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09

Page 1

팝아트 (POP ART 1954~) 1>팝아트 개요 팝아트는 196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성행한 미술사조이다.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나, 1950년대 중.후반 미국에서 추상표현주의의 주관적 엄숙성에 반대하고 매스미디어와 광고 등 대중문화적 시각이미지를 미술의영역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던 구상미술의 한 경향으로 발전한다. 2>팝아트의 전개 1.영국 1954~1955년 영국의 젊은 작가들의 공동작품 및 그것과 관련된 토론 가운데 팝 아트 (Pop Art)란 말이 사용되기 사작했다. 영국에서대중소비문화에 대한 관심 아래 조직된 전시가 1956년에 열린 '이것이 내일이다'이며, 이 전시에 R.해밀턴이 출품한 <오늘날 우 리 가정을 이토록 색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작품은 영국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팝아트 작품 이라고 할 수 있다. 팝아트라는 명칭 역시 해밀턴의 사진 꼴라주작품 중 보디빌등을 하는남자의 손에 들려 진 캔디에 'pop'이라는 글자가 씌여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해밀턴이 바람직한 예술의 성질로 열거하고 있는 것들, 예컨대 순간적,대중적,대량생산적, 청년문화적,성적,매혹적, 거대 기업적인 것 등은 현대 대중문화 속성을 그대로 압축해 놓은 것이다.


2.미국 미국으로 간 팝아트의 성격은 영국이 아닌 미국적 사회환경 속에서 형성된 미술에서 더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미국 팝아트의 선배 세대인 R.라우션버그와 J.존스는 이미 1950년대 중반부터 미국적인 대중문화 이미지를 활용하였는데 이들의 작업이 다다이즘 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고 해서 네오 다다로 불려졌고, 그 외에 신사실주의, 신통속 주의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기도했다. 뉴욕 팝아트는 1940년대 말부터1950년대에 뉴욕에서 유행한 추상표현주의의 반대파로서 생겨났다. 추상표현주의의 고급적인 정신세계에 대해 팝아트는 비속함과 일생적인 매스미디어 대중성으로 그들을 비꼬았다. 3>팝아트의 특성-일상의 미학, 차용의 예술 팝아트를 주의 깊게 들여다보면 맨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작가자신의 직접적 관찰로부터 나온 것은 드물다는 사실이다. 예술가는현실을 재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선택할 따 름이다. 그의 선택은 이미 가공된 이미지들 가운데서 이루어진다. 미국 팝아트의 대표적 작가는 앤디 워홀,리히텐슈타인,올덴버그,로젠퀴스트 등이다. 앤디워홀은 다다의 영향으로 일상의 이미지나 사물을 미술품으로 전환하여 반미학적인 태도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학가치를 획득한다. 그의 <브릴로박스>처럼 일상용품과 미 술품과의 구별이 애매모호한것에 철학적 해석이 더해지면서 일상의 이미지로 미학적으 로 인정되는 분위기가 있었다. 존스는 성조기,표적,숫자 등 일상적인 사인을 선택하였으며 리히텐슈타인은 만화의 한 장면을 확대하여 그렸고 올덴버그는 햄버거,아이스크림 등을 통해 일상적 욕망을 그렸 다. 이들은 가장 미국적인 소재를 택하여 가장 세계적인 대중적 관심을 유발시켰다. 특 히 앤디워홀은 유명인의 얼굴,코카콜라, 또는 전기의자 등의 이미지를 캔버스위에 반복 해서 그려보이고 임의로 색채를 조작하여 묘한 공포감 을 준다. 이는 대량 생산품에 소 비심리를 경각시키고 유명인들에 대한 반응을 마비시키는 등의 결과를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3>팝아트의 의의 팝아트는 텔레비전이나 매스 미디어 상품광고, 쇼윈도, 고속 도로변의 빌보드와 거리의 교통표지판 등의 일상적이고 흔한 소재들을 미술 속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라는 이분법적, 위계적 구조를 불식시키고, 산업사회의 현실을 미술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는 반면 상품미학에 대한 진정한 비판적 제시보다 소비문화에 굴복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그래서 평론가들로부터는 외면 받았던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상과 대중들에게는 인기를 끄는 장르가 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미술을 일상생활로 끌어내려 대중에게 건네주면서 일상이 갖는 비개성성과 반복성을 깨닫게 해준 것인데 20세기 마티스와 피카소가 색채혁명과 형태혁명으로 깨달음을 준것처럼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워홀의 팝아트는 ‘과연 예술이 무엇이고, 예술가란 누구인지?’ 근본적인 질문을 남기게 된다.


