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ly 2017
ISSN 2384-3861
9 772384 386001
73
Editor’s Letter Whit Altizer editor in chief
Editor’s Letter
편집자의 글
Dear [b]racket readers, Over the last few months, I have been curating our social media outlets with art from the last 5 years of [b]racket issues. It has been a joy to read and revisit written pieces by the artists themselves, interviews with artists, and the words and interpretations of the art by writers who have come and gone from our pages. Each issue takes on a personality and look of its own to form a collective voice and style with other issues that has become uniquely [b]racket’s. It’s a style that I am proud of as the current editor, and one that everyone on staff strives to uphold and bring to the streets of Korea. Through social media, I have also been able to connect and check in with past artists that have graced our pages. To see their work continue and to evolve is a great thrill. While social media can be filled with unpleasantness and things we’d prefer we never knew, the connections, accessibility, and reaches that Instagram and other outlets give art can make the tweets and trolling of the internet’s most vile, a small price to pay. I hope that artists out there continue to bring thoughtful work to my feed, and I will work to continue to remind you of the work that we have been lucky enough to write about and publish. This issue proves to me that over the last five years, we have still fallen incredibly short of showcasing all of Korea’s best artists. Luckily, we get to continue to have the opportunity to discover great work in Korea. This month our writer Rosemary Scott explores Kim Yoonkyung’s colorful oil paintings that remind her of light refracted through a prism. An Eun Ji interviews Sebastian Montes about his wonderfully abstract paintings and gets a better understanding of who he is and what his work means to him. Kwon Ko’s fantastical, gripping paintings are the subject of John Shrader’s thoughtful piece about his work. Seo Hee Joo analyzes Rob Green’s thought-provoking mixed media pieces and what his work adds to the art scene here. Yoon Miseon’s work about distorted faces and memories is the subject of Cassandra Kellam’s piece. And I write about the journey of lines in faces and life in Kim Min Ki’s portraits. We hope that you enjoy these pieces and we encourage you to create and share your creations with others. Fortunately, art remains essential to this evolving world we’re all in together. Be sure to add yours to the conversation.
[b]racket Issue 33 July 2017
staff
artists
writers
contact
Chung Sae Yong [publisher] Whit Altizer [editor in chief] Christopher Cote [design editor] Seo Hee Joo, PhD [words editor] Yoon Kyung Amanda Lee [digital editor] Kim Yoon Kyung [translation]
Kwon Ko kuens80@naver.com Kim Yoonkyung sylvia1052@hanmail.net Rob Green info@rob-green.com Yoon Miseon yoonmiseon01@gmail.com Sebastian Montes sebslm03@aol.com Kim Min Ki llmin1ki1ll@naver.com Cassandra Kellam cassandrajkellam@gmail.com John Shrader ioannes.shrader@gmail.com An Eun Ji blueblina@naver.com Rosemary Scott rosemaryscott90@gmail.com Yoon Kew Hong klaatu84@dreamwiz.com
bracketmagazinekorea.com bracket.magazine@gmail.com facebook.com/bracketmagazine Instagram: bracket.magazine
supported by
본 사업은 2015 대구문화재단 우수기획사업으로 지원받았습니다.
문화재단 우수기획사업으로 지원받았습니다.
본 사업은 2017 대구문화재단 우수기획사업으로 지원받았습니다.
Copyright for Magazine © 2017 [b]racket magazine Copyright for works of art by 2017 [b]racket magazine Us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Publisher / Chung, Sae yong 2232-26, Dalgubul-daero, Jung-gu, Daegu, S.Korea tel +82 10 3811 1229 www.bracketmagazinekorea.com bracket.magazine@gmail.com
6
6
10
14
Kwon Ko
Kim Yoonkyung
Rob Green
18
22
26
Yoon Miseon
Sebastian Montes
Kim Min Ki
(cover)
Bird, acrylic on canvas, 2017.
Kwon Ko John Shrader writer
The island of Jeju is set apart from mainland Korea in more ways than one. Not only is the geography different, but the culture doesn’t clearly resemble that of their mainland compatriots. Traditionally, Jeju women possess more power outside the home, and even myths on the island diverge from those told on the streets of Seoul. It is also both a retreat for, and a source of, artists. It was this place that gave us Kwon Ko. Kwon has always been a primitive artist, not worried so much about developing a form as much as honing his sense of the surreal relation-
ships between humans and nature, memory and dreams. The important characters are recognizable in their simplicity and childlike marks; the rest fades into the obscurity of brush strokes where all memory is lost. Recently, the background of his work has become even more chaotic while heavy lines throw the figures in the foreground into sharp relief. In “Giant” (page 9) and “Bird” (page 6) we see these elements converge. Ko paints the skies and seas with chaotic strokes without form, however bold lines cause islands and figures to
8
장용근
Kwon Ko
Bird, acrylic on canvas, 2017.
