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10

Page 1

매체의 역사 I <1>미디어의 시대별 특성 -1차 미디어시대(선사시대-AD15C):정보의 저장 인간,자연 매체시대-언어,그림,문자 -2차 미디어시대(AD15C- AD19C):정보의 확산 인쇄 매체시대- 활자,인쇄기, -3차 미디어시대(AD19C- AD20C말):정보확산의 극대화 대중매체시대-사진,전화,라디오,TV -4차 미디어시대(AD21C-현재):정보전달의 방향 다각화 인터넷,스마트폰등 쌍방향 매체시대


미디어 관점에서의 인간 역사 500만년전-원숭이와 인간의 구분 370만년전-오스트랄로피테쿠스(ape-men or men-ape) 250만년전-170만년전 호모하빌리스(손쓴 사람/도구의 사람) 언어중추가 최초로 나타남 160만년전-20만년전 호모에렉투스(직립 사람) 20만년전-호모사피엔스(지혜있는 사람) -네안데르탈인(이미지 만들고 상징 사용) 설골발견 언어사용 가능성 4만년전-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추상적 사고와 상상력 발달) 종교,예술 등 시작됨


-베르그송은 뇌구조의 유사함만으로 원숭이를 인간의 조상으로 간주하는 진화론에는 문제가 있다고 보았는데 그 이유는 인간의 의식이 기본적으로 표상적임에 반하여, 원숭이의 경우 현실적인 행동에만 관심을 갖기 떄문이다. 인간은 표상능력을 바탕으로 삼아 점차 논리적 추상적 복합적인 것으로 들어가는 지성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맥루한은 모든 기술은 인간의 확장이며 언어기술은 인간의 중추신경계 확장으로 간주하였다. 신체구조에서 언어의 구조가 발생하고 인간은 음성과 언어를 사용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별 인간의 사고와 정보가 공간적으로 연결 할 수 있게 되었고 문자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시간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2>미디어와 인간의 역사 5000년전-문자의 발생 (초기의 그림문자(pictographic writing)의 형태) 메소포타미아,이집트,아시아 -토큰,점토판,상형문자 돌, 점토판, 파피루스(BC3000년경) ,양피지(BC500년경) 등에 역사의 기록을 남기기 시작 (정교하고 복잡한 이름,지명,신화,이야기 등 정보축적과 전달정보의 시,공간 확장) -기원전1500년경: 알파벳 등장(셈족-문자체계에 소리 첨가음성정보 저장 및 전달) 값싸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파피루스에 소리언어를 저장하여 확산적으로 전달하는 계기


로마시대는 문자문화시대 시간과 공간을 통제하였다. 문자의 기록성으로 관 료제 형성 전제국을 라틴어 음성문자 체계로 통일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견고한 체제도 점차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것은 하층민에서 부터 새로운 양피지의 코덱스(낱장을 묶어서 싼 책과 유사한 형태)를 사용한 성경의 보급을 통해 사회 변동세력이 새롭게 떠오르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후 그리스도교 즉 당시의 카톨릭 조직내에서는 십자군전쟁을 치루 면서 아라비아의 수학과 중국으로부터의 새로운 미디어인 종이를 받아들이 게 되는데 수도원 중심으로 출판의 확장이 일어난다. 그런데 이 필사의 복제 방식은 내용의 변질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이단논쟁과 교리논쟁과도 연관된 논란에 휩싸일 수 밖에 없었으며 일부 식자층에서느 목판인쇄 기술이 발전한다.


<3>인쇄술과 사진술의 발견 종이의 대량보급과 복제기술 인쇄기술의 발전은 12세기 대학이라는 새로운 교육제도와 지식층의 탄생을 이뤄냈고 더욱 고양된 정보에 대한 욕구는 결국 쿠텐베르크의 인쇄술이라는 강력한 확장성을 가진 매체발전에 이르게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발명은 문자해독과 교육의 확산 등을 촉발시켜 프로테스탄트 라는 종교적, 도덕적 사회변혁을 낳게 만든다. 그후 결국 사회적 인식의 변화는 중세의 세계관에서 현대적 세계관 즉 자신의 정체성과 자아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시작하는 계기를 만든것이다.


