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Docs 2014 catalogue

Page 1

DMZ메인카탈로그표지 2014.9.11 7:9 PM 페이지1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7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9

Sponsors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0

Contents 목차

011

포스터 / 로고

Official Poster / Official Logo

012

트레일러

Official Trailer

013

축사 및 인사말

Greetings & Message

018

조직위원회 및 집행위원회

Organizing Committee & Excutive Committee

019

영화제 스태프

Festival Staff

020

자원활동가

Volunteers

021

시상내역

Awards

022

심사위원

Jury

026

개막작

Opening Film

029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055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075

청소년경쟁

Youth Competition

089

글로벌 비전

Global Vision

109

아시아의 시선

Asian Perspective

125

한국다큐쇼케이스

Korean Docs Showcase

155

올어바웃다큐

All About Docs

173

마스터즈 : 마크 칼린 회고전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92

파사주

Passage

224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특별전

Italian Documentary Special

233

Hot Docs 특별전

Hot Docs Strand

240

한센촌 프로젝트 제작지원작

Hansenchon Project

241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수료작 특별상영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247

DMZ프로젝트마켓

DMZ Project Market

256

Docs for Edu

Docs for Edu

258

프로그램 부대행사

Program Events

262

특별행사

Special Events

264

도움 주신 분들

Acknowledgements

266

필름 & 테이프 제공처

Print Source

270

작품 색인

Index of Films

272

감독 색인

Index of Directors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1

Official Poster / Official Logo 포스터 / 로고

집행위원 이광기의 주도 하에 캘리그라퍼 이화선이 재능기부! 둥근 지구촌과 DMZ의 평화기원, 하늘을 나는 흰기러기로 평화 상징! 더 활짝 날개를 펼칠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표현! 올해 공개한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의 포스 터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를 향할 DMZ국제다큐 영화제의 미래를 표현하고 있다. 이미 몇 년 전 부터 DMZ국제다큐영화제의 집행위원을 맡고 있는 배우 이광기의 주도하에 캘리 그라퍼 이화 선이 재능 기부한 올해의 포스터는 아시아로 다 큐의 빛을 발할 DMZ국제다큐영화제를 형상화 하였다. 캘리그라퍼 이화선은 한글세계화협 회 장을 역임하고 캘리그라피 붓향의 대표로, 포스 터의 의미에 대해 둥근 선의 느낌은 지구촌을 형 상화하였고 인생과 평화를 갈망하는 마음을 표 현하였으며 마스코트인 흰기러기의 역동적인 움직임으로 영화제의 비전인 평화, 소통, 생명을 상징화했다고 설명했다. 사단법인으로 독립하여 새롭게 출발하는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의 이미지와 더불어 아시 아 다큐의 대표 영화제로 나아갈 목표를 올해의 포스터에 모두 담고 있는 것. 제6회 DMZ국제다 큐영화제는‘아시아 다큐의 빛, DMZ Docs’ 라는 슬로건 아래 총 111편의 국내외 걸출한 다큐멘 터리를 소개할 예정이다. 포스터 | 이화선 현재 한국 캘리그라피 디자인센터에서 주관하는 정부 에 정식 등록된 유일한 캘리그라피 자격증 전국 검정위 원중 한 명으로,‘ 한글세계화협회장’ 과 캘리그라피‘붓 향’ 의 대표를 역임하고 있다. 2011년 중도일보‘ 중도 60년 희망 60인’ 에 선정되었고, 2014년에는 밀라노 “ Festival dell ’ oriente”초청무대 공연 및 강연회를 가 졌다. 이화선 캘리그라퍼의 재능기부, DMZ를 각각 태 양, 산천, 길을 형상화! 포스터의 캘리그라피는 태양, 산천, 길을 형상화한 것으로, 아시아를 넘어 세계를 향 할 영화제의 미래를 표현하고 있다. 이화선이 재능 기 부한 캘리그라피는 올해 서브 포스터에 사용되는 등 영 화제를 대표하는 디자인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11

Festival Committee member Lee Kwang-gi arranges for calligrapher Lee Hwa-seon to donate talent! The round earth, prayer for peace on the DMZ and a bird in flight symbolize peace! All depicting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hich spreads its wings out even further! The poster for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expresses the future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hich reaches out to the world beyond Asia. LEE Kwang-gi, who has been serving on the Executive Committee arranged for calligrapher LEE Hwa-seon to donate her talent for this year’s poster, which represents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shining the light of documentaries in Asia. Calligrapher LEE Hwa-seon, who heads Calligraphy boot-hyang and is also the president of the Hangul Globalization Association, explained that the round lines represent the global village and the desire for life and peace while the dynamic movements of the bird, which is the mascot for the film festival, signifies peace, communication, and life, which stand for the film festival’s vision. The image of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hich makes a fresh start as a corporation, and its goal of becoming the most noted documentary film festival in Asia are all contained in the poster. The slogan for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s set to introduce 111 documentaries from Korea and abroad under the slogan of ‘Light of Asian Documentary, DMZ Docs’ Poster | LEE Hwa-seon The only individual to hold an official license as a calligrapher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nd sponsored by the Korea Calligraphy Design Center, LEE Hwa-seon is the president of the Hangul Globalization Association and Calligraphy boothyang and was chosen as one of the 60 figures of hope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Jungdo Ilbo in 2011. She was invited to give performances and lectures at the Festival Dell Oriente in 2014 in Milano. She donated her talent to symbolize the DMZ in the form of the sun, rivers, mountains, and roads! The calligraphy on the poster contains the images of the sun, rivers, mountains and roads to be used as the main design for the film festivals in various forms including additional posters.

Official Poster / Official Logo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2

Official Trailer 트레일러

DMZ국제다큐영화제의 집행위원장으로서 배우 조재현이 직접 기획, 연출한 올해의 트레일러는 특별히 프랑스 파리에서 제작되었다. 조 재현위원장이 직접 메가폰을 쥐고 촬영현장을 진두지휘 하여 지난해 에 이어 직접 연출한 두 번째 트레일러를 선보였다. 지난해에는 실제 폐지를 줍는 노인과 실향민 할머니의 하루 일과를 통해 분단과 생명이 공존하는 곳인 DMZ(비무장지대)의 이질적인 모 습을 담아낸 트레일러를 제작, 그 작품은 <김성수 할아버지의 어느 특별한 날>이라는 제목으로 제31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에서 정식 상영된 바 있다. 올해의 트레일러는 파리 샤를드골 국제공항 근처에 위치한, 지금은 폐허가 된 마을의 옛 성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머리가 짧은 중성적 느낌의 한 여성이 지금은 평화롭지만 역사와 세월의 흔적을 안고있 는 무덤가를 지나 폐허가 된 옛 성터에 다다른다. 그리고 내면에 담긴 갖가지 다양한 감정을 얼굴표정으로 표현하여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는 다큐멘터리영화를 통해 관객과 바로 옆에 실재하는 우리의 생명과 삶의 이야기를 영화제를 통해 소통하 겠다는 의미를 이 트레일러를 통해 표현했다.

Official Trailer

This year’s trailer was produced by Festival Director CHO Jae-hyun in Paris, France. He led a film crew once again to follow up with his first trailer last year. Last year’s trailer dealt with the daily life along the DMZ(Demilitarized Zone) of an old man who collects garbage and his wife who left her home behind in the north. It was titled His Special Day and was screened officially at the 31st Busan International Short Film Festival. The backdrop for this year’s trailer is an old castle in an abandoned town near the Charles De Gaulle Airport, Paris. A woman with short hair and a genderless image passes a now peaceful graveyard that bears the traces of history and time and arrives at the old, rundown castle. She expresses various emotions through her face. The trailer for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conveys the film festival’s purpose of communicating through documentaries the stories of life and our lives which exist right next to the audience.

1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3

Greetings 축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종덕 Minister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KIM Jong-deok

제6회를 맞이하여 새롭게 도약하는 DMZ국제다큐영화제의 개막을 축하합니다. DMZ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매우 상징적인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 에 생태계의 보고이기도 합니다. 이에 세계 유일의 민족 분단의 상흔 인 DMZ와 다큐멘터리의 만남은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DMZ국제다큐영화제가 사단법인으로 독 립해 좀 더 안정적인 국제영화제로 발돋움하고, 한 단계 도약하고 있 다는 점에서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해를 거듭하면 서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으로 다 큐멘터리 영화제 본연의 특색을 갖추어 가는 모습에 더욱 큰 기대를 가집니다. 아울러 DMZ국제다큐영화제가 다양한 다큐멘터리를 소개하는 상영 행사에만 그치지 않고, 한국과 아시아의 우수한 다큐멘터리를 발굴, 지원하는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해 가는 모습은 다큐멘터리 제작 활 성화에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봅니다.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한 편의 다큐멘터리는 그 자체로 세상을 보는 창이고, 동시대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그만큼 한 편의 다큐멘터리가 인생의 중요한 좌표가 될 수 있고, 생명과 소통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준비를 위해 애써주신 스태프와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법인으로 독립하 게 된 것을 계기로 DMZ국제다큐영화제가 세계적인 영화제로 성장 하기를 기원합니다.

13

Congratulations on the grand opening of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Not only is the DMZ considered a symbolic area which is noticed globally, it is also a repository of the ecosystem. In many ways, the DMZ serves as a sad reminder of the past, representing a scar on a nation divided by conflict. The fact that documentaries have met the DMZ is indeed very meaningful. I am happy that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stood on its own and stepped up to the next level, establishing itself as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urthermore, as the years go by,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organized various programs that can attract many people, and I have high expectations on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s it is growing into a distinctive documentary film festival. In addition, aside from introducing diverse documentaries, the way that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iscovers and supports excellent documentaries all over Korea and Asia is certainly inspiring to the vitalization of documentary production. Based on reality, a documentary is a window to the world and a reflection of coexistence. To that extent, a documentary can turn into an important coordinate in your life, and gives us the opportunity to realize the true value of life and communication. I want to extend my thanks to all the staff, authorities of Paju City, Goyang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at have exerted great effort in preparing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Now that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s independent from the corporation, I wish you to evolve into a world-wide film festival.

Greetings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4

Message 인사말 DMZ국제다큐영화제 조직위원장, 경기도지사

남경필 Chairman of DMZ Docs,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NAM Kyung-pil

국내외 영화인 여러분! 반갑습니다.

Greetings to filmmakers from Korea and around the world!

DMZ국제다큐영화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elcome to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 평화ㆍ생명ㆍ소통”을 주제로 대한민국 대표 다큐멘터리 영화제로 자리매김한 DMZ국제다큐영화제가 올해부터 경기영상위원회에서 독립된 단체로 첫 발걸음을 내딛게 된 것을 축하드립니다.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는 전세계 30개국에서 온 다양한 매력을 가진 111편의 다큐멘터리가 상영됩니다. 특히 올해는 그간 DMZ프로젝트마켓을 통해 지원 받은 9편의 다큐 멘터리가 상영되는 뜻 깊은 해입니다. 어느새 6회를 맞이한 DMZ국제다큐영화제는 아시아 다큐의 발굴과 지원이라는 목표를 향해 착실하게 성장해 왔습니다. 한국과 아시아 신진 감독들을 발굴하는 올해 DMZ프로젝트마켓에서는 24편의 프로젝트가 피칭을 통해 관객과 만날 준비를 하게 됩니다. 또한 올해 DMZ국제다큐영화제는‘ 마스터즈’ ‘파사주’ , 섹션을 통해 다큐멘터리 영화제로서의 색깔을 명확히 하는 한편, 조재현 집행위 원장이 상영 전 도슨트로 참여하여 작품을 소개하는‘올어바웃다큐’ 섹션을 편성하여 관객들이 보다 편안하게 다큐멘터리와 만날 수 있도록 가까이 다가갈 예정입니다. 또한 고양시, 파주시 일대에서는 DMZ국제다큐영화제와 연계한 영화 와 교육 등 다채로운 행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청량한 가을바람을 맞으며 소중한 분들과 생명과 평화의 가치를 공감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 다큐 영화 축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established itself as Korea’s major documentary film festival with its theme of ‘peace, life and communications’. Congratulations on taking the first step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separating from the Gyeonggi Film Commission as of this year. This year,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ill present 111 diverse and intriguing documentaries from over 30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year is also especially meaningful in that 9 documentaries supported by the DMZ Project Market will be screening for the first time.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grown steadily to achieve the goal of discovering and supporting the documentaries of Asia. As such, the DMZ Project Market, which discovers Korea and Asia’s new, promising directors, has 24 projects all ready to meet with the audience through pitching sessions. Additionally,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tried to become a distinctive film festival by organizing ‘Masters’ and ‘Passage’ section. Thus in the newly created section ‘All about Docs’, Festival Director CHO Jae-hyun will participate in order for the audience to understand documentaries easily. Films and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ve also been arranged for you around Goyang City and Paju City. Please give us your interest and support. I invite you all to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 place where you can empathize with the true value of peace, life and communication with your loved ones as you enjoy the brisk breeze of fall.

Message

1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5

Message 인사말 DMZ국제다큐영화제 부조직위원장, 고양시장

최성 Vice Chairman of DMZ Docs, Mayor of Goyang City

CHOI Sung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는‘ DMZ국제다큐영화제’개막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함께해 주신 국내외 영화인 여러분께도 따뜻한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지난 8월 고양시는 대한민국에서 10번째로 인구 100만 거대 도시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고양시에서 새로운 영상 문화를 창조하고, DMZ 의 가치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100만 고양시민과 함께 축하를 드립니다. 특히, 다가오는 통일한국의 실질 적인 수도 역할이 잠재되어 있는 2020년 평화통일특별시의 위상과 비전을 착실하게 다져나가는 고양시에서의 DMZ국제다큐영화제는 더욱더 의미 있어 보입니다. DMZ국제다큐영화제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전 세계 많은 영화인들이 참여하는 수준 높은 영화제로 성장하였습 니다. 이제 우리 모두가‘ DMZ국제다큐영화제’ 를 더욱 발전시켜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하고 평화와 생명, 소통이라는 DMZ의 가치를 담은 특색 있는 축제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고양시는 앞으로 도‘DMZ국제다큐영화제’ 의 발전에 각별한 관심과 애정으로 함께 할 것입니다. 이는 가까운 미래에 동북아 방송영상미디어 산업의 메카가 되겠다는 고양시의 열정어린 의지이기도 합니다. 이번 영화제를 준비하신 조재현 집행위원장과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를 드립니다. 다시 한 번‘DMZ국제다큐영화제’ 의 개막을 축하 드리면서 인류에게 평화를 전달하는 세계적 축제로 발전하기를 기원 합니다. 감사합니다.

Congratulations on the 6th Anniversary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 warmest welcome to all filmmakers from all over the world. Last August, Goyang City became the 10th largest city in South Korea with a population of a million. Together with the citizens of Goyang City, I am honored to create novel media culture and moreover to signify the value of the DMZ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from here in Goyang City. I believe it is very meaningful to run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n Goyang City, a substantive city with inner potential to become a capital of the unified Korea, which steadily consolidates the high status and vision of a 2020 Peace and Unification City. Even with a short history,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developed into a sophisticated film festival that many peace loving filmmakers participate in. Therefore, we should all help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grow into a unique one that combines artistry and popularity, along with the values of the DMZ, namely peace, communication, and life. Goyang City promises you that we will continue with its special interest and deep affection towards the development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is is also a testament to Goyang’s dedication to becoming a mecca for broadcasting and visual media in the Northeast in the near future. I want to say a special word of thanks to Festival Director CHO Jae-hyun and all the staff for their hard work in preparing this film festival. I congratulate you Once again on the opening of this year’s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I wish for it to grow into a truly international festival that delivers peace to humanity. Thank you.

15

Me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6

Message 인사말 DMZ국제다큐영화제 부조직위원장, 파주시장

이재홍 Vice Chairman of DMZ Docs, Mayor of Paju City

LEE Jae-hong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에 참여해주신 여러분, 진심으로 환영합 니다. DMZ국제다큐영화제의 비전은‘ 평화ㆍ소통ㆍ생명의 DMZ ’ 입니다. 세계 유일의 분단지역인 DMZ는 겉으로는 분단의 고통과 단절을 상 징합니다. 그러나 전쟁의 상처 속에서 자연의 놀라운 복원력을 발휘 해 생태계의 보고로 탈바꿈하였고, 남북교류협력의 중심지이자 평화 를 꿈꾸게 하는 의미있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파주에 접해있는 DMZ는 생태ㆍ안보ㆍ역사 관광지로 각광 받고 있으 며, 캠프그리브스ㆍ임진각ㆍ제3땅굴ㆍ도라전망대 등이 있어 남북한 분 단의 현장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성공단으로 이 어지는 통일로가 있는 남북교류협력의 중심지이며 , 세계평화공원의 후보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징성을 갖고 있는 DMZ을 주제 로한 평화ㆍ소통ㆍ생명의 메시지가 담긴 영화제는 평화를 염원하는 우리에게 더욱 절실합니다. 파주는 DMZ국제다큐영화제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 으로 2009년 첫 시작부터 함께 하였으며, 이 영화제를 후원하는 것을 자랑스러운 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DMZ국제다큐영화제를 위한 관계자 여러분의 아낌없는 노고에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파주에서 싹튼 이 영화제가 평화와 통일염원 의 상징으로서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 다큐의 빛으로 발전하길 기원 합니다.

Message

Welcome everybody here for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e vision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s ‘peace, communication, and life’. Being the only divided region in the world, the DMZ symbolizes the agony and severance of a nation’s division on the surface. However, nature’s remarkable ability to restore amidst the scars of war has turned it into an exemplary ecosystem and a symbolic place that stands for exchange North and South Korea and peace. The DMZ, which borders Paju, stands out as a tourist attraction for ecology, national security and history. Because Camp Greaves, Imjingak, the Third Infiltration Tunnel, Dora Observatory are located nearby, you can experience the division site of North and South Korea. Furthermore, Paju is the center of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where Tongil-ro (Unification Road) is connected to the Gaesung Complex and is expected to be a proposed site for the World Peace Park. To all of us who are longing for peace, this film festival with its symbolic characteristics, conveying the message of ‘peace, communication, and life’ is desperately needed. Paju has been with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since it first opened in 2009 to pray for peace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and we are very much honored to sponsor this film festival. We thank all the staff for their unstinted effort and pray that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which was first born in Paju, will grow into one that symbolizes peace and unification, shedding the light of documentaries throughout the world beyond Asia.

1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7

Foreword 서문 DMZ국제다큐영화제 집행위원장

조재현 Festival Director

CHO Jae-hyun

‘평화, 생명, 소통’ 이라는 메세지는 다큐멘터리가 태생적으로 담고 자 하는 하나의 태도이자, 삶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이기도 합니다. DMZ국제다큐영화제는 지난 5년간 이러한 태도와 질문을 통해서 다 양한 소재와 주제를 아우르는 다큐멘터리 작품들을 소개해 왔습니 다. 또한 <두 개의 문>,<거미의 땅>,<잡식가족의 딜레마>,<Jam Docu 강정>,<자, 이제 댄스타임> 등 우리사회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는 작품들과 사회참여적 태도로 삶의 부조리와 사회적 모순을 고발 하는 작품을 꾸준히 제작지원 하였습니다. 그 결과 올해는 커다란 결 실을 거두게 된 첫 해인 것 같습니다. 작년 DMZ프로젝트마켓을 강 화하면서 아시아를 비롯한 한국다큐멘터리 제작지원에 관한 장기적 인 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올해는 9편의 제작지원작이 완성되어 그 중 8편이 영화제를 통해서 처음으로 공개 됩니다. 새로운 시작은 언 제나 설렘과 함께 기대와 열망의 메세지를 던집니다. DMZ Docs 제 작지원작들이 다양한 루트를 통해서 전 세계 관객들에게 소개 될 수 있도록 배급지원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예정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제작지원작 중에서 올해의 개막작을 선정하게 된 것 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다큐멘터리의 새로운 담론을 형 성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다큐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올해는 아시아를 비롯한 많은 해외 감독들이 영화제를 방문합니다. 한국과 해외 감독들이 교류할 수 있 는 네트워크 미팅과 포럼을 통해서 다큐멘터리 제작의 지역적, 정치 적 연관성을 논의하고 다큐멘터리 제작의 대안적 연대 가능성도 함 께 고민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 아 다큐멘터리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다양한 주제와 그들만의 미학적 접근방식은 매우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 막으로 올해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선보이게 될 총 111작품들이 여러분의 영화적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게 만들고, 우리 사회의 아픔 을 치유하는데 힘이 되었으면 합니다. 당신의 삶을 변화시킬 다큐멘 터리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7

‘Peace, Life and Communication’ is the original attitude that a documentary fundamentally aspires to encompass as well as a fundamental question to life.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s introduced documentaries with diverse themes and subjects through this attitude and question for the past 5 years. Also, we have consistently supported the production of documentaries like 2 Doors, Tour of Duty, The Omnivorous Family, Jam Docu Gangjeong, Let’s Dance which expose the bare reality of our society and criticize social absurdities and irrationalities in life I believe this year is the first year to see great fruition of our efforts. We reinforced the DMZ Project Market last year and proposed a long-term vision for supporting documentary filmmaking in Korea and throughout Asia. This year, 9 projects were completed, of which 8 will be world premier at the film festival. A new start always brings titillating anticipation as well as a message of expectation and aspiration. We plan to organize various programs along with distribution support in order for the projects supported by DMZ Docs to be introduced through diverse routes to audiences world-wide. As such, it is indeed significant that we selected the opening film from among these films. We will work hard to become a documentary platform for new discourse on Korean documentaries and where education and support are provided consistently. Numerous directors from around the world are visiting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this year. We have also prepared networking meetings and a forum for filmmakers of Korea and abroad to interact and exchange thoughts on geographical and political relations and ponder over possibly coming up with alternative ways of working together to produce documentaries. I especially think that the diverse themes and their aesthetic way of approaching the topic in showing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Korean and Asian documentaries are closely related. Lastly, I hope that the 111 films to be presented to you will help you discover cinematic happiness and furthermore contribute to healing the sufferings of our society. I invite you into the world of documentaries which will change your life.

Foreword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8

Organizing Committee & Excutive Committee 조직위원회 및 집행위원회

조직위원회 Organizing Committee 집행위원회 Executive Committee 조직위원장 Chairman 남경필 NAM Kyung-pil 경기도지사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집행위원장 Festival Director 조재현 CHO Jae-hyun (배우, 교수)

부조직위원장 Vice Chairman 최재성 CHOI Sung 고양시장 (Mayor of Goyang City)

부집행위원장 Vice Festival Director

이재홍 LEE Jae-hong 파주시장 (Mayor of Paju City)

정상진 JUNG Sang-jin ((주)씨에이엔 대표이사)

조직위원 Organizing Committee Members

집행위원 Executive Committee Members

고문중 KO Mun-jung (고양상공회의소 회장)

김동원 KIM Dong-won (다큐멘터리 감독)

김동호 KIM Dong-ho (문화융성위원회 위원장)

김재훈 KIM Jae-hoon (경기도 문화산업과 과장)

김방자 KIM Bang-ja (경기방송 대표이사)

배상호 BAE Sang-ho (고양시 첨단지식산업과 과장)

김인환 KIM In-hwan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 원장)

서민원 SEO Min-won (다큐멘터리 감독)

김정태 KIM Jeong-tae (하나금융그룹 회장)

서용우 SEO Yong-woo ((사)DMZ국제다큐영화제 사무국장)

김재훈 KIM Hoon (소설가)

이재은 LEE Eun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회장. 명필름 대표)

김희겸 KIM Hee-kyum (경기도 행정2부지사)

이광기 LEE Kwang-gi (방송인)

서병문 SEO Byeong-mun (경기콘텐츠진흥원 이사장)

조진화 CHO Jin-hwa (영화나눔협동조합 부이사장)

손재숙 SON Sook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이사장, 연극인)

주재현 JOO Jae-hyun (변호사)

안성기 AHN Sung-ki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집행위원장, 영화배우)

최창의 CHOI Chang-ui (행복한미래교육포럼 대표)

안태경 AHN Tea-kyoung (고양문화재단 대표이사)

한우정 HAN Woo-jung (대진대학교 영화과 교수)

이순재 LEE Sun-jae (방송인, 연극인)

허재욱 HEO Wook (용인대학교 영화과 교수)

이준익 LEE Joon-ik (영화감독)

홍순철 HONG Soon-chul (SBS 편성전략본부장)

이진수 LEE Jin-soo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

(가나다 순)

이춘연 LEE Choon-yun (영화인회의 이사장) 이필구 LEE Pil-koo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조재록 CHO Jae-rok (경기농협본부장) 조재현 CHO Jae-hyun (DMZ국제다큐영화제 집행위원장) 최창모 CHOI Chang-mo (건국대학교 히브리중동학 교수) 황준기 HWANG Joon-gi (경기관광공사 사장) (가나다 순)

Organizing Committee & Excutive Committee

1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19

Festival Staff 영화제 스태프

사무국장 General Manager 서용우 SEO Yong-woo

프로그래머 Programmer 전성권 JEON Sung-kwon

프로젝트마켓팀 DMZ Project Market Dept.

행정지원 Administration Support

팀장 Manager 박부식 PARK Bu-sik

경기도청 문화산업과 Gyeonggi Provincce Government, Cultural Industry Division

임성철 LIM Sung-chul 남진현 NAM Jin-hyun

기획운영팀 Management Dept. 박지영 PARK Ji-young 한송연 HAN Song-yeon

프로그램팀 Program Dept.

이한종태 LEE HAN Jong-tae

팀장 Manager 장봉수 JANG Bong-su

박새봄 PARK Sae-bom

신용덕 SHIN Yong-duck

이유리 LEE Yu-ri

이대열 LEE Dae-yeol

황규호 PANG Gyo

김나윤 KIM Na-yun

신주희 SHIN Joo-hee 고양시청 Goyang City Hall

팀장 Manager 박혜미 PARK Hye-mi

기술팀 Technical Dept.

김신재 Claire Shinjae KIM

팀장 Manager 정승호 CHUNG Seung-ho

심윤정 Mika SHIM 성다은 SEONG Da-eun 김주아 KIM Joo-a

초청팀 Hospitality Dept. 성주현 Julie juhyun SUNG 권영림 KWON Young-rim 손경환 SON Kyung-hwan

홍보팀 Publicity Dept. 김재민 KIM Jae-min 정세아 JUNG Se-ah 김희나 KIM Hee-na

주연우 JU Yeon-u

팀장 Manager 박성강 PARK Seong-kang 박천재 PARK Cheon-jae 원청연 WON Cheong-yeon

민대식 MIN Dae-sik 윤지은 YUN Ji-eun

파주시청 Paju City Hall

손반디 SON Ban-Di

과장 Director 황수진 HWANG Su-jin

손민정 SON Min-jung 나일선 NA Il-sun

팀장 Manager 이귀순 LEE Gwi-sun

오영주 OH Young-ju

자막번역 Translation 하성철 Jake HA 여은정 billie YEA 서영지 SEO Young-ji 이선영 LEE Sun-young

행사팀 Event Planning Dept. 팀장 Manager 유경혜 Kay YOO 문정민 MOON Jung-min

한송이 Song-y HAN 최진화 Choi Zinzin

언론홍보 PR Management 아담스페이스 Adam Space

자원활동팀 Volunteers Dept. 하승현 HA Seung-hyun

19

Festival Staff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0

Volunteers 자원활동가

프로그램팀 Program Dept.

운영팀 Management Dept.

기술팀 Technical Dept.

김민경

KIM Min-kyoung

강문영

KANG Mun-young

고우정

KO Woo-jung

김주리

KIM Ju-ri

김미덥

KIM Mi-dub

김다영

KIM Da-young

김태연

KIM Tae-yeon

김수연

KIM Soo-yeoun

김선경

KIM Sun-kyung

서정아

SEO Jung-a

김희진

KIM Hee-jin

김주혜

KIM Ju-hye

이가은

LEE Ka-eun

맹상현

MAENG Sang-hyun

신예지

SHIN Ye-ji

이선영

LEE Seon-young

백유경

PAIK You-kyoung

이광현

LEE Kwang-hyun

이주선

LEE Joo-sun

신은랑

SHIN Eun-rang

이지혜

LEE Ji-hye

정문규

JUNG Moon-gyu

유수현

YOU Su-hyeon

이명성

LEE Myung-sung

허윤정

HEO Yun-jeong

이동호

LEE Dong-ho

정윤정

CHUNG Yun-chung

현승주

HYUN Seung-ju

이두형

LEE Doo-hyeong

민성재

MIN Sung-jae

이민지

LEE Min-gee

초청팀 Hospitality Dept.

이예림

LEE Ye-lim

홍보팀 Publicity Dept.

강권이

KANG Kwon-yi

주한솔

JU Han-sol

김선영

KIM Sun-young

강원일

KANG Won-il

최민희

CHOI Min-hee

김태희

KIM Tae-hee

강태은

KANG Maria

최윤지

CHOI Yun-ji

김한솔

KIM Han-soul

김선엽

KIM Sun-yub

최지현

CHOI Ji-hyeon

김현진

KIM Hyeon-jin

김시연

KIM Si-yeon

허윤정

HEO Yun-Jeoung

염수정

YEOM Soo-jung

김은선

KIM Eun-sun

이선연

LEE Sun-yeon

양정석

YANG Jung-seok

퍼포먼스팀 Performance Dept.

이지혜

LEE Jee-hye

이지선

LEE Ji-sun

박수영

PARK Soo-young

정지은

JEUNG Ji-eun

이혜지

LEE Hye-jee

박윤수

PARK Yoon-soo

주현지

JU Hyeon-ji

전예나

JUN Yea-na

심희은

SHIM Hee-eun

조현진

CHO Hyun-jin

조유나

CHO U-na

조효연

JO Hyo-yeon

최유나

CHOI Yu-na

최고은

CHOI Go-eun

황혜빈

HWANG Hye-bin

최미선

CHOI Mi-seon

최선모

CHOI Seon-mo

상영관팀 Theater Management Dept.

최혜임

CHOI hye-im

김나연

KIM Na-yeon

현은초

HYUN Eun-cho

김소현

KIM So-hyun

박사랑

PARK Sa-rang

마켓팀 DMZ Project Market Dept.

배희원

BAE Hui-won

권새하

KWON Sae-ha

이은비

LEE Eun-bee

권윤선

KWON Deborah

이지은

LEE Ji-eun

김주혜

KIM Ju-he

이현준

LEE Hyun-jun

박길성

PARK Gil-seong

임채준

LIM Chae-jun

박수민

PARK Soo-min

전상현

JEON Sang-hyeon

조민수

CHO Min-su

정유원

JEONG Yu-won

황신혜

HWANG Sin-hye

Volunteers

2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1

Awards 시상내역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흰기러기상(대상)

White Goose Award

국제경쟁 부문에 상영된 전세계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 중 평화,

A cash of KRW 15,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best film

생명, 소통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최우수 작품을 선정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하여 상금 15,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Special Jury Award

심사위원 특별상

A cash of KRW 7,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second

국제경쟁 부문에 상영된 전세계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 중 우수

best film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7,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

Best Korean Documentary Award

한국경쟁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A cash of KRW 10,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best film

상금 10,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in the Korean Competition section.

심사위원 특별상

Special Jury Award

국제경쟁 부문에 상영된 전세계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 중

A cash of KRW 5,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second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상금 5,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best film in the Korean Competition section.

관객상

Audience Award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협찬

※ Supported by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국제경쟁 및 한국경쟁 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관객들에게

A cash award of KRW 3,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던 작품을 관객들의 투표로 선정하여 상금

favorite film voted by audience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3,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Korean Competition section.

청소년 경쟁

Youth Competition

최우수상

Best Youth Documentary Award

청소년경쟁 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A cash award of KRW 1,0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상금 1,0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best film in the Youth Competition section.

우수상

Excellence Award

청소년경쟁 부문에 상영된 다큐멘터리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A cash award of KRW 500,000 and trophy will be given to the

상금 500,000원과 트로피를 수여한다.

second best film in the Youth Competition section.

21

Awards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2

International Competition Jury 국제경쟁 심사위원

캐서린 러셀은 콩코디아대학 (Concordia University) 영화연구 프로그램 교수다. 많은 논문들과 더불어 저서로「내러티브의 사멸성: 죽음, 종결, 뉴 웨이브 영화들」,「실험적 민속지: 비디오 시대의 필름 작 업」,「나루세 미키오의 영화: 여성과 일본의 모더니 티」,「고전 일본영화 다시읽기」가 있으며 현재 아카 이브 영화제작에 대한 저서를 작업하고 있다.

Catherine Russell is Professor of Film Studies at Concordia University, Montreal. She is the author of four books, including Experimental Ethnography: The Work of Film in the Age of Video (Duke, 1999); The Cinema of Naruse Mikio: Women and Japanese Modernity (Duke, 2008); Narrative Mortality: Death, Closure and New Wave Cinemas (Minnesota, 1995); and Classical Japanese Cinema Revisited (Bloomsbury, 2011). She has also published numerous articles and is currently working on a book on archival film practices.

2006년 만든 첫 장편 다큐멘터리 <파산의 기술> (2006)이 실험적 스타일로 주목받으며 서울독립영 화제, 대만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암스테르담국제 영화제, 야마가타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등 국내외 다수의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현장보건관리를 1 년 여간 촬영한 기록물에서 출발해, 다양한 노동에 의해 마모된 삶과 몸들을 다룬 두 번째 장편 다큐멘 터리 <보라>(2010)는 서울독립영화제, 전주국제영 화제, 마르세유 다큐멘터리영화제, 토리노영화제 등에서 상영되었고, 시네마테크 KOFA가 주목한 2011년 한국영화 11편에 선정되기도 했다.

Lee Kang-hyun made his first documentary, The Description of Bankruptcy, in 2006. It was presented at various festivals, including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Yamagata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the Taiw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The Color of Pain is his second feature-length film.

레이첼 레익스는 뉴욕 링컨센터 필름소사이어티의 전체 프로그래머이자 월간 예술지 The Brooklyn Rail의 영화 분야 편집위원이다. 링컨센터가 매년 주최하는 논픽션 시리즈 Art of the Real의 협력 프 로그래머인 동시에 다큐멘터리 아트스페이스 UnionDocs의 프로그래밍 어드바이저, 브룩클린에 위치한 프로젝트 스페이스 Heliopolis의 큐레이터 이기도 하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뉴욕 영상박 물관(Museum of Moving Image)의 영화 분과 어 시스턴트 큐레이터로 근무했으며, 최근에는 Artforum, Art Papers, BOMB, Hyperallergic, wuxia 등의 예술전문지에 기고하면서 독립출판사 인 Verso Books의 편집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Rachael Rakes is Programmer at Large for Film Society Lincoln Center, and co-programmer of Lincoln Center’s Art of the Real nonfiction festival. She is a Programming Advisor for the documentary arts space UnionDocs, and a curator at Heliopolis Project Space in Brooklyn. From 2010-2013, she was the Assistant Curator of Film at the Museum of the Moving Image. Rakes is also the Film Editor for the monthly arts paper, the Brooklyn Rail, and has written recently for Artforum, Art Papers, BOMB, Hyperallergic, wuxia, and elsewhere. Additionally, she is an Editorial and Marketing Consultant for the independent publisher Verso Books, and is an MA candidate at the Center for Curatorial Studies at Bard College in New York.

캐서린 러셀 Catherine RUSSELL

이강현 LEE Kang-hyun

레이첼 레익스 Rachael RAKES

International Competition Jury

2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3

Korean Competition Jury 한국경쟁 심사위원

닉 데오캄포 Nick DEOCAMPO

닉 데오캄포는 다큐멘터리 감독이자 영화사학자이 며, 필리핀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가르치고 있다. 풀브라이트 장학금으로 뉴욕대에서 영화학 석사 학 위를 취득했으며, 정치, 성, 사회, 생태학 등을 다룬 작품으로 국제 영화제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 다. 국제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영화 관련 학술 포럼에 참가하였으며, 영화사를 다룬 저 서로 국제 펠로우십 그랜트를 비롯한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다.

Nick DEOCAMPO is a prizewinning documentary filmmaker, film historian and a Professorial Lecturer at the College of Mass Communication at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He received his Master of Arts degree in Cinema Studies at New York University as a Fulbright scholar and his Certificate in Film in Paris, France. He has won awards 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for his documentaries that tackled political, gender, social and ecological themes. He has also served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film jury in various festivals and spoke in various academic fora. He has likewise received international fellowship grants and awards for his books on film history.

1997년부터 다큐멘터리 제작 공동체 푸른영상에서 활동하면서 다큐멘터리를 시작하여 <나는 행복하 다>(2000), <친구>(2001) 등을 연출했다. 자신의 결 혼과 출산을 계기로 엄마 - 나 - 딸의 모녀 3대에 대 해 성찰한 <엄마…>(2004)로 2004년‘올해의 여성 영화인상’ 을, 12년간의 육아 경험을 통해 모성에 대 해 성찰하는 <아이들>로 서울독립영화제 독불장군 상을 수상했다.

Joined Purn Production in 1998. RYU made her first documentary I Am Happy (2000) which won Special Mention at Persons with Disabilities Film Festival(Seoul, Korea). In the following year, her film Happy Friends was acclaimed the Best Film among middle-length films at Korean Independent Short Film Festival (currently known as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In 2003, her documentary project, Life Goes On received the 2nd Documentary Ockrang Award of Women’s Film Festival in Seoul. After completing it in 2004, she received the Woman Filmmaker of the Year Award. In 2011, she made My sweet baby which is another story of a mother and her personal story within a 12year period.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영화 큐레이터, 영화학자 겸 작가이다.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하는 베를린 영화제‘포럼 익스펜디드(Forum Expanded)’프로 그램의 공동 큐레이터이기도 하다. 아스날 영화 비 디오아트 연구소(Arsenal Institute for Film and Video Art), 현대미술연구소 KW (KW -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 뿐만 아니라 2010년 베를 린 비엔날레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하였으며, 단편영 화 커뮤니티인 Dokfest Kassel의 일원이기도 하 다. 포츠담대학교, 이타카대학교, 코넬대학교 등에 서 초청 강연자로 강단에 섰다. 2014년 미국 독립영 화 감독인 조지 쿠차의 웨더 다이어리 Weather Diary 시리즈에 관한 첫 독일어 학술 논문인 Aufzeichnungen eines Storm Squatters를 출판하였다.

Ulrich ZIEMONS is a film curator, film scholar and writer based in Berlin. He is one of the cocurators of the Forum Expanded program at th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 has curated film programs and exhibitions for, among others, Arsenal - Institute for Film and Video Art, KW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 as well as for the 2010 Berlin Biennial, and is a member of the short film selection committee of Dokfest Kassel. As a guest lecturer he has taught at the University of Potsdam, at Ithaca College, NY, and Cornell University. In 2014 his book Aufzeichnungen eines Storm Squatters was published, the first German language monograph on the American underground filmmaker George KUCHAR’s influential Weather Diary video series.

류미례 RYU Mi-rye

울리히 지몬스 Ulrich ZIEMONS

23

Korean Competition Jury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4

Youth Competition Jury 청소년경쟁 심사위원

현재 서울국제고등학교 2학년이다. 광고동아리 M&m과 보컬동아리 TIME에 소속되어 있다. 해보 고 싶은 것도 많고, 이루고 싶은 것도 많다. 조용한 곳에 가서 사진을 찍고 글을 쓰는 게 취미이고, 장래 희망은 광고기획자이다. 새로운 것이라면 사족을 못 쓰고 달려들어 해 보는 것이 특기이자 습관이다. 어른이 되어서도 어린아이의‘감성’ 을 잃고 싶지 않 을 뿐이다.

JEON Joo-young is a junior in high school. This ambitious and curious young man is a member of an advertisement club ‘M&m’ and a vocal club ‘TIME’. He loves to photograph and write, and dreams to become an executive of an advertisement agency in the future. He is keen on new things and never hesitates to experience it. The only thing that he wants is to keep his childhood sensibility.

안녕하십니까. 계원예고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있는 정다연입니다. 다큐멘터리는 그 어떤 다른 장르의 영화가 절대 따라올 수 있는 힘과 매력이 있다고 생 각하고 그래서 꼭 한 번 다큐멘터리를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하지만 청소년들이 다큐멘터리를 접할 기회가 정말 적다는 점이 참 안타깝습니다. 이번 영 화제에서 청소년 심사단으로 활동하며 더욱더 많은 다큐멘터리들을 접하고 그들이 말하고 있는 것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Hello everyone, I am Jeong Da-yeon of Kaywon High School of Arts, and I am majoring in Film. I believe that documentary is more attractive and powerful than any other genres and I hope to produce one in the near future. However it is sad that there are only limited opportunities for the teenagers to come across documentaries. I wish participating as a Youth Competition Jury in this film festival would be a chance to see diverse documentaries and rethink about what they are trying to convey to us through it.

어린 시절부터‘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 이 되고자 생각해 왔고, 그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다큐멘 터리에 심사를 하게 되면서 기대와 설렘이 가득하 다. 나 자신이 더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고, 더 많은 사람들이 영화에, 또, 다큐멘터리라 는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면 좋겠다. 미쓰에이 ‘수지’ 보다 더 매력적인 심사위원‘수지’ 를 보여줄 것이다.

Since young, I always wanted to become a person who could change the world, and that thought will never change. I am very thrilled to be one of the juries in this film festival and I hope this experience becomes a stepping-stone for me to grow and develop. I wish more people would have more interest on films, moreover in documentaries. Look out for ‘Su-ji’,the attractive jury.

일산 백석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양세정이다. 해보고 싶은 건 꼭 해봐야 하는, 오지랖 넓은 여고생 이다. 책 읽는 걸 좋아하고 문학을 하다 시나리오에 접어들어 영화에 빠지게 됐다. 교내에서 영화영상 제작동아리 부장을 맡고 있고 항상 빨빨거리며 어 딘가를 돌아다니는 중이다.

I am Yang Se-jeong, a high school girl who always carries out what she planned. Loved reading, studied literature, immersed in scenarios and now I am in love with films. Currently I am participating as a vice president of a filmmaking club in Baek seok high school, always wandering somewhere.

전주영 JEON Joo-young

정다연 JEONG Da-yeon

이수지 LEE Su-ji

양세정 YANG Se-jeong

Youth Competition Jury

2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5

International Competition Preliminary Jury 국제경쟁 예심위원

2002년‘씨네21’평론상에 당선된 후, 영화 글쓰기 를 해오고 있다. 2008년부터 인디포럼 영화제 프로 그래머로, 2009년부터 인디다큐페스티발 집행위원 으로 활동하며 독립영화와 인연을 맺었으며, 인문 학 연구공동체인‘ 수유너머N ’ 에서 영화와 철학을 공부하고 있다.

I have been doing film writing since I was nominated for the critic award of ‘Cine21’ in 2002. I have associated with Independent Film as a programmer of Indie forum since 2008 and as a member of the executive committee of Seoul Independent Documentary film & Video Festival since 2009. Currently, I am studying on philosophy and film in humanities research association, ‘Nomadist Suyu Nomo N’.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와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동남아시아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미디어시티서울 등에 서 일했고『마이크로파이낸스와 그 불만들』『 , 멕시 코혁명』등을 번역했다.

Majored in Cinema Studie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received Masters on Southeast Studies from the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Have experience working at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Mediacity Seoul. Translated Microfinance and Its Discontents, Insurgent Mexico and many more.

변성찬 BYUN Sung-chan

박소현 PARK So-hyun

Youth Competition Preliminary Jury 청소년경쟁 예심위원

안슬기 AHN Seul-ki

25

영화감독. 고등학교 수학교사. 학생들에게 수학은 공부할 필요가 없으며 영화 같은 것은 절대로 하지 말라고 하면서 본인은 둘 다 하고 있다. 영화 <다섯 은 너무 많아>,<나의 노래는>,<지구에서 사는 법>을 연출했다. 소설『악마』와 청소년 영화제작 지침서 『학교에서 영화 찍자』를 집필했으며, 교과서『영 화·방송 제작』의 대표집필자이다. 12년 동안 학교 에서 영화제작을 지도해왔고, 영화를 가르쳤던 졸 업생들을 한 명씩 찾아가 만나는 내용의 다큐멘터 리를 현재 촬영하고 있다.

AHN Seul-ki is a film director and a high school math teacher. Yet, he tells his student that math is unnecessary and warns them to never dream of being a lmmaker. He directed Five Is Too Many, My Song Is... and How to live on Earth. He also wrote the novel Devil, a lmmaking guidebook Let’s Make a Film at School, and the textbook Film, Broadcasting Production. While teaching at school, he has taught lmmaking for 12 years. Currently, he is lming a documentary which is about seeing his old lm students again.

International Competition Preliminary Jury / Youth Competition Preliminary Jury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6

개막작 Opening Film

울보 권투부 Crying Boxers

Director | 이일하 E Il-ha

Staff

Korea | 2014 | 90min | HD | Color

DIRECTOR/EDITOR | E Il-ha PRODUCER | CHO Eun-sung CINEMATOGRAPHER | E Il-ha, PARK Ki-jun, NOH Sang-gul MUSIC | NOH Young-rae Contact E Il-ha exposedfilm2000@gmail.com

World Premiere

Opening Film

2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7

Program Note 1948년 한신교육투쟁을 거치면서 일본의 조선학교는 540여 개가 넘는 민족교육기관으 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하지만 일본의 우익세력으로부터 끊임없이 탄압을 받아왔고 조선학교의 숫자는 급격히 줄었다. 일본의 조선학교는 여전히 합법적으로 인정받지 못 하고 있는 유일한 민족교육기관으로 남아 있는 셈이다. 그리고 현재에도 재일교포 4세 혹은 5세대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꿈을 설계하는 여느 곳과 다를 바 없는 학 교일 뿐이다. <울보 권투부>는 도쿄 조선중고급학교의 일상을 친밀하게 관찰하면서도 그들의 내밀한 이야기를 들어주는데 초점을 맞춘 작품이다. 권투부의 유삼과 원호, 그리 고 상수 코치와 아이들이 들려주는 진솔한 이야기는 질풍노도의 시기를 통과하는 10대 이일하

들의 성장기록이기도 하다. 그들의 훈련과 경기일정을 다이어리 방식으로 촬영한 장면

E Il-ha

들은 특별한 꾸밈장치 없이 친숙하게 다가온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오래 전부터 익히 알고 있었던 우리의 현대사와 마주하는 순간들인데, 특히 아이들의 인

Director’s Biography

터뷰 장면은 자신들의 내적 고백이자, 이루어질 거라 믿는 이상에 관한 작은 소망처럼 울

이일하 감독은 한국에서 태어나 지난

린다. 동시대의 한국과 일본이 처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딜레마를 드러내는 시퀀스이

2000년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후 일본 타

기도 하다. 또한 우리가 역사적‘ 실재’앞에 서게 되는 순간이기도 할 것이다. 그렇다면

마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일본대학 대학원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응답할 수 있을까? 우리의 현대사가 어떻게 당대 이데올로기

에서 석사 과정을, 오사카 예술대학 대학

와 결탁하고, 어떻게 지배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타국의 이주민족을 배반하고 있는지를.

원에서 다큐멘터리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박사과정의 지도 교수는 <천황 군대는 진군한다 ゆきゆきて, 神軍>(1986) <극사적 에로스 極私的エロス·戀歌>(1974)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이름 없는 존재들을 복권시키는 것이지 않을까. 작년 DMZ 프로 젝트마켓 신진다큐멘터리 제작지원작으로 완성된 <울보 권투부>는 아이들의 얼굴과 감 정의 결들을 통해 이러한 질문들을 남긴다. (전성권)

등으로 유명한 하라 카즈오 감독이다.

Born in Korea, E Il-ha moved to Japan in 2000 and was in the course of a Bachelor at Tama Art University, a Master at the graduate school of Nihon University, and a Doctorate of the documentary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Osaka University of Arts. He was taught by Kazuo Hara, the director of The Emperor’s Naked Army Marches On (1986) and Extreme Private Eros : Love Song 1974 (1974). Filmography <울보 권투부> Crying Boxer (2014) <금붕어, 그리고 면도날>

Goldfish, and Razor (2010) <로드멘터리> Roadmentary (2008) <라테지수> Latte Index (2006) <당신을 위한 행진곡>

Your March (2003)

27

After going through the 1948 Hanshin Educational Struggle, over 540 Korean Schools in Japan started taking their place as ethnic Korean Schools. However, the numbers of Korean Schools in Japan declined sharply due to the constant oppression of the Japanese right-wing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still refuses to recognize Korean Schools as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Korean Schools continue to instill 4th and 5th generation Korean-Japanese of their ethnic identity and help the students build dreams just like other schools. Crying Boxers focuses on the daily lives and intimate stories of students attending Tokyo Joseon Middle and High School. It’s also a coming-of-age story of the students Yu-sam and Won-ho who are in the Boxing Club and their coach Sang-su. The scenes are shot in a diary format about their training and competition schedule without any particular special effects. The reason why this movie allures the audience is because we come face to face with our modern history; especially, when the students talk about realizing their dreams in their interviews. It also portrays the contemporary political and social dilemma Korea and Japan are currently dealing with – the historical ‘reality’ to be exact. We ne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how did our modern history betray the immigrants from other countries to maintain its ideology and ruling power? Are we going to reinstate the rights of these powerless caught between two identities? Crying Boxers, the documentary that was funded by DMZ Project Market’s up-and-coming documentary, asks the audience these questions. (JEON Sung-Kwon)

Opening Film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29

국제경쟁 International Competition 국제경쟁부문은 다양한 비전과 함께 탁월한 영화적 경험을 선사하 는 40분 이상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올해는 총 534편을 심사하 여 최종으로 12편의 국제경쟁작품을 확정하였는데 다큐멘터리의 스타일과 주제의 표현방식이 전통적인 내러티브에 의존하기 보다 는 다이렉트 시네마와 시네마 베리테, 관찰자적 시점과 극적 요소들 이 잘 반영된 작품들이라고 볼 수 있다. 신진작가들의 실험성에 주 목하였으며, 일상적인 소재에서 정치적인 메세지를, 즉흥적인 요소 가 미학적 구성으로 완성된 작품들이라고 볼 수 있다. 베이루트 도 시의 풍경과 인물들의 내적 독백을 시적으로 표현한 <9월의 새들>, 60년대에 활동한 전설적인 감독에게 바치는 젊은 시네아스트의 에 세이 영화 <카포의 여정>, 이라크, 팔레스타인의 도시들에 관한 극 적인 풍경을 보여주는 <도시들의 속삭임>, 멕시코 나우틀족 터전에 서 살고 있는 한 가족의 일상을 직관적으로 응시하는 <커피>, 이집 트 혁명을 아름답고 시적으로 입체화한 <물결>, 영화를 통한 혁명 과 제국주의를 은유화한 에세에-오페라 형식의 가면무도회 <모차 르트비크>, 그리고 한국작품으로 유일하게 선정된 <아들의 시간> 은 명확하지 않은 사적 감정으로 구성된 시퀀스의 배열이 어느 순간 직관적인 배열의 능력을 발휘하는 작품이다. 국제경쟁부문 선정작 12편의 다큐멘터리 작품들은 당신을 변화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대상인 흰기러기상 1편에는 한화 1,500만원이 수여되고, 심사위원 특별상 1편에는 한화 700만원이 수여된다. (국제경쟁 및 한국경쟁 부문 상영작 중 관객투표에 의해서 선정된 1편에게 관객상 한화 300만원 상금이 수여된다)

Over 40-minute-long documentaries produced by directors from all around the world compete in this section. Documentaries that reflect various visions and an excellent film experience are presented in this year’s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This year, 12 films out of a total of 534 films were selected as finalists in the section, including submissions from distributors. Instead of relying on conventional narratives, the finalists express their themes and styles by reflecting direct cinema, cinema vérité, the observer’s point of view, and include various dramatic factors. Judges focused on the experimental nature of films, and the selected documentaries contain political messages in every day materials, and turn impromptu situations into part of aesthetic structures. Birds of September poetically expresses the landscape and people of Beirut; Karpottroter is an essay documentary by a young cineaste, who dedicated his film to a legendary filmmaker from the 1960s; Whisper of the Cities show dramatic scenery of cities in Iraq and Palestine; Coffee intuitively focuses on the daily life of a family living in Nahuatl community in Mexico; Waves poetically and beautifully makes the Egyptian revolution alive; Mozartbique presents an essay-opera masquerade, metaphorically discussing revolution and imperialism; Son’s Time, the only Korean documentary selected as a finalist, shows obscurely ordered sequences made up of private emotions falling into place in order as the film progresses. The 12 documentary films selected as finalists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section will change your lives. The winner of the grand prize, White Goose Award, will receive KRW 15 million, and the winner of the Special Jury Prize will receive KRW 7 million. (All submissions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re considered for the Audience Award with a KRW 3 million prize.)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0

그리고 우리에겐 오늘이 없다 And There We Are, in the Middle

Director | 세바스티안 브람슈버 Sebastian BRAMESHUBER Austria | 2014 | 91min | DCP | Color

Staff DIRECTOR | Sebastian BRAMESHUBER PRODUCER | Gabriele KRANZELBINDER CINEMATOGRAPHER | Klemens HUFNAGL EDITOR | Emily ARTMANN, Sebastian BRAMESHUBER, Elke GROEN SOUND | Marco ZINZ, Hjalti BAGER- JONATHANSSON Contact Austrian Film Commission T. +43.1.526 33 23 anne.laurent@afc.at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3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1

Program Note 오스트리아의 호수마을, 에벤제는 2차세계대전 기간 중 유태인 포로수용소가 위치해 있 었던 유명한 소도시다. 이 작품은 에벤제의 환경(Millieu)이 그 지역에 살고 있는 거주자 들의 사유에 깊은 영향을 준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현재의 사유”는 그들의 역사적 기 억을 호명하고 나서야 자신과 세계가 연결되어 있는 거부할 수 없는 통로를 발견하게 된 다. 영화의 초반부에 한 소녀가 노래를 따라 부르고 있는 장면이 있는데, 이 작은마을에 대한 신의 은총에 감사하는 내용의 민중노래는 에벤제가 치뤄야만 했던 전쟁범죄에 대 해 침묵하고 있는 것처럼 들린다. 마치 신을 위한 하루 동안의 침묵과도 같이 카메라는 다리에 새겨진 그래피티‘에벤제의 범죄’ 와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가정을 방문하는 10대 세바스티안 브람슈버

들의 거리행진, 그리고 산 속의 동굴입구를 특유의 감각적 기제(Mechanism)로 가시화

Sebastian BRAMESHUBER

한다. 에벤제의 비극을 물려받은 10대들의 특별할 것 없는 일상을 시네마 베리테 형식으 로 구조화한 이 작품은 일종의‘감각하기’ 에 대한 이미지의 현상학이라고도 할 수 있다.

Director’s Biography

특히나 유태인 포로수용소와 네오 나치즘, 펑크음악과 페인트볼에 관한 절제된 질문으

1981년 오스트리아 그문덴 출생. 빈응용

로부터 우리가 듣게 되는 진술들은 무미건조하면서도 매우 섬뜩하기까지 하다. (전성권)

미술대학에서 무대 및 영화 관련 디자인 을 전공했다. 2004년부터 토마스 드라샨 (Thomas Draschan)과 함께 포드형제 (Fordbrothers)라는 활동명으로 단편, 실 험영상 등 다양한 작업을 해왔으며, 베를 린국제영화제 포럼 부문에서 처음 상영한 <그리고 우리에게 오늘은 없다>는 그의 두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작품이다.

Born in 1981 in Gmunden, Austria. He graduated with a degree in stage and film design from the University of Applied Arts Vienna. Since 2004, he has made short, experimental video works in cooperation with Thomas Draschan, under the pseudonym Fordbrothers. And There We Are, in the Middle which premiered in the Berlinale Forum 2014 is his second feature-length documentary.

A small town adjoining a lake in Austria, Ebensee is known for a home to the former concentration camp for the Jews during the World War II. This film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milieu of the town exerts a deep influence over the thinking of its residents. Only when the “thought of the present” calls their historical memory, do they realize the irresistible path that connects them and the world. One of the early scenes shows a girl singing along a song, thanking the God’s grace for this small town; this song sounds as keeping silent about the war crimes Ebensee had to endure in the past. As if a one-day silence for the God, the camera forges a unique mechanism of visualizing the graffiti “Crimes of Ebensee” painted on a bridge, street marching by teenagers who visit houses across the town, and the mouth of a cave located inside the mountain. Organizing as cinema verite the seemingly normal daily life of teenagers who inherited the tragedy of Ebensee, this documentary film can be seen as phenomenology of images about “sensing.” Particularly, the statements we hear from the reserved questions about the concentration camps, neo-Nazism, punk music and paint balls turn out flat, yet frightening at times. (JEON Sung-kwon)

Filmography And There We Are, in the Middle (2014) Muezzin (2009) Everything’s Gone Green (2007) Keynote (2006) Bloodsample (2005) Preserving Cultural Traditions in a Period of Instability (2004)

31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2

어렴풋이 섬광이 Beauty Is Your Head

Director | 짐머프라이 ZimmerFrei (Massimo CAROZZI, Anna de MANINCOR, Anna RISPOLI) France, Italy | 2014 | 60min | HD | Color

Staff DIRECTOR | ZimmerFrei (Massimo CAROZZI, Anna de Manincor, Anna RISPOLI) PRODUCER | Fabienne AULAGNIER CINEMATOGRAPHER | Roberto BEANI EDITOR | Anna de MANINCOR (ZimmerFrei) MUSIC | Franco Fanfan CRÉA, Claude DEBUSSY, Fanfare VAGABONTU, Marcel MOULOUDJI, Orquestra Carlos Di Sarli y Rufino, The Melachrino Strings, Richard WAGNER SOUND | Massimo CAROZZI Contact Bo Film Tel 39 349 265 8471 serenagramizzi@bofilm.it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3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3

Program Note 이 속된 세계에 파묻혀 혼잡한 사람들 속으로 이리저리 떠밀려 다니면서 우리는 기꺼이 거리의 산보자와 마주치게 될 것이다. 마르세이유의 파사주, 오래된 거리이자 여전히 존 재하고 있는 노아이에(Noailles) 시장광장에는 잠시 머물다 떠나는 마초 항해사, 그들과 짧은 사랑을 나누던 술집작부들, 마르세이유의 마피아두목을 회상하는 중년, 그리고 레 닌의 고향 러시아로 돌아가고픈 말년의 노신사와 찰슨 브론슨의 안식처인‘ 나의 주점’ (Mon Bar)이 위치해 있다. 존 포드의 영화처럼 바다 너머의 수평선으로부터 나타나는 익명의 주인공들은 주점에서 낯선 이방인들과 조우하고 술을 마시고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카메라는 마르세이유를 둘러싼 바다의 넓은 파노라마에서 철학자와도 같은 중 짐머프라이

년신사를 따라‘나의 주점’ 의 손님들에게 몰입된 앵글로 바뀐다. 주점 시퀀스들은 마치

ZimmerFrei

부재하는 공간을 정화하듯 초월적 순간들이 존재하는 장면들로 마르세이유 도시의 자화

(Massimo CAROZZI, Anna de

상이자, 물에 잠긴 성당과도 같다. 이 아름답고 슬픈 송가는 진부한 일상에서 취함의 힘

MANINCOR, Anna RISPOLI)

들을 끌어내며 이미지의 신경감각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아마도 총알이 당신의 머리 를 날려 버리는 그 순간의 아름다움을 언젠가는 알게 될 것이다. (전성권)

Director’s Biography 짐머프라이는 마시모 카로치, 안나 드 마 닌코르, 안나 리스폴리 등 세 명의 아티스 트들로 이루어진 아티스트 콜렉티브로, 2000년에 결성된 이래 볼로냐와 브뤼셀 을 기반으로 활동해왔다. 짐머프라이의 예술적 실천은 영화와 연극, 음악과 퍼포 먼스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짐머 프라이는 만화경과도 같은 현실적이고 상 상적인 도시환경들을 탐구하는 청각적, 시각적 작업들을 형식 언어와 혼합시키곤 한다. 그 환경이란 정신적이고 물리적 차 원들이 인간의 경험이라는 일관된 내러 티브 속에 혼합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ZimmerFrei is a collective of artists (Massimo Carozzi, Anna de Manincor, Anna Rispoli) founded in 2000 and based in Bologna and Brussels. The artistic practice of the group is located on the crossways of cinema, theater, music and performance. Mixing formal languages, ZimmerFrei produces kaleidoscopic sonic and visual works that investigate real and imaginary urban environments, where the mental and the physical dimesions blend in a coherent narrative of human experience.

Living in this worldly society among crowds of people, we willingly encounter wanderers on the street. Located in the market square at the heart of Noailles, Marseille is Mon Bar, a place of refuge for a range of people including macho seamen who are only staying on land temporarily, bar hostesses who strike up shortlived relationships with them, a middle-aged man who recalls a Mafia boss in Marseille, an old gentle who longs to return home in Russia and Charles Bronson. Just like in John Ford’s films, these nameless men arrive from beyond the horizon and interact with strangers in the bar, dancing and drinking together. The camera moves from presenting a panoramic view of the vast sea surrounding Marseille to focusing intensely on the visitors at Mon Bar along with the philosopher-like middle-aged gentleman. The sequence at the bar, filled with transcendental scenes that almost purify absent spaces, is a self-portrait of Marseille and the submerged cathedral. This beautiful and sorrowful hymn draws forth the power of inebriety from banal everyday existence, which is enough to stimulate sensory nerves of images. Someday, you will one day realize the beauty of the moment when one’s head gets blown off by a bullet. (JEON Sung-kwon)

Filmography Beauty Is Your Head (2014) Hometown (2013) Il Campo (2013) Temporary 8th (2012) The Hill (2011) LKN Confidential (2010)

33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4

9월의 새들 Birds of September

Director | 사라 프란시스 Sarah FRANCIS

Staff

Lebanon | 2013 | 99min | DCP | Color

DIRECTOR/PRODUCER/WRITER | Sarah FRANCIS CINEMATOGRAPHER | Nadim SAOMA EDITOR | Zeina ABOUL HOSN, Farah FAYED MUSIC | Stephane RIVES, Jawad NAWFAl, Fadi TABBAL, Paed CONCA SOUND | Stephane RIVES, Sarah FRANCIS Contact Mec Film Tel 49 306 676 6700 irit@mecfilm.de

Kore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3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5

Program Note 여기 혹은 저기, 밤과 낮 사이에서, 시간이 멈춘 얼어붙은 바다 앞에서, 그리고 겹겹이 쌓 인 공간들 속에서 찢겨진 익명의 사람들을 위한 한 편의 소네트가 있다면? <9월의 새들> 은 순결하고, 강인하고, 아름다운 자들의 연가(Romance)이자 노래(Chanson)다. 베이 루트의 시가지를 배회하는 움직이는 유리벽의 컨테이너 밴은 도시의 윤곽(Contour)을, 파동(Wavelength)을, 사랑과 분노를 그려내기 위해 움직이는 고해성사실과도 같다. 영 화의 오프닝은 건물들의 찢겨진 벽의 표면을 트랙킹 쇼트로 보여주기 시작하고, 스치는 얼굴들과 닫힌 셔터문들, 열린 창문들과 거리의 표면들, 그리고 파도가 부서지는 해변가를 가로질러 베이루트의 번화가에 안착한다. 앤디 워홀이 자신의 작업실인‘팩토리(Factory)’ 사라 프란시스 Sarah FRANCIS

에 동시대의 아티스트들을 초대하여 16mm 필름에 그들의 표정과 제스처, 우울한 열정 을 기록한 <스크린 테스트 Screen Tests>를 남겼듯이, 사라 프란시스는 레바논의 익명의 사람들을 초대하여 침묵을 포함한 사실들의 전체를 하나의 궁극적인 언어이자 동사로

Director’s Biography

담아내고자 한다. 부분이자 전체인 이미지, 그것은 불협화음 속에서 발현되어지는 부가

사라 프란시스는 베이루트에서 자라고 수

적인 형태들이자 활동의 덩어리다. 어느 한 순간이 영원히 사라지면 간직할 수 있는 운명

학 했 다 . 2005년 , 그 녀 는 졸 업 단 편

적 태도. 이 작품은 인물의 전경과 유리벽으로 보이는 도시의 후경, 줌의 불안정한 포커

Interferences로 베이루트유럽영화제 학

스를 통해서 공간들을 가로지르는 시간을 서술하고 있다. 또한 피와 꿈들, 소리들과 마지

생영화 경쟁부문에서 수상했는데, 이 첫

막 한 방울의 물, 새와 나무와 바위들, 초저녁의 가로등과 야경을 프레임에 서술한다. 말

번째 프로젝트에서 이미 베이루트라는 도 시를 주요테마로 다룬 바 있다. 2006년부 터는 몇몇 제작사와 함께 프리랜서 감독

라르메의 시구처럼“공간을 부인하는 새에게 공간이 떠맡긴, 이 단단한 호수를 취한 날 개짓 한 번으로 찢어줄 것인가?”(전성권)

으로 일해왔으며, 현재 아쉬칼 알완 현대 미술센터의 Video Works 2014 프로그 램을 위한 비디오 작업과 DOX:LAB이 지 원한 다큐멘터리 작업 등을 진행 중이다.

Sarah Francis grew up and studied in Beirut. In 2005 her graduation short movie: ‘Interferences’ won the students’ film competition at the European Film Festival (Beirut- 2005). In this very first project, the theme of Beirut city was already present. She participated in several international workshops. Since 2006, she has been working as a freelance director for several production companies. She has just completed her first feature film: ‘Birds of September’ and is currently working on a video for Ashkal Alwan ‘Video Works 2014’ and on a documentary within the frame of DOX: LAB (CPH: DOX). Filmography Birds of September (2013)

35

Here or there, between the night and day, in front of the frozen sea where time has stopped, or within the multilayered spaces—what if there were a sonnet for anonymous people? Birds of September is a romance and a chanson for innocent, strong, and beautiful people. The glassed van roaming the streets of Beirut is a moving confessional that sketches the city’s contours, wavelengths, love, and anger. The opening scene of this film shows the surface of torn building walls in tracking shots and then follows the passing faces and closed shutter doors, open windows and the street grounds, and the seashore, finally reaching the downtown of Beirut. As Andy Warhol invited the contemporary artists to his “Factory” and filmed their facial expressions, gestures, and depressed passion into Screen Tests, Sarah Francis invited anonymous people of Lebanon and expressed the entirety of facts, including silence, as a single, ultimate language. As part and entirety at the same time, images are extra forms and a mass of activity created within a discord—the fateful attitude that can be retained only when a certain moment disappears forever. This documentary describes the time passing through spaces, by displaying individuals as the front view, the city seen through the glass walls as the background, filmed through an unstable focus of the zoomed camera. It also placed in the frames the blood and dreams, sounds and the last drop of water, birds and trees and rocks, and the streetlights in the early evening and nightscapes. Mallarme wrote: “Tear for us with a drunken flap of his wing, This hard forgotten lake,... inflicted by space on the bird which denies space.” (JEON Sung-kwon)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6

커피 Coffee

Director | 아투에이 비베로스 라비에야 Hatuey Viveros LAVIELLE Mexico | 2014 | 80min | HD | Color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 | Hatuey Viveros LAVIELLE PRODUCER | Carlos Hernández VÁZQUEZ, Hatuey Viveros LAVIELLE EDITOR | Pedro GARCÍA SOUND | Axel Muñoz ARBA Contact Mexican Film Institute Tel 52 5448 5300 difuinte@imcine.gob.mx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3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7

Program Note 멕시코의 한 오지 마을, 3대로 구성된 Jorge의 가족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지키며 가 난하지만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고 있다. <커피>는 이 가족의 일상을 중심으로 이 마을의 삶과 문화를 담아내고 있는 민족지영화다. 이 가족에게 세 가지 일이 생긴다.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장남 Jorge는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지역 최초로 변호사 자격을 얻게 되며, 호르헤의 16살짜리 여동생은 임신을 한다. 가족들은 대개 집안일을 함께 하면서 이 일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데, 좋은 일에 대해서건 나쁜 일에 대해서건, 대화를 나 누는 그들의 목소리는 언제나 낮고 조용하다. <커피>의 카메라는 때로는 아주 가까이에 서 이 가족의 내밀한 순간을 담기도 하고, 때로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그 지역의 문화를 아투에이 비베로스 라비에야

지켜보기도 한다. 무엇보다, 그 사람들과 문화의 리듬을 그대로 빼어 닮은 이 영화의 낮

Hatuey Viveros LAVIELLE

고 조용한 리듬은 그 삶의 고귀함을 담아내는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그 방법의 바탕에는 대상에 대한 공감과 존중의 태도가 있다. (변성찬)

Director’s Biography 1974년 멕시코시티 출생. 아투에이는 사 진과 영화를 전공하기 전에 법을 공부했 다. 이후 스페인 바르셀로나 ESCAC에 서 영화미술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 고, 탤런트 캠퍼스 과달라하라, 모렐리아 랩 등에 선정되기도 했다. 크리스토퍼 도 일, 기예르모 나바로, 로드리고 프리에토 등 뛰어난 촬영감독들에게서 수학했으며, 멕시코의 젊은 창작자들을 위한 기금 (FONCA)을 수혜받기도 했다. 현재 감독 이자 촬영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새 작품을 준비 중이다.

He studied in the Centro de Capacitación Cinematográfica (C.C.C.). Also he has posgraduate studies in “Art direction for cinematography” at the ESCAC in Barcelona, Spain. He won the CCC´s Opera Prima Prize with the movie “My Tiny Universe”. It has an outstanding participation in various specialization workshops as the Talent Campus Guadalajara, Mexico in 2009, the Cinematography Workshop given by Christopher DOYLE, and the seminar “Painting with light” with Guillermo NAVARRO and Rodrigo PRIETO. As a director his works include Everything is beach that in this moment is in postproduction process, My tiny universe feature film shot in 35 mm winner of the Best Opera Prima Prize in the Guanajuato International Film Festvial 2012.

In a remote village in Mexico, Jorge’s family consisting of three generations lives impoverished yet peaceful life, upholding their traditional lifestyle. Coffee is an ethnographic documentary that portrays the life and culture found in the village by focusing on the family’s everyday life. The family experiences three major changes. Jorge’s father passes away. Jorge, the eldest son, becomes the first lawyer in the region after studying law at university. His 16-year-old sister gets pregnant. The family members generally discuss these things while they go about their daily routine around the house, and their voices are always kept low, whether their conversation is about a good or bad topic. At times, the film’s camera gets close up on the family to deliver their most intimate moments. At other times, the regional culture is observed from a distance. Above all, the calm and peaceful rhythm of Coffee is the best way to illustrate the equally tranquil rhythm of the villagers and their culture. Behind this choice lies the director’s sympathy and respect towards the film’s subjects. (BYUN Sung-chan)

Filmography Coffee (2014)

37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8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The Humanitarians

Director | 막시밀리언 하슬베르거 Maximilian HASLBERGER Germany | 2014 | 99min | DCP | Color

Staff DIRECTOR | Maximilian HASLBERGER PRODUCER | Martin BACKHAUS WRITER | Sebastian MEZ EDITOR | Katharina FIEDLER MUSIC | Jochen JEZUSSEK Contact Amerikafilm Tel 49 172 966 0385 m.haslberger@gmx.de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3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39

Program Note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은 정상적인 성적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애를 쓰고 있는 이 두 명의 장애인의 모습을 담아내면서, 장애인의 욕망과 성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 고 있는 영화다. 두 남자의 일상을 밀착해서 관찰하고 있는 이 영화의 카메라는, 때로는 그들의 아주 내밀하고 사적인 순간(가령, 주인공 중 한 명이 돈을 주고 섹스를 하는 순간) 을 담는 것도 주저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것은 관음증적 욕망의 충족을 위한 것이 아니 라, 장애인의 성적 권리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위한 것이다. 장애인의 성적 생 활과 관련된‘ 프라이버시’ 는 존중되지 않는다. 대상과 카메라가 공모하여 벌이는 이 적 극적인 노출 전략은, 장애인의 성적 욕망 및 성적 자기 결정권의 부정에 맞서는 도발적인 막시밀리언 하슬베르거

문제제기일 것이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통상적인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와‘인본주의’ 의

Maximilian HASLBERGER

근본적인 한계(또는 딜레마)에 대해 근본적이고 사려 깊게 윤리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는 영화다. (변성찬)

Director’s Biography 1984년, 미국 미니애폴리스 출생. 고교 졸업 후 파리 소르본에서 1년 간 수학했 으며, 2007년 바덴-뷔텐베르그 필름아카 데미에서 학업을 시작해 2013년 수료했 다. 2010년, 제작사 AMERIKAFILM을 설립하여 세바스티안 메츠(Sebastian MEZ) 감독의 Brasa와 모하마드 샤키 핫 산(Mohammad Shawky HASSAN) 감 독의 It Was Related to Me 등의 제작 에 참여했고, 막스 린츠(Max LINZ) 감독의 2014년작 Ich will mich nicht küsnstlich aufregen를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최초 로 선보인 바 있다. <인간적인, 너무 인간

Through its portrayal of two disabled people who struggle to lead healthy sex life, Humanitarians poses som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sexual desires of those with disabilities. The camera closely observes the two men’s daily life, and does not hesitate to reveal even their most intimate and private moments. For example, we are allowed to see that one of the two protagonists pays for sex. However, rather than just fulfilling our voyeuristic desires, this film sets out to bring forth som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sexual rights of the disabled. When it comes to sexual life of the disabled, their ‘privacy’ is not respected. This strategy of active exposure carried out by the camera and its subjects in collusion provocatively confronts the issue of denying the disabled their sexual desires and autonomy. Most of all, this film asks some ethical questions regarding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r dilemmas) of humanism in a radical and thoughtful manner. (BYUN Sung-chan)

적인>은 그의 두번째 장편 연출작이다.

Born 1984 in Minneapolis,USA.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Maximilian Haslberger studied for one year at the Sorbonne in Paris. In 2007 he began his degree at the Filmakademie BadenWürttemberg, which he completed in 2013. In 2010 he founded his production company AMERIKAFILM, with which he produced the German-Brazilian coproduction BRASA by Sebastian Mez and the German-Egyptian co-production IT WAS RELATED TO ME by Mohammad Shawky Hassan. The 2014 finished film ICH WILL MICH NICHT KÜNSTLICH AUFREGEN by Max Linz premiered at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erlin. Filmography Die Menschenliebe (The Humanitarians) (2014) Das Letzte Kapitel (The Last Chapter) (2012) Als Wir Noch Kinder Waren (2010) Kill Bull (2006)

39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0

카포의 여정 Karpotrotter

Director | 마트야즈 이바니신 Matjazˇ IVANISˇIN Slovenia | 2014 | 50min | DCP | Color+B&W

Staff DIRECTOR | Matjazˇ IVANISˇIN PRODUCER | Djordje LEGEN CINEMATOGRAPHER | Marko BRDAR EDITOR | Uja IRGOLI SOUND | Tom LEMAJICˇ, Julij ZORNIK Contact Staragara Tel 38 6320 0802 miha@staragara.com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4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1

Program Note 196-70년대 유고슬라비아 영화계를 뒤덮었던‘블랙 웨이브’ 는, 당대 여러 뉴웨이브처럼 새로운 영화를“발명” 한 운동으로 영화사에 남았다. 신랄한 유머와 관습에 얽매이지 않 는 연출 기법으로, 티토가“영도” 하던 유고슬라비아의 삶과 정치, 문화를 거침없이 영화 에 녹여낸 이들. 한데 두상 마카베예프 정도를 빼고는, 감독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이 이 젠 잘 떠오르지 않는다. 여러 차례 내전을 겪고‘슬로베니아’ 가 된 마리보르에서 태어난 젊은 감독은,‘블랙 웨이브’ 의 주역 카포 고디나의 <나는 집을 가졌네>를 망각의 늪에서 건져 내려 한다. 벗들과 보이보디나 지방을 여행하며 찍은 고디나의“로드 무비”는 영상 과 소리 일부만 남았다. 이바니신은, 40년 전 고디나가 만난 사람들과 공간을 다시 방문 마트야즈 이바니신

해, 잃어버린 장면과 시간을 찾으려는 고고학적 작업을 벌인다. 그가 되살리는, 또는 어

Matjazˇ IVANISˇIN

쩔 수 없이 부재를 증언하는 시간들, 민족들, 노래들, 얼굴들은 시공을 초월해 삶과 죽음 을 아우르는 힘을 지녔다. (신은실)

Director’s Biography 1981년 슬로베니아 마리보에서 출생했 다. 2000년에 류블랴나 극, 라디오, 영화 및 TV아카데미에 입학해 필름 및 TV 연출 을 전공했다. 2007년 졸업 이후, 프리랜 서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Born in Maribor in 1981. In 2000, he entered the Academy of Theatre, Radio, Film and Television in Ljubljana to study Film and TV directing. Since his graduation in 2007, he has worked as a freelance filmmaker. Filmography

‘Black Wave’ that swept Yugoslav film world in 1960-70s was written as a movement which ‘invented’ a new kind of movie in the film history just like other new-waves of the time. They filmed Yugoslav life, politics and culture in the leadership of Tito with biting humor and directing technique unbound to custom. However, except Dusˇ an Makavejev, there are not much names we can still think of. A young director, born in Maribor attached to ‘Slovenia’ after many times of civil wars, attempts to save Karpo Godina’s Imam jednu kucu (I Have a House), the driving force of the ‘Black Wave’, from the marsh of oblivion. Sounds and scenes from Godina’s “road movie’ filmed Voivodina area with his friends on his journey are now partially preserved. IVANISˇIN visits again the place and people Godina did 40 years ago and carries out archaeological work in order to regain lost scenes and times. What he recovers or the times, people, songs, and faces unavoidably testifying the absence has the power encompassing life and death transcending the time. (SHIN Eun-shil)

Karpotrotter (2013) Sˇentilj-Spielfeld, a Border Crossing that once was (2009) My Little Sweethearts (2006) Quick view (2005) Che Sara (2002)

41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2

모차르트비크 Mozartbique

Director | 크리스토퍼 로스 Christopher ROTH

Staff

Mozambique, India, Germany | 2013 | 81min | DCP |

DIRECTOR | Christopher ROTH

Color+B&W

MUSIC | Timo BLUNCK, Marco DRECKKÖTTERtter in collaboration with Franz von Stauffenberg Contact 72Film rot@christopherroth.org

World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4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3

Program Note 식민주의의 사막이자 제3세계의 폐허, 한때‘아프리카의 자랑 ’ 이라고 불리던 호화 리조 트 그란데 호텔Grande Hotel은 <모차르트비크>라는 미로로 들어가는 입구다. 부유한 백인들과 식민주의에 저항하던 모잠비크 민족해방군이 차례로 거쳐 간 호텔에는 이제 빈민 삼천 명이 눌러 산지 오래다. 그리고 1977년 사회주의 모잠비크의 영화제작소에서 대중교육용 영화를 만들기 위해 북한에서 온 영화감독 신준철이 있다. (다큐멘터리를 만 들 생각은 없었던) 두 독일 작가가 가면을 잔뜩 들고 호텔을 찾아가 가면무도회를 열자 거주자들의 육체와 몸짓은 과거와 현재, 모잠비크와 제1세계를 연결하는 매개가 된다. 여기에 하이데거의 이미지에 관한 육성 강연과 모잠비크의 초대 대통령 사모라 마셸 크리스토퍼 로스

Samora Machel의 연설을 담은 푸티지, 그가 세운 영화제작소에서 만든 뉴스릴, 이제

Christopher ROTH

는 버려진 필름 아카이브, 모차르트의 음악이 더해진다. 이상한 연결고리를 따라 이어지 는 이 재료들은 여러 형태의 미술작업을 거쳐 마침내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어졌다.

Director’s Biography

(박소현)

뮌헨 출생. 베를린을 기반으로 비디오, 오 페라, 웹 등 장르와 매체를 넘나드는 다양 한 작업활동을 해 왔다. 2002년에는 장편 Baader로 베를린영화제에서 알프레드바우어상을 수상했으며, 최근 틸다 스윈 튼, 콜린 맥케이브 등과 함께 존 버거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작업에 참여하고 있 다. 2009년까지 Franz von Stauffenberg 와 함께‘RothStauffenberg’ 라는 이름의 아티스트 듀오로 활동했으며, 2012년 첫 개인전을 열었다.

Christopher Roth, was born in Munich and lives in Berlin. He is a writer, film director, and artist. In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the Galerie Esther Schipper in Berlin, in 2012, he showed a film, found objects and missing persons reports for Christopher Roth. This year his novel 200D, written in 1981, is being reprinted. He was awarded the Alfred Bauer Prize for his film Baader at the 2002 Berlinale. Until 2009, he held exhibitions together with Franz von Stauffenberg, as the duo RothStauffenberg.

Built as a luxurious resort, the Grande Hotel was once called the “pride of Africa”. Now standing as a desert of colonialism and wreckage in the third world, it is the entrance to the maze, Mozartbique. The hotel’s previous guests include wealthy white residents and Mozambique National Liberation Front fighting against colonialism. Today, it has long been home to nearly 3,000 squatters. There is North Korean director Shin Jun-chul, who was invited to socialist Mozambique’s film studio in 1977 to make films for public education. When the two German writers (who had no intension of making a documentary at first) arrive at the hotel with a huge collection of masks and hold a masquerade, the bodies and movements of the Grande’s inhabitants become the medium that connects past and present as well as Mozambique and the First World. The film also presents footage of a lecture on Heidegger’s images and speeches given by Samora Machel, the first president of Mozambique, as well as newsreels produced at the film studio set up by Machel, now discarded film archives, and Mozart’s music. These ingredients all connected by bizarre links are finally turned into a documentary film through a series of artistic touches. (PARK So-hyun)

Filmography Mozartbique (2014) Beatrice (2014) Anna (2014) Spring (2014) Jean and Jeanne. And Otto (2013)

43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4

아웃 오브 포커스 Out of Focus

Director | 셩즈 주 Shengze ZHU

Staff

China | 2014 | 88min | HD | Color

DIRECTOR | Shengze ZHU PRODUCER | Zhengfan YANG WRITER | Zhengfan YANG, Shengze ZHU Contact Burn the Film Production House Tel 86 139 7110 0974 zhushengze@gmail.com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4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5

Program Note 중국 우한에서 감독은 어린 아이들을 데리고 디지털사진 수업을 진행하면서 이들이 찍 은 사진 속에서 디지털 이미지의 즉흥성과 도시화된 중국 주변부의 그늘진 현실을 조용 히 관조한다. 공사장 소음이 지배하는 도시의 풍경 아래에서 낡은 가재도구들 사이로 가 족들 사이에서 때론 웃음이 번지기도 하지만 매번 아이에게 무언가를 해주지 못하는 이 유를 설명하는 어머니의 태도는 가난한 가정의 소녀 친에게는 매번 불만스럽다. 아이들 이 찍은 사진은 순간적인 디지털 이미지의 즉흥성을 간파하는 놀라움도 언뜻 비치고 또 한 피사체가 그들이 가지고 싶은 대상을 향한 무의식적인 지향이라는 것도 발견된다. 디 지털 사진 속 이미지를 확장한 것 같은 공간에서의 카메라의 360도 패닝이나 등장인물 셩즈 주

들을 대하는 조용한 움직임은 급속히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가난한 도시빈민

Shengze ZHU

들의 삶의 모습을 가리지 않고 드러낸다. 끊이지 않는 엄마와의 사소한 말다툼과 남루한 현실은 스틸이미지와 삶의 현장이 부딪치는 극적인 대비를 이루고 건조한 듯 세밀하게

Director’s Biography

된 이미지들은 한 편의 다큐멘터리가 되었다. (박부식)

1987년 중국에서 태어났다. 미국에서 포 토저널리즘을 공부한 그녀는 2010년 Burn The Film Production House를 공동 설립했다. Distant (2013) 등의 작품 에 프로듀서이자 촬영감독으로 참여하였 고, <아웃 오브 포커스>는 그녀의 첫 감독 데뷔작이다.