10 Early Spring, acrylic on canvas, 2017.
권고
Kwon Ko
Giant, acrylic on canvas, 2017.
emerge. In “Giant” a human form bends over to reach for the sea, as though the weight of its own being requires extra support. In “Bird” a long-legged sea fowl stands in front of an islet on a strangely calm sea.These works take on the feeling of half-forgotten memories floating in the distant haze of the sea. Kwon’s color choices often take on a touch of the peculiar. While the former two pieces are are strongly blue-themed, most of his recent work is muddy, with dull purples and greens creating a more mundane haze as exemplified in “Sleet” (page 7). While they do capture a dreamy state, the work that pops most is “Early Spring” (page 8). Here, Ko uses an intense orange in contrast with dark blue lines and the green blouse of a woman squatting on a cliff. Her arms folded and
her eyes focused on the viewer. While physically closed off, she still looks ready to fly away like a bird. She might invoke someone from your past: a friend, a lover, a stranger with whom you once made eye contact. This memory will stay perched on your mind, but might be ready to fly away. Until then, your eyes remain locked. The gaze is important in much of Ko’s work. The woman on the cliff watches us, the giant bending down does the same. Birds, shamans and puffer fish all take in the viewer. They connect with us through the canvas, erasing the boundaries of the natural world until we are pulled into the fantasy with them. If you like dreaming where the boundaries of the real are obscured by memory, you’ll want to get lost in a sea of Ko’s work. [b]
Kim Yoonkyung Rosemary Scott
12
Shades of White, oil on canvas, 2017.
김윤경
Yoonkyung Kim
Shades of White, oil on canvas, 2017.
You might remember being enchanted as a child by a rainbow created by a beam of white sunlight cutting through an innocuous glass prism. Or perhaps when you were tiny and wide-eyed, you found the the rainbows dancing upon the surface of a bubble mesmerizing. The physics of refractive index frequencies and spectral color certainly eluded you at the time, but the magic of witnessing white light transform into color had you clapping your sticky little hands. Daegu artist Yoonkyung Kim has long been fascinated with the process by which the human eye perceives the world through white light, and particularly the way we attribute color to objects. The physics behind this is that the human eye perceives color through the subtle sensitivity of the cone-cells in the eye to different frequencies and wavelengths of light. All visual information is first received as white light. The light is reflected upon
or absorbed into surfaces creating the colors that we see, and our perspective of these colors is subjective. Imagining beams of white light bouncing around our environment and in and out of our eyes sounds like science-fiction and a bit mystical. Beams of white light conjures images of celestial beings, glowing forest spirits or angels, and imparts a sense of the divine into the everyday. In her previous exhibition ‘White Void Room’ (2015), Kim displayed oil paintings of white marble statues, skulls, pearls and paper cranes – white objects set upon white backgrounds that appear to glisten and shimmer like specters portrayed through subtle colors. She challenges the sensitivities of our eyes by shrouding the subject matter in a hazy glow, reminding us that these objects are phantasms dependent on tiny delicate cells processing beams of white light. In her series ‘Stone Statues’ the white marble figures are set
(above) Shades of White, oil on canvas, 2017. (left) Shades of White, oil on canvas, 2017.
14
김윤경
Yoonkyung Kim
Shades of White, oil on canvas, 2017.
against a cloudy sky – evoking that similar sense of the divine associated with the white light elemental to our vision and our construction of reality. With the same buoyant dreaminess and delicate touch, Kim’s more recent works, ‘Shades of Light’ (2017), depict fragments of everyday movements and memories of childhood – building snowmen, jumping rope, rows of little shoes. In these works she uses bright emotive color and simple shapes, evocative of the fauvist style of painting. Sharing a similar emphasis to the fauvist painters, Kim’s work both captures the effect of natural light, yet additionally focuses on the emotional responses connected to color. Rather than using colors true to the natural world, she uses bright saturated colors to match the intensity and lucidity of the memories of the scenes represented. Kim’s work is both light and lightness, channeling the colorful light beams and also the airy weightlessness of a dream. Each painting captures a subtle action, inferring movement beyond the immediate moment. A figure throws a crate beyond where the viewer can see, a boy walks toward something outside the frame,
a woman hurries home carrying groceries, her gaze beyond the scope of the canvas. Onlookers cover their faces, staring at something we cannot see, a small child is captured mid-jump, children build a snowman, a man looks from an apartment building opposite, half-turned away from the viewer. The implied movement in the work gives the viewer the sense that they are viewing a liminal fragment of time. The work inspires the same sensation of tracking a floating bubble with your eyes and anticipating its inevitable burst, or that feeling in your heart a split millisecond before a gasp. Kim’s luminous images capture a sense of the fragility of each moment, and also imply that it is part of a larger story constantly in motion. Her subject matter explores dreams and memories and the phantasmagoria of perception, and she portrays this with a light dreamlike and effervescent style. Viewing her work you might not clap your sticky little hands, but you will feel connected to the beams of light bouncing around, constructing memories and sensations like abstract celestial beings triggering new stimulation with every blink of the eye. [b]
Rob Green Seo Hee Joo, PhD
Rob Green and Barnes Collaboration, mixed media, 2016.
