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_사찰_문화재안내판_작품설명서

Page 1

작품제목

說僧

(스님이 전하는 화엄사 이야기)

작품컨셉 - 공간 흐름의 각 단계에서 스님이 문화재를 설명하는 모습을 차용하여 형태를 디자 인했다. - 스님의 의복인 장삼(長衫)과 가사(袈裟)의 형식을 빌려와, 안내판을 고정하는 구조체 는 ‘장삼’의 색상을 적용했고, 정보를 담는 내용판은 ‘가사’의 색상과 덧붙는 형식을 적용했다.

안내체계

- 화엄사의 공간특성인 ‘흐름’을 잘 보여주는 체계로 안내판 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 ① ‘흐름안내판’ : 공간 흐름의 각 단계에 해당 문화재 설명과 현재 위치를 알림 ② ‘종합안내판’ : 흐름 시작점과 중간거점에 배치하여 종합적인 정보 제공 ③ ‘설명안내판’ : 작은 규모로 각 문화재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만 전달 ④ ‘임시안내판’ : 다변하는 환경에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안내판

1<<


□ 01|화엄사의 현황과 문제점 >>011_문화재 분포 현황

현재 화엄사에는 위계, 등급이 다양 한 문화재가 존재하고 있다. 전체적 으로는 국보 4점, 보물 7점, 전남유 형문화재 2점, 천연기념물 1점, 전남 문화재자료 1점이 있으며, 화엄사 일 원이 사적 및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 다. 지정 문화재는 주로 화엄사의 중 심영역에 분포하고 있다. 다양한 문화재가 분포하고 있는 상황 에서는 영역별 또는 권역별 해설보다 는 각 문화재별 설명을 담은 안내판 이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데 효율적이 다.

2<<


01|화엄사의 현황과 문제점 >>012_화엄사의 공간구조 화엄사는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을 거 쳐 중심영역에 다다르는 선적인 공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동선 영역은 일반적인 관람객의 주요 관람영역임과 동시에 화엄사 공간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영역이다. 문화재를 포함한 화엄 사의 주 관람대상도 이 영역을 중심으 로 분포되어 있다. 수행공간과 템플스 테이도 선적인 영역에 나란하게 위치 하고 있다. 화엄사를 종합적으로 관람하기 위해서 는 선적인 공간구조 안에서 이루어지 는 관람객의 흐름을 안내체계에 반영 할 필요가 있다.

3<<


01|화엄사의 현황과 문제점 >>013_화엄사 관람동선 관람동선은 화엄사의 선적인 공간구조 를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 다. 중심영역에서는 임의적인 관람동선이 가능하지만 동오층석탑에서부터

시작

되는 대표적인 관람동선의 설정이 가 능하다. 화엄사 방문목적에 따라 진행방향은 다소 다르지만, 주 관람영역을 이용하 는 것은 동일하다.

4<<


01|화엄사의 현황과 문제점 >>014_문화재 안내판 현황 화엄사에는 현재 대표적으로 9개 종 류의 안내판이 존재하고, 임시안내판 을 포함하면 그 종류는 더 많다. 많은 문화재가 존재하는 화엄사에서 현재 안내판의 개수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일관되지 않은 디자인을 가진 안내판 의 많은 종류는 관람객에게 혼란을 준다. 화엄사/궁궐 문화재 안내판 비교

5<<


02|화엄사에 대한 진단 >>021_화엄사의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화엄사는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수려한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있고, 각황전과 대웅전을 중 심으로 하는 공간은 화엄사의 장엄한 품격을 높이고 있다. 사찰 내에는 2천년의 역사의 발자취들 이 곳곳에 남아 있고 국보 4점 등의 우수한 문화재가 다수 분포하여 국가로부터 사적 및 명승 제7 호로 지정되어 있다. 더불어 화엄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로서 많은 스님들과 불교신 도들의 생활터전이자 등산객, 수학여행, 문화답사 등 각계각층의 관람객들이 드나드는 문화관광의 명소이다. 화엄사는 지리산이라는 “자연경관”, “역사문화유산”, “사찰공간”의 흐름, 경건하고 신성한 “불교생 활”이 한데 어우러져 있는 곳이다. 화엄사에서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위와 같은 자연자원, 문화자원, 종교자원, 생활자원의 종합적인 내용들이다.

6<<


02|화엄사에 대한 진단 >>022_화엄사를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화엄사는 선적인 흐름에 따라 공간 위계가 점증되는 공간구성을 갖고 있다. 이 흐름을 따라 다수 의 문화재가 분포하며, 관람객 동선이 형성된다. 화엄사의 특성을 잘 보여주기 위해서는 공간 흐름 을 일주문-금강문-천왕문-보제루-대웅전-각황전-사사자삼층석탑의 일곱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 마다 필요한 이야기를 보여줌으로써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꾀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전체적인 공간흐름의 시작점(일주문 밖)에 화엄사 일반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중간거점지역(천 왕문 뒤, 보제루 옆)에 부분별 종합정보를 제시하여, 화엄사의 자연경관, 역사문화유산, 불교생활 등의 계통적 성격을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단계별 정보와 영역 종합정보를 통 해 개별 안내판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내판에 의한 문화재 시선차폐를 예방할 수 있다. 보 다 심화된 정보는 소책자, 오디오 가이드, 전문서적 등 기타 매체를 활용하여 화엄사의 정보를 풍 부하게 할 수 있다.

