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S 씬짜오 베트남은 전자판으로 매일발행됩니다.
기사제공 및 광고문의
T. 079 283 2000
|
E.info@chaovietnam.co.kr
베트남 전자비자 발급 재개
"전세계 대부분 국가 시민들의 베트남 단기 방문 재개 및 초대장 혹은 스폰 서쉽을 통한 외국인 입국도 재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역대 최다를 기록하고 있 는 가운데 오는 21일부터 백신접종 완료자의 인천 공항 입국절차가 대폭 간소화되고 입국시 격리도 해제돼 입국편의가 한층 개선된다고 17일 인사이 드비나지가 보도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은 오 는 21일부터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모든 노선의 입국자를 대상으로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 템(Q-Code)을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이에따라 입국자는 입국전에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 홈페 이지에서 개인정보와 유전자증폭(PCR)검사 음성 확인서(출발일기준 48시간이내 검사후 발급), 예방 접종증명서, 건강상태 질문서 등 검역정보를 사전 에 입력하고 증명서를 첨부할 수 있다. 사전입력 이 완료되면 큐알(QR)코드가 발급되며 이를 인쇄 하거나 휴대전화 사진으로 제시하면 QR 코드만으
2022.03.17 (Electronic Edition No 170)
로 검역심사가 완료돼 입국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질병청은 앞선 시범운 영에서 검역시간이 절반으로 단축되는 성과를 확인 해 이를 접종완료자의 격리면제 구분에도 도입했 다고 설명했다. 오는 21일부터 2차접종후(얀센은 1 회) 14~180일, 3차접종자 등 접종완료자에게 격리 를 면제하는데 이때 접종이력은 검역정보 사전입 력시스템과 자동연계된다. 다만 자동연계대상자도 사전입력시스템을 통한 검역정보는 별도로 입력해 야 한다. 해외에서 예방접종을 완료했으나 국내 보 건소에 접종이력을 등록한 적 없는 입국자는 오는 4월1일부터 사전입력시스템에 직접 접종이력을 입 력하고 증명서를 첨부하면 격리면제 대상자가 된 다. 접종완료 입국자의 자가격리 면제는 소급적용 된다. 21일이전 입국한 국내 접종자는 격리기간이 남아 있어도 21일에 격리가 해제되는 것이다. 질병 관리청은 인천국제공항 외에도 앞으로 지방공항 등 의 개항일정에 맞춰 단계적으로 검역정보 사전입력 시스템 적용을 확대해 입국편의를 높일 방침이다. Vietnamnet 2022.03.17)
베트남, 'A급 전염병' 목록에서 코로나19 제외 검토 베트남 정부가 '특히 위험한' 질병으로 분류되는 'A급 전염 병’ 목록에서 코로나19를 제 외하는 것을 검토할 것이라 고 밝혔다. 정부가 17일 발표 한 '2022~2023년 코로나19 위 기관리에 따른 방역정책 및 예 방 프로그램’에 따르면, 모든 단위는 전염병이 대규모로 발 생해 의료시스템의 용량을 초 과하는 경우나 새로운 돌연변 이가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 한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 고 규정했다. 특히 A급 전염병 목록에서 코로나19를 제거하 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는데, 이는 새(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와 싸우기 위한 정부 방역전략 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며, 방역당국이 새로운 적응 정책 을 발표하기 위한 전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A급 전염 병에는 소아마비, 인플루엔자 A-H5N1, 흑사병, 천연두, 에 볼라, 라사출혈열, 마르부르크 출혈열, 웨스트나일열, 황열병, 콜레라와 같이 감염률과 사망 률이 극히 높은 질병이 포함돼 있다. 정부는 2020년 2월에 응 웬 쑤언 푹(Nguyen Xuan Phuc) 당시 총리(현 국가주석)가 코로