롭 그린(Rob Green)은 다양한 작업을 한다. 삽화 풍의
실험, 북핵, 미국, 중국과의 관계 등으로 김정은이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회화, 그래픽 디자인 인쇄
등장하는 작품은 주목을 끌 수 밖에 없다. 더군다나
(print), 그리고 이 다양한 작업을 활용한 아트 상품 등
이 작품은 한국인의 시선이 아니라 한국에 거주하는
그는 젊은 예술가들의 관심과 성향이 그대로 반영된
외국인의 시선이라는 것이 흥미롭다. “전쟁”이라는
작업들을 보이고 있다. 그의 작품 중에 우리의 눈길을
주요어는 한반도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민감하고
끄는 작품 두 개가 있다. 하나는 2016년 세계적인
공포스런 단어이다. 그러나 롭 그린은 전쟁보다는 인권에
화제의 중심에 있었던 미국의 대통령선거와 그 선거의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 “김정은과 친구들”은 인권이
주인공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이 등장하는 작품이다.
보장되지 않고 있는 북한의 상황을 그래픽을 이용한
다른 하나는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등장하는
콜라쥬 기법으로 풍자하고 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
작품이다. 이 외에 다양하고 흥미롭고 세련된 작품들이
泉純一郞)느 2002년 9월 17일 북일 정상회담 후, 북한
많지만 이 두 인물은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인권의 문제를 촉구하였고 유엔(UN)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만큼 우리의 시선을 확 끌 수 밖을 없다.
(COI) 위원장, 마이클 커비(Michael Kirby)는 북한을 인권
필자는 자연스럽게 김정은을 풍자한 “김정은과
유린이 일어나는 심각한 곳이라고 파악했다. 마이클
친구들(Kim Jong Un & Friends)”이라는 작품에
커비는 2013년 10월 31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동아일보
집중했다. 대한민국국민에게 북한은 끝내지 못한 숙제로
2013년 11월 4일 기사)에서는 “북한 인권에 대한 한국의
남아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최근 부쩍 늘어난 미사일
무관심에는 실망했다”라고 지적했다. 롭 그린은 이러한
16
롭 그린
Rob Green
Kim Jong Un & Friends, collage, 2014.
18
Donald Trump Election, collage, 2016.
롭 그린
Ramyeon Friends, ink/digital, 2017.
지적을 놓치지 않고 작품 주제로 삼았다. 전쟁 발발에 온
또 다른 요청이기 때문이다. 그는 우리에게 아주 심각한
근육을 곧추세우는 우리에게 북한을 바라보는 또 다른
주제를 던지지만 드레스를 입고 얼굴 볼에 붉은 색 연지를
시선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미사일이나 핵의 문제만큼
바른 김정은은 우리를 웃게 만든다.
북한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필자는 이와 같은 주제를 어디서 영감을 받는지
인종, 성, 언어, 종교에 상관없이 인간의 권리와 기본적인
작품들을 관통하고 있는 주된 개념이 무엇인지가
권리를 존중하고 준수할 의무가 모두에게 있기 때문이다.
궁금해졌다. 필자의 질문에 그는 논쟁이 되는 문제들,
“김정은과 친구들”은 이러한 심각한 내용을
Rob Green
Forest Daemon, ink/digital, 2017.
정치, 철학, 인류의 진화에 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주제하고 있지만 재미있는 풍자로 표현되고 있다.
말했다. 그는 이러한 주제를 표현하고 작품을 전시하고
그 주인공은 당연히 김정은이다. 시가 행진 꽃마차의
관람자와 같이 소통하면서 우리 모두가 더 나은 방향으로
주인공처럼 작품의 가운데 윗부분에 큼직하게
나아갈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인드라의 망(因陀羅網)”
등장하는데 이것은 작가가 마디 그라(Mardi Gras)의
처럼 서로를 비추고 연결되어 있는 인간 세상은 다양한
시가 행진에서 작품의 소재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마디
것에서 다양한 사람에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며
그라는 부활절 전 40일간(일요일 제외)을 사순절이라고
자신의 작품도 그러한 관계 안에서 영감을 받는다고 한다.
