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Drawing_DaegeonUh

Page 1


장애인 전용

교육연구시설(도서관), 제1종근린생활시설, 다중이용시설

■동선계획도

장애인 25인승 1대, 장애인 20인승 1대

열람실 3, 오피스, 오디토리움

열람실 1, 2, 매표소

영유아 자료실, 동아리방 주용도

리셉션, 일반자료실 1, 2

A4-01

A0-02

A2-04

도면목록표 (구조)

건축 일반사항 02

설계개요, 위치도, 지적도

실외재료마감표

실내재료마감표

실내마감상세도 01

A4-06

A4-07

계단실-1 확대평면도-2

계단실-2 확대평면도-1

계단실-2 확대평면도-2

A4-08

A2-13

지하1층 평면도

A6-04

A6-05

A6-06

A6-07

계단실-3 확대평면도-2

계단실-4 확대단면도 A4-09

A5-01

A5-02

(A5)

창호

A2-07 A4-03

(건축) A3-01

대지종,횡단면도 A5-08

계단실-1 확대평면도-1 화장실 잡상세도 01

01 지상4층 평면도

남 측 면 도

서 측 면 도

외부창호 안내도 A4-02

A7-03

A7-04

A7-05 NONE A7-06

A7-07

지상 5층 천장 평면도

창호결합 부분확대도 1

창호결합 부분확대도 3

북 측 면 도

잡상세도 02

우/오수 계획도 장애인 화장실 시설물 상세도 02 장애인 화장실 시설물 상세도 03

A7-01 지하 2층, 지상1/2/3/4층 확대 평면도

부분 상세 (A8)

2층 천장 평면도 지하 1층 천장 평면도 1/200

A0-09 NONE

(A3) 기본 도면 (A2) 장애인 화장실 시설물 상세도 01

03

A3-02 지상 1층 천장 평면도

외벽 확대 입, 단면도 01

외벽 확대 입, 단면도 02

A3-03 지상 3층 천장 평면도 지상 4층 천장 평면도

부분 단면 상세도 01

A8-02 부분 단면 상세도 02

A8-04

A8-05 계단 난간 상세도

지상5층 평면도 석고보드 상세도

A8-06

A8-08

A8-09

A8-10

우/오수 맨홀 집수정 상세도 1/20

A8-11

보강블럭 상세도

알루미늄 징크판 상세도

잡상세도 01

잡상세도 02

잡상세도 03

외벽 확대 입, 단면도 03 1/120

A5-11 NONE

A2-08 NONE

실내마감상세도 02 1/120 1/75 1/75 1/120 A7-02 지하 2층, 지상1/2/3/4층 화장실 전개도

S0-02

S0-03

구조일반사항 02

구조일반사항 03

S0-01 구조일반사항 01 NONE NONE NONE

S0-04

S0-05

S0-08

S0-09

S0-10

S0-11

S0-12

S0-13

S0-14

S0-16

구조일반사항 04

구조일반사항 05

S0-19

S1-00

S1-01

구조일반사항 06 NONE

철골구조일반사항 01

철골구조일반사항 02

철골구조일반사항 03

철골구조일반사항 04

철골구조일반사항 05

06

철골구조일반사항 07

08

S0-17 철골구조일반사항 10 철골구조일반사항 09

S0-18 구조 설명도 철골구조일반사항 12

S1-02

S0-06 구조일반사항 07 지하1층 구조 평면도

S1-03

S1-04

S1-05

S1-06

S1-07

11

지상 1층 구조 평면도

지상 2층 구조 평면도

지상 3층 구조 평면도 NONE

지상 4층 구조 평면도

지상 5층 구조 평면도

축열 COLUMN LINES

상세기호 DETAIL MARKING 입면기호 ELEVATION MARKING

실명 및 실번호 ROOM NAME & ROOM NUMBER

실명 ROOM NAME

FINISHED FLOOR LEVEL 슬라브(구조체)레벨 SLAB LEVEL

천정고 CEILING HEIGHT

실번호 ROOM NUMBER

창호기호 DOOR & WINDOW SYMBOL

문 (D)창문 (W)셔터 (T)그릴 (G) 비고 WDWW - WG

목재 (W)

철재 (S)

알루미늄 (A)

AW

SW ST SGFSD, FST

AG 스테인레스 SSDSSWSSTSSGFSSD, FSST

(P)PD PW -(SS)

창호에는 'F'표기 접두함. 예) FSD, FST, ...

창호부호

- 행어도어, FSN - 스크린방화셔터, SPD - 방음문 SSGT - 스텐레스그릴방범셔터, GB - 유리블럭, ...

도면명 기호 MAIN TITLE

DRAWING TITLE

단면기호 SECTION SYMBOL

방위표 NORTH ARROW 지점, 레벨표기 LEVEL INDICATION

A.D.

