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2013

Page 1

TRAJECTORY OF EWHA ACHITECTURE

T E A

EWHA WOMANS UNIVERSITY ARCHITECTURE PROJECTS REVIEW 2013




TEA Trajectory of Ewha Architecture Projects Review 2013


CONTENTS

STUDENT WORKS Space, Form and Structure / Foundatio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6 18 34 56 74 94 114 134 190

OTHER WORKS 학생성과 Student Achievements 학과행사 Time line

208 216



SPACE, FORM AND STRUCTURE 건축설계의 기본이 되는 조형적 구성원리를 이해함과 함께 조형의식과 건축물 구축의 근간이 되는 기하원리를 탐구하고 응용한다. 또한 조형 형식과 구축, 구조의 상관성을 이해하고 이에 입각한 조형제작물을 수 행한다. 이와 함께 이론적 측면에서 건축물 구성의 기본요소 및 건축조 형의식의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STUDIO TUTORS: Kwangsoo Kim Sookhee Chun Miseon Kang Changsu Ryu

FOUNDATION STUDIO 본 교과목은 Pre-studio 과목으로 설계스튜디오를 시작하기 전 건축공 간의 기본적인 개념과 기초적인 건축도면의 이해 및 작성방법, 모형의 제작 등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네 단계로 나뉘진 과정을 통해, 건축도 면의 의미는 건물의 사실적 묘사가 아니라 건축적 사고의 전개 및 표 현수단임을 배우며, 설계초기의 개념의 설정과 이의 발전 그리고 건축 공간의 구축을 경험하며, 기능적, 심미적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공간 을 사고하고 구축하며 이를 표현할 것인가에 강의의 초점을 두고 있다.

STUDIO TUTORS: Kwangsoo Kim Changsu Ryu Kiook Jang Kyosik Choi


Lego Case 레고 케이스 신성희 Sunghee Shin

Design Concept

Using Method

상자를 핀 상태로 레고를 가지고 논다.

평면의 2차원적인 형태가 접는 행위 통해 3차 원 공간으로 만들어 진다.

점선을 따라 안쪽으로 접는다.

레고 블록 조각조각이 모여 하나의 모형이 완 성된다. 천 조각조각이 모여 하나의 완성품 이 만들어진다

노란 부분의 찍찍이를 붙인다.

레고는 색도 모양도 다양해서 아이들은 레고 를 가지고 놀 때 필요한 조각은 따로 빼놓으면 서 논다. 색을 다르게 하고 구획을 나눈 것이 이런 용도와 딱 맞다.

끝을 붙이면 끝


SPACE, FORM AND STRUCTURE

Shoes Case 신발 케이스

8 9

임채은 Chaeun Lim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신발 보관 시 낭비되는 공간이 많다. 기존 신발 상자는 신발마다 다른 굽의 높이를 수용하지 못한다. 신발장에서 굽이 높은 신발은 눕혀 보관해야 한다.

좌우 대칭인 신발특성에 주목하여 효율적 보관이 가능하게 한다. 신발장에서 상자를 쌓아 효율적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신발 디자인 그 자체가 디자인이 되도록 투명한 케이스를 제작한다. 신발 마다 굽의 높이가 다르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Repetition of Geometry 기하원리의 설정과 반복

a

b

c


SPACE, FORM AND STRUCTURE

10 11

a 김민지 이지원 임채은 최해리 ㅣ 강미선 스튜디오 b 강다온 김소희 양서정 ㅣ 전숙희 스튜디오 c 민예원 이유진 홍은영 ㅣ 류창수 스튜디오 d 김혜운 박은형 신성희 이다연 ㅣ 김광수 스튜디오

a

d

c

b


Volume and Space 미술관 설계 프로젝트

정예지

Yeji Jeong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작품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우주천체의 기하학을 모티브 로 삼았다. 전체적인 형태 또한 큰 원과 끼어든 박스들로 만 구성했다. 좁은 입구를 통해 들어가면 설치작품의 그 림자를 보게하여 긴장감을 극대화 시킨다. 내피공간을 그 림자로 상징되는 어두움을 표현했다면 외피공간은 통창을 통해 햇빛을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김두원

Duwon Kim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이 건물은 설치미술을 중심으로 하여 회오리모양으로 1층 에서 2층까지 돌아 들어가는 형태이다. 원사이드미러를 이 용하는 설치미술의 특징을 살려 긴 입구 부분에서 거울 방 안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창을 내어 재미를 더했다. 또한 2층과 휴게공간에서도 감상할 수 있다.


FOUNDATION STUDIO

이지원

12 13

Jiwon Lee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코너의 공간을 활용하여 사각형의 단조로움을 피하면서 휴게공간에는 아늑함을, 리셉션공간에는 분리된 느낌을 주었다. 서로 다른 성격의 세공간이 이루는 볼륨이 색다르 게 느껴진다. 계단은 두 층을 이어주는 역할과 대형설치 작 품을 감상하는 공간의 역할을 한다.

김소희 Sohui Kim 류창수 스튜디오 Changsu Ryu Studio

이 갤러리는 여러 개의 원들의 일부 원주들이 모여 만들 어 졌다. 갤러리를 하늘에서 보면 갤러리의 외벽이 한 점 으로 모이는 소용돌이처럼 보인다. 천장이 높은 리셉션 공간에 비해 회화작품을 전시한 공간은 좁고 길쭉한 모 양의 복도이다.


나도원 Dowon Na 류창수 스튜디오 Changsu Ryu Studio

이슬람 건축양식에서 모티브를 얻어 현대적인 건축물로의 재형상화를 시도해보았다. 돔 대신 원뿔형의 유리천장을 얹 고 세로로 긴 아치형 창문들을 반복하여 사용하였다. 건물 내부에는 고전적인 느낌을 주는 홀 공간과 외부에서 정면 으로 보이는 계단실을 두었다.

김연경 Yeongyeong Kim 장기욱 스튜디오 Kiook Jang Studio

주변이 강으로 둘러싸인 작은 섬에 위치한 미술관이다. 건물 내부에 인공적으로 끌어들인 물은 내부와 외부의 연결성을 보여준다. 상승하는 동선을 따라서 작품들을 감상하다가, 가 장 높은 위치(휴게공간)에서 외부공간을 볼 수 있다.


FOUNDATION STUDIO

14 15

이지영 Jiyeong Lee 장기욱 스튜디오 Kiook Jang Studio

지형의 기울기를 활용해 높이를 달리하는 2개의 미술관을 만들었다. 왼쪽 동을 지나 내려가는 길에는 시원한 분위기 를 느끼도록 야외정원을 마련하였다. 또한 설치작품을 여 러 위치에서 볼 수 있게 하였다. 휴게공간에서는 멀리 강 이 보여 사람들에게 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자연까지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소민 Somin Lee 장기욱 스튜디오 Kiook Jang Studio


최해리 Haeri Choi 최교식 스튜디오 Gyosik Choi Studio

작품에 기반하여 미술관을 설계하였다. 작품이 대체로 어두운 분위기라서 미술관 본체도 그러한 분위기를 갖 도록 설계하였다. 건물 중간에 스킵플로어 구조를 사용 하여 휴게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어 두운 느낌을 심화시키기 위해서 기운 벽을 사용하였다.

문신영

Sinyeong Mun

최교식 스튜디오 Gyosik Choi Studio

갤러리의 미술작품들은 현대사회의 부정적인 면을 보여 준다면 대형 설치작품은 '정화'를 의미한다. '비만' 토르 소를 감상하게 하여 갤러리의 주제를 암시하고, 토르소 후방에 빈 공간과 창문을 설치하여 토르소가 벽에 꽉 끼 는 듯한 느낌을 강조하였다.


FOUNDATION STUDIO

16 17

강다온 Daon Kang 최교식 스튜디오 Gyosik Choi Studio

전시된 작품들은 재활용된 작품들이기 때문에 갤러리 자 체도 상자들이 여럿 쌓여있는 느낌을 주고자 크기가 다 른 여러 육면체 매스들을 엇갈리게 배치하였다. 갤러리의 전체적인 동선은 2층에서 1층으로 진행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SINGLE FAMILY HOUSE & RETAIL DESIGN 주택을 사례조사하고 도면 및 모형 연구를 통해 그 상호관계를 이해한 후, 2개의 소규모 건축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연면적 200㎡ 내외의 작가 작업실 겸 거주공간 디자인이며 두 번째 프로젝트로 연면적 400㎡ 내외의 소형상 업시설을 디자인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건축설계개념이 공간으로 전환되는 과정 을 탐구하고 건축적 구성요소가 공간생성논리와 구축논리로 체계화되는 과정을 학 습한다. 또한 건축공간과 사용자간의 행태상관성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위한 건축공간을 디자인한다. 디자인과정에서 다이어그램 및 도면의 작도와 모형스터 디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STUDIO TUTORS: Daun Yoo Jungju Kim Tonghoon Lee Kiook Jang


Emptiness 도심 속의 공터

김새롬 Saerom Kim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건너편 도보에서 바라본 모습

서점, 카페,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위치하고 있으며, 양옆으로 1층 건물이 자 리잡고 있어 서점과 레스토랑에서는 거리의 사람들이 내려다 보인다. 건물은 중앙의 빈 공간, 데크가 깔린 중정을 향해 열려 있으며 내향적인 얼굴을 가지 므로 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유의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In front of crowded Ewha Woman’s University, there is a building with its own style of relaxed and tranquil atmosphere. Particularly, because one-storied buildings are located on both sides, people can look down at the street from the book store and restaurant. There is an empty space in the middle of the building. And it has an introvert image.

Concept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Cube in Cube

20 21

큐브 안의 큐브가 만들어내는 상상력

김시연 Siyeon Kim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입구에서 바라본 모습 N

스티븐 스필버그를 위한 집은 그의 뛰어난 상상력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큐브 안의 다른 작은 큐브 가 만들어내는 각도는 이런 의도를 극대화시킨다. 비밀스러운 구석 진 공간, 안과 밖의 구분이 모호한 공간,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다락 방 등의 공간 구성은 그 자체로 상상력을 불러 일으키는 집이 된다.

2 3

House for Steven Spielberg should be designed to demonstrate his imagination most. The angle made by small cube in the large cube maximize this intention. The organization of space like a cagey retired spot, an ambiguous space that hard to recognize inside and outside, an attic to see the sky arouse imagination in itself. 1

1 Bedroom 2 Garden 3 Kitchen Living Room

1F


Geometric House 작가 박민규의 집

김명선 Myungsun Kim 김정주 스튜디오 Jungju Kim Studio

독특함이 느껴지는 외부 전경

재치가 넘치고 기발한 착상을 가진 작가 박민규. 그의 집은 그만큼이나 눈에 띄 는 독특한 외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언뜻 보면, 어떠한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진 조형물처럼 보여지기도 한다. 작가 박민규의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그의 특징을 집의 형태, 구조 등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4

A writer, Minkyu Park’s works have full of wit and has a novel idea has lively personality. His house stands out as well as he does and has an unique external form. At fist glance, it looks like a kind of sculpturethat has a geometric form. You can check the writer’s character in his works through the house’s form, structure, etc.

2

Concept 3

1

작가의 일상적이지 않은 발상에서 따온 '일반적인 형태가 아닌 불규칙한 다각형'의 주택.

1 Living room 2 Guest room 3 Utility room 4 Kitchen

1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Sampe House 삽화가 장자끄 상뻬를 위한 주택

22 23

최정윤 Jungyoon Choi 김정주 스튜디오 Jungju Kim Studio

Section AA'

Section BB'

어릴적 악단을 열망하던 꿈과 따듯한 마음씨가 반영된 상뻬의 작품 속 사람들 은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이 많고 소소하고 감동적인 사연들을 가지고 있다. 그 의 그림들은 대부분 상상력으로만 그려진 그림들인데, 장 자끄 상뻬의 성격과 작업상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Sampe House라는 상뻬만을 위한 특별한 주택 을 설계했다.

Sampe House is for Jean Jac Sampe, illustrator. He's works portrait people with instrument and have touching story. And they are mostly described through Sampe's imagination. This house is only for Sampe, considered he's comfort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

N

1F

B1


Shop In Cafe & Shop Out Cafe SHOP,CAFE,ATRIUM 의 3색 공간

권채윤 Chae yoon Kwon 김정주 스튜디오 Jungju Kim Studio

벽체의 in 그리고 out 을 통해 공간이 형성

이 건물은 양옆에 옷가게와 악세사리 가게가 많은 골목길과 복합상가가 대 부분인 주도로를 양옆으로 두고 있다. 이런 특징으로, 주도로를 바라보는 1층에는 카페가, 골목길에 접하는 곳에는 상점이 있다. 골목길로의 접근성 을 높이는 개방된 공간의 아트리움이 건물 중심부에 위치하며, 아트리움은 모든 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포함한다.

On each side of the building, there are main street and an alley. With this feature, there is a cafe on the ground floor facing the main road while there is a shop in contact with the alley. The the atrium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uilding helps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alleys.

Concept 2

1

아트리움을 축으로 벽체의 IN 그리고 OUT을 통해 생기는 4가지 공간을 이용한다.

1 Shop 2 Cafe

2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Block On Block 쌓음과 비움

24 25

이슬 Seul Lee 김정주 스튜디오 Jungju Kim Studio

외부에서 바라본 전경

책이 겹겹이 쌓여 올려진 모양에서 오는 느낌을 건축적으로 살리기 위해 블럭에 블럭을 쌓는 방식으로 공간을 구성하였다. 큰 블럭 안에 서 세로로 긴 막대 형태의 블럭들이 엇갈리며 쌓여 건물 내부의 공간 감을 다양화한다. 1층은 2층에서 쌓인 블럭들이 투영된 모습이 1층 바닥의 단차를 통해 드러나도록 구성하였다.

The space is organized by using the basis- gaining blocks - to make a feeling that comes in the form of staked books. Blocks which are piled crossly stimulate mixture spatial sense in the buil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 floor is from the figure of accumulated blocks in second floor and it revealed through the step in a floor.

N

library

cafe

library

2F

긴 막대의 블럭들이 엇갈리는 모습


House for TIM BURTON 팀버튼을 위한 공간

이미성 Meesung Lee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독특함이 느껴지는 외부 전경

영화 감독이며 그림쟁이인 팀버튼은 새로운 작업을 할 때면 호텔방을 빌려 자 신만의 공간에서 그림을 그린다고 한다. 그런 그를 위해서 가족들과 함께 사 용하는 본관과 연결된 그만의 별관을 설계했다. 긴 복도를 이용해 본관과 별 관 사이에 거리감을 주고,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의 건축적 어휘를 상반 되게 이용해 팀버튼만의 개인적 공간을 강조했다.

A Movie director and an artist, Tim Burton, whenever he start his work, taking hotel room for his own place. For this, I designed annex only for him that connected with main building for his family. Using apposite architectural words, I emphasized his own space. N

투시도

2F


26 2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Chopin House 예술가를 위한 주택

신희정 Heejung Shin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음악적 리듬감이 느껴지는 입면 N

유명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던 쇼팽(1810-1849)을 위한 주택으로 그의 피아노곡 악보를 모티브로 하였다. 입면에서 음 악성이 느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쪽방향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지붕을 디자인 하였다. 그리고 창문의 크기와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이용하여 리듬감 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4

5

Chopin House is a house for the famous pianist and composer Chopin(1810-1849) and designed with Chopin’s music score motif. To give a melodius feeling, the ascending roof was designed. LIghts through windows having different sizes and intervals create rythm of a music.

6

2F

4 2

1 2 3 4 5 6

부엌 거실 개인 거실 화장실 음악 작업실 침실

1

3

1F


The Flying Step 계단에 의한 점층적 층계차

이미성 Meesung Lee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높이 차가 심해 경사가 있는 사이트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계단 을 이용해 점층적인 층계 차이를 주었다. 1층에는 상점을 위치시 키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큰 마당을 주고 2층의 레스토 랑에서는 좋은 전망을 볼 수 있도록 중정을 주었다. 또한 1층의 마당과 2층의 중정을 연결하여 다양한 전망과 충분한 채광을 얻 을 수 있도록 했다.

Emphasizing features of the slope with long height differences, each steps are designed to heighten. A square on the 1st and the countyard on the 2nd shares same space to provide various views and being well lighted space for visitors.

점층적인 공간감이 느껴지는 외부 전경

N

입면에서 드러나는 점층적 높이 변화

People can see wide view at edge


28 29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Cube Complex 근린생활시설 디자인

신희정 Heejung Shin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리듬감이 느껴지는 건물의 모습

N

이화여대 정문에서 이대역으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한 큐브 컴플렉스는 일정한 크기의 모듈을 무작위로 쌓아올린 형태 이다. 이 때 형성되는 뚫린 공간들은 테라스 등으로 되도록 하였고, 이러한 공간들을 통해 리듬감과 재미가 느껴지도 록 하였다. 프로그램은 학생 임대용 갤러리, 스터디 카페 그 리고 음악바로 구성되어 있다.

2

1

2F

Cube Complex located on the way from the Ewha Woman’s University to the subway station, is designed by stacking up the same size modules randomly. The open spaces are used as a terrace and give rythmic and interesting image to people.

2

1

1

1 갤러리 2 스터디 카페 3 음악 바

1F


酒書風流

술과 책이 있는 풍류

정지우

Jiwoo Jeong

장기욱 스튜디오 Kiwook Jang studio

각 채들과 마당이 어우러진 모습

이 주택의 건축주는 설계자를 포함한 4명의 가족이다. 이 프로젝트를 한옥으 로 진행 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급격한 주거의 서구화가 현대 가정의 붕괴를 야 기하는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 공동체적 가치를 중요시 여겼던 시대의 주거형 태인 한옥이라면 현시대 개인적 이기주의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을것이라 생 각했다. 이 주택은 생활공간인 안채, 가족들만을 위한 작은 도서관인 서가, 그 리고 식당을 차리고 싶어하는 아버지를 위한 누각 세개의 채로 이루어져 있다.

Owner of this house is the familly that include architecture. I think Hanok, dwelling pattern of when valued on communty, can be the answer of collapse of modern familly. This house is made up by three buildings.-The main building that place of living, Book house that library for our familly, air castle that use by father's restaurant.

N

1

2

3 4

5

1 Room 2 Toilet 3 Utility 4 Kitchen 5 Living room

안채

서가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김환기의 HUB HOUSE 허브를 이용한 공간 이동 디자인

정재영

30 31

Jaeyoung Jung

장기욱 스튜디오 Kiwook Jang studio

허브를 둘러싸고 있는 집의 모습 N

김환기와 부인이 생활하는 주택으로 부부간의 접근성을 높힐 수 있는 컨셉을 생각하게 되었다. 공간적 거리감을 훨씬 줄여주기 위해 내부의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허브(hub)’를 두었다. 계 단으로 이루어진 ‘허브’는 어느 방, 어느 층으로든지 연결되 어 있으며, 공적 공간과 사적공간을 긴밀하게 연결해 주는 역할 을 한다.