하여 금욕기간으로 정하고 있는데 이 사순절에 들어가기
필자가 인터뷰한 그는 자신의 예술세계에 대한 명확한
전날, ‘재의 수요일(사순절 첫날)’ 전 화요일에 거행하는
개념과 심오한 철학적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축제이다. 사순절 전, 3일에서 1주일 동안 마음껏 먹고
때문에 그는 여러 논쟁적 문제를 검토하고 그것을 즐겁고
마시는 이 시기가 사육제이며 사육제의 마지막 날이 마디
유쾌한 풍자로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세계를 바라보는
그라이다. 사육제는 오늘날 카니발이 되었다. 그리고
관점과 다양한 논쟁적 문제를 깊이 사유하는 태도가 바로
오늘날 마디 그라는 호주 시드니와 같은 곳에서 세계적인
롭 그린의 작품을 생명력 있게 한다. 마디 그라의 축제
동성애 축제로 열리기도 한다. 롭 그린이 마디 그라를
주인공처럼 등장하고 있는 김정은의 모습은 롭 그린의
작품에 가져온 이유는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우리의
작품 세계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b]
촉구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와 그것에 대한 존중에 대한
Yoon Miseon Cassandra Kellam
20
(opposite) CMXCM, oil pastel and acrylic, 2017.
Yoon Miseon
윤미선
(left) Self Portrait 9, painted fabric and thread on canvas, 2017.
Impulsive and emotional, Yoon Miseon’s work immediately registers as a conflict between the nihilistic and the restorative. While trying to ascertain a complete form, she also seeks to destroy it. Dredging up caches of consciousness is an impetus for the artist in her overarching practice. She retrieves memories and represses them at once, stitching together the past, attempting to make sense of childhood trauma. The individual works act as instinctive notes to elicit memories in the future. Her work is a response to the slow
process of unpacking and digesting a lifetime of memories and quick reaction to the strangers that are peppered into her surroundings. Yoon displays her subjects as faceted beings, that vary in a sense of completion and demeanor to reflect her perception of them: twisted, distorted, deceitful, and having the proclivity to be more evil than good.
Memory, the intangible recording of our life’s events, arrives in fragments, contortions, misrepresentations, and exaggerations. The arrival of a memory is much like the process
22
(opposite) P17-149, pencil, oil pastel, and acrylic on paper 2017.
Yoon Miseon
윤미선
(left) P17-62, pencil, oil pastel, and acrylic on paper 2017.
employed in Yoon’s earlier work: painting on fabric, cutting it up and sewing it back together into a composition. She insists, “My works are records of the process of discovering parts of myself that have been hidden for a long time, feelings that arise during the process of cutting and attaching fabrics constantly.” In Yoon’s work, we can see the same spotty materialization or memory translated into something visual, tangible. Most recently, Yoon has moved from cutting fabric toward drawing because she enjoys the immediacy and freedom of marking directly on paper. She uses high contrast, bold shapes and hard lines to decode her own psyche. In the collections of drawings the artist focuses particularly on the busts of figures which occupy the foreground of the composition. She traces gestalts on paper like a neural circuit that is exercised again and again and repeats the forms of most importance with a heavier and more
frequent hand. Yoon adds color in visceral, bold patches without inhibition. Her process of recording marks on paper has a narrative quality; giving it a feel as if we are in the studio watching her perform it. Yoon’s work continues a tradition of exploring the surreal, like Hans Bellmer, Francis Bacon and the inventors of the exquisite corpse game. Many artists and overarching themes of contemporary mass culture embrace the trivial, exchange the historical for the trendy, and sacrifice quality at the expense of the superficial. Her figures mimic the fluid network of the ego in exchange for appearances. Spontaneous, yet penetrating in one swift moment, she cracks the fragile vessel, the outer image and exchanges it for the turbulent content of our thoughts and desires. Our world would be much different if we could experience each other as candidly as Yoon attempts in her work. [b]
Sebastian Montes An Eun Ji
24
Groove, acrylic on canvas, 2016.
“나는 내 회화 안에 생명력이 깃든 어떤 아름다움을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극히 제한적이다. 그림은
창조하고자 한다. 나의 작업은 우주와 우리의 삶이
분석적인 설명보다는 유동적이고 주관적인 해석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상호 약동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와 관객 둘 다의 생각과
비록 이러한 관념들과 그것들이 연상시키는 약동하는
감정이 동등하게 타당할 수 있다. 감상 중 어떤 강렬한
듯 한 양식화된 이미지들이 생물학, 천문학, 그리고
감각적인 경험을 전달 할 수도 있으며 작품에 대한 설명이
물리학 등에서 제시되는 과학적인 이미지들로 인식될
이를 방해할 수도 있다.
