하스의 OMA 건축사무소에서 디자

터 천장까지 유리로 돼 있어 극강의 짜릿함을 제공한다.

인한 것으로, ‘자연과 도시의 만남’을 주제로 건물

갤러리아 루프뿐 아니라 그 밖의 공간에서도 다양한 설치 미

전체가 화강석과 석재로 거대한 암석을 형상화했

술품을 감상할 수 있다. 1층 정문에는 수백 개의 원기둥과 그 속

다. 특히 ‘갤러리아 루프’라 불리는 유리 통로가

의 LED 모듈을 이용해 신비로운 빛을 구현한 오로라 조형물이,

입구부터 전층을 나선형으로 휘감고 있는 것이

3층에는 ‘빛을 담은 구름’, 12층은 ‘아지랑이’ 등 자연적인 요소를

인상적인데 이는 협곡을 이루는 강을 표현한 것

설치 미술 작품으로 표현했다.

이다.

54

한편, 매장 인테리어도 층마다 다르게 연출했다. 예를 들면 지

주목할 점은 1,451장의 유리로 설계된 갤러리

하 1층은 교차로, 1층은 샹들리에, 2층은 보석함, 3~4층은 진열

아 루프를 통해 내부에 자연광이 유입된다는 점

장을 콘셉트로 꾸며졌다. 5층은 트랜스포머, 6층은 플레이그라

이다. 백화점 건물에는 창을 내지 않는다는 업계

운드, 7층은 육상 트랙으로 구성됐는데, 모두 각층 MD에 맞게

관행에 정면으로 도전한 것이다. 갤러리아 루프

연출된 것이다. 이에 층을 오르내리며 달라지는 공간의 변화를

는 광교점이 쇼핑 공간을 넘어 라이프스타일과

만끽할 수 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경기 최고의 명품 라인업 예고

MINI INTERVIEW

광교점은 대외적으로 제2의 명품관이 될 것을 선포했다. 명품 브랜드를 대거 유치하며 백화점 업계의 MD 혁신을 이뤘던 서울

명품과 독보적 VIP 라운지로 경쟁 우위 점할 것

압구정동의 명품관을 잇겠다는 것인데, 구찌, 펜디, 발렌시아가 같은 명품부터 시계 및 주얼리, 수입 컨템퍼러리까지 총 440여

이현진 점장 | 갤러리아 광교

개 브랜드를 입점시켜 경기권 최고의 명품 라인업을 구성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는 일부 브랜드만 입점한 상태인데, 나머지 브

RM 백화점, 쇼핑센

랜드들도 올해 안으로 순차적으로 문을 열 예정이다.

터 등이 몰려 있는 격전지인데 경쟁 우

이에 대해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명품 브랜드 경우 신규 매

위 및 향후 운영전략

장을 열 때 조건 협의, 상품 발주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입

을 말씀해주세요.

점이 확정돼도 글로벌 매뉴얼에 따른 인테리어 시안 확정, 시공

상권 내 우위를 점하

등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면세

는 명품 MD를 비롯

점 사업을 철수한 한화갤러리아는 앞으로 백화점 명품 강화에

해 고객 라이프스타

집중할 계획이라 이번 광교점 개점 때도 명품 브랜드 유치에 심

일을 고려한 특화 매장과 체험형 공간, 독보적

혈을 기울였다.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브랜드명은 언급할 수

VIP 라운지 및 서비스가 경쟁력입니다. 또한 쇼

없지만 3대 명품 중 한 개 브랜드는 입점이 확정됐다.”고 밝혔

핑 외에도 오피스텔, 호텔, 영화관, 아쿠아리움

다. 광교점은 명품 MD를 주축으로 개점 1년차 매출 목표를 5천

등 멀티 복합시설을 이루고 있는 점이 강점입니 다. 무엇보다 올 연말에 개장하는 아쿠아리움이 문을 열면 가족 단위 고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향후에도 차별화된 쇼핑, 식음 콘텐츠를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문화예술 및 라이프스타 일 관련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경기 남부

2

3

한편, 업계 최초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특화매장을 선보였 다. 삼성전자는 갤러리아 루프를 통해 빛이 관통하는 구역의 3 개 층(6~8층)을 ‘프리미엄 스토어’로 구성했다. 이는 국내 백화 점에서는 최대 규모급 삼성전자 미래형 매장이다. 3개 층이 연 결된 보이드 공간에 미디어아트와 AR(증강현실) 셀피존을 결합

권을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되겠습니다.

1

억 원으로 상정했다.

1,2 층마다 다양한 편집숍을 구성했다. 사진은 프래그런스 편집숍 ‘메종드퍼퓸’과 국내 디자이너들의 핸드백 편집숍 ‘백 컬렉션’. 3 삼성전자는 3개 층에 걸쳐 국내 백화점 최대 규모로 프리미엄 스토어를 선보였다.

2020 APRIL

55


STORE

백화점

갤러리아 광교

한 초대형 아트 구조물 ‘인피니티 타워’를 설치해

관한 이후 백화점에 전용관을 여는 것은 처음이다. 냉장고, 와인

단순히 제품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흥미로운

셀러, 식기세척기, 오븐 등 빌트인 라인업을 갖췄다.

체험공간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레고와 IT기기

이 밖에도 층마다 특화매장을 선보였는데, 1층에는 스킨케어

를 결합해 드로잉을 체험하는 ‘키즈존’, 최신 스마

라운지와 프리미엄 향수 특화존 ‘메종드퍼퓸’, 4층에는 국내 디

트폰, 노트북 등을 체험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체

자이너 백 편집숍 ‘백 컬렉션’, 5층에는 셔츠・액세서리 편집숍

험존’, 스마트폰으로 만든 나만의 아바타로 대형

과 시가숍이 구성된 ‘맨즈 컬렉션’, 6층 란제리 편집숍 ‘란제리

미디어월을 통해 사이버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부티크’ 등이 조성돼 있다.

‘삼성타운’, 나만의 폰케이스를 꾸밀 수 있는 ‘커스 텀 스튜디오’, 사물인터넷(IoT) 기술 기반 라이프

밀레니얼 겨냥해 한층 젊어진 갤러리아

스타일을 직접 체험하는 ‘스마트싱스 홈’, 청음공

광교점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강화하기 위해 한화갤러리아

간 ‘하만 사운드 시어터’,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에서는 처음으로 멀티플렉스를 입점시켰다. 또한 전문촬영장

‘데이코’ 등 미래형 매장에 걸 맞는 차별화된 체험

비, 방음시설,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이 완비돼 촬영 전문가와

콘텐츠가 다채롭다.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갤러리아 스튜디오’도 운영하고

8층에 구성된 LG전자의 ‘시그니처 키친 스위

있다. 이는 유튜버들에게 인기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별

트’는 지난 2016년 LG전자가 론칭한 초프리미엄

도로 대관 후 예쁘게 꾸며진 공간에서 자유롭게 사진을 찍을 수

빌트인 가전 브랜드로, 서울 논현동에 쇼룸을 개

있는 포토 스튜디오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올해 말 경기 남부권

갤러리아 광교의 핫 스폿

1

2

4

5

3

1,2 유리 통로인 갤러리아 루프를 통해 내부에 빛이 유입된다. 주변 경관 조망 및 다양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으며 곳곳에 계단형 스퀘어 공간도 마련돼 있다. 이 곳은 다목적 이벤트 공간으로 활용된다. 3 삼성전자 프리미엄 스토어에는 미디어아트와 AR 셀피존을 결합한 초대형 아트 구조물 ‘인피니티 타워’가 설치돼 있다. 4 층마다 색다른 카페로 구성했는데, 6층에는 플랜테리어 관련 상품을 구매하며 수족관을 감상할 수 있는 힐링 카페 ‘아쿠아가든’이 들어섰다. 5 1인 방송 유튜버들을 위해 촬영장비를 갖춘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56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4

1 2 3 4

최근 식품 트렌드인 HMR 관련 상품들을 한곳에 모아 오픈 키친 형태로 구성한 G라운드 키친. 식품관에서는 총 63가지의 고메이494 PB상품을 판매한다. G랩은 트렌디한 델리 팝업존으로, 유명 베이커리의 대표 제품을 판매한다. 갤러리아 광교는 총 4개의 라운지를 운영하며 업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VIP 시설을 선보였다.

최초의 아쿠아리움이 개장하면 쇼핑뿐 아니라 수

성했다. 특히 최상층인 12층에 위치한 ‘갤러리아 라운지’는 단일

원 지역 엔터테인먼트의 랜드마크로도 자리 잡을

VIP 시설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갤러리아 라운지는 휴식, 모

수 있을 것이다.

임, 문화, 이벤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VIP 전용 복합문화

이외에도 고객들의 체류시간을 늘리기 위해 층

휴게공간이다. 이에 따라 내부에는 가족 단위 이용도 가능하도

별 MD 콘셉트에 맞게 디저트 카페, 브런치 레스

록 패밀리 존을 별도 구성했으며, VIP 고객만을 위한 전용 클래

토랑, 웨어러블 IT기기 매장과 카페가 결합된 ‘맨

스 룸 공간도 마련했다. 해당 공간에서는 VIP 고객들만을 위한

즈라운지’, 미니 수족관 및 플랜테리어 관련 상품

브랜드 및 문화행사 등을 진행, 광교 지역 VIP 커뮤니티를 만들

과 음료를 즐길 수 있는 힐링 카페 ‘아쿠아가든’,

어나갈 계획이다.

키즈카페, 디톡스주스바, 북카페를 구성했다.

갤러리아 라운지는 VIP 전체 등급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데

한편, 지하 1층 식품관 ‘고메이494’와 9층 식당

특히 밀레니얼 VIP를 공략하기 위해 기존 수원점에서 연 5백만

가 ‘고메이월드’는 국내 ‘셀렉트 다이닝’의 효시인

원 이상을 구매한 고객들도 이용 가능하다. 이에 SNS 사진 업로

한화갤러리아의 명성을 계승하고 있다. 고메이

드가 일상인 밀레니얼 세대를 위해 감성적인 인테리어로 꾸민

494는 유명 맛집 브랜드 50여 개를 선보이는가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백화점 VIP 라운지와 다르게 높은 층

하면, 식품 매장 안쪽에 다양한 HMR 상품을 오

고와 외부 조망 및 자연 채광이 유입되도록 유리 통창으로 설계

픈 키친 형태로 선보이는 ‘G라운드키친’, 회・초

해 소위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able ; 인스타그램에 올릴

밥・해산물 요리를 즉석에서 즐길 수 있는 오픈

만한)’ 공간을 연출했다.

키친과 바 형태의 ‘씨푸드바’, 최신 델리 브랜드를

한화갤러리아는 광교점 개점을 계기로 활력을 끌어올리기 위

선보이는 팝업 스토어 ‘G랩’ 등 특화 매장도 운영

해 전열을 가다듬고 있는 중이다. 광교점을 신 성장동력으로 삼

한다.

는 한편, 온라인몰을 개편하고 플랫폼 기반 신사업을 개시하는

광교점은 3개 층에 총 4개의 VIP 라운지를 조

2020 APRIL

등 2020년은 변화의 원년이 될 것을 시사했다.

57


STORE

편의점

CU 건대경영관점

CU는 편의점의 기본 가치인 24시간 운영을 위해 고민했고, 그 결과 CU 바이셀프라는 새로운 포맷의 매장을 선보였다. 주간에는 유인, 야간에는 무인 형태로 운영되는 CU 바이셀프는 서비스 업종 특성상 사람이 운영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론칭 2년만에 바이셀프 매장 100호점을 오픈한 CU는 출입인증 방법을 늘리고 일반 매장에도 셀프계산대를 도입하는 등 진입 장벽을 낮췄다. 글 이제만 기자・smash20@koca.or.kr 사진 김장현

100호점 돌파한 바이셀프 유・무인 복합 운영 모델 제시 2017년 CU는 ‘CU 바이셀프(Buy-Self) 앱’을 론칭하고 판교 NHN 사옥 내 점 포에서 셀프 결제 전용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리고 2018년 4월 CU 트윈시티남 산타워점에 첫 하이브리드 포맷 ‘CU 바이셀프’ 매장을 열었다. 2년간 적용 가능 점포를 바이셀프 매장으로 전환하고 시스템을 꾸준히 업그레이드해왔다. 그 결 과 지난 2월 24일 100호점인 CU 건대경영관점을 오픈했다.

타깃 고객, 안정성, 수요 고려한 확장 CU 바이셀프 매장은 주간에는 유인으로 직원이 매장을 관리하며 야간에는 무 인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일반 편의점과 달리 특수한 입지에 출점한다. BGF리

58

R E TA I L M A G A Z I N E


점 포 개 요 개점일

2020년 2월 24일

주소

서울 광진구 능동로 120 건국대학교 경영관

전화번호

02-450-3980

매장면적

65㎡

영업시간

유인 09:00~19:00 무인 19:00~09:00

취급품목 수

2020 APRIL

2천SKU

59


STORE

편의점

CU 건대경영관점

테일 CVS Lab팀 권지민 대리는 CU 바이셀프의 적절한 입지로 3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첫째, 주 변 상권 고객들이 무인 운영과 셀프 계산 방식에 거부감이 없어야 한다. 둘째, 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아야 한다. 셋째, 24시간 편의점 수요에도 직원 고용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다. 이를 종합해 CU 가 선택한 입지는 학교, 오피스, 공장 등이다. 건 대경영관점도 이와 같은 입지 조건에 부합한 건 국대학교 경영관 1층에 위치한다. 건대경영관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직 원이 상주하고, 오후 7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까지 고객이 스스로 해야 한다. 따라서 매장 내외부에 이용방법,

는 무인으로 운영된다. 운영 시간은 CU 바이셀프

위기상황 대처방법 등 정보를 안내하고 있다.

매장마다 상이하며 주변 상권 특성에 따라 결정

야간에 편의점을 이용할 경우 출입은 본인인증 후 가능하다.

한다. 직원이 운영하는 주간에는 일반 편의점과

바이셀프 매장은 앱 인증과 신용카드 인증, 두 가지 방식을 제공

같은 방식이다. 하지만 야간에는 출입부터 결제

한다. 먼저 앱 인증 경우 CU 바이셀프, 포켓CU 같은 CU전용

CU 바이셀프 매장 야간 이용 방법 및 특징

60

앱 또는 신용카드로 출입 | CU전용 앱과 신한페이FAN, 카카오페이 그리고 신용카드 인증을 통해 입장할 수 있다.

스캔앤고&셀프계산대 활용 | CU 바이셀프 앱을 통해 상품 바코드를 인식하고 스마트폰으로 결제까지 한번에 끝낼 수 있다. 다만 앱 활용이 불편한 고객을 위해 셀프계산대도 설치했다. 건대경영관점에는 현금 결제가 가능한 셀프계산대도 있다.

맞춤형 보안시스템 구축 | 지능형 CCTV가 고객 동선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매장내 특수 침입 센서를 적용해 이상 행동에 대응하고 있다.

주야간 상품 진열대의 변화 | 대면 판매가 이뤄져야 하는 담배, 주류 경우 야간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특수 시건장치를 적용했다. 건대경영관점 경우 학교 요청으로 주류는 일절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담배 매대만 달라진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4 5

1 건대경영관점은 대학생이 선호하는 상품들로 구색했으며 학교 측과 협의를 통해 전 품목 10% 할인 판매한다. 2 매장 곳곳에 바이셀프 운영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3 바코드가 없는 즉석조리식품을 위한 바코드 카드도 만들었다. 4 야간 시간 이용 중 불편사항이 있을 경우 CU 고객센터와 통화할 수 있으며, 응급 상황 발생시 신고할 수 있는 비상 버튼을 배치했다. 5 건물 내부로 통하는 문을 설계해 학생들의 출입이 용이하다.

앱과 신한페이FAN, 카카오페이 같은 제휴 앱으

서는 이상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관제센터에 알린다.

로 점포 출입문에 부착된 출입키트 속 QR코드를 스캔하면 된다. 신용카드 경우 카메라를 사용할

제한적 입지 벗어나 상권 다양화 예정

수 없는 일부 공장 입지를 위해 개발했다. 매장 외

CU 바이셀프는 주요입지 특성 때문에 핵심 고객층도 20~30대

부에 부착된 신용카드 단말기를 통해 신원 확인

로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무인 운영이 심야에 이뤄지기 때문

후 입장할 수 있다.

에 남성 고객이 여성 고객보다 많이 찾는 것도 특징이다.

쇼핑 역시 두 가지 방식이다. CU 바이셀프 앱

건대경영관점은 일반적인 대학교 매장과 상품구성이나 운영

으로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고 결제하는 스캔앤고

측면에서 비슷하다. 건대경영점 상품구색에 대해 BGF리테일 강

(scan&go) 방식이 있는데, 앱 사용이 불편하거나

동영업부 이유성 과장은 “학교측과 협의해 전 제품을 10% 할인

신용카드를 사용해야 하는 고객을 위해 셀프계산

된 가격에 제공한다.”면서 “대학생 선호도가 높은 디저트류와 즉

대도 마련했다. 건대경영관점에는 현금을 사용할

석식품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수 있는 셀프계산대도 설치됐다. 바코드가 없는

CU에 따르면 무인운영 시간대 객단가는 유인운영 시간 대비

즉석조리식품, 커피 결제를 위해 셀프계산대에

80%정도 수준이다. 그렇지만 인건비 없이 순수 추가 매출이 발

‘바코드 없는 상품’ 탭도 만들었다.

생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점주들의 반응도 좋다.

야간에는 직원이 없기 때문에 여러 문제가 발생

지난 3월 10일 기준 CU가 운영 중인 바이셀프 매장은 120개

할 여지가 있다. CU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안업

다. CU는 올해 말까지 200호점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체 에스원과 제휴를 맺고 지능형 CCTV를 설치해

전략적으로 출점한 입지에서 시행착오를 거치며 바이셀프 운영

고객 동선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더불어 매장

노하우를 축적했기 때문에 이제는 제한된 입지를 벗어나 리조

곳곳에 비상버튼을 설치했고 비명, 난동 감지 센

트, 호텔, 아파트 단지 등 새로운 상권을 발굴할 계획이다.

2020 APRIL

61


STORE

해외매장

퍼블릭스

직원・고객과의 신뢰 90년간 이어온 일관된 고집 슈퍼마켓 퍼블릭스는 여러 혜택을 통해 직원의 퇴사율을 낮추고 충성도를 높였다. 그 결과 직원들은 고객에게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퍼블릭스는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의 ‘푸드앤드럭(Food&Drug)’ 부문 1위를 차지했다. 고객에게 만족할 만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일관된 기업 문화를 유지하는 퍼블릭스는 미국 여러 지역으로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 글・사진 손대홍・미국 그랜와이즈 대표

62

R E TA I L M A G A Z I N E


미국 50개주 중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디 즈니월드와 나사(NASA)의 케네디 우주센터 (Kennedy Space Center)로 유명한 미국 최남단 의 플로리다주. 이곳에는 미국에서 고객 만족도 가 가장 높은 슈퍼마켓 퍼블릭스(Publix)가 있다. 1930년 창업해 90년 역사를 자랑하는 식품 소매 업체 퍼블릭스는 포춘지 선정 ‘2019년 일하기 좋 은 100대 기업’ 중 12위를 기록했다. 아울러 미국 에서 직원 소유 기업 중 매출이 가장 높은 기업, 식품 소매업체 중 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이다. 고객 만족도나 충성도에서 퍼블릭스는 뉴욕주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시작된 퍼블릭스는 식품 소매업체 중 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이다.

를 중심으로 한 웨그먼스(Wegmans)와 비교되기 도 하지만, 매출규모나 점포 수에 있어 월등한 규

를 찾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 어디선가 직원이 나타나 ‘무엇을 도

모를 자랑한다. 하지만 퍼블릭스가 고객들로부터

와드릴까요’, ‘무엇을 찾고 계신가요’라고 공손하게 말을 걸어온

존경과 사랑을 받는다는 사실은 단순히 위에 열

다. 그리고 고객이 찾고 있는 제품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

거된 기록 때문이 아니다. 퍼블릭스는 서비스, 제

라 직접 안내를 해준다. 정육코너나 수산코너에서도 작업자에게

품 품질, 가격으로 고객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끊

상품에 대해 물어보면 하던 일을 멈추고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임없이 노력해오고 있어 소매업계에서 더 높은

상품 특징과 조리법, 보관방법 등을 상세하게 설명해준다. 퍼블

평가를 받고 있다.

릭스 매장 직원의 설명에는 항상 조심스럽고 부드러운 말투와 친절이 배어있다. 다음으로 고객들이 말하는 퍼블릭스의 장점은 어느 한 곳도

불편할 새 없는 퍼블릭스에서의 쇼핑 1930년 플로리다주의 작은 마을 윈터헤이븐

흠잡을 데 없이 청결하다는 사실이다. 아이보리색 바닥은 천장

(Winter Haven)에 조지 젠킨스(George Jen-

의 조명이 비칠 정도로 항상 깨끗하고 냉장・냉동 쇼케이스 역

kins)가 ‘퍼블릭스 푸드스토어(Publix Food

시 먼지 하나, 손자국 하나 없을 정도로 관리된다. 상품진열 곤

Store)’라는 이름으로 최초의 점포를 열었다. 현

돌라도 선반에서 삐뚤어진 상품을 발견할 수 없을 정도로 완벽

재는 미국 동남부 지역 7개 주에 1,239개 매장을

하다.

운영하고 있는데, 3분의 2가 플로리다주에 집중 돼 있다. 플로리다주 소비자들은 자신의 지역을

정교한 연관진열로 객단가 상승 제고

대표하는 로컬 기업에 대한 애정이 유별나다. 물

퍼블릭스는 차별화 포인트 가운데서도 특히 상품구성과 진열에

론 플로리다주뿐 아니라 퍼블릭스가 진출한 다른

있어 강점을 보인다. 퍼블릭스의 첫 번째 차별화 포인트는 연관진열이다. 퍼블릭스

주에서도 고객들의 선호도는 높다. 고객들이 퍼블릭스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가장 먼

매장에는 중복진열이 많다. 상품의 진열이 대분류, 중분류, 소

저 꺼내는 것이 바로 ‘친절함’이다. 직원들은 높은

분류 등 상품분류만을 따라 나뉘는 것이 아니라 상품 사용상황

수준의 접객을 선보인다. 실제로 퍼블릭스 매장

에 따라 연관되는 상품을 함께 진열하고 있다. 정육코너 주변에

에서 잠시만 두리번거리고 몇 초 동안만 무언가

는 레드와인, 맥주 같이 곁들이면 좋은 가공식품 등을 동시에 진

2020 APRIL

63


STORE

해외매장

퍼블릭스

열한다. 아울러 상품분류도 다른 슈퍼마켓과는 완전하게 차별되는 특징이 있는데, 예를 들어 축 하 카드를 비롯해 각종 카드 판매 공간 옆에 샴페 인과 스파클링 와인을 배치한다. 밸런타인데이가 가까워지면 와인과 카드, 장식소품 사이에 초콜 릿을 진열한다. 물론 이러한 연관진열이 매출 제 고를 위한 목적도 있겠지만 고객이 상품 사용시 함께하면 보다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상품을 추천 한다. 두 번째는 매장 전체가 프로모션이라는 점이 다. 퍼블릭스는 매장 어디에나 프로모션 상품을

SKU다. 대부분의 유통업체들은 매장에 진열하는 상품을 한두

진열한다. 상품별 적합한 형태로 프로모션 디스

가지 용량으로 제한해 회전율을 높이는 데 집중한다. 그리고 부

플레이를 하고 POP를 부착하거나 풍선을 달아

문별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매출데이터 분석과 단품관리를 통해

올리고 커다란 조형물처럼 쌓아 올리는 등 어느

SKU를 줄이는 것을 당연한 상식으로 받아들인다.

한 곳도 대충 만들지 않고 정성스럽게 구성했다.

하지만 퍼블릭스는 동일 상품에서 회전율이 가장 높은 용량으

흔히 BOGO라 불리는 ‘하나를 사면 다른 하나는

로 아이템을 줄이지 않는다. 그 대신 고객이 상품에 대한 구매의

공짜(Buy One Get One Free)’는 고객들이 가장

사를 느낄 수 있는 곳에 적절한 용량의 상품을 진열한다. 감자칩

선호하는 프로모션이다. 주로 가공식품에서 진행

이나 팝콘 같은 과자류를 예로 든다면, 대용량 맥주가 진열돼 있

하며 어제까지 정가였던 상품을 반값으로 판매한

는 곳 바로 건너편에 가장 큰 용량의 제품을 연관진열하거나 프

다. 한편 퍼블릭스는 프로모션 매대 옆에도 연관

로모션으로 판매한다. 미국 소비자들은 좋아하는 스포츠 경기가

상품을 함께 진열한다.

열리면 TV 앞에서 몇 시간 동안 중계를 보며 맥주를 즐기기 때

세 번째는 SKU 관리기술이다. MD와 매장의

문에 안주가 되는 과자는 대용량이 필요하다. 그리고 곤돌라 정

부문별 담당자들이 가장 신경 쓰는 항목이 바로

상매장 위치에는 중간 사이즈 상품을 진열한다. 과자류는 고객

표 1 퍼블릭스 신규점 현황 점포명 블루밍데일 스퀘어점(Bloomingdale Square)

64

개점일

면적(㎡)

위치

2020년 1월 16일

4,495

플로리다주 힐스버러 카운티

미리암 크로싱 호수점(The Shoppes at Lake Miriam Crossing)

2019년 12월 12일

2,368

플로리다주 포크 카운티

레이크사이드 센터점(Lakeside centre)

2019년 12월 12일

2,578

플로리다주 팜비치 카운티

렉싱턴 마켓플레이스점(Lexing Marketplace)

2019년 12월 4일

1,988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렉싱턴 카운티

브리스톨 공원점(Shops at Bristol Park)

2019년 12월 4일

4,495

앨라배마주 터스컬루사 카운티

베네바 빌리지점(Beneva Village Shoppes)

2019년 11월 21일

4,340

플로리다주 새러소타 카운티

리버랜드 마켓점(Riverland Market)

2019년 11월 21일

4,348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카운티

레이크셔 파빌리온점(Lakeshore Pavillion)

2019년 11월 20일

4,495

앨라배마주 제퍼슨 카운티

라티튜드 랜딩점(Latitude Landings)

2019년 11월 7일

4,492

플로리다주 볼루시아 카운티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4

5

1 2 3 4 5

맥주와 과자 매대가 마주보고 있다. 함께 먹기 좋은 시리얼, 견과류, 바나나를 연관진열했다. 축하 카드를 비롯해 각종 카드 판매 공간 옆에 샴페인과 스파클링 와인을 배치한다. 퍼블릭스는 매장 어디에나 프로모션 상품을 진열한다. 매장 초입에 위치한 베이커리코너에서는 집에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냉장 피자 도우도 판매한다.

들이 보통 2~3개 상품을 구입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중간 사이즈가 합리적이다.

는 럭키 마켓(Lucky’s Market)을 매입하는 방식이었다. 그렇다고 퍼블릭스가 플로리다주에서 경쟁 없이 성장한 것은

계산대 앞이나 컨베이어 벨트 앞에는 작은 사이

아니다. 여러 업태와의 피할 수 없는 경쟁은 계속됐다. 플로리다

즈 상품을 진열한다. 초콜릿이나 껌 등 전통적인

주에는 아마존에 인수된 친환경 식품 소매업체 홀푸드마켓이

진열방식을 넘어 운전하며 바로 맛볼 수 있는 과

30여 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하드 디스카운트 스토어 알디

자류를 배치해 충동구매를 유도한다. 하지만 충

매장도 114개 있다. 월마트는 슈퍼센터를 포함해 343개 점포를

동구매에만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다. 퍼블릭스

출점했다. 따라서 친환경, 가격, 편의성 등에서 전국적인 업체

는 상황에 따라 고객이 적절한 용량의 상품을 구

들과 경쟁하고 있고, 플로리다주 외 다른 주에 있는 480여 개 퍼

매할 수 있도록 매장을 구성하고 있다. SKU의 효

블릭스 점포도 로컬 슈퍼마켓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율적 관리는 동일 상품에 있어 무조건 용량이 다

하지만 퍼블릭스는 상품 품질이나 가격, 점포의 규모가 아니

른 아이템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구매 적

라 자신들의 오랜 철학을 바탕으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주주이

정 진열 위치를 찾아내 전개하는 것이다.

자 직원인 회사 구성원들의 헌신적인 서비스, 높은 품질의 상품

이러한 퍼블릭스의 강점은 한때 경쟁자였던 윈

들, 경쟁업태에 비해 많은 SKU, 청결하고 위생적인 매장과 상

딕시(Winn-Dixie)가 어려움에 처하게 된 원인이

품관리, 지역사회 공헌 등 퍼블릭스만이 가질 수 있는 모습을 구

됐다. 윈딕시는 퍼블릭스보다 먼저 플로리다에

축해왔다.

문을 연 슈퍼마켓으로 한때 점포 수를 750개까지 늘렸지만 2005년과 2018년 파산 선고를 받게 된

통일된 매장으로 일관된 쇼핑 경험 제공

다. 한편 플로리다주는 전국적인 체인망을 가진

퍼블릭스는 독특한 근무제도와 복리후생 제도를 갖췄다. 포춘지

슈퍼마켓의 진출이 다른 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 의하면 퍼블릭스는 창사 이래 90년간 경영상 어려움으로 직

늦은 편이며 규모도 작게 들어왔다. 미국 최대 슈

원을 해고한 적이 없다. 또한 퍼블릭스 직원은 입사 후 1년간

퍼마켓 크로거는 2016년 플로리다주 첫 점포를

1천 시간 이상을 근무하면 자신의 상여액의 8~12%에 해당하는

열었는데, 그것도 유기농, 친환경 상품을 취급하

회사 주식을 무상으로 제공받는다. 매년 보유 주식에 대한 배당

2020 APRIL

65


STORE

해외매장

이 실시되는데 퍼블릭스 주가는 2020년 주당 45

는 상품 위주로 결품 없이 제공하고 있다. 케이크 코너에서도 수

달러를 넘어섰다.

준 높은 상품을 만든다. 생일 같은 가족행사에 필요한 케이크부

또한 매장 운영 성과에 따른 보상도 직원들에게

터 결혼식 등 전문행사에 사용되는 최고급 장식의 케이크를 판

제공된다. 따라서 직원들은 매장이 전년 대비 좋

매하고 있다. 이곳의 케이크는 퍼블릭스가 제공하는 케이터링

은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한다. 퍼블릭스 매장

영업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매장 초입에 케이터링 상담

에서는 10년 이상 근속 직원들을 쉽게 볼 수 있으

코너를 배치했다. 점포에서 제공하는 요리와 서비스를 상담하고

며 입사 후 은퇴시까지 직원 이탈률은 5%에 불과

옆 풍선코너에서 행사장 장식을 위한 풍선 준비도 가능하다.

하다. 미국 유통업계 평균은 65%에 달한다.

다음으로 볼 수 있는 매장은 퍼블릭스의 대표적 RTE 상품인

아울러 직원들은 입사 후 6개월마다 급여가 인

치킨 매장이다. 미국에서 치킨 요리는 남부를 대표할 정도로 오

상되며 주당 평균 10시간 이상 근무시 연간 최대

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상품이 개발됐다. 퍼블릭스는 다른 업체

3,200달러의 학비상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

들처럼 매장 통로에 매대를 두지 않고 작업장 앞에 진열해 직원

체 금액으로는 1만 2,800달러를 지원받을 수 있

들이 항상 관리하고 있다. 즉석 샌드위치 코너 경우 고객이 원하

는 것이다. 퍼블릭스의 직원들에 대한 복리후생

는 내용물을 그 자리에서 만들어 제공하며 가격은 음식점의 반

정책이 그들을 충성스러운 직원으로 만들어 회사

값 정도로 책정됐다.

의 철학이 반영된 헌신적인 업무를 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

퍼블릭스 매장에는 가족과 자녀를 위한 요리를 제안하는 ‘에 이프런즈 심플 밀(Aprons Simple Meal)’ 카운터가 농산매장 입

한편 퍼블릭스는 오랜 시간 자신들이 지역 고객

구에 있다. 전문가들이 매일 계절 혹은 가정 행사에 필요한 요리

을 위해 갖춘 매장 포맷을 바꾸지 않는다. 따라서

를 제안하고 레시피가 담긴 팸플릿을 준비한다. 뒤에는 추천요

어느 점포를 방문해도 어려움 없이 쇼핑할 수 있

리에 필요한 재료와 연관 음료 상품 등이 진열된다.

다. 매장 입구의 베이커리도 1957년부터 이어져

일년 내내 다양한 과일과 채소가 재배되는 남부지역 특성상

왔다. 당시 도넛매장을 베이커리로 바꾸기 시작

조각 과일과 즉석에서 만들어주는 착즙주스, 샐러드 코너가 있

했는데, 상품이 많지는 않지만 고객들이 선호하

는데 고객들에게 오픈된 작업장에서 신선하고 다양한 상품을 제

1

66

퍼블릭스

2

3

1 케이크 코너에서 생일 같은 가족행사용부터 결혼식 등 전문행사에 사용되는 최고급 장식의 케이크를 제공하고 있다. 2 케이크 코너 옆에 풍선코너를 배치, 행사장 장식을 위한 풍선 준비도 가능하다. 3 가족과 자녀를 위한 요리를 제안하는 ‘에이프런즈 심플 밀’ 카운터가 농산매장 입구에 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1 전문가들이 매일 계절 혹은 가정 행사에 필요한 요리를 제안하고, 해당 요리 레시피가 담긴 팸플릿을 배치했다. 2 고객이 확인하기 쉽도록 큰 화면의 계산대 모니터를 배치했다. 3 출구 앞에 저렴한 가격으로 빌릴 수 있는 카펫 소독용 스팀청소기가 진열돼 있다.

공한다. 수산코너는 대면으로 운영하며 초밥도

공한다. 퍼블릭스는 계산대에 부착된 고객 방향 모니터를 대화

갖췄다. 그리고 정육코너를 지나면 냉동식품 매

면으로 설치해 고객이 가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배려했

장이 나오는데, 상품을 세분류별로 구분해놨지만

다.

아침・점심・저녁 식사 또는 전채, 후식 등으로

또한 퍼블릭스는 온라인쇼핑과 배달에도 적극적이다. 웹사이 트에서 쇼핑 과정을 단순화했으며, 인스타카트와 협업을 통해

구분해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 퍼블릭스의 PB ‘그린와이즈(GreenWise)’는 생 식품부터 냉장, 냉동, 가공식품에 이르기까지 다

신속한 배달을 지원한다. 온라인에서 구매하고 상품을 점포에서 받아가는 픽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양한 상품 라인을 갖추고 있다. 2000년대 들어

한편 퍼블릭스 점포 내 드럭스토어에서는 의사의 처방전만 있

PB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으로 고객들의 신뢰가

으면 대표적인 5종의 항생제가 2주 동안 무료로 제공된다. 당뇨

높다. 퍼블릭스는 높은 품질의 PB를 저렴한 가격

병과 고혈압 성인 환자 경우 처방전이 있으면 주요 의약품을

에 제공하는데 이는 퍼블릭스의 높은 수익률 달

3개월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의료 수가가 높은 미국에서

성의 원동력이 됐다. 퍼블릭스의 객단가는 홀푸

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드마켓이나 윈딕스에 비해 낮지만 기업 전체 순

게다가 모든 퍼블릭스 매장에는 출구 앞에 저렴한 가격으로

이익율은 2010년 이후 평균 5.7%를 유지하고 있

빌릴 수 있는 카펫 소독용 스팀청소기가 진열돼 있다. 기온이 높

으며 6.3%까지 올라간 적도 있다. 크로거는 1.9%

아 집에서 기르는 반려동물로 인한 위생상 문제나 알레르기가

그리고 홀푸드마켓은 3.9%에 그쳤다.

발생할 수 있어 전문업체 수준의 장비를 저렴한 가격으로 대여 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와 주요 처방약 무료 제공, 점포 청결

세심한 매장으로 플로리다 넘어 전진

의 최우선 등 퍼블릭스는 고객의 건강과 위생에 많은 관심을 쏟

퍼블릭스는 고객 신뢰를 중시한다. 점포 방문 고

고 있다.

객과 퍼블릭스 간의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

퍼블릭스는 최남단 플로리다주에서 대서양 연안을 따라 북동

한다. 예를 들어 계산이 잘못된 상품이 있으면 해

쪽으로 조금씩 북상하고 있다. 물론 내실을 우선하는 문화 때문

당 상품을 무료로 제공한다. 또한 계산시 광고에

에 천천히, 조용히 진행되고 있지만 퍼블릭스가 갖고 있는 상대

표기된 것보다 상품 가격이 비싸거나 진열대에

적 강점을 고려한다면 현지 로컬업체들에게 있어 쉽지 않은 경

부착된 가격보다 비싼 경우도 상품을 무료로 제

쟁이 될 것이다.

2020 APRIL

67


HOT SPOT

패션 전문점 ‘코오롱 을지다락’

‘힙지로’ 감성 담은 뉴트로풍 콘셉트 스토어 코오롱의 콘셉트 스토어 ‘을지다락’은 을지로라는 지역이 주는 특수한 감성을 바탕으로 기획됐다. 옛 모습과 새로운 문화가 공존하는 골목에 복합문화공간을 선보이며 다양한 연령대의 고객층에게 자사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콘텐츠를 전달하겠다는 계획이다. 글 장소형 기자・love350748@koca.or.kr 사진 김장현

68

점 포 개 요 개점일

2020년 2월 14일

주소

서울 중구 창경궁로5길 8

영업시간

11:00~20:00

취급품목

약 50SKU

매장면적

100㎡

코오롱인더스트리FnC(이하 코오롱FnC)가 서울 중구 을

주목 받는 상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의 감성을 지닌

지로에 멀티 콘셉트 스토어 ‘을지다락’을 출점했다. 을지

동시에 빠르게 현대화되고 있는 지역이라 판단해 신규

로는 1960~1970년대 서울 모습을 간직한 곳으로 최근

매장을 출점했다는 설명이다. 을지다락은 상권 특징에

뉴트로풍 카페와 음식점이 생기면서 밀레니얼 세대에게

맞춰 과거와 현재가 어우러진 공간, 상품, 전시작품을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4

5

1 2 3 4 5

1980년대 출시했던 코오롱FnC의 아웃도어용 베스트 상품을 재해석한 신제품을 선보였다. 뉴트로 감성을 지닌 을지로에 위치한 만큼 ‘쌍화차 밀크티’ 등 특별한 메뉴도 갖췄다. 1층에는 올모스트홈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커스텀멜로우 코너에는 다양한 아티스트와 콜라보레이션한 특별한 상품들을 구색했다. 문, 타일, 마루 등 기존 내부 자재들을 인테리어로 활용했다.

