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December 2015 Online

Page 1

ISSN 2384-3861

9 772384 386001

54


2


Editor’s Letter Chung Sae Yong 편집자의 글

editor in chief

지난 10월1일 부터 10일 동안 대구 방천시장에서 Artist Run Space 국제전을 개최하였습니다. 국제전은 작년에 밀라노 작가들에 이어 두 번째로 B커뮤니케이션이 기획하여 이어나가는 전시입니다. 이번엔 대구의 독립 시각미술잡지 [b]racket 잡지 구성원들과 그들이 추천한 외국작가들, 그리고 B커뮤니케이션에서 전시한 젊은 작가들이 함께 참여하였습니다. 한국을 포함해 미국, 캐나다, 영국, 온두라스, 남아프리카공화국, 6개국에서 온 총 30명의 다양한 장르, 작가들이 방천시장 내 몇 개의 대안공간에 흩어져 전시하였습니다. 전시한 작가는 대구 Bangchun Artist Run Space 참여 작가들 강민영, 김현수, 변지현, 심규리, 유현, 이민주, 이정, 정인희, 한승훈이 참여하였고 [b]racket 잡지 멤버들은 Jess Hinshaw, Christopher Cote, Mary Heinzel, Sybille Cavasin, Meryl Booth, 김윤경, 안은지, 정세용이 참여하였습니다. 그리고 [b]racket 추천 외국 작가들은 Paul Estabrook, Olga Demerendij, Kalena Carter, Stephen Nicol, Joe Berube, Raquel Cruz, Lawrence Blackman, Thurlo Adams, Unmaru, Amy Smith and Tony Clavelli, 레이박, 임나리가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떼아뜨르 분도에서 세미나도 진행하였습니다. 예술가들이 사회와 관계 맺는 다양한 방법과 그 실천 중 잡지를 통한 예술 사회 운동을 하는 bracket 잡지의 만들어진 배경과 의미 그리고 진행된 과정을 Christopher Cote가 발표하였습니다. 필자는 B커뮤니케이션이 방천시장 예술프로젝트에 참여한 후 전시기획과 아트마켓 그리고 마을축제를 기획하게 된 활동을 발표하였습니다.

Editor’s Letter

이번 전시와 세미나는 잡지를 통해 알게 된 좋은 작가들과의 교류와 그들의 작품들을 실제로 감상할 수 있었고 [b]racket의 방향성을 되짚어보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참여한 모든 예술가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며 내년에도 전시를 통해 다시 만나기를 바랍니다.


[b]racket Issue 27 December 2015

staff

Chung Sae Yong [editor in chief] Christopher Cote [design editor] Whit Altizer [words editor] Seo Hee Joo, PhD [words editor] Kim Yoon Kyung [translation] Yoon Kyung Amanda Lee [digital editor]

artists

Jeong In Hee cocamika@daum.net Andy Knowlton knowltonandy@gmail.com Junkhouse junkhouse.sue@gmail.com Lee Ji Youn leejiyoun07@gmail.com Lucas Redondo Bonet lucasredondo@hotmail.com Joe Wabe joewabe@gmail.com

writers

Sybille Cavasin s.cavasin@hotmail.com An Eun Ji blueblina@naver.com Meryl Booth boothmeryl@gmail.com Greg Reynaud goyovista@gmail.com Lindsay Nash lindsaynash@yahoo.com

contact

bracketmagazinekorea.com bracket.magazine@gmail.com facebook.com/bracketmagazine

supported by

본 사업은 2015 대구문화재단 우수기획사업으로 지원받았습니다.

문화재단 우수기획사업으로 지원받았습니다.

본 사업은 2015 대구문화재단 우수기획사업으로 지원받았습니다.