세바스찬 몬테
수도 있겠지만 내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들은 특정
어느 여행지에서 마주친 멋진 광경이나 어린 시절의
대상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재현은 아닐 것이다. 나의
아름다웠던 추억 그리고 해가 떠오르는 것을 보는 한
이미지들은 어떤 목적도 없는, 보다 직관적이고 명상적인
순간과도 같은 경험은 그 감각의 영역에서 풍요로울 뿐
이미지들이다. 나는 내 작업이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말로는 설명될 수 없는 부분들이다. 이처럼 작품 감상도
무언가 보편적이고 숭고한 것을 암시하는 것이었으면
관객 스스로의 몫이며 결론의 도출 역시 마찬가지일
한다. 그렇기에 내 작업은 교훈적, 개념적, 사회적,
것이다. 이것은 화가가 그림을 통해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
정치적이지도 않고 불경스럽거나 역설적이지도 않다.
얼마나 방대할 수 있는가에 관한 이야기가 아닌 오히려
그리고 그러한 요소들을 지향하는 것이 예술에 있어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을 통해 겪을 수 있는 경험에 대한
특별히 영리한 시도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굳이
열망을 드러내고자 함이다. 언어나 생각 이상의 어떤
따지자면 나의 회화는 그러한 것들로부터의 낭만적인
감각을 깨울 수 있는 것이 진정한 예술의 목적이 아닐까?
도피이며 자아로의 탐닉이다.”
아래는 간략한 인터뷰이
세바스티안의 작업에는 자연 현상들을 닮은 무언가 유기적이고 근본적인 요소들이 있다. 무한한 우주 공간을
AEJ: 작품 활동 외에 한국에서 하시는 일은 무엇입니까?
가로지르는 성운, 작은 세포들의 구조, 그리고 해양
SM: 영어 선생님으로 현재 울산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생물들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문양들 등이 그것이다.
가르치거나 작품 활동을 하는 것 외에는 보통 여행, 술
전통적인 붓질을 피함으로써 이렇게 자생하는 듯 한
마시기, 하이킹, 그리고 부족한 한국어 실력 탓에 어색한
미묘한 이미지를 얻어낸다. 마치 연금술사처럼 중력, 물,
상황 만들기 등이 저의 일상입니다.
Sebastian Montes
공기, 그리고 물감의 다양한 화학적 작용을 즉흥적으로 혼합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이렇듯 무질서하고 예견될
AEJ: 한국을 느끼며…….
수 없는 요소들을 사용하면서도 화면에는 형태와 색채의
SM: 한국은 참 멋진 곳입니다. 멋진 시간을 보내고 있는
어떤 조화가 발견되곤 한다. 그것은 마치 우리의 인생이
중이고 사람들도 참 친절합니다. 서로 다른 많은 도시를
굴곡지고도 정제되는 어떤 균형에 관한 것이라는 것과
찾아다니고 있는 중이고요. 미국의 어떤 도시에서도
비슷할 수 있을 것이다.
찾아볼 수 없었던 묘한 매력과 에너지가 넘친다고
그림에는 어떤 완결된 의미라는 것이 있을 수 없다.
생각합니다. 자신의 삶을 살며 약동하는 많은 사람들,
어떻게 특정한 한 아이디어를 그림을 완성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사건들 등이 매우 혼란스러우면서도 활력이
구체화하거나 전달할 것인가에 관해 고민하기보다 또
넘치는 듯합니다. 이 곳의 일원이 되어 살아가고 있다는
다른 가능성을 열어두는 통로로 작용될 수 있다. 화가는
것은 저에게 놀라운 경험이 아닐 수 없습니다.
주로 선호하는 색과 형태들을 선택하여 어떤 강한 시각적 경험을 나타내는 한 조화로운 회화 세계를 구축하고자
AEJ: 영감은 주로 어디서 얻는 편이며 현재 어떤 작업을
한다. 오직 그림이 완성되었다고 생각될 때 그림 앞에
하고 계십니까?
앉아 그것이 파생시키는 여러 생각들을 정리하며 의미를
SM: 주로 영감을 받게 되는 것은 가장 넓은 감각으로서
부여한다. 주로 경험과 관심사로부터 작품이 시작되는데,
지각하게 되는 자연으로부터 파생된다고 생각됩니다.