MATLMATERIAL

전개기호 DEVELOPMENT SYMBOL

-장애인화장실표지판: 각층 장애인화장실

-장애인경사로표지판: 1층 출입구 경사로주위, 2층

-장애인객석표시: 다목적홀 장애인승강기표시판

-장애인승강기표시판: 각층 ELEV홀 장애인객석표시 장애인화장실표지판 상세도

호(SYMBOLS)

MATERIALS LEGEND

A.G.ALUMINUM GRILL APPAPPROXIMATE ARCHARCHITECTURAL

ASALUMINUM SHUTTER

AU.D.AUTO DOOR AUTOAUTOMATIC AWALUMINUM WINDOW

BDBOARD

B.M.BENCH MARK BLBLOCK BLDG BUILDING

B.O.F.BOTTOM OF FOUNDATION BOTTOM OF FOOTING BOTBOTTOM BRBRICK

CHCHIMNEY C.H.CEILING HEIGHT C.J.CONTROL JOINT

CONCRETE MASONRY UNIT

CMU COLCOLUMN CONCCONCRETE

CONST.JT CONSTRUCTION JOINT

DDEEP OR DEPTH

D.C.DUST CHUTE DETDETAIL DIADIAMETER DNDOWN DWGDRAWING

EAEACH E.D.ELECTRIC DUCT

N.I.C.NOT

F.D.FLOOR DRAIN FDNFOUNDATION

ELEARTH LEVEL ELEC ELECTRICAL ELEVELEVATION ENTENTRANCE EQEQUAL EQPT EQUIPMEMT EXPEXPANSION EXSTEXISTING EXTEXTERIOR EWEACH WAY FIRERATED STEEL DOOR

FLFLOOR OR FLOOR LINE F.S.D. FTGFOOTING FF.FAR FACE

GAGAGE GALVGALVANIZED G.L.GROUND LINE GYPGYPSUM GYP.BD GYPSUM BOARD

HHEIGHT HDHANGDR DOOR HRHOUR

JANJANITOR JTJOINT

LLONGOR LENGTH LABLABORATORY LAVLAVATORY

중정

중정-데크

주차장 출입구

주차장

중정

화단

출입구

지상2층 옥상정원

구체콘크리트면처리/복합방수/보호몰탈/T170무근CON'C

구체콘크리트면처리/복합방수/보호몰탈/T170무근CON'C

구체콘크리트면처리/복합방수/보호몰탈/T170무근CON'C

구체콘크리트면처리/복합방수/보호몰탈/T170무근CON'C 아스팔트

탄성도막방수/시멘트몰탈

탄성도막방수/시멘트몰탈

구체콘크리트면처리/복합방수/보호몰탈/T170무근CON'C

구체콘크리트면처리/복합방수/보호몰탈/T170무근CON'C

화강석통석(조경공사) -

화강석통석(조경공사)

THK60 점토벽돌(조경공사)

THK60 점토벽돌(조경공사)

탄성도막방수/시멘트몰탈 화강석통석(조경공사) -

구체콘크리트면처리/탄성도막방수보호몰탈 목재데크(20*90)/지정색 오일스테인 2회/60*40@450 목재장선 100

지상3층 옥상정원 구체콘크리트면처리/탄성도막방수보호몰탈

지상4층 야외데크 구체콘크리트면처리/탄성도막방수보호몰탈

목재데크(20*90)/지정색 오일스테인 2회/60*40@450 목재장선 100

목재데크(20*90)/지정색 오일스테인 2회/60*40@450 목재장선 100

지상5층 야외데크 구체콘크리트면처리/탄성도막방수보호몰탈 목재데크(20*90)/지정색 오일스테인 2회/60*40@450 목재장선 100

외장 외장재 구체콘크리트면처리/탄성도막방수보호몰탈/THK130 가등급단열재

지붕 지붕재 구체콘크리트면처리/탄성도막방수보호몰탈/THK130 가등급단열재

THK0.7 알루미늄 징크(W=400)/각관 하지재 200

THK0.7 알루미늄 징크(W=400)/각관 하지재 200

THK30 화강석물갈기 + 잔다듬

THK50 시멘트 몰탈

F05: PVC 타일

THK3 PVC타일

THK27 시멘트 몰탈

THK7.5 자기질타일

THK30(최소) 시멘트 몰탈

액체방수

THK7.5 자기질타일

THK100(최소) 시멘트 몰탈

액체방수

THK10 폴리싱타일(논슬립형)

THK40 시멘트 몰탈

THK7 목재데크/오일스테인2회

THK93 목재장선

C01: 무늬코트

THK3 에폭시 라이닝

THK80 무근콘크리트

F10: 나무널 후로링

THK7 나무널후로링

THK93 목재장선

THK5 지정 카펫타일

THK25 시멘트 몰탈

F11: 단풍나무 후로링

THK78 목재장선구조 THK22 단풍나무 후로링

THK7 강화마루

THK93 온수온돌시스템

C02: 열경화성수지계타일(300*300*1.2)

C03: 스텐레스스틸천장판(500*500)

C04: 흡음텍스(600*600)

A2 A1

A2 A1

4-A층 FL 4층 FL

3-A층

GL+6,000

1-A층 FL GL+4,000

GL-2,000

Panel THK 5MM

Aluminium Panel THK 5MM 가등급 단열제 THK 100MM

THK 5MM

2H Steel FRAME (400*200)

Steel Mullion (60*150) Square Pipe THK 10MM 내화 페인트 2H

Steel FRAME (400*200)

Steel Pipe THK 10MM 내화 페인트 2H

Double LOW-E GLASS (THK 24MM)

Double LOW-E GLASS (THK 24MM)

Steel FRAME (400*200) Steel Pipe THK 10MM 내화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석고보드2겹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석고보드2겹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석고보드2겹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석고보드2겹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Aluminium Panel THK 5MM 가등급 단열제 THK 100MM 석고보드

5MM Aluminium Panel THK 5MM

Steel Mullion (60*150) Square Pipe THK 10MM 내화 페인트 2H

Double LOW-E GLASS (THK 24MM)

Steel FRAME (400*200) Steel Pipe THK 10MM 내화 페인트 2H

Aluminium Panel THK 5MM

Steel Mullion (60*150)