나19를 A급 전염병으로 선언했 고, 그해 4월에 국가전염병으로 선언했다. 또한 이번 프로그램 에서 정부는 코로나19 통제 목 표를 확진자 수를 통제하는 것 에서 고위험군, 중증환자, 입원 환자 및 사망자로 전환한다고 명시했다. 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시민들이 가능한 신속히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방역조치도 시 민들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 도록 하기로 했다. 곧 위중증환 자나 고령자, 기저질환자, 장애 인, 임산부, 고아 등 고위험군과 취약계층에 대한 의료서비스가 먼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보건 부는 전염병에 대한 위험평가, 검사, 격리, 치료 등에 대한 전 문 규정을 수정하도록 지정되 었다. 나아가 전염병의 효과적 인 통제를 보장하고 경제회복 을 촉진하도록 관계부처와 협 조해야 한다. 보건부는 이달까 지 모든 성인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3차접종, 12-17세 청소년 은 2차접종을 완료하고, 5~11 세 어린이에 대한 접종을 시작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Vnexpress 2022.03.17)
베트남-영국 자유무역협정(UKVFTA) 성과 커 베트남 석유부족대비 3번째 발효 1년만에 교역액 17% 증가, 66억달러 정유소 건설 예정
베트남-영국 자유무역협정(UKVFTA) 발효 1년만에 양국간교역액이크게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고인사 이드비나지가 17일 보도했다. 쩐 꾸옥 칸(Tran Quoc Khanh) 공상부 차관은 지난 15일 열린 UKVFTA 발 효 1년 기념세미나에서 "UKVFTA는 양국간 교역량 을 크게 늘렸을 뿐만 아니라 무역균형에도 기여했다" 며 "발효 후 현재까지 양국간 교역액은 전년대비 17% 증가한 66억달러에 이른다”고 밝혔다. 교역액 가운 데 베트남 수출이 57억달러로 전년대비 16% 늘었고, 수입은 9억달러로 23.6% 증가했다. 이중 특히 농산 물 수출 증가(67%)가 두드러졌다. UKVFTA는 2020 년 12월29일 런던에서 양국이 서명한 후 2021년 1월 1일 임시발효, 그해 5월1일부터 공식 발효되었다. 응 웬 투 짱(Nguyen Thu Trang) 세계무역기구(WTO) 국 제무역센터장은 "다른 자유무역협정보다 UKVFTA 의 효과가 컸던 것은 베트남 기업들에 새 규정을 준비
할 5개월간의 유예기간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특히 무역경쟁 성격이 강한 다른 협정들과 달리 UKVFTA 는 양국간 상호보완적 무역구조를 띄고 있어 앞으로 교역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실제 양국간 교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지난해 영국의 대베트남 FDI(외국인직접투자)도 크게 늘었다. 지난 해 투자승인된 영국의 FDI 프로젝트는 48개, 총등록 자본 5300만달러로 전년대비 157% 증가했다. 응웬 칸 응옥(Nguyen Khanh Ngoc) 공상부 유럽미주시장 국 부국장은 "양국간 교역 확대와 더불어최근 우크라 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와 갈등을 빚고 있는 영국이 자 국 기업들의 투자처 다변화를 요구하고 있어, 향후 영 국기업들의 베트남 투자가 더 확대 될 것"이라고 예상 했다. 이날 양국은 UKVFTA 발효 이후 지난 1년간의 성과를 검토해 필요시 협정 개정을 위한 협의를 해나 가기로 했다. (인사이드비나 2022.03.17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정 제유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베트 남 정부가 3번째 정유소 건설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고 Vnexpress지가 17일 보도했다. 레 반 딴 (Le Van Thanh) 부총리는 16 일 국회보고를 통해 바리아 붕타 우성에 세워질 베트남 3번째 정유 소의 규모와 면적 그리고 진척 상 황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딴 부총리에 따르면 현재 호찌민 근 교에 건설중인 3번 째 정유소는 약 1000만톤의 원유를 처리할 수 있 는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며, 현재 운영중인 응이손 (Nghi Son),빈 손 ( Binh Son)정유소의 처리랑이 같 이 합쳐지면 약 2300만톤 정도의 원유를 정제할 수 있는 처리량을