5

3

This is the house for a Kim hwan ki and his wife, it is designed to improve accessibility of each other. In this house, especially, ‘Hub’ is located in the core of house. ‘Hub’ which is formed with stairs is connected with any floor and spaces, and it connects public and private spaces organically.

1

2 4

6 1 Enterance 2 Guest room 3 Kitchen 4 Living room 5 Dining room 6 Terrace

1F


Clothes Show 모든 방향을 어우르는 디스플레이

정한아 Hana Jeong 장기욱 스튜디오 Kiook jang Studio

공간의 엇갈린 관계성이 보이는 전경

이화여대 앞길, 의(衣)와 식(食)을 결합한 공간으로 서로가 엇갈리듯 되있 어서 어느 공간에 있더라도 모든 방향을 아우를수 있는 현상을 창출한다. 또한 녹지가 많지 않는 이화여대길에 작은 녹지공간을 만들어서 사람들 의 시선을 자연스레 끌고 그 시선들이 건물 외면에 전시되있는 옷으로 자 연스럽게 옮겨진다. N

1F

In front of EWHA street, project for female college student. The project is clothes and meal 'Combining Space' and that two space is 'Crisscross'. So we in anywhere, we embrace every direction. Also, make some space like little park. Than, all eyes turn and that attention can move to clothes that display.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Stay in an alley 골목길에 머물다

32 33

양효실 Yang Hyosil 장기욱 스튜디오 Kiook Jang Studio

공간의 연결 관계가 나타나는 전경

큰길에서 갈라져 나와 마을 안이나 집들 사이로 이리저리 나 있는 작은길이 라는 골목길의 뜻과 같이 각 프로그램을 가진 상업시설들 사이로 이리저리 나 있는 길을 통해 이웃하고 있는 가게들이 마당을 공유하며 골목길을 지나 가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에피소드가 생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도록 해 주는 수직적 공원이라 할 수 있다.

Like a meaning of an alley(a narrow passage or street with buildings or walls on both sides), through the alley streched to each shops, stores share their yards. It gives a chance to people who passby create their special episodes. It provides a vertical park that can enjoy various programs.

N

2F

1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ART MUSEUM 문화시설의 건축적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배경과 건축공간의 상관 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사회의 문화예술 활동에 필요한 복합문 화시설을 설계한다. 문화시설이 갖는 특수한 건축형식의 설계를 위해 경사진 대지 에 1500㎡미만의 복합적인 문화시설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구조 및 구축형식을 연구, 발전시킨다.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공간과의 관계, 환경과 형태의 관계를 이해 하고 대지의 자연적 조건들을 창의적으로 분석하고 설계에 반영하는 능력을 함양 한다. 나아가 개별 건축물의 디자인을 넘어 사회문화건축담론에 대한 사고를 확장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STUDIO TUTORS: Hyundai Kim Yoonhie Lee Tae-gune Kim Sohyung Park


Walking through the Lights 전시관 설계 프로젝트

신희정 Heejung Shin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산책하는 사진미술관 전경 다양한 주제의 사진을 자유롭게 전시할 수 있는 사진 전시관이다. 전시관 은 부암동 주변 일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6개의 크고 작은 상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자들은 각각‘암실’을 상징하는 콘크리트 또는‘ 빛’을 상징하는 유리로 되어있다. 관람객들이 전시를 관람하면서 혹은 산 책로를 따라 산책을 하면서 자연스럽게‘암실’과‘빛’의 상자들을 통과 해가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The museum for photo exhibitions consist of 6 boxes in various size , and it is harmonized with its surroundings. The material of the museum is concrete which represents ‘dark chamber’ and glass which represents ‘light’. The visitors will walk through or between the ‘dark chamber’ and ‘light’ naturally as they enjoy exhibition or stroll.

1 2 3 4 5 6

Section

강당 상설전시관 라운지 로비 특별전시관 수장고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Design of Seoul KyodongElem Because of reduced the num cilities requires to embrace efficiency at school and satis the lack of sports facilities a school with swimming pool a familiar spatial concept as ‘T in designing outdoor space. I and school program was pos trail. ‘Trail’ composes of the i tion for public facilities, whic ous spaces as they need.

서울교동초등학교를 설계하는 ‘스몰어번스쿨’ 프로젝 트. 학생 수가 줄고 있어 교육시설이외의 지역사회와 연 계된 문화시설을 학교와 함께 계획함으로써 학교의 효율 성과 지역 커뮤니티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대지인 종로구 의 체육문화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육시설과 체육문 화시설로 수영장, 헬스장, 도서관을 계획하였다. 특히 외 부 공간에 ‘등산로’의 개념을 도입하여 각 시설들의 개 방성과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각 의 체육문화시설들과 교육시설들로단계적인 목표점들로 설정되었고, 이를 향한 ‘등산로’는 건물의 외부 동선과 내부 동선을 구성하며 서로 공유하면서 혹은 분리되면서 공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N

Site Analysis

Design Concept

36 37

5 4

6

Lack of sports Facilities

School and sports center stay together while creating 3 climbiing trails with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1

1

2

The population Aging

1 로비 2 강당 3 상설전시관 4 사무실 5 수장고+ Sportscenter School 6 주차장

Room (or space) is Goal for visitor at building

2

Trail become Circulation to sport center 0

5

10

20 M

1F


Korean Art Museum 부암동 한국화 미술관

양효실 Yang Hyo Sil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미술관의 외부 전경

부암동은 역사적 문화재들과 여러 갤러리들을 지니고 있는 곳이다. 이러 한 곳에 역사적 한국화부터 현대의 변화하고 있는 한국화까지 전시하는 미술관을 지어 부암동에 한국적인 향기를 더해주고자 하였다. 수백년 동안 자리를 지켜온 나무를 둘러싸며 대지의 높낮이와 어우러 지도록 배치하였 다. 오래된 우물터의 모습이 전시의 시작을 알리고 안평대군의 집터 위에 세워진 카페에서 미술관을 내려다 보며 관람을 마무리 한다.

Section A

Bu-am dong has some historic sites and galleries. I tried to add the scent of Korean by build a Korean Art Museum at Buam dong. The building surrounds the old tree, and harmonized with ground levels. An exhibition starts with an old well and finishs with panoramic view of the museum at a cafe.

Section B


38 39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N

1F

Elevation


Flowing Museum 흐르는 미술관

이미성 Meesung LEE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대지의 경사를 적극 활용한 미술관 전경 대지의 경사를 따라 박스 모양의 공간을 쌓고, 그 중심에 큰 빈 공간을 위치 시켜 박스 공간들을 연결시켰다. 중심에 위치한 큰 빈 공간에 서면 방문자 는 자신이 갈 수 있는 미술관 안의 공간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동선들을 모두 이 공간에 위치시켜 방문자들은 자신이 가고 싶은 경로 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Following the site, this concept use connected various size of boxes with big void. In the center of the void, visitors can see all the places in museum at once. Also every vertical circulation of the building located to big void, visitors can choose the place where they want to get in.

Section 0

1.5

4.5

9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0 41

N

1

2

3

4

1F

5

6 7

8 1 2 3 4 5 6 7 8

0

3.5

10.5

21 M

세미 전시실 강당 리셉션 수장고 전시실 기념품 샵 (세미전시실) 세미 전시실 카페

2F


Museum_Wall&Sunkengarden 벽과 썬큰가든을 통한 보이드 공간 디자인

이수형 Suhyung Lee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외부와 차단된 내부의 독특한 전경 기본적인 박스구성에서 시작하여 로비에서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주변사이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담을 연속적으로 적용, 이를 건물의 벽체 임과 동시에 담으로 이용하였다. 이 벽을 따라가서 만나게 되는 로비는 썬 큰과 높은 옹벽으로 둘러싸이게하여 공간감을 배가시키고자하였다.

SectionA

Fence around the site continuously applied to prevent topography, and at the same time the wall of this building was used as fences. sunkengarden and high rataining wall. By these things, extensity in lobby has doubled.

SectionB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2 43

N

7 8

1

2

4

3

5

6

1 2 3 4 5 6 7 8

0

1

3

6M

썬큰 가든 로비 전시실 뮤지엄 샵 참고 도서관 카페테리아 화장실 화장실

1F


Museum with Central Park 중앙 공원을 포함한 뮤지엄 디자인

정재영 Jaeyoung Jung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공간의 얽힘이 드러나느 전경 부암동이라는 사이트는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특징들을 갖추고있기 때문에, 처음 이 프로젝트는 사이트 전체가 뮤지엄이 될 수 없을까라는 질문에서 시 작했다. 사이트 전체가 미술관이 되기 위해, 몇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게 된 다. 결론적으로, 어떻게 보면 세개의 분리된 공간들로 느껴질 수 있는 것들이 (A,B동과 그외의 공간들) 하나의 공간으로 읽히게 한다.

SectionA

To be ‘a giant museum’, this museum complex has several special features and these things help to make site to be a museum ,visually and functionally. In conclusion, the existence of this central park makes the divided three spaces works like an complex organism, ‘The giant museum’.

SectionB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4 45

9

8

2 1 7

6

2F

N

5

3 4

2

1 1

1 2 3 4 5 6 7 8 9

01

3

6M

카페, 뮤지엄 샵 공원 전시 홀 수장고 기계실 오피스 도서실 공원 전시 홀

1F


Interacting Art Museum 부암동 아트 뮤지엄

최정윤 Jungyoon Choi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소통하는 외부 전경

안과 밖의 소통을 위해 출입구 쪽으로 넓게 열린 사선 그리드를 기준으로 솔 리드한 부분과 보이드 부분을 번갈아 배치하여 실과 설큘레이션 동선을 나누 었다. 외부에서의 행위들과 내부에서의 행위가 사선으로 넓게 열린 보이드를 통해 소통할 수 있고 산책로를 거닐듯 편안한 출입이 가능하다.

SectionA

Buam-dong site is known for a good place to follow a trail with beautiful scenery. Interactings of in&out(the building&nature) is the big theme of the project, so that the dramatic landscape and air, Buam-dong site have, should not be harmed by.

SectionB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

1

3

3

2F

N

3

1

3

2

1

1 2 3 4

입구 수하물 적재공간 전시 까페

1F

46 47


Overlap 부암동 미술관 프로젝트

최수진

Su-Jin Choi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매스의 중첩이 돋보이는 외부전경 육면체 매스를 오버랩시켜 전체적인 모습을 만들고 3개의매스가 중첩된 부분에 중심을두고 사방으로 펴져 흘러 내려오는 형태로 사람들이 자유 롭게 편하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으며 큰 아뜨리움을 통해 사람들 이 탁 트인 시원한 공간체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내부와 외부로 단정짓 는 것이 아니라 내, 외부를 자융롭게 체험할 수 있는 동선을 유도하였다.

Making whole shape is overlapped the several masses and overlap place is the center of it. The museum is formed to flow down site’s slope. People can experience firsthand an open expanse from the big atrium. I don’t make decision the intrinsicextrinsic, induce the route that can experience all places freely.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8 49

N

13 12 11 10

9

8

7

6

5

5. 테라스 6. 전시공간 1 7. 카페/뮤지엄샵 8. 화장실 9. 전시공간 2 10. 특별 전시관 11. 영상실 12. 교육시설 13. 도서자료실

01

3

6M

1F

Elevation


Wall Gallery 담을 통해 산책하는 미술관

김새롬 Saerom Kim 박소형 스튜디오 Sohyung Park Studio

산책하기 좋은 미술관 전경

담과 함께하는 산책’을 주제로 설계하였다. 기존의 산책이 담을 옆에 두고 따라 걷는 것이라고 한다면, 이 미술관에서는 담을 뚫고 지나가는 산책을 경험할 수 있다. 총 7개의 Main Wall이 자리잡고 있고, 주동선에 따라 그 담 주위로 공간이 형성된다.

The concept was derived from a walk along low walls and winding paths. In addition, it was designed with a theme of a 'stroll along with walls'. The existing stroll was done by walking along the wall, however, you can experience a stroll by going through the wal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50 51

N

01

3

6M

1F

Section


Museum of Moving Image 부암동 영상박물관

정한아 Seona Kim 박소형 스튜디오 Sohyung Park Studio

독특한 동선을 지니는 미술관 전경 부암동 대지의 특징인 경사지와 이번 설계조건 중 무장애시설을 중점으로 두어 설계하 려고 하였다. 자연스러운 동선연결을 위해 경사로를 둘러서 원의 모양을 만들고 연결 되는 나머지의 공간들도 원의 모양으로 잡았다. 메인동선을 통해 건물의 외곽을 돌며 점차적으로 올라갈수록 각 레벨에 맞는 전시관으로 들어가서 구경을 할 수 있으며 점 차 위층으로도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I focus on two sources. One is that the land is slope. So, the main flow planing is slope for sharing ordinary people. Because of the natural connection of circluation, the form of museum is circle. In the museum, I minimize the stairs placement.

Section


52 5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N

4

4

1

2 5

3

6

1 Lobby 2 Storage 3 Machinery 4 Exhibition 5 Cafe 6 Shop

01

3

6M

2F

1F


Classical Music Museum 클래식 음악이 흐르는 미술관

함재희 Jaehee Ham 박소형 스튜디오 Sohyung Park Studio

음악이 느껴지는 미술관 전경

박물관의 주제를 커피 향과 잘 어울릴만한 클래식 음악으로 정하였다. 박물 관의 컨셉은 교향곡의 네 악장으로 잡았다. 두 개의 사각형을 서로 다른 각도 로 오버랩 시켜, 하나의 사각형은 교향곡이 네 악장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점 을 생각해서 네 가지의 각기 다른 모양으로 변형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원형 을 유지시켜 중심에서 네 개의 다른 매스가 결국은 하나라는 느낌을 잃지 않 도록 묶어주게끔 설계하였다.

Elevation

I decided the theme of my museum to be “classical music,” which also goes well with the rich smell of coffee. The concept of the museum is the four movements in symphony. To reflect such theme, I overlapped two squares in different angles. One was transformed into four different shapes to demonstrate the four movements of symphony.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54 55

N

4

6

DN

UP

EN

T

3

1

2

1.방풍실 2.안내데 스크 3.뮤지업 샵 4.카페 5.전시실 6.수장고

5

GROUND FLOOR PLAN SCALE : 1/300

01

3

6M

1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SMALL URBAN SCHOOL 연면적 5,000㎡ 내외의 교육시설 설계를 통하여 대지의 지형적/환경적 요인과 프로그램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축 및 외부공간을 종합적으로 디자인한다. 먼 저 교육시설에 대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과 사회문화, 그리 고 건축공간의 상관성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적, 지리적, 역사적 문맥(Context) 에 맞는 교육 및 연계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구성하기위한 다 양한 구축방법(Tectonics)에 대해 연구하여 최종 설계안으로 발전시킨다. 마지 막으로 내/외부공간의 무장애설계(Barrier-free Design)을 설계에 적용하고 주 요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심화발전시킨다. 건축디자인의 내용적 측면과 더불 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건축적 재현(Representation)방법을 탐구하고 개 념의 창의적 전달방법을 습득한다. 2014년 완공될 새로운 서울교동초등학교의 프로그램을 정의함에 있어 역사적 이고 전통적인 요소를 존중함과 동시에 새로운 Pedagogy를 담을 수 있는 창 의적인 건축 프로그램을 제안하도록 한다. 특히, 뉴 서울 교동초등학교가 가 지고 있는 서울 도심에서의 특별한 장소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움직임에 대 한 고려, 통제되어야 할 동선에 대한 분석 또한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한다.

STUDIO TUTORS: Kyoungeun Kwon Yoonhie Lee Sohyung Park


A school with plentiful face-to-face space 마주보는 공간이 있는 학교

구본영 Bonyoung Gu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도서관이 보이는 학교의 전경

교동초등학교 주변에 있는 서울노인복지센터, 탑골공원 그리고 종묘공원 등을 편리한 교통을 통하여 노인들이 많이 찾고 있다. 이 세 곳을 잇는 길에 위치한 교동초등학교를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에‘도서관' 프로 그램을 넣어 공공성을 부여하였다, 공공성 정도에 따른 프로그램 배치 과정 에서 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놓은 ‘깍지’ 형태를 가지게 되었고 그 사 이사이에서 많은 마주보는 공간이 생겨나, 다양한 외부공간을 가지게 된다.

12 1

Citizens often visit the Seoul Citizens’ Welfare Center, Topgol Park and Jongmyo Park, all of which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Gyodong Elementary School, via the convenient and accessible transit system. Seated at the crossroads leading to those three destinations, Gyodong Elementary School is given communality by means of a ‘Library’ program available to citizens.

13 9

15

13 15

15

Section C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58 59

다양한 외부 공간

공유하는 공간

N

5

6

7

3

10

1

2

2

2

2 8 10

9 11 4 1 2 3 4 5 6 7 8 9

도서관 특별교실 체력단련실 강당 식당 행정실 교무실 회의실 야외 독서공간 및 스테이지 10 테라스 11 정원 0

10

20 M

1F


Hanging Cabins 달림

김영주 Youngjoo Kim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공간이 매달려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전경

어릴 적 떠올려보면 나와 친구들은 특별한 공간을 갖고 싶어 했다. 나 는 이러한 공간을 나무 위의 오두막에서 찾았다. 건축 언어로는 메인 이 되는 매스에 작은 스케일의 공간들이 매달리며 다양한 공간을 만들 어내는 것이 설계의 목표였다. 사이트의 특성 상 노인 재능기부 교실을 학교 내에 두고 노인과 아이들이 함께 배움을 나누면서도 아이들의 안 전을 위한 학교를 만들고 싶었다.

When I recall my elementary school days, my friends and I wanted to have our own special space. I found the concrete these spaces from ‘Cabin on the tree’. The architectural element is diverse spaces made from hanging cabins on the main mass. Older people and children study and play together, so I have to consider carefully the security of children.

