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Meryl Booth boothmeryl@gmail.com Hanadi Istambouli histambouli@gmail.com Terry O. Faulkner terryofaulkner@gmail.com Boipelo Seswane Bopzybee@gmail.com Bethany Starr Stultz bethanystarrstultz@gmail.com Contact bracketmagazinekorea.com bracket.magazine@gmail.com facebook.com/bracketmagazine facebook bracket.magazine Instagram
Copyright for Magazine © 2021 [b]racket magazine Copyright for works of art by 2021 [b]racket magazine Us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Publisher / Chung, Sae yong 64-22, Dongduck-ro, Jung-gu, Daegu, S.Korea tel +82 10 3811 1229 www.bracketmagazinekorea.com bracket.magazine@gmail.com
July. 2021
Artists Lee Woo leewoo24@hanmail.net Paul Fortunato fortunatopaul31@gmail.com Yoonkyung Lee yoonie.in.austria@gmail.com Aaron Cossrow cossrow@gmail.com Chang Ryong Hong crhong@daum.net Valerie Syposz valeriesyposz@hotmail.com
에디터의 글 John Shrader 리 우 Lee Woo 폴 포츄나토 Paul Fortunato 이윤경 Yoonkyung Lee 홍창룡 Chang Ryong Hong 발레리 사이파즈 Valerie Syposz 아론 코스로우 Aaron Cossrow
ISSUE 40
Staff Chung Sae Yong publisher John Shrader editor in chief Whit Altizer editor Kim Dae Il design editor Seo Hee Joo, PhD words editor Yoonkyung Lee digital editor Yoon Kew Hong writer
5 6 12 16 20 24 30
존 슈레더 에디터의 글
친애하는 독자분들께, 이번 [브]라켓 이슈를 읽으시는 여러분이 현재 행복과 번영을 누리고 계시길 바랍니다.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에게 작년의 해는 좌절, 절망, 그리고 슬픔의 해였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제야 정상화에 대한 희망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든간에, 삶은 결코 우리들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리고 어쩌면 그 예감이 사실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살아남는 한, 우리는 번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저에게 이 이슈를 여러분과 공유하게 되어 큰 기쁨을 주는 이유입니다. 내용에서는 Terry Faulkner와 Hanadi Istambouli 가 개인적이고 실존적인 현실과 씨름하는 예술가들 (이윤경과 Paul Fortunato)에 대해 글을 씁니다. 신인인 Boipelo Seswane과 베테랑 Meryl Booth는 지역사회에서 발달하는 예술가 (Aaron Cossrow)를 살펴보고 인류가 진화할 방식에 대한 표지가 될 예술가(리우)를 분석합니다. 끝으로 Bethany Starr Stultz와 Whit Altizer 는 우리의 경계에 대해 (Valerie Syposz) 그리고 우리의 꿈에 대해 잠시 고민할 기회를 주는 예술가들 (홍창룡)에 대해 돌아봅니다. 이러한 예술 작품들이 계속해서 생산되고 공유되는 건 저에게 정말 희망을 줍니다. 저는 작품을 지원해준 모든 예술가들에게 감사드리며 독자 여러분께서는 그들의 작품의 소식을 확인하시고 공유해주시길 권합니다. 또는 여러분이 능력이 되신다면 더 직접적으로 그들을 지지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편집자가 되는 과정을 터득하면서 누린 저에 대한 모든 작가님들의 인내심에 감사드리며 이번 이슈를 이중 언어로 만드는데 훌륭히 기여해준 이윤경 작가에게 감사 드립니다. 또한 계속해서 [브]라켓을 가능하게 해주신 우리 출판사 정세용 씨에게 감사하는 것을 잊을 수 는 없겠지요. 역경 속에서 번성하도록 합시다. 그러니 다음 이슈까지 잘 지내시고 호기심을 가지고 [브]라켓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존
John Shrader Editor’s Letter
Dear [b]racket readers, I hope this issue of [b]racket finds you well and thriving. For many of us, the year of hindsight has been one of frustration, despair, and sorrow. And while we are only now beginning to see some hope of normalcy—whatever that may mean—to return, it feels like life may never really go back to what it was. And maybe it won’t. But so long as people survive, we find ways to thrive. And this is why it gives me great pleasure to share this issue with you. Inside, Terry Faulkner and Hanadi Istambouli write about artists who struggle with their personal and existential realities (Yoonkyung Lee and Paul Fortunato). Newcomer Boipelo Seswane and veteran Meryl Booth look at artists who evolve in their community (Aaron Cossrow) and foresee how humanity might evolve (Lee Woo). Finally, Bethany Starr Stultz and Whit Altizer reflect on artists who give us pause about our boundaries (Valerie Syposz) and our dreams (Chang Ryong Hong). It really gives me hope to see such an array of art continue to be produced and shared. I wish to thank all the artists who submitted and I encourage you, dear reader, to follow and share their work—or support them more directly if you are able. I want to thank all the writers and their patience with me as I learn the ropes of being an editor, and Yoonkyung Lee who did a wonderful job in making this issue bilingual. Also, I would be remiss if I were to forget to thank our publisher, Chung SaeYong, who continues to make [b]racket a possibility. Here’s to thriving in adversity. So until next time, be well, stay curious, and thanks for reading. John
리우 글. 메릴 부스
Lee Woo written by Meryl Booth
Korean artist Lee Woo explores a future world shaped by mechanically modified humans, plants and animals. It is not a bleak dystopia but a constant exploration of the cyber body through myth. The question of whether man can co-exist with machines, is taken a step further by the artist to whether science might elevate man and nature to a higher realm. Woo’s installation series, “Ravata” relates to the sanskrit term “Avatar”, a Hindu concept of descent wherein a deity appears or is incarnated on Earth. Woo reverses the concept into “Ravata” and imagines a world where humans fuse with technology to ascend to the world of God. The theme of gods and deities descending to Earth is seen throughout many religions and myths. Woo recreates these stories and myths in a contemporary Science Fiction and says, “If myths are born during the dawn of civilization, science is the myth of our time. It is a future myth that looks at the new era of celebration. I break up old myth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e artist creates mixed media pieces and installations using repurposed electronic parts often combined with video and digital art. A silver science fictional scene greets us in “Cyber Garden”(p8) as part of Woo’s Ratava exhibition. A ground surface completely covered in silver parts with several techno-hybrids placed around in a shimmering silver scene. We are able to identify the figures as animals, centaurs and human forms. One of the figures is a Contemplative Bodhisattva, a national treasure from Korean history now recreated in Woo’s style. The figure, originally from the 7th century, was a small bronze statue of a Maitreya or ‘future Buddha’ reclining in thought. Woo recreates the figure with silver parts and creates a more futuristic incarnation of the future Buddha. Along with Hinduism and Buddhism, Woo explores various culture’s experience of the Avatar as incarnated god on Earth, including parts of Greek mythology, and Catholicism.