보유하게 되어, 국내수요의 100% 충족이 가능하게 될 예정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딴 부총리는 현재 국내수요의 약 50% 정도만 충족하는 원유 생산 량을 늘려서, 에너지 자립화를 이 루기 위해 석유 생산지 답사 및 생 산 능력을 증대시킬 예정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우크 라이나 전쟁과, 전세계적인 인플 레이션, 그리고 응이손 (Nghi Son) 정유소의 일시적인 가동중단의 여 파로 인하여 산유국인 베트남의 유가는 2월부터 계속 폭등하여 3 월 11일 기준으로 리터당 29,820 동을 돌파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 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Vnexpress 2022.03.17)
2면
넘쳐나는 고혈압 환자 오늘 한국의 코로나바이러스 환자가 60만을 기록 했습니다. 전 세계 환자의 30%을 차지한다고 합니 다. 과연 세계의 대한민국입니다. 환자 3명의 한 명 은 한국적이라 이야기가 되나 봅니다. 정말 빼어난 나라입니다. 오늘의 주제로 갑니다. 오늘은 좀 색다 른 얘기를 하나 하려 합니다. 고혈압에 대한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일전에 백신을 맞을 때 혈압측정을 하더군요. 그때 혈압 150이 넘으면 잠시 대기했다가 안정을 취한 후에 다시 측정하여 혈압이 좀 떨어지면 접종을 허 락하고 한 일이 있습니다. 저도 그 과정을 겪었었죠. 그래서 묻습니다. “혈압 과연 심각한 병인가?” 오늘 의 화두입니다. 제 혈압은 약을 안 먹으면 160 정도 가 됩니다. 의사는 약을 먹어야 한다고 10년이 넘도 록 약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은 병이 아니 다> 라는 책이 있습니다. 마쓰모토 미쓰마사라는 일 본인 의사가 쓴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고혈압 기준치가 8년 동안 50mmHg나 낮아졌다는 것을 아 시냐고 일갈하며 책을 시작합니다. “2000년에는 고 혈압의 기준치가 180mmHg였으나 8년 후 2008년 에는 고혈압 기준치가 130mm Hg으로 내려갔다. 이 결과 고혈압 환자는 230만명에서 무려 5500만명으 로 늘어났다. 30%의 성인이 고혈압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가 되었다는 얘기다. 또한 고혈압약 매출 은 2조에서 10조로 늘어나며 제약회사의 주머니는 날로 부풀어 올랐다“(일본 통계) 그런데 그동안 아 무리 과학적 자료를 뒤져봐도 고혈압의 기준치를 낮춰야 하는 논문이나 연구를 발표된 바가 없다고 합니다. 1999년에 세계 보건 기구인 WHO에서 고 혈압 기준치를 갑자기 160/95에서 140/90으로 바꿉 니다. 그리고 이 발표 몇시간 뒤,WHO는 이 기준치 는 자신들이 정한 것이 아니라 WHO 동의 없이 스 폰서인 제약회사에서 정했다고 발표합니다.그런데 다음날 태도를 바꿔,그 기준치를 정식으로 인정한 다고 발표합니다.그리고 그 기준치에 의해 지금은 세계적으로 고혈압 기준치가 130/80이 되었습니다. WHO는 예로부터 비린내가 풀풀 나는 단체입니다. 이번에 그 실상을 낱낱이 보여주었죠. 그들의 예산 의 70%는 제약회사에서 나옵니다. 고혈압 기준치 를 낮추는데 과연 얼마를 받았는지 궁금하 지 않은가요? 문제는 고혈압 약을 복용한 사람들이 팔 다리에 쥐가 나고 팔이 저리고 하는 증 상이 나타나고, 또 뇌졸중 환자 중 고혈 압 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입니 다.이 책의 저자는 뇌졸중을 막으려면 혈