Site Analysis

1 Road Network

2 Residential Area

3 Business Area

4 Culture Area

5 Facilities For the Age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60 61

N

1 3 2

4 5

7

8

6

9

A

A’

10

11

0

2

6

12 M

1. Office. Counseling Center 2. Administration Office 3. Library 4. Nurse’s Office 5. Pricipal’s Office 6. Meeting Room 7. Class for Genius 8. Day care Classroom 9. Gym 10. Teacher’s Room 11. Cafeteria

1F

Section A


Culturally Embedded 문화와 소통하는 학교

양지현 JiHyun Yang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GL +8000

ENT

GL ±0

for Cars

GL +10900

GL +8000

GL +10900

GL +4000 GL +8000 GL -1600

GL +8000 GL ±0 GL +8000

ENT

for Visitors

ENT

for Students

�� �

�� �

Culturally Embedded “문화와 소통하는 학교” SITE ANALYSIS

DESIGN CONCEPT

PROG 주변 문화와의 교류가 낮아 공공성이 떨어지는 기존의 학교

학교의 사적 영역을 들어올려 학교 공간 아래로 공간 확보

층 공간에 외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주변 문화가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함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경복궁 창덕궁 종묘 경희궁 덕수궁의 중심부에 위치

주변에는 인사동 쌈지길을 비롯한 각종 예술 시설 음악 시설 교육 관련

현재 초등학교는 주변의 풍부한 문화를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하지

등 문화적으로 풍부한 시설들이 위치

못하고 있으며 높은 담으로인해 외부인의 접근도 어려움

CIRCULATION

STRUCTURE

Ԫ ʐ

현재의 학교는 풍부한 문화적 요소를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하지 못하고 있 으며, DESIGN 외부인 CONCEPT 또한 사이트 부근에서 아무런 경험을 할PROGRAM 수 없다. 따라서 갤러 리를 도입하여 현재 외부와 소통이 없는 학교가 공공성을 가지게 한다. 또 한 갤러리와 더불어 역사성을 가진 교동초등학교의 모습을 또 하나의 지역 의 문화적 요소로 제안한다 Gallery

주변 문화와의 교류가 낮아 공공성이 떨어지는 기존의 학교

층 사이의 소통과 연결을 위해 보이드 공간 사용

ZONING

안마당을 보는 모습

Now the school rarely use those cultural things to educate STRUCTURE students. Visitors cannot experience any culture around the school. A ‘gallery’ placed in the school helps it to interchange with outside condition. Finally, students can experience the culture. 대로와 가까운 쪽을 공공 영역으로 하여 외부인의 진입성을 높이고

외부인

대지 내 복층공간이 분포되게 하여

층 사이의 소통을 유도함

대로에서 대지 안쪽으로 놓인 학생들의 사적영역으로 바로 진입이

학생

가능하도록 공원의형태를 한 입구를 둠

사적영역 층에는 교사 관련 시설을 두고 그 위로 교실을 배치함

교사 영역은 외부인 영역과 가깝게 배치하고

실들은 보이드 공간 사이사이에 배치하여 소통이 가능하게 함

기타 서비스 영역은 대지 안쪽으로 배치 건물 내 학생들의 밀도조절을 위해서

교사

일반교실과 특수교실을 적절히 섞어서 배치

주변 사이트와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 역사 문화적 요소를 담는 공간

갤러리를 너머 학교의 모습이 하나의 문화요소가 됨

학교의 사적 영역을 들어올려 학교 공간 아래로 공간 확보

%" ࣶω Ćۤ ѕɻ è . ब͐ࣀƴ H‫ڪ‬फ़ ĆۤΆ ӡٝ

층 공간에 외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주변 문화가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함

є‫ڜ‬ʫ. Ǿ‫ ڊ‬è ؓ İʛ‫߀ ڜ‬Ԫ७ʍɻ͑ ࢲ̱հ ӡٝ

과 연계하여 활용하지

근도 어려움

2

4

3

5

갤러리 일반교실 � 교�실 과학실 � ��조리실

є‫ڜ‬ʫ ӡ‫ ڗڜ‬ѕɻ è ؓ H‫ڪ‬फ़ ĆۤΆ ӡٝ / İʛ ՎΆ ‫ ڗߨ ̣ך ؛܇‬è ८є

‫ڟ‬Л ս. İʛ Е Dž̈́ъ‫ ڋ‬ӡٝऱ‫ ؓ̈́ॾ۬ ؛‬ÏʶÄ श

Landscaping

1

&" Ʉω Ćۤ

/ İʛ‫ ͐͆ڟ ڜ‬ƴ‫؟‬ʍÄऱ‫ ؛‬ФॄԒ‫̋ ڋ‬Ä श

��

층 사이의 소통과 연결을 위해 보이드 공간 사용

��

� 평면 구조

단면 구조

복도 공간 필로티나 자형 구조를 사용

보이드 사이의 복도 공간에 자형 구조를 사용

보이드 높은 공간에 기둥이 최소화되도록 트러스 사용

기둥 수를 줄여 아래 층의 공간 확보

일반 실 기둥 및 내력벽을 사용하여 종횡력에 견디게 함

기둥이 일렬로 나열되게하여 방향성을 띄게 함

LANDSCAPING ߨ‫ ͐ڈ‬ѬΎʍ‫ ؂‬è ‫ڜ‬ʅ‫ࣶ ڜ‬ω‫ ڞۋ‬%ߨè ؓ ؄ɞ‫ ڋ‬ʔ‫ ؂‬Վ‫ ۋܥ‬٤‫؂ڟ ڜڣܥ‬ƴɻ͑ ऱÝ &ߨ‫ڤ ڗ‬Ć ѪѬؓɻ ‫؂ ڊ‬খΆ ‫ڵ؞‬չ࠙ ؄ɞ‫ ڋ‬फ़Ԓ

LANDSCAPING 층으로 분리되어 공간 이동이 평면적인 층공간에 언덕을 두어 수직적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하고 층의 입구 부분에도 같은 어휘를 연장시켜 언덕을 형성

층 사이의 소통을 유도함

사적영역 층에는 교사 관련 시설을 두고 그 위로 교실을 배치함

교사 영역은 외부인 영역과 가깝게 배치하고

실들은 보이드 공간 사이사이에 배치하여 소통이 가능하게 함

기타 서비스 영역은 대지 안쪽으로 배치 건물 내 학생들의 밀도조절을 위해서 일반교실과 특수교실을 적절히 섞어서 배치

외부인 출입 가능한 1층과 아이들의 영역인 2층으로 분리되어 평면적 인 공간에 수직적인 움직임이 일어나도록 함

공공성 있는 학교 내에 있는 아이들만의 사적 공간


ENT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GL ±0

for Cars

GL +8000

GL +10900

GL +10900

62 63

GL +4000 GL +8000 GL -1600

GL +8000 GL ±0 GL +8000

N

ENT

for Visitors

ENT

for Students

�� �

�� �

Culturally Embedded “문화와 소통하는 학교” SITE ANALYSIS

DESIGN CONCEPT ’ 주변 문화와의 교류가 낮아 공공성이 떨어지는 기존의 학교

학교의 사적 영역을 들어올려 학교 공간 아래로 공간 확보

’ 층 공간에 외부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주변 문화가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함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경복궁 창덕궁 종묘 경희궁 덕수궁의 중심부에 위치

주변에는 인사동 쌈지길을 비롯한 각종 예술 시설 음악 시설 교육 관련

현재 초등학교는 주변의 풍부한 문화를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하지

등 문화적으로 풍부한 시설들이 위치

못하고 있으며 높은 담으로인해 외부인의 접근도 어려움

CIRCULATION

층 사이의 소통과 연결을 위해 보이드 공간 사용

ZONING

’ 0

2

6

12 M

대로와 가까운 쪽을 공공 영역으로 하여 외부인의 진입성을 높이고

외부인 학생

1F

대지 내 복층공간이 분포되게 하여

층 사이의 소통을 유도함

대로에서 대지 안쪽으로 놓인 학생들의 사적영역으로 바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공원의형태를 한 입구를 둠

1

1 2 3 4 5

갤러리 일반교실 교무실 과학실 급식조리실

��

��

사적영역 층에는 교사 관련 시설을 두고 그 위로 교실을 배치함

교사 영역은 외부인 영역과 가깝게 배치하고

실들은 보이드 공간 사이사이에 배치하여 소통이 가능하게 함

기타 서비스 영역은 대지 안쪽으로 배치 건물 내 학생들의 밀도조절을 위해서

교사

일반교실과 특수교실을 적절히 섞어서 배치

2

4

3

5

갤러리

일반교실 Section A � 교�실 과학실 � ��조리실


WideSpread 다양한 공간이 펼쳐지는 초등학교

김지연 Jiyeon Kim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다양한 공간을 느낄 수 있는 학교로 집입, 학생들을 위한 주 출입구 전경

교동 초등학교는 폐교의 위험까지 있었지만, 역사의 가치를 볼때 폐 교 대신 공용 커뮤니티의 장소를 더하여 그 가치를 넓히는 것이 옳 다고 생각했다. 작은학교 소규모 학급에 맞춰 큰 운동장을 여러개 로 나누고, 학부모와 지역주민이 쉴 수 있는 휴식 장소를 마련하고, 특색교육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작은 공간과 곡선의 유리벽, 코너 등을 통해 다양한 공간 체 험이 가능하게 하였다.

To the risk of closure, but given the value of history, Instead of closureIn, Through addition place of public community, its value will widen. A small school with small classes, according to a large playground is divided into several, Provides a place to relax for parents and local residents, Make space for featuring education. By small spaces, curved glass walls, corners and height is possible to experience a variety of spaces.

Program

1 Public 외부 휴식공간 소규모 운동장 공용 운동장 공용 텃밭 카페테리아 공용 체육관

2 Private 교실, 특별교실 보육원 급식실 교무실 행정실

3 Joint 복도 휴식공간 소통공간 공용 운동장 공용 텃밭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64 65

N

0

3

9

18 M

1F

Section B


P I V O T ing 학교, 소통의 중심이 되다

임한솔 Hansol Lim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교동초등학교 전경

학교는 아이들의 교육 공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지역 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로컬 커뮤니티와 연계된 Lively한 학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삭막한 도심 속에서 직접 만날 수 있는 녹지를 제공 하는 urban park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chool should be a educational space for children, as well as the space available to various users. And it could be a lively school linked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a program that local residents can use. In addition, the school will be role of the urban park providing the green which can meet directly in the desolate city.

Program

3-Story Atrium Lobby

3-Story Atrium Clas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66 67

N

5

3

2

1

6

4

7

8

0

10

20 M

1 Dining Hall 2 Lobby 3 Offices 4 Cafe 5 Library 6 Gallery 7 Daycare Centre 8 Sports Hall 9 Musicroom 10 Library 11 Multimedia lab 12 Class room

1F

Section B


Communicating Courtyard 소통하는 안마당

김은영 Eunyoung Kim 박소형 스튜디오 Sohyoung Park Studio

안마당의 모습

교동초등학교 주변 건물들은 높고 큰 형태로 학교를 둘러싸고 있 으며 이런 주변 경관은 학생들에게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또 한 학교는 안전을 위해 담장 하나로 주변과의 단절을 이루고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안전과 소통이라는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 해 안마당을 이용하여 초등학교를 설계하였다.

Around Gyo-dong, buildings are almost high and big. So these things has adversely affec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is school just use wall for students’ safety and it cause cut off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Consider these circumstances, I designed school using the ‘Courtyard’ to fulfil a safety and communication.

Circulation

Student

Teacher

Community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68 69

N

13 13 4

5

6

7 2 2 2

8

1

2

9

10

12

1 Teacher’s room 2 Management 3 Library 4 Group room 5 Language room 6 Science room 7 Art room 8 Music room 9 Computer room 10 Restraurant (teacher) 11 Kitchen 12 Health room 13 Toilet

13 13

3 11

2F

13

13

12

14 14

5

3

3

2

2

3

2

10

11

2 3

4

2

1

1 Entrance hall 2 Classroom 3 Pocket 4 Courtyard 5 Gymnasium 6 Library 7 Audio-Visual room 8 Restaurant 9 Kitchen 10 School commons 11 Playground 12 Storage 13 Shower room 14 Toilet 15 Community hall

3 2

6

3 8

7

0

10

20 M

South Elevation

15

14 14

14 14

9

1F

North Elevation


Contunuous Spaces 울타리

PERSPECTIVE VIEW

윤소영 Soyoung Yoon 박소형 스튜디오 Sohyung Park Studio

공간의 연속성이 드러나는 학교 전경

대지로의 접근성은 높이지만 아이들의 공간으로의 접근성은 낮게 하기 위 해 썬큰을 내었다. 이유는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집중된 학교이기 때문에 외 부인을 끌어들여야 하지만 학생들의 공간은 안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컨셉 에 따라 디자인을 하다보면 생기는 건물과 외부공간이 단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간의 연속성을 주제로 동선과 입면을 계획하였다.

The reason I designed the sunken is lower accessibility to spaces of kids to commute the school concentrating on community programs. Circulation and elevation is focused on ‘continuous spaces’to solve the trouble that the school and outer spaces are isolated.

East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PERSPECTIVE VIEW

ERSPECTIVE VIEW

70 71

1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썬큰 (식당)

썬큰(식당)

울타리처럼 대지를 감싸는 매스

방위표와 스케일은 옆의 것을 복사해서 쓰도 록 한다. 크기는 경우에 따라 필요하면 변경할 수 있다. 너무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비율은 그대로 하 고 크기를 키워 사용하여도 된다.

N

1

3

6M DN

0

7

<참고> 모든 선의 굵기는 0.15pt(방위표의 가운데 막대 3 기는 0.3pt) 6 스케일의 경우 1:2:3의 비율로 거리를 표시하였 5 고, 세로 선의 높이는 1mm이다. 모든 도면의 축척이 같지 않으니, 밑의 숫자는 ARCHITECTURAL 그 도면의 DESIGN 축 STUDIO 7 척에 맞추어 변경한다. 방위표는 도면에 따라 rotate하여 사용한다. 참 고로 방위표의 크기는 지름 4mm임. 글씨체는 Dinlig, 크기는 4pt를 사용하였다. UP

4

UP

DN

DN

3

DN

DN

2

DN

1

방위표와 스케일은 옆의 것을 복사해서 쓰도 록 한다. 크기는 경우에 따라 필요하면 변경할 수 있다. 너무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 비율은 그대로 하 고 크기를 키워 사용하여도 된다.

N

0 0

1 10

3 30

6M 60M

1 Gym 2 Library 3 Hall 4 Computer Group Activity Room 5 Cafeteria 6 Class 7 Special Class

1F

<참고> 모든 선의 굵기는 0.15pt(방위표의 가운데 막대 기는 0.3pt)

1 1


Common [COME ON] Small urban school, 교동초등학교

이하람 Haram Lee 박소형 스튜디오 Sohyung Park Studio

내부로 열린 공간을 지향하는 학교 전경

사이트는 두 대로변에 맞닿아있다. 주변에는 낙원상가, 관광객들이 많 은 인사동 등이 있는데 학교가 학생들의 놀이터가 되기를 의도하였고 한 학년에 적은 수의 학생들이 다니는 환경을 고려해 학년간이 섞여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밖으로 보다는 안으로 열려 있 으면서 다양한 성격의 공공공간을 가진 학교이다.

There are Nakwon building and Insadong near the school, and it doesn't seem to be good for primary school education. The school is intended to be a playground for students and to be an environment for different years students to be mixed. A school opened to inside more than outside and have diverse common space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72 73

N

1 1

2

4 6

2

5

1 Classroom 2 Common space 3 Special class 4 Teacher's room 5 Admin. office 6 Playground 7 Exhibition hall 8 Dining hall 9 Library 10 Audiovisul room

0

6

18

1F

36 M

학교 외부

교실 외부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HOUSING PROJECT 동시대 거주문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집합주거공간의 단지설계, 건축설 계 및 인테리어설계의 통합적 설계능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집합주거 공간 및 관련시설들의 성격 및 관계를 체계화하고 이를 프로그래밍(연면적 5,000㎡-10,000㎡)으로 조직한다. 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단위공간의 구 성 및 조합논리를 탐구하고 설계한다. 또한 프로그램과 공간의 시스템적 접 근과 구축형식을 탐구하고 디자인한다. 동시에 거주단위공간에 대한 인테리 어스페이스를 디자인하고 전체공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여 일관성 있 는 건축프로젝트를 완성한다.

STUDIO TUTORS: Miseon Kang Hyounggul Kook Tonghoon Lee


Fractal Housing 크기별로 반복되는 마당

신선혜 Seonhye Shin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마당이 보이는 전경 N

'Fractal Housing'은 다양한 크기의 커뮤니티 공간이자 야외공간인 마당을 제 공한다. 각 주거 유닛에도 마당을 둠으로서 옆집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생 기고 복도의 모습도 변하게 된다. 일반적인 아파트 복도의 모습이 아닌 마치 단독주택 유닛들이 줄지어져 있는 듯 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마당이라는 공간 으로 측창을 낼 수있도록 하여 좀 더 나은 주거환경을 구성하였다.

‘Fractal Housing’ provides various size of community space, Madang that is outdoor space. Each residentail units have own Madang, so people get some space where can communicate with neighborhood. Madang space change corridor space too. Unlike typical apartment’s corridor, in this apartment, look like group of mansions.

0

20

60

120 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76 77

Block Plan N

2f

0

10

30

60 M

1f

North elevation


通 HOUSING

집합주거 프로젝트 : 모든것이 통하다

염인영 InYoung Yeom 강미선 스튜디오 Mi-Sun Kang Studio

외부공간이 보이는 전경 남쪽과 동쪽은 근린생활시설과 주거지역과 접해있다. 한정된 외부공간을 가지며, 주변을 고려하지 않은 고층 건물들은 위압감을 주며 일괄적인 모 습을 가진다. 이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고 사이트가 가지는 특징을 살리면서 주변의 작은 매스들을 유지하고, 건물들은 분리되어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커뮤니티시설로 엮이면서 다양한 외부 공간을 가지는 프로 젝트를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Unit Plan

The multi-household house has limited out space. So they are desolate, in a lump, and give coercion. While looking these facts critically, we tried to keep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make a small mass to keep around. Also, we keep in mind that the buildings are not separate so that we made tied community facilities having a variety of external space as a project.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N

0

6

18

36M

78 79


Feeling the Variety 방배4동 주거단지계획 프로젝트

양지현 Jihyun Yang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중정에서 바라본 전경 강남에 위치한 방배동은 상업, 교육 면에서 거주지로 주목받는 곳이며, 특히 방배4동은 문화성을 가진 주변 환경을 가진다. 하지만 이와달리 새로 개발 되는 주택은 특색없이 일관적이며 주변 저층 주택들과 대비되는 고층 아파 트들로 위압감을 준다. 따라서 Rotation, Set Back, Punch 등의 분절 방법을 Community 사용하여 차별화된 주택을 계획하고자 한다.

A site even has cultural contexts closely. However, new-built residences are featureless, consistent and give coercion to low buildings. Therefore, I planned a differentiated housing complex which is designed with Rotation, Set Back and Punch.