Shengze Zhu was born in 1987, China. Trained in photojournalism in the United States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and initially a photographer, she co-founded Burn the Film Production House in 2010. She has worked as producer and cinematographer for several films, including Distant (2013). Out Of Focus is her directory debut.

In Wuhan, China, the director gives a lecture on digital photography to young children and calmly gazes at their pictures to witness the impromptu of digital images and the dark reality of the peripheral side of urbanized China. Within the cityscape dominated by the noise from construction sites, a family leads reasonably happy life, despite pestering poverty. However, to young Qin, her mother’s explaining about why she cannot buy something Qin wants is always a source of dissatisfaction. The photos taken by children sometimes surprisingly look through the impromptu of digital images, and they are also the unconscious orientation toward something the poor children want. The 360-degree panning of the camera within the space that looks like an extension of the images in digital photos, as well as the silent movement toward the figures in the film, provide a raw sketch of the urban poor in rapidly urbanizing China. The endless arguments between Qin and her mother and the impoverished everyday life create a dramatic contrast between still images and the real life, and the dry yet detailed images add up to complete an entire documentary. (PARK Bu-sik)

Filmography Out of Focus (2014) Distant (2013) I Killed My Father (2012) The Surroundings (2011)

45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6

아들의 시간 Son’s Time

Director | 원태웅 WON Tae-woong

Staff

Korea | 2014 | 129min | HD | Color

DIRECTOR/EDITOR/SOUND | WON Tae-woong Contact Won Tae-woong wonm7@hanmail.net

World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4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7

Program Note 이 작품은 감독이 할아버지 선산에 대한 이야기를 텍스트 내레이션으로 고백하면서 자 신의 의식을 통한 여정을 암시하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내적 고백은 대상들이 명확하지 않은 서술방식을 취함으로써 이미지들의 배열을 비논리적인 담화의 형태로 변용시킨다. 가족을 촬영한 다이어리 필름과 철거가 진행중인 오래된 동네와 거리의 풍경은 매우 지 루하거나 무의미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시퀀스들이다. 하지만 자신의 감정과 기억, 그리 고 감각에 부딪칠 때만 제시되는 이미지들은 공교롭게도 반복과 차이를 거듭하면서 작 품 전체를 하나의 퍼포먼스로서 이행하고 있는 것처럼 이해되기 시작한다. 감독의 시점 이 명확해지는 순간들이 있는데, 철거지역 부근의 거리의 파노라마가 눈오는 장면으로 원태웅

겹쳐지거나, 맨홀과 중장비가 굉음을 지르며 건물을 철거하는 장면이 다른 시간으로 정

WON Tae-woong

확하게 겹치는 장면들의 병치관계는 의식의 흐름을 따라서 서술된 몸의 연상작용과도 같을 수 있다. 할아버지의 선산을 찾아 길을 걷고, 산을 오르고, 나무에 기대어 앉아 사과

Director’s Biography

를 씹어 먹고, 다시 길을 나서는 행위들이야말로 퍼포먼스를 수행하는 과정으로서의 몸,

가족의 일상을 담아낸 <장보러 가는 날>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기억이 향하는 모호한 세계야말로 감각적으로 잉여된 이

을 시작으로 오랜 기간 살아온 작가의 마

미지일 수 있다. 그 기억으로부터 우리는 이미지로서 시간을 다루고 실재적인 신체를 -

을과 그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영상매

감독에게는 자신과 그의 가족, 철거된 동네와 할아버지의 선산 - 자신의 손 안에 움켜 잡

체를 통해 풀어나가고 있는 중이다.

을 수 있을 것이다. (전성권)

Won Tae-woong made his directorial debut with The Day Going to Market portraying daily lives of a family in 2011. Won pursues his passion for filmmaking his beloved hometown and family on camera. Filmography <아들의 시간> Son’s time (2014) <장보러 가는 날>

The Day Going To Market (2011)

47

In this documentary, the director uses text narration to tell about his grandfather’s family graveyard, as if to imply a journey within his mind. By adopting a description method for unclear subjects, such internal confession transforms the array of images into the form of illogical discourse. The diary film shooting the director’s family and the scenery of old towns and streets are sequences that could be seen extremely boring or meaningless. However, the images that are presented only when the director bumps into his emotions, memories, and senses are understood as a process of revealing repetitions and differences to create a whole performance. The director’s viewpoints become clearer at some moments. The juxtaposition of the panorama of streets around demolished areas and the snowing scene, and the scene showing heavy equipment demolishing a building with roaring noise and another scene about a different time frame,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his body’s association described based 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he acts of walking to find the family graveyard, climbing a mountain, leaning against a tree and eating an apple, and hitting the road again are the body itself, as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complete performance. The dubious world toward which the director’s memory heads could be a sensately surplus image. From such memory, we can grasp time as an image and grab the real body—which means the director and his family, the demolished town, and his grandfather’s family graveyard. (JEON Sung-kwon)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8

수감자들 Städtebewohner

Director | 토마스 하이제 Thomas HEISE

Staff

Germany | 2014 | 82min | HD | B&W

DIRECTOR | Thomas HEISE Contact Deckert Distribution Tel 49 341 215 6639 info@deckert-distribution.com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4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49

Program Note 멕시코의 어느 도심 한 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는‘산 페르난도(San Fernando)’ 에는 23 세 이하의 젊은이들 200명 남짓이 수감되어 있다. 특정한 수감자의 삶을 쫓는 것도 폭력 이 난무하는 감옥의 모습을 담는 것도 아닌 이 영화는 무척이나 시적으로, 그만큼 깊이 있는 이미지의 울림을 전달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전적으로 자연광에 의지하는 영화 속의 밝음과 어둠이 흑백필름을 만나면서 한층 강렬해진다. 너무도 일상적으로 비 치는‘산 페르난도’ 의 순간들은 그 안을 노니는 여러 새들의 모습이나 평화로운 분위기 의 정경들로 극대화된다. 하지만 영화는 이‘ 평화로운 일상’ 에 교도관과 수감자의 수직 관계나 창살 안에서의 생활 등을 배치함으로써‘산 페르난도’ 가 결국은 감옥임을 상기시 토마스 하이제

킨다. 끊임없는 긴장과 이완의 병행 속에 서 있는‘산 페르난도’ 의 시간을 정제된 시선으

Thomas HEISE

로 담았다. 그 시선에 브레히트의 세 편의 시가 덧대어져‘사라진 존재’ 를 성찰한다. 분명 도심에 살고 있지만 쉽게 보이지 않는 존재를. (강보라)

Director’s Biography 토마스 하이제는 1955년 동독의 수도였 던 베를린에서 태어나, 졸업 이후 한동안 인쇄업자로 일했다. 동독군에서 군복무를 마친 후 그는 DEFA 포츠담-바벨스베르그 의 장편영화 스튜디오 조연출로 영화계에 입문했으며, 포츠담-바벨스베르그 영화학 교에서 수학했다. 오직 암시장에서 산 물 품들로만 제작한 그의 첫 다큐멘터리 Why a Film About These People은 일 반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이 국내외에서 주목을 받은 것은 90년대 이 후의 일이다. 2007년부터 칼스루에 조형 예술대학에서 필름 및 미디어아트 전공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첫번째 단편 다큐멘터리의 제 목인‘ 왜 이런 사람들에 대한 영화를 만드

San Fernando, located in Mexico City, is home to some 200 prisoners under the age of 23. The film neither chronicles the life story of a particular prisoner nor presents scenes of violence inside the prison. Instead, its central focus is on delivering the resonance of powerful images in a highly poetic way. The brightness and the darkness within the film relying solely on natural lights become even more intense when projected onto a black-and-white screen. The everyday moments of San Fernando are highlighted by the images of various birds roaming about the prison as well as the scenes of tranquility. However, by contrasting this ‘peaceful daily life’ with the life behind the bars and the hierarchical order between the prison guards and the prisoners, the film reminds us that San Fernando is a prison after all. The film takes a refined look at how time passes in San Fernando, a place wrapped up in endless moments of tension and relaxation running in parallel. That view accompanied by three poems by Bertolt Brecht leads us to reflect upon ‘the disappearance’ of an existence that lives in the city for sure but cannot be detected easily. (KANG Bo-ra)

는가’ 가 그의 작업 세계의 기본 방침이 되 었다.

Thomas Heise was born in Berlin, capital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in 1955. After school he trained as a printer – ‘in the GDR printer was the profession of choice of social failures’. (Heise in a talk with Erika Richter). After his military service in the East German armed forces he began to work as an assistant director at the DEFA - Studio for Feature Films in Potsdam Babelsberg in 1975. Parallel to his work at the studio he resumed his studies and completed his secondary education. Between 1978 and 1983 Heise studied at the Academy of Film & Television in Potsdam-Babelsberg (HFF/B). His first film, the documentary ‘Wozu denn über diese Leute einen Film’ (‘Why a Film About These People’) - produced entirely with materials bought on the black market - was banned from public screening.

49

Filmography Städtebewohner (2014) Children. As Time Flies. (2007) Neger (2006) Mein Bruder. We’ll Meet Again (2005) The Foreigner (2004) Fatherland (2002)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0

물결 Waves

Director | 아흐메드 누르 Ahmed NOUR

Staff

Egypt | 2013 | 74min | DCP | Color+B&W

DIRECTOR/PRODUCER | Ahmed NOUR CINEMATOGRAPHER | Ahmed FATHY EDITOR | Simon EL HABRE, Meriem AMRIOUI MUSIC | Markus AUST SOUND | Emile AOUAD Contact Moug Films nourmoug@gmail.com

Kore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5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1

Program Note <물결>은 2011년 이집트 혁명에 대한 영화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이 영화는 반독재 시위 과정에서 경찰의 발포로 인한 첫 번째 희생자를 낳음으로써‘혁명의 불꽃’ 이 되었 던 수에즈라는 도시에 대한 성찰적인 에세이 영화다.<물결>는 다양한 영화언어를 통해 혁명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감독 자신의 사적 기억을 재현하고 있는 애니메이션과 공적인 기록필름이 혁명의 과거에 대한 질문(이집트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임에도 불구 하고 수에즈는 왜‘혁명의 불꽃 ’ 이 될 수밖에 없었는가?)을 품고 있다면, 수에즈의 자연 (특히, 파도들과 까마귀들)과 사람을 응시하는 카메라에는 혁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질 문(많은 사람들의 희생을 통해 이루어낸 혁명이 왜 유산될 위기에 처해 있는가?)이 담겨 아흐메드 누르

있다. 무엇보다 <물결>는 수에즈의 자연과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믿음, 그리고 그 사랑

Ahmed NOUR

과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긍정의 태도가 돋보이는 아주‘ 젊은’영화다. (변성찬)

Director’s Biography

Waves is a film about the 2011 Egyptian Revolution. To be more precise, this film can be described as a meditative essay on the city of Suez. Suez, where the first victim was killed by the police during a protest against the country’s autocratic rule, became ‘the flame of the Egyptian Revolution”. Waves poses some deep questions upon the revolution through a range of cinematic languages. The director brings to life his own personal recollection using animation and official footage, which then poses questions about the past. For example, why did Suez, the wealthiest city in Egypt, serve as ‘the flame of the Egyptian Revolution’? At the same time, the camera directs its gaze upon the nature (waves and crows in particular) found in Suez, there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present and the future. Why is the revolution, achieved through the sacrifice of countless victims, now in danger of being aborted? The film shines with love and trust towards the people and nature of Suez. Most of all, Waves is a ‘young’ film that offers a positive outlook based on that very love and trust. (BYUN Sung-chan)

1983년생인 아흐메드는 TV 연출과 미디 어 연구를 전공했으며, Arab Institute of Film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을 공부한 후 5 년간 이집트 영화계에서 제1조감독으로 활동했다. 아마추어 사진가이기도 하여 자신의 영화를 직접 촬영하기도 한다. 18 세 때부터 본인이 직접 자신이 독립영화 의 각본을 쓰고 연출하기 시작했으며, 11 년 동안 TV 다큐멘터리, 단편영화, 중편 스크린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작업을 해 왔다. <물결>은 누르의 첫 장편 다큐멘터 리 영화다. 최근, 누르는 카이로를 기반으 로 하는 다큐멘터리 제작사 Moug Films 를 설립했다.

Ahmed was born in 1983, He studied TV directing & Media studies, Then he studied creative documentary film at the Arab institute of film, He has worked as first assistant director in Cinema in Egypt for 5 years. Ahmed is an amateur photographer so he usually shoots parts of his own films. Ahmed started to write & direct his own independent films since he was 18, for approximately 11 years he has acheived a TV documentary, a short film, and 2 medium length creative documentaries. Waves is Nour’s first feature length documentary film. Lately he created a Cairo based tiny production house called: “ Moug films” which is specialized in documentary film production. Filmography Nefertari’s Palms (2014) Waves (2013) But Something Is Missing (2009) A Gown and Shoes (2007)

51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2

도시들의 속삭임 Whispers of the Cities

Director | 카심 아비드 Kasim ABID

Staff

Iraq, UK, UAE | 2013 | 62min | DCP | Color+B&W

DIRECTOR | Kasim ABID EDITOR | Kasim ABID, James MILNER-SMYTH MUSIC | Naseer SHAMMA SOUND | Kasim ABID, Peter HODGES Contact Kasim ABID kasim.abid@yahoo.co.uk

Asian Premiere

International Competition

5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3

Program Note 이‘ 영화’ 가 보여주는 것은 10년에 걸쳐 이라크 북부의 에르빌, 팔레스타인의 라말라, 바 그다드 이렇게 세 도시에서 창문을 통해 찍은 일상이 전부다. 여느 도시처럼 창밖 세상에 는 비가 오고 차가 밀리며 여기저기서 공사가 벌어지고 사람들은 기도하고 먹을 것을 사 고판다. 하지만 불안정한 아랍세계 도시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언제나 예측불허다. 제일 먼저 등장하는 라말라에서 평화로워보이던 일상은 요란한 사이렌 소리와 함께 장갑차가 등장하면서 무너져버린다. 가장 긴 시간 등장하는—아마도 감독이 미군점령 시기 내내 집요하게 찍었을—바그다드에서 도시의 일상은 걸핏하면 총성과 사이렌 소리로 뒤덮인 다. 그 속에서도 사람들은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공사 중이던 분수대는 어느덧 완성되어 카심 아비드

물을 뿜는다. 마지막에는 등장하는 에르빌은 전쟁 이전 도시의 삶을 보여준다. 이렇게 각

Kasim ABID

도시에서 벌어지는 크고 작은 기록의 파편들을 지켜보고 조합하면서 관객은 9.11 이후 격동하는 아랍세계의 삶 한가운데에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박소현)

Director’s Biography 카심 아비드는 감독이자, 프로듀서, 촬영 감독 등 다방면으로 활동 중인 이라크 감 독이다. 바그다드미술대학을 졸업한 후, 모스크바 국립영화학교(VGIK)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2년 런던으로 이주 해 영화제작 일을 하고 있다. 비영리단체 인 바그다드독립영화/TV학교(IFTVC)를 설립하여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으며, 이 라크 정권 몰락의 즉각적인 여파를 다룬

Life After the Fall은 다수의 국제영화제 에서 주목을 받았다.

Kasim Abid is an Award-winning Iraqi filmmaker, director, producer and is the cameraman of all his films. He graduated from the Institute of Fine Arts- Baghdad and holds an MA from VGIK-All Union State Institute of Cinematography - Moscow. He came to London in 1982 where he continues to live and work as a filmmaker. ‘Life After the Fall’- Kasim filmed over 5 years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fall of the Iraqi regime won him ‘Doc Festival Munich Award 2008’ amongst many other international film Awards. This film was screened on the UK Channel (4) television and other international satellite stations.

Shot over the space of 10 years, this ‘film’ is a record of everyday life seen through windows in three different cities – Erbil in Northern Iraq, Ramallah in Palestine and Baghdad. The film shows that just like in any other city, outside the window it rains at times, cars get stuck in traffic jams, there are construction sites here and there, and people pray and buy foods. However, in the unstable world of an Arab city, one could never guess what may happen next. In the first city, Ramallah, the seemingly calm daily routine is disrupted when a herd of tanks suddenly appears with loud sirens. The largest portion of the documentary is dedicated to Baghdad, which perhaps the director obsessively filmed throughout the US occupation. Life in Baghdad is frequently plagued by sounds of gunfire and sirens. Nonetheless, amidst all that, people go about their daily routines, and the construction of a fountain gets completed. The film concludes with Erbil, which depicts life before the war. By watching and combining slices of life, both big and small, in each of the three cities, audiences find themselves in the middle of the turbulent post-9.11 Arab world. (PARK So-hyun)

Filmography Whispers of the Cities (2013) Naji Al Ali: An Artist with Vision (2000) Amid the Alien Corn (1990)

53

International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5

한국경쟁 Korean Competition 한국감독들의 다큐멘터리 작품을 대상으로 한 경쟁부문으로 길이 의 제한이 없다. 그런 만큼 내용 만이 아니라 형식의 다양성과 실험 성, 그리고 현재의 풍경을 통찰력 있게 담아내는 작품을 포함한다. 국내출품작 및 DMZ 프로젝트마켓 지원작을 포함한 총 86편 중 올 해의 한국경쟁작품으로 9편을 확정하였다. 기성작가와 신진작가들 의 작품을 구분하기보다는 한국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경향에 초점 을 맞추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다큐멘터리 역사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인 운동과 저항으로서의 다큐멘터리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었 지만 그 너머의 가능성은 과연 무엇일까? 라는 질문에 답한 영화들 과 대상을 관찰하는 태도가 그대로 반영된 작품들, 기록성을 뛰어넘 는 매력적인 인물 등 다양한 작품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은 큰 의미일 것이다. <밀양 아리랑>은 관찰자적 태도로 거리를 두면서도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밀양 할매들의 몸부림을 그들 만의 유머와 함께 기록하면서도 공권력과 충돌하는 장면과 인터뷰 장면은 서로 다른 분위기로 슬픔과 여유를 프레임에 기록한 영화다.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는 인물의 평범한 일상이 드라마적 구 조를 만들어가는 감동적인 작품이다. <뜻밖의 수업>는 공공기관에 관한 보고서이자 얼굴과 표정에 관한 작품이며, <김 알렉스의 식당 : 안산-타슈켄트>은 안산과 비쉬켁의 공간을 넘나드는 작품이다. <물 속의 도시>는 희미한 기억에 잠긴 보이지 않는 풍경을 보여주고 있 고, <의자가 되는 법>은 대상을 관찰하는 태도가 매우 자기 반영적 이란 점. 그리고 가상의 마이클 무어가 한국 기독교의 성역을 풍자적 으로 해부한 <쿼바디스>. 마지막으로 두 편의 단편은 특별할 것이 없는 듯 송도와 브루클린의 항구를 배회하는 공감각적 영화라 할 수 있다. 최우수한국다큐멘터리상 1편에는 한화 1,000만원이 수여된다. 심사위원특별상에 한화 500만원이 수여된다. (국제경쟁 및 한국경 쟁부문 상영작 중 관객투표에 의해서 선정된 1편에게 관객상 한화 300만원 상금이 수여된다)

Submissions for the Korean Competition section are Korean documentaries of any length. Therefore selections contain documentaries that not only have great contents but also present diverse and experimental format and offer insight into current situation captured on camera. Among 86 films, including Korean submissions and submissions sponsored by DMZ Project Market, nine documentaries were selected to compete in the Korean Competition. Instead of distinguishing between well-established filmmakers and rising filmmakers, the competition focused on a new trend in Korean documentaries. Movement and resistance, the main themes in the history of Korean documentaries, still appeared in the submissions.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a variety of great films were discovered through this competition, including films that answered to the question, “What are the possibilities of going beyond those themes?”, documentaries that purely reflect the attitude of the observer, and works that present charming figures beyond simply documenting them. Miryang Arirang - Legend of Miryang 2 show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the topic of the film while putting distance from it with an observer’s point of view. It documents the struggle of the old ladies in Miryang with their own sense of humor. At the same time the documentary shows images of them clashing with the government and also contains interviews, recording the sorrow and composure of the ladies of Miryang in completely different ambience.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is a touching film that makes a drama out of an ordinary person’s daily life. Unprepared Class is a report on a public institution and also a work about faces and expressions, and Kim Alex’s Place : Ansan-Tashkent is a work that crosses between Ansan and Bishkek. The City in the Water shows scenes submerged in faded memories, and How to Become a Chair is self-reflective in observing the subject of the film. And QUO VADIS dissects the holy ground of Korean Christian Church sarcastically by fictional character Michael Moore. Lastly, the two shorts competing in this section are synaesthetic films that wander about Songdo and Brooklyn, as if there is nothing special about it. The winner of the grand prize in the Korean Competition will receive KRW 10 million, and the winner of the Special Jury Prize will receive KRW 5 million. (All submissions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re considered for the Audience Award with a KRW 3 million prize.)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6

물속의 도시 The City in the Water

Director | 김응수 KIM Eung-su

Staff

Korea | 2014 | 80min | DCP | Color+B&W

DIRECTOR/EDITOR | KIM Eung-su PRODUCER | MOON Woong CINEMATOGRAPHER | BAK Ki-ung Contact Kimeungsu Film eungsu_k@daum.net

World Premiere

Korean Competition

5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7

Program Note 충주댐은 1978년부터 1985년에 걸쳐 완성된 대한민국 최대의 댐이다. 댐 건설은 4개 시 군에 걸쳐 7105세대 38,663명의 수몰민을 양산했다. <물 속의 도시>라는 제목이 보여 주듯이 영화는 댐 건설로 수장된 300여 마을과 이 공동체 사람들의 역사, 기억, 삶의 흔 적을 복원하며 진술한다. 영화의 시선을 좀더 풍부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 영화가 소환하 는 또 하나의 사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80년 신군부가 집권하면서 추진된 언론통폐 합 사건이다. 영화는 1980년 11월 30일 폐국된 동양 라디오의 인기 프로‘ 밤을 잊은 그 대에게’ 의 마지막 방송을 반복적으로 들려준다. 배 위에 올라탄 카메라가 충주호를 구석 구석 살피면서 물 속에 잠긴 사람들의 과거, 추억, 삶의 터전, 폐허의 흔적을 건져 올릴 김응수

때 사운드 트랙은“ 잊지말아달라”는 황인용 아나운서의 처절한 호소를 반복해서 들려

KIM Eung-su

준다. 그러나 사라짐에 맞서 힘겹게 존재 증명을 하려는 몸짓은 현재의 소음에 묻히기 일 쑤고, 짙푸른 물색은 이 모든 것을 집어 삼킨다. 프레임을 잠식하는 호수의 물색은 한없

Director’s Biography

이 먹먹하기만 하다. (맹수진)

충주에서 태어나 서울대에서 심리학을 공 부하고, 1996년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 2002년 <욕망>, 2005년 <달려라 장미> 등의 극영화를 연출하고, 2006년 극과 다 큐의 경계를 탐험하는 <천상고원>을 만 들며 영화의 양방향과 경계 허물기를 추 구하였다. 2008년 <과거는 낯선 나라다>, 2010년 <물의 기원>, 2012년 <아버지 없는 삶> 등은 그런 탐험의 결과물이다.

Born in Chungju and majored in psycholog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directing film dramas, Time Lasts (1996), Desire (2002) and Way to go, Rose (2005). In 2006, sought to dissolve the movies’ two-ways and borders while making Heavenly path, which explored the border between drama and documentary. The Past is a Strange Country (2008, docu), The Origin of Water (2010, drama), and Without Father (2012, docu) are the results of that exploration. The City in the Water is the third documentary.

As the largest in Korea, the Chungju Dam was constructed from 1978 and completed in 1985. The dam construction stretched over four different cities and counties, dislocating a total of 38,663 people of 7,105 households. As the title implies, this film recollects the history, memories and traces of life of over 300 villages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and those who lived in those communitie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this documentar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another incident called by this film. In 1980, the new military group that took power dispersed or merged the press companies. This film repeatedly presents the last broadcast of the famous program of Tongyang Radio, which was closed on November 30, 1980. While the camera on the ship scans the Chungju Lake and dredges any remains of the past, memories, the living foundation, and signs of ruins sunk in the water, the film’s soundtrack repeats the desperate plead of the announcer of the program, saying “Don’t forget us.” The gestures to prove any existence, however, are often outpowered by numerous noises of the present, and dark water swallows everything inside. The deep blue water of the lake that dominates the frame just remains there as always. (MAENG Soo-jin)

Filmography <물속의 도시>

The City in the Water (2014) <아버지 없는 삶> Without Father (2012) <물의 기원> The Origin of Water (2010) <과거는 낯선 나라다>

The Past is a Strange Country (2008) <천상고원> Heavenly Path (2007) <달려라 장미> Way to go, Rose (2005) <욕망> Desire (2002)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

Time Lasts (1997)

57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6 AM 페이지58

의자가 되는 법 How to Become a Chair

Director | 손경화 SON Kyung-hwa

Staff

Korea | 2014 | 80min | DCP | Color

DIRECTOR/EDITOR | SON Kyung-hwa PRODUCER | OH Jung-hun CINEMATOGRAPHER | PARK Young-jun MUSIC | KIM Min-hong SOUND | PYO Yong-soo CAST | The chairs on the streets, amenohi, PATRA, STANDARD.a, Jayul Design Lab, SeoulTech, KIM Hyung-wook, HRK Contact SON Kyung-hwa suzubgirl@gmail.com

World Premiere

Korean Competition

5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59

Program Note 수많은 공산품들은 일정한 절차와 공정을 거쳐 품질 및 안전 등을 점검 받은 후 세상에 나와 알 수 없게 값 매겨져 팔리고, 교환되고 또 버려진다. 우리는 모두 이러한 사물들의 배치 안에서 자리하고 있다. 즉 어떠한 상태의 사물들에 둘러싸여 있는지 면밀히 살핀다 면, 우리는 그 사람이 공간과 맺는 사회적, 경제적 나아가 미학적 관계를 단번에 알 수 있 다. 이 영화가 집중하는 의자는 우리의 위치, 즉 공간과 시간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관계 성을 보여주는 사물이다. 의자는 살과 맞닿아 일상과 연계되어 구체적이고 경험적인 물 리적 공간 안에서 배치되기 때문이다. 영화는 의자가 지닌 다양한 성격을 보여준다. 의자 는 공산품이면서, 감정적 오브제이며, 삶 안에서의 의미부여 대상이자 가치적 선택과 실 손경화

천과 연동될 수 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의자가 시간과 공간을 점거했다는 것을 상

SON Kyung-hwa

기하면서 삶의 스토리를 상상하는 것이다. 의자는 당신의 체온을 품었으며, 당신의 삶의 무게를 같이 견뎠으며, 그리고 당신만의 공간을 구획하고 또 점유하도록 비의지적으로

Director’s Biography

이끌었다. 그래서 그저 그 의자가 위치한(영화를 만든 당신이 앉은 의자를 포함한) 시간

의자가 되는 법을 배우는 중

과 공간, 그리고 의자를 거처 갔을 무수한 사람들을 생각하며 영화를 따라가면, 나를 고

SON Kyung-hwa learns how to become a chair. Filmography <의자가 되는 법>

How to Become a Chair (2014) <그 자식이 대통령 되던 날>

The Day that Bastard became President (2011) <개청춘> The Blossom of Youth? (2009)

59

민하게 된다.‘ 당신의 의자는 어디서, 어떻게, 무엇을 향해 어떤 형태로 놓여 있습니까?’ (김숙현)

Countless industrial products are processed and manufactured. After passing safety and quality checks, they are priced according inexplicably and then exchanged and discarded. We exist among these products in their assigned places. In other words, by observing closely what sorts of products are surrounding us, we can identify our social, economical and aesthetic relationship with the spaces around us. How to Become a Chair centers on a chair. It is an object that illustrates our positions, which could be seen as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the serves as a medium for connecting spatial and temporal realms. In direct with one’s flesh, a chair is closely connected to everyday life, and therefore it is found in a specific and empirical space. The film portrays various qualities of a chair. It is an industrial product as well as an emotional object, on which one could bestow a meaning in life, thereby creating linkage to valued decisions and practices. However, what is more significant than this is the need to remind ourselves that chairs have occupied time and space and to imagine our life story. Chairs have embraced your body temperature, endured the weight of your life and unknowingly helped you measure off your own space and hold it. Therefore, by considering those who sat on the chair and the space and time it occupies (including the chair you are sitting on), we are led to reflect upon ourselves. Where did your chair come from? Where is it headed? What position does it take? (KIM Sook-hyun)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0

김 알렉스의 식당 : 안산-타슈켄트 Kim Alex’s Place : Ansan-Tashkent

Director | 김 정 KIM Jeong

Staff

Korea | 2014 | 62min | HD | Color

DIRECTOR | KIM Jeong PRODUCER/CINEMATOGRAPHER | KANG Jin-seok EDITOR | UM Yun-zhu SOUND | JEONG Ji-young Contact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Korean Competition

6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1

Program Note 김 알렉스는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3세이며 부인 허 스베타와 함께 안산에서 식당을 운영 하며 살고 있다. 고향에서 건축가였으며 레스토랑 등의 사업을 하며 꽤 많은 돈을 벌었던 그는 소련 해체 후 재산을 잃고 중앙아시아와 러시아 등지를 옮겨 다녔다. 그의 유랑하는 삶은 연해주에 살던 그의 고려인 조상들이 스탈린 시대에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하 고 뿌리를 뽑힌 채 다시 시작해야 했던 역사를 되풀이한다. 김 알렉스의 삶은 녹녹치 않 다. 그는 자신의 혈연공동체를 중시하지만 고향에서의 삶은 거의 되찾을 수 없으며 아내 허 스베타도 다른 남자를 만나 그의 곁을 떠난다. 영화는 김 알렉스의 현재 삶을 관찰하 는 가운데 김 알렉스의 고향 사람들의 삶에도 카메라를 비춘다. 음식과 풍습은 남아 있지 김정

만 어디에 있건 그들의 흩어진 공동체의 삶은 정체를 가늠하기 힘들다. 영화는 그들의 향

KIM Jeong

수와 체념에 연민을 보내고 동시에 생존 의지를 포기하지 않는 그들의 강한 낙관적 삶의 태도에 존경을 표하는 듯 보인다. 쓸쓸한 영화 속 공간을 버티어내며 자기존엄을 잃지 않

Director’s Biography

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을 기억하게 만드는 다큐멘터리다. (김영진)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 후 여성사 다큐멘 터리 삼부작 <거류>(2000), <황홀경>(2003), <원래 여성은 태양이었다>(2004)와 디지 털 단편 옴니버스 프로젝트 <이공(異共)>, 장편 극영화 <경>(2010) 등을 연출하였다. 2000년 제1회 고정희상을 수상하였으며, 일본 야마가타다큐멘터리영화제와 제1회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부산국제영 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멕시코 구아 나후아토국제영화제 Guest of Honor 특 별전을 비롯한 유수의 영화제들에서 작품 이 초청, 상영된 바 있다.

KIM Jeong has made Women’s History Trilogy (2000-2004) (Koryu : Southern women/South Korea, I’ll Be Seeing Her, New Woman : Her First Song) which was screened at Yamagat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broadcast on EBS (Public channel) among many others. She also made the feature length fiction film entitled Viewfinder (Kyung) which was screened at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s well as at Tokyo Film Festival and released at the theaters.

Alex Kim is a third generation Goryeoin from Uzbekistan. He runs a restaurant with his wife Seubeta Huh in Ansan. He used to make a lot of money as an architect and restaurateur back home but lost everything when the Soviet Union dissolved and ended up moving around Central Asia and Russia. Alex’s wandering life is history repeating itself because his Goryeoinancestors living in Primorsky Krai were forcefully uprooted and relocated to start a new life in Central Asia during the Stalin era. Alex is struggling with his new life. Even though he thinks a family-oriented community is important, he is far from the life he led back in his hometown and to make matters worse his wife left him for another man. The documentary not only observes Alex’s current life but also portrays the lives of the people from Alex’s hometown. The food and customs still remain, but it’s difficult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dispersed everywhere in the world. The documentary simultaneously shows the people’s longing for their hometown and accepting the harsh reality but at the same time their strong will to survive with a positive attitude. Also, it shows the people who do not lose their dignity even in the midst of feeling loneliness. (KIM Young-jin)

Filmography <김 알렉스의 식당 : 안산-타슈켄트>

Kim Alex’s Place : Ansan-Tashkent (2014) <경> Viewfinder (2010) <원래 여성은 태양이었다 : 신여성의 퍼스트 송> New Woman : Her First

Song (2004) <황홀경> I’ll Be Seeing Her (2003) <거류> Koryu: Southern Women (2000)

61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2

밀양 아리랑 Miryang Arirang - Legend of Miryang 2

Director | 박배일 PARK Bae-il Korea | 2014 | 127min | HD | Color

Staff DIRECTOR/EDITOR/CINEMATOGRAPHER | PARK Bae-il PRODUCTION | Ozifilm MUSIC | KIM Byeong-o Contact Ozifilm baeili@hanmail.net

World Premiere

Korean Competition

6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3

Program Note 어둠 속에서 나이든 여성과 젊은 여성이 산길을 걷는다. 그들은 경찰의 눈을 피해 한전 송전탑 건설 현장을 탐색하며 다가올 투쟁 계획을 논의한다. 비장하고 건조할 것 같지만 세대가 다른 두 여성은 언니 동생처럼 바닥에 깨진 채 놓여 있는 수박 등의 과일을 먹으 며 유쾌한 농을 나눈다. <밀양 아리랑>은 관제화된 언론 보도로는 포착되지 않는 밀양 신고리 마을 사람들의 송전탑 반대 투쟁 이면을 그린다. 그들의 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옮 겨 전해주는 가운데 그들이 절실하게 지키고자 하는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 절로 납득하 게 되는 인간적 기운이 화면에 술술 배어나온다. 어떤 철학자나 정치가, 사회운동가의 말 보다 그들의 말과 행동은 절실하며 평생 농사를 지으며 체득한 자연친화적 삶의 아름다 박배일

움이 무엇인지 추측하게 한다. 그러나 그들의 삶은 지속되지 못하며 수천명의 경찰과 한

PARK Bae-il

전 직원들에 맞서 쇠사슬을 몸에 두른 채 항거하는 잔인한 상황의 구석에 내몰린다. 영화 는 매우 긴 분량으로 밀양 시골사람들의 인간적 삶의 가치를 찬양하며 그들의 투쟁에 놓

Director’s Biography

인 맥락을 성실하게 탐색하는 가운데 국가의 폭압적인 원전 정책과 자본의 음모로 망가

독립다큐멘터리 창작공동체 오지필름에

져 가는 인간적 절규를 깊은 근심으로 질문한다. (김영진)

서 활동 중이다. 옆집 할머니의 삶을 담은 <그들만의 크리스마스>(2007)로 다큐멘 터리 연출을 시작했다. 이어 장애인, 노동 자, 여성 등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에 대한 관심을 점차 넓혀 가며 부산을 기반으로 꾸준히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다.

PARK Bae-il is currently working in an independent film group, Ozifilm. Inspired by an old lady in his neighborhood, he made his first short documentary, Just Their Christmas (2007). Dreaming of a world without any discrimination against workers, women and the disabled, he is currently working on other documentary projects. Filmography <밀양 아리랑>

Miryang Arirang - Legend of Miryang 2 (2014) <밀양전> Legend of Miryang 1 (2013) <나비와 바다> Sea of Butterfly (2011) <잔인한 계절> Cruel Season (2010)

An old woman and young woman are walking on a trail in the dark. They are discussing the upcoming fight while surveying the 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site avoiding the police. It may appear these two women who are generations apart may have nothing in common, but they are joking around like sisters while eating watermelon on the floor. Miryang Arirang – Legend of Miryang 2 tells the untold story of the people who are oppos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transmission towers living in Miryang Shingori Village. This documentary gives life to their voices about the value of the life they are desperately trying to protect. No philosopher, politician or social advocate can be more eloquent about why these farmers want to continue to lead a beautiful life in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except for the farmers themselves. However, their peaceful lives come to an end when they have no choice but to chain themselves out of protest against thousands of police officers and employees from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The documentary praises the Miryang villagers’ value of life and tries to portray the reasons behind their opposition while raising a serious question about the cries of the people who are being ruin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oppressive nuclear policy and capitalist conspiracy. (KIM Young-jin)

<촛불은 미래다>

2008 Candlelight story in Busan (2009) <내사랑 제제> The Way to Jeje (2008) <그들만의 크리스마스>

Just Their Christmas (2007)

63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4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Director | 진모영 JIN Mo-young

Staff

Korea | 2014 | 86min | HD | Color

DIRECTOR/CINEMATOGRAPHER | JIN Mo-young PRODUCER | HAN Kyung-soo EDITOR | HYUN Jin-sik CAST | JO Myung-man, KANG Gye-youl Production Argus Film handocu@gmail.com World Sales Cat&Docs Tel 33 1 44 61 77 48 cat@catndocs.com

World Premiere

Korean Competition

6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5

Program Note 75년을 해로한 부부가 있다. 남편 나이 백 살, 아내의 나이는 구십을 바라본다. 함께 한 75년 세월이 징그러울 법도 한데 부부의 금슬은 한결같다. 젊어서 데릴사위로 들어와 어 린 신부가 다칠새라 몇 년을 고이 기다린 뒤에 비로소 한 몸이 된 부부는, 지금도 외출할 때면 커플 한복을 곱게 맞춰 입을 만큼 서로에게 극진하고 애틋하다. 인생의 동반자란 이 런 것이구나, 할 만한 모습이다. 하지만 그들에게도 극복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바로 생 자필멸(生者必滅)이라는 자연의 법칙이다. 공무도하가의 한 구절을 따온 제목이 암시하 듯이 이 부부 역시 시간과 함께 찾아오는 이별의 순간을 피할 수 없다. 남편을 보낸 늙은 아내는 흰 눈이 내려앉은 무덤가에 앉아 구슬피 운다. 오프닝과 엔딩에서 두 번 반복되는 진모영

이 장면은 영화의 테마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영화의 하이라이트일 것이다. 여러모로

JIN Mo-young

한국 독립다큐멘터리의 대중화를 선언한 <워낭소리>를 떠오르게 하는 이 영화는 인물의 매력만으로도 충분히 몰입할수 있는 영화다. (맹수진)

Director’s Biography 1997년부터 수많은 방송용 다큐멘터리를 제작 또는 연출했으며, 2012년에는 <오 래된 인력거>를 연출한 고 이성규감독의 극영화 <시바, 인생을 던져>를 프로듀싱 했다. 어느 날 TV에 등장한 노부부의 모습 을 우연히 바라보던 감독의 눈에 불꽃이 튀었다. 어쩌면 그의 인생에서 가장 미스 터리한 순간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 부풀어, 무작정 강원도 산골에 사는 부부를 찾아갔다가, 이 작품 이 시작되었다.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 오>는 진모영 감독의 첫 번째 장편 다큐 멘터리 영화다.

He has been producing and directing various documentaries for Korean Broadcasters since 1997, and in 2012, he produced also a feature film Shiva, throw your life which is directed by LEE Seong-kyu whose My barefoot friend was nominated to IDFA 2010. My Love, Don’t Cross the River is his first featurelength documentary film as the director.

There is this couple that lived for 75 years together, and the husband and wife are now about to reach 100 and 90 years old, respectively. Despite the long years, the couple is still dear to each other. Married young to live his wife’s family, the husband waited for several years for the young bride to grow old enough to start a real married life. Even now, they wear matching traditional outfits to go out. Their dear and devoted attitude to each other seems like the model for life companions. The only thing that bothers is the law of nature—death. As the title, an excerpt from an ancient poem, suggests, this loving couple cannot avoid the moment of parting. After the husband dies, the wife sits at the snow-layered grave and weeps sadly. By appearing repeatedly in the opening and ending, this scene is this documentary’s highlight moment that presents the theme of this film. With many elements that remind us of Old Partner, a paragon of Korea’s independent documentary going popular, this film can also become a magnet based on the charms of the characters. (MAENG Soo-jin)

Filmography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2014)

65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6

뜻밖의 수업 Unprepared Class

Director | 민환기, 이윤택 MIN Hwan-ki, LEE Yun-taik

Staff

Korea | 2014 | 110min | HD | Color

DIRECTOR | MIN Hwan-ki, LEE Yun-taik PRODUCER/EDITOR | MIN Hwan-ki CINEMATOGRAPHER | LEE Yun-taik SOUND | LEE Sang-yun Contact MIN Hwan-ki ozumin@daum.net

World Premiere

Korean Competition

6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7

Program Note 민환기 감독의 네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뜻밖의 수업>은 통영의 충렬초등학교에서 벌 어진 교육 실험을 담은 영화다. 이 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이 중심 되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들만의 힘으로 뮤지컬을 만들기로 한다. 교사들은 방과 후 시간을 이용 해 대본을 쓰고 아이들을 모아 연기, 노래, 안무 연습을 시킨다. 그리고 마침내 <꿈틀꿈 틀 표류기>라는 제목의 창작 뮤지컬이 무대에 오르게 된다. <Play It Again>(2004), <소 규모 아카시아 밴드 이야기>(2009), <미스터 컴퍼니>(2013) 등 민환기 감독의 다큐는 꿈 과 현실 사이의 갈등과 대립, 타협과 모색을 담아왔다. <뜻밖의 수업> 또한 같은 맥락 위 에 놓여 있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스스로 뮤지컬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진정한 배움을 실현한다는‘꿈’ 을 품고 있지만 온갖 현실적인 어려움은 그들의 꿈을 가로막는다. 이 영 화 속 이상과 현실의 대립은 전작에 비해 느슨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분투하는 학생 과 교사들의 모습은 은은한 감동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문 석)

민환기 MIN Hwan-ki Director’s Biography 2004년부터 다이렉트-시네마 형식의 다 큐멘터리를 만들어왔다. 다이렉트-시네마 형식을 미학적 사회적 맥락으로 확장시키 는데 관심을 가지고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있다.

He’s been making direct-cinema style documentaries since 2004. His interest of works is expanding direct-cinema style into more flexible form in aesthetic and social context.

As the fourth full-length documentary of MIN Hwan-ki, this film features an educational experiment conducted at Chungryeol Elementary School in Tongyeong. The teachers decide to make a musical only with their students in an effort to realize student-centered education. After classes, the teachers write the script and help the children to practice acting, singing and dancing. Such efforts at last result in staging their own original musical. Director MIN has talked about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 and negotiation and reconciliation between dreams and reality in his past works, including Play It Again (2004), Sogyumo Acacia Band’s Story (2009), and Anxiety (2013). Unprepared Class is on the same line. The teachers develop their dream of realizing a genuine process of learning by helping their students make their own musical, but in reality they face a number of challenges. The confrontation between ideal and reality is presented in this film as somewhat weakly compared to the previous documentaries, but this film showcases the efforts made by students and teachers alike, which still can move the audience in its own right. (MOON Seok)

Filmography <뜻밖의 수업> Unprepared Class (2014) <미스터컴퍼니> Anxiety (2012) <소규모아카시아밴드이야기>

Sogyumo Acacia Band’s Story (2009) <Play it again> (2004)

이윤택 LEE Yun-taik Director’s Biography 칼아츠 실험-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졸 업 한 후, 다수의 단편 애니메이션 프로젝 트에 참여했다. 다큐멘터리‘불안’ 에서는 촬영을 담당했다.

After graduating from Experimental Animation program at Calarts, he participated in various short animation projects and joined in documentary feature, Anxiety as a cinematographer. Filmography <뜻밖의 수업> Unprepared Class (2014)

67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8

쿼바디스 QUO VADIS

Director | 김재환 KIM Jae-hwan

Staff

Korea | 2014 | 105min | DCP | Color+B&W

DIRECTOR | KIM Jae-hwan PRODUCER | KANG Su-hyun CINEMATOGRAPHER | JANG Woo-young EDITOR | AHN Kwang-sub, GO Bong-gon MUSIC | KIM Kyung SOUND | JANG Chul-ho Production DANEW FILM Ltd. Tel 82 2 3775 3825 skyjin0224@naver.com World Sales At9 Film Tel 82 70 7017 3311 isabella@at9film.com

World Premiere

Korean Competition

6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69

Program Note 김재환 감독은 TV 맛집 프로그램의 허와 실을 보여주는 <트루맛쇼>(2011)와 서슬 퍼런 정권을 정면으로 공격한 <MB의 추억>(2012)을 통해 한국 사회의 성역을 비판적으로 해 부했다. 그의 세번째 영화 <쿼바디스>는 한국 기독교와 대형 교회를 도마 위에 올려놓는 다. 영화는 기독교 기업 이랜드의 노조 탄압, 순복음교회 조용기 목사를 둘러싼 의혹 등 을 보여주며 세습이나 초대형 성전 건축 같은 한국 대형교회의 악습 또한 비판한다. <쿼 바디스>는 한국 대형교회의 문제가 곧 한국 사회의 문제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트루맛쇼>에서 가짜 레스토랑을 만들었고, <MB의 추억>에서 MB 입장의 내레이션을 집어넣었던 김재환 감독의 풍자적 스타일은 <쿼바디스>에서도 발휘된다. 이 영화에는 김재환

예수(남명렬), 길 목사(안석환), 그리고 마이클 모어 감독(이종윤) 같은 허구적 캐릭터가

KIM Jae-hwan

등장하며 이상호 기자, 최승호 프로듀서, 이용마 기자 등 MBC에서 해직된 언론인까지 출연해 흥미를 돋운다. (문 석)

Director’s Biography 1992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 고, 이후 KIMB에서 ALM과 채권을 담당, 1996년부터 2002년까지 MBC에서 다양 한 포맷의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해 왔다. <트루맛쇼>(2011), <MB의 추억>(2012) 의 제작, 감독을 맡았고, 현재 2016년 개 봉예정인 <X맨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Graduated Yonsei University (Business Administration) in 1992. Worked in the field of ALM and bonds at KIMB in 1996. Product director of MBC from 1996 to 2002. Planned and produced a number of TV programs with diverse formats since 1996. Wrote and directed The True-Taste Show (2011) and produced and directed Remembrance of MB (2012). Currently producing QUO VADIS (2014).

Director KIM Jae-hwan has directed his focus on the sanctuaries of Korean society, revealing the truths and lies about televised famous restaurants in The True-Taste Show (2011) and launching an attack against the very powerful current administration in Remembrance of MB (2012). On the same context, QUO VADIS introduces the oppression of labor unions by E-Land, a Christian company, and suspicions surrounding David Yonggi CHO, Senior Pastor and founder of the Yoido Full Gospel Church. By criticizing the corrupt practices of Korea’s megachurches such as passing on ministry and constructing gigantic church buildings, the film suggests that the problems of large churches in Korea are no less than the problems of Korean society at large. The director made a fake restaurant in The True-Taste Show and inserted the narration on the part of former President LEE Myung-bak in Remembrance of MB. In this year’s new film, his satire keeps going with fictional characters such as Jesus (NAM Myeong-ryeol), Pastor Gil (AN Seok-hwan), and filmmaker Michael MOORE (LEE Jong-yun). Another source of spice is a group of journalists dismissed by MBC, such as journalists LEE Sang-ho and LEE Yong-ma and product director CHOI Seungho. (MOON Seok)

Filmography <쿼바디스> QUO VADIS (2014) <MB의 추억>

Remembrance of MB (2012) <트루맛쇼>

The True-Taste Show (2011)

69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0

Masarap Na Kanta Delicious Songs

Director | 조인한 CHO In-han

Staff

Korea | 2013 | 20min | HD | Color+B&W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 CHO In-han PRODUCER | LEE Jang-wook SOUND | PYO Yong-soo CAST | Ray, Ronald, Casan, Emill, Berd, Raymond Contact CHO In-han inhancho@gmail.com

Asian Premiere

Korean Competition

7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1

Program Note <Masarap Na Kanta>는 마치 인상주의 그림의 한 장면처럼 시작한다. 한 남자가 거리 의 식탁에 앉아 식사를 하는 장면인데, 얼핏 보면 평범한 어느 외곽지역의 무료한 일상을 보여주는 듯 하다. 이곳은 브루클린 항구 근처의 식당이고, 잠시 정박해 있는 크루즈의 필리핀 선원들이 짧은 외출을 하는 동안 필리핀 음식을 즐기는 풍경을 현실감 있게 보여 주고 있다. 하지만 나른한 토요일 오후의 시간을 보내면서 음식을 즐기는 필리핀 선원들 의 표정이나 전체적인 분위기가 현실적인 느낌을 주지는 않는다. 그들의 무표정한 표정 과 시선은 인상파가 추구했던 무관심의 미학을 절정으로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오로 지 찰나의 순간에서야 표현 가능한 시선들, 침묵, 오후의 나른함과 기다림은 우리의‘감 조인한

각체계’ 를 통해서 정확한‘ 현실세계’ 로 인식하게 만든다. 브루클린 항구의 필리핀 식당

CHO In-han

과 육지를 떠나는 크루즈 내부의 공간을 표현한 <Masarap Na Kanta>는 이미 존재했 던/존재하고 있는 공간의 미묘한 차이를 독특하게 표현한 풍경화. (전성권)

Director’s Biography 조인한은 뉴욕스쿨 대학원, 미디어 스터 디과를 졸업, 현재 귀국하여 활동하고 있다.

He received an MA in Media Studies from the New School, New York. His previous films have screened at Images, New York Film Festival (Views program), Ann Arbor, and EXiS. He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Seoul, South Korea. Filmography

Masarap Na Kanta begins like an impressionist painting. A man sits at a table outdoors, which makes the scene look like another uneventful day in the suburbs. This is a restaurant near Brooklyn Harbor and the sight of Filipino sailors enjoying Filipino food on a short leave while the ship is docked is realistic enough. But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sailors enjoying their meals on a lazy Saturday afternoon and the over ambience are not so realistic. Their blank faces and gazes epitomize the aesthetics of indifference that the impressionist aspired to. Glances that are possible only in a split second, silence, the languor of the afternoon and waiting are perceived as an accurate ‘world of reality’ through our sensory system. Masarap Na Kanta, which portrays Brooklyn Harbor, a Filipino restaurant, and the inside space of a cruise ship leaving land, is a landscape painting that illustrates uniquely the subtle differences in space that have already existed and still exist. (JEON Seong-kwon)

<Masarap Na Kanta> Delicious Songs (2013) <나들이> Na-Dul-Lee (2013) <Open Studio> (2013) <February> (2011)

71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2

Fog and Smoke Fog and Smoke

Director | 차재민 CHA Jea-min

Staff

Korea | 2013 | 22min | HD | Color

DIRECTOR | CHA Jea-min PRODUCER | KIM Hyun-jin CINEMATOGRAPHER | KANG Gook-hyun MUSIC | LEE Min-whee Contact CHA Jea-min theyoungowl@gmail.com

Korean Competition

7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3

Program Note 무대가 하나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거대한 건축조형물은 우리시대의 위대한 주제가 되 었고, 자본주의 부가물인 건설과 부동산, 인플레이션과 보상금, 정원식 공원과 바다 위의 신기루는 배경이 된다. 감독이 참고로 인용한 브레히트의‘마하고니 시의 번영과 몰락’ 에서 예언한 것처럼 송도라는 신도시는 이 영화의 주무대가 되었다. 과거 어부로 살았던 한 노인의 목소리는 가상의 도시 마하고니 시의 번영과 몰락에 관한 서문처럼 들린다. 탭 댄서의 경쾌한 리듬감과 함께 도시공간을 탐색하는 움직임 그 자체는 매우 섬뜩하다. 그 리고 주파수를 통해서 세기말 금융위기와 신도시의 몰락에 관한 목소리들이 공간을 떠 돌아 다닌다. 영화는 도시개발에 따른 디스토피아적 징후를 특유의 감각 이미지로 조각 차재민

화하고 있다. 떠도는 음성들과 콘크리트 대지 위의 탭 댄싱은 이 영화의 개념이자, 영화

CHA Jea-min

전체를 거리의 퍼포먼스로 변용시킨다. 비어있는 공간에서 울리는 도시의 협주곡처럼. (전성권)

Director’s Biography 차재민은 1986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났으 며,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영국첼시예술학 교에서 조형예술을 전공했다. 현재 서울 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다.

Born in Republic of Korea in 1986, and studied fine art at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BA). She also studied at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MA), London. She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Seoul. Filmography Fog and Smoke (2013) <미궁과 크로마키>

A stage sets the story. Gigantic forms of architecture become the great theme of our day while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inflation and compensation, garden-like parks and a mirage over the ocean, which are all byproducts of capitalism, become the backdrop. Just like ‘the rise and fall of Mahogany City’, a Brecht quote that the director used as reference, the new city of Songdo is the main stage for this movie. The voice of an old man who had once been a fisherman sounds like the preface to the rise and fall of the virtual city of Mahogany. The movement of exploring urban spaces to the brisk rhythm of a tap dancer is considerably chilling. And voices talking over the radio about the financial crisis at the end of the century and the collapse of a new city float through the air. The sculpts the signs of dystopia that accompanies urban development with its unique sensory images. The floating voices and the tap dancing that goes on above the concrete earth transform the entire film into a street performance. Just like a city concerto echoing through an empty space. (JEON Seong-kwon)

Labyrinth and Chroma-key (2013) Trot, Trio, Waltz (2013)

73

Korean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5

청소년경쟁 Youth Competition 청소년경쟁 섹션에는 올해 총 47편의 다큐멘터리가 출품되었다. 매 년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출품하는 전공 학생들 이외에도 다양한 청 소년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을 내놓았다. 방송에서 흔히 접 해왔던 다큐의 형식을 벗어나지 못했던 예년의 작품들과 비교하면 소재와 형식, 접근 방식의 태도에 있어서도 훨씬 진일보한 모습을 보여준 작품들이 있었다. 특히 가족과 학교, 관계와 일상, 공간 등 자신의 주변에서 이야기를 찾고, 나만의 시각으로 풀어내려는 시도 가 돋보이는 작품들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자신이 발견한 그 소재에 깊이있게 천착해 들어가거나,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 각을 제시하기까지는 좀더 치열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높은 성적과 좋은 대학으로만 수렴되는 학교와 학업 스트레스 그리 고 입학 대신 취업과 진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는 청소년들에게 그 무게는 생각보다 훨씬 더 육중하게 그들을 내리누르고 있었다. 출품 작들에 담긴 청소년들의 이야기에서 그들의 고민과 고통, 혼란은 그 만큼 생생하게 담겨있었는데, 그런 점에서 청소년 섹션의 작품들에 좀더 주목해야 하는 것은 어쩌면 어른들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었다. 청소년들이 당면한 문제는 크든 작든 결국은 우리 사회의 가 치와 시스템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고, 그것은 우리 모두가 함께 풀어야 하는 당면 과제이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의 목소리가 담긴 이 작품들이 단단한 사회에 균열을 내고, 돌파구를 만들 수 있는, 작지 만 큰 힘이 되었으면 한다. 올해에는 청소년경쟁 섹션 이외에도 “2014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수료작을 특별상영으 로 함께 선보인다.

A total of 47 documentary films were submitted to this year’s Youth Competition. A number of young aspirant filmmakers, including film students who submit their works each year, have turned their stories into documentaries. Unlike the past documentary works that did not go beyond the documentary form widely known through television, this year witnessed far more advanced films in terms of subject matter, style and approaching attitude. Some documentaries are particularly characterized by the attempts to portray everyday stories involving family, school life, relationships, daily life, and space from a unique perspective. Further contemplation and efforts are required, however, to delve deeper into the subject matter and present an entirely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the past achievements. It appears that students are burdened more than expected by the pressure at school for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proved by higher grades and admission to prestigious universities, as well as the pressure of choice for jobs and other career paths. The young generation’s agonies, pains and confusions are vividly expressed in the documentary submitted. In this regard, it seems it is adults who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films in the Youth Competition, because the challenges facing young students, be them small or big, are inseparable from the values and systems of our society and are pressing issues that we all should solve together. It is hoped that these documentaries with the young voice will become a small yet powerful force that can crack the hardened society and lad to breakthroughs. In addition to the Youth Competition, the documentary works completed through the “2014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will be introduced in a special screening program.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6

세손가락 페스티발 3 Songarak Festival

Director | 방준극, 김도현, 황철준 BANG Jun-geuk, KIM Do-hyeon, HWANG Cheol-jun Korea | 2013 | 28min | HD | Color

Staff DIRECTOR | KIM Do-hyeon, HWANG Cheol-jun, BANG Jun-geuk EDITOR | YU Min-a, CHO Nam-hyun CINEMATOGRAPHER | KIM Do-hyeon SOUND | BANG Jun-geuk, YU Min-a Contact E-mail wnsrmr95@hanmail.net

World Premiere

Youth Competition

7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7

Program Note 어떤 사람들은 이 작품을 보고 별 생각 없고 굉장히 쉽게 만들었다고 말할지 모른다. 이 러한 행사 스케치 다큐들은 그러나 생각보다 만들기 어렵다. 신경 써서 촬영하기 힘들고, 방대한 분량 중에 사용할 부분을 선택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기존의 행사 스케 치들이 가지고 있는 전형성을 극복하고 뻔한 전개를 흥미롭게 표현하려면 적절한 사전 기획, 실력, 감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작품은 시종일관 같은 톤이다. 그런데 그 리듬이 놀랍다. 인물 소개와 연습장면과 인터뷰의 배치가 예상 밖이고 그러나 시의적절하며 게 다가 깔끔하다. 그래서 보고 있으면 참 흐뭇하다. 왜 서로 괴롭지 않았겠는가? 문제도 많 고 힘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작품은 그런 것을 굳이 보여주지 않았다. 이것도 하나의 콘 셉트고 용기다. 많은 미덕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이 절대적으로 기대고 있는 것은 사실은 페스티발을 만든 청소년들의 캐릭터다. 사랑스러운 친구들. 만나보고 싶기까지 하다. (안슬기)

방준극, 김도현, 황철준 BANG Jun-geuk, KIM Do-hyeon, HWANG Cheol-jun

Some people may assume that this film must have been made without difficulty or much consideration. However, making festival documentaries requires a lot more effort that you think. Not only is it difficult to shoot with delicacy but also the task of choosing the right part from an enormous amount of footage is a challenging one. Above all, it takes a combination of viable advance planning, good skills and taste to overcome the typicality of previous festival documentaries and present a refreshing story. This film maintains the same tone of voice all throughout. What surprises me is its rhythm. The film’s character introductions, scenes of practice and interviews are arranged in a way that is unexpected yet neat and timely at the same time, thereby pleasing the audiences. Surely, there must have been obstacles along the way. They must have faced some difficult issues. Yet this film chooses to leave out all the troubles, which is a concept itself and a brave new step. Among the film’s many virtues, its charm depends mostly on the young organizers of the festival – a group of lovely youngsters that I hope to meet one day. (AHN Seul-ki)

Director’s Biography 세손가락은‘우리가 설 무대 우리가 만들 자’ 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문화예술청소 년 단체이다.‘ 세손가락’ 은 2013년‘ 제1 회 세손가락 페스티발 ’ 을 열었다.‘ 제1회 세손가락 페스티발 ’ 에는 야외극, 영화제, 미술전시회, 사진전시회를 했다. 많은 일 들을, 청소년들이, 처음, 직접 무대를 세 운 만큼 여러 일들이 일어났다. 김도현 방 준극 황철준 세 명으로 이루어진 세손가 락 다큐팀은‘제1회 세손가락 페스티발’ 준비과정과 그 안의 사람들을 영상에 담 았다.

Operating under the slogan, “We Create Our Own Stage“, 3 Songarak is a cultural organization for youths. In 2013, it hosted 1st 3 Songarak Festival, which included outdoor theatrical performances, film screenings, and exhibitions of art and photography. As they prepared their own stage for the first time, the team of young festival organizers experienced various issues. The 3 Songarak Documentary team consisting of three members, KIM Do-heon BANG Jun-geuk and HWANG Cheol-jun filmed the preparation journey and those who took part. Filmography 세손가락 페스티발

<3 Songarak Festival> (2013) 77

Youth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8

4월 16일 그리고… 16th April... and

Director | 김세중 KIM Se-jung

Staff

Korea | 2014 | 13min | HD | Color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COLOR CORRECTION | KIM Se-jung CAST | KIM Jin-young, KANG Che-eun, KANG You-bin Contact E-mail tico1098@naver.com

World Premiere

Youth Competition

7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79

Program Note 전 국민을 먹먹하게 만들었던 사건이다. 그러나 그 사건을 다루는 우리나라 미디어들은 잠시의 망설임 밖에 보여주지 못한 채 또다시 천박해졌다. 본질을 바라보기 보다는 동네 북을 찾아내 쫓아다니고, 슬픔보다는 슬픔으로 인해 일어나는 자극적 일들을 퍼 나르기 바빴다. 과연 이런 짓들이 막장 드라마를 만드는 것과 무엇이 크게 다르단 말인가? 나라 전체가 블랙코미디가 된 느낌이다. <4월 16일 그리고…>의 첫 장면에서 차가 팽목항으로 향할 때, 아 또 누군가 죽이는 자기 작품을 만들겠다고 그들의 슬픔에 섣불리 카메라를 들이대 겠군, 미안한 착각을 했다. 하지만 이 작품의 카메라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전혀 상관없 김세중

는, 그러나 사실 세월호 사건과 수도 없이 연관되어 있는 한 보육교사이자 엄마의 일상을

KIM Se-jung

담는다. 그리고 그녀에게 이 사건이 어떻게 스미는가를 묵묵히 본다. 마침내 행동하는 그 녀의 모습에서, 우린 본질이 무엇이며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깨닫는다. 그

Director’s Biography

녀는 나다. 우리다. (안슬기)

글을 취미로 쓰는 어머니와 아버지 밑에 서 자라고, 철학과 출신의 누나를 뒀다. 어릴 때 그림을 그리고 서예를 하였다. 점 차 자라면서 생각을 표현하는데 가장 좋 은 것이 영화라고 생각하고, 꿈을 영화감 독으로 정하였다.

He grew up with parents who both enjoyed writing as their hobby and an older sister who studied philosophy. When he was little, he drew pictures and wrote calligraphy. As time went by, he realized that filmmaking was the best way for him to express his thoughts and set his heart on becoming a director. Filmography

The entire nation mourned over the traged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However, Korea’s media, after short-lived hesitation, resorted to shallowness. Instead of analyzing the essence of what was really going on, the media went looking for punching bags and made reports of provocative stories caused by sorrow rather than sorrow itself. What difference is there between this and the production of vulgar soap operas? It seems the whole nation has turned into a kind of black comedy. When I saw the car travelling down to Paeng Mok Harbor in the beginning of the film, I made the mistake of assuming that the film would inconsiderately thrust its camera at the victims and their grief. Yet that is not what the camera sets out to do in this film. Instead, it follows the everyday life of a nursing teacher, who is a mother herself. She appears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yet is connected to it in so many ways. The camera silently observes how the tragedy seeps into every aspect of her life. When she finally decides to take action, we realize what is essential and what really matters to us. I see myself in her. She is within all of us. (AHN Seul-ki)

<우리는 스케이터다>

We Are Skater (2014) <4월 16일 그리고…>

April 16th... and (2014)

79

Youth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0

굿바이 10대 Farewell My Teens

Director | 조우성 JO Woo-sung

Staff

Korea | 2014 | 17min | HD | Color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 JO Woo-sung CAST | JO Ye-sol, JO Gye-sik Contact E-mail dntjd1213@naver.com

World Premiere

Youth Competition

8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1

Program Note 아, 통쾌하다. 누나의 욕지거리. 정부의 고교생 취업 장려 정책과 자신의 처지에 대해 열 변을 토하는 누나의 침대 증언은 좀 길긴 했지만 실로 대단했다. 건강한 쌍욕과 에너지 넘치는 널브러진 자세. 그녀를 보면서 필자는‘ 아, 우리나라에도 미래가 있구나.’ 란 생각 을 했다. 누나의 고민을 밍밍이 등 누나가 가지고 노는 인형들과 교차 시킨 것은 형식상 조금 식상하긴 했지만, 부딪히는 양쪽 내용이 재미있어 흥미로운 효과를 일으켰다. 누나 캐릭터에 너무 의존해 구성이나 주제 표현 등 다른 면이 부족한 것도 조금 아쉽다. 우리 앞엔 수많은 어쩔 수 없는 선택과 포기와 난관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현실이란 이름으로 이상을 저버리는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그것은 이 영화의 그녀처 조우성

럼 당당한 자기 인식이고 선언이기도 하다. 마지막 장면에서 누나의 어설픈 노래와 미어

JO Woo-sung

져 나오는 수줍음을 보며 그녀가 참 예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응원한다. 아니 기대한다. 그녀의 20대를. (안슬기)

Director’s Biography 경기도 부천시 부명고등학교에 재학 중이 다.‘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을 통해 <굿바이 10대>를 연출했으며 과 정에서 영화 만드는 일의 재미를 알게 된 또 다른 십대.

The director currently attends Bumyung High School in Bucheon-si, Gyeonggido. He directed Farewell My Teens through participating at the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which led him to fully appreciate the joy of filmmaking in the process. Filmography

How gratifying it is to see the older sister let out a stream of swear words! Her impassioned speech about her current situation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s new policy tailored to promot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is a bit long but certainly impressive. Seeing her sprawled out while cursing profusely and energetically, I realized that there was hope for the future of this country. Although the way her concerns are mixed up with the dolls that she plays with, including Ming Ming is a bit of a structural cliché, the clash of the two sides leads to some fascinating results. To my regret, the film depends too heavily on the character of the older sister, and thus neither portrays its theme fully nor presents an effective structure. We will be confronted with countless inevitable choices and difficulties. This could be viewed as abandoning ideal in the name of realities. However, in a way that is a form of confident self-awareness and proclamation. In the last scene of the film, the older sister appears so beautiful, as she sings with a coy smile on her face. I look forward to her 20’s. (AHN Seul-ki)

<굿바이 10대>

Farewell My Teens (2014)

81

Youth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2

레몬에이드 판매기 How to Sell Lemonade

Director | 한상진, 황도연, 황승훈 HAN Sang-jin, HWANG Do-yeon, HWANG Seung-hun Korea | 2014 | 28min | HD | Color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 | HAN Sang-jin, HWANG Do-yeon, HWANG Seung-hun EDITOR | HAN Sang-jin, HWANG Seung-hun MUSIC | HWANG Do-yeon SOUND | HAN Sang-jin, HWANG Seung-hun Contact E-mail 5doyun@hanmail.net

World Premiere

Youth Competition

8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3

Program Note 청소년 작품 중엔 왜 그렇게도 바로 지금 만들고 있는 다큐 자체의 제작기가 많은가? 어 떤 주제로 어떻게 작업을 하겠다고 선언해놓고 은근슬쩍, 아니 대놓고 제작기로 넘어가 버린다. 많이 힘든 주제고, 변수도 많고, 특히나 팀 작업일 경우 추진력 있게 밀고 나가기 가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더러 그 안이함을 참을 수 없는 작 품이 있다. 사실 <레몬에이드 판매기>의 앞부분을 보면서도 똑같은 의심을 했다. 저러다 말겠지, 저러다가 팀원들 인터뷰하곤 힘들었다고 푸념하며 끝나겠군. 하지만 그런 체념 을 이미 가지고 봐서 그런지 팀원들의 전진하는 모습이 재미있게 다가왔다. 하려면 이 정 도는 하고 작품을 만들어야하지 않겠는가? 다만, 딱 한 발자국 더 갔으면 어땠을까 싶다. 마지막 상가연합회 측과의 긴장감이 판매기내용으로 쉽게 가려졌고, 작품을 통해 깨달 은 결론 또한 고생한 것에 비해 그다지 깊지는 않다. 노력은 필수 덕목이다. 통찰은 또 다 른 문제다. (안슬기)

한상진, 황도연, 황승훈 HAN Sang-jin, HWANG Do-yeon, HWANG Seung-hun Director’s Biography 세 연출자 모두 한국 애니메이션 고등학 교 영상연출과 2학년에 재학 중이다. 중 학교 당시 영상과 영화에 대한 꿈을 안고 고등학교에 진학했으나, 여러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중이다. 그러나 세 학생 모두 미 래 문화 콘텐츠 산업의 인재라고 생각하 며 열심히 성장 중이다.

Why do so many teenage directors choose to make documentaries about the very documentaries that they are making? They start off by declaring they are going to explore particular topics in certain ways, and then stealthily or rather openly stray towards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of filmmaking. Indeed, many of them do find that they have to deal with some tough themes and unexpected variables.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push ahead with their original plans when it comes to working as a team. Nonetheless, no matter how hard I try to understand, with some works I find their complacency simply unbearable. In fact, when I first began watching How to Sell Lemonade, I had my doubts and expected the film to conclude its story with some team members giving interviews about how exhausted they have been. Yet, perhaps due to this resignation, I found the team members’ journey of progress appealing. After all, this is no more than what it takes to make a film, isn’t it? I only wish that the film had taken just one step further. The tension with the Mall Shopkeepers Association towards the end was easily overshadowed by the story about selling lemonade. Moreover, given all their hard work, the final realization that they arrive at through the film could have been more perceptive. Conscientiousness is a virtue for sure but insight is yet another matter altogether. (AHN Seul-ki)

The three directors are all currently 8th graders at the Korean Animation High School. Although they initially entered high school dreaming of working in films and television, they are now under a lot of stress. Nevertheless, the three of them believe themselves to be the future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are working hard realize their dreams. Filmography 한상진 <김좀비> Zombie Kim (2014)

<Wake> (2014) <화성에서 온 학생, 금성에서 온 학생>

Students Are From Mars, Students Are From Venus (2013) 황도연 <단> Dan (2014) 황승훈 <묻지마> Don’t Ask (2014)

83

Youth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4

나의 햇님 My Sunshine

Director | 김은비 KIM Eun-bi

Staff

Korea | 2014 | 18min | HD | Color

DIRECTOR/WRITER | KIM Eun-bi CINEMATOGRAPHER | KIM Eun-bi, PARK Tae-hyeon EDITOR | PARK Tae-hyeon Contact E-mail ibnue6201@naver.com

World Premiere

Youth Competition

8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5

Program Note 영화의 제목에 등장하는‘ 햇님’ 이는 감독이 키우는 강아지의 이름이다. 5년 전부터 감독 인‘나’ 와 함께 살기 시작한 햇님이는 우울증을 앓는 엄마에게 위로가 되어주고, 내 곁을 지켜주는 친구이기도 하다. 그런 햇님이가 집을 탈출해 이웃의 초등학생을 물어 유기견 센터로 보내지면서 이 영화는 시작된다. 햇님이가 유기견 센터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하는 감독이 정말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햇님이에 대한 걱정과 함께 햇님이와 마찬 가지로 새로운 환경에 처한 자신에 대한 것이다. 학교가 아닌 일터에서, 갑작스럽게 학생 이 아닌 사회인의 역할을 하게 된 감독은 낯설음 속에 좌절과 열등감을 겪는다. 20여분 이 안 되는 이 영화는 시작하고 중반이 되어서야 햇님이가 나에게 어떤 존재인지, 그리고 김은비

나는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조금씩 자신의 속내를 꺼내보인다. 회사를 그만둔 그녀가

KIM Eun-bi

카메라를 햇님이에서 자신으로 돌리기까지, 그래서 내일은 무얼 할까 두렵고 막막하다 고 고백하기까지 우리는 그녀가 자신의 이야기를 마주하고 그것을 꺼내두기까지 꽤 오

Director’s Biography

랜 시간의 고민과 용기가 필요했음을 짐작하게 된다. 어느 순간 나의 햇님이는 나와 함께

2014년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디자인과

살아가는 강아지‘햇님’ 이기도 하지만, 내가 마주하고 극복해야 할 현실 그 자체이기도

졸업한 이후 현재에는 서울에 있는 웹 에

하다. <나의 햇님>은 햇님이와 나의 상황을 병치시키면서 담담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풀

이젼시에서 웹디자이너로 일을 하고 있

어놓는데, 그 담담함 뒤에 살짝 가리워져 있는, 하지만 영화를 통해 슬며시 드러날 감독

다. 하지만 여전히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

의 용기와 솔직함 때문에 빛을 발하는 영화이다. (박혜미)

고 있으며 여전히 영화가 찍고 싶은 20살 김은비.

Having graduated from the Gyoenggi International Trade High School specializing in design, 20-year-old Kim Eun-bi currently works as a web designer for a web agency in Seoul. A youth going through turbulent times, she still harbors her dream of getting into filmmaking. Filmography <나의 햇님> My Sunshine (2014)

85

Hat-nim, meaning “sunshine,” is the director’s dog. Living together now for five years, Hat-nim has been the best friend of the director and a cure for her depressed mother. One day, the dog gets out of the house and bit a neighbor kid to end up being sent to a shelter for abandoned dogs. Worrying about her dog’s settling down in the shelter, the director simultaneously realizes how she herself is exposed to a new environment, as Hat-nim is. Beginning a new chapter of life as an adult at work, not a student at school, the director undergoes unfamiliarity, frustration and a sense of inferiority. Running less than 20 minutes, not until the mid-part, does this documentary show what Hat-nim means to the director and to her own situations. We can assume that it took a long time and courage to turn the camera from Hat-nim to the director herself, who recently quit her job, and confess that she is afraid what to do the next day. Hat-nim is a companion dog, but at the same time the dog means the reality the director has to face up and eventually overcome. My Sunshine calmly presents the personal story by juxtaposing Hat-nim and the director herself. What brightens this documentary is the director’s courage and candor that are first hidden behind the reserved tone but will soon reveal themselves as the story proceeds. (PARK Hye-mi)

Youth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6

19금 사회 Society Banned Nineteen

Director | 임하은, 서채림 IM Ha-eun, SEO Chae-lim

Staff

Korea | 2014 | 20min | HD | Color

DIRECTOR/PRODUCER | IM Ha-eun, SEO Chae-lim CINEMATOGRAPHER/EDITOR | IM Ha-eun SOUND | SEO Chae-lim CAST | IM Seung-woo, PARK Min-joo, Heather JANETTE, Lincoln ESBRAND Jr., KIM Bo-ram, WON Da-hee, JEONG Jae-suk, CHOI Hong-joo, YOON Ye-kyung, KIM Deok-joo, JO Han-heul Contact E-mail nanore95@hanmail.net

World Premiere

Youth Competition

8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7

Program Note <19금 사회>는‘ 지금의 고3들은 열아홉을 살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이는 곧 고3과 열아홉살 사이에 놓인 간극을 확인하는 일이고, 그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따져묻는 일이다. 고3하면 무엇이 떠오르는지 묻는 질문에 사람들은 곧바로 입 시와 공부 같은 단어들을 내놓지만, 열아홉이라는 단어에는 청춘, 도전, 꿈과 젊음 같이 ‘입시’ 와‘경쟁’ 으로만 환원될 수 없는 가치들도 포함되어 있다. 또 한편으로‘고3은 열 아홉을 살고 있는가?’ 라는 이 질문에는 오로지 다가올 미래의 성공과 안정적인 삶을 위 해 지금 이 순간에는 눈 꼭감고 앞으로 내달려야만 하는 열아홉 청춘들의 서글픈 체념과 비애도 담겨있다. 물론‘ 미래를 위한 준비과정으로서의 현재 ’ 와‘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한 현재’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도 명쾌하지도 않은 일일 것이다. 하지 만 대부분의 고3들이 사회의 강요에 못 이겨, 어른들의 바람에 못 이겨, 충분히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지 못한 채 떠밀려 입시로 내몰리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고3과 열아홉이라는 익숙한 단어들로부터 이러한 문제의식을 끌어낸 감독의 성찰과 질 문은 명쾌하면서도 날카롭고, 자신들이 공부하는 이유가“ 대학 → 돈 → 행복”이라고 답 한 고등학생의 자조섞인 설문 답변은 어느 한 개인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박혜미)

임하은 IM Ha-eun Director’s Biography 14살 때 우연하게 만지게 된 카메라가 지 금까지 이어져왔다. 그리고 그 카메라로 화려한 영상보다는 사람들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영상을 만들고 싶다.

Ha-eun handled camera for the first time when she was 14. She wants to make movies which make people think about something once again. 서채림 SEO Chae-lim Director’s Biography 친구를 통해 우연히 시작하게 된 영상 제 작. 하지만 영상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다

This documentary begins with a question: Are high school seniors in Korea enjoying being 19 years old? With this question, Society Banned Nineteen wants to identify the gap between being high school senior and 19 years old and look into what stands between them. The word “high school senior” instantly reminds people of college entrance exams and studying, but “being 19 years old” embodies the values that go beyond entrance exams and competition, such as youth, challenge, and dreams. The question also expresses the sad resignation and sorrows of the young who are forced to blindly run forward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success and stable life. Having to choose “the present as a preparatory stage of the future” or “the full present” is neither simple nor clear. But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most high school seniors are pressed by society and adults into running toward college entrance exams without listening to their hearts. By showing such critical mind in relation to the familiar notions of “high school seniors” and “19-year-olds,” the director presents a clear and sharp questions and introspection. A high school student who replied that the priority goals of studying are university, money and happiness bring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such portrait is not limited to an individual, but our society at large. (PARK Hye-mi)

양한 사람들과 만나 소통하고 새로운 나 를 찾아가는 것에 흥미를 느껴 계속 하고 있다.

Chae-lim had access to movie production by chance because of her friend. And she found her interest in making movies because she can meet many people, communicate with them, and find totally different side of herself. Filmography <19금 사회>

Society Banned Nineteen (2014)

87

Youth Competi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89

글로벌 비전 Global Vision 전세계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화제작과 대중들의 영화적 경험을 확 장시킬 수 있는 논쟁적이고 대중적인 작품들을 소개한다. 거장들의 신작부터 신인들의 데뷔작까지 포함한다. 주목할 작품으로 멜로드 라마와 시네마 베리테 요소를 활용한 <여배우>와 픽션과 리얼리티 적 장치 사이에서 다큐 속 인물과 픽션 안의 인물이 운명적으로 조 우하는 <아나의 여정>은 다큐멘터리 장르의 확장 가능성을 직접적 으로 보여준다. 인터넷을 통해서 수집한 십대들의 셀피 영상들을 모 아서 재편집한 도미니크 가뇽의 <속임수>는 대중매체가 만들어낸 이미지의 가공할 만한 조작이 세기말적 종말로 재인용되는 현대사 회의 징후를 드러내는 수작이다. 또한 1959년 소련의 공산당 서기 장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최초로 미국을 방문했던 역사적 기록 영상 물을 재편집한 아카이브 푸티지 필름인 <흐루시초프, 미국을 정복 하다>는 냉전시대의 시각문화를 지배해 왔던 프로파간다가 감독에 의해서 위트와 유머로 가득한 정치멜로물로 재구성 되어지는 과정 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아랍혁명의 최전선에 참여하게 된 미국인 친구 매튜 반다이크를 기록한 <포인트 앤 슛>과 미국의 하버드 센 서리 앤솔로지 랩에서 만든 <마나카마나>, 그래도 가자지구의 삶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스트립라이프> 등 다양한 소재 와 스타일의 흥미로운 작품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Global Vision comprises a number of recently-made documentaries that have received international acclaim as well as controversial and popular films that will expand the film experience of the people. These documentaries include new documentaries by master filmmakers and debut documentaries by new filmmakers. Actress, which utilizes characteristics of the cinema verite genre, and Ana’s Journey, in which a real figure and a fictional figure fatefully encounter each other between the politics of fiction and reality, are documentaries under spotlight that show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genre of documentary. By collecting selfie video clips made by teenagers and reediting them, Dominic Gagnon shows through Hoax_Canular how manipulated images produced by mass media is reused to countdown to the presumed end of the world, reflecting the portrait of the modern society. Also, Khrushchev Does America, a reedited archive footage film of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Soviet Premier Nikita Khrushchev visiting the US for the first time in 1959, shows the process of a propaganda film that dominated visual culture during the Cold War period restructured into a political melodrama full of wit and humor. Besides these films, there are a number of documentaries on interesting topics with various styles, including Point and Shoot, which records the story of an American, Matthew Van Dyke, who came to participate in the frontlines of the Arab Revolution; Manakamana, a film produced in the sensory anthology lab at Harvard University in the US; and STRIPLIFE, which shows that life in the Gaza Strip continues.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0

1971 1971 Staff DIRECTOR | Johanna HAMILTON PRODUCER | Marilyn HESS CINEMATOGRAPHER | Kirsten JOHNSON, Andreas BURGESS EDITOR | Philip SHEPPARD Contact Cargo Film & Releasing Tel 1 212 995 8139 anyahdover@gmail.com

조아나 해밀튼 Johanna HAMILTON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조아나 해밀튼 Johanna HAMILTON USA | 2014 | 79min | DCP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우리 시대에 위키리크스와 스노든이 있다면, 1971 년에는 이들이 있었다! 1971년 3월 8일, 일반인 여 덟 명이 펜실베니아 FBI 미연방수사국 사무실에 잠입해 수백 개의 비밀 서류를 훔친다. 그들은 FBI 가 미국수정헌법 1조를 침해하면서 광범위한 불법 사찰을 진행하고 있었음을 폭로한다. 무하마드 알 리와 조 프레이저의 복싱 매치가 열린‘세기의 대 결’밤, 스스로‘ FBI조사시민위원회’ 라고 자칭한 이 들은 연방수사국의 한 작은 현장사무소의 자물 쇠를 따고 들어간다. 그들은 FBI 사무실에 있던 모 든 파일을 여행 가방에 옮겨 담고 정문으로 유유히 나온다. 이 자료들을 통해 FBI가 베트남 전쟁에 비 폭력 저항운동을 하던 시민인권운동가와 일반인들 을 의도적으로 위협하고 있었음이 입증되는 데……. 그 중 가장 중요한 폭로 내용은 FBI 종신 국장이었던 에드거 후버의 관리 하에 시행된 불법 방첩 프로그램‘코인텔프로 COINTELPRO ’ 였다.