↖ The Living Room of RATAVA, Computer Parts, Objects, Monitors 550x310x235cm ← 銀海之夢A Dream of Silver ocean, Computer parts, 49inch Monitor Beam Projector
7
한국인 작가 리우는 기계적으로 변형 된 인간, 식물, 동물이 만들어내는 미래 세계를 탐구한다. 그것은 암울한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신화를 통한 사이버 육체에 대한 끊임없는 탐험이다. 인간이 기계와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이 예술가로 인해 과학이 인간과 자연을 더 높은 영역으로 끌어올릴 수 있느냐에 대한 질문으로 나아간다. 리우 작가의 설치 시리즈인 "라바타"는 산스크리트어 "아바타"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신이 하강하여 지구에 나타나거나 구현되는 상황에 대한 힌두교의 개념이다. 이 작가는 이 개념을 “라바타”로 반전하여 인간이 기술과 융합하여 신의 세계로 올라가는 세상을 상상한다. 지구로 내려 오는 신과 신적 존재라는 주제는 많은 종교와 신화에서 볼 수 있다. 이 작가는 이런 이야기와 신화를 현대 공상과학 소설에서 다시 만들어 내면서 이렇게 말한다. “문명의 여명기에 신화가 탄생하였다면 과학은 우리 시대의 신화이다. 그것은 새로운 축하의 시대를 보는 미래의 신화이다. 나는 과학과 기술로 오래된 신화를 깨뜨린다.” 이 작가는 종종 비디오 및 디지털 예술 요소를 혼합하여 다시 태어난 전자 부품을 사용하여 혼합 미디어와 설치 작품을 만든다. “사이버 정원 ”(p8)에서는 리우 작가의 라타바 전시의 일부로서 은빛 공상과학 소설이 우리를 맞이한다. 은색 부품으로 완전히 덮힌 지상 표면에 여러 개의 기술과 생물의 혼합체들이 흩어져 반짝거리는 은빛의 광경을 만들어낸다. 우리는 이 혼합체들을 동물, 켄타우로스, 인간 형태로 식별 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한국 역사의 국보인 명상 보살이 현재 리우 작가의 스타일로 재현 된 것이다. 이 인물은 원래 7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미륵불이나 ' 미래의 불상'이 명상에 젖어 있는 작은 청동 불상이었다. 리우 작가는 은빛 부품들로 그 모습을 재현하여 미래의 부처의 보다 미래 지향적인 모습을 만들어 낸다. 리우 작가는 힌두교, 불교와 함께 그리스 신화의 일부와 천주교 등 지구상에 내려온 화신으로서의 아바타에 대한 다양한 문화의 경험을 탐구한다.
Ratava Temple, P.C Parts, Monitors, 656x328x260cm, 2020
In Woo’s “Ratava Temple”(p6) we find a figure at the center of cagelike pillars bearing digital images. The figure is female, resembling a Hindu goddess, or possibly Shiva, and also bears a digital face. She broaches the subject of human transcendence through hybridization. Though made of steel, she is still human and possibly steps out of the limit of what it is to be human. “Crossing the boundary, you get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freedom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to be anything.” says Woo about Ravata. Woo’s work, however, is not one of a bleak dystopia and of a world ruled by machines, but rather an ongoing narrative of the possibility of machines and the myths of Science Fiction. Woo works with existing myths and explains or revists them through future Science Fiction mythology. As the half human-half horse Centaur is seen as a fantastical mythical creature and not an abomination, so should one view Woo’s work. A new myth of science fiction evolution. Woo speaks about this, “This sort of evolution, as it evokes biological mutations from a phenomenon of interbreeding that erases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foresees new forms of life—born from the hybridization of gender and species—as a natural thing in this future’s cyborg society.” Woo says additionally that Ravata doesn’t distinguish between human and non human “[...] to remove human-non-human boundaries and embrace a new ecosystem that includes humans, animals, plants, cyborgs, and even genetically implanted creatures.”