그것이 생물학이든, 과학 소설이든, 혹은 단순한 일상생활
장소와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 등에 대한 일종의
속의 한 순간이든, 이것들은 명백히 작품 활동에 영향을
친밀감을 갖고 있는데 제 작품은 그러한 친밀감에 대한
끼치며 작품의 제목에서 보다 명백히 드러나거나 혹은
반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언가가 살아 존재한다는
감추어지기도 한다. 결국 그림은 화가 자신으로의
사실 자체, 그리고 아름답고 거대한, 인간의 경험을
도피이기에, 그것에 대한 타인의 관심이 자신에게는 때론
통해 이루어지는 이들과의 상호 작용이 저에게는 매우
놀라움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흥미롭고 동시에 당혹스럽기도 합니다. 가을 낙엽, 습지의
어떤 본능적이고 시각적인 경험을 언어로 축약시키는
곤충들, 무지갯빛을 띠는 기름 낀 도시 등의 모든 것이
26
(above) Constellation 4, acrylic on canvas, 2016. (left) Femto Paradise, acrylic on canvas, 2016.
너무도 아름답고 신기합니다. 저는 그저 이러한 것들에
AEJ:무엇이 당신을 한국으로 오게 했는지요?
관심을 가지려 노력합니다. 저의 이러한 호기심이 제
SM: 여러 이유로 한국에 오게 되었는데요. 우선 떠오르는
작품에 묻어나길 바랍니다.
것들은 어떤 새로움, 사랑, 돈, 모험, 경험 그리고 여행
실은 최근에 그림을 잠시 쉬고 있는데, 이유는 이사를
등의 이유입니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얻은 것도, 잃은
계획하고 있어 그림을 그릴 만한 공간이 여의치 않기
것도 많지만 살아가며 배우는 것이라 생각하기에 결코
때문입니다. 대신 추상적인 이미지의 큰 목탄 드로잉을
후회하지 않습니다. 그 당시 저는 삶의 교차 지점에 서
하고 있고요. 최근에는 제 친구가 쓴 일련의 시들에 관한
있었고, 한 쪽에는 텍사스의 익숙하고 일상적인 삶이,
일러스트들을 완성했습니다. 친구와 저는 다른 사람들과
다른 한 쪽에는 ‘한국’이라는 미지의 나라가 있었습니다.
공유할 수 있는 책을 만드는 중이고요. 이 때문에 제
한국은 저에게 어떤 ‘기회’로 다가왔고 저는 기쁘게 그것을
작업을 마음껏 하지 못해 서운한 면이 있었지만 목탄
받아들였습니다.
세바스찬 몬테
드로잉에 관련한 저만의 테크닉과 제 그림을 더욱 훌륭하게 만들 수 있는 시각을 키우는 중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AEJ:예술적 삶에 영향을 끼친 사람들에 대해 알려주세요.
저의 경험이 제 작품을 어떻게 달라지게 만들지 많이
SM: 어린 시절에 저에게 영향을 끼친 사람은 물론 저의
기대됩니다.
가족들과 친구들입니다. 예술에 관한 한, 자라는 동안 모든 사람들이 저에게 지지를 해 주었고 많은 격려를 해
AEJ: 동기 부여를 하나요?
주었습니다. 이는 이 시기의 모든 사람들의 창의력 고양에
SM: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은 언제나 매우 기쁘고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설레는 일이자 예술에 있어 저에게 필요한 단 한 가지의
또한 미술을 전공한 7년간의 학교생활 기간 동안
동기입니다. 제 작품이 몇 년 사이 진화하고 발전하는
저에게 영향을 끼친 선생님들과 동기들도 간과할 수
것을 보는 것이 제 인생에 있어 가장 큰 기쁨이었고 계속
없는데요. 그 시간 동안 그들과 함께 작업하고 많은
지속되었으면 싶은 단 하나의 경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작가들에게 저를 알릴 수 있었던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예술이 무엇이며 예술 작품을
AEJ: 드로잉의 주요 기능은?
만드는 데에 나의 인생을 모두 바친다는 것이 무슨
SM: 드로잉은 종종 한 작가에게 있어 그만의 고유한
의미인지를 확실히 알게 해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Sebastian Montes
창의력과 예술적 감수성에 대해 탐구하고 몰두하게 하는 첫 번째 경험이라 생각되고 확실히 저에게 그러했다고
AEJ: 작품 활동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생각됩니다. 드로잉은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하고,
생각됩니까?
즉흥적이며, 또한 기쁨을 주는 행위입니다. 그것은 저에게
SM: 예술가로서 혹은 한 인간으로서 침체되지 않으려
작업을 하게 하는 단초가 되어 줍니다. 제 모든 그림들에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장소를
배어 있고요. 제 스케치북 곳곳에 그 흔적들이 있습니다.
