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_나마스떼갠지스_방글라데시_결과보고

Page 1

[나마스떼 갠지스(방글라데시) 프로젝트 2012년 결과 보고서] 프로젝트 테마: 방글라데시 기후난민 지원 프로그램 “빈곤과 자연재해를 넘어 자립으로” 프로젝트 지역 : 방글라데시 해안가 19개 지역 중 자연 재해 피해가 가장 큰 11개 지역 프로젝트 지원기간: 2011년 4월 – 2012년 3월 (2년 프로젝트 중 2년 차)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를 통해 방글라데시 람쉰(Ramshing)지역의 여성들은 프로젝트를 통해 집을 높여 홍수에도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공간을 마련 할 수 있었다. (사진: 반킴/SEED)

2011-2012 ‘나마스떼 갠지스-방글라데시’의 주요 성과물 3가지 1. 집과 마을의 토지를 높이는 작업을 통해 10,000명의 주민들과 2,000마리의 소들이 홍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안전한 물과 화장실, 광고판과 광고지를 통한 보건위생 홍보 활동을 통해 27,000명 이상의 주민들에게 노출되었던 수인성 질환으로 발생하는 병의 발병률을 낮출 수 있 었습니다. 3. 8,000명의 주민들은 각종 교육을 통해 수입을 늘릴 수 있었습니다.

1


2011-2012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의 배경 방글라데시 자연재해에 더욱 더 취약한 나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홍수, 폭풍우, 침식 등 사람들의 목숨과 생계를 위협하는 재난재해에 그대로 노출된 채 살아갑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가난한 사람들은 자연재해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 거주하여, 재해로부터 삶을 복구 하는 것은 더욱 어렵습니다. 전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이 지역의 날씨는 더 예측하기 어려워졌고, 사람들의 대처능력은 더욱 약해졌습니다. 이 지역에서 여성과 소녀들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차별로 고통 받고 있으며, 남성들에 비해 훨씬 열악한 급여조건과 의사결정에서의 소외로 고통 받고 있습니다.

2011-2012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 개요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는

방글라데시에서

자연재해에

취약한

빈곤한

마을의

자연재해

대비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프로젝트는 주민들 (특히 여성과 소수민족)이 홍수와 여타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주민들의 삶과 주거지역, 재산 등을 개선시키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아름다운가게는 강력한 마을 기반 단체(대부분 여성이 중심이 되는)들과 함께 모든 프로젝트 활동 들이 마을 중심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1-2012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 활동들 1. 재난 대비를 위한 커뮤니티 교육훈련 : ▶ 2011년 4월에서 2012년 3월, 12개월에 걸쳐 150개 마을에서 재난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평가를 통해 지역주민들이 홍수 관련 위험요소들을 파악하고 정리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 총 510명의 주민들이 재난관리 훈련을 이수했습니다. 이 중 수색 및 구조 훈련 과정에 336명이 참여하였고,

300명의 마을 보건 자원봉사자들이 산파 교육을 받았습니다.

주민들은 재난관리 교육을 통해 가정과 마을에서 홍수에 대비하는 방법을 배웠고, 조기경보 메시지를 주고 받는 방법도 교육 받았습니다. 예상보다 많은 사람들이 수색 및 구조 훈련에 신청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의 파트너 단체들은 추가 비용 없이 이 프로그램들을 운영하였습니다. 마을

보건

배웠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은

임산부를

보살피는

것과

안전하게

출산하는

방법

등을

출산 지원을 비롯한 정부 보건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이 지역에서 프로젝트를

통해 양성된 커뮤니티 보건관리자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 했습니다. 프로젝트 지역 여성의 약 60%가 산파 교육을 받았고, 여성들은 이러한 교육을 통해 획득한 지식과 책임을 바탕으로 마을 내 여성의 지위 향상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2