Steel FRAME (400*200)

Pipe THK 10MM

24MM) Steel Mullion (60*150)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Steel Mullion (60*150) Square

Steel Mullion (60*150)

Square Pipe THK 10MM 내화 페인트 2H

Mullion (60*150)

THK 7 흡음 카펫(DARK 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석고보드2겹

THK 100MM

LOW-E GLASS (THK 24MM) Aluminium Panel THK 5MM

THK 7 PVC 타일(YELLOW)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석고보드2겹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Deck PL THK 190

천장 경량 골조 M-bar 900*900 석고보드2겹

THK 7 PVC 타일(YELLOW)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H BEAM 400*600 2H 내화 페인트 H

Double LOW-E GLASS (THK 24MM)

Steel FRAME (400*200) Steel Pipe THK 10MM

2H

THK 5MM Double LOW-E GLASS (THK 24MM) Double LOW-E GLASS (THK 24MM)

Panel THK 5MM

THK 100MM

5MM Aluminium Panel THK 5MM

Steel FRAME (400*200)

Pipe THK 10MM

2H Double LOW-E GLASS (THK 24MM)

Panel THK 5MM

2)

3) 모든 금물은 해당 창호의 무게, 형태, 용도에 적합해야 하며

4) 모든 철제류는 1차 방청 도장 후 마감을 원칙으로 한다. 제출하여

5) 콘크리트 부분에 설치하는 JAMB FRAME, SILL 및 금물등의 하부에는 설치공간을 확보한

6) 문의 개폐 방향은 평면도를 참조한다.

7) 문짝의 디자인은 SHOP DWG, 또는 SAMPLE 제출 후 감독관의 승인을 얻은 후 시공한다.

8) 모든 창호 의 고정 철물은 @600 간격 이하로 고정 하여야 하며 FRAME 내부에 단열 몰탈로

9) 모든 STEEL 방화문에는 60K, 모든 STEEL DOOR 에는 16K 암면을 충진하고,

10) WINDOW의 잡철물은 그 제품의 부속된 제품일식으로 한다.

재료별

4x1/2x4" BALL BEARING

정 첩

창호 기능별

(D)(FD)(W)(S) (FS) (G) (F) (HD)

목 재 브 론

스텐레스 스틸

플라스틱

스텐레스 스틸 파이프

PHD: SANDWICH판넬행거문 MSD: 전통 슬라이드문 UCW: U-GLASS커튼월 기 타 VD: 금고문 CW:커튼월

숨 은 정 첩 (PIVOT HINGE) (BUTT HINGE)

피봇트 힌지

(AUTO HINGE)

(FLOOR HINGE)

도 어 클 로

(DOOR CLOSER)

(DOOR LOKSET)

(DOOR LOKSET)

도 아 록

(DOOR LOKSET)

패닉디바이스

(PANIC DEVICE)

보조잠금장치

(DEAD LOCK)

도어 핸들류

4x4" PLAIN BEARING

850x2000MM, 60KG

1050x2100MM, 120KG

1100x2400MM, 150KG

DR THK:50MM

1000x2100MM, 85KG

1200x2100MM, 100KG

1400x2100MM, 130KG

1600x2400MM, 160KG

1800x2400MM, 200KG

2200x2400MM, 240KG

WIDTH:1000MM, 100KG

WIDTH:1000MM, 100KG

WIDTH:1400MM, 250KG

WIDTH:1400MM, 250KG

SURFACE TYPE, 60KG

SURFACE TYPE, 110KG

SURFACE TYPE, GOLD COVER

CONCEALED TYPE, 85KG

공정(DOOR KNOB)

통로용(잠금장치 없음)

화장실용(안:보턴잠금 밖:등전열림)

사무실용(안:보턴잠금 밖:열쇠열림)

교실용(안:항상열림 밖:항상잠김,열쇠열림)

창고용(안:항상열림 밖:항상잠김,열쇠열림)

공정(DOOR KNOB)

통로용(잠금장치 없음)

화장실용(안:보턴잠금 밖:등전열림)

사무실용(안:보턴잠김 밖:열쇠열림)

교실용(안:항상열림 밖:항상잠김,열쇠열림)

창고용(안:항상열림 밖:항상잠김,열쇠열림)

상점용(안:열쇠열림,잠김 밖:열쇠열림,잠김

공정(DOOR KNOB)

통로용(잠금장치 없음)

사무실용(안:들림잠금 밖:열쇠열림)

안:밀고나감 밖:열쇠열림,잠김

안:밀고나감 밖:열쇠열림,잠김

SWING BOLT DEAD LOCK DEAD LOCK

BOTTOM RAIL DEAD LOCK

PULL HANDLE

핸들/밀판

CASE HANDLE, FLUSHRING

기타철물류

DOOR HOLDER

D/E SOCKET

DOOR SELECTOR

DOOR RELEASE

DOOR VIEWER

DOOR GUARD

KEY CABIMET

WOOD DOOR 및 점검구등 사용빈도수가 적은 문

STEEL DOOR 및 DOOR CLOSER가 설치되는 문 상시

내부 강화유리문 OFFSET HUNG

방화문 및 일반문에 사용 방화문 및 일반문에 사용

방화문 및 일반문에 사용(호텔 객실문 및 임원실 등)

교실,창고,기계,전기 등 관리가 필요한 실에 사용 양개문의 INACTIVE DOOR에 사용 방화문 및 일반문에 사용(호텔 객실문)