Feeling the VARIETY Terrace

Entrance

Punch의 개념으로 인해 생긴 공간

Agenda

1. 시각적 연속성 유도 2. 매스의 무게감을 덜어줌 3. 입면 디자인 요소 4. 커뮤니티 공간으로 작용

복도식 현관 입구

주동 입구

Privacy 존중 및 앞 집과의 소통 유발

코어의 충분한 공간으로 주민과의 소통 유발

Circulation for Cars

5. 상층부에도 외부공간 형성

Circulation for People

SOHO

Residents' Common Spac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80 81

Block 5

) 3/$1

Block 1

) 3/$1

Block 5 ) 3/$12F

) 3/$1

1F

1F


The path along the community 방배동 공동주거 프로젝트

박일형 Ilhyoung Park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공동주거의 전체 전경 개인의 집에서 외부로 나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커뮤니티 공간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동주거. 커뮤니티 공간은 4가구만이 사용할 수 있는 멀티룸이 며, 가장 열린 커뮤니티 공간은 광장이다. 그 사이에는 사이트 주변 주민들과 공동주거 거주자들의 교류가 일어 날 수 있는 경로를 사이트전체를 아우르도록 설계하여 다양한 커뮤티니 활동을 장려하는 야외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 Path 는 광장부터 각동의 멀티룸들을 수직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Master Plan

This is the Housing project that has various community spaces .The most private space for community is the Multiroom in front of 4 households and the most public one is the park on the ground level. Between these two community spaces there is the path throughout the site. The path encourages insiders and ousiders to enjoy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Block Type A

PATH

MULTIROOM

SHOP

PARKING

Unit Type

TYPE A

TYPE B

TYPE C

TYPE D

82 83


Networking the Living 일상의 다양성을 이어주다

이승원 SeungWon Lee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커뮤니티 공간이 보이는 전경 “node”는 8세대와 2곳의 커뮤니티 공간이 만나는 하나의 중정으로 표현 되었다. 이 중정은 길 쪽으로 닫혀있지만, 반대편의 녹지로는 열려있는 특징 을 갖는다. 작은 node들을 연결하는 하나의 큰 네트워크가 단지를 형성하 며, 주민들은 각각의 node를 중심으로 녹지, 경관, 경로, 공공공간 등의 공 간을 선택할 수 있다.

Every 8 residential units and 2 community spaces share this courtyard, which is closed to the street, but open to the semipublic green to the opposite side. Through a big network connecting these small nodes, residents have opportunity to choose layers of green, view, circulation, and open spaces.

Program

2F

1F

commercial community residential

Public Semi-Public Semi-Privat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N

0 10

30

Block Plan

60M

84 85


Communicating Public Spaces 다양한 성격의 공공영역을 가지는 공동주거

최유정 Yoojeong Choi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다양한 성격의 공간이 돋보이는 공동 주거 전경 기존에 빌라들이 빽빽히 자리하고 있는 방배 4동에 새로이 공동 주거 지를 설계하며 보다 여유로운 야외 공공 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특히 이 곳 사이트 바로 옆에는 주민들이 발히 활동하고 있는 공원이 자리잡고 있었고, 이 공원과 같이 주민들이 께 생활하면서도, 거주자들만의 사적인 외부공간도 제공해줄 수 있는 거 단지를 계획하였다.

단 목 활 함 주

I set a goal of providing lot of spare outdoor spaces, which residents can use for their use. Especially, next to this site, there is a park, that local residents are actively using. I planned to design this site to work together with the park as local residents' leisure spaces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he inhabitants private outdoor spaces.

Unit Type

Type C Type A Type B

Type A

Type B

Type C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86 87

N

0 10

30

60M

Section


Street - House - Plaza 마주치고, 모이고, 부딪는 마을

신혜지 Hyeji Sheen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우연한 만남이 존재하는 주거공간 전경 2,30대 사회초년생들을 위한 Share House를 토대로 한 설계를 진행하 였다. 이 사회군은 각자가 바쁜 생활 패턴을 영위하고 서로에게 등을 돌 린 이기주의가 팽배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따라서 자주 부딪는 공간이 자 조화롭게 살아가는 공간을 조성해 줌으로써, 소통하는 집합주거단지 를 조성하고자 했다.

Smaller households and increasing needs of the supplying small houses lead me to start thinking about the SHARE HOUSE for the aged 2-30. So I planned to build the communicative housing complex by making the place ‘where they can recognize and accept other’s existence and harmoniously live together.’

+12.4 m +11.8 m

+7.0 m +6.4 m

+4.8 m

+3.2 m

+1.6 m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88 89

N

A

A`

0

100

300

600M

Unit Plan

Type B_2F

Type A_1F

Type B_1F


Share Housing, Share Life 방배 4동, 함께 살아가는 마을을 꿈꾸다

임한솔 Hansol Lim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COURTYARD

COURTYARD

대지선정

내부 공간이 돋보이는 외부 전경

B1 sector A1

A2 C1

방배 4동은 최근에 재건축개발이 해제된 곳으로 몇 년동안 재건축 몸살을 C2 겪어왔다. 방배 4동에서 아파트 단지라는 방법이 아닌 사람들이 함께 살아 C3 B2 가는 또 다른 방법이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이런 생각으로부터 시작해 방배 4동의 기존 도시 패브릭은 유지하면서 함께 사는 동네를 만들 노후도가 높은 조적조 단독주택들 중 어가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특히 되었다. 공동주거 개발이 가능한 지역 선택

I thought that there may be another way live together in bangbae 4-dong. Starting from this idea, I progressed the project to create a neighborhood living together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urban faric of bangbae 4-dong.

30년 이상된 주거 and ‘70 건축연도

ISSUE B : SHARE HOUSING FOR NEW BEGINNERS

Block Type COURTYARD

A 대지선정 : 노후주거 비율 높은 곳 파악 (30년 이상 + 조적조 + 주택)

B 소필지 단위(3-5개) 의 소규모 공동개발

Type A

C 노후주거 지역 신축 : 20-30대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SHARE HOUSING DESIGN 주변 컨텍스트와 어울리는 방향으로 진행 (비슷한 scale) Type B

D 기존의 방배동 마을 FABRIC과 어우러지는 SHARE HOUSING + 그 안에서 발생하는 커뮤니티

Type C

Common Roo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90 91

Masterplan

COURTYARD

특히 노후도가 높은 조적조 단독주택들 중 공동주거 개발이 가능한 지역 선택 2-30대 1인주거를 중심으로 ‘신축’

부족한 문화 및 예술 공간 동네에서 편하고,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갤러리, 공방, 동네문화놀이터 등의 프로그램 도입 by 노후건물 리모델링

B1

공동주거 SHARE HOUSING의 유형 주민 이용할 수 있는 COMMON SPACE (CAFE, STORE, LIBRARY etc) 포함

A2

주차 및 차량이동을 최소화 시켜 주민들을 위한 보행공간으로 활용

C1

SECTOR A1

좁은 폭의 골목에 건물 서로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음 노면주차로 뒤덮인 보도를 ‘보행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차량진입을 최소화 / 주차문제 해결

C2

C3

동네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서관과 주민복지센터 by 노후건물 리모델링

B2

꽉 찬 블록 내에 OPEN SPACE를 조성 블록들로 막혔던 시야를 트이게 하고 새로운 보행공간의 경험 그러나 현실적으로 넓은 OPEN SPACE의 실현은 어려운 문제 > 동네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함

건물 사이의 막힌 길의 경우 포켓파크 또는 자전거주차장의 용도로 활용

프로그램 주차 시간별 OPEN SPACE의 용도 변화 늦은 저녁 ~ 이른 아침 : 주차공간

(건물사이의 어두운 부분이아니라 동네에 활기를 불어넣는 공간으로 전환)

오전~오후 : 주민 운동공간 녹지보행로 놀이터 주말 : 주말 Flea market

Block Plan N

COURTYARD

0

3

9

18 M


Matrix of the Paths 그물망 구조의 골목길

정민지 Minji Chung 이동훈 스튜디오 Donghoon Lee Studio

길 그리고 마주침이 존재하는 전경 전체 단지를 계획하는 데에는 ‘길’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길은 사람 들의 행동패턴, 마을의 특징을 잘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마을의 커뮤니 티가 가장 자연스럽게 모이는 장소이기 때문에 기존 길을 그대로 유지하였 다. 기존 길들의 이용빈도, 이용주체, 물리적크기를 분석하여 길의 성격을 정의했고 소필지들은 각각이 면해 있는 길의 성격에 대응하여 계획되었다.

Specifically, the familiar concept as ‘Path’ was used for planning thif project. I left paths as they were because ‘Path’ is not only the best space that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and village, but also the most familiar space that people gather around naturally.

Unit Type

Type 1 1F Plan

Type 1 2F Plan

Type 2

Type 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92 93

SITE P N

SIT

0

100

300

600M

sca

SECTION

A-A’ Section section scale 800: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RENOVATION PROJECT 본 교과목은 증개축 과제를 통한 인테리어 특화과정이다. 기존 건축물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구조적, 경제적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공간성격 및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기존건축물의 외부공간 및 외장개선, 용도변경, 내부공간의 변경 및 확장 등을 통하여 증축과 개축과정에서 요구되는 설계기술을 습득한다. 아울 러 증개축을 통해 새로 조성되는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설계과정을 통해 구조 와 내외장 그리고 이에 대한 좀 더 디테일한 측면을 탐구한다.

STUDIO TUTORS: Kwangsoo Kim Changsu Ryu Sojin Lee


Dressterior 민통선 북쪽 마을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김현지 Hyunji Kim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Scenario I

Scenario II

TRAVERTINE

Travertine

BRICK

Exposed Concrete

Travertine

Brick (new)

마을회관 옥상에 새로운 판을 댐 으로써 방향성을 제시하여 시각적 경험을 유도하되 기존 옥상에서의 행위를 제약하지 않도록 한다.

TRAVERTINE EXPOSED CONCRETE

벙커를 둘러싸는 판은 야외전시 를 가능하게하며 상대적으로 낮 은 주변 대지는 벙커 자체를 돋보 이게 한다.

마을 회관의 전경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96 97

Scenario III

TRAVERTINE

Existing Plan

Travertine

BRICK (OLD)

Brick (old)

집과 판 사이의 공간은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이 된다. 집의 서쪽으로는 이길리 마을에 대한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알 수 있는 갤러리가 자리하게 된다.

Dining room Bedroom Living area

Bedroom Bedroom

Entrance

Demo Plan removed walls/ items

A

마을회관 옥상에서 마을 전경을 바라보는 것은 외부인들이 선전마을 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함에 있어 중요한 경험이 된다.

Staying on the roof top of the town hall, it is important experience to understand thd physical features of the village.

Proposed Plan Office

Dining room

B

관입되는 듯한 느낌을 의도하였다. 눈높이에서 보이는 3개의 벽은 그 두께가 달라져 투시도적 효과로 거리감을 증폭시킨다.

Guest House Living area

Seems like being penetrated a wall. People can see walls which have different length, so it distort the perspective view. Proposed Plan

C

벙커를 따라 길게 연결된 판은 동선을 유도한다. 판은 공중에 띄워져 마을 광장이 대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유지할 수 있다.

Long plate along the bunker leads people to the house. Plate floats to the air conserve a large space.

Gallery

Exhibition

Office Guest House


Wheel of scenary 양지초등학교의 흔적을 엮다

이예주

Yeju Lee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폐교인 양지 초등학교에는 기억이 곳곳에 흔적으로 남아있다. 흔적들은 현 재 양지마을의 가운데서 나뉘어진 마을을 연결해주며 북쪽으로부터 내려오 는 자연의 흐름을 받는 양지초등학교의 현재 모습을 이어나간다. 양지초등학 교의 흔적은 과거, 현재, 미래의 기억과 함께 엮이며 새로운 양지초등학교의 풍경을 만든다.

Design Process

I try to wake up the blurred memories with new ecological program. Located in the middle site, the traces connect villages. Moreover they carry on the flow of the nature from the north. The trace of school makes new scenary by being mixed with the memory of past, present and futur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Section

98 99


THROUGH THE SHOWCASE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길리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전은경 Eunkyung Jeon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시선이 교차하는 공간

기존의 벙커와 빈 집 위에 쇼케이스 판과 지붕이 씌워 짐으로써 외부로 노 출되어 있던 공간을 내부로 들여 기존의 레이어를 강조하고 움직임을 안으 로 끌어 온다. 마을에서의 수평적 동선흐름을 수직적인 레이어의 삽입을 통 해 끊음으로써 마을회관, 벙커, 빈집 등 외부의 시선과 동선을 끌어들이고 이를 통해 두개의 층위가 연결된다. 이를 통해, 두 개의 층위가 관통되어, 분 리 되어 있는 마을의 양면이 연결되고 경험되면서 마을의 진정한 문화 사업 의 길목이 될 것이다.

By covering SHOWCASEs over the existing bunkers and empty house, the places exposed to the outside change into the interior space emphasizing the two layers, at the same attracting toward the site. Also by inserting the flow of the path through the layers, the town hall, bunkers, town square, empty house will be joined. So, separated the two sides of the town will be connected to experience.

‘빈집' 갤러리, 문화 커뮤니티, 작가주거, 공원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00 101

N

0

3

9

1F

18 M

이길리 마을 문화광장 배치도

이길리 마을 문화광장 단면도


The Grid 정동극장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오혜린 Haerin Oh 류창수 스튜디오 Changsu Ryu Studio

입구를 개방시켜 내부의 활동이 드러나도록 했다

정동길의 메인 길은 매우 짧고 선적인 요소만 존재하여 방문객들은 대부분 나들이객으로 길을 따라‘걷는’활동이 주를 이루며 머무 를 수 있는 공간이 부재하다. 길의 연속으로 이동의 활동만 존재하 는 정동길에 머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정동극장을 활성화시킨 다. 정동극장은 정동길과 덕수궁길이 만나는 중요한 위치임에도 담 으로 둘러쌓여 내부의 공간감을 느낄 수 없다.

The main road of Joengdong-gil is very short and has only linear element, so most visitors do ‘walking’ activities without space to stay or rest. Invigorate the Chongdong Theater by providing space to stay in series of road that exists only movement. Because Chongdong Theater located the center of Jeongdong-gil is surronded by walls, people visiting Jeongdong-gil cannot feel the space inside.

Mass Development

1 기존 건물과 길에 따라 그리드 생성

2 위계가 다른 마당 형성과 선큰 확장 & 동선을 고려한 배치

3 저층부를 엮는 2층 매스

4 매스 분절을 통한 입면 디자인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02 103

N

3

5 1

2

5

4

1 카페 2 다목적실 3샵 4 관광안내소 5 내부마당 9 티켓박스 10 홀 11 극장 12 선큰 0

5

15

30 M

1F


A New Branch in Jung Dong 다 같이 돌자 정동 한 바퀴

유민정 Minjung Yoo 류창수 스튜디오 Changsu Ryu Studio

정동길을 역사로 잇는 새로운 가지

정동길과 구러시아 공사관의 중간에 위치한 중명전은 건물자체가 길의 일 부가 되어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또 내보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람 들을 그 동안 알지 못한 역사적 건물 중명전의 아픔을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있다. 정동이지만 인식으로는 정동이 아니게 되어버린 지역을 연결하여 보다 더 풍부하게 정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쉼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First of all, space shortage for people to stay. Second of all, the branches of Jung Dong Street do not add any special character to the street; the placement of the trees on the street only limit the space for people. These regrettable factors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for people to be able to fully enjoy the main street of Jung Dong.

Concept and Program

CAFE

VIDEO EXHIBITION MULTI PURPOSE ROOM

THEATER

EXTERIOR EXHIBITION

GALLERY SOUVENIR SHOP

새로운 가지의 일부가 되는 중명전


RECREATIONAL OPEN SPACE

OPEN ABOVE

GALLERY

REST ROOM (W)

REST ROOM (M)

Existing Applied

SNACK BAR

THEATER

BOX OFFICE

STAGE

PREPARATION ROOM

PRACTICE ROOM

OPEN BELOW

GALLERY

SOUVENIR SHOP

OPEN ABOVE

OUT DOOR EXHIBITION

GALLERY

RECREATIONAL OPEN SPACE

ENTRANCE

OPEN BELOW

N

OUT DOOR EXHIBITION

GALLERY

VEDIO EXHIBITION

MULTI-PURPOSE ROOM

BRIDGE

1F 30 M 15 5 0

104 10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BRIDGE

GALLERY

OPEN ABOVE

OPEN BELOW

OUT DOOR EXHIBITION

GALLERY

BRIDGE

BRIDGE

OPEN BELOW

Section

OB


Jungmyeongjeon, stay and remain 청계대로 변 준공적공간 디자인

이지수 Jeesoo Lee 류창수 스튜디오 Changsu Ryu Studio

정동길에서 광장으로 자연스런 사람들의 동선이 이어진다

현재의 중명전은 정동길에서의 자연스러운 유입이 이어지지 못하고 과거 의 흔적으로만 남아 그 의미가 퇴색되어져 간다. 중명전은 현재의 시간에 서 머무를 수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계획되는 광장은 그런 머무름의 시 간을 제공 한다.

The current Jungmyeongjeon resulted in natural inflow from Jeongdonggil, and remained tracing of the past, its meaning goes been fading. It should be the place which contains the "current time."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06 107

N

4

5

8 3

9 6 2 7 1

1 도서관 2 시청각실 3 도서관 4 건축 소극장 5 화장실 6 건축 도서관 7 서점 8 스터디룸 9 메인 홀

0

5

15

30 M

1F

2F


Openbook Openspace 길과 소통하다

고주연 Juyeon Ko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건물로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동선을 이끄는 열린광장

대사관로의 건물은 높은담을 두어 닫힌 입면을 하고 있는 반면 에, 성북로는 아기자기한 상점들이 길을 향해 열려있다. 현재 건 물은 접한도와 옹벽을 쌓아 완전히 단절되고 기능은 근린생활시 설로 정체불면의 건물로 지내 왔다. "어떻게 설북로 도보여행자, 대사관로 주민, 열린책들의 사원이 효과적으로 교류하고 그들이 원하는 기능을 해 줄 수 있겠는가?" 이 물음으로 문제를 풀어가 고자 한다.