Global Vision

On March, 8 1971 eight ordinary citizens broke into an FBI office in Media, Pennsylvania, a town just outside Philadelphia, took hundreds of secret files, and shared them with the public. In doing so, they uncovered the FBI’s vast and illegal regime of spying and intimidations of Americans exercising their First Amendment rights. On the night of the “Fight of the Century” boxing match between Muhammad Ali and Joe Frazier, the activists, calling themselves the Citizens’ Commission to Investigate the FBI, picked the lock on the door of the small FBI field office. They took every file in the office, loaded them into suitcases, and walked out the front door. Mailed anonymously, the documents started to show up in newsrooms. The heist yield a trove of damning evidence that shattered the wall of secrecy that had previously enveloped the FBI. The documents proved that the FBI was deliberately working to intimidate civil rights activists and Americans nonviolently protesting against the Vietnam War. The most significant revelations was an illegal program overseen by lifelong FBI Director J. Edgar Hoover knows as COINTELPRO – the Counter Intelligence Program.

조아나 해밀튼은 런던대학을 졸업하고 뉴 욕대학에서 저널리즘 석사학위를 받았다. 10년간의 내전으로 폐허가 되어버린 라이 베리아의 평화를 촉구하는 용감한 여성 그 룹으로 <프레이 더 데빌 백 투 헬>을 공동 제작했다. 이 작품은 2008년 트라이베카 영화제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어 다큐멘터 리 최고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아카데미상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 1994년 남아프리 카 최초로 모든 인종이 참여한 선거의 드 라마틱한 준비 과정을 거치며 그녀의 커리 어를 시작했다. 이어 남아프리카 최고의 탐사보도 잡지 프로그램인 카르트 블랑슈 에서 일했다. 그녀는 아프리카를 비롯한 유럽과 북미에서 작업을 해왔고 그녀의 작 품으로 무수히 많은 수상을 했다. 그녀는 가렛 스콧 다큐멘터리 제작지원과 선댄스 다큐멘터리 + 컴포저 랩을 수료했다. <1971>은 그녀가 단독으로 연출한 첫 장 편 다큐멘터리다. Johanna Hamilton co-produced Pray the Devil Back to Hell the gripping account of a group of brave and visionary women who demanded peace for Liberia, a nation torn to shreds by a decades old civil war. It premiered at the 2008 Tribeca Film Festival where it won the Grand Jury Prize for Best Documentary, and was later shortlisted for an Academy Award. Johanna began her career in the dramatic run-up to the 1994 first all-race elections in South Africa. She went on to work on the country’s premier investigative magazine program, Carte Blanche. She has worked all over Africa,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received numerous awards for her work. She is an alumnus of the Garrett Scott Documentary Development Grant and the Sundance Documentary + Composers Lab. Johanna is a graduate of the University of London and holds an MA in Broadcast Journalism from New York University. 1971 is her documentary feature debut.

Filmography 1971 (2014) 9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1

여배우 Actress Staff DIRECTOR | Robert GREENE PRODUCER | Susan BEDUSA, Douglas TIROLA CINEMATOGRAPHER | Sean Price WILLIAMS Contact 4th Row Films Tel 1 212 974 0082 susan@4throwfilms.com

로버트 그린 Robert GREENE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로버트 그린 Robert GREENE USA | 2014 | 87min | HD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여배우 브랜디 뵈르는 미국 HBO의 대표적 드라마 <더 와이어 The Wire>에 출연하던 중에 임신을 하게 된다. 그녀는 배우로서의 커리어를 포기하고 작은 도시로 이주해 남자친구 팀과 새로운 가정을 꾸린다. 하지만 브랜디가 배우로 복귀하기로 결심 하면서 가정생활의 토대라는 것이 그녀의 야심과 정체성 앞에 얼마나 취약한 것인지 드러난다. 브랜 디는 좋은 엄마가 되는 것과 한 때 포기했었던 배우 로서의 삶에 대한 갈망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 노 력한다. 한 여성이 어머니, 아내, 그리고 배우라는 역할까지 수행해야 할 때 어떤 모습이 진짜일까? 브랜디는 자기 삶을 얼마나 새롭게 만들 수 있을 까? <여배우>는 우리가 규범을 어길 때 일어나는 일들을 따라간다.

91

Brandy Burre had a recurring role on HBO’s iconic drama The Wire when she got pregnant with the first of her two children. She gave up her career and moved to a small town to raise her new family with her partner, Tim. Things were fine for a while. But when Brandy decides to get back into acting, the foundations of her domestic life prove too fragile for her ambitions and the way she sees herself. As she tries to find balance between being a good mother and her desires for a life she once walked away from, Brandy is forced to make painful choices that will affect her family forever. Using elements of melodrama and cinema verité, Actress is both a present tense portrait of a dying relationship and an exploration of a complicated woman, performing the role of herself, in a complex-yet-familiar story. It’s a film about starring in the movie of your life. When a woman performs the roles of mother, wife and actor, what’s real? How far will Brandy go to remake her life? Actress chronicles what happens when we break the rules.

로버트 그린은 영화제작자이자 작가이다. 그의 작품 Fake it so Real은 뉴요커지의 리차드 브로디가 뽑은 2012년 15편의 최 고의 다큐멘터리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 고, 로저 에버트가 선정한 최고의 다큐멘 터리 중 하나로도 이름을 올렸다. 그의 두 번째 작품 Kati with an I 는 2010년“당신 집 근처에서 상영하지 않는 최고의 영화” 를 위한 고담상에 후보로 올랐고, 이 영화 는 2011년 4월에 공개되어 뉴욕타임즈의 비평가 선정작이 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 았다. 로버트의 첫 번째 장편 Owning the Weather는 코펜하겐에서 열린 UN 기후 변화 컨퍼런스에서 상영된 후 2009년에 공개되었다. 그는 다양한 영화의 편집에 참여해왔는데, 최근에는 아만다 로즈 와일 더의 Approaching the Elephant의 제작 과 편집에 참여했다. Robert Greene is a filmmaker and writer. Robert has produced and edited over a dozen award-winning documentaries. Robert’s previous film, , was named one of the 15 best films of 2012 by Richard Brody at The New Yorker and one of the best documentaries of the year by Roger Ebert. His second film, Kati with an I, was nominated for a Gotham Award for “Best Film Not Playing At A Theater Near You” in 2010 and was released in April 2011 to critical acclaim, including receiving a New York Times “Critics’ Pick.” Robert’s first feature Owning the Weather was released in 2009 after screening at the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in Copenhagen. He has contributed editing to many films and he also produced and edited Amanda Rose Wilder’s Approaching the Elephant.

Filmography Actress (2014)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2

아나의 여정 Ana’s Journey Staff DIRECTOR/WRITER | Pamela VARELA PRODUCER | Pamela VARELA, Estelle FIALON CINEMATOGRAPHER | Emmanuel TROUSSE, Cristobal PORTALUPPI, Pamela VARELA EDITOR | Pamela VARELA, Thomas GLASER, Yannis POLINACCI MUSIC | Yannis PLASTIRAS SOUND | Maxime DELPORTE, Sergio HENRIQUEZ, Carlos SANCHEZ, Sebastian ARJONA CAST | Gabriela MURIEL, Maritza GONZALEZ, Jaime VARGAS, Hector ESCALANTE, Silvio CANIHUANTE, Luis Contreras JARA

Director | 파멜라 발레라 Pamela VARELA Chile, France | 2014 | 85min | HD | Color

Contact

International Premiere

Les Films du Poisson Tel 33 1 42 02 54 80 documentaire@filmsdupoisson.com

Synopsis 1936년, 칠레 시인 프란시스코 콘트라레스가 죽은 후, 그의 아내는 칠레로 떠났다. 카르타헤나 근처의 엘 투르코에서 그녀는 극심한 빈곤 속에서 자신의 보석을 팔며, 죽은 남편의 작품이 인정받기를 바랐 다. 프랑스 남쪽에 사는 예술가이자 사진작가 아나 는, 프란시스코의 아내 안드레아 드 알퐁스의 발자 취를 좇아 칠레로 간다. 그 여정을 통해 아나는 자 신의 삶이 안드레아의 운명과 너무나도 닮아있음 을 깨닫는다.

In 1936, after the death of the Chilean poet Francisco Contreras, his French wife, Andrea de Alphonse, left for Chile. In El Turco, close to Cartagena, she lived amidst her shimmering collection of agate in utter destitution, nurturing the hope of seeing her husband’s work recognized. Ana, an artist and photographer living in the South of France, decides to make a portrait of Andrea following her footsteps from France to Chile. Throughout this journey, her fate will shift.

Filmography Ana’s Journey (2014) Passeurs (2014) Souffre ! (2012) Las Sasons (2008)

Global Vision

파멜라 발레라 Pamela VARELA Director’s Biography 칠레에서 태어난 파멜라 발레라는 70년대에 프랑스로 이주해 ESEC를 졸업했다. 그녀는 아르노 데스플레 생 감독과 레흐 코발스키 감독, 마티유 아말릭 감독의 조연출을 맡 아 다양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그녀는 세계에서 열리는 여러 가지 축제들을 다룬 Cheng-Chui Kuo’ s S é a n c e F a miliale(Family Viewing)(2008, 28’)이라는 다큐 멘터리를 감독했는데, 이 작품은 클 레르몽 페랑에서 관객상을, Brest에 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2010년도에 는 세자르 상의 후보작에까지 올랐 다. 그녀는 자아정체성의 문제와 개 인 또는 가족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영화 및 영상설치 작업을 하며, 단편 소설 집필도 함께 하고 있다.

Originally from Chile, Pamela VARELA graduated from ESEC in Paris. She’s been assistant director to Mathieu AMALRIC, Arnaud DESPLECHIN or Lech KOWALSKI on features. She produced ChengChui Kuo’s Séance Familiale(Family Viewing)(2008, 28’), which toured international festivals and won the Audience Prize in ClermontFerrand, the Grand Prix in Brest and was nominated for a César in 2010. She works as a writer, director and producer on documentaries, video installations and fiction shorts. She works on the question of identity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to the personal and family memory.

9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3

브라지몬 호수 Brasimone Staff DIRECTOR/PRODUCER | Riccardo PALLADINO CINEMATOGRAPHER | Andrea FOSCHI, Riccardo PALLADINO MUSIC | Bad UOK, Marco MAGNELLI, James BEAUDREAU SOUND | Marco NERI, Fausto di QUARTO Contact Blue Film Tel 39 06 322 3932 migliorini@bluefilm.it

Director | 리카르도 팔라디노 Riccardo PALLADINO

Asian Premiere

Synopsis 씩 살고 있다. 누군가는 괴물을 피해야 할 위협으로 생각하고, 또 어떤 이는 괴물의 존재를 기회라고 생 각하고 함께 살려고 할지도 모른다. 샤론은 이탈리 아 볼로냐 근처 아페니니 산 속 아름다운 브라지몬 호수 근교에 살고 있다. 이곳은 아름다운 자연과 미 래주의적인 산업화가 미혹과 야망으로 공존하는 곳이다. 삶과 계절, 그리고 전통 행사가 교차하는 동안 브라지몬 호수 근처에 원자력 발전소가 지어 진다.

93

Riccardo PALLADINO Director’s Biography 1982년 이탈리아 테르니 출생. 볼로 냐 대학에서 영화를 전공하였다. 시 네마 언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단편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 다. 다수의 영화 리뷰를 작성하였다.

Italy | 2014 | 45min | DCP | Color

전설에 의하면 모든 유명한 호수마다 괴물이 하나

리카르도 팔라디노

Legend has it that every well known lake must have its monster. Somebody consider the monster as a threat to keep off, someone else recognizes in it an opportunity and starts to live with. Young Sharon lives there, around the beautiful Brasimone lake, in the Appennini mountains, near Bologna, where fascinating nature and futuristic industrialization coexist along an ambitious and unaware dream. Mountain life, seasons and recent Italian events cross each other, while onshore Brasimone lake they built a nuclear power plant, never working, yet.

Riccardo Palladino was born in Terni, Italy, in 1982. He studied Cinema at University of Bologna. He works as filmaker, shooting short documentaries, as teacher of cinematographic language and he wrote many cinema reviews. Filmography Brasimone (2014) Marisa (2012) In the mood for harmony (2010) Give me the rest (2008)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4

속임수 Hoax_Canular Staff DIRECTOR/PRODUCER/EDITOR | Dominic GAGNON CINEMATOGRAPHER | Selection of images on the web SOUND | Selected on the web Contact Vidéographe 514 521 2116, # 224 denisvaillancourt@videographe.qc.ca

도미니크 가뇽 Dominic GAGNON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도미니크 가뇽 Dominic GAGNON Canada (Québec) | 2013 | 92min | HD | Color Korean Premiere

Synopsis ‘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불안을 조성한다’ , 이것 이 바로 많은 십대 청소년들이 세계의 종말이라는 루머를 퍼뜨리는 웹캠 영상을 제작하는 이유일 것 이다. 도미니크 가뇽은 십대들이 제작한 온라인 영 상을 편집하여 <속임수>를 완성했다. 십대 청소년 들은 온라인 공간을 서로 공유하면서 새로운 의미 를 던진다. 패러디는 어디쯤에서 끝나고 진지함은 대체 언제 시작되는 것일까. 세계의 종말을 가정한 채 카운트다운 하면서 구성한 이 영화는 십대들의 이러한 특성을 더욱 잘 드러낸다. 영화는 대중 매체 가 부추기는 두려움을 청소년들이 어떻게 전유하 고 있는지 깊이 있게 반추하고 있다.

Conquering fear by manufacturing scares: that’s what the teens in Hoax_Canular do with their webcams, unleashing rumours of the end of the world. Dominic Gagnon continues his work with amateur online videos; this fourth instalment hits the cycle’s most serious, yet also lightest, note yet. The teens in question give new meaning to online sharing; we never know where parody ends and sincerity begins. Constructed as a countdown to the presumed end of the world, the film is much more: its editing results in a profound reflection on how young people are appropriating the angst being stoked by the media. Ultimately, their fear rituals are just another way to envision the future.

도미니크 가뇽은 어둡고 신화적인 콜라주 영상을 제작하고 연출해왔 다. 그가 재료로 삼은 것은 논란의 소지가 있거나 너무 노골적인 내용 때문에 몇몇 온라인 플랫폼에서 삭 제된 웹캠 방송 영상들이었다. 그의 최근작인 Rip in Pieces America (2009) 와 Pieces and Love All to Hell(2011)은 관객들을 흥분시키고 불안하게 하며,‘사회학적 아드레날 린’이라 부를 수 있는 어떤 것과 함 께 많은 질문을 남겼다. 도미니크 가 뇽은 웹에서 특별하고, 놀랍고, 충격 적인 것을 찾는다. 그의 새 작품 Big Kiss Goodnight(2012) 은 독특한 강 렬함으로 이 행로를 뒤따른다.

Recently, Dominic Gagnon has produced and directed dark and mythological collage video made out with fragments of webcam broadcasts removed from several platforms for their controversial or too explicit content. His recent films : Rip in Pieces America (2009) and Pieces and Love All to Hell (2011) leave the spectators excited, agitated, with a lot of questions and something we might call “sociologic adrenaline”. Dominic Gagnon is not searching the web for the mediocre, but for the extraordinary, remarkable and disturbing. Big Kiss Goodnight (2012), Gagnon’s new work follows this path with a particular intensity. (Molly Cox, San-Francisco) Filmography Hoax_Canular (2013) L’Espace de la Société (2012) Big Kiss Goodnight (2012)

Global Vision

9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5

흐루시초프, 미국을 정복하다 Khrushchev Does America Staff DIRECTOR | Tim B. TOIDZE Contact Point du Jour Tel 33 1 75 44 80 80 m.guenoux@pointdujour.fr

팀 트와즈 Tim B. TOIDZE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팀 트와즈 Tim B. TOIDZE France | 2013 | 59min | HD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냉전이 한창이던 1959년 가을, 세계 공산주의의 수 장이자 미국 최대의 적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2주 간 미국 투어에 나선다. 미국인들은 방공호 속에서 나와 자신들의 랜드마크를 방문하는 이 공산주의 독재자를 마주한다. 성난 무리들과 유명인사를 보 러 나온 군중들 속에서 후르시초프는 기대 이상의 매력과 재치를 발휘한다. 감독 팀 트와즈는 당시의 푸티지들을 유머, 히스테리, 초현실적인 요소들로

2014: 50 years ago, Khrushchev was deposed and left the Kremlin (Oct. 1964) This story could have ended the Cold War long before Gorbachev... In the autumn of 1959, the Soviet Premier Nikita Khrushchev, leader of world communism and America’s arch-enemy, arrived in Washington for a no-holds-barred 2 week tour of the United States.

엮어낸다. 교훈적인 다큐멘터리 형식을 비틀면서 도‘ 철의 장막’양면에 스며든 정치적 프로파간다 의 윤곽들을 되짚는 흥미로운 다큐멘터리.

Filmography Khrushchev Does America (2012) Cold Politics (Kholodnaya Politika) (2012) Nikita Khrushchev in his own words (Nikita Khrushchev. Golos iz Proshlogo) (2012) Capitalism with a Human Face (Capitalism s chelovecheskim litsom) (2007) The Unfinished Portrait of Franklin Delano Roosevelt (Franklin Delano Roosevelt. Neokonchennyi Portrait) (2006) Wandering Canada. Season Two (2005) To Kill Hitler. 1921-1945 (Ubit’ Gitlera. 1921-1945) (2004) 95

팀 트와즈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출 생하고 성장했다. 그는 1992년까지 모 스크바의 Contact-Film Studio에서 편 집조수로 일하면서 커리어를 시작했 다. 1994년 그는 영국 런던 그린힐 대 학에서 미디어를 공부하고 Channel 4 다큐멘터리 연구원으로 일했다. 1996 년 팀은 캐나다로 이주해 요크대학 영 화 & 비디오 학부에서 학업을 지속했 다. 편집자, 연구원 그리고 수많은 역사 전문 프로덕션의 프로덕션 매니저로 경력을 쌓은 후, 그는 2003년부터 제작 에 참여하고 1년 후 연출에 발을 디디 게 된다. 현재 그는 10편이 넘는 다큐 멘터리와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연출했 고, 15편이 넘는 작품을 제작했는데 그 중에는 20시간짜리 다큐 드라마 시리 즈 Poedinki(Clashes)도 있다. 이 작 품은 2009년에서 2012년 사이 러시아 에서 가장 큰 방송채널인‘ Channel One’ 에서 방영되었다.

Tim B. Toidze was born and raised in Moscow, Russia. Tim started his career at “Contact-Film Studio” (Moscow) as an assistant editor back in 1992. In 1994 Tim moved to London, UK, where he studied Media at Greenhill College and worked as a researcher on a few “Channel 4” documentaries. In 1996 Tim moved to Canada, where he continued his education at the Film & Video Department of York University. After establishing himself as an editor, researcher and production manager (numerous History Television productions), in 2003 Tim got into producing and a year later into directing. Today behind Tim’s belt – over 10 documentaries and documentary series as a director, and more than 15 projects as a producer, including 20hour docudrama series “Poedinki” (Clashes), which aired on the biggest Russian network “Channel One” in 2009-2012.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6

마다가스카르의 삶 The Malagasy Way Staff DIRECTOR/EDITOR | Nantenaina LOVA PRODUCER | Eva LOVA-BELY CINEMATOGRAPHER | Nantenaina LOVA, Lanto Tiana RABEARISON, Nantenaina FIFALIANA, Eva LOVA MUSIC | Piarakandro SOUND | Nantenaina FIFALIANA, Maminihaina Jean Aimé RAKOTONIRINA, Solofonirina Alfred RANDRIANARIVELO Contact

Director | 난테나이나 로바 Nantenaina LOVA

Laterit Productions

France, Madagascar | 2014 | 84min | DCP | Color

Tel 33 1 4372 7472 distribution@laterit.fr

Asian Premiere

Synopsis “ 중국인들이 물건을 만든다면, 마다가스카르인들 은 그것들을 고친다 ” . 마다가스카르인들은 가히 무 에서 유를 창조한다고 말할 수 있다. 타이어를 신발 로 바꾸고, 백열등을 오일 램프로 만든다. 이러한 지속 가능한 삶의 순환은 재활용, 재사용 뿐만 아니 라 형제애, 자존감, 자존심을 키운다. 이들의 삶의 방식은 세계 경제 위기에 빠진 우리에게 시사하는

“The Chinese make things, the Malagasy fix them.” The people of Madagascar produce things out of nothing: tires turned into shoes, oil lamps made from light bulbs. A sustainable lifestyle that encourages recycling, fraternity, selfreliance and makes perfect sense in times of global economic crisis.

바가 크다.

Filmography The Malagasy Way (2014) With Almost Nothing... (2014) Conter les feuilles (2011) Red Heaven (2009) PetitsHommes (2008) Global Vision

난테나이나 로바 Nantenaina LOVA Director’s Biography 1977년 출생한 그는 사회주의 정권의 배급제도가 시기 안타나나리보에서 성 장했다. 일련의 예측불가하며 두서 없 는 사건들은 1999년에 그로 하여금 모 국을 떠나게 했고, 이후 프랑스에서 사 회학과 인문학을 공부했다.“Better lose money than FIHAVANANA”의 개념은 ‘가까운 사람들과의 화합’혹은‘ 형제 애’ 로 번역될 수 있다. 그가 2003년에 서 2005년, 마다가스카르로 돌아왔을 때 그는 기자가 되었다. 그 후 2005년 정보통신 분야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툴루즈의 ESAV 영화학교에 입 학했다. 그가 제작하고 연출한 단편 영 화들은 마다가스카르인들의 일상과 문 화에 뿌리를 둔 것들이다. 그의 제작사 Endemika Films는 Eva Lova와 공동으 로 운영되고 있다. Endemika Films는 현재 다른 마다가스카르 독립영화의 새로운 붐을 주도하는 감독들의 작품 제작을 진행하고 있다.

Born in 1977, he grew up in Antananarivo at the time when there was rationing by the Socialist regime. An unforeseen and random series of events led him to leave his country in 1999 to undertake sociology and humanitarian studies in France. In 2001, he was an association’s director for a development project in Madagascar and he became aware that outside counsel was often unwelcome. Indeed, it is orga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cultural and ancestral teaching. “Better lose money than FIHAVANANA”, a concept that can be translated as the ‘preservation of the harmony of relationships with people close to you’ or‘brotherhood’. His ‘Endemika Films’ production company is comanaged by Eva Lova, trained in France.

9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7

마나카마나 Manakamana Staff DIRECTOR/EDITOR | Stephanie SPRAY, Pacho VELEZ PRODUCER | Lucien CASTING-TAYLOR, Verena PARAVEL CINEMATOGRAPHER | Pacho VELEZ SOUND | Stephanie SPRAY Contact Pacho VELEZ pachoworks@gmail.com

스테파니 스프레이 Stephanie SPRAY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스테파니 스프레이, 파초 벨레즈 Stephanie SPRAY, Pacho VELEZ USA, Nepal | 2013 | 118min | DCP | Color Korean Premiere

Program Note 슈퍼16mm 카메라를 케이블카 내에 고정하여 촬영한 영 화는, 하나의 필름 캔에 담긴 400ft 분량의 필름스트립이 담아낼 수 있는 약 10분이라는 시간적 분량을, 마나카마나 사원을 잇는 케이블카의 승차 시간 - 역시 약 10분에 해당 한다 - 에 적용하여, 총11개(번)의 쇼트 - 무지를 포함하면 12개 - 로 배열하여 구성한다. 각 쇼트는 힌두교의 진실한 (Mana) 소원(kamana) 성취 여신인‘바그와티’ 를 경배하 는 마나카마나 사원에 올라가거나 공양을 마치고 돌아오 는 - 이는 종소리가 울리는‘ 막간’ 으로 구분된다 - 케이블 카에 탄 순례객(과 공양제물)(들)을 보여준다. 때로는 사원 을 향해 때로는 사원을 등지는 이 11개의 쇼트는 이음매의 비가시적 편집을 정교하게 적용, 하나의 쇼트처럼 봉합되 어 단 한 번의 촬영으로 완성된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다 음과 같은 계보, 시각적 배치에서는 앤디 워홀의 <스크린 테스트>연작을 시간적 형식에서는 제임스 베닝의 <스무 개비의 담배>(2011)를 떠올리게 한다. 형식의 일관성은, 얼굴의 풍경이 품는 경이와 더불어, 시간적 반복으로 순치 된 형식의 변이에 기인한 서스펜스로 증폭된다. 미국 민족 지 다큐멘터리의 대가인 로버트 가드너의 영향을 받아, 설 립된 지 8년 만에 미국영화계에서 가장 실험적인 영화들 을 만들어 내고 있는 하버드 대학의“감각 민족지 연구소” 가 제작한 일견 단순해 보이는 이 작품은, (민족지) 영화의 ‘ 기록’작업에서 출발하여, 보편적 인류의 감정, 영화 보기 경험을 아우르면서 관객의 감각적 개입을 요구한다. 가령 전통의상을 입고 녹아내리는 아이스크림을 먹는 두 여인 이 등장하는 초현실적인 쇼트에서, 네팔민족에 대한 정보, 계급과 소유의 문제, 인간의 욕망에 대한 성찰로 나아가는 ‘운송’ 의 시간을 관객 스스로 발견하며 체험할 수 있다.<마 나카마나>를 CCTV 영화라기 보다, (양가적 의미에서의) ‘ 운송’영화라 칭할 수 있는 것은, 반자동적인 기록의 인위 성으로 관객 스스로를 이동시키는 이런 발견적이며 체험 적 시간 때문이다. (김광희)

97

Shot on Super 16mm film from a fixed vantage point inside a cable car, Manakamana consists of a series of 11 single shots. Each lasts roughly ten minutes, corresponding to the time that elapses during a one-way trip up to Manakamana and to the length of a 400ft magazine of 16mm film. With every sequence, we are introduced to devoted pilgrims and their offerings as their make their trip up to the temple and down from it. Manakamana is the sacred place of the Hindu Goddess Bhagwati who is believed to have the power to grant wishes (Mana” means heart; “Kamana” means wish). The seamless editing brings all 11 shots together - some of which face the temple while others turn their backs on it – making the film appear as if it was shot in one go in its entirety. In this sense, the film follows the tradition of Andy Warhol’s Screen Tests visually and James Benning’s Twenty Cigarettes in terms of its time structure. The film’s formal consistency, coupled with the wonder of facial landscapes, extends into a sense of suspense resulting from the modification of forms tamed by temporal repetitions. The film was produced by Lucien Castaing-Taylor, director of Leviathan. He is also the head of the Sensory Ethnography Lab at Harvard, which is known for producing the most experimental documentaries in the US, in the spirit of the master filmmaker Robert Gardner. This seemingly simple documentary challenges us to participate with our sense. For example, in the surrealistic shot feature two women dressed in traditional clothes eating ice-cream, we are led to discover and experience for ourselves a time of ‘transport’ that moves towards a reflection on human desires as well as issues surrounding Nepal’s class system and information on the Nepalese people. Such heuristic moments with semiautomatic artificiality of a record move audiences, and ultimately allow us to call Manakamana a ‘transport’ (on two levels) film rather than a CCTV one. (KIM Kwang-hee)

스테파니 스프레이는 영화제작자, 속기자이자 2006년 이후로 하버드 대학교 민족지학 연구소에서 일하고 있는 인류학자이다. 그녀의 작업은 일상의 예술과 사회 미학의 합류지 점을 탐구한다. Stephanie Spray is a filmmaker, phonographer, and anthropologist who has been working at the Sensory Ethnography Laboratory at Harvard University since 2006. Her work exploits different media to explore the confluence of social aesthetics and art in everyday life. Filmography Snow River (2014) Manakamana (2013) As Long As There’s Breath (2010)

파초 벨레즈 Pacho VELEZ Director’s Biography 파초 벨레즈의 작품은 민족지학, 구 조주의 그리고 사회적 다큐멘터리의 교차 지점에 있으며 세계화가 낳은 광범위한 변화에 몰두한다. Pacho Velez’s work sits at the intersection of ethnography, structuralism, and political documentary. His films share a preoccupation with local responses to broad changes wrought by globalization. Filmography Stuck in the Wake (2014) Manakamana (2013) Bastards of Utopia (2010)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8

신비로운 군중 Mystic Mass Staff DIRECTOR | Karim HAROUN Contact Karim HAROUN karim@nemesisfilms.com

카림 하룬 Karim HAROUN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카림 하룬 Karim HAROUN Canada, Lebanon | 2014 | 70min | DCP | Color

Synopsis 매년 시아파 성일인 아슈라(Ashoura)의 날, 레바 논 남부의 나바티예 마을에는 서기 680년에 암살 당한 이맘 후세인의 순교를 기리기 위해 수천 명의 시아파 이슬람 교도들이 모인다. 이 행사는 시아파 종교 제의 중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로 꼽히며, 전세 계에서 온 엄청난 군중이 이 제의를 위해 운집한다. 그들은 스스로에게 채찍질을 하고 자해를 하면서 그들의 살과 피로 이맘 후세인의 순교를 재현하는 긴 의식을 진행한다. 아슈라의 아침부터 오후까지, 24시간 동안의 의식을 따라가면서 신비주의가 최 고 수준에 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Every year, thousands of Shia Muslims meet in the village of Nabatiyyeh in Lebanon to commemorate the martyrdom of Imam Hussein, assassinated in 680 A.D. It is by far the most important religious event in the chia cult, and leads to the formation of immense mass movements all around the world. Mystic Mass describes extensively this 24h ceremony, and deconstructs its indivisible, ever united, mystic mass, since its formation early in the morning of Ashoura, up to its dissolution in the afternoon of the same day.

만약 영화가 종교라면, 카림 하룬의 신은 폴 토머스 앤더슨과 로버트 알 트만, 애롤 모리스와 압바스 키아로 스타미일 것이다.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한 후, 카림은 그의 시간을 온전 히 영화에 바쳐왔다. 그는 콩코디아 대학에서 영화 이론과 영화 제작 공 부를 마친 후 동료들과 함께 몬트리 올을 기반으로 하는 제작사 Nemesis Film을 차리고 다수의 영화 프로젝트 에 참여했다. <신비로운 군중>은 카 림이 연출한 첫 장편 다큐멘터리다.

If cinema were a religion, Karim’s gods would be Paul Thomas Anderson, Robert Altman, Errol Morris and Abbas Kiarostami. After completing his studies in mathematics, Karim devoted his time entirely to cinema. He graduated with a double Film Studies/Film production major from Mel Hoppenheim Concordia School of Cinema, and co-founded Nemesis Films with Pascal Plante, Santiago Menghini and Katerine Lefrançois. He directed three short films and a feature documentary entitled Mystic Mass, and produced Pascal Plante’s first feature film: L’Age Lyrique. His first short film, in which he directed a mentally challenged actor, was awarded at the Festival du Nouveau Cinéma in 2011. Filmography Mystic Mass (2014) Chronicles of Hyperinflation (2011)

Global Vision

98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99

밤이 걷히면 Night Will Fall Staff DIRECTOR | André SINGER PRODUCER | Sally ANGEL, Brett RATNER CINEMATOGRAPHER | Richard BLANSHARD EDITOR | Arik LAHAV, Stephen MILLER SOUND | Amir BOVERMAN, Aviv ALDEMA Contact Cinephil

Director | 안드레 싱어 André SINGER

Tel 972 3 566 4129 / 972 3 560 1436 tal@cinephil.co.il

UK, Israel, USA | 2014 | 75min | DCP | Color+B&W Asian Premiere

Synopsis <밤이 걷히면>은 1945년 나치 강제수용소의 해방 에 관한 다큐멘터리다. 시드니 번스타인의 주도 하 에 촬영된 이 프로젝트에 알프레드 히치콕, 빌리 와 일더, 리처드 크로스만 등도 함께 참여했지만, 6개 월 사이 영국과 미국 정부가 영화에 대한 지원 철회 를 결정하면서 결국 미완성인 채로 제국전쟁박물 관 아카이브에 소장되었다. 그리고 그 영화는 70년 이 지나서야 비로소 완성되어 관객들에게 공개된 다. 수용소 해방 후 연합군이 맞닥뜨렸던 충격적인 장면들이 영화 속에 적나라하게 담겨 있다.

Night Will Fall tells the story of the liberation of the Nazi Concentration camps. Using remarkable archive footage and testimony from both survivors and liberators, it tells of the efforts made to document the almost unbelievable scenes that the allies encountered on Liberation. The film explores how a team of top filmmakers, including Sidney Bernstein, Richard Crossman and Alfred Hitchcock came together to make a film to provide undeniable evidence of what the allies found.

안드레 싱어 André SINGER Director’s Biography 안드레 싱어는 1980년대에 방영한 Granada Television’ s Disappearing World 시리즈의 편집자였다. 1990 년 대 에 는 BBC Documentary Department’ s Independent Unit 를 운영했는데, 그 당시 Fine Cut (now Storyville)을 제작하였다. 현재는 Documentary Campus의 임원으로 BAFTA의 방송위원회에서 일하고 있다. 1992년 Lessons of Darkness 를 시작으로 베르너 헤어조그와 함 께 14편의 이르는 다큐멘터리 작품 의 제작 책임자로서 일해왔다.

André Singer was an Editor of Granada Television’s Disappearing World series during the 1980’s. He ran the BBC Documentary Department’s Independent Unit in the 1990’s where he founded the award-winning documentary strand Fine Cut (now Storyville). André is currently serving on the TV Committee of BAFTA and is a Documentary Campus board member. He has been responsible for several hundred hours of factual programs for the international TV market and producer or executive producer of fourteen films with Werner Herzog since Lessons of Darkness in 1992. Filmography Night Will Fall (2014)

99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0

포인트 앤 슛 Point and Shoot Staff DIRECTOR/PRODUCER/EDITOR | Marshall CURRY CINEMATOGRAPHER | Alan JACOBSEN, Matthew VANDYKE MUSIC | James BAXTER SOUND | Christopher BARNETT Production Marshall Curry Productions

마샬 커리

dan@marshallcurry.com

Marshall CURRY

World Sales The Film Sales Company

Director | 마샬 커리 Marshall CURRY

Tel 1 212 481 5020 lucas.verga@filmsalescorp.com

USA | 2014 | 83min | DCP | Color

Synopsis 대학 졸업 후, 매튜 반다이크는 원만하고 안정된 삶 을 떨치고 북아프리카와 중동을 횡단하는 오토바 이 여행을 떠난다. 자신만의 모험에 나선 그는, 한 대의 오토바이와 캠코더로 그의 과정을 기록한다. 몰래 숨어든 리비아에서는 반란군들과 친구가 되 었다. 리비아의 상황이 악화되면서 그의 친구들이 체포되거나 죽어나가자, 그는 자유를 위해 감옥과 고문마저 감수하는 친구들과 운명을 함께하기로 한다. 한 사람의 운명을 영원히 봉인시킬 놀랄 만한 경험을 하게 되면서, 그는 상상치도 못하던 방식으 로 성장한다. 매튜가 직접 찍은 영상들은 아카데미 상 수상 후보였던 마살 커리의 손을 거쳐 다큐멘터 리 영화로 거듭났다. <포인트 앤 슛은> 필사적으로 삶의 의미를 찾던 한 청년이 전혀 기대치 않던 낯 선 곳에서 삶에 대한 목적의식을 갖게 된 과정을 담았다.

After college, Matthew VanDyke abandons his sheltered upbringing for a road trip across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in a self-stylized “crash course in manhood”. Living on the road with only a motorcycle and a videocamera to document his great adventure, he manages to smuggle himself into Libya where he befriends a group of resistance fighters. As the situation in Libya escalates and many of his friends are arrested or feared dead, he throws himself into the fray, endures danger, prison and torture all to help them liberate their country. Living through this remarkable and character-building experience that he has been waiting for charges him forever in ways he never could have imagined. Compiled primarily of the footage Matthew shot himself, Academy Award nominated filmmaker Marshall Curry’s Point and Shoot is a revealing portrait of a renegade desperately looking for meaning, and finding it in the most unlikely place. ilmography Mystic Mass (2014) June (2011) Chronicles Of Hyperinflation (2011)

Global Vision

Director’s Biography 마샬 커리는 아카데미 상을 두 번이 나 수상한 경력이 있는 다큐멘터리 제작자이다. 그는 뉴저지의 뉴와크 시장으로 출마한 코리 부커를 촬영 한 Street Fight를 시작으로 명성을 쌓아왔다. 이 작품은 아카데미와 에 이미 상의 후보작에 오르는 영광을 누렸다. 그의 두 번째 작품인 Racing Dream 역시 트라이베카 영화제의 최우수 다큐멘터리 상을 수상했으며, 세 번째 다큐멘터리인 If A Tree Falls: A Story Of The Earth Liberation Front는 목재 저 장소를 태운 죄목으로 수감된 환경 공해연구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Marshall CURRY is a two-time Academy Award nominated documentary director. He got his start directing, shooting, and editing Street Fight, which follows Cory Booker’s first run for mayor of Newark, NJ. It was nominated for an Academy Award and an Emmy. His second documentary Racing Dream follows two boys and a girl who dream of racing in NASCAR. The film won numerous awards, including Best Documentary at the Tribeca Film Festival. CURRY’s third If A Tree Falls: A Story Of The Earth Liberation Front follows an environmentalist who faced life in prison for burning two timber facilities. It won the Sundance Film Festival award for Best Documentary Editing and was nominated for an Academy Award.

100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1

스쿠너 크레올라호 항해일지 The Quest of the Schooner Creoula Staff DIRECTOR | André Valentim ALMEIDA Contact André Valentim Almeida andrevalentimalmeida@gmail.com

안드레 발렌칭 알메이다 André Valentim ALMEIDA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안드레 발렌칭 알메이다 André Valentim ALMEIDA Portugal | 2013 | 90min | DCP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감독은 역대 최대 규모의 과학 탐사를 기록하기 위 해 새비지 군도로 향하는 스쿠너 크레올라호에 승 선한다. 항해 도중, 그는 자신의 삼촌이 선장이기도 했던 뉴펀들랜드호의 포르투갈 어획사에 관한 기 억들을 만나게 되고, 항해는 그를 모국인 포르투갈 뿐 아니라 감독 자신의 과거를 발견하도록 이끈다.

A filmmaker sails aboard the Schooner Creoula to the Savage Islands to document the biggest Portuguese scientific expedition ever made. During the journey he finds memories of the Portuguese fishing history on the Newfoundland where his uncle was a captain, which leads him to the discovery of his country’s past as well as his own.

포르투갈 출생 안드레 발렌칭 알메 이다는 감독, 다큐멘터리 편집자, 교 수로 일하며, Interactive Documentary 에 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 다 . 처 음 에 그 는 UnionDocs (Brooklyn, NY)의 일년 짜리 협력 다 큐멘터리 프로그램의 일원으로 시작 하여, 협력 스튜디오 디렉터로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MoMA, Doclisboa, IndieLisboa, VIsions du Réel, Carpenter, Center for Visual Arts, TEDx Brooklyn등 다 양한 공간에서 상영되었다.

Andre Valentim ALMEIDA is a Portuguese filmmaker, documentary editor, professor and PHD candidate currently finishing his dissertation on Interactive Documentary. He was part of the first yearlong collaborative documentary program at the UnionDocs (Brooklyn, NY) where he was then the Collaborative Studio Director. As a media maker his work has been screened at MoMA, Doclisboa, IndieLisboa, VIsions du Réel, Carpenter, Center for Visual Arts, TEDx Brooklyn among others. Filmography The Quest of the Schooner Creoula (2013) From New York with Love (2012) Uma na Bravo Outra na Ditadura (2010) New York is a Big Apple (2010)

101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2

스트립라이프 Striplife Staff DIRECTOR | Nicola GRIGNANI, Alberto MUSSOLITI, Luca Scaffidi, Valeria Testagrossa, Andrea Zambelli PRODUCER | Raffaele ASPIDE CINEMATOGRAPHER | Valeria TESTAGROSSA, Andrea ZAMBELLI, Nicola GRIGNANI EDITOR | Luca GASPARINI MUSIC/SOUND | Walter BUONANNO Contact Valeria TESTAGROSSA

Director | 니꼴라 그리냐니, 알베르또 무쏠리띠, 루카 스카피디, 발레리아 테스타그로사, 안드레아 잠벨리 Nicola GRIGNANI, Alberto MUSSOLITI, Luca SCAFFIDI, Valeria TESTAGROSSA, Andrea ZAMBELLI Palestine, Italy | 2013 | 64min | DCP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가자지구, 밤 사이 설명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난다. 수십 마리의 가오리들이 줄에 묶인 채 해변에 놓여 있고, 어부들은 서둘러 신선한 살점들을 골라낸다. 안타르는 그의 형을 깨운다. 오늘은 첫 레코드를 녹 음하는 날이다. 누르는 화장을 하고 TV쇼 카메라 앞에 설 준비를 한다. 몇 발의 총성이 자베르가 있 는 곳이 가자지구라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거리에 서는 시위가 한창이다. 사진작가인 모에멘은 그곳 에 있다. 항구로 총알 자국투성이 배 한 척이 들어 온다. 첨탑에서 예배 시각을 알리는 소리가 울려 퍼 진다. 꿈인 듯, 파쿠르 팀 소년들이 공동묘지에서 발레 회전을 한다. 가자지구에는 밤 깊은 시각까지 바람이 분다.

The Gaza Strip. An inexplicable event has occurred during the night: dozens of manta rays stranded on the beach in Gaza City. Fishermen hasten from the whole Strip to grab some fresh meat. Antar spurs his brother to get up, in the afternoon he will record his first disk. Noor must appear in front of the television cameras. The shots of the rifles remind him that Jabber lives in the buffer zone that separates Gaza from Israel. As in a dream, the boys of the Parkour Team pirouette in a cemetery. Life in the strip winds up until night. Global Vision

valeria.testagrossa@gmail.com +39 327 836 9110

니꼴라 그리냐니 Nicola GRIGNANI Director’s Biography 쿠바영화의 역사에 관한 논문으로 졸업했으며, 이탈리아 이주를 주제로 한 탐사보도와 다큐멘 터리 제작과 콜롬비아의 소통과 국제적 연대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위해 텔레이마지니를 설립했 다. 연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큐멘터리의 촬영 에도 관여하고 있다. H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Bologna with a thesis on the history of Cuban cinema. In 2002 he founded with Alberto MUSSOLINI and Luca SCAFFIDI the collective Teleimmagini, to make reportages and documentaries on the subject of emigration to Italy and takes part in projects of communication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in Colombia.

알베르또 무쏠리띠 Alberto MUSSOLITI

발레리아 테스타그로사 Valeria Testagrossa Director’s Biography 런던 웨스터민스터 대학에서 저널리즘을 과 다큐멘터리 제작을 전공하고 연출자이 자 사진가, 저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다.「가 디언」지의 리포터이자 영상제작자로 참여 했으며, 2011년 그녀의 팀은 이민에 대한 탐사보도로 One World Media Award의 최고 해외뉴스기사상을 수상했다. Studied journalism at the Westminster University in London with specialization in the production of documentaries. She is a videomaker, photographer and journalist. In 2011 her team win the One World Media Award as the best international news article, for an investigation on the subject of immigration.

Director’s Biography 루카 스카피디와 니꼴라 그리냐니와 함께 텔레이 마지니의 멤버로 활동 중이며, 웹다큐멘터리 작업 에 관심이 많다.

안드레아 잠벨리 Andrea Zambelli

He works at the Academy of Fine Arts of Carrara, the Transmedia Festival in Berlin and the DEAF in Rotterdam. He is one of the founders of the collective Teleimmagini.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technician to cover events with Kreative lab of Milan and the creation of multimedia webdocs and training courses.

Director’s Biography

루카 스카피디 Luca Scaffidi Director’s Biography 감독 콜렉티브인 텔레이마지니의 공동설립자이 며, 영상제작자이자 촬영감독으로 활동하고 있 다. 그의 프로젝트 Telestreet는 아르스 일렉트 로니카 수상작이기도 하다. 콜롬비아, 쿠바, 베네 수엘라 등지에서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안드레아 잠벨리는 2000년부터 연출자이 자 촬영감독으로 다큐멘터리 제작에 관여 해왔다. 그의 작품 Mother to Daughter가 2008년 토론토영화제에 초청된 바 있다. 팔레스타인과 레바논, 콜롬비아의 분쟁지 역에서 독립보도그룹으로 활동 중이다. Andrea Zambelli worked on documentaries of creation since 2000, and as a filmmaker and director of photography. In 2008, Mother to Daughter (2008) was selected for the Toronto Film Festival.

He is a videomaker, director of photography, expert in social communication and webcommunication . He is one of the founders of the collective of filmmakers, Teleimmagini, making short films, reportages, investigations and holding workshops of communication. On the production of web-docs to be made in Nablus, in Palestine. In 2013 he made short films for the Istituto Europeo di Design.

102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3

시간은 으르렁대는 사자처럼 Time Goes by like a Roaring Lion Staff DIRECTOR/PRODUCER/EDITOR | Philipp HARTMANN CINEMATOGRAPHER | Helena WITTMANN SOUND | Louis FRIED Contact Flumen Film Tel 49 163 254 4427 philipp@flumenfilm.de

Director | 필립 하트만 Philipp HARTMANN Germany | 2013 | 80min | DCP | Color+B&W Asian Premiere

필립 하트만 Philipp HARTMANN Director’s Biography

Synopsis 인생 중반에 다다른 한 감독이 시간공포증에 시달 리고 있다. 이 남자는 시간의 흐름을 늦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시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개인적 에세 이 필름.

A filmmaker in the statistical middle of his life suffers from chronophobia. He has to find a way to slow down the passage of time. A personal essay film exploring the essence of time.

1972년 독일 칼스루에 출생. 빔 벤더 스가 교수로 있던 함부르크예술대학 에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전공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0년 이후부터 독 립영화감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몇 몇 매체들과 장편 영화 그리고 다양 한 예술 다큐멘터리 작업도 했는데 이를 테면 Künstlerbund Baden, W ü rttemberg e.V 예술가 협회, Wurth 미술관, 캔첼자우를 위한 작업 및 화가인 Uwe Lindau과 같은 다른 독립 예술가들을 위한 작업을 했다. 2 0 0 4 년 이 후 로 Karlsruher Kürzfilmnacht 영화제나 빌헬름스 회 에 아 트 갤 러 리 , Odderader Filmtage와 같은 이벤트의 큐레이터 로 활동했으며, 2010년부터 2012년 까지 월간 단편영화 TV프로그램 Heinz를 담당하기도 했다.

Born 1972 in Karsruhe, Germany. Working as an independent filmmaker since 2000 (also as F. K. Flumen) Short films screened in numerous international festivals and in TV; projects funded by Filmförderung Hamburg, Documentary Campus and other public and private funding. Several medium and feature-length films, among others, various artdocumentaries, e.g. works for the artists association Künstlerbund Baden- Württemberg e.V., Museum Würth, Künzelsau as well as for different independent artists, among them the painter Uwe Lindau Since 2004 curator of different film events like the “Karlsruher Kurzfilmnacht” Filmfestival, “Young Video- and Film Art” in Art Gallery Wilhelmshöhe, Odderader Filmtage and other events in Germany, Brazil and Portugal; Monthly ShortfilmTV-Program “Heinz” on Tide TV Hamburg from 2010 until 2012. Filmography Time goes by like a roaring lion (2013) Blicke in die Verschwörerbude (2011)

103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4

아틀란티스 Atlantis Staff DIRECTOR | Ben RUSSELL Contact Video Data Bank Tel 1 312 345 3550 distro@vdb.org

Director | 벤 러셀 Ben RUSSELL USA | 2014 | 24min | DCP | Color Korean Premiere

벤 러셀 Ben RUSSELL Director’s Biography

Synopsis “우리 유토피아인들은 행복하다. 이 행복은 영원할 것이다.”플라톤의 저서에서 암시적으로 언급되었 고, 1970년대 유행했던 대중적인 공상과학 소설에 의해 몇 번이고 되살아났던 사라진 대륙 아틀란티 스. <아틀란티스>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유 한한 우리의 삶 아래 영원히 존재하는 혹은 한 번도 존재하지 않았던 섬, 유토피아에 관한 다큐멘터리 이다. 여기 전통음악과 토속종교 의식, 종교 행렬, 비추어진 신전, 그리고 우리를 감싸고 있는 바다가 있다. 서서히 가라앉고 있다 할지라도, 우리는 행복 하고 현실에 만족한다.

“We Utopians are happy / This will last forever” Loosely framed by Plato’s invocation of the lost continent of Atlantis in 360 BC and its re-reresurrection via a 1970s science fiction pulp novel, Atlantis is a documentary portrait of Utopia - an island that has never / forever existed beneath our too-mortal feet. Herein is folk song and pagan rite, religious march and reflected temple, the sea that surrounds us all. Even though we are slowly sinking, we are happy and content.

Global Vision

1976년 매사추세츠 스프링필드에서 출생. 벤 러셀은 미디어 아티스트이 자 큐레이터로 그의 영화와 설치작품 및 공연은 역사와 영상기호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초기 영화, 다큐멘터리 활동, 구조주의적 영화 제작 사이의 역사적, 개념적 관계에 대한 탐구와 제의, 공동 관객성 그리고‘환각적인 민족지학’의 추구 등은 흡입력 강한 경험으로 연결되었다. 2008년 구겐 하임 펠로우쉽과 2010년 국제영화평 론가협회상을 받았고, 퐁피두센터와 시카고현대미술관, 로테르담영화제, 웩스너 아트센터, 뉴욕현대미술관 등 에서 단독 상영 및 전시를 해왔다. 그 는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덴스에서 Magic Lantern 연작 상영을 시작했고 시카고의 예술가 운영공간‘ 벤 러셀’ 의 공동 디렉터이기도 했다. 그는 영 화/비디오/공연 프로그램으로 전세계 를 돌았으며,‘ BEAST ’ 라는 더블 드 럼 트리오에서‘ 빛에 예민한 해골’ 로 활동 중이다. 현재 프랑스 파리에 거 주하고 있다.

Filmography Atlantis (2014) A Spell to Ward off the Darkness (co-directed with Ben Rivers) (2013) Let Us Persevere In What We Have Resolved Before We Forget (2013)

Born 1976 in Springfield MA. Ben Russell is a media artist and curator whose film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foster a deep engagement with the history and semiotics of the moving image. Formal investigations of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inema, documentary practices, and structuralist filmmaking result in immersive experiences concerned at once with ritual, communal spectatorship, and the pursuit of a “psychedelic ethnography.” A 2008 Guggenheim Fellowship and 2010 FIPRESCI Award recipient, Ben has had solo screenings and exhibitions at th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IL), the Rotterdam Film Festival, the Wexner Center for the Arts (Columbus, OH), the Viennale (Austria), and MOMA (New York). He began the Magic Lantern screening series in Providence, Rhode Island, was a co-director of the artist-run space BEN RUSSELL in Chicago, has toured worldwide with film/video/performance programs, and played the lightsensitive skull in a double drum trio called ‘BEAST’. He currently resides in Paris, France. 104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5

논란들 Controversies Staff DIRECTOR | Ryan MCKENNA Contact Ryan Mckenna rmckenna1@gmail.com

라이언 멕케나 Ryan MCKENNA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라이언 멕케나 Ryan MCKENNA Canada | 2014 | 16min | DCP | B&W Asian Premiere

Synopsis 1980년대 캐나다의 문화 현상이라고 일컬어질 만 큼 선풍적 인기를 모았던 토크쇼‘ 전화 상담’ 의오 디오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 영화는 사회 자 피터 워렌 대신 시청자 전화프로그램에 참여했 던 다채로운 인물들에게 초점을 맞춘다. <논란들> 은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거나 불평하는 다양한 목 소리를 듣는 사람들의 모습을 한 권의 사진첩처럼 펼쳐놓은 영화다.

Using archival audio from the popular Action Line talk show, when it was a cultural phenomena in Canada in the 1980s, the moderator – Peter Warren – has been edited out, focusing instead on the colorful characters that would call-in. Controversies unfolds like a filmed picture book, as we watch people listen to the various callers express their opinions and gripes on the day.

라이언 멕케나는 캐나다의 프랑어스 권 도시에서 태어나 위니펙으로 이 주한 후 위니펙 대학에서 역사를 전 공했다. 그는 단편 Bon Voyage (2009), Chinatown (2009)과 방송 다큐멘터리 Honky Tonk Ben (2011), Survival Lessons (2013)을 연출했 고, 그의 첫 장편 The First Winter (2012)는 모스크바국제영화제, 레인 댄스영화제, 인디리스보아에서 상영 되어 호평받았다.

Ryan McKenna was born in the francophone city of St. Boniface, and moved to Winnipeg to study history at the University of Winnipeg. His films include the award winning shorts Bon Voyage ‘09 and Chinatown ‘09, the television documentaries Honky Tonk Ben ‘11 and Survival Lessons ‘13, and his acclaimed first feature The First Winter ’12 (Moscow International, Raindance, IndieLisboa). Filmography Controversies (2014) The First Winter (2012) Honky Tonk Ben (2011) Survival Lessons (2013) Bon Voyage (2009) Chinatown (2009)

105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6

호송 Escort Staff DIRECTOR | Guido HENDRIKX PRODUCER | Jonne ROOS, Zinzy NIMAKO CINEMATOGRAPHER | Emo WEEMHOFF EDITOR | Lot ROSSMARK MUSIC | Lucas MALEC SOUND | Tijn HAZEN, Taco DRIJFHOUT Contact Some Shorts

Director | 귀도 헨드릭스 Guido HENDRIKX

Tel 31 6 2207 6717 info@someshorts.com

The Netherlands | 2014 | 19min | DCP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호송>은 네덜란드 국경순찰대 신입대원들의 이 야기를 담고 있다. 신입대원들은 망명 신청이 거부 된 사람들을 본국으로 호송하는 업무를 위해 집중 훈련을 받는다. 우리는 이 3주 간의 훈련 과정을 두 인물의 시선으로 함께 경험한다. 대원들은 어떻게 훈련을 받을까? 망명자들이 고국으로 추방될 때 우 리는 어떤 감정을 갖는가? <호송>은 망명자 추방 이라는 매우 긴급한 정치적 이슈를 독특한 관점으 로 접근한 영화다. 이전까지 네덜란드 추방 과정의 최종 단계가 집행인의 관점에서 다뤄진 경우는 없 었다.

Escort reveals the story of young, inexperienced members of the Dutch Border Patrol. They undergo an intensive training on escorting refused asylum seekers to their ‘country of origin’. We experience this three-week programme through the eyes of two archetypical characters. Escort approaches one of the most urgent political issues from a unique perspective. Never before the final stage of the deportation process in The Netherlands was filmed from the viewpoint of the executors.

귀도 헨드릭스 Guido HENDRIKX Director’s Biography 1987년생 네덜란드 에인트호벤 출 신. 의학을 전공하다 2개월 만에 중 퇴한 후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교 양학을 전공하며 영화, 범죄학, 저 널리즘, 철학을 공부하였다. 데뷔작 <데이 이즈 던*>이 2010년 암스테 르담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경쟁부 문에서 상영되었다.

Guido Hendrikx (1987) grew up in Eindhoven (The Netherlands). He studied Medicine (but quit after 2 months) and Liberal Arts & Sciences (Utrecht University), taking courses in the disciplines of film, criminology, journalism and philosophy. His documentary debut – Day is Done* - premiered on IDFA 2010 (competition for Dutch Documentary). In the same year he enrolled at the Dutch Film Academy in Amsterdam (Directing). Filmography Escort (2013) Day is Done* (2010) Sense 393 (2008)

Global Vision

106


DMZ메인카탈로그내지1번 2014.9.15 9:7 AM 페이지107

깜빡했어! I Forgot! Staff DIRECTOR | Eduardo Williams Contact KAZAK Productions Tel 33 1 48 24 30 57

에두아르도 윌리엄스 Eduardo WILLIAMS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에두아르도 윌리엄스 Eduardo WILLIAMS

1987년 부에노스 아이레스 출생. Universidad del Cine에서 영화 제작 을 전공한 후, 프랑스 국립현대예 술학교 르프레누아에서 수학했다. I Forgot! (2014)은 그가 연출한 여 섯 번째 단편으로 올해 마르세유 다 큐멘터리영화제에서 단편 부문 대상 을 수상했다.

France | 2014 | 29min | HD | Color International Premiere

Synopsis 심해와 하늘 사이에선, 그리고 피부의 모공과 별들 사이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자기 시간의 대부분을 일하는 데 소모해왔던 소년은 어쩌면 세 상이 놀라운 곳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갖기 시작 한다.

Climb up, let’s jump! The fields are green and the houses grey. We’re all small. It feels like the pores of my skin have become gigantic.

He was born in Buenos Aires in 1987. He studied filmmaking at Universidad del Cine(Argentina), then at Le Fresnoy, Studio National des Arts Contemporains (France).and directed the short film Arrepentirse(2006) before graduating. His short Tan Atentos won the BAFICI’s Special Award at the 9th International Film Schools Festival. I Forgot! (2014) world premiered in FID Marseille. Filmography I Forgot! (2014) That I’m falling ? (2013) The Sound of Stars dazes me (2012) Could See a Puma (2011) Beware (2010) They were seen (2010)

107

Global Vis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08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09

아시아의 시선 Asian Perspective 아시아 감독의 발굴과 지속적인 지원을 목표로 아시아를 대표하는 DMZ국제다큐영화제의 비전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소개한다. 전통 적인 다큐멘터리 제작방식에서부터 저널리즘과 아마츄어리즘, 픽 션과 리얼리티, 영화와 비디오매체를 아우르는 그들만의 시선에는 분명히 아시아인만의 비전을 찾아볼 수 있다. 올해는 작년 제작지원 작인 라브 디아즈의 <폭풍의 아이들, 1권>과 인도네시아 사페-람부 의 피의 비극으로 알려진 람부 지구 농민들의 증언과 공간을 관찰한 하피즈 란차잘리의 <분노의 대지>가 월드프리미어 및 인터내셔널 프리미어로 상영된다. 이 밖에도 무슬림 공교육 시스템을 다이렉트 시네마 형식으로 기록한 <유년의 끝>, 사적 에세이 스타일의 다큐 멘터리 작품인 <이삭줍는 사람들>과 <달콤한 전쟁>을 상영한다.

Asian Perspective introduces documentaries that reflect the vision of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 leading Asian documentary film festival, which aims to discover and continuously support Asian documentary film directors. A clear vision of Asians are presented in documentary films in this section, ranging from conventional documentaries to films that cross between journalism and amateurism, fiction and reality, film and video media. This year, the world premiere of Storm Children, Book One by Lav DIAZ, produced through last year’s production support program, and international premiere of Hafiz RANCAJALE’s The Raging Soil, which contains the testimonies and spaces of farmers in Lambu during the Sape Lambu tragedy in Indonesia, will be screened. In addition, Die Before Blossom, which records Muslim public educational system using the direct cinema format, and personal-essay style films, The Gleaners and War is a Tender Thing, will be screened in this sec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0

태양의 아들 Anak Araw

Director | 짐 룸베라 Gym LUMBERA

Staff

Philippines, USA | 2013 | 63min | HD | B&W

DIRECTOR/WRITER | Gym LUMBERA PRODUCER | Allison LUMBERA, Roger BASCO CINEMATOGRAPHER | Danilo Sales III EDITOR | Jet LEYCO, Gym LUMBERA MUSIC | Moki McFly and Banda 24 SOUND | Moki McFly Contact Gym LUMBERA dionisiosandovaljunior@gmail.com

Korean Premiere

Asian Perspective

110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1

Program Note 이 파편 같은 영화를 따라가도록 도와주는 지도는 사전이다. 영화의 시작은 영어를 배울 때 쓰는 그림이 그려진 알파벳이고 끝은 사전의 색인처럼 알파벳순으로 구성한 엔딩크 레딧이다. 뿐만 아니라 곳곳에 타갈로그-영어 혹은 영어-타갈로그 사전에서 튀어나온 단 어들이 흩뿌려져있다. 친아버지가 미국인이라고 생각하는 알비노 소년은 사전을 보며 영어를 배운다. 누군가는 타갈로그로 말하고 누군가는 (철저한 미국식) 영어로 말한다. 타갈로그로 공연하던 인기 코미디언 토고Togo의 장례식 푸티지와 필리핀을 방문한 냇 킹 콜이 영어식 발음으로 부르는 필리핀 곡‘다 힐 사요 Dahil Sa Yo ’ 의 사운드푸티지 는 묘한 대구를 이룬다. 이리저리 몰려다니는 마을 사람들, 염소 울음소리를 내며 기어 짐 룸베라

다니는 아이, 바다 속의 상어, 난데없이 물 위로 떨어지는 소년들은 얽히고설킨 식민지의

Gym LUMBERA

파편일 것이다. 이렇게 <태양의 아들>는 필리핀의 역사가 식민지 정체성과 언어의 문제 라고 말하며 제국의 언어와 모어가 만들어낸 간극을 유쾌하게 풀어헤쳐 놓는다.

Director’s Biography

(박소현)

바탕가스 지방 어딘가 그 가운데 화산을 간직하고 있는 호숫가에 있는 예스러운 마을에서 태어났다. 냉장고가 관이기도 하고, 바나나 나무고, 아름다운 여인이라 고 생각하며 자랐다. 최근에는 감독의 첫 번째 단편영화인 Dahil Sa‘ Yo (너때문에) 부터 전 분량을 필름으로 촬영한 두편의 장편영화 Taglish and Anak Araw (Albino) 까지 그의 작품 전체를 관통하며 흐르고 있는 깊이의 연결점이자 그가 태어난 곳 이기도 한 바탕가스와 마닐라를 오가며 지내고 있다.

Born in a quaint town somewhere in Batangas, by a lake that had a volcano right at its heart. He grew up thinking a refrigerator was also a coffin, and a banana tree a beautiful woman. Currently shuttling from Manila to Batangas, the place of his birth, and the depth with which his connections to it run, threads through all his films, from his first short, Dahil Sa ‘Yo (Because of You) to his two features, Taglish and Anak Araw (Albino), the last two he shot entirely on film.

Throughout this fragmented film, dictionaries serve as a map to guide us through. The film begins with picture-alphabets for those beginning to learn English, and its end credits are listed in the alphabetical order like a dictionary index. Furthermore, we frequently encounter words from a Tagalog-English or an Eglish-Tagalog dictionary. An albino boy is convinced he is the son of an American, so he tries to learn English with the support of a Tagalog-English dictionary. Some communicate in Tagalog and some in (strictly American) English. The footage of the funeral of comedian Togo, who used to perform in Tagalog, and the sound of Nat King Cole’s sing the Filipino classic Dahil Sa ‘Yo in English pronunciation create an ironic antithesis to each other. The sight of villagers rushing about here and there in groups, kids suddenly falling into the water, sharks under the sea, and the visual of a boy crawling and making the sound of a goat must all be splinters from the colonial era. The film argues that the history of the Philippines is a matter of colonial identity and language, and offers a hilarious exploration of the gap between the language of the empire and the mother tongue. (PARK So-hyun)

Filmography Anak Araw (2012) ETA (2012) Tagalog (2012) English (2012) Taglish (2012) Class Picture (2011) Dahil Sa'yo (2010)

111

Asian Per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2

유년의 끝 Die Before Blossom

Director | 아리아니 잘랄 Ariani DJALAL

Staff

Indonesia | 2014 | 89min | DCP | Color

DIRECTOR/PRODUCER | Ariani DJALAL CINEMATOGRAPHER | Angen SODO EDITOR | Ariani DJALAL, Sebastian WINKELS, Amerta KUSUMA, Ferry Edwin Sirait SOUND | Aditya TRISNAWAN, Fahmy Arsyad Said Contact Ariani DJALAL Tel 62811864504 djalal@gmail.com

Asian Premiere

Asian Perspective

112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3

Program Note 우리는 종종 혼동하지만 교육이란 생각하는 방식을 알려주는 것이지 생각을 심는 것이 아니다. <유년의 끝>은 인도네시아 중산층 가정의 한 무슬림 소녀의 성장 과정을 담은 관찰 다큐멘터리다. 카메라는 소녀가 공공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할 때까지의 2년 간의 시간을 따라간다. 보수적인 이슬람 문화권에 속한 인도네시아의 교육은 여전히 무 슬림으로써의 가치와 사고를 적극적으로 심는 쪽에 가깝다.‘ 건전한 인간 만들기’ 라는 목표 아래 훈육되고 있는 수많은 아이들에게 우선시 되는 건 규율을 통해 몸으로 먼저 익 히는 신앙심과 애국심이다. 영화는 가치 판단이나 편견을 최대한 배제한 채로 이들의 교 육방식과 솔직한 반응을 담아나간다.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것들 사이에 슬쩍 비치는 의 아리아니 잘랄

문과 균열, 그리고 시스템이 이를 자연스럽게 억누르는 과정이 흥미롭다. 그럼에도 해맑

Ariani DJALAL

게 자라나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거꾸로 교육의 본질이 무언인지 새삼 생각하게 만든 다. (송경원)

Director’s Biography 아리아니 잘랄은 2003년 자카르타국제영 화제에서 상영된 Aceh Never-ending Tragedy의 프로듀서로 참여 하였는데, 이 영화는 JIFFEST (2004)에서 최고 다 큐멘터리 상을 수상했다. 2007년도에는 비디오 워크숍인 Women and Syariah Law (HIVOS Foundation, Jakarta에서 지원함)에서 단편으로 구성된 다큐멘터리 컴필레이션을 제작하였다. 2008년 4월부 터 2010년 4월 까 지 Documentary Cinema Capacity Building Program인 “Indonesia- Ten Years after Reformasi ” 에서 감독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녀의 첫 번째 장편영화인 <유년의 끝>을 완성 시켰다.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teach one how to think rather than what to think – although we often get confused about this. Die Before Blossom is an observational documentary about a young Muslim girl’s coming of age. The camera follows the girl for a period of two years as she graduates from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and enters middle school. In Indonesia’s conservative, Islamic culture, education is geared towards actively promoting the values and ideas of what it means to be a Muslim. For Indonesian students, being raised to become “decent human beings”, their foremost priority is to learn religious piety and patriotism physically through regulations. Without presenting judgments or prejudiced views, the film chronicles honest responses to their educational system. There are questions raised and cracks glimpsed within what is conceived as normal. What is more interesting is the way the system naturally oppresses them. Watching how the children remain bright and innocent in spite of all this, we are led to ponder on the essence of education in reverse. (SONG Kyoung-won)

In 2003 Ariani DJALAL worked as a producer for Aceh Never-ending Tragedy that was screened at the Jakart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a won a best documentary at JIFFEST(2004). In 2007, she produced a Video Community Workshop “Women and Syariah Law” (supported by HIVOS Foundation, Jakarta), and created a compilation of short documentary videos. Between April 2008 and April 2010 she participated as a director in the Documentary Cinema Capacity Building Program “IndonesiaTen Years after Reformasi” and developed her first feature length documentary Die Before Blossom. Filmography Die Before Blossom (2014) Struggle for Living (2008) Friday Lunch (2008) Coffe Maker (2008) Born in Aceh (2004)

113

Asian Per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4

이삭줍는 사람들 The Gleaners

Director | 예 쭈이 YE Zuyi

Staff

China | 2013 | 89min | HD | Color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SOUND | YE Zuyi PRODUCER | Antoine Hervé Contact YE Zuyi Tel 86 18079606100 yezuyi1003@163.com

Asian Premiere

Asian Perspective

114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5

Program Note 비 내리는 논의 한 켠에서 시작된 중국 농촌의 가감 없는 현실은 도무지 움직일 줄 모르 는 카메라의 고집스런 시야로 인해 관점은 오히려 뚜렷해지고 프레임 안에 담기는 시간 은 단촐한 가족관계 속에서 더욱 견고해져 간다. 스스로 카메라로 무장하고 1인이 혼자 거의 모든 작업을 해내는 이러한 작업은 오랜 시간 비춰지는 대상을 객관화하고 대상화 하여 마침내 만든 이의 손끝을 떠나‘ 실제세계’ 로 내보내는 동시에 만든 이의 내면세계 의 거울 같은 이미지의 순환을 일으킨다. 객관적 다큐의 사회적 이슈를 극대화해내는 소셜 다큐의 전통이 지배적인 중국 다큐의 세계에서 이러한 자기반영적 다큐의 게릴라적인 다큐제작 스타일은 매우 드물면서 또한 예 쭈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단순함은 미학적 야심과 더

YE Zuyi

불어 더욱 탄력을 받아가며 경계를 허물며 마침내 보편적 다큐멘터리의 미학적 야심을 적절히 드러내는 데에까지 이르고 있다. 그것이 바로 이 중국 변방의 다큐가 가진 야심만

Director’s Biography

만한 미학적 비전의 실체일 것이다. (박부식)

1985년 광동 출생의 예 쭈이는 2008년도 에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of South China Normal University를 졸 업했다. 그는 졸업직후에 그의 고향으로 돌아가 1959년부터 1961년까지 3년에 걸쳐 발생한 기근에 대하여 노인들을 취 재를 했다. 그리고 그는 2013년도에 마침 내 그의 첫 다큐멘터리인 <이삭줍는 사람 들>을 완성시켰다.

Born in 1985, Guangdong, YE ZUYI graduated from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of South China Normal University in 2008 and went back to his village to interview old people about the history of three-year famine that happened between 1959 to 1961. He had finished his first documentary film, The Gleaners in 2013.

From a corner of a rice paddy in rain, the reality of Chinese farming villages is shown on the screen without any adjustment. The sight is getting clearer due to persistent camera view and the time confined in a frame gets more substantial within simple family relationship. Arming oneself with a camera, one person completes this work from beginning to end. This kind of shooting objectifies a subject for a long time and when it finally releases the subject to ‘the real world’, it also arouses circulation of mirror-like images of the creator’s inner world. In the Chinese documentary world where social documentary is dominating with its technique to maximize social issue in objective documentary, this self-reflective documentary’s guerilla-like production is very rare but becoming universal due to development of technology. This strategic simplicity picking up momentum along with aesthetic ambition breaks the border and eventually gets to the point revealing universal documentary’s aesthetic ambition, somehow properly. That is the truth of ambitious aesthetic vision that this Chinese documentary has standing on the periphery. (PARK Bu-sik)

Filmography The Gleaners (2013)

115

Asian Per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6

분노의 대지 The Raging Soil

Director | 하피즈 란차잘리 Hafiz RANCAJALE

Staff

Indonesia | 2014 | 92min | HD | B&W

DIRECTOR | Hafiz RANCAJALE Contact ARKIPEL international Documentary and Experimental Film Festival yukiaditya@arkipel.org

International Premiere

Asian Perspective

116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7

Program Note 2011년 12월 인도네시아에서 숨바와섬의 최동단 지역 람부에서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 해 두 명이 죽는 사건이 벌어졌다. 인도네시아 국가인권위원회는 자카르타에서 활동하 는 다큐멘터리 제작집단 포럼 렝텡의 하피즈에게 이 사건을 파헤치는 다큐멘터리 제작 을 제안한다. 하피즈와 제작진은 람부로 날아가 지역주민들을 만나고 현장을 돌아보며 사건을 재구성했다. 사건의 발단은 지방정부가 한 기업에 람부 지역 금광채굴권을 내준 것이다. 어느 날 갑자기 측량업자들이 나타나자 주민들은 술렁이기 시작했다. 대대로 농 사를 지어오던 이들에게 금광개발이란 곧 삶의 근거지가 파괴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 이다. 카메라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동시에 그들의 일상과 삶의 조건 또한 세심 하피즈 란차잘리

하게 보여준다. 갑작스런 비나 난데없이 울리는 핸드폰 소리에 인터뷰가 중단되기도 하

Hafiz RANCAJALE

고, 람부의 풍광과 모내기 장면, 시위 진압 당시의 푸티지와 시위대가 불태워버린 건물들 의 잔해 역시 사건을 재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다. 영화가 결국 잡아낸 것은 자신을 뽑아준

Director’s Biography

주민들의 터전을 이권과 맞바꾸는 지방권력의 모습–1998년 이후 방황하는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페칸바루 출생. 자카르타 인

민주주의의 한 단편일 것이다. (박소현)

스티튜트 오브 아트에서 미술을 공부한 그는 자카르타 소재의 포럼 렝탕과 루안 그루파의 공동 설립자이다. 인도네시아와 해외의 많은 국제영화제 및 전시를 통해 작품들을 선보였다. 현재 아키펠국제다큐 멘터리실험영화제의 집행위원장과 자카 르타 예술위원회의 미술협회장을 역임하 고 있다.

Born in Pekanbaru, Indonesia. He studied fine art at the Jakarta Institute of Arts.(1990-1994) He is co-founder of Forum Lenteng and ruangrupa. His works already showcased nationally and abroad at numerous film festivals and art exhibitions. Now he’s an artistic director of ARKIPEL International Documentary Experimental Film Festival, and also the head of Fine Arts Committee of Jakarta Arts Council.

In December 2011, two protesters were killed in Lambu, the northernmost point of Sumbawa, Indonesia, when the police opened fire. The Indonesi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sked director Hafiz RANCAJALE from the Jakarta-based film production group Forum Lenteng to make a documentary investigating this incident. Hafiz and his crew flew over Lambu, where they reconstructed the story by talking to local residents and visiting the scenes of the incident. The conflict had been trigger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s decision to grant a certain company a permit to mine gold in Lambu. As strangers suddenly turned up survey the area, a sense of panic spread among the residents, who feared that the mine would ruin their land and eventually their livelihoods as farmers. The camera listens to their stories attentively, while at the same time revealing their daily routine and condition of life with the greatest care. The interviews are sometimes cut off by a phone ringing or a sudden rain. The scenes of farming and Lambu’s landscape, footage of the protests and the remains of buildings set on fire by protesters are all important clues for restructuring the incident. In the end, the film succeeds in addressing the way the local government gives away the rights of their supporters to pursue its own interests – one aspect of Indonesian nationalism that has gone astray since 1988. (PARK So-hyun)

Filmography The Raging Soil (2014) Behind The Flickering Light (The Archive) (2013) Rangkasbitung: A Piece of Tale (2011) Meeting Jen (2008) Be RTDM (2006) The Carriege (2006) Alam: Syuhada (2005)

117

Asian Per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8

폭풍의 아이들, 1권 Storm Children, Book One

Director | 라브 디아즈 Lav DIAZ

Staff

Philippines | 2014 | 143min | DCP | B&W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 Lav DIAZ PRODUCER | Sine Olivia pilipinas/DMZ Docs Contact Sine Olivia pilipinas sineoliviapilipinas@gmail.com

World Premiere

Asian Perspective

118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19

Director’s Statement

라브 디아즈 Lav DIAZ Director’s Biography 민다나오 출신의 필리핀 독립 영화제작자 이다. 지난 20년간 영화를 만들어왔으며 칸영화제, 베니스영화제, 토론토영화제 같은 세계적인 영화제에서 열광하는 감독 이다. 그의 작품으로는 <웨스트 사이드 키드>, <필리핀 가족의 진화>, <헤레미아 스>, <엔칸토에서의 죽음> 그리고 <멜랑콜 리아> 등이 있다. <노르테: 역사의 종말> 은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서 상영되었다.

Lav DIAZ is a Filipino independent filmmaker, born in Datu Paglas, Maguindanao, Mindanao, Philippines. He has been making films the last twenty years and has won several international awards; such as the Venice Film Festival,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is films include West Side Kid, Evolution of a Filipino Family, Heremias, Death in the Land of Encantos and Melancholia. Norte, the End of History was screened in Un certain Regard of Cannes 2013. Filmography Storm Children, Book 1 (2014) Norte, the End of History (2013) Florentina Hubaldo, CTE (2012) Century of Birthing (2011) Melancholia (2008)

119

이는 객관적 사실이며 진실이다: 필리핀은 지구상 가장 태풍의 피해가 많은 나라다. 매년 20개에서 28개의 태풍이 지나가며 이 태풍들은 아주 강력한 것들이다. 가장 최근의 태풍중 하나가 전형적인 예다. 2013년 11월 태풍 욜란다(하이옌)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파괴적인 태풍이었다. 지난해 욜란다가 초래한 피해 규모를 다시 정리해 보자면: 국가재난방지 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이 슈퍼태풍으로 인해 사망 6,293명, 실종 1,061명, 부상 28,689, 붕괴및 피해가옥 1,140,332채, 쓰러진 코코넛 나무13,000,000그루, 파괴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피해 손실액196억 페소, 텐트나 임시 대피소에서 지내는 이재민 200,000가족에 달한다. (2014년 8월 2일자,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 어러) 필리핀인에 대한 자연의 잔인함은 우리가 자연으로 부터 얻는 풍요로움의 축복을 생각해보면 상당 히 모순적이다. 자연은 많은것을 우리에게 제공해준다. 마젤란 여행기의 기록자인 피가페타는 말레 이(필리핀인은 말레이족이다)는 자연으로부터 엄청난 양의 식량을 제공받기 때문에 일하지 않고 수 천년을 살아갈 수 있다고 했다. 자연의 지나친 베품은 필리핀인들의 무기력함의 원인일 수도 있다. 필리핀인들을 강타하는 태풍의 비유적인 의미를 언급하자면 내면의 심리가 전면으로 나오게 된다. 스페인과 미국의 오랜 식민통치, 세계2차대전중의 일제강점, 독재자 페르디난도 마르코스의 잔혹 한 계엄령 시대는 말레이의 영혼에 사악한 가해자로서, 최악의 폭풍이자 인간이 만들어낸 폭풍이었 다. 사회구조와 문화내부의 제도화된 부패는 말레이 필리핀인들을 피흘리게 한다. 이것은 가장 고 질적이고 무자비한 폭풍이다. 이 작업의 추동력은 처음부터 필리핀인들만이 아닌 모든 인간의 영혼에 있어서의 폭풍에 대한 생각 에서 비롯되었다. 나는 이 영화의구조나 형식, 전체적인 아웃라인에 대한 계획없이 촬영을 시작했 다. 지난 9개월간 태풍의‘ 책임구역 ’(기상국)이 있는 장소나 섬에 머물렀다. 이야기를 만들 실마리 를 찾기위해 자료들을 기록하고 시간순으로 정리했다. 마침내 초기영상들의 무자비한 공습을 확인 하고 용감히 대면하고자 했고, 눈 앞의 수백의 이미지들은 말그대로 참혹하면서도 장엄하고, 우울 하면서도 희망적인 그리고 공포와 혼란에서부터 순수함을 아우르는 것들이었다.이내 파괴, 황폐함, 혼란과 아수라장의 이미지들 속에 미아가 된 아이들의 이미지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들이 었다. 최악의 피해자들. 이 다큐멘터리는 첫 시도다. 다시말해 첫권. 여전히 내 다큐멘터리 제작은 진행중 이다. 더 많은 책들이 제작될 것이다.

It’s a fact, and a truth: Filipinos are the most storm-ravaged inhabitants of this Earth. Count twenty to twenty eight typhoons every year; and these are very strong typhoons. One of the very recent ones alone is a classic case. November of 2013, Typhoon Yolanda (Haiyan). It is the strongest storm, the most destructive yet, in man’s history. Let’s recap again the magnitude of destruction wrought by “Yolanda” last year: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Council, the supertyphoon left 6,293 dead, 1,061 missing and 28,689 injured, 1,140,332 houses destroyed or partially damaged, 13 million coconut trees felled, P19.6 billion worth of infrastructure damaged, and some 200,000 families forced to live in tents or temporary bunkhouses. (Philippine Daily Inquirer, August 2, 2014) Nature’s cruelty to the Filipino is quite contradictory as we also have an abundance of blessings from it. Nature is a great provider to us. Magellan’s chronicler, Pigafetta, wrote in his diary that the Malay (Filipinos are of the Malay race) could live thousands of years without working because there is too much provision from nature. Nature’s pampering could be the reason for the Filipino’s indolence. And if I may dwell on the figurative side of storms battering the Filipino, the psyche comes into the fore. The worst storms, man-made storms, become evil batterers of the Malay soul--think of the long years of Spanish and American colonization, the Japanese Occupation of World War II and the brutal Martial Law years of the dictator Ferdinand Marcos. Institutionalized corruption in our system and culture bleeds the Malay Filipino. This is the most relentless storm. The impetus for this work, right at the start, is the idea of the storm in man’s soul in general, not just the Filipino psyche. I just started shooting, unmindful of a structure or form or an outline. The last nine months, I visited and stayed in places/islands where the ‘areas of responsibility’ (weather bureau jargon) of typhoons took place. I was just documenting/chronicling things, finding a thread, searching for the/a story. When I finally sat down to check, brave and confront the onslaught of the initial footages, literally hundreds and hundreds of images that run the gamut from the harrowing to the majestic, from the deeply depressing to the hopeful ones, from the terror and turmoil to innocence, I realized that beyond the fixture of destruction, devastation, disarray and displacement, there is also the fixture of the image of the lost child. Yes, it’s them, the children, they are the greatest victims. This is the initial foray, the First Book, so to speak, for yet another continuum in my filmmaking process. There will be more books. Asian Per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0

달콤한 전쟁 War Is a Tender Thing

Director | 아자니 아룸팍 Adjani ARUMPAC

Staff

Philippines | 2013 | 71min | HD | Color

DIRECTOR/EDITOR | Adjani ARUMPAC PRODUCER | Goethe Institute, Film Development Cooperative of the Philippines, Juilius Matibag CINEMATOGRAPHER | Adjani ARUMPAC, Victor TAGARO MUSIC | Deodato ARELLANO SOUND | Jedd DUMAGUINA Contact Adjani ARUMPAC a_arumpac@yahoo.com

Korean Premiere

Asian Perspective

120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1

Program Note 땅은 기억하고 사람은 기록한다. <달콤한 전쟁>은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에서 오래도 록 이어진 전쟁의 기억을 들려준다. 1930년대 미군 통치 당시 정부의 일방적인 토지 재 정착 프로젝트에 의해 이곳에 터전을 잡고 살던 무슬림들과 새롭게 이주해온 기독교인 들 간의 치열한 다툼이 발생했다. 이는 수 백년에 걸친 모로인들의 분리독립운동과도 맥 을 같이 하고 있다. 감독은 굵직한 역사적 사건을 따라가는 대신 이곳에 살고 있는 가족들 의 기억과 인터뷰에서부터 이야기를 출발시킨다. <달콤한 전쟁>은 민다나오의 기억을 훑 는 거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이슬람과 기독교가 뒤섞인 가족의 입장에서 서술된 지극히 사적인 기록이다. 영화는 기독교인과 무슬림의 입장을 어느 한 쪽 치우침 없이 균형감 있 아자니 아룸팍

게 담아내고 있다. 국가가 만들어놓은 오랜 혼란 속에서 분노도 불안도 미움도 무심하게

Adjani ARUMPAC

감싸 안는 듯한 민다나오의 풍경이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아름다운 풍광과 슬픔에 젖은 듯하면서도 무심한 사람들의 표정 대비가 인상적이다. (송경원)

Director’s Biography 필리핀 민다니오 출신의 작가이자 영화감 독. 그녀는 현재 메트로 마닐라 퀘손 시티 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필리핀 대학교에 서 시청각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다. 그 녀의 작품으로는 민다니오의 무슬림 여인 에 대한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Walai (2006), 사랑받는 80대의 가난한 도시의 지도자 카르멘 데우니다의 삶을 다룬 다 큐멘터리 Nanay Mameng (2012), 그리고 War Is a Tender Thing (2013)이 있다.