Copyright for Magazine © 2015 [b]racket magazine Copyright for works of art by 2015 [b]racket magazine Used by permission. All Rights Reserved. Publisher Editor in Chief / Chung, Sae yong 2232-26, Dalgubul-daero, Jung-gu, Daegu, S.Korea tel +82 10 3811 1229 www.bracketmagazinekorea.com bracket.magazine@gmail.com

4


6

Jeong In Hee

18

Lee Ji Youn

10

Andy Knowlton

22

Lucas Redondo Bonet

14

Junkhouse

(cover)

26

Joe Wabe


Jeong In Hee Sybille Cavasin writer

6


정인희

Jeong In Hee

Upon opening the withered doors of a gallery, a large neon sign illuminating the title of the exhibit, The prison notebook, urgently commanded our attention. Beyond the fluorescent light, sheets of semi-reflective paper coated the walls. Abstract blocks of color bestrewed the art, interrupting and contrasting with the paper’s shiny appearance. As we explored the space our distorted reflections in the work became a prominent feature, like dark shadowy blobs following us around the room. Leaning in to get a closer look, I noticed writing etched into an otherwise smooth surface, but the words were hardly legible. Meanwhile,

my friend reached for a tiny laser suspended from the ceiling by a wire. With the click of a button the writing became clear underneath the glowing ball of light. “It’s her diary,” he uttered to me as we followed the illuminated script in silence. When our eyes made their way across the glossy panels of writing it didn’t feel dishonest, like it would if we were reading secretly out of someone’s journal. Instead it seemed as though I was getting to know the artist, Jeong In Hee. I felt compassion for her struggles, and found myself increasingly curious about her life. The prison notebook is a series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viewers and art, inviting spectators to complete it. It was a unique experience with art and I felt something special had been unearthed. Jeong’s work found inspiration in essays by Italian Marxist Antonio Gramsci. While he was imprisoned by Italy’s Fascist government he wrote about a lot of different topics. “He often scratched words onto various surfaces with sharp instruments not to get caught,” Jeong explained. “I realized that I also feel as if I am being imprisoned when I am alone in my studio,” she says. Jeong re-read diaries she kept throughout her twenties and now incorporates them into


8


정인희

Jeong In Hee

her art. Making her past public allows her to free herself from its grips. For Jeong, art is a meaningful mode of expression. “In my work, I try to reflect both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world that surrounds me.” Art isn’t always glamorous, but for Jeong it is a way of escaping sadness and worry. “Although making art doesn’t guarantee material wealth, it benefits mental health. It helps me relieve anxiety and satisfy my desires, which is one good thing about being an artist.” Reading and writing are forms of communication that are unique to human beings. Like art, writing can tear down a lot of boundaries presented by

the spoken word. Most people have practiced this as a creative outlet and will understand the connection Jeong is making. Our hopes, dreams, feelings, ambitions, and memories are scribbled onto pages when we are alone and kept hidden in notebooks, usually never to be shared with anyone. “I make art, daydream, and imagine things not to feel imprisoned,” she says. In an attempt to free herself and relate with others, Jeong bravely invites strangers to observe this extremely personal act of creative freedom in The prison notebook. Imagine how liberating that must be. [b]


Andy Knowlton An Eun Ji

프랑스에서 태어나고 워싱턴D. C

필자는 기억한다. 학창 시절

눈을 사로잡는 편지지가 매개체가

에서 자란 앤디 놀튼은 대학 졸업

크리스마스나 어느 특별한 날, 반

되었든, 어찌됐건 그것으로부터의

후 시와 글쓰기를 꾸준히 해오다,

전체 학우들이 적은 글귀와 편지들을

제의로 누군가가 손을 뻗어

출판의 어려움을 깨닫고 여러 방안을

박스 안에 섞어 학우들이 임의로

결국은 개인적인 만남을 가졌을

궁리했다. 자신의 시를 사람들이

한 사람씩 하나하나 뽑아서 읽던

것이다. Drunken Poets Dolls

읽기를 원하는데 어떻게 하면 보다

재미를 기억한다. 마치 들켜버린

프로젝트는 애초에 자신의 시를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을지를

남의 마음을 읽어버린 듯, 비밀스런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시키는

연구하다가 마침내 지나가는

쪽지와 연결된 나는 누가 썼는지도

욕망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골목길이나, 책방-책 사이에 끼워진

모른 체, 공인된 사적인 만남을

전통적인 방식인 복사-인쇄-대량

쪽지, 카페, 심지어 옷집에 있는

통해 느낀 묘한 기억들이 생각났다.

생산에서 벗어나 원본 단 하나의

옷가지들의 주머니 속에 자신의 시를

앤디의 메모도 길바닥에 앉힌

시와 익명의 행인이 만난다는

숨겨 넣기 시작했다.