사무실문 등 일반실에 사용 사무실문등 일반실에 사용 화장실문에 사용 복도 등 통로에 사용 중요한 창고등에 사용 화장실문에 사용 복도 등 통로에 사용

중요한 창고등 통제가 필요한 실에 사용 교실,창고,기계,전기 등 관리가 필요한 실에 사용 양개문의 INACTIVE DOOR에 사용

복도등 통로에 사용

강화유리문용 핸들 강화유리문용 하부잠금장치 FRAME이 있는 유리문 잠금장치 점검구 및 일반보조 잠금장치 편개 비상탈출문에 사용 양개 비상탈출문에 사용 사무실문등 일반실에 사용 양개문의 INACTIVE DOOR에 사용 건물과 외부가 연결된 곳등 통제가 필요한 곳에 사용

닫힘순서 조절기 DOOR HOLDER 벽부용 도아스톱(방수 고려하여) 점검구 및 상시 개방형문에 사용 화장실문용 핸들

호텔 객실문등에 사용(감시경)

상시개방형방화문에 사용되어 열감지기등에 의해 자동 오르내리 꽂이쇠 및 강화유리문 잠금장치용 SOCKET WOOD DOOR 양개문의 오르내리 꽂이쇠 STEEL DOOR 양개문에 오르내리 꽂이쇠 바닥용 도아스톱 호텔 객실문등에 사용(보조잠금)

열쇠보관함,도아록 수를 고려하여 선택사용

구조체

D10@450 고정철물(TYP.)

네오프렌가스켓

THK1.6 STL/광명단위

오일페인트(TYP.)

(방화문일 경우) 네오프렌가스켓

BHEAD&JAMB 상세-2

SILL

FRAM "A"참조 내화용 가스켓 설치 -HEAD&JAMB,SILL 공통부분

라왕12x45/락카 라왕12x45/락카

THK.5.2 합판/락카 라왕12x45/락카 (손잡이쪽 보강) (정첩쪽 보강)

THK.5.2 합판/락카

바닥 마감선 (또는 SILL)

THK.5.2

(불소수지코팅)

압출바 -MEETING 부분 (50kg/M 락울 충진 사이렌사 3개소 설치 공통부분 -HEAD&JAMB,SILL

FRAM"A"참조 락울 충진 (50kg/M )

바닥 마감선 -재료분리대 설치시 락울 충진 (50kg/M )

L-50X50X6 (L=100 @450)/크롬산 아연 방청페인트1회 ∅ 10 앵커볼트)

L-30X30X3 @450/크롬산 아연 방청페인트1회 ∅ 행어로드 @450

THK1.6갈바륨강판/반사페인트 도장

L-30X30X3 @450/크롬산 아연 방청페인트1회

T9.5방수석고보드2겹위 비닐페인트 THK1.6갈바륨강판/조합페인트

1. 사용되는 전면 상부바는 스텐레스 폴리싱 또는 헤어라인을 절곡하여 사용한다.

2. 각종 부품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염산 및 암모니아에 강한 304(27종)로 조합된 것으로 한다.

3. 사용되는 판넬의 단면은 플라스틱 모서리 마감으로 한다.

4. 심재는 23MM P/B 내수 처리된것을 사용한다.

5. 도어의 열림각도는 10-45도로 한다.

6. 도어용 잠금쇠는 사용자 유,무가 표시되어야 하며 외부에서 열수있는 비상키기능이 있어야 한다.

7. 플라스틱판의 크기는 현장 상황에 따라 변화 할수 있으므로 현장 실측에 의한 도면 작성후 감독관과 협의 후 시공한다. 강화금속스터드 ∅ 앵커볼트6x80

T=18mm 모이스춰 P/B T=0.8mm 플라스틱판 마감 T=0.8mm 플라스틱판 마감

플라스틱판 마감 T=1.2mm S'STL 상부몰딩 OPEN OPEN

T=1.2mm

코킹(10X10)

코킹(10X10)

T12.5 내수석고보드2겹/T7 자기질타일

THK1.5 스텐레스접기(내부:THK1.6

THK1.5 스틸 헤어라인(양면)

AL 패널(THK 5MM)

가등급 단열재 (THK 100MM)

석고보드 (THK 5MM)

Steel Mullion (60*150)

Steel FRAME (400*200)

Steel Pipe THK 10MM

Square Pipe THK 10MM

2H

4-M 16 (L=40)

CONNECTION PLATE (THK 50MM)

MERO-4 ANGLE (THK 400MM)

STEEL FRAME (THK 20MM, 10MM)

2H

H BEAM 400*600 2H 내화 페인트

Radius 35 Drop Ceiling THK10MM

Deck PL THK 190 THK 7 PVC 타일(GREY) THK 33 시멘트 몰탈 THK 60 완충재

H BEAM 400*600

2H 내화 페인트 Deck PL THK 190

Steel Mullion (60*150)

Square Pipe THK 10MM 내화 페인트 2H

Double LOW-E GLASS (THK 24MM)

Steel Frame Horizontal Comp THK 20mm

Frame Vertical Comp THK 20mm 내화 페인트 2H

Steel Mullion (60*100)

Square Pipe THK 10MM

Rivet AN470

Mullion Connection Place THK 5mm

4-M 16 (L=40)

Steel Plate 구조 보강재 THK 20mm

Aluminium Panel THK 5MM 가등급 단열제 THK 100MM 석고보드 THK 5MM

Double LOW-E GLASS (THK 24MM)

Steel Frame Horizontal Comp THK 20mm

Steel Frame Vertical Comp THK 20mm 내화 페인트 2H

Steel Mullion (60*100)