주민들은 마을게시판을 통해 홍수 때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사진 : Shofiul Islam/Pollisree) ▶ 재난대비 및 공중보건을 알리기 위한 30개의 마을게시판이 설치되었고, 공중보건 전단지가 배포되었습니다. 약 20,000명의 주민들은 홍수 대비와 보건위생에 대한 정보들을 게시판과 전단지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 인명구조 장비가 비치된 12개의 비상 간이점포가 제공되었습니다. ▶ 지역 주민 소유의 보트를 구조보트로 사용 하였고, 구조 보트 1척의 수리를 마쳤습니다. 구명 부표, 구급상자 등이 포함된 필수적인 장비들이 구비되어 8,000명의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봉사자들은 장비 사용법을 교육 받았습니다. 구명 보트 1개를 수리하였고, 필요 시 지역 내 선박이 구조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유주들과 협의하였습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긴급 구조가 필요한 취약한 사람들의 리스트를 작성 해서 구조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3


2. 주거지 보호 및 식수·위생 개선 사업 : ▶ 4개 지역의 505개의 가구 및 토지 두 곳을 예상 홍수 수위보다 높게 재정비하였습니다. ▶ 480곳의 화장실을 만들고, 54 개소의 펌프 우물과 4개의 공동 빗물탱크를 만들었습니다. 마을 기반의 조직들은 주민들의 엄청난 수요로 인해 토지 지반 상승 작업에 해당하는 가구의 수를 늘리기로 합의 했습니다. 홍수와 폭풍우의 영향으로 많은 가정들은 집을 5번 이상 옮기거나 새로 지어야 했습니다. 모든 집을 가장 높은 홍수 수위 보다 90~200cm 높게 올리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홍수가 가장 심할 때, 각각의 가정은 다른 2가정을 그들의 집에 묵도록 하고, 이런 식으로 5000명 이상의 주민들과 그들의 재산이 홍수 피해로부터 보호 될 수 있었습니다. 4개 지역의 학교 부지 또한 높여져서, 5000명의 사람들과 2000마리의 소를 위한 대피소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2,400명의 주민들이 화장실을 제공 받았습니다. 마을 대표들은 공공 장소에서 하는 배변의 위험성 등에 관련한 안전 위생 교육 받아 수인성 질병을 예방 하는데 앞장섰습니다. 4000명의 주민들이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는 식수를 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펌프 우물이 설치되었습니다. 이제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해 긴 거리를 걷지 않아도 된답니다. 기존에 설치되었던 펌프 우물의 수위가 낮아서 깨끗하지 못 한 물에 가끔씩 침수가 되었기 때문에 이번에 펌프를 건설 할 때에는 예정되었던 것보다 우물을 더 깊이 파야 했고, 이것은 공사 비용을 증가 시켰습니다. 그래서 예정되어 있던 빗물탱크의 건설을 6개에서 4개로 줄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가이반다(Gaibandha) 지역, 파틸바리(Patilbari) 마을에 사는 소피아 베굼이 딸과 함께 펌프에서 깨끗한 물을 기르고 있다. “펌프 우물이 없었을 때에는 연못의 더러운 물을 뜨기 위해 2키로 이상 걸어야 했었죠. 지금은 마당에 있는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어요!” (사진:Osman Goni/SKS)

4


3. 생계지원사업: ▶ 400인의 농부들에게 농업기술 훈련을 제공하였습니다. ▶10개의 농민 그룹에 우물 파는 기계를 지원해, 필요한 관개시설을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대상 농민들은 적절한 종자를 선택 하는 법, 농작물을 심는 법, 관개 타이밍, 수확 방법 등에 관련된 기술을 배워 더 나은 질과 더 많은 양의 곡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지역주민들과 국내 기업을 연결하여, 새로운 기술들을 배우고 기업에 그들의 작물을 팔기도 하였습니다. 이것은 수익의 증가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또한 프로젝트의 우물시공기계 지원을 통해 약 900명의 농부들이 자신들의 우물을 팔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따로 돈을 들이지 않고도 일년 내내 농사도 지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카스보호 쉬말, 시라곤 지역 (Khasboro Shimul, Sirajgonj)에 사는 라베야 카툰은 그녀의 땅에서 시범 농작물을 가꾸고 있다. (사진: Alexius Chicham/Oxfam) ▶ 400명의 빈곤여성에게 씨앗과 묘목을 지원하였습니다. 여성들에게 품질이 개선된 종자와 묘목을 제공하여 이 지역 농부들이 일년 내내 농작물을 경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과일 나무 묘목과 약용식물, 목재는 주민들에게 부가수입을 창출하게 할 뿐 아니라 폭풍우나 하천 침식으로부터 토지와 재산을 보호해 줍니다. ▶ 450명 여성들에게 소 250마리, 염소 200마리를 배포하였고, 각각의 여성은