배치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을 제안하고 있다.

을지다락은 2개층으로 구성됐으며 1층에 올모스트홈 카페를, 2층은 ‘시리즈’, ‘커스텀멜로우’ 등 코오롱FnC의 5개 브랜드를 소개하는 공간으로 꾸몄다.

브랜드 콘텐츠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4가역 2번 출구에서 100m 거

백화점이나 일반 매장이 판매에 중점을 둔다면 을지다

리에 위치한 을지다락 주변에는 철공상가들이 즐비하

락은 구매보다는 고객이 오랜 시간 머물며 브랜드를 느

다. 오래된 낮은 건물들이 모여있는 이곳에 ‘을지다락’

끼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우선점을 뒀

매장이 이질감이 없이 섞여 있다.

다. 이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겠다는 계획

최대한 을지로 분위기에 어울리도록 기존 건물을 활용

이다.

한 것이 특징이다. 건물의 외관을 그대로 살리고 간판 역

최근 코오롱FnC는 ‘솟솟618’, ‘솟솟상회’ 등 다양한 콘

시 작은 사이즈, 무채색으로 디자인해 을지로 상권과 잘

셉트 스토어를 선보이고 있다. 과거 대규모 플래그십스

어우러지도록 설치했다. 내부도 마루, 타일 등의 기존

토어를 통해 매장 내 되도록 많은 상품을 보여주는 것에

자재를 사용했다.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브랜드 체험 기회를 넓히는 것에

2020 APRIL

69


HOT SPOT

패션 전문점 ‘코오롱 을지다락’

1 2

1 2 3 4 5

3

4 5

리빙 브랜드 푸에브코는 재활용, 재사용 재료로 만든 다양한 소품을 제안한다. 옛날 감성을 자극하는 소품들을 배치했다. 올모스트홈 카페에는 에피그램의 생활용품을 진열했다. 열쇠를 구부려 만든 옷걸이를 활용해 빈티지한 디자인의 셔츠를 진열했다. 가방, 셔츠, 등산용 베스트, 수제 식초, 무쇠솥에 이르기까지 의류뿐 아니라 삶에 관련된 다양한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중점을 두는 콘셉트 스토어가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며 패션업계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1층 올모스트홈 카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에

매장에 구색된 상품은 50SKU 정도로 일반 매장 대비

피그램의 공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의류, 생활용품과

매우 한정된 상품만을 진열했다. 을지다락의 상품 선정

더불어 한국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

기준은 브랜드별로 차이를 둔다. 시리즈 경우 을지로 상

로 운영된다. 뉴트로 감성을 지닌 을지로 상권에 맞춰

권과 잘 어울리는 빈티지 디자인 상품 위주로, 커스텀멜

‘쌍화차 밀크티’ 같은 특별한 메뉴도 갖췄다.

로우는 다양한 아티스트와 콜라보레이션한 특별한 상품

을지다락은 주요 타깃을 20~40대까지 폭넓게 잡았

들로 구성했다. 가방, 셔츠, 등산용 베스트, 수제 식초,

다. 평일에는 주변 회사에서 근무하는 30~40대 회사원

무쇠솥에 이르기까지 의류뿐 아니라 삶에 관련된 다양

들이, 주말에는 ‘힙지로(힙한 을지로)’ 감성을 느끼기 위

한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다양한 연령대를 공략할 수

해 을지로를 방문한 10~20대 젊은층 고객의 방문율이

있도록 가격대가 높지 않고 재미를 더한 차별화된 상품

높다. 옛 것과 새 것이 공존하는 특별한 상권에서 코오롱

을 주로 구색했다는 설명이다.

FnC의 다양한 브랜드를 소개하며 폭넓은 고객층을 이끄

현재는 5가지 브랜드를 구색했으나 향후 지속적으로

70

진열 브랜드를 변경해나갈 예정이다.

는 공간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BIZ INSIGHT

2020 유통 트렌드

➍ 복잡성 관리

출시 자체만으로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애플 아이폰 같은 혁신상품이 아니라면 기업들은 신시장 개척 및 글로 벌 시장 진출이나 확장 과정에서 신상품과 서비스를 지 속적으로 출시해야 한다. 또한 기업들은 보다 세분화된

‘SKU 합리화’ 최적화 관점에서 접근해야

시장 대응을 위해 기존 제품들을 변형시킨 수많은 변종 제품들도 출시하고 있다. 차별화된 상품구색이 무엇보다 중요한 유통업계 경우 최근 글로벌 소싱 확대, PB상품 강화와 함께 서비스 영역 까지 상품 범위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많게는 수만 개에 이르는 제품을 관리하고 있다. 이렇게 ‘점차 증대되는 복 잡성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라는 고 민에서 나온 것이 ‘복잡성 관리(complexity management)’다. 이번 호에서는 AT커니가 제시하는 ‘전략적 복잡 성 제어(strategic complexity control)’ 방법론에서 몇 가지 원칙들을 소개한다.

지나치게 많은 상품 출시와 서비스 론칭은 기업에게 제품 개발뿐 아니라 구매, 생산, 물류 등 오퍼레이션상 비효율을 야기하고 운영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이에 기업을 둘러싼 ‘복잡성(complexity)’ 관리 능력이 대두되고 있다.

매출 기여도만이 SKU 관리 포인트? 많은 기업들이 복잡성 이슈를 해소하기 위해 매출과 이익 을 잣대로 저성과 제품들을 퇴출시키곤 한다. 그러나 실 제 프로젝트 과정에서 매출 및 이익 기여도에 따라 상품 을 분석해보면 재무 기여도가 낮더라도 구매, 생산, 물류 등 오퍼레이션상 복잡성은 의외로 높지 않은 경우가 많 다. 반대로 재무 기여도가 높더라도 오퍼레이션상 높은 복잡성으로 인해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오히려 재무적 관점에서만 접근하면 미래 시장 및 경쟁 사 대응을 위해 전략적으로 필요한 상품을 철수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본원적 제품 경쟁력 저하로 연계된다. 분명 재무 기여도는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복잡성 관리의 핵

글 신엽 AT커니 상무

심 요소다. 그러나 중장기 제품 전략, 오퍼레이션상 복잡 성과 비용 효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보다 전략적이 며 통합적인 복잡성 관리가 필요하다. 즉, 매출 및 이익 기여도뿐 아니라 해당 제품이 신규고 객 창출이나 기존고객 유지 차원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 따져봐야 한다, 또한 판매 채널 내에서 집객 효과와 경 쟁사 대응 차원에서의 역할 등 각 제품 고유의 전략적 의

72

R E TA I L M A G A Z I N E


전사 차원의 실행력 통제 필수

도표 1 복잡성 관리를 통한 영업이익 증대효과

먼저, 복잡성 관리를 통해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려면 전 사 차원의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야 5% 3~

한다. SKU 단위의 이익 공헌도 측정 및 관리뿐 아니라

가 증

해당 상품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판단이나 오퍼레이션 복 잡성 등을 전사적으로 공유해야만 핵심 이슈를 발굴해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케팅 부서 경우 시장 및 고객 대응 차원

기존 영업이익

에서 저성과 제품이더라도 가급적 구색을 많이 확보하려

신규 영업이익

는 한편, 생산・구매부서는 비용 효율적 관점에서 최소한 의 제품 포트폴리오만 가져가려고 한다. 각 부서 간 입장 생산 및 물류 최적화

•생산시설 폐쇄 •이용효율 증대 •신규투자 절감

서비스 능력 조정

•영업 및 연구ㆍ개발 인력 조정 •판매 규모 최적화 •이익 기여도 낮은 고객 축소

차이가 존재하는 만큼 공감대 형성 차원에서 투명성 확 보는 복잡성 관리의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제품 단종에 대한 의사결정과 복잡성 이슈 해소

복잡성 감소 수준

를 위한 실행 단계에서는 부서 간 이해관계가 더욱 첨예 하게 대립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기능을 포괄하는 전사 차원의 컨트롤 타워 역할이 중요하다. 복잡성 관리에 능

생산 원가 절감

•규모의 경제 효과 극대화 •공급자 정예화, 재료비 감소 •기술 플랫폼 도입

한 글로벌 기업들을 보면, 컨트롤 타워 기능을 하는 부서 에서 각 기능별 조직의 실행력을 통제하거나, 별도의 전 담 조직을 구축하기도 한다. 그만큼 복잡성 관리의 성패

이익 증대

•상품 믹스 확대 •가격 인상 •이익 기여도 낮은 상품 제거 (상품 대체 無)

는 전사 차원에서 얼마나 실행력을 강력하게 통제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수시 단종이 답은 아니다 대부분 기업에서 ‘복잡성 관리’란 비용 효율이 떨어질 때 미도 고려해야 한다. 이 같은 전략적 접근을 토대로 명확

마다 수시로 제품을 단종한다는 의미로 통용된다. 물론

한 기준과 원칙을 정립, ‘복잡성 수준’을 분석하는 과정에

일시적 제품 단종에 따라 상품개발・관리, 오퍼레이션 비

서 가장 중요한 것은 퇴출 제품 리스트를 만드는 것이 아

용 감소를 기대할 수 있지만, 지속 성장을 추구하는 글로

니다. 퇴출 대상 제품의 복잡성을 유발하는 근원적 요인

벌 기업일수록 복잡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

이 무엇인가를 찾는 것이다.

계를 마련하는 데 힘쓴다.

예를 들어 과도한 원재료 및 구매처 활용, 상품개발 원

복잡성 관리 전담조직의 상설화뿐 아니라 복잡성 관리

칙 부재, 생산공정에서 과다 패키징 활용 등 복잡성 이슈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투명성 확보 차원의 시스템을 구축

해소를 위한 개선 기회들을 발굴하고 실행하는 것이 단

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발굴한 개선과제의 실행성과 모

순한 제품 단종보다 근원적 복잡성 관리의 대안이 될 수

니터링 실행체계 등을 갖춰야만 향후 지속적으로 증대되

있다.

는 복잡성 이슈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2020 APRIL

73


BIZ INSIGHT

성공을 부르는 본질

➓ 그로스해커 김봉진

2019년 12월 14일 국내 스타트업 시장에 한 획을 긋는 일 이 발생했다. 국내 스타트업 중에 가장 주목받으며 성장 했던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경쟁업체 딜리 버리히어로에 매각된 것이다. 우아한형제들은 지금까지

‘엑시트 대신 도전’ 나만의 길을 걸어라

요기요와 배달통을 운영하는 딜리버리히어로와 치열한 경쟁을 펼쳤지만 4조 8천억 원이라는 천문학적 금액과 함께 인수합병됐다.

DH의 인수 의도는 흡수 아닌 합체 겉으로 봐서는 통상적으로 발생하던 기존의 인수합병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하지만 우아한형제들 김봉진 대표 의 앞으로 계획과 행보를 보면 전혀 다른 거래라는 사실 을 알 수 있다. 표면적으로 딜리버리히어로가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해

우아한형제들은 항상 즐겁고 유쾌한 광고와 이벤트를 선보였다. 남들과 다른 독특한 아이디어로 소비자에게 다가갔다. 이러한 전략으로 배달의민족 고유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었고 경쟁사와 차원이 다른 성과를 만들어냈다. 이처럼 우아한형제들이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김봉진 대표가 그로스해커로서의 면모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김봉진 대표는 항상 즐겁게 일을 하며 자기다움을 찾고자 했다.

요기요의 승리고, 배달의민족은 애매하게 요기요에 흡수 되거나 궁극적으로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의 통합까지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김봉진은 전체 통합법인의 CEO가 되고, 지분 교환을 통해 독일 딜리버리히어로의 대주주 중 한 명이 자 최고이사진으로 선임됐다. 특히 두 업체가 합쳐 더욱 강력한 회사가 돼 아시아 시장으로 확대를 계획했다. 그 리고 그 총괄을 김봉진 대표가 맡는다. 어떻게 보면 딜리버리히어로의 정체된 성장 돌파구를 아시아 시장에서 찾던 딜리버리히어로 주주들은 그룹 의 미래성장 수장으로 김봉진 대표를 선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부 신문기사에서는 독일의 딜리버리히어로 가 4조 8천억 원이라는 거금을 내고 김봉진 대표를 산 것 이라는 표현을 했다.

글 장중호 홈플러스 전략마케팅부문장

배달의민족이라는 플랫폼이 국내에서 누구나 다 아는 브랜드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영업이익 500억 원가량의 자산도 없는 스타트업이 5조 원에 가까운 금액에 팔렸다 는 사실은 놀랍다. 지난해 초만 하더라도 우아한형제들 의 시가 총액은 3조 원 정도로 예상됐다. 그 금액만으로 도 대단하다 생각했는데 불과 6개월 만에 2조 원이 늘어 난 금액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따라서 4조 8천억 원이라

74

R E TA I L M A G A Z I N E


는 금액은 단순히 우아한형제들보다는 김봉진 대표의 가

하고 있는 일이 중요해 보였다. 4조 8천억 원이라는 거금

격이라는 결론을 냈다.

에 자신의 회사를 매각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질 천문학적인 돈으로 세계일주를 꿈꿀 것이다. 반

김봉진 대표의 선택 ‘엑시트 대신 도전’

대로 미래가 보장되지 않은 아시아 시장에서의 사업이라

김봉진 대표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데, 가까이에서 바

는 길을 굳이 걸으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김봉진 대표는

라본 그는 타고난 그로스해커였다. 끊임없이 꿈을 꾸고

그의 지분 대부분을 독일 본사의 지분으로 교환해 글로

계속해서 새로운 시도를 한다. 그리고 스타트업 경영이

벌 회사 차원의 경영자로서 새출발을 한다.

라는 측면에서, 또 브랜드 마케팅이라는 측면에서 새로

그와 함께하던 알토스벤처펀드, 골드만삭스 등 투자사

운 교과서를 써왔다. 늘 그가 하는 경영 방식은 상식을

들은 지분 전량을 팔고 엑시트를 하는데, 그는 딜리버리

넘어섰고 당시에는 도대체 왜 쓸데없는 일을 하는지, 말

히어로와 아시아에서의 승부에 배수진을 쳤다. 그의 꿈

도 안 되는 의사결정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은 지금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아시아 시장에서 명실

얼마의 시간이 지나고 보면 김봉진 대표의 의중이 보이

공히 최고의 배달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고 탄성이 나왔다. 따라서 이번 인수합병도 분명 또다시 큰 탄성을 지르

시공간 상관없이 즐거워야 한다

게 만들 것이라는 데 의심하지 않는다. 이 정도 성공하고

무엇이 과연 김봉진 대표를 지속적으로 꿈꾸게 만들고

돈을 벌면 대부분이 초심을 잃고 변한다. 만나는 사람을

도전하게 만들었을까.

가리기 시작하고 즐길거리를 찾으며 삶의 방향이 바뀐다.

그것은 바로 지속적으로 발전하려는 필연적인 그로스

하지만 김봉진 대표은 처음 봤던 5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

해커 DNA가 그의 유전자에 깊게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같다. 늘 심플하고 호기심 많고 겸손하다. 단정한 머리 스

그를 가까이서 지켜본 나는 그에게서 두 가지 그로스해

타일에 검은색 계열의 옷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

커 DNA를 발견했다.

그에게 있어 돈은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분명 자신이

2020 APRIL

첫 번째는 바로 ‘자신의 일을 즐긴다’는 것이다. 아무리

75


BIZ INSIGHT

성공을 부르는 본질

강하고 똑똑한 사람이라도 일을 즐기는 사람을 이기지

데월드 앞 석촌호수가에 사무실이 있었는데, 창밖으로

못한다는 말이 생각난다.

보이는 석촌호수와 롯데월드 어드벤처의 신데렐라 성이

김봉진 대표는 우아한형제들이라는 회사를 그의 놀이

인상적이었다. 전경 이외에도 사무실 곳곳에 미소 지을

터, 더 나아가 모든 직원들의 놀이터로 만들고 일을 하더

만한 요소가 배치됐다. 사무실에 붙은 많은 포스터와 표

라도 어떻게 해야 더 재미있게, 신나게 할 것인가 연구한

어들은 직원들에게 바라는 김봉진 대표의 요구를 담고

다. 이름부터 신선하게, 로고부터 흥미롭게, 광고를 만들

있었다. 어쩌면 딱딱할 수 있는 요구사항을 아주 재치 있

어도 미소를 짓게 만들고 다른 사람들도 함께 즐기게끔

게 표현해 전혀 거부감이 없었다. 나중에는 포스터나 표

만들어 공유한다. 배달 앱 출시 초기, 일에만 집중해도

어, 물건들이 인기가 많아져 다른 매장에서도 판매하는

모자랄 텐데 그는 밤을 새우고 시간을 쪼개 모든 사람들

배달의민족 굿즈로 발전했다.

이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서체 ‘배민체’와 ‘한나체’

지금도 하는지 모르겠지만 5년 전쯤 매년 직원들의 소

를 개발했다.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원을 모아 몇십 개의 소원리스트를 만들어 사무실에 붙

무료로 배포했다.

여 놓고 하나씩 이뤄가는 캠페인을 했다. 그중에 하나가

김봉진 대표에게 바쁜 와중에 이러한 서체를 만든 이

‘금발을 가진 직원과 함께 일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하지

유를 물었다. 그의 대답은 단순했다. “재밌잖아요. 그냥

만 금발 직원을 쉽게 채용할 수 없어서, 결국 금발 가발

해보고 싶었어요.” 대기업 같으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

을 구입해 직원들이 돌아가면서 쓰고 일했다고 한다. 물

이지만 그는 그냥 재밌어서 서체를 만들었다. 심지어 팔

론 김봉진 대표도 금발 가발을 쓰고 일을 했다.

아도 충분한 서체를 무료로 배포했다. 많은 젊은 고객이

실제 평소 회사 분위기는 직접 근무해보지 않았기 때

어쩌면 배달의민족 앱을 다운받고 배달 주문을 해보기도

문에 모르겠지만, 이러한 에피소드가 있는 회사라면 직

전에, 서체를 먼저 사용해봤을 수도 있다.

원들이 재미있게 그리고 즐기면서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

6년 전쯤 우아한형제들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다. 김봉 진 대표의 사무실은 역시 충격적이었다. 당시 송파구 롯

76

➓ 그로스해커 김봉진

다. 그리고 즐거운 사내 문화를 만드는 데 CEO부터 나선 다는 사실은 모두에게 귀감이 된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절실함으로 만들어낸 배민다움

아마존만의 차별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지금의 아마

김봉진 대표의 그로스해커 DNA 중 두 번째는 ‘자기다움’

존 제국을 구축했다.

이다. 우아한형제들은 배달의민족만의 차별화된 광고, 서

하지만 남들과는 다른 자기만의 길을 걷는 것은 상당히

비스, 이벤트와 캠페인 등 다른 기업들과 전혀 다른 무엇

어려운 일이다. 불안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불안감

인가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김봉진 대표의 어떻게든 살

을 극복하고 새로운 길을 개척할 때 기업은 성공한다. 김

아남겠다는 절실함에서 비롯된 비즈니스의 본질이다.

봉진 대표는 “모두를 만족시키려 하면 아무도 만족시킬

남들과 비교하면서 서로 베끼고 따라하고 남들만큼만

수 없고, 단 한사람을 제대로 만족시키면 모두를 만족시

하기는 쉽다. 경쟁자가 이미 하고 있고 고객들이 사용하

킬 수 있다.”고 말했다. 브랜드와 마케팅 일을 하는 사람

고 있는 것은 뒤늦게 도입해도 실패의 가능성이 적다. 그

들은 항상 고객을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고객을 머리에

래서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방법을 차용한다. 일반적인

담고 답을 내려고 한다. 젊은 고객부터 나이든 고객, 남자

고객조사를 통해 고객들이 좋아할 만한 요소를 찾는다.

와 여자, 직장인들과 전업주부 등 모두를 만족시켜 전체

그리고 경쟁사나 글로벌 기업들을 벤치마킹이라는 이름

시장을 장악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다. 어느 특정 고객군

아래 분석하고 따라할 것을 찾는다. 이 과정 속에서 상품

만 생각하다 나머지 고객들에게 외면 받으면 어떡하나 하

이나 서비스는 서로 비슷해져서 고객들은 모든 회사들이

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마케팅 캠페인과 브랜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에 돌입하면 선택

드 광고에서 무난하고 모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방법을

은 단 한가지, 가격 경쟁이다. 수익을 낮춘 과도한 가격

찾는다.

경쟁은 공멸의 길로 인도한다. 이것이 바로 지금 대다수 의 기업들이 하고 있는 비즈니스의 현실이다.

하지만 그런 방법은 없다. 지금도 평범한 회사들이 이 방법을 찾아 헤매고 있다. 하지만 김봉진 대표는 처음부

하지만 김봉진 대표는 처음부터 살아남고 오래가는 기

터 집과 회사를 막론하고 배달음식 주문은 막내가 한다는

업들의 단 하나의 공통점을 ‘자기다움’을 만들고 지킨다는

철칙을 세우고, 철저하게 회사에서 막내로 있는 20대 초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절실하고 절박하게 자기다움을

반을 타깃으로 잡았다. 그리고 20대가 좋아하는 B급 감성

만들고 지키기 위해 올인했다.

으로 앱의 UX는 물론 광고 카피, 캠페인, 아이디어, 상품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의 버튼 하나하나에 집착

을 무장시켰다. 철저하게 타깃 고객만 만족시키기 위해

하고 맥킨토시의 아이콘 하나에 혼신을 기울인 이유도 바

집착했다. 결과적으로 배달의민족만의 느낌과 이미지를

로 애플다움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

구축할 수 있었고 다른 경쟁사와 차원이 다른 성과를 만

스도 모두 다 온라인 가격 경쟁에 치중할 때, AWS 같은

들어냈다. 언젠가 김봉진 대표에게 새로운 마케팅을 진행할 때 불 안하지 않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 그는 특유의 웃음과 함 께 ‘재밌잖아요’라는 답변을 내놨다. 그는 재밌다는 말을

남들과는 다른 자기만의 길을 걷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불안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불안감을 극복하고 새로운 길을 개척할 때 기업은 성공한다.

2020 APRIL

입에 달고 산다. 하지만 그 말 뒤에는 너무나도 절실하게 성공하고 배달의민족을 배달의민족다운 플랫폼으로 만들 겠다는 의지가 넘치고 있었을 것이다. 그로스해커는 반드시 남들이 가지 않는 길로 간다. 그 래야 오래 살아남기 때문이다.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은 불 안하다. 하지만 불안함을 극복하는 것은 절실함이다.

77


BIZ INSIGHT

빅데이터 분석

❷ 성공적인 데이터 수익화 전략

전세계 유통업체들은 데이터 수익화를 얼마나 잘 실현 하고 있을까. 지난 호에서 언급했듯이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포레스터 컨설팅이 전세계 11개국 글로벌 유통업 체 종사자 6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중 96%

지속 가능한 데이터 수익화, 유통・제조 협업으로 실현

가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전략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조사에 참여한 유통업체의 85%가 데이터 수익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으나, 이들 중 3분의 1 정도만 고객 데이터 활용을 통해 고객 경험 과 수익 증대 면에서 성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해당 업체들 중 61%가 데이터 인사이트를 활용해 고객경험을 개선했고, 58%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할 수 있었으며, 56%는

유통업은 전세계에서 고객 데이터를 가장 많이 다루는 산업 중 하나다. 오늘날 유통업체들은 인터넷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접하고 있다.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서 스마트한 데이터 활용은 유통업체의 경쟁력 확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데이터에서 도출한 인사이트를 경영에 활용해 추가 수익을 얻는 ‘데이터 수익화(Data Monetization)’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기존 수익과 수익원에서 성장을 달성했다고 답했다.

최상의 데이터 수익화는 어떻게 얻는가 고객 데이터 활용이 비즈니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만 대다수 유통업체들이 데이터 수익화 전략을 위해 무 엇부터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새로운 데이 터 수익화 전략을 개발하거나 기존 데이터 전략을 재수 립할 경우 먼저 출발점부터 검토하는 것이 좋다. 시작 은 데이터 수익화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을 이해하는 것에 있다. 또한 기업의 의사결정과 전략을 실행하는 데 데이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 제품 종 류, 프로모션 계획, 온・오프라인 미디어와 같은 중요 한 사항을 결정하는 데 있어 소비재 공급업체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도표 3 참고). 이밖에 유통업체는 지속 가능한 데이터 수익화를 위 해 ‘고객우선(customer first)’ 요소를 가장 먼저 고려

글 권태영 던험비 코리아 대표

해야 한다. 고객우선 전략이란 유통업체가 소비재 공급 업체와 함께 고객 데이터 인사이트를 활용해 고객의 쇼 핑 경험을 개선하는 것이다(도표 4 참고). 데이터 수익 화를 단순 데이터 판매로만 여기지 않고 그 데이터를 통합해 소비재 공급업체와 어떻게 협업할 것인지를 중 점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원활한 협업을 통해 데이터를 현명하게 다룬다면 유통업체는 장기적인 성장을 달성

78

R E TA I L M A G A Z I N E


도표 1 대륙별 유통업체 데이터 수익화 현황

현재 글로벌 시장 23곳에서 65개 대형 유통업체들이 각자의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재 기업과 함께 3억 6천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들 수 있다. 유통 및 소비재 기업은 제품 카테고리와 브

할 수 있다.

랜드 성과를 말할 때 일관된 언어를 사용하고, 성과를

데이터 수익화 전략의 4대 핵심 기둥

측정할 때 동일한 핵심성과지표(KPI)를 활용해야 한

효율적인 데이터 수익화 전략을 통해 유통업체, 고객,

다. 데이터를 올바르게 사용할 경우 공동 업무 체계를

소비재 공급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다. 가장 효과적

구축해 고객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인 데이터 수익화 전략을 달성하려면 다음의 네 가지 핵심 기둥이 필요하다.

2

문화|고객 중심 문화를 만들어라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통업체들은 고객 1

데이터|올바른 데이터를 확보하라

니즈를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 조직 전체에 고객중심

최상의 데이터 수익화 전략은 매출 데이터가 아닌 고객

문화가 퍼져 있다면 데이터 수익화 전략을 훨씬 쉽게

행동을 분석한 인사이트에서 시작한다. 이는 고객의 쇼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구매, 카테고리 관리, 상품 판매

핑횟수, 쇼핑금액, 프리미엄 제품 구매 여부에 이르기

팀 등 조직 전체가 매출과 이윤뿐 아니라 고객을 이해

까지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온・오프라인에서의 고객

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것이다.

행동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을수록 고객 중심적인 전략

또한 유통업체와 소비재 기업이 카테고리 목표 달성

을 수립할 수 있다. 거래 매출 데이터만으로는 비즈니 스를 혁신할 수 있는 데이터 수익화 전략을 실현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올바른 데이터 확보가 우선 과제다. 적어 도 50% 이상의 고객이 가입돼 있는 멤버십 카드 같은 고객관계관리(CRM)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집한 데이터를 단일 데이터베이 스에 통합시키고 다른 카테고리와 장소의 정보를 함께 분석한다면 일관성 있는 데이터 기반의 고객 언어를 만

2020 APRIL

던험비 30년 역사의 던험비는 글로벌 고객 빅테이터 분석&솔루션 기업으로, 고객 데이터 과학(Customer Data Science) 분야의 글로벌 리더다. 특히 다중 데이터가 넘치는 유통 소비재 부문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 으며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한다. 던험비의 고객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은 정보기술(IT)과 소프트웨어, 컨설팅이 혼합된 형태 로, 이를 통해 기업들이 온・오프라인 상에서 특별한 고객 경험을 제 공하고 수익과 이익 증대로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79


BIZ INSIGHT

빅데이터 분석

❷ 성공적인 데이터 수익화 전략

도표 2 아마존과 알리바바의 미디어 수익

101억 달러

7%

65%

40 달러

2018년 광고수익

2020년 미국 전체 광고 중 아마존 지출 예상 비율

전체 매출 중 미디어 수익화 매출 비율

미디어 수익에 대한 고객당 평균 회수금액

→ 글로벌 디지털업체들은 이미 미디어를 통해 상당한 수익을 얻고 있다. 던험비 추정에 따르면 글로벌 유통업체들은 리테일 미디어를 통해 1~2%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을 위해 함께 협업한다는 목표 의식이 있을 때 데이터

활용한다면 데이터 수익화 업무를 보다 쉽게 전개할 수

수익화 전략은 성공할 수 있다. 즉 유통업체와 소비재

있다. 소비재 기업을 카테고리 관리 프로세스에 참여시킬

기업이 신뢰와 투명한 관계를 바탕으로 협력할 경우 한 결 수월하게 데이터 수익화를 달성할 수 있다.

경우 외부 견해나 카테고리 전문지식, 경쟁사 관점의

일부 유통업체들은 소비재 공급업체에 카테고리 인

의견 등을 수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카테고리 내 주

사이트를 공유할 경우 자신들의 영향력이 감소할 것을

요 소비재 기업 1~2곳을 지정하고 권한을 부여한다면

우려한다. 하지만 소비재 기업은 자사 제품뿐 아니라

이들의 경험, 자원, 지식 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제품 카테고리에 대한 인사이트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고객 데이터를 인사이트부터 실행 프로세스에 이르기

만 카테고리 성과를 내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까지 모든 업무 계획에 포함시킬 경우 고객 주도 카테

브랜드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이해할

고리 전략을 보다 수월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수 있다. 프로세스도 중요하다. 카테고리 관리 프로세 스가 문서화돼 있고 이를 일관성 있게 카테고리팀에서

3

인력|데이터 전문 리더를 확보하라

조직 안에 고객 데이터 관련 영업을 담당할 리더가 있 도표 3 데이터 수익화 전략 수립 전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들

다면 데이터 수익화 성공률은 훨씬 높아질 수 있다. 데 이터 수익화 전략에 성공한 유통업체 경우 마케팅 전략

최상의 ROI를 위해

제품을 개선시킬

어떤 프로모션

것인가 아니면

전략을 펼쳐야

더 나은 대체품을

하는가?

찾을 것인가?

소비자들에게 더 개인적으로 소구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책임자나 수익화 전략 책임자가 있으며 이들이 데이터 수익화 전략을 이끄는 것을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혁신적인 수익원 발굴에 전념할 수 있 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데이터 수익화 전략이 정해지면 구매나 카테고리 관

가격이나 품질 면에서 차별화가 되는가?

어떤 투자를, 우리의 전자상거래

어떤 수단으로 어떤

전략은 무엇인가?

소비자에게 할 것인가?

리 책임자가 선도하고 해당 팀이 전략을 실행해야 한 다. 이들이 소비재 공급업체와 가장 밀접하게 일하고 업무 계획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또한 성공을 위한 KPI 를 설정하고 고객 인사이트를 본격적으로 활성화시킬

80

R E TA I L M A G A Z I N E


유통・제조사 KPI 공유, 고객 로열티 향상

도표 4 최상의 데이터 수익화 방법, 고객우선 전략

데이터 수익화를 실행했을 때 유통업체에게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유통업체(Retailer) 고객우선 소비자, 매장, 전자상거래, (Customer 미디어 자산, 활성화 수단 First)

소비재 공급업체(CPG) 제품, 브랜드 자산, 혁신, 카테고리 지식

• 첫째, 고객우선 전략을 실행할 수 있다. 유통업체와 소비재 업체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고 언제, 왜, 어떤 가격의 제품을 찾는지 파악해 더 나은 고객 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다.

카테고리 관리 소비자들이 원하는 제품을 선반에 찾기 쉽게 진열

프로모션 관리 제품을 최적의 시간에, 최적의 장소에서 프로모션 진행

• 둘째, 유통업체와 소비재 공급업체가 고객 인사이트 활용에 대한 공동의 목표의식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 셋째, 유통 및 소비재 업체 사이에 높은 수준의 투명

수 있다.

성과 신뢰가 생긴다. 두 기업 모두 동일한 인사이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인력의 역량을 살펴보는 것 또

를 토대로 성과 측정 KPI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한 중요하다. 고객 데이터는 매출 데이터보다 훨씬 복

• 넷째, 효율적인 카테고리 관리가 가능하다. 데이터

잡하다. 현재 팀원들의 역량에 부족함이 있더라도 지속

중심의 실행 전략은 고객 편의성을 고려해 적절한

적으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면 필요한 데이터

위치에 제품을 진열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고객경

를 수집, 분석해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험을 개선해 유통업체는 고객 로열티를 높일 수 있 고 이를 통해 카테고리 매출을 높일 수 있다.

4

기술|조직의 데이터 관리 능력을 판단하라

데이터 수익화 전략을 위해 외부 전문가의 영입 여부도 판단해야 한다. 다음의 핵심 질문을 통해 조직의 데이 터 관리 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 다섯째, 효과적인 프로모션 관리가 가능하다. 유통 업체와 소비재 업체는 공통의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이 필요로 하는 프로모션을 기획할 수 있다. • 여섯째, 매출을 신장시킬 수 있다. 카테고리 관리와 프로모션을 효과적으로 진행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 고 이를 통해 매출 증대가 가능하다.

① 필요한 데이터 확보를 위해 CRM이나 로열티 프로 그램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투자하고 있는가, 그 결과

이처럼 고객은 원하는 바를 얻고 유통업체와 소비재 공급업체는 매출 상승을 꾀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가. ② 데이터를 한곳에 수집하고 분석해 가치 있는 인사이

수익화는 고객・유통사・제조사 모두가 상생할 수 있

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

는 전략이다. 고객과 고객 행동에 대한 이해는 단순히

고 있는가.

점포 내 카테고리와 프로모션 전략 실행에만 영향을 미

③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비즈니스와 의사 결정에 활용

치는 것이 아니다. 나아가 온・오프라인 미디어를 효과

하고 있는가.

적으로 활용해 시의적절하고 개별화된 고객경험을 제

사내 기술 수준이 위의 세 가지 기준에 충족되지 않

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높은 편의성을

으면 외부 전문가를 영입해야 한다. 이 경우 유통업체

경험하고 유통업체는 고도로 타깃팅된 홍보를 실행해

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고수준의 데

소비재 공급업체와 상생하고 결과적으로 매출 성장을

이터 관리기술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이끌어낼 수 있다.

2020 APRIL

81


GLOBAL SPECIAL

글로벌 250대 소매기업 분석

아마존의 3위 등극에 유통업계 ‘옴니채널’로 대응 딜로이트가 조사한 글로벌 250개 소매기업 리스트에서 아마존 순위가 3위까지 올랐다. 크로거는 5위로 떨어졌지만 상위 10개사에 속한 기업 명단은 전년과 같았다. 업체 규모에 상관없이 신기술 투자가 이뤄졌으며 인수합병도 활발히 진행됐다. 한편 아프리카・중동, 남미 지역의 소매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곳에서 영업을 하는 소매업체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글 편집부・editor@koca.or.kr

개선 등에 투자했으며 그 결과 비용이 상승했다. 글로벌 250위에 들기 위한 최소 매출은 39억 달러로 2017년 회계연도의 37억 달러보다 늘어났다. 250대 기 업은 평균적으로 10.8개 국가에서 영업을 했고 외국 영 업에서 총 매출의 22.8%를 거뒀다. 64개 기업이 10개가 넘는 국가에서 영업했으며 37개 기업은 총 매출의 절반 이상을 외국에서 거둬들였다. 이들 37개 기업 중 대다수 인 31개 기업이 유럽에 본사를 둔 것이 특징이다.

점차 높아지는 톱10 진입 문턱 아마존이 크로거를 밀어내고 3위 자리를 차지했다. 1 아마존은 전년 대비 18.2% 성장률을 기록하며 3위로 올라섰다. 2 슈바르츠는 미국 슈퍼마켓 베스트마켓 매장 27개를 인수했다.

1 2

2018년 회계연도 기준 상위 10개사에 새롭게 진입한 업 체는 없으며 2017년 회계연도와 마찬가지로 미국에 본 사를 둔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82

글로벌 컨설팅 기업 딜로이트(Delloitte)가 발표한

1위 월마트는 미국 시장에서 안정적인 기존점 매출 성

‘2020 글로벌 소매업계 보고서(Global Powers of

장률 덕분에 전년 대비 2.8%의 소매 매출 성장률을 기

Retailing 2020)’에 따르면 글로벌 250대 소매기업들은

록했다. 월마트는 2018년 회계연도에 54억 달러를 투자

2018년 회계연도에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

해 자사 옴니채널 전략을 공고히 했다. 그 결과 전자상

2020 글로벌 소매업계 보고서는 2018년 회계연도를

거래 매출이 전년 대비 40% 늘었다. 또한 온라인 식료

기준으로 작성됐다. 250대 기업의 2018년 회계연도 평

품 업체와의 경쟁에 대응하고자 BOPIS(Buy Online

균 소매 매출은 190억 달러로 평균보다 높은 소매 매출

Pickup In Store) 모델을 매장에 적용했다.

을 기록한 업체 수는 55개다. 순익결과를 공개한 187개

코스트코는 9.7%라는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2위

업체 중 86.6%에 해당하는 162개 기업이 이익을 냈는

자리를 지켰다. 21개 매장 오픈, 고객 트래픽과 쇼핑 빈

데, 이는 2017년 회계연도의 91.8%보다 낮은 수치다.

도 그리고 객단가 증가에 힘입은 것이다. 코스트코는 제

다수의 기업들이 점포 리뉴얼, 디지털 전환, 고객 경험

스트 프레시(Zest Fresh)의 신선식품 공급 솔루션 활용

R E TA I L M A G A Z I N E


계획을 발표한 바 있는데, 이는 매출 증대와 함께 폐기

6위 월그린 부츠 얼라이언스는 2018년 회계연도에서

물 감소로 인한 비용 절감까지 이뤄냈다.

11.7%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얼라이언스Rx 월그린

아마존은 전년 대비 18.2%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3위

프라임(AllianceRx Walgreens Prime) 도입과 라이트

로 도약했다. 아마존의 성장은 북미와 독일 시장 매출

에이드 점포 인수에 따라 미국 시장 매출이 12.7% 오른

증가, 상품 가격 및 배송료 인하 그리고 재고 비축량 확

덕분이다.