A writer/filmmaker from Mindanao, Philippines. She is now based in Quezon City, Metro Manila. She graduated with a BA in Film and Audio Visual Communications in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Her directorial works include: Walai (2006); a full-length documentary film about Muslim women in Mindanao, Philippines; Nanay Mameng (2012) a documentary film on the life of a beloved octogenarian urban poor leader in the Philippines, Carmen DEUNIDA; and War Is a Tender Thing (2013).

People record what the land remembers. War Is a Tender Thing is a story of the decades-old war in Mindanao, in Southern Philippines. The bitter conflict between Christian settlers and Muslim residents, first triggered by a government-sponsored land resettlement project in the 1930s, is in the same vein as the struggles of th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lasting for hundreds of years. Instead of exploring some key events in history, the director begins the story with interviews with families living in the area and tracing their memories. War Is a Tender Thing is both an epic that covers the memories of Mindanao and a highly private record told from the perspectives of families consisting of both Muslims and Christians. The film achieves a careful bala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out a bias. What we find especially striking is the landscape of Mindanao that embraces nonchalantly all sentiments of, anger, anxiety and hatred in the long-lasting, state-induced chaos. The beautiful scenery is presented in an interesting juxtaposition with the sorrowful yet indifferent facial expressions on the people’s faces. (SONG Kyoung-won)

Filmography War Is a Tender Thing (2013) Nanay Mameng (2012) Walai (2006)

121

Asian Per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2

순종자들 The Flaneurs#3

Director | 아료 다누시리 Aryo DANUSIRI

Staff

USA, Indonesia | 2013 | 5min | HD | Color

DIRECTOR | Aryo DANUSIRI Contact Aryo DANUSIRI danusiri@gmail.com

Korean Premiere

Asian Perspective

122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3

Synopsis 서로 밀치는 흥분한 관중. 이들은 인도네시아의 새로운 이슬람운동‘마울리드’ 의 일원이 다. 현재 예멘이 위치한 지역에서 이주해 온 아랍인 하드라미의 후손이 이끌고 있는 인도 네시아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슬람 운동이다. 영화는 다중감각 프로젝트인 <수피교 도 바이커와 아랍 성인>의 일부이다.

아료 다누시리

Jostling. A frightening mass, members of the new Islamic movement Maulid in Indonesia, that targets young people and is led by descendants of the Arab-Hadrami, older emigrants from what is now Yemen. The film is part of Sufi Bikers and Arab Saints, a multi-sensory project.

Aryo DANUSIRI Director’s Biography 자카르타에서 태어난 비디오 아티스트이 자 인류학자. 그의 작품들은 1998년 인도 네시아의 독재 후 변화된 정치적 사회적 지형에 대한 새로운 키워드들과 폭력성 기억의 순환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그 작 품들은 로테르담, 앰너스티 인터네셔널, 마가렛 미드 영화제, 야마가타 영화제의 “뉴 아시아 커런츠”를 비롯한 다양한 영 화제에서 상영되었다. 현재 감독은 하버 드대학에서 미디어 인류학 박사과정 중 이며 미디어 심화 실습과정을 함께 밟고 있다.

A video artist and anthropologist born in Jakarta. His works have been exploring the circulations of new keywords, violence and memory in reconfiguring political and social landscape of post-authoritarian Indonesian 1998. Those works have premiered at various festivals, including Rotterdam, Amnesty Amsterdam, Mead Festival and Yamagata New Asia Current. At present, he is doing his Ph.D. in the Media Anthropology program, with a secondary field in Critical Media Practice at Harvard University. Filmography The Flaneurs #3 (2013) On Broadway (2009) Playing Between Elephants (2007) Lukas’ Moment (2005) Aceh Trilogy (2003)

123

Asian Per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4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5

한국다큐쇼케이스 Korean Docs Showcase 한국 다큐멘터리 작품들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다양한 주제와 미학을 다룬 작품들을 소개한다. 기성작가와 신인작가들의 작품들 이 보여주는 접근방식과 스타일은 차이와 반복을 통해서 영화적 발 견과 즐거움을 경험케 할 것이다. DMZ국제다큐영화제의 제작지원 작인 <유예기간>, <니가 필요해>, <어느 사진가의 기억>을 포함하 여 국내외에서 주목 받은 작품들이 초청되었다. 무엇보다도 관심을 끄는 작품들은 자신과 가족, 그리고 사회의 관계성을 매우 직설적이 고 솔직하게, 또는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젊은 신진작가들의 작업으 로 분명히 자신들만의 비주얼 스타일로 계승한 유머의 정치학, 혹은 감정의 사회학을 공정하게 모방하지 않았을까 한다.

Korean Docs Showcase introduces documentaries of various themes and aesthetics that show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Korean documentaries. The method of approach and style that documentaries produced by well-established directors and new directors utilize will allow the audience to discover and enjoy films through repetitiveness and differences of the presented films. Documentaries that have received spotlight in Korea and abroad, including films produced through the production support program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Grace Period, I Need You, and Memories of a Photographer were invited in this section. Works that receive a lot of attention are documentaries produced by young directors who directly, honestly, or at times humorously express social relationships. These films seem to fairly emulate political science of humor or social science of emotion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their own visual style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6

철의꿈 A Dream of Iron

Director | 박경근 Kelvin Kyung Kun Park

Staff

Korea | 2014 | 100min | HD | Color+B&W

DIRECTOR/EDITOR | Kelvin Kyung Kun Park PRODUCER | KIM Kyung-mi CINEMATOGRAPHER | Kelvin Kyung Kun Park, Stone KIM MUSIC | Paulo Vivacqua Contact Kyung Pictures, BOC Features LLC kyungmi007@gmail.com

Korean Docs Showcase

126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7

Program Note ‘철의꿈 ’ 은 어룡사라 불리던 모래밭이 현재의 포스코가 들어서는 자리가 되는 것을 예 언했던 조선시대 유명한 풍수학자인 이성지의 문장으로부터 시작한다. 한국근현대사의 장엄한 종말을 유추하게 하는 산업화의 상징적 이미지를 나열하기 전에 범종과 자바라 를 치는 불교의 제식이 이어진다. 신을 찾아 떠난 헤어진 여인에게 보내는 편지이자 자신 의 신을 찾아 나선 내적고백의 형태를 취한 내러티브는 사적 모티브를 피상적 이미지로 만 남아있는 역사성과 연관짓고자 한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가 교차하던 시기에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풍경이 포스코(제철소)와 현대울산중공업 (조선소)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 사이에 자리한다. 옛 포항제철 창립의 주역이었던 고박태 박경근

준 회장의 영결식, 1972년 현대울산조선소 기공식, 최초의 고공투쟁으로 기록된1990년

Kelvin Kyung Kun Park

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의 골리앗투쟁 기록화면등이 필경은 관찰자적 시점이라고만 부를 수 있을 제철소와 조선소라는 전체공간의 부분 이미지들을 무형의 역사성과 연결하는

Director’s Biography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시도는 절대적으로 거대하고 무심한 전체 풍경의 일부를 포착하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박경근은 현재 서울 에서 활동 중이며 영화, 비디오, 사진, 설 치 미술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작업을 하고 있다. 첫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청 계천 메들리)(2010)는 베를린영화제, 부산 영화제 등 주요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 며, 비디오 인스톨레이션 작품은 일민미 술관, 대구시립미술관, 아르코미술관, 2012 타이베이 비엔날레에 전시되었다.

고 그렇게 나누어진 부분들이 재배열 되어 전체를 유추하게 하는‘환원’ 의 미학을 실현

Kelvin Kyung Kun Park is a multimedia artist based in Seoul, Korea, working primarily in the medium of film & video, photography, and installations. He has screened his highly acclaimed first fulllength documentary, Cheonggyecheon Medley, 2010, at various international venues, including the Berlin Film Festival,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mong others. Park’s video installation works have been shown at the Ilmin Museum of Art in Seoul and Daegu Art Museum, Arko Art Gallery, Opsis Art Gallery of Seoul, and the 2012 Taipei Biennale.

하게 한다. (김은희)

‘A Dream of Iron’ starts from a prophecy of LEE Sung-ji who was a famous feng-shui expert of Joseon era and predicted that the sands called EORYONGSA will be the location of current POSCO. Buddhistic ceremony of the temple bell and small cymbal plays before symbolic images of industrialization that analogize the fall of magnificent modern history of Korea. Narrative is in form of letter to lover who broke up for pursuit of God and it is a self-confession at the same time. It tries to connect private motif with history that was left as only superficial images. A Scenic view of the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which is presumably created in crossing time of the Bronze and the Neolithic Era is spread out in between past and present images of POSCO (Steel mill) and Hyundai Heavy Industries (Shipyard). Historic footages of funeral of PARK Tae-jun (leading founder of POSCO), groundbreaking ceremony of Hyundai Ulsan Dockyard in 1972 and labor dispute on top of the goliath crane in 1990 which was the first high altitude struggle in history seems to connect partial images of steel mill and dockyard in objective view with intangible histories. This attempt materializes the art of reconstitution that captures parts of absolute and gigantic view and analogize whole out of rearranged parts. (KIM Eun-hee)

Filmography <철의꿈> A Dream of Iron (2014) <청계천 메들리>

Cheonggyecheon Medley (2010) <평화로운 신도시의 초대>

Invitation to a Peaceful City (2005)

127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8

퍼스트 댄스 First Dance

Director | 정소희 JEONG So-hee

Staff

Korea | 2014 | 95min | HD | Color+B&W

DIRECTOR/PRODUCER | JEONG So-hee CINEMATOGRAPHER | JEONG So-hee, KIM Ye-ji MUSIC | JEONG Jae-yeong SOUND | sWAN CAST | Sunmin, Lauren Contact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Korean Docs Showcase

128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29

Program Note 레즈비언 커플 선민과 로렌의 결혼 비디오인 <퍼스트 댄스>는 촬영지가 미국인지라 아 주 짧은 촬영에 의존해 완성된 다큐멘터리이다. 영화는 결혼 이틀 전부터 시작하여 결혼 식의 전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준비과정에서 출발하여 주인공들의 이야기, 가족과 친구 들의 축복이 담겨 있는 점 등 언뜻 보면 여느 결혼비디오와 크게 다르지 않은 구성이다. 하지만 짧은 기록 속엔 시종일관 집약적인 메시지가 담겨져 있다. 말할 것도 없이 동성의 결혼이라는 화두이다. 선민과 로렌의 결혼식을 지켜보며, 그녀들이 겪는 특별한 통과의 례에 동참하자는 것이 하나의 취지로 여겨진다. 영화는 매력적인 커플의 인터뷰로 시작 된다. 첫 인터뷰의 공간인 보스턴 시민공원은 시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레즈비 정소희

언 백조커플이 둥지를 틀고 있는 곳이다. 결혼식을 앞둔 선민과 로렌 커플은 평범한 스텝

JEONG So-hee

을 밟고 있다. 웨딩드레스를 선보이고, 피부를 손질하고, 결혼식을 위한 깜짝 퍼포먼스를 준비한다. 그녀들은 솔직하고 용기 있게 인터뷰에 응하며 만남과 연애의 과정을 고백한

Director’s Biography

다. 또한 그녀들이 왜 결혼을 하려고 하는지,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지, 앞으로 어떤 삶을

현재 아시아미디어컬쳐팩토리라는 단체

살아갈 것이지 차근차근 밝힌다. 시종일관 유쾌하고 당당하지만, 숱하게 걸어 왔던 가시

에서 상근활동가로 이주민과 문화와 예술

밭길의 흔적을 애써 지우려 하지도 않았다. 미국 동부의 프로빈스 휴양지 해변에서 열린

로 소통하는 활동을 하고 있으며, 미디어

결혼식은 유대식으로 치러진다. 선민의 부모님은 결국 참석하지 않았다. 이미 오래전에

교육 활동가이기도 하다.

커밍아웃한 딸을 인정하고 받아들인 로렌의 어머니의 각별한 격려와 동료들의 다정한

She’s an activist working on media education and also a member of Asia Media Culture Factory which is a nonprofit cultural organization, consisting of migrant members as well as native Korean members.

도움으로 결혼식은 무사히 끝날 수 있었다. 다름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결혼식을 통해,

Filmography <퍼스트 댄스> First Dance (2014)

129

선민과 로렌뿐만 아니라 가족과 친구 모두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그들의‘퍼스트 댄스’ 는 더 많은 이들이 신나게 춤출 수 있는 하나의 몸짓이었다. (김동현)

First Dance, a documentary shot in the USA over a very short period of time, is the wedding video of Sunmin and Lauren, a Lesbian couple. The film begins two days before the wedding and goes on to chronicle the whole process. On the surface, this wedding video is not vastly different from any other couple’s. Firstly, we obesrve how they make preparations for the wedding and then listen to their stories, and witness the blessings they receive from their friends and family. However, throughout this brief recording, there is a fundamental message about the issue of homosexual marriages. Watching the couple’s wedding, we are invited to join in Sunmin and Laurren’s special rite of passage. The film starts with the charming couple’s interview, taken in Boston’s Public Garden, which is home to the much loved lesbian swan couple. As a couple approaching their wedding, Sunmin and Lauren are taking the usual steps of picking their wedding dresses, receiving skin care and practicing surprise performances. With refreshing honesty and courage, they reveal in their interview the history of how they first met and began dating. In a calm and orderly way, they explain the reason why they want to get married, the meaning of life and what they hope to achieve in the future. Although their voices remain cheerful and confident throughout, they do not try to hide the trials and tribulations that they’ve had to endure. They hold a Jewish wedding on a beach in Provincetown, a vacation town in the east coast of the USA. Sunmin’s parents refuse to attend the wedding in the end. Yet, with love and support of their friends and special encouragement from Lauren’s mother, who long ago accepted and embraced her daughter’s homosexuality, the wedding runs smoothly. The event that recognizes and accepts differences proves to be a new experience for the wedding guests, not to mention for Sunmin and Lauren. Their ‘first dance’ is a signal for many others to start dancing happily. (KIM Dong-hyun)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0

반짝이는 박수 소리 Glittering Hands

Director | 이길보라 LEE KIL Bo-ra

Staff

Korea | 2014 | 80min | HD | Color

DIRECTOR/PRODUCER/EDITOR | LEE KIL Bo-ra CINEMATOGRAPHER | LEE KIL Bora, SEONG Joon-yong, JEON Gi-hyun MUSIC | LIH Min-jae SOUND | PYO Yong-soo Contact LEE KIL Bo-ra nomadbora@gmail.com

Korean Docs Showcase

130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1

Program Note <반짝이는 박수소리>는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감독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첫째 딸 인 감독 보라는 자신과 엄마, 아빠를 설명하기 위해 다큐멘터리 감독이 되었고, 이 영화 를 찍고 있다. 청각 장애를 가졌다는 것을 빼면 여느 부모와 다를 바 없는 이들도 젊고 아 름다운 시절 만나 사랑에 빠지고, 결혼을 하고, 아이들을 낳아 어엿한 가정을 꾸린다. 그 리고 여느 부모들처럼 성심성의껏 두 아이들을 키워낸다. 잘 웃고 낙천적인 엄마와 아빠 의 일상은 사람들이 흔히 짐작할‘장애’ 에 대한 편견과는 거리가 멀다.‘ 그 자체로 견고 하고 완고한 침묵의 세계’ 에서 이들은 성실하게 아이들을 키워냈고, 긍정적으로 삶을 꾸 려간다. 영화는 청각장애를 가진 부모의 삶에 주목하는 한편, 부모에게서 배운 침묵의 세 이길보라

계와 사회로부터 배운 언어의 세계에서 그 둘을 이어주는 역할을 해야 했던 나와 동생의

LEE KIL Bo-ra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다. 엄마, 아빠를 대신해 은행에 전화를 걸고, 멀리서 일하는 엄마, 아빠를 대신해 어린 동생을 돌봐야했던 감독은 그래서 또래 아이들보다 더 빨리 어른이

Director’s Biography

되었다.‘ 들리지 않는 세상’ 을 설명하기 위해 시작된 이 영화는 엄마, 아빠를 대신해 조

청각장애 부모로부터 태어난 것이 이야기

금 더 빨리 어른이 되어야 했던, 그리고 그런 부모의 세계로부터 떨어져나와 음성 언어의

꾼의 선천적 자질이라고 믿고, 글을 쓰고

세계에 더 빨리 뛰어들었던 나와 동생의 지난 시간을 담는다. 그 시간들을 돌아보고 정리

다큐멘터리 영화를 찍는다. 18살에 다니

하는 것이 부모의 장애 때문에 세상으로부터 받아야했던 상처나 아픔을 극복하는 것이

던 고등학교를 그만두고 동남아시아를 홀

기도 하고, 엄마와 아빠의 침묵의 세계를 온전히 이해하고 인정하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

로 여행하며 경험한 이야기로 책『 길은 학교다』(2009)와『로드스쿨러』(2009)를 펴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일 것이다. 카메라를 들고 어린 시절 살았던 집에 찾아가 그곳의 추억과 기억들을 카메라 에 담을 때 영화는 그 과거를 지나온 내 자신과 가족을 토닥이고 있는 것 같다. (박혜미)

다큐멘터리를 배우고 찍고 있다.

She writes scripts and makes documentary movies as she believes that being born of deaf parents is the best gift for being a storyteller. She dropped out of school at the age of 18, and took a journey to South East Asia on her own and wrote the story Road is school (2009) and Road-Schooler (2009). She entered the School of Film, TV and Multimedia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n 2009, learning and making documentaries. Filmography <반짝이는 박수 소리>

Glittering Hands (2014) <로드스쿨러> Road-schooler (2008)

131

Glittering Hands is the story of director LEE KIL Bo-ra whose parents have hearing impairments. As their eldest daughter, Bo-ra decided to become a documentary film director in order to explain her parents as well as herself. Bo-ra’s father and mother are no different from any other parents besides their deafness. They met each other when they were young and beautiful, fell in love, got married, had children and raised a family. Just like other parents, they have brought up their children in the best way they could. Cheerful and optimistic, their everyday life is far from preconceptions that people usually associate with the term ‘disabled’. In ‘the steady and unyielding world of silence’, they focus on the positive side of life and raise their children through hard work. The film pays attention to the life of the two deaf parents. At the same time, we are presented with the story of Bo-ra and her younger brother who have become a bridge between two different worlds, namely the world of silence that they learned from their parents and the world of languages that they learned in the society. The director, who used to ring up the bank on her parents’ behalf and looked after her brother while her parents worked far from home, became a grown-up faster than other kids of her age. The film traces the past of the two siblings who were separated from the world of their parents and entered the world of spoken words at a young age. By looking back on past times, the film offers her a chance to overcome the pain and sorrow she experienced in the world because of her parents’ disability, while at the same time full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ir world of silence. When the director visits her childhood home and records all the fond memories held there with her camera, the film seems to comfort her and her family. (PARK Hye-mi)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2

유예기간 Grace Period

Director | 김경묵, 기진 KIM Kyung-mook, Caroline Key

Staff

Korea | 2014 | 68min | HD | Color

DIRECTOR/PRODUCER/EDITOR | KIM Kyung-mook, Caroline Key CINEMATOGRAPHER | Caroline Key MUSIC | Jeff SNYDER SOUND | GO Eun-ha Contact Nowhere Film Production, Problem Pictures endofmay@gmail.com

World Premiere

Korean Docs Showcase

132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3

Director’s Statement 2004년 성매매특별법이 시행된 이후 전국의 성매매 집결지들은 하나 둘씩 사라져 갔다. 영등포역 근처에는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과 타임스퀘어가 들어섰고, 고층 건물들과 영등포 성매매 집결지 사이는 경계없이 아슬하게 공존하고 있는 중이다. 이처럼 이곳 일 대가 시내 중심가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국가적 도시환경정화 사업이라는 명목 하에 집창촌 폐쇄를 둘러싼 갈등은 커져만 갔다. 2011년 4월부터 경찰이 대대적인 단속에 들 어가자 이곳 일대는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각 업소의 유리문에는 단속에 항의하는 대형 플래카드가 걸려 있고, 성매매 여성들은‘생존권 보장 ’ 을 외치며 거리로 나왔다. 이들은 스스로를 피해자가 아닌‘성노동자’ 로 인정해줄 것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착취 당하는 김경묵 KIM Kyung-mook Director’s Biography 2004년 <나와 인형놀이>로 데뷔한 이후 <얼굴없는 것들>,<청계천의 개>,<줄탁동

피해자’ ‘ , 순진무구한 희생자’등에서 보여지듯, 지금까지 성매매에 대한 이해는 관찰 주 체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진 경향이 강하다. 없어져야 할 존재이자 공간이라는 것, 그것이 관찰 주체의 시선이었고 그러한 의지 하에 논의되어 왔던 것이다. 본 영화는 관찰자가 아 닌, 자발적인 성매매를 하는 여성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삶과 노동을 드러내고

시>,<이것이 우리의 끝이다> 등의 독립영

자 주력했다. 빈곤한 여성들의 생존 공간이 되어온‘집창촌’ 이라는 공간에 대한 논의가

화를 연출 및 제작했다. 이 작품들은 베니

이제라도 성노동을 하는 여성들의 삶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스영화제를 비롯한 유수의 영화에서 상영 되었고, 한국, 대만, 프랑스, 스위스 등에 서 그의 전작전이 개최되었다. 서울뉴미 디어페스티발에서 최우수 작품상, 릴아시 안영화제에서 최우수 장편영화상, 무주산 골영화제에서 감독상 등을 수상했다.

In 2004, he made his first directorial debut with the film, Me and Doll Playing, followed by several documentaries and experimental video works. He completed his feature length film, Faceless things (2005) in 2005, A Cheonggyecheon Dog (2007). His third feature film, Stateless Things, was invited to Venice Film Festival. And Futureless Things released in theaters on June, 2014. His films have shown in various prestig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won several prizes and accolades. To date, a retrospective of his films has been screened in South Korea, Taiwan, France, Swizerlands. Filmography <유예기간> Grace Period (2014)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

Ever since the Special Law of Prostitution went into effect in 2004, well known red light districts around the country began to disappear one by one. Lotte Department Store, Shinsege Department Store and Time Square were built near Yeongdeungpo Station, leaving a dangerously thin line between high-rises and the red light section of Yeongdeungpo. As these neighborhoods developed into an urban center, conflict over the closing of the red light district for the sake of cleansing the urban landscape at the government level increased. When the police began executing large scale raids from April of 2011, the regions became battlefields. Large signs were placed in the windows of various establishments and the prostitutes who worked there came out into the streets, shouting that their survival be protected. They began demanding to be acknowledged as ‘sex workers’ and not victims. The terms ‘victims of exploitation’ and ‘innocent victims’ show just how subjectiv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se women have been. This film attempts to focus on the lives and labor of the women themselves who voluntarily provided sex for payment. It is high time that discussion of the ‘red light district’ which has been a place of survival for impoverished women be held with the lives of the women who actually provide sex labor as the main focus.

기진 Caroline Key Director’s Biography

Filmography

한국계 미국인 감독이자 아티스트. 캘리포니

Grace Period (2014) [sic] screed (2014) Nation-building in Chuja (2011) Speech Memory (2007) Target Practice (2003)

Futureless Things (2014) <줄탁동시> Stateless Things (2011) <섹스리스> SEX/LESS (2009)

취득하고 시카코 예술대학에서 BFA 예술전문

<청계천의 개>

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휘트니 인디펜던트

A Cheonggyecheon Dog (2008)

스터디 프로그램을 과정을 밟았다.

<얼굴없는 것들>

Faceless Things (2005) <내 안의 평안> Peace In Me (2005) <나와 인형놀이>

Me and Doll-Playing (2004)

133

아 예술대학에서 MFA예술전문석사 학위를

Caroline Key is a Korean-American filmmaker and artist. She received a MFA from CalArts, a BFA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and attended the Whitney Independent Study Program. (195 characters including spaces)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4

악사들 Highway Stars

Director | 김지곤 KIM Ji-gon

Staff

Korea | 2014 | 86min | DCP | Color

DIRECTOR | KIM Ji-gon PRODUCER | KIM Min-kyung CINEMATOGRAPHER | KIM Ji-gon, KIM Byeong-kuk, JUNG Sung-wook, OH Min-wook EDITOR | KIM Ji-gon, SON Ho-mok SOUND | KIM Dong-hwan Contact BANDAL Doc. / ‘ Takju’ corp. diegorivera@hanmail.net

Korean Docs Showcase

134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5

Program Note ‘우담바라’ 는 2011년 리더인 혜광스님이 70~80년대 나이트 클럽에서 함께 활동을 했 던 멤버들을 모아 3인조 불교 재즈 밴드를 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4인조 밴드를 거쳐 지금은 5인조 7080 전문 음악 밴드로 활동 중이다. 김지곤 감독의 두 번째 장편 다 큐멘터리 <악사들>들의 주인공은 바로 이‘우담바라’밴드의 멤버들이다. 젊은 시절 음 악이 좋아 밴드를 시작했고 한때 유흥업소에서 잘 나가는 밴드의 멤버였지만 나이가 들 고 컴퓨터 반주에게 자리를 내주면서 그들의 설자리는 점점 줄어들었다.‘ 딴따라’ ‘ , 오부 리’ 라고 불려도 삶에서 음악을 놓지 않았던 그들은 어엿한‘우담바라’밴드의 멤버로 활 동하면서도 여전히 식당이나 유흥업소에서 라이브 공연을 하거나 손님들의 노래에‘4곡 김지곤

당 만원’ 에 반주를 해주면서 고단한 삶을 살고 있다. <악사들>은 그들의 울퉁불퉁한 삶

KIM Ji-gon

의 궤적을 담담이 담아낸다. 그렇게 영화는 음악을 좆아 어려운 삶을 살았던 무명 뮤지션 들의 초상을 그리는 한편 어렵게 밴드 활동을 계속해 나가는 그들의 모습 속에서 삶의 의

Director’s Biography

미를 찾아낸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그들의 과거와 기억을 따라가는 여정을 통해 잊혀질

1983년생. 신문방송학 전공. 부산의 사라

뻔 했던 부산 지역 유흥업소의 소역사를 현재로 소환한다. (조지훈)

져가는 극장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왔다. 부산 산복도로 에 관한 할매 연작[<할매>(2011), <할매시멘트정원>(2012), <월간-할매>(2013)] 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이후 시대에서 소 외된 공간과 사람들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계속 만들어 갈 예정이다.

Born in 1983, KIM majored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in college. He began to produce documentaries after making his debut with his first documentary about dwindling theaters in Busan. Currently he is working on the Grandma series - Grandma (2011), Grandma-Cement Garden (2012), and Monthly-Grandma (2013) - about the old ladies living along Sanbok Road in Busan. Kim plans on producing documentaries about alienated spaces and marginalized people in this modern era.

Buddhist jazz band Udambara was put together by monk Hyegwang, the leader. He recruited two of his former colleagues who performed in nightclubs in the 70s and 80s. The band later expanded to four and then five members, all actively specializing in the music of the 70s and 80s. Director KIM Ji-gon returns with his second feature documentary Highway Stars, featuring none other than these members of band Udambara. Their passion for music led them to become band musicians when they were young and for some time they enjoyed their success in nightclubs. However, as they got older and computers began providing instrumental accompaniment, they were less and less sought after. Despite being called derogatory names and looked down upon, they never once gave up on music. Now, although they are all proper members of band Udambara, they struggle to make ends meet by taking night gigs at restaurants and live clubs. Highway Stars calmly follows the turbulent history of band Udambara. The film illustrates the way obscure musicians run into many hardships in their pursuit of musical career. However, on the other hand we are led to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struggle to keep the band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 film brings into focus the nearly forgotten local history of Busan’s entertainment business through its journey of retracing their past and memories. (JO Ji-hoon)

Filmography <악사들> Highway Stars (2014) <월간 - 할매>

Monthly - Grandma (2013) <할매 - 시멘트정원>

Grandma-Cement garden (2012) <할매> Grandma (2011) <71번 종점> The last stop (2010) <오후 3시> At 3p.m. (2009) <길 위에서 묻다> Life on the line (2009) <낯선 꿈들> Unfamiliar Dreams (2008)

135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6

서둘러 천천히 Hurry Up, Slowly!

Director | 현영애 HYUN Young-ae

Staff

Korea | 2014 | 101min | HD | Color

DIRECTOR/PRODUCER | HYUN Young-ae CINEMATOGRAPHER | CHO Young-gik EDITOR | LEE Hak-min MUSIC | Anakin Project SOUND | LEE Sung-ju Contact HYUN Young-ae dana13@hanmail.net

Korean Docs Showcase

136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7

Program Note 거대한 도시의 풍경 속에 하나의 작은 공연이 준비된다. 삼인조 밴드‘아나킨 프로젝트’ 의 공연. 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하기 위해 각자 직업을 가지고, 도시적 삶과는 다른 삶을 꿈꾸며 밴드 활동을 한다. 그들의 모습은 다소 엉뚱하게 보이기도 하고, 음악 자체도 허술하게 들린다. 그냥 웅엉거리는 외침처럼 들리고, 음악을 못하는 것처럼 느껴 진다. 한마디로 밴드에 대한 선입견을 여지없이 무너뜨린다. 그렇지만 영화를 통해 그들 의 태도와 음악을 듣다보면 묘하게 매료되는 지점이 생기고 그들이 궁금해진다. 평범해 보이는 그들은 평범하지 않은 음악을 하고. 곧 있을‘ 크리스티아니아 ’페스티벌 에서의 공연을 준비한다.‘크리스티아니아 ’ 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히피들의 공동체 현영애 HYUN Young-ae Director’s Biography 한국 다큐멘터리 감독이자 제작자. 2011 년 한국의 히피문화에 대한 장편 다큐멘

이다. 40여년전 군부대 시절을 점거해 힘겹게 공동체를 이뤄온 것이다.‘아나킨 프로젝 트’ 의 일원들 역시 자본주의적인 경쟁이 넘치는 도시적 삶보다는 생태지향적인 공동체 를 이루는데 참여하고 실천하는 삶을 살고 있다. 왠지 무정부주의자 같은‘아나킨 프로젝 트’ 와‘ 크리스티아니아’ 라는 공동체가 잘 어울릴 것 같은 느낌이다. 영화는‘아나킨 프로젝트’ 의 음악과‘ 크리스티아니아 ’사람들의 생활이 어떻게 조우하 는지를 세세히 보여준다. 카메라는 그들의 음악과 생활을 묵묵히 담아낸다. 공간과 음악

터리 데뷔작 <Now, 머리에 꽃을>은 제7

이 자연스럽게 만나고, 내용과 형식이 조화를 이룬다. 그렇게 영화를 통해 서서히‘ 아나

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경쟁부문, 광주

킨 프로젝트’ 의 음악을 느끼게 만들고,‘ 크리스티아나’ 의 삶을 그리고‘영암’ 과‘완주’ 에

인권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2014년

서 만들어지고 있는 생태마을에 관심을 갖게 만든다. 느리지만 게으르지 않은, 빠르지 않

장편 다큐멘터리<서둘러 천천히>를 연출

지만 주저하지 않는 삶의 태도가 영화 스타일과도 잘 어울린다. <서둘러 천천히>는 여행

했다.

같은 영화이다.‘ 아나킨 프로젝트’ 의 일원들과 그들의 음악이‘크리스티아니아’ 에서의

She is a producer and director of a documentary, Now a Flower on the Head (2011). In 2011, the film was screened in the 7th Jecheon International Music & Film Festival and the Gwangju Human Rights Film Festival. In 2014, she directed a documentary Hurry Up, Slowly. Filmography <서둘러 천천히>

Hurry Up, Slowly! (2014) <Now, 머리에 꽃을>

Now, a Flower on the Head (2011)

137

짧은 생활과 공연을 통해 조금 더 성숙해전 것처럼. 한가롭게‘ 아나킨 프로젝트’ 의 음악 을 듣고 생태와 공동체가 있는 풍경들을 감상하고 나면, 마음 한구석에 여행가기 이전에 는 없었던 작은 공간을 만들어지는 것 같다. (조영각)

In the middle of Seoul’s urban landscape, a small concert has been organized. The three members of a rock band named the Anakin Project have their own jobs during the day and enjoy performing music on the side, dreaming of a life away from the city. They may seem an eccentric group and their performance may even appear rather unskilled. The music they play sounds like a cluster of murmuring noises, making them seem like unworthy musicians at times. In short, they completely destroy what preconceptions we may have about bands. Nonetheless, observing their behavior and listening to their music throughout the film, there comes a moment when we feel oddly fascinated by the band. We become curious about them. The seemingly ordinary band members play music that is far from ordinary, and begin preparing for the summer music festival in Christiana, a famous hippie community in Copenhagen, Denmark. The community was set up some forty years ago when squatters in Copenhagen occupied an old military base. Likewise, the three members of the Anakin Project prefer to break free from the city’s cutthroat competitions and relish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communal lifestyle. It seems that the Anakin Project – which is perhaps geared towards anarchism – must find themselves at home in Christiana. The film depicts the way the music of the Anakin Project encounters the life of those in Christiana. The camera faithfully follows their music and their everyday life. As a result, space and music are brought together naturally, and the film achieves a harmony between its form and contents. Gradually, we come to appreciate the music of the Anakin Project, blended into the life in Christiana. The film reminds of the ecological villages being set up in Yeongam and Wanju. Their lifestyle, which is slow yet not idle, not so fast yet unhesitating, goes well with the film’s overall mood. The experience of watching Hurry Up, Slowly! is akin to that of travelling. Just as the members of the Anakin Project learn and grow further through performing and staying in Christiana, we feel that we too have created a little space within our hearts after listening to their music and travelling with them in the landscape of communal and ecological existence. (CHO Young-kag)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8

니가 필요해 I Need You

Director | 김수목 KIM Su-mok

Staff

Korea | 2014 | 80min | HD | Color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 KIM Su-mok PRODUCER | JOO Hyun-sook SOUND | PYO Yong-soo CAST | KIM Won-jin, SHIN Hyeon-chang, LEE Dae-woo, LEE Jun-sam, Jo Hye-yeon Contact KIM Su-mok water-tree@hanmail.net

World Premiere

Korean Docs Showcase

138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39

Program Note

김수목 KIM Su-mok Director’s Biography 영상 활동과 미디어교육을 병행하고 있 다. 한국지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이야 기를 다룬 두 편의 중편을 인천인권영화 제에서, 한 편의 단편을 인디다큐페스티 발에서 상영하였다. <니가 필요해>는 첫 장편 다큐멘터리 연출 작이다.

She is running the video activity in parallel with the media education. Two medium-length videos about temporary employees at GM Korea were screened at Incheon Human Rights Film Festival and one short film at Seoul Independent Documentary Film & Video Festival. I Need You is the first long documentary production work. Filmography <니가 필요해> I Need You (2014) <맞짱> Fight (2008) <미디어로 행동하라>

Media Action (2005)

139

다큐멘터리 제작 일을 하다 보니 자연스레 한국사회의 노동현실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 듣고 보 고 배울 수 있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불안한 고용형태와, 임금차별, 하도급 구조와 그 현실에 분노하고“불법파견 중단하고 정규직화 실현하라!” 는 구호를 외쳐왔다. 수목 감독의 <니가 필요 해>를 봤다. 그리고‘참, 나는 이들의 겉모습만 보고 있었구나’ ‘ , 당위에 파묻혀 메마른 구호만 외 치고 있었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오랜 시간 GM대우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을 기록한 이 영 화는 나로 하여금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연대해야 하는 구체적인 이유들을 던져주는 영화였다. 영화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조 설립과 그들의 복직투쟁에 대한 이야기가 그 축을 이룬다. 비 정규직이 무슨 말인지도 몰랐던 그들이, 팔뚝질은 물론, 투쟁가를 부르는 것이 어색하기만 했던 그들이 어떻게 스스로의 노동자성을 인식하고 권리 찾기의 최전선에 나서는지를 우리는 볼 수 있다.“ 적법”한 도급을 하고 있다는 어이없는 GM대우와, 같은 라인에서 똑같은 일을 하고 있는 그들에게 비정규직이라는 주홍글씨를 새기고 차별의 린치를 가하는 정규직 노동자들의 횡포와 폭력을 볼 수 있다. 수시로 해고 되었다가 투쟁을 통해 복직되고, 복직 후 왕따 등 비인간적인 대 우를 당하다 또 다시 해고 되고, 긴 시간 뚝심으로 그들의 투쟁과정에 밀착한 감독의 카메라를 통해 우리는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는 비정규직의 삶을 경험할 수 있다. 거추장한 개념의 인식이 아니라 바로 내 주위의 실체로 지각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래서인지 긴 시간 목숨을 담보로 고공농성을 하는 노동자들의 모습이, 투쟁의 주체이지만 비정규직이기에 투쟁의 주체로 인정받 지 못하는 노조원들의 답답한 현실이, 하도급 구조를 이용한 회사의 기만적인 복직안에 대해 치 열하게 논쟁하고 고민하는 모습이 남의 일이 아닌 내 주위의 아주 일상적인 일임을 알게 된다. 부 조리함으로 가득 찬 이 세상을 재인식하게 된다. 이들의 투쟁을 지지하면서도 섣부른 판단을 하지 않는 감독의 태도는 따뜻하면서도 객관적인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고, 관객인 난 그들 삶의 공기와 기운을 내 것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나와 먼 곳에 살고 있지 않는 그들과 함께 해야겠다는 연대의 결의를 하게 된다.“ 불법파견 중단하고 정규직화 실현하라!” . 함께 해야 할 때이다. 뭐라도 해야겠다. 나와 우리를 위해서다. 그 이유를 증명해 주는 영화,<니가 필요해>, 꼭 봐야할 영화이다. 강력 추천한다. (문정현)

As a producer of documentary films, I have naturally come in contact – both direct and indirect – with the realities of Korea’s labor market. Outraged by the unfair treatment of temporary employees – unstable work conditions, discrimination of wages, and subcontracting system – I have shouted the slogan “Stop illegal dispatching. Provide permanent employment!” I Need You directed by KIM Su-mok has made me realize that I have so far only considered their issues on a superficial level, and that my cries borne out of a sense of righteousness are empty. By recording the long-term struggle of temporary employees of GM Daewoo, the film gives me some specific reasons why we should stand on their side. The film focuses mainly on the establishment of temporary workers’ union and their fight for reinstatement. We witness how these previously submissive workers become conscious of their status as laborers and stand on the forefront of the battle to claim their rights. What is also apparent is the tyranny and violence of permanent workers who, even though they all do the same work on the same line, brand their co-workers with the word “temporary” in scarlet letters and discriminate against them. Furthermore, GM Daewoo puts forward an absurd argument that their contracts are “legal”. Through the camera that closely follows the longterm struggle of the temporary workers, we experience their anguished life. They are frequently dismissed and then reinstated only after putting up a fight. Even when they are finally allowed to get back to work, they are ostracized and treated inhumanly. Instead of high-flown ideas, the film conveys what could be found near us in everyday life. Because of this, we realize that the issues discussed in the film are related to daily events around us. What the film shows are not just some faraway problems. The union members for a long time risk their lives to continue their high altitude demonstrations. Although they are the principal agents of the struggle, they are not recognized as such because they are temporary employees. We learn a lot from the way they agonize over the company’s deceptive reinstatement regulations based on the subcontracting system. The film helps us reach a new understanding of social irregularities. The warm yet subjective gaze of the camera reflects the way the director gives them his support and yet refrains from making rash judgments. As a viewer, I could feel the air and the energy of their life as if they are my own. Furthermore, I have come to make a promise of solidarity for these workers living not far from me. “Stop illegal dispatching. Provide permanent employment!” It is time we took some action together for all our sake, and I Need You proves the reason why. It is a must-see film. I highly recommend it. (MUN Jeong-hyun)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0

전봇대, 당신 KT-MAN

Director | 이진우 LEE Jin-woo

Staff

Korea | 2014 | 58min | HD | Color

DIRECTOR/CINEMATOGRAPHER/EDITOR | LEE Jin-woo MUSIC | UM Bin, KIM Yoon-hyung Production Docustory docustory1@daum.net World Sales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Korean Docs Showcase

140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1

Program Note 70년대 초 체신부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한 감독의 아버지는 80년대 초 한국전기통신 공사로, 2000년대 초 주식회사 KT로 민영화된 한국통신에서 38년이란 시간을 일한 노 동자이다. 최고의 엘리트 집단이었던 연수원의 사내교수로 일하던 그는 민영화된 KT에 서는 인력감축, 구조조정의 압박을 견디며 시골 구석구석에 인터넷을 설치하고 전봇대 에 올라야 하는 기술직이 되었다. 영화는 아버지의 삶을 따라 KT의 민영화 역사를 따라 가며‘최고의 국민기업’을 자처하는 KT가 어떻게 노동자들을 내몰고 탄압했는지를 보 여준다. 하지만 그보다 <전봇대, 당신>은 묵묵히 38년의 세월을 보낸 아버지의 삶을 돌 아보는 영화에 좀더 가깝다. 80년대 민주화운동이 한창이던 데모 현장을 창밖으로 구경 이진우

했던, 회사에 대한 불만을 밖으로 표현하지 않았던, 노조와 무관하게 그저 성실히 자신에

LEE Jin-woo

게 주어진 업무를 수행했던 아버지의 삶을 아들은 이해하려고 한다. 속깊은 아들은 아버 지에게 카메라를 들이대 직접적으로 묻는 대신, 그와 함께 아버지의 황금기였을 연수원

Director’s Biography

을 찾아가 그가 추억에 잠겨 꺼내어놓는 과거의 이야기를 듣고, 그의 모습을 사진에 담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예

다. <전봇대, 당신>에서 중요한 건 전봇대와 당신 사이에 놓인 쉼표가 아닐까,라는 생각

술사를 마치고, 현재 다큐멘터리제작집단

이 들었다. 한 사람의 인간이자 노동자로서의 그와 나와 동생의 밥벌이를 책임져야 하는

‘ 다큐이야기’에서 활동 중이다. 김환태

아버지로서의 당신. 그 사이에 놓인 쉼표가 부당한 회사의 처우에 저항하기보다는, 한 사

감독의 <잔인한 내림-유전>과 안건형 감

람의 가장으로서 가족을 위해 정년을 지키겠다던 그 약속을 지킨 아버지의 삶, 하지만 결

독의 <이로 인해 그대는 죽지 않을 것이 다>의 조연출을 맡았으며, <전봇대, 당신> 은 감독의 첫 연출작이다.

He graduated from the Dept. of Broadcasting in the School of Film, TV & Multimedia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now he’s working as a director at Docustory, a documentary film production company. He was an associate director of Cruel Inheritance – Heredity directed by KIM Hwan-tae and With This Thou Wilt Not Perish directed by AHN Kearn-hyung. KTMAN is his first feature documentary. Filmography 전봇대, 당신 KT-MAN (2014)

141

코 녹록치 않았을, 고단함으로 가득 찼을 그 삶을 보듬으려는 마음으로 느껴지기 때문이 다. (박혜미)

The director’s father worked for 38 years. He started his career as a civil servant in the communications department in the 70s, and continued working for the Korea Telecom Authority in the early 80s, which later went from the Korea Telecom to KT through privatization. Once an in-house professor belonging to the elite group at the company’s training center, he was assigned to a technical post in the privatized KT. Putting up with the pressure of downsizing and restricting, he set up internet connections in remote parts of the country and climbed telegraph poles. The film traces the history of KT’s privatization alongside the father’s life, and depicts how KT, which professes to be “the best people’s company”, drove out and oppressed laborers. However, KT-MAN is first and foremost a reflection upon the father’s life and the 38 years he spent without complaint. He stood by and watched the prodemocracy movements of the 80s through the window, never expressed discontent with the company, and just carried out his role diligently without taking part in the labor union. The son now hopes to understand his father’s life. Instead of asking direct questions in front of the camera, the considerate son visits the training centre where his father spent the prime of his career. There he listens to his father’s stories from the past and takes photographs of him. Perhaps what matters the most in KTMan is the hyphen placed between ‘KT’ and ‘Man’. The hyphen positioned between the life of a laborer and that of a father responsible for bringing food to the table for his family seems like the director’s effort to embrace his father who, without standing up against the unfair treatment from the company, just fulfilled his promise of reaching the retirement age in spite of all the fatigue and hardships along the way. (PARK Hye-mi)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2

어느 사진가의 기억 Memories of a Photographer

Director | 이창민 LEE Chang-min

Staff

Korea | 2014 | 88min | HD | Color+B&W

DIRECTOR/EDITOR | LEE Chang-min PRODUCER | JO Min-seok CINEMATOGRAPHER | EOM Seong-tak CAST | KIM Young-soo, JEONG In-sook, LEE Ae-joo Contact Anamnesis Film liberachang@gmail.com

World Premiere

Korean Docs Showcase

142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3

Program Note 어느 사진가의 전시회가 열린다. 그러나 그 사진가는 참석하지 못했다. 아니, 그의 작품 과 영정 사진으로 함께 했다. 사진전에 참석한 사람들이 시를 읊고 춤을 춘다.‘근사한 것’ 이 아니 무언가를 찾아나선 사진가처럼, 감독은 사진가의 과거 기억 안으로 들어가고 자 한다.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되는 이 작품은 사진가‘ 김영수’ 의 연대기를 따라간다. 그 가운데 감독과 김영수 작가의 인연이 잠깐씩 드러나면서, 사진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풀 어나간다. 작품 초반부는 인터뷰 중심으로 작가 김영수가 사진에 입문하게 되는 과정과 70년대에 서 80년대에 이르는 전위예술-문화운동의 흐름에 있었던 사진가를 발견한다. 작품 중후 이창민

반부는 감독이 사진가 - 김영수를 찾는 여정이 강조된다.‘끈끈하고 깊이 스며드는 본질

LEE Chang-min

적이고 영구한 사진’ 을 찍고자 하는 그의 과거 행적과 제자 정인숙, 그리고‘그와 감독이 사진 찍는 이유’ 에 관한 것 등이 보여진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드는 현상액의 움

Director’s Biography

직임처럼. (오정훈)

1981년생.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 성서비평학을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 교에서 다큐멘터리 전문사 과정을 졸업했 다. 현재 L336, 창작공간 환 등에서 활동 하고 있다. 사진가 김영수에 대한 기억을 통해 기억과 재현, 역사에 대한 질문을 던 지는 <어느 사진가의 기억>은 감독의 첫 장편연출 작이다.

Born in 1981. Majored in theology and biblical criticism at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and graduated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ith an M.F.A in documentary filmmaking. Currently he’s working as an artist in L336 and Creative Space Hwan. Memories of a Photographer, which is the director’s debut long film, asks questions about memory, reappearance and history by portraying the life of photographer KIM Young-soo.

An art exhibition displaying the works of a photographer is held. Yet, the photographer himself is absent. Rather, his presence is felt in his photographs full of passion. The visitors to the exhibition dance and recite poetry. Just like the photographer’s search for something other than ‘glamorous things’, the director hopes to delve into the artist’s memories from the past. The film traces the life of photographer KIM Young-soo using first-person point of view. Along the way, there are glimp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 and KIM Young-soo, and we are invited to consider some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photography. Through interviews, the first part of the film focuses on the way KIM Young-soo is introduced to the art of photography and soon finds himself in the middle of the avant-garde movement throughout the 70s and 80s. The middle and last parts of the film are dedicated to the director’s journey to find photographer KIM Young-soo. We learn of KIM Young-soo past efforts to take ‘essential and permanent photographs that permeate deep into us’, his protégée JUNG In-suk, and the reason why KIM and the director take photographs. In a way, the film functions like a developing solution that makes invisible things visible. (OH Jung-hun)

Filmography <어느 사진가의 기억>

Memories of a Photographer (2014)

143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4

잡식가족의 딜레마 Omnivorous Family’s Dilemma

Director | 황 윤 HWANG Yun

Staff

Korea | 2014 | 108min | HD | Color

DIRECTOR | HWANG Yun PRODUCER | KIM Il-kwon CINEMATOGRAPHER | SHIN Jung-hoon, KIM Gu-young EDITOR | LEE Yeon-jung, HWANG Yun Production CinemaDAL, Studio DUMA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World Sales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Korean Docs Showcase

144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5

Program Note 유려한 다큐멘터리 이야기꾼인 감독은‘ 아이를 키우는 엄마 ’ 의 입장에서 무엇을 먹여야 할지 고민이다. 구제역으로 살처분되는 돼지와 매력적인‘ 돈까스’사이에서 감독은 돼지 를 찾아나서기 시작한다. 이야기는 크게 세 가지 공간에서 벌어진다. 인간을 위한 상품 (고기)을 생산하는‘ 임산 기계’ 로서 돼지 공장, 부족하지만 유기농 사료와 편안한 보호를 받는‘ 돼지 우선주의’ 의 돼지 농장, 그리고 돼지 고기를 둘러싸고 약간의 분쟁과 고민이 많은 감독의 집이다. 이 세 개의 공간은‘ 엄마’ 라는 키워드로 연결되어 있다. 돼지와 인 간 모두 똑같은 생명체이며, 생명을 낳고, 사랑과 아픔을 느끼는 엄마의 마음을 지니고 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돼지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끄집어 내면서, 육식에 대한 황윤

개인적 선택을 하기까지 그리고 주변 특히 아이에게 어떤 선택을 줄 것인가를 고민하는

HWANG Yun

모습이 인상적이다. 공장, 농장, 집 등 이 세 곳을 보다보면, 묘하게도 닮아 있는 점을 발 견하게 된다. 이곳저곳 모두 딜레마투성이다. (오정훈)

Director’s Biography 철창에 갇힌 야생동물들의 관점으로 동물 원을 바라보는 다큐멘터리 <작별>(2001) 을 시작으로 <침묵의 숲>, <어느 날 그 길 에서>로 이어지는‘야생 3부작’ 을 연출했 다. 인간중심적 시선을 넘어 생태계라는 공동체의 관점에서 현대문명의 아이러니 한 문제점들을 성찰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있다.

Starting with her documentary Farewell (2001) which gazes at the zoo with the point of view of wild animals in captivity, she has continued to make introspective documentaries venturing beyond a human centered perspective to explore the ironies of modern civilization from the ecosystem’s community standpoint. As a three-part series along with Farewell, she has directed Silent Forest (2004) and One Day on the Road (2006).

Director HWANG Yun has proven herself to be an elegant storyteller with her previous documentary films. Now from the perspective of ‘a mother raising her child’, she contemplates what to feed her son. Torn between the horrors of the nationwide slaughter of pigs due to the foot-and-mouth outbreak and the lure of delicious port cutlets, she sets off to find pigs. The story largely takes place in three different places; the factory farm where products (pork) for human needs are turned out as if from a machine, the free range farm that operates under the philosophy of ‘putting pigs first’, providing them with organic feed, comfort and protection, and lastly the director’s home where there is a growing concern over eating pork. These three places are all connected to one another under the film’s key word ‘mother’. The film argues that pigs and human beings are essentially equal living things that both give birth to life and experience maternal feelings of love and pain. The director presents us with some interesting stories related to pigs and makes a personal choice about eating meat. What is particularly worthy of note is her dilemma over what choices she should give to those around her, especially her young child. The three places – the factory farm, the free range farm and the director’s home – all strangely resemble one another, and none is free from dilemmas. (OH Jung-hun)

Filmography <잡식가족의 딜레마>

The Omnivorous Family’s Dilemma (2014) <어느 날 그 길에서> (2008) <침묵의 숲> Silent Forest (2004) <작별> Farewell (2001) <겨울밤 이야기를 듣다> (2000)

145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6

독립의 조건 Shall We Talk?

Director | 김보람 KIM Bo-ram

Staff

Korea | 2014 | 53min | HD | Color

DIRECTOR/PRODUCER/EDITOR | KIM Bo-ram CINEMATOGRAPHER | KIM Bo-ram, Ryun SOUND | PYO Yong-soo, KOH Eun-ha (MEDIACT) Contact KIM Bo-ram fruit52@hanmail.net

Korean Docs Showcase

146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7

Program Note 서른, 잘 나가는 경제잡지사 기자일을 그만두고 하고 싶은 일인 다큐멘터리를 하겠다고 나선 감독의 당면과제는 아버지로부터 독립해 자기만의 집을 마련하는 것이다. 하지만 독립을 하려는 그녀에게‘ 독립’ 은 그저 함께 사는 부모님과 떨어져 내 힘으로 내가 살 집 을 구하고, 돈을 버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거기에는 안정적인 직장을 포기하는 대 신 하고 싶은 일을 하면 정말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는 두려움과 나만 혼자 뒷걸음질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불안이 뒤섞여있고, 그것들을 털어내고 나의 선택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에게 용기를 북돋우고, 살아갈 방도를 찾는 과제까지 포함되어 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 ’ 라는 질문은 한편으로는 너무 뻔해서, 하지만 그만큼 잘 김보람

소리내어 말해지지 않기에 얼핏 치기 어려보이지만, <독립의 조건>이 그 답을 찾아가는

KIM Bo-ram

과정만큼은 진지하고 치열해보인다. 안정적인 직장과 내 집 장만 계획을 갖춘 남편을 선 택한 언니나 시골에서 흙을 만지며 농사를 짓는 삶을 선택한 엄마의 삶 중 어떤 것이 더

Director’s Biography

옳고 그른지 판단할 수 없듯이, 단칸방에서의 삶을 시작하는 그녀의 선택 역시 존중받아

잡지사에서 일하다 2012년 가을, 미디액

야 마땅하다. 다만 어떤 선택을 하든, 어느 길을 가든 그것에 최선을 다하고, 속이지 않는

트 독립다큐멘터리 제작과정 수업을 들으

것이야말로 진정한 독립의 시작인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를 하고 싶은 것과

며 다큐멘터리에 입문했다. 결혼적령기

돈, 행복 사이에서 방황하는 2,30대들과 또한 오래전의 그 선택을 여전히 기억하고 있는

남녀의 갈등을 다룬 첫 단편 <결혼전.투>

어른들과 함께 나누고 싶다. 그리고 이 영화가 던지는 또 하나의 질문.‘ 찍는다는 행위’

로 2013년 인디포럼 신작전을 통해 데뷔 했다. <독립의 조건>은 감독의 사적 경험 을 담은 두번째 작품이다.

KIM was a magazine reporter for two years. She has worked on documentary films since she completed Mediact’s documentary production training course in the fall of 2012. Her filmography includes Struggle before the Marriage (2013) Filmography <독립의 조건> Shall We Talk? (2014) <결혼전.투>

Struggle before the Marriage (2013)

147

는 그 자체로 무언가의 혹은 누군가의 존재 증명이 될 수 있을까? (박혜미)

At the age of 30, director KIM Bo-ram decides to quit her job as a reporter to pursue her lifelong dream of making documentaries. The most urgent task for her is to find a place of her own so that she could move out of her father’s house. However, as far as she is concerned, ‘independence’ does not simply mean living alone and supporting oneself without parental help. For her, the price of independence comes with the anxiety that she may be only one falling behind. Also, she fears whether she should be able to achieve true happiness after abandoning her stable career to do something she has always wanted. To be independent, she must find a way to keep her spirits up and remain firm with her choice. The question of whether one could be truly happy by going for his or her dreams may sound clichéd or even immature. Nevertheless, the journey to find an answer to these questions in Shall We Talk? is serious and wholehearted. The director’s sister is married to a man with a stable job who plans to buy a house one day, while her mother enjoys the life of a farmer in the countryside. It is impossible to judge which one of the two choices is right or wrong, and likewise her decision to begin a new life in a shabby room should be respected. Perhaps true independence means trying one’s best and not being deceitful no matter what path one chooses to follow. In this respect, I wish to share this film with those in their 20s and 30s, torn between money and happiness that comes from doing what they truly want, as well as grown-ups who still remember the choices they made long ago. Furthermore, the film leaves us with yet another question; could “the act of filming” itself be the proof of someone’s existence? (PARK Hye-mi)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8

이로 인해 그대는 죽지 않을 것이다 With This Thou Wilt Not Perish

Director | 안건형 AHN Kearn-hyung

Staff

Korea | 2014 | 64min | HD | Color

DIRECTOR | AHN Kearn-hyung PRODUCER | YOO Un-seong, GO Eun-ju Contact AHN Kearn-hyung kearnh@gmail.com

Korean Docs Showcase

148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49

Program Note 안건형 감독의 <이로 인해 그대는 죽지 않을 것이다>는 한강을 이루는 지류 중 하나인 홍제천이 품은 기억들을 조선시대와 현재의 맥락에서 재구성한다. 감독은 18세기 시와 서예 그림 모두에 능한 삼절이라 불렸던 연객(烟客) 허필의 기록이 소멸되었다가 강세황 의 그림으로, 시집의 발견으로 다시 기억된 에피소드를 격변의 정치 상황과 기억의 혼동, 그리고 편리함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에 따라 이리저리 변화의 과정을 거쳐온 도시하 천 홍제천의 기억과 대구를 이뤄 말한다. 작품은 역사란, 그리고 역사적 기록이란 무엇인가? 라는 자못 무거운 질문 아래‘선택 ’ 된 기록과 흔적인‘ 기억의 아카이브’ 가 어떻게 사물과 인물을 살고 죽게 하는지 덤덤히 안건형

말한다. 작품은 마치 감독의 목소리를 배재하고 객관적인 사실을 전달하려는 양, 그 흔한

AHN Kearn-hyung

인터뷰, 내레이션 없이 꼼꼼하고 차분하게 사료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 작품이 제시하고 설명하는 사료와 기억 역시 주관적으로 채택된 사료라는 역설이 존재한다. 이는 아마도

Director’s Biography

사실을 기록한다 여겨지는‘ 다큐멘터리’ 가 실은‘ 기억과 망각’사이에서 주관적으로 선

다큐멘터리를 기반으로 실험적인 작품들

택된 기록이지 않느냐는 질문을 던지고 있는 듯 보인다. (이채영)

을 만들고 있다.

He has been making experimental works that are based on documentary. Filmography <이로 인해 그대는 죽지 않을 것이다>

With This Thou Wilt Not Perish (2014) <동굴 밖으로> Out of the Cave (2011) <고양이가 있었다>

House of the Freshness (2008)

149

With This Thou Wilt Not Perish directed by AHN Kearn-hyung reconstructs the memories of the Hongje Stream, one of the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across the Joseon Dynasty period through to the present time. The lost records of the 18th century historical figure HEO Pil, a man skilled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ve been brought back into focus through the paintings of KANG Se-Hwang and his newly discovered poems. The film discusses this episod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memories and history of the Hongje Stream, which has been put through a series of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country’s turbulent political situations, chaotic memories and human desires in pursuit of convenience. Faced with the rather serious question of what history and historical records truly mean, the film calmly illustrates how ‘selected’ records and ‘archives of memories’ could either revive or erase certain people and objects. As if to eliminate the director’s voice and deliver only objective facts, the film offers detailed explanations of historical records without the aid of interviews or narrations. However, there is a paradox in that the memories and historical records presented in the film have been subjectively selected. Perhaps we are left to wonder if a documentary, which is supposed to record facts, is in fact a subjectively selected record produced somewhere between ‘remembrance and oblivion’. (LEE Chae-young)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0

친밀한 가족 The Close Family

Director | 윤다희 YOON Da-hee

Staff

Korea | 2014 | 34min | HD | Color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EDITOR/SOUND | YOON Da-hee MUSIC | PARK Jang-hyun Production YOON Da-hee daheenamic@nate.com World Sales Amuse Tel 82 2 747 9128 amusefilm@gmail.com

Korean Docs Showcase

150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1

Program Note 학교 앞에서 자취하고 있는 주인공은 친구들로부터‘ 진짜 집이 어디냐? ’ 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대부분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허나 이 질문에 주인공은 할 말을 잃는다. 그녀는 조금 다른 가족을 두고 있음이다. 가족과 헤어져 살아야 했던 성장과정은 주체에게 여러 압박을 주었을 것이다. 화자이자, 연출인‘ 나’ 는 그리하여 다큐멘터리를 통해‘ 나’ 와‘가 족’ 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처 대답하지 못했던 질문들에 몰두하고자 하였다. <친밀한 가족>이라는 제목은 역설적이다. 영화 속에 가족의 관계는 오히려 해체적이다. 주인공은 병환으로 어머니를 잃고, 현실적 문제로 아버지와도 떨어져 살고 있다. 7살 어 린 뇌성마비 동생은 오래 전에 장애아동복지센터에 맡겨졌고,‘ 나’역시 시골집에서 성장 윤다희 YOON Da-hee

하였다. 청소년 쉼터 생활을 거쳐 줄곧 혼자 지내고 있는 가운데, 그나마 가족들은 자주 만날 수 없다. 다큐멘터리는 가족의 이야기를 하겠다는 결심과 함께, 가족과‘나’ 를 연결 하는 하나의 고리가 되었다. 그리고 기억의 공간이 카메라를 통해 차례로 재현된다. 영화

Director’s Biography

에서는 필름의 물성이 종종 사용되는데, 필름 특유의 사운드와 함께 아득하고 아려한다.

고등학교 때 집을 나와 청소년 쉼터에서

어린 시절의 사진, 어머니의 무덤가, 가족들이 함께 살았던 장소들,‘ 외롭고, 답답했던’

살았다. 방황하던 와중에 영화제작 동아

시골의 풍경, 청소년기의 공간들. 더불어 카메라는 가족과 직접적으로 대면한다. 아버지,

리 <아그로>를 알게 되었다. 영화 찍으며

이모, 그리고‘ 나’ 의 동생까지. 하지만 보고 싶었던 가족의 거리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

놀다가 영화과에 진학해서, 그토록 싫어

다.‘ 친밀한 가족’ 에 대한 이상은 여전히 자취방에 혼자 머물러야 하는‘ 나’ 의 자리로 확

하던 학교를 빚까지 지면서 다니고 있다. 그래도 영화 찍으며 삶이 반짝거리니 감 사하다.

She left home when she was in high school and stayed in a youth shelter. She felt lost until she found a filmmaking group ”Agro”. Now she is studying in university, which she hated so much, even having acquired a loan to continue her studies. However, she feels grateful that her life is in technicolor for the first time in her life. Filmography <친밀한 가족> The Close Family (2014) <내게 사랑은 너무 써>

Too Bitter To Love (2013) <그날이에요> The Day (2009)

151

인되었다. 하지만 하나의 기록과 영화가 해답이 될 수 없음을 안다. ‘ 나’ 와 카메라는 이러 한 관계를 담담하게 기록할 뿐이다. (김동현)

‘Where is your real home?’ is the question many of her friends often ask the film’s heroine, who lives alone near her school. For most of them, their real home is elsewhere. Yet, she doesn’t know how to answer this question. Her family is a bit different from everyone else’s. The experience of growing up separated from her family must have put her under a lot of pressure. The ‘I’, who is at once the narrator and director of the film, hopes to examine closely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family’ through this documentary. At the same time, she focuses on those questions she could not answer before. The title, The Close Family, is itself a paradox since the family in the film has fallen apart. Her only sibling, who is 7 years younger than her, suffers from cerebral palsy and was long ago committed into the center for handicapped children. ‘I’ grew up in the countryside. Ever since ‘I’ left the youth shelter, ‘I’ have been living alone without much contact with other family members. The film gives the director an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 story of her family and serves as a link that connects her to her family. The places in her memories are brought back to life one by one through the lens of the camera. Often we see that the properties of a film are used to create an impact; for example, the sound in the film feels characteristically dim and distant. Along with photos from her childhood, her mother’s grave, the places where the family lived together, the ‘lonely and stifling’ landscapes in the countryside, and places of her youth, the camera directly confronts the family members – her father, aunt and even her broth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distance that already exists among them. The ideal of a ‘close family’ is only confirmed by ‘my’ life alone in a rented room. Yet, she is aware that a single documentary cannot provide all the answers and so ‘I’ simply record such relationships with the camera. This is my family photo album that I didn't keep, and my home video that I’ve never taken. All my family members have been scattered for 8 years now. ‘I’ miss them, but it seems years of estrangement were so deep that I wasn’t able to knock on their doors. So ‘I’ decided to find and see them under the cloak of making a documentary. There are numerous types of families. Some might say my family is a total mess, but I call my family the close family. (KIM Dong-hyun)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2

나는 중식이다 I’m Joongsik

Director | 정중식 JUNG Joong-sik

Staff

Korea | 2014 | 17min | HD | Color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EDITOR/MUSIC/ SOUND | JUNG Joong-sik Contact JUNG Joong-sik scott376@naver.com

World Premiere

Korean Docs Showcase

152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3

Program Note 중식이는 노동자이며 영화감독이다. 그는 소니 액션 캠을 구입해 자신이 일하는 모습을 찍고, 주저리 주저리 떠들어 댄다. 작은 카메라는 그의 머리 위와 자전거에 부착되기도 하고, 유튜브에서 영감을 얻어 훌라후프에 매달기도 한다. 심지어 빨래하는 세탁기 속에 들어가 다양한 화면들을 만들어 낸다. 홍대에서 밴드를 하며 20대를 보냈고, 잠이 오지 않는 밤이면 음악으로 일기를 쓰는 작곡가이기도 한 정중식 감독의 셀프 다큐멘터리 <나 는 중식이다>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예술가의 자화상 같은 작품이다. 작은 카메라 속에 펼쳐지는 그의 일상 생활은 단지 기록에 머물지 않고, 그림과 애니메이션을 너머 자 신이 만든 노래로 이 사회에 대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말들을 쏟아내는 것으로 이어진다. 정중식

스펙이 강조되는 사회.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아기를 낳기도 두려운 사회. 그는 이 사회

JUNG Joong-sik

가 불안하고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만 조급해하지 않기로 한다. 이것은 불평 불만을 넘어서 세상에 대한 논평이다. 슬프고 애달프지만 이것이 그와 우리가 처해있는 사회의

Director’s Biography

현실이다. 영화에는 갓 서른을 넘긴 젊은 예술가가 바라보는 세상이 놓여있고, 자신의 세

감독이랄 것 까진 없지만 만든 이라는 명

계관과 인생관이 담겨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살아있음을, 자신에게 표현하고

칭을 정해야 한다면 나는 감독이다. 중식

싶은 욕구가 남아있음을 이 짧은 다큐멘터리를 통해 적극적으로 어필한다. 그래야 불안

이라는 밴드에서 노래도 부르고 노래도

함과 조급함이 사라지고 이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다고 발버둥치는 것과 같다. 그 모습은

만든다. 영화를 만들게 된 계기는 하루하

처절하지만 한없이 귀엽고, 애처롭기 보단 발랄하게 느껴진다. 서른 즈음에 맞게 되는 제

루가 불안하고 답답하고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답은… 제목처 럼 나왔다. 나는 중식이다. 나는 이런 중 식이다. 나는 중식이 나는 중식이.

2의 사춘기에 그는 다른 사람을 인정하고, 자신이 특별하지 않음을 느끼고 스스로를 표 현하려고 노력하는 적극성을 보여준다. 그는 정말 자신이 혼자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최고 퀄리티의 영화를 만들어냈다. 적지 않은 노력과 재능이 베어있는 이 작품을 통해 그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어느정도 이뤄냈다. 디지털 시대의 매

I do not call myself a filmmaker, but if I have to pick an already made up title for myself, then I am a filmmaker. I sing and compose songs in a band called Joong-sik. I came to make this film because I felt anxious and frustrated everyday about my life and began to contemplate about who I was. The answer I gained became the title of this film: I am Joong-sik. I am this Joongsik. I am Joong-sik, I am Joong-sik. Filmography <나는 중식이다> I Am Joongsik (2014)

153

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줄 아는 세대의 진짜배기 셀프 디지털 다큐멘터리가 탄생했다. (조영각)

Joongsik is both a laborer and a director. He buys a Sony Action Cam in order to film himself as work and chats away incessantly. He attaches the small camera above his head, on his bicycles, and, inspired by Youtube, even onto a hula hoop. He even creates various images by placing it inside a running washing machine. During his 20s, he was in a music band based in Hongdae. Director JUNG Joongsik, who, on sleepless nights, writes a diary with music, presents us with a self-portrait of a young artist of today in his self-I Am Joongsik. His daily life as seen through the lens of the small camera is not merely a record. He goes beyond pictures and animations and speaks his mind about the society with his own songs. There is something seriously alarming and problematic with the society in which so much emphasis is placed on one’s qualifications and loving couples hesitate to have children. Nonetheless, Joongsik chooses not be impatient. The film is not simply an outlet for complaints but a critical comment on the state of the world. No matter how distressing it may be, the film tells of the realities of our society. The world is the film is seen through the eyes of a young artist who has just turned 30, who brings with him his own outlook on life and the world. Despite all this, the director enthusiastically conveys his desire to express himself and the fact that he is alive. This way, he gets rid of some of the fear and impatience and continues to survive in this world. His struggles, though desperate, are certainly endearing and appear lively rather than pitiable. Going through the second adolescence experienced after turning thirty, he accepts others for who they are, feel his own ordinariness, and actively seeks ways to express himself. Based solely on his own effort, the director has achieved the best result possible by maximizing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thereby taking a step closer to his dream. (CHO Young-kag)

Korean Docs Showcase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4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5

올어바웃다큐 All About Docs 일반 관객들에게 가장 친숙하면서도 흥미로운 작품들을 소개한다. 가족, 청소년 및 일반인들이 자신들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의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족, 음악, 사랑, 교육, 그 리고 건축과 예술 등 우리 주변의 삶과 미지의 이야기를 발견하는 즐거움을 가지게 될 것이다. 상영 전 영화제 집행위원장과 프로그 래머의 설명이 함께 할 예정이다.

All About Docs introduces familiar and interesting documentaries for the general audience. This section contains a variety of films that families, youths, and general audience can choose to watch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Through the films in this section, the audience will enjoy discovering the lives of people around them and unknown stories of family, music, love, education, architecture, and art. Before the screenings, festival director and programmer will introduce the documentarie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6

문화의 전당 Cathedrals of Culture Director | 빔 벤더스, 미카엘 글라보거, 마이클 매드슨, 로버트 레드포드, 마가레트 올린, 카림 아이누즈 Wim WENDERS, Michael GLAWOGGER, Michael MADSEN, Robert REDFORD, Margreth OLIN, Karim AINOUZ Germany, Denmark, Norway, Austria, France, USA | 2014 | 156min | DCP | Color

3D

Staff The Berlin Philharmonic

The National Library of Russia

Halden Prison

DIRECTOR/WRITER | Wim WENDERS PRODUCER | Erwin M. SCHMIDT, Gian-Piero RINGEL CINEMATOGRAPHER | Christian REIN EDITOR | Toni FROSCHHAMMER NARRATOR | Meret BECKER MUSIC | Claude DEBUSSY, Johann Sebastian BACH

DIRECTOR/WRITER | Michael GLAWOGGER PRODUCER | Tommy PRIDNIG, Peter WIRTHENSOHN CINEMATOGRAPHER | Wolfgang THALER EDITOR | Monika WILLI NARRATOR | Gennadi VENGEROV MUSIC | Wolfgang MITTERER ARTISTIC COLLABORATION | Viola STEPHAN

DIRECTOR/WRITER | Michael MADSEN PRODUCER | Anne KÖHNCKE, Signe Byrge SØRENSEN CINEMATOGRAPHER | Wolfgang THALER EDITOR | Janus Billeskov JANSEN NARRATOR | Benedicte C. WESTIN MUSIC | Karsten FUNDAL

The Salk Institute

The Oslo Opera House

Centre Georges Pompidou

DIRECTOR | Robert REDFORD PRODUCER | Laura MICHALCHYSHYN, Sidney BEAUMONT EXECUTIVE PRODUCERS | Robert REDFORD, Jon KAMEN, Justin WILKES WRITER | Anthony LAPPÉ CINEMATOGRAPHER | Ed LACHMANN EDITOR | Jim HELTON NARRATOR | Jonas SALK, Louis KAHN, Clodagh O’SHEA, Thomas D. ALBRIGHT, Greg LEMKE, Jessie VERMILLO MUSIC | Moby

DIRECTOR/NARRATOR | Margreth OLIN WRITER | Margreth OLIN, Bjørn Olaf JOHANNESSEN PRODUCER | Maria EKERHOVD CINEMATOGRAPHER | Øystein MAMEN EDITOR | Michal LESZCZYLOWKSI MUSIC | Christoph Willibald GLUCK, Igor STRAWINSKY, Olga WOJCIECHOWSKA

DIRECTOR | Karim AÏNOUZ PRODUCER | Charlotte UZU CINEMATOGRAPHER | Ali Olcay GÖZKAYA EDITOR | Toni FROSCHHAMMER NARRATOR | Deyan SUDJIC MUSIC | Al LAUFELD

Asian Premiere

All About Docs

Production Neue Road Movies World Sales Cinephil +972 3 566 4129 info@cinephil.co.il

156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7

빔 벤더스 Wim WENDERS

미카엘 글라보거 Michael GLAWOGGER

Director’s Biography

Director’s Biography

1945년 독일 뒤셀도르프 출생. 프라이부르크에서 의학과 철학 을 전공하고 뮌헨의 방송, 영화학교 HFF에서 연출을 전공했다. 유럽 영화아카데미의 창립 멤버이며 1996년부터 회장직을 맡 고 있다. 그의 3D 무용 영화 <피나>는 베를린 국제영화제 비경 쟁섹션에서 상영되었고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다큐멘터리 상 후보에 올랐다. 현재는 그의 3D 장편영화 Every Thing Will Be Fine 촬영차 몬트리올에 머물고 있다.

1959년 오스트리아 그라츠 출생.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 트와 비엔나 영화학교에서 공부했다. 영화 감독과 작가로서, 장 르를 넘나드는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2011년 그의 에세이 다 큐멘터리 3부작 중 마지막 작품인 <매춘의 그림자>를 완성했 다. 아직 제목을 정하지 못한 신작 다큐멘터리를 촬영하기 위해 1년 간 세계 곳곳을 여행하는 중이다.

Born in Düsseldorf, Germany, in 1945. Studied medicine and philosophy in Freiburg and directing at the HFF in Munich. Founding member and since 1996 president of the European Film Academy. His 3D dance film Pina premiered in 2011 in the Berlinale Official Selection (Out of Competition) and received an Oscar® nomination. He is currently shooting his 3D feature film Every Thing Will Be Fine in Montreal.

Born in Graz, Austria, in 1959. Studied at the San Francisco Art Institute and the Film Academy Vienna. As a filmmaker and writer, he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cinematic forms and genres. Whores’ Glory completed his trilogy of essayist documentaries in 2011. He is currently on a one year travel around the world for his new documentary Untitled.

마이클 매드슨 Michael MADSEN

로버트 레드포드 Robert REDFORD

Director’s Biography

Director’s Biography

1972년 덴마크 코펜하겐 출생. 예술사를 전공하고 영화 감독과 개념 예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코펜하겐 타운홀스퀘어에서 운 영하는 사운드갤러리의 창립자이자 이곳의 미술감독을 역임했 다. 핀란드의 핵폐기물 봉인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원한 봉인>(2010) 을 연출했다. The Visit: A Film On The Ultimate Copernican Revolution는 현재 후반 작업단계에 있다.

1936년 미국 산타모니카 출생. 배우, 감독, 프로듀서, 환경운동 가로 활동하고 있다. 1981년, 데뷔작 <보통 사람들>로 아카데 미 작품상을 수상했고, 선댄스 필름 인스티튜트를 창설한 공로 를 인정받아 2001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 선댄스 인스티튜트와 선댄스 영화제에 관한 그의 공로는 독립 영화계에 획기적인 영향을 끼쳤다. 최근 J.C. 챈더의 재난영화 <올 이즈 로스트>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준 바 있다.

Born in Copenhagen, Denmark in 1972. Studied art history and works as filmmaker and conceptual artist. Founder and artistic leader of the Sound/Gallery in Copenhagen. His documentary Into Eternity (2010) provides a glimpse into the world’s first final nuclear waste facility. The Visit: A Film On The Ultimate Copernican Revolution is in post-production.

Born in Santa Monica, USA, in 1936, Robert Redford is an actor, film director, producer, and environmentalist. In 1981, he received an Oscar® for his directorial film debut Ordinary People, and in 2001 received an honorary Oscar® for his Sundance Film Institute work. His Sundance Institute and Film Festival nurtures innovative voices in independent film. His most recent screen performance was in J.C. Chandor’s survival epic All Is Lost.

마가레트 올린 Margreth OLIN

카림 아이누즈 Karim AINOUZ

Director’s Biography

Director’s Biography

1970년 노르웨이 스트랜다 출생. 베르겐과 오슬로에서 저널리 즘과 다큐멘터리 연출을 공부했다. 다큐멘터리와 극영화, 무대 극 연출, 제작을 맡고 있다. 정치, 사회적 이슈를 다룬 이야기를 주로 만들고 있다.

1966년 브라질 포르탈레자 출생. 브라질에서 건축을 전공한 후 뉴욕에서 영화를 전공했다.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 며 대본 작성법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설치미술 또한 여러 곳에 서 전시되었다.

Born in Stranda, Norway, in 1970. Studied journalism and documentary filmmaking in Bergen and Oslo. She directs and produces documentaries and feature films and stages theatre plays. Her work focuses o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Born in Fortaleza, Brazil, in 1966. Studied architecture in Brazilia and film in New York. He directs fiction and documentary films and teaches script writing. His art installations have been exhibited widely. His directorial debut Madame Sata screened in Un Certain Regard in Cannes in 2002. His new film Praia Do Futuro premieres in this year’s Berlinale Competition.

“건물들이 말을 할 수 있다면, 우리에게 무슨 말을 할까?” 건물들의 영혼에 관한 3D 프로젝트 <문화의 전당>은 이 질문에 대한 여섯 가지 다채로운 대답들을 보여준다. 영화 속에서 건물들은 인공 구조물의 관점으로 인류의 삶을 독백 형식으로 풀어놓는다. 빔 벤더 스, 미카엘 글라보거, 로버트 레드포드 등 여섯 명의 뛰어난 감독들은 각각 상징적이고 특징적인 건축물들을 택해 자기만의 스타일과 예술 적 방식으로 접근했다. 그들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건축물들은 인간 의 사유와 행위의 물질적 현현이다. 모더니티의 상징인 베를린 필하 모닉, 사상의 왕국 러시아국립도서관, 세상에서 가장 인도적인 할든 교도소, 그리고 세상을 뒤흔든 과학 이론들의 탄생지인 소크 연구소, 예술과 삶이 공존하는 미래적 공간 오슬로 오페라하우스, 그리고 현 대문화기구 퐁피두센터. <문화의 전당>은 이 역사적 건축물들이 우 리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고 우리의 집단적 기억을 보존하는 방식을 조명한다.

“If buildings could talk, what would they say about us?” Cathedrals of Culture offers six startling responses to this question. This 3D film project, about the soul of buildings, allows six iconic and very different buildings to speak for themselves, examining human life from the unblinking perspective of a man-made structure. Six acclaimed filmmakers bring their own visual style and artistic approach to the project. Buildings, they show us, are material manifestations of human thought and action: the Berlin Philharmonic, an icon of modernity; the National Library of Russia, a kingdom of thoughts; Halden Prison, the world’s most humane prison; the Salk Institute, an institute for breakthrough science; the Oslo Opera House, a futuristic symbiosis of art and life; and the Centre Pompidou, a modern culture machine. Cathedrals of Culture explores how each of these landmarks reflects our culture and guards our collective memory.

Synopsis

157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8

50년간의 논쟁 The 50 Years Argument Staff DIRECTOR | Martin SCORSESE, David TEDESCHI PRODUCER | Margaret BODDE, David TEDESCHI, Martin SCORSESE CINEMATOGRAPHER | Lisa RINZLER EDITOR | Michael J. PALMER, Paul MARCHAND Contact Cinephil +972 3 566 4129 info@cinephil.co.il

Director | 마틴 스콜세지, 데이빗 테데쉬 Martin SCORSESE, David TEDESCHI USA | 2014 | 95min | DCP | Color+B&W Korean Premiere

Synopsis 마틴 스콜세지 감독과 그의 오랜 다 The 50 Year Argument, directed by 큐멘터리 협력자 데이빗 테데쉬 감독 acclaimed filmmaker Martin 이 함께 연출한 <50년간의 논쟁>은 SCORSESE and 지난 50년간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였던‘ 뉴욕 리뷰 오브 북 스’ 에 언급되었던 문학사, 정치사, 그 리고 문화사의 논쟁들을 과감하게 다 루고 있다. 영화는 고어 비달, 수전 손택, 노먼 메일러 같은 문화적 아이 콘들을 인터뷰한 희귀한 아카이브 푸 티지와 조앤 디디온, 마이클 섀번, 야 스민 엘 라시디 같은 현 기고자들의 최근 인터뷰 촬영자료를 함께 엮어낸 다. 이와 함께 두 번째 반세기로 접어 드는‘ 뉴욕 리뷰’ 의 웨스트 빌리지 사무실에서 촬영된‘ 베리테’스타일 의 푸티지와 더불어 창립 편집자인 로버트 실버스처럼 여전히 왕성하고 지칠 줄 모르는 잡지의 에너지를 관 객들에게 전달한다. 관객들은 마틴 스콜세지 특유의 독창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통해서 이 놀랄 만한 이야기를 접하게 될 것 이다.

All About Docs

his longtime documentary collaborator David TEDESCHI, rides the waves of literary,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as charted by its subject: the influential publication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America’s leading journal of ideas for over fifty years. This provocative film explores the power of these ideas in shaping history. The film weaves rarely-seen archival footage of cultural icons such as Gore VIDAL, Susan SONTAG, and Norman MAILER; newly filmed interviews with many of the Review’s current contributors, including Joan DIDION, Michael CHABON, and Yasmine El Rashidi; along with original verité footage filmed in the Review’s West Village offices reflecting the humming, restless energy of a magazine that, heading into its second half-century, still feels as vital and young as its indefatigable founding editor, Robert Silvers; all told through the inimitable and energetic documentary style of Martin Scorsese.

마틴 스콜세지

데이빗 테데쉬

Martin SCORSESE

David TEDESCHI

Director’s Biography

Director’s Biography

1942년 뉴욕 출생. 이탈리아에서 유 년시절을 보냈는데, 이 시기가 후에 그의 작품에 많은 영감을 주었다. 극 영화 감독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작품 중에는 의외로 다큐멘터리가 많다. 1974년 첫 다큐멘터리 <이탈 리언어메리컨>을 발표하였고, 1996 년에는 영화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 하기 위한 네 시간짜리 다큐멘터리 <마틴 스콜세지의 영화이야기>를 마이클 헨리 윌슨과 공동 연출하였 다. 2001년에는 이탈리아에 대한 애 정 어린 시선이 드러나는 서사적 다 큐멘터리 <나의 이탈리아 여행기> 를 발표하였다. 가장 최근에 발표한 다큐멘터리는 에미상 수상작 <조지 해리슨: 물질 세계에서의 삶>이다.

