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with Weekly Chosun

Page 1

인터뷰

황은순 차장 hwang@chosun.com

미국 보스턴에서 활동하는 건축가 임동우

를 제공하는 곳이 있다고 한다.

드의 임동우 대표와 이메일로 인터뷰를 진행

적인 도시조직이 잘 갖춰져 있었다. 도시 곳

때 지도교수의 첫 질문도 “북한에 대한 자료

했다.

곳에 공원이 많고 흥미로운 건축물도 많았

가 충분치 않을 텐데 논문을 제대로 진행할

임 대표가 말한 북한 건축의 특징을 정리

(37)가 주목을 받은 것은 ‘평양, 그리고 평양

그가 북한 건축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다. 단조로운 건축물이 이어지다 가끔씩 눈

수 있겠느냐”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는 “있

하면 이렇다. 우리는 그동안 북한 건축을 너

이후’(효형출판·2011)라는 책을 펴내고 나

미국 하버드대에서 도시설계 건축학 석사과

에 띄는 독창적인 건물이, 다들 튀어 보이고

는 자료를 최대한 활용해서 결과물을 만들어

무 단편적 시각으로 봐왔다는 것. 인민대학

서다. 이 책에서 건축이라는 스펙트럼을 통

정을 밟을 때 우연히 본 전시 때문이었다. 한

싶어하는 서울과 비교돼 보였다. 평양의 낮

내는 것이 건축가가 할 일이다”면서 여러 경

습당, 5·1경기장, 류경호텔, 조선역사박물

해 평양에 주목한 그의 시도가 신선하게 받

때 사회주의 도시였던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은 스카이라인을 장악하고 있는 105층 높이

로를 통해 북한 자료를 수집해본 결과 그래

관 등 소수의 상징적인 건물로 북한 건축을

아들여졌다. 그가 이번에는 19명의 국내외

의 건축을 분석해놓은 전시였는데 체제 붕괴

의 류경호텔은 당시엔 외장공사가 진행 중이

도 한국이 가장 많은 자료를 갖고 있다는 결

말하지만 북한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일

학자, 전문가의 글을 엮은 ‘북한 도시 읽기’

와 함께 사회 이념적 충돌이 새로운 형태의

었는데, 최근 현대적 외관으로 거듭난 것을

론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주로 국토개발연

상 건축물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것이다. 북

(담디)라는 책을 내놓았다.

건축과 도시공간을 만들어내는 것을 보고 한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평양의 인상을 확

구원, 한국개발연구원 등 연구기관들의 자료

한의 경우 공장, 교육시설뿐만 아니라 미장

빨간색 하드커버에 640쪽이 넘는 두툼한

국인으로서 당연히 북한이 떠올랐단다. 북

바꾸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그 역시

를 활용했는데, 홈페이지 등에 공개를 하고

원, 서점, 문방구 등 근린상가까지 국가가 공

책이 눈길을 끌었다. 상세한 다이어그램·도

한 또한 언젠가는 동구권이나 중국처럼 개방

평양을 방문하기 전에는 제대로 된 도시기능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연구자들만 찾

급하고 있다. 체육·문화시설도 도시 규모에

면과 함께 북한 27개 도시와 8개 주요도시

이 시작되면 새로운 혁신을 통해 그동안 구

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고 갔는

아보는 보고서로 인식되고 있는 것 같아 안타

비해 많이 구축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국가

의 특징을 보여주고 건축이나 도시라는 물리

축한 환경을 바꿔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데 공원에서 춤추며 여유를 즐기는 사람들을

깝다고 했다. 이번에 ‘북한 도시 읽기’를 펴낸

가 주도하는 시스템 아래 건축물이 지어지다

적 유형을 통해 북한 사회를 읽어내려고 노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때부터 석사논문

보면서 ‘이곳도 도시의 삶이 있구나’ 하는 느

것도 흩어져 있는 방대한 자료들 중에서 도

보니 획일적이기는 하지만 공평하게 공급된

력했다. 그는 책의 서문에서 ‘북한에 대한 관

주제로 잡고 틈틈이 문헌조사와 자료를 찾기

낌을 가졌다고 한다.

시·건축 분야 연구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추

다는 장점이 있다. ‘북한 도시 읽기’ 책에 보

심의 방향이 달라졌다. 뜨거운 감자인 통일

시작했다. 그것을 정리해 펴낸 책이 ‘평양,

그가 북한 건축 연구를 하면서 사람들에게

려 보자는 생각으로 만든 것이다. 웹사이트의

면 대동강 맥주집, 향만루식당, 룡천국수집

등의 논의에서 벗어나 차가운 머리로 북한을

그리고 평양 이후’이다.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자료를 어디서 구하

경우는 한국보다 외국에서 운영하는 북한 관

등 음식점들의 건축도면이 실려 있는데 하나

이해하려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도시의

책을 펴내기 전 2010년엔 평양에도 다녀

느냐”는 것이다. 기자 또한 똑같은 질문을 던

련 사이트(http://38north.org, http://www.

같이 대규모이다. 임 대표는 “북한에서 음식

구축환경을 읽어내는 작업은 정치·경제·사

왔다. 그는 “이번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전

졌다. 평양을 주제로 논문을 쓰겠다고 했을

nknews.org)들 중에 상당히 전문적인 자료

점은 상업시설이라기보다 노동자들의 먹거

회 등의 문헌자료를 물리적인 실체로 증명하

시에서 많은 역할을 했던 닉 보너가 운영하

는 작업과 같은 것이며 한 사회를 포괄적으

는 베이징의 북한 관광 에이전시를 통해 다

로 이해하는 방법이다’라고 적고 있다. 오랫

녀왔다. 전문적인 방문이 아니라 관광단에

동안 북한 건축에 관심을 가져온 건축가 임

끼어서 갔지만 몇 년 동안 평양에 대해 조사

동우의 눈으로 읽은 북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를 많이 하고 가서인지 생각보

싶었다. 그는 올 베니스비엔날레에서 황금사

다 많은 것을 보고 느낄 수 있 었다”고 말했다. 그가 본 평

자상의 영예를 안은 한국관 전시에도 참여했 다. 미국 보스턴에 있는 설계사무소 프라우

28

임동우 프라우드 대표

양은 노후되긴 했지만 기본

건 축 으 로

북 한

읽 는

임 동 우

프 라 우 드

건 축

대 표

“김정은 건축을 체제강화 수단으로

평양, 미래도시 모델 될 수 있어”

29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