한주필 칼럼 압을 높여 피를 뇌에 보내야 하는데 혈압약으로 혈 압을 낮춰 뇌졸중을 유발하게 만든다고 주장합니 다.그결과 뇌졸중은 혈압약을 먹는 사람에게 두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고 합니다.무서운 일입니다. 기 억나는 게 하나 있습니다. 예전에 혈압의 기준을 말 할 때에는 나이가 변수가 되었습니다.즉 자신의 나 이에 90을 더하는게 자신의 적정 혈압이라고 알려 져 있었습니다. 그러면 나이 60이면 150이 정상입니 다. 뭔가 뒤끝이 수상한 WHO가 제약회사의 로비 로 고혈압 환자를 수억명 만들어낸 것으로 생각할 수 있군요.그리고 인류의 30%는 고혈압 환자가 되 고 그 덕에 뇌졸증 환자는 두배이상 늘어났습니다. 이 책의 작가는 집안에 있는 혈압계를 버리라고 합 니다. 혈압도 역시 신체 조절기능의 하나인 만큼 특 별하게 (180-200 이상)높지 않다면 인위적으로 조 정할 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렇군요 이 모든 것 들이 악취 풍기는WHO의 농간으로 시작된 것 일 수 있군요.그런데 그들은 혈압약만 이리 장난한 것 일까요?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은 어떠한가 요? 이 모든 것이 어떤 양반들은 음모론이 라 합니다. 그런데 이 음모론이 더 논리적 이고 설득력있지 않나요? 믿거나 말거나 그대의 선택입니다.
4면 3면
현대차, 인니에 첫 아세안공장 준공 현대자동차가 아세안 지역 최초의 완성차 공장이 인도네시 아에 준공했다고 연합뉴스가 16일 보도했다. 현대차는 공장 이 완성된 인도네시아를 전략적 교두보로 삼아 인구 6억명 이상의 아세안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아울 러 '전기차 생산허브'를 꿈꾸고 있는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진출 브랜드 최초로 전기차 생산에도 성공하면서 현지 전기 차 생태계 조성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현대차 는16일 인도네시아 브카시시(市) 델타마스 공단에 있는 현 지 생산공장에서 준공식을 열었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은 77만7천㎡ 규모 부지에 조성돼 올해 말까지 15만대, 향 후 25만대 규모의 연간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총투자 비는 제품 개발과 공장 운영비를 포함해 15억5천만달러(약 1조9천240억원)이다. 인도네시아 공장은 엔진과 의장, 도 장, 프레스, 차체 공정에 더해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센터까 지 갖춘 현대차 최초의 아세안 지역 완성차 공장이다. 특히 수도 자카르타에서 40㎞, 최대 항만이자 동남아 해운 중심 지인 탄중 프리오크에서 60km 떨어져 있어 인도네시아 내 판매는 물론 아세안 다른 국가로의 수출이 용이한 곳에 자 리 잡고 있다. 인도네시아 공장은 현지에 특화된 소형 스포 츠유틸리티차(SUV) 크레타의 생산을 개시한 데 이어 이날 준공식 이후로는 현대차의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도 양산
연산 25만대·전기차 양산 한다. 또 상반기에는 싼타페를, 하반기에는 아세안을 겨냥 한 소형 다목적차량(MPV)을 생산할 계획이다. 소형 MPV 차명은 '스타게이저'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준공식에 는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 장을 비롯해 양측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조코위 대통 령은 "현대차 공장이 인도네시아 최초로 전기차를 양산하는 것을 축하한다"며 "아이오닉 5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회장도 "인도네시 아는 현대차 미래 모빌리티 전략의 핵심 거점"이라며 "현대
IPP그룹, 푸꾸옥공항 확장 추진 베트남 IPP그룹(Imex Pan Pacific Group, IPPG)이 최남단 끼엔장성(Kien Giang) 푸꾸옥 국제공항(Phu Quoc) 확장사업 투자계획서를 교통운송부에 제출했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7일 보도했다. 이날 끼엔장성 당국에 따르면 IPPG의 투자계획서는 교통운송부와 끼엔장성 이 수립중인 '2050년 목표, 2021~2030년 푸 꾸옥국제공항 확장계획'의 일환이다. 조나단 한 응웬(Jonathanh Hanh Nguyen) IPPG 회장 은 푸꾸옥공항의 국제선터미널, 화물터미널, 화물창고, 활주로 등 공항의 인프라 전반에 대