미래신화, Computer parts, Monitor, Objects, 340x100x260cm, 2020
9
리우 작가의 “라타바 사원”(p6)에서 우리는 디지털 이미지들이 달린 새장 형태의 기둥들 한가운데에 하나의 형상을 볼 수 있다. 이 형상은 불명의 힌두 여신 또는 아마도 시바를 닮은 여성이며 디지털 형태의 얼굴도 가지고 있다. 그녀는 혼성화를 통한 인간 초월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강철로 만들어 졌지만, 그녀는 여전히 인간이고 어쩌면 인간이 되는 것의 한계를 벗어 났을지도 모른다. “경계선을 넘으면, 여러분은 어떤 것이든 될 수 있는 자유와 가능성을 누릴 기회를 얻게 됩니다.” 라바타에 대해 리우 작가는 말한다. 그러나 리우 작가의 작품은 암울한 디스토피아와 기계가 지배하는 디스토피아를 그리지 않으며 기계의 가능성과 공상과학의 신화에 대한 현재진행형 이야기로 작용한다. 리우 작가는 기존 신화를 다루면서 미래 공상과학 신화를 통해 이들을 설명하거나 반박한다.
RATAVA, Computer parts, Monitors, Beam projectors, 1000x700x600cm, 2017
RATAVA, Computer parts, Monitors, Beam projectors, 1000x700x600cm, 2017
11
폴 포츄나토 하나디 이스탐볼리
You shall stop in your tracks. Feast first your hungry eyes upon “Beggar’s Banquet”(p10) Imagine cutting into and chewing the rotting flesh of a human head, flies swarming in and out of each putrid bite paired with the testes of some unfortunate being. This is enough to turn any stomach, yet magnetize the eyes of those imploring to understand. Poverty is a very real issue that most people turn their heads away from while indulgently pouring themselves wine and eating whatever their heart desires, rarely thinking outside of fulfilling their selfish desire of satiation. When does humanity stop to function humanely? Let’s strip them to their core and wait to see. Paul Fortunato’s work in acrylic brings light upon uncomfortable taboos suggesting underlying psychological ordeals with a tinge of mythology, adding another membrane for dissection. Fortunato, a New York native, has quite the artistic repertoire under his belt. His active time in the field spans from 3D visual work to 2D painting. Not only has he experience in the professional art field since 1984, he currently instructs painting and draw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in Daejeon. Before moving to Korea in 2014, he taught at the School of Visual Arts in New York. Paintings are brazenly portrayed without any resignation and apparently no concern for judgement or repercussion. When viewing Fortunato’s self portrait(p11), there is a glimpse of madness as we see him standing naked burning his paintbrush in the most serene manner. Is he deep in meditation as he mulls over ways to burn ideas forever into the memory of his viewers?
Beggars Banquet, Acrylic on masonite, 2018
Paul Fortunato Hanadi Istambouli
당신은 당신의 발걸음을 멈출 것이다. “Beggar’s Banquet"(p10)에서 먼저 당신의 굶주린 시선을 포식하도록 하라. 인간의 머리의 썩어가는 살점을 자르고 씹는 와중에, 그 익명의 불운한 존재를 맛보는 역겨운 한 입을 취할 때마다 파리떼가 구름처럼 왔다갔다 한다고 상상해 보라. 이것은 그 누구의 위장이건 뒤집을 법하지만, 이해하기를 간청하는 사람들의 눈을 자극한다. 빈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만족적으로 와인을 따르고 자기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건 먹으며 자신들의 충족을 위한 이기적인 욕망 외 다른 것에는 별 생각을 하지 않으며 고개 돌리는 매우 실제적인 문제이다. 인류는 언제 인도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멈추는가? 그들의 속까지 벗겨내고 지켜보자. Paul Fortunato의 아크릴 작품은 신화적 색조를 추가하여 심리적 시련을 암시하는 불편한 금단구역에 주의를 돌리며 해부를 위한 추가적인 층위를 형성한다. 뉴욕 출신인 Fortunato는 꽤 예술적인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그의 활동 범위는 3D 비주얼 작업에서 2D 페인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1984년부터 전문 미술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을 뿐만 아니라 현재 대전 한밭대학교에서 회화와 드로잉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 한국으로 이주하기 전에 그는 뉴욕 시각 예술 학교에서 가르쳤다. 그림은 어떤 체념도 없이 뻔뻔스럽게 묘사되며 판단이나 제재에 대한 염려가 없어 보인다. Fortunato의 자화상(p11)을 보면 벌거벗은 채 서서 가장 평온한 모습으로 붓을 태우는 모습을 볼 때 광기의 일면을 보여준다. 그는 시청자의 기억에 영원히 남을 생각을 지져 세기는 방법을 고민하면서 깊은 명상에 잠겨 있을까? 이 분이야말로 제가 존경하는 예술가이다. 그의 작품은 전체적으로 심약한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다. Fortunato의 작업으로 말문이 막힐 수도 있고, 충격에 질식하는 동안 당신이 좋아하지 않는 신랄한 맛이 혀 위에서 굴러갈 수도 있다. Fortunato는 사회의 진행 방향에 우려하는 듯하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려하는 것만으로 힘들어하는 주제들을 다루는 것에 대한 병치에 관심이 있는 듯 보인다. 나는 즉시 "아빠, 엄마"(p12)의 심리적인 의미에 대해 생각한다. 아버지와 아들은 모두 폭발적인 어머니/아내의 피해자였다. 그 이야기는 무뚝뚝하고 깊이 파고든다. 그의 캔버스의 매개 변수에는 민감한 금기가 있지만 그 밖의 것은 무엇일까? Fortunato는 그의 예술이 동물에 대한 윤리적 대우, 어린 시절의 추억, 환경주의에 대한 그의 견해, “자연의 복수”, “대역폭에 의한 죽음”을 다루고 있다고 설명한다.