인형이든, SNS 공해로 부터 피로한

점에서 일회적, 일시적이다. 어찌

10


Andy Knowlton 앤디 놀튼


12


앤디 놀튼

보면 예기치 않은 블라인드 데이트

지나다니는 길가의 벽을 꾸미는

같기도 하다. 은밀한 소통의 손길로

일이다. 벽을 구성하는 벽돌의 긴

유인하는 그의 드렁큰 인형들은

면과 짧은 면의 짜임새로 남겨진

그로테스크하고 어딘가 어색하다는

형태는 작은 액자들이 나열되어

인상을 받을 수도 있다. 그래서

매일 지나다니던 앤디에게 말을 걸어

더 연민이 가고 다가가서 그의

온 모양이다. 일과 집을 반복하며

취중진담을 들어줘야 할 것 같다.

권태로운 ‘지나다니기’에 지친 그는

Andy Knowlton

누군가는 길을 가다가

앙증맞고 귀여운 인형들을 벽돌

술에 또는 시에 취한 인형을 발견할

사이사이에 앉히거나, 세워 넣어 큰

것이고(길 위에는 앤디가 직접

벽면 갤러리를 완성 시켰다. 멕시코

만든 인형에 시가 적힌 메모를

민속 공예에 관심이 생긴 시기라

병과 함께 올려놓는다), 누군가는

비슷하게 모사하지 않아도, 인형의

커피를 마시며 테이블 위에 놓인

모습이나 캐릭터들이 원시 부족의

러브레터를,혹은 피팅룸에서 입어

형태를 닮아 있다. 캐릭터들은

본 옷의 주머니 속에서 우연찮게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만져지는 엔디의 시구는 그 사람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부터 소방관,

하루를 바꿔놓을 것이다. 예기치

경찰, 슈퍼맨, 레고, 배트맨,

않은 설렘과 만남은 평범한 일상을

드라큘라 등 여러 가지 캐릭터들과

사는 우리에게 짜릿한 감동을 준다.

어떤 인형은 꽃을 들고 있고 시가

문학적 상상력과 이야기로

적힌 메모를 들고 있는 인형까지

채워지는 그의 세계는 VIVA LA

그의 작품에 대한 태도를 읽을 수

VIDA 프로젝트에서도 보인다. 650

있다. [b]

개가량의 손수 만든 인형으로 매일


Junkhouse Greg Reynaud

14


정크하우스

Junkhouse

South Korea’s post-war reconstruction efforts deemed it necessary to forego the tan and earth toned habitations in favor of concrete and steel. Once undisturbed views of green hills and mountains are now accompanied by grayish towers stretching to the sky.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are regarded as antiquities, ancestors to this world of rapid transition. Modernized cities built on the decay of the past are where the work of Junkhouse thrives. Cruise along the streets of Busan or Seoul and you just might run into some of Junkhouse’s colorful idiosyncratic characters frolicking about concrete walls.

Junkhouse is a prolific artist with formal training and an abundance of experience. Her education began with a Multimedia Design diploma from Induk University in 2001, which culminated in a move to Melbourne, Australia. She went on to complete a Bachelor’s in Graphic Design from RMIT and received her Master’s in Multimedia Design from Monash. In addition to having over thirt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projects under her belt, she has participated in several residencies and workshops throughout South Korea. The name Junkhouse itself is a patchwork, a reference to

her 2003 dwelling, a “real life junkhouse” for prudent students in Seoul. The name also represents a yearning to be understood by Koreans and English speakers alike. As a resident, Junkhouse is fully aware of the concrete jungle that is Seoul. Her artist statement reads, “Everything that exists, regardless of size and material, are life forms that breathe.” Her brush strokes awaken urban landscapes from their greyish slumber, transforming them into a pulsating labyrinth of color and vitality. Her work often starts with a sketchbook and black pen. She transplants


16


정크하우스

Junkhouse

her sketches onto canvas or larger surfaces. Initially, she took her art to the streets by wheatpasting images onto walls and buildings. These days, you may find her in a gallery or in broad daylight, standing atop a scaffolding lift, armed with a brush and acrylic paint. The morphed nature of her work can be construed as a reflection of how urban cities are constructed. Pathways often intersect and twist recklessly through the city in a way that seems unplanned. Creating the essence of an environment

where wildlife and humans coexist, may be a way to survive the hustle and bustle of metropolitan life. Symbiosis existing in both organic and inorganic settings, Junkhouse seeks to “find comfort and peace from places surrounded by concrete and cement, rather than earth and grass.” Rich earth tones are interwoven with the hues of flora and fauna to create “beautiful mutations” which are more “friendly, adorable, and ecstatic” as opposed to “strange, ugly, and atrocious.”