리차드 해밀턴

<오늘날 우리 가정을 이토촉 색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로보트 인디애나

Jasper Johns <Love>

Jasper Johns (b. 1930) Three Flags, 1958 Encaustic on Canvas, 30 7/8 x 45 1/2 x 5 inches


리히텐슈타인

Roy Lichtenstein, "Whaam!", 1963, Acrylic and oil on canvas support: painting: 1727 x 4064 mm

< happy-tears >


앤디 워홀

앤디워홀, 자화상, 101.5x101.5

앤디워홀 1965, <네가지의 캠벨 수프 캔>

앤디워홀 1962, <마릴린>


극사실주의(極寫實主義, Hyperrealism: 1960년대 후반) 196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일어난 회화와 조각의 새로운 경향을 말하며 슈퍼리얼리즘 ·포토리얼리즘 ·라디칼 리얼리즘 ·샤포포커스리얼리즘 · 포토아트라고도 한다. 같은 시기에 독일을 비롯한 유럽 각지에서 시도된 비슷 한 경향의 미술을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주로 일상적인 현실을 생생하고 완벽하게 그려내는 것이 특징이다. 주관을 극도로 배제하고 중립적 입장에서 사진처럼 극명한 화면을 구성하며 아무 뜻없이 장소 ·친구 ·가족 등이 다루어진다. 또한 감광제(感光劑)를 캔 버스에 발라 직접 프린트하는 경우도 있다. 극사실주의는 본질적으로 미국적인 리얼리즘으로, 특히 팝 아트의 강력한 영향으로 일어난 운동이다. 따라서 극사실주의는 팝 아트와 같이 매일매일의 생활 즉 우리 눈앞에 항상 있는 이미지의 세계를 반영하고 있지만, 한편 팝 아트와는 달리 아주 억제된 것이어서 아무런 코멘트 없이 그 세계를 현상 그대로만 취급한다. 그러나 감정이 배제된 채 기계적으로 확대된 화면의 효과는 매우 충격적이다. 우리가 육안으로는 알아낼 수 없는 추 악함, 이를테면 모발에 가려진 점이나 미세한 흉터까지도 부각되어, 보통이라면 그냥 지나쳐 버릴 수도 있는 현상이 보는 이로 하여금 잔혹한 인상을 받게 한다. 극사실주의는 미국적인 즉물주의(卽物主義)가 낳은 미술사조라고도 볼 수 있지만, 종래의 추상미술과 사진 자체에 대한 아이러니의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세밀한 묘사, 마술적 리얼리즘 등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였 던 극단적인 사실주의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결코 자연주의가 아니라 극도의 사실표현을 의도적으로 채택한 것으로서, 사실주의의 허구성을 역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사진기의 눈이 포착한 영상은 사실인 것이 확실하지만 그것도 결국 실물로부터 떨어져서 자립한 일종의 허구 일 따름이다. 물론 이러한 허구는 새로운 현실 일 수 있다. 카메라가 보지 못한 것을 보여줄 수 있다는 인간 시 각의 위위성의 회복, 증발된 주제를 되살리고 소재를 일상성에서 생활 자체로 확대시켜, 과학 기술이 아니라 인간적인 것을, 인간 자신을 무대의 주인공으로 되살리려는 노력, 그러면서도 화면은 어디까지나 평면성을 유 지하며 작가의 표현에 의한 주관적 해석이 아니라, 우리앞에 놓여진 객관적 실재의 작품을 보여주려는 수퍼리얼리스트의 노력은 , 결국 사람들에게 '사물을 보는 다른 보다 나은 방법'을 보여주려 하는 듯하다. 작가로는 작품제작에 슬라이드를 직접 ·간접으로 이용하는 C. 클로스 H. 캐노비츠, M. 몰리 등과 사진을 이용 하지 않고 직접 자연의 풍경이나 모델만을 대상으로 하는 P. 펄슈타인, S. 틸림 등이 있다.