대의 결과물이다. 아마존은 2018년 회계연도 중 온라인

홈디포는 7.2%의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순위는 7위로

약국 필팩(Pillpack)을 7억 5,300만 달러에 인수하며 헬

밀려났다.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현지화와 혁신에 초점

스케어 사업에도 첫 발을 내딛었다. 이외에 온라인 그로

을 맞춰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가 홈디포 매

서리 사업을 위해 풀필먼트센터 규모를 74만㎡ 추가했

출 성장을 견인했다.

고 프라임 배송 지원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알디는 2018년 회계연도에 매출 1천억 달러를 넘기며

독일 슈바르츠는 7.6%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한

8위를 지켰다. PB상품 점유율 확대와 점포 확장에 역량

계단 올라선 4위를 차지했다. 점포 현대화, 기존 시장

을 집중했다. 한편 지난해 6월 상해에 매장 두 곳을 열

확대, 세르비아 같은 신시장 진출에 역량을 집중했다.

며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슈바르츠는 미국에서 슈퍼마켓 베스트마켓(Best Mar-

2017년 회계연도에 매출 2.1% 감소를 기록했던 CVS

ket) 27개점을 인수했는데 이를 2019년 회계연도 중 리

헬스는 5.8% 성장률을 보이며, 9위를 유지했다. 처방약

들로 전환할 계획이다.

매출 증가와 브랜드 약품의 가격 인상이 주요했다.

크로거는 매출이 1.2% 감소하며 5위로 떨어졌다. 하

테스코는 10위 자리를 유지했다. 매출 성장률은

지만 이커머스와 고객 경험 개선을 목표로 한 ‘리스톡 크

11.3%를 기록했는데 이는 영국 시장에서의 테스코 단독

로거(Restock Kroger)’ 전략의 결과, 온라인 매출은

상품 론칭과 중부 유럽 시장에서의 ‘스타라인(Star

58% 성장했다. 크로거는 헬스케어 부문에서 월그린 부

lines)’ 론칭 그리고 하드 디스카운터와의 경쟁을 위한

츠 얼라이언스와 제휴하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신규 포맷 잭(Jack’s)의 도입 덕분이다.

표 1 글로벌 250대 기업 지역별 현황 지역

기업 수(개)

평균 매출(100만 달러)

해외 매출 비중(%)

평균 진출 국가수(개)

글로벌

250

18,976

22.8

10.8

유럽

88

18,538

40.7

18.3

프랑스

12

26,059

42.5

31.4

독일

19

26,082

49.7

15.9

영국

14

17,465

18.4

16.2

기타 유럽 지역

43

13,455

41.1

16.4

북미

84

26,492

13.3

8.5 8.8

미국

77

27,628

13.4

아시아・태평양

58

12,567

10.8

4.3

중국・홍콩

13

15,832

9.9

4.8

일본

29

11,017

15.2

5.1

기타 아・태 지역

16

12,726

4.9

2.4

아프리카・중동

9

7,884

34.1

11.6

남미

11

7,955

20.9

2.5

주 | 2018년 회계연도 기준

2020 APRIL

83


GLOBAL SPECIAL

글로벌 250대 소매기업 분석

표 2 글로벌 100대 소매기업 리스트

단위: 개, 100만 달러, %

국가

주요 업태

1

월마트

Wal-Mart Stores, Inc.

미국

HM, SC, SS

28

514,405

514,405

7,179

2

코스트코

Costco Wholesale Corporation

미국

CC, WC

11

141,576

141,576

3,179

6.1

3

아마존

Amazon.com, Inc.

미국

NO

16

232,887

140,211

2,371

18.1

4

슈바르츠

Schwarz Group

독일

DS

30

121,581

121,581

n/a

7.1

5

크로거

The Kroger Co.

미국

SM

1

121,162

117,527(E)

3,078

3.6

6

월그린부츠 얼라이언스

Walgreens Boots Alliance, Inc.

미국

DgS

10

131,537

110,673

5,031

8.9

7

홈디포

The Home Depot, Inc.

미국

HI

3

108,203

108,203

11,121

6.5

8

알디

Aldi Einkauf GmbH & Co. oHG

독일

DS

19

106,175(E)

106,175(E)

n/a

6.7

9

CVS헬스

CVS Health Corporation

미국

DgS

2

193,919

83,989

n/a

5.1

10

테스코

Tesco PLC

영국

HM, SC, SS

8

84,245

82,799

1,718

0.1 0.5

순위

영문명

기업명

운영 국가 수 그룹 매출

1.6

미국

DS

1

74,433

74,433

2,937

네덜란드

SM

9

74,076

74,076

2,115

14

Aeon Co., Ltd.

일본

HM, SC, SS

11

77,121

71,446

799

6.5

로우스

Lowe's Companies, Inc.

미국

HI

3

71,309

71,309

2,314

5.9

징동닷컴

JD.com, Inc

중국

NO

1

69,812

62,875

-423

44.1

16

에데카

Edeka Group

독일

SM

1

63,233

62,054

n/a

3.2

17

알버트슨

Albertsons Companies, Inc.

미국

SM

1

60,535

60,535

131

24.7

18

오샹

Auchan Holding SA (formerly Groupe Auchan SA)

프랑스

HM, SC, SS

14

60,726

59,304

-1,116

1.3

19

세븐앤아이홀딩스

Seven & i Holdings Co., Ltd.

일본

CVS

18

61,485

59,101

1,929

3.9

20

레베

Rewe Combine

독일

SM

13

62,971

56,435

507

4.5

21

르끌레르

Centres Distributeurs E. Leclerc

프랑스

SM

6

56,686(E)

44,476(E)

n/a

0.6 -5.2

11

타깃

Target Corporation

12

어홀드 델하이즈

Ahold Delhaize (formerly Koninklijke Ahold N.V.)

13

이온

14 15

22

카지노

Casino Guichard-Perrachon S.A.

프랑스

HM, SC, SS

27

43,810

43,183

190

23

베스트바이

Best Buy Co., Inc.

미국

ES

3

42,879

42,879

1,464

0.2

24

울워스

Woolworths Limited

호주

SM

3

42,880

41,685

1,972

-0.3

네덜란드

OS

30

44,151

41,470

1,762

4.5

미국

AP, FW

10

38,973

38,973

3,060

7.3

프랑스

OS

70

55,242

37,847

8,246

12

영국

HM, SC, SS

2

38,236

37,523

289

3.5

25

이케아

The IKEA Group (INGKA Holding B.V.)

26

TJX

The TJX Companies, Inc.

27

LVMH

LVMH Moët Hennessy-Louis Vuitton S.A.

28

세인즈베리

J Sainsbury plc

29

ITM

ITM Développement International (Intermarché)

프랑스

SM

4

52,498

36,630(E)

n/a

1.6

30

퍼블릭스

Publix Super Markets, Inc.

미국

SM

1

36,396

36,396

2,381

4.5

캐나다

HM, SC, SS

3

36,016

35,355

617

7.7

중국

ES

2

37,014

35,156

1,910

17.5

스페인

AP, FW

202

30,673

30,673

4,045

9.3

독일

CC, WC

25

43,454

28,724(E)

414

n/e

31

로블로

Loblaw Companies Limited

32

쑤닝

Suning.com Co., Ltd. (formerly Suning Commerce Group Co., Ltd.)

33

인디텍스

Inditex, S.A.

34

메트로AG

Metro AG

호주

SM

1

27,496

27,290

1,026

n/e

스페인

SM

2

26,256

26,256

699

4.3

Dollar General Corporation

미국

DS

1

25,625

25,625

1,590

7.9

세코노미

Ceconomy AG

독일

ES

15

25,475

25,475

-250

n/e

39

미그로스

Migros-Genossenschafts Bund

스위스

HM, SC, SS

4

29,071

25,129(E)

485

1.2

40

H-E-B

H.E. Butt Grocery Company

미국

SM

2

25,000(E) 25,000(E)

n/a

3.6

35

콜스

Coles Group Limited

36

메카도나

Mercadona, S.A.

37

달러제너럴

38

41

메이시스

Macy's, Inc.

미국

DS

3

24,971

24,971

1,098

-2.2

42

X5 리테일그룹

X5 Retail Group N.V.

러시아

DS

1

24,394

24,394

456

23.4

43

H&M

H & M Hennes & Mauritz AB

스웨덴

AP, FW

71

24,322

24,322

1,463

10.4

44

시스템유

Système U, Centrale Nationale

프랑스

SM

2

30,177

23,571

n/a

1

45

모리슨

Wm Morrison Supermarkets PLC

영국

SM

1

23,505

23,505

323

0.1

46

Coop Group

스위스

SM

7

31,327

23,465(E)

612

-0.1

47

그룹아데오

Groupe Adeo SA

프랑스

HI

15

27,252

23,164(E)

n/a

7.2

48

달러트리

Dollar Tree, Inc.

미국

DS

2

22,823

22,823

-1,591

23.8

49

AS왓슨스

A.S. Watson Group

홍콩

DgS

24

21,561

21,561

n/a

2.5

50

제로니모 마틴스

Jerónimo Martins, SGPS, S.A.

포르투갈

DS

3

20,453

20,453

507

7.9

자료 | <Deloitte> Global Powers of Retailing 2020 주1 | 매출액은 2018년 회계연도 기준 주2 | 그룹 매출은 소매 부문 외 사업 매출까지 포함된 수치

84

소매 매출 수익/손실 5년간 성장률

R E TA I L M A G A Z I N E


ęľ­ę°€

죟ěš” ě—…íƒœ

ë&#x;Źě‹œě•„

CVS

1

19,690

19,369

539

16

Fast Retailing Co., Ltd.

�본

AP, FW

21

19,300

19,276

1,535

13.3

마ě?´ě–´

Meijer, Inc.

미꾭

HM, SC, SS

1

19,200(E)

19,200(E)

n/a

5.1

ě˝œěŠ¤

Kohl's Corporation

미꾭

DS

1

19,167

19,167

801

0.1

55

ě— íŒŒě?´ě–´ěť´í?źë‹ˆ

Empire Company Limited

ěş?나다

SM

1

19,199

19,080

316

3.7

56

댴ë?źě?´ě–¸ěŠ¤ëŚŹí…Œě?ź

Reliance Industries Limited / Reliance Retail

��

SM

1

89,068

18,515

n/a

55.8 -15.2

ěˆœěœ„

ě˜ 돸명

기업명

51

PJSC 마꡸ë‹›

PJSC "Magnit"

52

íŒ¨ěŠ¤íŠ¸ëŚŹí…Œě?źë§

53 54

ěš´ě˜ ęľ­ę°€ ěˆ˜ ꡸룚 매ěśœ

ě†Œ매 매ěśœ ěˆ˜ě?ľ/ě†?실 5ë…„ę°„ 섹잼ëĽ

57

ě›¨ěŠ¤íŒŒ머스

Wesfarmers Limited

í˜¸ěŁź

SM

4

31,943

17,294

3,939

58

ę°­

The Gap, Inc.

미꾭

AP, FW

45

16,580

16,580

1,003

0.5

59

륯ë?°ě‡źí•‘

Lotte Shopping Co., Ltd.

대한믟꾭

DS

5

16,187

16,180

-422

-7.8

60

ë?źě?´íŠ¸ě—?ě?´ë“œ

Rite Aid Corporation

미꾭

DgS

1

21,640

15,757

-422

-9.2

61

킚픟셔

.LQJĂ€VKHU SOF

ě˜ ęľ­

HI

10

15,487

15,487

289

1

62

ë…¸ë“œěŠ¤íŠ¸ëĄŹ

Nordstrom, Inc.

미꾭

DS

2

15,860

15,480

564

4.9

63

CP ě˜Ź

CP ALL Plc.

íƒœęľ­

CVS

1

15,341

15,341

616

13.1

64

ěŠ¤íƒ€ě?¸í˜¸í”„ ě?¸í„°ë‚´ě…”ë„?

Steinhoff International Holdings N.V.

남아곾

OS

30

15,257

15,138

-1,418

15.5 3.2

65

ě—˜ ě˝”뼴í…Œ ěž‰ę¸€ë ˆěŠ¤

El Corte InglĂŠs, S.A.

ěŠ¤íŽ˜ě?¸

DS

20

18,398

15,123

299

66

ëĄœěŠ¤ěŠ¤í† ě–´

Ross Stores, Inc.

미꾭

AP, FW

1

14,984

14,984

1,587

7.9

67

ě•źë§ˆë‹¤ë?´í‚¤

Yamada Denki Co., Ltd.

�본

ES

5

14,434

14,434

133

-3.3

68

ě„źě˝”ěˆ˜ë“œ SA

Cencosud S.A.

ěš ë ˆ

SM

5

15,183

14,402

400

-1.2

69

ě˝”ë‚˜ë“œ ě˝˜쥰뼴ě§€ě˜¤

Conad Consorzio Nazionale, Dettaglianti Soc. Coop. a.r.l.

ě?´íƒˆ댏ě•„

SM

5

15,879

14,286(E)

n/a

3.1

70

ě?´ë§ˆíŠ¸

E-MART Inc.

대한믟꾭

SM

5

15,486

14,276

433

5.4

ě?´íƒˆ댏ě•„

HM, SC, SS

1

17,460

14,227(E)

n/a

1.4

미꾭

NO

9

14,070

14,070

964

6.4

71

ěżą ě?´íƒˆ댏ě•„

Coop Italia

72

댏버티 ě?¸í„°ëž™í‹°ë¸Œ

Liberty Interactive Corporation / Qurate Retail Group

73

펨삏 코는뼴ě‹œěš°

FEMSA Comercio, S.A. de C.V.

ëŠ•ě‹œě˝”

CVS

5

13,835

13,835

n/a

22.2

74

쥴루ě?´ěŠ¤

John Lewis Partnership plc

ě˜ ęľ­

SM

2

13,673

13,673

102

2.7

75

ë§‰ěŠ¤ě•¤ěŠ¤íŽœě„œ

Marks and Spencer Group plc

ě˜ ęľ­

DS

57

13,613

13,613

49

0.1

76

딕슨

Dixons Carphone plc

ě˜ ęľ­

ES

9

13,603

13,603

-417

7.6 8.8

77

ë?°ěš´íŠ¸ëĄ

DĂŠcathlon S.A.

프랑스

OS

51

13,331

13,331

586

78

L브랜드

L Brands, Inc.

미꾭

AP, FW

76

13,237

13,237

644

4.2

79

BJ홀세ě?źí ´ë&#x;˝

%-¡V :KROHVDOH &OXE +ROGLQJV ,QF

미꾭

CC, WC

1

13,007

13,007

127

0.7

80

ICA꡸루펜

ICA Gruppen AB

스웨�

SM

5

13,250

12,929

419

2.9

81

ěŠ¤íŒŒí™€ë”ŠěŠ¤

Spar Holding AG

í˜¸ěŁź

SM

8

12,540

12,413

308

4.1

82

ëą…ę°€ë“œ

China Resources Vanguard Co., Ltd.

중꾭

HM, SC, SS

1

15,300(E)

12,239(E)

n/a

1.3

83

S꡸룚

S Group

핀란드

SM

3

13,594

12,097

n/a

0.6

84

쟀ë§

Kering S.A.

프랑스

AP, FW

95

16,121

12,064

4,428

15.1

85

ě˜¤í†

Otto (GmbH & Co KG)

ë?…ě?ź

NO

30

15,866

12,030

206

0.6

86

ë˛ ë“œë°°ěŠ¤ě•¤ëš„ěš˜ë“œ

Bed Bath and Beyond Inc.

미꾭

OS

3

12,029

12,029

-137

0.9

87

브ě?´ě•„ě?´í”źěˆ?

Vipshop Holdings Limited

중꾭

NO

1

12,293

11,855

310

47.8

88

나ě?´í‚¤

NIKE, Inc. / NIKE Direct

미꾭

AP, FW

55

39,117

11,753

n/a

17.2

89

ë?°ě–´ëŚŹíŒœ

Dairy Farm International Holdings Limited

í™?콊

SM

11

11,749

11,749

427

2.6

90

JC페니

J. C. Penney Company, Inc.

미꾭

DS

1

11,664

11,664

-255

-0.3

91

S.A.C.I.팔ë?źë˛¨ë?ź

S.A.C.I. Falabella

ěš ë ˆ

HI

7

13,204

11,545

846

5.7

92

íŒ?í?źě‹œí”˝(꾏 ë?ˆí‚¤í˜¸í…Œ)

3DQ 3DFLĂ€F ,QWHUQDWLRQDO +ROGLQJV IRUPHUO\ 'RQ 4XLMRWH &R /WG

�본

DS

5

11,962

11,540

449

16.8

93

ě˜¤í† 쥴

AutoZone, Inc.

94

ëŠ”íŠ¸ëĄœ

Metro Inc.

95

ëĄœěŠ¤ë§Œ

Dirk Rossmann GmbH

96

댏ěš˜몏트

Compagnie Financière Richemont SA

미꾭

OS

3

11,221

11,221

1,338

4.2

ěş?나다

SM

1

11,207

11,207

1,339

4.8

ë?…ě?ź

DgS

7

11,160

11,160

n/a

7.3

ěŠ¤ěœ„ěŠ¤

OS

54

16,188

11,088

3,225

10.4 12.8

97

ěż ě‰Źíƒ€뼴

Alimentation Couche-Tard Inc.

ěş?나다

CVS

23

44,864

11,008

n/a

98

ë?°ě— ë“œëĄœę˛Œ댏막트

dm-drogerie markt GmbH + Co. KG

ë?…ě?ź

DgS

13

12,804

10,905

132

7.1

99

는나드

Menard, Inc.

미꾭

HI

1

10,700(E)

10,700(E)

n/a

2.4

남아곾

SM

15

10,586

10,586

301

8

100 ěˆ?ë?źě?´íŠ¸

Shoprite Holdings Ltd.

죟3 | (E)는 ěś”ě •ěš˜, n/a는 ěž?ëŁŒ ëš„ęłľę°œ 죟4 | ě—…íƒœ 명욭: AP íŒ¨ě…˜ ě „돸ě ?, ES ę°€ě „ ě „돸ě ?, CC ěş?ě‹œě•¤ěş?댏, CVS 편ě?˜ě ?, DgS ë“œë&#x;­ěŠ¤í† ě–´, DP ë°ąí™”ě ?, DS ë””ěŠ¤ěš´ěš´íŠ¸ěŠ¤í† ě–´, FW ě‹ ë°œ ě „돸ě ?, HI í™ˆěž„í”„루브먟트, HM 하ě?´í?źë§ˆěź“, NO 돴ě ?í?Ź, OS 기타 ě „돸ě ?, SM ěŠˆí?źë§ˆěź“, SS ěŠˆí?źěŠ¤í† ě–´, WC ě›¨ě–´í•˜ěš°ěŠ¤í ´ë&#x;˝

2020 APRIL

85


GLOBAL SPECIAL

글로벌 250대 소매기업 분석

기술 적용 트렌드 지속, 아프리카 급부상

록했으며 250대 소매기업 매출의 50% 가까이 차지한

유럽은 88개 소매업체가 속한 지역으로 전체 매출의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84개 기업 중 77개 업체가 미국

34.4%를 차지한다. 유럽 소매업체들은 평균 18.3개국

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들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은

에서 영업을 하고 있으며 매출의 40.7%를 외국에서 거

13.3%로 여전히 낮은 편이다. 북미 기업들은 안정적인

둬 들였다. 이는 250대 소매기업 전체보다 훨씬 높다.

경제 상황과 소비자 지출 증가에 힘입어 평균 4.7%의

유럽 소매업체들의 매출 성장률은 3.5%로 전년 대비 감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편 월마트, 메이시스, 타깃 등 규

소했다. 알디와 리들에 대응하기 위한 가격 경쟁이 원인

모가 큰 업체뿐 아니라 그보다 작은 규모의 업체들도 이

으로 꼽힌다. 한편 소비자 편의성을 늘리는 셀프계산대,

커머스 사업, 인스토어 기술, 편의점 포맷 등에 역량을

이커머스 등 옴니채널 전략이 강조됐다.

집중하며 아마존과의 경쟁에 대비했다.

북미 지역 소매업체들은 평균 265억 달러 매출을 기

아시아・태평양 지역 58개 업체 평균 매출은 126억 달러로 250대 소매기업 매출 전체의 15.4%를 차지했

도표 1 250대 기업 지역별 매출 비중

다. 아태 지역 소매업체 매출 대부분은 본사가 위치한 단위: %

아프리카・중동 1.5

중국・홍콩 4.3

기타 북미 국가 2.1

기타 아・태 국가 4.4

일본 6.7

본국에서 발생했으며 해외 매출은 10.8%에 그쳤다. 한 편 아태 지역에서는 젊은 밀레니얼 세대 등 중산층 소비 자 증가와 함께 변화하는 쇼핑 선호도, 이커머스와 모바 일쇼핑 확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온, 징동닷 컴, 세븐앤아이 홀딩스 등의 총 매출이 크게 성장했으며 알리바바는 중국의 이지홈(Easyhome), 카이완(Kai-

프랑스 6.6

yuan) 과 터키 트렌디올(Trendyol) 등 여러 업체를 인 수하면서 전년 대비 15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 44.8

독일 10.4

기타 유럽 국가 12.2

영국 5.2

아프리카는 향후 젊은층 증가와 급속한 도시화로 소 비자 지출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소매업체들의 매력적인 시장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또한 아프리카・중동 지역 전체에 걸쳐 소매 부문의 GDP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면 서 소비시장이 커지고 있다. 아프리카・중동 지역은

남미 1.8 주 | 2018년 회계연도 기준

250대 소매기업 명단에 9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는데 이 는 2017년 회계연도와 같다. 이 지역의 소매업체들은 평 균 11개국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또한 5년간 연평균 성 장률이 다른 어느 지역보다 높은 12.8%를 기록했으며 성장률 50대 기업에도 아프리카・중동 지역의 5개 업체 가 포함됐다. 중남미 지역 소매업체들은 주로 본국 사업에 집중하며 평균 2.5개국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중남미 지역의 가파 른 성장률은 인터넷 침투율 증가에 따른 이커머스 활성

인도 소매업체 릴라이언스 리테일은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 55.85%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86

화 그리고 기업의 옴니채널 전략 덕분이다. 또한 중남미 지역 여러 국가의 GDP 증가로 소비 의욕이 늘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온라인 만난 패션 전문점 약진

도표 2 글로벌 소매기업 취급상품별 매출 성장률 및 수익률

연간 매출 성장률이 가장 높은 부문은 하드라인・레저

10

용품 부문이며 가장 수익률이 높은 부문은 의류・액세 서리였다.

단위: %

5년간 성장률 매출 성장률 수익률

8.3

8.2

8

7.3

의류・액세서리 부문 소매업체들은 전년 대비 2.3%P 높은 8.3% 순이익률을 기록하며 4개 부문 중 가장 양호

6.4

6.2

6

한 순이익 실적을 보였다. 평균 30개국 이상에서 영업하

5.0

4.7 4.2

4.1

고 해외 매출 비중이 38.5%를 기록했으며 평균 118억 4

달러의 매출을 거둬 250대 소매기업 총 매출에 대한 비

3.0

3.0

중은 9.7%에 그쳤다. 여러 백화점의 폐점 속에서도 의

2.3

2.0

2

3.3

2.9

류・액세서리 부문의 긍정적인 모멘텀을 이끌어낸 요인 을 짚어보면, 옴니채널 구축 역량 강화, 웹사이트의 점 진적 증가 그리고 고객 경험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250대 소매기업 목록 중 가장 많은 136개 업체를 포 함하고 있는 일용소비재(FMCG) 부문은 평균 매출 23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들은 대부분 본국에 사업을 의지하

0 250대 기업 평균

의류・액세서리

일상소비재

하드라인 레저용품

다품목 취급

주 1 | 매출 성장률과 수익률은 2018년 회계연도 기준 전년 대비 수치 주 2 | 의류・액세서리, 일상소비재, 하드라인・레저용품 가운데 카테고리 매출 비중이 50%가 넘을 경우 해당 카테고리로 분류. 세 카테고리 중 50%가 넘는 카테고리가 없을 경우 다품목 취급 기업으로 분류함.

며 해외 매출은 불과 21.5%에 그쳤다. 일용소비재 부문 은 순이익률 2%로 상품별 부문 중 가장 낮은 실적을 기

균 성장률은 19.4%로 250대 소매기업 평균인 5% 보다

록했다. 일용소비재 부문 소매업체들은 가격 전쟁과 임

훨씬 높았다. 이커머스 역량 강화, 탄탄한 고객층과 배

금 상승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는 환경 속에서 치열한 경

송 시스템 구축이 핵심 동력원이었다. 올해 성장률 50대

쟁을 벌이고 있다. 또한 아마존과의 경쟁에 대응해

기업 중 86%는 지난해에도 이름을 올렸던 곳으로, 인도

BOPIS, 무인매장, 음성 지원 쇼핑 등에 집중했다.

의 릴라이언스 리테일(Reliance Retail)은 55.85%를 기

하드라인・레저용품 부문 소매업체들은 대부분 미국

록하며 지난해 6위에서 1위로 뛰어올랐다. 가정용품 업

에 본사를 두고 있다. 전년 대비 4개 늘어난 54개 업체

체 웨이페어(Wayfair)도 연평균성장률 49.2%로 2위를

가 포함됐으며 평균 166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기록했다. 브이아이피숍(Vipshop Holdings Limited)

부문은 5개년 연평균성장률 8.2%와 연간 매출 성장률

과 징동닷컴은 각각 3위와 4위로 밀려났다.

7.3%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홈 인테리어 시장

성장률 50대 기업들은 11.2%의 매출 대비 환율을 반영 한 연결매출성장률을 보였는데 이는 250대 소매기업 대

의 증가한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받았다. 다업종 부문 기업들은 매출 성장률 6.2%를 기록했다.

비 훨씬 높은 수치다. 반면 매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낮게

21개 업체 중 16개가 매출 성장을 기록했고 평균 매출은

나타났다. 주로 훼미리마트, 허드슨 베이(Hudson’s

110억 달러로 다른 부문 대비 적었다. 알리바바, 신세

Bay), 스타인호프 인터내셔널(Steinhoff International

계, 리버티 인터랙티브(Liberty Interactive)는 30%가

Holdings N.V.)의 매출이 크게 감소한 탓이다. 실적을 공개한 42개 기업 중 26곳이 순이익을 기록했

넘는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으며 프랑스의 케링(Kering S.A.)과 LVMH, 필리핀의

성장률 1위 업체는 인도 릴라이언스

SM 인베스트먼트(SM Investments)가 성장률 50대 기

최근 5년간 빠른 성장률을 보인 50개 소매업체의 연평

업 중 가장 높은 순익 실적을 거뒀다.

2020 APRIL

87


STRATEGY

유통정보

농축수산물 유통정보 서비스 ‘KAMIS’

농축수산물 시세가 궁금할 때는 ‘KAMIS’ 클릭 공산품에 비해 생식품은 재배면적, 기온, 강수량, 일조량, 병충해 등으로 가격이 시시각각 달라져 가격 정보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KAMIS는 농축수산물 유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유통업체들이 가격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글 박영임 기자・scirbe@koca.or.kr

1

2

1 KAMIS는 도・소매 거래가격뿐 아니라 알뜰장보기 물가정보, 식재료 아카이브 등 유용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2 모바일 앱도 운영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주는 양파와 수미감자가 오름세이고, 방울토마토

제공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유통정보부 유

와 미나리는 내림세.’ 농축수산물 유통정보 서비스(이하

명근 부장은 “1983년부터 농축수산물이 원활하게 수급

KAMIS ; www.kamis.or.kr)를 이용하면 이와 같은 농

되고 안정적인 가격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유통정보

축수산물 유통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다. 매일매일 가격

조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쟁을 치러야하는 유통업계 종사자들에게는 매우 유용 한 서비스가 아닐 수 없다.

88

매일 가격조사원이 현장 돌며 시장조사

KAMIS 웹사이트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KAMIS의 일반 농산물 조사품목은 도매시장 69품목

2003년부터 운영하는 서비스로, 전국 주요 도・소매시

118품종, 소매시장 82품목 135품종으로, 국내에서 유일하

장의 품목별 가격정보뿐 아니라, 친환경 농산물 가격정

게 일별 도・소매 가격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방대

보, 거래동향 및 전망, 알뜰장보기 물가정보, 성수품・제

한 품목의 도・소매가격은 어떻게 조사되는 것일까. 유명

철상품 거래정보 등 농축수산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근 부장은 “38명의 가격조사원이 휴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R E TA I L M A G A Z I N E


매일, 5대 광역시 16개 도매시장과 19개 지역의 45개 소매 점(대형마트 27개점, 전통시장 18개점)을 일일이 돌며 조

MINI INTERVIEW

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격조사원이 품종별 가격을 입력하면 본부에서 최종 검수한 후 KAMIS 웹사이트에

농축수산물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공시하는 방식이다.

유명근 부장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유통정보부

조사대상 점포는 해당 지역의 가격을 선도하는 대표적 인 매장 중에서 선정하며, 전통시장 경우 조사 품목당 3곳

RM 올해 운영 계획을 말씀

이상을 조사한 후 평균 가격을 입력한다. 신선식품은 매장

해주세요.

별로 판매 규격이 제각각인 경우가 많으므로, 실거래 단위

유통환경 및 소비 트렌드

를 조사한 후 g이나 ㎏ 등 조사단위로 환산해 산출한다.

변화에 대응하고 가격정보

가격조사원은 매일 거래가격뿐 아니라, 등락 사유, 이슈

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 하기 위해 올해는 소매가격

품목, 유통단위 변화 등도 조사한다.

조사방식 개선에 주력할 계

이용자는 이렇게 조사된 가격정보를 기간・지역・부류 (식량작물, 채소류, 과일류, 수산물 등)・품목・품종・등 급 등 원하는 항목별로 검색할 수 있다. 합리적인 판단 을 돕기 위해 당일 가격뿐 아니라 전년 가격, 평년 가격

획입니다. 또한 국민 생업 과 가계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용 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5년간 최소・최고값을 제외한 3년간 평균 가격)도 함께 게재한다. 또한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도 록 2011년부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운영하고 있다. 회원가입을 하면 일별・부류별 도・소매가격, 최근 가격 추이 등 11개 항목의 원자료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 수요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SNS 채널을 확대하고 농산물 유통소비 정보 영상 콘텐츠를 제작, 배포하고 있다.”고 말했다.

OPEN-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서비스도

한편,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증가로 근거리 슈퍼마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웹 검색 결과

켓에서 소량씩 구입하거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늘고 있다. 이에 aT는 일반 농산물 가격 조사처를 기업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

형 슈퍼마켓으로 확대하기 위해 하반기부터 10개점에서

다. 실제 유통업체와 대학의 연구・분석용 자료나 일반 기

시범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4월부터는 친환경

업체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 활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농산물 가격조사 대상을 대형마트에서 생협, 친환경전문

가격 정보를 가공해 알뜰 장보기 물가정보, 제철 농산물

점, 백화점, 기업형 슈퍼마켓으로 확대하고 올해 안으로

먹거리 정보 등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콘텐츠도 강화하는

KAMIS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쌀, 배추, 콩 같은

중이다.

원물뿐 아니라 즉석밥, 김치, 두부 같은 가공식품도 조사 품목에 추가할 예정이다. 지난 한해 방문자 수 81만 명, 페이지뷰 5,732만 회를

소비 트렌드에 맞게 지속적으로 개선 최근에는 모바일 환경이 활성화됨에 따라 블로그, 페이스

기록한 KAMIS는 소비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농축수산

북,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SNS 채널로도 정보를 제공하

물 거래주체(생산・유통・소비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고 있다. 유명근 부장은 “스마트폰 중심으로 생활환경이

수 있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다.

2020 APRIL

89


GLOBAL

해외동향

일 본 의 디 스 카 운 트 SM ‘ 로 피 아 ’

일본의 알디로 부상 중인 ‘로피아’는 누구인가 7년 만에 매출 3배를 기록한 슈퍼마켓 ‘로피아’의 성장세에는 그야말로 파죽지세라는 말이 딱 어울린다. 현재 가장 급성장하고 있는 업체이지만 현지 미디어 노출을 꺼려 그 실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로피아는 어떤 기업이며, 어떻게 경이로운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는지 집중 해부해보겠다. 글 편집부・editor@koca.or.kr

1

2

3

1 로피아는 일본 슈퍼마켓 업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성장세로 주목받고 있다. 2 로피아의 전신이 정육점이기 때문에 정육의 풍부한 구색과 품질로 고객을 유인한다. 3 정육 부문에서 창출한 수익을 기반으로 다른 신선식품 부문까지 저렴하게 판매하는 것이 기본 방침이다.

2020년 2월기 결산 매출 1,560억 엔, 점포 수 48개

마켓 업체들은 과거와 같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하

(2020년 1월 기준)밖에 되지 않는 중소 슈퍼마켓 업체 로

지만 이러한 와중에도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지상 과제

피아(Lopia)가 일본 유통업계의 신 판매왕으로 주목받고

를 완수해야 한다. 한마디로 슈퍼마켓 업계는 사면초가

있다. 그 이유는 지난 8년간 두 자릿수 수익 증가를 이뤘

에 처했다. 그렇기 때문에 로피아의 독주가 더욱 주목을

으며 매출은 7년 만에 3배(2019년 기준)로 뛰었기 때문

받고 있는 것이다.

이다(표1 참고). 그동안 연간 5~6개의 신규점을 출점했

90

는데 지난해에는 역대 최대인 8개점을 출점했다. 출점

떠오르는 신성, 로피아의 성장 비결은?

지역도 본거지인 가나가와현을 넘어 도쿄, 지바, 사이타

이제껏 베일에 싸여 있던 로피아는 어떤 기업일까. 동사

마로 확대하고 있다. 수도권 점유율은 2.9%로 4년 만에

의 역사는 1971년 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에 정육점을 열

1.7%P 상승했다.

며 시작됐다. 식품 슈퍼마켓 업계에 진출한 것은 1994년

현재 일본 슈퍼마켓 업계에서 이러한 성장세는 찾아보

으로, 동일 규모의 슈퍼마켓 체인 중에서는 후발업체에

기 힘들다. 인구감소에 따라 시장이 축소하고 있어 슈퍼

속한다. 그 후 2010년까지 비교적 완만하게 성장해왔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표 1 로피아 실적 추이

이다. 정육이 강렬한 내점 동기가 돼 광역에서 고객을 유 인하고 있는 것이다.

결산기

매출 (백만 엔)

증감 (%)

당기순이익 (백만 엔)

증감 (%)

2012년 2월

43,658

24.9

-

-

이아웃, 상품구색, 가격정책이 점포마다 다르다. 본부가

2013년 2월

50,007

14.5

-

-

선반할당을 지시해도 점포에 자율권을 부여해 점포 판단

2014년 2월

57,572

15.1

970

67.6

2015년 2월

69,974

21.5

1,586

63.4

2016년 2월

81,694

16.7

1,799

13.4

2017년 2월

95,320

16.7

1,890

5.0

있는 것이다. 경이로운 저가격이나 뛰어난 상품정책의

2018년 2월

116,534

22.3

3,223

70.6

이면에 숨겨진 개점주의 운영방식이야말로 로피아의 성

2019년 2월

135,421

16.2

3,663

13.7

장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2020년 2월

156,000

15.2

-

-

또 다른 로피아의 강점은 개점주의 경영방식이다. 레

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광역 상권을 지향하는 동시에 입지나 경쟁상황, 고객 성향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고

로피아의 독주는 계속될 것인가 현재와 같이 확대일로를 걷게 된 것은 사명을 유나카라

로피아처럼 경이로운 성장을 구가하는 소매기업을 닐슨

야에서 로피아로 변경한 2011년부터다.

컴퍼니에서는 ‘레이더 사각의 전투기(fighter under the

그 해 로피아는 요코하마시영 지하철 센터미나미역 앞

radar)’라고 부른다. 존재가 잘 드러나지 않아 알아채기

상업시설에 대형점인 코호큐토큐SC점을 출점했다. 동점

어렵고, 존재를 알게 됐을 때는 손을 쓸 수 없다는 의미

은 개점부터 9년이 지난 현재까지 고객 발길이 끊이지 않

다. 경쟁사들은 아무런 대비 없이 방관하고 있다가 속수

는 수도권 굴지의 기반점이 됐다. 로피아에게는 부흥의

무책으로 당하고 만다. 글로벌 업체들은 일찍이 알디나

신호탄이 된 출점이었다. 2013년에는 지바현 후나바시

리들의 사례로 경험한 바 있다.

시의 대형 쇼핑센터 라라포트 도쿄베이에 지바현 1호점

탄탄한 고객 지지를 바탕으로 미래가 전도유망한 로피

인 라라포트도쿄베이점을 열었다. 이 점포도 높은 집객

아의 존재가 레이더에 잡혔다. 경쟁사들은 자사뿐 아니

력을 자랑하고 있는데 이 때부터 대형 상업시설 내 출점

라 로피아의 이용자 실태를 분석해 점유율 방어를 위해

이 가속화됐다. 두 개의 기반점이 대 성공을 이룸으로써

현실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편, 로피아는

현재와 같은 성장궤도에 오르게 된 것이다.

현재와 같은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해 점포망 확대에 주

로피아는 로 프라이스(low price)와 유토피아(utopia)

력해야 한다. 로피아는 타사가 폐점한 기존점 물건에도

를 결합한 말이다. 직역하자면 ‘저가격의 이상향’이란 뜻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레이아웃 정책을 운영해 점포

이다. 상호처럼 압도적인 저가격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를 신속하게 확대할 수 있다. 이에 신규 출점은 더욱 탄

있다. 특히 로피아의 뿌리이기도 한 정육 부문에서 수익

력을 받을 것이다. 문제가 있다면 인재 확보다. 소매업체

을 창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다른 신선식품 부문까지 저

는 인력 없이 점포를 확대할 수 없다. 로피아는 이 점에

렴하게 판매하는 것이 기본 전략이다. 즉, 매장 벽면을

있어서도 다른 소매업체에서 우수한 인재를 영입한다는

따라 펼쳐지는 신선식품 매장에서 대부분의 매출을 올리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고 있다. 정육점 출신의 강점을 살린 정육의 풍부한 상품

괄목할 만한 성장세로 사세를 확대하고 있는 로피아의

구색과 품질은 고객들이 로피아를 찾게 만드는 요소다.

비전은 무엇일까. 로피아는 2031년 경영 목표로 그룹 매

실제 매장에서는 정육을 구입하는 고객들이 상당하다.