한 투자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제안 에 앞서 IPPG는 냐짱(Nha Trang) 인근 깜란국 제공항(Cam Ranh) 개량사업에 3조7350억동 (1억633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제안하고, 지 난해 6월 화물전용 항공사인 IPP항공화물(IPP Air Cargo)을 설립해 화물항공사업 진출을 선 언하는 등 항공관련 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하 고 있다. 최근 베트남 공항에 대한 민간기업 들의 투자 제안이 이어지고 있다. LCC(저비용 항공사)인 비엣젯항공(Vietjet Air)은 쭈라이공 항(Chu Lai), 깟비공항(Cat Bi), 뚜이호아공항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공급 부족 베트남, 비료 수입선 다변화 나서
베트남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산 비료 수급이 어려워지자 비료 수 입선을 다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인 사이드비나지가 17일 보도했다. 18일 농 업농촌개발부에 따르면 러시아는 세계 비 료시장에서 주요 수출국의 하나로 품목별 로 NPK(질소·인·칼륨)는 1위, 칼륨 3 위, 인산염은 4위 수출국이다. 그러나 러 시아 정부는 지난주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 한 대응책으로 자국 비료업체들에 비료 수 출의 일시 중단을 권고함에 따라 세계시장 에서 질소계 비료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러시아와 함께 국제시장의 주요 비 료 수출국인 중국도 국내 비료 공급을 안정 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이미 지난해 10월부 터 29종의 비료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 했다. 농업농촌개발부에 따르면 이런 이유 로 베트남에서 비료가격은 50년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이에 더해 비료의 주원 료인 천연가스 및 석유 가격도 천정부지로 오름에 따라 비료가격은 최근 몇달새 20% 이상 상승했다. 주요 비료 수입업체인 비 나캠그룹(Vinacam Group)에 따르면 비료 원료인 요소는 종전 톤당 540~560달러이 던 주문 물량이 모두 취소된 상태다. 현재 이집트 공급업체들은 요소 수출가를 톤당 140달러에서 730달러로 4배이상 인상했 다. 농업농촌개발부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에 이를 경우 오는 4월 요소가격이
톤당 800~1000달러까지 오르고, DAP(인 산이암모늄) 비료는 톤당 950달러를 넘어 1200~15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 봤다. 비나캠그룹도 수급불안으로 2분기 에 국내시장에 공급되는 DAP 비료가격이 톤당 2500만동(1093달러)까지 치솟고, 요 소가격은 톤당 1800만동(787달러)으로 지 난해 최고치까지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이 와함께 수입의존도가 높은 칼륨가격은 톤 당 1500만~2000만동(655~874달러)을 넘 어 2400만~2500만동(1049~1093달러)까 지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전문가들은 이 처럼 고공행진중인 비료값이 전세계 농가 에 타격을 줌은 물론 국제 곡물가격 상승 에 따른 애그리플레이션(Agriflation)을 우 려하고 있다. 더군다나 4~5월이 북반부의 파종 시기이기 때문에 곡물가격 상승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 비료 는 농작물 생산단가의 40~60%를 차지한 다. 베트남의 연간 비료소비량은 약 1000 만톤이다. 이중 국내 비료업체들이 인산 염, NPK, 요소비료는 내수를 충족시킨다. 그러나 DAP는 수요의 60%, 칼륨 및 SA(황 산암모늄) 비료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 고 있다. 지난해 베트남은 30개국에서 510 만여톤의 비료를 수입했다. 품목별로 SA 비료가 31.1%, 칼륨비료가 25.3%를 차지 했다. 특히 러시아에서 32만톤을 수입했으 며, 이중 칼륨비료가 19만5000톤으로 전 체 칼륨비료 수입량의 15%를 차지했다. 올 들어 2월까지 비료 수입량은 70만6000톤, 이중 7만3800톤(4000만달러 상당)은 러시 아로부터 수입했다. 농업농촌개발부는 국 내외 비료시장을 면밀히 관찰하고 국내 농 산물 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대책 마련과 함 께 수입업체들에게는 대체 수입처를 찾아 장기계약을 체결할 것을 당부했다. (인사이드비나 2022.03.17)