Square Pipe THK 10MM

페인트 2H

Rivet AN470

Mullion Connection Place THK 5mm

16 (L=40)

Steel Plate 구조 보강재 THK 20mm

Aluminium Panel THK 5MM

THK 100MM

THK 5MM

Square Pipe THK 10MM

Steel FRAME (400*200)

Steel Pipe THK 10MM

Steel Mullion (60*150)

Double LOW-E GLASS (THK 24MM)

Steel Mullion (60*150) Square Pipe THK 10MM

BEAM 400*600 2H 내화 페인트 Deck PL THK 190

Steel Mullion (60*100)

Frame Horizontal Comp THK 20mm

페인트 2H

Rivet AN470

Plate 구조 보강재 THK 20mm Mullion Connection Place THK 5mm

1. 일반사항

1-1. 설계적용 규준

1) 적용법규 :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2005.4 건설교통부)

2) 설계기준 : 건축구조 설계 기준(KBC S 2005 대한 건축학회)

3) 참고기준 : 건축공사표준시방서 (1999.건설교통부)

ACI 318-99, BUILDING CODE REQUIREMENT FOR R.C

ACI 315-92, ACI DETAILING MANUAL

4) 본 표준 상세도는 '북촌 어린이 교육시설 신축공사'에 적용토록 고려 되었으며, 기타 건물에 적용시 반드시 재검토 되어야 함

1-2. 사용재료

1) 철근 :

2) 콘크리트 : 재령 28일 기준 설계강도 (fck)

부 재

3)굵은 골재의 최대크기 기 초

1-3. 일반사항 기둥,슬래브,벽

1) 기 초 :

20,25,40 20,25,40 주철근 최소간격보다 5mm 작은값 Φ450 PHC PILE (허용지지력 Ra = 750 kN/ea) 주철근 순간격의 3/4이하 (지중보)

2) 지하수위 : EL +6.1M

비고 : 24 MPa : 24 MPa : 24 MPa

굵은골재 최대지수(mm) -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표 05010.3

20,25 부순돌,골로슬래그 20,25 자갈

3) 시공자는 기초공사전 허용지지력 및 지하수위등을 확인하여야 하며, 소정의 내력이 부족한 경우 감독관의 승인을 얻어 설계변경하여야 한다.

4) 허용지내력 관련사항은 별도 토질검토서를 참조 할 것.

5) 시공시 구조계산서의 설계개요를 참조하여

6) 지하 외벽에

2) 용접이음 및 기계적이음은 감리자의 허가하에 사용할 수 있다.

3) 이음의 위치는 응력이 큰 곳을 피하고 같은 위치에서 반수이상을 이음하지

1-5. 철근의 이음 (장변방향철근)(단변방향철근) 기둥,보철근의 이음가능위치 (하부근) (상부근) 않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슬래브와 벽체 배근은 전수이음이 가능하다.)

- 철근콘크리트 보 관통개구부를 설치하는 경우의 바람직한 범위 - 개구부 보강 유효범위와 정착길이

* 개구부 보강근은 구조계산서에 준함.

2) 벽체 개구부 보강 가로근 세로근 경사근

* 개구부 보강근은 구조계산서에 준함. - 철근에 의한 개구부 보강요령

* 구조계산서에 별도 지침이 없는 경우는 2개의 D16이상 또는 2개의 벽배근 철근이상을 배치할것.

3) 슬래브의 개구부 보강

다음의 일반사항및 준상세도는 "건축구조설계기준(KBC S 2005.4.건설교통부)"에

준하였으며 일반구조도에 특별한사항이 없는한 모든 도면에 준한다.

표준 갈고리(HOOK)는 2-2) -A,B 표기에 준한다.

정착길이및 이음길이는 2-3) -A,B 표기에 준한다.

기둥, 보, 벽, 슬래브및 기초배근은 아래표기에 준한다.

db이상이고 피복두께도 db이상 이면서 ld 전구간에 설계 기준에서 규정된

최소 철근량 이상의 스트럽 또는 띠철근을 배근한경우, 또는 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순 간격이 2db 이상이고 피복두께가 db이상인 경우이다. 상기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는 해당 정착과 이음길이에 1.5배 하여 적용해야 한다.

6) 2-3. 철근의 정착과 이음길이 중 슬래브 및 벽체,기초의 정착 및 이음길이는 정착되거나 이어지는 철근의 중심간 간격이 75mm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7) 다발철근의 정착 및 이음길이

-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하나의 다발철근 내에 있는 개개 철근의 정착 및 이음길이는 다발철근이 아닌 경우의 각 철근의 정착 및 이음길이에 3개의

철근으로 구성된 다발철근에 대해서 20%, 4개의 철근으로 구성된

다발철근에 대해서 33%를 증가시켜야 한다. - 다발철근의 지름은 한 다발내에 있는 전체 철근 단면적을 등가단면으로

환산하여 산정된 지름으로 된 하나의 철근으로 취급하여야 한다.

3-1. 보,작은보 배근지침

1) 정의 : 작은보 - 보나 다른 작은보에 지지되는 휨부재

2) 인장직선철근의 정착길이 부족시는 90° 표준 갈고리(HOOK)로 정착한다.

4)

3) 철근은 지지되는 부재의 중심선을 초과한 위치에서 구부려 정착되어야 한다.

종방향 철근을 배근한다.

최대간격은 유효깊이/6와 30cm 중 작은값을 초과하지 않을 것

필요 철근은 계산서에 준한다.