출 1조 엔 달성을 내세우고 있다. 로피아의 2020년 2월

정육이 간판 부문이라 슈퍼마켓 치고는 상권이 넓은 편

기 매출은 1,560억 엔. 1조 엔 달성을 위해서는 약 8,500

2020 APRIL

91


GLOBAL

해외동향

일 본 의 디 스 카 운 트 SM ‘ 로 피 아 ’

억 엔을 더 벌어들여야 한다. 그 과정에서 IPO(신규 주식

고객성향 분석

공개)나 인수합병도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구체적인 명

객층 및 구매행동은 코스트코에 비견

시는 없지만 로피아그룹은 2019년 외식사업을 담당하는

일본의 마케팅리서치회사 마크로밀(Macromill)의 소비

신규업체 이토피아(Eatopia)를 설립, 도쿄 긴자의 중심

자구매이력 데이터 QPR(Quick Purchase Report ; 전

상권에서 외식업을 시작했다. ‘식’을 매개로 한 수직 다각

국 3만 명을 대상으로 휴대형 바코드 스캐너를 배포해 상

화 전략으로 식품종합유통업체로 발돋움하려는 것이다.

품 구입 데이터 조사)에 의하면, 2019년 로피아의 수도권

신사업 진출 등 차근차근 1조 엔 기업을 향해 전진하고

점유율은 2.9%. 매년 착실히 점유율을 높여 4년간

있는 로피아에게 사각지대는 없을까. 2019년 12월 NPO

1.7%P 증가했다. 로피아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곳은

법인, 대학교수, 저널리스트가 주최하는 ‘블랙기업대상

슈퍼마켓 ‘오케이’로, 2019년 2.9%P 증가한 10.9%다(도

2019’에 로피아가 후보에 포함돼 직원들과의 불화가 도

표1 참고). 현재 로피아와 오케이 같은 디스카운트 슈퍼

마 위에 올랐다. 투표 결과 최하위를 차지해 다행히 불명

는 슈퍼마켓을 비롯해 타업태 점유율을 잠식하며 급성장

예 수상은 면했지만 업계의 달갑지 않은 주목을 받게 됐

하고 있다.

다. 직원들과의 불화는 커뮤니케이션 문제일 가능성이

구매고객을 성별, 연령, 가족 수, 미성년 자녀 수, 수입

높은데, 성장 지향 기업에서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문제

별로 나눠볼 때 로피아 이용자의 특징은 슈퍼마켓 평균

다. 하지만 소매업체가 발전하려면 인재를 소중히 여겨

과 비교해 가족 수가 많은 편인데 자녀가 있는 세대는

야 하며, 이러한 문제로 더 이상 기업 이미지가 실추되면

61%다. 다소 의외인 점은 연 수입 800만 엔 미만 비중이

안 된다. 그럼에도 로피아가 대형 유통사들과 맞서 싸울

57.7%로, 슈퍼마켓 평균인 58.5%와 비슷하다는 점이다.

수 있도록 규모를 확대하려면 성장 속도가 중요하다. 로

디스카운트 슈퍼라고 특별히 저 소득층 이용자가 많은

피아의 미래는 신중하면서도 대담한 사업 전개에 달려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년과 비교해 2019년은 연령층이 고르지 않다는

있다.

점에 주목해야 한다. 2015년 이용자 중 30~40대 여성

로피아의 성장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고객 비중은 33%였는데 2019년에는 29.1%로 3.9%P 감

고객구매 데이터, 출점전략, 상품전략을 분석해보자.

도표 1 업체별 수도권 식품 구매액 점유율 로피아

2015

1.2

2016

1.7

2017

1.9

2018

2.4

2019

2.9 0

오케이

이온

8.0 8.8 9.2

코스트코

기타

10.8

1.3

78.7

9.8

1.3

78.4

1.3

77.9

9.6

10.1 10.9 10

단위: %

10.2

1.5

9.7 20

75.9

1.6

74.8 30

40

50

60

자료 | 마크로밀

92

R E TA I L M A G A Z I N E

70

80

90

100


1

2

1 2018년 4월 쇼핑센터 빅홉카든몰 인자이에 입점하는 등 쇼핑센터 입점을 가속화하고 있다. 2 최근에는 홈즈 등 홈센터 내 테넌트로도 입점하고 있다.

소했다. 이는 최근 4년간 로피아가 보다 폭넓은 연령층

14.5%로, 2015년 11.7%보다 크게 상승했다. 그러나 이

의 고객에게 지지를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오케이(31.2%), 이온(16.5%)과 비교하면 낮은 것이

QPR 소비자 의식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로피아 이용

다. 내점빈도와 충성도는 서로 연관성이 있는데 점포 수

자들은 코스트코 이용자와 비슷한 인식을 갖고 있다. 이

가 증가하거나 편리한 입지에 출점하면 자연히 상승하게

는 동일한 디스카운트 슈퍼인 오케이와는 조금 다른 것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로피아는 앞으로 발전 여지가 많

이다. 실제 구매 고객 성향을 분석했을 때 로피아와 코스

다고 할 수 있다. 로피아가 포인트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트코는 연령, 가족 구성이 유사하다. 로피아와 코스트코

않는데 내점빈도 및 충성도가 이 정도 나온 것은 경쟁사

에서는 ‘가능한 짧은 시간에 쇼핑을 마친다’, ‘목적한 매

들이 긴장해야 할 부분이다.

대 외에는 들르지 않는다’라고 답한 이용자 수가 적다(표

구매 아이템 수로 취급품목 수를 추정해보면 로피아의

2 참고). 반면 ‘다소 멀어도 상품구색이 풍부한 점포를 선

식품 아이템 수는 오케이의 약 80%, 이온의 약 40%에

택한다’, ‘일괄구매를 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답한 이용자

이를 것이다. 적으면 적을수록 오퍼레이션 비용이 절감

가 많은 편이다. 이를 종합하면 로피아에는 비계획 구매

되지만 고객을 유인하는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고객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템 수가 많을수록 원하는 상품을 찾기 어렵다. 따라

또한 일용품이나 식품 구입시 의식을 조사한 결과, ‘일

서 상품구색을 늘린다고 그에 비례해 매출이 상승하지

상적인 식품이나 일용품 쇼핑을 좋아한다’, ‘특별히 살 것

않는다. 취급 아이템 수는 적정량을 산출해야 한다. 로피

이 없어도 점포 안을 둘러보기를 좋아한다’라는 답이 많

아가 보다 정밀하게 상품구색 최적화를 이룬다면 매출을

이 나왔다는 점에서도 코스트코와 유사하다. 이는 쇼핑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체를 즐기는 고객이 많다는 의미다. 실제 로피아 매장 에서는 고객들이 다른 슈퍼마켓보다 즐겁게 쇼핑을 하고

출점전략 분석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로피아에서는 쇼핑이 통상적인

대형시설 구원투수로 부상

관행이 아니라, 보물찾기를 하듯 즐거운 행위로 인식되

로피아의 수도권 내 시장 점유율은 경쟁사를 압도하는

고 있다.

가격 경쟁력과 테넌트 출점을 중심으로 한 신규 출점 증

이어서 이용자의 내점빈도를 살펴보겠다. 2019년 로피

가로 상승하고 있다. 단독점은 물론, 사업을 철수하는 슈

아의 연간 내점 횟수는 14.9회, 2015년 13.4회에서 소폭

퍼마켓 업체의 폐점포를 인수하거나 대형 상업시설에 출

상승했는데 오케이(27.4회)나 이온(21.7회)과 비교하면

점하는 등 맹렬하게 출점 공세를 펼치고 있다.

적다. 해당 업체가 식품을 구입하는 전체 슈퍼마켓에서

로피아의 최근 4년간 신규 출점을 살펴봤을 때 가장 눈

차지하는 비중을 묻는 질문(충성도)에 로피아는 2019년

에 띄는 점은 홈센터 내 출점이다. 인구감소에 따라 위축

2020 APRIL

93


GLOBAL

해외동향

일 본 의 디 스 카 운 트 SM ‘ 로 피 아 ’

되고 있는 홈센터 업계는 지난 10년간 제자리걸음을 하

넌트로 입점하면 객수가 확실히 보장되며 송객 효과도

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몇몇 홈센터 업체들은 내점빈도

높은 편이다.

가 높은 슈퍼마켓을 테넌트로 입점시키는 전략을 구사하

테넌트 출점, 특히 홈센터 내 출점에서 오케이가 로피

고 있다. 슈퍼마켓을 테넌트로 도입하면 직영 매장이 축

아의 비교 대상이 되곤 한다. 오케이와 로피아는 가나가

소되지만 안정적인 집객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

와현을 기반으로 하는 디스카운트 슈퍼라는 점이 공통점

울러 테넌트 수입도 창출할 수 있다. 이러한 홈센터 업체

이다. 하지만 오케이는 공산품 중심이며, 로피아는 신선

와 점포망을 빠르게 확대하려는 로피아의 목적이 부합하

식품이 주력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홈센터 내 입점

면서 홈센터 내 출점이 증가한 것이다.

한 점포 수는 오케이가 더 많다.

홈센터 외에 쇼핑센터에 입점하는 경우도 있다. 지바

오케이는 공산품이나 냉동식품에서 압도적인 가격 경

현 인자이시의 쇼핑센터 빅홉(Bighop) 가든몰 인자이에

쟁력으로 지지를 얻고 있다. 로피아처럼 신선식품 중심

개점한 인자이빅홉점(2018년 4월 개점)과 이세탄 마츠도

의 체인은 또 다른 생식품 전문매장이 들어서면 고객 유

점의 철거지에 들어선 상업시설 키테미테마츠도에 입점

출이 발생하기 쉽다. 반면 오케이처럼 공산품으로 가격

한 마츠도점(2019년 4월 개점)은 업적이 부진한 대형 상

경쟁력을 높이려면 어느 정도 바잉파워를 갖춰야 하기

업시설에 테넌트로 들어간 대표적인 사례다.

때문에 경쟁이 덜한 편이다.

최근 로피아는 강력한 디스카운트 슈퍼로뿐 아니라,

테넌트를 유치할 때 중요한 기준은 집객력이다. 디벨

침체된 대형시설을 회생시키는 구원투수로도 주목받고

로퍼는 로피아와 오케이 중 어느 쪽을 파트너로 선택할

있다. 부진했던 쇼핑센터가 로피아에 의해 활성화되고

것인지 고민할 것이다. 로피아도 최근 벽면 이외 매대

있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 로피아의 압도적인 가격 경쟁

즉, 공산품 매장에서 독자적인 가공식품이나 NB의 가격

력에 의한 집객력은 기대 이상이다. 때문에 로피아가 테

소구력을 높여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표 2 슈퍼마켓 식품 구매자 의식조사 단위: % 질문

전체

로피아 이용자

오케이 이용자

무엇을 구입할 것인지 정하지 않고 쇼핑할 때가 있다

33.8

39.2

36.8

35.8

38.4

33.9

매장에서 상품들을 비교한 뒤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51.3

57.5

54.8

54.1

55.2

51.6

매장에서 눈에 띈 상품을 비교하지 않고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20.5

20.7

21.3

20.4

21.1

20.6

목적한 매대 외에는 들르지 않는다

29.2

23.3

26.9

28.2

23.2

29.2

가능한 짧은시간에 쇼핑을 마친다

47.9

41.8

44.8

44.9

38.5

47.8

사전에 전단지나 인터넷에서 할인상품을 확인한다

46.3

52.1

49.4

49.5

58.5

46.6

상품구색이나 할인상품이 많지 않아도 가까운 점포를 이용한다

31.5

22.6

26.8

29.1

24.8

31.4

다소 멀어도 상품구색이 풍부한 점포를 이용한다

39.0

51.6

49.1

43.4

53.9

39.2

코스트코 이용자

타 업체 이용자

다소 멀어도 할인상품이 많은 점포를 이용한다

42.3

54.7

52.3

46.2

53.7

42.6

일괄구매를 하는 경우가 많다

52.3

59.7

55.2

54.6

64.5

52.3

무응답

4.8

3.7

3.8

4.3

2.7

4.7

자료 | 마크로밀 주 | 수도권(도쿄도, 사이타마현, 지바현, 가나가와현) 유효응답 8,100명 대상

94

이온 이용자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4

1,2 초대형 로스트 돈육, 연어 벌크상품 등 대가족 고객을 대상으로 대용량 상품을 저렴하게 판매한다. 3 염가판매 상품은 단품 대량진열해 고객의 구입을 용이하게 한다. 4 천장에 레일 및 기관차를 설치하는 등 매장에 재미 요소를 강화했다.

있으면 직원의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상품전략 분석

상품 가격은 가격 범위가 좁다는 것이 특징이다. 저가

저가 전략 이면에는 즐거움이 한 몫 로피아는 최근 정육뿐 아니라 부문별로 자사가 개발한

격을 내세우는 슈퍼마켓은 적지 않다. 하지만 매장 전체

독자상품을 선보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로피아가 중시

적으로 봤을 때 저가격 상품을 취급하면서도 소위 프리

하는 상품전략은 무엇일까. 로피아의 오리지널 상품을

미엄 상품을 부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로

살펴보면 최근 슈퍼마켓 업체들이 놓치고 있는 재미에

피아도 일부 점포에서 고급 주류를 취급하는 경우가 있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에 달하는 초대형 로

지만, 대량진열 상품들은 대부분 저가에 운영된다. 가격

스트 돈육, 부메랑 모양의 참치, 일반 규격보다 3~4배나

범위가 좁고 저가격이라 고객은 로피아에서는 무엇을 사

큰 특대 덮밥 등 로피아의 신선식품 매장을 거닐다 보면

도 싸게 살 수 있다는 신뢰를 갖게 된다. 그래서 안심하

다른 슈퍼마켓에서는 볼 수 없는 이색적인 상품들을 어

고 구입할 수 있는데 이는 구입 품목 수를 증가시키는 요

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대용량 상품들은 코스트코를

인이 된다.

연상시키기도 한다.

로피아 고객은 앞서 언급했듯이 일반적인 슈퍼마켓과

매대를 장식하고 있는 자사 캐릭터 인형이나 천장에 달

비교해 가족 수가 많은 편이다. 저렴한 이미지를 제공함

려 있는 기관차 모형 등 로피아 매장에는 흥미로운 연출

으로써 가족 수가 많아 식품 지출 비중이 높은 세대에게

물들도 많다. 이러한 재미는 상품정책에도 고스란히 반영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이다. 로피아 상품구색의 기본은 압

된다. 신선식품 이외는 PB를 운영하지 않지만 그룹사인

도적으로 잘 팔리는 상품을 대량진열하는 것이다. 이는

반찬 제조사나 수입상사가 발굴한 독자상품들이 곳곳에

고객의 구입을 용이하게 해준다. 코스트코 같이 독자적

진열돼 있다. 로피아는 독특하게 상품개발자 이름을 상품

인 상품을 구색하는 한편, 단품 대량진열과 같은 소매업

명에 반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김, 참깨 같은 가공식품

의 기본을 충실히 지키고 있다. 향후 로피아의 점포망이

브랜드인 ‘다케이상점’은 개발자의 성인 ‘다케이’에서 딴

더욱 확대되면 바잉파워도 높아져 보다 매력적인 상품,

것이다. 자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브랜드가 매장에 진열돼

재미있는 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2020 APRIL

95


MERCHANDISING

글로벌 신제품 트렌드

프로바이오틱스 드링크

유산균 관심 증가로 유제품 혁신 대두 장건강 트렌드가 이어지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프로바이오틱스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제품을 원한다. 프리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 섬유소 그리고 이들의 혼합을 기대하고 있다. 단순히 유산균을 강조한 제품에서 벗어나 어떤 성분이 얼만큼 들어있는지 여부와 그 효과가 제품 특화 방법이 될 것이다. 글 사만다 무어(Samantha Moore)・글로벌 식음료 애널리스트 정리 편집부・LKP[VY'RVJH VY RY 자료 제공

96

민텔・PUMVRVYLH'TPU[LS JVT

R E TA I L M A G A Z I N E


장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특히 유제품 분야는 다른 카테고리보다 한층 치열한 경쟁에 직면했 다. 유산균이 함유된 유제품은 이제 ‘장 건강에 효과적’이 라는 문구에만 의존할 수 없게 됐다. 장건강이라는 키워 드를 들고 나오는 경쟁 카테고리보다 우위를 점하려면 혁신을 지속해야 한다.

프로바이오틱스로 관심 끌기는 역부족 장건강 트렌드가 계속되면서 많은 제조업체들이 프로바 이오틱스와 다양한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미용을 위한 콜라겐, 울금, 인삼 같은 항염증 성분이 담긴 제품을 선보인다. 실제로 더 컬렉티브(The Collective)는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울금과 인삼 등을 함유한 케피어

1

2

1 더 컬렉티브는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울금과 인삼 등을 함유한 케피어를 출시했다. 2 중국의 ‘매일 마시는 디톡스 요거트’에는 12종의 유산균이 함유돼 위장을 보호한다.

(Kefir)를 출시했다. 케피어는 요구르트와 유사한 발포 에 해당한다. 소화기관에서 박테리아가 생성하는 유익균

성 우유 발효음료다. 하지만 프로바이오틱스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프리

은 위장 건강 상태를 조절하고 염증을 낮추며 면역력을

바이오틱스와 섬유소 함량을 강조해 소비자 눈길을 끌어

키워준다. 아직은 연구 초기 단계지만, 포스트바이오틱

야 한다. 다만 장내 세균 증식을 자극하는 섬유소의 일종

스는 상온 유제품에서 프로바이오틱스의 대안 성분으로

인 프리바이오틱스는 유제품 분야에서 생소하기 때문에

주목받았다. 박테리아가 가열 처리된 제품이나 유통기간

섬유소나 유산균 같은 보편적 소재를 사용해 효능을 강

이 긴 제품에서는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조해도 좋다.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사멸한 박테리아와 그 부산물을 일컫는 신조어다. 건강에 좋은 효소나 펩타이드 등이 이

섬유소 섭취 트렌드 맞춤 상품 필요 중국은 프로바이오틱스 선도 시장 가운데 하나다. 마시

섬유질 식음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46 19

57

단위: g

단위: %

단위: %

현재 영국 성인 평균 섬유소 섭취량으로, 권장량인 30g에 못 미친다.

중국 소비자들은 섬유소를 추가한 우유에 관심이 있다.

미국 소비자들은 소화개선을 위해 고섬유 식음료를 먹어볼 의향이 있다.

2020 APRIL

97


MERCHANDISING

글로벌 신제품 트렌드

프로바이오틱스 드링크

도표 1 장건강 문구를 사용하는 상위 10개 카테고리 단위: %

20

19.52

15.32 15

15.05

10.69 10

6.43 5.58 5

5.09

4.53

4.22 2.83

0 스낵

시리얼

베이커리

유제품

샐러드

기타 음료

이유식

과일・채소

온음료

주스

자료 | 민텔 조사기간 | 2016년 11월 ~ 2019년 10월

다양하게 활용되는 섬유소

는 ‘매일 마시는 디톡스 요거트’가 있는데 이 제품은 장내 독성, 지방, 잔여물, 대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활성 유산균을 함유한다. 총 12종의 유산균은 위장 내 다양한

섬유소 함유 우유 섬유소가 함유된 풀레바(Puleva)는 250㎖ 기준 섬유소 일일 권장량의 50%를 제공한다.

부위를 보호한다. 한편 많은 국가 소비자들은 섬유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있다. 민텔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 호주인들은 하루 22g의 섬유소를 섭취한다. 하루 섭취 권장량 25~30g에

섬유소 함유 아이스크림 크레이머스(Kramer’s) 초콜릿 크런 치 아이스크림은 설탕이 들어가지 않은 대신 단백질과 섬유소 함량이 높다.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영국 경우 성인 기준 하루 섬유소 권장량이 30g인데, 성인 평균 19g의 섬유소를 섭취하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소비자들이 귀리와 씨앗 같은 섬유소가

섬유소 함유 야쿠르트 야쿠르트 플러스는 무지방 발효우 유로 수십억 개의 요구르트균, 추 가 섬유소와 비타민C를 함유한다.

높은 식품을 섭취하려 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46% 중국 소비자들은 섬유소가 추가된 우유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으며, 57% 미국 소비자들은 소화 개선을 위 해 고섬유 식음료를 먹어볼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트렌드가 계속된다면 결국 유제품 제조업체들 은 유산균을 강조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방면으로 혁신

98

는 요거트 경우 유산균 함량과 종류뿐 아니라 정확하고

해야 한다. 대다수 기업들이 함유된 유산균의 구체적인

구체적인 효과를 앞세워 판매하고 있다. 일례로 중국에

효과를 특화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NEWS

업계소식

유로샵 2020 개최

글로벌 유통기업의 공통사 ‘디지털 전환’과 ‘이커머스 혁신’ 글 정성욱 기자・sujeong@koca.or.kr

1

2 3

1 유로샵 2020이 지난 2월 16~20일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성공리에 개최됐다. 2 ‘리테일 테크놀로지’ 등 8가지 주제로 구성된 리테일 마케팅 스테이지. 3 리테일 스타트업 허브를 별도로 마련했다.

글로벌 리테일 전시회 ‘유로샵 2020(EuroShop 2020)’이

가사인 워크아웃(Walkout)은 카트에 제품을 담으면 자

지난 2월 16~20일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성공리에 개최

동으로 체크하는 셀프 체크아웃 소프트웨어를 선보여 주

됐다.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목을 끌었다.

가운데 주최사인 메쎄뒤셀도르프는 방역 조치 등의 사전

전시 제품 외에도 ‘리테일 테크놀로지’ 등 8가지 주제

준비를 철저히 하며 올해 전시회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로 구성된 스테이지를 비롯해 유통기술 어워드, 스타트

유로샵 2020은 57개국 2,300개사가 참가하고, 142개

업 허브 등 다양한 부대 행사를 통해 글로벌 유통산업이

국 9만 4천여 명이 방문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증가세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꺾이기는 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hp, IBM, 코스타, 후

3년 주기로 개최되는 유로샵이 폐막하면서 그 뒤를 잇

지쯔 등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참가하고, 해외 방문객 비

는 유로샵 글로벌 네트워크에도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중이 70%에 달했다. 올해 전시회에서는 역시 디지털 전

하반기 9월 2~4일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씨스타

환이 주요 테마였다. 참가사들은 옴니채널, 인공지능, 사

2020(C-star)’이 개최될 예정이다.

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국내 기

리테일 테크놀로지 분야만 집중적으로 다루는 유로시

업인 신세계아이앤씨 경우 상품 진열 상태를 스스로 파

스(EuroCIS)는 내년 2월 23~25일 독일 뒤셀도르프에

악하는 ‘매대스캔 로봇’을 최초 공개했으며, 이스라엘 참

서 열린다.

2020 APRIL

99


PROMOTION CALENDAR

05 SUN

3

MON

4

TUE

5

May

WED

6

THU

11

17

24

31

12

13

FRI

SAT

1

2

근로자의날

오이・오리데이

8

9

어버이날

아구데이

14

15

16

로즈데이

스승의날

22

23

29

30

7

어린이날・입하

10

2020년 5월 판촉캘린더

18

19

20

21

성년의날・ 5.18 민주화운동기념일

발명의날

소만・세계인의날 계인의날

부부의날

25

26

27

28

바다의날

매장 운영 Point 5월의 Main Theme

➊ 매장관리

가정의 달 5월 5월은 각종 행사 및 기념일이 많은 달로 풍성한 이벤트를 준비해 매 출 활성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 등 기념 일별 선물세트를 준비해 다양한 고객니즈를 공략한다. ‘아이가 좋아 하는 선물 Best 10’ 같은 내용을 POP로 고지해 홍보 효과를 높인다. 한편 가족 단위 나들이도 증가하는 때인 만큼 야외활동, 나들이 관련 상품구색을 강화한다. ‘나들이용품 특집전’ 을 테마로 김밥용 재료, 구이용 정육, 제철 과일 등을 제안한다. 기온이 본격적으로 상승하고 햇살이 강해 지는 시기이므로 자외선 차단제, 선케어용품도 함께 소구한다.

2020 APRIL

가족단위 내점객이 증가하면서 어린이 안전 사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시로 출입구, 에스컬레이터 등 매장 시 설을 확인한다. 최근 이상 기후 현상이 빈번하므로 날씨 변 화에 신속히 대응해 고객 편의를 도모한다.

➋ 상품관리 각종 행사가 많고 여름 신상품이 들어오기 시작하는 5월에 는 기회로스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상품 및 재고관리에 주 의가 필요하다. 또한 기온이 상승하는 시기이므로 냉장 쇼 케이스 온도관리, 신선식품 선도관리에 만전을 기한다.

101


PROMOTION CALENDAR

fruit THEME 1 여름아 기다렸다 하우스수박 주력상품 하우스수박 전개법 하우스수박은 경상남도 함안 지역을 중심으로 출하 초기에는 4~6㎏ 규격이 주를 이루며, 충청남도 지역에서 출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5월 하순부터 7㎏ 이상 중대과 규격이 성출하된다. 생육기 기온차와 적정 숙기에 수확했는지 여부에 따라 육질과 당도 차이가 나지만 보편적으로 11브릭스에 근접하면 누구나 당 도를 느낄 수 있다. 12브릭스에 근접할 경우 프리미엄급이므로 일반 벌크 형태보다 낱개형 박스규격으로 판 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ME 2 푸른빛의 보약 매실 주력상품 매실 전개법 노지 과실 중 가장 먼저 수확하는 매실은 5월 하순부터 출하가 이뤄지는데 시기에 따라 청매, 홍매, 황매로 나눌 수 있다. 청매실은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 무렵까지 출하되는 품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식감 이 아삭해 장아찌로 적당하다. 황매실은 구연산 함유량이 청매실에 비해 14배 많기 때문에 발효용으로 적합 하여 청을 담그면 좋다. 홍매실은 남고품종이며 햇볕에 노출된 부분이 붉게 변해 이름 붙여졌다. 과즙이 많고 향이 좋으며 청매실에 비해 껍질 파손이 적다. 매실은 완숙상태가 영양학적으로 가장 완벽하므로 적정 판매 시기를 간파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ME 3 각양각색 멜론 대전 주력상품 머스크, 파파야, 백자, 양구, 하미과 전개법 기온이 올라갈수록 갈증을 달래는 데는 수박 외에 멜론만한 과채류가 없다. 5월 하순부터 6월 하순까 지 다양한 멜론을 접할 수 있는데 가장 먼저 머스크멜론이 나주지역을 중심으로 출하된다. 이어 참외를 닮았 지만 푸르스름한 과피에 달콤한 과육을 자랑하는 파파야멜론, 가야백자를 닮았다해서 이름 붙여진 백자멜 론, 짙은 노란색을 띠는 양구멜론, 4년 전부터 국내 재배가 이뤄지고 있는 하미과멜론까지 출하가 이어진다. 맛이 궁금한 고객을 위해 시식 병행은 필수다.

글 | 박재군 농협유통 양재하나로클럽 과일팀 과장

102

봄이 깊어지고 여름을 앞둔 5월, 새로운 과채류와 과실류가 선을 보인다. 여름철 대표 과채류인 수박, 멜론과 과실류 복숭아, 포도, 자두, 망고의 첫 출하가 시작된다. 특히 수박은 하절기 매출 향방을 좌우하므로 전면에 배 치하고 멜론은 종류별로 구색해 선택의 폭을 넓힌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PROMOTION CALENDAR

카테고리별 판촉정보

vegetable THEME 1 달콤한 햇양파 주력상품 양파 전개법 양파는 3월 말 제주부터 출하가 시작돼 6월 중만생종까지 출하된다. 5월에는 대부분 햇양파가 유통 된다. 일반적인 양파보다 빠른 재배와 수확이 진행되는 양파를 조생양파라고 부르는데 조생양파는 수분이 많아 매운맛이 덜하고 단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단, 수분이 많은 만큼 저장성이 약하므로 전개 후 품질관 리에 신경써야 한다. 양파는 소비율이 높기 때문에 대용량 상품 위주로 운영하는 것이 좋으며 1인 가구를 위 해 손질 양파 등 간편 상품도 함께 취급한다.

THEME 2 5월 2일은 오이 먹는 날 주력상품 백다다기오이, 가시오이, 취청오이, 미니오이 전개법 따뜻한 날씨와 충분한 일조량으로 오이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다. 5월 2일을 ‘오이데이’로 마케팅 해 보자. 지역별로 소비되는 오이 품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수도권과 중부권 이북으로는 백다다기 오이, 호남권은 취청오이, 영남권은 가시오이의 비중이 높다. 백다다기오이는 속무름이 적고 단맛이 강해 소 박이나 무침에 많이 쓰이는 반면 가시오이나 취청오이는 색이 짙고 아삭한 식감이 좋아 가니쉬나 냉국, 절임 등에 많이 쓰인다. 품종별 어울리는 요리와 상품 특성을 POP로 제작하고, 대용량 상품과 벌크 상품으로 나눠 전개해 객단가를 확보한다.

THEME 3 나들이용 채소로 간편하게 주력상품 밀키트, 간편채소류, 믹스샐러드 전개법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5월에는 대용량 상품과 편의형 상품의 소비량이 증가한다. 밀키트는 양념, 원재 료 등을 한 패키지 안에 구성해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리를 제안할 수 있다. 개개인 취향에 맞 춰 토핑을 더하거나 깨끗이 손질된 채소를 원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간편채소와 함께 전개하는 것이 좋 다. 이외에도 한 끼 식사를 대신할 수 있는 믹스샐러드를 드레싱과 연관진열해 효과를 극대화한다.

충청, 경기 지역의 성출하기와 함께 강원 지역 하우스에서 이른 생산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연중 가장 안정 적인 가격을 보인다. 가정의 달을 맞아 여러 이벤트가 있어 매장 내 객수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객단가 높 은 대용량 상품을 중심으로 전개하되 편의형 상품에도 집중한다.

2020 APRIL

글 | 최선웅 홈플러스 채소팀 바이어

1 03


PROMOTION CALENDAR

fish THEME 1 캠핑・나들이용 새우 모음전 주력상품 흰다리새우, 블랙타이거, 간편 새우살 전개법 나들이객 증가로 구이용 새우 수요가 늘어나는 시기다. 벌크 상품 위주로 매장에 전개하되 MAP 포장 이나 냉동 새우 등 간편 상품도 구색을 유지해 고객에게 제안한다. 새우는 마리당 객단가가 낮은 상품이므로 20~30마리씩 포장해 판매 가격대를 높이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요가 많은 흰다리새우뿐 아니라 블랙타이 거새우, 홍새우 등 구이용으로 적합한 새우류를 함께 전개하는 것도 좋다. 구이용 소금이나 버터 등 증정 프 로모션 제안도 고민해본다.

THEME 2 가족모임용 수산물 주력상품 활 랍스터, 킹크랩, 모둠회 전개법 공휴일과 기념일로 인해 가족 모임이 많아지므로 모임용 수산물을 집중 전개해본다. 랍스터는 대표 적인 모임용 수산물로 과거와 달리 대중화가 이뤄졌다. 매장 전개시 450g부터 2㎏ 이상 큰 사이즈까지 준비 하고 찜기를 배치해 시연 판매를 병행한다. 랍스터뿐 아니라 생선회도 대중적인 모임용 수산물로 적합하다. 광어, 우럭 등 집객을 위한 저가형 상품과 도미, 연어, 참치 등 고급 어종도 함께 판매해본다.

THEME 3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수산물 주력상품 전복, 굴비 전개법 5월은 가족과 함께 평소 고마웠던 분들에게 마음을 표현하기 좋은 달로, 몸에 좋은 보양 수산물이나 선물용 세트 상품 수요가 늘어난다. 전복, 장어 같은 보양 수산물을 확대 전개하고 관련 POP를 제작해 행사 장을 구성하자. 또한 기존과 다른 프리미엄 상품을 집중 전개해 객단가를 높이는 동시에 3만 원 이하 저가형 상품도 함께 운영한다. 굴비는 선물세트를 제작해 샘플을 보여주고 엮걸이 진열로 고객 시선을 이끈다.

글 | 이쌍진 롯데마트 수산팀 MD

104

가족 관련 기념일이 많아 관련 상품 매출이 상승한다. 특히 선물용 상품과 나들이용 간편 수산물 판매가 늘어 나는 시기이므로 집중 판매할 상품을 미리 선정해 물량을 확보하고 프로모션 계획을 세워 고객들에게 제안해 본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PROMOTION CALENDAR

카테고리별 판촉정보

at THEME 1 봄 매출 활성화 작전 주력상품 한우 등심・채끝・특수부위, 국내산 삼겹살・목살, 수입 척아이롤・특수부위 전개법 5월 초부터 이어지는 기념일로 가족 야외활동 및 모임이 증가하는 시기다. 이를 공략해 간편하게 구워 먹을 수 있는 정육상품을 제안한다. 고품질 한우와 가성비 좋은 돈육, 수입육을 병행 진열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힌다. 야외활동시 가장 많이 구매하는 상품은 두꺼운 돈육 삼겹살, 목살이므로 이에 맞는 가성비 좋은 대용 량 상품 기획이 필요하다. 해당 상품들의 진열 페이싱을 늘리고 추가적으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양념 가 공품 등도 구색을 확대한다.

THEME 2 소중한 사람을 위한 선물 제안 주력상품 구이용 한우, 우족, 사골, 꼬리, 와규, 갈비 전개법 일주일 간격으로 어버이날과 스승의 날이 이어진다. 여기에 초점을 맞춰 ‘추억과 감사’를 테마로 선물 용 상품을 제안해보자. 사전 공동구매 등을 활용해 10만 원 이하 가격대로 구성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해매 출 활성화를 노려본다. 상품은 한우 불고기・국거리, 한우 부산물 모듬 등으로 구성해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대 로 준비한다. 진열은 실물 대신 모형물이나 사진, 홍보물을 활용해 폐기에 대한 부담을 줄인다.

THEME 3 간편 정육 대전 주력상품 소불고기, 고추장・간장 돼지 불고기, 양념 특수부위 전개법 최근 간단하게 조리해 먹기 좋은 포장 양념육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트렌드에 맞춰 상품 중량과 가격대를 고민해 상품을 구색해본다. 1~2인 가구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소용량 제품부터 가족 모 임이나 야외활동 중 먹기 좋은 대용량 상품까지 다양하게 구성한다. 간단하면서도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상품 품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시식 행사 진행 등 적극적인 홍보활동까지 더한다면 부가매출 활성화에 큰 도움 이 될 것이다.

5월은 가정의 달로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 전 매출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때이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등 데이 마케팅 및 연관상품 운영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기 좋은 시기다. 최근 여러 이슈로 외식이 줄고 집에서 식사하는 니즈가 증가하고 있으니 적극적으로 주력 상품과 차별화 상품을 제안해 본다.

2020 APRIL

글 | 이석준 GS리테일 축산팀 과장

105


PROMOTION CALENDAR

daily&grocery & THEME 1 소용량 균일가 나들이 상품 모음전 주력상품 상온 레토르트, 음료, 장류 전개법 지난 1~3월까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출이 어려웠기 때문에 4~5월에 나들이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나들이, 캠핑 등에 필요한 상온 레토르트, 음료, 장류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 관련 상품을 모 음진열해 전개한다면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가격과 규격 구성은 한 번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소용량 균일 가가 적당하다. ‘990원 소용량 균일가전’ 테마 행사를 진행하되 추가적인 매출을 위해 ‘2개 이상 구매시 10% 추 가 할인’ 등의 프로모션 기법을 활용한다.

THEME 2 새콤달콤 비빔면 주력상품 비빔라면, 골뱅이 통조림 전개법 5월이면 비빔라면류 매출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비빔라면류 단품을 확대 운영하고, 동절기 시즌 동안 출시된 국물라면류는 발주량을 조절한다. 상품 진열은 동선 평대를 구성해 전개하되 연관구매율이 높은 골뱅 이 통조림을 함께 진열하고 레시피를 소개한다면 더 좋은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주로 덤 행사를 진행하므로 물량 발주 전 제조사에 문의해 증정팩 입고 정보를 미리 파악하는 것이 좋다.

THEME 3 맥주가 더욱 맛있어지는 날씨! 주력상품 맥주, 안주류, 스낵 전개법 기온이 계속 오르면서 시원한 음식이 생각나는 시기다. 최근 지속적으로 시장이 커지고있는 수입맥주 의 매출이 한층 더 올라갈 수 있는 때이므로 가격할인 프로모션을 준비한다. 또한 국내 제조되는 ‘에일 맥주’ 상 품들도 적극 운영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양조기술 발달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품질도 우수한 에일 맥주 상 품이 출시되고 있다. 맥주와 잘 어울리는 스낵류를 선정해 연관진열한다면 더욱 높은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글 | 박상태 롯데마트 기호식품팀 MD

106

본격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나들이가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관련 상품을 모음진열하거나 행사장으로 꾸며 주력 매출 포인트로 연결되도록 한다. ‘미리 만나는 여름 시즌 상품’도 고객들에게 충분한 구매 동기를 줄 수 있 으므로 행사 공간을 확보해둔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PROMOTION CALENDAR

카테고리별 판촉정보

living&culture THEME 1 감사 선물 기획전 주력상품 건강기능식품, 가전제품, 카네이션, 디퓨저 전개법 5월은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므로 연령별 적합한 상품 운영에 주의를 기울인다. 어린이날 선물로는 완 구용품, 게임기 등을 제안하고, 점내 캐릭터 POP, 풍선 등을 설치해 행사 분위기를 연출한다. 어버이날 선물로 는 카네이션 코사지, 드라이플라워・디퓨저 기획상품, 건강기능식품을 제안한다. 성년의 날에는 장미 꽃과 향 수 기획 세트를, 부부의 날에는 ‘건조기, 로봇청소기, 식기세척기’ 등 최근 필수 가전으로 꼽히는 상품들을 특가 기획전으로 제안한다. 상시 행사가 있는 만큼 가격적인 혜택을 앞세워 고객 수요를 이끌어본다.

THEME 2 한발 빠르게 해충용품 모음전 주력상품 뿌리는 살충제, 모기트랩, 해충 방지 로션, 해충퇴치식물 전개법 보통 6월 초순부터 한밤의 불청객인 벌레, 모기와의 전쟁이 시작되지만, 최근 기온 상승으로 예년보다 일찍 방충용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뿌리는 살충제, 모기트랩, 해충 방지 로션 등 일반적인 방충용품과 함께 해충퇴치식물도 운영해본다. 대표적인 해충퇴치식물로는 구문초, 페퍼민트 등이 있으며 특히 구문초는 꽃이 아름다워 집안 분위기를 화사하게 바꿔주는 실내 조경 효과도 낼 수 있다.