데이빗 테데쉬는 데뷔 초기에 마이 클 무어 등과 함께 TV 다큐멘터리 쪽 에서 활동하였으며,<조지 해리슨: 물 질 세계에서의 삶>을 비롯한 많은 영화에서 마틴 스콜세지와 호흡을 맞췄다. 최근 작업한 <노 디렉션 홈: 밥 딜런>으로 에미상 후보, <조 지 해리슨: 물질 세계에서의 삶>으 로 편집기사조합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Martin Scorsese was born in 1942 in New York City, and was raised in the neighborhood of Little Italy, which later provided the inspiration for several of his films. Scorsese directed several documentary films through his filmography. His first documentary film was Italianamerican(1974). In 1996, Scorsese completed a 4-hour documentary, A Personal Journey with Martin Scorsese through American Movies, co-directed by Michael Henry Wilson, commissioned by the British Film Institute to celeb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cinema. In 2001 Scorsese released Il Mio Viaggio in Italia, an epic documentary that affectionately chronicles his love for Italian Cinema. Most recently released was Scorsese’s Emmy Award winning documentary for HBO,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Film editor David Tedeschi has worked frequently with Martin Scorsese on the director’s documentary films including No Direction Home: Bob Dylan, Shine a Light with the Rolling Stones, Public Speaking starring iconoclastic New York writer Fran Lebowitz, and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Earlier in his career he worked with Michael Moore on the groundbreaking TV Nation and The Awful Truth, with Leon Ichaso on Piñero for Miramax and on El Cantante for Picture House. He was nominated for an Emmy for his work on No Direction Home: Bob Dylan and an Emmy and ACE Eddie for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158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59

안녕, 헐리우드 Farewell to Hollywood Staff DIRECTOR/CINEMATOGRAPHER | Henry CORRA, Regina NICHOLSON PRODUCER | Jeremy AMAR EDITOR | Kimberley HASSETT Production Corra Films Tel 1 212 965 8600 annmarie@corrafilms.com World Sales Films Transit International Inc. Tel 1 514 844 3358 jan@filmtransit.com

Director | 헨리 코라, 레지나 니콜슨 Henry CORRA, Regina NICHOLSON USA | 2013 | 102min | DCP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반복되는 시적인 이미지에서 17세 소 녀 레지나 다이앤 니콜슨은 바닷가의 높은 절벽 위의 천국과 지상 사이를 오간다. 암 투병중인 레지나는 영화를 만들고 싶어하는 말괄량이 17세 소녀 다. 그녀의 사랑스럽고 강인한 성격 그리고 나이를 뛰어 넘는 지혜로움과 병에 대한 유머는 우리에게 깊은 인상 을 준다. 감독 헨리 코라와 함께 그녀 는 자신의 자화상, 그리고 병과 사투 를 벌이는 일상을 기록하게 된다. 영 화의 시작은 레지나를 다루지만, 곧 레지나가 그녀를 진지하게 받아들이 는 헨리와 가까운 사이로 발전하면서, 그녀와 그녀의 부모 사이에 갈등이 깊 어지게 된다. 이 영화는 사랑과 죽음 에 대한 시적인 동화로 견딤과 놓아 줌, 감독과 대상, 가족간의 관계에 대 해 논쟁할 수 있는 이야기로 우리를 초대한다. 내밀하게 기록된 비디오 다 이어리 스타일과 홈비디오의 다양한 이미지, 그리고 감독인 헨리와 레지 나, 두 사람이 촬영한 장면들과 그들 이 주고받은 메시지, 그녀가 좋아하는 영화 속의 이미지로 구성된 이 영화는 가슴을 따뜻하게 만드는 한편, 레지나 에게 바쳐진 가슴 아프고도 논쟁적인 송시이기도 하다. 159

In a recurring poetic image, 17-yearold Regina Diane NICHOLSON swings between heaven and earth on a breathtakingly high cliff by the sea. Reggie is a tomboy struggling with cancer, her parents and her dream of making a film. She impresses us with her loving, strong personality and wisdom beyond her years, as well as her morbid sense of humor. Together with director Henry CORRA, she is working on a portrait of herself and her struggle with her illness. The film’s initial focus is on Reggie, but it quickly makes way for an escalating conflict between her and her parents as Reggie develops a closer relationship with Henry, who takes her seriously. When Reggie turns 18 and can make decisions on her own, things become even more intense. This film is a poetic fairytale about love and death, holding on and letting go, one that invites u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ker, subject and family. An eclectic mix of images with the intimacy of a video diary or home movie, it is filmed both by Henry and by Reggie and supplemented by their text message exchanges, images from her favorite movies, and fairytale-like scenes with songs that together form a heartwarming, but also heartbreaking and controversial ode to Reggie.

헨리 코라

레지나 니콜슨

Henry CORRA

Regina NICHOLSON

Director’s Biography

Director’s Biography

영화상 수상 감독이자 선댄스 인스 티튜트의 연구원. 그만의 독특한 논 픽션 스타일인 리빙 시네마의 선구 자로 잘 알려져 있다. Umbrellas (1994), George (2000), Same Sex America (2005)와 에미상에 후보작으로 노미네이트 되었던 NY77: The Coolest Year in Hell (2007)과 The Disappearance of McKinley Nolan (2010) 등을 포함 한 그의 작품들은 전 세계에 걸쳐 극 장개봉을 하고 방송되었으며, 미술관 이나 문화공간 등에서 상영되었다.

사우스 파사데나를 기반으로 활동하 는 영화감독이자 학생이다. 그녀의 죽음에 관한 단편영화 Glimpse of Horizon는 AFI의 TEENDOCS 대 회에서 우승했으며, 실버닥스 다큐 멘터리 영화제와 하트랜드 영화제에 서 상영되었다. 그녀의 마지막 작품, Farewell to Hollywood 는 헨리 코라와 공동 연출로 만들어진 장편 영화이다.

An award-winning filmmaker and Sundance Institute Fellow, best known for pioneering Living Cinema, his unique style of nonfiction. His films include Umbrellas (1994), George (2000), Same Sex America (2005), the Emmy-nominated NY77: The Coolest Year in Hell (2007) and The Disappearance of McKinley Nolan (2010) have been exhibited worldwide in theatrical venues and broadcast and also been shown in museum and cultural venues internationally.

She was a South Pasadena-based filmmaker and student. Her short film Glimpse of Horizon, about her mortality, won AFI’s TEENDOCS competition and has been featured at the Silverdocs Documentary Festival and the Heartland Film Festival. Her last film, Farewell to Hollywood, is a feature made in collaboration with Henry CORRA.

Filmography

Farewell to Hollywood (2013) The Disappearance Of Mckinley Nolan (2010) Jack (2009) NY77: The Coolest Year In Hell (2007) Same Sex America (2005) Frames (2004) George (2000) Umbrellas (1995)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60

반장선거 Leaders Staff DIRECTOR | Pawe l⁄ FERDEK PRODUCER | Wojciech SZCZUDLO Contact Film Studio Kalejdoskop Tel 48 22 8511779 szczudlo@kalejdoskop.art.pl

파웰 페르덱 Pawe l⁄ FERDEK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파웰 페르덱 Pawe l⁄ FERDEK Poland | 2013 | 49min | HD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반장선거>는 아이들의 정치스릴러다.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생회의 후보로 나와 회장으로 선출되 기 위한 그들의 전투는 여러 감정들을 불러 일으킨 다. 그들의 선거운동은 마치 왜곡된 거울 속의 이미 지로 이 세계의 정치양상을 보여주는 것 같다. 아이 들은 어떤 종류의 민주주의를 알고 있는 것일까? 아이들 세대에게 주도권이 넘어갔을 때 대중들의 삶은 어떠할 것인가? 영화는 4명의 중심인물, 마르 첼, 카이스, 헬레나 그리고 필립의 선거 운동 과정 을 관찰했다. 처음엔 하나의 놀이로 여겨졌던 선거 가 다가오면서 학교 전체는 격앙된 상태에 휩싸인 다. 마치 그로테스크 하면서도 왜곡된 거울로 비쳐 지는 어른들의 정치를 관찰하는 것 같지만, 아이들 은 그들이 진짜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숨기지 않고 말한다는 것이다.

All About Docs

Leaders is a children’s political thriller. Students of a primary school are candidates for the students’ council. Their battle for the leadership triggers off great emotions. That election campaign shows, like in a distorting mirror, the world of a big politics. What kind of a democratic pattern do those children know? What the public life would be in several next years when the youngest generation came to power? We observe the campaign of our four main characters. They differ in everything: the social status, the style of the fight, the motivation. Marcel, Kais, Helena and Filip have one common aim: power and a high place in the school hierarchy. At the beginning, it seems a children’s play, but it quickly changes into a serious social game. Winning the election is a matter of honor and approval. For some of them it means “to be or not to be” in the society. The children try very hard to be adults. You may treat their actions, slogans and speeches as a grotesque. But the results of the election don’t evoke laughter. When children play real politics and the election is coming, the whole school fires with emotions. It seems that we observe the politics of adults in a grotesque and distorting mirror. A difference is that children say what they really think.

파웰 페르덱은 감독이자 작가이며 배우이다. 그는 안제이 바이다 영화 학교의 유럽의 영화 프로그램 EKRAN과 바르샤바 대학 국제 교 류원 및 GARDZIENICE 극단 학교 를 졸업했다. 그는 폴란드, 이스라 엘, 팔레스타인, 키르기스스탄, 중국 에서 다큐멘터리 작업을 했고, 유럽 영화 아카데미의 멤버이다. 그의 작 품 Glass Trap은 유럽영화제에 후 보로 올랐으며, 그의 극 장편 Ki는 2011년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상 영되었다. 그는 현재 방송과 영화 양 쪽에서 활동하고 있다.

A director, screenwriter and actor. He is a graduate of European film program EKRAN in Andrzej Wajda Master School, Warsaw University’s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cademy of GARDZIENICE Theatre Company. He shot documentary films in Poland, Israel, Palestine, Kyrgyzstan, China. With his Glass Trap nominated for an EFA Award, he is a member of European Film Academy. His feature fiction film Ki was selected for the Venice Film Festival 2011. He is working for cinema and TV. Filmography Leaders (2013)

160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61

20세기의 사랑 Love Is All Staff DIRECTOR | Kim LONGINOTTO PRODUCER | Mark ATKIN, Heather CROALL, Martin ROSENBAUM EDITOR | Ollie HUDDLESTON Music | Richard HAWLEY Production Crossover Tel 44 11 4276 5141 mark@crossoverlabs.org

Director | 킴 론지노토 Kim LONGINOTTO

World Sales Dogwoof Tel 44 2072536299 ana@dogwoof.com

UK | 2014 | 74min | DCP | B&W Asian Premiere

Synopsis <20세기의 사랑>은 사회의 격변기였던 20세기의 사랑과 구애의 이미지를 엮어 편집한 몽타주 영화 다. 영화에서 처음으로 포착된 키스, 전쟁이 파괴한 세계, 청소년 문화의 탄생, 동성애, 그리고 자유로 운 사랑. 영화는 오후 무도회에서 시시덕거리고, 키 스하고, 자유로운 사랑을 할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싸우는 다양한 커플의 모습을 보여준다. 영국 영화 협회 아카이브와 요크셔 영화 아카이브 등에서 인 용한 이 매력적인 푸티지는 영화 카메라가 탄생한 이래 화학적 셀룰로이드 위에 산화된 사랑과 구애 의 이미지 고고학이라 할 만하다.

Love is All takes us on a journey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exploring love and courtship on screen in a century of unprecedented social upheaval. From the very first kisses ever caught on film, through the disruption of war, to the birth of youth culture, gay liberation and free love, we follow courting couples flirting at tea dances, kissing in the back of the movies, shacking up and fighting for the right to love. This is the celluloid story of love and courtship since the birth of the movie camera; told with spellbinding footage from the British Film Institute archive and Yorkshire Film Archive and many more!

킴 론지노토 Kim LONGINOTTO Director’s Biography 킴 론지노토는 평범하지 않은 여성 들과 억압과 차별받는 여성들의 역 경을 주로 다룬 영화를 만드는 다큐 멘터리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녀는 영국국립영화학교에서 닉 브룸 필드와 함께 연출을 공부했다. 그 당 시 연출한 기숙학교에 대한 다큐멘 터리는 런던영화제에서도 상영 되었 고, 이 후 수 많은 작품에서 관찰자 적 시점의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명 성을 이어갔다. 그녀는 Pink Saris로 BAFTA를 수상했다.

Kim LONGINOTTO is a British documentary filmmaker, well known for making films about extraordinary women and also the plight of female victims of oppression or discrimination. LONGINOTTO studied camera and directing at the National Film and Television School in Beaconsfield, England, where she later followed friend and future filmmaker Nick BROOMFIELD. While studying, she made a documentary about her boarding school that was shown at the London Film Festival, and has continued to be a prolific observational documentary film maker ever since. She has received a number of awards for her films over the years, including a BAFTA for her documentary Pink Saris. Filmography Love is All (2014) Salma (2013) Pink Saris (2010) Rough Aunties (2008) Hold Me Tight, Let Me Go (2007)

161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62

펄프: 자비스 코커의 음악인생 Pulp: a Film about Life, Death & Supermarkets Staff DIRECTOR | Florian HABICHT PRODUCER | Alex BODEN CINEMATOGRAPHY | Maria Ines MANCHEGO EDITOR | Peter O’DONOGHUE Production Pistachio Pictures World Sales Altitude Film Sales Tel 44 207 478 7612 CharlieKemball@altitudefilmsales.com

플로리안 하비츠 Florian HABICHT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플로리안 하비츠 Florian HABICHT UK | 2014 | 90min | DCP | Color Korean Premiere

Synopsis 1988년 셰필드,‘ 절대 있지도 않았던 그 날’ . 그들 의 고향에서 열렸던 끔찍한 작별 공연에 이어 펄프 는 성공을 좇아 런던으로 이동한다. 그들은 세계를 무대로 Common People과 Disco 2000과 같은 1990년대 성가로 명성을 얻는다. 25년 후 (그리고 천 만장 앨범을 팔아 치운 후) 그들은 밴드의 마지막 영국 콘서트를 위해 셰필드로 돌아온다. 뭐가 잘못 될 수 있을까? 영화는 그들의 커리어에서 최고의 공 연 장면을 보여주고, 밴드 멤버들의 명성과 사랑, 죽 음 그리고 차 정비에 대한 생각을 나눈다. 셰필드 사 람들이 펄프에 대해 가지고 있는 깊은 애정과 펄프 의 음악(특히 밴드의 프론트맨인 자비스 코커의 가 사들)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주었던 동네가 그 모습을 드러낸다. <펄프: 자비스 코커의 음악인 생>은 재미있고 감동적이며, 삶을 찬미하다가도 때 로는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독창적인 음악영화이다.

All About Docs

Sheffield, 1988, ‘The Day That Never Happened’. Following a disastrous farewell show in their hometown, PULP move to London in search of success. They find fame on the world stage in the 1990’s with anthems including ‘Common People’ and ‘Disco 2000’. 25 years (and 10 million album sales) later, they return to Sheffield for their last UK concert: what could go wrong? Giving a career best performance exclusive to the film, the band share their thoughts on fame, love, mortality - & car maintenance. Director Florian HABICHT (Love Story) weaves together the band’s personal offerings with dream-like specially-staged tableaux featuring ordinary people recruited on the streets of Sheffield. Unveiling the deep affection that the inhabitants of Sheffield have for Pulp, and the formative effect the town has had on the band’s music (& front-man Jarvis COCKER’s lyrics in particular) Pulp is a music-film like no other – by turns funny, moving, life affirming & (occasionally) bewildering.

플로리안 하비츠는 Elam School of Fine Arts Auckland와 Binger Filmlab Amsterdam에서 영화제작 을 공부하였다. 그의 데뷔작인 장편 영화 Woodenhead(2003)는 그림형 제의 동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었 는데, 이 영화는 뉴질랜드 전역에 엄 청난 히트를 치며 미국의 Olive Film 에도 출품되었다. 2012년도에 장편 영화 Love Story가 London Film Festival 에서 상영되었을 때 자비스 코커와 펄프의 멤버들로부터 밴드에 대한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와 콘서트 필름을 제작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플로리안은 60대의 칭송 받는 사진작 가 프랑크 하비츠의 아들이다.

Florian HABICHT studied filmmaking at the Elam School of Fine Arts Auckland and at the Binger Filmlab Amsterdam. His debut feature Woodenhead (2003) a Grimm inspired musical fairytale, became a cult hit in New Zealand and was distributed in the U.S.A. by Olive Films. In 2012 when his feature Love Story screened at the London Film Festival, Jarvis COCKER and PULP invited him to make a feature documentary and concert film about the group. Florian is the son of acclaimed sixties photographer Frank HABICHT. Filmography Pulp: a Film about Life, Death & Supermarkets (2014) Love Story (2011) Rubbings From a Live Man (2008) Kaikohe Demolition (2004) Woodenhead (2003) 162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63

꿈꾸는 발레리나 Sometimes I Dream I’m Flying Staff DIRECTOR/WRITER/EDITOR | Aneta POPIEL-MACHNICKA PRODUCER/CINEMATOGRAPHER | Michal POPIEL-MACHNICKA Contact Pigment Production Tel 48 22 628 08 85 aneta.popiel@pigment.pl

아네타 포피엘-마츠니카 Aneta POPIEL-MACHNICKA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아네타 포피엘-마츠니카 Aneta POPIEL-MACHNICKA Poland | 2013 | 70min | HD | Color

Synopsis 꿈을 이루기 위해 열망의 경계를 넘나드는 감동적 인 이야기. 영화의 중심에는 어린 시절부터 발레학 교 기숙사에서 살아온 젊고 재능 있는 발레리나 베 로니카가 있다. 최우수 졸업생이 된 그 순간부터 발 레리나로서의 국제적인 성공이 그녀 앞에 펼쳐져 있는 듯하다. 자신의 성공적인 커리어를 위해 베로 니카는 끊임없이 완벽을 추구한다. 그녀의 사생활, 고통, 고독 그리고 피로감은 베를린 오페라 공연 이 틀 전, 심각한 타박상으로 고통 받을 때까지 무시된 다. 영화 속 장면들은 6년에 걸쳐 바르샤바 발레학 교, 바르샤바 국립오페라, 그리고 발레학교와 세인 트 피츠버그의 작은 극장, 라스팔마스의 카르멘데 로블스 댄스아카데미와 베를린 오페라하우에서 촬 영 되었다. 마지막 장면은 The Open Square의 베를린 초연 실황으로 Music - Percossa의 창작 자인 이스라엘의 유명 안무가 이칙 갈릴리의 작품 이다.

163

The moving story of crossing the borders of one’s aspirations in order to fulfill one’s dreams. The central figure in our film is a young, outstanding and talented dancer who lives, since childhood, in the hall of residence of the Ballet School. From the moment she becomes the best graduate of the year her international career in dancing opens up ahead of her. The modest and exceptionally hard-working Weronika aims continuously for perfection. Her free time from classes in the theatre is spent working unceasingly on her body. Her private life, pain, loneliness and exhaustion remain somewhere in the background, brushed aside, until she suffers from a serious contusion just 2 days before her performance at the Berlin Opera that would have been so vital to her career. Pictures for the film were shot over the course of 6 years. Most of the action takes place in the Warsaw Ballet School, Warsaw National Opera, The Ballet School and Small Theatre of St. Petersburg, The Carmen de Robles Academy of Dance in Las Palmas and two theatres of Berlin Opera. In the final scenes fragments are recorded of the Berlin ballet premiere of THE OPEN SQUARE for which the world renowned Israeli choreographer choreographer Itzik GALILIi is the creator of Music – Percossa.

폴란드 바르샤바 출생. 폴란드 국립 영화학교를 졸업했다. 다수의 단편 극영화, 애니메이션을 연출하였고, 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어 호평을 받 았다. Sometimes I Dream I ’ m Flying는 첫 번째 다큐멘터리 연출 작이다.

A film director and producer born in Warsaw. She graduated from the Polish National Film School in Lodz and Warsaw Secondary School of Fine Arts. She made 11 short-length independent films (fiction and animation) for which she received more than 40 awards, mainly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Sometimes I Dream I'm Flying is her documentary debut. Filmography Sometimes I Dream I’m Flying (2013)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8 AM 페이지164

알렉시스를 위한 노래 Song for Alexis Staff DIRECTOR | Elvira LIND Contact Copenhagen Bombay Tel 45 72 420 800 malene.iversen@copenhagenbombay.com

엘비라 린드 Elvira LIND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엘비라 린드 Elvira LIND

덴마크 출신으로 뉴욕에서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2006년 남아공 케이프 타운에 있는 필름스쿨을 졸업하였 고, 그 후 10년 간 영화제작 전반에 걸쳐, 유럽과 미국, 남아공 등지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알렉시스를 위한 노래>는 그녀의 첫 장편 다큐멘터리 이다.

Denmark | 2014 | 75min | DCP | Color Korean Premiere

Synopsis 롱 아일랜드 출신의 18세 소년 라이언은 재능 있는 뮤지션이자 트랜스젠더이다. 4년 전 엄마와 친구들 의 지원을 받으며 당당히 소녀에서 소년이 되었지 만, 여전히 동네에서 그를 보는 시선은 차갑기만 하 다. 최근에는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 16세 소녀 알렉시스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라이언은 알렉시 스와 함께 차를 타고 미국을 횡단한 후 샌프란시스 코에서 정착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부모님 의 반대에 부딪힌 알렉시스는 라이언과의 불안한 미래와 가족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All About Docs

18-year-old Ryan is a talented musician and transgender man from Long Island. He began his transition from girl to boy 4 years earlier with support from his mom and friends although still battling to be understood in the small community he lives in. He has recently fallen wildly in love with the beautiful and enigmatic 16-year-old Alexis who lives in California. They have made great plans for their future and Ryan dreams of driving cross country and start a new life with her in San Francisco. But her parents’ disapproval of Ryan soon forces her to choose between her family and an unsafe future with the man she loves.

She’s a Danish director currently based in New York. Finished Film School in Cape Town in 2006 majoring in documentary film. She spent the past 10 years working in all aspects of production, primarily within the field of documentary in UK, Denmark, Sweden, Israel, USA and South Africa. Songs of Alexis is her first feature documentary was screened at Hot Docs 2014. Filmography Songs for Alexis (2014)

164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9 AM 페이지165

8월을 기다리며 Waiting for August Staff DIRECTOR | Teodora Ana MIHAI PRODUCER | Hanne PHLYPO, Antoine VERMEESCH CINEMATOGRAPHER | Joachim PHILIPPE EDITOR | Michèle HUBINON MUSIC | Karim BAGGILI SOUND | Frédéric MEERT Production Clin d’oeil Tel 32 484 974 442 info@clindoeilfilms.be

Director | 테오도라 아나 미하이 Teodora Ana MIHAI Belgium | 2014 | 88min | DCP | Color

World Sales Rise And Shine Tel 49 30 4737 298 0 info@riseandshine-berlin.de

Asian Premiere

Synopsis 할막 가족의 첫째 딸 조지아나는 이번 겨울에 15세 가 된다. 그녀는 여섯 형제 자매들과 함께 루마니아 바커우 변두리 공공주택에 살고 있다. 그들의 엄마 릴리아나는 토리노에서 경제 이민자로 살고 있으 며 이번 여름까지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엄마가 없 는 동안 조지아나는 가족의 새로운 가장의 위치에 던져진다. 가장으로써의 책임감과 사춘기 사이에 서 옴짝달싹 못하지만, 즉흥적으로 상황을 헤쳐나 간다. 영화는 조지아나와 형제들이 보내는 일상의 내밀한 장면들을 관찰자적 방식으로 보여준다. 우 리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들이 어떤 식으로 체험되 고 어떻게 아이들의 놀라운 상상력에 의해 해석되 는지 볼 수 있다. 관객들은 아이들의 기발함에 놀라 는 한편 그들이 유지하고 있는 일상의 균형이 얼마 나 연약한 것인가를 깨닫게 된다.

Georgiana HALMAC, eldest daughter of her family, is turning fifteen this winter. She lives with her six siblings in a social housing condo on the outskirts of Bacau (Romania). Their mother Liliana, an economic migrant in Torino, will not be back till the summer. During mother’s absence, Georgiana is catapulted to the role of new head of the family. Her adolescence is brutally cut short, when she becomes responsible for her brothers and sisters. Caught between puberty and responsibilities, she moves ahead improvising. Phone conversations with her mom are her only guidelines. Intimate scenes from the daily life of Georgiana and her siblings will show us—uncensored, in fly-on-the-wall style— how real events are experienced and interpreted with great imagination by these children. One is bound to be amazed by their great ingenuity, while also realizing how fragile their daily balance is.

테오도라 아나 미하이 Teodora Ana MIHAI Director’s Biography 부카레스트에서 태어났다. 샌프란시 스코에서 2년동안 고등학교를 다닌 후, 영상미디어 워크샵을 시작하였 고, the Seventh Art 매거진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였다. 벨기에로 돌아오자마자, 그녀는 시나리오 수 퍼바이저와 조감독으로 일하기 시작 했다. 상을 수상한 다큐멘터리 영화 <8월을 기다리며>를 연출한 후, 멕 시코 작가 하바쿡 안토니오 데 로자 리오와 멕시코 마약전쟁 속 십대 고 아들에 관한 다큐픽션 영화 프로젝 트를 공동으로 기획하고 있다.

Born in Bucharest. She completed the two last years of high school in San Francisco and started with a film and video workshops and became a true passion for the Seventh Art. Upon returning to Belgium, she first started working in the industry as a script supervisor and assistant director. After directing the award winning documentary Waiting for August, she is now developing a docufiction film about teenage orphans of the Mexican drug war, in collaboration with the Mexican writer, Habacuc Antonio de ROSARIO. Filmography Waiting for August (2014)

165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9 AM 페이지166

우리 팀의 코치가 되어주세요! Hear This! Staff DIRECTOR | Soulaima El KHALDI PRODUCER | Albert Klein HANEVELD CINEMATOGRAPHER | Roelvan´t HOFF, Benito STRANGIO EDITOR | Denise JANZEE SOUND | Menno EUWE, Ivar TRENTELMAN Contact Hollandse Helden Tel 31 20 33 17 417 jo@hollandsehelden.nl

술레이마 엘 칼디 Soulaima El KHALDI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술레이마 엘 칼디 Soulaima El KHALDI

네덜란드에서 기자, 작가로써 활동 해 오고 있다. 커뮤니케이션과 저널 리즘을 공부했다. 사회적인 문제와 문화의 다양성에 대해 관심을 가지 고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Hear This!는 감독의 첫 연출작이다.

The Netherlands | 2013 | 16min | HD | Color Korean Premiere

Synopsis 구델스타트에 사는 트리스탄 가족은 조금 독특하 다. 트리스탄의 부모는 소리를 듣지 못하지만, 트리 스탄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는 들리지 않는 사 람과 대화하는 데 능숙하지만, 일반 사람들은 그것 을 어려워하고 때로는 불편해한다. 그의 아버지가 트리스탄이 속해 있는 풋볼팀의 코치가 되려고 할 때 클럽에서는 절대 좋은 코치가 될 수 없을 것이라 고 한다. 하지만, 트리스탄은 그것이 헛소리라 생각 한다. 그의 아버지는 뛰어난 풋볼선수이다. 그는 심 지어 네덜란드 청각장애인 국가 대표선수팀에서 뛰기도 한다. 트리스탄은 아버지가 좋은 코치라는 사실을 확신할 뿐 아니라, 만일 아버지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다른 팀원들도 자신과 똑같이 느낄 것 이라 생각한다.

All About Docs

Tristan (10) and his family live in Kudelstaart. Their family is an unusual one because both Tristan’s parents are deaf, while Tristan himself can hear just fine. Tristan is great at talking to deaf people, but other people find it difficult or sometimes even uncomfortable. This stands in the way of Tristan’s father becoming the coach for Tristan’s football team. The club says his father can never be a good coach. Tristan thinks that’s nonsense. His father is a brilliant football player; he even plays for the Dutch national team for the deaf. Tristan is confident that his Dad would make a good coach and that his team members would feel the same way if he were just once given a chance to prove himself.

She is a journalist and storyteller from the Netherlands. She has a Bachelor in Communication and a Master in Journalism. In her work Soulaima focuses on social issues and cultural diversity. Hear This! is her debut documentary. Filmography Hear This! (2013)

166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9 AM 페이지167

내 이름은 리디아 A Home for Lydia Staff DIRECTOR | Eline Helena SCHELLEKENS PRODUCER | Frauke van BEUSEKOM CINEMATOGRAPHER | Ernst HERSTEL EDITOR | Patrick SCHONEWILLE MUSIC | Sean VRIES SOUND | Richard WILDER Contact KRO Youth Tel 31 35 671 3375 Frauke.vanbeusekom@kro-ncrv.nl

엘린 헬레나 슐레켄 Eline Helena SCHELLEKENS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엘린 헬레나 슐레켄 Eline Helena SCHELLEKENS The Netherlands | 2013 | 17min | HD | Color

Synopsis 리디아는 네덜란드에 살고 싶어 한다. 그녀가 태어 난 곳이 바로 여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녀의 부 모는 다른 나라에서 왔기 때문에 이곳을 떠나야만 한다. 본국으로 돌려보내지지 않기 위해 리디아의 가족은 계속 이사를 하고, 리디아는 친구들을 남겨 두고 전학 다니는 것에 지쳐버렸다는 내용의 노래 를 지어 부른다. 리디아의 엄마는 카메룬, 아빠는 나이지리아 출신이다. 그녀와 그녀의 오빠는 네덜 란드에서 태어났다. 그들 중 누구도 네덜란드 체류 허가증을 가지고 있지 않고 리디아는 그 점을 걱정 하고 있다. 만약에 부모님이 그들의 나라로 돌아가 야만 한다면? 그녀는 누구와 함께 가야 할까? 리디 아는 카메라 앞에서 전혀 거리낌이 없이 노래하듯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음악가 션 데 브리스와 함께한 즉흥세션에서 만들어낸 풍부하고 감동적인 노래는 그가 직접 연주하는 하모니카 반주에 맞춰 서 들린다. 비록 그녀의 댄스스텝과 리듬은 그녀의 아프리카 유산을 배반하고 있지만 말이다.

167

Lydia wants to stay in Holland because she is born here, but her parents have to leave because they are from another country. To make sure they will not be found and sent back, the family has to keep moving, over and over again. Lydia’s made up songs tell the true: she is tired moving from school to school, leaving her friends behind. Lydia’s mother is from Cameroon, her father from Nigeria, but she and her brother were born in the Netherlands. None of them have a Dutch residence permit, and that's a concern for Lydia. What if her parents have to go back to their home countries? Who will she have to go with? Lydia is remarkably unreserved in front of the camera. She tells her story partly in the expressive and moving songs that she made in improvisation sessions with musician Sean de VRIES. She sings in Dutch, providing her own accompaniment on harmonica – although her dance steps and rhythms betray her African heritage.

2007년 게릿 리트벨드 아카데미를 졸업하였고, 2009년 헤이그에 있는 필름후이즈에서 ART/HOUSE전시 회를 기획하였다. 재학 중 연출한 Amadou는 프라하, 멜버른 등 다수 의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She graduated from the Gerrit Rietveld Academie in 2007 and organized the exposition ART/HOUSE in the Filmhuis in Den Hague in 2009. Amadou, a film she made as a student, was nominated for the Ijzeren Haring at the Leids Film Festival and was shown at the Anemic Film Festival in Prague, at the Student Film Festival in Melbourne and at the breaking Ground Festival. Filmography A Home for Lydia (2013) To protect your safety Twentyseven Daar is het beter Amadou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9 AM 페이지168

잊혀진 이름, 앨리스 가이 The Pioneer Staff DIRECTOR/PRODUCER/WRITER/EDITOR | Daniela ABKE MUSIC | Christopher BOWEN SOUND | Helene SEIDL, Markus STEMLER Contact Daniela ABKE daniela.abke@gmx.de

다니엘라 앱케 Daniela ABKE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다니엘라 앱케 Daniela ABKE Germany | 2013 | 13min | HD | B&W Korean Premiere

Synopsis <잊혀진 이름, 앨리스 가이>는 우리를 영화 발명 초기 시대로 데려간다. 1896년 파리, 최초로 영화 가 대중 앞에 선을 보였을 때, 앨리스 가이는 이 매 체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최초의 내러티브 영화를 선보였다. 그녀는 고몽 영화 스튜디오의 예술 감독 이 되었으며 수백 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1907년, 앨리스 가이는 미국으로 이주해서 유럽에서처럼 극영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활동을 지속했고, 1920 년 그녀의 마지막 작품을 완성했다. 1968년, 94세 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고, 그녀의 죽음은 거의 알려 지지 않았다. 프랑스 및 미국에서 촬영한 앨리스 가 이의 작품 일부를 파운드 푸지티 다큐멘터리로 엮 어낸 이 영화는 뤼미에르 형제, 조르주 멜리에스와 함께 영화 역사에 새겨진 여성의 열정에 경의를 표 한다.

All About Docs

The Pioneer brings us back to the early days of cinema. Paris, 1896, first public film screenings. Alice GUY recognizes the medium‘s potential and stages the first narratives for the screen. She becomes artistic director of Gaumont Film Studios and realizes hundreds of films. For over a decade Alice GUY is in charge of all film productions. In 1907, Alice GUY emigrates to the United States where she builds and manages her own studio, Solax Films in New Jersey. As in Europe she continu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iction films, this time as an independent producer and director. In 1920 Alice GUY completes her last film. She dies 1968, at the age of 94, almost unknown. Most of her films are lost. The Pioneer unites some of Alice GUY’s French and American films in a found footage documentary. It pays homage to the passion of a woman who, together with the LUMIÈRE Brothers and Georges MÉLIÉS, has written film history.

독일 베스트팔렌 출신의 다니엘라 압케는 공업 경영 견습생활을 마치 고 올덴버그 대학에서 음악과 미술 을 공부했다. 그녀는 2008년 쾰른의 미디어 아트 아카데미에서 뛰어난 성적으로 졸업했다. 독립영화감독으 로 활동하고 있으며 일련의 영화제 수 상 단 편 ( Go to Shanghai, Snow-White, Tomorrow-Yeah!, La Pionnière)들을 제작,감독,편집 했다. 그녀의 단편들은 세계 유수 영 화제에 소개되었다.

Born in Westphalia, Germany. After an apprenticeship in industrial management, she studied Music and Fine Arts at the University of Oldenburg. In 2008 she graduated from the Academy of Media Arts in Cologne with distinction. She is working as an independent filmmaker and realised, produced and edited a series of award-winning shorts (Go to Shanghai, Snow-White, Tomorrow-Yeah!, La Pionnière). Her short films were presented on international festivals all over the world. Filmography The Pioneer (2013) Finistère (2011) Tomorrow-Yeah! (2008) Schneeweiss [Snow-White] (2003) Go To Shanghai (1999) Willkommen Auf Der Erde [Welcome To Earth] (1995)

168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9 AM 페이지169

더퀸 The Queen Staff DIRECTOR/PRODUCER/CINEMATOGRAPHER | Manuel ABRAMOVICH EDITOR | Iara Rodriguez VILARDEBÓ SOUND | Sofía STRAFACE Contact Manuel ABRAMOVICH Tel 54 91158795665 abramanuel@gmail.com

마누엘 아브라모비츠 Manuel ABRAMOVICH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마누엘 아브라모비츠 Manuel ABRAMOVICH Argentina | 2013 | 19min | HD | Color

Synopsis “그녀의 왕관은 너무 무거워서 그들은 그 무게를 덜어야 했다. 그녀는 왕관을 지고 있을 수 없었다. 왕관은 그녀의 머리에서 떨어질 것만 같았다. 그러 나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다. 왕관을 쓴 그녀는 매 우 아름답기 때문이다.”성인들의 세계에서 길을 잃고 일상에 갇혀버린 메미는 미인대회의 화려함 과 축제의 여왕이 되기를 압박하는 부모 사이에서 힘들어 한다.

“Her crown is so heavy, they had to remove weight from it. She couldn’t carry it. It would fall off her head. But now she doesn’t want anything else to be done with it because she looks so pretty.” Lost in a world of grown-ups and trapped in her routine, Memi is torn between the glamour of the beauty pageant and her family’s pressure to become the queen of the carnival.

부에노스 아이레스 출생으로 촬영을 공부한 후 다큐멘터리 감독 및 촬영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더 퀸>은 2014년 암스테르담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와 스위스 프리부르영화제, 부에노스아이레스독립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최근 첫 장편 다큐멘터 리 Solèy의 작업을 마쳤다.

Born in Buenos Aires, where he studied Cinematography. He has directed several short films. His latest work The Queen premiered at IDFA and won the Short Film Competition at Fribourg Film Festival and BAFICI. He is currently completing his first documentary feature Solèy, selected at the IDFA Summer School 2012 and funded by INCAA. Filmography The Queen (2014)

169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9 AM 페이지170

소녀들의 다락방 Tonight We’ll Become Women Staff DIRECTOR | Josefien HENDRIKS PRODUCER | Iris LAMMERTSMA, Boudewijn KOOLE CINEMATOGRAPHER | Claire PIJMAN EDITOR | Albert ELINGS SOUND | EVELIEN VAN DER MOLEN Contact Witfilm Tel 31 20 688 5049 jantien@witfilm.nl

조세피엔 헨드릭스 Josefien HENDRIKS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조세피엔 헨드릭스 Josefien HENDRIKS

배우로 활동했던 조세핀은 2008년 더치 필름 아카데미를 졸업했으며, 졸 업 작 품 인 We ain ’t going anywhere는 최우수 학생다큐멘터 리 작품으로 선정되었으며, 프랑스 와 네덜란드의 TV채널을 통해 방영 되었다. <소녀들의 다락방>은 2013 년 암스테르담국제다큐멘터리영화 제에서 상영되었다.

The Netherlands | 2013 | 15min | HD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이스미나(13)는 그녀의 이웃이자 가장 친한 친구인 코말(12)의 집에서 가끔 밤을 보내곤 한다. 영화는 그들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에 가지 는 파자마 파티를 보여준다. 그들은 어떤 것도 두 사람 사이를 변하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관객은 그들이 소녀에서 여성으로 성장하게 되는 내밀한 영화의 밤을 경험한다. 그들의 우정도 따라 서 변할까?

Ismini (13) often stays over for the night at the house of Komal (12), her neighbour and closest friend. In the year that they will change more than ever, physically and mentally, we are present at their pyjama parties. They are both convinced that nothing will ever change between them. We experience that year as one intimate film night in which they develop from girls into women. Does their friendship change along?

She started her career as an actress. In the year of 2008 she graduated as a documentary director at the Dutch Film Academy. Her final graduation film We ain’t going anywhere (Wij gaan nergens naar toe) was selected as one of the best fourteen student documentaries in Europe. Tonight We’ll Become Women was nominated for best Dutch youth documentary and also screened at IDFA 2013. Filmography Tonight We’ll Become Women (2014) We ain’t going anywhere (2008)

All About Docs

170


DMZ메인카탈로그내지2번 2014.9.15 9:9 AM 페이지171

다르덴 형제에게 보낸 편지 The Water and the Wall Staff DIRECTOR | Alice FARGIER PRODUCER | Alex IORDACHESCU EDITOR | Louise JAILLETTE, Camille GUYOT SOUND | Margot TESTEMALE, Adrien KESSLER CAST | Luc DARDENNE, Bradley LEBOUIL Contact Elefant Films

알리스 파르지에

Tel 41 22 301 6500 alex@elefantfilms.ch

Alice FARGIER

Director | 알리스 파르지에 Alice FARGIER

<다르덴 형제에게 보낸 편지>는 알 리스 파르지에의 첫번째 단편 다큐 멘터리 영화이다. 그녀는 허구와 에 세이를 섞어놓은 비디오 작품 Alice dans ma tête - Alice in my mind (비디오 포메스 상 2013) 와 영화감 독 장 앙리 로저에게 헌정한 Entre les cours의 작가이기도 하다.

Switzerland | 2014 | 25min | HD | Color Asian Premiere

Synopsis 브래들리는 그의 양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 그는 다 르덴 형제의 <자전거를 탄 소년>에서 자신처럼 보 육원에서 지내는 영화의 주인공 시릴의 연기를 본 후 격한 감정에 휩싸인다. 그는 내게 영화에 대해 이야기를 했고, 나는 그가 받은 느낌과 이야기를 촬 영했다. 그리고 브래들리에게 이 영상을 뤽 다르덴 에게 보여주겠다고 약속했다. 나는 기차를 타고 브 뤼셀에 있는 다르덴의 집으로 찾아가 브래들리를 담은 영상을 보여줬다. 브래들리와 뤽 다르덴 감독 은 서로 편지를 교환하기 시작했다. <다르덴 형제 에게 보낸 편지>는 부성과 유산, 그리고 유년기를 예술로서의 시네마로 담아낸 기록이다.

171

Director’s Biography

Bradley lives with his foster family. He attended a summer camp where I ran some cinema workshops, and he watched The Kid with a Bike (Le gamin au vélo) by the DARDENNE brothers. On the screen appeared Cyril, the protagonist who, like Bradley, lives in foster care. Bradley left the room, overwhelmed. He came to me to talk about the film. I video recorded his words and his feelings and promised him to show the footage to Luc DARDENNE. I took the train to Brussels. Luc DARDENNE, moved, watched the footage of Bradley at home. An exchange began between the child and the filmmaker. The Water and the Wall is a film about fatherhood, heritage, childhood and cinema as the Art of Childhood.

The Water and the Wall is her first short documentary movie. She is also the author of video pieces crossing fiction with essay Alice dans ma tête - Alice in my mind (vidéoformes Award 2013) and Entre les cours, in tribute to the filmmaker Jean-Henri ROGER. Filmography The Water and the Wall (2014)

All Abou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3

마스터즈 Masters

마스터즈에 소개되는 감독들과 작품들은 매년 영화제의 컨셉과 모 티브로부터 출발한다. 현대영화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언어를 창조 한다는 것은 불가능의 행위처럼 보인다. 거장들의 개인적인 단상들 은 젊은 감독들에 의해서 재인용 되고, 공정하게 모방되면서 재해석 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해낸다. 마스터즈에 소개되는 작품들 을 통해서 오리지널에 대한 근원과 의미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올해의 마스터즈는 마크 칼린(Marc Karlin, 1943~1999)으로 1970년대 영국에서 가장 급진적인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하였 다.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소개되는 감독으로 1976년 데뷔작인 <야 간청소부들>은 이주여성들과 하층계급의 여성들로 구성된 청소노 동자들의 노조 결성 과정을 보여주는 관찰자적 시점의 다큐멘터리 (다이렉트 시네마)작품이다. 마크 칼린 리서치 프로젝트의 홀리 에 일렛이 방문하여 마크 칼린의 작품세계 및 정치와 영화의 관계에 대 한 이야기들을 들려줄 예정이다.

Directors and documentaries introduced through Masters Section all begin from the concept and motif of the film festival. Creating a new language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film art seems impossible. Personal thoughts of masters are reutilized by young directors and fairly emulated to create new images through reinterpretation. Through works introduced in the Masters Section, the audience can presume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the original works. This year’s Master is Marc Karlin, who was active as the most radical documentary filmmaker in the UK in the 1970s. This is the first time he is introduced to the Asian film world, and his debut film Nightcleaners is a documentary filmed with an observer’s perspective (direct cinema), presenting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a labor union of cleaners made up of migrant women and women from lower social classes. Holly Aylett, a member of the Marc Karlin research project, has been invited to speak about the world of Marc Karlin’s wor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film.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4

마스터즈 : 마크 칼린 회고전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마크 칼린에 대하여 “ 영화는 오직 시장 이익을 위해 사회가 구성되었다고 말해지는 이 얼음같이 차갑고 변함없이 계속되는 경험을 따뜻하게 녹여줄 것이다. 묘사되고 있는 세계와 반영되고 있는 세계 사이의 긴장이 우리를 꿈의 상태 안에서 다시금 살아갈 수 있게 해주는 곳, 영화는 우리를 숨쉬게 해주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영화는 현재의 질서체계에 대항하 여 스스로를 내던질 것이다. 영화는 사회생활을 위한 경력증명서가 아닌, 문화적이고 상업적인 관리자들의 현존하는 근위병들을 지나쳐 곧장 달려나갈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영화는 다시 한번 - 여전히 가능한 - 경이로운 놀라움을 가져다줄 것이다.”- 마크 칼린 (1943-1999)

Filmography Milton (The Man Who Read Paradise Lost Once Too Often) (1999) The Haircut (1998) The Serpent (1997) The Outrage (1995) Between Times (1993) Scenes for A Revolution (1991) Utopias (1989) Nicaragua 4: Changes (1985) Nicaragua 3: In Their Time (1985) Nicaragua 2: The Making Of A Nation (1985) Nicaragua 1: Voyages (1985) A Dream From The Bath (1985) For Memory (1982) ’36 to ’77 (1978) Nightcleaners (1975) Ireland: Behind The Wire (1974) Dead Man’S Wheel (1968) American Choice ‘68 (1968) Deserter Film (1964)

1999년 마크 칼린이 죽자, 그는 영국의 가장 중요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영화감독으 로 묘사되었다. 30년 동안, 그는 세대의 양심으로 활동하였고, 미적으로나 정치적으 로 점점 더 보수적으로 변해가고 있는 매체 안에서 급진적인 형태와 주제를 추구함으 로써 동시대인들을 자극했던 영국의 급진적 영화인들의 핵심 인물이었다. 1968년 프랑스 5월 혁명의 시기를 보내면서, 크리스 마르케의 작품들에서 영감을 받았고, 런 던에서 새롭게 조직된 독립영화집단의 활동에 전념했다. 마크 칼린은 여성 야간청소 부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기 위해서 참여하기 시작한 여성해방운동에 주목하였고, 버윅스트리트 콜렉티브의 중요한 영화가 된 <야간청소부들>(1975)에서 그들의 운동 을 완벽하게 카메라에 기록했다. 국제적 관점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그의 작품은 영국 내 문 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 중 1970년 후반의 대중 게릴라전, 산디니스타 혁명정 부의 성장, 미국의 원조를 받은 반군전쟁의 영향, 그리고 1989년 산디니스타 민족해 방전선의 패배를 아우르는 나카라과 혁명에 대한 5편의 놀라운 영화들은 예외적이 다. 영화는 산디니스타의 지도체제를 부각하기 보다는, 도시와 지방 민중의 목소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희소적 관점은 지치고 불안정한 혁명의 과정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사회의 변화는 놀라운 업적들을 야기시켰지만, 우파의 반대 뿐만 아니라, 모순적인 기대감과 지역 차원에서 일상적 조직화의 문제점들로 인해 어 려움을 겪었다. 혁명에 관한 특별한 기록을 남겼다는 것 외에도, 영화는 전세계적으 로 진행되고 있는 민주주의에 대한 대중적 요구와‘아랍의 봄’에 관한 관점을 제공한 다는 점에서 현재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대처리즘의 근본적인 사회적 변화와 좌익에 영향을 주었던 치명적인 혼란에도 불구 하고, 마크 칼린은 사회주의라는 주제를 탐구하는 데에 끊임없이 투자했다. <기억 >(1982)에서 그는 20세기말 좌파의 침묵에 기여한 문화적 기억상실증의 위험성을 서술했다. ‘사회주의의 종말 ’ 을 선언하기를 반항적으로 거부하면서, 마크 칼린은 <유토피아 >(1989)에서 그것에 대한 다원적 원칙들을 제시하였고, <시간 사이에서>(1993)는 그 것에 대한 모순을 보여주었다. 이 영화들에서 그는 사회주의를 삶의 방식이나, 비전,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7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5

딜레마와 영감의 소재로 삼을 것을 선포하면서, 사회주의가 유동적이 라고 묘사하였다. 그의 1990년대 작품은 문화적 고립을 표현하고 있 는데, <더 서펀트 The Serpent>(1997)는 루퍼트 머독과 타블로이드 매체들이 환상적으로 투사되도록 한 우리들의 공모를 불편하게 드러 낸다. 반면에 <헤어컷 The Haircut>(1998)은 신노동당의 새로운 인습 에 대해서 항의하고 있다. (마크 칼린 리서치 프로젝트) 마크 칼린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주제로 한 두 권의 책이 출간될 예정 이다. 영국의 아티스트필름 아카이브이자 배급사인 럭스(Lux)에서 영 화 <야간청소부들>을 집중적으로 다룬 책을 출간할 예정이며, 마크 칼린이 1980년 부터 1999년 까지 제작한 12편의 에세이 다큐멘터리 작품들에 관한 글을 모은 책도 나올 예정이다. 영화비평가들의 글로 구성된 이 책은 마크 칼린 아카이브가 기획하였으며, 영화잡지 Vertigo의 창간멤버이자 다큐멘터리 작가인 홀리 에일렛, 니카라과 시리즈를 함께 작업한 마크 칼린의 동반자이자 인류학자인 헤르미온 해리스, 그리고 필름 아카이비스트인 앤디 롭슨의 책임 하에 리버풀 대학교에서 출간될 예정이다. 2011년부터 마크 칼린 아카이브는 그 의 작품들과 노트들을 수집, 정리하기 시작하였으며 상영과 강연을 통해서 관객들에게 그의 작품세계를 소개하기 시작했다. 그에 관한 두 권의 책은 2015년 출간될 예정이다.

ABOUT MARC KARLIN “A cinema that will unfreeze that icy and now constant experience of being addressed only as a social construct for the benefit of the market; a cinema where the tension between a world that is being illustrated and a world that is being illuminated can make us live again in that dream-state so necessary to our very breathing; a cinema, therefore, that will hurl itself against that current order of things, a cinema that is not a calling card for a career but a cinema that will march straight past this present Praetorian guard of cultural and commercial administrators and by so doing will deliver once again that wonderful surprise – that which is still possible.” – Marc Karlin 1943-1999 On his death in 1999, Marc Karlin was described as Britain’s most significant, unknown filmmaker. For three decades, he was a key member of the country’s radical filmmakers, acting as a conscience of his generation, jolting his contemporaries to seek radical forms and themes in a medium that was becoming increasingly aesthetically and politically conservative. Present in Paris around the events of May 1968 and inspired by the output of Chris Marker, Karlin submerged himself into London’s newly formed independent film collectives. Karlin was drawn into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drive to unionise female nightcleaners, perfectly framed in the Berwick Street Film Collective’s seminal film, Nightcleaners (1975).

popular guerrilla war of the late 1970’s, the development of the Sandinista government, the effects of the US-backed contra war, and the defeat of the FSLN in 1989. Rather than foregrounding the Sandinista leadership, the films speak from the grassroots, both urban and rural. This rare perspective portrays a revolution for what it is – an exhausting, uneven process.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generated extraordinary achievements, but was beset not only by right-wing opposition, but by contradictory expectations and daily organisational problems at a local level. Apart from providing a unique record of a revolution, the films are particularly relevant today, providing perspectives on the ‘Arab Spring’ and popular demands for democracy around the world. Undeterred by the fundamental societal shifts of Thatcherism and the crippling confusion affecting the left, Karlin invested himself in the continued exploration of socialist themes. In For Memory, he outlined the dangers of cultural amnesia, which had helped contribute to the silencing of the left wing voice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Defiantly resisting the announced ‘death of Socialism’, Karlin then gave voice to its pluralist principles in Utopias (1989) and its contradictions in Between Times (1993). In these films, he depicted socialism as in flux, preferring to proclaim it as a way of life, a vision, a subject of dilemma and an inspiration. His 1990s work expressed a cultural isolation. The Serpent (1997) uncomfortably revealed our complicity in the fantasy projections of Rupert Murdoch and the tabloid media, while The Haircut (1998) protested against the new conventionality of New Labour. (Marc Karlin Research Project) Marc Karlin’s exceptional body of work will be the subject of two forthcoming publications, one focusing on Nightcleaners, produced by the Lux, UK’s leading archive and disseminator of artist and experimental film, and another more extensive book on the body of work he went on to produce– 12 essay documentaries between 1980 – 1999 – combining articles by his creative team, with critical analysis, and taking the reader on a visual journey to inspire a reengagement with his films . This last publication will be published by Liverpool University Press and is one of the outputs of The Marc Karlin Archive, set up by Holly Aylett, fellow documentarist and founder member of Vertigo, anthropologist, Hermione Harris, collaborator on Nicaraguan project and partner of Marc Karlin and film archivist, Andy Robson. Since 2011, the Archive has organsied and preserved Marc Karlin’s film and paper archive, and introduced new audiences to his work through events and screenings. Both books on Marc Karlin will be published in March 2015, and more information on Marc’s films, his influences, the Archive and our events can be found on our website http://spiritofmarckarlin.com @KarlinMarc

Although informed b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most of Karlin’s work focuses on the UK. An exception was the remarkable series of five films on the Nicaraguan revolution encompassing the

175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6

마크 칼린의 영혼으로

홀리 에일렛 1999년 그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마크 칼린은 영국에서 가장 독특하 고 알려지지 않은 필름 에세이스트로 묘사되었다. 이 강의에서 나는 그의 영화적 의미를 요약할 것이며, 또한 그에게 창조적 실천을 가능 케 했던 중요한 아이디어와 모티브를 소개할 것이다. 마크 칼린은 1968년 혁명의 시기를 파리에서 보낸, 적극적인 젊은 영 화감독이였다. 그는 이 시기에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기 시작했던 프 랑스의 필름 에세이스트인 크리스 마커를 소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영화가 혁명적 변화의 순간을 담아내는 역할을 할 수 있을거라는 신 념으로 가득 차 있었다. 런던으로 돌아온 후에도 최초의 독립영화 콜 렉티브‘시네마 액션’ , 그리고 자신이 결성한‘ 버윅스트리트 콜렉티 브’ 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1972년 부터 1975년 사이에 촬영한‘ 버윅 스트리트 콜렉티브’ 의 <야간청소부들>은 여성인권문제를 다른 방식 으로 재현한 획기적인 실험 다큐멘터리 영화로 알려졌다. 마크 칼린이 그의 12편에 이르는 에세이 다큐멘터리 작품들을 통해 서 어떻게 자신의 고유한 목소리를 전개했는지 논하고자 한다. 그의 에세이 다큐멘터리 작품들은 촬영감독인 조너선 블룸, 편집의 스티 븐 스프렁과 브랜드 튜민을 포함한 핵심적인 크리에이터들이 참여 하였다. 각각의 작품들은 매우 독특한 구성으로 만들어지기도 했지 만, 무엇보다도‘역사의 인식’ 을 구체화하는 데 있어서 이미지의 역 할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도를 하였다는 것이다. 마크 칼린은 이를 “영향력 하에 이미지를 위치시키기”라고 명명했다. 그의 첫 번째 구상영화인 <기억>(1986)은 우리의 기억을 구성하는 역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질문에 있어서 미래주의적 도시라는 전략을 사용했으며, 대안적인 미래를 위한 우리의 비전을 속박했다. 이러한 모티브와 관심사는 그의 작품들을 관통하고 있는데, 1989년 작 <유토피아>에서는 포스트 소비에트 세계에서도 사회주의의 연관 성을 단언하고 있다. 1993년 작 <시간 사이에서>는 앞으로 새로운 길을 찾는 데 있어서의 모순들과 직면한다. 그의 미완성 유작인 영국 시인 존 밀턴에 관한 작업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터리 제작 실천에 있어서 관습적인 태도를 확장하고 있다. 이미지에 대한 관객들의 연계성을 대체함에 있어서 그는 끊임없이 픽션과 다 큐멘터리의 경계를 밀어붙이고 있다. 그리고 우리를 복잡계 (Complex System)로 안내하기 위해 다중의 내러티브 목소리, 이미 지에 부여된 해석의 불안한 규칙, 작업을 다루는 작가의 태도를 전개 시켰다. 마지막으로, 그의 작업 세계를 통해서 마크 칼린의 흔적을 강조하고 자 한다. 그는 포괄적인 문화 공간을 위한 열렬한 지지자이자 지역 커 뮤니티를 통해서 다양하고 실험적인 작품을 육성했다. 또한‘독립영 화조합’ 을 통해서 채널4를 위한 활동을 꾸준히 하였으며, 그 결과 알 랭 폰테인의 지휘 하에 있었던 독립영화 및 비디오 분과는 지역과 민 족 커뮤니티에서 제작된 실험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그렇 지 않았다면 제작하기 힘든 작업들이었을 것이다. 그는 또한 독립 무 빙이미지 잡지인 영국의 Vertigo Magazine(1993~2010)을 이끄 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홀리 에일렛은 영화 제작자이자 문화 분야의 담당자이다. 캠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하고 BBC에 몸담았다. 그 후 Channel 4의 초창기에 여러 실험적인 회사들과 일해왔다. 그중에는 캐러비안과 아시안 커 뮤니티등에 대안 플랫폼, 시사뉴스, Bandung File 같은 TV 프로그램 등을 공급하던 여성만으로 이루어진 팀인‘브로드사이드’가 있었다. Vertigo Magazine (1993-2010)의 창립 멤버로서 폐간될 때까지 공동 편집자로 활동하였다. 2003년 혁신적이고 독립적인 영화제작자들과 필름정책에 목소리를 내기 위하여 독립영화모임을 설립하였다. 2005년에는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을 위한 유네스코 컨벤션을 지원 하기 위하여 영국 문화 다양성 연대를 지휘하기도 하였다. 또한 런던 세계 정책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영화와 문화 정책에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마크 칼린의 작품에 대한 그녀의 책은 2015년 3월 리버풀 대학교 출판국에서 출간될 예정이다.

비록 그의 사상이 유물론적인 현실성에 뿌리박고 있긴 하지만 칼린 의 철학적 질문은 우리를 담화의 독특한 형식으로 유도하고 다큐멘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7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7

IN THE SPIRIT OF MARC KARLIN

Holly Aylett On his premature death in 1999, Marc Karlin was described as Britain’s most significant, unknown film essayist. In this brief presentation I shall try and summarise his significance and introduce some of the seminal ideas and motifs which informed his creative practice. As a young man, he was active as a film-maker in Paris around the events of May 1968 and inspired by the role which film could play in moments of revolutionary change, not least by his introduction to the now-renowned French essayist, Chris Marker. On his return to London he engaged with the seventies, independent film collectives firstly through Cinema Action and then through his own group, Berwick Street Film Collective which became known for its ground-breaking, experimental film on women’s right to representation, Nightcleaners (1972-75). I will discuss how Karlin went on to develop his own voice through his twelve subsequent essay documentaries with a core creative team including cameraman, Jonathan Bloom and film editors Steven Sprung and Brand Thumim. Each of these films is distinctive, but all develop ways of challenging the role of the image in constructing the sense of history, which we are, part of: Karlin called it “putting images under pressure”. In my presentation I will discuss the way his first, formative film, For Memory (1986), uses the strategy of a futuristic city to question how interpretations of history construct our memory, and confine our vision for alternative futures. Many of the motifs and concerns of this documentary recur throughout his work whether in Utopias (1989), which affirms the relevance of socialism in a post-Soviet world, Between Times (1993), which opens up contradictions in finding a new way forward, or in his last, unfinished work on the English poet, John Milton.

life, remained a vociferous advocate for an inclusive cultural space, one that would nurture diverse and experimental work through locally based communities. Through the Independent Filmmakers Association he campaigned for Channel Four, and as a result, the Independent Film and Video Department, under the leadership of Alan Fountain, made possible experimental work from regional and ethnic communities which would otherwise have been invisible. He was also a leading voice in setting up UK’s leading, independent publication on international, independent moving image, Vertigo Magazine, (1993-2010).

Holly Aylett is a filmmaker, lecturer and cultural sector director. She graduated from Cambridge University and joined the BBC. She then worked with several pioneering companies in the early years of Channel 4, including Broadside, the first all-women team to provide mainstream, current affairs, and Bandung File, an alternative platform for the Asian and Caribbean communities. A founder member of Vertigo Magazine, 1993-2010, she co-edited the magazine until it closed. Her edited book on Marc Karlin’s work, will be published by Liverpool University Press in March 2015.

I will explore how Karlin’s philosophical questioning, though anchored in material realities, leads to a unique style of address, extending conventions of documentary practice. By displacing the audience’s relationship to the image, he constantly pushes the boundaries of fiction and documentary, and develops a layering of narrative voices to invite us into the complex, unsettling game of interpretation posed by the image and the way it is manipulated. Finally, I will emphasise that Marc Karlin, throughout his working

177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8

야간청소부들 Nightcleaners

Director | 버윅스트리트 콜렉티브

The Berwick Street Collective

Berwick Street Collective

MARC KARLIN

(Marc KARLIN, Mary KELLY, James SCOTT,

HUMPHRY TREVELYAN

Humphry TREVELYAN)

JAMES SCOTT

UK | 1975 | 90min | Digibeta | B&W

MARY KELLY Contact Lux Distribution distribution@lux.org.uk

Courtesy of Marc Karlin and LUX, London.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7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79

The Berwick Street Film Collective

Synopsis

1970년 탄생한 버윅스트리트 콜렉티브는 1980년까지 다수의 다큐멘터리들을 제작하였다. 리차드 모단트, 마크 칼린, 험프 리 트레벨리안 삼인으로 구성 된 버윅스트리트 콜렉티브의 작 업들은 그들의 개별적인 혹은 협업을 통해 제작되는 필름들에 기반을 두고있다. 넓게 보자면 그들의 작품들은 1970년대 전 위적인 영국 다큐멘터리 필름들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야간청소부들>은 버윅 스트리트 콜렉티브(마크 칼린, 메리 켈리, 제임스 스 콧, 그리고 험프리 트레블라이언) 멤버들이 만든 다큐멘터리로, 야간에 사무 실 건물을 청소하는 여성 노동자들이 부당한 처우에 맞서 노동조합을 결성 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캠페인 영화로 시작했지만 버윅 스트리트 콜렉티 브는 청소부들, 청소노동자 활동단체 그리고 노조 사이의 영향과 갈등, 그리 고 운동 그 자체의 복잡한 본질 등을 그려내기 위해 새로운 방식들로 전환하 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인 이 강력한 자기성찰적 영화는, 만든 이들뿐만 아니라 관객들까지도 위태로운 무형의 노동에 연루시킨다. <야간 청소부들>은 최근 들어 1970년대의 주요 작업으로 평가 받고 있으며, 주제 와 형식 양면에서 오늘날의 정치적 예술 실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국 의 평론가 토니 레인즈(Tony Rayns)는 <야간청소부들>을“영화가 대상으 로 하는 사회정치적 문제뿐만 아니라 영화의 지위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많 은 질문을 던지며, 야간청소부들의 캠페인을‘열린 텍스트’ 를 생산하는 광범 위한 정치적 토론 속에 위치시키는 영화”라 평했으며, 아네트 쿤은“영국 정 치 영화 그리고 콜렉티브, 페미니스트 영화 중에서도 랜드마크라 할 만한 영 화”로 평가하기도 했다. <야간청소부들> 1부는 원래 다른 시리즈로 이어질 예정이었으나, 2부의 촬영 소재는 결국 풀럼의 청소노동자 활동단체의 리더 였던 머틀 워덜리(Myrtle Wardally)에 초점을 맞춘<36에서 77> (1978)로 발전했다.

장 뤽 고다드와 크리스 마커 같은 감독들로부터 부분적으로 영 향을 받은 그들은 소외된 노동자 그룹들간의 갈등, 노동자 계 급의 커뮤니티 그리고 정부와 노조내부의 정치적 계급구조 같 은 동시대의 주요 정치적 문화적 소재들을 다루었다.(<야간청 소부들>) <아일랜드 비하인드 와이어>의 경우 영국 정부에 의 한 아일랜드 북부의 IRA 운동원들의 구금을 다루었으며, 아일 랜드 공화국에 대한 새로운 자각의 성장을 다루고 있다.<36 to 77>은 서부 런던의 이주가족들의 경험을 다루고 있다. 그 당시 통용되던 영국 텔레비전의 정통적인 관찰자적 필름에 극단적인 논쟁을 불러 일으킨 <야간청소부들>은 관객의 반응 에 따라 상당한 명성과 악평을 동시에 받았다. 필름의 목적과 구조의 주요 부분을 영화적 묘사의 수단으로 검증하는 최초의 영국 다큐멘터리들 중의 하나이다. <야간청소부들>은 동시대 의 기념비적인 영화로 남아있으며 영국 다큐멘터리 영화사의 소위 반사적 전통이란 기원을 알린 작품이기도 하다.

The Berwick Street Film collective was formed in 1970, and produced a series of feature documentaries until around 1980. The work of the collective was based on the film making, both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of its small group of members - Richard Mordaunt, Marc Karlin, and Humphry Trevelyan. Broadly speaking, these films were seen as being part of the avant garde of British documentary film in the 1970s. Influenced in part by film makers like Godard and Marker, their films dealt with some of the major political/cultural issues of the day, such as the conflict between groups of underrepresented workers and working-class communities, and the political hierarchies in the trade unions and governments (Nightcleaners 1974): the internment of Republican activists in the north of Ireland by the British government, and the growth of a new Republican consciousness (Ireland Behind the Wire): and the experience of immigrant families in West London (36 to 77). ‘Nightcleaners’ achieved considerable fame or notoriety, depending on the audience’s response to its radical contestation of the then-established orthodoxy of observational film in British television. It was one of the first British documentaries to make the examination of the means of filmic representation a central part of its purpose amd structure. It remains as one of the landmark films of the period, and signalled the beginning of what is often called the reflexive tradition in documentary film in the UK. 179

Nightcleaners Part 1 was a documentary made by members of the Berwick Street Collective (Marc Karlin, Mary Kelly, James Scott and Humphry Trevelyan), about the campaign to unionize the women who cleaned office blocks at night and who were being victimized and underpaid. Intending at the outset to make a campaign film, the Collective was forced to turn to new forms in order to represent the forces at work between the cleaners, the Cleaner’s Action Group and the unions - and the complex nature of the campaign itself. The result was an intensely self-reflexive film, which implicated both the filmmakers and the audience in the processes of precarious, invisible labour. It is increasingly recognised as a key work of the 1970s and as an important precursor, in both subject matter and form, to current political art practice. “A film that places the nightcleaners’ campaign within a series of broader political discussions formulated as an ‘open text’ which asks as many questions about its own status as a film as it does about the socio-political issues that are its subject. No engaged person should overlook its challenge” (Tony Rayns, Time Out). “A landmark work of British political cinema and of collective and feminist film-making” - Annette Kuhn Nightcleaners Part 1 was originally conceived as the first of an ongoing series; material subsequently shot for Part 2 eventually became '36 to '77 (1978), a documentary focused on Myrtle Wardally who was a leader of the Cleaners’ Action Group strike in Fulham. A new print of ’36 to ’77 is available from the British Film Institute (http://www.bfi.org.uk/).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0

기억 For Memory

Director | 마크 칼린 Marc KARLIN

Staff

UK | 1982 | 114min | Digibeta | Color

DIRECTOR | MARC KARLIN EXECUTIVE PRODUCER | PETER SAINSBURY, BARRIEGAVIN LIGHTING CAMERAMAN | MAXIM FORD, JONATHAN BLOOM FILM SOUND | MELANIE CHAIT SCRIPT | MARC KARLIN, DON MACPHERSON EDITOR | BRAND THUMIM ART DIRECTOR | MIRANDA MELVILLE SOUND EDITOR | NICK DUBRULE Contact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8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1

마크 칼린, 역사학자 셰일라 로우보섬과의 대화 중

(<기억>은 문화적인 기억상실증에 대해 사색하는 작품으로, 이 영

주 구체적인 관계입니다. 그러므로 이 영화는 잊고 또 기억하는 한

화의 주제와 모티브는 차후 칼린이 만든 11편의 다큐멘터리에서도

도시에 대한,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잊고 기억하는지에 관한 에세이

반복된다. 아이러니하게도, TV와 기억에 관한 이 영화는 잊혀진 채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파트는 그들의 기억과 함께 도시로 진

한동안 방치되었다가 1986년 3월 BBC의 오후 코너에서 방영되었

입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 사람들, 즉 사회주의자들에 관한 것입니

다. )

다. 그들은 도시의 경계 바깥에 있고, 그들의 기억은 여태까지도 수 용되지 않았습니다.

“ 저는 <기억>에 대해 1975년부터 쓰기 시작해서, 77년과 78년 사이 에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이 작품은 BFI와 BBC가 공동제작

한 에피소드는 광부의 작업 도구와 클레이 크로스에 있는 광산을 찍

했는데, 그건 뛰어난 제작자인 개빈 배리가 제게 그 작품을 BBC를

은 사진들을 수집하는 역사학자 클리프 윌리엄스에 관한 것입니다.

위해 독립적으로 제작하기를 바랐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당시에는

그곳에서 그가 이 전시를 열었을 때, 모든 늙은 광부들이 자신들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우리는 어떻게든 해냈어요. <기억>은 1982년

작업도구를 확인하러 오는 광경을 볼 수 있었지요. 두 번째 에피소

BBC에서 방영된 최초의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였습니다. 당시에는

드는 버포드의 역사학자 E. P. 톰슨이 17세기 아일랜드 침략에 대한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는데 <기억>이 방영된 다음에는 독립영화제

양심적 거부로 총살된 수평파(Leveller)에 관한 강의를 다루고 있습

작자들이 TV와 일을 하는 것이 더 일반적인 일이 되었습니다.

니다. 세 번째는 이스트런던 캐이블가의 반파시스트 운동가 찰리 굿 맨입니다. 찰리는 이 멋진 벽화를 그렸고, 우리를 인도합니다. 그

<기억>은 기억과 역사에 관한 작업입니다만, 그건 제가 역사를 갖고

리하여 <기억>은 그 역사들을 재인지되도록 하기 위한 노력입니다.

있지 않고 기억력도 정말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홀로코스트

수평파, 클레이 크로스 광부들, 캐이블가 폭동 같은 일들요.

Holocaust>라는 멍청한 헐리우드 시리즈가 히트를 친 것이 이 영 화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영화가 제기하는 질문은 이것입니다. 다큐

도시에 관한 파트 이후, 영화는 알츠하이머 병을 가진 사람들이 있

멘터리 사진은 어째서 그렇게 일찍 죽어버렸으며 - 다큐멘터리 사

는 병원을 비추기 시작합니다. 거기서 그들에게 마음을 움직일 만

진의 역사는 고작 30년 입니다 - 허구로 대체되었는가? 허구화는

한 것을 주는 사진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사진은 그들이 기억을

너무나도 저속하고 끔찍합니다.

되살리게끔 돕는 등 여러 역할을 합니다. 당신은 기억의 파괴가 얼 마나 쉽게 이루어지는지 보게 될 겁니다. 이들은 적극적이었다가,

저는 스튜디오에다 영국 템즈 강변의 신도시인 도크랜드처럼 보이

불현듯 방금 전에 일어난 일조차 기억하지 못했어요. 그들은 예전의

는 가상의 도시를 만들었습니다. 물론 당시 저는 그렇다는 걸 몰랐

기억은 가지고 있으나, 그것을 포착할 언어를 잃어버린 겁니다. 언

죠. 저는 그저 건축가들이 만든 모형들을 구해다 말 그대로 도시 하

제나 단어들을 마구 뒤섞습니다. 그 허약함이 놀라울 정도예요. 기

나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어떻게 도시

억이 취약하게 부서지는 거죠.”

가 기억하고 잊는지를 상상하려 애썼어요. 그건 단순히 현대 도시들 이 기억상실증에 걸려있기 때문이라서가 아니라 역사가 도처에 있

<계급에 관하여: 영화, TV 그리고 영국의 노동계급>에서 발췌. 셰일

기 때문입니다. 영화가 보여주듯, 시민 한 사람은 잊을 수 있습니다.

라 로우보섬, 휴 베니언 편집(Rivers Oram Press, 2001)

그러나 심한 망각에의 위험이 있을 때 그는 TV 드라마나 헨리 5세, 아니면 그 무엇에든 속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역사와의 아

181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2

For Memory in Marc Karlin’s own words in conversation with historian, Sheila Rowbotham

(For Memory is a contemplation on cultural amnesia, carrying the themes and motifs that would recur in Karlin’s eleven subsequent documentaries. Ironically, a film about TV and Memory was forgotten. It remained neglected until the BBC broadcast the film in an afternoon slot in March 1986.) “For Memory. I started writing it 1975 and shot it between ‘77 and ‘78. It was done as a co-production between the British Film Institute and the BBC, because Gavin Barry, a really good filmmaker, wanted me to make a film independently and for the BBC. This was unknown at the time, but somehow we got through it. In 1982 For Memory was the first independent film to be shown on the BBC. It created a great clamour, but after For Memory had appeared it was to become more common for independent filmmakers to get their work on TV. For Memory is about memory and history, because I don’t have a history and I have a very bad memory. It was occasioned by Holocaust, that stupid Hollywood series that had such a huge effect. The question the film asks is: how could a documentary photograph die so soon - it was then only about thirty years - and be taken over by a fiction? The fictionalisation was so vulgar and so horrible.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I built an imaginary city in a studio, which now looks like Docklands, but at the time I didn’t know that of course. I just got architects’ models and started literally building a city. I made a camera to move around it, and tried to imagine how the city remembers and forgets. It is not simply that modern cities are amnesiac, because history is all around. As the film says, a citizen can forget, but if there is danger of too much forgetting he can be pulled by a leash, by a television play, Henry V, or whatever it might be. But this is a very specific relationship to history. So it was an essay on a city that forgets and remembers, and how it forgets and how it remembers. The third part was about those who are not allowed in the city with their memories - the socialists. They are outside the city’s bounds, and their memories have not yet been incorporated. One episode was about a historian, Cliff Williams, who collected miner’s tool and photographs of the mine at Clay Cross. When he held this exhibition there, you see all the old miners coming back to touch their tools. The second episode was the historian E.P Thompson at Burford, giving a lecture on the Levellers, who were shot there in the seventeenth century for refusing to fight in Ireland, and the third was Charlie Goodman, an anti-fascist fighter at Cable Street, East London. Charlie made this wonderful mural there, and he guides us through it in the film. So For Memory was

18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3

about trying to get those histories recognized: the Levellers, the Clay Cross miners, the Battle of Cable Street and so on. After the part on the city, the film starts off in the hospital with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There was a photographic project, to give them things to touch, photographs to help them remember and so on. You realise the ruin of memory is so easy: these people were active, and suddenly they cannot remember what happened the last second. They have a long-term memory, but they had no language to capture; they jumble up the words all the time. The fragility is unbelievable, fragile ruins.” Extract taken from Looking at Class. Film, Television and the Working Class in Britain. Edited by Sheila Rowbotham and Huw Benyon, Rivers Oram Press, 2001.

183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4

니카라과 시리즈, 마크 칼린과 역사학자 셰일라 로우보섬의 대화 중

(니카라과 시리즈는 1983-1984년 사이에 촬영된 네 편의 영화로 이

엇을 위해 죽은 것일까? 그것이 진짜로 던져봐야 할 질문입니다. 그

루어져 있다. 그리고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은 1990년 산디니스

15세 소년들에게요. 그들의 이름을 딴 거리들 곁에는 아름답게 칠

타 정부가 혁명에 대적했던 콘트라 반군으로 대표되는 보수 세력 연

한 기념비들이 세워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마나과의 비와 모래, 먼

합에 의해 힘을 잃게 된 두 번째 선거 동안 촬영되었다.)

지 가득한 기후가 곧 그것들을 침식했지요. 고작 3년이 지난 다음에 도 변화가 확연했습니다.

“1985년 저는 제가 만든 니카라과 영화 시리즈들 때문에 상당히 곤 란한 상황에 처했었어요. 니카라과의 기관 뿐만 아니라 니카라과 연

선거 직전, 그러니까 산디니스타 혁명정부가 패하고 저는 마지막 영

대위원회로부터도요. 그건 제가 리더쉽에 대해 묘사하지 않았기 때

화 <혁명의 광경들 Scenes For A Revolution> 촬영을 위해 돌아

문이었지요. 이건 제 문제지만, 저는 리더들에게 큰 관심을 둔 적이

왔습니다. 그리고 제가 갔던 장소들로 다시 돌아갔지요. 우리는 변

없었고, 아마 저는 그런 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빈곤한

화를 기록했어요. 그때도 저는 그 소년들이 잊혀질 거라는 것을 잘

나라는 영웅들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는 했지만요. 그

알고 있었습니다. 니카라과가 잊혀진 것과 같이요. 더 이상 헤드라

때는 리더쉽이 심히 강조되는 시점이었는데, 물론 제가 빈곤에 대해

인으로 올라가지 않는데 무엇이 신경 쓰였겠습니까?

요하는 만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점은 사실인 것 같습 니다. 그때는 정말 지도자들이 광장에 나가면 수백만의 군중들이 그

<계급에 관하여: 영화, TV 그리고 영국의 노동 계급>에서 발췌.

들의 연설을 들으러 나올 정도였습니다. 슬로건은‘국가의 방향, 우

셰일라 로우보섬, 휴 베니언 편집(Rivers Oram Press: 2011)

리에게 명령을’이었는데, 저로서는 견딜 수 없는, 그리고 소화할 수 없는 슬로건이었습니다. 그 반대여야만 했지요. 저는 너무나 많은 권위주의적 폭력의 광경들을 목격했습니다. 어리 석음과 검열, 그리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말할 용기의 부족. 아이들이 관에 담겨 돌아오는 중인데도 불구하고요. 저는 묘지에서 죽은 아이들의 어머니들과 함께 오랜 시간을 보냈습니다. 영화 <야 간청소부들>(버윅스트리트 콜렉티브, 1974)의 노동자들처럼, 활달 하고 따뜻하고 그저 놀라운 사람들이었어요. 그들은 혁명의 파도 같 았습니다. 정말, 진심으로요. 몇몇은 거의 야만성이라 할 만큼 육중 한 팔을 가진 시장 사람이었습니다. 그들의 아들들은 관에 든 채 돌 아왔고, 그들은 무덤을 지키기 위해 갔습니다. 매주 일요일 우리는 그들과 함께 했어요. 콘트라 반군과의 전투에서 죽어나간 14세나 15세 소년들 말입니다. 만약 제가 지금 그곳으로 돌아간다면, 그들은 여전히 그곳에 있을 겁니다. 그러나 니카라과는 완전히 잊혀졌겠지요. 그러면 그들은 무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8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5

Nicaraguan Series in Marc Karlin’s own words, in conversation with historian, Sheila Rowbotham.

(The Nicaraguan Series consisted of four films shot in 1983/84. and then a fifth, shot during the second election, 1990, when the Sandinistas lost power to a coalition of conservative forces including those representing the Contras who had fought against the revolution) “In 1985 I got into terrible trouble with the series of Nicaragua films that I did, from both the Nicaragua authorities and the Nicaraguan Solidarity Committee because I did not portray leadership. I have never been too interested in leaders, which is a fault of mine, maybe, but I just don’t like it very much, though I can see that a poor country does need heroes. I think it was true that I didn’t understand the poverty enough, not that need – there was such an emphasis on leadership. Indeed when the leaders would go to the square and millions of people went to hear them, the slogan was ‘National Direction, give us our orders’, which I could not bear, I could not stomach it: it should have been the other way round.

were beautifully painted monuments built with streets named after them, but Managua having the climate that it has, the rain, the sand and dust would soon pulverize them. Even after only three years you could see the change. Just before the elections when the Sandinista Government was defeated, I returned to make the last film, Scenes For A Revolution, going back to the places to which I had gone. We filmed the change. Even then I was very aware that those boys would be forgotten, as indeed Nicaragua has been forgotten. No longer in the headlines, so why bother? Extract taken from Looking at Class. Film, Television and the Working Class in Britain. Edited by Sheila Rowbotham and Huw Benyon. (Rivers Oram Press: 2001)

I saw too many instance of authoritarian bullying, stupidity and censorship, and not having confidence to say to people what was happening. Even though the kids were coming back in coffins. I spent a lot of my time in the cemetery with the mothers of the dead, who were a bit like the nightcleaners (from Berwick St Collective film, 1974), robust, warm, just amazing. They were like the waves of the revolution, you know, they really were. Some were market women, with massive arms, almost a sort of brutality. Their sons came back in coffins, and they went to maintain their graves, and every Sunday we would be with them. Fifteen year olds, fourteen year olds, getting killed in the Contra war. If I went back there now, they would still be there. But Nicaragua will have forgotten completely. And what did they die for? That is a question one really has to ask. Those fifteen year olds. There

185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6

니카라과 시리즈 1: 여정 Nicaragua 1: Voyages

Director | 마크 칼린 Marc KARLIN UK | 1985 | 42min | Digibeta | Color Staff DIRECTOR | MARC KARLIN SCRIPT | SUSAN MEISELAS/MARC KARLIN PHOTOGRAPHY | JONATHAN BLOOM

Synopsis 1978년과 79년, 매그넘의 회원이기도 했던 미국의 사진작가 수전 메이젤 라스는 소모사 일가의 니카라과 50년 독재 타도로 이어진 두 번의 내란을 촬영했다. 이 사진들이 영화의 이미지들을 제공한다. 사진을 비추는 트래킹 쇼트는 편지글 같은 내레이션과 결합되었다. 한 장 한 장 넘어가는 사진과 함께 메이젤라스가 목격한 역사와 그녀 자신과의 관계에 대한 사유가 이어 진다.

EDITOR | MONICA HENRIQUEZ, BRAND THUMIM SOUND RECORDIST | MELANIE CHAIT Contact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In 1978/79, American photographer Susan MEISELAS photographed the two insurrections that led to the overthrow of 50 years of dictatorship by the Somoza family in Nicaragua. These photographs provide the images of the film. Combining with an epistolary commentary, five unedited tracking shots move across the photographs articulating MEISELAS’ reflections on her relationship to the history she witnessed.

18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7

니카라과 시리즈 2: 국가의 탄생 Nicaragua 2: Making of a Nation

Director | 마크 칼린 Marc KARLIN UK | 1985 | 80min | Digibeta | Color Staff DIRECTOR | MARC KARLIN PHOTOGRAPHY | JONATHAN BLOOM SOUND RECORDING | MELANIE CHAIT, JOHN ANDERTON, EDDIE LACAYO EDITOR | BRAND THUMIM

Synopsis 1983~4년에 걸쳐 촬영된 이 두 번째 영화는 니카라과가 역사를 회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역사 연구소의 작업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영화는 혁명영 웅 산디노에 대한 기억을 회복하고 나카라과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Shot in 1983-4 the second film shows how Nicaragua is in a state of reclamation. Focusing on the work of the Historical Institute, the film witnesses the recovery of the memory of Sandino and the forming of a Nicaraguan identity.

Contact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187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8

니카라과 시리즈 3: 그들만의 시절 Nicaragua 3: In Their Time

Director | 마크 칼린 Marc KARLIN UK | 1985 | 70min | Digibeta | Color Staff DIRECTOR | MARC KARLIN PHOTOGRAPHY | JONATHAN BLOOM SOUND RECORDING | MELANIE CHAIT, JOHN ANDERTON, EDDIE LACAYO EDITOR | BRAND THUMIM RESEARCHER | HERMIONE HARRIS Contact

Synopsis <그들만의 시절>은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FSLN)의 기관지였던 바리 카다(Barricada)의 저널리스트 및 사진 기자들의 일과에 초점을 맞춘다. 전쟁과 경제, 수감 제도와 이후 1984년 선거로 이어진 정치적 절차 등에 관해 보고하면서 사회주의를 실현시키는 과정에서의 딜레마들을 들여다 본다.