13
Self Portrai, Acrylic on canvas, 2020
Daddy Mommy, Acrylic on canvas, 2020
Now this is an artist I respect. His collective works aren’t for the faint of heart. Fortunato’s work may leave you speechless, or with a mouthful you may not like that acridly rolls over your tongue while you choke on impact. Fortunato appears concerned about the progression of society while keenly interested in the juxtaposition of addressing topics most strain to contemplate. I instantly think about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Daddy, Mommy”(p12). The father and son have both been victims of an explosive mother/wife. The narrative is blunt and penetrates deep. Sensitive taboos dwell inside the parameters of his canvases, but what else? Fortunato explains that his art addresses the ethical treatment of animals, childhood memories, his views on environmentalism, “nature’s revenge”, and “death by bandwidth.”
Take the notion that art is "one size fits all" and admonish it forever. Truly great art can span from pleasing colors and evoking calm emotions to unnerving images conjuring diverse reactions. Now that I have seen Fortunato’s works, I cannot forget them. How alluring it is to explore the darkness behind a slightly demented thought. Let’s take a gander at “Gone with the Gust”(p13), shall we? This provocative piece of a girl self-pleasing while simultaneously releasing a rainbow laser beam of anal plumes despite celestial dissapointment or outrage. In the moment, all has been let go. This feels like a middle finger to stuffy audiences. Maybe this is a way to shout that masturbation should be enjoyed in all its glory!
예술은 “모든 것에 맞는 하나의 크기”라는 개념을 영원히 질타하도록 하라. 진정으로 위대한 예술은 즐거운 색상과 차분한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것에서부터 다양한 반응을 불러 일으키는 불안한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Fortunato의 작품을 보고 나면 그것을 잊을 수 없다. 약간 기괴한 생각 뒤에 숨겨진 어둠을 탐험하는 것이 얼마나 매력적인 일인가. “Gone with the Gust”(p13)를 살펴 보도록 하자. 이 자극적인 작품은 천상의 실망이나 분노에도 불구하고 자위하면서 불꽃과 같은 무지갯빛의 레이저 광선을 항문으로부터 방출하는 소녀를 그린다. 그 순간, 모든 자기 제어를 그만둔 것이다. 이것은 답답한 관객들에게는 가운데 손가락처럼 느껴진다. 아마도 이것은 자위행위가 모든 영광을 누려야 한다고 외치는 방법 일 것이다!
Fortunato is professionally trained and has received many awards for his work. His paintings seem to stem from a deviant mind subsisting on cataclysms whilst preserved with harsh brushstrokes and bold graphic lines. Layer upon layer build realisations of pervasive thoughts. The beautiful articulation of disconcerting images leaves me with nothing but respect for this artist. Fortunato’s work gives him a unique voice, one that is sure to spark dialogue for a long time to come.
15
Gone with the Gust, Acrylic on canvas, 2018
이윤경 테리 오 포크너
Artist Yoonkyung Lee’s stark photographs depict her longing for family and feelings of isolation in Austria, far from home. Picturesque places and everyday things that someone might post or share online are contrasted by perforated outlines of absent family members in almost every photograph. These additions tell the viewer how alone she feels—and as the dots are joined, they tell of shared blood and the pain of being apart. To create these effects, she draws outlines of her family members on translucent paper. She places the paper under 4x5 inch transparent film and pokes holes. Then she cuts slits in a photograph so the transparent film can be held on top. This process reveals an eerie solitude—empty family member outlines laid over dark black and white images of churches, forests, and mountain paths. What started as a personal project became an opportunity for her to share the depths of her isolation and also to inform us how we recognize our immediate surroundings. We might see something right in front of us, a tree, a mountain, or a church, but as the human mind is wont to do, we get distracted. Our thoughts get directed away from the image itself, reminding us of something, taking us elsewhere. Lee has never been part of a full family picture. In her youth when a family portrait had been taken, one member was always left out by having to take the actual photograph. Hence, her photographs represent a longing for togetherness, wholeness, and belonging. “Family is precious to me, but sometimes it is the hardest thing... studying abroad. I’ve missed my family and have come to express family in this way”. In “The Past”(p15), there were only ever three people in family photos. Someone was always holding the camera, and later a photograph of the person taking the picture was attached, making a composite family photo. Even with an older brother, nieces, and nephews in “Now”(p15), where the family is bigger, no naturallyoccurring complete family photo exists. She has imagined such a thing in “Future”(p15) where every family member is present.
작가 이윤경의 선명한 사진 속에는 가족과 멀리 떨어진 오스트리아에서 느끼는 고립감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거의 모든 사진들에 담긴 누군가가 온라인에 게시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그림 같은 장소와 일상물은 이들에서 빠진 가족 구성원의 천공된 윤곽선과 대조된다. 이러한 추가 요소는 보는 이에게 그녀가 얼마나 외로움을 느끼는지 말해줌과 동시에 결합된 점들의 형태는 가족 간의 혈연과 떨어져 있는 고통에 대해 알려준다. 이러한 효과를 만들기 위해 그녀는 반투명 종이에 가족 구성원의 윤곽을 그린다. 그녀는 이 종이를 4 x 5인치 투명 필름 아래 놓고 구멍을 뚫는다. 그런 다음 그녀는 이 투명한 필름을 맨 위에 놓을 수 있도록 사진의 슬릿을 자른다. 이 과정은 으스스한 고독을 드러낸다. 성당, 숲, 산길의 흑백 이미지 위에 빈 가족 구성원의 윤곽이 나타나게 된다. 개인적인 프로젝트로 시작했던 것은 그녀가 자신의 고독의 깊이를 공유하고 우리가 당면한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려주는 기회가 되었다. 우리는 눈 앞에서 나무, 산, 성당 등을 볼 수 있지만 인간의 마음이 늘 그러하듯 우리의 주의는 산만해 진다. 우리의 생각은 이미지 자체에서 벗어나 무언가를 상기시키고 우리를 다른 곳으로 데려간다. 이윤경 작가는 완전한 가족 사진을 가진 적이 없다. 어린 시절 가족 사진을 때 한 명의 구성원은 항상 사진을 찍어야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제외되었다. 그러므로 그녀의 사진들은 함께함, 온전함, 소속감에 대한 갈망을 나타낸다. “해외에서 공부하는 동안 가족은 내게 소중하지만 때로는 가장 힘든 존재이기도 했다. 난 나의 가족을 그리워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족을 나타내게 되었다” 며 그녀는 전한다. “과거”(p15)에서는 가족사진 속 사람이 단 세 명 뿐이었다. 누군가는 항상 카메라를 들고 있었고, 이후 사진을 찍은 사람의 사진이 첨부되어 합성 가족 사진이 되었다. 가족 구성원이 더 많아진 “지금”(p15)에는 오빠, 조카들도 있지만 자연스러우며 완전한 가족 사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녀는 모든 가족 구성원이 함께 있는 “미래”(p15)에서 그와 같은 완전한 가족 사진에 대한 상상을 표현한다.