Upon first view, her artwork may inspire prepubescent recollections of an animated wonderland while the politically-minded may take it as a cry against the bulldozers of capitalism. Others may simply view it as an aesthetic improvement to their daily commute. Regardless of the artistic eye of the urbanite, all walks of life can find value in the imaginative world of Junkhouse. [b]


Lee Ji Youn Meryl Booth

Walking down a side street in Daegu, or any major city in Korea, one will often find objects discarded and abandoned in front of residential apartments, furniture stores and most other buildings. Upon the exploration of the city you can expect to come across the skeletal remains of various interesting objects. Lee Ji Youn carefully combines these neglected materials to create a new narrative.

These days Lee gets inspiration from the streets of Daegu, but the Korean-born artist spent the last 12 years living in Europe developing her artistic voice. There she studied at the Bellecour School of Art in France, took residencies at museums and exhibited her work all over Western Europe. After being away for more than a decade, Lee returned to her hometown where she continues to find artistic inspiration. In

18


이지윤

Lee Ji Youn

Daegu her work is influenced by “Korea’s urban scenery [as it] appears more precarious.” Lee spends a lot of time walking through the dingy alleyways of the city, collecting as many objects and scraps as her arms can carry. For her installation entitled “Falls of the Landscape,” Lee spent every day over five months collecting a range of materials. During these harvests, she walks

through the city and analyzes her surroundings, observing the environment and what she refers to as the circulation of life. When creating her sculptures, she doesn’t alter the found materials. Instead she repurposes them by only placing them alongside other pieces. She leaves the objects to “retain their original state, their nakedness, their authenticity,” and by placing certain objects

together she creates “new meanings both formal and spiritual.” The discarded objects have physical limitations and a predetermined purpose, which is to say that an umbrella such as in n.9 Falls of the Landscape (page 20) has no other use than shielding a person from rain. It is impossible for the viewer to disassociate the objective reality from the objects in the


20


이지윤

Lee Ji Youn

sculpture. Lee says that every piece in the installation “grows mentally toward its limits and its physical properties in the space where it is placed.” Lee questions the history and process of the different pieces in her sculptures. Using materials, which she often describes as being derisory, she aims to “exploit the poetic density of the everyday, the mundane, the left behind, the ephemeral and unstable.” While she collects these objects, she often imagines their origin and relationship in a human way. She describes the table in n.7 Falls of the Landscape (page 18) as having experienced a kind of shock, resulting in a large hole in the center. Several pieces of measuring tape and linear objects are layered on top and the colorful plastic animal

shapes are scattered and allowed to fall through the piece. The use of the deserted objects provokes the viewer to reflect on the values of society in relation to careless abandonment of material objects and memories. Lee states that time glides noiselessly in some of her pieces and an attentive look reveals something, which finally renders the deserted objects useful. The back streets of the city become removed and the sculpture exists in a state that Lee terms anti-spectacular. In her economic and poetic reconstruction, these fallen landscapes grow in the mind and are only limited by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b]


Lucas Redondo Bonet Seo Hee Joo, PhD

5살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다는

그는 과감한 결정을 했던 것이다.

빠질 수 없는 예술가들의 나라에서

루카스 레돈도 보넷(Lucas Redondo

일본에서 박사학위까지 마친 그는

태어나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던

Bonet)은 스페인 발렌시아

현재, 대구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소년이었다고 자랑스럽게 말한다.