차 공장은 인도네시아 미래 산업의 주요 축을 담당하게 될 전기차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 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은 인도네시아 최초 전용 전기 차 생산거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가 있다. 현대차는 이날 준공식 이후 아이오닉 5 양산을 개시 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진출 브랜드가 만드는 첫 현지 생산 전기차다. 세계 4위의 인구 대국인 인도네시아는 니켈, 망간 등의 자원에 기반해 '전기차 산업의 허브'가 된다 는 목표를 세우고 있어 현대차 공장은 현지 전기차 생태계 조성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현대차는 일본업체 들이 현지 인프라 투자를 바탕으로 점유율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린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시장에서 이번 공장 건설과 같은 투자를 가속화해 전기차 부문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 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네시아에서 아이 오닉 일렉트릭과 코나 일렉트릭을 총 605대 판매해 현지 전 기차 시장 점유율을 87%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양산이 시작되는 아이오닉 5는 오는 11월 인도네 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제네 시스 G80 전동화 모델과 함께 공식 차량으로 지원된다. (연합뉴스 2022.03.16)
교통운송부에 투자계획서 제출
(Tuy Hoa), 디엔비엔공항(Dien Bien)에 대한 투자 의사를 밝혔다. 그외 빈그룹(Vingroup)은 쭈라이공항에, FLC그룹은 동허이공항(Dong Hoi), T&T그룹은 꽝찌공항(Quang Tri)에 대 한 투자를 당국에 제안했다. 베트남공항공사 (ACV)가 운영하고 있는 푸꾸옥공항은 연간 여 객수용능력이 250만명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이용여객수가 370만명으로 이 미 수요능력을 초과함에 따라 확장 필요성이 계속 제기돼왔다. (인사이드비나 2022.03.17)
껀터-까마우 고속도로 11월 착공 베트남 남부 메콩델타를 연결하는 껀터까마우(Can Tho-Ca Mau) 고속도로가 오 는 11월 착공된다고 17일 인사이드비나지 가 보도했다. 교통운송부는 최근 열린 껀터 시, 허우장성(Hau Giang), 끼엔장성(Kien Giang), 박리에우성(Bac Lieu), 까마우성 등 메콩델티지방 회의에서 껀터-까마우 고속 도로가 당초 건설 일정에 따라 오는 11월 착 공해 2025년까지 완공될 수 있도록 이전까 지 수용부지 70%에 대한 부지정리를 완료 하도록 지시했다. 사업시행자인 미투언(My Thuan)사업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부지정 리는 일정에 따라 단계별로 진행되고 있으 며 현재 껀터시 2.4km, 허우장성 16.5km, 박리에우성 6.3km, 끼엔장성 5.3km, 까
마우성 6km 등 총 36.5km 구간은 부지정 리가 완료됐다. 총사업비 27조2000억동 (11억8940만달러), 4차선, 연장 109km의 껀터-까마우 고속도로 1단계사업은 ▲껀 터시-허우장성 36.7km 구간 9조7000억 동(4억2400만달러) ▲허우장성-까마우성 72.8km 구간 17조5000억동(7억6500만달 러) 등이 투입된다. 시점은 껀터시 91번국 도 IC2 교차로, 종점은 까마우시다. 껀터까마우 고속도로는 쩌우독(Chau Doc)-껀 터-속짱(Soc Trang) 고속도로 및 하띠엔 (Ha Tien)-락자(Rach Gia)-박리에우 고속 도로와 함께 메콩델타를 수평으로 연결하 게 될 3개 고속도로의 하나다. (인사이드비나 2022.03.17 )