The existing buildings in this site have been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oad just beside them, because of the wall between the buildings and the road like the wall of daesagwan street. I will try to solve the problem mentioned above, based on this question : “ how can the buildings enable pedestrians, residents, and officers to effectivel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lso how can the buildings function according to what the people expect from the sit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08 109

N

2

4

3

1

5

0 1

3

6M

1 open plaza 2 parking & market 3 open lecture 4 exhibition 5 auditorium 6 lecture room 7 information plaza 8 open book store 9 open book, cafe 10 open book office 1F

Main Entrance_buzz plaza

Sub Entrance


'ETSY' Weave the space 수공예 문화 센터

마다솜 Dasom Ma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건물 앞에 위치한 전시공간과 이어지는 건물 내부 공간

옹벽을 제거하고 주차장으로 쓰였던 건물의 앞 공터를 경사진 전시장 겸 쉼터로 변경하였다. 또한 원래 1M 정도 묻히는 건물의 앞부분을 변경하 여 건물 앞의 전시장에서 건물 전면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할수 있도록하 고, 2층 정도가 묻히는 건물의 뒷부분에 선큰공간을 만들어 건물의 뒷 편으로부터의 진입을 유도하여 기존의 하나뿐이었던 진입방법을 다양 한 레벨과 방향에서 진입할수 있도록 계획하여 주변을 향해 열어주었다.

Remove the wall and change existing parking lot into sloping exhibition & shelter. And change the facade of the building that originally buried about 1m to make entry into the facade ale. Also change buried 2 layers in the back of the buildng into sunken space to induce entry into the back of the building and variety of entry-level and the direction of the entry.

기존 건물 단면

변경된 건물 단면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10 111

N

3

4

4

1

4

2 4

1 2 3 4

2F

Lab Open Team Studio Team Lounge Team Studio

0

5

1F

15 M

MASS의 엮임

공간의 엮임


JUNCTION BB

brompton Junction & bike community center

전소현

Sohyun Jeon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자전거를 적극 이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전경

자전거 보관소, 자전거 대여소, 정비소 등 자전거 이용시설들이 없는 현황이다. 요즘 대중들이 자전거이용에 관심이 많아졌다. 영국의 접 이식자전거 Brompton은 사람들에게 틀에박힌 이동수단에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Brompton office를 통해 성북동에 brand의 이념을 제공하며 자전거 문화공간을 함께 만들어 새로운 이 동의 활기를 불어넣고자 한다.

Currently, there aren't bike lanes from Hanseong Univ station to anywhere in Sungbuk-dong. also bike racks, rental center, garage and so on. Nowadays, there are many interest in using bicycle. Brompton, which is folding bike in UK, offers chance to think about transportation. By making brompton office with bike culture space and offering brand's ideology, new activity of movement occurs in the sit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12 113

N

0

5

15 M

1F

자전거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 존재하는 내부공간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URBAN DESIGN 도시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의 도시 콘텍스트와 건축물의 상관성 인식을 목적으로 공공영역 디자인 사례조사 및 도시읽기를 바탕으로 공공성 영역 및 해당 시설을 디자인 한다. 도시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맥락과 물리적 환경의 상관성을 이해하 며 그 속에서 건축이 만나면서 발생하는 건축 혹은 도시의 위상과 그 관계성 들을 탐구한다. 또한 구체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도시환경의 스케 일과 형태 상관성을 분석하며, 구체적인 영역을 사이트로 정하고 거리 혹은 공간영역 안에서 행해지는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 공공성의 영역 및 해당 시 설을 디자인 한다. 이는 소정의 건축시설을 포함하여야 하며, 건축물과 외부 공공공간의 상관성에 대한 입장을 제시한다.

STUDIO TUTORS: Daun Yoo Jungju Kim Kwangsoo Kim Sojin Lee


Universities Analysis 북아현 뉴타운과 열린 캠퍼스를 잇기위한 자료 분석 유다은, 김정주 스튜디오 Daeun Yoo, Jungju Kim Studio

열린 캠퍼스의 의미를 찾고자 다양한 대학교의 경계와 오픈 스페이스, 대학가 주변의 상업지역과의 관계, 기숙사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도 열린 캠 퍼스의 가장 핵심이 되는 대학교 들의 오픈 스페이스와 경계에 대해 소개한다.

To find out the meaning of open boundaries and open space, we rese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ercial area around the university, dormitory status, etc.

University Boundary

국내 대학교( EWHA UNIV, SEOUL UNIV) 는 경계가 뚜렷하게 막혀 있고 정문과 후문과 같은 입구 개념이 강하다. 이러한 메인 출입구에 있는 오픈 스페 이스는 외부인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내부의 오픈 스페이스는 학생만을 위한 곳이 많이 있었다. 국외 대학교 사례중 캠퍼스의 영역과 경계가 명확 한 대학교(YORK UNIV, XAVIER UNIV) 들은 캠퍼스 경계부나 지역 사회와 가까운 곳에 오픈 스페이스를 배치하여 외부와의 버퍼존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 부인을 유입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캠퍼스 건물이 흩어져 있는 대학교의 경우( CHICAGO UNIV,WASEDA UNIV ) 에는 캠퍼스의 경계나 영역이 명확한 것이 아니라 지역 사회내에 블럭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캠퍼스의 인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오픈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외부인과 함 께 사용하는 오픈 스페이스의 비율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Open Space 외부가 접근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와 학생만 접근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간 영역의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경계가 불명확한 대학교는 명확한 대학 교에 비해 외부에 개방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계가 명확한 학교는 외부가 들어올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를 접근성이 좋은 경계부에 놓았다. 이를 통해 오픈 스페이스는 세미 퍼블릭 역할을 위해 배치되어있으며 캠퍼스 영역의 버퍼역할을 하면서 외부와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등 경계부의 오픈 스페이스는 다양한 가능성을가지고 있었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외부용 오픈스페이스

투과불가능_담 투과가능_하드서페이스

학생용 오픈스페이스

투과가능_건물통해 진입 투과불가능_조경녹지

출입못하는 자연(산)

투과가능_가로수, 녹지 투과불가능_자연(산, 강)

건물 면적

출입구

116 117


Linear Boundary Park 대학 캠퍼스와 지역사회의 경계를 품은 공원

오혜린, 이선아 Haerin Oh, Sunah Lee 유다은, 김정주 스튜디오 Daeun Yoo, Jungju Kim Studio

10

11

경계는 두 영역이 맞닿는 부분으로 충분한 이야기를 가지고 발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화여대와 북아현의 경계 역시 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의미없는 공간으로 버려져 있지만 벽이라 는 요소를 통하여 의도를 가진 공간으로 활성화시킨다. 경계의 역할과 의미를 선적인 요소에서 벗어나 각각의 영역을 확장하여 중첩된 새로운 공간으로 인지되고 다양한 이야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9

Part of the boundary of the two regions has potential as a space. The boundary of Bukahhyeon and Ewha Womans University also has the possibility. The space is now Abandoned meaningless, but through the wall element space with the intention activated. We can extend the role and meaning of the boundary.

8

6 6

6

7

5

Cube Type

4

Cube 1 _ 실내

Cube 2 _ 그늘

3

Cube 3 _ 전시

2

1

0

10

30

60 M

1. 소규모 공연장 2. 서점 3. 숲 4. 텃밭 5. 캔틸레버 6. 쉼터 7. 화장실 8. 전시 및 야외수업장 9. 카페 10. 어린이 놀이터 11. 매점

Cube 4 _ 쉼터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Program

수풀 세장한 길 어린이 놀이터 다목적 공간 그늘 나무와 쉼터 벤치 독서

118 119


"Valley" Between Ewha University And Bugahhyeon-New Town

이지수 Jeesoo Lee, 채민영 Min Young Chae 유다은, 김정주 스튜디오 Daeun Yoo, Jungju Kim Studio

캠퍼스를 잇는 새로운 전경 북아현 뉴타운의 기능 재구성을 통한 캠퍼스 커뮤니티의 구축과 주변 지 역 사회 구성원과 환경의 변화를 포괄하는 ‘유니버시티 타운’ 환경을 조성 하고자 했다. 새로운 주출입구로 형성될 캠퍼스에 대한 재미나고 역 동적인 건축적 접근을 시도했다. 벨리라는 공간은 그 자체만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오브제 적인 공간이 아니라 , 주변 건물과 대지에 반응하며 움 직이는 동적 동선 및 공간으로 구성된다 .

Program Diagram

Newtown campus communit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functions around the building and community members cover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the ‘University Town’ . We tried a dynamic approach to construction. Valley, a space that exists independently of the object itself, but not the space, moving around,is dynamical response of buildings and la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20 121

Master Plan

Design Process

VALLY WAY

PARTED

VERTICAL, HORIZONTAL CONNECTION


노동당사 그 너머를 보다 철원의 일상을 통해 철원을 탐험하다

고주연 Juyeon Ko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농경지와 그 아래 박물관 전경

철원평야를 통해 단순히 시각전달에 의한 철원 체험을 넘어선 철원 역사문화 에 대한 스토리 텔링으로 다 차원적인 철원 관광을 제시한다. 철원의 농경지 자체를 풍경요소로 끌어온다. 농경지 내 사람들의 행위를 담는 농로를 수직적 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레벨에서 논경지를 경험하며 관광객에게 농경지에 대 한 새로운 감흥을 얻게 한다. 새로운 감흥에 맞춰 관광객은 철원에 대한 이야 기를 시작하게 된다. 농경지 위 직판장과 숙박시설은 관광객과 주민을 생산자 와 소비자의 관계를 넘어선 연대를 형성하게 하고 농경지 아래 박물관은 진짜 철원을 들여다 보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herwon is a strategic point, the seat of goverment of gyngye, a great habitat for migratory birds. It is because of cherwon plain. I suggest that multimensional cherwon sightseeing using cherwon plain that has strorytelling for cherwon is not simply visual information no mor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22 123

5

1 2

4

4 3

2 6

1. 와이진지터미널

5

2. 리정류장(직판장&숙박시설)

6

3. 와이진지작은광장 4. 철원박물관 5. 캠핑장 6. 숙박시설

새롭게 제안하는 마스터 플랜

Program Diagram

한여울길 터미널

6M 농로

현무암 박물관

해 박물관 463지방도

지하 농로

한탄강 박물관

Access Diagram

Main Circulation

Museum Circulation


CAMP Y 철원, Y진지, 그리고 쌀

박소영 So Young Park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터미널로서의 열린공간, Y진지 전경 물리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중심에 위치한 Y진지에 관광의 중 심 역할 뿐만아니라, 넓게 퍼져있는 생활권을 엮어 줄 수 있는 터 미널을 제시한다. 또한 철원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철원 평야와 오대쌀을 중심으로 농촌 체험활동을 통한 도농교류 의 장을 마련해주어 농업 거점으로서의 Y진지를 제안해 보았다.

“빛”

“흙”

FARM CENTER

FARM MUSEUM

FARM ACTIVITY “물’

수로

PROCESSED FOOD

CAMPING

I propose center of tour at CAMP Y which located at the middle of Cherwon. I also propose terminal which could tie up the living space divided into three parts. Besides, by using Cher-won plains and O-Dae rice which is the main part of Cher-won, I suggest base for the agriculture to provide urban-rural exchage program and farm experiential activity.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24 125

새롭게 제안하는 마스터 플랜

Design Process TERMINAL

HISTORY

VIEW

GREEN

PUBLIC RESIDENT

TOURIST

PRIVATE

FESTIVAL MARKET FARM ACTIVITY CAMPING WALKING TRAIL COMMUNITY

WATER


EmptyScape 비어짐의 풍경. 보이지 않는 도시

이예주

Yeju Lee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기억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전경 철원은 역사에서 늘 분단의 땅으로 존재했다. 전쟁의 흔적이 남은 근대문화 유산들은 전쟁의 참상을 보여줄 뿐만이 아니라 그들이 자리하고 있는 그 땅 이 얼마나 중요한 곳이었는지를 이야기 해준다. 과거완료의 흔적. 이 땅위이 근대유산의 흔적을 과거의 사건으로만 회상해서도 안되고 전쟁요소를 이색 적인 신기한 요소로 보는 것에 그쳐서는 안된다. 전쟁이라는 현대상황 위에 서 근대문화유산을 보는 시각,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안내판의 형식과는 달 라야 한다. 보다 피부에 닿는 형식으로 경계넘어의 볼거리를 제안해야 한다.

The fact that Cheorwon is a land of division means it but has the role of being the boundary of the land but it also implies that it can also be the connection. The remaining traces of the cultural heritage of modern war not only show the horrors of war but it also shows how important of a place the land they are in is. The traces of a completed past. So it should not stop at recalling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on the land as just a past event and the element of war as an exotic, amazing element.

Design Process

원철원이 가지고 있는 대도시의 기억

흔적들 전쟁과 시간으로 마을 곳곳에 흩어지다.

흔적들을 모아 원철원의 기억의 도시를 재구성하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26 127

흔적, 시간, 그리고 치유

얼음창고

SectionA

제사공장지

SectionB

노동당사

SectionC


길을 따라 펼쳐지는 안골 이야기 마을을 통과하는 길을 중심으로 모임공간이 모여 마을 활동의 중심이 되다.

백장미 Jangme Baek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길과 커뮤니티 공간들의 전경 몇개의 그룹으로 형성되어 분산되어 있는 커뮤니티를 엮어주기 위해 마을의 중심 길에 연속적인 프로그램을 삽입하였다. 현재 마을을 통과하는 중심길을 주변으로 주민들이 만든 흥미로운 공간들이 있었으며 이렇게 안골마을에만 존재하는 특별 한 공간들을 중심길과 연계하여, 중심길을 주민들이 모두 모일 수 있는 커뮤니티 의 장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Communities are developed by some groups. So I inserted continuous programs that will weave distributed communities on the center road. This center road will be the yard of community that is able to gather residents.

Program

도로체계

주거

오픈 스페이스

녹지


128 129

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새롭게 제안하는 마스터 플랜

Elevation


안골마을, 스스로 접혀있던 공간을 펴다 자연 발생적 요소를 통한 도시 디자인

유민정 Minjung Yoo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단절된 녹지축의 회복을 통한 새로운 마스터 플랜

안골마을의 기존에 있던 마을 내 자생적으로 생겨난 요소들, 특히 구불구불한 길과 필지를 이용하여 주말농장을 찾는 사람들과 안골마을 주민들, 그리고 새 로 생긴 등산로를 따라 걷는 등산객들 사이의 새로운 이야기를 모두 고려하여 마을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Spontaneous factors like streets and blocks can be clues to solve this problem. By expending and connecting the excisting factors, We can expect a new story in Angol by residents, tenants, visitors, and also climber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30 131

Design Process

거대한 도로 인프라

기존의 축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가능성

능동적 변화와 생성적 치환의 가능성

COMMUNITY AREA 안골마당 LIVING PATH

COMMERCIAL PATH

Program 안골마당

SEMI PUBLIC

PRIVATE

PUBLIC 주거

도봉권역 공영 차고지

주거 주말농장

주민회관 경로당

상업

체육시설


Melting The Line 단절된 도로를 마을로 끌어들이다.

전은경

Eunkyung Jeon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도로의 적극적 유입을 통한 새로운 전경 기존에 직선도로와 마을이 분리된 모습으로 안골마을과 도시를 이분법적으로 나 누고 있어던 것에 반해 새로운 길 녹이기_Melting The Line을 통해 단절되었던 도로가 마을로 끌어들어왔으며, 메스의 분절을 통한 마을 스케일의 유지는 도로 를 마을에 자연스럽게 녹아 들도록 한다. 또한 선형적 방향성의 유지는 다른 성 격의 두 영역의 중간적 성격을 가능하게 하여 두 영역의 완충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Preserving its character and Motivating the new incoming population who are accustomed to city life. The key point is fence located between 'An_Gol'and public parking lot. 'Melting The Line' is aimed change of the town by draging down the isolated road and connecting it with the town roads.

Program 1 뒷마당 골목길(보행자전용) 2 상부 골목길(보행자전용) 3 메인도로(보차혼용

1 2 3 4

5

1

6

2

1 2 3 4 5 6 메스 분절

주민 행정실 헬스 시설 공부방 도서관 상가 주차시설 프로그램

3

세가지 길

녹지 버퍼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32 133

새롭게 제안하는 마스터 플랜

사잇길로 보는 전경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RCHITECTURAL DESIGN THESIS 광범위한 개념의 도시 및 건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도시적 맥 락 속의 건축물, 새로운 건축적 유형 및 원형(Typology&Prototype) 등 다양 한 디자인방법론을 탐구하는 졸업설계 스튜디오이다. 4학년 2학기의 '건축졸 업주제연구' 강의에서 발전된 건축적 개념, 프로그램 및 대지분석을 바탕으 로 사회문화환경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건축 디자인으로 완성한다. 건축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방법 론을 제시하고, 단일 건축물 혹은 단지계획의 통합설계를 완성하여 건축가 로서 종합설계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에 서의 성과물 그리고 최종 결과물들을 종합하여 졸업 전시회에 출품 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STUDIO TUTORS: Hyundai Kim Taegyun Kim Hyounggul Kook


Publivate 청계대로 주변 준공적공간 디자인

김선아 Seona Kim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도시에서의 삶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의 공공성이 더욱 활발해 져야 한다. 하지만, 이미 과밀화된 도시 구조에서 평면적으로 공유지를 더 확보하는 일은 불가능하며, 현대인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광장과 같은 공공의 장소를 찾아가 휴식을 취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므로 기존 도시 구 조의 공적 영역을 확보한 것과 같은 방법보다는 이미 도시에 존재하고 있는 파편화 된 공적 영역을 시민들의 일상과 엮어서 도시의 새로운 공공성을 찾아주어야 한다.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도시를 바라보려는 노력들은 사유지 내에서 공공의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며, 이미 공개공지나 미관지구와 같 은 이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유지 내에서 공공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사적영역과 공적영역 사이의 또 다른 개념인 ‘준공적공간’이 등장한 것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 ‘준공적공간’을 공개공지라는 법적 규제로 시작했기 때문에 사유지 내에 공공공간이 있다는 사실은 아직 사유지의 주인 이나 시민들의 입장에서도 친숙하지 못한 개념이다. 현재 공개공지의 이용 상황만 본다 하더라도 올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위법사례만 74건이며, 공 개공지를 말 그대로 공지로 버려두거나 주차 등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도시의 준공적공간이 도시에서 새로운 공공성의 역 할을 다할 수 있는 적극적인 디자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위 용

치 도

136 137

서울특별시 청계대로변 준공적공간

The city separates private spaces and public spaces, so the publicity in the city is limited to certain area. But, people get res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ublic spaces. Therefore, we need the new public spaces in the city. It’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that is another concept between private area and public area. Th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is not independent area in the city, because it was formed lately under the necessity. Furthermore, it is not a familiar concept to exist public space in the private space, in Korea. So, many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are used different purpose. For example, in Seoul, the illegality cases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use are 74. So now, we need some site specific guideline about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1 기존 넓은 광장형 준공적공간에 디자인한 Pavillion

Concept

1 SITE

2 주요 공공공간: 청계천

3 주요 준공적공간

4 주변 준공적공간

5 공공성의 확장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38 139

Design Process

1 기존의 Sunken과 청계천을 연결해 주는 새로운 Sunken System

B1

2 Sunken 공간에 상점 제안

Ground Level

2 기존의 Sunken과 청계천을 연결해주는 system

3 기존 활용도가 높은 상점과 개방형 로비에 상점 제안

Paving

4 Pavillion & Canopy System

Canopy System

3 기존 활용도가 낮은 개방형 로비에 생긴 상점

Section


3

0

2

6

12 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N

1

2

Ground Level Plan

140 141


Standing Green 도시공원의 새로운 유형으로써의 수직공원

왕주희 Juhui

Wang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42 143

현재의 도시는 세가지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높은 도시화 율로 나타나는 밀도, 전세계적인 초고층 건물에 대한 주목도 에서 알 수 있는 높이, 그리고 이 두가지와 반대의 성격을 갖 는 도시 공원이다.