대학에서 미술사로 석사학위를

있다. 한국에 온 후, 여러 전시에도

그가 가장 존경하고 감탄하는

받았으며 도쿄예술대학에서 회화를

참여하여 교수로서뿐만 아니라

예술가도 스페인을 대표하는

공부했다. 2001년 와세다 대학에

화가로서도 열정적이고 모범적인

사실주의 화가 안토니오 로페스

교환학생으로 일본을 방문한 것이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는 11월 대구

가르시아(Antonio Lopez Garcia,

그가 화가의 길로 들어서게 되는

방천에서 개인전을 개최하기도 했다.

b. 1936)이다. 그는 안토니오

계기가 되었다. 루카스 레돈도의

그의 열정적인 삶에서

로페스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스케치를 본 일본 교수의 초대로

미술의 나라 스페인 사람다운 모습이

외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

도쿄예술대학 화화과에 입학하게

보인다고 말한다면 상투적으로

작품에 내재되어있는 진정성과

된 것이다. 만약 우리였다면, 타국이

들리지도 모른다. 어쨌든 그는 엘

예술성, 예술가로서의 성실성에

아닌 자신의 고국에서 재능을 펼칠

그레코, 벨라스케스, 고야, 피카소,

사로잡혔다고 한다.

기회를 마련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달리, 가우디 등 서양미술에서

무엇보다 우리가 그로부터

22


루카스 레돈도 보넷

Lucas Redondo Bonet

주목해야 할 점은 그가 세계의

모른다. 그래서 그는 누구보다 예술

이 작품들은 고향에 있는 가족,

진리를 드러내는 예술과 그 예술을

교육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친구들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통한 미적 경험의 가치를 믿고

삶에서 화가와 교욱자로서의 일은

경험을 나누는 방법이 된다. 즉,

있다는 점이다. 그는 자신이 힘들고

동등한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고향에 있는 그리운 사람들과 소식을

어려운 순간에 예술이 정신적인

그가 예술가가 된 배경과

나누는 소통의 방식인 것이다. 그의

의지가 되었던 경험으로부터 예술의

예술에 대한 생각을 알고 그의

또 다른 소재는 인물이다. 그는

가치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깨닫게

작품과 마주하면 우리는 더욱 풍부한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을 그림에

되었다고 한다. 다시 말하자면,

미적 경험을 하게 된다. 그의 작업은

등장시키는데 대부분 가족, 친구,

어린 시절, 부끄러움이 많은 성격에

여행에서 일어난 일과 인물이 주된

동료 등이 그의 모델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과 대화도 하지 않고

소재이다. 여행에서 일어난 일은

모델을 면밀히 관찰하여 통찰력

소통하지 않았던 그를 세계와 소통할

일기와 같은 기록의 형식이나 여행의

있게 모델의 삶을 표현해낸다. 사실

수 있도록 이끈 것이 그림이었다.

흔적을 더듬어 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얼굴과 표정에는 그 사람의

그에게 화가로의 삶은 어린 시절에

여행하는 동안 일어났던 다양한

삶과 인생이 담겨 있다. 작가의

이미 운명적으로 정해졌던 것일지도

이야기를 작품으로 담아낸 것이다.

통찰력 있는 직관과 미적 표현이


24


루카스 레돈도 보넷

만난 인물 초상화는 미적 경험자에게

비판한다. 그러나 이상주의는 현실에

더욱 풍부한 예술적 상상의 세계로

기반을 두고 있다. 루카스 레돈도는

안내하게 한다. 인물 초상화는 이런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예술의

점에서 매력적인 작품이 되는데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인식하고

우리는 작가가 그린 초상화만을

있다. 그의 예술적 신념은 철저히

통해서도 사람들의 다양한 삶을 엿볼

현실과 경험으로부터 출발하고

수 있다. 다양한 인물을 그린 그의

있다. 사실, 예술이 세계를 아름답게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그가 일본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은 오랜

회화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지만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자신의 예술적 근원인 스페인 미술의

신념을 가지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

역사적 전통 아래에 있음을 분명히

의해서 천천히 세계는 변화해 왔다.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그의 인물

루카스 레돈도의 작업도 이러한

초상이 동시대 작가들의 사실적인

실천에 놓여 있다. [b]