This third film focuses on the daily working life of the journalists and photographers of Barricada,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FSLN. The film observes the dilemmas of putting socialism into practice through reports on the war, the economy, the prison system and the political process leading up to the 1984 elections.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8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89

니카라과 시리즈 4: 변화들 Nicaragua 4: Changes

Director | 마크 칼린 Marc KARLIN UK | 1985 | 78min | Digibeta | Color Staff DIRECTOR | MARC KARLIN PHOTOGRAPHY | JONATHAN BLOOM SOUND RECORDING | MELANIE CHAIT, JOHN ANDERTON, EDDIE LACAYO EDITOR | BRAND THUMIM RESEARCHER | HERMIONE HARRIS

Synopsis <변화들>은 1984년 선거 무렵, 니카라과 북쪽에 있는 한 외딴 시골 지역의 초상이다. 그 지역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FSLN)의 정치지도자였던 말 론 스튜어트를 따라, 영화는 니카라과의 보수적인 지역에서 혁명의 과정이 직면하는 긴장과 어려움들을 사유한다.

Changes offers a portrait of a remote area in the rural north of Nicaragua at the time of the 1984 elections. Following Marlon STUART, the FSLN political organiser for the zone, the film reflects the tensions and difficulties the revolutionary process faces in a conservative region of Nicaragua.

Contact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189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0

유토피아 Utopias

Director | 마크 칼린 Marc KARLIN

Staff

UK | 1989 | 128min | Digibeta | Color

DIRECTOR | MARC KARLIN SCRIPT | MARC KARLIN, DAVID GLYN EDITOR | BRAND THUMIN LIGHTING CAMERAMAN | JONATHAN BLOOM SOUND RECORDIST | JOHN ANDERTON Contact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19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1

마크 칼린, 셰일라 로우보섬과의 대화 중

Utopias in Marc Karlin’s own words in conversation with historian, Sheila Rowbotham

(이 영화는 무역 노조, 의사, 광부의 아내, 경제학자, 인종 관계 연구

(The film invites a trade unionist, a doctor, a miner’s wife, an economist, the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Race Relations and a historian to give their own unique view of socialism).

소의 이사 및 역사학자를 초대해 사회주의에 관한 그들의 고유한 관 점을 보여준다.) “저는 마가렛 대처가 모두를 위하여 단번에 사회주의를 혁파하겠다 고 말하던 무렵인 1986 년, <유토피아>를 촬영하고 있었습니다. 저 는 분명히 달리 말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회주의의 초상화 를 그릴 수 있었고, 그와 관련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 을 모두 한 배에 넣고 싶었습니다. <유토피아>는 연회 테이블 같았 습니다. 데이비드 위저리, 셰일라 로우보섬, 잭 존스, 시바난단, 밥 로손, 그리고 광부의 아내가 모두 그곳으로 모이고 있었어요. 이 모 든 사회주의의 화신들은 굉장했습니다. 저는 아주 순진해 빠진 사람 이었지만 그곳에 끝까지 남아있었고, 그들 모두가 테이블에 함께 있 기를 바랐습니다. 상상할 수 있겠어요? 아니죠. 하지만 이 영화는 해 냈어요. 저는 종파주의를 전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제가 원했던 것 은 잭 존스와, 재밌게도 데이비드 위저리 사이에 일종의 동맹을 만 드는 일이었습니다. 그는 사회주의를 롤링 스톤즈와 AEUW 간의 통 합으로 만들고 싶어하는 사람처럼 보였죠. 어떻게 가능한지는 알 수 없지만요.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로부터 아래까지 범위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1989 년에 채널 4를 통

“I was filming Utopias in 1986, around the time Margaret Thatcher said she aimed to destroy socialism once and for all. I was determined to say otherwise, obviously. I wanted to do portraits of different socialism, take ideas about it and so on, but to put them all on one boat. Utopias was like a banquet table. I liked the idea of having somewhere all these people could be together, where David Widgery, Sheila Rowbotham and Jack Jones, Sivanandan, Bob Rowthorn, and the miner’s wife were all going to be there. All these visions of socialism were great. I am totally naïve, but I shall remain to the end, so I just wanted them all at the table. Can you imagine? No: But the film did. I have never understood sectarianism. What I wanted to do was create a kind of alliance between Jack Jones and, funnily enough, David Widgery, who I always thought wanted to make socialism into a synthesis between the Rolling Stones and the AEUW, though I never worked out how that could be done. But, nevertheless, it was to show the range from top to end, and it was shown on Channel 4 in 1989.”

해 방영되었지요.” <계급에 관하여: 영화, TV 그리고 영국의 노동 계급>에서 발췌. 셰 일라 로우보섬, 휴 베니언 편집(Rivers Oram Press: 2011)

191

Marc Karlin in conversation with Sheila Rowbotham, an extract from Looking at Class. Film, Television and the Working Class in Britain. Edited by Sheila Rowbotham and Huw Benyon. (Rivers Oram Press: 2001)

Masters : Marc Karlin Retrospectiv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2

파사주 Passage

다큐와 픽션의 경계, 시네마와 아티스트 필름, 극장과 갤러리가 공 유하는 비전과 현대예술로서 다큐멘터리의 미래를 새로운 방식으 로 담아내고 있는 작품들을 소개하는 미디어 플랫폼이다. 영화와 미 술, 비주얼 아티스트와 영화감독이 공유하는 지점은 언제나 흥미롭 다. DMZ 다큐포럼과 연계하여 감독과 평론가, 문화연구가와 관객 들의 흥미로운 토론과 강연이 있을 것이다. 올해는 파운드 푸티지 (Found Footage)를 기반한 작품들을 선보이며, 오프닝으로 이탈 리아 감독 알베르코 그리피와 마씨모 사르끼엘리의 <안나>(1975, 225분)가 국내 최초로 상영된다. 이 작품은 1972년부터 1973년까 지 로마의 길거리에서 만난 16살 약물중독 소녀를 기록한 필름이다. 이탈리아의 예르방 지아니키앙 & 안젤라 리치-루끼 감독의 <야만의 땅>, 미국의 빌 모리슨 감독의 <대홍수>, 한국의 김경만 감독의 <삐 소리가 울리면> 등 신작과 함께 2012년 터너 미술상 후보작 중 하나 인 루크 포울러의 <로널드 랭의 분열된 자아>, 2014년 뉴욕 현대미 술관(MoMA)에서 최초로 상영된 방글라데시 아티스트 나엠 모하이 에멘의 에세이 필름이 소개된다.

The Passage Section is a media platform that introduces films that express the future of documentaries as a form of modern art and a vision that theaters and galleries, documentary and fiction, and cinema and artist share. The points that film and art, a visual artist and a director share are always intriguing. In connection with the DMZ Docs Forum, directors, film critics, culture researchers, and the audience will participate in interesting discussions and lectures. This year, the Passage Section will showcase documentaries based on found footages, and Anna (1975, 225 minutes) directed by Alberto Grifi and Massimo Sarchielli will be screen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s an opening film. This film is a record of a 16-year-old drug addict, whom the directors encountered in Rome between 1972 and 1973. Along with new documentaries, such as Barbaric Land, directed by Italian directors Yervant Gianikian and Angela RicciLucchi, The Great Flood by Bill Morrison from the US, Beep by Korean director Kim Kyung-man, Luke Fowler’s All Divided Selves, which was nominated for 2012 Turner Prize and essay films by Bangladeshi artist Naeem Mohaiemen that had been screened for the first time at the Museum of Modern Arts in New York in 2014 will be introduced in this section.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3

아카이브학, 컴필레이션, 수집: 파운드 푸티지에서 에세이 영화로

캐서린 러셀

벌어진 몇몇 변화들을 상세히 다룬다. 한때‘ 전유(appropriation) ’

아카이브 영화작업은 디지털 시대에 모든 곳에 존재하게 되었다. 이

겨지는 현상은 이미지의 저장고 내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컴필레이

런 점에서 이 강의는 파운드 푸티지 (found footage)가 실험영화

션 영화들은 이런 점에서 아카이브학의 한 양식에 불과할 수도 있지

장르에서 과거 영화의 리믹스, 재활용, 재사용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만,‘발견된’이미지들의 주제적인 수집물들을 통해 특정하게 구성

제작 양식으로 확장한 양상을 살펴본다.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무

된다. 기억, 수집, 콜라주의 비유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이 영화들은

빙 이미지들과 재편집을 위한 디지털 도구들은 점점 더 활용 가능하

기술복제시대의 영화에 대한 벤야민의 희망을 실현하는 것에 가까

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한 결과는 실험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작

워진다. 이런 점에서 나는 아카이브학이 벤야민의 몇몇 관념들을 읽

업의 중첩이 확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강의에서 나는 발터 벤야

을 수 있게끔 돕는다는 점, 그리고 벤야민의 언어에 대한 이해를 통

민의 작업을 활용하여, 무빙 이미지들을 에세이적 전략으로 재활용

해 컴필레이션 영화제작이 문화사의 창조적인 새로운 사유에 대해

하는 이른바‘아카이브학(archiveology) ’ 의 잠재력을 탐구한다.

가진 잠재력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로서 무시되었던 것들이 지금은 일종의‘차용(borrowing) ’ 으로 여

1947년에서 2013년까지 제작된 컴필레이션 영화(compilation film)의 사례들을 통해 이 강의는 아카이브학이 필름 아카이브에 대

이 강의는 광범위한 영화들에서 가져온 이미지들 및 클립들을 함께

한 새로운 사유를, 그리고 비선형적 형태로 역사를 다시 사유하고

다룬다. 해당되는 영화들은 <파리 1900 (Paris 1900, Nicole

다시 만들 수 있는 필름 아카이브의 잠재력을 수반하는 방식들을 살

V é dr é s, 1947)>, <크리스탈 (Kristall, Matthias Mü ller and

펴본다.

Christophe Girardet, 2006)>, <로스앤젤레스 자화상 (Los Angeles Plays Itself, Thom Anderson, 2003)>,<소아드 호스니

이 강의는 감독들이 역사적 기록물들에 성찰적으로 참여하는 과정

의 세 번의 실종 (The Three Disappearances of Soad Hosni,

을 보여준다. 이때 이 기록물들은 익명적인 것도 아니고 무작위적인

Rania Stephan, 2011)>, <혹스 캐뉼라 (Hoax Canular,

것도 아니며, 거기에 포함된 형식적, 미학적 본성들 이상의 이유들

Dominic Gagnon, 2013)> 등이다. 이 영화들의 맥락에서 아카이

로 감독들이 조심스럽게 선택한 것들이다. 나는 특히 수집과 컴필레

브학은 새로운 장르가 아니라 필름 아카이브들의 사용을 통해 발달

이션의 실천들 속에서 아방가르드 전략들의 일부를 유지한 작품들

한 문화비평의 한 형식으로 논의된다.

에 특히 초점을 맞춘다. 실험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 실천들의 변화 는 아카이브 자체의 형태와 기능에 일어난 극적인 변화들과 일치하 고 병행한다. 이때 아카이브는 큐레이팅된 문서들을 저장한 폐쇄적 으로 보호되는 장소에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다양한 열린 접근(open access)을 위한 장소들– ‘공식적’ 이고‘비공식적’ 인 장소들 모두 -

캐서린 러셀은 콩코디아대학 영화연구 프로그램 교수다. 많은 논문

로 이행해 왔다. 우리는 아카이브 영화작업을 미디어 저장의 이러한

들과 더불어 저서로「내러티브의 사멸성: 죽음, 종결, 뉴 웨이브 영화

새로운 사회적 역할에 대한 창조적 참여로 여길 필요가 있다.

들」,「실험적 민속지: 비디오 시대의 필름 작업」,「나루세 미키오의 영화: 여성과 일본의 모더니티」,「고전 일본영화 다시읽기」가 있으

얀 베르보에트 (Jan Verwoert), 엠마 코커 (Emma Cocker), 에리

며 현재 아카이브 영화제작에 대한 저서를 작업하고 있다.

카 발솜(Erika Balsom), 윌리엄 위즈 (William C. Wees)의 연구들 을 논하면서 이 강의는 예술 일반에서의‘ 디지털로의 전환(digital turn) ’ 과‘ 아카이브적 전환(archival turn)’ 과 조응하여 영화계에서

193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4

Archiveology, Compilation, and Collecting: From Found Footage to Essay Film DMZ Film Festival September 2014

By Catherine Russell Archival film practices have become ubiquitous in the digital age. This paper explores the expansion of found footage from an experimental genre of film practice to a widespread mode of remixing, recycling and reuse of old films. One of the consequences of the increasing availability of moving images in digital form, and digital tools for re-editing, is that the overlap of experimental and documentary film practices is expanding. In this paper I will use Walter Benjamin’s writing to explore the potential of what I am calling “archiveology”—or the reuse of moving images—as an essayistic strategy. Using examples of compilation films made between 1947 and 2013, I will point to the ways that archiveology entails a rethinking of the film archive and its potential for rethinking and remaking history in non-linear form. I will show how filmmakers are reflexively engaging with historical documents, which are neither anonymous nor random, but carefully chosen for more than their formal and aesthetic properties. I will focus specifically on films that retain some of the avant-garde strategies within their practices of collecting and compilation. Shifts in experimental and documentary film practice are of course, consistent with, and run parallel to, dramatic shifts in the form and function of the archive itself, which has moved from a closely guarded site of curated documents, to the various open access sites of digital archives, both “official” and “unofficial.” Archival film practices need to be recognized as creative engagements with this new social role of media storage.

the image bank. Compilation films may be only one mode of archiveology, but because they are specifically composed through thematic collections of “found” images, they come closest to realizing Benjamin’s hope for film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through their combined tropes of memory, collecting, and collage. I will suggest that archiveology helps to make some of Benjamin’s ideas legible; and at the same time, his understanding of language helps to recognize the potential of this mode of film practice for creative rethinking of cultural histories. The talk will include images and clips from a wide range of films, including Paris 1900 by Nicole Védrès, Kristall by the German filmmakers Matthias Müller and Christophe Girardet; Los Angeles Plays Itself by the American filmmaker Thomas Anderson, The Three Disappearances of Soad Hosni by Rania Stephan, and Hoax Canular by Dominic Gagnon. Archiveology will be discussed not as a new genre, but as a form of cultural critique that is developed through the use of film archives.

Catherine Russell is Professor of Film Studies at Concordia University, Montreal. She is the author of four books, including Experimental Ethnography: The Work of Film in the Age of Video (Duke, 1999); The Cinema of Naruse Mikio: Women and Japanese Modernity (Duke, 2008); Narrative Mortality: Death, Closure and New Wave Cinemas (Minnesota, 1995); and Classical Japanese Cinema Revisited (Bloomsbury, 2011). She has also published numerous articles and is currently working on a book on archival film practices.

Drawing on the work of Jan Verwoert, Emma Cocker, Erika Balsom, and William C. Wees, this paper will detail some of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the film world alongside the “digital turn” and the “archival turn” in the arts in general. What was once disregarded as appropriation may now be recognized as a type of “borrowing” in an era is more deeply immersed in

Passage

19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5

퇴락하는 셀룰로이드와 그 흔적들에 대한 영화적 고고학: 도큐멘트와 다큐멘터리로서의 빌 모리슨의 영화들

김지훈 이 강의는 빌 모리슨의 시적인 파운드 푸티지 영화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면서 그것들이 공유하는 기술적, 미학적, 주제적 측면들에 집 중한다. 이를 통해 이 강의는 모리슨의 영화들을 파운드 푸티지 영 화작업의 역사뿐 아니라 포스트필름 시대에 점점 증가하는 실험 다 큐멘터리와 다큐멘터리의 상호작용이라는 맥락 속에 위치시킨다. 1990년대 이후 모리슨은 아카이브 필름들을 즉흥음악과 현대 재즈 등 다양한 현대음악들과 결합한 장단편 영화들을 제작해 왔다. 이 영화들은 오래된 셀룰로이드의 섹션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셀룰로 이드가 시간의 거침없는 흐름 속에서 자신의 안정성을 잃고 물리적 손상과 화학적 변질에 종속되는 과정을 전면에 드러낸다. 그 결과는 카메라 앞에 존재했던 세계의 흔적들을 보존하는 것으로 한때 여겨 진 영화들의 불가피한 죽음의 기록들이다. 물리적 상처들과 화학적 거품들이 새겨진 필름의 와해는 필름 이미지를 추상화 직전까지 몰 고 간다. 그와 동시에 필름이 쇠퇴하지 않았으면 얻을 수 없는 시적 아름다움을 끌어낸다. 이러한 기술적, 형식적 특징들을 염두에 두면서 이 강의는 모리슨의 영화들을 셀룰로이드 자체의 존재론적 운명에 대한 기록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화이론 석사과정 및 뉴욕대학 영화 연구 박사과정을 마치고 난양기술대학 커뮤니케이션학교 방송영상 분과에서 가르쳤으며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영화·미디어연구 조교수로 일하고 있다. 영화연구, 미디어연구, 현대예술이론 및 비 평을 교차하는 방법론들을 통해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영화 및 무 빙 이미지 예술들의 미학과 존재론을 설명하는 작업들을 해 오고 있 다. 그의 논문들은 Screen, Film Quarterly, Millennium Film Journal, Anima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등의 저널들 및 Global Art Cinema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Taking Place: Location and the Moving Ima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 등의 논문집에 출간되었다. 그의 첫 번째 저작 [필름과 비디오, 디지털 사이: 포스트-미디어 시대의 하이 브리드 무빙 이미지들 (Between Film, Video, and the Digtial: Hybrid Moving Images in the Post-media Age)]은 International Texts in Critical Media Aesthetics 시리즈로 Bloomsbury Academic에서 2015년 말 출간될 예정이다.

(document)과 셀룰로이드에 기입된 역사의 흔적들을 아카이브하 는 실험 다큐멘터리의 관점 모두에 따라 논의한다. 디지털 기술의 전면적인 영향력들로 인해 셀룰로이드가 점점 낡은 매체로 주변화 되는 시대에 모리슨의 영화는 셀룰로이드의 쇠퇴 자체를 극적으로 드러낸다. 이를 통해 모리슨은 셀룰로이드를 자신의 역사성을 가진 매체로, 즉 자신의 불가피한 엔트로피적 와해를 기본적인 존재론적 조건들 중 하나로 가진 매체로 제시한다. 시간의 비가역성을 깨닫게 끔 하는 모리슨의 영화들은 다른 한편으로는 파운드 푸티지의 폐허 의 미학(aesthetics of ruin)에 기대어 셀룰로이드에 기입된 흔적들 을 과거의 파편들로 표현함으로써,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익명의 인 물들에 독특한 방식으로 접근한다. 이러한 양가성을 함께 고려할 때 모리슨의 영화들은 셀룰로이드 자체, 그리고 시간의 흐름을 불멸화 시키는 것으로 여겨졌던 셀룰로이드-기반 영화에 대한 하나의 고고 학을 구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95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6

A Cinematic Archaeology of Celluloid and its Traces in Decay: The Films of Bill Morrison as Documents and the Documentary

KIM Jihoon This talk will provide an overview of Bill Morrison’s poetic found footage films, focusing upon their technical, aesthetic, and thematic aspects, and positioning them not simply within the history of found footage filmmaking but also within the increasing intersection between experimental filmmaking and documentary practices in the postfilmic age. Since the 1990s, Morrison has produced a number of short and feature-length films that combine archival film materials with various threads of contemporary music, including improvisational music and contemporary jazz. They are composed of sections of old, decomposing celluloid, foregrounding the processes by which celluloid loses its stability as it is subject to physical damage and chemical deterioration in the inexorable march of time. The result is the records of the inevitable death of films once thought to preserve the traces of the world that existed in front of the camera. The disintegration of film stock, marked by physical scratches and chemical bubbles, pushes its images to the threshold of abstraction while at the same time emitting their poetic beauty that would otherwise not be attainable once the film stock were not decayed.

the found footage’s aesthetics of ruin and thereby rendering its traces as the fragments of the past that it captured. Viewed together, Morrison’s films can be seen to construct an archaeology of both celluloid itself and celluloid-based film that is believed to immortalize the flow of time.

Jihoon Kim is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Film Studies at Chung-ang University, after teaching in the Division of Broadcast and Cinema Studies at Wee Kim We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His essays have appeared in Screen, Film Quarterly, Anima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Millennium Film Journal, Leonardo Electronic Almanac, and the anthologies Global Art Cinema: New Histories and Theories (Oxford Universit Press, 2010), and Taking Place: Location and the Moving Ima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 among others. Currently he is working on a book manuscript entitled Between Film, Video, and the Digital: Hybrid Moving Images in the Post-media Age (to be published in Bloomsbury Academic in late 2015) and editing A Companion to Korean Cinema (Wiley-Blackwell, co-edited with Dr. Seung-hoon Jeong).

With these technical and formal features in mind, this talk will discuss the films of Bill Morrison in terms of documenting the ontological destiny of celluloid itself, and in terms of experimental documentary that archives the traces of history inscribed in it. In the era where celluloid has been increasingly marginalized as an outdated medium due to the pervasive impacts of digital technology, Morrison’s dramatization of the decay of celluloid presents it as a medium marked by its own historicity, that is, a medium that has its inevitable, entropic dissolution as one of its founding ontological conditions. In making us aware of the irreversibility of time, Morrison’s films as documents of celluloid in decay offer idiosyncratic visual access to a host of unknown characters contained in it, by resorting to

Passage

19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7

“ 우리는 영화가 아닌 자신의 삶을 창조할 용기를 가져야한다.”- 알베르토 그리피

세레나 그라미찌 이탈리아 실험영화의 아버지인 알베르토 그리피 (로마, 이탈리아 1938 - 2007)는 화가이자 사진작가로, 배우이면서 영화감독으로, 이미지의 장인이자 기계발명가로 활동한 다재다능한 예술가였다. 그는 아버지가 작업실로 사용했던 집에서 태어났고, 그의 아버지 루 이지는 촬영기사이자 사진작가, 기술자로 일하고 있었다. 전후 어린 시절을 보낸 그리피는 가업을 도우며 성장해 왔다. 기술적인 작업들 을 다양하게 실험하며, 영화언어와 아버지의 장인기술을 배웠다. 일 상의 고된 노동조건과 그와 대조되는 의뢰인들의 거만함을 지켜보 며 예리한 비판능력을 키웠다. 유년기부터 예술을 통해 자유로워지 기 위해 새가 새장의 철망을 깬다는 반고흐의 이론을 깊이 이해했 다. 젊은 그리피는 미술을 통해 그리고 그 이후 영화예술을 통해 자 신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그에게 있어서 예술작품이란 항상 창조적 행위와 함께 불러일으키는 만족감과 탐구의 대상이었다. 그리피에 게 참된 목표는 최종 결과물이 아닌, 예술 작품을 통해 전달되는 새 로운 시각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의력을 발휘하고, 예술범주에 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주로 예술의 혁명적 행위에 있어서 투지의 범주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영화를 시작한 후, 그리피는 예술에 대한 산업화된 사고들을 기꺼이 부숴버려야한다고 생각했고, 어떻게 스펙타클이 자본의 이윤이라 는 지배적인 언어에 의해 독점적으로 표현되어왔는지에 대하여 설 명하고자 했다. 영화를 통해 새로운 삶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시각을 제시했다: 관객들의 현실적인 삶과 화면에 보여지는 부르주아 삶의 대조, 두개의 현실이 중첩된 시각을 보여주었다. 그 리피는 새로운 인식, 즉 계급 불평등과 지배 권력의 파워게임에 대 항하는 불복종의 인류학을 제시했다. 그의 예술작품들은 각기 다른 제작 방식을 취하지만 의아하게도 일관성이 있으며 그의 예술적인 담론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작업에 거리를 두었다가도 다시 영화와 다른 예술 표현들을 통해서 자신만의 예술적 담론을 발전시켰다. 시 나리오 작가 체사레 자바티니 (<자전거 도둑 Ladri di biciclette>, <구두닦이 Sciuscià>, <아름다운 그녀 Bellissima>)로 부터 배운 교훈인 진정한 현실의 삶을 표현하기 위한 각기 다른 방법들에 대한 시선들을 끊임없이 연구했다. 나는 지난 2년간 알베르토 그리피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크 197

나큰 영광과 기쁨을 느꼈다. 그의 작품들은 절대적으로 서로 연관되 어 있는 세가지의 주제로 분류될 수 있다. 그의 예술적인 작품은 다 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예술은 태아를 둘러사는 양수와 같다. 그리피는 원시의 비전을 탐구 했다. 이는 몇개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철학자 알베르토 브레이반티의 이론; 개체 - 계통 발생론에 대한 생리학적 그리고 생 물학적 이론 - 현재 인간의 모습에서 선조들의 모습을 합성해 유추 할 수 있다는 이론; 프로이드의 제자인 페렌지와 라이히의 이단적인 정신분석학 이론; 향정신성 물질을 통해 얻은 그리피 본인의 분석. 비주얼적 해석에 있어서 그리피는 조형적/내러티브적인 인식보다 는 감정적인 인식을 보여주는 혁신적이고 내적인 영화들을 만들어 냈다. <악의에 대해 카메라에 담다 Transfert per Kamera Verso Virulenza>(1967)는 그리피가 거장이라 일컫는 철학자 브레이반티 의 연극쇼에서 착안되었고, <오르고나우띠 비바! Orgonauti Evviva!>(1968)는 화학적 약물을 사용한 실험에 참여했던 사람들 의 감정적, 감각적 기록을 목격한다. 여기서 관객들은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도 할 수 있다. <혹한기 다시말해 조르다노 팔쪼니 가 잠자는 미녀를 구할 수 있을까? Il grande freddo ovvero riuscirà Giordano Falzoni a salvare la bella addormentata>(1970)는 수공 으로 깎은 프리즘과 일그러진 거울들을 이용해,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는 초현실주의 작가 지오르다노 팔쪼니의 예술세계를 이야기하 며 예술조건에 대해 연구했다. 안렉산드라 반찌와 함께한 <특별한 효과에 관하여 A proposito di effetti speciali>(2001) 는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예술은 성장이며 자유에 대한 연구다. 그리피는 변화와 투쟁이 진보 할 수 있는 사회의 진정한 모습에 대한 새로운 비젼을 연구했다. 그 의 연구는 영화와 이론적 텍스트로 발전되었다. 영화들은 서로 많이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잠재된 거짓을 밝히고 있다: 인간에 대한 힘의 억압. 그리피의 첫 영화인 <불확실한 검증 La Verifica Incerta>(1964) 은 이를 가장 정확하게 집어냈다. 이 영화는 화가 지안프랑코 바루 첼로와 공동 연출하였으며 1968년 파리의 폼피두 센터에서 마르셀 뒤샹과 만 레이(영화에 등장함), 현대음악 작곡가 존 케이지의 참석 하에 상영되었다. 영화 <파르코 람브로 Parco Lambro>는“ 레 누 도”(Re Nudo) 파티 기간중 비디오 테피스티(Video Teppisti/Video Thug)로 기록한 영상이다. 이탈리아 국영 방송국 (RAI)에서 의뢰받 은 <미켈레, 행복을 찾아서 Michele alla ricerca della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8

felicità>(1978)와 <디니와 노말리나 Dinni e la Normalina, 1979) 는 그리피에게 중요한 이슈를 제공했다. 이 영화들에서 그는 교도소 의 관리체제와 마약에 대해 비판했다. 이 문제에 관해서 그리피는 많은 글을 남겼는데, 글의 대부분은 1968년 그가 수감된 이후 2년 간 쓰여졌다. 그리피는 - 비록 그는 부인하지만 - 마약 소지죄로 형 벌을 받았는데, 그의 수감생활은 자신의 패러다임 변화를 결심하게 되는 예술적, 정치적 검열의 행위이자 심오한 급진주의적 발동이었 다. 그의 많은 글들이 경제적, 정치적 문제로 남미의 공익, 홍보 비 디오를 제작 해야만 했던 시기에 쓰여졌다. 예술은 산파술이다. 그의 일상 생활뿐만 아니라 모든 예술작품들에 서 (영화작품, 에세이, 라디오 프로젝트) 그리피는 대화상대이자 청 취자로서 엄청난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대화 상대의 생각과 창의력 을 자극했다. 70~90년대의 역사적인 기억들을 간직하고 있는 마그 네틱 필름들을 복원, 보존하는 기계인“라바나스트리”(Lavanastri) 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 (그의 마지막 프로젝트중 하나)는 예술을 통 한 저항을 격려하고 자극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연구과정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자 했던 의지의 또 다른 예다. 그리피의 예술은 삶 에 대한 (예술의 삶만이 아니라) 헌정시이며 생각과 창조성을 생성 하는 산파술적 경로다. 자각하며 살아온 삶의 예술은 알베르토 그리 피가 다른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에게 항상 전달하고 자극했던 것들 이다. 마시모 사르끼엘리와 공동 연출한 <안나 Anna>는 그의 스승 자바 티니의 간곡한 바램이었던 진정한 현실의 삶을 필름에 담는 것을 실 현한 가장 대표적인 영화다. <불확실한 검증 La Verifica Incerta> 과 함께, 이 영화는 이탈리아 영화의 공식적인 역사 속으로 그리피 를 반영한다. 이 영화의 특수성은 제작과 내용이라는 양 측면에서 영화제작의 일반적인 틀을 해체하는 대안적인 기술적 해결방법과 인류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다. 1972년 그리피는 이전에 함께 작 업한 적이 있는 배우 마시모 사르끼엘리로부터 연락을 받는다. 사르 끼엘리는 마약중독자이자 임신중인 안나라는 16살의 노숙자 소녀 를 만났고, 이 소녀에 관한 영화를 함께 만들자는 제안을 한다. 사르 끼엘리는 그녀와 함께 스크립트 작업을 하면서, 그녀에게 숙식을 비 롯한 도움을 주기로 결심한다. 플롯은 세가지 축을 중심으로 형성됐 다: 안나의 어려운 생활 환경; 사르끼엘리의 예술가로서의 삶; 이탈 리아의 심리 및 정신 치료기관, 소년원의 격리-소외구조와 연관된 관리체제와 도덕적 문제 - 이는 안나의 이야기를 통해 전해진다. 그 녀는 수많은 기관들을 거쳐왔지만 다시 도망쳐 나온적이 있다. 그리 피는 그들과 함께 작업을 하기로 결심하고, 그가 가지고 있던 아리 플렉스와 나그라를 가지고 촬영을 시작한다. 처음에는 스크립트에 Passage

따라서 영화가 만들어졌다. 안나와 마씨모는 그들이 처음 만났던 순 간과 그 이전의 생활을 재현했다. 이 재현은 나보나 광장의 카페(몇 일전 안나가 노숙했던 벤치의 바로 옆)에 앉아 있는 모피를 입은 부 르주아들의 인터뷰와 함께 병치 구성되었다. 배우와 캐릭터의 매우 밀접한 관계는 동떨어져 보이며, 안나를 다루는 것에 무능력한, 아 니면 안나를 소년원이나 정신병원에 집어넣으려는 인터뷰 당사자 들의 요구와 뒤얽혀 있었다. 한편에는 안나가 있었고 다른 한편에는 부르주아들이 있었다. 부르주아들은 우유와 갓 태어난 아기의 옷을 구입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있지만 그들의 특권을 유지시키는 역 학관계를 부수고 나올 능력은 없었다. 그리피는 인터뷰하는 사람들 을 편협한 시각을 가진 멍청하고, 자신밖에 모르는 퇴보된 인류의 양식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이러한 이중 구조는 곧 약점을 드러냈고 그리피는 안나에게 그녀의 힘들었던 순간들과 영화를 만들기 위해 포기해야했던 것들을 재설명하는 것이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을 촬 영 초기단계부터 알고 있었다. 이것은 안나가 원하는 것이 아니었고 그녀를 힘들게 했다. 더욱이 영화에 있어서도 재현방식은 그다지 도 움이 되지않았다. 왜냐하면 재현은 결코 실제가 될 수 없었기 때문 이었다.“ 안나는 우리가 찍고자 하는 영화를 만드는 것 말고도 다른 문제들이 있었다. 다시 말해 안나는, 다행히도, 우리가 그리고자하 는 안나와는 많이 달랐다. 안나는 연민이 아닌 사랑을 원했다.”1 그 리피는 촬영 장비부터 시작하여 모든 것을 바꾸기로 결정했다. 휴대가능한 오픈 릴 비디오 레코더를 빌렸고 (그 이전에는 아무도 이탈리아에서 그 레코더를 사용한적이 없다.) 그로 인해 촬영 비용 에 대한 경제적 부담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그는 주요 캐릭터의 감정을 이용하는 것을 그만 두었다. 마침내 흐름 그 대로의 삶을 기록할 수 있었는데, 촬영 방식의 변화로 촬영 기간은 연장되었다: 비디오는 필름보다 저렴했으므로, 그리피는 같은 가격 으로 더 많은 시간 분량을 촬영할 수 있었다.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 게, 슬레이트가 들어가기 훨씬 이전에 레코딩을 시작하고 한참 뒤에 야 레코딩을 멈췄다. 덕분에 자연스러운 느낌을 테이프에 담을 수 있었고, 영화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게 했다. 이후로 계속해서 제작에 관한 관습적 규칙은 허물어졌고 안나 덕분 에 영화 스태프, 배우, 기술자들은 그녀 옆에서 등장인물이 되었다. 상징적인 장면은 안나의 머릿니가 사르끼엘리의 집 전체에 퍼졌을 때다. 간지러움으로 모든 스태프들은 고통스러워 했는데, 이 장면을 촬영하면서 그리피는 일반 상업영화의 제작 규칙을 뒤흔들어 버렸 다. 촬영 방식에 대한 이해가 성립된 뒤, 영화의 관습적인 규칙을 파 괴하는 가장 크고 진정한 사건은 빈첸조에 의해 이루어졌다. 빈첸조 는 전기기술자로서의 역할을 벗어나 끊임없이 주시하고 기록하는 19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199

카메라의 눈 앞에서 안나를 향한 자신의 감정을 나타냈다. 빈첸조는 안나에게“ 활기찬 삶을 사는것”에 대한 조언을 하기 시작했다. 이 젊은이는 어떤 조작이나 검열없이 영화에 사랑을 불어넣었다. 그리 피는<안나>에 대한 인터뷰에서“ 빈첸조의 작지만 중요한 제스쳐는 혁명적인 길을 향한 담론을 열었다: 영화가 아닌 현실이 창조를 위 한 가장 적합한 공간이라는 필요전제조건을 만든다. 영화는 기껏해 야 삶에서 현실을 분리하기 위해 시를 독점한다,”2 라고 말했다. 영 화의 주인공은 사랑에 기뻐했다. 안나는 마씨모 사르끼엘리에게 행 복하다고, 그리고 자살 충동을 잊어버렸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녀의 행복은 순간적이었고 안나는 더이상 즐겁지 않았다. 일정에 의해 처 음으로 촬영이 지연되었을때, 피곤하고 짜증이 난 안나는 자신이 소 년원에서 느낀 소외와 구속에 대한 분노를 작가들에게 표출한다. 현 장 분위기는 다시 불편해졌다. 안나는 도망쳐버렸고 영화는 계속되 었다: 안나를 대신하여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를 했다. 우선 병원을 나온 빈첸조는 안나의 딸의 탄생에 대해 알리며, 무언가 곧 잘못 될 것 같은 냄새가 난다며, 의료와 사회 시스템을 비판했다: 그녀의 딸 과 함께 다시 안나는 병원에서 지내야만 할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이후 영화에 출연하는 것을 거부한 안나의 선택에 직면하게 된 작가 들은 이 영화를 만들어야할 이유가 있는지에 의문을 가졌다. 영화의 마지막에서 두 작가가 안나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과 관심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분리, 두 작가간의 거리감은 - 그들이 서로에게 했던 게임은 어쩌면 그들의 성격 차이 때문에 - 영화의 긴장감을 유 지했으며, 같은 상황에 대한 잠재적인 이중 시각을 안나의 현실과도 같이 나타냈다.“ 안나는 모르고 있지만 그녀의 행위는 일관되게 본 연의 혁신적 아방가르드와 함께 한다: 예술은 모든 꿈들과 자유를 불러일으킨다. 자유의 꿈과 예술안에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사랑의 파괴적인 힘을 위해서, 예술은 자본주의의 해체를 통해서만 이루어 질 수 있다. 자본주의는 예술을 삶과 분리된 행위 정도로 그 가치를 낮춘다. 세상에는 수백만의 안나가 존재한다. 우리는 매 걸음마다 그들을 만나지만 아무도 그들을 보지 않는다. 우리는 현실의 안나가 우리에게 주는 모순을 극복하기 위함이 아닌, 안나의 악령을 쫓아내 기 위해 영화관에 간다. 이 모순들은 우리 자신이다. 안나가 영화관 에서 스크린의 스틸 이미지로 박수를 받고 현실에서는 감옥에 수감 되어 있는 한, 결코 영화는 감옥이나 소년원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이다.”3 이는 사르끼엘리의 이야기를 포기하고 영화가 비주얼적 시이자 이 프로젝트와 관계한 모든 사람들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가 된 이유다. 이 영화는 끊임없는 진화 안에서 360도로 순환하는 연구다. 이 영화 를 통해 그리피는 삶에 대한 다른 어떤 재현보다 인생의 혁명적인

199

파티를 선호한다는 것을 다시한번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본연의 삶 을 보듬으라 촉구한다. 그리피의 발명품 중 하나로 마그네틱 비디오 테이프를 영화 필름으 로 옮겨주는 장치인“ 비디그라포”(Vidigrafo) 덕택으로, 이 영화는 1975년 상영되었다. 이 장치는 책크기의 나무 조각위에 설치된 일 련의 전자 부품들을 원리로 하고 있다. 1975년 이탈리아에서 영화 를 스크린을 통해 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필름영사였기 때문에 “ 비디그라포”는 <안나>를 상영하기 위해서 필수적이었다. 베를린 영화제에 이어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된 <안나>는 놀라운 성공을 거뒀다. 하지만 그리피는 즉각적으로“ 거대 TV방송국의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들은 알지 못하는 사이 그 방송국들에게 자본 이익을 제 공한다”는 제목의 에세이를 집필해 모두에게 경고했다. 그가 현실 의 삶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한 비디오 테이프가 잘못된 방법으로 사 용된다면 괴물같이 위험한 플롯을 숨기는 용도로 쓰일 수 있다고 강 조했다. 비디오 테이프는 가정집에서도 직접 볼 수 있기때문에, 영 화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전에 그에게 비판적이었던 한 비평가는 <안나>를 본 후 그리피의 비디오레코더의 능숙한 사용 에 대해 축하했다:“1975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된 <안나>는 칼 리스토 코술리히[코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의 기자] 가 영화의 탄생이라할 수 있는 뤼미에르 형제의 첫 영화에 비교할 정도로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다.” 오늘날, 안나의 숫자는 증가하는 반면, 극소수의 사람만이 예전보다 부유해졌다. 하지만 그들의 편협한 마음은 바뀌지 않고 있다. 알베 르토 그리피가 탐구해왔던 것과 매우 유사한 사회 현실 때문에 전 세계에서 폭발적으로 일어나고있는 집회, 거리 투쟁과 혁명들은 그 의 가르침이 그 어느때보다 잘 전해졌으며 깊이 고민되었다는 증거 다. 안나들과 우리 모두는 우리를 현혹하는 거짓 거울의 이미지로 자신을 계속 속이기 보다는 현실의 삶을 바꿀 수 있어야 한다.4

1) Grifi Alberto, “La vita è più importante di ciò che rappresenta, in Re Nudo, n° 38, 39, 1976, p.65 2) Grifi Alberto, “Su Anna,” from the catalogue of Instant Video, Gradoli, Videoteca Italia, 11/13 November 1988, p.55 3) Grifi Alberto, “Su Anna,” from the catalogue of Instant Video, Gradoli, Videoteca Italia, 11/13 November 1988, p.56 4) Mantagna Gianfranco, “Videografare. Veni, vidi, Grifi”, in Fotografare, n°10, 1979, p.40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0

“We should be brave enough to create our own life, not films” - Alberto Grifi

Serena Gramizzi Alberto Grifi (Rome, Italy 1938 - Rome, Italy 2007), father of Italian experimental cinema, was a multi-discipline artist: painter, photographer, actor, film-maker, craft-man of images, machine inventor. Born in a house/laboratory, where his father Luigi was working as a cameraman, photographer and technician, Grifi got involved into his family business since he was a kid, right after the war. Mixing playing with technical work, he learned the cinematic language and his father’s technical-craft ability. The hard working conditions he saw in his everyday life, which contrasted with the clients’ pompous arrogance, fed his outstanding critical sense. Since he was very young, he adopted Van Gogh’s theory of the bird breaking the barrels of the cage, of freeing oneself through art. The young Grifi began expressing himself with the art of painting, and, afterwards, with the cinematographic art. For him, the art work was always a search, a sort of need to be satisfied, which coincided more with the creative act itself. For Grifi, the real goal was not the final product, but rather offering the chance of a new perspective conveyed by the art work itself, which would sparkle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not only at an artistic level, but mainly at a level of militancy, in the revolutionary action of art. When Grifi decided to express himself through cinema, he did it precisely with the awareness of willingly destroying the industrialized idea of art, and to explain how the spectacle was exclusively expressed by the dominant language of profit. With cinema he guided the gaze toward a new vision capable of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new life: not the bourgeois life, as seen on the screen in contrast with the audience’s authentic life, but a vision in which the two realities could overlap. Grifi brought to us a new awareness, an anthropology of disobedience against class inequalities and against the ruling forces’ game of power. His artistic work was a continuum of different productions, and yet of a rare coherence. His artistic discourse was a work in progress, from which Grifi moved away and came back with films and other artistic expressions. He kept on feeding his research Passage

about the gaze in different ways in order to represent authentic life, a lesson he learned by the screenwriter Cesare Zavattini (Ladri di biciclette, Sciuscià, Bellissima). During the two years I had the immense honor and pleasure of conducting research on and with Alberto Grifi, I identified three main thematic areas, strictly connected to one another, in his artistic work: Art as amniotic fluid. Grifi searched for a primordial vision, based on a mixture of: the philosopher Aldo Braibanti’s theory; the physiological and biological theories of onto-phylogenesis, which recognized in the human look the synthesis of our predecessor living beings’ looks; the heterodox psychoanalytic theories of Ferenczi and Reich, two of Freud’s students; Grifi’s own perception, which he obtained through the assumption of psychotropic substances. About this visual interpretation, Grifi produced incredibly innovative and intimate films, showing more the emotional perception rather than the figurative/narrative one: Transfert per Kamera Verso Virulenza (1967) taken from the theatrical show of the philosopher Braibanti, whom Grifi considered one of his maestros; Orgonauti Evviva! (1968), in which we witness an emotional-sensorial recording of the people participating to the experiment by means of a machine, and to which the audience witnessed and participated as well; Il grande freddo ovvero riuscirà Giordano Falzoni a salvare la bella addormentata (1970), in which, through Grifif’s crafted prisms and deforming mirrors, he told the artistic work of another incredibly productive artist, the surrealist Giordano Falzoni, with whom he investigated the condition of art; A proposito di effetti speciali, with Alessandra Vanzi (2001), which was presented that same year at the Venezia Film Festival. Art as growth and research of freedom. Grifi searched for a different vision, a true look on society, which would advance change and militancy. His search was developed both through films and written theoretical texts. The films were very different but they all revealed the latent lie: the oppression of power on people. Grifi’s first film, La Verifica Incerta (1964), co-directed with the painter Gianfranco Baruchello and screened in Paris at the 20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1

Pompidou in 1968 at the presence of Marcel Duchamp and Man Ray (acting in the film) and the sound-track composer John Cage, is a shining example of it. The footage recorded with the VideoTeppisti (VideoThug) during the “Re Nudo” party, in the film Parco Lambro. Michele alla ricerca della felicità (1978), and Dinni e la Normalina (1979), were films commissioned by RAI on very important issues to him. With them, he criticized the management of prisons and drugs. On this topic, there are many texts written by the author. The majority of them were written over a period of two years after he was imprisoned in 1968. Grifi was punished for detention of drugs, which he declared not to possess. His imprisonment was an act of artistic and political censorship that determined in him a paradigm change, and a deeper radicalisation. Many of these texts were also written during the period in which he was obliged by economical and political issues to produce industrial videos in South America. Art as maieutics. In all his artistic works (cinematographic works, essays or radio projects), as well as in every moment of his life, Grifi showed incredible capacities as a communicator and listener, which would spur his interlocutors’ thinking and the creativity. The study he made in order to create the “Lavanastri” (one of his last projects), a machine to restore and preserve magnetic films containing hours of the historical memory of the 70’s, 80’s, and 90’s, is just another example of his will of sharing his findings with others, as well as of supporting and sparking resistance through art. Grifi’s art is an ode to life (not only the artistic life), a maieutic path to the creation of awareness and creativity. The art of life, lived consciously, is what Alberto Grifi always transmitted and excited in the others, above all in young people. The film that best represents Alberto Grifi’s fulfilment of the exhortation about filming real life of his teacher Zavattini is Anna, co-directed with Massimo Sarchielli. Together with La Verifica Incerta, this film projected Grifi into the official history of Italian cinema. The uniqueness of this film is due to different technical solutions and anthropological thoughts that together created a deconstruction of the common rules of in filmmaking, both in 201

terms of production and contents. In 1972, Grifi received a call from Massimo Sarchielli, an actor with whom he had already worked. Sarchielli proposed him to make a film. He had met a sixteen years old homeless girl, pregnant and drug addicted: Anna. Sarchielli had decided to host the young girl and help her, while he wrote a script on and with her. The plot revolves around three main points: Anna’s difficult living condition; Sarchielli’s artist life; the management and moral problems connected to the reclusion in Italian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institutes and in reformatories, which are recounted through Anna’s story. In her life, she had already visited many of these institutions and had escaped from them several times. Grifi decided to take the challenge of working with Sarchielli and Anna. He got an Arriflex and a Nagra and started shooting. At first, the film followed the script. Anna and Massimo re-enacted the moments of their encounter and others that they had already lived, which were juxtaposed to interviews of the Piazza Navona’s bourgeoisie dressed up in furs as they were packing the terraces of the cafes, just next to the benches where Anna used to sleep only a few days earlier. The actor and main character’s very close worlds in the film seemed very far and were intertwined with the interviewees’ claims, who showed their incapacity to deal with Anna, if not by pushing her back into reformatories or psychiatric institutes. On the one hand, there was Anna, on the other hand, there was the bourgeoisie, ready to buy milk and dresses for the new-born, as they were able to economically afford it, and yet incapable of breaking out the dynamics that maintained their privileges. Grifi presented the interviewees as a sort of involution of the human genre, capable of a sole vision, dull and autoreferential. The duality of this structure demonstrated very quickly its weakness and Grifi understood pretty early that it made no sense to ask Anna to reinterpret the difficult moments and abandonments that she had already suffered from only to make the film. It was not Anna’s wish and obviously this made her suffering. Moreover, Grifi thought that not even the film would benefit from re-enacting, because re-enacting could never be real. “Anna had quite other problems than shooting a film, especially a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2

film as we wanted it to be; let’s say it better, Anna was very different, lucky her, than what we wanted her to be. Anna wanted love, not compassion.” 1 Grifi decided to change everything, starting from the equipment. He borrowed a portable open reel video-recorder (none had been used in Italy before that moment) and freed himself from the economical dependency from the costs of film. As a consequence, he stopped exploiting the main character’s feelings. Finally, he was able to start documenting life in its stream. Because of this format change, the duration of the shooting was extended: since the video was cheaper than film, Grifi had much more hours of recording for the same price. He lit up the video-recorder before the clapperboard and then shut it after the stop, without anybody knowing it initially. Thanks to this, he documented feelings of those in the frame and allowed those out of it to enter into the film as well. From this point on, the productive rules imploded and the crew members, actors, and technicians, became characters next to Anna and thanks to her. A symbolic scene is the one when Anna’s head lice conquered Sarchielli’s entire house. Together with the itching, the discomfort took over the entire crew. By filming this Grifi was shaking the usual industrial cinema production rules, which fell apart. After this initial awareness of those connected to the shooting, the big, real disruption of the institutional cinematographic rules was caused by Vincenzo, who left his technical role as an electrician to show to the omnipresent recording eye of the camera his feeling towards Anna. Vincenzo entered the field with an advice for Anna: “living a really vital life.” The young man brought his love into the film, without any manipulation or censorship. “The tiny but exemplary gesture Vincenzo has done opens up a discourse in a revolutionary path: it creates the prerequisite to make reality the right place for creation, not the film, which “at the best” monopolise the poetry to separate it from life,” 2 explains Grifi in an interview about Anna. The main character fell with joy into this love. Anna told Massimo Sarchielli that she felt happy, she even forgot her suicide instinct. But her happiness was only momentary and Anna was unable to enjoy it. At the first delay caused by the shooting

Passage

program, tired and irritable, she transferred to the authors the hate that she used to have for repression for the reformatories. The discomfort emerged again. After Anna escaped, the film went on: others were talking on her behalf. First of all, Vincenzo, outside the hospital, announced the birth of the little girl and criticized the health and social system, as he could smell something was about to go wrong: Anna, again, and the baby might had been obliged to stay at the hospital. Afterwards, the authors, who were confronting themselves with Anna’s choice to leave the film, wondered whether or not there was even a reason for the film to be made. At the end of the fil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uthors’ approach and the way they were concerned about Anna became very clear: the detach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authors - and in a way the game they played with one another, maybe because of their different personality - was what kept the film tension up and represented a potential dual vision of the same situation, such as Anna’s one. “Anna doesn’t know this, but her action is consistent with the more authentic revolutionary avant-gardes: art brings with it all the dreams, and freedom. And yet, to complete the dream of freedom, and the subversive strength of love that is potentially inside art, art itself can only go through the destruction of capitalism, which weakens art reducing it to an activity separated from life. There are millions of Anna in the world. We meet them at every step and nobody sees them. We go to the cinema to exorcize Anna, not to get over the contradictions that the real Anna puts in front of us. These contradictions are our own. Until Anna is applauded as a still image on screen at the cinema and is put in jail in real life, cinema will never be very different from the prisons and the system reformatories.” 3 This is how Sarchielli’s story had been abandoned and the film became a visual poetry, an anthropological research on anybody connected to the project. The film is a 360° research, in a continuous evolution. It is with this film that Grifi underlined once again that he preferred the revolutionary party of life to any other representation of it. And he urged to embrace authentic life. The film was shown in 1975 thanks to one of Grifi’s invention, the

20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3

“Vidigrafo,” a machine that allowed the transposition of magnetic videotape on cinematographic film. This instrument was based on a series of electronic components placed on a piece of wood as big as a book. The “Vidigrafo” was necessary to show Anna because in Italy in 1975 it was only possible to screen material on film. Anna, presented at the Berlin Festival and then at the Venice Festival, had an incredible success. However, Grifi immediately warned everybody with an essay entitled “The TV watchers, who watch big TV broadcasting companies, produce capital gain for these same broadcasting companies without even knowing it.” He underlined how the videotape used by him to show real life would have become a support that, if used in a sneaky way, would hide monsters and dangerous plots, even more than the ones hidden by film, because the videotape would arrive directly in people’s houses. On Grifi’s masterful use of the video-recorder, a critic, who had been hostile to him previously, celebrated him during the presentation of Anna: “Presented at the ‘Festival di Venezia’ in 1975, Anna was universally acclaimed to the extent that Callisto Cosulich [Corriere della Sera reporter] compared it to the first film of the Lumière Brothers, that is to say to the birth act of cinema.” 4

1) Grifi Alberto, “La vita è più importante di ciò che rappresenta, in Re Nudo, n° 38, 39, 1976, p.65 2) Grifi Alberto, “Su Anna,” from the catalogue of Instant Video, Gradoli, Videoteca Italia, 11/13 November 1988, p.55 3) Grifi Alberto, “Su Anna,” from the catalogue of Instant Video, Gradoli, Videoteca Italia, 11/13 November 1988, p.56 4) Mantagna Gianfranco, “Videografare. Veni, vidi, Grifi”, in Fotografare, n°10, 1979, p.40

Serena Gramizzi is a Producer of the film La Beauté c’est ta tête, and Distributor from the company Bo Film. She wrote about Alberto Grifi to the University Memoire Work is about 250 pages, and the article published by the Italian Resistance Archive in Turin - Il Nuovo Spettatore. She is writing the book on Alberto Grifi.

Today, the numbers of Anna are increasing, while only very few people are getting richer than before. And yet, they have not changed their narrow minded look. The rallies, the international street protests, the revolutions that are exploding around the world because of social realities that are very similar to those investigated by Alberto Grifi, are the proof that his teaching, more present than ever, should be understood and considered in a much deeper way. The Anna and all of us need to change the real life, rather than to continue deceiving ourselves by the many mirror decoys for larks.

203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4

안나 Anna

Director | 알베르토 그리피, 마씨모 사르끼엘리 Alberto GRIFI, Massimo SARCHIELLI Italy | 1975 | 225min | DCP | B&W

Staff DIRECTOR/PRODUCER | Alberto GRIFI, Massimo SARCHIELLI CINEMATOGRAPHER | Alberto GRIFI, Mario GIANNI, Raoul CALABRO CAST | Massimo SARCHIELLI, Vincenzo MAZZA, Stefano CATTAROSSI, Louis WALDON, Jane FONDA, Ivano URBAN SOUND | Raoul CALABRO, Agostini, Ponchia Contact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Passage

20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5

Program Note 1972년 2월의 어느 날, 배우 마씨모 사르끼엘리는 로 마 나보나 광장의 한 카페에서 안나라는 이름의 소녀를 만난다. 당시 열여섯 살이었던 그녀는 임신 8개월 째였 고 보호시설에서 도망쳐 나와 머무를 곳도 없이 거리를 떠돌고 있었다. 그녀를 자신의 아파트로 데려와 보살피 던 사르끼엘리는 친구 알베르토 그리피에게 연락해 그 녀에 관한 영화를 함께 만들어 보자고 제안한다. 파운드 푸티지 영화 <불확실한 검증 La Verifica Incerta>(1964) 으로 이탈리아 실험영화계에서 주목받고 있던 그리피

알베르토 그리피 Alberto GRIFI

마씨모 사르끼엘리 Massimo SARCHIELLI

Director’s Biography

Director’s Biography

들기로 결심한다. 오픈릴 방식의 비디오레코더로 촬영

알베르토 그리피 감독은 초기 이탈리아

1931년 이탈리아 피렌체 출생. <로렌조

된 최초의 이탈리아 영화 - 이는 다시 그리피가 직접 개

실험영화계를 이끄는 감독 중 한명으로

의 밤>(1982), <레이디호크>(1985), <투

발한‘ 비디그라포’ 라는 장비를 통해 16mm로 전환되었

알려져 있다. 특수한 촬영 카메라를 만드

스카니의 태양>(2003)으로 잘 알려진 배

는 아버지 덕분에 비교적 이른나이에 영

우이다. 알베르토 그리피와 함게 연출한

다 - 이자 다이렉트 시네마와 시네마베리테의 유산을

화계에 입문한 감독은 그림과 사진을 즐

다큐멘터리 <안나>는 1975년 베를린영

겼고, 자신의 무한한 상상을 설명할 수 있

화제, 1976년 칸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는 비디오 기법을 발전시켜나갔다. 마씨

2010년 5월 11일 로마에서 생을 마감하

모 사르끼엘리와 함께 제작한 다큐멘터리

였다.

는 당시 여러 예술가들이 그 미학적 가능성을 실험 중 이었던 비디오를 활용해 그녀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

<안나>는 1975년 베를린영화제, 이듬해 에는 칸영화제와 베니스영화제에서 상영 되었다.

Alberto GRIFI (1938-2007, Rome, Italy) is known to be one of the first Italian experimental film directors. He got involved with the world of cinema at a very young age because his father was making special cameras. He enjoyed himself experimenting with photography, making paintings and filmrecording, and developed his own new visual grammar that could describe his infinite fantasies. The documentary Anna (1975), codirected with Massimo SARCHIELLI, was screened at the Berlin Film Festival (1975), the Biennale in Venice (1975), and in Cannes (1976). Filmography Verifica incerta (1964) Transfert per kamera verso Virulentia (1966-67) Il grande freddo (1971) Anna (1972-75) Il festival del proletariato giovanile al Parco Lambro (1976) Lia (1977) Michele alla ricerca della felicità (1978) Dinni e la normalina (1978) A proposito degli effetti speciali (2001) Autoritratto Auschwitz/L’occhio è per così dire l’evoluzione biologica di una lagrima (1965/68-2007) In viaggio con Patrizia (1966/67-2007)

205

Massimo SARCHIELLI was born in 1931 in Florence, Italy. He was an actor, known for The Night of the Shooting Stars (1982), Ladyhawke (1985) and Under the Tuscan Sun (2003). He’s the co-director of Anna (1975) was shown at Cannes and Belinale. He died on May 11, 2010 in Rome.

계승하며 그것을 한계에까지 밀어붙인 걸작 <안나>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이들은 우선 사르끼엘리가 나보나 광장의 카페에서 안 나를 처음 만났던 순간을 재연하는 것으로 시작했고 이 는 <안나>의 도입부를 이룬다. 이후 영화는 안나가 머 물게 된 사르끼엘리의 집과 나보나 광장을 오가며 전개 되는데, 사르끼엘리의 아파트에서는 비디오라는 기록 매체의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앤디 워홀의 영화를 방불 케 할 만큼의 냉담한 집요함(callous obstinacy)으로 안나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 - 특히 이가 들끓는 안나 가 사르끼엘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샤워하는 모습을 거

Filmography

의 외설적으로 느껴질 만큼 적나라하게 기록한 악명 높

Alberto Grifi a Visioni Sconsigliate (2011) L’occhio è per così dire l’evoluzione biologica di una lacrima e autoritratto Auschwitz (2007) Nudi verso la follia (2004) Giravolte (2001) A proposito degli effetti speciali (2001) Ma chi è questo Grifi? (1998) Addo’ sta Rossellini? (1997) In viaggio con Patrizia (1995) Un bacio non uccide (1994) Leoncavallo, i giorni dello sgombero (1994) La nostra anima (1987) A partire dal dolce (1979) Il preteso corpo (1977) Lia (1977) Il Festival del proletariato giovanile al Parco Lambro (1976) Anna (1975)

은 장면은 4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보는 이를 당 혹스럽게 만든다 - 하고 있는 반면, 나보나 광장에서는 그곳을 배회하는 사람들과의 인터뷰, 이들이 정치사회 적 현안 혹은 안나와 관련된 문제를 두고 벌이는 논쟁, 가정주부의 인권을 부르짖는 여성주의 단체의 집회 등 당대 이탈리아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여러 광경들을 카 메라에 담고 있다. 이탈리아 1977년 운동을 가능케 한 분위기를 포착한(혹은 예견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프 랑스 68혁명에 앞서 만들어진 장 루슈와 에드가 모랭의 <여름의 연대기 Chronique d’ un été>(1961)나 크리스 마르케의 <아름다운 오월 Le joli mai>(1963) 같은 영화 들과 비교되기도 하지만, <안나>의‘정치적 미학’ 은워 홀의 <블루 무비 Blue Movie>(1969) - 비바(Viva)와 루 이스 월든(Louis Waldon)이 무좀과 임질에서부터 베트 남전에 이르기까지 이런저런 주제에 대해 대화를 나누 고 섹스하고 샤워하는 모습을 담은 영화 -, 하라 가즈오 의 <극사적 에로스 Extreme Private Eros: Love Song>(1974) 그리고 1960년대와 70년대 미국 좌파의 인류학적 보고서라 할 로버트 크레이머와 존 더글러스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6

의 <마일스톤즈 Milestones>(1975) 사이에서 진동하고 또 표류한다

완전히 망각 속에 파묻혔다. (<안나>가 다시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된

고 보아야 옳을 것이다. <안나>는 정치의 가능성을 다시 발견하기

것은 디지털 복원판이 2011년 베니스영화제 및 2012년 로테르담

위해‘극사적’(極私的) 영역을 포괄하는‘ 일상생활의 실천’(the

영화제에서 상영되면서부터다.) 이 영화에 얽힌 불운은 이것만이 아

practice of everyday life)에 대한 다큐멘터리적 세사(細査)로 향하

니다. 영화를 공동연출한 그리피와 사르끼엘리는 크레딧 문제 - 사

지만, 이는 돌발적인 사건(안나에 대한 애정을 고백하며 불현듯 프

람들은 이 영화를 전적으로 그리피의 것으로 간주하곤 했다 - 로 갈

레임 안으로 들어오는 빈첸조(Vincenzo)라는 이름의 스태프)에 의

라섰고, 안나는 빈첸조에게 아이를 떠넘기고 사라진 뒤 결국 로마의

해 굴절되는가 하면 주인공의 반발(출산장면의 촬영을 거부하는 안

정신병동에 입원했으며 그 이후 소식은 (지금까지도) 아무도 모른

나)에 의해 가로막힌다. <안나>는 제도(institution)에 반발하거나 거

다. 그리고 빈첸조는 한 싸움에 말려들었다 살해되었다. 두 명의 감

기서 일탈한 이들(안나와 나보나 광장의 청년들) 주변을 집요하게

독은 이 영화가 다시 빛을 보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 (그리피는

맴도는 영화이고 영화의 제작 방식 또한 사뭇 반제도적이었지만, 사

2007년에, 사르끼엘리는 2010년에 사망했다.) 마치 흡혈귀처럼, <안

실 그리피와 사르끼엘리가 안나를 카메라에 담기 위해 끌어들인 조

나>는 그와 연루된 이들의 생을 박탈함으로써 육신을 얻었고, 오랜

건들(사르끼엘리의 아파트, 장시간촬영이 가능한 비디오, 사실의 기

기간 어둠 속에 잠들어 있다가, 홀연히 깨어나 우리 앞에 나타났다.

록과 분리불가능한 구성적 요소(structural element)로서 재연의 활

(유운성)

용)은 이미 그 자체로 또 하나의 제도로 기능한다. 감독들이 염두에 두거나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겠지만, 빈첸조와 안나에 의한 영화의 굴절과 중단은 영화 제작에 수반되는 불가피한 제도에 대한 인간적 저항으로서, 1970년대 이탈리아의 정치적 지형에 상응하는 진정한 영화적 특이점들(singular points)이 된다. 보다 간명하게 말 하자면, <안나>는 그 실패를 통해 저항을 증거하는 영화다. 소설가 레이첼 커쉬너(Rachel Kushner)가『아트포럼 Artforum』에 기고한 글에서 적절히 지적했듯, 그리피와 사르끼엘리의 영화에서 안나라 는 인물은 1970년대“노동계급의 물질적 조건에서 히피, 학생, 비 정규직 노동자, 마약중독자 그리고 여타 소외된 자들의 세계로의, 이탈리아 좌파의 구성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징후”(a symptom of the shift in the composition of the Italian Left, from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 working class to a world of hippies, students, precarious workers, drug addicts, and other emarginati)로서 읽힐 수 있다. <안나>는 1975년 베를린영화제에 초청되었고 이듬해에는 칸영화 제와 베니스영화제에서도 상영되었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후로 무려 40여 년 동안 이 영화는 이탈리아 영화계의 몇몇 이들 에게는 전설처럼 떠도는 영화가 되었고 이탈리아 바깥에서는 거의

Passage

One day of February, 1972, an actor Massimo Sarchielli encounters a girl named Anna at a cafe in Piazza Navona in Rome. She is 16, 8 months pregnant, and homeless, escaping from a shelter and wandering on the street. Bring her to his apartment and taking care of her, he suggests to his friend Alberto Grifi making a film about her with him. Grifi is drawing the Italian experimental film community’s attention with a found footage film, La Verifica Incerta (1964) and decides to make a documentary of her using the video technology which has been in experiment for its aesthetic capabilities at that time. Anna is launched like that It’s the first Italian film shot with a video recorder in the open-reel way, which is converted to 16mm through the equipment of Vidigrafo, Grifi’s invention, and a masterpiece succeeding to the heritages of Direct Cinema and Cinéma Vérité and driving them to their limits at the same time. They make the introduction of Anna with reenacting the moment Sarchielli encounters Anna for the first time at a cafe in Navona. The film unfolds between his apartment she gets to stay at and

20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7

Navona. In the apartment, they record Anna’s every single action with callous obstinacy (as in Andy Warhol’s) by the help of the terrific recording medium of video - especially, the infamous scene where Sarchielli stares at lousy Anna in shower is so nakedly recorded as to feel sultry. On the other hand, in Navona, they shows several sights reflecting the circumstances of Italy in those days like interviews with those hanging around there, their arguments about socio-political issues or Anna, and an assembly of a feminist group claiming the housewives’ rights. Though often compared with Jean Rouch and Edgar Morin’s Chronique d’un été (1961) preceding May 68 events in France(Mai 68) and Chris Marker’s Le joli mai (1963) because it captures(or foresees?) the air of the movement of 1977 in Italy, Anna’s ‘political aesthetics’ would be right to be considered to resonate and drift among Warhol’s Blue Movie (1969) - showing Viva and Louis Waldon’s conversations from athlete’s foot and gonorrhoea to Vietnam War and their sex and shower -, Kazuo Hara’s Extreme Private Eros: Love Song (1974), and Robert Kramer and John Douglas’ Milestones (1975), a anthropological report by American communists in 60’s and 70’s. Anna is oriented toward the microscopic research of documentary for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including ‘hyper private’ part to rediscover possibilities of politics, but it’s inflected by bursting happenings (a staff called Vincenzo suddenly comes into the frame confessing his affection for Anna and blocked by Anna’s rejection (against shooting the childbirth). Though the film is anti-institutional in the way of production and the topic - it persistently follows those who go against the institution (Anna and the guys in Navona), the conditions that Grifi and Sarchielli put Anna in camera Sarchielli’s apartment, video able to shoot for a long time with, reenactments as structural element indivisible from factual documents - already function as another institution itself, indeed. It might not be expected by the directors, the inflection and interruption by Vincenzo and Anna, however, are human resistance against inevitable institutions attended with film production, and become truly singular points corresponding to the

207

political configuration of Italy in 70’s. More simply, Anna is the film who reveals resistance with its failure. As the novelist Rachel Kushner said in Artforum, the character Anna can be read as “a symptom of the shift in the composition of the Italian Left, from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 working class to a world of hippies, students, precarious workers, drug addicts, and other emarginati” in 70’s. Anna was invited to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1975 and screened at Cannes and at Venice, too, in the next year. Nobody knows why, but it has been a hidden legend recognizable only to some of the Italian film community and even a forgotten out of Italy for about 40 years (it didn’t draw attention until its digital restoration version has got screened at Venice, 2011 and at Rotherham, 2012). This is not the only misfortune of the film. Grifi and Sarchielli broke up with each other because of troubles about credit things - people regarded the film totally Grifi’s work. Also, having got away from Vincenzo with the baby left with him, Anna turned out to be put into an asylum and nobody knows her after story. Vincenzo was killed getting involved in a fight. The two directors passed away before this film has come to light again (Grifi died in 2007 and Sarchielli, 2010). Just like a vampire, Anna got its life by depriving the people related to it of theirs, slept in the dark for a long time, and has woken up and shown up in front of you. (YOO Un-seong)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8

로널드 랭의 분열된 자아 All Divided Selves

Director | 루크 포울러 Luke FOWLER

Staff

UK | 2011 | 93min | Digibeta | Color+B&W

DIRECTOR | Luke FOWLER Contact Lux Distribution distribution@lux.org.uk

Courtesy of Luke Fowler and LUX, London.

Passage

20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09

Program Note <로널드 랭의 분열된 자아>은 글래스고 출신의 심리학자 R.D. Laing의 생애와 그의 고 전적 텍스트인“경험의 정치(1967)” 를 조명한다. 루크 파울러는 Laing이 출연한 다양한 영상자료와 그의 텍스트 발췌문들을 통해 그와 동료들이 1960년대 와 70년대 영국의 사 회문화적 혁명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주변화되고 불편한 주체들 을 정신적으로 병든 것으로만 간주하지 않고 세계의 소외적인 측면들과 그것들이 인간 의 고통을 낳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우고자 노력했다. 파울러 는 이 아카이브 자료들을 자신이 촬영한 장면들 (익스트림 클로즈업으로 촬영된 풍경들 과 스탠 브라카주의 시적 영화들을 연상시키는 추상적 색채 이미지들)과 교차시킴으로 루크 포울러

써 장소에 대한 특별한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이때 장소란 그의 정신의학적 실천들을 둘

Luke FOWLER

러싼 사회문화적 맥락들로부터 비롯된 다양한 정동(affect)들로 충만한 장소를 말한다. 선형적인 내러티브 진행을 거부하면서 이 영화는 다양한 청각적 재료들을 통해 사운드

Director’s Biography

와 이미지의 복잡한 관계에 도달하게끔 한다. 레코더로 별도로 녹음된 사운드스케이프

1978년생인 루크 포울러는 글래스고를 기반으로 활

들, Laing의 보이스오버, 영상자료에서 추출한 사운드 효과들은 각각의 소리에 담긴 분

동하는 아티스트이자 영화감독이며 뮤지션이기도

위기를 부각시킨다. 이를 통해 시청각적 관계들의 복잡성은 과거와 현재 사이의 관계가

하다. 그는 던디의 DJCAD에서 판화를 전공했다.

가진 복잡성,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계가 가진 복잡성, 그리고 Laing의 이상들과 이를 둘

그는 50년대의 영국 자유영화운동을 잇는 영화적

러싼 사회적 조건들 사이의 관계가 가진 복잡성과 공명한다. (김지훈)

콜라주 작업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다큐멘터리 영 화는 반문화(counter culture)의 상징적 인물인 스 코틀랜드의 정신의학자 로널드 랭과 영국 작곡가 코 넬리우스 카듀(Cornelius Cardew)를 탐구했다. 2009년, 그는 서펜타인 갤러리에서 회고전을 가졌 으며, 2011년에는 런던 헤이워드 갤러리의‘British Art Show 7 ’ 에 참여했다. 2012년 포울러는 <로널 드 랭의 분열된 자아>를 선보인 에든버러 인버레이 스 하우스 개인전으로 터너상 후보에 이름을 올리기 도 했다.

Luke Fowler (born 1978) is an artist, filmmaker and musician based in Glasgow. He studied printmaking at Duncan of Jordanstone College of Art and Design in Dundee. He creates cinematic collages that have often been linked to the British Free Cinema movement of the 1950s. His documentary films have explored counter cultural figures including Scottish psychiatrist R. D. Laing and English composer Cornelius Cardew. Fowler was shortlisted for the 2005 Beck’s Futures prize in December 2004. He was awarded the inaugural Derek Jarman Award in 2008. In 2009, he had a retrospective exhibition at the Serpentine Gallery. He exhibited in 2010 in Rencontres d’Arles festival (France). In 2010, Fowler was awarded a grant from the Foundation for Contemporary Arts through their Grants to Artists program. In 2011, Fowler was part of ‘British Art Show 7’ at the Hayward Gallery, London. In 2012 Fowler was shortlisted for the Turner Prize, for his solo exhibition at Inverleith House in Edinburgh, which showcased his new film exploring the life and work of Scottish psychiatrist R.D. Laing.

All Divided Selves portrays the life of Glasgow-born psychiatrist R.D. Laing, as well as his now classic text “The Politics of Experience (1967). Drawing upon an array of archival sources including his various presences in the footage as well as excerpts from his texts, Fowler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Laing and his colleagues on the social and cultural revolutions of the 1960s and 70s in UK as they strived to evok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arginalized and disturbing subjects not simply as mentally ill but as significant to understanding the alienating aspects of the world and the ways in which they are responsible for human distress. Intersecting the archival materials with his filmic records, including landscapes shot in extreme closeup and colorful abstractions reminiscent of Stan Brakhage’s lyrical films, Fowler unravels a particular sense of place, a place charged with various affects derived from the sociopolitical contexts of his psychiatric practices. Abandoning a linear progression of narrative, the film enable viewers to reach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sound through a variety of audible materials from disparate sources, including a stream of natural soundscapes directly made with a separate recorder, and Laing’s voices and a series of sound effects derived from the archival materials, bringing into relief each of its atmospheres. In doing so, the complexity of the audio-visual relationships echoes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etween humanity and nature, and between Laing’s ideals and his surrounding social conditions. (KIM Jihoon)

Filmography All Divided Selves (2011)

209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0

야만의 땅 Barbaric Land

Director | 예르반 지아니키안, 안젤라 리치 루끼 Yervant GIANIKIAN, Angela Ricci LUCCHI France | 2013 | 65min | DCP | Color

Staff DIRECTOR | Yervant GIANIKIAN, Angela RICCI-LUCCHI PRODUCER | Sylvie Brenet Contact Les Films d’Ici Tel : +33 1 44 52 23 23 Production.1@lesfilmsdici.fr

Passage

21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1

Program Note 파운드 푸티지 영화의 선구자들인 예르반 지아니키안-안젤라 리치 루끼는 공적 또는 사적 아카 이브에서 가져온 버려진 필름들을 발굴하여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전쟁과 식민주의의 이미지 들을 새롭게 조명해 왔다. 이 듀오의 새로운 작품인 <야만의 땅>은 1930년대 중반 무솔리니 정 권이 점유한 에티오피아와 관련된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정교하고도 명상적인 몽타주다. 그 이 미지들은 이탈리아 군대의 행진, 이탈리아 대중들의 파시즘에 대한 협력의 장면들, 그리고 이탈 리아의 에티아피아 정복 등을 포함한다. 이 듀오는 자신들이 직접 개발한‘ 분석적 카메라 (analytical camera)’ 를 전작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활용한다. 이 카메라를 통해 이 듀오는 푸티 지의 개별 프레임들을 재촬영하여 그 세부들(심지어 물질적 실체도)을 탐구하고 색채를 조작하 예르반 지아니키안, 안젤라 리치 루끼

며 푸티지의 상영속도를 조절한다. 그 결과 <야만의 땅>의 이미지는 생생한 필름 그레인과 스크

Yervant GIANIKIAN,

래치들을 보존한 채 극단적인 슬로 모션으로 제시된다. 이는 관객이 발굴된 푸티지를 역사적 기

Angela Ricci LUCCHI

록물로 인식하고 거기에 기입된 인물들의 행위와 몸짓을 성찰하게끔 유도한다. <야만의 땅>에 서 이 듀오는 시적 접근과 분석적 접근이 균형을 이룬 자신들의 수작업적 기법을 유지하면서 몇

Director’s Biography

가지 새로운 요소들을 더한다. 첫째는 관람자들이 식민주의의 이미지 자체와 그것들이 소비되

예르반 지아니키안(아르메니아) 베니스에 서 건축학을 공부했으며, 안젤라 리치-루 끼는 오스카 코코슈카와 함께 오스트리아 에서 그림을 공부했다. 밀라노를 기점으 로 70년대 중반부터 그들은 영화예술에 그들의 모든 것을 헌신했다. 처음에는 영 사되는 필름을 위한 퍼포먼스 스크리닝 작업으로 출발했다. 그 다음은 그들이 수 집해왔던 오래된 영화들을 수작업으로 일 일이 색깔을 입히고, 색감을 조절하고, 다 시 편집해 새로 탄생시키는 작업이었다. 예를 들면, 루까 코메리오가 촬영한 From the Pole to the Equator/ Dal polo all'equatore의 푸티지 쇼트인데, 마치 영 화필름, 이데올로기와 문화를 겸비한 고 고학자들처럼 작업을 해온 그들은 영화예 술을 단지 내러티브나 시뿐만 아닌 평론 이나 분석연구로 승화시켰다.

는 방식들을 동시에 읽게끔 하는 것으로, 이는 가슴을 드러내고 무릎을 꿇은 에티오피아 여성 이

Yervant GIANIKIAN (born to Armenian parents) studied architecture in Venice; Angela Ricci-LUCCHI studied painting in Austria with Oskar KOKOSCHKA. Setting in Milan, they have devoted their activities to the cinema since the midseventies, first with their performance screening of scened films, then with their artisanal re-working of the old films of their collection which they tinted, toned and re-edited - as they did, for example, in From the Pole to the Equator/ Dal polo all’equatore with footage shot by pioneer Luca COMERIO. Working like archeologists with filmstock, ideologies and culture, they have developed a cinema which is not only narrative and poetry but also critique and analysis of the recycled footage. Working like archeologists with filmstock, ideologies and culture, they have developed a cinema which is not only narrative and poetry but also critique and analysis of the recycled footage. Filmography Barbaric Land (2013) Electric Fragment N.6-Dancing in the Dark (2009) Ghiro ghiro tondo (2007) 211

미지와 그녀의 머리를 씻겨주는 이탈리아 군인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시퀀스에서 드러난다. 두 번째 요소는 아카이브 푸티지에 대한 탐구를 20세기 초의 제국주의 시각문화라는 보다 넓은 체 제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감독들은 자신들이 편집한 푸티지를 피식민자들의 초상사진 및 그들 의 풍경에 대한 스냅샷들과 병치시킨다. 이를 통해 이들은 민속지적 영화와 사진 모두를 규정했 던 동일한 제국주의적 시선을 암시한다. 마지막 요소는 우리가 과거의 파시즘에 대해 생각하는 만큼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음을 상기시키려는 감독들의 노력이다. 이는 영화의 보이스오버가 오 늘날 유럽에서 존속되는 파시즘과 인종주의를 과거의 귀환으로 말할 때 드러난다. 이 세 가지 요 소들 모두는 감독들의 아카이브 영화(archival film)를 성공적으로 심화시키고 있다. 그들의 영 화는 과거와 현재, 가시성과 비가시성, 그리고 아름다움과 잔혹함 사이에서 움직이는 아카이브 영화다. (김지훈)

Pioneers of found footage films, Yervant Gianikian and Angela Ricci Lucchi have excavated discarded film reels from public or private archives, shedding new light on images of Italian war and colonialism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duo’s new major work, Pays barbare [Barbaric Land], offers a delicate and contemplative montage of images from Mussolini’s brutal occupation of Ethiopia in the mid-1930s, encompassing the Italian army’s march, Italian mass’ collaboration with Fascism, and the Italian venture to conquer Ethiopia. As in their previous archival films, the ‘analytical camera,’ a special device built by the filmmakers themselves, allows them to enter the individual frames of the footage with rephotographing them, to explore their details (even their material substance), to manipulate their colors, and to slow the footage down. As a result, the images of Pays Barbare are presented in extreme slow motion and with a vivid texture of grains and scratches, enticing the viewer to consider the footage as historical documents and ponder the actions and gestures of the subjects inscribed in it. In keeping their manual technique marked by the balance between poetic and analytical approaches, the filmmakers add a few new elements to their renewal of the archival image. The first is to enable viewers to read images of colonialism themselves and the way in which they were consumed, as evident in the sequence of a Ethiopian woman on her knees wearing a top that leaves her breasts bare, and a bearded soldier who washes her head symbolically. The second is to position the filmmakers’ study of the archival footage within the larger regime of colonial visual cul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they juxtapose it with portraits of the colonized and snapshots of their landscape in order to suggest the same imperial gaze that determined both ethnographic film and photography. The final element is the filmmakers’ effort to remind us that we are not as far removed from yesterday’s fascism as we might think, as the film’s voice-over narrates the persistence of fascism and racism in contemporary Europe as the recurrence of the past. All of the three new elements successfully deepen the filmmakers’ archival cinema as moving between past and present, visibility and invisibility, and beauty and brutality. (KIM Jihoon)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2

대홍수 The Great Flood

Director | 빌 모리슨 Bill MORRISON

Staff

USA | 2013 | 80min | DCP | B&W

DIRECTOR | Bill MORRISON Contact Bill MORRISON bimo@nyc.rr.com

Passage

21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3

Program Note 빌 모리슨은 최근 20여년간 파운드 푸티지 영화제작의 기법과 양식을 확장해왔다. 그의 작업은 공적 아카이브들로부터 끌어온 상태가 저하된 필름을 수작업과 화학적 기법들을 통해 변형시켜 필름의 물질적 구성성분들이 펼치는 변화를 시적으로 끌어낸다. 이를 통 해 모리슨은 파운드 푸티지 영화제작에 소멸과 쇠퇴의 미학을 도입했다. 필름의 점증하 는 죽음, 그리고 필름에 보존된 주체들의 소거라는 의미 모두에서 말이다. <대홍수>에서 모리슨은 1차대전과 2차대전 사이의 미국을 황폐화시켰으나 지금은 망각된 홍수에 주목 한다. 이 홍수는 처음에는“미시시피강 홍수”라 불렸으나 1,650만 에이커의 대지 침수, 수백명의 사망자, 60만여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킨 커다란 피해로 인해 이후‘대홍수’ 라 빌 모리슨

불리게 되었다. 모리슨은 국립아카이브와 남캐롤라이나대학의 뉴스필름도서관에서 발

Bill MORRISON

견한 대홍수 관련 푸티지들을 재편집하여 과거의 이중적 침식에 응답한다. 여기서 이중 적 침식이란 재난의 상실과 재난에 대한 대중적 기억의 상실 모두를 가리킨다. 이러한 응

Director’s Biography

답은 모리슨이 전작들에서 오랫동안 투신한 것으로, 망각된 필름들을 시간의 흐름에 종

빌 모리슨의 영화들은 종종 희귀한 아카

속된 죽어가는 대상들로 역동적으로 변형시킨 <데카지아(2002)>와 쇠퇴하는 셀룰로이

이브 자료들을 현대음악에 조합한다. 작

드에 대한 시적 접근을 역사와 공적 기억에 대한 다큐멘터리적 참여와 접목시킨 <광부

곡가 마이클 고든과 공동작업한“ 디케이

찬가(2011)>에서 드러난다. 변질되는 셀룰로이드의 드라마는 다소 누그러졌지만 <대홍

시아”(Decasia, 67분, 2002)는 최근 미

수>에서 모리슨의 극단적인 슬로 모션은 홍수에 의해 파괴된 삶을 회복하고자 애쓰는 민

국 의회 도서관(US Library of Congress) 의 2013년 국립영화등기부(National Film Registry)에 가장 현대적인 영화로 등록되었다. 2014년 빌 프리셀이 음악을

중들에게 구원적인 빛을 비춘다. 그것은 망각 속에 던져진 과거의 재난과 허리케인 카트 리나와 같은 동시대의 파국 사이의 설득력 있는 만남을 주선한다. 이를 통해 대홍수는 발 터 벤야민의‘ 변증법적 몽타주’ 를 성취한다. (김지훈)

맡은 <대홍수>는 극장상영되었다. 요한 요한슨이 작곡을 맡은 <광부들의 성가> 는 미국, 네덜란드, 영국에서 라이브 콘서 트 투어를 했다. 2014년 10월부터 11월 까지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중간회고전이 열릴 예정이다.