가축 사육

교육을 받았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가축 구매 당시의 높은 시장 가격 때문에, 배정된 예산으로는 223마리의 소와 190마리의 염소만 구입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여성들이 자신의 돈을 조금씩 기부하여, 예정돼있던 450명의 여성들 모두가 가축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습 홍수 5


피해지역에서 홍수 발생시 이동이 가능한 가축은 아주 중요한 자산이기도 합니다. 프로젝트 대상자들은 가축으로 인해 수입이 향상되었답니다.

차르 아라지 호리서(Char Araji Horisor)에 사는

모리나

베굼은

작년에

2마리의

염소를 받았습니다. 그 염소가 이제는 6마리가 되었습니다. “이 염소를 얻게 되어서 정말 기뻤습니다. 가축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너무 중요하거든요” (사진:Alexius Chicham/Oxfam) ▶ 200명의 지역 농업서비스 공급자(농민 리더와 농업 소매인)대상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지역 농업서비스 공급자들은 1)살충제와 비료 사용법 2)종자 선택 3)가축 보건 관리 4)농업과 토지 관리 교육을 받아, 농부들에게 시기 적절한 농업 서비스와 정보 등을 제공 하도록 도왔습니다. ▶ 1천 5백명의 마을 사람들(이 중 825명은 여성)에게 사업 기술과 대체 소득을 벌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 190명의 여성들에게 작은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창업 자금을 지원하였습니다. 이 교육은 사업과 다양한 생계 기술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여성들은 마을에 거주하는 사람 들로, 사업 계획을 실현 시키기 위해 ‘나마스떼 갠지스’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여성들은 그들의 사업계획을 평가 받은 후 약 10만~20만원 정도의 창업자금을 지원 받았습니 다. 이미 많은 대상자들이 사업을 시작하였고, 해외로 돈을 벌기 위해 떠났던 이주 노동자의 숫자도 줄었습니다. 또한 수입과 가족 응집력도 증가하였습니다.

차르 아라지 호리서에 사는 라이라 베굼 32살. (사진: Alexius Chicham/Oxfam)

6


▶ 기업가 280명의 교환 방문을 실시하였습니다. 교환 방문의 대상자들은 재봉, 식료품 가게, 유제품, 옥수수, 고추 생산 등을 배우기 위해 교환 방문을 실시했습니다. 이들은 상품 가치를 올리기 위해 사업을 시작하는 법, 생산 과정 등을 배웠습니다. 방문 후 참석자들은 그들이 배운 것들을 다른 생산자 그룹들과 공유하였습니다. ▶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작물/기술 시범사업을 60개의 밭에서 실시하였습니다. ▶ 25개의 식품/종자 저장고가 건설 되었습니다. 홍수와 가뭄에 적용 가능한 작물/기술 시범사업(다양한 작물 종류와 작물 재배 방법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500명 이상의 농부들이 그들이 배운 것을 실시함으로 이득을 얻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네팔에는 ‘monga’라고 불리는 기간이 있습니다. 이 기간은 극심한 가뭄과 기아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이 기간을 잘 넘기기 위해, 마을의 단체들은 식량 저장고를 건설 하였습니다.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를 통해 25개의 식량 저장고를 설치 할 수 있었고, 이 지역의 가난한 사람들은 주마다 식량을 배급 받고 있습니다. 이 식량 저장고는 ‘monga’ 기간 동안 식량을 지원하고, 식량 가격이 폭등 하는 시기에 가격을 완화 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가정과 생산자 그룹에 물자와 사람을 나를 수 있는 15대의 릭샤와 그물이 딸린 어선 10척을 지원 하였습니다. 이 지역의 사람들에게 릭샤와 작은 어선은 지속 가능한 소득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릭샤와