인물묘사와 다르기 때문이다. 동시대 미술에서 만나는 인물 초상들은 작품 내의 이미지 크기, 작품의 외형적 크기, 왜곡된 인물 표현 등으로 시각적 주목을 끈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는 서구 미술사에 기록된 스페인 화가들의 초상화에서 만나는 미적 특질이 엿보인다. 정적인 인물 묘사, 세부 표현, 인물의 구도, 표정, 감상자와 마주하고 있는 눈동자는 우리를 압도하지 않으면서고 작품으로 끌어당긴다.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그려진 그의 인물 초상화는 화려한 색이나 물감의 물질성이

Lucas Redondo Bonet

부각되는 붓질도 없이 담대하게 미감을 표출한다. 그의 작품은 고요하면서 힘이 있다. 작가의 내면으로부터 발화되는 여행의 일화와 인물 초상은 작가의 기록이자 예술적 기록이다. 어릴 적 자신을 성장시켰던 예술은 그에게 세계를 바라보는 창이 되었고 이 창을 통해서 탄생한 그의 작품들은 예술의 아름다운 작용을 여러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있다. 그는 이것을 ‘예술의 확산’이라고 말한다. 그가 희망하는 예술의 가치 확산이 사회 전반에 널리 퍼진다면 많은 사람들의 삶은 풍요롭고 아름답게 될 것이다. 혹자는 예술에 대한 이러한 신념을 이상주의라고 하면서 비현실적인 사고라고


Joe Wabe Lindsay Nash

26


Euny Lee 유니 리


Memories are muted. They are worn but warm, their edges softened over time in our minds. It’s these golden recollections that photographer Joe Wabe illustrates beautifully through his photography, connecting his experiences from the past to his present through a fine art camera angle. “The lack of contrast and warm pastel colors on my photos was a very popular film processing style when I was a kid,” Wabe said. “Giving my photos this color touch brings me back to those days of polaroids and family portraits of the late ‘70s and ‘80s. I love to give my photos that warm feeling that is inside me, and make the image warm and calm rather than bright and active.”

Wabe, a resident of Gwangju, was born in Costa Rica but grew up in Miami, and later graduated from university with a bachelor’s degree in liberal arts. He became an artist through graphic design, and eventually that work coalesced into photography. It’s easy to see design elements in his photographs, in addition to his natural talent to detect and capture a person’s most intimate self. His masterful eye proves that photography is more than a rule of thirds, but rather a dance, where the partners are light and dark, shadows and reflections, and contours with unseen masses of emotion. For example, in Wabe’s portrait of an elderly gentlemen

(“Untitled”, page 26-27), the viewer is taken directly to the man’s left eye, connecting our gaze to his in the brighter light. Then we follow the lines on his face to his open mouth and teeth and again to his forehead, where we imagine what he wonders, what he sees, what he feels at that moment. Wabe is mostly selftaught, but credits a lot of what he’s learned to other photographers. He has been an instrumental leader of the art community in Korea, where he has lived since 2002, when he first arrived with the World Cup. While working as an English and Spanish teacher, he also founded Art Elemento, an art magazine published in Gwangju for two years, which later

28


Joe Wabe 죠와베


turned into Photographers in Korea, a website that showcases some of the best photographers in the region. This project has seen great success, and has become the largest network of its kind in Korea, spanning several social media avenues. “My photos are inspired by my own experiences and feelings inside,” Wabe said. “There must be a connection with something I’ve done, or something I’ve experienced before in order to end up with a good photo. Therefore, people and objects are my favorite subjects. So I can say my life experience, and my relationship with my past and present are my biggest inspiration.”

His photos evoke a lot of emotion, and you can argue that maybe it’s the muted colors with the ajumma’s soft hands, like you see in “Untitled” (page 30). Or maybe it’s the beautiful balance of light and dark, which you can see with the lone fisherman in “Untitled” (page 28). But perhaps it’s mostly Wabe’s connection with this world that creates such beautiful images, and the feelings that those images evoke in his viewers. “I believe the best way to capture people and emotion is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Wabe said. “It doesn’t have to be a strong one, or a

long one but the more we know and understand the person who is being photographed the easier it will be to understand their emotions and how to make them come out naturally in a photograph.” In a world where it’s hard to slow down and life seems hectic, bright and oversaturated, it’s photos like these from Wabe that can help keep us grounded in the beautiful memories of yesterday. [b]

30


Euny Lee 유니 리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