이러한 점은 근대국가의 탄생을 낳기도 하였지만 동시에 인쇄매체는 인쇄물 을 통한 선전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앙집중적인 통치의 집중 을 위한 수단 즉 공간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작동하게 되었다. (17세기 루이13세는 최초로 왕의 의사를 대변하는 신문을 창간하였고 영국의 헨리8세와 크롬웰 등은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하여 의회와 신문을 체계적으로 사용하였다) 인쇄술과 함께 나타난 신문의 출현은 가상적 공동체 즉 공통의 언어와 문자의 지역 공간을 형성하여 언어적 공동체와 관련한 국가주의의 출현을 낳게 되었고 책보다 더욱 가상적 커뮤니티의 통합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신문은 대중 민주주의와 함께 인간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춰 선정주의 상업주의 등의 문제에 직면하였고 대중매체가 발달한 미국을 중심으로 타블로이드판 신문처럼 생활의 타블로이드화를 부추기게 만들기도 하였다. (20세기초 미국에서 대중을 위한 작은 판형의 값싼 신문. 일반적으로 타블로이드판 신문은 기사가 짧고 평이하며 사진·삽화가 크게 다루어지는 특징이 이다. <사진이 들어가는 작은 대중신문>이라고 하는 뜻 주로 연예정보지·학교신문·신문형식 업계지·사보·기관지 등에 많이 이용되며, 최근 지역생활정보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인쇄술 이후 정보전달 방식의 획기적 변환을 가져오게 한 사건이 사진의 발명이다. 사진은 문자매체 이상의 현장의 사건에 대한 현저한 지시성을 가진 매체이며 회화나 조각등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일대 충격을 가하는 사건이 되었다. 사진의 원리는 기원전 4세기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한 현상 등 그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카메라옵스큐라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16세기 이미 이탈리에에서 어두운방에서 본뜨기를 하여 그림을 그렸고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작은구멍 위에 렌즈를 설치하여 원근법적 투시에 의해 이미지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였는데 카메라옵스큐라의 용어는 17세기 천문학자의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사용된 것이다. 이후 카메라루시다 개념의 발명과 기기의 소형화는 회화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윌리엄 울러스턴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1806년 자연을 관찰하기 위한 발명이 되었으나 예술가들에 의해 예술표현의 도구 또는 수단으로 활용되게 된 것이다.


17-18세기 정물화이 극사실적 경향은 이 러한 과학적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Jan Vermeer, Canaletto, Guardi, and Paul Sandby) 데이비드 호크니(1937~)는1420~1430년 경 유럽의 미술이 사진처럼 묘사력이 자 연스러워진 이유가 카메라옵스큐라와 같 은 광학기구의 사용이 원인이라고 주장 하였고 페르메르를 비롯한 알브레히트 뒤러, 한스 홀바인, 카라바조, 프란스 할 스, 렘브란트, 벨라스케스등 미술사의 거 장들도 데생에 광학기구를 도용했던 것 이다.



페르메르

카라바조,

알브레히트 뒤러,

한스 홀바인

프란스 할스,


렘브란트,

벨라스케스


샤르뎅


한국에서도 병자호란 이후 시대적 흐름에 따라 카메라 옵스큐라에 대해 일 부 실학자들에게 알려졌고 이명기,김홍도,이기양,정약전,정약용,이규경,이익, 홍대용,최한기 등에 의해 이론적 규명과 일부에서는 이것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고 한다. 정조때는 당시 중국의 일반인들에게 까지 유행하였던 이 카메라 옵스큐라 의 원리가 미미하나마 대해 좀 더 폭넓게 이해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초상화 나 그림을 그리는 일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명기_사면척량화법(투시원근법)





세계 최초 사진기 형태-니엡스

지로 은판 사진기


18세기초 독일의 슐체는 은이 빛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면 급속히 변하는 현 상을 발견하였고 1820년대 프랑스의 니엡스는 카메라 옵스큐라를 이용한 사진을 발명하였으나 공식적으로는 1839년 다게르가 사진 발명특허를 얻 게 됨으로써 사진발명이 공인되게 된다. 사진의 발명은 그 당시 대중매체였던 신문을 한 차원 다르게 기술적으로 내 용적으로 변모시켰고 사진이라는 원리는 동영상인 영화로 발전되고 결국 라디오, TV의 발명과 함께 헐리우드 등 대중문화를 이루는 근간이 되었다.. 현대는 결국 이러한 매체적 발달과정을 통해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와있다. 디지털미디어는 아날로그적 정보손실을 극소화한 디지털화의 특징과, 고밀 도-고휘도영상화면에 입체영상화라는 기술적 발전은 실제감을 극대화한 영 상화의 특징 그리고 미디어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종합화의 특징, 기타 인터 넷과 그 속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등 통신기기의 발달로 고도의 상호화 혹 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비동시화등의 특징등이 하나의 문화적 패러다임을 바꾸어 버리고 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