Bill Morrison‘s films often combine rare archival material set to contemporary music. Decasia (2002), his collaboration with the composer Michael Gordon, was recently selected to the US Library of Congress’ 2013 National Film Registry, becoming the most modern film to be named to that list. Morrison’s films are also in the collec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Walker Art Center, and the EYE Film Institute. In 2014 The Great Flood (2014), with soundtrack by Bill Frisell opened theatrically and The Miners Hymns (2011), with score by Jóhann Jóhannsson, toured with live musical performances in the US, Netherlands and UK. In October – November 2014, Morrison will have a mid-career retrospective at the Museum of Modern Art, NY. Filmography

Bill Morrison has expanded the techniques and styles of found footage filmmaking over the past two decades. By turning degraded film stock culled from film archives into lyrical plays of its material substrates both manually and chemically, his work has introduced to found footage filmmaking the aesthetics of disappearance and decay, both in the sense of the growing death of film and in the sense of the erasure of the subjects preserved in it. In his new feature-length film, -->The Great Flood, Morrison turns his attention to the forgotten flood that devastated interwar America, a floor that was originally called the Mississippi River Floor but later given the current name due to its pandemic impacts, including the submerged -->16.5 million acres across seven states, hundreds of the dead, and about 600,000 refugees dislocated from their home. Compiling and reediting footage from the Fox Movietone Newsfilm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and the National Archives, Morrison responds to the double erosion of the past, a loss of the disaster and that of the public memory of it. This response is Morrison’s deep-seated devotion evident in his previous films, including -->Decasia (2002), a film marked by the dynamic transformation of forgotten films into dying objects subject to the passage of time, and -->The Miner’s Hymn (2011), a film that signals his venture into brining his lyrical treatment of celluloid in decay to the documentary’s engagement with history and public memory by retrieving footage of coalminers in the north of England. While the drama of deteriorating celluloid becomes more modest, Morrison’s extreme slow motion of the original footage in -->The Great Flood still offer the viewer redemptive glimmer in the people who strived to restore their life destroyed by the flood. In doing so, it adds up to a kind of Benjaminian “dialectical montage” as it creates a compelling encounter between the past disaster thrown into amnesia and the contemporary catastrophe exemplified by Hurricane Katrina. (KIM Jihoon)

All Vows (2013) Re:Awakenings (2013) Just Ancient Loops (2012) The Great Flood (2012) The Miners’ Hymns (2011)

213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4

사랑해 중국 China, I Love You

Director | 리우 베일린 Liu BEILIN

Staff

China, France | 2014 | 40min | HD | Color

DIRECTOR | Liu BEILIN Contact Liu BEILIN lena_yiyi@hotmail.com

Passage

21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5

Program Note 최근 파운드 푸티지를 활용해 만든 실험적인 작품들이 많아진 편인데, 그 성과에 대해서 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작품들이 마치 교육과 예술 사이를 오가는 것 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중국 사회에 대한 애증이 깊게 느껴지는 이 작품에서 리우 베일린 은 60년대 문화혁명의 시작에서 소비사회로 치닫는 지금의 중국까지 꽤 진부한 일상의 풍경이 담긴 푸티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가령 마오쩌뚱의 초상에서 시작한 영화 는 광장에서 태극권을 하는 한 무리의 사람들, 한 남자가 지하도를 걸어가는 긴 지하도를 걸어가는 한 남자의 긴 뒷모습, 그리고 아이들이 발표회를 하듯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 는 장면으로 이어진다. 작가는 이러한 이미지들의 단편에서 중국 사회에 대한 작은 비평 리우 베일린

을 시도한다. 영화의 한 장면에서는 문화혁명의 시기에 아이들에게 서양음악을 가르쳤

Liu BEILIN

다는 이유로 굴욕과 수치를 겪어야만 했던 한 남자의 일화가 소개된다. 이미지와 소리의 불일치가 평범한 푸티지에서 역사의 끔찍했던 순간을 환기시킨다. 말 없는 이미지에 작

Director’s Biography

가의 비평적 내레이션이 더해지지 않았다면 이런 효과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런 점에

베이징 필름 아카데미에서 연출을 전공했

서 꽤 교육적이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김성욱)

다. 우한대학교와 리옹3대학에서 영화를 공부했으며, 프랑스 뚤루즈 오디오비주얼 국립학교(ESAV)에서 영화연출을 배웠다. <사랑해, 중국>은 감독의 첫 장편 다큐멘 터리이다.

She graduated from Beijing Film Academy in 2008 with a master degree in the department of directing and studied the Chinese film in Wuhan University and LyonIII as a PhD student. And then, from 2013 to 2014, she studied the film directing in ESAV in France. China, I Love You is her first Medium Length Film and is her first documentary and film school work. Filmography

Recently, more films are experimenting with the technique of found footage, but I think with mixed results. It is because these films seem to go back and forth between the space of education and art. In this film, which displays a deep conflict of love and hate towards Chinese society, Liu Beilin actively utilizes footages of rather banal everyday life spanning from the Cultural Revolution of the 60s to today’s consumeristic society. This film starts with Mao Zedong’s portrait and continues on to show throngs of people doing Tai Chi in the main plaza, the back of a man walking a long subterranean walkway, and children singing and dancing as if presenting in front of a crowd. By showing these vignettes, the director attempts to make subtle critiques of Chinese society. In one scene, we are introduced to a man who experienced degradation and shame as a result of teaching western music to children. In footages in which image and sound often don’t align, we are reminded of horrific moments in history. Without the critical narration of the director in these silent images, this effect would’ve been impossible. In that regard, this is quite an educational piece. (KIM Sung-Wook)

China, I Love You (2014)

215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6

삐 소리가 울리면 Beep

Director | 김경만 KIM Kyung-man

Staff

Korea | 2014 | 10min | HD | Color+B&W

DIRECTOR | KIM Kyung-man PRODUCER | YOO Un-seung, GO Eun-ju SOUND | KOH Eunha Contact KIM Kyung-man zadoz@daum.net

Passage

21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7

Program Note

김경만 KIM Kyung-man Director’s Biography 주로 오래된 뉴스릴, 프로파간다 필름 등을 재료로 영화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He has been devoting himself at reediting archive footages, newsreels, and propaganda films. Filmography <삐 소리가 울리면> Beep (2014)

2000년대 초부터 김경만은 컴필레이션 영화(compilation film)의 주제와 방법에 전적으로 헌신해 온 한국의 유일한 독립영화 감독이었다. 그의 영화는 공적 아카이브들에서 가져온 뉴스릴과 선전영화, 교육영화들을 조사하고 그 이미지들를 암시적으로 병치시킨다. 이 영 화들을 통해 관객은 전후 한국 근대화의 역사를 지배했던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긴장들과 대면하게 된다. 그 긴장들은 <각하의 만수무강(2002)>에서처럼 전두환의 군사독재이기도 하고, <미국의 바람과 불(2011)>에서처럼 해방 직후부터 신자유주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이 어지는 미국에 대한 뿌리깊은 정치적, 문화적 의존이기도 하다. <삐 소리가 울리면>은“나 는 공산당이 싫어요” 로 알려진 이승복의 죽음과 관련된 뉴스릴들을 재편집한다. 1960년대 후반부터 80년대까지 이어지지만 탈연대기적으로 편집된 이 뉴스릴들은 과거 한국 정부가 이승복의 죽음을 반-공산주의 이데올로기 선전을 위해 여러 가지 방식들 - 기념관 건축, 사 건 재연에 바탕을 둔 교육영화 제작, 반 - 공산주의 궐기대회 조직 - 로 이용했음을 드러낸 다. 여기서 김경만의 편집 전략은 아카이브 푸티지의 탈-연대기적인 결합물과 사운드트랙 사이의 정교한 이질적 조합을 창조하는 것이다. 사운드트랙은 문교부가 제작한 시청각교재 인 [반공사례 반공 어린이 이승복]에서 추출한 것으로 원래 슬라이드 필름과 카세트테이프 로 이루어져 있다. 사운드트랙의 목소리는 일정 간격으로 들리는‘삐 소리’(슬라이드 프로 젝션의 기술적 기반으로부터 비롯된)와 함께 이승복의 죽음을 연대기적으로 말한다. 이는 시간적으로 이질적인 이미지들과 지속적으로 불일치를 이루는 동시에, 이 이미지들의 주체 들이 공유하는 전체주의적이고 폭력적인 배음(overtone)을 부각시킨다. 지금은 쇠퇴한 것 으로 여겨지는 슬라이드 프로젝션을 환기시키고 이를 과거의 공적 미디어를 대표하는 뉴스 릴 및 선전영화와 연결시킴으로써 김경만은 자신의 연상적 편집과 이미지-사운드의 이질적 결합을 새로운 깨달음으로 이끌어간다.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역사는 이에 부과된 이데올로 기적 목적들의 역사와 결부되어 있다는 깨달음 말이다. (김지훈)

<시간의 소멸>

Destruction of Time (2013) <미국의 바람과 불>

An Escalator in World Order (2011) <바보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

The Fool Doesn’t Catch a Cold (2008) <골리앗의 구조>

The Structure of Goliath (2006) <하지 말아야 될 것들>

Things that We Shouldn’t Do (2003) <각하의 만수무강>

Long Live His Majesty (2002)

217

Since the early 2000, Kim Kyungman has remained purportedly the only Korean independent filmmaker who has fully been devoted to the topics and methods of compilation film. By investigating newsreels as well as propaganda and educational films from official archives in Korea, and creating evocative juxtapositions of their images, Kim’s films invite viewers to be confronted with an array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tensions that have pervaded over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in post-war Korea, which encompass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president Cheon Doo-hwan in the 1980s (Long Live His Majesty, 2002) and Korea’s deep-seated dependence upon the culture and politics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post-liberation to the neoliberal era (An Escalator in the World-Order, 2011). Kim’s new short film, Beep, brings together sections from a number of newsreels related to the 1968 death of Lee Seung-bok, a Korean young boy who was murdered by North Korean commandos for his now famous line, “I hate communists.” The newsreels, spanning from the late 1960s to the 1980s but reedited by Kim in non-chronological order, unveil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governments of the past used Lee’s death to propagandize their anti-communist ideology in different ways, such as building Lee’s memorial hall, producing an education film based on the reenactment of the incident, and holding a series of events including anti-communist rallies. Kim’s editing strategy here is to create a deliberate disjunction between this non-chronological assemblage of the archival footage and the film’s soundtrack, which is taken from Anti-communist Boy Lee Seung-bok, an audiovisual text produ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which consists of slide films and a cassette tape. Since the soundtrack narrates the chronology of Lee’s death with beep sounds at a regular interval (which is derived from the technological foundation of slide projection) it creates a consistent mismatch with the temporally disparate images, while at the same time highlighting the totalitarian and violent overtone shared by the images’ subjects. By invoking slide projection as a medium that is now perceived as obsolete, and connecting it to the newsreels and propaganda films as representing the public media of the past, Kim brings his techniques of associative editing and sound-image disjunction to a new recognition that the history of media technologies is seen as inseparable from that of the ideological purposes imposed upon them. (KIM Jihoon)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8

랑킨 거리, 1953 Rankin Street, 1953

Director | 나임 모하이에멘 Naeem MOHAIEMEN

Staff

Bangladesh, USA | 2014 | 8min | HD | Color+B&W

DIRECTOR | Naeem MOHAIEMEN Contact Naeem MOHAIEMEN naeem.mohaiemen@gmail.com

Passage

21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19

Program Note 2010년의 어느 날, 모하이에멘은 낡은 상자 하나를 발견한다. 그 안에는 1953년에 아버 지가 촬영한 네거티브 사진들이 보관되어 있었다. 수백 장의 사진들로, 대부분 가족들의 모습과 거리의 풍경, 고양이들이 담겨있다. 감독은 이 낡은 사진들에 고고학적 분석을 시 도한다. 이는 망각과 기억에 관한 탐구이기도 하다. 그의 아버지는 1953년의 해에 카메 라를 처음 구입해 이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주변에 관심이 가던 대상들을 촬영했지만 아 버지는 이 모든 것들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 1953년 이후에는 전쟁 통에 모든 것들 이 유실되어, 이 사진만이 유일한 기록으로 남았다. 남겨진 사진은 그러므로 아버지와 가 족의 삶에 도달하기에는 불가능한 불완전한 단편들이다. 영화는 아버지의 젊은 시절을 나임 모하이에멘

담은 세 장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으로 끝을 맺는데 정작 아버지는 이 사진을 누가 촬영했

Naeem MOHAIEMEN

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이런 말 없는 이미지에서 숨겨진 이야기와 역사를 어떻게 읽어낼 수 있을까. 이미지의 운명에 관한 짧은 에세이 영화다. (김성욱)

Director’s Biography 나임 모하이에멘은 에세이, 영상, 사진과 혼합 매체를 사용하여 국제 좌파, 국경, 전쟁과 소유에 관한 역사들을 다룬다. 이 번 여름 쿤스트할레 바젤은 그의 작업인 ‘쇼틱 이티하쉬의 수감자들(올바른 역사)

Prisoners of Shothik Itihash (Correct 과 함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History) ’ 한 전시를 선보였다. 2006년 이래, 나임 은 혁명적인 극좌파에 관한‘그 젊은 남자 는 시리즈’작업을 해왔고, 이 프로젝트는 2014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받기도 했다. 나임의 테마는“아직 인간 사회의 가능성 에 대해 완전히 환멸하기엔 이르다”(비제 이 프라샤드, Take on Art)는 말로 요약

One day in 2010, Mohaieman discovers an old box. Inside, there are negatives of photos taken in 1953 by his father. There are hundreds of pictures, most of which are of family, images of the streets, and of cats. The director attempts to archeologically analyze the pictures. This is a research into the cross section of oblivion and memory. According to his father, he took these pictures in 1953, the year in which he purchased his first camera. He captured images and artifacts of things he found interesting but he no longer remembers them. As a result of the war, after 1953 everything was lost and this picture is the remaining record that is unable to paint the complete picture of the former lives of his father and family. The film concludes by showing the 3 pictures that capture the father in his youth but the father is unable to even remember who took those pictures. How can one extract all the stories and history embedded within these still images? This short film is an essay that touches on these aspects of the fate of photos. (KIM Sung-Wook)

될 수 있다. 그는 현재 컬럼비아 대학에서 역사인류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Naeem Mohaiemen used essays, films, photography, and mixed media to explore histories of the global left, borders, war, and belonging. This summer Kunsthalle Basel presented a survey show of his work Prisoners of Shothik Itihash (Correct History). Since 2006, he has worked on The Young Man Was, a history of the revolutionary ultra-left, chapters of which are currently on view at Experimenter, Kolkata. The project has received a 2014 Guggenheim Fellowship. Naeem’s themes have been described as “not yet disillusioned fully with the capacity of human society” (Vijay Prashad, Take on Art). He is also a Ph.D. student in Historical Anthropology at Columbia University. Filmography Rankin Street, 1953 (2014) Der Weisse Engel (2014) Afsan's Long Day (The Young Man Was, Part 2) (2014)

219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0

화이트 엔젤 Der Weisse Engel

Director | 나임 모하이에멘 Naeem MOHAIEMEN

Staff

Bangladesh, USA | 2014 | 8min | HD | Color+B&W

DIRECTOR | Naeem MOHAIEMEN Contact Naeem MOHAIEMEN naeem.mohaiemen@gmail.com

Passage

22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1

Program Note 이 영화는 존 슐레진저의 <마라톤 맨>의 한 시퀀스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마 라톤 맨>의 후반부에서 과거 유태인 수용소의 고문담당자였던 의사 스젤이 다이아몬드 가게를 지나다 그를 알아본 수용소의 생존자 여인에게 쫓기는 순간이다. 여인은 그가 악 명 높은 고문자인‘ 화이트 엔젤’ 이라 소리 지르며 거리의 사람들에게 그를 체포해 달라 호소한다. 사람들은 웅성거리지만 스젤은 택시를 타고 소란스런 거리를 유유히 빠져나 간다. 감독은 일련의 연속적인 장면들을 조각들로 분절시키면서 검은 무지화면을 중간 마다 삽입해 간헐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미지가 부재한 화면에는 대사를 대신하는 문자 들을 기입하는데 영화가 진행될수록 이미지는 사라지고 무지화면과 문자가 화면의 전부 나임 모하이에멘

를 차지하게 된다. 연속성의 이미지가 짧은 조각들로 파편화되면서 이미지은 현전과 부

Naeem MOHAIEMEN

재를 오간다. 마치 기억의 잔상이나 어긋난 파편들처럼. 이런 시도는 픽션의 이야기를 다 른 이야기로 다른 기억으로 생성케하는 작업이다. (김성욱)

Director’s Biography 나임 모하이에멘은 에세이, 영상, 사진과 혼합 매체를 사용하여 국제 좌파, 국경, 전쟁과 소유에 관한 역사들을 다룬다. 이 번 여름 쿤스트할레 바젤은 그의 작업인 ‘쇼틱 이티하쉬의 수감자들(올바른 역사)

Prisoners of Shothik Itihash (Correct 과 함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History) ’ 한 전시를 선보였다. 2006년 이래, 나임 은 혁명적인 극좌파에 관한‘그 젊은 남자 는 시리즈’작업을 해왔고, 이 프로젝트는 2014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받기도 했다. 나임의 테마는“아직 인간 사회의 가능성 에 대해 완전히 환멸하기엔 이르다”(비제 이 프라샤드, Take on Art)는 말로 요약

This film takes a sequence from John Schlesinger’s Marathon Man and creatively reimagines it. The moment takes place towards the latter half of Marathon Man in which Szell, who in the past was the primary torture doctor of the Jews in the internment camp, is recognized by the surviving lover of a victim while passing a diamond store, and is being chased. The lover screams to the surrounding crowd that Szell is the infamous torturer, “White Angel” and implores them to catch him. The crowd reacts but Szell is able to catch a cab and smoothly escape the chaotic scene. The director fragments the sequence of events with intermittent blackout screens. Letters replace the actor lines on screens devoid of images. As the film progresses images disappear and letters start to replace the entire screen. As the continuous images scatter into tiny pieces, they vacillate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as if they were forgotten remnants of a memory or stray shrapnel. This attempt takes a fiction into a different direction that creates new memories. (KIM Sung-Wook)

될 수 있다. 그는 현재 컬럼비아 대학에서 역사인류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Naeem Mohaiemen used essays, films, photography, and mixed media to explore histories of the global left, borders, war, and belonging. This summer Kunsthalle Basel presented a survey show of his work Prisoners of Shothik Itihash (Correct History). Since 2006, he has worked on The Young Man Was, a history of the revolutionary ultra-left, chapters of which are currently on view at Experimenter, Kolkata. The project has received a 2014 Guggenheim Fellowship. Naeem’s themes have been described as “not yet disillusioned fully with the capacity of human society” (Vijay Prashad, Take on Art). He is also a Ph.D. student in Historical Anthropology at Columbia University. Filmography Rankin Street, 1953 (2014) Der Weisse Engel (2014) Afsan's Long Day (The Young Man Was, Part 2) (2014)

221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2

압산의 긴 하루 (그 젊은 남자는, 2부) Afsan’s Long Day (The Young Man Was, Part 2)

Director | 나임 모하이에멘 Naeem MOHAIEMEN

Staff

Bangladesh, USA | 2014 | 39min | HD | Color+B&W

DIRECTOR | Naeem MOHAIEMEN Contact Naeem MOHAIEMEN naeem.mohaiemen@gmail.com

Passage

22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3

Program Note 2006년 이래로 모하이에멘 감독은 방글라데시 정치운동의 경험을 70년대 급진좌파 운 동의 역사와 연결해 탐구하는 ‘그 젊은 남자는’ 이라는 기획을 시작했다. 1부에 해당하는 전작이 일본 연합적군의 이야기라면, 2부인 <압산의 긴 하루>는 70년대 독일 좌파운동 의 역사를 소환한다. 영화의 시작은 2009년의 방글라데시 대학가에서 벌어진 시위. 이어 각각의 챕터는 충돌, 감옥, 후회, 장례식 등의 주제로 현재의 운동을 과거 다큐화면에서 뽑아온 역사의 에피소드들과 연결해 보여준다. 그 가운데 독일의 정치인 요수카 피셔의 정치적 삶이 주요하게 부각된다. 그는 독일 연방공화국에 저항한 68세대의 일원으로 시 작해 70년대 바더 마인호프 그룹과 관계했지만, 이후 현실 정치에 투신해 녹생당의 리더 나임 모하이에멘

로 활동했다. 그랬던 그가 1999년에는 코소보 분쟁에 독일군 파견을 지지해 논란이 있었

Naeem MOHAIEMEN

다. 70년대 젊은이들의 정치적 유토피아에의 열망과 과격한 폭력에의 미혹, 변절과 몰락 의 과정에 대한 감독의 내레이션은 운동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과거로부터 교훈

Director’s Biography

을 얻어야 한다는 충실한 비평이다. (김성욱)

나임 모하이에멘은 에세이, 영상, 사진과 혼합 매체를 사용하여 국제 좌파, 국경, 전쟁과 소유에 관한 역사들을 다룬다. 이 번 여름 쿤스트할레 바젤은 그의 작업인 ‘쇼틱 이티하쉬의 수감자들(올바른 역사)

Prisoners of Shothik Itihash (Correct 과 함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History) ’ 한 전시를 선보였다. 2006년 이래, 나임 은 혁명적인 극좌파에 관한‘그 젊은 남자 는 시리즈’작업을 해왔고, 이 프로젝트는 2014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받기도 했다. 나임의 테마는“아직 인간 사회의 가능성 에 대해 완전히 환멸하기엔 이르다”(비제 이 프라샤드, Take on Art)는 말로 요약 될 수 있다. 그는 현재 컬럼비아 대학에서 역사인류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Naeem Mohaiemen used essays, films, photography, and mixed media to explore histories of the global left, borders, war, and belonging. This summer Kunsthalle Basel presented a survey show of his work Prisoners of Shothik Itihash (Correct History). Since 2006, he has worked on The Young Man Was, a history of the revolutionary ultra-left, chapters of which are currently on view at Experimenter, Kolkata. The project has received a 2014 Guggenheim Fellowship. Naeem’s themes have been described as “not yet disillusioned fully with the capacity of human society” (Vijay Prashad, Take on Art). He is also a Ph.D. student in Historical Anthropology at Columbia University.

Starting in 2006, Director Mohaieman started a project called “The young man was…” which dives into the Bangladesh political activity tied to the radical left movement of the 70s. If the previous work comprising Part 1 is about the Japanese United Red Army, Part 2, “Afsan’s Long Day” unravels the history of the German leftist movement of the 70s. The film starts in 2009 at a demonstration taking place in a Bangladesh college town. What follows in each chapter is the theme of collision, imprisonment, regret and funeral which connects today’s political climate with selected historical events shown through a documentary lens. In the midst, German politician Joshcka Fischer’s political life becomes highlighted. He started as one of 68th generations who resisted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and was linked with Der Baader-Meinhof in the 70s but currently threw himself into being the leader of the eco-friendly party. Then, in 1999, during the Kosovo war, he advocated for sending German troops which led to controversy. The confusion between the desire for political utopia among youth in the 70s and the excessive violence, the narration of the directory about the process of betrayal and ruin, is a critique that we mustn’t repeat our mistakes but rather learn from the past. (KIM Sung-Wook)

Filmography Rankin Street, 1953 (2014) Der Weisse Engel (2014) Afsan's Long Day (The Young Man Was, Part 2) (2014)

223

Passage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4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특별전 Italian Documentary Special Italy Documentary Film Special organized and sponsored by Italian Cultural Institute and curated by Sandro Cappelli

잃어버린 세계 : 이탈리아 다큐멘터리로의 또 다른 길

The lost world: an alternative route into Italian documentaries

이 특별전은 지리적 거리와 문화적 관점에 있어서 한국관객에게 낮 선 세계를 소개해 주고자 기획되었다. 이는 잃어버린 세계이자, 허 물어져 버린 세계로의 여행과도 같다. 선정된 영화의 감독들은 사라진 리얼리티에 대한 생생한 목격자들 이다. 각기 다른 언어와 기술을 사용하여 잃어버린 이탈리아의 모습 들을 그려낸다. 파솔리니는 끊임없이 문명과 모더니티 사이의 대립에 관해 관심을 가져왔다. 그는 동시대적인 환경에서 벗어나 아프리카의 미래와 현 재진행형의 대륙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프리카의 오레스테스를 위한 노트>, 1970). 체칠리아 만지니는 최신작 <세칠리아와 함께 여정을> 에서 50년전에 촬영한 장소를 찾아 그곳의 현재를 반영해 낸다. 체칠리아의 여정은 파솔리니가 <사랑의 집회> (1964)에서 기록했던, 그리고 디 지아니가 미지의 남부 이탈리아 지방에 대한 민족적 여정(<신비로운 루카니아>, 1958)과 상응하는 은유적인 여 로다. 관객들의 상상력은 이들 이탈리아 감독들의 강렬하고 적극적인 시 선을 따라 바질리카타, 풀리아, 사디니아, 로마 외곽지역과 같은 낯 선 이탈리아의 지역들에 매료될 것이다. 파솔리니와 마찬가지로 만 지니 또한 미지의 로마를 필름에 담았다 (<미지의 도시>, 1958, <마 란의 노래>, 1961). 두 감독 모두 그들이 인터뷰하는 사람들과의 교감을 통해 현실을 말하고자 한다. 반면 디 지아니, 다놀피와 파렌 티는 역사의 흐름속에 오염되어가는 풍경의 붕괴를 있는 그대로 관 찰하며 이야기 한다. 이탈리아를 보는 또 다른 시각은 틴토 브라스의 실험적인 단편들에 서 발견 될 수 있다. 그는 다큐멘터리 편집자로서의 경험을 통해서 아카이브 자료편집이 호황이던 시절의 근무 시간과 자유시간을 묘 사한다 (<근무시간/자유시간>, 1964). 이 작은 특별전이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들의 현실과 변화를 그리는 다양한 방식을 소개하는 루트가 되기를 바란다. (산드로 카펠리 : 영화학자, 이탈리아 외교부 문화홍보관)

The aim of this selection is to introduce a different world in term of geographical distance and cultural perspective to the Korean audience. This is a lost world because it fell apart. Any selected film becomes an eloquent witness of a disappeared reality. By using different languages and techniques several directors describe a lost Italian background. In this perspective, Pasolini, constantly motivated by the opposition between civilization and modernity, escapes from his contemporary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future of Africa, a continent in progress Appunti (1970). Moved by the same feeling, in her last film In viaggio con Cecilia (2013) Cecilia Mangini comes back to the places she filmed 50 years before to represent them in the present time. The journey of Cecilia is a metaphorical route into Italian peninsula like Pasolini did before in his Comizi d’amore (1964) and as well as Di Gianni does in his ethnographic tour in several unexplored southern Italian regions Magia Lucana (1958). Spectator’s imagination will be captivated by unexpected Italian places such as Basilicata, Puglia, Sardinia, suburban Rome, guided by the intense and participating gaze of these Italian directors. Mangini films the same unknown Rome of Pasolini Ignoti alla città (1958), La Canta delle marane (1961) and both tell the reality they want to explore by interactions with people they interview. On the other hand, Di Gianni, D’Anolfi and Parenti Materia oscura (2013) observe and tell without interfering the disintegration of a landscape contaminated by the passage of history. An alternative point of view is presented by Tinto Brass who uses his experience as documentary editor to represent working time and free time during the booming period by editing frames from archive materials Tempo lavorativo (1964) and Tempo libero (1964). This short selection wants to be a sort of route into several ways of representing reality and its transformations trough different ages and places. (Sandro CAPPELLI,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5

안젤로 지오(주한이탈리아문화원 원장)

Dr. Angelo Gioè Director of Istituto Italiano di Cultura, Seoul

이번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특별전을 제안해 주신 DMZ 국제다큐멘 터리 영화제의 조재현 집행위원장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 는 매우 탁월한 해석 능력을 지닌 배우이기도 합니다. 한국과 이탈 리아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기획된 특별전이기 때문에 더욱 뜻 깊습니다. 더불어 이번 특별전에 상영될 작품들을 큐레이팅 한 산드 로 카펠리에게도 진심으로 감사하는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이번 특별전을 준비해온 영화제 스탭들과 전성권 프로그래머의 노력에 도 감사 드리는 바입니다. 무엇보다도 지금 다큐멘터리가 다시 유행 중에 있습니다. 1960, 70 년대 차바티니, 그레고레티, 에머, 파솔리니, 리시, 페트리 그리고 안토니오니 같은 저명한 감독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번 특별전에서 가장 많이 조명 될) 다큐멘터리는 진실 탐구였습니다. 아프리카 식 민지화부터 전후 재건까지, 남부의 농민들부터 새로운 산업의 부르 주아와 노동자들까지, 모든 일들이 다큐멘터리의 대상으로써 포착 되어 왔습니다. 베르토찌가 그의 간행물 <이탈리아 다큐멘터리의 역사>에서 말한 것처럼 다큐멘터리는 마치 거울처럼 역사를 반영하 며, 대위법이나 반대로 보여주는 시네마와 나란히 진행 됩니다. 즉 다큐멘터리는 병렬로 놓여진“다른 영화”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다큐멘터리는 그 자체로 대안적인, 관점의 다양성과 함께 우리 현실 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좇았습니다. 아주 작은 이야기들은 마침 내 순환되게 되었고 역사는 공공의 순간이 되었습니다. 지금 이탈리아에서는 그 당시에는 부족했던 고민의 대상들을 다큐 멘터리가 담아내고 있습니다. 국제 영화제에서 권위 있은 상을 받고 국제 언론의 관심이 대상이 되면서 2001년 이래로 새로운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운동은 작가와 큐레이터 간 중요한 특성을 발전시키고 표현하는 일을 결코 멈춘 적이 없습니다.

I am particularly grateful to Mr. CHO Jae-hyun, the Director of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an actor of rare interpretive ability, to have offered the Italian Cultural Institute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2014 edition of the festival with a special session dedicated to Italian documentaries in the year fulfilling the 1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Italy. I would also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Mr. SandroCappelli, curator of the Italian program. Moreover, I would like to thank programmer Sung-Kwon JEON and all the staff of the festival, who have helped made this event possible.Moreover, Documentaries have become back in fashion for some time now. In the 1960s and 70s (which this review most dedicated), documentaries were investigations of truth filmed by prominent directors such as Zavattini, Gregoretti, Emmer, Pasolini, Risi, Petri, and Antonioni. From the colonization of Africa to the post-war reconstruction, from the peasants of the South to the bourgeoisie and the workers in the new industries, there is no event that has not been captured by the objective of a documentary. The documentary proceeds along the history, which reflects like a mirror, and next to the cinema, which is a counterpoint and reverse, as Bertozzi says in his publication,History of Italian Documentary. It is a parallel dimension, the “other cinema.” In recent years, the documentary has come to chase all the events that happen in ourreality with a multiplicity of viewpoints, which is in itselfan alternative. The micro stories have finally come to be circulated, and the history has become a public moment. The documentary has obtained consideration in Italy now, which had been lacking to that date; the new Italian documentary movement has never stopped to develop and express significant individuality between authors and curators since 2001 by collecting prestigious international awards at festivals and being the object of interest of the international journal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6

암흑 물질 Dark Matter Staff DIRECTOR/EDITOR | Massimo D’ANOLFI, Martina PARENTI CINEMATOGRAPHER | Massimo D’ANOLFI MUSIC | Massimo MARIANI SOUND | Martina PARENTI Contact Montmoren cyFilm Tel 39 02 58311361 montmorencyfilm@yahoo.it

마시모 다놀피, 마르티나 파렌티 Massimo D’ANOLFI, Martina PARENTI

Director | 마시모 다놀피, 마르티나 파렌티

Director’s Biography

Massimo D’ANOLFI, Martina PARENTI

2006년 공동 각본, 연출한 작품 The Betrothed는 로카르노영화제 에 초청받았고, 폴리영화제에서 상을 수상하였다. Great Expectations 역시 로카르노영화제에서 상영되었 고, The Castle은 시네마 뒤 릴, 핫 독스, 토론토, EBS 등 다수의 영화 제에 초청되어 상영되었다.

Italy | 2013 | 78min | HD | Color

Synopsis 영화가 촬영된 장소는 살토 디 퀴라로 50년 넘게 이곳에서 전세계 정부가 신무기를 테스트 해왔으 며, 이탈리아 정부는 오래된 무기 재고를 폭파시키 는 일을 세심히 관리해왔다. 영화의 맥락은 세 개의 움직임으로 구성된다. 군사실험으로 인한 오염 추 적을 시도하는 지질학자의 조사. 세계 도처로부터 온 무기와 폭발물들을 테스트 했던 영상 기록을 통 한 탐색. 두 명의 농부, 아버지와 아들의 일과. 그들 과 땅, 동물과의 관계 그리고 군사활동에 깊게 영향 을 받았던 과거까지.

Dark Matter tells the story of a war zone in peacetime. The film location is the Salto di Quirra test range where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have tested new weapons and where the Italian government has carried out controlled explosions of old weapon stocks. Within this context the film comprises three movements; the investigation of a geologist who attempts to trace the pollution caused by military experiments; searching through the film archives of the test range to weapons and explosives; describing the work of two farmers, father and so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land.

In 2006 wrote and directed together The Betrothed (I promessi sposi) selected at the Locarno Film Festival, was awarded at the Festival dei Popoli and at the Filmmaker Film Festival in Milan. And Great Expectations(Grandi speranze) was also presented at the Locarno Film Festival. The Castle (Il Castello) selected in many international festivals Cinema du reel, Nyon; Hot Docs, Toronto; EIDF, Seoul; RIDM, Montreal and received various awards. Filmography Dark Matter (2013)

Italian Documentary Special

22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7

사랑의 집회 Love Meetings Staff DIRECTOR | Pier Paolo PASOLINI Contact Compass Film Srl Tel 39 6 529 3383 compassfilm@hotmail.it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Pier Paolo PASOLINI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Pier Paolo PASOLINI Italy | 1964 | 90min | Digibeta | B&W

Synopsis 이탈리아 전역을 다니며 이루어진 영화 속 인터뷰 들을 통해 이탈리아 사람들이 섹스, 스캔들, 섹스와 사회의 관계, 결혼, 순결, 이혼, 매춘 등 사회적으로 터부시 되고 있는 주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확인 할 수 있다. 그 해답은 정신과 의사 세사르무사티와 작가 알베르토 모라비아에 의해 제시된다. 문제는 이 이슈들에 대해 좀 더 깊이 들어가기에는 많은 사 람들이 여전히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수치스 러워 한다는 것이다.

True interviews taken all over Italy illustrate what Italians really think of some taboo topics: sex, the problem of a scandal, the relation between sex and society, wedding, sexual honor, divorce and prostitution. The answers are commented by psychiatrist Cesare MUSATTI and writer Alberto MORAVIA.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many of us are still ashamed to discuss.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각본가, 작가, 시인, 평론가. 1922년 이탈리아 볼 로냐 출생으로 1975년 암살당해 생 을 마감하였다.<마태복음서>(1964), <테카메론>,<켄터베리 이야기>(1971) 등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을 한 작품 들로 인해 이름을 알렸다. 그의 친구 이자 작가인 알베르토 모라비아는 그를 20세기 후반 가장 대표적인 이 탈리아 시인으로 평가하고 있다.

Italian director, screen writer, essayist, poet, critic and novelist, was murdered violently in 1975. PASOLINI is best known outside Italy for his films, many of which were based on literary sources The Gospel According to Saint Matthew, The Decameron, The Canterbury Tales. His friend, the writer Alberto MORAVIA, considered him ‘the major Italian poet’ of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Filmography Notes towards an African Orestes (1970) Notes for a Film on India(1968) Sopralluoghi in Palestina per il Vangelo secondo Matteo(1965)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1964) Love Meetings (1964)

227

Italian Documentary Special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8

체칠리아와 함께 한 여행 My Travels with Cecilia Staff DIRECTOR | Cecilia MANGINI, Mariangela BARBANENTE CINEMATOGRAPHY | Roberto CIMATTI EDITOR | Piero LASSANDRO MUSIC | Teho TEARDO SOUND | Gianluigi GALLO Contact GA&A Productions Tel 39 06 3613480 laurar@gaea.it

체칠리아 만지니, 마리안젤라 바르바넨테 Cecilia MANGINI, Mariangela BARBANENTE

Director | 체칠리아 만지니, 마리안젤라 바르바넨테 Cecilia MANGINI, Mariangela BARBANENTE Italy | 2013 | 75min | DCP | Color

Synopsis 마지막 영화를 제작한 후로 40년이 지난 85세의 나 이에,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체칠리아 만지니는 친구이자 어린 동료인 마리안 젤라 바르바넨테와 이탈리아 서부, 그들이 태어난 지역인 아풀리아를 여행한다. 그곳은 60년대에 체 칠리아의 대표 작품들이 촬영된 장소이기도 하다. 그들은 지난 50년간 선조들의 땅에서 기회의 땅으 로, 산업화가 시작되었던 아풀리아가 어떻게 바뀌 었는지 필름에 담기를 원한다.

At the age of 85 and 40 years after her last film, Cecilia MANGINI, the first Italian female documentary filmmaker and Mariangela BARBANENTE, a younger colleague and friend, embark on a road trip across Apulia, their native region in Southern Italy, where Cecilia filmed many of her famous works in the 60’s. They want to film how Apulia has changed during the last 50 years, when industrialization started a process of change from the simple, ancestral society to a land of opportunities. Filmography Cecilia MANGINI My Travels with Cecilia (2013) Uomini E Voci Del Congresso Socialista Di Livorno (2004) La Briglia Sul Collo (1971) La Scelta (1967) Brindisi ’66 (1966) Filmography Mariangela BARBANENTE

Director’s Biography 몰라 디바리에서 태어났고 피렌체에 서 자라고 공부하였다. 공부를 끝마 치자마자 로마로 거처를 옮기고 그 곳에서 사진작가로 활동하였다. 전 쟁 이후 다큐멘터리 영화를 찍은 첫 번째 이탈리아 여자 감독인 세실리 아는 대부분 그녀의 출신지역인 아 폴리아에 집중하여 50년대 후반부 터 70년대 중반까지의 이탈리아의 이야기를 하는 것에 성공하고 있다. 그녀는 그녀의 작업으로 경제 활성 화에 영향을 받은 빠른 산업화로 인 해 혼란에 빠져있는 살렌토 지방의 소작농 문화가 사라지고 있는 현상 을 시각적 증거로 보여준다.

Born in Mola di Bari, she lived and studied in Florence. Soon after her studies were completed she moved to Rome where she kept working as a photographer. First Italian women to shoot documentaries in the postwar years, Cecilia has succeeded in telling the story of Italy from the late 50s to the mid 70s, mostly by concentrating on her birth region, Apulia, to provide visual evidence of the disappearing of the paesant culture of the Salento that was being overwhelmed by the fast industrial shifting dictated by the economic boom.

My Travels with Cecilia (2013) Ferrhotel (2011) Il Trasloco Del Bar Di Vezio (Vezio’S Flitting) (2005) Sole (Soul & Soil) (2000)

Italian Documentary Special

22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29

아프리카의 오레스테스를 위한 노트 Notes Towards an African Orestes Staff DIRECTOR | Pier Paolo PASOLINI Contact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Pier Paolo PASOLINI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Pier Paolo PASOLINI Italy | 1970 | 71min | DVD | B&W

Program Note 열린 노트북,“ 미완성의”형식에 대한 탐구는 피에 르 파올로 파졸리니에게 매력적이며“불순한”영화 를 만드는데 영감을 주었다. 이 미완의 형식은 일기 형식을 인류학적 다큐멘터리로, 그리고 시적 생략 을 내러티브의 리듬으로 물들였다. 1968년 12월에 서 1970년대 초 사이에 만들어진 <아프리카의 오 레스테스를 위한 노트>에서, 시인이자 감독인 파졸 리니는 우간다, 탄자니아를 비롯한 아프리카의 여 러 장소와 마을들을 여행하며현대화의 첫 신호를 보여주기 시작하지만 여전히 부족사회로 남아있는 고통받는 아프리카의 땅에서 현대판 아이스킬로스 의 비극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상상했다. 파졸리니 가 나무의 모습으로 형상화한 퓨리들(복수의 여신 들)의 에우메니데스(자비의 여신들)로의 변화는 고 대 아프리카의 원형적 뿌리의 전환과 화해를 암시 한다. 처음으로 이 영화에서 감독은 직접 촬영을 했 으며, 다른 전쟁영화들의 드라마틱한 영상들을 발 췌하여 사용하였다. 이유없는 구실로 이탈리아 국 영 방송국(RAI)에 의해 거절되어진 후, 파졸리니는 자신의 야심찬 프로젝트, <제3세계의 시를 위한 노 트>의 일부로 이 영화를 제작하기로 했다. 이 작품 은 제작자인 지안 비토리오 발디의 기증 덕분에 볼 로냐 필름아카이브의“이마지네 리트로바타”(필름 복원소)에서복원되었다. 16mm 음향과 네거티브 필름은 35밀리 보존용 필름으로 프린트 되었다. (로베르토 끼에시 -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연구센터) 229

The quest for an open notebook, “unfinished” form, which contaminates the diary style with anthropological documentary, and poetic ellipsis with narrative rhythm, inspired Pier Paolo Pasolini to make a number of fascinating “impure” films. In Appunti per un ’Orestiade africana, made between December 1968 and the early 1970s, the poetdirector travels through Uganda, Tanzania, and other places and villages, imagining where he would locate a modern version of Aeschylus’ tragedy in the tormented body of an Africa which remains tribal despite the emergence of the first signs of modernity. The transformation of the Furies that Pasolini decides to evoke in the form of trees into Eumenides, therefore foreshadows the conversion and pacification of the ancestral roots of ancient Africa. For the first time the director himself acted as a cameraman, but he also included dramatic excerpts from war movies. Turned down by the Rai on empty pretexts, the idea was to make the film part of an ambitious Pasolini film project, Appunti per un poema sul Terzo mondo. It has been restored by the Cineteca di Bologna at its ‘L’Immagine Ritrovata’ laboratory, thanks to material donated by the producer Gian Vittorio Baldi. The 16mm sound and picture negatives have also been reprinted on 35mm conservation matrices. (Roberto CHIESI - Centro Studi Pier Paolo Pasolini)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각본가, 작가, 시인, 평론가. 1922년 이탈리아 볼 로냐 출생으로 1975년 암살당해 생 을 마감하였다.<마태복음서>(1964), <테카메론>,<켄터베리 이야기>(1971) 등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을 한 작품 들로 인해 이름을 알렸다. 그의 친구 이자 작가인 알베르토 모라비아는 그를 20세기 후반 가장 대표적인 이 탈리아 시인으로 평가하고 있다.

Italian director, screen writer, essayist, poet, critic and novelist, was murdered violently in 1975. PASOLINI is best known outside Italy for his films, many of which were based on literary sources The Gospel According to Saint Matthew, The Decameron, The Canterbury Tales. His friend, the writer Alberto MORAVIA, considered him ‘the major Italian poet’ of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Filmography Notes towards an African Orestes (1970) Notes for a Film on India(1968) Sopralluoghi in Palestina per il Vangelo secondo Matteo(1965)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1964) Love Meetings (1964)

Italian Documentary Special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30

미지의 도시 Unknown to the City Staff DIRECTOR | Cecilia MANGINI Contact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Director | 체칠리아 만지니 Cecilia MANGINI Italy | 1958 | 11min | Digibeta | Color

Program Note 체칠리아 만지니의 다큐멘터리를 보고 있자면 우리가 보는 모든것은 미래를 표현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더 나은 미 래, 위선, 착취, 이 세상의 모든 흉한 것들이 존재하지 않는 미래. 아니면 적어도, 조금 더 편한 삶이 있는 미래.“ 다큐멘터리 는 - 그녀가 말하기를 - 희망을 위한 기구다”하지만 그녀의 작품이 단순히 낙관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만약 무언가가 드러나야 한다면, 측정될 수도 없고 디테일도 남겨지지 않을 것이다. 그녀의 주된 관심 대상은 젊은이들이다. 그녀의 마지막(그리고 아름다운) 작품인 <목의 굴레 La brigliasulcollo>는 그 완벽한 예다: 7살의 문제아(오늘날 흔히 쓰이 는 몹쓸 말 중 하나인 기능 장애)에 대한 르포형식의 다큐멘터리다. 학교는 그가 적응하도록 돕고 싶어한다. 하지만 어떤 사 회로의 적응을 의미하는가? 이 주제에 대해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는 영향력 있는 텍스트를 남겼다. 그는 실제로 체칠리아 만지니의 <미지의 도시>와 <마란의 노래>라는 두 작품의 긴 텍스트를 만드는데 기여를 하기도 했다. <미지의 도시>는 토 마소와 그의 친구들의 단조롭고 방황하는 일상을 보여준다. 그들의 불량한 일상은 대단할 것 없는 꿈을 바란다. 일자리를 구 하고, 자신을 위한 스쿠터를 사고, 거대한 석유화학 공장의 도시인 브린디시에 살기를 원할 뿐이다. <마란의 노래>는 권위 적인 기관들을 타파하는 것이야말로 아이들의 방어기제이자 이 텍스트의 핵심이기도 하다. 내레이션은 자신들을 이방인으 로 여기는 이 세계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도피처인자 늪지대인‘마란’의 노래이기도 하다. (안드레이아 메네겔리)

Italian Documentary Special

23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31

마란의 노래 The Song of the “Marane” Staff DIRECTOR | Cecilia MANGINI Contact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체칠리아 만지니 Cecilia MANGINI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체칠리아 만지니 Cecilia MANGINI Italy | 1960 | 11min | Digibeta | Color

Program Note When watching Cecilia MANGINI’s documentaries, we have the impression that everything we see is supposed to represent the future. A better future, a future in which hypocrisy, exploitation, all of the ugly things that inhabit this world do not exist. Or, at least, a future in which life is a little easier. “Documentaries - she says - are an instrument of hope”. This does not mean that her work is plain optimistic, on the contrary: if something needs to be exposed there is no measure, no detail is left out. This said, her main target is the young. Her last (and beautiful) work, La briglia sul collo, is the perfect example: a kind of reportage on a seven-year-old kid who is dysfunctional, to use an ugly term in fashion today. The school wants to help him adjust. Adjust to what kind of society, one may ask? A great point of reference on the matter is, of course, Pier Paolo PASOLINI. He, in fact, contributed to the making of Ignoti alla città and La canta della marane with two long texts. Scorning the institutions is these kids defense mechanism, and the boggy ‘marane’ their refuge from the world that treats them as outsiders. Tommaso cultivates other dreams: finding a job, buying himself a scooter, living in Brindisi, a city dominated by the molochof the oil chemical plant. (Andrea MENEGHELLI)

몰라 디바리에서 태어났고 피렌체에 서 자라고 공부하였다. 공부를 끝마 치자마자 로마로 거처를 옮기고 그 곳에서 사진작가로 활동하였다. 전 쟁 이후 다큐멘터리 영화를 찍은 첫 번째 이탈리아 여자 감독인 세실리 아는 대부분 그녀의 출신지역인 아 폴리아에 집중하여 50년대 후반부 터 70년대 중반까지의 이탈리아의 이야기를 하는 것에 성공하고 있다. 그녀는 그녀의 작업으로 경제 활성 화에 영향을 받은 빠른 산업화로 인 해 혼란에 빠져있는 살렌토 지방의 소작농 문화가 사라지고 있는 현상 을 시각적 증거로 보여준다.

Born in Mola di Bari, she lived and studied in Florence. Soon after her studies were completed she moved to Rome where she kept working as a photographer. First Italian women to shoot documentaries in the postwar years, Cecilia has succeeded in telling the story of Italy from the late 50s to the mid 70s, mostly by concentrating on her birth region, Apulia, to provide visual evidence of the disappearing of the paesant culture of the Salento that was being overwhelmed by the fast industrial shifting dictated by the economic boom. Filmography My Travels with Cecilia (2013) Uomini E Voci Del Congresso Socialista Di Livorno (2004) La Briglia Sul Collo (1971) La Scelta (1967) Brindisi ’66 (1966)

231

Italian Documentary Special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32

신비로운 루카니아 Mysterious Lucania Staff DIRECTOR | Luigi Di GIANNI Contact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루이지 디 지아니 Luigi Di GIANNI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루이지 디 지아니 Luigi Di GIANNI Italy | 1958 | 18min | DVD | B&W

Program Note 만약 민족지학적 영화라는 장르가 있다면, 루이지 디 지아니는 아마도 세계적으로 주도적인 감독 중 한 명일 것이다. 5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현재도 그 끝을 알수 없는 긴 경력을 통해 60편이 넘는 다 큐멘터리, 텔레비젼 시리즈, 실험단편영화와 이탈 리아 영화 그 어느 분야에도 구분짓기 힘든, 하지만 오늘날 다시 상영할 가치가 있는 한편의 장편영화 <시작의 시간>(1974)를 만들었다. 그의 영화는 남 부 이탈리아의 토속신앙의식과 카톨릭 전통과의 관계, 일의 고됨과 근엄함, 통제 불가능한 사건을 직면했을 때의 인간의 나약함을 탐구했다. 디 지아 니는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았다: 외적 판단기 준에 따라 판단하게 하기보다는 이미지가 스스로 말해주게끔 하였다. 또한 그의 작품은 자신의 연출 적 특성, 중부 유럽(Mitteleuropa)의 문화, 판타지 영 화, 소비에트 학파과 독일 표현주의 영향으로 특징 지어진다. 유명한 인류학자인 에르네스토 데 마르 티노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진 두편의 단편들(<신비 로운 루카니아>, <남부의 탄생과 죽음>)은 오늘날 까지도 그 비범한 힘을 보여주며 우리를 인간과 신 으로부터 잊혀진 남쪽지방으로 인도한다. (안드레 이아 메네겔리)

Italian Documentary Special

If we were to admit that the ethnographic documentary is a film genre, Luigi Di GIANNI would be one of its leading international exponents. Throughout a long career that took off in the late 50s and is no way near its end, Di GIANNI filmed over sixty documentaries, Tv series, experimental shorts, and one feature length movie hard to classify among Italian films but worth being rescreened today (Il tempo dell’inizio, 1974). His films explore the ties between pagan rituals and Catholic traditions in Southern Italy, the difficulty and dignity of work, the fragility of the humans when faced with events beyond their control. Di GIANNI does not judge what he sees; he lets the images speak for themselves instead of allowing them to be determined by external judgments. At the same time, his work is marked by his own directorial personality, the culture of Mitteleuropa, fantasy films, the Soviet school and German expressionism. His two debut shorts (Magia lucana and Nascita e morte nel Meridione), created with the help of the famous anthropologist Ernesto de MARTINO, are to this day striking with their unusual power, transporting us to the South forgotten by God and men. (Andrea MENEGHELLI)

다큐멘터리 감독. 철학을 전공하였 고,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국립영화 학 교 (Centro Sperimentale di Cinematografia)에서 연출을 전공, 1977년부터 20년 간 영화연출을 가 르쳤다. 볼로냐의 시네마테크에서 그의 작품들의 복원을 진행하여, 영 화상영 및 배급에 힘쓰고 있다.

Luigi Di GIANNI is a documentary filmmaker. Graduated in philosophy. He received a degree in directing at the Experimental Centre of Cinematography in Rome (1954) and was a professor of ‘DirectorDocumentary Film’ at the Experimental Centre of Cinematography in Rome from 1977 to 1997. The Bologna Cinematheque is overseeing the restoration of the film Luigi Di GIANNI him and will deal with the spread of the films themselves. Filmography Mysterious Lucania (1958)

23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33

Hot Docs 특별전 Hot Docs Strand This special programme is in collaboration with Hot Docs, curated by Charlotte COOK.

Hot Docs 캐나다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는 DMZ 국제다큐영화제 와 함께 Hot Docs 역사상 특별한 영화들을 소개하게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Hot Docs는 북미에서 가장 큰 다큐멘터 리 영화제이자 마켓으로 매년 200편 가량의 다큐멘터리를 소개하 고 있습니다. 올해 우리는 켄터키에서 벌어졌던 광부들의 파업을 따 라가는 바바라 코플의 아카데미 수상작 <할란 카운티 USA>를 특별 상영하였습니다. <할란 카운티 USA>는 역대 최고 다큐멘터리 중 하나이며 선정작에 이 작품을 포함시킬 수 있었던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미 고인이 된 체스 마스터 바비 피셔의 삶을 탐색하 는 최초의 다큐멘터리인 리즈 가버스의 <체스 황제 바비 피셔> 역 시 선정작에 포함되었습니다. <체스 황제 바비 피셔>는 승리와 비 극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로 우리를 세계 챔피언이자 냉전의 아이콘 이었으나 결국 도망자가 되어버린 인물의 삶으로 우리를 이끕니다. <아이슬란드의 성기 박물관>은 지난 몇 년간 소개되었던 캐나다의 가장 흥미로는 다큐멘터리 작품 중 하나입니다. 영화는 아주 특별한 남자들을 조망하는데, 세계 유일의 성기 박물관인 아이슬란드 성기 박물관의 최초의 인간 표본이 되기를 원하는 남자들의 이야기 입니 다. <서베를린의 드라간 벤데>는 삼촌을 찾는 젊은 남자의 여정을 따라갑니다. 그의 삼촌은 남자의 삶에서 1970년대의 유고슬라비아 부터 서베를린에 이르는 여정의 신화와 이야기로 둘러싸인 전설적 인 인물입니다. 오늘날 그의 현실에서, 우리는 드라간 벤데 버전의 세계에 존재하는 또 다른 현실을 갈망하는 의식에 다다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가장 아름다웠던 다큐멘터리 중 하나인 알레산드 로 코모딘의 <자코모의 여름>이 있습니다. 19세 귀머거리 소년 자 코모의 찬란한 젊음의 초상으로, 그는 북부 이탈리아 시골에서 그의 어린 시절 친구인 스테파니아와 함께 여름을 보냅니다. 그들은 성인 기와 유년기가 만나는 지점, 그 순간에 사로잡히면서 관능이 그들의 풋풋한 장난에 스며듭니다. 한국에 이 작품들을 소개할 수 있게 되 어 영광입니다. 우리는 DMZ 영화제의 관객들과 함께 이 작품을 나 누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샬롯 쿡, Hot Docs 프로그램 디렉터)

The Hot Docs Canadi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is extremely proud to partner with DMZ Docs to curate a special programme of films from the history of the festival. Hot Docs is North America’s largest documentary film festival and market and showcases 200 documentaries a year. This year we celebrated Barbara KOPPLE’s academy award winning film Harlan County U.S.A, which follows the bitterly violent coal miner’s strike in Kentucky. Harlan County U.S.A is one of the greatest documentaries of all time and we are thrilled to be able to include it in this selection. In addition the programme includes Bobby Fischer Against the World by Liz GARBUS, which is the first documentary to explore the life of late chess master Bobby FISCHER. An incredible story of triumph and tragedy, Bobby Fischer Against the World takes us through a life of a World Champion and Cold War icon, who ended up as a fugitive on the run. The Final Member is one of the most exciting Canadian documentaries of the last few years. The film profiles some very unusual men, those who are hoping to become the first human specimen of the Icelandic Phallological Museum - the world’s only Penis museum. Dragan Wende – West Berlin follows the journey of a young man in search of his uncle, a legendary figure in his life surrounded by myths and tales of his journey from Yugoslavia to West Berlin in the 1970s. In his uncle’s current day reality we gain a sense of a yearning for a different reality, one that exists within Dragan Wende’s version of the world. The final film in the programme is one of the most beautiful documentaries in recent years, Summer of Giacomo by Alessandro COMODIN. In a stunning portrayal of youth, Giacomo, a 19-year-old deaf boy, spends a summer day with childhood friend Stefania in the countryside of Northern Italy. Sensuality infuses their youthful games as they find themselves caught in the moment where childhood meets adulthood. Being able to bring these films to South Korea is an honour for us and we look forward to sharing them with the audience at DMZ Docs. (Charlotte COOK, Director of Programming, Hot Doc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3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35

체스황제 바비 피셔 Bobby Fischer Against the World Staff DIRECTOR | Liz GARBUS PRODUCER | Liz GARBUS, Stanley BUCHTHAL, Rory KENNEDY, Mathew JUSTUS CINEMATOGRAPHER | Robert CHAPPELL EDITOR | Karen SCHMEER, Michael LEVINE MUSIC | Philip SHEPPARD

Director | 리즈 가버스 Liz GARBUS

Contact

리즈 가버스

Moxie Firecracker Films

Liz GARBUS

Tel 1 718 230 5111 acollatos@moxiefirecracker.com

Director’s Biography

USA | 2011 | 93min | HD | Color+B&W

Synopsis 1972년, 미국은 체스에 사로잡혀 있었다. 소련은 서구보다 지적인 우월함으로 체스를 지배했었다. 그리고 여기 소련이 지배하고 있는 스포츠를 무너 뜨리려는 단신(單身)의 젊은 미국인이 등장했다. 그 의 커리어가 정점에 이르렀을 때, 바비 피셔는 예수 를 제외한 세계의 어떤 다른 사람들보다 유명했다. 끈질긴 언론의 주목, 정치적인 압박 그리고 편집증 적인 체스에 대한 집중은 결국 그를 파멸로 이끌었 다. 리즈 가버스 감독은 바비 피셔와 디펜딩 챔피 언이었던 소련의 보리스 스파스키와의 1972년도 경기를 이야기의 긴장 축으로 삼고, 1970년대 초 정치적으로 극렬했던 시기뿐 아니라 순수한 천재 성과 광기 그리고 체스 그 자체를 탐색한다.

In 1972, America was chess-obsessed. The Soviet Union had used chess to demonstrate its intellectual superiority to the West, and here came a young, lone American, demolishing the Russian masters of the sport. At the height of his career, Bobby FISCHER was better known than any other man in the world besides Jesus Christ. Relentless press attention, political pressure, and a monomaniacal focus on chess ultimately led to his undoing. Filmmaker Liz GARBUS uses the narrative tension of the 1972 match between Bobby and the defending World Champion, the Russian Boris SPASSKY, to explore not only the politically charged period of the early 1970s but also the nature of genius, madness, and the game of chess itself.

아카데미상 후보로 노미네이트 된 경력이 있는 감독 리즈 가버스는 현 재 활동하고 있는 가장 축복받은 미 국 다큐멘터리 감독 중 한명이다. 그 녀의 작품들은 아카데미 영화상의 여러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며 에미상을 수상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많은 영화상을 수상하고 있다. 그녀 의 최근작 Love, Marilyn은 2012년 토론토국제영화제의 갈라 프리미어 에서 국제적으로 처음 소개되었고, 2013년 HBO 채널을 통해 방영되었 다.

Oscar-Nominated Director Liz GARBUS is one of the most celebrated American documentary filmmakers working today; her films have won awards worldwide, including multiple Academy Award nominations and Emmy Award wins. Her latest film, Love, Marilyn, internationally opened as a Gala Premiere at the 2012 Toronto Film Festival and aired on HBO summer of 2013. Filmography Love, Marilyn (2012) There’s Something Wrong with Aunt Diane (2011) Bobby Fischer against the World (2011) Shouting Fire: Stories from the Edge of Free Speech (2009) COMA (HBO)

235

Hot Docs Strand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4 AM 페이지236

서베를린의 드라간 벤데 Dragan Wende or How the Trabant Invaded West Berlin and Ruined My Uncle’s Kingdom Staff DIRECTOR | Lena MÜLLER, Dragan von PETROVIC PRODUCER | Lena MÜLLER CINEMATOGRAPHER | Vuk MAKSIMOVIC EDITOR | Dragan von PETROVIC Contact von.müller.film lenamuller@googlemail.com

Director | 레나 뮐러, 드라간 폰 페트로비치 Lena MÜLLER, Dragan von PETROVIC Germany | 2013 | 87min | DCP | Color Korean Premiere

Synopsis 서베를린의 한 매음굴 문지기는 베 A bordello doorman in West-Berlin 를린 장벽과 그의 과거를 되찾고 싶 wants the Wall and his past back. 어한다. 유고슬라비아 이민자인 드 The Yugoslav immigrant Dragan 라간 벤데는 1970년대 동베를린의 WENDE used to be the street king 환락적인 디스코 씬 거리의 왕이었 of West-Berlin’s 1970s hedonistic 다. 그는 친구들과 함께 주머니를 서 방 화폐로 가득 채운 채 장벽 양쪽의 나이트 클럽을 어슬렁거리며 돌아다 녔다. 그러나 장벽이 무너지고 모든 것이 변했다. 그는 지난 20년간 동베 를린에는 발도 들여놓지 않았으며 그럴 생각도 없었다. 약자들의 소우 주와 그들의 생존 전략이 여전히 분 리되어 있는 도시에서 펼쳐지는 비 극적 코미디. 세계사의 광적인 시절 이 이 기이하고 답이 없는 매음굴 문 지기의 부엌에서 들려온다. 그리고 뭉클한 가족 역사의 파편들은 냉전 시대의 역사적 차원에서 이야기된 다. 블랙 유머와 놀라운 기록물들, 음악으로 가득 찬 이 영화는 감동적 이고 교육적이며 오락적이기까지 하다.

Hot Docs Strand

disco scene. Along with his friends, he roamed the nightclubs on both sides of the Wall – his pockets full of Western money. But when the Wall fell, everything changed. Dragan has not set foot in East Berlin for the past 20 years and has no intention to do so. A microcosm of underdogs and their survival strategies unfolds as a tragicomedy in a still-divided city. A crazy piece of world history told from the kitchen of an eccentric and washed-up bordello doorman. A moving piece of family history, told in the historical dimension of the Cold War. A loving portrait full of (black) humor, stunning archives and music: moving, educational and entertaining.

레나 뮐러

드라간 폰 페트로비치

Lena MÜLLER

Dragan von PETROVIC

Director’s Biography

Director’s Biography

베를린과 파리에서 자랐고, 옥스퍼 드 대학에서 철학, 정치학, 경제학을 수학했다. 베오그라드에 있는 인권 씽크탱크에서 큰 규모의 시민 사회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일을 하다가 연극과 영화에 배우로 출연하고 제 작도 하기 시작했다. 2007년부터 다 큐멘터리 영화작업을 하고 있으며, 기획, 제작, 감독, 배급에 까지 능력 을 펼치고 있다.

남부 세르비아의 레스코바츠에서 자 랐다. 베오그라드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TV 스튜디오 B에서 스 포츠 저널리스트로 일했다. 베오그 라드 대학 연극영화학부 편집과에 등록하기 전에 AFC 영화학교를 졸 업했다. 그는 현재 창작 다큐멘터리 영화와 극장편 영화의 프리랜서 편 집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또한 다큐 멘터리 편집 박사이기도 하다.

Grew up in Berlin and in Paris, studied Philosophy,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at Oxford University, worked for a human rights think-tank in Belgrade devising large-scale civil society projects, turned to acting in theatre and film and to producing. She has been working in documentary films since 2007: she developed, produced, directed and distributed documentaries all over the world.

Grew up in Leskovac, South Serbia. He studied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Belgrade and worked as a sports journalist for the TV station Studio B. He finished the AFC Film Directing School before enrolling in the Film Editing Department at the Faculty of Dramatic Arts in Belgrade. He works as a freelance film editor on creative documentaries and fiction feature films, as well as an editing doctor on documentary films.

Filmography

Dragan Wende or How the Trabant Invaded West Berlin and Ruined My Uncle’s Kingdom (2013)

Filmography

Dragan Wende or How the Trabant Invaded West Berlin and Ruined My Uncle’s Kingdom (2013)

23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37

아이슬란드의 성기 박물관 The Final Member Staff DIRECTOR/PRODUCER | Jonah BEKHOR, Zach MATH CINEMATOGRAPHER | Viggo KNUDSEN, Sean STIEGEMEIER EDITOR | Andrew DICKLER, Tyler HUBBY MUSIC | Rob SIMONSEN Production Otis Jones Films World Sales The Film Sales Company Tel 1 212 481 5020 lucas.verga@filmsalescorp.com

Director | 조나 베커, 잭 매스 Jonah BEKHOR, Zach MATH

조나 베커 Jonah BEKHOR

Canada, USA | 2012 | 72min | HD | Color

Director’s Biography

Korean Premiere

Synopsis 아이슬란드의 성기 박물관은 도저히 The Icelandic Phallological Museum 찾아낼 수 없을 것 같은 표본을 애타 has been desperately seeking the 게 찾고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의 one specimen that has eluded 성기이다. 몇 년간의 탐색 끝에 박물 them: a human penis. After years 관의 큐레이터는 2명의 잠재적인 기 of searching, the museum curator 증자를 발견한다. 그들은 병든 아이 has tracked down two potential 슬란드인 바람둥이와 그의 멤버들이 ‘ 엘모’ 라고 애정 어린 이름을 붙인 미국출신 사나이다. 큐레이터는 이 우습고도 성가신 여정에서 너무 큰 두 개의 자존심들을 관리해야만 한다.

donors: an ailing Icelandic womanizer and a man from the US who has affectionately named his member ‘Elmo’. The curator must manage these two oversized egos in a hilarious and thought provoking journey.

CAA를 대표하는 조나 베커는 영화 감독이자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덕션 인 Citizen Jones의 공동창립자이다. 그의 가장 최근 작품들 중 하나인 장 편영화인 Lunarcy’는 각각 2012년 토론토국제영화제와 2013년 SXSW 에서 상영되었다. 그는 2013년 11 월에 방영한 텔레비전 시리즈인 How I Rock It 을 공동으로 제작하 고 감독하기도 했다. <아이슬란드의 성기 박물관>은 그의 데뷔작이다.

Jonah BEKHOR is represented by CAA, and a filmmaker and the cofounder of Citizen Jones, a production company for film and television. His most recent projects include the feature documentary Lunarcy!, which premiered at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2 and at SXSW 2013. How I Rock It, a television series he cocreated and executive produces for the new Esquire Television Network, premiered November 2013. The Final Member is his feature directorial debut. Filmography

The Final Member (2013)

잭 매스 Zach MATH Director’s Biography 잭 매스는 주로 유별난 인간들과 가 끔 의인화된 생명체를 다룬 특이하 고도 기이한 텔레비전 영상물과 영 화를 만드는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 다. 그는 Coke, Volkswagen, SONY, Comcast와 NFL등의 광고 작업을 했으며 칸 국제광고영화제를 비롯한 여러 광고영화제에서 알려지기 시작 했다. 지난 2007년, LA에서 운전 중 이었던 그는 CBC에서 진행한‘As It Happens’ 라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영감을 받아 이 영화를 완성하게 되 었다. 2012년 토론토의 Hot Docs 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처음으로 상 영되면서 국제적인 관심을 받게 되 었다. 그의 작품들은 공식 홈페이지 인 www.zachmath.com에서 감상 할 수 있다.

As a filmmaker, Zach is best known for his uniquely askew television commercials and films, which often feature eccentric humans and sometimes anthropomorphized creatures. He has worked with brands such as Coke, Volkswagen, SONY, Comcast and the NFL, and has consistently won accolades for his directorial work, including several Cannes Lions. While driving in Los Angeles one day back in 2007, Zach heard a radio interview on the CBC’s “As It Happens” about one man’s quest to complete the only penis museum in the world by obtaining a human specimen. Out of that was born the documentary film The Final Member, which premiered in Toronto at the 2012 Hot Docs and has since played at festivals all over the world. His work can be seen on his official website: www.zachmath.com Filmography

The Final Member (2013) 237

Hot Docs Strand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38

할란 카운티 USA Harlan County U.S.A Staff DIRECTOR/PRODUCER | Barbara KOPPLE Contact Cabin Creek Films Tel 1 212 343 2585 cabincreekfilms@aol.com

바바라 코플 Barbara KOPPLE Director’s Biography

Director | 바바라 코플 Barbara KOPPLE USA | 1976 | 103min | HD | Color+B&W

Synopsis <할란 카운티 USA>는 바바라 코플의 기념비적인 다이렉트 시네마로, 1974년 켄터키 지역 광산 노동 자들의 파업을 다루고 있으며, 미국의 다큐멘터리 역사에서 노동자 조합에 관한 다큐멘터리 중 가장 많이 언급되는 영화다. 이스트오버 지역의 광부들 이 광부 노동조합에 가입하면서 파업은 시작되었 고, 기업의 대표 듀크 파워는 표준 조합 계약서에 서명하는 것을 거부했다. 감독은 파업에 참여한 180가구 가량의 가정과 함께 살면서 노동자들의 등에 얹힌 삶의 무게와, 그들의 얼굴에 드리운 두려 움을 영화로 보여주었다. 또한 노동자들의 파업이 이어지는 동안 시위대의 피켓과, 시위대를 저지하 기 위해 정부가 고용한 경찰과 도로 위 갱스터, 시 위대와 파업을 저지하는 사람들이 화염병을 던지 며 싸우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영화가 노동자 의 위치에 서서, 전국 노동 관계 위원회가 계약서에 서명하지 않고, 정부의 압력에만 움직이는 모습을 담아냈다는 것 만으로도 이 영화는 충분히 존재 가 치가 있다. <할란 카운티 USA>는 오스카 상을 수 상하며 미국 다큐멘터리 영화 역사에 중요한 작품 으로 자리매김했다.

Hot Docs Strand

If Barbara KOPPLE had made no other film than this documentary account of the 1974 strike of Kentucky mine workers, arguably one of the finest documentaries ever made in the U.S. and possibly the best on the problems of organized labor, her place in film history would be assured. The strike began when the miners working for the Eastover Mining Co. joined the UMW, and its corporate parent, Duke POWER, refused to sign the standard union contract. By living with the 180-odd families involved in the strike, KOPPLE shows the backbreaking burdens of the miners’ life in the best of times and the looming fear of destitution in the worst. As the strikers strive to remain united through a difficult year, KOPPLE photographs the picketing, the company’s use of state troopers to keep the roads open for scabs, the showdowns between the miners and strikebreakers brandishing firearms. After several shootings, one miner is finally killed. During the man’s wake, a memorable sequence, his mother collapses. While the film is unabashedly partisan, it’s worth remembering that the company’s refusal to sign a contract was condemned by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and that the corporation agreed to sign only under heavy pressure from federal mediators. The Oscar-winning Harlan County U.S.A. is a landmark in the history of American documentary filmmaking.

1946년 뉴욕 출생. <할란 카운티 USA>(1976)와 <아메리칸 드림> (1990)으로 아카데미 최우수 다큐멘 터리 부문 2관왕에 올랐다. 2000년 칸영화제 특별부문에 선정되어 주목 받았던 <그레고리 펙 과의 대화>(1999) 를 공동 제작하였다.

Born in New York. She is produced and directed Harlan County U.S.A. (1976) and American Dream (1990), both winners of the Academy Award for Best Documentary Feature. KOPPLE’s other documentaries include Wild Man Blues (1998), about the European tour of Woody ALLEN, A Conversation with Gregory Peck (1999), Shut Up and Sing (2006) and Woodstock: Now & Then (2009). Filmography Running From Crazy (2013) A Force of Nature (2011) Gun Fight (2011) The House of Steinbrenner (2010) Woodstock: Now And Then (2009) The DC Sniper’S Wife (2008) High School Musical: The Music in You (2008)

23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39

자코모의 여름 Summer of Giacomo Staff DIRECTOR/WRITER | Alessandro COMODIN PRODUCER | Paolo BENZI, Alessandro COMODIN, Marie GÉHIN, Valérianne BOUÉ CINEMATOGRAPHER | Tristan BORDMANN, Alessandro COMODIN EDITOR | Joao NICOLAU, Alessandro COMODIN SOUND | Julien COURROYE

Director | 알렉산드로 코모딘 Alessandro COMODIN Italy, Belgium, France | 2011 | 78min | HD | Color

Production Okta Film srl Tel 39 338 290 4240 zero@oktafilm.it World Sales Andana Films Tel 33 4 75 94 34 67 gregory@andanafilms.com

Synopsis 이탈리아 북동쪽 시골의 여름, 어릴 적부터 귀가 들 리지 않는 19세의 자코모는 그의 어린 시절 친구인 스테파니아와 강으로 소풍을 간다. 마법에 걸린 동 화 속 이야기처럼 그들은 숲에서 길을 잃고 천국 같 은 장소에 도달한다. 단 둘만의 자유로운 오후, 여 름은 영원할 것처럼 보인다. 감각을 가다듬는 시기 에는 어떠한 접촉이 없어도 모든 피부에 닿는 느낌 과 숨결, 한숨들이 하나의 감각이 된다. 자코모와 스테파니는 자신들이 경험한 것들이 그저 잃어버 린 시간들의 달콤 쌉사름한 기억에 지나지 않는다 는 걸 느낄 때까지 이러한 감각들과 함께 풋풋한 장 난을 즐긴다. 성인기로 들어서는 현재, 사랑과 직관 에 대한 이야기는 기억과 섞이고, 과거는 놀라움과 명료함을 가지고 떠오른다. 기억은 우리 자신과 함 께 지속되다가도 갑자기 떠오를 뿐 아니라, 진정한 발견의 순간을 만나기도 한다. 그렇게 우리는 기억 들을 발견한다.

239

It’s summer in the countryside of northeastern Italy. Giacomo, nineteen, deaf since childhood and Stephanie, his childhood friend, sixteen, go to the river for a picnic. Like in an enchanted fairy tale they get lost in the woods and find themselves in a heavenly place, alone and free, during an afternoon that seems to last a whole summer. An apprenticeship of senses: there is no touching, yet it is all skin, breath and sighs. The sensuality accompanies their childrens games until Stephanie and Giacomo feel the adventure that they have just experienced is nothing more than a bittersweet memory of lost time. A story of love and initiation into adulthood where the present is mixed with memory and the past rises with the clarity and amazement of the first time. The memories are not only those that each of us carry within ourselves and suddenly remember, they are also real discoveries. We have to know that we never see things the first time, but always the second. So we discover them and remember them together.

알렉산드로 코모딘 Alessandro COMODIN Director’s Biography 이탈리아 산 비토 알 타글리아멘토 출생. 벨기에 브뤼셀 소재의 INSAS 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다. 2009년 단편 다큐멘터리 Jagdfieber가 칸 영화제 비평가주간에서 상영되었다.

Born in Vito al Tagliamento, Italy. He graduated in cinema direction from Institut National Superieur des Arts de Spectacle (INSAS, 2004 - 2008) in Brussels, Belgium. In 2009, his short documentary Jagdfieber was selected in Quinzaine des réalisateurs, Festival de Cannes. Filmography Summer of Giacomo (2011) Jagdfieber (2008)

Hot Docs Strand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0

한센촌프로젝트 제작지원작

상록

Hansenchon Project

Evergreen Staff DIRECTOR/EDITOR/MUSIC | PARK Myung-soon PRODUCER | KIM Jun-ho SOUND | KIM Won CAST | LEE Sang-bong, LIM In-ok, OH Byung-soon, WOO Geum-hwa Contact Purn production +82 2 823 9124 docupurn@docupurn.org

박명순 PARK Myung-soon Director’s Biography 2010년부터 푸른영상에서 활동 중이다.

Director | 박명순 PARK Myung-soon Korea | 2014 | 62min | HD | Color World Premiere

He’s working as one of director in Purn production since 2010. Filmography <강정 인터뷰 프로젝트>

Gangjung interview project (2012) <농민 being>

Director’s Statement 그 분들을 만나는 데는 긴 시간이 필요했다. 2012년 5월부터 나는 포 천, 의정부, 남양주, 천의 한센인 마을들을 돌아다녔다. 인사를 드리 고 조금씩 관계가 형성되려 하면 그 분들은 카메라를 거부하며 마음 의 문들 굳게 닫았다. 6개월을 그렇게 떠돌았다. 봄에 시작했던 작업 은 늦가을까지 등장인물을 찾지 못한 채 길을 잃고 헤매었다. 양동의 상록마을은 마지막 희망지였다. 이전에 실패한 경험들 때문에 카메 라는 늘 가방 안에 넣어둔 채 소밥을 함께 나르고 말동무가 되어드렸 으며 가끔 영화를 보여드리기도 했다. 그 시간동안 마을의 어르신들 에게 나는 사진찍는 사람 정도로만 인식되고 있었다. 그렇게 해가 바 뀌었다. 긴 시간을 망설이다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이상봉 어르신께 촬영을 부탁드렸을 때 그 분께서는 말씀하셨다.“ 우리는 무관심 속에 서 잊혀지는 게 낫다. 젊은 사람들은 좀 나아졌다고는 해도 아직도 예 전 사람들은 병에 대한 편견이 그대로야. 감독 마음은 알겠지만, 괜히 긁어 부스럼 일으키는 꼴이 될지 몰라.”이상봉 어르신의 마음은 이해 했지만 나는 생각했다. 태어났고 살아왔고 지금도 이렇게 살아가고 있는데 왜 이 분들의 의미는 왜곡되거나 숨겨져야 할까? 한 편으로는 두렵기도 했다. 잊혀지고 싶어하는 분들을 세상에 끌어낼 때 내 영화 속에서 그 분들이 빛나야했다. 내가 그렇게 영화를 잘 만들 수 있을 까? 등장인물을 찾아 헤매이던 시간보다 더 고민스런 시간을 거친 후 나는 다시 한 번 부탁을 드렸다. 이상봉 어르신이 말씀하셨다.“ 그래. 찍어라. 어차피 지나온 시간이고 나는 더 잃을 게 없다”어르신들의 삶을 있는 그대로 보여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촬영을 하고 편집을 했다. 그렇게 만든 영화를 세상에 내어놓으며 나는 지금 두렵다. 내 영화를 본 어르신들이 조용한 미소를 지을 수 있다면 나는 더 바랄 것이 없다.

Hansenchon Project

Farmer-being (2011)

It took very long time to meet them. From May 2012, I visited leprosy rehabilitation villages located in Pocheon, Uijeongbu, Namyangju and Yonchon. Whenever I politely bowed and tried to break the ice, they started refusing my camera and closed their mind so tight. I wandered around for 6 months just like that. My work, initiated in the spring, lost its way till late fall without finding a character. Sangrock village in Yangdong was my last hope. Seen from my failed experiences, I put my camera in my bag and carried meals for cows there and sometimes I played films for villagers as a companion. A year passed. I hesitated for a long time, but finally asked Lee Sang-bong, an elderly man in the village, about the shooting, and his answer went like this; “For us, it is better to be forgotten in ignorance. Young people have better understanding, I’ve heard, but old people are still biased against the disease. I understand you, but it may stir up a hornet’s nest.” I understood what he said, but they were born, have lived and are living. It made me question why should their meaning be distorted or hidden. I was somehow afraid. If I drag people hoping to be forgotten into the world, they should shine in my film. Can I make my film that well? After I went through tormenting time even more severe than I wandered around looking for the character for my film, I asked again. Lee answered. “Alright. Shoot. Times are already gone and I have nothing to lose more.”I filmed and edited hoping to show the elders’ lives as they exist. But now, releasing the film to the world, I am scared. Finding the elders quietly smiling after watching my film, there is nothing to hope in my life.

24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1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수료작 특별상영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은 서울·경기 내 미디어센 터와의 협력 사업으로, 미디어 제작 교육과 멘토링을 통해 청소년 들의 다큐멘터리 콘텐츠 제작을 돕고 청소년들이 영상 제작 경험 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11년부터 매해 진행된 사업 이다. 청소년들의 다큐멘터리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한 다큐멘터리 제작교육을 통해 많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보는 뜻깊

The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has been held in collaboration with media centers with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ince 2011 to provide teenagers with a chance to experience making documentaries through media production education and mentoring. Many teenagers had a meaningful experience telling their stories through making documentaries. Kids from various regions took part and produced a wide spectrum of works.

은 경험을 가졌다. 다양한 지역의 청소년들이 참여한 만큼 넓은 스 펙트럼의 주제를 담은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주최 l DMZ국제다큐영화제, 서울영상미디어센터 공동주관 l 고양영상미디어센터, 교하도서관, 부천영상미디어센터, 서울영상미디어센터,

Hosted by l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Seoul Media Center Partners l Goyang Media Center, Gyoha Library, Bucheon Media Center, Seoul Media Center, Seongnam Media Center, Juan Media Center

성남미디어센터, 주안영상미디어센터

작품목록 및 시놉시스|2014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수료작 총 36편 List of films and synopses|36 2014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Projects

고양영상미디어센터 Goyang Media Center

나 요새 겉도는 것 같아

다큐가 나에게 준 건 뭘까?

I’m Going Nuts

Korea | 2014 | 6min 강민주 GANG Min-ju

What Did Documentaries Give Me? 청소년만이 할 수 있는, 어른들이 개

고2인 나는 공부도 하고, 진로도 찾아

입하지 않는 아이들만의 사회를 영상

보고, 다큐멘터리도 만들어 보지만

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제대로 되는 것이 없다. 어떻게 해야

The world of kids for only teenagers where adults have no place will be portrayed on the screen.

하나? Korea | 2014 | 9min 정혜지 JEONG Hae-ji

시발

형량12년

Starting point

A 12-year Sentence

Korea | 2014 | 16min 홍다예 HONG Da-yae

241

I’m a high school sophomore who’s tried to study, find a future, and make a documentary, but nothing’s going right. What should I do?

고3이 된 나. 왜 이렇게 살아야 되는

고등학교 2학년인 나는 내 현실이 너

지 그 시발점을 찾아보는 이야기.

무 답답하게만 느껴진다. 이를 어떻

I’m a high school senior. A story about finding out the starting point of why I have to live this way.

게 하나….

Korea | 2014 | 6min

I’m a high school sophomore and my reality is suffocating. What to do…

정진형 JEONG Jin-hyeong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2

흙 Clay 흙을 만지며 흙 같이 살아가는 내 모 습을 주변 사람들은 걱정하지만 나는 이대로가 좋다.

Korea | 2014 | 16min

People are worried about me because I mess with clay and live with it but I’m fine the way I am.

안 형 AN Hyeong

교하도서관 Gyoha Library

결혼하면 행복할까?

고양이와 함께 하기 좋은 날

Will Getting Married Bring Happiness?

A Good Day to Be with Cats

결혼하신 우리 엄마, 아빠의 모습을

길고양이를 둘러싼 아빠와 나의 이

통해‘과연 결혼하면 행복할까?’ 라는

야기.

질문을 던져본다.

Korea | 2014 | 14min 이주은 LEE Ju-eun

I ask the question “Will getting married bring happiness?” by looking at my parents and their marriage.

The story of me, my dad, and stray cats. Korea | 2014 | 15min 이시은 LEE Si-eun

숏컷

알리사와 나

Short cut

Alissa and Me 다른 여자 친구들에 비해 머리가 짧

우즈벡에서 친했던 언니가 한국에 왔 다. 오랜만에 만난 언니는 한국 생활 에 익숙해 졌다고 말한다. 나도 이런 변화들에 곧 익숙해질까.

은 나, 그리고 그런 나를 보는 사람들 의 고정관념에 대한 이야기.

Korea | 2014 | 9min

The story of people’s prejudice toward me and my hair which is shorter than other girls.

Korea | 2014 | 12min

김의선 KIM Ui-seon

정찬희 JEONG Chan-hee

중고가족

찬규십진분류법

Secondhand Family

Chan-gyu’s Decimal Classification

Korea | 2014 | 12min

A friend I was close to in Uzbekistan came to Korea. I hadn’t seen her for a long time. She tells me she’s used to life in Korea now. I wonder if I’ll get used to these changes, too.