Yoonkyung Lee Terry O. Faulkner
상상가족 사진 및 단어퍼즐, installation, 2020
17
In “Road to the Cathedral 1 & 2”(p16), Lee has again placed an idealized version of her family in the photograph. Despite not having a shared religion or belief system, the theme of distant family members haunts her work. The artist laments in never having taken a “Walk”(p16) with her family members. She can only do this in her mind, hoping for the chance in the future to take a “Family Travel Picture”(p17) with all of her family members. Every image conjures up memories and makes her think of family. If one goal of Lee’s project is to share her pain through constructed family moments, another goal is recognizing the new reality of living under the constant deluge of advertising and distraction. She suggests that people can no longer focus on anything due to persistent overstimulation. It is thus the task of her art and others’ to illuminate and solve this problem. Pull the magazine away and blur your vision for a moment. Refocus and try to look at both the background and the family in the foreground. This creates conflict. The fight between what’s right in front of us and the imagined. Lee cannot remove her longing for family from her immediate reality which engulfs her. That doesn’t mean we cannot appreciate her ability to make us think differently about our immediate environment and how distance and loneliness affect us all.
↑ Road to the Cathedral 1 & 2, 2020
→ Walk, 2020
“성당으로 가는 길 1 & 2”(p16)에서 이윤경 작가는 가족의 이상적인 모습을 사진에 다시 담았다. 공유된 종교나 신념 체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먼 가족 구성원이라는 주제가 그녀의 작품을 맴돌고 있다. 작가는 가족들과 함께 한 번도 “산책”(p16)를 한 적이 없다는 점에 대해 한탄한다. 그녀는 미래에 모든 가족 구성원과 함께 “가족 여행 사진”(p17)을 찍을 기회를 바라며 마음 속으로만 이 여행을 할 수 있다. 모든 이미지는 추억을 떠올리게 하고 가족을 생각하게 만든다. 그녀의 프로젝트의 목표 중 하나가 구성된 가족의 순간을 통해 그녀의 고통을 나누는 것이라면 또 다른 목표는 끊임 없이 밀려드는 광고와 산만함 속에서 살아가는 새로운 현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녀는 사람들이 과잉된 자극으로 인해 더 이상 어떤 것에도 집중할 수 없다는 생각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 문제를 밝히고 해결하는 것이 그녀의 예술과 다른 사람들의 과제이다.
→ Family Travel Picture, 2020
19
홍창룡 위트 알티저
플라타너스 나무가 있는 작은 슈퍼마켓
If there is an activity humans hardly engage in anymore it’s stargazing. Not only because we hardly make the time, but often it’s impossible to see the stars through the smog and light pollution. We are also all too often looking the opposite way into the blue glow of our smartphones looking for inspiration that we will never find. For Chang Ryong Hong, however, this simple act of looking up into the night sky connects him to his dream of becoming an artist. “As a child, I once prayed, hoping to become a painter, looking at the stars shining in the night sky one day,” Hong said. Not only do stars serve as a major part of Hong’s origin story, but they are also a central theme in his artwork. Nearly every piece Hong has made in recent years has a star somewhere in frame. Stars in his painting can be in the sky or hanging from trees like ornaments or even perched in a chair like royalty. They are not always in the top of the frame or dominating the frame but sometimes they meet you at eye level in places you wouldn’t expect to find them.
Chang Ryong Hong Whit Altizer
성자 — 생각하는 남자
만약 인간이 거의 관여하지 않는 활동이 있다면 그것은 별을 보는 일일 것이다. 우리가 시간을 거의 낼 수 없기 때문 일 뿐만 아니라 종종 안개와 빛 공해를 통해 별을 보는 것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우리는 또한 스마트폰의 파란 빛 속으로 우리가 결코 찾을 수 없는 영감을 찾기 위해 너무 자주 반대되는 길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홍창룡 작가에게는 밤하늘을 올려다보는 이 단순한 행동이 그를 예술가의 꿈과 연결 시켜준다. 홍 작가는 "어린 시절 어느 날 밤하늘에 빛나는 별을 보며 화가가 되기를 바라며 기도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별들은 홍창룡 작가의 원작 주제의 주요 부분일 뿐만 아니라, 홍창룡의 작품에서 중심 주제 이기도 하다. 홍 작가가 최근 몇 년간 작업한 거의 모든 작품 속 프레임 어딘가에 별들이 있다. 그의 그림에서 별들은 하늘에 있을 수도 있고 장식품처럼 나무에 매달려 있을 수도 있고 왕족처럼 의자에 앉아 있을 수도 있다. 그들이 항상 프레임의 상단에 있거나 프레임을 지배하지는 않지만 때로는 찾을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서 여러분의 눈높이에서 찾을 수 있다.