탐험하거나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거나, 혹은 새로운
최근에는 드로잉이 저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제
것들을 시도함에 있어 두려움이나 불안함을 극복하는
창의력을 실험하는 데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것 또한 중요합니다. 예술가로 산다는 것은 한 편으로
기본적으로 저는 예술이 의식의 변화를 가져올
보다 흥미로운 삶을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수 있는 언어, 이미지, 소리 등의 조작이라고 봅니다.
예술가로서나 한 개인으로서나 작업에 만족하기만 하는
이러한 변화들을 거친 결과물이 비록 보잘것없고 극히
채로 있고 싶지 않고 현실에 안주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개인적인 것일 수도 있겠지만 밝혀지지 않은 무한한 방식으로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AEJ: 마지막으로 브라켓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생각합니다. 회화가 갖는 이러한 예측할 수 없는 힘은
있으신지요?
저를 고무시킵니다. 그것은 식상하고 물질만능주의인
SM: 비록 한국은 자체의 문제들을 갖고 있기는
우리 문화권 안에서 쉽게 파악되지 않는 연금술과도
하지만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자랑할 만한 많은 것들을
같은 마법입니다. 그것이 바로 예술이 단순한 오락거리나
이루었습니다. 저는 그러한 이 나라의 작은 한 부분으로
고가품 이상의 가치를 갖게 되는 이유입니다. 예술의
살고 있다는 것에 감사합니다. [b]
바로 그러한 힘이 사람들을 어떤 예측할 수 없는 미지의 영역으로 이끌어 그들의 영혼을 고양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Kim Min Ki Whit Altizer
28
ㅅㅣㄴㅅㅗㅇㅕㅇ, canvas C-print, acrylic painting, pen drawing, 2015.
Kim Min-Ki isn’t perfect, but his art almost perfectly captures the uniqueness of humans and the shame we sometimes feel in our own imperfections. Through paint, pen and sculpture; Kim turns humans inside out and forces us to reckon with what is inside. What Kim reveals is the inner struggle and growth humans encounter that make us unique, but also the individual paths we must walk down and obstacles we inevitably face along the way. In his “Gyeol” series Kim focuses on individual humans through portraits. The Korean term gyeol translates to “texture” or as Kim’s series introduction puts it “the
knitted pattern formed by consistent ply.” Gyeol, as Kim is using it, is speaking to the “journey of lines.” Kim uses lines in his work that meander and bend around the face bringing to mind the sharp turns our lives can sometimes take. The lines also expose the many layers of people, in particular the layer behind the face, or mask, people wear. Often we use our face to hide anger, infatuation, dishonesty, pleasure, or discomfort. A smile can mask heartbreak, a resting face can be misinterpreted as anger. Kim’s lines, then, take us on journey behind the eyes. We are taken to a place we can’t always see in others and one that we personally don’t always want to reveal.
30
김민기
(left) ㄱㅏㅇㅇㅣㄴㅎㅕㄱ, automotive paint and welding on iron, 2016.
Kim Min Ki
(right) ㅇㅣㄷㅗㅇㅠㄴ, acrylic painting, pen drawing, 2015.
These faces also bring to mind a fingerprint or a contour map. If seen as a map, the work shows the peaks and valleys of the face such as the tip of the nose or the depth of an eye socket. Removing the details of the face and replacing them with lines somehow seems to both dehumanize and reveal details about the subject. We can’t necessarily see the beauty or imperfections of the subject, but we can still see their essence allowing us to look beyond the face itself. The lines also show that experiences that feel like a derailment or a sudden detour in life find their place and keep us moving forward, unbroken. Each line in the faces play
a part in the construction of the person, and the choices we make. Kim gives us a sense that among the lines and paths in our being, all experiences are just part of the journey and landscape of our experience. “Gyeol” is filled with both hope and fear for what we know about ourselves and what we choose to hide. Though the humans he depicts are faceless, the work still emphasizes the singularity of individuals. That behind our bright and fearful eyes, and even while we are walking down the path of life with a brave face, we are all on an inner-journey often with only ourselves to bear witness. [b]
종속큐레이터 Yoon Kew Hong 윤규홍/예술 사회학
글 쓰는 게 나의 일 가운데 한 가지라고 한다면, 지금 이
독립큐레이터라는 호칭이 예술계에서 쓰이기 시작한
글을 쓰는 난 일을 막 시작한 셈이다. 한두 시간 후에는 이
지 벌써 20년이 되었다. 1980년대 말 미국 영화학계에서
일을 끝내는 순간이 어김없이 올 것이다. 끝낸 다음엔 뭘
독립영화(independent movie/film)라는 용어에서
하지? 영화로도 각색된 스티븐 킹 원작의 소설 <미저리
유래된 독립큐레이터는 정작 영화에서는 개념에 대한
Misery>를 보면, 가련한 주인공 폴 셜던은 단편 소설을
비판적인 환류가 벌어지고 있음에도, 한국 미술에서는
마무리할 때마다 시가 하나를 꺼내어 태우는 습관이 있다.