5) 정모멘트철근 중 지지부재까지 연장되는 철근량은 단순부재에서는 1/3이상,

연속부재에서는 1/4이상일 것.

6) 지지점에서 부모멘트에 대한 총인장철근의 1/3이상은 다음길이 이상의 묻힘길이를

변곡점을 지나 연장한다.

- 부재의 유효춤이상, 철근직경의 12배, 순 스판의 1/16중 최대값이상

7) 주철근의 순간격은 철근직경이상,25mm이상 또는 굵은골재최대치수의 4/3이상으로 하고,

2단이상 배근시 단간격은 25mm이상으로 하며 상부철근은 하부철근 바로 위에 배근한다.

3-2. 스터럽(STIRRUP)의 배근

A급이음(Lpo)

A급 이음(Lpo) (Lpt)

* 지하층 적용 (내측기둥)

기둥에 90°표준 구부림으로 정착가능 좌우 철근갯수가 다를때

압축이음

(단부늑근 배근구간)

(단부늑근 배근구간)(중앙부 늑근 배근구간)

(단부늑근 배근구간)

1) 작은보와 보(일반설계 경우)

외곽보 (1면에 슬래브 설치)

폐쇄형 스터럽 배근 할 것

독립보 (슬래브 설치 안됨)

*전구간 폐쇄형 스터럽 배근 할 것

기둥에 90°표준 구부림으로 정착가능 좌우철근갯수가 다를때

B급이음(Lpo)

(단부늑근 배근구간)

(단부늑근 배근구간)(중앙부늑근 배근구간)

(단부늑근 배근구간)

(내측기둥)

압축이음

* 지상층 적용

3-5. 보의 단차(기둥주위)

3-6. 꺽인 작은보 및 보 (부재중간)

(HD13이상) 보강늑근 A급이음(Lpo)

90° 구부림

2) 주철근의 순간격은 1.5db 또는 40mm 이상일 것.

3) 주철근을 절곡하는 경우 기둥축에 대한 경사가 1/6을 초과해서는

1) 보조띠철근간격은 띠철근간격과 동일간격으로 배치 안되며 구부린 지점에서 수평띠철근 위치가

4) 기둥의 주철근이음은 특기사항이 없는한 B급 인장이음을 적용하고

한곳에서 반수이상을 이음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기둥에 압축력만 작용하는 내부기둥의 경우 감리자의 승인을 득한 후

압축이음길이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치수중 가장 큰 값을 적용한다.(TYP.)

기둥철근의 인장철근 정착길이 (Ldo) 이상

기둥철근의 표준갈고리 정착길이 (Ldh) 이상

6-2. 말뚝 기초

* DOWEL BAR의 크기와 수는 기둥의 주철근과 같아야 하며 S :

1.5S이하 간격으로 배근할것. 보조 띠철근은 배근하지 않아도 좋다.

7-1. 벽배근의 간격

인장철근 이음길이 B급적용 (Lpo) 버림 콘크리트 말뚝기초 상부철근이 있는경우

1.5S이하 간격으로 배근할것. 보조 띠철근은 배근하지 않아도 좋다. 기초높이내에 최소한 2개이상의 띠철근배근 (TYP.)

벽두께의 3배이하 또는 400mm 이하로 한다.

9-1. 철골 덮개의 두께및 스페이서

철골 덮개의 두께(W)는 철골의 단면형상 및 철근의 위치를 고려하여

150mm,기둥인 경우에는 125mm를 표준으로 한다.

단, 철근을 용접등으로 하는 경우에는 10mm까지 감소할수가 있으며,

스페이서 as bs

보인 경우 100이상 W 기둥인 경우 W

9-2. 철 근 D6-@1000 보강근 단,기둥,보맞춤부는 제외하도록한다. (주) 1. 철근 상호간의 간격(as)은 건축공사 공동 시방서(1989년)에의한다. 2. 철근과 철골의 상호 간격(bs)은 25mm이상 또는최대 골재치수의

(1) 보강근:기둥배근에 있어서 X,Y양방향으로 작용하는 주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같이 보조근에의해 철근위치를 확보하고 기둥폭이 700mm

스페이서(평강및 철근)는 약 2m 간격으로 보맞춤부분을 피해서 할당한다. 이상인경우에는 기둥보강근을 넣는다. 1.25배 이상으로함.

보인경우에는 주) 1.

D13이상의 보강근(기둥ㄳ=700mm)

(3) 철근ㄳ관통구멍의 위치 (2) 철골에 설치되는 철근 관통구멍 기둥,보의 철골플렌지에 철근관통구멍을 설치하지않으며, 고려하여 그림과같이한다.

관통구멍지름

철골조에서는 2배이상, 철골 콘크리트조에서는 3배이상을 확보한다.

용접한다.

보 춤의 1/3이하로 하고, 관통구멍 간격은 양측 관통구멍지름 평균치의 관통 구멍위치의 한도는 그림과 같다.

(6) 벽근의 주변 부재에 대한 정착 아래 그림에 의한다.

주변 부재에 벽이 부착될 경우 벽근 정착 방법의 표준은 철골의위치를 고려하여 또한 철골 플랜지부에는 철근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지않다. 그리고,철근의 정착길이(L)는 철근콘크리트 표준도에 의한다.

보강플레이트를 웨브양면에서 용접한다.

3. 보 관통구멍이 다수 병렬하는 경우에는 웨브전체를 두꺼운 플레이트로

2. 보강플레이트가 16mm 이상이되는 경우에는 필요한 두께 1/2의 치환하는것이 경제적이다.