어선은

여성들에게

지급되어,

그들의

이름으로

등록하게

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마에다 사리풀과 그녀의 남편은 더 많은 소득 창출을 도와 줄 새 릭샤와 함께 있다. 마을 기반 단체들은 릭샤를 마에다의 이름으로 등록하여, 그것을 영구적으로 소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릭샤에 대한 소유권은 가정 내 마에다의 지위를 향상 시켜, 의사결정에 힘을 실어 준다. (사진:Samima/MMS) 7


▶ 고추의 가치 사슬 연구를 진행하였고, 녹색 장터를 12회 개최하였습니다. ▶ 소액금융 워크숍 12회, 생산자와 상인을 위한 워크숍 12회 진행하였습니다. 고추는 방글라데시에서 가장 인기 있고, 잠재적 수익성이 큰 작물 입니다. 고추에 대한 가치 사슬 연구는 농부들이 고추 경작으로 수익을 얻는데 걸림돌이 되는 것들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이 연구로 많은 농부들이 얕은 경작 지식과 고추를 말리는 방식, 불충분한 관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 팀은 국내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연구로 알아낸 결과물들을 공유 하였습니다. 정부 농업 전문가들은 이미 긍정적인 조치를 취했습니다. 농부들의 정보력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상품을 팔기 위해 12번의 녹색장터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장터는 이제 정규 장터가 되어, 프로젝트 지역 기반 단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여성들은 시장 위원회에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농부들은 농업 회사들과 관계를 맺어, 그들의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 등을 배우고 있습니다. 12번의 소액금융에 관한 워크숍이 열려, 마을 기반 단체들의 회원, 은행 대표자, 공무원을 포함한 650명의 사람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은 농부들이 필요한 것에 대해 논의 하고, 여성과 가난한 마을에게 낮은 이율의 대출을 약속하였습니다. ▶ 사람들이 밤에도 생활할 수 있도록 25개 마을에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였습니다.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오지에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였습니다. 이 판넬은 아동을 포함한 약 1,200명의 사람들에게 밤에 공부를 하고, 야간 강좌를 개최하게 해주었으며, 영화를 보거나 사업 활동 들을 할 수 있게 도와 주고 있습니다.

4. 지역사회의 발언권 강화:  ▶ 12개 지역사회 단체의 1,250명의 사람들이 지역정부 관계자를 만났습니다. 지역사회 단체들은 식량배포 및 사회 안전망 프로그램을 포함한 자연재해에 대처에 필요한 정부지원을 요청하였습니다. 이 미팅으로 인해, 850명의 주민들이 사회 안전망 카드를 발급 받을 수 있었고, 취약한 지역에 식량배포가 이루어졌습니다.

8


2011년 4월~2012년 3월 ‘나마스떼 갠지스’ 방글라데시 프로젝트 재정 보고

활동

총 프로그램

아름다운 가게

총 프로그램

아름다운 가게

비용

분배액 (예산)