척 클로즈(Chuck Close: 1940~ ) 1940년 미국 워싱턴주 먼로에서 출생. 1964년 예일대학교를 졸업. 작품활동 초기에는 추상표현주의 양식의 그림을 그렸으나 후에는 극사실주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정면 얼굴을 마치 사진을 보는 것처럼 세밀하 게 그린 초상화로 유명하다. 초기에는 흑백으로 그림을 그렸으나 1970년 무렵부터는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였 다. 작품의 소재로는 주로 주변인물의 얼굴을 다루었다. 작업은 대상의 사진을 찍어 격자무늬의 구획으로 나눈 뒤자신의 주관을 배제하고 극히 사실적으로 캔버스에 옮겨 그리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1988년 척추혈관이 손상되어 하반신이 마비되었으나 이후 작품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968년 자신의 얼굴을 그린 높이 3m짜리 《자화상》과 동료 미술가인 J.쿠커를 모델로 한 《조》 《마크》 등이 있 다. 리처드 에스테스(Richard Estes:1936~ ) 미국의 극사실주의 화가로 1936년 일리노이주 키워니에서 출생하였다. 가능한 한 순수하게 사물을 묘사하는 극사실주의의 대표적 화가이다. 1952∼1956년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에서 공부하였다. 1959년부터 뉴욕에 머무르며 판화제작에 힘을 기울였고, 1966년부터 전업화가로 활동하였다. 1968년 뉴욕 앨 런스턴 갤러리에서 첫번째 개인전을 열었으며 1960년대 말부터 극사실주의 분야를 이끄는 중심 인물로 떠올 랐다. 작품 초기에는 인물을 중심소재로 하였지만 1967년 무렵부터는 건물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활동을 하였 다. 흔히 볼 수 있는 거리풍경을 묘사한 작품이 많은데, 어느 한 장면을 여러 장의 사진으로 찍고 각각의 사진들 을 캔버스 위에 다양하게 투시하여 채색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표현하였다. 아크릴물감과 붓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979년 발표한 《솔로몬 R.구겐하임 미술관》이 있 다. 이밖에 세밀한 스크린 프린팅 기법을 사용한 판화 작품도 제작하였다. *크로싱거 제과점* 필립 펄스타인(Philip Pearlstein: 1924~ ) 192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출생했다. 카네기공과대학 에서 공부했으며, 뉴욕대학교에서 예술 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대 사실주의 유파의 가장 중요하고 혁신적인 작가 중 한 사람이다. 회화작업 때 사진이나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포토리얼리즘을 연상시킬 정도로 사실성을 띤 생명력 넘 치는 누드화를 즐겨 그렸다. 그림의 대상들은 독단적인 절단과 거친 명암을 통해 비인간화된 모습으로 나타나 는데, 이러한 특성은 《등나무 흔들의자에 앉아 있는 모델 Model Seated on a Rocking Rattan Lounge》(1984) 에 잘 나타나 있다. 리얼리즘을 다시 한번 생명력 넘치는 예술로 만들어 냈다는 평가를 받는 펄스타인은 밀워 키 아트 뮤지엄이 1983년에 기획한 회고전을 열었으며 곁들여 그의 기성 작품들의 한 가지 주제로 전시회를 마련하기도 했다. 주요 작품에 《녹색 기모노를 입은 모델 Model in Green Kimono》(1979) 등이 있다.


척 클로스(Chuck Close)


척 클로스(Chuck Close)

레슬리 / 척 클로스 1973년 / 종이에 수채 / 144.8*184.2


리처드 에스테스(Richard Estes:1936~ )


리처드 에스테스(Richard Estes:1936~ )


필립 펄스타인(Philip Pearlstein: 1924~ )


필립 펄스타인(Philip Pearlstein: 1924~ )


로베르토 베르나르디[Roberto Bernardi]


개념 미술 Conceptual Art (요약자료작성자:이승훈) 1>개념미술 개요 1.미니멀 아트 이후의 현대 미술의 한 경향으로 볼 수 있으나 특정한 미술 운동이라기 보다는 60년대말 활동 배경이 다른 여러 작가들이 모여 생겨난 하나의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2.이는 무엇보다도 다다나 혹은 가까이 개념 미술의 전조를 많이 보여준 미니멀 아트의 연장선 상에서 미술을 자체적으로 분석하고 비판하고자 스스로 제기한 문제이며 반성이 다. 3.개념 미술의 용어는 캘리포니아출신 화가인 '에드워드 키엔홀츠'가 1963년에 처음 만 들어 냈고, 그 후 미니멀리즘 조각가인 솔 루윗은 자신의 격자형과 큐브로 된 작품들을 개념주의적이 라고 정의하였다.동시에 그는 이에 대한 이론적인 해석을 통해서 그의 위 치를 확고히 했고, 그의 해석은 그와 유사한 정신을 지닌 작가들에게 폭 넓은 영향을 끼 쳤다. 4.솔 르윗은 1967년 <개념미술에 대하여>에서 "개념미술에 있어서 관념과 개념은 작품 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다... ...모든 계획과 결정이 먼저 내려지며 제작은 형식적인 절차 에 불과한 일이다.관념은 미술을 만들어 내는 기계가 된다"고 말한다.