7<<


03|화엄사의 문화재 안내판 체계 >>031_안내판 체계 화엄사의 문화재 안내판은 ‘흐름’이라는 화엄사의 공간특성을 잘 보여주는 체계로 구축되어야 한 다. 흐름의 각 단계에 해당 문화재 설명과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흐름안내판’을 설치하고, 흐름 시작점과 중간거점에 ‘종합안내판’을 배치한다. 개별 ‘설명안내판’은 작은 규모로 각 문화재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행하는 생활공간에 다변하는 환경에 다목적으로 사 용할 수 있는 이동식 ‘임시안내판’을 곳곳에 구비한다. 종합안내판(A) 화엄사 전체 정보를 제공하는 총괄적인 안내판 종합안내판(B) 중요한 영역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표현한 안내판 흐름안내판 화엄사의 공간구조에 맞춰 주요 거점에 설치하는 핵심적인 안내판 설명안내판(A) 개별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을 담는 안내판 설명안내판(B) 최소한의 정보만을 보여주는 표지석 역할의 안내판 임시안내판 임시적 길찾기, 사찰행사 홍보 등에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안내판

8<<


03|화엄사의 문화재 안내판 체계 >>032_안내판 배치

9<<


03|화엄사의 문화재 안내판 체계 >>033_안내판 유형

종합안내판(A) 이름/ 이야기/ 문화재 등급/ 오디오가이드/ 지도/ 조감도/ 설치관리주체 | 단면

<화엄사 전체 정보를 제공하는 총괄적인 안내판> 일주문 밖에서 관람객을 맞이하는 첫 번째 안내판으로서, 화엄사 전체 일원을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순히 정보만 제공하 는 안내판 역할을 넘어, 석재를 이용하여 화엄사 배치를 보여주 는 바닥으로 포장하고, 곳곳에 돌덩어리를 배치하여 간이의자, 어 린이 디딤판으로 활용하도록 하여 관람객의 편의를 보장할 수 있 다.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 조명을 이용하거나 안내판에 젖빛유리 와 내부 전구를 적용하여 야간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종합안내판(B) 이름/ 이야기/ 문화재 등급/ 오디오가이드/ 지도/ 조감도/ 설치관리주체 | 단면

<중요한 영역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표현한 안내판> 동선 흐름상 중간거점지역에 설치하는 안내판으로서, 관람객이 문화유산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간소화된 개별 설명안내판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천왕문 뒤에서는 산문 형식과 사사자삼층석탑, 각황전 방향 전망을 설명하고, 중심마당 에서는 그 안에 배치된 석물 문화재에 대한 설명을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천왕문 쪽 종합안내판은 시설 재배치로 기와불사 및 음수대, 자판기와 연계하여 관람객 편의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흐름안내판 이름/ 이야기/ 문화재 등급/ 오디오가이드/ 지도/ 설치관리주체 | 양면

<화엄사의 공간구조에 맞춰 주요 거점에 설치하는 핵심적인 안내판> 스님의 장삼(구조)과 가사(안내판) 형태를 차용하였으며 안내판의 배치는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설치하여 문화재 차폐를 최소화했 고, 측면에 개념화된 동선흐름을 새겨 넣어 관람자가 쉽게 안내 판을 인식하도록 했다.

10<<


03|화엄사의 문화재 안내판 체계 >>033_안내판 유형 설명안내판(A) 이름/ 이야기(소)/ 문화재 등급/ 오디오가이드/ 설치관리주체 | 단면

<개별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을 담는 안내판> 화엄사의 문화유산에 대한 짧은 설명과 필수적인 정보만을 수록한 작은 규모로 설치하여 관람의 편의성과 문화재 시선보호를 꾀했다. 보다 상세한 정보는 기타 매체(오디오가이드, 소책자, 전문서 적 등)를 이용한 종합 정보체계를 통해 이뤄지도록 했다. 설명안내판(B) 이름/ 문화재 등급/ 오디오가이드/ 설치관리주체 | 단면

<최소한의 정보만을 보여주는 표지석 역할의 안내판> 화엄사의 석물 유산에 적용하는 유형으로서, 시선 차폐를 최소화하기 위해 규모를 대폭 줄인 형태 로 계획했다. 기본설명은 종합안내판(B)에서 설명하고, 상세정보는 기타 매체를 이용하여 관람자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다. 임시안내판 안내판 내용 자유 | 양면사용 가능