21
For Hong there isn’t just inspiration from the stars in the sky but from the stars found in the sea. Once while walking near the water east Gyeongju he saw a starfish glowing in the water. It was “radiating purple, blue, orange, yellow, red, and green light in the waves,” he said. Hong felt like this starfish could have been the gods dropping stars from the sky into the sea. “My heart pounded like a person struck by lightning, and thrills flowed all over my body.”
홍 작가에게는 단지 하늘의 별에서 오는 영감이 아니라 바다에서 발견되는 별에서 오는 영감이 있다. 한번은 경주 동쪽 물 근처를 걷다가 불가사리가 물 속에서 반짝이는 것을 보았다. 그는 "파도 속에서 보라색, 파란색, 주황색, 노란색, 빨간색, 초록색 빛을 방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홍 작가는 이 불가사리가 하늘에서 별을 바다로 떨어뜨리는 신들이 될 수 있다고 느꼈다. 그는 번개를 맞은 사람처럼 가슴이 두근거렸고 온몸에 전율이 흘렀다고 했다.
When humans make it into his paintings they often appear pensive as if thinking deeply about life. Perhaps considering their past regrets or longings or hopefully taking comfort in a life well-lived. Maybe though, they are considering what life holds for their future just as Hong did as a kid. Dreaming about, or making a wish for what comes next. Restless and hopeful for success, happiness, safety, and love in the days that lie ahead.
인간이 그의 그림으로 만들 때 그들은 종종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처럼 수심에 잠긴 것처럼 보인다. 아마도 그들의 과거의 후회나 그리움을 고려하거나 잘 살아가는 삶에서 위안을 얻기를 바랄 것이다. 어쩌면 그들은 홍 작가가 어렸을 때처럼 인생이 그들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민하고 있을 것이다. 꿈을 꾸거나 다음에 무엇이 오는 것에 대한 소원을 빈다. 앞날의 있을 성공, 행복, 안전, 사랑에 대해 불안하지만 희망적이라고 한다.
The man in “Saint (Thinking Person)”(p19) appears old and possibly someone who has seen much in his many years. Another night filled with stars in the sky just as many nights before. The world turned from day to night long before him, and it will turn from day to night long after he is gone. Life, he must know, is as vast and fleeting as the night sky.
“성인 (생각하는 사람)”(p19)의 남자는 나이가 많아 보이고 오랜 세월 동안 많은 것을 본 사람으로 보일 것이다. 또 다른 밤은 전날 밤과 마찬가지로 하늘의 별들로 가득 찼다. 세상은 그의 앞에서 낮에서 밤으로 바뀌었고, 그가 떠난 뒤 세상은 낮에서 밤으로 바뀔 것이다. 인생은 밤하늘처럼 광대하고 덧 없다는 것을 그는 알아야 한다.
Hong’s work in its dark blues and purples and different shades of the night sky feel like a cool breeze in a summer evening. They bring comfort and arrest you for a moment provoking a bit of thought about what this could all mean. The idea that there is a world that moves and shimmers above us can make you feel small and insignificant. But instead, it seems that Hong wants you to feel the opposite. All those stars are all around, shining brightly, waiting for you to notice. It just takes a moment to stop and look up to see them.
짙은 파란색과 보라색, 그리고 밤하늘의 다른 색조를 띤 홍 작가의 작품은 여름 저녁의 시원한 바람처럼 느껴진다. 그들은 편안함을 가져다주고 잠시 당신을 가둡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약간의 생각을 자극하게 한다. 우리 위로 움직이고 반짝이는 세상이 있다는 생각은 당신을 작고 무의미한 것으로 느끼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대신에, 홍 작가는 당신이 그 반대를 느끼기를 원하는 것 같다. 그 모든 별들은 당신들이 알아 차리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잠시 멈춰서서 그들을 보기 위해 위를 올려다 보면 된다.
순례자
23
발레리 사이파즈 베타니 스타 스털츠
Separation, 2017
Valerie Syposz Bethany Starr Stultz
Artist Valerie Syposz, a native of Ottawa, centers her work around a more traditional approach to engraving and printmaking. Syposz is well traveled, having lived and studied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Japan and Korea. During her time in Korea, Syposz began to draw a clear focus in her work. She incorporates common spatial barriers and adornments to communicate limitation and freedom. Sypozs uses several visual cues in her work to represent these ideas, particularly windows and fences. We use fences to show boundaries we have set, to confine, control, and adorn these spaces. Syposz couples this commonplace architectural element with the human body in a way that call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s people have with boundaries, whether those boundaries are literal and tangible like fences around a school yard or intangible like the boundaries we set with others and ourselves in our day-to-day lives. It’s easy to fall into routine boundaries, especially living in such a big and bustling city like Seoul where the mundane gets lost in the minute details. We tend to let our fences blend into our identity, and Syposz’s best example of this is titled “Separation”(p22). It focuses on how most people build various layers of boundaries in their lives and how those layers contribute to their overall identity in ways that can either hinder or uplift their true selves. Syposz also addresses how society symbolizes windows as a tool to peer out into the intricacies of the world and satiate our curiosity of the unknown. Instead, windows can be our own myopic and pointed perception of what is and is not. We may look out to expand but how often do we look in? In pieces like “To Not Be”(p24) and “Sanctuary”(p26), fences and windows are double edged swords. Windows are often built with the most favorable view in mind and fences used as a way to keep a boundary between what is the good and what is other. While on the surfaces this seems favorable, it can be quite detrimental to our overall growth. Sypoze challenges the idea of instant gratification by looking at what it really means when we use such perceptions in the long term. Her work gestures to how we can use them for growth rather than isolation, for existential conversations with ourselves, and for how we place our external projections. When living in a city as large as Seoul we can feel insignificant and small, which is one of the reasons the scale of Syposz’s wood engravings is important to notice. Most of her work ranges from 5 to 12 centimeters. Every single placement of the knife and decision of what details to add is an expression of something that is easy to lose sight of—even the smallest details build the bigger picture of our lives and each detail is important on it’s own.