Cities nowadays can be defined in three keywords: density which results from high urbanization, the height of skyscrapers that receive worldwide attention, and city parks which possess the opposit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two keywords.

도시 공원은 도시 내에서 가장 공공적인 오픈 스페이스로써의 역할을 하지만 대부분이 획일적이고 일률적으로 조성되어 이 용자들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 고 있다. 이에 압축되고 과밀화된 도시에 새로운 오픈 스페이 스가 될 공간으로 사람들의 공원 이용을 다소 소극적으로 제 한하는 정형화된 도시 공원에서 벗어나 누구나 누리고 싶은 자연 친화적인 공원의 모습과 발달한 현대 도시의 형태와 활 동이 연계된 공간을 만들고자 한다.

City parks work as the public open space in the city, but most of them are uniform and created in a standardized way and thus fails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users regarding specific programs. As a response to this issue, this plan aims to create a space that connects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ark to the modern developed city’s structure and movement as a new type of open space in the compact and overly-dense city by overcoming the standardized city parks which limit the people’s use of the parks.

이에 도시 공원의 새로운 typology로써 수직 공원을 제안한 다. 수직 공원은 도심 내 오픈 스페이스가 도시의 밀도와 높이 에 대응하여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다. 도시 공원을 초고층 건물에 대입하여 수평적인 공간에서 수직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공원과 농장 두가지 프로그램 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초고층 건물의 삶을 상상해보았다.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연 면 적 층 수 건 폐 율 용 적 률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20-1 복합문화시설 40,185㎡ 23,000㎡ 580,000㎡ 지하 6층, 지상 105층 57.5% 2521%

Thus I present the vertical park as a new typology of city parks. The vertical park is one of the possible resolutions to the issue of how the open space in the center of the city can exist considering the city’s density and height. This plan transforms the horizontal space into a vertical one and based on the two programs-the garden and the farm-suggests a sustainable high-rise lifestyle by applying the city park to the high-rise building.


Juhui Wang | Standing Green

Concept

Program Mechanical Observation Deck Apartment Hotel Office

Green Network % 1 Garden(Observation Deck) 1 Garden(Hotel) 2 Garden(Office) 3 Garden(Apt) 8 Private Farm

Retail Farming Garden

22 Atrium Park

63 Industrial Farm

건물 전체 면적의 11%인 녹지가 각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단순한 녹지 이상의 기능을 갖는다. 본래의 코어는 아트리 움으로 기능이 변화하여 끝없이 이어지는 수직적인 공간을 만들어내고 각각의 녹지와 만나 초고층 건물 안에서 새로 운 Open Space를 만들어 낸다.

광복로에서 바라본 주 출입구 전경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44 145

N

1

2

3

7

UP

DN

DN

UP DN UP

8

6

DN

2 5

1

4

0

6

12

24 M

1 2 3 4 5 6 7 8

Department Store Industrial Farm Lobby Sunken Garden Water Front Office Lobby Hotel Lobby Retail Lobby Apartment Lobby

Ground Floor Plan


Juhui Wang | Standing Green

6

6

7

생산용 농장에서 바라본 Public Park

Office

6

15

Retail Typical Plan 생산용 농장 내부

Atrim park - Cube

Atrim park - Ramp

1 Garden 2 Mechanical 3 Convetion Hall 4 Cafe 5 Business Center 6 Restaurant 7 Fitness Center 8 Pool 9 Spa 10 Hotel Unit 11 Hotel Office 12 Amenity 13 Bar 14 Private Farm 15 Apartment Unit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3

146 147

4

6

5

3

13

1

6

49F Hotel Sky Lounge

Observaiton Deck

15

1

1

7

1

9 8 14

1

40F Hotel Amenity

75F Apartment

15

1

1

10

1

1

14

Hotel Typical Plan

65F Apartment

1

12

11

1

1

30F Hotel Lobby

50F Apartment Lobby

0

6

18

36 M

Section


Assortment in Architecture 6 points of representational problems in multiplicity

이지원 Jiwon Lee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48 149

대표적인 다문화 도시로 자리잡은 경기도 안산시에는 국내 유일의 ' 외국인 주민 센터'가 존재한다. 그런데, 한국인은 물론 세계 각국 사 람들/ 그들의 문화를 수용해야 하는 이 외국인 주민센터의 외관이 다 른 국내 여러 주민센터들의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래서 본 연 구자는 인종 및 문화적 다양성이 건축물에 반영이 되어야 한다는 본 질적인 질문을 시작으로, 그것이 표현된 건축물을 계획하고자 한다. 뉴욕의 지하철에 전시되었던 유명 삽화 {Arts for Transit, Sophie Blackall}에서 작가는, 지하철이라는 통일된 배경 속에 정말 다양한 인 종의 사람들이 조화롭게 섞여 잇는 형상을 세심하게 담았다. 이 삽화 가 조화롭게 보이는 요소를 분석하는 것을 시작으로 그 속에서 건축 물로 표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칙화하여 현 건물에 실험해보는 것 으로 연구를 시작한다.

This proposal star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 : Why does the only multicultural center in Korea look same as other normal public service centers? I generally support the idea that a building should represent main users' identities. Before designing the building, I was first inspired by one artwork named {Arts for Transit, Sophie Blackall} now showing on all trains in NYC. The artist describes every single person's behavior and her/his originalities in detail. The point is that the artwork does look organized and harmonious even there are all different people in a train. Thus, I start the design by case studying how all different phenonmena can be shown natural and harmonious.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연 면 적 층 수 건 폐 율 용 적 률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2동 11-13 다문화 주민센터 3,840㎡ 1,500㎡ 5,500㎡ 지상 4층 45% 2521%

{Arts for Transit, Sophie Blackall} 2011-2012


Jiwon Lee | Assortment in Architecture

Diversity Table Sculpture

Alt1

Building1_facade

Building2

Building3

Composition

Axis

Pattern

A B

Grouping C

Rhythm

Symmetry A

B

B

A

Main factor

Building3

Art2

Reference

{plumeau-sioux}

{arts for transit},2011,sophie blackall

{pompidou centre},renzo piano

{guggenheim bilbao}

{vitra museu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Urbanscape

Alt2

150 151

Landscape

1. 사이트에 의한 축의 설정 a. 5거리 특성에 따른 시선의 축 b. 외국인들의 접근성에 따른 동선의 축 2. 반복 및 그룹의 요소를 고려한 프로그램 배치 a. 기능상의 배치 b. 입면을 고려한 배치 3. 리듬 및 색상의 표현을 통한 메인 동선 축에서의 재미를 줌 a. 사이트에서 추출한 동선의 축에서의 램프 디자인 b. 선형동선을 따라 느낄 수 있는 리듬, 점층 및 색상의 다양함

b A a

B

b A a

B

ng3

{washington D.C map}

{ballet lesson}

{landscape}


Jiwon Lee | Assortment in Architecture

Design Test Table 추출한 6가지의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안들 중, 결과물로 나온 test1에 대한 각 요소별 분석 View from Southwest

View from Southeast 1

View from Southeast 2

View

Axis

Composition

Symmetry

A

A

A’

A’

a

A’

b

C1

A C a’

B

B’

C’

C

b’

B B’

C2

B’

B’

Grouping

Rhythm & Pattern

램프 양 옆의 내부 공간

동선의 축으로 설정된 메인동선에서의 뷰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2 153

A' N

B

B' A

0

1

3

6M

2F

Section B


Seosomun APT Renovation 새로운 주거타입과 프로그램 제안을 통한 리노베이션

이근우 Geunwoo Lee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4 155

서소문아파트는 1972년도에 지어진 오래된 아파트이다. 이 건물은 복개된 하천 위에 지어진 건물로 하천의 형태를 따라 곡선으로 휘어 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계단실 구조로 되어 있는 총 9개의 동이 하 나로 붙어 있는 형태로 되어있다. 이 건물은 도시 내에서 고층 빌딩 사이에 거대한 장벽처럼 서있다. 주 거라는 프로그램은 이 장벽을 더욱더 견고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새로운 주거 타입의 제안과 함께 저층부를 주 거 프로그램이 아닌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로 인해 서 소문 아파트는 도시 내에서 장벽이 아닌 새로운 소통의 장으로 다 시 태어난다. 더불어 서소문 아파트와 인접하며 경의선 철도와 통일로로 인해 도 시 내에서 고립되어 있는 서소문 공원의 녹지를 서소문 아파트를 통 해 도시 내로 끌어낸다.

Seosomun apartment is an old apartment built in 1972. This apartment is built on covered stream with a curved form along the shape of stream. Nine terraced building make into one structure. This building stands like a gigantic barrier between skyscrapers in the city. Housing program makes this barrier more strong. This project suggests a new residential type as well as a new program instead of existing housing. As a result, Seosomun apartment is reborn to new communication space in the city, not a barrier. In addition, green space of Seosomun Park nearby Seosomun apartment and isolated by Gyeongui rain and Tong-il-ro is brought into the city through Seosomun apartment.

위 치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연 면 적 층 수 건 폐 율 용 적 률

서울시 서대문구 미근동 215 2657.19㎡ 682.77㎡ 2,052.57㎡ 8층 25% 77%


Geunwoo Lee | Automusable Place

Concept

Line 1 옥상녹화를 통한 연결 Line 2 주변과 녹지를 통한 연결 Pliotis

서소문공원과 녹지를 연결하며 동시에 도시 내부와도 연결시킨다. 공원, 서울 역 북부, 충정개발지구와 옥상녹화, open space를 통해 “길”이 된다. 녹지의 연 결은 곧 건물 전체의 동선으로 발전한다. 서소문아파트는 아파트 뒤에 가려져 있는 공간들을 도시 내부로 끄집어내는 중간다 리 역할을 한다.

서소문 고가도로에서 바라본 서소문 아파트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6 157

Program

Share HOUSING Housing SHARE CAFE RESTAURANT Cafe &&HOUSING Restaurant SHARE GALLERY CAFE RESTAURANT SHARE&HOUSING ROOF GARDEN GALLERY Gallery CAFE & RESTAURANT OPEN GARDEN SPACE ROOF GALLERY OPEN SPACE ROOF Poof GARDEN Garden OPEN SPACE

EXISTING Program PROGRAM Existing EXISTING PROGRAM NEW PROGRAM EXISTING PROGRAM

NEW PROGRAM New Program

CONNECT WITH CITY NEW PROGRAM CONNECT WITH CITY

CONNECT WITH Connect With CITY City

Open Space

인도에서 바라본 서소문 아파트

Idea 기존의 아파트 프로그램

비움, 키움, 채움

프로그램이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동선

기존 계단실을 통한 수직 동선

프로그램의 내부에서 계딘실을 점유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수평동선

Program Arrangement Housing Housing Studio Studio Open Space Open Space Cafe&Restaurant Cafe & Restaurant Housing HousingELEV Elev Housing Studio

Circulation Open Space

Cafe&Restaurant Housing ELEV


Geunwoo Lee | Automusable Place

N

1

3

4

2

5

5

5

6 5 8

7 5

5

0

3

9

Section B

18 M

1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8 159

Share Space와 복도공간

A’

B

B’

A

Section A


Coexist Music&Art, Harmony in Forest 서울숲 음악 & 미술 문화 복합 공간

이선경 Shunkyung Lee 김태균 스튜디오 Taegyun Kim Studio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 (성수동 1가 685번지)

문화시설

대 지 면적

32,548㎡

18,820㎡

적 수

미술관 > 지하2층(전시실+수장고), 지상3층 공연장 > 지하 1층, 지상3층(1083석규모)

23.38%

247.27%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연장과 미술관은 둘 중 한 프로그램이 메인으로 존재하고 나머지 프로그램은 그에 따른 부가적인 프로그램으로 함께하는 경향을 띄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흐름을 뒤로하고, 음악과 미술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과 동시에 건축적으로 비슷한 위계로 자리잡을 수 있 는 음악 & 미술 문화 복합 공간을 설계하고자 한다. 선정한 사이트는 현재 서울숲의 특성과 형태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삼표공장부지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 곳에는 초고층건물이 들어설 예정이 나 이 역시도 서울숲의 흐름과는 무관한 건축물이 계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업적 성격만을 고려한 초고층건물보다는 기존 서울숲의 특징이 어울어짐과 동시에 사람이 가장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자연요소인 숲, 그리고 음악과 미술 요소의 프로그램이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 는 방법을 제안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60 161

Theater and Art Museum can coexist in the same site. But, generally one of them is as main program and the other one is existing as supporting program. The cultural complex for both Music and Art, which has equal hierarchy as architectural program, are proposed as one of ideas that Music and Art can coexist in harmony. The site is currently used as a factory and the development for the skyscraper has been planned during last years without consideration in the light of context of Seoul Forest. I proposed the design idea, which should be in harmony with existing Seoul Forest as part a site context, so that people can access easily to site, and the theater and the art museum naturally link to each other.


Shunkyung Lee | Coexist Music & Art, Harmony in Forest

Outer Circulation Car Main Entrance

Pedestrian

Over path Under path

Car

Over path Under path

Parking Lot : general > 25 vehicles handicapped > 2 vechicles

Pedestrian Main Entrance

Master Plan

2층 미술관 내부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62 163

Site Analysis

A

A B

C B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에 위치한 서울숲은 서울 동북부 지 D 역의 시민들에게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휴식 공간 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사이트는 동쪽으로 서울숲, 서쪽 중 랑천과 남쪽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고, 삼각형 대 지에 삼면이 모두 도로와 접하고 있으며, 인도는 지형의 고 저차이를 극복하기위해 over path와 under path가 적극적으 로 형성되어 있다.

C Road

Walkway

Green

Park Entrance

Design Process Step 2. Connect the Road

Step 1. Site Position

Study 1

Study 2

Study 3

Study 4

Road A

배치가능한 방법과 출입 가능성 스터디

Step 3. Contour Design

Step 4. Mass Study

Museum

주변 서울숲의 고저차에 맞추어 대지 높낮이 및 능선 조절 동시에 기존 under path와 연결

Lobby

Road B

Road C

기존 서울 숲 길의 위계 재정의 사이트 내부 길의 영역 설정

Step 5. Change Shape

Theater

길의 위계, Contour Design 및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Mass를 재배치

각진 Mass를 Contour와 같은 방법으로 Drape형태 스터디 루버를 통해 최대한 능선과 흡사한 건물형태로 변형


Shunkyung Lee | Coexist Music & Art, Harmony in Forest

B

North Elevation

East Elevation

Section A - A`

Section B - B`

A B' A’


1

2

1

2

8

5

8

5

7

164 16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7 6

N

6

3

4

3

4

11 11

11

18

36M

12 3 3 8

10

1

6

12

11

10

1

0

8 9 1 2 3 4 5 6 7 8 9 10 11 12

9

6 3

4

3

5

4

5

6

7 7

Exhibition Cafeteria Bathroom Office Lobby Light&sound control Auditorium Stage Meeting room Ballet rehearsal room Waiting room Conference room

2F

15

6 6

2

15

2

15 15

15 15

15

5 5

15 3 3

14

12

14

12

13 13 10 10 3 3

7

8

8

7

8

8

4 4

3 9 9

15

15

3

11 1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F

Gift shop Exhibition Bathroom Cloack room Gallery lounge Storage Entrance lounge Ticket office Main lobby Light&sound control Auditorium Stage Cafeteria Operatic rehearsal room Waiting room


Culturally zoned,Yeon-nam Theme park 문화적 파동, 그 중심으로써의 건물

최시인 Siein Choi 김태균 스튜디오 Taegyun Kim Studio

‘함께하는 마을’ 이미지를 추구한다. 소규모 주상복합 군집. 조용한 안정감 추구하는 일반 주택들만 모여 있는 곳은 안정감은 있지만 때론 삭막 하다. 즐거움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들을 마을 곳곳에 배치한다. 갤러리 + 주거 or 까페 + 주거 등 여러 요소가 혼합 되어 늘 공원 이용의 가능성을 갖게 유도하며, 홍대 권역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조용하기만 한 주거단지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을 도입한다. 매일 지나다녀야 되는 집 앞 길가에 공원, 활발한 상업적 교류가 일어나는 시설 등이 있다는 것은 어떤 이벤트가 발생 할 수 있는 여지를 항상 남겨두고 있는 것이며, 어둡고 가로등만 켜진 귀가길보다는 밤이 되어도 사람들이 찾는 공간이 있는 마을이 되었으면 한다.

The starting point was making 'bridge to south and north area of Kolon apartment'. Zoning blocks of Yeon-nam town will help making itself more 'community-oriented organized town'. Each zone has its own concept, which is concentrated on exchanging people's steps. This area is totally 600m by 200m, and detailed design area is about 90m by 200m size in front of Gyeongseong high school. Suggesting community and welfare facilities and show the center area which is expected to cause cultural impact to the surroundings. It really is the movement of change, which occurs from the building, not from the empty 'community open plac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일대

Sector 1 주거시설, 문화시설

Sector 2 상업시설

Sector 3 교육, 문화 복합시설

대 지 면 적

3226.63㎡

건 축 면 적

1680.40㎡

166 167


Siein Chol | Culturally zoned,Yeon-nam Theme park

Sector 3 Sector 1

N

Sector 2

0

6

18

36M

Site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Sector 1 Public residence, Detached house, Pottery artist’s atelier

경의선 철도공원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단독주택은 전면에 높은 담 대신 작은 정원이 있어 도보를 이용하는 사람들 이 위요감을 덜 느끼도록 했고, 꼭대기 층의 어린이 방에는 작은 테라스가 있다. 작가의 아틀리에는 1, 2층에 있고, 이 중 1층은 외부인에게 개방하여 도자기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세 건물은 모두 1층에서 보행자에게 열린 공간 을 제공한다.