2023
착
선임 2023
17일 원/달러 환율이 급락하며 1,210원대로
2년만에 하락폭 최대
17일 원/달러 환율이 급락하며 8거래일 만 에 1,210원대로 내려왔다. 서울 외환시장에 서 이날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종가보 다 21.4원 내린 달러당 1,214.3원에 거래를 마쳤다. 20원이 넘는 하락 폭을 기록한 것은 2020년3월27일이후약2년(721일)만에처 음이다. 당시 환율은 22.2원 빠지며 1,210.6 원에 마감했다. 환율은 이틀 동안 28.5원 하 락해 이달 초부터 이어졌던 상승분을 일부 되돌렸다. 이달 4일(종가 기준 1,214.2원) 이 후 8거래일 만에 1,210원대로 내려왔다. 환 율은 전날보다 11.4원 내린 1,224.3원에 출 발, 한때 23.5원 떨어지며 1,212.2원을 찍기
도 했다. 이날 새벽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 준비제도(Fed·연준)는 2018년 12월 이후 3 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25%포인 트(p) 인상했지만, 이는 시장의 예상에 부합 한 데다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평가로 이 어지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났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 인상을 결 정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경제는 여전히 강 하다는 자신감을 내비친 점도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 단이 평화안을 구상 중이라는 소식이 그간 시장에 퍼졌던 공포감을 해소하는 데 크게 작용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 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8.3선으로 내려 왔다. 오후 3시 30분 현재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1,022.27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 분 기준가(1,044.68원)에서 22.41원 내렸다. (매일경제 2022.03.17)
중부 한국산업공단-분양/임대 꽝남성 땀안 공단
후에성 퐁디엔 공단
Tam Anh-Korea Industrial Park of Chu Lai Open Economic Zone, Nui Thanh District, Quang Nam Province
땀안한국산업공단 쭈라이 자유경제구역 누이탄 꽝남성 ▶ 위치 : 다낭 공항까지 70km 쭈라이 항구 11km / 쭈라이 공항 21km ▶ 개발면적 : 총 690ha (1단계 94ha / 2단계 100ha / 3단계 500ha) ▶ 베트남 최대혜택의 경제자유구역 세제 혜택 법인세 면세 4년 이후 9년간 50% / 법인세 우대세율 10% 적용 (10년) ▶ 폐수처리장 보유 (규모 - 10,000m3 /day)
분양중
Area C,Industrial Zone in Phong Dien. Phong Dien District,Thua Thien Hue Province
C구역, 퐁디엔 산업공단, 퐁디엔, 투아티엔후에성 위치 : 다낭 공항까지 132km ◀ 쩐마이 공항 70km/ 푸바이 공항 45km 개발면적 : 총 236ha (1단계 126ha / 2단계 110ha) ◀ 법인세 면세 2년 이후 4년간 50% 법인세 우대세율 17% 적용 (10년) 폐수처리장 보유 (규모 - 10,000m3 /day) ◀ NARIN REPRESENTATIVE OFFICE 230 Tran Hung Dao, An Hai Tay, Son Tra, Da Nang Office: 0236-7109-300 | Mobile: 0973-775-200 E-mail: sokang@narininvest.com | www.narininve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