2>개념미술의 전개 1.모더니즘은 양식적으로 끊임없이 발전하리라는 낙관적 전망은 미니멀리즘을 정점으 로 형식주의적 원리의 궁극적 논리의 결과가 한계가 있으며 고갈되는 상황 가운데 좌절 될 수 밖에 없음 을 역사 가운데 보여 주었다. 2.이러한 상황에서 탈 미니멀 혹은 포스트 모던이 라고 알려진 단계에 발을 들여 놓게되 는데 아무리 어렵고 엘리트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최신의 예술적 사건이라면 무조건 열 광하는 무비 판적 소비사회의 대중매체에 의해 좌우되는 성향에 영합하는 모더니스트를 바판하면서 상업 주의라는 오명과, 전통적으로 사회와의 관계에서 일반적으로 아방가르 드가 유지했던 도덕적 거리감을 어느정도 회복 시키기 위해 일군의 반미니멀리스트들은 정보와 은유,상징, 그리고 의미있는 이미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대상을 추구하면서 이제 미니멀아트식의 대상을 만 드는 것을 일체 중단해 버렸다. 이것은 개념주의의 서두를 알리는 것으로서 개념주의는 미술 가들이 작품의 아이디어를 떠올린 후 그것을 물질적 형태가 아니라 오히려 언어학이나 기록물 그리고 계획안으로 표현할때 작품이 완성된다고 본다.여기서 과정미술이나 퍼포먼스 그리고 대지미술등 미 술시각의 확장이 일어난다.


3.언어에 의한 기술(記述),사진이나 도표에 의한 종래의 예술가적 의식을 버리고 완성된 작품 보다는 제작의 아이디어나 과정이 바로 예술이라는 반미술적 제작태도는 네오다다 나 플럭서스로 대표되는 60년 전후의 여러가지 형식 파괴적인 운동에서도 거의 동시에 발생하였다. 4.개념미술을 하나의 시대현상이라고 볼 경우 그 분포는 유럽,북미,일본,오스트레일리아 와 남 미의 일부에 까지 이르고 있다. 5.개념미술의 선구자는 마르셀 뒤샹이다.그는 1913년 미술가의 역할이 물질을 교묘하게 치장하 는것이 아니라 미의 고찰을 위한 선택에 있다라고 정의하였는데 이것이 개념미 술의 근본적인 미학이다. 6.레디메이드를 비롯한 뒤샹의 작품들은 회화의 낭만성을 거부하고 평범한 대상과 사상 쪽으로 관심을 돌렸다.뒤샹의 작품들은 1960년대 말기에 쏟아져 나온 미국의 젊은 개념 미술 작가들의 계속적인 아이디어의 원천이 되었다.


7.또다른 원천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정신적인 고갈에서 나온 다다의 허무주의적이 고 반정부적인 미술인데 1960년대의 상황도 똑같은 정신적 고갈에 있었고 여기서 반물 질적인 미술인 개념미술이 나타나는 것이다. 8.개념미술의 대표적인 작가인 조셉 코수드는 사전의 낱말풀이를 그대로 신문에 게제하 여 작품 으로 발표하였고 더글러스 훼블러는 지도와 도면을 기록에 남겨 '지속적인 단편 들'이라는 명 칭의 작품을 구성했다. 9.개념미술은 상품으로서의 작품을 거부하여 미술에 대한 소유권 개념을 약화 시켰다.그 렇게 함으로써 수집가,미술관,그리고 전통적인 미술작품에 적용되는 모든 가치 기준을 공격하고 있다. 10.개념미술 작가들은 자신들을 <장이>로서가 아니라 <마음>으로 간주한다.그때문에 거의 모든 사물을 미술작품으로 자유롭게 제시하고 그주제가 일반적인 것이든 전문적인 것이든 사소하 거나 심오하거나 혹은 사실적이거나 추상적이거나 모든것을 포함한다. 11.그들은 우선 가능성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기에 제작기술이나 표현등 작품 자체보 다 작가의 관념을 나타내는데 가치가 있는 것이다.


조셉 코수스 하나 그리고 다섯개의 시계, 1965


조셉 코수스 one and chair , 1965


데니스 오펜하임 2단계 화상을 위한 독서태도, 1970



칼 앙드레

‘81 CuFe'



키엔홀츠 Kienholz, Edward


솔 루윗 Sol LeWitt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