중, 고딩 남매가 사는 집의 모습을 그

영화를 보고나서 한 번쯤은 내가 누

대로 보여주고 싶었다.

구인지 생각해보았으면 한다. 찬규십

I wanted to show the home of a brother and sister who are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just as it is.

송지원 SONG Ji-won

진분류법으로 한 번 해보는 것도 괜 찮다. 그러면 때땡큐. Korea | 2014 | 13min 민찬규 MIN Chan-gyu

텃밭

I want people to think about who they are after they see this film. I think using the Chan-gyu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to do that isn’t a bad idea. Then I’d be thanking you oh so much.

Vegetable Garden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는 집에서는 서로 옥신각신 하시지만, 텃밭에서는 일심동체가 되신다.

Korea | 2014 | 8min 김영헌 KIM Yeong-heon

My grandparents are always arguing when they’re indoors but they become one when they’re in the vegetable garden.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24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3

부천영상미디어센터 Busan Media Center

Why So Serious? : 피부 개선 프로젝트

고독한 3학년

Why So Serious?

Solitary Senior 나의 가장 큰 콤플렉스는 바로 피부.

고3이지만 다른 친구들과는 다른 일

그래서 나는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자

상을 보내는 나. 과연 대학을 갈 수 있을

신감을 얻기 위해 피부 미남이 되어

까, 혹은 지금 나는 뭘 하고 있는 걸까.

보고자 한다. Korea | 2014 | 16min 성용제 SEONG Yong-jae

My greatest complex is my skin. So I’m going to try and overcome my complex and get known as the guy with good-looking skin.

Korea | 2014 | 8min 윤정화 YUN Jeong-hwa

먼지 버스킹

사망년

Dust Busking

Deathly Senior 먼지 같은 존재감으로 살아온 감독인 나와 아현. 고3에 이르러서야 아무것에 도 도전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고 먼 지탈출 거리공연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Korea | 2014 | 14min 노영지 NOH Yeong-ji

수필

I, the director, and Ah-hyeon have been living like dust. In our last year of high school, we realized we didn’t try anything and start putting on street performances to break away from our dust-like existence.

Essay

Korea | 2014 | 16min 김영총 KIM Yeong-chong

I’m a senior in high school but my daily routine is different from my classmates. Can I even make it into a college? Or what am I doing now?

매일 죽은 사람처럼 자기만 하는 고3, 나의 친구들. 놀고, 먹고, 자기만 하는 고3들은 과연 무슨 꿈을 가지고 살까?

Korea | 2014 | 14min 김현지 KIM Hyeon-ji

My friends are high school seniors who sleep all the time like they’re dead. What kind of dreams do high school seniors who eat, play, and sleep have?

영화를 만들기 위해 In Order to Make A Movie

내 기억이 돌아가신 아버지를 쫓는

영화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고민을

다. 기억을 쫓다 허탈해진 나를 아버

하는 나. 꿈을 향한 첫 걸음을 내딛으려

지의 과거가 채운다.

는 지금, 나는 대체 뭐하고 있는 걸까.

My memory follows the traces of my late father. When I get worn out from chasing memories, my father’s past fills me.

I’m contemplating about all sorts of things to make a movie. As I get ready to take the first step toward my dream, what I am I doing?

Korea | 2014 | 15min 전진영 JEON Jin-young

태안 Tae-an 작년 겨울, 아빠와 다툰 나는 가출 후 태안을 향했다. 하지만 나의 가출은 이틀 만에 막을 내리고 1년이 지난 지 금, 가출 후 다녀온 태안을 다시 찾아 간다. Korea | 2014 | 16min 김승현 KIM Seung-hyeon

243

Last winter, I ran away from home to Tae-an after a fight with my dad. My rebellion ended after 2 days and I now revisit Tae-an one year later.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4

서울영상미디어센터 Seoul Media Center

니가 성공을 알아?

다녀왔습니다

You Think You Know about Success?

I’m Home

Korea | 2014 | 10min 강서림 GANG Seo-rim

엄마가 원하는 나의 성공과 내가 원

어린 학생들이 부러워하는 대학생.

하는 나의 성공은 다르다. 엄마의 말

하지만 이들이 느끼는 독립, 자취 생

은 나에게는 스트레스 덩어리로 다가

활에서의 외로움 등 이면의 모습에

온다.

대해 말하고자 한다.

My mom’s idea of success is different from the one I have. To me, she is one big ball of stress.

Korea | 2014 | 9min 박진희 PARK Jin-hee

다른 세상에서

밑바닥에서

In Another World

At the Bottom

Korea | 2014 | 9min 이경복 LEE Gyeong-bok

한국 사람과 줄곧 못 어울리던 경복.

재수를 한다고 하니 불쌍하게 쳐다보

사람들을 만나면서 자신이 원했던 본

는 사람들의 시선. 점점 자신감을 잃

모습을 깨닫게 된다.

어간 나는 친구들과 모여 허심탄회한

Gyeong-bok hasn’t been able to get along with Korean people. He begins seeing himself the way he wanted when he meets people.

이야기를 시작한다. Korea | 2014 | 8min 김리원 KIM Ri-won

스무살을 부탁해

통영기행

Take Care of my Twenties

Trip to Tongyeong

Korea | 2014 | 14min 이혜원 LEE Hae-won

Young kids envy college students. I want to talk about their dark side: feeling lonely from being independent and living alone.

When I said I was going to spend another year studying to get into college, people looked at me with pity. I begin talking frankly with my friends as I lose confidence.

혼란, 압박은 나 혼자만 느끼는 것이

친한 친구들에 대해서라면 속속들이

아니었고, 친구들 모두 각자의 어려

모든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

움을 느끼면서 살고 있었다. 나와 친

한 나. 친구들과 함께 한 통영 여행 끝

구들은 이제 걸음마를 뗀 것이다.

무렵, 그럴 필요가 없음을 깨닫게 된

It wasn’t just me feeling confusion and pressure. All my friends had their own problems. My friends are now just beginning to walk.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다. Korea | 2014 | 11min 전길중 JEON Gil-jung

I believe that I need to know everything there is to know about my close friends. Towards the end of our trip to Tongyeong, I learned that it’s unnecessary to do that.

24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5

성남미디어센터 Seongnam Media Center

D-day

Don’ t Touch My Privacy!

D-day

Don’t Touch My Privacy! 친한 동생 우진이가 자퇴를 하려고

나는 그저 대학 입시 스트레스를 EXO 노래나 영상, EXO 팬 카페 활동, EXO 빙의 글들을 보며 힐링을 받고 있는 평 범한 고3이자 EXO팬일 뿐인데….

한다. 얘기를 하면서 작년에도 똑같 은 고민을 했던 내가 떠올랐고 내 생 활을 돌아보았다. Korea | 2014 | 5min 박지유 PARK Ji-yu

A close, younger friend called Woo-jin tries to drop out of school. As I was talking to him, I remembered how I had thought the same thing last year and began looking around at my life.

Korea | 2014 | 6min 오은지 OH Eun-ji

가까운 친구

버스처럼

Close Friend

Like a Bus

Korea | 2014 | 10min 임종욱 IM Jong-wuk

가깝지만 잘 모르고, 나와 많이 다른

나는 두 가지 꿈이 있다. 외교관과 영

독특함을 가진 내 친구 승현이! 그런

화감독. 두 가지 꿈 사이에서 고민하

승현이를 더 알아가는 이야기.

는 나, 하나의 꿈과 대답을 찾기 위한

The story of getting to know more about Seung-hyeon, a close friend that I don’t really know much about and who is unique with so many things that are different from me!

여정. Korea | 2014 | 11min 임기수 IM Gi-su

어디가

의문의 시계탑

Where Are You Going?

The Strange Clock Tower

Korea | 2014 | 15min 백채린 BAEK Chae-rin

우리가 수학여행을 갔다 온 사이 학

교환학생을 준비하고 있다. 나는 왜

교에 시계탑이 세워졌다. 이건 뭘까?

가는 걸까? 가야 하는 걸까?

왜 세워졌을까? 시계탑은 우리 학교

I attend Yong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prepare as an exchange student going to the U.S. Why am I going? Do I have to go?

에 꼭 필요한가? Korea | 2014 | 12min 김도훈 KIM Do-hun

오 마이 프랜드

Diary

Oh, My Friend

245

While we were away on a school trip, a new clock tower was constructed on campus. What’s this? Why was it constructed? Does our school really need a clock tower?

나는 놀기를 좋아한다. 하지만 놀기

꿈도 목표도 없다. 앞으로 어떻게 살

만 하니 하루 하루가 비슷하고 의미

아갈 것인지 정한 것 하나 없는데…

없이 느껴진다. 나는 내가 가진 목표

나만 그럴까?

를 이룰 수 있을까?

박경덕 PARK Gyeong-deok

I attend Yong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prepare as an exchange student going to the U.S. Why am I going? Do I have to go?

나는 용인외고에 다니면서 미국으로

일기

Korea | 2014 | 8min

I’m just an average high school senior and an EXO fan who addresses the stress of college entrance exams by listening to EXO songs, watching their videos, being active in the EXO fan café and reading posts written by people possessed by EXO...

I like to play. But just doing that every day makes my days repetitive and meaningless. Can I reach my goal?

Korea | 2014 | 6min 김창준 KIM Chang-jun

I have no dreams and no goals. I have no idea how I’m going to live my life.. Am I the only one that feels this way?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6

주안영상미디어센터 Juan Media Center

Project Algorithm

자매, 인생 최고의 친구

Project Algorithm

My Sister, My Best Friend 우리는“ 해킹” 에 대해 잘 알아야 할

자매여서 할 수 있고, 자매여서 좋은

필요가 있고, 스스로의 개인 정보를

점들을 보여주고자 한다.

지켜야 한다.

Korea | 2014 | 17min

We need to know really well about “hacking” and protect our personal information.

오상호 OH Sang-ho

We want to show what we can do because we’re sisters and the advantages of being sisters. Korea | 2014 | 8min 오지현, 유서화

OH Ji-hyeon, YU Seo-hwa

정태증후군 극복기 Overcoming the Jeong-tae Syndrome 지금까지 너무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 냈다. 과거는 후회해도 소용없다. 앞 으로 어떻게 해야 후회가 없을지 그 답을 찾고자 한다. Korea | 2014 | 7min 김정태 KIM Jeong-tae

I’ve spent my time so listlessly. It’s no use regretting the past. I want to find out what needs to be done in order to not have any regrets.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

24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7

DMZ PROJECT MARKET DMZ프로젝트마켓

DMZ국제다큐영화제가 기존 DMZ Docs 프로젝트의 제작지원 부 분을 특화 하여 지난해 시작한 DMZ프로젝트마켓은 2013년 제작 지원작 중 6편을 포함하여 역대 제작지원작 9편이 성공적으로 완 성되어 이 중 8편이 이번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 월드프리미어 를 가지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 DMZ프로젝트 마켓은 아시아 다큐멘터리에 대한 제작지원을 확대하여 한국을 넘 어 본격적인 아시아 다큐멘터리 인큐베이터를 위한 그 첫 발을 내 딛는다. 2014년 DMZ프로젝트마켓은 장편 다큐멘터리 제작지원을 위한 DMZ피칭을 중심으로 피칭 프로젝트 제작자들이 산업 관계자 및 전문가와의 1대1 미팅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산업적 협력 가능성 을 타진하는 프로젝트미팅, DMZ프로젝트마켓 제작지원작 중 현 재 제작 중인 프로젝트들의 향후 제작 방향과 판로를 점검하고자 마련된 닥스 인 프로그레스, 다큐멘터리 제작자들과 관계자들이 산 업 관련 주제를 가지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DPM토크, 그리고 DMZ국제다큐영화제 제작지원을 통해 완성된 작품을 상영하는 DMZ Docs 프로젝트 스크리닝으로 구성된다.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제작 활성화와 다양한 산업적 활로를 찾기 위한 발판과 네트워크 마련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다큐멘터리가 산 업적 자생력을 가지고 활발하게 제작될 수 있는 환경 마련을 목표 로 하는 DMZ프로젝트마켓은 영화적인 잠재력을 가진 다큐멘터리 프로젝트 발굴과 제작지원부터 공동제작, 배급 등 산업적인 지원에 이르기까지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수행하 고자 한다. 기간 l 9월 21일(일)-24일(수) 장소 l 엠블호텔 킨텍스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MZ Docs) began its grant initiative with DMZ Docs Project.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growing its grant initiative, DMZ Docs started DMZ Project Market (DPM) in 2013 to further nurture and grow those projects it has funded to become fully completed projects. A total of nine projects that have been funded by DMZ Docs, six having been funded in 2013, will be screening at this year’s event. Eight of the nine projects will be making their World Premiere. To further improve the support for not just Korean documentaries, 2014’s DPM has reached across Asia to fully integrate a global funding initiative and to become the premiere incubator for Asian documentaries. The 2014 DMZ Project Market features several industry programs: DMZ Pitch, Project Meeting, Docs in Progress, DMZ Talk, and DMZ Docs Project Screening, to promote and support in the completion of projects. DMZ Pitch aims to stimulate and aid in the production of feature-length documentaries of preselected projects, whereas, Project Meeting will allow these projects to meet one-on-one with industry professionals and experts to further improve the possibilities of collaborating and completing their projects. Docs in Progress will aim to critique and help in the overall direction of past DPM grant recipients presently in production. DMZ Talk hopes to bring a group of documentary professionals and filmmakers to discuss a wide variety of topics that will invigorate an engaging discussion with other panel members and audience. Finally, DMZ Docs Project Screening will be the final step in screening those completed projects that have been funded by DPM. DMZ Project Market aims to stimulate the production of Asian documentaries and find various possibilities for production through its industry programs. DPM will striv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will foster to an ever growing Asian documentary industry and become a leading support base for those projects with cinematic potential through funding, coproductions, distribution and other production aid. Date l Sep 21(Sun)-24(Wed) Location l The MVL Hotel KINTEX

247

DMZ PROJECT MARKET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8

DMZ피칭& 프로젝트미팅

DMZ Pitch & Project Meeting

프로젝트 선정 위원회의 예심을 통해 10개국 25편의 프로젝트가

After a preliminary round of selection with a pre-selection committee, 25 projects from 10 countries have been invited to DMZ Pitch where they will be making their pitch to a group of 15 domestic and foreign decision makers. Afterwards, the pitching projects’ directors and producers will be meeting one-on-one with the decision makers to discuss and advise on the current status of their project. They will further discuss about the possibilities of any co-production, pre-sales & distribution and entry into another film festival each project has.

초대되어 15인의 국내외 산업 관계자와 전문가(디시전메이커)가 참석한 가운데 피칭세션을 진행한다. 피칭 프로젝트의 감독과 프로 듀서는 피칭 후 디시전메이커와 개별적인 미팅을 통해 해당 프로 젝트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듣는 동시에 공동제작, 선판매, 국내 외 배급 및 영화제 출품 등 향후 협력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는 기 회를 갖는다. 일시 l 9월 22일(월)-23일(화) 9:30-13:00 & 15:30-18:30

Date & Time l Sep 22(Mon)-23(Tue) 9:30-13:00 & 15:30-18:30

DMZ프로젝트마켓 제작지원

DMZ Documentary Fund

2014년 DMZ프로젝트마켓은 총액 3억 2천 5백만 원의 제작지원

The 2014 DMZ Project Market will be granting 325 million KRW to 12 or so selected projects at this year’s DMZ Pitch. After our decision makers make their selections, those selected projects will be announced at the Award & Closing Ceremony of the DMZ Docs.

금을 DMZ피칭을 통해 최종 선정되는 12편 내외의 프로젝트에 지 원한다. 디시전메이커들의 심사를 통해 선정되는 제작지원작은 DMZ국제다큐영화제 폐막식에서 발표한다.

구분

단계

지원편수*

지원금액*

Category

Stage

No. of Grants**

Grant Amount**

제작 한국

Production

Korea

개발

Development 제작 아시아

Production

Asia

개발

Development DMZ다큐멘터리

DMZ Documentary *심사위원단 재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can vary upon the decision of the jury

DMZ PROJECT MARKET

4

3

2

2

1

12

1억2천만원

120,000,000 KRW 8천만원

80,000,000 KRW 6천만원

60,000,000 KRW 4천만원

40,000,000 KRW 2천5백만원

25,000,000 KRW 3억2천5백만원

325,000,000 KRW

24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49

DPM2014 피칭 프로젝트 Pitching Projects 한국 제작 단계 프로젝트 Korean Projects in Production

내일은 오지 않는다 TOMORROW WILL NEVER COME DIRECTOR/PRODUCER | 김경만 KIM Kyung-man

두 개의 문 2 AFTER TWO DOORS DIRECTORS | 김일란 KIM Il-rhan, 이혁상 LEE Hyuk-sang PRODUCER | 김성희 KIM Sung-hee PRODUCTION COMPANY | 연분홍치마 Pinks

소녀와 난파선 A GIRL AND A SHIPWRECK DIRECTORS | 김세미 KIM Se-mee, 장상일 JANG Sang-il PRODUCER | 이미진 LEE Mi-jin PRODUCTION COMPANY | 바심픽쳐스 Bassim Pictures

앙뚜 BECOMING WHO I WAS DIRECTORS | 문창용 MOON Chang-yong, 전진 JEON Jin PRODUCERS | 전진 JEON Jin, 크리스티안 팝 Christian POPP PRODUCTION COMPANY | 프로섬 Prosum Inc.

야근 대신 뜨개질 THE KNITTING CLUB DIRECTOR | 박소현 PARK So-hyun PRODUCER | 강유가람 KANGYU Ga-ram

영원한 거주자 RESIDENT FOREVER DIRECTOR | 김량 KIM Lyang PRODUCER | 김일권 KIM Il-kwon PRODUCTION COMPANY | 존필름 Zone Film

249

DMZ PROJECT MARKET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0

영화 YEONG-HWA DIRECTOR/PRODUCER | 조인한 CHO In-han

할머니의 먼 집 MY GRANDMOTHER WANTS TO DIE DIRECTOR | 이소현 LEE So-hyun PRODUCER | 황다경 HWANG Da-kyung

한국 개발 단계 프로젝트 Korean Projects in Development

그날 THE DAY DIRECTOR/PRODUCER | 정수은 JUNG Su-eun

늑대부대를 찾아서 WOLF LETTER DIRECTOR | 김미례 KIM Mi-re

레간자 LEGANZA DIRECTOR | 손광은 SON Kwang-eun

빨간 벽돌 RED BRICK DIRECTOR | 주현숙 JOO Hyun-sook

DMZ PROJECT MARKET

25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1

우리가 모른다고 없는 것은 아니다 THE DISPOSSESSED DIRECTOR | 이마리오 LEE Mario PRODUCER | 이상욱 LEE Sang-wook PRODUCTION COMPANY | 이달투 Idaltu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MISSING PRISCILLA DIRECTORS | 김동령 KIM Dong-ryung, 박경태 PARK Kyoung-tae PRODUCERS | 김일권 KIM Il-kwon, 안보영 AN Bo-young PRODUCTION COMPANY | 시네마달 CinemaDal

증발 EVAPORATED DIRECTOR | 김성민 KIM Sung-min PRODUCER | 김보람 KIM Bo-ram PRODUCTION COMPANY | 민치앤필름 Minch&Films

아시아 제작 단계 프로젝트 Asian Projects in Production

로드 THE ROAD China DIRECTOR | 장잔보 ZHANG Zanbo PRODUCER | 리차드 량 Richard LIANG PRODUCTION COMPANY | Galaxion Films

벽장 속의 결혼 WEDDING: A CLOSET DOCUMENTARY Iran DIRECTOR/PRODUCER | 모하마드레자 파르자드 Mohammadreza FARZAD PRODUCTION COMPANY | Doctribute

보이지 않는 도시, 홍콩 TRACES OF AN INVISIBLE CITY Hong Kong, USA DIRECTORS | 왕보 WANG Bo, 루판 LU Pan PRODUCER | 김경미 KIM Kyung-mi PRODUCTION COMPANY | BOC Features LLC

251

DMZ PROJECT MARKET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2

프랙탈 FRACTALS Malaysia, Singapore DIRECTOR | 아즈하르 루딘 Azharr RUDIN PRODUCERS | 아즈하르 루딘 Azharr RUDIN, 이사잘리 이사 Isazaly ISA PRODUCTION COMPANY | Kino-i

아시아 개발 단계 프로젝트 Asian Projects in Development

라인 오브 컨트롤 LoC (LINE OF CONTROL) India DIRECTOR/PRODUCER | 라자 샤비르 칸 Raja Shabir KHAN PRODUCTION COMPANY | Ryhana Productions

상하이 청춘 SHANGHAI YOUTH China, France DIRECTOR | 왕빙 WANG Bing PRODUCER | 이자벨 글라샹 Isabelle GLACHANT PRODUCTION COMPANY | Chinese Shadows

클레임 CLAIM Malaysia DIRECTOR | 노바 고 Nova GOH PRODUCER | 데이비드 웅우이 David NGUI PRODUCTION COMPANY | NG Production

파시미나왈라 PASHMINAWALA India DIRECTOR | 바라카 고쉬 Balaka GHOSH PRODUCER | 쿠무드 란잔 Kumud RANJAN PRODUCTION COMPANY | Next Story

DMZ PROJECT MARKET

25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3

DMZ 다큐멘터리 프로젝트 DMZ Documentary Projects

DMZ 사운드 스케이프 - 평화의 노래를 듣다 DMZ SOUNDSCAPE PROJECT – SONG OF PEACE FROM DMZ Korea DIRECTOR | 송규학 SONG Kyu-hag PRODUCER | 진모영 JIN Mo-young PRODUCTION COMPANY | 창작집단 917 Creative Group 917

파주 - 북한이 보이는 도시 PAJU – A CITY VIEWING NORTH KOREA Germany, Korea DIRECTOR | 수잔네 미선 퀘스터 Susanne Mi-son QUESTER PRODUCER | 요한나 타이흐만 Johanna TEICHMANN PRODUCTION COMPANY | Tellux Film GmbH

닥스 인 프로그레스

Docs in Progress

지난 해 DMZ프로젝트마켓 제작지원작 중 현재 제작 진행 중인 프

Directors and producers who were grant recipients from the previous year’s DMZ Project Market that are still in production, will be featured at Docs in Progress. They will show their footage or a rough-cut of their project and domestic and foreign professionals will give their feedback on the direction of editing, post-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rketing to further improve the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and the completion of their projects. Project Presentation in the first half will be followed up with, Case Study: Documentary Distribu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event. The participating projects will have the same opportunities as the projects from DMZ Pitch to meet with the decision makers at Project Meeting.

로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닥스 인 프로그레스는 각 프로젝트의 감 독과 프로듀서가 촬영본 또는 가편집본 일부를 공개한 후 국내외 전문가들과 향후 편집 방향과 후반작업, 배급 및 마케팅 전략 등에 관한 의견을 나누며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동시에 산업적 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부‘프로젝트 프레젠테이션’ 과 2부 ‘다큐멘터리 배급 케이스스터디’로 나눠서 진행되며, 이들 프로젝 트는 피칭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프로젝트미팅을 가진다. 일시 l 9월 24일(수) 10:00-13:00

Date & Time l Sep 24(Wed) 10:00-13:00

참가 프로젝트 Participating Projects

후회는 없어 NO REGRETS Korea, Denmark DIRECTOR | 신선희 Sun-hee ENGELSTOFT PRODUCER | 김민철 KIM Min-chul PRODUCTION COMPANY | 민치앤필름 Minch&Films

밤섬해적단 습격의 시작 BAMSEOM PIRATES, SEOUL INFERNO Korea DIRECTOR/PRODUCER | 정윤석 JUNG Yoon-suk

253

DMZ PROJECT MARKET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4

레드마리아 2 RED MARIA 2 Korea DIRECTOR | 경순 Kyungsoon PRODUCTION COMPANY | 빨간눈사람 Red Snowman

DPM토크

DPM Talk

DMZ프로젝트마켓에 참가하는 국내외 다큐멘터리 관계자 및 전문

DMZ Project Market participating professionals and filmmakers will be invited as panel members to discuss about industry related topics, share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follow up with a Q&A session with the room.

가, 감독과 프로듀서가 패널로 초대되어 산업 관련 주제를 놓고 각 자의 경험을 나누고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일시 l 9월 22일(월)-23일(화) 14:30-15:30

Date & Time l Sep 22(Mon)-23(Tue) 14:30-15:30

DPM토크 1: 아시아적 소재의 개발과 제작

DPM Talk 1: Dealing with Asian Focused Subjects

진행 : 토니 차우 l 국제 미디어 컨설턴트

Moderator : Tony CHOW l International Media Consultant

DPM토크 2: 사회적 이슈 다큐멘터리로 대중에게 다가서기

DPM Talk 2: Reaching a Wider Audience with Social Issue Docs

진행 : 황혜림 l 프로듀서

Moderator : HWANG Hei-rim l Producer

DMZ Docs 프로젝트 스크리닝

DMZ Docs Project Screening

2013년 DMZ프로젝트마켓 제작지원작 6편을 포함하여 총 9편의

Including 6 projects that were granted in 2013, a total of 9 granted projects have completed their films and will be showcased at DMZ Docs 2014. 8 of these projects will be making their World Premiere.

제작지원 프로젝트가 완성되어 이번 DMZ국제다큐영화제에서 상 영되며, 이 중 8편은 세계 최초로 공개된다.

DMZ프로젝트마켓 2013 제작지원작 DMZ Project Market 2013 Granted Projects

폭풍의 아이들, 1권

World Premiere

STORM CHILDREN, BOOK ONE Philippines DIRECTOR | 라브 디아즈 Lav DIAZ PRODUCER | 시네 올리비아 필리피나스 Sine Olivia PILIPINAS

울보 권투부

World Premiere

CRYING BOXERS DIRECTOR | 이일하 E Il-ha PRODUCER | 조은성 CHO Eun-sung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World Premiere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DIRECTOR | 진모영 JIN Mo-young PRODUCER | 한경수 HAN Kyung-soo

DMZ PROJECT MARKET

25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5

물속의 도시

World Premiere

THE CITY IN THE WATER DIRECTOR | 김응수 KIM Eung-su PRODUCER | 문웅 MOON Woong

밀양 아리랑

World Premiere

MIRYANG ARIRANG – LEGEND OF MIRYANG 2 DIRECTOR | 박배일 PARK Bae-il

니가 필요해

World Premiere

I NEED YOU DIRECTOR | 김수목 KIM Su-mok PRODUCER | 주현숙 JOO Hyun-sook

DMZ Docs 2012 제작지원작 DMZ Docs 2012 Granted Projects

어느 사진가의 기억

World Premiere

MEMORIES OF A PHOTOGRAPHER DIRECTOR | 이창민 LEE Chang-min PRODUCER | 조민석 JO Min-seok

DMZ Docs 2011 제작지원작 DMZ Docs 2011 Granted Projects

유예기간

World Premiere

GRACE PERIOD DIRECTORS | 김경묵 KIM Kyung-mook, 기진 Caroline Key PRODUCERS | 기진 Caroline Key, 김경묵 KIM Kyung-mook

잡식가족의 딜레마 THE OMNIVOROUS FAMILY’S DILEMMA DIRECTOR | 황윤 HWANG Yun

2014 서울환경영화제 한국환경영화경선 대상

2014 Green Film Festival in Seoul – Korean Green Competition Grand Prize

PRODUCER | 김일권 KIM Il-kwon

255

DMZ PROJECT MARKET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6

Docs for Edu <Docs for Edu>는 다큐멘터리의 교육적 활용을 활성화하고, 교

청소년 500인 원탁회의

육 콘텐츠로서의 다큐멘터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기획된 교육

내용 l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학교에 대해 자유롭게

프로그램으로, 다큐백일장과 청소년 500인 원탁회의, 단체관람 프

의견을 나누는 자리

로그램으로 구성되어있다. 다큐멘터리를 통한 글쓰기와 토의 경험

일시 l 9월 20일(토) 오후 2시-5시

을 통해 청소년들이 세계 곳곳의 이슈를 간접체험하고 창의적이고

장소 l 킨텍스 제2전시장 303호, 304호

비판적인 시각을 키울 수 있는 값진 경험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주최 l DMZ국제다큐영화제, 행복한미래교육포럼

다큐백일장

단체관람 프로그램

내용 l 다큐백일장 지정 작품 감상 후 400자 원고지 2장 내외의

내용 l 교육적으로 유익한 다큐를 보고 초청 강연을 통해 생각의

자유로운 감상문을 작성하여 현장 제출

폭을 한층 확장하는 유익한 자리

대상 l 전국 중·고등학생 및 동등 연령 청소년

일정 l 9월 19일(금) ~ 24일(수)

일정 l 9월 20일(토) - 9월21일(일)

장소 l 메가박스 킨텍스 상영관

부문 l 한글감상문 / 영어감상문

단체관람 프로그램 강연회 진행 일정 및 주제정보

백일장 지정작 및 상영시간 일정

주제

상영작

패널

안녕, 헐리우드 2013│102min│헨리 코라, 레지나 니콜슨

9.19(금)

창작의 힘! - <신의 한 수> 조범구 감독과

<소녀들의 다락방> 외

조범구

10:00-12:00

함께 보는 단편 다큐

2편

(영화감독)

1회차: <안녕, 헐리우드> 9/20(토) 오전 10시30분 레지나는 암투병중인 톰보이로, 감독 헨리 코라와 함께 그녀는 자신의 자화상과 병과의 사 투를 기록한다. 이 영화는 사랑과 죽음에 대한 시적인 동화로 만드는 사람과 대상, 가족 간 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우리를 초대한다.

반짝이는 박수 소리

9.23(화)

‘ 한국의 폴포츠’김승일 테너와

<소녀들의 다락방> 외

김승일

10:00-12:00

함께 보는 단편 다큐

2편

(성악가)

9.23(화)

전 제천 간디학교 교장선생님과

18:00-20:00

함께 나누는 교육공동체 이야기

반장선거

(전 제천 간디학교

양희창 교장)

2014│80min│이길보라 2회차: <반짝이는 박수 소리> 9/20(토) 오후 3시

9.24(수) 15:00-17:00

입술 대신 손으로 말하고 슬퍼하고 사랑하는 부부가 있다. 딸인 감독은 부모의 들리지 않는 세 상을 촬영하다 들리는 세상과 들리지 않는 두 세상을 오가며 자란 동생과 자신의 이야기를 발 견한다. 반짝, 반짝이는 박수 소리는 모든 이들을 환영하는 가장 고요하고 경쾌한 몸짓이다.

잡식가족의 딜레마 2014│108min│황 윤 3회차: <잡식가족의 딜레마> 9/21(일) 오전 10시 구제역 살처분이 전국을 휩쓸던 지난 겨울. 영화감독 윤은 산골마을의 어느 농장에서, 오래 된 방식으로 돼지를 키우는 농부와 그의 돼지들을 만나게 된다. 돼지들과 정이 들어갈수록 그간 좋아했던 돈까스를 더 이상 마음 편히 먹을 수 없게 되고, 남편과 어린 아들 도영은 밥 상 메뉴 선택을 더욱 어렵게 한다. 딜레마에 빠진 그녀,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

울보 권투부 2014│90min│이일화 4회차: <울보 권투부> 9/21(일) 오후 3시30분 일본 극우세력들이 도쿄에 조선학교 앞 교문에서 시위를 한다.‘일본에서 물러가라. 너희들이 있 을 곳은 없다.’그렇다면 학교 안 아이들은 어떤 모습일까? 여느 고등학교의 모습과 다를 바 없는 시끌벅쩍한 교실. 이곳엔 우리가 흔히 만날 수 있는 열여섯, 열일곱 살의 평범한 아이들이 있다.

시상 l 경기도지사상, 경기도교육감상, 고양시장상, 하나금융그룹회장상, DMZ국제다큐영화제 위원장상 및 부상 증정 후원 l 경기도 교육청, 하나금융그룹

‘ 막돼먹은 영애씨’김현숙과 함께 보는 단편 다큐 - 성장하는 청소년들과 함께 나누는 진로 이야기

<소녀들의 다락방> 외

김현숙

2편

(탤런트 및 배우)

조범구(영화감독) 학교 재학 당시 만든 단편 <장마>와 <어떤 여행의 기록>이 국내외 각종 영화제에 소개되면서 그 가능성을 일찌감치 인정받은 단편영화 계 최고의 스타 감독으로 정우성, 안성기, 이범수, 김인권, 이시영 등 탄탄한 캐스팅을 자랑한, 내기 바둑을 둘러 싼 액션 느와르 영화 <신 의 한수>(2014)를 연출했다. 김승일(성악가) 2010년 SBS‘놀라운 대회 스타킹’ 에 출현해서‘야식배달부 성악가’ 로 알려진 김승일 성악가는 많은 이들에게 열정과 감동을 선사한 바 있다. 방송 후 청와대에서 연락이 와 제헌절, 삼일절 많은 사람들 앞 에서 애국가도 부르게 되는 등 대대적으로 실력을 인정받아 그를 계 기로 성악을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지난 2012년에는 자신의 이름으 로 된 앨범을 냈으며 현재 희망배달부를 꿈꾸고 있다. 양희창(전 제천 간디학교 교장) 현재 간디교육공동체와 아시아평화학교 대표로 활동 중인 전 양희창 교장선생님은 경남 산청에서 학교를 처음 시작해, 한국 사회에서 입 시 중심의 교육을 탈피하는 교육이 가능한가를 고민한 끝에 현 간디 학교를 창립했다. 한국 사회에서 대안교육을 고민한 1세대를 대표하 는 사람이며, 현재도 대안 교육 및 교육 공동체에 대학 연구 및 활동 을 활발히 하고 있다. 김현숙(탤런트 및 배우) KBS 개그맨으로 활동을 시작하다 이후 <막돼먹은 영애씨>로 연기자 로 활동을 하면서 국내 최장수 시즌제 드라마를 성공시킨 배우가 되었 다. KBS 연예대상 코미디부문 우수상, 2008년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네티즌 인기상, 2011년에는 뮤지컬로 제작된 <막돼먹은 영애씨>에도 출연해 2012 뮤지컬 어워즈 여우신인상을 수상하면서 장르를 불문하 고 대중적으로도 사랑받고, 실력도 인정받는 배우가 되었다.

Docs for Edu

25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7

<Docs for Edu> is an education program that was organized to encourage the use of documentaries in education and expand the scope of documentaries as educational content and includes Doc Review, Teen 500 Round Table Discussion with 500 teenagers, and a group screening program. Teens will have an invaluable experience to build their creative and critical point of view by writing and discussing about documentaries and indirectly experiencing issues from various parts of the world.

Doc Review Details l After watching a designated documentary, write a 2 page or so review and submit on site. Participants 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r teenagers of the same age group Date l September 20th (Sat) – September 21st (Sun) Sections l Reviews in Korean/English Designated films and screening times Farewell to Hollywood 2013 l 102min l Henry Corra, Regina Nicholson 1st Show: Farewell to Hollywood 9/20(Sat) 10:30AM Regina, a tomboy who is fighting cancer, records herself and her fight against illness with Henry Corra, the director. This movie is a poetic fairytale about love and death and invites us to talk about the person who made it, their subje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Glittering Hands 2014 l 80min l LEEGIl Bora 2nd Show: Glittering Hands 9/20(Sat) 3PM

Teen 500 Round Table Details l Teens talk freely about the kind of school they want Date l September 20th (Sat) 2-5PM Venue l KINTEX HALL 2 Room 303, 304 Hosted by l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Happy Future Education Forum

Group Screening Program Details l Watch documentaries with educational benefits and expand the scale of thinking through talks with invited speakers Date l September 19th (Fri) ~ 24th (Wed) Venue l Megabox Kintex Theater Group Screening Program lecture schedule and themes Date 9.19(Fri) 10:00-12:00

Theme

Screening

Panelists

The power of creation! – Short docs Tonight We’ll Become CHO Bum-gu with Director CHO Bum-gu of The Women and 2 others (Film director) Divine Move

9.23(Tue) Short docs with Tenor KIM Seung-il, Tonight We’ll Become KIM Seung-il ‘Korea’s Paul Potts’ Women and 2 others (Opera Singer) 10:00-12:00

9.23(Tue) 18:00-20:00

Talk about education communities with former principal of Jecheon Gandhi School

Leaders

YANG Hee-chang (Former principal of Jecheon Gandhi School)

KIM Hyun-sook Short docs with actress KIM Hyun-sook 9.24(Wed) Tonight We’ll Become (Actress and of Rude Miss Young Ae – Talk about 15:00-17:00 Women and 2 others Entertainer) future paths with growing teens

Group Screening Program lecture panelists A couple talk, get sad, and love with their hands and not their lips. The director is their daughter who discovers the story herself and her younger sibling who have gone back and forth between the silent world of her parents and the outside world of sound. Glittering applause is a most silent and most cheerful gesture that welcomes all.

CHO Bum-gu (Film director)

The Omnivorous Family

His shorts made in school, Rainy Season and The Travel were introduced at various film festivals, securing his position as a star director in short films. He directed The Divine Move (2014), an action noir about gambling over the game of ‘go’ with a high profile cast including JUNG Woo-sung, AHN Sungki, LEE Beom-soo, KIM IN-kwon, and LEE Si-young.

2014 l 108min l HWANG Yun 3rd Show: The Omnivorous Family 9/21(Sun) 10AM

KIM Seung-il (Opera Singer)

As the slaughtering of animals was conducted nationwide last winter because of foot-andmouth disease, we meet a farmer who has been raising her pigs the traditional way for a long time on her farm in the countryside. The more attached she gets to the pigs, the more uncomfortable she feels about eating port cutlet which had been her favorite dish, making it difficult to choose what to put on the dinner table for her husband and young son, Do-young. She is now in a dilemma. What should she do?

After appearing in Star King on SBS in 2010 as the ‘midnight snack delivery guy singer’, he has touched the hearts of numerous people with his passion. After his appearance, he was contacted by the presidential office to sing the national anthem before crowds on national holidays and acknowledged for his talent, which led to his taking up singing again. He released an album under his name and is currently dreaming of being a messenger of hope.

Crying Boxer

YANG Hee-chang (Former Principal of Jecheon Gandhi School)

2014 l 90min l LEE Il-ha 4th Show: Crying Boxer 9/21(Sun) 3:30PM

Currently the head of the Gandhi Education Community and Asia Peace School, he first started a school in Sancheong, Gyeongnam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education that is not college entrance exam oriented until he founded the Gandhi School. He is the first generation of people to contemplate on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ontinues to be active in alternative education and education communities.

Japan’s extreme right supporters demonstrate outside the gates of Choseon School in Tokyo. ‘Get out of Japan. There is no place for you here.’ Then what are the kids in the school doing? The classrooms are bustling like any other high school. Here we find ordinary 16 or 17-year-olds.

KIM Hyun-sook (Actress and Entertainer)

Awards l The Gyeonggi Province Governor’s Award, The Gyeonggi Superintendant of Education Award, the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Chairman’s Award and additional prizes Sponsors l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na Financial Group 257

She began her career as a comedienne at KBS and then went on to become an actress in the lead role for the series Rude Miss Young Ae, which set a record for running for the most number of seasons in Korea. She won the Award for Comedy at the KBS Entertainment Awards, the Netizens’ Popularity Award at the 2008 Korea Drama Festival, and then the Award for Best Actress at the 2012 Musical Awards for her role in the stage version of Rude Miss Young Ae which was turned into a musical. She has gained popularity and recognition in various genres and is a respected actress.

Docs for Edu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8

Program Events 프로그램 부대행사

DMZ다큐포럼 DMZ다큐포럼은 영화제의 컨셉을 바탕으로 한 토크 프로그램. 영화제 기간 동안 초청감독들과 영화제 관계자, 그리고 관객들이 모여 영화제가 준비한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공간이다. 관객과의 대화(GT) 이후 감독과 심도 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며, 다큐멘터리 창작자와 관객들이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세션 1 l 아시아-한국 다큐멘터리 포럼 주주제 l 아시아-한국 다큐멘터리 대안적 연대 가능성 일주시 l 2014년 9월 20일(토) 16:30-18:00 참석자 l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감독 및 프로듀서, 영화제 집행위원, DMZ프로젝트마켓 관계자 장주소 l 레이킨스몰 2층, 포럼라운지 세션 2 l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미팅 주주제 l 초청감독들과 작품에 관한 토론 일주시 l 2014년 9월 22일(월) 13:00-14:30 참석자 l 한국 및 해외 감독, 프로듀서, 영화제 집행위원 장주소 l 레이킨스몰 2층, 포럼라운지

아티스트토크 & 강연 (Artist ’ s Talk & Lecture) 영화제에 초청된 감독들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한 심도있고 흥미로운 대담형식의 아티스트토크와 영화제의 컨셉과 모티브를 발제로 한 강연 프로그램으로 구성. 올해 새롭게 시작하는 파사주 섹션에서는 파운드 푸티지에 기초한 아티스트 필름들을 소개한다. 캐나다의 영화이론가인 캐서린 러셀, 미국의 다큐멘터리 감독인 빌 모리슨과 한국의 영화/미디어 학자 김지훈이 참석한다. 또한 올해의 마스터즈에서는 영국에서 가장 급진적인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활동한 마크 칼린의 회고전을 가진다. 마크 칼린 리서치 프로젝트의 홀리 에이렛이 참석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둘러싼 정치와 영화의 담론을 논하며, 한국의 사회학자 서동진의 강연도 준비한다. 강연A l 세레나 그라미찌(Serena Gramizzi) 주주제 l 알베르토 그리피 & 마시모 사르끼엘리의 <안나>와 1970년대 이탈리아의 정치적 맥락 일주시 l 2014년 9월 19일(금) 14:00-15:00 참석자 l 세레나 그라미찌(프로듀서, 저술가)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5관 강연B l 서동진 주주제 l 유토피아: 영화와 사회주의 일주시 l 2014년 9월 19일(금) 19:20 ~ 20:20 참석자 l 서동진(계원예술대학교)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Table M관 강연 C l 홀리 에일렛(Holly Aylett) 주주제 l 마크 칼린의 작품세계 일주시 l 2014년 9월 20일(토) 13:00-14:15 참석자 l 홀리 에일렛(다큐멘터리 감독, 문화연구가)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Table M관

Program Events

25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59

강연 D l 캐서린 러셀(Catherine Russell) 주주제 l 아카이브학, 컴필레이션, 컬렉션: 파운드 푸티지로부터 에세이 필름으로 일주시 l 2014년 9월 20일(토) 16:20-17:50 참석자 l 캐서린 러셀(Concordia University), 김지훈(중앙대학교)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Table M관

토크 A l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특별전 주주제 l 잃어버린 세계: 이탈리아 다큐멘터리 역사의 대안적 루트 일주시 l 2014년 9월 21일(일) 14:00-15:00 참석자 l 산드로 카펠리(영화학자, 이탈리아 외교부 문화홍보관)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Table M관 토크 B l 빌 모리슨(Bill Morrison) & 김지훈 주주제 l 빌 모리슨의 작품세계 및 맥락에 대한 연구 일주시 l 2014년 9월 22일(월) 16:30-18:00 참석자 l 빌 모리슨, 김지훈(중앙대학교)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Table M관 토크 C l 박경근, <철의꿈> 일주시 l 2014년 9월 22일(월) 19:20-20:20 참석자 l 박경근, 정윤석(<논픽션 다이어리> 감독)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4관 토크D l 라브 디아즈,<폭풍의 아이들, 1권> 일주시 l 2014년 9월 23일(화) 18:40-19:40 참석자 l 라브 디아즈, 정성일(영화평론가, 감독)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Table M관

다큐멘터리의 밤(Docs Night) 행사명 l 이탈리아 다큐의 밤(Italian Docs Night) 일주시 l 2014년 9월 20일(토) 20:00-22:00 장주소 l 고양 문화원 구주성 l 스텐딩 리셉션 파티 주주관 l 주한이탈리아문화원

259

Program Event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0

DMZ Docs Forum A daily debate with filmmakers and festival professionals based on the festival concepts: the platform where the encounters and discussions between directors and their audience to be opened. The forum is an informal discussion held during the festival, attended by the filmmakers and festival professionals. Session A l Asian-Korean Docs Forum Subject l A proposal on Asian-Korean documentary collective Date l Sep. 20(Sat) 16:30-18:00 Venue l LAKINS Mall 2F. Forum Lounge Session B l Documentary Network Meeting Subject l An informal discussion attended by the filmmakers who presented a film Date l Sep. 22(Mon) 13:00-14:30 Venue l LAKINS Mall 2F. Forum Lounge

Artist’s Talk & Lecture The artist’s talk and lectures are among the highlight of the festival, presented by the filmmakers and film/culture scholars. This year, the festival dedicated to found footage films, focusing on their status in documentary and their aesthetics and politics of memory and history. Also paying homage to Marc Karlin, the most radical British independent filmmaker as a Master. Holly Aylett from the Marc Karlin Research Project to present the works in the spirit of Marc Karlin. And Korean Sociologist SEO Dong-jin to present the essay related to the works of Marc Karlin. Lecture A l Serena Gramizzi Subject l Alberto Grifi and Massimo Sarchielli’s Anna and the Policital Context of Italy in 1970s Date l Sep. 19(Fri) 14:00-15:00 Lecturer l Serena GRAMIZZI (Producer, Writer) Venue l Megabox Kintex 5 Lecture B l Seo Dong-jin Subject l Utopia: Cinema and Socialism Date l Sep. 19(Fri) 19:20-20:20 Lecturer l SEO Dong-jin (Kaywon University of Art & Design) Venue l Megabox Kintex Table M Lecture C l Holly Aylett Subject l In the Spirit of Marc Karlin Date l Sep. 20(SAT) 13:00-14:15 Lecturer l Holly AYLETT(Documentary Filmmaker and Cultural Sector Director) Venue l Megabox Kintex Table M

Program Events

26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1

Lecture D l Catherine Russell Subject l Archiveology, Compilation, and Collecting: from Found Footage to Essay Film Date l Sep. 20(Sat) 16:20-17:50 Lecturer l Catherine RUSSELL (Concordia University) Moderator l Felix Jihoon KIM (Chung-ang University) Venue l Megabox Kintex Table M

Talk A l Italian Documentary Special Subject l The Lost World: An Alternative Route into Italian Documentaries Date l Sep. 21(Sun) 14:00-15:00 Lecturer l Sandro CAPPELLI (Ministero Degli Affari Esteri) Venue l Megabox Kintex Table M Talk B l Bill Morrison & Felix Jihoon Kim Subject l A Cinematic Archaeology of Celluloid and its Traces in Decay: The Films of Bill Morrison as Documents and the Documentary Date l Sep. 22(Mon) 16:30-18:00 Speaker l Bill MORRISON, Felix Jihoon KIM (Chung-ang University) Venue l Megabox Kintex Table M Talk C l Kelvin Kyung Kun Park on A Dream of Iron Date l Sep. 22(Mon) 19:20-20:20 Artist l Kelvin Kyung Kun PARK Moderator l JUNG Yoon-suk(Documentary Filmmaker, Non-fiction Diary) Venue l Megabox Kintex 4 Talk D l Lav Diaz on Storm Children, Book One Date l Sep. 23(Tue) 18:40-19:40 Artist l Lav DIAZ Moderator l JUNG Sung-il (Filmmaker and Film Critic) Venue l Megabox Kintex Table M

Italian Docs Night Date l Sep. 20(Sat) 20:00-22:00 Venue l Goyang Cultural Center Presented by Istituto Italiano di Cultura, Seoul

261

Program Event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2

Special events 특별행사

특별야외상영 한국영상자료원과 공동 주최하는 제6회DMZ국제다큐영화제의 찾아가는 영화관. 일주시 l 9월 21일 (일) 19:00~21:00 / 9월 22일 (월) 19:00~21:00 장주소 l 고양 호수공원 한울광장 / 파주시 통일촌 군내초등학교(민통선 내) 상영작 l <스트립라이프> / <독립의 조건>, <나는 중식이다>

시네마+ 콘서트 프로그래머 특별 추천 다큐멘터리 영화 감상과 오케스트라의 실황연주를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공연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영화 감상이 끝 나면 명작영화의 OST를 영화 속 장면과 함께 린나이 팝스 오케스트라의 실황연주로 생생하게 감상 할 수 있는 콘서트가 이어진다. 일주시 l 9월 20일 (토) 14:00~16:00 장주소 l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하이든홀) 출주연 l 린나이 팝스 오케스트라(지휘자 최선용), 초대가수 상영작 l <우리 팀의 코치가 되어주세요!>, <내 이름은 리디아>

DMZ 팸투어 영화제 게스트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DMZ 인근지역을 다니며 DMZ를 직접 체험하고 DMZ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DMZ가 영화 콘텐츠 및 로케이션 장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험하는 투어이다. 일주시 l 9월 21일 (일) 08:00~13:00 장주소 l 캠프그리브스, 제3땅굴, 도라산역, 도라전망대 등 대주상 l 영화제 초청 게스트 내주용 l 도라산역, 도라전망대, 제3땅굴, 캠프그리브스, 장단지역 마을 견학

DMZ 평화 자전거 행진 경기관광공사와 공동 주최하는 대한민국 분단의 상징인 민통선 지역을 자전거 타고 달리는 투어 프로그램. 자전거를 타고 임진각에서 출발하 여 15Km를 달리며, 영화제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고 평화·생명·소통의 의미를 다시금 돌아볼 수 있게 하는 DMZ 체험 프로그램이다. 일주시 l 9월 21일 (일) 13:00~16:00 장주소 l 임진각 → 통일촌삼거리 → 초평도입구 → 마정리 → 임진각 (15Km)

DMZ 스퀘어 제6회 DMZ국제다큐영화제의 부대행사를 즐길 수 있는 공식 마당. 자원활동가 퍼포먼스팀의 깜짝 공연, Docs 기념품 등 이색적인 볼거리를 즐 길 수 있는 영화제의 놀이터이다. 일주시 l 9월 18일 (목) ~ 24일(수) 10:00~20:00 장주소 l 메가박스 킨텍스 1층 광장 내주용 l 영화제 안내데스크, Docs 기념품샵, 후원회 커뮤니티 센터, Docs 손수레

Special events

26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3

Special Outdoor Screening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s Visiting Theater, co-hosted by Korean Film Archive Time l 9.21 (Sun) 19:00~21:00 / 9.22 (Mon) 19:00-21:00 Place l Han-ul Square, Ilsan Lake Park / Kunne Elementary School Screening Film l Striplife / Shall We Talk?, I Am Joongsik

Cinema + Concert Screening of documentary films specially recommended by festival programmer and live orchestra performance. After the documentary screening, Rinnai Pops Orchestra plays songs from classic films’ OST with famous scenes on the screen. Time l 9.20 (Sat) 14:00~16:00 Place l Goyang Aram Nuri Arts Center Aram Concert Hall Performer l Rinnai Pops Ochestra (Conductor: CHOI Sun-yong), guest singer Screening Film l Hear this!, Home for Lydia

DMZ Fam Tou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DMZ, festival guests and the festival interested are invited to visit areas near the DMZ and directly experience the DMZ. It is the tour for experiencing the DMZ in order to make it utilized as a film content or the location for a film. Time l 9.21 (Sun) 08:00~13:00 Place l Camp Greaves, The 3rd Tunnel, Dorasan Station, Dora Observation Post Target l Festival guests Events l Dorasan Station, Dora Observation Post, The 3rd Tunnel, Camp Greaves, Jangdan Village

DMZ Peace Bicycle Tour A bicycle tour through the permitted area within the civilian passage restriction line, the symbol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hosted by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In this DMZ experiencing program, participants ride bicycles about 15km-long way from Imjingak wishing for the successful opening of the DMZ Docs while they meditate on the meaning of peace, life and communication again. Time l 9.21 (Sun) 13:00~16:00 Place l Imjingak → Tongilchon 3-way Intersection → Chopyeongdo → Majeong-ri → Imjingak(15Km)

DMZ Square Official zone to enjoy events offered by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It is a playground of the festival where you can enjoy original attractions such as volunteer performance team’s surprise stage and Docs souvenirs. Time l 9.18 (Thu) ~ 9.24 (Wed) 10:00~20:00 Place l Megabox Kintex 1F Square Events l Info desk, Docs souvenirs shop, supporters community center, Docs handcart

263

Special event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4

Acknowledgements 도움 주신 분들

경기도청 홍덕수 진명종 조재상 정미화 류한수 심영린 강병선 김나리 DMZ정책과 이길재 송승준 경기도의회 조형근 고양시청 박성강 박천재 원청연 파주시 황수진 이귀순 이명희 문화체육관광부 윤문원 탁영선 영화진흥위원회 김미현 박신영 김신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유지희 한국영상자료원 최명진 박정현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최용기

Acknowledgements

경기관광공사 신영균 이선형 신현익 전선민 홍재걸 권경선 경기문화재단 유연채 김소정 경기콘텐츠진흥원 이안숙 강문영 강태욱 심규홍 김영식 김준희 이현수 고양문화재단 김웅가 김유성 이한철 김영환 이재삼 이동용 박정수 이영진 이승현 정성룡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홍성욱 김정수 고양상공회의소 구성진 정헌수 주한오스트리아대사관 정은선

주한이탈리아문화원 박우숙 안소연

전주국제영화제 허으뜸 문병용

주한캐나다대사관 고미진 김하늘 조정원

EBS국제다큐영화제 권혁미 임철철

뉴욕총영사관 신철숙

서울환경영화제 어혜진 김가영

독일문화원 맹완호 Hiltmann Han-Song

서울독립영화제 지정미 김지연

고양문화원 류연일

동국대학교 Pip Chodorov

하나은행 이조영 강지훈 김유열

동아방송예술대학 이용창 박은종

외환은행 김인수 노현주 김현주 메가박스 나유경 나수정 최경진 이충환 김동준 김은중 경기농협 엄범식 부산국제영화제 문형욱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최성윤

경인일보 배상록 전상천 김준형 정규호 민경수 경기도 노인회 홍동표 이순희 최원석 노영일 송재은 김국범 반도현 남토북수 임덕근 서울보증보험 황문철

264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5

단유필름 박문진

영화사 진진 정태원 구양희

레이킨스몰 변동후 원지훈 서문철용

오롬시스템 곽종욱 한민재

롯데주류 이상원

오퍼스트래블 김영주

세정과미래 이경춘

육군9사단 이기호

스페이스 셀 이장욱

인천공항세관 납세심사과 주용희

시네마달 이혜진

일민미술관 남선우

아담스페이스 김은은

일산사회복지회 윤영은 정다우리 조준환

아이벤 강태혁 아이커뮤니케이션그룹 송요셉 아트나인 김세욱 박준성 전승오 권혁구 캘리그라피 이화선 어뮤즈 강수경 조윤주 영화나눔협동조합 안미라 명수미

265

(주)HCDM 나훈기 나윤기 이주원 홈플러스 박승필 (주)그래미 장필재 통일촌 이완배 해마루촌 조봉연

육군학사장교회 박명수 이수원 이용열 김철한 호수공원 공원관리과 이용재 한국시인협회 윤성택

German Films Julia Basler MVL HOTEL Kintex 김민석 안병석 Scottish Documentary Institute Noe MENDELLE

CJ E&M 김하원

TD Design 정우영 김영식 강태원

DHL 전수정 최영욱

동의대학교 변영인

DMZ Docs 청소년 다큐제작워크숍 김유훈 권효효 이정호 이가현 이정은 박소현 강세진 김병구 문정현 고은진 최미라 곽서연 신지민 아오리 이송희 강유가람 김준호 박예솔 김진열

행복한 미래교육 포럼 위미경 김순영

트레일러 전수일

Acknowledgement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6

Print Source 필름 & 테이프 제공처

April 16th…and KIM Se-jung Tico1098@naver.com

City in the Water, The Kimeungsu Film eungsu_k@daum.net

3 Songarak Festival BANG Jun-geuk wnsrmr95@hanmail.net

Atlantis Video Data Bank Tel 1 312 345 3550 distro@vdb.org

Close Family, The Amuse Tel 82 2 747 9128 amusefilm@gmail.com

50 Year Argument, The Cinephil Tel 972 3 566 4129 / 972 3 560 1436 tal@cinephil.co.il

Barbaric Land Les Films d’Ici Tel : +33 1 44 52 23 23 Production.1@lesfilmsdici.fr

Coffee Mexican Film Institute Tel 52 5448 5300 difuinte@imcine.gob.mx

Actress 4th Row Films Tel 1 212 974 0082 susan@4throwfilms.com

Beauty Is Your Head Bo Film Tel 39 349 265 8471 serenagramizzi@bofilm.it

Controversies Ryan Mckenna rmckenna1@gmail.com

Afsan’s Long Day (The Young Man Was, Part 2) Naeem MOHAIEMEN naeem.mohaiemen@gmail.com

Beep KIM Kyung-man zadoz@daum.net

1971 Cargo Film & Releasing Tel 1 212 995 8139 anyahdover@gmail.com

All Divided Selves Lux Distribution distribution@lux.org.uk Anak Araw Gym LUMBERA dionisiosandovaljunior@gmail.com Ana’s Journey Les Films du Poisson Tel 33 1 42 02 54 80 documentaire@filmsdupoisson.com And There We Are, in the Middle Austrian Film Commission T. +43.1.526 33 23 anne.laurent@afc.at Anna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Production & World Sales

Birds of September Mec Film Tel 49 306 676 6700 irit@mecfilm.de Bobby Fischer Against the World Moxie Firecracker Films Tel 1 718 230 5111 acollatos@moxiefirecracker.com Brasimone Blue Film Tel 39 06 322 3932 migliorini@bluefilm.it Cathedrals of Culture Cinephil Tel 972 3 566 4129 / 972 3 560 1436 tal@cinephil.co.il

Crying Boxers E Il-ha exposedfilm2000@gmail.com Dark Matter Montmoren cyFilm Tel 39 02 58311361 montmorencyfilm@yahoo.it Delicious Songs CHO In-han inhancho@gmail.com Die Before Blossom Ariani DJALAL Tel 62811864504 djalal@gmail.com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1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rchive@dmzdocs.com

China, I Love You Liu BEILIN lena_yiyi@hotmail.com

26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7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2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rchive@dmzdocs.com

Final Member, The Otis Jones Films World Sales The Film Sales Company Tel 1 212 481 5020 lucas.verga@filmsalescorp.com

DMZ Docs Youth Documentary Production Workshop Special Screening3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archive@dmzdocs.com

First Dance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Dragan Wende or How the Trabant Invaded West Berlin and Ruined My Uncle’s Kingdom von.müller.film lenamuller@googlemail.com Dream of Iron, A Kyung Pictures, BOC Features LLC kyungmi007@gmail.com Escort Some Shorts Tel 31 6 2207 6717 info@someshorts.com Evergreen Purn Production mspark001@gmail.com Farewell My Teens JO Woo-sung dntjd1213@naver.com Farewell to Hollywood Corra Films Tel 1 212 965 8600 annmarie@corrafilms.com World Sales Films Transit International Inc. Tel 1 514 844 3358 jan@filmtransit.com

267

Flaneurs#3, The Aryo DANUSIRI danusiri@gmail.com Fog and Smoke CHA Jea-min theyoungowl@gmail.com For Memory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Gleaners, The YE Zuyi Tel 86 18079606100 yezuyi1003@163.com Glittering Hands LEE KIL Bo-ra nomadbora@gmail.com Grace Period Nowhere Film Production, Problem Pictures endofmay@gmail.com Great Flood, The Bill MORRISON bimo@nyc.rr.com Harlan County U.S.A. Cabin Creek Films Tel 1 212 343 2585 cabincreekfilms@aol.com

Hear This! Hollandse Helden Tel 31 20 33 17 417 jo@hollandsehelden.nl Highway Stars BANDAL Doc. / ‘Takju’ corp. diegorivera@hanmail.net Hoax_Canular Vidéographe 514 521 2116, # 224 denisvaillancourt@videographe.qc.ca Home for Lydia, A KRO Youth Tel 31 35 671 3375 Frauke.vanbeusekom@kro-ncrv.nl How to Become a Chair SON Kyung-hwa suzubgirl@gmail.com How to Sell Lemonade HAN Sang-jin rudrleh116@naver.com Humanitarians, The Amerikafilm Tel 49 172 966 0385 m.haslberger@gmx.de Hurry Up, Slowly! HYUN Young-ae dana13@hanmail.net I Am Joongsik JUNG Joong-sik scott376@naver.com I Forgot! KAZAK Productions Tel 33 1 48 24 30 57 I Need You KIM Su-mok water-tree@hanmail.net Production & World Sale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8

Print Source 필름 & 테이프 제공처

Karpotrotter Staragara Tel 38 6320 0802 miha@staragara.com Khrushchev Does America Point du Jour Tel 33 1 75 44 80 80 m.guenoux@pointdujour.fr Kim Alex’s Place : Ansan-Tashkent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KT-MAN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Leaders Film Studio Kalejdoskop Tel 48 22 8511779 szczudlo@kalejdoskop.art.pl Love Is All Dogwoof Tel 44 2072536299 ana@dogwoof.com Love Meetings Compass Film Srl Tel 39 6 529 3383 compassfilm@hotmail.it Malagasy Way, The Laterit Productions Tel 33 1 4372 7472 distribution@laterit.fr Manakamana Pacho VELEZ pachoworks@gmail.com Memories of a Photographer Anamnesis Film liberachang@gmail.com Production & World Sales

Miryang Arirang - Legend of Miryang 2 Ozifilm baeili@hanmail.net Mozartbique 72Film rot@christopherroth.org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Cat&Docs Tel 33 1 44 61 77 48 cat@catndocs.com My Sunshine KIM Eun-bi ibnue6201@naver.com My Travels with Cecilia GA&A Productions Tel 39 06 3613480 laurar@gaea.it Mysterious Lucania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Mystic Mass Karim HAROUN karim@nemesisfilms.com Nicaragua 1: Voyages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Nicaragua 2: Making of a Nation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Nicaragua 3: In Their Time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Nicaragua 4: Changes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Night Will Fall Cinephil Tel 972 3 566 4129 / 972 3 560 1436 tal@cinephil.co.il Nightcleaners Lux Distribution distribution@lux.org.uk Notes Towards an African Orestes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Omnivorous Family’s Dilemma, The CinemaDAL Tel 82 2 337 2135 humi@cinemadal.com Out of Focus Burn The Film Production House Tel 86 139 7110 0974 zhushengze@gmail.com Pioneer, The Daniela ABKE daniela.abke@gmx.de Point and Shoot The Film Sales Company Tel 1 212 481 5020 lucas.verga@filmsalescorp.com Pulp: a Film about Life, Death & Supermarkets Altitude Film Sales Tel 44 207 478 7612 CharlieKemball@altitudefilmsales.com

26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69

Queen, The Manuel ABRAMOVICH Tel 54 91158795665 abramanuel@gmail.com

Son’s Time Won Tae-woong wonm7@hanmail.net

Utopias Marc Karlin Archive Tel 44 779 458 4141 andygeorgerobson@gmail.com

Quest of the Schooner Creoula, The André Valentim Almeida andrevalentimalmeida@gmail.com

Städtebewohner Deckert Distribution Tel 49 341 215 6639 info@deckert-distribution.com

QUO VADIS At9 Film Tel 82 70 7017 3311 isabella@at9film.com

Storm Children, Book One Sine Olivia pilipinas Tel 63 9195256730 sineoliviapilipinas@gmail.com

War Is a Tender Thing Adjani ARUMPAC a_arumpac@yahoo.com

Raging Soil, The ARKIPEL international Documentary and Experimental Film Festival yukiaditya@arkipel.org

Striplife Valeria TESTAGROSSA valeria.testagrossa@gmail.com +39 327 836 9110

Water and the Wall, The Elefant Films Tel 41 22 301 6500 alex@elefantfilms.ch

Rankin Street, 1953 Naeem MOHAIEMEN naeem.mohaiemen@gmail.com

Summer of Giacomo Okta Film srl Tel 39 338 290 4240 zero@oktafilm.it World Sales Andana Films Tel 33 4 75 94 34 67 gregory@andanafilms.com

Waves Moug Films nourmoug@gmail.com

Shall We Talk? KIM Bo-ram fruit52@hanmail.net Society Banned Nineteen IM Ha-eun nanore95@hanmail.net Sometimes I Dream I’m Flying Pigment Production Tel 48 22 628 08 85 aneta.popiel@pigment.pl Song of the “Marane”, The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Songs for Alexis Copenhagen Bombay Tel 45 72 420 800 malene.iversen@copenhagenbombay.com

269

Time Goes by like a Roaring Lion Flumen Film Tel 49 163 254 4427 philipp@flumenfilm.de Tonight We’ll Become Women Witfilm Tel 31 20 688 5049 jantien@witfilm.nl

Waiting for August Rise And Shine Tel 49 30 4737 298 0 info@riseandshine-berlin.de

Weisse Engel, Der Naeem MOHAIEMEN naeem.mohaiemen@gmail.com Whispers of the Cities Kasim ABID kasim.abid@yahoo.co.uk With This Thou Wilt Not Perish AHN Kearn-hyung kearnh@gmail.com

Unknown to the City Cineteca di Bologna Tel 39 051 6018607 camen.accaputo@cineteca.bologna.it Unprepared Class MIN Hwan-ki ozumin@daum.net

Production & World Sale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0

Index of Films 작품 색인

1971

90

모차르트비크

19금 사회

86, 87

문화의 전당

20세기의 사랑

78, 79

4월 16일 그리고… 50년간의 논쟁 8월을 기다리며 9월의 새들

42, 43 156, 157

압산의 긴 하루 (그 젊은 남자는, 2부)

222, 223

야간청소부들

178, 179

물결

50, 51

야만의 땅

210, 211

158

물속의 도시

56, 57

어느 사진가의 기억

142, 143

165

미지의 도시

230

34, 35

밀양 아리랑

62, 63

161

반장선거

160

어렴풋이 섬광이 여배우 우리 팀의 코치가 되어 주세요!

91 166

Fog and Smoke

72, 73

반짝이는 박수 소리

Masarap Na Kanta

70, 71

밤이 걷히면

99

유년의 끝

112, 113

굿바이 10대

80, 81

분노의 대지

116, 117

유예기간

132, 133

그리고 우리에겐 오늘이 없다

30, 31

브라지몬 호수

93

유토피아

190, 191

기억 김 알렉스의 식당 : 안산-타슈켄트 깜빡했어! 꿈꾸는 발레리나 나는 중식이다 나의 햇님

180, 181

삐 소리가 울리면

216, 217

60, 61

사랑의 집회

227

107

사랑해, 중국

214, 215

163

상록

152, 153 84, 85

136, 137

서베를린의 드라간 벤데

167

세손가락 페스티발

논란들

105

소녀들의 다락방

138, 139

240

서둘러 천천히

내 이름은 리디아

니가 필요해

130, 131

236 76, 77 170

속임수

94

울보 권투부

32, 33

의자가 되는 법

26, 27

58, 59

이로 인해 그대는 죽지 않을 것이다

148, 149

이삭줍는 사람들

114, 115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38, 39

잊혀진 이름, 앨리스 가이

168

자코모의 여름

239

잡식가족의 딜레마

144, 145

전봇대, 당신

140, 141

철의꿈

126, 127

니카라과 시리즈 1: 여정

186

수감자들

48, 49

니카라과 시리즈 2: 국가의 탄생

187

순종자들

122, 123

니카라과 시리즈 3: 그들만의 시절

188

스쿠너 크레올라호 항해일지

101

친밀한 가족

150, 151

니카라과 시리즈 4: 변화들

189

스트립라이프

102

카포의 여정

40, 41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64, 65

시간은 으르렁대는 사자처럼

103

커피

36, 37

다르덴 형제에게 보낸 편지

172

신비로운 군중

달콤한 전쟁

120, 121

신비로운 루카니아

대홍수

212, 213 169

더퀸 도시들의 속삭임

52, 53

독립의 조건

146, 147

뜻밖의 수업

66, 67

랑킨 거리, 1953 레몬에이드 판매기 로널드 랭의 분열된 자아

218, 219 82, 83 208, 209

98

쿼바디스

68, 69 110, 111

아나의 여정

92

퍼스트 댄스

128, 129

아들의 시간

46, 47

펄프: 자비스 코커의 음악인생

아웃 오브 포커스

44, 45

포인트 앤 슛

아이슬란드의 성기 박물관

237

폭풍의 아이들, 1권

아틀란티스

104

할란 카운티 USA

229

호송

아프리카의 오레스테스를 위한 노트 악사들 안나

134, 135 204, 205, 206, 207

안녕, 헐리우드

159

마다가스카르의 삶

96

알렉시스를 위한 노래

164

암흑 물질

226

Index of Films

228

태양의 아들

97 231

235

체칠리아와 함께 한 여행

232

마나카마나

마란의 노래

체스황제 바비 피셔

화이트 엔젤 흐루시초프, 미국을 정복하다

162 100

118, 119 238 106 220, 221 95

270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1

90

1971

76, 77

3 Songarak Festival

158

50 Year Argument, The

91

Actress

Afsan’s Long Day (The Young Man Was, Part 2) 222, 223

Fog and Smoke

Night Will Fall

99

Gleaners, The

114, 115

Nightcleaners

178, 179

Glittering Hands

130, 131

Notes towards an African Orestes

Grace Period

132, 133

Omnivorous Family’s Dilemma, The

212, 213

Out of Focus

44, 45

238

Pioneer, The

168

166

Point and Shoot

100

Pulp: a Film about Life, Death & Supermarkets

162

Queen, The

169

208, 209

Great Flood, The

Anak Araw

110, 111

Harlan County U.S.A.

92

Anna

Highway Stars

134, 135

204, 207

Hoax_Canular

94

78

April 16th... and

104

Atlantis Barbaric Land

210, 211 32, 33

Beauty Is Your Head Beep

Hear This!

30, 31

And There We Are, in the Middle

216, 217 34, 35

Birds of September

235

Bobby Fischer against the World

93

Brasimone

Home for Lydia, A

How to Sell Lemonade

82, 83

Raging Soil, The

116, 117

38, 39

Rankin Street, 1953

218, 219

136, 137

Shall We Talk?

146, 147

I Am Joongsik

152, 153

Society Banned Nineteen

I Forgot! I Need You Karpotrotter Khrushchev Does America

150, 151 36, 37

Controversies

105

Crying Boxers

26, 27 226

Dark Matter

70, 71

Delicious Songs Die Before Blossom

112, 113 236

Dragan Wende or How the Trabant Invaded West Berlin and Ruined My Uncle’s Kingdom Dream of Iron, A

126, 127

Kim Alex’s Place : Ansan-Tashkent KT-MAN

107 138, 139 40, 41 95 60, 61 140, 141

163

Song of the “Marane“, The

231

Songs for Alexis

46, 47

Städtebewohner

48, 49

Storm Children, Book One

118, 119

Leaders

160

Striplife

102

Love Is All

161

Summer of Giacomo

239

Love Meetings

227

Time Goes by Like a Roaring Lion

103

96

Tonight We’ll Become Women

170

97

Unknown to the City

Malagasy Way, The Manakamana Memories of a Photographer

142, 143

Unprepared Class

Miryang Arirang - Legend of Miryang 2

62, 63

Utopias

Mozartbique

42, 43

Waiting for August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64, 65

War Is a Tender Thing

84, 85

Water and the Wall, The

106

My Sunshine

240

My Travels with Cecilia

228

Waves

Mysterious Lucania

232

Weisse Engel, Der

Farewell to Hollywood

159

Mystic Mass

Final Member, The

237

Nicaragua 1: Voyages

186

98

First Dance

128, 129

Nicaragua 2: Making of a Nation

187

Flaneurs#3, The

122, 123

Nicaragua 3: In Their Time

188

271

164

Son’s Time

Evergreen

80, 81

86, 87

Sometimes I Dream I’m Flying

Escort

Farewell My Teens

68, 69

Hurry Up, Slowly!

Humanitarians, The

214, 215

Coffee

101

QUO VADIS

156, 157

Close Family, The

Quest of the Schooner Creoula, The

58, 59

China, I Love You

56, 57

167

229 144, 145

How to Become a Chair

Cathedrals of Culture

City in the Water, The

189

Nicaragua 4: Changes

180, 181

All Divided Selves

Ana’s Journey

72, 73

For Memory

Whispers of the Cities With This Thou Wilt Not Perish

230 66, 67 190, 191 165 120, 121 171 50, 51 220, 221 52, 53 148, 149

Index of Film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2

Index of Films 감독 색인

귀도 헨드릭스 기진 김정 김경만 김경묵 김도현 김보람 김세중 김수목 김은비 김응수 김재환 김지곤 나임 모하이에멘

106 132, 133 60, 61 216, 217 132, 133 76, 77 146, 147 78, 79 138, 139 84, 85 56, 57 68, 69 134, 135

218, 219, 220, 221, 222, 223 난테나이나 로바 96 니꼴라 그리냐니 102 다니엘라 앱케 168 데이빗 테데쉬 158 도미니크 가뇽 94 드라간 폰 페트로비치 236 라브 디아즈 118, 119 라이언 멕케나 105 레나 뮐러 236 레지나 니콜슨 159 로버트 그린 91 로버트 레드포드 156, 157 루이지 디 지아니 232 루카 스카피디 102 루크 포울러 208, 209 리우 베일린 214, 215 리즈 가버스 235 리카르도 팔라디노 93 마가레트 올린 156, 157 마누엘 아브라모비츠 169 마르티나 파렌티 226 마리안젤라 바르바넨테 228 마샬 커리 100 마시모 다놀피 226 마씨모 사르끼엘리 204, 205, 206, 207 마이클 매드슨 156, 157 마트야즈 이바니신 40, 41 마크 칼린 174~191 마틴 스콜세지 158 Index of Directors

막시밀리언 하슬베르거

이윤택

미카엘 글라보거

이일하

38, 39 156, 157 민환기 66, 67 바바라 코플 238 박경근 126, 127 박명순 240 박배일 62, 63 발레리아 테스타그로사 102 방준극 76, 77 버윅스트리트 콜렉티브 178, 179 벤 러셀 104 빌 모리슨 212, 213 빔 벤더스 156, 157 사라 프란시스 34, 35 서채림 86, 87 세바스티안 브람슈버 30, 31 셩즈 주 44, 45 손경화 58, 59 술레이마 엘 칼디 166 스테파니 스프레이 97 아네타 포피엘-마츠니카 163 아료 다누시리 122, 123 아리아니 잘랄 112, 113 아자니 아룸팍 120, 121 아투에이 비베로스 라비에야 36, 37 아흐메드 누르 50, 51 안건형 148, 149 안드레 발렌칭 알메이다 101 안드레 싱어 99 안드레아 잠벨리 102 안젤라 리치 루끼 210, 211 알레산드로 코모딘 239 알리스 파르지에 171 알베르또 무쏠리띠 102 알베르토 그리피 204, 205, 206, 207 에두아르도 윌리엄스 107 엘린 헬레나 슐레켄 167 엘비라 린드 164 예 쭈이 114, 115 예르반 지아니키안 210, 211 원태웅 46, 47 윤다희 150, 151 이길보라 130, 131

이진우 이창민 임하은 잭 매스 정소희 정중식 조나 베커 조세피엔 헨드릭스 조아나 해밀튼 조우성 조인한 진모영 짐 룸베라 짐머프라이 차재민 체칠리아 만지니 카림 아이누즈 카림 하룬 카심 아비드 크리스토퍼 로스 킴 론지노토 테오도라 아나 미하이 토마스 하이제 팀 트와즈 파멜라 발레라 파웰 페르덱 파초 벨레즈 플로리안 하비츠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필립 하트만 하피즈 란차잘리 한상진 헨리 코라 현영애 황윤 황도연 황승훈 황철준

66, 67 26, 27 140, 141 142, 143 86, 87 237 128, 129 152, 153 237 170 90 80, 81 70, 71 64, 65 110, 111 32, 33 72, 73 228, 230, 231 156, 157 98 52, 53 42, 43 161 165 48, 49 94, 95 92 160 97 162 227, 229 103 116, 117 82, 83 159 136, 137 144, 145 82, 83 82, 83 76, 77

272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3

ABID, Kasim ABKE, Daniela ABRAMOVICH, Manuel AHN Kearn-hyung AINOUZ, Karim ALMEIDA, André Valentim ARUMPAC, Adjani BANG Zun-geuk BARBANENTE, Mariangela BEILIN, Liu BEKHOR, Jonah BERWICK Street Collective BRAMESHUBER, Sebastian CAROZZI, Massimo CHA Jea-min CHO In-han COMODIN, Alessandro CORRA, Henry CURRY, Marshall D’ANOLFI, Massimo DANUSIRI, Aryo DI GIANNI, Luigi DIAZ, Lav DJALAL, Ariani E Il-ha El KHALDI, Soulaima FARGIER, Alice FERDEK, Pawel⁄ FOWLER, Luke FRANCIS, Sarah GAGNON, Dominic GARBUS, Liz GIANIKIAN, Yervant GLAWOGGER, Michael GREENE, Robert GRIFI, Alberto GRIGNANI, Nicola HABICHT, Florian HAMILTON, Johanna HAN Sang-jin HAROUN, Karim HARTMANN, Philipp HASLBERGER, Maximilian HEISE, Thomas HENDRIKS, Josefien

273

52, 53 168 169 148, 149 156, 157 101 120, 121 76, 77 228 214, 215 90 178, 179 30, 31 32, 33 72, 73 70, 71 239 159 100 226 122, 123 232 118, 119 112, 113 26, 27 166 171 160 208, 209 34, 35 94 235 210, 211 156, 157 91 204, 207 102 162 90 82, 83 98 103 38, 39 48, 49 170

106 76, 77 HWANG Do-yeon 82, 83 HWANG Seung-hun 82, 83 HWANG Yun 144, 145 HYUN Young-ae 136, 137 IM Ha-eun 86, 87 IVANISˇ IN Matjazˇ 40, 41 JEONG So-hee 128, 129 JIN Mo-young 64, 65 JO Woo-sung 80, 81 JUNG Joong-sik 152, 156 KARLIN, Marc 174~191 KELLY, Mary 178, 179 KEY, Caroline 132, 133 KIM Bo-ram 146, 147 KIM Do-hyeon 76, 77 KIM Eun-bi 84, 85 KIM Eung-su 56, 57 KIM Jae-hwan 68, 69 KIM Jeong 60, 61 KIM Ji-gon 134, 135 KIM Kyung-mook 132, 133 KIM Kyung-man 216, 217 KIM Se-jung 78, 79 KIM Su-mok 138, 139 KOPPLE, Barbara 238 LAVIELLE, Hatuey Viveros 36, 37 LEE Chang-min 142, 143 LEE Jin-woo 140, 141 LEE KIL Bo-ra 130, 131 LEE Yun-taik 66, 67 LIND, Elvira 164 LONGINOTTO, Kim 161 LOVA, Nantenaina 96 LUMBERA, Gym 110, 111 MADSEN, Michael 156, 157 MANGINI, Cecilia 228, 230, 231 MANINCOR, Anna de 32, 33 MATH, Zach 237 MCKENNA, Ryan 105 MIHAI, Teodora Ana 165 MIN Hwan-ki 66, 67 MOHAIEMEN, Naeem 218, 219, 220, 221,222 MORRISON, Bill 212, 213 HENDRIKX, Guido

MÜLLER, Lena

HWANG Cheol-jun

MUSSOLITI, Alberto NICHOLSON, Regina NOUR, Ahmed OLIN, Margreth PALLADINO, Riccardo PARENTI, Martina PARK Bae-il PARK Myung-soon PARK, Kelvin Kyung Kun PASSOLINI, Pier Paolo PETROVIC, Dragan von POPIEL-MACHNICKA, Aneta RANCAJALE, Hafiz REDFORD, Robert RICCI-LUCCHI, Angela RISPOLI, Anna ROTH, Christopher RUSSELL, Ben SARCHIELLI, Massimo SCAFFIDI, Luca SCHELLEKENS, Eline Helena SCORSESE, Martin SCOTT, James SEO Chae-lim SINGER, André SON Kyung-hwa SPRAY, Stephanie TEDESCHI, David TESTAGROSSA, Valeria TOIDZE, Tim TREVELYAN, Humphry VARELA, Pamela VELEZ, Pacho WENDERS, Wim WILLIAMS, Eduardo WON Tae-woong YE Zuyi YOON Da-hee ZAMBELLI, Andrea ZHU, Shengze ZimmerFrei

236 102 159 50, 51 156, 157 93 226 62, 63 240 126, 127 227, 229 236 163 116, 117 156, 157 210, 211 32, 33 42, 43 104 204, 207 102 169 158 178, 179 86, 87 99 58, 59 97 158 102 94, 95 178, 179 92 97 156, 157 107 46, 47 114, 115 150, 151 102 44, 45 32, 33

Index of Directors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4

CATALOG ACKNOWLEDGEMENTS Editorial Publisher 조재현 CHO Jae-hyun Chief Editor 전성권 JEON Sung-kwon Editor 김주아 KIM Joo-a Proofreader 김신재 Claire KIM

심윤정 Mika SHIM

성다은 SEONG Da-eun

박혜미 PARK Hye-mi

Program Note 강보라 KANG Bo-ra

김광희 KIM Kwang-hee

김동현 KIM Dong-hyun

김성욱 KIM Sung-wook

김숙현 KIM Sook-hyun

김영진 KIM Yong-Jin

김은희 KIM Eun-hee

김지훈 Ji-hoon Felix KIM

맹수진 MAENG Soo-jin

문석석 MOON Seok

문정현 MUN Jeong-hyun

박소현 PARK So-hyun

변성찬 BYUN Sung-chan

송경원 SONG Kyoung-won

신은실 SHIN Eun-shil

안슬기 AHN Seul-ki

오정훈 OH Jung-hun

유운성 YOO Un-Seong

이채영 LEE Chae-young

조영각 CHO Young-kag

조지훈 JO Ji-hoon Translation 김혜나 Stella KIM

박선아 PARK Seon-ah

배준영 Jun BAE

이지연 Zoe Jiyeon LEE

이지행 LEE Jee-heng

이현정 Roc LEE

이효정 LEE Hyo-jeong

조용경 Helen CHO

최윤선 CHOE Yun-seon

최지원 CHOI Ji-won

한정원 HAN Jung-won

남진현 NAM Jin-hyun

이수잔 LEE Susan

전선영 CHUN Sun-young

CATALOGUE DESIGN & PRODUCTION Design by 창인프린팅 Changin Printing / ksaram@empas.com Printed by 오롬 OROM Produced by the 6th DMZ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DMZ Docs) 420-857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춘의테크노파크 202동 9층 9F 202, Chunui Techno Park Ⅱ, Chunui-dong, Bucheon Si Wonni-gu, Gyeonggi-Do, 420-857, Korea 411-410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호수로 817 레이킨스몰 2층 237호 2F 237, LAKINS Mall, 817, Hosu-ro, Ilsanseo-gu, Goyang-si, Gyeonggi-do, 411-410 Korea Tel. 1899-8318 Fax. +82 (0)32 623-8080 http://www.dmzdocs.com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5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6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7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8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79


DMZ메인카탈로그내지3번 2014.9.15 9:25 AM 페이지280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