25
To not be, 2017
오타와 출신 예술가 Valerie Syposz는 판화와 인쇄술에 대해 보다 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중심으로 그녀의 작업을 하고 있다. Syposz는 일본이나 한국과 같은 다양한 나라에서 생활하고 공부하는 등 여행의 경험이 풍부하다. 한국에 있는 동안, Syposz는 그녀의 작품에 뚜렷한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그녀는 한계와 자유를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인 공간 장벽과 장식을 그녀의 작품에 활용한다. Sypoz는 이러한 한계와 자유라는 소재들, 특히 창문과 울타리 등으로 대변되는 소재를 나타내기 위해 그녀의 작업에 몇 가지 시각적 단서를 사용한다. 우리는 우리가 설정한 경계를 보여주고, 이러한 공간을 제한하고, 통제하고, 장식하기 위해 울타리를 사용한다. Syposz는 이 흔한 건축학적 요소를 인간의 몸과 함께 활용하여 사람들이 경계에 대해 – 그 경계가 학교 마당 주변에 둘러진 울타리와 같이 말 그대로의 물리적인 것이든 우리가 우리의 일상에 있어 타인과 우리 자신에 대해 세운 비물리적인 것이든 – 갖는 관계에 주목하게 한다. 특히 서울과 같이 일상적인 요소가 수많은 세부 요소들에 파묻혀 찾을 수 없는 거대하고 북적이는 도시에서는 일상적인 경계를 그대로 따르며 살기 쉽다. 우리는 우리의 울타리가 우리의 정체성에 섞이도록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대한 Syposz의 가장 좋은 예는 “분리” (p22)이다. 그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다층의 경계를 만들어내고 그 경계가 그 인물들의 전체적인 정체성에 기여하여 그들의 진정한 인격을 방해하거나 보다 발전하게 하는 모습에 집중하는 작품이다. Syposz는 또한 어떻게 사회가 세계의 복잡함을 들여다보고 미지의 것에 대한 우리의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도구로서 창문을 어떻게 상징으로 만들었는지 다룬다. 그 대신, 창문은 사물의 정의에 대한 우리의 근시안적이고 경도된 인식이 될 수 있다. 우리는 확장하기 위해 밖을 내다볼 수도 있지만 과연 그에 비해 우리가 스스로를 들여다보는 것은 얼마나 자주 있는 일인가? "To Not Be"(p24)와 "Sanctury"(p26)와 같은 작품에서 울타리와 창은 양날의 검이다. 창문은 종종 가장 유리한 시야를 염두해두고 지어지며, 울타리는 무엇이 좋은 것이고, 무엇이 타자인지 경계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표면적으로는 이것이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우리의 전반적인 성장에는 상당히 해로울 수 있다. Sypoze는 우리가 그러한 인식을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실제로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바를 살펴봄으로써 즉각적인 만족이라는 개념에 도전한다. 그녀의 작업은 고립이 아닌 성장을 위해, 우리 자신과의 실존적 대화를 위해, 그리고 우리의 외부 전망을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 그것들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서울만큼 큰 도시에 살면 우리는 무의미하고 작게 느껴질 수 있는데, 이것이 Syposz의 목각의 크기에 주목해야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그녀의 작품 대부분은 5센티미터에서 12센티미터에 이른다. 칼의 모든 배치와 어떤 세부 요소를 더할지에 대한 결정 하나하나는 우리가 놓치기 쉬운 것에 대한 표현이다-가장 극소한 세부요소마저도 우리들의 삶에 대한 보다 큰 그림을 그리는 데 기여하며 각각의 세부 요소는 그 자체로도 중요한 것이다.