Public residence

Pottery artist’s atelier

2-5F

0

2

6

12M

Detached house

3F

3F

168 169


Siein Chol | Culturally zoned,Yeon-nam Theme park

Sector 2 1st floor of Apartment and Park

작은 규모의 데크가 아파트 주동 사이에 위치해 주차장 입구 등으로 인해 단절된 사람들의 발길을 공원으로 이끄는 역할을 한다.

Desired Effect 길게 늘어선 벽돌 담을 없앰으로써 적막한 분위기의 마을이 아파트 뒤의 공원과 연결되어 한 층 활기찬 분위기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파트 저층부에 상업시설과 복지시설을 도입함으로써 주민들과 일반 보행자들의 발길을 이끌 수 있는 공간이 되도 록 제안한다. 단순히 빈 공간을 주고 커뮤니티 공간이라 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과 건물로부터 시작된 문화적 파동이 주위 에 영향을 미치길 기대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70 171

Sector 3 Community Plex with Kindergarten

Backside view of community plex

문화센터와 독서실, 열람실, 작은 콘서트홀이 있다. 이전에는 공업사와 높은 담으로 둘러싸인 작은 어린이집이 있었지만, 주 변 환경의 변화에 맞춰 사람들이 좀 더 많이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들렀다 갈 수 있도록 통로를 겸하는 커뮤 니티 센터로 디자인했다.

Outer Skin Study Process 수직적인 나무 외장재로 마감한 2-3층부와 달리 1층은 수평 방향 의 마감재를 사용해 보행자의 발걸음을 건물의 방향을 따라 이끌 리는 듯한 느낌을 준다. 동시에 콘크리트와 차가운 돌보다 어린 이들에게 친숙하고 따듯한 느낌을 준다.


Velo-City 공간과 시간의 속도를 디자인하다

백초롱 Cholong Baek 국형걸 스튜디오 Hyunggul Kook Studio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층 수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공동-명동 지하상가 복합문화시설 100,000㎡ 100,000㎡ 지하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공간을 거쳐가면서 살아간다. 지하공간을 지나서 열려있는 지상의 가로를 지나고 닫혀있는 여러 방들에서 하루를 보낸 다. 그 공간에서는 일정한 행위가 일어나고 행위에 의해서 공간의 흐름, 속도가 발생한다. 각 공간은 다른 템포를 갖는데 오래된 골목길을 걸을때의 공간의 속도와 백화점, 쇼핑몰에서의 속도는 다르다. 공간이 적절한 속도를 가질 때 공간의 경험과 사용이 원활해질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지하공 간은 적절한 속도라는 기준에서 취약한 공간이다. 대다수 지하공간은 지하철을 이용한뒤 잠시 스쳐가는 전이공간으로서의 역할만 하고 있다. 비어있 거나 상업성없는 쇼핑몰의 나열, 다른 건물들의 부출입구로서 역할만 담당하고 있으며 너무 빠르거나 속도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다. 빠른 속 도를 느리게, 느린 속도를 조금 빠르게 속도를 조율함으로 해서 공간의 다양한 행위와 머무름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구축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취지이다. 방법론적으로는 공간의 속도를 구성하는 주체가 사람이기에 사람과 공간과의 관계에 집중하고자 한다. 행위를 예측할수 있는 공간과 불특 정 행위를 융통성 있게 수용하는 공간을 조화시켜 의도한 속도와 임의의 속도가 중첩됨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른 속도가 나타날 것이고 다양한 공간 의 속도에 의해 공간은 더 풍부해질수 있다. 건축적으로 구축하는 속도와 사람들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축되는 속도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흐름을 제 안하고 사람이 적극적으로 공간의 흐름을 구성하는데 참여할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72 173

Most of the underground space is just the transfer space, after using subway or passing by. They are solely empty, uneconomical of the shopping mall and responsible for the other building entrances as part of the role because they are too fast or the speed itself is a space that does not exist. The intent of the project is to design space through speed. As slow down to fast or slow tunes the speed by a little bit faster to build a space that enables a variety of spatial behavior and retention. Methodologically, the person is subject to configure the speed of the space. I want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space. Some space that it can be possible to predict the behavior harmonize with others that can accommodate unspecified acts flexibly. By overlapping intended and unexpected speed, various speed will appear in the spa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fore the speed of the space could be richer. The movement of the space would be various. I suggest the flow of the space by converging the speed that is constructed in architecture and speed of the people who can move freely, and design the space where people participate actively to organize the flow of the space.


Velo-City | 공간과 시간의 속도를 디자인하다

Transfer Zone View

Concept 1 Spatial Elements - 속도를 증가 시키는 요인

계단 : 내리막 50m/분

Flat

램프 : 내리막 60m/분

Divergence

Wide

Divided

Low Density

프로그램 없음

Narrow

Combined

Pit

Universal Space

Indoor, Closed Space

- 속도를 감소 시키는 요인

계단 : 오르막 40m/분

Mound

램프 : 오르막 50m/분

Convergence

High Density

프로그램 있음

Alternative

Columned Space

Bridge

Light, Natur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2 Time 프로그램적 요소 - 속도를 증가 시키는 요인 : 시간대비 거리 소비량이 많은 활동성이 높은 프로그램 사무소, 학교, 체육관 : 80 m/분 백화점, 호텔, 일반 집회실, 불특정 다수의 용도부분 : 60 m/분 - 속도를 감소 시키는 요인 : 거리대비 시간 고비량이 많은 활동성이 낮은 프로그램 병원, 레스토랑, 영화관, 밀도가 높은 집회실의 용도부분 : 20 m//분

Foreigner Zone View

174 175


N

A a. Transfer zone (0 - 100m)

a

b. Business zone (100 - 250m)

B b c. Shopping zone (250 - 400m)

d. Foreigner zone (400 - 500m)

C d

c

D

0

5

15

30 M

Master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Section a. Cultural Path _ Normal course (V = 40 - 80)

a

A

b. Intersection district _ divergence, convergence (V = 0)

b

B

c. Walking Path _ fast course (V = 80 -100)

c

C

d. Commercial path _ slow course(V = 20 - 40)

d

D

176 177


Automusable Place 자동차와 여가를 즐기다

신용선 Yongsun Shin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78 179

자동차는 이제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자동차는 이동수단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개인 공간이기도 하다. 차 안에 있으면 바깥 공간과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의 프라이버시는 방해받지 않는다. 차 안에 있는 사람들은 마음대로 먹고, 떠들 수 있다. 또한 시간 제한이 없고 장소적인 제한도 받지 않는다. 그들은 원하는 시간에 어디든 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도시에서는 주차공간 부족 문제나 거대한 주차장 때문에 사람과 자동 차 사이는 단절되기가 쉽다. 한강은 자동차들이 모이는 곳이다. 이는 자동차 전용도로가 한강으로 가는 길 을 가로 막고 있어, 걸어서 접근하기 힘든 탓도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차라 리 대부분 자동차가 이용하는 한강다리에 자동차로 접근할 수 있는 장소를 만 들어 사람들이 자동차 안에서, 혹은 주변에서 어떤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곳이 생기면 좋을 것이라 생각했다. 더 나아가 이런 장소가 생긴다면 프로그램 특 성상, 쓰이지 않는 시간대에는 주차장으로써의 역할도 할 수 있어 주차공간 부족 문제도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We cannot imagine the world without automobile. Automobile is not only transportation, but also a private space. It maintains the distance from public space and people inside the car cannot be disturbed their privacy by others. They can eat food and talk out loud. In addition, there are advantages with time and place when they are in the car. They can go anywhere whenever they want. However, there is a severance between cars and people when the automobiles does not being used because of the lack of parking lot in the city. Han River is the place where cars assemble. This is because it has difficulties with approaching Han River by foot. For this reason, I thought it would be nice if there is a place where people can approach by their own automobile using the bridge that is almost only for cars, and enjoy certain activities within or with their vehicle. Furthermore, it can be an parking lot when the place is not fully utilized by their original program.

위 용

치 도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성수대교 남단 복합문화시설


Public

Private

Yongsun Shin | Automusable Place

0

10min 30min

1

Drive-in R

Drive-through

Gallery

Drive Thru

Dri Rest

There are two design consideration. One is what can we do in the car or beside the car. Another is which characteristics can be made when cars are gathered by curve shape.

Gal

Han River Issue

Rest 이화여대 서울 시청

남산

Drive-through

서울숲

압구정

강남역

성수대교 너비 28m 길이 1160m 110814대/일 (2006년)

River

Vehicle Barrier

성수대

로→ 림픽대

User

The programs are distributed carefully by time-oriented courses. It is designed in a continuous loop because a one-way makes it impossible to go backwards for other uses Therefore, I propose a circulated loop design with other routes suspended from the main loop.

Site Plan Existing Road

Vehicles are supposed to move on one direction. If one prefers to stop by a proposed program on the way, it is possible to just enter by bypasses, and continue their way to the original destination.

Han River Issue

N

Level 3-7 Level 8-13 Level 14-23

Site Plan


Public

Private

0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0 181

Drive-throu

Drive Thru

There are two design consideration. One is what can we do in the car or beside the car. Another is which characteristics can be made when cars are gathered by curve shape.

Han River Issue Car Activity Strategy

Public Public

Public Public

Private Private

Private Private

CarCar Activity Strategy Activity Strategy CarCar Activity Strategy Activity StrategyPublic Private

Program Program Program Program 0

10min 30min 30min 0 10min

1

1

2

2

0

10min 30min 30min 0 10min

1

1

2

2

Small boat

Drive-inDrive The

Drive-inDrive-in Restaurant Restaurant Observatory Observatory Drive-inDrive-in Restaurant Restaurant OUT Cafe Observatory IN Cafe Observatory Gallery Gallery Water sports Cafe Water Cafesports

Drive-through Drive-through marina

Drive-inDrive The

Drive-through Drive-through Auto

Static

Converge

camping

Water sports Water sports

Gallery Gallery

Fishing

Vehicles ar one directi by a prop way, it is p bypasses, to the orig

IN Drive Thr

Drive Thr

Drive Thr

Drive Thr

u u

Observatory

OUT

u u

Cafe

Observatory Observatory

Mobile

Diverge

There There are two design consideration. One isOne whatiscan wecan dowe in the carthe or car or are two design consideration. what do in beside thetwo car. Another is which characteristics be made when cars beside the car.design Another is which characteristics can when cars There There are design consideration. One isOne whatiscan can we dobe inmade the car or car are two consideration. what can we do in the or are gathered byAnother curve shape. are curve shape. beside thegathered car. is which characteristics can becan made when when cars cars beside the car.byAnother is which characteristics be made are gathered by curve shape.shape. are gathered by curve

Drive-in

Observatory Observatory theater Drive-inDrive-in Cafe Restaurant Restaurant Drive-inDrive-in Cafe Cafe Restaurant Restaurant Circulation

The progra fully by tim designed i cause a on ble to go b Therefore, loop desig Cafe pended fro

Cafe

30min-2hrs coursecourse 30min-2hrs Water Sports Water S 30min-2hrs coursecourse 30min-2hrs Gallery Gallery Water Sports Water S Gallery Gallery

Restaurant Restaurant Restaurant Restaurant

D RDI VREI VTE D RCoffee EI VSho TE DI VRShop Coffee

Coffee Shop Coffee Sho

FishingFis

FishingFis

Drive-through Drive-through Drive-through Drive-through

Vehicles are supposed to move on Vehicles are supposed to move on one direction. Ifare one prefers totostop one direction. If one prefers Vehicles are supposed to move onto stop Vehicles supposed move on by proposed program on the by adirection. proposed program on the oneadirection. If one prefers to stop one If one prefers to stop way, is possible to just enter by it is possible to just enter by by a itway, proposed program on the by a proposed program on the bypasses, and their and their way, itbypasses, is possible to continue justto enter by way way, it is continue possible justway enter by to the to original destination. the original bypasses, and continue their way bypasses, and destination. continue their way to the to original destination. the original destination. The programs are distributed care- careThe programs are distributed fully by time-oriented courses. It is carefully by time-oriented courses. It is The programs are distributed careThe programs are distributed designed inbya time-oriented continuous loop bedesigned in a continuous loop befully by time-oriented courses. It is It fully courses. is

Cafe

Cafe

Cafe Observatory Observatory

Cafe

Observatory Observatory

Drive-in Theater Drive-in Drive-in 30min-2hrs courseco 30min-2hrs Restaurant Restaurant Drive-in Drive-in30min-2hrs courseco 30min-2hrs Restaurant Restaurant


Yongsun Shin | Automusable Place

N

1 2 3 4 5

Auto camping Small boat marina Fishing Gallery Drive-through restaurant 6 Drive-in theater 7 Cafe 8 Observatory

A 2

3

B

7 C 6

a 5

1

8

b

4

c

0

0

5

2

15

30 M

6

12 M

Plan

Section A: Auto camping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2 183

a. Auto camping

b. Drive-in theater

c. Drive-in theater+Observatory+Cafe

Section B: Drive-in theater + Cafe

Section C: Drive-through


Frame The City 문화 아이덴티티 보존을 위한 새로운 건축적 대안

이은정 Eunjeong Lee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오늘날 우리의 도시는 깊게 내재한 자본주의 논리에 의해 도시가 기존의 특 색을 잃어가는 일종의 “Filtering Phenomena”를 겪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에는 ‘Gentrification(사전적정의:주택고급화)’이라는 현상이 자리한다. 이는 주택가에서는 고소득계층이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주거지역에 점진적으 로 모여드는 현상을 의미하며, 그 지역을 떠나야 하는 거주민들은 이사비용을 포함한 물질적 비용은 물론, 공동체 파괴에 따른 심리적 부담을 안기도 한다. 이러한 Gentrification 현상이, 나는 그 지역만의 문화를 유지해오던 장소에서 의‘대형 상업화’과정에서도 적용된다고 보았다.

Today, Seoul has been experiencing “Filtering Phenomena” by ‘Gentrification’. Cultural Identity is getting faded by these phenomena. In a cultural or economical point of view, ‘Gentrification’ can also happen to cultural spaces and streets by filtering phenomena. As rental fee goes up, small galleries, shops or restaurants are being turned into big franchise stores, so those are leaving for cheaper areas.

인사동, 가로수길, 홍대, 삼청동 거리 등은 우리에게 그 지역만의 아이덴티티 를 느끼게 해주는 특별한 장소로서 인식되어왔다. 그런데 현재 그 장소들의 메인 거리를 방문했을 때 가장 먼저 우리 눈에 들어오는 것은 대형 프랜차이 즈 업체, SPA 브랜드 등 상업시설들의 화려한 인테리어와 간판들… 오랜 시 간 그 자리를 지켜오던 갤러리, 예술 작업 공간, 혹은 개인 소형 샵 등은 고유 의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지켜오며 외부인들과 소통해 왔지만, 지금은 전부 좀 더 낮은 임대료를 찾아 뒷골목으로 옮겨가거나, 혹은 아예 다른 지역으로 옮 겨가기 일쑤이다. 과연 자본의 논리에 의한 대형 상업화와 그 장소만의 문화 적 아이덴티티는 공존할 수 없는 것일까?

Because of this phenomena, some characteristic places like 가로수길, 홍대, 삼청동, and 인사동 have been faded and got lost their own identities. So many galleries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moving to ‘서촌’ where rental fee is cheaper than other areas.‘서촌’ is a historical area that many artists were lived in and worked in the past. So there are special urban organization and historical traces. ‘서촌’ will go through the movement of cultural facilities continuously, and get a title of ‘new culture area’.

현재 대형 상업화 현상이 이미 진행된 지역들을 피해 문화 공간들은 상대적으 로 상업화가 덜 진행되어 임대료가 저렴하고 문화예술 도시로서의 긴 역사를 지니고 있는 ‘서촌’지역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 에 의거하여,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서촌에 문화 공간들을 수용할 수 있는 장 소를 제공함과 동시에, 훗날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가 서촌의 메인 거리를 점 령하더라도 그로 인한 자본의 활성화와 기존 도시를 이끌어오던 고유 서촌 문 화 아이덴티티가 공존하고 사람들이 그것을 깊이 경험할 수 있도록 건축이 기 여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To avoid the standardization of 서촌 identity, it is essential to design new typology for accommodating cultural spaces that respect urban organization and historical traces. This new typology should accept big franchise stores but protect the region from being ordinary area. And also, it should be a way for sustainable cultural area accepting changes but keeping the own identity.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서울시 종로구 청운효자동 자하문로 10길 일대

상업시설, 문화시설

대 지 면적

2708.35㎡

2782.94㎡

184 185

3층

54.24%

97.31%


Eunjeong Lee | Frame The City

Issue General Buildings

Gathering Cultural Spaces

Filtering Phenomena

A Franchise

a Gallery b Atelier c Shop

?

.

n St

Mai .

n St

Mai

. n St

Mai

Getting Faded

Visitors Getting Cultural Identity No Identity

Area

Gentrification 일반 지역에 문화 공간들이 모여들면서 문화 아이덴티티를 가진 메인 거리가 생겨나 방문자가 증가하지만, 그 거리는 자본이 몰려듦 으로 인해 대형 상업시설로 바뀌어가고 문화 아이덴티티는 점점 퇴색된다. 대형 상업화로 인해 밀려난 문화공간들은 뒷골목으로 혹 은 아예 다른 지역으로 옮겨간다

Phasing Scenario

Gathering Cultural Programs

Commercialization

Platform A

Phase 0

artist community project space public space concept store

Phase 1 in 5 years

Phase 2 in 10 years

Platform B

After 10 years Franchises Cluster Cultural spaces Cluste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6 187

Platform A

Concept Store

Section BC

Section OA

Folding Line

Section EF

F 0 1

3

E 6M

D

C

B

A

O Unfolded Elevation


Eunjeong Lee | Frame The City

Design Process 1 Design typology for preserving identity

‘reversed’ cultural space in front side

‘connected’ with Open space

commercial + cultural space

2 Applying Design Prototypes to the real buildings

opened staircase

relationship with the opening

continuous element

Entrance view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8 189

Platform B

Open Deck

Section BC

Section AB

Folding Line

Section CD

D

C

B

A

O Unfolded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RETHINKING LOCALITY 본 교과목은 설계스튜디오의 마지막 단계로서 설계담당교수별로 주제를 설정 하되 건축담론의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건축적, 도시적 실험을 설계주제로 한다. 아울러 건축과 타 분야 간의 적극적인 접목을 통한 새로운 시도를 통해 건축가로서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과 건축을 통한 사회적 소통을 동시에 모색한다. 수행과제는 개인 또는 공동 작업으로 진행되며 설계팀의 일 원으로서 조정자로서의 역할과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배운다.