<임시적 길찾기, 사찰행사 홍보 등에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안내판> 종교의례와 수행생활이 상시 이뤄지는 사찰의 공간적 특성에 맞도록 특정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안내판을 계획하여, 무질서한 정보체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수행정진 중 출입금지나 기타 편 의시설 안내, 행사 포스터 부착, 문화재 보수 등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이동가능한 형태로 구조체에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11<<


04|안내판 디자인 개념 >>041_디자인 개념(Concept) 화엄사의 장소적, 문화적 해석에서 도출한 문화재 안내판이 추구해야할 방향은, ⓐ사찰안내판으로서의 정체성, ⓑ단계별 과정이 드러나는 장소성, ⓒ읽기 쉽고 알기 쉬운 소통성, ⓓ체계적인 관리가 용이한 시스템, ⓔ시간․장소적 변화를 고려한 융통성이다. 사찰이라는 정체성을 제고하기 위해ⓐ, 문화유산을 설명하는 스님(說僧)을 디자인 모티브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화엄사의 선적 공간흐름에 따라 주요 지점에 ‘흐름안내판’을 반복함으로써 관람자가 단 계별 과정을 인식할 수 있게 했고ⓑ, 관람자의 눈높이에 맞춰 컨텐츠를 구성하여 정보전달력을 높였 으며ⓒ, 안내판을 장삼 색상의 구조체와 가사 색상의 내용판으로 구성하여 컨텐츠 교체 및 관리가 쉽 게 했고ⓓ, 같은 시스템을 적용한 이동식 ‘임시안내판’을 배치하여 경우에 따라 다변하는 정보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說僧|장삼+가사

12<<


04|안내판 디자인 개념 >>042_안내판 크기 문화재 안내판은 정보전달이 주목적이지만 문화재 경관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 안내판의 규모는 정 보의 충실한 전달과 문화재에 대한 배려를 고려한 크기로 결정해야 한다. 화엄사의 문화재는 건축 물, 석물, 그림의 형태를 갖고 있다. 성인 평균 키높이 170cm를 기준으로 2m(흐름게시판, ‘종합안 내판A'), 1.5m('종합안내판B'), 1.1m('설명안내판A', '임시안내판’) 0.8m('설명안내판B')로 계획했다.

>>043_안내판 재질 구조체(장삼) 부분은 PC콘크리트 기초에 스테인레스 스틸 T-형강(종합안내판, 흐름안내판, 임시안 내판) 또는 ㄱ-형강(설명안내판)에 회색 불소수지 코팅처리하여 사용한다. 내용판(가사)은 두께 3mm 알루미늄 압출 성형판 위에 갈색 불소수지 코팅한 바탕에 컨텐츠를 에칭처리하여 구조체에 부착한다. ‘흐름안내판’의 최상부 이름 패널과 종합안내판(A)는 젖빛유리(에칭글라스)를 이용하여 야간이용에 대비할 수 있다.

13<<


04|안내판 디자인 개념 >>044_안내판 색상 문화재 안내판의 색상 결정에서 중요한 점은, 그 자체의 색체대비로 이미지와 정보의 명확한 전달 과 함께, 문화재는 물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꾀하는 것이다. 화엄사에는 녹색, 황색, 갈색, 무채 색 계열의 색체가 주를 이루고 있어, 안내판의 구조체(장삼)는 회색(Gray 60%), 내용판(가사)은 고 동색(PANTONE 4625c)으로 하고, 내부 설명과 이미지는 백색, 회색(Gray 20%), 그림문자나 강조사 항은 세 가지 포인트 컬러를 적용했다.

>>045_안내판 조명 사찰 공간은 관람공간이자 생활공간으로서 24시간 전일 사람이 상주하고 있기 때문에, 궁궐 등의 문화재와는 달리 야간에도 인식 가능한 안내판이 필요하다. 안내판 체계 중 주요 지점에 설치하는 ‘흐름안내판’에 조명 장치를 삽입하여 야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고, 너무 밝은 조명은 수행을 방 해할 우려가 있어 LED같은 작고 전력 소모가 작은 장치를 적용한다.

14<<


05|안내판 디자인 >>051_‘흐름안내판’

15<<


05|안내판 디자인 >>051_‘흐름안내판’

10|일주문 ‘흐름안내판’, 종합안내판(A)

20|금강문 ‘흐름안내판’

30|천왕문 ‘흐름안내판’

16<<


05|안내판 디자인 >>051_‘흐름안내판’

40|보제루 ‘흐름안내판’

50|대웅전 ‘흐름안내판’

60|각황전 ‘흐름안내판’

17<<


05|안내판 디자인 >>051_‘흐름안내판’

70|사사자삼층석탑 ‘흐름안내판’

18<<


05|안내판 디자인 >>052_‘종합안내판’

<A>형

<B>형

>>053_‘설명안내판’

>>054_‘임시안내판’

19<<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