27
Defense, 2017
Sanctuary, 2017
Grid
29
아론 코스로우 포이펠로 세스완
Ddeokppoki, Digital
Aaron Cossrow Boipelo Seswane
When you first encounter Aaron Cossrow’s work, it is undeniable that it finds inspiration in the nuances of what it means to live in South Korea. Cossrow, who majored in Industrial Design in his native Pennsylvania, began his journey on the streets of Seoul and its neighborhoods, drawing portraits of the people he encountered and pulling inspiration from their expressions. This process became his training ground, a living art school where he explored and built skills through challenging himself. Naturally, the places and, more importantly, the people he encounters as part of everyday life in South Korea continue to be his subject and muse. Cossrow’s work evokes a sense of reconnection—a process many are currently going through even as disconnection from one another becomes much more possible. Not all of us move through our communities, embodying the poetic language of seeing everyone around us. Cossrow’s opus symbolizes that place of really seeing our everyday surroundings and the people who inhabit those spaces. The vivid attention to detail consistent throughout his more recent pieces gives shape to the merging of observing, skill, storytelling, and sharing. In “Ddeokppoki”(p28), the smiling old couple at their ddeokppoki stand speak to the street food culture of South Korea
Singhs Shawarma, Photoshop
31
Aaron Cossrow의 작품을 처음 접했을 때, 한국에서 산다는 것이 갖는 섬세한 의미에서 영감을 찾는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고향인 펜실베이아에서 산업 디자인을 전공한 Aaron Cossrow는 서울과 인근 지역에서 그가 마추진 사람들의 초상화를 그리고 그들의 표정에서 영감을 끌어내는 것으로 그의 여정을 시작했다. 이 과정은 그의 훈련장이 되어 그가 스스로 도전에 직면함으로써 기술을 탐구 및 발달시키는 살아 있는 학교가 되었다. 자연스럽게도 그가 한국에서 일상 생활의 일부로 만나는 장소와, 더 중요하게는 그 곳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그의 주제와 뮤즈가 되고 있다. Aaron Cossrow의 작업은 재연결의 느낌을 불러 일으킨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서로의 단절이 훨씬 더 가능해짐에도 불구하고 겪는 재연결 말이다. 우리 모두가 우리 주변 사람들을 보는 시적인 언어를 구현하며 공동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Aaron Cossrow의 대표 작품은 우리의 일상적 환경과 그 곳에서 사는 사람들을 진실로 보는 상황을 상징화한다. 그의 최근 작품 전반에 걸쳐 일관적인 세부 사항에 대한 생생한 관심은 관찰, 기술, 스토리텔링 및 공유의 결합을 현실화한 것이다. “떡볶이”(p28)에서는 길거리 가판대에서 떡볶이 파는 노부부가 남한의 음식 문화와 그 대부분이 보다 연로한 시민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대표한다. 그들은 웃고, 수다를 떨며, 주변 사람들과 한 순간만이라도 소통의 순간을 갖는다. 그 짧은 순간에 재연결이 나타난다.
Blacksmith, Oil
Blacksmith, Pencil
and how much of it is run by more senior citizens—smiling, chatting, connecting with those around them even if the connection is only for a second. In that fraction of a moment, there is reconnection. The inspiration Cossrow finds in works by prolific artists such Norman Rockwell is impeccably evident in his oeuvre. Like Rockwell, Cossrow observes life and shows what others might have missed. He doesn't show you the glamorized parts of Korean life or culture as influenced by elements like K-Pop, but instead gives you a peek at the lives of real Koreans. Cossrow finds his focus and subject and reflects on a moment of their life, presented through the almost photographic snapshot lens of realist painting. He portrays the moment in all its simplicity and gravity. Cossrow has taken immense experimental roads in the past year—his current work is in oils, vastly different from the various mediums he has used before. He began with the medium most familiar to him, digital painting, which allows great experimentation and is very forgiving. In “Singh's Shawarma”(p29) he contrasts shade and light as bright, punchy reds and blues meet concrete and metal.
Hanbok, Pencil
Hanbok, Oil
Aaron Cossrow가 Norman Rockwell과 같은 다작 예술가의 작품에서 발견한 영감은 그의 작품에서 흠잡을 데 없이 분명하다. Norman Rockwell과 마찬가지로 Aaron Cossrow는 삶을 관찰하고 다른 사람들이 놓쳤을 수도 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는 당신에게 K-Pop과 같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은 한국 생활이나 문화의 매력적인 부분을 보여주지 않고 대신 실제 한국인의 삶을 엿보게 해준다. Aaron Cossrow는 그의 초점과 주제를 그들의 삶의 한 순간에서 찾아내어 거의 스냅샷 사진에 가까운 현실주의 회화를 통해 나타낸다. 그는 그 순간에 담긴 그 모든 단순함과 무게를 포함하여 그 순간을 그려낸다. Aaron Cosswor는 지난 1년 동안 엄청난 실험적인 길을 걸어왔다. 현재 그의 작품은 그가 이전에 사용했던 다양한 매체와는 크게 다른 유화로 되어 있다. 그는 자신에게 가장 친숙한 매체인 디지털 그림으로 시작했는데, 그것은 훌륭한 실험이 가능하게 하고 매우 관대하기도 하다. "Singh's Shawarma"(p28)에서 그는 밝고 펀치감 있는 빨강과 파랑이 콘크리트와 금속을 만나는 것처럼 그늘과 빛을 대비시킨다. "Supplies for the Team"(p32)에서 그는 아크릴로 옮겨가 색 이론과 그 응용에 도전한다. 그는 그 도전에 성공하여 피사체 뒤에 있는 냉장고 안의 캔에 중요한 세부사항을 구축한다. 그는 예술가에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요구하는 전통적인 매체에서 더 깊은 스토리텔링의 뿌리를 별견한다. 그러나 Aaron Cossrow가 “신당역 대장간”(p30)와 “한복 제작가”(p31)에서 처럼 유화로 전환하면 그의 작업은 유화에서 얻을 수 있는 훌륭한 질감과 해당 매체를 통해 예술가가 탐구할 수 있는 다층위의 이점을 얻는다. 회화의 풍성함, 색채를 통해 표현되는 질감, 피부, 그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주변의 세부 사항에 대한 관심은 그러한 질감과 일상 생활을 빛나게 한다.
33
In “Supplies for the Team”(p31) he moves into acrylic, challenging himself in color theory and its application. He succeeds in that challenge, building significant detail in the cans in the fridge behind his subject. He finds deeper storytelling roots in traditional mediums that asks the artist to come as they are. But once Cossrow switches to oil, as in “Blacksmith at Sindang Station”(p30) and “The Hanbok Maker”(p31), his work gains great texture afforded by oils and the multitude of layers an artist can explore through that medium. The richness of the paintings, texture expressed through color, skin, attention to detail of the surroundings found in his works allows those textures and everyday life to shine through.
Supplies for the Team-Raena, Acrylic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