4. 철골의 변형 교정상 재단과 보강플레이트의 간격을 e>H로 한다.

L5db

WELDING PLATE 주) 1.

9-3. 소요 스럼프(SLUMP)

WELDING PLATE의 재질은 SWS 50이며

2. 웨브면에 직각으로 만나는 주철근은

3. 사용 용접봉은 KSE5016(저수소계)를

(7) 철근콘크리트보와 철골기둥과의 접합방법 db 철근콘크리트보의 주철근 DIAPHRAM 25 5db L (꺾임관통타입) (b) 기둥에의 정착방법 주) 1. 철골에 접촉되어 있어도 좋다. 2. 웨브에 관통구멍을 설치한다. 3. 꺾임타입인 경우에는 철근지름의 20배 이상 정착후, 완만하게 절곡한다. (일반적 정착) (철골우회타입) 주3 (벽세로보강근을 넣음)(벽세로근을 교호로 구부림) (벽세로근을 구부림)(벽세로보강근을 넣음) (a) 벽근의 아무림 예 L L 주1 L 주2 보조근 L 수평앵커 L L 수평앵커 L 보조근 수평앵커 L 수평앵커 L

Y P P e dc (기둥부분) P bd (보부분) Hd dc e

철근ㄳ관통구멍의 위치는 철근 상호간의 틈이나 철근및 철골 상호간의 틈을 125 bs 150150

호칭명 기둥주근 보상단주근 dc 보주근 dc bs 직교보 dc 150 bs 주근 1개에1개소로 한다. D29 25 16 13 20 283236 D19 D13 D10 D16 D22D25 40 D32

(a)관통 타입 (b)관통 되지않는 타입 작은보 하단주근 bs -철근관통구멍의 위치(단위:mm)

하단주근 (단위 : mm) 주대근위치 기둥주근 보하단주근 보늑근 기둥후프근 기둥주근 기둥주근 기둥주근 125 150 150

주) 철근의 최소 덮개 두께(dc)는 공통시방서에 의한다. 철근과 철골

지름의 1.25배 이상으로한다.

타입으로 할수가 있다.

보강트러스 (5) 후프근의 가공 및 조립 후프근의 가공 및 조립은 맞춤부분에

- 철근 콘크리트의 스럼프는 다음 범위내로 한다.

스 럼 프

장 소 기초,바닥,보 10 -15 cm 18 -20 cm

진동다짐일 경우 5 -10 cm

철골철근콘크리트(SRC)

진동다짐이 아닌 경우 15 -19 cm 19 -21 cm 20 -22 cm 기둥,벽

9-4. SHEAR CONNECTOR(스터드)

간 격 최 소 게 이 지 에 지 디 스 탄 스 (g) (e ) (P)

덱플레이트 홈의 평균목(bd) 덱 플 레 이 트 높 이 (Hd)

치 수 항 목 덱플레이트가 개재된경우에는 호칭의4배이상

호칭의 7.5배 이상 또는 600mm이상

호칭의 5배 이상

40 mm 이상

호칭의 2.5배 이상 75 mm 이상 호칭의 4배이상.

호 칭 길 이 (L) 값중 큰값으로한다.

또는 덱플레이트 높이에(Hd)30mm가산한

콘크리트 덮개의 두께 (dc) e g e 11

안된 부분은 40mm 이상으로 한다. 30mm 이상.땅에 접한부분및 외벽 마무리가

(5) 평면가새접합부 환봉 TYPE

ㄱ형강 TYPE

1) 거셋플레이트의 두께는 가새부재의 두께와 동등 이상으로 함.

2) 거셋플레이트 용접은 양면 모살용접을 기준으로 함.

3) 베이스플레이트 부위의 접합시 앙카볼트와의 간섭에 주의.

4) "A"의 간격은 설계자와 협의 후 시공함.

1) 거셋플레이트의 두께는 가새부재의

2)

3)

1) 거셋플레이트의 용접시 겹침부위는 최소 50mm 이상이 되도록 함.

2) 거셋플레이트의 용접은 3면용접 이상이 되도록 함.

(6) 평면가새 교차접합부 ㄱ형강 TYPE

1) 거셋플레이트의 두께는 가새부재의 두께와 동등 이상으로 함.

2) 거셋플레이트 용접은 양면 모살용접을 기준으로 함.

3) 보강철판의 두께는 거셋플레이트 두께 이상으로 함.

1) 거셋플레이트의 용접시 겹침부위는 최소 50mm 이상이 되도록 함. 2) 거셋플레이트의 용접은 3면용접 이상이 되도록 함.

간주 (2) 보 직하에 부착되는 경우-2 클리어런스

보강은 관례적으로 행하지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일반적으로 보춤의 1/4이하, 또는 직경 150mm 미만의 관통구멍에서는 보강이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

2) 관통구멍에서 보강이 필요한 경우는 보강시공이 간편한 슬리브보강 또는 커버플레이트 보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 기둥 기둥 a. 관통구멍의 바람직한 범위 b. 관통구멍의 크기와 피치의

(2) 보이음의 근처에 설치되는 경우 1) 보이음에 접근한 위치에 관통구멍을 설치하는 경우는 다음의 그림에 표시한 것처럼 단부에서 D/2 이상 띄고, 용접변형의 영향을 피하거나 플랜지 이음의 고력볼트의 삽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로 한다.

가능한 범위에서 편심으로

용접시공을 할 수 있는 아무림으로 한다. 경사재와 현재와의 교점의 편심량(e)은 현재높이 범위 안의 정도가 바람직하다. 단, 편심에 의한 부재의

응력검토가 필요하다.