THEME 3 여름용품 모음전 주력상품 선크림, 제모용품, 네일팁, 아령 전개법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5월만 돼도 낮 시간에는 더위를 느끼게 된다. 일찍 찾아온 더위로 여름용품 수요 가 앞당겨지므로 별도 매대 제작 또는 행사 매대를 활용해 관련 용품 모음전을 운영해본다. 매대 주요 구성 상 품으로 선크림, 수분 진정크림을 구성하되 노출 부위가 많아는 시기인 만큼 제모용품, 네일 팁 상품들도 같이 준비한다. 다이어트를 준비하는 고객 타깃으로 아령, 근력 밴드 등 홈트레이닝 상품들도 제안한다.

‘메이포비아’라는 신조어가 나올 만큼 지출이 많아지는 5월 가정의 달이다. 어린이날부터 부부의 날까지 이벤 트가 많은 만큼 기획상품 준비와 함께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차별화된 매장 및 행사 전개가 필요하다. 또한 봄, 여름상품 전환이 진행되는 시기인 만큼 재고관리에도 소홀하지 않도록 한다.

2020 APRIL

글 | 이인성 GS리테일 생활잡화팀 과장

1 07


FIELD STUDY

점장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점장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방향성과 구체성 점포 운영은 커뮤니케이션에 기초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원들에게 운영 철학을 전달하고 점포의 현황, 상품 및 행사정보 등을 전달하려면 직원들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야 한다. 또한 고객들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 내 모든 행위도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고객과 직원을 대상으로 한 점장의 커뮤니케이션법을 알아본다. 글 편집부・editor@koca.or.kr 일러스트 이은미

108

R E TA I L M A G A Z I N E


커뮤니케이션은 메시지를 전달해 원하는 성과를 얻는

표 1 커뮤니케이션 포인트

행위다. 물론 발화 자체가 목적일 때도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도 상대방과의 친밀도를 높이려는 등 원하는 바

매체

가 있는 법이다. 점포에서 점장이 실시하는 커뮤니케이션 내용은 ‘객관 적인 정보’와 ‘주관적인 의견’으로 나뉜다. 객관적인 정

방향성

표현방법

보는 ‘다음 주에 신상품이 입고된다’, ‘이번 주 금요일부 터 할인행사를 실시한다’ 같은 객관적인 사실이다. 주관

구체성

・종이・매장 : 인쇄물, POP, 매장진열 ・디지털 : 메신저, 메일, SNS ・대면・전화 : 조회, 회의, 면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 회신이나 수용 여부 ・행위의 유무 : 직원의 지시 내용 실행, 고객의 상품 구입 ・언어 : 문장, 말 ・비언어 : 미소, 표정, 목소리 고저, 제스처 ・TPO : 시간대, 상황, 장소 ・5W1H : 언제, 어디에서, 누가, 무엇을, 왜, 어떻게 ・매장 : 페이스, 진열장소, 발주수량, POP

적인 의견은 ‘신상품을 100개 판매하겠다’, ‘이번 할인행 사 때 POP를 만들어보고 싶다’처럼 의지나 바람 등을 나타낸다. 그러나 주관적인 의견도 객관적인 정보에 근

도표 1 커뮤니케이션의 흐름

거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일차적으로 객관적인 정보를

객관적인 정보

전달한 뒤 주관적인 의견과 연결시켜 직원들의 반응을 이끌어야 한다.

상대방의 반응

정보나 의견을 전달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크게 서면 으로 전달하는 법, 스마트폰 등 디지털을 이용해 전달하

피드백

정보전달

ㆍ판촉 내용 ㆍ상품 정보 ㆍ점포 실적

ㆍ상품 구입 ㆍ지시 내용 실행 의사표현

는 법, 전화를 포함한 구두로 전달하는 법의 세 가지 방

주관적인 의견 ㆍ판매 목표 ㆍ바람, 요망

법이 있다.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든지 같은 내용이라도 상대의 성향이나 TPO에 따라 전달하는 방식을 달리해 야 한다. 또한 전달 내용은 누구나 이해하기 쉽도록 구 체적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신상품이 입고될 때 ‘상단

올리려는 것이다. 이렇게 목표나 목적이 있으면 얼마나

선반에 진열할 것’이라고 전달하는 것보다 직원과 매장

달성했는지 반드시 결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해야 한다.

을 함께 확인한 후 ‘두 번째 선반에 진열돼 있는 상품 A

POP를 부착했으나 매출이 신장하지 않았다면 검증을

를 첫 번째 선반으로 옮긴 후 신상품을 3페이스로 진열

실시한 후 다음번을 위한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

할 것’이라고 전달하면 누구나 지시내용을 정확하게 따

그럼, 커뮤니케이션 대상을 고객과 직원으로 나눠 커 뮤니케이션 내용과 전달 방식, 검증방법, 주의점에 대해

를 수 있을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쌍방향을 이루고 있는가도 중

알아보겠다.

요하다. 점장이 전달하는 정보나 지시를 직원이 수용해 다. 점포의 수치 성과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

고객 커뮤니케이션 | 판매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출해야

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대부분 매장 업무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매출

매장 운영에 잘 반영한다면 매출과 이익도 증가할 것이

또한 커뮤니케이션에는 목적이 있다. POP를 부착하

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언어뿐 아니라

는 목적은 상품의 시인성을 높여 매출을 향상시키는 것

비언어도 포함하는 것이므로, 점포 청결도, 직원의 태

이다. 판촉정보를 직원에게 설명하는 목적은 매장의 최

도, 상품 진열 상태, POP 등 매장의 모든 것이 고객과

적화나 고객에게 추천판매를 실시해 판촉상품의 매출을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020 APRIL

109


FIELD STUDY

점장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고객에게 전달해야 할 객관적인 정보는 상품 정보, 판촉

고객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에는 매장 연출

정보, 구입 정보의 세 가지다. 이 중 상품 정보란 가격,

과 접객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매장 연출은 가격표, 판

신상품, 상품분류, 상품특징 등이 있다. 즉, 가격표를 부

촉물(ISP), 상품진열 등을 말하며, 접객 커뮤니케이션은

착하고, 신상품 POP를 게재하고, 상품분류별로 진열하

인사, 계산대 접객, 응대, 추천판매 등이 있다. 매장 내

고, 알레르기 표시나 상품특징 등을 고지하는 행위들이

아무리 판촉물을 많이 설치해도 접객을 제대로 하지 않

고객에게 상품 정보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라

으면 효과가 반감되므로 접객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

할 수 있다.

매장 연출과 접객을 통한 각각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판촉 정보는 판촉 내용, 대상 상품, 판촉 기한 등을 알

이 적절한가도 점검해야 한다. 인사 목소리가 작지 않은

리는 것이다. 판촉 정보는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지, 판촉물이 오래돼 색상이 바라지 않았는지, 평대에

가가 중요하다.

진열한 상품이 너무 빈약하지 않은지, 직원 유니폼이 더

고객에게 상품을 추천하는 것은 주관적인 의견에 속

럽지 않은지 등을 점검한다.

한다. 즉 상위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추천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표현이나 직원의

고 싶은 상품의 페이스를 확대하면 시인성을 높여 상품

상품지식은 매출과 직결된다. POP를 꾸밀 때 단순히

을 잘 알리고 싶다는 점포의 의지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추천상품’이라고 쓰는 것보다 목표 고객의 성향을 파악

있다. 판촉 매대를 눈에 띄게 연출하고 POP를 부착하면

해 ‘대용량! 배불리 먹고 싶을 때 안성맞춤’이라고 쓰는

매출이 신장한다.

것이 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 포인트카드 신청을 권유할

여기에 접객을 통한 말 걸기를 시도하면 보다 좋은 결

때도 그냥 ‘포인트카드 신청하세요’라고 말하는 것보다

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팔고 싶다는 의지를 매장 전

고객 입장에서 어떠한 혜택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전달

반적으로 적극 구현해야 고객을 향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고객 관심을 끌 수 있다.

성공시킬 수 있다.

어떠한 성과를 얻었는가 도표 2 고객과 커뮤니케이션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이 쌍방향인가를 알 수 있는 방법 은 매출이다.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은 매출로 되돌아온 다. 따라서 POP를 설치한 상품이나 추천판매를 한 상품 의 매출이 목표를 달성했는지 검증해야 한다. 실적이 향 상품 구입

상되지 않았다면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에 그친 것이므로 커뮤니케이션 개선이 요구된다. 이러한 검증을 정확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직원뿐 아

판촉 행위 추천 판매 / POP 운영 / 매대 연출

니라 점장 자신도 동기부여가 저하된다. 반드시 검증을 실시하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는 물론, 달성한 경

점포운영의 기본 인사 / 친절 / 청결 / 가격표 / 진열

우에도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매일매일의 점포운영은 잘 된 행위의 강화와 그렇지 못한 행위의 개선을 연속적 으로 시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검증을 실시하는 것 은 직원과 점장 모두에게 좋은 학습이 된다.

110

R E TA I L M A G A Z I N E


표 2 직원과 커뮤니케이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지시한 대로 매장에 반영되지 않 았거나 직원이 판촉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해 실

커뮤니케이션 목적

직원이 고객과 적절히 커뮤니케이션을 취해 매출을 향상시키려는 것

정보 공유

판촉 정보, 상품 정보, 안내, 통상 업무 지시, 점포 실적

의사 공유

목표 수치 공유, 목표 배경 공유

작업 내용 공유 판매 검증

수가 발생했다면 이는 직원만의 책임은 아니다. 점장의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결국 바라는 결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자신의 커뮤니케

판매 방법, POP 설치, 계산대 접객, 진열 장소, 진열 페이스 목표 달성치, 실행 정도, 수치 결과의 원인, 개선방안, 조언

이션 방법을 되돌아봐야 한다. 특히 지시 내용은 5W1H로 전달해야 한다. 언제, 어디 에, 누가, 무엇을,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전달해야 직원도 제대로 실행할 수 있다. ‘◯일부터 판 촉행사가 시작된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판매 목

직원 커뮤니케이션 | 지시 내용은 ‘5W1H’로 구체적으로 전달

표 ◯개를 달성하기 위해 A가 ◯◯행위를 ◯일까지 실

직원과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은 직원이 고객에게 적절한

히 지금 바로 해야 하는지, 금일 중에 하면 되는지 기한

커뮤니케이션을 취할 수 있도록 정보 공유, 지시, 교육

을 명시하지 않으면 직원은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을 실행하기 위함이다. 매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

없다. 지시 내용이 명확해야 직원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

원과 매장 운영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적절히 시행하

다. 애매모호하게 지시한다면 점장 자신도 업무의 성격

지 않으면 안 된다.

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일 수 있다.

시할 것’처럼 업무 내용을 상세하게 전달해야 한다. 특

한편, 직원을 한 사람의 인격으로 존중하지 않으면 전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달하려는 바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 직원의 인격을

직원에게 전달해야 할 정보는 크게 운영 정보, 업무 지

모독하는 발언은 반발심만 키울 뿐이다. 그러면 커뮤니

시, 수치 검증으로 나눌 수 있다. 운영 정보에는 상품 정

케이션이 이뤄질 수 없다. 말 한 마디로 의욕을 높일 수

보 및 기타 점포 운영에 관한 정보들이 있는데 정보량이

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직원으로부터 피드백이 적거나

방대하므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을 찾아야 한다.

업무에 대한 의욕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자신의 커뮤니

판촉행사 개시일, 신상품 입고일, 월말 등 평소보다 작

케이션 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하고 개선

업량이 많을 때는 어떤 작업을 누가 어떻게 할 것인지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명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점포 운영에 필요한 정보나 수 치는 제때 전달돼야 한다.

어떠한 성과를 얻었는가 직원과 커뮤니케이션에서 얻을 수 있는 성과는 직원이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점포의 방침을 잘 이해하고 실행해 실적을 높이는 데 있

직원에게 전달하는 방식은 가능한 규칙을 정해 공유하

다. 만약 수치 결과가 좋지 않거나 직원의 성장이 보이

는 것이 좋다. 조회, 게시판, 대면 지시, 정례회의, 면

지 않으며, 지시한 내용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면 점

담, 메일・메신저 등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는 다양하므

장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직원과

로 어떤 정보를 언제,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 정해놓지

커뮤니케이션은 최대의 투자다. 점포 운영이 원활하게

않으면 정보 확인이 지체될 수 있다.

이뤄지지 않는다면 점장은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방법부

직원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는 쌍방향인지 방향성에

2020 APRIL

터 점검해야 한다.

111


STORE GUIDE

직원관리

인상 매니지먼트

호감도 높일 때는 파란색 주의 환기에는 노란색 색이나 색조가 가진 상징이나 심리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기업 브랜딩, 상품, 인테리어 등에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색을 활용하는 기법을 ‘컬러 매니지먼트’라고 부른다. 글 편집부・editor@koca.or.kr 일러스트 이은미

112

R E TA I L M A G A Z I N E


인상 매니지먼트에서는 사람 인상을 좌우하는 주요 요

개인 신체 색과 조화를 이뤄 대상자를 돋보이게 해주는

소 중 하나로 ‘색’을 꼽는다. 색에는 여러 가지 기능이 담

색을 가리킨다.

겨있다. 잘 어울리는 색은 그 사람의 용모나 성격, 직업

퍼스널 컬러는 크게 옐로우 베이스의 웜(warm)톤과

과 잘 맞으며 상대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세련

블루 베이스의 쿨(cool)톤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다시

된 느낌을 준다. 이러한 색을 가리켜 ‘퍼스널 컬러’라 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봄,

른다. 퍼스널 컬러는 피부색이나 머리카락, 눈동자 색

가을 유형은 웜톤에 여름, 겨울 유형은 쿨톤에 속한다.

등으로 판단하며 대상자에게 더해졌을 때 매력적이고

퍼스널 컬러 진단을 통해 개인에게 잘 어울리는 색을 찾

생기 넘치게 보이는 색을 의미한다.

을 수 있다.

나를 돋보이게 해주는 ‘퍼스널 컬러’

활기차고 밝은 색조

색조란 명도와 채도에 의해 분류되는 색의 계통을 일컫 는다.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그 농 담에 따라 ‘밝은 색조’, ‘어두운 색조’로 나뉜다. 채도는 색의 순색 정도를 나타내며 정도에 따라 ‘맑은 색조’, ‘흐

특징: 선명한 정도(채도)가 높은 색조. 순색, 원색이라고도 부른다. 이미지: 선명함, 화려함, 생생함, 맑음, 깨끗함, 밝음, 건강함, 정열적, 강함 등

린 색조’로 구분된다. 색조는 흰색, 검정, 회색 등 색조 가 없는 무채색부터 저채도, 중채도, 고채도, 순색 등 10

▶ <도표 1>에서 ①번 색조는 퍼스널 컬러 진단에서 블

가지 이상의 종류로 세분화된다.

루 베이스의 ‘겨울 쿨톤’에 속한다. 이 유형에 속하는 사

지금부터 크게 네 가지 색조로 분류해 각각의 특징과

람은 대체적으로 선명하고 눈에 띄는 컬러가 잘 받으며

이미지를 소개하겠다. <도표 1>에서 세로축은 명도를

채도가 낮은 색은 어울리지 않는다. 명도와 채도의 높고

기준으로 분류한 것으로 흰색이 섞여 있으면 밝아지고,

낮음에 관계없이 푸른빛이 도는 선명하고 강한 컬러가

검정색이 섞이면 어두워진다. 가로축은 채도로 구분한

잘 어울린다.

것으로 색의 선명함을 나타낸다. 색조는 특히 퍼스널 컬러 진단에서 활용된다. 퍼스널

파스텔 톤, 부드러운 느낌의 색조

컬러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 번째는 피부, 머리, 눈동자 등 개인 신체가 지닌 색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특징: 밝기(명도)가 높고 흰색이 섞인 색조. 흰색 비율에 따라 농담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미지: 희미함, 얇음, 가벼움, 약함, 젊음, 귀여움, 상쾌함 등

도표 1 대표적인 색조 고

② 파스텔 톤, 부드러운 느낌의 색조

▶ <도표 1>에서 ②번 그룹에 속하는 컬러들이다. 퍼스 ① 활기차고 밝은 색조

③ 회색 톤의 안정적인 색조

널 컬러 상에서 옐로우 베이스의 ‘봄 웜톤’에 해당한다. 봄 웜톤의 퍼스널 컬러를 가진 사람은 실제 나이보다 어

명도 (밝기)

려 보이는 경우가 많다. 봄 웜톤에는 명도와 채도가 높 ④ 깊이감 있는 어두운 색조

은 노란빛이 도는 화사하고 밝은 느낌의 색이 잘 어울린

다. 옷이나 액세서리 착용시 조금만 어두운 색을 선택해 저

채도(선명함)

2020 APRIL

도 안색이 칙칙해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13


STORE GUIDE

직원관리

회색 톤의 안정적인 색조

인상 매니지먼트

▶ 순색의 빨간색은 체온을 높이는 ‘난색’으로 경쟁심을 불러일으키는 특징이 있다. 불이나 태양을 연상시키는 활력 있는 색이기도 하다. 주목을 모으는 색으로 광고나

특징: 단색에 회색을 섞은 색조. 연한 회색부터 진한 회색까지 회색 농담으로 명도가 달라진다. 이미지: 안정적, 탁함, 어른스러움, 차분한 멋 등

상품 패키지에 자주 사용된다. 특히 매장에서 할인판매 홍보시 빼놓지 않고 사용되는 색이다. 기업의 로고에도 자주 사용된다.

▶ <도표 1>의 ③번 그룹에 속하는 색이다. 명도가 높은

빨간색에 흰색을 섞으면 분홍색이 된다. 분홍색은 원

회색빛 색은 고상하면서도 부드럽고 온화한 느낌을 준

색인 빨간색의 공격성을 누르고 여성스러움, 부드러움,

다. 회색빛 색 중에서도 비교적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행복을 상징한다. 여성 호르몬을 활성화시키는 색으로

것들로 명도가 더 낮을 경우 수수하면서 어둡고 무거운

여성 관련된 장소, 상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느낌을 준다. 이처럼 명도가 낮아질수록 강하고 무거운 이미지가 강해진다. 퍼스널 컬러 진단에서는 블루 베이

주황색

스의 ‘여름 타입’에 해당한다. 회색빛 색조나 진하지 않 이미지: 친숙함, 건강, 번화함, 밝음, 즐거움, 진취적, 기쁨, 행복감, 가정친화 등

은 파란빛이 들어간 밝은 색과 어울린다.

깊이감 있는 어두운 색조

▶ 빨간색과 노란색 중간에 위치하는 색으로 두 색의 좋 은 이미지를 결합한 색이다. 신선식품에 많아 일상에서 자주 보기 때문에 친숙한 색으로 꼽히기도 한다. 가정적

특징: 단색에 검정색을 섞어 만든 색조. 검정색 비율에 따라 농담의 차이가 생긴다. 이미지: 안정적, 어른스러움, 깊음, 진함, 무거움, 남성적 등

▶ 퍼스널 컬러 진단에서 옐로우 베이스의 가을 타입에

이면서 따뜻한 이미지가 있어 슈퍼마켓이나 식품점의 이미지 컬러로 많이 사용된다.

노란색

해당한다. 가을 단풍을 연상하게 하는 색이나 어두운 색 이미지: 밝음, 즐거움, 희망, 신선, 해방, 활발, 행복, 청춘, 위험, 긴장, 불안, 경솔, 서민, 금전운 등

이 어울린다. 어른스러우면서 화려한 분위기를 가진 사 람이 많다.

▶ 노란색은 검정색, 흰색, 회색을 제외한 모든 유채색

고객 눈길 이끄는 컬러 활용법

가운데 가장 밝은 색으로 팽창과 진출의 효과가 있다.

색이 가진 특징과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도 전략적인 컬

빛이나 태양 이미지를 연상시키며 즐거운 기분을 주기

러 매니지먼트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색이 주는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컬러라고도 한다. 주의를 환기시

심리효과와 이와 관련된 장단점에 대해 알아본다.

키는 색으로도 사용된다.

빨간색

초록색 이미지: 에너지, 활력, 진취적, 공격적, 정열적, 적극성, 리더, 용기, 승리, 사랑, 위험, 분노, 싸움 등

114

이미지: 치유, 생명력, 안심, 안정, 안전, 공평, 이상, 조화, 밸런스, 젊음, 신선, 보수적 등

R E TA I L M A G A Z I N E


▶ 나무나 수풀 등을 연상시키는 자연의 색으로, 차분해

파란색과 보색으로 두 색을 함께 사용하면 갈색이 특히

지는 효과와 더불어 눈의 피로를 해소해주는 효과도 있

부각돼 보인다.

다. 초록색의 보색은 빨간색으로 두 가지 색을 함께 사 용할 경우 서로를 돋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활

흰색

용한 대표적인 사례가 크리스마스에 초록색과 빨간색을 이미지 : 순백, 청결, 진면목, 평화, 승리, 완벽, 차가움, 허위, 스케이트 등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 흰색은 채도가 없는 무채색이다. 가장 명도가 높기

파란색

때문에 확장, 진출, 경량의 효과가 있다. 모든 색과 조화 이미지: 개방감, 지성, 이성, 안전, 안심, 성실, 신뢰, 냉정, 친숙, 차가움, 젊음, 미숙함, 슬픔 등

를 이루는 색이며 깨끗하고 더럽혀서는 안될 것 같은 느 낌을 준다.

▶ 파란색은 한색으로 차가운 느낌을 줘 여름철 침구 등 에 자주 사용된다. 이외에 흥분을 억제해주는 진정 효과

검정색

도 있다. 또한 후퇴색이나 수축색으로 원근법에 활용되 이미지 : 강함, 완고, 자기주장, 자신, 중량감, 고급, 안정, 권위, 신비, 어두움, 공포, 절망, 고독 등

기도 한다. 초록색과 동일하게 안심, 안전의 색으로 교 통기관 등 신뢰가 필요한 기관이나 기업의 이미지 컬러 로 자주 사용된다. 호감도가 매우 높은 색으로 널리 이

▶ 검정색은 무채색으로 빛을 반사시키지 않고 모든 색

용된다.

을 흡수하는 색이다. 다른 색을 눈에 띄게 만드는 효과 가 있다. 수축색이면서 후퇴색이기 때문에 검정색 테두 리에 둘러싸인 안쪽의 사물을 눈에 띄게 만드는 효과가

보라색

있다. 광이 나는 검정색은 고급스러우면서도 모던한 분 이미지: 고상함, 고귀, 신비로움, 안전, 우아, 불안함, 욕구 등

▶ 과거에는 보라색 염료가 귀했던 탓에 높은 지위를 상

위기를 연출할 때 사용한다.

회색

징하는 색으로 사용됐다. 보라색은 빨간색과 파란색 사 이의 색으로 사용 범위가 넓어 양면적인 느낌을 준다.

이미지 : 고상, 인내, 신중, 평범, 충성, 신뢰, 쓸쓸함, 평범함, 안정감, 수수, 무기력, 불투명 등

예를 들어 연보라색이 우아하면서 고상한 느낌을 주는 반면 짙은 보라색은 요염한 느낌을 준다.

▶ 과거 사무실의 서랍장이나 책상 대부분이 회색이었 다. 실제로 회색은 안정적인 느낌을 주며 일에 집중하게 하는 심리 효과를 준다. 그러나 아이디어를 발휘하거나

갈색

주체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지금의 시대에는 어울리지 이미지: 자연, 안정, 건실, 중후, 신뢰, 보수, 늠름함, 강함, 완고, 원숙, 긴장 완화, 전통, 역사, 편안함, 소박, 생명 등

않는 색일지도 모른다. 색과 관련된 인상은 색 그 자체뿐 아니라 색조에 따라

▶ 빨간색이나 주황색에 검정색이 섞인 난색으로 초록

서도 좌우된다. 색조 특징과 이미지를 이해했다면 실무

색과 함께 흙과 나무를 상징하는 색이다. 어두운 톤의

에 컬러 매니지먼트를 활용해보자.

2020 APRIL

115


STRATEGY

벤치마킹

미국 독립 소매점 운영 전략

지역사회 참여 유도하는 작지만 강한 로컬 슈퍼마켓 미국 유통전문지 프로그레시브 그로서(Progressive Grocer)가 주관하는 ‘2020년 우수 독립 소매점상(2020 Outstanding Independent Awards)’에 뽑힌 유통업체들을 살펴보면 독립 소매점에도 변화가 시작됐다. 사회 및 환경의식이 강한 소비자를 포함, 보다 광범위한 지역 고객을 포섭하기 위해 식료품 코너에 변화를 줬다. 우수 독립 소매점은 고객니즈에 부합한 상품, 차별화된 서비스를 기반으로 소비자 트렌드를 앞서가며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글 편집부・editor@koca.or.kr

1971년 미국 위스콘신주 랜드 오 레이크스(Land O’ Lakes)에 문을 연 슈퍼마켓 ‘트릭스(Trig’s)’는 현재 8개 매장을 보유한 체인스토어로 성장했다. 대형 점포와 온 라인몰의 성장에도 트릭스는 신선도라는 키워드에 집중 해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했다. 상품 품질, 일관성, 선택 의 폭 등 고객 기준을 상회하는 신선코너를 바탕으로 성 장하고 있다. 젊은 소비자들은 대형마트보다 그랩앤고 방식의 매장 이나 신선한 식재료가 있는 매장을 선호한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모여 편하게 담소를 나누는 로컬 분위기를 원

OCC는 리모델링을 실시했는데 조리식품 종류를 늘리고

하며 이들의 니즈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를 쉽게 찾길 바

보다 편리한 쇼핑을 제공하고자 했다. 냉장 쇼케이스, 농

란다. 이러한 특징은 온라인쇼핑몰이나 대형 유통업체에

산 매대, LED 조명, 샐러드바를 새로 설치했고 에너지를

서 찾을 수 없다. 혁신적인 차별 전략을 무기로 한 올해

절약하는 마감재 등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의 우수 독립 소매점을 소개한다.

상품 측면에서 OCC는 유기농을 비롯해 현지 조달 상 품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제품 중 45% 이상이 유기농

단일매장 부문 오네온타 커뮤니티 식품조합 | 위치 : 아이오와주, 디코라(Decorah)

116

인증을 받았으며 매출의 25%에 해당하는 상품을 매장으 로부터 반경 160㎞ 이내 생산자에게 공급받는다. 현재 OCC에는 75곳이 넘는 현지 벤더사와 협력업체가 있다.

아이오와주 디코라에 위치하고 미네소타주와 접한 곳에

그러나 무엇보다도 OCC는 매장이 디코라의 여러 주민

서 24㎞ 정도 떨어져 있는 오네온타 커뮤니티 식품조합

들을 위한 ‘제3의 장소’가 되는 것이 목표다. 데이비드 레

(OCC; Oneonta Community Food Co-op)은 1974년

스터(David Lester) 점장은 “매장은 집, 일터도 아닌 곳

테이크아웃 식품점으로 시작했다. 당시 회원은 12명이었

으로 주민들이 편하게 와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

지만 지금은 5,600명을 넘겼다. 디코라 주민 8천 명 대

간으로 이용되고 있다.”면서 “OCC의 기업 미션과 일상

다수가 이용하는 매장으로 연매출은 520만 달러다. 최근

업무의 핵심은 커뮤니티.”라고 말했다. OCC는 지역 주

R E TA I L M A G A Z I N E


민을 위한 역할을 고민하며 발전했다. OCC에는 신기술

사업으로도 확장했다. 캘리포니아주 티뷰론(Tiburon)에

이 적용되지 않았으며 계산대를 기다리는 긴 줄도 없다.

위치한 보드워크 쇼핑센터(Boardwalk shopping cen-

다만 오후 3시가 넘어가면 수업을 마친 아이들이 간식도

ter) 내 우드랜즈 풀서비스 마켓을 오픈하기도 했다. 샌

먹고 숙제도 하는 공간으로 변한다. 단순히 고객이 장을

프란시스코 루미타 타워(Lumina Tower)에는 우드랜즈

보러 방문하는 곳이 아니라 지역사회 주민들이 모임을

펫샵이 입점했다.

갖거나 회의를 하기 위해 찾는다.

우드랜즈 마켓은 모든 매장에서 상품과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랜 경영 방식을 지속적으로 구현할 계획이

복합매장 부문

다. 지금껏 단 하루도 문을 닫은 적 없는 우드랜즈 마켓

우드랜즈 마켓 |

은 앞으로도 연중무휴 방침을 유지해 고객의 모든 니즈

위치 : 캘리포니아주, 켄트필드(Kentfield)

를 충족시킨다.

에스닉 부문 컴페어 푸드 | 위치 :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Charlotte)

1986년 돈 산타(Don Santa)와 그의 가족들이 함께 북부 캘리포니아 로스 밸리지역의 켄트필드에 우드랜즈 마켓 (Woodlands Market)을 열었다. 고객에게 양질의 제품 과 최고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슈퍼마켓 사업을 이어 갔다. 그리고 우드랜즈 마켓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

글로벌 소비자 분석업체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Innova

리어(San Francisco Bay Area)의 명물이 됐다.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이국적 맛을 강조한 식품 판

돈 산타 대표는 “지역주민들이 건강한 식습관을 갖도

매량이 2018년 기준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했다. 미국

록 하기 위해 조리식품과 식료품을 제공할 뿐 아니라, 환

도 인종이 다양해지고 이국적 음식에 대한 미국 소비자

경을 생각하게 하는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에스닉 산업도 성장을 거

고 말했다. 우드랜즈 마켓은 이처럼 여러 해에 걸쳐 천연

듭하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위치한 컴페어

및 지속가능한 상품에 집중하고 현지 공급업체를 지원하

푸드(Compare Foods)도 마찬가지다.

며 고객과 직원이 일하고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참여를

컴페어 푸드의 첫 매장은 2004년 오픈했다. 그 이후로

이끌어왔다. 또한 지역사회를 개선하기 위한 기부도 이

뉴욕주 포트 워싱턴(Port Washington)에 기반을 두고

어오고 있다.

에스닉 전문 체인스토어로 발전했다. 전세계에서 들여온

우드랜즈 마켓은 첫 점포를 오픈한 이래로 우드랜즈

수입제품, 맞춤형 정육코너, 대규모 농산코너, 양질의 조

카페 등 규모를 확대했고, 우드랜즈 재단을 설립해 교육

리식품, 멕시칸 베이커리가 특징이다. 컴페어 푸드는 이

2020 APRIL

117


STRATEGY

벤치마킹

미국 독립 소매점 운영 전략

를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들과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히

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제안하기로 한 것이다. 따뜻한

스패닉을 주 타깃으로 하지만 특별한 식재료를 찾는 소

수프가 종류별로 있는 매대, 샐러드바, 간편식품, 즉석식

비자와 다양한 신선식품을 찾는 채식주의자, 육류 미식

품 등 다양한 식품을 제시한다. 바론스 마켓은 이외에도

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매장을

시연을 통해 빠르고 쉽게 음식을 조리하는 법을 알려준

6개까지 늘렸다.

다. 직원들은 고객에게 제품 몇 가지를 응용해 15분 이내

컴페어 푸드의 오마르 G. 조르제 페나(Omar G.

에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레시피를 소개한다.

Jorge Pena) 대표는 “고객을 가족처럼 대하는 것이 가장

바론스 마켓은 혁신적인 매장 설계, 경영진과 점장들

중요하다.”며 “고객이 고향에서 먹던 제품, 가장 신선한

이 참여하는 주간 식품 패널 회의에서 직접 선정한 제품,

상품 그리고 친숙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한다.”고

올리브 오일과 발사믹 식초 매대, 고객이 고른 오렌지를

언급했다. 한편 컴페어 푸드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책임

착즙해 제공하는 주스 코너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프로젝트에도 참여하며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흥미진진한 쇼핑 경험을 고객에 게 선사하는 것이 바론스 마켓에 중요한 일이지만, 무엇

체험 부문 바론스 마켓 | 위치 : 캘리포니아주, 포웨이(Poway)

보다 1순위는 직원들이다. 바론스 마켓은 직원들에게 관 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셰미라니는 전문적인 자기계 발이 직원들의 행복지수를 높이고 이것이 결국 고객 만 족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한다. 고객 경험은 매장 밖으로 확대돼, 유대가 긴밀한 지역 사회로 이어지고 있다. 바론스 마켓은 지난해 350여 개 조직에 35만 달러를 기부했다.

에디스 롤랜드 파크 | 위치 : 메릴랜드주, 볼티모어(Baltimore)

1993년 조 셰미라니(Joe Shemirani)는 규모는 작지만 다양한 상품을 갖춘 매장에서의 쇼핑을 선호했는데, 다 른 소비자들도 자신과 같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신선한 식품, 친숙한 매장 분위기, 간단한 동선을 구축한다면 누 구나 이 매장을 찾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상품 한두 가지가 필요하지만 대형마트를 찾을 엄두를 내지 못하는 소비자들에게 소구하고자 했다. 이렇게 샌디에이고에서

118

가족경영을 하던 바론스 마켓(Barons Market)은 올해

에디스 롤랜드 파크(Eddie’s of Roland Park)는 탁월한

아홉 번째 점포를 열 계획이다.

서비스, 고품질의 상품, 다양한 선택의 폭이라는 세 가지

바론스 마켓은 대형마트와 온라인쇼핑에 대응하기 위

강점을 바탕으로 75년간 볼티모어에서 영업했다. 일반

해 솔루션을 완성했다. 바로 고객의 ‘오늘 저녁에 뭐 먹

슈퍼마켓이나 온라인쇼핑이 흉내내지 못하는 쇼핑 경험

R E TA I L M A G A Z I N E


을 선사하며 현재 점포 두 곳을 운영 중이다. 1954년 에디 레비(Eddie Levy)가 구매 및 광고 조합을 창립했고, 이후 빅터 코헨(Victor Cohen)이 합류한다. 얼 마 뒤 조합은 해산했지만 ‘에디스’라는 이름은 그대로 남 았고 1980년대 초 에디스 롤랜드 파크로 사명을 변경한 다. 에디스 롤랜드 파크는 시그니처 메뉴인 게 수프와 게 케이크, 자체 주방에서 만드는 칠면조와 로스트 비프로 이름을 알렸다. 당시만 하더라도 식료품 매장에서 조리식 품을 판매한다는 사실은 생소했다. 따라서 이 서비스는 ‘고메투고(Gourmet to Go)’의 원조라고 볼 수 있다.

을 사기 위해 30~50㎞를 가야 하는 상황이었다.”며 “차

지난해 에디스 롤랜드 파크는 공모전, 행사, 지역사회

량이 없는 가정에서는 카풀을 통해 다른 주민들과 함께

와의 제휴 등을 통해 매장에서 쇼핑하면서 생긴 고객 사

장을 보러 가야했다.”고 말했다. 숀 린치 시장은 이것이

연을 접수 받았다. 그리고 9월 가장 감동적인 고객 사연

지역사회의 니즈라고 보고 슈퍼마켓을 오픈하는 조치를

을 추려내 선발된 고객, 협력사, 직원을 초청했다. 이들

취해 시민들에게 보탬이 되고자 했다.

과 연휴 상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사진을 함께 찍

볼드윈 마켓의 전 직원은 공무원이다. 지자체의 유지

었다. 소설가 앤 타일러(Anne Tyler), 영화감독 존 워터

관리부서 직원들은 휴가를 내 매장 밖 잔디를 깎고, 물품

스(John Waters) 등 지역 유명인사들도 자신들의 사연

을 출고한다. 주민들은 특정 종류의 우유를 마시고 싶을

이나 사진을 제출하고 행사에 참여했다.

때, 차를 타고 가는 시장에게 손을 흔들며 원하는 우유를

에디스 롤랜드 파크는 취합한 사진과 사연을 토대로

외치기도 한다.

연휴 카탈로그를 제작했다. 이와 같은 시즌 마케팅은 추

볼드윈 마켓은 이윤을 남기기 위해 영업을 하는 것이

수감사절 역대 최고 매출로 이어졌다. 신규 고객이 늘고

아니다. 수익 전액을 운영비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면서

새로운 B2B 제휴가 증가한 덕분이었다.

추가 이윤이 발생하는 경우 어떠한 방식이던 지역사회를 위해 사용된다.

식품안정보장 부문 볼드윈 마켓 |

로컬 마켓 |

위치 : 플로리다주, 볼드윈(Baldwin)

위치 : 일리노이주, 시카고(Chicago)

2017년 볼드윈에서 운영하던 유일한 슈퍼마켓인 IGA가

식료품 사막화 현상은 소도시에만 발생하지 않는다. 시

문을 닫았다. 그 결과 도시는 식료품 사막화가 발생했다.

카고 사우스 쇼어(South Shore)의 유일했던 슈퍼마켓

주민들이 근거리에서 장보기나 생필품 구하기가 어려워

도미닉스는 2013년 문을 닫았다. 이후 해당 지역 14만 명

지자, 2019년 7월 볼드윈의 숀 린치(Sean Lynch) 시장

의 주민은 6년이 넘는 기간 동안 슈퍼마켓 없는 생활을

과 시위원회은 ‘볼드윈 마켓(Baldwin Market)’을 열고

이어가야 했다.

슈퍼마켓 운영을 자처했다. 미국 지자체 차원에서 유일 무이한 사례일 것이다.

2019년 12월 독립형 슈퍼마켓 체인 ‘숍앤세이브 (Shop&Save)’가 로컬 마켓(Local Market)이라는 슈퍼

숀 린치 시장은 볼드윈 마켓에 대해 ‘필요에 의해 탄생

마켓을 사우스 쇼어 지역에 오픈했다. 로컬 마켓은 유기

한 매장’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어르신들이 신선한 식품

농 제품과 천연 식품을 주로 취급한다. 페이스북을 통해

2020 APRIL

119


STRATEGY

벤치마킹

미국 독립 소매점 운영 전략

판매하는 유제품과 계란은 천연 식품이며, 엄선한 두유

필그림스 마켓의 목표는 건강을 중시하는 고객니즈를

와 철저한 방목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사육한 육류와 가

공략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다. 필그림스 마켓의 HR부

금류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장 니콜 헨리(Nicole Henry)는 “최고라고 할 수 있는 고

매장의 공동 대표인 이바 자쿠보스키(Eva Jakubowski)는 “주민들이 주스바, 와인 및 맥주바, 스타벅스 분위기

객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우리가 듣는 최고의 칭찬은 우수한 직원과 분위기에 관련된 것”이라고 언급했다.

