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공동체주택 공간계획 Research for Senior Co-housing space types and feasibility

Page 1

시니어 공동체주거 공간 계획

원더 아키텍츠 임윤택 2016.10.18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공동체를 형성해 한 공간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그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주거 양식으로서의 아파트, 다세대, 다가구, 단독주택 유형은 전통적인 의미의 가족단위를 수용하 기 위한 주거 형태로 공동체 주거와 같은 새로운 주거양식을 담아내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시니어 공동체 주거의 공간 계획 부분의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한 두 가지 특정 유형의 주택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으로는 공동체 주거 양식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삶의 방식의 가능성을 표 현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주거양식과 차별되고 공동체 주거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생 활 양식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주택 유형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구의 대상, 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 1차적으로 서울 내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실거래 지가의 조사를 통해 개별 입주자들이 투자비 대비 적정 규모의 공동체 주택을 건축할 수 있는 지역을 한정한다. 그런 후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공동체 주거의 다양한 유형을 제시한다. 공동체주거의 유형은 공동체 주거를 구성하는 개별가구(UNIT) 및 이들 개별가구들이 공유하여 사 용하는 공유공간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각각 제시한다. 이 때 개별가구(UNIT)의 공간계획, 이들 개별가구(UNIT)와 공유공간의 조합 계획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기반한 정량적인 그래프(공간 위상도, Justified Graph) (서귀숙, 2008) 를 이용한다. 마지막으로는, 제시된 다양한 공간의 유형을 바탕으로 몇 개의 유형을 선택하여 공간구성 다이어 그램(diagram)으로 도식화하고 이들 공간구성 다이어그램 중 2개를 선택하여 실제에 준하는 공동 체 주거의 공간 계획을 진행하여 도면과 3D 이미지를 제시한다. 이 때 기존 주택 리모델링 타입 과 신축 타입 2가지를 각각 제시한다. 연구 방법 및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서울 지역 지가 조사를 통한 적절한 대상지역 한정 (2) 투자비 대비 건축가능 필지 면적, 지가범위 및 건축비 산출 (3) 공동체 주거 내 개별가구(UNIT) 유형 연구 (4) 개별가구(UNIT)와 공유공간의 성격 및 관계에 따른 공간 유형 연구 (5) 공간 유형에 따른 공간 구성 다이어그램의 연구 (6) 공동체 주거 유형으로서 가능성 있는 공간 계획의 설계 진행1 – 신축 타입 (7) 공동체 주거 유형으로서 가능성 있는 공간 계획의 설계 진행2 – 리모델링 타입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시니어공동체주택 공간계획 Research for Senior Co-housing space types and feasibility by Yoontaek Lim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