2) 대공재와 경사재와의 간격(g)는 단면사이즈, 경사재의 각도에도 하지만, 조립이나 용접시공성에서 다음에

2) SRC조에서 슬리브의 위치가 보스팬 1/4 부근에 있는 경우는 보의 2단배근의 위치에 주의하여 슬리브의 위치를 결정한다.

합성구조에 사용되는 구조용강재, 철근, 콘크리트는 다음과 같은 제한조건들을 만족해야 한다.

1) 설계강도의 계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1MPa이상이어야 하며 70MPa를 초과할 수 없다.

2)

(1) 구조제한

1)

매입형합성기둥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띠철근

보강되어야 한다. 횡방향철근의 단면적은 띠철근간격 1mm당 0.23mm² 이상으로 한다.

3) 연속된 길이방향철근의 최소철근비 ρsr는 0.004로 한다. (2) 상세요구사항 1) 매입형합성기둥에는 최소한 4개 이상의 연속된 길이방향철근을 사용한다. 횡방향철근의 배치간격은 길이방향철근직경의 16배, 띠철근직경의 48배, 또는 합성단면의 최소치수의 0.5배 중 가장 작은 값 이하로 한다. 철근의 피복두께는 40mm 이상이어야 한다.

2) 요구되는 전단력은 시어커넥터를 사용하여

21page (1996 일본건축학회)

- COMPOSITE CONSTRUCTION DESIGN FOR BUILDINGS 5.24 - COMPOSITE CONSTRUCTION DESIGN FOR

Seismic Provit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6.1-285 (2005 AISC)

2개 이상의 형강재를 조립한 단면인 경우 형강재들은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각각의 형강재가 독립적으로 좌굴하는 것을 막기 위해 띠판 등과 같은 부재들로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1) 구조제한

충전형합성기둥은 다음과 같은 구조제한을 만족해야 한다.

1)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

2) 충전형합성기둥에 사용되는 각형강관의 판폭두께비 b/t는 2.26√(E/Fy) 이하이어야 한다. 더 큰 판폭두께비의 사용은 실험 또는 해석을 통해 정당성이 증명되어야 한다.

3) 충전형합성기둥에 사용되는 원형강관의 지름두께비 D/t는 0.15E/Fy 이하이어야 한다. 더 큰 지름두께비의

사용은 실험 또는 해석을 통해 정당성이 증명되어야 한다.

(2) 상세요구사항

요구되는 전단력을 전달하는 시어커넥터는 하중전달영역의 위 아래로 부재의

길이를 따라 사각형강관의 경우 최소한 기둥폭의 2.5배에 해당하는 거리에 걸쳐, 설치한다. 시어커넥터의 최대간격은 400mm 이하로 한다.

시공중의

22page (1996

2)

2)

3)

1)

b.

d.

a.

밀착시킨다.

3)

1) 매립주각은 아래

(4) 주각부의 마감 한다.

1) 베이스플레이트두께가 50mm 이하이고 충분한 지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경우, 접합면을 밀처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2) 베이스플레이트두께가 50mm 초과 100mm 이하인 경우, 충분한 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합면을

프레싱이나 밀처리를 통해

3) 베이스플레이트두께가 100mm 초과인 경우, 접합면을 밀처리하여야 한다.

4) 베이스플레이트하부와 콘크리트기초 사이에는 무수축그라우트로 충전한다.

5) 베이스플레이트와 강재기둥을 완전용입용접할 경우, 접합면을 밀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1) 모르터에 접하는 콘크리트면은 레이턴스를 제거하고 매우 거칠게 마감하여 모르터와 콘크리트가 (1) 베이스 모르타르 (2) 앵커 볼트의 양생

2) 베이스 모르터르의 두께는 30mm이상 50mm이내로 하고, 철골 설치 전 3일 이상 양생하여야 한다.

3) 베이스 모르터르 마감면은 기둥 세우기 전에 레벨 검사를 한다. 발생하지 않도록 비닐테이프, 염화비닐 파이프, 천 등으로 보호 양생하여야 한다.

1) 앵커볼트는 설치에서부터 철골설치까지의 기간에 녹, 휨, 나사부의 타격 등에 의한 유해한 손상이

2) 앵커볼트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중 너트 조임으로 한다.

3) 앵카보울트의 구멍이 미끄러질 경우 또는 앵카보울트에 전단력을 부담시킬 경우에는 와셔 두께를 검토한 후

4) 앵커 볼트는 선단 180° HOOK를 설치하여야 하며, 필요한 매입길이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에는

As,min = 1.5·Ag/fy= 0.00638 Ag (SS275, Fy=235) = 0.00461 Ag (SS490, Fy=325) = 0.00422 Ag (SS540, Fy=355)

Ag = B × D (상부기둥크기, 철골조인경우 base plate 크기)

나사 3산이상 베이스플레이트에 온둘레 용접으로한다. 선단에 정착판(Anchor Plate)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 SS490 SM355, Fy=325MPa (6) 기둥하단과 피어

매입길이(Ld) 앵커볼트의

* SS275 SM400, Fy=235MPa

410490520570620650720770820900 400460480530580600680720770840 400430460500550570640680730800 400410430480520540610650690760 400400410450490510570610650710 21 D16D19D20D22D24D25D28D30D32D35 fck

5706807107808608901000107011401250 540630670730800830930100010701170 50060063069076079088094010101100 4805706006607207508408909501040 450540560620680700790840900980 201284314380452491616707804962 21242527303235424548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