지출

(실제) 분배액

재난 관련 커뮤니티 교육비 150개 커뮤니티 취약점 분석

8,349,736

1,301,469

8,062,940

1,256,090

24,332,219

3,790,054

25,190,790

3,924,375

22,224,819

3,461,510

23,391,966

3,643,026

구조보트

29,042,560

4,523,378

25,548,377

3,978,830

합계

83,951,150

13,076,412

82,194,075

12,802,323

90,304,210

14,065,674

89,244,156

13,900,495

증설

29,859,382

4,650,439

30,754,255

4,790,207

합계

120,163,592

18,717,929

119,998,412

18,690,702

5,808,512

903,949

5,434,589

845,864

17,788,568

2,769,934

17,757,710

2,766,303

10,890,960

1,697,174

9,760,115

1,521,104

농민그룹에 관개시설 지원

64,438,180

10,037,834

71,058,068

11,068,845

15대의 릭샤 지원, 10척의 어선 지원

19,966,760

3,109,369

18,394,831

2,866,137

510명 재난관리 교육 336명 수색, 구조 교육 300명 지역사회 건강관리 자원봉사자 30개의 마을게시판, 전단지 재난대비 및 공중보건 홍보 12개의 비상 점포 개설

가옥 보호 및 수질, 보건 관리 505채 가옥 지대 공사, 2곳의 피난소 지대 증축 480개 화장실 증설 및 54개소 우물

생계수단 개발 400명 농업기술 개발 교육, 450명의 가축 사육 교육 1500명의 농민에게 대체소득 개발 교육 및 260명의 사업가 교환 방문 프로그램 1200명의 농민에게 경영교육 200명에게 농업서비스 교육 400명의 여성사업가 지원 60개 작물의 극심한 기후변화 대응 농업기술 개발 400명의 여성에게 2,000 수의 묘목 및 종자 지원, 450명의 여성에 소 1두 혹은 염소 2두 지원, 10개의

9


1,200명에게 창업 지원비 지원,

30,857,720

4,806,543

31,839,721

4,959,017

9,075,800

1,414,009

9,063,093

1,412,194

연계 워크샵 개최

20,329,792

3,167,454

20,770,875

3,234,615

25개 마을에 태양열 전지 설치

15,882,650

2,474,063

12,421,139

1,934,960

195,038,942

30,380,332

196,500,145

30,607,227

12개 지역사회와 정부서비스 연결

31,583,784

4,919,083

30,950,293

4,821,064

합계

31,583,784

4,919,083

30,950,293

4,821,064

103,827,152

16,173,075

104,313,614

16,247,497

9,983,380

1,555,592

10,591,458

1,649,980

113,810,532

17,726,852

114,905,073

17,897,477

544,548,000

84,820,611

544,548,000

84,820,611

가치 사슬 교육 25개 지역사회에 종자 및

식량창고

지원 지역 내 무역박람회 12회 개최 및 소액금융 워크샵 12회, 생산자-상인

합계 지역사회 및 여성의 영향력 향상지원

프로젝트 관리 및 지원 프로그램 관리 프로젝트 관리 개발

합계 지원 금액 총계

10


방글라데시에서 온 편지 [아차나 이야기] 사크라 지역, 마구라쿠니 마을에 사는 아차나 라니는 아주 꽃게 양식을 생업으로 삼는 가난한 집안 출신입니다. 2009년, 태풍 아일라는 그녀의 모든 것들을 쓸어가 버려 집과 생계수단이 모두 파괴되었습니다. 가족이 기르던 꽃게와 물 위에 있던 그녀의 밭도 모두 앗아 갔습니다. 아차나의 남편은 높은 이율의 대출을 감수하고 다시 꽃게를 샀지만, 그것으로 이익을 내기에는 역부족 이었습니다.

아차나는 꽃게를 양식 해서 돈을 법니다.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를 통해 꽃게 양식을 할 수 있는 장비(대나무, 줄 등)를 지급 받고, 양식 방법과 사업 기술 등에 관한 교육도 받았습니다. (사진:Uxxal/Shushilan)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가 후원 해 준 생산자 그룹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정말 좋았어요.” 아차나가 말한다. 아차나는 사업 기술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꽃게 양식에 대한 모든 교육도 다시 받았습니다.

“제 스스로 이렇게 수익을 많이 내기는 처음입니다” 아차나는 집에서 가장을 하고

있으며 집안 일을 결정 하는데 많은 영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아름다운가게 ‘나마스떼 갠지스’ 프로젝트 후원자님들, 참, 고맙습니다. 1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