의 라운지 등 서비스를 체험하며 장을 볼 수 있다.”고 말했

필그림스 마켓은 고객을 위한 고도화된 교육을 제공한

다. 시카고 도시계획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스 쇼어

다. 영양제, H&B 부문 등 직원들은 담당 카테고리에 많

평균 소득은 2만 5천 달러 미만이지만 중산층과 부유층

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벤트센터에서는 천연 약

주민 수가 많다. 로컬 마켓은 지역사회 니즈를 충족하며

제, 생식 같은 주제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직원

영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유지에도 주안점을 뒀다. 직원들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 고 지속적으로 수정하면서 이들의 근속을 유도한다. 실

헬스&웰니스 부문 필그림스 마켓 |

제로 필그림스 마켓은 직원건강보험료의 75%, 치과보험 료의 50%를 지급하고 매장 수익을 분기별 상여금 형태

위치 : 아이다호주, 코들레인(Coeur d’Alene)

로 직원들에게 주고 있다. 이처럼 필그림스 마켓은 직원

웰니스, 천연, 유기농, 비건이라는 말이 유행하기 전, 조

을 존중하고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고객에게

해밀턴(Joe Hamilton)과 사라 해밀턴(Sarah Hamilton)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은 가족을 위해 건강식품을 판매하는 매장을 열었다. 그 들은 높은 수준의 삶을 원했고 아이다호주 코들레인에서 원하는 바를 이뤘다. 이곳에서 그들은 천연식품과 사회 적 책임의식을 갖는 삶을 지역사회에 전파하고자 했다.

120

육류&해산물 부문 그랜드앤에식스 마켓 | 위치 : 뉴저지주, 버겐필드(bergenfield)

1999년 문을 연 첫 점포는 111㎡ 규모였으며 이듬해 그

2013년 문을 연 그랜드앤에식스 마켓(Grand&Essex

들은 길 건너 편으로 이전하며 공간을 확장했다. 당시 점

Market)은 지역 최초의 고급 코셔 인증 슈퍼마켓이다.

포 규모는 370㎡ 정도로 2005년 추가로 185㎡, 2007년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생겨났지만 그

185㎡가 추가 확장됐다. 그리고 2008년 매장의 세 배에

랜드앤에식스 마켓의 특징은 정육점, 베이커리와 촛대

달하는 대형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현재 필그림

제작코너가 있고 지역 주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동

스 마켓(Pilgrim’s Market)은 2,320㎡ 규모를 갖게 됐다.

네 슈퍼마켓 분위기가 남아있다는 것이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그랜드앤에식스 마켓에서 마케팅과 고객관리부문 총

의 환경적 책임에 관해 깊고 오랜 역사를 지녔다. 지난해

괄을 맡고 있는 말리 베어(Mali Baer)는 “우리는 고객 인

에는 슈퍼마켓으로는 최초로 친환경 건물 표준인 ‘리빙

생의 희노애락을 같이 한다.”며 “아기가 태어난 가정에

빌딩 챌린지(Living Building Callenge, LBC)’ 인증을

축하의 저녁 식사를, 손님 맞이를 하는 고객에 디저트 세

획득했고 생분해성 식자재 컨테이너를 도입했다. 결과적

트를, 상을 치른 가정에 위로의 식사를 제공한다.”고 밝

으로 연간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800만 개의 1회용 플라

혔다. 그랜드앤에식스 마켓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

스틱을 줄이는 효과를 봤다. 이처럼 PCC는 환경에 대한

년층의 주문을 전화나 이메일로 처리하고 구매 제품이

소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식료품 산업에서도 경쟁력 을

많은 고객은 직접 집까지 데려다준다.

갖췄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그 기준을 끌어올리고 있다.

그랜드앤에식스 마켓은 고품질의 델리코너와 육류코

먼저 PCC는 매일 조리식품 전량을 직접 조리한다. 13개

너로 명성을 얻었다. 고객들은 미국농무부가 인증한 최

모든 매장은 레스토랑에 버금가는 주방을 보유하고 300여

고 등급의 소고기와 청정 가금류를 구매하기 위해 찾아

가지 메뉴를 오리지널 레시피에 따라 조리한다. 2019년

온다. 또한 직원들은 대표상품인 쿠겔(Kugel)과 차누카

PCC는 기존의 다양한 조리식품 메뉴에 두 가지 콘셉트를

랏케(Chanukah latkes)를 만들기 위해 수십만 개의 감

적용했다. 셀프 서비스로 가져다 먹는 곡물 한 그릇과 주

자를 손으로 깐다. 기계를 사용하면 고유의 맛을 해치기

문 즉시 만들어주는 해산물 메뉴다. 후자 경우 현지 와인,

때문이다. 이외에도 피자, 초밥, 베이커리 등도 고품질

맥주, 사과주와 같이 세트로 판매한다. 두 번째는 PCC 매장에 들어서면 유기농 코너가 보인

상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여러 혁신적인 시도도 병행했다. 코셔

다는 것이다. 계산대보다 앞에 커피바, 베이커리, 치즈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훈제 오븐으로 만든 갈비

등 야외 푸드마켓 콘셉트 매장을 설치하고 매장 중앙부

구이, 훈제 고기, 바비큐 등을 선사했다. 이 매장은 주

를 다른 용도로 활용한다.

1회 공인 건강 코치를 초빙해 고객들에게 건강과 영양에

세 번째는 PB상품이다. 엄격한 기준으로 최고의 품질 을 갖춘 PB상품을 카테고리별 베스트셀러로 만들어 매

대한 컨설팅도 제공한다.

출을 끌어올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계속 늘려가고

지속가능성 부문

있다. 지난해 PCC는 도시락 세트 43만 개를 지역 푸드뱅

PCC 커뮤니티 마켓 |

크에 기부했고, 600여 개 지역사회 조직과 학교에도 식

위치 : 워싱턴주, 시애틀(Seattle) PCC 커뮤니티 마켓(PCC Community Markets)은 기업

2020 APRIL

품을 기부했다.

121


STRATEGY

벤치마킹

돈키호테만의 나홀로 성장 비결 ❶

유통업계 이단아에서 신흥강자로 부상하기까지 돈키호테를 위시해 성장을 거듭해온 팬퍼시픽인터내셔널홀딩스(PPIH). 2019년 1월에는 종합슈퍼 유니를 편입시킨 뒤 기존점을 더블네임 점포로 전환해 매출, 이익, 객수 모두 크게 성장시켰다. 2019년 6월기 결산에서는 그룹 매출이 드디어 1조 엔을 돌파했다. 돈키호테만이 승승장구하는 이유를 살펴보자. 글 편집부・editor@koca.or.kr

익을 달성했다. 이로써 2015년에 발표한 5개년 중기경영 계획 ‘비전2020’이 내세웠던 매출 1조 엔, 점포 수 500개, ROE 15% 달성이라는 목표치를 계획보다 1년 앞서 이룬 셈이다.

경이로운 성장 보여준 더블네임 점포 2019년 6월기 업적이 최근 몇 년 중 가장 비약적으로 성 장한 이유는 2019년 1월 대형 종합슈퍼(GMS)인 유니를 그룹에 편입시켰기 때문이다. 2017년 8월 돈키호테홀딩 PPIH는 유니를 인수한 후 메가돈키호테유니라는 더블네임 점포로 전환해 회생 시키고 있다.

스(현 PPIH)는 유니・훼미리마트홀딩스(현 훼미리마트) 와 업무제휴를 맺고 같은 해 11월 유니 주식의 40%를 취 득했다. 2019년 1월, 나머지 60% 주식도 약 280억 엔에

KLL

1978년에 창업자 야스다 다카오가 돈키호테의 전신인

취득해 완전 자회사로 만들었다. 유니의 매출을 합산해

‘도둑시장’을 개업한 지 어느덧 4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

단번에 일본 소매업계 4위 규모로 부상한 돈키호테홀딩

다. 과거에는 경쟁상대로 생각하지도 못했던 유니까지

스는 그 후 2월 PPIH로 사명을 변경했다.

수중에 넣어 일본 유수의 소매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하

PPIH의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유

게 된 PPIH. 이제 쇠퇴하고 있는 GMS를 기사회생시키

니와 공동 출점하고 있는 더블네임 점포다. 이는 유니가

는 구세주로 떠올라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주목하지 않

전개하던 GMS 아피타, 피아고의 기존점을 ‘메가돈키호

을 수 없다.

테유니’ 또는 ‘돈키호테유니’로 업태 전환해 출점하고 있

특히 2019년 6월기 PPIH의 연결매출은 1조 엔(1조

는 새로운 포맷을 가리킨다. PPIH는 2022년까지 유니의

3,289억 엔, 전기 대비 41.1% 성장)을 넘어섰다. 영업이

180여 개에 이르는 기존점 중에서 100개를 더블네임 점

익은 631억 엔(전기 대비 22.4% 성장), 순이익은 483억

포로 전환할 방침인데, 2018년 2월 메가돈키호테 1호점

엔(전기 대비 32.5% 성장)으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

을 선보인 이래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25개점을 전환

며 과거 최고액을 갱신, 주식 상장 이래 23기 연속 증수증

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현재 전환 효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PPIH 결산자료에

상품전략 중 PB는 고객의 시점에서 기본에 충실하기

따르면, 2019년 6월까지 전환한 10개점은 전환 전과 비

위해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한다. 그래서 기능이 단순하

교해 매출 약 2.2배, 객수 약 1.6배, 영업이익 약 2배로

고 가격은 압도적으로 저렴하다. 저렴하면 최소한의 기

증대했다. 더블네임 점포의 성공 요인은 크게 고객층 확

능으로도 만족할 수 있다는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고

대와 상품전략 변화로 나눌 수 있다. 기존 유니의 주고객

있는 것이다. 즉, 발상을 전환해 ‘이 정도면 괜찮다’라는

층은 50대 이상이었는데 돈키호테다운 상품구색이나 압

니즈를 겨냥한 상품개발이 주효했다.

도적인 진열, 독창적인 POP 등으로 젊은층이나 가족 고

PB상품을 개발할 때는 돈키호테의 자사 카드인 ‘마지

객까지 확보했다. 또한 유니가 기존에 취급하지 못했던

카(majica)’도 활용하고 있다. 마지카 회원 수는 2019년

고단가 가전이나 잡화, 화장품 판매를 강화해 매출 및 이

6월 800만 명을 돌파했다. 돈키호테는 성별, 연령, 구매

익을 늘렸다.

데이터 등 풍부한 고객 정보를 빅데이터화해 상품개발의 정밀도를 높였다. 그리고 현재는 ‘스타일원’, ‘프라임원’,

독보적인 저가 전략

‘에코온’이라는 유니의 PB로 라인업을 강화, PB 매출 구

저성장기에도 돈키호테가 나홀로 성장을 지속할 수 있었

성비가 약 10%로 증가했다.

던 것은 동사의 마케팅 전략 덕분이다. 독창적인 매장 연 출뿐 아니라, 상품개발, 점포개발, 출점전략 등 다양한

‘시간 소비형’ 매장의 대표주자

측면에서 정교한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동일본 대지진, 소비세 인상 등 몇 차

돈키호테가 꾸준히 소비자에게 지지 받는 이유는 무엇 보다 저렴한 가격을 꼽을 수 있다. 매장 곳곳에 전개하는

례 경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발생할 때마다 돈키 호테는 오히려 기회로 삼았다.

‘경안(놀랄 만큼 싼) 매대’는 고객을 유인하는 미끼상품이

돈키호테가 불경기 속에서도 성장을 거듭해온 것은 동

고, 2009년부터 투입된 PB ‘정열가격’도 강력한 소구력

일한 카테고리를 취급하는 경쟁 소매점으로부터 고객을

을 지니고 있다. 지금은 신선식품을 포함한 식품으로 취

빼앗아왔기 때문이다. 돈키호테는 소비자의 엔터테인먼

급상품을 확대했는데 그 배경에는 인수합병으로 편입된

트 니즈를 간파했다. 경기 악화로 가계 지출을 억제하지

GMS 나가사키야나 유니의 노하우를 십분 활용하기 위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지만 소비자들의 엔터테인먼트에

한 것이다.

대한 니즈는 높아지고 있다. 돈키호테는 단지 상품만 판

1

2

1 매장 곳곳에 압도적인 가격에 판매하는 ‘경안매대’를 운영해 고객을 유인한다. 2 PB ‘정열가격’은 단순한 기능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 사진은 PB인 돈키텔레비전.

2020 APRIL

KLM


STRATEGY

벤치마킹

도표 1 PPIH 매출 현황 ▒ 매출

영업이익

돈키호테만의 나홀로 성장 비결 ❶

집객을 꾀하는 한편, 영업이익률이 높은 비식품을 동시 점포 수

단위: 억 엔, 개

구매하게 해 점포 수익을 높이는 전략으로 성장해왔다. 다음으로 출점전략을 살펴보면, 돈키호테는 자사의 브

18,000

900

16,000

800

14,000

700

12,000

600

10,000

500

8,000

400

6,000

300

4,000

200

2,000

100

랜드 자체를 마케팅 전략으로 삼아 영리한 출점을 전개 하고 있다. 동사는 결산발표 등에서 출점 전략에 대해 솔 루션 출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쇼핑센터 나 백화점 등의 입점 요청을 받아 비교적 저비용으로 출 점하는 것을 가리킨다. 출점을 원하는 측은 돈키호테 매 장을 집객 장치로 삼으려는 것이므로 임대료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 출점을 늘려 그룹 전체적으로 출점 속도를 높였다. 또한 솔루션 출점을 통해 초기 투자비용 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감한 비용을 PB를 비롯한 상품개발이나 상품매입에 투자해 돈키호테 브랜드의 매 력을 더욱 높였다. 이러한 선순환 시스템이 돈키호테의

0 금액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0 점포 수

주 | 매년 6월기 결산, 2020년은 목표치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해줬다.

유니의 전력화가 시급한 PPIH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경쟁 GMS 업체들과 달리 성장을 이 어가고 있는 PPIH이지만 해결해야 할 선결과제도 있다.

K LN

매하는 것이 아니라 흥미진진한 놀이의 장으로 기능해

첫째, 유니 조직과 융합이 거론된다. 유니 직원들은

이들의 니즈를 충족시켜줬다. 이를 가리켜 ‘시간 소비형

PPIH의 완전 성과주의 인사 시스템, 철저한 개점주의 경

점포’라고 하는데, 이러한 점포 만들기의 방침이 돈키호

영 시스템 같은 원칙을 받아들이는 데 거부감이 있다. 그

테가 열정적인 팬을 양산하는 이유 중 하나다. 돈키호테

래서 PPIH에 편입된 이후 유니에서는 관리직을 포함해

의 매장 체험이 최고의 마케팅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이다.

퇴직자가 대거 속출했다.

돈키호테의 새로운 마케팅 거점으로 주목 받고 있는

그러나 PPIH 측은 유니의 조직 풍토를 바꾸기 위해 필

것이 2018년부터 출점하기 시작한 유니와의 더블네임 점

사적이다. 본부 주도형 경영 시스템을 개점주의 경영 체

포다. 돈키호테는 전부터 포스트 GMS를 지향해왔다. 현

제로 이행시키는 등 서둘러 돈키호테식 경영 기법을 이

재 포스트 GMS의 최전선이라 할 수 있는 것이 더블네임

식시켰다. 또한 더블네임 점포에서는 총 점장에 돈키호

점포다. 기존의 GMS라는 업태가 더 이상 고객의 지지를

테 출신을, 점장에 유니 출신을 배치해 총 점장이 점장에

얻지 못하고 있는 데 반해, 돈키호테는 메가돈키호테를

게 돈키호테식 개점주의 경영 기법을 전수하고 있다. 장

중심으로 품질과 가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

기적으로는 유니 사원만으로 더블네임 점포를 운영할 수

공했다. 더블네임 점포의 기본 콘셉트는 식품 매출 비중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PPIH로서도 더블네임 점포만

이 높은 유니에 돈키호테의 강점인 화장품이나 일용잡

신경 쓸 수 없다. 그룹 전체가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기

화, 가전 등 비식품을 추가하는 것이다. 유니의 주력 부

위해서는 신속히 유니의 조직 혁신을 완료해 그들을 전

문인 신선식품을 비롯한 식품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여

력화시킬 필요가 있다.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4

1,2 유니의 주력상품인 식품에 돈키호테식 연출력을 결합했다. 3,4 정글을 연상시키는 진열과 독창적인 POP 등으로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돈키호테만의 차별화된 가치다.

또 다른 과제로 젊은층 이탈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메

PPIH는 2018년 온라인 사업을 전면 철수시켰다. 승산이

가돈키호테나 더블네임 점포 등 가족 고객을 대상으로

없는 경쟁에 참가하기보다 오프라인 점포의 가치나 매력

한 점포개발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을 극대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이득이라고 판

한편으로는 이미 돈키호테를 이용해온 젊은 고객들이 나

단한 것이다. 그러나 그 가치나 매력이 젊은층에게 더 이

이를 먹어감에 따라 PPIH 측도 그들의 니즈 변화에 대응

상 소구되지 못한다면 PPIH는 새로운 포맷을 구상하지

하기 위해 점포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않으면 안 된다.

결국 고객과 함께 나이를 먹어 현재의 젊은층에게 PPIH

물론 PPIH도 마냥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점포는 그들의 소비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존재가 아닐지

해 11월에는 외부 자원 활용을 전제로 한 새로운 마케팅

도 모른다.

전략 ‘마슈마로 구상’을 발표했다. 그 일환으로 10대 젊

즉, PPIH가 자부해온 독창적인 매장 연출이 젊은층에

은층을 인턴십으로 고용해 돈키호테에 대한 의견이나

게 그리 매력적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돈키호테의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SNS 상에서 영향력 있는 인플루

기존 고객들은 미로처럼 복잡하게 이어진 통로, 천장까

언서를 통해 마케팅을 펼치는 IT벤처와 자본업무 제휴

지 산더미처럼 진열돼 있는 상품들, 화려한 POP 등 소란

를 맺는 등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고 있다. 이렇게 경영

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보물찾기를 하듯이 설레는 쇼핑을

상 시급한 과제를 재빠르게 파악해 그에 대한 대책을 마

즐겼다. 이러한 시간 소비형 점포 만들기가 PPIH가 생각

련하고 변화에 대응하는 PPIH의 속도감도 그들의 경쟁

하는 돈키호테만의 차별화된 가치였다. 하지만 밀레니얼

력 중 하나다.

세대들은 트위터나 인스타그램 등 SNS로 정보를 수집해

하지만 제 아무리 돈키호테라 해도 저출산고령화로 시

구입할 쇼핑 리스트를 정한다. 그리고 보물찾기라면

장이 축소되고 있는 일본 소매업계에서는 성장에 한계가

SNS로도 충분하다.

있다. 이러한 점을 일찍이 간파한 돈키호테는 해외시장 개척에 힘을 쏟고 있다. 이미 미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온라인 대신 해외 진출 선택

점포를 전개하고 있는데 해외에서도 성공 방정식을 구축

아마존이라는 온라인 거물을 이길 수 없다고 판단한

하고 있다.

2020 APRIL

KLO


GLOBAL

해외통신

독일 – 드럭스토어 시장 현황

일상 속 드럭스토어 지역 밀착 업태로 인식 미국 드럭스토어 업계가 의약품으로 성장세를 이끌었다면, 독일 드럭스토어는 취급 카테고리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화장품, 건강기능식품뿐 아니라 유아용품, 주방용품, 소형가전, 주류 등 신선식품을 제외한 대부분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의약품 위주의 약국 채널과 차별화된 업태로서 라이프스타일숍을 지향하며 도심뿐 아니라 주거지, 공항 등에 출점해 생활밀착형 매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글 조성선・독일 NEMO GmbH 대표

폴란드, 체코, 헝가리 등 동유럽 국가에도 진출한 상태 다. 2018년 기준 매출은 약 12조 6천억 원으로, 그중 독 일 매출이 8조 8,700억 원이다. 로스만은 타깃 고객을 겨냥해 친절한 매장 만들기에 힘 쓰고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입지와 주요 고객층에 맞춰 서 비스존을 운영한다. 다양한 유아용품을 체험해보고 아이 의 기저귀를 갈거나 몸무게도 잴 수 있는 ‘유아 전용 코너’ 부터 쇼핑 후 고객이 직접 선물 포장할 수 있는 ‘무상 포 장 서비스’ 공간, 재활용품 수거 공간 등이 마련돼 있다. PB상품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주력하고 있다. 로스만은 28개 PB를 운영하는데, 신제품, 리뉴얼 제품, 한정판 제 1972년 설립한 로스만은 2019년 기준 유럽 전역에 3,93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품, 트렌디 라인 등 신규상품을 끊임없이 개발해 출시한 다. 특히 로스만은 판매실적이 좋은 유명 NB를 벤치마킹

세계 4위의 경제규모를 지닌 독일은 유통채널이 매우 세

해 PB를 개발하고 보다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다. 매장 전

분화돼 있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뷰티용

개시에도 인기 NB상품이나 카테고리 옆에 진열해 홍보

품 경우 드럭스토어 업태가 40% 이상의 점유율을 유지하

효과를 높이고 있다. 고객과의 대화에도 적극적으로 고

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사 플래닛리테일(planet retail)이

객 매거진 및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 2002년

선정하는 글로벌 10대 드럭스토어 순위에 독일의 3대 드

3월부터 고객 잡지, 유아와 임산부를 위한 매거진을 발행

럭스토어 로스만(Rossmann), 데엠(dm), 뮐러(Mller)가

해 모든 매장에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포함될 만큼 대규모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1993년부터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왔으며 지난해 4월 한국에 공식 직구몰 ‘로스만코리아닷컴’을 론칭했다. 중

KLP

로스만 | 지역, 타깃 맞춤형 서비스존이 강점

국에 이은 두 번째 아시아권 진출이다. 로스만은 신규 해

1972년 설립한 로스만은 2019년 기준 독일 매장 2,150곳

외시장에 진출할 때 직영 매장을 개점해 진입을 시작하는

을 포함해 유럽 전역에 3,93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데, 한국 경우 이례적으로 온라인 직구몰을 통해 진출했

R E TA I L M A G A Z I N E


1

2

3

1 로스만은 매장 입지와 주요 타깃층에 맞춰 다양한 서비스존을 운영한다. 다양한 유아용품을 체험해보고 아이의 기저귀를 갈거나 몸무게도 잴 수 있는 유아 전용 코너 모습. 2 데엠은 신규 PB 개발에 적극적이며 현재 뷰티용품, 건강기능식품, 유아식품 등 33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매출의 50% 이상이 PB상품에서 창출된다. 3 뮐러는 주로 시내, 다운타운 내 대형 매장을 출점하며 드럭스토어, 퍼퓨머리, 유기농 세 가지 코너를 집중 운영한다.

다. 접근성이 용이한 온라인몰을 통해 브랜드를 먼저 알

인식 높이기에 일조하고 있다. 이외에도 마이크로 플라스

리고 향후 O2O 기반의 매장을 개점하겠다는 계획이다.

틱 비사용, 유기농 농장 발굴 및 지원, 꿀벌 보호를 위한 활동 등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데엠 | 전세계 트렌디 상품 빠르게 소싱해 도입

한편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매년 독일 주요 도시에서

데엠은 로스만과 1, 2위를 다투는 드럭스토어로 1973년

전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사에 입점한 협

부터 드럭스토어 사업을 시작했다. 2018년 기준 14조 7천

력사들이 신제품을 홍보하고 소비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

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독일 드럭스토어 기업 중 가장

는 기회를 제공한다. 고객들은 티켓을 구매해 전시회에

높은 수익을 냈다. 데엠은 독일 내 1,997개 매장을 포함

참여할 수 있는데, 다양한 제품 체험 기회와 선물이 제공

해 유럽 전역에 약 3,790개점을 운영하고 있다. 1990년대

되고 인플루언서 등 유명인과 직접 만날 수 있어 인기를

동유럽 진출 후 서서히 영역을 넓혀가 현재 12개 국가에

끌고 있다.

진출한 상태다. 데엠은 다양한 상품 소싱과 개발에 주력하며 트렌디한

뮐러 | 향수, 문구류에 특화된 드럭스토어

상품군 도입에도 적극적이다. 한국의 K뷰티 상품부터 미

뮐러는 1976년부터 본격적인 드럭스토어 사업을 전개하

국, 캐나다 등 다양한 나라의 트렌디 상품을 빠르게 소싱

기 시작했다. 독일 내 500여 개 매장을 포함해 유럽 7개

해 판매한다. 또한 신규 PB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뷰티용

국에 걸쳐 총 800여 개점을 보유하고 있다. 주로 시내,

품, 건강기능식품, 유아식품 등 33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다운타운 상권에 대형 매장을 출점하며 드럭스토어, 퍼퓨

있다. PB상품 수는 총 4천여 개로 데엠 매출의 50% 이상

머리, 유기농 세 가지 코너를 집중적으로 운영한다. 매장

이 PB에서 창출된다.

에는 평균 5만여 개 상품이 구색되며 특히 향수 코너를

데엠은 지역사회와의 소통에도 힘쓰고 있다. 지속가능

대규모로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화상품으로 장난감,

성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환경, 자원, 재활용을 주제로 포

도서, 문구류도 취급한다. 특히 독일에서는 신학기 시즌

럼을 진행하고, 매장 내 재활용 분리 수거함을 설치해 적

에 문구류 구매를 위해 뮐러에 간다고 말할 정도로 잘 갖

극적으로 재활용 관리, 폐기물 분류를 홍보하며 소비자

춰져 있다.

2020 APRIL

KLQ


GLOBAL

해외통신

일본 – 이즈미야의 GMS 부활 사례

부진에 빠진 GMS 근린형 쇼핑센터로 재건 많은 유통업체가 영업 부진에 빠진 점포를 어떻게 재건할지 고민한다. 이즈미야는 기존 GMS 점포를 근린형 쇼핑센터로 리뉴얼했다. 그 과정에서 자사 슈퍼마켓인 데일리카나토를 입점시켰다. 데일리카나토는 기네스북에 등재된 고로케, 비밀 육수를 넣은 계란말이 등 차별화된 즉석조리식품을 전면에 내세워 집객력을 높이는 앵커 테넌트 역할을 하고 있다. 글 김창주・일본 리츠메이칸대학 교수

이즈미야의 과감한 실험은 일본 유통업계 주목을 받았다.

이곳에 입점한 슈퍼마켓 데일리카나토 이즈미야 이즈

주인공은 바로 오사카 이즈미오오츠시에 2019년 4월 오

미후츄점은 2,152㎡ 규모에 86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

픈한 ‘카나토몰(Qanat mall) 이즈미후츄점’이다. 이 매장

다. 매장 내 55석의 이트인 코너를 설치했으며 나가사키

은 이즈미야가 운영하는 슈퍼마켓 데일리카나토를 앵커

짬뽕 매장 등 각종 음식점도 배치했다. 슈퍼마켓과 이트

테넌트로 하며 이외에 31개 전문점이 한곳에 모인 근린형

인 코너에서 구입한 음식은 푸드코트에서 먹을 수 있는데

쇼핑센터다.

어린이 놀이터를 설치해 가족 단위 고객들도 안심하고 휴

카나토몰 이즈미후츄점은 JR 칸와센 이즈미후츄역에

식을 취할 수 있게 만들었다. 한편 쇼핑몰에는 H2O리테

서 도보로 10분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각종 간선 도

일링이 개설한 기업 주도형 보육시설도 설치돼 있다. 이

로와도 가까워 자동차로 접근이 용이한 편이다. 광역 상

곳에서는 쇼핑몰 직원들에게 보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육

권 고객도 방문하기 쉬운 접근성을 갖추고 있는 데다 동

아 걱정 없이 일에 집중하게 만들어 우수한 인재를 확보

쪽에는 학교와 상업시설, 서쪽에는 주택가가 위치한 최상

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의 상권을 보유하고 있다. 3㎞ 내 8만 2,700세대가 거주 하며 40대 육아세대 구성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키 테넌트 역할하는 식품 특화 SM 데일리카나토는 지역 최고의 신선도와 가격으로 농산품

128

부진한 GMS, NSC로 전환

을 제공하고 있다. 트렌드 카테고리로 다품종의 토마토와

원래 이곳은 이즈미야의 주력 업태인 GMS가 오랜 기간

샐러드 소재를 배치한 샐러드 아일랜드, 건조 과일 및 견

영업하던 곳이었다. 하지만 소비자 니즈 변화에 따른 경

과류 코너로 집객 효과를 보고 있다. 또한 생산자 얼굴을

쟁력 강화를 목표로, 이즈미야는 부진했던 GMS를 근린

내세운 지역 산지 채소도 한곳에 모아 판매한다.

형 쇼핑센터로 변신시켰다. 폭 넓은 연령층의 고객을 둔

정육코너에서는 이즈미야가 사육 환경과 사료를 엄격

유니클로와 GU, 가전매장 케즈덴키, 다이소 등 인기가

히 관리한 닭고기, 소고기 등을 풍성하게 진열한다. 또한

많은 전문점 유치에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커피와 수입

간편 밀키트 관련 상품은 물론 가족단위 수요에 대비해

식품 전문점 칼디 커피팜(Kaldi Coffee Farm), 안경 전문

대용량 상품과 냉동 육류 상품도 확충했다. 수산코너에

점 진즈(Jins), 양복 전문점 아오키(Aoki) 등 카나토몰에

서는 고객니즈에 맞춰 오전에는 생선 한 마리 또는 토막

처음 선보이는 점포도 다수 입점했다.

생선을, 오후부터는 생선회, 생선구이 등을 중점적으로

6 ) 8% - 0 1 % + % > - 2 )


1

1 2 3 4,5

2

3

4

5

이즈미야는 기존 GMS 점포를 근린형 쇼핑센터로 재건했다. 데일리카나토는 엄선된 식재료를 공급하며 즉석조리식품 코너에서는 다양한 먹을거리를 풍부하게 연출했다. 고객에게 신상품과 화제의 상품을 제안하는 트라이닷컴 매대. 고로케, 계란말이, 오코노미야키 등 즉석조리식품을 차별화해 고객 호응을 얻었다.

판매한다. 또한 오사카 바다에서 잡은 신선한 생선 비율

린다. ‘이즈미야=고로케’라는 공식이 생길 정도로 화제다.

을 높이고 있는데, 특히 참치코너에는 고객 발길이 끊이

쿄토에 있는 이즈미야 하쿠바이쵸점에서는 2019년 4월

지 않는다.

28일 8시간 동안 팔린 고로케 수가 무려 1만 1,784개였는

즉석조리식품 코너에서는 화제의 먹을거리를 풍부하게

데, 세계 기네스북에도 등재됐다.

연출했다. 이즈미야 전 점포에서 하루 4천 개가 팔린다는

일반 식품매장에서는 건강, 미용을 키워드로 관련 상품

오코노미야키는 고객 오감을 자극한다. 고객 눈앞에서 직

을 매대에 모은 ‘건강&미용 스트리트’를 도입했다. 소비

원이 철판 위에 구워 내는 소리와 향은 전문점을 연상시

자 관심이 높아진 저당질, 알레르기 유발 항원이 포함되

킨다. 이러한 영업 방식은 일본 슈퍼마켓 최초다. 대표상

지 않은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가족 단위 고객을

품인 후와후와 오코노미야키, 부타타마는 398엔으로 일

공략하기 위해 과자 및 도시락 반찬 소재 상품을 충실히

반 오코노미야키 대비 바삭한 맛이 인기비결이다.

구색했다. 일배상품 코너에서는 특별한 소재와 제법으로

이즈미야의 고집은 계란말이에서도 엿볼 수 있다. 이즈 미야는 계란말이 맛을 차별화하기 위해 전용 철판을 특수

유명한 ‘이마이두부’, 베이커리 ‘타마야’, 일본 전통 과자점 등 지역 브랜드 상품을 소개하고 있다.

제작했다. 일반 철판보다 길어 빠르고 보기 좋게 계란말

마지막으로 이즈미야의 미트 고로케 맛 포테이토 칩 등

이를 만들 수 있다. 얇고 촘촘하게 만든 계란말이는 특수

화제 상품과 신제품을 엄선해 고객에게 새로운 먹을거리

생선 육수로 맛을 내 더욱 부드러우며 달콤한 맛을 자랑

를 제안하는 ‘트라이닷컴’ 코너도 흥미를 자극한다. 데일

한다. 계란말이로 만든 샌드위치도 인기가 높다.

리카나토 이즈미야 이즈미후츄점은 연매출 30억 엔을 목

고로케도 이즈미야의 빼놓을 수 없는 간판 상품이다. 매장에서 갓 튀겨 낸 고로케는 매대에 진열되자 마자 팔

%46-0

표로 매장을 매일 가고 싶고 반드시 들르고 싶은 만남의 장소로 만들고자 한다.

129


GLOBAL

해외동향

사진으로 보는 일본 유통매장 3월 판촉 아이디어

연기된 도쿄 올림픽 올림픽 특수 분위기는? 글・사진 권윤정ㆍ일본 통신원

1

2

4

5

3

1,2 만국기를 내걸고 올림픽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는 이온 매장. 3 올림픽 티켓을 내걸고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코카콜라 매장. 4,5 벚꽃으로 옷을 갈아입은 패키지와 장식품이 봄이 왔음을 알리고 있다.

지난 3월 말 도쿄 올림픽이 결국 연기됐지만, 유통업계 는 아직 미련을 버리지 못했다.

한편에서는 벚꽃으로 옷을 갈아입은 상품 패키지들이 봄이 왔음을 알렸다.

매장을 만국기로 장식하거나, 올림픽 참관 티켓을 내

일본 유통업체들은 코로나19로 처진 소비욕구가 살아

건 이벤트를 진행하며 분위기를 띄우는 곳들을 볼 수 있

나기를 바라며, 자사 매장들을 벚꽃으로 화려하게 치장

었다.

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0 APRIL

1 31


MERCHANDISING

이달의 신상품

BRAND NEW

유통인들의 필독서, 월간 <리테일매거진>에 상품 소개를 원하시는 분은 리테일매거진 편집부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02-522-1271, love350748@koca.or.kr

6가지 맛별로 즐기는 고품격 치즈,

‘라망 치즈’

오뚜기가 간편하고 맛있게 즐길 수 있는 고급 치즈 ‘라망 치즈’ 6종을 출시했다. ‘라망’이란 ‘연인’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다른 식품과 잘 어울린다는 의미를 담은 오뚜기의 새로운 치즈 브랜드다. 플레인, 파마산 두 가지 맛으로 출시된 ‘라망 스트링치즈’는 술안주나 간식은 물론 각종 요리의 토핑으로도 활용하기 좋다. ‘라망 스틱치즈 체다’는 감칠맛을 제공하고 ‘라망 스 틱치즈 노블’은 6개월 이상 숙성한 체다치즈를 사용해 깊은 맛을 더했다. ‘라망 구워먹는 치 즈’는 부드러운 모짜렐라 치즈로 만들어 말랑하고 부드러운 식감과 담백한 맛을 선사한다. 문의 오뚜기 연락처 080-024-2311 홈페이지 www.ottogi.co.kr

카스텔라와 아이스크림의 부드러운 만남 ‘빵빠레샌드’ 롯데푸드가 인기 소프트콘 ‘빵빠레’를 샌드형 아이스크림으로 재해석한 ‘빵빠레샌드’를 선보였다. 이 제품 은 바닐라 아이스크림 위 아래를 밀크 카스텔라로 감싼 것으로 고급 파스퇴르 우유를 넣어 빵빠레 특유 의 부드러운 바닐라 맛을 살렸다. 180㎖의 넉넉한 용량에 카스텔라와 아이스크림이 조화를 이뤄 간식이 나 디저트로 즐기기 안성맞춤이다. 패키지는 기존 빵빠레의 아이덴티티를 살려 흰 바탕에 빨강, 노랑, 초 록 삼색 선을 적용했다. 1983년 출시돼 지난해에만 5천만 개가 판매된 빵빠레가 소프트콘 이외의 형태로 출시되는 것은 처음이다. 문의 롯데푸드 연락처 02-3469-3114 홈페이지 www.lottefoods.co.kr

상쾌한 민트를 유제품 속에, ‘덴마크

드링킹 요구르트 민트・페퍼민트 밀크티’

동원F&B가 ‘덴마크 드링킹 요구르트 민트’와 ‘덴마크 페퍼민트 밀크티’를 출시했다. 드링킹 요구르트와 밀 크티에 민트를 넣어 상쾌한 맛을 더한 신제품들이다. ‘덴마크 드링킹 요구르트 민트’는 세계 3대 유산균 크 리스찬 한센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 풍부해 장 건강에 도움을 주며 출출할 때 든든하게 즐기기 좋다. 패 키지도 민트색으로 디자인해 민트의 산뜻함을 시각적으로도 느낄 수 있다. 또 다른 제품 ‘덴마크 페퍼민트 밀크티’는 세계 3대 홍차인 스리랑카산 우바홍차에 흑당과 페퍼민트 추출물을 넣어 달콤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을 선사한다. 문의 동원F&B 연락처 080-589-3224 홈페이지 www.dongwonfnb.com

132

R E TA I L M A G A Z I N E


살균수로 소독하세요!