여전히 통하는 직함이다. 상당한 시간이 지난 탓에 산뜻한
말하자면 자신에게 내리는 셀프 포상인 셈이다. 담배 안
맛은 사라졌지만, 스스로를 독립작가라고 소개하는
피는 나는 뭘 할까 생각해 보니까 별 건 없고, 원고 하나를
미술가까지 생긴 걸 보더라도 어감이 전하는 힘은
끝내면 그 자리에서 5분 정도를 멍하게 있었다.
남아있다.
작문 실력이 모자라는 내게 글쓰기가 재미있었던
많은 사람들이 독립큐레이터를 자칭하지만 속사정은
적은 당연히 별로 없다. 그래서 글을 마쳤다는 해방감은
조금씩 다르다. 정확한 사실은 통계학 분산분석을
더 달콤하다. 그때는 모르긴 몰라도 옥시토신, 도파민,
통해 분류해보면 가늠될 거다. 하지만 실증 조사를
엔도르핀, 온갖 상쾌함의 호르몬들이 몸속에서 솟구치는
하지 않더라도 이 호칭을 둘러싼 가치는 낭만주의적
것 같다. ‘그래, 게을러빠진 윤규홍 원래 내 모습으로
예술가 태도에 닿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독립이 품은
돌아온 거야!’라며 맞는 이 엑스타시의 전조는 직함을
유토피아적 의미는 좀 케케묵은 감이 있지만, 임마누엘
쓸 때부터 슬슬 발동된다. 주로 마지막 문장 밑에 괄호를
칸트의 법철학에서 인간들이 미숙한 상태로부터
치고 적는 직함은 이름과 더불어 간략한 소개가 들어간다
벗어나는 계몽과 해방으로 설명된다. 계몽은 선각자의
(여기 브라켓에도 적혀있지 않나).
몫이며, 해방은 물리적인 자위권이 받혀줘야 한다.
이런저런 책을 읽다보면 필진들이 남기는 직함이
뭔가 하면, 미술 체제로부터의 독립은 일종의 전위적
눈에 들어온다. 가장 흔한 게 무슨 학교에서 무슨 전공을
움직임이며, 숫자상 소수지만 타락한 다수에 대항할
하고 있다는 표기다. 예술사회학이란 직함을 곧잘
수 있는 머리(진)와 도덕(선)과 감각(미)을 가진 자들의
쓰는 나도 포함되겠구나. 본인 직장과 직급을 정직하게
투쟁이란 뜻이다.
붙이는 것도 또 다른 방법이다. 하긴 이런 것 말고 공적인
그런데 이게 현실과는 차이가 있지 않나? 무소속
매체에 장난기 가득한 자기소개를 붙이는 게 쉽진 않을
국회의원들을 보자. 그들이 여야 구도의 정당제를
듯싶다. 예를 들면 ‘미녀’, ‘혈액형 따짐은 미신이란 걸
부정하지 않는 이상 무소속 신분으로 남을 수밖에 없는
나도 알지만 아무튼 AB형’ ‘취업준비자’ 같은 것 말이다.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정치를 예술과 곧장 대비할 수는
어떤 일간지 칼럼에 직함 여러 개를 써도 좋다기에 ‘
없다. 하지만 또한 나름의 권력이 작동하는 이 판에서
강박증이 상당히 호전됨’은 어떨까 제안했는데 씨알도
자칭 독립큐레이터들 모두를 미술관, 대학교, 행정기관
안 먹혔다. 어떤 신문사가 정신병자를 필자로 두었단 걸
취업희망자라고 부르는 건 위험하다. 다만 그처럼 좋은
밝히겠냐마는.
독립을 못 이뤄서 오늘도 조직에 얽매어 있는 나 같은
직함으로 전공 학위나 직장 같은 성취 지위를
존재는 독립의 반대말을 붙여 종속큐레이터라고 불려도
쓰는 일은 자랑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그
되겠지? 독립된 주체로 작가와 민관학의 여러 사람들
사람은 평생 동안 학교나 직장에서 못 벗어나는 딱한
눈치 안 보고 맘껏 예술을 할 수 있다면, 그 독립큐레이터,
처지일 수도 있는데 말이다. 그래서 때로는 무소속이
나도 원한다.
돋보일 때가 있다. 후광이나 밥줄을 끊은 채 오직 자신이 전적인 신뢰의 주체가 되는 운명, 멋지지 않나?
(윤규홍, 예술사회학/갤러리 분도 아트디렉터)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