STUDIO TUTORS: Jongmoon Choi Kyoungeun Kwon


Rest in Function 홍천휴게소 프로젝트

이민희 Minhee Lee 최종문 스튜디오 Studio

휴게소는 일반건물과 다르게 전국 각지에서 많은 이용객이 왕 래하는 곳이다. 고속도로 통행 중 사람의 본능에 의해 찾는 경 우가 가장 많고 이 때문에 휴게소 각 공간의 기능을 명확히 제 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곳에 기능의 역할을 중점으로 한 디자인을 도입하고 기존의 휴게소와 다르게 1차적인 목적 뿐 만 아니라 문화공간으로써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기 위한 휴게 소를 제공 한다.

Unlike normal buildings, rest area are places where many passengers stop by for their needs. When passengers are on the highway, they look for this area because of their natural instict and it is important to clarify functions of all the facilities.Therefore, we will introduce the design concept which mainly focuses on funtional roles in Hong Cheon rest area. and we will provide not only primary purpose but also cultural spaces.

Concept

FOOD

CAFE

REST

A. 각각의 기능분할에 따른 명확한 구분

FOOD

BOOK

TEA

a. 분할된 공간 안에서 목적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통과 할 수 있는 중앙동선

SQUARE

B. 공간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형태 변형

TOILET

b. 각각의 건물과건물 사이에 휴게공간을 두어 이동 중 공간의전이를 유도시킴


192 19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휴게소 후면 산책로및휴게공간

중정 & open카페

N

1

2

8 7 10

3

4 12

11 9 5

0

5

10

15 M

6

1 Ice Storage 2 Staff Diningroom 3 Storage

7

4 Kitchen 5 Store Storage 6 Convenient Store

7 Bookcafe 8 Cafe 9 Hall

10 Fastfood Store 11 Plaza 12 Restroom

1F

Elevation


Stroll around the Rest 홍천 휴게소 프로젝트

이선경 ShunKyung Lee 최종문 스튜디오 Jungmoon choi Studio

휴게소는 사람들에게 ‘쉼’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 은 ‘쉼의 공간’에서 진정한 휴식을 갖지 못한채 빠르게 그 공간을 스 쳐간다. 쉬어간다는 것은 가만히 머물다가는 정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휴게소는 빠른 흐름속에서 잠시나마 천천히 공간을 거 닐며 생각을 정리하는 공간이 될 필요가 있다. 이에따라 전체적인 공 간을 하나의 단일매개체가 아닌 최대한 수평적이고 독립적인 배치 를 통해 보다 많은 동적인 흐름의 휴게소 공간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Resting place provides a ‘pause’ space for people. However, many people don`t have a real break time and they are just passing by this space. Maybe ‘Pause’ means that just stay and stand some places. But Resting place should be changed to different space which gives some time to walk through slowly and straighten up their thoughts. Accordingly, suggest Resting place that place a horizontal and independent placement to be a more dynamic flow space, not a single media plac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194 195

N

6 1

2

7

3

8 9 5

0

5

15

30M

10

4

11

1 2 3 4 5 6

Staff’s dining room Kitchen Dining room Information center Convenience store Gallery

7 8 9 10 11

Cafe Resting zone Fastfood store Hi shop Restroom

Section A

Section B

Elevation

1F


Seonjeongneung Effect 도서관, 선정릉 이펙트의 시작점이 되다

이은정 Eunjeong Lee 최종문 스튜디오 Jongmun Choi Studio

오피스 건물이 가득한 도심 내에 선정릉공원이라는 녹지와 문화 유산이 있다는 것은 큰 축복이다. 이러한 선정릉 공원 에 제안되는 도서관은 선정릉 이펙트의 시작점으로서 기능 할 수 있도록, 자연적 대지 상황에 대응하는 형태, 주변 환 경과 함께 기능할 수 있는 열린 공간, 그리고 지역주민부터 직장인들까지 남녀노소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성을 갖춘 도서관이 되어야 할 것이다.

Concept

LIBRARY “모이는 장소”

“거쳐가는 장소”

“크고 작은 공간들이 함께 기능하는 장소”

Seonjeongneung park, the site of this project, is great historic asset located in the center of city. I propose the Seonjeongneung effect coming from public library in the park and expect that this effect will lead the city development. The library should interact with surroundings and site conditions and be opened to anyone who stays in anywhere around the site. So this project is mainly focused on designing public spaces in the library for all various users and making it enjoyable for the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196 197

2 1

3

6

4

5

1 Digital data room 2 Visual data room 3 Studying area 4 Resting area for users 5 Reference room 6 Sunken Garden

0

0

2

6

2

6

10 M

12 M

3F

Section


Sushi, Have Fun! 강남대로 광역(R)버스정류장 디자인

강영민 Youngmin Kang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Glass

S.P.G. Bolt Spider Bracket

Glass

Supporting Steel Structure

EVA

Steel Plate Anchor Bolt Concrete

Wall Detail Section

서울 근교에 사는 직장인들은 매일 저녁 강남역에서 광역버스를 타 고 퇴근한다. 이 직장인들은 일어나서 출근하고 일하고 퇴근해서 다 시 잠드는 반복적인 일상을 살고 있고, 정해져있는 경로에서 반복적 으로 도는 회전초밥과 비슷해보인다. 지루한 일상 속 틈새에 즐기면 서 기다릴 수 있는 버스정류장을 제안한다. 부드러운 EVA 벽들의 연 속으로 이루어진 이 정류장은 우스꽝스러운 포즈 형태의 void가 뚫려 있어서 기다리는 사람들은 벽을 지나야 하고 평소엔 취하지 않던 이 상한 자세를 취해야한다.

People living near Seoul have to take red-colored-bus to go back home after working in Gangnam area. City-workers live the routined life; wake up, go to work, work, go back home, and sleep. They seem similar to sushi, which repeatedly go around along the conveyor belt. I am suggesting a bus station in which people can have fun. The walls are consisted of EVA which is soft enough for people to pass through and have holes that force people to pose like each shape of the hol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198 199

Storyboard

#1 Title.

#2 Sushi on conveyor-belt

#3 City workers, waiting in line for the bus in Gangnam bus station

#4 The screen fades out and an image of white and black appears

#5 Slowly, the camera shows sushi-headed-workers waiting in line

#6 Suddenly, series of thick walls comes out in front of the people

#7 Shrimp sushi headed person poses for the holes in the wall

#8 The poses make people behind laugh

#9 Shrimp sushi headed person passes 12 walls

#10 End of the series of walls

#11 Bus comes near to the station -The End

Elevation


북촌, 숨은그림찾기 A Picture Puzzle in Bukchon

김다솜 Dasom Kim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Concept

서울이라는 도시가 가지고 있는 재미있는 ‘그림’ 어떤 하나의 프레임을 가지고 이 도시를 바라보게 되면 다양한 시간을 담고 있는 건축물들이 켜를 이 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에는 몰랐던, 보이지 않 았던 것들이 새로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 프로젝트 를 통해 도시를 다시 바라보고 다시 이해할 수 있 을 것이다.

The interesting ‘Picture’ that city Seoul has. If you look at the city with the one frame, you will find out that many buildings make layers of various time. There is a scene of the city you never knew, you never saw before. This project is a great way to see and to understand the city again.

Storyboard

북촌 한옥마을

어딘지 모를 한 풍경

풍경들의 조합

좋은 풍경을 찾아 떠도는 사람들

북촌 한옥마을의 어떤 한 풍경

모든 창문이 다 열림. 하나의 풍경

그 창문도 어떤 공간의 일부가 됨

어딘지 모를 한 풍경들의 연속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200 201

1. 창문을 통해 보이는 북촌풍경. 창틀이 액자처럼. 2. 공간의 일부로서의 창. 어떠한 공간일까. 3. 북촌에 있는 갤러리 공간. 그리고 갤러리의 전면창.

N

1F

0

2

6

10 M

Section


Moving Green 움직이는공원버스 디자인

신동희 Donghee Shin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현대인의 필수 대중교통인 버스를 개조하여 공원버스를 만든다. 재 료는 PVC를 사용하여 투명하게 만들어 버스 내부에서는 외부를, 외 부에서는 내부를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 공원버스는 도시를 돌며, 공원이 필요한 곳에 공원을, 휴식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휴식을 제 공할 것이다.

Bus is one of the essential transportation in our life. In this project, I modified the bus in to a park. By using PVC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people can see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This moving park will move around the city and provide resting place for people who need them.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Section

Storyboard 버스 가운데에 심어진 나무를 줌인 하여 버스인 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한 뒤, 천천히 줌아웃하며 버스임을 알아차리게 한다.

202 203


My B612 우주여행을 위한 공간 디자인

안정원 Jungwon Ahn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Site Observation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하늘이 머리 위에 있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하고 발 아래에 있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실 생활에서는 경험하기 힘든 일이지만, 사진이나 영화라는 미디어 안에서 는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을 토대로 하늘이 발 아래 있기도, 머리 위에 있기도 한 경험이 가능한 공간인 우주 여행용 별장을 디자인 하였다. 또한 그 공간 내부에서 경험 할 수 있는 다양한 느낌을 영화에 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I descovered direction of the sky was changed by the position of camera. It is very hard to experience in real life. But, in the media for instance photo or movie, it is possibl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 was designed the villa in the universe because we can experience these things in the space. Also I want to express various feelings inside that space in the movie.

Storyboard 1 카메라가 직접 내부 공간을 유영하며 실제로 우주선 내부에 있는 듯 한 느낌을 주도록 구성하였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Drawings

Storyboard 2 몇 가지 장면을 선정한 후 줌인 - 줌아웃을 활용하여 '일상적인 공간 -> 이상한 공간 -> 우주공간' 으로 보여지도록 한다.

204 205


Glacier Box 억새밭의 반전

최시인 Siein Choi 권경은 스튜디오 Kyoungeun Kwon Studio

Daytime

드넓은 억새밭의 풍경 속, 빛이 사라지고 생김에 따라 함께 나타났 다가 사라지는 건물이 있다. 있는 듯 없는 듯 존재하던 건물은, 철 문 앞에 선 순간에서야 그 모습을 인지할 수 있다. 내부로 들어가 면 어떤 공간은 반대편이 고스란히 비쳐 보이고, 어떤 공간은 비 치는 동시에 반사하고, 어떤 곳에선 온전히 반사만 일어나 어지러 운 공간이 된다. 밖으로 나서서 건물을 돌아보면, 어두워진 풍경 속, 자신의 모습을 강렬히 드러내는 빛의 상자를 발견할 수 있다.

In the landscape of the wide pampas grass field, there is a building which appears and disappea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ght. It can be noticed when you arrive at the iron front door. When you get inside, some space is transparent to the other side, some space reflects your figure, and some space has both functions at the same time. Outside of the building, you can see dazzling light box which expose its existence intensely in the darkened scenery.

Interior View

#5 오후 무렵과 해질녘의 실내 변화

#7 오후 무렵과 해질녘의 실내 변화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206 207

Night

Section

1F



OTHER WORKS Student Achievements Timeline


Student Achievements 학생 성과

OCTOBER, 2013 경의선 공원 및 주변지역 관련(대학 스튜디오) 학생 아이디어 전시회 우수상 이예주 고주연 입선 김현지 마다솜 신지혜 김유진

전소현 김태연 '마을과 공원사이' 김의주 '상부상조 동교동 만들기' 박소영 이지수 도지원 김지희

전은경 조유진 백장미 하예린

'수직공원을 통한 윗집 아랫집 소통하기' '책 방앗간으로 하나되는 우리마을' 'SLATE' '홍대 기찻길 중심공간에서 소통하기'

제4회 “살기좋은 마을 만들기” 학생 공모전 동상 이지수 마다솜 '책 방앗간으로 하나되는 우리 마을'

제 31회 공간 국제학생 건축상 대상 수상 전소현 'BLACK HOLE ; Walk to remember'


210 211


마을과 공원사이 경의선 공원 및 주변지역 관련 학생 아이디어 전시회 우수상

김태연 이예주 전소현 서울시 서대문구 연남동에 남아있는 주택 재개발 구역인 연남동은 과거 연남동 사이를 가르는 경의선 철도부지로 인해 마을 간의 단절이 보이고, 오랜 개 발이 되지 않은 구역으로 많은 사람들이 두꺼운 기억층을 가지고 있는 마을이다. 이 조용한 마을은 현재 젊은 층과 예술가들이 많이 찾는 홍대입구역에서 가까워 순차적으로 예술촌 및 상업가로 변해가고 있다. 이 현상은 가좌역부터 수색역까지의 구 경의선터를 공원화 하는 사업으로 인해 외부인의 유입이 많 아져서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변화들에 대응하며 마을 내 개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외부인들과의 소통이라는 서로 다른 요소가 상충하는 마 을 안에서 마을이 가진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공원화로 인해 주민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더 나은 마을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경의선 공원화 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212 213


BLACK HOLE ; Walk to remember 제 31회 공간 국제학생 건축상 대상

전소현

Black Hole ; Walk to remember 바람에 흩날리는 대나무 잎의 몽환적인 소리와 그것이 자아내는 환상적인 영상, 이것을 모티브로한 Tearing Art는 마치 대나무 잎이 흩날리듯 평면적 인 캔버스 위에서 입체적으로 새로이 나타난다. <Black Hole ; Walk to remember>는 Tearing Art의 영감의 원천인 대나무 숲 속에 작품을 전시하면서 작품 감상의 공간뿐만 아니라 작품을 통해 대나무 숲에서 작가가 경험했던 영감의 느낌을 전달하고자 한다.

Communication

이임춘은 위계질서로 이루어진 사회조직을 하나의 우주라 생각하였고 그 사회 속에서 힘 없는 개인모습을 우주 속의 무수히 많은 먼지중 하나로 보 아 그 모습을 작품 ‘black hole’에 투영하였다. 대나무 숲 속 오브제에 위치한 갤러리는 주변 집중을 중심향의 공간으로써 구현되어 감상하는 이 의 시야에 작품이 가득 차도록 복합곡면으로 작품이 만들어 진다. 그 속에서 사용자는 작가 가치관의 피사체가 되어 ‘거대한 조직사회속의 나’를 구현한 작품과의 공감이 이루어진다.

Master plan

Section


214 215

Layering

Blackhole space

Continuing

자연스러운 변화로 유도된 오브제의 바닥은 기존 차원을 넘어 공간이 되고 새로운 위상학적 변이공간으로 구성된다. 관람자에게 행위를 강요하지 않는, 여유로운 길의 변화 속에서 이루어지는 공간의 변화를 통해 이용자가 대나무 숲을 둘러보며 걷고, 작품을 바라보며, 벽에서 자연스럽게 나온 벤치에 앉기도 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Sequence Scene

기존에 체험하지 못한 다양한 공간전이와 시차원을 넘는 감각의 공유소로 작가와의 정신적 교류가 있고, 본래의 오솔길로 자연스럽게 나갈 수 있는 새로 운 차원으로 이끌어 가는 연속적인 요소이다. 기존의 대나무 숲길에 오브제를 통해 새로운 길을 조성하여 환유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이에 오브제는 가장 강한 작가의 메세지를 담게된다

Perspective


Timeline 학과 행사 일정

FIRST SEMESTER

2013/03/05 건축학전공 재학생OT 2013/03/12 건축가 특강 Speculative Landscapes Natalia Echeverri, 홍콩대

2013/03/22-23 Cross - Year Project 2013/04/09 이화렉처 2火 Lecture 01. architecTONE : 건축과 음악의 아날로지 비평 김세중 / 음악학자

2013/04/11 이화오픈렉처 Front특강 Works Decade NA Min Ra / Front Partner

2013/04/17 Laser Cutter Workshop 2013/05/04 이화 FT (Field Trip) 경복궁 일대 답사 인솔교수: 윤재신

2013/05/21 이화오픈렉처 건축물 스톡의 활용시대에 있어서 재생 Sigeru AOKI / 건축가

2013/06/04 이화렉처 2火 Lecture 02. Facade : 건축과 예술의 융합 한성필 / 시각예술가

2013/06/05 교과목 특강1 건축과 철학 그리고 근대적 사고 배형민 / 시립대

2013/06/07 교과목 특강1 프로그램 다이어그램 봉일범 / 국민대

2013/07/08-14 1학기 우수과제전 졸업설계 크리틱 및 전시회

2013/07/08-19 해외교류 스튜디오 Urban Edges in Seoul & Hong Kong 인솔교수: 이윤희

2013/07/23 졸업설계사정 졸업설계 포트폴리오 리뷰 2013/07/24 하계워크샵 2013/07/31 첨단과학교사연수센터 디지털건축실험실 랩탐방


216 217

SECOND SEMESTER

2013/09/02 2학기 개강 2013/09/02-06 2학기 교강사 미팅 2013/09 대학원 Fair 2013/10/08 이화렉처 2火 Lecture 03. 영화... 죽기 살기 김태식 / 영화감독

2013/10/12 이화 FT (Field Trip) 혜화동 일대 답사 인솔교수: 임석재

2013/11/07 건축가 특강 스위스 건축의 미와 함께 건축의 가치, 소명의식 이동준 / 건축가

2013/11/12 이화렉처 2火 Lecture 04. 건축적 가구, 가구적 건축걵 박지민 / 건축가, 가구디자이너

2013/11 1학년대상 전공설명회 2013/11 1학년대상 오픈스튜디오 2013/11 오피스투어




TEA Trajectory of Ewha Architecture Projects Review 2013 발행인 Publisher 이동훈 Tong hoon Lee Chair of the Architecture Department Ewha Womans University 담당교수 Director 김현대 Hyun Dai Kim, assistant professor 편집부장 Editor-in-chief 백초롱 Cholong Baek 김선아 Seona Kim 편집부원 Editors 안정원 Jungwon Ahn 강수지 Sooji Kang 이예주 Yeju Lee 김현지 Hyunji Kim 박소연 Soyeon Park 강미래 Mirae Kang 구본영 Bonyoung Gu 임한솔 Hansol Lim 정한아 Hana Jeong 양효실 Yang Hyosil

Copyright(c) 2014 by Department of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by any means, electronic, photocopying recoding of otherwise, without the prior permission or the copyright owner. 이 출판물의 모든 저작권은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전공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라 여기에 실린 모든 이미지, 텍스트, 교육 프로그램은 보호를 받으며 사전 동 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tel 82-2-3277-2397 fax 82-2-3277-2396 http://ewharchitecture.kr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