‘전해수기 WCE-200’

생활가전제조업체 원봉이 자사 라이프케어 브랜드 루헨스를 통해 살균, 세정, 탈취까지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가정용 살균수 제조기 ‘전해수기 WCE-200’을 선보였다. 마이크로 버블 살균 기술을 적용한 제품으로 물을 전 기분해해 차아염소산, 차아염소산이온을 포함한 전해수를 생성한다. 물 속에서 다량으로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 이 유해물질을 빠르게 흡수해 탈취, 세정, 살균에 효과적이다. 세제 등 첨가물 없이 수돗물만으로 살균수를 제 조할 수 있다. 안전성 강화를 위해 오랜 기간 사용 시에도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트라이탄을 주요 소재로 사용했다. 문의 루헨스 연락처 1577-8399 홈페이지 www.ruhens.co.kr

고소함과 영양이 가득 ‘베지밀

꼭꼭 십히는 귀리우유’

정식품이 슈퍼푸드 귀리의 풍부한 영양을 담은 신제품 ‘베지밀 꼭꼭 씹히는 귀리우유’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식물 성 단백질이 풍부한 두유에 청정지역 캐나다산 볶은 귀리를 더해 담백하면서도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통 귀리가 알알이 씹히는 재미있는 식감이 특징이다. 성인 하루 섭취 권장량의 30%에 해당하는 칼슘과 비타민D을 함 유했으며 소화와 다이어트에 좋은 식이섬유와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베타글루칸도 첨가했다. 꼼꼼한 영양설계 를 통해 출시된 제품으로 온 가족 아침대용이나 건강 간식으로 제격이다. 문의 정식품 연락처 02-3484-9300 홈페이지 www.vegemil.co.kr

만능 간장만 있으면 아삭한 장아찌 완성

‘백종원의 만능장아찌간장소스’

본코리아가 번거로운 조리과정 없이 원하는 재료에 붓기만 하면 맛있는 장아찌를 완성할 수 있는 ‘백종원의 만 능장아찌간장소스’를 출시했다. 간장을 여러 번 끓이고 식히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원하는 재료에 이 제품을 붓고 숙성시키면 손쉽게 장아찌를 완성할 수 있다. 감초와 표고버섯 농축액을 넣어 은은한 단맛과 감칠맛을 잘 살려 짭조름하면서 새콤달콤한 맛의 조화를 자랑한다. 문의 더본코리아 연락처 02-549-3864 홈페이지 www.theborn.co.kr

봄에는 딸기가 대세! ‘꼬깔콘

딸기파티’

롯데제과가 인기제품 ‘꼬깔콘’에 딸기맛을 더한 새로운 맛의 ‘꼬깔콘 딸기파티’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딸기 케이크 맛을 구현한 것으로 상큼,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이다. 꼬깔콘 겉면을 딸기 시럽으로 코팅해 바삭하게 씹히 는 식감을 살리고, 딸기향과 요구르트향 스프링클을 토핑해 딸기의 달콤한 맛을 더욱 강조했다. 알록달록한 색으 로 시각적인 재미도 더한 제품이다. 제품 용량을 44g, 144g 두 가지로 출시해 소비자가 원하는 양을 구매할 수 있 도록 했다. 문의 롯데제과 연락처 02-2670-6114 홈페이지 www.lotteconf.co.kr

2020 APRIL

133


CULTURE & LIFE

기자 추천도서 및 신간소개

핵심 타깃 마케팅이 모두에게 통하는 시대

글 이제만 기자・smash20@koca.or.kr

요즘 애들에게 팝니다

밀레니얼과 Z세대를 분석한 자료는 쏟아진다. 하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하다. 그들을 아는 것과 그들에게 파는 것은 전혀 다른 영역이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단순한 분석 을 넘어 이들의 마음을 어떻게 사로잡아야 할지 고민을 하고 있다. 이처럼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세대 간 분석이 아니라 실질적인 전략이다. 최근 이슈가 된 매일유업의 ‘우유 속에 한 글자’ 캠페인은 기존의 방식을 내려놓고 밀레니얼 세대의 코드에 맞춘 전략이 적중했던 대표 사례다. 이렇듯 밀레니얼 세대를 움직이는 핵심 소비 코드를 읽을 수 있다면 어떤 기획이나 마케팅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이 책은 밀레니얼과 Z세대의 특징만을 분석하고 끝내지 않는다. 또한 최신 트렌드만 을 나열하지도 않는다. 성공한 브랜드와 제품, 주목할 만한 이슈와 인물 등에 대해 밀레니얼과 Z세대 관점에서 풀어 해석한다. 그리고 최초, 실속, 공정함 등 그들이 열 광하는 가치와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진짜 팔리는 기술 13가지’를 엄선해 소개한다. 그렇다면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구매까지 연결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먼저 밀레 니얼과 Z세대를 이해해야 한다. 광고나 마케팅을 통해 다수의 대중에게 하나의 메시 지를 주입하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타깃은 좁게 설정하고 공감은 깊게 울리도록 해야 한다. 타깃이 정밀할수록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요즘 마케팅이다.

도서명 요즘 애들에게 팝니다

볼링의 1번 핀을 쓰러뜨리지 못하면 다른 모든 핀을 쓰러뜨릴 수 없는 것과 같은 이

출간일 2020년 3월 11일

치다. 핵심 타깃을 찾아내고 그 타깃의 공감을 일으키는 마케팅을 한다면 주변을 둘 러싼 소비자들에게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 책에서는 ‘최초는 최고의 마케팅이다’, ‘어설픈 동기부여는 독이다’, ‘뻔하

출판사 청림출판 지은이 김동욱 페이지 204쪽 가 격 1만 4,500원

지만 뻔하지 않은 브랜드의 철학’, ‘허세를 버리면 사람이 모인다’, ‘우리편을 먼저 챙 긴다’, ‘핑계는 곧 죽음이다’ 등 콘셉트 디렉터로 일해온 저자가 연구한 밀레니얼 세 대의 남다른 마케팅 코드를 제시한다. 분명히 다른 요즘 애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핵심 기술을 상세히 소개한다. 자영업자, 마케팅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 회사의 CEO을 가리지 않고 돈 버는 일과 관련된 자리에 있다면 새로운 소비 코드에 집중해야 한다. 요즘 애들에게 잘 파는 방법을 깨닫는 순간, 생존을 넘어 시장에서 오래 사랑받을 수 있을 것이다.

KMN

R E TA I L M A G A Z I N E


‘성능보다 가치’ 신세대의 소비법

조이 오브 워크 브루스 데이즐리 지음 | 김한슬기 옮김 | 352쪽 | 1만 6천 원 | 인플루엔셜 | 02-720-1034

취향집

‘끊임없는 연결’과 ‘인공지능’이라는 메가 트렌드 는 직장생활을 더욱 힘들게 만들었다. 직원들은 언제 어디서든 회사 일과 연결되고, 보다 창의적 인 업무에 투입됐다. 하지만 일할 맛이 나야 혁신

최근 소비 트렌드는 ‘필요해서보다 갖고 싶어서

적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 꿈의 직장이라 불리

산다’로 정의할 수 있다. 미니멀리스트처럼 갖지

는 구글, 유튜브, 트위터를 거친 저자는 직장생활

않음을 택하는 것도 소비의 일종이 됐다. 자신만

을 바꿀 30가지 방법을 찾았다. 그리고 이를 충

의 기준을 가지고 소비하는 행위가 늘어나고 있

전, 공감, 자극이라는 3가지 키워드로 나눠 제시

다. 성능보다는 가치를 중요시하고 완벽한 결과

한다.

물보다는 누가 만들었는지를 따진다. 게다가 자 신이 지불한 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만드는 사람의 철학이 담기고 그것이 나

원더

의 취향도 표현할 수 있다면 소비자들은 기꺼이 지갑을 연다.

이인 지음 | 256쪽 | 1만 5천 원 | 호이테북스 | 02-323-4421

이 책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속에서 반응을 이

많은 기업들이 고객 경험에 대해 알고 있다고 자

끌어내는 크고 작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스

만하는 실수를 저지른다. 하지만 고객의 기대는

토리와 인터뷰를 담았다. 이들은 누구나 살 수

가장 복잡하면서도 단순하며 예민한 동시에 변화

있는 흔한 것이 아니라 나만의 라이프스타일을

무쌍하다. 과거 호객이 기본이었다면 이제는 부

형성할 수 있도록 만드는 브랜드다. 선택받는 브

담 없이 자유로운 매장이 인기를 끈다. 이 책은 고

랜드를 일궈낸 이야기, 노하우 그리고 소비의 가

객과 소통하는 방법부터 호기심을 이용해 기업의

치를 소개한다.

독자적인 가치 창조 기반을 구축하는 방법 그리고 기업들의 실제 성공과 실패 사례를 통해 벤치마킹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반대의 놀라운 힘 샬런 네메스 지음 | 신솔잎 옮김 | 304쪽 | 1만 6천 원 | 청림출판 | 02-546-4341

의사결정에서 우리는 화합과 결합을 우선시하고 다수의 판단을 의심없이 받아들인다. 자연스럽게 다수는 옳고 소수는 틀리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한 다. 하지만 모두 다 찬성한다고 옳은 것만은 아니 다. 다수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면 시각이 좁 아지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법을 찾지 못한다. 나 를 지키고 세상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길 은 바로 ‘아니라고 느낄 때,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룬아 지음

작은 용기’에서 비롯된다.

376쪽 1만 9,500원 지콜론북 031-955-4955

2020 APRIL

KMO


CULTURE & LIFE

문화공연

‘SNS 속 또다른 나’ 누구나 꿈꿔봤을 이야기

데스트랩 한때 잘나갔던 극작가 시드니 브륄은 신작을 쓰는 데 어려움을 겪던 중, 자신의 세미나를 들었던 학생 클리포트 앤더슨의 극본 ‘데스트

차미

랩’을 받게 된다. 잘 쓰여진 대본에 그는 질투 를 느끼고, 이 작품을 손에 넣기 위해 클리포 트를 작업실로 초대한다. 이 작품은 브로드웨 이에서 가장 오랫동안 공연된 블랙코미디 스릴러다. 장르 일시 장소 가격 문의

연극 2020년 4월 7일 ~ 6월 21일 대학로 티오엠 1관 R석 6만 원 / S석 4만 원 / 데스트랩석 1만 5천 원 070-7724-1535

빈센트를 위하여, 킬리만자로의 표범 미술과 음악을 동시에 아우리는 문화융합공 연. 고흐의 삶의 여정을 담은 명화들과 이를 느끼게 하는 음악 그리고 고흐의 생을 따라 그 땅을 직접 밟고 느낀 해설자의 해설이 마치 빈센트 반 고흐 순례길을 걷는 듯한 느낌을 선 사한다. 이번 공연은 그의 삶을 변화시킨 중요 한 시기에 따라 네 개 테마로 진행된다.

평범한 주인공 차미호는 현실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소심한 취준생이지만 온라인 속에서는

장르 일시 장소 가격 문의

클래식 2020년 4월 25일 롯데콘서트홀 R석 8만 원 / S석 6만 원 / A석 4만 원 02-2658-3546

차미라는 이름으로 완전히 다르게 살아간다. 현실 과 다른 모습을 꿈꾸며 거짓으로 완벽한 삶을 꾸

휘도 판 데어 베르베 개인전

며냈다. 그러던 어느 날 차미호 앞에 온라인 속 자 신의 모습인 차미가 나타난다.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네덜란드 작가

누구나 한번쯤 상상해봤을 이야기를 통해 SNS가

휘도 판 데어 베르베(Guido van der Werve)

필수인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현실을 표현했

의 개인전이 열린다. ‘시련과 부활(Trials and

다. 극심한 경쟁으로 타인과 비교하며 지쳐가는 현

Resurrections)’을 주제로 인간의 야망과 그를

대인에게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하라는 메시

위한 노력의 무의미함이 드러내는 이중성을

지를 던진다. 따뜻한 위로와 공감은 물론 신선하 고 트렌드한 소재, 통통 튀는 대사 그리고 귀에 꽂

표현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동작이 거의 없는 롱 테이크 촬영 기법으로 잔잔하지만 극적인 동작을 연출해왔다.

히는 멜로디는 관객을 사로잡을 것이다.

장르 일시 장소 가격 가격

KM P

뮤지컬 2020년 4월 14일 ~ 7월 5일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R석 6만 6천 원 / S석 4만 4천 원 1577-3363

장르 일시 장소 가격 문의

전시회 2020년 4월 27일 ~ 7월 11일 송은아트스페이스 무료 02-3448-0100

R E TA I L M A G A Z I N E


편집 후기 ‘MWC 취소’, ‘무관객 공연’ 등 코로나가 바꾼 우리 사회 풍경은 삭막

처음 겪는 일들이 많은 요즘이다. 무엇보다 살면서 마스크에 이렇게

했다. 바깥출입을 두렵게 하는 바이러스의 온상들(?)을 피해 집에만

집착해보긴 처음이다. 마스크 가격이 한창 급등할 때 기존 가격을 유

머문 사람들 사이에 생긴 확찐자라는 유행어도 왠지 우스갯소리처럼

지하는 몇몇 온라인몰에서 마스크를 구매해보려고 며칠을 시도해봤

들리지 않았다.

는데 번번이 실패했다. 정부가 마스크 대책을 내놓고 5부제가 시행

그 어느 해보다 봄바람이 차가운 현 상황에서 무기력과 불안, 분노

된 이후에야 겨우 동네 약국에서 새 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었는데,

등 복잡한 심정을 갖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좀 더 이성적으로 생각해

만감이 교차하는 순간이었다. 어서 이 사태가 끝나고 일상의 즐거움

우리 사회를 다시 평온하게 돌아가게 하는 데 무엇이 도움이 될지 차

을 누릴 수 있는 때가 왔으면 좋겠다.

분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우리 업계도 코로나 치명상은

– 장소형 기자

불가피하겠지만, 피폐해진 소비자들의 마음을 위안해주며 다가가면 영업손실은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정성욱 기자

지난달 친구들과 계획했던 캠핑을 취소했다. 자연스럽게 모임이 줄고 운동도 못했다. 보고 싶던 영화도 보지 못했다. 회사와 집만 오가는 생활이 이어졌다.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났는데 집돌이 기질이 있어 서 그런지 나름 괜찮았다. 다만 힘들었던 건 주말에 축구 중계를 볼 수 없다는 사실이었다. 전세계 축구리그가 대부분 중단된 상태로 축 구를 하지도 보지도 못하니 생각보다 심심했다. 손흥민 골 장면만 계 속 반복해 보여주는 스포츠 채널이 안쓰럽게 느껴지기도 했다. 얼른 상황이 나아져 주말에 축구를 보는 일상이 돌아오길 기대해 본다. – 이제만 기자

애독자 코너 ◉ 리테일매거진 4월호 기사 가운데 가장 흥미있거나 유익했던 기사와 그 이유는?

◉ 리테일매거진에서 다루었으면 하는 기사 내용은?

리테일매거진 4월호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는 독자 분께는 추첨을 통해 단행본 ‘홈쇼핑 채널 전략’을 보내드립니다. 이메일 보내실 곳 : sujeong@koca.or.kr 신청 마감 : 4월 22일

2020 APRIL

1 37


NEWS BRIEFING

본지가 ‘2020년 우수콘텐츠 잡지’로 선정됐다. 한국잡지협회가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선정하는 우수콘텐츠 잡지는 산업・농수축산지, 시사・경제・교양지, 스포츠・취미・레저지, 과학・기술지, 여성・ 생활정보지, 교육・법률・학습지, 지역지, 문화・예술・종교지까지 총 8개 분야로 구분된다. 선정된 잡 지는 문화소외지역 및 관련시설과 재외문화원에 보급돼 소외계층의 문화 향유권 확대와 정보 격차 해소에 활용된다. 월간 「리테일매거진」은 한국체인스토어협회 출판 법인에서 발간하는 유통 전문지로,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 시대에 빠르게 변하는 유통 패러다임 변화를 예측하고 대안을 한발 빨리 제시한다. 각 업 태별 기자가 현장을 직접 뛰어다니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산업계 노하우와 숨겨진 정보를 담아내고 있다.

현대백화점, 라이브 커머스 채널 오픈

CU, 초저가 택배 서비스 론칭

지난달 11일 현대백화점이 네이버와 손잡고 라이브 커머스 채널

지난달 10일 CU가 자체 물류 네트워크를 활용한 ‘CU끼리’ 택배 서

을 선보였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시간 라이브로 상품을 소개하

비스를 론칭했다. CU끼리 택배 서비스는 기존 편의점 택배와 픽

고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네이버의 ‘백화점윈도 라이브’ 서비스를

업 서비스가 결합한 형태로 CU 매장에서 접수한 택배를 배송 지정

론칭한 것이다. 고객이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한 타 매장에서 직접 찾아가는 방식이다. 5㎏ 미만 소형 택배만 취

매장 판매사원과 인플루언서가 함께 제품을 소개하며 라이브 방송

급하며 운임은 1㎏ 이하 1,600원이며 1㎏ 초과 5㎏ 이하는 2,400원

특성상 고객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2월 19

이다. CU 물류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월요일부터 토요일, 공

일 테스트 결과 40분간 1,5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대백화점

휴일에도 택배 수거가 가능하고 배송 소요 기간은 동일 권역 내 최

은 앞으로 ‘백화점윈도 라이브’를 통해 판매하는 상품군과 콘텐츠

단 2일에서 평균 3~4일 소요된다. 지정 점포에 택배가 도착하면

를 다양화할 계획이다. 온라인에서 판매하지 않았던 해외패션 브

수령인 번호로 문자메시지가 발송되기 때문에 본인 확인 후 택배

랜드도 선보인다.

를 찾아갈 수 있다.

롯데면세점, 온라인 매출 3조 원 돌파 롯데면세점이 지난해 세계 최초로 온라인 매출 3조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체 매출은 9조 4천억 원으로 34%를 온라인에서 기록했다. 롯데면 세점은 2006년 인천공항에 대규모 물류센터를 지어 배송을 강화했으며 이는 비용 절감 효과도 높혔다. 또한 외국인을 위한 서비스도 대폭 확대 했다.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 5개 언어를 지원하고 결제 절차를 간소화해 외국인 관광객이 온라인 면세점을 이용하도록 유도했다. 롯데면세점은 로레알과 협업해 증강현실 화장 서비스를 론칭했으며 온・오프라인 통합 결제 서비스 LDF 페이를 지난해 5월 선보였다. 매장에서 받는 혜택을 온라인에도 적용해 고객들의 선택폭을 넓혔다.

138

R E TA I L M A G A Z I N E


롯데하이마트, 홈케어 정기케어 서비스 론칭 롯데하이마트가 ‘홈케어 정기케어’ 서비스를 론칭했다. 홈케어 서비스는 롯데하이마트 전문 CS(Customer Satisfaction)마스터가 클리닝 장비를 갖추고 가정을 방문해 가전, 침구 등을 관리해주는 토탈 홈케어 서비스다. 2016년 에어컨, 냉장고 등 가전제품 클리닝 서비스로 시작해 침대 매트 리스, 주방 후드, 방충망 교체 등 주거 공간 전반에 걸쳐 서비스 영역을 늘렸다. 창립 20주년을 맞아 선보이는 홈케어 정기케어는 고객이 서비스 받는 시기와 횟수를 선택하는 서브스크립션 서비스다. 3개월 주기로 총 4번 관리 받을 수 있고 이후 고객 편의에 따라 케어 시기와 횟수를 자유롭 게 변경할 수 있다. 롯데하이마트는 구독 경제 성장에 따라 이와 관련한 홈케어 서비스를 기획했다.

CU, 네이버 간편주문 배달 서비스 제공

랄라블라, 요기요 배달 서비스 시작

CU가 지난달부터 네이버와 플랫폼 통합관리서비스 제휴 계약을

랄라블라가 지난달 13일 요기요와 손잡고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체결하고 네이버 간편주문을 통해 제품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시

랄라블라는 화장품은 같은 상품을 주기적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

작했다. 주문 배송은 메쉬코리아의 부릉 OMS에서 맡는다. 해당 서

아 온라인 수요가 높고 배달 서비스 니즈가 있을 것으로 봤다. 이

비스는 선릉역점, 신림카페점에서 3월 한달간 테스트했으며 상반

번에 배달 서비스 시범 운영이 적용된 랄라블라 점포는 총 5곳으

기 내 전국 3천개 점포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용 고객은 별도 앱 설

로 신촌, 홍대, 잠실, 신림, 구로 같은 서울시 주요 상권 내 분포한다.

치 없이 네이버에 접속해 CU를 검색하면 반경 1.5㎞ 이내 CU 매

랄라블라 상품 중 요기요 앱을 통해 주문 가능한 상품은 브랜드 세

장에서 260여 가지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이용 가능 시간은 오전

일 화장품, 월별 행사 상품, 미용 소품, 건강기능식품 등 100여 종이

11시부터 오후 11시까지로 최소 주문금액 1만 원, 배달료는 3천 원이

며 오전 11시부터 밤 10까지 이용 가능하다. 최소 주문 가능 금액은

다. 한편 POS 및 재고 연동 시스템을 결합해 운영 편의성을 높였으

2만 원이며 기본 배송비는 4,300원이다. 앞으로 랄라블라는 배송

며 점포의 추가 매출을 올릴 수 있는 판로를 확대해 수익성 강화에

가능 상품을 200여 종으로 확대하는 한편, 전국 점포로의 서비스

도움이 될 전망이다.

확대도 검토 중이다.

이마트24, 홍콩・호주에 PB 수출 지난달 4일 이마트24가 자사 PB 아임이(I’m e)를 홍콩, 호주로 수출한다고 밝 혔다. 아임이 론칭 1년 7개월만의 성과다. 호주로 수출하는 상품은 아임이 스낵 13종, 민생휴지 1종의 총 14종, 2만여 개로 시드니 교민 슈퍼마켓과 중국, 베트 남계 아시안 슈퍼마켓 등 110여 개 매장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홍콩에는 민생휴 대용티슈 70매 7,200개가 홍콩 가정용품 전문점 JHC(Japan Home Centre)에 입점한다. 아임이 스낵은 한국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인절미스낵, 왕소라형과자, 고구마형과자 등이 포함됐으며, 생필품군은 가성비 높은 상품으로 선정했다. 이마트24는 올해 해외수출액 50억 원을 목표로 호주, 홍콩뿐 아니라 동남아 등 으로 수출 판로를 확대할 계획이다.

2020 APRIL

139


NEWS BRIEFING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미국 세포라 입점 아모레퍼시픽의 스킨케어 브랜드 설화수가 지난달 9일 미국 세포라에 입점했 다. 현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 럭셔리 스킨케어 시장 성장세와 건강한 아름다움을 뜻하는 웰니스 뷰티 트렌드 확산에 동참한 것이다. 설화수는 지난 1월 온라인 세포라닷컴에 16개 제품을 선보였으며 지난달부터는 미국 주요 도 시 31개 세포라 매장에 정식 입점했다. 이로써 설화수 대표 제품인 윤조에센스 를 중심으로 20여 종의 제품을 더 많은 미국 고객에게 선보이게 됐다. 설화수는 미국 시장에서 차별화된 브랜드와 제품 전달을 목표로 한다. 한국 전통 색채를 담은 다양한 구성과 트렌드 맞춤 제품을 선보여 한국 대표 럭셔리 브랜드 이미 지를 더욱 강화하고 온라인 채널 성과도 지속해서 이어 나갈 계획이다.

GS25, 해군 PX 운영권 수성

롯데백화점 식품코너 온라인 마감세일 서비스 제공

지난달 19일 국군복지단이 해군 부대마트(PX) 위탁운영 민간사업

롯데백화점이 모바일앱 라스트오더와 제휴를 맺고 백화점 푸드코

자로 GS25를 재선정했다. 지난 2010년 해군 PX 사업권을 획득한

트의 마감 세일을 모바일로도 제공한다. 기존 롯데백화점 푸드코

GS25는 2015년에 이어 올해도 재입찰에 성공했다. 운영 대상 점포

트에서 당일 판매를 위해 실시하는 마감세일은 매장을 방문한 경

는 전국 227개점으로 민간직영 위탁마트 44개, 부대 위탁마트 169

우에만 구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라스트오더 제휴를 통해 매장 서

개, 이동마트 8개, 부대 내 스낵코너 6개로 구성됐다. 계약기간은

비스를 모바일화해, 고객은 앱에서 바로 마감세일 식품을 구매할

올해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5년이다. GS25는 해군 PX

수 있게 됐다. 서비스는 롯데백화점 본점의 인기 브랜드 도제와 밀

사업이 군부대 특성상 물류・IT 등 인프라 구축이 어렵고 사업 난

컵을 대상으로 시작했다. 이후 고객 반응을 분석해 참여 브랜드와

이도가 높지만 지난 10년간의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익성 측

운영 점포를 확대할 예정이다. 롯데백화점은 편리하고 쉽게 백화

면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입찰에는

점 푸드코트 방문을 이끌어 장기적인 고객 유치에도 도움될 것으로

GS25와 CU가 참여했다.

예상하고 있다.

BGF리테일, 괴산군과 농산물 소비 촉진 협력 지난달 17일 BGF리테일이 충북 괴산군과 ‘CU 간편식 품질 제고 및 지역사회 상생협력을 위한 홍보・마케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BGF리테일과 괴산군은 2020 괴산 고추・김장축제 홍보활동 지원, 괴산군 우수 농・특산물을 이용한 편의점 상품개발 및 판매, 축제 및 관광산업 진흥에 필요 한 제반사항 협력 등 다방면에서 협업한다. 이로써 BGF리테일은 괴산군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대규모 판매처와 지역축제의 홍보 플랫폼 역할을 맡는다. 괴산군은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BGF리테일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간편식 품질에 대한 고객 신뢰를 높이고, 지역축제 홍보 등 상생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할 계획이다.

14 0

R E TA I L M A G A Z I N E


대형마트 업체별 점포 현황 이마트 ㈜이마트

총 162개점(베트남 1개점, 몽골 3개점 포함)

양주점

11,690

2004-07-16 경기 양주시 회정2동 98-5

주 소

양산점

12,850

2004-08-03 경남 양산시 중부동 705

점포명

매장면적(㎡)

창동점

4,340

1993-11-12 서울 도봉구 창5동 135-26

파주점

10,820

2004-08-13 경기 파주시 교하읍 당하리 195-5

일산점

6,590

1994-09-08 경기 고양시 백석동 1194

반야월점

16,010

2004-09-03 대구 동구 신서동 520-1

제주점

6,260

1996-11-22 제주 제주시 삼도동 1259-2

월계점

19,150

2004-09-22 서울 노원구 월계동 333-1

분당점

9,618

1996-11-30 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211

용산역점

9,970

남원점

2,850

1997-04-29 전북 남원시 왕정동 146-1

안동점

7,550

2004-11-12 경북 안동시 옥동 796-1

안양점

9,800

1997-08-14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411

양재점

10,040

2005-02-24 서울 서초구 양재동 215

김천점

6,320

1998-01-01 경북 김천시 신음동 990-1

인천공항점

동광주점

4,180

1998-06-18 광주 동구 계림동 100-11

통영점

12,450

2005-06-30 경남 통영시 광도면 중림리 1566-2

청주점

9,700

1998-06-27 충북 청주시 흥덕구 미평동 123-1

순천점

10,130

2005-07-27 전남 순천시 덕암동 169

1998-12-03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767

서수원점

15,440

2005-08-25 경기 수원시 권선구 구운동 924

1999-02-08 경기 부천시 소사구 심곡동 316-2 부천역사내

죽전점

18,570

2005-09-09 경기 용인시 죽전2동 택지개발지구 1703블록

1999-03-20 강원 원주시 무실동 1062-1

춘천점

15,950

2005-11-30 경기 남양주시 호평동 637 2005-12-09 경기 오산시 원동 360-6

전주점

7,700

부천점

14,810

원주점

9,610

개점일

2020년 3월 말 기준 총590개점(해외 69개 포함)

3,700

9,770

2004-10-03 서울 용산구 한강로 3가 40-1

2005-04-26 인천 중구 운서동 2850 국제업무지역 C블록

2005-11-21 강원 춘천시 온의동 511

신월점

1,855

1999-08-26 서울 양천구 신월5동 26

남양주점

구로점

8,820

1999-08-26 서울 구로구 구로3동 188-26

오산점

11,510

1999-11-18 대구 달서구 이곡동 1254

용인점

6,770

2005-12-20 경기 용인시 역북동 586

7,860

2006-06-08 제주 서귀포시 법환동 841-2

성서점

10,440

산본점

12,190

천호점

8,390

1999-11-25 경기 군포시 산본동 1123

서귀포점

2000-01-01 서울 강동구 천호2동 454-1

경산점

16,000

2006-06-15 경북 경산시 중산동 623

11,640

2006-07-04 광주 서구 화정동 12-13

가양점

15,720

2000-03-09 서울 강서구 가양3동 449-19

광주점

해운대점

11,110

2000-04-06 부산 해운대구 중동 1767

동백점

7,000 11,240

2006-09-22 인천 서구 당하동 당하지구 시가지 조성사업 1블록 2004-09-16 전북 익산시 동산동 667-53

2006-07-27 경기 용인 동백동 동백택지개발지구 2101블록

시화점

9,520

2000-05-04 경기 시흥시 정왕동 1734-1

검단점

상봉점

10,100

2000-06-01 서울 중랑구 망우동 506-1

익산점

11,820

역삼점

4,510

1997-10-01 서울 강남구 역삼동 755 한솔필리아B/D

8,990

2000-10-27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970

이천점

9,070

2000-06-27 경기 이천시 증포동 47-4

진주점

9,970

2000-08-31 경남 진주시 인사동 3

화정점

목포점

10,400

2000-12-19 전남 목포시 옥암동 915-25

중동점

12,970

2002-03-28 경기 부천시 원미구 중동 1157

동인천점

11,880

2001-02-07 인천 중구 신생동 38-10

계양점

10,620

2002-04-04 인천 계양구 작전동 911-1

만촌점

12,360

2001-02-27 대구 수성구 만촌1동 1356-5

평촌점

10,190

2002-05-09 경기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608-3

군산점

13,780

2001-04-10 전북 군산시 경암동 579-1

감삼점

9,190

2002-09-12 대구 달서구 감삼동 521

성수점

10,770

2001-04-19 서울 성동구 성수2가 333-16

마산점

9,910

2002-10-24 경남 마산시 중앙동 3가 4-1

월배점

14,360

2001-04-25 대구 달서구 대천동 555

포항이동점

천안점

12,640

2001-04-30 충남 천안시 쌍용동 191

아산점

7,560

2006-10-12 충남 아산시 풍기동 192-2

수서점

2,687

2001-05-24 서울 강남구 수서동 724

태백점

3,420

2006-10-20 강원 태백시 삼수동 113

2001-09-20 경기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189

광명점

1,058

2007-01-24 경기 광명시 광명동 150-19

11,940

2007-02-08 서울 광진구 자양3동 227-7

7,200

2007-04-12 경북 상주시 만산동 692-29

수원점

12,420

2001-10-15 충북 충주시 문화동 1024 2001-10-23 경기 평택시 지제동 50

상주점

2001-11-28 서울 은평구 응암동 90-1

광주봉선점

10,790

2001-12-12 경북 포항시 남구 인덕동 161-176

신도림역점

7,720

2001-12-23 전남 여수시 오림동 405-1

여주점

8,410

12,520

2002-03-12 부산 연제구 연산동 822-7

동탄점

15,990

9,550

2002-04-10 대구 북구 칠성동 2가 20

여의도점

10,700

2008-05-22 경기 남양주시 도농동 1-1

9,620

평택점

11,130

포항점 여수점 부산연제점 칠성점

2002-12-12 경북 포항시 남구 득량동 305

자양점

충주점

은평점

11,270

12,330 13,020 9,150

3,800

2007-07-19 광주 남구 봉선동 1064 2007-11-08 서울 구로구 구로5동 3-25 2007-12-14 경기 여주군 여주읍 홍문리 384-1 2007-12-21 경기 화성시 석우동 44 2008-05-15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47 KBS별관 앞 GS자이아파트 지하

둔산점

12,150

2002-04-24 대전 서구 둔산동 959

도농점

구미점

11,240

2002-06-15 경북 구미시 광평동 65-1

하남점

12,430

2008-05-30 경기 하남시 덕풍동 736

2002-06-24 경남 창원시 중앙동 91

청계천점

16,060

2008-07-25 서울 중구 황학동 2545(롯데캐슬 베네치아)

2002-11-27 서울 강동구 명일2동 46-4

왕십리점

12,320

2008-09-04 서울 성동구 행당동 168-1

창원점

12,400

명일점

9,490

연수점

18,520

2002-12-12 인천 연수구 동춘동 926-9

보령점

8,160

2008-10-01 충남 보령시 궁촌동 340-1

강릉점

10,590

2002-12-24 강원 강릉시 송정동 1008-7

안성점

10,130

2008-10-09 경기 안성시 석정동 149-3

고잔점

14,830

2003-05-23 경기 안산시 단원구 초저동 742-6

미아점

8,910

2008-10-16 서울 성북구 길음동 25-2

문현점

12,760

2003-07-24 부산 남구 문현동 751

보라점

7,190

2008-12-23 경기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623-1

금정점

16,140

2003-08-06 부산 금정구 구서동 325-1

이문점

1,719

수지점

13,100

2003-08-21 경기 용인시 수지읍 풍덕천리 903

목동점

14,210

신제주점

8,131

2003-08-29 제주 제주시 노형동 919

흥덕점

속초점

9,200

2003-11-20 강원 속초시 청호동 459-134

영등포점 경기광주점

사상점

11,730

2003-12-05 부산 사상구 괘법동 531-2

울산점

15,430

2003-12-23 울산 남구 삼산동 1646

동해점

7,310

2004-01-27 강원 동해시 천곡동 831

영천점

5,210

광산점

10,460

9,190 14,080

2009-03-19 서울 동대문구 이문1동 292-10 2009-04-21 서울 양천구 962 목동 트라팰리스 지하 2009-08-07 경기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85-3 2009-09-16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 4가 441-10 (타임스퀘어 지하 1~2층)

6,120

2009-09-23 경기 광주시 경안동 20-11

수색점

6,810

2009-10-22 서울 은평구 수색동 76-14(수색 자이아파트 내)

제천점

8,880

2009-12-21 충북 제천시 강제동 270-11

2004-02-26 경북 영천시 오수동 268

포천점

8,860

2010-08-12 경기 포천시 설운동 2

2004-06-08 광주 광산구 우산동 1598-3

성남점

10,280

2010-09-08 경기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7336


트레이더스 구성점

11,000

2010-11-26 경기 용인시 구성면 보정동 1019-24

안양점

48,790

1999-02-11 경기 안양시 동안구 호계1동 559-1

광명소하점

13,340

2010-12-09 경기 광명시 소하1동 1339-3

구월점

48,026

1999-07-27 인천 남동구 구월1동 1130 1999-08-17 부산 진구 전포3동 892-20

2010-12-21 충남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 354-1

서면점

48,231

2010-12-23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101-14

면목점

10,463

1999-09-15 서울 중랑구 면목5동 168-2

6,710

2010-12-30 경남 사천시 좌룡동 388-10

천안신방점

49,002

2000-01-20 충남 천안시 신방동 784-9

이수점

1,140

2011-01-20 서울 동작구 사당동 147-29

중계점

46,377

2000-01-26 서울 노원구 중계동 509-2

묵동점

5,230

2011-01-21 서울 중랑구 묵동 170-1 묵동 자이 지하

야탑점

33,127

2000-04-05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41

천안터미널점

6,440

진접점

10,060

사천점

트레이더스 송림점

12,250

2011-04-30 인천 동구 송림동 296-2

장림점

52,089

2000-07-29 부산시 사하구 장림2동 176-1

트레이더스 월평점

11,820

2011-05-31 대전 서구 월평동 510

스페셜 순천풍덕점

48,179

2000-08-05 전남 순천시 풍덕동 300

2011-06-30 서울 송파구 문정동 292

스페셜 해운대점

54,165

2000-08-05 부산시 해운대구 우1동 1406-2

트레이더스 서면점

10,910

2011-08-30 부산 진구 부암1동 93

안산점

17,177

2000-08-30 경기 안산시 성포동 586

파주운정점

10,740

2011-08-31 경기 파주시 교하읍 동패리 57

북수원점

65,478

2000-09-21 경기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280-2

동구미점

12,510

2011-12-15 경북 구미시 임수동 92-28

영통점

59,941

2000-10-12 경기 수원시 팔달구 영통동 994-2

대전터미널점

25,930

2011-12-22 대전 동구 용전동 63-3

창원점

59,141

2000-10-19 경남 창원시 시화동 용원상업지구

가든파이브점

9,580

마포공덕점

5,980

2012-01-10 서울 마포구 신공덕동 백범로 212

스페셜 가양점

45,094

2000-10-24 서울 강서구 가양동 18-24

트레이더스 비산점

8,200

2012-01-14 대구 서구 비산7동 1612-3

김해점

36,136

2000-11-02 경남 김해시 내동 1131-2

서산점

8,590

2012-02-02 충남 서산시 잠홍동 463

원천점

22,975

2000-11-24 경기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177-1

2012-04-05 충남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1289 펜타포트 주상복합상가 내

스페셜 목동점

47,174

2001-03-22 서울 양천구 목동 919-2

2012-05-04 경기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1687

간석점

31,954

2001-07-26 인천 남동구 간석동 616-3

2012-05-29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88-387

작전점

49,131

2001-08-30 인천 계양구 작전2동 448-7

펜타포트점

10,080

트레이더스 안산점

9,320

하월곡점

10,840

트레이더스 천안아산점

10,860

2012-07-13 충남 아산시 배방읍 고속철대로 133

김포점

45,832

2001-09-13 경기 김포시 감정동 526-2

화성봉담점

11,330

2012-08-17 경기 화성시 봉담읍 동화리 138-1

스페셜 시흥점

60,635

2001-09-14 서울 금천구 시흥1동 992-47

천안서북점

15,200

2012-12-13 충남 천안시 서북구 백석동 1047

경주점

4,975

2001-11-01 경북 경주시 용강동 800-11

의정부점

14,520

2013-07-25 경기 의정부시 민락동 475-32

대구칠곡점

44,499

2001-11-22 대구 북구 동천동 968

별내점

12,231

2013-08-08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 989

울산점

52,437

2001-12-24 울산 중구 복산동 100

트레이더스 양산점 풍산점

8,027 14,520

2014-07-17 경남 양산시 평산로 16

영등포점

66,142

2001-12-13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3가 55-3

2014-07-24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무궁화로 237

동수원점

54,975

2002-03-21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045

트레이더스 수원점

11,900

2014-08-14 경기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2

센텀시티점

49,756

2002-05-09 부산 해운대구 우1동 19블록

김포한강점

13,653

2015-01-29 경기 김포시 김포한강7로 71

가좌점

42,794

2002-08-01 인천 서구 가좌1동 118

세종점

13,553

2015-02-05 세종특별자치시 가람동 406

스페셜 안산고잔점

38,288

2002-08-22 경기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707-2

19,830

2015-06-18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171 지상 1~2층

부산가야점

59,703

2002-09-05 부산 진구 가양동 624-7

2015-06-18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171 지하 1층

스페셜 동대전점

45,736

2002-10-16 대전 동구 용전동 64-1

15,537

2015-09-03 경기도 수원시 광교로 191

문화점

38,783

2002-10-24 대전 중구 문화1동 1-17

10,082

2015-12-03 경기 과천시 별양상가 3로 11

동광주점

56,625

2002-10-24 광주 북구 두암동 575-1

16,000

2016-06-23 경남 김해시 전하로304번길 24

스페셜 청주성안점

20,945

2002-11-19 충북 청주시 상당구 서문동 152-2

트레이더스 하남점

10,413

2016-09-09 경기 하남시 신장동 미사대로 750 하남 스타필드 지하 2층

성서점

77,918

2002-12-05 대구 달서구 용산동 230-11

트레이더스 고양점

18,500

2017-08-24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 1955 스타필드 고양 지하 2층

상동점

56,437

2003-01-03 경기 부천시 원미구 상동 540-1

킨텍스점 트레이더스 킨텍스점 광교점 과천점 김해점

9,900

트레이더스 군포점

11,524

2017-12-15 경기 군포시 부곡동 삼성로 74

아시아드점

64,645

2003-04-03 부산 연제구 거제동 1208

트레이더스 김포점

14,876

2017-12-21 경기 김포시 풍무동 16-10

울산남구점

52,215

2003-04-30 울산 남구 야음동 789-91

2018-12-13 경기도 의왕시 경수대로 262 지하 1~2층

월드컵점

44,688

2003-05-23 서울 마포구 성산2동 515

2018-12-18 경기 하남시 위례대로 200 지하2층

내당점

65,583

2003-06-05 대구 서구 내당1동 65-8

2019-03-14 서울 노원구 마들로3길 15 월계이마트

대전둔산점

57,960

2003-06-12 대전 서구 둔산동 1380-2

2019-09-05 경기 부천시 옥길동 768

의정부점

56,103

2003-06-19 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475-1

유성점

39,788

2003-06-26 대전 유성구 봉명동 669

방학점

11,260

2003-07-03 서울 도봉구 방학1동 707-7

금천점

52,175

2003-10-23 서울 금천구 동산1동 291-7

스페셜 동대문점

43,177

2003-11-06 서울 동대문구 용두1동 33-1

스페셜 시화점

36,258

2004-04-01 경기 시흥시 정왕동2가 2166-4 2004-06-24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1696

의왕점 트레이더스 위례점

9,917 11,074

트레이더스 월계점

9,917

트레이더스 부천점

14,413

트레이더스 부산 명지점

9,190

2019-10-31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6로 168

4개점

※ 이마트 해외점포 현황

1개점

베트남 고밥점

10,560

2015-12-28 베트남 호치민시 고밥

3개점

몽골 징기스점

7,590

2016-07-28 몽골 울란바토르

청주점

40,866

호롤로점

5,080

2017-09-29 몽골 울란바토르 호룰로

순천점

43,177

2004-11-18 전남 순천시 조례동 975-1

2019-09-06 몽골 울란바토르 항올

남대구점

15,025

2005-01-13 대구 남구 대명6동 959-1

몽골 3호점

13,550

홈플러스 홈플러스㈜

총 140개점

부천소사점

33,068

2005-02-24 경기 부천시 소사구 괴안동 129-1

홈플러스㈜ ※ 본사 방침상 영업면적이 아닌 연면적으로 공개

인하점

48,618

2005-05-12 인천 남구 용현4동 292-2

점포명

매장면적(㎡)

스페셜 전주완산점

49,461

2005-08-11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노송동 495-6 32 필지

일산점

49,223

1996-11-06 경기 고양시 일산구 장항2동 755

강서점

59,108

2005-09-08 서울 강서구 등촌동 639-11

대전탐방점

51,435

1996-11-07 대전 서구 탄방동 591

광양점

19,200

2005-09-13 전남 광양시 중동 1811-1

스페셜 대구점

42,794

1997-09-04 대구 북구 칠성2가 378-23

계산점

51,729

1998-02-10 인천 계양구 계산4동 1061

안산선부점

17,385

2005-12-05 경기 안산시 단원구 선부1동 1077-1번지

구미점

48,767

2005-12-11 경북 구미시 광평동 792-36

서귀포점

21,124

2006-01-05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1560

마산점

52,493

2006-01-18 경남 마산시 양덕동 151-1

50,737

2006-01-21 경기 화성시 병점동 399-4

35,703

2006-05-11 충북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 500-3번지

동촌점

49,365

개점일

주 소

1998-11-24 대구 동구 동촌동 908-5

영도점

10,658

1998-09-10 부산 영도구 봉래동2가 151-1

울산북구점

40,658

1998-12-18 울산 북구 상안동 322-9

스페셜 분당오리점

41,982

1999-01-06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159

병점점

스페셜 서부산점

39,233

1999-01-27 부산 사상구 괘법동 529-1

동청주점


김제점

22,420

2006-07-06 전북 김제시 검산동 841번지

오산점

19,319

감만점

19,712

2006-07-20 부산 남구 감만동 8번지

경산점

23,567

2013-05-14 경북 경산시 경안로 288

밀양점

20,212

2006-07-22 경남 밀양시 내이동 1043-1번지

인천청라점

55,203

2013-08-27 인천 서구 경서동 956-20

삼척점

27,676

2006-08-25 강원 삼척시 당정동 33-3

스페셜 남현점

43,705

2013-10-01 서울 관악구 남현동 69-51

2006-08-31 서울 중랑구 신내동 645

상봉점

60,822

2013-11-21 서울 중랑구 상봉1동 73-10

2006-09-26 경남 거제시 신현읍 복합쇼핑몰 오션플레이스

세종점

45,615

2014-11-13 세종특별자치시 절재로 154

인천송도점

48,477

2015-10-15 인천 연수구 송도동 168-3

파주운정점

66,084

2016-12-22 경기 파주시 운정신도시 목동동 927

신내점 거제점

29,117 22,420

2013-05-01 경기 오산시 수청동 610

익산점

38,628

2006-10-12 전북 익산시 영등동 831-1

동래점

45,577

2006-10-17 부산 동래구 온천1동 153-8

김포풍무점

36,268

2007-02-28 경기 김포시 풍무동 38-1

롯데마트 롯데쇼핑㈜ 마트사업본부

포항죽도점

20,251

2007-03-01 경북 포항시 북구 죽도동 50-1

점포명

매장면적(㎡)

포천송우점

23,696

2007-03-15 경기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 730-60

강변점

4,628

진주점

34,665

2007-06-05 경남 진주시 상대동 181-1

잠실점

24,179

논산점

24,519

2007-07-31 충남 논산시 내동 437

서현점

6,740

삼천포점

23,227

2007-08-10 경남 사천시 벌리동 58-3

스페셜 대구상인점

44,278

2007-08-17 대구 달서구 상인동 171-1

보령점

24,972

2007-08-30 충남 보령시 명천동 129

영주점

27,812

2007-08-30 경북 영주시 휴천2동 329-1

잠실점

42,321

2007-09-01 서울 송파구 신천동 7-12

전주점

29,379

2007-09-06 전북 전주시 우아3가 733-1

스페셜 광주하남점

25,263

2007-11-14 광주 광산구 하남동 택지 개발사업 2지구준 3-1블럭

개점일

총 187개점(해외 64개점 포함) 주 소

1998-04-01 서울 광진구 구의동 546-4 1998-08-21 서울 송파구 잠실동 40-1 1999-03-28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75

청주점

5,929

구리점

16,175

1999-06-30 경기 구리시 인창동 430

울산점

10,733

1999-07-15 울산 남구 달동 830-1

주엽점

11,074

1999-06-17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대우메가폴리스 지하 1층

2000-01-20 경기 고양시 일산구 주엽동 15

부평역점

7,481

2000-02-24 인천 부평구 부평동 738-1

연수점

8,370

2000-03-23 인천 연수구 청학동 504-4

천안점

6,562

상무점

12,463

2000-08-31 충남 천안시 쌍용동 1367 2000-09-06 광주 서구 치평동 1239

포항점

30,139

2007-11-29 경북 포항시 남구 상도동 582

사하점

7,660

신도림점

36,945

2007-12-06 서울 구로구 신도림동 337 대우미래 사랑시티 B1층

의정부점

9,924

2000-12-14 경기 의정부시 용현동 527-1

계림점

11,835

2007-12-19 광주 동구 계림동 505-900

화명점

8,896

2001-03-29 부산 북구 화명동 1975

계룡점

23,210

2008-01-12 충남 계룡시 금암동 21-5

화정점

7,160

목포점

8,227

2008-01-17 전남 목포시 용당동 1087-1

익산점

11,810

2001-08-31 전북 익산시 영등동 833-9

10,102

2001-10-24 대전 유성구 원내동 33

2000-09-28 부산 사하구 장림동 1033-2

2001-05-31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982

조치원점

16,344

2008-05-15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번암리 50-1

서대전점

진해점

32,762

2008-06-11 경남 진해시 이동 536-10

충주점

9,372

2001-12-28 충북 충주시 칠금동 849

평촌점

28,713

2008-07-15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1109

서산점

7,792

2002-03-21 충남 서산시 예천동 508

울산동구점

57,718

2008-08-06 울산 동구 일산동 577-1

마산점

9,669

2002-04-18 경남 마산시 합포구 창포동 3가 8-1

천안점

29,726

2008-08-15 충남 천안시 구성동 50-3 외 8 필지

목포점

9,428

2002-05-18 전남 목포시 상동 1134

대전가오점

27,130

2008-08-21 대전 동구 가오동 557 토마토쇼핑센터 B1

의왕점

10,876

2002-07-19 경기 의왕시 내손동 743

오산점

8,443

2002-09-06 경기 오산시 오산동 868

첨단점

9,250

2002-10-22 광주 광산구 쌍암동 694-3

중계점

14,030

천천점

8,360

성정점

12,734

2003-12-12 충남 천안시 성정동 1486

통영점

9,091

2003-12-24 경남 통영시 무전동 1069

서울역점

10,519

2004-06-03 서울 중구 봉래동1가 122

장유점

11,154

2004-08-12 경남 김해시 장유면 대청리 300

웅상점

8,033

2004-12-30 경남 양산시 웅상읍 삼호리 681-8

파주문산점 서대전점 문경점

22,172 43,471 29,177

2008-09-04 경기 파주시 문산읍 문산첨단산업단지(당동지구) 지원1-1-1 2008-09-18 대전 유성구 대정동 303 2008-09-25 경북 문경시 모전동 859-2

2002-12-18 서울 노원구 중계동 361 2003-12-05 경기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525

오창점

26,734

2008-09-30 충북 청원군 오창읍 양청리 820

부천여월점

33,613

2008-10-13 경기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 301

강동점

48,783

송탄점

26,938

2009-06-04 경기 평택시 장당동 390-1

강릉점

53,150

2009-12-01 강원 강릉시 옥천동 1891

진접점

39,080

2009-12-03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216-1

양주점

8,843

2005-01-11 경기 양주시 회정동 351-2 외 2필지

춘천점

34,706

2010-03-17 강원 춘천시 퇴계동 144-1

진해점

10,595

2005-03-10 경남 진해시 석동 543-5 외 10필지

월곡점

48,160

2010-06-10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46-73

구로점

15,825

2005-06-02 서울 구로구 구로동 636-89

인천논현점

48,160

2010-07-08 인천 남동구 논현동 650-1번지 대우 푸르지오 시티

안산점

14,413

2005-09-08 경기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590

킨텍스점

50,721

2010-08-26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2602

여천점

7,769

대구수성점

44,800

2010-10-14 대구 수성구 두산동 111

구미점

18,511

2005-12-22 경북 구미시 신평동 465 외 49필지

경기하남점

49,863

2010-12-16 경기 하남시 신장동 570 두산위브파크 지하

진장점

17,008

2006-05-11 울산 북구 진장동 진장유통단지 9블록

2010-12-17 경기 화성시 반송동 98

사상점

13,785

2006-05-19 부산 사상구 엄궁동 364-5

13,279

2006-05-25 전남 여수시 국동 37-100 외 4필지 2006-10-03 경기 안성시 공도읍 양기리 산2-13 외 11필지

스페셜 화성동탄점

43,639

2008-11-13 서울 강동구 천호동 42

2005-11-24 전남 여수시 선원동 1268-2 외 10필지

부산정관점

18,572

2011-01-13 부산 기장군 정관면 매학리 712-1

여수점

화성향남점

32,616

2011-03-17 경기 화성시 향남읍 행정리 487-1

안성점

13,587

포항점

3,319

영종도점

7,400

2006-12-21 인천 중구 운서동 2803-2

14,003

2006-12-24 인천 부평구 산곡동 159-52

전주효자점 대구스타디움점

47,602 16,552

2011-08-11 전북 전주 완산구 효자동1가 435-1 2011-09-06 대구 수성구 대흥동 504

평택안중점

28,694

2012-01-10 경기 평택시 안중읍 현화리 산274

부산연산점

41,208

2012-02-17 부산 연제구 연산1동 반송로 88

고양터미널점

부평점 장암점

6,175

2006-12-01 경북 포항시 남구 지곡동 481-1

2006-12-28 경기 의정부시 장암동 44

월드컵점

12,050

2007-01-18 광주 서구 풍암동 423-2 월드컵경기장 내

군산점

13,686

2007-02-23 전북 군산시 수송동 210-1

41,644

2012-02-21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1242

부산반여점

13,783

2012-03-22 부산 해운대구 반여1동 1406-1

안동점

38,801

2012-05-15 경북 안동시 운흥동 247-58

대덕테크노밸리점

17,332

2007-11-15 대전 유성구 관평동 883 대덕테크노밸리 단지 내

원주점

18,680

2012-07-12 강원 원주시 관설동 1453

삼산점

17,805

2007-12-21 인천 부평구 삼산동 465-1

스페셜 인천연수점

27,590

2012-08-23 인천 연수구 동춘동 926

동래점

11,372

인천숭의점

16,979

2012-11-22 인천 남구 숭의동 393-3

시티세븐점

9,527

2008-06-05 경남 창원시 두대동 333

서수원점

20,866

2012-12-06 경기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160

노은점

9,554

2008-10-23 대전 유성구 하기동 518

합정점

14,116

2013-03-14 서울 마포구 서교동 490

당진점

9,498

2008-11-13 충남 당진군 당진읍 원당리 824

제주점

8,820

2007-08-23 제주 제주시 노형동 708

2008-05-29 부산 동래구 온천동 502-3


전주점 전주송천점

10,479 9,917

2008-11-27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1234-2

인천터미널점

5,537

2008-12-23 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1가 281-1

이천점

6,314

평택점

10,324

2009-06-04 경기 평택시 합정동 배미지구 10블록 1로트

롯데몰 수지점

수완점

13,012

11,000

2019-01-07 인천 미추홀구 연남로 35 롯데백화점 지하 1층 2019-01-17 경기 이천시 안흥동 274-1 2019-08-31 경기 용인시 수지구 성복2로 38

2009-09-24 광주 광산구 장덕동 1678 외 1

※ 롯데마트 해외점포 현황

동두천점

8,286

2009-10-22 경기 동두천시 송내동 529

인도네시아

정읍점

8,926

2009-12-22 전북 정읍시 농소동 446-1

Pasar Rebo

7,139

Linkar Luar Selatan Kavling 6 Susukan Subdistrict Ciracas District, 2010-06 Jalan East Java

Sidoarjo

7,174

Pepelagi Indah No.4 Sawotratap Subdistrict Gendangan District 2010-06 Jalan Sidoarjo East Java

2010-06-01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신1동 941

Kelapa Gading

7,602

Bulevar Barat Raya Kelapa Gading Barat Subdistrict Kelapa Gading 2010-06 Jalan District, North Jakarta

2010-06-01 경기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296-5

Meruya

8,152

Topaz BT No.77 Meruya Utara Subdistrict Kembangan District West 2010-06 Jalan Jakarta

Bandung

7,449

Soekarno-Hatta No.646 Cipamokolan Subdistrict Rancasari District 2010-06 Jalan Bandung, West Java

Ciputat

8,131

Ir. H. Juanda No.1 Cempaka Putih Subdistrict Ciputat District 2010-06 Jalan Tangerang, Banten

64개점 50개점

검단점

9,977

춘천점

11,547

고양점

8,360

권선점

13,256

금정점

8,476

2010-06-01 부산 금정구 부곡동 223-1

덕소점

7,111

2010-06-01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501-3

삼계점

2,856

2010-06-01 경남 마산시 내서읍 삼계리 25-2

상당점

6,939

2010-06-01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Alam Sutera

7,415

Paya Serpong, Kav.2, Alam Sutera, Sutera Niaga Pakulonan 2010-06 Jalan Subdistrict, Serpong District Tangerang, Banten

석사점

6,769

2010-06-01 강원 춘천시 석사동 27

Cibitung

7,752

Industrial Town, Blok A Ganda Mekar Subdistrict Cibitung District 2010-06 MM2100 Bekasi, West Java

송파점

14,922

2010-06-01 서울 송파구 문정동 150-2

Denpasar

6,977

Raya Ngurah Rai No.222X Sesetan Subdistrict Denpasar Selatan 2010-06 Jalan District Denpasar, Bali

시화점

7,947

2010-06-01 경기 시흥시 정왕동 지원시설 2구역 3나 802-1

행당역점

2,807

2010-06-01 서울 성동구 행당동 328

Medan

7,599

Gatot Subroto Km. 7.8 Medan Sunggal Subdistrict Lalng District 2010-06 Jalan Medan, North Sumatra

2009-12-24 인천 서구 마전동 검단 2지구 58블록 2010-02-08 강원 춘천시 온의동 6-25

대구율하점

12,555

2010-07-15 대구 광역시 동구 율하동 1117

Semarang

6,904

Majapahit No. 132 Pandean Lamper Subdistrict gayamsari District 2010-06 Jalan Semarang, Central Java

청량리점

10,902

2010-08-20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591-53외 3필지(청량리 민자역사내)

Makassar

5,250

Sultan Alaudin No.95 Pa Baeng Baeng Subdistrict Tamalate District 2010-06 Jalan Makassar, South Sulawesi

마석점

8,025

2010-08-25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 255-7

Palembang

5,625

Trade Center Block H No. 65 Jalan R. Sukamto 8 Ilir Subdistrict, 2010-06 Palembang Ilir Timur II District Palembang, South Sumatera

제천점

3,580

2010-12-02 충북 제천시 하소동 72-5

Pekanbaru

6,084

Soekarno Hatta No. 50 Arengka Labuh Baru Timur Subdistrict Tampan 2010-06 Jalan District Pekanbaru, Riau

천안아산점

11,028

2010-12-23 충남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 13-1 택지개발지구 M-1블럭 Y시티주상복합상가 1층

창원중앙점

13,686

2010-12-29 경남 창원시 성산구 중앙동 92

Yogyakarta

7,854

Ring Road Utara A5 Maguwoharjo Subdistrict Depok District Sleman 2010-06 Jalan Yogyakarta

2011-04-21 충남 홍성군 홍성읍 고암리 1042

Banjarmasin

7,710

Jend. A. Yani KM4. 5 Karang Mekar & Pekapuran Raya Subdistrict 2010-06 Jalan Banjarmasin Timur District Banjarmasin, South Kalimantan

Bekasi

7,928

Jendral Ahmad Yani No. 18 Marajaya Subdistrict Margahayu District 2010-06 Jalan Bekasi, West Java

Solo

7,920

Bhayangkara Tipes Subdistrict, Serengan District Surakarta, Central 2010-06 Jalan Java

홍성점 키즈부산점 삼양점 김포공항점 원주점 나주점 빅마켓 금천점 빅마켓 신영통점 계양점

5,794 14,807 5,643 10,734

2011-04-28 부산 부산진구 부암동 257 2011-10-07 서울 강북구 삼양로 247 2011-12-09 서울 강서구 방화동 886 롯데몰 김포공항 지하 1~2층

6,645

2011-12-29 강원 원주시 단계동 1123

Balikpapan

7,080

Ruhui Rahayu No.52 Gunung Bahagia Subdistrict South Balikpapan 2010-06 Jalan District Balikpapan, East Kalimantan

3,200

2012-05-03 전남 나주시 내동길 15

Gandaria City

6,850

KH. M. Shafi’I Hadzami (Masuk dari terowongan) Lantai Lower Ground / 2010-08-05 Jl LG, Unit L-03

11,560

2012-06-28 서울 금천구 두산로 71

Ratu Plaza

6,150

2010-10-07 B1F/ Ratu Plaza, Jalan Jenderal Sudirman, Jakarta, Indonesia

Bandung Festival City

6,150

2010-11-11 B1F/ Bandung Festival City, Jl. Peta No. 241, Bandung, Indonesia

빠나꾸깡점

6,930

2011-06-28 Jalan Boulevard Panakukkang, Kompleks Panakukkang Mas, Masale-Makassar

9,279

2012-09-13 경기 화성시 삼성1로 333

19,769

2012-09-13 인천 계양구 장제로 82

시흥점

6,400

2012-09-13 경기 시흥시 비둘기공원로 282

영통점

13,646

2012-11-01 경기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579

서청주점

10,926

2012-11-09 충북 청주시 흥덕구 2순환로 1004

상록점

6,499

2012-11-29 경기 안산시 상록구 반석로 8

남원점

7,035

2012-12-13 전북 남원시 춘향로 96

빈따로자야점

23,015

M.H. Thamrin CBD Area Kav. Blok B7 / 01-06 Bintaro Jaya Sektor 7 Kel. 2011-09-29 JL Pondok Jaya, Kec. Pondok Aren Tangerang Selatan - 15224

세랑점

7,000

2011-11-30 Jl. Mayor Syafei Kpg. Kepandean, Kel. Kagungan Kec. Serang, Serang (42114)

꾸닝안시티점

6,810

Prof. Dr. Satrio Kav. 18 Unit LG - 1 Kel. Karet Kuningan, Kec. Setiabudi 2011-12-15 Jl. Jakarta Selatan - 12940

파트마와티점

12,450

자따께점

RS. Fatmawati No. 15 Komp. Golden Fatmawati Kel. Gandaria Selatan, 2011-12-22 Jl. Kec. Cilandak Jakarta Selatan - 12420

청라점

9,898

2012-12-13 인천 서구 청라커낼로 252

빅마켓 도봉점

9,256

2013-02-28 서울 도봉구 마들로 645

버카시정션점

1,822 9,000 7,920

11,306

2013-02-28 서울 영등포구 영중로125

따만수리야점

9,240

TAMAN SURYA V BLOK DD -1 JALAN SATU MARET JAKARTA 2013-02-28 KOMPLEKS BARAT, Jakarta, 11460

Medan(소매)

6,712

Centre Point (Lower Ground), Jl. Jawa No.1, Gang Buntu, Medan 2013-07-18 Medan Timur, Medan 20235, Indonesia

Bogor

6,415

KH. Sholeh Iskandar, Kedungwaringin, Tanah Sareal, Bogor 16163, 2013-07-25 Jl. Indonesia

Solo Baru

3,805

2013-10-31 Lower Ground The Park Mall,Jl. Ir. Soekarno-Solo Baru, Sukoharjo

Cirebon

4,604

BRIGJEN DHARSONONO 27 RT 06 RW 10, SUNYARAGI KESAMBI, 2013-11-07 JL. Cirebon, Indonesia

2014-08-28 부산시 중구 중앙대로 2 롯데마트 광복점

Kelapa Gading(소매)

8,085

Bulevar Barat Raya Kelapa Gading Barat Subdistrict Kelapa Gading - Jalan District, North Jakarta

2014-10-16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찌모네점

8,656

City Mall lt. GF & UG Unit E1, Jl. Merdeka, Kel. Cimone Raya, Kec. 2014-06-12 Cimone Karawaci, Tangerang

빅마켓 영등포점 판교점

6,192

김해점

10,932

선부점

6,513

송도점 아산터미널점 광복점 월드타워점

10,671 8,043 12,774 8,645

2013-07-04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741

찌까랑점

2013-02-28 경남 김해시 부원동 부원역세권지구 A-1 2013-10-24 경기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1086번지 2013-12-17 인천 연수구 송도동 3-2 2013-12-19 충남 아산시 모종동 555-5

2012-06-14 Jalan Gatot Subroto Km 6 Kelurahan Keroncong, Kecamatan Jatiuwung 2012-07-26 JL. Gatot subroto rt 02/01 kp pilas kel Cikarang kota 2012-12-27 Jl. H. juanda No.115, Bekasi, 17112

빅마켓 킨텍스점

17,302

2014-11-05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1050-171

끄망점

1,300

Floor, La Codefin, Jl. Kemang Raya 8, Mampang Prapatan, Jakarta 2014-08-21 Ground Selatan

수원점

11,821

2014-11-27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124

반둥점

1,204

2015-04-16 인도네시아 자바섬 반둥시

김천점

6,655

2014-11-27 경북 김천시 시청로 80

따식말라야점

4,310

2015-11-26 인도네시아 자바섬 따식말라야시

신갈점

8,261

2014-12-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62

마벨시티점

4,479

2015-12-17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 수라바야시

8,754

2014-12-24 부산 기장군 기장읍 기장해안로 147

바탐점

4,433

2016-05-26 인도네시아 바탐섬

마스트립점

4,624

2016-06-16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시

빠꾸원몰점

5,740

사마린다점

-

2016-12-01 인도네시아 사마린다 2016-12-22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동부산점 거제점

15,300

2015-02-26 경남 거제시 서간도길 9-9

광교점

11,000

2015-04-22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센트럴타운로 85

양덕점

14,810

2015-12-03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용마로 133

뿌라무까점

5,572

진주점

-

2016-09-07 경남 진주시 동진로 440

마타람점

4,922

2019-10-17 인도네시아 서누사 가라주 롬복섬

시흥배곧점

9,718

2016-12-01 경기 시흥시 배곧2로 95

찌마히점

4,480

2019-11-27 인도네시아 자바섬 찌마히시

은평점

9,385

2016-12-08 서울 은평구 진관동 79-15 롯데몰 은평점 지하 1층~지상 2층

빠간사리점

4,099

2019-12-12 인도네시아 보고르시

2017-04-27 서울 영등포구 선유로 138

뜨갈점

3,801

2019-12-19 인도네시아 뜨갈시

2017-07-27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38길 12 마제스타시티 지하 1~2층

베트남

2017-09-15 경기 김포시 장기동 2031

남사이공점

15,854

2008-01-18 469 Nguyen Huu, Tho District7, HCMC 2010-07-01 940B, 3/2 Street, Ward15, Dist11

양평점

13,775

서초점

9,412

2016-11-10 인도네시아 자바 수라바야시

14개점

김포한강점

11,900

대구칠성점

35,600

2017-12-15 대구 북구 침산로 93 스펙트럼시티

푸토점

12,000

경기양평점

5,380

2018-03-13 경기 양평군 양평읍 남북로 76

동나이점

13,100

2012-11-29 Cong Hoa Str, Tan Binh Dist, HCM, Viet Nam

금천점

9,052

2018-12-13 서울 금천구 시흥대로 291 롯데캐슬 3차 지하 1층

다낭점

14,200

2012-12-21 HaiChau Ward. TP. Danang. Vietnam


빈증점

14,626

Seasons Binh Duong Apartment, Lai Thieu Ward, Thuan An City, Binh 2013-11-21 The Duong Province

모란점

판티엣점

12,230

2013-12-05 Phan Thiet Don Duc Thang Hung Vuong rotary

NC아울렛 ㈜이랜드리테일

동다점

12,814

2014-03-27 229 Tay son street. Dongda district. Hanoi

하노이센터점

253,000

붕따우점

10,962

떤빈점

9,352

껀터점

11,702

고밥점

19,273

엑스코점

2014-09-02 Duong Kim ma, Quan Ba dinh, HN, VN

2010-12-29 경기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3499

13,200

-

총 1개점 2012-09-21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668

세이브존 ㈜세이브존/세이브존I&C/세이브존리베라

2014-11-27 3 thang 2 street, vung tau 2014-12-18 Cong Hoa Str, Tan Binh Dist, HCM, Viet Nam 2015-10-15 베트남 메콩텔타 껀터시

화정점

9,804

울산점

16,345

2016-04-28 베트남 호치민시 고밥

노원점

9,900 10,890

총 9개점

1998-09-14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970 2001-01-11 울산 남구 삼산동 1377-8 2002-07-16 서울 노원구 하계동 284

나트랑점

7,902

2016-07-28 베트남 나트랑

성남점

꺼우져이

4,261

2019-02-26 베트남 하노이시 꺼우져이군

광명점

8,250

대전점

12,870

2002-07-16 대전 서구 둔산3동 1809

해운대점

15,840

2003-08-21 부산 해운대구 중1동 1380-14

부천상동점

21,450

2003-10-30 경기 부천시 원미구 상동 535-5

전주코아점

13,847

2011-03-23 전북전주시 완산구 서노송동 627-1

하나로마트 ㈜농협 점포명 관악농협 하나로마트 본점 농협양재유통센터

총 34개점

매장면적(㎡)

개점일

5,157

1993-03-12

11,880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 1369

1998-01-15

서울 서초구 청계산로 10

2002-07-16 경기 성남시 수정구 신흥 2동 2463-5 2002-07-16 경기 광명시 철산3동 367

하나로마트 용산점

4,274

1998-05-01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15-19

메가마트 ㈜메가마트

농협창동유통센터

14,526

1998-05-01

서울 도봉구 마들로11길 20

동래점

김천농협 하나로마트 본점

5,880

1998-09-08

경북 김천시 자산로 147

덕계점

3,782

1998-01-15 경남 양산시 덕계동 732

농협청주유통센터

7,590

1998-09-17

충북 청주시 상당구 무농정로 32

언양점

8,240

1998-07-23 울산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619-6s1

6,099

1999-12-18

전북 전주시 덕진구 비석날로 20

천안점

10,560

12,556

2000-08-30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43번길 11

울산점

13,200

농협전주유통센터

농협성남유통센터

12,705

농협군위유통센터

4,439

2001-01-12

경북 군위군 효령면 경북대로 2185

남천점

12,870

농협고양유통센터

27,857

2001-06-08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로 362

기장점

8,300

원주원예농협 하나로마트 본점

3,737

2001-09-08

강원 원주시 무실로 182

김해점

19,504

농협대전유통센터

5,521

농협달성유통센터 농협목포유통센터

2002-01-18

대전 중구 대둔산로199번길 43

11,766

2003-06-20

대구 달성군 화원읍 성천로 9

8,470

2003-08-22

전남 목포시 선곡로 33

농협수원유통센터

7,054

2003-10-10

경기 수원시 권선구 서부로 1937

하나로마트 부산점

10,909

2004-05-21

부산 북구 금곡동 금곡대로 469

농협김해유통센터

7,689

2005-11-25

경남 김해시 칠산로 128

하나로마트 부전점

3,342

2006-04-28

부산 부산진구 부전동 중앙대로783번길 14

영주농협 파머스마켓

3,043

2007-08-01

애틀랜타점

중계점

4,317

2007-02-02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유통단지로 23

춘천축산농협 하나로마트 퇴계점

3,585

2008-12-19

강원 춘천시 지석로 11

13,179

2009-05-29

울산 북구 진장유통로 90

7,471

2010-05-13

울산 울주군 범서읍 장검길 10

하나로마트 인천점

9,412

2010-06-08

인천 계양구 아나지로 341

속초농협 하나로마트 엑스포점 농협광주유통센터 안동봉화축협 하나로마 트 송하점 하나로마트 포항점 남창원농협 농산물 유통센터 농협삼송유통센터 거제축산농협 농산물 유통센터 농협양주유통센터

2002-07-26 부산 수영구 남천동 545-2 2010-06-28 부산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547-6 2012-09-03 경남 김해시 삼정동 378

1개점 6,993

2010-10-07 2106 PLEASANT HILL, DULUTH GA 30096 USA

2001아울렛 ㈜이랜드리테일

경북 영주시 구성로 25

울산원예농협 하나로마트 본점

1999-11-17 충남 천안시 신당동 452-5 2000-05-25 울산 북구 진장동 진장명촌지구 54블록 1로트

미국

내서농협 하나로마트 본점

농협울산유통센터

총 9개점(미국 1개점 포함) 1995-08-17 부산 동래구 명륜동 506-3

12,293

안양점

5,471

분당점

23,100

2002-05-01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11-1

수원점

26,400

2005-08-18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754-1

구로점

23,100

2005-12-01 서울 구로구 고척동 76-41

천호점

19,150

2006-05-31 서울 강동구 천호동 563

1997-11-01 경기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627-287

부평점

19,800

2006-10-24 인천 부평구 산곡3동 311-151

광명철산점

30,000

2008-02-28 경기 광명시 철산동 261

탑마트 ㈜서원유통

총 6개점

진주점

4,950

1997-01-24 경남 진주시 하대동 315

신평점

4,290

2000-01-20 부산 사하구 신평동 452-11

금사점

4,290

2000-09-01 부산 금정구 금사동 85-6

신다대점

3,300

2001-12-21 부산 사하구 다대2동 120-18

3,236

2010-09-15

강원 속초시 동해대로 4202

11,332

2011-07-14

광주 광산구 임방울대로 261

2011-09-01

경북 안동시 경동로 220

서진주점

12,835

2017-07-01 경남 진주시 새평거로 136

2012-04-26

경북 포항시 북구 장량로 171

대구점

15,570

2017-09-01 대구 중구 중앙대로 66길 20

2013-09-05

경남 창원시 성산구 가음로 100

코스트코홀세일 ㈜코스트코 코리아

2014-11-06

경기 고양시 덕양구 동송로 20

2015-09-09

경남 거제시 거제중앙로 1726

2017-08-31

경기 양주시 고덕로 280

3,534 3,141 5,558 12,540 4,059 19,386

양평점

10,804

대구점

16,028

1997-07-26 대구 북구 산격동 1817

대전점

15,167

1998-05-29 대전 중구 오류동 116-3

4,092

2019-01-18

경기 화성시 봉담읍 동화길 81-16

양재점

12,855

2000-12-12 서울 서초구 양재동 217-6

하나로마트 양산점

16,971

2019-04-30

경남 양산시 물금읍 증산역로 177

상봉점

12,841

2001-04-21 서울 중랑구 상봉동 81

총 16개점

일산점

13,200

2008-01-24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1312

2004-06-24 인천 남동구 구월동 1465-1

부산점

26,458

2009-07-08 부산 수영구 망미2동 475

39,523

2004-07-12 경기 평택시 비전2동 830

울산점

10,593(연면적)

2012-08-31 울산 북구 진장동 283-3

69,765

2004-09-14 경기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1039-3

광명점

18,900(연면적)

2012-12-14 경기 광명시 일직로 40

강남점

67,806

2004-09-17 서울 서초구 잠원동 70-2

의정부점

31,000(연면적)

2014-04-12 경기 의정부시 민락동 162-2

동수원점

61,554

2004-12-15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14-1

천안점

30,113(연면적)

2014-05-31 충남 천안시 서북구 차암동

산본점

11,642

2005-10-28 경기 군포시 산본동 1231

공세점

32,400(연면적)

2014-08-24 경기 용인시 기흥구 탑실로 38

순천점

24,804

2006-04-13 전남 순천시 조례동 758

송도점

47,000(연면적)

2017-01-09 인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230번길 60

광명점

25,483

2006-01-17 경기 광명시 하안동 38

대구혁신도시점

64,746(연면적)

2018-03-07 대구 동구 첨단로 10

괴정점

22,969

2006-04-29 부산 사하구 괴정3동 961-1

세종점

33,044

울산성남점

10,614

2006-11-09 울산 중구 성남동 249-1

하남점

5,0280(연면적)

창원점

67,290

2006-09-07 경남 창원시 팔용동 30-1

안산점

33,000

2008-10-01 경기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33

인천점

56,889

평택점 평촌2점

9,900

부천점

24,000

2009-09-23 경기 부천시 원미구 상동 539-1

덕천점

12,429

2010-05-04 부산 북구 덕천동 398-2

리치마트 신성통상㈜

7,600

2010-06-30 인천 남동구 논현동 650

양주점

인천논현점

2018-08-31 세종 종합운동장1로 14 2019-04-30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중앙로 40

동아마트 ㈜이랜드리테일 수성점

3,960

총 16개점

1994-10-07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 3가 65

하나로마트 봉담점

뉴코아아울렛 ㈜이랜드리테일

총 8개점

1997-01-30 서울 노원구 중계동 509

총 1개점 2000-01-21 대구 수성구 수성4가 1090-8

총 1개점 1997-08-14 경기 양주시 덕계동 694


2020

4 APRIL

발행일

2020년 4월 1일

통권

530호

등록번호

서초 라 00077(1975. 11. 25)

발행인・편집인

허영재

발행처

㈜코카리테일인사이트 (06670)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63, 7층

제보, 구독

02-522-1271

광고

02-522-1271(내선 203)

팩스

02-522-1275

홈페이지

www.retailing.co.kr

편집위원

권순욱 | 홈플러스 그로서리상품본부장 김병찬 | 서원유통 부사장 남창희 | 롯데슈퍼 대표 선보경 | 올리브영 브랜드사업부장 장중호 | 홈플러스 전략마케팅부문장 박남주 | 풀무원식품㈜ 대표

정기구독 안내

박상렬 | 유한킴벌리 고객사업부문장 유제민 | 동서식품 부사장

신청 방법

전화로 정확한 주소, 성함, 연락처를 알려주신 후 무통장

한영아 | SPC삼립 경영전략 총괄 부사장

입금하시거나, 홈페이지를 통해 정기구독 신청을 하실 수

박진용 | 한국유통학회장(건국대 교수)

있습니다. 지로 용지로 입금을 원하실 경우 개별 발송해

심현보 | AT커니 파트너

드립니다.

이경희 | 이마트 유통산업연구소 소장

정기구독료 11만 원(2개월 할인가) 한 권 1만 1천 원

김윤태 | 한국온라인쇼핑협회 부회장 염규석 | 한국편의점협회 부회장

해외구독료 구분

지역

구독료

1지역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153,000원

2지역

동남아시아

163,000원

3지역

북미, 유럽, 중동, 호주 등

176,000원

4지역

동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등

210,000원

취재기자

정성욱・장소형・이제만

객원기자

박영임

마케팅

이영일

해외통신원

황지영(미국) 권윤정(일본)・김창주(일본)・홍정화(일본) 김샛별(영국)・차재민(영국)・배혜진(프랑스)・이채원(프랑스)

계좌번호 | 국민은행 928737-01-025089 (예금주 : ㈜코카리테일인사이트) 지로번호 | 3184871 연락처 | TEL | 02-522-1271~4(내선 2) | FAX | 02-522-1275 홈페이지 | www.retailing.co.kr

•리테일매거진은 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의 윤리강령을 지키며, 한국잡지협회의 잡지 판매 공정경쟁 규약을 준수합니다. •리테일매거진에 게재된 외부필자 원고는 리테일매거진 편집부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무단 복제와 전재를 금합니다.

조성선(독일)・주진영(중국)・권정숙(홍콩) 민병훈(캐나다)

디자인

㈜그리고나무(02-2268-2592)

대표

김후정

아트디렉터

정혜경

디자이너

김민희・김동선

객원디자이너

이보라

사진

김장현

출력, 인쇄

삼화인쇄(주)

인쇄인

유성근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